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창간에 즈음하여 ·...

64

Upload: others

Post on 08-Mar-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창간에 즈음하여․

    불과 여년 전만하더라도 대학에 작업치료학과가 전무한 실정이었으나 년 개10 , 1999 4

    대학에 작업치료학과가 신설된 이래 년 현재 년제 개 대학교 년제 개 대학2007 4 16 , 3 26

    에 작업치료학과가 개설되었습니다 이렇듯 작업치료의 수요는 가히 폭발적입니다. .

    이러한 작업치료사의 수요증가 원인의 하나는 급격히 늘어나는 고령자로 인해 노인

    병원의 증가 노인주간보호센터 등 노인과 치매환자에 대한 작업치료 수요와도 비례한,

    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노인인구는 해마다 증가하여 년에 세 이상 노인인구는. 2000 65

    만명으로 전체인구의 약 였으나 년도에는 이며 년에는 그리고 년에는339 7.1% 2003 8.7% , 2019 14.4%, 2030

    의 고령사회에서 초고령 사회로 진입이 전망되고 있습니다 또한 해마다 치매의 유병율도 증가하여21.1% .

    치매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높아졌습니다 치매는 개인의 정상적인 활동과 사회관계에 방해를 줄 정도로. “

    심각한 지성적 기능의 저하로 특징지어지는 증상들 로 이들 치매환자들은 약물적 처치와 더불어 작업치” ,

    료의 병행을 필요로 합니다.

    본 학회지를 통하여 작업치료사는 물론 간호 물리치료 보건 복지 등 관련 전문분야의 참여를 유도하, , ,

    며 정보를 공유하고 논의하므로써 앞으로 고령자치매환자에 대한 양질의 관리와 치료에 도움이 되기를, ․

    기원합니다.

    그동안 작업치료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학회지는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와 감각통합학회지 가 있었으“ ” “ ”

    나 금번에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가 발간된 것은 매우 뜻 깊은 일입니다.․

    앞으로 전문지로서의 깊이 있는 내용을 갖추는 것은 물론이고 보건의료계의 폭넓은 학회지로 발전하여

    노인관련과 치매환자 연구에 활용되기를 바라며 보건의료전문인들의 뜨거운 관심과 성원에 보답할 수 있

    도록 치밀한 분석과 진지한 논의로 매호마다 거듭 새롭게 태어나는 모습을 볼 수 있도록 매진하기를 기대

    합니다.

    보건의료 분야의 전문인들의 적극적인 후원과 능동적인 참여를 통해 본 학회지가 고령자치매에 공동․

    관심분야를 함께 연구하고 논의하므로써 전문작업치료의 위상을 뿌리내리도록 우리 모두 열과 성을 다할

    것을 다짐해 봅니다.

    끝으로 좋은 논문을 게재할 수 있도록 원고를 보내주신 연구자 여러분과 바쁘신 가운데서도 논문심사평

    가에 응해주신 편집위원과 심사위원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앞으로 무상 지원해주실 퍼시픽출판사에,

    도 감사드립니다.

    년 월 일2007 4 15

    학회장 최 혜 숙

  • 고령자ㆍ치매작업치료학회지

    목 차/ /

    뇌졸중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 의, (ACLS)

    신뢰도 연구

    박흥석 황수연 민경철 이명예 김수정 정민예․ ․ ․ ․ ․

    1

    노인요양시설 이용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사전조사

    이재신 전병진․

    7

    노인의 인지능력이 동적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신민주 조연정 김은영 이태원 양영애․ ․ ․ ․

    16

    뇌졸중 환자의 연하장애에 대한 전기자극의 치료 효과

    정복희 김정기․

    23

    노인들의 신발선호도에 따른 균형과 보행과의 관계

    이유진 오명화 김계엽 남기원 백현희 김정자․ ․ ․ ․ ․

    30

    여성 노인의 정적 서기 동안 시각유무에 따른 서기 균형 비교

    이정원

    38

    경증치매환자의 인지기능 증진을 위한 집단작업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정원미

    46

  • 1

    서론I.

    인지와 지각의 문제를 가진 환자들은 부분적인 재

    활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경우 독립적인 생활

    이 어렵고 직장 동료나 가족들과의 관계를 유지하,

    는데 어려움을 가진다(Unsworth, 1999).

    는 인지란 생각하고 기억하고 추론Unsworth(1999) , ,

    하며 자신과 주변 세상에 대해 인식하는 것이라 하

    였으며 일상생활의 기초가 된다고 하였다 또한, .

    와 는 인지를 정보를 처리하고 배Abreu Toglia(1987) ,

    우고 일반화 할 수 있도록 지각 조직 이해 및 정, , ,

    보를 조작하는 과정이라 하였다.

    인지 손상은 발달 또는 학습의 문제 뇌 손상 또,

    는 뇌 병변 정신과적 이상 기능 또는 사회 문화적,

    인 상황의 결과로 인해 나타난다 인지(AOTA, 1999).

    손상은 환자의 삶 전체에 두드러진 활동 제한을 가

    져오며 자연스러운 환경 안에서 환자가 복잡한 활동

    을 계획하고 시작할 때 인지적 결함이 분명하게 나,

    타난다(Golisz & Toglia, 2003).

    작업치료사는 환자가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발견

    되는 인지 손상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적절한 인

    지 평가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표준(Unsworth, 1999).

    화된 인지 평가도구는 작업치료사가 환자에게 인지

    손상이 있는지를 결정하고 손상의 정도를 측정하는

    데 도움을 주며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기초선으로,

    유용하게 사용된다(Golisz & Toglia, 2003).

    은 정신과 분야에서 집중적인 관찰과Allen(1985)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의 국내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뇌졸중 명 치매 명 환자를 대상으로 검사자간 신뢰도를 살펴보았으며 혈관성 치매 환자(17 ), (36 ) , 21

    명을 대상으로 검사 재검사 신뢰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검사자간 신뢰도 검사는 두 명의 검사자.

    중 한 명이 시행하며 다른 한명은 관찰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채점하도록 하였다 검사 재검사 신뢰, . -

    도 검사는 혈관성 치매환자에게 시행되었으며 한명의 검사자가 주 간격으로 검사 후 비교하였다, 2 .

    결과 검사자간 신뢰도는 치매 환자와 뇌졸중 환자에서 각각 급간내 상관계수 으로 나타났으0.954, 0.996

    며 검사 재검사 신뢰도는 으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 0.953 .

    결론 연구의 결과를 통해 치매환자 뇌졸중 환자에 대한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

    주제어 알렌인지수준판별검사 치매 뇌졸중 신뢰도, , ,

    뇌졸중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 의 신뢰도 연구, (ACLS)

    박흥석 황수연 민경철 이명예 김수정 정민예*, **, ***, ****, *, *****

    연세대학교 대학원 재활학과*

    상애노인전문요양원**

    서울아산병원 작업치료실***

    세연아동발달연구소****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신저자 :정민예 접수일([email protected])∥ : 2007. 3. 개재승인일20∥ : 2007. 4. 4

  • 2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1 / 1

    경험적인 연구에 기초하여 인지장애에 대한 이론의

    틀 을 개발하였(Cognitive Disability frame of reference)

    다 은 인지장애에 대한 이론의 틀에서. Allen(1985)

    인지 수준을 낮은 수준의 에서 높은 수준의 으로1 6

    등급화 하였고 각각의 인지 수준은 장애의 정도와,

    작업 수행의 어려움을 설명한다 작업치료사는 이러.

    한 단계를 기준으로 환자에게 익숙한 활동과 새로운

    활동을 배울 수 있는 능력을 예측하고 보호자의 도

    움의 양을 결정하는 지침으로 사용한다(Allen et al.,

    1992).

    인지장애이론의 진단적 베터리 중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 는 정(Allen Cognitive Level Screen, ACLS)

    신과 질병 또는 인지 손상을 가진 환자들의 인지 수

    준을 평가하기 위해 만들어진 개별화된 기준 관련

    평가도구이다(criterion-reference) (Chan et al., 2001).

    는 감각 운동 과제로써 세 가지 형태의 가죽ACLS

    바느질로 이루어져 있다 평가자는 평가 대상자에게.

    자신이 하는 것을 관찰하고 모방하도록 지시하며,

    의도된 실수를 고치도록 요청한다 마지막으로 바느.

    질의 완성된 형태를 시범 없이 해결하도록 지시하

    며 수행 정도에 따라 차등 채점한다 채점은 바느질, .

    에서 실수를 하지 않는 것 실수를 수정하는 방법, ,

    도움 없이 복잡한 바느질을 완수하는 능력에 따라

    이루어진다 채점은 에서 까지 점 간격으로. 3.0 5.8 0.2

    평가하고 높은 점수는 높은 인지적 수준을 나타낸,

    다 에서 점수는 지시에 따르(Chan et al., 2001). ACLS

    고 문제를 해결하며 새로운 정보를 배우는 대상자의

    능력을 의미한다(Allen, 1992).

    은 여러 민족을 대상으로 적합성에 대한 연ACLS

    구가 이루어졌으며 등 는 백인 멕시코, Velligan (1995) ,

    계 미국인과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대상으로 의ACLS

    점수가 인종에 따라 주요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밝혔다 일본판 는 장애집단과 비 장애집. ACLS

    단을 평가하여 일본의 문화적인 배경에서도 적용 가

    능한 것으로 나타났다(Cusick & Harai, 1991).

    는 북미 이스라엘 호주에서 표준화된 인지ACLS , ,

    평가도구로써 작업치료사에 의해 광범위하게 사용되

    고 있다 의 점수는 유동성(Allen, 1985). ACLS (fluid

    실행 능력 적응 기능ability), (executive function),

    을 평가하는 인지 항목들과 긍정적(adaptive function)

    인 연관관계를 갖는다(David & Riley, 1990; Henry et

    al., 1998; Keller & Hayes, 1998; Mayer, 1988; Secerst,

    이2000; Velligan et al., 1995; Velligan et al., 1998).

