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58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 최종보고서 2017년 4월 14일 연구기관: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국립생물자원관

Upload: others

Post on 31-Oct-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

최종보고서

2017년 4월 14일

연구기관: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국립생물자원관

Page 2: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제 출 문

본 보고서를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

년도”(기간: 2016. 11. 15.-2017. 4. 14.)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7. 4. 1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장

총괄연구기관 제주대학교

연구책임자 이준백 (제주대학교)

연구원 이진환 (상명대학교)

박종규 (군산대학교)

국립생물자원관장 귀하

Page 3: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목 차

I. 서론 ···························································································································································· 1

1. 사업 목적 및 배경 ······························································································································ 2

2. 참여연구원 ············································································································································· 5

3. 당해연도 목표 ······································································································································ 6

II. 연구 방법 ··············································································································································· 7

1. 연구범위 ·················································································································································· 8

2. 조사지역 및 조사일정 ····················································································································· 10

3. 연구방법 ··············································································································································· 14

1) 채집방법 ··········································································································································· 14

2) 표본 라벨 정보의 작성 ················································································································· 14

3) 표본 보관 방법 ································································································································ 14

4) 배양체 ·················································································································································· 15

III. 최종 결과 ············································································································································ 16

1. 사업성과 ································································································································· 17

1) 신종/미기록종 후보 발굴 ······························································································· 17

2) 표본 확보 ····························································································································· 19

3) 배양체 확보 ························································································································· 21

4) 미소장/소량소장 표본 및 배양체 확보 ········································································· 23

2. 특이지역의 겨울철 종다양성 특징 ··················································································· 28

3. 겨울철 확보 표본/배양체 특징 ························································································· 30

IV. 부록 ································································································································ 40

1. 신종/미기록 후보종 발굴 ··································································································· 41

Page 4: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1 -

Page 5: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2 -

1. 사업 목적 및 배경

(1) 사업목적

요 약

○ 국가 생물자원 주권확립을 위한 신종/미기록종 후보종 발굴

○ 겨울철 자생 조류의 종다양성 확대를 위한 조사 발굴

○ 국가생물자원시스템 기반구축을 위한 확증 표본의 생물정보 등록

○ 생물산업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자생 조류 배양체 확보

¡ 한반도 자생 생물자원에 대한 겨울철 집중적 탐색 조사를 통한 겨울철 자생생물

의 신종/미기록종의 발굴, 표본의 확보

¡ 겨울철 미발굴종(미기록종 및 신종) 생물자원의 집중 발굴을 통한 분포 여부 및

실체의 검정 및 확증표본의 확보함으로써, 겨울철 종다양성을 확인하고 지역별

조류의 분포양상을 파악하는데 필요한 기초정보를 축적하고자 함

¡ 겨울철 고유생물을 포함한 겨울철 자생생물 표본 및 기타 생물재료(배양체)의 확

¡ 겨울철 집중적 탐색 조사를 통한 겨울철 종 및 생물자원의 목록, 분포, 서식지

정보 등을 바탕으로 국가 생물종 목록의 완성 및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통합관

리시스템’에 입력하여 국가 생물자원 관리 네트워크(National Biological

Resources Network)의 구축하고자 함

¡ 연구사업 과정을 통한 차세대 생물분류 인력 양성 및 확보에 기여함과 동시에

동북아 생물자원연구의 중심 국가로서의 위치를 선점하는 기반을 구축하고, 차

세대 생물분류 연구체계 확립에 기여함

Page 6: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3 -

(2) 사업 배경

요 약

○ 자생 조류 종다양성 확보 Ÿ 한반도 생물자원의 조사 및 발굴 미흡

Ÿ 자생종 확인 및 신종/미기록종 후보종 발굴

○ 생물산업 원천소재 확보 Ÿ 생물자원 이용을 위한 분류학적 근거 마련

Ÿ 21세기 국가경쟁력을 주도할 생물산업 발달 기여

○ 국가 생물자원 주권 확립 Ÿ 생물자원의 잠재적 가치 증대

Ÿ 국가 생물자원의 체계적인 관리 필요

○ 생물자원 R & D 기반 구축 Ÿ 생물체 유래 물질 개발 연구 증가

Ÿ 체계적인 분류를 통한 생물자원 개발 가치 향상

○ 겨울철 자생 조류 연구 Ÿ 계절적 종다양성 및 분포 양상 차이

Ÿ 겨울철 조류의 종 다양성 파악

¡ 생물다양성의 중요성 및 의의

Ÿ 생물다양성은 유전적, 종적, 생태적 다양성의 총체로서 지구생태계를 구성하

는 필수 요소임

Ÿ 생물다양성은 작물 품종 개량, 전통의약의 기본 재료일 뿐 아니라 21세기의

가장 중요한 첨단산업인 생물산업(BT)의 원천 소재이며 해당 국가의 고유한

재산임

Ÿ 한반도는 21세기 국가경쟁력을 주도할 생물산업의 원천소재인 생물자원이

풍부함에도 이에 대한 조사·발굴이 미흡

Ÿ 국내의 고유 및 자생생물의 실체파악 미비로 인한 관리체계의 허점 때문에

우리의 고유 생물자원이 상당수 상업적으로 유출되어 외국에서 고부가가치

의 생물 상품으로 개발, 시장을 선점되는 사례의 급증 (환경부, 2001)

Ÿ 생물다양성협약 등 생물자원에 대한 국제 환경변화에 따른 『생물자원의 주

권확보』 및 『동북아 생물자원 R & D의 중심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기반 구

축이 시급히 요구됨

Ÿ 2010년 10월 29일 제 10차 CBD 당사국 총회에서 ABS 나고야 의정서를 채

택하면서 ‘생물자원전쟁’ 시작되어, 자생 신종 및 미기록종의 발굴은 생물주

Page 7: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4 -

권 확보에 기여

Ÿ 2014년 10월 제12차 CBD가 강원도 평창에서 개최 되었으며, 나고야 의정서

에 92개국이 서명하여 각 나라의 비준을 거쳐 2014년 10월 12일 발효됨

¡ 한반도 생물다양성 조사 및 확보 현황

Ÿ 한반도는 21세기 국가경쟁력을 주도할 BT산업의 원천소재인 생물자원이 풍

부함에도 이에 대한 조사․발굴이 미흡

- 한반도에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전체 생물 종 수 약 10만종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 47,003종이 발굴되어 47.0% 정도에 불과함

- 일본의 생물종은 약 9만종, 영국은 약 8.8만종으로 50% 미만 수준임 <표 1>

Ÿ 한반도 발굴 생물종의 12.7% (5,749종)를 차지하는 조류(藻類)는 생물종의

발굴 가능성 높으며, 산업적 활용가치가 높음. 따라서 자생생물의 체계적인

조사를 통해 생물종의 확인과 미기록 생물자원을 발굴하면 일본과 영국의

수준에 이를 것으로 판단됨

표1. 주요국의 전체 생물종수 (국립생물자원관 2016년기준; OECD 2004년 기준)

한 국 일 본 영 국

전체 생물종 수 47,003종 약 9만종 약 8.8만종

¡ 겨울철 자생 조류 연구의 필요성

Ÿ 조류는 해수의 온도에 따라 생육시기 또는 계절별로 종 다양성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임

Ÿ 한반도의 연안역은 쿠로시오 해류의 지류인 제주 난류, 대마 난류와 황해 난

류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겨울철에 생육하고 있는 종들은 이들 해류와 함께

유입되어 제주 연안, 서해안, 남해안에 출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음

Ÿ 따라서 겨울철 자생 조류 연구는 한반도에 생육하는 조류의 종다양성을 확

인하는데 필수적임

Page 8: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5 -

2. 참여연구원

구분 성명 소속/직위

주관

기관

-

제주

대학교

책임 연구원 이준백 제주대학교/교수

참여 연구원이진환 상명대학교/명예교수

박종규 군산대학교/교수

연구 보조원

김규범 제주대학교/석사과정

강수민 제주대학교/석사과정

김태희 제주대학교/학부생

강제경 제주대학교/학부생

박채슬 제주대학교/학부생

정희진 상명대학교/연구원

김소연 군산대학교/박사과정

김병석 군산대학교/박사과정

Page 9: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6 -

3. 당해연도 목표

사업명 겨울철 자생 조류 조사·발굴 및 표본 확보 2차년도

사업

목표

목표 1 겨울철 자생 조류 신종/미기록종 후보 발굴

정량목표 신종/미기록종 후보: 15종

정성목표

○ 후보종의 분류학적 정보: 표본 고유번호, 종기재

○ 후보종의 기준표본 제작: Holotype 또는 Isotype 제출

○ 후보종의 화상자료 원본 제출

목표 2 발굴된 신종/미기록종 후보종 학술지 발표

정량목표 학술지 발표: 1편 이상

정성목표

○ 사업기간 종료 후 12개월 이내에 투고 원칙

○ 제출한 표본의 고유번호를 명시할 것

○ 출판이 완료된 논문 별쇄본 제출

목표 3 겨울철 자생 조류 표본 확보

정량목표 생물표본: 500점

정성목표

○ ‘표본 제작 및 제출 방법’을 준수할 것

○ 종 다양성 확보에 만전을 기할 것

○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통합관리시스템’에 제출표본 정

보 입력

목표 4 겨울철 자생 조류 배양체 확보

정량목표 배양체: 30주

정성목표

○ 종 수준에서 정확하게 동정된 배양체 제출

○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통합관리시스템’에 배양체 정보

입력

목표 5‘한반도의 생물다양성 통합관리시스템’에 생물자원정보

입력

정량목표 정보입력: 후보종 15종, 생물표본 500점, 배양체 30주

정성목표

○ 신종/미기록종 후보종에 대한 정보 입력

○ 겨울철 자생 조류 표본에 대한 정보 입력

○ 겨울철 자생 조류 배양체에 대한 정보 입력

Page 10: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7 -

Page 11: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8 -

1. 연구 범위

요 약

○ 확보대상 분류군은 조류(藻類)로써 한반도에 자생하는 생물로 국한

○ 자생 신종/미기록종 후보종 발굴 및 확증표본

○ 겨울철 자생 조류의 생물표본 및 배양체 확보

○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통합관리시스템' 입력을 통한 국가 생물종 목록 보완

