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207

Upload: others

Post on 29-Ju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Page 2: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기본연구보고서 11-29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아프리카(서부권) 국가 에너지자원 공급력

조사 연구 -

이 성 규

Page 3: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참여연구진

연구책임자 : 연구위원 이성규

연구참여자 : 전문연구원 유학식

Page 4: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요약 i

<요 약>

1. 연구필요성 및 목적

현재 우리나라의 자원개발 사업에서 아프리카 사업비중은 5% 미만

이며, 석유와 가스의 도입량도 전체 물량의 2~3%에 불과하다. 우리

정부와 기업들은 아프리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원외교를 확대하면

서 자원개발 진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 경험 부족으로 자원개발 사업 진출에 어

려움을 겪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동안 우리나라 기업들은 메이저 기업들이 아프리카 자원개발 사

업을 주도하고 있는 상황에서 후발주자로서의 불리함을 극복하기 위

해 다양한 진출방식을 개발 추진해 왔다. 예를 들면, 인프라 건설과

자원개발을 동시에 추진하는 동반진출방식을 선택 추진하기도 했다.

그러나 선진국은 개발원조를 자원 확보 수단으로 이용하는 국가들을

비판하고, 이런 형태로 지원 받는 아프리카 국가들에도 직 간접적인

압력을 행사하고 있다. 아프리카 국가들에서도 특히 중국의 이러한 자

원 확보 전략에 대한 반감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기도 하다.

이에 따라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발전 욕구(Needs)와 우리나라

기업들의 자원개발 사업 진출을 좀 더 정교하고 폭넓게 접근 결합시

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

로 아프리카 자원부국들의 경제개발 추진과정, 주요 경제정책(민영화,

산업화, 고용), 에너지 거버넌스(governance)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정확한 Needs을 파악하고, 이를 자원개발 사업

Page 5: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ii

진출에 접목시키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서부아프리카 주요

자원부국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2. 내용 요약

1990년대 이후 아프리카 경제는 자유화와 개방을 겪으며 노동시장

의 유연성이 확대되었으나 자국 산업발전이 미미하고, 특히 중국, 인

도 등지로부터 공산품이 대거 유입되면서 아프리카 국가들의 제조업

기반은 크게 악화되었다. 게다가 공공부문의 상업화 및 민영화로 정부

부문의 고용이 감소하였고, 민간부문의 산업발전이 미진하여 높은 청

년실업률과 비공식부문에서의 취약고용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루고

있다. 또한 아프리카 산유국들의 에너지 산업 주도의 경제성장은 고용

없는 성장 결과를 야기했다.

청년층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청년실업 문제는 아

프리카 정부의 최대 현안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청년층 노동력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교육 직업훈련 프로그램과 비에너지산업

육성을 통해 취약고용 상태에 있는 비공식부문의 노동자를 공식부문

으로 이동시키고 유효수요를 증대시킴으로써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는 것이 시급하다. 더군다나 고등교육을

받은 청년층 인구의 증대는 총요소생산성 증대에 의한 안정적 경제성

장 기반 구축을 의미한다.

그동안 서부아프리카 국가들은 에너지 자원개발에 성장을 크게 의

존해 왔으며 실제로 2000년대 들어서는 국제 자원가격의 상승으로 정

부재정 수입 및 경제성장률의 제고에도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그러

나 원유 개발과정에서의 투명성 부재, 정치권력과의 결탁, 부정부패

Page 6: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요약 iii

등으로 원유개발 수익이 소수의 권력층, 자본가, 외국메이저 기업에게

만 집중되고 국내 산업에 대한 재투자와 경제성장에는 실질적인 파급

효과를 낳지 못하였다. 또한 유전개발 지역의 환경파괴와 지방정부와

중앙정부간의 유전개발 이익을 둘러싼 알력, 유전지대 원주민들의 빈

곤화는 계속되는 등의 에너지 거버넌스(governance) 문제가 자원이 풍

부하면서도 지속적 경제성장과 산업화를 이루지 못한 원인으로 작용

하였다.

따라서 아프리카 국가들은 중장기적으로 경제성장을 달성하기 위하

여 자원산업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고용을 확대할 수 있는 전략산

업을 육성하려고 한다. 아프리카 국가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

부분의 국가들이 전략적 육성산업으로 역내 및 해외시장을 겨냥한 농

업, 농수산 가공업, 자원가공산업, 서비스업으로 관광업과 금융업 등

을 선정하고 있다. 일반 공산품의 경우, 중국과 인도의 제품이 해외시

장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시장도 장악하고 있어 아프리카 제품이 해외

시장에서 살아남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그래서 일차적으로 역내시장

활성화 및 이를 활용한 생산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서부아프리카지역의 경우에 다양한 형태의 다자간 협

력체(경제 투자, 교역, 교통, 에너지 수송망 등) 구축을 통해 역내시장

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2000년대 고유가 시대를 거치면서 나이지리아를 중심으로 아

프리카 산유국들에서 자원개발 부문에 대한 정부통제 강화, 현지국영

기업 권한 확대, 자원개발 외국기업에 대한 부담(세금, 로열티) 증가,

환경규제 등의 조치들이 나타나고 있다. 나이지리아 정부는 현재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석유산업법(PIB) 개정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반면에

Page 7: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iv

PIB가 발효되면 입찰, 라이센스 발급 등에 있어 투명성이 제고되고,

독립계 국영석유기업들에게 종전보다 더 많은 자원확보 기회가 제공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기존 메이저 석유기업들이 지대수익 감소로

인해 갖고 있는 생산광구를 매각 또는 Farm-out 하거나, 상대적으로

정부통제를 덜 받으면서 인센티브도 지원받을 수 있는 해상광구 개발

로 관심을 집중시킬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아프리카 산유국과 여러 측면에서 긴밀한 협력관계를 맺는 것이 중

요하다. 최근 들어 아프리카 내 자원개발 외국기업에 대한 평가가 좋

지 않고, 자원민족주의 정서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자원개

발 기업 차원에서는 현지국에서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메이저 기업들은 여러 산

유국에서 다양한 형태의 CSR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선진국, 중

국, 인도 등은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한 많은 개발원조 자금을 제공하

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아직까지 자원개발 기업들의 아프리카

국가들에서의 CSR활동은 상당히 부족하고, 정부의 개발원조도 규모

와 기간 측면에서 미진하다.

3. 연구결과 및 정책제언

아프리카 자원부국들이 자국의 경제 활성화와 산업화를 위해 필요

한 부분에서 기여할 수 있는 점을 찾아 협상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아프리카 국가들의 에너지 거버넌스(governance) 개선, 단 장

기 경제성장 전략 수립, 고용증대를 수반한 전략산업 육성과 산업구조

다각화, 인적자본의 질적 향상 등의 현안과제에 대해 동반자적 견지에

서 우리나라 기업과 정부가 제공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 자원개발 확

Page 8: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요약 v

대전략과 자원외교에 접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서부아프리카지역 자원개발 진출의 경우, 나이지리아는 개발 잠재

력이 크지만, 후발주자인 우리기업이 현재로서 나이지리아 자원개발

사업에 참여하려면 지분참여가 거의 유일한 방법이다. 나이지리아 이

외 산유국에서는 미탐사, 미분양 심해광구 블록이 존재하지만 고위험

고비용 구조를 갖고 있어 우리나라 기업들이 진출하기 어려운 실정이

다. 따라서 이러한 사업구조에서는 독자적인 참여보다는 높은 기술력

과 자금동원력을 갖고 있는 독립계 석유개발전문기업이나 중국, 브라

질 등 NOC들과 합작기업을 설립하여 공동 진출하는 방법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자원개발 기업의 CSR활동이 저조한 것은 아

직 수익을 내는 생산광구를 보유하고 있지 않고, 자원개발 공기업으로

서 갖는 제약들이 많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지역에

서는 외국기업에 대한 CSR활동 요구가 큰 점을 감안하여 CSR활동을

장기투자 개념으로 생각해서 늘려나가며, 또한 메이저 기업들과 차별

된 지원형태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즉, 메이저의 CSR활동은 아프리

카지역에서 일반교육과 HIV/AIDS프로그램에 집중되어 있는데 우리

나라 기업들은 인적자원개발, IT교육, 농업 농수산물가공업 육성 등에

‘선택과 집중’하는 전략도 효과적일 것이다.

Page 9: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Abstract i

ABSTRACT

1. Research Purpose

At the present time, projects in Africa accounts for less than 5%

in Korea's total overseas resource development projects. In addition,

the import of oil and gas from the African region forms merely

2~3% of Korea's total oil and gas import. Korean government and

energy companies now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African

region. They are currently expanding resource diplomacy and actively

seeking resource development opportunities in the region.

Nevertheless, it is indeed true that they face challenges due to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lack of experience in Africa.

In Africa, major companies are already dominating resource

development activities and Korean companies have pursued various

entry strategies in order to overcome the disadvantage as a late

comer. For instance, Korean companies sought for package deal

strategy through which the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and resource

development are pursued at the same time. Nonetheless, developed

countries criticize the countries which utiliz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as a measure to secure resources. Also, they

impose direct and indirect pressure on African countries for receiving

such type of aid. Among African countries, also exists fast-spreading

disinclination to such strategies pursed by China for securing

Page 10: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ii

resources.

So, it is necessary to approach and combine more precisely the

need for economic development of resource-rich African countries

and the resource development projects in Africa of Korean energy

companies. This research attempts to understand the accurate needs

of resource-rich African countries by analyzing the process of

economic development, their major economic policy (privatization,

industrialization, employment) and energy governance, and combine

the analysis outcomes in resource development projects of energy

companies. Especially, the research focuses on major resource-rich

nations in West Africa.

2. Summary

With the liberalization and opening of the economy, labor market

in Africa gained flexibility since the 1990s. However, industrial

development of African countries remained negligible and the

manufacturing industry significantly was underdeveloped because of

products imported from China and India. Government employment

decreased as well due to the commercialization and privatization of

the public sector. Also, the development of private sector was

insignificant that high youth unemployment rate and vulnerable

employment in informal sector have grown into a serious problem.

Furthermore, economies of African oil producing countries, which

merely concentrates on energy industry, resulted in jobless growth.

Page 11: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Abstract iii

With rapidly increasing youth population, unemployment issue

among the youth is definitely becoming one of the most important

political agenda for the African governments. There is urgent need

for educ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to increase youth

labor quality, to transfer the laborers, who are in vulnerable

employment, to formal sector by developing non-energy industries,

and to establish virtuous circle structure of economy by increasing

effective demand. More importantly, strengthening of youth

population with higher education increases total factor productivity

and consequently lead into establishing the base for sustainable

economic growth.

West African countries have heavily relied on energy resource

development industries up to now. In fact, they have achieved

positive outcome in terms of government revenue and strengthened

economic growth rate owing from increased international price of

natural resources since the 2000s. Nevertheless, the lack of

transparency in oil development, collusion with government authority,

and corruption have concentrated the profit from oil

development/export to be beneficial for only a few people who have

power, domestic energy companies and major foreign companies.

Besides, oil development failed to accomplish ripple effect on

re-investment in domestic industry and economic growth. In addition,

energy governance issues, such as environmental destruction, conflict

surrounding the profits sharing between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Page 12: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iv

central government, and continued poverty of the indigenous

population in the oil development area, have worked as causes of the

unsuccessful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growth.

In order to accomplish mid- & long-term economic growth,

African countries strive to lower dependency on resources industry

and to foster strategic industries which can expand employment.

Most African countries have selected strategic industries, such as

agriculture, agricultural and fishery processing industry aimed at

regional and international market and resource processing industry, as

well as service industry. Industrial products made in Africa is not

competible in the international market in comparison with Chinese

and Indian products. Therefore, it is deemed more effective to

revitalize the regional market and to establish regional production

base. Especially in West Africa, the regional market should be

revitalized by establishing various types of multilateral cooperation

(economy and investment, trade, transportation, energy transportation

network and so on).

Meanwhile, as we passed through the 2000s, which is represented

with high oil price, measures such as reinforced government

authority in resource development, expanded control of national

companies, increased fees (tax and loyalty) for foreign resource

development companies, strengthened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so on are observed in African oil producing countries, especially

surrounding Nigeria. Nigerian government is promoting the revision

Page 13: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Abstract v

of Petroleum Industry Bill (PIB). On the one hand, if PIB comes

into effect, transparency will be attained in the bidding and licensing

procedure. Also, independent national oil companies such as CNPC,

KNOC can be provided with more opportunities to secure resources.

That is, oil major companies are likely to sell or farm-out existing

production blocks due to reduced profit, or they are expected to

move on to developing off-shore blocks in which the companies can

receive greater incentives and less government control.

Accordingly, forming multidimensional cooperations with African

oil producing countries is observed as highly valuable. In recent

years, foreign companies working on resource development in Africa

have been receiving adverse reputations. Also, resource nationalism

is quickly spreading in Africa. Thus, foreign companies seeking

resource development should actively pursu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ctivities. Major companies are employing

various types of CSR activities in many oil-producing countries. In

addition, advanced countries, China and India are providing a large

sum of development assistance to African countries. Korean

companies are far behind in CSR programs in Africa, and

development aid by the government leaves a lot to be desired in

terms of quantity and duration.

3. Research Results and Policy Implication

Negotiation capacity can be increased by identifying what we can

Page 14: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vi

contribute to African resource-rich countries in industrializing and

revitalizing the economy. That is, we should identify what Korean

government and companies can provide in current issues, including

energy governance improvement, short- and long-term economic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industrial

structure. In a companion perspective, we need to combine the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with these resource diplomacy.

Specifically in the case of West Africa, while development

potential is substantial in Nigeria, for now equity investment is

practically the only option for Korean companies as a late comer. On

the other hand, despite the presence of unexplored and undistributed

deep-sea blocks in other oil-producing countries in west Africa,

Korean companies have difficulty in participation due to high risk

and cost structure. Therefore, it is deemed more effective to establish

joint-ventures with foreign independent oil and natural gas E&P

companies or Chinese and Brazilian national oil companies which

have high level of technology and also fund mobilization.

Finally, poor CSR activities of Korean resource development

companies in Africa is because they do not own profitable

production block and because there are many limits to national

resource development companies. In spite of the fact, considering the

large needs of CSR activities for foreign companies in Africa, CSR

activities should be expanded, regarding them as long-term

Page 15: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Abstract vii

investments. Also, distinct type of assistance that is different from

international major oil companies should be sought for. In other

words, while the major companies' CSR activities focus on general

education and HIV/AIDS program in Africa, differentiated strategy

for Korean companies can be more helpful to "select and

concentrate"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IT education and

fostering agriculture and agricultural and fishery processing industry.

Page 16: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차례 i

제목 차례

제1장 서 론 ·························································································· 1

제2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여건 변화 및 성장요인 ····· 4

1.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성장 과정 ··········································· 4

가. 1990년대 전후 경제 여건 및 정책 변화 ································· 4

나. 고용 없는 성장 ········································································· 8

다. 청년층 실업과 취약고용 문제 ··············································· 12

2.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성장 요인 ········································· 14

제3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발전 전략 ····························· 19

1. 경제성장과 자원지대 ··································································· 19

가. 생산요소 축적과 자원지대(resources rents) 관리 ·············· 19

나. 자원부국 유형 ········································································· 29

2.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발전 전략 ········································ 32

가. 경제발전 목표 및 전략 ·························································· 32

나. 정책추진 역량 강화 ································································ 33

3. 단 장기 경제성장 정책 ································································ 34

가. 단기 경제성장 정책 ································································ 34

나. 장기 경제성장 전략 ································································ 38

4. 상업화․민영화 전략 ··································································· 46

가. 70~80년대 국영기업 구조조정 작업 ····································· 46

Page 17: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ii

나. 1단계 상업화 추진 평가 ························································ 48

다. 2단계 민영화 및 PPI 추진 평가 ··········································· 49

제4장 서부아프리카 국가의 에너지 거버넌스 ························· 55

1.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자원의 저주’ ·········································· 55

가. ‘자원의 저주’ 가설 ································································· 55

나. 나이지리아의 사례 ·································································· 60

2. 자원민족주의 전략 추진 ······························································ 74

가. 자원민족주의 확산 움직임 ····················································· 74

나. 나이지리아 신석유산업법(PIB) 제정 추진 ··························· 77

제5장 서부아프리카의 석유 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 85

1. 산유국별 석유 가스 공급 잠재력 및 개발전략 ························· 85

가. 서부아프리카지역 전체 ·························································· 85

나. 나이지리아 ··············································································· 90

다. 가나 ························································································ 106

라. 코트디부아르 ········································································· 118

마. 기타 ························································································ 121

2. 외국기업의 진출 특징과 최근 동향 ········································· 125

가. 외국기업 진출 특징 ······························································ 125

나. 서부아프리카 변환단층 개발 현황 ······································ 134

3. 유망 석유 가스 광구와 투자환경 ············································· 139

가. 광구분양 계획과 진출가능 사업 ·········································· 139

Page 18: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차례 iii

나. 자원개발 투자환경 ································································ 155

제6장 서부아프리카 자원개발 진출 전략 ······························· 163

1. 자원개발 진출 전략 ··································································· 163

가. 현지기업과의 파트너십 구축 ··············································· 165

나. 심해광구 개발 사업에 진출 ················································· 166

다. 탐사 전문기업과의 협력 ······················································ 168

2. 기업차원의 CSR활동을 통한 진출 전략 ·································· 169

가. CSR활동의 필요성 ································································ 169

나. 진출 전략 ············································································· 171

3. 산유국의 경제발전 욕구에 부합하는 진출 전략 ····················· 174

제7장 결론 ························································································ 176

참고문헌 ···························································································· 180

Page 19: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iv

표 차례

<표 2-1> 서부아프리카 주요국의 사회·경제 지표(2009년) ·············· 6

<표 2-2> 실질GDP 성장률 ·································································· 6

<표 2-3> 아프리카의 실업률 현황 ····················································· 9

<표 2-4> 아프리카의 산업부문별 고용비중 ··································· 10

<표 2-5> 총고용에서 취약고용 비중 ·············································· 14

<표 2-6> 사하라이남 아프리카국가의 경제성장 요인 ···················· 17

<표 3-1> 서부아프리카 주요 자원부국의 GDP 대비 총투자비중 · 19

<표 3-2> GDP대비 세수비중과 전체 세수 중에서 석유관련

세수입 비중 ········································································ 24

<표 3-3> 아프리카 국가들의 제조업 제품 수출비중 변화 ·········· 26

<표 3-4> GDP대비 정부지출 비중 ················································· 35

<표 3-5> GDP대비 정부수입 지중(보조금 제외) ·························· 36

<표 3-6> 세계 지역별 PPI사업 추진 현황(1990년~2003년) ········ 50

<표 3-7>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상위 5개국 PPI사업

추진 현황(1990년-2003년) ················································ 51

<표 3-8>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PPI사업 추진 현황

(1990년-2003년) ································································· 51

<표 3-9>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사업형태별 PPI사업

추진 현황(1990년-2003년) ··············································· 52

<표 4-1> 서부아프리카의 석유개발 주무부처 및 개발권 발급 권한

···························································································· 56

<표 4-2> 서부아프리카의 광물개발 주무부처 및 개발권 발급 권한 ·· 57

Page 20: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차례 v

<표 4-3> 나이지리아 개관 ································································ 60

<표 4-4> 2011년 나이지리아 대선결과 ··········································· 61

<표 4-5> 나이지리아의 주요 경제지표 ·········································· 64

<표 5-1> 아프리카 지역별 석유개발 사업 개요 ····························· 86

<표 5-2> ECOWAS 국가들의 석유가스 매장량 (2009년 기준) ··· 87

<표 5-3> 나이지리아 원유의 성상 ··················································· 88

<표 5-4> 서부아프리카지역의 석유수출국 현황(2010년) ··············· 89

<표 5-5> 나이지리아의 LNG 수출국 현황(2010년) ······················· 93

<표 5-6> 외국기업의 가나 석유 가스 개발 현황 ························· 110

<표 5-7> 서부아프리카지역에 진출한 주요 독립계 석유기업 ····· 129

<표 5-8> ANOC들과의 전략적 거래 요약 ···································· 132

<표 5-9> 국가별 Farm-out 계획 ····················································· 148

<표 5-10> 서부아프리카 국가들의 주요 계약 및 세금 비교 ······ 159

<표 5-11> 서부아프리카 국가별 석유개발 투자환경(2010년 말 기준)

·························································································· 161

Page 21: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vi

그림 차례

[그림 2-1] 1970년대와 2000년대 지역별 자원수출의 비중변화 ···· 8

[그림 2-2] 아프리카 청년실업률 ······················································· 12

[그림 3-1] 아프리카 GDP 대비 국내저축 비중 ······························ 20

[그림 3-2] 아프리카에 대한 경제부문별 해외지원 규모 ················ 21

[그림 3-3] 아프리카 원유 수출국과 수입국의 경제성장률 ············ 22

[그림 3-4] 원유 수출국 및 수입국의 GDP대비 경상수지 규모 ···· 23

[그림 3-5] 권역별 FDI 유입규모 ······················································ 24

[그림 3-6] 재화 및 서비스 수출액 추이 ·········································· 25

[그림 3-7] 아프리카국가의 1인당 수출과 제조업 서비스 비중간

상관관계 ··········································································· 27

[그림 4-1] 나이지리아의 경제성장률 변화 추이 ····························· 63

[그림 4-2] 나이지리아 주요 경제개발 도전 요소 ··························· 66

[그림 4-3] 나이지리아 NEC의 Vision 2020 ·································· 69

[그림 5-1] 나이지리아의 원유 확인매장량 및 생산량 ···················· 91

[그림 5-2] 나이지리아의 가스 확인매장량 및 생산량 ···················· 92

[그림 5-3] 나이지리아의 석유 가스 수송인프라 ····························· 96

[그림 5-4] 서부아프리카지역 석유 가스 수송망 ····························· 98

[그림 5-5] Trans-Saharan Gas Pipeline ············································ 99

[그림 5-6] 나이지리아의 Gas Master Plan ···································· 102

[그림 5-7] 가나의 원유 확인매장량 및 생산량 ····························· 107

[그림 5-8] 가나의 천연가스 확인매장량 ········································ 108

Page 22: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차례 vii

[그림 5-9] 가나 주요 광구 및 유전 현황도 ·································· 109

[그림 5-10] 코트디부아르의 원유 확인매장량 및 생산량 ············ 118

[그림 5-11] 코트디부아르의 천연가스 확인매장량 및 생산량 ····· 119

[그림 5-12] Tullow Oil의 아프리카 진출 대상 지역 ··················· 130

[그림 5-13] 서부아프리카 Transform Margin ································ 135

[그림 5-14] Noble Energy의 AGC Profond광구 ··························· 138

[그림 5-15] 나이지리아 광구현황 및 최근 개발 동향 ·················· 141

[그림 5-16] 코트디부아르 유․가스전 및 광구도 ························· 143

[그림 5-17] 시에라리온 광구 현황 ················································· 144

[그림 5-18] 라이베리아 광구 현황 ················································· 145

[그림 5-19] 베냉 광구 현황 ···························································· 146

[그림 5-20] 세네갈 광구 현황 ························································· 147

[그림 5-21] West African Transform Margin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 150

[그림 5-22] 가나 지역의 탄성파 단면도 ········································ 153

Page 23: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1장 서론 1

제1장 서 론

아프리카는 여전히 미개발지가 많은 자원의 보고로서 자원개발 잠

재력이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자원개발 사업진출은 최근

에야 활발히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우리와는 달리 서구 열강이나 중

국, 일본 등은 아프리카에 대한 새로운 시각으로 자원 확보를 위한 아

프리카 진출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왔다.

우리나라의 자원개발 사업에서 아프리카 사업비중은 5% 미만이며,

석유와 가스의 도입량도 전체 물량의 2~3%에 불과한 실정이다. 최근

우리 정부와 기업들도 아프리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원외교를 확

대하면서 자원개발 진출을 서두르고 있다. 그러나 정부 및 기업 차원

에서 아프리카 자원 확보 및 투자진출을 서두르고는 있으나, 아프리카

는 대부분 저개발국으로 관련 정보들이 부재하거나 정리되어 있지 않

아 정보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아프리카 국가들은 경제적으로 저개발 국가들이 대부분으로,

국내 인프라가 미비하고 자국의 자본력 및 기술력의 부재로 자원개발

사업을 실제적으로 추진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사정으

로 그동안 우리나라의 해외자원개발 기업들은 인프라 건설과 자원개

발을 동시에 추진하는 이른바 자원개발 동반진출 전략을 추진해왔다.

자원개발 동반진출 전략은 기본적으로 자원보유국이 필요로 하는

인프라 건설에 강점을 가진 우리나라의 장점을 살려 자원보유국의 필

요를 충족시키면서 우리의 자원개발 진출을 확대한다는 개념이다. 이

Page 24: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2

와 더불어 저개발 자원보유국에 우리의 압축적 경제성장 노하우를 전

수하고, EDCF 등의 지원을 통해서 자원부국의 경제성장을 돕는 등

윈-윈 구조의 달성을 통해서 자원개발 진출을 확대해왔다.

이제 이러한 자원개발 전략의 틀에서 좀 더 정교하고 폭넓은 접근

을 모색하고자 한다. 즉, 아프리카 자원부국들의 경제개발 상태 및 산

업구조 등 거시경제 구조, 성장정책, 산업화 수준 등의 분석을 통해서

자원부국의 경제성장을 위해서 육성 및 지원이 긴요한 산업부문을 발

굴하여 확장된 개념의 동반진출 내지는 자원부국의 경제성장 또는 산

업정책 수립 등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분을 발굴하고자 한

다.

또한, 그동안 특히 아프리카 저개발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자원

개발 거버넌스의 비건전성으로 인해 자원개발 수익이 소수의 권력층

에게 독점적으로 향유되고 국내 산업육성에 적절하게 재투자되지 못

하여 자원의 수출에도 불구하고 자원채굴업 외에 국내 산업은 여전히

발전하지 못하고 경제성장도 이루지 못하는 이른바 '자원의 저주

'(resources curse) 문제도 짚어본다.

그리고 본 연구의 주요 관심지역인 서부아프리카권의 자원개발 환

경 및 자원개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등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의

자원개발 기업이 아프리카 저개발국의 자원개발 진출에 있어 협상력

을 강화하고 우리 정부의 자원외교 전략 수립에 있어서도 보다 정교

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아프리카 자원 확보를 위한 다양한 정보

들의 심층적인 조사를 통해 정부와 기업의 아프리카 진출정책과 전략

수립에 실효성 있게 활용되도록 하며, 특히 아프리카 자원보유국을 권

Page 25: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1장 서론 3

역별로 나누어 금년도에는 아프리카 서부권 국가들에 중점을 두고 조

사연구를 하고자 한다.

아프리카 서부권 자원보유국은 나이지리아, 코트디부아르, 가나,

니제르, 베냉, 토고, 시에라리온, 세네갈, 라이베리아, 기니비사우,

부르키나파소, 감비아, 말리 등이다.

Page 26: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4

제2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여건 변화 및

성장요인

1.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성장 과정

아프리카의 자원부국들은 세계의 자원부국들과는 다른 특수한 사

회·경제적 환경을 갖고 있다. 아프리카의 대부분 국가들에는 사회간접

자본, 노동력, 자원개발 기술, 국내의 유효수요 등이 매우 부족하고 열

악하다. 또한 사회·정치적으로 불안정하며 정책결정자의 통치능력이나

리더십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받아 왔다. 아프리카의 자원부국들은 오

랜 경제 침체와 1차 산업 및 채굴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벗어나지

못하고 1990년대 중반까지 최빈국에 속했다.

이후 1990년대 말과 2000년대 초반을 거치면서 에너지 자원의 개

발이 붐을 이루었고 2000년대 평균 5.3%라는 경제성장과 인구증가,

도시화가 촉진되었다.

가. 1990년대 전후 경제 여건 및 정책 변화1)

1960년대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제정책은 주로 사회주의

경제시스템 하에서 기존의 수입에 의존하던 제품을 국내 생산으로 대

체한다는 개념의 ‘수입대체(import substitution) 성장전략’을 추진하였

1) 서상현(2009) 및 UNECA AUC(2011) 참조

Page 27: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2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여건 변화 및 성장요인 5

다. 그러나 자국의 국내 제조업을 육성하려는 의도에서 관세장벽을 통

해 국내 제조업을 보호하여 국내 제조업 생산은 증가하였으나, 수출경

쟁력은 확보하지 못하였다. 오히려 국내 제조업체의 경쟁력은 지속적

으로 하락했고 농업 및 수출부문의 왜곡을 야기하여 결과적으로 소기

의 정책적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경상수지 적자를 초래하였다. 또한

과도하게 절상된 자국통화의 평가절하 없이 수입 및 투자허가제와 같

은 통제정책을 강화하고, 값싼 오일달러 차입으로 경상수지 적자를 메

우면서 환율조정 및 산업 구조조정이 지연되어 경제의 체질은 더욱

악화되었다.

1970년대에는 2차 오일쇼크로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여

세계의 주요 선진국들이 긴축통화정책을 실시하였는데, 이로 인해서

아프리카의 국가부채의 이자 부담이 급속하게 증가하였고, 수출경쟁

력은 악화되었다.

이후 1980년대의 아프리카 경제는 극심한 거시경제 불균형과 외채

부담이 가중되었고, 외부 금융기관으로부터의 금융조달이 불가능한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Page 28: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6

평가부문 인구

(천명)국토면적

(천㎢)인구밀도

(명/㎢)GDP(ppp)(백만달러)

1인당GDP(달러)

연평균GDP성장률(%,’01~’09)

카메룬 19,522 476 41 46,347 2,374 3.3차드 11,206 1,284 9 17,067 1,523 8.4

코트디부아르 21,075 322 65 33,766 1,602 0.9가나 23,837 239 100 36,558 1,534 5.5

모리타니아 3,291 1,026 3 8,157 2,479 3.9니제르 15,290 1,267 12 10,392 680 5.0

나이지리아 154,729 924 167 327,822 2,119 8.2아프리카평균 1,008,354 30,323 33 2,825,691 2,802 5.3자료: AfDB AU UNECA(2011)

<표 2-1> 서부아프리카 주요국의 사회·경제 지표(2009년)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카메룬 4.5 4.0 4.0 3.7 2.3 3.2 3.3 2.9 2.0 3.5 4.6차드 11.5 8.5 14.3 33.3 7.9 0.2 0.1 0.3 -0.8 2.1 4.4

코트디부아르 0.0 -1.6 -1.7 1.6 1.8 0.7 1.6 2.3 3.6 3.9 4.5가나 4.2 4.5 5.2 5.6 5.9 6.4 6.3 7.0 4.7 6.4 8.3

모리타니아 2.9 1.1 5.6 5.2 5.4 11.4 1.0 3.7 -1.1 4.5 4.9니제르 7.4 5.3 7.7 -0.8 7.2 5.8 3.4 9.5 -0.9 3.2 5.1

나이지리아 8.2 21.2 9.6 6.6 6.5 6.0 6.5 6.0 3.0 4.4 5.5아프리카평균 4.3 5.7 5.2 5.6 5.9 6.2 6.4 5.6 2.5 4.5 5.2

<표 2-2> 실질GDP 성장률

(단위: %)

주: *추정치

자료: AfDB AU UNECA(2011)

1980~90년대에는 국제기구의 지원․원조하에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한 경제구조조정 프로그램(structural adjustment programme)이 실시

되었다. 구조조정프로그램은 거시경제의 안정화와 구조개혁이 주된

내용이었는데, 거시경제 안정화 정책은 재정․금융․외환시장 자유화

측면에서 안정을 회복하고 보호무역정책을 개선하며 보호장벽 수준을

Page 29: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2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여건 변화 및 성장요인 7

완화하는 것을 골자로 하였다. 이로써 지나치게 절상되었던 자국통화

가치의 정상화가 이루어지게 하려는 것이었다. 또한 구조개혁은 국영

기업의 민영화 및 시장자유화 정책 추진과 시장간섭을 통한 제조업

보호정책의 폐기를 요구하여 경쟁력 없는 많은 국내기업들을 퇴출

시켰다.

1990년대 초반까지 아프리카지역에서는 사회주의 경제시스템이 주

를 이루었다. 이에 따라 정부와 국영기업 중심으로 경제가 운용되었으

나 정부부문의 비효율성이 심화되어 성장기반을 마련하는데 실패했

다. 1990년대 중반부터는 국영기업의 상업화 및 민영화가 추진되어

민간부분의 역할이 증대되는 움직임을 보이며 자원개발 부문에 외국

기업의 진출이 활발해지는 변화를 맞게 된다. 동시에 선진국, 다자개

발은행, 중국 등의 금융자본이 유입되었고 아프리카 각국들은 산업화

전략을 추진하게 되었다.

이러한 구조개혁 기간의 어려움으로 1인당 국민소득은 감소하였으

나 1995년을 저점으로 소득이 점차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2003년 이

후에는 자원시장의 붐으로 원자재 수출이 증가하여 아프리카 경제가

회복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자유무역정책이 도입되었음에도 불구하

고 아프리카는 여전히 국제수출시장에서 자원부문을 제외하면 그 역

할이 미미하며, 제조업 부문에서는 더욱 그러하였다.

Page 30: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8

[그림 2-1] 1970년대와 2000년대 지역별 자원수출의 비중변화

자료: IMF(2010), World Economic Outlook, World Bank(2010),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나. 고용 없는 성장

지난 20년 동안 아프리카 국가들은 높은 경제성장률에도 불구하고

실업 문제는 개선되지 못하였고, 농촌지역 및 취약계층의 빈곤문제는

악순환 되었다. 비공식부문에서의 저소득 문제와 열악한 노동환경 문

제는 여전히 심각한 상태에 있다.

국제기구, 선진국, 아프리카 국가정부 차원의 수많은 개선 프로그램,

선언문, 공약 등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의 높은 실업률은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아프리카에서는 인구의 대다수가 농업부문에

종사하고 있는데, 이들도 대부분 일용직, 소농 또는 임금이 지급되지

않는 가족노동자들이다. 특히 농업부문은 가뭄 등 자연환경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아서 고용여건과 소득에 있어서 불안정하다.

Page 31: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2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여건 변화 및 성장요인 9

<표 2-3> 아프리카의 실업률 현황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북아프리카 12.8 13.3 14.1 13.6 13.4 13.1 12.3 11.5 10.5 10.6 10.0사하라이남 7.4 7.9 7.9 8.1 8.1 8.2 7.9 7.9 7.8 7.7 7.6남성

북아프리카 11.0 11.6 12.3 11.6 11.4 11.0 10.1 9.2 8.4 8.6 8.1사하라이남 7.2 7.3 7.5 7.6 7.6 7.7 7.5 7.5 7.4 7.3 7.2여성

북아프리카 18.0 18.2 19.5 19.3 19.3 19.0 18.2 17.7 16.0 15.8 15.0사하라이남 7.7 8.6 8.4 8.6 8.8 8.8 8.5 8.4 8.4 8.2 8.2성인

북아프리카 8.3 8.8 9.4 8.8 8.9 8.6 7.7 6.7 6.4 6.6 6.3사하라이남 5.9 6.2 6.3 6.5 6.5 6.6 6.4 6.4 6.4 6.2 6.2청년

북아프리카 26.3 26.4 28.8 29.2 28.1 27.7 27.5 27.9 25 25.2 24.1사하라이남 11.2 11.8 11.7 11.9 12.1 12.1 11.8 11.6 11.5 11.4 11.3

자료: ILO(2009), Global Employment Trends

(단위: %)

그동안 아프리카의 경제성장은 고용 없는 성장(jobless growth)이었

으며 주로 노동집약적인 경제부문보다는 자본집약적인 부문에서 실현

되었다. 2005년 이후의 경제회복은 국내경제 내적요인보다는 국제시

장에서 상품가격 상승과 같은 외적요인에 더 기인한 바가 컸다. 또한

아프리카 정부의 신자유주의적 경제성장 전략도 고용 없는 성장을 낳

게 한 주요한 원인 중에 하나로 작용하였다.

Page 32: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0

<표 2-4> 아프리카의 산업부문별 고용비중

(단위: %)

1998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농업부문

전세계 40.8 38.7 37.5 36.5 35.5 34.4 33.5북아프리카 35.9 34.7 35.3 34.5 33.8 33.1 32.4사하라이남 67.6 65.4 64.4 64.0 63.4 62.5 61.7공업부문

전세계 21.1 20.7 21.1 21.5 22.1 22.7 23.2북아프리카 20.0 19.2 19.7 20.8 21.7 22.7 23.7사하라이남 9.5 9.5 9.7 9.7 9.9 10.1 10.3서비스업부문

전세계 38.1 40.7 41.5 41.9 42.4 42.9 43.3북아프리카 44.1 46.1 45.1 44.8 44.5 44.2 43.9사하라 이남 22.9 25.1 25.9 26.3 26.7 27.4 28.0

자료: ILO(2009)

고용시장의 공급측면을 살펴보면, 경제활동인구, 교육수준, 보건수

준 등이 모두 증가 또는 개선되었다. 지난 20년간 아프리카지역의 경

제활동인구는 평균 3% 증가하여 세계 모든 지역 가운데 가장 높은 증

가율을 보였다. 특히 사하라이남 지역의 초등학교 취학률은 1991년에

53.7%였으나, 2007년에는 74%까지 증가하였다. 노동가능 연령층의

건강상태도 개선되고 있다. 그러나 노동력의 공급은 빠르게 증가하는

반면 노동수요 증가는 더디어 실제 아프리카 경제성장률은 빈곤 감소

와 생활여건 개선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경제성장률 목표치 7%에

약간 미치지 못했고, 특히 노동집약적 산업부문의 성장률은 이보다 더

낮은 성장률을 보였다.

수요측면에서는 자본집약적인 채굴부문의 투자와 이를 통한 성장이

Page 33: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2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여건 변화 및 성장요인 11

집중되어 노동력의 흡수가 많지 않았다. 게다가 자원채굴 부문은 여타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도 크지 않고,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들이 고

부가가치, 노동집약적 제조업 부문에 대한 투자는 제한적이어서 고용

증대는 미미했다. 실질적으로 과거 20년 동안 아프리카 정부는 종종

다자개발기구 및 기부자의 조언에 따라서 거시경제 안정화, 사유재산

권 보호, 계약이행 제고 등에 치중하는 제도개혁을 추진하였다. 그리

고 고용창출 효과가 높은 제조업을 육성하는 산업 고용정책은 제대로

추진되지 못하였다.

산업정책과 무역정책은 경제성장, 신산업의 출현, 경쟁력 향상, 제

조업 부문에 대한 외자유입 등을 촉진시킬 수 있다. 전통적으로 많은

아프리카 국가들에서 정부는 중요한 고용주였다. 그러나 이제 많은 아

프리카 국가 정부가 기업의 소유를 중단하고, 국영기업들을 민영화하

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정부의 직접고용은 줄어들고, 점차 특수하고

실용적인 기술을 갖춘 개인을 찾으려는 기업으로 변화하고 있다.

