張金河 - inha · 일어나고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학교안전사고, 학생의...

73
i 敎 育 學 碩 士 學 位 請 求 論 文 판례를 판례를 판례를 판례를 이용한 이용한 이용한 이용한 교육 교육 교육 교육 관련 관련 관련 관련 법의 법의 법의 법의 이해와 이해와 이해와 이해와 교권의 교권의 교권의 교권의 향상 향상 향상 향상 방안 방안 방안 방안 Understanding of Understanding of Understanding of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ducational ducational ducational Law aw aw aw Using sing sing sing Precedent recedent recedent recedents and and and and Suggestions uggestions uggestions uggestions to to to to Improve mprove mprove mprove Instructors nstructors nstructors nstructors’Authority uthority uthority uthority 2007 2007 2007 2007 年 2 2 2 2月 仁荷大學校 仁荷大學校 仁荷大學校 仁荷大學校 敎育大學院 敎育大學院 敎育大學院 敎育大學院 生物敎育專攻 生物敎育專攻 生物敎育專攻 生物敎育專攻 張金河 張金河 張金河 張金河

Upload: others

Post on 30-Dec-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i

    敎敎敎敎 育育育育 學學學學 碩碩碩碩 士士士士 學學學學 位位位位 請請請請 求求求求 論論論論 文文文文

    판례를판례를판례를판례를 이용한이용한이용한이용한 교육교육교육교육 관련관련관련관련 법의법의법의법의 이해와이해와이해와이해와

    교권의교권의교권의교권의 향상향상향상향상 방안방안방안방안

    Understanding of Understanding of Understanding of Understanding of EEEEducational ducational ducational ducational LLLLaw aw aw aw UUUUsing sing sing sing

    PPPPrecedentrecedentrecedentrecedentssss and and and and SSSSuggestionsuggestionsuggestionsuggestions to to to to IIIImprove mprove mprove mprove

    IIIInstructorsnstructorsnstructorsnstructors’’’’AAAAuthorityuthorityuthorityuthority

    2007200720072007 年年年年 2 2 2 2 月月月月

    仁荷大學校仁荷大學校仁荷大學校仁荷大學校 敎育大學院敎育大學院敎育大學院敎育大學院

    生物敎育專攻生物敎育專攻生物敎育專攻生物敎育專攻

    張金河張金河張金河張金河

  • ii

    敎敎敎敎 育育育育 學學學學 碩碩碩碩 士士士士 學學學學 位位位位 請請請請 求求求求 論論論論 文文文文

    판례를판례를판례를판례를 이용한이용한이용한이용한 교육교육교육교육 관련관련관련관련 법의법의법의법의 이해와이해와이해와이해와

    교권의교권의교권의교권의 향상향상향상향상 방안방안방안방안

    Understanding of Understanding of Understanding of Understanding of EEEEducational ducational ducational ducational LLLLaw aw aw aw UUUUsing sing sing sing

    PPPPrecedentrecedentrecedentrecedentssss and and and and SSSSuggestionsuggestionsuggestionsuggestions to to to to IIIImprove mprove mprove mprove

    IIIInstructorsnstructorsnstructorsnstructors’’’’AAAAuthorityuthorityuthorityuthority

    2007200720072007 年年年年 2 2 2 2 月月月月

    指導敎授指導敎授指導敎授指導敎授 李李李李 昌昌昌昌 重重重重

    이이이이 論文論文論文論文을을을을 碩士學位碩士學位碩士學位碩士學位 論文論文論文論文으로으로으로으로 提出提出提出提出함함함함

    仁荷大學仁荷大學仁荷大學仁荷大學校校校校 敎育大學院敎育大學院敎育大學院敎育大學院

    生物敎育專攻生物敎育專攻生物敎育專攻生物敎育專攻

    張金河張金河張金河張金河

  • iii

    이이이이 論文論文論文論文을을을을 張金河張金河張金河張金河의의의의 敎育學敎育學敎育學敎育學 碩士學位碩士學位碩士學位碩士學位 論文論文論文論文으로으로으로으로

    認定認定認定認定함함함함

    2007200720072007 年年年年 2 2 2 2 月月月月

    主審主審主審主審

    副審副審副審副審

    委員委員委員委員

  • iv

    목 차

    목 차∙∙∙∙∙∙∙∙∙∙∙∙∙∙∙∙∙∙∙∙∙∙∙∙∙∙∙∙∙∙∙∙∙∙∙∙∙∙∙∙∙∙∙∙∙∙∙∙∙∙∙∙∙∙∙∙∙∙∙∙∙∙∙∙∙∙∙∙∙∙∙∙∙∙∙∙∙∙∙∙∙∙∙∙∙∙∙∙∙∙∙∙i

    표 목 차∙∙∙∙∙∙∙∙∙∙∙∙∙∙∙∙∙∙∙∙∙∙∙∙∙∙∙∙∙∙∙∙∙∙∙∙∙∙∙∙∙∙∙∙∙∙∙∙∙∙∙∙∙∙∙∙∙∙∙∙∙∙∙∙∙∙∙∙∙∙∙∙∙∙∙∙∙∙∙∙∙∙∙∙∙∙∙∙∙∙∙v

    국 문 요 약∙∙∙∙∙∙∙∙∙∙∙∙∙∙∙∙∙∙∙∙∙∙∙∙∙∙∙∙∙∙∙∙∙∙∙∙∙∙∙∙∙∙∙∙∙∙∙∙∙∙∙∙∙∙∙∙∙∙∙∙∙∙∙∙∙∙∙∙∙∙∙∙∙∙∙∙∙∙∙∙∙∙∙∙∙vi

    영 문 요 약∙∙∙∙∙∙∙∙∙∙∙∙∙∙∙∙∙∙∙∙∙∙∙∙∙∙∙∙∙∙∙∙∙∙∙∙∙∙∙∙∙∙∙∙∙∙∙∙∙∙∙∙∙∙∙∙∙∙∙∙∙∙∙∙∙∙∙∙∙∙∙∙∙∙∙∙∙∙∙∙∙∙∙∙∙∙

    v i i i

    Ⅰ. 서론∙∙∙∙∙∙∙∙∙∙∙∙∙∙∙∙∙∙∙∙∙∙∙∙∙∙∙∙∙∙∙∙∙∙∙∙∙∙∙∙∙∙∙∙∙∙∙∙∙∙∙∙∙∙∙∙∙∙∙∙∙∙∙∙∙∙∙∙∙∙∙∙∙∙∙∙∙∙∙∙∙∙∙∙∙∙∙∙∙∙∙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Ⅱ. 교권 침해의 심각성∙∙∙∙∙∙∙∙∙∙∙∙∙∙∙∙∙∙∙∙∙∙∙∙∙∙∙∙∙∙∙∙∙∙∙∙∙∙∙∙∙∙∙∙∙∙∙∙∙∙∙∙∙∙∙∙∙∙∙∙∙∙∙∙4

    Ⅲ. 교사의 지위 하락 요인 및 해결 방안∙∙∙∙∙∙∙∙∙∙∙∙∙∙∙∙∙∙∙∙∙∙∙∙∙∙∙∙∙∙∙∙∙∙7

    1. 교사의 지위 하락 요인∙∙∙∙∙∙∙∙∙∙∙∙∙∙∙∙∙∙∙∙∙∙∙∙∙∙∙∙∙∙∙∙∙∙∙∙∙∙∙∙∙∙∙∙∙∙∙∙∙∙∙∙∙∙∙∙∙∙∙∙∙∙∙∙∙∙∙∙7

    2. 교사의 지위 향상 방안∙∙∙∙∙∙∙∙∙∙∙∙∙∙∙∙∙∙∙∙∙∙∙∙∙∙∙∙∙∙∙∙∙∙∙∙∙∙∙∙∙∙∙∙∙∙∙∙∙∙∙∙∙∙∙∙∙∙∙∙∙∙∙∙∙∙∙∙9

    Ⅳ. 교육법 정의 및 교육관련법의 종류∙∙∙∙∙∙∙∙∙∙∙∙∙∙∙∙∙∙∙∙∙∙∙∙∙∙∙∙∙∙∙∙∙∙∙14

    1. 성문법원∙∙∙∙∙∙∙∙∙∙∙∙∙∙∙∙∙∙∙∙∙∙∙∙∙∙∙∙∙∙∙∙∙∙∙∙∙∙∙∙∙∙∙∙∙∙∙∙∙∙∙∙∙∙∙∙∙∙∙∙∙∙∙∙∙∙∙∙∙∙∙∙∙∙∙∙∙∙∙∙∙∙∙∙∙∙∙∙∙14

    2. 교육의 불문법원∙∙∙∙∙∙∙∙∙∙∙∙∙∙∙∙∙∙∙∙∙∙∙∙∙∙∙∙∙∙∙∙∙∙∙∙∙∙∙∙∙∙∙∙∙∙∙∙∙∙∙∙∙∙∙∙∙∙∙∙∙∙∙∙∙∙∙∙∙∙∙∙∙∙∙∙15

    3. 기타∙∙∙∙∙∙∙∙∙∙∙∙∙∙∙∙∙∙∙∙∙∙∙∙∙∙∙∙∙∙∙∙∙∙∙∙∙∙∙∙∙∙∙∙∙∙∙∙∙∙∙∙∙∙∙∙∙∙∙∙∙∙∙∙∙∙∙∙∙∙∙∙∙∙∙∙∙∙∙∙∙∙∙∙∙∙∙∙∙∙∙∙∙∙∙∙16

    Ⅴ. 교사의 법적 지위∙∙∙∙∙∙∙∙∙∙∙∙∙∙∙∙∙∙∙∙∙∙∙∙∙∙∙∙∙∙∙∙∙∙∙∙∙∙∙∙∙∙∙∙∙∙∙∙∙∙∙∙∙∙∙∙∙∙∙∙∙∙∙∙∙17

    1. 법적 지위의 의미∙∙∙∙∙∙∙∙∙∙∙∙∙∙∙∙∙∙∙∙∙∙∙∙∙∙∙∙∙∙∙∙∙∙∙∙∙∙∙∙∙∙∙∙∙∙∙∙∙∙∙∙∙∙∙∙∙∙∙∙∙∙∙∙∙∙∙∙∙∙∙∙∙∙17