○ 발굴종에 대한 논문화를 통한 정당공표

n 확보대상 분류군

¡ 해양성/기수성/부착성 돌말류: 중심목(Centrales)과 우상목(Pennales) 2목

¡ 해양성/기수성/부유성/저서성 와편모조류: Blastodiniales 목, Dinophysiales 목,

Dinotrichales 목, Gonyaulaceales 목, Gymnodiniales 목, Peridiniales 목,

Prorocentrales 목, Pyrocystales 목 등 8목

n 자생 조류 신종/미기록종 후보 발굴 : 15종

¡ 신종/미기록종 후보에 대한 분류학적 정보(이명, 표본 고유번호, 형태형질을 포함

한 종기재 등) 포함

※ 배양체 확보나 표본제작이 불가능한 경우 신종/미기록종 후보의 사진 또는 그

림의 원본 제출

¡ 신종/미기록종(신종/미기록종 후보)의 표본(또는 배양체)은 기준표본(기준표본 후

보 표본) 또는 미기록종(미기록종 후보)의 확증표본임을 명시하고 일반 표본과 구

분하여 제출

Ÿ 신종(신종 후보)의 holotype(holotype 후보) 표본 또는 배양체의 제출이 어려운

경우에는 국립생물자원관과 협의하여 isotype 또는 paratype 등으로 대체 가능

Ÿ 신종을 정당공표할 때에는 국립생물자원관에 제출한 표본을 기준표본으로 하여

발표

Ÿ holotype의 제출이 어려운 경우에는 국립생물자원관과 협의하여 isotype 또는

Page 12: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9 -

paratype등으로 대체 가능

※ 추후 연구 등을 위하여 해당 표본이 필요한 경우 국립생물자원관으로부터 대

여 가능

¡ 국가 생물종 확증자료로 이용 가능하도록 신종/미기록종(신종/미기록종 후보)에

대한 화상자료(현미경 사진 등) 제출

Ÿ 화상자료에는 현미경적 구조를 포함하며, JPEG/TIF 형태로 1종 당 1~2장의 사

진을 별도로 JPEG 형태로 제출

¡ 발굴된 신종/미기록종 후보종에 대해 사업기간 종료 후 12개월 이내에 국내․외

학술지에 투고 또는 단행본에 게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상기기간 내에 투고

또는 게재가 어려울 경우에는 국립생물자원관과 협의하여 기간을 연장할 것임

Ÿ 사업종료 후 발굴종에 대한 논문 또는 단행본 투고․게재 여부는 지속적으로 국

립생물자원관 담당자에게 공지하며, 게재가 완료되면 논문/단행본 PDF 파일

제출

※ 논문 사사에 본 사업 지원임을 명시

n 겨울철 자생 조류 표본 확보 : 생물표본 500점, 배양체 30주

¡ 전문학술지 및 문헌에 기록되어 한반도 및 부속도서 내 분포가 확인된 종 및 종

이하의 분류군을 대상으로 함

¡ 제안요청서 별첨 3의 분류군별 ‘생물자원 제작 및 제출 방법’에 따라 제작·처리하

여 완전한 상태로 제출

¡ 생물표본, 배양체의 채집정보, 동정정보, 배양체의 배양정보 등 가능한 모든 정보

를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통합관리시스템’에 입력

¡ 생물자원을 확보하는 지역에는 겨울철 신종/미기록종 발굴 및 표본의 다양성 확

보 가능성이 높은 기수역, 연안습지 등 지역을 포함

¡ 겨울철 확보한 표본, 종 발굴 등에 대한 특이사항을 결과보고서에 기술

¡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제시하는 목록을 기준으로 많은 양을 소장한 표본의 제출을

지양하며, 미소장 또는 적게 소장하고 있는 표본 50점과 배양체 10주 이상을 확

보하여 제출하며, 이에 대한 결과를 결과보고서에 제시

Ÿ 자원관에서 기 확보된 표본 목록을 참조하여 미소장되거나 소장 점수가 미미

한 종을 집중적으로 채집하여 표본을 확보하며, 배양체는 해양 미세조류를 중

점적으로 확보함

Page 13: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10 -

¡ 멸종위기종 등 법적 관리종의 경우에는 채취허가를 받은 후에 표본을 확보

Ÿ 멸종위기종 등에 대한 채취 허가증 사본을 제출하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통합관리시스템’ 표본정보에 허가번호를 입력

2. 조사지역 및 조사일정

1) 조사지역

○ 일반조사 지역: 해양 및 기수성 조류는 서식 가능성이 높고 종 다양성이 풍부

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동해, 서해, 남해 및 제주도의 연안, 도서,

항구, 포구, 습지, 저질에서 조사하였다.

○ 겨울철 조사 특이 지역: 해양 및 기수성 조류의 조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지역 중 신종/미기록종 후보종 발굴 및 표본의 종 다양성 확보 가능성이

높을 곳으로 판단되는 곳에서 합동조사 및 연구팀별 조사하였다. 기수역은 한강

하구(경기도 강화도)와 제주도 성산 통밧알(제주도 서귀포시 성산읍), 연안습지는

태안반도 파도리(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와 제주도 오조리 철새 도래지(제주도

서귀포시 성산읍 오조리)를 선정하였다. 선정이유는 성산 통밧알은 평소 갑문을

개폐하여 해수의 유통이 조절되어 기수역을 유지하고 있으며 오조리 철새 도래

지는 연안 습지 형태로 보존되고 있다. 또한, 태안 파도리는 갯벌 습지로 사전

조사에 의해 생물 다양성이 높아 선정하였다.

Ÿ 제주대학교 이준백 교수팀은 총 112회에 걸쳐 해산 와편모조류를 대상으로

인천광역시,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의 일반 조사지역

과 겨울철 조사 특이지역으로 통밧알 기수역과 오조리 연안습지 지역을 조

사하였다(표 2, 3).

Ÿ 상명대학교 이진환 교수팀은 해산돌말류를 대상으로 총 24회에 걸쳐 인천광

역시, 충청남도, 제주도에서 조사하였으며(표 2), 특히 특이 지역인 인천광역

시 강화군 교동도,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파도리, 제주도 서귀포시 성산읍

Page 14: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11 -

오조리 및 성산리 통밧알 석호에서 각각 실시하였다(표 2, 3).

Ÿ 군산대학교 박종규 교수팀은 저서성 미세조류인 돌말류를 대상으로 충청남

도, 전라도, 제주의 갯벌 및 모래, 암반 등에서 90회에 걸쳐 조사하였으며(표

2), 특이 지역으로는 조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지역 중 신종/미기

록종 후보종 발굴 및 표본의 종 다양성 확보 가능성이 높을 곳으로 판단되

는 태안 파도리지역의 갯벌, 해안, 암반 등에서 각각 조사하였다(표 3).

Page 15: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12 -

년/월 제주대(이준백)

상명대(이진환)

군산대(박종규)

2016/11 제주 연안정점(13)

2016/12

제주 연안정점(12)제주 성산읍 및

해안선(7)남해 해안(1)

인천시 강화군(3)충남 태안군(4)제주 성산읍 및

해안선(7)

제주 성산읍 및 해안선(4)

충남 태안군(7)

2017/01

인천시 강화군(5)경기도 김포군(1)충남 태안군(6)전북 부안군(3)

강원도 강릉시(3)강원도 동해시(1)강원도 삼척시(2)제주 연안정점(12)

인천시 강화군(3)충남 태안군(18)전북 부안군(1)전남 무안군(1)

2017/02

경북 울진군(2)경북 영덕군(1)경북 포항시(1)

울산시 울주군(1)부산시 (3)

경남 거제시(3)경남 통영시(1)경남 사천시(1)경남 남해군(2)전남 여수시(1)전남 완도군(1)

경기도 시흥시(1)인천시(2)

제주 조간대(8)제주 연안정점(12)

인천시 강화군 본도 및 교동도 일대(5)

제주 연안정점(15)전북 부안군(21)충남 태안군(18)

2017/03

경기도 안산시(1)충남 당진시(1)충남 서산시(1)

강원도 양양군(2)강원도 속초시(1)

인천시 강화군 교동도(2)

전북 군산시(2)전북 부안면(3)

계 112회 24회 90회

표 2. 각 연구자 별 조사지역 및 조사일정

Page 16: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13 -

표 3. 연구자별 겨울철 조사 특이 지역의 조사 일정표

연구원

기수역 연안습지

제주도

성산읍

통밧알 석호

강화군

교동도

제주도 성산읍

오조리 철새

도래지

충남 태안군

파도리

이준백 ‘16.12.28-29 ‘16.12.28-29

이진환 ‘16.12.28-29

‘16.12.15

‘17.01.22

‘17.03.15

‘16.12.28-29 ‘16.12.21-22

박종규 ‘16.12.28-29 ‘16.12.28-29 ‘16.11.30-12.02

Page 17: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14 -

3. 연구 방법

1) 채집방법

○ 동/서/남해안과 크고 작은 만(灣)이나 포구를 대상으로 조사하며, 신종/미기록종

의 발굴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기수역, 연안습지 등을 조사하며 계절적 특이

사항을 파악

○ 부유성 미세조류(돌말류, 와편모조류 등)는 채수기(Van Dorn Water Sampler) 및

식물플랑크톤 네트(Plankton Net, mesh # 20µm)를 이용하여 채집

○ 부착성 미세조류(돌말류, 와편모조류 등)는 해조류, 암반, 자갈, 기타 고형기질과

같은 피부착물에서 부드러운 솔 등으로 긁어서 채집

○ 저서성 미세조류 중 돌말류는 암반, 저니나 수중 토양층으로부터 스포이드나 소

형 그랩을 사용하여 채집하고, 저서성 와편모조류는 해조류의 엽상체, 해변 모래

웅덩이에 고인물에서 채집

2) 표본 라벨 정보의 작성

○ 확증표본의 label은 최소한 다음의 정보를 꼭 포함하도록 함

○ 지리 정보: 채집 장소의 행정 구역 명 또는 항·포구 명

- 도, 시(군), 읍(면), 리 (동)까지 가급적 표기. 국립공원 내 일 경우 별도로 표시

- 예) 전북 남원군 산내면 반선리 지리산 뱀사골 입구(지리산 국립공원)

- 예) 서해, 동해, 남해와 같이 행정 구역명을 표시하기 어려운 경우는 광의의 해

역명(서해, 동해, 남해 등)으로 표시하고 위치정보(경위도) 표기

○ 생태 및 지리 정보: Habitat and ecology, latitude, longitude(GPS 이용)

○ 식물체의 정보: Description of plants

○ 채집자 및 채집번호: Collector's name and number

○ 채집일 정보: Date of collection

3) 표본 보관 방법

○ 동정 및 라벨 부착이 완성된 영구 슬라이드 표본은 봉입제의 완벽한 건조를 위

해 슬라이드 박스에 넣어 서늘한 곳의 표본장에 보관한다.

Page 18: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15 -

4) 배양체

○ 해양 미세조류의 순수분리 및 배양은 해부현미경 하에서 파스퇴르 피펫을 이용

하여 액체배지에 올려 단조류로 분리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순수분리 및 배

양에 사용된 배지는 F/2 배지, IMK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pH 등의 조건을 바꾸

며 분류군에 따른 적합한 배양배지를 사용하였다. 배양 조건은 온도 10~16℃,

일장주기 16:8 또는 12:12, 광조건 40㎛ m-2s-1이며, 온도와 광이 조절되는 식물

배양실에서 배양하였다.

