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을...

19
47 ■게재 신청일: 2012년 1월 20일 ■최종 수정일: 2012년 2월 24일 ■게재 확정일: 2012년 3월 1일 ⓒ 2012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http://www.kasa1986.or.kr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박소현정명심 § 충남대학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교신저자 정명심 충남대학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박사과정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99 e-mail: [email protected] tel.: 010-2990-5002 배경 및 목적: 한국사회에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 가정 출신 아동의 언어문제 어려움이 언어병리학계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최근 발표되고 있는 연구들은 다문화가 정 아동의 언어문제를 보여주고 있지만, 아직까지 임상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평가 및 치료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아동을 평가하고 치료하면서 경험한 특성과 언어장애아동과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대해 언어치료사들 이 어떠한 견해를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고, 보다 더 효율적인 언어평가 및 치료방법을 모색하고 자 함이다. 또한 이들을 위한 향후과제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면담 질문지를 개발 한 후,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평가 및 치료경력을 고려하여 면담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언어치료사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면담 내용을 연속적 비교법을 통해 분석하여 주제를 도출하였다. 결과: 심층면담결과, 다음과 같은 4개의 주제와 17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 었다: (1) 다문화가정 아동의 평가, (2)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3) 다문화가정 아동의 치 , (4) 향후과제. 논의 및 결론: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평가와 언어지도/치료 시 나타나는 아동의 언어특성과 전문가들의 견해를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아동을 실질적으로 이해하고 보다 효율적인 언어평가 및 치료를 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을 논의하였다. 언어청각 장애연구, 2012;17:47-65. 핵심어: 다문화가정, 이중언어, 언어평가, 언어치료, 언어지도, 언어발달지도사, 위험군 아동 Ⅰ. 서 론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다문화가정이란, 한국인과 외국인이 결혼해 이루어진 가정과 외국인 근로자가 한국에서 결 혼을 해 이룬 가정, 본국에서 결혼한 외국인 가족이 함 께 국내에 이주해 온 경우, 그리고 북한에서 입국해 한 국인이나 외국인과 결혼한 새터민 가족을 모두 일컫 는 말이다(정하성유진이이장현, 2007). 국제결혼 이민자 수는 지난 5년간 약 3배 증가했다고 보고되었 으며(교육과학기술부, 2010), 이후로도 꾸준히 증가하 여 국제결혼가정의 학령기 자녀의 수는 2010년 현재 30,040명으로 4년 전에 비해 4배로 급증한 것을 볼 수 있다. 외국인근로자의 학령기 자녀 역시 2006년에는 1,391명이었으나, 2010년에는 1,748명으로 증가하였 (교육과학기술부, 2010). 이러한 수치는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아동과 결혼이민자가족의 아동만 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학교에 다니지 않거나 체류나 신분문제로 미취학 아동에 대한 파악이 어려운 외국 인근로자 가족의 아동을 포함한다면 그 수치는 훨씬 커질 것으로 추측된다. 다문화가정과 그 아동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이 들이 우리나라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돕 기 위해 여성가족부(2008)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가 족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다문화가족지원법같은 제도적법적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국적으 로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국비 센터 200개소와 지방비 센터 1개소로 총 201개소가 있다(여성가족부, 2012). 각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언어발달지도사가 한 명 이 상씩 고용되어서 현재 200여명의 언어발달지도사가 다문화가정 아동을 평가, 언어지도를 하고 있다. 언어 발달지도사 중에서 대략 50%정도가 언어치료학과 출 신자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언어병리학 분야에서도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Upload: others

Post on 19-Jul-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최소 1년 이상의 언어평 가 및 치료경험이 있는 자로 한다

47

게재 신청일 2012년 1월 20일 최종 수정일 2012년 2월 24일 게재 확정일 2012년 3월 1일

2012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httpwwwkasa1986orkr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박소현정명심sect

충남 학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sect교신저자

정명심충남대학교 언어병리학협동과정박사과정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99e-mail bogamihanmailnettel 010-2990-5002

배경 및 목적 한국사회에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 가정 출신 아동의

언어문제 어려움이 언어병리학계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최근 발표되고 있는 연구들은 다문화가

정 아동의 언어문제를 보여주고 있지만 아직까지 임상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평가

및 치료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아동을

평가하고 치료하면서 경험한 특성과 언어장애아동과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해 언어치료사들

이 어떠한 견해를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고 보다 더 효율적인 언어평가 및 치료방법을 모색하고

자 함이다 또한 이들을 위한 향후과제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면담 질문지를 개발

한 후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평가 및 치료경력을 고려하여 면담 상자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언어치료사 7명을 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면담 내용을 연속적 비교법을 통해 분석하여

주제를 도출하였다 결과 심층면담결과 다음과 같은 4개의 주제와 17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

었다 (1)다문화가정 아동의 평가 (2)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3)다문화가정 아동의 치

료 (4)향후과제 논의 및 결론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평가와 언어지도치료 시 나타나는

아동의 언어특성과 전문가들의 견해를 정리하고 이를 토 로 다문화가정 아동을 실질적으로

이해하고 보다 효율적인 언어평가 및 치료를 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을 논의하였다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20121747-65

핵심어 다문화가정 이중언어 언어평가 언어치료 언어지도 언어발달지도사 위험군 아동

Ⅰ 서 론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다문화가정이란 한국인과 외국인이

결혼해 이루어진 가정과 외국인 근로자가 한국에서 결

혼을 해 이룬 가정 본국에서 결혼한 외국인 가족이 함

께 국내에 이주해 온 경우 그리고 북한에서 입국해 한

국인이나 외국인과 결혼한 새터민 가족을 모두 일컫

는 말이다(정하성유진이이장현 2007) 국제결혼

이민자 수는 지난 5년간 약 3배 증가했다고 보고되었

으며(교육과학기술부 2010) 이후로도 꾸준히 증가하

여 국제결혼가정의 학령기 자녀의 수는 2010년 현재

30040명으로 4년 전에 비해 4배로 급증한 것을 볼 수

있다 외국인근로자의 학령기 자녀 역시 2006년에는

1391명이었으나 2010년에는 1748명으로 증가하였

다(교육과학기술부 2010) 이러한 수치는 초중고

등학교에 재학 중인 아동과 결혼이민자가족의 아동만

을 상으로 했기 때문에 학교에 다니지 않거나 체류나

신분문제로 미취학 아동에 한 파악이 어려운 외국

인근로자 가족의 아동을 포함한다면 그 수치는 훨씬

커질 것으로 추측된다

다문화가정과 그 아동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이

들이 우리나라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돕

기 위해 여성가족부(2008)에서는 lsquo여성결혼이민자가

족지원센터rsquo를 운영하고 있으며 lsquo다문화가족지원법rsquo과

같은 제도적법적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국적으

로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국비 센터 200개소와 지방비

센터 1개소로 총 201개소가 있다(여성가족부 2012)

각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언어발달지도사가 한 명 이

상씩 고용되어서 현재 200여명의 언어발달지도사가

다문화가정 아동을 평가 언어지도를 하고 있다 언어

발달지도사 중에서 략 50정도가 언어치료학과 출

신자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언어병리학 분야에서도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48

있는데 비다문화 아동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언어발달

수준을 비교한 연구와(권수진 2006 김영란 외 2007

류현주 외 2008 박상희 2009 안성우신영주 2008

양성오황보명 2009 이수정 외 2008 황상심 외 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

인에 한 연구가 있다(오성숙 2009 오소정김영태

김영란 2009 정은희 2004 황상심정옥란 2008)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

들도 이루어졌다(박지윤 외 2007 오소정김영태

김영란 2009 장현진 외 2011 황상심정옥란 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및 언어발달 연구는 다

문화가정 아동의 많은 수가 언어발달 지연이나 언어

문제를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로는 985172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

현언어 척도 (Preschool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985173 (김영태성태제이윤경

2003) 985172영유아 언어발달 선별검사(SELSI)985173(김영태

외 2003) 985172그림어휘력 검사985173(김영태 외 1995)를 이용

하여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능력을 평가하였다 연

구결과에 의하면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또래아동에 비

해 수용언어 표현언어 및 어휘력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박상희 2006) 특히 다문화가정 아

동들 중 약 23가 lsquo약간의 언어발달지체rsquo 약 10의

아동이 lsquo언어발달장애rsquo에 해당하는 언어발달문제를 보

인다고 한다(황상심정옥란 2008) 한국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보이는 언어발달지체 원인으로는 부적절

한 가정 내 언어 환경 또는 어머니의 한국어 미숙으로

인한 언어자극 부족 경제적인 여건 등을 들 수 있다

(오성숙 2009 장유경 외 2003 정은희 2004 최연실

2007)

아동에게 제공되는 언어자극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다문화가정의 외국인 어머니들의 약 68가 가정에서

주로 한국어를 사용하며 32가 출신나라 말과 한국

어를 함께 사용하거나 출신나라 말을 사용한다는 연

구결과가 있다(황상심김화수 2009) 또 다른 연구

에서는 한국어 한국어와 부분적 모국어 모국어와 부

분적 한국어 순으로 사용한다고 보고되었다(오성숙

2009) 외국인 어머니들은 제한된 어휘이해력과 표현

력 구문이해력을 나타내었는데 이러한 어머니의 한국

어능력과 아동의 언어능력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황상심 외 2008 황상심정옥란

2008) 이는 다문화가정 아동 언어특성관련 연구결과

에서 나타난 언어발달지체 및 언어발달장애가 부족한

언어자극으로 인한 환경적인 문제일 수도 있음을 시

사하고 있다 그리고 언어발달지체 및 장애의 원인이

환경으로 인한 것이라면 이들을 상으로 한 언어치

료에도 이러한 점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학습에 요구되는 한글능력이 어머니의 한글수준을

넘어서게 되는 초등학교 고학년 이후에 다문화가정 아

동의 언어문제는 더 두드러진다고 보고되었으며(오성배

2005) 다문화 가정 아동의 경우 학교생활적응은 보통

정도이지만 나이가 들수록 적응도가 떨어진다고 보고

되었다(정현영 2007)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제가 학령기를 통해 지속적으로 남아있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에 의해 밝혀진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문제

가 환경적 원인으로 인한 일시적인 언어발달지연인지

언어장애로 인한 문제인지 여부에 한 연구가 더 이

루어져야하며 이들의 중재와 관련된 연구도 아직은

그 수가 매우 적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아동이 보이는

언어발달지체가 평가 및 치료 측면에서 임상적인 정보

를 제공해주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는 다문화가정아동의 평가와 중재 경험이 많은 언어

치료사를 상으로 이들의 언어평가 결과는 어떠하며

그 결과가 임상적으로 의미하는 바를 알아보고자 하

였다 그리고 언어발달지체로 평가된 다문화가정 아동

의 중재는 임상현장에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존의 언어발달지체아동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

는지에 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 경험이 많은 언어치료사를 상으로 하기위

해서 언어치료사 혹은 현재 언어발달지도사나 언어발

달지도사 수퍼바이저로 근무하고 있는 언어치료사를

상으로 선택하였으며 이들의 풍부한 경험을 나누고

견해를 파악하고자 질적연구방법을 택하였다

Ⅱ 연구 방법

1 면담 참여자

본 연구에서 면담에 참여한 언어치료사들은 언어치

료센터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을 치료하고 있거나 다문

화가족지원센터에서 언어발달지도사로 근무하고 있

거나 혹은 언어발달지도사의 감독자로 근무하고 있는

언어치료사 7명이다 선정된 7명 언어치료사들의 기본

정보는 lt표 - 1gt과 같다 면담 참여자들이 근무하고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49

면담자

기호성별 연령 재 근무형태

다문화가정아동

치료 경력(언어치료경력)근무지역 자격증 유형

S1 여 37

치료센터 SLP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 감독자

4(12년)서울

제주도1

S2 여 44 치료센터 SLP 7년(10년) 충청도 2

S3 여 39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 감독자3년(10년) 충청도 1

S4 여 42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3년(5년)

서울

경기도

2

(1 시험합격)

S5 여 31

치료센터 SLP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 감독자

3년 6개월(4년6개월) 강원도 1

S6 여 25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1년6개월(2년) 경상도 2

S7 여 24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1년(2년) 충청도 2

lt표- 1gt 면담 참여자의 기본 정보

있는 장소는 서울과 경기지역 충청 강원 경상도 제주

도지역이었으며 최소 2년 이상의 언어치료경력 및 최

소 1년 이상의 다수의 다문화가정아동의 언어치료 경

력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인 연구 상 선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면담 참여자들은 현재 어떠한 형태로든 다수의

다문화가정 아동을 상으로 최소 1년 이상의 언어평

가 및 치료경험이 있는 자로 한다 예를 들어 한 두

명의 다문화가정 아동만을 치료하였거나 해당아동을

다섯 명 이상 했어도 평가로 끝냈거나 6개월 미만의

단기간의 치료경험만 있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둘째

모든 면담 참여자들은 비다문화가정의 언어장애아동

치료경력이 최소 2년 이상인 자로 한다 비다문화가정

과 다문화가정 언어장애 아동 치료의 차이점을 알기

위해서 언어치료경험이 전혀 없었던 SLP 출신 언어

발달지도사는 면담 상자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초보

언어치료사의 경우는 치료경력이 짧은 이유로 상이

단일가정 언어장애아동이든 다문화가정 언어장애아

동이든 치료목표 선정 및 치료에 어려움을 보이고 있

다는 언어발달지도사 감독자들의 의견을 반영한 결과

이기도 하다 실제로 경력이 1년 미만이었던 언어치료

사를 상으로 면담을 실시했을 때 다른 면담참여자

와 중복된 견해를 보이는 부분이 있었지만 다문화가

정 아동이 가지고 있는 특성에 민감하지 못하여 모호

한 답을 하거나 독특한 경험으로 인한 새로운 내용

을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들의 면담내용은 분석에

서 제외하였다 위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하는 언어치료

사를 우선으로 선발하되 가능한 다양한 근무지역을 포

함하려고 노력하였다 선발된 면담 상자의 근무지역

은 서울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 경상도 제주도였다

이와 같은 의도적인 면담 상자 선정과정은 다른

상자를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얻기 힘든 중요한 정보

를 제공받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Park amp Turnbull

2001) 셋째 위의 조건에 부합하는 언어치료사를 의뢰

받아 차례로 인터뷰하였다 그런데 면담 상자 7과 8의

인터뷰 내용에서 더 이상의 새로운 견해가 나타나지 않

았고 이미 인터뷰한 면담 상자보다 경력이 더 많은

언어치료사도 없었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면담 상자

수를 7명으로 결정하였다 이러한 이유는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에서 면담 상자 수에 한 규정은 없으나

인터뷰 내용이 포화상태가 될 때까지 새로운 상자

를 인터뷰하는 것이 권고되고 있기 때문이다(신경림 외

2004) 면담 상자에게는 전화통화를 통해 연구의 목

적을 알리고 면담을 허락받았다

2 자료수집 절차

가 면담 질문지 작성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 평가 및 치료와 관련된 주제

의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질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0

문지를 개발하였다(배소영 외 2009 이은주김영태

2010 오성숙 2009 오소정김영태김영란 2009

황상심김화수 2009 Kritikos 2003 Leah Fabiano-

Smith Goldstein 2010 RaMonda Horton-Ikard

Muntildeoz 2010) 이를 근거로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질문지의 내용은 lt표 - 2gt와 같다 질문

지 작성을 완료한 후에 면담 상자와 유사한 조건의

언어치료사 한 명에게 예비면담을 실시하였고 질문 방

식이나 녹음방법 등에 한 사항을 일부 보완하였다

lt표- 2gt 면담 내용

기본

정보

언어치료자격증여부 개별언어치료경력 다문

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경력 연령 근무형태

여건 등

상아동

정보

담당 언어치료 언어지도 상아동의 수

나이 유형 장애정도 부모의 국 등

평가다문화가정 아동의 평가방법 사용 검사도구

결과

치료 다문화가정 아동의 치료목표 방법

기타 기타 언 하고 싶은 의견이 있을 경우

나 면담 실시 및 자료 전사

연구자가 면담 참여자의 직장을 방문하여 개별면담

을 하였다 면담 참여자에게는 사전에 면담 승낙을 받

을 때 질문내용을 략적으로 알려주었다 면담 참여

자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기 위하여 면담시간에 제

한을 두지는 않았으며 면담 소요시간은 60분sim90분

으로 평균 84분 정도 소요되었다 면담 상자들의 동

의하에 면담내용을 모두 녹음하였고 면담을 마친 날

로부터 일주일 이내에 연구조교에 의해 녹음된 내용

그 로 전사하였으며 연구자가 녹음을 들으며 전사된

내용을 재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모든 면담

내용이 A4용지 약 174장으로 전사되었다

3 자료 분석 및 추후 확인면담

전사된 자료는 질적 분석방법의 하나인 연속적 비

교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을 이용하여 부

호화하고 부호들 간의 연속적인 비교를 통해 범주와

주제를 도출하였다(신경림 외 2004) 우선 첫 번째

전사본을 두 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읽으며 개방적

부호화 작업을 실시하였다 각 연구자는 부호화 작업

을 하면서 부여한 부호와 각 부호에 해당하는 조작적

정의를 정리한 후 함께 논의를 거쳐 첫 번째 부호집

을 작성하였다 두 번째 전사본은 첫 번째 부호집에

정리된 부호를 이용하여 부호화하면서 새로 생성된

부호를 추가하거나 기존의 부호들을 합하거나 분리하

는 등의 조정을 하였다 이렇게 작성된 두 번째 부호집

은 다음 전사본을 부호화할 때 사용하였다 이러한 과

정을 거쳐 모든 전사본을 두 연구자가 함께 부호화하

였고 그 결과 일곱 번의 개정 확장 과정을 통해 최종

부호집이 작성되었다 최종 부호집을 가지고 두 명의

연구자가 함께 토론하여 주제를 도출하였다 질적 분

석이 모두 끝난 후에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두 명의

면담 참여자들을 만나거나 전화를 통한 추후 확인면담

을 실시하였다 추후 확인면담의 참여자들은 결과 요

약 보고서에 동의하며 연구절차에 관련하여 특별히 개

선되어야 할 사항이 없었다고 응답하였다

4 질적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확보를 위한 노력

본 연구에서는 질적 분석 결과의 신뢰도와 타당도

를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자료분석의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모든 자료에 하

여 두 명의 연구자가 부호화과정에 참여하였으며 통

합된 관점을 확인하기 위해 모든 부호화과정을 함께

진행하였다 둘째 추후 확인면담을 통한 연구 참여자

들의 확인 작업을 거쳐 연구자들의 주관성을 피하고 신

뢰성을 확보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이명선김춘미

고문희(역) 2004) 셋째 다문화가정 아동 지도 및 치

료와 일반적인 언어장애아동의 치료를 둘 다 경험한

언어치료사를 면담함으로써 이 둘 간의 임상적 차이에

한 견해를 들을 수 있었다 또한 언어치료경력이 오

래되었고 박사이거나 교수로 재직 중인 언어발달지도

사 수퍼바이저들이 면담에 직접 참여하였거나 우수한

언어치료사출신 언어발달지도사를 추천하여주었다 이

와 같이 면담 상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

에 한 임상경험과 연구경험이 풍부하여 이들의 견

해는 충분히 신뢰롭고 타당한 자료를 제공해 주었다

Ⅲ 연구 결과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질적 분석한 결과 다음

과 같은 네 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1) 다문화가정

아동의 평가 (2)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3)다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1

lt그림-1gt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해 도출된 주제들의 도식화

문화 가정 아동의 치료 (4) 향후과제 lt그림- 1gt은 도

출된 주제와 하위주제들 간의 유기적 관계를 도식화

한 것이다 결과에서는 각 주제별로 중요 내용을 요약

하였고 지면 관계상 표적인 면담내용 사례만을 제

시하였다

1 다문화가정 아동의 평가

가 평가 의뢰 경로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문제를 인식하고 센터로

언어평가를 의뢰하는 경우는 부분 방문교사에 의한

경우였다 요즈음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지역에 생기

기 시작하면서는 어머니들이 센터를 이용하면서 아동

들의 언어평가 및 언어지도 프로그램을 알고 찾아오

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저희 방문서비스라고 해서 엄마들한테 부모교육을

제공하시는 선생님들이 계세요 그분들이 본인들의

아이들 키워보고 이 아이들(다문화가정 아동들) 봤

을 때 좀 뭔가 문제가 있다하면 데리고 오시고요

아니면 어린이집에 가면 다문화가족 아이들이 일

찍 맡겨지거든요 일찍 맡겨지는데 또래보다 뭐 좀

늦다 그러면 신청해서 시설에 신청해서 방문 진단

하거든요(S4 4152-156)

다문화가정 아동 조부모들의 lsquo조금 있으면 말을 할

거야rsquo라는 인식과 지역적인 접근성의 어려움으로 스

스로 찾아오는 경우는 많지 않다고 한다 그리고 언어

평가가 필요한 다문화가정 아동을 발견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어린이집이나 학교 선생님과 같이 다문

화가정 아동과 관련된 전문가들에게 언어평가 및 치

료 프로그램을 알려줄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나 공식평가 방법에서의 문제점

우리나라에서 비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사용하고 있

는 표준화된 검사도구로 다문화가정 아동을 평가하기

엔 문제가 있다는 의견이 부분이었다 일반적으로 사

용하고 있는 표준화검사도구의 표집은 비다문화가정

아동만을 상으로 했기 때문에 규준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공식평가 결과만으로 언

어장애 혹은 언어문제가 있다고 해석하는데 있어서 주

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었다 또한 부모보고에 의한 평

가방법은 부모의 한국어 능력으로 인해 어려움이 있다

고 하였다

외국에서도 흑인아이들 경우도 규준에 안 넣었다

가 규준에 흑인이 안 들어갔을 때는 (흑인아이들의

언어능력이) 완전히 다 낮은 걸로 나왔는데 흑인을

규준에 넣은 게 그 PPVT에 넣었다고 알고 있거든

요 그때 흑인규준 넣은 것이 조금 더 낮았다고 했거

든요 제가 그때 보기에는 흑인규준이 따로 있고 합

친 것도 그랬었어요 그래서 (우리도) 그렇게 좀 비

교를 해야 되지 않을까(S1 12443-447)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2

그렇죠 아무래도 그러니까 어머님이 한국어가 안

되시다보니까 SELSI같은 경우 굉장히 손짓 발짓

을 많이 해야 하는 경우 있구요 그런 경우에는 사실

은 정말 뭐 부모님이랑 상호작용하는 것만 가지고

관찰한다거나 제가 상호작용하면서 조금 관찰을 한

다거나 이거에 더 의존을 하게 되는 것 같아요 어머

니한테 받는 보고로는 크게는 어려운 거 같아요 그

것만 보기에는(S5 9336-340)

(SELSI 등 어머니 보고에 의한 평가를 할 때) 평균

적으로 얘기를 해보면 안다고는 하는데 내말을 이

해했다고 답은 하는데 그거에 해서 제가 예를

들어 달라고 부탁을 한단 말이예요 그러면 엉뚱한

애기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그래서 lsquo아 할 수

있어요rsquo 하고 lsquo예rsquo 체크를 하다가도 계속 어머니께

서 말을 많이 하신단 말이예요 한 문항 한 문항 말

을 하는 걸 들어보면 엉뚱한 답을 하는 경우가 많

아요 그러면 다시 lsquo아니오rsquo로 체크를 하는 경우가 많

거든요 이해를 한다는 거는 솔직히 반반이예요 (한

국어들이 조금 떨어지실 경우에는 아무래도 평가할

때 어려움이) 많아요(S6 4126-136)

아동이 검사문항을 통과하기는 하지만 각 문항에

해당하는 언어지식을 충분히 가지고 있지는 못한데

검사도구로 이를 민감하게 평가하지는 못해서 아동이

잘 하는 것처럼 평가되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었

다는 보고가 있었다 검사 상 아동에 따라서는 언어

검사 과제수행방법에 익숙하지 않아서 오류를 보이는

경우가 있으며 일본 필리핀 등 엄마 모국어 발음이

아동에게 영향을 미쳐서 조음검사 시 오류로 판단을 해

야 하는 지 특성으로 봐야하는지 혼돈이 생긴다는 의견

이 있었다

다 공식 평가문제의 안

다문화가정 아동을 평가하는 데 생기는 공식 검사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단기간 가르쳐본 후 향상되

는 정도에 따라 판단하는 역동적 평가를 하거나 비공

식검사를 실시한다는 의견이었다 언어발달지도사의

경우 아동의 행동특성 이야기특성 읽기특성 화특

성을 기술하도록 하여 공식검사만으로 아동의 언어능

력을 평가하지 않도록 슈퍼바이저가 권고 지도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공식검

사를 개발해야 한다는 의견과 언어지연과 지체 구별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초기부터 언어치료사에 의한 언

어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을 제시하

였다

역동적 평가를 해보면 확실히 언어장애가 있는 아

동과 차이가 있는 것 같아요 일회성으로 만나는 아이

들 같은 경우는 그냥 단순하게 알려주고 조금 지나서

다시 읽어보는이 정도 밖에는 할 수 없는 것 같구

요 길게 만나는 아이들 같은 경우는 검사에서 lsquo얘네

들이 경험이 없어서 못했겠다rsquo 싶은 것들을 치료시

간에 한 두 회기에 도입시켜서 해주고 나면은 어휘

같은 것들은 쉽게 익혔던 것 같아요(S1 7250-257)

한 회기 안에서도 조금 단서제공을 해가지고 짧게라

도 아이가 조금 배운 다음에 조금 향상이 되는가해

서 역동적 평가할 수 있는데 저는 개인적으로 단기

학습을 조금 시켜봤었거든요 hellip(중략)hellip 다문화가

정 아이들 세 명 데리고 그룹했었는데읽기 이해

로 그룹을 했었어요 한명은 언어공식검사에서 문

제는 없었어요 근데 자발화하고 이야기를 떠봤더니

문법오류가 너무 많고 1학년인데도 문법오류가 너

무나 많고 뭐전달도 잘 안되고 조금 화용도 이상

하고 거기다가 읽기 공식검사에서 읽기 수준이 조

금 떨어지게 나오고 한명은 전반적으로 다 떨어지

고 나머지 한명은 언어에서 조금 지체되는 정도

이렇게 나왔었어요 hellip(중략)hellip 그래서 단기학습을

시켜봤더니 이 세 명 중에 두 명은 금방 올라온 거예

요 hellip(중략)hellip그런데 단기학습을 시켰을 때 두 명

은 굉장히 향상이 되고 한 명은 향상은 있었지만

그게 두드러질 정도는 아니였어요 얘한테어머니

한테 lsquo얘는 치료를 받았으면 좋겠어요rsquo하고 말씀을

드렸었어요 그 뒤에 이렇게 보면은 lsquo아 정말로 단

기학습을 해서 조금 보기는 해야겠구나rsquo 한 번에 보

기가얘네가 다 장애 lsquo언어장애rsquo하고 이름 붙이

기가 되게 위험한 거예요(S5 4155-5170)

2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가 첫 평가 시 상아동의 연령

보통 어린이집을 다니기 시작하는 4 5 6세가 많았

으나 2011년부터는 다문화가정아동의 교육비 전체가

무료가 되면서 24개월 미만의 영유아 방문도 점점 많

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부모님이 발견하고 인식하는 경

우는 아동이 학년기가 되었을 때지만 요즘은 언어발

달지도사가 찾아가기 때문에 아주 어린연령부터 접근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3

이 가능하다고 한다

지금 원래는 상은 6학년까진데 제가 많이 본거는

거의 만3세정도의 아동이 많아요(S6 260)

지금 아이들이 다 어리니까요 20개월에서 한 35개

월 정도요 그러다보니까 엄마랑 아이랑 같이 말을

배워간다고 보시면 되요 그러니까 상호작용 문제

가그 또래 애들 중에 말 느린 아이들이 되게 많아

요(S7 112-15)

나 언어특성

다문화가정 아동 부분이 비다문화 가정 중에서도

낮은 SES아동과 유사한 언어특성을 보인다는 의견이

었다 다문화가정 아동은 어휘능력이 두드러지게 저하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가장 두드러지게 향상

되는 부분 또한 어휘능력이라고 한다

그리고 어머니의 출신국 언어의 억양이나 조음에 영

향을 받아서 독특한 억양이나 조음특성이 나타나는 사

례가 종종 있다는 의견이었다 학령기 아동의 경우 부

족한 경험으로 인하여 이야기하기 과제 및 문제해결력

이 미숙하고 질문에 답할 때 서툰 표현력이 관찰된다

고 한다

어디에서 얘네들이 가장 막히냐하면 어미 그리고

마지막 끝 말미 서술 표현이 정말 웃겨요 그 서술

마무리까지를 잘 못해요 그 마무리를 참 이상하게

말해요 항상 그냥 단답형에 익숙한 아이들이라서

문장을 마지막에 끝내는 거에 많이 익숙하지가 않더

라구요 그래서 서술어도 지네 마음 로 해요 만약

에 제가 질문이 예측 예방하는 차원의 질문이었어

요 만약 lsquo이런 일이 있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했었

어야 하니rsquo 하면 이거에 맞는 서술부분이 나와야

되는데 그냥 평서문처럼 lsquo주어 목적어 서술어rsquo 이런

단문형태의 그냥 lsquo누가 뭘 했어요rsquo 이런 식이예요

답변이(S2 9308-314)

어 어휘 아닐까 어휘영역이 속도가 굉장히 빠르구

요 하지만 또 끝까지 애먹이는 것도 어휘 참 특이하

지요 그만큼 우리가 연령이 높아지면서 습득해야

될 어휘가 굉장히 많아서 제일 많이 늘어나는 것도

어휘인 것 같은데 또 언어발달지도 받고있는 학령

기 친구들이 제일 애먹는 것도 어휘에요 오히려 못

따라가요 아무래도 모국어 친구들만큼 못 따라가는

것도 어휘더라구요 그게 또 그러네 (S3 5160-164)

아 그러니까 일본아이들 같은 경우는 조음에 있어

서 약간 억양문제가 있는 아이들도 있고요 그 다음

에 중국아동들은 음중국어를 오래 한 아동은 조

음에 있어서 정말 지역에 따라서 좀 다르기는 한데

그래도 lsquoㄹrsquo 조음이 잘 안 되는 경우도 있고요(S4

16624-627)

그냥 얘기는 화상에서의 얘기는 괜찮은데 엉뚱한

답을 조금해요 이해를 못해서 그래서 무슨 질문

같은 걸 하면 엉뚱한 답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서 그것도 아까 말했듯이 어휘가 약하기 때문에 lsquo이

거 이렇게 했어rsquo 막 이렇게 행동이랑 같이 표현을

하거나 아니면 같은 말에 오만상을 다 쓰거나 하는

경우가 조금 있어요 그리고 아까 말했듯이 이해를

못해서 엉뚱한 이야기를 하고 자기 관심사만 조금

얘기를 하고 이거 얘기하다가 갑자기 다른 얘기로

넘어가고 내가 물어봤던 건 이건데 전혀 다른 얘

기를 하고 막 이렇게 그렇게 산만하지 않은데도 그

런 경우가 있어요 내가 무슨 얘기를 하면 lsquo우산을

갑자기 비오니까 우산 들고 가야지rsquo하면 lsquo우산 집에

있어rsquo부터 시작해서 그래서 lsquo비 올땐 뭐 필요하

지rsquo 물어보면 내가 듣고 싶은 건 lsquo아 우산 들어야

돼요rsquo 라는 답을 원했는데 lsquo어 밖에 비 안 오는데요rsquo

그래서 막 그림 그리면서 lsquo어 지금 비오잖아rsquo하면

그 질문에 한 lsquo어 우산 써야rsquo 그 얘기가 아니라 lsquo어

비 많이 오네rsquo 이러면서 lsquo나도 그릴래요rsquo해요(S6

10368-388)

다 언어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 외 특성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문제와 더불어 문화적 차이

로 인하여 겪게 되는 심리적인 문제가 상당히 심각하

다고 한다 또한 부분의 다문화가정 아동의 가정환

경 및 경제적으로 좋지 못한 환경 등으로 인해 집안에

서도 안정적이지 못한 경우도 많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러한 경우 다문화가정 아동은 체로 말을 안 하거

나 쉽게 마음을 열지 못해 라포형성이 어려우며 자신

감이 떨어지고 또래와 다른 외모로 자존감이 낮은 경

우가 많다고 한다

두드러지죠 정서 이것도 취약계층 아동이랑 거의

비슷해요 걔네들 같은 경우에는 이 따뜻한 표현 또

는 상호작용에 의한 이런 경험 지지받았다는 그런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4

사실 이런 것들이 답습이 안 되서 마치 던지듯이

말해요 예쁜 말들이 아닌 거죠 그리고 준비가 안

되어있어요 받아들이기가 그래서 표면적으로 드러

나는 언어패턴이나 이런 부분들이 조금 괴팍스러워

요 그니까 얘네들하고 조금 비슷한 거 같애서 정서

에서 어려움이 오는 아동들도 있잖아요 그런 아동

들을 어떻게 정서가 딱 어려워서 온 게 아니라 환경

으로 인해서 이렇게 정서적으로 고립된 아동들도 있

잖아요 걔네들 반응하고 거의 똑같은 거 같아요(S2

17614-621)

일본인 가정은 확실히 문화적인 차이예요 어떤 거

냐하면 존 법아시아권은 부분 그 예의와 관련

돼서 굉장히 중시하잖아요 근데 아이들도 남의 말

을 경청하고 숙여지는 게 있어요 그니까 남의 말을

더 들어주는 거예요 일본인 가정은 부분 다 lsquo예

예rsquo 이런 거거든요 더 적극적으로 의사소통을 하지

않아요 똑같이 일반인 가정의 부모가 유럽쪽 계통

이 있었어요 유럽쪽 계통의 엄마가 한국남성하고

결혼한 그런 분이었는데 이집은 달라요 되게 적극

적이예요 아이가 의사소통 자체가 굉장히 적극적

인데 일본인 가정은 덜 적극적이예요 이 문화가 경

청하고 들어주고 그저 lsquo예 예rsquo이런 문화라서 그런

건지는 모르겠는데 자기표현 보다는 더 듣는 쪽으로

아이들이 발달을 한 것 같아요(S2 8271-280)

말을 안 하거나 쉽게 맘을 못 여는 거 장애가 있는

친구들보다 라포를 형성하는데 굉장히 오래 걸리

고 그리고 자기가 자신감이 굉장히 없어요 유치원

친구들이나 학교 친구들로부터 이미 외모로 인한

lsquo좀 다르다rsquo라는 인식으로 인해서 자신감이나 자존

감이 되게 낮아요 이미 외모에서 티가 나버리니깐

그런 것들이 좀 심각한 것 같아요(S3 6186-189)

라 이중언어 사용 현황

면담 상자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다문화가

정 아동이 한국어와 함께 엄마의 모국어를 함께 사용

하는 경우는 략 10~20정도였다 이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머니가 일방적으로 한국문화에 적응하고 어

머니의 문화를 가르치거나 노출시키는 경우는 많지 않

기 때문이기도 하고 또한 어머니가 자신의 출신국 언

어를 사용할 경우 아이한테 혼돈을 줄 수 있다는 걱정

과 가족들이 한국어만을 쓰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높은 교육열을 보이는 일본출신

의 어머니들의 경우는 출신국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보고도 하였다

중국이나 필리핀 경우는 영어를 가끔씩 쓰는 것 같

은데요 ( 부분은) 주로는 한국어를 썼던 것 같아

요 보통 확률로 보면 한 20내외 나머지는 다 한

국어 근데 요즘 중도입국한 아이들 다른 나라에 살

다가 학교 갈때 쯤 한국 들어오는 경우는 한국어가

제 2 외국어가 되죠 우리 머릿속에 언어에 한 선

호도 어떤 언어가 더 높은지 아는 것 같아요 다문

화 가정에서도 한국어가 더 높다는 거죠 필리핀 태

국 이런 곳 보다 그래서 식구들이 다 한국어만 쓰기

를 원하고 또 앞으로도 걱정을 하는 것 같아요 엄마

가 필리핀 태국말을 쓰면 애가 한국말을 잘 못 배울

까봐(S1 5171-182)

모국어를 쓰는 경우는 정말 일본 엄마들로 한정이

되어있어요 일본이나 중국 몽골은 전혀 안 쓰세

요 거의 lsquo내 아이가 헷갈릴 수 있다rsquo라는 생각을

갖고 계신 분들이 많기 때문에 저의 경우 엄마랑

아이가 본국말로 의사소통 하는 경우는 일본이 제

일 많고 그 다음에 중국 그리고 가끔 필리핀 영어

로 음 그리고 드문 케이스지만 저희 센터에 우즈

벡에서 오신 선생님이 계신데 그 분은 아이들이랑 러

시아어로 의사소통을 하시더라구요(S4 6226-235)

3 다문화가정 아동의 치료

가 언어치료 제공의 어려움

언어평가 후 언어능력이 6개월 이상 지연 및 지체

되어 언어치료가 필요한 다문화가정 아동이 전문 언

어치료기관으로 의뢰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고 한다 다

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와 그 가족들은 언어평가 결과와

상관없이 언어치료 필요여부에 무관심하기 때문이라

고 보고하였다 아동에게 언어치료를 의뢰해도 지역에

따라 그 지역에 있는 언어치료센터가 없어서 언어치료

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다문화가정 아동

의 아버지와 조부모는 자신의 아이가 다문화가정 아동

이기 때문에 언어치료사들이 편견을 가지고 문제점만

을 찾는다고 생각하는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다는 의

견도 있었다

(언어치료를 받아야 할 아동들이) 있어요 그런 아

이들은 (언어치료센터에) 연계를 해야 하는데그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5

러니까 연계되었다가도 치료실에 적응 못하고 다시

오는 경우가 있어요 그러니까 엄마랑엄마가 의사

소통이 잘 안되고 치료실 선생님들이 잘 받아주지

못하는 그런 게 조금 있었나 봐요 어떤 엄마 같은

경우는 본인이 말이 어눌한데 선생님이 빨리 설명

해주고 상담시간에 본인이 이해가 안 되게 이야기

해줘서 치료를 받다가 다시 오게 되는 경우도 있었

고 그리고 그 장애 진단을 받으면 편한데 아빠들

이 장애진단을 안 받으려고 하세요 특히 더더군다

나 치료실을 가게 되면 비용이 비싸지니까 바우처 활

용도 못 받고 그래서 그런 경우는 (다문화) 센터를

이용하려고 하시는 분들도 계세요(S4 14540-550)

한국에 들어와서 한국어에 해서 잘 모르시니까

한국어에서 문제가 있다하더라도 본인이 못 느끼

시는 경우 많이 있으세요 본인이 한국어 실력이 그

만큼 안 되기 때문에 아이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자

기가 못 느꼈다거나 그 다음에 뭐약간 국적적인

성향 같은 것을 가끔 느끼는 게 일본이라든가 중

국 어머님들은 그나마 학구열이 있기 때문에 그나마

조금 저거 하시는데 동남아권이라든가 그런 분들

은 그냥 뭐 lsquo잘 살아가면 되지rsquo로 생각하시는 분들

되게 많거든요 그래서 아이가 문제가 있다 하더라

도 생활 속에서 나랑 잘 생활하고 있다 그러면 lsquo난

안 받을래요rsquo 하시는 경우가 많으시고 어머니는 문

제에 해서 lsquo아 그렇군요rsquo라고 받아들이셔도 이제

아버지라든가 할머니라든가 이제 그한국가정에

서 lsquo어우리 아이가 무슨 문제가 있나요 왜 다문

화라고 해서 자꾸 우리아이를 찾아내고rsquo 워낙 교

육이라든가 도움이 많다보니까 lsquo다문화라도 우리

한테 자꾸 이런 거 주지 마세요 그리고 뭐가 문제가

있다고 자꾸 찾아내고 우리 애 잘 살고 있습니다rsquo

이런 분들이 오히려 아빠나 시어머니나 이쪽이 많

으신 거 같아요(S5 7299-311)

지금 제가 수업하고 있는 애들 중에서는 아직 어린이

집 가기 전 아동이 거의 40-50정도거든요 40

가 안 가고 60가 가고 이 정도 퍼센튼데 요새는

어려도 어린이집에 보내려는 경우가 많아서 근데

어린이집 가면 시간이 없다고 안 오시려고 하시는

경우가 많고 또 어린이 집 끝나고 오는 딱 그 시간

을 원해가지고 수업을 못 받는 경우가 많고 받는

경우가 60 40정도가 돼요 지금(S6 14545-550)

나 언어치료(지도) 장소

다문화 언어장애아동을 상으로 언어치료사가 제

공하는 언어치료 혹은 환경요인에 의한 경미한 언어

지체위험군 아동을 상으로 언어지도사가 제공하는

언어지도는 센터의 교실 또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다

니고 있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으로 파견 나가서 제공

되고 있었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다수가 어린이집을

다니고 있으며 어머니들은 아동이 있는 곳으로 방문

지도를 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파견근무가 늘고

있다고 한다 영유아의 경우는 가정에서의 지도가 바

람직하지만 여러 이유로 다문화 센터 규정상 가정에서

의 언어지도는 제공되지 않는다고 한다

센터 안에 있는 언어발달지도교실 근데 중요한 건

센터에 와서 언어발달지도교실에서 하는 것 보다 어

린이집으로 우리 선생님들이 가서 언어발달지도를

하는 비율이 거의 2 8에요(S3 7237-239)

다 언어치료(지도) 효과

다문화가정 아동을 언어치료(지도)를 했을 경우 어

휘영역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향상된다고 한다 하지만

연령이 높아지면서 습득해야 할 어휘가 늘어나기 때문

에 학령기 아동이 힘들어하는 부분도 어휘영역이라고

한다 아동의 언어치료(지도) 효과는 부모의 교육수준

안정된 가정환경이나 언어자극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

는다는 의견이었다 언어치료(지도)를 받는 다문화가

정 아동은 어휘습득은 빠른 편이지만 문법오류와 담

화 읽기 인지적 부분은 지속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경

우가 많다고 한다

어휘력은 노출되는 만큼 자기 것이 되서 사용하는

데 단어를 많이 활용하기 때문에 주로 어휘력부분

같은 경우에는 lsquo어라 이런 단어도 사용하네 이런

단어도 사용하네rsquo 이런 부분들이 있어요 근데 인

지적인 측면은 늘긴 늘지만 계속 향상될 만하면 어

려움이 닥치고 될 만하면 닥치잖아요 얼마나 어려

워요 그쵸 그래서 이런 측면은 계속 발달되는 게

정말 다르더라구요(S2 18640-645)

약간 문제가 있는데 문법적인 게 굉장히 많이 오류

가 있다거나 특이한 사항이 좀 관찰되었다하는 아

이들은 전체적인 점수가 향상되어도 약간의 것들이

남아있는 거예요 특히나 문법이라든가 화용적인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6

측면에서이제 만 5-6세 넘어오고 학령기 들어가

다 보면 아이들이 이미 유치원이라든가 거기서 의

사소통에 제한이 있었던 거예요 언어문제 때문에

약간 좀 소외되었다거나 아니면 뭐상호작용을

잘 못했다거나 그래서 이게 연습이 제 로 안 되어

있는 거예요 그런데 이거를 선생님하고 11로 앉아

가지고 보통의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은 화용문

제를 잡기도 하시지만 보통 드러나는 공식검사에

서 드러나는 거 어휘라든가 문법을 잡으시거든요

그런데 그러다 보니까 이 아이가 나중에 어휘와 문

법이 잘 쌓여도 나중에 그룹에 들어가 가지고 화용

적으로 막 쓰는 데는 약간누가 듣기에는 어 상호

작용을 해보면 약간 이상한 용어가 남아있는 거예

요 그래서 결국에는 이제 만 6세 학교 들어가기 전

이라든가 학교 들어가고 나면 그게 계속 두드러지

게 되는 거 같아요(S5 6236-7250)

언어지도 후 6개월마다 진전평가를 실시하는데 이

때 정상범주에 들어서 종결되는 아동들이 꽤 많다고

한다 이는 아동의 언어문제가 언어환경적인 이유로 인

한 일시적인 언어지체이기 때문으로 설명되고 있었다

연령별로는 영유아의 경우에 6개월 언어지도 후 거의

정상범주에 드는 경우가 많지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6개월 안에 종결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는 의견도

있었다

라 언어치료(지도) 내용 및 방법

일반적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을 언어지도하는 방법

은 일반 언어치료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한다 이는

면담 상자들이 언어치료사이기 때문일 수도 있고 이

들의 수퍼바이저가 모두 언어치료사이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상자의 언어문제가 장애인지 환경적인 일시

적 언어지체인지 명확하지 않은 경우 언어치료를 제공

하는 것이 안전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이었었다 언어촉

진이나 부모 및 교사교육이 포함된 언어치료프로그램

이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적절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언

어지도 방법 면에서는 다문화가정아동과 비슷한 상황

의 주인공을 다룬 이야기책을 사용하거나 어머니의 출

신국에 관한 내용을 반영한 교재를 사용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보통은 lsquo언어치료하고 별로 다르지 않다rsquo라고 언어

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 아이들한테 더 맞는 거 같

거든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제가 그게 더 익숙해서

그런지 몰라도 뭐 한국어 학습 같은 거라든지 이런

것을 받고 그것을 응용을 할 수는 있겠지만 언어치

료 프로그램이 더 맞는 거 같아요(S4 10408-411)

엄마를 지원하는 게 중요하기는 한 거 같아요 lsquo아동

에게 집에 가서 어떻게 자극 주세요rsquo 하는 것들이

그냥 설명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엄마 언어 수준에

맞춰서 제공된다거나(S5 17711-715)

마 부모 참여 및 교육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머니는 스스로 한국어가 부

족하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언어치료사를 만나는 것에

한 부담을 느끼며 비참여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한

다 한국어가 능숙한 어머니에게는 직접 부모교육을

실시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아버지나 방문교사

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의견이었다

그리고 우리나라와 다른 문화에서 자란 다문화가정 아

동의 어머니들이 한국에서 아동을 가르치고 키우는 방

법들을 이해하기 힘들어하거나 혼란스러워하는 경우

가 있다고 한다 이런 경우 부모 출신국에 한 문화적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는 견해이다 그리고 아동의 언

어능력이 어머니의 한국어능력보다 좋아지게 되면 어

머니가 아동에게 언어적인 피드백을 해주는데 어려움

을 겪는 경우가 종종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치료 참여에) 적극적이진 않고 왜냐면 언어가 잘

안된다고 생각을 늘 하세요 그래서 lsquo잘 못 알아듣겠

다rsquo 이런 말씀을 전제로 깔고 가시기 때문에 그런

환경(교육환경)에 익숙하지가 않은 거예요 아직 국

내에서 적응하는 것 자체도 익숙하지 않은데 더군

다나 선생님과의 관계 속에서 무언가 또 같이 이야

기를 나누는 것 자체도 많이 염려스러워하고 이런

부분 때문에 참여하기도 어려운 거죠 참여 시키는

것 자체도 되게 어려움이 있는데 거의 비참여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S2 19689-695)

부모교육 같은 경우에는 저는 조금 거의 한국에서

사신 지 좀 되신 분들 적어도 한 4sim5년 이렇게 되

신 분들 상 로 했었어요 그런데 그런 분들은 크게

문제는 없으세요 특히나 일본 분들은 한국어를 또

쉽게 배우시기 때문에 크게 문제는 없는데 그러

니까 들어오신지 10년이 됐는데 과수원에서 과일

만 따다보니까 한국어를 못 배우신거예요 그래서

아이하고 한 거에 해서 말씀을 드려도 이해를 못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7

하시고 lsquo가서 뭐 해주세요rsquo 해도 못 하시고 그러다

보니까 나중에는 어머니한테 말씀드리는 게 아니라

아버지를 부르게 된다거나 아니면 이 아이가 다니

는 공부방의 누군가에게 도움을 요청한다거나 그

렇게 해서 환경적으로 전체적으로 접근하게 되고

그 때는 어머니만 잡기에는 어려움이 많이 있어

요(S5 9343-352)

(부모님이 집에서 언어촉진 주는 것을) lsquo알겠다rsquo고

하고 잘 안하시는 것 같아요 우선적으로 저는 (아

동과 한 것) 다 얘기 못하거든요 그게 설명이 힘들

어요 솔직히 lsquo공부한 거 애들은 그렇게 어려운 말

필요 없고 그냥 애들이 하는 거 보고 신 엄마가

애 입장에서 얘기해주세요rsquo 이 말 자체는 (엄마에게)

어려워서 예를 들어주거든요 자동차를 보면 어떻

게 어떻게 말을 하는 걸 보여주면 lsquo아아 이렇게

이해했다rsquo고 말을 해요 그렇게 하나씩만 이야기를

하는 편이예요 lsquo오늘 집에서 이렇게만 해주세요rsquo 이

런 식으로 그럼 lsquo잘 알겠어요rsquo하긴 하는데 lsquo어려워

요rsquo 이렇게 얘기를 해요 말을 못 알아듣는 게 아니라

애한테 그렇게 하는 게 어렵다고 잘 안된다고(S6

11410-421)

바 치료에 한 조언

면담 상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에만 초점

을 두기보다는 다문화가정에 해 전반적으로 이해하

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아동과 부모와

의 관계 및 문화적인 부분도 함께 고려해야 하면 다른

발달영역 전문가들과도 협력하는 능력도 필요하다는

의견이었다 공식검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한계점이 있

다는 것을 인식하고 언어학습능력과 잠재력 등을 평

가하여 언어치료(지도)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견

해이다 부모상담 시에는 충분한 상담시간을 제공해

야 한다는 의견이었다

다문화가정 아이들 경우에는 우선은 이 아이가 정

말로 다문화냐 정말로 이 아이가 환경적으로 다문

화환경에 노출돼서 이중언어가 되고 있는지아니

면 이 아이가 뭐 중도입국한 경우도 있구요 지금은

이주노동자들도 언어발달지도사를 찾아오거든요

그럴 경우에 언어적인 자극을 엄마가 안 주거나 교

육적인 서포트를 안 해주는 게 단순히 엄마가 문제

가 있다고 보기보다는 lsquo어 이 나라(엄마의 출신국)

에서는 이런 것들이 없었고 엄마가 적응하는데 내

가 서포트하는 역할이 있어야 되는 구나rsquo해야 하거

든요 그런데 그게 없이 아이만 보게 되는 거예요 왜

냐하면 저희는 lsquo엄마랑 상호작용하는 거 봐요rsquo하고

언어치료사가 이런 것들을 하긴 하지만 계속 아이

의 상태 아이의 수준 이것만 많이 보게 되는 거예

요 그러니까 엄마가 가지고 있는 한국어 실력이라

든가 엄마의 한국어 실력이 얼마나 성장되는지 혹

은 엄마가 어느 정도의 자극을 줄 수 있는 환경에

있는지 이런 것들이라든가 엄마가 아니라도 그러

면 가족들은 얼마나 지원했는지 이런 것들을 많이

놓치세요

또 아이가 가지고 있는 많은 어려움들 특히 피부색

이 다르거나 그런 아이들 중에 간혹 생기긴 하거든

요 많이 없어졌다고 해도(중략)요즘엔 정말로

많이 줄기는 했어요 그런데 필리핀 아이나 베트남

아이 같은 경우는 생김새가 조금 다르다 보니까 애

들이 왕따 같은 것들도 많이 당하기도 하고 선생님

한테 와가지고 다 털어놓고 얘기를 잘해도 학교 가

서는 얘기를 못한다거나 그러면사실은 나만 잡고

교육을 할 수가 없는 거잖아요 심리적인 문제라든

가 여러 가지가 걸리기 때문에그런데 lsquo어 얘가 밖

에서 언어를 못 쓰면 내가 계속 지원해주면 되겠지rsquo

라고 가는 경우도 있긴 하거든요 그러니까 그게 언

어치료사가 아동만 보다보니까 lsquo지금 내가 언어부

분만 봐야지rsquo로 가는데 사실 아이를 전반적으로 보

면 뭐 가족도 봐야 되고 문화적인 것도 봐야 되고

또 다른 발달영역에서 같이 좀 코웍할 수 있는 게

뭐가 있는지도 좀 자세히 살펴보기는 해야 될 거

같아요(S5 13503-14534)

4 향후 과제

가 향후 연구과제

다문화가정 아이들의 특성을 잘 반영해주기 위한

검사도구가 새로 개발되어야 한다는 의견과 앞으로 한

국어가 제2외국어가 되는 경우에 해서도 준비가 필

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연구방향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 같

아요 옛날에는 그냥 단순히 비교해 가지고 lsquo낮다rsquo

이렇게만 했었는데 요즘에는 소득도 약간 통제해

보고 중산층이랑 저소득층이랑 다문화랑 이렇게 비

교하잖아요 조금 특성을 더 접근해 갈려고 하는 것

같아요(S1 11522-524)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8

저는우선은 (특성연구에서) 공식검사 사용은 어

쩔 수가 없는 것 같기는 해요 공식검사에서 이제

우선은 (언어평가 결과가) 나와야 일단은 언어문제

가 있다고 판단은 하니까 그런데 특성을 보려면

공식검사만으로 lsquo어휘가 어때요 문법이 어때요 발

음이 어때요rsquo하는 것보다 조금은 환경적인 것들을

다 통합해서 아이가 실제 쓰고 있는 언어라던가

이런 것들을 자세히 살펴볼 필요는 있을 것 같아요

그런데 연구에서는 사실은 되게 어렵잖아요 자발

화를 여러 개를 떠온다거나 뭐 엄마하고 상호작용

을 관찰한다거나 그런 게 굉장히 어렵기는 하지만

그게 이제는 공식검사만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조금 부모를 포함해서 혹은 설문을 통해서라도 환

경하고 언어를 같이 보는 게 이제는 많이 시작은

되어야 할 것 같아요(S5 271103-1111)

나 엄마의 모국어 습득의 중요성

다문화가정 아동이 한국어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모

국어도 사용하는 것을 국가적으로 장려하고 있다고 한

다 그리고 다문화가정 아동이 학령기가 되었을 때 제

2외국어나 장래직업과 관련지어서 혹은 단순히 어머

니의 모국어를 배우고 싶어 하는 경우가 있다는 보고

가 있었다

제가 만나봤던 거의 90퍼센트 정도는 주 언어가 한

국어였고 그리고 물어보면 나중에 커서 가르쳐 주

겠다 하는 아동이 많았어요 진짜 이중언어를 배우

는 건 솔직히 좀 좋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진짜

이거 이중언어 이런 거를 필수적으로 방문 서비스

에서도 이렇게 엄마말 가르쳐 주는 서비스를 만들어

가지고 다시 또 이렇게 할 수 있게끔 같이하는 것도

필요한 것 같아요 어렸을 때부터 그걸 제가 가르쳐

줄 순 없으니까(S6 17654-665)

올해부터 장려해서 정확한 제목은 기억이 안 나는

데 영재 영재교실이라고 해서 엄마의 모국어를 가

르치는 교실도 함께 다니는 친구들도 많아요 요즘

에는 올해부터는 우리친구들을 다문화친구들을 글

로벌인재로 양성하려는 게 국가적으로 목표가 됐

죠 그래서 한국말도 가르치지만 엄마의 모국어도

한국말처럼 잘해라 엄마의 모국어도 못하는 애들

도 있거든 그래서 두 가지 언어를 잘하게 될 거 아

니에요 정말 훌륭한 인재가 될 수 있잖아요 그거

를 올해부터는 많이 강조하고 있더라구요 영재겠

지 언어영재교실이라는 이름으로 엄마의 나라 말

도 배우고 또 언어발달지도 선생님한테 한국말도 배

우고(S3 262-69)

다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

면담 상자들은 어머니가 아동의 교육에 참여하고

직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모교육프로그램이 필

요하다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영유아 아동을 위한 언

어발달지도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보고가 있었다

영유아아이들을 언어발달 지도할 때는 좀 더 다를

수 있어서 그런 영유아아이들을 상으로 하는 언

어발달지도프로그램 그런 것도아까 말했던 lsquo엄마

들을 어떻게 언어치료에 좀 더 참여시킬 것인가rsquo 이

런 문제들 그리고 매뉴얼들을 많이 개발하시려고

하는 것 같아요(S3 9307-311)

라 언어치료사의 새로운 역할

모든 면담참여자는 궁극적으로 언어에 문제가 있는

아동을 중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언어치료전공자가 다

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로 일하는 것이 필요하

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지만 현재에는 언어

치료를 전공하지 않은 언어발달지도사들도 많기 때문

에 이들과의 연계 필요성도 언급되었다 그밖에 언어

발달지도사의 감독자나 유치원 및 학교현장에서 치료

를 제공하는 학교언어치료사가 언어치료사의 새로운

역할이 될 것이라는 견해도 있었다 또한 언어치료전

공자가 언어발달지도사로 일한 경력도 언어치료사 경

력으로 인정될 필요성이 언급되었다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이 다 언어치료사는 아니

잖아요 만약에 언어치료사가 아닌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이 있다고 치면 그런 분들과 연계해서 해

