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216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 호 학 과

Upload: others

Post on 11-Oct-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 개발 평가

연세 학교 학원

간 호 학 과

윤 선 희

Page 2: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 개발 평가

지도 오 의 교수

이 논문을 박사 학 논문으로 제출함

2012년 6월 일

연세 학교 학원

간 호 학 과

윤 선 희

Page 3: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윤선희의 박사 학 논문을 인 함

심사 원 인

심사 원 인

심사 원 인

심사 원 인

심사 원 인

연세 학교 학원

2012년 6월 일

Page 4: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감사의

이 논문이 나오기까지 부족한 제게 따뜻한 심과 사랑을 베풀어주신 주변 모든 분

들께 감사의 마음을 하면서 박사과정의 오랜 여정을 마치려고 합니다. 이 기간이

제게는 미성숙한 내 자신을 되돌아보게 하는 소 한 시간들이었습니다. 성취감으로

기쁨을 맛보기도 하 으며 때로는 실패로 인한 시련으로 힘든 나날들을 보내기도 하

지만, 그 속에서 나 자신을 발견하고, 반성과 성찰, 느리게 가는 것, 감사함 등을 배

웠습니다. 이 작은 결실을 시작으로 하여 앞으로 더 힘차게 정진하려고 합니다.

석사과정 때부터 지 까지 그리고 논문의 시작부터 완성에 이르기까지 에게 많은

가르침을 주시고, 한 연구자로서의 자세까지도 일깨워 주시며, 무엇보다도 엄마 같

은 마음으로 의 일상과 앞날까지도 염려해주신 제게는 한없이 자상하시고 인자하신

오의 교수님께 깊은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합니다. 바쁘신 와 에도 제 논문을

보다 더 세세하게 읽으시고 나서 매의 으로 날카롭게 지 하시고 해답을 주시며,

나라님보다 더 바쁘시지만 유쾌하신 김소선 학장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항상 온화

한 미소와 하신 마음으로 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시고, 좋은 말 으로 용기를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자 하나하나까지도 매끄럽

게 다듬어주시며, 제가 힘들어하고 지칠 때마다 찾아가서 푸념과 걱정거리를 늘어놓

으면 귀찮을 법하신데도 항상 내색 없이 반갑게 맞아주시고 제게 정의 힘을 주신

의 모님이신 유양숙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매 단계마다 꼼꼼하게

확인하시고 수정해주시며, 특히 박사과정의 선배님으로서 어려움을 함께 공감해주시

고 조언해주신 장연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박사학 과정 내내 아낌없는 격려와 따뜻한 심을 베풀어주신 홍 자 간호부원장

님, 차정희 간호부장님, 최경옥 간호부장님, 서신원 장님, 숙 장님, 이인옥

장님, 라정란 장님 이하 많은 간호부 선생님들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신입시

때 리셉터와 리셉티로 만나서 얼마 까지만 해도 함께 하면서 배려해주셨던 서

주희 선생님, 연구가 잘 진행되도록 좋은 방법을 일러주시고 정보를 주신 남기숙 선

Page 5: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생님, 새롭게 인연을 맺고 논문 막바지에 마음 고생하는 를 따뜻한 로와 격려로

다독거려 주신 노원재 선생님, 신경계 환자실과 신경외과 병동 간호사님들께도 일

일이 찾아가 인사하지 못한 죄송한 마음과 감사의 마음을 함께 합니다. 친분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문가 타당도 검증에 흔쾌히 응해주시고 조언까지 해주신 병

원신경 간호사회 길윤경 회장님과 석경 선생님, 신용순 선생님께도 감사를 드리며,

환과 련된 의료진 의견조사와 문가 타당도 검증 학 과정 에 진행했던

설문조사에 친 하게 참여해주셨던 신경외과 신수 과장님, 김문찬 교수님, 홍용길

교수님, 신용삼 교수님, 이 성 교수님, 류경식 교수님과 공의 선생님들, 새로운 곳

으로 옮기신지 얼마 안되어 바쁘심에도 심을 가져주신 강석구 교수님께 감사를 드

립니다.

제가 가고 있는 길을 믿음직스럽게 지켜 주시고 힘들어 할 따마다 한결 같은 마

음으로 의 등을 토닥거리면서 좋은 기운을 불어넣어 주신 이재정 선생님, 김 주

선생님, 조옥희 교수님, 이윤희 선생님, 이 주 선생님, 안 희 선생님, 김은 선생님,

김수 선생님, 강명숙 선생님께도 감사드리며, 멀리에서도 의 성장과 발 을 해

항상 기도해주시고 염려해주시는 노헤 나 수녀님, 고규희 교수님, 황란희 교수님, 장

미 교수님, 조인숙 교수님, 도은 교수님께, 장경룡 교수님, 임기흥 교수님, 정성일

교수님께도 감사드립니다.

학 과정동안 함께 고민하고, 학문에 한 어려움과 기쁨을 같이 나 신혜선 선

선생님, 김숙경 선생님, 신희건 선생님, 정하윤 선생님, 김선정 선생님께도 감사를

하며 서로의 지지와 격려가 오늘 이러한 결실을 맺는데 큰 힘이 된 것 같습니다. 그

리고 공부하는 를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지치고 힘들 때마다 정신 인 안을

소 한 나의 벗, 윤희, 윤정, 주, 혜란, 해정, 은주, 옥심, 성희, 지, 승화, 경숙, 후

배 용인, 지연, 나 , 효진, 수란, 보 , 림에게도 감사의 마음을 표합니다.

몇년 에 먼 길 떠나신 할머니, 외할아버지, 외할머니, 그리고 늘 부족하고 자주 찾

아뵙지 못한 딸이지만 사랑으로 묵묵히 지켜 주시고 힘이 되어주신 제 삶의 의미인

아빠와 엄마, 그리고 함께 있는 것만으로도 큰 힘이 되는 오빠와 동생들에게도 감사

를 합니다.

Page 6: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끝으로 진정한 나이 게일을 보았노라며 칭찬을 아끼지 않으셨던 어떤 뇌손상 환

자, 제 손을 꼭 잡고 오히려 제게 감사하다고 말 하셨던 어떤 뇌손상 환자의 가족을

비롯하여 제 연구에 참여해주셨던 모든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하며, 잊지 않겠습니

다. 부디 이 논문이 그 분들께 작으나마 도움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2012년 6월

윤선희 올림

Page 7: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i -

차 례

그림 차례 ························································································································ iii

표 차례 ···························································································································· iv

부록 차례 ························································································································· v

국문 요약 ························································································································ vi

제1장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 1

1.2 연구의 목 ·········································································································· 3

1.3 가설 ························································································································ 4

1.4 용어의 정의 ·········································································································· 5

제2장 문헌고찰 ··············································································································· 6

2.1 환 ························································································································ 6

2.2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환 ·············································································· 8

2.3 환이론을 이용한 선행연구 ·········································································· 10

2.4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을 돕는 재연구 ······································· 14

제3장 연구의 개념 기틀 ························································································· 17

제4장 연구방법 ············································································································· 25

4.1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 개발 ········ 26

4.2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 평가 ········ 51

Page 8: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ii -

제5장 연구결과 ············································································································· 60

5.1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 개발 ········ 60

5.2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 평가 ········ 73

제6장 논의 ····················································································································· 90

6.1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 개발 ········ 90

6.2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 평가 ········ 96

6.3 연구의 의의 ······································································································ 102

6.4 연구의 제한 ································································································ 103

제7장 결론 제언 ··································································································· 104

7.1 결론 ···················································································································· 104

7.2 제언 ···················································································································· 105

참고문헌 ······················································································································· 108

부록 ······························································································································· 117

문 록 ······················································································································· 158

문요약 ······················································································································· 161

Page 9: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iii -

그 림 차 례

그림 1 Meleis 등(2000)의 환이론 ········································································ 23

그림 2 연구의 개념 기틀 ······················································································· 24

그림 3 연구 진행 차 ······························································································· 25

그림 4 환간호 로그램의 기본 틀 ····································································· 27

그림 5 연구 상자 선정 ····························································································· 52

그림 6 실험 진행 차 ······························································································· 58

그림 7 뇌손상 환자의 환 스트 스, 환 불안, 주 건강상태 ················ 85

그림 8 뇌손상 환자의 신경계 환자실 재입실, 일반병실 재원기간, 로그램

만족도 ··············································································································· 86

그림 9 뇌손상 환자 가족의 환 스트 스, 환 불안, 가족 부담감 ·············· 88

그림 10 뇌손상 환자 가족의 로그램 만족도 ····················································· 89

Page 10: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iv -

표 차 례

표 1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참여한 뇌손상 환자의 일반 특성 ····················· 30

표 2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참여한 뇌손상 환자 가족의 일반 특성 ·············· 31

표 3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참여한 의료진의 일반 특성 ······························· 33

표 4 문가 집단의 일반 특성 ············································································· 36

표 5 문가 집단 타당도 검증 결과 ········································································ 38

표 6 사용자 집단의 일반 특성 ············································································· 40

표 7 사용자 집단 타당도 검증 결과 ········································································ 42

표 8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인구학 특성 ··························································· 46

표 9 뇌손상 환자의 질병과 련된 특성 ······························································· 48

표 10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환에 한 개인 조건 ····································· 49

표 11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반응양상 ··································································· 50

표 12 환과정의 각 시 별 측정변수 ··································································· 58

표 13 최종 개발된 환간호 로그램 ··································································· 70

표 14 뇌손상 환자의 인구학 특성에 한 동질성 검증 ································· 74

표 15 뇌손상 환자 가족의 인구학 특성에 한 동질성 검증 ······················· 75

표 16 뇌손상 환자의 질병과 련된 특성에 한 동질성 검증 ······················· 77

표 17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환 반응양상에 한 차이 검증 ··················· 78

표 18 뇌손상 환자의 환 조건에 한 차이 검증 ·············································· 80

표 19 뇌손상 환자 가족의 환 조건에 한 차이 ·············································· 81

표 20 뇌손상 환자의 반응양상에 한 차이 ························································· 84

표 21 뇌손상 환자 가족의 반응양상에 한 차이 ··············································· 87

Page 11: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v -

부 록 차 례

부록 1 환이론을 이용한 문헌고찰 ····································································· 117

부록 2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의 환을 돕는 재연구 고찰 ························· 120

부록 3 환과 련된 문헌고찰 결과 ··································································· 122

부록 4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 질문 ································· 125

부록 5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 126

부록 6 련된 의료진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 질문 ··········································· 129

부록 7 련된 의료진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 130

부록 8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요약 ································································· 132

부록 9 환간호 내용분석 결과 ············································································· 134

부록 10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와 환간호 내용분석 결과 요약 ············· 135

부록 11 문가 타당도를 검증하기 한 질문지 ··············································· 137

부록 12 사용자 타당도를 검증하기 한 반구조화 된 질문지 ······················· 138

부록 13 가족모임을 한 반구조화 된 질문지 ··················································· 139

부록 14 환과정 안내서 ························································································· 140

부록 15 소책자 ··········································································································· 142

부록 16 퇴원 안내서 ································································································· 143

부록 17 설문지 ··········································································································· 144

부록 18 연구 도구 사용 동의서 ············································································· 155

Page 12: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vi -

국 문 요 약

신 경 계 환 자 실 뇌 손 상 환 자 와 가 족 을 한

환 간 호 로 그 램 개 발 평 가

본 연구는 Meleis 등(2000)의 환이론을 기반으로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평가하 다.

로그램 개발 단계에서는 환이론과 련된 문헌고찰, 뇌손상 환자와 가족

련된 의료진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요구도 악, 환간호 내용분석을 통해

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 으며, 문가와 사용자 집단 내용 타당도 검증, 임상 용

가능성 검증을 통해 최종 환간호 로그램을 개발하 다.

로그램 효과 평가단계에서는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상으로 하

여 개발된 환간호 로그램이 실이 결정된 시 과 환 후 퇴원 시 에 미치는

효과를 악하기 해 비동등성 후 설계의 유사 실험연구를 수행하 다. 연구기간

은 2011년 3월부터 2012년 3월까지이었다. 연구 상은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실

로 실이 결정된 뇌손상 환자와 가족이었다. 로그램이 개발되기 에 2011년 6월

부터 2007년 10월까지 조군 48명을 상으로 연구에 한 동의를 받은 후 자료를

수집하 으며, 2011년 12월부터 2012년 3월까지 실험군 46명을 상으로 실 결정시

부터 퇴원할 때까지 개발된 환간호 로그램을 제공하 고, 실이 결정된 시

과 퇴원하기 시 에서 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 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을

이용하여 분석하 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로그램 개발 단계에서 환이론의 주요 개념 에서 환의 속성인 인식과

참여를 증진시키고, 환의 개인 조건인 환 비와 지역사회 조건인 지지 환경

조성을 돕는 것으로 구성하 다. 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기 하여 환과 련된

Page 13: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vii -

문헌고찰을 통해 환과정의 주요 시 별 간호 역을 설정하 다. 환의 주요 시

별 간호 역은 환자 간호, 병동연계, 환자와 가족의 교육 지지, 동 자문, 리

더쉽 역으로 분류되었으며, 문헌고찰과 뇌손상 환자와 가족 의료진과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 환간호기록 내용분석을 통해 로그램의 세부내용을 구성하 다.

한 재내용에 따른 재 방법과 재 자원을 구성하 다. 그리하여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 상의 환간호 로그램은 환 개별면담, 개별교육, 가족모

임, 일반병실 환을 경험한 유사사례 소개, 직 실습, 직 투어, 직 찰 수행,

의사소통 등을 내용으로 리 렛, 소책자, 질문지, EMR(electronic medical recording)

등을 이용하여 실이 결정된 시 부터 퇴원이 이루어지는 시 까지 제공하는 것으

로 개발되었다.

2) 로그램 평가 단계에서 가설을 검증하 다.

환간호 로그램이 개인 환 조건에 미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 용

후 실험군의 일반병실 환 비 수는 조군보다 높을 것이다”는 지지

되었다. 뇌손상 환자 실험군의 일반병실 환 비 수는 평균 158.35

으로, 조군의 147.42 보다 높았다(p<0.001). 환 비가 되었다고 답

한 뇌손상 환자 가족의 비율은 실험군이 93.5%로 조군의 89.6%보다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가설 2.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 용

후 실험군의 퇴원 비 수는 조군보다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뇌

손상 환자 실험군의 일반병실 퇴원 비의 수는 평균 166.22 으로,

조군의 154.65 보다 높았다(p<0.001). 퇴원 비가 되었다고 답한 뇌손

상 환자 가족의 비율은 실험군이 97.8%로 조군의 83.5%보다 높았다

(p=0.42).

환간호 로그램이 반응양상에 미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Page 14: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viii -

가설 1.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 용

후 실험군의 환스트 스는 조군보다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뇌손상 환자의 환 스트 스는 10 만 에 실험군은 4.46 에서 2.78

으로, 조군은 4.60 에서 3.73 으로 변화되어 집단간(p=.025), 시

간(p<.001)에 차이가 있었으며, 교호작용이 있었다(p=.009). 뇌손상 환자

가족의 환 스트 스는 10 만 에 실험군은 4.80 에서 2.83 으로,

조군은 4.56 에서 3.94 으로 변화되어 집단간(p=.008), 시 간

(p<.001)에 차이가 있었으며, 교호작용이 있었다(p<.001).

가설 2.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 후 실

험군의 환불안은 조군보다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뇌손상 환

자의 환 불안은 100 만 에 실험군은 52.39 에서 46.74 으로, 조

군은 51.81 에서 49.67 으로 변화되어 교호작용이 있었다(p=.050). 뇌

손상 환자 가족의 환 후 불안은 100 만 에 실험군은 54.04 에서

44.22 으로, 조군은 52.46 에서 48.88 으로 변화되어 교호작용이 있

었다(p=.001).

가설 3.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 용

후 실험군의 주 건강상태는 조군보다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

다. 뇌손상 환자의 주 건강상태는 10 만 에 실험군이 5.98 에서

8.04 으로, 조군은 6.42 에서 6.83 으로 변화되어 집단간(p=.049),

시 간(p<.001)에 차이가 있었으며, 교호작용이 있었다(p<.001).

가설 4.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 용

ㆍ후 실험군의 가족 부담감은 조군보다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

다. 뇌손상 환자 가족의 돌 에 한 부담감은 110 만 에 실험군은

56.63 에서 41.57 으로, 조군은 54.38 에서 47.85 으로 변화되어 교

호작용이 있었다(p<.001).

Page 15: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ix -

가설 5.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 용

후 실험군의 환자실 재입실 건수는 조군보다 낮을 것이다.”는 기각

되었다.

가설 6.“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 용 후

실험군의 일반병실 재원기간은 조군보다 낮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

가설 7.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 용

후 실험군의 환간호 로그램 만족도는 조군보다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뇌손상 환자의 환간로 로그램 만족도는 55 만 에 실

험군이 48.46 으로 조군의 34.92 보다 높았다(p<.001). 뇌손상 환자

가족의 환간호 로그램 만족도는 55 만 에 실험군이 49.00 으로

조군의 36.46 보다 높았다(p<.001).

결론 으로 본 연구에서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하여 개발한

환간호 로그램은 환자와 가족의 환에 한 인식과 참여를 증진시켰으며, 환의

조건을 진시킴으로서 정 인 반응양상을 이끌어냈고, 더 나아가 성공 인 환을

경험하도록 기여하 다. 향후 연구에서는 Meleis 등(2000)의 환이론을 다양한 상

자들의 환 상황에 확 용할 것을 제언한다. 한 원활한 환과정을 진하는

요인과 장애요인을 규명하기 해 환과정에 참여하는 환자와 가족 련된 의료

진을 상으로 심층 면담을 이용하여 환경험을 확인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앞으로

환간호 로그램을 극 으로 활용하여 환간호의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실무자

의 인식을 증가시키고 다양한 략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핵심어: 환, 간호, 뇌손상, 환자, 가족

Page 16: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 -

제 1 장 서 론

1 . 1 연 구 의 필 요 성

인간은 살아가면서 여러 가지 형태의 환(transition)을 경험하고 그 환에 처

하기 해 노력한다(조순 , 2008). 환자실에 입실한 환자들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다양하고도 복잡한 건강-질병 연속선상에서 여러 번의 환을 경험하게 된다(Watts,

Pierson, & Gardner, 2005). 이에 최근 건강 련 분야에서는 상자의 삶의 질 향상

과 돌 의 연속성(continuity of care)에 한 개념이 요하게 부각되고 있는데(손연

정, 2009), 간호 분야에서는 환간호(transitional nursing)가 그 일환 하나이다.

이는 새로운 환경 혹은 변화된 상황에 직면한 환자나 그 가족들을 변화 이 의 상태

로 되돌아가게 하기보다는 새로운 변화를 수용하여 그 단계에 잘 응할 수 있도록

돕는 간호활동을 의미한다(Meleis, Sawyer, Im, Hilfinger Messias, & Schumacher,

2000). 환간호가 요구되는 상황은 환자실에서 일반병동으로 혹은 일반병동에서

환자실로의 실, 더 나아가서는 일반병동에서 요양병원이나 재활병원으로의 원,

는 가정이나 지역사회로의 퇴원 등 매우 다양하고 범 하다. 특히 뇌손상 환자는

증도에 따라 그 후가 다양하지만, 개는 장기 인 돌 을 요하는 후유증을 갖게

되어 많은 환자들은 여러 번의 환을 경험할 수 있으므로 이들을 한 환간호가

실하다.

성기 동안 뇌손상 환자들은 고도의 의료장비를 갖추고 집 치료를 담하는

문 의료진이 상주하는 환자실에 머물면서 24시간 지속 인 감시 하에 복합 이

고 다양한 재를 받아(Chaboyer, James, & Kendall, 2005) 질병으로부터 차 회복

하게 된다. 일반 으로 환자실 환자들은 성기가 지나고 상태가 호 되면 일반병

실로 옮기게 된다. 그러나 환과정이 순조롭지 못하면 환자의 증상이 더욱 악화되

어 환자실에 머물거나 병원에서 재원하는 기간이 연장되며, 환자실로 계획되지

Page 17: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2 -

않은 재입실을 하게 되거나 나아가 사망률과 의료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Chaboyer,

2006; McKinney & Melby, 2002). 일반병실로 실하는 환자실 환자들에게 충분

한 설명이나 경고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집 감시 차를 변경하거나 단하면 환자

들은 불확실성이나 스트 스로 고통을 경험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Chaboyer,

2006). 한 실과정이 갑작스럽게 이루어지는 경우 환자와 가족은 환자실에 있

는 동안 신뢰와 친분이 쌓인 의료진과 익숙하고 안 하게 느 던 환경을 잃게 되어

낯선 병동에서 생활하는 것과 환자의 돌 에 하여 불안과 불확실성을 경험하게

된다(Coyle, 2001).

상자의 정 인 환경험은 숙련된 간호와 지지로 진될 수 있으므로(Davidson,

Dracup, Phillips, Padilla, & Daly, 2007) 뇌손상 환자와 가족이 환자실에서 일반병

실로 순조롭게 환할 수 있도록 환이 결정된 시 부터 퇴원할 때까지 이들을 지지

하고 도울 수 있는 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최근 국외에서는 환자실과 병동의 간단계 수 의 간호를 제공하는 부서를 설치

하여(Brand, 2006), 환자실 환자의 회복기 간호를 향상시키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손연정, 2009). 국에서는 2001년에 환자를 극 으로 치료하며, 환자실에서 병

동으로 실한 환자의 리를 개선시키기 한 시도로서 환자 지원 (critical care

outreach team)을 조직하 으며(Coombs & Dillon, 2002), 호주에서는 환자실 연계

간호사(intensive care unit liaison nurse)라고 하는 문 간호사 형태의 역할을 도입

하여 실제 환간호 역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로 환자의 임상

인 결과 향상, 환자실 재입실률과 병원 재원기간 감소, 사망률 하, 환자와 가족

의 실불안 감소 등과 같은 정 인 효과를 얻었다(Chaboyer et al., 2005). 반면 국

내의 경우는 일반병실에 비해 많은 자원이 투입되는 환자실은 병원 경 측면에서는

상당한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형병원의 경우 환자실 단 당 매년 거액의 자가

발생한다는 주장도 있어(오동일, 2006) 환자실과 병동의 간단계인 환자실

(intermediate intensive care unit)을 운 하는 병원이 거의 없다. 한 문 간호사

제도가 도입된 역사가 길지 않으므로 의료계에서 문 간호사의 역할에 한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아직까지 환자실 환자의 실이나 환을 다룬 연구

Page 18: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3 -

자체가 부족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환자실과 병동의 간단계 형태의 간호단 를

설치하거나 새로운 문 간호사 형태인 환자실 연계간호사의 도입을 주장하는 것은

무 이르다고 할 수 있다(손연정, 2009).

국내 의료 달체계의 실정을 고려하고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환자실 연계간호사의

역할을 심으로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특성이 반 된 환간호 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평가한다면 환간호 실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며, 환간호에

한 개념이 비교 최근에 두되기 시작한 만큼 학계와 실무의 심을 모을 수 있

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뇌손상 환자와 가족이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원활하게

환할 수 있도록 환간호 로그램을 개발한 후 직 용하여 그 효과를 악함으

로써 실무에서 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표 화된 환간호 실무 가이드라인

을 개발하는데 기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 다.

1 . 2 연 구 의 목

본 연구의 목 은 신경계 환자실에 입실한 뇌손상 환자와 그 가족이 일반병동으

로 원활하게 환할 수 있도록 돕는 환간호 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용효과를 검

증하고자 함이었으며, 구체 인 목 은 다음과 같다.

1)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을 개발한다.

2)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에게 환간호 로그램을 용하여 그 효

과를 악한다.

Page 19: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4 -

1 . 3 가 설

본 연구에서는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을

고 용효과를 검증하기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 다.

1 . 3 . 1 환 조 건 에 한 차 이 검 정

가설 1: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을 용한

실험군은 조군보다 환 비 수가 높을 것이다.

가설 2: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을 용한

실험군은 조군보다 퇴원 비 수가 높을 것이다.

1 . 3 . 2 반 응 양 상 에 한 차 이 검 정

가설 1: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 용 후

실험군의 환 스트 스는 조군보다 낮을 것이다.

가설 2: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 용 후

실험군의 환 불안은 조군보다 낮을 것이다.

가설 3: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 용 후

실험군의 주 건강상태는 조군보다 높을 것이다.

가설 4: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 용 후

실험군의 가족 부담감은 조군보다 낮을 것이다.

가설 5: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 용 후

실험군의 환자실 재입실 건수는 조군보다 을 것이다.

가설 6: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 용 후

실험군의 일반병실 재원기간은 조군보다 짧을 것이다.

Page 20: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5 -

가설 7: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 용 후

실험군의 환간호 로그램 만족도는 조군보다 높을 것이다.

1 . 4 용 어 의 정 의

1 . 4 . 1 뇌 손 상 환 자

뇌손상이란 두부에 직 혹은 간 으로 가해진 외력으로 인해 발생한 외상성 뇌

기능장애와 뇌출 , 뇌경색 뇌종양 등의 불가역 손상으로 발생하는 비외상성 뇌

기능장애 등으로 의식장애를 래하는 것을 의미한다(오 수, 2001). 본 연구에서는

신경계 환자실에 입실하여 수술 여부에 계없이 외상성 뇌기능장애 혹은 비외상성

뇌기능장애를 가진 모든 뇌손상 환자를 의미한다.

1 . 4 . 2 뇌 손 상 환 자 와 가 족 상 의 환 간 호 로 그 램

환간호란 새로운 환경 혹은 변화된 상황에 직면한 환자나 그 가족들을 변화 이

의 상태로 되돌아가게 하기보다는 새로운 변화를 수용하여 그 단계에 잘 응할 수

있도록 돕는 간호활동이다(Meleis et al., 2000).

본 연구에서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은 Meleis 등(2000)이

개발한 환이론을 기반으로 설계된다. 이는 뇌손상 환자와 가족이 신경계 환자실

에서 일반병실로 환할 때 그 본질을 명확히 이해하며 속성과 조건을 진시켜 정

인 환을 경험하도록 일반병실로 실이 결정된 시 부터 퇴원할 때까지 간호사가

제공하는 로그램이다.

Page 21: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6 -

제 2 장 문 헌 고 찰

본 문헌고찰에서는 환에 한 개념 정의와 여러 학자들의 모형 견해를 악하

며, 특히 본 연구의 상자인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환 경험과 특

성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 Meleis 등(2000)의 환이론을 이용한 선행연구와 환

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하는 과정이 원활하도록 돕는 다양한 간호 재들을 비교분

석하고자 한다.

2 . 1 환

환은 ‘어떤 상태나 조건 는 장소에서 다른 상태나 조건 혹은 장소로 옮겨가는

움직임이나 통로’로서(Chick & Meleis, 1986) 인간과 환경 간에 평형을 유지하는 인간

의 성장을 함축하고 있다(Murphy, 1990). 환에 한 정의는 학문의 에 따라 조

씩 다르지만 부분의 정의는 변화과정 동안 나타나는 인간의 반응과 련된다.

환은 발달 , 개인 , 계 , 상황 , 사회 , 는 환경 변화와 같이 시간에 걸쳐

발생하고 변화와 응이 필연 으로 수반되지만 모든 변화가 환은 아니다(Kralik,

Visentin, & Loon, 2006).

환은 어느 정도 상할 수 있고 역할변화를 비하게 하며 부정 인 향을 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가치있는 개념인데(박 숙, 1991), 크게 측가능 여부와 역할변화

를 근거로 분류한다. 측가능 여부에 따라 연령과 련된 환, 발달 -성숙 환, 상

황 환, 건강/질병 환이 있다. 한 역할변화의 기간, 역할의 명확성이나 모호함의

정도, 역할에 한 비 등에 따라 환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Murphy, 1990).

환자실에서 일반병동으로 실하면서 이루어지는 환은 질병회복 과정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손연정, 2009). 이는 상황 ㆍ환경 이면서 건강/질병의

Page 22: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7 -

환이며 가족내 역할변화가 상되고 새로운 역할에 한 비정도 등에 따라 그 결

과가 달라질 수 있는 환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상자가 정 인 환경험

을 할 수 있도록 간호사의 치료 재가 요구된다.

환에 한 다양한 견해 본 연구과 련된 모형을 살펴보면, Chick과 Meleis

(1986)의 건강-질병 모형은 환을 변화의 과정으로 기술하 는데 그 흐름은 진입

(entry), 통과(passage), 출구(exit)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안정-불안정-안정으로 나

아간다고 하 다. 한 환으로 이끄는 사건은 질병발생과 회복, 출산, 죽음, 상실,

이민 등이라고 하면서 발달 ㆍ상황 ㆍ건강/질병의 환 유형으로 복합 이라고 하

다. Schlossberg(1981)의 환에 따른 인간 응모형에서는 환과정 동안에 개인을

돕고 동화(assimilation)를 측하는 필수 인 3차원으로 사건 비사건의 본질과 개

인의 지각, 개인의 특성, 환사건의 발생 ㆍ후의 환경을 제시하 으며, 인간의

응은 환경에 한 지각과 자원부족에 해 균형을 맞추는 데에 달려 있다고 하 다.

이 모형은 환에 하여 임상에서 특별한 재를 수행하거나 연구목 으로 용시킬

수 있는 장 이 있다( 은 , 1996). Clarke-Steffen(1993)은 근거이론을 이용하여 암

환아를 돌보는 가족의 환경험을 통해 가족 환모델을 만들었다. 연구 결과 자녀의

암이라는 주요 사건이 가족으로 하여 환에 직면하게 하 으며, 가족 환은 실체

에 한 거부기, 불확실성기, 실체를 재인식하기 한 략 사용기, 새로운 표 설정

기 등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 인 간호실무에서의 환 은 안녕에서부터

질병까지의 건강상태 변화와 주요 생활사건에 따른 처와 응, 삶의 주기에 따른

성장과 발달에 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Murphy, 1990).

이상의 다양한 견해를 기 로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실하는 상황을 환

에 비추어 보면, 치료 과정이 성기에서 회복기로 건강/질병 환이 이루어진 것이

며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성기 세 에서 회복기 세 으로 장소의 이동이 수반되는

상황 환경 인 환이며, 갑작스러운 신체 손상으로 가족들의 돌 을 제공받아

야 하는 역할 변화가 하나의 환이므로 여러가지 양상의 환이 동시에 련되어

발생하는 복잡한 환이다. 환자실에서 일반병동으로 실하는 환자를 상으로

실스트 스를 조사한 연구(한정옥, 2010)에서는 실 후 상태불안과 비자발 인 실

Page 23: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8 -

이 실스트 스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실이 자발 으로

이루어지고 실에 한 불안을 낮추기 한 재를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추정

할 수 있다. 환을 경험하는 인간의 반응은 간호의 주요한 심사가 되어왔으며, 건

강에 향을 미치는 환을 경험하는 개인 지역사회를 돕는 것이 간호사의 주요한

역할 하나이므로 간호사들은 환을 이해하고 상자의 안녕과 안정회복을 도울

수 있는 효과 인 재를 개발하여 환을 경험하는 상자들을 지지해야한다

(Schumacher & Meleis, 199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실하는 환자들이 일반병동 생활

에 익숙해지고 회복기 치료과정을 원활하게 보내면서 성공 으로 퇴원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을 환의 개념을 이용하여 근하고자 하 다. 범 이론인 Meleis 등

(2000)의 환이론이 다른 환이론들에 비해 공식 이며, 환상황의 일부가 아닌 포

으로 련되어 있으므로(Davis, 2005)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하는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환 경험을 설명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단되었다.

2 . 2 뇌 손 상 환 자 와 가 족 의 환

2010년 국내 사망원인 에서 뇌 질환으로 인한 뇌손상이 인구 10만명당 26,517

명(53.2%)으로 72,046명(144.4%)인 악성 신생물에 이어 2 를 차지하 다(통계청,

2011). 뇌손상 환자는 신체의 다른 손상보다 더 험하며 등도 이상일 경우 사망률

이 높기 때문에(이언 등, 1982) 환자실에서 다양한 재를 받게 된다. 환자실은

일반 으로 생명이 한 환자에게 고도의 지식과 기술을 갖춘 문 인력과 첨단 의

료장비를 이용하여 집 감시와 간호 치료가 24시간 이루어지는 곳이므로(Relman,

1980) 환자실에 입원해 있는 동안 환자와 련된 모든 치료나 간호는 환자실 의

료진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환자의 가족은 일반병동과 다른 환자실의 낯선 환

경, 복잡한 기계와 각종 삽 들이 달려있는 환자의 모습만을 지켜볼 뿐 환자와 격리

Page 24: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9 -

되므로 직 인 간호에 참여할 수 없다(Miles, Funk, & Kasper, 1991). 이로 인하여

가족들은 환자를 돌보는 당연한 책임을 완수하지 못하는 스트 스뿐만 아니라 환자의

상태변화에 따른 다양한 스트 스를 경험하게 된다(Miles et al., 1991).

뇌손상 환자를 포함한 부분의 환자실 환자들은 질병으로부터 차 회복되고 신

체 상태가 안정되어 더 이상의 환자실 내 집 치료나 감시 장치가 필요하지 않게

되면 의료진의 단 하에 일반병동으로 실이 결정된다(장연수, 2001). 질환에 따라

회복정도는 다양하지만 뇌손상 환자의 경우는 지속 인 식물상태(persistent

vegetative state), 증기능장애(severe disability), 등도 기능장애(moderate disability),

완 회복(good recovery) 네 단계로 나 어진다. 그러나 회복되었다 할지라도 다양한

험요인과 여러가지 합병증으로 인하여 뇌손상 이 의 상태로 회복하지 못하는 경우

가 많다(이언 등, 1983). 신체 , 정신 , 인지 행동장애 후유증으로 사회 응

에 심각한 문제가 있거나(오 수, 김 란, 서화숙과 서연옥, 2005) 스스로 일상생활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일반병실로 옮긴 후에도 지속 인 간호와 함께 가족들의 도움이

필요하게 된다(한 인, 2004). 특히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실한 환자들은 일반병

실에서 계속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에 비해 복잡한 치료 간호 요구도를 가지게

되므로(Hillman Parr, Flabouris, Bishop, & Stewart, 2001) 의료진과 가족의 집 인

심이 더 필요하다.

지속 인 돌 이 필요한 뇌손상 환자들에게 가족은 가장 요한 사회 지지체계의

원천이다(김분한과 최필순, 2000). 가족은 뇌손상 환자의 재활과정에서 추 인 역할

을 하고 있으며, 가족 환경이 환자의 장기 인 응을 지지하는 주요한 역할을 수행

한다. 신경심리학이나 심리사회 에서 보면 뇌손상의 장기 인 후유증은 상당하

기 때문에 환자의 인지 결손 이외에도 그들이 이해할 수 없는 상황에 날마다 처

해야 하는 가족들은 좌 할 수 있으므로 가족의 응과정에 특히 주의를 기울일 필요

가 있다(Bigler, 1989).

뇌손상 환자를 돌보는 책임을 맡게 되는 가족원은 부분 직업이 없는 여성으로 환

자의 어머니, 부인 는 딸이며(양 희, 1992), 그 에서도 환자의 배우자인 경우가

가장 많다(Archbold et al, 1990; Miller, 1990; 서미혜와 오가실; 1993). 뇌손상 환자의

Page 25: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0 -

가족들은 한 자원이 없음에도 장기간 지속 으로 돌보아야 하며, 부분의 경우

에 돌보는 기술, 자신들의 권리에 한 지식, 이용가능한 자원과 그것을 활용하는 방

법에 한 지식과 지지체계가 부족하다(유수경, 2000). 한 환자를 돌보는 새로운 역

할에 한 정보 부족으로 환자를 돌보는데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Cantor, 1983;

Brown, 1992; 강복희, 2000). 이와같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뇌손상 환자의 가족들은 지

속 으로 환자를 돌 야 한다는 높은 부담감으로 인해 삶의 질이 하되어 있다. 그

러므로 이들에게는 다양한 지지체계와 재가 필요한데, 뇌손상 환자와 가족에 한

재는 흔히 의료진이 인식한 요구에 기 를 두기 때문에 종종 부 한 경우가 많으

므로 가족이 원하는 요구를 정확하게 사정하는 것이 필요하다(Norris, & Grove 1986).

즉 뇌손상 정도에 따라 일시 혹은 구 인 후유증이나 장애범 가 다양하므로 환

자와 가족들은 여러가지 상황에 직면할 수 있고, 질병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한 다양하므로 상황별, 개인별 요구도를 악하여 실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재를

개발하는 것이 요하다.

통 으로 모든 환자실 간호의 목 이 환자의 생명을 연장시키고 일반병실로 이

동할 수 있도록 상태를 회복시키는 것이었으나 오늘날은 환자의 생명 연장은 물론 신

체 이고 심리 인 스트 스의 정도를 최소화하여 의 건강한 상태로 회복시키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다(Beard, 2005). 그러므로 신경계 환자실의 뇌손상 환자와 가족

들을 한 체계 이고 효율 인 재 로그램의 개발 실무 용이 시 하다.

2 . 3 환 이 론 을 이 용 한 선 행 연 구

장기 인 돌 이 요구되는 뇌손상 환자와 그 가족들은 질병과정에서 여러 번의

환을 경험하므로 원활한 환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돕는 재를 개발하기 해 2001년

부터 2012년까지 Meleis 등(2000)의 환이론을 용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 으며,

2001년부터 2008년까지의 연구는 조순 (2008)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 다<부록 1>.

Page 26: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1 -

채선미(2001)는 환이론을 기반으로 체 출생아 환간호 로그램을 개발하기

해 연구의 개념 기틀을 수립하 으며, 환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모든 개념들

을 용하 다. 재 상은 체 출생아의 부모 으며, 반응양상에는 자아존 감,

양육자신감, 모아상호작용, 양육환경, 아의 발달, 로그램 운 평가, 로그램 참여

경험 등이 포함되었다. 개발한 체 출생아 이행( 환)간호 로그램은 단일집단 사

사후 사례연구를 통해 효과가 검증되었으며, 그 결과 체 출생아와 부모의 건강

한 환을 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인숙과 박 숙(2004)은 Schumacher와 Meleis(1994)의 환모델을 기 로 가설모

형을 구축하여 검정하는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하여 년기 여성의 환상태를 설명

하 다. 환조건은 일반 특성, 산과 특성, 건강행 습 으로 평가했으며, 환상

태는 폐경에 한 지식수 , 신체 ․정서 안녕상태, 스트 스, 우울로 평가했고,

환상태에 향을 주는 삶의 질로 반응양상을 측정하 다. 가설검증 결과 환상태에

향을 미친 변수는 인구학 특성과 삶의 질이었으며, 건강행 습 은 환상태에

직 인 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삶의 질을 통한 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들 변수들이 환상태를 68%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환이론은 우리나라

년여성의 환을 설명하는데 합하다고 주장하 다.

Davis(2005)는 싱홈(nursing home)으로 최근에 이동한 노인의 친척들 48명에게

37개 항목으로 구성된 반구조화된 질문을 이용하여 인터뷰한 자료를 2차 분석하 다.