아프리카 정부의 고용시장 유연화 정책도 민간부문에서 비정규직

노동자를 대거 양산하고, 정규직 노동자 비중을 줄이는 역할을 했다.

또한 민간 기업들은 중국의 값싼 제조업품과 해외시장은 물론이고 아

프리카 역내 시장에서도 경쟁하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하여 제조업에

대한 투자에 소극적이었다.

결과적으로 노동시장에서 수요공급을 조절하고 취약한 노동자들을

보호할 수 있는 법 제도적 장치가 부재한 상황에서, 정부의 고용증대

를 소홀히 한 경제성장 전략이 현재와 같은 고실업 고용 없는 성장

문제를 양산해 냈다고 볼 수 있다.

Page 34: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2

다. 청년층 실업과 취약고용 문제

고용문제에서 가장 취약한 계층은 여성, 청년, 장애인, 고령층으로

여성노동자는 무임농업노동, 식품가공, 노상판매, 보따리 국경무역, 반

가공 농산물 판매 등과 같은 비공식부문에 주로 종사하고 있다. 공식

적인 부문의 여성고용이 최근 증가하고는 있지만 교사, 간호원, 채굴

업, 제조업, 단순사무직 등 분야에서 소수에 불과하다.

[그림 2-2] 아프리카 청년실업률(단위: %)

자료: UNECA(2009)

출산율 감소, HIV/AIDS의 영향, 높은 산모사망률에도 불구하고 아

프리카 인구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청년층 비중도

증가하고 있어 2008년 기준 아프리카 인구의 60%가 25세 이하이고,

이 중 15~25세까지의 청년층이 아프리카 노동연령층 인구의 40%를

차지한다. 따라서 청년층의 실업문제도 심각하다. 특히 15~24세 청년

Page 35: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2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여건 변화 및 성장요인 13

층은 적절한 교육 부족, 노동 경험 및 취업 경력의 부족 등으로 가장

심각한 취업난을 겪고 있다. 또한 노동시장이 요구하는 기술과 경험을

갖고 있지 못해 좋은 노동조건의 직장에 취업하기 힘들다.

2008년 사하라이남 지역의 청년실업률은 11.3%였고, 북아프리카

지역에서는 24.1%를 기록하였다. 전체 실업에서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특히 우간다(83%), 짐바브웨(68%), 부르키나파소(56%) 등에

높은 편이다.2)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청년실업률이 높은 것은 교육시스템이

발달되어 있지 못하고, 교육서비스 공급도 매우 부족하며, 그리고 무

엇보다 청년층 노동의 질적 수준이 시장에서 원하는 정도에 크게 미

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공공교육 서비스는 포화상태에 있고 중퇴율도

높아서 기술을 갖춘 청년들이 배출되기 힘들 뿐만 아니라 민간부문의

규모가 작아서 청년들은 비공식부문에 고용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최근 들어 공공교육, 직업훈련, 노동현장을 통합하는 새로운 정부정책

/조치들이 아프리카 여러 국가들에서 추진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초기

단계에 있기 때문에 가시적인 성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서부아프리카 국가들의 ‘취약 고용’(Vulnerable employment)3) 문제

도 심각한데, 사하라이남 지역에서 취약한 고용상태에 처해 있는 근로

자가 전체 피고용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0% 이상이다. 즉 사하라이

남 아프리카 근로자 10명 중에 3명만이 임금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2) UNECA(2009), Afrcian Governance Report II, 참조

3) 취약고용은 임금이 지급되지 않는 가정 내 근로자 또는 독립근로자들의 고용을

의미함.

Page 36: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4

1997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북아프리카 42.9 40.3 39.8 41.1 40.9 38.6 37.1사하라이남 80.9 79.3 79.0 77.3 77.7 78.3 77.4

남성

북아프리카 39.3 38.4 36.9 36.7 37.2 34.5 33.1사하라이남 76.2 74.0 73.4 70.7 71.7 73.0 72.0

여성

북아프리카 55.0 46.2 48.8 54.2 52.0 50.3 48.5사하라이남 86.9 86.2 86.4 85.8 85.3 85.1 84.4

자료 : ILO(2009)

<표 2-5> 총고용에서 취약고용 비중

(단위: %)

2.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성장 요인

경제성장의 직접적인 요인으로는 자본과 노동 등 생산요소의 투입

증가와 기술 혁신 등이 있다. 요소축적은 물적자본 및 인적자본에 대

한 투자와 노동력 증대를 통해서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자본축적 증가

율은 저축률에 의존하므로 중단기적으로 대외 차관, 원조, 외국인투자

형태로 타국으로부터의 자본이전을 통한 저축보다 자국의 저축을

통해 더 빠른 속도로 생산요소의 축적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실질

적으로 아프리카에서 국내저축을 통한 자본축적은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아프리카에서 자본축적은 국내저축보다는 국제기구의 원조자금, 해

외로부터의 송금, 외국인투자 특히 자원개발 부문으로 유입된 외국인

투자에 의해서 주로 이루어졌다. 아프리카 국가들의 실업률이 높다는

것은 경제 내 생산요소가 충분히 이용되지 않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

Page 37: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2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여건 변화 및 성장요인 15

는 소득 불균형과 빈곤 심화의 주된 원인으로 되기도 한다. 또한 빈곤

심화는 유효수요를 감소시켜 경제성장을 위축시키고, 사회 정치적 불

안 요인으로 작용한다.4)

자본과 노동에 의한 경제성장을 제외한 다른 요인에 의한 경제성장

은 총요소생산성(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증가로 설명될 수

있다. 총요소생산성은 생산량 증가분에서 노동 증가에 따른 생산 증가

분과 자본 증가분에 따른 생산 증가분을 제외한 생산 증가분을 말한

다.5) 이러한 총요소생산성의 증가는 생산요소의 질적·양적 수준과 사

회 환경, 제도 등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노동자들의 교

육수준이 높으면 작업속도가 빨라지고 불량률도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사회 정치적으로 안정되어 있으면 국내외 투자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

질 것이다.6)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제성장 요인분석으로 Tahari et al.(2004)는 성

장회계법과 횡단면 분석을 통해서 아프리카에서 요소 축적이 경제성

장의 중요한 요소이며, 단기적으로는 외국으로부터의 노동 및 자본 유

입에 있었음을 밝혔다. 개도국 및 동아시아 국가들이 노동력에 대한

경제성장 의존도가 높은 성장구조를 갖고 있는데 반해, 아프리카 국가

4) IMF(2009), IMF(2011) 참조

5) 총요소생산성은 성장회계법에 의해 Solow잔차를 구하는 방식으로 추정함. 규모에 대한 수확불변과 중립적 기술진보를 갖는 Cobb Douglas생산함수를 가정하여

다음과 같은 총요소생산성(TFP)을 정의함. 생산함수 는노동소득분배율

총요소생산성

총요소생산성증가율

6) 일부에서는 TFP는 성장회계식에서 나온 잔차항일 뿐이기 때문에 이를 통해 효

율성을 파악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따른 다는 주장도 있음.

Page 38: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6

들은 경제성장에 미치는 자본기여율이 노동기여율보다 크게 나타났

다. 또한 GDP성장에 대한 자본, 노동, 총요소생산성의 기여도는 아프

리카 국가마다 달랐다. 노동력의 질에 대한 분석에서, 만약 아프리카

국가들의 초등학교 취학률이 OECD 수준이었다면, 1970년~2000년

동안 아프리카 경제성장률은 실제치보다 2.5%p 더 높았을 것이다.

Tahari et al.(2004)의 실증분석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제성장률 3.2%에서 자본 투입의 성장 기여도는

1.6%p, 노동 투입의 성장 기여도는 1.5%p, 그리고 총요소생산성의 성

장 기여도는 아주 미미하게 나타났다. 서부아프리카국가들 가운데 베

냉, 부르키나파소, 카보베르데, 감비아, 기니, 기니비사우, 말리, 나이

지리아 등이 자본 투입의 성장기여도가 노동 투입의 성장 기여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많은 국가들이 부(-)의 총요소생산성 기여도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아프리카 국가들이 대부분 정정불안, 민족 간 분쟁, 내전 등을

겪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서부아프리카지역에서 대표적인 자원부

국인 나이지리아의 경우에 자본 투입에 의한 성장 기여율은 54.8%,

노동 투입에 의한 성장 기여율은 51.6%, 그리고 총요소생산성의 성장

기여율은 –6.4%로 나타났다. 즉 석유 가스 자원개발 부문으로 투입

된 외국 자본 및 노동이 나이지리아 경제성장을 견인하고 있지만, 사

회정치적 불안요인이 성장을 저해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서부

아프리카지역 국가들 중에서 가나, 기니비사우, 라이베리아, 니제르,

세네갈, 시에라리온 등도 부(-)의 총요소생산성의 성장 기여도를 갖고

있다.

Page 39: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2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여건 변화 및 성장요인 17

국가GDP성장률

(%)

경제성장 기여도국가

GDP성장률

(%)

경제성장 기여도

자본 노동 TFP 자본 노동 TFP사하라이남 3.2 1.8 1.5 0.0 레소토 3.4 2.5 1.1 -0.1앙골라 2.3 2.1 1.6 -1.4 라이베리아 1.9 0.5 1.5 -0.1베냉 3.3 1.3 1.2 0.7 마다가스카르 1.2 0.8 1.6 -1.2

보츠와나 7.5 3.8 1.7 2.0 말라위 3.5 2.1 1.4 0.0부르키나파소 2.7 1.5 1.0 0.1 말리 2.9 1.3 1.2 0.4

부룬디 2.7 1.7 1.2 -0.2 모리셔스 5.3 2.5 1.6 1.2카메론 3.8 1.9 1.3 0.6 모잠비크 3.6 2.3 1.0 0.3

카보베르데 5.5 3.0 2.1 0.4 나미비아 1.9 1.5 1.5 -1.1중앙아공 2.2 0.9 1.0 0.3 니제르 2.6 1.0 1.8 -0.1차드 4.1 2.0 1.5 0.6 나이지리아 3.1 1.7 1.6 -0.2코모로스 1.9 1.3 1.6 -0.9 르완다 2.5 1.1 1.8 -0.4콩고

(브라자빌) 4.0 2.1 1.6 0.3 상투메프린시페 0.4 2.0 1.5 -3.0

콩고민주 0.2 1.1 1.6 -2.4 세네갈 2.1 1.0 1.5 -0.5코트디부아르 3.6 1.0 2.4 0.2 세이셸 3.2 2.9 0.8 -0.5적도기니 11.6 5.0 2.0 4.6 시에라리온 -2.6 -0.4 1.2 -3.5에티오피아 2.8 1.3 1.5 0.0 남아공 3.1 1.5 1.4 0.1

가봉 2.7 1.9 1.1 -0.2 스와질란드 4.6 1.6 1.6 1.4감비아 4.9 2.3 1.9 0.7 탄자니아 3.3 1.8 1.8 -0.3가나 2.6 1.1 1.5 -0.1 토고 3.2 1.5 1.5 0.1기니 4.0 2.2 1.3 0.5 우간다 5.1 1.5 1.5 2.8

기니비사우 2.9 2.3 1.2 -0.7 잠비아 2.3 1.6 1.6 -1.0케냐 4.0 2.1 1.9 0.0 짐바브웨 2.6 1.8 1.8 -0.7

주: 자본소득분배율은 0.4자료: Tahari et al.(2004)

<표 2-6>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국가의 경제성장 요인

Oleg et al.(2010)은 아프리카 경제가 발전하지 못한 이유를 효율성

측면에서 설명하였는데, 즉 아프리카 경제의 비효율성이 생산성과 경

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혔다. 사하라이남 아프리

카 국가들이 북아프리카 국가들에 비해 효율성이 더 낮은 것으로 나

Page 40: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8

타났는데, 주된 원인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지적되었다. 사하라이남

아프리카는 열대우림지대로 수송 및 거래 비용이 크고, 말라리아,

HIV/AIDS 등 질병이 많아서 외국인직접투자가 매우 저조하며, 또한

낮은 외국인직접투자 실적으로 인해 선진국으로부터의 학습기회가 적

었고, 열악한 투자 생산 환경으로 추가적인 경영비용도 발생한다. 그

리고 정부의 세수확보를 위한 과도한 과세정책으로 민간기업의 조세

부담은 더욱 가중되었다. 마지막으로 Oleg et al.(2010)은 1가구 내

1인의 소득으로 대가족을 부양해야 되며, 투자나 사업을 시도하였다

가 실패하게 될 경우에 당사자 혼자 책임을 떠 앉게 되지만, 성공할

시에는 이익을 나눠가지는 관행 등은 투자자의 투자의욕과 근로의욕

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지적했다.

Page 41: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3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발전 전략 19

제3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발전 전략

1. 경제성장과 자원지대

가. 생산요소 축적과 자원지대(resources rents) 관리

앞 장에서 살펴보았듯이, 아프리카 국가들의 물적자본 축적률은

1990년~2007년 기간 동안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동 기간 경제성장의

결정적 요인이었다. GDP 대비 총투자율은 1990년~1999년 동안 연평

균 19.57%에서 2000년~2007년에는 연평균 20.22%로 증가했다. 민간

투자 비중은 1990년대에 67%, 2000년대에는 65%를 기록했다. 분석

기간 동안 경제성장의 절반 정도는 인프라부문에 대한 투자에 기인한

것으로, 초기 인프라 수준이 열악했기 때문에 인프라 투자는 커다란

효과를 나타냈다.

 2001 2002 2008 2009

민간 정부 민간 정부 민간 정부 민간 정부

카메룬 18.1 2.2 17.5 2.3 14.3 2.4 16.3 2.2차드 32.7 5.4 67.2 7.5 10.6 4.7 13.4 5.2

코트디부아르 9.3 1.9 6.9 3.2 7.1 3.0 6.5 2.9가나 13.8 12.8 13.6 6.1 21.0 14.9 20.4 9.5

모리타니아 16.8 7.8 20.5 9.9 22.9 6.5 18.8 5.3니제르 10.6 4.5 12.9 4.4 22.5 6.7 21.5 7.8

나이지리아 8.6 15.4 20.9 9.6 15.9 7.5 19.9 8.1

<표 3-1> 서부아프리카 주요 자원부국의 GDP 대비 총투자비중

(단위: %)

자료: AfDB AU UNECA(2011)

Page 42: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20

경제성장에 필요한 투자자금 조달은 국내저축과 해외차입, 공적개

발원조(ODA), 기타 이전수입과 같은 해외로부터의 자금에 의존하였

다. 1990년~1999년간 국내 총저축률은 연평균 GDP의 12.4%였으며,

2000년~2007년 기간 동안에는 15.55%로 증가하였다. 국내저축률 수

준은 국가마다 차이가 있으나 자원부국에서 높은 저축률을 기록하였

으며, 저축재원은 자원지대에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아래 그림에

서도 볼 수 있듯이 아프리카의 GDP대비 국내저축 비중은 2002년 이

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전 세계 평균치에 비해서

상당히 낮다.

[그림 3-1] 아프리카 GDP 대비 국내저축 비중

(단위: %)

자료: World Bank(2010), National Accounts data, OECD(2010), National Accounts data

Page 43: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3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발전 전략 21

아프리카지역에 제공된 해외 ODA 자금은 주로 인프라 사업 및 인

적자본 투자에 사용되었으며, 또한 아프리카 국가들의 주된 외환공급

원으로 대외충격을 완충시키는 역할도 담당하였다. GNI대비 총 ODA

비율은 1997년~1999년까지 감소하였다가 이후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해외 거주하고 있는 아프리카인들에 의한 국내로의 외화송금도 중

요한 외환조달원이며, 2008년에 아프리카지역으로의 외화송금액은

400억 달러(GDP의 약 3%)를 기록하였으며 이후에도 빠르게 증가하

고 있다.

[그림 3-2] 아프리카에 대한 경제부문별 해외지원 규모

(단위: 백만 달러)

자료: World Bank(2010), OECD(2010)

Page 44: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22

또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의 가장 중요한 자금 축적원은 해외수출을

통해 벌어들인 외화수익으로써, 2000년대 들어서서 국제 상품가격 상

승으로 대규모 외화 수출수익이 아프리카 지역으로 유입되었다. 2005

년~2007년 동안 수출은 18.33% 증가하였고, 2007년에는 GDP의

36.83%를 차지하였다. 아프리카지역의 주요 해외 수출품은 에너지 자

원이며, 2000년 상반기에 국제시장에서 고유가 상황으로 인해 나이지

리아와 같은 아프리카 자원부국들은 동 기간 동안 고도 경제성장과

막대한 외화 수출수익을 획득하였다. 이러한 자원지대는 정부재정 수

익과 자원수출 기업의 사내 유보자금을 증대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

다. 아래 그림에서는 아프리카 원유수출국의 경제성장률이 비 원유수

출국의 경제성장률 보다 높고, 또한 원유수출국이 경상수지 흑자를 보

이고 있는 반면에 비 원유수출국은 적자를 기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림 3-3] 아프리카 원유 수출국과 수입국의 경제성장률

(단위: %)

자료: UNECA(2011)

Page 45: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3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발전 전략 23

[그림 3-4] 원유 수출국 및 수입국의 GDP대비 경상수지 규모

(단위: %)

자료 : UNECA(2011)

아프리카 주요 석유수출국 중에 카메룬, 차드, 나이지리아의 경우,

2000년대 초반 고유가 시대에 나이지리아의 석유관련 조세수입이 재

정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30%로 상당히 높았으며, 2010년 유

가가 다소 하향 안정되었을 때에는 17%였다. 차드의 경우에 2004년

부터 본격적으로 원유가 생산되면서 석유관련 조세수입 비중이 급증

하였다. 카메론과 차드의 GDP대비 세수 비중은 2010년에 각각

10.6%, 6.7%였으며, 전체 세수입 중에서 석유관련 세수입 비중은 카

메룬 4.6%, 10.5%였다. 나이지리아와 비교하면 석유관련 세수입 비중

은 약 2배 정도 차이가 난다.

Page 46: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24

  2001 2002 2006 2007 2008 2009 2010e

카메룬Tax revenue 16.0 11.2 17.2 10.9 11.1 10.3 10.6Oil revenue - 4.9 - 6.4 7.8 4.6 4.6

차드Tax revenue 5.5 8.6 3.8 5.5 5.3 7.1 6.7Oil revenue 1.0 1.1 13.0 16.5 20.6 8.4 10.5

나이지리아Tax revenue 9.3 7.0 4.6 5.4 5.8 6.9 6.4Oil revenue 35.6 20.8 29.1 21.9 26.6 12.7 17.0

<표 3-2> GDP대비 세수비중과 전체 세수 중에서 석유관련 세수입 비중

(단위: %)

주 : *e는 추정치자료: AfDB AU UNECA(2011)

아프리카지역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입은 세계 다른 지역

들과 비교해서 가장 저조하다.

[그림 3-5] 권역별 FDI 유입규모

(단위: 10억 달러)

자료: EIU(2010), Estimates for 2010 and forecasts for 2011

Page 47: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3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발전 전략 25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의 경우에 2008년~2011년 동안에 FDI 유입액

이 총 2,000억 달러를 넘지 않았었다. GDP 대비 FDI 유입액 비중은

2009년 아프리카 전체 평균으로 5.93%를 기록하였고, 서부아프리카

권에서는 3.59%였다. 아프리카지역에서 외국인직접투자의 주요 진출

분야는 에너지 자원과 이와 관련된 서비스업, 교역 등이었다.

아프리카 국가들의 주요 수출품은 1차 상품, 천연자원, 그리고 노동

집약적 단순가공·제조업제품 등이다. 주요 수출시장은 아직까지 서방

선진국이지만 그 비중은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반면에 중국, 인도,

브라질 등으로의 수출은 빠르게 증대되고 있다.

[그림 3-6] 재화 및 서비스 수출액 추이

(단위: 백만 달러)

자료: World Bank(2009), Africa Development Indicators

Page 48: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26

아래 표는 아프리카 국가들의 상품수출에서 제조업 제품이 차지하

는 비중의 변화 추이를 나타낸 것이다. 마다가스카르, 세네갈, 탄자니

아의 경우에 1980년대에는 제조업 제품의 수출비중이 15% 미만이었

으나, 2008년에는 31%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아프리카 많은 국가들이

여전히 제조업 제품 수출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5% 미

만을 기록하고 있다.

알제리, 나이지리아 등과 같은 자원부국 수출국의 경우도 2000~2008

년 동안 제조업 제품의 수출 비중이 계속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이들 국가들이 자원지대를 산업구조 다각화

시키는데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였음을 의미한다.

비중 1980년 1990년 2000년 2008년

0~15%

앙골라, 알제리,베닌, 부르키나파소, 카메룬, 감비아,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세네갈, 탄자니아, 토고,

앙골라, 알제리, 카메룬,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수단, 토고

알제리, 베닌, 부르키나파소, 부룬디, 카메룬, 코트디부아르, 에티오피아, 가나, 말라위, 모잠비크, 니제르, 나이지리아, 수단, 우간다, 잠비아

알제리, 코트디부아르, 에티오피아, 말라위, 모잠비크, 니제르, 나이지리아, 수단, 잠비아

16~30% 중앙아 세네갈

감비아, 세네갈, 탄자니아, 짐바브웨

부룬디, 감비아, 가나, 우간다

31%이상

튀니지

모리셔스, 튀니지, 짐바브웨

중앙아, 조지아, 마다가스카르, 모리셔스, 나미비아,토고, 튀니지

조지아, 마다가스카르, 모리셔스, 나미비아, 세네갈, 탄자니아, 튀니지, 짐바브웨

<표 3-3> 아프리카 국가들의 제조업 제품 수출비중 변화

자료: World Bank(2009)

Page 49: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3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발전 전략 27

[그림 3-7] 아프리카국가의 1인당 수출과 제조업・서비스 비중간 상관관계

자료: McKinsey(2010), 주가나한국대사관(2011.9), “가나 경제현황 및 투자환경”에

서 재인용

상기 그림에서도 볼 수 있듯이 1인당 수출량이 높은 산유국(나이지

리아, 알제리, 가봉, 리비아, 앙골라, 차드, 민주 콩고, 적도기니 등) 그

룹에 속하는 국가들은 경제구조의 다각화 정도가 낮은 것을 볼 수 있

다. 서부아프리카 국가들 가운데 코트디부아르, 가나, 세네갈 등이 상

대적으로 경제구조의 다각화(GDP에서 제조업 서비스업의 비중)가 잘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50: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28

다음으로 아프리카에서 인적자본 축적은 1990년~2007년 동안 경제

활동인구 증가와 건강수준 개선에 힘입은 바 컸다. 경제활동인구는

1990년~2010년 동안 연평균 3%의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국제노동기

구(ILO)는 추정하였다. 동 기간에 인구 자연증가와 여성의 노동참여

가 크게 확대되었다. 특히 젊은층 증가율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보건 위생분야의 개선으로 유아사망률은 1990년~1997년 동안

1000명당 92명에서, 2000년~2007년 동안에는 1000명당 87명으로 감

소하였다. 초등학교 진학률은 1990년 75%에서 2007년에 97%로, 중

고등학교 진학률은 1999년 14%에서 2007년에 29%로 각각 증가하였

다. 대학진학률 역시 1990년~1999년 동안에 3%에서 2000년~2007년

에는 4%로 증가하였다. 전체 고용자 중에서 중 고등교육 학력소지자

비중도 1990년~1999년 동안 18.07%에서 2000년~2007년 21.62%로,

그리고 대학 학력 소지자 비중도 분석기간 동안 6.8%에서 7.2%로 각

각 증가하였다.

그러나 아프리카 교육시스템이 경제발전에 필요한 지식과 전문가들

을 공급해 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

과 중국의 경우 대학에서 공학 및 상경 전공 졸업자 비중은 50%인데

반해 아프리카에서는 20%에 불과하다.

또한 1990년~2007년 동안 아프리카 전체적으로 높은 실업률을 기

록하였는데, 이는 최근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경제활동인구들이

경제 내에서 과소하게 활용(고용)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말

하면 지난 20년 동안 경제는 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고용은 크게 증

가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광업부문의 부가가치는 연평균 10% 이상 성장하였는데, 전체 고용

Page 51: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3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발전 전략 29

자 중에서 광업부문 고용자 비중은 10%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

업부문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 정도 되는데 전체 경제활동

인구의 1/2을 고용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10년 동안 농업부문의 GDP

비중은 오히려 감소(27.4%→23.8%)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나이지리아와 같은 자원부국의 경우에 자원채굴 산업

중심의 경제성장은 생산요소의 과소고용, 빈부격차 및 지역간·계층간·

부문간 불균등 심화 등의 결과를 야기했다. 이러한 경제구조와 경제성

장 패턴은 대외여건 변화에 취약하고, 안정적인 성장을 실현시키기 어

렵기 때문에 고용탄력성이 높은 제조업, 서비스업, 농공업 등을 발전

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즉, 노동집약적 산업 중심의 산업구조 조정은

고실업율 문제를 해결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나. 자원부국 유형

현재 전 세계 자원부국들은 지형적 조건, 정치·경제적 발전 수준, 국

내시장 규모, 관료층과 최고의사결정자의 능력 등에 따라 4가지 유형

으로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1) 중동/중앙아시아/아프리카 유형

중동/중앙아시아/아프리카지역 국가들은 높은 석유 가스 자원의존도

를 갖고 있다. GDP 및 수출에서 에너지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다. 그리고 에너지 산업이 정부의 강한 통제하에 있다. 대규모 자원

개발은 주로 메이저 기업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자국 국영석

유 가스기업이 자원개발 사업에 일정 수준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Page 52: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30

고유가 상황이 오래 지속되는 경우에 이들 국가들은 유가 상승으로

발생한 추가적인 경제적 이득을 자원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외국기업

보다 더 많이 확보하기 위해 자원민족주의 정책을 추진하였거나 하려

고 한다. 또한 자원부국의 국영석유기업들은 일정 수준의 개발 기술과

경험을 습득한 후에 외국기업을 제치고 비교적 개발여건이 좋은 신규

광구개발 사업의 운영사로 되고, 복잡한 탐사․개발 사업의 경우에는

외국기업과 서비스계약을 맺어 해결한다. 국내 시장이 크지 않기 때문

에 생산된 석유․가스의 대부분은 해외로 수출된다.

그래서 자원개발 역사가 긴 중동국가의 경우에 상 하류부문에서 차

지하는 자원부국 석유․가스기업의 비중/역할이 크지만, 중앙아시아

및 아프리카 자원부국에서는 아직까지 크지 않은 편이다. 또한 중동국

가들의 자원개발관련 제도․계약은 국제적 기준(Global standard)에

가깝게 운영되고 있지만, 중앙아시아․아프리카지역에서는 자원개발

과정이 불투명하고 명확하지 못하다.

2) 영국/호주/노르웨이 유형

유럽의 자원부국들은 에너지 산업과 비에너지 산업이 모두 발전되

어 있으며, 에너지 부문에 대한 정부의 직접적인 통제가 크지 않는 특

징을 갖고 있다. 민간 기업이 국내 에너지 산업을 주도하며, 국영석

유 가스기업도 상당히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다.7)

이들 국가들은 선진국 그룹에 속하는 국가들로 국가신뢰도나 투명

도가 매우 높고, 자원개발 관련 제도와 계약 형태도 국제적 기준과 관

7) 물론 노르웨이는 국내 국영기업인 Statoil에 의해 자원개발 사업이 대부분 이루어

지고 있지만, Statoil은 매우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음.

Page 53: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3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발전 전략 31

행에 따른다. 또한 무엇보다 지원지대가 법 제도적 장치에 의해서 투

명하게 관리되고 있다.

3) 미국/중국 유형

미국과 중국은 에너지 소비 규모가 매우 크기 때문에 국내에서 생

산된 자원은 국내에서 대부분 소비되며, 부족한 물량을 해외에서 대규

모로 수입하고 있다. 그래서 해외 에너지 자원의 안정적 확보가 정부

에너지 정책의 중요한 과제 중에 하나이다. 에너지 기업들은 기술과

규모면에서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고 있다. 에너지 산업이 국가 GDP

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으며, 제조업 또는 서비스업이 상당히

발달되어 있다. 자원 생산 판매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대는 많은 부분

직간접적인 형태로 에너지부문에 재투자된다.

4) 러시아/인도네시아/멕시코/브라질 유형

러시아, 인도네시아, 멕시코, 브라질 등은 모두 신흥개발도상국으로

아직 에너지 산업이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편이지만 비

에너지 산업도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 에너지 자원 생산량

중에서 일부는 해외로 수출되고, 일부는 국내에서 소비되고 있는데 시

간이 흐를수록 국내 소비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에너지 자원의 해외수출을 통해 획득된 외화수익은 산업구조를 다

각화하고 고도화시키는데 활용하려고 하지만, 법 제도적 인프라가 발

달되어 있지 못하고 정치적으로 민주화 수준이 낮아서 효과적으로 활

용 관리되고 있지 못한 편이다.

대부분 에너지 산업은 정부에 의해서 강력하게 통제되고 있으며, 국

Page 54: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32

영기업 비중도 매우 크다. 현재 이들 정부는 산업정책을 통해 지속적

인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전략산업을 육성하고 산업구조를 다각화하

려고 한다.

2.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발전 전략8)

가. 경제발전 목표 및 전략

현재 아프리카 자원부국들은 공통적인 경제발전 목표를 ‘빈곤 탈출

및 고용 창출을 위한 지속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데 두고 있다. 즉, 과

거의 고용 없는 성장 전략에서 탈피하여 고용창출을 통한 실업문제

해소와 빈곤탈출이 현안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2008년~2009년의 세계경제 위기상황에서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제

성장률은 크게 둔화되었다.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위한 역

량을 마련 강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 되었다. 세계경제의

호조나 국제 상품가격 상승 등과 같은 대외여건 변화에 의존한 경제

성장 패턴에서 벗어나, 지속가능하고 고용을 창출하며 빈부격차를 줄

일 수 있는 경제성장을 실현하는 것이 요구된다.

아프리카 국가들의 발전유형은 위의 4가지 범주에 완전히 일치하지

는 않으나 중동·중앙아시아형과 유사한 측면이 많은 것 같다. 그러나

아프리카지역 내에 많은 국가들이 존재하고, 세계 다른 지역에 비해서

경제성장을 위한 초기 기반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다는 차별성도

갖고 있다.

현 시점에서 아프리카 국가들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8) UNECA AUC(2011), UNECA(2009) 참조

Page 55: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3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발전 전략 33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단기적으로 거시경제 측면에서의 팽창정책과 장

기적으로는 경제 및 산업구조의 다변화 및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대

부분의 아프리카 전문가들은 주장한다. 먼저 단기적으로는 세계경제

위기 속에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팽창적인 재정․금융․환율 정책을

추진하며, 장기적으로는 지속성장의 기반마련을 위해서 경제구조의

다각화와 공기업 구조조정을 추진한다. 국내자원의 동원(mobilization)과

기술이전 및 R&D를 통한 총요소생산성의 증대(생산요소의 질적․

양적 축적, 생산요소의 효율적 배분을 위한 환경 및 제도 개선, 정치적

안정화)이 필요하다. 그리고 국가의 자원수익 창출, 재투자 및 재분배

에 있어서 투명하고 건전한 절차와 제도를 정착시키는 거버넌스 개선

도 매우 중요하다. 또한 지역 통합을 통해서 역내 시장을 확대하고, 1차

산업과 채굴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로 전환

하여 고용을 증대해야 한다.

나. 정책추진 역량 강화

과거 아프리카 국가들이 지속 성장과 산업구조 개편에 실패했던 원

인 중에 하나는 바로 정부의 리더십 부재와 비효율성에 있었다. 자국

의 자원 부존량과 경제발전 수준에 맞게 전략산업을 선정 육성하지

못하였고, 또한 경제구조 다각화에 필요한 인적자원, 지식 및 경험,

법 제도 등을 축적 마련하지 못하였다. 시장부재 및 시장실패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국가의 개입을 높이거나 또는 제한하려고 했지만 이를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정치적 역량이 충분히 있지 못했다.

세계적으로 경제개발을 성공적으로 달성한 국가들은 국가 장기비전

제시, 정부의 리더십, 장기 국가개발계획을 수립 추진할 수 있는 정부

Page 56: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34

기관 및 관료, 경제주체들의 높은 근로의지 등을 갖고 있었다. 또한

경제 거버넌스측면에서 경제활동과 자원에 대한 적절한 조정 및 감독,

긴밀한 민 관 협력, 기업가 계층에 대한 사회 정치적 지원 등도 경제

성장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동북아시아 국가들의 성공적인 경제발전

도 이와 같은 요인들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본다.

그래서 일부 아프리카 국가들은 이러한 동북아시아 국가들의 경제

성장 모델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려 하고 있다. 그리고 정치적 민주화

와 효율적인 관료제도를 실현시킴으로써 시장부재 및 시장실패 문제

를 해결하려고 한다. 또한 정부의 강력하고 효과적인 산업정책을 통해

경쟁력 있는 민간부문과 성장동력 산업을 육성하며, 그리고 긴밀한

민 관 협력체제를 구축하고자 한다. 그러나 경제성장을 위해 필요한

자본과 기술은 외국인투자 유치를 통해 해결하려고 한다.

3. 단 장기 경제성장 정책

가. 단기 경제성장 정책

지난 20년 동안 아프리카 국가들은 국제시장에서 상품가격 상승과

자원수출에 따른 수출수익의 증가, ODA 및 해외금융 자금유입 증가,

그리고 비교적 안정화된 국내사정 등에 힘입어 경제성장을 이룩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같은 기간 동안 안정적 경제성장의 기반이 되는 물적

자본투자 측면에서의 가시적인 성과는 그렇게 크지 못했다. 그래서 세

계경제 침체와 같은 대외여건이 악화되었을 때 아프리카 국가들은 위

와 같은 요인들에 의한 성장효과들을 빠르게 상실해 버렸다.

그래서 아프리카 경제전문가들은 사회간접자본 및 인적자본에 대한

Page 57: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3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발전 전략 35

투자를 통해 경기부양을 꾀하는 확대 재정정책을 주장한다. 인프라 부

문에 대한 투자는 생산능력(productivity capacity)을 증가시키고 총수

요를 촉진시키며 자원을 재분배하는 효과를 가져와 장기에 경제성장

을 지속시킬 수 있게 한다. 아프리카 자원부국 수출국은 이러한 투자

를 위한 자금을 자원지대를 통해, 그리고 비자원부국은 국제사회의 다

자·양자 원조를 통해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9)

한편 아프리카 국가들의 GDP 대비 정부지출 비중은 2000년대를

거치면서 증가하였으나 경제개발을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수준에는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표 3-4> GDP대비 정부지출 비중

(단위: %)

2005 2006 2007 2008 2009(추정)

2010(전망)

아프리카 전체 25.9 26.0 27.4 28.2 31.0 29.7 북부아프리카 30.1 30.8 32.5 33.4 36.4 33.9

동부아프리카 24.3 24.3 24.3 24.6 24.9 25.5 서부아프리카 18.6 17.9 20.0 18.4 21.7 20.4

중부아프리카 23.2 24.5 27.1 31.3 33.1 31.0 남부아프리카 26.7 26.3 26.5 27.8 30.8 31.1

자료: UNECA(2009)

단기에 정부투자를 확대하는 것에 대해 일반적으로 두 가지 지적이

있을 수 있다. 첫 번째는 정부투자 확대가 민간투자를 약화시킬 수 있

으며, 두 번째는 인플레이션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프

리카 국가들과 같이 인프라가 심각하게 부족하고, 실업률이 높은 상황

9) UN-Energy/Africa(2010) 참조

Page 58: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36

에서 인프라에 대한 공적투자는 민간투자를 대체하기보다 오히려 민

간투자를 보완 촉진시키고, 고용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할 것이다. 또

한 국내 자원이 과소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재정지출 증대에 따른 인

플레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다.

아프리카 국가들의 GDP대비 재정수입 비중은 국제수준에 비해 매

우 작으며 증가율도 낮은데, 이러한 주된 원인은 조세체계가 비효율적

인데 기인한다. 또한 무역부문에 대한 개혁으로 수출입 관세율이 인하

되었는데, 이에 따른 세수감소분을 국내 세금부문에서 충족시킬 수 없

는 상황이다. 그래서 정부의 재정수입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거대한 지

하경제를 축소시키고, 전문직 자영업자에 대한 과세를 통한 조세수입

기반을 확대하고, 해외원조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낮추며, 그리고 대

외환경 변화에 따른 세수 변동성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표 3-5> GDP대비 정부수입 비중(보조금 제외)

(단위: %)

2005 2006 2007 2008 2009(추정)

2010(전망)

아프리카 전체 27.6 28.8 28.1 30.1 25.2 26.2 북부아프리카 33.7 35.5 34.6 37.8 31.6 31.0 동부아프리카 16.5 16.9 17.1 17.1 16.4 16.9 서부아프리카 22.1 20.3 17.0 18.6 13.3 17.8 중부아프리카 29.2 34.8 35.6 39.6 30.0 32.4 남부아프리카 26.3 27.3 27.7 27.0 25.8 25.4석유수출국 35.2 35.4 33.0 37.0 28.4 31.9

자료: UNECA(2009)

또한 아프리카 경제전문가들과 UNECA와 같은 국제기구 보고서에

서는 단기에 수출증대와 통화안정을 우선시하여 과거 물가안정에 초

점을 둔 통화·환율정책 추진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이러한 정책 추진

Page 59: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3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발전 전략 37

을 통해 고용창출과 지속 성장을 실현시킬 수 있다. 아프리카 국가들

의 환율제도는 자국통화를 특정 외국통화에 고정·연동시키는 방식, 통

화바스켓 방식, 점진적 평가변경방식(crawling peg) 등 국가별로 상이

한 환율제도를 채택 운영해 왔다. 따라서 대외충격의 영향이 각국의

환율제도에 따라서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국내 공적채무

부담 경감과 민간부문 투자촉진을 위해 저금리 정책이 단기적으로 필

요하다.

아프리카 경제전문가들은 생산적인 고용을 촉진시키는 방향으로 금

융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들에서

는 은행부문이 금융제도를 지배하며 높은 명목이자율, 대기업과 국영

기업에 대출이 집중되어 있다. 명목 대출이자율은 높지만 높은 인플레

로 인해서 실질 대출이자율은 낮은 편이다. 신용대출이 많지 않은 것

은 신용비용 때문이 아니라 은행을 통한 신용대출이 일반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낮은 실질이자율로 인해 민간저축이 충분

히 이루어지지 않아서 국내에서 금융투자재원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현재 아프리카에서 금융자금 조달은 국내저축보다 해외저축(양자 다

자 원조, 해외로부터 외화입금)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

나치게 해외저축에 의존하다보면 대외 금융여건이 악화되었을 때 국

내 금융시장이 커다란 충격을 받게 될 수 있다.10)

또한 현재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에서는 소수의 상업은행이 국내

신용시장을 지배하고 있으며, 채무불이행 위험도 상당히 높은 편이다.