    연구들은 환자의 인지와 관련된 기능 수준을 짧은

    시간 내에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써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 의 사용을 추천하고 있다 는(ACLS) . ACLS

    비언어적인 문제해결 능력에 기초를 두는 평가이기

    때문에 언어와 문화적 배경에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바느질을 통한 평가임에도 불구(Velligan, 1995),

    하고 성별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

    다민경철 등( , 2005).

    본 연구는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의 국내 적용

    을 위하여 뇌졸중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검사자간, ,

    검사 재검사 신뢰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II.

    연구 대상1.

    본 연구는 시 전문요양원과 요양병원의 환자를W

    대상으로 년 월부터 월까지의 기간 동안 진행2006 3 6

    되었다 검사자간 신뢰도를 위한 첫 번째 집단은 전.

    문요양원의 치매진단을 받은 명의 환자로 뇌혈관36

    성 질병을 가진 환자는 제외하였다 두 번째 집단은.

    요양병원의 뇌졸중 진단을 받은 명의 환자들로 구17

    성되었다 마지막으로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위한 집. -

    단은 전문요양원에서 혈관성 치매 진단을 받은 명21

    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

    고 검사를 허락하였으며 알렌 인지 수준 판별 검사,

    의 최저 점수인 이상의 수행을 보였다3.0 .

    연구 도구2.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 는 인지 기능 평(ACLS)

    가 도구로 년 에 의해 개발되어 표준화된1985 Allen

    검사도구이다 는 계속되는 재판 과정을 거쳐. ACLS

    년 현재 최종판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알2000 .

    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그림 는 알렌 인지 베터리( 1)

    의 한 부분으로 인지 기능의(Allen cognitive battery)

  • 3

    초기 판별을 위해 만들어졌다 단계는. ACL modes( )

    수준의 중간 범위를 평가하기 위해 만들어졌3.0-5.8

    으며 각 단계에 따른 기능 수준을 설명하고 있다, .

    의 검사 시간은 제한이 없다 검사 도구의 구ACLS .

    성은 가죽판 한 개시각적인 문제가 있을 경우 큰(

    크기의 가죽판 을 사용함 가죽끈에 사Large-ACLS ),

    용되는 바늘 두 개 가죽끈 두 개 한 쌍Perma-Lok , ,

    의 왁스칠된 실과 바늘로 되어 있다 바느질 방법은.

    세 종류로 되어 있고 홈질 감침질, (running stitch),

    코도반 바느질 의(whipstitch), (single cordovan stitch)

    순서로 이루어진다 검사자는 이 순서에 따라 시범.

    을 보이게 된다 점수는 알렌 인지 단계에 따른.

    로 구성되어 있고 점수가 높을수록 높은 인지3.0-5.8 ,

    수준을 나타낸다(Earhart et al., 2000).

    ▲그림 알렌 인지 수준 판별 검사 도구1. (ACLS)

    연구 방법 및 연구대상3.

    검사자는 알렌 인지 수준 과 알렌 인지 수준(ACL)

    판별 검사 에 대한 교육을 받은 작업치료사로(ACLS)

    채점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주 동안 회ACLS , 2 10

    이상의 사전 연습을 실시하였다.

    검사자간 신뢰도

    시 전문요양원에 거주하는 치매 노인 명과 요W (36 )

    양병원에 입원중인 뇌졸중 환자 명을 대상으로(17 )

    각각의 집단에 두명의 평가자에 의해 시행되었다.

    검사자간 신뢰도 측정 방식은 한명의 검사자가 평가

    를 시행하고 나머지 한명의 검사자는 관찰을 통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채점하는 것으로 하였다.

    검사 재검사 신뢰도-

    시 전문요양원에서 거주하는 혈관성 치매진단을W

    받은 환자 명를 대상으로 하여 주의 간격으로(21 ) , 2

    동일 요일 동일 시간에 한 명의 검사자가 측정하였,

    다표( 1).

    자료 분석4.

    통계 프로그램 을 사용하였다SPSS version 12.0 .

    검사자간 신뢰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급간 내-

    상관계수 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ICC) .

    대상 구분

    남 여 합계

    인원

    명( )

    평균 연령

    세( )

    인원

    명( )

    평균 연령

    세( )

    인원

    명( )

    평균 연령

    세( )

    검사

    자간 신뢰도

    치매 4 75.50±6.56 32 83.06±6.77 36 82.22±7.08

    뇌졸중 9 67.67±13.77 8 67.88±9.48 17 67.76±11.58

    검사-

    재검사 신뢰도혈관성 치매 5 72.80±4.09 16 84.00±5.91 21 81.33±7.31

    ▼표 대상자의 특성1.

  • 4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1 / 1

    연구 결과III.

    검사자간 신뢰도1.

    치매와 뇌졸중 대상자에 대한 검사자간 신뢰도는

    급간 내 상관계수 가 각각 와 으로 나(ICC) 0.954 0.996

    타났다.

    ▼표 검사자간 상관관계2.

    구 분대상자

    수 명( )평균

    표준

    편차

    급간내

    상관계수

    (ICC)

    치매검사자 1 36 3.58 0.53

    0.954검사자 2 36 3.59 0.58

    뇌졸중검사자 3 17 4.19 0.73

    0.996검사자 4 17 4.21 0.72

    검사 재검사 신뢰도3. -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혈관성 치매를 대상으로 급-

    간 내 상관계수 를 알아보았다 명 대상자의(ICC) . 21

    검사재검사 급간 내 상관계수 는 으로 나- (ICC) 0.953

    타났다.

    ▼표 검사 재검사 상관관계3. -

    구 분대상자

    수 명( )평균

    표준

    편차

    급간내

    상관계수

    (ICC)

    혈관성

    치매

    검사 21 3.52 0.360.953

    재검사 21 3.49 0.36

    고찰.Ⅳ

    작업치료사 에 의해 개발되고 표준화된 알렌Allen

    인지 수준 판별검사 는 개인의 인지수준과 적(ACLS)

    응적 기능의 특징을 나타내도록 만들어진 평가도구

    로써 치료 계획을 세우고 지역사회 복귀를 위한 도

    움의 목적으로 매우 다양한 정신과 환자와 노인들에

    게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인지평가도구이다

    는 익숙한 활동과(Allen, 1985; Allen, 1988). ACLS

    새로운 과제를 배우는 데에 있어서 대상자의 능력을

    평가하고 대상의 현재 기능적 인지 수준의 평가를,

    통하여 수준에 따른 기능의 능력과 제한점을 나타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를 통한 알(Allen, 1985). ACLS

    렌 인지 단계를 사용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

    으로 인지 수준에 따른 기능의 능력과 제한점은 보

    호자를 교육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하며 보호자,

    에게 환자의 인지 기능 단계에 맞게 제공되어야 하

    는 도움의 정도를 알려 주어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Earhart et al., 2000).

    이와 같은 임상적인 장점들과 함께 평가 실시가

    쉽고 빠르며 언어적 능력과 문(Earhardt et al., 2000),

    화적 차이로 인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국내 설문 조사(Velligan et al., 1995).

    결과 설문에 참여한 작업치료사 중 만이 사용하7.7%

    고 있는 등 그 사용 빈도가 저조하다유은영 등( ,

    또한 국내에서 작업치료사가 사용 중인 인지2006).

    관련 평가도구 중 표준화 연구가 이루어진 것은

    가 유일하며 에 대한 표준화 연구는MMSE-K , ACLS

    민경철 등 의 와의 상관관계를 통한(2005) MMSE-K

    타당도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신뢰도 및 그 밖의 국,

    내 적용을 위한 연구는 아직 보고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치매와 뇌졸중 대상군에 대한

    의 높은 검사자간 신뢰도를 확인하였는데 이는ACLS

    의 검사자간 신뢰도 연구에서 의Moore(1978) r=0.99

    상관계수가 나타난 것과 검사자간 신뢰도 r=

    1.0(Partida, 1992), r=0.91(Howell, 1993), r=0.98(Penny

    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 다른 연구들et al., 1995)

    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혈관성 치매 진단을 받은-

    대상으로 급간 내 상관계수를 통하여 알아보았으며,

    명의 대상자에 대한 검사재검사 급간 내 상관계21 -

    수는 으로 높은 상관관계가 나왔다 와0.953 . Brookson

    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검사Andrea(1997)

    재검사 신뢰도가 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지- r=0.449

    만 정신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신뢰도,

    는 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r=0.75 (Newman,

    1987).

  • 5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각 질환별 대상자의 수가

    적었고 노인 질환으로 대상자가 한정되어 있어 다양

    한 인지 손상 군으로의 일반화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각 집단에 한 가지 신뢰도 평가검사자. (

    간 신뢰도 또는 검사재검사 신뢰도만을 시행하여- )

    두 종류의 신뢰도 값을 제시하지 못한 점이 본 연구

    의 제한점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의 검사자간 및 검사재검사ACLS -

    신뢰도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의 신뢰도 검증을 통하여 국내 활용도를 높일ACLS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추후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 질환의 대상자 군에서 보다 많은 대상자에게,

    를 적용한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ACLS .

    참고문헌

    민경철 김정란 정민예 알렌인지수준판별검, , . (2005).

    사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의 상관관

    계. 대한작업치료회지, 13(3), 15-22.

    유은영 정민예 박소연 최은희 한국 작업치, , , . (2006).

    료사의 영역별 평가도구 사용 동향. 대한작업치

    료학회지, 14(3), 27-37.

    Abreu, B. C., & Toglia, J. P. (1987). Cognitive rehabilitation:

    A model for occupation therapy.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41, 439-448.

    Allen, C. K. (1985). Occupational therapy of psychiatric

    diseases: measurement and management of cognitive

    disability. Boston: Little, Brown.

    Allen, C. K. (1988). Occupational therapy: functional

    assessment of the severity of mental disoders. Hospital

    and community Psychiatry, 39, 140-142.

    Allen, C. K., Earhart, C. A., & Blue, T. (1992). Occupational

    therapy treatment goals for the physically and cognitively

    disabled. Rockville, MD: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1999).

