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의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aeguhaany/kimjongcheol… · *...

22
경산의 이해 교양교육원 김종철 교수 자료출처:본 강좌의 경산시 내용은 경산시청 사이트(http://gbgs.go.kr )에서 참고함

Upload: others

Post on 18-Oct-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경산의 이해

    교양교육원 김종철교수

    “자료출처:본강좌의경산시내용은경산시청사이트(http://gbgs.go.kr)에서참고함”

    http://gbgs.go.kr/

  • ◆ 경산학의 필요성

    지역학연구를통해글로벌지방화시대,

    지역특성화를위한교육프로그램을수립하고

    이를적절히활용하는방안에대한논의가필요함

    경산의전통문화와유산등다양한영역에걸친

    종합적이고체계적인교육을통해

    정체성을확립하고

    이를토대로삶의질향상과

    미래를대비할수있는능력함양이필요함

  • ◆ 경산학의 필요성

    12개대학, 12만명에달하는대학생중

    70% 이상인외지에서이주해온학생에게

    동질감과유대감을심어주고

    지역과인류문화발전에기여할수있는

    다양한맞춤형프로그램을계획, 수립하는

    방안모색이필요함

  • ◆ 경산학의 기본 방향

    경산학교양수업개발방향

    * 경산의역사, 문화, 정치, 경제, 사회, 환경등

    다양한영역에걸친종합적이고체계적인

    수업프로그램개발

    * 외지에서온대학생들이많은점을고려하여

    눈높이에맞는수업프로그램을구성함

    * 대학생들이졸업후사회로진출해

    경산의홍보대사의역할을할수있도록함

  • ◆ 경산학의 기본 방향

    경산학교양수업운영방향

    * 강의식수업및지역전문가의특강을통해

    체계적인경산학수업이이루어지도록함

    * 학생들의토론, 발표, 현장체험학습및 UCC

    홍보물제작등생산적이며창의적인수업이

    이루어지도록함

    * 지역주민과학생이유대감을형성할수있는

    통합적프로그램으로운영함

  • ◆ 경산학 교양과목 수업운영계획

    과목정보

    학 점 2학점

    강의형태 on, off-line교육

    강의시간 2시간

    이수구분 교양선택

    강 의 실 사이버 및 5-503호

  • ◆ 경산학 교양과목 수업운영계획

    강의정보

    담당교수 김종철

    소 속 대구한의대학교 교양교육원

    연 락 처 010-9457-6587

    E-mail [email protected]

    연 구 실 5-304호

    면담시간 매주 월요일 오후5~6시

  • ◆ 강의 소개

    경산의역사, 인문, 지리, 교육, 문화, 관광, 환경,

    산업, 정치, 경제등경산에대한종합적인강의를

    통해지역정체성을확립하고경산지역은물론

    인류문화발전에기여하고자함

    관련분야에대한강의, 특강과함께

    학생들의현장체험, 토론, 발표수업을병행함

  • ◆ 수업 목표

    경산의역사와전통의이해를통해유대감과

    정체성을확립할수있다.

    교육도시경산의정치∙경제적발전상을이해하며,

    앞으로의미래비전과발전방안을모색할수있다.

    경산의문화유산및지역축제행사의참여와이해로

    애향심을높이고, 나아가자율적인경산의홍보대사

    로서활동할수있다.

  • ◆ 수업 진행 방법

    주차별수업계획(안)을공지함

    주교재및관련자료를참고하여해당주제강의안을

    PPT로작성하여강의함

    사이버강의및특강을통해이해를돕고,

    학생들의토론활동, 현장체험활동, UCC제작등

    참여수업을병행함

  • ◆ 중요 교재 및 문헌

    『지역문화진흥을위한지역학활성화방안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정정숙. (2014.08)

    『삼성현원효설총일연스토리텔링연구』.

    대구대학교출판부. 김종국, 이동근, 정호완지음. (2010.08)

    『살아 있는신화, 갓바위부처님』.

    책미래. 정재서지음. (2014.08)

    『지역축제네트워크구조분석연구 - 경산자인단오제 중심으로』.

    영남대학교행정대학원논문. 정영준. (2011)

    『자인단오의종합적성격』.

    경산대학교경산문화연구소. 조춘호. (2001)

  • ◆ 중요 교재 및 문헌

    『경산 대학도시의형성과지역혁신의전개』.