이 과정에서 상자들의 경험을 환이론에서 제시한 주요 개념인 환의 본질, 환

의 조건, 반응양상과 련지어 설명하 다. 환의 속성 하나인 인식의 수 은

환경험에 한 지각, 지식, 인지와 련되어 나타나므로 상자들의 경험에 해 미리

생각해 보거나 의논하는 것이 요함을 강조하 다. 한, 환의 조건 에서 사회

조건은 더 범 한 사회문화 환경이 환경험에 여하므로, 환의 사회문화

배경에 한 인식을 통해 간호사들이 그룹, 지역사회, 사회 수 의 재개발이 가능

하다고 하 다.

Skarsater와 W illman(2006)은 회 복 기 우 울 증 환 자 250명 을 상 으 로 실 시 한 질

연 구 자 료 를 2차 분 석 하 여 환 이 론 의 주 요 개 념 별 로 상 자 들 에 게 용 할 수 있

Page 27: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2 -

는 재 를 제 시 하 다 . 이 연 구 에 서 는 환 의 본 질 에 서 속 성 의 하 나 인 기 간

(time span)을 활 용 하 여 상 자 가 스 스 로 환 기 간 을 계 획 할 수 있 도 록 지 지 해 야

하 며 , 환 조 건 개 인 수 의 하 변 수 인 사회 경 제 상 태 에 해 서 는 경 제

으 로 가 능 한 안 에 해 의논 의뢰 하 고 , 반 응 양 상 결 과 지 표 인 융 통 성 있 게

통 합 된 정 체 성 (fluid integrative identities)을 진 하 는 재 로 서 경 청 을 고 려 할 것

을 제 시 하 다 .

Im(2006)은 백인 암환자의 통증경험을 건강/질병 환의 으로 근하여 상황국

한이론(situation-specific theory)을 개발하 다. 즉 통증경험은 단일 혹은 다수의 유

형으로 나타나며, 환자마다 그 속성이 매우 개별 이고, 인식과 변화를 통해 환에

향을 미친다고 하 다. 환의 조건 에서 개인 조건은 질병상태, 증상, 기능

상태, 성별과 문화이며, 지역사회 조건은 치료시설(treatment settings)이고, 반응양상

은 조 과 월로 나타난다고 하 다.

Sindhu 등(2007)은 Meleis의 환 범 이론 개발과정에서 간호치료(nursing

therapeutics)가 충분히 발 되지 않았다고 보고, 환을 경험하는 사람들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리할 수 있는 간호치료의 특성이 무엇인지 합성하기 해 환에 한 선

행연구들의 분석에서 진조건과 방해조건인 환조건들을 탐구하 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간호치료의 특성들이 융통성, 통합, 가치와 경험공유, 공동작업, 확인, 지역사회

도움 상이며, 간호치료의 수 이 개인의 수 을 넘어서 지역사회와 사회 수 으

로 요구된다고 제시하 다. 구체 으로 보면, 자기 리에서 극 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환자의 요구에 맞게 역동 이고 융통성 있는 재를 제공해야 하며, 상

자들의 요구 등 모든 것이 통합되어야 하고, 공동작업을 통해 환자․돌 제공자․치

료자 상호간의 경험과 가치가 공유되어야 한다. 한, 단순 정보제공만으로는 상자

들이 불확실하다고 느끼므로, 간호사가 이를 확신시켜주고, 개인수 만이 아니라 건강

문가, 지역사회나 사회의 도움을 상할 수 있는 재가 필요하다고 제시하 다. 뿐

만 아니라 심 있는 특별한 환경의 간호 상자와 임상환경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해 Meleis 등의 환이론을 이용한 연구들은 많지만, 기 되는 환결과에 한 설명

이 없다고 하 다.

Page 28: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3 -

Weiss 등(2007)은 퇴원 비 도구를 개발하기 해 147명의 내․외과 성인 환자들을

상으로 환이론과 련된 변수들간의 계를 탐구하기 해 종단 설계로 회귀분

석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 다. 퇴원과 련된 변수들 에서 계획된 입원, 첫

입원, 동일 질병의 과거 입원경험, 입원기간이 환의 본질 변수로 활용되었고, 연령,

성별, 민족, 사회경제 상태, 기도, 거주형태는 환조건 변수로 활용되었다. 한 간

호치료는 간호교육의 질(quality of discharge teaching scale)과 간호 코디네이터(care

coordination scale)로 평가되었고 반응양상은 병원퇴원 비와 퇴원 후 처 어려움,

퇴원 후 추후 리 활용성 등으로 평가되었다. 연구결과 환이론이 퇴원 비를 측정

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손연정(2009)은 환자실 환자의 간호지속성을 유지하기 한 환자실과 병동간

연계형 환간호 로그램을 개발하기 해 Meleis 등(2000)의 환이론을 개념 기

틀로 이용하 으며, 내과계, 외과계, 심 계에 입원한 환자와 가족 70명에게 개발된

로그램을 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 다. 이 연구에서의 개념 기틀은 크게 환

의 본질과 간호치료, 반응양상으로 이루어졌다. 환의 본질로는 련요인(환자 가

족의 일반 특성, 환자의 질병 련 특성 실 련 특성)과 스트 스 요인으로서의

실을 활용하 으며, 간호치료로서 환자실과 병동간 연계형 환간호 로그램을

용하 고, 반응양상을 환자와 가족의 응결과로 보았다. 특징 인 은 환자실에

서 일반병동으로 실하는 환이 스트 스 요인으로 작용하여 반응양상에서 실스

트 스 정도를 악하 다는 이다. Meleis 등(2000)의 환이론을 기틀로 하여 개발

한 환자실과 병동간 연계형 환간호 로그램은 환자실에서 일반병동으로 실

하는 환자와 그 가족의 실스트 스 가족의 부담감은 여주면서 간호만족도와

지각된 건강상태 삶의 질은 개선시켜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순 (2008)은 환 리 로그램을 개발하여 군병원에서 퇴원하는 환자 135명에

게 퇴원 환 비기, 퇴원 1주 후, 퇴원 5주 후에 각각 그 효과를 검증하 다. 이 연

구에서는 환의 속성인 인식과 참여, 환의 조건인 개인 인 조건과 지역사회 조건

을 진시킴으로서 정 인 반응양상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는 제 하에 간호

재의 항목으로 그 개념들을 포함시켰다. 한 환 리 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

Page 29: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4 -

기 해 반응양상인 과정지표와 결과지표에 해당되는 모든 개념을 측정할 수 있도록

도구를 개발함으로써 환이론을 구성하는 모든 개념들을 활용하 으며, 재에 한

효과가 정확하게 평가되었다는 이 특징 이었다.

그러나 Sindhu 등(2007)은 환 범 이론(Meleis, et al, 2000)의 개발과정에서 간

호치료가 충분히 발 되지 않았다고 보고하 으며, 한 다양한 재원리들이 실제

연구나 실무에 용되어 평가된 이 없기 때문에 실무와 학계에서는 다양한 간호치

료를 개발하여 그 효과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하 다. 한 건강/질병 연속선 상에

서 장기 인 돌 이 요구되는 뇌손상 환자와 가족은 빈번한 환을 경험하지만 환

에서 이루어진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이에 한 심이 필요하

다. 이에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에게 환이론을 이용한 환간호 로

그램을 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2. 4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의 환을 돕는 재연구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안 하고 원활한 환이 이루어지게 하기 한 목 으로

재를 제공한 선행연구의 반 인 내용과 효과를 분석하 다. 환간호 재는 환

자실 연계간호사의 환간호 서비스를 의미하며, 구체 인 내용으로는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실하기 한 환자상태 사정, 환자실 환자의 실을 한 코디네이션,

환자실과 일반병동 의료진간의 연계 의사소통, 병동간호사의 간호술기 자원

에 한 사정, 환자 실을 해 환자실과 일반병동 의료진의 비, 침상상황 악,

임상 인 지지, 실 ㆍ후 환자와 가족을 한 교육 제공 정서 ㆍ실무 지지

등이 있다(Chaboyer et al, 2006; Chaboyer, Thalib, Alcorn, & Foster 2007; Endacott,

Chaboyer, 2006). 이러한 업무를 수행하는 환자실 연계 간호사에 한 국외 연구 6

편과 환자실 연계간호사의 환간호 서비스를 수정ㆍ보완하여 개발한 환간호

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한 국내 연구 1편을 고찰하 다<부록 2>.

Page 30: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5 -

Green과 Williams(2006)는 환자를 사정하고 리하는데 있어서 정확성을 높이고

무엇보다 시에 간호행 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임상 표지자(clinical marker)를 개발

하 으며,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할 때 환자실 연계간호사가 이 도구를 사

용하여 효과를 평가하 다. 이로 인해 심정지 건수가 감소하 으며, 일반병동에서의

환자 리가 향상되었다고 보고하 다.

Chaboyer 등(2006)은 환자실 연계간호사의 환간호 서비스가 환자실 퇴실지연

에 미치는 효과를 악하 다. 환자실 재원기간이 3일 이상인 환자를 상으로

환자실 연계간호 서비스를 제공한 결과 환자실에서 퇴실할 때까지 지연되는 시간이

감소하 다고 나타났다.

Chaboyer 등(2007)은 환자실 연계간호사의 환간호 서비스가 일반병동으로 실

하기 직 에 환자와 그들 가족이 경험하는 환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악하 다.

환자실 연계간호사의 환간호 서비스를 제공받은 환자와 가족이 경험한 환 불안

은 조군보다 감소하는 경향이었다고 보고하 다.

Eliott 등(2008)은 일반병실로 환하는 환자실 환자를 상으로 환자실 연계간

호사 환간호 서비스를 제공하여 효과를 평가하 다. 환자실 연계간호사 환간호

서비스를 제공하기 보다 후에 환자실에 입원하는 환자수가 13% 증가하 지만, 병

원 환자실 재원일수와 병원 사망률은 차이가 없었으며, 환자실에서 퇴실하는

시간이 감소하 고, 환자실로 재입실한 환자들의 환자실 재원일수가 감소하 으

며, 그들의 사망률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Endacott 등(2010)은 환자실에서 최근에 퇴실한 환자들에게 환자실 연계간호사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요 부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악하기 해 환자- 조군 연구를

시도하 다. 조군 201명의 자료는 후향 으로 수집하 으며, 실험군 187명의 자료는

환자실 연계간호 서비스를 받으면서 향 으로 수집하 다. 연계간호사의 환간

호 활동의 유의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연계간호사의 환간호 활동으로 상

치 못한 죽음이나 외과 인 처치, 환자실로의 환 등과 같은 유해사례의 발생이

방된다고 주장하 다. 이 연구는 조군의 자료가 후향 으로 조사된 , 연구가 한

곳에서만 이루어진 , 결과에 향을 미칠 수 있는 알려지지 않은 다른 요인이 있었

Page 31: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6 -

을 것이라는 이 제한 이었다.

Chaboyer 등(2012)은 환자실 연계간호사가 재설계된 환자실 퇴실간호를 환자

실 퇴실환자에게 용하여 사망률, 환자실 퇴실 시 지연되는 시간, 72시간 내 환

자실 재입실에 미치는 효과를 악하기 해 시계열 설계를 이용하 다. 환자실에

서 퇴실한 환자 1787명 1001명이 실험 에 조사되었고, 786명에게 재설계된 환

자실 퇴실간호를 용하 다. 그 결과 병원 사망률과 환자실에서 퇴실한 후 72시간

이내에 환자실에 재입실하는 환자의 비율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환자실에서 퇴실

하는 평균 시간은 단축되었다.

한편 국내에서는 손연정(2009)이 환자실 연계 간호사가 없는 실정을 고려하여

환자실과 병동간 연계형 환간호 로그램을 개발한 후 이를 환자실 환자와 가족

에게 용하 다. 재결과 환자실 재입실률이나 병원 재입원 입원기간에는 유

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환자의 실스트 스가 감소되었으며, 지각된 건강상태와 건강

과 련된 삶이 질이 향상되었고 간호에 한 만족도가 더 높았으며, 환자 가족의

돌 에 한 부담감은 낮았고, 간호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age 32: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7 -

제 3 장 연 구 의 개 념 기 틀

환이론은 ‘건강하지 못한 환을 경험한 사람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

상자가 건강한 환을 경험할 수 있도록 간호사는 어떤 재를 제공해야 하는가?’ 라

는 질문에 한 해답을 찾는 과정을 통해 개발되었다(Meleis, 2007).

환이론의 주요 개념은 크게 환의 본질(nature of transition)인 유형, 양상, 속성

(types, patterns, properties), 환의 조건(transition conditions: facilitators and

inhibitors), 과정지표(process indicators), 결과지표(outcome indicators), 간호치료

(nursing therapeutics)의 6가지이다(Meleis et al., 2000).

각각의 개념들을 살펴보면, 환의 유형은 인간의 수많은 경험들 에서 사춘기, 출

산, 폐경기와 같은 발달 환, 새로운 직업이나 역할을 가지는 것과 같은 상황

환, 개인이나 가족의 건강/질병 환, 사회 ㆍ정치 ㆍ경제 환경의 변화와 같은 조

직 환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분류된다. 환의 유형들은 서로 독립 이거나 상호

배타 이지 않으며, 복잡한 과정들로서 일정한 기간 동안에 다양한 환들이 동시에

생기기도 한다(Schumacher & Meleis, 1994). 무엇보다도, 한 개인이 다수의 복합 인

유형의 환을 경험할 수도 있기 때문에 간호사는 특정한 하나의 환 유형에 을

맞추기보다는 개인이나 가족의 삶에서 모든 가능한 유형의 환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Meleis et al., 2000).

환의 양상은 단일(single), 다수(multiple), 인과성(sequential), 동시성(simultaneous),

계성(related), 무 계성(unrelated)으로 이루어진다(Meleis et al., 2000).

환의 속성에는 인식(awareness), 참여(engagement), 변화와 차이(change and

difference), 기간(time span), 결정 시 과 사건들(critical points and events)이 포

함된다. 이는 복잡하고 다양한 환경험에서 규명된 본질 인 속성들로서 필연 으

로 분리될 수 없고 복잡한 과정 속에서 서로 연 되어 있다(Meleis et al., 2000). 인

식은 환경험에 한 지각, 지식, 인지와 련되며 환경험은 환에 있는 개인의

변화를 인식하는데서 비롯된다(Chick & Meleis, 1986). 인식의 수 은 과정과 반응에

Page 33: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8 -

하여 아는 것과 개인들이 경험하는 비슷한 환의 반응과 지각을 상하는 것 사

이에 일치하는 정도를 반 한다(Meleis et al., 2000). 참여는 환에 참여하는 정도로

서 정보를 탐색하거나 역할모델을 이용하여 극 으로 비하고 활동을 활발하게

수정하는 일들이 포함되고 인식의 정도에 의해 향을 받는다. 모든 환이 변화를

포함하지만, 모든 변화가 환과 련된다고 할 수 없으며(Meleis & Trangenstein,

1994) 환은 변화의 결과인 동시에 변화를 래한다. 환의 다른 속성인 차이는

다르다는 느낌, 다른 것으로 인지되는 것, 세계와 타인을 다른 에서 보는 것을

의미한다. 환은 명확한 종료시 이 있다는 시간 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 불안정과

혼돈기간을 거쳐 결국에는 새로운 시작을 하거나 안정기를 맞이하게 된다. 그리고 어

떤 환은 출생이나 죽음, 질병의 진단 등과 같은 특정한 사건과 련된 특성을 갖고

있으며, 변화나 차이에 한 인식이 증가하거나 환경험에 극 으로 참여하게 되

는 결정 시기가 있는 속성도 있다. 환의 본질에 따라 환의 불안정한 기간 동안

수많은 결정 시기가 존재하며, 이럴 때 간호사의 심과 도움이 필요하게 된다

(Meleis et al., 2000).

환의 조건(transition conditions)이란 원활한 환과정과 건강한 환결과를 진

하거나 억제하는 개인 조건과 환경 조건을 말한다. 개인 조건에는 의미

(meaning), 문화 신념과 태도(cultural beliefs and attitudes), 사회경제 상태

(socioeoconomic status), 비와 지식(preparation and knowledge)이 포함되며(Chick

& Meleis, 1986), 환경 조건에는 지역사회(community)와 사회(society)가 포함된다

(Chick & Meleis, 1986).

환이론에서의 재는 간호치료(nursing therapeutics)의 개념으로 설명되며 간호

는 건강과 안녕을 목표로 환과정에 있는 인간의 경험과 과정에 심을 둔다(Meleis

& Trangenstein, 1994). 인간은 끊임없이 움직이고 변화하며 이러한 변화에 처하기

해 계속 노력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자아정체성을 보다 가치있게 재구성하고자

한다. 이러한 환을 경험하는 인간의 반응은 간호의 주요 심사가 되어왔으며, 건강

에 향을 미치는 환을 경험하는 개인 지역사회를 돕는 것이 간호사의 주요 역

할 하나이다(Meleis, 2007). 간호치료의 궁극 인 목표는 바람직한 건강을 유지

Page 34: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9 -

증진하는 것으로 시간과 환의 유형, 양상, 재 시기를 고려하여 개발되어야 하며

환을 경험한 이후에는 치료 재를, 환경험을 하기 이나 환결과가 나타나

기 에는 방 재를 제공할 수 있다. 간호치료의 구체 인 내용은 환에 한

상자의 포 인 이해와 환조건들에 한 비정도 사정, 환에 한 실제 인

비로서 새로운 기술의 개발을 돕는 교육과 환경의 변화를 래하는 간호 재, 성공

환을 한 역할보완이다(Schumacher & Meleis, 1994).

환이 성공 으로 이루어지면 그 결과는 건강한 환으로 나타나며, 건강한 환

은 반응양상(patterns of response)인 과정지표와 결과지표로 설명된다. 과정지표는 연

결감(feeling connected), 상호작용(interacting), 치감(location and being situated),

자신감 개발(Developing confidence and coping)이다(Meleis et al 2000). 개인 인

과 연결은 건강 리서비스와 자원들에 한 정보의 일차 원천이며, 질문에 답할

수 있고 편안하게 연결되었다고 느 던 건강 리 문가들과의 연결감은 정 인

환경험의 다른 요한 요인이다. 상호작용은 환경험에서 요한 차원이며 이를

통해 환의 의미와 행동들은 환이 알려지고, 명확해지며, 인정되는 것에 한 반응

으로 발 했다. 치감은 한 환경험에서 매우 요하며, 이민과 같이 어떤 경우에

더 분명하지만,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종종 의미한다.

자신감 개발은 진단, 치료, 회복, 제한된 삶에 내재된 다른 과정들을 이해하며, 자원을

활용하고 리를 해 략을 개발하는 수 에서 나타난다. 결과지표는 숙련된 기술

(mastery), 유동 으로 통합된 정체성(fluid integrative identities)이다. 건강한 환의

실 은 개인들이 새로운 상황과 환경을 리하기 해 요구되는 기술과 행동의 숙련

된 정도라고 할 수 있다. 환경험은 정체성 재구성의 결과로서 특징지어지는데

Messias(1997)의 연구에서는 정체성이 정 이기 보다는 유동 이며 안정보다는 역동

으로 재구성된다고 하 다(Meleis et al 2000).

이상을 요약하면, 환을 경험하는 상자의 유형과 양상은 다양하므로 정 인

환이 이루어지기 해서는 무엇보다 환의 결과에 향을 미칠 수 있는 속성들을

정확히 악하고 그에 따라 환의 조건을 진시킬 수 있는 환간호 재를 제공하

는 것이 필요하다.

Page 35: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20 -

Meleis의 환이론은 다른 환이론들에 비해 공식 이며 환상황의 일부가 아닌

인간이 경험하는 포 인 환에 을 두고 있다(Davis, 2005). 따라서 다양한

상자의 일상 인 환경을 이해하고 설명하기에 유용하며 상자의 환에 한 인식,

환과정, 환의 결과에서 나타나는 반응양상을 확인함으로서 환 경험의 반 인

과정을 볼 수 있다<그림 1>.

이에 본 연구는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정 인 환 경험을 통해

뇌손상 환자의 건강 리뿐만 아니라 가족이 원만한 병동생활을 할 수 있도록

Meleis 등(2000)의 환이론을 기 로 환간호 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

하고자 하 다.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실하고 일반병실에서 퇴원함으로써 뇌손상 환자와 가족

에게 발생되는 사건을 환이론에 용하면 다음과 같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이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의 실을 통해 경험한 본질은

환의 유형과 환의 양상 환의 속성으로 구분된다. 환의 유형은 뇌손상 환자

와 가족이 환자실에서 일반병동으로 이동하면서 뇌손상 환자를 지속 인 돌 이

필요한 존재로 인식하는 건강/질병 환이다. 한 뇌손상 환자가 일반병실로 이동

함으로 인해 그 가족은 돌 제공자로서의 역할을 새로 가지게 되며, 일반병동 의료

진과의 계가 새롭게 형성되는 상황 환이 이루어진다. 환의 양상은 상황 ,

건강/질병 환이 인과성을 가지고 계성 있게 이루어지므로 뇌손상 환자와 가족은

상호 배타 이지 않는 다수의 복합 인 환을 경험한다. 환의 속성은 뇌손상 환

자와 가족이 환이라는 변화를 인식하는데서 비롯되며 환과정에 참여하는 정도

에 따라 환과정이 변화될 수 있다. 한 환과정에서 뇌손상 환자와 가족은 환

자실과 일반병동 생활간의 차이를 경험하며 다른 환자들과 함께 있게 되면서 그들

과의 차이를 느낀다. 기간은 실이 결정된 시 부터 일반병동에서 퇴원이 결정된

시 까지이며, 결정 시 과 사건은 일반병실로 이동하는 시 이다. 환의 속성

에서 변화와 차이, 기간, 결정 시 은 환하는 모든 환자와 가족의 경험에서

이미 정해져 있는 요인이지만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환에 한 인식과 참여 정도

에 따라 환 스트 스와 불안, 불확실성, 불만족 등을 경험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Page 36: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21 -

같은 부정 인 환 경험은 가족의 부담감을 가 시켜 환자에게 한 돌 을 제

공하지 못하게 하고 이는 결국 뇌손상 환자의 회복과 재활에 부정 인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환을 진하거나 억제하는 환의 조건은 개인 으로는 뇌

손상 환자의 환에 한 의미, 사회 신념과 태도, 사회경제 상태, 비와 지식이

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사회 신념과 태도요인은 뇌손상 환자의 입원 가족의

특성, 성향, 습 , 종교이며 사회경제 상태는 가족의 경제수 이고 비와 지식은

환 비이다. 추가 으로 뇌손상 환자의 질병으로 인한 장애 정도, 일상생활정도, 환

자와 가족의 상호작용 정도, 재 상태나 후에 한 인식정도 등이 포함된다. 지역

사회 조건은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일반병동 생활에 향을 미치는 의료진들의 지지

인 환경과 정보제공이며, 사회 조건은 장기간 뇌손상으로 인한 후유증과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야 한다는 낙인화이다.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 상의 환간호 로그램은 간호치료로서 뇌

손상 환자와 가족의 환 속성과 조건을 향상시키는 것을 재 원리로 이용한다.

환 부터 한 환 비교육과 지지를 제공하여 뇌손상 환자와 가족이 환의

정 인 의미를 인식하고 극 으로 참여하도록 돕는다. 한 개인 환조건인

환 련 지식을 포함한 환 비와 지역사회조건인 지지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환에 한 반응양상은 실제 이고 잠재 인 문제의 효과

인 리를 통한 일반병동생활에의 응 성공 인 퇴원이다. 건강한 환의 결과는

반응양상으로 알 수 있으며(Meleis et al, 2000), 여기에서 반응양상은 시간의 연속선

상에서 환결과에 향을 주는 과정 인 측면을 강조하는 환상태와 건강하고 성공

인 환에 한 정 인 평가로서의 결과 인 측면을 나타낸다(Schumacher &

Meleis, 1994).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반응양상인 과정지표와 결과지표를 측정할 수

있는 직 인 도구가 없으므로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하는 상자에게 재

를 제공하고 그 효과를 악한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과정지표에 환 스트 스와

환 불안을, 결과 지표에는 가족 부담감, 환자실 재입실 발생건수, 일반병실 재원

기간, 환간호 로그램 만족도를 포함하 다.

Page 37: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22 -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연구의 목 은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건강한 환을 돕기 한 환간호 로그램을 Meleis 등(2000)의 환이론에 기 하

여 개발함으로써 뇌손상 환자와 가족이 성공 인 환을 경함하도록 하는데 기여하고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

그램 개발을 한 이론 기틀은 <그림 2>와 같다.

Page 38: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23 -

Page 39: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24 -

Page 40: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25 -

제 4 장 연 구 방 법

본 연구는 Meleis 등(2000)의 환이론을 기반으로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

하는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상으로 융통성 있고 통합된 환간호 로그램을 개발

하기 한 방법론 연구이며, 최종 개발된 환간호 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는 C 앙의료원 윤리심의 원회(IRB; 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승인

(KC11EASI0256)을 받고 진행하 다. 각 단계별 구체 인 연구진행 차는 다음과 같

다<그림 3>.

<그림 3> 연구 진행 차

Page 41: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26 -

4. 1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

간 호 로 그 램 개 발

본 연구는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상으로 환간호 로그램을

개발하기 한 방법론 연구이다.

4 . 1 . 1 환 간 호 로 그 램 안 개 발

4 . 1 . 1 . 1 환 간 호 로 그 램 의 기 본 틀 구 성

가치 있는 자아정체성의 재구성(reconstruction of a valued self-identity)이 환의

본질이며 시간(time)이 환의 필수 인 구성요소이므로 시작단계(initial phase), 간

경험(midcourse experience), 환경험의 결과(outcome of the transition experience)

를 탐구할 수 있는 종단 인 연구가 필요하다(Kralik et al., 2006). 뇌손상 환자와 가

족을 상으로 한 환간호 로그램의 기본 틀은 환과정의 시간 인 경과에 따른

환자실 간호사의 역할 역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 체 환과정동안 요한

시 은 실이 결정된 시 , 실이 이루어지는 시 , 실한 후 시 이었으며, 환

후 시 은 일반병실로 환한 시 으로부터 퇴원까지를 의미하 다.

환간호 역은 국과 호주를 심으로 환자실에서 일반병동으로 환하는 환자

와 가족에게 환간호를 제공하고 환자실과 일반병동의 일반 간호사를 지지하는 역

할을 담당하는 환자실 연계간호사의 역할을 기본으로 하 다. 환자실 연계간호사

의 역할은 크게 간호사 교육 지지(Staff education and support), 병동연계(ward

liaison), 환자 간호와 지지(patients care and support), 가족 교육과 지지(family

education and support)로 구성되어 있다(Chaboyer, Foster, Foster, & Kendall, 2004).

환자실 연계간호사는 문 간호사의 형태로 활동하고 있으므로 일반 간호사의 교육

Page 42: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27 -

과 지지를 담당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한 로그램은 신경계 환자실의 모

든 간호사가 독립 으로 수행하게 되므로 문가 집단과의 상의를 거쳐 일반 간호사

교육 지지 역은 삭제하 다. 한 환자실 간호사 환자실 문 간호사의

역할을 규명한 연구(이정희, 성 희, 이 희, 조용애와 권인각, 2007)에서 제시한 문

가 실무제공, 교육 상담, 연구, 리더십, 자문 동으로 분류하 다. 환자

실 연계간호사의 역할과 복되거나 비슷한 역할 역을 제외하고 자문 동과 리

더쉽 역만을 추가하 다.

각각의 시 마다 재목표를 설정하 으며, 재내용에 따라 한 재방법과

재도구를 제시하 다.

이로서 환간호 로그램의 기본 틀이 <그림 4>와 같이 도출되었다. 즉 환간호

역은 환자 간호, 병동연계, 환자와 가족의 교육 지지, 종 조정, 리더쉽으로

구성되었다.

환과정

실 결정시

(신경계 환자실)실 당일시

실 후 시

(일반병실)

재목표

세부내용 재

내용

방법

자원

내용

방법

자원

내용

방법

자원간호 역

환자간호

병동연계

환자/가족의 교육 지지

자문 동

리더쉽

<그림 4> 환간호 로그램의 기본 틀

Page 43: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28 -

4 . 1 . 1 . 2 로 그 램 의 구 체 인 내 용 구 성

간호 역 내 세부항목은 환이론(Meleis et al, 2000)에서 제시한 개념 에서 환

의 속성과 조건을 진시키며, 정 인 반응양상을 도출하기 한 목 을 기본 원리

로 하여 구성하 다. 세부 내용은 문헌고찰,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요구도 조사, 련

된 의료진의 의견 조사, 실무경험, 문가 집단의 의견 조사를 토 로 구성하 다.

4 . 1 . 1 . 2 . 1 문 헌 고 찰

환과정의 각 시 별 간호 역의 세부내용을 도출하기 해 환자실에서 일반병

실로의 환과 련된 선행연구 16개를 고찰하 으며, 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가 환과정동안 수행해야 하는 재들을 집 분석하여 세부 내용을 구성하

다<부록 3>.

4 . 1 . 1 . 2 . 1 . 2 뇌 손 상 환 자 와 가 족 의 환 간 호 요 구 도 련 된

의료 진 의 의견 조 사

환간호 로그램의 세부내용을 구성하기 해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의

환을 이미 경험한 뇌손상 환자와 가족, 환과정을 주도하는 의료진을 상으로 포

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 다. 이는 환의 속성과 조건을

악하여 궁극 으로는 정 인 반응양상을 이끌어내기 한 목 이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는 뇌손상 환자와 가족, 그리고 련된 의료진( 환자실 간호

사, 병동간호사, 의사)이 참여하 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4그룹으로 구분하여 실시

되었으며, 의사의 경우는 함께 모이기 어려워 각자에게 목 과 방법을 설명한 후 A4

Page 44: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29 -

용지에 시 과 간호 역을 구분한 테이블을 만들어 각각에 해당되는 내용을 기입하는

방식으로 하 다. 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참여하지

못한 간호사들에게도 나 어주고 기입해 것을 부탁하 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Kreuger와 Casey(2000)의 방법에 따라 문헌고찰과 문가들

의 자문을 기 로 마련한 반구조화된 연구 질문<부록 4>을 심으로 진행하 다. 인

터뷰는 1시간 30분에서 2시간 정도 소요되었으며, 참여자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그들

의 경험과 생각을 끌어내고 경청하는데 을 두었고, 연구자가 주요내용이나 논의

사항 등을 간단히 기록하 으며, 연구 참여자의 동의하에 면담내용을 녹음하 다. 인

터뷰 종료 시 에서 디 리핑하면서 그룹 역동 참여자들의 생생한 경험과 생각을

확인하 으며, 참여자들에게 소정의 선물을 제공하 다. 자료의 분석은 방 하고 복잡

한 텍스트 자료의 내용에서 의미를 해석하는데 범 하게 사용되는 질 연구방법

(Hsieh & Shannon, 2005)을 이용하 으며, 연구결과는 Lincoln과 Guba(1985)의 엄

성 평가 기 을 용하여 신뢰도와 타당성을 확립하고자 하 다.

4 . 1 . 1 . 2 . 1 . 2 . 1 뇌 손 상 환 자 와 가 족 의 환 경 험

① 포 커 스 그 룹 인 터 뷰 에 참 여 한 뇌 손 상 환 자 와 가 족 의 특 성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참여한 뇌손상 환자는 6명, 가족은 8명으로, 총 14명이었다.

환자의 성별은 남자가 3명, 여자가 3명이었으며, 나이는 40 4명, 50 1명, 70 1명

이었고, 기혼이 4명, 미혼과 사별이 각각 1명이었다. 직업은 있는 경우가 4명이었다.

진단명은 각각 외상성 경막하 출 , 외상성 지주막하출 , 동맥류성 지주막하 출 ,

뇌경색, 뇌내 출 , 경막외 출 이었으며, 수술명은 종제거술, 동맥류 경부 결찰술,

뇌실외 배액술, 정맥과 동맥 용해술이었다. 환자실 재원기간은 4~17일이었으

며, 일반병실 재원기간은 5~21일이었다<표 1>.

Page 45: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30 -

<표 1>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참여한 뇌손상 환자의 일반 특성

(N=6)

성별 나이 결혼상태 직업 진단명 수술명환자실

재원기간(일)

일반병실

재원기간(일)

환자 ① 남 72 사별 없음외상성 경막하출 ,

지주막하출종 제거술 17 21

환자 ② 여 57 기혼 없음 지주막하출동맥류 결찰술,

뇌실외 배액술12 7

환자 ③ 남 45 기혼 있음 지주막하출 동맥류 결찰술 11 8

환자 ④ 남 44 기혼 있음 뇌경색 정맥내, 동맥내 용해술 4 5

환자 ⑤ 여 45 기혼 있음 뇌내출 종 제거술 13 16

환자 ⑥ 여 43 미혼 있음 경막외출 종 제거술 4 5

Page 46: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31 -

뇌손상 환자 가족의 성별은 여자가 6명, 남자가 2명이었으며, 나이는 30 2명, 40

4명, 50 와 60 각각 1명이었고, 기혼이 6명, 미혼이 2명이었다. 직업은 있는 경우가

4명이었다. 환자와의 계는 배우자가 4명, 자녀가 3명, 부모가 1명이었다<표 2>.

<표 2>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참여한 가족의 일반 특성

(N=8)

성별 나이 결혼상태 직업 환자와의 계

가족 ① 여 41 미혼 있음 딸

가족 ① 여 38 미혼 있음 딸

가족 ② 남 59 기혼 있음 남편

가족 ② 여 31 기혼 있음 딸

가족 ③ 여 43 기혼 없음 부인

가족 ④ 여 41 기혼 없음 부인

가족 ⑤ 여 68 기혼 없음 어머니

가족 ⑥ 남 41 기혼 없음 남편

② 포 커 스 그 룹 인 터 뷰 분 석 결 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서 참여자들에게 질문한 내용은 <부록 4>와 같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도출된 주제(theme)는 환 결정에 참여, 계획된 환,

환에 한 양가감정(정서 지지 필요), 환과정에 참여, 지지 환경 조성 혹은 지지

체계 구성, 일반병실에 응 혹은 안정되는데 소요되는 기간, 의사소통 연계성 강

화, 지지자와의 상호작용, 일반병실에 만족, 환자실과 일반병동의 차이, 상태악화에

한 불안감, 정서 지지 요구, 자신의 건강 리 증진에 한 동기부여 계기, 자

신의 존재 역할 인식, 환과정 차에 한 사 설명, 일반병실 생활을 한

체계 정보 교육제공, 일반병실의 치료일정 계획 설명, 실제 인 교육제공, 병

실생활에 한 모니터링, 병실 방문, 교육이 필요한 시기 등이었다<부록 5>.

Page 47: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32 -

4 . 1 . 1 . 2 . 1 . 2 . 2 의료 진 의 환 간 호 경 험

① 포 커 스 그 룹 인 터 뷰 참 여 한 의료 진 의 구 성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참여한 의료진 1그룹은 환자실 간호사 9명, 2그룹은 일반

병동 간호사 7명, 3그룹은 의사 9명으로 총 25명이었다.

1그룹 참여자의 나이는 25세 이하가 1명, 26-29세가 5명, 30세 이상이 3명이었다.

근무경력은 5년 미만과 5-10년이 각각 4명, 11년 이상이 1명이었다. 직 는 일반간호

사가 4명, 책임간호사 이상이 5명이었다. 교육은 문 학이 1명, 학교가 6명, 학

원 이상이 2명이었다. 2그룹 참여자의 나이는 26-29세가 5명, 30세 이상이 2명이었

다. 근무경력은 5년 미만이 3명, 5-10년과 11년 이상이 각각 2명이었다. 직 는 일반

간호사가 4명, 책임간호사 이상이 3명이었다. 교육은 문 학과 학원 이상이 각각

2명이었고, 학교가 3명이었다. 3그룹 참여자의 나이는 30세 이하가 4명, 31-35세가

3명, 36세 이상이 2명이었다. 근무경력은 5년 미만이 7명, 5년 이상이 2명이었다. 직

는 공의가 8명, 부교수가 1명이었다. 교육은 학이 5명, 학원 이상이 4명이었

다<표 3>.

② 포 커 스 그 룹 인 터 뷰 분 석 결 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서 참여자들에게 질문한 내용은 <부록 6>과 같다.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여 도출된 주제는 계획된 환, 안 한 환, 환자와 가족의

요구 충족, 환자실 재입실 방, 환시간, 방법, 비물 등에 한 설명, 정확한 인

수인계와 정보 달, 의료진 동반, 이동하는 동안 주의할 에 해 공유하기, 실 후

즉시 확인, 일반병실생활에 한 검 방문, 교육자료 개발, 실제 인 교육, 반복

인 교육, 필요시 교육, 환자와 가족의 정서 실무 지지 등이었다<부록 7>.

Page 48: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33 -

<표 3>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참여한 의료진의 일반 특성

(N=25)

집단 특성 범 n(%)

첫 번째 집단 나이(세) ≤25 24~38 1

(신경계 환자실) 26-29 5

30≥ 3

임상경력(년) <5 2~14 4

5-10 4

11> 1

직 일반간호사 4

≥책임간호사 5

교육정도 문 학 1

학교 6

≥석사학 2

두 번째 집단 나이(세) 26-29 26~43 5

(일반병동) 30≥ 2

임상경력(년) <5 3~15 3

5-10 2

≥11 2

직 일반간호사 4

≥책임간호사 3

교육정도 문 학 2

학교 3

≥석사학 2

세 번째 집단 나이(세) ≤30 30~47 4

(의사) 31-35 3

≥36 2

임상경력(년) <5 2~12 7

≥5 2

직 공의 8

부교수 1

교육정도 학교 5

≥석사학 4

Page 49: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34 -

4 . 1 . 1 . 2 . 1 . 2 . 3 뇌 손 상 환 자 와 가 족 의료 진 의 포 커 스 그 룹

인 터 뷰 결 과 요 약

뇌손상 환자와 가족 의료진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 결과를 요약한 내용은

<부록 8>과 같다.

4 . 1 . 1 . 2 . 1 . 3 환 간 호 기 록 의 내 용 분 석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하는 상황에서 실제로 뇌손상 환자와 가족에

게 용된 환간호 내용분석은 2010년 1월부터 2011년 3월까지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ing) 자료를 이용하 다.

본 연구를 진행하 던 병원에서는 환을 동으로, 간호기록지는 간호일지로 표

하 으므로 동기록지와 간호일지를 분석하 다.

동기록지를 구성하는 항목은 동사유, 의료진 동반 여부, 정 시술/검사, 동시

환자상태의 변화, 동시 구비물품, 이동수단, 보내는 물품, 보내는 약품, 특이사항이었

다. 간호일지에 기록된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부록 9>.

4. 1. 1. 2. 1. 4 뇌손상 환자와 가족 의료진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간호일 지 분 석 내 용 요 약

뇌손상 환자와 가족 그리고 의료진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와 간호일지를 분석

하여 내용을 요약한 결과는<부록 10>과 같다.

Page 50: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35 -

4. 1. 2 환간호 로그램안에 한 문가 집단 타당도 검 증

4 . 1 . 2 . 1 문 가 집 단 의 일 반 특 성

문가 집단은 문성의 범주를 결정하고 각 범주 내에서 최고의 문가를 선택하

는 것으로 최소 3명에서 최 10명을 넘지 않아야 하므로(Lynn, 1986) 본 연구에서는

환간호 로그램 내용의 구성에 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해 근무경력이 5년 이상

이면서 석사학 이상을 소지한 간호사나 의사 10명을 선정하 다. 다른 병원의 다양

한 상황을 반 하기 해 본 연구를 진행하 던 병원 외 3개 병원에 근무하는 문가

도 포함하 다.

