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 2017-01-09 · 중국 산업용 로봇...

15
1. 도약하기 시작한 중국의 산업용 로봇 시장 2. 중국 시장에서 경쟁하는 주요 기업들 3. 중국 기업의 도전이 주는 시사점 2017. 1. 9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은 2015년 세계 시장의 1/4을 차지할 정도로 커졌다. 중국 내 산업용 로봇 수요 기반이 확대되면서 로봇을 활용한 성과도 가시화 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산업용 로봇을 제조 강국으로의 도약에 필수적인 산업으로서 로봇 산업이 향후 중국 산업을 이끌 ‘명주(明珠)’ 가 될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은 ABB, FANUC, Yaskawa, KUKA 등 글로벌 Top 4를 포함 한 외국계 기업들이 시장의 약 70% 가까이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현지 가전기업들과 로봇 기업들이 빠르게 부상하면서 시장구도는 3파전의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Midea, 창홍 등 대부분의 가전 기업들은 글로벌 로봇 기업들의 인수 혹은 협력을, Haier, Gree 등은 글로벌 로봇 기업과의 협력보다 주로 자력 개발을 추진하는 모습 을 보이고 있다. 자생적인 현지 로봇 기업도 약 800여 개에 이른다. 이 중 두각을 나타내는 주요 업 체로는 ▲ 정부의 지원을 바탕으로 성장하는 Siasun, ▲ 전방 수요 산업을 기반으 로 발전해 온 Efort, ▲ 신속하게 자체 역량을 키우고 있는 GSK를 꼽을 수 있다. 중국 시장에서 중국 현지 기업들은 돋보이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중국 로봇 기업들 의 판매량 증가율은 2014년, 2015년 각각 78%, 31%로, 중국 국내 시장 점유율은 2014년 30%, 2015년 34%로 높아졌다. 핵심 부품별 중국 기업들의 경쟁력은 서보 모터, 감속기 등에서는 글로벌기업과의 격차가 있지만 제어기(Controller) 부문에서는 글로벌 기업과의 기술 격차가 매우 좁 혀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거대한 내수시장과 정부의 지원·보호를 기반으로 급성장세를 보였던 스마트폰 시장 과 전기차 시장에서 전개된 중국 기업의 변화상이 산업용 로봇 시장에서도 이미 판 박이 처럼 진행되고 있다. 중국 산업용 로봇 기업의 발전이 미칠 영향력은 로봇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중국 제 조업의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것이다. 산업용 로봇 도입에 따른 생산성 향상 뿐 아니 라 중장기적으로는 자체 로봇 기술의 발전이 IoT, 인공지능 등과 상승 작용하면서 4 차 산업 혁명, 스마트 팩토리의 구현을 가속화시키며 제조 혁신의 토대로 작용할 가 능성이 커 보인다. 진석용 남효정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Upload: others

Post on 10-Mar-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 2017-01-09 ·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은 ABB, FANUC, Yaskawa, KUKA 등 글로벌 Top 4를 포함 한 외국계

1. 도약하기 시작한 중국의 산업용 로봇 시장

2. 중국 시장에서 경쟁하는 주요 기업들

3. 중국 기업의 도전이 주는 시사점

2017. 1. 9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은 2015년 세계 시장의 1/4을 차지할 정도로 커졌다. 중국 내 산업용 로봇 수요 기반이 확대되면서 로봇을 활용한 성과도 가시화 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산업용 로봇을 제조 강국으로의 도약에 필수적인 산업으로서 로봇 산업이 향후 중국 산업을 이끌 ‘명주(明珠)’ 가 될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은 ABB, FANUC, Yaskawa, KUKA 등 글로벌 Top 4를 포함한 외국계 기업들이 시장의 약 70% 가까이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현지 가전기업들과 로봇 기업들이 빠르게 부상하면서 시장구도는 3파전의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Midea, 창홍 등 대부분의 가전 기업들은 글로벌 로봇 기업들의 인수 혹은 협력을, Haier, Gree 등은 글로벌 로봇 기업과의 협력보다 주로 자력 개발을 추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자생적인 현지 로봇 기업도 약 800여 개에 이른다. 이 중 두각을 나타내는 주요 업체로는 ▲ 정부의 지원을 바탕으로 성장하는 Siasun, ▲ 전방 수요 산업을 기반으로 발전해 온 Efort, ▲ 신속하게 자체 역량을 키우고 있는 GSK를 꼽을 수 있다.

중국 시장에서 중국 현지 기업들은 돋보이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중국 로봇 기업들의 판매량 증가율은 2014년, 2015년 각각 78%, 31%로, 중국 국내 시장 점유율은 2014년 30%, 2015년 34%로 높아졌다.

핵심 부품별 중국 기업들의 경쟁력은 서보 모터, 감속기 등에서는 글로벌기업과의 격차가 있지만 제어기(Controller) 부문에서는 글로벌 기업과의 기술 격차가 매우 좁혀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거대한 내수시장과 정부의 지원·보호를 기반으로 급성장세를 보였던 스마트폰 시장과 전기차 시장에서 전개된 중국 기업의 변화상이 산업용 로봇 시장에서도 이미 판박이 처럼 진행되고 있다.

