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170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 “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박 시 현 박 대 식 송 미 령 김 정 섭 박 주 영 연 구 위 원 연 구 위 원 연 구 위 원 전문연구원 전문연구원 한국농촌공사 이 석 주 한 경 수 책임연구원

Upload: others

Post on 05-Oct-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C2006-59/2006. 12

농 의 미래 모습, “농 공간 2020”

한국농 경제연구원 박 시

박 식

송 미 령

김 정 섭

박 주

연 구 원

연 구 원

연 구 원

문연구원

문연구원

한국농 공사 이 석 주

한 경 수

책임연구원

연 구 원

Page 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 담당

박시

박 식

송미령

김정섭

박주

연 구 원

연 구 원

연 구 원

문연구원

문연구원

연구 총 , 산업공간으로서의 농 의 미래 망

복지공간으로서의 농 의 미래 망

생활공간으로서의 농 의 미래 망

농 지역 유형별 변화 양상, 시나리오 작성

주요 지표 장기 망

이석주

한경수

책임연구원

연 구 원

농 지역의 미래 모습 형상화

농 지역의 미래 모습 형상화

Page 3: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i

머 리 말

한․미 FTA 상이 진행되면서 우리나라 농업과 농 의 장래가 다시

사회 인 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우리 농업의 장래는 있는가? 지 처럼

인구가 계속해서 감소한다면 우리 농 은 지속가능할까? 미래의 농 공간

은 어떤 모습으로 변할까? 이러한 질문은 이 분야를 연구하는 연구자뿐만

아니라, 정책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사람, 농업인을 포함한 농 주민 모두에

게도 심사가 아닐 수 없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연구보고서는 2020년의 우리나라 농 모습을

망한 결과를 담고 있다. 요즘과 같이 하루가 다르게 세상이 변하는 마당

에 15년 후의 미래를 측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미래학 방법론과

아직 구체 으로는 손에 잡히지 않지만 개연성 있는 논리에 기 한 미래학

상상력을 발휘하여 이 연구보고서를 작성하 다.

농 공간을 산업, 생활, 복지 측면으로 나 어 2020년의 농 모습을 제시

하 다. 이 보고서에서 제시하는 미래 모습이 실 세계에서 그 로 나타날

지는 미지수이지만, 농 정책의 나아갈 길과 정책 수요를 가늠해 볼 수는

있을 것이다. 아무쪼록 이 보고서가 농업과 농 정책 분야의 기 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2006년 12월

한국농 경제연구원장 최 정 섭

Page 4: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iii

요 약

이 연구의 목 은 개연성 있는 미래학 상상력에 기 하여 여러 가지

격한 변화에 직면한 우리나라 농 의 미래 모습을 그려 보는 데 있다. 2020년

쯤의 우리 농 은 어떤 모습으로 남게 될 것인지 살펴 보려는 이 연구의 목표

는 두 가지이다. 첫째, 농업․농 을 둘러싼 여건 변화에 따른 농 의 역할과

비 을 제시함으로써 농 개발에 한 국민 공감 형성에 기여한다. 둘째,

미래 농 의 비 을 실 하기 한 농 지역개발 과제를 설정하고 정책 방향

을 제시한다.

농 의 인구, 농가 소득 등 구할 수 있는 통계자료를 기 로 미래 시 에

서의 주요 지표(농 인구, 농가 소득 등)를 측했다. 그리고 농 의 다양

성을 고려하여 군집분석을 했다. 우리나라 농 지역 시․군을 ‘ 산간 농

지역’, ‘3차산업 성장주도 농 지역’, ‘도시권역 편입 농 지역’, ‘평야지

농 지역’으로 유형화했다. 이 유형화는 지리 으로 다양한 양상을 보일 것

으로 상되는 농 의 미래상을 가 정확하게 포착하기 한 기 작업

이다. 그 다음으로, 농 의 미래와 련된 여러 주제들을 ‘산업공간으로서의

농 ’, ‘생활공간으로서의 농 ’, ‘복지공간으로서의 농 ’의 세 분야로 나

고 련 문가 토론을 연속하여 진행했다. 문가 토론을 통해서 농 의

미래 모습에 한 개연성 있는 망을 도출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문

가 토론 결과에 기 하여 네 가지 농 지역 유형별로 시나리오를 구성했다.

이 시나리오는 앞에서 진행한 여러 작업들을 종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

로서, 2020년쯤 농 지역의 모습을 가상으로 묘사해 본 것이다.

연구의 결과, 상되는 2020년쯤 우리 농 의 모습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

다. 경제 인 에서 본다면, 부분의 농 지역에서 농업은 가장 요한

산업부문이라는 종래의 지 를 잃게 될 것이다. 그런데 지역에 따라서는 특

정 품목을 심으로 하는 농업 클러스터나 과 련된 서비스업 등 새로

Page 5: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iv

운 성장산업이 출 할 여지도 존재한다. 인구 감소에 따라 농 지역 주민들

의 일상생활과 련된 시장 역에서의 서비스 공 은 축되겠지만, 공공

부문의 개입이 증가할 것이다. 특히 서비스에 한 근능력이 떨어지는 계

층을 배려하는 ‘찾아가는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정착될 것이다. 농 마을

내의 소수 청장년 농업인이 업 인 규모로 벼농사를 짓는 모습을 흔히 보

게 될 것이다. 한편, 환경농업은 꾸 히 성장하고 역화된 공간 범 에서

경종-축산 연계 체계가 형성될 것이다. 농가소득 에서 직 지불 등 정

부의 보조 이 차지하는 비 은 지 보다 훨씬 더 커질 것이다. 식품 안

성과 웰빙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수요에 힘입어 농업생산자들의 자발 인

품질 규범들이 다양하게 출 하고 확립될 것이다.

통 으로 자연마을 단 에서 유지되던 농 지역 공동체의 자치 복지

기능은 크게 축소되거나 사라지고, 그 필요를 공공부문의 개입이나 시장을

통해 충족하는 경우가 많아질 것이다.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도․농

혼주화, 외국인 유입, 농업인들의 품목별 분화 등으로 인해 농 지역사회

구성은 더욱 이질화될 것이다.

정주생활 측면에서는, 읍 지역과 면 지역의 불균형이 심화될 것이다. 농

지역 주민들의 일상생활 심지인 읍․면 소재지의 기능이 지역에 따라서

축소되거나 강화되는 다양한 양상이 출 할 것이다. 도시로부터 농 으로의

교통 여건이 개선되는 속도에 비해 농 지역 안에서의 교통여건 개선 속도

는 훨씬 더뎌서, 농 지역 내 교통 약자를 배려한 새로운 형태의 공공 교

통수단이 등장할 것이다. 평생학습 기회는 지 보다 훨씬 더 다양하고 많아

져, 농 주민들의 삶을 윤택하게 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농 에서의

보건의료 수요는 격하게 증가하고 있는데, 그 수요를 농 에서 잘 충족할

수 있는지 여부는 미지수이다.

농 의 주택과 경 의 변화에 가장 큰 향을 요인은 ‘농 마을 해체

와 공동화(空洞化)’이다. 한 공공정책 개입이 없이 지 과 같은 추세로

진행된다면, 경 정체성이 모호한 원주택이 난립하게 될 것이다. 국

으로 도시 권역이 확 되면서 농 마을의 특색 있는 경 이 괴되는 상

Page 6: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v

이 심화될 망이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서는 주민들과 지방자치단체의 자

발 인 노력에 기 한 경 리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될 것이다.

우리 농 의 미래 모습을 잘 가꾸려면, 여러 가지 부문에서 정책 개입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 그러나 다양한 부분이 얽 있는 농 정책을 체계화하

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농 정책의 장기 인 비 확립, 정책 수

립의 기 가 되는 통계자료의 정비, 농 지역에서 실험 으로 진행되고 있는

새로운 시도들에 한 평가와 보완 등 뒤따라야 할 일들이 산 해 있다.

Page 7: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vi

ABSTRACT

"Our Rural Futures 202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icture the features of Korean rural areas around 2020 in consideration of a variety of rapid changes presently facing rural areas based on probable imaginations of the future. To this end, available statistics were collected to predict meaningful trends at a certain time in the future. In parallel, expert discussions were continuously held on diverse themes relating to the future of rural areas. The results of the expert discussions were utilized to draw up scenarios for future lifestyles of rural residents. The findings of the study on the probable look of Korean rural areas by 2020 are summed up as follows: In the majority of rural areas, agriculture would not b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economic activity. In the market areas related to the daily life of rural residents, service supply would be contracted, but due to the frequent intervention in the public sector, the 'service at your doorstep' would appear for the class of people who can not easily access to the services. It would be easy to see only few young and middle-aged farmers work as full-time rice farmers. Meanwhile, organic farming would continue to be revitalized, and the quality protocols would be voluntarily made and established by farmers. Among the components of a farm household's income, the proportion of government subsidies such as direct payment would surge compared to the current level. The autonomous welfare function of rural communities which has been maintained at the village level would be significantly scaled down or disappear. The mixed living of rural and urban residents, increasing immigration, and the segmentation of farmers by commodity will make the rural society more heterogeneous. Within the rural areas, disparities among small towns would be

Page 8: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vii

deepened. The accessibility from the urban to the rural would be dramatically improved. In the meantime, new quasi-public transportation would appear for the rural residents whose access to public transportation is very poor. The opportunities for lifelong learning would become more abundant, greatly contributing to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for rural residents. Although the demand for medical services is rising rapidly, it is in question whether the demand could be satisfactorily met in rural areas. It seems that as the boundary of urban areas expands, the 'destruction of unique landscape of rural villages' would grow severe. However, depending on regions, local residents and governments will make active voluntary efforts to preserve their landscape. To make a better future for rural areas, the government does not need to rush in and use policy interventions in various areas. Instead, it should give a priority to systematically organizing existing rural policies which are complicatedly entangled. Furthermore, there are a plethora of more work to do,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mid/long-term rural policy visions, the complementation of statistical data serving as the basis for policy making, and the assessment and supplementation of new attempts in rural areas.

Researchers: Park Shi-Hyun([email protected]), Park Dae-shik, Song Mi-Ryung, Kim Jeong-Seop and Park Ju-Young

Research Period: 2006. 5 ~ 2006. 12

Page 9: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ix

차 례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과 목 ························································································· 1

2. 연구 방법 ······································································································· 3

제2장 선행연구 검토

1. 21세기 원회, 1992,「미래 망, 2020년의 한국과 세계」························ 8

2. 산업연구원, 2006,「한국산업의 발 비 2020」···································· 9

3. 정부․민간 합동작업단, 2006,「함께 가는 희망한국 VISION 2030」····· 12

4. 국 환경식품농 부(DEFRA), 2004, Rural Futures Project: Scenario build-

ing for twenty year and fifty year futures ················································· 15

5. 국 환경식품농 부(DEFRA), 2005, The Future of Services in Rural

England - a Scenario for 2015 ··································································· 21

6. 네덜란드 농업자연식품품질부, 2004, Agenda for Living Countryside -

Responding to change ················································································· 24

7. 2005 일본 21세기 비 : 새로운 약동의 시 ········································· 25

8. 2030년 일본의 바람직한 모습 ··································································· 27

9. 선행연구 검토 결과 종합 ·········································································· 30

제3장 주요 지표를 통해 살펴 본 한국 농 의 미래

1. 농 의 인구 ································································································· 32

2. 농 의 경제와 산업 ···················································································· 35

제4장 메가트 드와 한국 농 의 미래 여건

Page 10: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x

1. 세계화 ·········································································································· 43

2. 고령화․ 출산 ··························································································· 46

3. 고도 정보화시 의 도래 ············································································ 50

4. 교통의 발달 ································································································· 53

5. 도시화의 진 ····························································································· 56

6. 웰빙을 추구하는 소비생활 확산 ······························································· 58

7. 메가트 드 종합 ························································································· 63

제5장 농 공간의 다양성과 변화 망

1. 농 지역의 유형화 ······················································································ 65

2. 농 지역 유형별 분포 비 을 망하기 한 시뮬 이션 ···················· 72

제6장 이슈별 농 의 미래 망

1. 산업공간으로서의 농 ·············································································· 79

2. 생활공간으로서의 농 ·············································································· 89

3. 복지공간으로서의 농 ············································································ 106

제7장 2020년의 농 주민 생활에 한 몇 가지 시나리오

1. 산간 농 지역 ························································································ 118

2. 3차산업 성장 주도 농 지역 ··································································· 121

3. 도시권역 편입 농 지역 ·········································································· 123

4. 평야 지 농 지역 ·················································································· 126

제8장 미래를 비한 농 정책의 방향과 과제

1. 농 정책의 방향 ························································································ 129

2. 주요 정책 과제 ························································································· 138

참고 문헌 ·········································································································· 154

Page 11: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xi

표 차 례

제2장

표 2-1. 산업연구원,「한국산업의 발 비 2020」이 제시하는 15

메가트 드 ······················································································ 10

표 2-2. 한국 사회 동반성장 패러다임의 내용 ··········································· 14

표 2-3. 국 “Rural Futures Project”의 주요 연구방법과 내용 요약 ······· 15

표 2-4. 국 농 지역의 유형화 결과 ························································ 17

표 2-5. “The Future of Services in Rural England”의 주요 연구방법과 내용 요약·· 21

표 2-6. “The Future of Services in Rural England”의 10 서비스 역별 이슈 ··· 22

표 2-7. 국 농 지역 서비스 수요와 공 에 향을 미치는 변화 요인 ···· 24

제3장

표 3-1. 농 인구 망 ·················································································· 34

표 3-2. 연령별 농업경 주(농가 수) 수 망 ············································ 38

표 3-3. 개방시나리오별 농가인구, 농가 수 망 ······································ 39

표 3-4. 개방시나리오별 작물 재배면 망 ··········································· 40

표 3-5. 개방시나리오별 벼 재배면 망 ··············································· 40

표 3-6. 농업․농 주요 지표 변화와 망 ············································· 41

제4장

표 4-1.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의 변화 추이 ················································· 46

표 4-2. 농 ․농가 노인 인구 련 주요 지표의 변화 망 ················ 48

표 4-3. 메가트 드 내용 요약 ····································································· 63

Page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xii

제5장

표 5-1. 주성분 분석에 의한 요인추출 결과 ··············································· 65

표 5-2. 직교회 시킨 요인행렬 ··································································· 66

표 5-3. 유형별 시․군 목록 ········································································· 69

표 5-4. 주요 변화 동인(driver)의 지역유형별 상 향에 한 가정 ······· 74

표 5-5. 시뮬 이션을 한 가 치 설정 ···················································· 75

제6장

표 6-1. 국의 비 행 교통서비스의 유형 ··········································· 102

Page 13: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xiii

그 림 차 례

제1장

그림 1-1. 연구의 차 ···················································································· 7

제3장

그림 3-1. 총인구․생산가능인구 망 ························································ 32

그림 3-2. 국민연 립 ․노인1명당 부양인원 ······································· 32

그림 3-3. 한국의 장래 노동력 인구의 연령 구성 변화 ···························· 33

그림 3-4. 농 인구 연령별․성별 망(인구피라미드) ····························· 34

그림 3-5. 산업구조 망 ··············································································· 36

그림 3-6. 연령별 농가인구 망 ································································· 37

그림 3-7. 2005년과 2020년의 농가인구 연령별․성별 분포(인구피라미드)

····································································································· 38

제4장

그림 4-1. 농 과 도시 인구의 고령화 추이(1960~2005) ························· 48

그림 4-2. 국토공간구조 변화 망 ······························································ 55

제5장

그림 5-1. 농 지역의 유형 구분 분포 ·················································· 68

그림 5-2. 농 의 변화에 향을 주는 메가트 드와 범 요인의 계 ·········· 73

제6장

그림 6-1. 원주택지로 변화하는 농 마을 ············································· 91

그림 6-2. 소멸해가는 농 마을 ································································· 91

Page 14: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xiv

그림 6-3.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변모하는 농 마을 ································ 92

그림 6-4. 농 마을의 다양한 미래상 ························································ 92

그림 6-5. 남 장흥군 토요시장 ································································· 94

그림 6-6. 독일 농 마을의 카페 ································································ 97

그림 6-7. 독일 농 마을의 도로 ································································ 97

제7장

그림 7-1. 산간 농 지역의 미래 모습 ·················································· 118

그림 7-2. 3차산업 성장 주도 농 지역의 미래 모습 ······························ 121

그림 7-3. 도시권역 편입 농 지역의 미래 모습 ····································· 124

그림 7-4. 평야지 농 지역의 미래 모습 ··············································· 126

제8장

그림 8-1. 농 주택 겸 외지인 민박시설의 1․2층 구조 ······················ 140

그림 8-2. 농 경 의 과거, 재, 미래 ·················································· 145

Page 15: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

제 1 장

서 론

1. 연구 배경과 목

□ 우리 농촌은 새로운 사회적 요구에 직면해 있다.

세계 으로도 유례가 없을 정도로 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를 경험한 우리나

라에서 농 지역은 여러 가지 문제에 노출되어 있다. 게다가 그 미래에 한

망도 불확실하다. 그 동안 지속 인 이 향도를 경험하면서 계속 심화된 농

사회 인구구조의 취약성, 즉 과소화와 고령화의 문제를 단기간에 극복하기는 어

려울 것 같다. 이런 상황에서 농 지역의 요한 경제활동인 농업부문은 세계화

의 흐름 속에서 강도 높은 구조 조정을 요청받고 있다. 여기에다가 획일 생활

환경 정비, 생태환경 훼손, 척박한 문화생활 여건, 지역공동체 해체 등 우리 농

에 된 문제 들은 한둘이 아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농 공간의 다원 기능에 한 국민들의 심이 증가하는

등 ‘농 의 가치’에 한 사회 인식이 바 고 있다. 과거 농 공간은 국민에게

식량을 공 하는 장소로 인식되었지만, 지 의 농 공간은 먹거리의 안 성과

더불어 어메니티(amenity)까지도 제공할 것을 요청받고 있다. 도농격차 심화의

문제나 삶의 질에 한 국민 심 증 등에서 나타나는 최근의 사회 변화는

균형발 차원에서 그리고 장기 망 하에서 농 공간 정책을 체계화할 필요

Page 16: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2

성을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토공간 정책은 체로 도시 심의

근방법을 취하고 있다.

□ 농촌의 장래에 대한 미래학적 상상력과 심원한 비전이 필요하다.

미래의 우리 농 은 지속가능한가? 미래의 농 공간은 어떤 모습으로 달라질

것인가? 이로부터 제기되는 요한 물음들이 있다. 농 공간에 정주하고 있는

지역사회는 어떤 형태로 유지 ․ 재생산되겠는가? 농업구조 변화와 더불어 농 에

서의 생산 활동은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 농 주민들의 라이 스타일(lifestyle)

과 복지 수 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이러한 여러 가지 질문에 한 심원한

비 을 먼 제시해야 할 때이다. 최근 수년 동안 농 정책이 강화되었지만,

장기 이고 종합 인 안목을 갖고 농 정책을 체계화하려는 노력은 이제야 비

로소 시작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배경 하에서, 이 연구는 개연성 있는 논리에 기 한 미래학 상상력

을 발휘하여 우리 농 의 미래 모습을 그려 보는 것을 목 으로 삼고 있다. 구

체 으로는 다음과 같은 세부 연구 목표를 정했다.

○ 농업 ․ 농 을 둘러싼 여건 변화에 따른 농 의 역할과 비 을 제시하여 농

개발에 한 국민 공감 형성을 유도한다.

○ 미래 농 의 비 을 실 하기 한 농 지역개발 과제를 설정하고 정책 방

향을 제안한다.

○ 효율 인 생산공간, 쾌 한 생활공간, 안정된 복지공간으로서의 우리 농

에 한 새로운 비 을 설정하고 신규 사업 분야를 창출하는데 기여한다.

Page 17: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3

2. 연구 방법

2.1. 미래학 연구의 접근방법

□ 미래학 연구에서 활용하는 세 가지 방법

최근 몇 년 사이에 세계 인 기업과 공공 부문의 여러 기 들 사이에 미래 연

구가 확산되고 있다. 미래학 연구의 기원은 ‘Shell and the Rand Corporation'과

같은 기업의 략 계획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한편, 1970년 반 세계 환경문

제와 련하여 이루어진 ‘성장에의 한계(Limits to Growth)’에서 사용된 모델링에

서 미래학의 기원을 찾기도 한다.

미래상을 그려 내기 한 연구에서 활용되는 방법으로는 크게 세 가지 종류가

있다. 첫째는 추세 외삽법이다. 이것은 가장 통 인 방법으로, 과거의 추세를

미래로 연장하는 방법을 말한다. 연구 상의 미래를 결정할 것으로 단되는

주요 요인들의 인과 계를 설정하고 이를 미래로 발 시켜 계량 모형을 통해

망하는 방법이다. 주요 변수들에 한 이론 이고 논리 인 분석에 근거해야

하며, 변수들에 해 신뢰할 수 있는 과거 통계가 있는 경우에 활용할 수 있다.

비교 단기 인 망에 유용하다는 장 이 있다. 그런데 과거에 나타나지 않았

거나 상치 못한 충격 는 새로운 요인을 고려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한계

을 갖는다.

두 번째 방법은 시나리오이다. 이 방법은 주요 변수들에 한 불확실성이 매

우 높을 때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 추세에 한 정성 인 자료를 토 로 다양한

의견을 포함하여 미래로 발 시키는 방식이다. 미래 망에 한 몇 가지 안

들을 제시하고, 가장 한 안을 심으로 분석한다. 그 기 때문에 미래의

불확실성을 포 으로 고려하여 측할 수 있다는 장 이 있으나, 망을 수행

하는 사람의 주 이 개입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객 당 성을 입증하기 어

려운 한계를 지닌다.

세 번째 방법은 델 이에 의한 추론이다. 이 경우, 다수의 문가를 확보하여

Page 18: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4

조사를 수행할 수 있는 여건이 제되어야 한다. 그리고 조사방법 문항 구성

이 결과 도출에 매우 큰 향을 미친다. 조사 과정을 통해 미래 측 결과가 시

험과 확인 과정을 거치게 됨으로써 비교 신뢰할 수 있고, 정량화가 어려운 내

용을 신뢰성 있는 통계로 보여 수 있는 장 이 있다.

□ 미래학은 ‘개연성 있는 상상’을 추구한다.

미래학은 ‘과학 ’이면서 동시에 ‘비과학 ’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Blass, 2003).

체계 인 방법을 활용하여 미래를 구성하려 시도한다는 에서 미래 연구는 차

분하고 냉철한 을 유지하려 노력한다. 이 경우 자료에 한 분석 결과가 이

끄는 논리를 따라가게 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미래 연구 자체가 개연성 있는

미래를 탐색하려는 의지를 갖고 출발한다는 에서, 미래 세 의 복지나 후생에

한 열망의 차원을 갖게 된다.

자의 경우 '순향 측(forecasting)'에 을 두는 반면에, 후자의 경우

‘역향 망(backcasting)’에 을 둔다. 순향 측이 주어진 자료와 분석

결과를 토 로 가능한 한 최 한 개연성 있는 미래를 그리려는 노력이라면, 역

향 망은 거꾸로 바람직한 미래상을 사 에 상정하고 그것이 실 되는데 필

요한 조건들을 밝 내고 목표화하는 데 을 맞춘다. 자의 경우를 다른 말

로 ‘사실 근방법’이라 하고, 후자의 경우를 ‘규범 근방법’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2.2. 본 연구의 접근방법

□ 전문가 토론에 기초한 시나리오 접근방법

이 연구에서 추세 외삽법을 사용하기에는 농 공간의 미래를 결정하는 변인

들 간의 인과 구조가 매우 복잡하며, 가용한 통계 자료들이 많이 부족한 실정

이다. 델 이 기법을 격 으로 활용하기에는 문가 풀(pool)을 구성할 시간

여유가 부족했다. 따라서 시나리오 방식을 으로 채택하되, 다른 방법을 병

Page 19: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5

행했다. 델 이를 체할 수 있을 만한 수 의 심도 있는 문가 토론을 연속

으로 진행하고, 그 결과를 토 로 시나리오를 구성했다.

□ 역향적 전망(Backcasting)보다는 순향적 전망(Forecasting)

농 의 미래를 망하는 목 이 정책 수요를 발굴함에 있는 것은 당연하지만,

규범 근방법을 본격 으로 채택하기에는 국내 여건상의 한계가 존재한다.

규범 근방법을 취한다 하더라도 어느 정도 개연성 있는 망 자료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아직까지 우리나라 농 의 미래에 한 체계 인 연구가 수행된

바 없다. 따라서 기본 인 미래 연구 지식 기반(future knowledge base)도 구축되

어 있지 않다. 규범 근방법을 취한 미래 연구의 정당성은 범 한 이해당

사자들과의 커뮤니 이션 피드백 과정을 통해 확보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연구의 여러 가지 제약 요건으로 인해 방 한 커뮤니 이션 과정을 실행하기

가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 농 의 미래를 탐색하는 최 의 연구라는

에 의미를 두고, 기 인 자료 수집과 연구 방법의 차 타당성을 확보하

는데 주력하려 노력했다.

2.3. 연구 절차

□ 5단계의 연구 절차

5단계의 차에 따라 연구를 진행했다. 1단계는 문헌연구이다. 정책 에

서 농 의 미래를 망한 국, 네덜란드 등 주요 해외 연구사례의 방법론과 내

용을 검토했다. 주로 농 미래 련 주제와 주제별 토론 패 선정의 논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양 분석 기법 용 사례를 고찰했다. 를 들면, 지역 유형

화를 한 군집 분석, 지역 유형별 분포 변화를 망하기 한 몬테카를로 시뮬

이션 등의 방법을 살펴보았다. 해외의 연구 사례에서 델 이 패 토론을

어떻게 진행했는지 그 과정을 악했으며, 미래 시나리오별 기본 가정의 형성과

Page 20: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6

정도 살펴보았다. 그 이후에 뒤따르는 미래 망 자료에 기 한 정책 과제 도출

과정을 악했다. 이 같은 방식으로 선행연구를 고찰함으로써, 농 의 미래와

련하여 다루어야 할 잠정 주제를 결정할 수 있었다.

연구의 2단계는 농 의 변화 동향을 분석하는 일이었다. ‘농 지역’을 구분하

기 한 기 을 결정했으며, 농 의 미래와 련하여 생각해 야 할 주요 주제

들의 과거 수년 간 통계자료를 분석했다. 그리고 시계열 자료와 최근 황 지표

를 토 로 지역을 구분했다.

연구의 3단계에서는 농 지역 유형별로 향후 15년 동안의 미래 변화를 시뮬

이션했다. 농 공간 변화요인을 투입 변수로 하여 몬테카를로 시뮬 이션을 시

도함으로써 지역 유형별 분포를 망해 보았다. 즉, 앞으로 약 15년 뒤 국토 공

간에서 지배 인 치를 차지할 것으로 상되는 농 지역 유형의 특징을 악

하려 시도했다. 그 결과를 다음 단계에서 농 지역 유형별 미래상 시나리오를

작성하기 한 기 자료로 활용했다.

연구의 4단계에서, 농 미래상과 련하여 주제와 변화요인을 확정하기 한

문가 토론을 진행했다. 한국농 경제연구원 내 연구진과 자문 원의 토론을

통해, 다루어야 할 주제들의 합성을 검토했다. 농 의 미래 모습과 련하여

다루어 직한 잠정 주제들의 상 요도를 평가했으며, 아울러 요한 주

제인데 한국농 경제연구원 연구진의 잠정 주제 선정시 락되었을 수도 있

는 것들에 해 논의했다. 그 게 선정한 주제들에 해서, 주제별 변화 요인과

인과 계의 개연성을 검토하고 미래를 망하기 한 문가 토론을 진행했다.

농 의 미래 모습과 련하여 망할 주제들을 ‘생산공간으로서의 농 ’, ‘생활

공간으로서의 농 ’, ‘복지공간으로서의 농 ’의 세 가지 토론 역으로 나 어

각각 문가 패 토론 을 구성했다. 각 역별로 3차례씩 토론했다.

연구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2020년쯤의 우리나라 농 이 어떤 모습일지를 시

나리오의 형식으로 만들어 보았다. 이 ‘농 의 미래 모습 시나리오’는 4단계까지

진행된 연구 결과에 기 한 것이다. 한편, 시나리오를 작성하는데 활용했던 양

․ 질 망 자료들은 우리나라 농 정책의 장기 방향을 제언하는 데에도

활용했다.

Page 21: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7

그림 1-1. 연구의 차

<1단계>

문헌 연구

* 수행 주체: 연구진

* 내용

- 농 의 미래 망과 련된 선행연구 검토

(연구방법, 이슈 등)

- 농 의 미래와 련하여 다루어야 할 주제 잠정 선정

- 통계자료 수집 가능 범 확인

<4단계>

농 의 미래상과 련된

주제 변화요인 확정 을

한 문가 토론

* 수행 주체: 연구진 + 문가 패

* 내용

- 선정된 잠정 주제 검토(통계 측이 가능한 이슈와 그 지 않은

주제의 구분, 주제의 상 요도 평가)

- 농 의 미래와 련하여 다루어야 할 주요 주제 확정

- 상되는 변화의 윤곽 그리기

<2단계>

농 의 과거와 재 변화

동향 분 석 농 지 역

유형화

* 수행 주체: 연구진

* 내용

- 농 지역별로 선정된 주제들 통계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것들을

심으로 과거의 변화 추이 분석

- 변화 추이 분석 결과를 토 로 농 지역을 유형화

<3단계>

농 지 역 유형별 향후의

변화 시뮬 이 션

* 수행 주체: 연구진

* 내용

- 통계자료 확보 가능한 주제별 지표를 토 로 향후의 변화를 농 지

역 유형별로 시뮬 이션

- 양 분석에 기 한 지역 유형별 미래상 안 작성

<5단계>

농 의 미래 상 시나리오

작성 워크

* 수행 주체: 농경연 연구진 + 문가 패

* 내용

- 농 의 미래 시나리오 작성

- 정책 시사 도출

Page 2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8

제 2 장

선행연구 검토

1. 21세기 원회, 1992,「미래 망, 2020년의 한국과 세계」

□ 한국사회의 미래를 포괄적으로 전망

1989년 통령령에 의해 조직된 21세기 원회가 3년간 세미나와 공개토론회

등의 작업을 진행했다. 이것은 당시에 국가발 의 목표와 정책방향을 결정하기

한 것이었다. ‘세계 정세에 한 망’, ‘국제 계에서 주변 국가들의 략 변

화’, ‘한국사회의 변화 망’, ‘과학기술, 국토자원, 인력수 등 하부구조 분야의

국가 략과 정책방향’, ‘정치, 사회, 문화 등 상부구조 분야의 략과 정책 방향’

등 5개 주제로 나 어 한국사회의 미래를 망하고 있다.

이 보고서의 제3부 ‘2020년 한국사회의 모습’의 내용 안에 ‘농업이 다원화되고

농 은 원생활공간으로’라는 제목으로 우리 농업 ․ 농 의 미래 모습을 짧게나

마 망하고 있다. 농업 ․ 농 의 변화에 향을 주는 요인들, 미래 농업 ․ 농 의

모습, 정책과제 등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농업 ․ 농 의 변화에 향을 주는 요인들

- 농산물 시장의 개방과 농업 지원의 감소

- 농산물 소비구조의 변화

- 환경문제의 두

Page 23: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9

- 첨단기술의 발달

- 지방화와 민주화의 진

- 농 정주환경의 변화

- 남북통일의 가능성

○ 미래 농업 ․ 농 의 모습: 농업의 기능 변화와 농 경제의 다원화

- 농 의 식량공 기능은 국민에게 안 식품을 공 하는 식량안보 기능으로

변화할 것이다.

- 농 의 고용유지 기능도 그 역할이 축소 조정되어 농 고령자의 고용유

지를 통한 실업보호 기능이나 지역사회 유지 기능으로 바뀔 것이다.

- 국민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농림어업 부문 비 과 농림어업 취업자의 비 도

크게 어들 것이다.

- 농 경제는 농업 심의 산업구조에서 벗어나 지역이 가진 모든 부존자원

과 잠재력을 다양하게 실 함으로써 새로운 고용기회가 창출되고 소득원의

다원화가 추진될 것이다.

- 농업활동은 문화되고 농 인구는 안정될 것이다.

2. 산업연구원, 2006,「한국산업의 발 비 2020」

□ 한국 산업의 미래에 큰 영향을 끼칠 메가트렌드와 산업구조 전망

2020년 에는 무엇을 해서 먹고 살 것인가? 15년 후에는 어느 산업이 우리 경

제를 이끌어 갈 것인가? 다음 세 에는 어느 분야가 유망한가? 어디에 투자할

것인가? 이러한 질문들에 답하기 하여 시작된 연구이다. 산업연구원은 이

연구를 제1차년도와 제2차년도로 나 어 추진했다. 제1차년도에는 2020년 의

메가트 드를 분석하고, 정량 으로 분석한 산업구조 망을 토 로 사업 환경

변화에 따른 우리의 미래상을 제시하 다. 제2차년도 연구는 선정된 유망산업의

Page 24: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0

세부 발 비 과 망, 그리고 이를 발 시키기 한 정부의 정책과 략을 제

시할 정이다( 재 추진 ).

이 연구의 특징은 다양한 미래 측 방법을 동원했다는 에 있다. 미래 측

을 하여 트 드 분석, 델 이 조사, 계량 인 측 모형에 의한 산업구조 측

등의 방법을 사용했다. 트 드 분석은 련 문가들의 자문과 세미나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여 분야별 담당자가 집필하는 방법으로 추진하 다. 델 이 조사

는 각 분야별로 문가 풀을 구성하여 메가트 드에 한 평가조사와 유망산업

에 한 조사를 실시했다. 그리고 계량 인 측모형을 통해 2020년 산업구조를

망하 다.

□ 15대 주요 메가트렌드

이 보고서는 한국 산업발 여건을 형성하는 근본 조류라 할 수 있는 15

주요 메가트 드를 선정하고 있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분 야 15 메가트 드

세계경제질서의 변화 1) 세계경제의 통합

2) 세계경제의 역학 구도와 비교우 구조의 변동

노동, 자원 경

3) 인구 구조의 고령화

4) 환경과 천연자원 문제의 심화

5) 융시장의 패러다임 변화

6) 경 의 신조류: 지식경 윤리경 의 확산

기술 신의 가속화

7) 디지털․네트워크 기술의 성숙

8) 바이오 경제의 도래

9) IT․BT․NT․신소재 기술의 융합 - 기술의 학제간 통합

10) 새로운 도 : 국가 략기술의 부상

11) 기술패권주의: 표 과 지식재산권

새로운 문화 형성과 신 소비

패턴

12) 수요 조건의 변화와 신 소비패턴

13) 새로운 사회문화 조류의 형성

한국의 특수 상황 14) 남북한 경제 력 통합의 진

15) 지역 신과 균형발

표 2-1. 산업연구원 「한국산업의 발 비 2020」이 제시하는 15 메가트 드

Page 25: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1

미국 아시아 경제의 고성장과 일본, EU의 상 침체가 상된다. 지역별

역학 계 변화의 동인은 인구의 변화와 에 지 문제이며, 국의 부상과 선진

국들의 산업 강국 지속이 상된다.

한국사회의 고령화 고속 진 (2018년 고령인구 비율 14%)이 상된다. 이와

함께 국제 노동력 이동이 불가피하며, 고령화 소비 트 드와 고령친화산업이

부상할 것이다. 고령화의 진 으로 연 자, 재정부담 가 이 우려된다.

한 구조조정과 고령화의 진 으로 내부 고용시장 약화가 상된다. 2020년을 기

으로 총인구가 정 에 이르며, 20~64세 연령층인 부양인구 비 도 정 에 도

달할 것이다.

환경 천연자원 문제의 심화로 산업부문 부담이 가 되지만 과학기술의 진

보가 미래 에 지 환경문제의 희망이다. 개도국 수요 증 에 따른 에 지

천연자원 수 이 불안정하여 신 ․ 재생에 지의 략 요성이 증 할 것이다.

한 환경산업 환경기술이 진 으로 부상할 것이다.

디지털 ․ 네트워크 기술 발 은 사회 분야에 변화를 진할 것이다. 궁극

으로 우리 사회를 정보화 사회에서 유비쿼터스 사회로 변모시킬 원동력이 될 것

이다.

바이오기술의 비약 발 과 바이오 산업 성장으로 인해 2020년경까지 바이

오 경제로 진입할 것이 매우 확실시된다.

고령 소비층의 확 에 따른 수요조건의 변화와 신 소비패턴 정착이 상된다.

안 과 건강을 시하고 감성을 시하는 소비 키워드가 자리 잡을 것이다. 한

편, 소비의 차별화도 진행될 것이다.

동조화되는 세계 문화 속에서 가정으로의 회귀, 사이버 이션 사이버 커뮤

니티의 확 , 삶의 질에 한 가치 증가가 이루어질 것이다. 한편 문화의 역( )

세계주의와 함께 문화 다양성이 확 될 것이다.

지식기반 경제에서의 지역경제의 요성이 부각되는 반면, 수도권의 외연

확장에 의한 단핵형 경제공간 구조로의 재편 가능성이 높다.

Page 26: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2

□ 14대 유망산업 선정

이 같은 거시 인 망에 이어서, 한국의 미래사회에서 요하게 될 14 유

망 산업을 정하고 있다. 산업연구원의 연구에 따르면, 반도체, 자동차, IT, 기계,

화학, 조선 등 우리나라 주력 산업이 2020년 에도 여 히 산업발 의 원동력

역할을 할 것이다. 이와 함께 바이오, 의료 서비스, 콘텐츠, 항공우주, 에 지

련 산업들이 새롭게 성장하는 산업으로 부상할 것으로 망하 다.