    Management of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for persons

    with cognitive impairments [statement].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3, 601-607.

    Brookson, A. M. (1997). The test-retest reliability the Allen

    cognitive level test-90. D'Youville College.

    Chan, C. L., Ray, S., & Trudeau, S. (2001). The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the Cantonese version

    of the Allen Cognitive Level Screen.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8(4), 287-300.

    Cusick A., & Harai, H. (1991). The Allen tests for cognitive

    disability: A cross cultural pilot study. Occupational

    Therapy in Mental Health, 11, 61-75.

    David, S. K., & Riley, W. T. (1990). The relationship of

    the Allen Cognitive Level Test to cognitive abilities and

    psychopatholog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4(6), 493-7.

    Earhart, C., Pollard, D., Allen, C, K., & David, S. (2000).

    Allen Cognitive Level Screen 2000 Test Manual.

    Colchester, CT: S&S/Worldwide.

    Goliasz, K. N., & Toglia, J. P. (2003). Perception and

    cognition. Cognitive disability frame of reference. In

    E. B. Crepeau, E. S. Cohn and B. A. Schell, Willard

    &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10th ed.,

    pp.395-416).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Henry, A. D., Moore, K., Quinlivan, M., & Triggs, M.

    (1998). The relationship of the Allen Cognitive

    Level Test to demographics, diagnosis, and

    disposition among psychiatric inpatient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2(8), 638-643.

    Howell, T. F. (1993). The Allen cognitive level test-1990:

    Reliability studies with the depressed population.

    University of Florida.

    Keller, S., & Hayes, R.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llen Cognitive Level Test and the Life Skills

    Profil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2,

    851-856.

    Partida, A. (1992).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wo alternate

    versions of the Allen cognitive level test among adults

    with mental illness.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Los Angeles.

    Penny, N. H., Mueser, K. T., & North, C. T. (1995). The

    Allen Cognitive Level Test and social competence in

    adult psychiatric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9(5), 420-427.

    Mayer, M. A. (1988). Analysis of information processing

  • 6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1 / 1

    and cognitive disability theor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2, 176-183.

    Moore, R. S. (1978). An occupational therapy evaluation

    of sensorimotor cognition: Initial reliavility, validity

    and descriptive data dor hospitalized schizophrenic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Losangerles, CA.

    Newman, M. (1987). Cognitive disability and functional

    performance in individuals with chronic schizophrenic

    disorders.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Secrest, L., Wood, A. E., & Tapp, A. (2000). A comparison

    of the Allen Cognitive Level Test and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in adults with schizophrenia.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4(2),

    129-133.

    Unsworth, C. (1999). Introduction to cognitive and

    perceptual dysfunction: theoretical approaches to

    therapy. In C. Unsworth, Cognitive and perceptual

    dysfunction : A clinical reasoning approach to

    evaluation and intervention(pp. 1-41). Philadelphia:

    F.A. Davis Company.

    Velligan, D. I., True, J. E., Lefton, R. S., Moore, T. C.,

    & Flores, C. V. (1995). Validity of the Allen Cognitive

    Levels Assessment: a tri-ethnic comparison. Psychiatry

    Research, 56(2), 101-109.

    Velligan, D. I., Bow-Thomas, C. C., Mahurin, R., Miller,

    A., Dassori, A., & Erdely, F. (1998). Concurrent and

    predictive validity of the Allen Cognitive Levels

    Assessment. Psychiatry Research, 80(3), 287-298.

    Abstracts

    Reliability Studies of Allen Cognitive Level Screen in Adults

    With Dementia and Stroke

    Park, Heung-Seok, B.H.Sc.,O.T.*, Hwang, Su-Yeon, B.H.Sc.,O.T.**, Min, Kyoung-Chul, B.H.Sc.,O.T.***,

    Lee, Myoung-Yae, M.Sc.,O.T.****, Kim, Su-Jung*, Jung, Min-Ye, Ph.D., O.T.*****

    Dept. of Rehabilitation Therap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Sangae Nursing Hom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Asan Medical Center***

    Seyon Child Development Institut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amined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Allen Cognitive Level

    Screen(ACLS) in adults with dementia(n=36) and stroke(n=17).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ACLS in

    adults with vascular dementia(n=21) was examined.

    Method : In order to assess inter-rater reliability, the one rater carried out the test to subjects and the other

    rater scored the performances independently by observation. In order to assess test-retest reliability,

    subjects were asked to replicate ACLS during two testing periods spaced 2 weeks apart(term). The

    inter-rater and test-retest were determined by using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ICC).

    Result : The inter-rater reliability coefficency in adults with dementia was 0.954 and stroke was 0.996

    respectively. The test-retest coefficency in adults with vascular dementia was 0.953.

    Conclusion :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ACLS is reliable cognitive assessment tool for dementia and

    stroke patients.

    Key words : Allen Cognitive Level Screen, Dementia, Stroke, Reliability

  • 7

    서론I.

    노인이란 일반적으로 인간의 성장 생성 소멸과, ,

    정 중 인생의 최종단계에 돌입하면서 신체적 정신,

    적 사회적으로 그 능력이나 적응력이 퇴화되어 가,

    는 노년기의 사람을 말한다정덕균 노인 요( , 2004).

    양시설은 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에게 급식 요양 기

    타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

    는 시설을 말하며 비용지불방식이나 노인건강 상태,

    에 따라서 무료 유료 실비 전문요양시설이 포함된, , ,

    다대한민국국회 우리사회의 여러 여건상 노( , 2004).

    인요양시설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확충되고,

    있다보건복지부 그러나 우리사회의 경제성( , 2005).

    장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노인 인구가 급속히 증가하

    고 있으나 노인요양시설에 관한 장기적인 정책마련

    과 운영에 관한 준비는 이에 비하면 미흡하다 각.

    종 보고서에 의하면 년에 전 인구의 이상이, 2000 7%

    세 이상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이는 세계65

    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

    이다 년에는 이 비율이 를 넘어 고령사회. 2019 14%

    가 되며 년에는 세 이상 인구가(aging society) , 2026 65

    를 초과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된다강병20% (

    익 이규연 장윤승 최임수 김상훈 이용희, , , , , 2006; ,

    이동춘 이상도 이런 급속한 변화는 농경사회, , 2004).

    에서 주도적 역할을 했던 노인들에게는 젊은 세대보

    노인요양시설 이용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사전조사

    이재신 전병진,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목적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의 특성을 파악하여 노인 요양시설에 요구되는 노인중심의 프

    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충청남도 논산시의 요양원에 거주하는 명의 여성노인을 대상자로 년 월 일S 11 , 2005 3 10

    부터 월 일까지 개별적인 평가로 이루어졌으며 분석은 기술통계를 이용하였다4 25 , .

    결과 노인 요양시설 이용자의 신체적 이용능력을 측정한 상지기능과 근력에서 표준 범위에 해당하였다.

    일상수행 능력을 측정하는 검사에서 욕실에서의 옮기기는 점으로 지속적인 관심과 조절이FIM 5.5

    필요하였으며 계단 오르기는 점으로 이상의 도움이 필요하였다 또한 한국판소인지기능검사, 3.1 50% .

    에서 평균 점으로 경도의 인지장애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한국판치매평가도(MMSE-K) 19.4 ,

    구 에서는 참여자 전원이 치매로 진단되었다 노인성우울척도 에서는 평균 로 중등(K-DRS) . (GDS) 18.9

    도의 우울증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특성은 신체적인 기능에서 상지의 기능과 근력은 일정범위의,

    능력이 있지만 일상생활 수행에 기능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인지능력은 현격하게 저하,

    되어 있었고 우울증은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주제어 노인요양시설 노인 노인중심의 프로그램 작업치료, , ,

  • 8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1 / 1

    다도 더 큰 충격으로 다가오고 있다 이는 세대간의.

    단절로 이어졌고 결국 노인들은 심리적 불안 소외, , ,

    좌절 빈곤 고독을 경험하게 된다김철석, ( , 2001).

    한편 현대 가족의 구조가 핵가족화되면서 노인들의

    가족안에서 함께 부양받고 생활하는 것은 부적절한

    조건과 생활환경이 되었다정덕균 따라서 노( , 2004).

    인들은 점차 가족을 떠나 요양시설을 이용하고 있

    다 이런 시대적인 요구에 우리사회는 아직 출발단.

    계로서 고령화에 따른 요양시설에 대한 연구와 정책

    들이 개발되고 있는 수준이다소은자 정성철( , 2004).

    의 연구에 의하면 노인전문요양시설의 문제점(2005) ,

    으로 프로그램 담당자의 전문성 부족과 개별화 특,

    성화 부족 이용자의 욕구파악의 어려움 업무과중으, ,

    로 인한 프로그램 전념의 어려움을 들고 있다 이것.

    은 노인 요양시설의 프로그램과 다양한 정책이 결정

    되는 과정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들의 입장이

    반영되지 않은 결과이다 이런 방식으로 노인요양시.

    설의 프로그램이 진행된다면 시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되고 운영의 어려움으로 이어질 것이다.

    또한 선진국의 노인복지에 관한 시행착오를 통한 교

    훈에서 일본의 개호보험제도가 가져온 영향중 서비,

    스질에 대한 과제로 다양한 서비스제공자의 참여규

    제 및 질적인 저하를 지적하였다 이에 따른 노인시.

    설의 발전방안으로 시설의 기본개념을 의료 보호,

    중심에서 시설이용자 중심으로 자립 생활의 질 향,

    상 개념을 제시하였다김상병( , 2006).

    이러한 개념의 도입은 세계보건기구 에서 제시(WHO)

    한 국제장애진단분류 와 세계작업치료사협회(ICF)

    에서 제시하고 있는 작업치료의 체계와 영역(WFOT)

    분류이익섭(Domain & Process) ( , 2003; AOTA, 2002;

    와 일치하는 스스APA & WHO, 2003; WFOT, 2002)

    로의 삶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노인요양시설의 프로

    그램이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들면 캐나다 작업수. ,

    행모델 의 관점으로 접근하고 내담자 중심으(COPM)

    로 노인 요양시설 프로그램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

    장하고 있다 이에 대한 미국의 남가주대학의 작업.

