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국토 전망과 농촌의 계획적 정비방안 연구...

208
R 828 l 2017. 12. l 미래 국토 전망과 농촌의 계획적 정비방안 연구 (1/3차년도) Rural Prospects and Planning Strategies on Rural Development (Year 1 of 3) www.krei.re.kr 심재헌 ㅣ 송미령 ㅣ 손학기 ㅣ 서홍석 이정해 ㅣ 서형주

Upload: others

Post on 27-Ju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R 828 l 2017. 12. l

    미래 국토 전망과 농촌의 계획적 정비방안 연구

    (1/3차년도)Rural Prospects and Planning Strategies on

    Rural Development (Year 1 of 3)

    www.krei.re.kr

    심재헌 ㅣ 송미령 ㅣ 손학기 ㅣ 서홍석

    이정해 ㅣ 서형주

  • 연구 담당

    심재헌︱연구위원︱연구 총괄, 제1, 3, 4, 5, 6장 집필송미령︱선임연구위원︱제5장 집필손학기︱연구위원︱제4장 집필서홍석︱부연구위원︱제1장 집필이정해︱연구원︱제2, 4장 집필서형주︱연구원︱제3장 집필

    연구보고 R828

    미래 국토 전망과 농촌의 계획적 정비방안 연구(1/3차년도)

    등 록︱제6-0007호(1979. 5. 25.)발 행︱2017. 12.발행인︱김창길발행처︱한국농촌경제연구원

    우) 58217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601

    대표전화 1833-5500

    인쇄처︱크리커뮤니케이션 02-2273-1775 [email protected]

    I S BN︱979-11-6149-094-6 93520∙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시하면 자유롭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무단 전재하거나 복사하면 법에 저촉됩니다.

    이 도서의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예정도서목록(CIP)은 서지정보유통지원시스템 홈페이지(http://seoji.nl.go.kr)와

    국가자료공동목록시스템(http://www.nl.go.kr/kolisnet)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IP제어번호 : CIP2018000479)

  • i

    머 리 말

    우리나라는 산업화에 따른 압축성장의 시대를 지나 현재 저성장의 시대

    에 진입했다. 이와 더불어 가구 구조의 변화, 인구 감소, 고령화, 기후변화,

    중국경제의 급부상, 다문화, 사회의 양극화, 4차 산업혁명, 삶의 질 중시 등

    다양한 위협과 기회의 요소들로 이루어진 빠른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불

    확실한 미래로 항해하고 있다.

    우리 농촌도 국토의 한 부분이기 때문에 미래로 향하는 거대한 변화의

    조류를 피해갈 수는 없다. 하지만 우리의 농촌이 구체적으로 미래에 어떻

    게 변할 것인지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는 국토나 도시 차원의 부문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미래의 다양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계획적 정

    비 방안을 제시하여 살기 좋은 미래 농촌을 준비하는 기틀을 제시하고자 하

    는 3년차 중 1차년도 연구이다. 이 1차년도 연구에서는 미래 변화 동인을

    파악하고, 2040년경 농촌의 변화상을 그려 내고, 예측가능한 문제점과 정책

    적 시사점을 도출하며 미래 농촌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아무쪼록 3년여에 걸쳐 수행될 이 연구가 미래 농촌의 다양한 변화에 선

    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계획적 정비 방안을 제시하여 살기 좋은 미래 농

    촌을 만드는 데 필요한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끝으로 농촌의 미래에 관

    한 방대한 연구를 위해 노력해 준 연구진과 위탁 연구진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1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김 창 길

  • iii

    요 약

    연구 배경

    ○ 최근 농촌에 대한 가치 인식과 국민의 삶의 방식이 크게 변화하면서 농

    촌에는 새로운 변화의 물결이 일어나고 있음. 더불어 사회·경제·기술적

    여건 변화들은 미래 농촌을 현재와는 다른 양상으로 변모시킬 것임.

    ○ 그러나 미래 농촌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변하게 될 것인지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는 타 분야에 비해 부족해 대응 마련이 어려운 실정임. 따라

    서 농촌 분야에서도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예측하여 선제

    적으로 대응하는 기초 연구가 필요함.

    ○ 연구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최종 목적은 미래의 다양한 변화에 선제적

    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계획적 정비 방안을 제시하여 살기 좋은 미래 농

    촌을 준비하는 기틀을 제시하는 것임.

    ○ 제1차년도의 연구 목적은 미래 변화 동인을 파악하여 2040년경 농촌의

    변화상을 정성적인 측면에서 그려내고 예측가능한 문제점과 정책적 시

    사점을 제시하여 미래 농촌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임.

    연구 방법

    ○ 농촌의 미래 전망 대상을 내용적으

    로는 삶터, 일터, 쉼터, 공동체의 터

    로 구분하고 공간적으로 근교, 일반,

    원격 농촌으로 구분함.

    ○ 국토 및 농촌의 변화 양상을 통계 자

    료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변화 흐름을

    보고, 변화를 주도하는 세계적이고 국

    가 전반에 걸친 미래 이슈를 언론 키

    워드와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도출함.

    연구의 내용적·공간적 범위

  • iv

    ○ 도출한 미래 이슈 중에서 농촌에 미치는 영향력, 발생가능성 및 중요도를

    1차 델파이 조사를 활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농촌과 관련한 핵심 미래

    이슈를 선정하였고, 2차 델파이 조사로 이슈에 대한 동의도를 알아보고 삶

    터, 일터, 쉼터, 공동체의 터의 관점에서 농촌에 특화된 이슈를 도출함.

    ○ 국민의식조사를 수행하여 농촌에 특화된 미래 이슈에 대해 국민들이 동

    의하는지 확인하여 삶터, 일터, 쉼터, 공동체의 터의 관점에서 미래 농

    촌의 전반적인 모습과 바람직한 미래상을 그리고 미래 농촌의 정책 방

    향을 제시함.

    미래 전망 방법

    국토 및 농촌의 삶터, 일터, 쉼터, 공동체의 터 변화 실태

    ○ 삶터 측면에서 보면, 농촌은 최근 귀농·귀촌인구와 외국인 주민 증가로

    인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하지만, 국가적 경향인 고령화·저출산

    은 농촌에서는 더욱 심각해져 향후 농촌의 공동화·과소화 문제가 지속

    적으로 대두될 것으로 예상됨.

  • v

    ○ 일터 측면에서 보면 농촌은 양질의 일자리 수가 부족하고 도시와 농촌

    의 소득 격차가 큰 폭으로 벌어지고 있음. 농촌 주민의 전체 소득에서

    농업소득보다 농외소득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졌음. 또한 기후변화와

    글로벌 무역 환경 변화로 농업 구조가 변화하며, 4차 산업혁명의 여파

    로 농업 분야에서 새로운 기회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됨.

    ○ 쉼터 측면에서 보면 도시민의 농촌관광 수요와 농촌 주민의 여가 수요

    가 급증하여 농촌은 여가·휴양 공간으로 각광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공

    동체의 터 측면에서 보면 농촌 인구 구성은 다양해져 새로운 갈등 구조

    가 생기고, 사회적 경제 등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새로운 형태의 공동

    체가 형성될 것으로 전망됨.

    미래 농촌 이슈와 농촌의 미래상

    ○ 언론 키워드와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국가 차원의 미래 이슈 30개를 선

    별하였고, 제1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이슈의 중요도와 발생가능성을 분

    석하고 이슈와 미래 키워드 간의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농촌과 관련한

    핵심 미래 이슈 12개를 선정함.

    농촌의 삶터, 일터, 쉼터, 공동체의 터 측면에서의 국가 핵심 이슈

  • vi

    ○ 농촌과 관련한 핵심 미래 이슈들이 삶터, 일터, 쉼터, 공동체의 터 측면

    에서 농촌 공간별로 어떻게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특화되는지 제2차 델

    파이 조사로 파악하여 농촌에 특화된 미래 이슈를 도출하였음.

    ○ 이후 국민의식조사를 실시하여 농촌에 특화된 미래 이슈에 대한 국민들

    의 동의도를 확인하여 삶터, 일터, 쉼터, 공동체의 터별로 농촌의 미래

    상을 그림.

    삶터, 일터, 쉼터, 공동체의 터의 농촌 특화 이슈와 지역 유형별 전개 방향

    농촌의 바람직한 미래상과 농촌 정책 방향

    ○ 미래 농촌의 변화 모습과 더불어 국민의식조사에서 국민들이 생각하는

    미래 농촌의 이미지와 역할을 파악하여 바람직한 농촌의 미래상을 설정함.

    - 바람직한 미래상은 삶터 측면에서는 생활이 편리한 전원생활 공간이며,

    일터 측면에서는 청년이 일할 수 있는 농촌, 쉼터 측면에서는 국민이 누

  • vii

    릴 수 있는 휴양 공간, 공동체의 터 측면에서는 지역공동체가 이끄는 농

    촌사회임.

    ○ 바람직한 농촌의 미래상을 실현하기 위한 정책 수요를 국민의식조사에

    서 조사하여 분석하였고, 이것과 농촌 변화 실태 분석을 바탕으로 삶터,

    일터, 쉼터, 공동체의 터별 바람직한 미래상을 구현하기 위한 정책 방향

    을 제시

    - 삶터 측면에서는 인구 과소화 및 고령화로 인한 서비스 인프라 부족 문

    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정책 과제임. 이를 해결하기 위해 농촌

    중심지를 거점화하고 중심지와 배후지 간 연결의 효율화가 필요함. 더

    불어, 농촌지역에 방치된 유휴 자산을 지역사회가 자율적으로 발굴·활

    용하여 발전을 모색하는 자산-기반 공동체 발전 방식 등을 세부 전략으

    로 제시함.