문가 집단의 성별은 남자 3명, 여자 7명이었다. 평균 연령은 41.3세 고, 33-35세

가 2명, 36-40세가 3명, 41세 이상이 5명이었다. 최종학력은 석사가 5명, 박사가 5명이

었다. 근무경력은 10년 이하가 2명, 11-15년이 6명, 16년 이상이 2명이었다. 직 는 간

호사 집단 일반간호사 1명, 문 간호사 2명, 수간호사 이상이 4명, 의사 집단은

임상강사 1명, 교수가 2명이었다<표 4>.

Page 51: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36 -

<표 4> 문가 집단의 일반 특성

(N=10)

특성 n(%) or Mean±SD

성별 남자 3(30.0)

여자 7(70.0)

나이(세) 41.3±5.31

33-35 2

36-40 3

≥41 5

교육정도 석사 5(50.0)

박사 5(50.0)

임상경력(년) ≤10 2(20.0)

11-15 6(60.0)

≥16 2(20.0)

직 간호사 일반간호사 1(10.0)

문간호사 2(20.0)

≥수간호사 4(40.0)

의사 임상강사 1(10.0)

교수 2(20.0)

Page 52: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37 -

4 . 1 . 2 . 2 환 간 호 로 그 램 안 에 한 문 가 집 단 타 당 도 검 증

결 과

환간호 로그램안에 해 문가 집단 타당도를 검증하기 한 질문은 총 10문

항이었다. 9문항은 4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매우 타당하지 않다’, ‘타당하지 않다’,

‘타당하다’, ‘매우 타당하다’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 고, 마지막 1문항은 본 로그램

에 더 필요한 간호활동이나 추가하고 싶은 의견을 기술할 수 있도록 구성하 다<부

록 11>. 의뢰한 문가가 10명이므로 7명 이상이 타당하다고 선택한 경우인 CVI

(content validity index) 값이 0.78 이상인 문항 문가 집단의 합의가 이루어진 경

우 유의한 항목으로 선정하 다(Lynn, 1986).

용시 의 성, 각 시 별 재목표의 성, 로그램을 구성하는 간호 역의

성, 각 시 별 간호 역을 구성하는 재내용의 성, 로그램의 재방법의

성, 로그램을 용하기 한 재도구의 성, 로그램의 반 인 구성

내용의 성은 모든 시 에서 1.00 합의를 이루었고, 로그램의 실무 용에 한

용이성, 로그램의 용효과 평가에 한 가능성은 0.80의 합의를 이루었다. 로그

램의 실무 용 용이성이 체로 타당하지 않다고 답한 문가는 이상 인 로그램이

지만, 실무가 바쁠 때는 간호사가 정성을 다하기 보다는 충 수행할 것이라는 문제

을 지 하 다. 한 로그램의 용효과 평가에 한 가능성이 체로 타당하지

않다고 답한 문가는 실제 측정이 가능한 도구가 필요하다고 지 하 다<표 5>.

Page 53: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38 -

항목

결정

하는

환 후

1. 용시 이 하다 1.00 1.00 1.00

2. 각 시 별 재목표가 하다. 1.00 1.00 1.00

3. 로그램을 구성하는 간호 역이 하다. 1.00 1.00 1.00

4. 각 시 별 간호 역을 구성하는 재내용이 하다. 1.00 1.00 1.00

5. 로그램의 재방법이 하다. 1.00 1.00 1.00

6. 로그램을 용하기 한 재도구가 하다. 1.00 1.00 1.00

7. 로그램의 반 인 구성 내용이 하다. 1.00 1.00 1.00

8. 로그램을 실무에 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0.80 0.80 0.80

9. 로그램의 용효과에 한 평가가 가능하다. 0.80 0.80 0.80

<표 5> 문가 집단 타당도 검증 결과

(N=10)

Page 54: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39 -

4. 1. 3. 환간호 로그램안에 한 사용자 집단 타당도 검 증

환간4호 로그램안에 한 사용자 집단 타당도 검증은 실무에서 직 사용하게

될 간호사를 상으로 사용자 측면에서 비 환간호 로그램의 성을 평가하기

함이었다.

4 . 1 . 3 . 1 사용 자 집 단 의 배 경 일 반 특 성

환간호 로그램안에 한 타당도를 실무 측면에서 검증하기 해 C 학교 병원

신경계 환자실과 신경외과 병동에서 1년 이상에서 15년까지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를 선정하 다. 사용자 집단의 근무경력을 다양하게 한 것은 본 환간호 로그램을

실무에서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경력에 계없이 일정한 교육과 훈련만 받게 되면

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함이었다.

사용자 타당도 검증에 참여한 상자는 신경계 환자실 간호사 30명(1그룹)과 신

경외과 병동 간호사 15명(2그룹)으로 총 45명이었다. 1그룹의 나이는 25세 이하가 13

명, 26-29세가 10명, 30세 이상이 7명이었으며, 근무경력은 3년 미만이 8명, 3-5년이

12명, 6-10년이 7명, 11년 이상이 3명이었다. 직 는 일반간호사 22명, 책임간호사 이

상이 8명이었다. 최종학력은 문 학이 7명, 학이 18명, 학원 이상이 5명이었다.

2그룹의 나이는 25세 이하가 5명, 26-29세가 9명, 30세 이상이 1명이었으며, 근무경력

은 3년 미만이 6명, 3-5년이 6명, 6년 이상이 3명이었다. 직 는 일반간호사 12명, 책

임간호사 이상이 3명이었다. 최종학력은 문 학이 6명, 학이 7명, 학원 이상이

2명이었다<표 6>.

Page 55: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40 -

<표 6> 사용자 집단의 일반 특성

(N=42)

집단 특성 범 n(%)

첫 번째 집단 나이(세) ≤25 23~38 13

(신경계 환자실) 26-29 10

≥30 7

임상경력(년) <3 1~14 8

3-5 12

6-10 7

≥11 3

직 일반간호사 22

≥책임간호사 8

교육정도 문 학 7

학교 18

≥석사학 5

두 번째 집단 나이(세) ≤25 23~30 5

(일반병동) 26-29 9

≥30 1

임상경력(년) <3 1~7 6

3-5 6

≥6 3

직 일반간호사 12

≥책임간호사 3

교육정도 문 학 6

학 7

≥석사학 2

Page 56: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41 -

4 . 1 . 3 . 2 반 구 조 화 된 질 문 지 를 이 용 한 사용 자 집 단 타 당 도 결 과

사용자 집단 타당도를 검증하기 해 본 연구자가 환간호 로그램 개발의 목

과 의의, 용 상 상황, 반 인 내용, 기 효과 등을 구체 으로 기술한 후

로그램의 4유용성과 사용여부( 용가능성) 2문항에 하여 다양한 의견을 기재할 수

있도록 하 고(권보은, 2001) 기타 의견을 기입할 수 있는 1문항의 개방형 질문지를

상자 원에게 직 나 어주었다<부록 12>. 질문을 개방형으로 구성한 이유는

환간호 로그램안에 해 사용자의 다양한 견해나 느낌 등을 악하기 함이었다.

질문지를 받은 참여자들에게 환간호 로그램안에 해 충분히 생각할 수 있도록

시간 인 여유를 주면서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하 다.

사용자 집단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로그램의 유용성은 1그룹과 2그룹 모두 유용

한 로그램이라는 정 인 답을 했다. 로그램의 사용여부( 용가능성)는 1그룹의

경우 로그램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없다는 정 인 반응을 보 지만, 2그룹의 경

우는 정 인 반응과 부정 인 반응이 혼재하 다. 기타 항목에서는 로그램이 실

무에서 효율 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들이 논의되었다<표 7>.

Page 57: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42 -

<표 7> 사용자 집단 타당도 결과

(N=45)

문항 1그룹(n=30) 2그룹(n=15) 분석

1. 로그램의

유용성

ㆍ유용한 로그램이다.

ㆍ좋은 로그램이다.

ㆍ내용이 구체 이고,

자세하다.

ㆍ내용이 짜임새가 있고

체계 이다.

ㆍ한 에 보기 쉽다.

ㆍ실제 용되면 상자

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다.

ㆍ유용할 것 같다.

ㆍ임상에 필요한 로그램인

것 같다.

ㆍ 환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이 어들 것 같다.

ㆍ 상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ㆍ소책자나 리 렛이 자세하고

실제 이다.

☞ 1그룹, 2그룹

모두 정

이었다.

2. 로그램

사용여부

( 용가능성)

ㆍ사용 가능하다.

ㆍ 용할 수 있다.

ㆍ내용이 생소하지

않아서 어렵지 않다.

ㆍ임상에서 극 으로

활용가능하다.

ㆍ 재도구들이 잘 비치

된다면 사용하는데 문제

없을 것 같다.

ㆍ사용할 수 있다.

ㆍ사용 시 그 질이 요하다.

ㆍ내용 자체는 어렵지 않지만,

내용이 많다.

ㆍ책임간호사와 일반간호사로

각각 분담이 되었으면 한다.

ㆍ 용 가능하지만, 입원이나

퇴원 혹은 실이 많을 때는

꼼꼼하게 하기는 어렵겠다.

ㆍ 연차 간호사들에게는 부담

스러울 수 있다.

ㆍ매상황마다 다를 수 있다.

☞ 1그룹:

사용하는데

어려움 없음

☞ 2그룹:

효율 으로

사용되기

해서는

충안 필요

3. 기타 ㆍ 환이 2-3일 에 미리

결정되면 여유롭게 할

수 있을 것 같다.

ㆍ담당자가 따로 있어야함.

ㆍ업무분담 혹은 역할이

분명히 나 어져야 한다.

ㆍ 환자실에서 교육이 잘 이

루어지면 병동에서도 수월

하다.

ㆍ담당간호사가 다 수행하기는

부담스러우므로 책임간호사가

상담 동, 리더쉽 역을

도와줘야 한다.

ㆍ책임간호사와 일반간호사간

반 인 동이 필요하다.

☞ 1그룹:

ㆍ계획된 환

활성화

ㆍ 환간호 제공

담당자 필요

ㆍ업무분담

☞ 2그룹:

ㆍ일반간호사와

책임간호간의

동 필요

ㆍ 환자실과

병동간 간호에

한 연속성

유지

Page 58: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43 -

4 . 1 . 4 . 환 간 호 로 그 램 안 에 한 임 상 용 가 능 성 검 증

임상에서 실제로 본 로그램을 제공받게 될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상으로 환

간호 로그램안을 용한 후 임상에서의 사용 가능성을 평가하 다. 본 연구는 C

앙의료원 윤리심의 원회(IRB; 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승인(KC11EASI0256)을

받고 진행하 다.

4 . 1 . 4 . 1 연 구 상

연구 상은 2011년 12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서울시내 C 학교 병원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이 결정된 뇌손상 환자와 가족 10 이었다. 상자는 의

사소통이 가능하여 연구의 목 과 내용 의의를 듣고 이해한 후 참여에 해 자발

으로 서면 동의한 자로서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실을 거치지 않고 퇴원한 환

자는 제외되었다.

4 . 1 . 4 . 2 자 료 수 집 방 법 연 구 진 행 차

연구 상자로 선정된 뇌손상 환자와 가족은 문가 집단과 사용자 집단 타당도 검

증 과정을 거쳐 개발된 환간호 로그램안을 제공받았으며, 구체 인 자료수집 방

법 연구 진행 차는 로그램의 효과 평과에서 기술하 다.

Page 59: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44 -

4 . 1 . 4 . 3 연 구 도 구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하는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상으로 개발한

환간호 로그램안에 한 임상 용가능성 검증에서는 환이 결정된 시 에서 일

반 특성, 환의 개인 조건, 반응양상을 측정하 으며, 퇴원 결정시 에서 퇴원의

개인 조건과 반응양상을 측정하 다. 연구도구에 한 구체 인 설명은 로그램의

효과 평과에서 기술하 다.

4 . 1 . 4 . 4 자 료 분 석 방 법

개발된 로그램안에 한 임상 용가능성은 통계 인 분석은 실시하지 않았고,

각 시 에 따른 수의 변화를 비교하 다.

4 . 1 . 4 . 5 임 상 용 가 능 성 검 증 결 과

4 . 1 . 4 . 5 . 1 상 자 의 일 반 특 성

① 상 자 의 인 구 사회 학 특 성

뇌손상 환자의 성별은 남자가 4명, 여자가 6명이었으며, 나이는 평균 53.4세 고, 미

혼 3명, 기혼 4명, 기타 3명이었다. 종교는 천주교가 8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직업이

있는 경우가 7명이었고, 교육정도는 졸과 졸이상이 각각 3명이었고 고졸이 4명이

었다. 경제 상태는 여유 있다와 보통이다가 각각 4명이었으며, 가족 내 치는 할머니

와 어머니가 각각 3명이었고, 함께 사는 평균 가족 수는 2.9명이었다. 가족 부양은 일

Page 60: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45 -

부 책임지는 경우가 8명이었다.

뇌손상 환자 가족의 성별은 남자가 4명, 여자가 6명이었으며, 나이는 평균 42.7세

고, 기혼이 7명이었다. 종교는 천주교가 8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직업이 없는 경우가

6명이었고, 교육정도는 고졸이 5명으로 가장 많았다. 경제 상태는 보통이다가 5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가족 내 치는 할머니와 어머니가 각각 3명이었다. 동거 가족 수는

평균 2.9명이었다. 가족 부양은 일부 책임지는 경우가 8명으로 가장 많았고, 환자와의

계는 자녀가 5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 에 환자를 돌본 경험이 없는 경우가 6명

으로 더 많았다. 하루평균 돌 시간은 14시간이었으며, 환자 외에 직 돌 야 하는

가족이 있는 경우가 9명이었고, 교 해 주는 가족이 있는 경우가 9명이었다<표 8>.

Page 61: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46 -

<표 8>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인구학 특성

(N=20)

특성

환자(n=10) 가족(n=10)

n(%) or

Mean±SD

n(%) or

Mean±SD

성별 남자 4(40.0) 4(40.0)

여자 6(60.0) 6(60.0)

나이(세) 53.40±14.72 42.70±13.68

결혼상태 미혼 3(30.0) 1(10.0)

기혼 4(40.0) 7(70.0)

기타 3(30.0) 2(20.0)

종교 천주교 8(80.0) 8(80.0)

무교 2(20.0) 2(20.0)

직업 없다 3(30.0) 6(60.0)

있다 70(70.0) 4(40.0)

교육정도 졸 3(30.0) 2(20.0)

고졸 4(40.0) 5(50.0)

≥ 학 3(30.0) 3(30.0)

경제상태 여유롭다 4(40.0) 2(20.0)

보통이다 4(40.0) 5(50.0)

어렵다 2(20.0) 3(30.0)

가족내 치 할아버지 1(10.0) 1(10.0)

할머니 3(30.0) 3(30.0)

아버지 1(10.0) 1(10.0)

어머니 3(30.0) 3(30.0)

자녀 2(20.0) 2(20.0)

동거 가족 수 2.90±0.88 2.90±0.88

가족부양 책임정도 체 책임 1(10.0) 1(10.0)

부분 책임 8(80.0) 8(80.0)

책임 없음 1(10.0) 1(10.0)

환자와 계 배우자 3(30.0)

부모 2(20.0)

자녀 5(50.0)

과거 돌 경험 없다 6(60.0)

있다 4(40.0)

하루 돌 시간(시간) 14.00±9.30

환자 외에 돌 이 필요한 가족 없다 1(10.0)

있다 9(90.0)

교 해주는 가족 없다 1(10.0)

있다 9(90.0)

Page 62: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47 -

② 뇌 손 상 환 자 의 질 병 과 련 된 특 성

뇌손상 환자의 입원경로는 응 실이 5명으로 가장 많았고, 과거력이 있는 경우가 6

명으로 당뇨와 고 압이 가장 많았다. 진단명은 뇌종양 1명, 지주막하출 2명, 뇌동

맥류 1명, 안면경련 1명, 경막외출 3명, 뇌내출 1명이었으며, 수술명은 종양 제술

이 1명, 종제거술 4명, 동맥류 결찰술 3명, 미세 감압술 2명으로 나타났다. 환

증도는 2등 이 4명, 3등 과 4등 이 각각 3명이었다. 환자실 재원기간은 평

균 4.1일이었고, MRC 근력은 5등 이 9명으로 가장 많았고, mRS 장애는 2등 과 4

등 ’이 각각 4명으로 가장 많았다<표 9>.

Page 63: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48 -

<표 9> 뇌손상 환자의 질병과 련된 특성

(N=10)

특성 n(%) or Mean±SD

입원경로 응 실 5 (50.0)

일반병동 4 (40.0)

기타 1 (10.0)

동반된 질환 없다 4 (40.0)

있다 6 (60.0)

당뇨 4 (40.0)

압 5 (50.0)

간염 2 (20.0)

암 1 (10.0)

기타 3 (30.0)

진단명 뇌종양 1 (10.0)

지주막하출 2 (20.0)

뇌동맥류 1 (10.0)

안면경련 2 (20.0)

경막외출 3 (30.0)

뇌내출 1 (10.0)

수술명 종양 제술 1 (10.0)

종제거술 4 (40.0)

동맥류 경부결찰술 3 (30.0)

미세 감압술 2 (20.0)

실 증도(등 ) II 4 (40.0)

III 3 (30.0)

IV 3 (30.0)

신경계 환자실 재원기간(일) 4.10±3.35

MRC scale(등 ) IV 1 (10.0)

V 9 (90.0)

mRS(등 ) II 4 (40.0)

III 2 (20.0)

IV 4 (40.0)

MRC: Medical research council, mRS: modified Rankin scale

Page 64: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49 -

4 . 1 . 4 . 5 . 2 환 의 개 인 조 건

뇌손상 환자의 환에 한 개인 조건에서 환 비가 된 경우는 9명이었으며,

개인상태는 평균 49.10 , 지식은 평균 55.60 , 처능력은 평균 24.70 , 기 되는 지

지는 평균 30.10 , 환 비 총 의 평균은 159.50 이었다. 퇴원에 한 개인 조건

에서 퇴원 비는 10명 모두가 로 답하 고, 개인상태는 평균 51.90 , 지식은 평균

57.10 , 처능력은 평균 23.90 , 기 되는 지지는 평균 34.10 , 퇴원 비 총 의 평

균은 167.00 이었다.

뇌손상 환자 가족 환 비가 되었다고 한 경우는 9명이었으며, 퇴원 비는 10

명 모두가 로 답하 다<표 10>.

<표 10>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환에 한 개인 조건

(N=20)

변수환자 (n=10) 가족 (n=10)

n(%) or Mean ± SD n(%)

환 비 9 (90.0) 9 (90.0)

아니오 1 (10.0) 1 (10.0)

개인상태 49.10 ± 3.54

지식 55.60 ± 5.84

처능력 24.70 ± 2.11

기 되는 지지 30.10 ± 3.84

환 비 총 159.50 ± 7.56

퇴원 비 10 (100) 10 (100)

개인상태 51.90 ± 4.18

지식 57.10 ± 4.12

처능력 23.90 ± 2.42

기 되는 지지 34.10 ± 2.47

퇴원 비 총 167.00 ± 5.23

Page 65: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50 -

4 . 1 . 4 . 5 . 3 신 경계 환자 실 에서 일 반병 실 로 실 한 후 반 응양 상

뇌손상 환자의 환 스트 스는 실 4.80 에서 실 후 3.60 으로 감소하 으

며, 환 불안은 실 49.50 에서 실 후 46.80 으로 감소하 고, 주 건강상

태는 실 4.90 에서 실 후 7.50 으로 향상되었다. 환자실로 재입실한 경우

는 없었으며, 일반병실 재원기간은 평균 10.40일, 로그램 만족도는 46.6 이었다.

뇌손상 환자 가족의 환 스트 스는 실 5.40 에서 실 후 2.90 으로 감소

하 으며, 환 불안은 실 51.50 에서 실 후 44.20 으로 감소하 고, 가족 부

담감은 실 57.80 에서 실 후 42.20 으로 감소하 다. 로그램 만족도는 47.6

이었다<표 11>.

<표 11>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반응양상

(N=20)

변수

환자 (n=10) 가족 (n=10)

Mean±SD Mean±SD

환 환 후 환 환 후

환 스트 스 4.80±2.20 3.60±0.84 5.40±1.96 2.90±0.74

환 불안 49.50±4.60 46.80±4.60 51.50±3.93 44.20±6.14

가족 부담감 57.80±5.61 42.20±5.39

주 건강상태 4.90±0.74 7.50±0.85

환자실 재입실 0

일반병실 재원기간(일) 10.40±2.95

환간호 로그램 만족도 46.6±2.12 47.6±2.01

Page 66: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51 -

4 . 2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에게 용한

환 간 호 로 그 램 평 가

4 . 2 . 1 연 구 설 계

본 연구는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상으로 하여 환간호 로그

램을 용하여 효과를 평가하기 하여 비동등성 조군 후 시차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4 . 2 . 2 연 구 상

상자는 서울시내 500병상 이상의 3차 병원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

이 결정된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모집단으로 하 으며, 그 C 학교 병원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하는 상자를 근 모집단으로 하여 표출하 다. 구체

인 상자 선정기 은 임상 용가능성 평가의 기 과 같다.

표본수를 산정하기 해 두 개 이상의 집단 간에 평균을 비교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Cohen의 공식(1988)을 이용하 으며 유의수 α=0.05, 검정력 1-β=0.80, 효과

의 크기 f=0.30로 했을 때 한 그룹에 45명이 필요하 다. 최종 상자는 실험군은 환

자와 가족이 각각 46명이었으며, 조군은 51명이 참여하 으나 3명이 환자실로 재

입실하여 환자와 가족 각각 48명이 최종 자료분석에 포함되었다<그림 5>.

Page 67: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52 -

<그림 5> 연구 상자 선정

4 . 2 . 3 연 구 도 구

4 . 2 . 3 . 1 환 의 일 반 특 성

환의 일반 특성은 환에 향을 미칠 것으로 상되는 상자의 인구사회학

특성, 질병 련 특성, 환 속성으로 구분하여 악하 다. 인구사회학 특성은 성별,

나이, 교육정도, 종교(문화 신념), 결혼, 직업(문화 태도), 동거 가족 수, 환자의 가

Page 68: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53 -

족내 치, 환자와 주돌 제공자의 계, 주돌 제공자의 가족 내 치, 경제수 (사회

경제 상태)으로 악하 다. 질병 련 특성은 환자의 진단명, 수술명, 과거력, 환

자실 퇴실 증도, 환자실 재원기간, 주요 간호문제 등으로 악하 다. 환자의

돌 과 련된 가족의 특성으로는 돌 경험, 하루 평균 돌 시간, 환자 외에 직 돌

야 하는 가족, 교 해 주는 가족여부 등을 알아보았다.

4 . 2 . 3 . 2 환 의 개 인 조 건

환의 개인 조건은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의 환 비와 퇴원 비정도로 알아

보았다.

4 . 2 . 3 . 2 . 1 일 반 병 실 환 비

일반병실로의 환 비는 Weiss와 Piacentine(2006)의 퇴원 비척도(Readiness of

Hospital Discharge Scale)를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하는 상황에 맞게 수정ㆍ

보완하여 측정하 다. 이 도구는 총 23문항으로 반 으로 환할 비가 되었는지

에 해 “ ”, “아니오”로 물어보는 1문항과 환 비정도를 사정하는 4개 하 역

(개인의 상태 7문항, 처능력 3문항, 지식 8문항, 기 되는 지지 4문항)의 22문항으로

이루어졌다. 각 문항에 하여 0~10 까지 응답하도록 구성되었으며, 합산하여 수

가 높을수록 비정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한다.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개발

당시 .90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88이었다.

Page 69: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54 -

4 . 2 . 3 . 2 . 2 병 원 퇴 원 비

병원 퇴원 비는 Weiss와 Piacentine(2006)의 퇴원 비척도(Readiness of Hospital

Discharge Scale)로 측정하 다. 이 도구는 총 23문항으로 반 으로 퇴원할 비가

되었는지에 해 “ ”, “아니오”로 물어보는 1문항과 퇴원 비정도를 사정하는 4개 하

역(개인의 상태 7문항, 처능력 3문항, 지식 8문항, 기 되는 지지 4문항)의 22문

항으로 이루어졌다. 각 문항에 하여 0~10 으로 응답하도록 하여 수가 높을수록

퇴원 비 정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한다.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90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89 다.

4 . 2 . 3 . 3 환 의 결 과 지 표

환의 결과 지표는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환 스트 스와 환 불안, 뇌손상 환

자의 돌 에 한 가족의 부담감, 환자실 재입실 건수, 일반병실 재원기간,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로그램에 한 만족도 다.

4 . 2 . 3 . 3 . 1 뇌 손 상 환 자 와 가 족 의 환 스 트 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환 스트 스는 numeric rating scale(NRS)로 측정하 으

며, 왼쪽 끝에 ‘ 스트 스가 아니다’, 오른쪽 끝에 ‘매우 스트 스이다’라고

있는 0-10까지의 수평선상에 상자가 느끼는 환 스트 스 정도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으로 수가 높을수록 환으로 인한 스트 스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Page 70: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55 -

4 . 2 . 3 . 3 . 2 뇌 손 상 환 자 와 가 족 의 환 불 안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환 불안은 Spielberger(1970)의 상태-기질 불안척도를 김정

택과 신동균(1978)이 한국 으로 표 화한 도구로 악하 다. 이 도구는 정 인 문

항 13문항과 부정 인 문항 7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부정 인 문항에 해서는 역환

산하 다. 각 문항에 하여 그 지 않다는 1 , 체로 그 지 않다 2 , 보통

이다 3 , 체로 그 다 4 , 매우 그 다 5 으로 응답하도록 하여 수가 높을수록

환 불안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하 다.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개발당시

.87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94 다.

4 . 2 . 3 . 3 . 3 뇌 손 상 환 자 의 돌 에 한 가 족 의 부 담 감

뇌손상 환자 돌 에 한 가족 부감감은 Montgomery, Gonyea와 Hooyman(1985)이

개발한 도구로 측정하 다. 이 도구는 객 부담감 9문항과 주 부담감 13문항

으로 환자를 돌보면서 느끼는 가족의 느낌이나 생각을 그 지 않다 1 , 체로

그 지 않다 2 , 보통이다 3 , 체로 그 다 4 , 매우 그 다 5 으로 응답하도록

하여 수가 높을수록 부담감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개발당시 .85 고, 본 연구에서는 .88이었다.

4 . 2 . 3 . 3 . 4 신 경 계 환 자 실 재 입 실 건 수

신경계 환자실 재입실 건수는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실한 후 48시간

이내에 환자의 상태가 악화되어 신경계 환자실에 다시 입실한 건수와 퇴원하기

까지 재입실한 건수를 의미하 다.

Page 71: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56 -

4 . 2 . 3 . 3 . 5 일 반 병 실 재 원 기 간

일반병실 재원기간은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실한 날부터 퇴원하는 날까지의

기간을 의미하 다.

4 . 2 . 3 . 3 . 6 뇌 손 상 환 자 와 가 족 의 환 간 호 로 그 램 만 족 도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환간호 로그램에 한 만족도 측정도구는 문가 집단과

논의를 하여 본 연구자가 직 개발하 다. 이 도구는 환 결정사항에 한 설명,

환과정에 한 설명 필요한 정보나 교육제공, 환과정에 환자와 가족의 극 인

참여여부, 환(일반병실 실, 퇴원)이 실제 이루어지는 시간과 일반병실에 한 설

명, 환과정의 순조로운 진행여부, 일반병실에서의 치료계획 구체 치료일정, 추

후 리, 주의사항에 한 설명, 일반병실 생활에 한 다양한 정보제공, 일반병실 생

활을 하는데 유용함, 로그램 내용의 구성, 로그램 종료시까지 지속 인 리여부

등으로 이루어졌다. 각 문항에 하여 매우 만족한다 5 , 만족하지 않는다 1

으로 응답하도록 하여 수가 높을수록 환간호 로그램에 한 만족도가 높은 것

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90이었다. 한 본 로그램에 한 개

선사항을 개방형 문항으로 구성하여 자유롭게 기술할 수 있도록 하 다.

4 . 2 . 4 자 료 수 집 방 법 연 구 진 행 차

본 연구는 C 앙의료원 윤리심의 원회(IRB; 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승인

(KC11EASI0256)을 받고 진행하 다. 자료수집은 재내용에 하여 실험군과 조군

간의 의사소통으로 인한 실험의 확산(diffusion of treatment)을 방하기 해 2011년

9월 6일부터 11월 21일까지 조군의 자료를 먼 수집하 으며, 2012년 1월 3일부터

Page 72: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57 -

3월 23일까지 실험군의 자료를 수집하 다. 연구를 진행하기 해 본 연구자는 환

간호 로그램 사용자인 신경계 환자실 간호사와 신경외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연구의 목 과 내용, 의의 구체 인 연구진행 차 등을 설명하 다. 재도구인

환간호 소책자는 신경계 환자실과 신경외과 병동 간호사실에 비치하여 간호사들이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하 다. 정확하고 원활한 연구 진행을 해 신경계 환자실은

책임간호사가, 신경외과 병동은 담간호사가 간호사들의 재활동을 모니터링 하

다. 두 집단은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실이 결정된 시 에서 상자 선정

기 에 따라 부합여부를 단하 다. 실험군에게는 개발된 환간호 로그램을 제공

하 으며, 조군에게는 기존의 환간호를 유지하면서 자료를 수집하 다. 선정된

상자에게 연구의 목 과 의의 내용을 설명한 후 서면으로 동의를 받고 자료를 수

집하 으며, 환간호 로그램에 한 효과 평가는 실 결정시 과 퇴원 결정시

에 이루어졌다. 자료수집과정에서 상자의 탈락(mortality)을 최소화하기 하여 매

회마다 연구자가 직 설문지를 배부하고 수거하 으며, 퇴원 직 (실험 종료 시 )에

소정의 선물을 제공하 다. 환 과정의 각 시 별로 측정한 변수는 <표 12>와 같으

며, 구체 인 연구진행 차는 <그림 6>과 같다.

Page 73: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58 -

<표 12> 환과정의 각 시 별 측정변수

측정 시

변수

일반병실 실

결정시병원 퇴원시

1. 일반 특성 √

2. 환의 개인 조건

① 일반병실 환 비 √

② 병원 퇴원 비 √

3. 반응양상

① 환 스트 스 √ √

② 환 불안 √ √

③ 가족 부담감 √ √

④ 환자실 재입실 건수 √

⑤ 일반병실 재원기간 √

⑥ 환간호 로그램 만족도 √

집단실결정 시 퇴원결정 시

조군

기존의 환간호

일반 특성

환의 개인 조건 1)

반응양상 1),2),3)

반응양상 1),2),3),4),5),6)

환의 개인 조건 2)실험군

새 롭 게 개 발 된 환 간 호 로 그 램

일반 특성: 인구학 특성, 질병 련 특성

개인 조건: 일반병실 환 비1), 병원 퇴원 비2)

반응양상: 환 스트 스1), 환 불안2), 가족 부담감3), 신경계 환자실 재입실4),

일반병실 재원기간5), 환간호 로그램 만족도6)

<그림 6> 연구진행 차

Page 74: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59 -

4 . 2 . 5 자 료 분 석 방 법

수집된 자료는 SPSS 15.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 다. 실험군과 조군의 일

반 특성과 질병 련 특성에 한 동질성은 기술통계, χ2 -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로 검증하 다. 실험군과 조군의 환 결정시 , 퇴원 결정시 의 반응양

상에 한 차이는 repeated measure ANOVA로 비교하 다.

Page 75: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60 -

제 5 장 연 구 결 과

5 . 1 신 경 계 환 자 실 뇌 손 상 환 자 와 가 족 을 한

환 간 호 로 그 램 개 발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 상의 환간호 로그램은 문헌고찰, 련

된 상자(뇌손상 환자, 가족, 의료진)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 환간호 기록 내용분

석, 문가 사용자 집단 내용 타당도 검증, 임상 용가능성 검증을 통해 최종 개

발되었으며, 구체 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표 13>.

5 . 1 . 1 로 그 램 의 목

로그램의 목 은 뇌손상 환자와 가족이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동으로 환

할 때 정 인 환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도우며, 일반병실 생활이 안정되고, 치료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환과 련된 실제 혹은 잠재 인 문제를 확인하

고 재를 제공함으로서 성공 인 퇴원경험을 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5 . 1 . 2 로 그 램 의 용 상 기 간

로그램의 상은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하는 뇌손상 환자와 가족

이었으며, 환간호 로그램 용기간은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실이 결

정된 시 으로부터 퇴원할 때까지 다.

Page 76: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61 -

5 . 1 . 3 로 그 램 구 성 요 소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 상의 환간호 로그램의 재원리는 환

이론의 개념인 환의 속성과 환의 조건, 반응양상을 기반으로 하여 환의 인식과

참여 증진, 환 비 지지 인 환경조성이었다. 재방법은 직 수행, 직 사정,

의사소통, 개별면담 교육, 직 실습, 직 방문, 주치의와 논의, 가족모임, 유사사

례 소개 다. 재도구로는 유선 화, EMR, 질문지, 소책자, 리 렛, 의료장비, 이송직

원 등이 활용되었다.

5 . 1 . 4 로 그 램 의 세 부 내 용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 상의 환간호 로그램은 환의 속성 증

진과 환 조건 진이라는 원리를 기반으로 개발하 으며, 환의 각 시 별 간호

역의 구체 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5 . 1 . 4 . 1 실 결 정 시

5 . 1 . 4 . 1 . 1 재 목 표

뇌손상 환자와 가족이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실할 때 성공 인 환을

경험할 수 있도록 환에 한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인식, 참여와 비정도를 악

하고, 이를 바탕으로 뇌손상 환자와 가족 련된 의료진의 환 비가 체계 이

고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Page 77: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62 -

5 . 1 . 4 . 1 . 2 간 호 역 별 재 내 용

① 환 자 간 호

환자간호에는 갑작스럽게 이루어지는 환이 환자나 그 가족에게 스트 스나 불안

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감소시키기 해 주치의와 의논하여 일반병실과 유사한

치료 환경을 조성한다. 환자와의 을 차 으로 이는 것이 환 스트 스나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므로(Coyle, 2001; Beard, 2005) 를 들어 일반병실에

서는 더 이상 모니터를 유지할 필요가 없는 경우 모니터를 단계 으로 제거하며, 활

력징후나 신경학 인 상태 혹은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과 같은 간호활동의 수행 간격

을 차 으로 늘리는 것이다.

한 직 사정을 통해 지속 으로 요구되는 간호활동을 악하여 일반병실에서도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 를 들어 활력징후나 신경학 상태 사정뿐만 아니라 수술

후 간호, 상처간호, 호흡기 간호, 재활간호, 양간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뿐만 아니

라 이동이 시작되기 에 환과정에 한 모든 간호기록을 마무리하고 실과정동안

산소공 이나 모니터가 필요하다면 이동용 산소 탱크와 모니터를 환자에게 용한다.

② 병 동 연 계

병동연계에는 특별한 치료 환경이나 의료장비가 필요한 경우 일반병동에서도 미

리 비할 수 있도록 의사소통하는 것이 포함된다. 를 들어 차 이 필요한 환자일

경우 차 병실 비와 기계호흡을 지속해야할 경우 일반병동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인공호흡기(home ventilator) 사용과 련하여 일반병동 간호사와 유선이나

EMR을 통해 의사소통한다. 한 치료 기타 정보에 한 환자실과 일반병동 간

호사간의 의사소통과 개인 물품, 치료와 련된 모든 물품을 일반병동에 달하는 것

이 포함된다.

③ 환 자 와 가 족 교 육 지 지

환자와 가족 교육 지지에는 정서 지지와 실무 지지 교육이 포함된다. 정

Page 78: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63 -

서 지지는 개별면담과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환 스트 스와 불안정도 양

상을 사정하고 한 재를 제공한다. 실무 지지 교육은 환자실과 일반병실

의 차이, 환과정, 일반병실생활 정보, 비물품, 질병 후, 치료과정, 추후 리,

주의사항, 약물복용, 제한 혹은 허용되는 활동, 병동에서 시행해야 할 직 간호, 일반

병실 소개 등이 포함되며, 소책자를 이용한 개별 교육, 직 실습, 직 방문을 통해

이루어진다. 한 환이 이루어지는 당일에는 환자가 실하게 될 일반병실이 확정

되면 환자와 가족에게 구체 인 환 시간, 확정된 병실, 환하는 방법 수단을 제

작된 리 렛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④ 자 문 동

자문 동에는 일반병실로 환한 후 발생 가능한 합병증이나 문제에 해 주치

의와 논의한다. 를 들어 뇌동맥류 열로 인한 지주막하출 로 뇌동맥류 경부 결찰

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연축(vaso spasm)에 해 일반병동에서도 주의깊은 찰

과 재가 지속 으로 필요함에 해 논의한다. 한 환자 상태에 따라 필요시 다학

제간 진 등이 포함된다. 를 들어 재활의학과, 호흡기내과, 감염내과, 상처간호 ,

간호, 양 , 사회사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환자가 이동하게 될 일반병실은

원무 과 상의를 거쳐 확정되며, 환자의 식사가 배식되기 에 환이 이루어지게 될

경우 양 과 유선이나 EMR을 통해 의사소통하여 이동할 일반병실로 환자의 식사

가 정확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⑤ 리 더 쉽

리더쉽에는 일반병실 실 결정사항에 한 설명, 환간호 계획 요구도를 악

하여 환 비 정도 사정, 환자나 가족의 환과 련된 문제 악 해결, 일반병

실 환공유 경험 등이 포함된다. 개인물품 치료와 련된 물품을 정리하며 환

과정동안 필요할 경우 환자에게 제공할 의료장비를 미리 비하고 환 에 환자

실과 일반병동간의 환 비 완료여부를 확인한다.

Page 79: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64 -

5 . 1 . 4 . 1 . 3 재 방 법 재 자 원

① 가 족 모 임

환에 한 상자의 인식을 증진시키기 해 가족 모임을 가지며, 이 과정에서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환 비정도를 사정하고, 환과 련된 문제 을 악한다.

자료를 수집하기 해 반구조화 된 질문 목록을 사 에 구성하여 매 가족모임 시마다

활용한다<부록 13>. 가족 모임은 환자실 정규 면회시간을 이용하며, 20~30분 동안

환자실 내 상담실에서 이루어진다.

② 일 반 병 실 로 의 환 경 험 공 유

일반병실로의 환 경험을 공유하기 해 일반병실로 환하여 재 퇴원을 계획하

고 비 인 일반병실의 환자와 가족을 실 정인 뇌손상 환자와 가족에게 소개하

고, 휴게실(day room)에서 환에 한 실제 인 경험을 나 수 있도록 자리를 마련

한다. 이는 원하는 상자에게만 실시하며, 이 과정에서 상자들은 환과 련된 느

낌이나 문제 등에 해 논의하고 재 방법을 모색한다.

③ 환 과 정 에 한 반 인 설 명 자 세 한 정 보 제 공

뇌손상 환자와 가족이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의 환과정에 극 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환과정에 하여 반 이고 자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를 진행하 던 환자실에도 일반병실 환 련 안내서가 있지만, 내용면에

서 미흡하고, 자로만 채워져 있어 교육 인 효과가 떨어지는 단 이 지 되어 부족

한 부분은 문헌고찰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 환간호 기록 내용분석을 통해 보완하

으며, 흥미를 유발하여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해 련된 그림을 삽입하여 A4용지를

반으로 은 크기의 환과정 안내서를 새롭게 제작하 다<부록 14>.