Page 19: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16 -

Page 20: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17 -

1. 사업성과

사업성과 요약

사업 내용 목 표 결 과 달성률 (%)

신종/미기록종 후보 발굴(종)

15 15 100

겨울철 자생 조류 표본 확보(점)

500 500 100

겨울철 자생 조류 배양체 확보(주)

30 30 100

1) 신종/미기록종 후보 발굴

¡ 자생 조류 신종/미기록종 후보 15종의 목표량 중 15종을 발굴하여 100% 달성

하였다. 미기록종 후보는 15종이었다.

¡ 이진환 교수: 자생의 신종/미기록종 후보 6종의 목표량 중 6종을 발굴하여

100%를 달성하였다. 해산 돌말류는 국내의 연안지역, 갯벌 및 기수성인 하구역

까지 조사하여 국내 미기록종 6종을 발굴하였다. Lyrella impercepta (Hustedt)

Moreno, Pinnularia rectangulata (Gregory) Rabenhorst, Pinnularia trevelyana

(Donkin) Rabenhorst 등 3종은 변산반도 썰물시에 모두 입자가 매우 고운 변산

갯벌 표면에 서식하고 있었으며, Lyrella majuscula (Hustedt) Witkowski,

Meloneis mimallis Louvrou, Danielidis & Economou-Amilli, Pleurosigma

rushdyense G.Reid등 3종은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일대에서 발견되었다.

이들의 생태학적 특징을 보면 Pinnularia rectangulata (Gregory) Rabenhorst는

북해(Black Sea)의 천해지역에서 아주 미세한 모래입자 해변에서 출현하고 있으

며(Hendey 1964), Pinnularia trevelyana (Donkin) Rabenhorst도 북해주변 연안의

천해지역에서 아주 보편적으로 출현하고 있으며(Hendey 1964) 이번 연구에서 보

고된 Pinnularia 분류군은 2014년 5월 하순에 변산반도 갯벌에서 채집되어 기존

에 알려진 생태학적 특성과 일치한다. Lyrella impercepta (Hustedt) Moreno는

Page 21: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18 -

비교적 크기가 작은 종으로 해양성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로 미루어볼 때 국

내 미기록종은 현재까지 조사하지 않은 곳에서 많이 분포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

편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일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Lyrella

majuscula (Hustedt) Witkowski, Meloneis mimallis Louvrou, Danielidis &

Economou-Amilli, Pleurosigma rushdyense G. Reid 등도 그동안 겨울철 조사가

수행되지 않아 기록되지 않았던 종으로 그 성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박종규 교수: 저서성 돌말류 총 4종의 미기록종 후보종을 발굴하였다. 이 중 미

기록종으로 돌말류의 돌말강(Bacillariophyceae) Cocconeidales목

Cocconeidaceae과 Cocconeis cf. krammeri 1종과 Bacillariales목 Bacillariaceae과

Nitzschia cf. perindistincta 와 Tryblionella gaoana, Naviculaceae과 Haslea cf.

feriarum으로 총 4종을 발굴하였다.

¡ 이준백 교수: 해산 와편모조류는 5종의 미기록종 후보종을 발굴하였다. 발굴된

국내 미기록종은 Dinophyta문 Dinophyceae강 Dinophysiales목 Dinophysaceae과

Dinophysis속 2종, Gonyaulacaceae과 Gonyaulax속 1종, Peridiniales목

incertae-sedis Sabulodinium속 1종, Protoperidiniaceae과 Protoperidnium속 1종

으로 총 5종을 발굴하였다.

학명 일련번호

Naviculaceae

Pinnularia rectangulata (Gregory) Rabenhorst1864

겨울철조류2016 (이진환)-001

Pinnularia trevelyana (Donkin) Rabenhorst1964

겨울철조류2016 (이진환)-002

Lyrellaceae

Lyrella impercepta (Hustedt) Moreno 1996 겨울철조류2016 (이진환)-003

Lyrella majusula (Hustedt) Witkowski 겨울철조류2016 (이진환)-004

Rhaphoneidaceae

Meloneis mimallis I.Louvrou, D.B.Danielidis & A.Economou-Amilli 2013

겨울철조류2016 (이진환)-005

Pleurosigmataceae

Page 22: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19 -

2) 표본 확보

¡ 겨울철 자생 조류의 표본은 총 45과 64속 139종 1변종 1품종 총 500점이 확보

되었고, 해산 및 기수 돌말류 31과 46속 77종 300점, 해산 와편모조류는 14과

18속 62종 1변종 1품종 200점의 표본을 확보 총 500점을 확보하였다.

학명 일련번호

Pleurosigma rushdyense G.Reid 2002 겨울철조류2016 (이진환)-006

Cocconeidaceae

Cocconeis cf. krammeri Lange-Bertalot & Metzeltin 1996

겨울철조류2016 (박종규)-001

Bacillariaceae

Nitzschia cf. perindistint Cholnoky 1960 겨울철조류2016 (박종규)-002

Tryblionella gaoana Witkowski&Chunlian Li 2016 겨울철조류2016 (박종규)-003

Naviculaceae

Haslea cf. feriarum M.A.Tiffany & F.A.S.Sterrenburg 2015

겨울철조류2016 (박종규)-004

Dinophysaceae

Dinophysis elongata (Jörgensen) Abé 겨울철조류2016 (이준백)-001

Dinophysis nasuta (Stein) Parke & Dixon 1968 겨울철조류2016 (이준백)-002

Gonyaulacaceae

Gonyaulax alaskensis Kofoid 1911 겨울철조류2016 (이준백)-003

Peridiniales incertae-sedis

Sabulodinium undulatum var. undulatum Hoppenrath et al. 2007

겨울철조류2016 (이준백)-004

Protoperidniaceae

Protoperidinium latispinum (Mangin) Balech 1974

겨울철조류2016 (이준백)-005

Page 23: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20 -

분류계급 점 수

해산 및 기수 돌말류

(Bacillariophyceae) 31과 46속 77종 300점

와편모조류(Dinophyceae) 14과 18속 62종 1변종 1품종 200점

합 계 45과 64속 139종 1변종 1품종 500점

○ 해산 돌말류(이진환 교수)

본 사업기간에 채집은 2016년 12월 15일 인천광역시 강화군, 12월 21일-22일

충남 태안군 소원면 일대, 12월 28일-30일 제주도 서귀포시 일대, 2017년 1월 22

일 인천광역시 강화군, 2017년 3월 15일 강화군 교동도 등에서 이루어졌으며, 채집

한 시료에 대하여 슬라이드표본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 1문 1강 2목 28과 39속 63

종에 대한 영구표본 150점을 확보하였다.

분류계급 점 수

해산 돌말류 (Bacillariophyceae) 28과 39속 63종 150점

합계 28과 39속 63종 150점

○ 해산 돌말류(박종규 교수)

2016년도 연구 기간 중 한반도에 분포하는 해산 저서성 돌말류 7과 10속 14종

150점의 표본을 확보하였다.

분류계급 점 수

해산 돌말류(Bacillariophyceae) 7과 10속 14종 150점

합계 7과 10속 14종 150점

○ 해산 와편모조류(이준백 교수)

2016년도 연구 기간 중 제주도 연안 및 주변 해역에 분포하는 와편모조류을 대

상으로 14과 18속 62종 1변종 1품종 200점의 표본을 제작하였다.

Page 24: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21 -

3) 배양체

¡ 본 연구 기간 중 확보한 배양체는 총 2강 13목 13과 14속 15종 30주를 확보하

였다. 이 중 돌말강 11목 11과 12속 13종 25주를 확보하였고, 와편모조강 2목

2과 2속 2종 5주를 각각 확보하였다.

○ 박종규 교수: 본 연구 기간 중 확보한 배양체는 돌말강 11목 11과 12속 13종

총 25주를 확보하였다.

분류계급 점 수

해산 와편모조류 (Dinophyceae) 14과 18속 62종 1변종 1품종 200점

합계 14과 18속 62종 1변종 1품종 200점

분류체계 수량(주)

돌말강 (Bacillariophyceae) 11목 11과 12속 13종 25주

Bacillariales 1 과 1 속 1 종 1 주Chaetocerotales 1 과 1 속 2 종 5 주Eupodiscales 1 과 1 속 1 종 2 주Fragilariales 1 과 1 속 1 종 1 주Lithodesmiales 1 과 1 속 1 종 1 주Mastogloiales 1 과 1 속 1 종 3 주Naviculales 1 과 1 속 1 종 2 주Rhaphoneidales 1 과 1 속 1 종 2 주Rhizosoleniales 1 과 1 속 1 종 1 주Thalassionematales 1 과 1 속 1 종 2 주Thalassiosirales 1 과 2 속 2 종 5 주

와편모조강 (Dinophyceae) 2 목 2 과 2 속 2 종 5 주 Peridiniales 1 과 1 속 1 종 2 주 Pyrocystales 1 과 1 속 1 종 3 주

총합계 13 목 13 과 14 속 15 종 30 주

학명 수량(주)

Bacillariophyceae  

Bacillariales

Page 25: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22 -

Bacillariaceae

Pseudo-nitzschia delicatissima 1

Chaetocerotales

Chaetocerotaceae

Chaetoceros debilis 2

Chaetoceros didymus 3

Eupodiscales

Eupodiscaceae

Odontella longicruris 2

Fragilariales

Fragilariaceae

Asteroplanus karianus 1

Lithodesmiales

Lithodesmiaceae

Ditylum brightwellii 1

Mastogloiales

Mastogloiaceae

Craspedostauros brittanicus 3Naviculales

Diploneidaceae

Diploneis didyma 2

Rhaphoneidales

Rhaphoneidaceae

Asterionellopsis glacialis 2

Rhizosoleniales

Rhizosoleniaceae

Guinardia delicatula 1

Thalassionematales

Thalassionemataceae

Thalassionema nitzschioides 2

Thalassiosirales

Thalassiosiraceae

Detonula pumila 2

Thalassiosira curviseriata 3

총 합계 25

Page 26: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23 -

○ 이준백 교수: 본 연구 기간 중 확보한 배양체는 와편모조강 2목 2과 2속 2종 총

5주가 확보되었다.

4) 미소장/소량소장 표본 및 배양체

(1) 미소장/소량소장 표본

¡ 확보된 표본 중 국립생물자원관에 미소장되거나 소량 소장된 표본은 총 254점 확보

하였다. 이 중 돌말류에서 191점, 와편모조류에서 63점을 확보하였다.