    과학연구팀은 경험적인 자료로 이 효과를 검증하였

    다 노인 요양시설에 대한 다양한 정(Jackson, 2000).

    책이 결정되는 과정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들

    이 중심으로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

    에서는 기존의 노인요양시설에서 살아가고 있는 노

    인들의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시설에서의 프로그램

    에 대한 작업치료적인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II.

    연구대상1.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총 명의 평가결50

    과 중에서 분석된 연구대상자는 명으로서 신체기11 ,

    능과 인지기능평가에 요구되는 의사소통이 가능하여

    모든 평가를 완성한 노인들 이였다 본 시설은 충남.

    논산시에 소재하고 있으며 종교단체에서 운용하고,

    있는 여성전용 노인요양시설이다 이들에 대한 일반.

    적 특성은 전원이 여성노인이며 평균연령은 세86.9

    으로 최소 세부터 최고 세이다 교육 수준은 평80 92 .

    균 년으로 초등학교를 졸업하지 않았으며 종교가4.4 ,

    모두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표( 1).

    ▼표 1. 인구학적 특성 (N 11)=

    변인 평균 범위[ ] S.D.

    사회인구학적 배경요인

    성별 여성_

    연령 만( )

    교육수준

    종교 있음_

    1.00[0-1]1)

    86.9[80-92]2)

    4.4[0-12]2)

    .00[0-1]3)

    -

    3.0

    6.1

    -

    1)남성 여성0= , 1= .

    2)단위 년도= .

    3)종교 없음 종교 있음0 , 1 .= =

    연구 기간2.

    본 연구는 년 월 일부터 월 일까지 이2005 3 10 4 25

    루어졌으며 연구도구들에 대한 임상에서의 사용경,

    험이 풍부한 작업치료사가 실시하였으며 논산의 노,

    인요양시설에서 이루어졌다.

  • 9

    연구도구3.

    상지기능검사(Manual Function Test; MFT)

    상지기능검사는 상지운동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로 높은 것으로 조- 0.99

    사되었으며 구성은 상지운동 항목과 물건을 쥐고, 4

    놓는 장악능력 항목 손가락 조작능력이 항목으로2 , 2

    구성되어 있다 검사는 총점 점으로 구성되어 있. 32

    다( & , 1990).中村 林山

    장악력검사(Dynamometer)

    악력은 등받이가 있는 의자에 앉아 수압( )手壓

    시스템으로 되어 있는 JAMAR® Hand Dynamom

    를 이용하여 년 미국 수부치료사협회eter(USA) 1981

    에서 제안한 표준화 자세로 측정하였다 이 검사는.

    피검자를 앉은 상태에서 견관절은 내전되고 중립으

    로 회전된 상태에서 주관절은 도 굴곡시키고 손목90

    은 중립위로 한 자세에서 도움없이 스스로 실시하였

    다 대상자에게 미리 검사 방법을 숙지시키고 구두.

    명령에 의해서 초간 최대의 힘으로 양손으로 회5 3

    실시하여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최대근력을 측정할.

    때 검사자가 힘을 내도록 격려하는 말을 하고 각 측

    정간에 분의 휴식 시간을 두었다윤태식3 ( , 1998;

    악력의 크기Mathiowetz, Weber, & Kashman, 1985).

    는 으로 표시하였다kg .

    일상생활동작수행능력(FIM)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

    에 포함된 기능평가 기준표로 자조활litation(UDSMR)

    동 항목과 대소변조절 항목 이동과 움직임에서6 - 2 ,

    각각 항목과 항목 의사소통 항목 사회적 인지능3 2 , 2 ,

    력에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문항으로3 18

    구성되어 있다(Granger, Hamilton, Keith, Zielesky, &

    각 항목은 기능을 완전독립 에서부Sherwin, 1986). (7)

    터 독립성의 정도에 따라 완전 의존 점까지 단계(1) 7

    로 나누어 측정한다 평가 결과는 각 항목의 합으로.

    최저 점에서 최고 점까지 범위를 가진다18 126 .

    한국판소인지기능검사(MMSE-K)

    는 노인들의 인지기능을 평가하기 위한MMSE-K

    도구로서 와 가 개발한Folstein, McHug McHugh(1975)

    를 권용철과 박종한 이 노인문맹자가 많MMSE (1989)

    은 우리나라의 상황에 맞게 수정 보완한 것이다 각.

    하위 항목은 지남력 점 기억등록 점 주의력 및10 , 3 ,

    계산 점 기억회상 점 언어기능 점 및 이해판단5 , 3 , 7

    점으로 총 점으로 되어 있고 무학의 경우는 부분2 30

    점수를 주게 되어 있다 이 검사 도구의 검사자간.

    신뢰도는 로서 신뢰할 만한 검사로 인정받고 있0.99

    다 인지장애의 평가기준으로 사용되는데 기존의 연.

    구에서 제시된 절단점을 이용하여 점 이상은 정24

    상 점은 경도의 인지장애 점 이하는 중증인, 18~23 , 17

    지장애로 정의하였다오민아 신윤오 이태용 김정( , , ,

    선, 2003).

    한국판치매진단평가(K-DRS)

    한국판치매진단평가는 의Mattis(1988) Dementia

    를 한글로 번역하였으며 이에 대한Rating Scale(DRS) ,

    타당도와 신뢰도 검사는 최진영 에 의해 이루어(1998)

    졌다 구성타당도는 의 총점과 의 총점. K-DRS MMSE-K

    간의 상관계수가 로 유의미하게 나왔으며 진단을0.82 ,

    기준으로 한 기준 타당도는 전체 집단을 대상으로 할

    경우 상관 계수가 이었고 연령과 학력으로 구분하0.66

    여 산출한 경우 고령 저학력 노인 집단을 제외하고 모

    두 상승하여 높은 상관을 보여주었다 또한 명의 정. 20

    상 노인들과 명의 알쯔하이머성 치매11 (Dementia of

    환자들을 대상으로 주 간the Alzheimer's Type: DAT) 2

    격으로 실시된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이었고 명- 0.96 , 3

    의 채점자간의 신뢰도는 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최0.99 (

    진영 나덕렬 박선희 박은희 소검사별 신뢰도, , , , 1998).

    는 주의에서는 이고 관리기능에서는 구성능0.91 0.83,

    력에서는 점이고 개념화에서는 점 기억에서는0.74 0.84 ,

    이다0.96 .

    노인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우울척도는 이 개Yesavage, Terencest Owan(1983)

    발한 노인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도구는 신체적으로 건.

    강한 노인뿐만 아니라 질병을 가지고 있거나 인지적

    인 손상이 있는 노인에게서도 우울을 알아내는데 유

  • 1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1 / 1

    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도구로 총 문항으로 이루30

    어진 양분 척도이다 노인우울척도는 각 문항 당 피.

    험자의 답변이 예에 해당할 경우 점씩 채점하였 1

    다 본 연구는 여러 선행 연구들의 우울진단 설정기.

    준을 고려하여정인과 곽동일 신동균( , , , 1997; Burke,

    점 이Roccaforte, Wengel, Conley, & Potter, 1995) 10

    하의 경우에는 정상으로 점 이상의 경우는 우울, 11

    의 성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특히 점까. 11-14

    지는 경증 우울 점까지는 중등도 우울 점, 15-19 , 20

    이상의 경우에는 중증 우울로 보았다 등. Yesavage

    이 도구를 개발할 당시 신뢰도는(1983) Chronbach's

    α 로 나타나 서구에서는 노인의 우울 진단에 유=0.94

    용한 도구로 계속 활용되어져 왔다 이를 정인과 등.

    에 의해 한글로 번역되었으며 신뢰도는(1997)

    Chronbach's α 로 나타났다=0.88 .

    자료분석4.

    통계프로그램 을 사용하였으며SPSS version 12.0 ,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기능적인 능력 인지능,

    력을 기술통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III.

    노인요양시설 이용자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2. 노인요양시설이용자의 활동 능력 평가

    (N=11)

    검사항목 최소값 최대값 평균표준

    편차

    상지기능검사

    (MFT)

    우측 20 29 27.2 3.6

    좌측 25 28 27.0 1.3

    쥐기 근력

    (Grip)

    우측 7.0 20.0 14.4 3.6

    좌측 11.0 18.0 13.4 2.5

    상지기능검사를 살펴보면 우측이 평균 점으로, 27.2

    조사되었으며 좌측은 평균 점으로 조사되었다, 27.0 .

    손의 악력 검사에서 우측이 평균 이고 좌측이14.4kg

    으로 조사되었다13.4kg .

    검사항목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자조활동

    식사하기 6 7 6.8 0.4세면하기 6 7 6.9 0.3목욕하기 6 7 6.8 0.4상의입기 7 7 7.0 0.0하의입기 6 7 6.7 0.5

    화장실 이용하기 5 7 6.7 0.7

    괄약근조절소변조절 6 7 6.6 0.5대변조절 7 7 7.0 0.0

    옮기기

    침대 의자 에서 의자차( ) 5 7 6.3 0.8변기로 옮기기 4 7 5.9 1.1샤워욕조로 옮기기 4 7 5.5 0.9

    이동하기걷기 의자차로/ 5 6 5.5 0.5계단오르내리기 2 4 3.1 0.7

    의사소통수용언어 7 7 7.0 0.0표현언어 6 7 6.7 0.5

    사회인지능력사회적 상호작용 6 7 6.4 0.5문제해결능력 3 5 4.0 0.5기억력 3 5 3.7 0.8

    총합계점수 102 109 104.6 2.4

    ▼표 3. 노인요양시설이용자의 활동 능력 평가 (N=11)

  • 11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에서 자조활동에서 식사하

    기는 평균 점 세수하기는 점 목욕하기는6.8 , 6.9 , 6.8

    점이며 상의 입기는 점이고 하의 입기는 점, 7.0 6.7 ,

    화장실 이용하기는 점으로 조사되었다 대소변조6.7 .