일반병실 환과정 안내서는 상태가 호 되어 일반병실로 실하게 됨을 축하하는

의료진의 인사말과 환시 비물품, 일반병실과 기타 시설에 한 배치도, 일반병실

Page 80: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65 -

의료진, 환자실과 일반병실의 환경 인 차이, 일반병실 의료진, 일반병실에서의 기

, 가족지지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일반병실로의 실이 결정되면 제작된 안내서를

이용하여 교육함으로써 일반병실로의 환 비과정을 돕는다.

비상태가 미흡한 상태에서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실할 때 환자실 재입실

의료비용 증가를 래할 수 있다는 선행연구의 결과(Chaboyer, Gillespie, Foster,

& Kendall, 2005)에 따라 환과정에 해 상세히 교육하며, 이해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④ 일 반 병 실 에 서 의 주 의사항 에 한 개 별 인 교 육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일반병실 환 비를 돕고, 이들이 일반병실 생활을 원만하

게 유지하며 퇴원할 때까지 합병증이나 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해 일반

병실에서 주의해야 할 사항과 권장사항, 치료경과, 제한사항, 일반병실의 치료일정, 추

후 리, 약물 복용, 건강상태 회복을 해 권장하는 사항 등을 고려하여 제작한 소책

자를 이용하여 뇌손상 환자마다 개별 으로 교육한다<부록 15>.

5 . 1 . 4 . 2 일 반 병 실 로 이 동 하 는 시

5 . 1 . 4 . 2 . 1 재 목 표

뇌손상 환자와 가족은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안 하게 환을 완료한다.

5 . 1 . 4 . 2 . 2 간 호 역 별 재 내 용

① 환 자 간 호

환자 간호에는 이동과정동안 환자의 임상 상태 사정, 환과정동안 필요한 경우

Page 81: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66 -

의료장비를 용하는 것이 포함된다. 를 들어 환과정동안 환자의 활력징후나 신

경학 상태를 사정한다. 특히 혼돈이나 불안정한 행동을 보이는 환자의 경우 낙상으

로 인한 신체 손상에 해 주의해야 한다. 배액 이나 도 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

발 되지 않도록 주의 깊게 찰한다.

② 병 동 연 계

병동연계에는 개인 소지품 치료와 련된 모든 물품에 해 일반병동에 빠짐없

이 정확하게 달하는 것이 포함된다.

③ 자 문 동

자문 동에는 입원병실을 담당하는 원무 과 병실 배정논의, 배식 에 환이

이루어질 경우 양 에 환할 병실 통보, 안 한 환을 해 필요시 의료진 동반,

이송직원 연락 등이 포함된다.

④ 리 더 쉽

리더쉽에는 환자상태에 따라 환과정동안 필요할 경우 담당간호사의 동반여부 결

정 환자 이동에 동반하는 것이 포함된다.

5 . 1 . 4 . 2 . 3 재 방 법 재 자 원

① 환 과 정 에 한 자 세 한 설 명

환과정에 해 일 성 있고 자세하게 설명하기 해 제작된 리 렛을 이용한다.

실할 병실이 확정되면 일반병동 간호사와 상의하여 가능한 시간을 악하고, 상

자와 다시 상의하여 가능성 여부를 타진한다. 실이 이루어질 시간이 최종 으로 결

정되면 환 시간, 병실, 방법 수단을 혼동되지 않게 알려 다.

Page 82: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67 -

5 . 1 . 4 . 3 환 후 시

5 . 1 . 4 . 3 . 1 재 목 표

일반병실로 실할 때 스트 스와 불안이 감소하며, 일반병동 생활에 잘 응함으

로써 계획되지 않는 환자실 재입실 일반병실 재원기간을 감소시키고, 뇌손상 환

자의 회복 증진을 돕고, 가족의 부담감을 감소시킴으로서 환간호 로그램에 한

만족도를 높이고 성공 으로 퇴원하도록 한다.

5 . 1 . 4 . 3 . 2 간 호 역 별 재 내 용

① 직 간 호

직 간호에는 직 간호제공 임상 인 상태 사정, 계획된 치료일정 악,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복용약물의 이해수 을 악하는 것이 포함된다. 를 들어 항

암치료, 방사선치료,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등과 같은 다양한 치료가 계획되어

있다면 그 일정에 따라 치료가 잘 진행될 수 있도록 치료일정을 리하며, 치료 결

과를 모니터 하는 것이다.

② 병 동 연 계

병동연계에는 환자가 안 하게 일반병실로 실하 는지 일반병동 간호사와 의사소

통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포함된다.

③ 환 자 와 가 족 교 육 지 지

환자와 가족의 교육 지지 역은 정서 지지와 실무 지지 교육으로 구성된

다. 정서 인 지지를 해 환자와 가족의 환 스트 스와 불안정도 양상을 사정

하고 한 재를 제공한다. 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부담감을 악하고 그 정도를

Page 83: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68 -

감소시키기 한 재를 제공한다.

실무 지지와 교육은 질환의 후, 치료과정, 추후 리, 주의사항, 약물복용, 제한

혹은 허용되는 활동에 한 교육으로 구성되며, 주돌 제공자가 해야 할 간호내용을

확인하고 지지한다. 한 퇴원교육으로는 가정에서 필요한 직 간호 행 , 응 상황에

처하는 방법, 약물복용방법 재확인, 자가 리 수 재확인 등이 포함된다.

④ 자 문 동

자문 동에는 다른 기 으로 원할 경우 담당 코디네이터와 논의하는 것과 가

정으로 퇴원할 경우 필요시 가정간호 진 의뢰가 포함된다.

⑤ 리 더 쉽

리더쉽에는 환자가 안 하게 일반병실로 실하 는지 직 방문하여 확인하며, 환

자와 가족의 치료와 련된 주된 심사를 논의하고, 치료과정에 해 불만족하거나

문제발생 시 신속하게 해결한다. 한 퇴원간호 계획 요구도를 악하여 퇴원

비를 돕고, 필요시 외래 약 등이 포함된다.

5 . 1 . 4 . 3 . 3 재 방 법 재 자 원

① 가 족 모 임

퇴원 환에 한 상자의 인식과 참여를 증진시키기 해 가족 모임을 가지며,

이 과정에서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퇴원간호요구도와 비정도를 사정하고, 퇴원과

련된 문제 을 악한다. 자료를 수집하기 해 반구조화 된 질문 목록을 사 에

구성하여 매 가족모임 시마다 활용한다. 가족모임은 원하는 가족을 상으로 녁시

간을 이용하여 20~30분 동안 병실에서 이루어진다.

② 퇴 원 후 주 의사항 에 한 개 별 인 교 육

Page 84: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69 -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퇴원 비를 돕고 퇴원 후 건강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해 가정에서 필요한 직 간호, 응 상황시 처방법, 약물 복용방법 재확인, 자가

리수 재확인, 주의사항, 추후 리 등으로 구성된 교육을 뇌손상 환자와 가족에게 개

별 으로 실시한다.

③ 퇴 원 과 정 에 한 반 인 설 명 자 세 한 정 보 제 공

성공 인 퇴원이 이루어지도록 퇴원과정 안내서의 부족한 부분에 하여 문헌고찰

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 퇴원간호 기록 내용 분석을 통해 보완하 으며, 교육의 효과

를 극 화시키기 해 련된 그림을 삽입하여 간결한 퇴원과정 안내서를 제작하

다. 퇴원과정 안내서는 퇴원에 한 의료진의 축하 인사와 퇴원 차에 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부록 16>.

④ 지 지 환 경 조 성

지지 환경을 조성하기 해 뇌손상 환자와 가족이 퇴원한 후 건강문제가 발생하

면 언제든지 상의할 수 있도록 연락체계를 구성하 으며, 이를 통해 의료진의 지지가

지속됨을 인식시키며, 퇴원에 한 불안을 감소시키고자 하 다.

Page 85: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70 -

<표 13> 최종 개발된 환간호 로그램

시 환 과정

실 ( 환자실) 실 ( 환자실 → 일반병실) 실 후 (일반병실)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이 일반병실로

성공 인 환을 경험할 수 있도록 환에 한 뇌

손상 환자와 가족의 인식, 참여와 비정도를 악

하고, 이를 바탕으로 뇌손상 환자와 가족 련된

의료진의 환 비가 체계 이고 원활하게 이루어

진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은 안 하게 실을

완료한다.

환으로 인한 스트 스가 감소하며, 일반병실 생활

에 잘 응함으로써 계획되지 않는 환자실 재입

실 일반병실 재원기간 감소, 로그램을 제공하

는 간호사와 제공받은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만족

도가 증가한다.

역 재내용재

방법

자원재내용

방법

자원재내용

방법

자원

환자

간호

▶ 일반병실과 유사한 환경조성

: 환자상태에 따라 주치의와

상의 후 단계 모니터 제거,

간호활동 감소

e.g.) V/S, GCS, I/O, 기타

▶ 지속 으로 요구되는 간호활동

e.g.) V/S, 신경학 상태, 재활,

수술 후 호흡기 간호,

양, 기타

▶ 실과정에 한 간호기록

▶ 실과정 동안 필요시 의료

장비 비 제공

수행

수행

수행

수행

EMR

EMR

모니터,

O2

▶ 실과정동안 환자

상태 사정

▸ V/S, 신경학 상태

▸ 배액 과 도 상태

수행

▶ 직 간호 제공

▶ 임상 인 상태 사정

▶ 치료일정에 따른 환자의 이행

여부 문제 악

e.g.) 재활치료, 방사선 치료,

항암치료, 기타

▶ ADL과 복용약물 이해수

수행

수행

개별

면담

개별

면담

Page 86: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71 -

시 환 과정

실 ( 환자실) 실 ( 환자실 → 일반병실) 실 후 (일반병실)

역 재내용재

방법

자원재내용

방법

자원재내용

방법

자원

병동

연계

▶ 특별한 치료환경 혹은 의료

장비가 필요할 경우 병동에서

비할 수 있도록 의사소통

e.g.) 차 병실, home ventilator

▶ 치료와 기타 정보에 한 의

의사소통

의사

소통

의사

소통

유선

혹은

EMR

EMR

▶ 개인 혹은 치료 련

물품 병동에 달

수행

▶ 안 한 실 완료여부 확인 의사

소통

유선

혹은

EMR

환자와

가족

교육

지지

▶ 정서 지지

▸ 실 스트 스, 불안 사정

▶ 실무 지지와 교육

▸ 환자실과 일반병실의 차이,

환과정, 일반병실생활정보,

비물, 질병 후, 치료

과정, 추후 리, 주의사항,

약물복용, 제한 혹은 허용된

활동

▸ 병동에서 시행해야 할 직

간호

▸ 일반병실 소개

▶ 환과정 설명

▸ 시간, 병실, 방법 수단

개별

면담

개별

교육

실습

투어

설명

설문지

소책자

소책자

리 렛

리 렛

▶ 정서 지지

▸ 실 후 스트 스, 불안 사정

▸ 가족의 부담감 악 재

▶ 실무 지지와 교육

▸ 질환 후, 치료과정, 추후

리, 주의사항, 약물복용,

제한 혹은 허용되는 활동

▸ 주돌 제공자가 할 간호내용

확인, 지지

▶ 퇴원 교육

▸ 가정에서 필요한 직 간호,

응 상황 처방법

▸ 약물복용방법과 자가 리

수 재확인

개별

면담

개별

교육

개별

교육

설문지

소책자

소책자

Page 87: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72 -

시 환 과정

실 ( 환자실) 실 ( 환자실 → 일반병실) 실 후 (일반병실)

역 재내용재

방법

자원재내용

방법

자원재내용

방법

자원

조정

▶ 실과 련된 문제에 해

논의

▶ 필요시 환자상태에 따라 다

학제간 진

e.g.) 재활, 양, 상처간호,

호흡기 간호, 간호,

사회사업

▶ 원무 과 병실 배정 논의

▶ 배식 실시 양 연락

의사와

논의

수행

의사

소통

EMR

EMR

유선

▶ 안 한 실

▸ 필요시 의료진 동반

▸ 이송 연락

수행

이송

직원

▶ 타기 원 시 담당 코디네

이터와 의논

▶ 퇴원시 필요할 경우 가정간호

의사

소통

수행

EMR

EMR

리더쉽

▶ 실 결정사항 설명

▶ 환간호계획 요구도 악

▸ 간병인 필요여부 확인

▶ 환자나 가족의 실 련 문

제 확인 해결

▶ 일반병실 환경험 공유

▶ 개인 물품 혹은 치료와 련된

물품정리

▶ 필요시 의료장비 비

▶ 환자실과 일반병동의 실

비 완료여부 확인

개별

면담

개별

면담

의사

면담

유사

사례

소개

수행

수행

의사

소통

리 렛

설문지

모니터,

O2

유선

혹은

EMR

▶ 환자상태에 따라 필

요할 경우 담당간호

사 동반

수행

간호사 ▶ 치료와 련된 주된 심사

논의

▶ 만족도 악

▶ 문제 발생 시 신속한 해결

▶ 퇴원간호계획 비정도

▸ 퇴원 시 이송수단 방법

논의

▸ 필요한 서류 해결

▶ 필요시 외래 약

개별

면담

개별

면담

수행

개별

면담

수행

설문지

설문지

EMR

Page 88: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73 -

5 . 2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에게 용한

환 간 호 로 그 램 평 가

5 . 2 . 1 상 자 의 일 반 특 성 에 한 동 질 성 검 증

5 . 2 . 1 . 1 상 자 의 인 구 학 특 성 에 한 동 질 성 검 증

뇌손상 환자의 성별, 평균나이, 결혼상태, 종교, 교육정도, 직업, 사회생활 경험, 가족

내 치, 동거 가족 수, 경제상태 가족 부양의 책임은 실험군과 조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표 14>.

뇌손상 환자 가족의 성별, 평균나이, 결혼상태, 종교, 교육정도, 직업, 사회생활 경

험, 가족내 치, 동거 가족 수, 경제상태 가족부양에 한 책임, 환자돌 경험, 하

루 평균 돌 시간, 환자 이외에 돌 야 하는 가족유무 교 해 주는 가족유무는 실

험군과 조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표 15>.

Page 89: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74 -

<표 14> 뇌손상 환자의 인구학 특성에 한 동질성 검증

(N=94)

특성

실험군(n=46) 조군(n=48)χ2 or t

or Fpn(%) or

Mean±SD

n(%) or

Mean±SD

성별 남자 16 (34.8) 23 (47.9) 1.17 .216

여자 30 (65.2) 25 (52.1)

나이(세) 51.35±12.05 53.77±13.24 0.93 .356

결혼상태* 미혼 6 (13.0) 6 (12.5) .559

기혼 37 (80.4) 41 (85.4)

기타 3 (6.5) 1 (2.1)

종교* 천주교 22 (47.8) 14 (29.2) .204

개신교 14 (30.4) 15 (31.3)

불교 4 (8.7) 7 (14.6)

무교 6 (13.0) 12 (25.0)

교육정도* 졸 1 (2.2) 4 (8.3) .051

졸 8 (17.4) 1 (2.1)

고졸 23 (50.0) 25 (52.1)

≥ 학 14 (30.4) 18 (37.5)

직업 없다 17 (37.0) 18 (37.5) 3.29 .193

있다 24 (52.2) 30 (62.5)

가족내 치 할아버지 3 (6.5) 9 (18.8) 4.68 .322

할머니 9 (19.6) 10 (20.8)

아버지 12 (26.1) 11 (22.9)

어머니 17 (37.0) 11 (22.9)

자녀 5 (10.9) 7 (14.6)

동거 가족 수 3.17±1.22 3.00±0.88 0.80 .427

경제상태 여유롭다 12 (26.1) 7 (14.6) 2.98 .395

보통이다 19 (41.3) 27 (56.3)

약간 어렵다 11 (23.9) 9 (18.8)

어렵다 4 (8.7) 5 (10.4)

가족부양 책임정도 체 책임 8 (17.4) 12 (25.0) 1.01 .604

부분 책임 29 (63.0) 29 (60.4)

책임 없음 9 (19.6) 7 (14.6)

* Fisher's exact test

Page 90: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75 -

<표 15> 뇌손상 환자 가족의 인구학 특성에 한 동질성 검증

(N=94)

특성

실험군(n=46) 조군(n=48) χ2

or t or

F

pn(%) or

Mean±SD

n(%) or

Mean±SD

성별 남자 18 (39.1) 12 (25.0) 1.56 .212

여자 28 (60.9) 36 (75.0)

나이(세) 43.78±12.11 46.71±12.00 1.18 .243

결혼상태 미혼 5 (10.9) 8 (16.7) 2.66 .264

기혼 41 (89.1) 40 (83.3)

종교 천주교 22 (47.8) 13 (27.1) .074

개신교 14 (30.4) 14 (29.2)

불교 4 (8.7) 5 (10.4)

무교 6 (13.0) 16 (33.3)

교육정도* 졸 0 (0) 4 (8.3) .109

졸 4 (8.6) 1 (2.1)

고졸 21 (45.7) 24 (50.0)

≥ 학 21 (45.7) 19 (39.6)

직업 없다 24 (52.2) 18 (37.5) 3.29 .193

있다 22 (47.8) 30 (62.5)

가족 내 치* 할아버지 3 (6.5) 10 (20.8) .170

할머니 9 (19.6) 13 (27.1)

아버지 12 (26.1) 11 (22.9)

어머니 17 (37.0) 11 (22.9)

자녀 5 (10.9) 3 (6.3)

환자와 계* 배우자 22 (47.8) 20 (41.7) .911

부모 4 (8.7) 6 (12.5)

형제자매 4 (8.7) 6 (12.5)

자녀 11 (23.9) 10 (20.8)

기타 5 (10.9) 6 (12.5)

동거 가족 수 3.17±1.22 3.00±0.88 0.80 .427

경제상태* 여유있다 5 (10.9) 7 (14.6) .837

보통이다 25 (54.3) 24 (50.0)

약간 어렵다 13 (28.3) 12 (25.0)

어렵다 3 (6.5) 5 (10.4)

가족부양 책임정도 체 책임 8 (17.4) 12 (25.0) 1.01 .604

부분 책임 29 (63.0) 29 (60.4)

책임 없음 9 (19.6) 7 (14.6)

과거 돌 경험 없다 39 (84.8) 44 (91.7) 1.08 .299

있다 7 (15.2) 4 (8.3)

하루 평균 돌 시간(시간) 9.63±7.66 11.67±8.61 1.21 .230

환자 외에 돌 이 필요한 가족 없다 9 (19.6) 8 (16.7) 0.13 .715

있다 37 (80.4) 40 (83.3)

교 해주는 가족* 없다 6 (13.0) 3 (6.3) .263

있다 40 (87.0) 45 (93.8)

* Fisher's exact test

Page 91: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76 -

5 . 2 . 1 . 2 질 병 련 특 성 에 한 동 질 성 검 증

뇌손상 환자의 입원경로, 동반된 질환, 진단명, 수술명, 신경계 환자실 재원기간,

환 증도, MRC 등 , mRS 등 은 실험군과 조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표 16>.

Page 92: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77 -

<표 16> 뇌손상 환자의 질병과 련된 특성에 한 동질성 검증 (N=94)

특성실험군(n=46) 조군(n=48) χ2

or tp

n(%) or Mean±SD n(%) or Mean±SD

입원경로* 응 실 25 (54.3) 23 (47.9) .405

일반병동 15 (32.6) 19 (39.6)

외래 6 (13.1) 6 (12.5)

동반된 질환 없다 21 (45.7) 21 (43.9) 0.03 1.000

있다 25 (54.3) 27 (56.3)

뇌질환 없다 44 (95.7) 47 (97.9) .613

있다 2 (4.3) 1 (2.1)

당뇨 없다 32 (69.6) 32 (66.7) 0.09 .827

있다 14 (30.4) 16 (33.3)

고 압 없다 26 (56.5) 30 (62.5) 0.35 .675

있다 20 (43.5) 18 (37.5)

간염 없다 39 (84.8) 45 (93.8) 1.99 .194

있다 7 (15.2) 3 (6.3)

암* 없다 45 (97.8) 46 (95.8) 1.000

있다 1 (2.2) 2 (4.2)

기타 없다 35 (76.1) 14 (29.2) 0.33 .644

있다 11 (23.9) 34 (70.8)

진단명* 뇌종양 11 (23.9) 16 (33.3) .575

지주막하출 7 (15.2) 6 (12.5)

경막외출 6 (13.0) 2 (4.2)

경막하출 6 (13.0) 5 (10.4)

뇌내출 8 (17.4) 7 (14.6)

뇌졸 1 (2.2) 4 (8.3)

뇌동맥류 5 (10.9) 4 (8.3)

안면경련 2 (4.3) 4 (8.3)

수술명* 종양 제술 11 (23.9) 16 (33.3) .454

종제거술 20 (43.5) 16 (33.3)

동맥류 경부 결찰술 12 (26.1) 9 (18.8)

미세 감압술 2 (4.3) 4 (8.3)

수술안함 1 (2.2) 3 (6.3)

신경계 환자실 재원기간 (일)** 2.83±1.84(1-13) 3.33±2.24(1-15) 1.20 .235

실 증도 II 15 (32.6) 15 (31.3) 0.41 .815

(등 ) III 22 (47.8) 21 (43.8)

IV 9 (19.6) 12 (25.3)

MRC scale III 7 (15.2) 7 (14.6) 0.78 .680

(등 ) IV 14 (30.4) 11 (22.9)

V 25 (54.3) 30 (62.5)

mRS 0 6 (13.0) 9 (18.8) 0.32 .678

(등 ) I 5 (10.9) 7 (14.6)

II 19 (41.3) 16 (33.3)

III 8 (17.4) 11 (22.9)

IV 8 (17.4) 5 (10.4)

* Fisher's exact test,** range, MRC: Medical research council, mRS: modified Rankin scal

Page 93: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78 -

5 . 2 . 1 . 3 환 반 응 양 상 에 한 동 질 성 검 증

뇌손상 환자의 환 스트 스, 불안 주 건강상태는 실험군과 조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뇌손상 환자 가족의 실 스트 스, 불안 가족 부담감은 실험

군과 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표 17>.

<표 17>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환 반응양상에 한 차이 검증

(N=94)

변수실험군(n=46) 조군(n=48)

t pMean±SD Mean±SD

뇌손상 환자 환 스트 스 4.46±1.57 4.60±1.54 0.46 .647

환 불안 52.39±6.39 51.81±6.64 0.43 .668

주 건강상태 5.98±1.24 6.42±1.30 1.67 .098

가족 환 스트 스 4.80±1.52 4.56±1.20 0.86 .392

환 불안 54.04±5.61 52.46±6.76 1.23 .220

가족 부담감 56.63±5.83 54.38±9.92 1.35 .181

Page 94: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79 -

5 . 2 . 2 가 설 검 정

5 . 2 . 2 . 1 환 조 건 에 한 차 이 검 정

“ 신 경 계 환 자 실 뇌 손 상 환 자 와 가 족 을 한 환 간 호 로 그 램 용 후 실 험

군 의 일 반 병 실 환 비 수 는 조 군 보 다 높 을 것 이 다 ” 는 지지되었다.

뇌손상 환자 실험군의 일반병실 환 비 수는 평균 158.35 으로 조군의

147.42 보다 높았다(p<0.001). 일반병실 환 비의 하 역 ‘지식’은 80 만

에 실험군이 평균 56.02 으로 조군의 50.21 보다 높았으며(p<0.001), ‘ 처능력’은

30 만 에 실험군이 평균 25.57 으로 조군의 23.79 보다 높았고(p=0.001), ‘기

되는 지지’는 40 만 에 실험군이 평균 30.28 으로 조군의 27.88 보다 높아

(p=0.007) 실험군의 환 비 정도가 조군보다 높았다.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 용 후 환 비

가 되었다고 답한 가족의 비율은 실험군이 93.5%로서 조군의 89.6%보다 높았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표 18>.

“ 신 경 계 환 자 실 뇌 손 상 환 자 와 가 족 을 한 환 간 호 로 그 램 용 후 실 험

군 의 퇴 원 비 수 는 조 군 보 다 높 을 것 이 다 ” 는 지지되었다.

뇌손상 환자 실험군의 일반병실 퇴원 비의 수는 평균 166.22 으로 조군의

154.65 보다 높았다(p<0.001). 퇴원 비의 하 역 ‘개인상태’는 70 만 에 실

험군이 평균 52.83 으로 조군의 51.21 보다 높았으며(p=.034), ‘지식’은 80 만

에 실험군은 평균 57.57 으로 조군의 52.71 보다 높았고(p<0.001), ‘ 처능력’은 30

만 에 실험군이 평균 25.24 으로 조군의 23.65 보다 높았으며(p=.012), ‘기 되

는 지지’는 40 만 에 실험군이 평균 30.59 으로 조군의 27.08 보다 높았다

(p<0.001).

Page 95: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80 -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 용 후 퇴원 비

가 되었다고 답한 가족의 비율은 실험군이 97.8%로 조군의 83.5%보다 높았다

(p=0.42)<표 19>.

<표 18> 뇌손상 환자의 환 조건에 한 차이 검증

(N=94)

변수

실험군 (n=46) 조군 (n=48)χ2

or tpn (%) or

Mean±SD

n (%) or

Mean±SD

환 환 비 45 (97.8) 45 (93.8) 0.22 .640

아니오 1 (2.2) 3 (6.3)

개인 상태 46.48 ± 4.24 45.54 ± 6.69 0.82 .418

지식 56.02 ± 4.90 50.21 ± 5.87 5.20 <.001

처 능력 25.57 ± 1.88 23.79 ± 2.91 3.52 .001

기 되는 지지 30.28 ± 3.99 27.88 ± 4.47 2.75 .007

환 비 총 158.35 ± 7.94 147.42 ± 8.73 6.35 <.001

퇴원 퇴원 비 45 (97.8) 43 (89.6) 1.47 .225

아니오 1 (2.2) 5 (10.4)

개인 상태 52.83 ± 3.19 51.21 ± 4.02 2.15 .034

지식 57.57 ± 4.74 52.71 ± 4.28 5.51 <.001

처 능력 25.24 ± 2.25 23.65 ± 3.65 2.56 .012

기 되는 지지 30.59 ± 4.06 27.08 ± 4.33 4.05 <.001

환 비 총 166.22 ± 7.60 154.65 ± 7.51 7.423 <.001

Page 96: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81 -

<표 19> 뇌손상 환자 가족의 환 조건에 한 차이

(N=94)

변수실험군 (n=46) 조군 (n=48)

χ2 pn (%) n (%)

환 비 43 (93.5) 43 (89.6) 0.94 .759

아니오 3 (6.5) 5 (10.4)

퇴원 비 45 (97.8) 40 (83.5) 4.15 .042

아니오 1 (2.2) 8 (16.7)

5 . 2 . 2 . 2 신 경 계 환 자 실 에 서 일 반 병 실 로 환 한 후 반 응 양 상 에

한 차 이 검 정

“ 신 경 계 환 자 실 뇌 손 상 환 자 와 가 족 을 한 환 간 호 로 그 램 용 후 실 험

군 의 환 스 트 스 는 조 군 보 다 낮 을 것 이 다 . ” 는 지지되었다.

뇌손상 환자의 환 스트 스는 10 만 에 실험군은 4.46 에서 2.78 으로, 조

군은 4.60 에서 3.73 으로 변화되어 집단간(p=.025), 시 간(p<.001)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교호작용이 있었다(p=.009).

뇌손상 환자 가족의 환 스트 스는 10 만 에 실험군은 4.80 에서 2.83 으로,

조군은 4.56 에서 3.94 으로 변화되어 집단간(p=.008), 시 간(p<.001)에 유의한 차

이가 있었으며, 교호작용이 있었다(p<.001).

“ 신 경 계 환 자 실 뇌 손 상 환 자 와 가 족 을 한 환 간 호 로 그 램 후 실 험 군 의

환 불 안 은 조 군 보 다 낮 을 것 이 다 . ” 는 지지되었다.

뇌손상 환자의 환 불안은 100 만 에 실험군은 52.39 에서 46.74 으로, 조

군은 51.81 에서 49.67 으로 변화되어 교호작용이 있었다(p=.050).

뇌손상 환자 가족의 환 후 불안은 100 만 에 실험군은 54.04 에서 44.22 으

Page 97: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82 -

로, 조군은 52.46 에서 48.88 으로 변화되어 교호작용이 있었다(p=.001).

“ 신 경 계 환 자 실 뇌 손 상 환 자 와 가 족 을 한 환 간 호 로 그 램 용 후 실 험

군 의 주 건 강 상 태 는 조 군 보 다 높 을 것 이 다 . ” 는 지지되었다.

뇌손상 환자의 주 건강상태는 10 만 에 실험군이 5.98 에서 8.04 으로,

조군은 6.42 에서 6.83 으로 변화되어 집단간(p=.049), 시 간(F=108.69, p<.001)에

차이가 있었으며, 교호작용이 있었다(p<.001).

“ 신 경 계 환 자 실 뇌 손 상 환 자 와 가 족 을 한 환 간 호 로 그 램 용 ㆍ 후

실 험 군 의 가 족 부 담 감은 조 군 보 다 낮 을 것 이 다 . ” 는 지지되었다.

뇌손상 환자 가족의 돌 에 한 부담감은 110 만 에 실험군은 56.63 에서

41.57 으로, 조군은 54.38 에서 47.85 으로 변화되어 교호작용이 있었다(p<.001).

“ 신 경 계 환 자 실 뇌 손 상 환 자 와 가 족 을 한 환 간 호 로 그 램 용 후 실 험

군 의 환 자 실 재 입 실 건 수 는 조 군 보 다 낮 을 것 이 다 . ” 는 기각되었다.

뇌손상 환자의 환자실 재입실 건수는 실험군은 없었고, 조군은 3건이었으나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 신 경 계 환 자 실 뇌 손 상 환 자 와 가 족 을 한 환 간 호 로 그 램 용 후 실 험

군 의 일 반 병 실 재 원 기 간 은 조 군 보 다 낮 을 것 이 다 . ” 는 기각되었다.

뇌손상 환자의 일반병실 재원기간은 실험군이 9.76일, 조군은 10.56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신 경 계 환 자 실 뇌 손 상 환 자 와 가 족 을 한 환 간 호 로 그 램 용 후 실 험

군 의 환 간 호 로 그 램 만 족 도 는 조 군 보 다 높 을 것 이 다 . ” 는 지지되었다. .

뇌손상 환자의 환간호 로그램 만족도는 55 만 에 실험군이 48.46 으로

조군의 34.92 보다 높았다(p<.001).

Page 98: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83 -

뇌손상 환자 가족의 환간호 로그램 만족도는 55 만 에 실험군이 49.00 으

로 조군의 36.46 보다 더 높았다(p<.001)<표 20, 21><그림 7, 8, 9, 10>.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 개발한 환간호 로그램은 신경계 환자

실에서 일반병실로 환하는 뇌손상 환자와 가족이 정 인 환을 경험하도록 지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이 결정된 시 부터 환간호 로그램이 용되었기

때문에 환이 이루어지기 부터 환 비를 충실히 하여 환조건이 향상되었다.

이처럼 환간호 로그램으로 인해 환조건이 충족된 상태이므로 환과정이 보다

원활하게 진행되었으며, 결과 으로 환종료 시 에서 측정되었던 반응양상이 모두

정 으로 나타났다. 환 스트 스, 환불안, 가족부담감이 감소되었으며, 주 으

로 느끼는 건강상태가 호 되었다. 한 계획되지 않은 환자실 재입실 발생건수와

일반병실 재원기간도 상 으로 감소하 다. 이로 인해 본 환간호 로그램에 참

여한 상자들의 만족도가 높았다.

Page 99: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84 -

<표 20> 뇌손상 환자의 반응양상에 한 차이

(N=96)

변수

실험군 (n=46) 조군 (n=48)

t or F p환 환 후 환 ㆍ후 차이 환 환 후 환 ㆍ후 차이

n(%) or Mean±SD Mean±SD t p n(%) or Mean±SD Mean±SD t p

환 스트 스 4.46±1.57 2.78±1.14 1.67±1.38 8.21 <.001 4.60±1.54 3.73±1.22 0.88±1.53 3.98 <.001 집단 5.16 .025

시 71.87 <.001

집단*시 7.06 .009

환 불안 52.39±6.39 46.74±5.08 5.65±8.35 4.59 <.001 51.81±6.64 49.67±6.53 2.15±9.34 1.59 .118 집단 1.73 .192

시 18.15 <.001

집단*시 3.67 .050

주 건강상태 5.98±1.24 8.04±0.87 2.07±1.10 <.001 6.42±1.30 6.83±1.08 0.42±1.20 2.41 .020 집단 3.66 .049

시 108.69 <.001

집단*시 47.96 <.001

신경계 환자실

재입실0(0) 3(6.2) 2.97 .242

일반병실

재원기간(일) 9.76±2.50 10.56±0.07 1.39 .169

로그램

만족도48.46±2.16 34.92±2.72 26.67 <.001

Page 100: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85 -

환 스트 스 환 불안 주 건강상태

<그림 7> 뇌손상 환자의 환 스트 스, 환 불안, 주 건강상태

Page 101: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86 -

<그림 8> 뇌손상 환자의 신경계 환자실 재입실 건수, 일반병실 재원기간, 로그램 만족도

Page 102: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87 -

<표 21> 뇌손상 환자 가족의 반응양상에 한 차이

(N=96)

변수

실험군(n=46) 조군(n=48)

t or

Fp환 환 후 환 ㆍ후 차이 환 환 후 환 ㆍ후 차이

Mean±SD Mean±SD t p Mean±SD Mean±SD t p

환 스트 스 4.80±1.52 2.83±0.67 1.98±1.65 8.12 <.001 4.56±1.20 3.94±0.93 0.63±1.58 2.74 .009 집단 7.27 .008

시 60.96 <.001

집단*시 16.47 <.001

환 불안 54.04±5.61 44.22±6.19 9.83±8.51 7.83 <.001 52.46±6.76 48.88±7.29 3.58±9.36 2.65 .011 집단 2.49 .118

시 52.69 <.001

집단*시 11.42 .001

가족 부담감 56.63±5.83 41.57±8.38 15.07±9.17 11.14 <.001 54.38±9.92 47.85±9.56 6.52±13.55 3.33 .002 집단 2.38 .127

시 81.11 <.001

집단*시 12.71 <.001

로그램 만족도 49.00±2.24 36.46±2.58 <.001

Page 103: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88 -

환 스트 스 환 불안 가족 부담감

<그림 9> 뇌손상 환자 가족의 환 스트 스, 환 불안, 가족 부담감

Page 104: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89 -

<그림 10> 뇌손상 환자 가족의 로그램 만족도

Page 105: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90 -

제 6 장 논 의

본 연구는 Meleis 등(2000)의 환이론을 기반으로 환속성을 증진시키고 환 조

건을 진시켜 뇌손상 환자와 가족이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원활하게 환

할 뿐만 아니라 일반병실에서도 신체 , 심리 안정을 유지하고 돌 의 연속성이 유

지되어 성공 으로 퇴원하도록 돕기 한 목 으로 시도되었다. 뇌손상 환자와 가족

이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원활하게 환할 수 있도록 돕는 환간호 로

그램을 개발하 으며, 이를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하는 뇌손상 환자와

가족에게 직 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 다.

이에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하는 뇌손상 환자와 가족 상의 환간

호 로그램 개발과 실제 상자에게 용한 효과에 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6. 1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 개발

본 연구에서는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하는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상으로 환간호 로그램을 개발하기 해 그 과정을 여러 단계로 체계화하 다.

환자실 환과 련된 다양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본 로그램의 간호 역을 분

류하 고, 각각의 간호 역별로 세부내용을 악하 다. 최근 호주를 심으로 환자

실 연계간호사가 환자실 환간호 실무에 도입되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환

자실 연계간호사는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하는 환자와 가족을 교육하고 정서

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환을 비하는 환자실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실무를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데, 이들의 투입으로 인한 임상 인 효과가 정 으

로 보고되었다(Chaboyer et al., 2005). 이에 본 로그램에서는 환과 련된 시 과

더불어 하나의 요한 축을 이루는 간호 역을 설정하기 해 환자실 연계간호

Page 106: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91 -

사의 역할을 이용하 다. Chaboyer, Foster, Foster와 Kendall (2004)은 호주에서 활동

하고 있는 6명의 환자실 연계간호사를 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환자실 연

계간호사의 역할을 병동 간호사의 교육과 지지, 병동 연계, 환자간호와 지지, 가족교

육과 지지 등 4가지로 범주화하 다. 그러나 국내에는 환자실 연계간호사 역할이

도입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로그램의 목 과 내용 방법을 이해한 간

호사라면 구나 근무경력에 계없이 실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하여 문

가 집단과의 논의를 거쳐 병동간호사의 교육과 지지 역은 삭제하 다.

상자들의 요구에 근거를 둔 실제 인 로그램을 개발하기 해 신경계 환자실

에서 일반병실로 환한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

하여 분석한 결과를 재내용에 포함시켰다. 한 환의 반 인 과정을 주도하는

의료진을 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의미있는 자료를 재내용에 포함

시켰다. 이는 간호제공자와 그 간호를 받는 수혜자간의 요구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는 을 고려하 다. 실제 복부수술 환자들을 상으로 환자 심의 퇴원간호 모델을

개발한 연구에서 간호사의 에서 환자에게 필요하다고 한 교육내용과 실제 환자들

이 요구하는 교육내용이 달랐던 결과(Anthony & Hudson-barr, 2004)가 이를 뒷받침

하고 있다.

환자실 의료진의 부분은 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을 어떻게 살릴 것인가에

해서 많은 심을 가지고 고도의 의학기술을 발 시킨 반면, 환자실을 떠난 환자의

후나 회복과정에 해서는 상 으로 심이 미흡하 다(Watts, Pierson, &

Gardner, 2006). 한 환자실 의료진들은 복잡하고 기계 인 업무 심으로 이루어지

는 긴박한 환경 내에서 불안정한 환자의 신체상태를 안정시키는데 우선순 를 두고

종종 상자의 기본욕구를 무시하거나 특히 심리 측면의 요구에 소홀한 경향이 있

다(Watts et al., 2005).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의 환과정이 환자와 가족에게 정 인 경험이 되도록

의료진들이 정서 인 지지를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Beard, 2005; Whittaker & Ball,

2000). 손연정(2009)은 환 정인 10 의 환자와 가족을 상으로 개별 면담하여

환 에 걱정되는 사항과 궁 한 을 악하 으며, 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Page 107: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92 -

간호사 총 10인을 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는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이미 환하여 안정된 상자를 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

터뷰를 실시함으로서 그들이 환의 과정동안 경험한 것으로 부터 의미있는 자료

를 도출하고자 하 다. 한 의사 집단의 생각과 느낌을 반구조 인 질문지를 이용하

여 자료에 포함시킴으로써 구체 이면서 실제 인 환간호 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었다.