이는 일반 서민층과 중소기업들에 대한 은행신용이 제대로 이루어지

지 않고 있는 주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정부가 정책금융

10) IMF(2009) 참조

Page 60: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38

을 통해 중소기업, 서민층, 또는 전략적 성장동력 산업 등에 자금을

제공하거나, 신용보증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장기 경제성장 전략

아프리카 국가들의 장기 경제성장 전략의 추진목표는 빈곤탈출과

생활수준 향상, 높은 소득성장률과 경제성장률을 유지하는 데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요소시장 개혁을 통해 생산요소 축적을 증대시키

고, R&D 및 기술이전을 통해서 총요소생산성(TFP)을 제고하며, 경

제 에너지 governance 개선으로 산업구조 다각화 및 고도화를 달성하

며, 역내시장 통합을 통해 교역 규모를 확대할 수 있다.

1) 물적자본 축적

아프리카 국가들은 장기적으로 GDP대비 투자 비중이 적어도 동아

시아 국가들과 비슷한 수준인 35% 정도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

고 있다. 현재 아프리카의 인프라 수준은 다른 개도국 수준의 39%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아프리카 지역에 매년

310억 달러를 투자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인프라 투자를 위한 재원조달은 국내외 민간부문의 참여와 적정한

인프라 사용요금 설정 등을 통해 가능하다. 민간부문의 인프라 부문에

대한 투자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안정적이며 시장친화적인 거시경제

환경 조성, 저금리 대출, 계약이행강제(contract enforcement) 등이 필

요할 것이다. 그리고 외국인직접투자 유치는 자원채굴 부문보다 고용

증대 효과가 높은 해외수출을 겨냥한 농공부문과 서비스 부문에 집중

Page 61: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3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발전 전략 39

되도록 해야 한다.

아프리카 국가들은 장기적으로 혁신적인 금융개혁과 금융시스템 확

대를 통해 저축률을 높임으로써 금융자본을 축적시킬 수 있다. 아프리

카 국가들의 저축률이 다른 개도국에 비해서 낮은 것은 인구의 대부

분이 금융시스템과 쉽게 접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는 은행부문이

발달되어 있지 않아서 국민들의 은행 이용이 일반화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아프리카관련 국제기구에서는 금융시스템 개혁과 확대를 통해

서 금융시스템의 접근성을 제고시켜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특히 농

촌과 비공식 부문에도 은행이 진출할 수 있도록 각종 정책적 제도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도 필요하다.

또한 장기적으로 국내외 저축자금을 유치할 수 있는 금융·자본시장

이 육성되어야 한다. 아프리카지역 자본시장은 1990년대 이후에 형성

되기 시작하였는데, 아직도 거래 규모와 회수가 빈약하고, 기업들의

주식공모도 크지 않다. 그러나 아프리카 국가들은 해외 주재 아프리카

인들을 대상으로 ‘diaspora bond' 채권 발행을 통해서 자금을 조달하

거나,11) 여러 가지 역내 아프리카 기금(regional African fund)들을 설

립하고 있다.

장기에 총요소생산성을 증대시키는 정책으로 채굴부문 이외의 농업

및 공업 부문에 R&D투자 지원정책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R&D투

11) 2011.8월에 에티오피아는 두 번째 diaspora bond인 ‘Renaissance Dam Bond’를발행했음. 이반 국채발행 자금은 Grand Renaissance Dam 건설을 위해 사용될

계획임. 이 댐은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수력발전소(발전용량 5,250MW)로 될 것임. 에티오피아의 첫 번째 디아스포라 채권 이름은 ‘Millennium Corporate Bond’였으며, 동 자금은 Ethiopian Electric Power Corporation(EEPCO)의 투자를 위해

사용되어졌음. 그러나 첫 번째 채권 발행은 기대치에 못 미쳤던 것으로 평가받고

있음. 주요 원인은 에티오피아 정부에 대한 낮은 신뢰도, 정치적 위험, EEPCO의

지불능력에 대한 불신 등에 있었음. Blogs.worldbank.org(Oct. 23, 2011), http://blogs.worldbank.org/category/tags/diaspora-bond

Page 62: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40

자는 아프리카 개별국가 차원에서 추진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는 외국인직접투자 유치를 통한 투자촉진

과 기술 경험 이전을 추진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아프리카의 많은 국가들이 높은 인플레이션율 상황에

있고, 거시경제관리 능력도 부족한 상황에 있기 때문에 대규모 재정투

자를 시행하더라도 일정한 수준으로 재정적자 및 공적채무 규모를 유

지해야 한다.

2) 고용정책

장기적으로 고용증대를 위해서는 수요측면과 공급측면 모두에서 여

러 지원정책들이 추진되어야 한다.

먼저 아프리카지역에서 고용증대를 위한 수요정책으로 민간부문 육

성, 노동집약적 고부가가치 제조업 및 서비스업에 대한 투자, 농업 농

산물 가공부문에 대한 투자 등이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아프리카 역

내 및 국내 시장이 협소하기 때문에 가시적인 고용증대 효과를 거두

기 위해서는 세계 시장을 겨냥한 수출산업육성 정책이 추진될 수 있

을 것이다. 여기서 동아시아 국가들의 경제성장 경험이 아프리카 국가

들에게 유용한 벤치마킹 대상으로 될 수 있다.

1999년에 ILO는 아프리카지역을 포함한 후진국 및 개도국에 ‘좋은

일자리(decent work) 만들기’를 ILO의 최우선 목표로 설정하였다.12)

12) ILO는 1999년 87차 국제노동회의(International Labour Conference 87th Session 1999)에서 사무총장 보고서를 통해 ‘자유롭고, 안전하고, 평등하고, 인간의 존엄

성이 존중되는 환경 속에서 남녀에게 일답고 생산적인 일(decent work)을 제공하

는 것이 ILO의 당면한 최우선 목표’라고 발표하였음. 여기서 decent work은 좋

은, 양질의, 괜찮은 일자리 등으로 사용될 수 있음.

Page 63: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3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발전 전략 41

앞 장에서도 설명되었듯이, 현재 경제활동인구의 상당부분이 비공식

부문에서 열악한 근로조건에서 일을 하고 있다. 비공식부문의 문제는

생산성 및 소득 증대를 통해 비공식부문의 근로조건을 개선시키고, 또

한 비공식부문 종사자들을 공식부문에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

책이 필요하다. 비공식부문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정책으로 기술훈

련, 신용제공, 공식부문 시장과 연결, 지원서비스 제공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아프리카지역에서는 구체적으로 아프리카 경제의 저생산성 전

통농업에서 노동집약적 고부가가치 농업·농공업으로 산업구조를 개편

하고, 제조업과 서비스업을 육성하면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 낼

수 있고, 빈곤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정부는 성장의 고용탄력

성(employment-elasticity of growth)을 증가시키기 위해 기업들에게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특히 수출을 통해 획득한 자금을 고

용창출과 고용효과가 큰 사업부문에 투자하도록 유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급측면에서, 아프리카 국가들에게 인적자본의 개발은

안정적 경제성장과 빈곤탈출에 최우선적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세계은

행과 같은 국제기구에서는 초등교육을 강조하고 있으나, 초등교육 이

상의 고등교육이 경제성장에 더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아프리카 국가들은 장기적으로 고등교육을 전략적으로 확대시

켜야 한다. 즉, 단순히 읽고 셈하는 것을 교육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경제발전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경제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을 갖추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아프리카 국가들에게

교육기관, 교육부, 기업들이 함께 학업과정을 개발하고, 집중적으로

자금을 투자하도록 제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효과적이며 양질의

Page 64: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42

교육․훈련을 위해 외국의 프로그램 및 자금 지원도 무엇보다 필요할

것이다.

인적자본 축적에 있어서 보건부문에 대한 투자는 아프리카지역에서

다른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이다. 아프리카지역에서 보건부문 개선을

통한 국민들의 건강증진은 경제성장의 목표 그 자체이기도 하다. 많은

전문가들은 우선적인 보건부문 투자대상을 치료부문보다 공공위생,

충분한 영양섭취, 환경개선, 예방 등에 두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아프리카 정부 및 최고정책결정자는 국가사회․경제개발

프로그램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고용증대를 최우선 과제로 두어야

한다. 실제로 많은 아프리카 국가들이 실업문제 특히 청년층 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3) 산업구조 다각화와 수출산업 육성

아프리카 국가들에서 산업구조 다변화 전략은 수출수익과 국제지원

금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 있다. 그동안 아프리카 자원채굴 부문에

참여하고 있는 다국적 기업들은 자원가공부문에 대한 투자에 적극적

이지 않았다. 이는 자원가공제품에 대한 역내 시장이 협소하기 때문으

로 여겨진다. 실제로 나이지리아는 아프리카지역에서 최대 원유생산

국이지만, 국내 필요한 석유제품의 상당량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다.

2000년대 많은 아프리카 국가들이 경제성장을 실현하면서 에너지 자

원 가공제품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원가

공산업에 대한 육성의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아프리

카 자원개발부문에 진출해 있는 외국기업들로 하여금 석유 가스 하류

부문에 적극적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유인하는 정책들이 추진될 수

Page 65: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3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발전 전략 43

있도록 해야 한다.

나이지리아 정부는 최근 들어 세제혜택 제공대상을 기존의 채굴산

업에서 자원 가공산업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Goodluck Jonathan 대통

령은 현재 적용되고 있는 수입관세 면제 및 기타 과세금 정책에 대한

재검토를 관계부처에 지시했으며, 또한 앞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국내생산 증대에 기여하는 기업에게만 사업허가권 및 면세혜택을 주

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3) 이에 따라 새로운

조세법 및 관세제도가 도입 시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나이지리아

정부는 석유제품, 석유화학제품, 철강, 곡물 등의 제품에 대한 자급률

을 높이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산업구조 다각화 및 고도화,

고용기회 증가, 부가가치 창출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14)

또한 나이지리아는 석유 가스산업 이외의 다른 산업 육성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나이지리아의 비 석유 가스제품 수출은 2000년에 2억

달러에서 2010년에 23억 달러로 크게 증가했다. 주된 수출품은 코코

아, 가죽, 고무, 직물, 새우, 참깨 등이다. 나이지리아 정부는 비 석유

가스제품의 해외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 이들 제품의 해외수출시 생

산원가 상승분을 보전해 주는 지원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제조업

발전의 주된 장애물로 지적되고 있는 철도, 도로, 전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인 투자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많은 아프리카 전문가들은 협소한 국내 및 역내 시장 문제를 극복

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출산업육성 및 수출촉진정책의 추진 필요성을

강조한다.15) 구체적으로 정부는 유아단계에 있는 국내 전략산업을 육

13) Leadership, 2011.5.24. 해외자원개발협회 홈페이지 참조.14) NNPC는 중국기업과 협력 하에 Lagos, Bayelsa, Kogi 등에 정유공장 3개와 석

유화학공장 1개를 추가로 건설할 계획임.

Page 66: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44

성하기 위해 수입대체 및 국내산업보호 정책을 추진하며, 국내에 부족

한 기술과 자본을 FDI유치를 통해 해결한다. 외국기업 유치를 증대시

키기 위해 수출자유지대 창설, 외국인직접투자에 대한 세제혜택 제공

등을 추진한다. 제조업 부문에서 규모의 경제가 실현될 수 있도록, 해

외시장을 겨냥한 산업화 전략을 추진한다.16) 국내외 민간투자 촉진을

위해 정부의 거시경제 안정화 정책과 사회 정치적 안정을 위한 노력

도 함께 수반되어야 한다. 특히 이는 외국인투자를 유치하는데 있어서

필수조건이기 때문이다. 물가와 환율은 일정한 범위 내에서만 변동되

15) 경제개발에 성공한 아프리카의 국가들 중에 모리셔스(Mauritius)는 성공적으로

수입대체 및 제조업부문의 전략산업 육성 정책을 추진했음. 모리셔스는 1963년에 식품가공, 음료, 화장품, 비료, 신발, 가구, 페인트 등 제조업을 육성하기로

결정하고, 정부가 수입관세 및 수입쿼터제로 국내 전략산업을 보호하는 정책을

취하였음. 그리고 1964년에 모리셔스투자은행(MIB)를 설립하여 신생기업의 자

금조달을 지원하였고, 1968년에는 수출가공지역(EPZ)을 설치하여 내수용 제조

업 육성에 머무르지 않고, 수출시장 접근성을 강화하고 무역자유화 및 FDI 유치를 통한 수출증대를 꾀하였음. 이후 FDI 유치를 증대시켜 산업기술과 경영기

법을 유입하여 기술 및 효율성 향상을 통해서 생산성 증대의 효과를 거두었음. EU·미국과는 무관세 협정과 같은 특혜무역을 통해서 모리셔스 수출기업에게

보조금 효과를 줄 수 있어서 수출경쟁력을 강화하였음. 또한 수출가공지역에서

발생한 정부수입의 약 70%를 서비스부문에 재투자하여 3차 산업 비중을 약

70%까지 끌어올리는 등 효율적인 재투자로 타 산업의 성장까지 일구어냈음. 16) 케냐는 성공적으로 산업구조 다변화를 이루어 낸 것으로 평가받고 있음. 케냐

정부는 2003~2007년 경제회생을 위해 안정적 거시경제 환경을 견지하면서 재

정확대를 통해 인프라 및 농업 부문에 투자하는 경제성장 전략을 수립 추진하

였음. 정부재원은 국가 세금징수 제도개선 및 효율성 개선을 통해서 확보하였

음. 또한 산업자본의 원활한 조달을 위해 확대통화정책도 함께 추진하였음. 이러한 정책들은 케냐 정부의 ‘Vision 2030’에 포함되어 있음. 국가기획부 산하에

독립적 성격을 갖는 ‘Vision 2030 이사회’가 설립되었고, 동 이사회와 국가경

제 사회위원회’가 국가경제개발계획을 수립하였음. 이들 기관들은 주요 국가 프

로젝트의 시행을 조정 감독함. 이러한 경제개발 정책을 통해서 케냐는 2000년이후 정보통신 부문에서 연평균 20%의 성장을 보였고, 동 산업부문의 GDP 비중도 2005년 3.5%에서 2010년에 5.7%로 증대되었음. 관광업도 2005년~2010년기간동안 연평균 8%의 성장을 보였으며, 같은 기간에 건설, 교통, 창고, 도소매

업, 수자원 부문도 GDP성장률(약 4%)보다 높은 성장세를 보였음.

Page 67: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3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발전 전략 45

도록 적절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또한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들에서

만연되어 있는 부정부패, 내전, 민족간 지역간 분쟁, 정치적 불안정 등

의 문제도 해결되어야 한다.

동아시아국가들은 산업화 초기에 아프리카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수

입대체전략을 선택 추진하였고, 이후에 정책·제도 및 구조개혁을 통해

서 성공적으로 수출촉진전략으로 전환하였다. 또한 거시경제 안정화,

효율적인 금융시스템, 대외개방, 그리고 정책금융과 기술훈련지원 등

을 통해 동아시아 국가들은 수출지향 전략산업을 육성하였다. 과감한

인적자본과 R&D투자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국제경쟁력을 높였다.

동아시아국가 정부는 적절한 목표설정과 이에 대해 관리를 하는 수출

촉진전략을 도입·추진하였다.

협소한 국내시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방안으로 인접국가

간 지역통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이다. 독립 이후 20여년 동안

대부분의 서부아프리카 국가들이 경제발전에 실패한 것도 협소한 국

내시장을 겨냥한 개발전략을 추진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부아프

리카의 경제공동체인 ‘서부아프리카국가 경제공동체’(ECOWAS:

Economic Community of West African States)가 실질적인 경제공동

체로서 지역의 공동번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발전시켜야 한다.

ECOWAS는 서부아프리카 15개국을 회원국으로 한 지역통합기구로

1975년 5월 28일 창설되었으며, 나이지리아 아부자(Abuja)에 본부를

두고 있다. 동 기구는 서부아프리카 관세동맹을 기반으로 각국의 독립

이후 UNECA(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Africa)의 주

도로 지역 경제협력기구 창설 흐름에 따라 설립되었다. 당초에는 집단

적 자력갱생을 실현하는 기구로 기대되었으나 현실적으로는 정치, 경

Page 68: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46

제의 통합을 주목적으로 하는 EU를 모델로 탄생하였다.17)

현재 ECOWAS는 역내 경제활동의 전 분야에서 협력과 개발을 촉

진할 것을 목적으로 농공업 개발 분야에서의 협력, 인력·서비스·자본

의 자유로운 이동, 경제 정책의 조정, 가맹국간에 역외 공동관세 설정

을 통해 최종적으로는 공동시장을 창설하려고 한다. 2.2억 명의 인구

를 갖는 대단위 경제공동체의 설립은 생산 활동과 새로운 산업의 창

출로 이어져 규모의 경제를 실현시킬 수 있을 것이다. ECOWAS의 주

요 수출품목들은 원유, 석유 정제품 등의 에너지 제품과 금, 다이아몬

드, 보크사이트 등의 광물, 그리고 코코아 커피, 땅콩류 등의 농산물

등이다. 또한 ECOWAS는 아프리카 지역 내 다른 지역경제공동체에

비해서 비교적 인구 밀도가 높은 국가들로 구성되어 있고, 풍부한 천

연 자원을 갖고 있다. ECOWAS는 최근 풍부한 천연 자원으로 주목을

받고 있으며, 미국을 중심으로 한 많은 선진 다국적기업의 투자를 유

치시키고 있다.

4. 상업화 민영화 전략

가. 70~80년대 국영기업 구조조정 작업

아프리카 국가들의 국영기업 비중은 매우 높은 편인데, 이는 식민지

독립 이후 주요 시설을 국영기업이 소유 운영했던 과거의 관행이 그

17) ECOWAS 설립의 기본적 이론은 다음과 같음. 첫째, 서부아프리카 국가들은 외

부세력에 의한 경제적 지배 및 착취에 대항한 투쟁에서 성공을 하기 위한 조치

가 필요함. 즉 그러한 투쟁에서 성공하기 위해 약소국들은 외부적 지배에 효과

적으로 대항할 수 있도록 최대한의 협력을 필요로 함. 둘째, 빈곤의 경감 및 궁

극적인 제거는 튼튼한 경제기반에 달려있음. 셋째, 국가별 경제발전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함임.

Page 69: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3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발전 전략 47

대로 이어져 왔기 때문이다. 특히 1960~70년대에는 세계적으로 정부

의 역할이 증대되는 추세였고, 1980년대 초반까지 사하라이남 아프리

카 국가들은 대부분 사회주의적 경제개발 전략을 추진하였기 때문에

국영기업의 역할과 비중은 더욱더 커질 수밖에 없었다. 1970년대 말

까지 아프리카 국가들의 국영기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17%이상으로, 이는 전 세계 평균치인 10%(OECD 평균은 5%)보다

상당히 높은 수준이었다.

그동안 아프리카 국영기업들의 경제적 성과는 매우 빈약하였는데,

주된 원인은 국영기업들에 의해 생산되는 재화와 서비스의 품질이 매

우 낮았고, 경영도 비효율적인데 기인했다. 게다가 사회정치·경제적

제도가 발달하지 못한 아프리카 국가들에서 국영기업의 사업결정이

정치적 목적이나 권력층의 사적 목적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

았다. 1970년대 말부터 이러한 국영기업의 폐해가 경제 전반에 나타

나기 시작하였는데, 특히 대규모 국영기업 적자는 결국 커다란 정부재

정 부담으로 나타났다.

1980년대부터 국영기업의 구조조정 및 인프라 부문에 대한 민간부

문의 참여 필요성이 아프리카에도 대두되었다. 인프라 부문에 대한 신

규 건설과 개보수 현대화 수요가 크게 증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영기업들이 이러한 수요를 제대로 충족시켜 주지 못했다. 정부도 국

영기업의 관리능력에 커다란 한계를 보여 주었다.

이에 따라 공공부문에 속해 있었던 도로, 항만, 철도 등 사회간접시

설의 건설과 운영을 민간부문이 담당하여 추진하는 PPI(Private

Participation in Infrastructure)과 PPP(Public Private Partnership) 사업

이 허용 도입되기 시작하였고 1990년대 들어서는 민간자본의 투자범

Page 70: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48

위가 확대되었다. 아프리카 국가들의 국영기업 구조조정은 1단계에

상업화, 2단계에 민영화로 각각 추진되었다.

나. 1단계 상업화 추진 평가

1단계 상업화 단계에서는 국영기업 소유권은 민간에게 매각되지 않

지만 효율성 개선을 목표로 한 구조조정을 통해서 경영쇄신, 부실기업

청산(인프라 부문 예외) 작업이 추진되었다. 이 과정에서 정부는 국영

기업에 대한 재정 부담을 빠르게 줄여 나갔으나, 이로 인해 국영기업

들은 운영자본 조달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고, 부족한 자금은 정부의

암묵적 또는 명시적 승인하에 국영은행을 통해서 조달되었다.

국영기업에 존재해 있었던 초과 고용인원을 감축하는 작업이 폭넓

게 추진되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인원감축 추진은 갈수록 더디

게 진행되었고, 인원감축의 효과 또한 기대에 비해 국영기업의 재정

부담 완화에 기여하지 못했다. 동시에 국영기업 임직원들의 감원 조치

는 정권에 커다란 정치적 부담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국영기업들은 정부의 상업화 조치에 따라서 경영성과와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단기적으로 가격인상을 추진하였으나, 이는 물가에 부담

을 주게 될 뿐만 아니라 고객들의 계속되는 체불 및 지불능력 저하로

수익개선으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이로써 국영기업에 대한 아프리카

정부의 구조조정 노력은 실망적인 결과로 평가되었다.

한편 세계은행(World Bank)이나 국제기구 등 국제사회에서도 각종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서 아프리카 정부의 국영기업 구조조정을 지원

하였다. 이들은 국영기업의 구조조정 프로그램을 추진하는 국가에 대

Page 71: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3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발전 전략 49

해서 금융, 기술, 교육훈련 등을 지원하였다. 세계은행은 3~5년 단위

로 정부와 경영자 간에 경영성과와 책임과 관련된 계약을 체결하고,

계약서 내에 요금현실화 계획, 요금 변동 조건 및 한도, 기업에 대한

투자재원 제공, 임금체불 방지조치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계약계획

(contract-plan)’ 프로그램을 지원하였다.

그러나 세계은행으로부터 계약계획 프로그램을 지원 받은 아프리카

국가들은 대부분 정부의 의무사항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

타나, 프로그램의 효과는 기대에 크게 미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었

다. 1990년대까지 이러한 외부자금 지원을 통한 국영기업 개혁 프로

그램이 추진되었으나, 대부분 추진 실적 및 성과는 좋지 않았고 국영

기업의 비중은 다소 감소하였지만 기대치에 훨씬 못 미치지는 수준이

었다.

다. 2단계 민영화 및 PPI 추진 평가

아프리카 국가들은 1단계에서의 국영기업에 대한 상업화 및 구조조

정에서 보다 더 나아가 경영과 자금조달에 있어 민간부문을 참여시키

고 부실기업을 청산하거나 자산을 매각하는 단계로 넘어갔다.

세계은행은 그동안 국영기업부문의 개혁에 대한 지원에 있어서 지

원 조건의 4/5를 상업화와 구조조정에 중점을 두었고, 나머지 1/5를

민영화에 두었었다. 그러나 1990년대부터는 이러한 상황이 점차 역전

되어 갔다. 또한 아프리카 경제주체들도 과거 국영기업에 의해 공급되

었던 상품들도 민간 기업들의 경쟁에 의해 공급될 때 더 효율적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정부의 관리하에 국영기업이 효율

적으로 경영될 수 있을 것이라는 인식도 점차 힘을 잃게 되었다.

Page 72: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50

1990년대에는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의 민영화 추진은 속도와

규모에 있어서 세계 다른 지역에 비해 활발하지 못하였다. 2005년까

지도 아프리카 국가들의 절반이 상수도, 유선전화, 철도, 항공, 석유제

품 판매소 등이 국영기업에 의해서, 그리고 발전, 송배전 부분의 경우

2/3가 국영기업에 의해서 각각 소유·운영되었다.18)

국가 수 사업 수투자금액

(10억 US$)동아시아/태평양 18 701 187.7

유럽/중앙아시아 26 524 118.6

중남미 28 1,008 378.8

중동/북미 14 76 38.3

남아시아 6 198 45.0

아프리카(남아공) 47 224(25) 33.4(16.0)

합계 139 2,731 801.0

<표 3-6> 세계 지역별 PPI사업 추진 현황(1990년~2003년)

자료: World Bank, PPI Database, John Nellis(2005), "The Evolution of Enterprise Reform in Africa: From State-owned Enterprises to Private Participation in Infrastructure-and Back?", ESMAP, World Bank

1990~2003년 동안 세계적으로 체결된 2,731건의 PPI 계약 가운데

단지 224건(약 8%)만이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 이루어졌고,

그것도 47개 국가에 걸쳐서 추진된 것이었다. 아프리카 국가별로는

역내 전체 PPI 사업 가운데 약 48%가 남아공에서 추진되었고, 그 다

음이 나이지리아로 9.3%, 모잠비크 7.5%였다. 남아공이 아프리카 국

가들 가운데 PPI사업의 규모와 숫자 면에서 월등히 많음을 볼 수 있다.

18) John Nellis(2005) 참조

Page 73: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3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발전 전략 51

국가 PPI 투자(십억 달러) 비중(%)

남아공화국 16.0 47.9나이지리아 3.1 9.3모잠비크 2.5 7.5코트디부아르 1.4 4.2탄자니아 0.9 2.8합계 23.9 71.7

<표 3-7>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상위 5개국 PPI사업 추진 현황

(1990년~2003년)

자료: World Bank, PPI Database, John Nellis(2005)

아프리카는 1인당 PPI투자 규모에 있어서 가장 작은 지역이며, 사

업의 2/3정도가 통신부문에 집중되어 있고, 그 다음이 에너지, 교통

부문 순이다. 수자원 및 하수도 부문의 PPI 사업은 사업 수 및 규모

면에서 매우 빈약한 수준이다.

투자금액(백만 달러) 비중

에너지 7,375 22.1%

통신 21,724 65.0%

교통 4,081 12.2%

수자원/하수도 230 0.7%

합계 33,410 100.0%

<표 3-8>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PPI사업 추진 현황 (1990년~2003년)

자료 : World Bank, PPI Database, John Nellis(2005)

그러나 PPI를 통한 기술 및 금융부문에서 비교적 긍정적인 결과가

발견되고 있다. 통신, 에너지, 수자원 부문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인

Page 74: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52

국가들이 각각 3~5개국 정도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정치적·경제

적인 많은 문제점이 남아 있기는 하나 민간부문이 참여하지 않은 인

프라 프로젝트와 비교하면 상당히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1990~2003년 동안 PPI사업의 민간투자 사업형태별로 보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전체로 신규 개발사업 비중이 전체 PPI사업의 59%를

차지하여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이 양여계약 16%, 관

리계약 또는 임대계약이 14.7%, 그리고 매각이 10.3%를 차지하였다.

에너지 부문에서는 신규 개발사업 비중이 45%, 양여계약 비중이

24.5%, 관리계약 또는 임대계약 비중이 20.4%, 그리고 매각이 10.2%

순으로 나타났다. 통신부문에서는 신규 개발사업 비중이 85%로 압도

적이었으며, 교통부문에서는 양여계약 비중이 45%로 가장 컸다. 여기

서 관리계약, 양여계약, 리스 등은 재개발사업(brownfield project)이

며, BLT(Build-Lease-Transfer), BOT(Build-Operate-Transfer),

BOO(Build-Own-Operate), Merchant, Rental, 매각(Divestiture) 등은

신규 개발사업(greenfield project) 형태이다.

신규

개발사업매각 양여

관리계약 and/or임대계약19) 합계

에너지 22 (44.9%) 5 (10.2%) 12 (24.5%) 10 (20.4%) 49 (100%)

통신 95 (84.8%) 15 (13.4%) 0 (0.0%) 2 (1.8%) 112 (100%)

교통 13 (26.5%) 3 (6.1%) 22 (44.9%) 11 (22.4%) 49 (100%)

수자원/하수도 2 (14.3%) 0 (0.0%) 2 (14.3%) 10 (71.4%) 14 (100%)

유형별 합계 132 (58.9%) 23 (10.3%) 36 (16.1%) 33 (14.7%) 224

<표 3-9>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사업형태별 PPI사업 추진 현황

(1990년~2003년)

자료: World Bank, PPI Database, John Nellis(2005)

Page 75: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3장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경제발전 전략 53

그러나 여전히 국영기업의 민영화와 PPI에 대한 아프리카 내부에서

의 인식은 대체로 좋지 않은 편이며, 이러한 인식은 민영화 및 PPI 프

로젝트의 성과가 좋았던 국가들에서도 마찬가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서부아프리카지역 국가들은 독립 이후, 오랜 사회주의 체제 및

장기 군부 독재체제하에 극심한 부정부패로 인해 철도, 도로, 항만, 전력,

통신 등 사회간접시설이 크게 부족할 뿐만 아니라 심각하게 노후화되

어 있다. 이에 따라 서부아프리카지역 국가들은 외국기업 투자에 의한

다양한 인프라 및 SOC 건설 프로젝트 추진을 원하고 있다.

나이지리아를 비롯한 서부아프리카지역 국가들은 원유와 천연가스

뿐만 아니라 전략광종으로 취급되는 유연탄, 우라늄, 철, 동, 아연, 니

켈과 풍부한 다이아몬드와 금 등 다양한 광물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자원부국이다. 이처럼 에너지 및 광물자원개발이 서부아프리카지역의

가장 유망한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이들 지역의 자원개발, 특히 광물자

원개발은 불안정한 국내사정과 부족한 인프라로 인해 상당히 저조했다.

19) 관리계약(Management Contract): 민간투자자는 관리 서비스 제공, 이에 대한 대

가로 정부로부터 고정수수료 수취, 계약기간은 보통 2~3년임. 리스(Lease): 사업의 전반적인 운영을 통해 수익 획득, 정부에 리스료를 지급함. 양여계약(Concession): 사업 전반적인 운영 및 투자자금 조달, 정부가 자산에

대한 소유권 가지며, 계약기간은 보통 25년 이상임. BLT(Build-Lease-Transfer); 완공 후 정부가 임차하여 민간투자자에게 리스료

지급, 계약기간 완료 후 정부에 소유권이 이전됨. BOT(Build-Operate-Transfer): 완공후 계약기간 동안 민간투자자가 운영하며, 민

간투자자는 운영을 통해 비용 및 계약상의 정해진 수익률을 획득하며, 계약기

간 완료 후 정부에 소유권이 이전됨. BOO(Build-Own-Operate): 완공 후 민간투자자가 소유, 운영함. Merchant: 정부의 수익보증 없이 민간투자자가 자체적으로 시장에 설립 운영함. Rental: 정부가 민간투자자로부터 시설을 임차하고, 단기 구매계약을 통해 민간

투자자에게 수익을 보증함. 매각(Divestiture): 사업의 전반적인 운영 및 투자자금 조달하고, 자산에 대한

소유권자는 민간투자자가 됨.

Page 76: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54

이에 따라 서부아프리카 국가들은 광물자원의 본격적인 개발을 위해

최근 들어 정부소유 광산의 매각을 위한 국제입찰과 외국인투자 유치

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나이지리아의 경우에는 정부의 광물자원 민영

화 정책에 따라 나이지리아 민영화 위원회(National Council on

Privatization)와 나이지리아 공기업국(Bureau of Public Enterprises)이

정부소유 광상의 민간매각 작업을 담당하고 있다.

Page 77: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4장 서부아프리카 국가의 에너지 거버넌스 55

제4장 서부아프리카 국가의 에너지 거버넌스

1. 아프리카 자원부국의 ‘자원의 저주’

가. ‘자원의 저주’ 가설

아프리카에서 에너지 및 광물자원은 경제성장을 견인할 중요한 원

동력이지만 적절하게 개발·관리되어야 실질적으로 국가경제에 이바지

할 수 있다. 풍부한 자원이 경제성장에 기여하지 못하고 오히려 경제

발전과 국가안정을 가로막는 분쟁과 불균형의 원인으로 작용한 경험

을 아프리카에서는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아프리카에서 에너지

자원은 권력층, 군벌 및 외국 자본의 약탈 대상이 되거나 분쟁까지 촉

발시켜온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자원의 개발과 수출에 의한 자

원보유국의 번영이라는 ‘자원의 축복’과는 반대로 풍부한 자원이 ‘자

원의 저주’(resource curse)가 될 수 있다는 주장도 많이 제기되어 왔

다.20) 특히 국가 경제가 자원산업에 과다하게 의존하게 되면 자원 수

출수익의 유입으로 국내 물가가 상승하고 자국통화 가치가 절상되어

국내 제조업의 경쟁력이 약화되는 등 자원의 수출에 의한 부의 창출

이 국내 산업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 또한 국가경제가 자원의 국제

가격 변동에 크게 취약성을 보이며, 풍부한 자원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20) 김승민, ‘콩고민주공화국의 광물자원 잠재력과 경제발전 전망’, 불어권아프리카

의 사회발전, 2009, pp.245-288

Page 78: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56

어려움을 겪게 될 수 있다. 특히 자원의 국제가격 변동에 따라서 수출

수익이 불안정하게 되면 국가 재정을 계획대로 수립·집행함에 있어

일관성이나 예측가능성이 떨어지고 조직적으로 재원을 활용하는 데에

도 어려움이 생긴다.

또한 풍부한 자원개발로 인해 지대추구(rent-seeking) 분위기가 사회

전반에 과다하게 형성되고 국가 지배층들의 부정부패와 자만을 불러

와 정부 및 정치권의 정책·행정 능력 및 리더십을 약화시키게 되는 경

우도 많이 발생하였다. 에너지 자원의 통제권을 가진 소수의 권력층이

자원개발 이익금을 국가경제 발전에 재투자하는 데에 사용하지 않고

오히려 독재정권의 유지에 사용하거나 개인적 이권의 레버리지로 사

용하는 등 정치 경제, 법 제도의 발전이 취약한 아프리카 국가에서는

더욱이 이러한 거버넌스가 제대로 구축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석유개발 주무부처 국영석유공사석유라이센스

발급권한

카메룬 광업부(Ministère des mines)

SNH(Societe Nationale des Hydrocarbures) SNH

차드 석유부(Ministère du pètrole)

SHT(Sociètè des hydrocarbures du Tchad) -

코트디부아르광업에너지부

(Ministère des mines et de l'energie)

Petroci(Société Nationale d'Opérations Pétrolières de la

Côte d'Ivoire)Petroci

가나에너지부

(Ministry of Energy)GNPC(Ghana National Petroleum Corporation) 에너지부장관

모리타니아석유에너지부

(Ministère de l'Energie et du Petrole)

- 석유에너지부장관

니제르광업에너지부

(Ministère des Mines et de l'Energie)

- -

나이지리아석유부

(Ministry of Energy)NNPC(Nigerian National Petroleum Corporation) 석유부장관

<표 4-1> 서부아프리카의 석유개발 주무부처 및 개발권 발급 권한

자료: 각국 정부, 국영석유기업 홈페이지, 한국광물자원공사 광물자원정보, 서상현(2011)

Page 79: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4장 서부아프리카 국가의 에너지 거버넌스 57

천연자원을 둘러싸고 불법거래, 뇌물제공, 탈세 등 각종 부정부패가

만연하고, 종족 간 또는 인접국 간에 자원의 지배권을 놓고 분쟁 또는

전쟁까지 발발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또한 자원개발 수익금을 무기 구

입 및 전쟁비용으로 사용하면서 분쟁이 더욱 악화될 가능성도 높다.

  광물개발 주무부처 국영광물공사 광업라이센스 발급권한

카메룬광업부

(Ministère des mines) - -

차드광업에너지부

(Ministère des Mines et de l'Energie)

- -

코트디부아르광업에너지부

(Ministère des mines et de l'energie)

- SODEMI

가나국토천연자원부

(Ministry of Lands and Natural Resources)

- 광업부장관

모리타니아광업산업부

(Ministere des mines et de l'industrie)

SniM(Société nationale industrielle

et Minière)광업산업부장관

니제르광업에너지부

(Ministère des Mines et de l'Energie)

-

조사권(광무국장)탐사권(광업에너지부장관)채광권(대형:각료회의의장,소형:광업에너지부장관)

나이지리아광업철강개발부

(Ministry of mines and steel development)

-고체광물개발부

(Ministry of solid mineral development)

<표 4-2> 서부아프리카의 광물개발 주무부처 및 개발권 발급 권한

자료: 각국 정부, 국영석유기업 홈페이지, 한국광물자원공사 광물자원정보, 서상현(2011)

그동안 아프리카 지역의 에너지 자원개발은 다른 산업에 비해 상대

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에너지 자원 수출로 인한 지대

(rents), 외자유입, 그리고 정부세수 등이 증가하고, 이와 관련된 정부

부문도 확대되었다. 그러나 소수 권력층 및 자본가에게 부가 집중되어

Page 80: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58

불평등이 심화되고, 국내 타 산업의 성장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국가경

제의 성장동력 마련에 실패하는 악순환을 가져왔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Oleg et al.(2010)은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아프리카의 노동생산성은 54% 증가하였는데, 민주주의 정치제도를

가진 국가들의 노동생산성이 가장 크게 향상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이

와 반대로 정치적 불안정이나 내전·군사적 충돌이 있는 국가들은 노

동생산성의 향상이 저조하였는데, 이는 군사적 충돌이나 내전으로 물

적·인적 자본의 축적이 저해되고 자원의 효율적 배분이 방해받기 때

문이라고 설명하였다.

따라서 아프리카 자원보유국의 경제성장과 국가발전을 위해서는 자

원의 개발 및 수출을 넘어서 자원의 수익을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관

리하는 거버넌스의 개선이 매우 중요하다. 자원지대를 기반으로 자원

펀드를 조성하고, 동 자금을 우선적으로 교육·인적자본, 인프라 부문

에 투자하고, 또한 고용창출 효과가 높은 제조업부문에 투입하여 산업

구조 다변화, 고용증대, 그리고 불균등 완화 등을 실현시켜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위한 선순환 구조 구축이 필요하다.