    절능력은 소변 조절하기는 점이고 대변 조절하기6.6

    는 점으로 나타났다 옮기기는 휠체어에서 의자차7.0 .

    로 평균 점이고 화장실로 옮기기는 점이고 샤6.3 5.9

    워욕조로 옮기기는 점이다 이동하기에서 걷기는5.5 .

    평균 점이고 계단 오르기는 점이다 또한 의사5.5 3.1 .

    소통 능력에서 수용언어는 점이고 표현 언어는7.0

    점이었다 사회인지 능력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은6.7 .

    점이고 문제해결능력은 점이고 기억력은 점6.4 4.0 , 3.7

    이다 마지막으로 전체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은 전.

    체 총합의 평균은 점으로 나타났다104.6 .

    ▼표 4. 노인요양시설이용자의 인지 및 우울정도

    (N=11)

    노인요양시설 이용자의 인지능력을 측정한 한국

    판인지기능검사에서 평균 점으로 나타났으며 분19.4

    포 범위가 최소 점에서 최대 점 범위로 분포되13 25

    어 있었다 또한 치매의 평가를 위한 한국판치매평.

    가검사에서는 주의력이 평균 점 관리기능은30.3 ,

    점이고 구성능력은 이고 개념화는 점 기19.1 3.2 25.6 ,

    억력은 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점수의 전13.4 .

    체 평균은 점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노인75.7 .

    요양시설 이용자들의 우울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한국판 노인용 우울척도 에서는 평균 점(K-DRS) 18.9

    으로 나왔으며 최소 점에서 최대 점으로 조사, 16 22

    되었다.

    ▼표 5. 한국판치매평가 후 결과 분포 (N=11)

    판단

    검사

    정상

    N(%)

    비정상

    N(%)기준값 최진영( , 1998)

    주의 6(54.5) 5(45.5) 저학력 고학력(29.0)/ (33.5)

    관리 4(36.4) 7(63.6) 저학력 고학력(20.4)/ (22.7)

    구성 3(27.3) 8(72.7) 저학력 고학력(3.4)/ (4.0)

    개념화 4(36.4) 7(63.6) 저학력 고학력(23.0)/ (28.9)

    기억 3(27.3) 8(72.7) 저학력 고학력(13.2)/ (16.9)

    총점 0(0.0) 11(100.0) 저학력 고학력(101.2)/ (116.4)

    는 검사의 수행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토대로K-DRS

    경계점수를 산출하여 그 점수 이하의 수행은 이상

    으로 판단한다 경계점수는 평균에서 표준(abnormal) .

    편차의 배를 감한 점수이다최진영 본 연구2 ( , 1988).

    에서 최진영 의 연구를 기준으로 이상 유무를(1988)

    판단 내린 결과 표 와 같다 소검사별 점수에서 주5 .

    의력 영역에서 정상이 이고 비정상이54.5% 45.5%,

    관리능력 영역에서 정상이 이고 비정상이36.4%

    구성능력에서 정상이 이고 비정상이63.6%, 27.3%

    개념화 영역에서 정상이 이고 비정상이72.7%, 36.4%

    기억력에서 정상이 이고 비정상이63.6%, 27.3%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총점수를 기준으로 판72.4% .

    단을 내리면 참여자 모두에서 비정상으로 판단이 내

    려졌다.

    고찰IV.

    노인요양시설 이용자들의 특성을 분석한 상지기

    능 검사에서 평균 점과 점을 얻어 상지기능26.7 27.0

    은 스스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손의.

    악력검사에서 우측이 과 좌측이 을 획득14.4kg 13.4kg

    하여 손의 악력이 저하되어 있지만 기능적으로 사용

    이 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을 보게 되면 개인 자조활동,

    은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괄약근 조절 능력,

    에서도 독립적으로 수행이 가능하였다 이동 영역에.

    서 바닥이 안정적인 침대와 의자 차 로의 이동에서( )

    검사항목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한국판소인지

    기능검사(MMSE-K)13 25 19.4 4.3

    한국판

    치매평가

    주의력 26 35 30.3 3.5

    관리기능 12 24 19.1 3.9

    구성 2 5 3.2 0.9

    개념화 21 28 25.6 2.7

    기억력 10 19 13.4 2.9

    전체 67 85 75.7 5.5

    노인성우울척도 16 22 18.9 2.1

  • 12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1 / 1

    는 시간과 안전성이 확보되면 스스로 움직일 수 있

    지만 바닥이 안정적이지 않은 화장실 욕실에서는, ,

    다른 사람의 주의 집중이 요구되었다 평지의 이동.

    에서 다른 사람의 주의 집중이 필요한 상태에서 수

    행이 가능하지만 계단으로 오르내리기는 이상의50%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고령으로.

    인한 퇴행성관절염이 있었으며 근력의 약화로 이동,

    의 제한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노인 요양시설.

    이 만들어질 때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상황이

    다 최근의 노인 요양시설들이 많은 계단과 턱이 있.

    는 건물들로 만들어지고 있는데 이는 노인들의 이동

    에 제한을 두기 때문에 지양되어야 할 부분이다 의.

    사소통에는 스스로 독립적으로 수행이 가능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인지능력 부분에서 사회적 상호

    작용은 이용자간이나 외부 자원봉사들을 통한 각종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었지만 개인의 인지능력 영역,

    인 문제해결능력과 기억력에서는 이상의 직접적50%

    인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보다 구.

    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한국판 소인지 기능검사와

    한국판 치매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인지능력을 측정

    하였다.

    한국판소인지기능검사 에서 평가의 절단점(MMSE-K)

    으로 점 이상은 정상 점은 경도의 인지장애24 , 18~23 ,

    점 이하는 중증인지장애로 정의하였다오민아 등17 ( ,

    전체 연구 참여자의 평균 점수가 점으로2003). 19.1

    조사되어 경도의 인지장애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

    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는 정상이며. 18.2% ,

    가 경도의 인지장애가 있으며 가 중증인54.5% 27.3%

    지장애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한국판 치.

    매 평가도구 에서 최진영 의 보고에 의(K-DRS) (1998)

    하면 저학력 노인의 경우 점이 경계점수이며101.2 ,

    고학력 노인의 경우 점이 경계점수이다 하지만116.4 .

    본 연구에서는 전체 평균이 점으로 나타났으며75.5 ,

    이는 참여가 전원이 치매로 판단이 되는 것이다 이.

    상의 인지기능과 함께 노인요양시설 이용자들의 심

    리적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 노인우울척도

    검사결과 평균이 점으로 나왔다 정인과 등18.9 . (1997)

    의 연구 기준에 의하면 이들은 중등도의 우울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는 노인 요양시.

    설에 장기 거주하면서 나타나는 무기력으로 인한 습

    관화 되어 있는 우울증으로 판단되며 이는 신체적, ,

    인지적 기능 저하와 상관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

    다 또한 이영순 구성자 한명주 의 연구결과에. , , (1998)

    서도 노인들이 전체적으로 약간의 우울한 경향을 나

    타났지만 시설노인이 재가노인보다 우울의 정도가,

    심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준 결과에,

    서도 확인되었다 이는 인간작업수행모델에서 제시.

    하고 있는 이론인 인간은 환경과의 열린 유기체적

    체계에 의해서 상호작용을 한다는 것과 일치한다.

    즉 인간은 외부 환경과의 원활한 상호작용이 이루,

    어질 때 삶의 질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노인.

    요양시설 프로그램이 개발 될 때 인간작업수행모델

    이 반영되어야 이용자가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이

    될 것이다(AOTA, 2002; Kielhofner, 2002; WFOT,

    2002).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본 연구에 참여한 노인들의

    경우 퇴행성관절염과 근력의 약화로 활동의 제한이

    있었다 이를 위해 효율적인 에너지. (energy

    를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의 설계가 필요conservation)

    하며 관절의 변형과 통증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

    을 교육하여야 한다 또한 장기 요양(joint protection) .

    시설 생활로 인한 사회적 인지능력이 급격히 저하되

    어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작업치료사의 인지재활치.

    료와 함께 인간 작업 재설계를 통한 자신의 삶에 주

    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런 다양한 접근을 통해 노인요양시설 이용자들이

    생애 마지막까지 자신의 삶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노인이 자신의 삶에서 독립적으로 살.

    아간다는 것은 건강증진에 중요하다고정은( , 2001).

    또한 독립성이 낮은 노인일수록 조기에 사망한다고

    하였다고승덕 김은주 노유자와 김춘길( , 1996; , 2001; ,

    노인들의 독립성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작업치1995).

    료사들이 적극적으로 개입되어야 한다 년부터. 1994

    년까지 미국의 남가주대학교에서 수행된 노인1997

    건강증진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던 의 Jackson(2000)

    보고에 의하면 지역사회 노인들의 작업을 재설계한

    작업치료 프로그램 성공적으로 이루어져 삶의 질을

    높였다 노인 요양시설 이용자들의 건강한 삶을 위.

    해 작업치료사가 적극적으로 개입으로 이들의 작업

    을 재설계하고 건강을 증진시켜야 한다.

  • 13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표본의 크기가 매우 적었으며

    표본 추출이 임의표집이었다 이로 인해 연구 결과.

    를 일반화할 수 없는 한계를 지니고 있어 향후의 연

    구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할 수 있는 과학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노인요양시설의 이용자 특성을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 종 치매 및 질환으.

    로 거동이 불편하거나 의사소통의 제한으로 본 연구

    에서 제외되어 노인 요양시설 이용자 전체의 특성을

    파악하지 못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노인 요양.

    시설 이용자들의 특성을 양적인 측정과 함께 심층면

    접법과 같은 질적 평가도구들을 이용한 연구가 이루

    어져야 할 것이다.

    결론V.

