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82
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Upload: others

Post on 10-Feb-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4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Page 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Page 3: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목 차/

단계적인 주의 집중력 훈련이 경증치매노인의 기억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손지형, 박소연, 김진경

1

오차배제훈련이 치매노인의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개별실험 연구방법-

이유나, 유은영

15

노인의 작업수행에 대한 인간작업모델(Model of Human Occupation)의 적용- 사례연구 -

임경민, 정민예

23

구조화된 운동프로그램이 요양시설 노인의 삶의 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종원, 이택영, 강 혁, 김진경, 박소연

34

상상연습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황정하

46

요양시설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과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의 상관관계

김수한, 정재훈

57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Page 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Page 5: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단계적인 주의 집중력 훈련이 경증치매노인의

기억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손지형*, 박소연**, 김진경***서울특별시 송파구 치매지원센터

**한서 학교 작업치료학과

목적본 연구는 경증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전산화 인지프로그램을 이용한 단계적 주의 집중력 훈련이 치

매노인의 기억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4명의 경증치매노인을 대상으로 개별실험연구 방법 중 기준 변동설계(Changing Criterion Design)를 사용하였다. 독립변인은 전산화 인지프로그램(레하컴) 중 주의 집중력 프로그램을 대상자의

인지 수준에 따라 단계를 조절한 것으로 주 4회 매 회기 15분씩 총 16회 각 대상자별로 실시되었다. 종속변인은 기억력(숫자외우기와 Rey복합 도형 검사)과 일상생활수행능력(AMPS)의 변화였다.

연구결과단계적 주의 집중력 훈련 결과, 매 회기가 진행될수록 대상자 모두 주의 집중력이 향상되었고 기억

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증가된 양상을 나타냈다.

결론

단계화된 전산화 인지프로그램은 사용이 쉽고 개별 수준에 따른 맞춤치료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

니고 있어 치료에 대한 동기 부여와 치료효과에 대한 일반화가 어려운 치매노인에게 적합한 중재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는 경증치매 노인뿐만 아니라 인지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단계화된 전산화 인지 프로그램에 대한 다각적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주제어 경증 치매, 전산화 인지 훈련, 주의 집중, 일상생활

교신저자 : 박소연([email protected])∥접수일 : 2013년 03월 22일∥개재승인일 : 2013년 04월 29일

Ⅰ. 서 론

치매는 노인의 기억력과 지남력, 판단능력 등의 전

반적인 인지기능의 손상을 초래하며 그 증상은 만성

화되거나 악화되는 특성을 나타낸다(Hughes et al., 2006). 또한 우울증이나 망상, 환상 등의 정신적 증상

을 동반하기도 한다(WHO, 1992). 미국정신의학 정신

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DSM-Ⅳ-TR)의 진단기준에

따르면 치매는 직업이나 사회활동 또는 인관계 활

동에서 유의한 장애가 있을 정도의 인지기능 및 지적

능력이 감소되는 증상으로 정의되고 있다. 치매는 그

증상이 비가역적이고 명확한 변인이 밝혀지지 않아

원인적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노인의 인지 특성에

한 연구와 치매 예방 및 교육에 한 치료적 전략이

필요하다(오병훈 등, 2003).일반적인 경도치매노인의 일차적인 인지 손상영역

은 기억력과 주의 집중력이며 치매가 진행됨에 따라

서 단어 이름 기와 같은 회상능력에서도 차이를 나

타낸다(안소연 등, 2000). 이러한 손상에 따른 치매노

인의 인지재활은 더 이상의 증상 악화를 예방하고 남

아있는 인지 기능이나 일상생활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김연희, 2006). Willis 등(2006)은 65

Page 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2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세 이상의 치매 노인을 상으로 주의 집중력 훈련을

실시한 결과 인지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의 전반적 기

능이 향상되었고 그 결과는 5년 후에도 상자의 65%가 유지되었다고 보고하였다. 국내 논문으로는 알쯔

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노인을 상으로 집단인지 프

로그램을 실시한 정원미(2008)의 연구가 있으며, 경증

치매노인을 상으로 집단작업치료가 인지향상에 미

치는 효과에 한 박경영(2009)의 연구가 있다. 이러

한 연구들에서는 인지 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 향상

에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그 외에도 치

매노인에게 집단작업치료를 실시하여 구성과 관리기

능의 인지기능에 향상을 보인 김영숙(1999)의 연구, 치매노인들에게 인지자극 훈련을 하여 언어능력과 기

억력에 향상을 보인 김정순(1999)의 연구가 있다. 최근

에는 치료실이나 가정에서 컴퓨터의 보급이 확 되고

그 사용이 간편하며 개별화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

다는 장점에 근거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인지

적 접근 방법이 치료에 활용되고 있다(강원구 등, 2009; 김영근, 2011; 김훈주 등, 2009; 정원미 등, 2010).

컴퓨터 인지 재활 프로그램은 시각적 정보처리모델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이론을 기초로 하고 있

으며 치매노인의 주의 집중력과 기억력 향상에 효과

적이라고 보고되고 있다(오병훈 등, 2003; 박주영 등, 2009; Scheiman, 2002). 시각 정보처리모델에서 인지는

환경으로부터 유입된 시각정보를 조직화하고 다른 감

각과 이전의 경험, 고위인지기능과 같은 정보를 통합

하는 능력으로 정의되며 시각적 학습에 기초가 된다

(Miler, 1982; Scheiman, 2002). 국내에서 사용되는

표적인 컴퓨터 인지 프로그램으로는 레하컴(Rehacom)과 컴커그(ComCog)가 있다. 레하컴은 독일에서 기질

성 뇌손상 환자를 비롯한 노인성 치매환자의 주의 집

중과 기억력 장애, 운동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개발된

인지 재활 프로그램이다(오병훈 등, 2003). 레하컴은

환자의 인지적 특성에 따른 개별적인 치료적 접근이

가능하고 수행에 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해 주

기 때문에 환자 스스로의 개별학습을 유도할 수 있다

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신승훈 등, 2002). 또한 가정에

서 쉽게 설치할 수 있어 치료실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의 인지훈련이 가능하다는 이점 때문에 최근 들어 사

용이 증 되고 있다(김연희 등, 2003). 레하컴을 이용

한 연구로는 경증치매환자의 뇌 활성도가 증가하였다

고 보고한 강원구 등(2009)의 연구가 있고 레하컴을

통해 치매노인의 주의 집중력과 기억력이 향상되었다

는 오병훈 등(2003)의 연구가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레하컴을 통한 인지훈련의 결과는 훈련 적용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노인 환자에게 컴퓨터를 이용

한 훈련은 조작의 어려움과 거부감, 컴퓨터 설치에

한 비용 문제 등의 이유로 임상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음이 여러 연구에서 제기하고 있다(김영근, 2011; 김훈주 등, 2009; 박주영 등, 2009). 또한 치료사 개입

없이 레하컴의 반복 훈련만으로는 환자의 인지기능을

호전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김연희, 2006; 김훈주 등, 2009; Moreno & Saldana, 2005). 이러

한 레하컴 적용상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인지 프

로그램의 단순 반복훈련보다는 상자의 인지능력을

파악하여 그 수준에 맞는 목표를 단계적으로 설정하

고 목표를 수행하였을 때 다시 다음 단계의 목표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이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증 치매노인을 상으로

레하컴 주의 집중력 프로그램 내에서 단계적 목표를

설정하여 상자의 동기유발을 촉진하는 것이 상자

의 인지능력에 기여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

한 향상된 주의 집중력이 기억력과 일상생활에 미치

는 효과에 해서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OO구 치매지원센터에 내

원한 60세 이상 경증치매환자 4명을 상으로 하였고, 상 선정 기준과 상자의 인지상태는 다음과 같다

(표 1, 표 2). 첫째, 임상치매평가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

CDR)점수가 0.5-1점의 범위에 있는 자

둘째, 학력이 9년 이상이고, K-MMSE의 점수가

17-23점인 자

셋째, 알츠하이머 질환이외 다른 의학적 진단을 받

Page 7: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3

지 않은 자로 혈관성 치매, 루이소체 치매, 전두엽 치매 및 기타치매는 제외

넷째, 이전에 유사한 치매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없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

다섯째, CERAD-K의 점수항목 중 5% 미만 영역이

2개 이상인 자

대상자 성별 나이(세) 교육(년) CDR점수(점) K-MMSE 점수(점)1 남 68 16 0.5-1 192 여 63 16 0.5-1 233 여 72 12 0.5-1 234 남 69 16 0.5-1 23

표 1. 대상자의 기본정보와 선별검진 내용 (N=4)

대상자

CERAD-K 하위항목

언어

유창성

보스톤

이름대기단어 목록기억 구성능력 단어재인

단어

목록회상

구성

능력회상

1 10 3* 4* 8* 3 6* 4*

2 17 12 14 10 3* 5* 4*

3 11 5* 12 8 3 5* 2*

4 15 9 8* 10 6* 5* 4*

*: 전체 노인 대상 점수 중 5% 미만 영역

표 2. 대상자별 CERAD-K를 통한 인지상태 (단위: 점)

2. 연구 절차

본 연구를 위해 경도치매 상자 4명에게 사전평가

로 CDR과 MMSE-K를 실시하여 상자를 선별하였고

(표 1), CERAD-K 평가를 통하여 7가지의 영역에서

상자의 인지상태를 측정하였다(표 2). 그리고 CERAD-K 평가결과에 기초하여 레하컴 전산화 인지 훈련(Rehacom)을 실시하였다. 기초선 평가를 위해 먼저 레하컴을 4회 실시하여 상자가 도달하는 단계의 평균을 알아

보았다. 그런 다음 상자가 기초선 측정에서는 수행

하지 못하였던 상위 단계에서 중재를 제공하였으며, 중재과정에서는 매회 15분씩 주 4회, 총 16회를 실시

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레하컴 프로그램 중에서 주

의 집중력 훈련프로그램으로 하였고, 상자들이 목

표한 단계를 수행하였을 때 개별 상자들에게 흥미

를 유발할 수 있도록 강화물을 제공하였다. 또한 사후

평가로 주의력과 기억력 및 일상생활능력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CERAD-K 평가

사전 평가

기초선 설정

: 레하컴을 4회 시행하여

대상자의 초기 수준 평가

중재

: 레하컴 주의 집중력 훈련

기초선 상위 수준에서

단계적 목표설정 및 시행

사후평가

결과도출

그림 1. 단계적인 전산화 인지 훈련 절차

Page 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4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3. 연구 도구

1) 대상자 선별 도구

(1) 한국판 간이정신상태 평가(Mini Mental States Examination-Korea; MMSE-K)

MMSE-K는 Folstein(1975)에 의해 개발된 MMSE를

1989년 한국판으로 발간한 것으로 치매의심 또는 뇌손

상 환자들을 상으로 간단히 인지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이다. 지남력, 기억력, 주의집중 및 계산, 언어기능, 이해 및 판단으로 모두 30점으로 평가한다. 24점 이상

을 정상, 20-23점을 치매의심 상자, 19점 이하를 확

증된 치매로 나타낸다. MMSE-K의 검사-재검사 신

뢰도는 r=0.96이다(강연욱, 2006; Folstein et al., 1975).

(2) 한국판 CERAD 검사(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Korea; CERAD-K)

CERAD-K 검사는 CERAD 검사(1994)를 한국 노인

에 적합한 형태로 2003년에 우종인과 11명의 연구자

들에 의해 개발되고 편찬된 것이다(이동영, 2001 재인

용). 이 검사는 임상 검사영역과 신경심리 검사영역으

로 구성되었다. 그 중 신경심리 검사영역은 모든 알쯔

하이머 환자에서 비교적 일관된 소견을 보이는 기억력, 언어능력, 시공간 능력 등의 개별 인지영역을 비교적

정확하게 평가하는 필수적인 인지기능 검사들로 이루

어져 있다(이동영, 2001). CERAD-K 검사의 검사-재

검사 신뢰도는 r=0.95(p<0.01)였다(Chandler et al., 2005; 이동영, 2001). 또한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 나

타나는 질병 경과에 따른 인지능력의 변화를 찾아내

는 측면에서도 높은 타당도(r<0.97, p<0.01)를 보인다

(이동영, 2001; Morris et al., 1993; Welsh-Bohmer & Mohs, 1997).

① 언어 능력(언어 유창성, 보스톤 이름 기)언어의 유창성은 언어 생성의 장애를 측정하는 것

으로 1분 동안 상자에게 생각나는 동물을 모두 말

하게 하는 검사이고, 보스톤 이름 기는 15가지 사물

의 그림을 차례로 보고 사물의 이름을 답하게 하는

검사이다. 언어유창성 점수는 구성능력 점수와 함께

치매의 정도를 알아내는데 민감하다(이동영, 2001;

Welsh et al., 1992).

② 기억력(단어목록기억, 단어목록회상, 단어재인, 구성능력회상)

단어목록기억은 10개의 단어카드를 제시하고 차례

로 읽게 한 후 기억나는 단어를 이야기하도록 하는

검사로 3차례 진행하여 시행한다. 단어목록기억은 학

력과 크게 상관없이 학습능력을 평가할 수 있어서 인

지재활의 효과를 예측할 수 있다(이동영, 2001). 또한

단어목록회상은 5분∼10분 후에 생각나는 단어를 다

시 이야기하도록 하고 단어재인은 전에 제시했던 단

어와 함께 10개의 다른 단어를 제시하고 구분할 수

있는지를 측정한다. 구성능력회상은 구성능력에서 그

렸던 도형을 지연시간을 두고 다시 그리도록 하여 시

각적 기억력을 측정하는 검사이다.

③ 시공간 능력(구성능력)구성능력은 4개의 다른 도형을 상자에게 그리도

록 하여 검사한다.

(3) 임상적 치매상태 검사(Clinical Dementia Rating; CDR)CDR은 치매의 심각도 정도를 숫자로 표현한 척도

로 구조화된 인터뷰를 통해 치매를 진단하는데 사용

된다. CDR 점수가 0이면 ‘정상’, 0.5이면 ‘치매의심’, 1이면 ‘경한 치매’, 2이면 ‘중등도’, 3이면 ‘고도’의 손

상을 나타낸다(Hughes et al., 1982). CDR 검사의 평가

자 간 일치도인 kappa 값은 0.89이고 신뢰도 r=0.91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Burke et al., 1988).

2) 독립 변인

(1) 레하컴 전산화 인지 훈련(Rehacom)레하컴 전산화 인지 훈련(Rehacom)은 1986년 독일

에서 개발하기 시작하여 치매, 뇌출혈, 뇌종양, 중풍, 사고로 인한 뇌의 손상 등 뇌의 기질적 병변 발생 후

생긴 뇌에 기능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프로그램은 6개 영역(주의력 훈련, 기억력 훈련, 실행

능력, 시야 훈련, 시각-운동 협응력, 작업 훈련)으로

각각의 영역에 있는 소항목을 포함하면 총 22항목으

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의력 훈련 중 선

Page 9: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5

택적 주의력을 이용하여 훈련을 진행하였다. 선택적

주의력은 총 24단계로 구성되어 있고 각 단계가 올라

갈 때마다 난이도가 상향되며 20단계 이상에서는 정

상인들도 실행하기 어려운 높은 단계로 구성되어 있

다. 각 난이도는 치료사가 조정할 수 있으며 일정 개

수를 맞추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도록 설정된다. 전체

의 내적일관도를 나타내는 Cronbach ɑ값은 0.92이고, 프로그램의 각각 장애에 한 검사-재검사 신뢰도

및 검사자간 신뢰도를 나타내는 급간 내 상관계수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s)는 0.74-0.99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김영근, 2011; 서국희, 2002).

3) 종속 변인 측정 도구

(1) 숫자 외우기 검사(Digit Span; DS)기억력을 평가하는 DS 검사는 1955년에 Wechsler에

의해 개발된 검사도구로 1977년에 개정되어 WAIS-Ⅲ과 Whechsler Memory Scale-Ⅲ(Wechsler, 1997), WAIS- R-NI(Kaplan et al., 1991)의 소항목에 포함되어 있다.

DS검사는 ‘숫자 바로 외우기’와 ‘숫자 거꾸로 따라

외우기’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숫자 바

로 외우기’는 검사자가 불러주는 일련의 숫자들을 듣

고 그 숫자들을 말하도록 하는 과제로써, 첫 시행은 3개의 숫자로 시작하여 7번째 단계에서는 총 9개의 숫

자를 외우도록 되어있고 외운 숫자의 개수를 점수화

한다. 또한 숫자 거꾸로 외우기는 주어진 숫자를 역순

으로 말하게 하는 과제로써, 첫 시행은 2개의 숫자로

시작하여 7번째 단계에서는 총 8개의 숫자를 외우도

록 되어있다. 채점방식은 숫자 바로 외우기와 같이 역

으로 외운 숫자의개수를 점수화한다. 이 검사의 숫자

바로 외우기 신뢰도는 r=0.72이고, 숫자 거꾸로 외우

기의 신뢰도는 r=0.57이다(강영욱 등, 2002).

(2) Rey 복합도형 검사(Rey Complex Figure Test; RCFT)

RCFT는 시공간 구성 능력과 시각적 기억력을 연구

하기 위하여 Rey(1941)에 의하여 고안되었으며, 아동

과 성인의 시공간구성능력과 시각적 기억능력을 측정

하는 신경심리학적 평가도구로 사용되어왔다(Lezak, 1995). RCFT는 주어진 그림을 피검자가 모사(copy)하

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주어진 그림은 18개의 부분(단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분의 모양, 위치, 정확성

에 따라 0, 0.5, 1, 2로 채점하게 된다. 그림의 정해진

부분과 위치가 정확히 그려졌으면 2점, 위치가 정확하

지만 모양이 정확하지 않거나 이와는 반 로 모양은

정확하지만 위치가 정확하지 않으면 1점, 위치나 모양

이 정확하지 않지만 해당 부분을 그리려고 했다는 것

을 검사자가 알아볼 수 있으면 0.5점, 전혀 수행을 하

지 않으면 0점으로 채점한다. 따라서 이렇게 18개의

부분(단위)을 모두 채점하였을 때 얻는 총점은 1에서

36점이 된다(박재설 등, 2005). 검사의 신뢰도는 r=0.95이다(Loring et al., 1990).

(3) 운동 및 처리기술 평가(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 AMPS)

Fisher(1994)에 의해 고안된 평가도구로 운동 및 처

리기술의 작업분석을 기초로 관찰에 의해 ADL/ IADL을 평가한다. 평가과정은 초기에 인터뷰를 통해 적절

한 과제를 2개나 3개를 선택하고 관찰한다. 관찰한 내

용은 컴퓨터에 입력하고 입력한 데이터는 평가자의

관엄도와 항목의 난이도, 과제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변환된다. 현재 전세계 72,00명을 상으로 표준화 되

었으며 평가 영역으로 운동기술(16개 항목), 처리기술

(20개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Fisher, 2003). 치매 노

인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운동기술이 r=0.9이고

처리기술이 r=0.87이다(최정실 등, 2003; Rockwood et al., 1996).

4. 연구 설계

본 연구에서는 레하컴의 단계별 인지훈련을 실시하

기 위해서 개별실험 연구 중 기준변동설계(Changing Criterion Design)를 사용하였다. 상자가의 초기 인지

수준을 기초선으로 하여 중재 기간에는 단계화된 주

의 집중력 훈련을 실시하였다. 최종으로 수행했던 주

의 집중력 단계를 초기 인지 수준(기초선)으로 정하

고, 그 단계에서 상자가 성공적으로 맞춰야 할 목표

개수를 10개, 17개, 25개를 임의로 정하였다. 예를 들

어 상자 1이 레하컴의 주의 집중력 훈련 프로그램

을 4회 실시한 결과 8단계에서 더 이상 점수 변화가

Page 1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6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없다면 8단계를 초기 인지 수준으로 정하고 9단계를

목표 단계로 설정하였다. 9단계를 다시 각각 10개 맞

추기, 17개 맞추기, 25개 맞추기로 단계적으로 나누고

상자가 10개 맞추기를 5회 중 3회 이상 성공적으로

실시하면 17개 맞추기로 넘어가도록 하였다. 다시 5회

중 3회 이상 17개 맞추기를 성공하면 다시 25개 맞추

기로 단계를 조절하였고 만약 상자가 3회 이상 맞

추지 못하면 다시 단계를 하향 조정하도록 하였다.

5. 연구 방법

2011년 4월 25일부터 5월 18일까지 경증치매환자를

상으로 단계화된 주의 집중력 훈련을 진행하였다. 훈련은 1회기 당 15분씩 주 4회, 총 16회기로 진행하였다.

1) 독립 변인

(1) 레하컴을 이용한 단계적인 주의 집중력 훈련

① 초기 단계 (기초선) 기초선에서는 상자의 초기 주의 집중력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레하컴 인지 프로그램 중 주의 집중

력 훈련을 한 회기 당 30분씩 총 4회기 실시하였다. 4회기 동안 상자가 최종적으로 수행한 단계의 평균

을 상자의 초기 주의 집중력 수준으로 정하였다. 각

상자의 초기 주의 집중력 수행 단계는 아래 표와

같다(표 3).

표 3. 대상자별 초기 주의 집중력 수행 단계

대상자수행 (단계)

기초선 단계1회기 2회 3회기 4회기

1 7 8 8 8 82 12 12 12 11 123 11 11 11 11 114 10 11 11 11 11

② 훈련 단계(중재선) 레하컴을 이용한 단계별 주의 집중력 훈련은 기초

선에서 설정한 상자별 주의 집중력 단계에서 실시

되었다. 상자 1은 기초선에서 주의 집중력 수행 단

계가 11단계였기 때문에 다음 목표 단계를 12단계로

정하였으며 12단계를 다시 단계화하여 3개의 수준(10개 맞추기, 17개 맞추기, 25개 맞추기)으로 나누었다.

상자 1이 12단계의 10개 맞추기를 5회 중 3회 이상

성공적으로 수행하면 17개 맞추기로 수준을 높이고

다시 17개 맞추기를 5회기 중 3회 이상 성공하면 25개 맞추기로 상향 조정하였다. 그러나 상자 1이 17개 맞추기를 3회 이상 성공하지 못하면 다시 10개 맞

추기로 수준은 다시 하향 조정되었다. 상자 2와 3, 4 모두 같은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상자의 수행에 한 성공은 중재를 실시한 단계

에서 목표를 10개 맞추기, 17개 맞추기, 25개 맞추기

로 세분화하여 설정하였고, 각 수준을 수행하였을 때

목표를 달성한 것으로 하였다. 상자가 목표 수준

(예, 10개 맞추기 성공)에 도달하였을 때 상자의 흥

미와 관심이 반영된 강화물을 제공하였다. 상자 1은

치료사와 공놀이에 관심이 많아 목표 회기에 도달했

을 때 10분간 치료사와 공놀이를 수행하게 하였다. 상자 2는 센터에서 만들어진 종이 공작물에 관심이

많아 목표한 수준에 도달하면 훈련이 끝난 후 원하는

공작물을 가져가도록 하였다. 상자 3은 치료사와

화하기를 선택하여 목표한 수준에 도달하면 10분간

치료사와 화하도록 하였다. 상자 4는 목표 수준에

도달하면 10분간 노래 부르기(가요)를 수행하게 해서

인지 훈련에 한 동기를 유발하고자 하였다.

2) 종속변인

(1) 주의 집중력 변화

중재에 따른 상자의 주의 집중력의 변화를 살펴

보기 위하여 독립변인으로 사용된 레하컴의 집중력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정하였다. 상자별 총 16회를

실시하여 매 회기의 점수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2) 기억력 변화

① 숫자 외우기 검사(Digit Span) 숫자 외우기 검사를 통하여 상자들의 기억력을

측정하였다. 숫자외우기 검사는 중재 전 후 총 2회 실

시하였다.

Page 11: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7

② Rey 복합도형 검사(Rey Complex Figure Test; RCFT)상자의 중재에 따른 지각능력과 시각 기억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재 전후 총 2회, 숫자외우기 검사

를 마친 후 실시하였다.

(3) 일상생활수행 능력

① AMPS를 통한 과제수행능력 평가

상자의 인지 훈련 전, 후의 과제수행능력을 알아

보기 위하여 AMPS를 실시하였다. AMPS과제는 가구

옮기지 않고 청소하기, 웃옷입기, 인스턴트 커피 끓이

기, 잼 바르기 등으로 상자별로 과제를 제시하고 평

가하였다. 평가는 중재 전후 총 2회 실시되었다.

Ⅲ. 연구 결과

1. 단계적인 주의 집중력 훈련을 통한 레하컴 점수 변화

그림 1. 대상자(1)의 단계적인 주의 집중력

훈련(9단계) 결과

상자 1의 주의 집중력 훈련은 9단계에서 10개 맞

추기에서 시작되었다(그림 2). 초기 4회기 중 2회기를

제외한 1, 3, 4회기 모두 10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5회기부터는 수준을 17개 맞추기로 정하였다. 5회기

부터 맞추는 개수가 증가하면서 6회기에는 15개로 수

행수준이 향상되었으나 7회기에는 5개 밖에 맞추지

못하였다. 다시 8, 9회기에는 각각 10개, 15개로 맞힌

개수가 증가하였으나 5회 중 3회기 이상 목표치에 도

달하지 못하여 10회기에는 다시 목표를 10개 맞추기

로 수준을 조정하였다. 10, 11, 12회기에서는 모두 10개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13회기에는 다시 17개 맞추

기로 목표를 설정하였다.

그림 2. 대상자(2)의 단계적인 주의 집중력

훈련(13단계) 결과

상자 2의 인지훈련은 13단계의 10개 맞추기에서

시작하였다(그림 3). 초기 3회기에서 10개를 맞추기를

3번 모두 연속으로 성공하여 다음 단계인 17개 맞추

기를 진행하였다. 4회기에서 17개를 맞추고 5회기에

는 11개, 6회기부터 맞힌 개수가 상승해서 6회기에는

13개, 7회기에도 13개, 8회기에는 15개를 맞췄다. 그러

나 5번 중 1회만 17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계를 10개 맞추기로 하향 조정하였다. 9회기부터 11회기까지

3번 만에 10개 맞추기를 수행하였고 12회기부터 14회기까지 17개 맞추기를 수행하였으며 15회기와 16회기

를 연속으로 25개 맞추기를 수행하였다.

그림 3. 대상자(3)의 단계화된 주의 집중력 훈련

(12단계) 결과

상자 3의 인지훈련은 12단계의 10개 맞추기에서

시작하였다(그림 4). 초기 10개 맞추기를 4회기에 3회

모두 성공하여 다음 단계인 17개 맞추기를 진행하였

다. 17개 맞추기에서도 6, 7회기를 제외하고 3회 성공

하여서 10회부터 25개 맞추기로 단계를 조정하였다. 11회기와 12회기까지 연속적으로 25개를 맞추었으나

5회 중 2회만 성공하여 15회기부터는 17개 맞추기로

단계를 낮추어 진행하였고 15회기, 16회기는 모두 17개를 맞추었다.

Page 1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8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그림 4. 대상자(4)의 단계적인 주의 집중력 훈련

(12단계) 결과

상자 4는 인지훈련은 12단계의 10개 맞추기에서

시작하였다(그림 5). 초기에 3회기 동안 연속해서 10개 맞추기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다음 단계인 17개

맞추기로 수준을 높였다. 17개 맞추기에서도 5회를 제

외하고 3번 성공하여 8회기부터 25개 맞추기를 진행

하였다. 11회기와 12회기는 연속적으로 25개를 맞추

었으나 5번 중 2번만 성공하여 13회부터는 17개 맞추

기로 수준을 낮추어 진행하였고 13, 14, 15회기는 모

두 17개 맞추기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16회기는

25개 맞추기로 조정하였다.

2. 기억력 점수 변화

1) 숫자 외우기 점수 변화

상자 1은 ‘앞으로 말하기’ 검사에서 기초선 5점에

서 중재 후 6점으로 1점이 증가하였다. ‘뒤로 말하기’에서는 기초선 3점에서 중재 후 3점으로 점수의 차이

가 없었고 상자 2는 ‘앞으로 말하기’ 검사에서 기초

선 5점, 중재 후 9점으로 4점이 증가하였다. ‘뒤로 말

하기’에서는 기초선 3점에서 중재 후 6점으로 3점 증

가하였다.또한 상자 3은 ‘앞으로 말하기’ 중재 전 검사에서

5점, 중재 후 검사에서 9점으로 4점 상승하였고, ‘뒤로

말하기’ 점수는 중재 전 4점, 중재 후 검사에서 5점으

로 1점 상승하였고 상자 4의 ‘앞으로 말하기’ 점수

는 중재 전후 모두 9점으로 변화가 없었고 ‘뒤로 말하

기’ 점수는 중재 전 6점, 중재 후 8점으로 2점 상승하

였다.

대상자

앞으로 말하기 뒤로 말하기

중재

중재

후차이

중재

중재

후차이

1 5 6 1 3 3 02 5 9 4 3 6 33 5 9 4 4 5 14 9 9 0 6 8 2

표 4. 숫자 외우기-앞으로 말하기, 뒤로 말하기의 점수 변화 (단위: 점)

2) Rey 복합 도형 검사 점수 변화

상자 1은 중재 전에는 RCFT 점수가 20점, 중재

후에는 10점으로 점수가 10점이 감소하였다. 수행시

간 역시 중재 전 425초에서, 중재 후 500초로 75초가

지연되었고 상자 2는 중재 전에는 RCFT 점수가 중

재 전후 모두 32점이었다. 그러나 수행시간은 중재 전

308초에서, 중재 후 211초로 97초 감소되었다.또한 상자 3은 중재 전에는 RCFT 점수가 중재

전후 모두 24점이었다. 그러나 수행시간은 중재 전

156초에서, 중재 후 141초로 15초 감소되었고 상자

4는 중재 전에는 RCFT 점수가 중재 전후 모두 37점으로 동일하였다. 그러나 수행시간은 중재 전 284초, 중재 후 167초로 117초 감소되었다.

대상자

점수(점) 수행시간(초)중재

중재

후차이

중재

중재

후차이

1 20 10 10 425 500 -752 32 32 0 308 211 973 24 24 0 156 141 154 36 36 0 284 167 117

표 5. RCFT의 점수와 수행시간의 변화

3. 일상생활수행능력 변화

1) AMPS 점수 변화

상자 1은 AMPS 검사 중 운동기술에서 중재 전에

2.78 logit에서 중재 후 2.97 logit으로 0.19 logit 증가되

었고 처리기술에서 중재 전 1.85 logit에서 중재 후

Page 13: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9

1.87 logit으로 0.02 logit 증가되었고 상자 2는 AMPS 검사 중 운동기술에서 중재 전에 2.78 logit에서 중재

후 3.56 logit으로 0.78 logit 증가되었고 처리기술에서

중재 전, 후에 2.88로 동일하였다.또한 상자 3은 AMPS 검사 중 운동기술에서 중재

전에 2.94 logit에서 중재 후 2.97 logit으로 0.03 logit 증가되었고 처리기술에서 중재 전 3.07 logit에서 중재

후 3.44 logit으로 0.37 logit 증가되었다. 상자 4는

AMPS 검사 중 운동기술에서 중재 전, 후에 3.43 logit으로 동일하였고 처리기술에서 중재 전 2.79 logit에서

중재 후 2.92 logit으로 0.13 logit 증가되었다.