3. 정부 ․ 민간 합동작업단, 2006,「함께 가는 희망한국 VISION

2030」

□ 우리 사회의 장기적이고 구조적인 도전 요인들에 대한 대응전략 도출

우리 사회는 출산, 고령화, 성장, 양극화 등 장기 이고 구조 인 도 요

인에 직면해 있다. 인구 감소가 시작되는 향후 10-15년 까지의 응이 우리의 미

래를 좌우하며, 응이 지체될 경우 성장과 분배악화가 심화되어 경제 역동

성과 사회의 안정 기반이 훼손될 우려가 있다. 이 같은 상황 인식에 기 하여,

더 늦기 에 한 세 를 내다보는 장기・종합 책을 수립하고 체계 인 응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시도로써 이 보고서가 작성되었다.

2005년 6월부터 비 2030수립을 하여 한국개발원, 조세연구원, 학 등에서

연구하는 문가 60여 명으로 민간작업단을 구성하여, 60여 차례의 토론 5차

례의 세미나를 개최하여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 다. 그리고 일반 국민, 문가를

상으로 우선 해결과제, 바람직한 미래상 등에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와 민간 문가 합동으로 장기비 략에 한 종

합보고서를 작성하 다. 보고서는 5-10년의 기 시계만으로는 출산, 고령

화, 성장 등 장기 ․ 구조 문제 에 해 응하기가 어렵다는 단 아래 시계

를 2030년까지 확장하 다. 그간의 비 보고서, 논문, 각계 의견을 포 하여 성

Page 27: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3

장 분야와 복지 분야의 장기계획을 포함하 다.

□ 대내적으로는 잠재성장률 둔화, 대외적으로는 무한경쟁에 직면한 한국 사회

이 보고서는 먼 한국 사회의 내외 여건을 망하고 있다. 내 여건으

로는 출산, 고령화가 속하게 진행되고, 잠재성장률이 추세 으로 둔화하며,

양극화 한 속하게 방 으로 확산되며, 낡은 제도와 행이 지속되어 발

의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다. 총 인구는 2020년을 정 으로 감소하며, 2026년에

는 고령 사회로 진입할 것이다. 그리고 기업지배구조, 교육 경쟁력, 정부의 행

정효율 등 사회 기본 시스템이 취약하다는 을 지 하고 있다.

외 여건으로는 세계화 ․ 정보화로 인한 무한 경쟁에 직면할 것이며, BRICs

의 성장은 우리에게 기회와 기로 작용할 것이라고 상하고 있다. 세계

모든 국가가 단일시장으로 통합되는 추세이며 지식 창출 ․ 활용 능력이 신체계

로의 성공 환을 결정하는 핵심요소로 부상할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세계화

․ 정보화의 결과로 나타날 수 있는 소득 불평등, 산업 ․ 기업 ․ 계층간 신 격차가

확 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망하고 있다.

□‘동반성장’, 한국사회 미래의 패러다임

거시 인 망을 한 이후, 문가 281명(이메일)과 일반국민 1,030명( 화)을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일반인은 계층간 양극화 문제를, 문가는

출산 ․ 고령화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국민들 개

인 차원에서의 불안요인으로는 일자리나 사업 등 벌이와 련한 문제가 63%로

가장 높으며, 교육비, 의료비 등 생활비 부담이 60%, 노후 비 39%, 건강 29%

다. 우선 해결과제로 일반 국민은 노후생활 보장, 고용안정 등에, 문가는 핵

심인력 양성, 기술개발 투자확 등에 높은 심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과 같은 여러 가지 자료를 토 로 이 연구는 한국사회 미래의 패러다임으

로서 ‘동반성장 패러다임’을 설정하고 있다.

Page 28: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4

기존 패러다임 동반성장 패러다임

추진 배경탈빈곤

성장과 분배의 고리 작동

양극화 심화

성장과 분배의 고리 약화

정부 역할 성장에 집 성장과 복지의 조화

성장 략양 투입 주․불륜형 성장

정부 주도

신주도형․균형 성장

시장 주도

복지 략가족․공동체에 의존

구호 복지

정부의 역할 제고

미래를 한 투자

투자 물 자본 인 ․사회 자본

표 2-2. 한국 사회 동반성장 패러다임의 내용

이 보고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농업 ․ 농 련 희망 한국의 비 ’ 내용을 요

약하면 다음과 같다.

○ 친환경인증 농산물 생산비율이 2005년 4%→ 2020년 20%→ 2030년 30%로

확 될 것이다.

○ 식품 안 성 등 기 생활안 이 보장되는 사회가 될 것이다.

○ 쾌 하고 건강한 생활이 보장되는 사회가 될 것이다.

○ 경제 으로 안정되고 건강한 노후생활이 가능하도록 은퇴 후 소득보장, 고

용보장, 건강보장, 주거 보장이 이루어지는 사회가 될 것이다.

○ 농어 은 도로, 주택, 상수도 등 생활기반 시설이 구축된 농어 으로 변모할

것이다(상수도 보 률을 2005년 40%→ 2020년→ 76%→ 2030년 80%로 확 ).

○ 농 의 교육 ․ 문화 ․ 복지 서비스도 확충될 것이다.

○ 규모화 ․ 문화를 통해 경쟁력을 갖춘 농어업( 업농 생산 비 , 2005년

30%→ 2020년 60%→ 2030년 79%)의 모습을 보게 될 것이다.

Page 29: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5

4. 국 환경식품농 부(DEFRA), 2004, Rural Futures Project:

Scenario building for twenty year and fifty year futures

□ 미래의 영국 농촌 발전을 위한 새로운 정책 아이디어를 얻기 위한 작업

국 정부는 2002년에 국 농 이 향후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에 한 시나리

오를 검토하기 한 규모 연구를 시작했다. 이 연구의 주요 목 은 미래 농 의

발 과 련하여 새로운 정책 아이디어를 얻는 것이었다. 구체 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 농 변화와 련한 주요 지표의 측치를 산출하고 미

래 시나리오를 구축함으로써, 농 의 미래에 한 지식기반을 구축한다. 둘째, 바

람직한 시나리오를 실 하는데 어떤 정책 개입이 필요한지를 논의하기 한 기

자료를 산출한다. 셋째, 농 의 미래에 한 논의 과정에서 도출된 교훈과 통찰

을 략 정책 결정에 반 한다. 이 연구는 3단계의 과정을 거쳐 진행되었다.

단계 연구방법 주요 연구 내용

1통계자료 분석을 통한

주요 지표 측

∙ 국 농 지역의 최하 행정구역별 과거 10년간 주요 통계 지표 수

집 분석

∙모든 농 지역을 변화의 특성에 따라 7가지로 유형화

∙7가지 유형별 농 지역의 미래 변화 측을 한 모델링(몬테카를로

시뮬 이션)

2시나리오 도출을 한

워크

∙몬테카를로 시뮬 이션 결과를 토 로 7개 지역 유형별 주민들의 삶

의 변화를 상한 안 작성

∙ 문가 워크 을 통해 연구 수행 이 작성한 안 검토

∙각 유형별 지역의 여론지도자와 주민들이 참여하는 워크 을 통해

안 보완

∙ 국 농 체의 변화 방향에 한 3가지 시나리오 도출

∙세 가지 시나리오의 평가를 한 문가 워크

3시나리오 작성 / 시각

형상화

∙2단계의 토론 과정을 거친 결과들을 토 로 시나리오 작성

∙그림 을 통한 시나리오의 구체 ․시각 형상화

표 2-3. 국 “Rural Futures Project”의 주요 연구방법과 내용 요약

Page 30: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6

4.1. 1단계: 통계자료 분석을 통한 주요 지표 예측

□ 통계자료에 기초한‘농촌의 다양성’분석

여기에서는 국 농 의 미래를 망하기 한 기 인 작업으로 방 한 양

의 통계 자료를 포 으로 분석했다. 자료의 공간 범 는 국 내 모든 기

행정구역(district)이며, 시간 범 는 과거 10년간이었다. ‘과거 10년 동안 국

농 지역은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 통계 분석의 목표 는데, 다

음과 같은 14개의 지표를 활용했다.

○ 10년 간 총 고용 변화

○ 경제성장률

○ 10년 간 지식기반 부문 고용 변화

○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

○ 경 자 문직 종사 인구 비

○ 고용 노동력 ‘지식 노동자’ 비

○ 10년 간 거주 인구 변화

○ 평균 총소득

○ 차량 2 이상 보유 가구 비

○ 1,000㎢ 당 국가 지정 문화유 지 수

○ 쾌 성

○ 지역경제에 있어 농림업 비

○ 숙박업소, 음식 수

○ 인구 도

□ 영국 농촌지역을 그 특성에 따라 7가지 유형으로 분류

여러 개의 지표를 토 로 국 농 의 미래를 망할 때 ‘농 의 다양성’을 고

려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래서 앞의 지표들을 토 로 국의 농 지역

Page 31: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7

을 7가지로 구분했다. 유형화를 한 기법으로는 군집분석을 활용했으며, 분류

된 농 지역의 특성은 아래의 표 2-4에 요약한 바와 같다.

유 형 특 징

∙ 해안 어메니티 지역

(Peripheral amenity)

- 해안가에 치한 농 지역, 는 휴양 지역

∙ 깊은 농 지역

(Deep rural)

- 인구과소화 지역

- 소음이 가장 은 지역

_ 지역경제에 있어 농업의 비 이 가장 높음

∙ 은퇴자 휴양 지역

(Retirement reterats)

- 상 으로 인구 도가 높으며, 해안에 치

- 부문 종사 인구와 노인 인구 비 이 큼

∙ 환기 농 지역

(Transient rural)

- 주로 역지방자치단체 도시 심지 주변에 치

- 도시로 통근하는 통근자 비 은 음

- ‘깊은 농 지역’ 는 ‘역동 농 지역’과 인

∙ 역동 농 지역

(Dynamic rural)

- 인구 도는 상 으로 낮으나 경제 으로는 빠른 속도로 성장

- 평균 수 이상으로 조용하며 농업 부문 종사인구 비 이 평균 수

이상

∙ 역동 통근 지역

(Dynamic commuter)

- 국 남동부 도시 주변에 집 으로 치

- 경제 으로 부유한 계층이 거주

- 높은 인구 도

- 은 인구 비 이 큼

∙ 안정 통근 지역

(Settled commuter)

- 역 도시 경계선에 치한다는 에서 역동 통근지역과 유사

- 그러나 변화의 양상이 덜 역동

- 인구 도는 평균 수

표 2-4. 국 농 지역의 유형화 결과

□ 각 유형별 변화 추세를 예측

몬테카를로 시뮬 이션 방법을 활용하여, 이 게 분류된 국 농 각 유형

별로 변화의 추세를 측했다. 각 농 유형이 국 국토에서 차지하는 비 이

어떻게 변화할 지를 살펴보는 것이 시뮬 이션의 목 이었다. 이 시뮬 이션에

투입한 변인들은 11개로서 다음과 같다. 투입 변인들의 상 변화를 범주화( :

증가, 상유지, 감소)하고, 각각의 범주 발생 확률을 국토 체에 해 계산하

Page 3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8

고 있다. 그 게 하여 각 지역 유형별 국토 유율 측치와 그 확률분포를 산

출했다.

○ 체 농 인구 증가율

○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

○ 주택 정책의 규제 정도

○ 교통 결 (node)의 수

○ 정보통신기술 수 과 인 라구조

○ 농림업 종사 인구 비

○ 지식경제부문 종사 인구 비

○ 경 자 문직 종사 인구 비

○ 농 지역에 한 정책사업의 성공

○ 농 지역에서의 부문 성장

○ ‘ 통 인 의미에서의 농 다움(rurality)’에 한 시민들의 태도와 가치

4.2. 2단계: 시나리오 도출을 위한 워크숍

□ 20년 뒤 농촌의 변화를 예상하기 위한 전문가 자문 워크숍과 토론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를 토 로 20년 뒤 농 의 변화를 상한 시나리오

안을 작성하기 한 워크 을 진행했다. 지역 유형별로 문가 을 구성하여

안을 작성하게 했는데, 안 작성 에게는 1단계에서의 몬테카를로 시뮬 이

션 결과가 기 자료로 제공되었다. 시나리오 안의 내용은 ‘향후 20년 간 상

되는 변화의 개 ’, ‘정치, 경제, 사회, 기술의 4가지 측면에서 상되는 변화의

핵심 동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게 작성한 안을 보완하기 해 문가 자

문 워크 과 집단 토론을 진행했다.

앞의 차에서 작성된 안을 3개 문가 에 제공하고, 각 문가 은 ‘농

공간에 한 정책 개입’의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르게 주어지는 3개의 가정

Page 33: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9

하나를 다음의 에서 검토했다.

○ 주어진 가정 하에서 국의 농 지역 유형 어떤 유형의 비 이 커질 것

인가?

○ 지역 유형 간 비 의 변화가 체 농 사회라는 에서 뜻하는 바는?

4.3. 3단계: 시나리오 작성

□ 통계분석과 전문가 토론 결과를 종합하여 영국 농촌의 미래를 그린 시나리오

작성

최종 으로 작성된 3가지 시나리오는 각각 가장 많은 국토 유율을 보이는

농 지역 유형의 미래상에 해 기술하고 있다. ‘시나리오의 기본 가정’, ‘미래상

에 한 반 인 요약’, ‘농 지역 유형의 변화: 20년 뒤 농 지역 유형의 확률

분포’, ’20년 뒤의 농 인구 측치’ 등의 내용이 시나리오와 함께 제시되어 있

다. 다음은 그 시나리오들 하나이다. 시나리오 사례에서 보듯이, 토지이용, 주

택수 상황, 사회통합 분 기, 서비스 수 , 주민의 지역공동체 의식, 교통 인

라구조 등의 내용들이 포 으로 어울려 있다.

‘깊은 농 지역(Deep Rural)'의 2020년 생활상

농 지역에 거주하러 들어와 있는 주민들로부터의 정치 압력, 지방정부의 지역계획 담당

부서에 한 그들의 통제 등으로 인해 지 보다 더욱 엄격한 토지이용 련 정책이 시행될 것이

다. 이러한 정책 환은 역도시화와 단 하려는 반응이라 할 수 있다. 2024년 경 농 지역에 매

력을 느끼는 사회 집단 부분은 이미 농 에 거주하고 있을 것이다. 이 시 에서는 농 에 거

주하러 오는 입 인구와 도시로 나가는 농 의 은 출 인구가 서로 균형을 이룰 것이다.

Page 34: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20

이러한 망 하에서는 우리가 재 역도시화라고 부르는 인구 이동은 부분 단될 것이다.

그리고 지방에서의 서비스 공 확 라든가 소규모 사업체들의 활성화 경향도 멈추게 될 것이

다. 그리고 국제 경쟁 심화로 인해 기업은 도시로부터 농 으로 입지를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국외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농 에서의 제조업과 사무실 지원 기능 역시 국외로 옮겨가게 될

것이다. 이는 소득의 양극화 상을 낳을 것이다.

‘깊은 농 지역’에서도 상 으로 경 이 수려한 곳에서 농활동의 목 은 식품 생산이라

기보다는 경 리에 더 무게 심을 두게 될 것이다. 농업인들은 유럽연합 는 앙정부로부

터 지에서 동물을 방목하는 가로 보조 을 받게 될 것이다. 그들은 한 자신이 소유하지

않은 토지도 리하게 될 것이다. 실제로 많은 토지들을 지역 주민이 아닌 다른 사람들이 소유

하고 있을 것이다. 세컨드 홈, 취미 농자, 환경보호 단체, 련 단체, 물 련 기업 등이

소유한 토지를 지역 농업인들이 리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부분의 가족농들은 농업

경 을 하고 있을 것이다. 여름철 동안에는 객들로 인해 지역이 붐비게 될 것이다. 겨울에

는 훨씬 더 조용할 것이다.

깊은 농 지역을 ‘집’으로 여기지만, 도시에 경제 기반을 유지하며 세컨드 홈을 두고 도시로

출퇴근하는 매우 이동성 높은 문직 종사자 부부들이 살기도 할 것이다. 이들에게 (농업인도

마찬가지이지만) 평일과 휴일의 구분은 더 이상 의미가 없다. 그들의 일주일은 단지 농 에서

보내는 시간(휴식과 사색)과 도시에서 보내는 시간(직업 만남과 사교)으로 구분될 뿐이다. 그

들은 어떤 장소에 있든 세계화된 비즈니스, 문화, 개인 서비스 등에 근한다. 그들의 자녀는

학교에 다닌다.

이 지역의 경제는 내방객들과 도시에 경제활동 기반을 두고 이 지역에서 한시 으로 머무는

주민들의 부(富)에 좌우된다. 이 지역은 아직까지는 인종 으로 다양하지는 않다. 여 히 앵 로

색슨계 백인들이 부분을 차지할 것이다.

‘깊은 농 ’ 지역 경 이 덜 수려한 곳에서는 풍력 발 을 하여 농외소득을 얻는 농업인,

사계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집약 시설 농업을 하는 농업인들이 늘어날 것이다.

이 지역에 사는 주민들의 생활에 향을 주는 핵심 변화요인은 정보통신기술, 경제성장, 농업

에 한 정부의 지원, 농 계획체계의 변화 등이다.

이 지역의 고용 상황이 좋지 않고 입인구들이 기본 으로 유동 인 계층이기 때문에, 지역

에 오랫동안 거주해 온 주민들과 신규 입한 주민들 사이에는 사회 인 마찰도 다소 있을 것

이다.

Page 35: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21

5. 국 환경식품농 부(DEFRA), 2005, The Future of Services in

Rural England - a Scenario for 2015

□ 향후 10년 간 농촌지역 주민들에 대한 서비스 공급과 수요의 변화 예측

이 연구는 2004년 국 정부의 정책 보고서 ‘2004 Rural Strategy'에서 천명한

사회통합 의제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다음과 같은 연구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첫째, 향후 10년 간 농 가구의 서비스 수요 변동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

한다. 둘째, 서비스 공 에 향을 주는 요인들의 변화를 상한다. 셋째, 농 지

역에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의 수 변화 망이 그 달 주체나 수요자에게 어

떤 의미를 갖는지를 밝힌다. 넷째, 그러한 변화의 정책 함의를 도출한다.

이 연구는 다양한 연구방법을 여러 단계에 걸쳐 용함으로써 국 농 에서

의 서비스 수 에 한 미래상을 제시했다. 각 단계별 주요 연구방법과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 표 2-5에서 보는 바와 같다.

단계 연구방법 주요 연구 내용

1 문헌 연구∙ 10 주요 서비스 련 이슈 탐색

∙ 10 주요 서비스의 변화 요인(driver)에 한 선행 연구 검토

2 심층 면

∙ 농 지역 서비스 변화 동향, 이슈 탐색

∙ 변화 요인 가설화

∙ 련 분야 문가, 연구자 59명 인터뷰

3 1차 포커스 그룹 면∙ 2단계에서 도출한 잠정 결론에 한 검토

∙ 4개의 포커스 그룹 운용

42015년경의 시나리오 안

작성∙ 1~3단계 논의를 토 로 안 작성

5 2차 포커스 그룹 면 ∙ 시나리오 안의 타당성 검토

6 시나리오 보완 ∙ ‘정책’의 에서 시나리오 검토 보완

표 2-5. “The Future of Services in Rural England”의 주요 연구방법과 내용 요약

Page 36: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22

10 서비스 역 30 이슈

소매

∙인터넷 자상거래의 등장으로 인해 어떤 아웃렛(outlet)이 가장 큰 리스크에 처

하게 될 것인가?

∙ 형유통업체는 소규모 아웃렛을 계속 유지할 것인가?

∙ 객이 많이 오는 농 지역에서 소규모 향토상품 에 한 수요가 증가하겠는

가?

교육 직업훈련

∙정보통신기술은 얼마나 먼 거리까지 원격교육을 할 수 있겠는가? 정보통신기술

발달로 인해 교실에서의 수업이 어느 정도까지 불필요해지겠는가?

∙농 지역 학교는 얼마나 유지 존속되겠는가?

∙농 지역 학교 는 아동 보육시설은 새로운 농 의 다 -서비스 아웃렛

(multi-service outlet)으로 기능할 수 있겠는가?

우편

∙모든 거주지에 일일이 배송하는 신 집단 배부처를 정하여 그곳에 우편을 배

송하는 경우가 얼마나 늘어나겠는가?

∙국립 우편 서비스는 민간부문의 경쟁 분 기 속에서 어떤 모습으로 변화하겠

는가?

∙우편 서비스의 변화는 재택근무 는 재택 매에 어떤 시사 을 주는가?

∙인터넷 뱅킹으로 인해 농 의 융기 지 이 사라질 것인가?

∙농 지역 우체국을 융기 의 일상 융거래 업무를 어느 정도까지 행하게

될 것인가?

∙ 지 기에서 떨어진 곳에 살지만 자동차를 보유하지 않은 농 주민이

에 근할 수 있도록 어떤 장치가 마련되겠는가?

보건

∙부유하고 나이가 많은 인구 계층이 상당수 농 으로 유입된다면, 농 지역에서

의 보건복지 수요는 어떻게 변화하겠는가?

∙원격지 보건 복지 서비스 달에 있어 지역사회의 역할은 어느 정도까지 확장될

표 2-6. “The Future of Services in Rural England”의 10 서비스 역별 이슈

□ 농촌지역에서 확보해야 할 서비스의 종류와 이슈를 선정하여 중기적인 관점에

서 농촌정책의 방향 설정에 기여

이 연구에서 주목할 부분은 1단계의 문헌 연구와 2단계의 심층면 을 통해 미

래의 농 모습과 련하여 다루어야 할 10 서비스 역 30개 이슈를 선정하

고 있다는 이다. 이 게 10 서비스 역 30개 이슈를 선정하는 것은, 기

인 농 정책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한 것이다.

Page 37: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23

것인가?

∙정보통신기술은 가정에서 환자와 의료 문직 종사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어느

정도로까지 진하겠는가?

사회복지

∙인구 과소화 지역에서 아동 복지 서비스 공 의 양과 질은 어떻게 해야 가장 잘

유지되겠는가?

∙2015년 쯤 농 지역 노인들 건강한 노인과 질환을 앓는 노인의 비는 어떻게

될 것인가? 이는 지역사회 복지에 어떤 시사 을 제공하는가?

∙다 -서비스 아웃렛은 사회복지 측면에서 어떤 역할을 하게 될 것인가?

교통

∙여객 운송에서의 계획, , 고객 리 측면에서 정보통신기술은 어떤 역할을

하게 될 것인가?

∙수요자들은 더 소형 교통수단을 선호하는 추세 속에서 행 인 버스 서비

스가 어드는 재의 경향은 지속될 것인가?

∙농 지역 교통정책에 있어 자원 사자들에게 혜택을 주는 재의 정책은 계속

타당하겠는가?

정보 제공 상담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면 면 에 의한 정보 제공 활동이 어들겠는

가?

∙정보 는 상담을 제공하는 지방의 원-스톱 창구는 어느 정도까지 확 되겠는

가?

∙기업을 하는 사람들로부터의 비즈니스 련 정보에 한 수요는 증가하겠는가?

와 휴양 서비스

∙문화가 변화하면서 별로 매력 이지 않은 농 지역사회의 건축물들은 어

들겠는가?

∙정보통신기술은 가정에서의 와 오락을 얼마나 진하겠는가?

∙ 활동으로서의 쇼핑은 농 지역에 소재한 아웃렛에 어떤 향을 미치겠는

가?

긴 서비스

∙의료, 소방, 경찰 등의 긴 서비스 분야에 있어 지역사회는 어떤 역할을 맡아

참여하게 될 것인가?

∙농 지역 고객과 도시 지역 문인력 간의 신속한 커뮤니 이션을 진함에 있

어 정보통신기술은 어떤 역할을 수행할 것인가?

∙다 목 아웃렛을 통한 면 면 방식의 서비스 달과 이동통신을 활용한

서비스 달 어떤 것이 더 많이 활용되겠는가?

□ 농촌지역의 변화를 일으키는 중범위 수준의 요인을 가설화

이 연구에서 주목해야 할 두 번째 부분은, 농 지역의 변화를 일으키는 범

수 의 변화 요인(driver)과 상되는 결과를 가설화하고 있다는 이다. 즉,

Page 38: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24

문헌연구를 통해 악된 변화 요인들을 농 지역 서비스의 수요와 공 두 측면

에서 작용하는 것들로 구분하고, 문헌연구를 통해 악한 추세에 기 하여 미래

의 농 지역 서비스 수 에 어떤 향을 미칠 것인지를 상하고 있다.

수요 측면 공 측면

∙농 지역의 인구사회학 변화

∙문화 변화

∙농 가구의 가처분 소득

∙개인 이동성 커뮤니 이션 능력 증

∙정부 정책

∙가정에 기 한 농 비즈니스 사업체의 서비스

수요

∙방문객과 객들의 서비스 수요

∙인구 증가

∙인구 증가율보다 더 빠른 농 가구수 증가

∙텔 워킹의 증가

∙지역 밖으로의 통근자 비율 증가

∙가치 의 변화

∙네트워크 사회

∙자동차 문화

∙‘농업인에서’ ‘농 기업가’로의 변화

표 2-7. 국 농 지역 서비스 수요와 공 에 향을 미치는 변화 요인

6. 네덜란드 농업자연식품품질부, 2004, Agenda for Living

Countryside - Responding to change

□ 네덜란드 농촌에 대한 2013년까지의 비전과 주요 정책의제를 제시

이 보고서는 네덜란드 농 에 한 2013년까지의 비 과 주요 정책 의제를 제

시하고 있다. ‘제1부 비 ’과 ‘제2부 다년도 정책 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네덜란드 ‘국가 공간 계획 정책(National Spatial Planning Policy)’의 틀 안에서 농

에 한 기 비 , 주요 정책 의제, 목표, 로그램을 제시하고 있다. 농업 ․자연 ․ 식품품질부, 주택 ․ 공간계획 ․ 환경부, 교통 ․ 공공사업 ․ 수자원 리부, 내무

성, 보건 ․ 복지 ․ 체육부, 사회 ․ 고용부, 재무부, 국방부 등 네덜란드 앙 정부부

처 부분이 연구에 참여했다.

이 보고서는 농 발 을 한 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역할 변화를 망하고

있으며, 아울러 EU 공동농업정책의 틀 안에서 네덜란드 농 정책의 변화까지

Page 39: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25

도 검토하고 있다. 국가의 지속가능한 발 이라는 측면에서 본 농 지역의 기능

과 그 의미를 상기시키며 다음과 같은 향후의 정책 의제를 도출하고 있다.

○ 농 경제의 변화 망과 정책 의제

○ 농 주민의 삶의 질과 지역 주민의 참여와 련된 망과 정책 의제

○ 농 지역의 자연 경 에 련된 망과 정책 의제

7. 2005 일본 21세기 비 : 새로운 약동의 시

□ 2030년, 일본이 지향해야 할 모습과 피해야 할 모습을 시나리오로 작성

일본 총리부 소속의 경제재정자문회의에서 2004년 9월「일본 21세기 비 」

에 한 문이사회를 설치하여 경제재정 망, 경쟁력, 생활 ․ 지역 로벌화 4개

분야의 작업반을 만들어 보고서를 작성하 다. 2030년도의 일본이 지향해야 할

모습을 그리고 있다. 2030년을 목표로 하되 문제에 따라서는 그보다 장기 인

에서 망하고 있다. 보고서는 시 의 흐름 속에서 피해야 할 시나리오와

지향해야 할 장래상으로 구분하고 있다.

□ 고령화, 세계화, 정보화를 시대의 흐름으로 규정

이 보고서는 ‘인구감소 고령화’, ‘세계화의 진 ’, ‘정보화, 지 가치

시, 문화의 매력’ 등 3가지를 시 의 흐름으로 악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2030

년도에 인구가 약 1,000만 명 감소할 것으로 망된다. 특히 지방 심도시에서

1시간권 밖의 지역과 인구 규모 3만 명 미만의 시정 에서 약 20%의 인구가 감

소할 것으로 상된다. 인구 5인 1명이 75세 이상이 될 것이다.

그리고 세계화의 진 에 의해 국가 간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BRICs의 향력

이 확 될 것으로 망하고 있다. FTA 등에 의한 지역경제통합이 활발하게 진행

될 것이며, 특히 2010년 에 속하게 진 될 것이다. 지구온난화 문제에

Page 40: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26

한 응과 에 지의 안정 확보가 세계 인 요 과제로 두할 것으로 망하

고 있다.

한편, 정보화의 진 에 의해 일, 삶, 인간 계 방식이 크게 변화할 텐데, 가치

를 공유하는 이웃 만들기가 쉬워질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지 가치와 문화

가치가 존 되는 사회가 도래할 것으로 망하고 있다. .

□‘열린 문화 창조’,‘장수하는 사회’,‘풍요로운 공간’이라는 3대 비전 제시

이 보고서가 제기하고 있는 피해야 할 시나리오는 무엇보다도 경제성장의 정

체 내지 축소 시나리오이다. 그런 상황에서는 풍부한 재원을 바탕으로 이 공

공 서비스를 계속 제공하고 에 한 의존도가 변하지 않는다. 세계화에 뒤쳐

진다. 결국 희망을 갖지 못한 사람이 증가하고 사회가 불안해질 것이다.

반 로 지향해야 할 시나리오로서 「열린 문화 창조 국가」, 「시간 기다림이

즐거운 건강수명 80세」, 「풍요로운 공간」이란 3개의 비 을 설정하고, 각 비

별로 다시 3개씩의 미래상을 제시하며, 각 미래상을 실 하기 한 략과 행

동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농업 ․ 농 과 련한 략 행동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제시되었다.

○ 의욕과 능력을 겸비한 후계자를 상으로 직 지불제를 실시하며, 농업이

산업으로서 기능하도록 효율성과 경쟁력을 높인다. 고품질의 농산물과 식

품을 세계에 수출한다.

○ 국의 그라운드 워크와 같이 주민 ․ 기업 ․ 행정이 트 쉽을 구축하여 지

역 문제를 해결한다. 이러한 에서 지역사회 정 체결을 유도한다.

○ 지역사회나 기업의 력을 얻어 등학교나 학생이 장 체험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 지방분권을 철 히 하고 지역주민 스스로 단하여 최 행정을 선택할 수

Page 41: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27

있도록 한다. 이를 해 국가 보조사업의 범 를 폭 축소하여 지방공공

단체 스스로 책임을 지는 사업을 실시한다.

○ 국가와 지방 간의 계를 재정립하고 도주(道州)제를 실시한다. 기 자치

단체를 인구 30만 명 정도의 규모로 한다.

○ 농 지역에서는 개성과 다양성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한다. 산간 지역에서

농지로 이용이 곤란한 토지에 해서는 국토 보 , 자연환경보 등의 공

익 기능을 가진 산림으로의 환을 유도한다.

○ 방재의 문제가 있거나 하게 인구가 감소하여 커뮤니티의 유지가 곤란

한 지역에 해서는 주민 거주 이 을 국가가 극 으로 지원하여 집락

재편을 행한다.

8. 2030년 일본의 바람직한 모습

□「일본 21세기 비전」을 바탕으로 2030년 바람직한 국토의 모습을 시나리오로

작성

일본은 2007년부터 인구 감소가 시작되고 지방 소도시가 쇠퇴하며, 지역사

회의 유지가 곤란한 지역이 확 되며, 삼림과 농지가 황폐화되는 문제가 심각하

게 두하고 있다. 한 국제 으로는 동아시아가 속하게 부상하여 일본이 21

세기에도 경제사회 으로 활력을 유지하기 해서 동아시아와 새로운 계를

설정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 도래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 정부는 종래의 개발 주 국토정책과는 다른 새로운 발

상의 국토정책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단하고 2030년도의 일본의 바람직한

국토 모습을 구체 으로 검토하 다. 2030년 일본사회가 지속가능하다는 것을

Page 4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28

제로 여러 가지 외부 요인에 의해 변화하는 일본 사회를 4개의 시나리오를 통

해 악하고 있다. 이 4개의 시나리오는 향후 일본의 장기 국토계획 작성의 기본

틀로 작용할 것이다.

이 연구의 특징은 규범 근방법을 취하고 있다는 에 있다. 즉, 상에 기

하여 장래를 측하는 기법(forecasting)이 아니라 미래를 먼 상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한 방법을 찾는 기법(backcasting)를 이용하고 있다. 즉 거시 인 조

건에 기 하여 이상 인 미래상을 상정하고, 재를 뒤돌아보는 기법이다. 이상

인 미래상과 재의 격차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이것에 기 하여 미래상을 실

하기 한 행동 방안을 명확히 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1997년 스웨덴의 환경

보호성이 “Sustainable Sweden 2021”보고서를 작성할 때 사용되었다.

8.1. 시나리오 1: 환경과 농업을 중시하는 시나리오

2030년 경, 일본인의 가치 이 크게 변하여 가처분 소득이 아니라 가처분 시

간을 시한다. 인구는 도시에만 몰려 사는 것이 아니고 당하게 분산하여 거

주한다. 정 규모의 콤팩트 도시와 그 주변에 펼쳐지는 풍요롭고 활기찬 농산

이 분산 거주의 핵심이다.

식량자 율은 약 70%에 달하며 임산물은 100% 자 한다. 농지와 산림은 농업

이나 임업 생산에만 사용하지 않고 다면 기능을 발휘한다. 일본은 여 히 공

업국이지만 환경기술 면에서 세계를 선도한다. 환경과 농업을 시함으로서 일

본은 지속 인 사회를 유지하며 자원 면에서도 자립국이 된다. 부가가치가 높은

일본의 농산물은 해외에서도 인기가 높다.

8.2. 시나리오 2: 동아시아 경제발전 시나리오

2030년, 일본은 로우(flow)경제에서 스톡(stock)을 시하는 사회구조로 변

Page 43: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29

함에 따라 필요 자원량이 폭 감소하여 자원 면에서 자립을 한다. 그 결과, 일본

인의 노동시간과 자원 사용량이 감소하고 개개인의 생활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

다. 일본이 가지고 있는 집단주의가 붕괴된다. 개인을 존 하고, 개인의 자유와

권리가 신장된다. 이성에 한 이해가 깊어지고 분산휴가가 진 되고, 양보다 질

을 시하며, 큰 것이 좋다는 가치 에서 탈피한다.

동아시아 경제는 성장을 계속하고, 특히 국의 경제 규모는 일본을 앞지를

정도로 성장한다. 동아시아 역내에서의 경제의존도가 높아지지만 자원을 둘러싼

경쟁과 긴장이 높아지는 경우도 있다. 이 과정에서 자원 효율성, 신에 지를 포

함한 환경기술이 뛰어난 일본은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아시아 경제에서 그 존

재감을 유지한다. 일본은 양보다 질을 추구하는 성숙한 국가이다.

일본의 인구는 감소하여 국토 체 으로 여유가 있다. 동권에는 여 히 인

구가 집 되지만 동아시아 경제권의 심이 될 상해와의 치를 활용해 규슈

등의 요성이 높아진다. 그 외 지역은 정 규모의 컴팩트 시티가 국에 분산

한다.

8.3. 시나리오 3: 다양성 사회 시나리오

2030년 일본 사회의 키워드는 다양성이다. 인종, 성별, 연령 등에 계없이 모

든 사람들이 자기의 능력을 최 한 활용하는 사회가 된다. 외국인에게도 매력

으로 변한 일본 사회는 아시아 등의 해외에서 오는 유학생과 취업자가 증가하여

인구의 20%는 외국인이 하고 있다.

노동 스타일이 효율 으로 변함에 따라 8시간 근무제가 정착되고, 자연의 리

듬에 맞추어 자연과 공생하는 자원순환형 사회가 된다. 다양한 가치 을 가진

사람들이 서로 상 의 문화와 사고방식을 존 해 주는 가운데 세계의 평화, 빈

곤퇴치에 공헌하는 일본이 된다.

Page 44: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30

8.4. 시나리오 4: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시나리오

2030년 일본에는 개성있고 좋은 커뮤니티가 넘친다. 좋은 커뮤니티란 사람들

이 자 심과 아이덴티티를 가진 지역사회이다. 앙집권형이 아니고 자율 인

정 규모의 커뮤니티가 서로 향을 주고 받는다. 그 에 큰 것은 컴팩트 시티

라고 불리는데, 지역 체를 걸어서 돌아다닐 수 있는 규모로 유럽의 시골 소도

읍 같은 것이다.

각 지역별로 자연조건에 알맞은 자연에 지를 활용하고 가 커뮤니티 내

에서 자 자족을 하는 사회이다. 모든 지역사회가 자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커뮤니티 간의 연 와 제휴가 이루어진다. 커뮤니티 에는 다양한 사람

들이 공존하고 있어서 어린이는 자기 부모만이 아니고 커뮤니티 사람들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커뮤니티를 만드는 것은 행정의 일만이 아니다. 여

러 종류의 섹터가 공존하면서 력하여 만든다. 본래 의미의 자치가 실 되는

것이다.

9. 선행연구 검토 결과 종합

□ 미래를 전망하기 전에 농촌공간의 다양성을 고려

이상과 같은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도움이 될

다음과 같은 시사 을 얻었다. 첫째, 2020년의 시 을 상하는 이 작업은 농

공간의 다양성을 고려하면서 미래를 망하는 일이 되어야 한다. 우리 농 의

미래 모습을 그린다고 할 때, ‘우리나라 농 ’이라고 일의 으로 규정하는 것은

다양한 패턴으로 변화할 가능성을 배제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따라서 국

의 “Rural Futures Project” 사례에서 보듯이, 농 지역의 특징들을 고려한 유형화

를 제로 연구를 수행하 다.

Page 45: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31

□ 농촌의 미래상과 관련된 주요 이슈들을 적절하게 선정

둘째, 농 의 미래상과 련한 주요 이슈들을 하게 선정해야 한다. 농

공간의 포 인 미래상을 그려내는 것은 매우 방 한 작업이 될 것이다. 그

다고 해서 “The Futures of Services in Rural England” 연구 사례에서 보듯이 특정

한 분야에만 집 하는 것 한 연구의 범 를 제한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생산 공간, 생활 공간, 복지 공간으로서의 세 측면을 반 으로 조망할 수 있는

이슈를 선정하되 그 수를 하게 안배했다. 따라서 이슈 선정에서도 다양한

분야 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했다.