○ 돌말류 (이진환 교수, 박종규 교수)

학명 수량(주)Dinohyceae  

Peridiniales  Peridiniales incertae-sedis  

Sabulodnium undulatum var. undulatum 2Pyrocystales

PyrocystaceaePyrocystis lunula 3

총 합계 5

분야 분류군 점 수

미세조류 돌말류 191

와편모조류 63

소 계(점) 254

총 계(점) 254

목 과 학명 점 수

Bacillariales Bacillariaceae Tryblionella coarctata 2Chaetocerotales Chaetoceraceae Chaetoceros costatus 1Cocconeidales Cocconeidaceae Campyloneis grevillei 1Coscinodiscales Coscinodiscaceae Coscinodiscus curvatulus 1

Heliopeltaceae Actinoptychus maculatus 1Cymatosirales Cymatosiraceae Plagiogrammopsis vanheurckii 1

Page 27: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24 -

Eupodiscales Eupodiscaceae Auliscus sculptus 1Lyrellales Lyrellaceae Lyrella lyra 3Melosirales Hyalodiscaceae Hyalodiscus stelliger 2

Melosiraceae Melosira moniliformis 4

Naviculales Amphipleuraceae Amphiprora gigantea 1

Diploneidaceae Diploneis fusca 1

Diploneis splendida 1

Surirelales Surirellaceae Cymatopleura solea 1

Petrodictyon gemma 4

  Surirella capronii 1

Surirella cuneata 1

Surirella elegans 2

Surirella ovalis 4

Tryblioptychus cocconeiformis 1Stephanopyxales Hydroseraceae Hydrosera whampoensis 3

Thalassiosirales Thalassiosiraceae Thalassiosira lacustris 2

Triceratiales Triceratiaceae Triceratium favus 2

Bacillariales Bacillariaceae Nitzschia aurariae 4Nitzschia epithemoides 15Nitzschia pusilla 4

Nitzschia scalpelliformis 15

Cymbellales Cymatosiraceae Cymatosira belgica 4

Mastogloiales Mastogloiaceae Craspedostauros britannicus 10

Naviculales Berkeleyaceae Berkeleya rutilans 7Climaconeis undulata 10Parlibellus hamulifer 18

Diploneidaceae Diploneis didyma 18Naviculaceae Haslea nipkowii 20

Thalassiophysales Catenulaceae Amphora helenensis 15

Amphora turgida 5Catenula adhaerens 5

합 계 191

Page 28: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25 -

○ 와편모조류 (이준백 교수)

목 과 학명 점 수

Dinophysiales Amphisoleniaceae Amphisolenia inflata 2

  Dinophysaceae Dinophysis miles 3

Gonyaulacales Ceratiaceae Tripos azoricus 3

Tripos breve 3

Tripos bucephalus 1

Tripos contortus 1

Tripos declinatus 1

Tripos gravidus 1Tripos gravidus var. praeolongum 1

Tripos hexacanthus 1

Tripos humilis 2

Tripos longipes 2

Tripos macroceros var. gallicus 1

Tripos mollis 2

Tripos pulchellus 10Tripos pulchellus f. semipuchellus 5

Tripos teres 5

Goniodomataceae Alexandrium catenella 1

Protoceratiaceae Protoceratium reticulatum 1

  Pyrophacaceae Pyrophacus horologium 1

Peridiniales Oxytoxum Oxytoxum constrictum 1

Oxytoxum milneri 1

Oxytoxum tessleatum 1

Podolampadaceae Podolampas bipes 2

Podolampas elegans 2

Protoperidiniaceae Protoperidinium acutum 1

Protoperidinium mite 1

Protoperidinium nux 3

Protoperidinium ovum 1

Protoperidinium punctulatum 1

Protoperidinium pyriforme 2

합 계 46

Page 29: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26 -

(2) 미소장/소량소장 배양체

¡ 본 연구 기간 중 확보한 배양체는 총 2강 13목 13과 14속 15종 30주를 확보하

였다. 이 중 돌말강 11목 11과 12속 13종 25주를 확보하였고, 와편모조강 2목

2과 2속 2종 5주를 각각 확보하였다.

○ 미소장/소량소장 배양체 목록

분류체계 수량(주)

돌말강 (Bacillariophyceae) 11 목 11 과 12 속 13 종 25 주

Bacillariales 1 과 1 속 1 종 1 주Chaetocerotales 1 과 1 속 2 종 5 주Eupodiscales 1 과 1 속 1 종 2 주Fragilariales 1 과 1 속 1 종 1 주Lithodesmiales 1 과 1 속 1 종 1 주Mastogloiales 1 과 1 속 1 종 3 주

Naviculales 1 과 1 속 1 종 2 주Rhaphoneidales 1 과 1 속 1 종 2 주Rhizosoleniales 1 과 1 속 1 종 1 주Thalassionematales 1 과 1 속 1 종 2 주Thalassiosirales 1 과 2 속 2 종 5 주

와편모조강 (Dinophyceae) 2 목 2 과 2 속 2 종 5 주 Peridiniales 1 과 1 속 1 종 2 주

Pyrocystales 1 과 1 속 1 종 3 주

총합계 2 강 12 목 13 과 15 속 15 종 30 주

학명 수량(주)

Bacillariophyceae  Bacillariales  

Pseudo-nitzschia delicatissima 1Chaetocerotales

ChaetocerotaceaeChaetoceros debilis 2Chaetoceros didymus 3

EupodiscalesEupodiscaceae

Odontella longicruris 2

Page 30: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27 -

학명 수량(주)

FragilarialesFragilariaceae

Asteroplanus karianus 1Lithodesmiales

LithodesmiaceaeDitylum brightwellii 1

MastogloialesMastogloiaceae

Craspedostauros britannicus 3Naviculales

DiploneidaceaeDiploneis didyma 2

RhaphoneidalesRhaphoneidaceae

Asterionellopsis glacialis 2Rhizosolenia

RhizosoleniaceaeGuinardia delicatula 1

ThalassionematalesThalassionemataceae

Thalassionema nitzschioides 2Thalassiosirales

ThalassiosiraceaeDetonula pumila 2Thalassiosira curviseriata 3

Dinohyceae  Peridiniales  

Peridiniales incertae-sedis  Sabulodnium undulatum var. undulatum 2

Pyrocystales

Pyrocystaceae

Pyrocystis lunula 3

총합계 30

Page 31: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28 -

2. 특이지역의 겨울철 종다양성 특징

1) 제주도 성산읍 통밧알 석호(기수 및 연안습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성산리의 통밧알 석호 일대의 3개 정점에서 12월

에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총 3문 5강 16목 23과 34속 50종의 분류군이 관찰되었다.

St. 1(성산하수종말처리장)은 기수역으로 돌말류가 월등히 우세하였고 그 중 Melosira

nummuloides 이 가장 우세하였다. St. 2(통밧알 관문)는 해수역으로 돌말류가 우세하

였다. St. 3(오조 철새 도래지) 역시 돌말류가 우세하였으며 Paralia sulcata가 가장 우

세하였다.

통밧알은 평소 갑문을 개폐하여 해수의 유통이 조절되어 기수역을 유지하고 있는

곳으로 조사 당시 환경은 수온 12℃, 염분 농도가 33.1‰이었다(표 4). 시료를 분석

한 결과 돌말류 36종이 출현하여 매우 다양한 종조성을 보이고 있었다. 이들 구성종

의 특징은 해양성 및 기수성이 대부분으로 깃털형 돌말류(pennate diatoms)가 많았

다. 즉, Achnanthes속, Cocconeis속, Diploneis속, Licmophora속, Nitzschia속,

Pleurosigma속, Surirella속 등이 많이 출현하여 전형적인 기수역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었다.

2) 충청남도 태안읍 파도리 갯벌(연안습지)

충남 태안군 소원면 서쪽에 위치한 파도리는 내부로 원형을 그리는 내만의 형태를 띄

고 있고, 파도리 해수욕장 북쪽과 남쪽으로는 갯바위 지역이고 백사장은 자갈로 이루어

져 있다.

박종규 교수팀은 연안습지에서는 12월에 조사를 실시하여 슬라이드 표본으로 제작된

돌말류는 윷돌말과 1속 2종 19점, Catenulaceae과 2속 3종 25점, 잎새돌말과 1속 1종

10점, 옥대돌말과 1속 1종 4점으로 총 4과 5속 7종이다(표 5). 파도리에서는 아직 국내

에 보고되지 않은 해조류 부착 미세조류, Proschkinia속 5종, Gomphonemopsis속 1종

WT(℃) Salinity(‰) 비고St. 1(성산하수종말처리장) 9.1 13.8 기수역

St. 2(통밧알 관문) 12.0 33.1 해수역St. 3(오조 철새 도래지) 10.9 27.9 연안습지

표 4. 제주도 성산읍 통밧알 석호의 수온, 염분 (조사일: 2016.12.28.)

Page 32: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29 -

Rhoicosphenia속 2종이 확인되었는데 대부분 신종인 것으로 판단되나, 이에 대한 분류

학적 위치가 아직 정확하지 않아 핵, 엽록체의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추가적인

연구를 필요하다.

또한, 이진환 교수팀은 12월 22일 충남 태안군 소원면 연안습지 일대를 조사하여 그

간 ‘자생생물 조사․발굴 사업’에 겨울철이 포함되지 않아 발견되지 않았던 Lyrella

majuscula (Hustedt) Witkowski, Meloneis mimallis Louvrou, Danielidis &

Economou-Amilli, Pleurosigma rushdyense G.Reid 등 미기록 돌말류 3종을 발굴하였

다. 또한, 12월 22일 모항항에서 만조 시에 Actinocyclus속, Actinoptychus속,

Coscinodiscus속, Ditylum속, Thalassiosira속 등 해양성 종이 매우 다양하게 출현하여

계절적으로 겨울철에 종다양성(species diversity)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도(기수역)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도에서 해양 돌말류는 2016년 12월15일과 2017년 1월 22

일, 3월 15일에 걸쳐 3곳(죽산포, 남산포, 월선포)에서 3회 조사하였다. 시료를 분석

한 결과 타 지역에 비하여 종 다양성이 매우 높았다. 이는 한강, 임진강, 예성강으로

부터 유입된 담수와 서해의 해수가 만나는 교동도의 지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는 결

과라고 판단된다. 즉, Thalassiosira속, Actinoptychus속, Odontella속, Coscinodiscus속

등은 대표적인 해양성 종이며, Cyclotella속, Cymbella속, Diatoma속, Diploneis속,

Encyonema속, Gomphonema속, Lyrella속, Plagiogrammopsis속, Surirella속의 기수성

학명 조사 일자 서식환경

Nitzschia puslla 2017.03.07 자갈, 암반

Nitzschia scalpelliformis 2017.03.07 자갈

Cymatosira belgica 2017.03.07 자갈

Craspedosturos britannicus 2017.03.07 자갈

Amphora helenensis 2017.03.07 자갈, 암반

Amphora turgida 2017.03.07 자갈, 암반

Catenula adhaerens 2017.03.07 자갈

표 5. 파도리 갯벌에서 채집하여 표본 제작한 종

Page 33: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30 -

종들이 다양하게 출현하고 있었다. 또한 조석간만의 차이가 사리 시에 약 9m에 이르

러 수괴의 수직혼합(vertical mixing)의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겨울철 저서성인

Paralia sulcata가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다고 판단된다.

