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관한...

16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관한 연구 강고니 (주)와우이미지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avement Word Marking Seen from Typographic Viewpoints Kang ko-ni Wow Image 투고일 2011.11.26 심사기간 2011.12.1-10 게재확정일 2011.12.10 키워드 교통안전표지, 노면 안전표지, 타이포그라피, 한글 pavement, marking, traffic signs, typography, hangeul

Upload: others

Post on 04-Oct-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관한 연구koreantypography.org/wp-content/uploads/thesis/kst_j4_1.pdf · 2020. 6. 26. ·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관한 연구

강고니

(주)와우이미지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avement Word Marking Seen from Typographic Viewpoints

Kang ko-niWow Image

투고일 2011.11.26 심사기간 2011.12.1-10 게재확정일 2011.12.10

키워드 교통안전표지, 노면 안전표지, 타이포그라피, 한글

pavement, marking, traffic signs, typography, hangeul

Page 2: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관한 연구koreantypography.org/wp-content/uploads/thesis/kst_j4_1.pdf · 2020. 6. 26. ·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933932 글짜씨 5 9 2 1 - 1 1 1 0

차례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목적과 범위

2. 노면안전표지용 글자의 이해

3. 국내 노면안전표지용 글자의 현황 파악

3.1 설치 지침서의 구성 및 특징

3.2 설치 현황

3.3 문제점 분석

4. 외국 사례를 통한 비교 분석

4.1 국내외 노면안전표지용 글자 지침서의 구성 및 특징

4.2 국내외 노면안전표지용 글자 지침서의 비교 분석

5. 사례분석을 통한 제안

6.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근래 들어 디자인 영역을 넘어 전 영역에 걸쳐 공공디자인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공공디자인에는 건축물과 환경시설(공원·산책로 등)외에도

도로 상의 여러 안전표지가 있으며, 최근에는 안전표지의 글자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안전표지는 신호등·표지판과 같은

입면 안전표지와 도로의 노면 위에 그려진 노면 안전표지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중 입면 안전표지는 전용 글자체가 만들어지는 등 표지의 제작방법부터

글자의 부착방식까지 다양하고 광범위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그에 반하여, 노면안전표지용 글자는 아직까지 세부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새로이 만들어진 입면 표지용 글자 지침서1와 현재의

노면표지용 글자 지침서를 비교하면 그 지침의 양과 내용 면에서 현저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노면안전표지는 시점으로 인한 왜곡, 설치 공간의 차이로 인한

글자 수 제한 등, 운전자가 안전표지를 인지하는데 입면안전표지에 비해

많은 환경적 변수를 가진다. 그럼에도 글자의 형태와 전개에 대한 규정 등

설치에 필요한 최소한의 가이드가 지침서에 명확히 기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노면표지용 글자는 도로마다 각각 다른 상황을 보이고

있다. 이는 운전자로 하여금 노면표지용 글자를 판독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하여 원활한 교통흐름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도시 미관상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공공디자인은 개개의 물리적 기능뿐만 아니라, 조형적 기능까지 고려되어

계획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노면안전표지용 글자의 지침, 즉 디자인

매뉴얼의 개발 필요성을 절감하여, 글자의 형태적 기준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향후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구체적 디자인 매뉴얼을 마련하는데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는 근간을 제공하고자 한다.

Page 3: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관한 연구koreantypography.org/wp-content/uploads/thesis/kst_j4_1.pdf · 2020. 6. 26. ·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935934 글짜씨 5 9 2 1 - 1 1 1 0

1.2. 목적과 범위

연구대상이 글자라는 것을 감안할 때 글자의 기본 형태와 길이·비례 등의

속성을 타이포그라피적 속성이라 판단하는바, 연구의 목적을 타이포그라피의

속성을 근거로 한 노면안전글자 디자인 가이드라인으로 제안한다.

이를 위해 먼저 현재 우리나라의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설치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외국의 노면글자 지침을 분석·비교하여, 한글의 특수성을

고려한 우리나라에 적합한 지침방식을 알아보고자 한다.연구 범위는 노면 안전표지의 설치 지침 중 가장 고려되어야 할

‘글자’ 부분으로 한정한다. 노면 안전표지글자 디자인개발에 필요한 모든

범위를 연구범위로 정하되, 색이나 재료, 기술적 특성보다는 글자 형태의

기준을 정하는 데에 연구의 중점을 둔다.

또한 글자 중에서도 연구 범위를 ‘한글’로 제한한다. 이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노면안전표지용 글자가 한글이고, 연구를 한글의 구조적

특수성에 집중하여 진행하기 위함이다. 차후 로마자와 숫자의 형태는 한글의

형태를 기준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2. 노면안전표지용 글자의 이해

노면안전표지용 글자란 운전자와 보행자의 안전을 위하여 도로 위에

그린 글자를 말한다. 이는 안전표지의 영역 중 노면표지 사인에 포함되며,

노면표지는 다시 선, 화살표, 기호, 글자로 세분화 된다.2

노면안전표지용 글자의 가장 큰 특징은 글자가 보는 이(운전자)의

시야보다 아래쪽에 위치한 도로에 맞추어 제작된다는 것이다.

노면안전표지용 글자가 일반 글자3보다 가로비율에 비해 세로비율이

긴 형태를 띠는 이유는 위와 같은 특수성 때문이다.

3. 국내 노면안전표지용 글자의 현황 파악

3.1. 설치지침서의 구성 및 특징

우리나라의 도로교통법의 「도로교통법 시행세칙」을 보면 노면안전표지용

글자의 형태가 한글과 숫자의 형태로 명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노면안전표지용 글자의 굵기나 비례 등 형태적

특징을 이해하기 힘들뿐더러, 그 규격조차 알 수 없다. 그래서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과 경찰청에서는 노면안전표지용 글자의 형태를 다음

그림과 같이 명시하고 있다.

위 <그림 3, 4>의 경우 「도로교통법 시행세칙」보다는 자세하지만,

노면안전표지용 글자 크기와 글자의 가로·세로 길이만 추가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에서는 「교통안전시설실무편람해설 Ⅳ」라는

연구보고서를 통해 위의 지침 내용을 보충하는 다음 그림을 기재하고 있으며,

보다 효율적인 설치와 과니를 위한 내용이라고 밝히고 있다.