□ 메가트렌드와 중범위 수준 변화요인의 관계를 고려

셋째, 메가트 드와 범 수 의 변화 요인(drivers)의 계를 고려해야 한

다. 선정된 이슈는 ‘변화 요인’에 의해서 향을 받는다는 가정 하에, 주요 변화

요인들을 도출할 필요가 있었다. 이는, 앞서 살펴본 국의 선행 연구 모두에서

활용하고 있는 근방법이다. 가설 인 형태라 하더라도 메가트 드와 변화요인

과 농 의 미래 모습 사이에는 인과 인 설명이 가능해야 한다.

□ 양적 접근방법과 질적 접근방법의 적절한 결합

넷째, 양 근방법과 질 근방법을 하게 결합할 필요가 있었다. 본

연구는 농 의 미래 모습과 련된 지표들의 기계 인 측치에만 의존하지도

시나리오 작성자들의 주 인 망에만 의존하지도 않았다. 지표들의 측에만

지나치게 을 둘 경우, 농 의 미래 모습을 가시 으로 표 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시나리오 작성 과정에 주 이고 질 인 단에 지나치게 의존할 경우

미래 모습 망의 과학 타당성이 제약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소 복잡하고

방 하더라도, 국의 “Rural Futures Project” 사례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양

근방법과 질 근방법을 결합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Page 46: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2

그림 3-1. 총인구․생산가능인구 망 그림 3-2. 국민연 립 ․노인1명당 부양인원

제 3 장

주요 지표를 통해 살펴 본 한국 농 의 미래

1. 농 의 인구

□ 우리나라의 전체 인구는 2020년 정점을 이룬 뒤 감소, 고령화 심화

우리나라의 체 인구는 2020년에 4,996만 명으로 정 을 이룬 뒤 감소하기

시작하여 2030년에는 4,933만 명이 될 것으로 상된다. 그리고 낮은 출산율, 평

균수명 연장, 베이비붐 세 의 고령 연령 진입 등으로 인해 한국사회는 향후

속하게 고령화될 것이다. 2005년 우리나라의 고령인구 비 은 9.4%로, 선진국

의 15.3%보다는 아주 낮은 편이었다.

출처: 정부․민간 합동작업단. "함께 가는 희망한국 vision 2030". 2006.

Page 47: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33

그러나 우리나라는 2000년 고령인구 비율이 7%인 고령화사회1에 도달한 이후

18년 만인 2018년에는 동 비율이 14%인 고령사회에 도달하고, 그로부터 불과 8

년 후인 2026년에는 고령인구 비율이 20%인 고령사회에 도달하는 등 고령화

속도가 단히 빠르다는 에 주목해야 한다.

생산가능 인구(15세~64세)는 2016년을 정 으로 감소하기 시작할 망이다. 특

히 왕성하게 일해야 할 25~49세 핵심 노동력의 비 이 지속 으로 어들 것이다.

34,577 35,740 35,950

24,416

0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2005 2010 2020 2050

15~24세 25~49세 50~64세

59.5%

20.0%

20.5%

56.8%

18.3%

24.9%

50.7%

16.3%

32.9%

47.0%

15.4%

37.6%

명, %

년도

그림 3-3. 한국의 장래 노동력 인구의 연령 구성 변화

자료: 통계청

□ 2020년 농촌인구의 비중을 결정할 중요한 변인은 현재의 정책

비 으로 망한다면 농 인구2는 2005년 8,703,735명에서 2020년 6,497,364

명으로 감소할 망이다. 체 인구 가운데 농 인구의 비 은 2005년 18.0%에

서 2020년에는 13.0%로 감소할 것으로 망된다. 그러나 최근에 증가하기 시작

한 도시민의 농 정주 수요를 고려한다면, 가장 낙 으로는 2020년경에 이미

1 고령화사회는 65세 이상 인구비 이 7% 이상인 사회이며, 고령사회는 그 비 이 14% 이상인 사

회이다.

2 농 인구를 읍 ․ 면에 거주하는 인구로 정의하 으며, 코호트법에 의하여 망하 다. 기 년도의

인구에 생태 인 요인(출생률, 생잔률)과 사회 인 요인(이 률)을 용하여 다음 해의 인구를

망했다. 망된 인구와 실측치 간의 차이가 이 인구이다.

Page 48: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34

농 인구 비 이 20%를 넘어 있을 것이라는 망도 있다(송미령 ․ 성주인,

2006). 따라서 재의 농 정책은 미래의 농 인구 상황을 결정할 요한 요인

이다.

2005 2010 2015 2020

농 인구 8,703,735 7,984,482 7,243,790 6,497,364

비 (18.0) (16.2) (14.5) (13.0)

국 인구 48,294,143 49,219,537 49,802,615 49,956,093

표 3-1. 농 인구 망단 : 명

□ 농촌지역의 저출산 ․고령화 심화

농 지역의 출산 ․ 고령화가 심화될 것이다. 0~4세의 농 인구는 2005년

414,343명에서 2020년 141,385명으로 66% 가까이 감소할 것으로 망된다. 같은

기간 동 연령 의 국 인구가 2,544,935명에서 1,914,239명으로 약 25% 감소하

는 것과 비교할 때, 매우 빠른 속도의 감소이다.

400,000 200,000 0 200,000 400,000 명

남여

85세 이상 80-84세 75-79세 70-74세 65-69세 60-64세 55-59세 50-54세 45-49세 40-45세 35-39세 30-34세 25-29세 20-24세 15-19세 10-14세 5-9세 0-4세

2005년

그림 3-4. 농 인구 연령별․성별 망(인구피라미드)

Page 49: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35

400,000 200,000 0 200,000 400,000명

85세 이상 80-84세 75-79세 70-74세 65-69세 60-64세 55-59세 50-54세 45-49세 40-45세 35-39세 30-34세 25-29세 20-24세 15-19세 10-14세 5-9세 0-4세

여 남

2020년

농 인구 가운데 65세 이상의 고령인구 비 은 2005년 18.1%에서 2020년

30.0%로 증가하여 고령사회가 될 것이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 체의 고령인

구 비 이 9.4%에서 15.7%로 증가하는 것을 감안할 때, 농 인구의 고령화가 더

욱 빠르고, 강도 높게 진행됨을 알 수 있다.

2. 농 의 경제와 산업

□ 잠재 GDP 성장률 4%대로 낮아질 전망

우리나라의 잠재 GDP 성장률은 낮아질 망이다. 1980년 7% , 1990년

6% 를 유지해 온 우리 경제의 잠재 GDP성장률은 생산인구의 증가세 둔

화와 생산요소의 투입 증가율 둔화로 2005~2020년에 4% 로 낮아질 것이다.

농림어업과 제조업 비 은 낮아지고, 서비스업 비 이 지속 으로 높아질

망이다. 농림어업 부문의 국제경쟁력은 약화되고 시장개방 확 에 따른 가 농

산물 수입이 증가하면서, 체 으로 낮은 성장세를 기록할 것이다. 농림어업의

비 은 2004년 3.7%에서 2010년 2.5%, 2020년에는 1.6%로 크게 낮아질 것으로

Page 50: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36

망된다. 제조업 상품의 상 가격이 지속 으로 하락할 것이다. 그리고 비용우

유지를 목 으로 하는 부가가치 공정의 해외 이 과 주요 수출상품의 지

생산은 계속해서 확 될 것이다. 그리하여 GDP 제조업 부문 비 은 2004년

에 28.7% 던 것이 2010년에는 27.1%, 2020년에는 25.2%로까지 차 작아질 것

이다. 서비스업은 경제성장률 둔화에 따라 증가율이 다소 둔화되겠지만, 제조업

의 외주화와 경제의 서비스화로 국내총생산의 성장률을 상회할 것으로 상된

다. 그 비 은 2004년 55.5%에서 2010년 58.7%, 2020년에는 62.3%까지 증가할

것이다.

0

10

20

30

40

50

60

70

농림어업 3.7 2.5 1.6제조업 28.7 27.1 25.2

서비스업 55.5 58.7 62.3

2004 2010 2020

그림 3-5. 산업구조 망

□ 농업의 상대적 비중 지속적 축소

이에 따라 농업이 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 은 지속 으로 낮아질 것으

로 망된다3. 2005년에 우리나라의 GDP 농업 부문이 차지하는 비 은 2.9%

는데, 2030년에는 1~2% 수 으로 낮아질 망이다.4 농가인구의 비 도 선진

국의 사례와 같이 2~3% 수 으로 감소할 것으로 망된다.

3 농림어업을 합친 수치이다.

4 1인당 국민소득이 3만 달러를 넘는 선진국의 GDP 농업 비 은 1~3%이다.

Page 51: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37

□ 농업인력 감소 및 고령화 지속

농업인력 감소 고령화 경향이 더욱 심화될 것이다. 농가인구는 2005년 343

만 3000명에서 2020년 161만 1000명으로 2005년 비 50% 이상 감소할 것이다.

체 인구 가운데 농가인구가 차지하는 비 은 2005년 7.1%에서 2020년 3.2%로

감소할 것이다.

0

500,000

1,000,000

1,500,000

2,000,000

2,500,000

3,000,000

3,500,000

65세이상

40-64세

20-39세

19세미만

65세이상 1,007,442 955,908 827,971 642,695

40-64세 1,393,909 1,056,588 842,316 657,184

20-39세 517,649 346,378 286,417 206,143

19세미만 514,000 355,306 253,265 154,238

2005 2010 2015 2020

29.3

40.6

15.1

15.0 13.1

12.8

38.9

35.2

11.513.0

38.1

37.5

39.9

40.8

12.89.6

1,611,390

3,433,000

2,714,180

2,209,969

그림 3-6. 연령별 농가인구 망

그리고 농가인구 65세 이상 연령층이 차지하는 비 은 2005년 29.3%에서

2020년 39.9%로 차 증가하는 등 고령화가 지속될 것이다. 한 고령층의 농가

인구 가운데 여성의 비율이 높은 상은 2020년까지도 지속될 것으로 망된다.

농가 수 역시 2005년 127만 3000호에서 2020년 757만 628호로 감소하여 2020년

의 농가 수는 2005년의 약 60% 정도가 될 것으로 망된다. 게다가 60세 이상의

농업경 주 비 은 2005년 60.4%에서 2020년 80.3%로 크게 증가할 것이다. 즉,

2020년에는 농업경 주 10명 가운데 8명 정도는 60세 이상의 연령계층일 것이다.

Page 5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38

그림 3-7. 2005년과 2020년의 농가인구 연령별․성별 분포(인구 피라미드)

300 200 100 0 100 200 300

남자 여자

80세이상

75세

70세

65세

60세

55세

50세

45세

40세

35세

30세

25세

20세

15세

10세

5세

0세

300 200 100 0 100 200 300

남자 여자

80세이상

75세

70세

65세

60세

55세

50세

45세

40세

35세

30세

25세

20세

15세

10세

5세

0세

표 3-2. 연령별 농업경 주(농가) 수 망단 : 호

구 분 15-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이상 합계

2005년 1,691 31,375 183,808 286,616 460,413 309,097 1,273,000

(0.1) (2.5) (14.4) (22.5) (36.2) (24.3) (100.0)

2010년 515 10,219 98,546 244,970 359,490 354,811 1,068,552

(0.05) (1.0) (9.2) (22.9) (33.6) (33.2) (100.0)

2015년 305 2,959 42,203 216,222 334,944 315,611 912,244

(0.03) (0.3) (4.6) (23.7) (36.7) (34.6) (100.0)

2020년 210 1,153 15,715 132,496 323,015 285,039 757,628

(0.03) (0.2) (2.1) (17.5) (42.6) (37.6) (100.0)

주: ( )안의 수치가 비 임.

Page 53: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39

한편 DDA와 FTA 등 개방화를 고려할 경우, 농가인구와 농가 수는 더 큰 폭으

로 감소할 것이다. 앞에서 제시한 수치는 재의 추세 로 변화할 것이라는

제하에 망한 수치이며, DDA나 FTA 타결에 따른 농업 환경 변화를 고려할 경

우 농가인구와 농가 수 모두 감소추세가 더욱 심화될 것이다. 특히 한미 FTA가

타결될 경우 2020년의 농가인구는 153만 4000명으로, 농가 수는 68만 6000호로

감소할 것으로 망된다.

농가인구 농가 수

BASE1)

DDA개도2)

DDA선진3)

한미FTA4)

BASE DDA개도 DDA선진 한미FTA

2005 3433 3433 3433 3433 1273 1273 1273 1273

2010 2714 2720 2720 2711 1069 1069 1069 1068

2015 2210 2191 2139 2130 912 908 893 890

2020 1611 1589 1547 1534 758 717 686 686

표 3-3. 개방시나리오별 농가인구, 농가 수 망단 : 천 명, 천 호

주 1. 재의 추세 로 변화할 것이라는 제 하에 망함.

2. DDA 상 결과 개도국 지 를 인정받을 경우를 망함.

3. DDA 상 결과 선진국 지 를 인정받을 경우를 망함.

4. 한미 FTA가 타결될 경우를 망함.

□ 경지면적 및 재배면적 지속적 감소

농업인력 감소 농업 부문의 비 감소에 따라 경지면 과 재배면 도 지속

으로 감소할 것이다. 특히 DDA와 FTA 등 상 결과에 따라 감소추세가 달라

질 것으로 보인다. 재 추세 로 진행될 경우 2005년 경지면 은 182만 4000

ha에서 2020년 148만 1000ha로 2005년 비 약 80%의 경지가 유지될 것으로

망된다. 한미 FTA가 타결될 경우에는 감소추세가 더욱 심화되어, 2020년의 경지

면 은 144만 1000ha로 감할 것이다. 작물 재배면 의 경우도 재 추세 로

진행될 경우 2020년에는 148만 5000ha로 2005년 192만 4000ha 비 약 77% 수

에 머물 것이다.

Page 54: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40

과 이외 작물로 구분하여 재배면 을 살펴보면, 벼 재배면 은 재 추

세 로 망할 경우 2005년 98만 ha에서 2020년 70만 ha로 감소한다. 개방화 시

나리오에 따르면 재 추세보다는 다소 벼 재배면 감소가 더딜 망인데, 특

히 한미 FTA가 타결될 경우 2020년 벼 재배면 은 81만 9000ha로 감소 폭이 상

으로 작다. 반면 이외 작물의 재배면 은 한미 FTA 타결에 따라 큰 폭으

로 감소할 것으로 망된다.

경지면 재배면

BASE1)

DDA개도2)

DDA선진3)

한미FTA4)

BASE DDA개도 DDA선진 한미FTA

2005(잠정) 1824 1824 1824 1824 1924 1924 1924 1924

2010 1722 1722 1722 1728 1804 1805 1805 1812

2015 1605 1604 1597 1591 1646 1660 1657 1671

2020 1481 1468 1488 1441 1485 1502 1515 1518

표 3-4. 개방시나리오별 작물 재배면 망단 : 천 ha

주 1. 재의 추세 로 변화할 것이라는 제 하에 망함.

2. DDA 상 결과 개도국 지 를 인정받을 경우를 망함.

3. DDA 상 결과 선진국 지 를 인정받을 경우를 망함.

4. 한미 FTA가 타결될 경우를 망함.

벼 재배면 이외 작물 재배면

BASE1) DDA개도2) DDA선진3) 한미FTA4) BASE DDA개도 DDA선진 한미FTA

2005(잠정) 980 980 980 980 944 944 944 944

2010 897 898 898 917 907 907 907 895

2015 800 821 864 867 846 838 793 804

2020 700 738 763 819 784 764 752 699

표 3-5. 개방시나리오별 벼 재배면 망단 : 천 ha

주 1. 재의 추세 로 변화할 것이라는 제 하에 망함.

2. DDA 상 결과 개도국 지 를 인정받을 경우를 망함.

3. DDA 상 결과 선진국 지 를 인정받을 경우를 망함.

4. 한미 FTA가 타결될 경우를 망함.

Page 55: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41

1970 2005 2020

농가호수 248만 호 127만 호 75만 호

농가인구 1442만 명 343만 명 161만 명

총인구 비 44.7% 7.1% 3.2%

농경지면 230만 ha 182만 ha 148만 ha

농 지역 고령인구1) 18.1% 30.0%

호당 농가소득 26만 원 3095만 원 4759만 원2)

농업소득 19만 원 1226만 원 1646만 원3)

이 수입4) - 880만 원 1267만 원

표 3-6. 농업․농 주요 지표 변화와 망

주 1. 고령인구란 65세 이상 인구를 말함.

2. 2020년 농가소득에 직불 을 포함함.

3. 2020년 농업소득에 직불 을 포함함.

4. 이 수입은 1983년부터 사업외수입에서 분리하여 집계됨.

Page 56: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2

제 4 장

메가트 드와 한국 농 의 미래 여건

□ 메가트렌드: 농촌의 미래 모습을 결정짓는 근본적 조류

메가트 드란 미국의 미래학자 존 나이스비트(John Naisbitt)의 1982년 서

「메가트 드(Megatrends: The New Directions Transforming Our Lives)」에서 유

래한 용어로, 사회에서 계속 일어나고 있다고 자가 지 하는 거 한 조

류를 말한다. 자는 표 인 조류로서 탈공업화 사회, 로벌 경제, 분권화, 네

트워크형 조직 등을 지 했다. 메가트 드란 주체의 의사결정이나 정책 노력

에 의해 형성되거나 경로가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가 불가피하게 당면하여

한 정책수단이나 개별 조치를 통하여 효과 으로 응해야 할 근본 인 조

류나 흐름으로 이해된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정의에 따라 한국 사회의 메가트 드를 분석하고 있다.

메가트 드 분석은 한국 농 의 미래 경로를 가늠하고 비 을 조망하는데 일차

인 정보를 제공한다는 에서 요한 의미가 있다. 메가트 드 분석을 통해

재와 미래에 우리 농 이 어떤 치를 차지하게 될 지를 악하고 좀더 효과

으로 미래 환경에 처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메가트 드 선정은 과거와 재의 여건에 지배 인 향을 미쳤던 흐름에

한 분석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하는 흐름에 한

분석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농 의 미래와 련하여

6개의 메가트 드를 제시하고 있다.

Page 57: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43

1. 세계화

□ 세계 경제로의 통합 가속화

세계화(Globalization)란 각 국가경제가 세계경제 안으로 통합되는 것을 의미한

다. 즉, 국가 지역 간에 존재하던 상품, 서비스, 자본, 노동, 정보 등에 한

인 장벽이 제거되어 세계가 일종의 거 한 단일시장으로 통합되어가는 추

세를 말한다.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는 한 나라의 토 안에서 이루어지던 정치력, 경제력

등 힘의 이동이 세계 모든 나라로 확장된다. 생산, 매, 투자, 축 등 모든 경제

활동이 어느 한 나라나 한 지역의 역에서 벗어나 세계 도처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국가의 국경이 경제 의사결정에 미치는 향력이 감소한다. 세계

화는 이른바 국경 없는 세계(Borderless World)를 창출해 나가고 있다.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미국 조지 메이슨 학의 제임스 부캐 (J. Buchanan)

교수는 “세계화는 필연 인 조류이기 때문에 거부하거나 방어할 수 없으며 이에

응하는 것 외에는 다른 안이 있을 수 없다”고 강조한다. 그는 세계화가 래

하는 충격을 단기 으로는 완화시키려고 시도할 수 있으나 세계화 조류를 거부

하거나 방어하려고 한다면 반드시 경제 낙후를 면치 못한다고 주장한다. 부캐

은 각국이 세계화 응과정에서 기존 정책 제도를 개편하지 않을 수 없으

며, 이 과정에서 일부 국내산업이 붕괴될 수도 있다고 지 한 바 있다. 일본의

경 자문가인 오마에 겐이치(K. Ohmae)는 “세계화가 확 됨에 따라 국민국가가

소멸되고 한 각국의 국민경제가 동질화됨으로써 국경 없는 세계, 국 없는

기업이 탄생할 것이다”라고 언한 바 있다.

□ 세계화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충격

1993년 12월 우루과이 라운드 다자간무역 정이 체결되고 이어 1995년 1월

WTO 체제가 출범함에 따라, 세계화가 가속화되기 시작했다. 특히 컴퓨터의 발

Page 58: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44

달에 따른 경이 인 정보통신기술 명이 세계화를 앞당기고 있다.

세계화는 국가와 사회에 충격을 것이다. 정 충격으로서는 ① 효율의

극 화, ② 자원배분의 합리화, ③ 규모의 경제 이익, ④ 자유무역 이익의 실

등을 들 수 있다. 반면, 부정 충격으로서는 ① 세계경제에 한 일부 선진국의

패권 지배, ② 국가주권의 침해, ③ 자주 경제정책의 제약, ④경제주체의

외의존도 심화, ⑤ 비교열 산업의 퇴출, ⑥ 국가 계층간 소득의 양극화 확

등을 지 할 수 있다.

세계화의 정 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부정 충격에 한 비 의 우

려가 높다. 이는 세계화의 부정 충격이 확산되어 각 경제 주체에 심각한 고통

을 던져주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를 들면 1996년 스 스 다보스(Davos)에서

개최된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에서는 세계화가 계층간 소

득분배에 있어 불균등을 래하고 근로자의 생존을 함으로써 심각한 자본

주의 재앙을 몰고 올 것이라는 망이 나왔다.

□ 반대의 목소리가 있으나, 결국 세계화는 진행될 것

반작용도 있지만 세계화가 더욱 더 진 될 것이라는 에 많은 사람들이 동의

한다. WTO와 FTA라는 두 개의 수 바퀴가 세계화를 이끌어 갈 것이다. 이것이

어떻게 진행되느냐 그리고 얼마나 빠르게 진행되느냐에 따라 세계화의 진 정

도가 달라질 것이다.

WTO, IMF 등 다자간 의기구를 통한 세계경제 통합의 속도는 둔화될 것으

로 망된다. 지 진행되고 있는 DDA 상이 참가국들의 다양한 이해 계로

인하여 결렬되는 것이 그것을 말해 다. WTO가 향후 2020년까지 새로운 규

모 국제통상 상을 다시 시작하기로 합의하는 것은 매우 어려워질 망이다. 그

럼에도 불구하고 DDA 상이 지 진행되는 로 타결된다면, 각국의 세율이

획기 으로 감축될 것이다. 이때, 무역 자유화 수 은 지 보다 매우 진 된 형

태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농업 분야의 과감한 세 감축, 그리고 서비

스 분야의 무역장벽 완화가 이루어질 것이다.

2020년에는 자유무역 정(FTA: Free Trade Agreement)을 수단으로 지역경제

Page 59: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45

통합 상이 더욱 활발하게 진 될 것으로 망된다. 미국을 심으로 한 미주

지역, EU를 심으로 한 유럽지역, 동북아시아 지역 등 주요 선진국들과 가까운

지역 국가들의 경제통합을 우선시하는 블록화 추세가 진행될 것이다. 세계경제

3 축의 하나를 차지하고 있는 동북아 지역은 다른 2개 지역과는 달리 아직도

역내 국가들 체를 아우르는 지역경제통합의 움직임이 뚜렷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역내 경제 교류의 폭발 인 증가 추세, ASEAN과 국 등의 극

인 자세 등을 감안할 때, 국과 일본의 정치 긴장이 완화되는 것을 제로

2020년에는 역내 무역자유화를 한 가장 낮은 단계의 FTA가 체결될 것으로

망된다. 2020년경까지 “한 ․ ․ 일 FTA의 체결가능성”에 해서 문가들은 그

가능성이 비교 높은 것으로 상하고 있다.

□ 세계화는 농업의 폭넓은 구조 조정을 요구

세계화가 농업부문에 미치는 직 인 향은 세 인하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시장의 추가 인 개방이 될 것이다. 우리나라 농산물의 평균 양허 세율

은 63%이고 실행 세율은 55%이다. 고율 세에 의해 보호되고 있는 부분의

품목은 TRQ방식과 국 무역을 통한 시장분리 등 제도 장치에 의해 보호되

고 있는데 추가 시장 개방은 이러한 제도 장치의 완화 는 철폐를 포함할

것이다. 세 이외의 무역장벽이 없을 때 세가 장기 으로 철폐된다면, 국내

농산물 가격은 세계농산물 가격에 운송비와 제 비용을 더한 수 으로 하락할

것이다. 이러한 국내농산물 가격의 하락은 해당 품목 생산량의 감소를 래하

고 이에 따라 농업소득이 감소할 것이다. 농업생산액의 인 감소와, 재배

면 의 감소, 농가수의 감소 등 농업 반에 걸친 구조조정이 폭넓게 이루어질

것이다.

한편 국경제의 성장이 인 국인 우리나라 경제와 농업에 미치는 향이 지

할 것이다. 2020년 국 농산물의 수출 품목은 , 채소, 과일, 돼지고기, 닭고

기 등이며, 수입품목은 두, 유지류, 옥수수, 우유 등이 될 것이다. 따라서 ,

채소, 과일, 돼지고기, 닭고기 등의 국내 수입이 증가할 것이다. 반면 국의 경

제성장과 소득 증 에 따른 고품질 농산물 수요 증가로 가공식품을 심으로 우

Page 60: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46

구분 1960 1970 1980 1983 1985 1990 1995 2000 2001 2005

합계출산율 6.00 4.53 2.83 2.08 1.67 1.59 1.65 1.47 1.30 1.08

출생아수(천 명) 1,041 1,007 865 663 656 656 721 637 557 438

표 4-1.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의 변화 추이

리 농산물의 국 수출이 확 될 망이다. 국 농산물 수출 증 로 우리나라

농산물 주요 수출시장인 일본시장에서 경합이 심해지고 여타 해외시장 잠식도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 한 세계 농산물시장에서 국의 사료곡물 수요 증가로

곡물 확보가 어려워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국제 곡물가격이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

2. 고령화 ․ 출산

□ 저출산 심화의 속도가 빠르고 출산율이 매우 낮음

우리나라는 1983년에 합계출산율5이 인구 체 수 (2.1명) 이하로 하락한 이

래 20년 이상 동안 출산 상이 지속되고 있다(표 4-1 참조). 2001년부터 합계

출산율이 1.3 이하인 출산 사회로 진입하 으며, 2005년에는 합계출산율이

세계 최 수 인 1.08까지 떨어졌다. 2005년 출생아 수(44만 명)는 1980년 출생

아 수(87만 명)의 반에 불과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출산 상은 서구 국가

들에 비해 유례없이 빠르게 진행되고 출산율 수 이 무 낮다는 데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자료: 통계청,『인구동태통계연보』, 각 연도.

5 한 여성이 15~49세 기간에 낳을 것으로 상되는 평균 자녀 수

Page 61: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47

□ 농촌 인구구조의 고령화는 도시에 비해 20년 이상 앞서 진행

인구구조의 고령화는 세계 인 상이다. UN의 출산율 망에 따를 경우,

세계 인구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 은 2005년 7.4%에서 2020년에는

9.4%가 될 망이다. 우리나라 역시 인구 고령화가 고속으로 진행되고 있다.

2000년에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 7%인 ‘고령화사회’에 도달하 으며, 2018

년에는 동 비율이 14%인 고령사회에 도달하고, 2026년에는 동 비율이 20%인

‘ 고령사회’에 도달할 망이다.

농 인구구조의 고령화는 도시에 비해 20년 이상 앞서 진행되고 있다. 2005

년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은 국이 9.3%, 도시가 7.2% 으나 농 은 18.6%에

달했다. 농 의 노년 부양비6는 1970년 8.2에서 2000년 22.0, 2005년 28.9로 증가

하 고 농 의 노령화지수7는 1970년 9.3에서 2000년 78.7, 2005년 108.2로 증가

하 다.

□ 농촌에서도 특히 농가인구의 고령화가 더욱 빠르게 진행

농가 인구의 고령화는 농 보다 더욱 빠르게 진행되어 2000년부터 고령사

회로 진입하 다. 농가인구 에서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1990

년 11.5%에서 2000년 21.7%, 2004년 29.4%로 증가했다.

농 인구의 노령화 속도는 아직도 상당 기간( 어도 20~30년) 동안 더욱 빨라

질 망이다. 청장년층의 농 입은 매우 은 반면, 직장 은퇴 도시민의 농

입이 증가할 것이다. 그리고 농 의 40~50 연령층이 고령화되어 노인인구

열에 합류하게 되는 반면 평균 수명은 계속 증가할 것이다.

농 인구 에서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은 2010년 21.4%, 2020년 30.0%로

증가할 망이다. 농 의 노년 부양비는 2000년에 22.0, 2010년에 10년 34.8,

2020년에 41.8로 증가할 것이다. 농 의 노령화 지수도 2000년에 78.7, 2010년에

124.6, 2020년에 182.1로 증가할 망이다.

6 15세~64세 인구 비 65세 이상 인구 비율

7 15세 미만 인구 비 65세 이상 인구 비율

Page 6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48

5.05.9

2.5 2.1 2.63.6

4.35.5

4.2 4.25.6

9.0

11.8

14.7

9.3

7.3

3.9

3.33.7

7.2

18.6

0.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20.0

1960 1970 1980 1990 1995 2000 2005

전국

도시

농촌

그림 4-1. 농 과 도시 인구의 고령화 추이(1960~2005)

연도노인(65세 이상)인구 비율 노년 부양비 노령화 지수

국 농 농가 국 농 농가 국 농 농가

’00

’05

’10

’15

’20

7.2

9.3

10.9

12.9

15.7

1

14.7

18.6

21.4

23.3

30.0

21.7

29.4*

35.2

37.5

39.9

10.1

13.0

14.9

17.7

21.8

22.0

28.9

34.8

38.2

41.8

32.5

48.6*

62.8

67.8

74.6

34.3

48.6

66.8

93.2

124.2

78.7

108.2

124.6

149.8

182.1

190.9

284.2*

404.8

512.2

596.4

표 4-2. 농 ․농가 노인 인구 련 주요 지표의 변화 망(2000-2020)

농가인구 에서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2000년 21.7%에서

2020년 39.9%로 증가할 망이다. 농가인구의 노년 부양비는 2000년 32.5에서

2020년 74.6로 증가할 망이며, 농가인구의 노령화 지수는 2000년 190.9에서

2020년 596.4까지 증가할 것이다.

자료: 통계청. 2005. 「장래인구 특별추계 결과」.

한국농 경제연구원. 20063. 「농 지역 인구이동: 실태․요인․ 망」.

최정섭. 2006. “한국농업의 장기 변화 망과 정책과제”. 2006농업과학심포지엄 발표자료.

주: 2000년 2005년은 실측치이고, 2010년부터는 추정치이다(* 2005년의 농가 련 자료는 추정치).

Page 63: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49

□ 저출산과 고령화가 한국사회에 초래할 변화의 모습

이러한 출산과 고령화의 경향이 한국사회에 래할 변화의 모습을 요약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증가율이 차 둔화되어 총인구는 2020년 4996만 명

을 정 으로 감소세로 환될 망이다. 이는 내수 부진과 생산가능인구의 감소

를 야기하고 노동공 부족으로 이어져 경제성장의 둔화를 래할 것이다.

둘째, 미래 노동력의 양 규모를 축소시킨다. 생산가능인구는 2016년 3650만

명을 정 으로 감소할 망이다. 인구 고령화로 인해, 은이들은 과거에 비해서

손쉽게 일자리를 구하게 된다.

셋째, 국제 노동력 이동이 불가피하다. 개발국으로부터 은 근로자의 유

입이 확 된다.

넷째, 고령자의 사회참여가 확 되고, 고령친화산업이 부상할 것이다. 평생교

육시스템이 확충되면서 고령층의 고용확 사회참여가 확 될 것이다. 요양,

여가, 융, 주택, 한방, 농업 등과 같은 분야에서 고령친화 산업이 활성화된다.

다섯째, 재정부담과 련하여 세 간의 갈등이 심화된다. 노인 부양부담이 계

속 증가하여 2005년에는 생산가능 인구 8.2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하 으나 2020

년에는 생산가능 인구 4.6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령

화 련 지출의 GDP 비 비율이 2004년 4.95%에서 2020년에는 9.3%로 증가할

망이다. 연 가입자는 2015년을 정 으로 감소하는 반면에, 노령연 수 자

는 계속 증가하여 연 재정에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건강보험 재정지출도 타

연령층에 비해 의료수요가 많은 노인인구의 증가로 지속 으로 늘어날 망이

다. 여섯째, 산업인력의 고령화는 청년층의 학력증가와 3D업종 기피 등으로 생

산인력 부족을 겪고 있는 통산업의 축소 혹은 해외이 등을 진할 것이다.

□ 저출산과 고령화가 한국농촌에 미치는 영향

출산 ․ 고령화가 한국농 에 미치는 향을 좀더 구체 으로 상해보면 다

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농업생산력 증가 추세가 둔화될 것이다. 새로운

농기술을 수용하고 기술을 신하는 데 많은 한계가 있을 것이다.

Page 64: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50

둘째, 농 사회의 활력이 떨어지고 지역경제가 축될 것이다. 지역사회의 자

원 시설을 유지하고 리하는데 어려움이 많아지고, 지역경제도 침체될 것

이다.

셋째, 외국인의 농 유입이 증가할 것이다. 증하는 외국인 이들의 자녀

들에 한 지원이 요한 사회문제로 부각될 것이다.

넷째, 고령친화 농업이 부상할 것이다. 고령친화 농업의 목표는 ① 노인들에게

알맞은 농업부문의 일자리와 생활환경을 제공하며, ② 농 에서 건강과 환경을

지키며, 노후생활의 보람을 찾게 하는 것이다. 농업부문에서 건강한 고령자들을

한 일자리를 창출함으로써 사회 복지비용을 감할 기회가 발생할 것이다.

농활동을 통한 소득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노후 경제생활의 안정화를 이룰 수

있다.

다섯째, 농 주민들의 복지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이다. 건강하고, 교육수 이

높은 노인계층이 증가함에 따라서 다양한 복지욕구가 표출될 것이다. 이에 따라

농 형 노인 일자리 창출의 필요성이 커진다.

3. 고도 정보화시 의 도래

□ 고도 정보화시대의 미래상

향후 한국 사회는 고도 정보화시 를 맞이하게 될 것이다. 고도 정보화시

한국 사회의 모습을 다음과 같이 그려볼 수 있다.

첫째, 기술의 가속화, 융합화, 지능화, 서비스화가 진행될 것이다. 정보기술 제

품들이 소형화, 용량화, 고속화되는 동시에 각 산업의 기술과 서비스가

융합될 것이다. 디지털 ․ 네트워크 기술은 기업 ․ 생활 환경을 지능화시킬 것이다.

그리하여 소 트웨어 산업의 비 이 확 되고, 소비의 서비스화가 가속화될 것

이다. 그리고 제품과 서비스를 결합시킨 솔루션을 매하는 형태의 토털솔루션

기업이 증가할 것이다.

Page 65: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51

둘째, 산업제품의 멀티미어어화, 개인화, 이동화, 보안화가 이루어질 것이다.

용량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한 수요자의 욕구가 증가하면서, 일 일 맞춤형

생산방식이 보편화될 것이다. 그리고 다양한 기능이 결합되어 있으면서도 가지

고 다니기에 편리한 소형 통신기기에 한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타인

이 침해하기는 어렵지만, 사용자가 사용하기는 쉬운 보안기술 개발이 요구될 것

이다.

셋째, 사이버 이션과 사이버커뮤니티가 확 될 것이다. 세계화를 통해 지역

간, 국가 간 교류 확 의 필요성이 증 되면서 시공간 제약의 극복을 통해 오

라인상의 통 인 인간 계를 보완하는 사이버 이션의 역할이 더욱 요해지

고 있다. 이런 추세에 따라 미래에는 다양하고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만나는

사이버 공간상의 사이버 이션이 독특한 사회문화 상을 낳으면서 이제 오 라

인상의 인간 계를 체하기도 할 것이다.

넷째, 유비쿼터스 시 가 도래할 것이다. 유비쿼터스 기술이란 휴 용 기기나

가 제품 등 여러 종류의 기기를 네트워크로 연결해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제반 기술 는 환경을 말한다. 지역, 연령, 학력, 성, 계 , 국경 등을

월한 ‘ 속시 ’의 도래와 함께 시장이 확 되고 생활체험 공간이 확장됨으

로써, 삶의 질이 보다 다채롭고 풍성해질 것이다.

다섯째, 고용구조의 불균형이 심화되고 소득분배구조가 악화될 것이다. 정보

화가 진행되면서 사양직업군과 신규직업군에서 인력수 불균형 상이 발생할

것으로 상된다. 그리고 정보격차로 인한 소득분배의 불평등이 확 될 것이다.

여섯째, 정보화로 인해서 계 질서가 복합 양상을 띠게 됨으로써 사회

계구도는 종 의 계 분석틀로는 손쉽게 포착할 수 없는 탈구조성을 지향하

게 될 것이다.

일곱째, 일과 학습이 언제 어디서나 동시 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다 경

력과정이 주도 인 삶의 양식이 될 것이다.

Page 66: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52

□ 고도 정보화시대의 도래가 한국농촌에 미치는 영향

고도 정보화시 도래라는 메가트 드가 한국 농 에 어떤 향을 미칠지

략 이나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 지역공동체가 약화될 것이다. 마을이나 소규모 지역 단 의 사회집

단이나 조직은 크게 감소하면서, 사회집단 조직 구성원의 공간 분포가

더 면 ․ 군 ․ 도 ․ 국 단 로 확 될 것이다.

둘재, 사이버공동체는 농 에서도 발달할 것이다. 정보통신공간을 활용한 사

회 연 가 형성되어 사이버공동체로 발 할 가능성이 있다. 인터넷으로 연결

되는 인간 계에서는 가족과 같은 강한 계보다 친숙한 외지인과의 약한 계

가 큰 힘을 발휘하게 될 것이다.

셋째, 정보 불평등이 확 될 것이다. 생활 속의 정보기술 활용이 확 되면서

정보소외(취약)계층은 일상생활 사회참여에 있어 여러 가지 제약을 받게 될

것이다. 정보화 련 신규 서비스가 도입됨에 따라 새로운 유형의 정보 불평등

이 발생할 것이다.