한편 환간호 기록 내용을 분석한 결과 환하는 뇌손상 환자와 가족에게 제공된

재내용은 다양하지 않았고, 상자의 특성이 고려되지 않고 천편일률 이었다. 뿐만

아니라 환간호는 업무 심 으로 이루어졌으며, 환자와 가족의 정서 지지는 제

공되지 않고 있었다. 국내의 환자나 환자실 련 연구는 주로 환자실 재실기간

에 발생할 수 있는 환자와 가족의 심리 문제를 다루는데 국한되었으며, 환자실

환자의 병동 실과 련한 환간호(transitional care)를 다룬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

정이었다. 손연정(2009)의 연구에서는 선행연구고찰, 상자와의 개별면담, 의료진과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환자실과 병동간 연계형 환간호 로그램을 구성하

으나, 환자의 의료정보지를 분석하여 실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환간호 재를

악하는 시도는 없었다.

지 까지 이루어졌던 환간호는 소책자 주로 퇴원교육을 실시하는 로그램

(Kleinpell, 2004; 이 자, 2000), 주로 환자나 보호자의 교육에만 을 두고 일방

으로 달되는 형식이거나 퇴실 직 에 하게 이루어지는 교육(Mitchell, &

Courtney, 2005) 이었다. 본 연구에서 최종 으로 개발한 환간호 로그램은 기존의

방식을 탈피하여 환자나 보호자 심의 교육과 지지에 을 두고 국내 실정에 맞게

구성하 다. 본 환간호 로그램은 실무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효율성을 고려하여 실이 결정된 그 순간부터 퇴원할 때까지 체 과정동안 환자

실과 병동 간호사뿐만 아니라 환자와 가족의 참여가 자율 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환자간호, 병동연계, 리더쉽 역은 환자실과 병동간호사가 직 운

하고, 특히 리더쉽 역에서는 간호사가 주도 으로 활동하며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하 다. 동과 조정 역에서는 환자의 임상 문제나 환과 련된 문제를

Page 108: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93 -

다양한 측면에서 도울 수 있도록 다학제간 근이 이루어지도록 하 다. 환자와 가족

의 교육 지지 역은 환자와 가족이 직 참여할 수 있으며, 의료진과의 상호작용

을 통하여 환과 련한 문제를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 다.

구체 으로 살펴보면, 재가 제공되는 장소는 환자실에서 시작하여 실 후 일

반병동에서 종료하며, 재는 환자실과 일반병동 간호사에 의해 제공되고, 재의

목표는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원활하게 환할 수 있도록 환자와 가족 그리고 의

료진 모두가 함께 참여하고 비하며 일반병실에서 순조롭게 치료 과정을 마침으로

써 성공 인 환을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다.

환자간호 역에서는 실하는 시 에서 갑작스럽게 모니터를 제거하는 것, 환자

실에 비해 환자와의 치료 의 빈도가 상 으로 은 일반병동의 환경이 환자

와 가족들로 하여 불안을 느끼게 하므로 일반병실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기 해

용하고 있는 모니터를 단계 으로 제거하고, 환자와의 치료 을 차 여나

가도록 하 다(Coyle, 2001; Beard, 2005). 이는 환자실에 있으면서 친숙했던 의료진

과 더 안 하게 느 던 환경을 잃게 되면서 심리 인 불안을 경험하고(Coyle, 2001),

환 스트 스가 유발되지 않도록 하기 함이었다(Mckinney & Melby, 2002). 간호

사들은 환자와 가족의 환 불안을 감소시키기 해 치료의 지속성을 유지할 책임이

있기 때문에(Watts et al., 2005) 일반병동에서도 환자에게 필요한 간호활동들을 악

하 다. 한 실이 이루어지는 시 에서는 실과 련된 기록을 마무리하며, 안

한 환을 해 이동과정 동안에도 환자의 임상 인 상태를 악하고, 필요시에는 의

료장비를 용하도록 하 다. 일반병동으로 실한 후에도 환자의 임상 인 상태를

지속 으로 악하고, 직 간호를 제공하며, 환자의 치료일정을 악하고, 치료 역

할이행 여부를 확인하며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해 신속하게 처하도록 하

고,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수 약물복용에 해서도 악하게 하 다.

병동연계 역은 돌 의 연속성이 환자실에서 일반병동으로 실하면서 유지되도

록 치료 인 환경을 조성하고 필요한 의료장비를 일반병동에서도 미리 비할 수 있

도록 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간의 의사소통을 통한 상호교류를 의미한다.

실이 이루어지는 시 에서는 환자의 치료와 가족과 련된 정보까지도 일반병동 간

Page 109: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94 -

호사에게 상세히 달하도록 구성하 다. Whittaker와 Ball (2000)은 환자실에서 일

반병실로 실할 때 비 력 인 실과정, 환자 인수인계 시 부족한 의사소통, 환자

실과 일반병실 간의 담간호사 부재, 일반병실의 부족한 물품 등이 사 력을 통

해 해결되어야 하며, 환자나 가족이 실과정에 만족하지 않는다면 일반병실 생활에

응하는데 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하 다.

환자와 가족의 교육 지지 역에서는 환으로 인한 불안과 스트 스를 감소시키

기 해 환자와 가족에게 정서 , 실무 지지를 제공하도록 하 다. 이는 환으로

인한 스트 스가 높을 경우, 질병 회복과정에 한 개인의 처능력이 하되고 병동

에서 이루어지는 치료활동에 소극 으로 참여하게 되며, 심지어는 의료진에 한 불

신으로 이어져, 입원기간의 연장 삶의 질 하까지도 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Leith, 1999). 갑작스럽게 환하는 것은 환자와 가족의 불안을 증가시키므로 환자와

가족이 여유롭게 환을 비할 수 있도록 환과 련된 다양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

이 필요하다(McKinney & Melby, 2002).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 환자와 가족, 의료진과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확인

된 교육 인 요구를 반 하여 내용을 구성하 으며, 환자실과 일반병실간의 차이,

환과정, 일반병실 생활정보, 추후 리, 주의사항, 제한 혹은 허용 가능한 사항, 약물

복용에 한 교육내용들을 포함하 다. 환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환 차에 하

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하 으며, 환 후 일반병동에서는 환자와 가족에게 필요한

교육과 직 간호에 한 술기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 다. 환자의 특성에 따라 개별

면담이나 교육, 가족모임 등의 방법을 용할 수 있도록 치료 간호에 한 소책자

와 환과정과 일반병실 소개 퇴원 차에 한 리 렛을 제작하 고, 직 시범이

나 실습, 일반병실 방문도 활용하도록 하 다. 이는 손연정(2009)이 내ㆍ외과 환자들

을 상으로 환자실과 병동간 연계형 환간호 로그램에서 이용하 던 방법과 유

사하 다.

동과 조정 역에서는 환의 유형이 인간의 경험으로부터 다양한 형태로 분류되

며, 환의 양상 한 단일하거나 다수, 인과 이거나 동시 , 계 이거나 무 계

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Meleis et al., 2000) 다학제간 근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

Page 110: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95 -

다.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의 실 계획은 서로 합의된 목표를 달성하고 치료의 연

속성을 유지하기 해 모든 의료진들이 조율된 방식으로 함께 동하는 역동 인 과

정이다(Watts, 2004). 그러므로 실 시에는 환자실과 일반 병실의 의료진과 환자

수송 은 상호 연계 으로 환자의 건강수 과 상태에 따라 요구되는 간호서비스와

련 물품이나 비품, 보호자의 요구를 사 에 확인하여 비사항이나 인수인계사항이

미비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박진희, 유문숙, 손연정과 배선형, 2010). 본 연구에서

도 환 련 문제를 해결하기 해 필요한 경우 다학제간 근을 시도하도록 하

다. 실이 이루어지는 시 에서는 병실배정을 해 원무 과 의사소통하 고, 배식

에 실이 이루어질 경우 양 에도 정보를 제공하며, 환자의 안 한 이동을 해

이송을 담당하는 과도 상호 동 하도록 하 다.

리더쉽 역에서는 환이 이루어지는 체 과정동안 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가 지도력을 발휘하여 원활한 환이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하 다. 환자

문간호사의 역할 에서 리더쉽에서는 변화 진자, 역할 모델 옹호자로서 임상

지도력을 발휘하는 지도자를 제시하고 있다(김미원, 2006).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

결정사항에 하여 간호사가 환자나 가족에게 일방 으로 통보하는 형식이 아닌 설명

을 통해 환자와 가족이 환에 해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돕고, 환간호 계획을

환자와 가족이 함께 세워서 환에 한 참여를 높이도록 구성하 다. 한 일반병실

환을 이미 경험한 상자들과의 만남을 통해 경험을 나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

으며, 실이 이루어지는 시 에서는 환자의 개인 소지품뿐만 아니라 치료와 련된

물품 등을 정리하여 분실되지 않도록 하고, 안 한 이동을 해 의료장비를 비하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 의료진의 동반여부를 결정하도록 하 다. 환자실과 일반병동의

실 비가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안 하게 실이 완료되었는지도 확인하며, 일

반병실로 실한 후에는 일반병동 간호사가 환자의 치료와 련된 심사를 논의하

고, 문제가 발생하면 신속하게 해결하며, 환자와 가족 의료진이 함께 퇴원계획을

세우고 퇴원 요구도 비정도를 악하도록 하 다.

일반병실로 환하기로 결정된 10 의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상으로 개발된 환

간호 로그램의 임상 용에 한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 실무에서 활용하는데 어려움

Page 111: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96 -

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환간호 로그램은 환간호의 질과 실무를 향상시키는데 도

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지속 으로 추후 리나 재활치료가 필요한 뇌손상 환

자들의 경우는 퇴원 후에도 정기 인 외래 리나 가정간호서비스를 연계하여 지역사

회까지 확 용할 수 있는 환간호 로그램을 개발 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6 . 2 뇌 손 상 환 자 와 가 족 상 을 한 환 간 호 로

그램 평가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하는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상으로 개발한

환간호 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해 환조건과 반응양상에 한 가설을 설정

하 으며, 가설 검정에 한 결과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6 . 2 . 1 환 간 호 로 그 램 이 개 인 환 의 조 건 에 미 치 는

효 과

본 연구에서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조군 보다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실 비와 퇴원 비정도가 향상

될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하여 검정한 결과 지지되었다. 환의 조건은 정 인

환을 진하는 요인과 억제하는 요인으로 구분되는데, 진요인을 강화시킴으로써

환의 과정을 원활하게 하여 정 인 반응양상과 건강한 환결과가 나타난다

(Meleis et al, 2000). 환이론에서 간호치료를 제공하기 에 상자의 환 비정도

를 먼 사정하는 것은 상자를 보다 포 으로 이해하기 함이며(Schumacher &

Page 112: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97 -

Meleis, 1994), 이를 통해 상자의 환과 련된 요구도를 정확하게 악함으로써

정 인 결과를 유도하기 함이다. 그러나 지 까지 환이론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연구 에서 본 연구의 결과와 비교할 수 있는 선행연구가 없으므로 향후 환자실에

서 일반병실로 환하는 환자와 가족의 환 비정도를 반복측정해 볼 필요가 있다.

환간호 로그램에 참여한 뇌손상 환자와 가족은 환 비상태가 향상되므로

일반병실로 환하는 과정동안 발생할 수 있는 문제(adverse event)를 방할 수 있

어서 환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될 것으로 측할 수 있다.

한 환자실로부터 일반병실로 실한 후 상태가 회복되어 퇴원이 정인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상으로 퇴원 비정도를 악한 선행연구가 없어 직 으로 비교하

기는 어려우나 본 연구에서 퇴원 비정도가 향상된 것은 조순 (2008)이 군병원

에서 퇴원하는 환자를 상으로 개발한 환 리 로그램의 효과와 유사하 다. 이

연구에서는 Weiss 등(2006)이 퇴원하는 내ㆍ외과 환자 147명을 상으로 개발한 퇴원

비 측정도구를 이용하 는데, 환 리 로그램에 참여한 군병원 환자는 조군보

다 퇴원 비정도가 높았다. Kleinpell (2004)은 환자실에 입실한 65세 이상의 노인

환자들을 상으로 조기 퇴원계획 재를 제공하여 퇴원 비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악하 다. 실험군은 환자실에 입실한 후 24-48시간 이내에 퇴원계획 설문지를 이용

하여 스크리닝을 받았으며, 퇴원가능성을 사정하기 해 환자상태를 매일 추 리하

고, 환자들에게 퇴원 비에 한 인식 내용이 포함된 인터뷰를 실시하 다. 그 결

과 실험군은 조군보다 퇴원 비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환자실 기반 조기 퇴

원계획(ICU based early discharge planning)은 노인 환자의 퇴원 비에 정 인

향을 미친다고 제안하 다. 한 퇴원하기 환자의 비정도를 도구를 이용하여

악하는 것은 간호업무를 표 화할 뿐만 아니라 퇴원 후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건강

리에도 향을 미친다고 하 다.

그러므로 환자실 환자와 가족이 일반병실로 환하기 에 환 비정도를 확인

하는 과정을 통해 개별 이며 구체 인 환간호 재를 수행하는데 확고한 근거를 마

련할 필요가 있다. 한 사정된 환 비정도에 따라 한 환간호 재가 제공됨

으로 인해 돌 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age 113: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98 -

6 . 2 . 2 환 간 호 로 그 램 이 반 응 양 상 에 미 치 는 효 과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한 환간호 로그램을 용한 실험군

의 반응양상( 환 스트 스, 환 불안, 주 건강상태, 가족 부담감, 환자실 재입

실 발생건수, 일반병실 재원기간, 환간호 로그램 만족도)은 조군보다 정 일

것이다.” 라는 가설을 검정한 결과 지지되었다. 환의 요한 특성은 환의 본질 자

체가 정 이므로, 환이 종료되었다는 것은 환하는 상자가 환이 이루어지기

이 처럼 안정 이거나 그 이상의 상태에 도달하게 됨을 의미한다(Chick & Meleis,

1986). 환이 성공 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환의 결과는 건강한 환으로서 이는

반응양상을 측정하여 정 인 결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직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환이론에서 정 인 반응양상은 한 간호치료 즉 간호 재를 통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환 스트 스를 측정할 수 있는 합한 도구가 없어 NRS를 이용하

으며, 그 결과를 비교분석할 수 있는 유사한 선행연구가 없어 직 으로 비교분석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손연정(2009)은 내ㆍ외과 환자를 상으로 개발한 실간

호 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해 손연정(2008)의 실 스트 스 증후군 도구로

실 스트 스를 측정한 결과 실 스트 스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서 손연정(2008)의 실 스트 스 증후군 도구를 사용하지 않은 것은 환 환자

실에서 경험한 스트 스와 환 후 일반병실에서 경험한 스트 스는 서로 다른 상

이기 때문에 이 도구를 이용하여 비교하는 것은 하지 않다고 단했기 때문이었

다. 그러므로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하는 과정에서 환자와 가족이 경험하는

스트 스를 보다 정확하게 악하기 해서는 환 스트 스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

를 개발이 필요하다. 환자실 환자가 일반병실로 이동하면서 경험하는 환 스트

스가 높은 경우, 질병회복에 한 개인의 처능력이 감소하게 되고, 일반병실에서 이

루어지는 치료활동에 소극 으로 참여하게 되며, 입원 기간의 연장되는 등 반 인

삶의 질이 하된다(Watts et al., 2005). 환 스트 스와 련된 요인으로는 상자

의 연령, 주간호제공자, 과거 입원경험, 증도, 환자실 재원기간, 증상경험과 같은

Page 114: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99 -

개인 요인(Baldwin, Hinge, Dorsett, & Boyd, 2009; Chaboyer et al., 2005; Cutler

& Garner, 1995; McGuire, Basten, Ryan, & Gallagher, 2000), 환자실과 일반병동

간의 물리 인 환경 차이, 감시장치 의료진의 변화와 같은 환경변화 요인(Leith,

1999; McKinney & Deeny, 2002; Odell, 2000), 환과정 일반병동에 한 정보부

족, 정되지 않았거나 야간에 이루어지는 환과 같은 환 련 특성(Paul, Hendry,

& Cabrelli, 2004; Strahan & Brown, 2005; Wesson, 1997), 그 밖에도 제공되는 간호

에 한 지각, 경제수 (박진희 등, 2010)이 언 되고 있다. 이에 국외에서는 일반 병

실에서 이루어지는 간호 서비스에 한 교육 자료를 환자와 가족에게 제공하거나

(Paul et al., 2004), 환자실과 병실의 간과정인“step-down” 병동을 활성화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Coyle, 2001; Whittaker & Ball, 2000), 환자실과 일반병실로의

환간호를 담당하는 담간호사(liaison nurse)를 양성하여 활용하는 것(Chaboyer et

al., 2005)과 같은 다양한 략을 강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환 불안은 환간호 로그램의 용을 통해 감소하 는데, 이는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하는 상자에게 환자실 연계간호사가 환간호 서비

스를 제공한 결과 환자와 가족의 환 불안정도가 조군보다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

다고 한 결과(Chaboyer et al., 2007)와 유사하 다. 한 소아 환자실에 입원한 환아

의 부모를 상으로 병동으로 실하기 에 요구도에 근거하여 개발한 소책자를 이

용한 개별화된 환교육을 제공한 결과 부모를 포함한 주돌 제공자의 환불안과 불

확실성이 감소되었다는 결과(Mitchell & Courtney, 2004)와 유사하 다. Gustad,

Chaboyer와 Wallis(2008)는 환자실 재원기간이 24시간 이상이었던 환자 35명을

상으로 실이 결정된 시 , 일반병실로 실한 후 4시간 이내의 시 , 24시간이 지난

시 에서 환불안 정도를 측정하여 비교하 다. 그 결과 일반병실로 실한 후 4시

간 이내의 시 에서 환 불안이 가장 높았는데, 이 시기에는 환자와 가족을 한 정

서 인 지지가 극 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결과 주 건강상태는 환간호 로그램의 용 후 향상되었는데, 이는

손연정(2009)이 일반병동으로 환하는 내ㆍ외과 환자에게 환간호 로그램을 제공

하고 퇴원 과 퇴원 2주 후에 지각된 건강상태를 측정한 결과 환자가 스스로 느끼는

Page 115: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00 -

건강상태가 향상되었다고 한 결과와 유사하 다. 뿐만 아니라 제술을 받은 암환

자와 가족에게 5권으로 제작한 소책자를 이용하여 총 4주간의 교육과 상담을 제공한

결과 일상 인 돌 을 받았던 환자와 가족에 비해 반 인 건강상태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이은옥, 박 애와 권인각, 1994). 그러나 암환자를 상으로 퇴원 과 퇴원

후 2주까지 소책자를 이용한 교육, 가정방문 화상담 등을 이용한 퇴원교육 로

그램을 용한 결과 실험군과 조군의 건강문제에 차이가 없었다고 한 연구(권인수와

은 , 2001)와는 달랐다. 이에 질병의 종류와 증도에 따라 환자의 건강상태나 회복정

도가 다르므로 다양한 환자를 상으로 반복연구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 가족 부담감은 환간호 로그램의 용 후 감소하 는데, 손연정

(2009)은 일반병동으로 환하는 내ㆍ외과 환자의 가족에게 환간호 로그램을 제

공한 결과 가족의 부담감이 기존의 간호를 받은 가족에 비해 낮았다고 하여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 다. 한 권인수와 은 (2001)이 퇴원교육 로그램을 용받은 암환

자의 가족이 그 지 않은 경우보다 가족에 비해 가족이 느끼는 부담감 정도가 낮았다

고 하여 연구의 결과와도 유사하 다. 우리나라 의료 환경에서는 환자실 환자들이

성기를 지나 회복기에 어들면 일반병실로 실하여 가족 한명이 병실에 상주

하면서 돌보게 되는 경우가 부분이다. 이로 인해 가족들은 불안이나 우울, 충격, 불

신, 부정, 분노 등의 부정 인 정서를 가지게 되며, 지속 인 간병으로 인한 만성 피

로, 수면부족, 신체 건강상태의 악화로 삶의 질이 하되는 부정 인 경험을 하게

된다. 한 뇌손상 환자를 돌보는데 많은 시간을 보내므로 자유롭게 개인 인 시간을

보낼 수 없으며 사회 으로 고립되어 사회망의 크기가 어들게 되고 수입의 단

감소와 치료비로 인해 경제 인 부담도 높아지게 된다(Hawley & Joseph, 2008;

Jumisko, Lexell, & So¨derberg, 2005; Lane-Brown & Tate, 2009). 가족들은 부담스

럽고 불확실한 상황을 극복하기 해 환자의 회복단계에 따라 다양하고 범 한 정

보를 원하게 되므로(Coco, Tossavainen, Jääskeläinen, & Turunen, 2011) 본 연구에서

개발한 환간호 로그램과 같은 다양한 재가 용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의 결과 환자실 재입실 발생건수와 일반병실 재원기간은 두 군간에 유의

한 차이가 없었다. Eliott 등(2008)은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하는 환자를 상

Page 116: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01 -

으로 환자실 연계간호사가 환간호서비스를 제공한 결과 병원 환자실 재원일

수와 병원 사망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환자실에서 퇴실하는 시간과 환자실

로 재입실하 던 환자들의 환자실 재원일수가 감소하 다. 그러나 환자실 입원환

자수가 13% 증가하 는데, 이는 환자실 병상 가동률이 증가한 결과라고 해석하

다. Endacott 등(2010)은 환자실에서 최근에 퇴실한 환자들을 상으로 환자실 연

계간호사 서비스의 효과를 악한 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연계간호사의 활동

으로 인해 상치 못한 사망이나 외과 인 처치, 환자실로의 환 등과 같은 유해

사례의 발생이 방된다고 주장하 다. Chaboyer 등(2012)은 연계간호사가 재설계된

환자실 퇴실간호를 용한 후 사망률, 환자실 퇴실 시 지연되는 시간, 72시간 내

환자실 재입실률을 악한 결과 환자실 평균 퇴실시간이 단축되었다고 하 다.

손연정(2009)이 환자실과 병동간 연계형 환간호 로그램을 용한 결과 병원 재

입원과 장기 입원한 환자의 수가 각각 조군보다 더 었다. 환간호 로그램이

환자실 재입실 발생건수와 일반병실 입원기간에 효과가 없었던 것은 로그램을 단

기간 용하 기 때문으로 추정되므로 앞으로 실무에서 장기간 용하는 것이 필요하

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의 결과 환간호 로그램에 한 만족도는 실험군이 조군보다 높았는

데, 이는 손연정(2009)이 환간호 로그램을 받은 환자와 가족의 간호만족도가 조

군보다 높았다고 한 결과와 유사하 다. 인공 치환술(고 , 슬 )과 척추 련

수술을 받은 환자와 보호자를 상으로 개발한 퇴원환자 교육지침서를 이용하여 교육

한 선행연구에서는 환자와 보호자의 만족도가 기존 안내문을 제공받았던 환자와 보호

자보다 높았다고 하 으며, 퇴원시 제공되는 교육이 요하며, 일회성 교육이 아닌 지

속 인 교육이 필요함을 강조하 다(구진실과 최복실, 2007). 한 권인수와 은

(2001)은 암환자와 가족 모두 퇴원교육 로그램을 받은 군이 조군보다 간호만족도

수 이 높았다고 하여 본 연구와 유사하 다.

상자의 환과정 반에 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환 스트 스가 낮았으며,

환과정이 정에 따라 순조롭고 원활하게 진행될 때 환자의 실 련 스트 스가 감

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박진희 등, 2010). 그러므로 환자와 가족의 신체 ㆍ정서 인

Page 117: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02 -

안정을 도모하기 해 환과 련된 상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

하는 것이 필요하다.

결론 으로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상으로 개발한 환간호 로

그램은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하는 과정동안 환자와 그들의 가족으로부터

정 인 반응양상을 이끌어내었으며, 궁극 으로 성공 인 환을 경험하도록 돕는 것

으로 나타났다.

6 . 3 연 구 의 의의

본 연구의 의의를 간호이론, 간호연구, 간호실무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6 . 3 . 1 간 호 이 론

Meleis 등(2000)의 환이론은 비교 최근에 개발된 범 이론으로서 앞으로 다

양한 실무에서 검증되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데 이러한 시기에 Meleis 등(2000)

의 환이론을 이용하여 로그램 개발하여 용한 결과 정 인 효과를 확인하

으므로 실무에서 Meleis 등(2000)의 환이론의 용가능성에 한 타당도를 높 다

는 에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지 까지 환이론을 토 로 하여 이루어

진 선행연구들은 주로 임신과 모성, 폐경, 선천성 심장질환 아동 부모의 경험, 이민

경험 등이었지만(조순 , 2008; Meleis, et al, 2000), 본 연구는 환자실에서 일반병

실로 환하는 상자들에게 용할 수 있는 로그램을 개발하 고 효과를 검증함

으로써 환이론의 용이 하 다는 것을 입증하 다는 에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Page 118: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03 -

6 . 3 . 2 간 호 연 구

본 연구는 환간호 실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로그램을 개발하기 해 다양한 연

구방법론을 이용하 으며, 개발된 로그램에 한 효과를 평가함으로서 실무에서의

용가능성을 검증하 다. 이로 인해 본 연구가 근거기반실무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하

으며, 실무에서 효율 이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6 . 3 . 3 간 호 실 무

본 연구에서 개발한 로그램은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하는 뇌손상

환자와 가족, 의료진 등 환과정에 참여하는 모든 상자들의 요구, 의견, 생각이나

느낌, 경험 등을 고려하여 개발되었으며, 로그램의 효과가 과학 으로 입증되었으므

로 환간호 실무에서 환하는 상자들에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환간호의 질과 실무가 향상될 수 있으며, 상자 측면에서는 양질의 환간호 서비

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어 임상 인 결과가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6 . 4 연 구 의 제 한

본 연구의 제한 은 환자 환간호 실무의 다양한 상황을 반 하기 해 타기

의 문가에게도 내용 타당도 검증을 의뢰하 지만, 일개 학병원에서만 용하 으

므로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이 따른다.

한 본 연구는 비동등성 조군 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 연구로서 조군 자

료를 미리 수집하 고, 이후 실험군의 자료를 수집하 기 때문에 연구결과에 향을

미칠 수 있는 제 3변수의 개입에 한 가능성을 제기할 수 있다.

Page 119: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04 -

제 7 장 결 론 제 언

7 . 1 결 론

본 연구는 Meleis 등(2000)의 환이론을 기반으로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실

로 환하는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상으로 환간호 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평가하 다.

로그램을 개발하기 해서 문헌고찰, 뇌손상 환자와 가족 련된 의료진과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 환간호기록 내용분석을 통해 로그램안을 구성하 으며, 문

가와 사용자 집단을 상으로 내용타당도 임상 용가능성 검증을 통해 최종 환

간호 로그램을 개발하 다.

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해서 비동등성 조군 후 설계의 유사실험연구를

수행하 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 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최종 개발된 로그램은 환의 주요 시 별( 환이 결정된 시 , 일반병실로 실

시 , 환 후 시 )로 재목표가 설정되었으며, 간호 역은 환자 간호, 병동

연계, 환자와 가족의 교육 지지, 자문 동, 리더쉽으로 분류되었고 각각의

재내용과 방법 자원이 구성되었다.

2) 로그램의 효과는 환 조건에서 실험군의 환 비 수와 퇴원 비 수가 조군

보다 높았으며, 반응양상에서 실험군의 환 스트 스, 환 불안, 가족 부담감이

조군보다 낮았고, 실험군의 로그램 만족도는 조군보다 높았다. 그러나 실험군의

환자실 재입실 건수와 일반병실 재원기간은 조군보다 감소한 경향이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age 120: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05 -

결론 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신경계 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 상의 환

간호 로그램은 환에 한 인식과 참여를 증진시켰으며, 환의 조건을 진시킴

으로서 정 인 반응양상을 이끌어냈고, 더 나아가 성공 인 환을 경험하는데 기

여하 다.

7 . 2 제 언

본 연구의 결과를 토 로 간호이론, 간호연구, 간호실무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제언

한다.

7 . 2 . 1 간 호 이 론

본 연구의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하는 뇌손상 환자와 가족 상의

환간호 로그램 개발하기 해 용한 Meleis 등(2000)의 환이론을 병원에서 가

정으로 혹은 규모가 작은 의료기 으로의 원이나 그 밖에 지역사회나 시설 등으로

의 환 혹은 반 의 상황인 질병의 악화로 인해 환자실이나 병원으로의 입원과 같

은 환까지 용범 를 확 하여 이론의 일반성이 검증되기를 제언한다.

증 뇌손상 환자의 경우는 성기가 지나면 만성으로 진행되어 지속 인 돌 이

필요하므로 환자에게는 발달 인 측면에서의 환을 다루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

요가 있으며, 한 그 가족들은 지속 인 돌 이 요구되는 환자로 인해 불가피하게

역할 환이 이루어지므로 역할변화에 을 둔 연구를 제언한다.

Page 121: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06 -

7 . 2 . 2 간 호 연 구

본 연구는 환자실에서 환이 결정된 시 부터 환간호 로그램을 용하기 시

작하여 퇴원할 때 종료되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므로 퇴원 후의 장기 인 추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추후 연구에서는 퇴원 후 가정에서 혹은 요양병원이나 재

활병원까지도 확 용하여 돌 의 연속성이 지속 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평가해

볼 것을 제언한다.

본 연구에서는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할 때 환자와 가족이 경험하는 환

스트 스를 측정하기 해 NRS를 이용하 다. 이는 환 스트 스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실

할 때 상자들이 경험하는 환 스트 스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할 것을 제

언한다.

한 환자실에서 장기간 입원했던 환자들의 경우는 일반병실에서도 간호요구도가

높아 일반병실로 환한 후에도 빨리 퇴원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병실로 환한 후

응에 한 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서술 연구를 제언하며, 더불어 환 응에

한 개념 개발 측정 도구를 개발할 것을 제언한다.

병원규모별로 환간호실무가 어떠한지를 악할 수 있도록 탐색연구를 제언하며,

성공 인 환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악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환간호 로그램은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상으로 하 으

나, 본 로그램을 수정ㆍ보완하여 모든 환자실 환자와 가족에게 용하여 효과를

측정할 수 있도록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환과정을 진시키는 요인과 장애요인을 규명하여 환간호 실무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해 환에 참여하는 환자, 가족, 련된 의료진을 상으로

심층면담을 이용하여 환과정에서의 경험을 확인하는 질 연구를 제언한다.

Page 122: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07 -

7 . 2 . 3 간 호 실 무

본 연구에서 개발한 환간호 로그램이 실무에서 극 으로 활용되기 해 환

간호 실무를 담당하는 의료진의 인식을 높여야 할 것이다. 이를 한 략이 모색되

어야 함을 제언하며, 이러한 결과는 근거기반 실무를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

된다.

한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하는 환자와 가족이 정 인 환경험을 할 수

있도록 환간호를 주도하는 문간호사 형태의 간호 역할이 도입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는 정 인 임상 효과뿐만 아니라 간호의 연속성을 유지 환간

호를 담당하는 환자실과 일반병동 간호사들의 부담감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생각

된다.

Page 123: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08 -

참 고 문 헌

강복희(2000). 뇌졸 후 편마비 환자의 가족지지와 일상생활동작 수행과의 계분석.

재활 간호학회지, 3(1), 5-14.

구진실, 최복실(2007). 퇴원환자의 교육지침서 개발 제공으로 환자 보호자의 만

족도 증진. 한국의료QA학회지, 7(3), 437-438.

권보은(2001). 뇌졸 환자의 간호성과지표 (nursing outcome indicators) 개발. 연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권인수, 은 (2001). 암환자의 퇴원후 계속 간호 로그램 개발 암환자의 퇴원후 계속

간호 로그램 개발. 한간호학회지, 31(1), 81-93.

김미원(2006). 문 간호사 제도 황 발 과제. 간호학탐구, 15(2), 35-67.

김분한, 최필순(2000). 말기 암환자 배우자의 체험, 질 연구, 1(2), 60-73.

김정택, 신동균(1978). STAI의 한국표 화에 한 연구. 최신의학, 21(11), 69-75.

박 숙(1991). 산욕기 산모의 모성 환과정. 서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박진희, 유문숙, 손연정, 배선형(2010). 환자실환자의 일반병동 실시 스트 스

향요인. 한간호학회지, 40(3), 307-316.

서미혜, 오가실(1993). 만성질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한 연구. 한간호학회지, 23(3),

467-486.

손연정(2008). 실스트 스 증후군(Relocation Stress Syndrome: RSS) 측정도구 개

발. 임상간호연구, 14(1), 139-150.

손연정(2009). 환자실 환자의 간호지속성 유지를 한 환자실-병동간 연계형 환

간호 로그램 개발 효과. 임상간호연구, 15(3), 143-155.

양 희(1992). 만성 입원 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역할 스트 스와 건강에 한 이론

구조 모형. 서울 학교 학원.

오동일(2006). 원가분석을 통한 환자실 입원료 개선방안. 경 학연구, 35(4),

1181-1202.

Page 124: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09 -

오 수(2001). 무의식 환자를 한 감각자극 재 로그램이 환자의 의식상태에 미치

는 효과 분석. 한간호학회지, 31(5), 885-896.

오 수, 김 란, 서화숙, 서연옥(2005). 후 성기 뇌손상 환자를 한 인지재활 로그

램의 개발. 한간호학회, 35(2), 270-281.

유수경(2002). 뇌손상 환자 가족의 부담감과 간호요구. 경북간호과학지. 6(1), 1-20.

이언, 박 겸, 조해동, 유 락, 김남규, 정환 (1982). 추신경계 질환 진단에 있어서의

발암태생항원과 알 태생단백 측정의 의의. 한신경외과학회지, 11(4), 499-506.

이 자(2000). 퇴원교육 로그램이 뇌 수술환자의 역할행 이행에 미치는 향.

남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이은옥, 박 애, 권인각(1994). 암환자 퇴원교육 로그램이 환자와 가족의 반 인

건강에 미치는 향. 성인간호학회지, 6(2), 308-323.

이정희, 성 희, 이 희, 조용애, 권인각(2007). 환자실 간호사 환자 문간호사

의 역할 규명을 한 연구. 임상간호연구, 13(3), 93-108.

장연수(2001). 환자실의 입실과 퇴실 기 개발. 성인간호학회지, 13(2), 291-304,

은 (1996). 암환아 가족의 가족 환에 향을 미치는 요인에 한 구조모형. 경희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조순 (2008). 군병원 퇴원환자의 환 리 로그램 개발 효과 평가. 연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조인숙, 박 숙(2004). 년여성의 환상태 모델. 한간호학회지, 34(3), 515-524.

채선미(2001). 출생체 아 이행간호 로그램 (Transitional Care Program) 개발

평가. 연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한 인(2004). 뇌손상환자 배우자의 체험. 고신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한정옥(2010). 환자실 환자의 실스트 스에 향을 미치는 요인. 남 학교 학

원 석사학 논문

통계청(2011). 2010년도 사망 통계 연보. 서울.

Anthony, M. K. & Hudson-barr, D. (2004). A patient-centered model of care for

hospital discharge. Clinical Nursing Research, 13(2), 117-136.

Page 125: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10 -

Archbold, P. G., Stewart, B. J., Greenlick, M. R., & Harvath, T. (1990). Mutuality

and preparedness as predictors of caregiver role strain.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3(6), 375-384.

Baldwin, F. J., Hinge, D., Dorsett, J., & Boyd, O. F. (2009). Quality of life and

persisting symptoms in intensive care unit survivors: Implications for care after

discharge. BMC Research Notes, 2(160), 1-7.

Beard H. (2005). Does intermediate care minimize relocation stress for patients

leaving the ICU? Nursing in Critical Care, 10(6), 272-278.

Bigler, (1989). Behavioural and cognitive changes in traumatic brain injury: a

spouse's perspective. Brain Injury. 3(1), 73-78.

Brand, S. L. (2006). Nurses' role in discharge decision making in an adult high

dependency unit.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2(2), 106-114.

Brown, P. L. (1992). The burden of caring for a husband with Alzheimer's

disease. Home Health Care Nurse, 9(3), 33-38.

Cantor, M. H. (1983). Strain among caregivers: a study of experience in the

United State. The Gerontologist, 23(6), 597-604.

Chaboyer, W. (2006). Intensive care and beyond: Improving the transitional

experiences for critically ill patients and their families.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2(4), 187-193.

Chaboyer, W., Foster, M. M., Foster, M., & Kendall, E. (2004). The intensive care

unit liaison nurse: towards a clear role description.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0(2), 77-86.

Chaboyer, W., Foster, M., Kendall, E., & James, H. (2004). The impact of a

liaison nurse on ICU nurses' perceptions of discharge planning. Australian

Critical Care, 17(1), 25-32.

Chaboyer, W., Gillespie, B., Foster, M., & Kendall, M. (2005). The impact of an

ICU liaison nurse: a case study of ward nurses' perceptions. Journal of

Page 126: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11 -

Clinical Nursing, 14(6), 766-775.

Chaboyer, W., James, H., & Kendall, M. (2005). Transitional care after the

intensive care unit. Critical Care Nurse, 25(3), 16-29.

Chaboyer, W., Lin, F., Foster, M., Retallick, L., Panuwatwanich, K., & Richards, B.

(2012). Redesigning the ICU nursing discharge process: a quality improvement

study.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9(1), 40-48.

Chaboyer, W., Thalib, L., Alcorn, K., & Foster, M. (2007). The effect of an ICU

liaison nurse on patients and family's anxiety prior to transfer to the ward: an

intervention study.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3(6), 362-369.

Chaboyer, W., Thalib, L., Foster, M., Elliott, D., Endacott, R., & Richards, B.

(2006). The impact of an ICU liaison nurse on discharge delay in patients after

prolonged ICU stay. Anaesthesia Intensive Care. 34(1), 55-60.

Chick, N. & Meleis, A. I. (1986). Transition : A nursing concern. in Chinn, P.(Ed).

Nursing Research Methodology Issues and Implementation. Rockville, Md :

Aspen.

Clark-Steffen, L. (1993). A model of the family transition to living with childhood

cancer. Cancer Practice, 1(4), 285-292.

Coco, K., Tossavainen, K., Jääskeläinen, J. E., & Turunen, H. (2011). Support for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family members in neurosurgical nursing: a

systematic review. The Journal of Neuroscience of Nursing, 43(6), 337-348.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Coombs, M., & Dillon, A. (2002). Crossing boundaries, re-defining care: the role of

the critical care outreach team.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1(3), 387-393.

Coyle, M. A. (2001). Transfer anxiety: Preparing to leave intensive care. Intensive

& Critical Care Nursing, 17(3), 138-143.

Cutler, L., & Garner, M. (1995). Reducing relocation stress after discharge from

Page 127: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12 -

the intensive therapy unit.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11(6), 333-335.

Davidson, P. M., Dracup, K., Phillips, J., Padilla, G., & Daly, J. (2007). Maintaining

hope in transition : A theoretical framework to guide intervention for people

with heart failure.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2(1), 58-64.

Davis, S. (2005). Meleis's theory of nursing transitions and relatives' experiences

of nursing home entr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2(6), 658-671.

Eliott, S. J., Ernest, D., Doric, A. G., Page, K. N., Worrall-Carter, L. J., Thalib, L.,

& Chaboyer, W. (2008). The impact of an ICU liaison nurse service on patient

outcomes. Critical Care and Resuscitation, 10(4), 296-300.

Endacott, R. & Chaboyer, W. (2006). The nursing role in ICU outreach: an

international exploratory study. Nursing in Critical Care, 11(2), 94-102.