    2. 교육공무원으로서의 지위∙∙∙∙∙∙∙∙∙∙∙∙∙∙∙∙∙∙∙∙∙∙∙∙∙∙∙∙∙∙∙∙∙∙∙∙∙∙∙∙∙∙∙∙∙∙∙∙∙∙∙∙∙∙∙∙∙∙∙∙∙18

    3. 사립학교 교원의 법적 지위∙∙∙∙∙∙∙∙∙∙∙∙∙∙∙∙∙∙∙∙∙∙∙∙∙∙∙∙∙∙∙∙∙∙∙∙∙∙∙∙∙∙∙∙∙∙∙∙∙∙∙∙∙∙∙∙∙19

    4. 근로자로서의 지위∙∙∙∙∙∙∙∙∙∙∙∙∙∙∙∙∙∙∙∙∙∙∙∙∙∙∙∙∙∙∙∙∙∙∙∙∙∙∙∙∙∙∙∙∙∙∙∙∙∙∙∙∙∙∙∙∙∙∙∙∙∙∙∙∙∙∙∙∙∙∙∙20

    5. 전문가로서의 지위∙∙∙∙∙∙∙∙∙∙∙∙∙∙∙∙∙∙∙∙∙∙∙∙∙∙∙∙∙∙∙∙∙∙∙∙∙∙∙∙∙∙∙∙∙∙∙∙∙∙∙∙∙∙∙∙∙∙∙∙∙∙∙∙∙∙∙∙∙∙∙∙21

    Ⅵ. 법의 양면성∙∙∙∙∙∙∙∙∙∙∙∙∙∙∙∙∙∙∙∙∙∙∙∙∙∙∙∙∙∙∙∙∙∙∙∙∙∙∙∙∙∙∙∙∙∙∙∙∙∙∙∙∙∙∙∙∙∙∙∙∙∙∙∙∙∙∙∙∙∙∙∙∙∙22

    1. 교원의 권리∙∙∙∙∙∙∙∙∙∙∙∙∙∙∙∙∙∙∙∙∙∙∙∙∙∙∙∙∙∙∙∙∙∙∙∙∙∙∙∙∙∙∙∙∙∙∙∙∙∙∙∙∙∙∙∙∙∙∙∙∙∙∙∙∙∙∙∙∙∙∙∙∙∙∙∙∙∙∙∙∙∙∙22

    2. 교원의 의무∙∙∙∙∙∙∙∙∙∙∙∙∙∙∙∙∙∙∙∙∙∙∙∙∙∙∙∙∙∙∙∙∙∙∙∙∙∙∙∙∙∙∙∙∙∙∙∙∙∙∙∙∙∙∙∙∙∙∙∙∙∙∙∙∙∙∙∙∙∙∙∙∙∙∙∙∙∙∙∙∙∙∙26

    3. 교원의 의사표현에 대한 법의 보장과 제한∙∙∙∙∙∙∙∙∙∙∙∙∙∙∙∙∙∙∙∙∙∙∙∙∙∙∙∙∙∙30

  • v

    Ⅶ. 판례의 해석 및 이해∙∙∙∙∙∙∙∙∙∙∙∙∙∙∙∙∙∙∙∙∙∙∙∙∙∙∙∙∙∙∙∙∙∙∙∙∙∙∙∙∙∙∙∙∙∙∙∙∙∙∙∙∙∙∙∙∙∙∙33

    1. 판례를 이용한 교육법 이해의 필요성 및 기대 효과∙∙∙∙∙∙∙∙∙∙∙∙∙∙∙33

    2. 학교안전사고관련 판례∙∙∙∙∙∙∙∙∙∙∙∙∙∙∙∙∙∙∙∙∙∙∙∙∙∙∙∙∙∙∙∙∙∙∙∙∙∙∙∙∙∙∙∙∙∙∙∙∙∙∙∙∙∙∙∙∙∙∙∙∙∙∙∙34

    3. 학생의 의사표현과 관련된 판례∙∙∙∙∙∙∙∙∙∙∙∙∙∙∙∙∙∙∙∙∙∙∙∙∙∙∙∙∙∙∙∙∙∙∙∙∙∙∙∙∙∙∙∙∙∙∙∙∙37

    4. 학생 체벌 관련 판례∙∙∙∙∙∙∙∙∙∙∙∙∙∙∙∙∙∙∙∙∙∙∙∙∙∙∙∙∙∙∙∙∙∙∙∙∙∙∙∙∙∙∙∙∙∙∙∙∙∙∙∙∙∙∙∙∙∙∙∙∙∙∙∙∙∙∙∙39

    5. 교원의 표현의 자유에 관한 판례∙∙∙∙∙∙∙∙∙∙∙∙∙∙∙∙∙∙∙∙∙∙∙∙∙∙∙∙∙∙∙∙∙∙∙∙∙∙∙∙∙∙∙∙∙∙∙41

    6. 교원의 자질과 직무 수행 관련 판례∙∙∙∙∙∙∙∙∙∙∙∙∙∙∙∙∙∙∙∙∙∙∙∙∙∙∙∙∙∙∙∙∙∙∙∙∙∙∙∙∙∙44

    7. 학생 성희롱·성추행∙∙∙∙∙∙∙∙∙∙∙∙∙∙∙∙∙∙∙∙∙∙∙∙∙∙∙∙∙∙∙∙∙∙∙∙∙∙∙∙∙∙∙∙∙∙∙∙∙∙∙∙∙∙∙∙∙∙∙∙∙∙∙∙∙∙∙∙∙∙∙45

    Ⅷ. 교육법 해석의 한계∙∙∙∙∙∙∙∙∙∙∙∙∙∙∙∙∙∙∙∙∙∙∙∙∙∙∙∙∙∙∙∙∙∙∙∙∙∙∙∙∙∙∙∙∙∙∙∙∙∙∙∙∙∙∙∙∙∙∙∙∙48

    1. 교육(결정)권이 누구에게 있는가;판례검토의 실체적 관점∙∙∙∙∙48

    2. 심사기준과 헌법해석상의 문제점;‘교육제도, 교원지위 법정’조항

    의 잘못된 해석·적용∙∙∙∙∙∙∙∙∙∙∙∙∙∙∙∙∙∙∙∙∙∙∙∙∙∙∙∙∙∙∙∙∙∙∙∙∙∙∙∙∙∙∙∙∙∙∙∙∙∙∙∙∙∙∙∙∙∙∙∙∙∙∙∙∙∙∙∙∙∙∙∙∙∙50

    3. 난해한 교육법 해석∙∙∙∙∙∙∙∙∙∙∙∙∙∙∙∙∙∙∙∙∙∙∙∙∙∙∙∙∙∙∙∙∙∙∙∙∙∙∙∙∙∙∙∙∙∙∙∙∙∙∙∙∙∙∙∙∙∙∙∙∙∙∙∙∙∙∙∙∙∙51

    4. 교권 침해 판례∙∙∙∙∙∙∙∙∙∙∙∙∙∙∙∙∙∙∙∙∙∙∙∙∙∙∙∙∙∙∙∙∙∙∙∙∙∙∙∙∙∙∙∙∙∙∙∙∙∙∙∙∙∙∙∙∙∙∙∙∙∙∙∙∙∙∙∙∙∙∙∙∙∙∙∙∙∙52

    Ⅸ. 결론 및 제언∙∙∙∙∙∙∙∙∙∙∙∙∙∙∙∙∙∙∙∙∙∙∙∙∙∙∙∙∙∙∙∙∙∙∙∙∙∙∙∙∙∙∙∙∙∙∙∙∙∙∙∙∙∙∙∙∙∙∙∙∙∙∙∙∙∙∙∙∙∙∙∙59

    참 고 문 헌∙∙∙∙∙∙∙∙∙∙∙∙∙∙∙∙∙∙∙∙∙∙∙∙∙∙∙∙∙∙∙∙∙∙∙∙∙∙∙∙∙∙∙∙∙∙∙∙∙∙∙∙∙∙∙∙∙∙∙∙∙∙∙∙∙∙∙∙∙∙∙∙∙∙∙63

    표 목 차

    교원의 표현의 자유 보장과 제한 관련 법령 조항∙∙∙∙∙∙∙∙∙∙∙∙∙∙∙∙∙31

    교원의 주의의무와 관련된 패소 판례∙∙∙∙∙∙∙∙∙∙∙∙∙∙∙∙∙∙∙∙∙∙∙∙∙∙∙∙∙∙∙∙∙∙∙∙∙∙53

    교원의 보호·감독의무와 관련된 판례∙∙∙∙∙∙∙∙∙∙∙∙∙∙∙∙∙∙∙∙∙∙∙∙∙∙∙∙∙∙∙∙∙∙∙∙∙∙54

  • vi

    국국국국 문문문문 요요요요 약약약약

    본 연구는 최근의 교권 침해 사례를 들어 교권 실추의 심각성을

    살펴보고, 교사의 지위 하락 요인과 그 향상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사

    지위 하락 요인을 사회환경의 변화, 교사에 대한 신뢰 실추, 열악한

    교육 환경, 교원 지위 약화 정책으로 세분하였고, 그 향상 방안으로

    교사의 전문가로서의 지위 강화, 근로자로서의 지위 향상,

    스승으로서의 사회적 지위 회복, 제도적 지원, 마지막으로 교원의 교육

    관련법 이해를 제시하였다. 그 중 교육법과 판례의 이해가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이다.

    대한민국 헌법에는 모든 국민에게 신분 보장 및 권위, 의무 등을

    명시하고 이에 국민은 주권을 행사하는 동시에 의무도 이행할 책임이

    있음을 규정하고 있다. 교원에게는 국민으로서의 지위뿐만 아니라

    교육공무원으로서, 전문가로서, 근로자로서의 지위를 부여하고 더욱

    엄격한 권리와 의무를 규정하여 교육활동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그를 제한하고 있다.

    권리에는 적극적 권리로 자율성의 신장, 생활보장, 근무조건 개선,

    복지후생제도의 확충이, 소극적 권리로는 신분보장, 쟁송제기권,

    불체포특권, 교직단체 활동권 등이 있다. 의무에는 적극적 의무로 교육

    및 연구 활동의 의무, 선서·성실·복종의 의무, 품위유지의 의무, 비밀

    엄수의 의무가 있다. 소극적 의무로는 정치활동의 금지, 집단행위의

    제한, 영리 업무 및 겸직 금지의 의무가 헌법에 명시되어 있다.

    교육 관련법에 명시된 권리와 의무를 학습하고 이를 준거로 삼아

    교육활동에 응용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특히 교육 활동에서 빈번히

    일어나고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학교안전사고, 학생의 의사표현의

    허용범위, 학생체벌, 교원의 표현의 자유, 교원의 자질과 직무 수행,

    교원의 학생 성희롱 등에 관한 판례를 예를 들어 제시함으로써 난해한

    교육법의 이해를 쉽게 하였다.