넷째, 정 농업이 발 할 것이다. 자동온실, 축사 리시스템, 가축의 사양표

리 등의 분야에서 정 농업이 발 할 것이다. 그리하여 노동력 생산비를

감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다섯째, 농산물 유통이 획기 으로 발 할 것이다. 농산물 자상거래가 확

되고, 농산물이력추 시스템, 지능형 실시간 물류 장정보시스템 등이 구축될

것이다. 그러면서 농산물 거래비용이 어들고 유통구조가 개선될 것으로 기

할 수 있다. 그리고 농산물의 품질 리를 체계화 할 수 있고, 련 분쟁 해소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여섯째, 농 어메니티 리, 농 시스템의 구축 등을 통해서 농 의

활성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일곱째, 원격교육 ․ 의료 ․ 문화시스템, 노인 장애자 재택 리시스템, 재난방

제시스템 등을 구축하여 농 복지 수 을 향상시키는 수단이 될 것이다.

Page 67: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53

4. 교통의 발달

□ 대부분 농촌지역에서 지방 거점도시까지 30분 내에 접근 가능

2020년 우리 국토에는 남북 7개 축, 동서 9개 축의 격자형 고속간선도로망 구

축이 완료될 정이다. 2004년 재 총연장 2,923km를 고속도로 간 지역 간

통행량이 많은 구간을 우선순 에 따라 고속간선망으로 연결해 가고 있다. 고속

도로망과 함께 국도를 포함한 일반도로망도 보다 고규격화 될 것이고 도로 간의

상호 네트워크도 훨씬 강화될 것이다. 일반국도 4차선 이상 비율이 2010년에

50% 이상으로 확 될 것이다. 지방도로 연장이 2004년 재 10만 457km에서 지

속 으로 확충되고 있다. 우회도로 등이 신설되어 지역 내 교통과 통과 교통이

분리되고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로 등의 연계성이 강화된다.

고속간선도로망과 더불어 철도교통망도 더욱 확충, 첨단화되고 철도교통 분담

률은 재보다 폭 성장할 것이다.8 경부고속철도 제2단계 사업이 완료되고 서

해안 개발에 따른 수송수요 증가 지역개발 등을 한 호남고속철도 건설도

이루어질 것이다. 경부고속철도 제2단계 사업 완료로 서울~부산 간 시간거리는

2시간 이내로 단축된다. 고속철도망 이외에 경부선, 호남선, 앙선, 라선, 장

항선 등 우리나라 5 간선철도망 지선철도망 등의 기능도 개선되고 철도망

간의 상호 연계성도 강화될 것이다. 일반철도의 복선화율 철화율도 제고될

것이다.

도로망, 철도망 등의 체계 확충으로 지역 간 근성은 비약 으로 증 되고

국은 그야말로 ‘반나 생활권’으로 통합될 것이다. 국의 주요 도시에서 행

정 심복합도시까지 2시간 이내에 근할 수 있고 부분 농 지역에서 지방 거

도시까지는 30분 이내에 근 가능할 것이다

8 교통수단별 장래 여객수송 수요 에측에 따르면, 2002년 기 으로 도로 분담률 89.0%: 철도 분담

률 7.5%: 항공 분담률 3.2%이던 것이 2020년에는 도로 분담률 76.8%: 철도 분담률 20.1%: 항공

분담률 2.8%로 변화한다. 철도 분담률의 비약 성장이 주목된다(건설교통부, 2005).

Page 68: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54

□ 농촌지역 내의 새로운 교통수단 출현, 경관도로와 자전거도로의 보편화

도로망 철도망의 조 한 연계와 함께 역 교통 서비스 체계가 구축되는

한편, 새로운 교통수단도 출 하여 지역 간 ․ 지역 내 근의 편리성이 확 되고

이동성을 보다 강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국형 공공교통서비스체계(다이얼

버스 등), 지역사회가 운 하는 역 순환형 버스, 찾아오는 고차 서비스 체계

등의 실 이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천연가스 자동차9, 하이 리드 자동차, 기

자동차 등이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보편화될 것이며 지역 내에서는 자 거 등의

활용도가 높아질 것이다. 역 교통 서비스 체계와 새로운 교통수단의 출 은

도로의 외양도 바꿀 가능성이 크다. 가령, 획일화된 형태의 아스콘 등의 포장도

로에서 갓길이 넓은 경 도로나 자 거 도로를 겸비한 도로들의 출 이 보편화

될 것이다.

□ 교통 발달은 대도시의 영향력을 강화, 배후 농촌지역의 매력성 증대에도 기여

이러한 반 인 교통의 발달은 도시의 향력을 강화시키기도 하지만, 다

른 한편으로 지방 거 도시와 연계된 배후 농 지역이 여가공간, 정주공간으로

서의 매력을 살리는 데 기여하는 정 효과도 나타낼 것이다. 교통의 발달로

인해 지역 간 이동량이나 이동빈도가 많아지는데, 특히 심성이 높은 도시와의

왕래가 더욱 빈번해질 것이다. 이로 인해 도시의 심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

다. 종합병원 등과 같은 고차 서비스에의 근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서비스의

구득, 상품의 구매 등과 같이 생활에 필요한 많은 시설이나 서비스 수요를 심

성이 높은 도시에서 해결하는 방식이 보편화될 수 있으며 그 생활권은 지 보다

도 역화될 것이다. 한 농 에 거주하면서 도시로 출퇴근하는 이들이 증가하

고 출퇴근 거리도 보다 역화될 것이다.

고 장비를 장착한 의료, 복지, 문화 서비스 배달 차량 운 이 가능할 수 있

다. ‘소비자를 찾아오는 서비스’의 혜택을 릴 수 있는 지역이나 특수계층이 증

가할 수도 있다.

9 서울시는 2010년까지 모든 시내버스를 천연가스 버스로 바꾸겠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Page 69: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55

그림 4-2. 국토공간구조 변화 망

주요 도시로부터 상 으로 원거리에 치해 있던 농 지까지도 근비

용이 폭 감소됨에 따라 치 낙후로 인한 제약이 해소되어, 여가공간으로서

농 의 상이 강화될 것이다.

이 외에도 교통의 발달로 인해 농업생산활동 등에 소요되는 각종 자재의 물

류비용이 크게 감되고 농산물 시장 근 비용도 체로 감소할 것이다. 한

형 할인 의 농 지역 입지를 진할 것이다.

<다핵연계형 국토구조> <7×9 격자형 고속간선망>

Page 70: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56

5. 도시화의 진

□ 전국의 거의 모든 농촌지역이 도시권에 포섭될 것

도시화 추세는 계속 지속되어 거주 인구를 기 으로 2020년 한국의 도시화율

은 95.0%에 달할 망이다. 그러나 도시화의 모습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것이

다. 첫째, 기존 도시의 외연이 확 되는 경향을 보일 것이다. 둘째, 신도시가 조

성됨으로써 도시화가 진 되는 측면도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농 지역의 기

능이 도시화하는 경향도 심화될 것이다.

양질의 주거, 문화, 환경 등에 한 수요 증 때문에 도시는 반 으로 보다

화되면서 주거 ․ 상업 ․ 공업 등 도시 토지수요는 더욱 증 할 망이다. 과

거 추세를 살펴보아도 지와 공공용지 수요가 지속 으로 증가했지만,10 향후

도시 토지수요는 단히 도를 지향하는 원도시 조성 흐름이 뚜렷해지

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한편으로는 기존 도시의 외연 확장이 계속해서 이루

어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신도시 조성 등이 맞물리게 될 것이다. 더욱이 참여정

부가 계획하고 있는 행정 심복합도시, 신도시, 기업도시 등의 조성이 완료되

는 시 인 2015년 이후에는 국의 거의 모든 농 지역이 다양한 도시권에 포섭

되는 양상을 보일 것이다.

□ 도시와 농촌 배후지역 간 연계가 강화되는 네트워크형 정주체계 형성

기존 도시의 외연 확장이나 신도시 조성과는 다소 다른 트 드로서, 농 지

역의 읍 ․ 면 소재지 등이 특화된 기능을 보유하는 동시에 원형 주택지를 선호

하는 이들의 유입으로 기능 집 이 일어나 도시화되는 경향도 나타날 망이

다. 농업기능특화 도시, 문화 특화 도시 등이 형성되거나 도의 인간 인

소도시 형태로 rural town, urban village 등이 출 할 것이다. 국토 체로는 수도

10 1980년부터 2005년까지 도시용지의 면 은 2,521㎢로 확장되었다. 이는 체 국토면 비 비

으로 보면 3.5%에서 6.0%로 증가되었음을 의미한다. 증가된 도시용지는 주로 공공용지와

지이다.

Page 71: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57

권 심의 국토공간구조에서 탈피하여 7+1의 다핵구조로 변화하면서 역도시

권 내의 도시, 소도시, 농 배후지역 간 연계가 강화되는 네트워크형 정주

체계가 형성될 것이다.

도시용 토지의 주 공 원은 농 지역의 농지와 임야이므로 도시화의 진 에

따라 농 지역 토지의 용도 환이 불가피하게 일어나게 되고, 주로 농 지역의

농지와 임야가 감소할 것이다.

도시가 확장되는 외연부, 도농 경계지역, 읍 ․ 면 소재지 주변에서는 도시와 농

의 경계가 모호하게 보이게 될 것이다. 사실상 도시화율이 95.0%에 달하게 된

다고 하여도 미래의 도시는 재의 도시와는 다소 다른 형태의 도농통합지역의

모습을 보이게 될 것이다.

□ 도시화는 농촌지역 주민들의 일상생활에도 다양한 변화를 초래

도시화는 농 지역 주민들의 삶의 모습에도 변화를 미칠 것이라 추측해 볼 수

있다. 거주지와 30분 내외의 거리에 치한 도시나 거 소도시 등에서 생활에

필요한 고 서비스를 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도시와의 왕래가 더욱 빈번히 일어

날 것이다. 그러나 기 서비스의 경우는 여 히 재의 시 ․ 군 행정구역을 기 으

로 2~3개의 읍 ․ 면 소재지에서 충족하게 될 것이다. 도농 경계지역이나 읍 ․ 면 소재

지 주변을 심으로 입지하는 원형 마을들에는 원에서의 삶을 추구하는 도시

민과 농업과 련 산업에 종사하는 농 주민이 함께 어울려 생활하게 될 것이다.

그 형태는 텃밭이나 정원이 딸린 개별주택과 타운하우스가 공존하는 모습일 것이

다. 은퇴하여 취미농업 등에 종사하는 도시민, 출퇴근 도시민, 문화 술 종사자 그

리고 농 형 가공산업이나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농 주민, 농업에 종사하는 주민

등의 공동체 마을이 다수 등장할 것이다. 농업에 종사하는 주민의 경우도 도시화된

거주지에 살면서 농경지로 출퇴근하는 생활양식이 증가할 것이다.

□ 도시와의 관계에 따라 농촌마을의 기능과 형태도 다양화

국토 체 으로는 동해, 서해, 남해축 등 이형 개발거 과 함께 기존 수도

권, 행복도시 ․ 신도시 ․ 기업도시 등의 새로운 거 도시가 형성되어 그야말로

Page 7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58

네트워크 형태가 구축될 것이다. 이 네트워크 속에서 농 은 반 으로 마을-

읍 ․ 면 소재지- 소도시- 도시로 연계되는 정주 생활을 지속하겠으나 읍 ․ 면 소

재지의 향력은 축소될 것이며, 도시와의 계에 따라 농 의 마을은 업

농업마을, 도시민의 침상마을, 그린투어리즘 마을, 은퇴자의 휴양마을 등 기능과

형태가 다양화할 것이다.

6. 웰빙을 추구하는 소비생활 확산

□ 소비재로서의 농촌 어메니티에 대한 국민적 관심 증대

지난 두 세기 동안 농 공간은 산업 자본주의의 발달을 뒷받침하는 원료 공

지로서, 인 자원의 공 지로서 기능했다. 그러나 새 세기 들어 농 공간은 생

산 요소의 공 원이 아니라, 그 자체로 ‘소비 상’으로서 새롭게 조명되기 시작

했다. 도시 산업사회의 시민들을 압박하는 고 도의 일상생활은 ‘다운쉬 트11’

의 생활에 한 욕구를 낳기에 충분했다. 그리고 농 의 자연경 과 문화경 이

사라져감으로써 그것들은 이제 희소한 자원이 되었다. 이는 다시 농 공간

이 갖는 소비재로서의 가치를 상승시키고 있다.

농 어메니티란 농 간에 존재하는, 우리에게 ‘친근감’을 주는 모든 소재들

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나아가 농 공간에 존재하는 ‘친근하고 쾌 한 소재

들’로 인해 그곳을 찾는 사람들이 만족스러움과 즐거움을 얻을 수 있는 모든 것

들을 가리킨다. 소비재로서의 농 어메니티에 한 도시민들의 심은 1990년

후반 무렵부터 한국 사회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가시화되기 시작했으며, 이

11 다운쉬 트(downshift)의 사 의미는 자동차의 기어를 고단에서 단으로 바꾸어 속도를

이는 것을 뜻한다. 삶에서의 다운쉬 트는 인생의 기어를 낮추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바쁜 일에

매달려 사는 사람들이 보수는 을 지라도 시간 여유가 있는 일로 환한다는 뜻이다. 긴장을

이고 좀더 여유를 갖는다는 말이다. 다운쉬 트 상은 특히 국에서 두드러지는데, 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인들 다운쉬 트족의 비율은 이미 체 노동인구의 10%에 달한다고 한다

(LG경제연구원, 2005).

Page 73: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59

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더욱 심화될 망이다.

□ 농업관광의 양적 ․질적 성장

농업활동을 통해 생되는 어메니티를 소재로 하는 농업 은 꾸 히 성장

할 것이다. 개별 농가 수 에서 도시민들을 상으로 농업체험을 제공하는 팜스

테이 농가는 2000년도에 534호 던 것이 2005년에는 1161호로 두 배 이상 증가

했다(농 앙회에 등록된 팜스테이 농가 기 ). 이 같은 농업 부문의 성장

은 팜스테이 농가뿐만 아니라 마을 단 로 조직된 농 는 개별 농업

농가들의 연 조직 등 다양한 조직 양상으로 확 발 할 것이다. 랑스

의 ‘Bienveneu a la ferme'처럼 농업 상품 서비스의 표 화를 이루고 나

에는 하나의 랜드로 발 하는 농업 농가들의 조직도 출 할 가능성이 크

다. 농업 상품 서비스를 공 하는 농가들을 농 지역에서는 지 보다는

더욱 흔하게 찾아보게 될 것이다. 농업인구의 감소와 더불어 한편에서는 보다

규모화되고 문화된 방식으로 농경지를 리하며 농활동에 종사하는 업농

들이 농업인구의 주축을 이루게 되겠지만, 그와 동시에 다른 한편에서는 농활

동을 하는 동시에 농 을 찾아오는 도시민들을 상으로 숙박, 농업체험, 향토

음식 등을 제공하는 겸업농가들도 늘어날 것이다.

농업 의 질 성장이 이루어질 것이다. 지 의 농업 은 비교 보

이고 단순한 형태의 농업체험을 제공하면서 가의 민박도 겸하는 형태가

부분이다. 그러나 농업 부문이 양 으로 성장하면서 동시에 그 상품 서

비스도 특화된 형태로 발 하게 될 것이다. 특히 자연경 이 수려한 지역에서는

더욱 세련된 형태의 미 감각을 갖춘 농가 주택이 신축되고 그것을 자산으로

삼아 농가 숙박을 문 으로 제공하는 농업 경 체들이 증가할 것이다. 농

업 체험을 문 으로 제공하는 농업 경 체들도 분화 ․ 발 할 것이다. 단순

한 일회성 농업체험이 아니라 등학생 연령층을 상으로 공교육 교과과정에

제시된 학습 로그램을 정식으로 운용하는 ‘체험학습 문 농업 경 체’가

출 할 것이다. 마치 지 의 문화유산 해설사나 숲 해설가처럼 일정한 요건을

갖추고 교육을 이수한 농업인들에 한하여 ‘체험학습 문 농업 경 체’의

Page 74: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60

자격을 부여하는 공공 혹은 민간 자율의 제도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같은 농업

의 질 성장은 겸업농의 증가뿐만 아니라 비록 규모는 작을 수 있겠으나 농

업 서비스와 결부된 새로운 고용을 창출할 것이다.

□ 관광 관련 산업부문의 성장으로 인한 농촌지역의 경제 구조 변화

농업 외 농 부문의 격한 성장이 이루어질 것이다. 수년 부터

시작되어 농 의 한 부문으로 이미 자리 잡은 펜션 시장의 확장 과정에서

볼 수 있듯이, 농 의 자연경 이나 문화경 을 활용하는 농 련 서비스

업체들이 크게 증가할 것이다. 숙박업, 요식업, 여행업 등 농 련 산업은

물 조건들이 갖추어진 특정 지역들( : 강원도 산간 해안 지역)을 심으로

격하게 확 될 것이다. 이는 지역에 따라서는 농업 심의 산업구조를 서비스

업 심의 산업구조로 재편하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그러한 농 지역 산업구조

의 재편과 더불어 객들이나 지역 내방객들을 상으로 하는 각종 서비스의

공 이 증가할 것이다. 교통, 통신, 상 , 은행, 등의 서비스 련 고용 비

은 농 부문이 성장하는 지역에서 더불어 증가할 것이다.

□ 농촌 경관을 가꾸기 위한 주민과 지방자치단체의 자발적 노력 활성화

깨끗한 환경, 매력 인 경 , 문화유산, 향토특산음식 등과 같은 소재를 활용하

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려는 농 지역 지방자치단체의 노력이 매우 활발하게 개

될 것이다. 그러한 노력은 지 까지는 부분 농 이나 휴양 련 산업을

육성하는 쪽에 치우쳤으나, 앞으로는 농 어메니티가 풍부한 지역에 거주하려는

도시민들을 유입시키기 한 시책이 극 으로 개될 것이다. 세컨드 하우스

신축, 농 지역에의 항구 인 거주를 염두에 둔 귀농 ․ 귀 인구 유치 등과 련

하여 다양한 정책들이 실험되고 일정 정도 성과를 거두는 지역도 출 할 것이다.

특히 교통망의 발달은 농 지역의 풍부한 어메니티에 둘러싸여 거주하면서 인근

소도시로 출퇴근하는 통근 인구를 증가시키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이 같은

귀농 ․ 귀 인구들의 거주 공간이 새롭게 조성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원주택

단지 형태의 주거공간이 소도읍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입지하게 될 것이다.

Page 75: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61

자연경 이나 문화경 이 수려한 지역은 과거에는 경제 으로는 그다지 가치

가 없는 토지라고 단되었고 그만큼 지가도 낮게 형성되었다. 그러나 농 어메

니티에 한 국민들의 심 증 는 경 이 수려한 지역의 지가를 상승시키는 결

과를 가져올 것이다. 이처럼 자산 가치로서의 경 가치가 더욱 요하게 평가됨

으로써, 경 을 더욱 농 다우면서도 아름답게 개선 는 보존하려는 농 지방

자치단체 차원의 공공 노력과 지역 주민들의 자발 인 노력이 증가할 것이다.

그리하여 도시로부터 멀다 하더라도 경 이 빼어난 지역의 지가가 상승하는 경

우를 자주 찾아볼 수 있게 될 것이다. 지역의 독특한 경 을 보존하고 가꾸기

한 지방정부 차원의 노력으로서 ‘경 조례’나 특수시책 같은 것을 개발하는

지역이 늘어날 것이다. 지역 주민들이 경 보존활동에 자발 으로 참여하는 과

정에서 지역 주민들의 비 리 민간단체를 결성하는 경우가 많아질 것이다.

□ 식품안전성에 대한 소비자 요구는 친환경농업과 이력추적제를 정착시킬 것

다이옥신 동, 우병 사태, 조류 인 루엔자 확산 등 최근 수년 동안 세

계를 휩쓸었던 식품 안 성에 한 기감은 다른 무엇보다도 ‘삶의 질’을 추구

하는 웰빙 소비 경향과 맞물려 농업 ․ 농 에 한 향을 끼치기 시작했다. 과

거의 농업생산활동이 단순히 칼로리(calory)를 공 하는 활동이었다면, 앞으로의

농업활동은 칼로리와 더불어 세이 티(safety)를 보장하는 활동으로 인식되고 그

게 재편될 것이다.

1980년 이후로 꾸 히 확산되어 온 친환경 농업은 2020년쯤에는 거의 보편

인 농규범으로 자리 잡게 될 것이다. 특히 농업에서의 친환경 농업은 아

주 빠른 속도로 확산되어 농약을 투입하여 재배한 보다 무농약 재배 는 유

기 재배를 통해 생산한 의 비 이 더 커질 수도 있다. 재 정부가 주도하여

추진하고 있는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는 본래 인 의미에서 농업인들의

자율 인 규범으로 자리 잡게 될 것이다. 특히, 형 할인 소매 시장은 농업

생산자들에게 GAP 실천을 강력하게 요구할 것이기 때문이다.

도시 소비자들은 지 보다는 훨씬 렴한 가격에 친환경 농산물을 구입하게

될 것이다. 형 할인 소매 의 친환경 농산물 코 는 재 수 의 몇 배 이상으

Page 76: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62

로 확장되고 농산물 코 의 주류를 이루게 될 것이다. 한편, 소매 에서 친환경

농산물을 구입하는 것과는 달리 지 도 꾸 히 확 되고 있는 ‘얼굴 있는 농산

물의 유통 경로’, 즉 생 이나 공동체 지원 농업(community supported agriculture)

이 두드러지게 확산될 것이다. 형 할인 소매 을 심으로 한 긴 농산물 유통

경로이든 소비자와 생산자의 직 인 을 근간으로 삼는 짧은 유통경로이

든, 이력추 제는 필수 인 사항으로 자리 잡게 될 것이다.

□ 도농교류 활동이 보편화하고 다양한 품질관리규범이 정착

1980년 이후로 우리나라의 친환경농업 확산을 주도해온 농업 생산자 단체

나 생 들은 다른 어떤 집단들보다도 앞서서 도농교류 활동을 개해 왔다. 친

환경농산물 산지에서 매년 6월 6일 진행되는 ‘오리입식 행사’는 이미 으

로도 리 알려진 친환경농업 부문의 통을 상징하는 의례(ritual)로 자리매김하

고 있다. 친환경농업 생산자들과 소비자들의 도농교류 활동은 더욱 강화되어 도

시와 농 을 이어주는 강력한 끈으로서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안 한 먹거리에 한 사회 요구의 증 는 산지의 축산물 처리장이나 APC

같은 농산물 집결지에서의 HACCP, GHP(Good Hygienic Practice) 같은 규범을

정착시킬 것이다. 재 국 주요 청과물 산지에 건설되기 시작한 거 APC들

마다 HACCP 체계를 구축하고 있는데, 2020년쯤에는 상당한 수 에서 HACCP

를 운용하는 농산물 가공 포장 처리시설들을 농 지역에서 심심치 않게 찾아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농 시 ․ 군 외곽의 고속도로 혹은 국도 인 한 곳에 깔끔

한 외 을 갖춘 농산물 처리 시설, 그리고 그 안에서 장갑과 모자를 착용하고

작업하는 노동자들의 생 인 이미지는 인 농업을 상징하는 새로운 표

상으로 기억될 것이다.

□ 지역순환농업체계 확립

농업에 기 하여 지역경제를 유지할 수밖에 없는 조건에 놓여 있는 지역, 특

히 부 내륙 지방에서는 재 시도되고 있는 지역 수 의 ‘순환농업체계’ 구축

노력이 가시 인 성과를 거두고 인근 지역으로 확산될 것이다. 순환농업체계 속

Page 77: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63

메가트 드 핵심 요소 농 공간에 미치는 향

1) 세계화 ∙FTA의 진행

∙ 국의 경제 성장

∙동북아 블럭 경제 태동

∙농업의 범 한 구조 조정

∙ 농 조건의 변화

∙농 구성원의 변화

2) 출산․고령화 ∙경제성장 둔화

∙인구증가율 둔화

∙고령층의 사회참여 확 고령친화산

업의 발달

∙세 간 갈등 심화

∙ 통산업의 축소

∙농업생산력의 증가 추세 둔화

∙농 사회의 활력 하 지역경제

∙외국인의 유입 증가

∙고령친화 농업의 부상

∙농 주민들의 복지 수요 증

표 4-3. 메가트 드 내용 요약

에서 지역의 경종농가와 축산농가 간의 연 와 자원교환 활동은 더욱 활발해질

것이다. 이를 매개하기 한 지방자치단체 는 민간 역에서의 제도 장치들

이 마련될 것이다. 재 국 100여 개소에 이르는 축분 퇴비공장이나 지 이

분변토 생산 공장은 그 숫자나 규모 면에서 크게 증가할 것이다. 유기질 비료에

한 농업인들의 수요 증 로 인해 지방자치단체, 지역농 , 민간 경 주체들이

그러한 시설을 건립하고 경 하는 일이 많아질 것이다. 그러한 시설은 한 단

순히 유기질 비료만을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지 도 도시 지역의 일부 쓰 기

는 하수 처리시설이 그러하듯이, 주변 경 과 잘 어울리는 매력물로서 그리고

체험학습 시설로도 기능하는 지역 명소가 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축산 농가,

특히 양돈 농가들의 입지는 법에 의해 크게 규제받게 될 것이다. 더욱 까다로워

진 규제 조건 속에서 엄격한 환경 리 의무가 부과될 것이다. 그리하여 재와

같은 열악한 축사 시설은 차 개선되어 냄새나지 않고 미 상으로도 양호한 축

사들을 보게 될 것이다. 순환농업체계가 구축됨으로 인해 농경지 곳곳에서 축분

이나 유기질 비료를 부지런히 운송하는 차량들을 자주 목격하게 될 것이다. 경

우에 따라서는 농도 액비를 농경지에 살포하는 탱크로리 시설을 갖춘 차량이

이동하는 것도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7. 메가트 드 종합

Page 78: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64

3) 고도 정보화시

도래

∙기술의 가속화, 융합화, 지능화, 서비스화

∙제품의 멀티미디어화, 개인화, 이동화, 보

안화

∙유비쿼터스 시 도래

∙사이버 이션 등 새로운 인간 계 형성

∙고용구조의 불균형 심화 소득 분배구

조의 악화

∙지역공동체의 약화

∙사이버공동체의 발달

∙정보 불평등의 확

∙정 농업의 발

∙농산물 유통체계의 획기 발

∙농 의 활성화

∙농 복지 수 의 향상

4) 교통의 발달 ∙ 근성의 비약 확 반나 생활권

형성

∙ 역 교통체계 구축 도로 외 다양

∙도시를 심으로 하는 생활권 형성

∙고차 서비스 이용 편의성 증

∙각종 물류비용의 감 농산물 시

장 근비용 감소

∙여가공간, 정주공간으로서의 농 의

매력 증

5) 도시화의 진 ∙기존 도시의 외연 확산

∙신도시의 조성

(정책 조성 포함)

∙농 의 기능 도시화

∙농 지역 농지, 임야 등 토지의 감소

∙도농 경계의 불분명

∙도농 경계 지역, 읍․면 소재지 주변

지역을 심으로 원형 마을 형성

6) 웰빙을 추구하는

소비생활 확산

∙농 어메니티에 한 심 증

∙식품 안 성에 한 심 증

∙농업 경 체의 양 성장

질 분화

∙농업과 농업 을 병행하는 겸업농

증가

∙농 지역에서의 련 신규 고

용 창출

∙농 어메니티를 활용한 지역 개발

활동 활성화

∙귀농, 귀 인구 증가

∙경 을 고려한 주거단지 형성

∙친환경농업의 확

∙지역별 순환농업체계 구축

Page 79: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65

제 5 장

농 공간의 다양성과 변화 망

1. 농 지역의 유형화

농 지역을 특징지을 수 있는 주요 지표를 선정하여 최근 수년 간의 변화 동

향과 재 상태를 분석하 다. 농 지역(시 ․ 군)을 특징을 살펴 볼 18개 주요 지

표들을 선정하고 요인분석을 수행했다. ‘요인 1’에서부터 ‘요인 6’까지의 6개 요

인들이 1.0 이상의 고유값을 보 다. 그 분산은 18개 변인들의 체 분산

78.5% 다.

요 인 고유값 분산비율(%) 분산비율(%)

1 5.762 32.0 32.0

2 2.709 15.0 47.0

3 1.964 10.9 57.9

4 1.432 8.0 65.9

5 1.231 6.8 72.7

6 1.037 5.8 78.5

7 .891

8 .796

9 .653

10 .508

11 .293

표 5-1. 주성분 분석에 의한 요인추출 결과

Page 80: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66

변 인요인 공통

분산량1 2 3 4 5 6

v1최근 7년간 평균 인구증

가율(1999~2005).734 -.022 -.334 .001 .375 -.137 .810

v2 거주 인구(2005) .835 .167 -.047 .255 .240 .050 .852

v365세 이상 인구 비율

(2005)-.942 -.020 .119 .087 .004 -.055 .913

v4통근인구비 변화율

(1995~2000).191 .041 .462 -.130 .048 -.327 .377

v5 농가 인구 비율(2004) -.941 .104 .016 .078 .024 -.090 .911

v61980년 이 에 건축된 노

후주택 비 (2000)-.873 -.052 .182 .035 -.004 .032 .800

v72차 산업 종사자 수 비율

(2004).343 .122 -.873 -.097 .076 .022 .910

v83차 산업 종사자 수 비율

(2004)-.316 -.149 .872 .109 -.083 -.046 .904

v9 국가지정문화재 수(2003) .122 -.041 .044 .745 .322 .361 .808

v10 지방지정문화재 수(2003) .020 .032 -.033 .826 -.211 -.026 .730

v11친환경농업 실천 농가 수

(2000)-.057 .614 -.026 .618 -.177 .086 .801

v12지역 내 시장 수 변화

(1999~2003).243 .041 .078 -.168 .567 .238 .473

표 5-2. 직교회 시킨 요인행렬

요 인 고유값 분산비율(%) 분산비율(%)

12 .234

13 .221

14 .143

15 .068

16 .032

17 .022

18 .005

요인부하량 패턴을 해석하기 좋도록 요인행렬을 직교회 시킨 결과는 다음

표 5-2에서 보는 바와 같다.

Page 81: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67

v13지역 내 은행 수 변화

(1999~2004).098 -.055 -.165 .020 .861 -.191 .819

v14 경지면 비율(2003) -.044 .971 -.100 .022 -.006 .006 .956

v15 임야면 비율(2003) -.175 -.944 .164 .003 -.050 .008 .951

v16 지방세(2005) .810 .106 -.122 .212 .343 .049 .847

v17인근 특 역시와의 거리

(2005)-.103 -.185 .529 -.248 -.042 .348 .509

v18등록된 사업체 수

변화량(1999~2003).115 .058 -.053 .162 -.008 .847 .764

요인 재치 4.824 2.349 2.268 1.897 1.580 1.216

분산 비율(%) 26.8 13.0 12.6 10.5 8.8 6.8

요인분석 결과, 지표들을 ‘인구주택 련 요인’, ‘지형 련 요인’, ‘산업입지

련 요인’, ‘어메니티 련 요인’, ‘생활서비스 변화 련 요인’, ‘ 산업 련

요인’ 등 6개의 범주로 분류할 수 있었다.

○ 인구주택 요인: 최근 7년간 평균 인구증가율, 거주 인구, 65세 이상 인구

비율, 농가 인구 비율, 1980년 이 에 건축된 노후주택 비

율, 지방세

○ 지형 요인: 경지면 비율, 임야면 비율

○ 산업입지 요인: 최근 6년간 통근인구 변화율, 2차 산업 종사자수 비율, 3차

산업 종사자수 비율, 인근 특 역시와의 거리

○ 어메니티 요인: 국가 지정 문화재 수, 지방 지정 문화재 수, 친환경농업 실

천 농가 수

○ 생활서비스변화 요인: 지역 내 시장 수 변화, 지역 내 은행 수 변화

○ 산업 요인: 사업체 수 변화

18개 지표들의 표 화 수(Z-score)를 투입변수로 하여 K-평균 기법을 활용한

군집분석 결과 140개 농 시 ․ 군을 5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몇 가지 변

인들이 극단 인 값을 보이기 때문에 한 군집분류를 어렵게 하는 5개 지역

Page 8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68

(용인시, 아산시, 경주시, 북제주군, 남제주군)을 별도로 하고, 나머지 135개 시군

을 다음과 같이 4개의 유형으로 나 수 있었다.

○ 산간 농 지역

○ 3차산업 성장주도 농 지역

○ 도시권역 편입 농 지역

○ 평야지 농 지역

그림 5-1. 농 지역의 유형 구분 분포

Page 83: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69

산간

농 지역

(44개 시․군)

횡성군, 보은군, 옥천군, 동군, 괴산군, 산군, 완주군,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임실

군, 순창군, 담양군, 곡성군, 구례군, 보성군, 화순군, 장흥군, 강진군, 함평군, 장성군,

진도군, 신안군, 군 군, 의성군, 청송군, 양군, 덕군, 청도군, 고령군, 성주군, 천

군, 화군, 울진군, 의령군, 창녕군, 경남 고성군, 남해군, 하동군, 산청군, 함양군, 거창

군, 합천군, 청양군

3차산업

성장주도

농 지역

(27개 시․군)

옹진군, 연천군, 가평군, 양평군, 춘천시, 원주시, 강릉시, 삼척시, 홍천군, 월군, 평창

군, 정선군,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강원 고성군, 양양군, 제천시, 단양군, 증평

군, 계룡시, 여수시, 완도군, 문경시, 울릉군, 통 시

도시권역 편입

농 지역

(29개 시․군)

기장군, 달성군, 울주군, 평택시, 남양주시, 주시, 이천시, 안성시, 김포시, 양주시, 화

성시, 주시, 포천시, 청원군, 진천군, 음성군, 천안시, 연기군, 양시, 포항시, 구미시,

경산시, 칠곡군, 창원시, 마산시, 김해시, 거제시, 양산시, 함안군

평야지

농 지역

(37개 지역)

강화군, 여주군, 충주시, 공주시, 보령시, 서산시, 논산시, 부여군, 서천군, 홍성군, 산

군, 태안군, 당진군, 군산시, 익산시, 정읍시, 남원시, 김제시, 고창군, 부안군, 순천시,

나주시, 고흥군, 해남군, 암군, 무안군, 군, 김천시, 안동시, 주시, 천시, 상주

시, 진주시, 사천시, 양시, 북제주군, 남제주군

표 5-3. 유형별 시․군 목록

□ 중산간 농촌지역(군집 A)의 특징

인구가 빠르게 감소하는 인구 과소화 지역으로서 65세 이상 고령 인구 평균

비율이 체 인구의 22.7%로 이미 고령 사회로 진입한 지역이 부분이다.

지역 체 인구 농가인구 비율이 무려 40%를 넘어 지역경제의 기반은 농업이

다. 그리고 2000년 기 으로, 노후주택 비율이 40%를 넘는다. 지방세 규모는 시․군당 평균 80억 원 정도로 타 지역에 비해 하게 다.

경지면 비율은 국 평균치를 약간 돌고, 임야면 비율은 국 평균치를

약간 상회하며, 특별시나 역시 등 도시 지역과의 평균 거리는 국 평균치

에 근 하고 있다. 주로 강원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라남도, 라북도 등에

분포하고 있다.

문화재나 친환경농업 실천 농가의 수는 국 평균 수 이다. 2차 산업 종사자

수 비율이 평균 27.8%로 국 평균값과 비슷한 수 이다. 최근 6년 간 등록

Page 84: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70

사업체 수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여 평균 41.2%에 달한다. 국 평균치는 33.6%

이다.

이 지역은 경제의 침체와 인구사회학 지속가능성의 문제가 심각한 형

인 농 지역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최근 들어 조 씩 성장하기 시작한 부문

이 지역의 미래를 어떻게 변화시킬 동력이 될 것인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 3차산업 성장주도 농촌지역(군집 B)의 특징

이 지역에서의 평균 거주인구 규모는 8만 명 내외이며, 연평균 인구 증가율은

-0.85% 정도로 국 농 지역 평균값과 비슷한 수 이다. 고령 인구 비율은

14.6%로 고령사회에 진입한 지역이 부분이다. 그러나 국 평균값인 16.6% 보

다는 약간 낮은 편이다. 농가 인구 비율은 21.6%로 국 평균값인 28.3%보다 다

소 낮다. 노후 주택 비율은 29.4%로 국 평균값 31.1%보다 약간 낮은 편이다.

임야 면 비율은 4개의 군집들 가장 높고 경지면 비율은 가장 낮다.

부분 강원도의 산 지역이나 남해안 지역이다. 최근 6년간 통학 ․ 통근 인구 변화

율이 13.8%로 국 평균값인 3.8%보다 하게 높다. 인근 도시와의 거리가

평균 135.0km로 다른 군집들에 비해 하게 멀다. 이러한 을 생각할 때, ‘군

집 B’에 속한 지역들은 최근 교통망 발달의 가장 큰 수혜자라 할 수 있다.

3차 산업 종사자 수 비율이 79.4%로 군집들 가장 높았으며 등록된 사

업체 수 증가율도 38.2%로 국 평균치를 상회하고 있다. 지역 내 시장 수는 큰

변화가 없으며, 국 으로 농 지역의 은행 수가 고 있음에도 비해 이 지역

의 은행 수 감소 속도는 다소 느린 편이다.

지역경제의 기반이 농업에서 등을 심으로 한 서비스 산업으로 환되

는 과정이 상 으로 많이 진행된 지역이다. 체로 산이나 바다 등의 자연경

자원이 풍부하다. 교통의 발 으로 인해 이 지역들에서의 부문 성장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상된다.

□ 도시권역 편입 농촌지역(군집 C)의 특징

최근 7년 동안 인구가 증가한 유일한 군집으로 연평균 증가율은 2.67%로 매우

Page 85: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71

높은 편이다. 평균 거주 인구도 24만 명 정도로 그 규모가 가장 큰 군집이다.

고령 인구 비율은 9.3%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지역이 부분이나, 타 군집들

과 비교할 때 하게 낮은 수 의 고령화율을 보이고 있다. 노후주택 비율은

18%로 국 평균치인 31.1%보다 훨씬 낮다. 지방세 수입은 평균 780억 원 정도

로 가장 높다.