그림 3.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발행, 「교통안전시설실무편람Ⅵ」의 노면안전표지용 글자의 기준

그림 4. 경찰청 발행, 「교통노면표시 설치·관리 매뉴얼」에서 명시한 노면안전표지용 글자 기준

그림 1. 『도로교통법 시행세칙』 별표 6의 한글 형태

그림 2. 동일법 시행세칙 별표 6의 숫자 형태

Page 4: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관한 연구koreantypography.org/wp-content/uploads/thesis/kst_j4_1.pdf · 2020. 6. 26. ·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937936 글짜씨 5 9 2 1 - 1 1 1 0

마지막 <그림 5>의 연구보고서 내용을 제외하고, 세 곳의 지침서를

모두 살펴보면 실질적으로 글자를 그리기 위해 필요한 각 글자 획의

굵기·비례·간격과 전체적인 레이아웃 등 세부적인 사항에 관한 규정을 알

수 없다. 또한 <그림 5>의 연구보고서 내용에서 위의 세 곳의 지침서보다

세부적인 치수를 기재하고 있지만, 정식 지침서가 아니며 단편적인 몇 단어의

경우의 예로, 글자의 규격에 대한 기본 토대를 밝히고 있지 않아 다른 글자에

대한 확장이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노면안전표지용 글자는 불가피하게

시공자의 주관적 판단으로 그려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더욱이 우리나라

노면안전표지용 글자 시공의 대부분이 치수 입력을 통한 자동화 기계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하청회사 소속의 시공자가 도로에 직접 도면을

그리고 수동 분사기나 롤러와 같은 도구로 수작업을 하기 때문에 그 문제점이

심각하다.이처럼 세부지침규정의 미흡은 글자를 그리는데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여, 국내 노면안전표지용 글자들 간의 통일성이 떨어지고 안전표지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하는 데 필요한 형태적 판단을 저해하는 등 여러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4

그림 5.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발행,『교통안전시설실무편람해설 Ⅳ』에서 명시한

노면안전표지용 글자의 기준

3.2. 설치 현황

위에서 알아본 바와 같이 현재 국내에는 노면안전표지용 글자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기 때문에, 지침서에 명시된 내용만으로는 노면안전표지용 글자의

형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 도로에 그려진 글자를 직접

확인·분석하여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때, 노면안전표지용 글자의 정확한

형태적 분석을 위해서 노면안전표지용 글자를 타이포그라피적 요소인

형태·조판·적용 세 가지로 나누어 각 요소의 세부사항을 통해 살펴보았다.

형태 기준

글자의 크기와 비례

획의 굵기

형태의 일관성

시각 보정

시각 흐름선

조판 기준

글자의 간격

글줄의 간격

글자 수에 따른 레이아웃

적용 기준글자의 최소 수와 최대 수

간격과 위치

표1. 타이포그라피적 요소에 따른 분석기준

먼저 형태기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을 때, 도로 위 글자의 크기와 비례가

일정치 않으며, 획의 굵기와 여백공간과의 비례가 각기 다르고 굵기가

여백공간에 비해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장체라는

공통점 외에 크기·비례 등에 대한 통일성이 없어 글자의 구조를 파악하기

힘든 점 등 형태의 일관성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더불어 자소의 모양을

제각각으로 쓰는 문제도 볼 수 있는데, 이는 글자의 구조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주관적인 판단으로 시공하여 발생하는 2차적인 문제로 볼 수 있다.

시각보정의 경우 글자의 대부분이 같은 굵기이며, 굵기가 다른

상황에서는 제 각각의 굵기나 여백을 갖고 있어 운전자의 시야각이나 왜곡에

근거하여 그려진 것이 아니라는 판단을 할 수 있었다. 시각흐름선의 경우

글자 모음의 가로획의 위치가 일정하지 않은 등의 이유로 현재 글자에서는

공통분모를 찾아볼 수 없었다.

Page 5: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관한 연구koreantypography.org/wp-content/uploads/thesis/kst_j4_1.pdf · 2020. 6. 26. ·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939938 글짜씨 5 9 2 1 - 1 1 1 0

그림 6. 다음(Daum) 스카이뷰로 본 영동대교(왼쪽)와 춘천고속도로(오른쪽)의 노면안전표지용

글자 비례 측정과 세부 이미지: 규정 속도는 40km/h의 차이가 있지만 글자의 크기가 대략

3M로 같은 길이와 비례를 갖고 있다.

그림 7. 단어 안에서 획의 굵기가 다른 예

그림 8. 글자의 구조가 다른 예

그림 10. 글자사이가 좁은 예(왼쪽)와 차선과 글자의 사이가 좁은 예(오른쪽)

그림 11. 글자사이가 다른 예

그림 12. 글줄사이가 다른 예

그림 9. 자소의 모양이 다른 예

조판기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을 때, 글자사이과 글줄사이가 들쭉날쭉하여

차선과 글자 세로획이 분간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었고 같은 너비의

차선에서 쓰인 같은 지명이 다른 레아아웃으로 쓰이는 등 지침의 부재로

인한 주관적 시공의 결과로 볼 수 있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적용기준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한 도로에 쓰인 글자의 수가 각기

다르고 설치의 위치가 대체적으로 통일성을 갖고 있지 않은 현상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글자의 통일성을 저해하고 나아가 운전자의 순간적 판독성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입면안전표지와의 연관성 및 각

도로의 규정 속도를 고려하여 적정 판독거리에 대한 설치간격과 위치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5

3.3. 문제점 분석

3.1절과 3.2절의 현황 파악으로 확인할 수 있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노면안전표지용 글자는 체계적인 시스템의 부재로 인해 전체적인

통일성이 부족하다. 이는 글자를 시공할 때 기준을 삼아야 하는 명확한

설치지침이 없기 때문이다. 경찰청의 「교통노면표시 설치·관리 매뉴얼」의

본문 쪽수는 125쪽이며, 부록도 40여 장이 된다. 그러나 이 중 글자의 형태나

설치 방법에 대한 내용은 총 4쪽이며, 간단한 그림 예시가 내용의 전부이다.

따라야 할 규칙 자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노면안전표지용 글자는

그림 13. 레이아웃 불규칙의 예시

그림 14. 한 차도 안에 들어간 노면안전표지글자의 수

Page 6: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관한 연구koreantypography.org/wp-content/uploads/thesis/kst_j4_1.pdf · 2020. 6. 26. ·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941940 글짜씨 5 9 2 1 - 1 1 1 0

시공자의 주관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로 그려지고 있는 것이다. 무분별하고

비통일적인 노면안전표지용 글자를 규제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 규제의

근거가 될 수 있는 규칙의 존재가 시급히 필요하다.더불어, 관리 행정부서의 통합도 요구된다. 현재 우리나라 8차선 이상의

큰 도로는 국가에서 직접 관리한다. 그에 반해 그 도로와 연결된 작은

골목이나 4차선 이하의 도로는 관할 시청과 구청에서 따로 관리하고 있다.

이와 같은 관리 행정부서의 비 통합적 운영방식은 노면안전표지용 글자의

각기 다른 사례를 만들며, 크기 및 형태적 일관성을 갖추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여 운전자의 인지 과정에 혼선을 주고 있다.