    - 일터 측면에서는 고령화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미래에 청년이 일할 수

    있는 농촌지역의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한 정책 과제로 나타났음.

    이를 위해 농촌에서 첨단 산업, 관광 산업, 신재생에너지 생산 등과 관

    련한 다양한 일자리를 창출할 필요가 있으며,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정

    착할 수 있는 정주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우선시되어야 함.

    - 쉼터 측면에서는 농업유산, 농촌문화, 자연경관 등을 보전하여 농촌이

    여가·휴양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정책 과제로 나타

    났으며, 이를 위해 지역특성을 고려한 농업·농촌 유산 보전 프로그램

    도입, 특정경관계획 수립 및 지원이 필요함.

    - 공동체의 터 측면에서는 지역 공동체가 이끄는 농촌사회 구현을 위해

    공동체 육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공간 단위의 공동체보다는 공동된

    관심사로 조직되는 사회공동체로의 전환이 필요하고 공동체의 역량을

    강화하는 사업들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음.

    ○ 체계적인 미래 준비를 위해 정책 실천수단으로 농촌계획제도 도입을 제시함.

  • viii

    바람직한 미래 농촌 구현을 위한 정책과제 도출

  • ix

    ABSTRACT

    Rural Prospects and Planning Strategies on Rural Development (Year 1 of 3)

    Background & Purpose of ResearchIn recent years, values of rural ares have been differently recognized

    among citizens and new lifestyles have vitalized rural areas in contrast with the past. Also, it is expected that a variety of socio-economic trends will influence rural futures. However, discussions on rural futures have not been sufficient to derive long-term strategies on rural areas, therefore it is need-ed to predict images of rural futures and draw policy implications from de-tailed and tailored future studies on rural areas.

    This three-year research project is designed to explore future issues and scenarios of rural areas in order to draw rural development strategies. In the first year study, the main research purposes are identifying issues high-ly relevant to rural futures and deducing directions of rural planning strat-egies to achieve desirable images of rural futures.

    MethodologyStatistical data has been analyzed in order to grasp trends of rural areas

    and national territory. Literature reviews and the mass media keyword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to sort national future issues.

    The national future issues relevant to rural areas are identified through the first delphi survey, and the second delphi survey derives the specialized rural future issues by analyzing influence of the issues on rural areas from the perspectives of living places, working places, resting places and com-munity places. Then, the public opinion survey is conducted to draw desir-able images of rural futures.

    Main Results and ImplicationsIt is identified that twelve national future issues are highly relevant to

  • x

    rural areas: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climate change and natural disaster’, ‘low growth and growth strategy’, ‘food security’, ‘4th industrial revolution’, ‘life insecurity of future generation’, ‘food safety’, ‘lifestyle stressing quality of life’, ‘threats to biodiversity’, inequality’, ‘multi-culture spread’ and ‘energy and resource shortage’.

    It is certain that a variety of problems and phenomena are expected to be caused by the issues, and these problems and phenomena are considered as the specialized rural future issues. The issues differently influence rural areas depending on their spati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desirable images of rural futures are drawn through the public opinion survey, and directions of rural development strategies are presented. ‘Convenient country life space for rural residents’, ‘working pla-ces for the youth’, ‘resting place for the public’ and ‘rural society led by local community’ are set as the desirable images.

    ‘Shrinking-Smart’ strategy is stressed to strengthen functions of rural centers and recycle idle properties in rural areas. Job opportunities can be created through rural tourism, renewable energy production and the high-tech industry for the youth. Agricultural heritages, rural cultures and natural landscapes have to be preserved to maintain recreational functions of rural areas. Special programs that aim to improve values of rural areas have to be implemented and specific landscape plans for rural areas should be established. Local communities have to be developed based on their so-cial needs and interests. Superficial communities formed based on spatial units cannot lead their rural society anymore. Also, policy instruments that strengthen rural local communities’ capacity need to be implemented systematically.

    Researchers: Sim Jaehun, Song Miryung, Sohn Hakgi, Seo Hongseok,

    Lee Junghae, Seo HyeongjooResearch period: 2017. 1. ~ 2017. 12.E-mail address: [email protected]

  • xi

    차 례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범위 및 내용 ················································································5

    3. 연구 방법 ·····························································································10

    제2장 국내외 미래 전망 사례

    1. 국내외 미래 전망 사례 ·······································································19

    2. 국내외 미래 대응 전략 ·······································································28

    3. 소결 ·······································································································35

    제3장 국토 및 농촌의 삶터, 일터, 쉼터, 공동체의 터의 변화 실태

    1. 삶터의 변화 실태 ················································································37

    2. 일터의 변화 실태 ················································································52

    3. 쉼터의 변화 실태 ················································································60

    4. 공동체의 터 변화 실태 ·······································································64

    5. 소결 ·······································································································69

    제4장 미래 농촌 이슈와 농촌의 미래상

    1. 국토 및 농촌의 미래 이슈 ·································································71

    2. 삶터·일터·쉼터·공동체의 터별 미래 이슈와 미래상 ·······················85

    3. 소결 ·······································································································98

    제5장 농촌의 바람직한 미래상과 농촌 정책 수요

    1. 농촌의 범위와 바람직한 농촌의 미래상 ········································103

    2. 바람직한 미래 농촌을 위한 정책 수요 및 정책 방향 ··················113

  • xii

    제6장 결론 및 향후 연구 과제

    1. 요약 및 결론 ·····················································································131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과제 ·····················································136

    부록

    1. 제1차 델파이 조사 문항 ···································································138

    2. 미래 이슈가 미래 농촌에서 특화되어 나타날 모습

    (제1차 델파이 조사 결과를 집계) ···················································148

    3. 제2차 델파이 조사 문항 ···································································157

    4. 국민인식조사 문항 ············································································164

    5. 전문가와 국민들이 예측한 미래 농촌 모습 비교 ·························177

    6. 국가별 미래 국토개발 및 농촌개발의 비전, 전략, 중점사항 ······180

    참고문헌 ·····································································································183

  • xiii

    표 차례

    제2장

    본 과제 위탁원고 현황 ·························································20

    국토 공간구조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 ································· 33

    선행연구에서 확인한 미래 농촌과 관련한 이슈, 시나리오 ·· 36

    제3장

    인구밀도 변화 ········································································40

    농촌 지역 인구구성 변화 ·····················································40

    농촌 읍·면의 고령화 현황 ····················································41

    동·읍·면 가구 규모별 가구 수 변화 ····································43

    지역별 주택 수 및 주택보급률 변화 ···································44

    동·읍·면의 주택유형별 가구 수 변화 ··································45

    노후기간별 주택현황 변화 ····················································46

    도시와 농촌의 주거 여건 비교 ············································ 47

    지역별 보건, 복지, 교육서비스 현황 변화 ························· 49

    농촌 시내버스 운행횟수별 행정리 수 ································· 50

    농촌 서비스 접근성 유형별 인구 특성 ······························· 51

    일자리 수 변화 ······································································ 53

    경지면적 및 농가호당 경지면적 ·········································· 53

    시·도별 작물 재배면적 증감률(2000~2015) ························· 54

    농촌의 산업별 종사자 구조 변화 ········································ 55

    2015년 도시와 농촌의 산업 구조 비교 ······························· 56

    15세 이상 인구 1명당 일자리 수 변화 ······························· 57

    도시와 농촌의 사업체 규모 비교 ········································ 58

    도시 및 농촌 주민의 직업 종사상 지위 비교 ···················· 58

    스마트 농업 분야 관련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 60

  • xiv

    도시와 농촌의 자연 환경 여건 비교 ···································61

    도시 규모별 월평균 여가활동 및 체육활동 지출비용 ······· 62

    도시와 농촌의 문화·여가 여건 비교 ··································· 63

    농촌마을 가구 수의 분포 ·····················································65

    귀농·귀촌·귀어 인구 및 가구 수 변화 ································ 66

    도시·농촌의 다문화 가구 및 인구 비율 변화 ···················· 67

    농촌 지역의 사회적 경제 조직 설립 추이 ························· 68

    제4장

    미래 트렌드 및 국토의 미래 전망 관련 연도별 주요 연관어 ··· 73

    STEEP로 구분한 국가 차원의 미래 이슈 ··························· 75

    미래 이슈의 네트워크 분석 결과 ········································ 81

    삶터 측면에서의 농촌에 특화된 유형별 주요 미래 이슈 ··· 87

    일터 측면에서의 농촌에 특화된 유형별 주요 미래 이슈 ··· 89

    쉼터 측면에서의 농촌에 특화된 유형별 주요 미래 이슈 ··· 91

    공동체의 터 측면에서의 농촌에 특화된 유형별 주요 미래 이슈 ·· 92

    삶터의 주요 미래 모습의 전개 방향에 대한 동의 의견 비율 ··· 94

    일터의 주요 미래 모습의 전개 방향에 대한 동의 의견 비율 ·· 96

    쉼터의 주요 미래 모습의 전개 방향에 대한 동의 의견 비율 ··· 96

    공동체터의 주요 미래 모습의 전개 방향에 대한 동의 의견

    비율 ·························································································98