대상자

운동기술 처리기술

중재

중재

후차이

중재

중재

후차이

1 2.78 2.97 0.19 1.85 1.87 0.022 2.78 3.56 0.78 2.88 2.88 03 2.94 2.97 0.03 3.07 3.44 0.37*4 3.43 3.43 0 2.79 2.92 0.13

표 6. AMPS의 점수 변화 (단위: logit)

Ⅳ. 고 찰

본 연구는 경증치매노인을 상으로 단계적인 주의

집중력 훈련이 상자의 인지 능력과 일상생활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상자들

은 훈련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주의 집중력이 향상되

었고 향상된 주의 집중력은 기억력과 일상생활 수행

능력 증진에도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레하컴의 주의 집중력 점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상자 1의 경우 평균 주의 집중력 수준은 8단계로 설

정되어 중재는 9단계의 10개 맞추기에서 시작하였다. 10개 맞추기 단계에서 2회기를 제외한 3회(1, 3, 4회기) 모두 목표 수준에 도달하여 상자가 원하는 강화

가 제공되었다. 5회기부터 11회기까지 상자의 수행

에 따라 단계가 조정되었고 12회기부터는 비교적 안

정적인 수행의 형태를 나타내게 되었다.상자 2의 경우 기초선에서는 12단계의 주의 집중

력 수준을 나타내 중재는 13단계 10개 맞추기에서 시

작하였다. 3회기까지 모두 10개 맞추기를 성공하여 매

회기마다 강화가 제공되었다. 4회기부터 12회기까지

는 단계 향상을 보이지 않다가 12회기부터 다시 17개

맞추기로 목표 수준을 향상시켰고 15회기에 25개 맞

추기로 단계를 향상 조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상

자의 초기 인지 수준이 상자 1에 비해 높았고 목표

수준에 도달했을 때 제공받은 공작물을 소유에 한

동기가 높아 수행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인 것으로 사

료된다. 상자 3의 경우 12단계부터 훈련을 시작하여 5회

기에서는 17개 맞추기로 단계를 조정하였다. 또한 5, 8, 9회기에서 모두 17개 맞추기를 성공하면서 10회기

에서는 단계를 다시 25개 맞추기로 상향 조정하였다. 회기가 지날수록 수행 능력은 향상되었으나 13회기에

서는 23개를 맞춰 강화를 제공받지 못하면서 14회기

에서는 수행이 현저히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상자

3은 수행 중에 높은 집중력을 보였고 중재 후 제공되

는 치료사와의 10분 화시간에서 수행에 한 자신

감과 만족감을 나타내었고 이러한 부분이 훈련에 영

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상자 4의 경우 초기 12단계에서 시작하여 회기가

지날수록 향상된 수행 수준을 나타냈다. 계속되는 향

상을 보이는 가운데 16회기에서는 다시 25개 맞추기

로 향상을 보였다.이러한 결과들은 단계적인 주의 집중력 훈련과 제

공된 강화가 상자의 수행에 한 동기를 유발하는

데 효과적이며 향상된 수행 수준은 피드백이 되어

상자들의 수행을 촉진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상자 1을 제외한 나머지 상자들의 MMSE-K 점수가

23점 이상으로 초기 인지 수준이 훈련에 영향을 미쳤

을 것으로 사료된다. 단계적인 주의 집중력 훈련에 따른 기억력의 변화

를 살펴보기 위하여 숫자 외우기와 Rey 복합도형 검

사를 실시한 결과 상자의 중재 후 모든 수행 점수

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숫자외우기 검사에

한 상자별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상자 1은 ‘앞으로 말하기’ 항목에서 중재 전 5개 외우기에서 중재

후에 6개 외우기로 1개의 향상을 나타냈으나 ‘뒤로 말

하기’ 항목에서는 중재 전후의 변화는 없었다. 상자

Page 1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1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2와 3은 ‘앞으로 말하기’ 항목에서 중재 전 5개 외우

기에서 중재 후 9개 외우기로 중재 후에 향상된 양상

을 나타냈고 ‘뒤로 말하기’ 항목에서는 상자 2는 중

재 후 3개가 상자 3은 중재 후 1개가 향상되었다. 상자 4는 ‘앞으로 말하기’ 항목에서 중재 전후 9개

(만점)를 맞추었고 뒤로 말하기는 중재 전 6개 외우기

에서 8개 외우기로 2개가 향상되었다. 숫자 외우기 검

사는 학력과 연령에 영향을 받는데 특히 학력과 깊은

관련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강영욱 등, 2002). 그러나 연구에 참여한 상자들이 부분 고졸이상의

학력이었기 때문에 숫자 외우기에서는 학력의 영향을

받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김홍근과 박태진, 2003).Rey 복합 도형 검사에서는 상자 1이 중재 전 20

점에서 중재 후 10점으로 10점이 감소되었고 수행 시

간도 중재 후에 75초가 증가되었다. 상자 2, 3, 4 모두 수행 점수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과제 수행 시간은

중재 전 보다 빨라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

는 상자 1의 MMSE 점수가 다른 상자들에 비해

낮고(19점), CERAD-K의 구성능력 점수가 상자 1만이 5% 미만을 나타낸 것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

인다. 이는 일반적으로 Rey 복합 도형 검사가

CERAD-K의 구성능력과 상관성이 있다고 한 박재설

등(2005)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또한 Rey 복합

도형 검사는 성별과 학력과 상관성이 있다고 보고되

고 있다(Ferraro et al, 2002). 즉 여성보다는 남성이, 학력이 낮은 사람보다 높은 사람이 Rey 복합 도형 검사

에서 더 높은 수행 점수를 얻게 된다. 그러나 본 연구

에서는 성별과 학력에 따른 수행 점수의 차이가 나타

나지 않았다. 이에 후속 연구에서는 성별과 학력에 따

른 수행 결과들을 비교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

으로 사료된다. 단계화된 주의 집중력 훈련이 과제 수행의 일반화

에도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AMPS를 실시

하였다. 상자 1은 중재 전후 운동기술은 0.19, 처리

기술은 0.02가 향상되었고 상자 2는 운동기술이 중

재 후 0.78이 향상되었다. 상자 3의 운동기술은 중

재 후 0.03이 향상되었고 처리기술은 중재 후 0.37이

향상되었으며 상자 4는 처리기술에서 중재 후 0.13이 향상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상된 인지 기

능이 일반 과제 수행 능력 증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본 연구에서는 전산화 주의 집중력 훈련만을 단일

프로그램으로 훈련하였는데 이는 주의 집중력 훈련을

실시한 후의 치매노인의 뇌가 전반적으로 활성화된다

는 신경생리학적 근거를 제시한 강원구 등(2009)의 연

구를 토 로 설계하였다. 전산화 인지 훈련은 표준화

된 과제를 제시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줄 수 있으며

난이도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정 프로그램으로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페이퍼를 통한 작업보

다 사실적이고 입체적인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훈

련동기를 유발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는 장점이 있다(김영근, 2011; 전선희, 1998). Hoffman 등(2003)은 치매노인을 상으로 레하컴을 4주 동안

주 3회 실시한 결과 인지가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고, 정원미 등(2010)의 연구에서도 경증 치매노인을 상

으로 전산화 훈련을 실시한 후 기억력, 집중력, 일상

생활활동 수행능력이 향상되었음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전산화 인지 훈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에 효과적임을 증명하고 있다. 반면에 전산화 인지 훈련의 단점은 동기 부여가 어

렵고 조작에 한 부담감이 있다는 점이라고 주장한

다(김영근, 2011). 그리고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

해 그림화면을 개선하고 조작을 단순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지만 7명의 전문가의 평가보고서 내용 중 동

기유발과 결과보기 항목에서 기존 프로그램과 큰 차

이를 보이지 못한다고 평가되었다(김영근, 2011). 이는

단순히 컴퓨터로 프로그램만의 접근법으로는 컴퓨터

에 익숙하지 못한 노인에게 접근하기 어렵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서 개개인에게 맞는 강화물을 두고 과제가 성공하였

을 때 제시함으로써 목표의식을 갖게 하였다. 그러나

치매는 주의력이 떨어지고 쉽게 지루함을 느끼며 감

정의 불안함, 무감동을 갖는 특성이 있어서 강화제를

동일하게 반복하였을 때 목표의식의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조주희, 2012), 노래나 종이공작물, 화

의 내용, 공놀이 진행 방식에 변화를 주었다면 더 나

은 결과를 얻었을 것이라 사료된다.본 연구는 상자의 수가 적고, 상자들의 현저한

인지 변화를 유도하기엔 중재기간이 짧았으며 중재

후의 지속효과를 확인하지 못했다는데 제한점이 있

Page 15: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11

다. 또한 고혈압이나 당뇨, 우울증의 유무는 기억력과

공간지각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동영, 2001)으로 본 연구의 상자 선정과정에서 이에 한 확인

이 필요하였다.본 연구에서 경증 치매노인을 상으로 전산화 인

지 훈련 중 주의 집중력을 단계적으로 실시하여 동기

부여를 하였고, 그 결과 일반 인지영역(기억력, 공간

지각)과 일상생활에서 향상을 보이는 것이 관찰되었

다. 전산화 인지 훈련 장비를 치료사의 개입을 통해

동기 부여를 하고 단계적인 훈련으로 적용한다면 임

상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 된다.

Ⅴ. 결 론

치매는 직업이나 사회활동 또는 인관계 활동에서

유의한 장애가 있을 정도의 인지기능 및 지적능력이

감소되는 증상으로 정의된다. 치매는 연령의 증가에

따라 발생률이 높아지는 질환으로 인구의 고령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이에 한 관심

이 매우 높다. 이러한 치매환자에 한 인지재활은 더

이상의 증상 악화를 예방하고 남아있는 기능을 강화

하여 다른 인지기능이나 일상생활을 유지하는데 목표

를 두고 있다(김연희, 2006). 일반적으로 경도치매 노

인의 경우, 기억력과 주의 집중력이 손상되기 때문에

악화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치료적 접근이 시도되

어 왔다. 최근에는 치료실이나 가정에 컴퓨터의 보급

이 확 되고 그 사용이 간편하며 개별화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에 근거하여 컴퓨터 프로그램

을 이용한 인지적 접근 방법이 치료에 활용되고 있다

(강원구 등, 2009; 김영근, 2011; 김훈주 등, 2009; 정원

미 등, 2010). 레하컴(Rehacom)은 노인성 치매환자의 주의 집중과

기억력 장애, 운동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개발된 표

적인 전산화 인지 재활 프로그램의 하나이다(오병훈

등, 2003). 그러나 기존의 전산화 인지프로그램이 환

자들의 사용능력 부족이나 단조로움 때문에 활용에

한계가 있었던 점을 고려하여, 레하컴을 이용할 때 적

극적인 작업치료사의 중재를 통해 그러한 한계를 극

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개별실험 연구 중 기준변

동설계 방법을 사용하여 상자에 잔존인지능력에 맞

게 단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강화물을 사용하여 흥미

를 갖고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 단계화된 주의 집중력 훈련을 통해 주의 집중력은 물론, 기억력과 공간지각도 증가하였고 일상생활(AMPS)에도 향상을 보였다.

환자의 능력과 흥미를 고려한 작업치료 중재가 제

공되었을 때 환자는 더욱 집중하여 과제를 수행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인지재활 훈련에 참여하는 작업치

료사들에게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 한다. 앞으로는

전산화 인지 훈련을 치료사의 개입을 통해 임상에서

적용하는 방식과 동기부여에 한 다각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연욱. (2006). K-MMSE(Korea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의 노인 규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5(2), 1-12.

강영욱, 진주희, 나덕렬. (2002). 숫자 외우기 검사

(Digit span test)의 노인 규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4), 911-922.강원구, 강민희, 양정림, 구은진, 김수경. (2009). 컴퓨

터를 이용한 집중력 훈련 프로그램에 한 일반노

인과 치매노인의 뇌 활성화 비교. 한작업치료학

회지, 17(3), 1-13.김연희, 장은혜, 이상진, 박지원, 고명환, 박성희 등.

(2003). 기억력 훈련을 위한 컴퓨터 인지치료프로그

램의 개발. 한재활의학회지, 27(5), 667-674.김연희. (2006). 노인 인지기능장애의 재활치료. 한

임상노인의학회 춘계학술 회논문집, 52-57.김영근. (2011). 한국형 컴퓨터기반 인지재활 프로그램

의 개발과 임상적 효과 검증. 부산: 부산 학교.김영숙. (1999). 치매노인의 인지증진을 위한 작업치료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19(3), 167-179. 김정순.(1999). 치매노인을 상으로 한 인지자극훈련

의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8(2), 1-14.김홍근, 박태진. (2003). 숫자 바로 외우기와 거꾸로

따라 외우기에 관한 규준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

상, 22(3), 911-922.

Page 1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12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김훈주, 이성자, 감경윤. (2009). 컴퓨터-보조 인지프

로그램(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에

관한 고찰.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2(2), 35-46.박주영, 박주형, 양영애. (2009). 부산-경남 지역의 컴

퓨터-보조 인지재활 프로그램(Computer-assised Cognitive Rehabilitation: CACR)의 사용현황.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3(1), 43-53.박경영. (2009). 치매노인에 한 치료 접근법에 관한 질

적 메타분석.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3(2), 23-32.박재설, 강연욱, 진주희, 나덕렬. (2005). 알쯔하이머형

치매와 혈관성 치매의 시공간구성능력의 비교: Rey Complex Figure Test의 반응을 중심으로. 한국심리

학회지 임상, 24(3), 511-525.서국희. (2002). 인지평가 참고진단 시스템(CARDS)의

진단능력. 노인정신의학, 6(2), 128-135.신승훈, 고명환, 김연희. (2002). 컴퓨터 인지재활 프로

그램을 이용한 뇌손상환자의 인지치료 효과. 한

재활의학회지, 26(1), 1-8.안소연, 김지혜, 김도관, 김이영. (2000). 경도 알쯔하

이머형 치매 환자와 우울증 환자의 신경심리기능

및 신경심리학적 변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31-150.

오병훈, 김영기, 김지혜, 신윤식. (2003). 인지재활훈련

이 노인성 치매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신의학회지, 42(4), 514-519.

이동영. (2001). 한국판 CERAD 신경심리검사집<CERAD-K>의 노인정상규준 연구. 서울: 서울 학교.

전선희. (1998). 인지장애아용 소프트웨어(THINGcable/ DOS) 활용이 학습장애 유아의 주의결함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총연합회 학습장애분과 현장교육연

구보고서.정원미. (2008). 경증치매환자의 인지기능 증진을 위한

집단작업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고령자치매작업치

료학회지, 1(1), 46-55.정원미, 황윤정, 윤종철. (2010). 지역사회 경증치매환

자를 상으로 한 전산화 인지재활 치료(COMCOG) 효과. 한국노년학회, 30(1), 127-140.

조주희. (2012).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을 위한 선행 연구 분석 및 예술치료 프로그램 연구. 서울: 한양 학교.

최정실, 유은영, 정보인, 임영미. (2003). 치매노인의

자조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요인 분석. 한국노

년학회, 4, 103-126. Burke, W. J., Miller, J. P., Rubin, E. H., Morris, J. C.,

Coben, L. A., & Duchek, J., et al. (1988). Reliability of the washinton university clinical dementia rating. Arch Neurol, 45(1), 31-32.

Ferraro, F. R., Grossman, J., Bren, A., & Hoverson, A. (2002). Effects of orientation on Rey complex figure performance. Brain Cogn, 50(1), 139-144.

Fisher, A. G. (1994). Development of a functional as-sessment that adjusts ability measure or task simplicity and rater leniency. In M. Wilson (Eds.), Objective measurement: Theory into practice (1st ed., Vol. 2, pp. 145-175). Norwood: N. J. Ablex.

Fisher, A. G. (2003).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5th ed.). Fort Collins: Three Star Press.

Folstein, M. F., Folstein, S. E., &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2(3), 189-198.

Hoffmann, M., Rösler, A., Schwarz, W., Müller-Spahn, F., Kräuchi, K., & Hock, C., et al. (2003). Interactive computer-training as a therapeutic tool in Alzheimer’s disease. Compr Psychiatry, 44, 213-219.

Hughes, J. C., Louw, J. S., & Sabat, S. R. (2006). Dementia and person identity, In A. H. Lesser (Eds.), Dementia, mind, meaningful and the person(1st ed, pp. 55-62), New York : Oxford.

Kaplan, E., Fein, D., Morris, R., & Delis, D. C. (1991).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Revised as a Neuropsychological Instrument. San Antonio: The Psycological Corporation.

Lezak, M. D. (1995). Construction. In J. S. Fisher, & D. W. Lowing(Eds.),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3rd ed., pp. 531-568).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Loring, D. W., Matin, R. C., Meadour, K. J., & Lee, G. P. (1990). Psychometric construction of The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methodological consideration and in-terrater reliability. Achi clin Neuropsycol, 5, 1-14.

Moreno, J., & Saldana, D. (2005). Use of a com-

Page 17: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13

puter-assisted program to improve metacognition in person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 Dev Disabil, 26(4), 341-357.

Morris, J., Edland, S., Clark, C., Galasko, D., Koss, E., & Mohs, R., et al. (1993).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CERAD). Part IV. Rates of cognitive change in the longitudinal assess-ment of probable Alzheimer’s disease. Neurology, 43, 2457-2465.

Miller, J. (1982). Discrete versus continuous stage mod-els of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in search of par-tial output. J Exp Psychol Hum Percept Perform, 8(2), 273-296.

Scheiman, M. (2002). Optometric model of vision, part thre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In M.Scheiman(Eds.),

Understanding and managing vision deficits: A guide for occupational therapist(2nd ed., pp. 93-112). Thorofare: SLACK Inc.

Welsh-Bohmer, K., & Mohs, R. (1997).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of Alzheimer’s disease. Neurology, 49, 11-13.

Wechsler, D. (1997). Wechsler Memory scale-Third edition. New York: Psychological Corporation.

Willis, L. S., Tenstedt, L. S., Marsiske, M., Ball, K., Elias, J., & Koepke, K. M., et al. (2006). Long-term effect cognitive training in everybody functional out-comes in older adults. JAMA, 296(23), 2805-2814.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1992). The ICD-10 Classification Mental and Behavioral Disorders, Geneva: WHO.

Page 1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14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Abstract

Enhancing Activity Daily Living and Memory of Older Adults with Mild Dementia Through a Graded Attention Training

Shon, Ji-Hyung*, O.T., Park, So-Yeon**, Ph.D., O.T. Kim, Jin-Kyung**, Ph.D., O.T.

*Seoul Songpa-gu Dementia Support Center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Hanseo University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graded attention training using a computerized cognitive program on memories and ADL of the demented elderly.

Method : The changing criterion design was used for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As an in-dependent variable, one of computerized cognitive programs(Rehacom), the attention program was conducted total 16 times(four times per week and for 15 minutes per session) with each subject, after controling the stage according to subjects’ cognitive levels. The changes in Rehacom’s attention grades, memories(Digit Span and Rey Complex Figure Test) and the change of AMPS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Result : The graded attention training enhanced attention of all the subjects, and improved not only memories, but ADL, too.

Conclusion : The graded computerized cognitive program was appropriate for the demented elderly who are difficult to motivate and generalize treatment effects, because it is easy to use and allows tail-ored treatment depending on individual levels. Thus, further researches need to analyz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s and maintenance effects of the graded computerized cognitive program not only for the aged with mild dementia, but for patients with a wide cognitive impairment.

Key Words : ADL, Attention, 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 Mild dementia, Memory

Page 19: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오차배제훈련이 치매노인의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개별실험 연구방법 -

이유나*, 유은영***연세 학교 학원 작업치료학과

**연세 학교 보건과학 학 작업치료학과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차 회상훈련을 병행한 오차배제훈련이 경도 치매노인의 기억력에 미치는 효

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84세 경도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 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기초선1에서는 치료를 하지 않고 사진 속

인물의 이름에 대한 회상성공 횟수와 회상성공률을 3회기에 걸쳐 측정하였다. 치료기간에는 얼굴-

이름 연상학습에 시간차 회상훈련을 병행한 오차배제훈련을 적용하여 3주 동안 6회기에 걸쳐 회상

성공 횟수와 회상성공률을 측정하고 기초선2에서 2회기에 걸쳐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대상자는 기초선1에 비해 치료 기간 동안에 얼굴-이름 연상학습의 회상성공 횟수와 회상성공률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후 기초선2에서 완만한 경사로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결론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시간차 회상훈련을 병행한 오차배제훈련이 경도 치매노인의 기억력 향상에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주제어 오차배제훈련, 얼굴-이름 연상학습, 기억, 치매

교신저자 : 유은영([email protected])∥접수일 : 2012년 11월 10일∥개재승인일 : 2013년 04월 29일

Ⅰ. 서론

우리나라 치매노인의 수는 2007년 기준 전체 노인

의 8.3%인 40만 명이며 2020년에는 77만 명으로 약 2배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보건복지부, 2008). 치매는 기억력과 전반적 인지저하를 초래하는

퇴행성 뇌질환으로 기억력 결함이 주된 증상이며 일상

생활동작(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수행능력의 저

하 및 독립성 감소가 나타난다(Santana-Sosa et al., 2008; Van Iersel et al., 2004). 치매증상의 완화를 위한

적극적 치료에는 증상을 지연시키는 약물적 치료와 더

불어 비약물적 치료인 인지재활을 이용한 보완 및 선

택적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Acevedo & Loewenstein,

2007; Olazarán et al., 2010).비약물적 치료인 인지재활을 위한 다양한 훈련 중 경

중등도 치매노인의 기억력 향상을 위해 오차배제훈련(Errorless Learning; EL)과 시간차회상(Spaced Retrieval; SR)훈련의

병행이 가장 효과적으로 보고되었다(Grandmaison & Simard, 2003). 오차배제훈련은 얼굴-이름 연상학습

(face-name association)에 유용하며 학습하는 동안 오

차발생을 최소화하고 정보를 정확하게 학습하여 암호

화 과정을 돕는 인지훈련 전략의 하나이다(Clare et al., 2000; Kessels & Hensken, 2009). 지적 장애인의 학

습을 위해 처음 고안되었지만 점차 치매노인에게 확

적용되었다(Baddeley & Wilson, 1994; Clare et al., 2000). 시간차 회상훈련은 올바른 정보를 반복하여 회

Page 2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16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상 간 지연시간을 점진적으로 증가를 목적으로 회상과

정을 돕고 많은 인지적 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아 치매

노인에게 효과적인 인지치료 방법이다(Bier et al., 2002). Bier 등(2008)의 연구에서도 경도치매노인 얼굴-이름

연상학습에 오차배제훈련과 시간차 회상훈련 각각의

학습기법이 가장 효과적임을 밝혔지만 이중 어느 한

기법만 사용하기보다는 한 회기 내에서 두 가지 이내

의 기법을 함께 병행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Bier et al., 2008).

얼굴-이름 연상학습(face-name association)은 최근

널리 사용되는 치매노인의 기억력 향상을 위한 방법으

로 기억력에 미치는 효과 역시 많은 연구를 통해 증명

되었으며 부분의 연구에서 시간차 회상훈련을 병행

한 오차배제훈련을 실시하였다(Bier et al., 2008; Clare et al., 2003; Clare et al., 2000; Clare et al., 2001; Clare et al., 2002; Jean et al., 2007; Metzler-BaddEley & Snowden, 2005).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노인의 얼굴-이름 연상학습에 시간차 회상훈련을 병

행한 오차배제훈련을 실시한 결과 각 회기 별 회상성

공률 기록을 통해 기억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밝혀졌다(Jean et al., 2007). 경도 치매노

인을 상으로 한 연구에서 Clare 등(2000)은 오차배

제훈련 원리를 기반으로 6명의 상자에게 중재훈련

을 세분화하여 제공하여 이 중 5명의 상자에게 유

의미한 기억력 향상이 나타났고 6개월 이후까지 지속

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하지만 상자의 기초선, 중재, 중재 후, 추적기간 단계별 평균 회상률만 제시하

여 각 회기별 변화 추이에 해 확인할 수 없었다

(Clare et al., 2000). 국내 문헌에서 Lee 등(2009)은 최경도 치매노인 13

명, 경도 치매노인 6명에게 각각 시간차 회상훈련을

병행한 오차배제훈련을 적용하여 5개 단어 연상학습

의 기억력 증진에 효과적임을 밝혔다(Lee et al., 2009). 또 다른 연구에서는 시간차 회상훈련을 병행한 오차

배제훈련이 단어 연상학습에서 경중등도 치매노인 31명의 인지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장종

식, 2011). 국내 선행 연구는 단어 연상학습을 주로 사

용하여 시간차 회상훈련을 병행한 오차배제훈련이 얼

굴-이름 연상학습을 통해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제한이 있다.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얼

굴-이름 연상학습에 시간차 회상훈련을 병행한 오차

배제훈련 적용 시 경도 치매노인의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을 각 회기별 기록하여 그 변화를 명확하게 검증

하고자 한다. 경도 치매 노인의 인지재활훈련 효과를

세분화하여 살펴봄으로써 국내 임상에서 적용 가능한

인지재활프로그램의 치료적 근거를 마련하고 프로그

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 본 연

구의 목적이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에 참여한 상자는 서울시 J구에 거주하는

84세 여성으로 신경정신과 전문의로부터 2011년 7월

치매로 진단을 받아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고 있다. 임상치매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CDR)상 1로

경도치매가 확인되었으며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MMSE-K)상 확

정적 치매인 18점으로 인지저하가 뚜렷하였다. 알렌

인지 수준판별검사(Allen Cognitive Level Screening; ACLS)상 4.4로 목적-지향적 학습단계였다. 상자는

발병 후 1년여 간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고 있으며

학을 졸업하여 중학교 교사로 20년 이상 근무 후

퇴직하였다. 남편과는 사별하여 장녀 그리고 손녀 2명과 함께 생활하고 있으며 고혈압과 심장질환 병력이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상자는 한글을 적고 읽기

가능하며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과적 병력이

없다. 연구과정에 필요한 청력이나 시력에 제한이 없

고 이전에 유사한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경험은 없다.

2. 연구설계

본 연구는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 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로 설계하였으며 2012년 5월 18일부터 6월 26일까지 약 6주간 총 12회기에 걸쳐 서울시

소재 주간보호시설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회기

를 시작하기 전 사전 방문하여 상자의 기본적인 인

Page 21: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17

지기능을 평가하고 실험은 기초선 기간 A는 3회기, 치료기간 B는 6회기, 기초선’ 기간 A'는 3회기 실시하

였다. 기초선 기간 3회기에서는 5장의 사진을 1장씩

25번 보여주어 이름을 알고 있는지 확인하였고 3회기

동안 안정적인 기초선 있으면 중재를 시작하였다. 치료기간 B에서는 사진을 보여주며 시간차 회상훈련을

병행한 오차배제훈련을 주 2회 3주 동안 총 6회기에

걸쳐 수행하였다. 매 회기 사진의 25번의 시도에 따른

이름 회상 성공 횟수를 기록하여 회상성공률(%)로 환

산하였으며 기초선 기간 A 3회기는 사진을 보여주어

이름을 알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3. 평가도구

1) 대상자 선정 시 사용한 검사도구

① 임상치매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CDR)본 연구에서 상자 선정 시 치매의 중등도를 평가

하기 위해 (Clinical Dementia Rating; CDR)을 사용하였

다. 기억력 및 지남력 그리고 판단력과 문제해결능력, 사회활동, 집안생활과 취미, 위생과 몸치장의 6가지

영역에 한 치매노인의 전반적인 인지 및 사회기능

정도를 측정하는 표적인 등급척도로 치매의 임상단

계를 5단계로 평가한다(Morris, 1993). 검사자는 환자

및 보호자와의 면담을 통해 6가지 기능을 파악하고

각 영역 점수를 참고하여 최종 점수가 0.5는 최경도, 1은 경도, 2는 중등도로 치매의 진행단계를 평가한다. 평가소요시간은 약 40분이고 검사자간 신뢰도는 .83으로 신뢰할 만하다(김기웅 등, 2003). 본 연구 상자

는 CDR상 1.0으로 경도 치매에 해당하여 연구 상자

로 선정되었다.

②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MMSE-K)

본 연구에서는 상자의 인지수준을 확인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었다.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n(MMSE-K)는 Folstein 등(1975)이 제작하고 권용

철과 박종한(1989a)에 의해 한국판으로 번역 및 표준

화되었다(Folstein et al., 1975). 임상에서 간편하게 인

지수준을 평가하는 도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검

사-재검사간 신뢰도는 0.88이며 검사자간 신뢰도는

0.99이다. 검사 결과가 총 30점 만점에 24점 이상은

정상, 20∼23점은 치매의심, 19점 이하는 확실한 치매

로 판정된다(권용철과 박종한, 1989b). 본 연구의 상

자는 MMSE-K상 18점으로 인지손상을 명확하게 확인

할 수 있었다.

③ 알렌인지수준 판별검사(Allen Cognitive Level Screening; ACLS)

Allen Cognitive Level Screening(ACLS)은 상자의

인지수준에 해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Allen과 Earhart (1995)는 목적 있는 활동이라는 작업

치료의 관점에 맞추어 개발된 표준화 도구이며 피아

제이론을 바탕으로 개발된 알렌인지검사의 한 부분으

로 인지기능의 초기 감별을 위해 만들어졌다(Allen & Earhart, 1985). ACLS는 가죽 바느질 과정을 통해 상

자의 지시 따르기, 문제해결, 새로운 정보 학습능력을

판별가능하며 난이도가 증가하는 홈질(running stitch), 감칠질(whip stitch), 코도반 바느질(single cordovan stitch)을 검사자의 시범 및 지시에 따라 순서 로 실

시한다. 3.0∼5.8의 점수 범위 내에서 점수가 높을수록

인지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하며 검사시간은 제한이

없어 능력을 최 한 발휘하도록 충분한 시간이 제공

된다. 검사 결과를 통해 작업치료 계획수립 및 보호자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 가능하다. 본 연구 상자는

ACLS상 4.4로 목적-지향적 학습단계에 해당하였다.