2011년에 들어서서 석유수출 수익을 제도적 틀 내에서 관리하기 위

한 노력들이 아프리카 주요 석유생산국들 가운데 나타나고 있다.21)

지난 2011년 5월 나이지리아 상원은 Sovereign Investment Authority

Bill을 통과시켰으며, 동년 3월에 가나 국회는 Petroleum Management

Bill을 승인하였다. 동 법안의 제정목적은 석유판매 수익을 재원으로

21) 아프리카지역에는 석유생산국들로 설립된 APPA(African Petroleum Producers’ Association, 아프리카석유생산국협회)가 있는데, 여기에는 알제리, 앙골라, 콩고

민주공화국, 카메룬, 코트디부아르, 콩고공화국, 적도기니, 리비아, 나이지리아, 남아공, 베냉, 모리타니아, 수단, 차드, 이집트, 가봉, 가나 등임.

Page 81: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4장 서부아프리카 국가의 에너지 거버넌스 59

한 국부펀드를 조성하여 후속세대와 공공지출 지원을 위해 장기적으

로 자금을 비축하고, 석유안정화기금을 조성하여 재정적자 시에 비상

자금으로 활용하는데 있다. 석유 및 금 수출로 외화자금 유입이 증대

되고 있지만, 이로 인한 효과는 외화유입 증대에 따른 국내 통화가치

상승, 수입 증대, 인플레이션 등을 통해 곧바로 상쇄될 수 있다. 그러

나 가나는 아프리카 산유국들 가운데 사회정치․경제적으로 안정되어

있고, 행정체제도 상당히 투명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가나는 노르

웨이, 트리니다드토바고 등의 산유국을 모델로 삼아 에너지 거버넌스

부문에서 모범적인 국가로 이행하려고 한다. 가나 정부는 석유․가스

개발로 벌어들인 외화수익을 우선적으로 인적자원 육성, 산업경쟁력

향상, 인프라 확충 등에 투자하고 있다. 또한 가나 정부는 자원채굴산

업에서 현지인 채용을 우선하는 정책을 도입하려고 한다. 가나산업협

회(AGI)는 Tullow Ghana사와 2010년 5월에 제1회 ‘Local Content

Matchmaking Exhibition and Conference’를 개최하여 광산업 분야에

서 ‘현지인우선정책’을 실시하고자 했다. 가나 정부의 이번 입법화 추

진은 현지인우선정책을 석유 가스분야로 확대시키려는 의도를 내포하

고 있다.

기니(Guinea)도 현재 작업 중에 있는 광업법 초안에 신규 개발기금

설립을 포함시키려 하고 있다.22)

22) Loc.gov, 2011.5.13., Petroleum Intelligence Weekly, 2011.5.16

Page 82: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60

나. 나이지리아의 사례23)

1) 사회 정치 및 경제 현황

나이지리아는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국가들 가운데 가장 많은 인구

를 가진 인구 대국일 뿐만 아니라 대외적으로도 ECOWAS(서부아프

리카국가 경제공동체), AU(아프리카 연합) 등 지역공동체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국토면적 924km2 산업구조 농업 41.83%, 제조업 29.6%, 서비스업 28.6%(2009)

인구 1억5천2백만 명(2010) 주요 수출품 원유, 가스, 코코아, 고무

GDP 2,140억 달러(2010) 주요 수입품 기계, 운수장비, 공산품, 화학제품, 식품

1인당GDP(ppp) 2,420달러(2006) 주요 부존자원 석유, 천연가스, 고무, 철광석,

석탄

기대수명 48세(2009) 경제적 강점 에너지 자원 풍부

문맹률 32.5%(2009) 경제적 단점 사회간접자본 미비, 정정불안

화폐단위 Naira(NGN)

<표 4-3> 나이지리아 개관

자료: World Bank, online database(2010)

1975년 나이지리아는 ECOWAS 창설을 주도하는 등 서부아프리카

지역 15개 국가 간 지역 경제협력을 심화․확대하는 노력을 해왔다.

나이지리아의 수도 아부자에 ECOWAS 본부가 소재하고 있으며, 이

23) 서상현(2011), “서부아프리카 국가들의 에너지 Governance에 관한 연구”, 에너

지경제연구원 전문가세미나 발표자료 참조

Page 83: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4장 서부아프리카 국가의 에너지 거버넌스 61

에 따라 나이지리아가 중심이 되어 서부아프리카 국가 간 단일통화

및 자유무역지대 창설, 관세동맹 체결 등을 추진하고 있다.24)

1981년 OAU(Organization of African Unity, 현 AU의 전신) 경제

정상회담에서 나이지리아는 OAU산하의 전 아프리카 공동시장(Africa

Common Market)을 발전시킬 것을 제창하는 한편 관세동맹 체결을

주장하였다.

나이지리아는 250여개 종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방수도청(FCT,

Federal Capital Territory)과 36개의 주로 이루어진 연방공화국으로 대

통령 중심제를 채택한 영연방 국가의 일원이기도 하다.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조나단 굿럭 인민민주당(PDP) 22,495,187 58.89

무하마두 부하리 진보변혁회의(CPC) 12,214,853 31.98

누후 리바두나이지리아 행동당

(ACN) 2,079,151 5.41

이브라힘 셰카라우전나이지리아 인민당

(ANPP) 917,012 2.40

<표 4-4> 2011년 나이지리아 대선결과

자료: Allafrica.com

1999년까지 대부분 군정에 의해 통치되었다가 1999년 5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집권한 올루세군 오바산조(Olusegun Obasanjo) 대통

24) 역내분쟁은 아프리카 사람들에 의해 해결되어야 한다는 지역주의에 근거하여

나이지리아는 ECOWAS를 바탕으로 역내 국가들간 군사협력 확대에도 주도적

역할을 해왔음. 나이지리아는 서부아프리카지역의 군사강국으로 지역분쟁 해결

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라이베리아(1993, 2003) 및 시에라리온

(1997) 사태에도 개입하여 평화유지군을 파견하는 등 역내 분쟁해결의 근간 역

할을 담당하고 있음.

Page 84: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62

령을 기점으로 민간정부가 통치하고 있다. 2007년 4월 21일 대선에서

우마루 무사 야라두아(Umaru Yar' Adua)가 당선되어 집권하다가

2010년 5월 5일 병사하면서 굿럭 조나단(Goodluck Jonathan) 대통령

이 2011년 5월 대통령으로 공식 취임하였다.25)

조나단 대통령은 취임연설에서 부패를 뿌리 뽑고 교육과 고용을 증

진시킬 것이라고 다짐하면서 아프리카 전역의 민주화를 위해서도 노

력할 것이라고 연설했다. 그는 국내 석유부문을 개혁하고, 석유가 풍

부한 니제르 델타(Niger Delta)지역 내 과거 무장 분자들에 대한 사면

계획도 강화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최근 나이지리아는 괄목할 만한 경제성장을 계속 이어가고 있다.

2002년에는 OPEC의 석유 감산 정책에 동조해 산유량을 감축함에 따

라 성장세가 3%대로 둔화되기도 했으나 이후 지속적인 국제유가의

상승기조에 힘입어 그 어느 때보다도 빠른 활력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03년에는 원유 생산 증가와 더불어 농업생산 호조, 공공투자 확대

등에 힘입어 실질 경제성장률이 전례 없는 10%대의 고성장을 시현하

였으며 2005년에도 6%대의 비교적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이후 2007년에는 산유량 확대와 이에 따른 정부의 투자지출 증대,

농업 및 서비스 부문의 호조 등으로 6%대의 성장세를 보였고, 2008

년에도 6%대의 성장세를 이어갔다. 특히 2008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글로벌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2009년 경제성장률이 6.7%에 달했다.

특히, 2009년에는 세계적인 경기침체와 니제르 델타 지역 무장단체의

25) 조나단 대통령은 2011년 4월 16일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58.89%를 득표하여

강력한 경쟁자였던 야당의 부하린 후보를 누르고 당선된 지 한 달이 넘어서야

취임을 하였음. 이는 대선 결과 발표 이후, 이에 불복한 북부지역에서 정치 분

쟁이 지속되어 8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행하는 등 정치적 불안이 지속되었기

때문임.

Page 85: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4장 서부아프리카 국가의 에너지 거버넌스 63

원유생산 설비 및 파이프라인 공격 등 정정불안, OPEC의 쿼터 감축

(170만 배럴)에 따른 원유생산 감소로 인하여 경제성장률의 둔화가

예상되었으나, 비석유부문의 호조와 외국인투자 증가 등에 힘입어 높

은 성장세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었다. IMF에 의하면, 2011년 나이지

리아 경제성장률은 7.4%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4-1] 나이지리아의 경제성장률 변화 추이

(단위: %)

자료: IMF(2011), World Economic Outlook

나이지리아는 최근 미국, 중국 등으로부터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이

는 나이지리아에 원유 매장량이 풍부하여 잠재적 투자 가치 및 발전

가능성이 무한하여 향후 중동원유 의존도를 낮출 수 있는 새로운 에

너지 공급처로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나이지리아는 372억 배럴(세

계 10위)의 원유 매장량을 보유, 일산량은 평균 220만 배럴(세계 13

위)을 보이고 있다.

Page 86: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64

IMF에 의하면, 나이지리아 석유산업은 나이지리아 경제에 있어 중

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데, 재정수입의 40% 이상, 총수출의 95%

이상을 차지하며 경제성장을 견인하고 있으나, 동시에 원유에 대한 경

제의존도가 높아 국제유가 등락이 국가경제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또한 나이지리아는 광대한 토지와 천연가스, 석탄, 주석 등

의 지하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고질적인 인프라 미비와 효율적

인 거버넌스의 부재로 인해 제조업 등 여타 산업의 성장으로는 연결

되지 못하고 있다.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1(추정)

2012(전망)

실질 GDP 증가율(%) 6.4 6.0 6.7 7.2 7.4 6.7

명목 GDP(십억 달러) 166 214 183 221 248 288

1인당 GDP(달러, PPP) 2,050 2,170 2,290 2,420 2,550 2,720

소비자물가 상승률(%) 5.4 11.6 11.5 13.9 11.8 10.7

시중 금리(%) 10.3 12 13.3 8 10 10.5

재정수지(%/GDP) -0.2 1.5 -4.4 -5.2 -4.6 -3.1

무역수지(십억 달러) 33.7 46.7 30.3 42.2 41 45.3

- 수출(십억 달러) 66 83.6 59.3 76.5 80.1 90

- 수입(십억 달러) -28.3 -36.9 -29 -34.3 -39.2 -44.7

경상수지(십억 달러) 30.8 31.6 22.9 27.7 27.2 31.5

외환보유고(백만 달러) 51,334 53,002 46,773 55,633 60,084 -

<표 4-5> 나이지리아의 주요 경제지표

자료: IMF(2011),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투자정보

Page 87: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4장 서부아프리카 국가의 에너지 거버넌스 65

그러나 나이지리아는 원유, 천연가스 그리고 농업 등 1차 산업에 대

한 의존도가 높으며, 또한 내륙의 에너지 및 광물자원 개발 수송을 위

한 인프라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나이지리아 정부는 최근 원유

등으로 벌어들인 수입을 인프라투자에 집중적으로 투입하고 있다.

2009년 석유생산부문은 GDP의 29.6%를 차지하였고, 농업(축산업,

임업, 어업 포함)도 국가 기간산업으로 37.2%를 차지하였다. 이에 반

해 제조업은 2.5%로 국민경제에 기여하는 비중이 매우 낮다.

2) 경제개발 전략

나이지리아는 최근 고유가와 안정적인 원유생산 등을 바탕으로 고

성장을 이어왔다. 그러나 여전히 원유생산의 대부분 혜택들은 다국적

기업이나 일부 부패한 정치지도자들에게 돌아가고, 일반 국민들이 받

는 혜택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로 인해 나이지리아 일반 국민들은

산유국임에도 불구하고 고 석유제품 가격에 시달리며, 절대빈곤도 줄

어들지 않고 있으며, 이는 빈번한 송유관 절도 사건과 정부에 대한 불

만 시위로 표출되고 있다.

따라서 여러 가지 경제성장 장애요인들을 제거하고 원유로 벌어들

인 자금을 국민들의 복지생활과 인프라에 투자하는 경제개혁 조치들

이 2004년 오바산조 대통령 시절부터 마련 추진되었다. 오바산조 대

통령은 2004년 5월 나이지리아 정부의 개혁프로그램으로 빈곤 삭감

전략 문서(PRSP: Poverty Reduction Strategy Paper)에 「국가경제권

한과 개발전략」(이하 ‘NEEDS’: National Economic Empowerment

and Development Strategy)를 수립 추진하였다.26)

26) Nigerian National Planning Commission(2004), “National Economic Empowerment

Page 88: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66

NEEDS는 빈곤퇴치, 국부창출, 고용창출 및 재교육확대 등을 주요

목표로 하는 일종의 중장기 경제개발 계획이다. 이 프로그램은 경제성

장을 가속화하고, 가난을 감소시키며, 그리고 새천년 개발목표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를 달성하기 위함이다.27)

[그림 4-2] 나이지리아 주요 경제개발 도전 요소

높은

빈곤 수준

경제와

생산성

하락

인프라와

제도의

미비

미진한

경제관리만연된

부패

과도한

채무

낮은

투자지수

주요

개발

도전들

자료: 서상현(2011)

이를 위해 첫째, 교육부문의 경우에 교육서비스의 보급 확대, 교육

수준 향상, 직업훈련을 통한 생활수준 향상, 교육과정 개선, 민간부문

과의 파트너십 추진 등을 통해 NEEDS의 목표를 달성한다는 것이다.

and Development Strategy”, Abuja. 27) Ibid.

Page 89: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4장 서부아프리카 국가의 에너지 거버넌스 67

특히 교육시설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을 통해 초등교육 졸업률 100%,

성인 문자해독률 65%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둘째, 보건에서 국가 전체의 보건시스템 강화, 양질의 보건 서비스

제공을 도모한다. 특히 HIV/AIDS에 관해서는 그 경제적·사회적 중요

성의 크기를 감안하여 향후 5년간 성인의 감염률을 25% 줄이고, 또

한 감염자에 대한 치료의 확대, 모자 감염의 감소, 자발적 카운슬링

(counseling)의 보급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셋째, 물 공급에 있어서는 나이지리아 정부가 NEEDS에 근거하여

국가 수자원 관리 전략 및 국가 물 공급·위생 계획을 책정하고, 물 공

급·관리의 개선, 수인성 감염증의 박멸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개혁프로그램은 2006년 12월 IMF가 2년간의 정책지원기구

(PSI: Policy Support Instrument) 설립을 승인한 후에 채택되었다. 정

책지원기구는 나이지리아 정부의 건전한 거시경제정책과 강화된 금융

제도 유지, 그리고 민간분야 개발을 위한 유인책 마련을 돕기 위해 설

립되었다.

재건노력들은 적절한 GDP 성장과 인플레이션 하락 등 뚜렷하게 개

선된 거시 경제적 결과를 이끌어 왔다. 개혁프로그램의 추진성과는 금

융부분 개혁, 부채관리, 외환보유비축, 환율안정과 부패와의 전쟁에서

도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긍정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나이지

리아의 경제는 여전히 높은 빈곤, 비효율적인 사회서비스 구조, 젊은

층의 높은 실업률, 부족한 인프라 그리고 만연된 불안과 범죄와 같은

심각한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 이런 모든 문제들이 삶의 질을 더 떨어

뜨리고 산업생산 환경을 악화시키고 있다.

2007년 성공적인 선거의 수행과 유연한 권력이양은 나이지리아 역

Page 90: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68

사상 최초의 민주적 이양으로 기록되었다. 나아가 정치적 안정은 지난

몇 년간의 경제적 업적을 강화하였다.

2007년 대통령의 강력한 경제개발 의지에 따라 나이지리아의 국가

경제위원회(NEC: National Economic Council)가 2007년 9월 4일 발

족되어 야라두아 행정부의 7개 의제를 실현할 로드 맵을 작성하는 책

임을 맡게 되었다. 동 위원회를 통해 나이지리아가 2020년까지 세계

20대 경제대국이 되기 위한 경제 부흥의 계획들을 작성하였다. 야라

두아 대통령은 집권이후 2007년 10월에 ‘민주주의, Good

Governance, 자유로운 기업경영 및 법치주의’ 등의 기본 원칙에 입각

해 활기차고 평화롭고 안전하고 안정된 나이지리아 건설을 목표로 하

는 7대 국정과제를 발표하였다.28)

- 7대 국정과제

․전력공급 개선(Improving the Electricity Supply)

․농업부문 육성(Boosting the Agricultural Sector)

․고용기회 확대(Increasing Employment Opportunities)

․수송체계 개선(Improving the Dilapidated Transport System)

․토지 소유권 개혁(Reforming Land Ownership)

․보안조치 강화(Strengthening Security, especially in the Niger

Delta)

․교육제도 개선(Improving the Education System)

동 위원회의 위원장은 당시 부통령이었던 굿럭 조나단(Goodluck

Jonathan)이 맡았고, 36개 주(州) 지사들이 위원회에 포함되었다. 또한

정부조달법(Public Procurement Act)과 재정회계책임법(Fiscal

28) Ezirim Aloy Chinedu, Okeke C. Titus and Ebiriga O. Thaddeus(2010) 참조

Page 91: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4장 서부아프리카 국가의 에너지 거버넌스 69

Responsibility Act)을 제정하기 위한 입법이 진행되었다. 또한 재무장

관, 나이지리아 중앙은행장 그리고 경제관련 장관들이 동 위원회의 구

성원으로 되어 있다.

[그림 4-3] 나이지리아 NEC의 Vision 2020

경제GDP 9천억 달러 달성

1인당 소득 4000달러

비석유분야 13.8% 달성

단일경제 벗어난다양한 산업발전

제조업 상품 등수출구조의 변화

높은 생산성 및 효율성달성

목표

나이지리아 사람

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2020년까지 세계 20위권 경제 달성

추진과제빠르고 지속적인경제성장을달성하기 위해인적 및천연자원의최적화

모든 나이지리아사람들을 위한평등한 사회발전을 이루도록경제성장을 변모시킴.

사회빈곤제거

보편적초등교육 달성

여성과 직업에 대한평등

영아 사망률 감소

HIV/AIDS,말라리아, 기타 질병 퇴치

환경의지속가능성확보

발전을 위한 전 지구적협력

자료: 서상현(2011)

2007년 9월 4일 발족식에서 야라두아 전대통령은 NEC 위원들이

나이지리아인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직접적으로 그들의 삶에 변화가

있는 가시적인 결과들을 가져오길 기대한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그는

Page 92: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70

나이지리아 국가경제위원회가 경제에 대해 대통령에게 조언하기 위한

법적 책임이 있는 고문 단체뿐만 아니라 국가경제 정책들과 프로그램

들이 1999년 헌법에 명시되어 있다고 밝혔다.

야라두아 전대통령은 또한 나이지리아는 많은 고용을 창출해야 하

며, 인플레이션과 이자율이 보다 낮아져야할 필요성이 있다고 언급하

였다. 이 밖에도 나이지리아 경제성장의 원동력이 되는 민간 기업들의

생산을 촉진하기 위해 정부가 적극적인 협력을 해야 하며, 환율도 안

정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동 위원회는 4개의 주요 이슈들에 대해 논의하였는데, 그것은 빈곤,

에이즈, 새천년 개발 목표(MDGs), 그리고 정부조달법과 재정회계책

임법의 의회통과 등이다. 특히 야라두아 전대통령이 2010년 병사한

이후 조나단 부통령이 그의 뒤를 이어 2011년 4월 16일 선거에서 승

리함으로써 이전 정부의 경제정책도 계승하여 발전시키고 있다.

3) 에너지 Governance 개선

나이지리아 에너지 산업은 성장하고 있다. 석유산업의 경우에 2010

년 3월에 인프라 보수가 완료되면서, 석유 생산량이 2009년 7월에 비

해 33만 b/d이 증가하여 20개월 만에 최고수준에 도달하기도 했다. 풍

부한 매장량과 정부의 적극적 개발에 힘입어 2010년 석유 생산량은

220만 b/d를 기록하고, 2014년에는 약 270만 b/d로 증가할 전망이다.

가스산업에서는 보니섬 플랜트뿐만 아니라 대형 프로젝트인 브라스·

올로콜라 LNG 플랜트가 완공될 예정이어서 가스 생산량이 2009년

40bcm에서 2014년에는 88bcm으로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그러나 이러한 석유 가스산업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아직 나이지리

Page 93: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4장 서부아프리카 국가의 에너지 거버넌스 71

아 국민들의 삶은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이는 정치적 불안요소

로 이어져 대선 등 선거가 끝나면 정치적 소요가 잦은 이유 중의 하나

다. 예를 들면, 남부지역에 비해 북부지역 주민들은 에너지 자원으로

부터 수혜가 작다는 불만으로 정치적 폭력사태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

는 최근 남부출신 조나단 대통령이 대선에서 승리하자 북부에서 이에

대한 불만으로 폭동을 일으킨 사례에서도 잘 알 수 있다. 또한 파이프

라인 노선 상에 거주하는 민족 및 부족의 전통적인 구성원 간 사회적

인 단절이나 분쟁 격화가 파이프라인 공격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되고

있다. 다행스러운 것은 최근 들어 주요 반군들과의 협상을 통해 원유

시설에 대한 공격은 상당히 줄어들었다.29)

나이지리아는 세계 9위의 원유 매장량과 7위의 천연가스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지만 국내 휘발유 소비의 거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여전히 휘발유 보조금이 필요하다. 또한 나이지리아 연간 수출수

입의 약 85%가 석유산업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나이지리아 총인구 중

동 산업부문에 종사하고 있는 인구는 불과 4% 전후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야라두아 전임대통령부터 현재의 조나단 대통령

도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에너지 자원의 거버넌스를 체계적으로 정립

하기 위해 현재 에너지 자원에 대한 대대적인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국민들의 질적 생활수준을 향상시키고 투명하고 깨끗한 정부를

건설하겠다는 조나단 대통령의 취임 연설에서도 잘 엿볼 수 있었다.30)

29) Niger Delta에서 내륙지역의 화력발전소로 연결되는 Trans Forcados파이프라인

을 운영하고 있는 SPDC(Shell과 NNPC의 합작기업)는 지난 2011년 10월 6일주요 파이프라인 시설에 대한 파괴행위(sabotage)로 인해 누출사고 발생함에 따

라 Trans Forcados에 의한 원유수송에 대한 불가항력(force majeure)을 선언했

음. 불가항력은 회사가 통제 불가능한 상황에서 당초 합의한 계약조건을 이행

할 수 없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면책조항임. The Nation Newspaper, 2011.10.11

Page 94: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72

나이지리아는 국제투명성기구에서 발표하는 부패지수에서 매년 하

위권에 머물 정도로 부정부패가 만연한 국가이다. 특히 공무원들은 조

직 폭력 조직들과 연계하여 부정부패를 일삼으며 막대한 이권을 챙기

기도 한다. 이러한 부정부패로 인해 아프리카 최대 산유국인 나이지리

아의 대다수 국민들은 절대빈곤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고위 공직자들에 대한 수사와 척결의지가 그 어느 때보다 높지만,

이것이 지속성을 가질 것인지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의문점을 제

시하고 있다. 이것은 이미 나이지리아 정치인들의 부패가 만연하다는

점은 널리 알려져 있고, 또한 국회의원 및 주지사들 대부분이 조직 폭

력 조직과의 연류가 수십 년 동안 이어져 왔기 때문에 단 시일에 이를

척결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부패척

결이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시사점도 있을 것이다.31) 조나단 대통령이

이제 막 출범한 정부이기 때문에 아직 많은 시간이 있으며, 지속적인

의지만 있다면 나이지리아의 정치부패를 척결하는데 진일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석유산업부문의 경우, 2000년 이후 원유 가격의 지속적인 상승세와

30) 조나단 대통령은 선거운동 과정에서 노후 전력설비 등 인프라 확충과 젊은 층

의 일자리 창출 그리고 부패척결 등을 약속한 바 있음. 특히 인프라와 전력설

비 확충은 나이지리아 산업발전에 있어 필수적인 요인으로 현재의 원유와 천연

가스 등 에너지자원 의존경제에서 탈피하려는 나이지리아 정부의 의지이기도

함. 또한 조나단 대통령은 취임식 연설에서 ‘변화는 지금 부터이다’라고 역설했

음. 이 언급에는 나이지리아의 여러 가지 변화요인들이 있으며, 특히 만연된 정

치부패의 척결이 직접적으로 연관됨. 정치부패의 종식을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것이 굿 거버넌스(good governance)임.31) 부패척결에 대한 첫 사례로 나이지리아 전 하원의장인 디메지 반콜레(Dimeji

Bankole)가 6월 5일 반부패감찰팀에 의해 그의 집에서 체포되었음. 그는 1천4백만 달러를 사기 친 혐의로 조사를 받았음. 그의 체포는 새로운 하원의장이

선출된 직후에 이루어졌음. 반폴레는 지난 4월 선거에서 야당에 패배하여 의원

직도 상실된 상태임.

Page 95: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4장 서부아프리카 국가의 에너지 거버넌스 73

더불어 인도, 중국 등도 나이지리아 신규 유전 확보에 관심을 보이자

나이지리아 정부는 유전 광구분양 시 자국 내 사회기반시설 개발을

연계하여 하류부문 개발 정책을 가속화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한

편으로 나이지리아 정부는 균형적인 경제 발전을 위해 주요 외화 수

입원인 원유생산 산업의 의존도를 낮추고 제조업 및 농업의 육성과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관세율 및 소비세 제도를 변경 중

이다.

또한 조나단 대통령은 국영석유기업 NNPC(Nigerian National

Petroleum Corporation)를 국제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석유 가스 생산에 NNPC의 참여를 확대시키고 구조조정을 시행

하고 있다. 현재 서비스수지 적자의 원인이 되고 있는 석유 및 가스

산업을 고용창출과 경제성장의 원동력으로 변화시키려는 것이 목적

이다.

즉, 석유산업의 고용창출과 일반 국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나이지리아 정부의 석유산업에 대한 개혁의 주

요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정부의 노력은 석유산업법(PIB:

Petroleum Industry Bill) 개혁 작업으로 나타났다. 현재 신석유산업법

안(PIB)이 의회를 통과할 것인지가 최대의 초점이 되고 있는데, 동 법

안을 둘러싼 과제는 전개되는 상황에 따라 정부의 구조 자체나 각료

인사에도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갖고 있다.32)

또한 나이지리아 정부는 석유수출에 따른 외화수익을 투명하고 효

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구축하려고 한다. 2011년 5월

나이지리아 상원은 Sovereign Investment Authority Bill를 통과했는

32) 나이지리아 Madueke석유부장관은 4년 이상 지연되어온 PIB법안이 2012년 1/4분기에 통과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Reuters, 2011.12.19. 참조

Page 96: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74

데, 주요 내용은 석유판매 수익을 관리하는 국부펀드 조성과 독립된

기관 설립에 있다. 석유판매 수익 국부펀드를 관리하게 될 Nigerian

Sovereign Investment Authority은 후세를 위한 자금비축, 유가변동의

여파완화를 위한 석유안정화기금 마련, 신규 인프라 건설을 위한 기금

마련을 주된 역할로 삼고 있다. 국부펀드는 기존에 석유판매 수익을

관리했던 ECA(Excess Crude Account)을 대체하게 될 것인데, 그동안

ECA의 관리 운영상에 많은 부정과 남용이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

었다.33)

2. 자원민족주의 전략 추진

가. 자원민족주의 확산 움직임

고유가 상황으로 서부아프리카지역 특히 나이지리아 자원개발에 대

한 외국기업의 진출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최근 들어 자원민족주의

(resource nationalism)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2006년 러시

아와 베네수엘라에서 가장 두드러졌으며, 이후에는 카자흐스탄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34) 2000년대 고유가 상황에서 나타났던 산유국

들의 자원민족주의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조치들을 수반하였다:

① 에너지 자원에 접근 금지 또는 차등적 접근, ② 기존 광구개발계약

조항 위반(산유국 국영기업 지분 확대), ③ 자원개발 참여 및 비용 인

33) Petroleum Intelligence Weekly, 2011.5.1634) 러시아의 경우에 세법, 규제, 법률 등의 제도 변경을 통해 민간기업의 자산을

국영기업으로 귀속시키고, 에너지 자원을 외교 및 경제적 협상력을 강화시키는

수단으로 활용함.

Page 97: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4장 서부아프리카 국가의 에너지 거버넌스 75

상(로열티 세금 등 인상), ④ 석유 가스 공급의 인위적 제한, 그리고

⑤ 석유수입을 재투자하는 대신에 사회 경제정책 추진을 위해 전용 등.

나이지리아와 알제리는 외국기업의 유전개발에 대해 로열티를 인상

하고, 국영석유기업의 사업지분을 확대함으로써 점차적으로 자원개발

사업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대체적으로 아프리카 신흥

석유생산국들은 국영석유기업을 설립하고, 이들 국영기업의 탐사 개

발 권한을 강화하고, 외국기업에 대한 로열티 세금 부담을 증가시키고

있다.

아프리카지역에서 자원민족주의 움직임은 고유가 상황과 아프리카

국영석유기업들의 독자적인 유전개발 능력 획득 등에서 그 원인을 찾

을 수 있을 것이다.

자원민족주의는 부분적으로 자원개발 수익의 불공정한 분배에 대한

산유국의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그래서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면, 아프

리카 산유국들은 자원에 대한 소유권(sovereignty)을 주장하면서 유가

상승에 따른 추가적인 경제적 혜택을 기존 광구 운영사인 외국기업보

다 더 많이 차지하려고 한다. 산유국들의 이러한 욕구는 외국기업 운

영사에 대한 로열티 세금 인상, 일부 지분의 반강제적 매각요청 등으

로 나타날 것이다.

또한 아프리카 산유국들은 그동안 국영석유기업의 대형화와 외국기

업과의 합작투자를 통해 유전개발 기술과 경험을 꾸준히 습득해 왔다.

일부 아프리카 국영석유기업들은 육상유전 개발의 경우에는 독자적인

기술을 보유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비교적 개발여건이 양호한

육상광구는 점차적으로 아프리카 국영기업에 의해서 개발될 것이다.

개발과정에서 복잡한 부분은 에너지서비스기업과 서비스계약을 체결

Page 98: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76

해서 해결하고, 부족한 투자비는 외국기업에게 일부 지분을 매각해서

조달하려고 할 것이다. 물론 심해유전 개발은 기술 경험 그리고 자금

동원 능력에 있어서 메이저 기업과 비교해서 커다란 격차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한동안 외국기업에 의해 주도적 개발될 수밖에 없을 것

이다.

그 밖에 고유가로 인해 국가 재정수입이 크게 증대되었음도 불구하

고 아프리카 산유국들의 경제발전 및 사회복지 수준은 정부의 부정부

패와 무능으로 인해서 크게 향상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산유국의

대다수 국민들과 자원개발의 혜택을 직접적으로 받지 못한 지역주민/

종족들은 낮은 수준의 사회복지 서비스, 고용, 삶의 질 등에 대해 불

만을 품게 되었고, 경우에 따라서는 집단적인 행동까지 나타났다. 아

프리카 산유국 정부는 이러한 사회구조적 문제를 자원개발에 참여하

고 있는 외국기업에게 돌림으로써 해결하려고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프리카 자원개발 사업에 참여하는 외국기업들은 석유 가스 개발권

획득을 위해 병원, 학교, 도로 등과 같은 사회 인프라를 건설해 주기

도 하지만, 이러한 지원이 산유국 전체의 복지수준을 끌어 올릴 만큼

충분하지는 않다.35)

35) 외국기업의 사회지원 활동(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에 대한 내용

은 다음 장 참조.

Page 99: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4장 서부아프리카 국가의 에너지 거버넌스 77

나. 나이지리아 신석유산업법(PIB) 제정 추진36)

1) 추진 배경과 주요 내용

나이지리아 정부는 신석유산업법(Petroleum Industry Bill: PIB)을

석유산업 투명성 및 효율성 제고, 석유이익 극대화를 목표로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야라두아 전대통령은 모든 석유관련 계약 및 데

이터를 계약 관계자들에게 공개하고 경쟁 입찰을 통한 라이선스 부여

를 규정하여 투명성을 높임으로써 석유이권과 관련한 부정부패 방지

를 최우선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야라두아 대통령은 2007년 취임 이

후 석유산업 개혁을 최우선 국정과제로 선정하고 강력한 개혁을 추진

하였다. 그러나 외국 석유기업들은 PIB 개정작업에 대해 상당히 부정

적인 입장이며, 이에 따라 나이지리아에서의 자원개발 투자계획 수립

을 보류하고 있는 상황이다.

석유산업법은 2000년 연방정부 석유가스개혁집행위원회(Oil and

Gas Reform Implementation Committee)가 만성적 부패 해결방안을

제시한 보고서에 기반을 두고 16개 석유관련 법들을 통합하여 만든

것이다.

나이지리아의 석유산업 개혁 법안은 2008년 8월에 처음으로 제출되

었다. 석유·가스개혁위원회(Oil & Gas Sector Reform Implementation

Committee: OGIC)의 루쿠만 의장은 석유산업 개혁 법안(Draft

Petroleum Industry Bill)의 최종보고서를 총괄하고, 전임 야라두아 대

통령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았다.

야라두아 정부 이전, 오바산조 대통령은 2000년 석유산업 개혁을

36) 서상현(2011), 한국석유공사 석유정보센터 참조

Page 100: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78

추진하였으나 국영석유기업 NNPC(Nigerian National Petroleum

Corporation)의 분할 등에 대한 반발이 일자 2004년에 공식 철회하였

고, 뒤를 이어 대통령이 된 야라두아 전 대통령도 2008년 7월 최초 법

률안 제정 이후 수차례 수정을 거쳤으나 아직 의뢰에 계류 중에 있고

처리되지 않고 있다.37)

개정된 동 법안은 석유산업 관련 정부조직 개편, NNPC사의 지위변

경, E&P 참여 석유회사에 대한 세율 인상, 외국석유회사와의 계약 형

태 변경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PIB 법안의 요지는 ① 석유·천연가스

산업의 기능적인 재편, ② 현행 20개에 가까운 석유 관련법의 일체화,

③ 조직 재편에 따라 석유·천연가스 종사자가 같은 조건에서 경쟁하

는 체제 구축, ④ 석유·천연가스 사업 관장 행정창구의 명확화, ⑤ 로

열티와 세제 제정, ⑥ 현지 기업이나 현지인 활용을 의무화하는 조치

설정, ⑦ 미개발 광구의 새로운 권리자 선정, ⑧ 나이지리아 석유공사

의 개혁, ⑨ 하류 분야의 규제 완화 등이다.

석유산업 재편성에 관해서는 2007년 8월에 향후 6개월 기간 동안

국영석유회사 NNPC(Nigerian National Petroleum Corp)의 재편성을

포함한 석유산업 재편성을 실행하였고, 5개의 새로운 조직을 설립한

다고 발표하였다. NNPC도 석유·가스 사업에 집중하는 나이지리아 국

영 석유회사로 바꾸었다. 이는 자기 자금조달이 가능하고 연방정부 예

산의 의존으로부터 탈피한 경쟁력이 있는 석유회사로 변모하는 것 등

을 골자로 한다. 이러한 법안에 관해 나이지리아 연방의회가 2008년

8월 11일부터 자세한 내용 검토를 시작했다.

또한 루쿠만 의장은 석유산업 개혁 법안과 동시에 석유법의 개정안

37) International Bar Association, http://www.ibanet.org

Page 101: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4장 서부아프리카 국가의 에너지 거버넌스 79

을 제출했다. 개정안은 생산물분배협정(PSA)을 정부 몫의 증가 없이

외자유치가 용이하도록 수정하는 것, 국내 가스가격의 자유화 및 수반

가스의 소각처리 억제 등을 포함하고 있다.

나이지리아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 억제라는 관점에서 당초 2010년

에 설정될 수반가스 소각행위를 전면적으로 금지한다는 정책을 2004

년에 조기 개정하여 2008년 1월부터 시행했다. 그러나 Shell이나

Total 등 메이저 기업들은 수반가스 집진설비 투자자금 부족 등을 이

유로 기한연장을 요구하였고, 2007년 말 나이지리아 정부는 2008년

말까지 기한을 1년 연장했었다.

PIB에는 가스부문에 대한 개혁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특히 정부에

의해 낮게 고정되어 있었던 국내 가스가격을 시장 메카니즘에 의해

단계적으로 인상되도록 하였다. 이는 국내 가스전 개발을 촉진시킬 것

으로 분석된다. 한편으로 나이지리아 정부는 Gas Master Plan(GMP)

을 2008년에 발표하였다.38)

한편, 2008년 말에도 자금 부족, 치안악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은 비현실적이라는 등의 이유로 연기되었다. PIB의 주요 내용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석유자원부(Ministry of Petroleum Resources) 산하 석유국의 역

할을 부문에 따라 분할하여 석유 프로젝트의 승인 등 인허가 업무를

담당하도록 한다.39)

38) Gas Matters, 2011.7~8 참조

39) 석유감독국(Nigerian Petroleum Inspectorate)은 상류부문 관할, 중류 규제국(National Midstream Regulatory Agency)는 파이프라인 수송, 저장, 정체, LNG를 관할, 석유제품 규제국(Petroleum Products Regulatory Agency)는 하류부문 관할, 기타 공공업무 수행기구로 프론티어탐사국, 석유기금, 석유기술개발기금, 석유연구

소 등을 둠

Page 102: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80

② 나이지리아 국영 NNPC는 정부 기능 대행에서 벗어나 순수한 국

영석유회사(NOC)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NNPC Limited로 개명).

NNPC를 정부기능 대행에서 벗어나 순수한 국영석유회사 역할을 하

도록 한다는 것은 NNPC가 독자적으로 채권발행 등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대신 다른 석유회사와 동일하게 로열티 및 세금

등을 납부하도록 함을 의미한다. 또한 기존의 NNPC의 자산을 승계하

는 대신에 감독 및 규제 권한은 정부기구로 이관된다.

③ NNPC가 체결 중인 외국 석유회사와의 합작계약을 변경하여 외

국석유회사와 투자 및 수익을 지분에 따라 배분하도록 한다. 이는 외

국석유회사와 합작계약(JV)을 파기하고 프로젝트별로 새로운 독립합

작법인(Incorporated JV)을 다시 설립하게 하고, 각 독립합작법인이 자

본 및 부채 조달을 통해 프로젝트 재원을 확보하도록 조치하여 정부

지원의 부족으로 인한 프로젝트 추진의 지체 가능성을 줄이려는 것이다.

④ 현재 석유수익세로 통합되어 있는 석유관련 세금을 법인세와 석

유세로 구분하여 징수한다. 즉, 모든 회사는 예외 없이 법인세를 납부

하도록 하고 석유세를 신설하여 석유로부터 초과이득을 환수할 수 있

도록 한다.

⑤ 로열티의 경우 여타 산유국 수준으로 인상하며 생산지역, 생산

량, 유가 등에 따라 추가적인 로열티 적용․부과토록 한다. 이로써

1993년 최초로 생산물분배계약(PSC)을 도입하면서 심해 석유개발에

는 최소 0%의 로열티를 규정하였으나 이를 상향 조정하여 심해에서

도 최소 5%의 로열티를 부과하게 된다.