야 될 부분이 많을 것 같구요(S1 13628-631)

(아동이 언어지체를 보이는) 그런 경우에는 치료를

해줘야 된다고 생각을 해요 현재는 그런 예가 적지

만 다문화 가정 아동의 엄마가 잘 못해주는 경우가

있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그냥 놔두는 것 보다 그

위험부담을 감수할 필요는 없는 것 같아요(S1

9413-316)

무료교육이 되다보니깐 우리 친구들이 100 어린

이집을 다니잖아요 그러다보니깐 엄마들이 그 유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9

치원에서 다 해결을 해보고 싶으신 거에요 자기가

데리고 오려면 교통비도 들잖아요 여유 있지 않다

보니깐그래서 유치원에 일단 들어가잖아요 그러

면 센터로 안와요(S3 7241-244)

Ⅳ 논의 및 결론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평가 및 언어치료(지도)에

해 숙련된 언어치료사를 상으로 실시한 면담 결

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에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언어평가를 받

기 위해 자발적으로 센터를 방문하는 경우는 많지 않

았으나 타전문가들에 한 홍보활동과 다문화가족지

원센터를 이용하는 어머니들이 많아지면서 다문화가

정 아동의 언어평가를 의뢰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

고 있다 면담 상자들은 기존의 공식검사 결과만으로

나타난 언어발달지체가 언어장애여부 판별에 사용되

는 것에 한계가 있음을 강조하였으며 공식검사 외에

비공식검사나 역동적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어평가 및 언어치료(지도)를 받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그 이유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비가 무료화되면서 24개월 미

만의 영유아가 센터로 방문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

기 때문이다 다수의 어머니들은 아동과 의사소통을

할 때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영유아의 경우는

엄마의 한국어 공부기간이 짧기 때문에 그만큼 더 부

족한 언어자극을 받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다문화

가정은 사회경제적 여건이 어려운 가정이 많기 때문

에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이 낮은 사회경제적 위

치에 있는 가정의 아동 언어특성과 유사한 면이 많다

는 의견이다 특히 어휘부분에서 크게 떨어지는 것으

로 평가되고 있지만 그 외에도 문법 면에서의 잦은

오류 사회적 의사소통이나 담화 및 읽기 등에서도 문

제를 보이고 있었다 언어 이외에 정서적 문제를 동반

하는 경우도 이들의 언어지도 및 학습에 영향을 미치

고 있었다

셋째 언어평가 후 언어치료가 필요한 아동의 경우

언어치료센터로 의뢰되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지

역적 특성상 언어치료센터를 찾아보기 힘든 경우도 있

지만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와 가족들이 언어치료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 않는 경우도 많다는 의견이

었다 따라서 언어치료가 필요한 언어장애아동의 경

우 언어발달지도사가 지도해야하는 경우가 많았다 언

어지도는 다문화센터 뿐 아니라 다문화가정 아동이 다

니고 있는 어린이집으로 파견 나가서 하고 있는 경우

도 많았다 환경적 요인에 의한 언어발달지체일 경우

에는 언어촉진을 주었을 때 아동의 언어능력이 크게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휘능력이 크

게 향상 되는 반면 문법오류와 담화 읽기 인지적 부

분의 어려움은 지속적으로 남아있기도 하였다

언어발달지도사는 치료사가 아니기 때문에 개발되

어 있는 교재를 활용하여 아동의 언어촉진을 목적으

로 언어지도를 수행하고 있으나 언어치료를 전공한

언어발달지도사의 경우는 일반 언어장애아동을 상

으로 한 언어치료목표나 방법을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적용하고 있었다 다만 방법 면에서 다문화가정 아동

과 비슷한 상황의 주인공을 다룬 이야기를 사용하거

나 어머니의 출신국에 관한 내용을 고려한 교재를 사

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언어치료 상이 된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의 경우 아동의 언어치료에

비참여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이 부분인데 이는 어

머니 스스로 한국어가 부족하다는 인식 때문에 전문

가를 만나는 것에 부담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라는 의

견이었다 언어치료사는 부모의 출신국에 한 이해를

돕는 정보나 교재 프로그램을 통해 이들의 문화와 전

통 가치관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상의 결론을 토 로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바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면담 상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을 공식검사 결과만으로 평가하는 데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는 선별에서 고위험군

으로 판정된 아동에 해서는 언어장애 유무를 확인

하는 단계에서 공식검사와 비공식검사를 보완하여 사

용하거나 역동적 평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

로 보는 선행연구(Bedore amp Pefia 2008 Deponio et

al 2000)와 일치하는 견해이다 임상현장에서 단순히

공식검사결과만으로 이들이 언어장애라고 진단하지 않

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을 규준

에 포함시키거나 이들의 특성을 민감하게 반영할 수 있

는 공식검사도구의 개발도 필요하다 할 수 있겠다

둘째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우리가 다문화가정이라

고 부르는 집단은 결혼 이민자 가정 중도입국자 가정

외국인 근로자 및 유학생 가정 새터민 가정 등 이질적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0

인 하위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다 면담 상자들이 지

적했듯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결혼 이민자가정의 아동은 사실상 단일언어가정이며

이중언어 사용아동이라 할 수 없음을 기억하고 다문화

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연구를 진행할 때 하위집단에

따른 특성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에 의하면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이 자녀

의 성장에 따라 고차원적인 의사소통과 언어적 지원

이 필요하다고 느끼지만 부족한 한국어 능력으로 인하

여 심리적 위축감과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한다(고은

2006 전홍주배소영곽금주 2008) 또한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한국어 능력이 우선임을 강조

하며 자신의 출신국 언어에 해 교육하는 것을 필수

가 아닌 선택사항으로 인식하고 있고 이중언어 환경

에 해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고은 2006) 면

담 상자에 의하면 다문화센터를 중심으로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 중요성을 알리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이

중언어교실이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그렇지만 이는

다문화가정의 아동 및 일반인을 상으로 베트남어 등

외국어를 가르치는 프로그램으로 집에서 엄마의 모국

어를 사용하여 아동을 이중언어 사용자로 양육하는 것

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정책적으로나 연구를

통해 부모가 가지고 있는 이중언어 환경에 한 불안

감을 감소시키고 초기 중요한 시기에 엄마와 아동이

어느 나라 말을 사용하든지 충분한 언어자극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넷째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교육을 지원

하고자 하는 강한 열망에도 불구하고 자녀들의 학업

에 도움을 주는 실제적이고 직접적인 지원에는 한계를

느낀다고 한다(송미경 외 2008 이진숙 2007 전홍주

배소영곽금주 2008 Cooper et al 1995) 면담 상

자들의 견해로도 언어문제를 인식하거나 평가에 의뢰

하는 데 다른 전문가들 상의 홍보와 도움이 많이 필

요했다고 하였다 또한 아동의 치료과정에서도 어머니

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 가정 방문교사나 어린이

집교사의 도움에 의존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사

실은 부모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노력해야함을 의미하

기도 하지만 언어치료사들이 다문화가정 아동을 치

료하는 과정에서 다른 전문가들과의 협력이 중요함을

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다섯째 언어평가에 의뢰되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연

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면담에 참여한 언어치료사

들도 담당하고 있는 아동의 많은 수가 24에서 36개월

사이의 영유아라고 답하고 있다 영유아를 상으로

하는 언어중재는 부모를 포함한 가정-중심 중재이며

부모에 의한 언어촉진방법을 중시하고 있다(Paul

2007) 그러나 다문화가족 영유아의 어머니는 한국에

체류한 기간이 짧아 그만큼 한국어가 미숙한 실정이

다 그러므로 다문화가정 영유아 아동의 중재 시에는

이러한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엄마의 모국어로

상호작용하도록 권유하거나 어린이집에서 제공되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과제라 할

것이다

여섯째 다문화가정 부모들은 자녀의 교육에 한

부분을 교육기관에 일임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왕한석 2007 전홍주배소영곽금주 2008)

한국사회에서 문화적응과 언어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들에게는 자녀를 이른 시

기에 교육기관에 보내어 다문화 가정의 취약한 언어

환경을 극복하고 발달을 돕고자 하는 것이 이들의 최

선의 선택이자 노력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면담에

서 밝혀진 바와 같이 부모의 소극적 참여 역시 같은

맥락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부모의 이러한 특성

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에 관련 전문가들의 역할

과 공교육에서의 교육제공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

다 어린이집과 유치원 학교에서 언어치료사가 근무

하게 될 경우 언어치료 상에 다문화가정 아동을 포

함시키는 방안도 추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 언

어치료사가 전체 언어치료사의 55를 넘는 미국의

경우(김영태 2004) 학교언어치료사가 현실적으로 과

중한 치료사례를 담당하고 있는 것이 이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나타났다(Marshall Stojanovik amp Ralph

2002) 이러한 문제는 앞으로 학교에서 언어치료를 제

공하게 될 우리나라에서도 미리 고려해야 할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더구나 다문화가정 아동과 같은 위험군 아

동을 학교 언어치료사의 치료 상에 포함시킬지 여부

도 우리가 고려해야할 사항이 될 것이다 언어치료사의

역할에 lsquo장애의 예방rsquo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ASHA

2004 Paul(2007)에서 재인용) 향후 학교 언어치료사

에 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될 때에 다문화가정 아

동과 같은 위험군 상아동에 한 예방 업무가 포함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이끌 수 있도록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사회의 일원인 언어치료사의

역할 역시 변화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

해 밝혀진 바와 같이 급증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아동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61

의 언어치료 및 지도에서 언어치료사는 언어발달지도

사로 근무하거나 이들의 수퍼바이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면담 상자에 의하면 언어발달지도사들이

현재 아동이 속한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로 파견 근무

를 나가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앞으로 통합어린이집

에서 언어치료를 제공하거나 학교 언어치료사로 근무

하는 것 역시 새로운 언어치료사의 역할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언어치료사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관련 정보 습득 학령기 아동을 위한 읽기 등에 한

공부 통합된 교실에서의 언어치료 제공능력과 같은

다양한 직업 환경에 맞는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언어치료사와 연구자들이 변화해가는 역할을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한 방향을 제시하

는 데 그 임상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참 고 문 헌

고은(2006) 이중언어 사용 아동의 부모들이 갖는 모국어에

한 가치 기준과 경험적 의미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5(3) 165-184

권수진(2006) 다문화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생성이름

기 특성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교육과학기술부(2010) 다문화가정 학생현황(2010 4 출신국

포함) 출처 httpwwwmestgokr

김영란김영태이은주(2007) 이중언어아동의 어휘학습

능력 측정에 적용된 역동적 평가에 한 타당성 고찰

-1990년 이후의 문헌을 중심으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3) 59-77

김영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김영태김경희윤혜련김화수(2003) 985172영유아 언어발달

검사(SELSI)985173 서울 파라다이스 복지재단

김영태(2002) 985172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985173 서울 학지사

김화수(2009) 한국 다문화사회에서 언어치료사의 역할모형에

한 제안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85-209류현주김향희김화수신지철(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능력 및 음운변동 특성 985172음성과학985173 15(3) 133-144박상희(2006)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985172한국언어치료

학회 학술 회 발표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박상희(2009)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산출에 관한 종단적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89-97박지윤박상희석동일(2007) 학령전기 이중언어 환경 아동

의 언어학적 특성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2) 131-145배소영곽금주김근영정경희김효정(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발달지원자 설문을 통해 본 아동의 언어환경

및 언어발달 실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65-184신경림장연집김영경이금재최명민김혜영김옥현

김영혜(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포커스 그룹985173 서울

현문사

송미경지승희조은경임영선(2008)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985172한국 심리학회985173 20(2) 497-517

안성우신영주(2008) 저소득층 일반아동과 다문화 가정아동

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4) 81-94

이명선김춘미고문희(역)(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상호

작용적 접근985173 서울 군자출판사

이은주김영태(2010) 1990년 이후 이중언어 연구 동향 985172언어

치료연구985173 19(2) 73-90이수정신지철김향희김화수(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능력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3) 95-115이진숙(2007)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양육실태와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관한 연구 985172열린 유아교육 연구985173 12(6) 21-42

오성숙(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 개인변인 가정환경자극과

유아 언어능력의 관계 구 학교 학원 석사학위

논문

오소정김영태김영란(2009) 서울 및 경기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과 관련변인에 한 기초 연구 985172특수

교육985173 8(1) 137-161오성배(2005) 도시와 시골지역 사이의 학업성취도 격차연구

목포시와 인근지역의 자료분석 중앙 학교 학원 박

사학위논문

왕한석(2007) 985172또 다른 한국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언어

적응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985173 서울 교문사

양성오황보명(2009) 취학전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37-56

여성가족부(2012) 2012년 다문화가족지원사업안내 출처

httpmogefgokr

장유경이근영곽금주성현란(2003)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

이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심리

학회지 발달985173 16(4) 227-241장현진신명선전희숙김효정(2011) 어머니 국적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비유창성 특성 연구 985172언어치료

연구985173 20(1) 17-29전홍주배소영곽금주(2008) 결혼이민자 가정에서 이루어

지는 자녀교육지원의 실제와 의미 필리핀과 일본

어머니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가족과 문화985173 20(3) 161-186

정은희(2004) 농촌지역 국제결혼가정 아동의 언어발달과

언어환경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3(3) 33-52정하성유진이이장현(2007) 985172다문화청소년 이해론985173 파주

양서원

정현영(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시아 여성과 한국남성의

이중문화가정자녀를 중심으로 숭실 학교 학원 석

사학위논문

최연실(2007) 도시 국제결혼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이야기능력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2

황상심정옥란(2008) 경상도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13(2) 174-192황상심(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초기 표현어휘 발달과 성차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9(1) 193-209황상심김화수(2008) 다문화환경 조음음운장애아동과 기능

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음운변동 패턴 연구 985172특수

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985173 9(4) 329-348황상심김화수(2009) 다문화에 한 언어치료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985172제1회 한국언어치료학회한국언어청각

임상학회 공동학술 회 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황상심정옥란(2008)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발달과 관련

변인 상관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1) 81-102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3

Received January 20 2012 Final revision received February 24 2012 Accepted March 1 2012

2012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httpwwwkasa1986orkr

ABSTRACT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o Hyun ParkMyoung sim Jungsect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Korea

sect Correspondence to

Myoung sim Jung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99 Daehangno Yuseong-gu Daejeon Koreae-mail bogamihanmailnet tel +82 10 2990 5002

Background amp Objectives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been increasing for yearsin Korea increased attention has been given to childrenrsquos language development Recent researchhas revealed language problem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research specifically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these problems are due to language differences or language difficulties is lack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between children with simple language disorders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In-depth interviewing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Seve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who had been working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ll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Four primary themes and seven subthemes emerged fromthe analysis 1) speech and language evalu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2)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3)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4)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for SLPs who work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scussion amp Conclusion The results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themes defined in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in reference to otherrelated literatur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presented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Key Words multicultural families bilingual speech-language evaluation speech-language intervention language development consultant at-risk children

REFERENCES

Ahn S amp Shin Y (2008) A comparative study of multi-ultural background childrenrsquos and low-income childrenrsquos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4) 81-94

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hang H Shin M Jeon H amp Kim H (2011) A study on disfluenc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mothersrsquo nationali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20(1) 17-29

Chang Y Lee K Kwak K amp Sung H (2003) Relations of maternal linguistic inputs to lexical development of Korean infant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

chology 16(4) 227-241

Choi Y (2007) Narrative abilities of Korean children with and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64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Hwang S (2010) Early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and gender difference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9(1) 193-209

Hwang S amp Jeong O (2008)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3(2) 174-192

Hwang S amp Kim H (2009) A survey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ervice deliver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oceedings of the 1st Korean Speech- 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Collaboration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Hwang S amp Kim W (2008) A study on the phonological process patterns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problem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gricultural Area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9(4) 329-348

Jeong E (2004) A study on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environment of children from internationally married couple living in an agricultural villag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3(3) 33-52

Jeong H Yoo J amp Lee J (2007)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youth Paju Yoangseowon Press

Jun H Pae S amp Kwak K (2008) Practices and meanings of immigrant mothersrsquo support for childrenrsquos education Cases of mothers from the Philippines and Japan The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20(3) 161-186

Jung H (2007)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mixed ethnic children Focused on the marriage of Korean man with Asian woman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im W (2009) A new light on models of SLPrsquos role in a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8(4) 185-209

Kim Y (2002)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Seoul Hakji Press

Kim Y (2007) Literature review regarding validity of the dynamic assessment applied in lexical learning ability measures for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3) 59-77

Kim Y Kim K Yoon H amp Kim H (2003)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Seoul Paradise Welfare Foundation

Kim Y Seong T amp Lee Y (2003) Preschool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Ko U (2006) The criteria for value and empirical meaning of mother tongue in case of parents of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5(3) 165-184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Kwon S (2006)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in generative naming for children of multi-culture family and children of ordinary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Lee E amp Kim Y (2010) A literature review of bilingual study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2009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9(2) 73-90

Lee J (2007) A study of childcare and education fathersrsquo childcare participatio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6) 21-42

Lee M Kim C amp Ko M (2004)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Seoul Koonja Press

Lee S Shin J Kim H amp Kim W (2008) A study on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3) 95-115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Statu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vailable from httpwwwmestgok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mp Family (2012)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guidance Available from httpmogef gokr

Oh S (2005) A study of achievement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ith data from Mokpo city and adjacent to regions Unpublished doctorrsquos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Oh S (2009) The relations of childrenrsquos linguistic abilities to mothersrsquo personal variables and home environmental stimuli in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Oh S Kim Y amp Kim Y (2009) Preliminary study o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mily factor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Special Education Research 8(1) 137-161

Pae S Kwak K Kim K amp Kim H (2009) Supporting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survey of mothers and developmental sup-porter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4) 165-184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rk J Park S amp Seok D (2007) Language characteristics in pre-school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2)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5

131-145

Park S (2006) Language abilit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oceedings of the Korean Speech- L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Park S (2009) A longitudinal study of articulation production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89-97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Shin K L Jang Y Kim Y K Lee K J Choi M M Kim H Y Kim O H amp Kim Y H (2004) The method of quality study Focus group Seoul Huynmoon Press

Song M Jee S Cho E amp Lim Y (2008) A study on the parental experience of a foreign mother in a mul-ticultural famil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2) 497-517

Wang H (2007) Another Korean Seoul Kyomun Press

Yang S amp Hwang B (2009) A comparative study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culture familie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37-56

Yoo H Kim H Kim W amp Shin J (2008) Articulation ability and phonological process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Korean Journal of Speech Sciences 15(3) 133-144

The authors wish to thank Youngheon Lee(Saint

Andrewrsquos school DE) amp Ye Rin Jung(Chungnam Univ)

for their unfailing support in organizing interview

data

Page 2: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최소 1년 이상의 언어평 가 및 치료경험이 있는 자로 한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48

있는데 비다문화 아동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언어발달

수준을 비교한 연구와(권수진 2006 김영란 외 2007

류현주 외 2008 박상희 2009 안성우신영주 2008

양성오황보명 2009 이수정 외 2008 황상심 외 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

인에 한 연구가 있다(오성숙 2009 오소정김영태

김영란 2009 정은희 2004 황상심정옥란 2008)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

들도 이루어졌다(박지윤 외 2007 오소정김영태

김영란 2009 장현진 외 2011 황상심정옥란 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및 언어발달 연구는 다

문화가정 아동의 많은 수가 언어발달 지연이나 언어

문제를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로는 985172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

현언어 척도 (Preschool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985173 (김영태성태제이윤경

2003) 985172영유아 언어발달 선별검사(SELSI)985173(김영태

외 2003) 985172그림어휘력 검사985173(김영태 외 1995)를 이용

하여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능력을 평가하였다 연

구결과에 의하면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또래아동에 비

해 수용언어 표현언어 및 어휘력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박상희 2006) 특히 다문화가정 아

동들 중 약 23가 lsquo약간의 언어발달지체rsquo 약 10의

아동이 lsquo언어발달장애rsquo에 해당하는 언어발달문제를 보

인다고 한다(황상심정옥란 2008) 한국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보이는 언어발달지체 원인으로는 부적절

한 가정 내 언어 환경 또는 어머니의 한국어 미숙으로

인한 언어자극 부족 경제적인 여건 등을 들 수 있다

(오성숙 2009 장유경 외 2003 정은희 2004 최연실

2007)

아동에게 제공되는 언어자극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다문화가정의 외국인 어머니들의 약 68가 가정에서

주로 한국어를 사용하며 32가 출신나라 말과 한국

어를 함께 사용하거나 출신나라 말을 사용한다는 연

구결과가 있다(황상심김화수 2009) 또 다른 연구

에서는 한국어 한국어와 부분적 모국어 모국어와 부

분적 한국어 순으로 사용한다고 보고되었다(오성숙

2009) 외국인 어머니들은 제한된 어휘이해력과 표현

력 구문이해력을 나타내었는데 이러한 어머니의 한국

어능력과 아동의 언어능력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황상심 외 2008 황상심정옥란

2008) 이는 다문화가정 아동 언어특성관련 연구결과

에서 나타난 언어발달지체 및 언어발달장애가 부족한

언어자극으로 인한 환경적인 문제일 수도 있음을 시

사하고 있다 그리고 언어발달지체 및 장애의 원인이

환경으로 인한 것이라면 이들을 상으로 한 언어치

료에도 이러한 점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학습에 요구되는 한글능력이 어머니의 한글수준을

넘어서게 되는 초등학교 고학년 이후에 다문화가정 아

동의 언어문제는 더 두드러진다고 보고되었으며(오성배

2005) 다문화 가정 아동의 경우 학교생활적응은 보통

정도이지만 나이가 들수록 적응도가 떨어진다고 보고

되었다(정현영 2007)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제가 학령기를 통해 지속적으로 남아있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에 의해 밝혀진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문제

가 환경적 원인으로 인한 일시적인 언어발달지연인지

언어장애로 인한 문제인지 여부에 한 연구가 더 이

루어져야하며 이들의 중재와 관련된 연구도 아직은

그 수가 매우 적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아동이 보이는

언어발달지체가 평가 및 치료 측면에서 임상적인 정보

를 제공해주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는 다문화가정아동의 평가와 중재 경험이 많은 언어

치료사를 상으로 이들의 언어평가 결과는 어떠하며

그 결과가 임상적으로 의미하는 바를 알아보고자 하

였다 그리고 언어발달지체로 평가된 다문화가정 아동

의 중재는 임상현장에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존의 언어발달지체아동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

는지에 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 경험이 많은 언어치료사를 상으로 하기위

해서 언어치료사 혹은 현재 언어발달지도사나 언어발

달지도사 수퍼바이저로 근무하고 있는 언어치료사를

상으로 선택하였으며 이들의 풍부한 경험을 나누고

견해를 파악하고자 질적연구방법을 택하였다

Ⅱ 연구 방법

1 면담 참여자

본 연구에서 면담에 참여한 언어치료사들은 언어치

료센터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을 치료하고 있거나 다문

화가족지원센터에서 언어발달지도사로 근무하고 있

거나 혹은 언어발달지도사의 감독자로 근무하고 있는

언어치료사 7명이다 선정된 7명 언어치료사들의 기본

정보는 lt표 - 1gt과 같다 면담 참여자들이 근무하고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49

면담자

기호성별 연령 재 근무형태

다문화가정아동

치료 경력(언어치료경력)근무지역 자격증 유형

S1 여 37

치료센터 SLP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 감독자

4(12년)서울

제주도1

S2 여 44 치료센터 SLP 7년(10년) 충청도 2

S3 여 39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 감독자3년(10년) 충청도 1

S4 여 42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3년(5년)

서울

경기도

2

(1 시험합격)

S5 여 31

치료센터 SLP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 감독자

3년 6개월(4년6개월) 강원도 1

S6 여 25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1년6개월(2년) 경상도 2

S7 여 24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1년(2년) 충청도 2

lt표- 1gt 면담 참여자의 기본 정보

있는 장소는 서울과 경기지역 충청 강원 경상도 제주

도지역이었으며 최소 2년 이상의 언어치료경력 및 최

소 1년 이상의 다수의 다문화가정아동의 언어치료 경

력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인 연구 상 선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면담 참여자들은 현재 어떠한 형태로든 다수의

다문화가정 아동을 상으로 최소 1년 이상의 언어평

가 및 치료경험이 있는 자로 한다 예를 들어 한 두

명의 다문화가정 아동만을 치료하였거나 해당아동을

다섯 명 이상 했어도 평가로 끝냈거나 6개월 미만의

단기간의 치료경험만 있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둘째

모든 면담 참여자들은 비다문화가정의 언어장애아동

치료경력이 최소 2년 이상인 자로 한다 비다문화가정

과 다문화가정 언어장애 아동 치료의 차이점을 알기

위해서 언어치료경험이 전혀 없었던 SLP 출신 언어

발달지도사는 면담 상자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초보

언어치료사의 경우는 치료경력이 짧은 이유로 상이

단일가정 언어장애아동이든 다문화가정 언어장애아

동이든 치료목표 선정 및 치료에 어려움을 보이고 있

다는 언어발달지도사 감독자들의 의견을 반영한 결과

이기도 하다 실제로 경력이 1년 미만이었던 언어치료

사를 상으로 면담을 실시했을 때 다른 면담참여자

와 중복된 견해를 보이는 부분이 있었지만 다문화가

정 아동이 가지고 있는 특성에 민감하지 못하여 모호

한 답을 하거나 독특한 경험으로 인한 새로운 내용

을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들의 면담내용은 분석에

서 제외하였다 위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하는 언어치료

사를 우선으로 선발하되 가능한 다양한 근무지역을 포

함하려고 노력하였다 선발된 면담 상자의 근무지역

은 서울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 경상도 제주도였다

이와 같은 의도적인 면담 상자 선정과정은 다른

상자를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얻기 힘든 중요한 정보

를 제공받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Park amp Turnbull

2001) 셋째 위의 조건에 부합하는 언어치료사를 의뢰

받아 차례로 인터뷰하였다 그런데 면담 상자 7과 8의

인터뷰 내용에서 더 이상의 새로운 견해가 나타나지 않

았고 이미 인터뷰한 면담 상자보다 경력이 더 많은

언어치료사도 없었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면담 상자

수를 7명으로 결정하였다 이러한 이유는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에서 면담 상자 수에 한 규정은 없으나

인터뷰 내용이 포화상태가 될 때까지 새로운 상자

를 인터뷰하는 것이 권고되고 있기 때문이다(신경림 외

2004) 면담 상자에게는 전화통화를 통해 연구의 목

적을 알리고 면담을 허락받았다

2 자료수집 절차

가 면담 질문지 작성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 평가 및 치료와 관련된 주제

의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질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0

문지를 개발하였다(배소영 외 2009 이은주김영태

2010 오성숙 2009 오소정김영태김영란 2009

황상심김화수 2009 Kritikos 2003 Leah Fabiano-

Smith Goldstein 2010 RaMonda Horton-Ikard

Muntildeoz 2010) 이를 근거로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질문지의 내용은 lt표 - 2gt와 같다 질문

지 작성을 완료한 후에 면담 상자와 유사한 조건의

언어치료사 한 명에게 예비면담을 실시하였고 질문 방

식이나 녹음방법 등에 한 사항을 일부 보완하였다

lt표- 2gt 면담 내용

기본

정보

언어치료자격증여부 개별언어치료경력 다문

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경력 연령 근무형태

여건 등

상아동

정보

담당 언어치료 언어지도 상아동의 수

나이 유형 장애정도 부모의 국 등

평가다문화가정 아동의 평가방법 사용 검사도구

결과

치료 다문화가정 아동의 치료목표 방법

기타 기타 언 하고 싶은 의견이 있을 경우

나 면담 실시 및 자료 전사

연구자가 면담 참여자의 직장을 방문하여 개별면담

을 하였다 면담 참여자에게는 사전에 면담 승낙을 받

을 때 질문내용을 략적으로 알려주었다 면담 참여

자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기 위하여 면담시간에 제

한을 두지는 않았으며 면담 소요시간은 60분sim90분

으로 평균 84분 정도 소요되었다 면담 상자들의 동

의하에 면담내용을 모두 녹음하였고 면담을 마친 날

로부터 일주일 이내에 연구조교에 의해 녹음된 내용

그 로 전사하였으며 연구자가 녹음을 들으며 전사된

내용을 재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모든 면담

내용이 A4용지 약 174장으로 전사되었다

3 자료 분석 및 추후 확인면담

전사된 자료는 질적 분석방법의 하나인 연속적 비

교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을 이용하여 부

호화하고 부호들 간의 연속적인 비교를 통해 범주와

주제를 도출하였다(신경림 외 2004) 우선 첫 번째

전사본을 두 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읽으며 개방적

부호화 작업을 실시하였다 각 연구자는 부호화 작업

을 하면서 부여한 부호와 각 부호에 해당하는 조작적

정의를 정리한 후 함께 논의를 거쳐 첫 번째 부호집

을 작성하였다 두 번째 전사본은 첫 번째 부호집에

정리된 부호를 이용하여 부호화하면서 새로 생성된

부호를 추가하거나 기존의 부호들을 합하거나 분리하

는 등의 조정을 하였다 이렇게 작성된 두 번째 부호집

은 다음 전사본을 부호화할 때 사용하였다 이러한 과

정을 거쳐 모든 전사본을 두 연구자가 함께 부호화하

였고 그 결과 일곱 번의 개정 확장 과정을 통해 최종

부호집이 작성되었다 최종 부호집을 가지고 두 명의

연구자가 함께 토론하여 주제를 도출하였다 질적 분

석이 모두 끝난 후에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두 명의

면담 참여자들을 만나거나 전화를 통한 추후 확인면담

을 실시하였다 추후 확인면담의 참여자들은 결과 요

약 보고서에 동의하며 연구절차에 관련하여 특별히 개

선되어야 할 사항이 없었다고 응답하였다

4 질적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확보를 위한 노력

본 연구에서는 질적 분석 결과의 신뢰도와 타당도

를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자료분석의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모든 자료에 하

여 두 명의 연구자가 부호화과정에 참여하였으며 통

합된 관점을 확인하기 위해 모든 부호화과정을 함께

진행하였다 둘째 추후 확인면담을 통한 연구 참여자

들의 확인 작업을 거쳐 연구자들의 주관성을 피하고 신

뢰성을 확보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이명선김춘미

고문희(역) 2004) 셋째 다문화가정 아동 지도 및 치

료와 일반적인 언어장애아동의 치료를 둘 다 경험한

언어치료사를 면담함으로써 이 둘 간의 임상적 차이에

한 견해를 들을 수 있었다 또한 언어치료경력이 오

래되었고 박사이거나 교수로 재직 중인 언어발달지도

사 수퍼바이저들이 면담에 직접 참여하였거나 우수한

언어치료사출신 언어발달지도사를 추천하여주었다 이

와 같이 면담 상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

에 한 임상경험과 연구경험이 풍부하여 이들의 견

해는 충분히 신뢰롭고 타당한 자료를 제공해 주었다

Ⅲ 연구 결과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질적 분석한 결과 다음

과 같은 네 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1) 다문화가정

아동의 평가 (2)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3)다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1

lt그림-1gt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해 도출된 주제들의 도식화

문화 가정 아동의 치료 (4) 향후과제 lt그림- 1gt은 도

출된 주제와 하위주제들 간의 유기적 관계를 도식화

한 것이다 결과에서는 각 주제별로 중요 내용을 요약

하였고 지면 관계상 표적인 면담내용 사례만을 제

시하였다

1 다문화가정 아동의 평가

가 평가 의뢰 경로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문제를 인식하고 센터로

언어평가를 의뢰하는 경우는 부분 방문교사에 의한

경우였다 요즈음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지역에 생기

기 시작하면서는 어머니들이 센터를 이용하면서 아동

들의 언어평가 및 언어지도 프로그램을 알고 찾아오

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저희 방문서비스라고 해서 엄마들한테 부모교육을

제공하시는 선생님들이 계세요 그분들이 본인들의

아이들 키워보고 이 아이들(다문화가정 아동들) 봤

을 때 좀 뭔가 문제가 있다하면 데리고 오시고요

아니면 어린이집에 가면 다문화가족 아이들이 일

찍 맡겨지거든요 일찍 맡겨지는데 또래보다 뭐 좀

늦다 그러면 신청해서 시설에 신청해서 방문 진단

하거든요(S4 4152-156)

다문화가정 아동 조부모들의 lsquo조금 있으면 말을 할

거야rsquo라는 인식과 지역적인 접근성의 어려움으로 스

스로 찾아오는 경우는 많지 않다고 한다 그리고 언어

평가가 필요한 다문화가정 아동을 발견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어린이집이나 학교 선생님과 같이 다문

화가정 아동과 관련된 전문가들에게 언어평가 및 치

료 프로그램을 알려줄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나 공식평가 방법에서의 문제점

우리나라에서 비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사용하고 있

는 표준화된 검사도구로 다문화가정 아동을 평가하기

엔 문제가 있다는 의견이 부분이었다 일반적으로 사

용하고 있는 표준화검사도구의 표집은 비다문화가정

아동만을 상으로 했기 때문에 규준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공식평가 결과만으로 언

어장애 혹은 언어문제가 있다고 해석하는데 있어서 주

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었다 또한 부모보고에 의한 평

가방법은 부모의 한국어 능력으로 인해 어려움이 있다

고 하였다

외국에서도 흑인아이들 경우도 규준에 안 넣었다

가 규준에 흑인이 안 들어갔을 때는 (흑인아이들의

언어능력이) 완전히 다 낮은 걸로 나왔는데 흑인을

규준에 넣은 게 그 PPVT에 넣었다고 알고 있거든

요 그때 흑인규준 넣은 것이 조금 더 낮았다고 했거

든요 제가 그때 보기에는 흑인규준이 따로 있고 합

친 것도 그랬었어요 그래서 (우리도) 그렇게 좀 비

교를 해야 되지 않을까(S1 12443-447)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2

그렇죠 아무래도 그러니까 어머님이 한국어가 안

되시다보니까 SELSI같은 경우 굉장히 손짓 발짓

을 많이 해야 하는 경우 있구요 그런 경우에는 사실

은 정말 뭐 부모님이랑 상호작용하는 것만 가지고

관찰한다거나 제가 상호작용하면서 조금 관찰을 한

다거나 이거에 더 의존을 하게 되는 것 같아요 어머

니한테 받는 보고로는 크게는 어려운 거 같아요 그

것만 보기에는(S5 9336-340)

(SELSI 등 어머니 보고에 의한 평가를 할 때) 평균

적으로 얘기를 해보면 안다고는 하는데 내말을 이

해했다고 답은 하는데 그거에 해서 제가 예를

들어 달라고 부탁을 한단 말이예요 그러면 엉뚱한

애기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그래서 lsquo아 할 수

있어요rsquo 하고 lsquo예rsquo 체크를 하다가도 계속 어머니께

서 말을 많이 하신단 말이예요 한 문항 한 문항 말

을 하는 걸 들어보면 엉뚱한 답을 하는 경우가 많

아요 그러면 다시 lsquo아니오rsquo로 체크를 하는 경우가 많

거든요 이해를 한다는 거는 솔직히 반반이예요 (한

국어들이 조금 떨어지실 경우에는 아무래도 평가할

때 어려움이) 많아요(S6 4126-136)

아동이 검사문항을 통과하기는 하지만 각 문항에

해당하는 언어지식을 충분히 가지고 있지는 못한데

검사도구로 이를 민감하게 평가하지는 못해서 아동이

잘 하는 것처럼 평가되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었

다는 보고가 있었다 검사 상 아동에 따라서는 언어

검사 과제수행방법에 익숙하지 않아서 오류를 보이는

경우가 있으며 일본 필리핀 등 엄마 모국어 발음이

아동에게 영향을 미쳐서 조음검사 시 오류로 판단을 해

야 하는 지 특성으로 봐야하는지 혼돈이 생긴다는 의견

이 있었다

다 공식 평가문제의 안

다문화가정 아동을 평가하는 데 생기는 공식 검사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단기간 가르쳐본 후 향상되

는 정도에 따라 판단하는 역동적 평가를 하거나 비공

식검사를 실시한다는 의견이었다 언어발달지도사의

경우 아동의 행동특성 이야기특성 읽기특성 화특

성을 기술하도록 하여 공식검사만으로 아동의 언어능

력을 평가하지 않도록 슈퍼바이저가 권고 지도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공식검

사를 개발해야 한다는 의견과 언어지연과 지체 구별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초기부터 언어치료사에 의한 언

어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을 제시하

였다

역동적 평가를 해보면 확실히 언어장애가 있는 아

동과 차이가 있는 것 같아요 일회성으로 만나는 아이

들 같은 경우는 그냥 단순하게 알려주고 조금 지나서

다시 읽어보는이 정도 밖에는 할 수 없는 것 같구

요 길게 만나는 아이들 같은 경우는 검사에서 lsquo얘네

들이 경험이 없어서 못했겠다rsquo 싶은 것들을 치료시

간에 한 두 회기에 도입시켜서 해주고 나면은 어휘

같은 것들은 쉽게 익혔던 것 같아요(S1 7250-257)

한 회기 안에서도 조금 단서제공을 해가지고 짧게라

도 아이가 조금 배운 다음에 조금 향상이 되는가해

서 역동적 평가할 수 있는데 저는 개인적으로 단기

학습을 조금 시켜봤었거든요 hellip(중략)hellip 다문화가

정 아이들 세 명 데리고 그룹했었는데읽기 이해

로 그룹을 했었어요 한명은 언어공식검사에서 문

제는 없었어요 근데 자발화하고 이야기를 떠봤더니

문법오류가 너무 많고 1학년인데도 문법오류가 너

무나 많고 뭐전달도 잘 안되고 조금 화용도 이상

하고 거기다가 읽기 공식검사에서 읽기 수준이 조

금 떨어지게 나오고 한명은 전반적으로 다 떨어지

고 나머지 한명은 언어에서 조금 지체되는 정도

이렇게 나왔었어요 hellip(중략)hellip 그래서 단기학습을

시켜봤더니 이 세 명 중에 두 명은 금방 올라온 거예

요 hellip(중략)hellip그런데 단기학습을 시켰을 때 두 명

은 굉장히 향상이 되고 한 명은 향상은 있었지만

그게 두드러질 정도는 아니였어요 얘한테어머니

한테 lsquo얘는 치료를 받았으면 좋겠어요rsquo하고 말씀을

드렸었어요 그 뒤에 이렇게 보면은 lsquo아 정말로 단

기학습을 해서 조금 보기는 해야겠구나rsquo 한 번에 보

기가얘네가 다 장애 lsquo언어장애rsquo하고 이름 붙이

기가 되게 위험한 거예요(S5 4155-5170)

2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가 첫 평가 시 상아동의 연령

보통 어린이집을 다니기 시작하는 4 5 6세가 많았

으나 2011년부터는 다문화가정아동의 교육비 전체가

무료가 되면서 24개월 미만의 영유아 방문도 점점 많

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부모님이 발견하고 인식하는 경

우는 아동이 학년기가 되었을 때지만 요즘은 언어발

달지도사가 찾아가기 때문에 아주 어린연령부터 접근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3

이 가능하다고 한다

지금 원래는 상은 6학년까진데 제가 많이 본거는

거의 만3세정도의 아동이 많아요(S6 260)

지금 아이들이 다 어리니까요 20개월에서 한 35개

월 정도요 그러다보니까 엄마랑 아이랑 같이 말을

배워간다고 보시면 되요 그러니까 상호작용 문제

가그 또래 애들 중에 말 느린 아이들이 되게 많아

요(S7 112-15)

나 언어특성

다문화가정 아동 부분이 비다문화 가정 중에서도

낮은 SES아동과 유사한 언어특성을 보인다는 의견이

었다 다문화가정 아동은 어휘능력이 두드러지게 저하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가장 두드러지게 향상

되는 부분 또한 어휘능력이라고 한다

그리고 어머니의 출신국 언어의 억양이나 조음에 영

향을 받아서 독특한 억양이나 조음특성이 나타나는 사

례가 종종 있다는 의견이었다 학령기 아동의 경우 부

족한 경험으로 인하여 이야기하기 과제 및 문제해결력

이 미숙하고 질문에 답할 때 서툰 표현력이 관찰된다

고 한다

어디에서 얘네들이 가장 막히냐하면 어미 그리고

마지막 끝 말미 서술 표현이 정말 웃겨요 그 서술

마무리까지를 잘 못해요 그 마무리를 참 이상하게

말해요 항상 그냥 단답형에 익숙한 아이들이라서

문장을 마지막에 끝내는 거에 많이 익숙하지가 않더

라구요 그래서 서술어도 지네 마음 로 해요 만약

에 제가 질문이 예측 예방하는 차원의 질문이었어

요 만약 lsquo이런 일이 있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했었

어야 하니rsquo 하면 이거에 맞는 서술부분이 나와야

되는데 그냥 평서문처럼 lsquo주어 목적어 서술어rsquo 이런

단문형태의 그냥 lsquo누가 뭘 했어요rsquo 이런 식이예요

답변이(S2 9308-314)

어 어휘 아닐까 어휘영역이 속도가 굉장히 빠르구

요 하지만 또 끝까지 애먹이는 것도 어휘 참 특이하

지요 그만큼 우리가 연령이 높아지면서 습득해야

될 어휘가 굉장히 많아서 제일 많이 늘어나는 것도

어휘인 것 같은데 또 언어발달지도 받고있는 학령

기 친구들이 제일 애먹는 것도 어휘에요 오히려 못

따라가요 아무래도 모국어 친구들만큼 못 따라가는

것도 어휘더라구요 그게 또 그러네 (S3 5160-164)

아 그러니까 일본아이들 같은 경우는 조음에 있어

서 약간 억양문제가 있는 아이들도 있고요 그 다음

에 중국아동들은 음중국어를 오래 한 아동은 조

음에 있어서 정말 지역에 따라서 좀 다르기는 한데

그래도 lsquoㄹrsquo 조음이 잘 안 되는 경우도 있고요(S4

16624-627)

그냥 얘기는 화상에서의 얘기는 괜찮은데 엉뚱한

답을 조금해요 이해를 못해서 그래서 무슨 질문

같은 걸 하면 엉뚱한 답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서 그것도 아까 말했듯이 어휘가 약하기 때문에 lsquo이

거 이렇게 했어rsquo 막 이렇게 행동이랑 같이 표현을

하거나 아니면 같은 말에 오만상을 다 쓰거나 하는

경우가 조금 있어요 그리고 아까 말했듯이 이해를

못해서 엉뚱한 이야기를 하고 자기 관심사만 조금

얘기를 하고 이거 얘기하다가 갑자기 다른 얘기로

넘어가고 내가 물어봤던 건 이건데 전혀 다른 얘

기를 하고 막 이렇게 그렇게 산만하지 않은데도 그

런 경우가 있어요 내가 무슨 얘기를 하면 lsquo우산을

갑자기 비오니까 우산 들고 가야지rsquo하면 lsquo우산 집에

있어rsquo부터 시작해서 그래서 lsquo비 올땐 뭐 필요하

지rsquo 물어보면 내가 듣고 싶은 건 lsquo아 우산 들어야

돼요rsquo 라는 답을 원했는데 lsquo어 밖에 비 안 오는데요rsquo

그래서 막 그림 그리면서 lsquo어 지금 비오잖아rsquo하면

그 질문에 한 lsquo어 우산 써야rsquo 그 얘기가 아니라 lsquo어

비 많이 오네rsquo 이러면서 lsquo나도 그릴래요rsquo해요(S6

10368-388)

다 언어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 외 특성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문제와 더불어 문화적 차이

로 인하여 겪게 되는 심리적인 문제가 상당히 심각하

다고 한다 또한 부분의 다문화가정 아동의 가정환

경 및 경제적으로 좋지 못한 환경 등으로 인해 집안에

서도 안정적이지 못한 경우도 많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러한 경우 다문화가정 아동은 체로 말을 안 하거

나 쉽게 마음을 열지 못해 라포형성이 어려우며 자신

감이 떨어지고 또래와 다른 외모로 자존감이 낮은 경

우가 많다고 한다

두드러지죠 정서 이것도 취약계층 아동이랑 거의

비슷해요 걔네들 같은 경우에는 이 따뜻한 표현 또

는 상호작용에 의한 이런 경험 지지받았다는 그런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4

사실 이런 것들이 답습이 안 되서 마치 던지듯이

말해요 예쁜 말들이 아닌 거죠 그리고 준비가 안

되어있어요 받아들이기가 그래서 표면적으로 드러

나는 언어패턴이나 이런 부분들이 조금 괴팍스러워

요 그니까 얘네들하고 조금 비슷한 거 같애서 정서

에서 어려움이 오는 아동들도 있잖아요 그런 아동

들을 어떻게 정서가 딱 어려워서 온 게 아니라 환경

으로 인해서 이렇게 정서적으로 고립된 아동들도 있

잖아요 걔네들 반응하고 거의 똑같은 거 같아요(S2

17614-621)

일본인 가정은 확실히 문화적인 차이예요 어떤 거

냐하면 존 법아시아권은 부분 그 예의와 관련

돼서 굉장히 중시하잖아요 근데 아이들도 남의 말

을 경청하고 숙여지는 게 있어요 그니까 남의 말을

더 들어주는 거예요 일본인 가정은 부분 다 lsquo예

예rsquo 이런 거거든요 더 적극적으로 의사소통을 하지

않아요 똑같이 일반인 가정의 부모가 유럽쪽 계통

이 있었어요 유럽쪽 계통의 엄마가 한국남성하고

결혼한 그런 분이었는데 이집은 달라요 되게 적극

적이예요 아이가 의사소통 자체가 굉장히 적극적

인데 일본인 가정은 덜 적극적이예요 이 문화가 경

청하고 들어주고 그저 lsquo예 예rsquo이런 문화라서 그런

건지는 모르겠는데 자기표현 보다는 더 듣는 쪽으로

아이들이 발달을 한 것 같아요(S2 8271-280)

말을 안 하거나 쉽게 맘을 못 여는 거 장애가 있는

친구들보다 라포를 형성하는데 굉장히 오래 걸리

고 그리고 자기가 자신감이 굉장히 없어요 유치원

친구들이나 학교 친구들로부터 이미 외모로 인한

lsquo좀 다르다rsquo라는 인식으로 인해서 자신감이나 자존

감이 되게 낮아요 이미 외모에서 티가 나버리니깐

그런 것들이 좀 심각한 것 같아요(S3 6186-189)

라 이중언어 사용 현황

면담 상자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다문화가

정 아동이 한국어와 함께 엄마의 모국어를 함께 사용

하는 경우는 략 10~20정도였다 이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머니가 일방적으로 한국문화에 적응하고 어

머니의 문화를 가르치거나 노출시키는 경우는 많지 않

기 때문이기도 하고 또한 어머니가 자신의 출신국 언

어를 사용할 경우 아이한테 혼돈을 줄 수 있다는 걱정

과 가족들이 한국어만을 쓰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높은 교육열을 보이는 일본출신

의 어머니들의 경우는 출신국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보고도 하였다

중국이나 필리핀 경우는 영어를 가끔씩 쓰는 것 같

은데요 ( 부분은) 주로는 한국어를 썼던 것 같아

요 보통 확률로 보면 한 20내외 나머지는 다 한

국어 근데 요즘 중도입국한 아이들 다른 나라에 살

다가 학교 갈때 쯤 한국 들어오는 경우는 한국어가

제 2 외국어가 되죠 우리 머릿속에 언어에 한 선

호도 어떤 언어가 더 높은지 아는 것 같아요 다문

화 가정에서도 한국어가 더 높다는 거죠 필리핀 태

국 이런 곳 보다 그래서 식구들이 다 한국어만 쓰기

를 원하고 또 앞으로도 걱정을 하는 것 같아요 엄마

가 필리핀 태국말을 쓰면 애가 한국말을 잘 못 배울

까봐(S1 5171-182)

모국어를 쓰는 경우는 정말 일본 엄마들로 한정이

되어있어요 일본이나 중국 몽골은 전혀 안 쓰세

요 거의 lsquo내 아이가 헷갈릴 수 있다rsquo라는 생각을

갖고 계신 분들이 많기 때문에 저의 경우 엄마랑

아이가 본국말로 의사소통 하는 경우는 일본이 제

일 많고 그 다음에 중국 그리고 가끔 필리핀 영어

로 음 그리고 드문 케이스지만 저희 센터에 우즈

벡에서 오신 선생님이 계신데 그 분은 아이들이랑 러

시아어로 의사소통을 하시더라구요(S4 6226-235)

3 다문화가정 아동의 치료

가 언어치료 제공의 어려움

언어평가 후 언어능력이 6개월 이상 지연 및 지체

되어 언어치료가 필요한 다문화가정 아동이 전문 언

어치료기관으로 의뢰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고 한다 다

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와 그 가족들은 언어평가 결과와

상관없이 언어치료 필요여부에 무관심하기 때문이라

고 보고하였다 아동에게 언어치료를 의뢰해도 지역에

따라 그 지역에 있는 언어치료센터가 없어서 언어치료

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다문화가정 아동

의 아버지와 조부모는 자신의 아이가 다문화가정 아동

이기 때문에 언어치료사들이 편견을 가지고 문제점만

을 찾는다고 생각하는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다는 의

견도 있었다

(언어치료를 받아야 할 아동들이) 있어요 그런 아

이들은 (언어치료센터에) 연계를 해야 하는데그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5

러니까 연계되었다가도 치료실에 적응 못하고 다시

오는 경우가 있어요 그러니까 엄마랑엄마가 의사

소통이 잘 안되고 치료실 선생님들이 잘 받아주지

못하는 그런 게 조금 있었나 봐요 어떤 엄마 같은

경우는 본인이 말이 어눌한데 선생님이 빨리 설명

해주고 상담시간에 본인이 이해가 안 되게 이야기

해줘서 치료를 받다가 다시 오게 되는 경우도 있었

고 그리고 그 장애 진단을 받으면 편한데 아빠들

이 장애진단을 안 받으려고 하세요 특히 더더군다

나 치료실을 가게 되면 비용이 비싸지니까 바우처 활

용도 못 받고 그래서 그런 경우는 (다문화) 센터를

이용하려고 하시는 분들도 계세요(S4 14540-550)

한국에 들어와서 한국어에 해서 잘 모르시니까

한국어에서 문제가 있다하더라도 본인이 못 느끼

시는 경우 많이 있으세요 본인이 한국어 실력이 그

만큼 안 되기 때문에 아이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자

기가 못 느꼈다거나 그 다음에 뭐약간 국적적인

성향 같은 것을 가끔 느끼는 게 일본이라든가 중

국 어머님들은 그나마 학구열이 있기 때문에 그나마

조금 저거 하시는데 동남아권이라든가 그런 분들

은 그냥 뭐 lsquo잘 살아가면 되지rsquo로 생각하시는 분들

되게 많거든요 그래서 아이가 문제가 있다 하더라

도 생활 속에서 나랑 잘 생활하고 있다 그러면 lsquo난

안 받을래요rsquo 하시는 경우가 많으시고 어머니는 문

제에 해서 lsquo아 그렇군요rsquo라고 받아들이셔도 이제

아버지라든가 할머니라든가 이제 그한국가정에

서 lsquo어우리 아이가 무슨 문제가 있나요 왜 다문

화라고 해서 자꾸 우리아이를 찾아내고rsquo 워낙 교

육이라든가 도움이 많다보니까 lsquo다문화라도 우리

한테 자꾸 이런 거 주지 마세요 그리고 뭐가 문제가

있다고 자꾸 찾아내고 우리 애 잘 살고 있습니다rsquo

이런 분들이 오히려 아빠나 시어머니나 이쪽이 많

으신 거 같아요(S5 7299-311)

지금 제가 수업하고 있는 애들 중에서는 아직 어린이

집 가기 전 아동이 거의 40-50정도거든요 40

가 안 가고 60가 가고 이 정도 퍼센튼데 요새는

어려도 어린이집에 보내려는 경우가 많아서 근데

어린이집 가면 시간이 없다고 안 오시려고 하시는

경우가 많고 또 어린이 집 끝나고 오는 딱 그 시간

을 원해가지고 수업을 못 받는 경우가 많고 받는

경우가 60 40정도가 돼요 지금(S6 14545-550)

나 언어치료(지도) 장소

다문화 언어장애아동을 상으로 언어치료사가 제

공하는 언어치료 혹은 환경요인에 의한 경미한 언어

지체위험군 아동을 상으로 언어지도사가 제공하는

언어지도는 센터의 교실 또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다

니고 있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으로 파견 나가서 제공

되고 있었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다수가 어린이집을

다니고 있으며 어머니들은 아동이 있는 곳으로 방문

지도를 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파견근무가 늘고

있다고 한다 영유아의 경우는 가정에서의 지도가 바

람직하지만 여러 이유로 다문화 센터 규정상 가정에서

의 언어지도는 제공되지 않는다고 한다

센터 안에 있는 언어발달지도교실 근데 중요한 건

센터에 와서 언어발달지도교실에서 하는 것 보다 어

린이집으로 우리 선생님들이 가서 언어발달지도를

하는 비율이 거의 2 8에요(S3 7237-239)

다 언어치료(지도) 효과

다문화가정 아동을 언어치료(지도)를 했을 경우 어

휘영역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향상된다고 한다 하지만

연령이 높아지면서 습득해야 할 어휘가 늘어나기 때문

에 학령기 아동이 힘들어하는 부분도 어휘영역이라고

한다 아동의 언어치료(지도) 효과는 부모의 교육수준

안정된 가정환경이나 언어자극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

는다는 의견이었다 언어치료(지도)를 받는 다문화가

정 아동은 어휘습득은 빠른 편이지만 문법오류와 담

화 읽기 인지적 부분은 지속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경

우가 많다고 한다

어휘력은 노출되는 만큼 자기 것이 되서 사용하는

데 단어를 많이 활용하기 때문에 주로 어휘력부분

같은 경우에는 lsquo어라 이런 단어도 사용하네 이런

단어도 사용하네rsquo 이런 부분들이 있어요 근데 인

지적인 측면은 늘긴 늘지만 계속 향상될 만하면 어

려움이 닥치고 될 만하면 닥치잖아요 얼마나 어려

워요 그쵸 그래서 이런 측면은 계속 발달되는 게

정말 다르더라구요(S2 18640-645)

약간 문제가 있는데 문법적인 게 굉장히 많이 오류

가 있다거나 특이한 사항이 좀 관찰되었다하는 아

이들은 전체적인 점수가 향상되어도 약간의 것들이

남아있는 거예요 특히나 문법이라든가 화용적인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6

측면에서이제 만 5-6세 넘어오고 학령기 들어가

다 보면 아이들이 이미 유치원이라든가 거기서 의

사소통에 제한이 있었던 거예요 언어문제 때문에

약간 좀 소외되었다거나 아니면 뭐상호작용을

잘 못했다거나 그래서 이게 연습이 제 로 안 되어

있는 거예요 그런데 이거를 선생님하고 11로 앉아

가지고 보통의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은 화용문

제를 잡기도 하시지만 보통 드러나는 공식검사에

서 드러나는 거 어휘라든가 문법을 잡으시거든요

그런데 그러다 보니까 이 아이가 나중에 어휘와 문

법이 잘 쌓여도 나중에 그룹에 들어가 가지고 화용

적으로 막 쓰는 데는 약간누가 듣기에는 어 상호

작용을 해보면 약간 이상한 용어가 남아있는 거예

요 그래서 결국에는 이제 만 6세 학교 들어가기 전

이라든가 학교 들어가고 나면 그게 계속 두드러지

게 되는 거 같아요(S5 6236-7250)

언어지도 후 6개월마다 진전평가를 실시하는데 이

때 정상범주에 들어서 종결되는 아동들이 꽤 많다고

한다 이는 아동의 언어문제가 언어환경적인 이유로 인

한 일시적인 언어지체이기 때문으로 설명되고 있었다

연령별로는 영유아의 경우에 6개월 언어지도 후 거의

정상범주에 드는 경우가 많지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6개월 안에 종결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는 의견도

있었다

라 언어치료(지도) 내용 및 방법

일반적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을 언어지도하는 방법

은 일반 언어치료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한다 이는

면담 상자들이 언어치료사이기 때문일 수도 있고 이

들의 수퍼바이저가 모두 언어치료사이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상자의 언어문제가 장애인지 환경적인 일시

적 언어지체인지 명확하지 않은 경우 언어치료를 제공

하는 것이 안전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이었었다 언어촉

진이나 부모 및 교사교육이 포함된 언어치료프로그램

이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적절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언

어지도 방법 면에서는 다문화가정아동과 비슷한 상황

의 주인공을 다룬 이야기책을 사용하거나 어머니의 출

신국에 관한 내용을 반영한 교재를 사용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보통은 lsquo언어치료하고 별로 다르지 않다rsquo라고 언어

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 아이들한테 더 맞는 거 같

거든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제가 그게 더 익숙해서

그런지 몰라도 뭐 한국어 학습 같은 거라든지 이런

것을 받고 그것을 응용을 할 수는 있겠지만 언어치

료 프로그램이 더 맞는 거 같아요(S4 10408-411)