2) 기억력 측정도구 및 회상 간 활동

정치 및 경제 그리고 예술, 연예, 스포츠 분야의 유

명인 사진 15장 중 이름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제, 예술, 연예, 스포츠 분야 사진 5장을 연구도구로 선정하

여 사용하였다. 사진은 컴퓨터를 사용하여 사진

(6cm*8cm)의 크기를 동일하게 조정하였으며 흑백으

로 출력하였다. 선정된 5장의 사진은 매 회기 동일하

게 사용되었으나 제시되는 순서는 무작위로 시행하였

다. 한 회기는 5회 학습 시도와 4회 각기 다른 시간지

연(2, 4, 8, 16분)을 포함하여 40분간 진행되었으며 지

연으로 인한 회상 간 활동은 사진의 인물과 관련이

없는 활동으로 선정하였다. 즉, 사진에 힌트가 될 수

있는 활동과 과도한 기억력이 필요한 활동은 배제하

고 현실인식을 위한 질문과 다양한 수공예 활동, 젠

Page 2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18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가, 퍼즐 등으로 구성하였다(Lee et al., 2009).

4. 실험과정

1) 기초선 기간(A)

얼굴-이름 연상학습을 시행하지 않고 상자가 5장의 유명인 사진 이름을 알고 있는지 3∼4일 간격으

로 3회 측정하였다. 상자를 의자에 앉게 하고, 책상

가장자리에서 15cm 떨어진 지점시선이 닿는 곳에 사

진을 위치시켰다. 연구자가 ‘이 사람의 이름을 말해줄

수 있나요?’ 라고 질문하여 상자가 응답하도록 하였

고, 모른다고 하지 않고 응답을 망설일 경우 ‘정확하

지 않으시면 모른다고 말씀해주세요. 추후에 알려 드

릴게요’ 라고 하여 오차의 발생을 최소화하였다. 시행

되는 동안 상자가 사진 속 얼굴의 이름을 물어볼

경우에도 역시 ‘추후에 알려 드릴게요’ 라고 하였으며

선정된 5장의 사진은 매 회기 무작위로 일정한 순서

없이 제시되었다. 회기는 성공여부에 관계없이 시간

차회상을 위한 5번의 회상 시도 후 종료하였으며 매

회기 정확하게 응답한 횟수를 기록한 후 회상성공률

(%)로 환산하였다.

2) 치료기간(B)

얼굴-이름 연상학습은 기초선 시기가 끝난 후 3∼4일 간격으로 40여분 동안 총 6회간 연구자에 의해

실시되었으며 Jean(2007)의 연구에서 적용되었던 방법

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주의집중을 위해 조용한 환

경의 재활치료실에서 이루어졌으며 훈련은 상자의

신체적, 심리적 상태가 안정적인 오후 5시경에 이루어

졌다. 연구자와 일 일 상황에서 실시되었고 연구자

가 ‘이 사람의 이름을 말해줄 수 있나요?’ 라고 하면

상자가 응답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모른다고 하지

않고 응답을 3초 이상 망설일 경우 ‘정확하지 않으면

추측하지 마시고 모른다고 말씀해주세요. 정답을 알

려 드릴게요’ 라고 하여 오차발생을 최소화한 후 정답

을 알려주었다. 시간차 회상 패러다임으로 인한 시간

지연(2, 4, 8, 16분) 간격은 상자의 수행에 기초하여

조절되었으며 회상시도에서 실패가 발생한 사진의 경

우 이전에 성공했던 지연시간으로 되돌아가 다시 회

상을 시도하였다. 예를 들어, 4분 지연에 실패하면 이

전 지연시간인 2분으로 되돌아가 회상을 시도하고 이

에 성공할 경우 다음 지연간격인 4분을 시도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회상에 성공할 경우 다음 시간지

연 간격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사진 5장을 1장 당 5번에 걸쳐 회상을 시도하였다.

3) 기초선’(A’)

얼굴-이름 연상학습을 종료한 후 기초선 시기 때

와 같은 방법으로 사진 5장의 이름을 알고 있는지 5번씩 총 25번에 걸쳐 물어보았으며 3∼4일 간격으로

3회기에 걸쳐 측정하였다.

5. 분석방법

시간차 회상훈련을 병행한 오차배제훈련이 기억력

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각 측정값을 그래프

로 나타내어 시각적 분석을 이용하였다.

Ⅱ. 연구결과

6주간 총 12회기에 걸친 기초선, 치료, 기초선’ 시도에 한 회기별 회상성공 횟수와 회상성공률은 다

음과 같다(표 1). 기초선 측정 3회기 내 오차발생을 최

소화한 상황에서 회상성공 횟수와 회상성공률은 1회기에 0번(0%)이었고 2∼3회기에 2번(12%)으로 약간

증가하여 안정적인 측정값을 얻을 수 있었다(그림 1). 회상훈련을 병행한 오차배제훈련이 시작된 훈련기간 4, 5회기에 회상성공 횟수는 각 10번(40%), 21번(84%)으로 주목할 만한 수행의 개선이 뚜렷하였고 훈련이 지

속된 9회기까지 유지되었다. 이후 다시 훈련이 없는

기간 10회기에서 22번(88%)으로 유지되었으나 11회기

에 20번(80%)으로 약간 감소하였다. 본 연구 설계 시

총 12회기를 진행할 계획이었으나 상자가 낙상으로

인한 고관절 골절로 요양원에 입원함에 따라 마지막

회기를 진행하지 못하고 11회기로 연구를 종료하게

되었다.

Page 23: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19

회기 회상성공수/시도횟수 회상성공률(%)1 0/25 0

기초선 2 3/25 123 3/25 124 10/25 405 21/25 84

치료선 6 21/25 847 21/25 848 23/25 929 22/25 88

10 22/25 88기초선’ 11 20/25 80

12 N/A N/A

표 1. 회기별회상성공수와 회상성공률

그림 1. 회기별 회상성공률

Ⅳ. 고 찰

치매노인에게 있어서 나타나는 특징적 인지 증상인

기억력의 장애는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사회참여에 어

려움을 초래하게 되며 치매 노인에게 삶의 질을 증진

시키기 위한 주요 접근법으로 작업치료가 검증되었다

(Christofoletti et al., 2008; Craik, 1998). 기억력 훈련프

로그램을 적용한 연구가 개인과 집단으로 다양하게

적용되어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반면 국내에서는

몇몇 연구에서 주로 집단을 상으로 기억력훈련프로

그램을 시행하여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치고 있어 그

효과를 세부적으로 분석하는데 제한이 있다(Clare &

Jones, 2008; Clare et al., 2003; Clare et al., 2000; Lee et al., 2009; Metzler-BaddEley & Snowden, 2005; Thivierge et al., 2008).

기억력 훈련 프로그램은 연습과 반복, 외부 보조도

구 사용, 점진적 단어소실, 시간차 회상훈련, 오차배제

훈련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간차 회상훈련을 병행한 오차배제훈련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보고된다(Bier et al., 2008). 이에 본 연

구에서는 경도 치매노인의 얼굴-이름 연상학습에 기

억력 향상을 위해 시간차 회상훈련을 병행하고 오류

를 최소화하는 오차배제훈련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

를 통해 시간차 회상훈련을 병행한 오차배제훈련이

기억력에 미치는 효과를 면밀하게 알아보고 작업치료

의 인지재활에 있어서 기억력 훈련 프로그램에 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시간차 회상훈련을 병행한 오차배제훈련(B)을 실시

한 결과 기초선(A)보다 회상성공률이 급격히 증가하

여 치료 효과가 탁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림 1에서와 같이 시간차 회상훈련을 병행한 오차배제훈련

시행도중에는 그래프가 전반적으로 상승곡선을 보이

며 기억력 효과가 지속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본 연구

의 결과는 시간차 회상훈련을 병행한 오차배제훈련이

치매노인의 기억력을 향상시킨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한다(Clare et al., 2003; Thivierge et al., 2008). Clare 등(2003)은 남자 경도 치매노인에게 13명의 이

름 학습 시 시간차 회상훈련을 병행한 오차배제훈련

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기초선에서 회상성공률

2.31%에서 치료 후 91.46%로 현저히 증가하였고 추후

검사에 있어서도 치료의 효과는 완만한 하강곡선을

보이며 유지되었다. 경도 치매노인남자 1명, 여자 1명에게 시간차 회상훈련을 병행한 오차배제훈련을 적용

한 Thivierge 등(2008)의 연구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

인다. 유명인 5명의 얼굴-이름학습을 시행하였는데

훈련시작 후 상자 2명 모두에게 회상성공률이 급격

히 증가한 후 유지되고 있으며 실험 후 추후검사에서

약간 감소하는 경향만 나타난다(Thivierge et al., 2008). 본 연구는 기억의 문제로 인해 다양한 문제가 발생

하는 경도 치매노인에게 효과적임을 증명하고 새로운

인지재활 치료적 접근 방법에 한 이론적 근거를 제

시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기초선’(A’)기간이 3회

Page 2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2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기로 실시되었다면 치료기간 동안 얼굴-이름 연상학

습에서 보여주었던 기억력 개선이 치료 종료 후 유지

여부에 해 보다 명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을 것

이다. 또한 실험 후 추후검사를 1달, 3달 후 시행하였

다면 경도 치매노인의 기억력에 미치는 장기효과를

볼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되어 아쉬움이 남는다.본 연구의 제한점은 1명을 상으로 한 단일사례연구

이므로 상자 수가 적어 그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

가 있고 기초선’(A’)의 회상성공률의 추이 비교 및 치료

의 효과 장기적 지속여부를 알아보는데 제한이 있었다. 따라서 경도 치매노인을 위한 시간차 회상훈련을 병행

한 오차배제훈련의 효과를 명확하게 증명하기 위해

상자의 확 , 오차배제훈련을 적용한 조군 설정 및 치

료 후 추후조사 등을 통해 외적 타당도를 높이고 일반화

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경도 치매노인에게 시간차 회상훈련

을 병행한 오차배제훈련을 적용하였을 때 기억력 향

상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개별실험 연구방법

(single 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를

사용하였다.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84세 경도 치

매 노인을 상으로 6주 동안 주 2회, 총 11회기에 걸

쳐 오차배제훈련을 실시하였고 회기별 회상성공 횟수

와 회상성공률을 매회기 측정 및 계산하여 비교하였

다. 시간차 회상훈련을 병행한 오차배제훈련은 얼굴

-이름 연상학습을 사용하였으며 유명인 5명의 사진

을 각 5번씩 총 25번에 걸쳐 제시하였다. 기초선1에서 회상성공률은 평균 8%로 매우 낮았으

나 3주간 6회기에 걸쳐 시간차 회상훈련을 병행한 오

차배제훈련을 실시한 결과 치료기간의 회상성공률이

평균 78.6%로 현저히 상승하여 의미있게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시간차 회상훈련을

병행한 오차배제훈련이 경도 치매노인의 기억력을 향

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국

내에서도 이 같은 기초 연구를 기반으로 치매노인의

기억력에 미치는 효과를 명확하게 검증하기 위한 후

속 연구가 이어지길 바란다.

참고문헌

권용철, 박종한. (1989a). 노인용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의 표준화연구. 한국정

신의학회지, 28(1), 125-135.권용철, 박종한. (1989b). 노인용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의 표준화연구: 구분점

및 진단적 타당도. 한국정신의학회지, 28(3), 508-513.김기웅, 김성윤, 김주한, 우성일, 우종인, 윤종철 등.

(2003). CERAD-K. 서울: 서울 학교출판부.보건복지부. (2008). 치매종합관리 책. 서울: 보건복지부.장종식. (2011). 시간차 회상훈련에 따른 치매환자의

인지변화가 우울과 일상생활수행에 미치는 영향. 논산: 건양 학교.

Acevedo, A., & Loewenstein, D. A. (2007). Nonpharmacological cognitive interventions in aging and dementia.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and Neurology, 20(4), 239-249.

Allen, C. K., & Earhart, C. A. (1985). Occupational ther-apy for psychiatric diseases: Measurement and man-agement of cognitive disabilities: Brown Boston, Little.

Baddeley, A., & Wilson, B. A. (1994). When implicit learning fails: Amnesia and the problem of error elimination. Neuropsychologia, 32(1), 53-68.

Bier, N., Van Der Linden, M., Gagnon, L., Desrosiers, J., Adam, S., Louveaux, S., & Saint-Mleux, J. (2008). Face-name association learning in early Alzheimer’s disease: A comparison of learning methods and their underlying mechanisms. Neuropsychological rehabilitation, 18(3), 343-371.

Bier, N., Vanier, M., & Meulemans, T. (2002). Errorless learning: A method to help amnesic patients learn new information. Journal of Cognitive Rehabilitation, 20, 12-18.

Christofoletti, G., Oliani, M. M., Gobbi, S., Stella, F., Gobbi, L. T. B., & Canineu, P. R. (2008). A con-trolled clinical trial on the effects of motor inter-vention on balance and cognition in institutionalized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Clinical Rehabilitation, 22(7), 618-626.

Clare, L., & Jones, R. S. P. (2008). Errorless learning in

Page 25: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21

the rehabilitation of memory impairment: a critical review. Neuropsychology review, 18(1), 1-23.

Clare, L., Wilson, B., Carter, G., & Hodges, J. (2003). Cognitive rehabilitation as a component of early inter-vention in Alzheimer’s disease: a single case study. Aging & mental health, 7(1), 15-21.

Clare, L., Wilson, B. A., Carter, G., Breen, K., Gosses, A., & Hodges, J. R. (2000). Intervening with everyday memory problems in dementia of Alzheimer type: an errorless learning approach.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22(1), 132-146.

Clare, L., Wilson, B. A., Carter, G., Hodges, J. R., & Adams, M. (2001). Long-term maintenance of treat-ment gains following a cognitive rehabilitation inter-vention in early dementia of Alzheimer type: A single case study. Neuropsychological rehabilitation, 11(3-4), 477-494.

Clare, L., Wilson, B. A., Carter, G., Roth, I., & Hodges, J. R. (2002). Relearning face-name associations in early Alzheimer’s disease. Neuropsychology; Neuropsychology, 16(4), 538-547.

Clare, L., & Woods, R. T. (2004). Cognitive training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people with early-stage Alzheimer’s disease: A review. Neuropsychological re-habilitation, 14(4), 385-401.

Craik, C. (1998). Occupational therapy in mental heal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1(5), 186-192.

Folstein, M. F., Folstein, S. E., &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2(3), 189-198.

Grandmaison, E., & Simard, M. (2003). A critical review of memory stimulation programs in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Neuro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15(2), 130-144.

Jean, L., Simard, M., van Reekum, R., & Bergeron, M. E. (2007). Towards a cognitive stimulation program using an errorless learning paradigm in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Neuropsychiatric Disease and Treatment, 3(6), 975-985.

Kessels, R. P. C., & Hensken, L. M. G. O. (2009). Effects of errorless skill learning in people with mild-to-moderate or severe dementia: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NeuroRehabilitation, 25(4), 307-312.

Lee, S. B., Park, C. S., Jeong, J. W., Choe, J. Y., Hwang, Y. J., & Park, C. A., et al. (2009). Effects of spaced retrieval training(SRT) on cognitive function in Alzheimer’s disease(AD) patient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49(2), 289-293.

Metzler-BaddEley, C., & Snowden, J. S. (2005). Brief report: Errorless versus errorful learning as a memory rehabilitation approach in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27(8), 1070-1079.

Morris, J. C. (1993). The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current version and scoring rules. Neurology, 43(11), 2412-2414.

Olazarán, J., Reisberg, B., Clare, L., Cruz, I., Peña-Casanova, J., & Del Ser, T., et al. (2010). Nonpharmacological therapies in Alzheimer’s disease: a systematic review of efficacy.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30(2), 161-178.

Santana-Sosa, E., Barriopedro, M. I., Lopez-Mojares, L. M., Perez, M., & Lucia, A. (2008). Exercise Training is Beneficial for Alzheimer’s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Medicine, 29(10), 845-850. doi: 10.1055/s-2008-1038432

Thivierge, S., Simard, M., Jean, L., & Grandmaison, É. (2008). Errorless learning and spaced retrieval techni-ques to relear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mild Alzheimer’s disease: A case report study. Neuropsychiatric Disease and Treatment, 4(5), 987.

Van Iersel, M. B., Hoefsloot, W., Munneke, M., Bloem, B. R., & Olde Rikkert, M. G. M. (2004). Systematic review of quantitative clinical gait analysis in patients with dementia. Zeitschrift Fur Gerontologie Und Geriatrie, 37(1), 27-32.

Page 2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22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Abstract

The Effects of Errorless Learning on Mild Demented Old Adult’s Memory- A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

Lee, Yu-Na*, B.H.Sc., O.T., Yoo, Eun-Young**,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rrorless learning on memory with mild dementia.

Methods : A single 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with ABA design was employ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 composed of 12 session in total and each session measured recall scores: 3 sessions for baseline and 6 sessions for treatment, 3 sessions for the second baseline. For one persons with mild dementia, errorless learning executed for 6 weeks, two times per week, and 40 mi-nutes each time. The main goal of the 6 training sessions was to re-learn face-name associa-tion within errorless learning paradigm.l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improvements during the treatment phase. The recall scores improved from a mean of 8% at initial baseline to 78.6% during intervention.

Conclusion : These results was demonstrated the efficacy of an errorless learning paradigm in old adult with dementia.

Key Words : Errorless learning, Face-name association, Memory, Dementia

Page 27: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노인의 작업수행에 대한 인간작업모델(Model of Human Occupation)의 적용

- 사례연구 -

임경민*, 정민예***연세 학교 학원 작업치료학과

**연세 학교 작업치료학과

목적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인간작업모델을 적용하여 작업수행의 문제점과 흥미, 중요도 등을 파악하

여 적절한 중재를 하여 노인의 작업수행 유지와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65세 이상 노인에게 인간작업모델에 기초한 자가작업평가, 의지평가, 작업설문지, 여가활동 평가를

실시하여 작업수행력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작업 치료적 중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연구결과 자가작업평가 결과 능력 점수가 52점에서 60점으로 가치 점수가 47점에서 54점으로 향상

되었다.

결론노인에게 인간작업모델을 적용하는 것은 대상자를 보다 전인적으로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근

거가 되며, 대상자를 보는 관점을 변화시켜 대상자가 원하는 다양한 치료방법을 제시하여 클라이언

트의 참여도와 만족도를 증가시키며 작업치료서비스의 전문성과 질을 향상시킬 것이다.

주제어 노인, 인간작업모델, 작업수행

교신저자 : 정민예([email protected])∥접수일 : 2012년 11월 09일∥개재승인일 : 2013년 04월 12일

Ⅰ. 서론

노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인적으로 신체적, 정서

적, 기능적 능력의 감소를 보인다. 나이와 연관된 신체

적, 정서적, 기능적 감소는 노인의 활동 참여를 제한

하거나 감소시킨다. 이러한 활동의 감소로 인해 사회

적인 참여가 줄어들게 되고, 우울이나 삶의 질 저하를

경험하게 되며 이는 또 다시 활동에 제한을 가져온다

(Arbesman & Mosley, 2012). 따라서 노인에게 이러한

문제들로 인한 일상적인 작업을 유지하거나 제약을 줄

일 수 있는 치료적인 중재가 필요하다(Clark et al., 2012).작업치료는 노화에 따른 감소로 인해 줄어드는 작

업에 한 참여를 유지시키거나 늘릴 수 있는 중재방

법이다. 이것은 손상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작업에

초점을 맞추어 치료하는 재활의 한 영역이다(Kramer et al., 2009). 하지만 부분의 작업치료영역에서 손상

에 맞춰 평가를 하여 중재를 하고 있다(Brown et al., 2005). 따라서 작업치료사는 클라이언트의 삶과 연결

된 작업수행에 한 문제영역을 정의하는데 제한이

있고, 작업에 참여를 파악하는 것을 간과하게 된다.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미국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작업에 초점을 맞춘

모델은 인간작업모델이다(Lee et al., 2012). 이것은 인

간의 작업적 기능(occupational function)을 설명하고, 개인이 어떻게 작업적 일상생활 중에 작업적 행동

(occupational behavior)을 선택하고, 체계화시키며, 수

행하는지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 모델은 작업수행에

중요한 세 가지 하부 체계로 설명된다(강 혁, 2001).

Page 2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24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첫째 의지(volition)체계는 작업을 할 수 있다는 개인

적인 사유(personal causation), 가치체계(values), 흥미

(interest)로 구성되어 있어 활동에 한 욕구를 결정하

는 데 합리적이다. 두 번째 습관화(Habituation)체계는

습관이나 역할을 이용해 반복적인 행동을 통하여 개

인적으로 익숙한 물리적, 시간적, 사회적 환경에서 효

과적이고 자연스럽게 행동을 표현하게 한다. 세 번째

수행(performance)체계는 환경과의 상호작용 중에 형

성되는 다양한 요소의 상호작용으로 어떤 작업을 성

취하기 위해 요구되는 활동들을 능동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Josephsson et al., 1995). 이 요소들은 작업 선택

과 작업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써 개인의 성향뿐

만 아니라 그가 처한 환경의 영향도 매우 중요시한다. 이런 맥락에서 인간의 활동을 연구하는 작업과학 학

자들은 인간은 작업적 존재이므로 인간이 존재하는

가치는 자신에게 중요한 활동이 무엇이고, 얼마나 활

동에 참여하는지에 따라 존재가치가 달라진다는 것이

다(Kielhofner, 200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상으로 인간작업모

델을 적용하여 작업수행의 문제점과 흥미도, 중요도

등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중재를 시도하여

노인의 작업수행 유지와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연구에 참여한 클라이언트는 78세 여성분으로, 시골에서 혼자 생활하시다가 2011년 8월에 갑자기 불안

으로 인해 신체적인 기능의 저하를 보여 병원 치료 2주 후 퇴원하여 자녀들과 함께 생활하게 되었다. 지금

현재는 큰딸과 동거중인 상태이다. 2011년 9월 낙상으

로 인해 흉추 3∼4번 압박골절, 2012년 3월 낙상으로

인해 왼쪽 어깨골절로 인해 움직임에 해 두려움이

큰 상태이다. 이로 인해 많은 활동에 제약으로 밥 먹

기 이외의 활동에는 보호자가 많은 도움을 주고 있으

나 보호자의 부담이 가중된 상태이다. 한국판 간이정신상태 검사 결과 17점, Allen cogni-

tive level screening test 4.0으로 인지적인 저하를 보이

며, 오른쪽 어깨는 150도 굽힘이 일어나나 왼쪽 어깨

는 90도정도 굽힘이 일어나는 상태이다. 균형검사인

Berg balance 검사상 30점이었다.

2. 연구절차 및 기간

본 연구는 2012년 5월 11일부터 6월 13일까지 클라

이언트의 가정에서 시행되었다. 연구자는 5월 11일부

터 5월 20일까지 상자의 가정을 방문하여 상자의

관찰 및 면담을 시행하고 그 후 중재를 실시한 후 재

평가를 실시하였다.

3. 평가도구

1) 자가작업평가(Occupational Self Assessment, OSA)

자가작업평가는 인간작업모델에 근거한 클라이언

트 중심 자가 보고식 평가도구이다. 이것은 일상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의 능력과 가치에

한 자기 인식 정도와 작업에 한 중요도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이다(Baron et al., 2006). 수행과 참

여에 관한 21개 항목에 해 능력과 가치에 한 점

수를 표시하는 것이다. 능력은 각 질문에 해 “많은

어려움이 있다”, “약간 어려움이 있다”, “잘 할 수 있

다”, “매우 잘 할 수 있다”로 각각 1∼4점으로 평가한

다. 가치는 각 질문에 해 “전혀 중요하지 않다”, 약간 중요하다”, “중요하다”, “매우 중요하다”로 각각 1∼4점으로 평가한다. 각 항목에 한 점수 척도는 라

쉬분석모델을 통해 구성되었으며, 높은 내적 타당도

를 가지고 사람들 사이에 가치와 능력의 차이가 분명

하고 민감하다고 보고되었다(Kielhofner et al., 2009). Kielhofner 등(2009)은 86명(20∼79세)의 클라이언트들

을 상으로 자가작업분석을 실시하여 능력에 한

항목과 가치 항목 각각에 하여 각각 3.17, 3.29의 분

리도 지수(person separation index)와 0.91과 0.92의 신

뢰도 지수(person reliability)를 산출하여 내적 타당도

가 높고 민감도가 높다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클라이언트가 문맹이므로 묻고 답하

는 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점수를 묻는 것은 아동자가

작업평가(Child Occupational Self Assessment; COSA)

Page 29: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25

(Keller, 2005)의 그림점수판을 보여 짚어보도록 하여

진행하였다.

2) 의지평가(Volitional Questionnaire; VQ)

클라이언트의 동기에 한 정보를 얻어내기 위해

개발된 인간작업모델에 근거한 관찰평가도구이다. 14개 항목에 해 관찰자가 “지지, 구조화, 격려 없이도

행동(Spontaneous; S)”, “최소한의 지지, 구조화, 격려

있어야 행동(Involved; I)”, “최 한의 지지, 구조화, 격려가 있어야 행동(Hesitant; H)”, “지지, 구조화, 격려

있어도 행동 보이지 않음(Passive; P)”의 4가지로 점수

를 매긴다. 만약 기회가 없어 관찰되지 않는 항목에

해서는 N/O로 나타낸다(Heras, 2007).

3) 작업설문지(Occupational Questionnaire; OQ)

작업설문지는 Smith 등(1986)이 개발한 것으로 본

설문지는 30분 단위로 활동한 사항을 기록하고 각각

의 활동에 하여 포함되는 영역을 표시하고, 수행도, 중요도, 흥미도에 한 점수를 기입한다. 각 활동에

한 점수는 3점 척도로 수행도는 보조가 필요함(1점), 보통(2점), 독립적으로 수행함(3점)으로, 중요도는 중

요하지 않음(1점), 보통(2점), 중요함(3점), 흥미도는

싫어함(1점), 보통(2점), 좋아함(3점)으로 채점한다.

4) 여가활동평가(Interest Checklist; IC)

여가활동평가는 개인의 흥미 유형들과 특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이것들을 통해 일생에 거쳐 관련된

흥미를 예견할 수 있다. 또한 흥미 있는 작업을 발견

하여 개인별로 치료계획 설정에 사용할 수 있고, 각

개인의 역할, 활동의 유형, 능력에 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Rogers 등에 의해서 3주 간격으로 이루어진 검사

-재검사 신뢰도는 .84∼.92였다(Klyczek et al., 1997)

5) 작업환경평가 면접과 척도(the Occupational

Circumstances Assessment Interview and Rating

Scale; OCAIRS)

개인의 작업참여 정도와 상황에 한 정보를 제공

하는 반구조화된 인터뷰 형식의 평가도구이다. 12문항을 1∼4점으로 채점하며, 점수는 전체 항목에 한

평균점수로 산정한다. 평균점수 1은 바람직한 참여 증

진을 위해 광범위한 작업치료가 필요하므로 사후 서

비스를 위해 타 기관 의뢰를 권고하고 점수 2는 바람

직한 참여 향상과 회복을 위해 작업치료가 필요한 상

태이다. 점수 3은 최소한의 작업치료 중재/상담이 필

요하고 점수 4는 긍정적인 작업 참여를 보이므로 작

업치료가 필요 없는 상태이다(Forsyth et al., 2005).

Ⅲ. 연구 결과

1. 초기 평가결과

자가작업평가에서 변화하고 싶은 영역으로 내가 필

요한 것을 신체를 사용하여 실행하는 것, 내가 사는

장소를 관리하는 것, 자기 관리 활동, 내가 필요한 곳

으로 가는 것을 선택하였다. 이 항목에 한 능력과

가치는 표 1과 같다. 의지평가결과는 주어진 과제물에 호기심을 보이고

자발적인 시작이 가능하고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하는

활동에 해서는 마무리가 될 때까지 최소한의 지지로

도 연속적으로 수행한다. 그러나 목표를 보이거나 실수

를 바로 잡으려는 노력,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들의 수

준은 최 한의 지지 이상이 있어야 약간의 수행을 보이

거나 아예 행동을 보이지 않는 상태이다. 스스로 도전

을 하거나 하는 행동은 관찰되지 않지만 주어진 활동에

해서는 지속적으로 수행하므로 난이도를 조절하면서

작업을 시행하도록 하여 어려운 작업에 도전할 수 있도

록 목표를 잡아가도록 하는데 고려하였다(표 2).작업설문지평가 결과 밥 먹기, 물리치료, 야외 산책

등을 중요시 생각하고 있고, 누워있기, 물리치료, 야외

산책 등에 흥미가 높으나, 물리치료와 야외산책은 혼자

서 시행 못하는 관계로 수행도가 낮은 상태이다(표 3). 여가활동평가결과 과거에는 누워 쉬기, TV보기, 야

외산책, 쇼핑, 종교 등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였으나

현재는 누워 쉬기, TV보기, 전화에 한 참여도가 높

고 미래에는 청소, 요리 등 과거에 자주 하셨던 활동

들을 하고 싶어하고 바깥출입을 할 수 있는 산책하기, 쇼핑, 여행, 외식 등의 활동을 하고 싶어한다(표 4). 또한 본인이 과거에 시행해 본 적이 없는 요가, 골프, 수영 등을 물어볼 때는 화를 내셔서 보호자에게 과거에

Page 3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26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수행하셨던 활동들을 확인 후 관련 있는 활동들 위주

로 물어보았다.작업환경평가결과 전체적인 점수의 평균은 2점으로

바람직한 참여 향상과 회복을 위해 작업치료가 필요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본적인 일상생활도

습관화되지 않아 딸의 도움이 있어야 시행하고 자신의

목표나 가치에 한 생각이 거의 없는 상태이다. 또한

신체적인 기능에 제한이 있기는 하나 기본적인 일상생

활이나 간단한 활동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

지만 넘어질까 무섭고 왼쪽 팔도 아프다는 이유로 보

호자에게 많이 의존하는 상태이다. 하지만 가족들의 지

지는 좋은 상태로 치료에도 매우 협조적이었다(표 5)

항목 능력 가치

내가 필요한 것을 신체를

사용하여 실행한다.잘함 매우 중요

가정 관리 활동을 할 수 있다. 많은 어려움 약간 중요

자기관리 활동을 할 수 있다. 많은 어려움 중요

내가 필요한 곳에 갈 수 있다. 약간 어려움 중요

표 1. 자가작업평가결과

세팅: activity(리본카드만들기)항목 등급 설명

호기심 보임 P H I S N/O 앞에 재료가 제시되자 만지기 시작

행동/과제 시작 P H I S N/O 시작하세요하는 말에 하기 시작

새로운 것 시도들 P H I S N/O 하나 끝내고 자발적으로 다음 것 시행

선호를 보임 P H I S N/O수행하시며 얼굴에 웃음은 없으나 가족에게 ‘나 이런 것도

해본다.’ 하시며 말씀하심

하나의 활동이 특별하거나

중요한 것으로 보임P H I S N/O

재미있냐는 물음에 대답은 하지 않으나 끝까지 집중하여

수행하심

목표를 보임 P H I S N/O 다음에는 뭐하고 싶으세요라는 물음에 알아서 하라고 함

관계유지 P H I S N/O 수행에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수행하려고 하심

자신감 보임 P H I S N/O언어적으로는 못한다고 하나 가족들이 뭐하냐고 하면 한

것들을 보여주심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들 P H I S N/O종이들이 계속 엉켜서 얽혀버리는데 고정시키려는 노력

은 보이지 않아 치료사가 더 두꺼운 종이로 대체해드림

실수를 바로 잡으려는 노력들 P H I S N/O어디가 틀렸냐고 물어보는 치료사의 말에 틀린 곳을 찾

기는 하나 그것을 고치기 위한 시도는 없어 지속적으로

지시를 해주어야 함

완성/성취를 위한 활동 추구 P H I S N/O제시된 예시물을 처음에만 보고 한 가지 방법으로 지속

적으로 수행하여 결과물에 실수를 보임

추가적인 에너지/감성/집중력 투자 P H I S N/O추가적인 책임 추구 P H I S N/O 정리하자는 요구에 자신의 앞에 있는 종이만 봉지에 담으심

도전추구 P H I S N/O 또 다른 것 하실래요라는 물음에 못한다고 함

S: 지지, 구조화, 격려 없이도 행동, I: 최소한의 지지, 구조화, 격려 있어야 행동

H: 최대한의 지지, 구조화, 격려가 있어야 행동, P: 지지, 구조화, 격려 있어도 행동 보이지 않음, N/O: 기회가

없어 관찰되지 않음

표 2. 의지평가결과

Page 31: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27

시간 활동 수행도 중요도 흥미도

6:00∼7:00 누워있기 1 2 37:00∼7:30 밥 먹기 3(setting 해주었을 때) 3 27:30∼8:00 세수, 양치, 머리 감기 등 1(머리 감기시) 2 18:00∼9:00 물리치료 1 3 3

9:00∼10:30 소파에 누워 TV시청 3 2 210:30∼11:00 간식(과일이나 요플레) 3(setting 해주었을 때) 2 211:00∼12:00 침대에 누워있기 3 2 312:00∼13:00 TV시청 3 2 213:00∼13:30 점심식사 3 3 213:30∼14:00 휴식 3 2 214:00∼15:00 딸과 야외산책 1 3 315:00∼15:30 간식 3 2 215:30∼17:00 잠자기 3 1 217:00∼18:00 TV시청 3 2 218:00∼18:30 밥 먹기 3 2 218:30∼19:30 TV시청 3 2 2

19:30∼ 잠자기 3 2 2

표 3. 작업설문지

활동과거 현재 미래

자주 가끔 자주 가끔 자주 가끔

일상생활활동

청소 0 0 0세탁 0 0 0요리 0 0 0

인지활동

TV보기 0 0 0신체활동

누워 쉬기 0 0 0야외산책 0 0 0사회활동

쇼핑 0 0 0이야기하기 0 0 0

종교 0 0 0노인정가기 0 0 0

전화 0 0 0경조사 참여 0 0 0

관광여행 0 0 0외식 0 0 0

표 4. 여가활동평가

Page 3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28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항 목 점 수 Comment

역 할

I: 현재의 역할에 거의 만족하지 못한다. 다양한 범위의 역할에 대한 책임을 완수

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다.