중국 산업용 로봇 기업의 발전이 미칠 영향력은 로봇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중국 제조업의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것이다. 산업용 로봇 도입에 따른 생산성 향상 뿐 아니라 중장기적으로는 자체 로봇 기술의 발전이 IoT, 인공지능 등과 상승 작용하면서 4차 산업 혁명, 스마트 팩토리의 구현을 가속화시키며 제조 혁신의 토대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진석용 남효정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산업용 로봇 급성장

Page 2: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 2017-01-09 ·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은 ABB, FANUC, Yaskawa, KUKA 등 글로벌 Top 4를 포함 한 외국계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LG경제연구원 1

1. 도약하기 시작한 중국의 산업용 로봇 시장

(1) 양적인 성장을 넘어 질적인 발전 시작

중국은 개혁 개방 이후부터 지금까지 13억 인구의 저임 경쟁력을 바탕으로 최대 제조

국가로 성장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임금 상승과 신규 노동력 공급 부족 현상들이 나

타나면서 새로운 제조 경쟁력 기반을 모색하고 있다. 노동자를 대체할 수 있는 산업

용 로봇을 발판 삼아 최대 제조강국으로의 업그레이드를 시도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의 가파른 성장

세로도 확인된다. 이미 2011년에 당시 최대이던 일본

을 추월한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은 2015년 세계 시장

의 1/4을 차지할 정도로 커졌다. 중국 로봇 시장은

2010년 이후 연평균 15%의 성장세를 지속하면서 세계

최대의 시장으로 성장한 것이다(차트 1 ).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은 이 같은 양적인 성장뿐만 아

니라 질적인 발전도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인다. 일단 다

양한 용도의 로봇들이 사용되고 있다. 초기 시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접용과 운반용 로봇 뿐만 아니라 조

립, 도장, 접착, 청정, 가공 등 다양한 기능의 로봇들이 사용되고 있다(차트 2 ).

또한 산업용 로봇을 사용하는 산업도 다양해졌다. 자동차, 전기전자 산업 일색이던

수요처가 식품 가공, 화학 공업 등으로 다변화 되고 있다. 중국로봇산업연맹에 따르

면 2015년 중국에 산업용 로봇이 도입된 산업은 총 35개로 전년에 비해 6개 업종이

10.6 14.3 13.6 14.2

17.2 18.2 1.5

2.3 2.3 3.7

5.7 6.6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중국 외

(단위 : 만대)중국

세계 산업용 로봇 시장의 성장 추이 1

자료 : Wind

27.2 37.0 38.6

22.8

23.0 25.5 3.6

15.0 11.7

8.7

9.0 6.8

3.6

2.0 2.7 34.1

14.0 14.7

2011 2015 세계시장

식품기타

화학금속

전기·전자

자동차

용도별 비중1 산업별 비중(%)2

68,459대(2015년)

용접(25)

운반(24)

조립(13)

도장·접착(5)

청정(4)

가공(2)

기타(27)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의 용도별·산업별 비중 2

1) IFR (2016), World Robotics; 2) IFR (2016), 신영증권 종합

Page 3: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 2017-01-09 ·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은 ABB, FANUC, Yaskawa, KUKA 등 글로벌 Top 4를 포함 한 외국계

LG경제연구원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2

더 늘어났다고 한다. 로봇을 사용하는 35개 업종에는 전기전자 외에도 농산물, 식품

가공업, 의약 제조업 등이 포함되어 있다.

용도와 수요처의 다변화로 대변되는 중국 로봇 산업의 발전 양상은 기업별 도입 사례

에서도 잘 드러난다. 대표적인 전자제품 OEM인 Foxconn은 ‘100만 로봇 계획’을 발

표한 2011년 이후 5년간 약 4만 대의 산업용 로봇을 도입했다. 중국 식품가공 업계의

대표 주자 중 하나인 Mengniu는 2006년 이후 자동적재로봇, 자동운반로봇(AGV,

Automated Guided Vehicle) 등을 도입해서 물류 자동화를 통한 원가 구조 개선을

시도하고 있는가 하면, 변기 등 욕실용 제품 제조업체인 Jomoo도 수율 97% 달성과

수익성 10% 향상을 달성하기 위해 제조공정에 로봇을 투입한 바 있다.

이처럼 중국의 산업용 로봇 시장이 급성장하게 된 원동력으로는 중국 내 거대한 잠재

수요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들 수 있다.

(2) 잠재 수요가 앞에서 끌고 정부 정책이 뒤에서 밀어주며 성장

저임 노동력을 경쟁력의 원천으로 삼았던 중국에서 산업용 로봇에 대한 잠재적인 수

요가 커졌다. 산업용 로봇에 대한 잠재적인 수요가 커진 배경에는 첫째, 저임 경쟁력

을 확보할 수 있었던 노동 인구의 감소 추세가 있다. 과거 중국 정부가 과도한 인구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시행했던 ‘1가구 1자녀’란 산아 제한 정책의 영향으로 생산 가

능 인구, 즉 노동 인구가 2013년 10.5억 명을 정점으로 감소하고 있다. 또 도시와 농

촌 간 삶의 질 차이 등을 이유로 도시에 거주하며 제조업에 종사하던 민공(인력)들이

농촌으로 다시 돌아가는, 소위 ‘민공황(民工荒)’ 현상이 발생해서 도시에 거주하는 노

동 인구가 줄어들기 시작했다.

둘째, 임금 비용이 빠르게 늘어났다. 제조업 평균 인건비 데이터를 보더라도 기업이

부담해야 되는 비용이 빠르게 늘어났다. 평균 인건비는 2010년 이후 매년 14% 이상

증가했다. 임금 상승과 더불어 늘어나는 민공황과 빈번한 노사 분규도 관련 비용의

기하급수적인 증가 효과를 일으키고 있다

셋째, 남들보다 앞서 과감하게 산업용 로봇을 채택한 기업들이 높은 생산성을 거둬

로봇 도입 효과를 입증해 보인 점도 산업용 로봇의 잠재적인 수요가 커지는 데에 일

조했다. 일례로, 마우스, 키보드 등을 제조하는 중국의 대표적인 제조업체 Rapoo는

산업용 로봇을 생산 공정에 투입한 이후 약 50%의 원가 절감 효과를 거뒀고, 중공업

기업 Sany는 용접 작업에 산업용 로봇을 도입한 이후 제품 수명이 2배로 연장되고

A/S 문제가 약 75% 감소하는 성과를 얻기도 했다.