    제5장

    현재 거주 행정구역과 거주 지역에 대한 정체성 인식 ··· 105

    인구밀도와 행정구역에 따른 거주 지역에 대한 정체성 인식 ··· 105

    국민들이 생각하는 현재와 미래의 농촌의 터별 이미지 ··· 109

    바람직한 농촌 구현을 위한 정책 과제와 바람직한 모습

    1순위 간 비교 ······································································ 114

  • xv

    그림 차례

    제1장

    연구에서 사용하는 농촌의 내용적 공간적 범위 ·············· 6

    연차별 연구의 목적·내용 및 기대성과 ······························ 8

    1차년도 연구의 흐름 및 추진체계 ····································· 9

    연구에서 농촌을 바라보는 4가지 시각 ··························· 10

    미래 연구 방법론의 종류 ··················································13

    미래 연구 방법과 미래 연구 도구의 차이 ······················14

    농촌을 둘러싸고 있는 여러 상황들(예시) ······················· 15

    미래 전망 방법 ···································································17

    제2장

    영국 농촌 2024년 시나리오 ··············································23

    영국 농촌 2054년 시나리오 ··············································24

    핀란드 미래 핵심 이슈 11개와 이슈의 방향성 ·············· 25

    핀란드 농촌의 미래 시나리오 ·········································· 25

    일본의 인구 증감 지역과 무거주화 지역 전망(2050) ···· 27

    네덜란드의 국토개발 2040 비전 ·······································29

    지방창생전략 장기 비전과 종합전략 개요 ······················ 31

    일본의 콤팩트 시티 모식도 및 작은 거점 개요 ············ 32

    제3장

    읍·면·동별 인구 변화 ························································38

    동과 읍·면 사이의 인구 이동 ···········································39

    농촌 및 도시의 외국인 수 및 비중 ·································39

    합계출산율 분포와 무출생·저출생 지역 분포 ·················42

  • xvi

    농촌 인구의 자연 증감 추이와 읍·면·동별 인구

    자연증가 수 분포 ·······························································42

    읍·면 단위 농촌 서비스 접근성 취약지역 ······················ 51

    기후변화로 인한 농작물 재배지의 변화 ··························54

    도·농 가구 소득 격차 ························································59

    농가 소득 변화 추이 ·························································59

    도시민의 농촌관광 수요 ····················································62

    장기에너지 수요 전망(연평균 2.4%의 경제 잠재성장률

    기준 시나리오) ···································································64

    과소 마을 분포 변화(10년 vs 15년) ·································66

    농촌 및 비농촌 지역의 마을기업 지정 수(누적) ············ 68

    제4장

    언론의 미래 연관 키워드로 만든 Word Cloud ··············· 74

    국토 미래 이슈의 농촌에서 발생 가능성과 중요도 분석 ··· 77

    미래 이슈의 국토와 농촌 측면에서의 중요도 및 발생

    가능성 차이 ········································································79

    미래 이슈 간의 관계 ·························································82

    농촌의 핵심 미래 이슈와 삶터, 일터, 쉼터, 공동체의 터의

    관계 ····················································································· 84

    삶터 측면에서 주요 미래 모습에 대한 동의도 조사 ····· 94

    일터 측면에서 주요 미래 모습에 대한 동의도 조사 ····· 95

    쉼터 측면에서 주요 미래 모습에 대한 동의도 조사 ····· 97

    공동체터 측면에서 주요 미래 모습에 대한 동의도 조사 ··· 97

    삶터, 일터, 쉼터, 공동체의 터의 농촌 특화 이슈와 지역

    유형별 전개 방향 ·····························································100

  • xvii

    제5장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곳이 ‘도시’라고 응답한 사람의

    응답 이유 ·········································································· 106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곳이 ‘농촌’이라고 응답한 사람의

    응답 이유 ·········································································· 107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곳이 ‘반도시/반농촌’이라고 응답한

    사람의 응답 이유 ·····························································107

    타 분야와 비교한 농촌의 기여도 ··································· 110

    도시와 비교한 농촌의 국가발전 기여도 ························ 111

    바람직한 농촌에 대한 중요도 조사 ······························· 112

    바람직한 농촌의 모습에 대한 실현가능성 조사 ··········· 113

    바람직한 농촌 구현을 위한 도시적 개발과 농촌자원

    보존의 중요도 비율 ·························································115

    국민 정책수요에 따른 정책 우선순위 도출 ·················· 129

    제6장

    농촌 특화 미래 이슈 도출 ·············································· 134

    바람직한 미래 농촌 구현을 위한 정책과제 도출 ········· 135

  • 1. 연구 배경 및 목적

    1.1. 연구 배경과 필요성

    우리나라는 산업화에 따른 압축성장의 시대를 지나 현재 저성장의 시대

    에 진입했다. 이와 더불어 가구 구조의 변화, 인구 감소, 고령화, 기후변화,

    중국경제의 급부상, 다문화, 사회의 양극화, 4차 산업혁명, 삶의 질 중시 등

    다양한 위협과 기회의 요소들로 이루어진 빠른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불

    확실한 미래로 항해하고 있다. 예상을 뛰어넘는 빠른 변화로 인해 최근 몇

    년 동안 미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다수의 연구들이 수행되었고 많은

    서적이 발간되었다(김선희 외 2016;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외

    2015; 이용우 외 2012, 2013, 2014, 2016; 이왕건 외 2016; 패트릭 딕슨

    2015). 미래 연구들과 미래 관련 서적들에서는 국가 차원이나 도시 차원에

    서 경제·사회·기술·국토 부문의 중장기적인 미래 대응 전략 등을 논의하고

    미래를 향한 계획적 준비를 강조했다.

    우리 농촌도 국토의 한 부분이기 때문에 미래로 향하는 거대한 변화의

    조류를 피해갈 수는 없다. 위에서 언급한 국가적 미래 이슈들에 영향을 받

    아 농촌도 미래에는 분명 현재와는 다른 양상으로 변모하게 될 것이다. 하

    지만 농촌이 구체적으로 미래에 어떻게 변할 것인지에 대한 심도 깊은 논

    의는 국토나 도시 차원의 부문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미래 농촌

    서 론 제1장

  • 2 서론

    과 관련한 연구는 그 수도 적을 뿐만 아니라 변화 이슈, 동인 등을 총체적

    으로 파악하지 못하고, 대체로 관념적인 인식 혹은 주로 농업적인 측면에

    서의 미래상을 그리는 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농촌 분야에서도

    다양한 미래를 담아낼 수 있는 틀을 활용하여 미래를 예측한 뒤 바람직한

    미래 농촌 구현에 관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우리는

    불확실성이라는 미래의 바다에서 좌초되지 않도록 준비할 수 있을 것이다.

    과거 우리 농촌은 국토의 중요한 삶터, 쉼터, 공동체의 터로서의 생활공

    간이자 일터로서의 경제공간이었다.1 산업화 이후 오랜 시간 동안 도시는

    성장의 기로를 걸었지만 농촌은 반대로 쇠퇴의 기로를 걸어왔다. 이로 인

    해 국토 공간상에서 농촌 지역은 전통적인 정주체계가 약화되고 과소화·공

    동화되는 지역이 증가하며 주민들의 생활권 광역화가 진행되는 등 변화가

    발생하였다. 또한 농촌 내적으로는 농촌 중심지 분포 상황이나 주민 구성,

    사회·경제 활동 등 농촌 정주공간 내에서의 고유한 특성도 함께 변모했다.

    이러한 이유로 농촌 관련 연구에서는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대부분 미래의

    농촌이 어둡고 암울하게 예측되곤 하였다. 그러나 근래의 급격한 사회·경

    제·기술적 여건 변화로 인해 농촌은 과거와는 다른 모습으로 빠르게 변모

    하고 있다. 최근 수년 사이 급격하게 변한 농촌에 대한 가치 인식과 국민

    의 삶의 방식 변화2로 인해 농촌은 조금씩 활력을 되찾고 있다.3

    이렇게 농촌에서는 다양성 확대와 수요 다변화로 인해 인구가 증가하거

    1 삶터의 측면에서 보면 우리나라 농촌인구는 1970년대 국가 전체 인구의 58.8%

    에서 2015년에 18.4%에 불과한 수준이다(통계청 각 연도, 인구주택총조사). 경

    제활동인 일터의 측면에서 보면 ‘70년대 농촌은 국가의 총부가가치의 28.9%를

    생산하다가 2015년경에는 2.3%에 불과한 수준이다(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

    경제활동별 국민총소득).

    2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 미래 농촌은 ‘국토 균형발전·자연환경

    보전·관광 휴양 장소’로서의 기능이 강화될 것으로 조사되었다(김동원·박혜진

    2016).

    3 농촌(읍·면)은 인구 유출보다 인구 유입이 많아 2015년에 처음으로 인구가 증

    가하는 추세로 나타났고, 농림어업 부가가치 성장률도 2013년 3.1%, 2014년

    3.6%로 나타나 경제활동의 활력도 찾아가고 있다(농림축산식품부 2016).