3. 겨울철 확보 표본/배양체 특징

1) 겨울철 확보 표본

이번 조사를 통해 와편모조류 200점, 돌말류 300점을 확보해 총 500점의 표본을 확

보했다.

돌말류 표본은 31과 46속 77종 300점의 표본이 확보되었으며, 이번 조사에서는 다

양한 환경서식에서 채집을 실시하였고 자갈이나 암반으로 이루어진 파도리 지역을 제

외하면 니질·사질의 환경에서는 Patch나 Bioflim 위주로 채집을 하여 종 다양성을 높이

고자 하였다. 하지만 대부분 한 종(Cylindrotheca gracilis)이 우점 하는 형태를 보여 종

다양성을 보여줄 수 없었다. 서해안에서는 7속 11종 100점으로 미소장 및 소량소장의

표본을 확보 할 수 있었고 2016년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사업”에서 미기록종으로 보

고한 Haslea nipkowii, Craspedostauros britannicus 등의 종들을 이번 겨울철 조사에서

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동해안에서 1점, 인천광역시에선 69점, 서해안에서는 40점,

제주지역에서는 90점의 표본을 확보하였으며, Berkeleya속, Parlibellus속, Diploneis속,

Amphora속 같이 부착 기질을 가지고 있는 종들을 중심으로 미소장/소량 소장 표본을

확보 할 수 있었다.

와편모조류는 61종 1변종 1품종으로 제주연안, 서해안, 동해안, 남해안을 포함한 광

범위한 지역에서의 겨울철 종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와편모조류의 경우

소량소장 표본 51점, 미소장 표본 12점을 포함하여, 제주연안에서 48종 2변종 1품종

150점, 서해안의 경우 15종 1품종 27점, 동해안 8종 9점, 남해안 12종 14점을 확보할

수 있었다. 특히 제주연안에서 Dinophysis miles, Tripos gravidus, Tripos hexacanthus,

Tripos longipes, Tripos macroceros var. gallicus, Tripos pulchellus f. semipuchellus,

Podolampas elegans 과 같은 10점 미만의 표본을 포함한 18종 1변종 1품종 44점의

소량소장 표본과 Amphisolenia inflata, Tripos bucephalus, Tripos gravidus var.

praeolongum, Tripos mollis, Protoperidinium acutum, Protoceratium reticulatum,

Protoperidinium mite 와 같은 6종 1변종 9점의 미소장 표본을 확보하여 종 다양성을

Page 34: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31 -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었다. 서해안에선 3종 1품종 4점의 소량소장 표본과

Protoperidinium nux를 포함한 1종 1점의 미소장 표본을 확보했으며, 동해안에선 1종

1점의 소량소장 표본을, 남해안에선 2종 2점의 소량소장 표본과 Protoperidinium nux

를 포함한 1종 2점의 미소장 표본을 확보하였다.

2) 지역별 겨울철 자생 조류 우점종

이번 겨울철 조사는 충남 태안군과 서천지역, 전북 군산, 고창 및 부안지역, 전남 신

안과 무안지역, 제주 일대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제주 지역을 제외한 서해안의 갯벌

지역에서는 모두 Cylindrotheca gracilis, C. closterium이 우점 하였다. 하지만

Cylindrotheca 속의 경우 여러 개의 실들이 서로 꼬여서 가닥을 이루는 것 같은 형태

로 존재하기 때문에 표본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제주 지역과 파도리에서는 암반과 해

조류에 부착된 부착 돌말류 위주의 샘플링을 한 결과 부착 돌말류의 대표 속인

Licmophora, Grammatophora, Berkeleya, Parlibellus 등이 출현하였다. 우점종은

Berkeleya spp.였다. Berkeleya속과 Parlibellus속은 주로 암반이나 해조류 표면에 부착

하여 서식하는 종으로 긴 관(tube)을 생성하여 그 내부에서 살아가는 특징이 있다. 이

들이 만든 관들은 서로 다발을 이루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큰 형태를 유

지하며 때론 해조류로 착각하기도 한다. 겨울철에 이들이 우점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안정된 환경의 관 내부에서 서식하고 암반이나 해조류에 부착하여 겨울철의 강한 해수

혼합 작용에 의해 휩쓸려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한

편 갯벌지역에서는 겨울철에 패류의 이동이나 섭식 등의 생물학적 활동이 적기 때문에

이들의 먹이가 되는 저서 돌말류가 크게 성장하여 Patch나 Biofilm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와편모조류의 경우, 11월-2월까지 제주연안에선 열대종인

Ornithocercus속이 다수 출현했으며, 동해안에서는 와편모조류의 표본을 확보하기 어려

웠다. 이는 동해안이 다른 해안에 비해 채집빈도가 낮고 파도가 강하여 시료확보가 어

려운 것으로 생각된다.

3) 겨울철 주요종들의 자원관 표본 소장 및 추가 확보 현황

자원관 DB를 바탕으로 정리한 결과 돌말류의 경우, 겨울철 서해안 지역에서 나타나

는 주요종은 Cylindrotheca gracilis, C. closterium, Haslea nipkowii, Diploneis didyma,

Parlibellus harmulifer 등이다. Cylindrotheca 속은 저서해역에서 특히 자주 발견되는 속

으로 4계절 모두 출현하고, Haslea nipkowii 는 2016년 “자생생물 조사 발굴” 사업에서

Page 35: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32 -

국내 미기록종으로 새롭게 보고하였지만 2017년 1월 부안군 줄포면의 샘플에서도 관

찰되었다. Haslea nipkowii 는 광학현미경 하에서 관찰하면 형태적으로 Gyrosigma 또

는 Pleurosigma 속의 형태와 비슷하여 그동안 오동정 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Diploneis didyma 와 Parlibellus harmulifer는 2016년 6월에 제주 일대에서도 출현하였

다. 겨울철 조사에서 새롭게 추가 확보한 종은 배양체로 제출한 Thalassiosira

curviseriata 종으로 이진환 교수팀 연구실에서 발표한 Thalassiosira 국내 분포에 대한

논문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Joon sang Park et al., 2016). 와편모조류의 경우, 이번 겨

울철 조사에서 채집한 주요 종은 Ornithohcercus magnificus, Ornithocercus steinii,

Ornithocercus thumii, Pyrocystis lunula 등으로 겨울철(12월-2월)에 많이 출현하고 초

여름부터는 채집이 거의 되지 않는 종들이다. Ornitohcercus magnificus, Ornithocercus

steinii 는 자원관에 300점 이상, Ornithocercus thumii는 52점을 소장하고 있으며,

Pyrocystis lunula는 4점으로 적게 소장하고 있다. 이번 겨울철 조사를 통해 Pyrocystis

lunula를 제외한 3종에 대한 표본이 추가로 확보되어, O. magnificus, O. thumii는 각각

11점, 7점이 확보되었고 O. steinii는 1점으로 매우 적은 수의 표본이 확보되었다. 자원

관 소량 소장종인 P. lunula는 이번 조사에서 표본은 확보하지 못했으나 배양체 확보에

는 성공하였다.

4) 국립생물자원관 미소장/소량 소장 표본 및 겨울철 신규 확보 현황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 확보 2차년도 사업”을 통해 총 29과 37

속 68종 254점의 미소장/소량소장 표본이 확보되었다. 이 중 돌말류는 37종 191점, 와

편모조류는 31종 63점이었다. 조사기간 동안 확보된 표본 및 자원관 미소장/소량소장

표본 현황은 표 6과 같다. (※자원관소장 겨울철표본은 자원관 DB상의 채집일 기준임)

과 학명본 사업

확보 점수(점)

자원관 소장 표본 점수 (점)

자원관소장 겨울철

표본 점수 (점)

Bacillariales

BACILLARIACEAE Nitzschia aurariae 4 22 1

Nitzschia epithemoides 15 1 0

Nitzschia pusilla 4 31 5

표 6. 본 사업 확보 표본 및 국립생물자원관 미소장/소량 소장 표본 현황 비교

Page 36: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33 -

과 학명본 사업

확보 점수(점)

자원관 소장 표본 점수 (점)

자원관소장 겨울철

표본 점수 (점)

Nitzschia scalpelliformis 15 20 1

Tryblionella coarctata 2 21 5

Chaetocerotales

CHAETOCERACEAE Chaetoceros costatus 1 2 0

Cocconeidales

COCCONEIDACEAE Campyloneis grevillei 1 5 3

Coscinodiscales

COSCINODOSCACEAE Coscinodiscus curvatulus 1 10 5

HELIOPELTACEAE Actinoptychus maculatus 1 25 6

Cymatosirales

CYMATOSIRACEAE Cymatosira belgica 4 46 0

Plagiogrammopsis vanheurckii 1 30 1

Eupodiscales

EUPODISCACEAE Auliscus sculptus 1 11 3

Lyrellales

LYRELLACEAE Lyrella lyra 3 24 5

Mastogloiales

MASTOGLOIACEAE Craspedostauros britannicus 10 - -

Melosirales

HYALODISCACEAE Hyalodiscus stelliger 2 2 0

MELOSIRACEAE Melosira moniliformis 4 26 10

Naviculales

AMPHIPlEURACEAE Amphiprora gigantea 1 4 1

BERKELEYACEAE Berkeleya rutilans 7 43 9

Climaconeis undulata 10 - -

Parlibellus hamulifer 18 32 0

DIPLONEIDACEAE Diploneis didyma 18 32 1

Diploneis fusca 1 5 3

Diploneis splendida 1 10 8

NAVICULACEAE Haslea nipkowii 20 - -

Surirelales

SURIRELLACEAE Cymatopleura solea 1 27 17

Page 37: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34 -

과 학명본 사업

확보 점수(점)

자원관 소장 표본 점수 (점)

자원관소장 겨울철

표본 점수 (점)

Petrodictyon gemma 4 39 15

  Surirella capronii 1 15 3

Surirella cuneata 1 1 1

Surirella elegans 2 5 2

Surirella ovalis 4 29 5

Tryblioptychus cocconeiformis 1 18 7

Stephanopyxales

HYDROSERACEAE Hydrosera whampoensis 3 7 0

Thalassiosirales

THALASSIOSIRACEAE Thalassiosira lacustris 2 35 14

Thalassiophysales

CATENULACEAE Amphora helenensis 15 - -

Amphora turgida 5 6 6

Catenula adhaerens 5 1 0

Triceratiales

TRICERATIACEAE Triceratium favus 2 29 3

Dinophysiales

AMPHISOLENIACEAE Amphisolenia inflata 2 - -

DINOPHYSACEAE Dinophysis miles 3 5 1

Gonyaulacales

CERATIACEAE Tripos azoricus 3 46 22

Tripos breve 3 47 6

Tripos bucephalus 1 - -

Tripos contortus 1 23 4

Tripos declinatus 1 19 13

Tripos gravidus 1 2 1

Tripos gravidus var. praeolongum 1 - -

Tripos hexacanthus 1 12 10

Tripos humilis 2 42 5

Tripos longipes 2 9 0

Tripos macroceros var. gallicus 1 1

Tripos mollis 2 1 1

Page 38: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35 -

본 겨울철 조사를 통해 확보된 표본의 전체 종수는 138종으로서, 이 중 68종

(49.3%)이 자원관에 50점 미만으로 소량 소장하고 있거나 미소장인 종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겨울철 조사가 아직까지 확보하지 못한 미소장종들의 표본을 확보하는데 있어 크