넷째, 중국 제조업이 가진 산업용 로봇의 수요 여력이 여전히 풍부하다. 제조업체 인

Page 4: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 2017-01-09 ·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은 ABB, FANUC, Yaskawa, KUKA 등 글로벌 Top 4를 포함 한 외국계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LG경제연구원 3

력 1만명당 로봇 수로 평가한 산업용 로봇의 도입 수준을 기준으로 한국, 일본, 중국

의 제조업을 비교하면 중국의 산업용 로봇 도입 수준은 한국의 1/15, 일본의 1/11에

불과하고, 세계 평균에 비해서도 50% 수준에 불과할 정도이기 때문이다(차트 3 )1.

이처럼 중국 내 산업용 로봇 수요 기반이 확대되고 로봇을 활용한 성과도 가시화 되

자, 중국 정부는 산업용 로봇 시장을 미래 산업이자 자체적인 ‘제조강국’ 목표 달성의

한 축으로 육성하기 시작했다.

중국 정부는 1985년 당시 문서상으로만 존재했던 로봇 산업 육성 정책을 2012년에는

드디어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 중국 과학기술부가 ‘스마트 제조 과학기술 발전 12차

5개년 전문 규획’을 통해 산업용 로봇 산업을 육성하겠다고 발표한 것이다. 2013년에

는 베이징에 중국 로봇 산업 연맹을 정식 출범했고, 지금까지 다양한 실행 계획과 육

성 정책을 발표하는 등 중국 정부는 로봇 산업 육성 의지를 더욱 확고히 하고 있다.

시진핑 국가 주석은 공개 석상에서 로봇 산업이 향후 중국 산업을 이끌 ‘명주(明珠)’

가 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중국 제조 2025’ 등 경제 발전 로드맵을 통해 중점 육성

산업 중 하나이자 제조 강국으로의 도약에 필수적인 산업으로서 로봇 산업의 발전 방

향 및 의미를 재정립했다.

이렇게 중앙 정부의 정책적 방향성이 확실해지면서 지방 정부도 발 빠르게 관련 정책

을 선보였다. 2014년에는 중국 내 최대 모바일 산업 단지가 있는 광둥성의 둥관시 정

부가 ‘사람을 로봇으로 대체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는가 하면, 광저우 시는 2020년까

지 연간 로봇 산업 규모를 1,000억 위안까지 성장시킬 계획을 공개했다. 또 중국 로

봇 기업의 집산지 중 하나인 상하이도 2020년까지 800억 위안 규모로 키운다는 목

표를 수립했다. 지역별 산업 육성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일부 지방 정부에서는 ‘1+1’

1 2013년 이후 중국 기업들의 활발한 로봇 도입 추이를 고려하면 현재는 한국의 1/10 수준 이상으로 격차가 줄어들었을 것으로 추정

된다.

437

323282

174 166 153 142 125 111 93 79 77 6644 30 23 13 2

한국

일본

독일

스웨

덴마

이탈

리아

대만

프랑

북미

네덜

란드

스위

호주

영국

노르

웨이

중국

이스

라엘

터키

러시

세계 평균 62

각국의 산업용 로봇 보급 수준(2013년, 대수) 3

자료: IFR (2014), World Robotics: 제조업체 인력 1만명 당 산업용 로봇 대수

Page 5: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 2017-01-09 ·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은 ABB, FANUC, Yaskawa, KUKA 등 글로벌 Top 4를 포함 한 외국계

LG경제연구원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4

등의 파격적인 보조금 지원 정책까지 선보였다. 또한

로봇 생산 기업과 로봇을 도입하는 제조 기업 모두에

게 정책적, 재무적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실제로 광둥

성의 불산시는 중국산 로봇을 구입한 기업에게는 1대

당 1만 위안을, 현지 로봇 기업에게는 500만 위안을

지급한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중국 내 주요 로봇 기업

들에게는 연구·개발비 지원과 융자 우대를 해주는 것

으로 알려진다. 지방 정부의 ‘과학기술기업’으로 선정

되면 정기적인 연구·개발비 지원 외에 신용 대출 우

대 등을 보장해주기도 한다. 실제로 중국의 대표적인

로봇 기업 중 하나인 Siasun은 연구·개발비의 50%

를 정부로부터 지원받기도 했다.

시장에서는 거대한 잠재 수요와 정책적 훈풍을 근거로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낙관적으로

보고 있다. 중국로봇산업연맹에 따르면 중국의 산업용

로봇 시장은 향후 5년간 연평균 25%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되어서 2015년 약 6만 3천대 규모이던 시

장이 2020년에는 약 19만 3천대 규모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차트 4 ).

이처럼 중국 시장의 성장세에 대한 전망은 장밋빛 일색이지만, 내용상으로는 다른 면

모도 보인다. 일본, 유럽계 등 외국계 기업들이 전체 시장의 약 70% 이상, 특히 자동

차 공장용 로봇 등 비교적 진입 장벽이 높은 분야의 경우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을

정도로 중국 내수 시장을 장악하고 있기 때문이다(차트 5 ).

중국 정부와 기업들은 외국계 기업들의 시장 과점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신속하게 움

직이고 있다.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현지 기업이 불과 수 년 만에 대폭 늘어나 현재

약 800여 개에 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가전 등 여타 산업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둬

온 주요 기업들이 산업용 로봇을 신성장동력으로 삼고 시장에 뛰어들기 시작했다.