    노인요양시설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특성에서 확

    인 할 수 있었던 것은 신체적으로 일정정도의 능력

    은 가지고 있지만 노화로 인한 일상생활 수행능력,

    이 저하되어 있으며 특히 인지능력은 현격하게 저,

    하되어 있었고 또한 우울증이 심한 것으로 조사되,

    었다.

    이를 위해 현행 프로그램 수준이 아닌 이용자가

    자신의 삶에 주도적으로 참여 할 수 있는 각종 프로

    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자신의 작업을 스스로 결.

    정할 수 있는 인간작업수행모델에 의한 작업재설계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노인요양시설에 다.

    양한 전문인력이 배치되어 팀으로 함께 협력해야 한

    다.

    참고문헌

    강병익 이규연 장윤승 최임수 김상훈, , , , . (2006). 고

    령친화제품 실태조사 및 초기시장 육성전략 서.

    울 보건복지부: .

    고승덕 노. (1996). 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 추

    출에 관한 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 .

    고정은 노인의 일상생활 활동 정도와 무력. (2001).

    감에 관한 연구. 동남보건대학 논문집, 125-138.

    권용철 박종한 노인용 한국판, . (1989). Mini-Mental

    의 표준화 연구 제State Examination(MMSE-K) . 1

    편 개발: MMSE-K . 신경정신의학, 28, 125-135.

    김상병. (2006). 노인시설의 발전방향시설노인의 삶-

    의 질 향상 전략 논산 고령친화 사업단 복-. : RIS

    지팀.

    김은주. (2001).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일상생활 활

    동정도와 생활만족도의 비교 청주 청주대학교. : .

    석사학위.

    김철석. (2001). 고령 사회를 대비한 노인복지정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동국대학교 석사학. : .

    위.

    노유자 김춘길 가정노인과 양로원 노인의, . (1995).

    체력 자기효능 일상생활활동능력 및 삶의 질에, ,

    관한 연구. 간호학회지, 25(2), 259-278.

    대한민국국회. (2004). 노인복지법 서울 대한민국국. :

    회.

    보건복지부. (2005). 년 노인복지시설 증가현황 및'04

    이용 노인 수 증가실태 보고서 서울 보건복지. :

    부.

    소은자 노인. (2004). 장기요양보호제도의 발전방안

    에 관한 연구 서울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 . .

    오민아 신윤오 이태용 김정선 를 이, , , . (2003). MMSE

    용한 도시지역 노인들의 인지기능검사 성적. 충

    남의대잡지, 30(2), 101-113.

    윤태식 정상인의 다양한 작업활동에 있어서. (1988).

    의 상지 근력 비교. 대한재활의학회지. 22(4),

    966-973.

    이영순 구성자 한명주 시설노인과 재가노, , . (1998).

    인의 식습관과 정신건강상태에 관한 실태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3(5), 475-486.

    이용희 이동춘 이상도 우리나라 노인들을, , . (2004).

    대상으로 한 일상생활에서의 인간공학적 불편성

    조사연구. 대한인간공학회지, 23(3), 101-109.

    이익섭. (2003).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 의 의미. ICF․ ․

    와 향후전망. ICF OPEN FORUM.

    정덕균. (2004). 유료노인요양시설의 실태와 개선방

    안에 관한 연구 서울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 . .

    정성철. (2005). 노인전문요양시설 프로그램의 실태

    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보은의 집을 중심으로: .

  • 14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1 / 1

    익산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

    정인과 곽동일 신동균 노인우울검사, , . (1997). (GDS)

    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 신경정신의학, 1,

    103-112.

    최진영. (1998). 한국판 치매 평가 검사(K-DRS) 전문;

    가 요강 서울 학지사. : .

    최진영 나덕렬 박선희 박은희 한국판 치매, , , . (1998).

    평가 검사의 타당도와 신뢰도 연구. 한국심리학

    회지: 임상, 17(1), 247-258.

    , & . (1990).中村 陸一 林山 뇌졸중 상지 기능검사

    SOT-5000. SAKAI: 東北大學醫學部 再活 醫學硏

    .究所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02).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6, 609-639.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Would Health

    Organization. (2003). International Classific ation of

    Function.

    Burke, W. J., Roccaforte, W. H., Wengel, S. P., Conle

    y, D. M., & Potter, J. F. (1995). The reliab ility

    and validity of the geriatric depression rating scale

    administered by telephone. Jour 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43(6), 674-679.

    Folstein, M. F., Folstein, S. E., &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 rch, 12,

    89-98.

    Granger, C. V., Hamilton, B. B., Keith, R. A., Ziele

    sky, M., & Sherwin, F. S. (1986). Advance in

    functional assessment for medical rehab ilitation.

    Topics in Geriatric Rehab ilitation, 1(3), 59-74.

    Jackson, J. (2000). Successful Aging among

    Well-Elders. Pusan: Research Institute of Science

    for Better Living for the Elderly.

    Kielhofner, G. (2002). A model of human occupation:

    theory and application 3th edition.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Mathiowetz V, Weber K, & Kashman, N. (1985). Rel

    iability and validity of grip and pinch stre ngth

    evaluation. Journal of Hand Surgery. 222-226.

    Mattis, S. (1988). Dementia Rating Scale (DRS).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 rce.

    World Feder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WFOT).

    (2002). Minimum standards for the educ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Yesavage, T. L., Terence, L., & Owan, L. (1983). Dev

    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 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7, 37-49.

  • 15

    Abstract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a nursing home : pilot study

    Lee, Jaeshin, Ph.D., O.T., Jeon, Byoung-Jin, M.Sc.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develop the policies and establish the

    client-centered programs after determined the peculiarity of the elderly in a local nursing home.

    Method : This study was performed from March 10th to April 25th, 2005. Subjects who were 11 elderly persons

    age range from 80 to 92 staying at nursing home in Nonsan area, Korea. were interviewed and evaluated

    of the functional status using MFT, MMSE-K, GDS, and K-DR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t-test.

    Results : This results showed that the strength and functions of the upper extremities on the elderly were within

    normal limits. The FIM score of the ADL functions were 5.5 in transfer to bath tub, 3.1 in stair climbing.

    Also, The elderly person was indicated moderate cognitive deficiency and depression.

    Conclusion : This results revealed the peculiarity that the elderly people in local nursing home lack of the functions

    on some ADL and cognitive functions even though remained limited functions. Especially, there was

    a sharp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and heavy depression. These findings can be provided the reasonable

    data to develop and implement efficient client-centered programs.

    Key word : Nursing home, Client-centered programs, the Elderly, Occupational Therapy

  • 16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1 / 1

    서 론I.

    의학 및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평균수명이 증

    가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인구의 고령화도 급속하,

    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고령화 현상과 관련.

    하여 노인의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하며 노인복지,

    그리고 노화에 대한 생리학적 행동적 인지 기능적, ,

    이해 등 다양한 측면으로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특.

    히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자연적으로 나타나는 신체

    기능의 감소와 인지기능의 감소에 대한 적절한 대처

    가 강조되고 있다김영수( , 2000).

    노화의 진행에 따라 나타나는 신체 기능의 특징으로

    는 시각 청각 등의 감각기관의 장애 신장의 능력저하, , ,

    근력감소 균형감소 등이 있다, (Pedretti & Early, 2002).

    이중균형능력은일상생활을영위해나가거나목적있

    는 활동을 수행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필수 요소로

    노인의 낙상과 관련하여 중요하다(Cohen et al., 1993;

    균형 능력이 감소한Horak, 1987; Wade & Jones, 1997).

    사람은 낙상의 위험에 쉽게 노출되는데(Brocklehurst et

    이러al., 1982; Tinetti et al., 1988; Woollacott et al., 1986)

    한낙상은노인의이환율과사망률에많은영향을준다

    따라서주어진환경내에서균형을(Robbins et al., 1989).

    유지하는 것은 낙상을 예방하고 기능적인 활동을 영위

    노인의 인지능력이 동적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신민주 조연정 김은영 이태원 양영애*, **, ***, ****, ****

    연세의료원 작업치료실*

    참서울병원 작업치료실**

    아동 청소년 감각통합 연구소sensory power ***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목적 건강한 노인에서 인지능력이 동적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부산에 거주하는 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판 간이 인지 검사 와 버그 균형 척도60 (MMSE-K)

    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와 피어슨 상관계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BBS) . t-test .

    결과 결과는 아래와 같다.

    와 와의 상관관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1. MMSE-K BBS r=0.67 .

    점수와 점수는 여자노인보다 남자노인에게서 유의하게 높았다2. MMSE-K BBS

    (p=0.001, p=0.012).

    점수와 점수는 대 그룹보다 그룹에서 유의하게 높았다3. MMSE-K BBS 80 70

    (p

  • 17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균형에영향을주는요소로는감각계 중앙처리계 효, ,

    과계등이있다김원호등 균형을적절히유지하( , 1998).

    기 위해서는 신경계와 근골격계의 통합 능력이 중요하

    며 시각이나 체성감각 고유수용기와 같은 여러 가지, ,

    감각 수용기로부터 들어오는 자극을 중추 신경계에서

    통합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또한 연령송주민 등. ( , 1994;

    성별Bohannon et al., 1994), (Kinney Lapier et al., 1997;

    다리길이 차이구봉오Wolfson et al., 1994), ( , 1997;

    발의 위치이한숙Murrell et al., 1991), ( , 1997; Nichols et

    등의환경적인요인들에의해서도영향을받는al., 1995)

    다 균형은 정적 균형 과 동적 균형. (static balance)

    으로나눌수있다 정적균형은자세유(dynamic balance) .

    지를할때균형을유지하는능력으로지지기저면내에

    중력중심을두어신체가움직이지않게자세를유지하

    는능력이다 동적균형은신체가움직일때균형을유지.

    하는것으로신체가움직이는동안중력중심을지지기

    저면 내에 두어 원하는 자세를 유지하는 능력이다배성(

    수 등 김원호 등 은, 1992; Wade & Jones, 1997). (1998)

    성별에따라동적균형능력은차이가있지만정정균형

    능력은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

    인지기능은 선행논문에서 균형에 많은 영향을 주

    는 요소로 보고 되었다 김원호(Stelmach et al., 1989;

    등 인지기능은 우리의 일상생활 환경 속에서, 1998).