엄마를 지원하는 게 중요하기는 한 거 같아요 lsquo아동

에게 집에 가서 어떻게 자극 주세요rsquo 하는 것들이

그냥 설명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엄마 언어 수준에

맞춰서 제공된다거나(S5 17711-715)

마 부모 참여 및 교육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머니는 스스로 한국어가 부

족하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언어치료사를 만나는 것에

한 부담을 느끼며 비참여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한

다 한국어가 능숙한 어머니에게는 직접 부모교육을

실시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아버지나 방문교사

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의견이었다

그리고 우리나라와 다른 문화에서 자란 다문화가정 아

동의 어머니들이 한국에서 아동을 가르치고 키우는 방

법들을 이해하기 힘들어하거나 혼란스러워하는 경우

가 있다고 한다 이런 경우 부모 출신국에 한 문화적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는 견해이다 그리고 아동의 언

어능력이 어머니의 한국어능력보다 좋아지게 되면 어

머니가 아동에게 언어적인 피드백을 해주는데 어려움

을 겪는 경우가 종종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치료 참여에) 적극적이진 않고 왜냐면 언어가 잘

안된다고 생각을 늘 하세요 그래서 lsquo잘 못 알아듣겠

다rsquo 이런 말씀을 전제로 깔고 가시기 때문에 그런

환경(교육환경)에 익숙하지가 않은 거예요 아직 국

내에서 적응하는 것 자체도 익숙하지 않은데 더군

다나 선생님과의 관계 속에서 무언가 또 같이 이야

기를 나누는 것 자체도 많이 염려스러워하고 이런

부분 때문에 참여하기도 어려운 거죠 참여 시키는

것 자체도 되게 어려움이 있는데 거의 비참여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S2 19689-695)

부모교육 같은 경우에는 저는 조금 거의 한국에서

사신 지 좀 되신 분들 적어도 한 4sim5년 이렇게 되

신 분들 상 로 했었어요 그런데 그런 분들은 크게

문제는 없으세요 특히나 일본 분들은 한국어를 또

쉽게 배우시기 때문에 크게 문제는 없는데 그러

니까 들어오신지 10년이 됐는데 과수원에서 과일

만 따다보니까 한국어를 못 배우신거예요 그래서

아이하고 한 거에 해서 말씀을 드려도 이해를 못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7

하시고 lsquo가서 뭐 해주세요rsquo 해도 못 하시고 그러다

보니까 나중에는 어머니한테 말씀드리는 게 아니라

아버지를 부르게 된다거나 아니면 이 아이가 다니

는 공부방의 누군가에게 도움을 요청한다거나 그

렇게 해서 환경적으로 전체적으로 접근하게 되고

그 때는 어머니만 잡기에는 어려움이 많이 있어

요(S5 9343-352)

(부모님이 집에서 언어촉진 주는 것을) lsquo알겠다rsquo고

하고 잘 안하시는 것 같아요 우선적으로 저는 (아

동과 한 것) 다 얘기 못하거든요 그게 설명이 힘들

어요 솔직히 lsquo공부한 거 애들은 그렇게 어려운 말

필요 없고 그냥 애들이 하는 거 보고 신 엄마가

애 입장에서 얘기해주세요rsquo 이 말 자체는 (엄마에게)

어려워서 예를 들어주거든요 자동차를 보면 어떻

게 어떻게 말을 하는 걸 보여주면 lsquo아아 이렇게

이해했다rsquo고 말을 해요 그렇게 하나씩만 이야기를

하는 편이예요 lsquo오늘 집에서 이렇게만 해주세요rsquo 이

런 식으로 그럼 lsquo잘 알겠어요rsquo하긴 하는데 lsquo어려워

요rsquo 이렇게 얘기를 해요 말을 못 알아듣는 게 아니라

애한테 그렇게 하는 게 어렵다고 잘 안된다고(S6

11410-421)

바 치료에 한 조언

면담 상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에만 초점

을 두기보다는 다문화가정에 해 전반적으로 이해하

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아동과 부모와

의 관계 및 문화적인 부분도 함께 고려해야 하면 다른

발달영역 전문가들과도 협력하는 능력도 필요하다는

의견이었다 공식검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한계점이 있

다는 것을 인식하고 언어학습능력과 잠재력 등을 평

가하여 언어치료(지도)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견

해이다 부모상담 시에는 충분한 상담시간을 제공해

야 한다는 의견이었다

다문화가정 아이들 경우에는 우선은 이 아이가 정

말로 다문화냐 정말로 이 아이가 환경적으로 다문

화환경에 노출돼서 이중언어가 되고 있는지아니

면 이 아이가 뭐 중도입국한 경우도 있구요 지금은

이주노동자들도 언어발달지도사를 찾아오거든요

그럴 경우에 언어적인 자극을 엄마가 안 주거나 교

육적인 서포트를 안 해주는 게 단순히 엄마가 문제

가 있다고 보기보다는 lsquo어 이 나라(엄마의 출신국)

에서는 이런 것들이 없었고 엄마가 적응하는데 내

가 서포트하는 역할이 있어야 되는 구나rsquo해야 하거

든요 그런데 그게 없이 아이만 보게 되는 거예요 왜

냐하면 저희는 lsquo엄마랑 상호작용하는 거 봐요rsquo하고

언어치료사가 이런 것들을 하긴 하지만 계속 아이

의 상태 아이의 수준 이것만 많이 보게 되는 거예

요 그러니까 엄마가 가지고 있는 한국어 실력이라

든가 엄마의 한국어 실력이 얼마나 성장되는지 혹

은 엄마가 어느 정도의 자극을 줄 수 있는 환경에

있는지 이런 것들이라든가 엄마가 아니라도 그러

면 가족들은 얼마나 지원했는지 이런 것들을 많이

놓치세요

또 아이가 가지고 있는 많은 어려움들 특히 피부색

이 다르거나 그런 아이들 중에 간혹 생기긴 하거든

요 많이 없어졌다고 해도(중략)요즘엔 정말로

많이 줄기는 했어요 그런데 필리핀 아이나 베트남

아이 같은 경우는 생김새가 조금 다르다 보니까 애

들이 왕따 같은 것들도 많이 당하기도 하고 선생님

한테 와가지고 다 털어놓고 얘기를 잘해도 학교 가

서는 얘기를 못한다거나 그러면사실은 나만 잡고

교육을 할 수가 없는 거잖아요 심리적인 문제라든

가 여러 가지가 걸리기 때문에그런데 lsquo어 얘가 밖

에서 언어를 못 쓰면 내가 계속 지원해주면 되겠지rsquo

라고 가는 경우도 있긴 하거든요 그러니까 그게 언

어치료사가 아동만 보다보니까 lsquo지금 내가 언어부

분만 봐야지rsquo로 가는데 사실 아이를 전반적으로 보

면 뭐 가족도 봐야 되고 문화적인 것도 봐야 되고

또 다른 발달영역에서 같이 좀 코웍할 수 있는 게

뭐가 있는지도 좀 자세히 살펴보기는 해야 될 거

같아요(S5 13503-14534)

4 향후 과제

가 향후 연구과제

다문화가정 아이들의 특성을 잘 반영해주기 위한

검사도구가 새로 개발되어야 한다는 의견과 앞으로 한

국어가 제2외국어가 되는 경우에 해서도 준비가 필

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연구방향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 같

아요 옛날에는 그냥 단순히 비교해 가지고 lsquo낮다rsquo

이렇게만 했었는데 요즘에는 소득도 약간 통제해

보고 중산층이랑 저소득층이랑 다문화랑 이렇게 비

교하잖아요 조금 특성을 더 접근해 갈려고 하는 것

같아요(S1 11522-524)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8

저는우선은 (특성연구에서) 공식검사 사용은 어

쩔 수가 없는 것 같기는 해요 공식검사에서 이제

우선은 (언어평가 결과가) 나와야 일단은 언어문제

가 있다고 판단은 하니까 그런데 특성을 보려면

공식검사만으로 lsquo어휘가 어때요 문법이 어때요 발

음이 어때요rsquo하는 것보다 조금은 환경적인 것들을

다 통합해서 아이가 실제 쓰고 있는 언어라던가

이런 것들을 자세히 살펴볼 필요는 있을 것 같아요

그런데 연구에서는 사실은 되게 어렵잖아요 자발

화를 여러 개를 떠온다거나 뭐 엄마하고 상호작용

을 관찰한다거나 그런 게 굉장히 어렵기는 하지만

그게 이제는 공식검사만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조금 부모를 포함해서 혹은 설문을 통해서라도 환

경하고 언어를 같이 보는 게 이제는 많이 시작은

되어야 할 것 같아요(S5 271103-1111)

나 엄마의 모국어 습득의 중요성

다문화가정 아동이 한국어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모

국어도 사용하는 것을 국가적으로 장려하고 있다고 한

다 그리고 다문화가정 아동이 학령기가 되었을 때 제

2외국어나 장래직업과 관련지어서 혹은 단순히 어머

니의 모국어를 배우고 싶어 하는 경우가 있다는 보고

가 있었다

제가 만나봤던 거의 90퍼센트 정도는 주 언어가 한

국어였고 그리고 물어보면 나중에 커서 가르쳐 주

겠다 하는 아동이 많았어요 진짜 이중언어를 배우

는 건 솔직히 좀 좋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진짜

이거 이중언어 이런 거를 필수적으로 방문 서비스

에서도 이렇게 엄마말 가르쳐 주는 서비스를 만들어

가지고 다시 또 이렇게 할 수 있게끔 같이하는 것도

필요한 것 같아요 어렸을 때부터 그걸 제가 가르쳐

줄 순 없으니까(S6 17654-665)

올해부터 장려해서 정확한 제목은 기억이 안 나는

데 영재 영재교실이라고 해서 엄마의 모국어를 가

르치는 교실도 함께 다니는 친구들도 많아요 요즘

에는 올해부터는 우리친구들을 다문화친구들을 글

로벌인재로 양성하려는 게 국가적으로 목표가 됐

죠 그래서 한국말도 가르치지만 엄마의 모국어도

한국말처럼 잘해라 엄마의 모국어도 못하는 애들

도 있거든 그래서 두 가지 언어를 잘하게 될 거 아

니에요 정말 훌륭한 인재가 될 수 있잖아요 그거

를 올해부터는 많이 강조하고 있더라구요 영재겠

지 언어영재교실이라는 이름으로 엄마의 나라 말

도 배우고 또 언어발달지도 선생님한테 한국말도 배

우고(S3 262-69)

다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

면담 상자들은 어머니가 아동의 교육에 참여하고

직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모교육프로그램이 필

요하다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영유아 아동을 위한 언

어발달지도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보고가 있었다

영유아아이들을 언어발달 지도할 때는 좀 더 다를

수 있어서 그런 영유아아이들을 상으로 하는 언

어발달지도프로그램 그런 것도아까 말했던 lsquo엄마

들을 어떻게 언어치료에 좀 더 참여시킬 것인가rsquo 이

런 문제들 그리고 매뉴얼들을 많이 개발하시려고

하는 것 같아요(S3 9307-311)

라 언어치료사의 새로운 역할

모든 면담참여자는 궁극적으로 언어에 문제가 있는

아동을 중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언어치료전공자가 다

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로 일하는 것이 필요하

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지만 현재에는 언어

치료를 전공하지 않은 언어발달지도사들도 많기 때문

에 이들과의 연계 필요성도 언급되었다 그밖에 언어

발달지도사의 감독자나 유치원 및 학교현장에서 치료

를 제공하는 학교언어치료사가 언어치료사의 새로운

역할이 될 것이라는 견해도 있었다 또한 언어치료전

공자가 언어발달지도사로 일한 경력도 언어치료사 경

력으로 인정될 필요성이 언급되었다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이 다 언어치료사는 아니

잖아요 만약에 언어치료사가 아닌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이 있다고 치면 그런 분들과 연계해서 해

야 될 부분이 많을 것 같구요(S1 13628-631)

(아동이 언어지체를 보이는) 그런 경우에는 치료를

해줘야 된다고 생각을 해요 현재는 그런 예가 적지

만 다문화 가정 아동의 엄마가 잘 못해주는 경우가

있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그냥 놔두는 것 보다 그

위험부담을 감수할 필요는 없는 것 같아요(S1

9413-316)

무료교육이 되다보니깐 우리 친구들이 100 어린

이집을 다니잖아요 그러다보니깐 엄마들이 그 유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9

치원에서 다 해결을 해보고 싶으신 거에요 자기가

데리고 오려면 교통비도 들잖아요 여유 있지 않다

보니깐그래서 유치원에 일단 들어가잖아요 그러

면 센터로 안와요(S3 7241-244)

Ⅳ 논의 및 결론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평가 및 언어치료(지도)에

해 숙련된 언어치료사를 상으로 실시한 면담 결

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에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언어평가를 받

기 위해 자발적으로 센터를 방문하는 경우는 많지 않

았으나 타전문가들에 한 홍보활동과 다문화가족지

원센터를 이용하는 어머니들이 많아지면서 다문화가

정 아동의 언어평가를 의뢰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

고 있다 면담 상자들은 기존의 공식검사 결과만으로

나타난 언어발달지체가 언어장애여부 판별에 사용되

는 것에 한계가 있음을 강조하였으며 공식검사 외에

비공식검사나 역동적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어평가 및 언어치료(지도)를 받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그 이유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비가 무료화되면서 24개월 미

만의 영유아가 센터로 방문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

기 때문이다 다수의 어머니들은 아동과 의사소통을

할 때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영유아의 경우는

엄마의 한국어 공부기간이 짧기 때문에 그만큼 더 부

족한 언어자극을 받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다문화

가정은 사회경제적 여건이 어려운 가정이 많기 때문

에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이 낮은 사회경제적 위

치에 있는 가정의 아동 언어특성과 유사한 면이 많다

는 의견이다 특히 어휘부분에서 크게 떨어지는 것으

로 평가되고 있지만 그 외에도 문법 면에서의 잦은

오류 사회적 의사소통이나 담화 및 읽기 등에서도 문

제를 보이고 있었다 언어 이외에 정서적 문제를 동반

하는 경우도 이들의 언어지도 및 학습에 영향을 미치

고 있었다

셋째 언어평가 후 언어치료가 필요한 아동의 경우

언어치료센터로 의뢰되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지

역적 특성상 언어치료센터를 찾아보기 힘든 경우도 있

지만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와 가족들이 언어치료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 않는 경우도 많다는 의견이

었다 따라서 언어치료가 필요한 언어장애아동의 경

우 언어발달지도사가 지도해야하는 경우가 많았다 언

어지도는 다문화센터 뿐 아니라 다문화가정 아동이 다

니고 있는 어린이집으로 파견 나가서 하고 있는 경우

도 많았다 환경적 요인에 의한 언어발달지체일 경우

에는 언어촉진을 주었을 때 아동의 언어능력이 크게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휘능력이 크

게 향상 되는 반면 문법오류와 담화 읽기 인지적 부

분의 어려움은 지속적으로 남아있기도 하였다

언어발달지도사는 치료사가 아니기 때문에 개발되

어 있는 교재를 활용하여 아동의 언어촉진을 목적으

로 언어지도를 수행하고 있으나 언어치료를 전공한

언어발달지도사의 경우는 일반 언어장애아동을 상

으로 한 언어치료목표나 방법을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적용하고 있었다 다만 방법 면에서 다문화가정 아동

과 비슷한 상황의 주인공을 다룬 이야기를 사용하거

나 어머니의 출신국에 관한 내용을 고려한 교재를 사

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언어치료 상이 된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의 경우 아동의 언어치료에

비참여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이 부분인데 이는 어

머니 스스로 한국어가 부족하다는 인식 때문에 전문

가를 만나는 것에 부담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라는 의

견이었다 언어치료사는 부모의 출신국에 한 이해를

돕는 정보나 교재 프로그램을 통해 이들의 문화와 전

통 가치관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상의 결론을 토 로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바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면담 상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을 공식검사 결과만으로 평가하는 데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는 선별에서 고위험군

으로 판정된 아동에 해서는 언어장애 유무를 확인

하는 단계에서 공식검사와 비공식검사를 보완하여 사

용하거나 역동적 평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

로 보는 선행연구(Bedore amp Pefia 2008 Deponio et

al 2000)와 일치하는 견해이다 임상현장에서 단순히

공식검사결과만으로 이들이 언어장애라고 진단하지 않

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을 규준

에 포함시키거나 이들의 특성을 민감하게 반영할 수 있

는 공식검사도구의 개발도 필요하다 할 수 있겠다

둘째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우리가 다문화가정이라

고 부르는 집단은 결혼 이민자 가정 중도입국자 가정

외국인 근로자 및 유학생 가정 새터민 가정 등 이질적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0

인 하위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다 면담 상자들이 지

적했듯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결혼 이민자가정의 아동은 사실상 단일언어가정이며

이중언어 사용아동이라 할 수 없음을 기억하고 다문화

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연구를 진행할 때 하위집단에

따른 특성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에 의하면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이 자녀

의 성장에 따라 고차원적인 의사소통과 언어적 지원

이 필요하다고 느끼지만 부족한 한국어 능력으로 인하

여 심리적 위축감과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한다(고은

2006 전홍주배소영곽금주 2008) 또한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한국어 능력이 우선임을 강조

하며 자신의 출신국 언어에 해 교육하는 것을 필수

가 아닌 선택사항으로 인식하고 있고 이중언어 환경

에 해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고은 2006) 면

담 상자에 의하면 다문화센터를 중심으로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 중요성을 알리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이

중언어교실이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그렇지만 이는

다문화가정의 아동 및 일반인을 상으로 베트남어 등

외국어를 가르치는 프로그램으로 집에서 엄마의 모국

어를 사용하여 아동을 이중언어 사용자로 양육하는 것

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정책적으로나 연구를

통해 부모가 가지고 있는 이중언어 환경에 한 불안

감을 감소시키고 초기 중요한 시기에 엄마와 아동이

어느 나라 말을 사용하든지 충분한 언어자극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넷째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교육을 지원

하고자 하는 강한 열망에도 불구하고 자녀들의 학업

에 도움을 주는 실제적이고 직접적인 지원에는 한계를

느낀다고 한다(송미경 외 2008 이진숙 2007 전홍주

배소영곽금주 2008 Cooper et al 1995) 면담 상

자들의 견해로도 언어문제를 인식하거나 평가에 의뢰

하는 데 다른 전문가들 상의 홍보와 도움이 많이 필

요했다고 하였다 또한 아동의 치료과정에서도 어머니

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 가정 방문교사나 어린이

집교사의 도움에 의존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사

실은 부모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노력해야함을 의미하

기도 하지만 언어치료사들이 다문화가정 아동을 치

료하는 과정에서 다른 전문가들과의 협력이 중요함을

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다섯째 언어평가에 의뢰되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연

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면담에 참여한 언어치료사

들도 담당하고 있는 아동의 많은 수가 24에서 36개월

사이의 영유아라고 답하고 있다 영유아를 상으로

하는 언어중재는 부모를 포함한 가정-중심 중재이며

부모에 의한 언어촉진방법을 중시하고 있다(Paul

2007) 그러나 다문화가족 영유아의 어머니는 한국에

체류한 기간이 짧아 그만큼 한국어가 미숙한 실정이

다 그러므로 다문화가정 영유아 아동의 중재 시에는

이러한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엄마의 모국어로

상호작용하도록 권유하거나 어린이집에서 제공되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과제라 할

것이다

여섯째 다문화가정 부모들은 자녀의 교육에 한

부분을 교육기관에 일임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왕한석 2007 전홍주배소영곽금주 2008)

한국사회에서 문화적응과 언어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들에게는 자녀를 이른 시

기에 교육기관에 보내어 다문화 가정의 취약한 언어

환경을 극복하고 발달을 돕고자 하는 것이 이들의 최

선의 선택이자 노력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면담에

서 밝혀진 바와 같이 부모의 소극적 참여 역시 같은

맥락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부모의 이러한 특성

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에 관련 전문가들의 역할

과 공교육에서의 교육제공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

다 어린이집과 유치원 학교에서 언어치료사가 근무

하게 될 경우 언어치료 상에 다문화가정 아동을 포

함시키는 방안도 추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 언

어치료사가 전체 언어치료사의 55를 넘는 미국의

경우(김영태 2004) 학교언어치료사가 현실적으로 과

중한 치료사례를 담당하고 있는 것이 이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나타났다(Marshall Stojanovik amp Ralph

2002) 이러한 문제는 앞으로 학교에서 언어치료를 제

공하게 될 우리나라에서도 미리 고려해야 할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더구나 다문화가정 아동과 같은 위험군 아

동을 학교 언어치료사의 치료 상에 포함시킬지 여부

도 우리가 고려해야할 사항이 될 것이다 언어치료사의

역할에 lsquo장애의 예방rsquo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ASHA

2004 Paul(2007)에서 재인용) 향후 학교 언어치료사

에 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될 때에 다문화가정 아

동과 같은 위험군 상아동에 한 예방 업무가 포함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이끌 수 있도록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사회의 일원인 언어치료사의

역할 역시 변화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

해 밝혀진 바와 같이 급증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아동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61

의 언어치료 및 지도에서 언어치료사는 언어발달지도

사로 근무하거나 이들의 수퍼바이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면담 상자에 의하면 언어발달지도사들이

현재 아동이 속한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로 파견 근무

를 나가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앞으로 통합어린이집

에서 언어치료를 제공하거나 학교 언어치료사로 근무

하는 것 역시 새로운 언어치료사의 역할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언어치료사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관련 정보 습득 학령기 아동을 위한 읽기 등에 한

공부 통합된 교실에서의 언어치료 제공능력과 같은

다양한 직업 환경에 맞는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언어치료사와 연구자들이 변화해가는 역할을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한 방향을 제시하

는 데 그 임상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참 고 문 헌

고은(2006) 이중언어 사용 아동의 부모들이 갖는 모국어에

한 가치 기준과 경험적 의미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5(3) 165-184

권수진(2006) 다문화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생성이름

기 특성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교육과학기술부(2010) 다문화가정 학생현황(2010 4 출신국

포함) 출처 httpwwwmestgokr

김영란김영태이은주(2007) 이중언어아동의 어휘학습

능력 측정에 적용된 역동적 평가에 한 타당성 고찰

-1990년 이후의 문헌을 중심으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3) 59-77

김영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김영태김경희윤혜련김화수(2003) 985172영유아 언어발달

검사(SELSI)985173 서울 파라다이스 복지재단

김영태(2002) 985172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985173 서울 학지사

김화수(2009) 한국 다문화사회에서 언어치료사의 역할모형에

한 제안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85-209류현주김향희김화수신지철(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능력 및 음운변동 특성 985172음성과학985173 15(3) 133-144박상희(2006)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985172한국언어치료

학회 학술 회 발표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박상희(2009)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산출에 관한 종단적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89-97박지윤박상희석동일(2007) 학령전기 이중언어 환경 아동

의 언어학적 특성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2) 131-145배소영곽금주김근영정경희김효정(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발달지원자 설문을 통해 본 아동의 언어환경

및 언어발달 실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65-184신경림장연집김영경이금재최명민김혜영김옥현

김영혜(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포커스 그룹985173 서울

현문사

송미경지승희조은경임영선(2008)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985172한국 심리학회985173 20(2) 497-517

안성우신영주(2008) 저소득층 일반아동과 다문화 가정아동

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4) 81-94

이명선김춘미고문희(역)(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상호

작용적 접근985173 서울 군자출판사

이은주김영태(2010) 1990년 이후 이중언어 연구 동향 985172언어

치료연구985173 19(2) 73-90이수정신지철김향희김화수(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능력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3) 95-115이진숙(2007)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양육실태와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관한 연구 985172열린 유아교육 연구985173 12(6) 21-42

오성숙(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 개인변인 가정환경자극과

유아 언어능력의 관계 구 학교 학원 석사학위

논문

오소정김영태김영란(2009) 서울 및 경기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과 관련변인에 한 기초 연구 985172특수

교육985173 8(1) 137-161오성배(2005) 도시와 시골지역 사이의 학업성취도 격차연구

목포시와 인근지역의 자료분석 중앙 학교 학원 박

사학위논문

왕한석(2007) 985172또 다른 한국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언어

적응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985173 서울 교문사

양성오황보명(2009) 취학전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37-56

여성가족부(2012) 2012년 다문화가족지원사업안내 출처

httpmogefgokr

장유경이근영곽금주성현란(2003)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

이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심리

학회지 발달985173 16(4) 227-241장현진신명선전희숙김효정(2011) 어머니 국적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비유창성 특성 연구 985172언어치료

연구985173 20(1) 17-29전홍주배소영곽금주(2008) 결혼이민자 가정에서 이루어

지는 자녀교육지원의 실제와 의미 필리핀과 일본

어머니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가족과 문화985173 20(3) 161-186

정은희(2004) 농촌지역 국제결혼가정 아동의 언어발달과

언어환경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3(3) 33-52정하성유진이이장현(2007) 985172다문화청소년 이해론985173 파주

양서원

정현영(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시아 여성과 한국남성의

이중문화가정자녀를 중심으로 숭실 학교 학원 석

사학위논문

최연실(2007) 도시 국제결혼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이야기능력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2

황상심정옥란(2008) 경상도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13(2) 174-192황상심(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초기 표현어휘 발달과 성차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9(1) 193-209황상심김화수(2008) 다문화환경 조음음운장애아동과 기능

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음운변동 패턴 연구 985172특수

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985173 9(4) 329-348황상심김화수(2009) 다문화에 한 언어치료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985172제1회 한국언어치료학회한국언어청각

임상학회 공동학술 회 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황상심정옥란(2008)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발달과 관련

변인 상관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1) 81-102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3

Received January 20 2012 Final revision received February 24 2012 Accepted March 1 2012

2012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httpwwwkasa1986orkr

ABSTRACT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o Hyun ParkMyoung sim Jungsect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Korea

sect Correspondence to

Myoung sim Jung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99 Daehangno Yuseong-gu Daejeon Koreae-mail bogamihanmailnet tel +82 10 2990 5002

Background amp Objectives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been increasing for yearsin Korea increased attention has been given to childrenrsquos language development Recent researchhas revealed language problem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research specifically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these problems are due to language differences or language difficulties is lack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between children with simple language disorders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In-depth interviewing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Seve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who had been working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ll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Four primary themes and seven subthemes emerged fromthe analysis 1) speech and language evalu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2)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3)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4)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for SLPs who work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scussion amp Conclusion The results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themes defined in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in reference to otherrelated literatur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presented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Key Words multicultural families bilingual speech-language evaluation speech-language intervention language development consultant at-risk children

REFERENCES

Ahn S amp Shin Y (2008) A comparative study of multi-ultural background childrenrsquos and low-income childrenrsquos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4) 81-94

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hang H Shin M Jeon H amp Kim H (2011) A study on disfluenc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mothersrsquo nationali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20(1) 17-29

Chang Y Lee K Kwak K amp Sung H (2003) Relations of maternal linguistic inputs to lexical development of Korean infant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

chology 16(4) 227-241

Choi Y (2007) Narrative abilities of Korean children with and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64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Hwang S (2010) Early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and gender difference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9(1) 193-209

Hwang S amp Jeong O (2008)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3(2) 174-192

Hwang S amp Kim H (2009) A survey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ervice deliver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oceedings of the 1st Korean Speech- 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Collaboration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Hwang S amp Kim W (2008) A study on the phonological process patterns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problem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gricultural Area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9(4) 329-348

Jeong E (2004) A study on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environment of children from internationally married couple living in an agricultural villag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3(3) 33-52

Jeong H Yoo J amp Lee J (2007)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youth Paju Yoangseowon Press

Jun H Pae S amp Kwak K (2008) Practices and meanings of immigrant mothersrsquo support for childrenrsquos education Cases of mothers from the Philippines and Japan The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20(3) 161-186

Jung H (2007)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mixed ethnic children Focused on the marriage of Korean man with Asian woman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im W (2009) A new light on models of SLPrsquos role in a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8(4) 185-209

Kim Y (2002)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Seoul Hakji Press

Kim Y (2007) Literature review regarding validity of the dynamic assessment applied in lexical learning ability measures for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3) 59-77

Kim Y Kim K Yoon H amp Kim H (2003)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Seoul Paradise Welfare Foundation

Kim Y Seong T amp Lee Y (2003) Preschool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Ko U (2006) The criteria for value and empirical meaning of mother tongue in case of parents of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5(3) 165-184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Kwon S (2006)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in generative naming for children of multi-culture family and children of ordinary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Lee E amp Kim Y (2010) A literature review of bilingual study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2009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9(2) 73-90

Lee J (2007) A study of childcare and education fathersrsquo childcare participatio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6) 21-42

Lee M Kim C amp Ko M (2004)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Seoul Koonja Press

Lee S Shin J Kim H amp Kim W (2008) A study on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3) 95-115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Statu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vailable from httpwwwmestgok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mp Family (2012)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guidance Available from httpmogef gokr

Oh S (2005) A study of achievement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ith data from Mokpo city and adjacent to regions Unpublished doctorrsquos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Oh S (2009) The relations of childrenrsquos linguistic abilities to mothersrsquo personal variables and home environmental stimuli in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Oh S Kim Y amp Kim Y (2009) Preliminary study o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mily factor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Special Education Research 8(1) 137-161

Pae S Kwak K Kim K amp Kim H (2009) Supporting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survey of mothers and developmental sup-porter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4) 165-184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rk J Park S amp Seok D (2007) Language characteristics in pre-school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2)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5

131-145

Park S (2006) Language abilit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oceedings of the Korean Speech- L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Park S (2009) A longitudinal study of articulation production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89-97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Shin K L Jang Y Kim Y K Lee K J Choi M M Kim H Y Kim O H amp Kim Y H (2004) The method of quality study Focus group Seoul Huynmoon Press

Song M Jee S Cho E amp Lim Y (2008) A study on the parental experience of a foreign mother in a mul-ticultural famil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2) 497-517

Wang H (2007) Another Korean Seoul Kyomun Press

Yang S amp Hwang B (2009) A comparative study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culture familie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37-56

Yoo H Kim H Kim W amp Shin J (2008) Articulation ability and phonological process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Korean Journal of Speech Sciences 15(3) 133-144

The authors wish to thank Youngheon Lee(Saint

Andrewrsquos school DE) amp Ye Rin Jung(Chungnam Univ)

for their unfailing support in organizing interview

data

Page 3: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최소 1년 이상의 언어평 가 및 치료경험이 있는 자로 한다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49

면담자

기호성별 연령 재 근무형태

다문화가정아동

치료 경력(언어치료경력)근무지역 자격증 유형

S1 여 37

치료센터 SLP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 감독자

4(12년)서울

제주도1

S2 여 44 치료센터 SLP 7년(10년) 충청도 2

S3 여 39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 감독자3년(10년) 충청도 1

S4 여 42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3년(5년)

서울

경기도

2

(1 시험합격)

S5 여 31

치료센터 SLP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 감독자

3년 6개월(4년6개월) 강원도 1

S6 여 25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1년6개월(2년) 경상도 2

S7 여 24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1년(2년) 충청도 2

lt표- 1gt 면담 참여자의 기본 정보

있는 장소는 서울과 경기지역 충청 강원 경상도 제주

도지역이었으며 최소 2년 이상의 언어치료경력 및 최

소 1년 이상의 다수의 다문화가정아동의 언어치료 경

력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인 연구 상 선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면담 참여자들은 현재 어떠한 형태로든 다수의

다문화가정 아동을 상으로 최소 1년 이상의 언어평

가 및 치료경험이 있는 자로 한다 예를 들어 한 두

명의 다문화가정 아동만을 치료하였거나 해당아동을

다섯 명 이상 했어도 평가로 끝냈거나 6개월 미만의

단기간의 치료경험만 있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둘째

모든 면담 참여자들은 비다문화가정의 언어장애아동

치료경력이 최소 2년 이상인 자로 한다 비다문화가정

과 다문화가정 언어장애 아동 치료의 차이점을 알기

위해서 언어치료경험이 전혀 없었던 SLP 출신 언어

발달지도사는 면담 상자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초보

언어치료사의 경우는 치료경력이 짧은 이유로 상이

단일가정 언어장애아동이든 다문화가정 언어장애아

동이든 치료목표 선정 및 치료에 어려움을 보이고 있

다는 언어발달지도사 감독자들의 의견을 반영한 결과

이기도 하다 실제로 경력이 1년 미만이었던 언어치료

사를 상으로 면담을 실시했을 때 다른 면담참여자

와 중복된 견해를 보이는 부분이 있었지만 다문화가

정 아동이 가지고 있는 특성에 민감하지 못하여 모호

한 답을 하거나 독특한 경험으로 인한 새로운 내용

을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들의 면담내용은 분석에

서 제외하였다 위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하는 언어치료

사를 우선으로 선발하되 가능한 다양한 근무지역을 포

함하려고 노력하였다 선발된 면담 상자의 근무지역

은 서울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 경상도 제주도였다

이와 같은 의도적인 면담 상자 선정과정은 다른

상자를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얻기 힘든 중요한 정보

를 제공받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Park amp Turnbull

2001) 셋째 위의 조건에 부합하는 언어치료사를 의뢰

받아 차례로 인터뷰하였다 그런데 면담 상자 7과 8의

인터뷰 내용에서 더 이상의 새로운 견해가 나타나지 않

았고 이미 인터뷰한 면담 상자보다 경력이 더 많은

언어치료사도 없었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면담 상자

수를 7명으로 결정하였다 이러한 이유는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에서 면담 상자 수에 한 규정은 없으나

인터뷰 내용이 포화상태가 될 때까지 새로운 상자

를 인터뷰하는 것이 권고되고 있기 때문이다(신경림 외

2004) 면담 상자에게는 전화통화를 통해 연구의 목

적을 알리고 면담을 허락받았다

2 자료수집 절차

가 면담 질문지 작성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 평가 및 치료와 관련된 주제

의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질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0

문지를 개발하였다(배소영 외 2009 이은주김영태

2010 오성숙 2009 오소정김영태김영란 2009

황상심김화수 2009 Kritikos 2003 Leah Fabiano-

Smith Goldstein 2010 RaMonda Horton-Ikard

Muntildeoz 2010) 이를 근거로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질문지의 내용은 lt표 - 2gt와 같다 질문

지 작성을 완료한 후에 면담 상자와 유사한 조건의

언어치료사 한 명에게 예비면담을 실시하였고 질문 방

식이나 녹음방법 등에 한 사항을 일부 보완하였다

lt표- 2gt 면담 내용

기본

정보

언어치료자격증여부 개별언어치료경력 다문

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경력 연령 근무형태

여건 등

상아동

정보

담당 언어치료 언어지도 상아동의 수

나이 유형 장애정도 부모의 국 등

평가다문화가정 아동의 평가방법 사용 검사도구

결과

치료 다문화가정 아동의 치료목표 방법

기타 기타 언 하고 싶은 의견이 있을 경우

나 면담 실시 및 자료 전사

연구자가 면담 참여자의 직장을 방문하여 개별면담

을 하였다 면담 참여자에게는 사전에 면담 승낙을 받

을 때 질문내용을 략적으로 알려주었다 면담 참여

자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기 위하여 면담시간에 제

한을 두지는 않았으며 면담 소요시간은 60분sim90분

으로 평균 84분 정도 소요되었다 면담 상자들의 동

의하에 면담내용을 모두 녹음하였고 면담을 마친 날

로부터 일주일 이내에 연구조교에 의해 녹음된 내용

그 로 전사하였으며 연구자가 녹음을 들으며 전사된

내용을 재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모든 면담

내용이 A4용지 약 174장으로 전사되었다

3 자료 분석 및 추후 확인면담

전사된 자료는 질적 분석방법의 하나인 연속적 비

교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을 이용하여 부

호화하고 부호들 간의 연속적인 비교를 통해 범주와

주제를 도출하였다(신경림 외 2004) 우선 첫 번째

전사본을 두 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읽으며 개방적

부호화 작업을 실시하였다 각 연구자는 부호화 작업

을 하면서 부여한 부호와 각 부호에 해당하는 조작적

정의를 정리한 후 함께 논의를 거쳐 첫 번째 부호집

을 작성하였다 두 번째 전사본은 첫 번째 부호집에

정리된 부호를 이용하여 부호화하면서 새로 생성된

부호를 추가하거나 기존의 부호들을 합하거나 분리하

는 등의 조정을 하였다 이렇게 작성된 두 번째 부호집

은 다음 전사본을 부호화할 때 사용하였다 이러한 과

정을 거쳐 모든 전사본을 두 연구자가 함께 부호화하

였고 그 결과 일곱 번의 개정 확장 과정을 통해 최종

부호집이 작성되었다 최종 부호집을 가지고 두 명의

연구자가 함께 토론하여 주제를 도출하였다 질적 분

석이 모두 끝난 후에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두 명의

면담 참여자들을 만나거나 전화를 통한 추후 확인면담

을 실시하였다 추후 확인면담의 참여자들은 결과 요

약 보고서에 동의하며 연구절차에 관련하여 특별히 개

선되어야 할 사항이 없었다고 응답하였다

4 질적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확보를 위한 노력

본 연구에서는 질적 분석 결과의 신뢰도와 타당도

를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자료분석의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모든 자료에 하

여 두 명의 연구자가 부호화과정에 참여하였으며 통

합된 관점을 확인하기 위해 모든 부호화과정을 함께

진행하였다 둘째 추후 확인면담을 통한 연구 참여자

들의 확인 작업을 거쳐 연구자들의 주관성을 피하고 신

뢰성을 확보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이명선김춘미

고문희(역) 2004) 셋째 다문화가정 아동 지도 및 치

료와 일반적인 언어장애아동의 치료를 둘 다 경험한

언어치료사를 면담함으로써 이 둘 간의 임상적 차이에

한 견해를 들을 수 있었다 또한 언어치료경력이 오

래되었고 박사이거나 교수로 재직 중인 언어발달지도

사 수퍼바이저들이 면담에 직접 참여하였거나 우수한

언어치료사출신 언어발달지도사를 추천하여주었다 이

와 같이 면담 상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

에 한 임상경험과 연구경험이 풍부하여 이들의 견

해는 충분히 신뢰롭고 타당한 자료를 제공해 주었다

Ⅲ 연구 결과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질적 분석한 결과 다음

과 같은 네 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1) 다문화가정

아동의 평가 (2)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3)다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1

lt그림-1gt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해 도출된 주제들의 도식화

문화 가정 아동의 치료 (4) 향후과제 lt그림- 1gt은 도

출된 주제와 하위주제들 간의 유기적 관계를 도식화

한 것이다 결과에서는 각 주제별로 중요 내용을 요약

하였고 지면 관계상 표적인 면담내용 사례만을 제

시하였다

1 다문화가정 아동의 평가

가 평가 의뢰 경로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문제를 인식하고 센터로

언어평가를 의뢰하는 경우는 부분 방문교사에 의한

경우였다 요즈음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지역에 생기

기 시작하면서는 어머니들이 센터를 이용하면서 아동

들의 언어평가 및 언어지도 프로그램을 알고 찾아오

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저희 방문서비스라고 해서 엄마들한테 부모교육을

제공하시는 선생님들이 계세요 그분들이 본인들의

아이들 키워보고 이 아이들(다문화가정 아동들) 봤

을 때 좀 뭔가 문제가 있다하면 데리고 오시고요

아니면 어린이집에 가면 다문화가족 아이들이 일

찍 맡겨지거든요 일찍 맡겨지는데 또래보다 뭐 좀

늦다 그러면 신청해서 시설에 신청해서 방문 진단

하거든요(S4 4152-156)

다문화가정 아동 조부모들의 lsquo조금 있으면 말을 할

거야rsquo라는 인식과 지역적인 접근성의 어려움으로 스

스로 찾아오는 경우는 많지 않다고 한다 그리고 언어

평가가 필요한 다문화가정 아동을 발견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어린이집이나 학교 선생님과 같이 다문

화가정 아동과 관련된 전문가들에게 언어평가 및 치

료 프로그램을 알려줄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나 공식평가 방법에서의 문제점

우리나라에서 비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사용하고 있

는 표준화된 검사도구로 다문화가정 아동을 평가하기

엔 문제가 있다는 의견이 부분이었다 일반적으로 사

용하고 있는 표준화검사도구의 표집은 비다문화가정

아동만을 상으로 했기 때문에 규준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공식평가 결과만으로 언

어장애 혹은 언어문제가 있다고 해석하는데 있어서 주

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었다 또한 부모보고에 의한 평

가방법은 부모의 한국어 능력으로 인해 어려움이 있다

고 하였다

외국에서도 흑인아이들 경우도 규준에 안 넣었다

가 규준에 흑인이 안 들어갔을 때는 (흑인아이들의

언어능력이) 완전히 다 낮은 걸로 나왔는데 흑인을

규준에 넣은 게 그 PPVT에 넣었다고 알고 있거든

요 그때 흑인규준 넣은 것이 조금 더 낮았다고 했거

든요 제가 그때 보기에는 흑인규준이 따로 있고 합

친 것도 그랬었어요 그래서 (우리도) 그렇게 좀 비

교를 해야 되지 않을까(S1 12443-447)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2

그렇죠 아무래도 그러니까 어머님이 한국어가 안

되시다보니까 SELSI같은 경우 굉장히 손짓 발짓

을 많이 해야 하는 경우 있구요 그런 경우에는 사실

은 정말 뭐 부모님이랑 상호작용하는 것만 가지고

관찰한다거나 제가 상호작용하면서 조금 관찰을 한

다거나 이거에 더 의존을 하게 되는 것 같아요 어머

니한테 받는 보고로는 크게는 어려운 거 같아요 그

것만 보기에는(S5 9336-340)

(SELSI 등 어머니 보고에 의한 평가를 할 때) 평균

적으로 얘기를 해보면 안다고는 하는데 내말을 이

해했다고 답은 하는데 그거에 해서 제가 예를

들어 달라고 부탁을 한단 말이예요 그러면 엉뚱한

애기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그래서 lsquo아 할 수

있어요rsquo 하고 lsquo예rsquo 체크를 하다가도 계속 어머니께

서 말을 많이 하신단 말이예요 한 문항 한 문항 말

을 하는 걸 들어보면 엉뚱한 답을 하는 경우가 많

아요 그러면 다시 lsquo아니오rsquo로 체크를 하는 경우가 많

거든요 이해를 한다는 거는 솔직히 반반이예요 (한

국어들이 조금 떨어지실 경우에는 아무래도 평가할

때 어려움이) 많아요(S6 4126-136)

아동이 검사문항을 통과하기는 하지만 각 문항에

해당하는 언어지식을 충분히 가지고 있지는 못한데

검사도구로 이를 민감하게 평가하지는 못해서 아동이

잘 하는 것처럼 평가되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었

다는 보고가 있었다 검사 상 아동에 따라서는 언어

검사 과제수행방법에 익숙하지 않아서 오류를 보이는

경우가 있으며 일본 필리핀 등 엄마 모국어 발음이

아동에게 영향을 미쳐서 조음검사 시 오류로 판단을 해

야 하는 지 특성으로 봐야하는지 혼돈이 생긴다는 의견

이 있었다

다 공식 평가문제의 안

다문화가정 아동을 평가하는 데 생기는 공식 검사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단기간 가르쳐본 후 향상되

는 정도에 따라 판단하는 역동적 평가를 하거나 비공

식검사를 실시한다는 의견이었다 언어발달지도사의

경우 아동의 행동특성 이야기특성 읽기특성 화특

성을 기술하도록 하여 공식검사만으로 아동의 언어능

력을 평가하지 않도록 슈퍼바이저가 권고 지도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공식검

사를 개발해야 한다는 의견과 언어지연과 지체 구별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초기부터 언어치료사에 의한 언

어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을 제시하

였다

역동적 평가를 해보면 확실히 언어장애가 있는 아

동과 차이가 있는 것 같아요 일회성으로 만나는 아이

들 같은 경우는 그냥 단순하게 알려주고 조금 지나서

다시 읽어보는이 정도 밖에는 할 수 없는 것 같구

요 길게 만나는 아이들 같은 경우는 검사에서 lsquo얘네

들이 경험이 없어서 못했겠다rsquo 싶은 것들을 치료시

간에 한 두 회기에 도입시켜서 해주고 나면은 어휘

같은 것들은 쉽게 익혔던 것 같아요(S1 7250-257)

한 회기 안에서도 조금 단서제공을 해가지고 짧게라

도 아이가 조금 배운 다음에 조금 향상이 되는가해

서 역동적 평가할 수 있는데 저는 개인적으로 단기

학습을 조금 시켜봤었거든요 hellip(중략)hellip 다문화가

정 아이들 세 명 데리고 그룹했었는데읽기 이해

로 그룹을 했었어요 한명은 언어공식검사에서 문

제는 없었어요 근데 자발화하고 이야기를 떠봤더니

문법오류가 너무 많고 1학년인데도 문법오류가 너

무나 많고 뭐전달도 잘 안되고 조금 화용도 이상

하고 거기다가 읽기 공식검사에서 읽기 수준이 조

금 떨어지게 나오고 한명은 전반적으로 다 떨어지

고 나머지 한명은 언어에서 조금 지체되는 정도

이렇게 나왔었어요 hellip(중략)hellip 그래서 단기학습을

시켜봤더니 이 세 명 중에 두 명은 금방 올라온 거예

요 hellip(중략)hellip그런데 단기학습을 시켰을 때 두 명

은 굉장히 향상이 되고 한 명은 향상은 있었지만

그게 두드러질 정도는 아니였어요 얘한테어머니

한테 lsquo얘는 치료를 받았으면 좋겠어요rsquo하고 말씀을

드렸었어요 그 뒤에 이렇게 보면은 lsquo아 정말로 단

기학습을 해서 조금 보기는 해야겠구나rsquo 한 번에 보

기가얘네가 다 장애 lsquo언어장애rsquo하고 이름 붙이

기가 되게 위험한 거예요(S5 4155-5170)

2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가 첫 평가 시 상아동의 연령

보통 어린이집을 다니기 시작하는 4 5 6세가 많았

으나 2011년부터는 다문화가정아동의 교육비 전체가

무료가 되면서 24개월 미만의 영유아 방문도 점점 많

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부모님이 발견하고 인식하는 경

우는 아동이 학년기가 되었을 때지만 요즘은 언어발

달지도사가 찾아가기 때문에 아주 어린연령부터 접근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3

이 가능하다고 한다

지금 원래는 상은 6학년까진데 제가 많이 본거는

거의 만3세정도의 아동이 많아요(S6 260)

지금 아이들이 다 어리니까요 20개월에서 한 35개

월 정도요 그러다보니까 엄마랑 아이랑 같이 말을

배워간다고 보시면 되요 그러니까 상호작용 문제

가그 또래 애들 중에 말 느린 아이들이 되게 많아

요(S7 112-15)

나 언어특성

다문화가정 아동 부분이 비다문화 가정 중에서도

낮은 SES아동과 유사한 언어특성을 보인다는 의견이

었다 다문화가정 아동은 어휘능력이 두드러지게 저하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가장 두드러지게 향상

되는 부분 또한 어휘능력이라고 한다

그리고 어머니의 출신국 언어의 억양이나 조음에 영

향을 받아서 독특한 억양이나 조음특성이 나타나는 사

례가 종종 있다는 의견이었다 학령기 아동의 경우 부

족한 경험으로 인하여 이야기하기 과제 및 문제해결력

이 미숙하고 질문에 답할 때 서툰 표현력이 관찰된다

고 한다

어디에서 얘네들이 가장 막히냐하면 어미 그리고

마지막 끝 말미 서술 표현이 정말 웃겨요 그 서술

마무리까지를 잘 못해요 그 마무리를 참 이상하게

말해요 항상 그냥 단답형에 익숙한 아이들이라서

문장을 마지막에 끝내는 거에 많이 익숙하지가 않더

라구요 그래서 서술어도 지네 마음 로 해요 만약

에 제가 질문이 예측 예방하는 차원의 질문이었어

요 만약 lsquo이런 일이 있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했었

어야 하니rsquo 하면 이거에 맞는 서술부분이 나와야

되는데 그냥 평서문처럼 lsquo주어 목적어 서술어rsquo 이런

단문형태의 그냥 lsquo누가 뭘 했어요rsquo 이런 식이예요

답변이(S2 9308-314)

어 어휘 아닐까 어휘영역이 속도가 굉장히 빠르구

요 하지만 또 끝까지 애먹이는 것도 어휘 참 특이하

지요 그만큼 우리가 연령이 높아지면서 습득해야

될 어휘가 굉장히 많아서 제일 많이 늘어나는 것도

어휘인 것 같은데 또 언어발달지도 받고있는 학령

기 친구들이 제일 애먹는 것도 어휘에요 오히려 못

따라가요 아무래도 모국어 친구들만큼 못 따라가는

것도 어휘더라구요 그게 또 그러네 (S3 5160-164)

아 그러니까 일본아이들 같은 경우는 조음에 있어

서 약간 억양문제가 있는 아이들도 있고요 그 다음

에 중국아동들은 음중국어를 오래 한 아동은 조

음에 있어서 정말 지역에 따라서 좀 다르기는 한데

그래도 lsquoㄹrsquo 조음이 잘 안 되는 경우도 있고요(S4

16624-627)

그냥 얘기는 화상에서의 얘기는 괜찮은데 엉뚱한

답을 조금해요 이해를 못해서 그래서 무슨 질문

같은 걸 하면 엉뚱한 답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서 그것도 아까 말했듯이 어휘가 약하기 때문에 lsquo이

거 이렇게 했어rsquo 막 이렇게 행동이랑 같이 표현을

하거나 아니면 같은 말에 오만상을 다 쓰거나 하는

경우가 조금 있어요 그리고 아까 말했듯이 이해를

못해서 엉뚱한 이야기를 하고 자기 관심사만 조금

얘기를 하고 이거 얘기하다가 갑자기 다른 얘기로

넘어가고 내가 물어봤던 건 이건데 전혀 다른 얘

기를 하고 막 이렇게 그렇게 산만하지 않은데도 그

런 경우가 있어요 내가 무슨 얘기를 하면 lsquo우산을

갑자기 비오니까 우산 들고 가야지rsquo하면 lsquo우산 집에

있어rsquo부터 시작해서 그래서 lsquo비 올땐 뭐 필요하

지rsquo 물어보면 내가 듣고 싶은 건 lsquo아 우산 들어야

돼요rsquo 라는 답을 원했는데 lsquo어 밖에 비 안 오는데요rsquo

그래서 막 그림 그리면서 lsquo어 지금 비오잖아rsquo하면

그 질문에 한 lsquo어 우산 써야rsquo 그 얘기가 아니라 lsquo어

비 많이 오네rsquo 이러면서 lsquo나도 그릴래요rsquo해요(S6

10368-388)

다 언어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 외 특성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문제와 더불어 문화적 차이

로 인하여 겪게 되는 심리적인 문제가 상당히 심각하

다고 한다 또한 부분의 다문화가정 아동의 가정환

경 및 경제적으로 좋지 못한 환경 등으로 인해 집안에

서도 안정적이지 못한 경우도 많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러한 경우 다문화가정 아동은 체로 말을 안 하거

나 쉽게 마음을 열지 못해 라포형성이 어려우며 자신

감이 떨어지고 또래와 다른 외모로 자존감이 낮은 경

우가 많다고 한다

두드러지죠 정서 이것도 취약계층 아동이랑 거의

비슷해요 걔네들 같은 경우에는 이 따뜻한 표현 또

는 상호작용에 의한 이런 경험 지지받았다는 그런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4

사실 이런 것들이 답습이 안 되서 마치 던지듯이

말해요 예쁜 말들이 아닌 거죠 그리고 준비가 안

되어있어요 받아들이기가 그래서 표면적으로 드러

나는 언어패턴이나 이런 부분들이 조금 괴팍스러워

요 그니까 얘네들하고 조금 비슷한 거 같애서 정서

에서 어려움이 오는 아동들도 있잖아요 그런 아동

들을 어떻게 정서가 딱 어려워서 온 게 아니라 환경

으로 인해서 이렇게 정서적으로 고립된 아동들도 있

잖아요 걔네들 반응하고 거의 똑같은 거 같아요(S2

17614-621)

일본인 가정은 확실히 문화적인 차이예요 어떤 거

냐하면 존 법아시아권은 부분 그 예의와 관련

돼서 굉장히 중시하잖아요 근데 아이들도 남의 말

을 경청하고 숙여지는 게 있어요 그니까 남의 말을

더 들어주는 거예요 일본인 가정은 부분 다 lsquo예

예rsquo 이런 거거든요 더 적극적으로 의사소통을 하지

않아요 똑같이 일반인 가정의 부모가 유럽쪽 계통

이 있었어요 유럽쪽 계통의 엄마가 한국남성하고

결혼한 그런 분이었는데 이집은 달라요 되게 적극

적이예요 아이가 의사소통 자체가 굉장히 적극적

인데 일본인 가정은 덜 적극적이예요 이 문화가 경

청하고 들어주고 그저 lsquo예 예rsquo이런 문화라서 그런

건지는 모르겠는데 자기표현 보다는 더 듣는 쪽으로

아이들이 발달을 한 것 같아요(S2 8271-280)

말을 안 하거나 쉽게 맘을 못 여는 거 장애가 있는

친구들보다 라포를 형성하는데 굉장히 오래 걸리

고 그리고 자기가 자신감이 굉장히 없어요 유치원

친구들이나 학교 친구들로부터 이미 외모로 인한

lsquo좀 다르다rsquo라는 인식으로 인해서 자신감이나 자존

감이 되게 낮아요 이미 외모에서 티가 나버리니깐

그런 것들이 좀 심각한 것 같아요(S3 6186-189)

라 이중언어 사용 현황

면담 상자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다문화가

정 아동이 한국어와 함께 엄마의 모국어를 함께 사용

하는 경우는 략 10~20정도였다 이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머니가 일방적으로 한국문화에 적응하고 어

머니의 문화를 가르치거나 노출시키는 경우는 많지 않

기 때문이기도 하고 또한 어머니가 자신의 출신국 언

어를 사용할 경우 아이한테 혼돈을 줄 수 있다는 걱정

과 가족들이 한국어만을 쓰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높은 교육열을 보이는 일본출신

의 어머니들의 경우는 출신국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보고도 하였다

중국이나 필리핀 경우는 영어를 가끔씩 쓰는 것 같

은데요 ( 부분은) 주로는 한국어를 썼던 것 같아

요 보통 확률로 보면 한 20내외 나머지는 다 한

국어 근데 요즘 중도입국한 아이들 다른 나라에 살

다가 학교 갈때 쯤 한국 들어오는 경우는 한국어가

제 2 외국어가 되죠 우리 머릿속에 언어에 한 선

호도 어떤 언어가 더 높은지 아는 것 같아요 다문

화 가정에서도 한국어가 더 높다는 거죠 필리핀 태

국 이런 곳 보다 그래서 식구들이 다 한국어만 쓰기

를 원하고 또 앞으로도 걱정을 하는 것 같아요 엄마

가 필리핀 태국말을 쓰면 애가 한국말을 잘 못 배울

까봐(S1 5171-182)

모국어를 쓰는 경우는 정말 일본 엄마들로 한정이

되어있어요 일본이나 중국 몽골은 전혀 안 쓰세

요 거의 lsquo내 아이가 헷갈릴 수 있다rsquo라는 생각을

갖고 계신 분들이 많기 때문에 저의 경우 엄마랑

아이가 본국말로 의사소통 하는 경우는 일본이 제

일 많고 그 다음에 중국 그리고 가끔 필리핀 영어

로 음 그리고 드문 케이스지만 저희 센터에 우즈

벡에서 오신 선생님이 계신데 그 분은 아이들이랑 러

시아어로 의사소통을 하시더라구요(S4 6226-235)

3 다문화가정 아동의 치료

가 언어치료 제공의 어려움

언어평가 후 언어능력이 6개월 이상 지연 및 지체

되어 언어치료가 필요한 다문화가정 아동이 전문 언

어치료기관으로 의뢰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고 한다 다

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와 그 가족들은 언어평가 결과와

상관없이 언어치료 필요여부에 무관심하기 때문이라

고 보고하였다 아동에게 언어치료를 의뢰해도 지역에

따라 그 지역에 있는 언어치료센터가 없어서 언어치료

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다문화가정 아동

의 아버지와 조부모는 자신의 아이가 다문화가정 아동

이기 때문에 언어치료사들이 편견을 가지고 문제점만

을 찾는다고 생각하는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다는 의

견도 있었다

(언어치료를 받아야 할 아동들이) 있어요 그런 아

이들은 (언어치료센터에) 연계를 해야 하는데그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5

러니까 연계되었다가도 치료실에 적응 못하고 다시

오는 경우가 있어요 그러니까 엄마랑엄마가 의사

소통이 잘 안되고 치료실 선생님들이 잘 받아주지

못하는 그런 게 조금 있었나 봐요 어떤 엄마 같은

경우는 본인이 말이 어눌한데 선생님이 빨리 설명

해주고 상담시간에 본인이 이해가 안 되게 이야기

해줘서 치료를 받다가 다시 오게 되는 경우도 있었

고 그리고 그 장애 진단을 받으면 편한데 아빠들

이 장애진단을 안 받으려고 하세요 특히 더더군다

나 치료실을 가게 되면 비용이 비싸지니까 바우처 활

용도 못 받고 그래서 그런 경우는 (다문화) 센터를

이용하려고 하시는 분들도 계세요(S4 14540-550)