2. 중국 시장에서 경쟁하는 주요 기업들

시장의 약 70% 이상을 글로벌 기업들이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자생적인 현지 로봇

기업들이 빠른 속도로 부상하고 있고 가전 기업들도 산업용 로봇시장에 새로 진입하

6.3 7.9

9.8

12.3

15.3

19.2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 전망(만대) 4

자료 : 중국 로봇 산업 연맹

4

41

2033 40

96

5980

67 60

자동차 전기전자 금속 식품 기타

글로벌 기업

중국기업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의 중국산 점유율(%) 5

자료 : 安信证券, 制造业皇冠顶端之明珠(제조업 정점의 핵심 산업, 산업용 로봇),

추산치, 2016

Page 6: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 2017-01-09 ·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은 ABB, FANUC, Yaskawa, KUKA 등 글로벌 Top 4를 포함 한 외국계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LG경제연구원 5

면서 시장의 경쟁 구도는 3파전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1) 시장 지배력을 유지하려는 글로벌 기업들

글로벌 Top 4로 간주되는 ABB, FANUC, Yaskawa, KUKA는 이미 1990년대 후반

부터 현지 영업 조직을 설립하면서 중국 시장에 진출했다. 당시 중국에는 운반 등 특

정 용도의 로봇 수요가 있었던 반면, 자생적인 산업용 로봇 제조기업들이 전무하다시

피 했으므로 무주공산과 같은 중국 시장의 점유율을 쉽게 확대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산업용 로봇 기업을 육성하려는 중국 정부의 지원 정

책이 본격화되기 시작한 2010년 이후, 정부의 지원에 힘입은

중국 기업들이 점차 늘어나고 이들의 기술 수준도 차츰 높아

지면서 외국계 기업들의 점유율은 약 70% 대로 떨어졌다(차

트 6 ).2 이에 따라 글로벌 기업들의 중국 시장 전략도 예전

과 달라지고 있다.

과거의 행보에 비해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직접적인 투자

를 점차 확대한다는 점이다. ABB의 경우, 중국에 진출한지

10년이 지난 2005년 무렵에야 용접, 도색, 운반용 로봇의 생

산 라인 일부를 중국에 설치하는데 그쳤다. 그러나 2015년 이

후 중국 화남 지역에 생산 공장과 함께 산업용 로봇 연구센터

를 설치해 현지 사업 기반을 확대한 바 있다.

지난 1997년 상하이 전기 그룹과의 합작으로 중국에 진출한 FANUC도 2010년 이후

로봇 생산 공정을 설치, 확장했고, KUKA도 중국에 진출한지 10년 이상 지난 2013

년 무렵에 중국 내 생산 라인을 구축했다. Top 4 기업 중 가장 진출이 늦었던

Yaskawa 역시 중국의 용접기계 업체인 Kaierda 그룹에 투자하고 2015년에 Midea

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광저우에 유한회사를 설립했다.

또한 글로벌 로봇 기업들은 산업용 로봇 시장에 새로 진입하는 기업들, 특히 현지 가

전 기업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자체 영업망 확대와 생산 라인 구축 등 독자적인

사업 기반 확대에 몰두해 온 지금까지와는 다른 움직임이다. 가전 산업이 중국 내에

서 잠재적인 로봇 수요가 많은 분야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전기전자 등 비자동차 산

업의 로봇 보급도3를 주요 경쟁국과 비교하면, 한국은 333대, 일본은 214대인데 반

해 세계 최대의 전기전자 제품 생산지인 중국의 보급도는 불과 14대에 그쳐 최대 24

2 한국로봇산업진흥원 (2014), 로봇 신흥국 국제협력 활성화를 위한 신흥시장 조사분석

3 제조업 전체 또는 자동차 제조업 등 특정 산업의 고용 인력 1만명당 산업용 로봇의 도입 대수

ABB(14)

Panasonic(4)

Yaskawa(13)

FANUC(14)

KUKA(12)

OTC(7)

TYO(6)

기타(3)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의 기업별 점유율(%) 6

자료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2014), 로봇 신흥국 국제협력 활성화를 위한

신흥시장 조사분석

Page 7: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 2017-01-09 ·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은 ABB, FANUC, Yaskawa, KUKA 등 글로벌 Top 4를 포함 한 외국계

LG경제연구원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6

배 정도의 차이를 보인다(2013년 기준). 산업용 로봇의 최대 수요 산업인 자동차 산

업의 로봇 보급도가 한국 1,032대, 일본 1,520대, 중국 281대로 최대 5.4배인 점과

비교하면 전기전자 산업의 로봇의 도입 수준은 크게 낮다. 그만큼 전기전자 등 비자

동차 부문의 잠재 수요는 상당히 크다고 볼 수 있다.4

즉, 글로벌 로봇 기업들은 중국 전기전자 제조업체와의 협업을 통해 잠재성이 높은

시장을 선점하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ABB는 2016년 8월에 중국 TV 생산업체인 창

홍과 서부에 ‘연합 실험실’을 설립해 개발·생산 시스템의 전 과정에 걸쳐 창홍의 생

산성 제고를 위한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KUKA를 인수한 Midea는 일본의

Yaskawa와도 협력을 하고 있다. 2015년에 산업용 로봇 사업을 위한 합자회사를 설

립했고, 2017년까지 6축 다관절 로봇을 출시할 것이라 발표했다. FANUC은 유명 소

형 가전 전문 기업인 Galanz와 함께 로봇을 도입한 스마트 팩토리 관련 기술 확보에

주력하는 동시에 생산성 제고에도 집중하고 있다.

4 IFR (2014), World Robotics

산업용 로봇 시장의 글로벌 Top 4

세계 산업용 로봇 시장은 상위 4개 기업의 점유율이 약 70%

에 달하는 과점화된 시장이다. 산업용 로봇 시장을 선도하는

Top 4는 모두 전통적으로 제조업이 강한 국가인 독일, 일본,

스위스에서 태동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대표적인 산업용 로봇 기업 ABB는 1998년에 스위스의

ASEA와 BBC Brown Boveri가 합병해서 탄생했다. 주력 사업

은 전력 및 자동화 기술이며, 로봇 기술에서 특히 중요한 운동

제어 시스템에 관한 역량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ABB의

운동 제어 시스템은 정확도, 속도, 시간 등에 있어서 탁월함을

보이고 있다. 전세계 로봇 기업 중 가장 많은 로봇 제품과 기

술, 서비스를 보유해서 최강자라고 불리는 ABB는 최근 양팔

협업 로봇 Yumi를 선보이고 보급화에 주력하고 있다.