    일어나는 일들을 이해하는 능력 상황을 판단하고,

    결정하는 능력 자신이 처한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

    으로 인지기능의 저하는 노화과정에서 초래되는 가

    장 심각한 문제이다 이는 기억감소로 시작하여 계.

    산착오 지남력 장애 판단력 장애와 이해능력 장애, ,

    등을 동반하며 일상생활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Rhee

    따라서 적절& Jung, 1993; Gomez & Gomez, 1993).

    한 인지기능의 활성화는 노화에 따른 건강유지에 매

    우 중요하다(Pedretti & Early, 2002).

    인지와 균형에 관한 연구에서 등 은Stelmach (1989)

    노화로 인해 균형 능력 감소는 인지 기능과 상관관

    계가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등 은 남. Colledge (1994)

    녀를 각각 세 세 세 세 이상으로20-39 , 40-59 , 60-69 , 70

    구분하여 감각과 균형에 대한 연구를 하였는데 노,

    화에 따른 균형 능력의 감소는 정보를 처리하는 중

    앙처리과정이 느리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인지 능력이 동적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지와

    동적균형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성별과 연령에 따,

    른 균형유지 능력과 인지와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

    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균형유지를 위하여 적절한.

    인지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II.

    연구대상1.

    본 연구는 부산시에 거주하고 있는 세 이상70 90

    세 이하의 건강한 노인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60

    다 참여한 모든 대상자는 내용을 충분히 이해 할.

    수 있도록 실험 전에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하

    여 대상자들에게 충분히 설명한 후 자발적인 동의를

    얻었다 본 연구의 참가자 중 아래 사항에 포함되는.

    대상은 제외하였다.

    중추 또는 말초신경에 병변이 있는 자

    완전 시각 장애인

    최근에 하지의 골절 등 정형 외과적인 문제가

    있는 자

    심폐질환이 있는 자

    본 연구 시간 이전에 균형유지 능력에 영향24

    을 주는 아편계열 알코올 스트렙토 항생제, , ,

    혈압 조절 약 같은 약물을 복용한자

    본 연구는 년 월 일부터 동년 월2004 12 16 12

    일 까지 시행하였다23 .

    측정도구 및 방법2.

    한국판 Mini-Mental Status Exam(MMSE-K)

    인지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는 한국판

    가 가장 널리 사용되Mini-Mental Status Exam (MMSE-K)

    며 특히 노인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도구의 측정자간 신뢰도는 이며권용철과 박종환0.99 ( ,

    총 점 중 점 이하는 치매 점은 치매의1989), 30 19 , 20-23

    심 점 이상은 정상을 의미한다, 24 (Schunk, 1992).

  • 18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1 / 1

    균형 척도Berg (BBS)

    본 연구에서 균형유지 능력 중 동적 균형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 를 이용하였다 이 도구는 점BBS . 5

    척도 점로 되어 있고 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0-4 ) 14

    다 이 평가 항목은 서있는 자세를 바꾸고 자세를. ,

    이동하는 것을 포함하여 어려운 순서로 배열되어 있

    고 균형유지의 시간과 수행정도에 따라 점수를 측,

    정하였다그림 그림 를 측정하기 위해( 1, 2). BBS

    손잡이가 있는 의자 줄자 초시계를 사용step stool, , ,

    하였다 등 은 임상적 경험을 기초로 점. Berg (1992) 45

    이하의 점수를 받은 사람은 낙상 위험성이 높다고

    하였다 이 검사도구의 측정자간 신뢰도는 이고. 0.98

    측정자 내 신뢰도는 이다0.97 (Berg et al., 1995).

    균형척도 측정 시 공간의 바닥은 평평한 장Berg

    판으로 깔려있었다 실험자는 대상자에게 지금부터.

    제 지시에 따라 움직여 보세요 라고 말한 후 번. 1

    부터 번 항목을 수행하던 중 피로감을 배제하기14

    위하여 번 번 항목을 시행한 후 초간의 휴식5 , 10 30

    기간을 두었다.

    분석방법3.

    노인의 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MMSE-K, BBS

    하여 피어슨 상관분석 을 이용하(Pearson Correlation)

    였다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검정을 사용하였고 유의수준 는 로t- , 0.05α

    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용통계프로그램인 윈도.

    용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SPSS version 10.0 .

    연구결과III.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1.

    실험에 참여한 대상자는 명남자 명 여자60 ( 30 , 30

    명의 건강한 노인이었다 연령은 대가 명 대) . 70 30 , 80

    가 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세였다 남자의 평30 , 78.6 .

    균키는 여자의 평균키는 이었다168.59cm, 150.92cm .

    남자의 평균 체중은 이고 여자의 평균 체중60.41kg ,

    은 이었다표55.58kg ( 1).

    ▲그림1.서서팔을전방으로펴서잡기

    인지 능력과 균형 능력과의 상관관계2.

    연구대상자들의 점수 점수간의 상MMSE-K , BBS

    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상관계수를 구하Pearson

    였다 그 결과 상관계수 로 양의 상관관계가. r=0.67

    있었다표( 2).

    ▲그림 한발 서기2.

  • 19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60)

    일반적 특성 남 여

    연령70-79 75.2 72.2

    80-89 83.67 83.8

    키( )㎝ 168.59±5.47 150.92±9.33

    몸무게( )㎏ 60.41±9.00 55.58±8.61

    ▼표 2. 인지 능력과 균형 능력과의 상관관계(N=60)

    MMSE-K

    BBS 0.67

    ▼표 3. 연구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인지 능력과

    균형 능력의 차이 (N=60)

    검사도구남 여

    값t- p평균 표준편차±

    MMSE-K 23.93±4.58 19.03±6.37 3.42 0.001

    BBS 51.50±5.37 46.13±9.79 2.63 0.012

    ▼표 4. 연구대상자의 연령에 따른 인지 능력과

    균형 능력의 차이 (N=60)

    검사도구세 세70 -79 세 세80 -89

    값t- p평균 표준편차±

    MMSE-K 24.80±3.50 18.16±6.24 5.074 0.000

    BBS 52.90±3.92 44.73±9.46 4.366 0.000

    성별에 따른 인지 능력과 균형 능력의 차이3.

    연구대상자의 점수는 남자는MMSE-K 3.93±

    여자는 이었고 로 성별에 따4.58, 19.03±6.37 p=0.001

    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점수는 남자는. BBS 51.50

    여자는 이었고 로 성별에±5.37, 46.13±9.79 , p=0.012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표( 3).

    연령에 따른 인지 능력과 균형 능력의 차이4.

    연령에 따른 점수는 대가MMSE-K 70 24.80±

    대가 였고 으로 유의한 차3.50, 80 18.16±6.24 p=0.000

    이가 있었다 점수는 대가 대가. BBS 70 52.90±3.92, 80

    이었고 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44.73±9.46 p=0.000

    표( 4).

    고 찰IV.

    노화가 진전됨에 따라 자연발생적으로 나타나는

    인지기능의 둔화와 신체기능의 감소는 노인의 일상

    생활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인지기능은 연령증가와.

    더불어 개인의 신체적 생리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나타낸다김영수 등( , 2000). Crossman & Szafran (1956)

    은 뇌세포의 감소 운동신경 세포의 약화 활동력의, ,

    감소에 의해 노인의 인지적 정보처리 속도가 감소된

    다고 주장하였고 는 신경체계의 정기적Cerella(1990)

    저하 현상에 의해 정보전달이 느려진다고 하였다.

    균형이란 주어진 환경 내에서 자신의 기저면,

    위에 신체 중심 을(base of support) (center of gravity)

    유지하는 능력이다(Nashner, 1994). Panzer &

    은 정적 자세에서는 노인들이 스스Bandinellis (1995)

    로 균형을 조절하여 안정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나이에 따른 자세 불안정성은 나타나지 않는다고 보

    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령에 따라 차이.

    를 보이는 동적균형 능력과 인지능력과의 상관관계

    와 동적균형능력과 인지능력이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김원호 등 은 균형 능력에 영향을 주는 변(1998)

    인 중 전정기능을 제외한 위치감각 시력 인지기능, , ,

    발등 굽힘력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된다고 하였

    다 연령의 증가는 균형능력을 감소시키며 이는 낙. ,

    상을 초래하는 위험요소가 된다(Duncan et al., 1990;

    등Hageman et al., 1975; Mayer et al., 1991). Mayo

    은 낙상과 관련된 요소를 가지 이상으로(1989) 100

    설명하였으며 이 중 뇌졸중 요실금 항경련제가 낙, , ,

    상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고 하였다 이밖에 권오윤.

    등 은 낙상이 발생한 노인과 그렇지 않은 노인(1998)

    에서의 약물복용 유무에 대한 연구에서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자 선정.

    과정에서는 균형유지 능력에 영향을 주는 약물을 복

    용한 노인은 제외하였다.

    본 연구에서 인지 능력은 를 동적 균형MMSE-K ,

  • 2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1 / 1

    유지 능력은 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BBS .

    와 점수간의 상관관계는 로 양의MMSE-K BBS r=0.67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성별에 따른 와. MMSE-K

    점수는 여자보다 남자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것BBS .

    은 균형유지 능력과 인지 기능은 여자보다 남자가

    더 좋다김원호 등 는 기존의 연구를 뒷받침해( , 1998)

    주는 결과이다 하지만 등 의 연구에서는. Maki (1990)

    성별에 따른 균형 능력이 차이가 없었다고 보고한

    연구도 있었다 연령에 따른 와 점수는. MMSE-K BBS

    대 보다 대 노인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연80 70 .

    령이 증가할 수록 인지운동반응이 느려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Teasdale et al., 1991).

    본 연구에서는 균형능력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

    소를 배제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연구 대상자의 연.

    령대를 대에 국한시켜 연구표본의 크기가 작아70-80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다 또한 단면적 연구로.