  • 서론 3

    나 도시의 일부 산업 기능이 이전되는 등 활력 있는 모습으로의 변화가 목

    격되기도 하지만, 도농 불균형의 증대, 고령화 증가, 농촌 배후지역의 인구

    감소 등에 의해 농촌 지역은 과소화·공동화, 난개발과 저성장 등 차별적인

    모양으로 분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분화는 장래 국토 전체의 변화

    에 따라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 및 도시 차원에서는 이전에

    언급했듯이 미래에 발생할 문제에 대하여 다양한 해법을 제시하고 바람직

    한 미래를 위한 전략과 계획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농촌은 단기적인 현

    안 해결에 급급하여 국토 차원의 거시적인 지역발전 정책과 정합성을 이루

    면서도 농촌 고유의 정책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중장기적인 미래 농촌에

    대한 준비와 계획이 부족하다. 따라서 우리는 중장기적인 농촌의 미래상을

    바탕으로 예견되는 문제점들을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에 관한 전략과 과제

    를 파악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전략과 과제들을 언제, 어떻게, 어디에서,

    누가 적용해야 성공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체계적인

    계획을 마련함으로써 현재의 농촌을 선제적으로 정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미래 농촌의 새로운 가치와 기능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선진국들의 경우도 과거와 달리 농촌의 새

    로운 가능성을 ‘New Rural Economy’로 확인하고 이에 부응하는 정책이나

    전략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의 우리 농촌은 이러한 것을 강화하고

    보전하기 위한 계획 수단이 미흡한 실정이다. 더불어 ‘개발’ 중시의 기존

    국토 계획의 패러다임으로는 농촌의 특성을 고려한 지속가능성을 담보하

    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국토 계획이나 도시 계획 측면에서 볼 때 상

    대적으로 낙후된 농촌 지역의 발전을 고려한 계획체계 및 내용도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농촌의 가치와 기능에 대한 新발전 패러다임하에 농촌지

    역의 미래 변화 특성에 대응할 수 있는 농촌 계획 및 관련 정책 개선이 필

    요하다.

    결국 미래에 우리 농촌이 불확실성에 기인하는 생존의 위협을 넘어 삶의

    질 향상과 새로운 가치를 발현하기 위해서는 농촌 주민의 수요를 반영하고

    산업·경제적 변동, 공공적 관점의 계획적 정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농촌의 미래상을 여러 측면에서 살펴보고 바람직한 모습을 그

  • 4 서론

    려내어 그 모습에 도달하기 위한 전략을 준비하고자 한다.

    1.2. 연구 목적

    이 연구는 3년에 걸쳐 수행되며 그중 1차년도에 해당하는 연구이다. 3년

    에 걸쳐 이루어질 이 연구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최종 목적은 미래의 다양

    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계획적 정비 방안을 제시하여 살기

    좋은 미래 농촌을 준비하는 기틀을 제시하는 것이다. 우리의 농촌은 홀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국토 안에서 다른 것들과 함께 상존하는 것이기 때

    문에 단순히 농촌 측면에서의 변화만을 모색한다면 편협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토 전역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미래 이슈가

    미래의 농촌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변화시킬 것인지를 전망하는 것을 세부

    목적으로 한다. 미래 농촌의 전망을 통해 무슨 문제점이 발생할지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를 고찰하는 것도 또 다른 목적이다. 마지

    막으로 이 연구는 살기 좋은 미래 농촌 마련을 위해 삶터, 일터, 쉼터, 공동

    체의 터 측면에서의 해결 방안을 어떻게 계획적으로 적용할지에 대한 실천

    방안으로서 관련 계획의 개선 및 보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3개년도 중 1차년도 연구에서는 미래 변화 동인을 파악하여 2040년경

    농촌의 변화상을 정성적인 측면에서 그려내고 예측가능한 문제점과 정책

    적 시사점을 제시하여 미래 농촌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

    다. 이를 위해 연구에서는 첫째, 국토의 사회경제적 변화 추세와 이에 따른

    이슈를 파악하여 미래 농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한 이슈를 파악한다.

    둘째, 선정된 이슈들이 미래 농촌을 어떠한 모습으로 변모시킬지에 대한

    다양한 조사를 통해 바람직한 미래 농촌상을 그려낸다. 셋째, 바람직한 미

    래 농촌을 구현하기 위한 농촌정책의 방향은 무엇인지를 고찰하고 이후 진

    행될 연구에서 심도 깊게 분석해야 할 과제들을 제시한다.

    2차년도의 연구에서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농촌 공간의 변화를 시뮬

    레이션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 농촌의 공간에서 어떤 곳이

  • 서론 5

    어떠한 문제점이 나타날 것인지를 파악하여 미래 농촌의 공간 특성을 반영

    한 정책 과제를 제시한다. 즉, 2차년도는 중장기적 농촌 정책 수립을 위한

    미래 시점의 정량적 전망을 통해 농촌 관련 기초 자료를 생성하는 것이 목

    적이다.

    3차년도 연구에서는 2차년도 연구에서 도출된 농촌의 공간 변화를 종합

    하고, 이를 통해 미래의 과제에 대응하는 농촌 계획의 지향점과 구체적인

    실천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보다 나은 농촌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관련 계획들이 무엇이 있고, 그 내용이 무엇인지, 그

    것들의 개선 과제와 개선 방향은 무엇인지를 도출한다. 이를 통해, 마지막

    3차년도에는 한 세대 후인 2040년경을 선제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농촌

    관련 계획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 지속가능한 농촌 발전을 꾀하는 것이

    이 연구의 최종 목적이다.

    2. 연구 범위 및 내용

    2.1. 연구 범위 및 내용

    이 연구에서 농촌의 계획적 정비를 위해 엿보고자 하는 미래의 시점은

    2040년경이다. 일반적인 국가 및 지역의 장기 계획들은 20년을 주기로 설

    정되는 경향이다. 따라서 이 연구가 끝나는 시점인 2019년에는 2040년을

    준비하는 다수의 계획들이 수립될 것이기 때문에 미래 전망의 시점을

    2040년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에서는 국토 전반에 걸친 변화 양상을 다루며 하위 공간체계로 농촌

    공간을 대도시 근교 농촌, 일반 농촌, 원격 농촌으로 나누어 살펴볼 예정이

    다. 연구에서 다루는 농촌의 공간적 범위는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

    법」(시행 2017. 3. 21.) 제3조 제5호의 읍·면 지역으로 정의하고자 한다.4

    대도시 근교 농촌은 특·광역시 주변에 인접한 시·군에 포함된 지역이며 원

  • 6 서론

    격 농촌은 특·광역시 경계로부터 1시간 이상 떨어진 시·군 지역을 의미한

    다. 일반 농촌 지역은 대도시 근교 농촌, 원격 농촌 이외의 시·군에 포함된

    읍·면 지역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분을 통해 미래 농촌 공간별 변화의 특

    성을 파악할 것이다.

    연구에서 사용하는 농촌의 내용적 공간적 범위

    4 법적인 정의에도 불구하고 농촌의 공간적 범위에 대한 논란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에서는 국민의 인지성에 근거한 농촌의 공간 범위에 대한 내용을

    제4장에서 수록하였다.

  • 서론 7

    내용적으로 1차년도에서는 국토의 변화를 야기하는 이슈들 중에서 농촌

    의 변화에 영향력이 높은 핵심 이슈들을 선정한 뒤 이슈들이 농촌의 삶터,

    일터, 쉼터, 공동체의 터에 어떻게 특화된 모습으로 전개될지를 파악한다.

    이를 위해 연구에서는 첫째, 신뢰성 높은 미래 전망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

    론과 국내외 사례를 검토한다. 둘째, 국토 및 농촌의 변화 실태를 파악한

    다. 여기서는 객관적인 통계 자료를 중심으로 국토와 농촌의 삶터, 일터,

    쉼터, 공동체의 터의 변화 실태를 분석한다. 셋째, 사회를 변동시키는 미래

    이슈들을 취합하여 농촌의 변화를 야기할 핵심 이슈를 선정한다. 이때는

    미래 이슈들이 농촌에서 어떻게 영향을 줄 것인지, 발생할 가능성이 얼마

    나 있는지, 농촌 지역에서 해당 이슈들이 어느 정도 중요한지를 파악하기

    위해 전문가 조사와 다수의 관련 전문가 자문회의 등이 수행된다. 넷째, 미

    래 농촌의 모습을 그리는 작업을 수행한다. 농촌에 변화를 야기하는 핵심

    이슈들이 농촌에 어떻게 특화되어 전개될 것인지를 고찰하고, 그 모습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일반적인 미래상을 그려낸다. 다섯째, 일

    반적인 농촌의 미래상과는 달리 바람직한 미래 농촌의 모습이 무엇인지를

    설정하고 이러한 모습을 구현하기 위해 무엇을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

    책적 수요를 파악한다. 끝으로 농촌의 바람직한 미래를 구현하기 위한 농

    촌정책 방향과 과제를 제시한다.

    2차년도 연구에서는 각각의 이슈들이 미래 농촌의 토지이용, 경관 등 공

    간구조 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줄 것인지를 파악한다. 이를 통해 1차년도에

    서 제시한 바람직한 미래 농촌의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어떠한

    문제점이 공간상에 나타날지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한 예측을 수행하고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다양하게 예측된 자료들을 제시하고 해석한다. 이

    후 미래의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현재 상황과 정책 환경, 미래의

    변화 모습 간의 괴리를 분석하여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3차년도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발전과 더 나은 농촌의 삶을 위한 공간

    구조 창출을 위해서 구체적 수단으로 여러 농촌관련 계획들의 현황을 파악

    하고, 그것의 개선 과제 및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범위로 한다.