  • vii

    교원양성과정 및 재교육을 통해 교육법과 판례에 대한 교육이

    실무에서의 간접 경험을 넓히고 올바른 가치 판단의 준거가 되어

    교원의 자질 향상 및 교권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 viii

    영영영영 문문문문 요요요요 약약약약

    The study is to review severity of infringement of instructors’

    authority with giving recent precedents, to analyze reasons of

    declining teachers’ status, and to mak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The reasons are changes in social environment,

    decline of an instructor’s confidence,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and government policy. For the improvement, the suggestions are

    strengthening status of instructors’ authority as a professional,

    raising the status as a laborer, recovering social status as a teacher,

    and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law of teachers, which is most

    focused in this study.

    In the constitution of Korea, it is stated that the people’s right,

    duty and status are guaranteed, thereupon people can exercise their

    right, but on the other they should redeem their duty. For

    instructors, they are endowed not only with people’s status but also

    with public educational staff, expert, and workers. Based on status

    strict rights and duties, instructors can secure autonomy in

    educational activity and prohibit self-regulation at the same time.

    In rights, positive rights are self-regulating judgment, living

    protection, working conditions improvement, welfare expansion.

    The negative rights are guarantee of person’s status, right to

    trouble petition, immunity from arrest and collective bargaining

    right. In duties, there are duties of education and study, duties of

    oath, sincerity, and obedience, duties of maintaining dignity, and

    duties of secrecy on positive duties. The negative duties, there are

    prohibition of political activity, restriction of group behavior,

    prohibition in commercial enterprise and additional job.

    The study is rights and duties stated in laws and regulations

  • ix

    pertaining to education, can be applicable to instruction activity,

    with offering precedents that happen often in educational activities

    and become social issues as examples; school safety issues,

    permissible range of speak, student punishment, freedom of

    expression of instructors, quality and performance of one’s duty,

    sexual harassment.

    In this study, educating educational law and precedents to

    instructors would make them to expand indirect experiences and

    understand the normative standard conformity of right valuation so that

    it can influence to improve qualification and rights of instructors.

  • ⅠⅠⅠⅠ. . . . 서론서론서론서론

    1. 1. 1. 1. 연구의연구의연구의연구의 필요성필요성필요성필요성 및및및및 목적목적목적목적

    대한민국 헌법에는 모든 국민에게 신분보장 및 권위, 의무 등을

    명시하고 있다. 이에 대한민국의 국민은 주권을 행사하는 동시에

    의무도 이행하는 책임이 있는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상 속에서 헌법을 인식하며 살아가는 것은 드물다. 게다가 헌법에는

    국민이라는 것 외에 구체적인 직위·직업에 대한 권리나 의무에 대해

    명시해 주지는 않기 때문에, 헌법이 주는 개개인의 의미가 매우

    중요함에도 무의식적으로 간과하는 경우가 훨씬 많다. 오히려 소속

    단체의 규칙 정도를 더욱 비중 있게 생각할 것이다. 그런데,

    교사에게는 헌법 및 교육 관련법 등으로 교사에게는 매우 구체적인

    법률로 권리와 의무에 대해 엄격히 명시하고 있다. 이는 교사가

    공적인 위치로서 사회적 역할의 중요도가 높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그런데, 교사의 법적인 지위 및 책임감을 인식하며

    교육활동에 임하는 교사는 얼마나 될까?

    우선, 교사의 권리에 대해 살펴보면, 적극적 권리로는 자율성의

    신장, 생활보장, 근무조건 개선, 복지후생제도의 확충이 있고, 소극적

    권리로는 신분보장, 쟁송제기권, 불체포 특권, 교직단체 활동권 등이

    있다. 그리고 교사의 의무를 보면, 적극적 의무로는 교육 및 연구

    활동의 의무, 선서·성실·복종의 의무, 전문직으로서의 품위유지의 의무,

    비밀 엄수의 의무가 있고, 소극적 의무로는 정치활동의 금지,

    집단행위의 제한, 영리 업무 및 겸직 금지의 의무가 명시되어 있다.

    기본을 성실히 이행하면, 사회의 무질서와 비도덕적, 비윤리적

    사건 사고들은 일어나지 않을 거라는 생각을 해 본다. 현재, 교권의

    실추와 교권 경시 태도는 소수이기는 하나 일부 교사가 교원으로서의

    법적 의무를 수행하고 있지 않기 때문은 아닐까. 물론 평생교육이나

    사이버공간 등의 시대적 변화도 있지만, 교사로서의 법적, 사회적

  •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권리를 주장하기 전에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는 어릴 적 도덕과목을 되새기는 기본으로 돌아가면 그 해답은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즉, 원로교사의 무용론이나

    정년단축 당위론 등은 교사가 교육 및 연구 활동의 의무, 성실의

    의무를 소홀히 하여 자기 계발에 게을렀기 때문이고, 촌지 수수에

    대한 문제는 전문직으로서의 품위 유지의 의무를 간과했기 때문은

    아닐까. 교사의 부주의로 인한 집단따돌림 학생의 자살 사건은 학생의

    사생활에 대한 비밀 엄수의 의무를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일 수 있다.

    이러한 의무를 소홀히 할 경우, 교사의 자율성은 경영진과 학부모

    및 지역사회의 질타적 간섭이 심화될 것이고, 생활보장 및

    근무조건개선 등의 주장은 교사의 교육자 및 전문가로서의 지위는

    간과된 채 일반적인 근로자들이 주장하는 생계 투쟁으로 격하될

    것이다. 생활보장의 투쟁 이면에는 안정된 생활기반이 조성되어야

    교사의 확고한 교권의식과 사명감을 가지고 교육에 전념할 수 있기

    때문이고, 근무여건개선에 대한 권리 이행의 이면에는 교육의 효과와

    능률을 높여 양질의 수업이 가능하다는 것 즉, Maslow의 생리적,

    안전상의 욕구 및 Herzberg의 위생요인이 갖추어져야 한다는 것을

    일반 사람들에게 충분히 용인 받을 수 있어야 한다. 공교육 붕괴의

    우려는 교사의 안일주의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다. 교육의 평준화 및

    고등교육자의 증가로 목소리 커지는 학부모를 두려워할 것이 아니라

    전문직으로서, 지성인으로서 교육자의 사명감이나 의무를 성실히

    이행하면 교권의 지위는 향상될 것이라 생각해 본다.

    일반 국민이 주권을 행사하고자 의무를 인식하고 이행하는

    사람은 드물다. 그저 몸에 배어있을 뿐이다. 이처럼 교사도

    교사로서의 의무를 몸에 배어서 이행한다면 교권의 행사는

    타당하다고 인식될 것이다. 하지만, 몸에 배어있지 않을 때, 혹은

    가끔 망각하고 지나칠 때, 인식조차 못할 때 등등의 경우를 대비해서

    교사는 늘 법을 가까이 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실례로 학생의

    의사표현의 자유에 대한 그 허용범위가 교육법에 개괄적으로

    명시되어 있음에도, 최근 학생의 두발 자유를 위한 시위 등 학생들의

  • 집단 행동에 대해 대처 방안을 몰라 혼란스러워 하고 있다. 또 교원에

    대한 학부모의 부당한 처우에 대해서도 교원으로서의 지위를 지키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지 당황스러워 무릎까지 꿇는 사태가 벌어지는

    것은 아닐까?

    그래서 법을 가까이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교육에 대한

    성문법원만 살펴봐도 헌법을 비롯하여 교육기본법, 초·중등교육법,

    고등교육법, 교육공무원법, 사립학교법, 교원지위향상을위한특별법 등

    다양한 법이 있다. 교원이 이에 명시되어 있는 교사의 법적 지위,

    사회적 지위, 교육공무원으로서의 지위, 근로자이자 전문가로서의

    지위에 대해 제대로 인식한다면, 책임감과 소명의식으로 교사의

    역할과 의무를 성실히 수행할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작금의 교원양성제도의 교육법 관련 교육은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실제로 국공립교육대학 11개 대학의 커리큘럼을 조사해 본

    결과 6개 대학만이 교육법 및 법학에 대한 교과 편성이 있었고

    그것도 필수 과목이 아니라 선택 과목으로 편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물론 다른 과목들을 통해 교사의 가치관이나 윤리 의식을

    정립하는 기회가 있고 교육실습을 통해 현장 경험을 쌓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철학이나 이념 등 현실성이 떨어지거나 다양한

    상황을 경험하기에 시간의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의과대학에서

    환자 진료 기록을 보고 집담회 등을 통해 간접 경험과 실무 경험 등

    전문성을 키워 가듯이 교사들도 다양한 교육활동 관련 사례 등을

    이용하여 실무 경험을 넓히는 수련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교직을 준비하는 학생들이 교사의 지위 및 권리, 의무 등을

    인식하고 다양한 경험을 체험할 수 있는 있도록 교육 관련법에 대한

    학문을 교원 양성 과정의 교직 필수 과목으로 지정할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난해한 법률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교육법 관련 판례를 통한

    법적 사고의식 고취 가능성을 제시해 본다.

  • ⅡⅡⅡⅡ. . . . 교권교권교권교권 침해의침해의침해의침해의 심각성심각성심각성심각성

    지식기반사회는 새로운 지식의 창조와 전파가 특징이고,

    학교교육이 그 주도적 역할을 맡고 있다. 그리고 개인 또는 한 나라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가장 필요한 요소가 우수인력의 배출이며,

    학교교육을 통해서 그 실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학교교육의

    핵심주체는 교사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교사의 지위는 갈수록

    추락하고 있다. 각 종 매체를 통해 교권이 위협 받는 사건 사고

    기사를 거의 매일 접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례로 2005년 9월, 경기도 A중학교 3학년 교실에서 새로 발령

    받은 미술교사가 수행평가를 실시하던 중 학생이 작품을 부수고

    교사에게 대드는 일이 발생했다. 2005년 5월에는 경북 C초등학교

    학부모 김모씨는 '담임교사가 자녀를 집중적으로 표적 삼아 학대한다.