일본의 FANUC은 1956년 설립된 회사로 스테핑 모터에서

시작해서 관련된 제어 기술을 확보했다. 1970년대에는 설립

초기의 주요 제품이던 스테핑 모터를 과감하게 포기하고 모

터 데이터 제어 제품으로 사업을 전환해서 1976년에는 데이

터 제어 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다. 이후 Siemens와의 데이터

컨트롤 시스템 공동 연구 등을 통해 세계 최고의 시스템 제어

역량을 확보한 후 산업용 로봇 등 관련 제품의 설계, 제조 등

에 있어서도 글로벌 수준의 역량을 확보했다.

Yaskawa는 FANUC보다 역사가 더 긴 일본의 로봇 기업

(1915년 설립)이다. 1977년에 당시 보유하고 있던 운동 제어

기술을 기반으로 일본에서 처음으로 산업용 로봇을 생산했

다. 현재 용접, 도장 등 다양한 기능의 산업용 로봇 완제품을

생산, 판매할 뿐만 아니라 서보 모터와 제어기 등 로봇의 핵

심 부품도 판매할 만큼 산업용 로봇 산업의 가치 사슬 전반에

걸쳐 다양한 기술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 가전 그룹 Midea가 인수한 KUKA는 1898년 실내 및

도시 조명 사업으로 시작한 독일 기업인데, 1973년 Famulus

라는 산업용 로봇을 출시하면서 로봇 시장에 뛰어들었다.

KUKA는 자동차 제조용 용접 로봇 분야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어서 GM, Ford, Audi, Mercedes 등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

의 제조 라인에는 KUKA의 로봇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자동

차 제조용 로봇 외에도 자동화 솔루션 기술을 기반으로

Walmart, Coca-Cola, Siemens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과

도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2015년 글로벌 Top 4의 재무 성과 비교 7

기업명시가 총액(억 달러)

매출액(억 달러)

순이익율(%)

ABB 415 355 5.5

Fanuc 235 61 27

Kuka 35 31 3

Yaskawa 35 37 6

Page 8: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 2017-01-09 ·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은 ABB, FANUC, Yaskawa, KUKA 등 글로벌 Top 4를 포함 한 외국계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LG경제연구원 7

(2)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에 편승하는 중국 가전 기업

가전 제품에서부터 인버터, 모터 등 다양한 전기전자 제품 제조업에서 두각을 보인

기업들이 산업용 로봇 시장에 대거 뛰어들고 있다. 그 중 가장 돋보이는 기업들은 가

전 기업들이다.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부상하는데 크게 기여한 가전 기업들이 로봇 산

업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간주하면서 로봇 시장에 안착할 수 있는 교두보 확보를

위해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특히 창홍, Midea 등 대부분의 가전 기업들은 글로벌 로

봇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로봇 관련 기술과 노하우 습득을 위해 고군분투 하고 있

다. 중국에서도 4차 산업혁명의 일환인 스마트 팩토리가 주된 흐름일 뿐만 아니라 자

체 생산 공정에 생산성 높은 산업용 로봇을 도입할 필요성도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일부 가전 기업들은 글로벌 로봇 기업과의 협력보다 ‘독자 노선’을 선호하기도

한다. 중국의 대표적인 가전 기업인 Haier(海爾)도 2014년에 산업용 로봇 생산 설비

구축에 약 5억 위안을 투자하는 등 독자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에어컨 시장의 1위

기업인 Gree는 앞으로 5년 안에 무인 공장 설립을 목표로 하고, 독자적으로 개발한

산업용 로봇만이 완벽한 Gree만의 최종 제품을 만들 수 있다는 확신을 표방하고 있

다. 자동화 설비에서부터 산업용 로봇 생산에 이르는 제반 분야의 관련 기술을 확보

하기 위해 2012년 200명 이상의 로봇 전문 인력을 확보하는 등 자력으로 로봇 관련

연구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처럼 중국의 주요 가전 기업들이 산업용 로봇 시장에 진출하는 데에는 가전 보급률

상승에 따른 중국 가전 시장의 성장세 둔화와 글로벌 시장 진출 미진으로 새로운 성

장 동력의 필요성이 커진 사업 환경의 변화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산업용 로

봇은 가전 사업의 생산성 향상과 직결되는 동시에 거대한 잠재적 수요와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한 사업적 유망성도 갖추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주요 요

소 기술이기도 하기 때문에 가전 기업의 흥미를 끌기에 충분하다. 산업용 로봇의 유

망 수요처인 가전 산업의 제조 공정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서 기존 로봇 기업들에 비

해 상대적인 비교 우위를 가지고 있다는 점도 가전 기업이 로봇 사업에 진출하는 데

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가전 기업들이 로봇 사업에서 당장 가시적인 성과를 만들어 내지 못하고 있어서

로봇 시장의 구도를 흔들 정도의 영향력을 가지지 못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가전

기업들은 산업용 로봇의 잠재 수요가 가장 큰 가전 산업의 제조 공정에 대해 잘 알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사업에서 축적한 풍부한 자금과 연구 개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에서 무시할 수 없는 신규 진입자로 주목 받고

있다.

Page 9: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 2017-01-09 ·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은 ABB, FANUC, Yaskawa, KUKA 등 글로벌 Top 4를 포함 한 외국계

LG경제연구원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8

(3) 중국 현지 로봇 기업

글로벌 기업들이 선점하고 가전 기업들이 새로 진출하면서 서서히 변하고 있는 중국

시장에서 중국 현지 기업들은 돋보이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불과 2~3년 만에 기업

수가 약 800여 개로 늘어났고, 판매량과 점유율도 빠르게 향상되었다. 중국 로봇 기

업들의 판매량 증가율은 2014년, 2015년 각각 78%, 31%로 같은 기간의 중국 로봇

시장 성장률 56%, 16%를 크게 웃돌았고, 시장 점유율 역시 2014년 30%, 2015년

34%로 꾸준히 늘어났다.

자생적인 중국 산업용 로봇 기업들의 빠른 성장은 기업 스스로의 경쟁력 강화와 더불

어 중국 정부의 보조금 지원 정책이 상승 효과를 일으킨 결과인 것으로 보인다. 우선

중국 기업들의 경쟁력이 빠르게 향상되었다. 매년 매출액의 약 10%를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학교, 연구소 등과 산학 공동 연구를 적극 추진한 결과이다.