한국에 들어와서 한국어에 해서 잘 모르시니까

한국어에서 문제가 있다하더라도 본인이 못 느끼

시는 경우 많이 있으세요 본인이 한국어 실력이 그

만큼 안 되기 때문에 아이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자

기가 못 느꼈다거나 그 다음에 뭐약간 국적적인

성향 같은 것을 가끔 느끼는 게 일본이라든가 중

국 어머님들은 그나마 학구열이 있기 때문에 그나마

조금 저거 하시는데 동남아권이라든가 그런 분들

은 그냥 뭐 lsquo잘 살아가면 되지rsquo로 생각하시는 분들

되게 많거든요 그래서 아이가 문제가 있다 하더라

도 생활 속에서 나랑 잘 생활하고 있다 그러면 lsquo난

안 받을래요rsquo 하시는 경우가 많으시고 어머니는 문

제에 해서 lsquo아 그렇군요rsquo라고 받아들이셔도 이제

아버지라든가 할머니라든가 이제 그한국가정에

서 lsquo어우리 아이가 무슨 문제가 있나요 왜 다문

화라고 해서 자꾸 우리아이를 찾아내고rsquo 워낙 교

육이라든가 도움이 많다보니까 lsquo다문화라도 우리

한테 자꾸 이런 거 주지 마세요 그리고 뭐가 문제가

있다고 자꾸 찾아내고 우리 애 잘 살고 있습니다rsquo

이런 분들이 오히려 아빠나 시어머니나 이쪽이 많

으신 거 같아요(S5 7299-311)

지금 제가 수업하고 있는 애들 중에서는 아직 어린이

집 가기 전 아동이 거의 40-50정도거든요 40

가 안 가고 60가 가고 이 정도 퍼센튼데 요새는

어려도 어린이집에 보내려는 경우가 많아서 근데

어린이집 가면 시간이 없다고 안 오시려고 하시는

경우가 많고 또 어린이 집 끝나고 오는 딱 그 시간

을 원해가지고 수업을 못 받는 경우가 많고 받는

경우가 60 40정도가 돼요 지금(S6 14545-550)

나 언어치료(지도) 장소

다문화 언어장애아동을 상으로 언어치료사가 제

공하는 언어치료 혹은 환경요인에 의한 경미한 언어

지체위험군 아동을 상으로 언어지도사가 제공하는

언어지도는 센터의 교실 또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다

니고 있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으로 파견 나가서 제공

되고 있었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다수가 어린이집을

다니고 있으며 어머니들은 아동이 있는 곳으로 방문

지도를 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파견근무가 늘고

있다고 한다 영유아의 경우는 가정에서의 지도가 바

람직하지만 여러 이유로 다문화 센터 규정상 가정에서

의 언어지도는 제공되지 않는다고 한다

센터 안에 있는 언어발달지도교실 근데 중요한 건

센터에 와서 언어발달지도교실에서 하는 것 보다 어

린이집으로 우리 선생님들이 가서 언어발달지도를

하는 비율이 거의 2 8에요(S3 7237-239)

다 언어치료(지도) 효과

다문화가정 아동을 언어치료(지도)를 했을 경우 어

휘영역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향상된다고 한다 하지만

연령이 높아지면서 습득해야 할 어휘가 늘어나기 때문

에 학령기 아동이 힘들어하는 부분도 어휘영역이라고

한다 아동의 언어치료(지도) 효과는 부모의 교육수준

안정된 가정환경이나 언어자극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

는다는 의견이었다 언어치료(지도)를 받는 다문화가

정 아동은 어휘습득은 빠른 편이지만 문법오류와 담

화 읽기 인지적 부분은 지속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경

우가 많다고 한다

어휘력은 노출되는 만큼 자기 것이 되서 사용하는

데 단어를 많이 활용하기 때문에 주로 어휘력부분

같은 경우에는 lsquo어라 이런 단어도 사용하네 이런

단어도 사용하네rsquo 이런 부분들이 있어요 근데 인

지적인 측면은 늘긴 늘지만 계속 향상될 만하면 어

려움이 닥치고 될 만하면 닥치잖아요 얼마나 어려

워요 그쵸 그래서 이런 측면은 계속 발달되는 게

정말 다르더라구요(S2 18640-645)

약간 문제가 있는데 문법적인 게 굉장히 많이 오류

가 있다거나 특이한 사항이 좀 관찰되었다하는 아

이들은 전체적인 점수가 향상되어도 약간의 것들이

남아있는 거예요 특히나 문법이라든가 화용적인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6

측면에서이제 만 5-6세 넘어오고 학령기 들어가

다 보면 아이들이 이미 유치원이라든가 거기서 의

사소통에 제한이 있었던 거예요 언어문제 때문에

약간 좀 소외되었다거나 아니면 뭐상호작용을

잘 못했다거나 그래서 이게 연습이 제 로 안 되어

있는 거예요 그런데 이거를 선생님하고 11로 앉아

가지고 보통의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은 화용문

제를 잡기도 하시지만 보통 드러나는 공식검사에

서 드러나는 거 어휘라든가 문법을 잡으시거든요

그런데 그러다 보니까 이 아이가 나중에 어휘와 문

법이 잘 쌓여도 나중에 그룹에 들어가 가지고 화용

적으로 막 쓰는 데는 약간누가 듣기에는 어 상호

작용을 해보면 약간 이상한 용어가 남아있는 거예

요 그래서 결국에는 이제 만 6세 학교 들어가기 전

이라든가 학교 들어가고 나면 그게 계속 두드러지

게 되는 거 같아요(S5 6236-7250)

언어지도 후 6개월마다 진전평가를 실시하는데 이

때 정상범주에 들어서 종결되는 아동들이 꽤 많다고

한다 이는 아동의 언어문제가 언어환경적인 이유로 인

한 일시적인 언어지체이기 때문으로 설명되고 있었다

연령별로는 영유아의 경우에 6개월 언어지도 후 거의

정상범주에 드는 경우가 많지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6개월 안에 종결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는 의견도

있었다

라 언어치료(지도) 내용 및 방법

일반적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을 언어지도하는 방법

은 일반 언어치료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한다 이는

면담 상자들이 언어치료사이기 때문일 수도 있고 이

들의 수퍼바이저가 모두 언어치료사이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상자의 언어문제가 장애인지 환경적인 일시

적 언어지체인지 명확하지 않은 경우 언어치료를 제공

하는 것이 안전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이었었다 언어촉

진이나 부모 및 교사교육이 포함된 언어치료프로그램

이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적절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언

어지도 방법 면에서는 다문화가정아동과 비슷한 상황

의 주인공을 다룬 이야기책을 사용하거나 어머니의 출

신국에 관한 내용을 반영한 교재를 사용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보통은 lsquo언어치료하고 별로 다르지 않다rsquo라고 언어

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 아이들한테 더 맞는 거 같

거든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제가 그게 더 익숙해서

그런지 몰라도 뭐 한국어 학습 같은 거라든지 이런

것을 받고 그것을 응용을 할 수는 있겠지만 언어치

료 프로그램이 더 맞는 거 같아요(S4 10408-411)

엄마를 지원하는 게 중요하기는 한 거 같아요 lsquo아동

에게 집에 가서 어떻게 자극 주세요rsquo 하는 것들이

그냥 설명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엄마 언어 수준에

맞춰서 제공된다거나(S5 17711-715)

마 부모 참여 및 교육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머니는 스스로 한국어가 부

족하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언어치료사를 만나는 것에

한 부담을 느끼며 비참여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한

다 한국어가 능숙한 어머니에게는 직접 부모교육을

실시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아버지나 방문교사

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의견이었다

그리고 우리나라와 다른 문화에서 자란 다문화가정 아

동의 어머니들이 한국에서 아동을 가르치고 키우는 방

법들을 이해하기 힘들어하거나 혼란스러워하는 경우

가 있다고 한다 이런 경우 부모 출신국에 한 문화적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는 견해이다 그리고 아동의 언

어능력이 어머니의 한국어능력보다 좋아지게 되면 어

머니가 아동에게 언어적인 피드백을 해주는데 어려움

을 겪는 경우가 종종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치료 참여에) 적극적이진 않고 왜냐면 언어가 잘

안된다고 생각을 늘 하세요 그래서 lsquo잘 못 알아듣겠

다rsquo 이런 말씀을 전제로 깔고 가시기 때문에 그런

환경(교육환경)에 익숙하지가 않은 거예요 아직 국

내에서 적응하는 것 자체도 익숙하지 않은데 더군

다나 선생님과의 관계 속에서 무언가 또 같이 이야

기를 나누는 것 자체도 많이 염려스러워하고 이런

부분 때문에 참여하기도 어려운 거죠 참여 시키는

것 자체도 되게 어려움이 있는데 거의 비참여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S2 19689-695)

부모교육 같은 경우에는 저는 조금 거의 한국에서

사신 지 좀 되신 분들 적어도 한 4sim5년 이렇게 되

신 분들 상 로 했었어요 그런데 그런 분들은 크게

문제는 없으세요 특히나 일본 분들은 한국어를 또

쉽게 배우시기 때문에 크게 문제는 없는데 그러

니까 들어오신지 10년이 됐는데 과수원에서 과일

만 따다보니까 한국어를 못 배우신거예요 그래서

아이하고 한 거에 해서 말씀을 드려도 이해를 못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7

하시고 lsquo가서 뭐 해주세요rsquo 해도 못 하시고 그러다

보니까 나중에는 어머니한테 말씀드리는 게 아니라

아버지를 부르게 된다거나 아니면 이 아이가 다니

는 공부방의 누군가에게 도움을 요청한다거나 그

렇게 해서 환경적으로 전체적으로 접근하게 되고

그 때는 어머니만 잡기에는 어려움이 많이 있어

요(S5 9343-352)

(부모님이 집에서 언어촉진 주는 것을) lsquo알겠다rsquo고

하고 잘 안하시는 것 같아요 우선적으로 저는 (아

동과 한 것) 다 얘기 못하거든요 그게 설명이 힘들

어요 솔직히 lsquo공부한 거 애들은 그렇게 어려운 말

필요 없고 그냥 애들이 하는 거 보고 신 엄마가

애 입장에서 얘기해주세요rsquo 이 말 자체는 (엄마에게)

어려워서 예를 들어주거든요 자동차를 보면 어떻

게 어떻게 말을 하는 걸 보여주면 lsquo아아 이렇게

이해했다rsquo고 말을 해요 그렇게 하나씩만 이야기를

하는 편이예요 lsquo오늘 집에서 이렇게만 해주세요rsquo 이

런 식으로 그럼 lsquo잘 알겠어요rsquo하긴 하는데 lsquo어려워

요rsquo 이렇게 얘기를 해요 말을 못 알아듣는 게 아니라

애한테 그렇게 하는 게 어렵다고 잘 안된다고(S6

11410-421)

바 치료에 한 조언

면담 상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에만 초점

을 두기보다는 다문화가정에 해 전반적으로 이해하

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아동과 부모와

의 관계 및 문화적인 부분도 함께 고려해야 하면 다른

발달영역 전문가들과도 협력하는 능력도 필요하다는

의견이었다 공식검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한계점이 있

다는 것을 인식하고 언어학습능력과 잠재력 등을 평

가하여 언어치료(지도)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견

해이다 부모상담 시에는 충분한 상담시간을 제공해

야 한다는 의견이었다

다문화가정 아이들 경우에는 우선은 이 아이가 정

말로 다문화냐 정말로 이 아이가 환경적으로 다문

화환경에 노출돼서 이중언어가 되고 있는지아니

면 이 아이가 뭐 중도입국한 경우도 있구요 지금은

이주노동자들도 언어발달지도사를 찾아오거든요

그럴 경우에 언어적인 자극을 엄마가 안 주거나 교

육적인 서포트를 안 해주는 게 단순히 엄마가 문제

가 있다고 보기보다는 lsquo어 이 나라(엄마의 출신국)

에서는 이런 것들이 없었고 엄마가 적응하는데 내

가 서포트하는 역할이 있어야 되는 구나rsquo해야 하거

든요 그런데 그게 없이 아이만 보게 되는 거예요 왜

냐하면 저희는 lsquo엄마랑 상호작용하는 거 봐요rsquo하고

언어치료사가 이런 것들을 하긴 하지만 계속 아이

의 상태 아이의 수준 이것만 많이 보게 되는 거예

요 그러니까 엄마가 가지고 있는 한국어 실력이라

든가 엄마의 한국어 실력이 얼마나 성장되는지 혹

은 엄마가 어느 정도의 자극을 줄 수 있는 환경에

있는지 이런 것들이라든가 엄마가 아니라도 그러

면 가족들은 얼마나 지원했는지 이런 것들을 많이

놓치세요

또 아이가 가지고 있는 많은 어려움들 특히 피부색

이 다르거나 그런 아이들 중에 간혹 생기긴 하거든

요 많이 없어졌다고 해도(중략)요즘엔 정말로

많이 줄기는 했어요 그런데 필리핀 아이나 베트남

아이 같은 경우는 생김새가 조금 다르다 보니까 애

들이 왕따 같은 것들도 많이 당하기도 하고 선생님

한테 와가지고 다 털어놓고 얘기를 잘해도 학교 가

서는 얘기를 못한다거나 그러면사실은 나만 잡고

교육을 할 수가 없는 거잖아요 심리적인 문제라든

가 여러 가지가 걸리기 때문에그런데 lsquo어 얘가 밖

에서 언어를 못 쓰면 내가 계속 지원해주면 되겠지rsquo

라고 가는 경우도 있긴 하거든요 그러니까 그게 언

어치료사가 아동만 보다보니까 lsquo지금 내가 언어부

분만 봐야지rsquo로 가는데 사실 아이를 전반적으로 보

면 뭐 가족도 봐야 되고 문화적인 것도 봐야 되고

또 다른 발달영역에서 같이 좀 코웍할 수 있는 게

뭐가 있는지도 좀 자세히 살펴보기는 해야 될 거

같아요(S5 13503-14534)

4 향후 과제

가 향후 연구과제

다문화가정 아이들의 특성을 잘 반영해주기 위한

검사도구가 새로 개발되어야 한다는 의견과 앞으로 한

국어가 제2외국어가 되는 경우에 해서도 준비가 필

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연구방향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 같

아요 옛날에는 그냥 단순히 비교해 가지고 lsquo낮다rsquo

이렇게만 했었는데 요즘에는 소득도 약간 통제해

보고 중산층이랑 저소득층이랑 다문화랑 이렇게 비

교하잖아요 조금 특성을 더 접근해 갈려고 하는 것

같아요(S1 11522-524)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8

저는우선은 (특성연구에서) 공식검사 사용은 어

쩔 수가 없는 것 같기는 해요 공식검사에서 이제

우선은 (언어평가 결과가) 나와야 일단은 언어문제

가 있다고 판단은 하니까 그런데 특성을 보려면

공식검사만으로 lsquo어휘가 어때요 문법이 어때요 발

음이 어때요rsquo하는 것보다 조금은 환경적인 것들을

다 통합해서 아이가 실제 쓰고 있는 언어라던가

이런 것들을 자세히 살펴볼 필요는 있을 것 같아요

그런데 연구에서는 사실은 되게 어렵잖아요 자발

화를 여러 개를 떠온다거나 뭐 엄마하고 상호작용

을 관찰한다거나 그런 게 굉장히 어렵기는 하지만

그게 이제는 공식검사만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조금 부모를 포함해서 혹은 설문을 통해서라도 환

경하고 언어를 같이 보는 게 이제는 많이 시작은

되어야 할 것 같아요(S5 271103-1111)

나 엄마의 모국어 습득의 중요성

다문화가정 아동이 한국어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모

국어도 사용하는 것을 국가적으로 장려하고 있다고 한

다 그리고 다문화가정 아동이 학령기가 되었을 때 제

2외국어나 장래직업과 관련지어서 혹은 단순히 어머

니의 모국어를 배우고 싶어 하는 경우가 있다는 보고

가 있었다

제가 만나봤던 거의 90퍼센트 정도는 주 언어가 한

국어였고 그리고 물어보면 나중에 커서 가르쳐 주

겠다 하는 아동이 많았어요 진짜 이중언어를 배우

는 건 솔직히 좀 좋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진짜

이거 이중언어 이런 거를 필수적으로 방문 서비스

에서도 이렇게 엄마말 가르쳐 주는 서비스를 만들어

가지고 다시 또 이렇게 할 수 있게끔 같이하는 것도

필요한 것 같아요 어렸을 때부터 그걸 제가 가르쳐

줄 순 없으니까(S6 17654-665)

올해부터 장려해서 정확한 제목은 기억이 안 나는

데 영재 영재교실이라고 해서 엄마의 모국어를 가

르치는 교실도 함께 다니는 친구들도 많아요 요즘

에는 올해부터는 우리친구들을 다문화친구들을 글

로벌인재로 양성하려는 게 국가적으로 목표가 됐

죠 그래서 한국말도 가르치지만 엄마의 모국어도

한국말처럼 잘해라 엄마의 모국어도 못하는 애들

도 있거든 그래서 두 가지 언어를 잘하게 될 거 아

니에요 정말 훌륭한 인재가 될 수 있잖아요 그거

를 올해부터는 많이 강조하고 있더라구요 영재겠

지 언어영재교실이라는 이름으로 엄마의 나라 말

도 배우고 또 언어발달지도 선생님한테 한국말도 배

우고(S3 262-69)

다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

면담 상자들은 어머니가 아동의 교육에 참여하고

직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모교육프로그램이 필

요하다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영유아 아동을 위한 언

어발달지도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보고가 있었다

영유아아이들을 언어발달 지도할 때는 좀 더 다를

수 있어서 그런 영유아아이들을 상으로 하는 언

어발달지도프로그램 그런 것도아까 말했던 lsquo엄마

들을 어떻게 언어치료에 좀 더 참여시킬 것인가rsquo 이

런 문제들 그리고 매뉴얼들을 많이 개발하시려고

하는 것 같아요(S3 9307-311)

라 언어치료사의 새로운 역할

모든 면담참여자는 궁극적으로 언어에 문제가 있는

아동을 중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언어치료전공자가 다

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로 일하는 것이 필요하

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지만 현재에는 언어

치료를 전공하지 않은 언어발달지도사들도 많기 때문

에 이들과의 연계 필요성도 언급되었다 그밖에 언어

발달지도사의 감독자나 유치원 및 학교현장에서 치료

를 제공하는 학교언어치료사가 언어치료사의 새로운

역할이 될 것이라는 견해도 있었다 또한 언어치료전

공자가 언어발달지도사로 일한 경력도 언어치료사 경

력으로 인정될 필요성이 언급되었다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이 다 언어치료사는 아니

잖아요 만약에 언어치료사가 아닌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이 있다고 치면 그런 분들과 연계해서 해

야 될 부분이 많을 것 같구요(S1 13628-631)

(아동이 언어지체를 보이는) 그런 경우에는 치료를

해줘야 된다고 생각을 해요 현재는 그런 예가 적지

만 다문화 가정 아동의 엄마가 잘 못해주는 경우가

있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그냥 놔두는 것 보다 그

위험부담을 감수할 필요는 없는 것 같아요(S1

9413-316)

무료교육이 되다보니깐 우리 친구들이 100 어린

이집을 다니잖아요 그러다보니깐 엄마들이 그 유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9

치원에서 다 해결을 해보고 싶으신 거에요 자기가

데리고 오려면 교통비도 들잖아요 여유 있지 않다

보니깐그래서 유치원에 일단 들어가잖아요 그러

면 센터로 안와요(S3 7241-244)

Ⅳ 논의 및 결론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평가 및 언어치료(지도)에

해 숙련된 언어치료사를 상으로 실시한 면담 결

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에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언어평가를 받

기 위해 자발적으로 센터를 방문하는 경우는 많지 않

았으나 타전문가들에 한 홍보활동과 다문화가족지

원센터를 이용하는 어머니들이 많아지면서 다문화가

정 아동의 언어평가를 의뢰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

고 있다 면담 상자들은 기존의 공식검사 결과만으로

나타난 언어발달지체가 언어장애여부 판별에 사용되

는 것에 한계가 있음을 강조하였으며 공식검사 외에

비공식검사나 역동적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어평가 및 언어치료(지도)를 받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그 이유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비가 무료화되면서 24개월 미

만의 영유아가 센터로 방문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

기 때문이다 다수의 어머니들은 아동과 의사소통을

할 때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영유아의 경우는

엄마의 한국어 공부기간이 짧기 때문에 그만큼 더 부

족한 언어자극을 받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다문화

가정은 사회경제적 여건이 어려운 가정이 많기 때문

에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이 낮은 사회경제적 위

치에 있는 가정의 아동 언어특성과 유사한 면이 많다

는 의견이다 특히 어휘부분에서 크게 떨어지는 것으

로 평가되고 있지만 그 외에도 문법 면에서의 잦은

오류 사회적 의사소통이나 담화 및 읽기 등에서도 문

제를 보이고 있었다 언어 이외에 정서적 문제를 동반

하는 경우도 이들의 언어지도 및 학습에 영향을 미치

고 있었다

셋째 언어평가 후 언어치료가 필요한 아동의 경우

언어치료센터로 의뢰되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지

역적 특성상 언어치료센터를 찾아보기 힘든 경우도 있

지만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와 가족들이 언어치료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 않는 경우도 많다는 의견이

었다 따라서 언어치료가 필요한 언어장애아동의 경

우 언어발달지도사가 지도해야하는 경우가 많았다 언

어지도는 다문화센터 뿐 아니라 다문화가정 아동이 다

니고 있는 어린이집으로 파견 나가서 하고 있는 경우

도 많았다 환경적 요인에 의한 언어발달지체일 경우

에는 언어촉진을 주었을 때 아동의 언어능력이 크게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휘능력이 크

게 향상 되는 반면 문법오류와 담화 읽기 인지적 부

분의 어려움은 지속적으로 남아있기도 하였다

언어발달지도사는 치료사가 아니기 때문에 개발되

어 있는 교재를 활용하여 아동의 언어촉진을 목적으

로 언어지도를 수행하고 있으나 언어치료를 전공한

언어발달지도사의 경우는 일반 언어장애아동을 상

으로 한 언어치료목표나 방법을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적용하고 있었다 다만 방법 면에서 다문화가정 아동

과 비슷한 상황의 주인공을 다룬 이야기를 사용하거

나 어머니의 출신국에 관한 내용을 고려한 교재를 사

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언어치료 상이 된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의 경우 아동의 언어치료에

비참여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이 부분인데 이는 어

머니 스스로 한국어가 부족하다는 인식 때문에 전문

가를 만나는 것에 부담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라는 의

견이었다 언어치료사는 부모의 출신국에 한 이해를

돕는 정보나 교재 프로그램을 통해 이들의 문화와 전

통 가치관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상의 결론을 토 로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바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면담 상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을 공식검사 결과만으로 평가하는 데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는 선별에서 고위험군

으로 판정된 아동에 해서는 언어장애 유무를 확인

하는 단계에서 공식검사와 비공식검사를 보완하여 사

용하거나 역동적 평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

로 보는 선행연구(Bedore amp Pefia 2008 Deponio et

al 2000)와 일치하는 견해이다 임상현장에서 단순히

공식검사결과만으로 이들이 언어장애라고 진단하지 않

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을 규준

에 포함시키거나 이들의 특성을 민감하게 반영할 수 있

는 공식검사도구의 개발도 필요하다 할 수 있겠다

둘째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우리가 다문화가정이라

고 부르는 집단은 결혼 이민자 가정 중도입국자 가정

외국인 근로자 및 유학생 가정 새터민 가정 등 이질적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0

인 하위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다 면담 상자들이 지

적했듯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결혼 이민자가정의 아동은 사실상 단일언어가정이며

이중언어 사용아동이라 할 수 없음을 기억하고 다문화

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연구를 진행할 때 하위집단에

따른 특성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에 의하면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이 자녀

의 성장에 따라 고차원적인 의사소통과 언어적 지원

이 필요하다고 느끼지만 부족한 한국어 능력으로 인하

여 심리적 위축감과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한다(고은

2006 전홍주배소영곽금주 2008) 또한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한국어 능력이 우선임을 강조

하며 자신의 출신국 언어에 해 교육하는 것을 필수

가 아닌 선택사항으로 인식하고 있고 이중언어 환경

에 해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고은 2006) 면

담 상자에 의하면 다문화센터를 중심으로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 중요성을 알리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이

중언어교실이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그렇지만 이는

다문화가정의 아동 및 일반인을 상으로 베트남어 등

외국어를 가르치는 프로그램으로 집에서 엄마의 모국

어를 사용하여 아동을 이중언어 사용자로 양육하는 것

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정책적으로나 연구를

통해 부모가 가지고 있는 이중언어 환경에 한 불안

감을 감소시키고 초기 중요한 시기에 엄마와 아동이

어느 나라 말을 사용하든지 충분한 언어자극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넷째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교육을 지원

하고자 하는 강한 열망에도 불구하고 자녀들의 학업

에 도움을 주는 실제적이고 직접적인 지원에는 한계를

느낀다고 한다(송미경 외 2008 이진숙 2007 전홍주

배소영곽금주 2008 Cooper et al 1995) 면담 상

자들의 견해로도 언어문제를 인식하거나 평가에 의뢰

하는 데 다른 전문가들 상의 홍보와 도움이 많이 필

요했다고 하였다 또한 아동의 치료과정에서도 어머니

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 가정 방문교사나 어린이

집교사의 도움에 의존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사

실은 부모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노력해야함을 의미하

기도 하지만 언어치료사들이 다문화가정 아동을 치

료하는 과정에서 다른 전문가들과의 협력이 중요함을

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다섯째 언어평가에 의뢰되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연

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면담에 참여한 언어치료사

들도 담당하고 있는 아동의 많은 수가 24에서 36개월

사이의 영유아라고 답하고 있다 영유아를 상으로

하는 언어중재는 부모를 포함한 가정-중심 중재이며

부모에 의한 언어촉진방법을 중시하고 있다(Paul

2007) 그러나 다문화가족 영유아의 어머니는 한국에

체류한 기간이 짧아 그만큼 한국어가 미숙한 실정이

다 그러므로 다문화가정 영유아 아동의 중재 시에는

이러한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엄마의 모국어로

상호작용하도록 권유하거나 어린이집에서 제공되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과제라 할

것이다

여섯째 다문화가정 부모들은 자녀의 교육에 한

부분을 교육기관에 일임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왕한석 2007 전홍주배소영곽금주 2008)

한국사회에서 문화적응과 언어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들에게는 자녀를 이른 시

기에 교육기관에 보내어 다문화 가정의 취약한 언어

환경을 극복하고 발달을 돕고자 하는 것이 이들의 최

선의 선택이자 노력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면담에

서 밝혀진 바와 같이 부모의 소극적 참여 역시 같은

맥락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부모의 이러한 특성

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에 관련 전문가들의 역할

과 공교육에서의 교육제공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

다 어린이집과 유치원 학교에서 언어치료사가 근무

하게 될 경우 언어치료 상에 다문화가정 아동을 포

함시키는 방안도 추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 언

어치료사가 전체 언어치료사의 55를 넘는 미국의

경우(김영태 2004) 학교언어치료사가 현실적으로 과

중한 치료사례를 담당하고 있는 것이 이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나타났다(Marshall Stojanovik amp Ralph

2002) 이러한 문제는 앞으로 학교에서 언어치료를 제

공하게 될 우리나라에서도 미리 고려해야 할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더구나 다문화가정 아동과 같은 위험군 아

동을 학교 언어치료사의 치료 상에 포함시킬지 여부

도 우리가 고려해야할 사항이 될 것이다 언어치료사의

역할에 lsquo장애의 예방rsquo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ASHA

2004 Paul(2007)에서 재인용) 향후 학교 언어치료사

에 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될 때에 다문화가정 아

동과 같은 위험군 상아동에 한 예방 업무가 포함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이끌 수 있도록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사회의 일원인 언어치료사의

역할 역시 변화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

해 밝혀진 바와 같이 급증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아동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61

의 언어치료 및 지도에서 언어치료사는 언어발달지도

사로 근무하거나 이들의 수퍼바이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면담 상자에 의하면 언어발달지도사들이

현재 아동이 속한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로 파견 근무

를 나가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앞으로 통합어린이집

에서 언어치료를 제공하거나 학교 언어치료사로 근무

하는 것 역시 새로운 언어치료사의 역할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언어치료사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관련 정보 습득 학령기 아동을 위한 읽기 등에 한

공부 통합된 교실에서의 언어치료 제공능력과 같은

다양한 직업 환경에 맞는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언어치료사와 연구자들이 변화해가는 역할을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한 방향을 제시하

는 데 그 임상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참 고 문 헌

고은(2006) 이중언어 사용 아동의 부모들이 갖는 모국어에

한 가치 기준과 경험적 의미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5(3) 165-184

권수진(2006) 다문화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생성이름

기 특성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교육과학기술부(2010) 다문화가정 학생현황(2010 4 출신국

포함) 출처 httpwwwmestgokr

김영란김영태이은주(2007) 이중언어아동의 어휘학습

능력 측정에 적용된 역동적 평가에 한 타당성 고찰

-1990년 이후의 문헌을 중심으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3) 59-77

김영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김영태김경희윤혜련김화수(2003) 985172영유아 언어발달

검사(SELSI)985173 서울 파라다이스 복지재단

김영태(2002) 985172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985173 서울 학지사

김화수(2009) 한국 다문화사회에서 언어치료사의 역할모형에

한 제안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85-209류현주김향희김화수신지철(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능력 및 음운변동 특성 985172음성과학985173 15(3) 133-144박상희(2006)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985172한국언어치료

학회 학술 회 발표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박상희(2009)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산출에 관한 종단적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89-97박지윤박상희석동일(2007) 학령전기 이중언어 환경 아동

의 언어학적 특성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2) 131-145배소영곽금주김근영정경희김효정(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발달지원자 설문을 통해 본 아동의 언어환경

및 언어발달 실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65-184신경림장연집김영경이금재최명민김혜영김옥현

김영혜(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포커스 그룹985173 서울

현문사

송미경지승희조은경임영선(2008)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985172한국 심리학회985173 20(2) 497-517

안성우신영주(2008) 저소득층 일반아동과 다문화 가정아동

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4) 81-94

이명선김춘미고문희(역)(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상호

작용적 접근985173 서울 군자출판사

이은주김영태(2010) 1990년 이후 이중언어 연구 동향 985172언어

치료연구985173 19(2) 73-90이수정신지철김향희김화수(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능력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3) 95-115이진숙(2007)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양육실태와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관한 연구 985172열린 유아교육 연구985173 12(6) 21-42

오성숙(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 개인변인 가정환경자극과

유아 언어능력의 관계 구 학교 학원 석사학위

논문

오소정김영태김영란(2009) 서울 및 경기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과 관련변인에 한 기초 연구 985172특수

교육985173 8(1) 137-161오성배(2005) 도시와 시골지역 사이의 학업성취도 격차연구

목포시와 인근지역의 자료분석 중앙 학교 학원 박

사학위논문

왕한석(2007) 985172또 다른 한국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언어

적응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985173 서울 교문사

양성오황보명(2009) 취학전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37-56

여성가족부(2012) 2012년 다문화가족지원사업안내 출처

httpmogefgokr

장유경이근영곽금주성현란(2003)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

이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심리

학회지 발달985173 16(4) 227-241장현진신명선전희숙김효정(2011) 어머니 국적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비유창성 특성 연구 985172언어치료

연구985173 20(1) 17-29전홍주배소영곽금주(2008) 결혼이민자 가정에서 이루어

지는 자녀교육지원의 실제와 의미 필리핀과 일본

어머니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가족과 문화985173 20(3) 161-186

정은희(2004) 농촌지역 국제결혼가정 아동의 언어발달과

언어환경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3(3) 33-52정하성유진이이장현(2007) 985172다문화청소년 이해론985173 파주

양서원

정현영(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시아 여성과 한국남성의

이중문화가정자녀를 중심으로 숭실 학교 학원 석

사학위논문

최연실(2007) 도시 국제결혼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이야기능력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2

황상심정옥란(2008) 경상도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13(2) 174-192황상심(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초기 표현어휘 발달과 성차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9(1) 193-209황상심김화수(2008) 다문화환경 조음음운장애아동과 기능

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음운변동 패턴 연구 985172특수

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985173 9(4) 329-348황상심김화수(2009) 다문화에 한 언어치료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985172제1회 한국언어치료학회한국언어청각

임상학회 공동학술 회 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황상심정옥란(2008)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발달과 관련

변인 상관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1) 81-102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3

Received January 20 2012 Final revision received February 24 2012 Accepted March 1 2012

2012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httpwwwkasa1986orkr

ABSTRACT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o Hyun ParkMyoung sim Jungsect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Korea

sect Correspondence to

Myoung sim Jung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99 Daehangno Yuseong-gu Daejeon Koreae-mail bogamihanmailnet tel +82 10 2990 5002

Background amp Objectives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been increasing for yearsin Korea increased attention has been given to childrenrsquos language development Recent researchhas revealed language problem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research specifically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these problems are due to language differences or language difficulties is lack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between children with simple language disorders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In-depth interviewing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Seve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who had been working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ll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Four primary themes and seven subthemes emerged fromthe analysis 1) speech and language evalu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2)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3)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4)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for SLPs who work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scussion amp Conclusion The results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themes defined in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in reference to otherrelated literatur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presented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Key Words multicultural families bilingual speech-language evaluation speech-language intervention language development consultant at-risk children

REFERENCES

Ahn S amp Shin Y (2008) A comparative study of multi-ultural background childrenrsquos and low-income childrenrsquos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4) 81-94

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hang H Shin M Jeon H amp Kim H (2011) A study on disfluenc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mothersrsquo nationali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20(1) 17-29

Chang Y Lee K Kwak K amp Sung H (2003) Relations of maternal linguistic inputs to lexical development of Korean infant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

chology 16(4) 227-241

Choi Y (2007) Narrative abilities of Korean children with and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64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Hwang S (2010) Early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and gender difference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9(1) 193-209

Hwang S amp Jeong O (2008)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3(2) 174-192

Hwang S amp Kim H (2009) A survey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ervice deliver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oceedings of the 1st Korean Speech- 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Collaboration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Hwang S amp Kim W (2008) A study on the phonological process patterns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problem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gricultural Area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9(4) 329-348

Jeong E (2004) A study on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environment of children from internationally married couple living in an agricultural villag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3(3) 33-52

Jeong H Yoo J amp Lee J (2007)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youth Paju Yoangseowon Press

Jun H Pae S amp Kwak K (2008) Practices and meanings of immigrant mothersrsquo support for childrenrsquos education Cases of mothers from the Philippines and Japan The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20(3) 161-186

Jung H (2007)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mixed ethnic children Focused on the marriage of Korean man with Asian woman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im W (2009) A new light on models of SLPrsquos role in a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8(4) 185-209

Kim Y (2002)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Seoul Hakji Press

Kim Y (2007) Literature review regarding validity of the dynamic assessment applied in lexical learning ability measures for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3) 59-77

Kim Y Kim K Yoon H amp Kim H (2003)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Seoul Paradise Welfare Foundation

Kim Y Seong T amp Lee Y (2003) Preschool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Ko U (2006) The criteria for value and empirical meaning of mother tongue in case of parents of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5(3) 165-184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Kwon S (2006)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in generative naming for children of multi-culture family and children of ordinary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Lee E amp Kim Y (2010) A literature review of bilingual study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2009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9(2) 73-90

Lee J (2007) A study of childcare and education fathersrsquo childcare participatio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6) 21-42

Lee M Kim C amp Ko M (2004)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Seoul Koonja Press

Lee S Shin J Kim H amp Kim W (2008) A study on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3) 95-115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Statu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vailable from httpwwwmestgok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mp Family (2012)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guidance Available from httpmogef gokr

Oh S (2005) A study of achievement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ith data from Mokpo city and adjacent to regions Unpublished doctorrsquos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Oh S (2009) The relations of childrenrsquos linguistic abilities to mothersrsquo personal variables and home environmental stimuli in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Oh S Kim Y amp Kim Y (2009) Preliminary study o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mily factor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Special Education Research 8(1) 137-161

Pae S Kwak K Kim K amp Kim H (2009) Supporting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survey of mothers and developmental sup-porter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4) 165-184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rk J Park S amp Seok D (2007) Language characteristics in pre-school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2)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5

131-145

Park S (2006) Language abilit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oceedings of the Korean Speech- L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Park S (2009) A longitudinal study of articulation production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89-97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Shin K L Jang Y Kim Y K Lee K J Choi M M Kim H Y Kim O H amp Kim Y H (2004) The method of quality study Focus group Seoul Huynmoon Press

Song M Jee S Cho E amp Lim Y (2008) A study on the parental experience of a foreign mother in a mul-ticultural famil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2) 497-517

Wang H (2007) Another Korean Seoul Kyomun Press

Yang S amp Hwang B (2009) A comparative study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culture familie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37-56

Yoo H Kim H Kim W amp Shin J (2008) Articulation ability and phonological process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Korean Journal of Speech Sciences 15(3) 133-144

The authors wish to thank Youngheon Lee(Saint

Andrewrsquos school DE) amp Ye Rin Jung(Chungnam Univ)

for their unfailing support in organizing interview

data

Page 4: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최소 1년 이상의 언어평 가 및 치료경험이 있는 자로 한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0

문지를 개발하였다(배소영 외 2009 이은주김영태

2010 오성숙 2009 오소정김영태김영란 2009

황상심김화수 2009 Kritikos 2003 Leah Fabiano-

Smith Goldstein 2010 RaMonda Horton-Ikard

Muntildeoz 2010) 이를 근거로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질문지의 내용은 lt표 - 2gt와 같다 질문

지 작성을 완료한 후에 면담 상자와 유사한 조건의

언어치료사 한 명에게 예비면담을 실시하였고 질문 방

식이나 녹음방법 등에 한 사항을 일부 보완하였다

lt표- 2gt 면담 내용

기본

정보

언어치료자격증여부 개별언어치료경력 다문

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경력 연령 근무형태

여건 등

상아동

정보

담당 언어치료 언어지도 상아동의 수

나이 유형 장애정도 부모의 국 등

평가다문화가정 아동의 평가방법 사용 검사도구

결과

치료 다문화가정 아동의 치료목표 방법

기타 기타 언 하고 싶은 의견이 있을 경우

나 면담 실시 및 자료 전사

연구자가 면담 참여자의 직장을 방문하여 개별면담

을 하였다 면담 참여자에게는 사전에 면담 승낙을 받

을 때 질문내용을 략적으로 알려주었다 면담 참여

자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기 위하여 면담시간에 제

한을 두지는 않았으며 면담 소요시간은 60분sim90분

으로 평균 84분 정도 소요되었다 면담 상자들의 동

의하에 면담내용을 모두 녹음하였고 면담을 마친 날

로부터 일주일 이내에 연구조교에 의해 녹음된 내용

그 로 전사하였으며 연구자가 녹음을 들으며 전사된

내용을 재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모든 면담

내용이 A4용지 약 174장으로 전사되었다

3 자료 분석 및 추후 확인면담

전사된 자료는 질적 분석방법의 하나인 연속적 비

교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을 이용하여 부

호화하고 부호들 간의 연속적인 비교를 통해 범주와

주제를 도출하였다(신경림 외 2004) 우선 첫 번째

전사본을 두 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읽으며 개방적

부호화 작업을 실시하였다 각 연구자는 부호화 작업

을 하면서 부여한 부호와 각 부호에 해당하는 조작적

정의를 정리한 후 함께 논의를 거쳐 첫 번째 부호집

을 작성하였다 두 번째 전사본은 첫 번째 부호집에

정리된 부호를 이용하여 부호화하면서 새로 생성된

부호를 추가하거나 기존의 부호들을 합하거나 분리하

는 등의 조정을 하였다 이렇게 작성된 두 번째 부호집

은 다음 전사본을 부호화할 때 사용하였다 이러한 과

정을 거쳐 모든 전사본을 두 연구자가 함께 부호화하

였고 그 결과 일곱 번의 개정 확장 과정을 통해 최종

부호집이 작성되었다 최종 부호집을 가지고 두 명의

연구자가 함께 토론하여 주제를 도출하였다 질적 분

석이 모두 끝난 후에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두 명의

면담 참여자들을 만나거나 전화를 통한 추후 확인면담

을 실시하였다 추후 확인면담의 참여자들은 결과 요

약 보고서에 동의하며 연구절차에 관련하여 특별히 개

선되어야 할 사항이 없었다고 응답하였다

4 질적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확보를 위한 노력

본 연구에서는 질적 분석 결과의 신뢰도와 타당도

를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자료분석의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모든 자료에 하

여 두 명의 연구자가 부호화과정에 참여하였으며 통

합된 관점을 확인하기 위해 모든 부호화과정을 함께

진행하였다 둘째 추후 확인면담을 통한 연구 참여자

들의 확인 작업을 거쳐 연구자들의 주관성을 피하고 신

뢰성을 확보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이명선김춘미

고문희(역) 2004) 셋째 다문화가정 아동 지도 및 치

료와 일반적인 언어장애아동의 치료를 둘 다 경험한

언어치료사를 면담함으로써 이 둘 간의 임상적 차이에

한 견해를 들을 수 있었다 또한 언어치료경력이 오

래되었고 박사이거나 교수로 재직 중인 언어발달지도

사 수퍼바이저들이 면담에 직접 참여하였거나 우수한

언어치료사출신 언어발달지도사를 추천하여주었다 이

와 같이 면담 상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

에 한 임상경험과 연구경험이 풍부하여 이들의 견

해는 충분히 신뢰롭고 타당한 자료를 제공해 주었다

Ⅲ 연구 결과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질적 분석한 결과 다음

과 같은 네 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1) 다문화가정

아동의 평가 (2)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3)다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1

lt그림-1gt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해 도출된 주제들의 도식화

문화 가정 아동의 치료 (4) 향후과제 lt그림- 1gt은 도

출된 주제와 하위주제들 간의 유기적 관계를 도식화

한 것이다 결과에서는 각 주제별로 중요 내용을 요약

하였고 지면 관계상 표적인 면담내용 사례만을 제

시하였다

1 다문화가정 아동의 평가

가 평가 의뢰 경로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문제를 인식하고 센터로

언어평가를 의뢰하는 경우는 부분 방문교사에 의한

경우였다 요즈음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지역에 생기

기 시작하면서는 어머니들이 센터를 이용하면서 아동

들의 언어평가 및 언어지도 프로그램을 알고 찾아오

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저희 방문서비스라고 해서 엄마들한테 부모교육을

제공하시는 선생님들이 계세요 그분들이 본인들의

아이들 키워보고 이 아이들(다문화가정 아동들) 봤

을 때 좀 뭔가 문제가 있다하면 데리고 오시고요

아니면 어린이집에 가면 다문화가족 아이들이 일

찍 맡겨지거든요 일찍 맡겨지는데 또래보다 뭐 좀

늦다 그러면 신청해서 시설에 신청해서 방문 진단

하거든요(S4 4152-156)

다문화가정 아동 조부모들의 lsquo조금 있으면 말을 할

거야rsquo라는 인식과 지역적인 접근성의 어려움으로 스

스로 찾아오는 경우는 많지 않다고 한다 그리고 언어

평가가 필요한 다문화가정 아동을 발견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어린이집이나 학교 선생님과 같이 다문

화가정 아동과 관련된 전문가들에게 언어평가 및 치

료 프로그램을 알려줄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나 공식평가 방법에서의 문제점

우리나라에서 비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사용하고 있

는 표준화된 검사도구로 다문화가정 아동을 평가하기

엔 문제가 있다는 의견이 부분이었다 일반적으로 사

용하고 있는 표준화검사도구의 표집은 비다문화가정

아동만을 상으로 했기 때문에 규준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공식평가 결과만으로 언

어장애 혹은 언어문제가 있다고 해석하는데 있어서 주

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었다 또한 부모보고에 의한 평

가방법은 부모의 한국어 능력으로 인해 어려움이 있다

고 하였다

외국에서도 흑인아이들 경우도 규준에 안 넣었다

가 규준에 흑인이 안 들어갔을 때는 (흑인아이들의

언어능력이) 완전히 다 낮은 걸로 나왔는데 흑인을

규준에 넣은 게 그 PPVT에 넣었다고 알고 있거든

요 그때 흑인규준 넣은 것이 조금 더 낮았다고 했거

든요 제가 그때 보기에는 흑인규준이 따로 있고 합

친 것도 그랬었어요 그래서 (우리도) 그렇게 좀 비

교를 해야 되지 않을까(S1 12443-447)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2

그렇죠 아무래도 그러니까 어머님이 한국어가 안

되시다보니까 SELSI같은 경우 굉장히 손짓 발짓

을 많이 해야 하는 경우 있구요 그런 경우에는 사실

은 정말 뭐 부모님이랑 상호작용하는 것만 가지고

관찰한다거나 제가 상호작용하면서 조금 관찰을 한

다거나 이거에 더 의존을 하게 되는 것 같아요 어머

니한테 받는 보고로는 크게는 어려운 거 같아요 그

것만 보기에는(S5 9336-340)

(SELSI 등 어머니 보고에 의한 평가를 할 때) 평균

적으로 얘기를 해보면 안다고는 하는데 내말을 이

해했다고 답은 하는데 그거에 해서 제가 예를

들어 달라고 부탁을 한단 말이예요 그러면 엉뚱한

애기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그래서 lsquo아 할 수

있어요rsquo 하고 lsquo예rsquo 체크를 하다가도 계속 어머니께

서 말을 많이 하신단 말이예요 한 문항 한 문항 말

을 하는 걸 들어보면 엉뚱한 답을 하는 경우가 많

아요 그러면 다시 lsquo아니오rsquo로 체크를 하는 경우가 많

거든요 이해를 한다는 거는 솔직히 반반이예요 (한

국어들이 조금 떨어지실 경우에는 아무래도 평가할

때 어려움이) 많아요(S6 4126-136)

아동이 검사문항을 통과하기는 하지만 각 문항에

해당하는 언어지식을 충분히 가지고 있지는 못한데

검사도구로 이를 민감하게 평가하지는 못해서 아동이

잘 하는 것처럼 평가되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었

다는 보고가 있었다 검사 상 아동에 따라서는 언어

검사 과제수행방법에 익숙하지 않아서 오류를 보이는

경우가 있으며 일본 필리핀 등 엄마 모국어 발음이

아동에게 영향을 미쳐서 조음검사 시 오류로 판단을 해

야 하는 지 특성으로 봐야하는지 혼돈이 생긴다는 의견

이 있었다

다 공식 평가문제의 안

다문화가정 아동을 평가하는 데 생기는 공식 검사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단기간 가르쳐본 후 향상되

는 정도에 따라 판단하는 역동적 평가를 하거나 비공

식검사를 실시한다는 의견이었다 언어발달지도사의

경우 아동의 행동특성 이야기특성 읽기특성 화특

성을 기술하도록 하여 공식검사만으로 아동의 언어능

력을 평가하지 않도록 슈퍼바이저가 권고 지도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공식검

사를 개발해야 한다는 의견과 언어지연과 지체 구별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초기부터 언어치료사에 의한 언

어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을 제시하

였다

역동적 평가를 해보면 확실히 언어장애가 있는 아

동과 차이가 있는 것 같아요 일회성으로 만나는 아이

들 같은 경우는 그냥 단순하게 알려주고 조금 지나서

다시 읽어보는이 정도 밖에는 할 수 없는 것 같구

요 길게 만나는 아이들 같은 경우는 검사에서 lsquo얘네

들이 경험이 없어서 못했겠다rsquo 싶은 것들을 치료시

간에 한 두 회기에 도입시켜서 해주고 나면은 어휘

같은 것들은 쉽게 익혔던 것 같아요(S1 7250-257)

한 회기 안에서도 조금 단서제공을 해가지고 짧게라

도 아이가 조금 배운 다음에 조금 향상이 되는가해

서 역동적 평가할 수 있는데 저는 개인적으로 단기

학습을 조금 시켜봤었거든요 hellip(중략)hellip 다문화가

정 아이들 세 명 데리고 그룹했었는데읽기 이해

로 그룹을 했었어요 한명은 언어공식검사에서 문

제는 없었어요 근데 자발화하고 이야기를 떠봤더니

문법오류가 너무 많고 1학년인데도 문법오류가 너

무나 많고 뭐전달도 잘 안되고 조금 화용도 이상

하고 거기다가 읽기 공식검사에서 읽기 수준이 조

금 떨어지게 나오고 한명은 전반적으로 다 떨어지

고 나머지 한명은 언어에서 조금 지체되는 정도

이렇게 나왔었어요 hellip(중략)hellip 그래서 단기학습을

시켜봤더니 이 세 명 중에 두 명은 금방 올라온 거예

요 hellip(중략)hellip그런데 단기학습을 시켰을 때 두 명

은 굉장히 향상이 되고 한 명은 향상은 있었지만

그게 두드러질 정도는 아니였어요 얘한테어머니

한테 lsquo얘는 치료를 받았으면 좋겠어요rsquo하고 말씀을

드렸었어요 그 뒤에 이렇게 보면은 lsquo아 정말로 단

기학습을 해서 조금 보기는 해야겠구나rsquo 한 번에 보

기가얘네가 다 장애 lsquo언어장애rsquo하고 이름 붙이

기가 되게 위험한 거예요(S5 4155-5170)

2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가 첫 평가 시 상아동의 연령

보통 어린이집을 다니기 시작하는 4 5 6세가 많았

으나 2011년부터는 다문화가정아동의 교육비 전체가

무료가 되면서 24개월 미만의 영유아 방문도 점점 많

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부모님이 발견하고 인식하는 경

우는 아동이 학년기가 되었을 때지만 요즘은 언어발

달지도사가 찾아가기 때문에 아주 어린연령부터 접근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3

이 가능하다고 한다

지금 원래는 상은 6학년까진데 제가 많이 본거는

거의 만3세정도의 아동이 많아요(S6 260)

지금 아이들이 다 어리니까요 20개월에서 한 35개

월 정도요 그러다보니까 엄마랑 아이랑 같이 말을

배워간다고 보시면 되요 그러니까 상호작용 문제

가그 또래 애들 중에 말 느린 아이들이 되게 많아

요(S7 112-15)

나 언어특성

다문화가정 아동 부분이 비다문화 가정 중에서도

낮은 SES아동과 유사한 언어특성을 보인다는 의견이

었다 다문화가정 아동은 어휘능력이 두드러지게 저하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가장 두드러지게 향상

되는 부분 또한 어휘능력이라고 한다

그리고 어머니의 출신국 언어의 억양이나 조음에 영

향을 받아서 독특한 억양이나 조음특성이 나타나는 사

례가 종종 있다는 의견이었다 학령기 아동의 경우 부

족한 경험으로 인하여 이야기하기 과제 및 문제해결력

이 미숙하고 질문에 답할 때 서툰 표현력이 관찰된다

고 한다

어디에서 얘네들이 가장 막히냐하면 어미 그리고

마지막 끝 말미 서술 표현이 정말 웃겨요 그 서술

마무리까지를 잘 못해요 그 마무리를 참 이상하게

말해요 항상 그냥 단답형에 익숙한 아이들이라서

문장을 마지막에 끝내는 거에 많이 익숙하지가 않더

라구요 그래서 서술어도 지네 마음 로 해요 만약

에 제가 질문이 예측 예방하는 차원의 질문이었어

요 만약 lsquo이런 일이 있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했었

어야 하니rsquo 하면 이거에 맞는 서술부분이 나와야

되는데 그냥 평서문처럼 lsquo주어 목적어 서술어rsquo 이런

단문형태의 그냥 lsquo누가 뭘 했어요rsquo 이런 식이예요

답변이(S2 9308-314)

어 어휘 아닐까 어휘영역이 속도가 굉장히 빠르구

요 하지만 또 끝까지 애먹이는 것도 어휘 참 특이하

지요 그만큼 우리가 연령이 높아지면서 습득해야

될 어휘가 굉장히 많아서 제일 많이 늘어나는 것도

어휘인 것 같은데 또 언어발달지도 받고있는 학령

기 친구들이 제일 애먹는 것도 어휘에요 오히려 못

따라가요 아무래도 모국어 친구들만큼 못 따라가는

것도 어휘더라구요 그게 또 그러네 (S3 5160-164)

아 그러니까 일본아이들 같은 경우는 조음에 있어

서 약간 억양문제가 있는 아이들도 있고요 그 다음

에 중국아동들은 음중국어를 오래 한 아동은 조

음에 있어서 정말 지역에 따라서 좀 다르기는 한데

그래도 lsquoㄹrsquo 조음이 잘 안 되는 경우도 있고요(S4

16624-627)

그냥 얘기는 화상에서의 얘기는 괜찮은데 엉뚱한

답을 조금해요 이해를 못해서 그래서 무슨 질문

같은 걸 하면 엉뚱한 답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서 그것도 아까 말했듯이 어휘가 약하기 때문에 lsquo이

거 이렇게 했어rsquo 막 이렇게 행동이랑 같이 표현을

하거나 아니면 같은 말에 오만상을 다 쓰거나 하는

경우가 조금 있어요 그리고 아까 말했듯이 이해를

못해서 엉뚱한 이야기를 하고 자기 관심사만 조금

얘기를 하고 이거 얘기하다가 갑자기 다른 얘기로

넘어가고 내가 물어봤던 건 이건데 전혀 다른 얘

기를 하고 막 이렇게 그렇게 산만하지 않은데도 그

런 경우가 있어요 내가 무슨 얘기를 하면 lsquo우산을

갑자기 비오니까 우산 들고 가야지rsquo하면 lsquo우산 집에

있어rsquo부터 시작해서 그래서 lsquo비 올땐 뭐 필요하

지rsquo 물어보면 내가 듣고 싶은 건 lsquo아 우산 들어야

돼요rsquo 라는 답을 원했는데 lsquo어 밖에 비 안 오는데요rsquo

그래서 막 그림 그리면서 lsquo어 지금 비오잖아rsquo하면

그 질문에 한 lsquo어 우산 써야rsquo 그 얘기가 아니라 lsquo어

비 많이 오네rsquo 이러면서 lsquo나도 그릴래요rsquo해요(S6

10368-388)

다 언어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 외 특성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문제와 더불어 문화적 차이

로 인하여 겪게 되는 심리적인 문제가 상당히 심각하

다고 한다 또한 부분의 다문화가정 아동의 가정환

경 및 경제적으로 좋지 못한 환경 등으로 인해 집안에

서도 안정적이지 못한 경우도 많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러한 경우 다문화가정 아동은 체로 말을 안 하거

나 쉽게 마음을 열지 못해 라포형성이 어려우며 자신

감이 떨어지고 또래와 다른 외모로 자존감이 낮은 경

우가 많다고 한다

두드러지죠 정서 이것도 취약계층 아동이랑 거의

비슷해요 걔네들 같은 경우에는 이 따뜻한 표현 또

는 상호작용에 의한 이런 경험 지지받았다는 그런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4

사실 이런 것들이 답습이 안 되서 마치 던지듯이

말해요 예쁜 말들이 아닌 거죠 그리고 준비가 안

되어있어요 받아들이기가 그래서 표면적으로 드러

나는 언어패턴이나 이런 부분들이 조금 괴팍스러워

요 그니까 얘네들하고 조금 비슷한 거 같애서 정서

에서 어려움이 오는 아동들도 있잖아요 그런 아동

들을 어떻게 정서가 딱 어려워서 온 게 아니라 환경

으로 인해서 이렇게 정서적으로 고립된 아동들도 있

잖아요 걔네들 반응하고 거의 똑같은 거 같아요(S2

17614-621)

일본인 가정은 확실히 문화적인 차이예요 어떤 거

냐하면 존 법아시아권은 부분 그 예의와 관련

돼서 굉장히 중시하잖아요 근데 아이들도 남의 말

을 경청하고 숙여지는 게 있어요 그니까 남의 말을

더 들어주는 거예요 일본인 가정은 부분 다 lsquo예

예rsquo 이런 거거든요 더 적극적으로 의사소통을 하지

않아요 똑같이 일반인 가정의 부모가 유럽쪽 계통

이 있었어요 유럽쪽 계통의 엄마가 한국남성하고

결혼한 그런 분이었는데 이집은 달라요 되게 적극

적이예요 아이가 의사소통 자체가 굉장히 적극적

인데 일본인 가정은 덜 적극적이예요 이 문화가 경

청하고 들어주고 그저 lsquo예 예rsquo이런 문화라서 그런

건지는 모르겠는데 자기표현 보다는 더 듣는 쪽으로

아이들이 발달을 한 것 같아요(S2 8271-280)