내가 아파 도움을 받기만 하고 있어. 자식들 편하게 빨

리 죽어야 해. 손자들한테도 아무것도 해 줄 수가 없어.

습 관

I: 일, 자조, 레저 사이에 거의 균형이 맞

지 않음. 일상의 생활에 거의 만족하지

못함

혼자 못하는 게 많으니 도움을 안주면 못해. 예전에는

혼자 살았으닌깐 내가 동네 마실다니며 놀고……. 혼자

알아서 다 했지…….(약도 밥 드시고 나서 약 하고 말

하면 딸이 가져다주고 양치, 세수도 딸이 하라고 해야

하는 상태-관찰)

개인적인

인과관계

A: 잘한 일/자랑스러운 일을 말하는 데

약간 어려워한다.I: 자신의 능력에 거의 자신감이 없다.

내가 잘한 것……. 자식들 잘 키운 거지. 말썽부리는 자

식 없으니 말이야. 어려운 일은 지금은 그냥 뭐 다 어

려워. 넘어질까 무서워 내가 하기 힘들어. 또 넘어지면

어떻게 해. 애들만 힘들게 하지?가 치 I: 가치관을 표현하는 데 거의 확신이 없다. 내게 중요한 것……. 자식들이지 뭐…….

흥 미I: 흥밋거리에 대한 참여 수준에 거의 만

족하지 못한다.사람들도 만나 이야기하고 싶고, 자식들도 자주 봤으면

좋겠는데……. 내 뜻대로 안되네.

기 술

A: 참여할 수 있지만 수행하는 데 운동

기술, 처리기술, 대화/상호작용기술에 약

간의 제한이 있다.

잼 샌드위치 만들기 시 잼 뚜껑을 열 때 도움을 요청하

거나, 그릇을 꺼낼 때, 잼을 바를 때 효율적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활동을 수행하다 주위의 소리 나는 곳으로

시선을 돌리고 하지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사람과 대화시 말을 잘 알아듣지 못하고 엉뚱한

말을 한다(관찰).단기목표 R: 단기목표나 실행할 목표가 전혀 없다.장기목표 R: 단기목표나 실행할 목표가 전혀 없다.

과거 경험에

대한 해석

R: 최악의 시기에 대해서만 이야기하고

최고의 시기는 언급이 없다.

젊어서 할아버지한테 몽둥이로 맞고 내 허리가 이러는

거야. 얼마 전에는 자식들이 날 요양원에 보내려고 했

어. 내가 요양원에 죽으러 가냐고 안간다고 해서 안 간

거야. 그래도 난 다른 노인들보다는 낫지. 자식들이 다

해 주니깐.

물리적 환경A: 다른 사람들이 어느 정도 참여가 가

능하도록 약간의 지지를 해 준다.

하루 종일 딸이랑 있어. 나는 좋은 것도 구경하고 싶

은데 이젠 할 수 가 없어. 딸은 내가 안 움직인다고

좀 움직이라고 하고. 그래도 딸이랑 사위가 있으니

괜찮지…….

변화에 대한

준비

I: 긍정적 변화로 만들기 위한 의욕이 거

의 없다. 명백하게 자신이 해야 할 부분

을 아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혼자 살다 작년 여름에 죽다 살아난 후로 혼자 못 사니 많

이 바뀌었지. 이젠 자식 없으면 못 사니 말이야. 다른 사람

에게서 당신의 행동이 바뀌어야 한다는 권유를 받는다면 “ 내가 못하는 데 어떻게 바꾸나”라고 화내며 대답하심.

전체 평균

:2.08F: facilitates, A: allows, I: inhibits, R: restricts

표 5. 작업환경평가 면접과 점수 척도

Page 33: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29

2. 중재

클라이언트가 사회활동 영역에서 노인정 가기를 희

망하고 있으며, 집에만 거주하는 것보다 야외출입을

통한 사회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어 집근처에

있는 경로당을 알아보고 시도 시(5월 21일)에는 보호

자 동반하여 모셔다 드리고 모셔왔다. 클라이언트는

현재 낯선 환경에 한 두려움을 줄이기 위해 익숙해

질 수 있게 매일 똑같은 장소를 똑같은 길로 다님으

로써 10일 후(6월 1일)부터는 클라이언트 혼자 가도록

하고 보호자는 뒤에서 클라이언트가 잘 찾아가는지

관찰을 하도록 하였다. 클라이언트 혼자서 잘 수행 가

능하여 보호자의 동행은 없애도록 하였다.일상생활에 한 영역은 자신관리를 본인이 수행하

고 싶어하나 수행도가 낮은 상태로 클라이언트가 많

이 호소하는 불평이 ‘낙상할까봐’이므로 클라이언트

에게 주 3회 가상현실 게임을 통한 균형훈련을 3주(5월 18일∼6월 6일) 시행하였다. 현재는 자신이 사용한

휴지는 휴지통에 가져다 버리는 활동을 하실 수 있으

며, 휴지를 가져다 바닥에 떨어진 것을 닦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바지도 혼자 입기가 가능하다. 또 본인이 치장하기, 빨래하기 등을 희망하고 계시

므로 욕실에 의자를 마련하여 의자에 앉아서 샤워 정

도는 수행하고 일주일에 한번 목욕은 도와주도록 보

호자 교육을 시켰다. 본인의 속옷은 본인이 세면 에

앉아서 빨도록 하고, 다른 빨래는 세탁기에 넣도록 클

라이언트 교육을 하였다. 또한 옷 갈아입기, 양치하기

등은 보호자가 언어적인 지시를 주어야만 행하는 상

태로 보호자에게 양치는 밥 먹으면 바로 화장실에 가

서 시행하고 그 다음에는 속옷을 갈아입도록 준비하

여 습관화가 될 수 있도록 보호자에게 교육을 시켰다. 클라이언트는 본인의 역할에 해 의미를 찾고 있

지 못하므로 보호자에게 빨래개기, 야채 다듬기 등 클

라이언트가 예전에 하였던 앉아서 수행할 수 있는 활

동들에 해서는 참여를 높이도록 보호자 설명하였다.

3. 자가작업평가의 점수 변화

자가작업평가에서 자신의 능력과 가치에 한 인식

수준이 증가하였다. 능력에 한 자기 인식 수준은 52점에서 60점으로 증가하였고, 가치에 한 자기 인식

수준은 47점에서 54점으로 증가하였다. 자가작업평가

에서 변화되고 싶다고 응답한 4가지 항목 중 내가 필

요한 것을 신체적으로 사용하여 실행한다는 중재 후

능력과 가치 점수에 변화가 없었으나, 가정관리 활동

을 할 수 있다와 자기 관리를 할 수 있다의 능력과 가

치 점수는 중재 후 모두 향상되었고, 내가 필요한 곳

에 갈 수 있다는 능력 점수가 변화되었다.

질문능력 가치

중재전 중재후 중재전 중재후

자신에 대하여 노력한다. 4 4 3 3내가 필요한 것을 신체적으로 사용하여 실행한다. 3 3 4 4가정관리 활동을 할 수 있다. 1 2 2 3자기관리 활동을 할 수 있다. 1 3 3 4다른 사람을 보살필 수 있다. 3 3 2 2내가 필요한 곳에 갈 수 있다. 2 3 3 3재정 관리를 할 수 있다. 3 3 1 1음식이나 약을 관리할 수 있다. 4 4 3 3나 자신을 다른 사람에게 표현할 수 있다. 4 4 2 2다른 사람과 친분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4 4 2 4일상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다. 1 2 2 2

표 6. 자가작업평가의 수준 변화

Page 3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3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스스로 휴식시간과 레저를 즐길 수 있다. 4 4 2 3내가 필요한 일을 완성할 수 있다. 3 3 2 2만족감을 주는 일과가 있다. 2 3 2 2맡은 바 책임을 완수할 수 있다. 2 2 2 2학생, 직장인,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이 있다. 2 2 2 2내가 좋아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2 3 2 3목표를 향해 노력하고 있다. 1 1 2 2내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스스로 결정한다. 2 3 2 3계획한 것을 실천한다. 2 2 2 2자신의 능력을 효과적으로 사용한다. 1 2 2 2

계 52 60 47 54능력 1=“많은 어려움이 있다.”, 2=“약간의 어려움이 있다.”, 3=“잘 할 수 있다.”,

4=“매우 잘 할 수 있다.”가치 1=“전혀 중요하지 않다.”, 2=“약간 중요하다.”, 3=“중요하다.”, 4=“매우 중요하다.”

4. 중재 후 관찰된 내용

클라이언트는 현재(6월 13일) 매일 10시에 집에서

나가 집근처 경로당에 혼자서 가서 2시 30분 쯤 집에

돌아오고 있다. 또한 병원도 혼자서 방문한다. 일상생

활에서는 약 먹는 것은 밥 먹고 바로 본인이 가져다

드시고, 양치나 속옷 갈아입기는 습관화시키기 위해

약 먹은 다음 바로 시행하도록 보조자가 언어적인 지

시를 주고 있다. 옷은 보호자가 입혀주지 않아도 상⋅하의 모두 본인이 수행하나 옷매무새는 보호자가 다

시 점검을 해주는 상태이다.클라이언트는 자신의 행동에 해 자신감이 많이

생긴 상태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보호자와

앉아서 빨래 개는 모습도 보이며, 같이 부추를 다듬기

도 하는 등 집안일에 해 활동이 증가되었다.

Ⅳ. 고 찰

최근 작업치료 영역에서 작업치료의 질적 서비스

향상을 위하여 이론에 바탕을 둔 임상적용을 강조하

고 있다(Kielhofner, 2007). 그 표적인 이론으로 인간

작업모델을 볼 수 있다. 인간작업모델은 인간이 행하

는 모든 작업 활동은 개인의 내부적인 요인과 환경적

인 요인이 서로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인간의 어떤 작업이 클라이언트에게 필요

한 것이며, 어떤 작업이 어떤 방식으로 클라이언트의

동기를 이끌어 내고 활동을 조직화하여 주어진 환경

속에서 수행할 수 있는지를 강조하는 것이 인간작업

모델이다. 이 모델은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에 초점

을 맞춘 모델이다. 본 연구는 이를 적용하여 보호자의 도움으로 생활

하는 노인을 상으로 작업유지를 위해 인간작업모델

을 근거로 평가와 중재을 시행하였다. 클라이언트를

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여 환자의 활동 참여와 역할

이 감소하였으며, 자발적인 활동 수행이 없고 보호자

의 지시가 있어야 활동을 수행하며 갑자기 환경이 시

골에서 도시로 바뀌어서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

제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환자는 보호자에게 의존하

는 자신의 활동에 좌절을 느끼며 자신의 목표나 가치

에 한 생각이 저하되었다. 그러나 산책이나 외식 같

은 외부적인 활동에 흥미가 많았고 자기관리 활동이

나 자신이 필요한 활동에 신체를 사용하고 싶어 하고, 원하는 곳으로의 이동에서 변화를 원하고 있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가 흥미 있는 활동들에 한 개입을

실시하였다. 중재 시 클라이언트에게 좋은 요소인 보

호자의 지지를 이용하여 보호자에 한 교육을 많이

실시하였다. 클라이언트에게 직접적인 개입은 클라이

언트가 ‘낙상할까봐’라는 이유를 가지고 많은 활동들

을 시행하지 않고 있어서 균형 훈련을 실시하여 두려

Page 35: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31

움을 감소시켰다. 또한 이와 더불어 보호자가 일정한

시간에 환자에게 약 먹기, 양치하기 등의 활동을 수행

하여 행동의 습관화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자가작업평가 결과 상자가 인식하는 능력과 가치

점수에 향상에 보였다. 이 연구에서 보여준 결과는 Chen 등(1999)의 연구

에서 정형외과적 문제를 가진 외래환자에게 인간작업

이론에 기반을 두어 시행한 가정운동프로그램이 의지

적인 영향으로 효과를 보인 것과 같이 자신이 흥미

있는 작업의 제공은 환자의 작업수행 의지에 영향을

주어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Chen et al., 1999). 또

Elliott & Barris(1987)의 연구에서는 65-91세의 노인

112명에게 인간작업모델을 이용하여 만족도와 역할을

알아보았을 때 의미 있는 역할의 수와 삶의 만족도

사이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또한 생활만족도는

경제활동이나 여가 활동에 참여할수록, 친구와 가족

의 지지가 좋을수록, 종교단체 활동에 참여할수록 높

다고 보고되었다(오승환, 2007). Kielhofner(1984)의 연

구에서는 활동의 양, 활동의 의미, 활동의 능숙함 등

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다고 하였다. 따라서 인

간작업모델에 기초한 클라이언트에게 작업의 적용은

이 연구에서처럼 노인의 역할을 증가시켜서 삶의 만

족도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노인은 나이가 들수

록 신체적인 저하와 인지적인 저하 등을 이유로 활동

에 감소나 역할의 감소를 가져오며, 이로 인해 우울이

나 자기 효능감 등이 감소하여 삶의 만족도가 떨어진

다. 이러한 건강과 신체적 약화에 따른 취약성 때문에

노인은 노동 시장에서 배제되고 가정 내에서의 역할

상실 등 사화와 가정에서 역할의 축소를 가져온다(조경욱, 2005). 따라서 이에 한 적절한 중재가 필요하

다(Elliott & Barris, 1987). 인간작업모델은 클라이언트

의 신체적⋅인지적 손상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의 환

경, 가치 등을 고려하여 환자가 관심 있는 작업에 중

재를 시도함으로써 폭넓은 관점에서 클라이언트 중심

으로 한 걸음 다가가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인간작업모델을 적용하면,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관심

있는 활동을 위주로 치료적 작업이 들어가므로 활동

에 한 능동적 참여를 유도한다. 그리고 그에 맞는

능력을 개발하고 활동에 한 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생활양식을 개발⋅유지⋅재조직화하도록 작업치료서

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사례연구로써 노인 1인에게 시행

한 결과여서 더 많은 노인에게 적용하여 효과를 확인

하여야 할 것이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노인에게 인간작업모델을 적용하여 작업

을 유지⋅향상시키기 위해 평가와 개입을 시행하였

다. 그 결과 기본적인 일상생활활동들에 한 습관화, 여가 활동에 한 증가, 역할에 한 증가 등이 발생

하여 클라이언트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노인 클라이언트에게 인간작업모델의 적용은 상

자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파악할 뿐만 아니라 주위환

경도 파악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에게 맞는 적용방

법을 제시하여 클라이언트의 생활방식을 개발⋅유지⋅재조직화하여 노인의 활동참여를 최 한 유지하도

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작업치료영역에서 노인의

활동참여를 유지⋅증진하기 위한 인간작업모델의

활용은 작업치료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

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 혁. (2001). 인간작업성 모델이 작업치료학에 미친

영향. 한작업치료학회지, 9(1), 163-171.오승환. (2007). 노인의 사회활동 및 사회적 지지가 생

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23, 209-231.

조경욱. (2005). 여성 노인의 건강 지위, 사회적 지지와

여가 활동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7, 203-229.Arbesman, M., & Mosley, L. J. (2012). Systematic re-

view of occupation-and activity-based health manage-ment and maintenance interventions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6(3), 277-283.

Baron, K., Kielhofner, G., Iyenger, A., Goldhammer, V.,

Page 3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32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 Wolenski., J. (2006). The occupational self assess-ment(OSA)(Version 2.0). Chicago: Model of Human Occupation Clearinghous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Applied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Brown, G. T., Rodger, S., Brown, A., & Roever, C. (2005). A comparison of Canadian and Australian pa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12(3), 137-161.

Chen, C. Y., Neufeld, P. S., Feely, C. A., & Skinner, C. S. (1999). Factors influencing compliance with home exercise programs among patients with upper-extremity impairment.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3(2), 171-180.

Clark, F., Jackson, J., Carlson, M., Chou, C. P., Cherry, B. J., Jordan-Marsh, M., & Azen, S. P. (2012). Effectiveness of a lifestyle intervention in promoting the well-being of independently living older people: results of the Well Elderly 2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66(9), 782-790

Elliott, M. S., & Barris, R. (1987). Occupational role performance and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persons.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Research, 7(4), 215-224.

Forsyth, K., Kielhofner, G., Henriksson, C., Haglund, L., Olson, L., Skinner, S., & Kulkarni, S. (2005). A user’s manual for the occupational circumstances assessment interview and rating scale(version4.0). Chicago: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Clearinghous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Applied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Josephsson, S., Backman, L., Borell, L., & Nygard, L. (1995). Effectiveness of an intervention to improve oc-cupational performance in dementia.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Research, 15(1), 36-49.

Heras, G., Geist, R., & Kielhofner, G. (2007). . (2007). A user’s manual for the volitional questionnaire(version 4.1). Chicago: Model of Human Occupation Clearinghous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Applied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Kielhofner, G. (1984). An overview of research on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1(2), 59-67.

Kielhofner, G. (2007). Respecting both the “occupation” and the “therapy” in our field.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1(4), 479-482.

Kielhofner, G., Forsyth, K., Kramer, J., & Iyenger, A. (2009). Developing the Occupational Self Assessment: the use of Rasch analysis to assure internal validity, sensitivity and reliability.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2(3), 94-104.

Keller, J., Kafkes, A., Basu, S., Federico, J., & Kielhofner, G. (2005). A user’s guide to child occupational self as-sessment(COSA)(version 2.1). Chicago: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Clearinghous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Applied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Klyczek, J. P., Bauer-Yox, N., & Fiedler, R. C. (1997). The Interest Checklist: a factor analysi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1(10), 815-823.

Kramer, J., Kielhofner, G., Lee, S. W., Ashpole, E., & Castle, L. (2009). Utility of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Screening Tool for detecting client change. Occupational Therapy in Mental Health, 25(2), 181-191.

Lee, S. W., Kielhofner, G., Morley, M., Heasman, D., Garnham, M., Willis, S., & Taylor, R. R. (2012). Impact of using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A survey of occupational therapy mental health practi-tioners’ perceptions.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9(5), 450-456.

Smith, N. R., Kielhofner, G., & Watts, J. H. (1986). The relationships between volition, activity pattern,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0(4), 278-283.

Page 37: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33

Abstract

Clinical Application of Model of Human Occupation for Fragile Older Adult- A Case Study -

Lim, Kyung-Min*, M.A., O.T., Jung, Min-Ye**, Ph. 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MOHO bas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on the occupation of the older adult.

Methods : MOHO-based assessment were conducted on one older adult. the investigator measured com-petence and value, volition, performance, satisfaction, interest of the occupation by the OSA, the VQ, the IC, the OQ, the OCAIRS. Next, a lifestyle re-modeling and caregiver’s educa-tion was used as method of problem intervention.

Results : The level of competence and value in OSA increased.

Conclusion : MOHO bas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has beneficial effects for fragile older people. And it gives the possibility to reduce health decline and promote quality of life in older people.

Key Words : Older adult, Model of human occupation, Occupational performance

Page 3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구조화된 운동프로그램이 요양시설 노인의 삶의 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종원*, 이택영**, 강대혁**, 김진경**, 박소연** *서산 중앙병원 작업치료실

**한서 학교 작업치료학과

목적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운동프로그램을 통한 의미있

는 활동이 노인들의 삶의 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노인 21명을 대상으로 6주간 주 2회씩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전⋅후로 하

여 삶의 질, 우울, 일상생활활동, 자아존중감, 통증, 균형능력, 민첩성 검사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노

인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한 결과 삶의 질, 우울, 자아존중감, 민첩성(우세손) 평가항목에

서 활동 전⋅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삶의 질, 통증, 우울, 자아존중감과의

상관성을 알아본 결과 삶의 질과 우울, 자아존중감과 우울 사이에서 역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활동

후 삶의 질과 자아존중감 사이에서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구조화된 작업치료 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삶의 질, 우울, 자아 존중감

과 민첩성(우세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단기간에 의미있는 활동의 효과가 나타난 점이 본

연구의 중요한 의의라 하겠다.

주제어 노인, 삶의 질, 우울, 의미있는 활동

교신저자 : 김종원([email protected])∥접수일 : 2013년 04월 04일∥개재승인일 : 2013년 04월 29일

Ⅰ. 서 론

최근 우리나라 노인인구 비율은 낮은 출산율이라는

사회현상과 겹치면서 2005년도에는 전체 인구의

9.1%, 2010년도에는 11.0%로 계속 증가 추세에 있고, 2020년도에는 15.6%를 넘어 OECD 국가 중 가장 빠른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통계청, 2008). 그리고 우

리나라 사회의 경우 고령화로 인해 노인 독신가구 및

노인부부가 증가하면서 노인들의 심리적 소외감과 고

독으로 인한 우울 등의 증가와 더불어 노인 삶의 질

에 한 문제도 두되고 있다(김숙경, 2004).또한 젊은 층의 노인부양부담은 현재 8명당 노인 1명

으로 2020년에는 5명당 1명, 2040년에는 2명당 1명으로

부양의 어려움이 나타나고 있으며 노인들의 건강 약화, 경제적 무능력, 부양자 부재 등의 문제로 노인들의 요양

시설 입소가 증가하고 있다(이영세 등, 2000). 그리고 노

인 요양시설도 2005년 56,518개소, 2006년 59,121개소, 2007년 60,788개소로 계속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보건복지부, 2009). 이러한 요양시설 노인들은 도심지에서

떨어져 있는 시설환경과 더불어 제한된 공간으로 인하

여 가족이나 친구들과의 접근성이 쉽지 않아 원활한 교

류를 하지 못한 채 생활하고 있으며 그들은 삶의 질 저

하, 우울, 불안, 고립감 등을 경험하면서 심하면 자살까

지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애경, 2006). 시설노인들의

기본적인 의식주는 해결되고 있지만 노인들을 위한 프

로그램 개발과 시행하는 전문 인력의 부족으로 인해 제

Page 39: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35

한된 프로그램을 받고 있으며 전문적인 프로그램 활동

에 해 참여 빈도가 많은 일반 노인들보다 우울, 삶의

질과 같은 심리적인 문제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

다(김창숙, 2007; 안영철, 2009).Free의 연구(김애련과 채옥희, 2001)에 의하면 인간

의 삶에서 최고의 목적은 만족스러운 삶의 영위라고

할 수 있는데, 그것은 단순히 생명연장의 문제보다는

노후의 삶을 건강한 상태로 어떻게 의미 있게 보내느

냐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노인들의 건강과 관련

된 문제는 노인의 삶의 질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권은희, 2005).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인

우울은 노인들에게 나타나는 정서 장애의 하나로 개

인의 적응 수준에 따라 그 정도도 매우 다르게 나타

난다(Alexopoulos et al., 1996). 조은희 등(2000)의 연구

에서는 65세 이상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 402명을

상으로 우울정도를 검사한 결과 노인의 61.2%에서 우

울이 나타났다. 또한 질환이 있는 노인과 일반 노인들

모두 주관적으로 느끼는 건강문제가 있을 때 우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성질환 노인들을 비롯해 신체

적으로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우울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강희숙과 김근조, 2000; 허준수와 유수현, 2002). 이러한 우울은 노인의 신체적⋅정신적 기능과

사고나 질병에 한 저항력을 약화시키고 질병의 회

복력도 저하시키면서 피곤, 식욕상실, 무기력, 흥미상

실, 활동 감소 등의 증상을 동반하게 된다(김영란, 2006). 김연화(1999)와 조정화(2003)는 노인의 삶의 질

을 떨어뜨리는 변수로 우울이 작용하며 우울감이 높

을수록 삶의 질이 낮다고 보고하였다. 노인의 삶의 질과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써 건강상태, 경제상태, 가족형태, 여가활동 및 사회참

여 그리고 교육수준 등이 있는데, 그 중에서 건강은

다른 연령층보다 노인들에게 있어서 삶의 질과 우울

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김혜령, 2007; 조회영, 2004). 또한 Fortes 등(2003)의 연구에서도 신체

적 건강문제가 우울과 같은 정신(심리)적 안녕의 저하

를 초래한다고 보고하였다. 이처럼 건강은 개인의 신체적인 건강상태를 지켜주

고, 일상생활을 유지해 나가며(오승환과 윤동성, 2006), 일상생활전반에 중요한 영향을 미쳐 노인의 삶에

한 높은 만족감을 준다(Avis et al., 1996). 이승범(2003)과 이희숙(2007)의 연구에서도 노인들이 운동 프로그

램 활동 수행 후 삶의 질이 향상되었으며 활동들이

노인들의 심리적 안녕과 삶의 질의 향상에 중요한 요

소라 언급하였다.작업치료에서 활동(activity)은 작업(occupation)을 완

성 시키는 중요한 매개체이며, 클라이언트에게 의미

있는 활동들이 모여 하나의 작업이 되는 것이다(이재

신 등, 2004). 활동이 인간의 삶에서 중요한 요소로 부

각되면서, 작업치료 분야에서도 의미 있는 활동들을

통하여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된 연구가 발표되고 있

다(Funaki et al., 2005; Nilsson & Fisher, 2006). Matuska 등(2003)은 Wellness 프로그램 활동을 통해서 지역사

회 노인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고 하였고, 활동에

한 노인의 삶의 질 연구에서도 그들 스스로가 할 수

있는 항목이 늘어남에 따라 삶의 질도 향상되었다고

한다(Funaki et al., 2005).작업치료는 삶의 질과 관련하여 클라이언트가 처한

삶 속에서 그들의 삶의 질을 최상의 상태로 향상시키

기 위한 과정이며, 건강과 안녕에 한 그들의 시각을

반영해야 한다(박소연과 김진경, 2008). 그리고 Hachey와 Mercier의 연구(Bejerholm & Eklund, 2007)에 의하

면 작업치료사의 역할은 삶의 질 만족에 필요한 조건

을 제안하고 제공해야하며, 노인들이 능동적이고 긍

정적인 삶의 만족을 영위하는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

고 하였다(오윤택 등, 2000; 장기연과 강정미, 2005).노인인구의 증가에 따른 고령 사회의 진입과 더불

어 건강 문제, 경제적 문제, 노인부양부담에 한 어

려움으로 나타나는 부양자 부재 문제 등으로 노인들

의 요양시설 입소가 계속 증가 추세에 있다. 그리고

노인의 삶의 질에 한 관심사가 두되고 있는 시점

에서 시설노인증가에 따른 그들의 삶의 질에 한 관

심도 증가되고 있다. 선행 연구들은 주로 일반 노인

들의 삶의 질에 초점이 맞춰져 왔기 때문에 시설노인

에 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요양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노인들을 상으로 구

조화된 운동 프로그램을 통한 활동 적용이 노인들의

삶의 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Page 4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36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S시에 위치한 노인요양시설을 방문하여

연구에 한 목적을 설명한 후 기관의 허락을 받아

아래와 같은 상자 선정 기준에 따라 65세 이상 노

인 21명을 선정하였다.

1) 선정 기준

①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참여하기로 동의한 노인

② 작업치료 서비스를 받지 않는 자

③ 운동 활동 참여에 지장이 없는 자

④ 언어적 지시를 이해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

(3단계 지시 따르기 가능)⑤ 시설 내에서 다른 운동 활동을 하지 않는 자

2. 연구 도구

1) 삶의 질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세계보건기구가 개발한

World Health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100 (WHQOL-100)을 기초로 민성길 등(2000)이 개발한 한

국판 WHOQOL-BRIEF를 사용하였다. 신체적 건강 영

역 7문항, 심리적 영역 6문항, 사회적 건강 영역 3문항, 생활환경 영역 8문항으로 4개 영역에 총 24문항으

로 구성 되어있다. 각 문항의 측정은 ‘전혀 그렇지 않

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 5점 척도이고,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음을 의미한다. 검사-재검

사 신뢰도는 .84 이고, 내적 일치도는 .89 이다.