특히 중국 로봇 기업들은 다른 산업의 후발 주자들이 으레 OEM으로 완제품 생산에

집중해 왔던 것과 달리 핵심 부품의 경쟁력 확보에도 주력하고 있어 로봇 완제품 제

조업체 못지 않게 부품 개발 기업들도 늘어나고 있다.

현재 산업용 로봇의 핵심 부품으로는 로봇이 작동하는 데에 필요한 동력을 작업에 필

요한 수준에 정확하게 맞춰 제공하는 서보 모터(Servo Motor)와 로봇의 힘을 적절하

게 조절해서 전달하는 감속기(Precision Gear Box), 사전에

프로그램을 입력하거나 사용 과정에서 실시간 통제하는 식으

로 인간이 로봇을 조종할 때에 사용하는 제어기(Controller)

의 3가지를 들 수 있다(차트 8 ).5

시장 조사 자료들을 바탕으로 핵심 부품별로 중국 기업들의

경쟁력을 보자면, Siasun, GSK 등 중국의 주요 로봇 생산업

체들이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제어기(Controller) 부문에

서는 글로벌 기업과의 기술 격차가 매우 좁혀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H/W 설계와 완제품 생산 측면에서는 글로벌 기

업의 수준에 상응하지만 아직 응용 S/W 역량은 부족한 것으

로 알려진다.

서보 모터(Servo Motor) 부문에서는 중국 제품의 안전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중국 기업의 점유율도 10% 대에 머무는

등 경쟁력 격차가 여전히 큰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인버터

5 인간과 같은 공간에서 함께 작업할 수 있는 산업용 로봇인 협업 로봇(Collaboration Robot)의 경우, 인간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각

종 센서와 인공지능도 핵심부품의 범주에 추가됨.

서보 모터

감속기

제어기

산업용 로봇의 3대 핵심 부품 8

Page 10: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 2017-01-09 ·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은 ABB, FANUC, Yaskawa, KUKA 등 글로벌 Top 4를 포함 한 외국계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LG경제연구원 9

전문 기업인 Inovance는 Foxconn에 자체 제품을 납품하고 4축 로봇 탑재에도 성공

한 것으로 알려지고, Step, Etsun 등 다수의 중국 기업들도 자체 개발 제품을 출시

하는 등 경쟁력 격차를 줄이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반면 가장 난이도가 높은 감속기 분야는 일본의 Nabtesco, Harmonic Drive 등이 시

장의 75%를 차지할 정도로 경쟁력 격차가 크다고 평가된다. 감속 성능, 입력 속도 전

환, 전송 정확도 등 성능 전반에서 열세라는 것이다.

이렇게 핵심 부품 측면에서는 기술의 격차가 여전히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지만 산업

용 로봇 완제품의 성능을 비교하면 중국 기업이 글로벌 기업 수준을 상당히 따라잡았

다고도 볼 수 있다. 동작 속도나 행동 반경 등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일부 제품

은 오히려 앞선 것으로도 보인다(차트 9 ).

비록 로봇 완제품의 경쟁력이 향상되었고 제어기 등 일부 핵심 부품의 기술 격차를

많이 줄였다고는 하나 결정적으로 시장성을 결정짓는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중국 기

업의 수준은 글로벌 기업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인다. 감속기, 서보 모터 등 핵심 부품

을 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서 중국 기업의 로봇이 글로벌 기업 제품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비싼 것이다(차트 10 ).

이처럼 가격 경쟁력에서 열세인 중국 로봇 기업들이 꾸준히 시장 점유율을 높여 온

데에는 중국 정부의 보조금이 크게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가령 ‘1+1’ 방식의 보조

금 정책을 감안하면 중국 로봇의 실질적인 구매 가격은 1대당 15만 위안이 되므로 약

주요 기업 제품별 성능 비교 9

ABB Yaskawa Siasun STEP

자유도(축) 4, 6 4 ~ 7 4, 6 6

탑재 용량 (kg)3kg, 20kg, 250kg,

500kg 등3kg, 50kg, 200kg,

800kg등6kg, 20kg, 120kg,

500kg 등6kg, 25kg, 50kg,

275kg 등

작동 범위 3.5m Max 3.4m 2.5m 3m

정확도 (mm)± 0.01mm (3kg)

± 0.07mm (235kg)± 0.09mm (500kg)

± 0.02mm (5kg)±0.07mm (80kg)±0.5mm (800kg)

±0.06mm (6kg)±0.08mm (20kg)±0.5mm (500kg)

± 0.05mm (25kg)± 0.25mm (210kg)± 0.5mm (275kg)

반응속도(손목 부분)

450°/s (6kg)160°/s (500kg)

660°/s (3kg)125°/s (800kg)

520°/s (6kg)190°/s (300kg)

600°/s (6kg)200°/s (275kg)

자료 : 东兴证券, 劳动力供应拐点来临,看好拥有核心技术和行业经验的公司(노동력 공급 임계치 도달, 핵심 기술 및 경험을 가진 기업은 낙관적), 2014

Page 11: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 2017-01-09 ·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은 ABB, FANUC, Yaskawa, KUKA 등 글로벌 Top 4를 포함 한 외국계

LG경제연구원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10

17만 위안의 글로벌 기업 제품에 비해 오히려 저렴해지기 때문이다.

아직까지 보조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지만, 향후 중국 주요 기업들의 성장 가능성은 상

당히 높다고 볼 수 있다. 약 800여 개에 달하는 현지 기업들 중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주요 업체로는 ▲ 정부의 지원을 바탕으로 성장하는 Siasun, ▲ 전방 수요 산업을 기

반으로 발전해 온 Efort, ▲ 신속하게 자체 역량을 키우고 있는 GSK를 꼽을 수 있다.