⑥ 기존 메이저 석유회사들이 확보한 유휴 광구를 반납토록 강제하

는 대신 나이지리아 중소석유회사들이 소규모 유전개발에 참여토록

Page 103: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4장 서부아프리카 국가의 에너지 거버넌스 81

유도한다.

⑦ 모든 석유 프로젝트 참여 외국석유회사들에게 나이지리아 현지

조달 계획 제출, 인프라 구축 투자, 환경규정 준수 등을 의무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신석유산업법을 둘러싸고 주요 메이저 기업들과 이권을 둘

러싼 나이지리아 연방정부와 주정부 사이의 이견으로 인해 현재까지

이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나이지리아에서 조업 중인 메이저 기업들은 석유산업법안 내

용 중 지분율 조정, 세율 인상 등이 자원개발 투자환경을 악화시킨다

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Chevron의 나이지리아 지사는 나이지리아

정부가 석유산업법(Petroleum Industry Bill)을 개정할 경우 나이지리

아 자원개발부문 및 경제부문에 대한 외국인투자 유치에 상당히 부정

적인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Fawthrop 지사장은 나이

지리아의 석유산업법 개정에 대해 세제를 강화하고 국영 NNPC사의

역할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은 투자자들에게 불안감을 안겨 주어 투자

를 저해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에 대해 나이지리아 정부는 기득권을 획득한 서방 메이저 기업들

이 나이지리아 경제발전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중국,

러시아 국영회사들과의 협력을 통한 인프라 구축을 꾀하고 있다. 그러

나 서방 메이저 기업들의 기존 석유산업 투자가 나이지리아 석유경제

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이라는 점에서 메이저 기업들을 무시한

일방적인 석유정책 추진은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현 나이지리아 정부의 신석유산업법 개정 통과를 추진

하고 있는데, 이는 석유 및 천연가스를 둘러싼 이권비리와 부정부패가

Page 104: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82

궁극적으로 나이지리아 경제의 발목을 잡을 것이라는 인식 때문이다.

따라서 나이지리아 정부의 의지대로 석유산업법 개정이 통과되면

현재 및 향후 나이지리아 석유 프로젝트의 경제성에 상당한 영향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정부지분이 확대되고 세율이 증가하여 외

국 메이저 기업들에게는 불리해진 반면, 나이지리아 현지 석유회사와

중국 및 러시아 기업들을 포함한 독립계 국영석유기업들은 반사적 이

익을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신석유산업법으로 인해 석유와 관련

한 정책들이 투명해지고 세수입이 증가한다면, 일반 국민들에게 돌아

가는 혜택들이 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40)

나이지리아가 석유산업법이 의회에 계류되고 있는 반면, 가나는 정

부가 추진해온 석유세입관리법(Petroleum Revenue Management Bill)

이 일부 의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지난 3월 2일 의회를 통과했다.

동 법안은 대통령의 승인 절차를 거쳐 발효되었다. 이미 2010년 12월

상업적 석유생산이 시작됐음에도 불구하고 석유법 제정을 둘러싼 논

쟁으로 법안 의결이 수개월간 지체되어 왔다. 가나 정부가 석유 자원

을 융자 담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조항의 철회를 거부하면서

상 하원간 논쟁이 격화됐으나 그대로 유지됐다. 소수 의원들은 법안의

몇몇 모순점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면서도 완전한 반대 의사를 내비치

지는 않았다. ‘Petroleum Revenue Management Bill’은 'Petroleum

Exploration and Production Act'에 근거하고 있다.

40) 최근 2011년 8월 1일 Diezani Alison-Maduke 석유부장관은 PIB가 금년말까지

통과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음. 의회가 휴회를 마치고 재개되기를 기다리는

동안 PIB의 진전 상황을 집중적으로 점검하고 있으며, PIB의 입법화가 빨라질

수록 모두에게 더욱 이익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였음.

Page 105: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4장 서부아프리카 국가의 에너지 거버넌스 83

2) 외국기업에게 미치는 영향과 향후 전망

PIB는 풍부한 석유·가스 자원을 보유하고도 최근 치안불안 및 만성

적 부정부패로 석유생산 능력의 증대 및 투자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나이지리아의 석유산업 개혁의 핵심이다. 현재 메이저 석유기업

들의 반발과 여러 이해관계자들의 득실에 따른 저항이 있으나 현 정

부가 최우선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정책이므로 내용의 수정을 거

치더라도 통과될 것으로 예상은 할 수 있다.

외국인투자자 입장에서 본다면 입찰, 계약, 라이센스 부여 등의 석

유 사업과 관련한 일련의 과정들에 투명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므

로 에너지 거버넌스의 개선이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

다. 단, 메이저 석유회사들의 반발에서 보듯이 석유기업들의 석유개발

수익에 대한 세금이 증가하므로 이전에 비해서 프로젝트의 수익성 약

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나이지리아 정부가 그동안 해외 메이저 석유기업들이 자원

개발에 의한 높은 수익만 향유하고 나이지리아의 실질적인 경제성장

에는 기여하지 못하였다는 불만과 환경파괴로 나이지리아에 끼친 악

영향으로 이들에 대한 감정이 악화되었다. 이전에 비해 지대수입이 감

소한 메이저 석유기업들은 기존 생산광구를 매각하고 farm-out 하거

나, 다른 국가의 신규 매장지(해상 광구 등)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해상광구의 신규 개발에 관심을 돌리고 있다. 이는 앞에서도 언급했듯

이 나이지리아 자원개발 사업에 후발주자인 외국의 독립계 국영석유

기업들에게 진출확대 기회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법안의 의도대로 에너지 거버넌스가 개선되고 환경 개선 및 정부의

세수가 확대되어 국내 산업 및 고용에 건전하고 합리적으로 재투자된

Page 106: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84

다면 나이지리아의 경제성장 및 빈곤퇴치에 상당한 역할을 할 수 있

을 것이다. 물론 현재의 법안이 석유라이센스 발급 등의 절차상 투명

성의 개선과 석유지대(oil rents) 정부수입의 확대에 초점이 맞춰진 것

이어서 확대된 정부재원을 적절하게 분배하고 효율적으로 재투자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과 정책의 효율성이 요구된다.

Page 107: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85

제5장 서부아프리카의 석유 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 산유국별 석유 가스 공급 잠재력 및 개발전략

가. 서부아프리카지역 전체

지정학적으로 서부아프리카지역은 나이지리아에서 세네갈과 카보베

르데에 이르는 15개 국가로 서부아프리카경제공동체(ECOWAS)41)에

속한 국가들이 대부분이다. 사전적 의미에서는 사하라 사막 북쪽과 기

니만 남쪽 사이의 아프리카 서부지역 국가들이며, ECOWAS에서는

대표 산유국 중 하나인 앙골라는 포함되지 않는다.

통상 석유산업에서는 모리타니로부터 앙골라까지 해안에 맞닿거나

대서양을 통해 무역하는 내륙국가(말리, 니제르 등)를 포함하며, 그간

나이지리아를 중심으로 석유개발이 이루어져 ECOWAS 국가들은 상

대적으로 관심을 적게 받아온 측면이 있다. 나이지리아는 지리적으로

도 대서양 연안에 위치한 관계로 그간 유럽 및 미국의 석유공급원의

역할을 해왔다.

아프리카 대부분의 국가들은 20세기 중반까지 유럽 열강들의 식민

지배를 받으며 자원 공급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아프

리카 국가들의 독립이 이루어진 이후에도 1990년대 초반까지 대부분

41) 앞장 참조.

Page 108: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86

의 국가에서 기반시설이 부족하고 전쟁 등 정치적 불안정이 이어져 잠

재력이 높은 나이지리아를 제외하고는 석유개발이 활발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2000년 이후 자원민족주의 확산 등 세계 석유자원의 접근성

제한이 계속되고 2004년부터 고유가와 더불어 중국이 자원 확보 경쟁

에 가세하면서 미개발 지역인 아프리카가 부상하게 되었다.

주요 내용

‣북부지역은 석유자원과 파이프라인, 수출항만 등 각종 인프라가 풍부하나

아랍자원민족주의 영향으로 경제적 석유개발에 한계가 있어 규모의 경제를

추구할 수 있는 메이저들이 산유국들의 주된 파트너임.‣아프리카 중에서도 지역별로 서부아프리카에서의 성공이 동부와 내륙 등

아프리카 전역으로 석유개발 붐을 일으켰음.‣서부지역은 특히, 나이지리아의 니제르 델타 등 해상지역을 중심으로 아프

리카 석유개발 붐이 일었으며 향후에도 그 유망성으로 경쟁이 치열한 양상

을 보여 왔음.‣1990년대 중반 이후 앙골라 심해 지역에서 석유가 발견되면서 서부아프리

카 해상 지역에 대한 관심을 더욱 증폭 시킴.‣서부아프리카의 석유개발 붐과 경쟁은 동부지역으로 확산되어 대규모 광구

분양이 이미 이루어졌고 향후 탐사 리스크 축소와 탐사사업 진행을 위해

광권 보유기업들의 farm out이 예상되고 있음.‣최근 중부/내륙 지역도 신규 유전이 발견되면서 새로이 부각되고 있으나

전력, 도로, 수송망 등 석유개발 인프라가 부족하고 여건이 열악함.‣서부아프리카는 향후에도 아프리카 석유생산량 증대 등 석유개발 사업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됨.

<표 5-1> 아프리카 지역별 석유개발 사업 개요

자료: 이성훈(2011)

Page 109: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87

최근 중국 등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석유수요가 급증하면서 아프리카

석유자원 확보 노력이 가열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은 아프리카 국가

와의 외교관계와 기존 상거래 채널을 활용하여 아프리카 지역에서의

석유 탐사 및 개발권 획득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은

급속도로 팽창하는 중국의 아프리카 내 세력 확대에 대해 우려를 표

하고 있으며, 중국과 경쟁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세계 석유회사들은 석유개발 기회가 점차 감소하면서 성장을

위한 방안으로 서부아프리카 지역의 석유 탐사 및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세계 석유매장량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중동지역은 대부분

1970년대 자원국유화정책 실시로 석유자원을 외국석유회사에 개방하

지 않고 있다. 중동지역 이외 지역의 대표적 유전인 북해유전은 2001

년 이후 감소 추세를 보이는 등 전략 지역으로는 부족한 상황이다. 그

러나 서부아프리카 지역은 석유탐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지역이 많아

석유 발견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석유회사들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조

건으로 사업을 전개할 수 있다.

원유 (mmbbl) 천연가스 (bcf)발견매장량 잔존매장량 발견매장량 잔존매장량

베냉 124.50 101.16 175.00 175.00

가나 1,445.92 1,440.81 2,096.24 2,089.82

나이지리아 63,765.26 35,183.22 211,479.80 156,267.03

토고 3.00 3.00 0.50 0.50

코트디부아르 529.34 319.50 2,169.55 1,527.46

<표 5-2> ECOWAS 국가들의 석유・가스 매장량 (2009년 기준)

*mmbbl은 million barrel, bcf는 billion cubic feet임. 자료: IHS Energy, PEPS, www.ihs.com.

Page 110: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88

나이지리아의 니제르(Niger) 삼각주 지역과 주변에 서부 해안국들

(가나, 시에라리온, 코트디부아르, 라이베리아 등)의 해상 및 연안 육

상광구에서 석유와 가스 생산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지역에

서는 나이지리아를 중심으로 주변 연안국들을 연결하는 송유관과 가

스관이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정유단지가 형성

되어 있어 이곳으로 파이프라인을 통해 원유가 공급된다. 정유공장은

나이지리아, 가나, 코트디부아르, 시에라리온, 세네갈 등에 있다.42)

서부아프리카지역은 대규모 석유 소비지인 미국, 유럽과 가까운 거

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생산되는 원유도 경질원유로 석유기업들이 선

호하는 유종이다.

<표 5-3> 나이지리아 원유의 성상

국 가 유 종 API도 황함량(%)

나이지리아

Bonny Light 35.4 0.14

Brass River 41.5 0.09

Escravos 34.2 0.15

Pennington 35 0.08

자료: 한국석유공사 석유정보센터(2010)

BP(2011)에 의하면, 서부아프리카(West Africa)지역의43) 원유수출

량은 매년 증가추세에 있는데, 1990년에 2.2백만 b/d에서 2000년에

3.3백만 b/d, 2010년에 4.6백만 b/d(전년대비 5.5% 증가)로 증가하였

다. 전세계 원유교역 규모에서 서부아프리카지역 원유가 차지하는 비

42) 이성규(2010) 참조

43) BP 통계자료에서 West Africa지역에는 Mauritania에서 Angola까지 서부해안에

접해 있는 국가들과 Cape Verde와 Chad 등이 포함됨.

Page 111: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89

중은 8.6%에 이른다. 서부아프리카지역의 석유수출은 거의 대부분 나

이지리아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표 5-4> 서부아프리카지역의 석유수출국 현황(2010년)

(단위: 백만톤)

미국 캐나다 중남미 유럽아프

리카남양주 중국 인도 일본 기타 합계

83.8 6.8 12.7 45.7 2.9 1.4 43.7 21.3 0.4 9.9 228.8(1,686) (137) (256) (920) (59) (29) (878) (428) (8) (199) (4,601)

*( )는 천b/d

자료: BP(2011)

서부아프리카지역의 가스 매장량은 나이지리아를 제외하고는 거의

변화가 없다. 그동안 가스자원 탐사 및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

았던 이유는 역내 가스시장이 발달되어 있지 않고, 가스공급 인프라시

설도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으며, 또한 정부에 의해 가스가격이 낮

게 고정되었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가스화력발전에 대한 수요가 증대

되면서 아프리카 개별국가 정부차원에서 가스 개발을 추진하려는 노

력들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LNG생산기지 또는 사하라사막을 횡단해

서 지중해를 거쳐 남부유럽으로 연결되는 가스관 건설을 통한 대유럽

가스수출도 함께 계획․추진되고 있다.

한편, 역내 국가들의 석유자원 보유 및 에너지 사정이 달라 석유개

발 활성화 등 에너지 정책 역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매장량 규

모, 생산량, 석유개발 활동, 공급 잠재력 등 모든 면에서 아프리카지역

에서 맹주 역할을 하는 나이지리아의 위상이 계속 높게 유지되고 있

으며, 이와 함께 석유․가스 자원에 대한 정부 통제를 강화하고 있는

Page 112: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90

추세에 있다. 가나는 대규모 Jubilee 유전과 인근 지역에서 연이은 유

전 발견으로 석유기업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국내 국영기업의

기술력과 자금력 부족으로 외국 석유기업들의 투자유치를 적극적으로

유치하려는 정책을 계속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베냉,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 등도 석유자원 개발 확대를 위해 적극적인 외국인투자 유

치 정책을 추진하려고 한다.

나. 나이지리아

1) 석유 가스 부존 및 생산 현황

나이지리아의 석유 확인매장량은 2010년 말 기준으로 전체 아프리

카 매장량의 28%를 차지하고 있다. 그 밖에 가나, 코트디부아르, 베냉

순으로 석유자원이 부존되어 있지만, 나이지리아와 비교하면 턱없이

적은 규모이다.

천연가스의 경우에도 나이지리아의 확인매장량이 ECOWAS 국가들

가운데 가장 많고, 아프리카 전체 매장량의 36%를 차지한다. 그 밖에

국가들의 가스 매장량은 매우 적은 편이다. 결론적으로 서부아프리카

에서 석유 가스 가채매장량의 거의 대부분이 나이지리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BP(2011) 자료에 의하면, 나이지리아의 원유 확인매장량은 2010년

말 현재 372억 배럴로44) 1990년대 말에 커다란 증가를 보였으며

44) IHS Energy의 2009년 기준 매장량 수치 보다 약간 많음. 상기 <표 5-2> 참조. Oil and Gas Journal의 자료에 의하면, 나이지리아의 2011년 1월 현재 석유 확

인매장량은 372억 배럴로 추산됨.

Page 113: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91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정체 현상을 보이고 있다. 매장량의 대부분

은 Niger River Delta지역과 Bight of Benin, Gulf of Guinea, Bight

of Bonny 등에 있다. 탐사 개발 활동은 주로 심해지역에서 이루어지

고 있다.

2010년에 나이지리아 원유생산량은 2.4백만 b/d에 달했고, 최근에는

알제리를 제치고 아프리카지역에서 1위의 원유생산국으로 등극했다.

또한 원유도 고급 석유제품의 수율이 높은 고품질이어서 정유기업들

이 선호하고 있다. 2000년 이후 원유생산은 2~2.5백만 b/d 사이에서

변동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림 5-1] 나이지리아의 원유 확인매장량 및 생산량

자료: BP(2011)

Page 114: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92

나이지리아의 석유 순수출량은 2009년에 1.9백만 b/d, 2010년에 2.2

백만 b/d이며 1980년대 후반부터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주요

수출국은 미국(전체 수출의 43%), 인도(14%), 브라질(8%), 스페인

(5%), 네덜란드(4%), 독일(3%), 남아공(3%), 프랑스(3%), 캐나다(2%)

등이다.

나이지리아의 가스 확인매장량도 석유와 마찬가지로 1990년대 말에

급증하였고, 2000년대 중반 이후 정체 상태에 있다. 2010년 말 확인

매장량은 5.3tcm(187tcf)으로 추산된다(BP(2011).

[그림 5-2] 나이지리아의 가스 확인매장량 및 생산량

자료: BP(2011)

Page 115: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93

가스 매장량의 대부분은 Niger Delta지역에 있다. 가스 생산도 2000

년에 크게 증가하기 시작하여 이후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

다. 2010년 말 현재 가스 생산량은 33.6bcm이었다. 단, 2008-2009년

동안 석유 및 가스 생산이 급감하였는데 이는 정정불안과 개발시설

및 파이프라인의 파손에 기인한바 컸다.

국내 가스생산량의 약 31%가 국내에서 소비되고, 나머지는 LNG형

태로 해외로 2009년에 16bcm, 2010년 24bcm 수출되었다. 또한 나이

지리아는 가스관을 통해 인근 서부아프리카지역 국가들로 가스를 수

출하고 있는데 2010년에 가나로 0.12bcm 공급했다.45) 주요 수출국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남유럽 국가들과 북미 국가들이다. 특히 스페인이

전체 수출의 33%, 프랑스 15%, 포르투갈 11%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

한국을 포함한 동북아지역과 인도 등지로도 수출되고 있다.

<표 5-5> 나이지리아의 LNG 수출국 현황(2010년)

(단위: bcm)

미국 멕시코 브라질 유럽* 쿠웨이트 아시아** 합계

1.18 2.23 0.89 15.9 0.08 3.61 23.89

(4.9%) (9.3%) (3.7%) (66.6%) (0.3%) (15.1%) (100%)

*유럽에는 스페인(7.82bcm, 33%), 프랑스(3.57bcm, 15%), 포르투갈(2.7bcm, 11%), 터키(1.26bcm), 영국(0.4bcm), 벨기에(0.16bcm) 등이 속함. **아시아에는 한국(1.18bcm, 5%), 대만(1.09bcm, 5%), 일본(0.84bcm, 4%), 인도

(0.33bcm), 중국(0.17bcm) 등이 속함. 자료: BP(2011)

45) 현재 아프리카지역 국가 중에 알제리, 이집트, 적도기니, 리비아, 나이지리아 등

이 LNG를 역내외로 수출하고 있음. PNG공급국은 알제리, 이집트, 모잠비크, 나이지리아 등임.

Page 116: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94

2) 석유 가스 공급능력

2008년 현재 나이지리아의 1차에너지 소비구조를 보면, 석유 비중

10.1%, 천연가스 8.2%, 수력 0.4%, 신재생에너지(폐기물, 땔감 등)

81.3%를 각각 차지한다. 신재생에너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폐기물과

땔감은 농어촌지역의 개별 가정단위에서 난방용과 조리용 연료로 사

용된다. IEA에 의하면, 2009년 현재 나이지리아의 전력보급률이

50%(약 76백만 명이 전력을 공급받고 있지 못함)에 이르고 있다. 이

에 따라 나이지리아 정부는 2020년까지 40GW을 건설할 계획이며,

대부분의 발전원은 수반가스로 될 것이다.

현재 나이지리아의 주요 원유 매장/생산지역인 Niger Delta지역의

불안정한 내정 상태가 석유생산 증대의 중요한 장애요인으로 되고 있

다. 원유생산 능력은 2.9백만 b/d 정도인데, 원유 수송시설 파괴 및 유

출로 인해 1일 원유생산량은 1.7~2.1백만 배럴에 머물러 있었다. 2010

년에 육상유전에서의 원유생산 재개와 해상유전 개발로 2011년 7월에

원유생산량은 2.17백만 b/d로 증대되었다.

외국기업들은 나이지리아 국영석유기업 NNPC와 PSC 또는 합작투

자를 통해 자원개발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데, 주요 외국기업으로는

ExxonMobil, Chevron, Total, Eni, Addax Petroleum, ConocoPhillips,

Petrobras, StatoilHydro 등이 있다. 현재 메이저 기업들에 의해서

2011-2016년 사이에 추진 예정인 상류부문 석유개발 프로젝트는 약

10개 정도 있는데, 이들 투자사업의 시작 시점은 개정작업 중에 있는

PIB(석유산업법)에 달여 있다. 이들 사업은 Agbami 2(10만 b/d,

Chevron), Usan(18만 b/d, Total), Gbaran Ubie 1단계(7만 b/d, Shell),

Ehra North 2단계(5만 b/d, ExxonMobil), Bonga North Northwest(5~15만

Page 117: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95

b/d, Shell), Bonga Southwest and Aparo(14만 b/d, Shell), Egina(15~20만

b/d, Total), Bosi(13.5만 b/d, ExxonMobil), Nsiko(10만 b/d, Chevron),

Uge(11만 b/d, ExxonMobil) 등이다. 이들 개발 사업들이 완료되면 추

가적으로 증대되는 원유 생산능력은 108.5~123.5만 b/d에 이르게 될

전망이다.46)

한편, 나이지리아에는 4개의 정유공장(Port Harcourt I,II, Warri,

Kaduna)이 있으며, 총 정제능력은 45만 b/d이다. 시설 노후화와 관리

능력 부족으로 가동률은 상당히 낮은 편인데 2009~2010년 동안에

0~30% 수준이었다. 이로 인해 국내 필요한 석유제품의 약 85%를 해

외에서 수입하고 있다. 2011년 초에 정유공장 가동률은 60~75% 수준

으로 올라갔지만, 그래도 대부분의 석유제품은 해외에서 수입되고 있

다. 신규 정유공장 건설이 몇 년 동안 계획되었지만 투자자금 조달 문

제로 인해 사업추진이 지체되고 있다.

천연가스 부존량도 풍부하지만 개발 수송인프라 부족으로 대부분은

미개발 상태로 남아 있다. 원유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천연가스는 아직

까지 상당부분 그대로 공기 중으로 연소되고 있다. 수반가스를 생산

판매하기 위한 인프라 시설이 부족하여 2010년에 536bcf의 수반가스

가 연소되었다.47) 나이지리아 정부는 수반가스 연소금지 규정을 몇

년 전부터 시행하려고 했지만, 석유기업들이 계속 시행시점 연기를 요

청하고 있다. 향후 국내 가스관 부설, LNG시설 확충, 수반가스연소

금지정책 등으로 가스 개발은 활발히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Niger Delta지역을 중심으로 국내 석유 가스 수송망이 형성되

어 있다. 간선 송유관은 4개, 간선 가스관은 4개, 석유제품 파이프라

46) US EIA(2011) 참조

47) EIA(2011)

Page 118: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96

인은 7개가 가동 중이다.

[그림 5-3] 나이지리아의 석유・가스 수송인프라

*녹색선은 송유관: Escravos⇒Kaduna(F33), Kwale⇒Brass해상터미널(F34), Ramuekpe⇒Bonny터미널(F35), Trans-Nigeria Pipeline(Warri⇒Ramuekpe, F36).

**빨간선은 가스관: Banga가스전⇒Bonny터미널(Offshore Gas Gathering System: OGGS, F39), Escravos⇒Lagos(Lagos Pipeline System:ELPS, F40), Oben⇒Ajaokuta(Aladja System Pipeline, F42), Ughelli⇒Warri(Greater Ughelli System, F43).

***파란색선은 석유제품 파이프라인임. 자료: Country of the World, www.theodora.com/pipelines

Page 119: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97

원유 파이프라인망은 4개의 정유공장과 원유수출터미널과 연결되어

있고, 석유제품 파이프라인은 정유공장에서 주요 대도시 소비처(저장

시설)로 부설되어 있다. 주요 송유관으로 Escravos⇒Kaduna, Kwale⇒

Brass해상터미널, Ramuekpe⇒Bonny터미널, Trans-Nigeria Pipeline

(Warri⇒Ramuekpe) 등이 있다. 송유관은 나이지리아 국영석유회사

NNPC와 메이저 기업에 의해 소유․운영되고 있다.

현재 나이지리아에는 4개의 간선 가스관이 가동 중이다. NNPC는

Calabar⇒Ajaokuta, Ajaokuta⇒kaduna⇒Kano 가스관 건설 사업을 추

진하고 있다. 지난 2011년 5월에는 Abia주에 위치한 Alaoji발전소에

서 Owaza지역을 연결하는 가스관이 완공되었다.

나이지리아는 베냉, 토고, 가나까지 연결되는 West African Gas

Pipeline(WAGP)을 통해 2010년부터 천연가스를 수출하기 시작했다.

WAGP의 현재 수송능력은 170mcf/d이며, 향후 450mcf/d까지 확장되

고, 코트디부아르까지 연장될 계획으로 있다. 가스관 총연장은 625km

이다. 운영사는 ChevronTexaco로 36.7%의 지분을 갖고 있다.

BP(2011)에 의하면, 나이지리아는 2010년에 WAGP를 통해 가나로

0.12bcm 수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20: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98

[그림 5-4] 서부아프리카지역 석유・가스 수송망

*녹색선은 송유관: 코트디부아르: Belier⇒Abijan(F10), Chad-Caeroon Oil Pipeline( 차드 Doba Basin⇒카메룬 Kribi, F9).

**빨간선은 가스관: West African Gas Pipeline(가나 Takoradi⇒코트디부아르

Abidjan, F29), WAGP(나이지리아 Lagos⇒가나 Takordi, F41) ***파란색선은 석유제품 파이프라인임. 자료: Country of the World, www.theodora.com/pipelines

또한 나이지리아는 알제리와 Trans-Saharan Gas Pipeline(TSGP) 건

설 사업에 대해 계속 협상 중에 있다. TSGP는 나이지리아 Niger

Delta지역의 천연가스를 사하라 사막을 가로 질러 알제리 지중해 연

안 Beni Saf 수출터미널에서 유럽으로 수출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

Page 121: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99

으로 2015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48) 가스관의 총 연장은

4,128km, 수송용량은 최대 30bcm이다. 총 투자비는 최소 120-130억

달러로 추산된다.

[그림 5-5] Trans-Saharan Gas Pipeline

자료: Country of the World, www.theodora.com/pipelines

48) 동 사업은 1970년대 제안되어 2002년 1월 나이지리아 석유공사와 알제리 국영

석유가스기업 간 협정 체결로 본격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하였고, 이후 2006년 9월에 타당성 조사가 완료되었음. 2009년 7월 나이지리아, 니제르, 알제리 정부

간 협정이 체결되었음.

Page 122: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00

그동안 경제적 타당성, 높은 투자비용, 수송안보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2007년에 외부 컨설팅 기관들이 동 사업의 경제성과

비용조달 문제에 대해 긍정적인 결론을 내림에 따라 본격적으로 추진

되기 시작했다. 2009년에 NNPC는 알제리 국영석유회사 Sonatrach와

동 사업 추진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또한 EU는 러시아 가스의존

도를 낮추기 위한 수입선 다변화 차원에서 동 사업에 큰 관심을 표명

하였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러시아 국영가스기업 Gazprom도 동 사업

에 참여하기 위해 나이지리아 정부 및 국영기업(NNPC)와 협상을 진

행 중이며, 인도, 프랑스 Total, 이탈리아 Eni, Shell 등도 동 프로젝트

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나이지리아의 주요한 LNG프로젝트로 Nigeria LNG(NLNG)가 있

다. 1999년 9월에 NLNG사업의 1단계가 완료되었다. 참여 기업은

NNPC, Shell, Total, Eni 등이다. NLNG는 현재 6개 트레인과 연간

총 22백만 톤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 현재 7번째 트레인이 건설

중에 있다.

신규 LNG사업으로 OK LNG(트레인 4개), Brass LNG(트레인 2개),

Progress LNG(트레인 1개) 등이 추진 중에 있다. 현재 이들 신규 사

업들의 완료 시점이 연기되고 있는데, 주된 이유는 PIB개정작업, 세계

LNG시장상황, 그리고 국내사정 불안정 등에 기인하고 있다.

나이지리아 NNPC는 Beyelsa주 Brass지역에 소재해 있는 Brass

LNG프로젝트의 지분 49%를 소유하고 있으며, ConocoPhillips, Eni,

Total 등이 각각 17%의 지분을 갖고 있다. NNPC는 자사 보유 지분

중 9%를 일본의 LNG Japan과 Itochu 그리고 미국의 Sempra Energy

에게 매각하려고 협상을 진행 중에 있다. 또한 NNPC는 10% 지분을

Page 123: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01

Rivers주와 Bayelsa주에도 매각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NNPC는

Brass LNG Project의 투자비를 마련하려고 한다. Brass LNG Project

(트레인 2개)는 2002년에 착수되었으나, 그동안 원활한 사업추진이 이

루어지지 않아 완료시점이 2012년에 2014년으로 연장되었다.49)

NNPC는 새로운 LNG수출시장으로 중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를

주목하고 있다. 현재 미국의 셰일가스 개발 붐의 영향으로 나이지리아

LNG시장이 위축되면서 새로운 수출시장 활로가 필요한 시점이다. 나

이지리아 정부는 가스생산 증대를 통해 국내 부족한 가스수요를 충족

시키고, 급성장하고 있는 아시아 가스시장에 진출하려고 한다. 현재

진행 중인 NLNG, Baras LNG, OKLNG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LNG생

산 능력은 현재보다 3배까지 증대될 것이다.

3) 석유 가스 개발전략

나이지리아의 경우 석유자원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자국민 고용

창출과 제조업 육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는 PIB(석유산업법)과

자국산 부품 사용 확대를 위한 Local Contents 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

다. PIB에서 정부는 석유가스 수익에 대한 정부 몫을 증대시킬 예정

이며, 외국석유기업들은 이에 대해 사업 수행에 지장이 된다고 반발하

면서 개정법안 통과에 반대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2011년 5월에

시행된 나이지리아 총선으로 상당수 의원들이 교체가 되면서 PIB의

통과는 재차 지연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최근 나이지리아 정부는 Local Content 법을 통과시켰는데, 동법에

서 광구분양시 자국 기업들에게 우선권을 주고, 대부분 석유계약에서

49) This Day, 2011.3.14.

Page 124: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02

나이지리아 서비스 기업들과 계약하도록 의무 규정을 두고 있다. 이에

대해 나이지리아 자원개발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메이저들은 규정이

불명확하고, 숙련된 현지 인력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한편, 나이지리아는 국내 가스 개발을 촉진시키기 위해 2008년에

Gas Master Plan(GMP)을 발표하였다.

[그림 5-6] 나이지리아의 Gas Master Plan

자료: Gas Matters(2011.7~8), 주간 세계에너지시장 인사이트 , 제11-23, 2011.8.12.

재인용

Page 125: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03

GMP는 국내가스 사용확대를 촉진시키고, 석유생산회사들이 가스 개

발 생산을 극대화하고 수반가스의 소각을 중단하도록 재정적 인센티브

를 제공한다. 또한 나이지리아 수반가스를 인접국인 베냉, 토고, 가나

로 공급하는 600km의 서부아프리카 파이프라인(WAGP)을 확장하는

사업도 포함한다. GMP의 기본 개념은 구매자와 판매자들이 협상을

통해 가격과 물량을 결정하는 자유시장체제를 구축함으로써 외국 석

유기업들의 가스자원개발을 촉진시키려는 의도도 있다.

그러나 GMP는 수출시장이 아닌 국내시장에 크게 주안을 두고 있

다. 나이지리아 정부는 석유회사들에게 총 가스 생산량의 최소 50%를

국내시장에 공급하는 국내가스공급의무(Domestic Gas Supply

Obligation, DSO)를 부과하고 있다. 외국 석유기업들은 나이지리아의

많은 LNG 프로젝트들(NLNG train7, Brass LNG, OK LNG 등)을 추

진하고, 또한 NNPC는 알제리 Sonatrach과 Trans-Saharan Gas Pipeline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스수출계획은 우선 나이지리아

정부의 국내시장 우선 정책으로 인해 다소 차질을 빚게 될 것으로 예상

된다.

(1) 석유개발 수익에 대한 통제 강화

나이지리아는 석유산업 전반에 관련한 법령인 석유산업법(PIB)의

제정을 꾀하고 있으며, 동 법의 통과 시 석유 가스 산업에서 매우 큰

변화가 예상된다.

나이지리아 정부는 PIB 제정을 통해 광구분양 및 석유개발 과정에

서 비리와 부정을 근절하고 국가 자산인 석유의 개발이익의 국가 환

수를 증대하려고 한다. PIB가 통과되면 외국 석유개발기업들에게 더

Page 126: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04

많은 비용과 로열티 그리고 수반가스 활용 및 가스 생산 등 더 많은

의무가 부과되며 기존 계약 및 JV도 재협상을 통해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

나이지리아 내부적으로도 국영석유기업인 NNPC를 브라질의

Petrobras와 같은 여러 독립된 조직으로 분할하는 구조조정이 예정되

어 있다.50)

현재 나이지리아 육상광구에 부과되는 로열티는 20% 수준이며 해

상의 경우 수심 100m 이하에는 18.5%, 100m-200m의 경우 16.6%,

200m-500m에는 12%, 500m-800m에는 8%, 800m-1,000m에는 4%의

로열티가 부과되고 있다. 그러나 PIB가 통과되면 육상광구에 부과되

는 로열티는 25%로 증가하고, 해상광구의 로열티도 연쇄적으로 증가

할 전망이다.51)

한편, 나이지리아의 석유자원 통제강화 정책과 지속되는 반군활동

으로 인해 대표적인 진출기업인 Shell은 자산매각 등 나이지리아에서

의 사업을 축소하고 있다. Shell은 2009년에 3개의 육상광구(OML 4,

38, 41)의 30% 지분을 매각하였으며, Total, Eni, NNPC와 합작사를

운영 중인 4개 육상광구(OML 30, 34, 40, 42)의 지분매각도 마무리

단계에 있다. 2011년 4월 Shell은 Elcrest Exploration and Production

에 OML 40광구의 지분 45%를 매각하였으며, OML 30광구(운영권사

Conoil Producing), OML 42광구(운영권사 Neconde 컨소시엄)의 지분

50) 브라질의 자원개발 현지화(국내기업에 의한 자원개발 정도) 비중은 2003년57%에서 2010년에 74%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음. 브라질 정부는 2004년부터 브라질의 시추선 건조기술 및 능력 배양을 목적으로 하는 석유가스산업

육성정책인 PROMINP(Program for Mobilization of the National Oil and Natural Gas Industry)을 추진하고 있음. Allafrica.com, 2011.7.14. 참조

51) PIB는 석유기업들의 수익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며, PIB가 발효되면

나이지리아 정부가 수취하는 수익도 크게 증가될 것으로 예상됨.

Page 127: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05

매각도 완료단계에 있다.

(2) 석유 개발확대 및 생산량 증대

석유가 재정수입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나이지리아로서는 석

유생산량 확대를 우선적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2004년에 2010년까지

원유 확인매장량을 400억 배럴로, 생산량을 4백만 b/d로 각각 확대한

다는 계획을 세운 바 있으나, MEND(Movement for the Emancipation

of the Niger Delta) 등 반군활동과 기술인력 납치, 노조분규로 인해

석유생산량 증대 목표 달성에 차질을 빚고 있다. 나이지리아는 OPEC

회원국이지만 생산량 쿼터 제한보다는 위와 같은 요인들이 생산량 저

하에 더욱 큰 원인이 되고 있다.

메이저에 의존적인 석유개발구조와 NNPC의 자금조달 능력 부족도

신규 석유탐사와 석유생산량 증대를 위한 투자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메이저들은 나이지리아 심해지역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

어, 나이지리아의 석유생산지는 니제르 델타지역에서 심해로 이동하

고 있다. 심해 지역은 육상이나 천해 지역보다 나이지리아 정부가 취

해가는 이윤이 작고, 또한 높은 자금 동원능력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독점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이저들에게 매력적인 투자처로 인

식되고 있다. Wood Mackenzie는 심해 석유개발에 힘입어 나이지리아

의 석유생산량은 2018년에 원유, 컨덴세이트 등을 포함하여 2.8백만

b/d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였다.

(3) 가스 소각금지 및 생산량 증대

나이지리아는 세계 2번째로 많은 수반가스를 소각하고 있다. 나이

Page 128: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06

지리아 유전의 대부분은 원유를 생산하면서 부수적으로 천연가스도

생산하고 있으며 1980년대부터 가스소각을 금지 규정하는 법이 있었

으나 이에 대한 단속이 강화된 적은 없었다.

나이지리아 정부는 2008년까지 수반가스 소각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하기도 하였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현재 가스 소각에

따른 벌금(penalty)은 US$0.07/mcf이며52), 벌금 인상안(US$3.5/mcf)

도 나이지리아 상원에서 통과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2012년 12월까

지 가스소각 벌금을 국제 가스가격(Henry Hub)에 연동하여 부과하는

법안이 하원에 제출되어 있다.53)

가스 소각량이 줄어들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생산한 가스를

처리할 인프라 부족에 기인한다. 합작회사를 통해 나이지리아 석유개

발 사업을 이끌고 있는 NNPC는 가스소각을 줄이기 위한 투자금을

조달하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메이저 석유기업들이 NNPC의 지분에

해당하는 투자자금을 대출해 주고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기도 하다.

다. 가나

1) 석유 가스 부존 및 생산 현황

미국 EIA의 자료에 의하면, 가나의 원유 확인매장량은 2009년 말

현재 15백만 배럴이다. 그러나 2000년대 중반에 Jubilee 해상유전이

52) mmcf/d는 million cubic feet per day, mcf는 thousand cubic feet, scf는standard cubic foot임.

53) 이에 반해 주변국 앙골라는 2000년부터 가스소각을 위해 노력한 결과 80% 수준까지 가스소각을 줄일 수 있었음. 2000년에는 22 scf/bbl이던 가스 소각량이

2008년 4scf/bbl로 감소하였고, Angola LNG 프로젝트도 2012년 가동 예정이어

서 가스 소각량 감소는 물론 가스 수출도 예상되고 있음.