부분 수도권 는 경상남북도의 역직할시( 구, 울산, 부산)에 인 한 도

농복합시이다. 인 도시와의 거리는 49.3km로 4개의 군집들 가장 짧다.

2차 산업 종사자 수 비율이 49.7%로 국 평균치인 30.1%보다 하게 높다.

지방세는 평균 780억 원 정도로 다른 군집들에 비해 압도 으로 많다.

지역 내 시장 수가 하게 증가한 지역으로 형 소매할인 매장 등이 최근

에 새로이 입지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등록 사업체 수 증가율은 11.6%로

다른 군집에 비해 하게 낮은 수 이다. 노후주택 비율은 18.0%로 국 평균

인 31.1%에 비해 하게 낮다.

이 지역은 제조업체들이 더 많이 입지하는 도시 주변 지역이다. 2차

산업 성장은 은 인구의 유입과 더불어 지역 내 택지 개발을 진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지역에서 농업의 비 은 상 으로 작으며, 도시근교형 농업이 유지

되고 있다. 농지 용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며 반 으로 도시화될 것으로 상

된다.

□ 평야지대 농촌지역(군집 D)의 특징

최근 7년 동안 인구 증가율은 -1.39%로 다소 큰 폭의 인구 감소가 진행되고

있다. 거주 인구 규모는 략 12만 명 정도로 국 농 지역 평균값에 근 하고

있다. 고령 인구 비율은 16.7%로 부분 고령사회에 진입했으며, 지역 인구

농가인구가 30%로 국 평균치와 거의 비슷하다. 노후 주택 비율도 31.1%로

국 평균치와 동일하다.

경지면 비율이 31.7%, 임야면 비율이 50.9%이다. 충청남도, 라남북도,

경상북도의 평야 지역 시 ․ 군이 많다. 친환경농업 실천 농가 수는 약 1만 3,000호

로 국 평균치를 훨씬 웃돌고 있다. 지역 내 은행 수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Page 86: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72

등록 사업체 수 증가율은 38% 정도로 국 평균치를 약간 웃돌고 있다.

이곳들은 평야 지 의 형 인 농업지역이라 할 수 있다. 상당한 폭의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지역경제의 기반은 농업에 있다. 타 군집에

비해 국가 혹은 지방 지정 문화재 수가 많아, 과거에는 이웃한 지역들에 해

심지로서 기능했을 지역들이 많이 있다. 최근 들어 부문이 조 성장하

는 기미를 보이고 있으나, 여 히 농업 여건의 변화에 가장 큰 향을 받을 지

역이다.

2. 농 지역 유형별 분포 비 을 망하기 한 시뮬 이션

2.1 농촌지역 유형별 분포 전망을 위한 시뮬레이션의 가정

거시 인 메가 트 드는 각각 변화 동인(driver)들에 향을 끼친다. 동인들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그리고 동인들의 변화가 농 지역의 특징을 표출하는 주

요 통계 지표들과 어떤 상 계를 맺고 있는가를 논리 으로 합당하게 악해

야 한다. 그 때 비로소 몬테카를로 시뮬 이션에 한 가정을 수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견되는 한국 사회의 메가 트 드와 범 수 에서 농 지역의 변

화를 추동할 동인들의 논리 계를 그림으로 표 하면 다음과 같다.

다음 표 5-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농 지역 시 ․ 군 각 유형마다 변화 동인

(driver)들이 끼칠 수 있는 향에 하여 가정하고 가 치를 설정하 다. 이 가

정은 비 으로 몬테카를로 시뮬 이션 모델을 테스트하기 해 작성해 본 것

으로, 추후 기 통계 데이터에 의해 정 하게 보완하고 본격 인 시뮬 이션을

할 필요가 있다.

Page 87: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73

세계화

(특히, 농산물 시장 개방)

고령화

교통망 발달

농촌 어메니티(amenity)에

대한 관심 증대

도시의 확산

정보통신기술 발전

식품 안전성에 대한

관심 증대

농업을 중심으로 하는

농촌지역 경제의 위축

농촌지역 인구 변화

농가 인구 감소

농촌지역의 초고령화

농촌 주택의 노후주택

비율 감소

농촌지역의 2차 산업

종사자 수 증가

농촌지역의 3차 산업

종사자 수 증가

농촌지역 거주 통근 인구

증가

농경지 면적 감소

친환경 농업 확산

농촌지역 서비스 아웃렛

분포의 양극화

농촌지역의 관광 부문 성장

그림 5-2. 농 의 변화에 향을 주는 메가트 드와 범 요인의 계

Page 88: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74

농 지역 변화 동인 련 가정

산간

농 지역

(군집 A)

3차산업

성장주도

농 지역

(군집 B)

도시권역 편입

농 지역

(군집 C)

평야 지

농 지역

(군집 D)

* 농업을 심으로 하는 농 지역

경제의 축- - ++ --

* 농 지역 인구 감소 - - + -

*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 증가 + + -- +

* 농가 인구 비율 감소 - + + --

* 노후 주택 비율 감소 - + + -

* 경지면 비율 감소 0 0 + -

* 통근인구 비율 증가 - + ++ --

* 2차 산업 종사자 수 비율 증가 0 0 ++ 0

* 3차 산업 종사자 수 비율 증가 + + - +

* 친환경 농업 실천 농가 수 증가 + 0 - +

* 농 지역 내 형소매 ,

은행 등 서비스 아울렛 수 감소+ + -- +

* 농 지역 사업체 수 증가 - ++ -- -

표 5-4. 주요 변화 동인(driver)의 지역유형별 상 향에 한 가정

다음의 주요 변화 동인들은 각 유형의 시․군 지역 수 증감에 얼마나 향을 것인가?

(+++, ++, +, 0, -, --, ---)

Page 89: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75

가 정가정이 실 될

확률값

H1. 농업을 심으로 하는 농 지역의 경제는 축될 것이다. 0.50

H2. 농 지역 인구가 감소할 것이다. 0.95

H3.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증가할 것이다. 0.99

H4. 농가인구 비율이 감소할 것이다. 0.86

H5. 농 지역의 노후주택 비율이 감소할 것이다. 0.66

H6. 경지면 비율이 감소할 것이다. 0.6

H7. 농 지역의 통근인구 비율이 증가할 것이다. 0.5

H8. 농 지역의 2차 산업 종사자 수 비율이 증가할 것이다. 0.65

H9. 농 지역의 3차 산업 종사자 수 비율이 증가할 것이다. 0.46

H10 친환경농업 실천 농가 수가 증가할 것이다. 0.50

H11. 농 지역 내 형소매 , 은행 등 서비스 아웃렛 수가 감소할 것이다. 0.50

H12. 농 지역의 사업체 수가 증가할 것이다. 0.71

표 5-5. 시뮬 이션을 한 가 치 설정

2.2. 시뮬레이션 결과

○ 몬테카를로 시뮬 이션 분석 결과

- 시뮬 이션 횟수: 10,000회

- 시뮬 이션을 한 12개 가정들의 확률분포 설정치

○ 시뮬 이션 결과 1: 산간 농 지역 시 ․ 군 수의 변화

- 재 44개 시 ․ 군(32.1%)

⇒ 2020년 쯤에는 26.7% 정도로 감소(시뮬 이션 결과 응답치의 평균값)할

것이다.

⇒ 이 유형의 농 지역이 체 농 지역 시 ․ 군 수 차지하는 비율은

19.2~36.4%라 상할 수 있다.

⇒ 이 유형의 농 지역 수가 재 수 보다 더 어질 확률은 99.53%이다.

Page 90: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76

○ 시뮬 이션 결과 2: 3차산업 성장주도 농 지역 시 ․ 군 수의 변화

- 재 27개 시 ․ 군(19.7%)

⇒ 2020년 쯤에는 28.9% 정도로 증가(시뮬 이션 결과 응답치의 평균값)할

것이다.

⇒ 이 유형의 농 지역이 체 농 지역 시 ․ 군 수 차지하는 비율은 18.2~

35.2%라 상할 수 있다.

⇒ 이 유형의 농 지역 수가 재 수 보다 더 많아질 확률은 99.69%이다.

Page 91: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77

○ 시뮬 이션 결과 3: 도시권역 편입 농 지역 시 ․ 군 수의 변화

- 재 29개 시 ․ 군(21.2%)

⇒ 2020년쯤에는 23.6% 정도로 증가(시뮬 이션 결과 응답치의 평균값)할 것

이다.

⇒ 이 유형의 농 지역이 체 농 지역 시 ․ 군 수 차지하는 비율은 11.4~

36.8%라 상할 수 있다.

⇒ 이 유형의 농 지역 수가 재 수 보다 더 많아질 확률은 70.50%이다.

○ 시뮬 이션 결과 4: 평야지 농 지역 시 ․ 군 수의 변화

- 재 37개 시 ․ 군(27.0%)

⇒ 2020년쯤에는 19.7% 정도로 감소(시뮬 이션 결과 응답치의 평균값)할 것

이다.

⇒ 이 유형의 농 지역이 체 농 지역 시 ․ 군 수 차지하는 비율은 11.8~

28.3%라 상할 수 있다.

⇒ 이 유형의 농 지역 수가 재 수 보다 더 어질 확률은 99.77%이다.

Page 9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78

Page 93: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79

부분의 농 지역에서 농업은 가장 요한 산업이라는 종래의 지 를 잃

게 될 것이다. 국내 제조업의 생산단계 해외 아웃소싱(outsourcing)이 보편화

됨에 따라 한계제조업의 퇴출도 가속화할 것이다. 농 에서도 3차 산업이 농

의 수 산업으로 떠오를 것이다. 그러나 재와 같은 도소매업과 음식숙박

업 주의 3차 산업은 반 인 구조 변화를 겪게 될 것이다. 지역에 따라서

는 새로운 성장산업이 출 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해외에서 재평가되는 목

공, 통식품, 건강식품 등을 심으로 한 농업 클러스터가 형성되기도 할 것

이다. 여건이 좋은 지역에서는 외지인을 상으로 하는 서비스 산업이

활성화될 것이다. 지역 인 특성에 따라 산업구조 변화가 매우 차별 으로

나타날 것이다. 도시근교 농 지역과 원격지 농 지역에서 산업구조는 지

보다 더 많은 차이를 나타낼 것이다

제 6 장

농 의 미래 망

1. 산업공간으로서의 농

1.1. 농촌지역의 산업구조는 어떻게 될 것인가?

Page 94: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80

□ 서비스 산업 비중 증대

2020년 국내 산업구조는 농림어업 1.6%, 제조업 25.3%, 건설업 8.5%, 서비스

업 62.3%로 변화가 상된다(산업연구원, 2005). 농 지역에서도 이러한 향을

받아 서비스 산업 주로 산업구조가 바뀔 것이다. 부분의 농 지역에서 농업

이 수 산업으로서의 치를 상실할 것이다. 제조업체 입지가 활발하지 못하고

인구가 지속 으로 감소하는 원격지 농 지역에서는 농업부문에 종사하는 사람

들이 차지하는 비 이 가장 높은 경우도 있겠지만 지역생산액에서 농업이 차지

하는 비 은 그리 크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공공부문에서 창출하는

일자리와 부가가치가 지역 경제의 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 농촌지역의 제조업 활동 약화

비용 요인 감소로 인한 개발국가로의 생산공정 이 , 농 지역에서의 규

제 강화 등이 작용하여 농 지역의 제조업 활동은 지 보다 약화될 것이다. 지

까지 농 지역에 입지한 2차 산업은 비용의 장 을 쫒아 입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제조업 부문의 국제 경쟁이 심해지면서 비용을 이 으로 하는

기업경 은 차 어려워질 것이다. 국내 제조업의 규모화 문화, 지식기반 산업

화가 진행되면서 첨단기술 분야가 아닌 제조업 등은 그 생산시설이 해외에 입지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농 지역에 입지하고 있는 비용 기업의 상

당수가 퇴출될 가능성이 높다.

농 지역에서의 양질의 ‘노동력 부족’과 각종 ‘규제 강화’는 제조업의 활동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환경에 한 국민 인 심이 높아짐에

따라 농 지역 주민들조차도 화학품 제조업 등에 해서 그 환경 피해를 우려

하고 입지를 원하지 않는 형편이다.

□ 농촌지역 3차 산업의 구조 변화

인구가 감소함에 따라 최소 시장을 확보하지 못한 도소매업, 서비스업의 퇴출

이 가속화할 것이다. 특히 재래시장이 많은 향을 받을 것이다. 도로망과 교통

Page 95: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81

의 발달은 농 지역 3차 산업에 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이다. 도로망의 발

은 한편으로는 농 과 같이 외부인의 농 에서의 서비스업 부문수요을

진하기도 하겠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농 에 입지하고 있는 기존의 3차 산업 부

문 경 체들에게 큰 타격을 수 있다. 이러한 상은 이미 시작된 것 같다. 농

지역 주민들이 발달된 교통망을 활용하여 비교 원거리에 있는 도시까지 가

서 필요한 서비스를 얻는 경향이 늘어날 것이다. 결국, 지방자치단체의 노력 여

하에 따라서는 해당 농 을 방문하는 외지인을 상으로 하는 서비스 산업이 발

달하는 지역이 출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기존의 근린 서비스 산업은 약화될 것

이다. 특히, 유흥이나 오락 련 서비스 산업은 매우 축될 것이다.

□ 새로운 성장 산업의 출현

지 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성장산업이 출 할 가능성도 높다. 로하스(LOHAS:

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상품에 한 수요가 증가하며, 자연친화 인

라이 스타일이 확산됨에 따라 통산업에 한 재평가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크다. 목공 품, 민 품, 통식품 등이 다시 활기를 찾을 것이다. 특히 수공업에

의한 통식품의 재평가가 폭넓게 이루어질 망이다. 김치에 한 세계인의 수

요가 증가하며, 인삼에 한 인식도 높아져 이들 상품의 주산지는 농업클러스터

로서 발 할 가능성이 높다.

강원도와 같이 여건이 좋은 지역에서는 농업활동과 수요를 목한

농 산업이 지역의 신 성장 산업으로 자리 잡을 것이다. 한 도시민들의

원수요을 활용한 주거단지조성 원주택산업도 새로운 산업으로 자리 잡

을 수 있을 것이다.

□ 농촌지역간의 산업 활동 차별화

농 지역 간의 분화(differentiation) 상은 더욱더 활발하게 진행되어 농 지

역간의 산업구조 변화가 매우 차별 으로 나타날 것이다. 도시와 농 의 이분법

인 비교는 그 의미가 퇴색할 것이다. 도시근교 농 지역은 지리 인 장 을

살려 원격지 농 지역과 비교할 수 없는 경제 인 특성을 가질 것이다. 원격지

Page 96: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82

농 지역에서도 지역의 자원, 신역량 등을 바탕으로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견

한 지역과 그 지 못한 지역의 경제 인 격차가 심화될 망이다. 주변에 거

도시나 신도시(행복도시 ․ 신도시)와의 연계를 강화시켜 지역발 을 꾀하는 지

역, 소비지와의 근성과 어메니티를 활용하여 지속 인 성장모델을 추구하는

지역이 출 하며, 지역특구, 산업클러스터 등과 같이 앙정부의 각종 정책 산업

을 유용하게 활용하는 지역도 출 할 것이다. 한 끊임없는 학습활동을 통해서

구성원의 신역량을 키워 나름 로의 성장모델을 실 해 가는 지역도 출 할

가능성이 높다.

1.2. 어느 분야에서 농촌지역의 고용이 창출될 것인가?

농업 부문과 제조업 부문에서의 고용이 감소하는 가운데 3차 산업 분야에

서 고용 창출이 이루어질 것이다. 농업 부문 고용은 농업구조조정과 더불어

어든 끝에, 2020년쯤에는 은 인력을 심으로 소규모이지만 안정세를 유

지할 것이다. 산업활동에 의한 고용이 한계에 달한 상황에서 공공부문의 개

입에 의한 고용창출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른바 사회 일자리 창출이다.

□ 농업 부문 고용 감소후 안정 유지

농업 부문의 고용은 총량 면에서는 증가하지 않을 것이다. 농업정책에 의한

구조조정이 계속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 고령화된 농업 노동력의 상당 부분이

은퇴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나 축산 부문이 업화되고, 어느 정도 규

모가 있는 신규 취농 인구는 게나마 일정 정도의 수 을 유지할 것으로 망

된다. 도시부문의 높은 청년 실업률이 장기화될 것이기 때문이다.

□ 3차 산업 분야에서의 고용 창출

농 지역에서 고용이 늘어날 것으로 상되는 산업 부문은 서비스업이다. 그

Page 97: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83

러나 모든 지역에서 서비스업 부문 체의 고용이 늘어날 것으로는 망되지 않

는다. 오히려 도소매업과 음식업 부문에서는 고용이 감소할 것이다. 한 고용창

출의 지역 편차도 심할 것이다. 부문이 성장하는 일부 농 지역에서 음식업

이나 숙박업을 심으로 서비스업 부문 고용이 증가할 것이다. 특히, 여성 취업

자 수 증가가 에 띄게 늘어날 것이다.

□ 지식기반 산업의 농촌 유치와 일자리 창출

정보통신 네트워크 기반이 상 으로 잘 갖춰진 도시 근교 농 지역에 지식

기반산업 부문 기업들이 입지할 수 있도록 정책 인 노력을 기울인다면, 아일랜

드나 국의 에서 볼 수 있듯이 새로운 고용창출과 더불어 외부로부터의 인구

유입을 기 할 수도 있다.

지식기반산업은 지식집약 인 특성으로 인해 수도권에 집 되어 왔으나 정보

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른 재택근무의 활성화, SOHO의 성장 등으로 농 지역에

서도 업무기능이 확 되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농업분야에서는 지식기반 농업기술의 발달에 따라 친환경유기농법 등 신기술

을 지원할 분야와 통신을 이용한 농산물유통을 지원할 분야, 시설농가의 증가로

인한 농업시설 기계 련 지원서비스업 등에서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을 것

이다.

□ 사회적 일자리 창출

인구 고령화와 출산 상으로 인해 ‘생산 복지’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있

는 재의 사회복지 정책은 일정 부분 농 지역에서의 사회 일자리 창출을 시

도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것이다. 한 지역의 자원과 환경, 순환을 통한 부가가

치의 창출 측면에서도 사회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일본의 에서 볼 수 있듯이, 고령 노동력이나 여성 노동력을 심으로

조직된 NPO를 활용하여 농 지역의 경 시설물 리, 사회사업(social work)

을 진행하는 방식의 고용창출 정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Page 98: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84

※ 사회 일자리 창출 선진국 사례

■ 일본의 사례

• 일본 교토부의 QOL사업은 환경 ․ 복지 ․ 건강 등의 지역과제를 스스로 해

결하여 스스로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 음.

• 일본의 QOL사업은 지역자원의 조사, 지역의 순환성을 통해 지역산업을

도모, 지역과 주민과 기업의 소규모 클러스터 형성, 소규모 기술과 주변

역량의 연계성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의 과정을 통해 생성

• 규모의 산업이나 이득을 취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 실정에 맞는 소규모

기술과 사업을 통해 지역에 맞는 가치창출을 꾀함.

(자료: 박시 외, 2006)

■ 국의 사례

• 국 잉 랜드의 경우, 50개 지방자치단체가 사회보호서비스를 주

• 1980년 이후 정부와 지자체의 “ 탁”체제를 통한 민간 자원부문의

서비스제공이 증

• 고령자 보호, 아동, 보건의료서비스가 주요 사회보호서비스의 분야임.

• 잉 랜드의 사회보호서비스에 고용된 인원은 약 1백만 명 가량인 것으로

나타남.

• 고령자보호분야는 가장 경제규모가 큰 사회보호서비스분야이며 이 분야

에서 두드러지는 고용효과를 달성하 음(민간 탁부문의 임 노동자가

고령자 보호 분야 고용의 1/4임).

• 특히 사회보호서비스의 고용은 여성이 지배 이고, 50세 이상의 비정규

직이 부분임.

(자료: 박시 외, 2006)

Page 99: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85

농 지역 주민의 일상생활과 련된 서비스 공 은 축될 망이다. 의

료복지 부문 서비스는 그 수요가 증가할 것이나 근성 등의 문제로 인해

이를 해결하기 한 재가 서비스 혹은 방문 서비스의 형태가 출 할 것이

다. 상업 기능을 담당하던 종래의 서비스 업체들이 많이 사라지고 새로운

형태의 상업 서비스 업체들이 어느 정도 구매 계층이 확보되는 읍 ․ 면 소재

지 외곽에 입지하는 경우도 늘어날 것이다. 일상생활에 필요한 최소한의 서

비스를 공 하기 한 지방자치단체 수 의 공공개입이 증가할 것이다. 한

편, 부문이 활성화되는 일부 농 지역과 도시 근교 지역에서는 지역

주민보다는 외부로부터의 내방객을 상으로 하는 음식업, 숙박업, 유흥업

등의 서비스업이 활기를 찾는 곳도 있을 것이다.

1.3. 농촌지역의 서비스 수요와 공급 체계는 어떻게 변할까?

□ 의료 서비스 수요 증가

농 지역에서의 서비스 수요는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농 지역 주민들의

수요이며, 다른 하나는 외부로부터 그 지역을 방문하는 이들의 수요이다. 그 수

요의 질과 양이 농 지역 서비스업 부문 산업의 미래를 결정하는 요한 요인

이다.

농 지역 인구 구성은 지 보다 더 많이 고령화될 것이며, 농 인구 한 지

역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큰 폭으로 감소하는 곳이 많을 것이다. 이 을 감안

한다면, 고령화에 따라 의료와 련된 서비스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농 지역

인구의 부분을 구성하는 서비스 수요 계층이 이동성을 확보하지 못한 사회

약자들인 곳에서는, 복지와 련하여 주민들이 재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체

계가 구축되기도 할 것이다. 노인수발보험이나 방문 진료활동이 활성화될 가능

성이 있으며, 이런 업종이 농 지역의 새로운 고용 기회로 자리 잡을 수도 있다.

Page 100: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86

□ 상업시설 이용 변화

구매력이 떨어지는 고령 계층이 농 인구의 다수를 하게 됨으로써, 종래

에 상업 기능을 담당하는 주체들은 그 수가 게 될 것이다. 표 인 로

재래시장을 들 수 있다. 결국 수요 감소와 더불어 세 규모 포나 재래시장은

축되고, 농 지역 생활 심지(읍/면 소재지) 외곽에 형 상 들이 출 하

여 그 기능을 신할 것이다. 그러나 인구가 과소화된 농 지역에서는 그러한

형 상 의 출 가능성이 낮다.

시장을 매개로 민간 부문 주체들이 담당하던 여러 가지 서비스 공 이 단되

는 지역들이 늘어날 망이다. 수요의 양 감소와 더불어 임계량(critical mass)

을 확보하지 못한 서비스 업종들이 사라지고, 최소한의 서비스( : 융 업무)들

을 하나의 아웃렛에서 종합 으로 공공부문이 신해서 공 하는 지방자치단체

들이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부문이 활성화되는 일부 농 지역이나 도시 근교 농 지역에서는 음식

업, 숙박업, 유흥업 등의 서비스 업체들이 증가할 것이다. 외지로부터의 내방객

들을 주 고객으로 하는 이들 업체들의 시설이나 서비스는 도시의 최신 유행을

따라가는 방식으로 형성될 것이다. 가령, 읍 ․ 면 소재지의 다방 신 체인화된 커

피 문 이 들어서는 일도 상당히 있을 것이다.

1.4. 한국 농업의 일반적인 모습은?

국가 경제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 이 감소할 것이다. 우리나라 농업은

소수의 문경 인에 의해서 이루어질 것이다. 를 들면 농 마을 내의

소수 청장년 농업인들이 업 인 규모로 벼 농사를 짓는 모습을 흔히 보

게 될 것이다. 이들이 경작하는 농지는 자기 소유 외에도 마을 내 고령 농

가들의 농지를 임차한 것이거나 탁 농을 하는 땅이 상당부분을 차지할

것이다.

Page 101: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87

식품안 성이 시되면서 지역순환형농업, 환경농업은 꾸 히 증가하여

한국 농업의 주된 농형태로서 정착할 것이다. 재보다 역화된 공간

범 에서 경종-축산 연계 체계가 형성될 것이다.

부문에 따라서는, 특히 과수와 채소 부문에서는 재 진행되고 있는 형

유통할인 의 시장 유율 증 가 시장 구조를 재편하는 큰 요인이 될 것이

다. 물량과 정규성과 품질을 요구하는 형 소매업체들로 인해, 산지에서는

생산, 출하, 유통 측면에서 조직화가 활발하게 진행될 것이다. 다양한 형태의

어그리 비즈니스(agri-business)가 출 하며 농업에서 기업경 요소가 보다

시될 것이다.

□ 농업의 상대적 비중 축소

반 으로 국가 경제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 은 감소할 망이다. 미국

국과의 FTA 체결에 따라 체 GDP는 증가하는 반면 농업 GDP는 감소하여,

농업의 비 은 2005년 2.9%에서 2020년 2% 이하로 하락할 망이다. 이농과 탈

농이 지속되는 반면 귀농은 제한 으로만 이루어져 농가 인구는 2005년 343만

명에서 2020년 161만 명 수 으로 감소할 망이다.

농지 용으로 경지면 이 감소할 것이다. 2020년 경지면 은 약 20% 감소한

147만 ha, 재배면 은 22% 감소한 150만 ha에 달할 것이다. 상. 재배면 은

98만 ha에서 74만 ha로 약 25% 감소할 것이다. 농가 수가 경지면 보다 더 속

하게 감소하여 호당 평균 경지면 은 2005년 1.43ha에서 2020년 2ha 이상으로

확 될 망이다.

규모 경작을 하는 농가 비 이 늘어나 규모화가 진 되겠지만 소규모 농가

비 도 증가하는 양극화 추세가 지속될 것이다. 3ha 이상 농가 비 이 증가하는

반면 1ha 미만의 세농의 비 도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상은 , 시설채소,

과수, 한우, 양돈, 낙농 등에서 동일하게 나타날 것으로 망된다. 이러한 생산

구조 변화를 고려한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

Page 10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88

농가 소득에서 직 지불 보조 과 겸업소득이 차지하는 비 이 증가할 것이

다. 호당 농가소득은 4600만 원 수 으로 증가할 것으로 상되나, 이 농업소

득은 33%인 1500만 원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겸업소득과 정부의 직 지불 보조

으로 충당하게 될 것이다.

□ 농산물 소비 고급화와 식품 안전성 중시

소비자들의 소득 증가와 건강에 한 심이 증 되어 안 한 농산물과 고

품질 농산물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특히 식탁에서 우리가 먹는 식품의 그 생

산지와의 거리(food mileage)에 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안 하고 안심하게 먹

을 수 있는 국내산 농산물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산지에서 안 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조치들이 취해질 것이다. 를 들면 농약의 정사용, 농약검사

시스템의 확립, GAP의 정착, 가축방역체제의 강화 등이 이루어질 것이다.

제조 ․ 가공 ․ 유통과정에서도 안 성을 확보하기 한 조치들이 취해질 것이

다. 원산지 표시제도, 각 종 인증제도, 이력시스템 등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할

수 있는 노력들이 한층 강화될 망이다.

□ 환경친화 및 자원절약형 농업의 확대

안 식품에 한 수요 증가로 친환경 인 생산방식이 강조될 것이다. 특히 지

방자치단체에서 친환경 인 생산방식에 많은 심을 가질 것이다. 외부로터의 이

입과 이출을 최소하고 지역의 자원을 지역 내에서 순환시키는 이른바 지역순환형

농업이 강조될 것이다. 이를 실 하기 해서 지역내의 가축분뇨와 농작물 꺼기

등의 퇴비화사업 등이 진행되며, 환경에의 부하를 최소화하는 윤작체계가 도입되

며, 폐비닐류와 같은 농업용자재의 재처리사업 등이 극 으로 추진될 것이다.

물 부족이 심화됨에 따라 수자원 리 요성이 증가하며 물 약형 작물과

농법이 개발될 것이다. 유류 와 기료 등 에 지 비용이 증함에 따라 시설

원 등 에 지 고소비 농업도 일부 쇠퇴할 것으로 상된다. 이와 반 로 바이

오매스 활용사업 등이 극 으로 추진될 것이다.

Page 103: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89

□ 다양한 형태의 어그리 비지니스 출현

농산물 생산 이후 단계까지를 경 의 상으로 하는 다수의 농업 경 체가 출

하여 어그리 비지니스가 활발하게 개될 것이다. 농업생산물, 생산과정에서

얻어지는 부산물, 지역에 부존하는 자연, 문화, 농 생활 등 다양한 자원을 비즈

니스의 소재로서 활용하는 노력들이 활발하게 개될 것이다.

어그리 비즈니스는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겠지만 기본 으로 생산단계에

머무르지 않고 가공 매 유통, 심지어 서비스 부문까지를 사업 역으로 할 것

이다. 를 들어 농산물 직 과 농산물 가공사업, 농원, 목장, 체험농장,

시민농원, 농가민박, 농가 스토랑, 통문화 체험, 농업복지서비스, 택배서비스

등이다. 특히 고령자를 상으로 하는 원 등도 어그리 비지니스로서 각 받

을 수 있을 것이다.

어그리 비즈니스의 확 와 더불어 조직화된 법인 경 체 출 이 증가할 것이

다. 농가와 귀향도시민, 업농가와 은퇴농가 등, 다양한 구성원으로 조직된 법

인경 체가 증가할 것이다.

2. 생활공간으로서의 농

2.1. 농 의 마을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농 의 인구 감소와 고령화 추세를 고려한다면, 2020년경에는 사라지는

마을이 있을 수 있다. 농 에서도 심지와 원거리에 치해 있는 주변부

농 지역일수록 소규모 자연마을 인구는 상 으로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이런 마을들 완 히 소멸하는 곳이 생겨날 것이다. 하지만 완 히 소멸

하지 않고 1~3호 정도의 가구가 남아 정주하는 마을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Page 104: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90

마을은 마을로서의 기능은 발휘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남아 있는 몇 호

남짓의 농 마을 가구 구성원은 지 의 평균 인 소농들과는 다른 생활양

식을 할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마을의 소멸 는 기능 축소에 응하

여 각종 공공/민간 서비스 기능을 효율화하기 한 방편으로 읍 ․ 면 소재지 주

변에 새로운 집단 주거지를 조성하는 곳도 있을 것이다. 그 게 되면 읍 ․ 면

소재지 주변을 심으로 농 지역의 정주공간이 재편된 곳에서 주변부 지

역으로 출퇴근 농을 하는 비교 은 농업인들도 심심치 않게 발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원격지 농촌 마을의 소멸과 기능 축소

농 의 인구 감소와 고령화 추세를 보면서 가장 궁 한 이슈는 ‘사라지는 마

을이 있을까’, ‘사라지는 마을이 있다면 어떤 곳에 있는 마을이 얼마나 사라질

까’ 하는 것이다. 농 마을의 다양화와 분화가 진행되어 한 마디로 ‘농 마을

은 이 다’라고 규정하기 어렵게 될 것이다. 심지로부터 원격지 농 마을들

은 이미 소멸 기에 직면해 있다. 2020년쯤에는 소규모 자연마을이 소멸하거나,

혹은 소멸하지는 않더라도 마을로서의 종래 기능을 상실한 경우가 상당히 많아

질 것이다.

□ 도시 근교 농촌 마을의 확대

도시 근교 농 마을은 확 될 가능성이 높다. 도시로 출퇴근하는 은 인구,

도시로부터 이주해 온 은퇴자, 원래 거주하고 있던 농 주민들이 혼주하는

원마을이 증가할 망이다. 특히 도시나 지방 소도시 주변부의 농 마을은

원생활을 지향하는 도시민들의 원주택지역으로 완 히 체될 가능성이 상

당히 크다.

읍 ․ 면 소재지 주변부의 농 마을들에는 공동주택단지가 조성될 가능성이 크

다. 특히 읍 ․ 면 소재지의 경우는 도시나 지방 소도시 주변부의 농 마을들

과는 달리 해당 지역의 고령화된 인구나 출퇴근 인구 등이 거주하게 될 것이다.

Page 105: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91

그림 6-2. 소멸해가는 농 마을그림 6-1. 원주택지로 변화하는 농 마을

□ 농촌 마을의 분화와 특화

상 으로 원격지의 농 마을들은 그린투어리즘 등으로 특화되지 않는 한

일반 으로는 낙후된 주택만을 남겨둔 채 소멸되거나 폭 축소될 가능성이 크

다. 경우에 따라서는 농사철 등 특별한 시기에 한정되어 계 으로만 이용되는

양상을 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2020년 정도의 시기에는 상 으로 축소

되는 마을의 수에 비하여 자연 소멸되는 마을의 수가 그리 많지는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변화와 더불어 기능 으로 특수성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농 마

을들이 출 할 것이다. 를 들어, 원주택단지, 타운하우스단지, 그린투어리

즘 마을, 은퇴자 마을, 동호인 마을, 업화된 농업인 마을, 혹은 치유 휴양

기능을 수행하는 마을 등이 국의 격자형 고속도로 망 곳곳에 형성된 도시들

의 네트워크 사이사이에 생겨날 것이다. 좁은 국토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농

마을들은 도시와의 계, 정책 인 향 등에 따라서 다양한 분화 모습을

보일 것이다.

Page 106: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92

그림 6-3.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변모하는 농 마을

그림 6-4. 농 마을의 다양한 미래상

자료: 송미령․성주인(2006).

Page 107: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93

농 지역 주민들의 일상생활 심지인 읍 ․ 면 소재지의 기능이 지역에 따

라서 축소되거나 강화되는 다양한 양상이 출 할 망이다. 하지만 체로

2020년 무렵 읍 ․ 면 소재지는 여 히 농 주민들의 일상생활에서 요한

기 심지로서의 역할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며 재와 비슷한 수 에

서 그 기능을 유지하는 곳이 꽤 많을 것이다. 다만, 2020년쯤에는 재와는

완 히 다른 모습으로 읍 ․ 면 소재지 기능이 바 는 곳이 나타날 수도 있는

바, 사회문화 인 기능이 요하게 부각될 것이며 새로운 심지로서 역 주

변이나 주유소, 쇼핑 아울렛 등의 생활 편의 서비스 제공 기능이 부각될 가

능성도 있다.

2.2. 정주체계와 심지 기능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 읍 ․면 소재지는 일상생활의 기초 중심지로 유지

재의 농 심지로서 읍 ․ 면 소재지 기능이 유지될 것인지, 변화될 것인지,

아니면 다른 심지 기능으로 체될 것인지도 논의해야 할 이슈이다. 지 의

일반 인 농 의 정주체계는 마을 - 읍 ․ 면 소재지 - 인 도시로 이어지는 계

를 보이는 층 인 형태이다. 그러나 차 마을(주거지) - 인 도시 심지로

연결되는 직결형 정주체계가 강화될 것이다. 이에 따라 반 으로 읍 ․ 면 소재

지의 기능은 재보다 축소되거나 기능이 체될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행정구역 체계의 개편이 없는 한 농 지역사회의 가장 기 인 심지로

서의 기능은 유지될 것이다.

□ 읍 ․면 소재지의 기능 변화

체로 미래의 농 읍 ․ 면 소재지에서는 멀티서비스 공간이 증가할 망이다.

한 곳에서 생활에 필요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는 ‘창구’가

생겨날 것이다. 이는 서비스 공 의 효율성을 제고하면서도 농 주민들에게 가

Page 108: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94

그림 6-5. 남 장흥군 토요시장

장 의미있는 기 서비스 공 지로서의 역할 수행을 해 불가피한 선택의 결과

이다. 특히 재의 재래시장(5일장)은 체로 사라질 것이나, 어떤 경우에는

객들을 상으로 하는 새로운 장소로서 재편되어 남을 것이다.

▶ 재래시장을 으로 정비하고 5일장의 기능과 결합하여 새로운 지역 명소로 부각

□ 새로운 중심지 기능과 중심공간의 부각

농 주민들의 일상생활 기 심지로서 읍 ․ 면 소재지의 상가들이 갖던

통 인 기능은 차 축소될 것이다. 그러나 그보다는 사람들 간의 만남, 클럽활

동 등이 이루어지는 사회문화 인 기능이 부각될 것이며, 새로운 심지 기능을

하는 공간으로서 역 주변, 주유소, 읍 ․ 면 소재지 외곽에 늘어날 쇼핑 아웃렛 등

이 일상생활 심공간으로 부각될 망이며 방문자를 한 공간 수요가 늘어날

Page 109: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95

망이다.

- 해당 지역 농특산품 생산, 가공 유통 허 (hub)

- 농공단지 기타 제조업, 서비스업체의 특정지 집 허

- 교외지역 형 유통업체가 구매활동 허

- 주유소가 구매ㆍ교류ㆍ정보활동 허

- 그린투어리즘 특화 마을 허

- 지역사회 교육, 훈련 거 허

공공서비스 아웃렛 수는 농 인구의 감소와 더불어 어드는 지역이 많을 것

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소한의 공공 서비스 기능과 민간 부문에서 담당하던

생활 필수 서비스 기능을 통합하여 공공 서비스 아웃렛에서 담당하는 지역이 생

겨나기 시작할 것이다. 농 지역에서의 연 생활자 수가 증가하면서 우체국은

체신 업무와 더불어 융이나 소매 업무를 겸하는 통합 창구로서 잔존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농 심지의 다방들은, 를 들어, 스타벅스나 커피빈과 같은 도시 부문의

형 랜차이즈 업체의 시장 공략 상이 될 것이다. 그리하여 지 과는 다른

외 과 내장을 갖춘 다방들이 심지에 들어서고 그 고객층 한 많이 변할 것

이다. 하지만 이런 변화를 보이는 농 지역은 제한될 것이다. 도시에서 멀고

인구가 과소화된 농 지역 심지에서는 다방이 변화하기 보다는 그런 업종들

이 사라지는 상이 발생할 것이다. 그와 동시에 약국이나 미장원 등의 다양한

상 들이 하나의 창구에서 통합, 경 되는 지역들도 생겨날 것이다. 소규모 포

형 상 들은 사라지고, 형 할인 매장(하이퍼마켓)보다는 작지만 슈퍼마

켓 보다는 큰 수 의 통합형 상 이 읍 ․ 면 심지 외곽에 입지하여 기능을 체

하는 곳이 많아질 것이다.