① 정부의 지원을 기반으로 성장한 국유 기업, Siasun

중국 산업용 로봇의 선두 주자로 불리는 Siasun은 산업용 로봇의 수요 산업인 자동

차, 전기전자 산업과 관련된 사업을 하진 않지만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백분 활용

할 수 있는 국유 기업이라는 잇점을 잘 활용해서 기술과 생산 역량을 모두 갖추는데

성공했다.

중국의 주요 공업 단지인 심양에서 중국 과학원 산하 심양 자동화 연구소의 자회사

형태로 2000년에 설립된 Siasun은 설립 초기부터 중국 로봇의 요람으로 불리는 모

회사의 연구 개발 경험을 기반으로 자동화 역량, 산업용 로봇 제조 등에 대한 적극적

인 연구 개발을 시작했다.

사업 초기에는 중국 기업들의 자동화 생산 라인용 설비 사업을 통해 관련 역량을 확

보했고, 이후 반도체 공정에서부터 LED, 태양광 산업용으로 로봇 제품군을 확장했

다. Siasun의 산업용 로봇은 총 70여 종에 이르고, 관련 특허도 600여 개를 보유하

고 있다. 최근에는 산업용 로봇 외에도 청소 로봇, 이동 로봇, 특수 로봇 등 다양한

서비스 로봇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지난 11월에는 글로벌 기업들이 주도

가격 경쟁력 비교(탑재 용량 165kg 로봇 기준) 10

글로벌 기업 중국 기업 가격 차 (%)(중국 vs. 글로벌)가격 (RMB) 비중 (%) 가격 (RMB) 비중 (%)

로봇본체 47,040 28 65,269 22 39

감속기 20,840 12 91,813 31 341

서보 모터 25,475 15 42,816 14 68

서보구동기 19,000 11 37,053 12 95

운동제어기 5,000 3 13,000 4 160

기타 전기 부분 26,050 15 26,050 9 -

Testing 25,200 15 23,000 8 -9

Total 16.9만 29.9만* 77

* ‘1+1’ 등 정부의 보조금 지원으로 실판매 가격은 15만 RMB

자료 : 安信证券, 智能制造专题报告:从工业机器人产业链看智能制造机会(산업용 로봇 Supply Chain에서 본 스마트 제조 기회), 2016

Page 12: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 2017-01-09 ·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은 ABB, FANUC, Yaskawa, KUKA 등 글로벌 Top 4를 포함 한 외국계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LG경제연구원 11

하고 있는 양팔의 협업 로봇도 개발했다.

Siasun은 GE의 산업용 로봇 조달처에 포함되어 있고, Volvo에 산업용 로봇을 납품

하던 ABB를 대체하는 등 글로벌 기업을 주요 고객으로 삼고 있어서 사업 전략 측면

에서 일반적인 중국 기업들과 다르다는 평가를 받는다. 기술 측면에서도 핵심 부품

외에 수익성이 낮은 부품은 내재화 하지 않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즉, 원가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핵심 부품 관련 기술과 원가 경쟁력 확보에 집중하겠다는 것이고 기

술적 진입 장벽이 상대적으로 낮은 기타 부품은 외부에서 조달한다는 것이다.

② 산학 협력 등 사업 생태계를 구축하며 발전하는 Efort

2007년 중국의 주요 자동차 기업인 Chery의 설비 분야 출신들이 설립한 Efort는 산

업용 로봇의 주요 수요처인 자동차 기업과의 연관성을 기반으로 성장한 이력을 가지

고 있다. 할빈 공대와의 산학 협력 및 Chery의 설비 지원 등을 통해 기술 수준을 발

전시킨 Efort의 로봇은 2011년부터 Chery의 생산 라인에 투입되기 시작해 이제는

Chery 생산 라인의 90% 이상에 적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Efort는 파나소닉(Panasonic)에 운반 로봇을 납품하는 등, 자동차 제조나 전자, 가전

뿐만 아니라 욕실용 도기, 식품 가공 등 다른 산업에도 진출했는데, 특히 욕실용 도자

기 제품 공정에 투입되는 유약 분사용 로봇 시장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도색, 분사 관련 기술의 강화를 위해 2015~2016년에는 이탈리아 로봇 회사 2개를 인

수하는 등 자체 기술 개발과 더불어 M&A를 통한 경쟁력 확보에도 적극적이다.

Efort는 본사 소재지인 안휘성 무후시의 로봇 산업 연구단지를 적극 활용해서 로봇 사

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을 골자로 한 ‘공생(共生)’을 사업 전략으로 하고 있다. 실제로

무후시의 로봇 산업 연구단지에는 제어기 전문 기업인 Googoltech(固高科技),모터

기업인 Broad Ocean(大洋电机), 서보 구동기 기업인 Tsino-Dynatron(清能德创) 등

핵심 부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이 대거 포진해 있어 Efort가 관련 기업들과 협력해 핵심

부품과 로봇 완성체의 기술을 축적하기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③ 신속한 연구 개발과 신제품 출시로 성장해 온 GSK

GSK는 신속한 연구·개발과 신제품 출시를 강점으로 빠르게 발전하는 중국 토종 기

업이다. 1991년 설립 당시에는 공작기계 데이터 컨트롤 시스템 업체로 설립되어 현

재 관련 분야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기도 하다. 산업용 로봇 시장에 진입한 시기

는 2006년으로 다소 늦은 편이지만, 매년 매출액의 8% 이상을 산업용 로봇 완제품

뿐만 아니라 핵심 부품인 서보 모터(Servo Motor) 등의 연구·개발에 투자해 관련

Page 13: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 2017-01-09 ·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은 ABB, FANUC, Yaskawa, KUKA 등 글로벌 Top 4를 포함 한 외국계

LG경제연구원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12

기술을 빠르게 축적해 왔다. 산업용 로봇 시장에 진입한 시간이 짧은 데에도 불구하

고 GSK가 개발한 운반, 용접, 탑재 등 6개 용도의 로봇 20여 가지 모델은 Haier,

Chigo(志高) 등 중국의 주요 가전 기업들이나 전자, 건자재 제조업체 등 다양한 기업

들에 의해 채택되고 있다. 2015년에는 RB165라는 산업용 로봇 모델에 서보 모터

(Servo Motor), 제어기(Controller)에 이어 자체적으로 개발한 감속기(Gear Box) 관

련 기술을 적용했다.