게 기여하였음을 보여준다. 특히, Craspedostauros britannicus, Climaconeis undulata,

Haslea nipkowii, Amphora helenensis, Amphisolenia inflata, Tripos bucephalus, Tripos

gravidus var. praeolongum, Protoceratium reticulatum, Oxytoxum constrictum,

Protoperidinium acutum, Protoperidinium mite 등은 자원관 미소장 종들로 이번 사업

을 통해 표본을 확보하게 된 종들이다(표 6). 그리고 Nitzschia epithemoides,

Chaetoceros costatus, Cymatosira belgica, Hyalodiscus stelliger, Parlibellus hamulifer,

Hydrosera whampoensis, Catenula adhaerens, Tripos longipes, Protoperidinium nux

등은 지금까지 겨울철 표본으로 전혀 보유하고 있지 않는 분류군들이었다(표 6). 따라

과 학명본 사업

확보 점수(점)

자원관 소장 표본 점수 (점)

자원관소장 겨울철

표본 점수 (점)

Tripos pulchellus 10 33 15

Tripos pulchellus f. semipuchellus 5 1

Tripos teres 5 22 9

GONIODOMATACEAE Alexandrium catenella 1 39 8

PROTPCERATIACEAE Protoceratium reticulatum 1 - -

PYROPACACEAE Pyrophacus horologium 1 24 1

Peridiniales

OXYTOXACEAE Oxytoxum constrictum 1 - -

Oxytoxum milneri 1 29 7

Oxytoxum tesselatum 1 16 8

PODOLAMPADACEAE Podolampas bipes 2 31 12

Podolampas elegans 2 2 1

PROTOPERIDINIACEAE Protoperidinium acutum 1 - -

Protoperidinium mite 1 - -

Protoperidinium nux 3 22 0

Protoperidinium ovum 1 14 0

Protoperidinium punctulatum 1 21 17

Protoperidinium pyriforme 2 38 2

29과 37속 68종 254 1,113 283

Page 39: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36 -

서 이번 겨울철 조사를 통해 이들 분류군에 대한 겨울철 표본을 추가로 확보하는데 큰

의의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조사를 통해 확보된 배양체는 전부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소장하지 않는 미

소장 배양체임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Sabulodnium undulatum var. undulatum의 경우

국내 미기록종으로 겨울철 신규 확보 종을 배양체로 확보했다(표 7).

과 학명본 사업

확보 배양체 주수 ㈜

자원관 소장

배양체 주수 ㈜

자원관소장 겨울철 배양체 주수 ㈜

Bacillariales

BACILLARIACEAE Pseudo-nitzschia delicatissima 1 - -

Chaetocerotales

CHAETOCEROTACEAE Chaetoceros debilis 2 - -

Chaetoceros didymus 3

Eupodiscales

EUPODISCACEAE Odontella longicruris 2 - -

Fragilariales

FRAGILARIACEAE Asteroplanus karianus 1 - -

Lithodesmiales

LITHODESMIACEAE Ditylum brightwelli 1 - -

Mastogloiales

MASTOGLOIACEAE Craspedostauros britannicus 3 - -

Naviculales

DIPLONEIDACEAE Diploneis didyma 2 - -

Rhaphoneidales

RHAPHONEIDACEAE Asterionellopsis glacialis 2 - -

Rhizosoleniales

RHIZOSOLENIACEAE Guinardia delicatula 1 - -

ThalassionematalesTHALASSIONEMATACE

AEThalassionema nitzschioides 2 - -

Thalassiosirales

THALASSIOSIRACEAE Detonula pumila 2 - -

표 7. 본 사업 확보 표본 및 국립생물자원관 미소장/소량 소장 배양체 현황 비교

Page 40: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과 학명본 사업

확보 배양체 주수 ㈜

자원관 소장

배양체 주수 ㈜

자원관소장 겨울철 배양체 주수 ㈜

Thalassiosira curviseriata 3 - -

PeridinialesPERIDINIALES

INCERTAE-SEDIS

Sabulodnium undulatum var.

undulatum2 - -

Pyrocystales

PYROCYSTACEAE Pyrocystis lunula 3 - -

13과 14속 15종 30 0 0

Page 41: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38 -

5) 참고문헌

Witkowski, A., Lange-Bertalot, H. & Metzeltin, D. 2000. Diatom Flora of Marine

Coasts I. pp. 109, Pl.33: 1-5, Pl.34: 4,5; Pl.42:34

Witkowski, A., Lange-Bertalot, H. & Metzeltin, D. 2000. Diatom Flora of Marine

Coasts I. pp. 399, Pl.208:12-16

Witkowski, A. et al. 2015. Simonsenia aveniformis sp. nov. (Bacillari- ophyceae),

molecular phylogeny and systematics of the genus, and a new type of canal

raphe system. Scientific Reports, 24, Nov.

Belcher, J.H. & Swale, E.M.F. 1981. Records of Simonsenia delognei and some

interesting species of Navicula diatoms from English rivers mainly near

Cambridge. Microscopy 34: 201-206.

Christopher, S.L., Ashworth, M.P., Arai, Y., Jordan, R.W. & Theriot, E.C. 2011. Marine

necklace-chain Fragilariaceae (Bacillariophyceae) from Guam, including

descriptions of Koernerella and Perideraion, genera nova. Phycological Research

59; 175-193

Danielidis, D.B & Mann, D.G. 2002. The systematics of Seminavis (Bacill- ariophyta):

the lost identities of Amphora angusta, A. ventricosa and A. macilenta.

European Journal Phycology 37: 429-448.

Dodge, J.D. 1982. Marine Dinoflagellates of the British Isles. HMSO, 179 pp.

Dodge, J.D. 1985. Atlas of Dinoflagellates. Farrand Press, 107 pp.

Eugenia, A.S, Ines, S., Andrea, S.L. & Soledad, L. 2011. Thalassiosira rotula, a

heterotypic synonym of Thalassiosira gravida: morphological evidence. Diatom

Research 26: 109-119.

Fujioka, S. 1990. Illustrations of the Plankton of the Kuroshio-Waters - The Plankton

of the Kuroshio-Waters -Plankton in Amami-Oshima Island Coastal Waters-.

Nagasaki Publication Culture Association, pp. 40-69.

Fukuyo, Y., Takano, H., Chihara, M. & Matsuoka, K. 1990. Red Tide Organisms in

Japan-An Illustrated Taxonomic Guide-. Uchida Rokakuho, pp. 22-161.

Guiry, M.D. & Guiry, G.M. 2016. AlgaeBase.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http://www.algaebase.org/. Accessed on

27 December 2016.

Page 42: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39 -

Hendey, N.I. 1964. An introductory account of the smaller algae of British coastal

waters. Part. V.: Bacillariophyceae. Ministry of Agriculture, Fisheries and Food.

Fishery Investigations Ser. IV. pp. 317, Plates I-XLV.

Hoppenrath, M., Murray, S.A., Chomérat, N. & Horiguchi, T. 2014. Marine Benthic

Dinoflagellates - Unraveling Their Worldwide Biodiversity. Kleine

Senckenberg-Reihe Vol. 54.

Park, J.S., Jung, S.W., Lee, S.D., Yun, S.M. & Lee, J.H. 2016. Species diversity of the

genus Thalassiosira (Thalassiosirales, Bacillariophyta) in South Korea and its

biogeographical distribution in the world. Phycologia Vol.55 (4), pp.403-423

Kim, H.S., Kim, S.H., Jung, M.M. & Lee, J.B. 2013. New record of dinoflagellates

around Jeju Island. J. Ecol. Environ. 36: 273-291.

Lee, J.B., Kim, H.S. & Chung, H.S. 2015. New records of three dinophycean genera

Dinophysis, Histioneis, and Parahistioneis (Dinophysiales, Dinophyceae) from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Korea. J. Ecol. Environ, 38: 599-609.

Shah, M.M.R., An, S.J. & Lee, J.B. 2013. Presence of benthic dinoflagellates around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including newly recorded species. J. Ecol. Environ.

36: 347-370.

Shim, J.H. 1994.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Vol. 34

Marine Phytoplankton. Ministry of Education, Korea. (in Korean)

Steidinger, K.A. & Tangen, K. 1996. Dinoflagellates. In Tomas, C.R. (Ed.) Identifying

Marine Diatoms and Dinoflagellates, Academic Press, Sad Diego, pp. 387-584.

Wood, E.J.F. 1963. Dinoflagellates in the Australian Region. II. Recent Collections.

Techn. Pap. Div. Fish. Oceanogr. C.S.I.R.O. Austr., 14: p. 4-51.

Yamaji, I. 1984. Illustrations of the marine plankton of Japan. 3rd Edition. Hoikusha

Pub. Co. Ltd. Osaka. (in Japanese)

Page 43: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부 록

신종(후보) 및 미기록종

Page 44: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41 -

미기록/신분류군 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겨울철조류2016

(이진환)-001

학 명 Pinnularia rectangulata (Gregory) Rabenhorst 1864

국 명

분 류Class Coscinodiscophyceae Order Pennales

Family Naviculaceae Tribe

기준/모식표본

정보

채집일시 2014. 5. 24

채집지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면 대항리 변산갯벌

서식지

환경연안 저서성

채집자 이 진 환 상명대학교 생명과학과

기타 정보

발표문헌

정보Hendey 1964. p. 233, pl. 34:10.

Diagnosis

뚜껑면은 굵은 선형으로 가장자리가 중간 부분이 다소 볼록하거나 미약하게

굴곡이 있다. 뚜껑면의 정단부 끝이 둔원이다. 등줄은 바깥 홈이 다소 휘어

져 있어 가운데 중심을 벗어나 위치하고, 중심부 끝이 약간 비후되어 한쪽

방향으로 굽고, 중심구멍이 큰 원형으로 가까이 위치하며, 정단부 끝이 갈

고리 형태이다. 세로축역은 다소 넓은 선형이다. 중심역이 약간 넓으며 뚜

껑면 가장자리까지 확대된다. 선무늬는 뚜껑면 중심부에서 강한 방사배열을

하고, 정단부로 갈수록 역방사상으로 배열을 한다. 선무늬는 10 um마다

5-7열이다. 뚜껑면은 길이 64-79 um이고, 폭은 12.5 um이다.

