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34
조경식재설계2 - 화단종류와 이용형태 -

Upload: others

Post on 06-Oct-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조경식재설계2 - 화단종류와 이용형태 -

Page 2: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1. 화단의 종류

◆ 형태에 따른 화단

- 평면(모전, 대상, 포석, 자수), 입체(기식, 경재, 침상, 석벽, 노단)

◆ 계절에 따른 화단

- 봄, 여름, 가을, 겨울화단

◆ 재료에 따른 화단

- 장미화단, 국화화단, 작약화단, 야생화화단 -> 단식화단

◆ 특수환경

- 옥상, 연못, 용기, 토피어리 등

Page 3: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형태에 따른 화단

Page 4: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1-1. 모전화단

◆ 키가 작고 예쁜 꽃을 평면적으로 식재 (양탄자 화단)

◆ 꽃색 및 개화기가 동일한 식물종 선택

◆ 대규모 잔디밭, 넓은 뜰, 공원

Page 5: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1-2. 대상화단

◆ 도로, 건물, 공간, 울타리 등을 따라 선적 형태를 가진 화단

◆ 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Page 6: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1-3. 포석화단

◆ 돌이나 경계석을 배치하고 돌 사이 공간에 초화류 식재

◆ 포장재 일부에 초화류 식재

Page 7: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1-4. 자수화단

◆ 기하학적 문양에 의해 다양한 색채와 화려한 꽃 식재

◆ 서양에서 많이 사용

Page 8: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1-5. 기식화단

◆ 광장의 중심부, 동선의 교차점에 위치

◆ 마운딩을 주어 입체적 모양을 갖도록 조성

Page 9: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1-6. 경재화단

◆ 건물의 벽, 담장, 원로 주변에 식재

◆ 식물종의 높이를 이용

Page 10: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1-7. 침상화단

◆ 기하학적 문양을 가지고 보도면 보다 낮은 지대에 설치

◆ 화단, 꽃을 높은 위치에서 감상

Page 11: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1-8. 석벽화단

◆ 경사지에 경관석, 자연석을 쌓고 그 틈에 식물 식재

◆ 내건성, 호광성 식물이 유리

Page 12: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1-9. 노단화단

◆ 경사지에 돌로 계단모양을 설치하여 식물식재

◆ 꽃상자를 이용하기도 함

Page 13: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1-10.용기화단

◆ 건물 입구, 정원, 광장, 실내 등에 다양한 용기에 식물 식재

◆ 이동 및 식물 교체 용이

Page 14: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2. 공간 및 용도별 녹화

◆ 평탄지 녹화

- 자연지반(대면적, 소면적), 인공지반(옥상, 실내)

◆ 경사지 녹화

- 도로, 주거지 사면, 암반노출, 구조물경사지 등

◆ 수직공간 녹화

- 건물벽면, 베란다, 방음벽, 옹벽

◆ 공작물 이용 녹화

- 펜스, 아치, 퍼골라, 기둥, 토피어리 등

Page 15: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2-1. 평탄지 녹화

Page 16: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2-2. 경사지 녹화

Page 17: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2-3. 수직공간 녹화

Page 18: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2-4. 공작물 이용 녹화

Page 19: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 공원 및 오픈스페이스

- 소나무, 낙엽활엽수 하부, 잔디밭

◆ 가로공간

- 도로분리대, 녹지대, 보행섬, 가로화단

◆ 특수지역

- 둔치, 제방길, 연못, 벽면, 암석 등

3. 공간유형별 이용

Page 20: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 소규모 식재지역 - 비비추, 옥잠화, 머위, 원추리, 범부채, 섬초롱꽃, 수호초 등

■ 대규모 식재지역 - 비비추, 옥잠화, 은방울꽃, 석산, 관중 등

3-1. 소나무 하부

Page 21: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수호초 Pachysandra terminalis