    실험을 하였기 때문에 노인의 균형유지 능력과 인지

    와의 완전한 인과관계를 설명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선행연구와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인지 능력이

    균형 유지 능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김영수 등 의 연구에서 균형능력. (2000)

    은 인지기능의 하위요인 중 기억력 문제해결력 정, ,

    보처리능력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친다고 하였는데

    균형에 특히 영향을 미치는 인지기능의 하위요소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 임상에서 사용.

    되는 균형향상 프로그램에는 유산소 운동 근력운동, ,

    그리고 균형 훈련 등이 있다(Shumway-Cook et al.,

    1997; Woollacott, 1995).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는 인지훈련이

    인지능력의 향상과 함께 균형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

    는지에 대해서도 연구해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노.

    인의 균형유지 능력과 균형유지 능력에 영향을 미치

    는 많은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연

    구도 많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결 론V.

    본 연구에서는 인지 능력이 동적 균형능력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와 와의 상관관계를 알기 위하여 피MMSE-K BBS

    어슨 상관 계수를 구하였고 연구대상자의(Pearson) ,

    성별에 따른 인지와 균형유지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

    기 위하여 독립표본 검정을 하였다t .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와 와의 상관관계는1. MMSE-K BBS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67 .

    점수와 점수는 여자노인보다 남자2. MMSE-K BBS

    노인에게서 유의하게 높았다

    (p=0.001, p=0.012).

    점수와 점수는 대 그룹보다3. MMSE-K BBS 80 70

    그룹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

  • 21

    료학회지, 5(3), 21-33.

    배성수 김한수 이현옥 등, , . (1992). 인체의 운동. 서

    울 현문사: .

    송주민 박래준 김진상 연령에 따른 시각과, , . (1994).

    청각이 균형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

    학회지, 6(1), 75-84.

    이한숙. (1997). 불안정한 바닥위에서의 발 위치와

    시각이 기립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구 대구대학. :

    교 재활과학대학원 미간행석사학위청구논문. .

    Berg, K. O., Wood-Dauphinee, S. L., Williams, J. I., et

    al. (1992). Measuring balance in the elderly: Validation

    of an instrument. Can J Public Health, 83, 7-11.

    Berg. K. O., Wood-Dauphinee, S. L., Williams, J. I., et

    al. (1995). The balance scale: Reliability assessment

    with elderly residents and patients with an acute stroke.

    Scand J Rehab Med, 27, 27-36.

    Bohannon, R. W., Larkin, P. A., Cook, A.C., et al. (1994).

    Decrease in timed balance test score with aging. Phys

    Ther, 64(7), 1067-1070.

    Brocklehurst, J. C., Robertson, D., & James-Groom P.

    (1982). Clinical correlates of sway in older age-sensory

    modalities. Age Aging, 11, 1-10.

    Cerella, J. (1990). Aging and information-processing rate.

    In Birren, J. E., & Schaie, K. W,. Handbook of the

    Psychology Aging(3rd ed.)

    Cohen, H., Blatchly, C. A., & Gombash, L. L. (1993).

    A study of the clinical test of sensory integration and

    balance. Phys Ther, 3(6), 346-354.

    Colledge, N. R., Cantley, P., Brash, I., et al. (1994). Aging

    and balance: The measurement of spontaneous sway

    by posturography. J Gerontol, 40, 273-278.

    Crossman, E. R. F. W., & Szafran, J. (1956). Change with

    age in the speed of information intake and

    discrimination. Exerientia Supplementum, 4, 128-135.

    Duncan, P. W., Weiner, D. K., Chandler, J., et al. (1990).

    Functional reach: A new clinical measure of balance.

    J Gerontol, 45, 93-98.

    Gomez, G. E., & Gomez, E. A. (1993). Depression on the

    elderly.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31(5), 28-33.

    Hageman, P.A.. Leibowitz, J.M., Blanke, D. (1975). Age

    and gender effects on postural control measures. Arch

    Phys Med Rehab, 12, 189-198.

    Horak, F. B. (1987). Clinical measurement of postural

    control in adult. Phys Ther. 67(12), 1881-1885.

    Kinney, Lapier, T. L., Liddle, S., & Bain, C. (1997). A

    comparison of static and dynamic standing balance in

    older men versus women. Physiotherapy Canada,

    summer, 49(3), 207-213.

    Maki, B. E., Holliday, P. J., & Ernie, G. R. (1990). Aging

    and postural control: A comparison of spontaneous-and

    induced-sway balance tests. J Am Geriatr Soc, 3, 1-9.

    Mayer, A. H., Baker, S. P., Van Natta, M. L., et al. (1991).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falls and injuries among

    elderly institution-alized persons. Am J Epidemiol. 133,

    1179-1190.

    Mayo, N. E., Korner, B. N., Becker, R. et al. (1989).

    Predicting falls among patients in a rehabilitation

    hospital. Am J Phys Med Rehab. 68(3), 139-146.

    Murrell, P., Cornwall, N. W., & Doucen, S. K. (1991).

    Leg-length discrepancy: effect on the amplitude of

    postural sway. Arch Phys Med Rehab. 72(8), 646-648.

    Nashner, L. (1994). Evaluation of postural stability,

    movement, and control. In Hasson S(ed), Clinical

    Exercise Physiology. Philadelphia: Mosby Co.

    Nichols, D. S., Glenn, T. M., & Hutchinson, K. J. (1995).

    Changes in the mean center of balance during balance

    testing in young adults. Phys Ther. 75(78), 699-706.

    Panzer, V. P., & Bandinellis H. M. (1995). Biomechanical

    assessment of quiet standing and changes associated

    with aging. Arch Phys Med Rehab. 76(2), 151-157.

    Pedretti, L. W., & Early, M. B. (2002).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5th ed).

    St. Louis: Mosby Co.

    Rhee, J. A., & Jung, H. G. (1993). A study on the

    depression and cognitive impairment in the rural

    elderly. Korean J of Preventive Medicine. 26, 412-429.

    Robbins, A. S., Rubenstein, L. Z., & Josephson K. R.

    (1989). Predictors of falls among elderly people. Arch

    Intern Med. 149, 1628-1633.

    Schunk, C. (1992). Cognitive impairment. In Guccione

    A.A., et al. Geriatric Physical Therapy. St. Louis:

    Mosby Co.

    Shumway-Cook, A., Woollacott, M., Kerns, K. A., et al.

    (1997). The effects of two types of cognitive tasks on

  • 22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1 / 1

    postural stability in older adults with and without a

    history of fall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52(4),

    232-240.

    Stelmach, G. E., Phillips, J., Di Fabio, R. P., et al. (1989).

    Age, functional postural reflexes, and voluntary sway.

    J Gerontol. 44, 100-106.

    Stribley, R. F., Alers, J. W., Tourtellotte, W. W., et al.

    (1974). A quantitative study of stance in normal

    subjects. Arch Phys Med Rehabi, 55, 74-80.

    Teasdale, N., Stelmach, G. E., & Breunig, A. (1991).

    Postural sway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under

    normal and altered visual and support surface

    conditions. J Gerontol. 46, 238-244.

    Tinetti, M. E., Speechley, M., & Ginter, S. (1988). Risk

    factor for falls among elderly persons living in the

    community. N Eng J Med. 319, 1701-1707.

    Wade, M. G., & Jones, G. (1997). The role of vision and

    spatial orientation in the maintenance of posture. Phys

    Ther, 77(6), 619-628.

    Wolfson, L., Whipple, R., Derby, C.A., et al. (1994). Gender

    differences in the balance of healthy elderly as

    demonstrated by dynamic posturography. J Gerontol,

    49, 160-167.

    Woollacott, M. H., Shumway-Cook, A., & Nashner, L. M.

    (1986). Aging and posture control; Changes in sensory

    organization and muscular coordination. Int J Aging

    Hum Develop. 23, 97-114.

    Abstract

    The Cognitive Ability and Balance Ability in Health Elderly

    Shin Min-joo*, B.H.Sc.,O.T., Jo Yeon-jung**, B.H.Sc.,O.T., Kim Eun-young***, B.H.Sc.,O.T.,

    Lee Tae-won****, B.H.Sc.,O.T., Yang Young-Ae****, Ph.D., O.T.

    Dept. Occupational of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Sensory Power Research center for Sensory Integration and Behavior improvemen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Yonsei University Medical***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harmseoul hospital****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ognitive ability on balance in healthysenior citizens.

    Method : Sixty health senior citizens who live in Busan participated in two tests(Mini Mental Status Exam,Berg Balance Scal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independent t-test and the Pearsontest.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performance score from the MMSE-K and Bergbalance scale(r=0.67).

    2. Cognitive ability and balance ability were significantly better in men than in women (p=0.001, p=0.012).

    3. Cognitive ability and balance ability were significantly better for those in their seventies thanthose in their eighties(p

  • 23

    서론I.

    연하장애는 뇌졸중 환자에서 흔히 동반되며 심한

    경우에는 흡인성 폐렴 영양실조 탈수 패혈증 등의, , ,

    합병증으로 인하여 뇌졸중 환자의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치료하는. ,

    것이 재활치료에 중요한 부분이 되는데 연하곤란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침상거상 내시경검사 내압검사, , ,

    비디오 투시 검사 등이 있고 이중 비디오 투시검사

    가 가장 유용한 방법으로 멀리 사용되고 있으며 연,

    하장애의 치료를 위하여 구강 및 안면부의 감각자

    극 구강 및 인후근육의 강화운동 자세의 교정을 이, ,

    용한 보상치료 열촉각 자극치료 생체 되먹임 전기, - , ,

    자극 치료 수술적 치료 등이 시행되고 있다, (Lan

    gmore & Miller, 1994).

    뇌졸중 후 발생한 연하장애는 치료에 대한 반응이

    좋아 연하기능은 점차 회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

    나 심한 연하장애 환자들에서 자연적인 회복은 기,

    대하기 힘든 상황이며 기능이 원활한(Barer,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