    자녀가 교도소 생활과 같은 학교생활을 하고 있다'는 내용의 허위

    민원서를 지역교육청에 내면서 해당 교사를 정신적으로 괴롭히는

    일도 있었다. 한편 2006년 5월 18일에도 청주시내 한 초등학교

    회의실에 2학년 학생의 학부모들이 찾아와 담임 여교사의 징계를

    요구하며 거세게 항의했고 이 여교사가 눈물을 흘리며 "사과를 해서

    해결이 된다면 무릎을 꿇겠다"면서 "정말 죄송하다"고 사과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또 2006년 5월 19일, 인천시 연수구 Y중학교

    3학년 교실에서 종례 훈시 중이던 담임교사 S(23.여)씨가

    K(15)군으로부터 폭행 당한 사건이 뒤늦게 알려졌다. 인천시

    교육청에 따르면 K군은 S교사에게 "종례를 빨리 끝내라"고 소리치며

    교실을 나가려다 이를 저지하는 S교사를 밀어 넘어뜨린 뒤 발로 수

    차례 걷어 찬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에 따르면 2005년 발생한 학부모의 폭언과

    폭행, 협박 등 부당행위로 인한 교사들의 피해사례는 52건으로

    전년도의 40건에 비해 30%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지난 5년간

    전국 초·중·고교의 교권침해 사례 분석에 따르면 2001년 12건에

  • 그쳤던 교사의 ‘부당행위 피해’가 지난해 52건으로 4.3배 증가했다.

    부당행위 피해란 학부모·학생 등에 의한 직·간접적 폭행, 협박, 폭언

    등을 말한다. 전체 교권침해 사례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11.5%에서 29.2%로 급증했다. 부당행위 피해는 2002년 19건,

    2003년 32건, 2004년 40건 등 해마다 급증세를 보였다.

    교총은“교사를 대상으로 한 폭력과 폭언 등은 교육행위에 직접적으로

    악영향을 미치는 가장 심각하고 치명적인 교권 침해”라고 말했다.

    이런 일이 벌어지는 원인으로는 ‘학생지도와 학교운영 과정에서

    벌어지는 마찰’이 44.2%로 가장 많았고 이어 ‘학생체벌’ 36.5%,

    ‘학교안전사고’ 5.8%였다.

    이렇듯 교사가 학부모와 학생에게 폭행이나 폭언, 협박 등을

    당하는 일이 최근 5년 사이 4배 이상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교권 약화의 한 요인으로 교원단체들은 정부가 최근 교원복지

    강화정책을 실시하기는커녕 오히려 정년단축과 교원평가제 실시,

    부적격교사 퇴출 등 교원지위 약화정책을 남발하고 있다고 꼽고 있다.

    교총 관계자는 "정부가 모든 교사들을 반개혁적 세력인 것처럼

    몰아세우다 보니 상당수 국민들이 교육계를 폄하하고 좋지 않게 보는

    분위기가 형성된 것이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교원과 학부모,

    학생 등 교육주체간의 신뢰가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한편, 교육인적자원부가 2005년 제출한 국감자료에 따르면

    2002∼2005년 상반기 교원이 성추행이나 성폭행, 혼외 성관계를

    했다가 징계를 받은 건수는 모두 52건으로 가장 많았다. 직무불성실

    및 직무거부에 따른 징계가 49건으로 그 뒤를 따랐고 불법단체 가입

    및 불법 집단 행동 33건, 회계 및 인사 문란 28건, 외부 금품수수

    27건, 폭언ㆍ폭행ㆍ체벌ㆍ 불화ㆍ음주추태 19건, 직원과 학생에 대한

    감독ㆍ지도 소홀 19건, 성적ㆍ입학ㆍ출제 등 부정 9건 등 이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 일부 교원의 금품 및 촌지수수와 성폭행,

    성적조작 등 각종 비리문제가 불거지면서 교육계에 대한 불신은

    커져왔다. 이에 교직 사회 내에서도 자성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실제 다른 직종보다 엄격한 도덕적 책임이 수반되는 교직사회에서

  • 일부이긴 하지만 비리문제가 불거지면서 교직사회 전체가 학부모와

    학생 등 다른 교육 관련 주체로부터 불신을 받고 있는 셈이다. 교총

    교권팀 관계자는 “학부모 등 교육 수요자의 권리가 크게 부각되면서

    교육 전문가인 교원의 판단을 무시하고 자기 자녀만 생각하는 잘못된

    이기주의의 만연이 교권침해 증가의 주된 원인”이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이렇게 급증하는 교권침해 사례 및 각종 사건 사고로 인해

    교육계의 교권 회복 및 실추가 관심사로 대두되었다. 학교바로세우기

    실천연대, 전국교사노조, 한국교원단체 총연합회 등 교원단체가

    제목소리를 내기 위해 여러 단체를 결성하고 있지만, 교권 침해 사례

    및 교육 주체간의 불신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 ⅢⅢⅢⅢ. . . . 교사의교사의교사의교사의 지위지위지위지위 하락하락하락하락 요인요인요인요인 및및및및 해결해결해결해결 방안방안방안방안

    1. 1. 1. 1. 교사의교사의교사의교사의 지위지위지위지위 하락하락하락하락 요인요인요인요인

    가가가가. . . . 사회사회사회사회 환경의환경의환경의환경의 변화변화변화변화

    교사의 지위, 특히 스승으로서의 사회적 지위가 낮아지고 있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큰 원인은 사회 환경의 변화에서

    찾을 수 있다. 종전에는 교사만이 유일한 지식전달의 역할자였는데,

    최근에는 정보화의 추세로 누구나 교사의 도움 없이도 정보에

    접근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사이버공간의 확대는 앞으로 학교

    내지 교사 직종 자체가 없어진다는 성급한 진단까지 나올 정도이다.

    다음으로 사교육의 증가를 들 수 있다. 우후죽순으로 늘어나고

    있는 각종 고액학원들도 대기하지 않으면 수강이 어렸다고 한다. 입시

    코드에 맞는 맞춤형 강의는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높은 신뢰는 얻고

    있다. 이는 방법론적 교육을 강조하는 현 교육 실태와 접목된다고 할

    수 있다. 심지어 학부모 및 학생들의 고민을 학원 강사들에게

    상담하는 사례가 급증하면서 교사는 지식전달자뿐만 아니라 인성교육

    및 학생지도 역할자로서도 위기를 맞고 있다. 이에 공교육과 교사의

    위치는 설 곳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또한, 직업의 다양화로 대기업이나 벤처기업과 같은 직업을

    선호하고 있어, 종전같이 우수인재가 교직만을 선호하지 않는다. 이는

    상대적으로 봉급수준과 전문성의 낙후를 가져와 사기가 떨어지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또 큰 사회적 변화는 아이들의 가치관 변화이다. 종전에는

    충효강조의 유교적 전통에서 연장자 내지 스승에게 복종하였던

    아이들이 이제는 서구 개인주의 내지 경쟁위주의 시장경제주의로

    말미암아 자기중심적인 아이들로 변했다. 청소년기에 반항은 항상

    있는 것이지만, 요즘의 많은 아이들은 어른에 대한 존경 또는 타인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 이는 핵가족 하에서 아이들에 대한 지나친

  • 보호적 사랑도 한 원인일 수 있다. 일선의 많은 교사들은 학생들의

    반항 내지 교사 무시에 학생지도의 의욕이 없어진다고 지적하고 있다.

    여기에 더하여 학부모까지 교사 내지 학교를 불신하면서

    아이들의 교사 불신을 더하게 한다. “교사는 학부모를 대신한다”는

    전통은 학부모가 교사를 전적으로 신뢰하는데 그 바탕을 둔다.

    학부모가 교사를 불신하는 이유는 교사가 “지식”전달을 학원보다

    못하고, 학생에 대한 애정과 사랑의 지도가 없기 때문일 것이다.

    나나나나. . . . 교사에교사에교사에교사에 대한대한대한대한 신뢰신뢰신뢰신뢰 실추실추실추실추

    학생이나 학부모가 교사 내지 학교를 불신하고 있는 큰 이유 중

    하나는 교사의 자질에 대한 불신이다. 학교바로세우기실천연대에서

    학생,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69.6%가 교원의

    역할과 능력에 대하여 불만이 있다고 응답했다(학실련, 2000). 최근

    일본도 공교육의 위기가 심각하여 몇 달 사이 학교장의 연이은 자살

    사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공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과반수 정도의 일본 학부모들은 교사의 자질 부족이라고

    말하였다.

    자기 전공분야를 얼마나 열심히 공부하여, 날로 새로워지는

    지식을 제대로 전수하고 있는지 교사들이 자성해 볼 필요가 있다.

    아이들이 권위주의적으로 지시만 한다고 따르지는 않는다. 진정한

    교사 존경은 학생들을 잘 가르치고 학생들에게 관심을 갖고 학생들을

    지도할 때 가능하다고 믿는다. 교사들이 전문가로서 긍지를 가질 수

    있는가, 자기 계발 노력을 얼마나 하였는가, 가르치는 일보다는

    승진에 더 관심을 갖지는 않았는가 등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다다다다. . . . 열악한열악한열악한열악한 교육환경교육환경교육환경교육환경

    교사의 주된 불만 중 하나가 교육환경이다. Maslow의

    욕구계층제이론이나, Herzberg의 위생요인이론에서 알 수 있듯이

    물리적 환경의 주된 충족 책임은 조직 관리자에 있다. 대표적인

  • 교육환경의 문제는 자주성이 거의 없는 획일화된 교과과정,

    상대적으로 낮은 봉급수준, 후생복지시설, 교사 1인당 학생수,

    수업시간, 연구실 부재, 공문서 및 외부행사 참여 같은 잡무 등이

    있다.

    라라라라. . . . 교원지위교원지위교원지위교원지위 약화약화약화약화 정책정책정책정책

    정부가 최근 교원복지 강화정책을 실시하기는커녕 오히려

    정년단축과 교원평가제 실시, 부적격교사 퇴출 등 교원지위

    약화정책을 남발하고 있다. 특히 교원평가제의 실시는 교사들이

    교원으로서 신분의 불안감을 느끼는 가장 큰 요인이라는 설문 조사

    결과도 있다(2005,위미숙). 그리고 정부가 모든 교사들을 반개혁적

    세력인 것처럼 몰아세우다 보니 상당수 국민들이 교육계를 폄하하고

    좋지 않게 보는 분위기가 형성되었다는 분석도 있다.

    또한 정부의 안정화되지 않은 교육정책을 꼽을 수 있다. 교육은

    백년대계라고 했지만 현 정권 기간만 해도 교육부총리의 경질, 임명이

    반복되었고, 이에 교육부는 일관성 있는 교육정책을 추진할 수도

    없었다. 이에 교육관련 주체들의 교육부에 대한 불신 증가는 어쩌면

    당연지사라 하겠다. 정부의 교육부 불신과 교육부총리의 잦은 교체는

    학생, 학부모의 공교육 및 교사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져 결국에는

    공교육의 위기와 교권 추락으로 이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 2. 2. 2. 교사의교사의교사의교사의 지위지위지위지위 향상향상향상향상 방안방안방안방안

    앞에서 지적된 교사의 지위하락 요인과 관련하여 그 향상방안을

    몇 가지로 생각해 본다.