▶ 개화기 : 7-8월 ▶ 용도 : 수목 하부 지피용

관중 Dryopteris crassirhizoma

▶ 개화기 : - ▶ 용도 : 음지 지피용

3-1. 소나무 하부

Page 22: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비비추 Hosta longipes

▶ 개화기 : 7-8월 ▶ 용도 : 화단용

일월비비추 Hosta capitata

▶ 개화기 : 6-7월 ▶ 용도 : 화단용

3-1. 소나무 하부

Page 23: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 소규모 식재지역 - 원추리, 범부채, 금낭화, 은방울꽃, 우산나물, 바위취, 노루오줌, 털머위 등

■ 대규모 식재지역 - 맥문동, 노루귀, 앵초, 뻐꾹나리, 터리풀, 비비추, 복수초, 석산 등

3-2. 낙엽활엽수 하부

Page 24: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바위취 Saxifraga stolonifera

▶ 개화기 : 5월 ▶ 용도 : 음습지

터리풀 Filipendula glaberrima

▶ 개화기 : 6-7월 ▶ 용도 : 화단용

3-2. 낙엽활엽수 하부

Page 25: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 적용종 - 붓꽃, 원추리, 민들레, 벌개미취, 섬기린초, 용머리, 돌나물, 돌단풍, 금계국 맥문동, 석산, 부처꽃, 쑥부쟁이, 옥잠화 등

3-3. 가로분리대

Page 26: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민들레 Taraxacum platycarpum

▶ 개화기 : 4-5월 ▶ 용도 : 양지화단

흰민들레 Taraxacum coreanum

▶ 개화기 : 4-6월 ▶ 용도 : 양지화단

3-3. 가로분리대

Page 27: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 적용종 - 붓꽃, 꽃창포, 수크령, 부처꽃, 술패랭이꽃, 벌개미취, 잔대, 원추리, 범부채 금계국, 금불초, 지면패랭이꽃, 참나리, 섬초롱꽃, 개미취, 참취 등

3-4. 제방길 및 둔치

Page 28: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술패랭이꽃 Dianthus superbus var. longicalycinus

▶ 개화기 : 7-8월 ▶ 용도 : 양지, 반음지 화단

수크령 Pennisetum alopecuroides

▶ 개화기 : 8-9월 ▶ 용도 : 양지화단

Page 29: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 적용종 - 왜성술패랭이꽃, 용머리, 원추리, 민들레, 붓꽃, 섬기린초, 벌개미취, 작약 매발톱꽃, 둥굴레, 할미꽃, 참나리, 이질풀, 쑥부쟁이, 층꽃나무 등

3-5. 가로화단

Page 30: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매발톱꽃 Aquilegia buergariana var. oxysepaia

▶ 개화기 : 6-7월 ▶ 용도 : 양지, 반음지 화단

층꽃나무 Caryopteris incana

▶ 개화기 : 7-8월 ▶ 용도 : 양지화단

3-5. 가로화단

Page 31: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 적용종 - 꽃창포, 부들, 갈대, 골풀, 벌개미취, 금불초, 꽃범의꼬리, 부처꽃, 물억새 노랑꽃창포, 큰고랭이, 흑삼릉, 도루박이, 매자기 등

3-6. 수변공간

Page 32: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도루박이 Scirpus radicans

▶ 개화기 : - ▶ 용도 : 연못 주변

부들 Typha orientalis

▶ 개화기 : 6-7월 ▶ 용도 : 연못 주변

Page 33: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3-7. 경관석 틈새

■ 적용종 - 기린초, 돌단풍, 붓꽃, 구절초, 할미꽃, 태백기린초, 꿩의비름, 큰꿩의비름, 해국, 백리향, 용머리, 돌나물, 마삭줄, 둥굴레 등

Page 34: 조경화초학 - 이용형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youjuhan/15.pdf곡선, 직선 등 선모양이고 좁고 긴 형태 1-3. 포석화단 돌이나 경계석을

3-7. 경관석 틈새

돌나물 Sedum sarmentosum

▶ 개화기 : 8월 ▶ 용도 : 건조지, 암석틈

태백기린초 Typha orientalis

▶ 개화기 : 6월 ▶ 용도 : 건조지, 암석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