그림 또는

사진

작 성 자

이 진 환 작성일: 2017년 1월 20일

소속: 상명대학교 생명과학과

모식/기준표본

제출정보제출일 접수자 접수번호

Page 45: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42 -

미기록/신분류군 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겨울철조류2016

(이진환)-002

학 명 Pinnularia trevelyana (Donkin) Rabenhorst 1964

국 명

분 류Class Coscinodiscophyceae Order Pennales

Family Naviculaceae Tribe

기준/모식표본

정보

채집일시 2014. 5. 24

채집지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면 대항리 변산갯벌

서식지

환경연안 저서성

채집자 이 진 환 상명대학교 생명과학과

기타 정보

발표문헌

정보

Hendey 1964. p. 233, pl. 34:10.

Witkowski et al. 2000. p. 337, pl. 156:5.

Diagnosis

뚜껑면은 선형으로 가장자리가 직선이나 중앙부에서 약간 볼록하다. 세포의

정단부 끝이 둔원이다. 등줄은 바깥 홈이 다소 휘어져 있어 가운데 중심을

벗어나 위치하고, 중심부 끝이 약간 비후되어 한쪽 방향으로 굽어 있다. 정

단부 끝이 물음표 형태이다. 세로축역은 비교적 넓은 선형이며, 중심역이

거의 원형으로 뚜껑면 가장자리까지 확대된다. 선무늬는 뚜껑면 중심부에서

강한 방사배열을 하고, 정단부로 갈수록 역방사상으로 배열하며, 10 um마

다 8-10열이다. 뚜껑면은 길이 67.5-91.5 um이고, 폭은 12 um이다.

그림 또는

사진

작 성 자

이 진 환 작성일: 2017년 1월 20일

소속: 상명대학교 생명과학과

모식/기준표본

제출정보제출일 접수자 접수번호

Page 46: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43 -

미기록/신분류군 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겨울철조류2016

(이진환)-003

학 명 Lyrella impercepta (Hustedt) Moreno 1996

국 명

분 류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Lyrellales

Family Lyrellaceae Tribe

기준/모식표본

정보

채집일시 2014. 5. 24

채집지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

서식지

환경조간대 갯벌

채집자 이 진 환 상명대학교 생명과학과

기타 정보 국내 미기록종

발표문헌

정보

Hustedt, F. 1961-66. Die Kieselalgen Deutschlands, Österreichs und

der Schweiz unter Berücksichtigung der übrigen Länder Europas sowie

der angrenzenden Meeresgebiete. Akademische Verlagsgesellschaft

m.b.h. Leipzig, Vol: 7, Issue: Teil 3. p. 471, f. 1530.

Diagnosis

뚜껑면은 넓은 타원형으로 정단부는 둔원이다. 등줄은 곧고, 중심부의 끝은

다고 굵고, 세로축은 좁으며 중심역은 측면의 H자 모양의 무문대와 연결된

다. 측면 무문대는 좁은 피침형이고, 뚜껑면의 끝에 까지 확장되지 못하고

그 중심부는 약간 오목하게 조여 있다. 점무늬열은 중심부에서는 평행하나

정단부로 가면 방사상으로 배열하며 10 um에 7-9개이며 점무늬열의 점문

은 10 um에 14-18개이다. 뚜껑면 길이는 20-40 um, 폭은 13-21 um이

다.

그림 또는

사진

작 성 자

이 진 환 작성일: 2017년 1월 25일

소속: 상명대학교 생명과학과

모식/기준표본

제출정보제출일 접수자 접수번호

Page 47: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44 -

미기록/신분류군 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겨울철조류2016

(이진환)-004

학 명 Lyrella majuscula (Hustedt) Witkowski

국 명

분 류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Lyrellales

Family Lyrellaceae Tribe

기준/모식표본

정보

채집일시 2016. 12. 22

채집지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모항리 모항항

서식지

환경해양·기수 플랑크톤

채집자 이 진 환 상명대학교 생명과학과

기타 정보

발표문헌

정보

Nevrova, E., Witkowski, A., Kulikovskiy, M., Lange-Bertalot, H., &

Kociolek, J. P. (2013). A revision of the diatom genus Lyrella Karayeva

(Bacillariophyta: Lyrellaceae) from the Black Sea, with descriptions of

five new species. Phytotaxa. 83(1): 1-38.

Diagnosis

세포 뚜껑은 선형-타원형이고, 세포의 정단부는 넓고 둥글다. 길이는 92.8

μm이고, 폭은 31.4 μm이다. 세포 중앙부에 H형태의 투명대가 존재한다.

등줄은 직선형이고, 중앙 등줄 양 끝은 약간 떨어져 있다. 등줄은 축 방향

으로 좁은 선형이고, 중앙부는 좁고, 직사각형이며, 한쪽 면에서 자주 발달

되고, 측면 부분에 연결된다. 측면 부분은 좁고, 중앙부분에서 다소 축소되

어 있으며, 등줄의 말단은 세포 뚜껑의 폭의 1/3에서 1/2의 부분까지 뻗어

나 있다. 세포 뚜껑의 점무늬열은 방사형으로 뻗어나 있고, 10 μm당

12-14개이다.

그림 또는

사진

작 성 자

이 진 환 작성일: 2017년 2월 28일

소속: 상명대학교 생명과학과

모식/기준표본

제출정보제출일 접수자 접수번호

Page 48: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45 -

미기록/신분류군 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겨울철조류2016

(이진환)-005

학 명 Meloneis mimallis I.Louvrou, D.B.Danielidis & A.Economou-Amilli 2013

국 명

분 류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Rhaphoneidales

Family Rhaphoneidaceae Tribe

기준/모식표본

정보

채집일시 2016. 12. 22

채집지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파도리 파도리해수욕장

서식지

환경저서성 플랑크톤

채집자 이 진 환 상명대학교 생명과학과

기타 정보

발표문헌

정보

Louvrou, I., Danielidis, D.B. & Economou-Amilli, A. (2012). Meloneis

gen. nov., a new epipsammic genus of Rhaphoneidaceae

(Bacillariophyceae). PLOS One 7(3): 1-7.

Diagnosis

세포 뚜껑은 평평하고, 각투는 낮으며, 윤곽은 넓은 피침형이고, 정단부는

약간 둥글다. 길이는 17.9 μm이고, 폭은 11.4 μm이다. 축 방향으로 좁은

투명대가 선형-피침형으로 뚜렷하게 나아있다. 점무늬열은 방사형으로 뻗어

나 있고, 10 μm당 10-12개이다. 망목은 약간 휘어져서 나아있고, 10 μm

당 8-10개이다. 세포 뚜껑 표면의 가장자리에 규산질의 둥근형태의 과립이

불규칙하다.

그림 또는

사진

작 성 자

이 진 환 작성일: 2017년 2월 28일

소속: 상명대학교 생명과학과

모식/기준표본

제출정보제출일 접수자 접수번호

Page 49: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46 -

미기록/신분류군 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겨울철조류2016

(이진환)-006

학 명 Pleurosigma rushdyense G. Reid 2002

국 명

분 류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Naviculales

Family Pleurosigmataceae Tribe

기준/모식표본

정보

채집일시 2016. 12. 22

채집지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모항리 모항항

서식지

환경해양성 플랑크톤

채집자 이 진 환 상명대학교 생명과학과

기타 정보

발표문헌

정보

Reid, G. (2002). Four new species of Pleurosigma (Bacillariophyta)

from Alexandria, Egypt.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40(1): 77-92.

Diagnosis

세포 뚜껑은 선형-피침형이고, 전체적으로 s자형이다. 둥근 정단부를 가진

아치형이며, 길이는 220 μm, 폭은 8.6 μm이다. 등줄은 말단까지 뻗어나

있으며, 동심원적이고, 뚜껑면의 가장자리 면을 따라 이어진다. 중앙부는 작

고, 원형이며, 중앙 등줄 끝의 길이는 거의 동일하다. 바깥면의 중앙 등줄

끝은 서로 겹쳐진다. 내부의 망목은 구멍이 뚫려 있다. 점무늬열은 10 μm

당 12개이다. 말단 등줄 끝은 세포의 말단부분에 구멍이 있다.

그림 또는

사진

작 성 자

이 진 환 작성일: 2017년 2월 28일

소속: 상명대학교 생명과학과

모식/기준표본

제출정보제출일 접수자 접수번호

Page 50: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47 -

미기록/신분류군 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겨울철조류2016

(박종규)-001

학 명 Cocconeis cf. krammeri Lange-Bertalot & Metzeltin 1996

국 명

분 류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Cocconeidales

Family Cocconeidaceae Tribe

기준/모식표본

정보

채집일시 2016. 12. 1

채집지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파도리 파도리해수욕장

서식지

환경해조류 표면

채집자 박 종 규 군산대학교 해양생명응용과학부

기타 정보

발표문헌

정보Witkowski et al.(2000, p. 109, fig. 33: 1-5; fig. 34: 4,5; fig. 42: 34)

Diagnosis

학계에서 인정한 Cocconeis 속은 모두 167종임. 이 종은 valve가 넓은 둥

근형이며 Sigmoid 한 raphe를 가진 종임. raphe 중간부분에 hyaline area

가 있어 stauros를 가진 종(Cocconeis dirupta var. flexella)과 구별됨. 그

리고 Cocconeis pseudodiruptoides 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C

cf. krammeri 와 비교하였을 때 길이, 폭, valve 모양이 다름. C cf.

krammeri 의 세포 길이는 28-33㎛, 폭은 17-22㎛ 임. internal 부분에서 2

개의 hyaline이 세로방향으로 이어져 있음. 가로축 striae가 약간 길게 배열

되어 있고 10㎛ 에 stria 개수는 26개임. external raphe ending이 뚜렷하

며 10㎛ 안에 26-27개의 stria가 있음.

그림 또는

사진

작 성 자

박 종 규 작성일: 2017년 1월 18일

소속: 군산대학교 해양생명응용과학부

모식/기준표본

제출정보제출일 접수자 접수번호

Page 51: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48 -

미기록/신분류군 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겨울철조류2016

(박종규)-002

학 명 Nitzschia cf. perindistincta Cholnoky 1996

국 명

분 류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Bacillariales

Family Bacillariaceae Tribe

기준/모식표본

정보

채집일시 2016. 12. 1

채집지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파도리 파도리해수욕장

서식지

환경돌 표면

채집자 박 종 규 군산대학교 해양생명응용과학부

기타 정보

발표문헌

정보Witkowski et al.(2000, p. 399, fig. 208: 12-16)

Diagnosis

현재까지 학계에 보고된 Nitzschia 속은 모두 789종임. Nitzschia cf.

perindistincta 의 Valve는 긴 타원형임. 세포의 길이는 11-12㎛, 폭은 3.2

㎛ 임. 10㎛ 이내 stria 개수는 17-18개 이며 central nodule이 없음.