말을 안 하거나 쉽게 맘을 못 여는 거 장애가 있는

친구들보다 라포를 형성하는데 굉장히 오래 걸리

고 그리고 자기가 자신감이 굉장히 없어요 유치원

친구들이나 학교 친구들로부터 이미 외모로 인한

lsquo좀 다르다rsquo라는 인식으로 인해서 자신감이나 자존

감이 되게 낮아요 이미 외모에서 티가 나버리니깐

그런 것들이 좀 심각한 것 같아요(S3 6186-189)

라 이중언어 사용 현황

면담 상자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다문화가

정 아동이 한국어와 함께 엄마의 모국어를 함께 사용

하는 경우는 략 10~20정도였다 이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머니가 일방적으로 한국문화에 적응하고 어

머니의 문화를 가르치거나 노출시키는 경우는 많지 않

기 때문이기도 하고 또한 어머니가 자신의 출신국 언

어를 사용할 경우 아이한테 혼돈을 줄 수 있다는 걱정

과 가족들이 한국어만을 쓰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높은 교육열을 보이는 일본출신

의 어머니들의 경우는 출신국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보고도 하였다

중국이나 필리핀 경우는 영어를 가끔씩 쓰는 것 같

은데요 ( 부분은) 주로는 한국어를 썼던 것 같아

요 보통 확률로 보면 한 20내외 나머지는 다 한

국어 근데 요즘 중도입국한 아이들 다른 나라에 살

다가 학교 갈때 쯤 한국 들어오는 경우는 한국어가

제 2 외국어가 되죠 우리 머릿속에 언어에 한 선

호도 어떤 언어가 더 높은지 아는 것 같아요 다문

화 가정에서도 한국어가 더 높다는 거죠 필리핀 태

국 이런 곳 보다 그래서 식구들이 다 한국어만 쓰기

를 원하고 또 앞으로도 걱정을 하는 것 같아요 엄마

가 필리핀 태국말을 쓰면 애가 한국말을 잘 못 배울

까봐(S1 5171-182)

모국어를 쓰는 경우는 정말 일본 엄마들로 한정이

되어있어요 일본이나 중국 몽골은 전혀 안 쓰세

요 거의 lsquo내 아이가 헷갈릴 수 있다rsquo라는 생각을

갖고 계신 분들이 많기 때문에 저의 경우 엄마랑

아이가 본국말로 의사소통 하는 경우는 일본이 제

일 많고 그 다음에 중국 그리고 가끔 필리핀 영어

로 음 그리고 드문 케이스지만 저희 센터에 우즈

벡에서 오신 선생님이 계신데 그 분은 아이들이랑 러

시아어로 의사소통을 하시더라구요(S4 6226-235)

3 다문화가정 아동의 치료

가 언어치료 제공의 어려움

언어평가 후 언어능력이 6개월 이상 지연 및 지체

되어 언어치료가 필요한 다문화가정 아동이 전문 언

어치료기관으로 의뢰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고 한다 다

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와 그 가족들은 언어평가 결과와

상관없이 언어치료 필요여부에 무관심하기 때문이라

고 보고하였다 아동에게 언어치료를 의뢰해도 지역에

따라 그 지역에 있는 언어치료센터가 없어서 언어치료

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다문화가정 아동

의 아버지와 조부모는 자신의 아이가 다문화가정 아동

이기 때문에 언어치료사들이 편견을 가지고 문제점만

을 찾는다고 생각하는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다는 의

견도 있었다

(언어치료를 받아야 할 아동들이) 있어요 그런 아

이들은 (언어치료센터에) 연계를 해야 하는데그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5

러니까 연계되었다가도 치료실에 적응 못하고 다시

오는 경우가 있어요 그러니까 엄마랑엄마가 의사

소통이 잘 안되고 치료실 선생님들이 잘 받아주지

못하는 그런 게 조금 있었나 봐요 어떤 엄마 같은

경우는 본인이 말이 어눌한데 선생님이 빨리 설명

해주고 상담시간에 본인이 이해가 안 되게 이야기

해줘서 치료를 받다가 다시 오게 되는 경우도 있었

고 그리고 그 장애 진단을 받으면 편한데 아빠들

이 장애진단을 안 받으려고 하세요 특히 더더군다

나 치료실을 가게 되면 비용이 비싸지니까 바우처 활

용도 못 받고 그래서 그런 경우는 (다문화) 센터를

이용하려고 하시는 분들도 계세요(S4 14540-550)

한국에 들어와서 한국어에 해서 잘 모르시니까

한국어에서 문제가 있다하더라도 본인이 못 느끼

시는 경우 많이 있으세요 본인이 한국어 실력이 그

만큼 안 되기 때문에 아이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자

기가 못 느꼈다거나 그 다음에 뭐약간 국적적인

성향 같은 것을 가끔 느끼는 게 일본이라든가 중

국 어머님들은 그나마 학구열이 있기 때문에 그나마

조금 저거 하시는데 동남아권이라든가 그런 분들

은 그냥 뭐 lsquo잘 살아가면 되지rsquo로 생각하시는 분들

되게 많거든요 그래서 아이가 문제가 있다 하더라

도 생활 속에서 나랑 잘 생활하고 있다 그러면 lsquo난

안 받을래요rsquo 하시는 경우가 많으시고 어머니는 문

제에 해서 lsquo아 그렇군요rsquo라고 받아들이셔도 이제

아버지라든가 할머니라든가 이제 그한국가정에

서 lsquo어우리 아이가 무슨 문제가 있나요 왜 다문

화라고 해서 자꾸 우리아이를 찾아내고rsquo 워낙 교

육이라든가 도움이 많다보니까 lsquo다문화라도 우리

한테 자꾸 이런 거 주지 마세요 그리고 뭐가 문제가

있다고 자꾸 찾아내고 우리 애 잘 살고 있습니다rsquo

이런 분들이 오히려 아빠나 시어머니나 이쪽이 많

으신 거 같아요(S5 7299-311)

지금 제가 수업하고 있는 애들 중에서는 아직 어린이

집 가기 전 아동이 거의 40-50정도거든요 40

가 안 가고 60가 가고 이 정도 퍼센튼데 요새는

어려도 어린이집에 보내려는 경우가 많아서 근데

어린이집 가면 시간이 없다고 안 오시려고 하시는

경우가 많고 또 어린이 집 끝나고 오는 딱 그 시간

을 원해가지고 수업을 못 받는 경우가 많고 받는

경우가 60 40정도가 돼요 지금(S6 14545-550)

나 언어치료(지도) 장소

다문화 언어장애아동을 상으로 언어치료사가 제

공하는 언어치료 혹은 환경요인에 의한 경미한 언어

지체위험군 아동을 상으로 언어지도사가 제공하는

언어지도는 센터의 교실 또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다

니고 있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으로 파견 나가서 제공

되고 있었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다수가 어린이집을

다니고 있으며 어머니들은 아동이 있는 곳으로 방문

지도를 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파견근무가 늘고

있다고 한다 영유아의 경우는 가정에서의 지도가 바

람직하지만 여러 이유로 다문화 센터 규정상 가정에서

의 언어지도는 제공되지 않는다고 한다

센터 안에 있는 언어발달지도교실 근데 중요한 건

센터에 와서 언어발달지도교실에서 하는 것 보다 어

린이집으로 우리 선생님들이 가서 언어발달지도를

하는 비율이 거의 2 8에요(S3 7237-239)

다 언어치료(지도) 효과

다문화가정 아동을 언어치료(지도)를 했을 경우 어

휘영역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향상된다고 한다 하지만

연령이 높아지면서 습득해야 할 어휘가 늘어나기 때문

에 학령기 아동이 힘들어하는 부분도 어휘영역이라고

한다 아동의 언어치료(지도) 효과는 부모의 교육수준

안정된 가정환경이나 언어자극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

는다는 의견이었다 언어치료(지도)를 받는 다문화가

정 아동은 어휘습득은 빠른 편이지만 문법오류와 담

화 읽기 인지적 부분은 지속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경

우가 많다고 한다

어휘력은 노출되는 만큼 자기 것이 되서 사용하는

데 단어를 많이 활용하기 때문에 주로 어휘력부분

같은 경우에는 lsquo어라 이런 단어도 사용하네 이런

단어도 사용하네rsquo 이런 부분들이 있어요 근데 인

지적인 측면은 늘긴 늘지만 계속 향상될 만하면 어

려움이 닥치고 될 만하면 닥치잖아요 얼마나 어려

워요 그쵸 그래서 이런 측면은 계속 발달되는 게

정말 다르더라구요(S2 18640-645)

약간 문제가 있는데 문법적인 게 굉장히 많이 오류

가 있다거나 특이한 사항이 좀 관찰되었다하는 아

이들은 전체적인 점수가 향상되어도 약간의 것들이

남아있는 거예요 특히나 문법이라든가 화용적인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6

측면에서이제 만 5-6세 넘어오고 학령기 들어가

다 보면 아이들이 이미 유치원이라든가 거기서 의

사소통에 제한이 있었던 거예요 언어문제 때문에

약간 좀 소외되었다거나 아니면 뭐상호작용을

잘 못했다거나 그래서 이게 연습이 제 로 안 되어

있는 거예요 그런데 이거를 선생님하고 11로 앉아

가지고 보통의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은 화용문

제를 잡기도 하시지만 보통 드러나는 공식검사에

서 드러나는 거 어휘라든가 문법을 잡으시거든요

그런데 그러다 보니까 이 아이가 나중에 어휘와 문

법이 잘 쌓여도 나중에 그룹에 들어가 가지고 화용

적으로 막 쓰는 데는 약간누가 듣기에는 어 상호

작용을 해보면 약간 이상한 용어가 남아있는 거예

요 그래서 결국에는 이제 만 6세 학교 들어가기 전

이라든가 학교 들어가고 나면 그게 계속 두드러지

게 되는 거 같아요(S5 6236-7250)

언어지도 후 6개월마다 진전평가를 실시하는데 이

때 정상범주에 들어서 종결되는 아동들이 꽤 많다고

한다 이는 아동의 언어문제가 언어환경적인 이유로 인

한 일시적인 언어지체이기 때문으로 설명되고 있었다

연령별로는 영유아의 경우에 6개월 언어지도 후 거의

정상범주에 드는 경우가 많지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6개월 안에 종결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는 의견도

있었다

라 언어치료(지도) 내용 및 방법

일반적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을 언어지도하는 방법

은 일반 언어치료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한다 이는

면담 상자들이 언어치료사이기 때문일 수도 있고 이

들의 수퍼바이저가 모두 언어치료사이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상자의 언어문제가 장애인지 환경적인 일시

적 언어지체인지 명확하지 않은 경우 언어치료를 제공

하는 것이 안전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이었었다 언어촉

진이나 부모 및 교사교육이 포함된 언어치료프로그램

이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적절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언

어지도 방법 면에서는 다문화가정아동과 비슷한 상황

의 주인공을 다룬 이야기책을 사용하거나 어머니의 출

신국에 관한 내용을 반영한 교재를 사용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보통은 lsquo언어치료하고 별로 다르지 않다rsquo라고 언어

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 아이들한테 더 맞는 거 같

거든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제가 그게 더 익숙해서

그런지 몰라도 뭐 한국어 학습 같은 거라든지 이런

것을 받고 그것을 응용을 할 수는 있겠지만 언어치

료 프로그램이 더 맞는 거 같아요(S4 10408-411)

엄마를 지원하는 게 중요하기는 한 거 같아요 lsquo아동

에게 집에 가서 어떻게 자극 주세요rsquo 하는 것들이

그냥 설명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엄마 언어 수준에

맞춰서 제공된다거나(S5 17711-715)

마 부모 참여 및 교육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머니는 스스로 한국어가 부

족하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언어치료사를 만나는 것에

한 부담을 느끼며 비참여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한

다 한국어가 능숙한 어머니에게는 직접 부모교육을

실시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아버지나 방문교사

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의견이었다

그리고 우리나라와 다른 문화에서 자란 다문화가정 아

동의 어머니들이 한국에서 아동을 가르치고 키우는 방

법들을 이해하기 힘들어하거나 혼란스러워하는 경우

가 있다고 한다 이런 경우 부모 출신국에 한 문화적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는 견해이다 그리고 아동의 언

어능력이 어머니의 한국어능력보다 좋아지게 되면 어

머니가 아동에게 언어적인 피드백을 해주는데 어려움

을 겪는 경우가 종종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치료 참여에) 적극적이진 않고 왜냐면 언어가 잘

안된다고 생각을 늘 하세요 그래서 lsquo잘 못 알아듣겠

다rsquo 이런 말씀을 전제로 깔고 가시기 때문에 그런

환경(교육환경)에 익숙하지가 않은 거예요 아직 국

내에서 적응하는 것 자체도 익숙하지 않은데 더군

다나 선생님과의 관계 속에서 무언가 또 같이 이야

기를 나누는 것 자체도 많이 염려스러워하고 이런

부분 때문에 참여하기도 어려운 거죠 참여 시키는

것 자체도 되게 어려움이 있는데 거의 비참여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S2 19689-695)

부모교육 같은 경우에는 저는 조금 거의 한국에서

사신 지 좀 되신 분들 적어도 한 4sim5년 이렇게 되

신 분들 상 로 했었어요 그런데 그런 분들은 크게

문제는 없으세요 특히나 일본 분들은 한국어를 또

쉽게 배우시기 때문에 크게 문제는 없는데 그러

니까 들어오신지 10년이 됐는데 과수원에서 과일

만 따다보니까 한국어를 못 배우신거예요 그래서

아이하고 한 거에 해서 말씀을 드려도 이해를 못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7

하시고 lsquo가서 뭐 해주세요rsquo 해도 못 하시고 그러다

보니까 나중에는 어머니한테 말씀드리는 게 아니라

아버지를 부르게 된다거나 아니면 이 아이가 다니

는 공부방의 누군가에게 도움을 요청한다거나 그

렇게 해서 환경적으로 전체적으로 접근하게 되고

그 때는 어머니만 잡기에는 어려움이 많이 있어

요(S5 9343-352)

(부모님이 집에서 언어촉진 주는 것을) lsquo알겠다rsquo고

하고 잘 안하시는 것 같아요 우선적으로 저는 (아

동과 한 것) 다 얘기 못하거든요 그게 설명이 힘들

어요 솔직히 lsquo공부한 거 애들은 그렇게 어려운 말

필요 없고 그냥 애들이 하는 거 보고 신 엄마가

애 입장에서 얘기해주세요rsquo 이 말 자체는 (엄마에게)

어려워서 예를 들어주거든요 자동차를 보면 어떻

게 어떻게 말을 하는 걸 보여주면 lsquo아아 이렇게

이해했다rsquo고 말을 해요 그렇게 하나씩만 이야기를

하는 편이예요 lsquo오늘 집에서 이렇게만 해주세요rsquo 이

런 식으로 그럼 lsquo잘 알겠어요rsquo하긴 하는데 lsquo어려워

요rsquo 이렇게 얘기를 해요 말을 못 알아듣는 게 아니라

애한테 그렇게 하는 게 어렵다고 잘 안된다고(S6

11410-421)

바 치료에 한 조언

면담 상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에만 초점

을 두기보다는 다문화가정에 해 전반적으로 이해하

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아동과 부모와

의 관계 및 문화적인 부분도 함께 고려해야 하면 다른

발달영역 전문가들과도 협력하는 능력도 필요하다는

의견이었다 공식검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한계점이 있

다는 것을 인식하고 언어학습능력과 잠재력 등을 평

가하여 언어치료(지도)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견

해이다 부모상담 시에는 충분한 상담시간을 제공해

야 한다는 의견이었다

다문화가정 아이들 경우에는 우선은 이 아이가 정

말로 다문화냐 정말로 이 아이가 환경적으로 다문

화환경에 노출돼서 이중언어가 되고 있는지아니

면 이 아이가 뭐 중도입국한 경우도 있구요 지금은

이주노동자들도 언어발달지도사를 찾아오거든요

그럴 경우에 언어적인 자극을 엄마가 안 주거나 교

육적인 서포트를 안 해주는 게 단순히 엄마가 문제

가 있다고 보기보다는 lsquo어 이 나라(엄마의 출신국)

에서는 이런 것들이 없었고 엄마가 적응하는데 내

가 서포트하는 역할이 있어야 되는 구나rsquo해야 하거

든요 그런데 그게 없이 아이만 보게 되는 거예요 왜

냐하면 저희는 lsquo엄마랑 상호작용하는 거 봐요rsquo하고

언어치료사가 이런 것들을 하긴 하지만 계속 아이

의 상태 아이의 수준 이것만 많이 보게 되는 거예

요 그러니까 엄마가 가지고 있는 한국어 실력이라

든가 엄마의 한국어 실력이 얼마나 성장되는지 혹

은 엄마가 어느 정도의 자극을 줄 수 있는 환경에

있는지 이런 것들이라든가 엄마가 아니라도 그러

면 가족들은 얼마나 지원했는지 이런 것들을 많이

놓치세요

또 아이가 가지고 있는 많은 어려움들 특히 피부색

이 다르거나 그런 아이들 중에 간혹 생기긴 하거든

요 많이 없어졌다고 해도(중략)요즘엔 정말로

많이 줄기는 했어요 그런데 필리핀 아이나 베트남

아이 같은 경우는 생김새가 조금 다르다 보니까 애

들이 왕따 같은 것들도 많이 당하기도 하고 선생님

한테 와가지고 다 털어놓고 얘기를 잘해도 학교 가

서는 얘기를 못한다거나 그러면사실은 나만 잡고

교육을 할 수가 없는 거잖아요 심리적인 문제라든

가 여러 가지가 걸리기 때문에그런데 lsquo어 얘가 밖

에서 언어를 못 쓰면 내가 계속 지원해주면 되겠지rsquo

라고 가는 경우도 있긴 하거든요 그러니까 그게 언

어치료사가 아동만 보다보니까 lsquo지금 내가 언어부

분만 봐야지rsquo로 가는데 사실 아이를 전반적으로 보

면 뭐 가족도 봐야 되고 문화적인 것도 봐야 되고

또 다른 발달영역에서 같이 좀 코웍할 수 있는 게

뭐가 있는지도 좀 자세히 살펴보기는 해야 될 거

같아요(S5 13503-14534)

4 향후 과제

가 향후 연구과제

다문화가정 아이들의 특성을 잘 반영해주기 위한

검사도구가 새로 개발되어야 한다는 의견과 앞으로 한

국어가 제2외국어가 되는 경우에 해서도 준비가 필

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연구방향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 같

아요 옛날에는 그냥 단순히 비교해 가지고 lsquo낮다rsquo

이렇게만 했었는데 요즘에는 소득도 약간 통제해

보고 중산층이랑 저소득층이랑 다문화랑 이렇게 비

교하잖아요 조금 특성을 더 접근해 갈려고 하는 것

같아요(S1 11522-524)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8

저는우선은 (특성연구에서) 공식검사 사용은 어

쩔 수가 없는 것 같기는 해요 공식검사에서 이제

우선은 (언어평가 결과가) 나와야 일단은 언어문제

가 있다고 판단은 하니까 그런데 특성을 보려면

공식검사만으로 lsquo어휘가 어때요 문법이 어때요 발

음이 어때요rsquo하는 것보다 조금은 환경적인 것들을

다 통합해서 아이가 실제 쓰고 있는 언어라던가

이런 것들을 자세히 살펴볼 필요는 있을 것 같아요

그런데 연구에서는 사실은 되게 어렵잖아요 자발

화를 여러 개를 떠온다거나 뭐 엄마하고 상호작용

을 관찰한다거나 그런 게 굉장히 어렵기는 하지만

그게 이제는 공식검사만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조금 부모를 포함해서 혹은 설문을 통해서라도 환

경하고 언어를 같이 보는 게 이제는 많이 시작은

되어야 할 것 같아요(S5 271103-1111)

나 엄마의 모국어 습득의 중요성

다문화가정 아동이 한국어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모

국어도 사용하는 것을 국가적으로 장려하고 있다고 한

다 그리고 다문화가정 아동이 학령기가 되었을 때 제

2외국어나 장래직업과 관련지어서 혹은 단순히 어머

니의 모국어를 배우고 싶어 하는 경우가 있다는 보고

가 있었다

제가 만나봤던 거의 90퍼센트 정도는 주 언어가 한

국어였고 그리고 물어보면 나중에 커서 가르쳐 주

겠다 하는 아동이 많았어요 진짜 이중언어를 배우

는 건 솔직히 좀 좋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진짜

이거 이중언어 이런 거를 필수적으로 방문 서비스

에서도 이렇게 엄마말 가르쳐 주는 서비스를 만들어

가지고 다시 또 이렇게 할 수 있게끔 같이하는 것도

필요한 것 같아요 어렸을 때부터 그걸 제가 가르쳐

줄 순 없으니까(S6 17654-665)

올해부터 장려해서 정확한 제목은 기억이 안 나는

데 영재 영재교실이라고 해서 엄마의 모국어를 가

르치는 교실도 함께 다니는 친구들도 많아요 요즘

에는 올해부터는 우리친구들을 다문화친구들을 글

로벌인재로 양성하려는 게 국가적으로 목표가 됐

죠 그래서 한국말도 가르치지만 엄마의 모국어도

한국말처럼 잘해라 엄마의 모국어도 못하는 애들

도 있거든 그래서 두 가지 언어를 잘하게 될 거 아

니에요 정말 훌륭한 인재가 될 수 있잖아요 그거

를 올해부터는 많이 강조하고 있더라구요 영재겠

지 언어영재교실이라는 이름으로 엄마의 나라 말

도 배우고 또 언어발달지도 선생님한테 한국말도 배

우고(S3 262-69)

다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

면담 상자들은 어머니가 아동의 교육에 참여하고

직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모교육프로그램이 필

요하다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영유아 아동을 위한 언

어발달지도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보고가 있었다

영유아아이들을 언어발달 지도할 때는 좀 더 다를

수 있어서 그런 영유아아이들을 상으로 하는 언

어발달지도프로그램 그런 것도아까 말했던 lsquo엄마

들을 어떻게 언어치료에 좀 더 참여시킬 것인가rsquo 이

런 문제들 그리고 매뉴얼들을 많이 개발하시려고

하는 것 같아요(S3 9307-311)

라 언어치료사의 새로운 역할

모든 면담참여자는 궁극적으로 언어에 문제가 있는

아동을 중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언어치료전공자가 다

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로 일하는 것이 필요하

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지만 현재에는 언어

치료를 전공하지 않은 언어발달지도사들도 많기 때문

에 이들과의 연계 필요성도 언급되었다 그밖에 언어

발달지도사의 감독자나 유치원 및 학교현장에서 치료

를 제공하는 학교언어치료사가 언어치료사의 새로운

역할이 될 것이라는 견해도 있었다 또한 언어치료전

공자가 언어발달지도사로 일한 경력도 언어치료사 경

력으로 인정될 필요성이 언급되었다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이 다 언어치료사는 아니

잖아요 만약에 언어치료사가 아닌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이 있다고 치면 그런 분들과 연계해서 해

야 될 부분이 많을 것 같구요(S1 13628-631)

(아동이 언어지체를 보이는) 그런 경우에는 치료를

해줘야 된다고 생각을 해요 현재는 그런 예가 적지

만 다문화 가정 아동의 엄마가 잘 못해주는 경우가

있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그냥 놔두는 것 보다 그

위험부담을 감수할 필요는 없는 것 같아요(S1

9413-316)

무료교육이 되다보니깐 우리 친구들이 100 어린

이집을 다니잖아요 그러다보니깐 엄마들이 그 유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9

치원에서 다 해결을 해보고 싶으신 거에요 자기가

데리고 오려면 교통비도 들잖아요 여유 있지 않다

보니깐그래서 유치원에 일단 들어가잖아요 그러

면 센터로 안와요(S3 7241-244)

Ⅳ 논의 및 결론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평가 및 언어치료(지도)에

해 숙련된 언어치료사를 상으로 실시한 면담 결

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에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언어평가를 받

기 위해 자발적으로 센터를 방문하는 경우는 많지 않

았으나 타전문가들에 한 홍보활동과 다문화가족지

원센터를 이용하는 어머니들이 많아지면서 다문화가

정 아동의 언어평가를 의뢰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

고 있다 면담 상자들은 기존의 공식검사 결과만으로

나타난 언어발달지체가 언어장애여부 판별에 사용되

는 것에 한계가 있음을 강조하였으며 공식검사 외에

비공식검사나 역동적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어평가 및 언어치료(지도)를 받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그 이유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비가 무료화되면서 24개월 미

만의 영유아가 센터로 방문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

기 때문이다 다수의 어머니들은 아동과 의사소통을

할 때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영유아의 경우는

엄마의 한국어 공부기간이 짧기 때문에 그만큼 더 부

족한 언어자극을 받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다문화

가정은 사회경제적 여건이 어려운 가정이 많기 때문

에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이 낮은 사회경제적 위

치에 있는 가정의 아동 언어특성과 유사한 면이 많다

는 의견이다 특히 어휘부분에서 크게 떨어지는 것으

로 평가되고 있지만 그 외에도 문법 면에서의 잦은

오류 사회적 의사소통이나 담화 및 읽기 등에서도 문

제를 보이고 있었다 언어 이외에 정서적 문제를 동반

하는 경우도 이들의 언어지도 및 학습에 영향을 미치

고 있었다

셋째 언어평가 후 언어치료가 필요한 아동의 경우

언어치료센터로 의뢰되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지

역적 특성상 언어치료센터를 찾아보기 힘든 경우도 있

지만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와 가족들이 언어치료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 않는 경우도 많다는 의견이

었다 따라서 언어치료가 필요한 언어장애아동의 경

우 언어발달지도사가 지도해야하는 경우가 많았다 언

어지도는 다문화센터 뿐 아니라 다문화가정 아동이 다

니고 있는 어린이집으로 파견 나가서 하고 있는 경우

도 많았다 환경적 요인에 의한 언어발달지체일 경우

에는 언어촉진을 주었을 때 아동의 언어능력이 크게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휘능력이 크

게 향상 되는 반면 문법오류와 담화 읽기 인지적 부

분의 어려움은 지속적으로 남아있기도 하였다

언어발달지도사는 치료사가 아니기 때문에 개발되

어 있는 교재를 활용하여 아동의 언어촉진을 목적으

로 언어지도를 수행하고 있으나 언어치료를 전공한

언어발달지도사의 경우는 일반 언어장애아동을 상

으로 한 언어치료목표나 방법을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적용하고 있었다 다만 방법 면에서 다문화가정 아동

과 비슷한 상황의 주인공을 다룬 이야기를 사용하거

나 어머니의 출신국에 관한 내용을 고려한 교재를 사

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언어치료 상이 된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의 경우 아동의 언어치료에

비참여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이 부분인데 이는 어

머니 스스로 한국어가 부족하다는 인식 때문에 전문

가를 만나는 것에 부담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라는 의

견이었다 언어치료사는 부모의 출신국에 한 이해를

돕는 정보나 교재 프로그램을 통해 이들의 문화와 전

통 가치관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상의 결론을 토 로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바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면담 상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을 공식검사 결과만으로 평가하는 데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는 선별에서 고위험군

으로 판정된 아동에 해서는 언어장애 유무를 확인

하는 단계에서 공식검사와 비공식검사를 보완하여 사

용하거나 역동적 평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

로 보는 선행연구(Bedore amp Pefia 2008 Deponio et

al 2000)와 일치하는 견해이다 임상현장에서 단순히

공식검사결과만으로 이들이 언어장애라고 진단하지 않

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을 규준

에 포함시키거나 이들의 특성을 민감하게 반영할 수 있

는 공식검사도구의 개발도 필요하다 할 수 있겠다

둘째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우리가 다문화가정이라

고 부르는 집단은 결혼 이민자 가정 중도입국자 가정

외국인 근로자 및 유학생 가정 새터민 가정 등 이질적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0

인 하위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다 면담 상자들이 지

적했듯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결혼 이민자가정의 아동은 사실상 단일언어가정이며

이중언어 사용아동이라 할 수 없음을 기억하고 다문화

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연구를 진행할 때 하위집단에

따른 특성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에 의하면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이 자녀

의 성장에 따라 고차원적인 의사소통과 언어적 지원

이 필요하다고 느끼지만 부족한 한국어 능력으로 인하

여 심리적 위축감과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한다(고은

2006 전홍주배소영곽금주 2008) 또한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한국어 능력이 우선임을 강조

하며 자신의 출신국 언어에 해 교육하는 것을 필수

가 아닌 선택사항으로 인식하고 있고 이중언어 환경

에 해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고은 2006) 면

담 상자에 의하면 다문화센터를 중심으로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 중요성을 알리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이

중언어교실이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그렇지만 이는

다문화가정의 아동 및 일반인을 상으로 베트남어 등

외국어를 가르치는 프로그램으로 집에서 엄마의 모국

어를 사용하여 아동을 이중언어 사용자로 양육하는 것

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정책적으로나 연구를

통해 부모가 가지고 있는 이중언어 환경에 한 불안

감을 감소시키고 초기 중요한 시기에 엄마와 아동이

어느 나라 말을 사용하든지 충분한 언어자극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넷째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교육을 지원

하고자 하는 강한 열망에도 불구하고 자녀들의 학업

에 도움을 주는 실제적이고 직접적인 지원에는 한계를

느낀다고 한다(송미경 외 2008 이진숙 2007 전홍주

배소영곽금주 2008 Cooper et al 1995) 면담 상

자들의 견해로도 언어문제를 인식하거나 평가에 의뢰

하는 데 다른 전문가들 상의 홍보와 도움이 많이 필

요했다고 하였다 또한 아동의 치료과정에서도 어머니

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 가정 방문교사나 어린이

집교사의 도움에 의존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사

실은 부모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노력해야함을 의미하

기도 하지만 언어치료사들이 다문화가정 아동을 치

료하는 과정에서 다른 전문가들과의 협력이 중요함을

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다섯째 언어평가에 의뢰되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연

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면담에 참여한 언어치료사

들도 담당하고 있는 아동의 많은 수가 24에서 36개월

사이의 영유아라고 답하고 있다 영유아를 상으로

하는 언어중재는 부모를 포함한 가정-중심 중재이며

부모에 의한 언어촉진방법을 중시하고 있다(Paul

2007) 그러나 다문화가족 영유아의 어머니는 한국에

체류한 기간이 짧아 그만큼 한국어가 미숙한 실정이

다 그러므로 다문화가정 영유아 아동의 중재 시에는

이러한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엄마의 모국어로

상호작용하도록 권유하거나 어린이집에서 제공되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과제라 할

것이다

여섯째 다문화가정 부모들은 자녀의 교육에 한

부분을 교육기관에 일임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왕한석 2007 전홍주배소영곽금주 2008)

한국사회에서 문화적응과 언어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들에게는 자녀를 이른 시

기에 교육기관에 보내어 다문화 가정의 취약한 언어

환경을 극복하고 발달을 돕고자 하는 것이 이들의 최

선의 선택이자 노력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면담에

서 밝혀진 바와 같이 부모의 소극적 참여 역시 같은

맥락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부모의 이러한 특성

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에 관련 전문가들의 역할

과 공교육에서의 교육제공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

다 어린이집과 유치원 학교에서 언어치료사가 근무

하게 될 경우 언어치료 상에 다문화가정 아동을 포

함시키는 방안도 추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 언

어치료사가 전체 언어치료사의 55를 넘는 미국의

경우(김영태 2004) 학교언어치료사가 현실적으로 과

중한 치료사례를 담당하고 있는 것이 이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나타났다(Marshall Stojanovik amp Ralph

2002) 이러한 문제는 앞으로 학교에서 언어치료를 제

공하게 될 우리나라에서도 미리 고려해야 할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더구나 다문화가정 아동과 같은 위험군 아

동을 학교 언어치료사의 치료 상에 포함시킬지 여부

도 우리가 고려해야할 사항이 될 것이다 언어치료사의

역할에 lsquo장애의 예방rsquo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ASHA

2004 Paul(2007)에서 재인용) 향후 학교 언어치료사

에 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될 때에 다문화가정 아

동과 같은 위험군 상아동에 한 예방 업무가 포함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이끌 수 있도록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사회의 일원인 언어치료사의

역할 역시 변화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

해 밝혀진 바와 같이 급증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아동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61

의 언어치료 및 지도에서 언어치료사는 언어발달지도

사로 근무하거나 이들의 수퍼바이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면담 상자에 의하면 언어발달지도사들이

현재 아동이 속한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로 파견 근무

를 나가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앞으로 통합어린이집

에서 언어치료를 제공하거나 학교 언어치료사로 근무

하는 것 역시 새로운 언어치료사의 역할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언어치료사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관련 정보 습득 학령기 아동을 위한 읽기 등에 한

공부 통합된 교실에서의 언어치료 제공능력과 같은

다양한 직업 환경에 맞는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언어치료사와 연구자들이 변화해가는 역할을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한 방향을 제시하

는 데 그 임상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참 고 문 헌

고은(2006) 이중언어 사용 아동의 부모들이 갖는 모국어에

한 가치 기준과 경험적 의미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5(3) 165-184

권수진(2006) 다문화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생성이름

기 특성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교육과학기술부(2010) 다문화가정 학생현황(2010 4 출신국

포함) 출처 httpwwwmestgokr

김영란김영태이은주(2007) 이중언어아동의 어휘학습

능력 측정에 적용된 역동적 평가에 한 타당성 고찰

-1990년 이후의 문헌을 중심으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3) 59-77

김영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김영태김경희윤혜련김화수(2003) 985172영유아 언어발달

검사(SELSI)985173 서울 파라다이스 복지재단

김영태(2002) 985172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985173 서울 학지사

김화수(2009) 한국 다문화사회에서 언어치료사의 역할모형에

한 제안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85-209류현주김향희김화수신지철(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능력 및 음운변동 특성 985172음성과학985173 15(3) 133-144박상희(2006)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985172한국언어치료

학회 학술 회 발표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박상희(2009)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산출에 관한 종단적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89-97박지윤박상희석동일(2007) 학령전기 이중언어 환경 아동

의 언어학적 특성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2) 131-145배소영곽금주김근영정경희김효정(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발달지원자 설문을 통해 본 아동의 언어환경

및 언어발달 실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65-184신경림장연집김영경이금재최명민김혜영김옥현

김영혜(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포커스 그룹985173 서울

현문사

송미경지승희조은경임영선(2008)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985172한국 심리학회985173 20(2) 497-517

안성우신영주(2008) 저소득층 일반아동과 다문화 가정아동

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4) 81-94

이명선김춘미고문희(역)(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상호

작용적 접근985173 서울 군자출판사

이은주김영태(2010) 1990년 이후 이중언어 연구 동향 985172언어

치료연구985173 19(2) 73-90이수정신지철김향희김화수(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능력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3) 95-115이진숙(2007)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양육실태와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관한 연구 985172열린 유아교육 연구985173 12(6) 21-42

오성숙(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 개인변인 가정환경자극과

유아 언어능력의 관계 구 학교 학원 석사학위

논문

오소정김영태김영란(2009) 서울 및 경기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과 관련변인에 한 기초 연구 985172특수

교육985173 8(1) 137-161오성배(2005) 도시와 시골지역 사이의 학업성취도 격차연구

목포시와 인근지역의 자료분석 중앙 학교 학원 박

사학위논문

왕한석(2007) 985172또 다른 한국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언어

적응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985173 서울 교문사

양성오황보명(2009) 취학전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37-56

여성가족부(2012) 2012년 다문화가족지원사업안내 출처

httpmogefgokr

장유경이근영곽금주성현란(2003)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

이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심리

학회지 발달985173 16(4) 227-241장현진신명선전희숙김효정(2011) 어머니 국적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비유창성 특성 연구 985172언어치료

연구985173 20(1) 17-29전홍주배소영곽금주(2008) 결혼이민자 가정에서 이루어

지는 자녀교육지원의 실제와 의미 필리핀과 일본

어머니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가족과 문화985173 20(3) 161-186

정은희(2004) 농촌지역 국제결혼가정 아동의 언어발달과

언어환경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3(3) 33-52정하성유진이이장현(2007) 985172다문화청소년 이해론985173 파주

양서원

정현영(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시아 여성과 한국남성의

이중문화가정자녀를 중심으로 숭실 학교 학원 석

사학위논문

최연실(2007) 도시 국제결혼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이야기능력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2

황상심정옥란(2008) 경상도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13(2) 174-192황상심(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초기 표현어휘 발달과 성차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9(1) 193-209황상심김화수(2008) 다문화환경 조음음운장애아동과 기능

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음운변동 패턴 연구 985172특수

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985173 9(4) 329-348황상심김화수(2009) 다문화에 한 언어치료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985172제1회 한국언어치료학회한국언어청각

임상학회 공동학술 회 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황상심정옥란(2008)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발달과 관련

변인 상관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1) 81-102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3

Received January 20 2012 Final revision received February 24 2012 Accepted March 1 2012

2012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httpwwwkasa1986orkr

ABSTRACT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o Hyun ParkMyoung sim Jungsect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Korea

sect Correspondence to

Myoung sim Jung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99 Daehangno Yuseong-gu Daejeon Koreae-mail bogamihanmailnet tel +82 10 2990 5002

Background amp Objectives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been increasing for yearsin Korea increased attention has been given to childrenrsquos language development Recent researchhas revealed language problem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research specifically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these problems are due to language differences or language difficulties is lack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between children with simple language disorders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In-depth interviewing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Seve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who had been working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ll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Four primary themes and seven subthemes emerged fromthe analysis 1) speech and language evalu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2)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3)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4)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for SLPs who work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scussion amp Conclusion The results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themes defined in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in reference to otherrelated literatur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presented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Key Words multicultural families bilingual speech-language evaluation speech-language intervention language development consultant at-risk children

REFERENCES

Ahn S amp Shin Y (2008) A comparative study of multi-ultural background childrenrsquos and low-income childrenrsquos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4) 81-94

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hang H Shin M Jeon H amp Kim H (2011) A study on disfluenc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mothersrsquo nationali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20(1) 17-29

Chang Y Lee K Kwak K amp Sung H (2003) Relations of maternal linguistic inputs to lexical development of Korean infant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

chology 16(4) 227-241

Choi Y (2007) Narrative abilities of Korean children with and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64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Hwang S (2010) Early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and gender difference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9(1) 193-209

Hwang S amp Jeong O (2008)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3(2) 174-192

Hwang S amp Kim H (2009) A survey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ervice deliver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oceedings of the 1st Korean Speech- 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Collaboration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Hwang S amp Kim W (2008) A study on the phonological process patterns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problem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gricultural Area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9(4) 329-348

Jeong E (2004) A study on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environment of children from internationally married couple living in an agricultural villag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3(3) 33-52

Jeong H Yoo J amp Lee J (2007)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youth Paju Yoangseowon Press

Jun H Pae S amp Kwak K (2008) Practices and meanings of immigrant mothersrsquo support for childrenrsquos education Cases of mothers from the Philippines and Japan The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20(3) 161-186

Jung H (2007)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mixed ethnic children Focused on the marriage of Korean man with Asian woman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im W (2009) A new light on models of SLPrsquos role in a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8(4) 185-209

Kim Y (2002)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Seoul Hakji Press

Kim Y (2007) Literature review regarding validity of the dynamic assessment applied in lexical learning ability measures for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3) 59-77

Kim Y Kim K Yoon H amp Kim H (2003)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Seoul Paradise Welfare Foundation

Kim Y Seong T amp Lee Y (2003) Preschool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Ko U (2006) The criteria for value and empirical meaning of mother tongue in case of parents of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5(3) 165-184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Kwon S (2006)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in generative naming for children of multi-culture family and children of ordinary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Lee E amp Kim Y (2010) A literature review of bilingual study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2009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9(2) 73-90

Lee J (2007) A study of childcare and education fathersrsquo childcare participatio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6) 21-42

Lee M Kim C amp Ko M (2004)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Seoul Koonja Press

Lee S Shin J Kim H amp Kim W (2008) A study on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3) 95-115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Statu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vailable from httpwwwmestgok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mp Family (2012)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guidance Available from httpmogef gokr

Oh S (2005) A study of achievement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ith data from Mokpo city and adjacent to regions Unpublished doctorrsquos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Oh S (2009) The relations of childrenrsquos linguistic abilities to mothersrsquo personal variables and home environmental stimuli in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Oh S Kim Y amp Kim Y (2009) Preliminary study o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mily factor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Special Education Research 8(1) 137-161

Pae S Kwak K Kim K amp Kim H (2009) Supporting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survey of mothers and developmental sup-porter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4) 165-184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rk J Park S amp Seok D (2007) Language characteristics in pre-school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2)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5

131-145

Park S (2006) Language abilit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oceedings of the Korean Speech- L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Park S (2009) A longitudinal study of articulation production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89-97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Shin K L Jang Y Kim Y K Lee K J Choi M M Kim H Y Kim O H amp Kim Y H (2004) The method of quality study Focus group Seoul Huynmoon Press

Song M Jee S Cho E amp Lim Y (2008) A study on the parental experience of a foreign mother in a mul-ticultural famil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2) 497-517

Wang H (2007) Another Korean Seoul Kyomun Press

Yang S amp Hwang B (2009) A comparative study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culture familie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37-56

Yoo H Kim H Kim W amp Shin J (2008) Articulation ability and phonological process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Korean Journal of Speech Sciences 15(3) 133-144

The authors wish to thank Youngheon Lee(Saint

Andrewrsquos school DE) amp Ye Rin Jung(Chungnam Univ)

for their unfailing support in organizing interview

data

Page 5: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최소 1년 이상의 언어평 가 및 치료경험이 있는 자로 한다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1

lt그림-1gt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해 도출된 주제들의 도식화

문화 가정 아동의 치료 (4) 향후과제 lt그림- 1gt은 도

출된 주제와 하위주제들 간의 유기적 관계를 도식화

한 것이다 결과에서는 각 주제별로 중요 내용을 요약

하였고 지면 관계상 표적인 면담내용 사례만을 제

시하였다

1 다문화가정 아동의 평가

가 평가 의뢰 경로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문제를 인식하고 센터로

언어평가를 의뢰하는 경우는 부분 방문교사에 의한

경우였다 요즈음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지역에 생기

기 시작하면서는 어머니들이 센터를 이용하면서 아동

들의 언어평가 및 언어지도 프로그램을 알고 찾아오

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저희 방문서비스라고 해서 엄마들한테 부모교육을

제공하시는 선생님들이 계세요 그분들이 본인들의

아이들 키워보고 이 아이들(다문화가정 아동들) 봤

을 때 좀 뭔가 문제가 있다하면 데리고 오시고요

아니면 어린이집에 가면 다문화가족 아이들이 일

찍 맡겨지거든요 일찍 맡겨지는데 또래보다 뭐 좀

늦다 그러면 신청해서 시설에 신청해서 방문 진단

하거든요(S4 4152-156)

다문화가정 아동 조부모들의 lsquo조금 있으면 말을 할

거야rsquo라는 인식과 지역적인 접근성의 어려움으로 스

스로 찾아오는 경우는 많지 않다고 한다 그리고 언어

평가가 필요한 다문화가정 아동을 발견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어린이집이나 학교 선생님과 같이 다문

화가정 아동과 관련된 전문가들에게 언어평가 및 치

료 프로그램을 알려줄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나 공식평가 방법에서의 문제점

우리나라에서 비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사용하고 있

는 표준화된 검사도구로 다문화가정 아동을 평가하기

엔 문제가 있다는 의견이 부분이었다 일반적으로 사

용하고 있는 표준화검사도구의 표집은 비다문화가정

아동만을 상으로 했기 때문에 규준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공식평가 결과만으로 언

어장애 혹은 언어문제가 있다고 해석하는데 있어서 주

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었다 또한 부모보고에 의한 평

가방법은 부모의 한국어 능력으로 인해 어려움이 있다

고 하였다

외국에서도 흑인아이들 경우도 규준에 안 넣었다

가 규준에 흑인이 안 들어갔을 때는 (흑인아이들의

언어능력이) 완전히 다 낮은 걸로 나왔는데 흑인을

규준에 넣은 게 그 PPVT에 넣었다고 알고 있거든

요 그때 흑인규준 넣은 것이 조금 더 낮았다고 했거

든요 제가 그때 보기에는 흑인규준이 따로 있고 합

친 것도 그랬었어요 그래서 (우리도) 그렇게 좀 비

교를 해야 되지 않을까(S1 12443-447)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2

그렇죠 아무래도 그러니까 어머님이 한국어가 안

되시다보니까 SELSI같은 경우 굉장히 손짓 발짓

을 많이 해야 하는 경우 있구요 그런 경우에는 사실

은 정말 뭐 부모님이랑 상호작용하는 것만 가지고

관찰한다거나 제가 상호작용하면서 조금 관찰을 한

다거나 이거에 더 의존을 하게 되는 것 같아요 어머

니한테 받는 보고로는 크게는 어려운 거 같아요 그

것만 보기에는(S5 9336-340)

(SELSI 등 어머니 보고에 의한 평가를 할 때) 평균

적으로 얘기를 해보면 안다고는 하는데 내말을 이

해했다고 답은 하는데 그거에 해서 제가 예를

들어 달라고 부탁을 한단 말이예요 그러면 엉뚱한

애기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그래서 lsquo아 할 수

있어요rsquo 하고 lsquo예rsquo 체크를 하다가도 계속 어머니께

서 말을 많이 하신단 말이예요 한 문항 한 문항 말

을 하는 걸 들어보면 엉뚱한 답을 하는 경우가 많

아요 그러면 다시 lsquo아니오rsquo로 체크를 하는 경우가 많

거든요 이해를 한다는 거는 솔직히 반반이예요 (한

국어들이 조금 떨어지실 경우에는 아무래도 평가할

때 어려움이) 많아요(S6 4126-136)

아동이 검사문항을 통과하기는 하지만 각 문항에

해당하는 언어지식을 충분히 가지고 있지는 못한데

검사도구로 이를 민감하게 평가하지는 못해서 아동이

잘 하는 것처럼 평가되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었

다는 보고가 있었다 검사 상 아동에 따라서는 언어

검사 과제수행방법에 익숙하지 않아서 오류를 보이는

경우가 있으며 일본 필리핀 등 엄마 모국어 발음이

아동에게 영향을 미쳐서 조음검사 시 오류로 판단을 해

야 하는 지 특성으로 봐야하는지 혼돈이 생긴다는 의견

이 있었다

다 공식 평가문제의 안

다문화가정 아동을 평가하는 데 생기는 공식 검사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단기간 가르쳐본 후 향상되

는 정도에 따라 판단하는 역동적 평가를 하거나 비공

식검사를 실시한다는 의견이었다 언어발달지도사의

경우 아동의 행동특성 이야기특성 읽기특성 화특

성을 기술하도록 하여 공식검사만으로 아동의 언어능

력을 평가하지 않도록 슈퍼바이저가 권고 지도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공식검

사를 개발해야 한다는 의견과 언어지연과 지체 구별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초기부터 언어치료사에 의한 언

어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을 제시하

였다

역동적 평가를 해보면 확실히 언어장애가 있는 아

동과 차이가 있는 것 같아요 일회성으로 만나는 아이

들 같은 경우는 그냥 단순하게 알려주고 조금 지나서

다시 읽어보는이 정도 밖에는 할 수 없는 것 같구

요 길게 만나는 아이들 같은 경우는 검사에서 lsquo얘네

들이 경험이 없어서 못했겠다rsquo 싶은 것들을 치료시

간에 한 두 회기에 도입시켜서 해주고 나면은 어휘

같은 것들은 쉽게 익혔던 것 같아요(S1 7250-257)

한 회기 안에서도 조금 단서제공을 해가지고 짧게라

도 아이가 조금 배운 다음에 조금 향상이 되는가해

서 역동적 평가할 수 있는데 저는 개인적으로 단기

학습을 조금 시켜봤었거든요 hellip(중략)hellip 다문화가

정 아이들 세 명 데리고 그룹했었는데읽기 이해

로 그룹을 했었어요 한명은 언어공식검사에서 문

제는 없었어요 근데 자발화하고 이야기를 떠봤더니

문법오류가 너무 많고 1학년인데도 문법오류가 너

무나 많고 뭐전달도 잘 안되고 조금 화용도 이상

하고 거기다가 읽기 공식검사에서 읽기 수준이 조

금 떨어지게 나오고 한명은 전반적으로 다 떨어지

고 나머지 한명은 언어에서 조금 지체되는 정도

이렇게 나왔었어요 hellip(중략)hellip 그래서 단기학습을

시켜봤더니 이 세 명 중에 두 명은 금방 올라온 거예

요 hellip(중략)hellip그런데 단기학습을 시켰을 때 두 명

은 굉장히 향상이 되고 한 명은 향상은 있었지만

그게 두드러질 정도는 아니였어요 얘한테어머니

한테 lsquo얘는 치료를 받았으면 좋겠어요rsquo하고 말씀을

드렸었어요 그 뒤에 이렇게 보면은 lsquo아 정말로 단

기학습을 해서 조금 보기는 해야겠구나rsquo 한 번에 보

기가얘네가 다 장애 lsquo언어장애rsquo하고 이름 붙이

기가 되게 위험한 거예요(S5 4155-5170)

2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가 첫 평가 시 상아동의 연령

보통 어린이집을 다니기 시작하는 4 5 6세가 많았

으나 2011년부터는 다문화가정아동의 교육비 전체가

무료가 되면서 24개월 미만의 영유아 방문도 점점 많

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부모님이 발견하고 인식하는 경

우는 아동이 학년기가 되었을 때지만 요즘은 언어발

달지도사가 찾아가기 때문에 아주 어린연령부터 접근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3

이 가능하다고 한다

지금 원래는 상은 6학년까진데 제가 많이 본거는

거의 만3세정도의 아동이 많아요(S6 260)

지금 아이들이 다 어리니까요 20개월에서 한 35개

월 정도요 그러다보니까 엄마랑 아이랑 같이 말을

배워간다고 보시면 되요 그러니까 상호작용 문제

가그 또래 애들 중에 말 느린 아이들이 되게 많아

요(S7 112-15)

나 언어특성

다문화가정 아동 부분이 비다문화 가정 중에서도

낮은 SES아동과 유사한 언어특성을 보인다는 의견이

었다 다문화가정 아동은 어휘능력이 두드러지게 저하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가장 두드러지게 향상

되는 부분 또한 어휘능력이라고 한다

그리고 어머니의 출신국 언어의 억양이나 조음에 영

향을 받아서 독특한 억양이나 조음특성이 나타나는 사

례가 종종 있다는 의견이었다 학령기 아동의 경우 부

족한 경험으로 인하여 이야기하기 과제 및 문제해결력

이 미숙하고 질문에 답할 때 서툰 표현력이 관찰된다

고 한다

어디에서 얘네들이 가장 막히냐하면 어미 그리고

마지막 끝 말미 서술 표현이 정말 웃겨요 그 서술

마무리까지를 잘 못해요 그 마무리를 참 이상하게

말해요 항상 그냥 단답형에 익숙한 아이들이라서

문장을 마지막에 끝내는 거에 많이 익숙하지가 않더

라구요 그래서 서술어도 지네 마음 로 해요 만약

에 제가 질문이 예측 예방하는 차원의 질문이었어

요 만약 lsquo이런 일이 있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했었

어야 하니rsquo 하면 이거에 맞는 서술부분이 나와야

되는데 그냥 평서문처럼 lsquo주어 목적어 서술어rsquo 이런

단문형태의 그냥 lsquo누가 뭘 했어요rsquo 이런 식이예요

답변이(S2 9308-314)

어 어휘 아닐까 어휘영역이 속도가 굉장히 빠르구

요 하지만 또 끝까지 애먹이는 것도 어휘 참 특이하

지요 그만큼 우리가 연령이 높아지면서 습득해야

될 어휘가 굉장히 많아서 제일 많이 늘어나는 것도

어휘인 것 같은데 또 언어발달지도 받고있는 학령

기 친구들이 제일 애먹는 것도 어휘에요 오히려 못

따라가요 아무래도 모국어 친구들만큼 못 따라가는

것도 어휘더라구요 그게 또 그러네 (S3 5160-164)

아 그러니까 일본아이들 같은 경우는 조음에 있어

서 약간 억양문제가 있는 아이들도 있고요 그 다음

에 중국아동들은 음중국어를 오래 한 아동은 조

음에 있어서 정말 지역에 따라서 좀 다르기는 한데

그래도 lsquoㄹrsquo 조음이 잘 안 되는 경우도 있고요(S4

16624-627)

그냥 얘기는 화상에서의 얘기는 괜찮은데 엉뚱한

답을 조금해요 이해를 못해서 그래서 무슨 질문

같은 걸 하면 엉뚱한 답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서 그것도 아까 말했듯이 어휘가 약하기 때문에 lsquo이

거 이렇게 했어rsquo 막 이렇게 행동이랑 같이 표현을

하거나 아니면 같은 말에 오만상을 다 쓰거나 하는

경우가 조금 있어요 그리고 아까 말했듯이 이해를

못해서 엉뚱한 이야기를 하고 자기 관심사만 조금

얘기를 하고 이거 얘기하다가 갑자기 다른 얘기로

넘어가고 내가 물어봤던 건 이건데 전혀 다른 얘

기를 하고 막 이렇게 그렇게 산만하지 않은데도 그

런 경우가 있어요 내가 무슨 얘기를 하면 lsquo우산을

갑자기 비오니까 우산 들고 가야지rsquo하면 lsquo우산 집에

있어rsquo부터 시작해서 그래서 lsquo비 올땐 뭐 필요하

지rsquo 물어보면 내가 듣고 싶은 건 lsquo아 우산 들어야

돼요rsquo 라는 답을 원했는데 lsquo어 밖에 비 안 오는데요rsquo

그래서 막 그림 그리면서 lsquo어 지금 비오잖아rsquo하면

그 질문에 한 lsquo어 우산 써야rsquo 그 얘기가 아니라 lsquo어

비 많이 오네rsquo 이러면서 lsquo나도 그릴래요rsquo해요(S6

10368-388)

다 언어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 외 특성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문제와 더불어 문화적 차이

로 인하여 겪게 되는 심리적인 문제가 상당히 심각하

다고 한다 또한 부분의 다문화가정 아동의 가정환

경 및 경제적으로 좋지 못한 환경 등으로 인해 집안에

서도 안정적이지 못한 경우도 많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러한 경우 다문화가정 아동은 체로 말을 안 하거

나 쉽게 마음을 열지 못해 라포형성이 어려우며 자신

감이 떨어지고 또래와 다른 외모로 자존감이 낮은 경

우가 많다고 한다

두드러지죠 정서 이것도 취약계층 아동이랑 거의

비슷해요 걔네들 같은 경우에는 이 따뜻한 표현 또

는 상호작용에 의한 이런 경험 지지받았다는 그런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4

사실 이런 것들이 답습이 안 되서 마치 던지듯이

말해요 예쁜 말들이 아닌 거죠 그리고 준비가 안

되어있어요 받아들이기가 그래서 표면적으로 드러

나는 언어패턴이나 이런 부분들이 조금 괴팍스러워

요 그니까 얘네들하고 조금 비슷한 거 같애서 정서

에서 어려움이 오는 아동들도 있잖아요 그런 아동

들을 어떻게 정서가 딱 어려워서 온 게 아니라 환경

으로 인해서 이렇게 정서적으로 고립된 아동들도 있

잖아요 걔네들 반응하고 거의 똑같은 거 같아요(S2

17614-621)

일본인 가정은 확실히 문화적인 차이예요 어떤 거

냐하면 존 법아시아권은 부분 그 예의와 관련

돼서 굉장히 중시하잖아요 근데 아이들도 남의 말

을 경청하고 숙여지는 게 있어요 그니까 남의 말을

더 들어주는 거예요 일본인 가정은 부분 다 lsquo예

예rsquo 이런 거거든요 더 적극적으로 의사소통을 하지

않아요 똑같이 일반인 가정의 부모가 유럽쪽 계통

이 있었어요 유럽쪽 계통의 엄마가 한국남성하고

결혼한 그런 분이었는데 이집은 달라요 되게 적극

적이예요 아이가 의사소통 자체가 굉장히 적극적

인데 일본인 가정은 덜 적극적이예요 이 문화가 경

청하고 들어주고 그저 lsquo예 예rsquo이런 문화라서 그런

건지는 모르겠는데 자기표현 보다는 더 듣는 쪽으로

아이들이 발달을 한 것 같아요(S2 8271-280)

말을 안 하거나 쉽게 맘을 못 여는 거 장애가 있는

친구들보다 라포를 형성하는데 굉장히 오래 걸리

고 그리고 자기가 자신감이 굉장히 없어요 유치원

친구들이나 학교 친구들로부터 이미 외모로 인한

lsquo좀 다르다rsquo라는 인식으로 인해서 자신감이나 자존

감이 되게 낮아요 이미 외모에서 티가 나버리니깐

그런 것들이 좀 심각한 것 같아요(S3 6186-189)

라 이중언어 사용 현황

면담 상자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다문화가

정 아동이 한국어와 함께 엄마의 모국어를 함께 사용

하는 경우는 략 10~20정도였다 이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머니가 일방적으로 한국문화에 적응하고 어