    가가가가. . . . 전문가로서의전문가로서의전문가로서의전문가로서의 지위지위지위지위 강화강화강화강화

    사회환경의 급속한 변화는 피할 수 없다. 사회적 변화에 맞추어

    교육 주체인 교사도 자기변화를 해야 한다. 교사는 직무인 “교육”에서

  • 10

    긍지와 보람을 찾을 수 있도록 전문가로서의 지위를 강화해야 한다.

    전문가로서의 지위 강화는 교원의 양성, 자격, 임용제도와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전문직으로서의 지위는 교사의 연수 및

    승진체제의 개선으로 강화된다. 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하여 가장

    근본적인 것은 교사의 자주성과 전문성을 믿고 교재선택, 교과과정의

    다양화와 정책에의 참여, 교육내용 및 방법의 자주성 등을 보장하는

    것이다. 대학 교수들에게 인정되고 있는 학문의 자유도

    일정범위에서는 부분적으로 교사에게 인정되어야 창의력 있는 교육이

    가능할 것이다. 교사들의 교육정책 참여기회를 확대하기 위하여

    교직발전 종합방안에 학술연구비 및 연구과제 공모에 교원의 참여

    방안도 제시되고 있다.

    교사들은 새로운 지식의 전달 뿐 아니라 학생들에 대한

    인성교육과 학생지도도 중요시해야 한다. 학생들은 정보화로 미시적

    전자오락 게임 등을 주로 하여 남을 배려하는 거시적 안목이

    부족하다. 학교라는 공동체에서 사회화 과정을 통하여 이러한 덕목을

    키울 필요가 있다.

    나나나나. . . . 근로자로근로자로근로자로근로자로서의서의서의서의 지위향상지위향상지위향상지위향상 ( ( ( (열악한열악한열악한열악한 교육환경의교육환경의교육환경의교육환경의 개선개선개선개선))))

    교사들이 전문가로서 자기 직분인 교육을 제대로 하기 위하여

    교육환경의 개선이 필수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한다.

    교직발전 종합방안의 일환으로 학습환경 및 근무조건 개선방안이

    있는데, 학생상담, 생활지도, 업무기획 등 업무부담이 큰 교사에게

    지급되는 수당을 연차적으로 인상한다는 안건이다. 또 교원들의

    연구ㆍ토론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교과 또는 학년 연구실을

    연차적으로 확충하고, 각종 편의 시설을 마련하고, 현행 교무실에서

    연구가 어려우므로 소규모화된 세미나실 또는 개별 연구실 마련이

    중요하다는 주장이 있다(2000, 표시열).

    한편, 이러한 계획안에 대하여 전문성 신장을 유도할 수 있는

    보수체제가 아니며, 성과급도 반영되어 있지 않고, 교사 충원계획도

  • 11

    부족하다고 비판하며, 일본과 같이 「우수교원확보법」을 지정하자는

    주장도 있다(서정화, 2000, 5-12).

    공문서량을 감축하고, 외부행사 동원을 억제하며 교육 이외의

    업무 부담이 완화되어야 하며, 교원이 각종 사고 책임에서 안심하고

    교육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학교안전공제회의 기금을 확충하고

    보상절차를 신속ㆍ간편히 해야 한다. 이와 같은 교육환경의 개선은

    교원 노동조합이 적극 관심을 갖고 정부와 단체 교섭을 통하여

    해결하여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또 환경개선에는 엄청난 예산확보가

    전제됨으로 정치적 결단과 국민의 여론형성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다다다다. . . . 스승으로서의스승으로서의스승으로서의스승으로서의 사회적사회적사회적사회적 지위지위지위지위 회복회복회복회복 ( ( ( (학부모와학부모와학부모와학부모와 학생의학생의학생의학생의 스승스승스승스승

    존경존경존경존경 풍토풍토풍토풍토 조성조성조성조성))))

    교사의 사회적 지위하락에 큰 요인이 되고 있는 교사에 대한

    불신을 해소하고, 나아가 교사를 존경하는 분위기 조성은 쉽게

    해결하기 어려운 장기적 과제이다. 교직발전 종합방안에서 계획하고

    있는 교육 공통체 구성원간의 신뢰회복 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교원ㆍ학생ㆍ학부모 헌장 제정을 권장하고, 학교에서 제반 분쟁을

    합리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학교운영위원회내에

    학교분쟁조정위원회를 구성ㆍ운영한다. 스승 존경 풍토를 조성하기

    위하여 우수교원의 사례를 적극 발굴하고 홍보하여, 언론과의 협조를

    강화한다. 교원 불신의 요소를 없애기 위하여 교직 윤리를 강화하고,

    성범죄 및 약물중독 같은 부적격 교원을 적법절차 안에서 배제한다.

    이밖에도 교직발전 종합방안에 교원우대카드제가 포함되어야 한다.

    이에 앞서 교사의 존경분위기 조성에는 학부모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학부모가 자기 아이만 생각하고, 교사의 수업

    내지 학생지도 소홀을 불만스럽게 생각하면 결국 자기 아이로 하여금

    교사 불신을 조장하게 되기 때문이다.

  • 12

    라라라라. . . . 제도적제도적제도적제도적 지원지원지원지원

    교육계에서는 교권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각 교사들이 교권의 신뢰를 되찾기 위해

    서로 노력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교총 관계자는 "일부

    교사의 자질 부족으로 인해 스승으로서의 역할을 열심히 하는

    교사들마저 평가 절하되고 있다."며, "교원 스스로 자정 노력을 하고

    전문성을 높인다면 무너진 교권을 어느 정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가칭 '학생교육 및 교권보호법'이

    제정되고 학교 내에서 학부모들의 과도한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는

    대책 등 제도적 장치도 마련돼야 한다고 교원단체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교육부는 학부모 상담·민원 절차를 마련하고 학생지도 방법 및

    징계절차를 학칙에 규정, 교권침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기로 했다고 한다. 또한 학부모의 교사에 대한 협박과

    폭언·폭력행위가 있는 경우 교사나 학교장이 즉각 경찰에 고발토록

    하는 등 적극 대응한다는 방침도 세워놓고 있다. 학교운영위원회도

    학부모가 학교를 간섭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들의 고충을 도와주는데

    초점을 두어야 학교 공동체가 신뢰를 쌓고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교육부는 교권 침해 사례가 재발되지 않도록 '교권보호

    법률지원단'을 설치하고 교권 침해 사례를 은폐하거나 늦게 보고하는

    학교장을 엄중 문책하기로 하는 등 교권보호를 위한 안전망도 조속히

    구축하기로 했다. 이렇게 교육부를 비롯 교육관련 각종 단체들이

    교육계의 신뢰 회복과 교권 회복 및 교원의 자질 구축에 대해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마마마마. . . . 교원의교원의교원의교원의 교육법교육법교육법교육법 이해이해이해이해 ( ( ( (판례판례판례판례 활용활용활용활용))))

    교사의 전문지식에서 가장 취약한 분야 중 하나가 법 지식일

    것이다. 민주주의의 핵심원리가 헌법에 규정되었고, 일상의 많은

    행위가 법률행위인데 기본적인 지식이 없어 문제가 되는 경우 당혹해

  • 13

    한다. 학생들을 교육하는 교사들은 민주주의의 기본원리 예컨대,

    표현의 자유, 적법절차, 평등권 등의 기본적인 법 원리를 알고

    학생들에게 생활 지도에서 실습시켜야 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또한 법적 지식이 강조되어 헌법의 기본원리가 학생들에게도

    실습되어야 한다. 법적 지식은 교사 스스로의 권리보호를 위하여서도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적어도 헌법과 교육법이 교직과목으로

    이수되어야 하며, 교사 및 관리자의 연수과정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법은 일반인들이 이해하기에 매우 난해하다는 것을 인정한다. 그

    이해를 돕기 위해 판례의 활용을 적극 제안한다. 교육관련 판례는

    교육법의 중요한 불문법원으로 헌법재판소와 대법원 및 하급심의

    교육판례 등을 말한다.

    판례를 통한 교육이 교원들에게 기대되는 학습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법의 해석과 이해를 용이하게 한다. 둘째, 교육

    활동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학교관련안전사고 등 다양한 사례가 매우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어 사전에 간접 경험을 학습하고 유사 시

    위기 대처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셋째, 교원은 학생 지도에 있어

    법을 그 준거로 삼아 올바른 가치판단을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넷째, 교원의 권리 및 의무를 인식하고 이를 준수함으로써 교권

    확립을 위해 노력해야 함을 자각할 것이다. 다섯째, 교원이 민주주의

    기본 원리인 법의 원리에 입각한 학생 지도 실행은 나아가 학생들이

    법을 인식하고 성숙한 민주주의 시민으로 성장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에 다음 장에서는 교육법의 정의 및 종류, 교원의 권리 및 의무,

    교육관련 판례 및 그 해석 등을 소개하였다.

  • 14

    ⅣⅣⅣⅣ. . . . 교육법교육법교육법교육법 정의정의정의정의 및및및및 교육관련법의교육관련법의교육관련법의교육관련법의 종류종류종류종류

    법은 법률관계를 대상으로 한다. 법률관계란 사회규범의 입장에서

    본 생활관계의 유형 가운데 법률이 적용되는 생활관계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논리로 교육법관계를 정의하면 교육법관계란 교육법이

    적용되는 법률관계라고 규정할 수 있다. 이 관계에서는

    교육당사자들의 권리와 의무의 관계를 다룬다.

    ‘교육법전 교학사, 2001 기준’ 헌법을 제외한 교육관계 법률이

    78개, 시행령이 66개, 각종 규정이 60개, 규칙이 101개로서, 법령

    전체의 가지 수가 모두 305개에 이른다(2001, 교육법전). 이들

    법령들은 교육기본에 관한 것, 교육조직과 편제에 관한 것, 교직원

    인사에 관한 것, 학사에 관한 것, 사학에 관한 것, 과학 기술

    직업교육에 관한 것, 평생교육 · 유아교육 · 특수교육 · 청소년교육 ·

    체육교육에 관한 것, 재무 회계에 관한 것, 문서 처무에 관한 것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1. 1. 1. 1. 성문법원성문법원성문법원성문법원

    교육법의 성문법원은 1997년에 전면 개편되었다. 이전에는

    교육에 관한 일반법으로서 [교육법]이라고 하는 것이 있었다. 이

    구법은 교육에 관한 기본적인 법 원칙과 초·중등학교 교육 및

    고등학교 교육에 관한 사항을 모두 포함하여 규정하고 있던 것(총

    144개 조문)으로서 1948년 12월 31일에 제정되어 1998년 2월

    28일까지 존속하였다. 그러던 것이 1997년 11월 18일 [교육기본법]

    29개조, [초·중등교육법] 68개조, [고등교육법] 64개조 등 3개 법률에

    총 161개 조문을 가진 법체계로 개편되었으며, 개편된 법률들은

    1998년 3월 1일자로 시행에 들어갔다. 교육법을 이렇게 개편하게 된

    것은 구 교육법이 법으로서의 체계를 상실함은 물론, 그 법이

    규율하는 교육법관계가 교육당사자들의 법의식을 반영하는 데에는

    한계가 드러났기 때문이다.