둘째, 환경과의 연계성 등 전문적인 연구가 부족하다. 노면안전표지용

글자는 도로의 너비 나 제한속도 등 운전자가 형태를 인지할 수 있는 조건이

변화한다. 따라서 이러한 변수를 고려하여 각각의 사용 조건에 적합한 형태를

지녀야 한다. 하지만 그 개개의 형태가 전체적인 통일성에 위배 돼서는 안 될

것이다. 현재의 노면안전표지용 글자는 통일성도 갖추지 못했을 뿐 아니라,

개별적인 사용조건도 고려되지 않고 있다. 앞서 말 한 시도(道)와 국도(道)의

노면글자의 비례차이가 없는 것, 글자의 굵기를 정할 때 시각보정을 고려하지

않은 점, 안전표지시설물의 설치간격에 속도를 생각하지 않은 점 등이 그

예이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 조건과 글자 형태의 상관관계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글자 형태에 대한 조형적 기능이 간과되었다. 노면안전표지용 글자는

정보전달을 위한 글자임과 동시에 도시 경관의 한 일부이다. 따라서

이해하기 쉽고, 명확하게 보여야 함은 물론 시각적 환경의 한 요소로써

심미성 또한 가져야 한다. 하지만 국내 노면안전표지글자는 단순히

정보전달의 기능만 할 뿐, 시각적으로 그리고 조형적으로 명쾌한 형태를

가지고 있지 않다.

4. 외국 사례를 통한 비교 분석

4.1. 국내외 노면안전표지용 글자 지침서의 구성 및 특징

1) 한국: 우리나라 노면표시 지침서인 「교통노면표지 설치·관리 매뉴얼」은

경찰청에서 2005년도에 발행하였다. 이 매뉴얼은 규제 및 지시 노면표지에

대하여 각 표시 종류별 의미와 설치장소, 설치예시도 등을 기재하고 있다.

선, 화살표 등의 기호로 이루어진 부분은 비교적 자세한 지침이 나와 있으나,

글자의 부분은 명확한 설치기준이 미흡하며 설치예시도가 매우 단순하고

설치의 판단근거를 정확히 제시하지 못한다.

2) 미국: 미국의 노면표지 기준은 「MUTCD(Manual on Uniform Traffic

Control Devices)」에서 제공하고 있다. MUTCD지침서는 노면표시에 대한

일반적인 적용방식과 함께 개략적인 설치 예시도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며, 최소한의 설치 기준을 정함으로써 상세한 설치 방식은 전문가의

판단에 맡기고 있다. 또한 노면표시 종류 및 만드는 방식에 대한 기준을

별도의 전문 지침서로 제공하고 있으며, 종합적인 적용이 필요한 경우,

참고할 수 있도록 주변여건과 각종 예시도를 첨부하고 있다.

3) 영국: 영국의 노면표지 기준은 DFT(Department for transport)에서

발행한 「Traffic Signs Manual」에서 제공하고 있다. 특히 5장

Road Markings에서 노면안전표지용 글자의 지침에 대해 따로 명시하고

있으며 모든 내용은 DFT 홈페이지에서 열람할 수 있다. 이 5장에는

노면표지의 종류 및 상황에 대한 글자의 기준이 도면과 함께 설명되어 있다.

또한 지침서와 함께 노면안전표지용 글자의 전용 글자체를 제공하고 있어

지침서의 운용을 효율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4) 일본: 일본은 교통공학연구서에서 편찬한 「路面標示設置の手引」에

노면표시의 의미와 양식을 그 형상, 규격 및 색채 등에 따라 설치 기준을

정하고 있다. 일본의 지침서는 노면표지 종류에 대한 의미와 양식에 대한

Page 7: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관한 연구koreantypography.org/wp-content/uploads/thesis/kst_j4_1.pdf · 2020. 6. 26. ·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943942 글짜씨 5 9 2 1 - 1 1 1 0

정보를 제공하는 점에서는 다른 나라의 지침서와 유사하지만, 그 적용기준을

세분화하여 적용사례를 명확히 설명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글자

각각의 도면에 정확한 치수를 기입한 상세 도면을 제공하고 있다.

위의 네 국가의 노면안전표지용 글자 지침 구성을 타이포그라피적 요소로

살펴보았을 때 지침내용의 유무는 다음 <표 2>와 같다.

기준 세부항목 한국 미국 영국 일본

형태

글자의 크기 및 비례 ○ ○ ○ △

획의 굵기 × ○ ○ ○

글자의 구조 × × × ×

시각흐름선 × × × ×

시각보정 × ○ ○ ×

조판

글자의 간격 × △ ○ △

글줄의 간격 × × ○ ○

글자의 수에 따른 레이아웃 × ○ ○ △

적용용글자의 최소 수와 최대 수 × ○ ○ ×

설치 간격과 위치 ○ ○ ○ △

표 2. 한국, 미국, 영국, 일본의 설치 지침 내용 유무

※ 지침의 내용은 있으나 소극적 명시로 내용이 구체적이지 않은 경우 △로 표기하였다.

4.2. 국내외 노면안전표지용 글자 지침서의 비교 분석

가. 형태 기준

1) 글자의 크기와 비례: 글자의 크기와 비례에 대해서는 각국 모두 그림을

첨부하여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특히 외국 세 국가 모두 글자의 형태를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도면을 첨부했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그림으로

글자의 형태를 설명하고 있지만 한 글자가 아닌 단어의 크기를 기입하여

정확한 낱자의 치수를 알기가 어렵다. 글자의 비율 또한 세로 길이의 치수를

150-240cm라 기입하여 한 눈에 비율을 알 수 없다. 미국의 경우에는

본 지침에서는 우리나라와 같이 글자의 대략적 크기만을 명시하였지만,

매트릭스 버전을 따로 첨부하여 글자의 크기와 비율을 한 글자마다 자세히

표기하였다. 영국은 본 지침에서 정확한 크기를 명시하였으며 상황별로

비율을 세 가지로 분류하여 도면을 첨부하였다. 일본의 경우 단어와 글자의

치수를 상세히 기록하였으며, 별도의 설명 없이 글자의 도면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미국과 영국의 경우 글자의 도면과 그리드를 함께 보여주어 크기와

비율을 가늠하게 하였고, 일본은 글자의 획과 원의 지름까지 치수화 하여

정확한 작도가 가능하게 하였지만 모든 경우의 도면을 첨부하지 않았다.

또한, 미국은 도면과 함께 예외 상황에 대한 내용을 명시하였다.

2) 획의 굵기: 획의 굵기에 대해서는 각국 모두 따로 명시하지 않았다. 그러나

앞의 내용을 참고하면 미국과 영국의 경우에는 글자의 형태를 명시한 첨부

그림에 그리드가 있으므로 획의 굵기를 유추할 수 있다. 일본은 글자 첨부

그림에 그리드는 없으나 글자마다 치수를 정해놓았으므로 쉽게 획의 굵기를

알 수 있다. 지침에 첨부된 글자의 치수를 살펴보면 한자의 경우 가로획

20cm, 세로획 10cm이며, 가타카나의 경우 가로 30cm, 세로 10cm이다. 이는

가타카나가 한자보다 글자의 획수가 적어 각 글자의 중량 차이를 조절하기

위해 글자 획의 굵기 차이를 둔 것이라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3) 글자의 구조: 글자의 구조에 대해서는 네 국가 모두 명시하지 않았다.