머니의 문화를 가르치거나 노출시키는 경우는 많지 않

기 때문이기도 하고 또한 어머니가 자신의 출신국 언

어를 사용할 경우 아이한테 혼돈을 줄 수 있다는 걱정

과 가족들이 한국어만을 쓰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높은 교육열을 보이는 일본출신

의 어머니들의 경우는 출신국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보고도 하였다

중국이나 필리핀 경우는 영어를 가끔씩 쓰는 것 같

은데요 ( 부분은) 주로는 한국어를 썼던 것 같아

요 보통 확률로 보면 한 20내외 나머지는 다 한

국어 근데 요즘 중도입국한 아이들 다른 나라에 살

다가 학교 갈때 쯤 한국 들어오는 경우는 한국어가

제 2 외국어가 되죠 우리 머릿속에 언어에 한 선

호도 어떤 언어가 더 높은지 아는 것 같아요 다문

화 가정에서도 한국어가 더 높다는 거죠 필리핀 태

국 이런 곳 보다 그래서 식구들이 다 한국어만 쓰기

를 원하고 또 앞으로도 걱정을 하는 것 같아요 엄마

가 필리핀 태국말을 쓰면 애가 한국말을 잘 못 배울

까봐(S1 5171-182)

모국어를 쓰는 경우는 정말 일본 엄마들로 한정이

되어있어요 일본이나 중국 몽골은 전혀 안 쓰세

요 거의 lsquo내 아이가 헷갈릴 수 있다rsquo라는 생각을

갖고 계신 분들이 많기 때문에 저의 경우 엄마랑

아이가 본국말로 의사소통 하는 경우는 일본이 제

일 많고 그 다음에 중국 그리고 가끔 필리핀 영어

로 음 그리고 드문 케이스지만 저희 센터에 우즈

벡에서 오신 선생님이 계신데 그 분은 아이들이랑 러

시아어로 의사소통을 하시더라구요(S4 6226-235)

3 다문화가정 아동의 치료

가 언어치료 제공의 어려움

언어평가 후 언어능력이 6개월 이상 지연 및 지체

되어 언어치료가 필요한 다문화가정 아동이 전문 언

어치료기관으로 의뢰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고 한다 다

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와 그 가족들은 언어평가 결과와

상관없이 언어치료 필요여부에 무관심하기 때문이라

고 보고하였다 아동에게 언어치료를 의뢰해도 지역에

따라 그 지역에 있는 언어치료센터가 없어서 언어치료

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다문화가정 아동

의 아버지와 조부모는 자신의 아이가 다문화가정 아동

이기 때문에 언어치료사들이 편견을 가지고 문제점만

을 찾는다고 생각하는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다는 의

견도 있었다

(언어치료를 받아야 할 아동들이) 있어요 그런 아

이들은 (언어치료센터에) 연계를 해야 하는데그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5

러니까 연계되었다가도 치료실에 적응 못하고 다시

오는 경우가 있어요 그러니까 엄마랑엄마가 의사

소통이 잘 안되고 치료실 선생님들이 잘 받아주지

못하는 그런 게 조금 있었나 봐요 어떤 엄마 같은

경우는 본인이 말이 어눌한데 선생님이 빨리 설명

해주고 상담시간에 본인이 이해가 안 되게 이야기

해줘서 치료를 받다가 다시 오게 되는 경우도 있었

고 그리고 그 장애 진단을 받으면 편한데 아빠들

이 장애진단을 안 받으려고 하세요 특히 더더군다

나 치료실을 가게 되면 비용이 비싸지니까 바우처 활

용도 못 받고 그래서 그런 경우는 (다문화) 센터를

이용하려고 하시는 분들도 계세요(S4 14540-550)

한국에 들어와서 한국어에 해서 잘 모르시니까

한국어에서 문제가 있다하더라도 본인이 못 느끼

시는 경우 많이 있으세요 본인이 한국어 실력이 그

만큼 안 되기 때문에 아이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자

기가 못 느꼈다거나 그 다음에 뭐약간 국적적인

성향 같은 것을 가끔 느끼는 게 일본이라든가 중

국 어머님들은 그나마 학구열이 있기 때문에 그나마

조금 저거 하시는데 동남아권이라든가 그런 분들

은 그냥 뭐 lsquo잘 살아가면 되지rsquo로 생각하시는 분들

되게 많거든요 그래서 아이가 문제가 있다 하더라

도 생활 속에서 나랑 잘 생활하고 있다 그러면 lsquo난

안 받을래요rsquo 하시는 경우가 많으시고 어머니는 문

제에 해서 lsquo아 그렇군요rsquo라고 받아들이셔도 이제

아버지라든가 할머니라든가 이제 그한국가정에

서 lsquo어우리 아이가 무슨 문제가 있나요 왜 다문

화라고 해서 자꾸 우리아이를 찾아내고rsquo 워낙 교

육이라든가 도움이 많다보니까 lsquo다문화라도 우리

한테 자꾸 이런 거 주지 마세요 그리고 뭐가 문제가

있다고 자꾸 찾아내고 우리 애 잘 살고 있습니다rsquo

이런 분들이 오히려 아빠나 시어머니나 이쪽이 많

으신 거 같아요(S5 7299-311)

지금 제가 수업하고 있는 애들 중에서는 아직 어린이

집 가기 전 아동이 거의 40-50정도거든요 40

가 안 가고 60가 가고 이 정도 퍼센튼데 요새는

어려도 어린이집에 보내려는 경우가 많아서 근데

어린이집 가면 시간이 없다고 안 오시려고 하시는

경우가 많고 또 어린이 집 끝나고 오는 딱 그 시간

을 원해가지고 수업을 못 받는 경우가 많고 받는

경우가 60 40정도가 돼요 지금(S6 14545-550)

나 언어치료(지도) 장소

다문화 언어장애아동을 상으로 언어치료사가 제

공하는 언어치료 혹은 환경요인에 의한 경미한 언어

지체위험군 아동을 상으로 언어지도사가 제공하는

언어지도는 센터의 교실 또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다

니고 있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으로 파견 나가서 제공

되고 있었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다수가 어린이집을

다니고 있으며 어머니들은 아동이 있는 곳으로 방문

지도를 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파견근무가 늘고

있다고 한다 영유아의 경우는 가정에서의 지도가 바

람직하지만 여러 이유로 다문화 센터 규정상 가정에서

의 언어지도는 제공되지 않는다고 한다

센터 안에 있는 언어발달지도교실 근데 중요한 건

센터에 와서 언어발달지도교실에서 하는 것 보다 어

린이집으로 우리 선생님들이 가서 언어발달지도를

하는 비율이 거의 2 8에요(S3 7237-239)

다 언어치료(지도) 효과

다문화가정 아동을 언어치료(지도)를 했을 경우 어

휘영역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향상된다고 한다 하지만

연령이 높아지면서 습득해야 할 어휘가 늘어나기 때문

에 학령기 아동이 힘들어하는 부분도 어휘영역이라고

한다 아동의 언어치료(지도) 효과는 부모의 교육수준

안정된 가정환경이나 언어자극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

는다는 의견이었다 언어치료(지도)를 받는 다문화가

정 아동은 어휘습득은 빠른 편이지만 문법오류와 담

화 읽기 인지적 부분은 지속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경

우가 많다고 한다

어휘력은 노출되는 만큼 자기 것이 되서 사용하는

데 단어를 많이 활용하기 때문에 주로 어휘력부분

같은 경우에는 lsquo어라 이런 단어도 사용하네 이런

단어도 사용하네rsquo 이런 부분들이 있어요 근데 인

지적인 측면은 늘긴 늘지만 계속 향상될 만하면 어

려움이 닥치고 될 만하면 닥치잖아요 얼마나 어려

워요 그쵸 그래서 이런 측면은 계속 발달되는 게

정말 다르더라구요(S2 18640-645)

약간 문제가 있는데 문법적인 게 굉장히 많이 오류

가 있다거나 특이한 사항이 좀 관찰되었다하는 아

이들은 전체적인 점수가 향상되어도 약간의 것들이

남아있는 거예요 특히나 문법이라든가 화용적인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6

측면에서이제 만 5-6세 넘어오고 학령기 들어가

다 보면 아이들이 이미 유치원이라든가 거기서 의

사소통에 제한이 있었던 거예요 언어문제 때문에

약간 좀 소외되었다거나 아니면 뭐상호작용을

잘 못했다거나 그래서 이게 연습이 제 로 안 되어

있는 거예요 그런데 이거를 선생님하고 11로 앉아

가지고 보통의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은 화용문

제를 잡기도 하시지만 보통 드러나는 공식검사에

서 드러나는 거 어휘라든가 문법을 잡으시거든요

그런데 그러다 보니까 이 아이가 나중에 어휘와 문

법이 잘 쌓여도 나중에 그룹에 들어가 가지고 화용

적으로 막 쓰는 데는 약간누가 듣기에는 어 상호

작용을 해보면 약간 이상한 용어가 남아있는 거예

요 그래서 결국에는 이제 만 6세 학교 들어가기 전

이라든가 학교 들어가고 나면 그게 계속 두드러지

게 되는 거 같아요(S5 6236-7250)

언어지도 후 6개월마다 진전평가를 실시하는데 이

때 정상범주에 들어서 종결되는 아동들이 꽤 많다고

한다 이는 아동의 언어문제가 언어환경적인 이유로 인

한 일시적인 언어지체이기 때문으로 설명되고 있었다

연령별로는 영유아의 경우에 6개월 언어지도 후 거의

정상범주에 드는 경우가 많지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6개월 안에 종결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는 의견도

있었다

라 언어치료(지도) 내용 및 방법

일반적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을 언어지도하는 방법

은 일반 언어치료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한다 이는

면담 상자들이 언어치료사이기 때문일 수도 있고 이

들의 수퍼바이저가 모두 언어치료사이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상자의 언어문제가 장애인지 환경적인 일시

적 언어지체인지 명확하지 않은 경우 언어치료를 제공

하는 것이 안전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이었었다 언어촉

진이나 부모 및 교사교육이 포함된 언어치료프로그램

이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적절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언

어지도 방법 면에서는 다문화가정아동과 비슷한 상황

의 주인공을 다룬 이야기책을 사용하거나 어머니의 출

신국에 관한 내용을 반영한 교재를 사용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보통은 lsquo언어치료하고 별로 다르지 않다rsquo라고 언어

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 아이들한테 더 맞는 거 같

거든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제가 그게 더 익숙해서

그런지 몰라도 뭐 한국어 학습 같은 거라든지 이런

것을 받고 그것을 응용을 할 수는 있겠지만 언어치

료 프로그램이 더 맞는 거 같아요(S4 10408-411)

엄마를 지원하는 게 중요하기는 한 거 같아요 lsquo아동

에게 집에 가서 어떻게 자극 주세요rsquo 하는 것들이

그냥 설명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엄마 언어 수준에

맞춰서 제공된다거나(S5 17711-715)

마 부모 참여 및 교육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머니는 스스로 한국어가 부

족하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언어치료사를 만나는 것에

한 부담을 느끼며 비참여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한

다 한국어가 능숙한 어머니에게는 직접 부모교육을

실시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아버지나 방문교사

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의견이었다

그리고 우리나라와 다른 문화에서 자란 다문화가정 아

동의 어머니들이 한국에서 아동을 가르치고 키우는 방

법들을 이해하기 힘들어하거나 혼란스러워하는 경우

가 있다고 한다 이런 경우 부모 출신국에 한 문화적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는 견해이다 그리고 아동의 언

어능력이 어머니의 한국어능력보다 좋아지게 되면 어

머니가 아동에게 언어적인 피드백을 해주는데 어려움

을 겪는 경우가 종종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치료 참여에) 적극적이진 않고 왜냐면 언어가 잘

안된다고 생각을 늘 하세요 그래서 lsquo잘 못 알아듣겠

다rsquo 이런 말씀을 전제로 깔고 가시기 때문에 그런

환경(교육환경)에 익숙하지가 않은 거예요 아직 국

내에서 적응하는 것 자체도 익숙하지 않은데 더군

다나 선생님과의 관계 속에서 무언가 또 같이 이야

기를 나누는 것 자체도 많이 염려스러워하고 이런

부분 때문에 참여하기도 어려운 거죠 참여 시키는

것 자체도 되게 어려움이 있는데 거의 비참여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S2 19689-695)

부모교육 같은 경우에는 저는 조금 거의 한국에서

사신 지 좀 되신 분들 적어도 한 4sim5년 이렇게 되

신 분들 상 로 했었어요 그런데 그런 분들은 크게

문제는 없으세요 특히나 일본 분들은 한국어를 또

쉽게 배우시기 때문에 크게 문제는 없는데 그러

니까 들어오신지 10년이 됐는데 과수원에서 과일

만 따다보니까 한국어를 못 배우신거예요 그래서

아이하고 한 거에 해서 말씀을 드려도 이해를 못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7

하시고 lsquo가서 뭐 해주세요rsquo 해도 못 하시고 그러다

보니까 나중에는 어머니한테 말씀드리는 게 아니라

아버지를 부르게 된다거나 아니면 이 아이가 다니

는 공부방의 누군가에게 도움을 요청한다거나 그

렇게 해서 환경적으로 전체적으로 접근하게 되고

그 때는 어머니만 잡기에는 어려움이 많이 있어

요(S5 9343-352)

(부모님이 집에서 언어촉진 주는 것을) lsquo알겠다rsquo고

하고 잘 안하시는 것 같아요 우선적으로 저는 (아

동과 한 것) 다 얘기 못하거든요 그게 설명이 힘들

어요 솔직히 lsquo공부한 거 애들은 그렇게 어려운 말

필요 없고 그냥 애들이 하는 거 보고 신 엄마가

애 입장에서 얘기해주세요rsquo 이 말 자체는 (엄마에게)

어려워서 예를 들어주거든요 자동차를 보면 어떻

게 어떻게 말을 하는 걸 보여주면 lsquo아아 이렇게

이해했다rsquo고 말을 해요 그렇게 하나씩만 이야기를

하는 편이예요 lsquo오늘 집에서 이렇게만 해주세요rsquo 이

런 식으로 그럼 lsquo잘 알겠어요rsquo하긴 하는데 lsquo어려워

요rsquo 이렇게 얘기를 해요 말을 못 알아듣는 게 아니라

애한테 그렇게 하는 게 어렵다고 잘 안된다고(S6

11410-421)

바 치료에 한 조언

면담 상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에만 초점

을 두기보다는 다문화가정에 해 전반적으로 이해하

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아동과 부모와

의 관계 및 문화적인 부분도 함께 고려해야 하면 다른

발달영역 전문가들과도 협력하는 능력도 필요하다는

의견이었다 공식검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한계점이 있

다는 것을 인식하고 언어학습능력과 잠재력 등을 평

가하여 언어치료(지도)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견

해이다 부모상담 시에는 충분한 상담시간을 제공해

야 한다는 의견이었다

다문화가정 아이들 경우에는 우선은 이 아이가 정

말로 다문화냐 정말로 이 아이가 환경적으로 다문

화환경에 노출돼서 이중언어가 되고 있는지아니

면 이 아이가 뭐 중도입국한 경우도 있구요 지금은

이주노동자들도 언어발달지도사를 찾아오거든요

그럴 경우에 언어적인 자극을 엄마가 안 주거나 교

육적인 서포트를 안 해주는 게 단순히 엄마가 문제

가 있다고 보기보다는 lsquo어 이 나라(엄마의 출신국)

에서는 이런 것들이 없었고 엄마가 적응하는데 내

가 서포트하는 역할이 있어야 되는 구나rsquo해야 하거

든요 그런데 그게 없이 아이만 보게 되는 거예요 왜

냐하면 저희는 lsquo엄마랑 상호작용하는 거 봐요rsquo하고

언어치료사가 이런 것들을 하긴 하지만 계속 아이

의 상태 아이의 수준 이것만 많이 보게 되는 거예

요 그러니까 엄마가 가지고 있는 한국어 실력이라

든가 엄마의 한국어 실력이 얼마나 성장되는지 혹

은 엄마가 어느 정도의 자극을 줄 수 있는 환경에

있는지 이런 것들이라든가 엄마가 아니라도 그러

면 가족들은 얼마나 지원했는지 이런 것들을 많이

놓치세요

또 아이가 가지고 있는 많은 어려움들 특히 피부색

이 다르거나 그런 아이들 중에 간혹 생기긴 하거든

요 많이 없어졌다고 해도(중략)요즘엔 정말로

많이 줄기는 했어요 그런데 필리핀 아이나 베트남

아이 같은 경우는 생김새가 조금 다르다 보니까 애

들이 왕따 같은 것들도 많이 당하기도 하고 선생님

한테 와가지고 다 털어놓고 얘기를 잘해도 학교 가

서는 얘기를 못한다거나 그러면사실은 나만 잡고

교육을 할 수가 없는 거잖아요 심리적인 문제라든

가 여러 가지가 걸리기 때문에그런데 lsquo어 얘가 밖

에서 언어를 못 쓰면 내가 계속 지원해주면 되겠지rsquo

라고 가는 경우도 있긴 하거든요 그러니까 그게 언

어치료사가 아동만 보다보니까 lsquo지금 내가 언어부

분만 봐야지rsquo로 가는데 사실 아이를 전반적으로 보

면 뭐 가족도 봐야 되고 문화적인 것도 봐야 되고

또 다른 발달영역에서 같이 좀 코웍할 수 있는 게

뭐가 있는지도 좀 자세히 살펴보기는 해야 될 거

같아요(S5 13503-14534)

4 향후 과제

가 향후 연구과제

다문화가정 아이들의 특성을 잘 반영해주기 위한

검사도구가 새로 개발되어야 한다는 의견과 앞으로 한

국어가 제2외국어가 되는 경우에 해서도 준비가 필

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연구방향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 같

아요 옛날에는 그냥 단순히 비교해 가지고 lsquo낮다rsquo

이렇게만 했었는데 요즘에는 소득도 약간 통제해

보고 중산층이랑 저소득층이랑 다문화랑 이렇게 비

교하잖아요 조금 특성을 더 접근해 갈려고 하는 것

같아요(S1 11522-524)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8

저는우선은 (특성연구에서) 공식검사 사용은 어

쩔 수가 없는 것 같기는 해요 공식검사에서 이제

우선은 (언어평가 결과가) 나와야 일단은 언어문제

가 있다고 판단은 하니까 그런데 특성을 보려면

공식검사만으로 lsquo어휘가 어때요 문법이 어때요 발

음이 어때요rsquo하는 것보다 조금은 환경적인 것들을

다 통합해서 아이가 실제 쓰고 있는 언어라던가

이런 것들을 자세히 살펴볼 필요는 있을 것 같아요

그런데 연구에서는 사실은 되게 어렵잖아요 자발

화를 여러 개를 떠온다거나 뭐 엄마하고 상호작용

을 관찰한다거나 그런 게 굉장히 어렵기는 하지만

그게 이제는 공식검사만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조금 부모를 포함해서 혹은 설문을 통해서라도 환

경하고 언어를 같이 보는 게 이제는 많이 시작은

되어야 할 것 같아요(S5 271103-1111)

나 엄마의 모국어 습득의 중요성

다문화가정 아동이 한국어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모

국어도 사용하는 것을 국가적으로 장려하고 있다고 한

다 그리고 다문화가정 아동이 학령기가 되었을 때 제

2외국어나 장래직업과 관련지어서 혹은 단순히 어머

니의 모국어를 배우고 싶어 하는 경우가 있다는 보고

가 있었다

제가 만나봤던 거의 90퍼센트 정도는 주 언어가 한

국어였고 그리고 물어보면 나중에 커서 가르쳐 주

겠다 하는 아동이 많았어요 진짜 이중언어를 배우

는 건 솔직히 좀 좋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진짜

이거 이중언어 이런 거를 필수적으로 방문 서비스

에서도 이렇게 엄마말 가르쳐 주는 서비스를 만들어

가지고 다시 또 이렇게 할 수 있게끔 같이하는 것도

필요한 것 같아요 어렸을 때부터 그걸 제가 가르쳐

줄 순 없으니까(S6 17654-665)

올해부터 장려해서 정확한 제목은 기억이 안 나는

데 영재 영재교실이라고 해서 엄마의 모국어를 가

르치는 교실도 함께 다니는 친구들도 많아요 요즘

에는 올해부터는 우리친구들을 다문화친구들을 글

로벌인재로 양성하려는 게 국가적으로 목표가 됐

죠 그래서 한국말도 가르치지만 엄마의 모국어도

한국말처럼 잘해라 엄마의 모국어도 못하는 애들

도 있거든 그래서 두 가지 언어를 잘하게 될 거 아

니에요 정말 훌륭한 인재가 될 수 있잖아요 그거

를 올해부터는 많이 강조하고 있더라구요 영재겠

지 언어영재교실이라는 이름으로 엄마의 나라 말

도 배우고 또 언어발달지도 선생님한테 한국말도 배

우고(S3 262-69)

다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

면담 상자들은 어머니가 아동의 교육에 참여하고

직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모교육프로그램이 필

요하다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영유아 아동을 위한 언

어발달지도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보고가 있었다

영유아아이들을 언어발달 지도할 때는 좀 더 다를

수 있어서 그런 영유아아이들을 상으로 하는 언

어발달지도프로그램 그런 것도아까 말했던 lsquo엄마

들을 어떻게 언어치료에 좀 더 참여시킬 것인가rsquo 이

런 문제들 그리고 매뉴얼들을 많이 개발하시려고

하는 것 같아요(S3 9307-311)

라 언어치료사의 새로운 역할

모든 면담참여자는 궁극적으로 언어에 문제가 있는

아동을 중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언어치료전공자가 다

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로 일하는 것이 필요하

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지만 현재에는 언어

치료를 전공하지 않은 언어발달지도사들도 많기 때문

에 이들과의 연계 필요성도 언급되었다 그밖에 언어

발달지도사의 감독자나 유치원 및 학교현장에서 치료

를 제공하는 학교언어치료사가 언어치료사의 새로운

역할이 될 것이라는 견해도 있었다 또한 언어치료전

공자가 언어발달지도사로 일한 경력도 언어치료사 경

력으로 인정될 필요성이 언급되었다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이 다 언어치료사는 아니

잖아요 만약에 언어치료사가 아닌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이 있다고 치면 그런 분들과 연계해서 해

야 될 부분이 많을 것 같구요(S1 13628-631)

(아동이 언어지체를 보이는) 그런 경우에는 치료를

해줘야 된다고 생각을 해요 현재는 그런 예가 적지

만 다문화 가정 아동의 엄마가 잘 못해주는 경우가

있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그냥 놔두는 것 보다 그

위험부담을 감수할 필요는 없는 것 같아요(S1

9413-316)

무료교육이 되다보니깐 우리 친구들이 100 어린

이집을 다니잖아요 그러다보니깐 엄마들이 그 유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9

치원에서 다 해결을 해보고 싶으신 거에요 자기가

데리고 오려면 교통비도 들잖아요 여유 있지 않다

보니깐그래서 유치원에 일단 들어가잖아요 그러

면 센터로 안와요(S3 7241-244)

Ⅳ 논의 및 결론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평가 및 언어치료(지도)에

해 숙련된 언어치료사를 상으로 실시한 면담 결

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에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언어평가를 받

기 위해 자발적으로 센터를 방문하는 경우는 많지 않

았으나 타전문가들에 한 홍보활동과 다문화가족지

원센터를 이용하는 어머니들이 많아지면서 다문화가

정 아동의 언어평가를 의뢰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

고 있다 면담 상자들은 기존의 공식검사 결과만으로

나타난 언어발달지체가 언어장애여부 판별에 사용되

는 것에 한계가 있음을 강조하였으며 공식검사 외에

비공식검사나 역동적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어평가 및 언어치료(지도)를 받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그 이유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비가 무료화되면서 24개월 미

만의 영유아가 센터로 방문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

기 때문이다 다수의 어머니들은 아동과 의사소통을

할 때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영유아의 경우는

엄마의 한국어 공부기간이 짧기 때문에 그만큼 더 부

족한 언어자극을 받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다문화

가정은 사회경제적 여건이 어려운 가정이 많기 때문

에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이 낮은 사회경제적 위

치에 있는 가정의 아동 언어특성과 유사한 면이 많다

는 의견이다 특히 어휘부분에서 크게 떨어지는 것으

로 평가되고 있지만 그 외에도 문법 면에서의 잦은

오류 사회적 의사소통이나 담화 및 읽기 등에서도 문

제를 보이고 있었다 언어 이외에 정서적 문제를 동반

하는 경우도 이들의 언어지도 및 학습에 영향을 미치

고 있었다

셋째 언어평가 후 언어치료가 필요한 아동의 경우

언어치료센터로 의뢰되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지

역적 특성상 언어치료센터를 찾아보기 힘든 경우도 있

지만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와 가족들이 언어치료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 않는 경우도 많다는 의견이

었다 따라서 언어치료가 필요한 언어장애아동의 경

우 언어발달지도사가 지도해야하는 경우가 많았다 언

어지도는 다문화센터 뿐 아니라 다문화가정 아동이 다

니고 있는 어린이집으로 파견 나가서 하고 있는 경우

도 많았다 환경적 요인에 의한 언어발달지체일 경우

에는 언어촉진을 주었을 때 아동의 언어능력이 크게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휘능력이 크

게 향상 되는 반면 문법오류와 담화 읽기 인지적 부

분의 어려움은 지속적으로 남아있기도 하였다

언어발달지도사는 치료사가 아니기 때문에 개발되

어 있는 교재를 활용하여 아동의 언어촉진을 목적으

로 언어지도를 수행하고 있으나 언어치료를 전공한

언어발달지도사의 경우는 일반 언어장애아동을 상

으로 한 언어치료목표나 방법을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적용하고 있었다 다만 방법 면에서 다문화가정 아동

과 비슷한 상황의 주인공을 다룬 이야기를 사용하거

나 어머니의 출신국에 관한 내용을 고려한 교재를 사

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언어치료 상이 된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의 경우 아동의 언어치료에

비참여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이 부분인데 이는 어

머니 스스로 한국어가 부족하다는 인식 때문에 전문

가를 만나는 것에 부담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라는 의

견이었다 언어치료사는 부모의 출신국에 한 이해를

돕는 정보나 교재 프로그램을 통해 이들의 문화와 전

통 가치관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상의 결론을 토 로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바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면담 상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을 공식검사 결과만으로 평가하는 데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는 선별에서 고위험군

으로 판정된 아동에 해서는 언어장애 유무를 확인

하는 단계에서 공식검사와 비공식검사를 보완하여 사

용하거나 역동적 평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

로 보는 선행연구(Bedore amp Pefia 2008 Deponio et

al 2000)와 일치하는 견해이다 임상현장에서 단순히

공식검사결과만으로 이들이 언어장애라고 진단하지 않

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을 규준

에 포함시키거나 이들의 특성을 민감하게 반영할 수 있

는 공식검사도구의 개발도 필요하다 할 수 있겠다

둘째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우리가 다문화가정이라

고 부르는 집단은 결혼 이민자 가정 중도입국자 가정

외국인 근로자 및 유학생 가정 새터민 가정 등 이질적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0

인 하위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다 면담 상자들이 지

적했듯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결혼 이민자가정의 아동은 사실상 단일언어가정이며

이중언어 사용아동이라 할 수 없음을 기억하고 다문화

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연구를 진행할 때 하위집단에

따른 특성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에 의하면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이 자녀

의 성장에 따라 고차원적인 의사소통과 언어적 지원

이 필요하다고 느끼지만 부족한 한국어 능력으로 인하

여 심리적 위축감과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한다(고은

2006 전홍주배소영곽금주 2008) 또한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한국어 능력이 우선임을 강조

하며 자신의 출신국 언어에 해 교육하는 것을 필수

가 아닌 선택사항으로 인식하고 있고 이중언어 환경

에 해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고은 2006) 면

담 상자에 의하면 다문화센터를 중심으로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 중요성을 알리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이

중언어교실이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그렇지만 이는

다문화가정의 아동 및 일반인을 상으로 베트남어 등

외국어를 가르치는 프로그램으로 집에서 엄마의 모국

어를 사용하여 아동을 이중언어 사용자로 양육하는 것

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정책적으로나 연구를

통해 부모가 가지고 있는 이중언어 환경에 한 불안

감을 감소시키고 초기 중요한 시기에 엄마와 아동이

어느 나라 말을 사용하든지 충분한 언어자극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넷째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교육을 지원

하고자 하는 강한 열망에도 불구하고 자녀들의 학업

에 도움을 주는 실제적이고 직접적인 지원에는 한계를

느낀다고 한다(송미경 외 2008 이진숙 2007 전홍주

배소영곽금주 2008 Cooper et al 1995) 면담 상

자들의 견해로도 언어문제를 인식하거나 평가에 의뢰

하는 데 다른 전문가들 상의 홍보와 도움이 많이 필

요했다고 하였다 또한 아동의 치료과정에서도 어머니

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 가정 방문교사나 어린이

집교사의 도움에 의존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사

실은 부모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노력해야함을 의미하

기도 하지만 언어치료사들이 다문화가정 아동을 치

료하는 과정에서 다른 전문가들과의 협력이 중요함을

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다섯째 언어평가에 의뢰되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연

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면담에 참여한 언어치료사

들도 담당하고 있는 아동의 많은 수가 24에서 36개월

사이의 영유아라고 답하고 있다 영유아를 상으로

하는 언어중재는 부모를 포함한 가정-중심 중재이며

부모에 의한 언어촉진방법을 중시하고 있다(Paul

2007) 그러나 다문화가족 영유아의 어머니는 한국에

체류한 기간이 짧아 그만큼 한국어가 미숙한 실정이

다 그러므로 다문화가정 영유아 아동의 중재 시에는

이러한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엄마의 모국어로

상호작용하도록 권유하거나 어린이집에서 제공되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과제라 할

것이다

여섯째 다문화가정 부모들은 자녀의 교육에 한

부분을 교육기관에 일임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왕한석 2007 전홍주배소영곽금주 2008)

한국사회에서 문화적응과 언어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들에게는 자녀를 이른 시

기에 교육기관에 보내어 다문화 가정의 취약한 언어

환경을 극복하고 발달을 돕고자 하는 것이 이들의 최

선의 선택이자 노력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면담에

서 밝혀진 바와 같이 부모의 소극적 참여 역시 같은

맥락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부모의 이러한 특성

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에 관련 전문가들의 역할

과 공교육에서의 교육제공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

다 어린이집과 유치원 학교에서 언어치료사가 근무

하게 될 경우 언어치료 상에 다문화가정 아동을 포

함시키는 방안도 추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 언

어치료사가 전체 언어치료사의 55를 넘는 미국의

경우(김영태 2004) 학교언어치료사가 현실적으로 과

중한 치료사례를 담당하고 있는 것이 이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나타났다(Marshall Stojanovik amp Ralph

2002) 이러한 문제는 앞으로 학교에서 언어치료를 제

공하게 될 우리나라에서도 미리 고려해야 할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더구나 다문화가정 아동과 같은 위험군 아

동을 학교 언어치료사의 치료 상에 포함시킬지 여부

도 우리가 고려해야할 사항이 될 것이다 언어치료사의

역할에 lsquo장애의 예방rsquo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ASHA

2004 Paul(2007)에서 재인용) 향후 학교 언어치료사

에 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될 때에 다문화가정 아

동과 같은 위험군 상아동에 한 예방 업무가 포함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이끌 수 있도록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사회의 일원인 언어치료사의

역할 역시 변화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

해 밝혀진 바와 같이 급증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아동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61

의 언어치료 및 지도에서 언어치료사는 언어발달지도

사로 근무하거나 이들의 수퍼바이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면담 상자에 의하면 언어발달지도사들이

현재 아동이 속한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로 파견 근무

를 나가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앞으로 통합어린이집

에서 언어치료를 제공하거나 학교 언어치료사로 근무

하는 것 역시 새로운 언어치료사의 역할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언어치료사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관련 정보 습득 학령기 아동을 위한 읽기 등에 한

공부 통합된 교실에서의 언어치료 제공능력과 같은

다양한 직업 환경에 맞는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언어치료사와 연구자들이 변화해가는 역할을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한 방향을 제시하

는 데 그 임상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참 고 문 헌

고은(2006) 이중언어 사용 아동의 부모들이 갖는 모국어에

한 가치 기준과 경험적 의미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5(3) 165-184

권수진(2006) 다문화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생성이름

기 특성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교육과학기술부(2010) 다문화가정 학생현황(2010 4 출신국

포함) 출처 httpwwwmestgokr

김영란김영태이은주(2007) 이중언어아동의 어휘학습

능력 측정에 적용된 역동적 평가에 한 타당성 고찰

-1990년 이후의 문헌을 중심으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3) 59-77

김영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김영태김경희윤혜련김화수(2003) 985172영유아 언어발달

검사(SELSI)985173 서울 파라다이스 복지재단

김영태(2002) 985172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985173 서울 학지사

김화수(2009) 한국 다문화사회에서 언어치료사의 역할모형에

한 제안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85-209류현주김향희김화수신지철(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능력 및 음운변동 특성 985172음성과학985173 15(3) 133-144박상희(2006)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985172한국언어치료

학회 학술 회 발표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박상희(2009)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산출에 관한 종단적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89-97박지윤박상희석동일(2007) 학령전기 이중언어 환경 아동

의 언어학적 특성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2) 131-145배소영곽금주김근영정경희김효정(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발달지원자 설문을 통해 본 아동의 언어환경

및 언어발달 실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65-184신경림장연집김영경이금재최명민김혜영김옥현

김영혜(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포커스 그룹985173 서울

현문사

송미경지승희조은경임영선(2008)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985172한국 심리학회985173 20(2) 497-517

안성우신영주(2008) 저소득층 일반아동과 다문화 가정아동

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4) 81-94

이명선김춘미고문희(역)(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상호

작용적 접근985173 서울 군자출판사

이은주김영태(2010) 1990년 이후 이중언어 연구 동향 985172언어

치료연구985173 19(2) 73-90이수정신지철김향희김화수(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능력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3) 95-115이진숙(2007)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양육실태와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관한 연구 985172열린 유아교육 연구985173 12(6) 21-42

오성숙(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 개인변인 가정환경자극과

유아 언어능력의 관계 구 학교 학원 석사학위

논문

오소정김영태김영란(2009) 서울 및 경기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과 관련변인에 한 기초 연구 985172특수

교육985173 8(1) 137-161오성배(2005) 도시와 시골지역 사이의 학업성취도 격차연구

목포시와 인근지역의 자료분석 중앙 학교 학원 박

사학위논문

왕한석(2007) 985172또 다른 한국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언어

적응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985173 서울 교문사

양성오황보명(2009) 취학전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37-56

여성가족부(2012) 2012년 다문화가족지원사업안내 출처

httpmogefgokr

장유경이근영곽금주성현란(2003)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

이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심리

학회지 발달985173 16(4) 227-241장현진신명선전희숙김효정(2011) 어머니 국적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비유창성 특성 연구 985172언어치료

연구985173 20(1) 17-29전홍주배소영곽금주(2008) 결혼이민자 가정에서 이루어

지는 자녀교육지원의 실제와 의미 필리핀과 일본

어머니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가족과 문화985173 20(3) 161-186

정은희(2004) 농촌지역 국제결혼가정 아동의 언어발달과

언어환경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3(3) 33-52정하성유진이이장현(2007) 985172다문화청소년 이해론985173 파주

양서원

정현영(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시아 여성과 한국남성의

이중문화가정자녀를 중심으로 숭실 학교 학원 석

사학위논문

최연실(2007) 도시 국제결혼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이야기능력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2

황상심정옥란(2008) 경상도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13(2) 174-192황상심(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초기 표현어휘 발달과 성차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9(1) 193-209황상심김화수(2008) 다문화환경 조음음운장애아동과 기능

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음운변동 패턴 연구 985172특수

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985173 9(4) 329-348황상심김화수(2009) 다문화에 한 언어치료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985172제1회 한국언어치료학회한국언어청각

임상학회 공동학술 회 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황상심정옥란(2008)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발달과 관련

변인 상관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1) 81-102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3

Received January 20 2012 Final revision received February 24 2012 Accepted March 1 2012

2012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httpwwwkasa1986orkr

ABSTRACT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o Hyun ParkMyoung sim Jungsect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Korea

sect Correspondence to

Myoung sim Jung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99 Daehangno Yuseong-gu Daejeon Koreae-mail bogamihanmailnet tel +82 10 2990 5002

Background amp Objectives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been increasing for yearsin Korea increased attention has been given to childrenrsquos language development Recent researchhas revealed language problem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research specifically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these problems are due to language differences or language difficulties is lack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between children with simple language disorders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In-depth interviewing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Seve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who had been working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ll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Four primary themes and seven subthemes emerged fromthe analysis 1) speech and language evalu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2)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3)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4)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for SLPs who work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scussion amp Conclusion The results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themes defined in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in reference to otherrelated literatur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presented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Key Words multicultural families bilingual speech-language evaluation speech-language intervention language development consultant at-risk children

REFERENCES

Ahn S amp Shin Y (2008) A comparative study of multi-ultural background childrenrsquos and low-income childrenrsquos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4) 81-94

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hang H Shin M Jeon H amp Kim H (2011) A study on disfluenc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mothersrsquo nationali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20(1) 17-29

Chang Y Lee K Kwak K amp Sung H (2003) Relations of maternal linguistic inputs to lexical development of Korean infant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

chology 16(4) 227-241

Choi Y (2007) Narrative abilities of Korean children with and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64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Hwang S (2010) Early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and gender difference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9(1) 193-209

Hwang S amp Jeong O (2008)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3(2) 174-192

Hwang S amp Kim H (2009) A survey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ervice deliver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oceedings of the 1st Korean Speech- 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Collaboration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Hwang S amp Kim W (2008) A study on the phonological process patterns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problem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gricultural Area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9(4) 329-348

Jeong E (2004) A study on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environment of children from internationally married couple living in an agricultural villag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3(3) 33-52

Jeong H Yoo J amp Lee J (2007)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youth Paju Yoangseowon Press

Jun H Pae S amp Kwak K (2008) Practices and meanings of immigrant mothersrsquo support for childrenrsquos education Cases of mothers from the Philippines and Japan The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20(3) 161-186

Jung H (2007)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mixed ethnic children Focused on the marriage of Korean man with Asian woman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im W (2009) A new light on models of SLPrsquos role in a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8(4) 185-209

Kim Y (2002)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Seoul Hakji Press

Kim Y (2007) Literature review regarding validity of the dynamic assessment applied in lexical learning ability measures for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3) 59-77

Kim Y Kim K Yoon H amp Kim H (2003)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Seoul Paradise Welfare Foundation

Kim Y Seong T amp Lee Y (2003) Preschool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Ko U (2006) The criteria for value and empirical meaning of mother tongue in case of parents of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5(3) 165-184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Kwon S (2006)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in generative naming for children of multi-culture family and children of ordinary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Lee E amp Kim Y (2010) A literature review of bilingual study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2009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9(2) 73-90

Lee J (2007) A study of childcare and education fathersrsquo childcare participatio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6) 21-42

Lee M Kim C amp Ko M (2004)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Seoul Koonja Press

Lee S Shin J Kim H amp Kim W (2008) A study on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3) 95-115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Statu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vailable from httpwwwmestgok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mp Family (2012)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guidance Available from httpmogef gokr

Oh S (2005) A study of achievement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ith data from Mokpo city and adjacent to regions Unpublished doctorrsquos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Oh S (2009) The relations of childrenrsquos linguistic abilities to mothersrsquo personal variables and home environmental stimuli in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Oh S Kim Y amp Kim Y (2009) Preliminary study o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mily factor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Special Education Research 8(1) 137-161

Pae S Kwak K Kim K amp Kim H (2009) Supporting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survey of mothers and developmental sup-porter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4) 165-184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rk J Park S amp Seok D (2007) Language characteristics in pre-school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2)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5

131-145

Park S (2006) Language abilit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oceedings of the Korean Speech- L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Park S (2009) A longitudinal study of articulation production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89-97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Shin K L Jang Y Kim Y K Lee K J Choi M M Kim H Y Kim O H amp Kim Y H (2004) The method of quality study Focus group Seoul Huynmoon Press

Song M Jee S Cho E amp Lim Y (2008) A study on the parental experience of a foreign mother in a mul-ticultural famil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2) 497-517

Wang H (2007) Another Korean Seoul Kyomun Press

Yang S amp Hwang B (2009) A comparative study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culture familie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37-56

Yoo H Kim H Kim W amp Shin J (2008) Articulation ability and phonological process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Korean Journal of Speech Sciences 15(3) 133-144

The authors wish to thank Youngheon Lee(Saint

Andrewrsquos school DE) amp Ye Rin Jung(Chungnam Univ)

for their unfailing support in organizing interview

data

Page 6: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최소 1년 이상의 언어평 가 및 치료경험이 있는 자로 한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2

그렇죠 아무래도 그러니까 어머님이 한국어가 안

되시다보니까 SELSI같은 경우 굉장히 손짓 발짓

을 많이 해야 하는 경우 있구요 그런 경우에는 사실

은 정말 뭐 부모님이랑 상호작용하는 것만 가지고

관찰한다거나 제가 상호작용하면서 조금 관찰을 한

다거나 이거에 더 의존을 하게 되는 것 같아요 어머

니한테 받는 보고로는 크게는 어려운 거 같아요 그

것만 보기에는(S5 9336-340)

(SELSI 등 어머니 보고에 의한 평가를 할 때) 평균

적으로 얘기를 해보면 안다고는 하는데 내말을 이

해했다고 답은 하는데 그거에 해서 제가 예를

들어 달라고 부탁을 한단 말이예요 그러면 엉뚱한

애기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그래서 lsquo아 할 수

있어요rsquo 하고 lsquo예rsquo 체크를 하다가도 계속 어머니께

서 말을 많이 하신단 말이예요 한 문항 한 문항 말

을 하는 걸 들어보면 엉뚱한 답을 하는 경우가 많

아요 그러면 다시 lsquo아니오rsquo로 체크를 하는 경우가 많

거든요 이해를 한다는 거는 솔직히 반반이예요 (한

국어들이 조금 떨어지실 경우에는 아무래도 평가할

때 어려움이) 많아요(S6 4126-136)

아동이 검사문항을 통과하기는 하지만 각 문항에

해당하는 언어지식을 충분히 가지고 있지는 못한데

검사도구로 이를 민감하게 평가하지는 못해서 아동이

잘 하는 것처럼 평가되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었

다는 보고가 있었다 검사 상 아동에 따라서는 언어

검사 과제수행방법에 익숙하지 않아서 오류를 보이는

경우가 있으며 일본 필리핀 등 엄마 모국어 발음이

아동에게 영향을 미쳐서 조음검사 시 오류로 판단을 해

야 하는 지 특성으로 봐야하는지 혼돈이 생긴다는 의견

이 있었다

다 공식 평가문제의 안

다문화가정 아동을 평가하는 데 생기는 공식 검사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단기간 가르쳐본 후 향상되

는 정도에 따라 판단하는 역동적 평가를 하거나 비공

식검사를 실시한다는 의견이었다 언어발달지도사의

경우 아동의 행동특성 이야기특성 읽기특성 화특

성을 기술하도록 하여 공식검사만으로 아동의 언어능

력을 평가하지 않도록 슈퍼바이저가 권고 지도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공식검

사를 개발해야 한다는 의견과 언어지연과 지체 구별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초기부터 언어치료사에 의한 언

어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을 제시하

였다

역동적 평가를 해보면 확실히 언어장애가 있는 아

동과 차이가 있는 것 같아요 일회성으로 만나는 아이

들 같은 경우는 그냥 단순하게 알려주고 조금 지나서

다시 읽어보는이 정도 밖에는 할 수 없는 것 같구

요 길게 만나는 아이들 같은 경우는 검사에서 lsquo얘네

들이 경험이 없어서 못했겠다rsquo 싶은 것들을 치료시

간에 한 두 회기에 도입시켜서 해주고 나면은 어휘

같은 것들은 쉽게 익혔던 것 같아요(S1 7250-257)

한 회기 안에서도 조금 단서제공을 해가지고 짧게라

도 아이가 조금 배운 다음에 조금 향상이 되는가해

서 역동적 평가할 수 있는데 저는 개인적으로 단기

학습을 조금 시켜봤었거든요 hellip(중략)hellip 다문화가

정 아이들 세 명 데리고 그룹했었는데읽기 이해

로 그룹을 했었어요 한명은 언어공식검사에서 문

제는 없었어요 근데 자발화하고 이야기를 떠봤더니

문법오류가 너무 많고 1학년인데도 문법오류가 너

무나 많고 뭐전달도 잘 안되고 조금 화용도 이상

하고 거기다가 읽기 공식검사에서 읽기 수준이 조

금 떨어지게 나오고 한명은 전반적으로 다 떨어지

고 나머지 한명은 언어에서 조금 지체되는 정도

이렇게 나왔었어요 hellip(중략)hellip 그래서 단기학습을

시켜봤더니 이 세 명 중에 두 명은 금방 올라온 거예

요 hellip(중략)hellip그런데 단기학습을 시켰을 때 두 명

은 굉장히 향상이 되고 한 명은 향상은 있었지만

그게 두드러질 정도는 아니였어요 얘한테어머니

한테 lsquo얘는 치료를 받았으면 좋겠어요rsquo하고 말씀을

드렸었어요 그 뒤에 이렇게 보면은 lsquo아 정말로 단

기학습을 해서 조금 보기는 해야겠구나rsquo 한 번에 보

기가얘네가 다 장애 lsquo언어장애rsquo하고 이름 붙이

기가 되게 위험한 거예요(S5 4155-5170)

2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가 첫 평가 시 상아동의 연령

보통 어린이집을 다니기 시작하는 4 5 6세가 많았

으나 2011년부터는 다문화가정아동의 교육비 전체가

무료가 되면서 24개월 미만의 영유아 방문도 점점 많

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부모님이 발견하고 인식하는 경

우는 아동이 학년기가 되었을 때지만 요즘은 언어발

달지도사가 찾아가기 때문에 아주 어린연령부터 접근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3

이 가능하다고 한다

지금 원래는 상은 6학년까진데 제가 많이 본거는

거의 만3세정도의 아동이 많아요(S6 260)

지금 아이들이 다 어리니까요 20개월에서 한 35개

월 정도요 그러다보니까 엄마랑 아이랑 같이 말을

배워간다고 보시면 되요 그러니까 상호작용 문제

가그 또래 애들 중에 말 느린 아이들이 되게 많아

요(S7 112-15)

나 언어특성

다문화가정 아동 부분이 비다문화 가정 중에서도

낮은 SES아동과 유사한 언어특성을 보인다는 의견이

었다 다문화가정 아동은 어휘능력이 두드러지게 저하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가장 두드러지게 향상

되는 부분 또한 어휘능력이라고 한다

그리고 어머니의 출신국 언어의 억양이나 조음에 영

향을 받아서 독특한 억양이나 조음특성이 나타나는 사

례가 종종 있다는 의견이었다 학령기 아동의 경우 부

족한 경험으로 인하여 이야기하기 과제 및 문제해결력

이 미숙하고 질문에 답할 때 서툰 표현력이 관찰된다

고 한다

어디에서 얘네들이 가장 막히냐하면 어미 그리고

마지막 끝 말미 서술 표현이 정말 웃겨요 그 서술

마무리까지를 잘 못해요 그 마무리를 참 이상하게

말해요 항상 그냥 단답형에 익숙한 아이들이라서

문장을 마지막에 끝내는 거에 많이 익숙하지가 않더

라구요 그래서 서술어도 지네 마음 로 해요 만약

에 제가 질문이 예측 예방하는 차원의 질문이었어

요 만약 lsquo이런 일이 있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했었

어야 하니rsquo 하면 이거에 맞는 서술부분이 나와야

되는데 그냥 평서문처럼 lsquo주어 목적어 서술어rsquo 이런

단문형태의 그냥 lsquo누가 뭘 했어요rsquo 이런 식이예요

답변이(S2 9308-314)

어 어휘 아닐까 어휘영역이 속도가 굉장히 빠르구

요 하지만 또 끝까지 애먹이는 것도 어휘 참 특이하

지요 그만큼 우리가 연령이 높아지면서 습득해야

될 어휘가 굉장히 많아서 제일 많이 늘어나는 것도

어휘인 것 같은데 또 언어발달지도 받고있는 학령

기 친구들이 제일 애먹는 것도 어휘에요 오히려 못

따라가요 아무래도 모국어 친구들만큼 못 따라가는

것도 어휘더라구요 그게 또 그러네 (S3 5160-164)

아 그러니까 일본아이들 같은 경우는 조음에 있어

서 약간 억양문제가 있는 아이들도 있고요 그 다음

에 중국아동들은 음중국어를 오래 한 아동은 조

음에 있어서 정말 지역에 따라서 좀 다르기는 한데

그래도 lsquoㄹrsquo 조음이 잘 안 되는 경우도 있고요(S4

16624-627)

그냥 얘기는 화상에서의 얘기는 괜찮은데 엉뚱한

답을 조금해요 이해를 못해서 그래서 무슨 질문

같은 걸 하면 엉뚱한 답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서 그것도 아까 말했듯이 어휘가 약하기 때문에 lsquo이

거 이렇게 했어rsquo 막 이렇게 행동이랑 같이 표현을

하거나 아니면 같은 말에 오만상을 다 쓰거나 하는

경우가 조금 있어요 그리고 아까 말했듯이 이해를

못해서 엉뚱한 이야기를 하고 자기 관심사만 조금

얘기를 하고 이거 얘기하다가 갑자기 다른 얘기로

넘어가고 내가 물어봤던 건 이건데 전혀 다른 얘

기를 하고 막 이렇게 그렇게 산만하지 않은데도 그

런 경우가 있어요 내가 무슨 얘기를 하면 lsquo우산을

갑자기 비오니까 우산 들고 가야지rsquo하면 lsquo우산 집에

있어rsquo부터 시작해서 그래서 lsquo비 올땐 뭐 필요하

지rsquo 물어보면 내가 듣고 싶은 건 lsquo아 우산 들어야

돼요rsquo 라는 답을 원했는데 lsquo어 밖에 비 안 오는데요rsquo

그래서 막 그림 그리면서 lsquo어 지금 비오잖아rsquo하면

그 질문에 한 lsquo어 우산 써야rsquo 그 얘기가 아니라 lsquo어

비 많이 오네rsquo 이러면서 lsquo나도 그릴래요rsquo해요(S6

10368-388)

다 언어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 외 특성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문제와 더불어 문화적 차이

로 인하여 겪게 되는 심리적인 문제가 상당히 심각하

다고 한다 또한 부분의 다문화가정 아동의 가정환

경 및 경제적으로 좋지 못한 환경 등으로 인해 집안에

서도 안정적이지 못한 경우도 많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러한 경우 다문화가정 아동은 체로 말을 안 하거

나 쉽게 마음을 열지 못해 라포형성이 어려우며 자신

감이 떨어지고 또래와 다른 외모로 자존감이 낮은 경

우가 많다고 한다

두드러지죠 정서 이것도 취약계층 아동이랑 거의

비슷해요 걔네들 같은 경우에는 이 따뜻한 표현 또

는 상호작용에 의한 이런 경험 지지받았다는 그런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4

사실 이런 것들이 답습이 안 되서 마치 던지듯이

말해요 예쁜 말들이 아닌 거죠 그리고 준비가 안

되어있어요 받아들이기가 그래서 표면적으로 드러

나는 언어패턴이나 이런 부분들이 조금 괴팍스러워

요 그니까 얘네들하고 조금 비슷한 거 같애서 정서

에서 어려움이 오는 아동들도 있잖아요 그런 아동

들을 어떻게 정서가 딱 어려워서 온 게 아니라 환경

으로 인해서 이렇게 정서적으로 고립된 아동들도 있

잖아요 걔네들 반응하고 거의 똑같은 거 같아요(S2

17614-621)

일본인 가정은 확실히 문화적인 차이예요 어떤 거

냐하면 존 법아시아권은 부분 그 예의와 관련

돼서 굉장히 중시하잖아요 근데 아이들도 남의 말

을 경청하고 숙여지는 게 있어요 그니까 남의 말을

더 들어주는 거예요 일본인 가정은 부분 다 lsquo예

예rsquo 이런 거거든요 더 적극적으로 의사소통을 하지

않아요 똑같이 일반인 가정의 부모가 유럽쪽 계통

이 있었어요 유럽쪽 계통의 엄마가 한국남성하고

결혼한 그런 분이었는데 이집은 달라요 되게 적극

적이예요 아이가 의사소통 자체가 굉장히 적극적

인데 일본인 가정은 덜 적극적이예요 이 문화가 경

청하고 들어주고 그저 lsquo예 예rsquo이런 문화라서 그런

건지는 모르겠는데 자기표현 보다는 더 듣는 쪽으로

아이들이 발달을 한 것 같아요(S2 8271-280)

말을 안 하거나 쉽게 맘을 못 여는 거 장애가 있는

친구들보다 라포를 형성하는데 굉장히 오래 걸리

고 그리고 자기가 자신감이 굉장히 없어요 유치원

친구들이나 학교 친구들로부터 이미 외모로 인한

lsquo좀 다르다rsquo라는 인식으로 인해서 자신감이나 자존

감이 되게 낮아요 이미 외모에서 티가 나버리니깐

그런 것들이 좀 심각한 것 같아요(S3 6186-189)

라 이중언어 사용 현황

면담 상자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다문화가

정 아동이 한국어와 함께 엄마의 모국어를 함께 사용

하는 경우는 략 10~20정도였다 이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머니가 일방적으로 한국문화에 적응하고 어

머니의 문화를 가르치거나 노출시키는 경우는 많지 않

기 때문이기도 하고 또한 어머니가 자신의 출신국 언

어를 사용할 경우 아이한테 혼돈을 줄 수 있다는 걱정

과 가족들이 한국어만을 쓰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높은 교육열을 보이는 일본출신

의 어머니들의 경우는 출신국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보고도 하였다

중국이나 필리핀 경우는 영어를 가끔씩 쓰는 것 같

은데요 ( 부분은) 주로는 한국어를 썼던 것 같아

요 보통 확률로 보면 한 20내외 나머지는 다 한

국어 근데 요즘 중도입국한 아이들 다른 나라에 살

다가 학교 갈때 쯤 한국 들어오는 경우는 한국어가

제 2 외국어가 되죠 우리 머릿속에 언어에 한 선

호도 어떤 언어가 더 높은지 아는 것 같아요 다문

화 가정에서도 한국어가 더 높다는 거죠 필리핀 태

국 이런 곳 보다 그래서 식구들이 다 한국어만 쓰기

를 원하고 또 앞으로도 걱정을 하는 것 같아요 엄마

가 필리핀 태국말을 쓰면 애가 한국말을 잘 못 배울

까봐(S1 5171-182)

모국어를 쓰는 경우는 정말 일본 엄마들로 한정이

되어있어요 일본이나 중국 몽골은 전혀 안 쓰세

요 거의 lsquo내 아이가 헷갈릴 수 있다rsquo라는 생각을

갖고 계신 분들이 많기 때문에 저의 경우 엄마랑

아이가 본국말로 의사소통 하는 경우는 일본이 제

일 많고 그 다음에 중국 그리고 가끔 필리핀 영어

로 음 그리고 드문 케이스지만 저희 센터에 우즈

벡에서 오신 선생님이 계신데 그 분은 아이들이랑 러

시아어로 의사소통을 하시더라구요(S4 6226-235)

3 다문화가정 아동의 치료

가 언어치료 제공의 어려움

언어평가 후 언어능력이 6개월 이상 지연 및 지체

되어 언어치료가 필요한 다문화가정 아동이 전문 언

어치료기관으로 의뢰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고 한다 다

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와 그 가족들은 언어평가 결과와

상관없이 언어치료 필요여부에 무관심하기 때문이라

고 보고하였다 아동에게 언어치료를 의뢰해도 지역에

따라 그 지역에 있는 언어치료센터가 없어서 언어치료

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다문화가정 아동

의 아버지와 조부모는 자신의 아이가 다문화가정 아동

이기 때문에 언어치료사들이 편견을 가지고 문제점만

을 찾는다고 생각하는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다는 의

견도 있었다

(언어치료를 받아야 할 아동들이) 있어요 그런 아

이들은 (언어치료센터에) 연계를 해야 하는데그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5

러니까 연계되었다가도 치료실에 적응 못하고 다시

오는 경우가 있어요 그러니까 엄마랑엄마가 의사

소통이 잘 안되고 치료실 선생님들이 잘 받아주지

못하는 그런 게 조금 있었나 봐요 어떤 엄마 같은

경우는 본인이 말이 어눌한데 선생님이 빨리 설명

해주고 상담시간에 본인이 이해가 안 되게 이야기

해줘서 치료를 받다가 다시 오게 되는 경우도 있었

고 그리고 그 장애 진단을 받으면 편한데 아빠들

이 장애진단을 안 받으려고 하세요 특히 더더군다

나 치료실을 가게 되면 비용이 비싸지니까 바우처 활

용도 못 받고 그래서 그런 경우는 (다문화) 센터를

이용하려고 하시는 분들도 계세요(S4 14540-550)