Page 129: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07

발견되면서 실제 원유 확인매장량은 이보다 훨씬 클 것으로 보고 있

다. 분석기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원유 탐사자원량은 약 14

억~30억 배럴로 추산되고 있다(<표 5-2> 참조).

2009년에 가나의 전체 원유 생산량은 약 0.6만 b/d수준이었지만

Jubilee유전에서의 원유생산 개시로 2011년 상반기에 9만 b/d 이상으

로 증대되었다. 향후 Jubilee 유전에서의 원유생산량이 25만 b/d으로

예상되고 동 유전 이외 해상유전들에서도 활발한 개발활동이 이루어

지고 있기 때문에 가나 전체의 원유생산량은 크게 증대될 것으로 전망

된다. 가나는 2009년까지 석유 순수입국으로 있으며, 매년 순수입량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09년에 석유 순수입량은 49천 b/d이었다.

[그림 5-7] 가나의 원유 확인매장량 및 생산량

*Jubilee 유전의 매장량이 포함되지 않은 것임. 자료: EIA(2011)

Page 130: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08

천연가스 확인매장량은 2009년 말 현재 0.8tcf로 추산된다(EIA 자

료). IHS Energy의 자료에 의하면(<표 5-2> 참조), 2009년 가나의 가

스 매장량은 2tcf로 추산된다. 최근 Jubilee광구 발견으로 가스의 탐사

자원량은 1.4~3.0tcf로 크게 증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까지 국

내에서 천연가스 생산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2012년에 Jubilee광구

에서 120 million cf/d 가스 생산이 예상되고 있다.

[그림 5-8] 가나의 천연가스 확인매장량

자료: EIA(2011)

국내 필요한 가스는 West African Gas Pipeline(WAGP)을 통해 나

이지리아로부터 수입되고 있다. 가나 정부는 장기적으로 국내 가스의

역내외 수출도 전망하고 있다. 현재 가나의 가스 소비규모는 200~250

Page 131: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09

million cf/d이며, 가나 에너지위원회의 전망에 의하면 2020년에

287~316 million cf/d, 2025년에 350~385 million cf/d로 증가한다.54)

2) 석유 가스 공급 능력

2010년 말에 Jubilee유전에서 석유생산이 시작되면서 현재는 기니

만 심해지역으로 탐사 개발지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가나에는

Shallow Water Tano, Deepwater Tano, West Cape Three Points,

Offshore Cape Three Points, Cape Three Points Deep, Takoradi,

Keta광구 등이 있으며, 이들 광구들은 현재 탐사 시추단계에 있다.

[그림 5-9] 가나 주요 광구 및 유전 현황도

자료: Wood Mackenize, 한국석유공사 석유정보센터

54) 주가나 한국대사관 자료 참조

Page 132: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10

생산단계에 있는 Jubilee유전은 Deepwater Tano광구와 West Cape

Three Points광구에 접해 있다. Saltpond해상유전도 개발단계에 있다.

Saltpond유전에서는 지난 30년 동안 석유의 상업적 생산이 이루어져

왔으나 최근에는 1일 400배럴 정도 생산되고 있다.

가나 국영석유기업 GNPC는 미개발 상태로 있는 Accra/Keta해상지

역도 유망한 석유 가스 부존지역으로 보고 있다.

<표 5-6> 외국기업의 가나 석유・가스 개발 현황

참여기업 탐사지역 계약시기

Kosmos Energy(미국), Anadarko(미국), Tullow Oil(영국) 등

West Cape Three Points 2004.7월

Vanco Ghana Ltd(미국), LukOil(러시아)Deepwater Tano/

Cape Three Points Basin2002.8월

Tullow Oil, Sabre Oil and Gas(미국) Shallow Water Tano 2006.7월

Tullow Oil, Kosmos Energy, Sabre Oil and Gas

Deepwater Tano 2006.7월

Amerada Hess Corporation(미국) West Cape Three Points Deep 2006.7월

Vitol/Heliconia Energy Cape Three Points Basin 2006.3월

Gasop Oil(나이지리아) Saltpond Fields 2006.7월

Devon Energy(미국) Deepwater Keta Basin 2006.7월

Saltpond Offshore Producing Company* Saltpond Fields 2004.7월

* 가나석유공사와 미국 Lushann-Etermit의 합작기업

자료: 주가나 한국대사관

Page 133: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11

Tullow Oil사는 2006년 Deepwater Tano광구와 West Cape Three

Points광구에 대한 심해 탐사권을 획득하였고, 이후 14개 탐사정 및

평가정을 시추했으며, 그중 13개 유정에서 석유 가스층을 발견했다.

이중에 Jubilee유전이 포함되어 있는데, 그 탐사자원량은 원유 12억

배럴, 천연가스 1.2tcf로 평가되고 있다. Jubilee유전은 Tullow Oil이

운영사로 되어 있는 Deepwater Tano광구에 걸쳐 있다. Tullow Oil는

Kosmos Energy가 운영하는 West Cape Three Points광구의 지분

22.9%도 소유하고 있다. Tullow Oil사는 Jubilee유전에서 2011년 상

반기 원유 85,000b/d을 생산하였고, 2011년 말 120,000b/d을 전망하고

있다. 지금까지 Jubilee유전에서 총 17개의 유정이 시추되었고, 이 가

운데 14개에서 원유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Tullow Oil는 Jubilee유

전 개발을 위한 Phase 1A Project를 추진하고 있는데, 2015년까지 원

유생산량을 120,000 b/d 유지하며, 이를 위해 추가로 8개 유정을 시추

할 계획으로 있다.

Jubilee유전의 원유는 API등급 37.6도의 저유황 경질유로 고품질 원

유에 속한다. Jubilee유전은 최소 2031년까지 운영될 예정으로 있으며,

앞으로 추가적인 유정 개발과 해저 인프라 시설이 건설될 계획으로

있다. Jubilee에서 생산되는 천연가스는 초기에는 유전에 재주입하거

나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에 필요한 연료

로 공급될 것이며, 2011년 이후에는 육상으로 연결되는 수송인프라

시설을 통해 국내 및 역내 지역으로 수송될 예정이다.

2010년 11월 가나에서는 FPSO를 통해 Jubilee 유전에서 원유가 생

산되기 시작하였고, 동 유전 인근 Deepwater Tano 광구에서 발견된

Enyenra와 Tweneboa 유전에서 평가정 시추작업이 추진 중이다.

Page 134: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12

FPSO에서의 원유생산 능력은 12만 b/d이며, 생산된 원유는 FPSO저

장탱크에 보관되었다가 7~10일 간격으로 유조선을 통해 국내 및 해외

로 수송되고 있다.

또한 이탈리아 석유가스기업인 Eni는 2009년 9월 스위스의 민간 에

너지기업인 Vitol사로부터 Offshore Cape Three Points광구의 탐사권

(지분 47.22%)을 인수했다. Vitol는 2009년 6월에 Offshore Cape

Three Points에서 석유 가스층이 포함된 Sankofa-1유정을 발견했으며,

이후 Eni가 동 유정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2010년 2월에는 러시아

Lukoil, 미국 Vanco Energy는 Cape Three Points Deep에 위치한

Dzata-1유정에서 원유와 가스콘덴세이트 층을 발견했다.

아프리카 Afren사는 2008년 6월 Devon Energy로부터 Keta광구에

서 탐사활동을 하고 있다. Afren는 Keta해상유전의 지분 68%를 소유

하고 있다. Afren는 이후 지분 중 20%를 farm-out을 통해 일본 Mitsui

에 매각했다.

호주의 Tap Oil는 Keta광구의 Accra유전에 대한 탐사권을 획득했으

며, 지분 36%를 보유하고 있다. Tap Oil은 2010~2012년까지 탐사 시

추활동 계획을 갖고 있다.

한편, 가나 정부는 서부아프리카지역에서 석유 가스 상 하류부문에

서 허브로 도약하려고 한다. 가나 정부는 Takoradi항구를 서부아프리

카지역의 석유 가스 허브로 발전시키려고 한다. 동 지역에 정유공장,

석유화학공장, 사회간접시설, 석유저장시설, 금융시설, 컨벤션 숙박시

설 등을 건설할 계획으로 있다.

Page 135: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13

3) 석유 가스 개발전략

가나의 에너지정책은 에너지부가 총괄 감독하고 있다. 석유자원 개

발관련 정책, 제도, 조직들이 Jubilee유전이 발견되기 이전에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현재 이에 대한 개정이 요구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궁

극적으로 석유자산의 소유권과 국가이익을 강조하면서도 투자자의 이

익도 감안하여 균형 있는 정책을 펴야 함을 지적하고 있다.

에너지부 석유국은 상·하류부문에 관하여 ①후세대를 위한 펀드 조

성을 포함한 석유 개발 수익의 관리 규정의 투명한 개혁, ②회계적 인

센티브와 공정성을 제공함으로써 석유가스 산업 전반의 투자 촉진, ③

현지 제품, 서비스, 인력, 자금 등 모든 석유가스 산업 연관분야의 활

용도 극대화를 통한 부의 창출, ④연료 저장탱크와 공급 인프라의 확

충과 개발, 북부 지역 등 석유제품의 유통망 확대와 같은 목표를 추진

중이다. 현재 가나에는 Tema Oil Refinery 정유공장이 있는데 급증하

는 국내 및 역내 지역의 석유제품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현대화 및

증설 작업이 추진 중에 있다. 이에 따라 가나 정부는 석유가공부문에

대한 외국인투자 유치를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55)

또한 최근에 가나 정부는 석유 가스부문에서 ‘현지기업/근로자 우선

채용’ 정책을 도입하려고 한다. 에너지부는 석유 가스 자원개발 프로

젝트 착수 후 10년 내에 현지업체의 참여비율을 90%까지 확대하도록

하는 ‘현지조달법안(Local Content Bill)’을 2011년 내로 완료할 예정

55) Tema Oil Refinery의 정제능력은 45,000b/d이며, 이는 가나 국내 석유제품 수

요의 60%를 충족시킬 수 있음. 나머지 40% 수요는 해외에서 수입된 석유제품으

로 충당하고 있음. 가나 정부는 향후 3억 달러를 투자하여 Tema Oil Refinery의정제능력을 10만 b/d까지 증대시킬 계획임. 가나 정부는 또한 석유제품 수출을

겨냥한 정유공장 신설도 계획 중에 있음. 이성훈(2011) 참조

Page 136: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14

이라고 밝혔다.56) 동 법안은 석유 가스 서비스계약 체결 시에 가나 업

체가 최소 5%의 지분을 소유하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가나 국영석유기업인 GNPC는 현재 석유개발 활성화를 위해 ①심

해 탐사를 위한 자질 있는 석유기업의 유치, ②천해지역에서 발견은

되었으나 경제성이 부족하다고 판명된 유전 및 광구 개발을 위한 인

센티브 제공, ③Voltaian 분지 프론티어 육상지역 탐사를 위한 석유기

업 보호 등 세 가지 목표를 추진 중이다.

2008년 밀스(John Evans Atta Mills) 대통령 취임과 함께 GNPC의

구조조정을 포함하여 석유산업 전반에 관한 규정 신설 등 석유 가스

관련 법들의 제정 및 개정이 추진되고 있다. 2011년 6월 석유위원회

법(Petroleum Commission Bill)이 통과되었고 그간 GNPC의 규제 기

능과 상업적 기능을 분리하여 유한 책임회사로 전향하였다. 2011년 3

월에는 석유수익관리법이 의회를 통과하여 대통령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데, 석유수익의 70%는 정부예산 지원에 사용하고 30%는 안정화

기금으로 적립하자는 내용이 주요 골자이다. 2011년 8월에는 석유 탐

사 생산법이 의회에 제출되었으며 9월에 통과될 예정으로 2006년 탄

화수소법 제정 이후 심도 있는 개혁이 추진될 전망이다.

가나는 아직 입찰제도를 실시하고 있지 않지만, 탐사 생산기업들이

연중 석유 가스 탐사개발권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현재까지

외국기업들이 취득한 해양 탐사권은 13개에 달한다. 외국기업은 가나

정부와 특정 광권에 대한 계약을 체결하고, 동 계약에 근거해서 탐사,

개발, 생산 등에 대한 포괄적인 권리를 갖게 된다. 탐사개발권 발급과

관련된 규정은 석유탐사생산법에 따른다. 석유탐사생산법에 의하면,

56) Public Agenda, 2011.3.4

Page 137: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15

원유 총생산의 12.5%는 로얄티로 가나 정부에 귀속되고, 나머지 원유

는 참여비율에 따라 석유생산기업과 GNPC에 배분된다. 2010년에 석

유탐사생산법이 개정되면서 외국기업에 대한 정부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생산만료 광구 복구를 위한 기금마련, 개발

권 계약기간 단축(30년에서 25년으로 되며 이후 5년 연장 가능), 탐

사 개발광구의 경우 가나 정부 참여비율을 최소 10%로 설정하고 생

산단계로 넘어가면 참여비중 조정 가능, 지분 양도시 가나정부에게 우

선 협상대상권 부여 등의 내용이 추가되었다.57)

또한 가나 정부는 석유 생산 및 판매로부터 얻는 소득을 일반 소득

과 분리하여 과세하고 있다(석유소득세법). 현재 가나 정부는 자국에

서 활동 중인 외국기업에 대해 상이한 석유소득세를 부과하고 있는데,

평균적으로 35%를 적용하고 있다. 세계 주요 석유부존국들이 석유소

득세율을 인상하고 있는 데 반해 가나 정부는 국내 석유개발을 촉진

시키기 위해 당분간 세율 인상을 고려치 않을 방침이다.58) 또한 가나

정부는 경제성장과 자원개발 촉진을 위해 도로, 철도, 에너지 수송인

프라 시설 등을 신속히 구축하려고 한다.

2011년 7월에 가나 정부는 가나가스공사(GNGC: Ghana National

Gas Company)를 설립하여 가스 인프라 개발과 가스가격 결정을 관할

하게 하였다. 현재 GNGC의 주된 임무는 Bonyere에 있는 가스 플랜

트를 조속히 완공하여 Jubilee 유전의 가스를 처리하는 것이다. 가나

정부는 Gas Infrastructure Project를 세계은행과 외국정부의 지원을 받

아 추진하고 있다. 세계은행은 2010년 8월에 동 사업에 대한 자금지

원 결정을 내렸다. 동 사업은 가나 수반가스를 파이프라인 및 관련시

57) 주가나 한국대사관 홈페이지 참조

58) GBN, 2011.11.16., 해외자원개발협회 홈페이지 참조.

Page 138: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16

설을 건설하여 경제주체들에게 값싸고 청정한 천연가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데 추진목적을 두고 있다. 가스 공급원은 대규모 Jubilee유전

개발과정에서 나오는 수반가스로 될 것이다. 수반가스는 과거에 비용

문제로 인해서 공기 중으로 연소되었는데 최근 들어 대기오염 문제와

자원부존국의 경제적 손실을 이유로 해서 중 단기 조치로 다시 지반

으로 주입하고 있다.59) 수반가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인프라 공사는

2012년 상반기 착수되어 2013년 상반기에 완공되는 것으로 계획되고

있다. 그때가 되면 가스의 상업생산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2008년 현

재 가나의 최종에너지 소비구조에서 LPG비중은 1%에 불과하지만,

2050년에는 25%까지 증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최근에 가나 정부는 중국의 Sinopec와 동 사업 추진과 관련되어 수

의계약을 체결했다. 그 대가로 중국 산업은행은 가나 정부에 대해 30

억 달러의 차관을 제공했다.60)

Jubilee 유전의 발견과 생산으로 말미암아 석유산업 내에도 많은 변

화가 일어나고 있지만 궁극적으로 Jubilee 유전 외에는 대체 유전이

부족한 관계로 인근 해상지역과 내륙지역 등에 대한 지속적인 석유개

발 투자유치 정책이 유지될 전망이다. 또한 주변의 아프리카 국가들과

59) Jubilee유전 개발기업들은 수반가스를 경제적 목적에 차후에 활용하기 위해

2011.4월부터 다시 지반으로 주입하는 방식을 채택하였음. 그러나 지반 주입이

장기적으로는 지반 변형을 가져와 석유 생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음. 전문가들은 지반 주입의 최대 허용기간을 2년으로 보고 있으므

로 늦어도 2013.4월까지는 수반가스를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 완공이 필요함. 만약 상기 시한까지 인프라가 건설되지 않을 경우 다시 가스를 태우는 방식을

채택해야 함. 주가나 한국대사관 자료 참조

60) 가나 국영가스기업 GNGC는 2011년 11월에 중국 Sinopec과 가스 인프라 공사

(가스처리 공장, 해저 및 육상 파이프라인, 가스수출터미널 등) 계약을 체결하였

고, 프로젝트 자금은 중국산업은행이 차관방식으로 제공할 예정임. McKinsey(2010), 주가나 한국대사관(2011.9), “가나 경제현황 및 투자환경”에서

재인용

Page 139: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17

는 달리 석유생산이 정치 사회적 갈등의 소지로 작용할 가능성은 낮

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가나 정부도 점차적으로 나이지리아

처럼 외국기업 참여에 대한 규제를 강화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외

국기업들의 신규 매장지 참여는 갈수록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가나 정부는 2009년 5월에 UN에 대륙붕 연장신청을 제출했

다. 인접국인 나이지리아와 코트디부아르도 영해 확장을 요청하는 신

청서를 제출했다. 가나 정부는 UN으로부터 대륙붕 확장 신청이 받아

들여지면 추가적으로 약 80억 배럴의 석유자원량이 증대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난 2011년 11월 코트디부아르 정부(Alassane Ouattara 대통령)는

가나와의 새로운 해양 경계선을 선포하며 공개적으로 Jubilee유전지역

을 분쟁지역으로 만들어버렸다. Deepwater Tano와 Dzata-1은 같은 경

계 지역에 속해 있으며 현재까지 이 지역의 합법적인 소유자는 가나

로 되어 있지만 코트디부아르는 UN에 해상 경계 구분에 대한 탄원을

요청했다. 코트디부아르 정부는 가나의 Jubilee유전을 개발하고 있는

석유기업들에게 개발활동 중단을 요청했다. Jubilee투자자들은 이러한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지만, 가나 정부는 별다른 투자위험은 발생하

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하고 있다. Kosmos Energy는 가나와 코트디부

아르 간에 해양 경계선에 변화가 생기게 되면 Deepwater Tano해상유

전 지분(현재 18% 지분 소유)에 대한 부분적인 권한을 잃을 수 있다

고 우려하고 있다.61)

61) Financial Times는 코트디부아르 Ouattara대통령이 그바그보 전임 대통령을 지

지했던 가나의 John Atta Mills대통령을 보복하기 위한 조치로 보았음. 일각에서

는 이를 코트디부아르의 단순한 정치적 움직임으로 해석하기도 함. Bleuteamci, 2011.12.22., 해외자원개발협회 홈페이지 참조.

Page 140: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18

라. 코트디부아르

1) 석유 가스 부존 및 생산 현황

코트디부아르의 원유 확인매장량은 1억 배럴로 1990년 중반이후 이

같은 수준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원유 생산은 2001년 이후 지속적으

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2009년 현재 5.8만 b/d을 기록하고 있다.

국내 석유소비는 2009년 현재 2.6만 b/d이다. 코트디부아르는 2003년

까지 석유 순수입국으로 있다가 2004년부터 순수출국으로 전환되었으

며, 2009년에 약 33천 b/d의 원유를 순수출하였다. 석유 수출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림 5-10] 코트디부아르의 원유 확인매장량 및 생산량

자료: EIA(2011)

Page 141: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19

천연가스 확인매장량은 1990년대 중반부터 현재까지 큰 변동 없이

1tcf을 기록하고 있으며, 생산량은 1995년부터 1998년까지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이후 2005년까지 정체상태에 있다가 최근에 와서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09년에 천연가스 생산량은 56.5bcf를 기록하

였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가스는 모두 국내에서 소비되고 있으며, 이

에 따라 2009년까지 해외수출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림 5-11] 코트디부아르의 천연가스 확인매장량 및 생산량

자료: EIA(2011)

Page 142: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20

2) 석유 가스 개발전략

코트디부아르 정부는 석유 가스 매장량이 정체/감소하고, 생산량도

비슷한 형태를 보이고 있어 석유개발에 대한 적극적인 외국인투자 유

치 정책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특히 인접국인 가나에서 대규모

Jubilee유전이 발견됨에 따라 동 유전과 비슷한 지층으로 연결되어 있

는 지역에서 석유 발견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

코트디부아르의 유전개발사업은 1970년대 Esso Shell의 석유 가스

전 발견으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코트디부아르 정부는 국영석유회사

Petroci사를 설립해서 자국내 자원개발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

다. 코트디부아르의 석유개발 사업은 1996년 제정된 신석유법에 근거

하고 있으며, PSC를 체결하여 석유개발 사업을 추진하도록 하고 있

다. 석유개발 계약조건들은 대부분 협상에 의거하여 결정되며 심해와

천연가스 개발에 있어서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다. 2006년 Baobab

유전 C140광구에서 8만 b/d의 석유를 생산하였다. 현재 28개 유전이

개발 중에 있으며, 이중 23개가 외국기업에 의해 개발되고 있다. 최근

에는 동부 연안 및 심해지역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코트디부아르 정부는 2020년까지 1일 30만 배럴의 석유 생산을 목표

로 삼고 있으며, 이를 위해 2011년에 7개 유정에 대한 시추작업을 개

시할 계획으로 있다.62)

2005년 9월에 코트디부아르 정부는 Vanco Cote d’Ivoire Ltd.,

Petroci Holding과 CI-401광구에 대한 PSC를 체결했다. Lukoil

Overseas은 2007년에 합류했다. 최근 2011년 12월 동 국제컨소시엄은

동부 연안에서 신규 유전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2011년 12월

62) Les Echos, 2011.7.28. 해외자원개발협회 홈페이지 참조

Page 143: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21

코트디부아르 정부는 호주의 African Petroleum사와 Sassandra와

San-Pedro해안 사이의 심해지역에 위치해 있는 CI-513광구에 대한

PSC을 체결하였다.

2010년에 Edison은 코트디부아르 해상 Tano 분지에서 Virgo-1 시

추에 성공하였다.

한편, 2010년 말에 실시된 대선의 여파로 2011년 5월까지 유혈사태

등 정국불안이 있었으나 석유부장관 등 행정부가 새로이 구성되고

EU의 제재조치도 풀리는 등 석유산업도 정상화되고 있다. 2010년 대

선에서 선거결과에 불복하며 전직 대통령인 Gbagbo 진영과 신임 대

통령 Ouattara 진영은 각자 내각을 구성하였고 양측의 충돌로 그 과정

에서 수백 명이 목숨을 잃기도 하였다.

코트디부아르 정부는 가나와 마찬가지로 서부아프리카 석유 허브

(hub)를 꿈꾸며 석유 가스 파이프라인 및 저장기지, 정유공장 건설 등

인프라 구축을 위해 노력하며 이에 대한 외국기업들의 투자를 적극

희망하고 있다.

마. 기타

1) 시에라리온

시에라리온에서는 2009년 현재까지 원유가 생산되지 않고 있다. 반면

국내 석유소비는 9천 b/d이며, 1992년 이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국

내 소비에 필요한 물량은 모두 해외에서 수입되고 있다. 천연가스의

경우도 아직까지 국내에서 생산/소비되지 않고 있다. 최근 들어 서부

아프리카 변환단층의 해상지역에서 외국기업에 의한 탐사 시추활동이

Page 144: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22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시에라리온은 멀지 않은 장래에 산유국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에라리온의 해상유전에 대한 탐사작업은

1970년부터 시작되었으나 2009년에 이르러 시추정에서 석유가 발견

되기 시작했다.

현재 시에라리온 해상지역에 대한 유전개발은 독립계석유기업

(Anadarko, Oranto, African Petroleum 등)에 의해 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메이저 기업들도 동 지역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있다. 2009년 미국의 독립계 석유기업 Anadarko는 시에라리온 SL-06,

SL-07광구의 Venus 탐사정에서 석유 가스층을 발견함으로써 대규모

석유 가스 부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시에라리온 정부는 광구 분양 혹은 상시 참여 가능 광구

제시 등 외국 석유기업들의 투자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시에라리

온 의회는 해상 심해유전 개발을 촉진시키기 위한 석유법을 2011년 7

월 승인했다.

2) 베냉

베냉은 1985년에 8천 b/d까지 원유를 생산하였지만 이후 급격히 감

소하기 시작하여 2004년부터는 생산하지 못하고 있다. 원유 확인매장

량도 현재 거의 고갈된 상태에 있다. 베냉은 1993년을 기점으로 원유

순수입국으로 전락했으며 매년 원유 수입량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천연가스는 아직까지 생산/소비되지 않고 있으며, 2009년 현재 확인매

장량은 0.04tcf로 추산되고 있다.

베냉은 해안 길이가 짧고, 석유 가스 부존지역이 3,000m 이상의 심

해인 관계로 아직 외국기업들의 진출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Page 145: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23

3) 니제르

니제르는 1952년부터 북아프리카 및 유럽기업들에 의해 여러 차례

석유 탐사가 이루어졌지만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했었다. 이후 중국

의 CNPC가 사하라 사막의 유전지대에서 3년 동안 탐사활동을 전개

했으며, 급기야 지난 2011년 11월에 니제르 Agadem(차드 국경에 인

접)유전에서 처음으로 석유를 생산하였다.

니제르 정부는 2011년 말로 예정되어 있는 유전개발 프로젝트가 마

무리되면 2012년부터 본격적인 원유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니제르 정부는 2008년 CNPC 계열사인 CNODC와 석유개발 계

약을 체결했다. 현재 약 2만 배럴의 석유가 생산되고 있으며, 우선은

국내 Olelewa정유공장에 공급하고(현재 CNODC는 Agadem유전에서

Olelewa정유공장간 송유관 건설 중), 차후에 차드-카메룬 송유관을 통

해 역내 국가들로 수출할 계획으로 있다. 또한 중국의 SORAZ와 니제

르 석유기업은 정제능력 10만 톤 규모의 Zinder정유공장이 2011년 10

월에 완공했다. 알제리의 Sonatrach사도 Agadem북부지역에서 시추활

동을 추진하고 있다. 니제르 정부는 석유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을 육성

하며, 2012년부터 석유개발을 본격화할 계획으로 있다.63)

4) 라이베리아, 세네갈, 기니비사우, 기니

라이베리아, 세네갈, 기니비사우, 기니, 토고, 부르키나파소, 감비아,

말리 등에서는 2009년 현재까지 석유 가스가 생산되지 않고 있으며,

확인된 매장량도 거의 없는 상태이다. 국내 석유 소비는 1990년대 들

63) LeGriot, 2011.9.16

Page 146: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24

어 서서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소비에 필요한 물량은

전부 해외에서 수입되고 있다. 천연가스의 국내 소비는 아직 없는 상

황이다.

라이베리아 정부는 지난 2011년 9월 전쟁으로 피폐해진 국가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해 앙골라를 모델 삼아 인프라 건설과 석유산업 육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발표하였다. 라이베리아는 2004년 최초 광

구분양을 시작으로 2009년까지 3차에 걸쳐 광구분양을 했다.

1970~1980년대에는 BP, Chevron 등이 탐사를 하였으나 석유발견에

실패하고 정국 불안과 내전 등으로 철수한 바 있다.

현재 미국 Anadarko사와 호주 African Petroleum사는 라이베리아

연안에서 석유 탐사를 진행 중에 있다. Montserrado County 해안의

탐사 작업을 맡은 Anadarko사는 2011년 7월 탐사(LB-15광구에 있는

Montserrado(Cobalt) 유정)를 시작했고, 현재 라이베리아 해안에서 2

건의 개발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미국 Chevron도 역시 라이베리아 연안에서 시추작업을 시작할 계획

이다.64) 2010년에 Chevron은 라이베리아 해상광구 LB-12, LB-13,

LB-14의 지분 70%를 획득했었다.

세네갈의 경우에는 석유 가스의 확인매장량이 거의 없으며, 국내 필

요한 석유는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다. 천연가스는 2000년~2009년 동

안 연간 약 1.8bcf 생산되고 있으며, 전량 국내에서 소비된다. 세네갈

의 해상유전 탐사를 위해 Bos Atlantic해상에 2011년 7월에 노르웨이

심해유전 탐사전문기업인 Dolphin Geophyscial은 탐사를 시작했다.

아직까지 세네갈 연안 및 해상지역에서는 경제성 있는 석유 가스 매

64) Lesechos.fr., 2011.9.12.

Page 147: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25

장지를 발견하지 못한 상태이다.

지난 2011년 3월 중국은 90년대 후반 극심한 내전으로 파괴된 기니

비사우의 인프라 시설 복구 지원을 약속하고, 양국 간에 아직 미개발

상태로 있는 광물(인광석, 보크사이트), 원목, 수산자원, 그리고 해상

유전 등의 자원개발 사업에 협력하기로 했다.65)

기니 정부는 2009년부터 8만 ㎢에 달하는 해상유전을 22개 광구로

나누어 개발권을 외국기업에게 분양하고 있다. 미국 Hyperdynamic

Corporation사(지분 36%)는 기니만 해상 심해유전에서 기니에서는 처

음으로 탐사활동을 전개했다.

2. 외국기업의 진출 특징과 최근 동향

가. 외국기업 진출 특징

서부아프리카지역의 석유개발은 기존 진출기업인 메이저 석유회사

들이 주도하고 있으나, 대형 산유국인 나이지리아에 집중하여 왔다.

특히 최근에는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면서 2006~2007년부터 나이지리

아에 아시아 국영석유회사의 진출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독립계 석유

개발기업들은 나이지리아보다는 메이저 석유기업들이 관심을 보이지

않는 역내 다른 국가들에 진출하였고, 최근에는 가나 등에서 대규모

유전을 발견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다. 최근 나이지리아의 석유개

발 투자여건이 악화되고 서부아프리카 해상에서 석유가 발견되자 메

이저들도 나이지리아 이외 역내 국가로도 진출하고 있다.

65) Xinhua, 2011.3.11.

Page 148: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26

1) 메이저 기업

메이저 석유회사들은 막대한 자금력과 기술을 바탕으로 일찍부터

서부아프리카지역에 진출하여 석유 탐사 개발 활동을 수행하였다. 메

이저석유회사들은 1960년대 및 1970년대 육상지역에 대한 탐사활동

을 전개한 바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주요 산유국에서 전략적인 우위

를 확보하고 있다. 나이지리아가 최대 석유생산지이자 사업 참여의 기

회가 풍부하고 가장 유망성이 높은 관계로, 메이저 석유기업들은 나이

지리아 자원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현재 Chevron, ExxonMobil, ENI,

Total, Shell 등이 나이지리아 육상 및 해상에서 자원개발 사업을 전개

하고 있다. 특히, Total이 아프리카 해상광구 개발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데, 2011년 2월에 200억 달러 규모의 해상광구 개발을 위

한 5개년 계획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현재 Total은 나이지리아에서

OML(Oil Minning Lease) 58, 102, 130, 138 블록, 그리고

Amenam-Kpono광구 개발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Shell은 니제르 델

타지역의 육상유전 4개(OML 30, 34, 40, 42)의 지분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 4개 유전의 총 원유매장량은 29.9억 배럴, 천연가스 매장

량 11.3bcf로 추산되고 있다.66) 이중 OML 30의 원유 매장량은 15억

배럴, 천연가스 2.627bcf로 가장 큰 규모이다. Total과 Eni도 니제르

델타지역에 있는 자사 소유 유전의 지분을 매각하려고 한다.

메이저 입장에서는 나이지리아에서의 사업이 오히려 탐사위험이 낮

고 대규모 유전이 발견되는 DRO(Discovered Resource Opportunities)

에 해당하여 서부아프리카 변환단층에 대한 진출은 상대적으로 소홀

66) 유력한 지분매입 기업으로는 Consolidated Petroleum African PetroleumMid-Western Energy컨소시엄, Nestoil Kulczyk Oil Ventures Inc.컨소시엄, Eland-Starcrest컨소시엄, 인도 Essar Energy Plc.등임 .

Page 149: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27

히 하였다.

최근 메이저 석유기업들도 코트디부아르, 시에라리온 등으로 진출

을 시작하였는데, Total은 2010년 10월에 Yam's Petroleum이 보유하

고 있던 CI-100광구에 60% 지분을 인수하면서 운영권을 확보하며 참

여 하였다.

메이저 석유회사들은 신규 탐사사업 진출보다는 심해 등 기존 참여

광구의 개발 및 생산개시를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ExxonMobil은

2000년 이후 120억 달러를 나이지리아 등 아프리카 석유개발에 투자

하여 기존의 73만 b/d인 석유생산량을 2010년까지 100만 b/d로 증대

시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Chevron도 아프리카 지역에 50억 달러

를 투자한 바 있으며, 향후 투자규모를 3배 이상 증가시켜 총 150억

달러를 투자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Eni와 Shell도 나이지리아 해상

유전개발에 참여하고 있는데, 지난 2011년 12월에 양사는 50:50 지분

으로 탐사자원량 90억 배럴의 대규모 해상유전 개발권을 취득했다.

최근에 Shell은 가나 해상유전지역에 대한 탐사활동을 계획 중에 있

다. 이미 Shell은 가나 정부와 여러 차례 이를 위한 협상을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Eni는 2011년 4월에 가나 심해지역에서 Sankofa-2유

정에서 상업성 높은 석유 가스를 발견했다.

메이저 석유회사들은 석유개발 외에 나이지리아에서 천연가스 개발

및 LNG 프로젝트도 추진하고 있는데, Shell, Total 등은 나이지리아에

38억 달러 이상을 투입하여 나이지리아 LNG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

다. 특히 Chevron는 서부아프리카지역에서 최초의 GTL(3.4만 b/d 규

모) 사업을 주도하고 있다.

Page 150: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28

2) 독립계 석유개발전문기업

독립계 석유개발전문기업들은 높은 탐사 개발 기술력을 바탕으로

아프리카 석유개발 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회사의 역량을 동 지역에

집중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대형 산유국인 나이지리아를 제외한 서부아프리카에서는 독립계 석

유기업들이 주로 참여하였고 이들이 신규 유전을 발견함으로써 국제

적 관심을 갖게 되었다. 독립계 석유기업 중에서는 Tullow Oil가

2007년 초 호주의 Hardman Resources를 인수한 이후 가나에서

Jubilee 유전발견 등 서부아프리카 석유개발에 확고한 입지를 마련하

였다.

가나, 코트디부아르, 시에라리온 등에서 탐사시추에 성공하고 유전

이 발견되면서 메이저 등 대형 석유기업들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의 민간석유기업인 Lukoil은 가나, 코트디부아르, 시에라리온

등의 석유개발 사업에 총 9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2011년 9월까지

Lukoil은 가나와 시에라리온의 신규 개발사업에 총 2억 5백만 달러를

투자했다. Lukoil은 가나의 Cape Three Points Deep Water에 지분

56.66%를 보유하고 있으며, 시에라리온의 해상 심해유전 SL-5-11광구

의 석유탐사를 진행하고 있는 Oranto Petroleum사의 지분 49%를 소유

하고 있다.

가나에서 이탈리아 Eni가 유일하게 2002년부터 해상 석유개발 사업

에 참여하여 최근 Jubilee 해상유전 인근지역에서 석유․가스를 발견하

였다.

Page 151: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29

국가 독립계 석유기업 비고

나이지리아Addax, Camac, Afren, Heritage, Anadarko, Nexen

-대부분의 매장지는 메이저와

NNPC가 소유

-현지 기업이 광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다수

베냉

Oranto Petroleum Int'l, Archean Benin Energy, Sapetro, Mocrief Oil

-2007년, 2009년 신규 광권 발급에

대거 참여

가나

Tullow Oil, Afren, Anadarko, Kosmos, Amerada Hess

-Jubilee 유전 외에 추가 유전 발견

을 위해 활발한 탐사 시추 활동

전개

코트디부아르

Foxtrot, Tullow Oil, Yam's Petroleum, Anadarko, Hess, Afren

-Jubilee 유전과 동일한 분지에서

석유발견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

증가

라이베리아Anadarko, Tullow Oil,European Hydrocarbons

-2007년부터 Chevron, Repsol이 석

유개발 사업 참여

시에라리온

Anadarko, Oranto,Young Energy, African Petroleum

-Venus, Mercury 등에서 시추가 성

공했으나 아직 상업성 가진 유전

은 발견되지 않았음.

세네갈Maurel & Prom, Fortesa

-가스가 발견되었으나, 상업성이

부족한 광구가 대부분임.

<표 5-7> 서부아프리카지역에 진출한 주요 독립계 석유기업

자료: 이성훈(2011)

ECOWAS 국가에서의 사업비중이 높고 석유발견에 성공적인

Tullow Oil는 핵심 분지로서 지중해 해안선을 따라 잠재력을 높이 평

가하며 지속적인 사업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West Cape Three Point

광구의 파트너사인 EO Group Ltd.의 지분을 인수하기로 합의함에 따

라 동 광구의 지분도 3.5%에서 26.4%로 확대될 것이다. 이 외에도 가

나와 비슷한 지층에 속하는 코트디부아르,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모리타니아 등의 분지에서도 석유 발견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따라

Page 152: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30

Tullow Oil 시에라리온의 Venus와 Murcury 유전에서 보유중인 지분

(현 20%)의 10% 추가 매입을 위해 파트너사인 Anadarko와

Mitsubishi와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그림 5-12] Tullow Oil의 아프리카 진출 대상 지역

자료: Tullow Oil(2010), Annual Report 2010.

3) 아시아계 국영석유회사 (ANOC: Asian National Oil Company)

아시아계 국영석유회사들은 석유자원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아프리

카 석유개발 사업 진출을 추진하고 있으며 서부아프리카지역에 대한

진출의 경우도 유사하다.

중국, 인도 등 신흥 아시아 국가들은 자국 내 석유생산량이 감소 추

세에 있는 반면 경제성장에 따라 석유소비량은 증대하고 있어 석유자

Page 153: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31

원 확보가 필수적이다.

아시아 국영석유회사 중 아프리카 석유개발에 가장 적극적인 회사

는 말레이시아 Petronas, 중국 CNPC Sinopec, 인도 ONGC 등이다.