  • 8 서론

    연차별 연구의 목적·내용 및 기대성과

  • 서론 9

    2.2. 연구 흐름 및 추진체계

    서론

    국내외 미래 전망 사례

    선행연구 검토국내외 미래 전망 선행연구

    국토 및 농촌의 변화 실태

    통계자료 분석

    삶터, 일터, 쉼터, 공동체의 터별 변화 실태 농촌의 주요 변화 실태 도출

    미래 농촌 이슈와 농촌의 미래상선행연구분석키워드분석델파이 조사국민인식조사

    전문가 자문회의

    국토 및 농촌의 미래 이슈삶터, 일터, 쉼터, 공동체의 터별 미래 이슈와 미래상

    농촌의 바람직한 미래상과 농촌 정책 수요국민인식조사

    해외 정책 사례 조사분석

    전문가 및 정책실무자

    포럼농촌의 범위와 바람직한 농촌의 미래상

    바람직한 미래농촌을 위한 정책수요 및 정책방향

    결론 및 향후 과제

    1차년도 연구의 흐름 및 추진체계

  • 10 서론

    3. 연구 방법

    3.1. 미래 농촌의 전망 대상과 전망 방법

    3.1.1. 농촌을 삶터·일터·쉼터·공동체의 터로 정의

    농촌의 미래에 대한 관심사의 핵심은 ‘농촌이 과연 사람이 살기에 어떤

    곳이며 어떻게 하면 좋은 곳으로 만들 수 있을까’에 관한 것이다. ‘살기 좋

    은 곳이 무엇인가, 살기 좋은 농촌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라는 관점에서 보

    면 기존의 송미령 외(2007) 등의 연구에서 사용된 삶터, 일터, 쉼터, 공동

    체의 터의 개념이 농촌 공간을 정의하는 데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송미령 외(2007)에서는 살기 놓은 농촌을 ‘편리한 농촌’으로서의 삶

    터, ‘일하는 농촌’으로서의 일터, ‘쾌적한 농촌’으로서의 쉼터, ‘열린 농촌’

    으로서의 공동체의 터로 개념화하였다.

    연구에서 농촌을 바라보는 4가지 시각

    자료: 송미령 외(2007: 28).

  • 서론 11

    3.1.2. 미래와 미래 연구

    여기서 말하는 ‘미래’란 인간의 의지나 노력과 상관없이 전개될 수도 있

    고, 인간의 의지나 노력과 정반대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며, 인간의 의지

    나 노력에 의해 성취될 수도 있다(김경동 2002). 김경동(2002)에서는 미래

    를 ‘있음직한(probable) 미래’, ‘있을 수 있는(possible) 미래’, ‘있어야만 하

    는(ought-to-be) 미래’, ‘바람직한(preferable, desirable) 미래’ 등으로 구분하

    며, 주로 미래 예측 연구에서 다루는 미래는 있음직한 미래라고 한다.

    미래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지금 바람직하다고 생

    각하는 미래를 위해 우리가 준비를 해도 20년 뒤에 어떻게 이루어질지 확

    신할 수는 없다. 이는 사회와 국토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내외부의 요인들

    이 정확하게 어떻게 변모할지를 확정할 수 없고 그것들이 불러오는 미래의

    양상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래 연구를 통해 우리는 현재

    의 작은 생각의 범위를 확장시켜 미래에 무엇이 중요한지를 파악하여, 사

    회 구성원들이 간과했던 이슈들이 미래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점쳐 볼

    수 있다. 즉, 다양한 미래를 담아낼 수 있는 틀을 활용하여 미래를 예측한

    뒤, 예상되는 미래 농촌과 농촌의 정책이 어떻게 연계될 수 있는지 논의할

    기초 자료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농촌 측면에서 보면, 국민 혹은 농촌 주민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농

    촌의 미래상을 어떻게 도출할 것인가? 이 미래상을 정책적 의제로 삼고 비

    전과 전략을 수립하려면 어떠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가? 이 과정에는 누가

    참여해야 하는가? 참여자의 의견은 어떻게 수렴할 것인가? 미래 국토와 농

    촌에 대응하는 준비는 현재 어느 정도 되어 있는가? 준비가 부족한 부분을

    어떤 논리와 방법으로 누구를 설득해 채워 나가야 하는가? 등의 질문에 대

    한 답을 구하기 위해 미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미래 연구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전제는 ‘사회변동’이며, 사회변동은

    크게 순환론(역사의 반복, 변화의 주기 등), 진화론(적자생존의 원리 등),

    변증법적 변동론 등이 주요한 이론으로 차용되고 있다(김경동 2002). 사회

    변동은 사회의 질서 및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인간의 의식 및 행태

  • 12 서론

    변화를 의미하는 사회의 변화는 국토 공간 구성과도 관련이 있으며 국토의

    한 부분인 농촌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미래 연구에서는 과거의 현상이 오늘을 만들고 오늘의 현상이 미래로 이

    어진다는 연속의 원리(principle of continuity), 하나의 현상이 발생한 뒤 다

    른 현상이 발생하면 둘 사이의 계기적 관계를 관찰하고 이를 통해 미래를

    예측하는 유추의 원리(principle of analogy) 등을 기본으로 다양한 사회 현

    상을 분석한다(김경동 2002).

    3.1.3. 미래 연구 방법과 도구

    미래 연구는 ① 과거의 모습, 형태, 작용하는 힘 등이 연장되어 미래를

    예측하는 추세외삽법, ② 전문가들이 개연성, 가능성, 당위성, 선호하는 미

    래에 대한 내용 등을 델파이 조사 등을 통해 의견을 모으는 합의법, ③ 현

    실의 복잡한 상황을 반영한 계(system)를 대상으로 역동적인 모형을 이용

    하여 상황을 예측하는 모의실험법, ④ 예측에 포함될 항목들 간의 상호작

    용을 가정하고 각각의 항목이 일어날 확률을 실험적으로 추정하는 교차충

    격 행렬법, ⑤ 미래에 대한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이를 그려보는 시나리오

    법, ⑥ 주요한 결정행사의 가능한 결과를 도식화하는 의사결정 나무법, ⑦

    경제학적 접근으로 투입과 산출의 계수를 사용하여 미래를 예측하는 투입-

    산출법 등 다양한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김경동 2002).

    Popper(2008)는 위에서 논의하는 여러 가지 방식을 더욱 상세히 구분하

    여 ‘미래 연구의 사각형(Foresight Diamond)’을 제시하였는데, 다양한 대표

    적인 미래 연구 방법론들을 정리하였다. 미래 연구 방법론이란

    정보 수집 및 처리, 이슈 도출, 전략 수립 등을 포함하는 전체 과정을 구성

    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Popper는 크게 상상력에 기반하여 창의성을 바탕으

    로 미래를 연구하는 방법, 경험과 상호지식 공유에 기반을 두고 미래를 연

    구하는 방법, 토론 및 지식교환 상호학습에 기반을 두고 집단 지성을 이용

    하여 미래를 연구하는 방법, 사실과 자료에 기반하여 미래를 예측하는 방

    법을 제시하였다.

  • 서론 13

    미래 연구 방법론의 종류

    자료: Popper(2008: 66) 수정 보완.

    미래 연구의 방법론은 다음의 미래 연구 도구를 통해 각각의 미래 연구

    단계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미래 연구 방법이 미래 연구의 전체 과정

    이라고 할 때, 미래 연구 도구는 각 단계에서 미래를 예측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미래 연구 도구란 미래 연구의 특정 단계에서

    사용되는 연구 기법이나 활동으로, 환경스캐닝, 네크워크 분석, 시스템다이

    내믹스, 정보시각화 및 GIS, AHP기법과 전문가인터뷰, 브레인스토밍 등이

    라고 할 수 있다(변미리·김묵한 2012).5

    5 변미리·김묵한(2012: 21-22)에서는 주요한 미래 연구 도구에 대해서 다음과 같

    이 정리했다.

  • 14 서론

    미래 연구 방법과 미래 연구 도구의 차이

    자료: 변미리·김묵한(2012: 19).

    자료: 변미리·김묵한(2012: 21-22).

    (1) 환경스캐닝(Environmental Scanning): 부상하는 이슈(Emerging Issue)를 감지하고 판별하기 위한 활동을 의미한다. 미래 예측과 전략적 계획(Strategic Planning)을 연계하기 위한 주요 접점인 동시에 미래 연구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사전준비적 성격을 지닌다.

    (2) 지식네트워크 분석: 파편화되어 있는 지식으로부터 통합된 지식을 생산하는 기법으로, 특정 주제에 대한 정보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서로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지식네트워크는 사회 내에서 형성되는 다양한 주제 정보 및 사회관계 네트워크를 말한다.

    (3) 시스템 다이내믹스와 동적 시뮬레이션: 시스템 다이내믹스는 연구하고자 하는 특정 변수를 대상으로 하여 시간이 변함에 따라 어떻게 동태적으로 변화해 나가는지 분석한다.

    (4) 정보시각화 기술: 지식 활동의 속도, 강도, 깊이를 확장시키는 데 문자보다는 시각적 표현이 더 효과적이라 보고 개발된 기술이다. 많은 양의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도를 상승시키고 해당 정보를 파악하는 시간을 감소시키며 연계된 부가정보도 전달해 주어 사용자가 정보를 지식화하는 데 효율적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술이다.