이와 같은 상은 랑스 농 의 ‘마지막 상 ’ 사례에서 상할 수 있다. ‘마

지막 상 ’에서는 지역 주민들에게 필요한 모든 기 생활 서비스 기능을 제공

하고 있다. 지방정부 등으로부터 바우처를 통한 약간의 보조 혜택을 받고 있다.

Page 110: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96

재의 인구 변화 추세로 볼 때, 농 마을회 등의 커뮤니티 공동시설

은 지역에 따라 두세 가지 경로로 변화할 것이라고 상할 수 있다. 마을

자체가 해체되거나 소멸되는 지역에서는 마을회 이 더 이상 존립하지 않

을 것이다. 오히려 이런 지역에서는 읍 ․ 면 소재지에 지 보다는 좀더 확

된 규모의 주민자치센터 는 문화복지회 의 기능이 강화되면서 마을회

의 기능을 흡수하게 될 것이다. 한편, 마을 내 거주 가구수는 지 않고 고령

화만 더 심화되는 상당수 농 마을에서는 마을회 의 기능이 매우 요해

질 것이다. 지 도 많은 지역에서 발견되는 마을회 에서의 ‘겨울철 공동생

활’ 상은 더욱 늘어날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마을회 에 덧붙여 찜질방

등 주민편의 시설이 확장되는 곳도 생겨날 것이다. 한편, 비교 마을 인구

연령이 은 편이면서 농 활동 등을 시도하는 일부 지역에서는 마을

회 을 내방객 숙소나 임 주택 형태로 리모델링하여 활용하는 곳도 늘어

날 것이다.

2.3. 농 커뮤니티 공동시설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 마을회관의 기능 재편

마을회 의 기능이 상당부분 재편될 것이다. 하지만 그 재편 양상은 다양할

것이다. 어떤 곳에서는 마을회 이 유지하던 기능을 읍 ․ 면 소재지의 문화복지회

이나 주민자치센터 등의 공동시설이 흡수할 것이다. 고령화된 인구가 사망하

거나 출하지 않고 오히려 더 늘어날 지역에서는 마을회 이 갖고 있는 공동생

활공간으로서의 기능이 확 될 것이다. 지 도 많은 농 의 마을회 에서 찰

되는 것과 같이 마을회 에서 공동 취사, 숙박하는 등의 모습이 아 고정되는

마을도 증가할 것이다. 그 게 되면서 작은 건강 리실이 마을회 에 덧붙여지

거나,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부문이 유지하게 될 ‘찾아가는 문화 로그램’의 실

행 장소로서도 기능하게도 될 것이다. 한편, 그린투어리즘 숙박 기능을 갖추기

해 마을회 을 리모델링하는 경우도 상당수 늘어날 것이다.

Page 111: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97

그림 6-7. 독일 농 마을의 도로그림 6-6. 독일 농 마을의 카페

□ 광역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커뮤니티 공동시설 출현

마을 단 의 커뮤니티 공동시설과는 달리 읍 ․ 면 소재지나 그보다 더욱 역

인 공간 단 의 커뮤니티 공동시설이 보다 요한 기능을 수행할 가능성이 크

다. 특히 읍 ․ 면 소재지 등의 일상생활의 심지는 사회문화 기능이 요해지

게 됨에 따라서 지역 주민들 간의 만남과 회합, 다양한 목 의 교육활동, 클럽활

동 등이 이루어지는 장소로서 커뮤니티 공동시설이 출 하게 될 것이다. 특히

이러한 공동시설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 스(multiplex)형 공간

으로서 주민들의 건강, 정보화, 그밖의 교육이나 취미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공

공 부문의 서비스도 결합될 가능성이 크다.

□ 커뮤니티 공동시설의 리모델링

마을회 이외에 마을 농창고, 장고 등의 공동시설의 일부도 화된 시

설로 기능이 하됨으로써 용도 폐기되거나 새로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동

시설로서 리모델링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리모델링은 공공 부문뿐만 아니라

민간단체, 문화 술인, 지역 주민 등이 가세하여 주민 수요나 지역 특색을 고려

하여 추진하는 등 문화해비타트 운동 등의 모양새를 취하게 될 가능성도 높다.

가령, 독일의 농 마을에서는 과거에 농활동에 이용되던 장고를 리모델링

하여 마을 주민이나 방문객들을 한 카페로 활용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 농활동에 사용되던 장고 리모델링 ▶ 자동차 바퀴 닿는 부분만 포장

Page 1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98

농 도로망의 비약 발달과 더불어 도로 규격의 고 화, 첨단화가 진행

될 것이다. 그것과 더불어 자연스럽게 농 지역의 승용차 이용률도 더욱 높

아질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교통 인 라 유지를 한 임계량을 확보하

지 못하는 오지 농 지역의 교통여건은 오히려 악화될 가능성도 있다. 따라

서 교통약자의 문제가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 교통약자의 문제를 해소하기

해 ‘다이얼버스’ 등 공공교통수단을 운용하는 지방자치단체들도 생겨

날 것이다. 어떤 지역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극 인 노력에 의해 경 을

고려한 새로운 방식의 경 도로 등이 출 할 망이다.

2.4. 교통 여건의 변화는 어떻게 진행될까?

□ 지역 간 접근성의 비약적 개선

2020년 우리 국토의 도로망은 비약 으로 조 해짐으로써 지역과 지역 간의

근성은 재보다 훨씬 좋아지게 된다. 한 일반국도, 국가지원지방도, 지방도

등이 4차선 이상으로 고규격화되어 고속화도로 수 의 교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부분의 지방 소도시와 지방 소도시 는 도시

간 교통여건이 향상되고, 상당수 농 과 도시 간에도 이러한 혜택을 입게 될 것

이다.

□ 지역 내 접근성은 상대적으로 정체

군도 이하의 농 지역 내부 도로망도 지속 으로 확충될 것이나, 도로정비에

따른 경제성, 이용도, 자연환경과 농지 등에 한 배려로 인하여 부분 기존 도

로 노선을 확 ․ 포장하거나 선형개량하는 수 일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교통의

안 성, 편리성은 확보되겠지만 근성이 비약 으로 향상되지는 않을 것이다.

물리 교통여건의 개선과 더불어 새로운 첨단 교통시스템 등의 도입에 의해

간선교통망과 도시 지역은 비약 인 시 ․ 공간 수렴이 이루어지지만, 농 지역은

Page 113: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99

완만한 개선이 이루어져 시 ․ 공간 수렴 정도가 도시에 비해 낮을 것이다.

□ 농촌 대중교통 이용 수요 감소

농 지역은 넓은 면 에 소규모 인구가 불규칙하게 분산 분포하는 특성 때

문에 근본 으로 교통여건이 불리하다. 이러한 도성은 임계규모 확보를

해 필연 으로 소수의 서비스 심지에 기능을 집 시켜야만 하는 제약 요건으

로 작용한다. 이러한 농 교통여건의 근본 인 불리성 에 농 인구의 감소

와 자동차 화 진행에 의해 농 의 교통 이용 수요의 감소가 가속화되고

있다. 농 주민의 ‘발’ 역할을 했던 교통 서비스의 운 자, 지역주민, 앙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모두에게 어려움이 가 되고 있다.

2020년 농 지역의 인구가 재보다 더욱 감소하는 지역에서는, 주민이 얻는

혜택에 비해 농 의 버스노선 유지를 한 비용이 지나치게 커질 가능성이 있다.

지 도 비수익노선에 한 결손 보상 의 재원규모가 작아서 운용이 어려운 처

지에 있다. 그리고 농 지역의 속한 자동차 보 증가에 따른 최근의 농 교

통환경 변화에 응한 한 책이 마련되지 못하고 있다.

□ 개인 교통수단 선호도, 보유율 증가

농 지역일수록 개인 교통수단에 한 선호도가 높고 개인 교통수단 보유 수

도 도시보다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2020년쯤에는 개인 교통수단을 보유한 농

주민들은 근성과 기동성의 문제를 지 보다는 훨씬 더 극복한 상태가 될

것이다. 즉, 자동차를 보유한 농 주민들은 지 보다 더 자주 원하는 곳을 왕래

할 수 있고 범 한 사회 ․ 사업 ․ 여가 이 가능해질 것이다. 한 자

동차 없는 농 가구는 차 감소하고 2 이상의 자동차를 보유하는 가구수가

늘어날 것이다.

Page 114: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00

○ 국의 자동차 보유(2005)

- 자동차 보유가구 비율은 61.4%로 5년 58.2%에서 3.2%p 증가하고, 2 이

상 보유가구 비율(12.1%)도 5년 7.7%에서 4.4%p 증가함

- 자동차 보유가구의 주차시설은 자가주차장 비율이 75.3%, 도로변·골목길

(주차선 없는 곳) 13.0%로, 5년 비 자가주차장 비율은 5.9%p 증가하고

도로변·골목길(주차선 없는 곳) 은 5.6%p 감소함

○ 농가의 자동차 보유

- 2000년 46.4%, 2005년 51.9%

- 차종별 구성비: 승용차 50.7%, 승합차 5.0%, 화물차 44.3%

□ 개인 교통수단을 이용하지 못하는 교통약자 문제 심화

그러나 오지일수록 낮은 인구 도, 굴곡이 심한 지형, 한 도로조건 등에

의해 교통 서비스 운 효율이 낮은 상황에서 농 인구의 이출, 개인용 자

동차 보유 증가 등이 더해지면서 그 수요가 크게 감소하고 있다. 이는 다시

교통 서비스 수 을 더욱 악화시키는 악순환 구조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

게 되면 개인용 교통수단을 보유하거나 작동할 수 없는 농 지역 교통약자 계

층(노령자, 학생, 소득층)의 문제가 더욱 두드러질 것이다.

□ 비관행적 공공 교통서비스 출현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해 다양한 형태의 비 행 교통수단 내지는 공공부

문이 운 하는 교통서비스 로그램이 등장할 것이라 상해 볼 수도 있다. 가

령, 집에서 화만 걸면 시간과 노선에 계없이 운 되는 다이얼버스라던가, 학

교버스를 시간에 따라 마을버스로 활용하는 로그램, 혹은 주민단체 등이 일정

한 보조 을 받고 자율 으로 운 하는 순환버스 등이 출 할 수 있다. 그러나

Page 115: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01

공공부문, 특히 앙정부의 지원, 지방자치단체의 의지와 지원이 없다면 이러한

서비스들은 거의 불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비 행 교통수단이나 로그램을

도입하여 지역 내의 교통 문제를 해결하는 사례는 농 지역에 따라 다양한 편차

를 드러낼 것이다. 를 들어, 국의 경우가 비 행 교통수단을 고도로 발달

시킨 사례에 해당한다. 이로부터 다양한 시사 을 얻을 필요가 있다.

□ 경관도로, 주차장 등 새로운 교통 서비스 기능 도입

농 지역의 생활도로와 농도 등은 일반 인 도로로서의 기능 이외에도 하나

의 생태축이자 경 축으로서 그 요성이 더욱 강조되면서 자연생태계와의 조

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도로 자체 경 의 형성 주변의 마을 농경지 경 과

의 조화를 시하여 정비하게 될 것이다. 도로의 포장 재료나 방식, 노견이나 가

로수의 처리, 도로시설물 등이 지역의 생태나 경 을 고려한 새로운 디자인과

공법에 의해 만들어질 것이다.

한 농 지역에서도 주차시설의 정비 문제가 요하게 부각될 것이다. 기존

농 마을의 경우는 농가 단 주차장도 정비되겠으나 많은 경우 마을 진입부

공동주차장 정비가 상당히 이루어질 것이며, 농 의 상 심지인 소도시에

는 라이드(Park & Ride) 등의 시스템이 도입될 가능성이 크다.

Page 116: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02

표 6-1. 국의 비 행 교통서비스의 유형

교통 서비스 유형 주 요 내 용

1. D/R diversion(Flexibus)

2. Multiple service bus

2. Contract bus

1. Subscription bus

(cooperative bus)

2. Free shoppers' bus

2. School bus

1. Post bus

1. Community bus (CT)

3. PSV dial-a-bus

2. Welfare dial-a-bus

1. Social car(CT)

2. Hospital car

2. Lift-giving scheme(CT)

2. Car pooling

2. Shared taxi/hire-car

1. Passenger/freight service

(Courier)

1. Demountable vehicle

2. Rail bus

∙ 수요․응답에 의해 고정된 노선․운행계획을 변형시키거나,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가변 인 노선을 운행하는 승합버스

∙ 요일과 시간 별로 달라지는 교통 유형에 맞춰 운행노선을 변경하여 운

행하는 승합버스

∙ 교통 련 지방당국이 아닌 기 이 특정 서비스를 해 비용을 지불하는

승합버스

∙ 지방단체에 의해 계약되고, 기부 에 의해 재정지원을 받는 승합버스, 회

원은 요 을 지불하지 않음

∙ 소비자를 쇼핑센터로 실어 나르기 해 상인들이 비용을 지불하는 승합

버스, 요 없음

∙ 학생을 수송하기 해 지방교육당국이 계약하거나 소유하는 승합버스,

성인에 해서는 요 을 받고 수송

∙ 우편물 수집‧배달을 해 우체국에 의해 운 되는 차량을 승객수송에도

이용

∙ 다양한 장소, 수요․응답 서비스, 단체여행이나 근로자 수송 등에 이용되

며, 자원 사단체에 의해 소유‧운 되는 소형차량

∙ 첨단 제어장비를 갖추고 화 요청에 응하여 운 되는 공공 서비스 차량

∙ 휠체어를 들어올리는 보조장치 등을 갖추고 노약자, 불구자 등과 같은

특정인들을 해 지역조직에 의해 운 되는 차량

∙ 필수 인 통행이지만 다른 교통수단으로는 수송이 불가능한 통행자들을

수송하기 해 자원 사자에 의해 운 되는 자가용, 모든 차량은 지방

원회에 의해 통제됨

∙ 환자를 병원으로 수송하기 해 자원 사자에 의해 운 되는 차량으로

서, 앰뷸런스를 보완하기 해 보건당국에 의해 조직되거나 환자수송만

을 한 사회복지 차량 등이 있음

∙ 자가용 보유자에 의한 차 태워주기로서 비정형 이지만, 규칙 일수도

있음. 지방 단 에서 고는 하지만 앙조직은 없음

∙ 규칙 인 통행(주로 통근)을 해 자가용 소유자들간에 교 로 운 하는

방식

∙ 승객이 각자의 요 을 부담하는 합승을 허용하는 택시

∙ 화물․소포․잡화를 수송할 수 있도록 개량된 승합버스, 노선은 정규

인 화물배달 경로에 의해 결정됨

∙ 버스의 몸체를 분리하거나 화물 밴과 바꿀 수 있는 차량

∙ 철로 를 달리는 경 철

1 = 주로 농 지역을 해 고안된 형태

2 = 농 지역 뿐만 아니라 도시지역에서도 발생하는 형태

3 = 농 지역에서는 발생할 가능성이 은 형태

CT = 지역사회 교통수단(community transport mode)

Page 117: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03

농 의 주택과 경 의 변화에 큰 향을 요인은 ‘농 마을 기능 축소와

공동화’인 동시에 ‘도시민의 농 정주 가속화’이다. 한 공공정책의 개입

이 없이 지 과 같은 추세로 진행된다면, 어떤 지역에서는 빈집 등이 경

문제가 되고 어떤 지역에서는 경 정체성이 모호한 원주택이 난립하는

등의 상을 쉽게 보게 될 것이다. 국 으로 도시 권역이 확 되면서 ‘농

마을의 특색 있는 경 이 괴되는’ 상이 심화될 망이다.

2.5. 농 의 주택과 경 은 어떻게 변화할까?

□ 2020년 농촌의 건축물은?

농 의 경 을 규정하는 건축물, 그 에서도 주택의 변화를 살펴보면, 가,

자, 슬 이트, 조 조, 샌드 치 팬 등 시 마다 주류를 형성하는 것들이 존

재한다. 이는 농 인구의 사회경제 여건, 농 주택 정책 등과 깊은 련을

맺는다. 과연 2020년쯤에는 어떤 주택과 경 이 농 을 규정하게 될까?

□ 도시 주변은‘농촌다운’경관 상실

도시 권역이 확 되고 도시민의 농 정주가 가속화면서 도시에 인 한 농

지역의 건축 경 은 농 지역으로서의 경 정체성을 상실하게 될 것이다.

컨 , 비록 10년 밖에 되지 않았지만 경기도 고양시는 서울에서 지하철로 30분

밖에 걸리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에서 가장 빨리 성장하는 도시가 될 수 있었다.

고양시와 같은 농 지역이 2020년에는 더욱 많이 생겨나게 될 것이다. 다만, 고

도의 아 트 건축보다는 층의 빌라형 주택이나 단독주택이 주된 경 을 형

성하게 될 것이다.

Page 118: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04

□‘농촌다운’경관 추구 움직임 강화

그런데 농 공간에 한 사회 심과 수요의 변화가 그런 부정 인 변화를

억제할 요인으로 기능할 가능성이 아주 없는 것도 아니다. 이미 농 의 난개발

에 한 문제 인식이 생기고 농 공간이 품격 높은 문화의 장소로 인식되기 시

작했다. 테마 여행, 문화 창작, 생태 등 자연과 문화가 결합되는 공간 개념도

두되기 시작하 다. 농 마을을 술가들의 지던스 로그램(Residence

Program) 장소로 활용하거나, 농 마을이 의미 있는 여행 목 지로서 각 을 받

게 되는 일부 지역에서는 지역 정체성을 유지하고 살리는 건축, 리노베이션 활

동이 활발하게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즉, 농 을 농 답게 디자인하려는 움직임

이 구체화될 것이다.

□ 다양한 농촌 주택 모델 등장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농 주택 모델이 등장하게 될 것이다. 농 마을

의 공동화 는 소멸이 심화되는 지역에서는 읍 ․ 면 소재지 등 일상생활의 기

심지 주변에 잔여 농 인구를 집 시킴으로써 서비스 공 의 효율을 기하는

집단 거주단지 조성을 추진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인구에 회자되고 있는

라남도의 ‘행복마을 가꾸기 계획’이라든가, 몇몇 농 지역에서 발견되는 심지

주변의 아 트 건축 등이 그 징후이다.

한편, 그린투어리즘 등을 극 으로 추진하는 농 지역에서는 지방자치단체

가 주체가 되어 경 주택 기 을 마련하여 유도하거나 거주와 민박 기능으로 동

시에 활용할 수 있는 주택 모델도 개발하여 보 할 것이다. 를 들어, 인제군이

나 제천시에서는 경 주택에 한 기 을 마련하여 기 을 수하는 경우 보조

을 주고 있고, 화천군에서는 ‘산이와 진이네 집’이라는 지방자치단체의 캐릭터

를 딴 주택의 이름으로 연간 5호씩의 거주와 민박 겸용 기능을 수행하는 경 주

택을 보 하여 호응을 얻기 시작했다.

한편, 도시민의 농 정주가 가속화됨에 따라서 은퇴자나 도시로부터의 이주

자들이 갖고 있는 농 주택 수요 한 농 지역에서의 단독 주택지 형성에

Page 119: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05

향을 크게 미칠 변수이다. 농 의 일상생활 기 심지 주변에 새로이 형성될

것으로 상되는 이들의 주택 형태가 공동주택 심인가 아니면 단독 주택 심

인가 하는 은 생각해 볼 만한 문제이다. 이에 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들은

농 지역 토지이용과 련된 규제나 정책의 변화이다. 농 지역이 갖고 있는 자

연환경 자원의 매력에 한 선호는 단독주택 선호 경향을 강화할 것이다. 특히,

도시로부터의 이주민들이 농 지역에서의 공동주택에 한 선호를 갖고 있으리

라 상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수요자 측면에서의 선호가 그 다고 해서 공 까

지 그 게 진행되리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다른 한편, 농 마을들이 소멸 는 축소될 경우, 빈집들이 많이 발생할 것이

다. 이 빈집들은 정책 사업의 일환으로 철거 상이 될 수도 있지만, 흉물스럽게

잔존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 한 일부 빈집의 경우에는 도시로부터 유출된

빈민계층의 주거지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 고령친화적 농촌 주택 모델 보편화

특히 한국 사회의 고령화, 특히 농 의 극심한 고령화는 농 주택이나 경

에 있어서 고령친화 인 해법을 요구받을 것이다. 이는 자연스럽게 주거, 의료,

복지를 일 하는 새로운 형태의 고령친화 주택 모델을 만들도록 유도할 것이

며 지방자치단체별로도 다양한 모델이 출 할 것이다. 2006년 산업자원부는 우

리나라 고령자 비고령자의 인체 특성과 편의성을 고려하여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이 용된 건축계획 방법과 설계규격을 제시하는 ‘고령자 배려 주거시설 설

계치수 원칙 기 ’을 KS(한국산업규격)로 제정하 다. 이와 련하여 외국에

서는 지역사회 비상연락체제(Community Alarm Systems), 주택 리 ․ 수선 로

그램(Care and Repair Programs), 쾌 한 주거 공 로그램(Amenity Housing)

등을 도입하고 있는 추세이다.

□ 농업 관련 시설도 농촌 경관을 결정짓는 중요 요소로 부각

규모 농업시설들 한 농 경 을 구성하는 상징 인 역할을 하게 될 것

이다. 마을 단 에 있는 소규모 농창고 등은 방치된 경우도 있거나 혹은 외벽

Page 120: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06

농 지역공동체의 변화가 모두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게 될 것은 아니지

만 어도 이념형 마을 공동체의 형태는 상당한 변화를 보일 것으로 상

된다. 변화의 일반 인 방향은 장기 이고 다기능 이며 첩 인 상호작용

을 바탕으로 강한 연 를 기반으로 한 지역공동체가 단기 이고 단일 기능

인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사회로 변화될 것으로 상된다. 그러

나 마을이 여 히 공동체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풍부한 인 ․ 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지역에서는 마을주민들 간의 공동체 유 와 상부상조의

통은 상당기간 동안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통 으로 자연부락 단 에서 유지되던 자치 복지기능이 크게 축소될

것이다. 따라서 공공부문의 개입이나 시장에서의 구매를 통해 복지 수요를

충족시키는 경향이 확 될 것이다. 농 지역사회 내에서 주민들 간의 연

나 상호작용의 공간 범 는 더욱 역화될 것이다. 그리고 농 지역의 인

자본과 사회자본은 지 보다 훨씬 더 약화될 것이다. 한 도 ․ 농 혼주화,

외국인 유입, 농업인들의 품목별 분화 등으로 인해서 농 지역사회 구성원

들의 이질화가 더욱 심화될 것이다.

을 벽화 등으로 치장하고 시 등의 역할을 하는 등 기능이 체될 수 있다.

RPC, APC 등의 시설은 규모가 더욱 커지고 첨단화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이러

한 시설들은 재의 일본에서 흔히 찰되는 것처럼 체험, 식당, 매 기능 등을

부가하여 운 하는 곳들도 차 많아지고 외 도 경 으로 미 인 측면을 추

구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3. 복지공간으로서의 농

3.1. 농촌지역공동체는 어떻게 될 것인가?

Page 121: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07

지역공동체는 네 가지 특성을 지닌다. 첫째, 확고한 지역 기반에 근거한다는

에서 다른 사회조직체의 단 와 구분된다. 사람들이 공간 으로 제한된 역

에서 일상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이다. 둘째, 지역공동체는 다

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는 사람들로 이루어진다. 셋째, 지역공동체 수 에서 사

람들을 하나로 묶는 유 는 계속 존재해 왔다. 넷째, 지역공동체는 그 구성원들

이 집단 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동의 자원을 갖는다. 이런 기 에 비추어 본다

면 통 으로 한국의 농 지역공동체는 자연마을을 의미했다.

□ 지역공동체의 공간적 범위 확대

지역공동체의 공간 범 는 생활권의 확 와 더불어 마을을 넘어서서 확장

될 것으로 상된다. 과거 명백한 지리 경계를 가진 상 으로 완결되고 고

립 인 단 로서 마을이 존립했던 것에서 생활상의 욕구들이 다양한 공간 범

에서 실 됨에 따라 공동체로서의 공간 범 는 지리 경계를 서로 달리하

는 몇 가지 생활권으로 나타날 수 있다. 생활의 욕구에 따라 시군이나 인근 소

도시에서 해결하는 경우도 있지만 시군이나 인근 소도시를 경유하지 않고

도시에서 해결하는 지역들도 나타날 것이다. 특히 도로의 발달이 도시에의

근성을 높임으로써 도시민의 유입을 진하기보다는 농 주민의 생활권을 더욱

확 하여 지방 소도시의 쇠락을 진하는 역기능 상이 출 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따라서 공동체로서의 유 의 범 도 생활상의 욕구에 따라 달

라질 것이다. 한 마을이 가지고 있던 자치 복지기능은 다양한 제도로 그 기

능이 이미 이 되었으며 공공의 개입을 통해 해결하거나 구매방식을 통해 복지

수요가 충족되는 방식으로 그 기능이 변모될 것이다. 그러나 마을은 행정기 의

정책을 주민들에게 달하고 시행하는 과정에서 여 히 요한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

□ 단기적이고 단일 기능적인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사회로 변화

지역주민들간의 상호작용의 성격도 변화를 가져와서 지연 ․ 근린 상호작용

의 빈도는 차 축소되면서 실리 이고 합리 인 상호작용의 빈도는 더욱 늘어

Page 12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08

날 것으로 보인다. 통 으로 마을과 같은 좁은 지역에서 주민들이 다양한 조직

에 첩 으로 조직활동에 참여했다. 그러한 마을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이 충

이며 다기능 이었다면, 앞으로는 상호작용의 공간범 가 커지면서 하나의 목

을 해 상호작용하는 형태로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한 과거 조직을 구성하

는 요인이 지연 ․ 연 요인과 같은 귀속 요인들이었지만 상호작용의 목

과 이해 계에 따라 의도 으로 만들어지는 조직으로 변모하게 될 것이다.

□ 동류의식의 약화 초래

공동체의 해체 약화는 강한 동류의식과 공동의 문화를 공유하던 것으로부

터 동류의식의 약화를 래할 것이다. 한 공동체의 강한 사회 규제는 크게

약화되고 공동체가 개인의 행 를 통제하는 기능도 약화될 것으로 망된다. 토

박이보다 외지인이 더 많이 이주하여 생활하고 있는 도시근교 농 지역이나 고

령화된 토박이들과 은 외지인이 함께 생활하는 마을에서는 공동체의 통제기

능이 크게 약화되어 외지인의 일탈 행 가 마을의 안녕을 하는 수 으로 심

각한 수 에 이를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마을을 심으로 충 이고 복합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형성된 좁고 강한 연 를 지역 으로 보다 범 하고 약

한 연 로 변화시켜가게 될 것이다. 그러나 범 하고 약한 연 가 반드시 농

마을의 발 이나 주민의 생활에 부정 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공동체

의 규제에서 벗어나서 자유롭게 연 의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으며 농 외부와

의 연 를 통해 농 마을의 재활성화를 가능하게 하는 매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공동체가 보유한 자본의 측면에서 보면 농 인구의 이농 고령화는 인 자

본을 크게 약화시켜왔다. 한 장기 이고 안정 인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성장

하는 사회 자본 역시 약화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농 마을의 외부의존성

이 크게 증가하고 자족성이 크게 약화되어 내발 인 발 에 필요한 자원들을 스

스로 동원할 수 있는 역량이 크게 하될 것으로 보인다.

Page 123: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09

□ 실리적 ․합리적 상호작용을 매개로 형성되는 사회적 관계가 다양하게 출현

농 지역공동체 구성원들 간의 사회 계가 지연 ․ 근린 상호작용을 매

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많이 사라지고, 실리 ․ 합리 상호작용을 매개로 형

성되는 사회 계들이 다양하게 출 할 것이다. 한편, 동질 인 지역주민(마을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이 사라지면서 주민의 이질화에 따른 상호작용의 약화 혹

은 단 이 심하게 드러나는 지역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사실상 지역공동체가

해체되고 ‘사회 계는 편화된 정주지역’만이 남게 되는 것이다.

공동체 유 의 양상도 많이 달라질 것이다. 강한 동류의식에 기 했던 마을

수 의 공동체 유 는 약화될 것이다. 지역 으로 좁고 강한 연 는 범 하

고 약한 연 의 양상으로 변화할 것이다. 그러면서 지역공동체가 유지하고 있던

사회규범과 사회통제 기능도 약화될 것이다.

2020년쯤에는 농 지역의 인 자본이 크게 약화될 것이다. 그와 더불어 장기

이고 안정 인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성장하는 사회자본 역시 약화될 가능성

이 크다. 농 의 물 자본, 자연자원은 농 내부보다는 도시 비농업 부문의

요구에 의해 그 활용이 좌우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농 지역이

갖고 있는 인 자본과 사회 자본이 지역공동체의 변화 방향과 주도성을 결정하

는 변수로서의 역할을 할 가능성은 여 히 남아 있다.

□ 농촌지역에 따라 다양한 변화 경로 예상

이상과 같은 일반 인 망이 모든 농 지역에서 동일하게 실 되리라고 보

기는 어렵다. 다양한 변화의 경로를 상할 수 있다.

산간 농 지역에서는 공동체 유지에 필요한 인 자본 부족이 요한 문제

가 될 것이다. 일부 마을에서는 인구 고령화가 심각하게 진행되어 지역사회 복

원이 거의 어려울 것으로 상된다. 따라서 마을의 자치 기능이 하게 축

소되고 외부의 공 지원 없이는 주민의 일상생활이 어려워질 것이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교통 발달의 향으로 고유한 자연자원 등을 바탕으로 새로운

경제활동이 시작되고 다른 경로의 변화를 경험할 가능성이 있다.

Page 124: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10

3차 산업 성장주도 농 지역은 자연자본을 극 으로 활용할 경우 새로운 변

화의 경로를 밟아갈 가능성이 있는 곳이다. 교통 발달은 그런 가능성을 더욱 높

여주고 있다. 부문이 성장하면서 청장년층의 이 을 억제하는 효과가 나타

날 수 있다. 은퇴 후 주거 등으로 인구가 역으로 유입될 가능성도 있다. 이주민

숫자가 많지 않고 원주민 심의 공동체 결속이 강하여 이주민의 동화가 쉽게

는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도시생활 경험을 바탕으로 지역사회 자원을

동원하여 지역 발 을 주도하는 귀 인이 등장하는 경우도 발견될 것이다. 이

경우, 지역주민의 이질화에도 불구하고 지역의 공동체 기능이 재활성화될 가

능성도 있다.

도시권역 편입 농 지역은 제조업체 입지와 더불어 비농업 인구의 유입이 활

발하게 이루어지고, 농 인구의 혼주화와 이질화가 가장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원주민과 이주민 사이의 상호작용이 고 서로 다른 가치 이나 문화들이 병존

하게 될 것이다. 지역 내에서 복수의 하 집단이 교류 없이 공존하는 지역으로

남게 될 망이다. 게다가 다양한 국가에서 유입된 다양한 국 의 인구들이 이

주민 집단에 포함될 것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기업 입주 도시민의 거주지 개

발 등으로 농 지역으로서의 정체성을 완 히 상실하게 될 것이다. 즉, 도시에

의해 령될 것이다.

평야지 농 지역 에는 농산물 수입개방의 여 에도 불구하고 농업조건이

상 으로 양호하여 일정 정도 농업활동이 유지되는 곳도 있을 것이다. 이런

지역에서는 농업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소수의 은 농업인을 심으로 농업경

의 집 화 상이 나타날 것이다. 업 농업활동을 하는 농업인 간의 품목

별 문화가 진행되어 농업인 간의 이질성은 커질 것이다. 따라서 동질 농업

종사자들 간에 이루어지던 마을 단 의 경제 동은 차 약화되고 그보다

범 한 공간 단 에서 형성되는 품목별 문조직에 참여하는 상이 보편화될

것이다. 한편, 일부 지역에서는 농업경 다각화의 일환으로 농업 을 하는 농

가들이 증가할 것이다.

Page 125: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11

농 지역이 차 정주권 심으로 발달함에 따라 읍지역과 면지역의 불

균형이 심화될 것이며, 농 형 학교를 극 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의지가

없는 곳은 이러한 상이 더욱 심화될 것이다. 그리고 1980년 부터 정부

가 추진해 온 소규모 학교 통폐합 정책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농 학교

유지의 건은 정부의 학교 정책이다. 농 지역에서의 학교 수 감소는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첫째, 농 지역 학교 감소는 도농간 교육 기회 불평등

□ 지역공동체의 해체 및 약화는 일상생활의 안전성을 심각하게 훼손

농 지역에서의 지역공동체의 해체 약화가 농 지역 일상생활의 안 성을

심각하게 훼손할 가능성이 있다. 지역 공동체가 이완 해체됨에도 불구하고 일상

생활이 일정한 범 의 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여 히 같은 지역에 거

주하는 주민으로서의 동질 인 이해를 가지게 될 수밖에 없으며, 이것이 지역주

민으로서의 유 감을 형성하는 조건이 될 것이다. 그러나 지역 공동체의 복원은

과거와 같이 공동체의 유 가 강한 통제력을 발휘함으로써 개인의 자발성을 억

제하거나 개인의 이해를 억압하는 방식은 성립하기도 어렵고 한 바람직한 방

향은 아닐 것이다. 그런 에서 새로운 지역 공동체의 재구성은 주민으로서의

이해 계의 공동성에 기반을 두고 공동의 이해를 해 합리 으로 개인의 이해

를 조정하는 ‘이해 계의 공동체’가 바람직하다. 공동체의 구성원 역시 지연이나

연과 같은 귀속 요인에 기반을 두지 않고 지역 범 역시 더 이상 마을

단 의 좁은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공동체가 아니라 공간 으로 확 되고 구성

원의 요건이 사 으로 정해지지 않은 개방 이고 유동 인 공동체가 되어야

할 것이다. 한 자족 인 자치 공동체가 아니라 도시지역과의 활발한 교류를

지역사회의 새로운 활력을 도모하는 공동체가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3.2. 농촌의 학교는 어떻게 변화할까?

Page 126: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12

을 심화시킬 것이다. 둘째, 농 지역사회 유지 기능이 약화되는데 기여할

것이다. 그리고 농 학교교육의 수요는 감하고 사회교육에 한 수요는

증할 것이다. 즉, 농 지역의 인구감소와 특히 출산율 하로 인한 학령

인구가 감소하여 농 학교교육의 수요는 감하나, 고령화 평생학습사

회의 도래로 인하여 사회교육에 한 요구는 증할 것으로 단된다. 국

으로 사이버학교, 안학교, 홈스쿨링 등 새로운 형태의 교육이 다소 확

산되기는 하겠지만, 농 지역에서의 확산은 크게 기 하기 어렵다.

□ 학교교육의 급감 및 학교의 소규모화 심화

농 의 학교교육은 출산 고령화에 따른 학령인구의 감으로 지 보다

하게 감할 것으로 측되고, 특히 학교의 소규모화가 빠른 속도로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의 학령아동 감소추이를 고려하면 60명 이하 소규모 학교

는 2005년 1695개교(33%)에서 2020년 3446개교(67%)로 증할 망이다. 1980년

부터 정부는 소규모 학교를 통폐합하는 정책을 추진해왔다. 이로 인해 ․․ 고 학교를 통합하여 운 하는 통합학교가 신설되었고, 일부 소규모 학교는 불가

피하게 복식학 을 운 하고 있다. 학교 통폐합 정책은 학생들의 학습권을 강화

하기 한 일환이었다. 그러나 교육 불평등에 한 농 학부모의 불신, 학교에

한 지역사회의 자부심 구심체 역할 소멸, 학생들의 학교생활 편의성 감소

등의 문제가 있어 일 인 통폐합 정책을 지양하고 가 주민 동의 하에 추진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다시 논의되고 있다. 농 학교가 2020년경에

어느 정도나 유지될 것인가를 결정할 가장 큰 변인은 정부의 정책이다. 재까지

의 망으로는 농 지역 학교 유지와 련해서는 정부의 투자 축으로 농 학

생들의 학습 환경이 더욱 불리해질 것이고 학령기 자녀를 둔 가구의 도시로의

이주가 가속화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학입시에서의 지역균형 선발 농 출

신 특별 형 입시정책을 유지하면 그런 상이 상당히 완화될 것이라는 망도

있다.

Page 127: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13

재 정부 정책에 따라 농 지역에서도 평생교육 기반 시설이 꾸 히 확

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농 주민들의 평생학습 로그램 기회도 증가

할 것이다. 특히, 평생학습 수요가 큰 농 주민 계층은 여성, 노인, 국제결혼

가족 등이다. 그러나 근성의 문제는 여 히 남게 되어 농 지방자치단체

안에서도 다소 원거리에 있는 주민들의 평생학습 수요를 충족시키기 한

수단들이 등장할 것이다. 농 학교교육과 평생교육의 기능 통합을 견

하는 망도 있지만, 아직은 어떻게 될지 불투명한 상태이다.

□ 학교의 통폐합 및 통합 운영 사례 증가

체 으로 농 지역 학교의 통폐합이나 통합 운 사례가 증가할 것이라는

망이 우세하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그것과는 다른 망도 존재한다. 소수 농

학생들의 교육 불평등이 악순환 구조 속에서 고착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시정

하려는 교육부문 정책 개입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상되는 정책 개입은 농

학생을 특별히 배려하는 학력제고 시스템, 재의 방과 후 학교 수 을 넘어서

는 교과교육과 보육이 결합된 ‘보살핌의 체계(caring system)’이다. 경우에 따라

서는 농 아동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교육방법이나 교육내용도 별도로 편성할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가능성들이 실 될 경우, 농 지역 학교의 감이나 소규

모화 추세는 지 상되는 것보다 훨씬 더 완화될 것이라는 망도 존재한다.