  • 15

    교육법의 법원 중에는 헌법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헌법

    제31조에는 가장 직접적인 교육에 관한 규정이 명시되어 있다. 제1항

    내지 제6항에서 교육기회의 균등한 보장, 의무교육의 실시와

    의무교육의 무상, 교육의 자주성·전문성·정치적 중립성과 대학의

    자율성 보장, 평생교육의 진흥, 교육제도의 법정주의를 선언하고 있다.

    제31조 외에도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있는 제10조, 법 앞의 평등과

    차별 금지를 규정한 제11조, 종교의 자유에 관한 제20조, 언론 출판

    집회 결사의 자유를 정한 제21조, 학문과 예술의 자유에 관한 제22조,

    근로자의 권리에 관한 제33조 등이 교육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헌법을 제외하고는 위에 언급한 [교육기본법], [초·중등교육법],

    [고등교육법] 등 3개의 법률이 가장 중요하다. 여기에 교육공무원법,

    사립학교법, 교원지위법, 평생교육법, 교원노조법 등이 주요

    성문법원으로 포함되고 있다.

    그 외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과 협약, 규약, 헌장, 규정, 협정,

    의정서, 선언, 결정서 등의 조약 및 국제법규와 대통령령, 총리령,

    부령, 국회규칙, 대법원규칙 등의 각종 명령, 조례와 규칙 같은 자치

    법규 등이 있다.

    2. 2. 2. 2. 교육의교육의교육의교육의 불문법원불문법원불문법원불문법원

    일반적으로 불문법원이라 함은 관습법, 판례법, 조리 혹은 학설이

    포함된다. 그 중 헌법재판소 판례를 검색해 보면 1989년부터 2001년

    6월까지 [학교교육]에 관한 판례가 85건에 이른다. 대법원 판례는

    1948년 이후 2001년 8월까지 [학교교육]에 관한 판례가 353건에

    이른다. 하급심 판례는 1984년부터 1999년까지 [학교교육]에 관한

    판례가 255건에 이른다. 이들 판례들이 모두 [학교교육] 그 자체를

    다루는 판례들인지는 구체적으로 확인해 봐야겠지만, 그 수에 있어서

    생각보다 적지 않다. 한편 교육법의 불문법원으로서의 학설에

    관해서는 학계의 교육법 연구 성과가 많이 나오고 있어서 앞으로

    법원이나 헌법재판소에서 교육 사건을 다루는 데에 크게 일조할

  • 16

    것으로 본다.

    3. 3. 3. 3. 기타기타기타기타

    교육기본법의 규정을 기본으로 삼아 학교제도, 사회교육제도,

    교육행정제도, 교육재정제도, 교원인사제도, 교육진흥제도, 장학제도 등은

    여러 세부 영역별로 교육제도 및 그 운영과 관련되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교원 및 교육행정가가 반드시 개괄적인 수준이나마 내용

    파악과 이해가 요구된다.

  • 17

    ⅤⅤⅤⅤ. . . . 교사의교사의교사의교사의 법적법적법적법적 지위지위지위지위

    1. 1. 1. 1. 법적법적법적법적 지위의지위의지위의지위의 의미의미의미의미

    교사의 법적 지위는 사회적·경제적 지위와는 별개의 개념이

    아니며 교류하는 관계에 놓인다. 즉 법적 지위 측면에서

    사회적·경제적 지위를 논할 수도 있고 사회적·경제적 지위 측면에서

    법적 지위를 논할 수도 있다. 또한 법적 지위의 내용인

    권리·의무·책임관계로 인해 사회적·경제적 지위가 향상 또는 위축될

    수 있고 반대로 사회적·경제적 지위수준의 변화는 법적 지위의 내용

    변동을 가져올 수도 있는 것이다.

    교사의 법적 지위는 교육기본권 실현을 위하여 학생, 학교,

    지역사회, 국가에 대하여 교사에게 기대되는 법제화된 역할, 즉

    신분을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교사의 기본권과 관련된

    권리·의무·책임을 법으로 규정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권의

    주체가 국가인지 아니면 국민인지에 따라서 교사의 법적 지위는

    차이를 드러내지만 현대 공교육체제하에서 교사의 법적 지위는

    교사로서의 신분보장, 사회적·경제적 지위보장 등 교사의 권리뿐만

    아니라 교육기본권의 적극적 실현을 위한 행위의 강제와

    교육기본권의 실현을 저해할 우려가 있는 행위의 금지를 포함한

    의무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며 의무위반에 대한 책임 규정까지도

    포함한다.

    협의로서 교사의 법적 지위는 교사에 대한 역할기대를

    법제화시킨 신분을 의미하며 이는 교사의 법적 지위 형식에 해당된다.

    교원으로서 독립된 신분을 갖느냐 혹은 공무원 신분의 하나로

    규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공무원 신분 중에서도

    정공무원인지 준공무원인지, 그리고 국가공무원인지 지방공무원인지에

    따라 법적 지위는 달라진다. 교원 신분의 경우에도 학교급별 또는

    학교설립에 따라 법적 지위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광의로서

  • 18

    교사의 법적 지위는 신분에 관계된 권리·의무·책임관계를 넘어서

    법률로 규정된 교사 지위 제측면, 즉 사회적·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지위의 법률상 규정과 교직의 성격에 따른 교사 지위의 제유형, 즉

    인격자 · 전문가 · 공직자 · 근로자에 따른 법률상 규정까지도

    포함하게 된다.

    2. 2. 2. 2. 교육공무원으로서의교육공무원으로서의교육공무원으로서의교육공무원으로서의 지위지위지위지위

    교사의 법적 지위는 국ㆍ공립학교 교사인가, 사립학교 교사인가에

    따라 그 성격이 다르다. 국ㆍ공립학교 교사는 교육공무원법 및

    교육공무원임용령의 적용을 받는 “교육공무원”이다.

    교육공무원은 교육을 통하여 국민 전체에 대하여 봉사하는

    자이다(교육공무원법 제1조).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로서의 지위는

    교육공무원 뿐 아니라, 모든 공무원의 헌법상의 의무이기도 하다(헌법

    제7조①).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란 특정인이나 특정 당파, 종교,

    지역, 계층 등의 부분적 이익을 지양하고 공공이익을 추구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공공이익 또는 공공복리 개념을 어떻게 정의하고

    추구하는가 하는 문제는 매우 어려운 과제이다.

    다음과 같은 지침은 공익 추구 자세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첫째, 공무원은 자기 앞에 나타난 특정인 또는 특정단체만을

    만족시켜 주려는 유혹을 벗어나 자기 앞에 나타나지 않은 반대적

    이해 관계인, 나아가 국민전체의 이익과 장기적 효과를 생각해야 한다.

    어떤 정책결정을 최종적으로 하기 전에 “내가 만약 공개적으로

    비평을 받더라도 지금과 같은 방법으로 지금과 같은 내용의 결정을

    했어야 했다고 생각하는가”를 자문해 봐야 한다.

    둘째, 공무원은 민주적 동의 절차를 존중해야 한다. 공무원들은

    일단 자리를 차지하고 나면 자기권한을 지키는데 급급하여 자기가

    하는 일에 입법자나 시민이 어떤 이해관계를 갖는지 제대로 살펴

    보지를 못한다. 공무원, 특히 교육공무원은 경제적 생활에 있어서와

    같이 영리를 위하여 일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과 국가를 위하여

  • 19

    봉사하는 것이 특징이므로 공무원은 타인을 돕는 것에 자랑과 명예를

    느끼는 사람이어야 한다. 그러나 사실 타인을 돕는다는 것,

    봉사한다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지만, 교사는 지성인으로서 꾸준한

    자기성찰과 반성이 필요하다.

    3. 3. 3. 3. 사립학교사립학교사립학교사립학교 교원의교원의교원의교원의 법적법적법적법적 지위지위지위지위

    외국의 경우에는 국공립학교 교원은 공무원 신분을 부여하지만

    사립학교 교원의 경우는 민법과 노동법의 규율대상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사립학교법인과 교원의 관계는

    원칙적으로 사적 계약관계이나, 교직의 사회적 중요성에 비추어

    공적인 의무를 강화하여 국공립학교 교원과 동등한 권리ㆍ의무를

    지니도록 규정하고 있다. 사립학교 교원의 신분을 공무원에 준하도록

    정한 법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963년 제정된 「사립학교법」 제55조는 “사립학교 교원의

    복무에 관해서는 국공립학교 교원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고 하여

    원칙적으로 국공립학교와 사립학교 교원의 신분을 동등하게 규정하고

    있다. 사립학교법 제56조 내지 제58조에서도 사립학교 교원의

    신분보장에 있어서 의사에 반한 휴직ㆍ면직 등의 금지, 휴직의 사유

    등에 있어 기본적으로 교육공무원법 내지 국가공무원법과 같은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사립학교법 제60조에서는 교원의

    불체포특권도 교육공무원과 마찬가지로 보장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이와 같이 사립학교 교원의 신분을 공무원에

    준하도록 한 것은 헌법 제31조에 보장된 국민의 교육권 보호, 교육의

    자주성ㆍ전문성 및 정치적 중립성 보장, 교원의 지위향상 등의 목적과

    함께 교육사업의 비영리적 특수성에 토대를 둔 것이다.

    따라서 민간단체인 사립학교법인과 공무원에 준하는 신분의

    교원간 법률관계에 있어서 그 성격 규명이 어렵다. 사립학교법인의

    교원징계 행위의 법적 성격이 사법상의 법률행위인가, 공법행위 내지

    준공법행위로 볼 것인가의 논란이 있다.

  • 20

    4. 4. 4. 4. 근로자로서근로자로서근로자로서근로자로서의의의의 지위지위지위지위

    교사도 기본적으로 근로자라 할 수 있다. 공무원인 근로자는

    법률이 정하는 자에 한하여 근로3권을 인정하고 있다(헌법 제33조②).