특별히 노면안전표지용 글자체가 있는 영국의 경우 폰트를 중심으로 좀

더 자세히 살펴볼 수 있었다. 노면안전표지용 글자 폰트인 ‘pavement’와

일반 폰트6의 구조를 비교해 본 결과, ‘A’의 가로획의 위치와 ‘M’의 가운데

기둥에서 차이가 있을 뿐 두 폰트의 구조적 차이점가 확연히 드러나지는

않았다.

4) 시각보정: 시각보정에 대해 우리나라와 일본은 지침서에 내용을 명시하지

않았다. 나머지 두 국가의 경우 지침에 내용에 비해 비교적 소극적인 명시를

했는데 미국은 글자의 세부 형태와 균형을 위해 필요하면 약간의 변화를

주었다고 기술하였고, 영국은 글자 전체 비율을 가늘고 길게 한 이유를

설명하였다. 미국의 경우 글자의 판독성을 높이기 위한 글자 세부형태의

Page 8: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관한 연구koreantypography.org/wp-content/uploads/thesis/kst_j4_1.pdf · 2020. 6. 26. ·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945944 글짜씨 5 9 2 1 - 1 1 1 0

보정으로 볼 수 있으며, 영국의 경우 운전자의 시야와 속도에 초점을 맞춰

너비와 길이를 조정했음을 알 수 있다.

글자 형태를 살펴보면 미국, 영국, 일본의 경우, 가로획과 세로획의 굵기

차이 등 최소한의 시각보정을 한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가로획과

세로획의 굵기 차이가 있으나, 모음과 자음의 굵기가 통일되지 않는 등

예외상황이 많아 시각보정을 한 것으로 생각하기는 어렵다.

5) 시각흐름선: 시각흐름선에 대해서는 네 국가 모두 지침을 명시하지 않았다.

나. 조판기준

1) 글자의 간격: 글자에 간격에 대해서는 한국의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세 국가의 경우, 비교적 자세히 내용을 기술하였다. 특히 미국의 경우

‘알파벳 간격 설정(Spacing) 개요’라는 장을 따로 마련하여 글자의 간격에

대한 역사와 함께 문자 간격의 표준화를 위한 내용을 밝히고 있다. 영국의

경우에는 단어 사이의 폭을 맞추기 위하여 가상의 사각형 타일을 만들어

글자를 배열한다. 글자 사이의 간격이 아닌 타일의 크기를 글자별로 다르게

만들어 가로의 폭이 서로 다른 글자들의 사이가 시각적으로 균일하게

맞춰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일본의 경우, 글자 사이의 치수는 비교적 간략하게

나와 있는데 글자가 가로로 쓰이는 경우와 세로로 쓰이는 경우의 치수가

각각 다르게 나와 있음을 알 수 있다. 한자문화권인 일본은 실제 가로 보다

세로쓰기로 글자가 쓰이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글자사이의 치수가

비교적 간략하게 나와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2) 글줄의 간격: 우리나라와 미국의 경우 글줄사이에 대한 지침을 찾을 수

없었다. 영국과 일본도 그림으로 간략히 설명하고 있는데, 영국의 경우

최소 1,000mm 최대 4,000mm까지 정하였으며, 일본은 최대 2,000mm로

정하였다. 영국의 글줄사이가 일본의 2배가 되는 것은 영국은 단어와 단어

사이의 행의 간격을 의미하지만, 일본은 세로쓰기의 경우로 글자 사이의

간격, 즉 글자사이을 뜻하기 때문에 치수의 차이가 두 배 이상 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3) 글자의 수에 따른 레이아웃: 글자의 레이아웃에 대해 우리나라를 제외한

네 국가 모두 각자의 방법으로 지침에 내용을 명시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차로의 너비를 기준으로 레이아웃의 방법을 기술하였는데, 특이한 점은

차로의 폭에 비례하여 크기를 조정할 수 있게 한 점이다. 이때, 전체 크기는

조정될 수 있으나 상대적 크기는 일정해야 한다고 기술하여 전체의 비율이

함께 조정되도록 했음을 알 수 있다. 영국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도로 폭에

따라 타일의 폭을 정하여 글자를 설치하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또한 단어의

폭이 길어 도로의 폭과 맞지 않는 경우에는 글자를 축약할 수 있도록 했다.

일본은 세로쓰기의 경우가 많아 두 글자와 세 글자의 경우 간격을 조정하는

방법을 도면에 치수로 나타내었다. 하지만 가로쓰기의 경우에는 예시를

첨부하지 않았고 한 예시에 한해 도면으로 설명하여 전체 노면안전표지에

적용되는지를 알 수 없다.

다. 적용기준

1) 글자의 최소 수와 최대 수: 글자의 최대 수에 관해 영국의 경우 폭의

길이가 차도의 길이보다 큰 경우 글자를 축약할 수 있도록 했다. 미국의 경우

조금 더 소극적인 방법으로 표현하였지만 영국과 미국, 두 국가 모두 글자의

최대 수에 관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이에 비해 글자의 최소 수는 네 국가

모두 내용을 명시하지 않았다.

2) 설치 간격과 위치: 설치 간격과 위치에 대해 미국과 영국의 경우 여러

가지 옵션 상황을 정하여 설명하고 있다. 미국은 ‘지침’과 ‘표준’으로 나누어

‘지침’의 부분에는 전체 안전표지글자에 해당하는 내용을 기술하였고 ‘표준’의

부분에는 한 노면안전표지용 글자마다 해당하는 지침의 내용을 담았다. 특히

‘표준’의 경우 노면표시를 설치하는데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Page 9: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관한 연구koreantypography.org/wp-content/uploads/thesis/kst_j4_1.pdf · 2020. 6. 26. ·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947946 글짜씨 5 9 2 1 - 1 1 1 0

가이드를 상세히 하여 하나의 안전표지가 다른 안전표지와 갖는 관계에 대해

설명하였다. 영국도 마찬가지로 각각의 안전표지에 해당하는 지침을 여러

가지 상황을 들어 설명하고 있다. 미국과 다른 점은 안전표지 설치 간격이

적절하게 반복될 수 있도록 안전표지 간의 거리를 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설치 위치에 따른 변수를 간략히 기술하고 변수가 생길 시 어떻게

설치해야 하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일본은 예외 상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없지만 그림으로 설치 위치와 간격을 표현하고 있다.

5. 사례분석을 통한 제안

노면안전표지용 글자 지침은 국가마다 각국의 문자적 특징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우리는 ‘한글’이라는 우리만의 특수한 글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외국의 지침을 그대로 우리나라에 적용할 수는 없다. 하지만 외국 지침서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우리에게 부족한 항목은 무엇이며, 앞으로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어떠한 점이 고려되어야 하는지 유추할 수 있다. 이에

외국 지침 기준을 참고하되 한글의 특수성을 반영한 디자인 가이드를

타이포그라피적 항목으로 분류하여 제안한다.