2) 우울

한국 우울증 검사(Korean Depression Scale)는 미래

에 한 부정적 생각, 자신에 한 부정적 생각, 걱정

과 초조, 우울 기분, 신체화 증상, 의욕상실 6개 영역, 총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0점에서 4점까지 5점 척도로 이루어져 있고, 총점은 최소 0점에서

최 120점이다. 결과해석을 위해 각 영역별 원점수를

T점수로 전환하며 65점 이상을 우울증으로 보이는 사

람, 미만을 우울증으로 보이지 않는 사람으로 분류한

다. 6개의 영역별 신뢰도(Cronbach α)는 각각 .74∼.84의 범위를 나타낸다(이민수와 이민규, 2003).

3)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노인들의 기본적인 일상생활활동을 평가하기 위한 김도관 등(2006)이 개발한 노인일상활동평가(Seoul-Activities of Daily Living; S-ADL)는 ⋅소변 조절, 세수⋅머리 감

기, 화장실 사용 및 뒤처리, 식사하기, 옮겨가기, 실내

거동⋅보행 등 총 12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독립적

으로 수행한다(0점)’에서 ‘전혀 수행하지 못한다(2점)’까지 3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점은 24점이다. 신뢰도(Cronbach α)는 .91이다.

4)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 설문지는 1965년 Rosenberg가 개발한 자

아존중감 척도(Self-Esteem Scale; SES)를 전병제가 번안

하여 표준화시킨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설문지는 총

10문항이며, 각 문항의 측정기준은 ‘매우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4점)’까지 4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부정적 문항인 3, 5, 8, 9, 10문항은 역 채점

하였으며, 신뢰도(Cronbach α)는 .82이다(전병제, 1974).

5) 통증

Pendleton(2006)의 0-10 숫자 통증강도 척도(0-10 Numeric Pain Intensity Scale)는 환자가 느끼는 주관적

인 통증의 사용되었고, 숫자 척도는 ‘통증 없음(0)’에서 ‘중간정도의 통증(5)’과 ‘참을 수 없는 통증(10)’으로 자신이 경험하는 통증의 강도를 숫자로 선택하여

통증강도를 측정한다.

6) 균형능력 및 민첩성

(1) 버그 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는 앉기, 서기, 자세변화 3개 영역 총 14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

며, 정적 균형능력과 동적 균형능력을 객관적으로 평

가한다. 총점은 56점이며, 최소 0점에서 최고 4점으로

각 항목을 실시하여 얻어진 점수를 기록하며, 총점이

높을수록 균형능력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검사 도

구의 측정자간, 측정자내 신뢰도 계수는 .98, .97이다

(Berg et al., 1995).(2) Nine-Hole Pegboard Test는 손의 민첩성을 평가

Page 41: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37

하는 것으로 9개의 막 를 페그 구멍에 끼우고 다시

빼는 동안의 시간을 측정하는 것으로 우세손을 먼저

측정하고 비우세손을 나중에 측정한다. 오른손(.98)과

왼손(.99)에서 높은 검사자간 신뢰도를 보인다(Mitchell et al., 2003).

3. 연구 방법

본 연구는 S시에 위치한 노인요양시설에서 2009년 8월부터 9월까지 6주간 노인요양시설에서 연구자와 작

업치료학과 학원생이 참여하여 주 2회 40분씩 총 12회의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하였다. 구조

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 구성 및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준비 운동

본 운동 시작하기 전에 10분 씩 각 관절의 근육 스

트레칭 및 유연성 운동을 실시하였다.

2) 본 운동

(1) ROM 댄스

ROM 댄스는 1981년 Harlowe와 Yu가 성인 류마티

스 관절염 환자를 위해 만든 예방치료 및 이완중재법

이다. 관절보호, 에너지 보존, 일 단순화, 이완과 통증

관리기술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의자에 앉은 자세와

선 자세 두 가지 자세에서 시행된다. 본 연구에서 실

시한 ROM 댄스는 요양시설 노인에게 적합한 내용을

선정하여 실시하였다(Harlowe, 2001).

(2) 통증예방 및 관리 운동

본 연구에서의 통증예방 및 관리 운동은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및 관리프로그램(박소연 등, 2008)에서 실

시하여 노인의 사회심리적 문제와 근골격계질환 문제

를 개선하는데 효과를 본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

동을 요양시설 노인에게 적합하게 사용하였다. 본 활

동은 노인의 목, 상지, 하지 그리고 골반 등의 증진시

키고 관절의 근력 증가를 위주로 실시하였다.① 목 관절 운동 : 허리를 펴고 앉은 자세에서 양손

을 깍지를 끼고 목뒤에 위치한 후, 턱을 몸 쪽으로 당

겨서 좌⋅우로 10회 씩 돌린다.

② 어깨관절 스트레칭 : 바닥에 무릎을 꿇고 앉은

자세로 상체를 숙여 양팔을 앞으로 최 한 멀리 뻗기

를 10초간 유지하기를 5회 실시한다.③ 팔 들기 운동 : 머리, 등, 엉덩이를 벽에 붙인 상

태에서 선 자세로 양팔을 최 한 끝까지 펴고 10초간

유지하기를 10회 실시한다. 그리고 반 로 코를 벽에

붙인 상태로 양팔을 최 한 끝까지 펴고 10초간 유지

하기를 10회 실시한다.④ 손가락 펴기, 모으기 운동 : 양손을 책상이나 무

릎에 올려놓고, 손가락을 최 한 벌린 상태로 유지하

고, 다시 최 한 붙인 상태로 각각 10초간 유지하기를

10회 실시한다.⑤ 무릎 펴기 운동 : 바른 자세로 의자에 앉아 양쪽

무릎을 완전히 펴서 힘을 준 상태로 10초간 유지하기

를 10회 실시한다.⑥ 한 발로 균형 잡기 운동 : 바로 선 자세에서 양

팔을 골반에 붙이고 한 쪽 다리를 들어 10초간 유지

하기를 좌⋅우 5회씩 실시한다.

3) 정리 운동

본 운동 후 10분 동안 스트레칭 및 유연성 운동으

로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는 정리 운동을 실시하였다.

4. 자료 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10.0을 이용해 노인들의 일반

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노인의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 전⋅후의 삶의

질, 우울, 일상생활활동, 자아존중감 그리고 민첩성 검

사(Nine-Hole Pegboard Test)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응표본 t-검정과 통증, 균형능력(버그 균형 척도)의

변화는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을 사용 하였다. 그리고

통증, 우울, 삶의 질, 자아존중감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스피어맨 순위 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또한 운

동 프로그램 활동 전⋅후 삶의 질에 미치는 상 적인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검정을 위한 유의수준(α)은 .05로 하였다.

Page 4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38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Ⅲ.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연구에 참여한 노인은 총 21명으로 남자 5명(24%), 여자 16명(76%)이었고, 만 75세부터 만 95세까지의 연

령층으로 이루어졌으며, 만 70세부터 만 80세까지 9명(42.9%), 만 81세부터 만 90세까지 10명(47.6%), 만 91세 이상 2명(9.5%)이었다(표 1).

변 수 구 분 대상자 수(%)

성 별남자 5(23.8)여자 16(76.2)

연 령

만 70세∼80세 9(42.9)만 81세∼90세 10(47.6)만 91세 이상 2( 9.5)

직 업

직장(정규직/계약직) 2( 9.5)농/어업 15(71.4)무직 2( 9.5)기타 2( 9.5)

요양원

거주

기간

1년 미만 7(33.3)1∼2년 4(19.1)2∼3년 5(23.8)

3년 이상 5(23.8)

생활

만족도

만족한다 7(33.3)보통이다 10(47.6)

만족하지 않는다 4(19.0)

유병기간

1년 1( 4.8)1∼5년 4(19.0)

5∼10년 7(33.3)10년 이상 9(42.9)

건강상태

건강하다 2( 9.5)보통이다 6(28.6)

건강하지 않다 10(47.6)아주 건강하지 않다 3(14.3)

통증

지속성

지속적 11(52.4)간헐적 10(47.6)

표 1.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N = 21)

2.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 전⋅후의 삶의 질, 심리 변화 및 신체 변화 비교

삶의 질, 우울, 자아존중감, 우세손의 민첩성(Nine-Hole Pegboard Test) 평가항목에서 활동 전⋅후 간에 평균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그러나 일상생

활활동과 비우세손의 민첩성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

이지 않았고(표 2), 통증과 균형능력(버그 균형 척도)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표 3).

평가항목활동 전 활동 후

t pM ± SD M ± SD

삶의 질 70.00 ± 9.22 72.90 ± 9.07 -3.27 .00*

우 울 61.80 ± 18.30 58.66 ± 16.64 4.66 .00*

자아

존중감26.52 ± 3.95 27.71 ± 3.74 -5.06 .00*

일상생활

활동2.85 ± 2.00 2.71 ± 1.90 1.08 .08

민첩성

(우세손)36.38 ± 11.97 32.80 ± 10.40 3.59 .00*

민첩성

(비우세손)43.28 ± 18.61 39.90 ± 17.66 1.94 .06

*p<0.05

표 2.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 전⋅후의 삶의 질, 심리변화 및 신체 변화 비교 (N = 21)

평가

항목

활동 전 활동 후Z p

최소값 최대값 중위값 최소값 최대값 중위값

통증 3.00 10.00 6.00 3.00 10.00 6.00 -1.00 .31균형

능력

(버그)21.00 55.00 37.00 20.00 55.00 38.00 -1.29 .19

표 3.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 전⋅후의 삶의 질, 심리변화 및 신체 변화 비교 (N = 21)

3.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 전 삶의 질, 통증, 우울,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

노인들을 상으로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

전 삶의 질, 통증, 우울, 자아존중감과의 상관성을 알

Page 43: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39

아본 결과 r=-.65로 삶의 질이 높으면 우울감이 낮아지

는 양호한(moderate)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통계

적으로 유의하였다(p<.05). 그리고 자아존중감과 우울

에서도 r=-.50로 양호한(moderate) 역의 상관관계를 보

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그러나 나머지

항목들은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지 않았다(표 4).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 후 노인들을 상으

로 삶의 질, 통증, 우울, 자아존중감과의 상관성을 알

아본 결과 사전 검사와 비슷한 결과로 삶의 질과 우

울은 r=-.66로 양호한(moderate) 역의 상관관계, 자아

존중감과 우울 사이에서는 r=-.48로 보통(fair)의 역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

났다(p<.01). 그리고 삶의 질과 자아존중감 사이에서

도 r=.44로 보통(fair)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5), 이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들은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

내지 않았다(표 5).

통 증 우 울 삶의 질

우 울 .29삶의 질 .02 -.65**

자아존중감 -.33 -.50* .37*p<0.05, **p<0.01

표 4.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 전 삶의 질, 통증, 우울,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

(N = 21)

통 증 우 울 삶의 질

우 울 .25삶의 질 -.07 -.66**

자아존중감 -.13 -.48** .44*

*p<0.05, **p<0.01

표 5.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 후 삶의 질, 통증, 우울,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

(N = 21)

4.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 전⋅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 전⋅후 삶의 질에 통

증, 우울, 자아존중감, 균형능력(버그 균형 척도), 민첩

성 검사(Nine-Hole Pegboard Test)가 예측인자로써 미

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 전 삶의

질에 한 우울 요인이 48%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또한 균형능력이 추가되면서 설명력이 71%로 23%의 추

가설명력을 보였으며, 분산분석 모형 F비도 통계적으

로 유의하였다(F=25.55, p<.05)(표 6).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 후 삶의 질에 한

균형능력 요인이 49%의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우울이

추가되면서 78%로 29%의 추가설명력을 나타냈다. 그리고 분산분석 모형 F비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F=36.50, p<.05)(표 7).

요인 B표준

오차β t

수정

된 R²상수 70.42 6.72 10.47

사전우울 -.30 .06 -.59* -4.79.71

사전균형능력 .49 .12 .49* 3.98*p<0.05

표 6.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 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N = 21)

요인 B표준

오차β t

수정

된 R²상수 68.59 5.92 11.58

사후균형능력 .58 .10 .59* 5.48.78

사후우울 -.29 .05 -.05* -5.03*p<0.05

표 7.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 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N = 21)

Ⅳ. 고 찰

최근 우리나라는 산업화로 인한 도시화, 핵가족화

그리고 가치관의 변화 등으로 과거의 가족제도가 무

너졌다(김숙경, 2004). 그리하여 사회이동의 증가와 노

인 부양세 의 감소로 부양의식이 감소하였고, 매우

빠른 고령화 속도로 인한 노인문제는 심각한 사회문

Page 4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제로 부각되면서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노인들의 삶

의 양상과 보건적 측면에서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문상식과 남정자, 2001). 또한 노인들의 요양시설 입소

가 증가하면서 시설노인들 또한 노년기의 생활영역에

서도 부정적인 변화를 겪게 된다(오영희 등, 2006).선행 연구자들은 노인들을 상으로 운동 프로그램

활동을 통해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적 건강의

향상에 하여 연구하였다(김숙현, 2008; Nalin & Maria, 2001). 노인을 상으로 운동 프로그램 활동을

수행한 김경숙(2000)의 연구에서도 우울이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이숙자(2000)와 이승범

(2003)의 연구에서도 운동 프로그램 활동으로 인하여

향상되었다.이러한 선행 연구들은 일반 노인들을 상으로 한

연구였으며, 생활의 부분을 시설 내에서 지내는 노

인들은 시설의 각종 서비스와 프로그램 활동의 정도

가 그들의 삶의 만족도와 삶의 질에 중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유리, 2006). 그리하여 활동

의 참여가 많은 일반 노인들 보다 제한된 환경 안에

서 무료한 시간을 보내며 생활하는 시설노인들은 삶

의 질의 저하와 우울 같은 심리적인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이인수 등, 2000). 그래서 본 연구는 노인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건

강과 관련하여 성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를 위해 만

든 예방치료 및 이완중재법인 ROM 댄스(Harlowe, 2001)와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박소연

등, 2008)에서 실시한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을

통해 6주간(주2회 40분씩) 실시하여 요양원에서 생활

하고 있는 노인들의 삶의 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결과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 전⋅후

의 삶의 질, 우울, 자아존중감, 우세손의 민첩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삶의 질은

70.00±9.22에서 72.90±9.07, 자아존중감은 26.52±3.95에서 27.71±3.74점으로 증가하였다. 이것은 노인을 상

으로 운동 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한 결과 삶의 질이

향상된 김창숙(2007)과 Dungan 등(1996)의 연구와 일

치하였고, 운동 프로그램 활동에 참여한 노인의 자아

존중감이 향상 된 김영수(2001)와 손조욱(2006)의 연

구와도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서 구조화

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이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

는 결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활동은 노인들의 긍정적

인 사고와 행동을 가능하게 하여 정신⋅사회적인 면

까지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삶의 질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사료된다.우울은 61.80±18.30에서 58.66±16.64점으로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것은 김숙현

(2008), Nalin과 Maria(2000)의 연구에서처럼 운동 프

로그램 활동을 통하여 노인의 우울 증상이 호전되었

으며, 이와 같은 운동 프로그램 활동은 노인의 심리적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노인들의 우울을 감

소시키는 치료적 중재로써 그 활용도가 클 것으로 기

가 된다. 민첩성 검사에서는 우세손이 36.38±11.97초에서

32.80±10.40초로 감소하였으며, 이의수(2007)의 연구에

서처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비우

세손은 43.28±18.61에서 39.90±17.66초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전체적인 시간적

개념으로 보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여서 우세손

의 민첩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이것

은 운동 프로그램 활동으로 인한 효과와 함께 반복측

정으로 인한 학습효과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일상생활활동에서도 2.85±2.0에서 2.71±1.9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는

강철구(2007)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시설노인의

일상생활활동은 시설이라는 제한적인 공간에 있으면

서 일생생활의 전반적인 부분을 요양보호사와 간병인

이 전담하고 있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 전⋅후 균형능력(버

그 균형 척도)에서는 36.85±11.97에서 37.09±10.40초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것은 정

세나(2007)의 연구와 같이 운동 프로그램 활동의 시간

과 빈도가 짧았고, 균형 발달 위주의 하지근력 운동

프로그램을 하지 않아 생긴 결과라 생각한다.통증은 6.61±2.20에서 6.47±1.88로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반도윤(2005)과

양정옥(2006)의 연구와 일치하지 않았으며, 본 연구의

운동 프로그램 활동의 시간과 빈도가 선행연구보다

짧았고 노인들의 통증이 만성화가 되어서 통증의 감

소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Page 45: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41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 전 삶의 질과 우울

(r=-.65), 자아존중감과 우울(r=-.50)에서 양호한

(moderate) 역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 후 삶의 질과 우울(r=-.66)은 양호한

(moderate) 역의 상관관계, 자아존중감과 우울(r=-.48)에서는 보통(fair)의 역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r=.44)에서도 보통(fair)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이것은 도한석(2008), 임미숙(2007)의

연구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삶의 질이 높을수록 우울

정도가 감소하였다.그리고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 전 삶의 질에

한 우울 요인이 48%의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균형능

력(버그 균형 척도)이 추가되면서 설명력이 71%로

23%의 추가설명력을 나타냈다. 또한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 후 삶의 질에 한 균형능력 요인이

49%의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우울이 추가되면서 78%로 29%의 추가설명력을 나타냈다. 우울이 노인의 삶

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인자로 나타난 결과는 김

연화(1999)의 연구와 일치하였으며 이것은 우울과 삶

의 질이 역 상관관계가 있는 것처럼 우울이 노인의 삶

의 질을 떨어뜨리는 변수로도 작용을 한다고 생각한

다. 그리고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 전⋅후 검사

에서는 균형능력(버그 균형 척도)이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활동 후 삶의 질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에 해 알아본 단계적 회귀분석에서

는 균형능력이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보건복지부(2009)의 연

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본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

동 중에는 균형운동에 한 활동이 포함되어 있어서

노인들이 균형운동을 함으로써 낙상에 한 불안감이

줄어들고 활동 및 움직임에 한 제한이 감소되면서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

램 활동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어려움

없이 노인들이 쉽게 따라할 수 있으며 흥미를 유발할

수 있어서 노인들의 신체적⋅정신적인 면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노인들이 활동에 참여함으

로써 노인의 삶의 질과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임으로써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그

활동들이 그들에게 의미가 있다면 그것은 치료적 중

재로써 가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Greogory의

연구(이택영 등, 2009에 인용된)에 의하면 인간에게

있어 활동은 매우 중요하며, 활동을 한다는 것은 살아

있다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활동들은 삶의 질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그들에게 의미가 있는 활동들이

작업이 되는 것이며, 작업을 통해 건강을 유지하고 회

복하는 중요한 요소로 보고 있다(Kielhofner, 2008). 인간 작업 모델(The Model of Human Occupation)과 작업

과학(Occupational Science)에서도 인간은 작업에 한

본능적인 욕구가 있으므로 작업 없이는 존재할 수 없

는 작업적 존재로 보고 있다(강 혁, 2000, 2001).Graff 등(2007)은 작업치료의 의미 있는 활동들을

통하여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우울증 감소에 효과가

있다고 하였고, 노인의 활동이 그들의 삶의 질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Smith et al., 1986).시설노인들은 평소 운동 프로그램 활동이 그들의

건강한 삶에 유익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나 운동에

한 의지 부족과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에 참

여 할 기회가 많지 않았는데 본 구조화된 운동 프로

그램을 통해 활동의 기회를 제공해 줌으로써 높은 만

족과 흥미를 보였다. 그리고 작업치료 서비스는 신체

에 무리한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노인들의 신체적⋅사회적⋅정신적 건강에 도움이 되고 그들의 흥미를

유발해 낼 수 있는 구조화된 활동들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요양원을 비롯한 노인시설에서 작업

치료사가 노인들의 상태를 파악하고, 의미 있는 활동

을 통해 일과를 설계하며 치료적 중재로써도 이용하

여 건강한 삶을 도와주어야 한다(Clark et al., 1997). 이처럼 노인들의 의지를 파악하여 시설노인들에게 활

동에 한 동기를 북돋아주고 의미 있는 활동을 개발

하여 노인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지역사회시설에 작

업치료 서비스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이것은 더 나

아가 지역사회에 작업치료가 나아갈 수 있는 영역을

넓힘으로써 지역사회 작업치료 발전의 밑거름이 되리

라 생각한다.이 연구의 제한점은 연구 기간이 짧았으며, 연구

상자가 적고 단일 지역의 상자라 요양시설 노인의

성향을 표한다고 볼 수 없다는 점이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의 사전⋅후 검사는 사전교육 실시 후 요양

원에 방문하여 작업치료학과 재학생과 학원생을 중

Page 4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42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심으로 이루어졌지만, 삶의 질과 우울증 검사가 스스

로 평가를 내리는 자가 설문지 형식이라 노인들이 질

문지의 내용을 모두 이해하기 어려워 평가자들이 노

인들의 응답에 한 해석에서 주관적인 입장이 들어

갈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는 여러 지역

으로 상범위를 확 하고 연구 상자와 연구기간을

증 시키며, 예비실험을 통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 론

최근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노인들의 요양시설

입소가 증가됨에 따라 그들의 삶의 질과 우울에 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지역사

회시설에 위치한 노인요양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노

인 21명을 상으로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활동 적

용이 노인들의 삶의 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해

서 알아보았다.연구 결과를 통해 작업치료의 매개체인 의미 있는

활동으로 인하여 노인들의 삶의 질과 우울, 자아존중

감, 민첩성(우세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

고 노인들의 삶의 질과 우울은 역 상관관계를 보였으

며, 우울과 균형 능력(버그 균형 척도)이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짧은 연구기간에도

불구하고 구조화된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작업치

료의 효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작업치료사가 노인들

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적합하고 의미 있는 활

동들을 개발하여 노인들에게 제공해야 하며,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작업치료

를 노인시설로 영역을 확 함으로써 작업치료의 활용

가능성과 지역사회시설에서 작업치료사들의 전문성

이 발휘될 것으로 기 된다.

참고문헌

강 혁. (2000). 작업과학(Occupational Science)에 한

이해. 한작업치료학회지, 8(1), 121-127.

강 혁. (2001). 인간의 작업성 모델(The Model of Human Occupation)이 작업치료학에 미친 영향. 한작업치료학회지, 9(1), 163-171.

강철구. (2007). 재활운동 실천 후 양로시설 여성노인

의 일상생활활동,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및 체력 변

화에 관한 연구. 수원: 경기 학교.강희숙, 김근조. (2000). 일부지역 노인들의 신체적 건

강과 우울과의 관련성. 한보건협회, 26(4), 451-459.권은희. (2005). 만성질환 노인에 한 의료사회복지정

책에 관한 연수-노인 복지정책을 중심으로. 한국

자치행정학회, 19(4), 1-28.김경숙. (2000). 노인들의 스포츠 활동 참여가 신체적

인 건강상태와 우울 성향에 미치는 영향. 청주: 충북 학교.

김도관, 김지회, 구형모. (2006). 노인일상활동평가. 서울: 학지사.

김숙경. (2004). 농촌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23, 179-202.김숙현. (2008). 율동적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혈압

과 정서상태 및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서울: 국민 학교.

김애련, 채옥희. (2001).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5(1), 49-60.

김연화. (1999). 집단 레크레이션 요법이 시설노인의

우울 및 자아존중감과 생활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

과. 지역사회간화학회지, 10(1), 19-21.김영란. (2006). 노년기 우울과 소외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종교활동 참여를 중심으로). 전: 목원 학교.김영수. (2001). 노인의 규칙적인 운동이 인지능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0(4), 181-193.

김창숙. (2007). 노인 운동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

구: 탄성밴드를 이용한 운동을 중심으로. 광주: 조선 학교.

김혜령. (2007). 노인의 삶의 질. 간호학탐구, 16(2), 39-51.

도한석. (2008). 8주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과

스마일 척도, 신체상,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논산: 건양 학교.

문상식, 남정자. (2001).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Page 47: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43

건강수준-여성노인의 질병상태, 와병수준, 활동제

한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1(1), 15-29.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 김동기. (2000). 한국

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WHOQOL-BRIEF)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39(3), 571-579.박소연, 김진경. (2008). SF-36을 이용한 산업재해 환자

의 삶의 질 평가. 한작업치료학회지, 16(2), 73-89. 박소연, 이택영, 김종원, 홍미영. (2008). 근골격계 질

환 예방 및 관리프로그램. 한서 학교 작업치료학

과. 산학협력단.반도윤. (2005). 관절⋅등척성 운동프로그램이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 서울: 이화여자 학교.

보건복지부. (2009). 규칙적인 걷기 운동을 통한 노인

의 기능변화 분석. 2009년 11월 1일 출력. http://library.mohw.go.kr

보건복지부. (2009). 2008년 노인복지시설현황. 2009년

10월 15일 출력. http://library.mohw.go.kr손조욱. (2006). 걷기운동이 양로시설 여성노인의 생리

적 지수, 체력, 자아존중감, 우울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 고신 학교.안영철. (2009). 노인 요양시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서울: 숭실 학교.양정옥. (2006). 타이치 운동이 골관절염 농촌노인환자

의 통증과 자기효능감 및 낙상위험요임에 미치는

효과. 서울: 경희 학교.오승환, 윤동성. (2006). 노인의 삶의 질 특성에 관한

연구-도시⋅농촌⋅어촌지역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32, 119-147.

오영희, 배화옥, 김윤신. (2006). 우리나라 노인의 주관

적 건강인식과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상태의 관련

성 연구. 한국노년학, 26, 461-476.오윤택, 구애련, 정보인, 이충휘. (2000). 원주지역노인

의 일상생활동작 수행형태에 한 조사. 한작업

치료학회지, 8(1), 1-14.이민수, 이민규. (2003). 한국 우울증 검사 요강. 서울:

학지사.이숙자. (2000).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율동적 운동

프로그램의 적용효과. 서울: 경희 학교.이승범. (2003). 노인종합복지관의 운동프로그램이 노

화, 체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노인여성을 중

심으로. 서울: 연세 학교.이영세, 양승규, 이정숙. (2000). 양로시설 생활노인의

행동과 심리 특성(2). 노인복지연구, 9, 219-237.이애경. (2006).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여성노인의 우울

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전: 전 학교.이유리. (2006). 무료양로시설 거주 노인의 여가와 삶

의 질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구조방정식 모형 구축

을 통해. 서울: 숙명여자 학교.이의수. (2007). 60 와 70 고령자의 복합운동처방

프로그램 참여가 활동체력, 심폐기능, 신체조성 및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서울: 중앙 학교.이인수, 이용환, 곽강욱. (2000). 양로시설 입소노인의

행동과 심리특성. 노인복지연구, 8, 149-167.이재신, 이택영, 이지연, 유은영. (2004). 최신 작업치

료학 개론. 서울: 탑메디오피아.이택영, 정민예, 정보인, 유은영, 장세진, 남은우. (2009).

작업 모델(Model of Human Occupation)을 중심으로

한 노인의 활동 수준과 삶의 질. 한작업치료학회

지, 17(1), 1-15.이희숙. (2007). 짐볼 운동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건강

체력과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구: 구

학교.임미숙. (2007). 노인의 건강상태, 우울 및 삶의 질에

한 조사연구. 서울: 경희 학교.장기연, 강정미. (2005). 전지역 노인의 일상생활동

작 수행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작업치료학회

지, 13(1), 45-56.전병제.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11(1), 107-129.정세나. (2007). 탄성밴드를 이용한 하지 근력강화운동

이 낙상경험 노인의 균형능력과 보행 향상에 미치

는 효과. 서울: 단국 학교.조은희, 전진호, 이상원. (2000). 경로분석을 통한 만성

질환 노인 환자의 우울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모

델 설정. 노인병, 4(3), 148-163.조정화. (2003). 만성질환 노인환자가 인지한 가족지

지, 우울,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전: 전 학교.조회영. (2004). 만성질환노인환자의 우울경감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사례연구. 서울: 숭실

Page 4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44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학교.통계청. (2008). 주요 연령계층별 인구(전체). 2008년 8

월 1일 출력. http://www.nso.go.kr허준수, 유수현. (2002).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보건과 사회사업학회지, 13, 7-35.

Alexopoulos, G. S., Vronton, C., Meyers, B. S., & Kakuma, T. (1996). Disability in geriatric depression.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3(7), 877-885.

Avis, N. E., Smith, K. W., Hambleton, R. K., Feldman, H. A., Selwyn, A., & Jacobs, A. (1996). Development of the multidimensional index of life quality: A qual-ity if life measurefor cardiovascular disease. Medical Care, 34, 1102-1120.

Bejerholm, U., & Eklund, M. (2007). Occupational en-gagement in persons with schizophrenia: Relationships to self-related variables, psychopathology, and quality of lif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1, 21-32.

Berg, K. O., Wood-Dauphinee, S. L., & Williams, J. I. (1995). The balance scale: Reliability assessment with elderly residents and patients with an acute stroke. Scandinavian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27, 27-36.

Clark, F., Azen, S. P., Zemke. R., Jackson. J., Carlson. M., & Mandel. D., et al. (1997). Occupational therapy for independent-living older adul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78(16), 1321-1326.

Dungan, J. M., Brown, A. V., & Ramsev, M. A. (1996). Health maintenance for the independent frail older adult: Can it improve physical and mental well-be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3(6), 1185-1193.

Fortes, C., Farchi, S., Forastiere, F., Agabiti, N., Pacifici, R., & Zuccaro, P., et al. (2003). Depressive symptoms lead to impaired cellular immune response.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s, 72(5), 253-260.

Funaki, Y., Kaneko, F., & Okamura, H. (2005). Study

on factors associated with changes in quality of life of demented elderly persons in group homes.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2, 4-9.

Graff, M. J., Vernooij-Dassen, M. J., Thijssen, M., Decker, J., Hoefnagels, W. H., & Olderikkert, M. G. (2007). Effect of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y on quality of life, mood, and health status in dementia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Gerontology, 62, 1002-1009.

Harlowe, D. (2001). Occupational Therapy for Prevention of Injury and Physical Dysfunction. In L. W. Pedretti & M. B. Early (Eds.),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5th ed., pp. 69-82). Philadelphia: Mosby.

Kielhofner, G. (2008). A Model of Human Occupation: Theory and application. Baltimore: Williams and Wilkins.

Matuska, K., Giles-Heinz, A., Flinn, N., Neighbor, M., & Bass-Haugen, J. (2003). Outcomes of a pilot occu-pational therapy wellness program for older adult.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7, 220-224.

Mitchell, A., Muniz, S., & Vollmer, M. A. (2003). Adult norm for a cimmerically available Nine Hole Peg Test for finger dexterit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7, 570-574.

Nalin, A. S., & Maria, A. F. (2001). Exercise and de-pression in the old adult. Nutrition in Clinical Care, 3(4), 197-208.

Nillson, I., & Fisher, A. G. (2006). Evaluating leisure activities in the oldest old.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3, 31-37.

Smith, N. R., Kielhofner, G., & Watts, J. H. (1986). The relationships between volition, activity pattern,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0(4), 278-283.