    국가공무원법 제66조에서 매우 제한된 노무에 종사하는 자에게만

    단결권과 단체협상권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교원의노동조합설립및운영에관한법률은 국가공무원법 제66조 제1항

    및 사립학교법 제55조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교원들의 노동조합 결성

    및 단체교섭권을 인정하고 있다.

    보편적으로 국제기준을 따라 학습권이 침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노동기본권을 보장하되, 교원의 특수 신분을 고려하여,

    단결권과 단체교섭권은 인정되나, 쟁의행위는 허용되지 않는다.

    단체교섭권과 관련, 단체협약 체결권을 인정하되 법령ㆍ조례 예산에

    의해 규정되는 내용과 법령 또는 조례에 의한 위임을 받아 규정되는

    내용은 단체협약의 효력을 인정하지 않고 사용자측에 성실이행의무가

    부여된다. 그리고, 쟁의행위 금지에 따른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중앙노동위원회에 별도의 노동관계조정위원회가 설치된다.

    한편, 전국 또는 시ㆍ도 단위에 한하여 노조설립이 허용된다.

    교원은 임금ㆍ근무조건 등이 전국단위에서 획일적으로 결정되고

    임용권도 시ㆍ도 교육감이 갖고 있는 등 교원의 특수성이 있으므로

    전국 또는 시ㆍ도 단위에 한하여 교원노조 설립이 가능하며, 단위학교

    차원에서의 교원노조 설립은 금지된다.

    교섭구조는 노동조합의 조직체계와 동일하게 임금ㆍ근무조건 등

    경제적ㆍ사회적 지위 향상과 관련된 사항으로 한정된다.

    교육정책ㆍ교육과정 등의 사항은 관련 법령과 국가정책에 의하여

    결정되고 국민의 학습권과 직결되는 사항이므로 교섭사항이 되지

    않는다. 단체교섭시 국민여론ㆍ학부모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야 한다.

    단체교섭ㆍ협약 과정에서 국민의 학습권이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계 당사자는 국민 여론 및 학부모의 의견을 수렴하여

    교섭에 임해야 한다.

  • 21

    5. 5. 5. 5. 전문가로서의전문가로서의전문가로서의전문가로서의 지위지위지위지위

    교육의 중요성 때문에 우리나라 헌법에서는 교육의 기본원칙을

    규정하고 있다. 그 중 가장 핵심적인 내용이 교육의 자주성과

    전문성이다. 헌법 제31조 제4항은 교육의 자주성ㆍ전문성ㆍ정치적

    중립성 및 대학의 자율성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보장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교육기본법에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교육의

    자주성과 전문성을 보장하여야 하며, 지역 실정에 맞는 교육시책을

    수립하고, 학교운영에 있어 교직원의 참여를 규정하고 있다(동법

    제5조).

    학교조직은 미래 주인공들이 창의력과 장기적 안목을 키우는

    곳이므로 교육은 전문가에 의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의

    자주성이란 교육 내용에 행정 권력이 불합리하게 간섭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며, 교육의 전문성은 교육정책의 수립이나 집행 시

    가급적 교육전문가가 참여하여야 한다는 의미이다(권영성, 2000).

    교육의 전문성은 교육정책 과정에 교육전문가의 참여를 보장하는

    취지이지만, 어떻게 보면 교사의 전문성 확보라는 의무적인 성격도 있다.

    교사의 자격을 법률로 엄격히 정하고 연수를 통한 재교육의 기회를

    보장한 것도 전문성 확보를 의한 주요 수단이다. 전문가로서의 교사는

    부단한 연구와 수양의 노력이 필요한 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연수에

    필요한 연수기관의 설치, 연수 계획 수립 및 실시, 교재비 지급, 특별연수,

    연수성적의 반영 등을 시행해야 한다(교육공무원 법 제37조 내지

    제42조).

  • 22

    ⅥⅥⅥⅥ. . . . 법의법의법의법의 양면성양면성양면성양면성

    교육 관련 법은 교원의 교육활동을 보장할 수도 제한할 수도

    있는 양면적 성격을 가진다. 그 대표적 규정으로 권리와 의무를 들 수

    있다.

    즉, 권리는 그 지위에서 누릴 수 있도록 법으로 보장하는 이익이고,

    의무는 그 지위에 대하여 가해지는 법률적 구속이라는 견지가

    일반적이고, 권리란 할 수 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는 선택의

    자유를 의미하는데 비하여 의무는 하지 않을 선택의 여지가 없이

    당연히 받아들여야 하므로 의무는 권리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교직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교원의 의무는 그 영역을 넓혀 어떤 도덕적인

    필연성에 의해서 요구되는 당위나 규범이 주는 강제성까지 포함시켜

    생각해야 한다. 이렇게 법의 양면적 규정으로 어떤 동일한 사례에

    대해서도 교사의 행동은 정당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권리와 의무를 통해 교원이 어떻게 보장 혹은 제한되는지

    의사표현의 자유에 대한 법을 예를 들어 설명해 보기로 한다.

    1. 1. 1. 1. 교원의교원의교원의교원의 권리권리권리권리

    교사의 교육권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해석되었다.

    강인수(1994)는 교육권을 “교육에 관한 일정한 권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법이 특정한 개인 또는 단체에게 부여하여 그 의사를

    우선적으로 주장하고 남을 지배할 수 있는 힘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또한 권영성(1995)은 교육을 받을 권리를 좁은 의미를 ‘수학권’으로

    보고, 넓은 의미로는 교육 기회 제공 청구권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파악하면서, 교육권은 “가르치는 권리” 또는 “교육을 하는 권리”로

    이와는 본질적으로 구별된다고 하고 있다. 반면, 김철수(1995)는

    “교육을 받을 권리(학습권)”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교육을 할 권리”를

    교육권으로 파악하고 “피교육자의 인간성을 계발하고 그들에게

    문화를 전달하며 민주적인 국가 사회의 담당자를 육성한다고 하는

  • 23

    국민적인 의무와 책임 및 그를 다하기 위한 권한을 총괄하는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교육의 자유를 거기에 포함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교육권의 개념을 살펴보면 교육권이란 전문직으로서

    교직에 종사하는 교원들이 그들의 책임과 의무를 수행함에 있어 보장

    받아야 할 교육활동의 자율성, 신분과 생활의 안정, 사회적 신뢰 및

    존경 등 제반 조건에 관한 교원의 권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교원의

    권리는 교원이 학생에 대하여 가지는 법률상 권리뿐만 아니라 보다

    광범위한 개념으로서의 권리를 의미한다고 하겠다.

    이렇게 보면 교원의 권리는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눌 수 있다. 즉,

    하나는 적극적 권리로서 전문적 교육활동에 스스로 전념할 수 있는

    자율권, 생활보장 및 근무여건개선 요구권, 복지후생제도 요구권 등이

    있고, 소극적인 권리로는 신분보장, 쟁송제기권, 불체포특권,

    교직단체활동권 등이 있다(박 헌 외, 2005; 김형구, 2000). 이들

    권리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가가가. . . . 적극적적극적적극적적극적 권리권리권리권리

    1) 1) 1) 1) 자율권자율권자율권자율권

    교원의 자율권은 교육 연구 활동을 위해 타의 지시나 간섭 없이

    스스로 결정하여 추진할 수 있는 교원의 권리다. 교원의 자율권에는

    교육과정 결정 및 편성권, 교재의 선택 결정권,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

    결정권, 성적평가권, 학생지도 징계권 등이 있다.

    교재선택결정권은 우리나라의 경우 초·중등교육법 제29조

    제1항에서 “학교에서는 국가가 저작권을 가지고 있거나 교육부장관이

    검정 또는 인정한 교과용 도서를 사용하여야 하며, 교과용 도서의

    범위·저작·검정·인정·발행·공급·선정 및 가격사정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2) 2) 2) 2) 생활보장권생활보장권생활보장권생활보장권

  • 24

    생활보장권에는 교원이 안정된 생활기반 위에서 가르치는 일에

    몰두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어야 하고 교원은 이러한

    생활보장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교원의 생활은 국가로부터

    여러 수단과 방법을 통해 보장 받을 수 있으나 일차적으로는 보수 및

    기타 물질적 급부에 달려있다

    3) 3) 3) 3) 근무조건근무조건근무조건근무조건 개선개선개선개선 요구권요구권요구권요구권

    근무조건 개선은 교원이 그들 본연의 임무인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보장 받아야 할 권리 중의 하나이다. 어느 직종에 있어서나

    일의 성취와 능률의 극대화를 기하고 해당 직종에 만족스럽게 봉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무엇보다도 근무조건의 정비(整備)를

    필수조건으로 한다. 특히 전문직인 교직의 경우 교육의 효과와 능률을

    높이기 위해 적정량의 근무부담을 주는 등 적절한 근무여건을 요구할

    권리가 있다.

    4) 4) 4) 4) 복지후생제도복지후생제도복지후생제도복지후생제도 요구권요구권요구권요구권

    교원의 생활안정과 함께 가족에 대한 부양책임을 덜어줌으로써

    교사가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교원복지 및

    후생제도의 의의가 있다. 현행 교원복지 및 후생제도로는 연금, 자녀

    학비 보조금, 무주택교원 지원 등을 들 수 있다. 교사가 업무수행 중

    질병 또는 부상을 입은 경우에 국·공립학교 교사는 공무원연금법에

    의해 연금을 받는다.

    나나나나. . . . 소극적소극적소극적소극적 권리권리권리권리

    1) 1) 1) 1) 신분보장권신분보장권신분보장권신분보장권

    교원의 신분보장권은 법률이나 타의 규정에 의하지 않고는

    신분상의 불이익 처분을 받지 않을 권리를 뜻한다. 교직은 다른 어느

  • 25

    전문적인 사회적 업무와 봉사의 특성을 두드러지게 가지고 있으므로

    교원이 신분 불안정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문제는 많은 사회적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공직자로서 교원은 안정된 직무수행을 위해서 부당한

    해고로부터 보호되어야 하고 또한 교원의 권리가 존중되어야 한다.

    교원의 신분보장은 교육기본법 제14조에서도 “학교교육에서 교원의

    전문성은 존중되며, 교원의 경제적·사회적 지위는 우대되고 그 신분은

    보장되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어서 법규상으로 보면 교원의

    신분보장이 확실히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사립학교 교원도 교육공무원과 마찬가지로 신분을 보장하고 있어

    교원의 법적지위 내지 신분상의 권리에 있어서는 공·사립교원이 거의

    동일하다. 다만 사립학교 교원의 경우 정년에 관한 규정이 없이

    학교법인의 독자적인 규정에 위임하고 있다.