가. 형태기준

1) 낱글자의 크기와 비례: 낱자의 가로길이는 차선의 너비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한 차선 안에 들어가는 적정 글자의 수와도 관련이 있다. 낱자의

세로길이는 도로의 적정 속도와 상관관계가 있다. 따라서 각 차선의

너비와 글자의 수, 도로적정 속도의 종류에 따라 글자의 가로, 세로 길이가

규정되어야 한다. 또한 도로의 종류와 상황이 다른바, 각각의 상황에

맞는 낱자의 가로길이 세로길이를 정해야 하며, 그에 따른 비례 시스템이

정리되어야 할 것이다.

2) 획의 굵기: 획의 적정 굵기를 도출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은 한글의

모양새이다. 한글은 영문과 다르게 모아쓰기 형태이며 이로 인해 한 글자가

알파벳보다 많은 획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서울시 지명 중 가로획이

가장 많은 글자는 ‘불광동’의 ‘불’이고 세로획이 가장 많은 글자는 ‘방배동’의

‘배’이다. 이 두 글자는 가로획이 적은 ‘고덕동’의 ‘고’자와 세로획이 적은

‘가락동’의 ‘가’자 보다 두 배 이상 획이 많다. 이러한 한글의 특성을 고려하여

굵기와 여백공간의 대비가 적절하도록 조정해야 한다. 또한 운전자의

시야각으로 인해 노면안전표지용 글자의 가로획이 세로획보다 얇게 보이는

현상을 보완하도록 가로획과 세로획의 굵기에 차이를 둬야 한다.

3) 형태의 일관성: 현재 노면안전표지용 글자가 각기 다른 형태를 띠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글자의 구조가 통일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글자의 구조를

통일하기 위해서는 기준선, 즉 모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데, 이는 글자의

크기, 줄기의 길이, 굵기 혹은 그 자리 등의 기준을 되도록 간단하게 단위별로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한글은 글자꼴7에 따라 많은 조정이 필요하여 간단한

모듈화는 어렵지만, 글자의 모임꼴에 따라 쪽자의 자리를 결정하는 기준선을

설정할 수 있다. 현재 노면안전표지용 글자는 관습에 따라 나름의 구조를

갖고 있다. 이 기본 구조를 고려하여 기준선, 즉 모듈의 설정이 이뤄져야

하며 모듈에 따라 구조의 조정과 통일이 필요하다.

4) 무게중심의 조정을 통한 시각보정: 노면안전표지용 글자의 경우 운전자의

시야에 따라 글자의 형태가 사다리꼴로 왜곡되어 보이므로, 글자의

무게중심을 위쪽에 두어 형태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받침이 있는

글자의 경우에는 무게 중심의 조정을 통해 향상된 시각 흐름을 만들어

시각보정을 할 수 있다.

5) 형태 조정을 통한 시각보정: 시각 보정의 경우 크기, 무게, 속공간 등

세세한 보정을 통해 글자의 미감과 판독성을 높이는 것이 가장 좋지만, 현재

노면안전표지용 글자의 설치 방법으로 봤을 때8 이는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Page 10: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관한 연구koreantypography.org/wp-content/uploads/thesis/kst_j4_1.pdf · 2020. 6. 26. ·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949948 글짜씨 5 9 2 1 - 1 1 1 0

해결책이다. 따라서 글자 형태의 왜곡을 감소시켜 주는 두 가지를 중심으로

제안하고자 한다.첫째, 굵기의 차이다. 앞서 여러 번 기술했듯 운전자의 시야를 고려하여

세로획보다 가로획이 더 굵어야 한다.둘째, 자소의 형태적 분별이 명확해지도록 보정하고 필요하다면

예외사항을 정리한다. 예를 들면 ‘ㅇ’과 ‘ㅁ’과 ‘ㄷ’의 경우 시야각의 영향으로

형태가 매우 비슷해 보인다. 이런 경우 시각보정을 통해 자소의 분별성을

높여줄 수 있다. 형태가 비슷한 자소의 경우를 파악하고, 모임꼴의 경우의

수도 파악하여 시각보정에 대한 구체적 적용을 해야 할 것이다.

나. 조판기준

1) 글자사이: 글자 사이의 간격은 글자의 크기, 획의 굵기, 도로의 너비 등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위 항목에서 설명한 지침사항과 연관하여 고려되어야

한다. 글자의 폭과 형태 등을 분류하여 각각에 맞는 글자사이를 정하는

것은 모든 글자의 글자사이를 같게 하는 것보다 더 효율적인 접근방법이

될 수 있다. 이 같은 방법을 우리나라의 한글에 적용한다면, 글자의 모임

구조에 따라 글자의 형태를 분류하는 것과 글자의 외곽 형태에 따라 형태를

분류하는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9 이를 참고하여 다른 형태를 가진 글자

각각에 글자사이를 설정한다면 한글의 상황에 맞는 시각적으로 균일한

글자사이를 설정할 수 있다.10

2) 글줄사이: 글줄사이는 다른 요소에 비해 적용 빈도수가 적은편이다.

하지만 글줄사이가 적용된 경우는 글자 수가 많고, 따라서 운전자가 많은

정보를 단시간에 받아들여야 하는 상황이라 판단할 수 있다.운전자의 시각 방향은 아래에서 위로 진행되는 반면, 글자는 도로의

위에서 아래로 쓰인다. 때문에 운전자는 두 행 이상의 글자를 읽을 때 그

내용순서를 거꾸로 읽게 된다. 이 같은 현상으로 인해 노면안전표지용 글자의

행이 많을수록 운전자는 글자를 가독 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특수한 상황에서 운전자에게 정보를 원활하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글줄사이 지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글자의 세로길이와

도로의 규정 속도를 모두 고려하여 각각의 도로상황에 적합하게 규정되어야

한다. 또한 글자 수가 너무 많은 경우에는 단어를 축약하거나, 의미를

분리하는 등의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다.

글줄사이와 단어사이(표지와 표지 사이의 간격)에 대한 구분도 고려할

사항 중 하나이다. 안전표지가 연속해서 있는 경우 글줄사이보다 넓은

단어사이를 확보하여, 여러 행을 가지고 있는 하나의 것으로 보이지 않도록

시각적인 간격을 만든다. 이는 노면안전표지가 입면안전표지 등과 다르게

표지를 읽는 순서가 단발적이지 않아, 순차적 의미로 받아들여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는 운전자가 노면안전표지용 글자를 읽는 순서를 조정할 수

있어 안전표지의 의미가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그림 16. 글줄사이와 단어사이의 차이 설정

그림 15. 운전자의 시각방향과 글자가 그려진 방향의 차이

Page 11: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관한 연구koreantypography.org/wp-content/uploads/thesis/kst_j4_1.pdf · 2020. 6. 26. ·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951950 글짜씨 5 9 2 1 - 1 1 1 0

3) 글자 수와 레이아웃: 도로의 너비에 따라 한 차선 안에 설치될 수

있는 글자 최대 수의 지침이 필요하다. 한 차선 안에 많은 글자가 그려져

글자사이가 너무 붙게 되거나 글자의 획이 가늘게 되는 등 운전자의

판독성을 저해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불가피하게 글자의 수가

많아지는 경우에는 글자의 수에 따라 정해진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글자

레이아웃 지침이 필요하다.