한국에 들어와서 한국어에 해서 잘 모르시니까

한국어에서 문제가 있다하더라도 본인이 못 느끼

시는 경우 많이 있으세요 본인이 한국어 실력이 그

만큼 안 되기 때문에 아이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자

기가 못 느꼈다거나 그 다음에 뭐약간 국적적인

성향 같은 것을 가끔 느끼는 게 일본이라든가 중

국 어머님들은 그나마 학구열이 있기 때문에 그나마

조금 저거 하시는데 동남아권이라든가 그런 분들

은 그냥 뭐 lsquo잘 살아가면 되지rsquo로 생각하시는 분들

되게 많거든요 그래서 아이가 문제가 있다 하더라

도 생활 속에서 나랑 잘 생활하고 있다 그러면 lsquo난

안 받을래요rsquo 하시는 경우가 많으시고 어머니는 문

제에 해서 lsquo아 그렇군요rsquo라고 받아들이셔도 이제

아버지라든가 할머니라든가 이제 그한국가정에

서 lsquo어우리 아이가 무슨 문제가 있나요 왜 다문

화라고 해서 자꾸 우리아이를 찾아내고rsquo 워낙 교

육이라든가 도움이 많다보니까 lsquo다문화라도 우리

한테 자꾸 이런 거 주지 마세요 그리고 뭐가 문제가

있다고 자꾸 찾아내고 우리 애 잘 살고 있습니다rsquo

이런 분들이 오히려 아빠나 시어머니나 이쪽이 많

으신 거 같아요(S5 7299-311)

지금 제가 수업하고 있는 애들 중에서는 아직 어린이

집 가기 전 아동이 거의 40-50정도거든요 40

가 안 가고 60가 가고 이 정도 퍼센튼데 요새는

어려도 어린이집에 보내려는 경우가 많아서 근데

어린이집 가면 시간이 없다고 안 오시려고 하시는

경우가 많고 또 어린이 집 끝나고 오는 딱 그 시간

을 원해가지고 수업을 못 받는 경우가 많고 받는

경우가 60 40정도가 돼요 지금(S6 14545-550)

나 언어치료(지도) 장소

다문화 언어장애아동을 상으로 언어치료사가 제

공하는 언어치료 혹은 환경요인에 의한 경미한 언어

지체위험군 아동을 상으로 언어지도사가 제공하는

언어지도는 센터의 교실 또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다

니고 있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으로 파견 나가서 제공

되고 있었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다수가 어린이집을

다니고 있으며 어머니들은 아동이 있는 곳으로 방문

지도를 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파견근무가 늘고

있다고 한다 영유아의 경우는 가정에서의 지도가 바

람직하지만 여러 이유로 다문화 센터 규정상 가정에서

의 언어지도는 제공되지 않는다고 한다

센터 안에 있는 언어발달지도교실 근데 중요한 건

센터에 와서 언어발달지도교실에서 하는 것 보다 어

린이집으로 우리 선생님들이 가서 언어발달지도를

하는 비율이 거의 2 8에요(S3 7237-239)

다 언어치료(지도) 효과

다문화가정 아동을 언어치료(지도)를 했을 경우 어

휘영역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향상된다고 한다 하지만

연령이 높아지면서 습득해야 할 어휘가 늘어나기 때문

에 학령기 아동이 힘들어하는 부분도 어휘영역이라고

한다 아동의 언어치료(지도) 효과는 부모의 교육수준

안정된 가정환경이나 언어자극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

는다는 의견이었다 언어치료(지도)를 받는 다문화가

정 아동은 어휘습득은 빠른 편이지만 문법오류와 담

화 읽기 인지적 부분은 지속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경

우가 많다고 한다

어휘력은 노출되는 만큼 자기 것이 되서 사용하는

데 단어를 많이 활용하기 때문에 주로 어휘력부분

같은 경우에는 lsquo어라 이런 단어도 사용하네 이런

단어도 사용하네rsquo 이런 부분들이 있어요 근데 인

지적인 측면은 늘긴 늘지만 계속 향상될 만하면 어

려움이 닥치고 될 만하면 닥치잖아요 얼마나 어려

워요 그쵸 그래서 이런 측면은 계속 발달되는 게

정말 다르더라구요(S2 18640-645)

약간 문제가 있는데 문법적인 게 굉장히 많이 오류

가 있다거나 특이한 사항이 좀 관찰되었다하는 아

이들은 전체적인 점수가 향상되어도 약간의 것들이

남아있는 거예요 특히나 문법이라든가 화용적인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6

측면에서이제 만 5-6세 넘어오고 학령기 들어가

다 보면 아이들이 이미 유치원이라든가 거기서 의

사소통에 제한이 있었던 거예요 언어문제 때문에

약간 좀 소외되었다거나 아니면 뭐상호작용을

잘 못했다거나 그래서 이게 연습이 제 로 안 되어

있는 거예요 그런데 이거를 선생님하고 11로 앉아

가지고 보통의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은 화용문

제를 잡기도 하시지만 보통 드러나는 공식검사에

서 드러나는 거 어휘라든가 문법을 잡으시거든요

그런데 그러다 보니까 이 아이가 나중에 어휘와 문

법이 잘 쌓여도 나중에 그룹에 들어가 가지고 화용

적으로 막 쓰는 데는 약간누가 듣기에는 어 상호

작용을 해보면 약간 이상한 용어가 남아있는 거예

요 그래서 결국에는 이제 만 6세 학교 들어가기 전

이라든가 학교 들어가고 나면 그게 계속 두드러지

게 되는 거 같아요(S5 6236-7250)

언어지도 후 6개월마다 진전평가를 실시하는데 이

때 정상범주에 들어서 종결되는 아동들이 꽤 많다고

한다 이는 아동의 언어문제가 언어환경적인 이유로 인

한 일시적인 언어지체이기 때문으로 설명되고 있었다

연령별로는 영유아의 경우에 6개월 언어지도 후 거의

정상범주에 드는 경우가 많지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6개월 안에 종결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는 의견도

있었다

라 언어치료(지도) 내용 및 방법

일반적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을 언어지도하는 방법

은 일반 언어치료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한다 이는

면담 상자들이 언어치료사이기 때문일 수도 있고 이

들의 수퍼바이저가 모두 언어치료사이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상자의 언어문제가 장애인지 환경적인 일시

적 언어지체인지 명확하지 않은 경우 언어치료를 제공

하는 것이 안전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이었었다 언어촉

진이나 부모 및 교사교육이 포함된 언어치료프로그램

이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적절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언

어지도 방법 면에서는 다문화가정아동과 비슷한 상황

의 주인공을 다룬 이야기책을 사용하거나 어머니의 출

신국에 관한 내용을 반영한 교재를 사용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보통은 lsquo언어치료하고 별로 다르지 않다rsquo라고 언어

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 아이들한테 더 맞는 거 같

거든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제가 그게 더 익숙해서

그런지 몰라도 뭐 한국어 학습 같은 거라든지 이런

것을 받고 그것을 응용을 할 수는 있겠지만 언어치

료 프로그램이 더 맞는 거 같아요(S4 10408-411)

엄마를 지원하는 게 중요하기는 한 거 같아요 lsquo아동

에게 집에 가서 어떻게 자극 주세요rsquo 하는 것들이

그냥 설명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엄마 언어 수준에

맞춰서 제공된다거나(S5 17711-715)

마 부모 참여 및 교육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머니는 스스로 한국어가 부

족하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언어치료사를 만나는 것에

한 부담을 느끼며 비참여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한

다 한국어가 능숙한 어머니에게는 직접 부모교육을

실시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아버지나 방문교사

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의견이었다

그리고 우리나라와 다른 문화에서 자란 다문화가정 아

동의 어머니들이 한국에서 아동을 가르치고 키우는 방

법들을 이해하기 힘들어하거나 혼란스러워하는 경우

가 있다고 한다 이런 경우 부모 출신국에 한 문화적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는 견해이다 그리고 아동의 언

어능력이 어머니의 한국어능력보다 좋아지게 되면 어

머니가 아동에게 언어적인 피드백을 해주는데 어려움

을 겪는 경우가 종종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치료 참여에) 적극적이진 않고 왜냐면 언어가 잘

안된다고 생각을 늘 하세요 그래서 lsquo잘 못 알아듣겠

다rsquo 이런 말씀을 전제로 깔고 가시기 때문에 그런

환경(교육환경)에 익숙하지가 않은 거예요 아직 국

내에서 적응하는 것 자체도 익숙하지 않은데 더군

다나 선생님과의 관계 속에서 무언가 또 같이 이야

기를 나누는 것 자체도 많이 염려스러워하고 이런

부분 때문에 참여하기도 어려운 거죠 참여 시키는

것 자체도 되게 어려움이 있는데 거의 비참여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S2 19689-695)

부모교육 같은 경우에는 저는 조금 거의 한국에서

사신 지 좀 되신 분들 적어도 한 4sim5년 이렇게 되

신 분들 상 로 했었어요 그런데 그런 분들은 크게

문제는 없으세요 특히나 일본 분들은 한국어를 또

쉽게 배우시기 때문에 크게 문제는 없는데 그러

니까 들어오신지 10년이 됐는데 과수원에서 과일

만 따다보니까 한국어를 못 배우신거예요 그래서

아이하고 한 거에 해서 말씀을 드려도 이해를 못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7

하시고 lsquo가서 뭐 해주세요rsquo 해도 못 하시고 그러다

보니까 나중에는 어머니한테 말씀드리는 게 아니라

아버지를 부르게 된다거나 아니면 이 아이가 다니

는 공부방의 누군가에게 도움을 요청한다거나 그

렇게 해서 환경적으로 전체적으로 접근하게 되고

그 때는 어머니만 잡기에는 어려움이 많이 있어

요(S5 9343-352)

(부모님이 집에서 언어촉진 주는 것을) lsquo알겠다rsquo고

하고 잘 안하시는 것 같아요 우선적으로 저는 (아

동과 한 것) 다 얘기 못하거든요 그게 설명이 힘들

어요 솔직히 lsquo공부한 거 애들은 그렇게 어려운 말

필요 없고 그냥 애들이 하는 거 보고 신 엄마가

애 입장에서 얘기해주세요rsquo 이 말 자체는 (엄마에게)

어려워서 예를 들어주거든요 자동차를 보면 어떻

게 어떻게 말을 하는 걸 보여주면 lsquo아아 이렇게

이해했다rsquo고 말을 해요 그렇게 하나씩만 이야기를

하는 편이예요 lsquo오늘 집에서 이렇게만 해주세요rsquo 이

런 식으로 그럼 lsquo잘 알겠어요rsquo하긴 하는데 lsquo어려워

요rsquo 이렇게 얘기를 해요 말을 못 알아듣는 게 아니라

애한테 그렇게 하는 게 어렵다고 잘 안된다고(S6

11410-421)

바 치료에 한 조언

면담 상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에만 초점

을 두기보다는 다문화가정에 해 전반적으로 이해하

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아동과 부모와

의 관계 및 문화적인 부분도 함께 고려해야 하면 다른

발달영역 전문가들과도 협력하는 능력도 필요하다는

의견이었다 공식검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한계점이 있

다는 것을 인식하고 언어학습능력과 잠재력 등을 평

가하여 언어치료(지도)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견

해이다 부모상담 시에는 충분한 상담시간을 제공해

야 한다는 의견이었다

다문화가정 아이들 경우에는 우선은 이 아이가 정

말로 다문화냐 정말로 이 아이가 환경적으로 다문

화환경에 노출돼서 이중언어가 되고 있는지아니

면 이 아이가 뭐 중도입국한 경우도 있구요 지금은

이주노동자들도 언어발달지도사를 찾아오거든요

그럴 경우에 언어적인 자극을 엄마가 안 주거나 교

육적인 서포트를 안 해주는 게 단순히 엄마가 문제

가 있다고 보기보다는 lsquo어 이 나라(엄마의 출신국)

에서는 이런 것들이 없었고 엄마가 적응하는데 내

가 서포트하는 역할이 있어야 되는 구나rsquo해야 하거

든요 그런데 그게 없이 아이만 보게 되는 거예요 왜

냐하면 저희는 lsquo엄마랑 상호작용하는 거 봐요rsquo하고

언어치료사가 이런 것들을 하긴 하지만 계속 아이

의 상태 아이의 수준 이것만 많이 보게 되는 거예

요 그러니까 엄마가 가지고 있는 한국어 실력이라

든가 엄마의 한국어 실력이 얼마나 성장되는지 혹

은 엄마가 어느 정도의 자극을 줄 수 있는 환경에

있는지 이런 것들이라든가 엄마가 아니라도 그러

면 가족들은 얼마나 지원했는지 이런 것들을 많이

놓치세요

또 아이가 가지고 있는 많은 어려움들 특히 피부색

이 다르거나 그런 아이들 중에 간혹 생기긴 하거든

요 많이 없어졌다고 해도(중략)요즘엔 정말로

많이 줄기는 했어요 그런데 필리핀 아이나 베트남

아이 같은 경우는 생김새가 조금 다르다 보니까 애

들이 왕따 같은 것들도 많이 당하기도 하고 선생님

한테 와가지고 다 털어놓고 얘기를 잘해도 학교 가

서는 얘기를 못한다거나 그러면사실은 나만 잡고

교육을 할 수가 없는 거잖아요 심리적인 문제라든

가 여러 가지가 걸리기 때문에그런데 lsquo어 얘가 밖

에서 언어를 못 쓰면 내가 계속 지원해주면 되겠지rsquo

라고 가는 경우도 있긴 하거든요 그러니까 그게 언

어치료사가 아동만 보다보니까 lsquo지금 내가 언어부

분만 봐야지rsquo로 가는데 사실 아이를 전반적으로 보

면 뭐 가족도 봐야 되고 문화적인 것도 봐야 되고

또 다른 발달영역에서 같이 좀 코웍할 수 있는 게

뭐가 있는지도 좀 자세히 살펴보기는 해야 될 거

같아요(S5 13503-14534)

4 향후 과제

가 향후 연구과제

다문화가정 아이들의 특성을 잘 반영해주기 위한

검사도구가 새로 개발되어야 한다는 의견과 앞으로 한

국어가 제2외국어가 되는 경우에 해서도 준비가 필

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연구방향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 같

아요 옛날에는 그냥 단순히 비교해 가지고 lsquo낮다rsquo

이렇게만 했었는데 요즘에는 소득도 약간 통제해

보고 중산층이랑 저소득층이랑 다문화랑 이렇게 비

교하잖아요 조금 특성을 더 접근해 갈려고 하는 것

같아요(S1 11522-524)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8

저는우선은 (특성연구에서) 공식검사 사용은 어

쩔 수가 없는 것 같기는 해요 공식검사에서 이제

우선은 (언어평가 결과가) 나와야 일단은 언어문제

가 있다고 판단은 하니까 그런데 특성을 보려면

공식검사만으로 lsquo어휘가 어때요 문법이 어때요 발

음이 어때요rsquo하는 것보다 조금은 환경적인 것들을

다 통합해서 아이가 실제 쓰고 있는 언어라던가

이런 것들을 자세히 살펴볼 필요는 있을 것 같아요

그런데 연구에서는 사실은 되게 어렵잖아요 자발

화를 여러 개를 떠온다거나 뭐 엄마하고 상호작용

을 관찰한다거나 그런 게 굉장히 어렵기는 하지만

그게 이제는 공식검사만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조금 부모를 포함해서 혹은 설문을 통해서라도 환

경하고 언어를 같이 보는 게 이제는 많이 시작은

되어야 할 것 같아요(S5 271103-1111)

나 엄마의 모국어 습득의 중요성

다문화가정 아동이 한국어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모

국어도 사용하는 것을 국가적으로 장려하고 있다고 한

다 그리고 다문화가정 아동이 학령기가 되었을 때 제

2외국어나 장래직업과 관련지어서 혹은 단순히 어머

니의 모국어를 배우고 싶어 하는 경우가 있다는 보고

가 있었다

제가 만나봤던 거의 90퍼센트 정도는 주 언어가 한

국어였고 그리고 물어보면 나중에 커서 가르쳐 주

겠다 하는 아동이 많았어요 진짜 이중언어를 배우

는 건 솔직히 좀 좋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진짜

이거 이중언어 이런 거를 필수적으로 방문 서비스

에서도 이렇게 엄마말 가르쳐 주는 서비스를 만들어

가지고 다시 또 이렇게 할 수 있게끔 같이하는 것도

필요한 것 같아요 어렸을 때부터 그걸 제가 가르쳐

줄 순 없으니까(S6 17654-665)

올해부터 장려해서 정확한 제목은 기억이 안 나는

데 영재 영재교실이라고 해서 엄마의 모국어를 가

르치는 교실도 함께 다니는 친구들도 많아요 요즘

에는 올해부터는 우리친구들을 다문화친구들을 글

로벌인재로 양성하려는 게 국가적으로 목표가 됐

죠 그래서 한국말도 가르치지만 엄마의 모국어도

한국말처럼 잘해라 엄마의 모국어도 못하는 애들

도 있거든 그래서 두 가지 언어를 잘하게 될 거 아

니에요 정말 훌륭한 인재가 될 수 있잖아요 그거

를 올해부터는 많이 강조하고 있더라구요 영재겠

지 언어영재교실이라는 이름으로 엄마의 나라 말

도 배우고 또 언어발달지도 선생님한테 한국말도 배

우고(S3 262-69)

다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

면담 상자들은 어머니가 아동의 교육에 참여하고

직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모교육프로그램이 필

요하다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영유아 아동을 위한 언

어발달지도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보고가 있었다

영유아아이들을 언어발달 지도할 때는 좀 더 다를

수 있어서 그런 영유아아이들을 상으로 하는 언

어발달지도프로그램 그런 것도아까 말했던 lsquo엄마

들을 어떻게 언어치료에 좀 더 참여시킬 것인가rsquo 이

런 문제들 그리고 매뉴얼들을 많이 개발하시려고

하는 것 같아요(S3 9307-311)

라 언어치료사의 새로운 역할

모든 면담참여자는 궁극적으로 언어에 문제가 있는

아동을 중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언어치료전공자가 다

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로 일하는 것이 필요하

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지만 현재에는 언어

치료를 전공하지 않은 언어발달지도사들도 많기 때문

에 이들과의 연계 필요성도 언급되었다 그밖에 언어

발달지도사의 감독자나 유치원 및 학교현장에서 치료

를 제공하는 학교언어치료사가 언어치료사의 새로운

역할이 될 것이라는 견해도 있었다 또한 언어치료전

공자가 언어발달지도사로 일한 경력도 언어치료사 경

력으로 인정될 필요성이 언급되었다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이 다 언어치료사는 아니

잖아요 만약에 언어치료사가 아닌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이 있다고 치면 그런 분들과 연계해서 해

야 될 부분이 많을 것 같구요(S1 13628-631)

(아동이 언어지체를 보이는) 그런 경우에는 치료를

해줘야 된다고 생각을 해요 현재는 그런 예가 적지

만 다문화 가정 아동의 엄마가 잘 못해주는 경우가

있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그냥 놔두는 것 보다 그

위험부담을 감수할 필요는 없는 것 같아요(S1

9413-316)

무료교육이 되다보니깐 우리 친구들이 100 어린

이집을 다니잖아요 그러다보니깐 엄마들이 그 유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9

치원에서 다 해결을 해보고 싶으신 거에요 자기가

데리고 오려면 교통비도 들잖아요 여유 있지 않다

보니깐그래서 유치원에 일단 들어가잖아요 그러

면 센터로 안와요(S3 7241-244)

Ⅳ 논의 및 결론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평가 및 언어치료(지도)에

해 숙련된 언어치료사를 상으로 실시한 면담 결

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에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언어평가를 받

기 위해 자발적으로 센터를 방문하는 경우는 많지 않

았으나 타전문가들에 한 홍보활동과 다문화가족지

원센터를 이용하는 어머니들이 많아지면서 다문화가

정 아동의 언어평가를 의뢰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

고 있다 면담 상자들은 기존의 공식검사 결과만으로

나타난 언어발달지체가 언어장애여부 판별에 사용되

는 것에 한계가 있음을 강조하였으며 공식검사 외에

비공식검사나 역동적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어평가 및 언어치료(지도)를 받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그 이유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비가 무료화되면서 24개월 미

만의 영유아가 센터로 방문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

기 때문이다 다수의 어머니들은 아동과 의사소통을

할 때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영유아의 경우는

엄마의 한국어 공부기간이 짧기 때문에 그만큼 더 부

족한 언어자극을 받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다문화

가정은 사회경제적 여건이 어려운 가정이 많기 때문

에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이 낮은 사회경제적 위

치에 있는 가정의 아동 언어특성과 유사한 면이 많다

는 의견이다 특히 어휘부분에서 크게 떨어지는 것으

로 평가되고 있지만 그 외에도 문법 면에서의 잦은

오류 사회적 의사소통이나 담화 및 읽기 등에서도 문

제를 보이고 있었다 언어 이외에 정서적 문제를 동반

하는 경우도 이들의 언어지도 및 학습에 영향을 미치

고 있었다

셋째 언어평가 후 언어치료가 필요한 아동의 경우

언어치료센터로 의뢰되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지

역적 특성상 언어치료센터를 찾아보기 힘든 경우도 있

지만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와 가족들이 언어치료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 않는 경우도 많다는 의견이

었다 따라서 언어치료가 필요한 언어장애아동의 경

우 언어발달지도사가 지도해야하는 경우가 많았다 언

어지도는 다문화센터 뿐 아니라 다문화가정 아동이 다

니고 있는 어린이집으로 파견 나가서 하고 있는 경우

도 많았다 환경적 요인에 의한 언어발달지체일 경우

에는 언어촉진을 주었을 때 아동의 언어능력이 크게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휘능력이 크

게 향상 되는 반면 문법오류와 담화 읽기 인지적 부

분의 어려움은 지속적으로 남아있기도 하였다

언어발달지도사는 치료사가 아니기 때문에 개발되

어 있는 교재를 활용하여 아동의 언어촉진을 목적으

로 언어지도를 수행하고 있으나 언어치료를 전공한

언어발달지도사의 경우는 일반 언어장애아동을 상

으로 한 언어치료목표나 방법을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적용하고 있었다 다만 방법 면에서 다문화가정 아동

과 비슷한 상황의 주인공을 다룬 이야기를 사용하거

나 어머니의 출신국에 관한 내용을 고려한 교재를 사

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언어치료 상이 된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의 경우 아동의 언어치료에

비참여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이 부분인데 이는 어

머니 스스로 한국어가 부족하다는 인식 때문에 전문

가를 만나는 것에 부담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라는 의

견이었다 언어치료사는 부모의 출신국에 한 이해를

돕는 정보나 교재 프로그램을 통해 이들의 문화와 전

통 가치관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상의 결론을 토 로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바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면담 상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을 공식검사 결과만으로 평가하는 데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는 선별에서 고위험군

으로 판정된 아동에 해서는 언어장애 유무를 확인

하는 단계에서 공식검사와 비공식검사를 보완하여 사

용하거나 역동적 평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

로 보는 선행연구(Bedore amp Pefia 2008 Deponio et

al 2000)와 일치하는 견해이다 임상현장에서 단순히

공식검사결과만으로 이들이 언어장애라고 진단하지 않

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을 규준

에 포함시키거나 이들의 특성을 민감하게 반영할 수 있

는 공식검사도구의 개발도 필요하다 할 수 있겠다

둘째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우리가 다문화가정이라

고 부르는 집단은 결혼 이민자 가정 중도입국자 가정

외국인 근로자 및 유학생 가정 새터민 가정 등 이질적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0

인 하위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다 면담 상자들이 지

적했듯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결혼 이민자가정의 아동은 사실상 단일언어가정이며

이중언어 사용아동이라 할 수 없음을 기억하고 다문화

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연구를 진행할 때 하위집단에

따른 특성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에 의하면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이 자녀

의 성장에 따라 고차원적인 의사소통과 언어적 지원

이 필요하다고 느끼지만 부족한 한국어 능력으로 인하

여 심리적 위축감과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한다(고은

2006 전홍주배소영곽금주 2008) 또한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한국어 능력이 우선임을 강조

하며 자신의 출신국 언어에 해 교육하는 것을 필수

가 아닌 선택사항으로 인식하고 있고 이중언어 환경

에 해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고은 2006) 면

담 상자에 의하면 다문화센터를 중심으로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 중요성을 알리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이

중언어교실이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그렇지만 이는

다문화가정의 아동 및 일반인을 상으로 베트남어 등

외국어를 가르치는 프로그램으로 집에서 엄마의 모국

어를 사용하여 아동을 이중언어 사용자로 양육하는 것

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정책적으로나 연구를

통해 부모가 가지고 있는 이중언어 환경에 한 불안

감을 감소시키고 초기 중요한 시기에 엄마와 아동이

어느 나라 말을 사용하든지 충분한 언어자극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넷째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교육을 지원

하고자 하는 강한 열망에도 불구하고 자녀들의 학업

에 도움을 주는 실제적이고 직접적인 지원에는 한계를

느낀다고 한다(송미경 외 2008 이진숙 2007 전홍주

배소영곽금주 2008 Cooper et al 1995) 면담 상

자들의 견해로도 언어문제를 인식하거나 평가에 의뢰

하는 데 다른 전문가들 상의 홍보와 도움이 많이 필

요했다고 하였다 또한 아동의 치료과정에서도 어머니

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 가정 방문교사나 어린이

집교사의 도움에 의존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사

실은 부모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노력해야함을 의미하

기도 하지만 언어치료사들이 다문화가정 아동을 치

료하는 과정에서 다른 전문가들과의 협력이 중요함을

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다섯째 언어평가에 의뢰되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연

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면담에 참여한 언어치료사

들도 담당하고 있는 아동의 많은 수가 24에서 36개월

사이의 영유아라고 답하고 있다 영유아를 상으로

하는 언어중재는 부모를 포함한 가정-중심 중재이며

부모에 의한 언어촉진방법을 중시하고 있다(Paul

2007) 그러나 다문화가족 영유아의 어머니는 한국에

체류한 기간이 짧아 그만큼 한국어가 미숙한 실정이

다 그러므로 다문화가정 영유아 아동의 중재 시에는

이러한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엄마의 모국어로

상호작용하도록 권유하거나 어린이집에서 제공되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과제라 할

것이다

여섯째 다문화가정 부모들은 자녀의 교육에 한

부분을 교육기관에 일임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왕한석 2007 전홍주배소영곽금주 2008)

한국사회에서 문화적응과 언어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들에게는 자녀를 이른 시

기에 교육기관에 보내어 다문화 가정의 취약한 언어

환경을 극복하고 발달을 돕고자 하는 것이 이들의 최

선의 선택이자 노력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면담에

서 밝혀진 바와 같이 부모의 소극적 참여 역시 같은

맥락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부모의 이러한 특성

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에 관련 전문가들의 역할

과 공교육에서의 교육제공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

다 어린이집과 유치원 학교에서 언어치료사가 근무

하게 될 경우 언어치료 상에 다문화가정 아동을 포

함시키는 방안도 추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 언

어치료사가 전체 언어치료사의 55를 넘는 미국의

경우(김영태 2004) 학교언어치료사가 현실적으로 과

중한 치료사례를 담당하고 있는 것이 이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나타났다(Marshall Stojanovik amp Ralph

2002) 이러한 문제는 앞으로 학교에서 언어치료를 제

공하게 될 우리나라에서도 미리 고려해야 할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더구나 다문화가정 아동과 같은 위험군 아

동을 학교 언어치료사의 치료 상에 포함시킬지 여부

도 우리가 고려해야할 사항이 될 것이다 언어치료사의

역할에 lsquo장애의 예방rsquo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ASHA

2004 Paul(2007)에서 재인용) 향후 학교 언어치료사

에 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될 때에 다문화가정 아

동과 같은 위험군 상아동에 한 예방 업무가 포함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이끌 수 있도록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사회의 일원인 언어치료사의

역할 역시 변화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

해 밝혀진 바와 같이 급증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아동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61

의 언어치료 및 지도에서 언어치료사는 언어발달지도

사로 근무하거나 이들의 수퍼바이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면담 상자에 의하면 언어발달지도사들이

현재 아동이 속한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로 파견 근무

를 나가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앞으로 통합어린이집

에서 언어치료를 제공하거나 학교 언어치료사로 근무

하는 것 역시 새로운 언어치료사의 역할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언어치료사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관련 정보 습득 학령기 아동을 위한 읽기 등에 한

공부 통합된 교실에서의 언어치료 제공능력과 같은

다양한 직업 환경에 맞는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언어치료사와 연구자들이 변화해가는 역할을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한 방향을 제시하

는 데 그 임상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참 고 문 헌

고은(2006) 이중언어 사용 아동의 부모들이 갖는 모국어에

한 가치 기준과 경험적 의미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5(3) 165-184

권수진(2006) 다문화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생성이름

기 특성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교육과학기술부(2010) 다문화가정 학생현황(2010 4 출신국

포함) 출처 httpwwwmestgokr

김영란김영태이은주(2007) 이중언어아동의 어휘학습

능력 측정에 적용된 역동적 평가에 한 타당성 고찰

-1990년 이후의 문헌을 중심으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3) 59-77

김영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김영태김경희윤혜련김화수(2003) 985172영유아 언어발달

검사(SELSI)985173 서울 파라다이스 복지재단

김영태(2002) 985172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985173 서울 학지사

김화수(2009) 한국 다문화사회에서 언어치료사의 역할모형에

한 제안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85-209류현주김향희김화수신지철(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능력 및 음운변동 특성 985172음성과학985173 15(3) 133-144박상희(2006)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985172한국언어치료

학회 학술 회 발표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박상희(2009)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산출에 관한 종단적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89-97박지윤박상희석동일(2007) 학령전기 이중언어 환경 아동

의 언어학적 특성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2) 131-145배소영곽금주김근영정경희김효정(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발달지원자 설문을 통해 본 아동의 언어환경

및 언어발달 실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65-184신경림장연집김영경이금재최명민김혜영김옥현

김영혜(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포커스 그룹985173 서울

현문사

송미경지승희조은경임영선(2008)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985172한국 심리학회985173 20(2) 497-517

안성우신영주(2008) 저소득층 일반아동과 다문화 가정아동

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4) 81-94

이명선김춘미고문희(역)(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상호

작용적 접근985173 서울 군자출판사

이은주김영태(2010) 1990년 이후 이중언어 연구 동향 985172언어

치료연구985173 19(2) 73-90이수정신지철김향희김화수(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능력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3) 95-115이진숙(2007)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양육실태와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관한 연구 985172열린 유아교육 연구985173 12(6) 21-42

오성숙(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 개인변인 가정환경자극과

유아 언어능력의 관계 구 학교 학원 석사학위

논문

오소정김영태김영란(2009) 서울 및 경기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과 관련변인에 한 기초 연구 985172특수

교육985173 8(1) 137-161오성배(2005) 도시와 시골지역 사이의 학업성취도 격차연구

목포시와 인근지역의 자료분석 중앙 학교 학원 박

사학위논문

왕한석(2007) 985172또 다른 한국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언어

적응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985173 서울 교문사

양성오황보명(2009) 취학전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37-56

여성가족부(2012) 2012년 다문화가족지원사업안내 출처

httpmogefgokr

장유경이근영곽금주성현란(2003)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

이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심리

학회지 발달985173 16(4) 227-241장현진신명선전희숙김효정(2011) 어머니 국적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비유창성 특성 연구 985172언어치료

연구985173 20(1) 17-29전홍주배소영곽금주(2008) 결혼이민자 가정에서 이루어

지는 자녀교육지원의 실제와 의미 필리핀과 일본

어머니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가족과 문화985173 20(3) 161-186

정은희(2004) 농촌지역 국제결혼가정 아동의 언어발달과

언어환경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3(3) 33-52정하성유진이이장현(2007) 985172다문화청소년 이해론985173 파주

양서원

정현영(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시아 여성과 한국남성의

이중문화가정자녀를 중심으로 숭실 학교 학원 석

사학위논문

최연실(2007) 도시 국제결혼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이야기능력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2

황상심정옥란(2008) 경상도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13(2) 174-192황상심(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초기 표현어휘 발달과 성차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9(1) 193-209황상심김화수(2008) 다문화환경 조음음운장애아동과 기능

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음운변동 패턴 연구 985172특수

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985173 9(4) 329-348황상심김화수(2009) 다문화에 한 언어치료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985172제1회 한국언어치료학회한국언어청각

임상학회 공동학술 회 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황상심정옥란(2008)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발달과 관련

변인 상관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1) 81-102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3

Received January 20 2012 Final revision received February 24 2012 Accepted March 1 2012

2012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httpwwwkasa1986orkr

ABSTRACT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o Hyun ParkMyoung sim Jungsect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Korea

sect Correspondence to

Myoung sim Jung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99 Daehangno Yuseong-gu Daejeon Koreae-mail bogamihanmailnet tel +82 10 2990 5002

Background amp Objectives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been increasing for yearsin Korea increased attention has been given to childrenrsquos language development Recent researchhas revealed language problem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research specifically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these problems are due to language differences or language difficulties is lack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between children with simple language disorders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In-depth interviewing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Seve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who had been working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ll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Four primary themes and seven subthemes emerged fromthe analysis 1) speech and language evalu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2)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3)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4)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for SLPs who work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scussion amp Conclusion The results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themes defined in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in reference to otherrelated literatur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presented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Key Words multicultural families bilingual speech-language evaluation speech-language intervention language development consultant at-risk children

REFERENCES

Ahn S amp Shin Y (2008) A comparative study of multi-ultural background childrenrsquos and low-income childrenrsquos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4) 81-94

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hang H Shin M Jeon H amp Kim H (2011) A study on disfluenc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mothersrsquo nationali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20(1) 17-29

Chang Y Lee K Kwak K amp Sung H (2003) Relations of maternal linguistic inputs to lexical development of Korean infant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

chology 16(4) 227-241

Choi Y (2007) Narrative abilities of Korean children with and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64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Hwang S (2010) Early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and gender difference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9(1) 193-209

Hwang S amp Jeong O (2008)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3(2) 174-192

Hwang S amp Kim H (2009) A survey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ervice deliver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oceedings of the 1st Korean Speech- 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Collaboration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Hwang S amp Kim W (2008) A study on the phonological process patterns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problem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gricultural Area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9(4) 329-348

Jeong E (2004) A study on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environment of children from internationally married couple living in an agricultural villag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3(3) 33-52

Jeong H Yoo J amp Lee J (2007)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youth Paju Yoangseowon Press

Jun H Pae S amp Kwak K (2008) Practices and meanings of immigrant mothersrsquo support for childrenrsquos education Cases of mothers from the Philippines and Japan The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20(3) 161-186

Jung H (2007)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mixed ethnic children Focused on the marriage of Korean man with Asian woman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im W (2009) A new light on models of SLPrsquos role in a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8(4) 185-209

Kim Y (2002)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Seoul Hakji Press

Kim Y (2007) Literature review regarding validity of the dynamic assessment applied in lexical learning ability measures for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3) 59-77

Kim Y Kim K Yoon H amp Kim H (2003)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Seoul Paradise Welfare Foundation

Kim Y Seong T amp Lee Y (2003) Preschool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Ko U (2006) The criteria for value and empirical meaning of mother tongue in case of parents of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5(3) 165-184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Kwon S (2006)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in generative naming for children of multi-culture family and children of ordinary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Lee E amp Kim Y (2010) A literature review of bilingual study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2009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9(2) 73-90

Lee J (2007) A study of childcare and education fathersrsquo childcare participatio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6) 21-42

Lee M Kim C amp Ko M (2004)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Seoul Koonja Press

Lee S Shin J Kim H amp Kim W (2008) A study on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3) 95-115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Statu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vailable from httpwwwmestgok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mp Family (2012)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guidance Available from httpmogef gokr

Oh S (2005) A study of achievement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ith data from Mokpo city and adjacent to regions Unpublished doctorrsquos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Oh S (2009) The relations of childrenrsquos linguistic abilities to mothersrsquo personal variables and home environmental stimuli in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Oh S Kim Y amp Kim Y (2009) Preliminary study o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mily factor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Special Education Research 8(1) 137-161

Pae S Kwak K Kim K amp Kim H (2009) Supporting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survey of mothers and developmental sup-porter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4) 165-184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rk J Park S amp Seok D (2007) Language characteristics in pre-school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2)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5

131-145

Park S (2006) Language abilit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oceedings of the Korean Speech- L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Park S (2009) A longitudinal study of articulation production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89-97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Shin K L Jang Y Kim Y K Lee K J Choi M M Kim H Y Kim O H amp Kim Y H (2004) The method of quality study Focus group Seoul Huynmoon Press

Song M Jee S Cho E amp Lim Y (2008) A study on the parental experience of a foreign mother in a mul-ticultural famil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2) 497-517

Wang H (2007) Another Korean Seoul Kyomun Press

Yang S amp Hwang B (2009) A comparative study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culture familie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37-56

Yoo H Kim H Kim W amp Shin J (2008) Articulation ability and phonological process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Korean Journal of Speech Sciences 15(3) 133-144

The authors wish to thank Youngheon Lee(Saint

Andrewrsquos school DE) amp Ye Rin Jung(Chungnam Univ)

for their unfailing support in organizing interview

data

Page 7: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최소 1년 이상의 언어평 가 및 치료경험이 있는 자로 한다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3

이 가능하다고 한다

지금 원래는 상은 6학년까진데 제가 많이 본거는

거의 만3세정도의 아동이 많아요(S6 260)

지금 아이들이 다 어리니까요 20개월에서 한 35개

월 정도요 그러다보니까 엄마랑 아이랑 같이 말을

배워간다고 보시면 되요 그러니까 상호작용 문제

가그 또래 애들 중에 말 느린 아이들이 되게 많아

요(S7 112-15)

나 언어특성

다문화가정 아동 부분이 비다문화 가정 중에서도

낮은 SES아동과 유사한 언어특성을 보인다는 의견이

었다 다문화가정 아동은 어휘능력이 두드러지게 저하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가장 두드러지게 향상

되는 부분 또한 어휘능력이라고 한다

그리고 어머니의 출신국 언어의 억양이나 조음에 영

향을 받아서 독특한 억양이나 조음특성이 나타나는 사

례가 종종 있다는 의견이었다 학령기 아동의 경우 부

족한 경험으로 인하여 이야기하기 과제 및 문제해결력

이 미숙하고 질문에 답할 때 서툰 표현력이 관찰된다

고 한다

어디에서 얘네들이 가장 막히냐하면 어미 그리고

마지막 끝 말미 서술 표현이 정말 웃겨요 그 서술

마무리까지를 잘 못해요 그 마무리를 참 이상하게

말해요 항상 그냥 단답형에 익숙한 아이들이라서

문장을 마지막에 끝내는 거에 많이 익숙하지가 않더

라구요 그래서 서술어도 지네 마음 로 해요 만약

에 제가 질문이 예측 예방하는 차원의 질문이었어

요 만약 lsquo이런 일이 있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했었

어야 하니rsquo 하면 이거에 맞는 서술부분이 나와야

되는데 그냥 평서문처럼 lsquo주어 목적어 서술어rsquo 이런

단문형태의 그냥 lsquo누가 뭘 했어요rsquo 이런 식이예요

답변이(S2 9308-314)

어 어휘 아닐까 어휘영역이 속도가 굉장히 빠르구

요 하지만 또 끝까지 애먹이는 것도 어휘 참 특이하

지요 그만큼 우리가 연령이 높아지면서 습득해야

될 어휘가 굉장히 많아서 제일 많이 늘어나는 것도

어휘인 것 같은데 또 언어발달지도 받고있는 학령

기 친구들이 제일 애먹는 것도 어휘에요 오히려 못

따라가요 아무래도 모국어 친구들만큼 못 따라가는

것도 어휘더라구요 그게 또 그러네 (S3 5160-164)

아 그러니까 일본아이들 같은 경우는 조음에 있어

서 약간 억양문제가 있는 아이들도 있고요 그 다음

에 중국아동들은 음중국어를 오래 한 아동은 조

음에 있어서 정말 지역에 따라서 좀 다르기는 한데

그래도 lsquoㄹrsquo 조음이 잘 안 되는 경우도 있고요(S4

16624-627)

그냥 얘기는 화상에서의 얘기는 괜찮은데 엉뚱한

답을 조금해요 이해를 못해서 그래서 무슨 질문

같은 걸 하면 엉뚱한 답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서 그것도 아까 말했듯이 어휘가 약하기 때문에 lsquo이

거 이렇게 했어rsquo 막 이렇게 행동이랑 같이 표현을

하거나 아니면 같은 말에 오만상을 다 쓰거나 하는

경우가 조금 있어요 그리고 아까 말했듯이 이해를

못해서 엉뚱한 이야기를 하고 자기 관심사만 조금

얘기를 하고 이거 얘기하다가 갑자기 다른 얘기로

넘어가고 내가 물어봤던 건 이건데 전혀 다른 얘

기를 하고 막 이렇게 그렇게 산만하지 않은데도 그

런 경우가 있어요 내가 무슨 얘기를 하면 lsquo우산을

갑자기 비오니까 우산 들고 가야지rsquo하면 lsquo우산 집에

있어rsquo부터 시작해서 그래서 lsquo비 올땐 뭐 필요하

지rsquo 물어보면 내가 듣고 싶은 건 lsquo아 우산 들어야

돼요rsquo 라는 답을 원했는데 lsquo어 밖에 비 안 오는데요rsquo

그래서 막 그림 그리면서 lsquo어 지금 비오잖아rsquo하면

그 질문에 한 lsquo어 우산 써야rsquo 그 얘기가 아니라 lsquo어

비 많이 오네rsquo 이러면서 lsquo나도 그릴래요rsquo해요(S6

10368-388)

다 언어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 외 특성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문제와 더불어 문화적 차이

로 인하여 겪게 되는 심리적인 문제가 상당히 심각하

다고 한다 또한 부분의 다문화가정 아동의 가정환

경 및 경제적으로 좋지 못한 환경 등으로 인해 집안에

서도 안정적이지 못한 경우도 많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러한 경우 다문화가정 아동은 체로 말을 안 하거

나 쉽게 마음을 열지 못해 라포형성이 어려우며 자신

감이 떨어지고 또래와 다른 외모로 자존감이 낮은 경

우가 많다고 한다

두드러지죠 정서 이것도 취약계층 아동이랑 거의

비슷해요 걔네들 같은 경우에는 이 따뜻한 표현 또

는 상호작용에 의한 이런 경험 지지받았다는 그런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4

사실 이런 것들이 답습이 안 되서 마치 던지듯이

말해요 예쁜 말들이 아닌 거죠 그리고 준비가 안

되어있어요 받아들이기가 그래서 표면적으로 드러

나는 언어패턴이나 이런 부분들이 조금 괴팍스러워

요 그니까 얘네들하고 조금 비슷한 거 같애서 정서

에서 어려움이 오는 아동들도 있잖아요 그런 아동

들을 어떻게 정서가 딱 어려워서 온 게 아니라 환경

으로 인해서 이렇게 정서적으로 고립된 아동들도 있

잖아요 걔네들 반응하고 거의 똑같은 거 같아요(S2

17614-621)

일본인 가정은 확실히 문화적인 차이예요 어떤 거

냐하면 존 법아시아권은 부분 그 예의와 관련

돼서 굉장히 중시하잖아요 근데 아이들도 남의 말

을 경청하고 숙여지는 게 있어요 그니까 남의 말을

더 들어주는 거예요 일본인 가정은 부분 다 lsquo예

예rsquo 이런 거거든요 더 적극적으로 의사소통을 하지

않아요 똑같이 일반인 가정의 부모가 유럽쪽 계통

이 있었어요 유럽쪽 계통의 엄마가 한국남성하고

결혼한 그런 분이었는데 이집은 달라요 되게 적극

적이예요 아이가 의사소통 자체가 굉장히 적극적

인데 일본인 가정은 덜 적극적이예요 이 문화가 경

청하고 들어주고 그저 lsquo예 예rsquo이런 문화라서 그런

건지는 모르겠는데 자기표현 보다는 더 듣는 쪽으로

아이들이 발달을 한 것 같아요(S2 8271-280)

말을 안 하거나 쉽게 맘을 못 여는 거 장애가 있는

친구들보다 라포를 형성하는데 굉장히 오래 걸리

고 그리고 자기가 자신감이 굉장히 없어요 유치원

친구들이나 학교 친구들로부터 이미 외모로 인한

lsquo좀 다르다rsquo라는 인식으로 인해서 자신감이나 자존

감이 되게 낮아요 이미 외모에서 티가 나버리니깐

그런 것들이 좀 심각한 것 같아요(S3 6186-189)

라 이중언어 사용 현황

면담 상자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다문화가

정 아동이 한국어와 함께 엄마의 모국어를 함께 사용

하는 경우는 략 10~20정도였다 이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머니가 일방적으로 한국문화에 적응하고 어

머니의 문화를 가르치거나 노출시키는 경우는 많지 않

기 때문이기도 하고 또한 어머니가 자신의 출신국 언

어를 사용할 경우 아이한테 혼돈을 줄 수 있다는 걱정

과 가족들이 한국어만을 쓰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높은 교육열을 보이는 일본출신

의 어머니들의 경우는 출신국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보고도 하였다

중국이나 필리핀 경우는 영어를 가끔씩 쓰는 것 같

은데요 ( 부분은) 주로는 한국어를 썼던 것 같아

요 보통 확률로 보면 한 20내외 나머지는 다 한

국어 근데 요즘 중도입국한 아이들 다른 나라에 살

다가 학교 갈때 쯤 한국 들어오는 경우는 한국어가

제 2 외국어가 되죠 우리 머릿속에 언어에 한 선

호도 어떤 언어가 더 높은지 아는 것 같아요 다문

화 가정에서도 한국어가 더 높다는 거죠 필리핀 태

국 이런 곳 보다 그래서 식구들이 다 한국어만 쓰기

를 원하고 또 앞으로도 걱정을 하는 것 같아요 엄마

가 필리핀 태국말을 쓰면 애가 한국말을 잘 못 배울

까봐(S1 5171-182)

모국어를 쓰는 경우는 정말 일본 엄마들로 한정이

되어있어요 일본이나 중국 몽골은 전혀 안 쓰세

요 거의 lsquo내 아이가 헷갈릴 수 있다rsquo라는 생각을

갖고 계신 분들이 많기 때문에 저의 경우 엄마랑

아이가 본국말로 의사소통 하는 경우는 일본이 제

일 많고 그 다음에 중국 그리고 가끔 필리핀 영어

로 음 그리고 드문 케이스지만 저희 센터에 우즈

벡에서 오신 선생님이 계신데 그 분은 아이들이랑 러

시아어로 의사소통을 하시더라구요(S4 6226-235)

3 다문화가정 아동의 치료

가 언어치료 제공의 어려움

언어평가 후 언어능력이 6개월 이상 지연 및 지체

되어 언어치료가 필요한 다문화가정 아동이 전문 언

어치료기관으로 의뢰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고 한다 다

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와 그 가족들은 언어평가 결과와

상관없이 언어치료 필요여부에 무관심하기 때문이라

고 보고하였다 아동에게 언어치료를 의뢰해도 지역에

따라 그 지역에 있는 언어치료센터가 없어서 언어치료

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다문화가정 아동

의 아버지와 조부모는 자신의 아이가 다문화가정 아동

이기 때문에 언어치료사들이 편견을 가지고 문제점만

을 찾는다고 생각하는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다는 의

견도 있었다

(언어치료를 받아야 할 아동들이) 있어요 그런 아

이들은 (언어치료센터에) 연계를 해야 하는데그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5

러니까 연계되었다가도 치료실에 적응 못하고 다시

오는 경우가 있어요 그러니까 엄마랑엄마가 의사

소통이 잘 안되고 치료실 선생님들이 잘 받아주지

못하는 그런 게 조금 있었나 봐요 어떤 엄마 같은

경우는 본인이 말이 어눌한데 선생님이 빨리 설명

해주고 상담시간에 본인이 이해가 안 되게 이야기

해줘서 치료를 받다가 다시 오게 되는 경우도 있었

고 그리고 그 장애 진단을 받으면 편한데 아빠들

이 장애진단을 안 받으려고 하세요 특히 더더군다

나 치료실을 가게 되면 비용이 비싸지니까 바우처 활

용도 못 받고 그래서 그런 경우는 (다문화) 센터를

이용하려고 하시는 분들도 계세요(S4 14540-550)

한국에 들어와서 한국어에 해서 잘 모르시니까

한국어에서 문제가 있다하더라도 본인이 못 느끼

시는 경우 많이 있으세요 본인이 한국어 실력이 그

만큼 안 되기 때문에 아이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자

기가 못 느꼈다거나 그 다음에 뭐약간 국적적인

성향 같은 것을 가끔 느끼는 게 일본이라든가 중

국 어머님들은 그나마 학구열이 있기 때문에 그나마

조금 저거 하시는데 동남아권이라든가 그런 분들

은 그냥 뭐 lsquo잘 살아가면 되지rsquo로 생각하시는 분들

되게 많거든요 그래서 아이가 문제가 있다 하더라

도 생활 속에서 나랑 잘 생활하고 있다 그러면 lsquo난

안 받을래요rsquo 하시는 경우가 많으시고 어머니는 문

제에 해서 lsquo아 그렇군요rsquo라고 받아들이셔도 이제

아버지라든가 할머니라든가 이제 그한국가정에

서 lsquo어우리 아이가 무슨 문제가 있나요 왜 다문

화라고 해서 자꾸 우리아이를 찾아내고rsquo 워낙 교

육이라든가 도움이 많다보니까 lsquo다문화라도 우리

한테 자꾸 이런 거 주지 마세요 그리고 뭐가 문제가

있다고 자꾸 찾아내고 우리 애 잘 살고 있습니다rsquo

이런 분들이 오히려 아빠나 시어머니나 이쪽이 많

으신 거 같아요(S5 7299-311)

지금 제가 수업하고 있는 애들 중에서는 아직 어린이

집 가기 전 아동이 거의 40-50정도거든요 40

가 안 가고 60가 가고 이 정도 퍼센튼데 요새는

어려도 어린이집에 보내려는 경우가 많아서 근데

어린이집 가면 시간이 없다고 안 오시려고 하시는

경우가 많고 또 어린이 집 끝나고 오는 딱 그 시간

을 원해가지고 수업을 못 받는 경우가 많고 받는

경우가 60 40정도가 돼요 지금(S6 14545-550)

나 언어치료(지도) 장소

다문화 언어장애아동을 상으로 언어치료사가 제

공하는 언어치료 혹은 환경요인에 의한 경미한 언어

지체위험군 아동을 상으로 언어지도사가 제공하는

언어지도는 센터의 교실 또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다

니고 있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으로 파견 나가서 제공

되고 있었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다수가 어린이집을

다니고 있으며 어머니들은 아동이 있는 곳으로 방문

지도를 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파견근무가 늘고

있다고 한다 영유아의 경우는 가정에서의 지도가 바

람직하지만 여러 이유로 다문화 센터 규정상 가정에서

의 언어지도는 제공되지 않는다고 한다

센터 안에 있는 언어발달지도교실 근데 중요한 건

센터에 와서 언어발달지도교실에서 하는 것 보다 어

린이집으로 우리 선생님들이 가서 언어발달지도를

하는 비율이 거의 2 8에요(S3 7237-239)

다 언어치료(지도) 효과

다문화가정 아동을 언어치료(지도)를 했을 경우 어

휘영역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향상된다고 한다 하지만

연령이 높아지면서 습득해야 할 어휘가 늘어나기 때문

에 학령기 아동이 힘들어하는 부분도 어휘영역이라고

한다 아동의 언어치료(지도) 효과는 부모의 교육수준

안정된 가정환경이나 언어자극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

는다는 의견이었다 언어치료(지도)를 받는 다문화가

정 아동은 어휘습득은 빠른 편이지만 문법오류와 담

화 읽기 인지적 부분은 지속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경

우가 많다고 한다

어휘력은 노출되는 만큼 자기 것이 되서 사용하는

데 단어를 많이 활용하기 때문에 주로 어휘력부분

같은 경우에는 lsquo어라 이런 단어도 사용하네 이런

단어도 사용하네rsquo 이런 부분들이 있어요 근데 인

지적인 측면은 늘긴 늘지만 계속 향상될 만하면 어

려움이 닥치고 될 만하면 닥치잖아요 얼마나 어려

워요 그쵸 그래서 이런 측면은 계속 발달되는 게

정말 다르더라구요(S2 18640-645)

약간 문제가 있는데 문법적인 게 굉장히 많이 오류

가 있다거나 특이한 사항이 좀 관찰되었다하는 아

이들은 전체적인 점수가 향상되어도 약간의 것들이

남아있는 거예요 특히나 문법이라든가 화용적인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6

측면에서이제 만 5-6세 넘어오고 학령기 들어가

다 보면 아이들이 이미 유치원이라든가 거기서 의

사소통에 제한이 있었던 거예요 언어문제 때문에

약간 좀 소외되었다거나 아니면 뭐상호작용을

잘 못했다거나 그래서 이게 연습이 제 로 안 되어

있는 거예요 그런데 이거를 선생님하고 11로 앉아

가지고 보통의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은 화용문

제를 잡기도 하시지만 보통 드러나는 공식검사에

서 드러나는 거 어휘라든가 문법을 잡으시거든요

그런데 그러다 보니까 이 아이가 나중에 어휘와 문

법이 잘 쌓여도 나중에 그룹에 들어가 가지고 화용

적으로 막 쓰는 데는 약간누가 듣기에는 어 상호

작용을 해보면 약간 이상한 용어가 남아있는 거예

요 그래서 결국에는 이제 만 6세 학교 들어가기 전

이라든가 학교 들어가고 나면 그게 계속 두드러지

게 되는 거 같아요(S5 6236-7250)

언어지도 후 6개월마다 진전평가를 실시하는데 이

때 정상범주에 들어서 종결되는 아동들이 꽤 많다고

한다 이는 아동의 언어문제가 언어환경적인 이유로 인

한 일시적인 언어지체이기 때문으로 설명되고 있었다

연령별로는 영유아의 경우에 6개월 언어지도 후 거의

정상범주에 드는 경우가 많지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6개월 안에 종결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는 의견도

있었다

라 언어치료(지도) 내용 및 방법

일반적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을 언어지도하는 방법

은 일반 언어치료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한다 이는

면담 상자들이 언어치료사이기 때문일 수도 있고 이

들의 수퍼바이저가 모두 언어치료사이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상자의 언어문제가 장애인지 환경적인 일시

적 언어지체인지 명확하지 않은 경우 언어치료를 제공

하는 것이 안전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이었었다 언어촉

진이나 부모 및 교사교육이 포함된 언어치료프로그램

이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적절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언

어지도 방법 면에서는 다문화가정아동과 비슷한 상황

의 주인공을 다룬 이야기책을 사용하거나 어머니의 출

신국에 관한 내용을 반영한 교재를 사용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보통은 lsquo언어치료하고 별로 다르지 않다rsquo라고 언어

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 아이들한테 더 맞는 거 같

거든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제가 그게 더 익숙해서

그런지 몰라도 뭐 한국어 학습 같은 거라든지 이런

것을 받고 그것을 응용을 할 수는 있겠지만 언어치

료 프로그램이 더 맞는 거 같아요(S4 10408-411)

엄마를 지원하는 게 중요하기는 한 거 같아요 lsquo아동

에게 집에 가서 어떻게 자극 주세요rsquo 하는 것들이

그냥 설명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엄마 언어 수준에

맞춰서 제공된다거나(S5 17711-715)

마 부모 참여 및 교육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머니는 스스로 한국어가 부

족하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언어치료사를 만나는 것에

한 부담을 느끼며 비참여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한

다 한국어가 능숙한 어머니에게는 직접 부모교육을

실시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아버지나 방문교사

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의견이었다

그리고 우리나라와 다른 문화에서 자란 다문화가정 아

동의 어머니들이 한국에서 아동을 가르치고 키우는 방

법들을 이해하기 힘들어하거나 혼란스러워하는 경우

가 있다고 한다 이런 경우 부모 출신국에 한 문화적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는 견해이다 그리고 아동의 언

어능력이 어머니의 한국어능력보다 좋아지게 되면 어

머니가 아동에게 언어적인 피드백을 해주는데 어려움

을 겪는 경우가 종종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치료 참여에) 적극적이진 않고 왜냐면 언어가 잘

안된다고 생각을 늘 하세요 그래서 lsquo잘 못 알아듣겠

다rsquo 이런 말씀을 전제로 깔고 가시기 때문에 그런

환경(교육환경)에 익숙하지가 않은 거예요 아직 국

내에서 적응하는 것 자체도 익숙하지 않은데 더군

다나 선생님과의 관계 속에서 무언가 또 같이 이야

기를 나누는 것 자체도 많이 염려스러워하고 이런

부분 때문에 참여하기도 어려운 거죠 참여 시키는

것 자체도 되게 어려움이 있는데 거의 비참여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S2 19689-695)