    (5) 공간정보시스템(GIS) 기술: 공간정보시스템은 인간의 삶이 이루어지는 지상, 지하 등 모든 공간에 존재하는 시설물 등의 사물의 위치와 주변 환경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 현실과 동일한 수준의 자세하고 정확한 공간 정보를 제공하여 미래 예측능력을 향상시켜 준다. 특히 3차원 공간정보는 도시개발 등의 개발 사업이 야기할 다양한 영향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사전에 예측한다. 도시계획에 따른 일조권, 교통량, 공해 배출 등의 미래의 모습을 가상현실로 보여줌으로써 보다 정확한 정책 의사결정이 가능하게 해준다.

  • 서론 15

    3.2. 연구의 미래 농촌 전망 방법

    농촌은 에서 볼 수 있듯이 농촌을 둘러싼 국토의 여러 변화

    양상과 세계적인 변화 이슈에 영향을 받아 변모한다. 그러나 이슈의 영향

    력은 농촌의 현재 여건에 따라 국토 전체 혹은 도시에 미치는 영향과는 차

    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농촌의 미래를 전망하기 위해서는 먼저

    세계적인 변화를 야기하는 이슈와 국토의 변화 이슈를 파악하고 그 이슈들

    이 농촌에 어떻게 차별적으로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이에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농촌의 미래를 전망하고자 한

    다. 첫째, 사실과 자료에 기반을 둔 방법론적 측면에서는 국토

    및 농촌의 변화 양상에 대한 통계 자료를 분석하여 변화 흐름을 살펴볼 것

    이다. 둘째, 지식교환의 집단지성의 의미로 미래를 살펴보기 위해 변화의

    흐름을 주도하는 세계적이고 국가 전반에 걸친 미래 이슈를 언론 키워드

    농촌을 둘러싸고 있는 여러 상황들(예시)

  • 16 서론

    분석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추출할 것이다. 셋째와 넷째는 경험과 상호

    지식 기반의 전문성을 추구하는 방법으로 미래를 살펴본다. 먼저 셋째, 추

    출된 미래 이슈들이 농촌에 미치는 영향력, 발생가능성 및 중요도를 제1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분석하여 농촌에 특화된 핵심 미래 이슈를 도출할 것

    이다. 그리고 넷째, 농촌에 특화된 핵심 미래 이슈를 바탕으로 미래의 모습

    에 대한 동의도를 제2차 델파이조사를 통해 파악할 것이다. 다섯째, 집단

    지성의 힘을 빌리기 위해 전문가들이 그린 핵심 이슈별 농촌의 미래 모습

    에 대한 국민적 동의도를 조사·비교하여 삶터, 일터, 쉼터, 공동체의 터의

    관점에서 미래 우리 농촌에 대한 전반적인 모습과 바람직한 미래상을 그릴

    것이다.

    각각의 연구 방법론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고 연구에서 사용하는 세부

    미래 연구 도구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자료 기반 연구를 위해 각종 통계데

    이터를 활용하여 국토와 농촌 측면에서의 변화 추이를 분석한다. 또한 문

    헌조사를 통해 국토와 농촌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미래 이슈를 추출해 낸

    다. 경험과 상호지식 공유에 기반을 두는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한 미

    래 도구는 전문가 패널을 통해 미래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려고 원고를 위

    탁하였고, 미래 이슈를 파악하기 위해 농촌 주민과 관련 전문가들을 인터

    뷰 조사한다. 더불어 농촌의 이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델파이 설

    문조사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집단 지성에 의한 미래 연구 방법을 위

    해 여론조사 방법을 사용한다. 각각의 도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

    로 농촌의 미래상을 그리고 미래의 모습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논

    의한다.

  • 서론 17

    미래 전망 방법

  • 1. 국내외 미래 전망 사례

    1.1. 국내의 미래 전망 선행연구

    미래 국토 및 사회, 경제, 환경, 기술 등의 분야별로 미래의 모습을 그려

    보는 연구들에서는 농촌을 부분적으로 다루어 농촌의 다양한 모습을 심도

    있게 전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지금까지 국내에서 농촌의 미

    래에 대한 연구는 타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러한 이유로 객관

    적으로 신뢰할 만한 미래 예측보다는 주로 트렌드 및 이슈 분석, 직관적

    예측, 자유토론 등의 질적 방법으로만 이루어졌다.

    국내에서 농촌을 주제로 하는 최근의 미래 연구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에서 김정호 외(2010)가 수행한 연구가 대표적이다. 여기서는 우리나라 농

    업·농촌에 영향을 주는 메가트렌드를 도출하고, 2050년의 농업·농촌과 관

    련한 미래 이슈들을 예상하였다. 농업·농촌과 관련한 핵심 메가트렌드를

    크게 다섯 가지(고령화 사회, 글로벌 경쟁, 기후변화와 환경 중시, 과학기

    술 발전, 새로운 가치 지향)로 구분하였고, 메가트렌드로 야기되는 미래 농

    촌의 이슈들을 ‘기후변화와 환경에 대응하는 농업 비전’, ‘농업의 성장 동

    력과 새로운 활로’, ‘농촌 공간과 지역사회의 비전’의 세 가지 관점에서 각

    각 10개씩 전망하였다. 또한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농업·농촌에서 고려해

    야 할 키워드로 ‘고부가가치 농업’, ‘농촌 어메니티’, ‘소외계층·지역 배려’

    국내외 미래 전망 사례 제2장

  • 20 국내외 미래 전망 사례

    등을 제시하였다.

    전국적인 차원에서의 미래 농촌의 관련 연구와 더불어 지역적인 차원에

    서도 미래 농촌 전망에 관련한 연구들이 시·도연구원을 중심으로 수행되었

    다. 각 시·도연구원에서는 시·도별 인구, 경제, 사회 등의 여건 변화, 추진

    하는 전략과 시책을 고려하여 농촌의 미래 모습을 그렸다. 연구에서는 이

    러한 내용에 대하여 에서 볼 수 있듯이 해당 연구자에게 시·도별

    미래 농촌의 모습에 대한 원고를 의뢰하여 다음과 같이 의견을 얻을 수 있

    었다.6

    6 시·도별 미래 전망 관련 내용은 각 시·도에서 관련 미래 연구에 참여했던 연구

    진들에게 자문 및 원고 위탁을 수행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정리하였고, 관련 내

    용은 자료집으로 발간한다.

    소속 직위 성명 위탁원고 제목

    경기연구원 연구위원 강식 경기도에서 바라보는 미래 농업·농촌과 대응전략

    강원연구원 연구위원 김석중 강원도에서 바라보는 미래 농업·농촌과 대응전략

    대전세종연구원 도시경영연구실 실장 박노동 대전광역시에서 바라보는 미래 농업·농촌과 대응전략

    대구경북연구원 연구위원 석태문 경상북도에서 바라보는 미래 농업·농촌과 대응전략

    제주연구원 책임연구원 안경아 제주특별자치도에서 바라보는 미래 농업·농촌과 대응전략

    충북연구원 수석연구위원 원광희 충청북도에서 바라보는 미래 농업·농촌과 대응전략

    인천발전연구원 미래전략연구센터 센터장 이왕기 인천광역시에서 바라보는 미래 농업·농촌과 대응전략

    광주전남연구원 도시기반연구실 실장 조상필 전라남도에서 바라보는 미래 농업·농촌과 대응전략

    충남연구원 미래전략연구단 팀장 홍원표 충청남도에서 바라보는 미래 농업·농촌과 대응전략

    고려대학교 교수 김철규 가치관 변화에 따른 미래 농촌 주민의 모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그린바이오팀 팀장 이주량 4차산업혁명 등 산업의 혁신이 가져올 미래 농업·농촌의 모습

    동국대학교 교수 윤성이 글로벌 경제 환경 변화 및 저성장에 따른 미래 농업·농촌의 모습

    본 과제 위탁원고 현황

  • 국내외 미래 전망 사례 21

    경기도는 공장, 주택, 창고 등의 난립으로 전통적인 농촌 경관이 훼손될 것

    으로 보았으며, 귀촌이 증가하고 도시와 농촌 양쪽에 거주지를 두는 경우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했다(강식 2017). 강원도는 미래에 수도권과 하나의 생활

    권을 형성하고 스마트워크가 확산되면서 농촌을 근거지로 두고 타 지역에서

    경제 활동을 하는 귀촌 가구가 증가할 것으로 보았으며, 읍·면소재지에 사람

    들이 모여 살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김석중 2017). 경상북도와 전라남도는

    기술 혁신으로 농업 생산 양식이 고도화되고 영농 주체도 협동조합형, 기업

    형, 기술혁신형 등 다양한 유형이 나타날 것으로 보았으며, 농촌 공간이 웰

    빙, 건강, 휴양의 공간으로 주목받고 농촌중심지가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했

    다(석태문 2017; 조상필 2017). 충청남도는 농촌이 대도시권, 도농 혼재 지역,

    농업 지역으로 분화되고 대중교통 서비스와 돌봄 서비스가 부족해지면서 사

    회적 경제나 공유 경제를 통해 문제 해결 방안을 찾아나갈 것으로 보았으며,

    농가인구와 경지 면적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산업 구조상 농업은 침체되고

    제조업에 편중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홍원표·강수현 2017). 충청북도

    는 도시화 및 메가시티 확산과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농촌 지역이 소멸 위기

    에 봉착할 가능성이 높지만 농촌이 축소 도시 공간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

    다고 보았으며, 기술 집약형 농업으로 전환되고 공유 경제가 확산될 것으로

    전망했다(원광희 2017). 제주도는 현재 제주시와 서귀포시로의 쏠림 현상이

    완화되어 정주 공간 구조가 과거의 다핵 분산 형태로 회귀할 것으로 전망하

    였으며, 대전광역시와 인천광역시는 도시 외곽지역에서 도시 농업이 활성화

    될 것으로 보았다(안경아 2017; 이왕기 2017; 박노동 2017).