    2) 2) 2) 2) 소송제기권소송제기권소송제기권소송제기권

    교원은 징계처분에 대하여 불복이 있을 때

    교원지위향상을위한특별법 제7조에 의거 교육부에 설치된

    교원징계재심위원회에 재심을 청구할 수 있다. 그리고 교육공무원의

    인사에 대한 불만이나 고충을 해소하기 위해 교육공무원

    보통고충심사위원회에 고충심사를 청구할 수 있도록 하여

    교육공무원의 신분보장을 강화하고 있다. 교육공무원법에서는

    징계의결을 요구할 수 있는 경우를 “국가공무원법, 지방공무원법의

    징계사유에 해당한다고 인정하는 때”로 정하고 있다. 다시

    국가공무원법 및 지방공무원법을 보면 ‘징계사유’란 법령위반, 직무상

    의무위반 및 직무태반, 품위손상 등이 있다. 징계의 종류에는

    중징계에 속하는 파면, 해임, 정직이 있고, 경징계에 속하는 감봉

    또는 견책이 있다.

    3) 3) 3) 3) 불체포특권불체포특권불체포특권불체포특권

    교원은 현행범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소속 학교장의 동의 없이

  • 26

    학원 안에서 체포되지 아니한다(교육공무원법 제148조 및 사립학교법

    제60조). 이것은 교원이 공공업무담당자로서 직무수행을 하는

    동안에는 교원의 신분보장뿐만 아니라 교원이 자율성과 학원의

    불가침성을 지키려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교원의 불체포특권은 국회의원과 선거관리위원회 위원

    외의 다른 공무원에게는 인정되지 않는 권리이다. 교원에게 이 권리를

    인정하는 것은 학원의 자유를 보장하고 교원으로 하여금 교육 및

    연구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 권력기관의 부당한 압력을 받지 않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특권은 사립학교 교원에게도 적용된다.

    왜냐 하면 사립학교 교원의 자격과 복무는 교육공무원과 동일한 법을

    적용 받고 있기 때문이다.

    4) 4) 4) 4) 교직단체활동권교직단체활동권교직단체활동권교직단체활동권

    교원은 교사의 권리를 확보하고 교사로서의 직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교직단체활동을 할 수 있다. 교사들의 신분 및 권한의

    보장의 확대측면에서 1990년대 말에 이루어진 획기적인 변화의

    하나는 교원들의 노동조합이 인정되었다는 것이다.

    2. 2. 2. 2. 교원의교원의교원의교원의 의무의무의무의무

    교원은 교육을 위해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고도의

    도덕적 기준을 필요로 하고 있고, 또 수행해야 할 책임과 의무를

    법으로 규정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의 경우 구 교육법에

    의하면 “교원은 항상 사표가 될 품성과 자질의 향상에 힘쓰며 학문의

    연구와 교육의 원리와 방법을 탐구하여 국민교육에 전심전력하여야

    한다”로 규정하였다. 또한, 교육기본법과 초·중등교육법에서는 교원이

    준수해야 할 기본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즉, 교육자로서 갖추어야 할

    품성과 자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노력해야 할 의무(교육기본법

    제14조 2항), 교육상 필요 시 학생을 징계할 의무(초․중등교육법

    제20조),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 할 의무(교육기본법제14조 3항) 등을

  • 27

    규정하고 있다.

    서정화는 교원의 의무를 주어진 일을 수행하는 측면에서의

    의무인 적극적 의무와 해서는 안 되는 금지 사항에 관한 내용인

    소극적 의무로 분류하고 있다. 여기에서 전자에는 교육 및 연구

    활동의 의무, 선서·성실·복종의 의무, 전문직으로서의 품위유지의 의무,

    비밀엄수의 의무가 후자에는 정치활동의 금지, 집단행위의 제한, 영리

    및 겸직의 금지 등이 각각 포함된다. 이들 의무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가가가. . . . 적극적적극적적극적적극적 의무의무의무의무

    1) 1) 1) 1) 교육교육교육교육 및및및및 연구연구연구연구 활동의활동의활동의활동의 의무의무의무의무

    교육 및 연구는 교원이 행해야 할 책임이며 동시에 교원에게

    주어진 의무 중 가장 핵심적인 의무이다. 교육법상 가장 중요한

    교원의 의무는 항상 사표가 될 품성과 자질의 함양에 힘쓰며 학문의

    연찬과 교육의 원리와 방법을 탐구·연마하여 국민교육에 전심전력하는

    일이다(구 교육법 제74조). 특히 자기 수양에 힘쓰며 교육

    전문직으로서 교육의 원리와 방법을 꾸준히 연찬하여 교육활동을

    전개함에 있어 시대에 뒤지지 아니하도록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리고 교육 및 연구 활동은 교원 자신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도

    절실히 요구되는 일이며 교사로서 수행해야 할 가장 본질적인

    과업이다.

    2) 2) 2) 2) 선서선서선서선서····성실성실성실성실····복종의복종의복종의복종의 의무의무의무의무

    교원의 복무에 관한 사항은 교육공무원법과 사립학교법에 따로

    규정하지 않고 국가공무원법을 준용하도록 하고 있다(교육공무원법

    제53조 및 사립학교법 제55조). 따라서 교원은 국가공무원법에

    규정된 공무원의 모든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 즉, 교원은 취임 전에

    소속기관장 앞에서 공직자의 긍지와 보람을 가지고 국가와 국민을

  • 28

    위하여 신명을 바칠 것을 다짐하면서 법령을 준수하고 상사의 직무상

    명령에 복종해야 한다. 또 국민의 편에 서서 정직과 성실로 직무에

    전념하며 창의적인 노력과 능동적인 자세로 소임을 완수하고 재직

    중은 물론, 퇴직 후에라도 직무상 알게 된 기밀을 절대로 누설하지

    아니하며 정의의 실천자로서 앞장 설 것이라는 내용의 선서를 하여야

    한다. 또한 모든 교원은 법령을 준수하며 성실히 직무를 수행해야

    한다(국가공무원법 제50조). 마지막으로 교원은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소속 상급자의 직무상의 명령에 복종하여야 한다(국가공무원법

    제57조).

    3333) ) ) ) 전문직으로서의전문직으로서의전문직으로서의전문직으로서의 품위유지의품위유지의품위유지의품위유지의 의무의무의무의무

    교원은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로서 공무를 성실히 집행하는

    위치에 있으므로 직무의 내외를 불문하고 그 품위를 손상하여서는

    아니 된다(국가공무원법 제63조). 품위를 유지하는 일은 국가의

    위신과 직결되는 것이다. 교원으로서의 품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방탕, 주벽, 낭비, 과도한 부채 등을 멀리 해야 하며 그의 직무를

    친절하고 공정하게 집행하여야 함은 물론 청렴한 생활의 본을 보여야

    함을 의미한다.

    4) 4) 4) 4) 비밀엄수의비밀엄수의비밀엄수의비밀엄수의 의무의무의무의무

    교원은 재직 중은 물론 퇴직 후라도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엄수하여야 한다(국가공무원법 제60조). 직무상 비밀이란 법령 또는

    처분에 의하여 결정되지만 사무의 성질상 국가적인 이해에 관련된

    사항 등이 누설됨으로써 국가안전보장에 유해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비밀엄수의 의무를 위반한 경우 징계의 사유가 될 뿐만 아니라

    형법상의 범죄를 구성한다.

    나나나나. . . . 소극적소극적소극적소극적 의무의무의무의무

  • 29

    1) 1) 1) 1) 정치활동정치활동정치활동정치활동 금지의금지의금지의금지의 의무의무의무의무

    공무원의 신분과 정치적 중립성은 헌법으로 보장하고 있고(헌법

    제6조), 교원의 정치 활동금지 및 정치적 행위의 범위를 교육법으로

    따로 규정하고 있다. 교원의 정치활동에 관한 제한은 학생을 직접

    지도·교육하는 위치에 있음을 기화로 특정 정당을 지지하거나

    배격하기 위하여 학생을 잘못 지도할 우려를 배려하기 위함이다.

    2) 2) 2) 2) 집단활동집단활동집단활동집단활동 제한의제한의제한의제한의 의무의무의무의무

    공무원은 노동운동 기타 공무 이외의 일을 위한 집단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국가공무원법 제66조). 이것은 공무원에 대하여

    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 등 노동3권을 금지하는 규정을 둔

    헌법 제31조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때 단체행동권의 경우 어떠한

    경우일지라도 파업, 즉 수업거부 등의 일체의 쟁의행위를 금지한다.

    따라서 노동조합과 그 조합원은 파업·태업 기타 업무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하는 일체의 쟁의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됨을 의미한다.

    3333) ) ) ) 영리영리영리영리 행위행위행위행위 및및및및 겸직겸직겸직겸직 금지금지금지금지 의무의무의무의무

    공무원은 공무 이외의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에 종사하지

    못하며 소속기관 장의 허가 없이 다른 직무를 겸할 수

    없다(국가공무원법 제64조). 모든 국민의 자유와 권리는 국가의

    안전보장, 질서유지 또는 공공복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법률로써 제한할 수 있다는 헌법 제35조의 규정에 근거를 두고 있다.

    교원의 경우도 일반직 공무원과 동일한 규제를 받는다.

    그러나 교원의 영리업무는 어느 한계를 두고 허용하여야 할

    경우도 많다. 그것은 교원이 근무시간 외에 영리업무에 종사한다고

    하여, 반드시 사회적 비난을 받을 정도로 공직의 권위를 손상시키고

    위법한 행위가 된다고 할 수 없고, 오히려 교원이 영리업무에

    종사함으로써 사회적, 국가적 이익을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 30

    3. 3. 3. 3. 교원의교원의교원의교원의 의사표현에의사표현에의사표현에의사표현에 대한대한대한대한 법의법의법의법의 보장과보장과보장과보장과 제한제한제한제한

    앞에서 설명했듯이 교원은 국민으로서 지위를 기본으로

    교육공무원으로서, 교육자(전문가)로서의 지위와 근로자로서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일반 국민과 동일한 지위에서 헌법과 법률에

    의한 제한 외에 교육자의 지위와 근로자의 지위에 따른 제한이

    추가된다. 역으로 교육자로서 지위 또는 근로자로서 독특한 지위에

    따라 표현 행위가 사회의 공공이익에 기여할 수 있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더 강한 보장이 요구된다.

    먼저 교원의 의사표현을 보장하는 법령 조항을 살펴보면,

    교직원의 학교 운영 참가권을 규정한 교육기본법 제5조 제2항,

    교권을 존중하고 전문적 지위 신분에 영향을 주는 부당한 간섭을

    배제한다는 교육공무원법 제43조 제1항이 포함된다. 또 교육기본법

    제15조의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