Endacott, R., Chaboyer, W., Edington, J., & Thalib, L. (2010). Impact of an ICU

liaison nurse service on major adverse events in patients recently discharged

from ICU. Resuscitation, 81(2), 198-201.

Green, A. L., & Williams, A. (2006). An evaluation of an early warning clinical

marker referral tool.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2(5), 274-282.

Gustad, L. T., Chaboyer, W., & Wallis, M. (2008). ICU patient's transfer anxiety:

a prospective cohort study. Australian Critical Care, 21(4), 181-189.

Hawley, C. A., & Joseph, S. (2008). Predictors of positive growth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A longitudinal study. Brain Injury, 22(5), 427-435.

Hillman, K., Parr, M., Flabouris, A., Bishop, G., & Stewart, A. (2001). Redefining

in-hospital resuscitation: the concept of the medical emergency team.

Resuscitation 48(2), 105-110.

Hsieh, H, F., & Shannon, S. E. (2005).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5(9), 1277-1288.

Im, E. (2006). A situation-specific theory of caucasian cancer patient's pain

experience. Advances in Nursing Science, 29(3), 232-244.

Page 128: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13 -

Jumisko, E., Lexell, J., & So¨derberg, S. (2005). The meaning of living with

traumatic brain injury in people with moderate or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37(1), 42-50.

Krueger, R. A., & Casey, M. A. (2000).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3rd Edition-. USA: Sage Publication.

Kleinpell, R. M. (2004). Randomized trial of an intensive care unit-based early

discharge planning intervention for critically ill elderly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3(4), 335-345.

Kralik, D., Visentin, K., & van Loon A. (2006). Transition: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5(3), 320-329.

Lane-Brown, A., & Tate, R. (2009). Interventions for apathy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review). Cochrane Database Systematic Reviews(Online). 15(2),

CD006341, Retrieved from. http://www.thecochranelibrary.com

Leith, B. A. (1999). Patients' and family members' perceptions of transfer from

intensive care. Heart and Lung, 28(3), 210-218.

Lincoln, Y. S., & Guba, E. G. (1985). Effective evaluation. 4th ed. Sanfrancisco:

Jossey-Bass Publication.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6), 382-385.

Messias (1997).

McGuire, B. E., Basten, C. J., Ryan, C. J., & Gallagher, J. (2000). Intensive care

unit syndrome: A dangerous misnomer.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0(7),

906-909.

McKinney, A. A., & Deeny, P. (2002). Leaving the intensive care unit: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patient’ experience.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18(6), 320-331.

McKinney, A. A., & Melby, V. (2002). Relocation stress in critical care: a review

Page 129: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14 -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1(2), 149-157.

Meleis, A. I. (2007). Theoretical nursing. Development & Progress. Fourth

Edi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12-233.

Meleis, A. I., Sawyer, L. M., Im, E. O., Hilfinger Messias, D. K., & Schumacher,

K. (2000). Experiencing transitions: an emerging middle-range theory. American

in Nursing Science, 23(1), 12-28.

Meleis, A. I, & Trangenstein, P. A. (1994). Facilitating transitions: redefinition of

the nursing mission. Nursing Outlook, 42(6), 255-259.

Messias, D. H. K. (1997). Narratives of transitional migration, work, and health:

The lived experirnce of Brazili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Unpublished

Ph.D., University of Califonia, San Francisco.

Miles, M. S., Funk, S. G., & Kasper, M. A. (1991).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environment: sources of stress for parents. AACN Clinical Issues in

Critical Care Nursing, 2(2), 346-354.

Miller, B.(1990). Gender differences in spouse caregiver strain; Socialization and

role explanation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2, 311-321.

Mitchell, M. L., & Courtney, M. (2004). Reducing family members‘ anxiety and

uncertainty in illness around transfer from intensive care: an intervention study.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0(4), 223-231.

Mitchell, M. L., & Courtney, M. (2005). Improving transfer from the intensive care

unit: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brochure based on

knowledges' adult learning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1(6), 257-268.

Montgomery, R., Gonyea, J., & Hooyman, N. (1985). Caregiving and the experience

of subjective and objective burden. Family Relations, 34, 19-26.

Murphy, S. A. (1990). Human reponses to transition : A holistic nursing

perspective. Holistic Nursing Practice, 4(3), 1-7.

Page 130: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15 -

Norris, L. O., & Grove, S. K. (1986). Investigation of selected psychosocial needs

of family members of critically ill adult patients. Heart and Lung, 15(2),

194-199.

Odell, M. (2000). The patients’thoughts and feelings about their transfer from

intensive care to the general ward.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1(2),

322-329.

Paul, F., Hendry, C., & Cabrelli, L. (2004). Meeting patient and relatives'

information needs upon transfer from an intensive care unit: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information booklet.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3(3),

396-405.

Relman, A. S. (1980). Intensive care unit; who needs them?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02(17), 965-966.

Schlossberg, N. K. (1981). A model for analyzing human adaptation to transition.

The Counseling Psychologist, 9(2), 2-18.

Schumacher, K. L., & Meleis, A. I. (1994). Transitions: a central concept in

nursing. Image--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6(2), 119-127.

Sindhu, S., Suttipong, C., & Ratinthorn, A. (2007). Nursing therapeutic for research

application of transition theory. In K. O. Oh(Chair), Meeting Dr. Afaf Ibrabim

Meleis: Situation specific theory and transition theory. Conference conducted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ternational Annual Conference, Daejon, Korea.

Skärsäter, I., & Willman, A. (2006). The recovery process in major depression: an

analysis employing Meleis' transition framework for deeper understanding as a

foundation for nursing intervention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29(3),

245-259.

Spielberger, C. D. (1983).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m Y). Redwood City:

Mind Garden Inc.

Strahan, E. H., & Brown, R. J. (2005). A qualitative study of the experiences of

Page 131: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16 -

patients following transfer from intensive care unit.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1(3), 160-171.

Watts, R. (2004). Discharge planning in critical care. Unpublished Ph.D., LaTrobe

University, Melbourne.

Watts, R., Gardner, H., & Pierson, J. (2005). Factors that enhance or impede

critical care nurses' discharge planning practices.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1(5), 302-313.

Watts, R., Pierson, J., & Gardner, H. (2006). Critical care nurses' beliefs about the

discharge planning process: A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3(3), 269-279.

Weiss, M. E., & Piacentine, L. B. (2006).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readiness

for hospital discharge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4(3), 163-180.

Weiss, M. E., Piacentine, L. B., Ancona, J., Gresser, S., Toman, S., & Vega-

Stromberg, T. (2007). Perceived readiness for hospital discharge in adult

medical-surgical patients. Clinical Nurse Specialist, 21(1), 31-42.

Wesson, J. S. (1997). Meeting the informational, psychosocial and emotional needs

of each ICU patient and family.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13(2),

111-118.

Whittaker, J., & Ball, C. (2000). Discharge from intensive care: a view from the

ward. Intensive and Critical Care, 16(3), 135-143.

Page 132: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17 -

Author Purpose Method Population & setting Theory concept Finding

Chae.

(2001)

To develop and evaluate the

transition nursing program

for low birth weight infants

and their mothers.

3 phases process

: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 Methodological

design

: One group pre

& post-test

design

19 low birth weight

infants 17 their

mother

Transition nature

Transition condition

Nursing therapeutics

Developed a transitional care program

was proved that to provide accessible

and appropriate services to low

birth weight infants and their

mothers.

Cho,

Park.

(2004)

The purpose was to develop

and test a model to explain

the transition state for Korean

mid-life women focusing on

the transition concept.

Methodological

design using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221 mid-life women;

40 to 60 years

Setting: market,

apartment complex,

church and health

Transition condition

Patterns of response

Mid-life women's transition model

construction and verification using

transition theory.

Gigliott.

(2004)

To refine and test a proposition

regarding the age-related effects

of psychological involvement

in both the maternal role and

the student role, and total

network support on maternal

student role stress.

Multivariate

analysis design

to refine and test

a proposition.

135 samples

: ≤37(years) = 73

>37(years) = 62

11 community colleges

(the New York and

New Jersey)

Transition nature

Transition condition

Patterns of response

The independent variables contribute

to an explanation of maternal student

role stress only for women aged 37

years and older.

Supports the propositions of both

Neuman and Meleis' theory

Davis.

(2005)

The purpose explores the extent

to which Meleis' theory is

supported by the findings of

a study exploring relatives'

experiences of the move to

a nursing home.

Secondary

analysis from

qualitative

data

48 the elderly 's

relatives moved to

a nursing home.

Transition nature

Transition condition

Patterns of response

All domains of the transition theory

were supported by the data generated

within the study

<부록 1> 환이론을 이용한 문헌고찰

Page 133: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18 -

Skars-

ater,

W i l l -

man.

(2006)

The purpose of men and

women recovering from major

depression was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ransition in the

recovery process associated

with major depression as

well as to develop, suggest

nursing interventions that

support the recovery process

Secondary

analysis from

qualitative

data

25 women recovering

from major depression

Transition properties

Transition condition

Patterns of response

The transition framework was useful,

as it was describing the transition

process as fluid, going back and

forth, which was confirmed by the

respondents' statements.

Transition planning is a feasible way

of supporting both the recovery

process and health promotion, thus

laying the foundations for a good

quality of life.

Im.

(2006)

To develop the situation -

specific theory of caucasian

cancer patients' pain experience

with Meleis' theory

Theory development

through in-depth

review of the

literature

literature published

within the past 5

years

Transition nature

Transition condition

Patterns of response

The situation - specific theory

development of caucasian cancer

patients' pain experience with

Meleis' theory

Gigliott.

(2007)

To improve both the external

and internal validity of Gigliotti's

model of maternal student role

stress in mid-life women.

Methodological

design to investigate

external and internal

validity.

71 mothers

; ≥ 35years

; presently living at

home with youngest

child(6-18 years)

Transition nature

Transition condition

Patterns of response

Support the propositions of the

Neuman and Meleis et al 's theory.

Propose an interventional study.

Sindhu,

S u t t i -

pong,

Ratint-

hor.

(2007)

To suggest the nursing therapeutic

for research application of

transition theory

In-depth review

of the literature.

Transition theory,

nursing or care

related literature

published within the

past 10years

Nursing therapeutics Proposal concerning the various

interventions principles that can be

applied to nursing therapeutics.

Page 134: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19 -

Weiss

et al

(2007)

To identify predictors and

outcomes of adult medical-

surgical patients' perceptions

of their readiness for hospital

discharge

Correlational,

prospective and

longitudinal

design.

147 adult medical-

surgical patients at

midwestern tertiary

medical center.

Transition nature

Transition condition

Nursing therapeutics

Patterns of response

Quality of the delivery of discharge

teaching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discharge readiness.

Study results provided support for

Meleis' transition theory as a useful

model for conceptualizing and inve-

stigating the discharge transition.

Son

(2008)

To develop the relocation stress

syndrome's tool of patients

transferred from the ICU to

the general ward in Korea.

Methodological

design for tool

development

594 patients transferred

from the ICU to the

general ward.

Transition nature

Nursing therapeutics

Patterns of response

The instrument included 3 sub-scales

; 12 physical and 3 emotional factor,

8 patient's recognition to health

professionals

Son

(2009)

To develop and evaluate the

collaborate transitional care

program for improving continuity

of care in patients transferred

to the general wards from the

ICUs.

Quasiexperimental

design

Experimental group:

33 pairs of patients

and families

Control group:

34 pairs of patients

and family

Nursing therapeutics The collaborative transitional care

program administered in transfer

process to general wards from the

ICU have positive effects on patients

and families' intrinsic and extrinsic

factors.

Joe

(2010).

To develop and evaluate a

transitional care program for

patients discharged from military

hospitals.

2 phases process

; methodological

design to develop

the program

; quasiexperimental

design to evaluate

effectiveness

128 patients discharged

from one military

hospital.

; 56 experimental group

; 72 control group

Transition nature

Transition

condition

Nursing

therapeutics

Patterns of

response

Participants in the transitional care

program reported promoting a positive

personal condition, and more healthy

patterns of response in the first

week after being discharged and a

smoother discharge transition.

Page 135: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20 -

Author Purpose Method Population setting Intervention Finding

C h a b o y e r

et al.

(2012)

To evaluate the impact

of a redesigned ICU

nursing discharge process

on ICU discharge delay,

hospital mortality, and

ICU readmission within

72 hours.

A quality

improvement

study using

a time series

design.

1,787 ICU discharges

Before: 1,001

After: 786

One Australian

general ICU.

Before(15 months):

the usual discharge

processes.

After(12 months):

Implementation of the

new discharge

processes.

No difference in hospital

mortality, ICU readmission

within 72 hours.

Reduction in the average

patient discharge delay

time of 3.2 hours.

Endacott,

Chaboyer,

Edington,

Thalib.

(2010)

To identify the effect

of an ICU LN on major

adverse events in patients

recently discharged

from the ICU.

Case control

study.

Controls(retrospective)

: 201

Cases(prospective)

: 187

Set in 1 regional

hospital with 220

beds in Victoria,

Australia.

Cases received the

ICU LN service.

No effect ICU LN service

but, our results support

the claim that ICU LN

has a role in preventing

adverse events(unexpected

death, surgical procedure

required, transfer to higher

care).

cf. The control data was

retrospective, and the study

was conducted at one

site, other unknown factors

may have influenced the

results.

Eliott et

al.

(2008)

To determine the effect

an intensive care unit

liaison nurse service

had on ICU patient

discharges, readmissions

and outcomes.

Before-after

comparative

study on

ICU LN

service.

1778 ICU patients

- before: 835

- after: 943

ICU at Box

Hill Hospital.

ICU LN service. ICU & hospital LOS and

mortality were unchanged.

Decrease in ICU step-down

days, ICU readmission rate

and decreased mortality in

both the ICU and hospital.

<부록 2>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의 환을 돕는 재연구 고찰

Page 136: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21 -

Chaboyer,

Thalib,

Alcorn,

Foster.

(2007)

To identify the effect of

an ICU LN on anxiety

experienced by patients

and their families just

prior to transfer to

the ward.

Block

intervention

study

115 patients

- 62 control

- 53 intervention

100 families

- 52 control

- 48 intervention

Australian

tertiary adult

combined

MSICU.

(approximately

1000 admissions

per year)

ICU LN service.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anxiety scores.

But a trend of slightly

lower median scores in

intervention group.

Chaboyer,

Thalib,

Foster,

Elliott,

Endacott,

Richards.

(2006)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an ICU LN

on ICU discharge

delay.

Block

intervention

study.

186 ICU patients

with an ICU LOS

of more than 3 days.

- 101 control

- 85 intervention

580-bed tertiary

referral hospital

with a 13-bed

ICU that admits

approximately

900 patients per

year.

ICU LN service. Reduction in the discharge

delay in ICU transfer.

Green

Williams

(2006).

To investigate a method

for increasing the timeliness

and accuracy of nursing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acutely ill patients.

Prospective

pre-post trial.

Gard patients. Metropolitan

teaching hospital.

Implementation of

the clinical marker

project.

Reduction in the number

of cardiopulmonary arrest.

Improvement in the

management of ward

patients.

ICU LN(liaison nurse) service: 1. Assessment of patients for transfer to the ward. 2. Coordination of ICU patient transfer 3. Liaison and

communicating with ward staff, 4. Assessing ward staff skill-mix and resources. 5. Preparing both the

ICU and ward staff for patient transfer. 6. Assessing bed status. 7. Provision of clinical support and

resources to ward nurses. 8. Providing education and advice to increase their capacity to receive, manage

ICU patients. 9. Provided practical and emotional support and education to patients and their families

before and after discharge.

Page 137: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22 -

<부록 3> 환과 련된 문헌고찰 결과

환 ( 환자실) 실 ( 환자실 → 일반병실) 환 후 (일반병동)

환자간호 ▶ 일반병실과 비슷한 환경조성

→ 실스트 스와 불안

감소: 단계 인 모니터 제거, 간호활동 감소

▶ 지속 으로 요구되는 간호활동 악

▶ 환을 한 환자실과 병동의 비

▸ 환과정에 한 간호기록

▸ 개인 소지품 치료 련 물품 정리

▶ 환과정동안 환자상태 사정

▸ 배액 신경학 상태

▶ 필요시 모니터 용, O2 제공

▶ 직 간호 제공: 기 개 리,

호흡간호

▶ 환자의 임상 상태 사정과 차트 검토

▶ 치료일정 환자 이행여부 확인

( 찰, 면담)

▸ 재활치료, 항암치료, 방사선치료, 기타

▶ 환자와 가족의 환 스트 스 악

▶ ADL과 복용약물 이해수 악

( 찰, 면담)

병동 연계 ▶ ICU와 병동 간호사간 의사소통 ▶ 소지품, 치료 련 물품 달 ▶ 안 한 환 완료여부 확인

환자와

가족의

교육 지지

▶ 정서 지지

일반병실과 비슷한 환경조성

→ 실스트 스와 불안 감소

: 실에 해 자주 설명

▶ 실무 지지와 교육

▸ 실과정, 환자실과 일반병실의 차이,

일반병실 생활정보, 비물품, 질환

후, 치료과정, 추후 리, 주의사항,

약물복용, 직 간호 시범(면회시간 이용),

일반병실 투어, 일반병실 사진 제공

( 로셔, 소책자, 리 렛, transfer letter

& sticker, 가족모임 개최)

▶ 환과정 설명: 병실, 시간, 방법 수단

▶ 정서 지지

▸ 환자와 가족의 실스트 스, 불안정도

확인

▸ 가족의 부담감 악

▶ 실무 지지와 교육

▸ 질환 후, 치료과정, 추후 리,

주의사항, 약물복용, 직 간호 시범

▸ ADL 수 과 복용약물 이해 수 체크

▸ 주돌 제공자가 할 간호내용 확인

지지

▶ 퇴원 교육(리 렛 이용)

▸ 가정에서 요구되는 직 간호내용 시범

▸ 응 상황 시 처방법

▸ 약물복용법 자가 리 수 재확인

Page 138: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23 -

환 ( 환자실) 실 ( 환자실 → 일반병실) 환 후 (일반병동)

자문 동 ▶ 환과 련된 문제 확인 논의

▶ 타부서 상담(다학제간 진)여부 확인

: 재활, 양, 상처, 호흡기, 간호, 사회

사업

▶ 원무 과 병실 배정 논의

▶ 배식 환 시 양 연락

▶ 필요시 의료진 동반

▶ 이송 연락 안 한 이송

리더쉽 ▶ 환 결정사항에 한 설명

▶ 환간호계획 설정 요구도 악

▶ 환과 련된 문제 확인 해결

(가족모임)

▶ 필요시 의료장비 비

▶ 필요시 담당 간호사 동반 ▶ 환자와 가족의 주된 심사 논의

(개별 면담)

▶ 환후 환자실 간호사의 병실 방문

1) Barbetti, J., & Choate, K. (2003). Intensive care liaison nurse service: implementation at a major metropolitan hospital.

Australian Critical Care, 16(2), 46-52.

2) Chaboyer, W., Foster, M. M., Foster, M., & Kendall, E. (2004). The Intensive Care Unit liaison nurse: towards a clear role

description.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0(2), 77-86.

3) Chaboyer, W., Foster, M., Kendall, E., & James, H. (2004). The impact of a liaison nurse on ICU nurses' perceptions of

discharge planning. Australian Critical Care, 17(1), 25-32.

4) Chaboyer, W., Thalib, L., Alcorn, K., & Foster, M. (2007). The effect of an ICU liaison nurse on patients and family's

anxiety prior to transfer to the ward: an intervention study.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3(6), 362-369.

5) Chaboyer, W., Thalib, L., Foster, M., Elliott, D., Endacott, R., & Richards, B. (2006). The impact of an ICU liaison nurse

on discharge delay in patients after prolonged ICU stay. Anaesthesia Intensive Care. 34(1), 55-60.

Page 139: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24 -

6) Coyle, M. A. (2001). Transfer anxiety: preparing to leave intensive care.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17(3),

138-143.

7) Endacott, R., Chaboyer, W., Edington, J., & Thalib, L.(2010). Impact of an ICU Liaison Nurse Service on major adverse

events in patients recently discharged from ICU. Resuscitation. 81(2), 198-201.

8) Mitchell, M. L., & Courtney, M. (2004). Reducing family members' anxiety and uncertainty in illness around transfer from

intensive care: an intervention study.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0(4), 223-231.

9) Paul, F., Hendry, C., & Cabrelli, L. (2004). Meeting patient and relatives' information needs upon transfer from an

intensive care unit: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information booklet.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3(3), 396-405.

10) Son Y. J. (2009).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collaborative transitional care program for continuity of care in patients

transferred to general wards from ICU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3), 143-155.

11) Van Waning, N. R., Kleiber, C., & Freyenberger, B. (2005).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protocol for transfers

out of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Critical Care Nurse, 25(3), 50-55.

12) Whittaker, J., & Ball, C. (2000). Discharge from intensive care: a view from the ward. Intensive and Critical Care, 16(3),

135-143.

13) Bond, A. E., Draeger, C. R., Mandleco, B., & Donnelly, M. (2003). Needs of family members of patients with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Implications for evidence-based practice. Critical Care Nurse, 23(4), 63-72.

14) Mitchell, M. L., & Courtney, M. (2005). Improving transfer from the intensive care unit: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brochure based on Knowles' Adult Learning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1(6), 257-268.

15) Chaboyer W, James H, Kendall M. (2005).Transitional care after the intensive care unit: curr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Critical Care Nurse, 25(3), 16-29.

16) 병원간호사회 (2010) 신규간호사 교육지침서 실습교육 checklist(“ 실간호” 부분). 서울.

Page 140: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25 -

<부록 4>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 질문

질 문 질 문 내 용

시작 질문 ㆍ바쁜 시간 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서로의 경험을 나 기 에 자신을 간단히 소개하겠습니다.

소개 ㆍ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하는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셨습니까?

주요 질문 ㆍ 환자실과 일반병실 생활의 차이는 어떻습니까? 어떤 변화가 있었나요?

ㆍ환자상태를 고려했을 때 환이 결정된 시기는 했나요? 그 때 환자와

가족의 의견이 어떻게 반 되었나요?

ㆍ 환이 결정되었을 때 느낌이 어떠했나요?

ㆍ 환이 결정된 후 실을 해 개인 으로 어떤 비를 했나요?

ㆍ 환후 일반병실 생활에 응하기 해 어떤 노력을 했나요? 그 가장

도움이 되었던 것은 무엇인가요?

ㆍ 환후 일반병실 생활에 응하는데 얼마나 걸렸나요?

ㆍ 환 과 후에 치료가 연속 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 같습니까?

ㆍ 환후 일반병실 생활에 응하기 해 구한테 어떻게 어떤 도움을 받

았나요? 새롭게 형성된 계가 있나요?

ㆍ 환후 재 자신이 있는 곳(일반병실)이 자신의 상황에 비추어 볼 때

합(만족)하다고 생각하십니까?

ㆍ일반병실생활을 하면서 두렵거나 걱정스럽거나 어려웠던 것이 있나요?

ㆍ환자의 반 인 상태가 좋다고 느끼십니까?

특히 어떨 때 일반병실에서 잘 지낸다고 느끼십니까?

ㆍ자신은 어떤 사람입니까?

ㆍ언제 무엇을 해서 어떤 내용/방법, 얼마나 자주, 어떤 형태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

마무리 질문 ㆍ 환과 련하여 더 이야기 하고 싶은 내용 있습니까?

Page 141: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26 -

의미있는 자료 주제(theme)

ㆍ보호자 의견은 물어보지 않음. 일반병실로 옮기라고 통보 함. 그냥

시키는 로 한 것 같음. 원래 다 그 게 하는 암.F②

ㆍ 환하는 것은 의료진이 결정하는 것으로 암. 환자실 입실동의서

받을 때 그 게 말함.F②

ㆍ면회시간에 직 담당의사와 간호사가 환할 거라고 말함.F①

ㆍ 환이 결정된 후 비할 여유도 없이 환이 진행되어 갑작스럽고

당황스러웠음.①

ㆍ일반병실 가라고 하니까 약간 불안함, 걱정 음.P①P②P③P⑥

ㆍ속이 후련함, 빨리 나갔으면 했음, 좋았음.

환자실은 간호사들이 무 많이 왔다 갔다 한다.

다른 환자들 때문에 시끄럽다. 잠을 잘 못 잤다.

상태를 체크한다고 이것 것 자주 물어본다.

어쩔 때는 매번 같은 질문을 한다.P④

☞ 환 결정에 참여

☞ 계획된 환

☞ 환에 한

양가감정

(정서 지지 필요)

ㆍ자녀들한테 주돌 제공자(엄마)의 역할을 알려주고, 환자(아빠)가

퇴원할 때까지 서로 도와야 한다고 의논함.F③

ㆍ간병하려고 언니와 동생들과 당번을 짰다.F①F②

ㆍ다른 자식들 다 직장 다니고 결혼하고 자기 살기 바빠서 나하고 할

아버지(환자 아버지)가 왔다갔다 하는데 주로 내가 다 비했지.F⑥

ㆍ필요한 물품들 비하라고 해서 그런 것들 비했다.F①

ㆍ인터넷으로 알아봤다.F①F④F⑤

ㆍ직장에 휴직계 냈다.F①

ㆍ집에 얘기하고 어머니(환자) 간병하려고 지방에서 올라왔다.②

ㆍ보호자 기실에서 다른 보호자들과 얘기 나 것들이 도움이

다.F①F②F③F④F⑤F⑥

☞ 환과정에 참여

☞ 지지 환경조성

지지체계 구성

ㆍ첫날은 정신없더니 하루 더 지나니까 지낼 만 했다.P④,F④

ㆍ환자(남편, 아버지)의 정신상태가 왔다 갔다 하니까 5일에서 6일 정

도는 정말 힘들었다. 길게는 일주일 정도.F①F②F③

ㆍ안정되는데 3~4일정도 걸리는 것 같았다.F⑥

ㆍ이틀 지나니까 괜찮았다.P⑤

☞ 일반병실에 응

혹은 안정되는데

소요되는 기간

ㆍ 환자실에서와 일반병실에서 하는 것이 좀 다르다.P①

ㆍ 환자실과 일반병실의 의료진간에 의사소통이 부족한 것 같다. F①

ㆍ잘못된 정보 달,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이 있었다.P①,F①

ㆍ환자의 정보에 한 정확한 악이 미흡한 것 같다.①

☞ 의사소통 강화

☞ 연계성 강화

<부록 5>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N=14)

Page 142: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27 -

ㆍ주로 담당간호사나 담당의한테 물어봤다.P⑥

ㆍ 란색 마이 입은 간호사( 담간호사)가 친 하게 잘 해줬다.P⑥

ㆍ회진 때 교수님한테 직 물어봤는데 시원시원하게 답해주셨다.

F①F②P③

ㆍ교수님 면담 신청해서 상담했다.F⑤F⑥F④

ㆍ수간호사선생님과 얘기했다.P①P②

ㆍ 에 있는 환자 보호자한테 물어보기도 했다.F①F⑥

ㆍ친척 에 아는 의사가 있어서 물어봤다.P④

☞ 지지자와의 상호

작용

ㆍ지 은 많이 좋아져서 일반병실에 있게 맞지.P⑥ ☞ 일반병실에 만족

ㆍ일반병실에서 좋은 은 출입통제가 없어서 자유롭다.F①F②F③F④

F⑤F⑥

ㆍ같은 병실 사람들과 이런 런 얘기를 나 니까 서로 의지가 된다.

P①F②P③F⑥

ㆍ환자 에 있으면서 직 해 수 있는 게 있어서 좋다.F①F②F③

☞ 환자실과 일반

병동의 차이

ㆍ한번 고비(열나고 가래가 많았음)가 있었는데 그 때 잘 넘겼다.F①

ㆍ상태가 안 좋아질까 걱정이 되었다.P①F②

ㆍ일반병실로 막상 옮길 때 좀 불안했었다. 이 상태에서 옮겨도 되나

싶었고, 더 안 좋아지면 어쩌나 했다.F①F②F③F⑥

☞ 상태 악화에 한

불안감

ㆍ 에 환자와 비교하여 좋을 때도 있고 안좋을 때도 있지만 상태가

조 씩이지만 날로 좋아지고 있는 것이 보이면 좋다.F①

ㆍ주치의가 좋아지고 있다고 말할 때 일반병실에 있는 것이 좋았다.

P①P②P③P④P⑤P⑥ F①F②F③F④F⑤F⑥

☞ 정서 지지 요구

ㆍ가족들에게 미안하다. 내가 더 잘해야겠다.P①P③P④P⑤P⑥

ㆍ앞으로는 건강 리에 좀 더 신경써야하겠다.P③P④P⑥

ㆍ그동안 일만 했었는데 가족과 여행도 가고, 건강도 돌보고, 가족한

테도 심도 가져야하겠다.P③P④

ㆍ환자(남편, 어머니 등) 건강에 심을 가져야하겠다.F①F②

ㆍ퇴원해도 재발(뇌경색)할 수 있으니까 계속 신경써야 하겠다.P④

☞ 자신의 건강 리

증진에 한

동기부여 계기

☞ 자신의 존재

역할 인식

ㆍ언제, 어떤 병실로, 어떻게 환하는지에 해 정확하게 알려주지

않고 막연히 기다리라고만 하여 답답했었음.F①F②F⑥

ㆍ환자가 이동할 때 배려하지 않는 것 같았다.P②

ㆍ 환하기 2-3일 부터 미리 알려주면 차분하게 환 비를 할 수

있을 것 같다.F①F②F⑥

☞ 환과정, 차에

한 사 설명

ㆍ일반병실생활에 필요한 구체 인 설명이 부족하다.P①P②F①F②

ㆍ자세히 설명해주면 좋겠다.F①F②

ㆍ설명만 들어서는 잘 모르니까 자료를 주면 도움이 되겠다.P⑥F⑥

ㆍ 비하라고 종이에 우리 남편한테는 필요 없는 것도 있었다.F④

☞ 병실생활을 한

체계 정보와

교육제공

Page 143: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28 -

ㆍ앞으로 치료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설명은 들었지만 의사나 간호사들이

바쁘다 보니까 성의 없이 건성으로 얘기할 때가 있었다.P①F⑤

☞ 병실에서 치료

일정과 계획 설명

ㆍ환자 회복에 도움이 되는 것들에 한 설명이 필요하죠. 특별히 더

주의해야 하는 것, 해도 되는 것과 하지 말아야 하는 것들 명쾌한

설명 필요, 앞으로 살면서 주의해야 하는 것.P①P②F③P④F⑤F⑥

ㆍ퇴원할 때 챙겨야 하는 것들 자세히 설명.F①

특히 서류 같은 것들(보험회사 제출용 진단서, 의무기록사본, 상물)

☞ 실제 인 교육

제공

ㆍ 환하고 나면 반 으로 심이 어드는 것 같다.P⑤

ㆍ 환자실 간호사가 일반병실로 찾아오니까 반가웠다.P①

ㆍ일반병실로 잘 옮겼는지 혹은 불편함은 없는지, 잘 생활하는지 확인.

환한 후에 환자실 의료진이 한번쯤은 보러오길 바람.P①

☞ 일반병실생활에

한 모니터링

☞ 일반병실 방문

ㆍ 환자실에서 나갈 때, 병실에 왔을 때, 퇴원할 때마다 교육해주면

좋겠다.P①F②

ㆍ 간 간에 새로운 치료나 검사 할 때 그런 때도.P④P⑤

☞ 교육이 필요한

시기

P: patient, F: family

Page 144: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29 -

<부록 6>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환과 련된 의료진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 질문

질문 질문 내용

시작질문 ㆍ바쁜 시간 내 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두 알고 지내는 사이라서 소개는 생략하겠습니다.

소개 질문 ㆍ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하는 환자와 가족들이 많은데 그럴 때

수행하고 있는 환간호는 어떻습니까?

주요 질문 ㆍ언제 필요하다고 생각하세요?

ㆍ목 이나 목표가 무엇인가요?

ㆍ 환과정동안 어떤 내용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세요?

ㆍ어떤 방법이 하다고 생각하세요?

ㆍ얼마나 자주 제공되어야 된다고 생각하세요?

ㆍ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환한 환자와 가족을 리하는데 어려운

과 도움이 되었던 은 무엇입니까?

마무리 질문 ㆍ 실과 련하여 더 이야기 하고 싶은 내용 있습니까?

Page 145: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30 -

의미있는 자료 주제(theme)

ㆍ 실이 결정되기 부터 미리 환 비를 하면 일반병실로 나가는 당

일 날 지체 없이 진행할 수 있죠. 당일 날에서야 병실가도 된다고 하면

보호자들은 환자실에서 쫓아내는 것 같다고 말하더라구요.

비 없이 나오면 일반병실에서도 보호자들이 불만을 토로하기도 해요.

들은 이 없다고 하면서. 경증환자들은 상할 수 있지만, 그 지 않는

사람은 주치의가 미리서 비할 수 있도록 설명을 해주는 거나 상의를

하거나 하면 보호자 입장에서는 신뢰가 가죠.1-③, 1-⑦, 1-⑨

ㆍ 환 결정사항에 해 의료진마다 다르게 알고 있어서 혼란을 가져올

때가 가끔 있어요. 서로 의사소통을 주고받아야 하는데...1-①, 1-②, 1-③

☞ 계획된 실

ㆍ 환하는데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특히 환자나 보호자가 만족할 수 있

도록 하는 것, 지체되지 않고 환자가 일반병실로 순탄하게 이동하는 것

이 목표겠죠. 잘 비돼서 일반병실로 나갔다가 다시 환자실로 들어

오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 3-⑥

☞ 안 한 환

☞ 요구 충족

☞ 환자실 재입실

ㆍ 환할 때 보호자가 기하지 않아 환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환하기 에 미리 보호자에게 설명해주고 비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하겠죠.1-➄ㆍ 환하는 방법이나 비물 비할 수 있도록 설명해야 하죠.1-⑥

☞ 환시간, 방법,

비물 등에

한 설명

ㆍ인수인계가 부정확하여 의료진간 혼동이 있었다.

인수자와 인계자간의 의사소통이 부정확 했다.1-➇, 1-➁, 2-➀ㆍ특이사항에 한 정보 달이 락될 때가 있다.2-②, 2-③, 2-⑦

ㆍ특히 환자나 보호자들이 요구하는 사항들2-②, 2-③, 2-⑤

ㆍ특수한 치료 환경이 필요할 때 미리 알려주세요.2-➁, 2-④2-⑥

ㆍ홈 벤틸 이터 작동이나 그런 건 희가 좀 어려워요. 물론 담 샘이

알려주지만요2-①.2-➂ㆍ환자 개인마다 특별히 더 집 해야 할 부분에 한 인계가 부족하다.

특히 욕창간호, 호흡기간호, 수술상처 간호 등등 3-③, 3-⑥

☞ 정확한 인수

인계 정보

ㆍ삽입된 배액 이 많거나 모니터를 유지한 채로 환할 때 경우 옮기는

과정에서 배액 이 빠질 우려가 있어요.1-①, 2-①, 2-②

ㆍ환자 옮길 때 이송사원에게 주의할 말해 것, 보호자들한테 환자

옮길 때 배려하지 않는다는 소리를 종종 들어요.1-⑧, 1-③, 2-④, 2-⑥

☞ 련자간의

주의할

공유

ㆍ환자의 개인 소지품이 분실되는 경우가 가끔 있다. 뒤늦게 서야 찾으려고

환자실에 연락한다.1-⑥, 1-⑦, 1-⑧, 1-⑨

ㆍ일반병실로 옮긴지 한참 되었는데 시간이 지나서 물어본다.1-④, 1-⑤

ㆍ환자와 련된 물품 보내지 않아서 찾으러 간 이 있다.2-③, 2-④

☞ 환 ㆍ후

확인

<부록 7>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환과 련된 의료진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N=25)

Page 146: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31 -

ㆍ안 하게 환을 완료했는지 서로 확인하는 게 필요할 것 같아요.

1-②, 1-③, 1-④, 2-①, 2-②

☞ 일반병실생활

검 방문

ㆍ환자와 보호자를 한 체계 인 교육 자료가 부족하다. 소책자가 좋을

것 같다. 1그룹과 2그룹 참여자 원

ㆍ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는 교육자료. 1그룹과 2그룹 참여자 원

☞ 교육자료 개발

ㆍ환자나 보호자에게 주의사항, 치료일정, 앞으로의 후, 추후 리 등에

한 설명을 자세하게 해야 한다.3-③, 3-⑨

ㆍ특히 보호자가 일반병실에서 요하게 알아야 하는 것들3-⑤, 3-⑦

ㆍ보호자가 필요한 서류 미리미리 알려주었으면 좋겠다.3-①, 3-②, 3-③

ㆍ환자나 보호자에게 잘못된 정보를 달하는 경우가 있다.3-⑤

ㆍ퇴원할 때 외래 연결, 필요한 과 연결 잘 이루어지게 해주세요.3-①

☞ 실제 인 교육

ㆍ환자나 보호자 요구가 있거나, 어떤 새로운 치료나, 검사 등이 있을 때.