    사회, 경제, 기술 분야에서도 농업·농촌에 대한 미래 전망이 이루어졌

    다.7 이주량(2017)은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기존의 경험 기반 농업이

    데이터 기반 농업으로 전환될 것으로 보았으며, 농업이 농작업 대행 등으

    로 서비스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점쳤다. 김철규(2017)는 한국 사회 변동의

    7 부문별 미래 농촌 관련 전망은 에서 제시한 관련 전문가에게 자문과

    위탁원고를 통해 핵심 내용을 정리하였고, 관련 내용은 시·도별 미래 농촌 전

    망과 함께 자료집으로 발간한다.

  • 22 국내외 미래 전망 사례

    흐름 속에서 농촌사회의 미래 모습을 전망하였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농

    민과 이들을 잇는 후계 농민의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다문화 가정, 귀

    농·귀촌 가구 등이 증가하면서 농촌사회의 인구 구성이 다변화될 것으로

    보았다. 농업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 사회경제적 모델의 농업 형태가 생

    겨날 것이며, 농촌은 느린 삶과 행복 공간으로 새로운 삶을 기획하는 장소

    가 되고, 신뢰에 기반을 둔 지역공동체가 농촌 지역 곳곳에서 형성된다. 윤

    성이(2017)는 산업 자본 투자 환경이 개선되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농

    업이 확산되고 농촌 지역의 생활 인프라가 확충되어 농촌 복지 문제를 해

    결할 수 있다고 보았다.

    1.2. 해외 미래 전망 선행연구

    해외에서도 농촌을 주제로 수행한 미래 연구는 많지 않다. 일부 국가에

    서 수행한 연구들은 사회·경제적 메가트렌드와 미래 이슈를 분석하였고,

    농촌에 특화된 미래 이슈를 고려하여 미래 농촌에서 나타날 가능성이 있는

    시나리오를 구상하고 시나리오 전개 과정을 묘사하였다.

    영국의 환경식품농무부(DEFRA)는 2004년 뉴캐슬 대학교 부설의 ‘농촌

    경제를 위한 미래 재단 센터(The Future Foundation and the Centre for

    Rural Economy)’와 함께 미래 농촌 연구를 수행하였다. 20년, 50년 후 영국

    농촌의 미래상을 전망하고, 바람직한 미래를 만들어가는 데 필요한 정책 목

    표와 과제를 제시하였다.

    전문가와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워크숍을 개최하여 다양한 의견을 수렴

    하였고, 미래 영국 농촌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이슈를 도출하고 미래 시나

    리오를 구상하였다. 영국 농촌 지역을 7개 유형으로 분류하고 11개의 핵심

    이슈를 도출하였으며, 농촌 유형별로 핵심 이슈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리고 두 개의 축(자유방임주의식 계획 및 정책적 접근/농촌성 보호)에 따라

    2024년 시점에서 세 가지 시나리오를 전망하였으며, 미래 시나리오에 대한

    의견을 설문조사와 워크숍을 통해 수렴하였다.

  • 국내외 미래 전망 사례 23

    영국 농촌 2024년 시나리오

    자료: DEFRA(2004: 13).

    2054년 시점에서는 농촌의 개방성과 환경 가치 지향성에 따라 네 가지

    시나리오를 전망하였다. 첫 번째는 ‘활기찬 각양각색의 농촌(Vibrant Variety)’

    으로 농촌이 생산보다는 소비와 여가 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두 번째는 ‘보존된 유산(The Preserved Heritage)’ 시나리오로

    농촌을 환경·문화적으로 보전해야 할 공간으로 보았다. 세 번째는 ‘요새와

    울타리(Fortress and Fences)’로 소수의 부유한 사람들이 농촌 공간을 사유

    화하고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는 시나리오이다. 마지막으로 ‘정원과 길드

    (Garden and Guilds)’ 시나리오에서는 농촌 주민 스스로가 지역 발전을 위

    해 참여하면서, 농촌 지역이 일자리, 문화, 혁신, 사회적 연결망 등에서 활

    력이 있는 공간이 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 24 국내외 미래 전망 사례

    영국 농촌 2054년 시나리오

    자료: DEFRA(2004: 34)

    핀란드 미래 연구센터는 Kuhmonen&Kuhmonen(2014)의 연구와 그 외의

    핀란드 학자들이 미래 농촌을 전망한 연구들을 재정리하는 연구를 수행했

    다. 이 연구는 농촌의 미래를 전망한 선행연구와 미래 전략을 제시한 정책

    문건을 재검토하였고, 워크숍을 개최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문가와

    일반 국민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미래 농촌에 영향을 미치는 11개의

    핵심 이슈를 도출하였고, 미래 농촌이 변화하는 과정을 네 가지 시나리오로

    묘사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한 핵심 이슈 11개는 미래 농촌의 경제와 사회에 영향

    을 주는 동인들이다. 대외 여건 변화와 국내 상황에 따라 동인들이 미치는 영

    향은 여러 가지 방향성을 가지고 전개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핵심 이슈의 영향 수준에 따라 핀란드 농촌지역에서 전개될 미래 농촌

    의 모습을 여러 가지 스토리라인으로 묘사하였다. 그중에서도 이슈들이 국

    민들의 농업·농촌의 가치 인식과 정책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중점을

    두고 핀란드 농촌의 미래상을 네 가지 시나리오로 묘사하였다.

  • 국내외 미래 전망 사례 25

    핀란드 미래 핵심 이슈 11개와 이슈의 방향성

    자료: Kuhmonen&Kuhmonen(2014: 33).

    핀란드 농촌의 미래 시나리오

    자료: Kuhmonen&Kuhmonen(2014: 41).

  • 26 국내외 미래 전망 사례

    지역 특성과 핵심 이슈의 영향 수준에 따라 농촌 지역의 미래 시나리오

    는 다르게 나타났으며, 농업·농촌 가치의 중요성과 정책 방향에 따라 농촌의

    미래상에 대한 네 가지 시나리오를 전망할 수 있었다. 첫 번째로 ‘분산된 바

    이오경제(Dispersed Bioeconomy)’는 농업·농촌의 가치가 증가하여 정책적

    으로 농업·농촌의 이용을 확대하되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시나리오이다.

    농업·농촌 자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농촌의 자원을 적극적으로 이용하

    며, 농촌 주민들이 평등하게 가치 사슬에 관여한다. 두 번째로 ‘식민지 농촌

    (Colonial Countryside)’은 농업·농촌의 가치가 증가하지만 경제적 가치만을

    중시하여 농촌 경제가 글로벌 자본에 의해 재구조화되는 시나리오이다. 세

    번째는 ‘박물관 농촌(Museum Countryside)’으로 농업·농촌의 가치가 증가

    하나 그 방향이 이용을 확대하기보다는 보전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어 제

    한적으로 농업·농촌을 활용하는 시나리오이다. 농촌의 산업적 역할이 축소

    되며, 농촌에서 생산하는 공공재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마지막으로 ‘농촌

    비즈니스 섬(Rural Business Islets)’은 농업·농촌의 가치가 저평가되어 농

    촌 공간이 외부 자본에 의해 농업 이외의 산업 공간으로 활용되는 시나리

    오이다.

    일본은 인구 감소와 지방소멸 위기를 인식하고 미래에 대한 다양한 전망

    을 내놓았다. 마스다 히로야(2014)는 일본의 인구 감소와 지방 소멸의 내

    용을 담은 보고서를 발표하여 일본 사회 내에 위기의식을 불러일으켰다.

    보고서에서는 인구 감소가 3단계에 걸쳐 진행될 것으로 보았다. 1단계에서

    는 대도시 지역에서 고령 인구가 증가하고 생산·유소년 인구가 감소할 것

    으로 보았고, 2단계에서는 지방 도시의 고령 인구가 유지되거나 소폭 감소

    하고 생산·유소년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 3단계

    에서는 고령 인구와 생산·유소년 인구가 모두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한 청년층의 대도시 유입이 가속화되는 등 인구 이동이 불균형하게 이루어

    져 한정된 지역에 사람들이 밀집한 극점 사회가 형성될 것으로 예상했다.

    결과적으로 인구 감소 추세와 불균형한 인구 이동의 영향으로 2040년

    20~39세 가임여성 인구가 절반 이상 감소하는 지방자치단체(시·구·정·촌)

    가 1,727개 중 896개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였다.

  • 국내외 미래 전망 사례 27

    이후 일본 국토교통성은 인구 전망을 토대로 2050년까지 인구 증감 지

    역과 무거주화 지역을 추정하였으며, 2050년에 사람이 살지 않는 지방자치

    단체가 전체의 19%, 인구가 50% 이상 감소하는 곳이 44%, 0~50% 미만으

    로 감소하는 곳이 35%, 인구가 증가하는 곳이 2%가 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일본의 인구 증감 지역과 무거주화 지역 전망(2050)

    자료: 임상연(2017).