GSK는 자체 생산 중인 로봇 관련 제품의 95%를 자체적으로 연구·개발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련 업계에서는 시장에 진입한지 10여 년 만에 GSK가 기술력과 고객 기

반을 모두 구축할 수 있었던 데에는 ‘병렬 경쟁 연구’라는 GSK 고유의 연구 문화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큰 그림을 그리면서 유사한 연구 주제에 대해 복수의

연구팀이 경쟁적으로 연구하고 최종적으로는 두 개의 연구 결과를 합쳐서 제품을 생

산하는 문화가 오늘날 GSK 특유의 신속한 연구·개발 역량을 낳았다는 것이다. 그

결과, GSK의 매출 중 75%는 신제품 매출일 정도로 제품 개발 기간도 짧은 편인데,

GSK CEO는 신규 제품 개발을 통한 지속적인 제품군의 업그레이드가 자사 경쟁력이

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GSK는 다른 경쟁 기업들과 달리 타 산업에서의 성공 경험을 기반으로 2020년 산업

용 로봇 생산 대수 3만 대 등의 구체적인 목표를 수립하고 빠른 속도로 시장 내 영향

력을 확산하고 있다.

3. 중국 기업의 도전이 주는 시사점

수십 년간 발전해 온 산업용 로봇 시장에 중국 기업들이 과감하게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중국 기업들의 이 같은 도전은 신흥국 기업들이 종종 보여 온 치기 어린 시도

로 가볍게 볼 수 없다. 산업용 로봇 분야가 제조업의 미래상인 4차 산업혁명의 중요

한 기반이기도 한데다, 중국 기업들의 도전도 그 내면을 들여다 보면 만만치 않아 보

이기 때문이다.

우선 중국 기업들의 도전은 단순한 완제품 조립 사업에 그치지 않고 핵심 부품에 대

한 기술력 확보를 병행하고 있다. 또 당분간은 중국 내수용 로봇 시장에 머물겠지만,

장기적으로 제품 경쟁력을 확보한 이후에는 본격적으로 해외 시장까지 진출할 가능

성도 있다.

게다가 중국 정부는 산업용 로봇을 중장기적 관점에서 중국이 ‘제조 강국’으로 도약

Page 14: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 2017-01-09 ·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은 ABB, FANUC, Yaskawa, KUKA 등 글로벌 Top 4를 포함 한 외국계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LG경제연구원 13

하기 위해 반드시 기술 역량을 확보해야 하는 전략적인 분야로 간주하고 있다. 산업

용 로봇에 대한 중국 정부의 육성 의지가 무척 강하다. 물론 산업용 로봇 시장은 Top

4 중심으로 과점화되어 있을 정도로 기술적 진입 장벽은 높다. 중국 기업들이 당장

글로벌 기업 수준에 도달할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기존 자동차 시장에서 전개되었던 중국 기업들의 발전상이 재연될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 중국 기업들은 경제 개방 이전부터 오랜 기간 내연기관 기술 개발에

매달렸지만 기술 경쟁력 측면에서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내수 시장을 내준 바

있다. 자국 시장이 세계 최대 시장으로 성장하고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낮은 전기차

시장이 커지면서 중국 전기차 기업들의 경쟁력은 무서운 속도로 향상되었다. 방대한

내수를 기반으로 막대한 자본을 축적한 중국 기업들은 자체 연구·개발을 통해 경쟁

력을 축적하고, 적극적인 M&A를 병행해서 선진국의 기술을 흡수했다. 그 결과, 과

거 내연기관 기술을 육성하던 당시와 지금의 중국 기업 수준은 전혀 다르다. 최근 중

국 전기차 기업들의 경쟁력은 자국 시장을 기반으로 상당히 높아져 있고, 점차 글로

벌 시장으로 그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스마트폰 시장에 이어 전기차 시장에서 전개된 중국 기업의 변화상이 산업용 로봇 시

장에서도 이미 판박이처럼 진행되고 있는 듯 하다. 중국이 일본을 넘어 세계 최대의

로봇 시장으로 성장한 2012년 이후 중국 로봇 기업들의 점유율도 꾸준히 높아져서

최근에는 30%대에 도달했다. 또한 Midea의 KUKA 인수처럼 여타 중국 기업들이 지

속적으로 막대한 자본을 활용한 글로벌 기업 사냥을 통해 산업용 로봇 기술을 추가

확보할 가능성도 높다.

중국 기업들의 이 같은 행보는 지난 수십 년간 구축된 세계 산업용 로봇 시장의 과점

적인 경쟁 구도에 틈을 만들고 있다. 경쟁 구도의 틈새를 비집고 들어오는 중국 로봇

기업들이 꾸준히 기술력을 축적하고 중국 기업 특유의 가격 경쟁력을 발판으로 고객

기반을 확대한다면 그 파급력은 상당히 클 것이다.

중국 산업용 로봇 기업의 발전이 미칠 영향력은 로봇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중국 제

조업의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것이다. 단기적으로 산업용 로봇 도입 확대에 따른 생

산성 향상이란 결과로 나타날 것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자체 로봇 기술의 발전이 IoT,

인공지능 등과 상승 작용하면서 4차 산업 혁명, 스마트 팩토리의 구현을 가속화시킬

가능성이 커 보인다. 단순한 제조업 생산성 향상뿐 아니라 맞춤형 혹은 프리미엄 제

품의 생산 기반 확보 등 제조 혁신의 토대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www.lgeri.com

Page 15: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 2017-01-09 ·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은 ABB, FANUC, Yaskawa, KUKA 등 글로벌 Top 4를 포함 한 외국계

본 보고서에 게재된 내용이 LG경제연구원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 출처를 명시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