참여자 원

ㆍ시간이 되면 환자나 보호자와 자주 얘기하면 좋겠지만, 임상의 실이

그 지 않다 2-④, 2-⑦, 2-⑧

ㆍ반복 으로 교육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다. 1-②, 2-⑤

☞ 반복 교육,

필요시 교육

ㆍ자주 만나서 얘기하고 들어주고, 고충사항 악해서 해결 해주는 거,

먼 다가가서 물어 주고, 알아주고, 챙겨주고, 도움이 되는 것들을

알려주면 환자나 보호자들에게는 좋겠죠.1-⑨, 1-⑥, 2-③, 2-⑦

☞ 정서 , 실무

지지

1-: 1그룹( 환자실) 참여자, 2-: 2그룹(일반병동) 참여자, 3-: 3그룹(의사) 참여자

Page 147: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32 -

환과정

환 ( 환자실) 이동 환 후 (일반병동)

환자 간호 ▶ 지속 인 심이 요구되는 간호활동 악

: 수술후 간호, 호흡기 간호, 재활간호, 자세변경, 기타

▶ 환과 련된 간호기록 마무리

▶ 환과정 동안 필요시 의료장비 비 제공

▶ 환자의 치료 개인 물품 정리

▶ 환과정동안 환자 상태사정

▸ 낙상 험성 사정

▸ 배액 도 의 발 험성 사정

▶ 환자 상태의 정확한 사정

▶ 직 간호 제공

▸ 욕창 방을 한 자세변경

▸ 경 식일 경우 흡인성 폐렴 방 간호

▸ suction 자주 시행

병동 연계▶ 특별한 환경이나 특수한 의료장비가 필요한 경우

일반병동에서 미리 비할 수 있도록 의사소통

) 차 병실, home ventilator

▶ 정확한 의사소통

▸ 치료 간호와 련된 사항

▸ 특이사항, 특별한 요구사항

▶ 개인 소지품, 귀 품, 치료 련 물품에

한 정확한 인수인계

▶ 안 한 환 완료여부 확인

환자와

가족의

교육 지지

▶ 다양한 교육: 소책자를 이용한 개별 교육

▸ 정서 인 지지

▸ 환자실과 일반병실간의 차이 , 일반병실생활 정보,

비물품, 환과정, 추후 리, 주의사항, 약물복용

▸ 병동에서 시행해야 할 직 간호 시범: 면회시간 이용

▶ 실과정 설명: 리 렛 이용

▸ 실 시간, 병실, 방법

▶ 다양한 교육: 개별교육, 소책자, 직 시범

▸ 치료일정, 추후 리, 주의사항, 약물복용

▸ 경 식제공방법, suction방법, 체 변경

▸ 정서 인 지지 모니터링

▶ 퇴원 교육: 자료제공

▸ 응 상황 처방법

▸ 약물복용

<부록 8> 뇌손상 환자와가족의 환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요약

Page 148: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33 -

환과정

환 ( 환자실) 이동 환 후 (일반병동)

자문 동

▶ 환 결정과 련하여 담당자간(담당간호사와 담당의)

정확한 의사소통

▶ 환과 련된 문제 주치의와 논의

▶ 안 한 이송

▸ 환자상태에 따라 인턴이나 담당의의

극 인 조

▶ 타기 원시 담당 코디네이터와 의

▶ 퇴원 시 필요할 경우 가정간호 진

리더쉽

▶ 환 결정사항에 한 설명

▶ 환과 련된 문제 확인 해결

▸ 가족 모임, 유사한 환자와 가족 소개

▸ 주치의 면담 연결

▶ 가족 외에 간병인의 필요성 확인

▶ ICU와 병동의 환 비 완료여부 확인

▶ 문제 발생 시 신속한 해결

▶ 필요시 외래 약

▶ 퇴원 시 이송수단 방법 논의

▶ 필요한 서류 해결

▶ 일반병실 방문

▶ 환자 가족의 교육에 한 필요성 결정

Page 149: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34 -

간호과정 Contents

간호진단 동과 련된 지식부족

자료 동 사유

동할 병실

퇴원 비 훈련을 해 동

재활동 이동할 병동에 한 설명

일반병실로 동하게 된 사유 설명

동후 일반병실생활 안내;

호출벨 사용방법, 회진시간, 식사시간, 투약시간,

무단외출 지, 낙상방지에 해 교육함

동을 해 개인짐 정리

체 변경방법에 해 교육

흡인 방법에 해 교육

식사제공 방법에 해 교육

욕창 방법에 해 교육

동하는 시간을 환자와 보호자에게 설명

일반병동에서 필요한 물품에 해 설명

이송수단 방법 설명

앞으로 진행하게 될 치료일정에 해 설명

일반병실에서 주의해야 하는 사항 설명

보내는 약품과 치료에 련된 물품 정리

동하게 되는 일반병동 간호사와 인수인계

동시 필요한 의료장비 비

이송사원 연락

결과 새병실 생활에 응함

새병실 생활에 조함

설명내용 만족함

설명내용에 해 불만족함

(병실) (이동수단)으로 이동함

<부록 9> 환간호 내용분석 결과

Page 150: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35 -

<부록 10>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와 환간호 내용분석 결과 요약

시 환과정

( 환자실) 실 ( 환자실 → 일반병동) 후 (일반병동)

뇌손상 환자와 가족이 신경계 환자실에서 일반병

실로 환할 때 성공 인 환을 경험할 수 있도록

환에 한 뇌손상 환자와 가족의 인식, 참여와

비정도를 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뇌손상 환자

와 가족 련된 의료진의 환 비가 체계 이

고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은 안 하게 환을 완

료한다.

환으로 인한 스트 스가 감소하며, 일반병실생

활에 잘 응함으로써 계획되지 않는 환자실 재

입실 일반병실 재원기간 감소, 로그램을 제

공하는 간호사와 제공을 받은 뇌손상 환자와 가족

의 만족도가 증가한다.

간호 역 재 내 용재

방 법

자 원재 내 용

방 법

자 원재 내 용

방 법

자 원

간호

▶ 일반병실과 유사한 환경조성

: 환자상태에 따라 주치의와

상의후 단계 모니터 제거,

간호활동 감소

e.g.) V/S, GCS, I/O, 기타

▶ 지속 으로 요구되는 간호활동

e.g.) V/S, 신경학 상태,

수술후 호흡간호,

재활간호, 양, 기타

▶ 환과정에 한 기록

▶ 환과정 동안 필요시 의료

장비 비 제공

▶ 개인 물품, 치료와 련된

물품정리

수행

수행

수행

수행

수행

EMR

EMR

모니터,

O2

▶ 환과정동안 환자상태

사정

▸ V/S, 신경학 상태

▸ 배액 도 상태

수행

▶ 직 간호 제공

▶ 임상 인 상태 사정

▶ 치료일정에 따른 환자 이행

여부 문제 악

e.g.) 재활, 항암, 방사선치료,

기타

▶ ADL과 복용약물 이해수

수행

개별

면담

개별

면담

EMR

EMR

병동

연계

▶ 특별한 치료환경이나 의료장

비가 필요한 경우 일반병동

에서 비할 수 있도록 의사

소통

e.g.) 차 병실, home ventilator

▶ 치료 기타 정보에 한

의사소통

의사

소통

의사

소통

유선

혹은

EMR

EMR

▶ 개인 물품, 치료와

련된 물품 병동에

수행

▶ 안 한 환 완료여부 확인 의사

소통

유선

혹은

EMR

Page 151: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36 -

시 환과정

( 환자실) 실 ( 환자실 → 일반병동) 후 (일반병동)

간호 역 재내용재

방법

자원재내용

방법

자원재내용

방법

자원

환자와

가족

교육

지지

▶ 정서 지지

▸ 환 스트 스, 불안 사정

▶ 실무 지지와 교육

▸ ICU와 일반병실의 차이, 환

과정, 병실생활정보, 비물,

질병 후, 치료과정, 추후

리, 주의사항, 약물복용,

제한 혹은 허용된 활동

▸ 병동에서 해야 할 직 간호

▸ 일반병실 소개

▶ 환과정 설명

▸ 환 시간, 병실, 방법

개별

면담

개별

교육

실습

투어

설명

설문지

소책자

리 렛

리 렛

▶ 정서 지지

▸ 환후 스트 스, 불안 사정

▸ 가족 부담감 악 재

▶ 실무 지지와 교육

▸ 질환과 후, 치료과정, 추후

리, 주의사항, 약물복용,

제한 혹은 허용되는 활동

▸ 주돌 제공자가 해야 할 활동

확인, 지지

▶ 퇴원 교육

▸ 가정에서 필요한 간호, 응

상황 처방법

▸ 약물복용방법 자가 리

수 재확인

개별

면담

개별

교육

개별

교육

설문지

설문지

소책자

소책자

리 렛

조정

▶ 환과 련된 문제에 해

논의

▶ 필요시 환자상태에 따라 다학

제간 진

e.g.) 재활, 양, 상처, 호흡기

간호, 간호, 사회사업

▶ 원무 과 병실 배정 논의

▶ 배식 환시 양 연락

의사와

논의

수행

의사

소통

EMR

유선,

EMR

▶ 안 한 환

▸ 필요시 의료진 동반

▸ 이송 연락

수행

수행

이송

▶ 타기 원 시 담당 코디네

이터와 의논

▶ 퇴원 시 필요할 경우 가정간호

의사

소통

수행

EMR

EMR

리더쉽

▶ 실 결정사항 설명

▶ 환간호계획 요구도 악

▸ 간병인 필요여부 확인

▶ 환자, 가족의 환과 련된

문제 확인 해결

▶ 일반병실 환경험 공유

▶ ICU와 병동의 환 비완료

확인

면담

면담

가족

면담

사례

소개

의사

소통

리 렛

설문지

질문지

유선

혹은

EMR

▶ 필요시 담당간호사

동반

수행

▶ 치료와 련된 심사 논의

▶ 만족도 악

▶ 문제 발생 시 신속한 해결

▶ 퇴원간호계획 비정도

▸ 퇴원시 이송수단 방법

논의

▸ 필요한 서류 해결

▶ 필요시 외래 약

면담

면담

수행

면담

수행

질문지

설문지

설문지

EMR

Page 152: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37 -

문항

매우

타당

하지

않다

타당

하지

않다

타당

하다

매우

타당

하다

1. 용시 이 하다 1 2 3 4

2. 각 시 별 재목표가 하다 1 2 3 4

3. 로그램을 구성하는 간호 역이 하다 1 2 3 4

4. 각 시 별 간호 역을 구성하는 재내용이 하다 1 2 3 4

5. 로그램의 재방법이 하다 1 2 3 4

6. 로그램을 용하기 한 재도구가 하다 1 2 3 4

7. 로그램의 반 인 구성 내용이 하다 1 2 3 4

8. 로그램을 실무에 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1 2 3 4

9. 로그램의 용효과에 한 평가가 가능하다 1 2 3 4

10. 본 로그램에 더 필요한 간호활동이나 추가되었으면 하는 내용이 있으시다면

자유롭게 기입해주세요.

( )

<부록 11> 문가 타당도를 검증하기 한 질문지

Page 153: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38 -

<부록 12> 사용자 타당도를 검증하기 한 반구조화 된 질문지

❀ 귀하께서 본 환간호 로그램을 실무에서 사용하게 된다면, 사용자 측면에서

본 로그램의 타당성 여부를 평가해주십시오.

1. 본 환간호 로그램의

유용성에 해 평가해

주십시오.

2. 본 환간호 로그램의

사용여부( 용가능성)에

해 평가해주십시오.

3. 그 밖에 본 환간호

로그램에 한 생각,

느낌, 좋은 의견 등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기술해주십시오.

Page 154: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39 -

<부록 13> 가족모임을 한 반구조화된 질문지

1 . 일 반 병 실 로 환 할 수 있 게 되 었 습 니 다 . 느 낌 이 어 떠 세 요 ?

2 . 일 반 병 실 로 환 하 기 해 미 리 개 인 으 로 비 했 던 것 들 이 있 습 니 까 ?

3 . 환 자 돌 은 주 로 가 하 실 계 획 입 니 까 ? 교 해 주 는 가 족 이 계 십 니 까 ?

4 . 일 반 병 실 에 서 지 내 게 될 때 가 장 염 려 가 되 는 부 분 은 무 엇 입 니 까 ?

5 . 제 공 되 는 환 간 호 외 에 특 별 히 더 필 요 한 부 분 이 있 으 시 면 말 해 주 세 요 .

Page 155: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40 -

<부록 14> 환과정 안내서

<안쪽>

Page 156: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41 -

<바깥쪽>

Page 157: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42 -

<부록 15> 소책자(일부 발췌)

Page 158: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43 -

<부록 16> 퇴원 안내서

Page 159: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44 -

<부록 17> 설문지

안녕하십니까? 서울성모병원 신경계 환자실 간호사입니다.

본 설문지는 뇌손상 환자의 가족이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옮

기실 때 느끼는 환 스트 스와 환불안, 가족의 부담감, 제공한

환간호에 한 만족도를 악하기 한 것입니다.

본 설문 참여는 귀하의 자발 참여의사에 의해 결정됩니다.

귀하는 참여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참여를 결정한 경우에도 어

떠한 편견, 불리함 는 본 연구기 에서의 이득 손실 없이 언제라

도 참여를 단할 수 있습니다.

귀하께서 응답하신 내용은 오직 본 연구의 목 으로만 사용되며,

한 무기명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응답한 내용에 한 비 이

보장됩니다.

어려우시더라도 각 문항에 빠짐없이 솔직하게 답해 주시면

단히 감사하겠습니다.

언제라도 본 연구의 진행과정에 련하여 질문사항이 있다면, 아

래 연락처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귀 한 시간을 할애해 주셔서 감

사드립니다.

환자 성 명 : (서명/인)

가족 성 명 : (서명/인)

연구 책임자 서울성모병원 신경계 환자실 간호사

연락처 : HP. 016-***-**** ☎ 2258-2177

Page 160: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45 -

※ 다음의 각 문항에 해당하는 사항에 ‘✔’로 표시하거나 ( ) 안에 답해주십시오.

1. 성 별 : □ 남자 □ 여자

2. 연 령 : 만 ( )세

3. 결 혼 : □ 미혼 □ 기혼 □ 사별 □ 기타 ____________

4. 종 교 : □ 천주교 □ 개신교 □ 불교 □ 무교 □ 기타 _____________

5. 교육정도 : □ 졸 □ 졸 □ 고졸 □ 졸이상 □ 기타 ____________

6. 직 업 : □ 있음 □ 없음

7. 사회생활경험: □ 있음 □ 없음

8. 가족내 치: □ 할아버지 □ 할머니 □ 아버지 □ 어머니 □ 자녀

□ 사 , 며느리 □ 기타 _______________

9. 환자와의 계(가족) : □ 배우자(남편, 부인) □ 부모 □ 형제, 자매

□ 자녀 □ 사 , 며느리 □ 손자, 손녀

□ 기타 _______________

10. 함께 살고 있는 가족의 수 : 모두 ( 명)

11. 경제 상태 : □ 여유 있다 □ 보통이다 □ 보통보다 약간 어렵다 □ 어렵다

Page 161: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46 -

12. 가족 부양 책임 정도: □ 체 책임 □ 일부 책임 □ 책임 없음

13. 환자 돌 경험(가족) : □ 없다 □ 있다

14. 하루 평균 돌 시간(가족) : □ 하루 종일(24시간) □ 평균 ___________시간

15. 환자 외에 여러분이 직 돌 야 하는 가족이 계십니까?(가족) □ 없다 □ 있다

16. 환자 돌 을 교 해 주는 가족이나 친척, 는 간병인이 있습니까?(가족)

□ 없다 □ 있다

17.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옮기는 것에 해 주 으로 느끼는 스트 스는 어느 정도라

고 생각하십니까?

스트 스가 아니다 매우 스트 스 이다

Page 162: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47 -

❀ 다음은 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의 환에 해 염려되는 정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귀하의 느낌을 해당 칸에 ‘✔’표 해 주세요.

문 항매우

그 다그 다

그 다

그 지

않다그 지

않다

1. 나는 마음이 차분하다 1 2 3 4 5

2. 나는 마음이 든든하다 1 2 3 4 5

3. 나는 긴장되어 있다 1 2 3 4 5

4. 나는 후회스럽고 서운하다 1 2 3 4 5

5. 나는 마음이 편하다 1 2 3 4 5

6. 나는 당황해서 어 할 바를 모르겠다 1 2 3 4 5

7. 나는 앞으로 불행이 있을까 걱정하고 있다 1 2 3 4 5

8. 나는 마음이 놓인다 1 2 3 4 5

9. 나는 불안하다 1 2 3 4 5

10. 나는 편안하게 느낀다 1 2 3 4 5

11. 나는 자신감이 있다 1 2 3 4 5

12. 나는 짜증스럽다 1 2 3 4 5

13. 나는 마음이 조마조마하다 1 2 3 4 5

14. 나는 극도로 긴장되어 있다 1 2 3 4 5

15. 내 마음은 긴장이 풀려 푸근하다 1 2 3 4 5

16. 나는 만족스럽다 1 2 3 4 5

17. 나는 걱정하고 있다 1 2 3 4 5

18. 나는 흥분되어 어쩔 모르겠다 1 2 3 4 5

19. 나는 즐겁다 1 2 3 4 5

20. 나는 기분이 좋다 1 2 3 4 5

Page 163: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48 -

❀ 다음은 뇌손상 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부담감을 나타낸 것 입니다. 해당 칸에 ‘✔’표를 해 주세요.

문 항 그 지

않다

체로

그 지

않다

보통

이다

체로

그 다

매우

그 다

1. 나 자신을 한 시간이 었다 1 2 3 4 5

2. 환자 간호로 인해 사회생활이 었다 1 2 3 4 5

3. 환자로 인해 생활비의 지출이 커졌다 1 2 3 4 5

4. 나의 개인 인 자유가 었다 1 2 3 4 5

5. 내가 환자를 돌볼 수 있는 힘이 커졌다 1 2 3 4 5

6. 오락이나 사회생활에 할애하는 시간이 었다 1 2 3 4 5

7. 휴식시간이나 여가활동이 었다 1 2 3 4 5

8. 다른 식구들과의 계가 나빠졌다 1 2 3 4 5

9. 나의 건강이 나빠졌다 1 2 3 4 5

10. 나는 내 환자를 지켜볼 때 고통스럽다 1 2 3 4 5

11. 나는 환자에게 필요한 사람이다 1 2 3 4 5

12. 나는 환자의 미래가 어떻게 될지 걱정된다 1 2 3 4 5

13. 나는 환자와 함께 있으면 긴장된다 1 2 3 4 5

14. 나는 환자의 안녕상태에 공헌한다고 느낀다 1 2 3 4 5

15. 나는 내 환자가 나를 조정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1 2 3 4 5

16. 나는 환자와 함께 있는 것이 즐겁다 1 2 3 4 5

17. 환자는 내가 환자를 해 한 일들을 고마워하지 않는다 1 2 3 4 5

18. 환자와 있으면 신경질이 나고 우울하다 1 2 3 4 5

19. 나는 환자가 필요이상 많은 것을 요구한다고 느낀다 1 2 3 4 5

20. 나는 환자를 해서 내가 하는 일이 부족하다고 느낀다 1 2 3 4 5

21. 나는 환자가 자기를 돌보아 사람이 나밖에 없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1 2 3 4 5

22. 나는 환자로 인해 죄책감을 느낀다 1 2 3 4 5

Page 164: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49 -

❀ 다음은 환에 한 비 정도입니다. 해당 칸에 ✔표 해주세요.

문 항 척 도

1. 일반병실로의 환할 비가 되셨습니까? [ ] 아니오[ ]

2.일반병실로 환할 비가 신체 으로 되셨습니

까? 0 1 2 3 4 5 6 7 8 9 10

비 안됨 매우 잘 비됨

3. 오늘 느끼는 통증이나 불편감은 어느 정도입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통증/불편감 없음 통증/불편감 매우 심함

4.일반병실로 환할 비가 정서 으로 되셨습니

까? 0 1 2 3 4 5 6 7 8 9 10

비 안됨 매우 잘 비됨

5.

오늘 치료 으로 허용되는 활동 범 혹은 장애범

내에서 할 수 있는 신체 능력은 어느 정도

입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할 수 없음 매우 잘 함

6.환 후 자신을 스스로 리하는 방법에 해 어

느 정도 알고 계십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모름 매우 잘 앎

7.

환 후 치료 으로 허용되는 활동 범 혹은 장

애범 내에서 생 리, 식사와 같은 개인의 일

상생활 리 방법을 어느 정도 알고 있습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모름 매우 잘 앎

8.환 후 치료나 투약과 련된 문제 해결방법을 어

느 정도 알고 계십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모름 매우 잘 앎

9. 오늘 자신의 힘은 어느 정도입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매우 약함 매우 강함

10.환 후에 주의 깊게 살펴야 할 문제에 해 어느

정도 알고 계십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모름 매우 잘 앎

11.환 후에 문제가 생기면 어떻게 처해야 하는지

에 해 어느 정도 알고 계십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모름 매우 잘 앎

12.환 후 건강상 이유로 해도 되는 것과 하면 안되

는 제한 사항에 해 어느 정도 알고 계십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모름 매우 잘 앎

13.환 후 필요한 추후 리에 해 어느 정도 알고

계십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모름 매우 잘 앎

14. 오늘 본인의 에 지는 어느 정도입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매우 약함 매우 강함

15.일반병실에서 이용할 수 있는 건강 리 서비스 정

보에 해 어느 정도 알고 계십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모름 매우 잘 앎

Page 165: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50 -

문 항 척 도

16.일반병동 생활을 어느 정도 잘 할 수 있을 것 같

습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할 수 없음 매우 잘 함

17.

일반병실에서 생 리, 목욕, 화장실 사용, 식사

등 개인의 일상생활 리를 어느 정도 잘 할 수

있을 것 같습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할 수 없음 매우 잘 함

18.

일반병실에서 자기 리를 어느 정도할 수 있을 것

같습니까?(수술부 리, 운동, 재활, 약물복용

등)

0 1 2 3 4 5 6 7 8 9 10

할 수 없음 매우 잘 함

19. 오늘 느끼는 스트 스는 어느 정도입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없음 매우 심함

20.

가족이나 일반병동 의료진으로부터 환 후에 심

리 으로 도움을 어느 정도 받을 수 있을 것 같습

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못 받음 매우 많이 받음

21.

가족이나 일반병동 의료진으로부터 환 후에 개

인의 일상생활 리에서 어느 정도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못 받음 매우 많이 받음

22.가족이나 일반병동 의료진으로부터 환 후에 어

느 정도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못 받음 매우 많이 받음

23.일반병동 의료진으로부터 치료나 투약과 련된

도움을 어느 정도 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못 받음 매우 많이 받음

Page 166: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51 -

❀ 다음은 퇴원에 한 비 정도입니다. 해당 칸에 ✔표 해주세요.

문 항 척 도

1. 퇴원할 비가 되셨습니까? [ ] 아니오[ ]

2. 퇴원할 비가 신체 으로 되셨습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비 안됨 매우 잘 비됨

3. 오늘 느끼는 통증이나 불편감은 어느 정도입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통증/불편감 없음 통증/불편감 매우 심함

4. 퇴원할 비가 정서 으로 되셨습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비 안됨 매우 잘 비됨

5.

오늘 자신의 활동능력 범 내에서 생 리, 걷

기, 식사 등을 할 수 있는 신체 능력은 어느 정

도입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할 수 없음 매우 잘 함

6.퇴원 후 자신을 스스로 리하는 방법에 해 어

느 정도 알고 계십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모름 매우 잘 앎

7.

퇴원 후 자신의 활동능력 범 내에서 생 리,

식사 등 개인의 일상생활 리 방법을 어느 정도

알고 계십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모름 매우 잘 앎

8.퇴원 후 치료나 투약과 련된 문제 해결방법을

어느 정도 알고 계십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모름 매우 잘 앎

9. 오늘 자신의 힘은 어느 정도 입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매우 약함 매우 강함

10.퇴원 후에 주의 깊게 살펴야 할 문제에 해 어느

정도 알고 계십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모름 매우 잘 앎

11.퇴원 후에 문제가 생기면 어떻게 처해야 하는지

에 해 어느 정도 알고 계십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모름 매우 잘 앎

12.퇴원 후 건강상 이유로 해도 되는 것과 하면 안되

는 제한 사항에 해 어느 정도 알고 계십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모름 매우 잘 앎

13.퇴원 후 필요한 추후 리에 해 어느 정도 알고

계십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모름 매우 잘 앎

14. 오늘 본인의 에 지는 어느 정도입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매우 약함 매우 강함

15.지역사회에서 이용할 수 있는 건강 리 서비스

정보에 해 어느 정도 알고 계십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할 수 없음 매우 잘 함

Page 167: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52 -

문 항 척 도

16.퇴원 후 일상생활을 어느 정도 잘 할 수 계십니

까? 0 1 2 3 4 5 6 7 8 9 10

할 수 없음 매우 잘 함

17.

퇴원 후 생 리, 목욕, 화장실 사용, 식사 등 개

인의 일상생활 리를 어느 정도 잘 할 수 있을 것

같습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할 수 없음 매우 잘 함

18.퇴원 후 자기 리를 어느 정도할 수 있을 것 같습

니까?(수술부 리, 운동, 재활, 약물복용 등) 0 1 2 3 4 5 6 7 8 9 10

없음 매우 심함

19. 오늘 느끼는 스트 스는 어느 정도입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못 받음 매우 많이 받음

20.가족이나 지역사회로부터 퇴원 후에 심리 으로

도움을 어느 정도 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못 받음 매우 많이 받음

21.

가족이나 지역사회로부터 퇴원 후에 개인의 일상

생활 리에서 어느 정도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못 받음 매우 많이 받음

22.가족이나 지역사회로부터 퇴원 후에 어느 정도 도

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못 받음 매우 많이 받음

23.

가족이나 지역사회, 혹은 입원했던 병원으로부터

치료나 투약과 련된 도움을 어느 정도 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못 받음 매우 많이 받음

Page 168: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53 -

❀ 다음은 환에 한 비 정도입니다. 해당 칸에 ✔표 해주세요(가족만).

문 항 척 도

1. 일반병실로 환할 비가 되었습니까? [ ] 아니오[ ]

❀ 다음은 퇴원에 한 비 정도입니다. 해당 칸에 ✔표 해주세요(가족만).

문 항 척 도

1. 퇴원할 비가 되었습니까? [ ] 아니오[ ]

Page 169: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54 -

❀ 다음은 환간호 로그램에 한 만족도를 알아보는 내용입니다. 해당 칸에 ‘✔’표 해 주세요.

문 항 그 지

않다

별로

그 지

않다

보통

이다

체로

그 다

매우

그 다

1. 환에 한 결정사항을 알려주었다 1 2 3 4 5

2. 환과정에 해 자세한 설명과 필요한 정보

교육을 제공하 다1 2 3 4 5

3. 환과정에 환자와 가족을 극 으로 참여

시켰다1 2 3 4 5

4. 환이 실제 이루어지는 시간과 이동할 일반

병실을 알려주었다1 2 3 4 5

5. 환이 순조롭게 이루어졌다 1 2 3 4 5

6. 일반병실에서의 치료계획 일정을 설명해

주었다1 2 3 4 5

7. 일반병실에서의 추후 리 주의사항을 설

명해주었다1 2 3 4 5

8. 일반병실생활에 익숙해지도록 다양한 정보를

제공했다1 2 3 4 5

9. 일반병실생활을 하는데 유용한 로그램이다 1 2 3 4 5

10. 로그램 내용이 개인의 상황에 맞게 구성

되어있다1 2 3 4 5

11. 퇴원 할 때까지 지속 으로 한 리를

해주었다1 2 3 4 5

❀ 귀하께서는 재 제공받고 있는 환간호에 해 만족하십니까?

매우 불만족 한다 매우 만족한다

❀ 귀하께서는 제공받은 환간호 로그램에서 개선되어야 할 이 있다면 어떤 것이 있겠습

니까? ( )

Page 170: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55 -

<부록 18> 연구 도구 사용 동의서

1. Spielberger's state-trait anxiety scale

Page 171: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56 -

2. Montgomery, Gonyea, & Hooyman's family burden scale

Page 172: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57 -

3. Weiss & piacentine's readiness of hospital discharge scale

Page 173: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58 -

A B S T R A C T

D e v e l o p m e n t a n d E v a l u a t i o n o f T r a n s i t i o n a l

N u r s i n g P r o g r a m o f B r a i n I n j u r y P a t i e n t s a n d

F a m i l y C a r e g i v e r s i n N e u r o l o g i c a l C a r e U n i t

Y u n , S u n H e e

D e p a r t m e n t o f N u r s i n g

T h e G r a d u a t e S c h o o l

Y o n s e i U n i v e r s i t y

This study used the transition theory of Meleis et al. (2000) to develop the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for brain injur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in the

NCU and verified the effect of the developed program.

In the program developmental stage, the program content was comprised by

gathering data from literature related on transition theory and intervention, by

focus group interviews carried out on brain injury patients, family caregivers and

medical staff to analyze transitional nursing requests and by the content of the

transitional nursing records. The preliminary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he content validity by experts and user

groups and the final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was developed by verifying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the program.

Page 174: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59 -

In the program effect assessment stage,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on NCU brain injur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during the process of transition.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March 2011 to

April 2012.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communicative brain injury patients

and their families scheduled for transition from the NCU to the general ward.

Before developing the program, this study gained consent for participation in the

research from the 48 subjects of the control group. Afterward,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October 2007 to June 2011. In addition, from January 2012 to April 2012,

the developed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was provided to 46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tarting from the time the decision was made for the

transition of the patients to their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measured when the decision was made for transition of the patients

and when they were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with SPSS 15.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1. In the program development stage, by reviewing transition-related studies, the

program content was designed by classifying nursing domains according to the main

periods in the transition process: patient care, ward liaison, education, and support

for patient and family, consultation and coordination, and leadership. The detailed

content of the program was composed through literary review, focus group

interviews carried out on brain injury patients, family caregivers and medical staff

and content analysis of the transition care records. Furthermore, this study designed

intervention methods and resources according to the content of intervention.

Thus, the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provided for the NCU brain injur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was developed to provide content gathered from

Page 175: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60 -

personal interviews, individual education, family meetings, exchange of general

ward transition experiences, personal practice, personal tour, observation, and

implementation and communication. Intervention resources such as leaflets,

pamphlets, questionnaires, and EMR were used to provide content from the time

the decision for transfer was made for the patients until they were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2. In the phase of program evaluation, the hypothesis 'the personal conditions for

transfer and discharge of the intervention group will be promoted more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he hypothesis ‘the intervention group will show

more healthy patterns of response after transition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In conclusion, the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for NCU

brain injur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increased the awareness and

engagement for transition and facilitated transition conditions to induce positive

patterns of response and contribute to successful transition experiences.

Key words: Health Transition, Nursing, Brain Injuries, Patients, Family caregivers

Page 176: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61 -

문 요 약

D e v e l o p m e n t a n d E v a l u a t i o n o f T r a n s i t i o n a l

N u r s i n g P r o g r a m o f B r a i n I n j u r y P a t i e n t s a n d

F a m i l y C a r e g i v e r s i n N e u r o l o g i c a l C a r e U n i t

A i m s a n d o b j e c t i v e s . To develop the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for brain

injur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in the neurological care unit an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developed program using the transition theory of Meleis et al.

(2000).

B a c k g r o u n d . Positive transition experiences may be facilitated by skilled nursing

and support and there is a need to develop interventions to support and help

patients and their families until the time of discharge, including ensuring the

smooth transition from the neurological care unit to the general ward.

D e s i g n . The study was used in two methods. First, the program was to develop

a methodological study. And then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was conducted in a tertiary hospital.

M e t h o d s . The final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s, analysis of medical records, confirmation of content validity by expert

and users groups and confirmation of clinical applicability. To the intervention

(n=46) and the control groups (n=48) the reaction patterns were evaluated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y measuring the personal conditions of transition

and patterns of response.

R e s u l t . The personal conditions for transfer and discharge of intervention group

Page 177: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62 -

was promoted more than control group. Intervention group was showed more

healthy patterns of response after transition than control group.

C o n c l u s i o n . In conclusion, the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for NCU brain injur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increased the awareness

and engagement for transition and facilitated transition conditions to induce

positive patterns of response and contribute to successful transition experiences.

R e l e v a n c e t o c l i n i c a l p r a c t i c e .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can be used as a

routine transitional nursing intervention for patient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transferred from the NCU to ward and can be used by nurses as a guideline to

improve transitional nursing practice.

K e y w o r d s : Health Transition, Nursing, Brain Injuries, Patients, Family caregivers

I n t r o d u c t i o n

Humans experience transitions of various forms in life, and endeavor to cope

with those transition (Joe, 2010). Patients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hereinafter ICU) will experience more than one transition on a continuum of

diverse and complex ill-health with time (Watts, Pierson, & Gardner, 2005).

Recently, in the health-related field the importance to quality of life of providing

comprehensive care for both patients and families and the concept of continuity of

care have been highlighted (Son, 2009). In the field of nursing, transitional nursing

is an area that emphasizes nursing activities that help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dapt to each new phase by accepting the new changes rather than attempting to

go back to the previous state in the face of a new environment or changed

circumstances (Meleis, Sawyer, Im, Hilfinger Messias, & Schumacher, 2000).

Situations requiring transitional nursing are very varied and extensive, including

Page 178: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63 -

circumstances such as transfer from ICU to the general ward and transfer, from

the general ward to a nursing home or rehabilitation hospital, as well as discharge

to hom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brain injury patients, the prognosis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everity and symptoms, but usually these patients have

sequelae which require long-term care. So in this process, many patients may

experience more than one transition due to the need for urgent care for the

transition.

During the critical care period, brain injury patients stay in the ICU, which is

equipped with advanced medical equipment, technology, and a staff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who are dedicated to intensive care. During this period, patients are

provided with complex and diverse interventions with constant observation for 24

hours a day (Chaboyer, James & Kendall, 2005). Then the patients gradually

recover from their illness.

In general, ICU patients are transferred to the general ward when the acute

event is over and they are somewhat improved from their illness, but, if this

transition process does not proceed smoothly, the patient's symptoms may worsen,

leading to increased ICU and hospital stays as well as rising mortality and

healthcare costs (Chaboyer, 2006; McKinney & Melby, 2002). In addition,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may feel lost among the intensive environment and medical

staff personnel who have become so familiar with critical care and experienced

with the high anxiety and uncertainty of life that are features of intensive care

and its sudden transitions (Coyle, 2001).

Therefore, positive transition experiences may be facilitated by skilled nursing

and support (Davidson, Dracup, Phillips, Padilla, & Daly, 2007) and there is a need

to develop interventions to support and help patients and their families until the

time of discharge, including ensuring the smooth transition from the neurological

care unit to the general ward.

Page 179: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64 -

Recently, in foreign countries, departments that provide care at a level

intermediate between the ICU and the general ward have been established to

reduce the gap between ICU and ward (Brand, 2006), and these will be presented

as an attempt to focus on improving the recovery care of ICU patients (Son,

2009). In the UK, in 2001, a critical care outreach team was organized in an

attempt to actively perform treatment of critically ill patients and improve the

management of patients transferred to the ward from the ICU (Coombs & Dillon,

2002). In Australia, ICU liaison nurses who have been introduced to the role of

nurse practitioners' are active in the practice of transition nursing. These attempts

have led to various positive effects such as improvement of clinical outcome,

reduction of ICU readmission and length of hospital stay, and decreased mortality

and transition anxiety fo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Chaboyer, Foster, Kendall, &

James, 2004). On the other hand, in Korea, there are few hospitals able to operate

an intermediate ICU that provides care at an intermediate-level between the ICU

and the ward because, in the case of a large hospital, the claim is made that

ICUs are responsible for large annual deficits of money, as well as the claim that

in comparison with the general ward, the heavy resource requirement of ICUs

places a significant burden on hospital management (Oh, 2006). Also, the health

care community is lacking awareness of the role of the clinical nurse specialist

because this position has only recently been introduced. In addition, studies of ICU

patients' transitions themselves are still in a relatively poor state. Therefore, the

claim that an intermediate ICU as an intermediate step between the ICU and the

ward should be established or that ICU liaison nurses as a new form of nurse

specialist should be introduced may be at overly early stages (Son, 2009).

A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brain

injury patients and their families suggested by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 role

of ICU liaison nurses and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the national health care

Page 180: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65 -

delivery system, was developed and the effect was evaluated. This will lead to

improvements in the quality of transitional nursing practice as well as providing

an opportunity to continue to encourage interest in the relatively recently

developed concept of transitional nursing in academia and practice.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prepare the basis for development of standardized

transitional nursing practice guidelines that anyone can use easily in practice by

applying them directly to the subjects to verify the effect and development of the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A i m 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for brain

injur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who transfer from the neurological care unit

(hereinafter NCU) to the general ward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uch a

program. Specific purposes are as follows: 1) The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assists in the recovery of brain injur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2) The

effectiveness of the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is identified.

C o n c e p t u a l f r a m e w o r k

This study developed a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based on the transition

theory of Meleis et al. (2000) and attempt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for promoting positive health care for brain injury patients admitted to the

neurological care unit (hereinafter NCU) and helping families to lead a favorable

hospital life. The incidents experienced by brain injur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during the transition from the NCU to the general ward and the

Page 181: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66 -

process of being discharged from the general ward can be applied to transition

theory as follows.

The essence experienced by brain injur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through

transition from the NCU to the general ward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pattern, and property of transition. The types of transitions are as follows.

Through the transition from the NCU to the general ward, the brain injury

patients and their families undergo health/illness transition in which the patient is

recognized as a subject in need of continuous care. In addition, the family

experiences situational transition by newly gaining the role of caregiver, and

undergoes developmental transition in relation to the acquisition of the new role.

The brain injury patient and family caregivers experience multiple, complex

transitions that are not mutually exclusive. The properties of transition begin

when the brain injur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perceive the transition and

the transition process can change according to the level of engagement.

Furthermore, brain injur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experience differences

between the NCU and the general ward in the transition process and sense the

difference from other patients they are staying with. The time span lasts from the

point in which the transition is decided to the point in which patients adapt to the

general ward whereas the critical time and incident becomes the point in which

patients are transferred to the general ward. Although change and difference and

time span and critical point are factors already decided in the experiences of all

transition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ese subjects experience anxiety,

dissatisfaction, transition stress, role stress and lower confid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awareness and engagement the brain injury patients and families present

in the transition process. In addition, such negative transition experiences only

aggravate the burden of the family to prevent them from providing patients with

the appropriate care to eventually exert a negative influence on the recovery and

Page 182: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67 -

rehabilitation of brain injury patients.

On the individual level, transition conditions that promote or suppress the

transition of brain injury patients and their families include meaning, cultural

beliefs and attitudes, socioeconomic status, and preparation and knowledge for the

transition of the patient. The cultural beliefs and attitudes of the brain injury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re comprised of the characteristics, tendencies, habits,

and religion of the patient’s family prior to hospitalization. The socioeconomic

status refers to the economic standard of the family whereas preparation and

knowledge signify the preparations made for transition. In addition, it also includes

the level of disability suffered by the brain injury patient, the ability to participate

in everyday activities, the level of interaction between the patient and the family,

and the level of awareness for one’s current status and prognosis. The community

condition refers to the medical workers’ provision of a supportive environment and

information that affect the life of the patient and family in the general ward

whereas the society condition refers to the branding of the patient who is forced

to live with side effects and disabilities due to long-term brain injury.

As a patterns of response for the transition, brain injur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live harmoniously in the general ward by effectively managing actual or

latent problems. Since the results of a healthy transition can be observed through

the patterns of response (Meleis et al, 2000), the patterns of response for the

transition presented by brain injur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can be verified

through process indicators, such as feeling connected, interacting, authenticity and

developing confidence, and outcome indicators, which are comprised of mastery

and integration.

The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for brain injur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use transition properties and conditions as the intervention principle of nursing

therapeutics. Appropriate education and support is provided to prepare for

Page 183: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68 -

transition to help the brain injury patient and his/her family to perceive the

positive meaning of transition and actively engage in the transition process.

Furthermore, the program helps patients prepare for the transition by providing

transition-related knowledge, which is an individual condition, and by creating a

supportive environment, which is a community condition.

As observed above, this study developed the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based

on the transition theory of Meleis et al. (2000) to promote the healthy transition of

brain injury patients in the NCU and family caregivers and help patients and their

injuries experience successful transitions<Figure 1>.

Page 184: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69 -

M e t h o d s

S t u d y d e s i g n a n d p a r t i c i p a n t s e l e c t i o n

The study was used in two methods. First, methodological design was used to

develop this program. And then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was

conducted in a tertiary hospital.

Subjects were patients with determined brain injurie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in transition from the NCU to the general ward of a tertiary care hospital with

more than 500 beds in Seoul, C University Hospital. Concrete inclusion criteria

were the same as the criteria for the clinical feasibility test. To estimate sample

size, we used Cohen's (1988) formula, which can be used to compare means

between two or more groups. Required sample size per group was determined to

be 45 subjects for a significance level α = 0.05, power 1-β = 0.80, and effect size

f = 0.30, according to Cohen's formula (1988). The dropout rate for the

experimental study was defined as 10%, so the sample size needed to conduct the

research was determined to be about 50 patients per group. A total of 46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included in the data analysis. In the control group,

a total of 48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data analysis. 51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control group, but data analysis was excluded for 3 subjects due to ICU

readmission<Figure 2>.

Page 185: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70 -

<Figure 2> Flowchart of participants

I n t e r v e n t i o n p r o g r a m

This program developed based on the transition theory of Meleis et al. (2000) to

promote the healthy transition of brain injury patients and their families from the

NCU to the general ward by improving transition properties and promoting

transition conditions.