다. 설치 기준

1) 글자의 최대 수: 차선 안에 글자가 들어갈 수 있는 최대의 수를 정하여

글자의 수로 인해 레이아웃 등 형태적 요인이 변형되지 않도록 지침이

필요하다. 글자의 수는 도로의 너비와 관련이 있으므로 차선의 너비에 따른

분류 내용에 맞게 각각의 상황에 대해 명시를 한다.

2) 설치 간격과 위치: 글자 형태에 대한 지침뿐만 아니라 글자 설치 간격과

위치도 명시되어야 한다. 현재 노면안전표지용 글자는 지명이나 방향지시를

제외하고 주의·규제·지시의 내용을 담은 ‘천천히’, ‘비보호’ 등의 정해진

글자가 있다. 이러한 주의·규제·지시 글자와 지명 등의 글자가 정해진

장소와 위치에 그려질 수 있도록 각각의 상황에 맞는 지침이 필요하다.11

라. 공통 적용 사항

각 지침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공통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항목이 필요하다.

지침의 올바른 사용 예와 잘못된 사용 예를 그림이나 표를 이용해 상세히

설명해야 하며 예외사항과 금지사항 또한 각 지침의 항목에 공통적으로

설명되어야 한다.

위의 가)-라)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이 노면안전글자의

디자인가이드를 위한 항목을 도출할 수 있다.

항목 내용 항목 내용 예시

1. 낱글자의 형태

낱글자의 기본 비율에 대한

명시

예) 모든 글자 형태의 기본이

되는 낱글자의 기본비율을

모임꼴 별로 명시한다.

차선의 너비에 따른

낱글자의 너비의 비례관계

예) 차선의 너비의 단계를

나누어 각 단계의 낱글자

너비를 명시한다. 차선 안의

글자 수와 글자사이 등 관련

항목의 지침도 함께 밝힌다.

도로의 적정속도와 낱글자

세로 길이의 비례관계

예) 적정속도의 단계를

나누어 각 단계의 낱글자

세로길이를 명시한다.

기본비율을 기준으로

하되 비례가 길어질 시

가로·세로획과 글줄사이

등의 관계도 함께 밝힌다

2. 획의 굵기

도로의 적정속도와 가로획

굵기의 비례관계

예) 적정속도의 단계를

나누어 각 단계의 가로획의

굵기를 명시한다.

낱글자의 세로길이와

연동하여 쓰일 수 있도록

한다. 최대 굵기의 기준도

함께 명시한다.

기본비율 기본비율X1.5 기본비율X2

20a

1a

8a

3a

4a

30a

8a

40a

8a

Page 12: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관한 연구koreantypography.org/wp-content/uploads/thesis/kst_j4_1.pdf · 2020. 6. 26. ·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953952 글짜씨 5 9 2 1 - 1 1 1 0

항목 내용 항목 내용 예시

낱글자의 너비와 세로획

굵기의 비례관계

예) 낱글자의 너비의 변화를

가정했을 때 비례너비에

따라 변화하는 획의 너비를

명시한다.

낱글자 너비체계에 따른

세로획 굵기의 변화

예) 낱글자의 너비가 고정폭

혹은 비례폭을 가질 때 획의

굵기의 변화를 명시한다.

※노면글자의 형태적 특성상

가로획 수의 증감은 낱글자

세로길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생략함

기본 획의 굵기를 기준으로

가로획과 세로획의 최대

굵기와 최소 굵기를 제한

예) 획의 굵기의 최대 최소를

제한한다.

안전표지의 역할(지시·규제

등)에 따라 분리하여 적용할

수 있다.

3. 형태의 일관성

기준선(모듈)에 대한 규정

예) 모임꼴에 따른 모듈의

제시로 글자의 형태적

특성을 통일한다.

기본비율을 중심으로 하여

모든 안전표지용 글자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명시한다.

항목 내용 항목 내용 예시

4. 무게중심의 조정을 통한 시각보정

운전자의 시야에 따른

무게중심의 조정

예) 자동차 전용도로,

고속도로, 국도 등 도로의

특성에 따라 제한속도와 주

통행차량의 기준이 다르므로

무게중심의 조정을 통해

시각보정을 한다. 또한 기본

무게중심을 밝힌다.

5. 형태조정을 통한 시각보정

운전자의 시야에 따른 글자

간의 변별력 향상

예) 한글의 모임꼴에 따라

혹은 글자의 비례에 의해

형태적 변별력이 떨어지는

경우에 한해 예외사항을

명시하여 시각보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단, 예외 해당 사례를

분명하게 도면으로 명시한다.

6. 글자사이

한글 모임구조와 글자사이의

관계

예) 모임구조 혹은

외곽모양에 따라 글자사이의

종류를 나누어 명시한다.

제한속도가 같고 차선

너비가 다를 시 글자사이

조정

예) 차선 너비의 차가 미미할

경우 글자사이 조정을 통해

운용될 수 있도록 명시한다.

Page 13: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관한 연구koreantypography.org/wp-content/uploads/thesis/kst_j4_1.pdf · 2020. 6. 26. ·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955954 글짜씨 5 9 2 1 - 1 1 1 0

항목 내용 항목 내용 예시

차선의 오른쪽 여백과 왼쪽

여백의 너비

예) 중앙선과 안전표지의

사이, 안전표지와 도로

끝(혹은 옆 차선)의 사이를

도로 너비 혹은 차선의

너비별로 정하여 안전표지용

글자가 정확한 자리에

그려질 수 있도록 명시한다.

7. 글줄사이

도로의 규정 속도 증가와

글줄사이의 비례관계

예) 도로의 규정 속도의

증가에 따라 넓어지는

글줄사이를 정확한 치수로

기입한다.

낱글자의 세로비례에 맞춰

명시한다.

단어의 세로길이와

글줄사이와의 관계

예) 도로의 규정 속도가

같지만 단어의 세로길이가

변화하여 부득이 글줄사이의

변화가 필요할 때 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글줄사이와 단어사이의 구분

예) 글줄사이와 구분되는

단어와 단어사이에 대한

명시를 한다. 이 또한 글자의

세로비례와 도로의 규정

속도와 상호관계에 있으므로

기준을 단계별로 나누어

명시하도록 한다.