    경산대학교경산문화연구소. 이성근. (2000)

    『경산의지명유래』. 태학사. 정호완지음 (1998.08.31.)

    『세계화시대의지역학』.

    계명대학교출판부. 김한규지음. (2007.05.05)

    『경산 지방의설화문학연구』.

    중문출판사. 이동근지음. (2005.02.25.)

    『육도락의고장, 경북경산』.

    YTN SCIENCE. (2014.07.10)

  • ◆ 수업의 효율성 제고 기타 사항

    경산시청, 경산시문화관광과및경산학회와

    유기적인협력관계를맺으며체계적인수업이

    이루어지도록함

    ‘경산삼성현유적지’탐방, ‘경산자인단오제’참가 등

    수업내용과직접적으로연계된현장체험활동이

    이루어지도록함

  • ◆ 학습 평가

    경산의문화유산, 관광자원에대한충분한이해를

    통해실질적인경산홍보활동을할수있도록함

    경산에대한과거와현재의올바른이해를통해

    미래지향적인발전방향을제안할수있도록함

  • ◆ 기대 효과

    12개대학, 12만명에달하는대학생중 70% 이상인

    외지에서이주해온학생에게동질감과유대감을심어주고

    지역의발전과홍보에기여하는인재로성장함

    경산의전통문화와유산등다양한영역에걸친종합적

    이고체계적인교육을통해정체성을확립하고인문학적

    교양을토대로삶의질향상과미래를대비할수있는능력

    을함양함

    글로벌지방화시대, 지역특성화를위한교육프로그램

    으로발전해나감

  • ◆ 경산학의 의미

    → 지역학(Regional Science)으로서의경산학

    → 지역학의사전적의미는?

    ⇒일정(一定)한지역(地域)의

    지리(地理), 역사(歷史), 문화(文化) 같은것을

    종합적(綜合的)으로연구(硏究)하는

    융합학문(學問)

  • ◆ 우리나라의 지역학은?

    → 우리나라에지역학이본격적으로나타난것은

    1991년지방자치화시대와함께이다.

    → 이러한지방자치화는지방과지역의정체성확립의

    계기가되었으며

    → 지방의정체성확립을위하여서지역학은필연적

    으로대두되었다.

    → 현재우리나라에는서울학(1993)을시작으로

    16개광역시도에서운영중

  • ◆ 우리나라의 지역학은?

    → 경기도지역이대표적인데

    경기도는경기문화재단경기학연구팀에서

    경기도내지역학연구기관들을관리하면서

    용인학, 안산학, 수원학, 성남학, 안양학, 이천학,

    평택학등이운영되고있음.

    → 이외에전국적으로

    한국국학진흥원이운영하는안동학과

    전주역사박물관이운영하는전주학

    경산학회가주관하는경산학등이있음.

  • ◆ 외국의 지역학은?

    → 미국의경우

    전시첩보기관으로중앙정보부(CIA)의원형이었던

    OSS(전략사무국, Office of Strategic Services)가

    최초의거대한지역학의거점이었으며,

    1947년카네기사가하버드에러시아연구센터

    건립에 74만달러를지원하고,

    이어서포드재단이 34개대학에지역학연구를

    지원한일등이지역학의발생으로논의된다.

  • ◆ 외국의 지역학은?

    → 동아시아에서의지역학은

    상해학(1986), 토쿄학(1991), 북경학(1998) 등이

    대두되어논의되고있다.

  • ◆ 외국의 지역학은?

    → 일본에서는

    조기에정착한지방자치제의역사에따라

    1960년대부터현별지역정체성논의가시작되었고,

    전국적으로현(우리나라의도수준) 단위에서의

    다양한지역학(약 76개의지역학연구기관)이

    존재하고있으며,

    와세다대학등은자체적으로 2006년부터

    오키나와학종합강좌를개설해오고있음.

  • ◆ 외국의 지역학은?

    → 인도네시아의경우

    국가단위의종교적정체성이강한반면

    지역에서는유명관광지역(예 : 발리)을중심으로

    실용적인차원의지역에대한연구가심화됨.

    인도네시아의발리는휴양과에코투어리즘의명소

    로서의지명도를통해관광객유지를목적으로

    발리의관습, 예술등다층적연구를수행하고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