특히 나이지리아 등 대형 산유국에는 여러 가지 이유로 ANOC들의

진출이 상대적으로 많이 늦었고, 2000년대 중반부터 진출이 본격화되

었다. 2000년대 초반까지 나이지리아의 군사정권 등 정치적 안정성이

낮아 광권 계약이 지속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고, 니제르 삼

각주 주변으로 지속적인 반군 및 테러활동으로 위험이 높았다. 게다가

이미 많은 메이저 석유기업들이 석유개발 사업을 독점하고 있어 경쟁

력이 없었고 이에 따라 참여 여지도 적었다. 또한 군부가 사유재산 증

식을 위해 친인척들에게 광구를 주어 외국 석유기업들에게 되파는 형

국으로 광권 발급 과정도 투명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ANOC들은 메이

저들과의 광권 획득 경쟁을 극복하기 위해 인프라 제공 조건으로 광

권을 취득하는 ‘oil for infrastructure’ 전략을 사용하였다.67)

이로써 2005년부터 나이지리아 광구분양에서 ANOC들이 광권을

획득하기 시작하였으며 주로 사전 협상을 통해 광구를 획득하였다. 메

이저 등 국제 석유기업들은 현지기업 의무참여제도(LCV)와 아시아

석유기업들에게 우선적 선택권(RFR)을 부여하는 이유로 광구분양에

참여하지 않았다. 이때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인도, 대만, 말레이

시아 등 많은 ANOC들이 나이지리아 정부와 전략적 거래를 통해 광

권을 획득하였다.

67) 이성훈(2011.6.15.) 참조

Page 154: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32

국가 전략적 거래 내용

한국

- Ajaokuta에서 Abuja를 거쳐 Kano까지 가스파이프라인 건설, Katsina까지 지선 건설

- Abuja와 Kaduna에 2개 가스발전소 건설

- Port Harcourt-Maiduguri 철도 건설

중국

- Kaduna 정유공장에서의 핵심 투자자

- Lagos-Kano 철도 건설(복선, 표준 궤간)- Mambilla에 수력발전소 건설(3 Gorges Project)

인도

- 180천 b/d 규모의 정유공장 건설

- 2천 MW급 발전 플랜트 건설

- Lagos에서 Delta까지 동서 철도에 대한 타당성 조사

대만- Port Harcourt 정유공장에서 핵심적 투자

- Unspecified IPP(발전 플랜트)

말레이시아 - Delta 주정부에 2.5 톤급 석유화학 프로젝트, 7천명의 일자리 창출

<표 5-8> ANOC들과의 전략적 거래 요약

자료: Chatham House(Aug. 2009), “Thirst for African Oil - Asian National Oil Companies in Nigeria and Angola”

2005년~2007년 나이지리아에서 ANOC들이 대거 진출하게 된 것은

당시 오바산조 대통령 및 나이지리아내 정치적 상황과 맞물려 작용하

였다. 당시 오바산조 대통령은 아시아의 신흥국가들을 방문하면서 괄

목할 만한 성장에 감탄하며 자국에도 이를 적용하고자 아시아 국가들

과 전략적 협력을 희망하였다. 이에 오바산조 대통령은 2004년 중반

부터 고위급 로비를 통해 할인된 가격 혹은 서명보너스 없는 석유광

구분양을 보증하였고, 그 반대급부로 하류부문 또는 인프라 프로젝트

에 대한 투자를 제안하였던 것이다.

석유부장관까지도 역임했던 오바산조 대통령은 ANOC들을 끌어들

Page 155: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33

임으로써 메이저 등 IOC들로부터 석유개발의 독립성을 높이려 한 정

책적 의도도 있었다. 또한 아시아 국가들과의 경제협력을 통한 빠른

경제성장을 선거에 이용하며, 또한 ANOC들과의 거래에서 획득한 자

금을 선거자금으로도 활용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메이저 석유기업들과 서방 세계의 반발과 나이지리아의 정

권 교체로 ANOC들의 석유계약들은 이후 대부분 법적 소송에 휘말리

며 정상적으로 이행되지 못하였다. 나이지리아를 자신들의 배타적 영

역으로 간주하였던 메이저 석유기업들은 ANOC들의 광권 획득이 편

법이라며 과민반응을 보이며 크게 경계하였다. 2007년 당시 야당 대

표였던 야라두아 대통령이 취임을 하면서 지난 정권에서 체결된 계약

건에 대해 불만을 제기하며 조사위원회를 구성하였고 광권을 취소하

는 사태에 이르기까지 한 것이다.

중국의 서부아프리카지역에서의 석유개발 현황을 보면, 니제르에서

CNPC가 Bilma, Tenere, Agadem 광구 개발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나이지리아에서 CNPC와 CNOOC가 OPL 298, 471, 721, 732, OML

130, 229 광구 개발에 진출해 있다. 중국기업들은 아프리카지역에서

탐사에서 소매에 이르는 통합적인 가치사슬을 구축하는 진출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즉, 중국 NOC들은 석유 가스자원 확보와 더불어 이

와 관련된 새로운 사업기회 창출, 기존 자산과의 시너지 확보, 다른

외국의 석유기업들과의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

한 중국은 자원 확보 이외에 정치 외교 교육 문화 등 다방면에서 아

프리카 국가들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있다.68) 2010년 현재

중국의 서부아프리카에서 수입하는 석유 비중은 16.3%로 2003년에

68) 이성훈(2011.6.15.) 참조

Page 156: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34

비해 4.2%p 증대되었다.

최근 중국의 CNOOC는 M&A 및 광권이 취소된 광구 인수 등 나이

지리아에 진출을 확대하려 노력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나이지리아 진

출이 늦었던 CNOOC는 2009년 300~500억 배럴 규모의 매장량 매입

의사를 나이지리아 측에 제안한 바 있다. CNOOC는 2006년 South

Atlantic Petroleum으로부터 OML 130광구의 지분 45%를 인수하였

고, 2008년에는 OPL 229광구 지분 35% 중 30%를 매각하였다. 현재

CNOOC는 2008년에 만료되는 메이저들의 운영권을 인수하는 방안을

나이지리아 측에 제안하였으나 아직까지 확답을 받고 있지는 못한 상

황이다.

한편, 나이지리아를 제외한 서부아프리카 국가 중에서는 코트디부

아르에서 태국, 말레이시아 국영석유기업이 메이저 및 독립계회사와

공동으로 석유 탐사사업을 전개하여 왔다. 태국의 PTTEP와 말레이시

아의 Petronas는 합작회사를 설립하여 코트디부아르에서 1994년부터

3개 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2010년 하반기 중국은 가나의 Jubilee

유전매입을 시도하기도 하였으나 해당 기업인 Kosmos사가 매각의사

를 밝히지 않음에 따라 무산되었다. ANOC외에 브라질의 국영석유회

사 Petrobras는 2011년 2월 CBH로부터 4광구 지분 50%를 획득하고

심해 탐사개발의 장점을 활용하여 베냉 심해광구에 참여하였다.

나. 서부아프리카 변환단층 개발 현황

최근 가나에서 시에라리온에 이르는 서부아프리카 변환단층

(Western Africa Transform Margin)으로 지칭되는 서부아프리카 해상

Page 157: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35

의 1,100km에 이르는 지역에 대한 석유기업들의 활동이 매우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림 5-13] 서부아프리카 Transform Margin

자료: Wood Mackenize

2011년 하반기에 미국의 Chevron, Anadarko Petroleum 등의 외국

석유기업들은 가나,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등 서부아프리카 해상지

역에서 12여개 유정에 대한 탐사·시추를 추진할 예정이다. Chevron은

2011년 4/4분기에 라이베리아 3개 해상광구 중 첫 심해유정을 시추할

계획이며, Anadarko과 Tullow Oil 등도 시추작업을 계획 중에 있다.

먼저 가나에서 대규모 석유가 발견됨으로써 서쪽 해상지역으로 석

Page 158: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36

유개발 활동이 확대되고 있다. 최근 Tullow Oil사는 Tweneboa-2의 인

근지역에서 Tweneboa-4유정을 발견했다.69) Tweneboa-2, 4는 모두

Deepwater Tano광구에 위치해 있다. 또한 Tullow Oil사는 Jubilee유

전의 주변 해상지역에 위치해 있는 Enyenra-2A, Enyenra-3A 유정에

서 양질의 사암저류층을 발견했으며, Enyenra-4A, Enyenra-5A 유정에

서도 시추 및 평가 작업을 계획 중이다. 2014년에는 Enyenra와

Tweneboa유전에서도 석유 75,000~125,000b/d 생산이 개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따라 Enyenra, Tweneboa유전이 Jubilee유전에

이어서 가나의 제2의 상업적 원유생산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Tullow Oil는 Deepwater Tano블럭에서 생산되는 원유

(75,000~125,000b/d)를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을 통해 처리하는 것을 검토 조사 중에 있다. 이에 대한

최종 투자결정은 2012년 중에 이루어질 예정으로 있다.70)

미국의 Kosmos Energy사는 2011년 3/4분기에 가나 해상유전에서

약 2백만 배럴의 원유를 생산해 2.3억 달러의 수출수익을 기록했다.

Kosmos Energy사의 동 유전에서 생산비용은 배럴당 12.13달러, 여기

에 감가상각비를 포함하면 배럴당 21.36달러이다. 지난 2011년 11월

에 Kosmos Energy는 West Cape Three Points 블럭에서 탐사 시추활

동을 통해 석유, 가스, 콘덴세이트를 추가로 발견하기도 하였다.

Kosmos Energy는 West Cape Three Points블록의 Makore유정을 시

추하였으나 경제성 있는 석유·가스를 발견하지 못했지만, 동 블록 내

69) Tullow Oil사는 Kosmos Energy Ghana Ltd.(18%), Anadarko Petroleum Corp.(18%), 가나석유공사(비용전가 수익권 10%), Sabre oi&Gas(4.05%) 등과

가나 심해유전지대에 대한 탐사활동을 하고 있음. 70) Arab Oil and Gas, 2011.9.1

Page 159: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37

에 Odum, Mahogany East, Teak 유정에서의 시추작업은 성공적이었

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Kosmos Energy는 2012년에 Mahogany East,

Teak에 대한 시추 및 평가 작업을 계속 진행할 계획을 갖고 있다.71)

가나에 이어 시에라리온, 코트디부아르에서 계속적으로 석유 가스

가 발견되면서 서부아프리카 변환단층의 잠재력이 실증적으로 높아지

고 있다. 또한 독립계 석유기업을 중심으로 인근 국가인 라이베리아,

세네갈, 기니비사우 등의 해상지역에서 탐사 시추 활동이 활발히 이루

어지고 있다.

최근에 코트디부아르 심해 CI-513광구를 획득한 호주의 African

Petroleum는 2012년 1분기부터 탐사 시추작업을 시작할 예정이다.72)

미국 Anadarko는 현재 시에라리온과 라이베리아 해상지역에서 탐

사 시추활동을 벌이고 있다. 2009년 시에라리온 SL-06, SL-07광구 탐

사에 이어 Jupiter, Mercury-2 유정과 라이베리아 LB-15광구의

Montserrado(Cobalt) 유정에서 탐사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Anadarko는 Tullow Oil과 함께 LB-15, LB-16, LB-17광구에 대한 탐

사권을 보유하고 있다.

71) Kosmos Energy는 West Cape Three Points에 지분 54.37%, Deepwater Tano 블럭에 45.63%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Oil Daily, 2011.7.18., AFP World News, 2011.11.17. 참조

72) NotreVoie, 2011.12.20., 해외자원개발협회(www.emrd.or.kr) 홈페이지 참조

Page 160: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38

[그림 5-14] Noble Energy의 AGC Profond광구

자료: Rocksource 홈페이지 www.rocksource.com

또한 미국 Noble Energy는 세네갈과 기니비사우의 해상 접경지역

에 위치해 있는 탐사광구 AGC Profond(수심 50~3,500m)의 지분매입

(30%)을 통해 서부아프리카지역에서 자원 탐사활동을 증대시키고 있

다.73) 이를 위해 Noble Energy는 Rocksource사와 farm-in 협정을 체

결하였다. AGC Profond블럭의 운영사인 Ophir Energy plc.社는

Noble Energy와 함께 2011년 7월에 첫 번째 시추작업을 실행하였다.

시추결과 Kora-1유정에서는 탄화수소를 발견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73) AGC Profond PSC의 지분구성은 Ophir Energy plc 44.2%, Noble Energy 30%, First Australian Resources 8.8%, L’Entreprise AGC S.A. 12%, Rocksource AGC Profond AS 5%임.

Page 161: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39

불구하고 양사는 동 지역에서 상당한 량의 석유가 매장되어 있는 것

으로 예상하고 있다.74)

그러나 서부아프리카 해상지역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은 아직 이르

다는 평가도 있다. 심해지역 석유개발은 5∼10년의 장기간에 걸쳐 이

루어지기 때문에 경제성 있는 석유를 발견한 후에도 개발 생산시설

건설을 위해 대규모 투자지출이 필요하다. 과거 동 지역은 높은 탐사

위험과 대규모 자본비용 때문에 석유기업들의 관심에서 멀어져 있었

다. 그러나 지금은 전세계적으로 기존 매장지의 고갈에 따른 높은 신

규 매장지 개발수요와 심해 탐사 시추 기술 발달로 메이저 기업은 물

론이고 독립계 석유기업도 동 지역에 대한 탐사위험을 기꺼이 수용하

면서 적극적으로 진출하려고 한다.

3. 유망 석유 가스 광구와 투자환경

가. 광구분양 계획과 진출가능 사업

1) 광구분양 계획

나이지리아의 경우 2011년 4월 기준 나이지리아 석유자원부

(Department of Petroleum Resources:DPR)는 현지 기업을 대상으로

한계유전에 대한 입찰을 계획하고 있다. 이번 광구분양은 현재 추진되

고 있는 석유산업법(PIB)과 무관하게 진행된다. 분양 대상광구는 120

개 유전으로 구성된 60개 광구이다.

한편, 업계에 따르면 120개 유전 중에 36개 유전은 Chevron, Total

74) Oil Daily, 2011.6.9

Page 162: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40

등 메이저 석유기업들로부터 회수하려는 것으로 매장량이 1,200만

boe에서 2억 4,300만 boe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번 나이지리

아의 광구분양은 한계유전으로서 대상도 자국기업으로 외국기업들의

참여 여지는 부족하며 개최 여부도 불확실하다. 2010년에도 이와 같

은 광구분양이 있을 것이라고 석유부장관이 언급하였지만 이루어지지

못한 전례가 있다. 나이지리아 정부는 Niger Delta지역에 대한 석유의

존도를 낮추기 위해 동 지역 이외 5개 분지에 대한 탐사를 개방할 계

획으로 있다. 현재 나이지리아 내 6개 분지 가운데 Niger Delta분지에

서만 탐사활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나이지리아 이외 대부분의 서부아프리카 국가들이 1960년대~1980

년대에 탐사를 진행하였으나 내전 등 정국불안으로 1990년대까지 광

구를 분양하지 못하였다. 수심이 1,000m 정도의 해상에 대해서는 탐

사 기술력 부족과 높은 비용 소요로 최근에서야 관심을 받고 있다. 라

이베리아는 2000년 이후 2009년까지 3차례에 걸쳐서 광구분양을 했

고, 시에라리온은 6개 광구를 분양했었다. 현재 서부아프리카 국가들

중에서는 국제입찰을 통해 광구분양을 실시하고 있거나 계획하고 있

는 국가가 없으나, 개방광구 등 사전 협상을 통해 언제든지 광권 획득

은 가능한 상황이다.

2) 미분양 및 개방 광구(open area)75)

국제입찰을 통한 광구분양은 아니지만 현지에서 자료를 검토하고

수시 협상을 통해 광구를 분양 받을 수 있다.

75) 한국석유공사 Petronet와 에너지경제연구원 세계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의 단신

기사를 중심으로 정리하였고, Wood Mackenize 자료 참조

Page 163: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41

[그림 5-15] 나이지리아 광구현황 및 최근 개발 동향

자료: Wood Mackenize

Page 164: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42

나이지리아에는 2010년 12월 기준으로 215개의 개방광구가 있으나

개발여건이 열악하거나 광구를 분양하기 전에는 참여 가능성이 낮다.

개방광구의 대부분은 기존 유전지대를 벗어난 육상과 심해에 위치해

수심이 깊고 내륙 깊숙이 위치하는 등 탐사개발 여건이 매우 열악하

며, 무엇보다 나이지리아는 국제입찰을 통해 광구를 분양하므로 사전

협상을 통한 광권 획득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들 심해광구는 대부분

메이저 기업들에 의해서 개발되고 있다.

가나에서 2000년대 초반부터 해상지역에 대한 활발한 광역 탐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미 다수의 외국기업들이 Jubilee 유전을 포함해

서 이들 해상광구들에 대한 탐사권을 확보한 상태에 있다. Shallow

Water Tano가 유일하게 개방광구로 남아 있으나 경제성이 부족한 것

으로 평가되었다.76)

76) 한편, 2000년대 초반 KNOC, SK 등이 가나 동부 해상지역의 Keta광구에 대한

탐사 시추 활동에 참여하였으나 석유발견에 실패한 경험을 갖고 있음. Keta광구는 Jubilee 유전과 분지 구조가 다른 것으로 알려짐.

Page 165: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43

코트디부아르는 2004년 육상과 해상에 다수의 광구를 제시하였고

이후에도 공식 광구분양보다는 수시 협상을 통해 광권을 발급하고 있

다. 현재 25개 미분양 광구가 설정되어 있으며 육상광구 6개, 심해와

대륙붕 사이에 있는 해상광구 5개, 수심이 1,000m에서 3,000m인 심

해광구 11개 등으로 구성된다.

[그림 5-16] 코트디부아르 유․가스전 및 광구도

자료: Wood Mackenize

Page 166: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44

시에라리온 석유자원부는 2010년 11월에 새로이 설정한 광구와 포

기한 광구를 포함하여 10개 광구를 제시하였다. 신규 설정 광구는

SL-8A, SL-8B, SL-9A, SL-9B, SL10-A, SL-10B이며 초심해광구이

다. 포기한 광구는 L-3, SL-4A-10, SL-07A-10, SL-07C-10 등이다. 상

기 광구 중에서 호주의 African Petroleum은 2011년 2월 SL-3광구의

광권을 획득하였다. SL-5-11광구의 탐사권은 Oranto Petroleum사가

소유하고 있으며, 동 사의 지분 49%를 Lukoil이 갖고 있다.

[그림 5-17] 시에라리온 광구 현황

자료: Wood Mackenize

Page 167: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45

라이베리아에는 2009년 분양한 5개 광구(LB 1~5)에 Statoil과

Repsol의 컨소시엄을 포함하여 7개 기업이 입찰에 참가하였는데 분양

결과를 아직 발표하지 않고 있다. Simba Energy는 2010년에 해상

LB-12, 13, 14 광구와 인접한 육상 지역에 대한 PSC를 신청하였으나

아직 인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그림 5-18] 라이베리아 광구 현황

자료: Wood Mackenize

Page 168: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46

베냉은 대서양 연안과 대륙붕 길이가 짧고, 그리고 모든 개방광구들

이 수심 3,000m의 심해에 위치해 있다. 베냉에는 Block 03, Block 07,

Block 10, Block 09, Block 11, Block 12, Block 13, Block 14, Block

B, Block 15 등이 있다.

[그림 5-19] 베냉 광구 현황

자료: Wood Mackenize

Page 169: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47

세네갈은 광역 탐사를 위한 육 해상의 6개 광구가 설정되어 있으나

석유 가스 잠재력이 아직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세네갈과

감비아 등 서부아프리카 서쪽 끝단에 속하는 지역들은 가스가 주로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세네갈 육상에 대한 탐사 결과

일부 가스가 발견되었으나 매장량 규모가 작아 개발 활동이 중단되거

나 폐공한 경우도 있으며 아직 해상에서 석유가스 발견 가능성은 높

지 않다. 감비아는 해상 4개 광구, 기니에는 해상 21개 광구가 각각

설정되어 있다.

[그림 5-20] 세네갈 광구 현황

자료: Wood Mackenize

Page 170: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48

3) Farm-out 기회 활용

현재 나이지리아와 가나를 중심으로 석유기업들이 Farm-out(탐사개

발권 임대)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석유개발 사업 참여 기회가

존재한다. 단, 기존 광권 보유기업들의 Farm-out을 하는 배경을 신중

히 검토한 후 참여할 필요가 있다.

국가 기업 대상광구 내용

나이지

리아

Afren OPL 310

- 2010.11월 중순 2011년 시추를 위한 파트너

모색

- Afren은 40%(운영권) 지분 보유, 파트너사

Optimum Petroleum 60% 지분 보유

Chevron OML 113

- 2011.5월 Chevron은 동 광구내 Aje 유전의

지분 매각 희망

- Yinka Folawyo Petroleum이 60% Chevron Nigeria Deep Water 18%, Vitol Exloration Nigeria 12.831%, Energy Equity Resources Aje 6.502%, Providence Resources Oil&Gas Nigeria 2.667% 지분 보유

가나

GNPCSaltpond 유전

- 2011.6월 GNPC는 Saltpond Offshore Production Company(SOPCL)의 지분(45%)을매각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짐.

- Lushann Eternit이 SOPCL의 지분 55% 보유

Tap OilOffshore

Accra- 2011.5월 Tap Oil은 호주와 태국에 집중하기

위해 아프리카 자산 매각 방침 결정

<표 5-9> 국가별 Farm-out 계획

자료: 이성훈(2011), Wood Mackenize

Farm-out은 석유 가스의 탐사개발권을 양도하는 방식으로, 탐사개

발권의 양도가 양수인(farmee)이 일정한 의무를 이행하는 것을 선행조

Page 171: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49

건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거래 대가로 현금이나 자산을

양도인(farmor)에게 지급하지 않고 오직 양수인이 Farm-out 계약에서

정하고 있는 탐사 등의 급부(계약내용)를 이행함으로써 탐사개발권을

취득하게 된다. 향후 양수인의 일정한 계약내용의 이행을 조건으로 탐

사개발권이 이전되지만, Farm-out 계약 체결 시점에 양수인이 대상 광

구의 점유를 이전받고 이에 대한 탐사개발을 직접 수행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77)

4) 서부아프리카 변환단층(West African Transform Margin)78)

앞서 살펴보았듯이 가나 Jubilee 유전의 발견으로 서부아프리카지역

변환단층에 대한 광구확보, 탐사활동 증대 등 이 지역 대한 석유기업

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시에라리온과 라이베리아 지역도 이

West African Transform Margin에 해당되나 현재까지 제한적인 탐사

활동만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 지역에 발달한 퇴적분지의 지질학적

불확실성은 아직 높다. 2009년에 시에라리온 심해저의 Venus필드에

서 탄화수소의 발견이 이루어졌지만 현재까지 두 나라 모두 상업적

생산은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77) 이러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Farm-out 거래가 다른 일반의 주식양도와 자산양

도와 같이 매매의 성격을 갖는지 아니면 매매와 전혀 다른 합작투자에 불과한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있음. 또한 Farm-out 거래에서 양도인의 시추가 의무인

지 아니면 탐사개발권 취득을 위한 단순한 조건인지 여부를 신중하게 판단해야

하고, 양도인의 급부의 내용에는 구체적으로 무엇을 포함시킬 것인지 분명하게

정해야 함. 자세한 것은 오정환(2011) 참조

78) 이성훈(2011)과 Wood Mackenize 자료를 참고로 작성

Page 172: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50

[그림 5-21] West African Transform Margin(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자료: Wood Mackenize

West African Transform Margin은 쥐라기 초기부터 제3기 초기까

지 진행된 대서양 남부의 열개에 의해 대륙주변부에 평행하게 놓인

연속적인 대규모 변환단층의 특징을 보인다. West African Transform

Margin은 대서양 연안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리형 분지 타입의 열

개작용에 의해 퇴적분지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인리형 분지 타입

Page 173: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51

의 석유탐사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단, 변환단층들이 라이베리아 및 시에라리온 인근지역의 대륙주변

부를 가로 지르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단층들로 인해 두 지역의 석유

시스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불확실한 상황이다. 서부

아프리카에서 대부분 탄화수소는 신생대 퇴적층에서 발견되고 있지만

(나일 및 콩고 삼각주 퇴적층) West African Transform Margin에서는

백악기 말기에 쌓인 퇴적층이 탄화수소 발견 유망성이 클 것으로 예

상된다. 특히 상부 백악기 2개의 소규모 층준(Turonian과 Campanian

심해저 저탁류 사암)이 탄화수소 부존확률이 가장 클 것으로 판단

된다.

(1) West African Transform Margin 퇴적분지

라이베리아 및 시에라리온의 해양지역에는 크게 라이베리아 분지

(Liberia Basin) 및 하퍼 분지(Harper Basin)가 존재하며, 라이베리아

고지대 (Liberia High)라 알려진 기반암 고지대에 의해 분지가 구분된

다. 라이베리아 분지는 라이베리아에서 시에라리온까지 연장을 보이

며, Buchanan 단층대를 경계로 시에라리온 소분지와 라이베리아 소분

지로 구분된다. 발견된 Venus 유전은 시에라리온 소분지의 동쪽에 위

치해 있다.

라이베리아와 하퍼 분지는 매우 유사한 층서를 보이지만, St Paul

파쇄대 때문에 하퍼 분지의 경우 구조적으로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두 퇴적분지는 오르도비스기(Ordovician)부터 제 3기까지의 층서를 보

이고 퇴적물 두께는 약 12km에 달하며, 특히 백악기부터 제 4기까지

의 퇴적층서는 퇴적중심부에서 약 9km에 달한다.

Page 174: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52

(2) 석유시스템79)

① 근원암

백악기 셰일층들이 분지 내 주된 근원암 역할을 했을 것으로 판단

된다. 유기물 함량이 2~5%에 달하는 초기 및 중부 Albian 셰일층이

West African Transform Margin 석유시스템의 주요한 근원암 역할을

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Aptian 셰일층은 석유를 만들기에 좋은 유기물

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기물 함량은 1~3%에 달한다.

Cenomanian과 Turonian 심해저 셰일층도 근원암 포텐셜이 있을 것

으로 판단되나 정확한 평가를 위한 지질학적인 자료가 부족한 상황이

다. 시에라리온의 Venus 필드에서 탄화수소의 발견이 이루어 졌으나,

현재까지 지질학적인 자료가 매우 미비하여 석유시스템 해석과 분지

모델링을 재현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세밀한 지질학적인 해석이 현재까지 이루어 지지 않아 퇴적분지의

근원암이 탄화수소를 발생 시킬 수 있는 성숙도에 도달했는지, 또한

발생된 탄화수소가 West African Transform Margin 내에 발달한 구

조에 이동하여 석유가 트랩 되었는지에 대한 연구조사가 필요하다.

② 저류암과 트랩

저류암은 Aptian부터 Eocene에 걸쳐 다수의 저류층 사암이 나타난

다. 저류층 사암은 공극률이 대부분 6~30%를 보이며(평균 15%), 저

류층의 두께는 약 1.2km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인근 지역의 보고서를 바탕으로 볼 때 Transform Margin 퇴적분지

의 저류층은 석유 및 가스를 배태하기에 매우 양호한 성질을 보일 것

79) 한국석유공사 Petronet, Wood Mackenize 자료 참조

Page 175: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53

으로 예상된다.

탄성파 자료를 바탕으로 볼 때, 경사단층 및 횡압축 구조들이 트랩

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질 것(구조트랩)으로 판단되나 백악기 말기

(Turonian 및 Campanian)에 쌓인 저류층 사암의 경우 대부분이 층서

트랩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림 5-22] 가나 지역의 탄성파 단면도

자료: Wood Mackenize

Page 176: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54

층서트랩의 경우 가나에서 시에라리온에 걸쳐 발달한 West African

Transform Margin을 따라 형성된 대규모의 해저선상지 퇴적층과 연

관된다.

주로 저탁류 퇴적물(turbidite deposit)로 구성된 심해저 선상지 퇴적

층은 수십 킬로미터의 폭과 수백 미터의 두께를 갖는 저류층 사암이

기 때문에 대규모의 탄화수소를 배태하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Transform Margin 퇴적분지의 저류층 사암은 가나에서 발견된

Jubilee 및 시에라리온에서 발견된 Venus와 매우 유사한 특징을 보이

기 때문에, 동일한 플레이(play) 개념을 적용하여 탐사가 가능할 것으

로 판단된다. 실제로 Anadarko사의 탐사정 (Montserrado-1 well)도

Jubilee 타입과 동일한 백악기 심해저 선상지 퇴적층을 탐사대상으로

하고 있다.

③ 석유탐사 리스크

시에라리온 소분지 동쪽의 Venus 유전지역에서 발견된 탄화수소에

의해 석유시스템에 대한 규명이 대체적으로 이루어진 듯하지만

Transform Margin 전역의 퇴적분지에 대한 지질모델이 존재하지 않

아, 근원암의 열적 성숙도 및 탄화수소 발생량에 대한 규명에는 어려

움이 있다.

석유시스템 평가자료 부족으로 정밀한 석유시스템 규명에 어려움이

있으나 근원암이 광역적으로 발달한 지역의 경우 키친지역 (kitchen

area)이 광역적으로 발달하기 때문에 동일 분지 내에서 동일 플레이

탐사를 할 경우 탄화수소 발견 확률이 높아진다. 하지만 Transform

Margin의 퇴적분지에는 광역적인 키친지역보다는 소규모의 키친지역

Page 177: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55

이 여러 군데 존재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 경우 석유시스템이 국지적으로 발달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

에 Venus와 Jubilee와 같은 동일 플레이 탐사를 할 경우에도 탄화수소

발견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

Transform Margin을 따라 발달한 근원암의 경우, 석유를 주로 발생

시키는 유기물부터 가스를 주로 발생시키는 유기물까지 다양한 종류

의 유기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저류층의 탐사 플레이 개념은

동일할 수 있으나, 지역별로 석유 및 가스의 배태가 다르게 나타날 가

능성이 있다(예를 들어 동일한 저류층 플레이인 가나의 Sankofa에서

는 가스가 발견됨).

라이베리아 분지(Liberia Basin)의 층서트랩에 대한 유망성은 탄성

파 자료에 의해 규명되었으나 덮개암에 대한 평가는 현재까지 세밀하

게 이루어 지지 않아 덮개암에 대한 리스크가 존재한다.

저류층과 덮개암이 대륙주변부를 가로지르는 변환단층들(transform

faults)에 의해 절단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단층이 탄화수소의

통로 역할을 했는지 저류층의 봉인 역할을 했는지에 대한 정확한 규

명이 필요하다.

나. 자원개발 투자환경

1) 기술, 인프라

서부아프리카지역의 석유개발은 최근 들어 내륙에서 시추선을 이용

해서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탐사할 수 있는 심해유전에 관심이 집중되

어 있다. 심해 석유개발에 특화된 일부 석유기업들도 서부아프리카 해

Page 178: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56

상지역 석유개발을 확대하고 있는 추세이다.

심해유전의 특성상 고도의 압력에도 지탱할 수 있는 장비 등 특수

한 기술이 요구된다. 말레이시아 Petronas사의 경우 심해유전 개발기

술을 보유하고 있어 서부아프리카 해상지역에서 메이저 기업들과 공

동으로 탐사 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브라질의 Petrobras도 심해

석유개발에서 탁월한 기술 능력을 바탕으로 브라질 해상 유전들과 지

질학적으로 유사한 서부아프리카 해상지역으로 진출을 확대하고 있

다. 반면에 중국 CNPC의 경우 심해유전 개발기술을 용이하게 전수받

을 수 있는 독립계 석유기업들과의 협력을 선호하는 것 같다.

육상광구의 경우에는 사막 및 열대우림 지역으로 탐사를 위한 접근

환경이 용이하지 않으며, 경제적으로도 수송로 확보 등의 추가 비용이

필요하다. 또한 육상지역 탐사를 위해서는 장비 및 물자의 수송을 위

한 도로, 전력 설비 등과 같은 사회간접시설을 이용해야 되는데 이런

시설이 부재한 경우에 개발기업이 직접 건설해야 하며, 그리고 탐사

개발에 필요한 토지이용 허가권을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로부터 받아

야 되는데 이 과정에서 관료들의 뇌물요구에 노출될 수 있다.

서부아프리카 국가들 대부분은 석유 탐사 개발을 위한 인프라와 생

산된 석유 가스를 처리할 수 있는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석유개발 활동이 많은 나이지리아는 다른 나라에 비해 탐사 개발을

위한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많은 편임에도 불구하고 수송 및 수출 인

프라가 부족하다. 앞장에서 설명되었듯이 나이지리아에는 수출터미널

이 6개 있으며, 심해에서는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를 통해 원유가 수출되고 있다. 가스의 경우 Bonny 섬에

있는 Nigeria LNG(NLNG) LNG 터미널과 서부아프리카 연안국가들

Page 179: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57

을 연결하는 WAGP(West African Gas Pipeline)이 유일하게 운영되고

있다. 그 밖에 아직 석유 가스 생산량이 적은 국가들의 석유 가스 개

발 및 수송을 위한 시설들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2) 석유개발 제도

서부아프리카 국가는 외국 석유기업에 석유개발이 개방되어 있으며

기술 및 자본의 유치를 위해 외국 석유기업에 상당히 유리한 제도를

유지하고 있어서 특히 메이저 석유기업의 기술과 자본으로 석유개발

이 추진되고 있다.

신생 산유국은 최근에야 각종 제도를 제정하였으며, 아직 본격적인

운영을 위한 제도 정착이 이루어지지 않은 국가도 있다. 석유개발 관

련 제도를 설립하기 위해 외국의 자문기관에 의지하는 경우가 많으며,

제도 운영 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규정도 마련하였다. 이에 반해 나이

지리아는 자국 석유산업에서의 영향력과 통제력을 강화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1) 석유법과 계약형태

서부아프리카 국가의 석유개발 기본법은 대개 1960년대 또는 1980

년대 최초로 제정되었지만 석유개발의 진행에 따라 수차례 개정 작업

을 거쳤다.

나이지리아의 경우에 PSC(Production Sharing Contract)을 포함해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계약을 인정하는 등 석유 가스

개발관련 규정이 잘 정비되어 있지만, 상당히 까다롭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나이지리아의 조광권은 조사권(OEL), 탐사권(OPL), 생산리스

Page 180: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58

(OML)가 있으며, OML은 NNPC가 보유할 권한이 있다. 계약형태는

합작회사 설립, 서비스 계약, 생산물 분배계약을 체결하여 석유개발

사업에 참여가 가능하다. 생산 사업의 경우 NNPC와 JV를 설립하여

야 하고 NNPC의 지분은 55% 수준으로 규정하고 있다.

서부아프리카지역의 나머지 국가들은 석유개발 투자유치를 위해 석

유개발계약으로 석유기업들이 선호하는 PSC 형태를 기본으로 한다.

PSC는 초기 탐사와 개발 비용을 먼저 회수하고 난 후에 발생한 석유

개발 수익을 지분에 따라 참여사간 분배하는 방식이어서, 투자자금의

조기 회수와 세제 변경에 따른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 장점이

있다.

이에 반해 양여계약(Concession Contract)은 각종 세금과 로열티를

산유국에 지불하며, 해당국이 세금조항을 신설하거나 세율을 인상할

경우 수익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현금흐름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2) 세제

나이지리아를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들이 석유개발 투자유치를 위해

인센티브를 부여하거나 호의적인 세제를 적용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세제를 강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아프리카 국가들의 석유 관련 세제

혜택은 석유회사들의 관심을 유도하기에 충분하다. 특히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기반시설 투자에 대한 세제 혜택이 부여된

다. 나이지리아 역시 1,000m 이상의 심해에 대해서는 로열티를 부과

하지 않는 등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다.

Page 181: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59

나이

지리아가나

코트디

부아르베냉

라이베

리아

시에라

리온세네갈

계약

형태

탐사, 심해

:PSC생산: JV

Royalty/PSC혼합형

PSC PSC PSCTax&

RoyaltyPSC

로열티 0~20%oil: 5%gas: 3%

- - -

oil:6.5-10%

gas:3~5%

없음

PSC(계약자)

25~70%

20~40%

10~40%

25~45%

40~60%

-50~80%

법인세

(생산세)65.75~

85%35% 25%

최대

38%35% 30% 25%

정부

의무

지분

60%10~15%

10~30%

최대

15%없음/협상

없음

탐사:5~10%생산:20%

서명

보너스협상 없음 $1백만 없음 $50만 없음 없음

<표 5-10> 서부아프리카 국가들의 주요 계약 및 세금 비교

자료: 이성훈(2011), Wood Mackenize

3) 정정 불안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은 여러 부족, 종교, 정치이념 등의 차

이로 인해 역사적으로 오랜 기간 전쟁과 내전, 정국 불안을 겪었고,

이러한 것들이 석유개발에 있어서도 최대의 장애요인으로 되어 있었

다. 전반적으로 대내외 정치적 안정을 이룬 국가들은 석유개발을 우선

적으로 추진할 수 있었으나, 내전 등 불안정이 계속된 국가는 석유개

Page 182: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60

발이 추진되지 못하였다. 서부아프리카 국가들도 독립과 냉전을 겪으

면서 내전과 쿠데타 발발 등 정치적 불안정을 겪은 바 있으며 석유생

산 지역도 이권을 다투는 대표적인 대상이 되었다. 부족 간 충돌 이외

에도 정치적으로 반군세력의 활동이 잦은 지역으로 상당수의 국가가

내전을 경험하였다. 2000년대 중반부터는 내전을 치르는 세력들 간에

평화협정들이 체결됨으로써 아프리카 전반에 걸쳐 평화무드가 조성되

고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 국지적인 테러와 반군활동이 있다.

아프리카의 석유와 관련된 부정부패 방지를 위해 많은 비정부기구

(NGO)가 감시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미국 의회의 경우 자국 석유

기업들의 해외 활동 시 부정행위에 대한 감사를 시행한다.

나이지리아의 경우 반군과 무장단체의 활동과 정치적 불안정은 석

유산업 발전에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였다. MEND(Movement for

the Emancipation of the Niger Delta)와 NDLF(Niger Delta Liberation

Force) 등 반군은 석유생산 시설에 대한 공격, 외국인 근로자 납치를

자행함으로써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석유생산 차질을 유발하였다.

2010년 12월에도 NDLF는 2차례나 석유생산 시설에 대한 폭탄 테러

를 감행하여 석유생산이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니제르 델타 서쪽에 위치한 OML 42광구에 속하는 Dibi-Abiteya 파

이프라인에 대한 폭탄 테러를 가해 50천 b/d에 달하는 석유생산이 중

단되었다. OML 42광구는 Shell이 운영하고 있었으나 최근 매각되

었다.