정보통신기술 발달로 인해 반 으로 사이버 교육이 지 보다 더 활성화 될

것이고, 안교육으로서의 홈스쿨링도 더 많이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농

지역에서의 도입 확산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교사 신

에 부모가 집에서 교사의 역할을 해야 하는데 농 농가의 실을 고려하면

그 가능성이 크지 않을 것 같다. 한편, 국제 이주가정이 많아짐에 따라 2020년쯤

에는 다문화 교육 이 언어 교육에 한 요구가 증할 것으로 상된다.

3.3. 농촌, 평생학습 사회가 될 것인가?

Page 128: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14

□ 학교교육과 평생교육의 기능 및 역할의 통합

세계화와 정보화의 향으로 교육이 이루어지는 장소의 개념이 붕괴되고, 평

생교육 에서 일평생에 걸친 지속 인 학습이 요시됨에 따라,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의 기능과 역할이 차 통합될 것이라는 망이 있다. 그리고 농 지역

의 지속 인 발 을 해서는 농 지역에서 부족한 인 ․ 물 자원을 집약 으

로 활용할 수 있도록 농 지역의 모든 주체들의 역량을 강화시켜야 한다는 필요

성이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노력 여하에 따라서는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이 학습

지향으로 통합되고, 학교는 학생들만을 한 교육장소라는 개념을 탈피하는 하

나의 학습사회로서 농 지역이 자리 잡게 될 것이라는 망이 있다.

농 지역 인구 감소로 인해 학교는 차 농 지역에 남아 있는 유일한 공공기

이 되고 있다. 이는 국 같은 나라에서도 나타나는 상인 바, 국은 1998년

학교표 법에서 방과 후에 학교 시설을 학생과 일반인이 사용하도록 법률로 규

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충북 옥천 학교는 지역사회에 학교 도서 을 개

방하여 지역사회의 정보 문화 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학교

교육에 한 지역 주민의 심을 높이고 평생교육에 기여하고 있다.

농 지역에서는 사설 교육기 이 도시지역에 비해 크게 부족하고, 이를 이용

하기에 가정형편도 하지 않은 실정이어서 지역이나 학교에서 다양한 방과

후 교과수업은 물론 특기 성 교육기회가 요구되며, 이러한 역할은 차 확 될

것이다. 교육 신 원회는 2005년 12월 ‘직업교육체제 신방안’을 통해 농어

지역에 소재하는 실업고등학교를 ‘지역종합문화센터’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발

표했다. 그 구체 인 내용을 살펴보면, 농어 지역 공동화를 방지하고 지역주민

의 삶의 여건을 개선하기 해 여러 앙정부 부처들과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공

동으로 참여하여 지역 내 소재 실업고등학교를 문화와 교육의 심센터로 활용

하도록 지원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지역주민을 한 개방 시설

로서 화 , 문화 술공연시설, 사회교육 시설을 집 화하려는 정책 개입이

상된다. 다른 로 북 경천면은 북 가천 등학교를 심으로 ‘경천평생

학습마을’을 자율 으로 운 하고 있다. 지역의 모든 인 ․ 물 자원이 총동원

Page 129: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15

농 지역에서의 보건의료 사회복지 수요는 크게 증가할 것이 분명하

지만 그 수요를 충족시킬 자원을 동원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정

부에서 2005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복지정책의 지방분권화 작업이 성공

으로 진행될 경우, 재 농 지방자치단체마다 부분 수립해 둔 ‘지역복

지계획’을 통해 증하는 수요를 상당부분 감당할 수 있을 것이라 상된

되어 학생 주민을 한 학습 로그램을 학교, 교회, 면사무소, 보건지소 등에

서 운 하고 있다.

□ 평생학습사회 정착 사례의 증가

2020년쯤에는 이와 같은 ‘농 지역의 평생학습사회 정착’ 사례가 상당히 늘어

날 망이다. 단지 시설의 문제가 아니라, 농 지역의 평생학습 상과 학습 내

용 한 다양화할 것이다. 다양한 보육 로그램과 병행하는 농 여성 평생학

습 로그램들이 생겨날 것이다. 한 노인 교육을 통하여 농 지역 노인들에게

동료노인 도우미, 통문화 승 원, 후세 지도 원 등 합한 역할모델을 설

정하고 농 사회 참여의 기회를 확 시키는 로그램들이 많이 등장할 망이

다. 한편, 국제결혼이 증가함에 따라 외국인 여성에 한 한국어 한국문화 교

육, 외국인 자녀와 이들과 공존하는 농 지역 주민들을 상으로 한 다문화교육

로그램들도 많이 생겨날 것이다. 농 지역이 기존의 학교 시설을 다양한 용도

로 활용하면서 평생학습사회로 발 하여 2020년쯤에는 다양한 계층을 상으로

하는 평생학습 로그램들이 활발하게 진행될 것이라는 망에 해서 이견이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망은 요망사항일 뿐 실 되기 어렵다는 의견도 존

재한다. 그 같은 변화의 기본 제인 농 지역에서의 학교 시설 유지와 평생학

습 로그램 개발에 한 공공부문의 극 인 투자가 이루어질 것인가에 한

의문이 있기 때문이다.

3.4. 농촌의 보건의료 및 사회복지 수요와 공급은 어떻게 변할 것인가?

Page 130: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16

다. 한편, 노인수발보험이 면 으로 도입됨으로써 보건의료 부문 수요 충

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상된다. 농 의 보건의료 사회복지 부문에

한 시장개방의 향은 한정 일 것으로 망된다. 왜냐하면, 농 지역은

채산성이 낮아 외국의 보건의료나 복지서비스가 근하기 어렵기 때문이

다. 다만, 노인수발보험이 실시되면 선진국에서 형 랜드를 만들어서 노

인복지서비스를 심으로 근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농 의 보건의

료 사회복지 수요와 공 은 지역 유형에 따라서 상당한 차이를 나타낼

것이다.

□ 보건의료 및 사회복지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자원동원이 쉽지 않음

한국 사회 체의 고령화, 그리고 농 지역에서는 더욱 심화되는 고령화로

인해서 재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노인부양 부담비가 가 된다는 이다.

이것은 건강보험 재정 수지의 악화를 래할 것이다. 게다가 체 인구 비 고

령인구 비율이 높은 농 지역일수록 빈곤층 비율이 높다. 이것은 2020년쯤의

망을 어둡게 하는 가장 큰 요인이다. 한 마디로, 농 지역에서의 보건의료 사

회복지 수요는 크게 증가할 것이 분명하지만 그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자원

을 동원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의학 문 학원제도가 도입되면 농

공공보건의료기 에 공 보건의사 공 보건한의사가 제 로 공 되지 못할

것으로 망된다.

재 우리나라 의료서비스 공 의 85%는 민간부문이 담당하고 있다. 그런데

농 지역은 도시지역에 비해 민간부문의 투자가 낮아 의료자원이 취약한 실정

이다. 문의료 인력의 농 기피와 시설 낙후 등 반 인 의료 인 라가 매우

취약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2020년쯤 농 지역의 보건의료를 망함에 있

어 가장 결정 인 변인은 정부의 정책이라 할 수 있다.

정부는 2005년 산안부터 복지재정의 분권화를 실행했다. 그 일환으로 시 ․군 ․ 구 단 에 지역사회복지 의체를 설치하고,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을 의무

화한 바 있다. 그 취지는 지역의 실정에 합한 지역사회 복지서비스를 계획하

Page 131: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17

고 실행하자는 것이다. 여기에 지역 주민이 긴 하게 참여하는 과정을 통해 지

역 복지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겠다는 목 도 있다.

그리하여, 완료된 것은 아니지만, 부분의 농 지역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역

사회복지 계획을 수립해 두고 있다. 그 내용은 체로 노인요양시설 등의 인

라를 폭 확장하려는 계획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국가 체 으로는 ‘과잉 계

획’이어서 지역 간 연합과 력을 통해 조정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이 계

획이 제 로 실행된다면 앞으로 도 ․ 농간의 보건의료 사회복지 서비스의 공

불균형 상은 어느 정도는 완화될 것으로 망된다.

□ 노인수발보험제도는 농촌노인의 보건의료 수요의 상당 부분을 충족

농 의 보건의료서비스 변화를 망함에 있어 가장 요한 제도 변화 요인

은 ‘노인수발보험제도’이다. 이 제도가 농 에서 본격 으로 시행되면 농 노인

들의 보건의료 수요가 상당 부분 충족될 것으로 망된다. 그러나 이러한 망

에 해 비 인 견해도 있다. 근성이 떨어지고 따라서 도시에 비해 상

으로 비용이 더 드는 농 에서 이 제도가 실효성 있게 운 되려면 상보다 더

많은 재정이 소요된다는 것이다.

□ 정보통신기술 발달의 영향에 대한 전망은 의견이 분산

정보통신기술 발달로 인해, 교통 근성이 취약한 농 지역의 보건의료서비스

달체계를 개선할 수 있는 화상진료 서비스 등이 등장할 것이라는 망이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2020년까지 농 지역이 그만한 정보통신 인 라를 갖추기가

어렵고, 갖춘다 하더라도 고령화된 농 지역 주민들이 그것을 실 으로 이용

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망도 존재한다. 화상진료 서비스 등 정보통신기술 기반

원격 서비스들이 출 하더라도 상 으로 도시 지역에서 가까운 곳에서 일부

이용할 수 있을 뿐, 지역 간의 불균형은 더 심화될 것이라는 망이 있다.

Page 13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18

제 7 장

2020년의 농 생활에 한 몇 가지 시나리오

1. 산간 농 지역

그림 7-1. 산간 농 지역의 미래 모습

Page 133: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19

이 지역들은 부분 심각한 인구 과소화 상이 상당히 진행된 상태일 것이

다. 그러나 군청 소재지나 몇몇 읍 소재지의 인구는 그다지 크게 감소하지 않고

일정한 수 을 유지하고 있을 것이다. 군청 소재지 외곽 지역에는 최근 원주

택들이 조 씩 들어서고 있을 것이다.

인구 감소와 고령화를 경험하고 난 후 지역의 인구 변동은 어느 정도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2020년 쯤 농 생활에 매력을 느끼는 사회 집단들은 상

당 부분 이미 농 에 거주하고 있을 것이다. 그러한 인구들 일부가 이 유형에

속한 시 ․ 군에도 이주해 와서 살고 있을 것으로 상할 수 있지만, 도시에 가

까운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그러한 도시민들의 농 정주 비율은 그다지 크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망 하에서 자연 감소 등으로 인한 지역 인구의 과소화와 고령화

상은 농 마을 공동체의 소멸, 복지 서비스 달 등의 측면에서 공공 부문의

정책 개입을 진할 것이다.

이 지역에서의 농활동은 지리 인 조건과 인구 고령화로 인해 규모화 는

업화가 상 으로 잘 진행되지 않을 것이다. 과수, 시설 원 , 밭 작물들로

업화된 농업인들이 일부 생겨날 것이다. 환경농업, 직거래, 농 등을 병

행하는 복합 인 농가 경 형태들이 많이 출 할 것이다. 잘 보존된 지역의 자

연환경을 활용한 생태 ․ 농업 체험 로그램에 기반한 농업 을 경 하여 높은

소득을 올리는 농가들도 심심치 않게 나타날 것이다.

농가 소득의 상당 부분을 ‘환경보호’, ‘조건불리지역’, ‘경 리’ 등의 여러 가

지 정책 목표에 따라 주어지는 국가의 직 지불제 등 보조 에 의존하게 될 것

이다. 지역에서 소수를 차지하는 청장년층 농업인들의 농활동은 과수나 밭작

물에 집 되며 동시에 정부 보조 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 도 지 보다는 상

당히 커질 것이다.

한편, 일부 농가들은 규모화된 논 농업을 하기 어려운 조건이기 때문에 규모

는 작지만 상당히 많은 농민들이 환경농업을 실천할 것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Page 134: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20

환경농업을 하는 경종농가와 축산농가들을 연계하여 구축한 지역순환농업 시스

템이 활성화되어 있을 수도 있다.

고령화된 인구 계층들은 복지 정책의 수혜 상자로서 여러 가지 혜택을 받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읍면 소재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사는 마을 노인들은 의료

서비스, 생활 서비스 등을 얻기 해서 이동하기가 쉽지 않은 형편에 처하는 경

우가 많을 것이다. 그래서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마을로 찾아가는 복지 서

비스 로그램’을 운 하는 사례도 많이 나타날 것이다. 상 으로 지역의 생

활 심권에서 가까운 마을에 사는 주민들의 경우, 지방자치단체나 시민단체가

운 하는 공공 교통수단(셔틀 버스 등)을 활용하여 이웃 읍사무소 소재지에

있는 한의원을 가거나 복지센터의 로그램을 활용하기도 할 것이다. 그리고 아

직도 일할 수 있는 노인들을 한 ‘사회 일자리 창출형 로그램’을 시행하는

지방자치단체들이 상당 수 있을 것이며, 이 로그램은 읍면 소재지 부근에 사

는 노인들에게 큰 인기를 끌 것이다. 주로 지역사회에서 필요한 작은 자원 사

활동이나 경 을 리하는 노동 같은 일에 소정의 보수를 받고 참여하는 로그

램들이 다양하게 생겨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거동하기조차 힘들면서 마을 내

가구수가 하게 은 마을에 사는 독거 노인 등을 보살피는 복지 시설이 군

청 소재지 주변 는 이웃 군에 생겨날 것이다. 국민연 이나 정부 보조 을 받

는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 에는 그러한 시설로 거처를 옮겨 생활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이 지역에 새로 입해 온 20 에서 30 사이 인구들 에는 그러한 복지시

설을 포함하여 다양한 공공부문의 복지 련 사업에 종사하는 이들이 많을 것

이다.

여름철 동안에는 객들로 인해 지역이 다소 붐빌 것이다. 특히, 역사문화

인 명소가 있거나 산세가 수려한 지역을 찾는 내방객들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그 경제 효과는 읍면 사무소 소재지 주변에 지역을 경유하는 객들을

상으로 하는 음식 업 정도에 머물 것이다.

Page 135: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21

이 유형에 속한 부분의 지역 경제는 농업이나 농 을 주로 하지만 침

체된 분 기에 놓여 있을 것이다. 그러나 몇몇 시군들은 남아 있는 청장년층 농

업인들이 심이 되어 지역 특산물을 잘 가꾸고 상품화하여 지역의 이미지를 알

리고 경제 소득도 상당히 올리는 사례들을 찰할 수 있을 것이다. 지방자치

단체 농정은 아마도 그러한 농업인들에게 을 맞추어 진행될 것이다.

2. 3차산업 성장 주도 농 지역

그림 7-2. 3차산업 성장 주도 농 지역의 미래 모습

Page 136: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22

군청 소재지 읍부 는 시청 소재지 동부는 상당한 수 의 소도시 모습을 갖

추고 있을 것이다. 이곳에 거주하는 주민들 30~40 연령층들은 인근 도시

에서 일하는 사무직 근로자 는 자 업자의 비율이 늘어날 것이다. 그리고 읍

내에서 서비스업 부문에 종사하는 인구의 비율도 상당할 것이다. 특히, 주로 여

름철이나 겨울철에 이 지역을 많이 찾아오는 객들이 이 지역의 서비스업 부

문에 활력을 불어 넣고 있을 것이다. 주변부에는 원주택들이 늘어나 있

을 것이다. 서비스업 부문 종사자들과 농업인들이 지역사회에 공존하면서, 지역

사회의 인구 구성이 다소 다양해질 것이다. 지역에 따라서는 시 ․ 군청 소재지 외

곽에 형 소매할인 (하이퍼마켓)들이 한두 개씩 입지하게 될 것이고, 규모

슈퍼마켓은 없는 지역이 없을 것이다. 지역 주민들은 생필품을 구매하러 이곳을

많이 이용하게 될 것이다.

토지이용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과 도시 토지 이용이 늘어나야 한다

는 입장이 서로 경합하면서 지방의회 등 지역사회에서는 요한 안 문제로

두할 것이다.

인구 감소와 고령화를 경험하고 난 후 지역의 인구 변동은 어느 정도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 계층은 주로 둘로 나뉠 것이다. 한

계층은 지역의 심지에서 좀 떨어진 산간이나 해안 오지 마을에 사는 고령화된

계층이며, 다른 하나는 읍 ․ 면 소재지 인근, 지역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근로(고

속도로 IC, 4차선 고규격화된 국도), 지역에 소재한 지 주변에서 상업이나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상 으로 은 계층들이다. 시 ․ 군청에서 멀리 떨어진 지

역까지 행정이나 생활편의 등의 서비스를 효과 으로 달하기 한 지방자치

단체의 노력이 활발하게 개될 것이다.

지방자치단체의 주요 심은 늘 그래왔듯이 지역의 추 인 산업으로서

업을 어떻게 지속 으로 발 시키는가 하는 문제에 심을 두고 있을 것이다.

이 지역에서의 농업은 산업과 연계하여 다양한 모습으로 내방객들의 길

을 끌 것이다.

Page 137: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23

2010년쯤부터 지방자치단체들이 노력을 기울여 진행한 지역 도로 주변의 가

로수 정비 등 경 과 련된 사업들이 어느 정도 성과를 맺어 제법 운치 있는

풍경을 드러내기 시작할 것이다. 이와 함께 지나 진입로 주변에 무질서하게

난립해 있던 자 업체(식품 , 음식 , 숙박업소)들은 지역간 경쟁구도 속에서

살아남기 해 많은 회나 연합회 등을 구성하여 자율 으로 거리 경 을 정비

하는 작업을 한창 진행하고 있을 것 같다.

읍 ․ 면 소재지에는 외지로부터 이곳을 방문하는 사람들을 상으로 하는 상

들이 많을 것이다. 그 동안의 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융기 의 수가 유

지되고 있을 텐데, 그것은 객들의 이용과 부문 성장에 힘입은 것이

다. 읍 ․ 면 소재지에서 좀 더 떨어진 산간이나 해안 지역에는 고 별장, 펜션,

형 리조트 등 숙박을 주로 하는 도시민 상 업체들이 많이 생겨날 것

이다.

그러한 업에 종사하는 사람들 상당수는 지역의 토박이가 아니라 U 턴

귀 인구이거나, 도시로부터 3, 40 에 입해 온 사람들일 것이다. 이처럼 외

지인의 입비율이 높아지고 은층이 많아 다른 농 지역보다 지역사회의 활

력이 더 많이 느껴질 것이다. 읍내에서 경제활동을 하는 상인 계층들은 지역사

회의 주도 인 집단으로 자리 잡고 있을 것이다.

3. 도시권역 편입 농 지역

군청 소재지 읍부 는 시청 소재지 동부는 상당한 수 의 소도시 모습을 갖

추고 있을 것이다. 이곳에 거주하는 주민들 30~40 연령층들은 인근 도시

에서 일하는 사무직 근로자 는 자 업자의 비율이 늘어날 것이다. 그리고 읍

내에서 지역사회 주민을 상으로 서비스업 부문에 종사하는 인구의 비율도 상

당할 것이다. 도시로 출퇴근하는 은 계층, 비교 한 한 주변부에 원주택을

Page 138: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24

그림 7-3. 도시권역 편입 농 지역의 미래 모습

짓고 들어와 사는 은퇴 도시민, 원래부터 지역에 거주했던 농업인, 서비스업 부

문 종사자들이 한데 섞여 복잡한 인구 구성을 갖게 될 것이다.

읍 소재지 외곽에는 5층에서 15층 사이의 아 트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아 트들은 부분 2005년에서 2015년 사이에 지어진 것들이

고 2020년에는 건설 경향이 완화될 것이다. 아 트들이 지어지던 시기에 함께

읍 소재지 외곽에 많이 들어선 원주택들이 소도시 심부의 경 을 구성할 것

이다. 2020년쯤에는 지역주민들이 아 트보다는 원주택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

드러질 것이다.

도시의 지 상승으로 인해 주변으로 려 내려온 한계 제조업체 (피 , 가

구, 비철 속, 식음료 가공, 도 련 제조업)들이 지역의 주변부에 소규모 공장

들을 차리고, 외국인 노동자들이 그 주변에 집단 으로 거주할 것이다. 이러한

Page 139: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25

상은 특히 수도권과 경남의 도시 근교에서 강하게 나타날 것이다. 그러나 이

지역에 거주하는 외국인 노동자 수 증가 추이는 2020년을 후로 조 씩 정체

상태에 어들 것이다. 이는 국제 경쟁환경 속에서 임 노동력을 필요로 하

는 제조업종들이 공장 시설을 외국에 두는 경우가 많아질 것이기 때문이다.

그보다 더 한참 주변부로 나가면 평야지 의 형 인 농 마을들이 드러나

고 주로 농업인들이 거주할 것이다. 마을마다 서 명의 업농들이 지역의

부분의 토지를 경작할 것이다. 농업 보다는 주로 다른 업종에 종사하면서 아주

작은 토지에서 농사를 짓는 취미농들도 꽤 있을 것이다. 농가들 에는 가족 구

성원들 일부, 특히 여성이 다른 산업부문에 종사하는 겸업농들이 상 으로

많을 것이다. 다양한 사회 계층들을 사회문화 으로 통합하려는 노력이 지방자

치단체의 주요 심사가 될 것이다.

지역 인구는 매우 증가하고, 시가지는 상당히 번잡해져서, 지방자치단체의

산 시가지와 지역의 경 을 리하는 데 투입되는 비 이 많이 늘어날 것

이다.

군청 소재지나 읍사무소 소재지 시가지에는 여가나 취미 생활을 배우거나 즐

길 수 있는 문화센터나 각종 학원, 교습소 등이 많이 생겨날 것이다. 편리해진

교통 여건을 십분 활용하여 인근 도시로 문화생활을 즐기러 다니는 지역 주민

들도 많을 것이다. 이 지역의 외곽에는 형 소매할인 들이 한두 개씩 입지하

게 될 것이고, 지역 주민들이 많이 이용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고가의 소비재를

구입하기 해서는 인근 도시로 쇼핑을 나가는 경우가 부분일 것이다.

지방자치단체의 농정업무는 통 인 내용에서 새로운 농정 수요에 응하는

방식으로 변신하게 될 것이다.

토지이용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과 도시화를 진행해야 한다는 입장이

지방의회에서 충돌하면서, 지방자치의 요한 이슈로 자주 떠오를 것이다. 상당

히 많은 농지의 용도가 용되어 택지 는 공장 부지로 활용되겠지만, 2020년

이후에는 차 토지이용 규제를 강화하자는 입장 쪽으로 의견이 조 씩 수렴될

Page 140: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26

그림 7-4. 평야지 농 지역의 미래 모습

가능성이 크다. 아울러 도시로부터 이 지역으로 이어지는 도로 주변에 난립해

있던 자 업체(식품 , 음식 , 숙박업소)들이 회나 연합회 등을 구성하여 자

율 으로 거리 경 을 정비하는 작업을 한창 진행하고 있을 것 같다.

4. 평야 지 농 지역

군청 소재지 읍부 는 시청 소재지 동부는 상당한 수 의 소도시 모습을 갖

추고 있을 것이다. 시청 는 군청 소재지 읍내에 거주하는 주민들 에는 일부

인근 도시나 소도시로 출근하는 사무직 근로자들도 있을 것이다. 이 심지

외곽에는 원주택들이 늘어나 있을 것이다. 주로 은 계층과 사무직이나 서비

Page 141: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27

스업 종사자들이 이런 유형의 주택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시 ․ 군청 소재지 외

곽에는 형 소매할인 들이 한두 개씩 입지할 것이고, 지역 주민들이 많이 이

용할 것이다. 형 소매할인 이 고객 편의를 해 운 하는 버스가 시 ․ 군청 소

재지에서 다소 떨어진 면 지역까지도 운행을 하는 곳도 있을 것이다. 자가용 승

용차가 없는 주민들에게는 이 버스가 유용한 교통수단으로 활용될 것이다. 한편,

지방자치단체는 행정 생활편의 서비스 달체계의 효율성 문제를 해결하기

한 노력을 활발하게 개할 것이다.

마을마다 서 명의 은 업농들이 지역의 부분의 토지를 경작할 것이다.

농업 보다는 주로 다른 업종에 종사하면서 농가들 에는 가족 구성원들 일

부, 특히 여성이 다른 산업부문에 종사하는 겸업농들이 상 으로 많을 것이다.

인구가 크게 감소하여 지역 어느 곳이나 조용한 풍경을 보일 것이다. 남아 있는

인구들도 거의 고령화되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인구 감소 추세는 어느 정도 안

정화되어 있을 것이다.

많은 주민들이 농업에 종사할 것이지만, 고령화된 농가들의 경우 농활동에

서 손을 떼고 정부 보조 이나 토지 임 료 수입으로 생계를 유지하게 될 것이

다. 한편, 산간 지역에 비해서는 서비스업 부문 종사자들도 늘어날 것이다.

20여 호 되는 마을 농가들의 논을 부분 한명 내지 세 명 정도의 청장년 농업

인이 임차하거나 탁 농을 하는 방식으로 농사짓게 될 것이다. 상 으로

은 이 농가들은 략 수만 평의 논에서 형 농기계를 가지고 업화된 방식으

로 농을 할 것이다. 이들보다 상 으로 작은 규모의 토지에서 농사를 짓는

농가들은 과수 혹은 밭작물을 많이 재배할 것이다. 농업가구 소득에는 정부의

직 지불 보조 이 차지하는 비 이 상당히 클 것이다.

외국인 며느리의 수는 특히 이 유형의 지역에서 많을 것이다. 이 외국인 며느

리들은 2020년 쯤에는 어도 마을 안에서는 당당한 주민으로서, 마을 안에 몇

안 되는 은 여성으로서 많은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군 수 에서는 외국인 며

느리 부녀회장 모임도 생겨날 것이다. 그러나 외국인 며느리와 농업인 남편 사

Page 14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28

이에서 태어난 국제결혼가족 자녀들은 등학교를 다니면서 여러 가지 어려

움에 착할 수도 있다. 국제결혼가족 자녀들의 학교 생활과 련하여 공교육

체계 안에 다문화 교육(multi-cultural education)을 강화하자는 논의는 2020년이

되기 몇 년 에 국 인 여론을 얻고, 2020년 쯤에는 농 지역 등학교나

학교에서도 구체 인 다문화 교육 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을 것이다. 농가들에

게 항상 큰 걱정은 날로 상승하는 에 지 비용과 물 부족 문제가 될 것이다. 에

지를 약할 수 있는 농법이나 농자재, 농업시설들이 많이 등장하고, 읍내에서

문화된 품목별 생산자 단체에 속한 농업인들끼리 녁을 먹거나 술 한잔하면

서 나 는 이야기의 화두로 에 지와 물 문제가 자주 등장할 것이다.

시나 군에 진입하는 국도 끝에는 거 한 농산물 가공, 세척, 처리 시설들이 한

두 개씩 자리를 잡고 있을 것이다. 이 건물들은 지역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상징

이 될 것이다.

Page 143: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29

제 8 장

미래를 비한 농 정책의 방향과 과제

1. 농 정책의 방향

1.1 농촌정책의 최종 지향점: 바람직한 농촌의 구현

농 정책의 최종 목표는 국민 모두가 바라는 바람직한 농 의 모습을 실 세

계에 구 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농 의 모습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풍요로운 생활이 가능한 지역이여야 한다. 농 은 그 안에 거주하는 모든

사람들이 쾌 한 환경 속에서 여유를 가지고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한다. 어느

한 계층( 를 들면 고령층)만이 살기 좋은 공간이 아니라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모두

가 건강하고 안심하게 살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한다. 한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서로의 개성을 존 하면서 력하고 서로 도와 가며 살아가는 지역이 되어야 한다.

둘째, 농 나름의 매력 인 자원을 가진 지역이어야 한다. 농 은 사계

아름다운 경 이 유지되고 보 되며 농 주민과 도시주민이 힘을 합쳐 농 의

자연환경을 보 해야 한다. 한 푸른 자연에서 뛰어 놀고, 체험하며, 따뜻한 마

음을 키울 수 있고, 지역의 통과 문화가 보 되고 다양한 사람들의 교류를 통

해 새로운 문화가 창조되는 지역이어야 한다. 각 지역이 가지고 있는 농산물을

활용하여 개성 있는 음식 문화를 만들어 내고 이를 즐기는 지역이어야 한다.

셋째, 사람과 정보 그리고 물건의 왕래가 활발한 지역이여야 한다. 각 지역

Page 144: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30

이 가지고 있는 자연, 농업, 문화 정보 등이 개별 혹은 집단 으로 수신되고

발신될 수 있으며 국내는 물론 해외와도 교류가 가능한 지역이어야 한다. 한

주변 도시와 연결됨으로서 사람과 물건이 활발하게 이동하여 풍요롭고 활기찬

생활이 가능한 지역을 만들어야 한다.

넷째, 사람들이 활기차게 생활하고 배울 수 있는 지역이어야 한다. 은 후

계자 세 가 능력을 발휘해서 활기차게 살아갈 수 있고, 여성도 남성처럼 보람

과 자신을 가지고 일을 할 수 있고 사회 으로 을 받는 지역이어야 한다.

고령자는 그들이 가진 경험과 지혜를 살려서 체력에 맞는 일을 할 수 있고 사회

활동이 가능한 지역을 가꾸어야 한다. 어린이들이 자연과 농업에 친숙해지면

서 무럭무럭 자라고 배울 수 있는 지역이 되어야 한다. 한 세계 각국의 사람들

과 서로 왕래하며 살아가는 지역이어야 한다.

다섯째, 지역의 특색을 살려 다양한 일들이 가능한 지역이어야 한다. 농업

인은 의욕을 가지고 생산성이 높으면서 지속가능한 농업을 할 수 있어야 한

다. 지역이 가지고 있는 자원 매력을 활용한 산업이 튼튼하게 뿌리를 내리며

다양한 일자리가 있는 장소로 가꾸어야 한다. 한 지식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

이 풍요로운 자연환경 속에서 지 생산 활동을 행하는 지역이어야 한다. 한

고도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산업이 입지하며, 양질의 물, 공기 등의

자원을 활용하여 최첨단 산업도 입지한 지역이어야 한다.

이상에서 말하는 바람직한 농 의 모습은 기존의 농업 생산자 심의 농 개

념과 다르며, 도시와 반 되는 의미에서의 농 개념에서도 벗어나는 것이다. 이

러한 모습을 실 세계에 구 하는 일이 농 정책의 궁극 인 목표라 할 수 있다.

1.2. 농촌정책의 기본 관점

1.2.1. 농 정책의 다양성 강화

농 정책은 농 의 기능을 확 하는 쪽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지 까지 농

Page 145: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31

정책은 농업과 련한 시설정비, 농업인의 생활여건 향상 복지 증진 등을 주

요 정책 목표로 설정했다. 이러한 정책 목표는 농 정책의 기본을 형성하는 것

으로서 앞으로도 계속되어야 하겠지만, 여기에만 머무르지 않고 한걸음 더 나아

가 지 까지 소홀히 다루어왔던 부문까지 돌아보며 정책 범 를 확 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농 의 기능 에서 국토보 기능과 여가 휴양공간, 국민의

거주공간, 양질의 일자리가 존재하는 산업 공간, 역사 문화 공간으로서의 기

능을 확 하는 쪽으로 정책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이러한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해서는 지 보다 훨씬 더 다양한 정책 수단이

필요하다. 물리 인 시설물 설치, 장기 계획 수립, 규제와 같은 제도 개선, 주

민 련 당사자의 참여 유도 등 정책 성격이나 내용 면에서 이질 이고 복합

인 정책들이 동시 는 순차 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정책 분야에는 토목, 건

축, 환경, 복원과 같은 하드웨어 인 분야와, 교육, 계획 수립, 조직, 리, 네트워

킹 등의 소 트웨어 인 분야가 포함되어야 한다.

한 이러한 정책 목표를 실 하기 해서는 지 보다 훨씬 더 구조화된 정책

추진 체계가 요구된다. 련 부처 간의 업무를 조정하거나 이를 효율 으로 달

성하기 한 조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필요하다. 앙정부와 지방정부간의 역

할도 재조정되어야 한다.

1.2.2. 농 정책의 지역성 강화

앞으로는 농 지역 간의 차별화가 지 보다 더 심하게 진행될 것이다. 도시와

농 이라는 이분법 인 틀 속에서 도시와 비교하여 농 의 특성을 논하고 정책

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의미가 없는 일일지도 모른다. 를 들어 수도권의 농

지역과 서남부 일 의 농 지역은 당면한 문제나 해결방식에서 공통 인 특징

을 찾아 볼 수 없을지도 모른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농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지방의 역할을 더욱 시해야

한다. 앙정부에서 작성한 상세한 사업 추진 지침을 가지고 국 으로 획일화

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더 많은 한계 을 노정할 것이기 때문이다. 를

Page 146: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32

들어 인구가 증가하거나 안정 인 상태를 유지하는 지역에서는 배후 마을의 종

합 인 정비가 필요하겠지만, 인구가 계속 어드는 지역에서는 배후 마을 보다

는 심 마을을 집 정비해야 한다. 마을단 농 사업도 도시 주변지

역과 원격지 농 지역에서의 사업내용이 달라져야 할 것이다.

하지만 농 정책 분야에서 지방의 역할을 강화하려면 지방자치단체의 인력개

발, 재정확충 등의 필요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지 과 같이 재정여건이 열악하며

인 자원도 취약한 상태에서 지방의 역할만을 강조할 경우, 자칫 선진 지역과

낙후지역 간의 격차만을 키울 가능성이 있다. 농 정책의 지역성 강화는 바람직

한 정책 방향이지만, 이를 실 하려면 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계를 폭

넓게 재조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1.2.3. 바림직한 수 의 어메니티 공 을 한 정책 강화

앞에서도 살펴본 바와 같이 라이 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도시민 사이에서 농

어메니티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어메니티에 한 한 ‘공 자로서의 농 ’과

‘수요자로서의 도시’의 계가 차 확립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이러한

경향은 더욱 더 강화될 망이다. 미래 농 정책의 가장 요한 키워드는 어메

니티라 할 수 있다. 어메니티야말로 국민이 바라는 농 의 기능을 달성하게

해 주는 가장 기 인 자원이다. 한 어메니티는 농 을 경제 으로 활성화시

킬 수 있는 자원이다. 특히 유망한 자원이 없는 낙후 농 지역에서 어메니티는

경제 인 발 을 한 귀 한 자산이다.

농 어메니티 정책의 핵심은 어메니티를 공 하는 개인이나 지역이 어메니

티를 공 함으로서 이익을 얻는 체계를 구축하여, 사회 으로 바람직한 수 의

어메니티가 공 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그 게 하려면 어메니티의 유지․ 보 과 경제 인 이용이 양립될 수 있어야 한다. 어메니티의 보 만을 목 으로

하는 정책은 경제 인 활동을 정체시켜 결과 으로 어메니티를 유지하고 리

하는 노력을 축시키는 결과를 래할 가능성이 높다.

농 어메니티의 부분은 공공재 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시장

Page 147: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33

을 통해서 수요자가 공 자에게 어메니티의 공 가를 지불하지 못하는 경우

가 많다. 따라서 정부의 개입을 필요로 한다. 정부는 어메니티 공 자에 한 인

센티 지 (경 직불제), 지구 지정에 의한 규제(농 경 보 지구지정), 공

자와 수요자의 결합(네트워킹지원)과 함께 어메니티 시장의 극 인 개발(농

) 등의 어메니티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

1.2.4. 효율성 시와 새로운 농 커뮤니티 형성

농 의 과소화와 고령화는 효율성과 형평성 사이의 끊임없는 계 설정을 요

구하고 있다. 지 까지 농 정책은 형평성을 시했다고 할 수 있다. 공공에서

지원하는 시설물의 입지 기 으로 이용자수 보다는 근성이 시되었다. 그 결

과 마을단 에 노인당, 찜질방, 보건진료소 등이 입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미래

의 농 에서는 형평성보다는 효율성 시의 정책 추진이 요구될 것이다. 보다

좋은 시설을 다수의 사람이 이용하게 함으로써 규모의 경제성을 꾀하고 결과

으로 시설이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다.

효율성 시의 농 정책은 농 공간구조의 재편, 농 커뮤니티의 최소 단

설정과 하게 련되어 있다. 국의 모든 지역이 그 지는 않겠지만 상당수

의 농 마을은 규모가 작아지고 커뮤니티 기능이 차 약화될 것이다. 따라서

지 과 같이 마을 심의 공간 정비 정책 커뮤니티 유지 정책은 차 상

공간단 (읍․ 면단 )를 심으로 바 어야 할 것이다. 농 의 생활편의 시설

복지 시설의 최하 입지단 를 기본 으로 마을에서 읍 ․ 면소재지로 격상시켜

야 할 것이다. 읍 ․ 면소재지에 그 지역 체 주민을 상으로 하는 각종 편의

복지 시설을 입지시킴으로서 자연스럽게 읍 ․ 면 단 의 커뮤니티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이 때 동시에 추진되어야 할 것은 배후 마을에 거주하는 주민의 근

성을 강화하는 정책이다. 특히 교통약자라 할 수 있는 고령자들의 시설에 한

근성을 어떻게 높이느냐가 매우 요한 정책과제이다. 앞에서 서술한 바와

공공 교통서비스 제도와 같이 교통약자를 배려한 정책 등이 도입되어 효율성

Page 148: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34

시 정책으로 인한 형평성 약화 문제를 보완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1.3. 농촌 정책의 방향

1.3.1. 규모화 ․ 문화에 합한 농업생산기반의 정비

장래에는 규모의 그리고 고도로 정 화된 농업생산기반 에서 농업활동을

하는 농업인 계층이 증가할 것이다. 이들은 우수한 성능을 가진 기계를 사

용하여 1호당 최소한 6ha이상의 농지를 경작할 것이다. 이러한 농가들이 보다

은 비용으로 편리하게 농사를 지음으로서 생산성을 높이고 외국 농산물과 경쟁

할 수 있는 농업생산기반정비의 화가 요구된다.