Page 49: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45

Abstract

The Effect of Constructed Exercise Program on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for Elderly in A Care Facility

Kim, Jong-Won*, M.Sc., O.T. Lee, Taek-Young**, Ph.D., O.T., Kang, Dae-Hyuk**, Ph.D., O.T.R,

Park, So-Yeon**, Ph.D., O.T., Kim, Jin-Kyoung**,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Seosan Jungang General Hospital**Dept. of Occupational Therapy, Hanseo University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structed exercise program on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for elderly in a care facility.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elderly in a care facility from August through September, 2009. For this research, 21 elderly were selected for the study. For elderly, a conducted exercise program provided for 2 days a week for six week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n SPSS 10.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Wilcoxon signed-ranks test,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hanges of quality of life(QOL), depression, self-esteem, dexterity(dominant hand). However, the differences in Seoul-Activities of Daily Living(S-ADL), dexterity(nondominant hand), pain, balanc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QOL and depress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efore and after exercise program, and the QOL and self-esteem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fter exercise program.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ther domains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 : In conclusion, the structured exercise program affected quality of life, the level of depression, self-respect, and agility(dominant hand), and short-term structured exercise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for the elderly.

Key Words : Depression, Elderly, Meaningful activity, Quality of life

Page 5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상상연습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황정하* *광양보건 학교 작업치료과

목적 본 연구는 상상연습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뇌졸중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을 통해 실험군과 대조군을 각각 7명씩 할당하였다. 실험

군은 상상연습 프로그램(상상연습+과제지향적 훈련)과 전통적 재활치료를 5주 동안 주 5일, 1일 1회, 1회 30분 동안 제공되었으며, 대조군은 실험군과 동일한 회기동안 전통적 재활치료가 제공되었

다. 상지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MFT, BBT, MAL, 악력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일상생활활동을 측정

하기 위해 이재신(2005)이 개발한 일상생활 수행검사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상상연습 프로그램과 전통적 재활치료를 적용한 실험군은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 수행검사의 모든

평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p<.05), 전통적 재활치료만 실시한 대조군은 모든 평가 항목에서

점수향상은 보였으나, MAL(움직임의 질) 항목에서만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결론본 연구는 상상연습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주제어 상상연습 프로그램, 일상생활활동, 과제지향적 훈련

교신저자 : 황정하([email protected])∥접수일 : 2013년 04월 05일∥개재승인일 : 2013년 04월 29일

Ⅰ. 서론

뇌졸중은 뇌혈관 손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질환으로

다양한 기능 장애가 유발된다(Parker et al., 1986). 뇌졸중 환자의 기능 장애는 손상된 부위와 범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고 일반적으로 운동장애, 감각장애, 인지장애와 언어장애 등의 많은 장애를 동반한다

(Ozdemir et al., 2001). 뇌졸중 환자의 운동 장애를 일

으키는 원인은 근 긴장도, 근력약화, 공동 움직임, 비협응(in-coordination)등으로 상지기능을 상실시킬 수

있다(Cirstea et al., 2003). 이러한 기능 장애로 인해 옷

입기, 식사하기, 몸치장하기와 같은 일상생활을 독립

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이차적인 문제가 나타나게 된

다(Cooper et al., 1993). 일상생활동작 부분의 수행

은 상지기능으로 이루지기 때문에 작업치료사는 환측

기능에 관심을 둔 치료적 중재가 요구된다고 하였다

(김미영, 1994). 따라서 다양한 분야에서 상지기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재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Sharma et al., 2006). 상지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한 훈련 방법에는

강제유도운동치료(Constrain-Induced Movement Therapy; CIMT),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기능적 전기 자극(Functional Electric Stimulation; FES), 바이오피드백(biofeedback), 상상연

습(mental practice)등을 많은 연구들에서 사용하여 효

과를 입증하고 있다(Armagan et al., 2003; Francisco et al., 1998).

상지기능의 향상을 보고한 재활 연구들을 살펴보

면, 뇌졸중 환자에게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사용하여

상지기능 활동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인 연구(Page et al., 2008)와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을 사용하여 뇌

Page 51: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47

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에 효과를 보인 연구가 있

었다(문상현, 2010). 또한 뇌졸중 환자에게 기능적 전

기 자극 방법을 적용한 그룹이 적용하지 않은 그룹보

다 상지기능의 회복을 더 많이 보인 연구도 있었으며

(김지연, 2002), 뇌졸중 환자에게 바이오피드백을 적용

하여 상지기능에 유의한 향상을 보인 연구도 있었다

(Van Dijk et al., 2005). 그러나 강제유도운동치료는 환

자의 심리적 불안과 과도한 치료시간의 연장은 실제

임상에서 적용하는 어려움이 있고(Page et al., 2001), 기능적 전기 자극과 바이오피드백은 고가의 기계를

환자가 구입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있으며

(Mculloch & Nelson, 1995),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

과 관련된 중추신경계발달치료는 숙련된 치료사의 도

움이 필요하다는 제한점이 있다(Kisner & Colby, 1990).최근 운동학습에 한 패러다임의 하나로 상상연습

이 두되고 있으며 이는 상자가 신체를 움직이지

않고 머릿속으로 움직임을 상상하여 수행함으로써 운

동기술을 습득하고 운동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

법이다(Richardson, 1967). 상상연습은 환자의 집중력

과 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점과 값비싼 치료도구

없이 훈련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Van Leeuwen & Inglis, 1998). 최근 연구에서 상상연습을 뇌졸중 환자

에게 실시하여 상지기능과 일상생활에 긍정적인 효과

를 나타낸다고 하였다(Hewett et al., 2007). 또한 단일

한 과제 수행동안에 상상연습을 한 그룹이 하지 않은

그룹보다 수행능력의 향상을 보인다고 하였다

(Dijkerman et al., 2004). 하지만 이전 연구들에서는 상

상연습 후 부분 단순한 뻗기 동작과 잡기 동작을

실시하여 효과를 입증한 연구들이 있었지만, 상상연

습 후 기능적이고 일상생활에 중점을 둔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상상연습 후 과제지향적

훈련이 포함된 상상연습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그 효과가 일상

생활활동 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

보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실험에 한 설명을 들은 후 참여할 것

을 동의한 환자 중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현재 재활치

료중인 환자 14명을 상으로 선정하였으며 2012년 2월 6일부터 3월 9일까지 약 5주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상자 선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1) 뇌졸중으로 인해 편마비로 진단받고 발병한지 3

개월 이상인 자

2)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K)에서 24점

이상 득점하여 인지손상이 없는 것으로 판명된 자

3) 편측 무시(unilateral neglect)가 없는 자로 상상연

습을 받은 적이 없는 자

4) 운동장면 상상 검사에서 평균 2.26 이하인 자

5) 청력장애와 시각장애가 없는 자

6) 상자들의 상지 기능은 손목을 엎침, 굽힘시킨

상태에서 손목을 최소 20˚ 폄, 손허리손가락관절

을 최소 10˚ 폄 시킬 수 있는 기능을 보이는 자

로 환측으로 물체를 잡고 놓기가 가능한 자

위와 같은 선정기준에 따라 연구에 참여한 상자

의 일반적 특성은 표 1에 제시하였다. 전체 연구 상

자는 14명으로 조군 7명, 실험군 7명이 연구에 참여

하였다. 성별은 남자가 7명, 여자가 7명이었다. 평균연

령은 56.28 ± 10.99세로 그룹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 환측 부위는 오른쪽 8명, 왼쪽이 6명이었다. 그룹 간 연구 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어 동질성을 확인하였다(표 1).

특성에 따른

분류구분 대조군 실험군

성별남 3 4여 4 3

마비측좌측 3 3우측 4 4

연령(세) 54.28 ± 11.74 54.28 ± 10.70α; M ± SD

표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N=14)

Page 5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48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2. 측정 도구

1) 대상자 선정 평가도구

(1)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는 Folstein 등(1975)에 의해 사용되었는데, 권용철과 박종환(1989)에 의해 한국판으로 번역되어

검사자간 신뢰도가 0.99로 인정받고 있는 도구이다. 총 30점 중 24점 이하는 인지 손상으로 분류되고 있

다. 본 연구에서는 상상연습을 할 수 있는 정도의 인

지 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고 24점

이상 받은 환자를 연구 상자로 선정하였다.

(2) 운동 장면 상상 검사(Vividness of Movement Imagery Questionnaire)

VMIQ는 상상연습 수행이 가능한지 판정하기 위해

사용되어졌고 총 24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은 가장 뚜렷하게 상상하는 1점에서부터 전혀 동작을 상

상할 수 없는 5점 척도로 측정되며 이 도구의 검사-재

검사 신뢰도는 0.76이고, 타당도는 시상 검사(Vividness of Visual Imagery Questionnaire; VVIQ)와의 상관성이 0.81로 매우 높았다(Issac et al., 1986). 본 연구에서는 상상

능력이 평균 이상인 사람을 선정하기 위해 VMIQ의 평

균점수가 2.26이하인 사람을 연구 상자로 선정하였다.

(3) 시지각 검사(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MVPT는 편측무시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도구로써

총 5개 영역과 36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Brouska와

Kwantny(1983)에 의한 검사, 재검사자간 신뢰도 범위

는 0.77∼0.83이다. 편측무시는 정답 수와 관계없이 오

른쪽과 왼쪽에 답한 문항 수를 계산하여 상자가 답

한 문항이 한쪽으로 심한 불균형을 이루는가를 통해

편측무시를 판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상연습을 효

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편측무시 환자를 제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2) 상지기능 검사와 일상생활 수행검사

(1) 뇌졸중 상지 기능 검사(Manual Function Test)뇌졸중 상지 기능 검사는 일본에 위치한 동북 학

의학부 리하연구소 명자분원에서 뇌졸중 환자를 위한

평가도구로 개발되었다(이한석과 채경주, 1997). 상지

운동(4항목), 장악력(2항목), 손가락 조작(2항목)의 3개영역, 총 8개 항목으로 구성되어있고 각 하위검사가

가능한 경우 1점, 불가능한 경우 0점으로 처리하며, 총점은 32점이다.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손상측 r=.99, 건강한측 r=.84이다(Nakamur & Moriyama, 2000). 본

연구에서는 김미영(1994)에 의해 한글로 번역된 평가

방법을 사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변화를 알

아보기 위해 사용하였다.

(2)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ox and Block Test)상자와 나무토막 검사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

는 손의 조작능력과 팔의 기민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

용하는 표준화된 평가도구이다(Cromwell, 1965). 이

도구의 검사 방법은 1분 동안 1인치 크기의 정육면체

나무토막을 환측 상지를 이용하여 한 쪽에서 다른 쪽

상자로 옮긴 나무토막의 개수를 점수로 한다.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왼손이 .93, 오른손이 .97이며(Cromwell, 1976) 검사자간 신뢰도는 오른손 r=1, 왼손 r=.99로 매

우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Mathiowetz et al., 1985).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손의 조작 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하였다.

(3) 운동 활동 지표 검사(Motor Activity Log Scale)운동 활동 지표 검사는 엘라바마 학교에서 CIMT의

효과를 검사하기 위해 Taub 등(1993)에 의해 고안된

평가도구로, 결과 측정은 크게 환측 상지를 사용하는

빈도(Amount of Use; AOU)와 움직임의 질(Quality of Movement; QOM)로 분류된다. 각 항목은 0∼5점까지

6점 척도로 이루어져 있고 만점인 150점에 가까울수

록 상지기능 수준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Uswatte 등(2005)은 검사자간 신뢰도 .90, 검사-재검사 .94로

신뢰도가 높은 검사도구라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

서는 치료 전과 치료 후에 환측 상지의 AOU와 QOM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Page 53: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49

목 적

상상연습 프로그램(상상연습+과제지향적

훈련)을 통하여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과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회복시킨다.

중재 전이완 훈련: 대상자의 긴장감을 풀어주기

위해 심호흡 훈련을 실시하였다.

순 서① 대상자는 발은 바닥에 대고 등받이와

팔걸이가 있는 의자에 편안하게 기대

어 앉도록 한다.② 팔의 위치는 팔걸이 위에 올려 편안

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였다.③ 대상자는 눈을 감고 5분 동안 연구자

의 음성을 들으면서 훈련 장면을 상

상하도록 하였다.④ 상상연습 중간 중간 상상을 하고 있는

지 확인하기 위해 연구자가 대상자에

게 질문을 하였고 종료 후 상상연습에

사용된 이미지화를 실제적인 과제에

적용하여 상지기능 훈련을 실시한다.

상상연습

① 큰 물건을 잡고 들어 올리는 상상을 한다.② 고스톱을 손으로 집어 뒤집기를 하는

상상을 한다.③ 숟가락을 사용하여 입으로 가져오는

상상을 한다.④ 손가락을 이용하여 장기말 쌓는 상상

을 한다.

과제지향적

훈련

① 큰 물건을 잡고 들어 올리는 훈련을

실시한다(picking up large objects).② 고스톱을 손으로 집어 뒤집기 훈련을

실시한다(go-stop turning).③ 숟가락을 사용하여 입으로 가져오는

훈련을 실시한다(simulated feeding).④ 장기말 쌓는 훈련을 실시한다(stacking

checkers).

(4) 악력 측정검사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악력을 측정하기 위

하여 디지털 악력기(E-link Evaluation System V900S, Biometrics, USA)를 사용하였다. 손의 잡기 근력을 평

가하기 위한 자세는 어깨는 안쪽으로 모음시키고, 팔꿈치는 90°도 굽힘 상태로, 아래팔을 중립자세로 위치

시켜 측정하였다. 잡기는 최 등척성 운동을 측정하

였으며, 손잡이는 끝에서 2번째 칸에 위치시켜 상자

마다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세 번 측정한 평

균값으로 하였다(Trombly, 1989).

(5) 일상생활 수행검사

본 연구에서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을 검사하

기 위해 이재신(2005)에 의해 개발된 평가 도구인 일

상생활 수행검사를 사용하였다. 일상생활활동을 6가지 영역인 몸단장하기, 샤워/목욕하기, 화장실 사용하

기(양변기 기준), 옷 입기, 식사하기(일반식 기준)와

기능적으로 이동하기로 나누었으며 전체 23항목으로

구성되어있다. 각 항목에 한 수행정도는 4점 척도로

나누어지는데 수행을 하지 못한 경우는 ‘0’점, 완전히

수행 가능한 경우는 ‘4’점으로 최 점수는 92점이다. 일상생활 수행검사의 신뢰도는 .97로 높은 신뢰도를

보인다(이재신 등, 2006).

3) 대상자 치료 도구

(1) 상상연습 프로그램

상상연습은 조용한 치료실에서 진행되었고 연구자

가 직접 상상연습 지시문을 읽어준 후 과제를 수행하

는 방법으로 실시하였고, 각 기관의 동일한 연구자 한

명에 의해 진행되었다(표 2).

표 2. 상상연습 프로그램

3. 연구 절차 및 과정

1) 연구 절차

실험에 참여한 상자들은 상상연습이 가능하고 자

발적인 상지기능의 회복을 배제하기 위해 발병한지 3개월 이상의 뇌졸중 환자를 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똑같이 배분된 O, X 카드를 상자가 뽑기를 실시하

여 “O”는 실험군, “X”는 조군으로 하여 무작위 배

치하였다. 1주일에 5회 30분 동안 전통적 재활 치료

(30분)를 적용한 조군과 전통적 재활치료(15분) + 상상연습 프로그램(15분)을 실시한 실험군은 각각 5주

동안 실시하였으며 5주 후 상지기능과 일상생활 수행

능력을 재평가하였다. 두 그룹에 적용한 전통적 재활

치료는 신경발달치료에 입각한 양측성 활동 및 비정

상적인 근긴장도 억제 활동 등을 수행하였고 콘, 샌딩

보드와 같은 도구를 이용한 치료를 실시하였다. 본 연

Page 5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5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구의 실험 장소는 상 환자가 입원하고 있는 전라북

도 E 병원과 부산광역시 D 병원 작업치료실에서 실시

하였다. 상지기능에 관한 상상연습 프로그램을 적용

하기 전 연구자가 상자의 긴장감을 풀어주기 위해

심호흡 훈련을 실시하였다. 상자의 집중력의 분산

을 막기 위해 작업치료실의 독립적인 공간에서 실시

하였다. 과제를 사용한 상지기능훈련은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중 큰 물건 잡고 들어올리기, 종이

뒤집기, 먹기, 장기말 쌓기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2) 상상연습 프로그램 연구 과정

① 환자의 발은 바닥에 고 등받이가 있는 의자에

편안하게 앉는다.② 환자의 팔의 위치는 상자가 상상연습을 하는

동안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③ 환자는 눈을 감고 약 3분 동안 치료사가 읽어주는

음성을 들으면서 상지기능 훈련 장면을 상상한다.④ 상상연습 종료 후 환자에게 실제적인 과제를 제

공하고 치료사와 함께 환측 상지를 이용하여 훈

련하도록 한다.

본 연구는 상자 선정을 위한 MMSE-K, VMIQ와

시지각을 평가할 수 있는 MVPT를 사용하였다. 상상

연습 프로그램은 총 25회기 중재를 실시하였고, 상지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악력검사, MFT, BBT, MAL(AOU, QOM)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일상생활 수행능

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일상생활 수행검사를 실

시하여 상자 선정은 뇌졸중으로 진단을 받은 총 18명 중 초기 선별검사(screening test)를 통해 선정기준

에 부합하지 못한 4명이 탈락하여 14명의 상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중도 탈락된 이유는 심리적인

변화, 퇴원 등이었다(그림 1).

4.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 자료 분석은 SPSS 15.0을 사용하였고, 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두 집단 간의 실험 전 동질성 검사와 실험 후를 비교

하기 위해 Mann-Whitney를 사용하였고, 통계학적 유

의 수준은 .05로 하였다.

대상자 선정(n=18)실험군과 대조군 무작위 배정

4명

탈락

초기평가

상지기능 측정: 악력검사, MFT, BBT, MAL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측정: 일상생활 수행검사

<대조군 (n=7)> 전통적 재활 치료

<실험군 (n=7)>전통적 재활 치료+상상연습 프로그램

1회 30분 주 5회+

재평가(5주 후)상지기능 측정: 악력검사, MFT, BBT, MAL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측정: 일상생활 수행검사

그림 1. 단계적인 전산화 인지 훈련 절차

Ⅲ.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들의 실험 전 두 집단 비교

상자 선정 후 실험에 들어가기 전, 상자를 7명씩 무작위로 할당하였으며, 조군과 실험군의 치료

전 평가들에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표 3).

실험 전실험군 대조군

p평균 ± 표준편차 평균 ± 표준편차

악력검사 22.85 ± 9.40 22.57 ± 15.58 .749MFT(cube) 1.28 ± .95 1.57 ± 1.27 .643MFT(peg) 1.14 ± .69 1.14 ± .89 .945

BBT 19.71 ± 4.82 19.14 ± 5.45 .848MAL(QOM) 66.57 ± 23.59 64.28 ± 18.43 .848MAL(AOU) 57.00 ± 26.58 57.28 ± 23.37 .798

일상생활

수행검사 40.28 ± 12.13 41.42 ± 15.21 .898

MFT : Manual Function Test, BBT: Box and Block Test, MAL: Motor Activity Log* p <0.05

표 3. 연구 대상자들의 실험 전 두 집단 비교 (N=14)

Page 55: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51

2. 연구 대상자들의 실험 전⋅후 차이 비교

중재 제공 후 실험군은 모든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5). 조군 역

시 중재 후 모든 평가에서 점수 향상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MAL(QOM) 항목에서만 확인 할 수

있었다(p<.05)(표 4).

실험군

Pre Postp

대조군

Pre Postp

악력검사 22.85 ± 9.40 29.14 ± 7.08 .018 22.57 ± 15.58 24.28 ± 17.58 .180 MFT(cube) 1.28 ± 0.95 3.00 ± 1.00 .016 1.57 ± 1.27 1.85 ± 1.67 .157MFT(peg) 1.14 ± 0.69 2.57 ± 1.13 .023 1.14 ± 0.89 1.42 ± 0.78 .157

BBT 19.71 ± 4.82 22.28 ± 4.92 .014 19.14 ± 5.45 19.57 ± 5.19 .083 MAL(QOM) 66.57 ± 23.59 71.28 ± 22.97 .017 64.28 ± 18.43 65.28 ± 18.50 .038

MAL(AOU) 57.00 ± 26.58 66.42 ± 21.83 .018 57.28 ± 23.37 58.14 ± 23.87 .063일상생활

수행검사 40.26 ± 12.13 44.00 ± 12.43 .018 41.42 ± 15.21 42.71 ± 15.79 .109

MFT : Manual Function Test, BBT : Box and Block Test, MAL : Motor Activity Log* p <0.05

표 4. 연구 대상자들의 실험 전⋅후 차이 비교 (N=14)

Ⅳ. 고 찰

뇌졸중은 상위운동신경(upper motor neuron)의 손상

으로 근력약화, 마비(paralysis), 감각 그리고 운동조절

의 저하로 상지의 기능적 움직임을 수행하는데 어려

움을 나타내는 증상이다(Carr & Shepherd, 2003). 뇌졸

중 환자의 기능장애를 전통적인 접근법을 사용하여

신체기능의 회복을 증진시킨 연구들이 다양하게 진행

되어 오고 있지만(Boissy et al., 1999; Katrak et al., 1998), 최근에는 전통적 접근방법보다 과제지향적 접

근방법을 적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능력

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하였다(Dobkin, 2008). 또 실제적인 움직임 없이 수행하는 상상연습의 인지

적 처리과정이 다양한 환자들의 기능향상을 보고한

연구도 많았다(황정하, 2011; Page et al., 2009).하여 본 연구에서는 상상연습 후 일상생활활동과

연관된 과제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자고 하였다. 그리고 수행하기 어려운 과제를

수행하기 전, 미리 상상하거나 연습을 한다면 수행하

지 않았을 때 보다 더 높은 수행도를 보인다고 하였

다(Millard et al., 2001; Murphy, 1994). 이에 본 연구자

는 상상연습을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후 과제지향

적 훈련을 병행하였기 때문에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

동의 점수가 조군보다 더 많은 향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였다. 박은영과 정보인(1998)은 뇌졸중 환자 3명을 상

으로 상상연습을 실시한 결과 해당 근육의 최 근활

성화가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악력

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디지털 악력기(E-link Evaluation)를 사용하여 전⋅후를 측정한 결과 실험군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는 상상연습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근력증가를 보인 선행연구와 일

치하는 결과이다(Davies et al., 1996; Pierce et al., 2002). 유두한(2010)의 연구를 살펴보면 과제지향적 훈련

방법을 적용하여 상지기능의 향상은 보였으나 일상생

활활동에서는 유의한 증진은 보이지 못하였다. 하지

만,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활동 평가에서 유의한 향

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상자 수, 발병기간, 연령, 교육수준 등으로 인하여 상반된 결과를 보인 것으

Page 5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52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로 생각된다(Crum et al., 1993). 또, 뇌졸중 환자의 경

우 3개월 이후에 기능적인 회복이 거의 일어나지 않

는다고 보고한 연구와는 달리(Olsen, 1990), 본 연구에

서 발병기간이 3개월 이상의 상자들을 상으로 연

구를 진행한 결과 통계학적 유의성을 나타내었기 때

문에 상상연습 프로그램이 회복 시기를 넘긴 뇌졸중

환자에게도 중요한 중재방법이 될 것으로 기 된다. 또한 박미정 등(2011)은 과제지향적 훈련을 뇌졸중 환

자 12명에게 실시하여 전반적인 상지기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30명의 뇌졸중 환자를 상으로 과제지

향적 훈련을 적용하여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인 연구도 있었다(정재훈 등, 2011). 본 연구에서도 중재 후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

능과 일상생활활동의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상상연습과 과제지향적 훈

련을 통해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의 향상을 보인

연구(Blennerhassett & Dite, 2004)와 상지기능의 증진

이 일상생활활동의 회복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고

보고한 연구(김선희 등, 2003)와 일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보인 이유는 상상연습을 상자에게 적용 시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필요한 환자 중심의 과제

지향적 훈련을 적용한 것과 치료사가 주체가 되어 실

시하는 지시적 방법보다 환자가 목표를 설정하여 실시

하는 방법이 더 효과적이라는 Jones(1965)의 연구결과

를 뒷받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도

장악력과 상지기능, 조작능력 점수가 통계학적 유의

성을 보였는데 이것은 뇌졸중 환자의 특정적인 근육

을 증진시키는 것이 아닌 전반적인 상지기능의 향상

을 보인 효과가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쳐 긍정적인 변화를 보인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박재영(2008)은 뇌졸중 환자 20명에게 상지 운동학

습 프로그램을 1일 3시간, 1주 5일, 4주 동안 실시한

결과, 환측 상지의 사용 빈도와 움직임의 질 항목에서

향상을 보고하였다. 또한 뇌졸중 환자의 수행능력과

일상생활활동의 상관관계(김지영 등, 2010), 뇌졸중 편

마비 환자의 상지 수행능력과 삶의 질의 상관관계(안진영 등, 2011)등의 연구가 현재 진행되어오고 있다. 이처럼 뇌졸중 환자에게 다양한 중재방법을 실시하여

환측 사용 빈도, 움직임의 질 항목의 효과 및 상관관

계를 알아본 선행연구가 진행되어오고 있으나, 상상

연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수행능력의 효과를 측정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하여 본 연구에서는 상상

연습 프로그램이 환측 사용 빈도와 움직임의 질 항목

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상상연습 프로

그램을 적용한 군에서 상지기능의 사용 빈도와 움직

임의 질 항목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을 확인한 반면, 전통적 재활치료 군에서는 움직임의 질 항목은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으나 상지기능의 사용 빈도 항목에서는

유의미한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뇌

졸중 환자가 성취하고자 하는 운동 장면을 상상

(imagery)을 통해 동기유발 즉, 하고 싶어 하는 마음이

생겨남으로서 환측의 사용 빈도가 증가했다고 본 연

구자는 생각되어진다. 또 상상연습에서 목표-지향적

인 과제수행을 미리 연습하는 과정은 수행에 필요한

신경을 더욱 강화시켜 준다는 심리신경근육학적 이론

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Kearns & Crossaman, 1992). 그리고 상상연습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에게 상지기

능 뿐 아니라 다양한 부분에서 향상을 보인 것은 일

상생활활동을 수행 시 세밀하고 정확한 동작을 할 수

있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

째, 연구 상자의 수가 너무 적었기 때문에 모든 뇌

졸중 환자에게 일반화 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둘째, 상자의 일상생활활동을 수행하고자 하는 동기의욕

을 고려하지 않았다. 셋째, 본 연구는 사전-사후 설

계로서 장기간의 지속적인 효과를 분석하지 못하였

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더 많은 뇌졸중 환자와

추후검사가 필요할 것이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상상연습 프로그램, 즉 상상연습 후 과제지

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의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의 결과, 상상연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이 전통적

재활치료를 적용한 조군보다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

동의 수행 능력에서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이는 상상연습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일상생활활동의 수행능력을

Page 57: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53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상

연습 프로그램을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

색하는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연구에

서는 많은 뇌졸중 환자를 상으로 한 연구의 필요성

과 다양한 상상연습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권용철, 박종한. (1989).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의 표준화연구. 한국정신의학회지, 58(1), 123-135.

김미영. (1994). 뇌졸중 상지 기능 평가에 한 고찰. 한작업치료학회지, 2(1), 19-26.

김선희, 장문영, 권혁철. (2003). 편마비 환자의 환측

상지 운동기능 향상이 일상생활활동의 수행에 미치

는 영향. 한작업치료학회지, 11(2), 65-75.김지연. (2002). 기능적 전기자극이 편마비 환자의 손

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 서울: 단국 학교 학원.김지영, 임애진, 김성례, 한윤희, 한승엽, 박용광 등

(2010).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환측 상지 수행능력에

따른 일상생활활동 독립성 정도: MAL과 MBI 상관

관계 연구.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4(2), 11-18.문상현. (2010). 견갑골 내전근에 한 기능적 전기자

극과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이 뇌졸 중 환자의

견갑골 움직임과 상지기능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경기: 용인 학교 학원.

박미정, 윤인진, 정지인. (2011). 반복적 단일 운동 치료

와 과제 지향적 운동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

능에 미치는 효과 비교. 한작업치료학회지, 19(4), 1-14.

박은영, 정보인. (1998).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근

력증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5(2), 81-90.

박재영. (2008). 상지 운동학습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

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충남: 충남 학교

학원.안진영, 유수전, 김지연. (2011).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환측 상지 수행능력과 일상생활활동 독립성 정도에

따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고령친화건강정

책학회지, 3(1), 53-58.유두한. (2010). 기능적 전기 자극 동안의 과제중심훈

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전: 건양 학교 학원.

이한석, 채경주. (1997). 뇌졸중 상지기능 평가(Manual Function Test)의 정상인 표준치에 관한 연구. 한

작업치료학회지, 5(1), 52-57.이재신. (2005). 라쉬분석을 이용한 뇌졸중 환자용 일

상생활수행 평가도구 개발. 서울: 연세 학교 학원.이재신, 이충휘, 정민예, 유은영, 장기연, 권혁철. (2006).

라쉬분석을 이용한 뇌졸중 입원환자용 일상생활수

행 평가도구 개발. 한작업치료학회지, 14(2), 1-12.정재훈, 조영남, 채수영. (2011). 과제 지향적 상지 운

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

치는 영향.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5(3), 231-253.황정하. (2011). 상상훈련이 뇌종양 환자의 균형에 미

치는 영향: 단일사례연구. 한국고령친화 건강정책

학회지, 3(2), 29-39.Armagan, O., Tascioglu, F., & Oner, C. (2003). Electromagnetic

biofeedback in the treatment of the hemiplegia hand: a placebo-controlled study.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82(11), 856-861.

Blennerhassett, J., & Dite, W. (2004). “Additional task-related practice improves mobility and upper limb function early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ustralian Journal of Physiotherapy 50(4), 219-224.

Boissy, P., Bourbonnais, D., & Carlotti, M. M. (1999). Maximal Grip Upper Extremity Function. Clinical Rehabilitation, 13(4), 354-362.

Bouska, M. J., & Kwatny, E. (1983). Manual for the ap-plication of the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to the adult population. 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Rehabilitation Research and Training Center.

Carr, J. H., & Shepherd, R. B. (2003). Stroke re-habilitation: guidelines for exercise and training to optimize motor skill. Butterworth-Heinemann, Oxford.

Cirstea, M. C., Ptito, A., & Levin, M. F. (2003). Arm reaching improvements with short-term practice de-pend on the severity of the motor deficit in stroke.

Page 5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54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Experimental Brain Research, 152(4), 476-488.Cooper, B. Y., Glendinning, D. S., & Vierck, C. J.

(1993). Finger movement deficits in the stumptail macaque following lesions of the fasciculus cuneatus. Somatosensory and Motor Research, 10(1), 17-29.