항목 내용 항목 내용 예시

8. 글자의 수에 따른 레이아웃

글자의 수에 따른 레이아웃

예) 차선에 글자를 배치할

때 일정한 기준을 가질 수

있도록 밝힌다.

1행의 경우 2~5자 일 때,

2행의 경우 4~8자 일 때

등으로 나누어 명시한다.

9. 글자의 최대 수

차선의 너비에 따른 글자의

최대 설치 수

예) 한 차선에 들어가는

글자의 수를 차선의 너비에

따라 명시한다.

도로의 구분 고속도로 일반도로

폭원(M) 3.50 이상 3.00 이상

최대 글자의 수(개) ✽ ♯

10. 노면 적용 시 간격과 위치

글자의 수와 내용이 정해져

있는 주의·규제·지시 등의

설치 위치·간격

예) 대부분의 조건이 정해져

있는 경우, 도면으로 정확히

글자의 설치를 명시해 준다.

글자의 수와 내용이 정해져

있는 않은 지명, 위치 등의

설치 위치·간격

예) 글자의 수나 설치위치가

정해져 있지 않으므로

기본 지침을 따라 설치하되

세부지침을 명시하여 따를

수 있도록 한다.

- 타 노면안전표지용 글자의 설치 규정에 위배되지 않도록 설치한다.

- 지명 등은 분기점 혹은 지정된 위치에 설치하되 각 노면표지의 간격은

✽미터 이하가 되지 않도록 한다.

- 2차로 이상 도로에서는 각 차로마다 표시를 설치하여야 한다.

Page 14: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관한 연구koreantypography.org/wp-content/uploads/thesis/kst_j4_1.pdf · 2020. 6. 26. ·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957956 글짜씨 5 9 2 1 - 1 1 1 0

항목 내용 항목 내용 예시

최대 설치 가능한 행의 수 - 행의 수는 모든 도로에서 ✽개를 넘지 않는다.

- 불가피하게 많은 행을 설치할 경우에는 내용을 분리·축약하여

설치하도록 한다.

노면안전표지의 글자와

기호, 입면표지판 등의 타

안전표지와의 관계

예) 입면표지와의 연동

거리는 도로의 속도에 따라

표로 만들어 대입할 수

있도록 한다.

-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와 입면표지를 함께 설치할 시 입면표지를 기준으로

전후 ✽미터에 설치하며 추가 설치 시 노면 안전표지 사이의 거리는

✽미터를 기준으로 도로의 규정 속도 차이에 따라 거리 차를 둔다.

11. 공통 적용 사항

각 지침의 올바른 사용 예와

잘못된 사용 예

각 지침의 예외사항

- 부득이하게 세로쓰기할 경우 세로 행의 사이는

최소 ✽미터가 되어야 한다.

각 지침의 금지사항 - 어떠한 경우에도 글자의 길이가 ✽미터를 넘지 않는다.

- 한 단어 안에서 임의로 굵기를 조정하지 않는다.

- 임의로 비례를 조정하지 않는다.

- 한 공간에 다른 내용의 글자를 설치할 시

글자의 간격은 ✽미터 이상을 유지한다.

표 3. 노면안전표지용 글자의 디자인가이드를 위한 항목(a는 예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가상의 단위이다.)

※ 표시한 항목은 『교통안전시설실무편람Ⅳ』의 내용을 참고하였다.

6.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이 연구는 노면 위의 글자가 다른 글자에 비해 긴 것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노면안전표지용 글자의 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형태에 대한

물음을 갖고 연구한 결과, 현재 노면안전표지용 글자의 체계적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아 통일성이 부족하고, 도로교통 환경과의 연계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가 부족하며, 조형적 기능 또한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견하였다. 이러한 현황 파악을 통해 선진 사례 연구의 필요성을 느껴

미국·영국·일본의 노면안전표지용 글자 지침을 살펴보고, 이를 국내사례와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 지침은 매우 미약한 것에 비해 위 세 국가의

경우 글자 크기와 비례 등을 도면으로 명시하며, 조판 기준과 글자 간격·위치

등을 비교적 자세히 설명함을 알 수 있었다. 차후 국내 안전표지용 글자

지침은 위 선진 사례를 참고해 연구·개발되어야 한다.또한 노면안전표지용 글자는 각 나라의 문자적 특징을 반영해야 하는

바, 선진 지침 기준을 참고하되 반드시 한글의 특수성을 반영한 지침 기준이

있어야 하며 디자인매뉴얼의 구성 또한 마찬가지이다. 5장에서 밝혔듯이

노면안전표지용 글자 지침서에는 낱글자와 단어를 기준으로 차선 너비,

도로의 규정 속도 등의 환경적 조건에 의거하여 가로·세로 길이, 획의 굵기,

기준선 및 시각 보정, 글자사이, 글줄사이 등에 대한 기준이 명시되어야 한다.

덧붙여 글자를 도로에 그릴 때 고려해야 하는 사항도 함께 기술되어야 한다.연구자는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우리의 지침이 매우 빈약하다는 것을

절감하였으며 노면안전표지용 글자 전반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느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타이포그라피 세부항목은 각각 개별 연구

주제가 될 수 있는 방대한 내용이다. 각각의 항목에 대해 앞으로 실증적

연구가 이뤄질 때, 도로 위 글자의 상황이 점차 나아질 것이다. 본 논문이

노면안전표지용 글자 연구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age 15: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관한 연구koreantypography.org/wp-content/uploads/thesis/kst_j4_1.pdf · 2020. 6. 26. ·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959958 글짜씨 5 9 2 1 - 1 1 1 0

01 — 『도로안내표지 디자인매뉴얼 2008』을 말한다.02 — 다음은 현행 도로교통법에 명시된 안전표지의 정의이다.

“ 제2조 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5. “안전표지”라 함은 교통안전에 필요한 주의·규제·지시 등을 표시하는 표지판이나

도로의 바닥에 표시하는 기호·문자 또는 선 등을 말한다. 제4조 교통안전시설의 종류 등. 교통안전시설의 종류, 교통안전시설을 만드는 방식과

설치하는 곳 그 밖에 교통안전시설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행정자치부령으로 정한다.” 또한 안전표지는 다음과 같이 세분화 되는데 그 법령은 도로교통법 시행세칙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제8조 안전표지. ①법 제4조에 따른 안전표지는 다음 각 호와 같이 구분한다. 5. 노면표시: 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각종 주의·규제·지시 등의 내용을 노면에

기호·문자 또는 선으로 도로사용자에게 알리는 표지 안전표지에서 세분화되어 분류된

노면표지는 다시 기호, 문자, 선으로 세분화 되고 도로노면글자가 이에 포함되는 것을 알

수 있다.”03 — 여기서 말하는 일반적인 글자란 지면에 쓰이는 본문용 글자의 모양을 말한다. 04 —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교통과학연구원에서 발행한 「노면표시 설치기준 및 규정