  • 28 국내외 미래 전망 사례

    2. 국내외 미래 대응 전략

    2.1. 미래 국토개발 전략

    많은 국가들이 국토개발 비전과 전략을 수립하고, 비전과 전략에 부합하

    는 다양한 정책 수단을 도입하고 있다. 미래는 정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적용하는 정책에 따라 미래의 국토 및 농촌의 모습은 달라질 수 있다. 해외

    의 국토개발 비전과 전략을 살펴보는 것은 우리의 미래 국토 및 농촌을 전

    망하는 데 고려해야 할 핵심 이슈를 도출하는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유럽연합은 2011년에 헝가리에서 공간계획과 국토개발에 책임을 지닌

    회원국 장관들 간에 회의를 열고 ‘유럽 연합 2020 국토 어젠다(Territorial

    Agenda of the European Union 2020)’에 합의하였다. 국토 결속(Territorial

    Cohesion)을 공동 목표로 하며, 국토개발과 관련한 메가트렌드와 정책 비전

    및 전략을 제시하였다. 글로벌화, 유럽 연합 통합, 지역 간 상호의존성 증가,

    다양한 인구·사회적 어려움, 취약계층 차별, 기후변화, 환경위험성, 에너지

    위기, 지역 경쟁력 위협, 생물다양성 감소, 취약한 자연·경관·문화유산 등을

    메가트렌드로 도출하였고, 정책 비전 및 전략으로 다중심성(polycentric)이고

    균형적인 국토개발, 도시·농촌·특수 지역을 고려한 통합 개발, 국경을 넘어서

    는 초국가적인 기능 지역으로의 통합, 지역 경제에 기반한 지역의 글로벌

    경쟁력 보장, 개인·지역사회·사업체의 연결성 향상, 지역의 생태적·경관·문

    화적 가치 연계 및 관리 등을 제시하였다(EC 2011).

    네덜란드는 2012년에 ‘사회기반시설과 공간계획을 위한 국가 정책 전략

    (National Policy Strategy for Infrastructure and Spatial Planning)’에서 과 같이 2040년까지의 국토개발 비전과 전략을 제시하였다(IenM

    2012). 네덜란드는 경쟁력, 접근성, 생활여건, 안전성에 초점을 두고 열세

    가지 국가 관심사항을 제시하였다. 네덜란드의 관심사항은 ① 비즈니스 환

    경과 접근성을 갖춘 주요 선도 분야가 집중된 도시 지역, ② 에너지 공급

    네트워크 공간과 에너지 전환, ③ 주요 관로 네트워크 공간 정비, ④ 지하

  • 국내외 미래 전망 사례 29

    공간 정비, ⑤ 접근성 향상을 위한 네트워크 강화와 배후지 연결, ⑥ 주요

    도로와 수로 네트워크 정비, ⑦ 주요 도로, 철도, 수로 네트워크 유지·보수,

    ⑧ 환경의 질 향상, ⑨ 홍수 방지, 지속가능한 식수, 기후변화 대비 도시 개

    발 및 재개발, ⑩ 고유 문화유산과 자연환경 보존, ⑪ 야생 서식지 보존, ⑫

    군사지역 관리, ⑬ 균형 있고 투명한 의사 결정으로 설정하였다.

    네덜란드의 국토개발 2040 비전

    자료: IenM(2012: 6).

    벨기에 플란더스 정부는 2016년에 플란더스 지역의 장기 전략을 제시하

    기 위해 ‘비전 2050(Vision 2050)’을 수립하였다(KB 2016). 인구, 과학기

    술, 환경, 경제, 정치, 사회 부문의 메가트렌드를 도출하고 국가 비전을 달

    성하기 위한 우선 사항을 설정하였다. 인구 증가, 고령화, 저연령화, 인구

  • 30 국내외 미래 전망 사례

    이동, 초고도 과학기술 출현, 기후변화, 자연자원 부족, 세계 경제 중심 이

    동, 산업 변화, 생산자와 소비자의 새로운 관계, 지정학적 관계 변화, 정부

    및 기관 체제 변형, 개인화, 사회 다양성 등을 메가트렌드로 꼽고, 순환 경

    제, 스마트한 생활환경, 4차 산업혁명, 평생교육과 동적인 전문 직업, 보건

    복지, 교통 및 이동성, 에너지를 우선 사항으로 제시하였다.

    오스트리아는 2011년에 ‘모두를 위한 공간’을 주제로 하는 ‘오스트리아

    공간개발 개념(Austria Spatial Development Concept)’을 수립하였다

    (ÖROK 2011). 공간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이슈를 제시하고, 경쟁력,

    연대(solidarity), 지속가능성을 기본 원리로 하는 국토개발 전략 목표를 도

    출하였다. 글로벌 경쟁 심화, 지역 간 상호의존성 증가, 지역 간 통합 가속

    화, 지역 간 경쟁 심화, 지역 불균형, 기능적 특화 지역 출현, 중심지 인구

    증가, 기초 서비스를 위한 사용 공간 증가, 인종 다양성, 고령화 사회, 에너

    지 소비 증가, 교통량 증가, 기후변화, 교통과 정주공간을 위한 공간 사용

    증가, 자연·문화적 자원 남용 등을 공간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트렌드로 제

    시하였고, 콤팩트한 정주 공간 구조, 다중심성 구조, 고도화된 사회기반시

    설 구축, 기능적 상호 연계, 중소 규모 중심지의 네트워크 강화, 농촌 지역

    개발 증진, 지역 특화 잠재력 개발 등을 국토개발 전략의 목표로 삼았다.

    일본은 2014년에 고령화, 인구 감소 등에 대응하여 미래 국토 장기 비전

    과 전략을 담은 ‘국토그랜드디자인 2050’을 수립하여 과 같이

    발표하였다(임상연 2017). ‘콤팩트+네트워크’, 고용과 풍요로운 생활환경

    창출을 기본전략으로 제시하며, 생활서비스 효율적 제공, 거점 기능 콤팩

    트화, ‘작은 거점’ 형성 추진, 고차도시 기능 유지, 관광 진흥, 지역자원 활

    용, 개성이 있는 지역 만들기, 도시 간 네트워크 내실화, 해외 및 타 권역과

    의 연대 강화, 교류인구·물류 증대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이뿐만 아니라

    인구 감소 및 고령화에 대응하고, 도쿄권으로의 인구 집중을 방지하며, 살

    기 좋은 정주 환경을 확보하여 지속가능한 일본 사회를 도모하려는 목적으

    로 2014년에 ‘지방창생전략’을 수립하였고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관련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송미령·심재헌·이정해 2017).

  • 국내외 미래 전망 사례 31

    지방창생전략 장기 비전과 종합전략 개요

    자료: 임상연(2017).

    주요 사업으로 지역 자원을 활용한 일자리 만들기, 빈 가게, 유휴 자원

    활용, 지역경제 견인 사업 투자8, DMO(Destination Marketing Organization)9

    형성 및 지원, 지방대학 진흥, 평생활약마을10, 콤팩트 시티, 작은 거점 및

    지역 운영 조직 형성 등의 다양한 시책을 과 같이 펼치고 있다

    (내각관방 마을·사람·일자리 창생본부 사무국 2017).

    8 성장성 높은 분야에 투자하는 지역의 사업에 예산, 세제, 규제 완화 등의 정책

    패키지를 투입하는 사업으로 약 2,000개의 회사를 집중 지원하여 지역 경제 파

    급 효과를 추구한다(송미령·심재헌·이정해 2017).

    9 지역의 다양한 관계자가 관광 지역을 만들려고 조직한 법인으로 2020년까지

    100개의 법인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10 고령자가 지방으로 이주하여 지역 주민들과 교류하면서 건강하고 활동적인 생

    활을 보내며 살아갈 수 있도록 의료, 사회복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지역 만

    들기를 목표로 한다.

  • 32 국내외 미래 전망 사례

    시가지 확산 및 인구 감소

    대중교통 이용자 감소로사업자 경영악화

    저밀도 시가지 확산

    보건복지・상업 등도시기능 유지 곤란 대중교통 서비스 수준 저하

    저밀도 시가지 확산

    버스노선저밀도 운행

    자가용이주요 이동 수단

    대중교통 공백지역

    콤팩트시티 + 네트워크 생활서비스/거주지 집약 마을만들기/교통네트워크 구축

    도시 유지 가능성확보

    지속안정적인대중교통사업

    거점 지역으로의보건・복지・상업 등의

    도시 기능 유도거점지역에 순환형 대중교통

    네트워크 형성

    거점을 잇는교통 서비스 충실

    커뮤니티 버스 등으로 지선 운영

    대중교통 공급으로거주 유도

    환승 거점 정비

    디맨드형 승합택시 등 도입

    보행공간이나 자전거이용 환경 정비

    입지적 정화계획

    지역대중교통재편 실적계획선순환 실현

    교육

    교통보육 상업

    보건복지

    농림수산업

    에너지

    이주

    관광 문화방재

    생활서비스 유지 확보

    지역의 일자리・수입 확보작은 거점 형성

    주민 주체의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지역운영조직 형성

    인재 육성 및 확보, 자금 확보, 사업 노하우 취득, 법인화

    촉진 등

    우수 사례 확산, 인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