Cromwell, F. S. (1965). Occupation Therapy Manual for Basic Skill Assessment: Primary Prevocational Evaluation. Oasadena CA: Fair Oaks Printing Co.

Cromwell, F. S. (1976). Occupational Therapist’s Manual for Basic Skill Assessment; Primary Prevocational Evaluation. Altadena, CA: Fair Oaks Printing Co.

Crum, R. M., Anthony, J. C., Bassett, S. S., & Folstein, M. F. (1993). Population-Based Norms for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by Age and Educational Level.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69(18), 2368-2391.

Davies, J. M., Mayston, M. J., & Newham, D. J. (1996). Electrical and mechanical output of the knee muscles during isometric and isokinetic activity in stroke and healthy adults. Disability Rehabilitation, 79, 481-492.

Dijkerman, H. C., Ietswaart, M., Johnston, M., & MacWalter, R. S. (2004). Does motor images training improve hand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Pliot study. Clinical rehabilitation, 18(5), 538-549.

Dobkin, B. H. (2008). Training and exercise to drive post-stroke recovery. National Clinical Practice Neurology, 4(2), 76-85.

Folstein, M. F., Folstein, S. E., &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y Research, 12, 189-198.

Francisco, G., Chae, J., Chawla, H., Kirshblum, S., Zorowitz, R., & Lewis, G. (1998). Electromyogram-trig-gered neuromuscular stimulation for improving the arm function of acute stroke survivors: A randomized pilot stud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9(5), 570-575.

Hewett, T. E., Ford, K. R., Levine, P., & Page, S. J. (2007). Reaching Kinematics to measure motor change after mental practice in stroke.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14(4), 23-29.Issac, A., Marks, D. F., & Russell, D. G. (1986). An in-

strument for assessing imagery of movement: The viv-idness of movement imagery questionnaire(VMIQ). Journal of Mental Imagery, 10, 23-30.

Jones, J. G. (1965). Motor learning without demon-stration of physical practice under two conditioning of mental practice. Research Quarterly, 36.

Katrak, P., Bowring, G., & Conroy, P. (1998). Predicting Upper Limb Recovery after Stroke: The Place of Early Shoulder and Hand Movement. Archives Physical Medical Rehabilitation, 79(7), 758-761.

Kearns, D. W., & Crossman, J. (1992). Effects of a cog-nitive intervention package on the free-throw perform-ance of varsity basketball players during practice and competition. Perception Motor Skills, 75, 1243-1253.

Kisner, C., & Colby, L. A. (1990).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 and techniques. Philadelphia, F. A. Davis.

Mathiowetz, V., Volland, G., Kashman, N., & Weber, K. (1985). Adult norms for the Box and Block Test of manual dexterit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 Therapy, 39(6), 386-391.

McCulloch, K. L., & Nelson, C. M. (1995). Electrical stimulation and electromyographic biofeedback: Applications for neurological dysfunction. In: Umphred DA, ed. Neurological Rehabilitation, 852-871.

Millard, M., Mahoney, C., & Wardrop, J. (2001). A pre-liminary study of mental and physical practice on the kayak wet exit skill. Perception and Motor Skill, 92(3), 977-984.

Murphy, S. M. (1994). Imagery intervention in sport.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6(4), 486-494.

Nakamura, R., & Moriyama, S. (2000). Rehabilitation manual 8: Manual Function Test (MFT) and func-tional occupational therapy for stroke patients.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isabled.

Oslen, T. S. (1990). Arm and leg paresis as outcome predictors in stroke rehabilitation. Stroke, 21(2), 247-251.

Ozdemir, F., Birtane, M., Tabatabeei, R., Ekuklu, G., &

Page 59: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55

Kokino, S. (2001). Cognitive evaluation and functional outcome after stroke.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80(6), 410-415.

Page, S. J., Levine, P., Leonard, A., Szaflarski, J. P., & Kissela, B. M. (2008). Modified constraint-induced therapy in chronic stroke: results of a single-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hysical Therapy, 88(3), 333-340.

Page, S. J., Sisto, S., Levine, P., Johnston, M., & Hughers, M. (2001). Modified constraint induced ther-apy: A randomized feasibility and efficacy study.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38(5), 583-590.

Page, S. J., Levine, P., & Khoury, J. C. (2009). Modified constraint-induced therapy combined with mental practice: thinking through better motor outcomes. Stroke, 40(2), 551-4.

Parker, V. M., Wade, D. T., & Langton, H. R. (1986). Loss of arm function after stroke: Measurement, fre-quency, and recovery. International Rehabilitation Medicine, 8(2), 69-73.

Pierce, S., Daly, K., & Gallagher, K. (2002). Constraint- Induced Therapy for Child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A Case Report. Archives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83(10), 1462-1463.

Richardson, A. (1967). Mental practice: A review and discussion part 1. The Research quarterly of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Health, Physical Education, and Recreation, 38, 95-107.

Sharma, N., Pomeroy, V. M., & Baron, J. C. (2006). Motor imagery: A backdoor to the motor system after stroke. Stroke, 37(7), 1941-1952.

Trombly, C. A. (1989). Occupation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3rd ed. Williams & wikin.

Taub, E., Miller, N., Novack, U., Cook, E., Pleming, W., & Nepomuceno, C., et al. (1993). Technique to im-prove chronic motor deficit after stroke. Archives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74(4), 347-354.

Uswatte, G., Taub, E., Morris, D., Vignolo, M., & McCulloch, K. (2005).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upper-extremity motor activity log-14 for measuring real-world arm use. Stroke, 36, 2493-2496.

Van Dijk, H., Jannink, M. J., & Hermens, H. J. (2005). Effect of augmented feedback on motor function of the affected upper extremity in rehabilitation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37(4), 202-211.

Van Leeuwen, R., & Inglis, J. T. (1998). Mental practice and imagery: A potential role in stroke rehabilitation. Physical Therapy Reviews, 3(1), 47-52.

Page 6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56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Abstract

The Effect of Mental Practice on Function of Upper Extremity in Stroke Patients

Hwang, Jung-Ha, M.P.H.,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ntal practice on the upper ex-tremity and ADL(Activity Daily Living) in person with stroke.

Methods : Participa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wo groups: experimental(n=7) and control(n=7). The pati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Both groups participated in mental practice program 5 session 30 minutes per week for 4 weeks. The Upper extremity was measured by MFT, BBT, MAL(Amount of Use; AOU, Quality of Movement; QOM), Grip strengthening. Jae-Shin(2005) development activities of daily living tests were evaluated using.

Result :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mparis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re-spect the areas of upper extremity function, AD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Experimental group assess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DL examin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p<.05). Scores showed the improvement in the control group at all assess-ment items or MAL(quality of movement) items only, showed significant changes.

Conclusion :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mental practice program training on the func-tional recovery of stroke patients by showing an improved performance of upper-limb func-tionality, activities of daily living.

Key Words : Mental practice program, ADL, Task-orientation training

Page 61: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요양시설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과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의 상관관계

김수한*, 정재훈***가야 학교 물리치료학과

**경운 학교 보건 학 작업치료학과

목적본 연구는 요양시설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과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연구 기간은 2012년 1월부터 5월까지 실시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대구에 소재하는 노인요양시설에

입소한 치매 노인 3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인지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K-MMSE, 기

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FIM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대상자의 K-MMSE 평균 점수는 9.13점으로 인지기능이 저하되었고, FIM 평균점수는 52.29점으로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 또한 저조하였다. 인지기능과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은 통

계학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5), 인지기능과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세부항목 중

자조관리, 괄약근 조절하기, 의사소통, 사회인지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p<.05), 이동하기 및 걷기와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5). 기억회상은 기본적

일상생활활동의 모든 영역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5). 주의 집중력

및 계산과 시공간 구성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5).

결론본 연구를 통하여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과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특히 기억회상이 기본적 일상생활활동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주제어 치매, 인지기능,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교신저자 : 정재훈([email protected])∥접수일 : 2013년 04월 04일∥개재승인일 : 2013년 04월 12일

Ⅰ. 서론

의학기술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기 수명

이 늘어나 노인인구가 증가하여 사회의 고령화가 급속

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65세 이상 고령자가 전

체 인구의 7∼14% 미만이면 고령화사회(aging society), 14∼20% 미만이면 고령사회(aged society), 20% 이상이

면 초고령사회(super-aged society)로 분류된다(통계청, 2011). 우리나라는 2000년에 이미 고령화사회에 진입

하였으며, 2018년에는 고령사회에, 2026년에는 초고령

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통계청, 2011). 이러한

급격한 고령화와 수명 연장으로 치매 환자 또한 범세

계적으로 급증하고 있으며 매 해 세계적으로 460만 명

의 새로운 치매 환자가 발생한다(보건복지부, 2008). 국내에서도 65세 노인 인구의 치매 유병률은 계속 상

승할 것으로 전망되며, 환자수도 2010년 약 47만명, 2030년 약 114만명, 2050년에는 213만명으로 20년마다

2배씩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보건복지부, 2008). 또한 치매 노인의 증가에 따라 65세 이상 치매 노인의

진료비용은 2002년 비 2009년의 진료실인원이

497.7% 증가하였고, 총 진료비는 1,232,1%로 증가하였다

(국민건강보험공단, 2011).

Page 6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58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치매 노인의 급격한 증가와 진료비용의 증가는 가

족의 부양 부담을 증가시킨다(이승준, 2004). 하지만

치매 노인의 부양은 더 이상 가정의 문제가 아닌 사

회적 문제로 두되고 있으며 요양원, 주간 보호센터, 단기 보호센터 등과 같은 각종 요양시설의 중요성이

증가하기 시작했다(이윤정과 김신미, 2003). 요양시설

은 일상생활에서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노인이

나 가족의 조력을 받기 어려운 노인들을 수용⋅보호

하는 시설이다(이현희, 2008). 이러한 요양시설에 입소

하는 치매 노인은 상지 기능과 근력과 같은 신체기능

은 일정범위의 능력이 있는 반면에 인지기능이 현저

히 저하되어있으며, 기본적인 일상생활활동 수행에서

도 어려움을 나타낸다(이재신과 전병진, 2007).치매는 뇌의 만성 또는 진행성 질환으로 생기는 증

후군으로 기억력, 사고력, 지남력, 이해력, 계산력, 학습능력, 언어 및 판단력을 포함한 고도의 뇌피질 기

능의 다발성 장애이며, 의식의 혼탁이 없이 일상생활

활동이 손상될 정도의 장애가 최소한 6개월 이상 지

속되는 것이다(World Health Organization, 1992). 따라

서 후천적인 뇌질환에 따라 기억장애, 언어장애, 시공

간능력장애, 성격 및 감정의 변화, 판단력을 포함한

관리기능 등의 인지기능 장애가 일상생활이나 사회생

활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상태이다(Mendez & Cummings, 2003). 이러한 치매는 원인이 되는 질환에 따라 알츠

하이머병 치매(Alzheimer's dementia), 혈관성 치매

(Vascular dementia), 루이소체 치매(Dementia with Lewy bodies), 파킨슨씨병과 동반된 치매(Parkinson’s disease with dementia), 전측두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로 구분되며(Levy & Chelune, 2007), 이 중 알

츠하이머병 치매가 가장 많고 그 다음이 혈관성 치매

이다(McCullagh et al., 2001). 치매의 주요한 증상으로

는 인지기능의 저하와 우울, 불안, 무감동, 불면, 두려

움, 망상, 환각, 비정상적인 생각 등의 문제행동이 나

타나는 신경정신 증상이 나타난다(Hebert et al., 1995). 인지기능이란 사람이 생각하고, 기억하고, 배우고,

언어를 사용하는 의식적인 정신 기능을 말하며 지각, 추론, 판단, 직관, 기억에 한 개인의 인식을 포함하

고 지식을 습득하는 정신적인 행위 과정이다(김연희

와 이종민, 2008). 치매 노인에서 나타나는 인지기능

의 장애로는 기억장애, 지남력 장애, 행동장애, 주의력

장애, 언어장애, 시공간 장애, 관리기능 장애 등이 있

다(Pasquier, 1999). 기억장애는 주로 최근 기억(recent memory)의 손상이 나타나며 학습능력의 저하와 시간

이 지날수록 정보보존의 능력이 저하된다(Butters et al., 1995). 지남력 장애는 특히 기억 장애와 연관되어

서 시간과 장소에 한 지남력의 저하가 나타나고

(Hirono et al., 1998), 행동장애는 전두엽의 기능장애로

인한 성격과 행동의 변화가 나타나며(Elfgren et al., 1994), 문자 언어 유창성검사나, 숫자 외우기 검사에서

주의력 저하를 보인다(Graham et al., 2004). 언어 장애

는 음성 출력, 음소 착어, 이해 등의 어려움이 나타나

며 자발적인 구어가 감소한다(Pasquier, 1999). 치매 환

자를 상으로 하는 시공간능력검사 중 그리기 검사에

서 배열의 문제, 부정확한 위치, 누락 등이 나타났으며

공간에서의 조작력 저하가 나타났다(Kalman et al., 1995). 관리기능 장애는 계획, 판단, 문제해결, 추론 등

에 문제가 나타나며 주로 알츠하이머병 치매보다는 전

측두 치매에서 많이 나타난다(Huey et al., 2009). 이러

한 인지 장애는 치매 노인의 불안과 우울을 증가시키

는 요인이 되며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의 저하를 가져

와 부양자에게 큰 부담을 가중시킨다(김지애, 2009). 일상생활활동은 기본적 일상생활활동(Basic activ-

ities of daily living; BADL)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으로 구분

된다. 기본적 일상생활활동은 옷입기, 씻기, 화장실 사

용하기, 몸치장하기, 밥 먹기, 걷기와 같은 자기관리기

술을 말하며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은 좀 더 복잡한 것

으로써 재정관리, 전화기 사용하기, 자동차 운전하기, 약 복용하기, 음식준비하기, 일하기, 장보기 등과 같은

고위 기술을 말한다. 치매의 초기에는 수단적 일상생

활활동에 문제가 생기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개인위생

과 같은 기본적 일상생활활동에도 어려움을 나타낸다

(Desai et al., 2004). 특히 치매 노인의 기본적 일상생

활활동은 목욕하기 기능이 가장 먼저 소실되며 옷입

기, 몸단장하기, 화장실 이용하기, 걷기, 먹기 순으로

기능이 상실된다(Cohen-Mansfield et al., 1995). 따라서

치매의 후기에는 부양자에게 전적으로 의존을 하게

되며(Desai et al., 2004),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은 환

자의 관리 및 보호 필요성에 한 중요한 예측인자가

된다(Gaugler et al., 2003).

Page 63: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59

Raffaele 등(1996)은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이 일상생

활활동 수행능력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그 중

시지각 기능이 가장 영향력이 있는 인지요인이라고

하였다. Cohen-Mansfield 등(1995)은 치매 노인의 인지

기능 감소가 점진적으로 나타나면서 목욕하기, 옷 입

기, 몸단장하기, 화장실 사용하기, 걷기, 먹기 순으로

일상생활활동이 독립적으로 수행하기가 어려워진다

고 하였다. Reed 등(1989)은 일상생활활동 중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및 기본적 일상생활활동과 인지기능과

의 관련성은 목욕, 옷 입기, 먹기 등과 같은 기본적 일

상생활활동이 수단적 일상생활활동보다는 낮지만 인

지기능과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치매 노인

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지만 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만을 상으

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국내에서 요양시설에

입소한 치매 노인을 상으로 이현희(2008)와 김지애

(2009)는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의 관

련성을 연구하였지만, 인지기능과 기본적 일상생활활

동의 세부 항목에 한 관련성을 규명하지 못했다. 요양시설에 입소한 치매 노인은 치료보다 보호

(care)에 중점을 두며, 특성화된 치료 프로그램이 부족

한 실정이다. 따라서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치매

노인보다 인지 기능 및 일상생활활동 수행이 의존적

이다. 치매 노인의 인지 기능 및 일상생활활동 수행능

력을 최 한 유지하기 위해서는 특성화된 치료 프로

그램이 필요하다. 요양시설 치매 노인을 위한 인지 및

일상생활활동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서는 인지기능

과 기본적 일상생활활동의 세부 항목별로 나누어서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요양시설에 입소한 치매 노인에 한 인지기능과 기

본적 일상생활활동 세부항목의 관련성을 규명함으로

써 치매 노인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2012년 1월부터 5월까지 구에 소재한

B 노인요양원에서 신경과 의사로부터 치매로 진단받

고 입소하여 치료를 받은 65세 이상 치매 노인 38명을 상으로 하였다. 연구 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

음과 같았다. 남자는 25명(65.8%), 여자는 13명(34.2%)로 남자가 더 많았으며 연령은 평균 80.3±4.9세이고

69세 이하 2명(5.3%), 70∼79세 12명(31.6%), 80∼90세

24명(63.1%)으로 80 가 가장 많았다. 발병기간은 평

균 3±2.2년이었고 1년∼3년 26명(68.4%), 4년∼6년 8명(21.1%), 7년∼9년 4명(10.5%)으로 1년∼3년이 가장

많았다(표 1).

특성 구분 빈도 퍼센트평균

(표준편차)

성별남 25 65.8여 13 34.2

연령

69세 이하 2 5.380.3(4.9)70∼79세 12 31.6

80∼90세 24 63.1

발병기간

1∼3년 26 68.4 3.0(2.2)4∼6년 8 21.1

7∼9년 4 10.5

표 1. 연구 대상자 일반적인 특징 (N=38)

2. 연구절차

연구 상자 선정은 치매 노인 또는 치매 노인의

가족과 간병인에게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설명하고

연구 내용은 연구 외의 다른 목적으로는 사용되지 않

음을 밝히고 동의를 구하여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평

가는 작업치료사 1명에 의해 시행되었으며, 치매 노인

의 특성상 하루 일과 중 평가 시간에 따라 결과가 다

르게 나타날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오전 10∼11시

사이에 평가를 실시하였다. K-MMSE는 조용한 공간

에서 환자가 휠체어나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일 일

로 실시하였고 FIM은 병실 및 치료실에서 직접 관찰

하여 기록하였다. 하지만 목욕하기는 직접 관찰이 어

려웠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간병인의 면접을 통하여

점수화하였다.

Page 6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6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3. 연구 도구

1)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Korean Vision of Mini

Mental State Exam; MMSE-K)

MMSE(Folstein et al., 1975)의 원래 문항들을 그

로 유지하여 강연욱 등(1997)이 한국 치매환자를 상

으로 인지기능을 검사하기 위하여 번안하여 제작하였

다. 세부 항목 및 점수로는 시간 지남력(5점), 장소 지

남력(5점), 기억 등록(3점), 주의집중 및 계산(5점), 기억 회상(3점), 언어 능력(8점), 시공간 구성(1점)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점수는 0∼30점이다. 인지장애의 분

류는 24점 이상은 정상, 18∼23점은 경도의 인지장애, 17점 이하는 중증도의 인지장애로 구분하였다. 실시

에 소요되는 시간은 상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

만 평균 5∼10분정도 소요된다(강연욱, 2006). 평가자

간 일치도는 0.96, 검사-재검사 일치도는 0.86으로 나

타났으며(김동현 등, 1999), 45세 이상 90세 미만의 정

상인 1,582명의 검사 결과로 규준을 산출하였다(강연

욱, 2006).

2) 기능적 독립척도(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기능적 독립척도는 장애를 가진 환자들의 일상생활

활동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Granger 등(1993)에

의해 개발된 도구로써 자조관리(self-care), 괄약근조절

(sphincter control), 이동(transfer), 걷기(locomotion)의

운동영역과 의사소통(communication), 사회인지(social cognition)의 인지영역으로 구성되어 총 18개의 소항목

으로 이루어져있다. 또한 완전 도움, 최 한 도움, 중등도 도움, 약간의 도움, 감독, 수정된 독립, 완전 독

립으로 도움의 정도에 따라서 최저 1점에서 최고 7점으로 점수를 매기며 총점은 126점이다. 이 검사의 검

사자간 신뢰도는 0.83∼0.96이다.

4. 자료 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12.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 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

를 이용하여 빈도 분석하였고 인지기능과 기본적 일

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의 점수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나

타냈다. 인지기능과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 α는 0.05로

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인지기능과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점수

K-MMSE로 평가한 인지기능의 점수는 최소 1점에

서 최 22점이었고, 평균점수는 9.13±5.18점이었다. 시공간 구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주의집중 및 계

산과 기억회상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상 적으로 언

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표 2-1).

검사영역연구 대상자

평균 표준편차

시간 지남력 0.74 1.00장소 지남력 1.71 1.35기억등록 1.22 1.29

주의집중 및 계산 0.26 0.83

기억회상 0.34 0.63언어 4.84 1.62시공간 구성 0.03 0.16K-MMSE 총점 9.13 5.18

표 2-1. 연구 대상자의 인지기능 점수

FIM을 이용하여 평가한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의 점수는 최소 25점에서 최 92점이었고, 평균

점수는 52.29±16.17점이었다. 운동영역에서는 계단 오

르내리기가 가장 낮았고 먹기가 점수가 가장 높았다. 사회인지영역에서는 기억력이 가장 낮았고 표현하기

가 가장 높았다(표 2-2).

Page 65: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61

검사영역 세부영역연구 대상자

평균 표준편차

자조관리

먹기 4.63 0.75몸치장하기 2.32 0.81목욕하기 2.16 0.75상의입고벗기 2.58 0.92하의입고벗기 2.55 0.92화장실사용하기 2.71 1.21

괄약근

조절하기

배변조절하기 3.21 1.82배뇨조절하기 3.21 1.82

이동하기

침대, 의자. 휠체어로

이동하기2.74 1.29

변기로 이동하기 2.71 1.25욕조로 이동하기 2.68 1.23

걷기걷기 2.97 1.52계단오르내리기 1.71 1.01

의사소통이해하기 3.55 1.22표현하기 3.61 1.24

사회인지

사회적 상호작용 3.13 1.07문제해결하기 3.05 1.09기억하기 2.76 0.94

FIM 총점 52.29 16.17

표 2-2. 연구 대상자의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점수

2. 인지기능과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의 상관관계

1) 인지기능과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의

상관관계

인지기능과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K-MMSE와 FIM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K-MMSE와 FIM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5)(표 3-1).

K-MMSE FIMK-MMSE 1 .684*

FIM .684* 1*p<0.05

표 3-1. 인지기능과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의 상관관계

2) 인지기능,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의

세부항목별 상관관계

인지기능은 자조관리, 괄약근 조절하기, 의사소통, 사회인지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

였으며(p<.05), 이동하기 및 걷기와는 통계학적으로 유

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5). 인지기능의 세부항목

과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의 세부항목과의 상

관관계에서 시간지남력은 괄약근 조절하기, 의사소통, 사회적 인지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p<.05), 장소지남력은 자조관리, 괄약근 조절하

기, 걷기, 의사소통, 사회적 인지와 통계학적으로 유의

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5). 기억등록은 자조관

리, 괄약근 조절하기, 의사소통, 사회적 인지와 통계학

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p<.05), 기억회

상은 자조관리, 괄약근 조절하기, 이동하기, 걷기, 의사

소통, 사회적 인지와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5). 언어는 괄약근 조절하기, 의사소통, 사회적 인지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p<.05), 주의집중 및 계산과 시공

간 구성은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의 세부항목

과 상관관계가 없었다(p>.05).(표 3-2).

시간지남력 장소지남력 기억등록주의 집중력

및 계산기억회상 언어 시공간구성 인지기능

자조관리 241 .373* .419* .131 .426* .309 .146 .428*

괄약근

조절하기.327* .509* .450* .124 .504* .535* .164 .571*

표 3-2. 인지기능,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의 세부항목별 상관관계

Page 6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62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이동하기 .153 .289 .277 .058 .382* .230 .172 .314걷기 .169 .343* .237 .044 .385* .283 .234 .340의사소통 .559* .736* .610* .287 .654* .754* .195 .831*

사회적 인지 .541* .687* .588* .277 .655* .748* .114 .803*

*p<0.05

Ⅳ. 고 찰

치매는 뇌의 기질적 병변에 의하여 기억장애를 비

롯하여 언어장애, 행동장애 및 기타 지적 능력의 소실

이 특징인 인지기능의 장애를 나타내며(남궁기 등, 1993), 일상생활을 독립적으로 영위할 수 없게 된다

(오병훈, 2002). 이러한 문제들이 부양자들이 환자를

전적으로 돌봐야하는 부담감을 안고 살아가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여러 복합적인 문제들은 치매 노인이 요

양시설에 입소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Fitten, 2006). 요양시설은 일상생활을 독립적으로 영위할 수

없어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는 노인들

을 입소시켜 요양 및 일상생활에 필요한 도움을 주기

위한 시설로써 정부의 지원에 따라 최근까지 급속히

늘어나는 추세이다(이현희, 2008). 본 연구는 요양시설에 입소한 치매 노인을 상으

로 인지기능과 기본적 일상생활활동의 관련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 도구 중

K-MMSE는 MMSE의 원형을 그 로 유지하고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을 측정하는 도구이며, 박수희 등

(2009)의 연구에서 18개의 평가도구 중 MMSE가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가장 많이 쓰이는

평가도구로 나타났다. 또한 강연욱 등(1997)의 연구에

서 K-MMSE는 치매를 선별하는 민감도가 0.70∼0.83으로 나타나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을 평가하는 적절

한 도구이다. 치매 노인들은 관리기능(executive func-tion)에도 장애가 나타나는데 이러한 관리기능은 계획, 개념 형성, 문제해결, 목적 지향적 행동, 정보의 보존

을 포함하는 고위 인지 과정을 말한다(Salmon & Bondi, 2009). 김홍근(2001a; 2001b)은 관리기능을 주

의기능, 언어기능, 시공간기능, 기억기능과 같은 하위

인지기능을 통제하는 고위 인지기능이라고 하였다. 최근에 인지기능에서 관리기능의 중요성이 두되어

앞으로 연구에서는 관리기능을 검사할 수 있는 도구

를 사용하는 것도 유용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FIM은

치매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한 여러 논문에서 사

용되었으며(노효련 등, 2011; 이재신과 전병진, 2007; 윤정애와 조영남, 2009; 최정실 등, 2003), 기본적 일상

생활활동 수행능력을 평가하는 도구이지만 의사소통, 사회적 인지와 같은 인지영역이 포함되어 치매와 같

이 인지기능에 장애가 생기는 질환에 사용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연구 상자의 인지기능을 평가한

K-MMSE의 평균 점수는 9.13점이었다. 이 결과는

MMSE-K와 K-MMSE를 사용하여 요양시설 치매 노인

의 인지기능을 평가하여 평균 9.54에서 12.47점으로

나타난 결과(김지애, 2009; 김치영, 2006; 노효련 등, 2011; 이현희, 2008)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지역사회

치매 노인이 평균 16.87점(윤정애와 조영남, 2009)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요

양시설에 입소한 치매 노인이 중증치매가 많으며 인

지기능의 저하가 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요양시설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을 보존하기 위한 치료 프로그

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반적으로 인지 기능

의 모든 세부 항목에서 점수가 낮게 나타나 요양시설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이 많은 저하가 있음을 보여주

고 있다. 시공간 구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주의집

중 및 계산과 기억회상 순으로 낮게 나타났고 상 적

으로 언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치매

의 원인이 되는 질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사

료된다. 연구 상자의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평

가한 FIM의 평균 점수는 52.29점이었다. 이러한 결과

는 요양시설 치매 노인을 상으로 한 노효련 등

(2011)의 연구에서 나타난 45.92점보다 약간 높았지만

전반적으로 전적도움에서 중등도의 도움이 필요하여

Page 67: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63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이 다른 사람의 도움을

많이 필요한 상태이다. 0점에서 총점이 100점인 Bathel Index를 이용하여 평가한 김치영(2006)의 연구에서도

평균 34.81점으로 나타났으며 이현희(2008)의 연구에

서는 평균 55.94점, 김지애(2009)의 연구에서는 평균

54.96점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하게 요양

시설 치매 노인의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이 현

저히 저하되었다. 운동영역에서 먹기 항목이 다른 항

목에 비해서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김치영(2006)의 연구와 최정실 등(2003)의 연구에서 나

타난 결과와 일치하였으며, 먹기 기능의 상실이 가장

늦게 나타난다는 Cohen-Mansfield 등(1995)의 연구 결

과와 유사하다. 계단 오르내리기가 가장 낮았으며 이

결과도 최정실 등(2003)의 연구와 일치하였다. 김치영

(2006)의 연구에서도 목욕하기와 계단오르내리기가 다

른 항목에 비해 낮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치매 노인은

균형 능력이 저하되어 낙상의 위험이 증가하기(이병희

등, 2011) 때문에 계단 오르내리기가 가장 낮을 것으로

사료된다. 인지영역에서는 의사소통보다는 좀 더 고위

의 기능인 사회인지에서 더 낮았으며 이것은 치매의

질병 특성상 고위의 기능부터 소실이 되는 것을 나타

내는 결과라 할 수 있으며 지역사회에서 생활이 상당

한 제한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에서는 치매 노

인의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에 한 연구가 부족하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수단적 일상생활활동과 기본적 일상

생활활동을 같이 측정하여 차이 및 관련성에 한 연

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과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의 관련성에 한 결과는 K-MMSE와 FIM이 통

계학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인지기능이

낮을수록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이 의존적이

라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김지애(2009)의

연구와 김치영(2006)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하지만

이현희(2008)의 연구에서는 우울과 일상생활 수행능

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나고

우울과 인지기능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

관관계가 나타났지만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은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요인들이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쳤

을 것이라고 사료되며, 인지기능 이외의 일상생활활

동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거나 관련이 되는 요인들

에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MMSE와 FIM의 세부항목간의 상관관계는 자조

관리, 괄약근 조절하기, 의사소통, 사회인지와 통계학

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동하기

및 걷기와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

다. 최정실 등(2003)의 연구에서는 자조관리, 의사소

통, 사회인지와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여 본 연구의 결

과와 차이를 보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요양시설 치매

노인을 상으로 한 반면에 최정실 등(2003)의 연구에

서는 노인전문병원과 주간보호센터 치매 노인을 상

으로 하여 상 적으로 인지기능과 기본적 일상생활활

동 수행능력이 높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와 일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이동하기 및

걷기와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은 일치하였다. 이동하

기 및 걷기는 다른 영역에 비해 상 적으로 인지기능

보다는 운동기능과 관련이 되기 때문이라고 사료된

다. 괄약근 조절하기의 문제는 노인들의 낙상과 골절

의 위험을 증가시키며, 요양시설에 입소하게 하는 주

요 요인으로(Jennifer et al., 2006), 인지기능 장애가 심

할수록 1.11배씩 증가한다(김문실과 이승희, 2008).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인지기능과 괄약근 조절하기에서

상관관계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K-MMSE 세부항목과 FIM의 세부항목간의 관련성

에서 시간지남력은 괄약근 조절하기, 의사소통, 사회

적 인지와 상관관계를 보였고, 장소지남력은 자조관

리, 괄약근 조절하기, 걷기, 의사소통, 사회적 인지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기억등록은 자조관리, 괄약근 조

절하기, 의사소통, 사회적 인지와 상관관계를 보였고, 기억회상은 FIM의 모든 항목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언어는 괄약근 조절하기, 의사소통, 사회적 인지와 통

계학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볼 때 기억회상이 치매 노인의 전반적인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과 관련이 있다는 것으

로 나타났다. 최정실 등(2003)의 연구에서는 지남력이

자조활동, 의사소통, 사회인지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기억기능은 의사소통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여 본 연

구 결과와는 상이하다. 이러한 차이는 본 연구 상자

의 발병기간이 더 오래되어 중증 치매이기 때문에 인

지기능 및 일상생활활동 수행의 저하가 더 심하기 때

Page 6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64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문이라고 사료된다. 기억력의 장애는 치매 환자들의

주된 호소이자 핵심요소이며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

의 저하와 관련된다(김장래 등, 2011). 이러한 연구 결

과를 기초로 하여 기억기능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개발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주의집

중 및 계산과 시공간 구성은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

행능력의 세부항목과 상관관계가 없다고 나타났으며, 특히 시공간 구성에서는 최정실 등(2003), Perry & Hodges(2000), Hill 등(1995)의 연구에서 시공간 기능이

치매 노인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가장 영향을 주

는 요인이라고 한 결과와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시공간 구성은 38명의 연구 상자 중 1명만 수행을

하고 나머지는 모두 0점이 나와 이를 통계학적으로 상

관관계를 나타내기가 어려웠을 것으로 생각되며, 선행

연구와의 평가도구 차이로 인해 결과가 차이를 보였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시공간 구성에 해 다양

하고 구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사용해야

할 것이며, 시공간 구성에 해서는 향후에 좀 더 자

세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특정 지역의 치매 노인을 상으로 하였

고 상자 수가 적었기 때문에 모든 치매 노인에게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치매의 특성상 원인

이 되는 질환에 따라 인지기능의 양상이 차이가 나지

만 구분을 하지 못했기 때문에 모든 유형의 치매 노

인에게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

에서는 지역별로 많은 상자를 표집하고 치매 유형

에 따른 인지기능과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또한 시간이 경과함

에 따라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이 저하

되는 치매의 특성상 장기적인 변화의 상관관계를 알

아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요양시설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과 기본

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2012년 1월부터 5월까지 38명의 치매 노인을 상으

로 K-MMSE, FIM을 사용하여 인지기능과 기본적 일

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상자의 K-MMSE 평균 점수는 9.13점, FIM 평균점수는 52.29점으로 인지기능이 저하되었고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에서 상당한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기능과 기본적 일상생활활동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고(p<.05), 인지기능과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세부항목과의 관련

성은 자조관리, 괄약근 조절하기, 의사소통, 사회인지

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p<.05), 이동하기 및 걷기와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5). 기억회상은 기본적 일상생

활활동의 모든 영역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

가 있었으며(p<.05), 주의 집중력 및 계산과 시공간 구

성은 일상생활활동의 모든 영역과 통계학적으로 유의

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5). 따라서 인지기능이 떨

어질수록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에서 다른 사람에

게 의존이 많이 필요함과 기억회상이 기본적 일상생

활활동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

한 결과를 바탕으로 요양시설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과 기본적 일상생활활동을 위한 프로그램에 기초자료

를 제공할 것이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강연욱. (2006). K-MMSE(Korean Mini-Mental State 노인 규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5(2), 1-12.