그림 또는

사진

작 성 자

박 종 규 작성일: 2017년 1월 18일

소속: 군산대학교 해양생명응용과학부

모식/기준표본

제출정보제출일 접수자 접수번호

Page 52: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49 -

미기록/신분류군 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겨울철조류2016

(박종규)-003

학 명 Tryblionella gaoana Witkowski&Chunlian Li 2016

국 명

분 류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Naviculales

Family Bacillariaceae Tribe

기준/모식표본

정보

채집일시 2017. 1. 31

채집지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오조리포구

서식지

환경돌 표면

채집자 박 종 규 군산대학교 해양생명응용과학부

기타 정보

발표문헌

정보

Witkowski & Chunlian Li (2016). Multigene assessment of biodiversity

of diatom (Bacillario-phyceae) assemblages from littoral zone of the

Bohai and Yellow Seas in Yantai Region of northest China with some

remarks on ubiquitous taxa. Journal of Coastal Research 74 (Special

issue): 166-195, 15 fig., 5 tables

Diagnosis

현재까지 학계에 보고된 Tryblionella 종은 모두 60종임. Valve는 긴 피침형

이고 중앙부분이 좁고 끝 부분이 뭉툭함. raphe는 매우 강하고 중심에서 벗

어나 존재함. Poroid는 한 줄로 배열되어 있고 등줄홈(Raphe canal) 주변

은 nitzschioid 형태임. 세포의 길이는 19-21㎛, 폭은 6.6-6.9㎛ 이고 10㎛

이내 stria 개수는 27-28개, 10㎛ 이내 fibula 개수는 12-13개 임.

그림 또는

사진

작 성 자

박 종 규 작성일: 2017년 3월 20일

소속: 군산대학교 해양생명응용과학부

모식/기준표본

제출정보제출일 접수자 접수번호

Page 53: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50 -

미기록/신분류군 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겨울철조류2016

(박종규)-004

학 명 Haslea cf. feriarum M.A.Tiffany&F.A.S.Sterrenburt 2015

국 명

분 류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Naviculales

Family Naviculaceae Tribe

기준/모식표본

정보

채집일시 2016. 12. 4

채집지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창기리 백사장해수욕장

서식지

환경해조류 표면

채집자 박 종 규 군산대학교 해양생명응용과학부

기타 정보

발표문헌

정보

Sterrenburg, F. A. S., Tiffany, M. A., Hinz, F., Herwig, W. E. and

Hargraves, P. E.(2015). Seven new species expand the morphological

spectrum of Halsea. A comparison with Gyrosigma and Pleurosigma

(Bacillariophyta). Phytotaxa 207 (2): 143-162

Diagnosis

Haslea 속은 현재까지 약 30여종이 알려져 있고 valve는 (선박) 모양을 하

며 raphe가 예외적으로 세포 한 쪽 측면에 치우침. 세포 중간에 세로 방향

으로 pseudo-stauros가 존재하며 stria는 직사각형 모양임. 세포 길이는

63.2~65.2μm, 폭은 8.3-8.6μm이며, circa는 10㎛에 횡축 방향으로 23-24

개, 종축 방향으로 15-16개 존재함.

그림 또는

사진

작 성 자박 종 규 작성일: 2017년 3월 20일

소속: 군산대학교 해양생명응용과학부

모식/기준표본

제출정보제출일 접수자 접수번호

Page 54: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51 -

미기록/신분류군 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겨울철조류2016

(이준백)-001

학 명 Dinophysis elongata (Jörgensen) Abé

국 명

분 류Class Dinophyceae Order Dinophysiales

Family Dinophysaceae Tribe

기준/모식표본

정보

채집일시 2016. 12. 12

채집지 경상남도 거제시 남부면 다포리 여차몽돌해수욕장

서식지

환경해산 부유성

채집자 이준백 제주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

기타 정보

발표문헌

정보

Omura, T. et al. 2012. Marine Phytoplankton of the Western Pacific.

Kouseisha Kouseikaku, Tokyo, pp. 61.

Diagnosis

세포의 크기는 길이 50-55μm, 폭은 35-37.5μm 정도이며 상각은 하각보다

작고 반구형이며 cingular groove는 위쪽으로 돌출되어있다. sulcus list는

하각의 2/3정도를 차지하며 3개의 rib를 가진다. Posterior list와 함께

anterior cingular list는 rib에 의해 지지되어진다. 하각은 크고 아랫부분의

가시나 돌기를 가지지 않으며 원뿔모양이다.

그림 또는

사진

(scale bar=10μm)

작 성 자

이 준 백 작성일: 2017년 1월 20일

소속: 제주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

모식/기준표본

제출정보제출일 접수자 접수번호

Page 55: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52 -

미기록/신분류군 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겨울철조류2016

(이준백)-002

학 명 Dinophysis nasuta (Stein) Parke & Dixon 1968

국 명

분 류Class Dinophyceae Order Dinophysiales

Family Dinophysaceae Tribe

기준/모식표본

정보

채집일시 2016. 12. 12

채집지 경상남도 거제시 남부면 다포리 여차몽돌해수욕장

서식지

환경해산 부유성

채집자 이 준 백 제주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

기타 정보

발표문헌

정보

Dodge, J.D. 1982. Marine dinoflagellates of the British Isles. London: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pp. 51-52, Fig. 4G.

Diagnosis

세포의 크기는 길이 43-49μm, 폭 38-43μm로 반구형이고 상각이 cingular

lists에 의해 가려져 보인다. 특징적으로 sulcus는 girdle부터 apex까지 거리

의 2/3 정도 상각으로 확장한다. Posterior list와 함께 anterior cingular list

는 rib에 의해 지지되어지고, former list는 수평이거나 앞으로 45°만큼 기울

어져있다. Posterior list는 anterior list와 유사하지만 더 좁다. 하각은 크고

아래 부분의 가시나 돌기를 가지지 않는다. Sulcus list는 좁고 눈에 잘 띄

지 않으며 명백한 rib를 가지지 않는다.

그림 또는

사진

(scale bar=10μm)

작 성 자

이 준 백 작성일: 2017년 1월 20일

소속: 제주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

모식/기준표본

제출정보제출일 접수자 접수번호

Page 56: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53 -

미기록/신분류군 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 련

번호

겨울철조류2016

(이준백)-003

학 명 Gonyaulax alaskensis Kofoid 1911

국 명

분 류Class Dinophyceae Order Gonyaulacales

Family Gonyaulacaceae Tribe

기준/모식표본

정보

채집일시 2015.07.27채집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차귀도연안서식지

환경연안성, 부유성

채집자 이 준 백 제주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기타 정보

발표문헌

정보

Omura, T. et al. 2012. Marine Phytoplankton of the Western Pacific.

Kouseisha Kouseikaku, Tokyo, pp. 104.

Dodge, J.D. 1982. Marine dinoflagellates of the British Isles.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London, pp. 207-208, Fig. 25K.

Diagnosis

세포의 크기는 길이와 폭 65-75μm이며, 세포의 전체적인 형태는 장사방

형이며 길이와 폭은 거의 비슷하다. 상각에는 짧은 apical horn이 존재하

고 하각에는 두 sulcal list spine이 존재하고 납작해진 antapex 있다.

Cingulum은 한쪽이 훨씬 올라가있으며 비스듬하게 존재한다. 피각은

Cingulum의 면을 제외하고 임의로 그물모양을 띈다. 엽록체를 가지고 있

다.

그림 또는 사진

(scale bar=20μm)

작 성 자

이 준 백 작성일: 2017년 3월 15일

소속: 제주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

모식/기준표본

제출정보제출일 접수자

접수

번호

Page 57: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54 -

미기록/신분류군 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 련

번호

겨울철조류2016

(이준백)-004

학 명 Sabulodinium undulatum var. undulatum Hoppenrath et al. 2007

국 명

분 류Class Dinophyceae Order Peridiniales

Family Peridiniales incertae sedis Tribe

기준/모식표본

정보

채집일시 2017.02.06채집지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 동고리 동고리해수욕장서식지

환경 해변 모래 간극수 또는 표면, 저서성

채집자 이 준 백 제주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기타 정보

발표문헌

정보

Hoppenrath, M., Murray, S.A., Chomérat, N. & Horiguchi, T. (2014).

Marine benthic dinoflagellates - unveiling their worldwide

biodiversity. Kleine Senckenberg-Reihe Vol. 54. p. 162, Fig. 74.

Diagnosis

세포 크기는 길이 28-42μm이며, 폭 20-36μm이다. Plate formula는

APC, 5’, 1a, 6’‘, 5c, 4s, 6’‘’, 1’‘’‘를 가진다. 전체적인 형태는 약간 곱

슬거리는 가장자리를 가진 약간 길고 길쭉한 타원형이다. 또한, antapical

plate에서 하나 또는 두 개의 작은 가시를 형성할 수 있으며, 하각이 세포

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Antapical plate는 약간 오른쪽에 위치하고 sulcus

는 세포의 오른쪽 측면에 위치한다.

그림 또는 사진

(scale bar=10μm)

작 성 자

이 준 백 작성일: 2017년 3월 15일

소속: 제주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

모식/기준표본

제출정보제출일 접수자

접수

번호

Page 58: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확보 2차년도webbook.me.go.kr/DLi-File/099/011/5631888.pdf ·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92-001236-01 겨울철 자생

- 55 -

미기록/신분류군 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 련

번호

겨울철조류2016

(이준백)-005

학 명 Protoperidinium latispinum (Mangin) Balech 1974

국 명

분 류Class Dinophyceae Order Peridiniales

Family Protoperidiniaceae Tribe

기준/모식표본

정보

채집일시 2017.01.17채집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귀동 서귀포연안서식지

환경연안성, 부유성

채집자 이 준 백 제주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기타 정보

발표문헌

정보

Omura, T. et al. 2012. Marine Phytoplankton of the Western Pacific.

Kouseisha Kouseikaku, Tokyo, p. 117.

Okolodkov, Y.B. 2005. Protoperidinium Bergh (Dinoflagellata) in the

southeastern Mexian Pacific Ocean: part I. Botanica Marina 48:

284-296.

Diagnosis

세포 크기는 antapical spine을 제외하면 길이 80-115μm이며 antapical

spine을 포함하면 98-135μm이고, 폭 59-86μm, 두께 55-80μm이다. 전

체적인 형태는 원형으로 1‘ plate는 6각형이고, apical horn을 가지고 있

다. Cingulum은 왼쪽이 오른쪽보다 낮은 곳에 형성되고 약간 기울어져

있다. Sulcus의 경우, 아래로 내려갈수록 넓어지고 hypotheca에서 두 개

의 spine을 가진다.

그림 또는 사진

(scale bar=10μm)

작 성 자

이 준 백 작성일: 2017년 3월 15일

소속: 제주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

모식/기준표본

제출정보제출일 접수자

접수

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