구체 으로는 지 보다는 보다 규모로 구획된 경지 정비와 형 농기계의

진출입이 자유로운 농작로 정비, 효율 인 농업 용수의 공 배수체계 구축

등이 요구된다.

1.3.2. 순환형 지역농업 추진과 바이오 매스의 활용

환경문제에 한 국민들의 심이 커지고, 안 식품과 웰빙을 추구하는 식생

활패턴이 차 확 됨에 따라 농업생산 방식은 차 친환경농업으로 환될 것

이다. 특히 지 까지는 어느 정도 용인되었던 농업생산에 의한 환경부하를 여

야 한다는 사회 인 요구가 차 거세질 것이다. 이러한 여건 속에서 농업생산

에 따른 환경부하를 이고 친환경농업을 실천하는 수단으로서 일정 지역내에

서 물질이 순환되는 이른바 순환형 지역농업 체계가 확 되어야 한다.

한편 바이오매스를 활용함으로써 농업의 자연순환기능을 더욱 더 진시킬

수 있다. 바이오매스 수집 시스템의 확립, 바이오매스 활용 기술 개발 등의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

Page 149: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35

1.3.3. 농 자원의 보 ․ 리 정책의 추진

농업 ․ 농 의 공익 기능을 유지하려면 농지, 농업용수, 자연환경, 경 , 지역

의 통문화, 생물다양성 등 농 이 가지고 있는 자원을 보 하고 유지하는 것

이 무엇보다도 요하다. 지 까지 농 의 자원은 마을 심의 농 커뮤니티에

의해 어느 정도 유지․보 리 되어 왔지만, 과소화 ․ 고령화 ․ 혼주화에 의해

마을 심의 커뮤니티 기능이 하됨에 따라 새로운 리 체계를 구축할 필요성

이 높아지고 있다. 지역에 거주하는 농업인, 지역주민, 도시의 시민운동단체 등

이 참가하여 농 의 자원을 보 리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특히 다랭이논, 마을 숲 등과 같은 아름다운 농 경 을 보호하기 한 정책

수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경 과 조화를 이룬 작물재배, 농업경 보 지구의

지정 등 농 경 유지를 한 다양한 정책 추진이 요구된다.

1.3.4. 농 경제 활성화를 한 다양한 정책 마련

지역농업 는 지역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살려서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려는

다양한 노력이 지속 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학교 식과 같이 지역에서 생산한

물건 등의 지역 내 소비를 진시키며, 농산물의 가공, 지역농업과 지역 상공업

의 연계강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지역농특산물의 매 강화, 농 산업

의 육성 등이 요구된다. 한 지역의 향토자원을 극 으로 발굴하고 이를 사

업화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러한 사업들이 원활하게 추진되기 해서는 물류거 시설의 정비와 같은

하드웨어 인 사업과 련 주체의 교육훈련사업과 같은 소 트웨어 인 사업도

추진되어야 한다.

1.3.5. 도농교류사업의 지속 추진

도시민의 농 수요를 충족시키는 한편, 이를 활용하여 농 지역을 활성화하

Page 150: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36

기 한 각종 도농교류사업이 지속 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시민농원의 개설, 농

지의 도시민 이용기회 확 , 도시의 각종 시민 단체 NPO 조직과 농 의 지방

자치단체, 주민 조직간의 네트워킹 강화, 농 사업의 추진 등 도시와 농

의 교류기회를 증 시키는 정책 추진이 지속 으로 요구된다.

1.3.6. 농 정주 체계의 재편

교통 발달로 인한 생활권역이 역화되고, 정보화가 진 됨에 따라 사람과 사

람의 계도 차 좁은 공간 테두리에서 벗어나 차 역화 될 망이다. 농

에 다양한 사람들이 거주함에 따라 공간 소비 패턴도 매우 다채롭게 나타날

망이다. 결과 으로 농 의 심지 이용 체계(농 정주 체계)에 많은 변화가 나

타날 것이다. 보다 고차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심지의 수요가 증가하는

반면, 기 인 서비스 수요를 제공하는 심지의 심성 감소가 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 과 같이 심 도시 - 심 소도읍 - 마을로 이어지는 농

정주체계상에 변화가 일어날 망이다. 그 변화의 양상은 국 으로 일률

이지 않고 도시와의 거리, 인구 감소 정도, 산업의 발달 정도 등에 따라 매우

다른 모습으로 나타날 것이다.

지역별로 차별 으로 나타나는 심지 이용 체계에 응하기 한 정책 추진

이 요구된다. 각종 서비스 시설은 가 심성이 강화되는 심지에 집 하고

배후지와의 근성을 강화시킴으로서 공간의 효율 인 이용을 도모해야 한다.

심성이 차 약화되고 있는 읍면 소재지에는 주거지 정비와 근린주구시설을

입지시킴으로서 농 의 기 주거 단 로 치지울 필요가 있다. 특히 과소화가

격하게 진행되는 일부 원격지 농 지역에서의 면소재지 마을에 주거 기능을

집 시키고 나머지 마을은 차 통합시켜가는 이른바 「농 마을 재편 사업」

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정책 방향을 실 하기 해서는 원마을 조성,

농 형 임 주택 건설, 노인용 공동주택 건설 등이 정책 수단이 될 수 있을 것

이다.

Page 151: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37

1.3.7. 열린 공간으로서의 농 생활환경 정비

향후 농 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거주하게 될 것이다. 하는 일과 나이, 추구하는

가치 , 삶의 방식이 서로 다른 사람들이 인 하여 사는 공간이 될 것이다. 이러

한 사람들이 쾌 함을 즐기며 생활에 불편을 느끼지 않고 자아를 실 하며 내․외부와 자유스런 소통이 가능할 수 있도록 정책 으로 지원해야 한다.

농 의 생활환경 정비는 지 까지 계속 추진되어 왔으며 그 성과도 높은 편이

다. 그러나 지 까지는 도로와 같은 기 인 라정비나 마을회 , 노인당 등과

같이 농업인을 한 시설정비 등에 치 했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의 농 생활

환경 정비 정책은 농 의 쾌 성을 높이고 풍요로운 삶이 가능할 수 있는 기반

정비에 두어져야 할 것이다. 다른 분야에 걸쳐 아직도 정비 수 이 낮은 하수처

리시설 정비가 지속 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기 커뮤니티 단 에서도 여유

있는 생활이 가능하도록 문화 스포츠시설 정비가 이루어 져야 한다. 각종 재

해로부터 안 한 삶이 보장될 수 있도록 재해방지시설이 정비되어야 한다. 교통

약자 들을 배려한 교통체계가 구축되어야 하며, 인터넷 용선 등 정보통신기반

시설이 구축되어야 한다.

1.3.8. 장수 ․ 복지 사회의 실

우리 사회가 속하게 고령화됨에 따라 농 은 고령자가 자신의 체력에 맞는

일을 하면서 건강하게 그리고 안 하게 살 수 있는 공간으로 정비되어야 한다.

이른바 장수 복지 사회의 실 이다. 이를 해서는 지 보다 훨씬 종합 이고

정교한 정책들이 만들어져야 한다.

무엇보다도 고령 농업인들이 체력이 허락하는 범 에서 (소규모) 농업에 종

사하거나 혹은 은퇴하고서도 안 하게 생활할 수 있는 의료 복지제도가 정

비되어야 한다. 평균 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는 더욱더 늘

어날 것이다. 이들을 한 치료 시설(노인성 치매 센터 등을 포함해서) 등이 정

Page 15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38

비되어야 하며 개호제도 등이 확립되어 찾아가는 서비스 체계가 정비되어야

한다.

노인들이 생활하기 편리하도록 공공시설물의 가변화, 보도의 확장, 도로 단차

의 제거, 복지시설과 공원의 연계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한 노인용 임

주택의 건설, 노인주택 모델 개발 보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고령자가 원할 경우 극 으로 사회활동을 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필요하

다. 생애학습기회 제공, 노인용 스포츠 시설의 설치, 고령자가 일할 수 있는 사회

일자리 창출, 노인들의 사 활동 등 지역사회에서 노인들이 참가하여 그들

의 경험과 후세에 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것도 요한 과제이다.

2. 주요 정책 과제

2.1. 산업공간을 위한 정책 과제

2.1.1. 농업부문의 고규격 생산기반 정비 정책

농업이 문화 ․ 규모화됨에 따라 이를 뒷받침할 생산기반 정비가 필요하다.

특히 미래에는 수자원 부족이 견되기 때문에 농업용수의 안정 인 공 과 효

율 이용 측면에서 고규격의 개배수 시설 정비가 요망된다. 한 은 농업

인으로 농지가 집 됨에 따라 구획 경지정리가 요망된다. 고규격 생산기반정

비는 농업생산뿐만 아니라 도시와 농 의 교류의 장을 창출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를 들어 경지에 이 라인 용수로와 암거배수 시설을 설치하거나

겸업농의 경우 도농교류 용지를 새로이 창설하는 것이다.

물론 고규격 생산기반 정비는 모든 농지에 용되는 것이 아니라 우량농지를

심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Page 153: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39

2.1.2. 환경농업을 지원하는 거점시설(예: 지역자원 리사이클 센터) 조성 정책

농 지역의 환경농업은 그 핵심이 되는 자원의 지역 내 순환과 ‘토양살리기’

를 제로 성장할 수 있다. 를 들어, 가축 분뇨나 음식물 쓰 기를 활용한 퇴비

제조시설을 농 지역에 설치할 필요가 생길 것이다. 그리하여 축산, 주거생활,

경종농업을 연계하여 농 지역을 친환경 으로 가꾸려는 노력을 지 보다 더

요하게 여기고 진행해야 한다. 이러한 지역자원 리사이클 센터의 움직임은

2020년쯤에는 바이오매스 활용산업으로 발 할 것이다. 즉, 농업이 여타의 산업

부문과도 긴 한 연 성 속에서 성장 는 쇠퇴할 것이다. 이에 한 비가 필

요하다.

2.2. 편리한 생활공간 조성을 위한 정책 과제

2.2.1. 농 커뮤니티 공간 재구성을 한 정책

농 지역의 마을회 을 비롯한 다양한 커뮤니티 공간에 한 미래 수요가 크게

변화할 망이다. 지역에 따라서 시설 수 자체를 업그 이드한다거나, 건강 리

실․정보화시설․ 클럽활동 공간 등 다목 시설로 리모델링하거나, 혹은 주민들의

계 공동 주거를 겸하는 시설이나 그린투어리즘 시설 등으로 기존 시설을 리모

델링하는 등 수요의 다변화에 응하는 사업을 창출하고 시행할 필요가 있다.

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사업으로 이를 시행함에 있어, 한국농 공사

가 지원 역할을 수행하거나 공사 자체의 사업으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최

근 시도되고 있는 시민단체의 문화해비타트 사업의 경우, 건당 5000만 원의 사

업비로 커뮤니티 시설 리모델링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문화해비타트 사업은 건

축가와 미술가 등이 자원 사자로 참여하는 추진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농 공

사에서는 다양한 미래형 커뮤니티 시설의 표 설계도를 제시함과 동시에, 커뮤

니티 시설 조성에 합한 여러 문가들을 조율하여 정부 사업을 행하고, 나

아가 커뮤니티 시설에 합한 로그램을 제안하는 등 련된 여러 가지 역할을

극 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Page 154: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40

2.2.2. 미래형 농 원마을 주택 정책

미래 농 지역은 도시민 원마을, 은퇴자마을, 그린투어리즘마을, 업 농

업마을 등 기능이 분화되고 특화될 망이다. 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원

마을 조성사업도 향후 각종 제도 개선 확 가 상된다. 한국농 공사는 다

양한 규모와 형태의 원마을을 조성하는 정책에서 기본 조사와 세부 설계 등을

담당하고, 지방자치단체 민간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직 사업을 시행하

는 역할을 맡을 수도 있다. 보다 극 이고 창의 인 역할 수행을 해 경 주

택 모델 발굴과 보 , 농 체인형 주택 사업, 도시민 상 임 형 주말농장 사업

등을 연계하여 수행할 수 있다.

그림 8-1. 농 주택 겸 외지인 민박시설의 1․2층 구조

▶ 지자체 사업으로 실시하여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사례

Page 155: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41

한편, 원마을 외에도 농 지역에서 발생할 주택 수요에 응하는 정책 한

필요하다. 재 행정자치부와 농림부가 각기 주 하고 있는 주택개량사업이 농

림부로 일원화되어 추진될 망이다. 향후 농 주택에 한 수요는 소득층을

겨냥한 최소기 의 주택, 경 주택, 고령친화 주택 등 질 으로 분화하면서 수

요 총량도 증가할 망이다. 그에 따라 정책 역에서는 경 주택 모델 보

시범사업, 노인형 주거모델 보 시범사업 등이 한층 가시화될 것이다.

따라서, 한국농 공사가 주택공사나 토지공사 등이 주택공 사업을 했던 방식

을 차용하되 농 에서의 수요에 합한 형태로 사업을 주도할 수 있어야 한다.

련 법규를 개정하여 사업자로서 한국농 공사의 상과 기능을 분명히 하고,

농 형 수요에 부응하는 다양한 유니버설 디자인의 주택 모델 발굴 개발에

힘써야 한다. 그리고 개별 주택에서부터 주택 단지에 이르기까지 규모별로 사업

시행방식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

Page 156: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42

정책사업 시 1: 미래형 농 주택 사업

□ 추진 배경과 목

미래 농 의 주택 수요가 다양해질 망이다. 은퇴 도시민들의 원주택 수요 증 ,

연단 임 형 농 체인 주택, 도시민 상 체재형 주말농장사업 주택, 고령친화형

주택, 에 지 약형 주택, 경 주택 등 내용 으로 다양한 형태의 주택 수요가 증

할 것이다. 이러한 망을 제한다면, 농 에서의 주택 상황을 진단하는 데 사용되는

양 지표인 주택보 률보다 최소한의 주거기 을 만족시키는 지 여부를 단할 수

있는 질 지표가 요해질 것이다. 지 은 질 측면에서 최 기 을 설정한 기

이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농 지역의 주택 보 률이 100%를 상회한다는 통계자료

는 별 의미가 없다.

미래형 농 주택 수요는 특정 농 공간에 집 될 것 같다. 도시근교 농 지역,

지화한 산간 농 지역, 읍․면 소재지 주변지역 등에 그러한 주택들을 집 시키는 것

이 기 서비스 제공 등의 측면에서 효율 일 것 같다. 따라서 그런 집 방식이 정책

으로도 장려될 것이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과소화가 심각한 일반 농 마을이나 원

격지 농 마을에 방치된 공폐가 주택이 증가할 것도 충분히 상할 수 있는 일이다.

그러므로 편리하고 아름다우며 다양한 농 주택을 공 함으로써, 농 에서의 정주

만족도를 높이고 농 으로의 이주와 방문을 진하는 정책사업이 필요하다. 정주 만

족도 제고를 해서는 정주에 필요한 서비스 공 도 고려해야 하는 바, 수요 발생이

상되는 농 지역 공간을 심으로 다양한 주택 공 을 확 하는 사업을 실행할 필

요가 있다.

□ 사업 개요

1) 기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장소에 일정 규모 이상의 다양한 주거단지를 조성한다.

○ 건강하고 쾌 한 삶을 할 수 있도록 입주민의 수요를 극 반 한 단지를 조

성한다.

○ 단순 주거생활, 그린투어리즘 사업 등 다양한 수요 맞춤형 단지를 조성한다.

○ 농 에서의 건축 는 주택 리노베이션을 지원하는 술가 지던스(residence)

로그램을 확 한다.

- 농 의 빈집을 지방자치단체 등이 매입, 개보수하여 외지의 술인에게 주거

공간 작업 공간으로 제공한다. 이로써 농 으로의 유입을 진한다. 무상으

로 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술인의 시회나 작업공간 개방을 유도하여 지역

의 홍보 상품 등으로 활용한다.

Page 157: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43

2) 입주민들의 공동체 의식 함양을 한 커뮤니티 공간 확보를 모든 농 주택단지

공 에 의무화한다.

○ 건강증진을 한 운동 시설(테니스장, 등산로, 골 연습장 등)

○ 문화생활을 한 공동 커뮤니티 시설( 화 , 교육 , 시장 등)

3) 기존 농 마을 주민을 한 독립된 신규주택 공 사업(주택 건축비 리 융자 실

시)을 시행한다. 단, 주택 리모델링 사업은 단지 공 사업과는 별도로 지속 으로

추진한다.

□ 추진 방식

○ 주체: 주민 조합, 지방자치단체, 민간 단체, 농 공사 등(각각 단독 주체가 될 수도

있고 공동 주체가 될 수도 있음.)

○ 조건

- 입지: 읍․면 소재지 는 그에 하는 심성 높은 부지

- 규모: 20호 이상, 100호 미만

- 단지 구성: 주택 + 주택 부속 정원 는 텃밭 + 게스트 하우스 + 체육시설 문화

시설 등

- 건축 형식: 층의 생태 건축, 신재생 에 지 극 활용

○ 차

- 부지 확보 사업계획 신청 → 시․군 경유 계획 승인 → 농 공사 세부계획 수립

→ 사업 시행 → 분양, 혹은 임 형의 경우 지방자치단체나 농 공사의 해당 지사

가 리(민간단체, 자원 사 인력 등을 활용)

○ 재원

- 부지는 주체가 제공

- 건축비는 공사 출연 , 개인 기업체 기부 (후원 ) 혹은 기업 출연 등 활용

* 단, SOC 등은 원마을 조성사업 등 앙정부 정책사업 활용

□ 기타

○ 농 주택단지의 성격에 따라 그 이미지를 잘 나타내는 농 주택 랜드를 개발하

여 국민 홍보에 기여하고 신뢰도를 확보한다. 아울러 농 주택 사업자로서의

농 공사 등의 법률 상을 확보한다.

○ ‘커뮤니티 공간 재구성 사업’ 등을 신설하고 그것과 연계 운 한다.

○ 원마을 조성 사업, 농 마을종합개발 사업 등과 연계 운 한다.

Page 158: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44

2.2.3. 경 자원 조사 자원도 작성 지원 정책

경 보 직불제가 시범사업을 마치고 본 사업에 들어가게 되며, 경 작물 식

재뿐만 아니라 농 의 다양한 경 요소를 포 하는 경 보 약제도가 도입

될 망이다. 이에 더하여 경 법 제정과 더불어 경 지표 조사, 경 계획 수립,

경 형성 평가 등 농 의 경 보 ․형성․ 리에 계된 정책 수요 지방자치

단체 응 수요가 하게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경 지표 설정, 경 자원 조

사 경 자원도 작성, 경 계획 수립 등의 기술 인 작업을 지원하고 더불어

경 보 약 체결 등에 따른 련 사업을 공동 시행하는 주체로서 역할을 하

는 것이 요구될 것이다.

2.2.4. 아름다운 농 을 만들기 한 정책

향후 농 공간에 한 수요는 도시민들에 의해 좌우될 것이다. 농 의 환경과

경 은 방문지로서 그리고 정주지로서의 농 에 한 수요에 큰 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농 주민의 생활환경을 편리하게 가꾸기 한 정책 노력에 덧붙여 환

경 으로 건강하고 경 으로 아름다운 농 을 만들기 한 노력에 앙정부,

지방자치단체, 한국농 공사 등 공공부문 주체들이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농 을 구성하는 여러 개별 요소들 하나를 바꾸는 방식뿐만 아니라 미래를

종합 으로 조망하며 농 을 아름답게 바꾸어 나가는 노력을 농 공사가 주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독일의 농업구조개선청에서 제안하고 있는 농 의

구성 요소별 미래 략과 마찬가지로 한국형 농 의 미래상을 제안하고 지방자

치단체나 민간 부문이 이를 따라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략을 고려할 만 하다.

유도하는 방식으로는 다양한 컨테스트, 언론 매체 등을 활용한 홍보, 지방자치단

체와의 공동 시범사업 등을 로 들 수 있다.

Page 159: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45

그림 8-2. 농 경 의 과거, 재, 미래

Page 160: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46

정책사업 시 2: 아름다운 농 만들기 사업

□ 추진 배경과 목

미래 농 의 핵심 가치는 아름다운 농 을 만드는 것에 있다. ‘아름다운 농 만들

기’를 통해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농 공간에 한 방문과 정주

욕구도 실화시킬 수 있다. 재, 아름다운 농 을 만들기 한 앙정부의 직 인

지원 사업은 경 보 직불제 정도에 불과한 상태이다. 그러나 이의 요성에 한

공감 가 확산되고 있어서, 보다 다양한 경 요소를 포함하여 아름다운 농 을 보

하고 리하기 한 사업이 필요하다. 농 주민, 농 공사, 시민단체 등이 함께 참여

하되, 상호 역할을 분담하여‘아름다운 농 만들기’를 선도할 필요가 있다.

□ 사업 개요

○ 주민 는 마을이 주체가 되어 지방자치단체, 농 공사, 시민단체 등의 지원을 받

아 마을 는 시․군의 핵심 경 자원을 아름답게 보 하고 리하며 는 창출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한다. 소규모 사업의 경우, 직 실행한다.

○ 주민이 참여하여 아름다운 농 만들기에 핵심이 되는 자원을 조사․발굴하고 상품

화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지도를 작성하는 작업을 함게 진행한다.

시민단체 등의 창의력, 농 공사의 문성 등을 통해 새로운 농 개발 모델로 정착

시킨다.

□ 추진 차

○ 주체: 주민 는 마을(지방자치단체, 농 공사, 시민단체 지원)

○ 차: 자원 조사 → 아름다운 농 만들기 계획 수립 → 지방자치단체 심의 선

정 → 소규모 사업 실행 → 모니터링 → 앙정부 사업 연계

○ 재원: 매칭 펀드(주민, 지방자치단체, 농 공사)

○ 기 효과: 가시 성과물 도출, 새로운 농 정비 모델 창출

□ 기타

○ 근거법, 련법 정비

- 국토의 계획 이용에 한 법률, 경 법 등은 농 경 리를 도모할 수 있는

내용을 포 하고 있지 않다.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 농산어 지역개발 진

에 한 특별법에 농 경 리에 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나, 구체 인 수단

이나 주체가 불분명한 상태이다.

○ 아름다운 농 사진 , 아름다운 농 마을 가꾸기 경진 회 등 국민 체를 상

으로 농 의 이미지를 정 으로 환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이벤트도 지속

으로 발굴하고 시행한다.

Page 161: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47

2.3. 농촌 복지 공동체를 위한 정책 과제

미래에는 통 인 자연부락 단 농 공동체의 자치 복지 기능이 많이 사

라질 것이다. 결국 농 주민들은 부분의 서비스를 공공 부문의 정책 개입에

의존하거나 시장에서의 구매로 체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농 주민들 간의

사회 연 와 상호작용 범 는 지 보다 훨씬 더 역화하는 동시에, 어떤 지역

은 인 자본과 사회자본이 취약한 상태로 남겨질 것이다. 게다가 농 지역사회

의 구성원들은 사회 으로나 문화 으로 매우 이질화되어 새로운 사회문제를 낳

기 시작할 것이다. 이러한 망에 기 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2.3.1. 농 지역사회의 지속성 확보를 한 지역공동체 운동 활성화

새로운 지역 공동체의 재구성은 주민으로서의 이해 계의 공동성에 기반을

두고 공동의 이해를 해 합리 으로 개인의 이해를 조정하는 ‘이해 계를 공유

하는 공동체’가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공동체의 구성원 역시 지연이나 연

과 같은 귀속 요인에 기반을 두지 않으며 지역 범 역시 더 이상 마을 단

의 좁은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공동체가 아니라 공간 으로 확 되고 구성원의

요건이 사 으로 정해지지 않은 개방 이고 유동 인 공동체가 되어야 할 것

으로 보인다. 한 자족 인 자치 공동체는 더 이상 유지되기 어렵다는 에

서 새로운 농 공동체는 도시지역과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지역사회의 새로운

활력을 도모하는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새로운 공동체 운동은 농 지역이 가진 자원들을 극 으로 활용하는 ‘자치

극 지역공동체 운동’을 지향하여야 할 것이다. 극 지역공동체 운동

의 실 을 해서는 지역이 가진 물리 환경 자원의 가치를 보 활용하는

것이 요하며, 자치 지역공동체의 실 을 해서는 인 자본과 사회 자본

의 보 과 육성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자원의 보 ․육성은 단순히 농업인과

농 주민만으로는 부족하며 도시주민과 도시에 기반을 둔 시민운동 단체들과의

유기 연 를 극 활용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한다.

Page 16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48

2.3.2. 농 지역사회의 통합을 한 사회문화정책 개발

농 지역사회의 통합을 한 본격 인 의미의 ‘사회문화 정책’을 지 부터라

도 개발해야 한다. 앞으로 농 지역사회 구성원의 이질화는 더욱 심화될 것이

다. 국제결혼 가족 수도 더욱 증가하고, 도시로부터의 농 으로 유입되는 인구도

상당히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와 련하여 외국, 도시 등으로부터의 이주민과

원래의 농 주민 간의 사회 갈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따

라서 이들 주민들의 화합을 도모하기 한 다양한 사회문화 통합정책을 극

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2.3.3. 최소한의 농 학교 유지를 한 정책 방향 환

농 지역사회의 사회 자본을 유지함에 있어 학교는 과거에 그랬듯이 앞으

로도 순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해 최소한의 농 학교 유지를

한 정책 당국의 발상 환이 요구된다. 1980년 부터 추진해 온 소규모 학교

통폐합 정책에 한 새로운 각도에서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농 학교 유지의

건은 정부 정책이다. 농 지역에서의 학교 수 감소는 ‘도․농간 교육 기회 불평

등’이라는 의미 외에도 ‘농 지역사회 유지 기능 약화’라는 한 함의를 갖는

다. 농 학교에서 교과와 보육을 함께 제공하는 ‘보살핌의 체계’를 도입하는 방

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농 의 학교를 수요가 늘고 있는 평생학

습을 한 기반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2.3.4. 미래 농 주민의 다양한 평생학습 욕구 충족을 한 정책

미래 농 사회의 이질 인 구성원들이 갖고 있는 다양한 평생학습 요구에

응할 비를 해야 한다. 특히, 농 거주 외국인과 그 자녀를 배려한 다문화 교육

로그램, 농 여성과 노인의 평생학습 지원체계 등에 심을 가질 필요가 있

다. 정부 정책에 의해 농 지역의 평생학습 기반 시설이 확충되고 있다. 주민 자

Page 163: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49

치센터, 복지센터, 지역종합문화센터 등 지 은 다소 생소한 시설들을 이용하는

것이, 2020년의 농 지역에서는 매우 일상 인 활동이 될 것이다. 그 게 농

주민들의 평생학습 로그램에 한 기회를 증 하는 일은 농 에서의 삶

의 질을 높이는 매우 한 과제이다.

2.3.5. 증하는 농 지역 보건의료 서비스 수요에 한 응 략 내실화

증하고 있는 농 지역의 보건의료 복지서비스 수요에 충분히 응할 수

있는 종합 이고 실질 인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재 비되고 있는 지역복지

계획과 노인수발보험 등을 내실 있게 추진하고 추가 인 복지 로그램을 발굴

할 필요가 있다. 정부의 정책 개입이 농 지역에서의 보건의료 복지서비스

수 을 결정하는 요한 요인이다. 2005년부터 추진해 온 복지정책의 지방분권

화를 무리 없이 달성하는 일이 요하다. 이를 해서는 련 산 인력을

안정 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2.3.6. 농 노인의 주거환경 개선을 한 주택개조 정책

복지 분야에서 앞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는 표 인 정책과제로는 농 노인

들을 한 주택개조 사업을 들 수 있다. 노년기에는 더 많은 활동이 주택 내에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는 에서 주택의 의미와 가치가 더욱 커진다. 그러나

농 노인들이 거주하는 주택의 질 상태는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통계청의 인

구주택 총 조사 자료에 따르면, 농 노인들은 자가 소유비율은 90% 정도로 아주

높다. 그러나 농 노인가구의 2/3 정도가 최 주거기 의 시설기 ( 용 수

세식화장실, 입식부엌, 목욕시설의 사용)에 미달하는 주택에서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 노인가구의 주택의 질 상태가 열악한 것은 부분의 농 노인

들이 노후화된 단독주택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주택개조와 련된 행 우리나라 정책으로는 국민기 생활보장 수 자를

상으로 지원되는 집수리사업과 융자 이 지원되는 농 주택개량사업 정도이며

Page 164: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50

노인 가구에 특화된 정책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서 선진국에서는

노화에 응하여 주택 내의 시설이나 설비를 고쳐주는 주택개조사업을 다양하

게 추진하고 있다. 를 들면, 국에서는 노인의 주택개조 비용이 사회기 등

에서 지원되고 있다. 국은 지방정부가 심이 되어 노인을 한 주택수리사업

을 실시하고 있으며, 정부산하 비 리단체가 심이 되어 상담 수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노인이 거주하는 주택의 안 을 하는 요인이나

배 설비, 기공사 등을 실시하는 경우 개조비용이 지원된다. 일본에서는 고령

자를 한 주택개조 기 을 제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노인의 주택개조 비용을

지원하는 다양한 제도를 운 하고 있다. 일본은 문 인 주택개조를 실시할 수

있도록 ‘주택개조헬퍼제도’와 자격시험제도를 두고 있다.

Page 165: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51

정책사업 시 3: 농 노인주택 개조 사업

□ 추진 배경과 목

노년기에는 많은 활동이 주택 내에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농 노인들

이 거주하는 주택의 질 상태는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농 노인가구의 2/3 정도가

최 주거기 시설기 에 미달하는 주택에서 살고 있다. 농 주택개량 사업이 있

으나 노인가구에 특화된 정책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 사업 개요

○ 농 노인주택 개조 기 을 확립한다.

- 안 성 확보를 한 기 ( : 문턱 등 단차 제거, 바닥 미끄러움 방지, ․욕실․화장실 등에 안 손잡이 설치)

- 독립성 확보를 한 기 ( : ․화장실․방 등의 출입구 폭을 확 , 욕실․화장실․부엌 등의 설비를 노인들의 신체 특성을 고려하여 개조)

○ 농 노인주택 개조 비용을 지원한다.

- 노인의 경제력에 따라 차등 으로 지원

- 주택개조에 한 정보 제공 상담 지원은 모든 노인이 이용하도록 한다.

- 국민기 생활보장제도 수 자에게는 무료로 비용 지원

- 차상 계층 일정 소득수 이하의 노인들은 정부가 비용의 상당부분을 지원하

되, 일정부분은 자부담

- 산층 이상 노인들은 액 자부담

○ 농 노인주택 개조 지원 담 창구를 마련하고 담당 문인력을 양성한다.

- 주택정보에 한 근성이 낮은 노인들의 입장에서 손쉽게 상담할 수 있는 시설

혹은 거 을 마련한다.

- 노인의 건강과 재활을 염두에 두어야 하므로 면사무소의 노인복지담당 인력, 보

건소 보건지소 등의 력체계를 구축한다.

- 복지 련 인력, 보건의료 련 인력, 건축 련 인력이 을 구성하여 주택개조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비용이 수반될 것이므로, 필요한 문인력을

연계하고 조정하는 능력을 갖춘 일반 문 인력을 육성하여 활용한다.

□ 기타

○ 농 노인주택 개조 사업에 따르는 재원을 마련하는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가능

성이 있다.

- 국민주택 기 을 활용하는 방안

- 로 복권 기 지원 상으로 노인을 추가하는 방안

- 노인수발보험에서 재가서비스의 하나로 주택개조 서비스를 추가하는 방안

Page 166: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52

2.3.7. 농 독거노인의 주거환경과 보건의료 서비스 근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정주공간 정책

농 지역의 생활 편의 서비스 심지 분포가 집 화되면서 주로 면부의

주변 지역에 거주하는 교통 약자 계층의 서비스 근성 문제가 심각해지는 곳이

출 할 망이다. 그러한 계층 에서도 농 독거노인의 보건의료 서비스 근

성 문제는 하게 응하지 않는다면 사회 인 문제로 부각될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인구 과소화가 진행된 곳에서의 마을 공동체 해체로 인해 거동이 불편한

농 독거노인들의 사회안 망은 크게 을 받을 수 있다. 재 농 지역의

독거 노인 수는 약 36만 6000명 정도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읍․면별

평균 260명 정도에 달하는 수치이다. 이 생활보호 상자이거나 자녀의 부양

을 기 하기 어려운 무의탁 노인의 수가 상당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취약

계층들의 주거지들을 보건의료 서비스 근이 용이한 장소에 집 화시키는 정

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Page 167: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53

정책사업 시 4: 농 독거노인 주거단지 조성 사업

□ 추진 배경과 목

주거불량 독거로 인한 사회 고독감과 경제 문제로 고통받는 무의탁 독거노

인과 최고령 노인들에게 보건의료 서비스 근이 용이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 사업 개요

○ 렴한 비용으로 보건의료 서비스 근 는 방문 서비스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

는 장소에 노인 주거단지를 조성한다.

-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해 지구당 10~20호 정도로 규모화

(이때 지면 은 1,500~2,000평)

- 가구당 10~15평 정도의 주택을 지어 독립된 주거공간을 제공

- 간이진료소, 사랑방, 손님숙소, 산책로, 텃밭 등의 시설을 제공

○ 지역 보건소 보건지소 인력가 순회 진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 간이 진료소 게이트볼 장 등 부 시설을 통해 지역주민과의 교류를 유도함으로

써, 거주 노인들의 사회 고립감을 완화한다.

○ 노인수발보험 자원 사자 지원 센터와 연계 운 한다.

□ 추진 방식

○ 정부, 지방자치단체, 기업 개인 기부 등 다양한 재원을 마련하여 활용한다.

- 간이진료소, 사랑방, 손님숙소 등 부 시설과 기반시설 조성에 따르는 재원은 정

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부담

- 주택은 기업체 기부 과 개인 기부 으로 재원 마련

○ 정부 정책사업 보다는 시민사회가 참여하는 국민 운동으로 추진한다.

- 농 독거노인 주거단지 운동본부 설립

- 건축물 완공 후 운동본부에 귀속시키고, 건축물 유지보수 비용은 운동기 과

리비로 집행

- 건축물 리는 한국농 공사 등 문성을 갖춘 공익 기 이 운동본부로부터

탁을 받아 수행

Page 168: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공간 2020154

참 고 문 헌

강원농수산포럼. 2006.「지역공동체 지원 농업과 강원도의 응방안」, 강원농수

산포럼 제56차 정기세미나 결과 보고서.

건설교통부. 2006. 「2006년도 국토의 계획 이용에 한 연차보고서」.

경제 ․ 인문사회연구회. 2005.「국가의제 2015: 풍요와 평화의 미래한국」.

공병호. 2004.「10년 후 한국」, 해냄.

김경덕. 2004.「농 ․ 농가 인구 농업노동력 장기 망과 정책과제」, 한국

농 경제연구원.

문병집. 1985. “한국농 개발정책에 한 일고찰”, 지역사회발 연구.

박시 외, 2006,「농 지역경제의 지속 발 략」, 한국농 경제연구원.

산업자원부 ․ 국경제인연합회 ․ AT 커니. 2006.「2015 산업발 비 과 략」 국경제인연합회.

송미령 ․ 성주인, 2006, “도시민의 원지향 수요와 농 의 미래상”,「농업 망

2006」, 한국농 경제연구원.

오상 외. 2005.「한국산업의 2020 발 비 」. 산업연구원.

이정환 ․ 김정연 ․ 이정기. 1987.「농 정주생활권의 특성비교 연구」, 한국농 경

제연구원.

정기환 ․ 오내원. 1990.「한국농 사회경제의 장기변화와 발 1985~2001, ‘1989

년도 조사결과’」, 한국농 경제연구원.

정명채 외 4인. 1996.「한국 농 사회경제의 장기변화와 발 1985~2001, ‘산간

마을의 사회경제 변화’」, 한국농 경제연구원.

정부 ․ 민간 합동작업단. 2006.「함께 가는 희망 한국 vision 2030」.

최정섭. 2006. “한국농업의 장기 변화 망과 정책과제”. 2006농업과학심포지엄

발표자료

21세기 원회. 1992.「미래 망: 2020년의 한국과 세계」, 동아일보사.

Davis, S. & Davidson, B. 1996.「정보경제 2020 VISION」, 박 률출 사. [한성호

Page 169: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의 미래 모습 155

․ 하헌식 공역]

LG경제연구원. 2005.「2010 한민국 트 드」, 한국경제신문.

The Economist. 1994.「21세기 미래 측」, 넥서스.

Blass, E. 2003. “Researching the future: mothod or madness?” Futures 35:1041-54.

Brown, D. & Swanson L., eds. .2003. Challenges for Rural America in the Twenty-

First Century,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Countryside Agency. 2003. The State of the countryside 2020.

Future Foundation. 2004. Rural Futures Project: Scenario building for twenty year

and fifty year futures.

______. 2005. Rural Futures Project: Scenario Creation and Backcasting.

Moseley, M. etc. 2005. The Futures of Services in Rural England - a Scenario for

2015, UK: DEFRA.

OECD. 1995. Cultivating rural amenities: an economic development perspective,

Paris: OECD.

OECD. 2005. The Future of Rural Policy, Paris: OECD.

The Ministry of Agriculture, Nature and Food Quality. 2004. Agenda for a Living

Countryside: Multi-year Programme for a Living Countryside, The Hague:

Ando bv.

Ward, N. & Ray, C.. 2004. “Future Analysis, Public Policy and Rural Studies”,

Centre for Rural Economy Working Paper Series, No. 74, UK: Univ. of

Newcastle.

Page 170: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072/1... · c2006-59/2006. 12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C2006-59

농 의 미래 모습, “농 공간 2020”

등 록 제6-0007호(1979. 5. 25)

인 쇄 2006. 12.

발 행 2006. 12.

발행인 최정섭

발행처 한국농 경제연구원

130-710 서울특별시 동 문구 회기동 4-102

화 02-3299-4000 팩시 리 02-965-6110 http://www.krei.re.kr

인쇄처 경희정보인쇄(주) 화 02-2263-7534 E-mail [email protected]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시하면 자유롭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무단 재하거나 복사하면 법에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