강연욱, 나덕렬, 한승혜. (1997). 치매환자들을 상으

로 한 K-MMSE의 타당도 연구. 한신경과학회지, 15(2), 300-308.

김동현, 나덕렬, 연병길, 강연욱, 민경복, 이수현 등. (1999). 도시지역 노인들의 치매유병률에 관한 단면

조사연구. 예방의학회지, 32(3), 306-316. 김문실, 이승희. (2008).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요실

금 유병률과 관련요인. 한간호학회지, 38(1), 92-100.김연희, 이종민. (2008). 인지기능 및 신경심리 평가.

한태륜, 방문석. 재활의학(p.57-70). 서울: 군자출판사. 김지애. (2009). 노인요양시설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불안, 우울에 관한 연구. 서울: 이화여자 학교.

김장래, 길주현, 조아라, 이동우, 김민숙, 최영민. (2011).

Page 69: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65

경도인지장애 및 초기 치매 노인에서 일상생활 수

행능력의 관련 요인. 노인정신의학, 15, 61-69.김치영. (2006). 노인의료복지시설 치매노인의 인지기

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 서울: 중앙 학교. 김홍근. (2001a). 전두엽 증후군의 임상 평가: Kims 전

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를 중심으로. 재활심리

연구, 8(2), 173-190.김홍근. (2001b).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 검

사: 해설서. 구: 도서출판 신경심리. 국민건강보험공단. (2011). 2002-2009년도 노인성 질환

자 진료 추이. 남궁기, 이홍식, 유계준. (1993). 치매의 진단과 치료.

한국노년학, 13(2), 168-177.노효련, 황기철, 감진아. (2011). 의도적 다감각환경

(snoezelen)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일상생활활동과 인

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0(3), 393-412.

박수희, 유진영, 박수정, 양영애. (2009). 치매 환자의

인지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에 한 체

계적 고찰.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3(2), 73-82.보건복지부. (2008). 치매 노인 유병률 조사. 이병희, 박준수, 김나라. (2011).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 신체적 수행능력, 보행, 삶의 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0(2), 307-328.

이승준. (2004). 치매노인가족의 부양부담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18(2), 127-142.이윤정, 김신미. (2003). 신체적 활동프로그램이 치매노

인의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23(4), 17-31.

이재신, 전병진. (2007). 노인요양시설 이용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1(1), 7-15. 이현희. (2008). 주간보호센터와 노인요양시설을 이용

하는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인지기 능과

우울의 비교 연구. 서울: 이화여자 학교. 오병훈. (2002). 치매: 치매 이해와 치료의 바른 길잡

이. 서울: 도서출판 무지개사. 윤정애, 조영남. (2009). 지역사회 거주 치매노인을 위

한 인지작업치료 프로그램 효과. 고령자⋅치매작업

치료학회지, 3(2), 33-43.

최정실, 유은영, 정보인, 임영미. (2003). 치매노인의

자조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요인 분석. 한국노

년학, 23(4), 113-126.통계청. (2011). 고령자 통계. Butters, N., Delis, D. C., & Lucas, J. A. (1995). Clinical

assessment of memory disorders in amnesia and dementia.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6, 493-523.

Cohen-Mansfield, J., Werner, P., & Reisberg, B. (1995). Temporal order of cognitive and functional loss in a nursing home population.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s Society, 43(9), 974-978.

Desai, A. K., Grossberg, G. T., & Sheth, D. N. (2004).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dementia. CNS Drug, 18(13), 853-875.

Elfgren, C., Brun, A., Gustafson, L., Johansen, A., Minthon, L., & Passant, U., et al. (1994). Neuropsychological tests as discriminators between dementia of Alzheimer’s type and frontotemporal dementia.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9(8), 635-642.

Fitten, L. J. (2006). Editorial: Management of behavioral and psychiatric symptom in dementia. Journal of nu-trition health and aging, 10(5), 1301-1308.

Folstein, M. F., Folstein, S. E., &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2(3), 189-198.

Gaugler, J. E., Kane, R. L., Kane, R. A., Clay, T., & Newcomer, R. (2003). Caregiving and institutionaliza-tion of cognitively impaired older people: utilizing dy-namic predictors of change. Gerontologist, 43, 219-229.

Granger, C. V., Hamilton, B. B., Linacre, J. M., Heinemann, A. W., & Eright, B. B. (1993). “Performance profiles of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2(2), 84-89.

Graham, N. L., Emery, T., & Hodges, J. R. (2004). Distinctive cognitive profiles in Alzheimer’s disease and subcortical vascular dementia.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 75, 61-71.

Hebert, L. E., Scherr, P. A., Beckett, L. A., Albert, M.

Page 7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66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제1호

S., Pilgrim, D. M., & Chown, M. J., et al. (1995). Age-specific incidence of Alzheimer’s disease in a community populatio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73(17), 1354-1359.

Hill, R. D., Backman, L., & Fratiglioni, L. (1995). Determinants of functional abilities in dementia.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s Society, 43(10), 1092-1097.

Hirono, N., Mori, E., Ishii, K., Ikejiri, Y., Imamura, T., & Shimomura, T., et al. (1998). Hypofunction in the posterior cingulate gyrus correlates with disorientation for time and place in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 64, 552-554.

Huey, E. D., Goveia, E. N., Paviol, S., Pardini, M., Krueger, F., & Zamboni, G., et al. (2009). Executive dysfunction in frontotemporal dementia and cortico-basal syndrome. Neurology, 72, 453-459.

Jennifer, T. A., Christopher, S. S., Jennifer, P., Larissa, V. R., & Mark, S. L. (2006). True 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among female nursing home residents. Urology, 67, 281-287.

Kalman, J., Magloczky, E., & Janka, Z. (1995). Disturbed visuo-spatial orientation in the early stage of Alzheimer’s dementia.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21, 27-34.

Levy, J. A., & Chelune, G. J. (2007). Cognitive-behav-ioral profiles of neurodegenerative dementia: beyond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and Neurology, 20(4), 227-238. McCullagh, C. D., Craig, D., Mcllory, S. P., &

Passmore, A. P. (2001). Risk factors for dementia. Advances in Psychiatric Treatment, 7(1), 24-31.

Mendez, M. F., & Cummings, J. L. (2003). Dementia: a clinical approach 3rd edition. Butterworth Heinemann medical.

Pasquier, F. (1999). Early diagnosis of dementia: neuropsychology. Journal of Neurology, 246, 6-15.

Perry, R. J., & Hodges, J. R. (2000).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and neuropsychological performance in early Alzheimer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4(1), 1-10.

Raffaele, K. C., Asthana, S., Berardi, A., Haxby, J. V., Morris, P. P., & Schapiro, M. B. (1996). Differential response to the cholinergic against arecoline among different cognitive modalities in alzheimer’s disease. Neuropsy-chopharmacology, 15, 163-170.

Reed, B. R., Jagust, W. J., & Scab, J. P. (1989). Mental status as a predictor of daily function in progressive dementia. Gerontologist, 29, 804-807.

Salmon, D. P., & Bondi. M. W. (2009).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of dementia. Annual review of psychology, 60, 257-282.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2).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 10th edition.

Page 71: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67

Abstract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in the Residential Care Facilities

Kim, Soo-Han*, Jung, Jae-Hu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aya University**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Kyungwoon University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dementia elderly who reside at residential care facilities.

Methods : The subjects were 38 dementia older who were receiving care at residential facilities based in Daegu.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2012 to March 2012.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MMSE) was used to evaluation cognitive function and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 was used to evaluation BADL.

Results : In this study, the mean of the cognitive function score and BADL score were 9.13 and 52.29 respectively. And the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had low score of cognitive function and BADL.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BADL(p<.05).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cognitive function, self-care, sphincter control, communication, social cognition(p<.05), But no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cognitive function, transfer, locomotion(p>.05).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emory recall and all sub-items of BADL(p<.05). But no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attention & calculation, visuospatial construction and all sub-items of BADL(p>.05).

Conclusion : This study results demonstrate that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BADL, especially memory recall and BADL.

Key Words : Dementia, Cognitive function,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Page 7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 정관

2007년 9월 8일

제1장 총칙

제1조 (명칭)

본 회는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이하 “본 학회”라

한다)라 칭하며, 영문 표기는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약칭: OTAD)라 한다.

제2조 (목적)

본 학회는 고령자와 치매관련 작업치료의 연구를

통하여 고령자와 치매작업치료의 학술적 발전을 도모

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3조 (사무소)

본 학회의 주 사무소는 학회장이 지정한 곳에 두는

곳을 원칙으로 한다.

제4조 (사업)

본 학회는 제2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사업을 수행한다.① 학술지 발간사업

② 고령자 ・ 치매전문작업치료사 양성교육에 관한

사업

③ 국내외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 관련 학문교류에

관한 사업

④ 기타 본회의 목적달성에 필요한 사업

제2장 회원

제5조 (구성)

학회의 회원은 정회원, 명예회원으로 한다.

제6조 (회원의 자격)

본 학회의 회원 자격은 아래와 같다.① 정회원: 고령자와 치매에 관심이 있고 관련분야

에 종사하거나 이에 상당하는 자격이 있다고

인정된 자로 학회에 가입하여 회비를 납부한자

② 명예회원: 본 학회의 발전에 현저한 공로가 있

는 개인 또는 전체

제7조 (회원의 권리, 의무)

본 학회의 회원은 다음 각 호의 권리와 의무를 진다.① 회원은 학회의 운영규정을 준수하고, 학회가 정

한 입회금, 회비, 기타 교육 등에 참가할 경우

학회가 정하는 부담금을 납부하여야 한다.② 회원은 본 학회가 주관하는 학술활동에 적극적

으로 참여하여야 한다.

제8조 (회원의 관리)

전항의 의무를 이행한 회원은 다음 각 호의 권리를

갖는다.① 운영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라 발의권, 의결권,

선거권 및 피선거권을 가진다.② 운영규정 제 4조의 사업수행에 참여할 권리를

갖는다.③ 학회가 발행하는 학회지나 각종 유인물 등을 제

공받는다.④ 회원은 탈퇴 절차를 거쳐 탈퇴할 수 있다.

제9조 (회원의 징계)

① 본 학회의 발전을 저해하는 자는 이사회의 결의

에 따라 징계를 내릴 수 있다.

Page 73: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제3장 임원

제10조 (임원의 종류)

본 학회의 임원은 이사와 감사로 나눈다.① 회장 1인② 부회장 1인③ 이사 50인 이내

④ 감사 2인

제11조 (임원의 자격)

임원의 자격은 학회 정관에 의한 회원의 의무를 성

실히 이행한 자로 한다.

제12조 (임원의 직무)

① 회장은 학회를 표하고, 총회 및 이사회의 의

장이 되어 회무를 총괄한다.② 이사는 이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학회의 각종 업

무를 의결, 분장, 운영하며 이사회 또는 회장으

로부터 위임받은 업무를 수행한다.③ 감사는 재산상황, 이사회의 운영과 업무에 관한

사항을 감사하며 부당한 점이 있을 때, 이사회, 총회에 그 시정을 요구할 수 있다.

제13조 (임원의 선임)

① 학회의 회장, 감사는 총회에서 선출한다.② 임명직 이사는 회장의 추천에 의해 총회의 인준

을 받아야 한다.

제14조 (임명직 이사의 해임)

임명직 이사가 다음 각 1에 해당할 때는 총회의 의

결을 거쳐 해임한다.① 제9조의 규정에 의하여 징계 처분되었을 때

② 학회의 목적에 반하는 행위를 한 때

③ 임원으로서 직무를 태만히 할 때

④ 3년 기간동안 이사재임기간 중 개최되는 이사회

(임시이사회포함)에 50%이상 불참시 이사 재신

임 여부를 묻는다.

제15조 (임원의 보선)

학회의 임원 중에서 결원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결

원일로부터 2월 이내에 보선하여야 한다. 다만, 학회

의 업무수행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이사회의 의결

을 거쳐 차기 총회까지 그 보선을 연기할 수 있다.제16조 (임원의 임기)

① 회장, 임명직 이사, 감사는 각각 3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다만, 제15조의 규정에 의하여

보선된 임원의 임기는 전임자의 잔여기간으로

한다.② 임원의 임기가 만료되더라도 차기임원이 선출

될 때까지는 그 직무를 계속 수행하여야 한다.

제4장 총회

제17조 (구성 및 의결정족수)

① 학회는 최고 의결기관으로 총회를 둔다.② 총회는 정기총회와 임시총회로 구분하여 개최

한다.③ 정기 총회는 연 1회 정기학술 회 기간 중에 회

장이 소집하고, 임시총회는 정회원의 1/3이상의

요구가 있거나, 감사의 요구에 따라 회장이 이

를 소집한다.④ 총회는 출석인원으로 성립되고 모든 의결은 참

석인원의 과반수로 의결한다.

제18조 (총회의 의결사항)

총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 의결한다.① 학회 해산에 관한 사항

② 정관 변경에 관한 사항

③ 회장단, 감사의 선출에 관한 사항

④ 임명직 이사의 인준에 관한 사항

⑤ 예산 및 결산의 승인에 관한 사항

⑥ 주요 사업계획 승인에 관한 사항

⑦ 이사회에서 부의하는 사항

제5장 이사회

제19조 (구성 및 의결정족수)

① 학회는 회무에 관한 중요사항을 심의 의결하기

Page 7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위하여 이사회를 두고 회장이 그 의장이 된다.② 이사회는 재적이사 과반수의 출석으로 성립하

며, 출석이사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제20조 (이사회의 개최)

이사회는 정기이사회와 임시이사회 및 실행이사회

로 구분한다.1) 정기이사회는 매년 1회 회장이 소집하여 개최

한다.2) 임시이사회와 실행이사회는 다음 각 호의 사유

가 있을 때에 회장이 소집하여 개최한다.① 회장이 이사회의 소집이 필요하다고 요구

한 때

② 재적이사 3분의 1이상 또는 감사가 감사결

과를 보고하기 위하여 이사회의 소집을 요

구한 때

3) 이사회의 소집은 회의개최 15일전에 그 회의의

목적, 의결사항 또는 보고사항, 일시 및 장소 등

을 기재한 서면에 의하여 각 이사 및 감사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제21조 (이사회의 의결사항)

이사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 의결한다.① 총회에서 위임받는 사항

② 정관에 의하여 그 권한에 속하는 사항

③ 사업계획 수립 및 집행에 관한 사항

④ 예산 결산서 작성에 관한 사항

⑤ 총회에 부의할 안건에 관한 사항

⑥ 기타 주요 사항

제22조 (실행이사회 구성, 임무 및 기타사항)

① 실행이사회 구성은 회장을 의장으로 하고 일반

이사 중에서 10명 이내로 선정후 학회에서 개최

되는 모든 회의에 필수적으로 참석하여야 한다.② 이사회의 표로서 실행이사회에 결정된 사항은

학회의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를 위해 이사회에서

의결된 사항과 동일한 효력을 발휘하고 시행된다. ③ 실행이사회 개최 및 의결사항은 이사회 개최 및

의결사항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6장 편집위원회

제23조 (구성)

① 이사회에서는 본 학회의 학회지 발간을 위하여

편집위원회를 둔다.② 편집위원회는 편집위원장 1인, 편집위원 5인 이

상, 심사위원 30인 이상으로 구성한다.③ 본 학회 편집위원과 심사위원의 임기는 3년으로

하고, 논문의 성격에 따라 임시 위원을 선정할

수 있다.

제24조 (자격)

① 편집위원장은 학회 회원 중에 회장이 추천하여

이사회에서 의결한다.② 편집위원은 학회 회원 중에 편집위원장의 추천

을 받아 회장이 위촉한다.③ 심사위원은 편집위원장의 추천을 받아 회장이

위촉한다.

제25조 (임무)

① 편집위원회는 1년에 2회 학회지를 발간한다.② 학회지의 발간 시기는 매년 4월 30일, 11월 30

일을 원칙으로 한다.③ 편집위원회는 논문투고 및 논문심사를 위한 규

정을 별도로 둔다.④ 발행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학회지 발행 업무

를 관할한다.⑤ 심사위원은 학회지 심사업무를 담당한다.

제7장 재정 및 회계

제26조 (재원)

학회의 재정은 다음 각 호의 수입금으로 충당한다.① 입회비

② 회비

③ 교육비

④ 기타 수입금

Page 75: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제27조 (자산관리 및 예산집행)

① 학회의 자산은 회장 책임 하에 금융기관에 예금

하고 관리 운영하며, 승인 및 예산 규정에 따라

집행하며, 그 밖의 중요한 예산은 이사회의 의

결에 따라 집행한다.

제8장 징계

제28조 (징계)

회원으로써 다음의 각호에 해당하는 자에 하여는

이사회의 의결로써 경고, 견책, 자격정지, 또는 그 이

상의 적응한 징계를 취한다.① 본회의 명예를 훼손한 자

② 소정의 회비를 2년간 체납한 자

③ 회원으로써 부여된 의무를 태만하게 여기는 자

제9장 사무국

제29조 (사무국 및 직원)

본회의 사무를 집행하기 위해 사무국을 둘 수 있

으며, 유급 또는 무급직원(아르바이트 학생)을 둘 수

있다.

제10장 보칙

제1조 (학회해산)

본 학회를 해산하고자 할 때에는 총회에서 회원 4분의 3이상의 찬성으로 의결하여 해산한다.

제2조 (학회 해산 시 재산처리)

본 학회가 해산할 때 잔여재산은 국가 지방자치단

체 또는 본 학회와 유사한 활동을 하고 있는 단체에

기증한다.

제3조 (서면결의)

본회의 의결사항 중 정관개정에 관한 사항은 서면

결의를 할 수 없다. 다만 이외의 의결사항은 서면결의

할 수 있다.

제4조 (준용)

본 정관에 규정되지 아니한 사항은 민법 중 사단법

인에 관한 규정과 보건복지부 비영리법인의 설립 및

감독에 관한 규칙을 준용한다.

부 칙

본 회칙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일반 관례에 의

한다.본 회칙은 2007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본 회칙은 2007년 9월 8일부터 시행한다.본 회칙은 2008년 4월 24일부터 시행한다.본 회칙은 2011년 5월 1일부터 시행한다. 본 회칙은 2013년 2월 9일부터 시행한다.

Page 7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고령자・ 치매치료학회지 투고규정

2007년 9월 8일

Ⅰ. 일반규정

본 학회지의 논문의 편집 방향은 작업치료 관련 분야의 논문을 투고 받아 전공별 심사위원들의 심사를 거쳐

게재함으로서 고령자 ・ 치매와 관련된 작업치료에 한 이해를 높임과 동시에 고령자 ・ 치매치료분야의 학문적

연구와 새로운 이론을 점검하여 작업치료 발전에 기여코자 한다.

1. 본 학회지는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본 학회지는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와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① 노인관련 작업치료

② 노인관련 건강증진

③ 노인복지

④ 노인직업훈련

⑤ 일상생활환경

⑥ 인지 및 지각관련

⑦ 지역사회재활

⑧ ADL 및 보조도구

⑨ 노인주거환경

⑩ 연하장애

⑪ 교육관련

⑫ 기타 노인관련분야

3.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

할 수 없다.

4.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3월 31일, 10월 31일까지 고령자 ・ 치매작

업치료학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를 함께 제출해야 한다.

5.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6.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 20부를 기본으로 하면 별쇄본은 자비 부담으로 한다.

Page 77: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7.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제 1 저자 및 교신저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하여야 한다.

8.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

송 한다.

9. 본 학회지에 게재되는 모든 원고에 한 저작권은 고령자 ・ 치매전문작업치료학회가 소유한다.

Ⅱ.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본 학회지의 논문 투고를 위해서는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5판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3. 제출된 원고는

⑴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

은 신명조,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⑵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⑶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

한다.⑷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⑸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⑹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

하여야 한다.⑺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

문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⑻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⑼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초과할 경우의 추가 비용은 저자가

부담한다.

4. 본문 내 문헌 인용 시에는 해당부위에 저자명과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며 어깨번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국내문헌과 외국문헌은 ‘와(과)로 연결한다.3인 이상의 저자인 경우 첫 인용 시에만 전체 공동저자를 표기하고, 그 이후에는

제1저자명 뒤에 ‘등’(국내문헌), ‘et al.’(외국문헌)을 붙인다.⑴ 저자명을 주어로 사용한 경우

- 저자가 1인인 경우

예) 홍길동(2006)은, Kim(2000)은- 저자가 2인인 경우

Page 7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예) 홍길동과 장길산(2001)은, Ann & Yu(2000)는- 저자가 3인인 이상인 경우

예) 장길산 등(2002)은, Schmeidler 등(1988)은⑵ 문장 끝에 표기하는 경우: 여러 문헌을 동시에 인용할 경우에는 세미콜론으로 나누어 표기하며 국내문

헌은 가나다순, 외국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예) … 라고 하였다(이상호 등, 2002; 정창호, 2001; 홍길동과 장길산, 2003; Ann & Yu, 1980; Schmeidler

et al., 1988).

5.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제시하는 순서는 국내문헌의 경우에는 가나다 순, 외국

문헌은 ABC순으로 한다. 국내문헌을 먼저 쓰고 외국 문헌을 그 다음에 제시한다.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국내문헌은 ‘와(과)’, 외국문헌은 ‘&’로 연결한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6인까지만 나열하며 저자명 끝에 ‘등’(국내문헌), ‘et al.’(외국문헌)을 붙인다. 단 학술지명과 권수(호수)는 이탤

릭체로 변경하며, 단행본과 학위논문의 경우 제목을 이탤릭체로 변경한다.(1)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예) 홍길동, 장길산, 정창호, 이상호. (2007). 뇌졸중 환자의 직업재활에서 작업환경평가(1). 고령자 ・ 치

매작업치료학회, 1(1), 1-12.Clark, F. A., Parham, D., Carlson, M. E., Frank, G., Jackson, J., & Pierce, D., et al. (1991). Occupational science: Academic innovation in the service of occupational therapy's future. Am J Occup Ther, 45, 300-310.

⑵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발행처.예) 홍길동, 장길산. (2002). 작업치료학. 서울: 서울출판사.

Ekman, L. L. (2002). Neurosicence: Fundamentals for rehabilitation. Philadelphia: W. B. Saunders company.

⑶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개정판, 쪽수). 도시명: 발행처.예) Clark, F., & Larson, E. A. (1993). Developing an academic discipline: The science of occupation. In H.

L. Hopkins & H. D. Smith (Eds.), Willard & Sparkman's occupational therapy (8th ed., pp. 44-57). Philadelphia: J. B. Lippincott Company.

⑷ 학위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발행처.예) 홍길동. (2007). 가상현실이 치매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요인. 서울: 서현 학교.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5) 국내문헌과 외국문헌의 표기방식은 동일하다.

6.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

에서 편집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Page 79: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고령자・ 치매치료학회지 저자 점검표

2007년 9월 8일

논문제목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정이 요구됩니다.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5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 혹은 전자메일로 보낸다.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 아래 ․ 좌 ․ 우의 여백은 A4 용

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_______ 저작권 양도에 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

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Page 8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_______ 본문내 문헌 인용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국내문헌은 ‘와(과)’, 외국문헌은 ‘&’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등’(국내문헌), ‘et al.’(외국문헌)을 붙인다.(1) 저자명을 주어로 사용한 경우

∙ 저자가 1인인 경우 예) 홍길동(2006)은, Kim(2000)은∙ 저자가 2인인 경우 예) 홍길동과 장길산(2001)은, Ann과 Yu(2002)는∙ 저자가 3인인 이상인 경우 예) 장길산 등(2002)은, Schmeidler 등(1988)은

(2) 문장 끝에 표기하는 경우: 여러 문헌을 동시에 인용할 경우에는 세미콜론으로 나누어 표기하며

국내문헌은 가나다순, 외국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예) …라고 하였다(이상호 등, 2000; 정창호, 2001; 홍길동과 장길산, 2003; Ann & Yu, 1980;

Schmeidler et al., 2000).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1)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예) 홍길동, 장길산, 정창호, 이상호. (2007). 뇌졸중 환자의 직업재활에서 작업환경평가(1). 고령자 ・ 치

매작업치료학회, 1(1), 1-12.Clark, F. A., Parham, D., Carlson, M. E., Frank, G., Jackson, J., & Pierce, D., et al. (1991). Occupational science: Academic innovation in the service of occupational therapy's future. Am J Occup Ther, 45, 300-310.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발행처.예) 홍길동, 장길산. (2002). 작업치료학. 서울: 서울출판사.

Ekman, L. L. (2002). Neurosicence: Fundamentals for rehabilitation. Philadelphia: W. B. Saunders company.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발행처.

예) Clark, F., & Larson, E. A. (1993). Developing an academic discipline: The science of occupation. In H. L. Hopkins & H. D. Smith (Eds.), Willard & Sparkman's occupational therapy (8th ed., pp. 44-57). Philadelphia: J. B. Lippincott Company.

(4) 학위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발행처.예) 홍길동. (2007). 가상현실이 치매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요인. 서울: 서현 학교.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5) 국내문헌과 외국문헌의 표기방식은 동일하다._______ 국내문헌은 가나다순으로, 외국문헌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작성한다.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Page 81: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표 만들기”를 이용하여 한글로 작성한다.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 ×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

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_______ 그림 설명문은 한글로 작성한다.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인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

의 게재 소유에 한 권한은 한작업치료학회에 있습니다.

저자( 표) (인)공동저자 (인)

(인) (인) (인)

*본 저자점검표는 2007년 3월 1일부터 적용됩니다.*본 저자점검표는 2007년 9월 8일부터 적용됩니다.*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5판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고 령 자 ․ 치 매 작 업 치 료 학 회

Page 8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

학 회 장 양영애/인제대학교

부 회 장 김한수/대구보건대학교

감 사 이미자/경복대학교, 장 철/경남정보대학교

학 술 이 사 오혜원/우석대학교, 박수희/호남대학교

총 무 이 사 김정기/대구보건대학교, 신중일/호남대학교

기 획 이 사 정복희/호원대학교, 김정자/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송보경/극동대학교, 박주형/경북전문대학교

국 제 이 사 정상미/상지영서대학교, 박주영/가톨릭상지대학교

홍 보 이 사 김미점/청양도립대학교, 박보라/춘혜보건대학교

재 무 이 사 정현애/동신대학교, 박수정/대구보건대학교

정 보 이 사 홍재란/광양보건대학교, 유찬욱/한려대학교

이 사 박소연/한서대학교, 백현희/군장대학교, 황기철/백석대학교, 김환중/우석

대학교, 양경희/경복대학교, 이선명/마산대학교, 채경주/경복대학교, 최혜

숙/동남보건대학교, 배주한/구미대학교, 양경옥/한영대학교, 김행란/아주대

학교병원, 김은정/광양보건대학교, 김희수/한림대학교강동성심병원, 한승협

/마산대학교, 박인혜/구미대학교, 정재엽/경북과학대학교

편집위원장 오혜원/우석대학교

편 집 위 원 감경윤/인제대학교, 오명화/동신대학교, 이재신/건양대학교,

이정원/여주대학교, 정민예/연세대학교, 허진강/한림성심대학교,

신중일/호남대학교, 박수희/호남대학교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제7권 1호 ISSN 1976-1090

발행일 / 2013년 5월 4일

발행인 / 양영애

발행처 /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우) 702-722 대구광역시 북구 영송로 15 (태전동)

대구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TEL: 053-320-1803

인 쇄 /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062, FAX: 031-940-1166

E-mail: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