The transition consists of early stage, mid-course and result experiences, and

time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transition (Kralik, Visentin, & van Loon

2006). Therefore, the framework of a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consists of the

Page 186: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71 -

role of ICU nurses with the passing of time during the transition process. In this

study, at a critical point is classified as a determined the transfer point, transfer

point, post-transfer point during the transition process and post-transfer point was

mean until discharge after transfer to the general ward.

The domain of transitional nursing was based on the role of the ICU liaison

nurse who provides transitional nursing to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making

the transition from the ICU to the general ward and who do a role in supporting

ICU and general ward nurses. The duties of the ICU liaison nurse consist of staff

education and support, ward liaison, patient care and support, and family education

and support (Chaboyer, Foster, Foster, & Kendall, 2004). Also it was based on the

role domains of the clinical nurse specialist as professional practical provision,

education and counseling, research, leadership, consultation, and collaboration(Lee

et al, 2007). Domains of overlap or similarities with the role domains of the ICU

liaison nurse were excluded, and only domains about consultation and

collaboration, leadership were added. Each point was given set objectives for each

intervention, and appropriate intervention methods and resources are presented

depending on intervention contents. Therefore the domain of transitional nursing

were composed of patient care, ward liaison, education and support of patient and

family, consultation and coordination, leadership.

Details in the program have been the composition by its basic principles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properties and conditions of the transition and deriving

positive patterns of response in concepts of transition theory (Meleis et al., 2000).

The configuration of details was done through literature review, needs of brain

injur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practical experience, and opinion surveys of

involved medical staffs using a focus group interviews, contents analysis of

transitional nursing on the EMR (electronic medical recording). The preliminary

program was developed by the final program through content validity test of

Page 187: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72 -

expert and user group and test of clinical applicability. The participant of the final

program is a brain injury patient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who are determined

to transferred from the NCU to the general ward. The goal of the program was

to provide a positive experience of transition as well as a successful discharge of

brain injur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Ultimately, participants will experience

a healthy transition. This program were applied by NCU nurses and neurosurgery

ward nurses until from confirmed time for transfer to the general ward to

discharge.

Page 188: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73 -

<Table 1> Final transition nursing program of brain injur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Time

Transition process

Before (NCU) Transfer (NCU → general ward) After (general ward)

Goal

This intervention goal is to identify the levels

of awareness, engagement and readiness of

brain injur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to

experience a successful transition from the

NCU to the general ward. This lead to

smooth and systematic transition readiness of

brain injur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and health professionals.

Brain injur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are completed safely transition.

The goal of intervention is to reduce stress and

anxiety caused by transition to the general ward

and to reduce both the number of unplanned ICU

readmissions and the, length of stay in the

general ward. The goal is also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the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and to see patients successfully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by promoting the recovery of brain

injury patients and reducing the burden of the

family caregivers.

Domains Contents Methods Resource Contents Methods Resources Contents Methods Resource

Patient

care

▶ ICU environment

is created similar

to the ward

▶ Identifying nursing

activities that are

required continuously

▶ Record for transitional

nursing

▶ If necessary, provide

medical equipment

during the transfer

process

Direct

action

Direct

action

Direct

action

Direct

action

EMR

EMR

Monitor,

O2

▶ Assessment of

patient's

condition

during the

transfer

process

Direct

action

▶ Provide a direct

nursing

▶ Assessment of

clinical status

▶ Identifing

compliance and

problems of the

patients according

to treatment

schedule

▶ Identifying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ADL and

medications

Direct

action

Observation

Discussion

Discussion

EMR

EMR

Page 189: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74 -

Time

Transition process

Before (NCU) Transfer (NCU → general ward) After (General ward)

Domains Contents Methods Resource Contents Methods Resources Contents Methods Resource

Ward

liaison

▶ Communications

required for proper

preparation of

the general ward

for patients who

require special

therapeutic

environments or

medical equipment.

▶ Communication

about treatment and

other information

Handover

Handover

Phone or

EMR

EMR

(kardex)

▶ Accurate

delivery to the

general ward

of all the

patient's

personal

belongings and

all goods

associated with

treatment

Direct

action

▶ Directly verifying

by visiting the

general ward

wheth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made safe transitions

Handover Phone or

EMR

Page 190: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75 -

Time

Transition process

Before (NCU) Tansfer (NCU→general ward) After (General ward)

Domain Contents Methods Resource Contents Methods Resource Contents Methods Resource

Education,

support of

patient

and

family

▶ Emotional support

▸ Assessment, intervention

of transition stress and

anxiety

▶ Practical support/education

▸ explanati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CU and the general

ward, discussion of the

transition process,

information about

general ward life,

preparing goods,

discussion of

disease and prognosis,

treatment process,

future management,

precautions,

drugs, restricted or

allowable activities

▸ Direct nursing to be done

in the ward

▸ Introduction to the

general ward

▶ Explanation of the

transition process

▸ Time, room, ways, means

Discussion

Education

Demonst

-ration

Direct

tour

Direct

explanation

Questionnaire

Booklet

Booklet

Leaflet

▶ Emotional support

▸ Assessment, intervention

of transition stress, anxiety

▸ Assessment, intervention

of family's burden

▶ Practical support/education

▸ Information about disease

and prognosis, treatment

process, future management,

precautions, and drugs,

along with providing

education on limited or

allowable activities

▸ Identification and support

of nursing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facilitate care

by family caregivers

▶ Discharge education

▸ Information about direct

nursing to be done at

home, instructions on how

to cope in an emergency

situation

▸ Reconfirmation of medication,

and reconfirmation of

self-care level

Discussion

Education

Education

Questionnaire

Questionnaire

Booklet

Leaflet,

Page 191: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76 -

TimeTransition process

Before (NCU) Transfer (NCU → general ward) After (general ward)

Domain Contents Methods Resource Contents Methods Resources Contents Methods Resource

Consultation

/

coordination

▶ Discussions with

the patient's doctor

about possible

complications

or problems after

transition to the

general ward

▶ Interdisciplinary

consultations,

depending on the

patient's condition

▶ Discussions of

ward assignments

with relevant staff

▶ Notifying the

nutritionist of the

transition room

if the patient will

be transferred

period to a meal

Discussion

Direct

action

Handover

Handover

EMR

Phone or

EMR

Phone or

EMR

▶ Making the

transition with

other health

professionals

(if necessary)

and

contacting

transfer agent

Direct

action

Transport

staff

▶ If the patient tries

to transfer to another

facility, the patient's

nurses will discuss

the patient's case

with the coordinator

▶ If the patient is

discharged to home,

the patient's nurses

may request

interdisciplinary

assistance for home

care

Handover

Direct

action

EMR

EMR

Page 192: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77 -

Time

Transition process

Before (NCU) Transfer (NCU → general ward) After (general ward)

Domain Contents Methods Resources Contents Methods Resources Contents Methods Resources

Leadership

▶ Explanation of the

transition decision

to the general ward

▶ Identification of

needs and plans

for transitional

nursing

▶ Assessment of

transition readiness

▶ Resolution of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transition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 Sharing of

experiences

related to the

transition to the

general ward

▶ Ensuring readiness

of medical equipments

during the transition

process(if necessary)

▶ Checking on the

transition readiness

of ICU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Discussion

Discussion

Discussion

Discussion

Introduction

of similar

cases

Direct

action

Direct

action

Leaflet

Questionnaire

Questionnaire

▶ Making the

transition with

patient's nurse

(if necessary)

Direct

action

▶ Discussions of the

main concerns of

patients and family

members related

to the treatment,

working toward

rapid resolution

▶ If dissatisfaction or

problems occur in the

process of treatment,

identifying needs

and planning for

discharge nursing

▶ Discussing for

discharge readiness

▶ If necessary, and

confirming doctor's

appointments

Discussion

Direct

action

Discussion

Direct

action

Questionnaire

Questionnaire

EMR

Page 193: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78 -

I n s t r u m e n t

G e n e r a l c h a r a c t e r i s t i c s o f t r a n s i t i o 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ed gender, age, education level, religion,

marital status, occupation, number of members living with the family, patient's

position in the family, relationship between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family

caregivers' position in the family, and economic level. Among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were included diagnosis, name of operation, past history, severity

before discharge, NCU length of stay, and admission route. In addition,

care-related family caregivers' characteristics included care experience, average

care time per day, taking care directly of families other than patient, and people

who made shifts.

P e r s o n a l c o n d i t i o n s o f t r a n s i t i o n

Readiness for transition to the general ward

Readiness for transition to the general ward was assessed using the tool which

was developed by Weiss & Piacentine (2006) after modifications and complements

were added to fit this study. The tool consists of a total of 23 items, and a Likert

scale of 11 points (0~10 points), but items assessing overall transition readiness

are meant to be responded to with 'Yes' or 'No'. The 23 items consist of 5

sub-categories, as follows: overall transition readiness (1 question), personal status

(7 questions), coping ability (3 questions), knowledge (8 questions), and expected

support (4 questions).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this tool was .90 at the

Page 194: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79 -

time it was developed. In this study, it was .88.

Readiness for hospital discharge

Readiness for hospital discharge of brain injury patient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was measured with the Readiness for Hospital Discharge Scale which

was developed by Weiss & Piacentine(2006). The tool consists of a total of 23

items, and a Likert scale of 11 points(0~10 points) but items assessing overall

transition readiness are meant to be responded to with 'Yes' or 'No'. The 23

items consist of 5 sub-categories, as follows: overall discharge readiness (1

question), personal status(7 questions), coping ability (3 questions), knowledge (8

questions), and expected support (4 questions).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this tool was .90 at the time it was developed. In this study, it was .89.

P a t t e r n s o f r e s p o n s e

Transition stress

Transition stress of brain injury patient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was

measured by the Numeric Rating Scale (NRS). This scale goes from 0 points (not

at all stressful) to 10 points (very stressful), and subjects mark their level of

transition stress on the horizontal, and and high score was high transition stress.

Transition anxiety

Transition anxiety of brain injury patient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was

measured by the State-Trait Anxiety (STAI). This tool was originally developed

by Spielberger (1970), but in this study, we used the standardized Korean version

developed by Kim & Shin (1978). The measurement tool consists of a total of 20

items, with 13 positive items and 7 negative items. Each item consists of a

Page 195: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80 -

five-point scale of Likert-type and asks the subjects to respond to each question

by checking "not at all", "not generally", "usually" "mostly yes", or "strongly

agree". This means that high scores indicate high anxiety. For the negative items,

scores were calculated in the reverse fashion.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this tool was .87 at the time it was developed. In this study, it was .94.

Burden scale of care of family caregivers

The burden scale of care of family caregivers was measured using the tool

which was developed by Montgomery, Gonyea, & Hooyman (1985). This tool

consists of 9 objective burden items and 13 subjective burden items, for a total of

22 questions. Each item consists of a five-point scale of Likert-type and asks the

subjects to respond to each question by checking "not at all", "not generally",

"usually", "mostly yes", or "strongly agree" to describe the experienced feelings or

thoughts of the family while taking care of patients. This means that high scores

indicate a high burden.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this tool was .85 at

the time it was developed. In this study, it was .88.

Number of patients readmitted to the NCU

NCU readmission was defined as the number of readmissions required within 48

hours after transition from the NCU to the general ward due to the deteriorated

condition of patient after transition to the general ward.

Length of stay in the general ward

Length of stay in the general ward was defined as the period from the date of

transition from the ICU until the date of discharge from the general ward.

Page 196: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81 -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satisfaction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satisfaction is defined as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provided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among brain injury patient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with research directly developed through discussion with

the expert groups. Contents of the assessment included 'description of confirmed

transition', 'description of transition process, relevant information and education',

'active participation of patient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in transition process',

'description of the real time that the transition (transfer to general ward,

discharge) requires and information about the general ward', 'the progress of the

transition process', description of treatment planning, and concrete treatment

schedules, further management, and precautions', 'description of various

information about life in the general ward', 'usefulness of this program when

staying in the general ward', 'configuration of program content', and 'provision of

continuous management until the end of the program'. Each item consisted of a

five-point scale of Likert-type, with high scores indicating high nursing

satisfaction. In addition, satisfaction with the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was

measured by the NRS. This is made up of a scale from 0 points (very

dissatisfied) to 10 points (very satisfied). The last item was composed of open

questions to allow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to freely describe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to the program.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this tool

was .90.

D a t a c o l l e c t i o n a n d p r o c e s 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with a time difference to prevent diffusion of

treatment due to communication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the control groups.

Page 197: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82 -

Thus, the study of the control group was conducted first from September 6, 2011

to November 2, 2011 and then the study of the intervention group was conducted

from January 3, 2012 to March 23, 2012. The study researchers explained the

purpose, content, significance, and specific research process to neurological care

unit and neurosurgery ward nurses who used the transitional nursing programs

themselves before proceeding with the study. Intervention tools such as leaflets

and booklets were provide to facilitate implementation of the study in the NCU

and general ward nurses stations. To ensure accuracy and smooth the progress of

the study, intervention activities of staff nurses were monitored by a nurse in

charge of the shift in the neurological care unit and by nurse practitioners in the

neurosurgery ward. Two groups were confirmed based on the inclusion criteria at

the determined time of the transition from the NCU to the general ward. For the

intervention group, data were collected while providing the developed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but for the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transitional nursing. Data were collected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significance, and contents of the study and then receiving written consent from

the selected subjects.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the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was conducted at the confirmed time for transition and at the time of discharge.

Questionnaires were provided directly by the study researchers to minimize

dropout of subjects in the process of data collection, and subjects received a small

gift before discharge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S t a t i s t i c a l a n a l y s i 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5.0 program. Descriptive analysis,

χ2 test, Fisher's exact test, and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were used to

Page 198: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83 -

compare homogeneity of the base line characteristics, that i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and the transition properties of the

inetrvention and the control groups.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to test

the efficacy of the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Response patterns were measured

at the time of the determined transition and discharge of the two groups.

R e s u l t s

H o m o g e n e i t y t e s t f o r g e n e r a l c h a r a c t e r i s t i c s o f s u b j e c t 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the control groups <Table 2><Table 3>. For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the control groups <Table 4>. For patterns of response before transition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Table 5>.

D i f f e r e n c e f o r t h e t r a n s i t i o n c o n d i t i o n

Readiness score for transition

For the readiness score for transition to the general ward, the intervention

group's mean of 158.35 points was higher than the mean of 147.42 points i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p<.001).

For the percentage of family caregivers who felt they were ready for the

transition, the figure of 93.5% who indicated readiness in the intervention group,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was higher than the

89.6% of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Page 199: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84 -

groups<Table 5>.

Readiness score for hospital discharge

For the readiness score for hospital discharge, the intervention group's mean of

166.22 points was higher than the mean of 154.65 points i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p<.001). For percentage of

family caregivers answering that they felt ready for discharge, 97.8% of

respondents in the intervention group indicated readiness following application of

the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a higher figure than the 83.5% in the control

group, whose members did not receive the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p=.042)

<Table 5>.

D i f f e r e n c e i n p a t t e r n s o f r e s p o n s e a f t e r t r a n s i t i o n

Transition stress

For transition stress of brain injury patients, the inetrvention group's mean

score of 2.78 points out of 10 was lower than the mean of 3.73 points in the

control group, 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p=.025) and

time (p<.001) and the interaction appeared to be (p=.009). For transition stress of

family caregivers, the intervention group scored a mean 2.83 points out of 10

lower than the mean of 3.94 points in the control group, so there were again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p=.008) and time (p<.001) and the interaction

appeared to be(p<.001).

Transition anxiety

For transition anxiety of brain injury patients, the intervention group's mean

score of 46.74 points out of 100 was lower than the mean of 49.67 points in the

control group, so the interaction appeared to be (p=.050). For transition anxiety of

Page 200: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85 -

family caregivers, the intervention group scored a mean of 44.22 points out of 100

lower than the mean of 48.88 points scored by the control group, so the

interaction appeared to be (p=.001).

Subjective health status

For subjective health status of brain injury patients, the intervention group mean

of 8.04 points out of 10 was higher than the mean of 6.83 points in the control

group, 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p=.049) and time

(p<.001) and the interaction appeared to be (p<.001).

Family caregivers' burden

For family caregivers' burden, the intervention group scored a mean of 41.57

points out of 110 lower than the mean of 47.85 points in the control group, so the

interaction appeared to be (p<.001).

Incidence of NCU readmission

After transition of brain injury patients, there was no incidence of NCU

readmission in the intervention group, while 3 cases occurred in the control group,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 length of stay in the general ward

After transition of brain injury patients, the length of stay in the general ward

for patients in the intervention group was 9.76 days, while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10.6 day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atisfaction score for the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For satisfaction with the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of brain injury patients,

Page 201: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86 -

the intervention group scored a mean of 48.46 points out of 110, higher than the

mean score of 34.92 points i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For satisfaction with the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of family

caregivers, the intervention group scored a mean of 49.00 points out of 110, higher

than the mean of 36.46 points i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Table 6>, <Table 7><Table 8>.

S t u d y l i m i t a t i o n

Although this study also requested experts of other institutes to verify the

validity of content, there ar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ince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at a single university hospital. Furthermore,

this study was an experimental study that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In this regard, since the data for the control

group was collected prior to the development of the transitional care program and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data collection, it

raises the possibility regarding the intervention of the third variable that can

influence research results during the data collection period of the two groups.

D i s c u s s i o n

This study developed a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based on the transition

theory of Meleis et al. (2000) to promote the healthy transition of brain injury

patients and their families from the NCU to the general ward by improving

transition properties and promoting transition conditions.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verified by applying the program to brain injury patients transferred from the

Page 202: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87 -

NCU to the general ward and family caregivers.

This study systematically examined the transition process looking at several

stages to develop the transitional care program for brain injury patients

transferring from the NCU to the general ward and family caregivers. To develop

an actual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based on the requests of the subjects, this

study included in its intervention content analysis results gained from focus group

interviews carried out on brain injur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that had

already experienced transition from the NCU to the general ward. In addition, this

study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on the medical staff that participated in

the transition and led the overall process and included meaningful data in the

intervention content. The content was composed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fact

that care providers and recipients may have different requests from one another.

This is supported by the results of a study that developed a patient-focused

discharge nursing model for abdominal surgery patients, which showe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 requested by actual patients differed from that of the nurses’

perspective (Anthony & Hudson-Barr, 2004).

It is important that the medical staff make efforts to help patients and families

positively perceive the transition from the ICU to the general ward (Beard, 2005;

Whittaker & Ball, 2000). But whereas a majority of the medical workers in charge

of the ICU developed advanced medical technology by focusing on how to revive

the patients hospitalized in their unit, they failed to pay attention to the prognosis

or recovery process of patients after leaving the ICU (Watts, Pierson, & Gardner,

2006). Furthermore, the medical staff employed at the ICU showed a tendency to

often ignore the basic needs of the patients as they placed greater priority on

stabilizing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critical patient while handling complex,

mechanical duties within a pressing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medical

workers at an ICU can easily disregard the psychological nursing requests

Page 203: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88 -

presented by patients (Watts et al., 2005).

Content analysis of transitional nursing through the EMR, transitional

interventions that provided to brain injury patients and family did not vary and it

was the same contents rather than individually. As well as transitional nursing

was centered as the work and emotional support for patient and family almost did

not provide. Domestic studies related with critical patients or the ICU are mainly

restricted to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patients and families that can arise

when patients are hospitalized at the ICU. Since studies on transitional care

related to the transition of ICU patients remain extremely inadequate (Son, 2009),

it was difficult to achieve a direct comparison.

The transitional nursing programs implemented in the past have mainly provided

discharge education through small pamphlets (Kleinpell, 2004; Lee, 2000). In most

cases, the education was hastily provided only to patients or guardians shortly

before discharge and was based on unilateral delivery rather than bilateral

exchange (Mitchell, & Courtney, 2005). Ultimately, the developed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moved away from the previous method and wa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domestic circumstances, focused on educational methods and

support for patients or guardians. This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can be easily

used in practical clinical applications and has been designed to efficiently achieve

autonomous participation of the patients, family caregivers, and nurses in the ICU

and general ward throughout the entire transition process, from the moment

transition is decided until the patient is discharged. Patient care, ward liaison and

leadership domains are directly operated by nurses in the ICU and general ward.

In particular, nurses take the dominant role and act as the leader in the leadership

domain.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s taken for the consultation and collaboration

domain in order to support and solve clinical problems of the patients and

transition-related issues of the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Patients and family

Page 204: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89 -

caregivers can directly participate in the patient and family education/support

domain and interact with the medical staff to effectively solve the problems they

have encountered in relation to the transition.

The result of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the personal

conditions of transition was improved. In transition theory, to assess the first

transition readiness of participants is intended to understand more comprehensively

for participants to transition before providing nursing therapeutic (schumacher &

Meleis, 1994), and through this process, because transitional nursing needs of

participants are identified so positive results is appeared. Thus, it is essential to

provide concrete evidence for implementing individual, actual and detailed

transitional care intervention by evaluating the level of readiness for transition

befor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re transferred to the general ward.

Furthermore, as appropriate transitional care intervention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evaluated level of readiness, it is expected to effectively maintain the

continuity of care.

Transition stress, transition anxiety and the family burden decreased and

satisfaction of the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was high. However, NCU

readmission and length of stay in the general war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is study and precedent studies (Chaboyer et al, 2012; Son, 2009)

showed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rom the transitional care

program on the number of patients re-admitted to the ICU and on the length of

stay in a general ward. The reason is thought to be the short-term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us, positive effects can be expected if the program is applied for a

longer period. Furthermore, as hospital discharge or transition from the ICU to the

general ward must be decided by doctors’ orders rather than the independent

judgment of a nurse, it is a matter that requires close cooperation between doctors

and nurses. However, as these matters often have a tendency to be solely decided

Page 205: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90 -

by doctors’orders, it is important for nurses, who spend the longest time with the

pati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regarding the

transition or discharge of patients.

Therefore, the results show that brain injury patients, their families, and nurses

participating in the transition process were able to gain positive transition-related

experiences through the transitional care program the active application of the

program is expected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quality of transitional nursing.

C o n c l u s i o n s

This study used the transition theory of Meleis et al. (2000) to develop the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for brain injur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in the

NCU and verified the effect of the developed program. The study was used in

two methods. First, the program was to develop a methodological study. And then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was conducted

in a tertiary hospital. In conclusion, the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for NCU brain injur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increased the

awareness and engagement for transition and facilitated transition conditions to

induce positive patterns of response and contribute to successful transition

experiences.

R e l e v a n c e t o c l i n i c a l p r a c t i c e

This study developed a program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requests, opinions,

thoughts, feelings, or experiences of all subjects participating in the transition

Page 206: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91 -

process, such as the medical staff, brain injury patients transferred from the NCU

to the general ward and their family members. Since the effect of the program

has been scientifically verified, it can be efficiently used with subjects in

transitional care. This will in turn enhance the quality and practice of transitional

care and provide subjects with high-quality transitional care service to improve

clinical results.

A c k n o w l e d g e m e n t s

The authors are grateful for the assistance from the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who participated in this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and medical staffs

at the Neurological Care Unit and Neurosurgical Ward of Seoul Saint Mary's

Hospital.

C o n t r i b u t i o n s

Study design: Oh, E. G., Kim, S. S., Yoo, J. S., Yoo, Y. S,. Jang, Y. S. Yun, S. H.

Data collection: Yun, S. H.

Analysis: Oh, E. G., Kim, S. S., Yoo, J. S., Yoo, Y. S,. Jang, Y. S. Yun, S. H.

Manuscript preparation : Oh, E. G., Yun, S. H.

Page 207: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92 -

<Table 2> Homogeneity test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brain injury

patient

(N=94)

Characteristics

Int.(n=46) Con.(n=48)χ2

or tpn(%) or

Mean±SD

n(%) or

Mean±SD

Gender Male 16(34.8) 23(47.9) 1.17 .216

Female 30(65.2) 25(52.1)

Age (years) 51.35±12.05 53.77±13.24 0.93 .356

Marital status* Single 6(13.0) 6(12.5) .559

Married 37(80.4) 41(85.4)

Others 3(6.5) 1(2.1)

Religion* Catholic 22(47.8) 14(29.2) .204

Protestant 14(30.4) 15(31.3)

Buddhist 4(8.7) 7(14.6)

No religion 6(13.0) 12(25.0)

Education level Elementary school 1(2.2) 4(8.3) .051

Middle school 8(17.4) 1(2.1)

High school 23(50.0) 25(52.1)

≥college 14(30.4) 18(37.5)

Occupation No 17(37.0) 18(37.5) 3.29 .193

Yes 24(52.2) 30(62.5)

Social life experience No 0(0) 0(0)

Yes 46(100) 48(100)

Position in the family Grandfather 3(6.5) 9(18.8) 4.68 .322

Grandmother 9(19.6) 10(20.8)

Father 12(26.1) 11(22.9)

Mother 17(37.0) 11(22.9)

Children 5(10.9) 7(14.6)

Number of a family live together 3.17±1.22 3.00±0.88 0.80 .427

Economic status Good 12(26.1) 7(14.6) 2.98 .395

moderate 19(41.3) 27(56.3)

some poor 11(23.9) 9(18.8)

poor 4(8.7) 5(10.4)

Family responsibility Whole responsibility 8(17.4) 12(25.0) 1.01 .604

Partial 29(63.0) 29(60.4)

Burdenless 9(19.6) 7(14.6)

Int.: intervention group, Con.: control group, * Fisher's exact test

Page 208: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93 -

<Table 3> Homogeneity test f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family caregivers

(N=94)

Characteristics

Int.(n=46) Con.(n=48) χ2

or

t

pn(%) or

Mean±SD

n(%) or

Mean±SD

Gender Male 18(39.1) 12(25.0) 1.56 .212

Female 28(60.9) 36(75.0)

Age(year) 43.78±12.11 46.71±12.00 1.18 .243

Marital status Single 5(10.9) 8(16.7) 2.66 .264

Married 41(89.1) 40(83.3)

Religion* Catholic 22(47.8) 13(27.1) .074

Protestant 14(30.4) 14(29.2)

Buddhism 4(8.7) 5(10.4)

No religion 6(13.0) 16(33.3)

Eucation level* Elementary school 0(0) 4(8.3) .109

Middle school 4(8.6) 1(2.1)

High school 21(45.7) 24(50.0)

≥college 21(45.7) 19(39.6)

Occupation No 24(52.2) 18(37.5) 3.29 .193

Yes 22(47.8) 30(62.5)

Position in the family* Grandfather 3(6.5)* 10(20.8) .170

Grandmother 9(19.6) 13(27.1)

Father 12(26.1) 11(22.9)

Mother 17(37.0) 11(22.9)

Children 5(10.9) 3(6.3)

Relationship with Spouse 22(47.8) 20(41.7) .911

patient* Parents 4(8.7) 6(12.5)

Brothers and sisters 4(8.7) 6(12.5)

Children 11(23.9) 10(20.8)

Son or daughter in law 5(10.9) 6(12.5)

Number of a family live together 3.17±1.22 3.00±0.88 0.80 .427

Economic status* Good 5(10.9) 7(14.6) .837

Moderate 25(54.3) 24(50.0)

Some poor 13(28.3) 12(25.0)

Poor 3(6.5)* 5(10.4)

Family responsibility Whole responsibility 8(17.4) 12(25.0) 1.01 .604

Partial responsibility 29(63.0) 29(60.4)

Burdenless 9(19.6) 7(14.6)

Care experience of the past No 39(84.8) 44(91.7) 1.08 .299

Yes 7(15.2) 4(8.3)

Day's care time(hours) 9.63±7.66 11.67±8.61 1.21 .230

Care for a family but patient No 9(19.6) 8(16.7) 0.13 .715

Yes 37(80.4) 40(83.3)

Family changed of care* No 6(13.0) 3(6.3) .263

Yes 40(87.0) 45(93.8)

Int.: intervention group, Con.: control group, * Fisher's exact test

Page 209: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94 -

<Table 4> Homogeneity test for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of brain injury patients

(N=94)

Characteristics

Int.(n=46) Con.(n=48) χ2

or

t

pn(%) or

Mean±SD

n(%) or

Mean±SD

Hospitalization Emergency room 25(54.3) 23(47.9) .405

route* General ward 15(32.6) 19(39.6)

Outpatient department 4(8.7) 6(12.5)

Others 2(4.3) 0(0)

Comorbidity with No 21(45.7) 21(43.9) 0.03 1.000

other diseases Yes 25(54.3) 27(56.3)

Brain disease No 44(95.7) 47(97.9) 0.39 .613

Yes 2(4.3) 1(2.1)

Diabetes Mellitus No 32(69.6) 32(66.7) 0.09 .827

Yes 14(30.4) 16(33.3)

Hypertension No 26(56.5) 30(62.5) 0.35 .675

Yes 20(43.5) 18(37.5)

Hepatitis No 39(84.8) 45(93.8) 1.99 .194

Yes 7(15.2) 3(6.3)

Cancer No 45(97.8) 46(95.8) 0.30 1.000

Yes 1(2.2) 2(4.2)

Others No 35(76.1) 14(29.2) 0.33 .644

Yes 11(23.9) 34(70.8)

Diagnosis name* Brain tumor 11(23.9) 16(33.3) .575

Subarachnoid hemorrhage 7(15.2) 6(12.5)

Epidual hematoma 6(13.0) 2(4.2)

Subdural hemorrhage 6(13.0) 5(10.4)

Intracerebral hemorrhage 8(17.4) 7(14.6)

Stroke or cebral infarction 1(2.2) 4(8.3)

Cerebral aneurysm 5(10.9) 4(8.3)

Hemifacial spasm 2(4.3) 4(8.3)

Operate name Tumor removal 11(23.9) 16(33.3) 4.70 .454

Hematoma removal 20(43.5) 16(33.3)

Neck clipping 12(26.1) 9(18.8)

Microvascular decompression 2(4.3) 4(8.3)

No operate 1(2.2) 3(6.3)

Length of stay in the NCU 2.83±1.84(1-13)** 3.33±2.24(1-15)** 1.20 .235

Severity of disease Grade II 15(32.6) 15(31.3) 0.41 .815

before transition Grade III 22(47.8) 21(43.8)

Grade IV 9(19.6) 12(25.3)

Medical research Grade III 7(15.2) 7(14.6) 0.78 .680

counci scale Grade IV 14(30.4) 11(22.9)

Grade V 25(54.3) 30(62.5)

modified Rankin Grade 0 6(13.0) 9(18.8) 0.32 .678

scale Grade I 5(10.9) 7(14.6)

Grade II 19(41.3) 16(33.3)

Grade III 8(17.4) 11(22.9)

Grade IV 8(17.4) 5(10.4)

Int.: intervention group, Con.: control group, * Fisher's exact test, ** range,

Page 210: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95 -

<Table 5> Homogeneity test for patterns of response before transition

(N=94)

VariablesInt.(n=46) Con.(n=48)

t pMean±SD Mean±SD

Brain injury patients Transition stress 4.46±1.57 4.60±1.54 0.46 .647

Transition anxiety 52.39±6.39 51.81±6.64 0.43 .668

Subjective health status 5.98±1.24 6.42±1.30 1.67 .098

Family caregivers Transition stress 4.80±1.52 4.56±1.20 0.86 .392

Transition anxiety 54.04±5.61 52.46±6.76 1.23 .220

Burden of family 56.63±5.83 54.38±9.92 1.35 .181

Int.: intervention group, Con.: control group,

Page 211: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96 -

<Table 6> Difference test in transition condition of brain injury patients

(N=94)

Variables

Int.(n=46) Con.(n=48) χ2

or

t

pn(%) or

Mean±SD

n(%) or

Mean±SD

Transition Transition readiness 45(97.8) 45(93.8) 0.22 .640

1(2.2) 3(6.3)

Personal status 46.48±4.24 45.54±6.69 0.82 .418

Knowledge 56.02±4.90 50.21±5.87 5.20 <.001

Coping ability 25.57±1.88 23.79±2.91 3.52 .001

Expected support 30.28±3.99 27.88±4.47 2.75 .007

Sum 158.35±7.94 147.42±8.73 6.35 <.001

Discharge Discharge readiness 45(97.8) 43(89.6) 1.47 .225

1(2.2) 5(10.4)

Personal status 52.83±3.19 51.21±4.02 2.15 .034

Knowledge 57.57±4.74 52.71±4.28 5.51 <.001

Coping ability 25.24±2.25 23.65±3.65 2.56 .012

Expected support 30.59±4.06 27.08±4.33 4.05 <.001

Sum 166.22±7.60 154.65±7.51 7.423 <.001

Int.: intervention group, Con.: control group,

Page 212: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97 -

<Table 7> Difference test in transition condition of family caregivers

(N=94)

VariablesInt.(n=46) Con.(n=48)

χ2 pn(%) n(%)

Transition readiness Yes 43(93.5) 43(89.6) 0.94 .759

No 3(6.5) 5(10.4)

Discharge readiness Yes 45(97.8) 40(83.5) 4.148 .042

No 1(2.2) 8(16.7)

Int.: intervention group, Con.: control group,

Page 213: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98 -

<Table 8> Difference test in patterns of response after transition (N=96)

Variables

Int.(n=46) Con.(n=48) χ2

or

t or F

pPre Post Pre Post

n(%) or Mean±SD n(%) or Mean±SD

Brain injury patients Transition stress 4.46±1.57 2.78±1.14 4.60±1.54 3.73±1.22 Group 5.16 .025

Time 71.87 <.001

G*T 7.06 .009

Transition anxiety 52.39±6.39 46.74±5.08 51.81±6.64 49.67±6.53 Group 1.73 .192

Time 18.15 <.001

G*T 3.67 .050

Subjective health status 5.98±1.24 8.04±0.87 6.42±1.30 6.83±1.08 Group 3.66 .049

Time 108.69 <.001

G*T 47.96 <.001

NCU readmission 0(0) 3(6.2) 2.97 .242

46(100) 45(93.8)

GW LOS 9.76±2.50 10.563±.07 1.39 .169

Program satisfaction 48.46±2.16 34.92±2.72 26.67 <.001

Family caregivers Transition stress 4.80±1.52 2.83±0.67 4.56±1.20 3.94±0.93 Group 7.27 .008

Time 60.96 <.001

G*T 16.47 <.001

Transition anxiety 54.04±5.61 44.22±6.19 52.46±6.76 48.88±7.29 Group 2.49 .118

Time 52.69 <.001

G*T 11.42 .001

Burden of family 56.63±5.83 41.57±8.38 54.38±9.92 47.85±9.56 Group 2.38 .127

Time 81.11 <.001

G*T 12.71 <.001

Program satisfaction 49.00±2.24 36.46±2.58 <.001

Int.: intervention group, Con.: control group, G*T: group*time, NCU: neurological care unit, GW: general ward,

LOS: length of stay

Page 214: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199 -

R e f e r e n c e

Anthony, M. K. & Hudson-barr, D. (2004). A patient-centered model of care for

hospital discharge. Clinical Nursing Research, 13(2), 117-136.

Beard H. (2005). Does intermediate care minimize relocation stress for patients

leaving the ICU? Nursing in Critical Care, 10(6), 272-278.

Brand, S. L. (2006). Nurses' role in discharge decision making in an adult high

dependency unit.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2(2), 106-114.

Chaboyer, W. (2006). Intensive care and beyond: Improving the transitional

experiences for critically ill patients and their families.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2(4), 187-193.

Chaboyer, W., Foster, M. M., Foster, M., & Kendall, E. (2004). The intensive care

unit liaison nurse: towards a clear role description.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0(2), 77-86.

Chaboyer, W., Foster, M., Kendall, E., & James, H. (2004). The impact of a

liaison nurse on ICU nurses' perceptions of discharge planning. Australian

Critical Care, 17(1), 25-32.

Chaboyer, W., Gillespie, B., Foster, M., & Kendall, M. (2005). The impact of an

ICU liaison nurse: a case study of ward nurses' perception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4(6), 766-775.

Chaboyer, W., James, H., & Kendall, M. (2005). Transitional care after the

intensive care unit. Critical Care Nurse, 25(3), 16-29.

Chaboyer, W., Lin, F., Foster, M., Retallick, L., Panuwatwanich, K., & Richards, B.

(2012). Redesigning the ICU nursing discharge process: a quality improvement

study.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9(1), 40-48.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Coombs, M., & Dillon, A. (2002). Crossing boundaries, re-defining care: the role of

Page 215: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200 -

the critical care outreach team.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1(3), 387-393.

Coyle, M. A. (2001). Transfer anxiety: Preparing to leave intensive care. Intensive

& Critical Care Nursing, 17(3), 138-143.

Davidson, P. M., Dracup, K., Phillips, J., Padilla, G., & Daly, J. (2007). Maintaining

hope in transition : A theoretical framework to guide intervention for people

with heart failure.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2(1), 58-64.

Joe, S. Y.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transitional care program for

patients discharged from military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4), 599-609.

Kim, J. T., & Shin. D. K. (1978).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The New medical journal, 21(11), 69-75.

Kleinpell, R. M. (2004). Randomized trial of an intensive care unit-based early

discharge planning intervention for critically ill elderly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3(4), 335-345.

Kralik, D., Visentin, K., & van Loon A. (2006). Transition: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5(3), 320-329.

McKinney, A. A., & Melby, V. (2002). Relocation stress in critical care: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1(2), 149-157.

Lee, J. H., Sung, Y. H., Yi, Y. H., Cho, Y. A., & Kwon, I. G. (2007). The role

analysis of intensive care unit nurse and critical care advanced practice nurs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3(3), 93-108.

Lee, Y. J. (2000). The effect of discharge education program on compliance with

sick-role behavior in cerebrovascular surgery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University, Gwangju.

Meleis, A. I., Sawyer, L. M., Im, E. O., Hilfinger Messias, D. K., & Schumacher,

K. (2000). Experiencing transitions: an emerging middle-range theory. American

in Nursing Science, 23(1), 12-28.

Page 216: 신경계 중환자실 뇌손상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 · 북돋아주신 유지수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 201 -

Mitchell, M. L., & Courtney, M. (2005). Improving transfer from the intensive care

unit: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brochure based on

knowledges' adult learning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1(6), 257-268.

Montgomery, R., Gonyea, J., & Hooyman, N. (1985). Caregiving and the experience

of subjective and objective burden. Family Relations, 34, 19-26.

Oh, D. I. (200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ICU room charges based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st of the ICU. Korea Management Review, 35(4),

1181-1202.

Schumacher, K. L., & Meleis, A. I. (1994). Transitions: a central concept in

nursing. Image--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6(2), 119-127.

Son, Y. J. (2009).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collaborative transitional care

program for continuity of care in patients transferred to general wards from

ICU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3), 143-155.

Spielberger, C. D. (1983).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m Y). Redwood City:

Mind Garden Inc.

Watts, R., Gardner, H., & Pierson, J. (2005). Factors that enhance or impede

critical care nurses' discharge planning practices.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1(5), 302-313.

Watts, R., Pierson, J., & Gardner, H. (2006). Critical care nurses' beliefs about the

discharge planning process: A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3(3), 269-279.

Weiss, M. E., & Piacentine, L. B. (2006).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readiness

for hospital discharge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4(3), 163-180.

Whittaker, J., & Ball, C. (2000). Discharge from intensive care: a view from the

ward. Intensive and Critical Care, 16(3), 135-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