개선연구」(1998) 에서는 이와 관련한 노면안전표지 지침의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우리나라 노면표시 지침서인 교통안전시설 실무편람에서 교시 설치

기준은...(생략) 개별 노면표시 종류별 적용 기준으로서는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으나, 기하구조, 주변 여건, 통행규칙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노면표시를 설치할

때에는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우리나라 지침서의 노면표시의 기준을 살펴보면 현행

지침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명확한 설치 기준 미흡, 설치 예시도 단순, 기타

시설물과의 병설에 대한 판단근거 미약, 신개발 노면표시 설치 기준 누락” 05 — 첨단도로연구센터와 교통개발연구원이 함께 연구한 총서 「인적요인이 도로설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운전자의 시야와 속도의 관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첫째, 운전자는 운전 중 필요한 정보의 대부분을 시각을 통하여 얻는다. 둘째, 속도가

빨라질수록 시력은 떨어진다. 셋째, 속도가 빨라질수록 시야의 범위가 좁아진다. 넷째, 속도가 빨라질수록 전방 주시점은 멀어진다.” 이수범 외, 「인적요인이 도로설계에 미치는 영향 (제1단계)」 , 서울: 교통개발연구원, 첨단도로연구센터, 2001

06 — frutiger와 helvetica 두가지 폰트와 비교하였다. 07 — 여기서 말하는 한글의 글자꼴은 네모틀 글자로 한정 짓는다.08 — 노면안전표지용 글자는 대부분 수동으로 분사기, 롤러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그린다.

롤러는 그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한 번에 일정한 너비의 직선이나 곡선밖에 그릴 수

없다. 또한 글자를 쓰는 방식도 음절의 순서대로 쓰는 다른 글자와 달리 가로획 혹은

세로획으로 나누어 단어 전체를 동시에 그려나간다. 이런 이유로 노면글자는 글자의

세밀한 형태조정이 어렵고 그리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09 — 안상수 외, 『한글디자인』, 서울: 안그라픽스, 1999, p.30에서 발췌한 ‘모임구조에 다른

분류’와 김진평, 『한글의 글자표현』, 서울: 미진사, 1983, p.24에서 발췌한 ‘외곽모양에

따른 분류’를 말한다.10 — 김진평은 한글의 외곽모양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밝혔다.

“ 낱글자는 비록 같은 모임꼴이라 해도 그 쪽자의 꼴에 따라 글자의 외곽 모양이 매우

달라진다. (생략) 특히 낱글자가 모여 낱말을 이룰 때, 글자사이의 공간조정, 즉

사이 띄기에 큰 영향을 준다, 이러한 글자의 외곽 모양에 따라 글자 면적이 달라지고

글자와 글자 사이가 고르게 되지 않는 것을 바로 잡는 것은 글자표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므로….” 김진평, 『한글의 글자표현』, 서울: 미진사, 1983, p.24

11 — 예를 들면 ‘천천히’의 경우 어느 곳에 쓰이는지, 어느 곳에 쓰이면 안 되는지, 다른

글자와 함께 있을 때에는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어떤 경우에 생략할 수 있는지, 몇 미터

간격으로 쓰이는지에 대한 내용이 주의·규제·지시 글자에 명시되어야 하며, 지명 등의

글자도 이와 관련한 최소한의 규정을 가져야 한다.

Page 16: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관한 연구koreantypography.org/wp-content/uploads/thesis/kst_j4_1.pdf · 2020. 6. 26. · 노면 안전표지용 글자의 개선에

961960 글짜씨 5 9 2 1 - 1 1 1 0

참고문헌

— 단행본

고영화 외, 『디자인 사전』, 안그라픽스, 1994김병호 외 엮음, 『한글조형연구: 고 김진평교수 추모 논문집』, 고 김진평교수 추모 논문집 발간 위원회, 1999김진평, 『한글의 글자표현』, 미진사, 1983

Robert L.Solso, 『시각 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0박병천 외, 『한글글꼴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한글글꼴개발원, 2000밀너 그래이 외, 『레터링 그 조형과 사회성』, 지구문화사, 2002안상수 외, 『한글 디자인 교과서』, 안그라픽스, 2009안상수·한재준, 『한글 디자인』, 안그라픽스, 1999

— 연구보고서

국토연구원 외, �도로 시설물 개선을 통한 국가 시설물의 효율적 활용 기술�, 건설교통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2

건설교통부,박병천 외, �통합체계로서의 한글 폰트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1997서울여자대학교 조형연구소, �전자책용 한글폰트개발 결과보고서�, 한국전자책컨소시엄, 2002이수범 외, �인적요인이 도로설계에 미치는 영향�, 교통개발연구원, 첨단도로연구센터, 2001

— 학회지

최기주 외, �도로표지 시인거리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19권 4호, 2001윤홍섭, �노면표지 자극 양상과 운전행동 간의 관련성에 대한이론적 고찰�, 대한교통학회지

18권 6호, 2000임현교 외,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효과적 안전표지의 지각 특성�, 한국안전학회지 23권 5호,

2008

— 외국 매뉴얼

Department for Transport, Publication of Traffic Signs Manual, London : DFT, 1982-2009

Manual on Uniform Traffic Control Devices (for Streets and Highways) 2009 Edition, Washington, DC : DOT, 2009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交通工学研究会, 『路面標示設置の手引』, 1998

— 웹페이지

http://en.wikipedia.org/wiki/Transport_(typeface)http://local.daum.net/map/index.jsp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ype on the pavement word marking. First Chapter introduces the necessity, purpose and range of study, and Chapter 2 defines what the pavement word marking is. In third Chapter, after investigating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domestic installation guidelines about pavement word marking and how the word on the pavement is used, problems are analyzed on the basis of grasped situation. Fourth Chapter compares and analyzes domestic installation guidelines and installation guidelines of US, England and Japan through typographic classification. In Fifth Chapter, list of supplements based on Korean alphabet(Hanguel)’s distinctiveness is proposed for installation guidelines through case study about management of guidelines in foreign country. That an empirical study i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proposed items is considered important. Furthermore, this study will contribute for type study about pavement word marking.

초록

이 연구는 도로 위의 노면 안전표지 중 글자에 대한 연구이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범위를 밝혔으며 제2장에서는 노면안전표지글자에

대한 정의를 알아봤다. 제3장에서는 국내 설치 지침서에 대한 현황파악과 함께

실제적으로 도로 위의 글자들이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파악한

현황을 토대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국내의 설치 지침서와 미국,

영국, 일본의 설치지침서를 타이포그라피적 분류를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제3장의 현황과 제4장의 타 국가의 지침서 운용의 사례를 기반으로 제 5장에서는

한글의 특수성에 기반한 설치 지침서의 보완 항목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제안한

항목을 토대로 실증적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 생각하며, 추후 노면 안전표지

글자에 대한 연구의 단초가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