Page 183: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5장 서부아프리카 석유・가스 공급 잠재력과 자원개발 투자환경 161

국가Overall Ranking

E&P Activity

Fiscal Terms

Political Risk 세계순위

가나 2.88 2.96 3.21 1.84 43

나이지리아 2.93 2.00 4.01 3.54 47

코트디부아르 3.25 4.24 2.15 2.48 69

시에라리온 3.29 4.86 1.31 2.64 73

세네갈 3.32 4.80 1.75 2.07 74

라이베리아 3.53 5.00 1.98 2.23 92

베냉 3.78 4.84 3.06 1.96 105

<표 5-11> 서부아프리카 국가별 석유개발 투자환경(2010년 말 기준)

주:1) 점수 범위는 0~5이며 0이 최대 점수

2) E&P Activity: ①최근 생산량 10%, ②잔존 매장량(석유 60%, 가스 40%) 10%, ③최근 5년간 E&P활동(NFW 시추 50%, 신규 라이센스 발급 25%, 활동기업수 25%) 40% , ④최근 5년간 탐사성공률(석유 매장량 추가 20%, 가스 매장량 추가 15%, NFW 성공률 15%, NFW당 추가된 매장량 규모 50%의 가중치 부여) 40% 반영

3) Fiscal Terms: 각국 PSA 및 계약조건을 기준으로 정부/투자자 몫, NPV, 투자수익률 등 반영

4) Political Risk: ①정치적 위험도(전쟁 10%, 납치 25%, 내부 폭력사태 35%, 체제불안정성 30%) 60%, ②상업적 위험도(외국인 투자에 대한 반감 35%, 본국 송금의 어려움 25%, 계약변경의 위협 40%) 20%, ③사회경제적 위험

도(경제적 불안정성 25%, 에너지 취약성 20%, 환경활동 30%, 민족․언어적

파벌 25%) 20%자료: IHS Energy, Country Rankings and Ratings

대통령 등 정권 교체도 석유산업 정책과 제도 변경으로 이어지거나

기존 계약의 변경, 정치적 갈등이 석유개발 사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외 다른 나라들의 경우에는 일부 정치적 갈등과 폭동 등의 위험

이 있으나 민주화 과정에 있어 과거와 같이 대규모 장기 유혈사태 보

다는 국지적이고 단기간에 종료되는 경우가 많다.

가나는 아프리카 국가들 중에서 민주화가 가장 성공적으로 정착하

Page 184: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62

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최근 코트디부아르에서는 대선 결과에 불복

하여 대선 후보 양측이 충돌하면서 수백 명이 목숨을 잃기도 하였지

만 정치적 민주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과정에 있다.

그 외 국가들도 정치적 안정화를 찾고 있으며 빈곤문제 등으로 치

안이 불안한 수준이며 UN 평화유지군의 활동도 지속되고 있으나 석

유개발과 산업을 위협할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Page 185: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6장 서부아프리카 자원개발 진출 전략 163

제6장 서부아프리카 자원개발 진출 전략

1. 자원개발 진출 전략

앞 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서부아프리카지역은 제도적으로 국제

석유기업들에게 매력적인 석유개발 대상 지역임에는 분명하다. 지질

학적으로 미탐사 지역이 대부분이며 심해의 발전과 개발 가능성도 높

아 세계적으로 진출 가능 지역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서부아프리카지

역은 관심지역으로 등장할 전망이다.

나이지리아는 다른 서부아프리카 국가들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석유개발 사업의 기회가 풍부한 국가이다. 나이지리아는 매장량과 향

후 공급 잠재력을 감안할 때 서부아프리카지역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전체에 대한 자원개발 사업 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

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나이지리아가 석유개발의 기회가 풍부하며 유일한 투자지역

이라 할 수 있으나 최근의 정책적 변화 동향을 주시할 필요성이 있다.

현재 석유산업법 제정을 앞두고 있으며 석유기업들도 동 제도의 제정

여부에 따라 추가적인 투자를 결정할 계획이다. 동 법이 제정된다면

석유개발을 통한 수익과 가치창출이 현저히 낮아져 나이지리아 역시

석유개발 진출 가능 지역으로서 매력도가 낮아지므로 이 경우 석유개

발 사업에 대한 투자를 재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심해지역의

경우 나이지리아로서는 지속적인 투자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밖에 없

는 입장이어서 메이저들은 심해지역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이에 대

Page 186: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64

한 투자는 지속될 필요가 있다. 또한 나이지리아는 정치적 불안정과

치안 불안으로 석유개발 사업의 추진이 방해받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

며 이로 인한 손실액도 큰 것으로 평가된다.

나이지리아는 메이저들의 무대로 인식될 만큼 자금력과 기술력, 광

구운영 능력 등 총체적인 분야에서 우리나라 기업들은 경쟁열위에 있

다. 현재 나이지리아에서는 과거 우리나라를 포함해서 아시아 NOC들

이 추구하였던 ‘oil-for-infrastructure’ 사업추진 가능성이 낮아졌기 때

문에 다른 형태의 자원개발 투자진출 방안을 강구해야 하는 상황에

있다. 기존 아프리카에 진출해 있는 메이저 석유기업들의 반발과 나이

지리아 정부의 관리능력 부족으로 종전과 같은 방식의 사업제안은 이

제 비효과적이게 되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에너지 기업들은 나이지리아에서의 입지를 강

화하는 한편, 메이저들이 아직 적극적으로 진출하지 않고 있는 다른

산유국들에 대한 진출도 병행해야 할 것이다. 최근 서부아프리카 해상

의 변환단층(Western Africa Transform Margin)을 중심으로 석유개발

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나 추가적인 석유발견 등 지질학적 유

망성이 좀 더 입증된다면 진출 경쟁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나이지리아, 가나, 코트디부아르 등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에는 인프

라 여건이 열악하고, 미탐사 지역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내

륙지역에 석유 가스가 발견되더라도 생산된 석유 및 천연가스를 수송

하고 처리할 수 있는 파이프라인, 수출터미널, 정유공장 등을 건설해

야 하기 때문에 개발비용을 만회할 정도의 대규모 매장량이 발견되지

않으면 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서부아프리카지역에서

나이지리아와 인근 주변국가들의 해상지역 개발에 대한 외국기업들의

Page 187: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6장 서부아프리카 자원개발 진출 전략 165

관심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가. 현지기업과의 파트너십 구축

나이지리아에 있는 142개 석유기업들 중 3/4은 현지 민간기업이지만,

이들 기업들의 석유생산량은 나이지리아 전체 생산량 중에 4%에 불

과하다. 그만큼 나이지리아에서 국영석유기업 NNPC와 메이저를 포함

한 외국계 석유기업들의 비중이 상당히 크다고 할 수 있다.

현지 민간석유기업들의 성장을 가로막는 주된 원인은 낮은 신용도,

고금리(20%), 짧은 대출기간 등에 따른 투자자금 조달 상의 어려움에

서 찾을 수 있다.

나이지리아 정부는 석유개발 사업 활성화와 자국기업 육성을 통한

고용창출과 자원지대 획득을 위해 현지 자국기업들에게 한계유전과

육상유전의 탐사개발권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외국 석유기업들이 광

권을 포기하거나 계약기간이 만료되는 광구의 개발권은 현지기업들에

게 우선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나이지리아 현지기업들과의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을 통한

신규광구 획득방법은 상당히 효과적일 수 있다. 과거 오바산조 대통령

시절에는 친인척과 정치 실세 등에 광권을 주고, 이들이 기업을 설립

하여 외국 석유회사들에게 광권을 매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현재 개발권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개발 기술 경험이 부족한 현지기업

들의 지분을 매입하는 것도 광권을 획득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일 수

있다.

이미 여러 외국의 독립계 석유기업들이 현지기업과 특수목적회사

Page 188: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66

(Special Purpose Vehicle: SPV)를 설립하여 나이지리아 석유개발 사

업에 참여하고 있다. Maurel&Prom은 2개의 현지기업들(Platform

Petroleum, Shebah Petroleum)과 SPV를 설립하여 3개 광구의 지분을

획득하였다. 그리고 Afren는 나이지리아 개인 투자가들과 ‘First

Hydrocarbon Nigeria’라는 SPV을 설립하여 OML 26광구의 지분을

획득하였다.

나. 심해광구 개발 사업에 진출

서부아프리카지역에서 메이저를 중심으로 심해지역 자원개발 사업

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며, 향후에도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나이지리아의 PIB제정 움직임처럼 이제 외국기업에

의한 상대적으로 개발여건이 좋은 육상광구의 개발권 획득은 어려워

지고 있으며, 각종 부담금(로열티, 세금) 인상으로 개발비용도 높아지

고 있다.

그러나 심해광구 개발은 아프리카 현지기업들의 부족한 자금력 및

기술력으로 메이저 기업 또는 외국계 국영석유기업에 의해 주도적으

로 이루어질 것이다. 또한 나이지리아를 비롯한 서부아프리카지역 산

유국들은 심해 석유 가스 자원개발을 촉진시키기 위해 외국기업의 투

자 유치 및 확대를 위한 세금우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잘

알다시피 심해지역 자원개발 사업은 국제유가와 고비용 구조에 의해

투자성패가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향후 유가변동과 운영사의 비용절

감 능력이 중요한 변수로 된다.

따라서 우리나라 기업이 아프리카 심해광구 개발사업에 참여하는

방법으로 광권확보 탐사 개발 생산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자금력, 기

Page 189: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6장 서부아프리카 자원개발 진출 전략 167

술력, 운영능력을 갖추고 있는 외국기업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하

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것들을 모두 갖추고 있는 외

국기업은 메이저 기업일 것이다. 이외에도 실제 심해광구 개발경험을

갖고 있거나, 자금동원 능력이 우수한 브라질 NOC, 중국 NOC 등과

도 대아프리카 심해광구 개발을 위해 전략적 제휴를 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브라질의 Petrobras는 자국 sub-salt지역 탐사개발을 비롯하여

심해지역 자원개발 분야에서 탁월한 탐사 기술력과 광구 운영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앙골라, 멕시코만 등지에서 심해 석유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의 CNOOC는 나이지리아 심해 석유

개발 사업에 커다란 관심을 갖고 있다. 특히 중국 국영석유기업과는

서부아프리카 해상광구 개발사업 진출에 있어서 우리의 경쟁자보다

전략적 협력자로 인식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 같다.

우리나라 국내에서는 서부아프리카지역 심해광구 개발사업 진출을

위한 관련분야 기업들 간 컨소시엄을 구성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는

아프리카지역에서 광권을 획득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예를 들면,

서부아프리카지역 해상광구 개발에 필요한 해저 파이프라인과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와 관련된 국내 조

선 플랜트 기업들이 컨소시엄에 참여하게 되면 전체적인 사업비용을

절감시키고, 현지 정부 또는 국영기업에 대한 협상능력을 제고하는데

크게 유용할 것이다.

서부아프리카지역 국가들은 지리적 이점을 기반으로 대유럽 북미지

역 원유 가스 수출기지를 구축하려고 한다. 또한 역내 석유제품 시장

을 겨냥한 정유공장 건설도 계획되고 있다. 코트디부아르는 석유생산

량이 많지 않지만 천혜의 입지조건을 기반으로 서부아프리카지역에서

Page 190: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68

오일허브를 모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대규모 정유공장, 석유저장시

설, 항만 수출입 터미널 등을 건설하려고 한다. 또한 세네갈은 깊은

수심과 항만에 접안하기까지 장애물이 적어 LNG생산터미널 건설에

좋은 자연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

다. 탐사 전문기업과의 협력

지금까지 메이저 석유기업들은 나이지리아를 제외한 다른 서부아프

리카 국가들에 대한 탐사사업에 소홀히 해왔다. 이러한 틈새를 노리고

탐사기술력을 보유한 외국의 독립계 석유기업들, 특히 Tullow Oil,

Anadarko는 가나, 코트디부아르, 세네갈 등지에 진출하여 Jubilee 유

전과 같은 유망한 매장지들을 발견하기도 하였다.

아직까지는 나이지리아를 제외한 서부아프리카지역에서 광권 확보

경쟁이 치열하지 않고 최근 들어서 외국 석유기업들의 관심을 받기

시작한 바, 우리나라 기업들도 나이지리아 석유개발 사업 진출과 병행

해서 신흥 산유국으로의 진출도 추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기업들이 나이지리아를 제외한 서부아프리카 국가

들에서 자원개발 사업추진 경험이 미천하고 동 지역에 대한 사회문

화 정치에 대한 이해가 낮기 때문에 기 진출한 외국의 독립계석유기

업과 협력하는 것이 초기 진출비용을 낮추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특히, 탐사능력에 있어 탁월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동 지역에

서 탐사성공 경험이 있는 외국기업들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것도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나이지리아를 제외한 서부아프리카 국가들에서는 정부 및 국

영기업과 협상에 의한 광권 확보가 가능한 만큼 이들과 긴밀한 협력

Page 191: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6장 서부아프리카 자원개발 진출 전략 169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이들 국가에는 현재

미분양 광구가 다수 존재하며, 또한 많은 미탐사 지역에서 추가적인

매장량 증대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2. 기업차원의 CSR활동을 통한 진출 전략80)

가. CSR활동의 필요성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은 기업

이 사업활동, 사회적 투자, 공헌(philanthropy)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

에 공헌하는 것을 의미하며 다양한 용어들과 혼용되고 있다. CSR은

기업의 사회적 투자(CSI: Corporate Social Investment), 기업의 사회

적 공헌, 기업윤리, 시민으로서의 기업, 지속가능 경영, 이해관계자 관

리 분야에서 사용되거나 혼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개발도상국에서 저

소득층을 위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창출해 내는 기업의 사회적 기회라

는 개념으로도 부각되고 있다.

석유분야에서 CSR의 중요성이 부각된 것은 1980년대와 1990년대

대형 석유기업들이 환경문제, 인권, 지역 사회와의 갈등이 확산되면서

부터이다. 초기에는 개도국에서 석유개발을 추진하면서 자연환경 훼

손과 사고 등으로 인한 환경문제 발생, 현지 인력의 임금 수준과 건강

문제에 소홀한 점에서 비롯되었고, 보상능력이 있는 다국적 기업과 대

기업이 대상이었다. 1989년 알래스카 연안에서 발생한 Exxon Valdez

의 원유 유출사고, 나이지리아와 미얀마에서 Shell, Unocal, Total의

80) 이성훈(2011) 참조

Page 192: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70

인권 훼손, 앙골라·수단·콜롬비아 국경지역 석유개발을 위해서

Talisman Energy, Unocal, Elf, BP 등의 정치권과 결탁한 부정행위 등

의 일련의 사태들이 생겨나면서 석유기업들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

식이 확산되었다.

현재 대부분의 메이저 석유기업들은 지속가능 성장보고서나 CSR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으며, 석유기업들 중에서는 Shell이 가장 먼저

사회적 책임을 고려한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Shell은 Shell Nigeria를

통해 1996년에 ‘People and the Environment: Annual Report 1996'을

발간하였고, 1998년에는 이와 관련한 세미나를 개최하고 ‘Profits and

Principles'이라는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특히 석유는 탄소배출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어 CSR를 수행하는

대부분의 석유기업들은 환경문제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다. 아프리카

의 경우에는 주로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에서 다국적 프로젝트들이 진

행되고 있으며 윤리, 공정한 노동관계, 에이즈, 교육, 아동, 노동문제

들이 주로 다루어지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활동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칠 것으로 추정되지만 실증적으로 이를 보여주는 연구는 많지 않다.

아프리카의 경우 HIV/AIDS에 대한 사회적 공헌은 기업의 생산성과

수익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는 조사결과도 있다. AIDS와 관련한 직

원들의 질병과 사망이 인력 손실의 20%를 차지하며 이에 따른 생산

성 하락을 가져오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는 활동은 기업의 생산성 향

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하버드 대학교는 남아공 Durban에 있는 기

업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에이즈에 대한 교육과 이를 예방하기 위해

지출한 비용의 3.5~7.5배에 달하는 성과가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Page 193: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6장 서부아프리카 자원개발 진출 전략 171

세계경제포럼에서 2004년 CEO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CSR활동

은 기업의 브랜드 명성을 높이고 재무적으로 보다 나은 성과를 창출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CSR활동을 하는 기업들은 그렇지 못한 기업

들보다 수익률이 18% 정도 높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석유 가스 분야에서 CSR활동에 적극적인 기업

들은 그리 많지 않고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석

유 가스 생산국이 나이지리아, 앙골라 등 일부 국가에 국한되어 있고,

또한 많은 사업들이 탐사단계에 있기 때문에 CSR활동을 하려는 유인

이 생기기 어려운 것이 실정이다. 아프리카 국가들은 대부분 자국경제

발전을 위해 외국기업 투자를 유치하려는 입장이어서 외국기업들에게

강하게 CSR활동을 강조 또는 요구할 수도 없는 처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이저 기업들은 산유국 정부 및 국민들에게 환

경파괴 피해 주범, 국부 탈취 등의 나쁜 평판을 얻고 있으며, 나이지

리아를 시작으로 아프리카 산유국은 자원개발 사업에 대한 정부통제

를 강화하고, 자국 국영기업의 의사결정 권한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에너지 개발정책을 추진하려고 한다. 이에 따라 그동안 외국기업에 대

한 실추된 평판을 회복할 수 있는 CSR과 같은 지원활동이 필요하다.

나. 진출 전략

아프리카지역에서 외국기업들의 CSR활동은 기업마다 약간씩 상이

하다. 외국기업들은 공통적으로 HIV/AIDS, 교육 부문에 대한 지원 사

업을 하고 있다. Chevron은 앙골라에서 교육 분야와 에이즈 예방 프

로그램을 실행하고 있고, 그 자회사인 CABGOC을 통해 임직원과 그

가족들을 위한 HIV/AIDS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직

Page 194: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72

원 교육, 콘돔 사용 촉진, 비밀 테스트와 상담, HIV에 처방약 제공 등

을 추진하고 있다. BP도 학교 설립과 교육, 청소년과 취약 계층을 상

대로 에이즈 예방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한편 Shell, Eni, ExxonMobil, Chevron, Total 등은 나이지리아에서

마찬가지로 보건의료, 교육 부문에서 지원 사업을 할 뿐만 아니라 현

지국 정부가 요구하는 사회간접시설(교통시설) 건설과 경제지원 사업

(농업지원 프로그램)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BP와 Shell은 남아공에서

자본 기술 이전, 남아공 기업에게 수출시장 제공 등 국가경제 발전과

직결되는 사업도 병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석유개발 기업의 규모가 크지 않아 CSR을 크게

강조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는 아직 본격적으로 이익을 낼 수

있는 생산광구를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인데, 또한 실질적으로 자원

개발 공기업이 주도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해외자원개발 사업 현실에

서 이익발생 이전의 사업초기에, CSR활동에 많은 지출을 하는 것에

상당한 제약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아프리카는 아니지만 SK의 경우

남미 페루에서 corporate citizen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고 있

으며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다. SK에너지는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NGO인 Prosynergy를 2007년에 설립하고 페루 정부

및 현지 NGO와 협업하고 있다.81)

이런 점을 고려하더라도 장기적인 투자의 개념에서 CSR활동을 점

차 늘려나가는 것도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

81) 2007년 8월에는 페루 지진 발생 피해지역의 복구를 지원하였으며 교육수준 향

상을 위해 학교 재건사업, 녹지 조성사업을 수행하였고 보건수준 향상을 위해

보건소 건물 재건과 의료 장비 제공 사업 등을 추진하였음. 당시 금전적으로는

$8.8백만을 지원하였지만 페루 정부와 지역사회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이들과의 좋은 관계를 바탕으로 석유개발 사업도 확대해 가고 있음.

Page 195: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6장 서부아프리카 자원개발 진출 전략 173

서 아프리카 자원개발 사업에 진출한 외국기업들은 일반적인 형태의

CSR활동 이외에 현지국의 국가경제 및 지역경제 발전을 위한 지원

사업, 예를 들면 사회 인프라 시설 건설, 직업훈련사업 등과 병행해서

추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아프리카국가들의 경제 에너지 거

버넌스 개선을 위한 우리나라의 지식 경험을 전수하는 지원 사업은

우리나라를 경제발전의 협력자로써 인식시켜 줄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 차원에서 CSR이 있다면 국가차원에서도 유무상

원조는 국가 이미지 제고는 물론 우리 기업들의 해외 진출에 보이지

않는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국가차원의 사회적 책임을 행하는 수단으로는 ODA와 EDCF를 들

수 있으며, 우리나라의 ODA는 아직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82) 석

유개발 분야에 ODA를 활용함에 있어서는 제약요인이 많아 대외 국

가전략과 연계하여 추진될 필요가 있다. 자원개발과 ODA를 연계하는

것은 국제적으로 비난을 받을 수도 있는 사안이지만, 전략적 판단/고

려 없이 지원을 하는 것도 문제이며, 또한 자원부국에도 ODA을 지원

할 필요성이 있느냐고 의무를 제기하는 것도 문제라고 생각된다. 이에

따라 상대국의 경제개발 촉진, 사회적 지원, 자원개발 분야에서

82) 우리나라는 2010년에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에 가입하여 OECD 국가 중

에서는 유일하게 원조수혜국에서 원조 공여국으로 전환되었음. 우리나라는

2000년대부터 개발도상국 지원을 확대해 왔고, ODA 규모는 2000년에 $2.1억에서 2010년 $11.7억으로 증가하기도 하였으나 총 23개 DAC 회원국 중에서

18위 수준이고 GNI 대비 0.12%로 최하위권 수준임. 한편, 우리나라의 원조사업의 운영체계의 개선과 다른 대외 지원정책과의 연계,

공여국과 원조협력 강화 등을 개선방안으로 제기되고 있음. 또한 우리나라의

원조사업은 무상원조를 실행하는 기관인 KOICA와 유상원조를 실행하는 기관인

수출입은행으로 이원화되어 있고 원조사업도 32개 기관으로 분산되어 사업이

진행되는 복잡한 운영체계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음. 지원규모도 작은데 많은

나라로 지원사업이 분산되어 집중도가 떨어지고 효과성도 높지 않다는 것임.

Page 196: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74

win-win할 수 있도록 country marketing 차원에서 보다 종합적인

전략을 개발하여 운영해야 된다고 본다.

3. 산유국의 경제발전 욕구에 부합하는 진출 전략

이미 앞장에서 살펴보았듯이, 아프리카 국가들은 안정적 경제성장

과 이를 통한 빈곤탈출 및 높은 청년실업률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지

만, 비효율적이며 불투명한 경제 에너지 거버넌스로 인해 아직까지 가

시적 성과가 나타나지 못하고 있다. 2000년대 초 중반에 국제 에너지

자원 가격 상승으로 아프리카 산유국들이 경제성장을 달성하였지만,

고용이 뒤따르지 않는 성장이었고, 외부요인에 의해 물적자본이 축적

되고, 수출이 증대되었다. 지속적 경제성장을 위한 생산요소의 질적

개선을 포함한 총요소생산성(TFP) 증대는 아주 미미했다.

또한 아프리카에서는 청년층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산업 구

조적 문제로 인해 생산요소가 과소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는 달리 보

면, 향후 인플레를 야기하지 않고 수요(정부지출, 투자)증대를 통한 경

제성장이 가능하다는 것을, 그리고 두터운 청년층으로 인한 미래 거대

한 구매력이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세계 주요 기업들은

세계경제 특히 선진국 경제의 침체 상황에서 새로운 탈출구로 아프리

카 시장을 염두에 두고 동 지역에 대한 투자를 크게 증대시키려 하고

있다.

아프리카 국가들은 중장기적으로 경제성장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원

산업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잉여 청년 노동자를 크게 흡수할 수 있

는 전략산업을 육성하려고 한다. 아프리카 국가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

Page 197: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6장 서부아프리카 자원개발 진출 전략 175

지만, 대부분의 국가들이 전략적 육성산업으로 역내 및 해외시장을 겨

냥한 농업, 농수산가공업, 자원가공산업, 서비스업으로 관광업과 금융

업 등을 고려하고 있다. 처음에는 해외시장에서 중국 및 인도 제품에

밀릴 수밖에 없으므로 역내시장 진출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정부 및 기업은 아프리카 자원부국들이 자국의 경제 활성

화와 산업화를 위해 필요한 부분에서 기여할 수 있는 점을 찾아서 자

원개발 진출 시에 유용한 협상카드로 사용해야 할 것이다. 즉 아프리

카 국가들의 에너지 governance 개선, 단 장기 경제성장 전략 수립,

고용증대를 수반한 전략산업 육성과 산업구조 다각화, 인적자본의 질

적 향상 등의 현안과제에 대해 동반자적 견지에서 우리나라 기업과

정부가 제공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서 자원개발 확대전략과 자원외교

에 접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 정부와 기업은 청

년층을 대상으로 한 직업훈련 기술교육 프로그램, 정부부문의 경제

에너지 governance를 개선시킬 수 있는 정책 경험 노하우 전수 프로

그램, 현지국의 전략적 육성 산업부문의 기술전수 프로그램 등을 집중

적으로 지원 또는 운영한다. 또한 아프리카 국가 및 역내 시장의 빠른

확대가 예상되는 바, 우리나라 제조업체들의 현지기업과의 합작투자

형태의 진출이 요구된다. 이는 거대한 신규 수출시장 개척 차원에서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Page 198: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76

제7장 결 론

1990년대 이후 아프리카 경제는 자유화와 개방을 겪으며 노동시장

의 유연성이 확대되었으나 자국 산업의 발전이 미미하고 중국, 인도

등지로부터 공산품이 대거 유입되면서 아프리카 국가들의 제조업 기

반은 크게 악화되었다. 특히 중국과 인도는 아프리카지역에 대규모 공

적 원조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자국 인력과 제품 시설을 아무런

제재도 받지 않고 유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아프리카 현지 시장

을 잠식해 들어갔다. 게다가 공공부문의 상업화 및 민영화로 정부부문

의 고용이 감소하였고, 민간부문의 산업발전이 미진하여 고용확대가

이루어지지 않아 기술과 경험을 보유한 소수 노동력만이 민간부문에

서 고용되는 악순환을 겪어왔다.

또한 노동력의 대부분이 청년층이나 청년노동력에 대한 고용수요가

많지 않아서 청년실업은 아프리카 경제에 커다란 문제로 되고 있다.

게다가 제도적으로 고용지원 및 노동자 보호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

고 있으며 직업 교육·훈련 등에 대한 제도적 장치가 미흡하여 노동력

의 질적 수준제고도 원활하지 않은 상황이다. 다만, 실업상태의 젊은

인력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성장잠재력이 크다는 반증이기도 하다는

점에 일말의 희망적인 부분도 존재한다.

그동안 서부아프리카 국가들은 에너지 자원개발에 성장을 크게 의

존해 왔으며 실제로 2000년대 들어서는 국제 자원가격의 상승으로 정

부재정 수입 및 경제성장률의 제고에도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그러

Page 199: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7장 결론 177

나 원유 개발과정에서의 투명성 부재, 정치권력과의 결탁, 부정부패

등으로 원유개발 수익이 소수의 권력층, 자본가, 외국메이저 기업에게

만 집중되었고 국내 산업에 대한 재투자와 경제성장에는 실질적인 파

급효과를 낳지 못하였다. 또한 유전개발 지역의 환경파괴와 지방정부

와 중앙정부간의 유전개발 이익을 둘러싼 알력, 유전지대 원주민들의

빈곤화가 계속되는 등 에너지 거버넌스 문제가 자원이 풍부하면서도

지속적 경제성장과 산업화를 이루지 못한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자원채굴업의 노동력 흡수효과는 크지 않아서 고용창출에도

큰 기여를 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아프리카 국가들은 중장기적으로 경

제성장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원산업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고용을

확대할 수 있는 전략산업을 육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육성 산

업 대상군은 역내시장을 겨냥한 산업으로 농수산 가공업, 에너지 및

광물 가공산업, 서비스 산업, 관광산업, 금융산업 등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특히 서부아프리카 경제공동체(ECOWAS)를 활성화하여 대규모

역내 시장을 활용한 경제기반의 구축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

으로 판단된다. 또한 서부아프리카전력공동체(WAPP)를 통한 에너지

인프라 건설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전력공급 확대를 통한 산업발전 효

과가 상당히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나이지리아의 석유산업법은 의회를 통과하여 법제화되면 생산

물분배계약에서의 정부 몫의 증가, 석유관련 세수 증가, 환경 규제 강

화, 연방정부의 권한 확대, 지방정부의 에너지자원 관리권한 축소 등

이 예상된다. 동시에 입찰, 라이센스 발급 등에 있어 투명성이 제고되

는 등의 변화도 기대된다. 다만, 이러한 점들은 우리나라 자원개발 기

업들에게 위협요인이 될 수도 있고 기회를 제공할 수도 있다. 분명한

Page 200: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78

것은 이러한 법제도적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점

이다. 석유산업법이 통과되면 메이저 석유기업들의 지대수익은 감소

하여 기본 생산광구를 매각 또는 Farm-out 하거나, 다른 국가의 신규

매장지에 참여하거나, 그리고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해상광구 신규개

발로 눈을 돌릴 가능성이 높다. 이를 우리는 광구매입이나 신규사업에

참여하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

심해광구의 시추작업은 고비용을 수반한다. 반면에 불확실성이 매

우 높아 성공에 대한 확신이 없이는 사업 참여가 어렵다. 또한 인프라

가 미비하고 현지 인력사용에도 한계가 많기 때문에 비용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나이지리아는 개발 잠재력이 크지만 이미 해상광구는

대부분 분양이 되어 우리기업이 참여하려면 지분참여가 거의 유일한

방법이다. 또한 정치적 불안요인이 많아 심해광구 신규사업 참여는 매

우 어려운 현실이다. 나이지리아 이외에서는 미탐사, 미분양 심해광구

블록이 존재하나, 불확실성이 매우 높고 고비용 구조라 참여가 어렵

다. 따라서 이러한 고비용-고위험 구조하에서 독자적인 사업 참여는

효과적이지 않으므로 독립계 석유기업이나 중국 등 NOC와 합작기업

을 설립하여 공동 진출하는 방법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현지국의 사회, 환경, 보건 등에 대한 기업의 공헌활동인 CSR

실적이 우리 기업들의 경우 아프리카에서 저조한 상황이다. 이는 아직

이익을 내는 생산광구를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인데, 실질적으로 자

원개발 공기업이 주도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해외자원개발 사업 현실

에서 이익발생 이전의 사업초기에 CSR활동에 많은 지출을 하는 것은

상당한 제약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런 점을 고려하더라도 장기적인

투자의 개념에서 CSR활동을 점차 늘려나가는 것도 중요한 전략이 될

Page 201: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제7장 결론 179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해외자원개발을 통한 에너지 및 광물 자원안보를 증진하려는 우리

나라의 입장에서는 아프리카 자원부국들이 자국의 경제 활성화와 산

업화를 위해 필요한 부분에서 기여할 수 있는 점을 찾아 협상력을 제

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지금까지 언급한 에너지 거버넌스의

개선, 정부의 중장기 경제성장 정책, 산업 다각화와 전략산업 육성, 인

프라 건설 및 고용확대, 보건 및 환경 개선 등 다양하면서도 경제성장

과 빈곤탈출이라는 단순명쾌한 주제로 압축되는 장기적인 의제에 대

해 동반자적 견지에서 우리가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 우리 기업

의 서부아프리카 에너지 자원개발 확대 전략과 우리 정부의 자원외교

에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

Page 202: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80

참고문헌

김승민, ‘콩고민주공화국의 광물자원 잠재력과 경제발전 전망’, 2009, 불

어권아프리카의 사회발전, pp.245-288

김연규, “금융위기 이후 세계 에너지”, 천연가스연구회 발표자료, 2011.5

서상현, 『아프리카 신흥전략시장 자원 개발과 산업협력 확대 방안』,

산업연구원 정책자료 2009-107, 2009

______, “서부아프리카 국가들의 에너지 Governance에 관한 연구”, 에너

지경제연구원 전문가세미나 발표자료, 2011

에너지경제연구원, 주간 세계 에너지 시장 인사이트 , 각호

오정환, 『원유가스 탐사개발권의 취득에 관한 법적 연구: Farmout 거래

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이성규,『아프리카지역의 에너지자원협력 사업에 관한 연구: 에너지수송

인프라부문 참여방안』, 에너지경제연구원, 2010

이성훈, “중국의 아프리카 석유개발 사업 진출 특징과 시사점”, Oil

Research & Information Center, 한국석유공사, 2011.6.15.

______, “서아프리카 석유개발 사업 진출 차별화 방안 연구”, 에너지경

제연구원 전문가세미나 발표자료, 2011.

정우진, 『해외자원개발 전략 연구: 아프리카 자원개발 진출 전략 연

구』, 기본연구보고서 09-23, 에너지경제연구원, 2009

정웅태 유학식, 『에너지설비산업의 해외진출 확대 연구: 중앙아시아 아

프리카권』, 기본연구보고서 10-21, 에너지경제연구원, 2010

주가나 한국대사관, “가나 경제현황 및 투자환경”, 2011.9, 그리고 홈페

이지 http://gha.mofat.go.kr

한국석유공사 석유정보센터, 『2010 Country Report I: 중남미, 아프리

카』, 2010.5

_________________________, 『아시아 국영석유기업들의 아프리카 석유

에 대한 갈증: 나이지리아, 앙골라를 중심으로』, 2009.12

한국석유공사 Petronet, www.petronet.co.kr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투자정보, http://keri.koreaexim.go.kr

Page 203: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참고문헌 181

해외자원개발협회, 『해외자원개발 아프리카 진출전략』, 2009, 2010

________________, 아프리카정보지 , www.emrd.or.kr

Abdullahi, S. A.. Nigeria Vision 2020: The Recommendations of theNigeria Economic Submit Group, December 19, 2008.

AfDB AU UNECA, African Statistical Yearbook 2011, 2011

Agboola, T., “Challenges to Achieving the Vision 2020,” The Nation

Newspaper, December 11, 2008.

Alex Vines, Lillian Wong, Markus Weimer, Indira Campos, Thirst forAfrican Oil - Asian National Oil Companies in Nigeria and Angola,

A Chatham House Report, Aug. 2009

Allafrica Global Media, http://allafrica.com

Arne Bigsten and Mans Soderbom, “Industrial Strategies for Economic

Recovery and Long-term Growth in Africa”, University of

Gothenburg, Sept. 2010.

Blogs.worldbank.org, Oct. 23, 2011, “Ethiopia’s new diaspora bond”,

http://blogs.worldbank.org/category/tags/diaspora-bond.

BP,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11, 2011

Central Bank of Nigeria(CBN), Annual Report and Statement ofAccounts, www.cenbank.org

Economic Community of West African States(ECOWAS), http://ecowas.int

Economist Intelligence Unit, “Amtec Resources and Management

S.A.”, CIRCAM

EIU, Estimates for 2010 and forecasts for 2011, 2010.

___, World Outlook, London, December, 2009

Energy Economist, “Nigeria on the brink of reform”, 2011.4

Ezirim Aloy Chinedu, Okeke C. Titus and Ebiriga O. Thaddeus,

"Achieving Vision 2020 in Nigeria: A Review of the Economic

and Market-Oriented Business Reforms", Journal of SustainableDevelopment in Africa, 2010.

Gas Matters, “President Jonathan sets his sights high in Nigeria’s real

power struggle”, 2011.7~8

Ghana OilandGas Online, http://www.ghanaoilandgasonline.com.

Gonzalo Salinas, Cheikh Gueye, and Olessia Korbut, “Growth in

Africa Under Peace and Market Reforms”, IMF Working Paper,

Page 204: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182

WP/11/40, 2011

IEA, Energy Balances of Non-OECD Countries 2011, 2011

IHS Energy, PEPS, www.ihs.com

ILO, Global Employment Trends, Geneva, 2009

IMF, Regional Economic Outlook: Sub-Saharan Africa, Washington D.C.,

2009.

____, World Economic Outlook, Washington D.C, 2009, 2010, 2011.

International Bar Association, http://www.ibanet.org

John Nellis, "The Evolution of Enterprise Reform in Africa: from

State-owned Enterprises to Private Participation in

Infrastructure-and Back?", ESMAP, World Bank, 2005

Kwabena Gyimah-Brempong, “Educ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in Africa”, University of South Florida, August 17, 2010.

Livenigeriapost, “Petroleum Industry Bill to be passed before end of

2011”, 2011.8.2.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NBS), The Nigerian statistical facts sheet on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2006.

Nigerian Investment Promotion Commission & One Stop Investment

Centre, www.nipc.gov.ng

Nigerian National Planning Commission, “National Economic

Empowerment and Development Strategy”, Abuja, 2004

OECD, National Accounts data, 2010

Oleg Badunenko, Daniel J. Henderson, Roman Houssa, “Explaining

African Growth Performance: A Production-Frontier Approach”,

University of Cologne, July 7, 2010

Steve Onyeiwu, “Determinants of Inter-Country Variations in

Industrial Performance in Africa: Evidence from Cross-Country

and Panel Regressions”, presented in African Economic

Conference 2009 in 11-13 Nov. 2009 in Addis Ababa, Ethiopia,

2009.

Tahari, A., D.Ghura, B.Akitoby, and E.B. Aka, “Sources of Growth in

Sub-Saharan Africa”, IMF Working Paper, WP/04/176, 2004

Tullow Oil, Annual Report, 2010.

UN,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Report 2009, United Nations,

Page 205: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참고문헌 183

New York, 2009

UN-DESA, Africa database, UN, New York, 2009.

UNECA, African Governance Report II, 2009

UNECA AUC, Economic Report on Africa 2010, 2011, 2010, 2011

UN-Energy/Africa, Energ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Policy Options forAfrica, 2010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EIA), “Country Analysis

Briefs: Nigeria“, August 2011

U.S., EIA, Countries online database, www.eia.dov/countries

Wood Mackenize, www.woodmacresearch.com

World Bank, National Accounts data, 2010

___________, PPI Database

___________, Prospects for the Global Economy, Washington D.C., 2009

___________,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online database, 2009-2010

Yero Balde, “The Impact of Remittances and Foreign Aid on Savins’

Investment in Sub-Saharan Africa(SSA)”, Universite de Limoges,

France, Jan. 2010.

Page 206: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Page 207: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 2020-06-20 · growth strategy establishment, strengthening strategic industry which will accompany increase of employment, and diversifying

이 성 규

現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주요저서 및 논문>

아프리카지역의 에너지자원 협력 사업에 관한 연구: 에너지수송 인프라

부문 참여방안, 에너지경제연구원, 2010.

우즈베키스탄 신재생에너지 개발 잠재력과 한-우즈베키스탄 협력 방안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2010.

『러시아의 에너지 자원 수출구조와 수출수송시스템 분석연구』, 에너지

경제연구원, 2009.

『중앙아시아 에너지 자원 개발 진출 전략 연구』에너지경제연구원, 2007.

기본연구보고서 2011-29

에너지자원 신 시장 조사 연구- 아프리카(서부권) 국가 에너지자원 공급력 조사 연구 -

2011년 12월 29일 인쇄

2011년 12월 31일 발행

저 자 이 성 규

발행인 김 진 우

발행처 에너지경제연구원

- 경기도 의왕시 내손순환로 132

전화 : (031)420-2113(代) 팩시밀리 : (031)422-4958

등 록 1992년 12월 7일 제7호

인 쇄 상문상사

ⓒ 에너지경제연구원 2011 ISBN 978-89-5504-347-1 93320

* 파본은 교환해 드립니다. 값 7,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