부모교육 같은 경우에는 저는 조금 거의 한국에서

사신 지 좀 되신 분들 적어도 한 4sim5년 이렇게 되

신 분들 상 로 했었어요 그런데 그런 분들은 크게

문제는 없으세요 특히나 일본 분들은 한국어를 또

쉽게 배우시기 때문에 크게 문제는 없는데 그러

니까 들어오신지 10년이 됐는데 과수원에서 과일

만 따다보니까 한국어를 못 배우신거예요 그래서

아이하고 한 거에 해서 말씀을 드려도 이해를 못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7

하시고 lsquo가서 뭐 해주세요rsquo 해도 못 하시고 그러다

보니까 나중에는 어머니한테 말씀드리는 게 아니라

아버지를 부르게 된다거나 아니면 이 아이가 다니

는 공부방의 누군가에게 도움을 요청한다거나 그

렇게 해서 환경적으로 전체적으로 접근하게 되고

그 때는 어머니만 잡기에는 어려움이 많이 있어

요(S5 9343-352)

(부모님이 집에서 언어촉진 주는 것을) lsquo알겠다rsquo고

하고 잘 안하시는 것 같아요 우선적으로 저는 (아

동과 한 것) 다 얘기 못하거든요 그게 설명이 힘들

어요 솔직히 lsquo공부한 거 애들은 그렇게 어려운 말

필요 없고 그냥 애들이 하는 거 보고 신 엄마가

애 입장에서 얘기해주세요rsquo 이 말 자체는 (엄마에게)

어려워서 예를 들어주거든요 자동차를 보면 어떻

게 어떻게 말을 하는 걸 보여주면 lsquo아아 이렇게

이해했다rsquo고 말을 해요 그렇게 하나씩만 이야기를

하는 편이예요 lsquo오늘 집에서 이렇게만 해주세요rsquo 이

런 식으로 그럼 lsquo잘 알겠어요rsquo하긴 하는데 lsquo어려워

요rsquo 이렇게 얘기를 해요 말을 못 알아듣는 게 아니라

애한테 그렇게 하는 게 어렵다고 잘 안된다고(S6

11410-421)

바 치료에 한 조언

면담 상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에만 초점

을 두기보다는 다문화가정에 해 전반적으로 이해하

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아동과 부모와

의 관계 및 문화적인 부분도 함께 고려해야 하면 다른

발달영역 전문가들과도 협력하는 능력도 필요하다는

의견이었다 공식검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한계점이 있

다는 것을 인식하고 언어학습능력과 잠재력 등을 평

가하여 언어치료(지도)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견

해이다 부모상담 시에는 충분한 상담시간을 제공해

야 한다는 의견이었다

다문화가정 아이들 경우에는 우선은 이 아이가 정

말로 다문화냐 정말로 이 아이가 환경적으로 다문

화환경에 노출돼서 이중언어가 되고 있는지아니

면 이 아이가 뭐 중도입국한 경우도 있구요 지금은

이주노동자들도 언어발달지도사를 찾아오거든요

그럴 경우에 언어적인 자극을 엄마가 안 주거나 교

육적인 서포트를 안 해주는 게 단순히 엄마가 문제

가 있다고 보기보다는 lsquo어 이 나라(엄마의 출신국)

에서는 이런 것들이 없었고 엄마가 적응하는데 내

가 서포트하는 역할이 있어야 되는 구나rsquo해야 하거

든요 그런데 그게 없이 아이만 보게 되는 거예요 왜

냐하면 저희는 lsquo엄마랑 상호작용하는 거 봐요rsquo하고

언어치료사가 이런 것들을 하긴 하지만 계속 아이

의 상태 아이의 수준 이것만 많이 보게 되는 거예

요 그러니까 엄마가 가지고 있는 한국어 실력이라

든가 엄마의 한국어 실력이 얼마나 성장되는지 혹

은 엄마가 어느 정도의 자극을 줄 수 있는 환경에

있는지 이런 것들이라든가 엄마가 아니라도 그러

면 가족들은 얼마나 지원했는지 이런 것들을 많이

놓치세요

또 아이가 가지고 있는 많은 어려움들 특히 피부색

이 다르거나 그런 아이들 중에 간혹 생기긴 하거든

요 많이 없어졌다고 해도(중략)요즘엔 정말로

많이 줄기는 했어요 그런데 필리핀 아이나 베트남

아이 같은 경우는 생김새가 조금 다르다 보니까 애

들이 왕따 같은 것들도 많이 당하기도 하고 선생님

한테 와가지고 다 털어놓고 얘기를 잘해도 학교 가

서는 얘기를 못한다거나 그러면사실은 나만 잡고

교육을 할 수가 없는 거잖아요 심리적인 문제라든

가 여러 가지가 걸리기 때문에그런데 lsquo어 얘가 밖

에서 언어를 못 쓰면 내가 계속 지원해주면 되겠지rsquo

라고 가는 경우도 있긴 하거든요 그러니까 그게 언

어치료사가 아동만 보다보니까 lsquo지금 내가 언어부

분만 봐야지rsquo로 가는데 사실 아이를 전반적으로 보

면 뭐 가족도 봐야 되고 문화적인 것도 봐야 되고

또 다른 발달영역에서 같이 좀 코웍할 수 있는 게

뭐가 있는지도 좀 자세히 살펴보기는 해야 될 거

같아요(S5 13503-14534)

4 향후 과제

가 향후 연구과제

다문화가정 아이들의 특성을 잘 반영해주기 위한

검사도구가 새로 개발되어야 한다는 의견과 앞으로 한

국어가 제2외국어가 되는 경우에 해서도 준비가 필

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연구방향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 같

아요 옛날에는 그냥 단순히 비교해 가지고 lsquo낮다rsquo

이렇게만 했었는데 요즘에는 소득도 약간 통제해

보고 중산층이랑 저소득층이랑 다문화랑 이렇게 비

교하잖아요 조금 특성을 더 접근해 갈려고 하는 것

같아요(S1 11522-524)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8

저는우선은 (특성연구에서) 공식검사 사용은 어

쩔 수가 없는 것 같기는 해요 공식검사에서 이제

우선은 (언어평가 결과가) 나와야 일단은 언어문제

가 있다고 판단은 하니까 그런데 특성을 보려면

공식검사만으로 lsquo어휘가 어때요 문법이 어때요 발

음이 어때요rsquo하는 것보다 조금은 환경적인 것들을

다 통합해서 아이가 실제 쓰고 있는 언어라던가

이런 것들을 자세히 살펴볼 필요는 있을 것 같아요

그런데 연구에서는 사실은 되게 어렵잖아요 자발

화를 여러 개를 떠온다거나 뭐 엄마하고 상호작용

을 관찰한다거나 그런 게 굉장히 어렵기는 하지만

그게 이제는 공식검사만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조금 부모를 포함해서 혹은 설문을 통해서라도 환

경하고 언어를 같이 보는 게 이제는 많이 시작은

되어야 할 것 같아요(S5 271103-1111)

나 엄마의 모국어 습득의 중요성

다문화가정 아동이 한국어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모

국어도 사용하는 것을 국가적으로 장려하고 있다고 한

다 그리고 다문화가정 아동이 학령기가 되었을 때 제

2외국어나 장래직업과 관련지어서 혹은 단순히 어머

니의 모국어를 배우고 싶어 하는 경우가 있다는 보고

가 있었다

제가 만나봤던 거의 90퍼센트 정도는 주 언어가 한

국어였고 그리고 물어보면 나중에 커서 가르쳐 주

겠다 하는 아동이 많았어요 진짜 이중언어를 배우

는 건 솔직히 좀 좋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진짜

이거 이중언어 이런 거를 필수적으로 방문 서비스

에서도 이렇게 엄마말 가르쳐 주는 서비스를 만들어

가지고 다시 또 이렇게 할 수 있게끔 같이하는 것도

필요한 것 같아요 어렸을 때부터 그걸 제가 가르쳐

줄 순 없으니까(S6 17654-665)

올해부터 장려해서 정확한 제목은 기억이 안 나는

데 영재 영재교실이라고 해서 엄마의 모국어를 가

르치는 교실도 함께 다니는 친구들도 많아요 요즘

에는 올해부터는 우리친구들을 다문화친구들을 글

로벌인재로 양성하려는 게 국가적으로 목표가 됐

죠 그래서 한국말도 가르치지만 엄마의 모국어도

한국말처럼 잘해라 엄마의 모국어도 못하는 애들

도 있거든 그래서 두 가지 언어를 잘하게 될 거 아

니에요 정말 훌륭한 인재가 될 수 있잖아요 그거

를 올해부터는 많이 강조하고 있더라구요 영재겠

지 언어영재교실이라는 이름으로 엄마의 나라 말

도 배우고 또 언어발달지도 선생님한테 한국말도 배

우고(S3 262-69)

다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

면담 상자들은 어머니가 아동의 교육에 참여하고

직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모교육프로그램이 필

요하다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영유아 아동을 위한 언

어발달지도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보고가 있었다

영유아아이들을 언어발달 지도할 때는 좀 더 다를

수 있어서 그런 영유아아이들을 상으로 하는 언

어발달지도프로그램 그런 것도아까 말했던 lsquo엄마

들을 어떻게 언어치료에 좀 더 참여시킬 것인가rsquo 이

런 문제들 그리고 매뉴얼들을 많이 개발하시려고

하는 것 같아요(S3 9307-311)

라 언어치료사의 새로운 역할

모든 면담참여자는 궁극적으로 언어에 문제가 있는

아동을 중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언어치료전공자가 다

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로 일하는 것이 필요하

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지만 현재에는 언어

치료를 전공하지 않은 언어발달지도사들도 많기 때문

에 이들과의 연계 필요성도 언급되었다 그밖에 언어

발달지도사의 감독자나 유치원 및 학교현장에서 치료

를 제공하는 학교언어치료사가 언어치료사의 새로운

역할이 될 것이라는 견해도 있었다 또한 언어치료전

공자가 언어발달지도사로 일한 경력도 언어치료사 경

력으로 인정될 필요성이 언급되었다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이 다 언어치료사는 아니

잖아요 만약에 언어치료사가 아닌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이 있다고 치면 그런 분들과 연계해서 해

야 될 부분이 많을 것 같구요(S1 13628-631)

(아동이 언어지체를 보이는) 그런 경우에는 치료를

해줘야 된다고 생각을 해요 현재는 그런 예가 적지

만 다문화 가정 아동의 엄마가 잘 못해주는 경우가

있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그냥 놔두는 것 보다 그

위험부담을 감수할 필요는 없는 것 같아요(S1

9413-316)

무료교육이 되다보니깐 우리 친구들이 100 어린

이집을 다니잖아요 그러다보니깐 엄마들이 그 유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9

치원에서 다 해결을 해보고 싶으신 거에요 자기가

데리고 오려면 교통비도 들잖아요 여유 있지 않다

보니깐그래서 유치원에 일단 들어가잖아요 그러

면 센터로 안와요(S3 7241-244)

Ⅳ 논의 및 결론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평가 및 언어치료(지도)에

해 숙련된 언어치료사를 상으로 실시한 면담 결

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에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언어평가를 받

기 위해 자발적으로 센터를 방문하는 경우는 많지 않

았으나 타전문가들에 한 홍보활동과 다문화가족지

원센터를 이용하는 어머니들이 많아지면서 다문화가

정 아동의 언어평가를 의뢰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

고 있다 면담 상자들은 기존의 공식검사 결과만으로

나타난 언어발달지체가 언어장애여부 판별에 사용되

는 것에 한계가 있음을 강조하였으며 공식검사 외에

비공식검사나 역동적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어평가 및 언어치료(지도)를 받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그 이유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비가 무료화되면서 24개월 미

만의 영유아가 센터로 방문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

기 때문이다 다수의 어머니들은 아동과 의사소통을

할 때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영유아의 경우는

엄마의 한국어 공부기간이 짧기 때문에 그만큼 더 부

족한 언어자극을 받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다문화

가정은 사회경제적 여건이 어려운 가정이 많기 때문

에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이 낮은 사회경제적 위

치에 있는 가정의 아동 언어특성과 유사한 면이 많다

는 의견이다 특히 어휘부분에서 크게 떨어지는 것으

로 평가되고 있지만 그 외에도 문법 면에서의 잦은

오류 사회적 의사소통이나 담화 및 읽기 등에서도 문

제를 보이고 있었다 언어 이외에 정서적 문제를 동반

하는 경우도 이들의 언어지도 및 학습에 영향을 미치

고 있었다

셋째 언어평가 후 언어치료가 필요한 아동의 경우

언어치료센터로 의뢰되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지

역적 특성상 언어치료센터를 찾아보기 힘든 경우도 있

지만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와 가족들이 언어치료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 않는 경우도 많다는 의견이

었다 따라서 언어치료가 필요한 언어장애아동의 경

우 언어발달지도사가 지도해야하는 경우가 많았다 언

어지도는 다문화센터 뿐 아니라 다문화가정 아동이 다

니고 있는 어린이집으로 파견 나가서 하고 있는 경우

도 많았다 환경적 요인에 의한 언어발달지체일 경우

에는 언어촉진을 주었을 때 아동의 언어능력이 크게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휘능력이 크

게 향상 되는 반면 문법오류와 담화 읽기 인지적 부

분의 어려움은 지속적으로 남아있기도 하였다

언어발달지도사는 치료사가 아니기 때문에 개발되

어 있는 교재를 활용하여 아동의 언어촉진을 목적으

로 언어지도를 수행하고 있으나 언어치료를 전공한

언어발달지도사의 경우는 일반 언어장애아동을 상

으로 한 언어치료목표나 방법을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적용하고 있었다 다만 방법 면에서 다문화가정 아동

과 비슷한 상황의 주인공을 다룬 이야기를 사용하거

나 어머니의 출신국에 관한 내용을 고려한 교재를 사

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언어치료 상이 된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의 경우 아동의 언어치료에

비참여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이 부분인데 이는 어

머니 스스로 한국어가 부족하다는 인식 때문에 전문

가를 만나는 것에 부담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라는 의

견이었다 언어치료사는 부모의 출신국에 한 이해를

돕는 정보나 교재 프로그램을 통해 이들의 문화와 전

통 가치관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상의 결론을 토 로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바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면담 상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을 공식검사 결과만으로 평가하는 데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는 선별에서 고위험군

으로 판정된 아동에 해서는 언어장애 유무를 확인

하는 단계에서 공식검사와 비공식검사를 보완하여 사

용하거나 역동적 평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

로 보는 선행연구(Bedore amp Pefia 2008 Deponio et

al 2000)와 일치하는 견해이다 임상현장에서 단순히

공식검사결과만으로 이들이 언어장애라고 진단하지 않

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을 규준

에 포함시키거나 이들의 특성을 민감하게 반영할 수 있

는 공식검사도구의 개발도 필요하다 할 수 있겠다

둘째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우리가 다문화가정이라

고 부르는 집단은 결혼 이민자 가정 중도입국자 가정

외국인 근로자 및 유학생 가정 새터민 가정 등 이질적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0

인 하위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다 면담 상자들이 지

적했듯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결혼 이민자가정의 아동은 사실상 단일언어가정이며

이중언어 사용아동이라 할 수 없음을 기억하고 다문화

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연구를 진행할 때 하위집단에

따른 특성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에 의하면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이 자녀

의 성장에 따라 고차원적인 의사소통과 언어적 지원

이 필요하다고 느끼지만 부족한 한국어 능력으로 인하

여 심리적 위축감과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한다(고은

2006 전홍주배소영곽금주 2008) 또한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한국어 능력이 우선임을 강조

하며 자신의 출신국 언어에 해 교육하는 것을 필수

가 아닌 선택사항으로 인식하고 있고 이중언어 환경

에 해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고은 2006) 면

담 상자에 의하면 다문화센터를 중심으로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 중요성을 알리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이

중언어교실이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그렇지만 이는

다문화가정의 아동 및 일반인을 상으로 베트남어 등

외국어를 가르치는 프로그램으로 집에서 엄마의 모국

어를 사용하여 아동을 이중언어 사용자로 양육하는 것

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정책적으로나 연구를

통해 부모가 가지고 있는 이중언어 환경에 한 불안

감을 감소시키고 초기 중요한 시기에 엄마와 아동이

어느 나라 말을 사용하든지 충분한 언어자극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넷째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교육을 지원

하고자 하는 강한 열망에도 불구하고 자녀들의 학업

에 도움을 주는 실제적이고 직접적인 지원에는 한계를

느낀다고 한다(송미경 외 2008 이진숙 2007 전홍주

배소영곽금주 2008 Cooper et al 1995) 면담 상

자들의 견해로도 언어문제를 인식하거나 평가에 의뢰

하는 데 다른 전문가들 상의 홍보와 도움이 많이 필

요했다고 하였다 또한 아동의 치료과정에서도 어머니

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 가정 방문교사나 어린이

집교사의 도움에 의존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사

실은 부모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노력해야함을 의미하

기도 하지만 언어치료사들이 다문화가정 아동을 치

료하는 과정에서 다른 전문가들과의 협력이 중요함을

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다섯째 언어평가에 의뢰되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연

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면담에 참여한 언어치료사

들도 담당하고 있는 아동의 많은 수가 24에서 36개월

사이의 영유아라고 답하고 있다 영유아를 상으로

하는 언어중재는 부모를 포함한 가정-중심 중재이며

부모에 의한 언어촉진방법을 중시하고 있다(Paul

2007) 그러나 다문화가족 영유아의 어머니는 한국에

체류한 기간이 짧아 그만큼 한국어가 미숙한 실정이

다 그러므로 다문화가정 영유아 아동의 중재 시에는

이러한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엄마의 모국어로

상호작용하도록 권유하거나 어린이집에서 제공되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과제라 할

것이다

여섯째 다문화가정 부모들은 자녀의 교육에 한

부분을 교육기관에 일임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왕한석 2007 전홍주배소영곽금주 2008)

한국사회에서 문화적응과 언어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들에게는 자녀를 이른 시

기에 교육기관에 보내어 다문화 가정의 취약한 언어

환경을 극복하고 발달을 돕고자 하는 것이 이들의 최

선의 선택이자 노력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면담에

서 밝혀진 바와 같이 부모의 소극적 참여 역시 같은

맥락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부모의 이러한 특성

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에 관련 전문가들의 역할

과 공교육에서의 교육제공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

다 어린이집과 유치원 학교에서 언어치료사가 근무

하게 될 경우 언어치료 상에 다문화가정 아동을 포

함시키는 방안도 추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 언

어치료사가 전체 언어치료사의 55를 넘는 미국의

경우(김영태 2004) 학교언어치료사가 현실적으로 과

중한 치료사례를 담당하고 있는 것이 이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나타났다(Marshall Stojanovik amp Ralph

2002) 이러한 문제는 앞으로 학교에서 언어치료를 제

공하게 될 우리나라에서도 미리 고려해야 할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더구나 다문화가정 아동과 같은 위험군 아

동을 학교 언어치료사의 치료 상에 포함시킬지 여부

도 우리가 고려해야할 사항이 될 것이다 언어치료사의

역할에 lsquo장애의 예방rsquo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ASHA

2004 Paul(2007)에서 재인용) 향후 학교 언어치료사

에 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될 때에 다문화가정 아

동과 같은 위험군 상아동에 한 예방 업무가 포함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이끌 수 있도록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사회의 일원인 언어치료사의

역할 역시 변화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

해 밝혀진 바와 같이 급증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아동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61

의 언어치료 및 지도에서 언어치료사는 언어발달지도

사로 근무하거나 이들의 수퍼바이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면담 상자에 의하면 언어발달지도사들이

현재 아동이 속한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로 파견 근무

를 나가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앞으로 통합어린이집

에서 언어치료를 제공하거나 학교 언어치료사로 근무

하는 것 역시 새로운 언어치료사의 역할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언어치료사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관련 정보 습득 학령기 아동을 위한 읽기 등에 한

공부 통합된 교실에서의 언어치료 제공능력과 같은

다양한 직업 환경에 맞는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언어치료사와 연구자들이 변화해가는 역할을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한 방향을 제시하

는 데 그 임상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참 고 문 헌

고은(2006) 이중언어 사용 아동의 부모들이 갖는 모국어에

한 가치 기준과 경험적 의미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5(3) 165-184

권수진(2006) 다문화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생성이름

기 특성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교육과학기술부(2010) 다문화가정 학생현황(2010 4 출신국

포함) 출처 httpwwwmestgokr

김영란김영태이은주(2007) 이중언어아동의 어휘학습

능력 측정에 적용된 역동적 평가에 한 타당성 고찰

-1990년 이후의 문헌을 중심으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3) 59-77

김영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김영태김경희윤혜련김화수(2003) 985172영유아 언어발달

검사(SELSI)985173 서울 파라다이스 복지재단

김영태(2002) 985172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985173 서울 학지사

김화수(2009) 한국 다문화사회에서 언어치료사의 역할모형에

한 제안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85-209류현주김향희김화수신지철(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능력 및 음운변동 특성 985172음성과학985173 15(3) 133-144박상희(2006)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985172한국언어치료

학회 학술 회 발표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박상희(2009)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산출에 관한 종단적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89-97박지윤박상희석동일(2007) 학령전기 이중언어 환경 아동

의 언어학적 특성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2) 131-145배소영곽금주김근영정경희김효정(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발달지원자 설문을 통해 본 아동의 언어환경

및 언어발달 실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65-184신경림장연집김영경이금재최명민김혜영김옥현

김영혜(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포커스 그룹985173 서울

현문사

송미경지승희조은경임영선(2008)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985172한국 심리학회985173 20(2) 497-517

안성우신영주(2008) 저소득층 일반아동과 다문화 가정아동

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4) 81-94

이명선김춘미고문희(역)(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상호

작용적 접근985173 서울 군자출판사

이은주김영태(2010) 1990년 이후 이중언어 연구 동향 985172언어

치료연구985173 19(2) 73-90이수정신지철김향희김화수(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능력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3) 95-115이진숙(2007)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양육실태와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관한 연구 985172열린 유아교육 연구985173 12(6) 21-42

오성숙(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 개인변인 가정환경자극과

유아 언어능력의 관계 구 학교 학원 석사학위

논문

오소정김영태김영란(2009) 서울 및 경기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과 관련변인에 한 기초 연구 985172특수

교육985173 8(1) 137-161오성배(2005) 도시와 시골지역 사이의 학업성취도 격차연구

목포시와 인근지역의 자료분석 중앙 학교 학원 박

사학위논문

왕한석(2007) 985172또 다른 한국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언어

적응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985173 서울 교문사

양성오황보명(2009) 취학전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37-56

여성가족부(2012) 2012년 다문화가족지원사업안내 출처

httpmogefgokr

장유경이근영곽금주성현란(2003)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

이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심리

학회지 발달985173 16(4) 227-241장현진신명선전희숙김효정(2011) 어머니 국적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비유창성 특성 연구 985172언어치료

연구985173 20(1) 17-29전홍주배소영곽금주(2008) 결혼이민자 가정에서 이루어

지는 자녀교육지원의 실제와 의미 필리핀과 일본

어머니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가족과 문화985173 20(3) 161-186

정은희(2004) 농촌지역 국제결혼가정 아동의 언어발달과

언어환경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3(3) 33-52정하성유진이이장현(2007) 985172다문화청소년 이해론985173 파주

양서원

정현영(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시아 여성과 한국남성의

이중문화가정자녀를 중심으로 숭실 학교 학원 석

사학위논문

최연실(2007) 도시 국제결혼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이야기능력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2

황상심정옥란(2008) 경상도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13(2) 174-192황상심(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초기 표현어휘 발달과 성차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9(1) 193-209황상심김화수(2008) 다문화환경 조음음운장애아동과 기능

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음운변동 패턴 연구 985172특수

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985173 9(4) 329-348황상심김화수(2009) 다문화에 한 언어치료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985172제1회 한국언어치료학회한국언어청각

임상학회 공동학술 회 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황상심정옥란(2008)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발달과 관련

변인 상관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1) 81-102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3

Received January 20 2012 Final revision received February 24 2012 Accepted March 1 2012

2012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httpwwwkasa1986orkr

ABSTRACT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o Hyun ParkMyoung sim Jungsect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Korea

sect Correspondence to

Myoung sim Jung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99 Daehangno Yuseong-gu Daejeon Koreae-mail bogamihanmailnet tel +82 10 2990 5002

Background amp Objectives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been increasing for yearsin Korea increased attention has been given to childrenrsquos language development Recent researchhas revealed language problem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research specifically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these problems are due to language differences or language difficulties is lack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between children with simple language disorders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In-depth interviewing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Seve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who had been working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ll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Four primary themes and seven subthemes emerged fromthe analysis 1) speech and language evalu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2)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3)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4)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for SLPs who work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scussion amp Conclusion The results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themes defined in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in reference to otherrelated literatur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presented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Key Words multicultural families bilingual speech-language evaluation speech-language intervention language development consultant at-risk children

REFERENCES

Ahn S amp Shin Y (2008) A comparative study of multi-ultural background childrenrsquos and low-income childrenrsquos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4) 81-94

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hang H Shin M Jeon H amp Kim H (2011) A study on disfluenc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mothersrsquo nationali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20(1) 17-29

Chang Y Lee K Kwak K amp Sung H (2003) Relations of maternal linguistic inputs to lexical development of Korean infant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

chology 16(4) 227-241

Choi Y (2007) Narrative abilities of Korean children with and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64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Hwang S (2010) Early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and gender difference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9(1) 193-209

Hwang S amp Jeong O (2008)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3(2) 174-192

Hwang S amp Kim H (2009) A survey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ervice deliver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oceedings of the 1st Korean Speech- 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Collaboration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Hwang S amp Kim W (2008) A study on the phonological process patterns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problem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gricultural Area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9(4) 329-348

Jeong E (2004) A study on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environment of children from internationally married couple living in an agricultural villag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3(3) 33-52

Jeong H Yoo J amp Lee J (2007)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youth Paju Yoangseowon Press

Jun H Pae S amp Kwak K (2008) Practices and meanings of immigrant mothersrsquo support for childrenrsquos education Cases of mothers from the Philippines and Japan The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20(3) 161-186

Jung H (2007)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mixed ethnic children Focused on the marriage of Korean man with Asian woman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im W (2009) A new light on models of SLPrsquos role in a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8(4) 185-209

Kim Y (2002)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Seoul Hakji Press

Kim Y (2007) Literature review regarding validity of the dynamic assessment applied in lexical learning ability measures for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3) 59-77

Kim Y Kim K Yoon H amp Kim H (2003)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Seoul Paradise Welfare Foundation

Kim Y Seong T amp Lee Y (2003) Preschool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Ko U (2006) The criteria for value and empirical meaning of mother tongue in case of parents of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5(3) 165-184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Kwon S (2006)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in generative naming for children of multi-culture family and children of ordinary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Lee E amp Kim Y (2010) A literature review of bilingual study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2009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9(2) 73-90

Lee J (2007) A study of childcare and education fathersrsquo childcare participatio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6) 21-42

Lee M Kim C amp Ko M (2004)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Seoul Koonja Press

Lee S Shin J Kim H amp Kim W (2008) A study on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3) 95-115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Statu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vailable from httpwwwmestgok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mp Family (2012)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guidance Available from httpmogef gokr

Oh S (2005) A study of achievement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ith data from Mokpo city and adjacent to regions Unpublished doctorrsquos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Oh S (2009) The relations of childrenrsquos linguistic abilities to mothersrsquo personal variables and home environmental stimuli in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Oh S Kim Y amp Kim Y (2009) Preliminary study o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mily factor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Special Education Research 8(1) 137-161

Pae S Kwak K Kim K amp Kim H (2009) Supporting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survey of mothers and developmental sup-porter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4) 165-184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rk J Park S amp Seok D (2007) Language characteristics in pre-school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2)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5

131-145

Park S (2006) Language abilit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oceedings of the Korean Speech- L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Park S (2009) A longitudinal study of articulation production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89-97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Shin K L Jang Y Kim Y K Lee K J Choi M M Kim H Y Kim O H amp Kim Y H (2004) The method of quality study Focus group Seoul Huynmoon Press

Song M Jee S Cho E amp Lim Y (2008) A study on the parental experience of a foreign mother in a mul-ticultural famil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2) 497-517

Wang H (2007) Another Korean Seoul Kyomun Press

Yang S amp Hwang B (2009) A comparative study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culture familie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37-56

Yoo H Kim H Kim W amp Shin J (2008) Articulation ability and phonological process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Korean Journal of Speech Sciences 15(3) 133-144

The authors wish to thank Youngheon Lee(Saint

Andrewrsquos school DE) amp Ye Rin Jung(Chungnam Univ)

for their unfailing support in organizing interview

data

Page 8: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최소 1년 이상의 언어평 가 및 치료경험이 있는 자로 한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4

사실 이런 것들이 답습이 안 되서 마치 던지듯이

말해요 예쁜 말들이 아닌 거죠 그리고 준비가 안

되어있어요 받아들이기가 그래서 표면적으로 드러

나는 언어패턴이나 이런 부분들이 조금 괴팍스러워

요 그니까 얘네들하고 조금 비슷한 거 같애서 정서

에서 어려움이 오는 아동들도 있잖아요 그런 아동

들을 어떻게 정서가 딱 어려워서 온 게 아니라 환경

으로 인해서 이렇게 정서적으로 고립된 아동들도 있

잖아요 걔네들 반응하고 거의 똑같은 거 같아요(S2

17614-621)

일본인 가정은 확실히 문화적인 차이예요 어떤 거

냐하면 존 법아시아권은 부분 그 예의와 관련

돼서 굉장히 중시하잖아요 근데 아이들도 남의 말

을 경청하고 숙여지는 게 있어요 그니까 남의 말을

더 들어주는 거예요 일본인 가정은 부분 다 lsquo예

예rsquo 이런 거거든요 더 적극적으로 의사소통을 하지

않아요 똑같이 일반인 가정의 부모가 유럽쪽 계통

이 있었어요 유럽쪽 계통의 엄마가 한국남성하고

결혼한 그런 분이었는데 이집은 달라요 되게 적극

적이예요 아이가 의사소통 자체가 굉장히 적극적

인데 일본인 가정은 덜 적극적이예요 이 문화가 경

청하고 들어주고 그저 lsquo예 예rsquo이런 문화라서 그런

건지는 모르겠는데 자기표현 보다는 더 듣는 쪽으로

아이들이 발달을 한 것 같아요(S2 8271-280)

말을 안 하거나 쉽게 맘을 못 여는 거 장애가 있는

친구들보다 라포를 형성하는데 굉장히 오래 걸리

고 그리고 자기가 자신감이 굉장히 없어요 유치원

친구들이나 학교 친구들로부터 이미 외모로 인한

lsquo좀 다르다rsquo라는 인식으로 인해서 자신감이나 자존

감이 되게 낮아요 이미 외모에서 티가 나버리니깐

그런 것들이 좀 심각한 것 같아요(S3 6186-189)

라 이중언어 사용 현황

면담 상자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다문화가

정 아동이 한국어와 함께 엄마의 모국어를 함께 사용

하는 경우는 략 10~20정도였다 이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머니가 일방적으로 한국문화에 적응하고 어

머니의 문화를 가르치거나 노출시키는 경우는 많지 않

기 때문이기도 하고 또한 어머니가 자신의 출신국 언

어를 사용할 경우 아이한테 혼돈을 줄 수 있다는 걱정

과 가족들이 한국어만을 쓰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높은 교육열을 보이는 일본출신

의 어머니들의 경우는 출신국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보고도 하였다

중국이나 필리핀 경우는 영어를 가끔씩 쓰는 것 같

은데요 ( 부분은) 주로는 한국어를 썼던 것 같아

요 보통 확률로 보면 한 20내외 나머지는 다 한

국어 근데 요즘 중도입국한 아이들 다른 나라에 살

다가 학교 갈때 쯤 한국 들어오는 경우는 한국어가

제 2 외국어가 되죠 우리 머릿속에 언어에 한 선

호도 어떤 언어가 더 높은지 아는 것 같아요 다문

화 가정에서도 한국어가 더 높다는 거죠 필리핀 태

국 이런 곳 보다 그래서 식구들이 다 한국어만 쓰기

를 원하고 또 앞으로도 걱정을 하는 것 같아요 엄마

가 필리핀 태국말을 쓰면 애가 한국말을 잘 못 배울

까봐(S1 5171-182)

모국어를 쓰는 경우는 정말 일본 엄마들로 한정이

되어있어요 일본이나 중국 몽골은 전혀 안 쓰세

요 거의 lsquo내 아이가 헷갈릴 수 있다rsquo라는 생각을

갖고 계신 분들이 많기 때문에 저의 경우 엄마랑

아이가 본국말로 의사소통 하는 경우는 일본이 제

일 많고 그 다음에 중국 그리고 가끔 필리핀 영어

로 음 그리고 드문 케이스지만 저희 센터에 우즈

벡에서 오신 선생님이 계신데 그 분은 아이들이랑 러

시아어로 의사소통을 하시더라구요(S4 6226-235)

3 다문화가정 아동의 치료

가 언어치료 제공의 어려움

언어평가 후 언어능력이 6개월 이상 지연 및 지체

되어 언어치료가 필요한 다문화가정 아동이 전문 언

어치료기관으로 의뢰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고 한다 다

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와 그 가족들은 언어평가 결과와

상관없이 언어치료 필요여부에 무관심하기 때문이라

고 보고하였다 아동에게 언어치료를 의뢰해도 지역에

따라 그 지역에 있는 언어치료센터가 없어서 언어치료

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다문화가정 아동

의 아버지와 조부모는 자신의 아이가 다문화가정 아동

이기 때문에 언어치료사들이 편견을 가지고 문제점만

을 찾는다고 생각하는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다는 의

견도 있었다

(언어치료를 받아야 할 아동들이) 있어요 그런 아

이들은 (언어치료센터에) 연계를 해야 하는데그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5

러니까 연계되었다가도 치료실에 적응 못하고 다시

오는 경우가 있어요 그러니까 엄마랑엄마가 의사

소통이 잘 안되고 치료실 선생님들이 잘 받아주지

못하는 그런 게 조금 있었나 봐요 어떤 엄마 같은

경우는 본인이 말이 어눌한데 선생님이 빨리 설명

해주고 상담시간에 본인이 이해가 안 되게 이야기

해줘서 치료를 받다가 다시 오게 되는 경우도 있었

고 그리고 그 장애 진단을 받으면 편한데 아빠들

이 장애진단을 안 받으려고 하세요 특히 더더군다

나 치료실을 가게 되면 비용이 비싸지니까 바우처 활

용도 못 받고 그래서 그런 경우는 (다문화) 센터를

이용하려고 하시는 분들도 계세요(S4 14540-550)

한국에 들어와서 한국어에 해서 잘 모르시니까

한국어에서 문제가 있다하더라도 본인이 못 느끼

시는 경우 많이 있으세요 본인이 한국어 실력이 그

만큼 안 되기 때문에 아이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자

기가 못 느꼈다거나 그 다음에 뭐약간 국적적인

성향 같은 것을 가끔 느끼는 게 일본이라든가 중

국 어머님들은 그나마 학구열이 있기 때문에 그나마

조금 저거 하시는데 동남아권이라든가 그런 분들

은 그냥 뭐 lsquo잘 살아가면 되지rsquo로 생각하시는 분들

되게 많거든요 그래서 아이가 문제가 있다 하더라

도 생활 속에서 나랑 잘 생활하고 있다 그러면 lsquo난

안 받을래요rsquo 하시는 경우가 많으시고 어머니는 문

제에 해서 lsquo아 그렇군요rsquo라고 받아들이셔도 이제

아버지라든가 할머니라든가 이제 그한국가정에

서 lsquo어우리 아이가 무슨 문제가 있나요 왜 다문

화라고 해서 자꾸 우리아이를 찾아내고rsquo 워낙 교

육이라든가 도움이 많다보니까 lsquo다문화라도 우리

한테 자꾸 이런 거 주지 마세요 그리고 뭐가 문제가

있다고 자꾸 찾아내고 우리 애 잘 살고 있습니다rsquo

이런 분들이 오히려 아빠나 시어머니나 이쪽이 많

으신 거 같아요(S5 7299-311)

지금 제가 수업하고 있는 애들 중에서는 아직 어린이

집 가기 전 아동이 거의 40-50정도거든요 40

가 안 가고 60가 가고 이 정도 퍼센튼데 요새는

어려도 어린이집에 보내려는 경우가 많아서 근데

어린이집 가면 시간이 없다고 안 오시려고 하시는

경우가 많고 또 어린이 집 끝나고 오는 딱 그 시간

을 원해가지고 수업을 못 받는 경우가 많고 받는

경우가 60 40정도가 돼요 지금(S6 14545-550)

나 언어치료(지도) 장소

다문화 언어장애아동을 상으로 언어치료사가 제

공하는 언어치료 혹은 환경요인에 의한 경미한 언어

지체위험군 아동을 상으로 언어지도사가 제공하는

언어지도는 센터의 교실 또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다

니고 있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으로 파견 나가서 제공

되고 있었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다수가 어린이집을

다니고 있으며 어머니들은 아동이 있는 곳으로 방문

지도를 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파견근무가 늘고

있다고 한다 영유아의 경우는 가정에서의 지도가 바

람직하지만 여러 이유로 다문화 센터 규정상 가정에서

의 언어지도는 제공되지 않는다고 한다

센터 안에 있는 언어발달지도교실 근데 중요한 건

센터에 와서 언어발달지도교실에서 하는 것 보다 어

린이집으로 우리 선생님들이 가서 언어발달지도를

하는 비율이 거의 2 8에요(S3 7237-239)

다 언어치료(지도) 효과

다문화가정 아동을 언어치료(지도)를 했을 경우 어

휘영역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향상된다고 한다 하지만

연령이 높아지면서 습득해야 할 어휘가 늘어나기 때문

에 학령기 아동이 힘들어하는 부분도 어휘영역이라고

한다 아동의 언어치료(지도) 효과는 부모의 교육수준

안정된 가정환경이나 언어자극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

는다는 의견이었다 언어치료(지도)를 받는 다문화가

정 아동은 어휘습득은 빠른 편이지만 문법오류와 담

화 읽기 인지적 부분은 지속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경

우가 많다고 한다

어휘력은 노출되는 만큼 자기 것이 되서 사용하는

데 단어를 많이 활용하기 때문에 주로 어휘력부분

같은 경우에는 lsquo어라 이런 단어도 사용하네 이런

단어도 사용하네rsquo 이런 부분들이 있어요 근데 인

지적인 측면은 늘긴 늘지만 계속 향상될 만하면 어

려움이 닥치고 될 만하면 닥치잖아요 얼마나 어려

워요 그쵸 그래서 이런 측면은 계속 발달되는 게

정말 다르더라구요(S2 18640-645)

약간 문제가 있는데 문법적인 게 굉장히 많이 오류

가 있다거나 특이한 사항이 좀 관찰되었다하는 아

이들은 전체적인 점수가 향상되어도 약간의 것들이

남아있는 거예요 특히나 문법이라든가 화용적인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6

측면에서이제 만 5-6세 넘어오고 학령기 들어가

다 보면 아이들이 이미 유치원이라든가 거기서 의

사소통에 제한이 있었던 거예요 언어문제 때문에

약간 좀 소외되었다거나 아니면 뭐상호작용을

잘 못했다거나 그래서 이게 연습이 제 로 안 되어

있는 거예요 그런데 이거를 선생님하고 11로 앉아

가지고 보통의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은 화용문

제를 잡기도 하시지만 보통 드러나는 공식검사에

서 드러나는 거 어휘라든가 문법을 잡으시거든요

그런데 그러다 보니까 이 아이가 나중에 어휘와 문

법이 잘 쌓여도 나중에 그룹에 들어가 가지고 화용

적으로 막 쓰는 데는 약간누가 듣기에는 어 상호

작용을 해보면 약간 이상한 용어가 남아있는 거예

요 그래서 결국에는 이제 만 6세 학교 들어가기 전

이라든가 학교 들어가고 나면 그게 계속 두드러지

게 되는 거 같아요(S5 6236-7250)

언어지도 후 6개월마다 진전평가를 실시하는데 이

때 정상범주에 들어서 종결되는 아동들이 꽤 많다고

한다 이는 아동의 언어문제가 언어환경적인 이유로 인

한 일시적인 언어지체이기 때문으로 설명되고 있었다

연령별로는 영유아의 경우에 6개월 언어지도 후 거의

정상범주에 드는 경우가 많지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6개월 안에 종결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는 의견도

있었다

라 언어치료(지도) 내용 및 방법

일반적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을 언어지도하는 방법

은 일반 언어치료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한다 이는

면담 상자들이 언어치료사이기 때문일 수도 있고 이

들의 수퍼바이저가 모두 언어치료사이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상자의 언어문제가 장애인지 환경적인 일시

적 언어지체인지 명확하지 않은 경우 언어치료를 제공

하는 것이 안전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이었었다 언어촉

진이나 부모 및 교사교육이 포함된 언어치료프로그램

이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적절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언

어지도 방법 면에서는 다문화가정아동과 비슷한 상황

의 주인공을 다룬 이야기책을 사용하거나 어머니의 출

신국에 관한 내용을 반영한 교재를 사용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보통은 lsquo언어치료하고 별로 다르지 않다rsquo라고 언어

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 아이들한테 더 맞는 거 같

거든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제가 그게 더 익숙해서

그런지 몰라도 뭐 한국어 학습 같은 거라든지 이런

것을 받고 그것을 응용을 할 수는 있겠지만 언어치

료 프로그램이 더 맞는 거 같아요(S4 10408-411)

엄마를 지원하는 게 중요하기는 한 거 같아요 lsquo아동

에게 집에 가서 어떻게 자극 주세요rsquo 하는 것들이

그냥 설명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엄마 언어 수준에

맞춰서 제공된다거나(S5 17711-715)

마 부모 참여 및 교육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머니는 스스로 한국어가 부

족하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언어치료사를 만나는 것에

한 부담을 느끼며 비참여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한

다 한국어가 능숙한 어머니에게는 직접 부모교육을

실시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아버지나 방문교사

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의견이었다

그리고 우리나라와 다른 문화에서 자란 다문화가정 아

동의 어머니들이 한국에서 아동을 가르치고 키우는 방

법들을 이해하기 힘들어하거나 혼란스러워하는 경우

가 있다고 한다 이런 경우 부모 출신국에 한 문화적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는 견해이다 그리고 아동의 언

어능력이 어머니의 한국어능력보다 좋아지게 되면 어

머니가 아동에게 언어적인 피드백을 해주는데 어려움

을 겪는 경우가 종종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치료 참여에) 적극적이진 않고 왜냐면 언어가 잘

안된다고 생각을 늘 하세요 그래서 lsquo잘 못 알아듣겠

다rsquo 이런 말씀을 전제로 깔고 가시기 때문에 그런

환경(교육환경)에 익숙하지가 않은 거예요 아직 국

내에서 적응하는 것 자체도 익숙하지 않은데 더군

다나 선생님과의 관계 속에서 무언가 또 같이 이야

기를 나누는 것 자체도 많이 염려스러워하고 이런

부분 때문에 참여하기도 어려운 거죠 참여 시키는

것 자체도 되게 어려움이 있는데 거의 비참여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S2 19689-695)

부모교육 같은 경우에는 저는 조금 거의 한국에서

사신 지 좀 되신 분들 적어도 한 4sim5년 이렇게 되

신 분들 상 로 했었어요 그런데 그런 분들은 크게

문제는 없으세요 특히나 일본 분들은 한국어를 또

쉽게 배우시기 때문에 크게 문제는 없는데 그러

니까 들어오신지 10년이 됐는데 과수원에서 과일

만 따다보니까 한국어를 못 배우신거예요 그래서

아이하고 한 거에 해서 말씀을 드려도 이해를 못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7

하시고 lsquo가서 뭐 해주세요rsquo 해도 못 하시고 그러다

보니까 나중에는 어머니한테 말씀드리는 게 아니라

아버지를 부르게 된다거나 아니면 이 아이가 다니

는 공부방의 누군가에게 도움을 요청한다거나 그

렇게 해서 환경적으로 전체적으로 접근하게 되고

그 때는 어머니만 잡기에는 어려움이 많이 있어

요(S5 9343-352)

(부모님이 집에서 언어촉진 주는 것을) lsquo알겠다rsquo고

하고 잘 안하시는 것 같아요 우선적으로 저는 (아

동과 한 것) 다 얘기 못하거든요 그게 설명이 힘들

어요 솔직히 lsquo공부한 거 애들은 그렇게 어려운 말

필요 없고 그냥 애들이 하는 거 보고 신 엄마가

애 입장에서 얘기해주세요rsquo 이 말 자체는 (엄마에게)

어려워서 예를 들어주거든요 자동차를 보면 어떻

게 어떻게 말을 하는 걸 보여주면 lsquo아아 이렇게

이해했다rsquo고 말을 해요 그렇게 하나씩만 이야기를

하는 편이예요 lsquo오늘 집에서 이렇게만 해주세요rsquo 이

런 식으로 그럼 lsquo잘 알겠어요rsquo하긴 하는데 lsquo어려워

요rsquo 이렇게 얘기를 해요 말을 못 알아듣는 게 아니라

애한테 그렇게 하는 게 어렵다고 잘 안된다고(S6

11410-421)

바 치료에 한 조언

면담 상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에만 초점

을 두기보다는 다문화가정에 해 전반적으로 이해하

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아동과 부모와

의 관계 및 문화적인 부분도 함께 고려해야 하면 다른

발달영역 전문가들과도 협력하는 능력도 필요하다는

의견이었다 공식검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한계점이 있

다는 것을 인식하고 언어학습능력과 잠재력 등을 평

가하여 언어치료(지도)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견

해이다 부모상담 시에는 충분한 상담시간을 제공해

야 한다는 의견이었다

다문화가정 아이들 경우에는 우선은 이 아이가 정

말로 다문화냐 정말로 이 아이가 환경적으로 다문

화환경에 노출돼서 이중언어가 되고 있는지아니

면 이 아이가 뭐 중도입국한 경우도 있구요 지금은

이주노동자들도 언어발달지도사를 찾아오거든요

그럴 경우에 언어적인 자극을 엄마가 안 주거나 교

육적인 서포트를 안 해주는 게 단순히 엄마가 문제

가 있다고 보기보다는 lsquo어 이 나라(엄마의 출신국)

에서는 이런 것들이 없었고 엄마가 적응하는데 내

가 서포트하는 역할이 있어야 되는 구나rsquo해야 하거

든요 그런데 그게 없이 아이만 보게 되는 거예요 왜

냐하면 저희는 lsquo엄마랑 상호작용하는 거 봐요rsquo하고

언어치료사가 이런 것들을 하긴 하지만 계속 아이

의 상태 아이의 수준 이것만 많이 보게 되는 거예

요 그러니까 엄마가 가지고 있는 한국어 실력이라

든가 엄마의 한국어 실력이 얼마나 성장되는지 혹

은 엄마가 어느 정도의 자극을 줄 수 있는 환경에

있는지 이런 것들이라든가 엄마가 아니라도 그러

면 가족들은 얼마나 지원했는지 이런 것들을 많이

놓치세요

또 아이가 가지고 있는 많은 어려움들 특히 피부색

이 다르거나 그런 아이들 중에 간혹 생기긴 하거든

요 많이 없어졌다고 해도(중략)요즘엔 정말로

많이 줄기는 했어요 그런데 필리핀 아이나 베트남

아이 같은 경우는 생김새가 조금 다르다 보니까 애

들이 왕따 같은 것들도 많이 당하기도 하고 선생님

한테 와가지고 다 털어놓고 얘기를 잘해도 학교 가

서는 얘기를 못한다거나 그러면사실은 나만 잡고

교육을 할 수가 없는 거잖아요 심리적인 문제라든

가 여러 가지가 걸리기 때문에그런데 lsquo어 얘가 밖

에서 언어를 못 쓰면 내가 계속 지원해주면 되겠지rsquo

라고 가는 경우도 있긴 하거든요 그러니까 그게 언

어치료사가 아동만 보다보니까 lsquo지금 내가 언어부

분만 봐야지rsquo로 가는데 사실 아이를 전반적으로 보

면 뭐 가족도 봐야 되고 문화적인 것도 봐야 되고

또 다른 발달영역에서 같이 좀 코웍할 수 있는 게

뭐가 있는지도 좀 자세히 살펴보기는 해야 될 거

같아요(S5 13503-14534)

4 향후 과제

가 향후 연구과제

다문화가정 아이들의 특성을 잘 반영해주기 위한

검사도구가 새로 개발되어야 한다는 의견과 앞으로 한

국어가 제2외국어가 되는 경우에 해서도 준비가 필

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연구방향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 같

아요 옛날에는 그냥 단순히 비교해 가지고 lsquo낮다rsquo

이렇게만 했었는데 요즘에는 소득도 약간 통제해

보고 중산층이랑 저소득층이랑 다문화랑 이렇게 비

교하잖아요 조금 특성을 더 접근해 갈려고 하는 것

같아요(S1 11522-524)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8

저는우선은 (특성연구에서) 공식검사 사용은 어

쩔 수가 없는 것 같기는 해요 공식검사에서 이제

우선은 (언어평가 결과가) 나와야 일단은 언어문제

가 있다고 판단은 하니까 그런데 특성을 보려면

공식검사만으로 lsquo어휘가 어때요 문법이 어때요 발

음이 어때요rsquo하는 것보다 조금은 환경적인 것들을

다 통합해서 아이가 실제 쓰고 있는 언어라던가

이런 것들을 자세히 살펴볼 필요는 있을 것 같아요

그런데 연구에서는 사실은 되게 어렵잖아요 자발

화를 여러 개를 떠온다거나 뭐 엄마하고 상호작용

을 관찰한다거나 그런 게 굉장히 어렵기는 하지만

그게 이제는 공식검사만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조금 부모를 포함해서 혹은 설문을 통해서라도 환

경하고 언어를 같이 보는 게 이제는 많이 시작은

되어야 할 것 같아요(S5 271103-1111)

나 엄마의 모국어 습득의 중요성

다문화가정 아동이 한국어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모

국어도 사용하는 것을 국가적으로 장려하고 있다고 한

다 그리고 다문화가정 아동이 학령기가 되었을 때 제

2외국어나 장래직업과 관련지어서 혹은 단순히 어머

니의 모국어를 배우고 싶어 하는 경우가 있다는 보고

가 있었다

제가 만나봤던 거의 90퍼센트 정도는 주 언어가 한

국어였고 그리고 물어보면 나중에 커서 가르쳐 주

겠다 하는 아동이 많았어요 진짜 이중언어를 배우

는 건 솔직히 좀 좋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진짜

이거 이중언어 이런 거를 필수적으로 방문 서비스

에서도 이렇게 엄마말 가르쳐 주는 서비스를 만들어

가지고 다시 또 이렇게 할 수 있게끔 같이하는 것도

필요한 것 같아요 어렸을 때부터 그걸 제가 가르쳐

줄 순 없으니까(S6 17654-665)

올해부터 장려해서 정확한 제목은 기억이 안 나는

데 영재 영재교실이라고 해서 엄마의 모국어를 가

르치는 교실도 함께 다니는 친구들도 많아요 요즘

에는 올해부터는 우리친구들을 다문화친구들을 글

로벌인재로 양성하려는 게 국가적으로 목표가 됐

죠 그래서 한국말도 가르치지만 엄마의 모국어도

한국말처럼 잘해라 엄마의 모국어도 못하는 애들

도 있거든 그래서 두 가지 언어를 잘하게 될 거 아

니에요 정말 훌륭한 인재가 될 수 있잖아요 그거

를 올해부터는 많이 강조하고 있더라구요 영재겠

지 언어영재교실이라는 이름으로 엄마의 나라 말

도 배우고 또 언어발달지도 선생님한테 한국말도 배

우고(S3 262-69)

다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

면담 상자들은 어머니가 아동의 교육에 참여하고

직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모교육프로그램이 필

요하다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영유아 아동을 위한 언

어발달지도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보고가 있었다

영유아아이들을 언어발달 지도할 때는 좀 더 다를

수 있어서 그런 영유아아이들을 상으로 하는 언

어발달지도프로그램 그런 것도아까 말했던 lsquo엄마

들을 어떻게 언어치료에 좀 더 참여시킬 것인가rsquo 이

런 문제들 그리고 매뉴얼들을 많이 개발하시려고

하는 것 같아요(S3 9307-311)

라 언어치료사의 새로운 역할

모든 면담참여자는 궁극적으로 언어에 문제가 있는

아동을 중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언어치료전공자가 다

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로 일하는 것이 필요하

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지만 현재에는 언어

치료를 전공하지 않은 언어발달지도사들도 많기 때문

에 이들과의 연계 필요성도 언급되었다 그밖에 언어

발달지도사의 감독자나 유치원 및 학교현장에서 치료

를 제공하는 학교언어치료사가 언어치료사의 새로운

역할이 될 것이라는 견해도 있었다 또한 언어치료전

공자가 언어발달지도사로 일한 경력도 언어치료사 경

력으로 인정될 필요성이 언급되었다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이 다 언어치료사는 아니

잖아요 만약에 언어치료사가 아닌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이 있다고 치면 그런 분들과 연계해서 해

야 될 부분이 많을 것 같구요(S1 13628-631)

(아동이 언어지체를 보이는) 그런 경우에는 치료를

해줘야 된다고 생각을 해요 현재는 그런 예가 적지

만 다문화 가정 아동의 엄마가 잘 못해주는 경우가

있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그냥 놔두는 것 보다 그

위험부담을 감수할 필요는 없는 것 같아요(S1

9413-316)

무료교육이 되다보니깐 우리 친구들이 100 어린

이집을 다니잖아요 그러다보니깐 엄마들이 그 유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9

치원에서 다 해결을 해보고 싶으신 거에요 자기가

데리고 오려면 교통비도 들잖아요 여유 있지 않다

보니깐그래서 유치원에 일단 들어가잖아요 그러

면 센터로 안와요(S3 7241-244)

Ⅳ 논의 및 결론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평가 및 언어치료(지도)에

해 숙련된 언어치료사를 상으로 실시한 면담 결

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에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언어평가를 받

기 위해 자발적으로 센터를 방문하는 경우는 많지 않

았으나 타전문가들에 한 홍보활동과 다문화가족지

원센터를 이용하는 어머니들이 많아지면서 다문화가

정 아동의 언어평가를 의뢰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

고 있다 면담 상자들은 기존의 공식검사 결과만으로

나타난 언어발달지체가 언어장애여부 판별에 사용되

는 것에 한계가 있음을 강조하였으며 공식검사 외에

비공식검사나 역동적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어평가 및 언어치료(지도)를 받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그 이유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비가 무료화되면서 24개월 미

만의 영유아가 센터로 방문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

기 때문이다 다수의 어머니들은 아동과 의사소통을

할 때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영유아의 경우는

엄마의 한국어 공부기간이 짧기 때문에 그만큼 더 부

족한 언어자극을 받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다문화

가정은 사회경제적 여건이 어려운 가정이 많기 때문

에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이 낮은 사회경제적 위

치에 있는 가정의 아동 언어특성과 유사한 면이 많다

는 의견이다 특히 어휘부분에서 크게 떨어지는 것으

로 평가되고 있지만 그 외에도 문법 면에서의 잦은

오류 사회적 의사소통이나 담화 및 읽기 등에서도 문

제를 보이고 있었다 언어 이외에 정서적 문제를 동반

하는 경우도 이들의 언어지도 및 학습에 영향을 미치

고 있었다

셋째 언어평가 후 언어치료가 필요한 아동의 경우

언어치료센터로 의뢰되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지

역적 특성상 언어치료센터를 찾아보기 힘든 경우도 있

지만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와 가족들이 언어치료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 않는 경우도 많다는 의견이

었다 따라서 언어치료가 필요한 언어장애아동의 경

우 언어발달지도사가 지도해야하는 경우가 많았다 언

어지도는 다문화센터 뿐 아니라 다문화가정 아동이 다

니고 있는 어린이집으로 파견 나가서 하고 있는 경우

도 많았다 환경적 요인에 의한 언어발달지체일 경우

에는 언어촉진을 주었을 때 아동의 언어능력이 크게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휘능력이 크

게 향상 되는 반면 문법오류와 담화 읽기 인지적 부

분의 어려움은 지속적으로 남아있기도 하였다

언어발달지도사는 치료사가 아니기 때문에 개발되

어 있는 교재를 활용하여 아동의 언어촉진을 목적으

로 언어지도를 수행하고 있으나 언어치료를 전공한

언어발달지도사의 경우는 일반 언어장애아동을 상

으로 한 언어치료목표나 방법을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적용하고 있었다 다만 방법 면에서 다문화가정 아동

과 비슷한 상황의 주인공을 다룬 이야기를 사용하거

나 어머니의 출신국에 관한 내용을 고려한 교재를 사

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언어치료 상이 된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의 경우 아동의 언어치료에

비참여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이 부분인데 이는 어

머니 스스로 한국어가 부족하다는 인식 때문에 전문

가를 만나는 것에 부담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라는 의

견이었다 언어치료사는 부모의 출신국에 한 이해를

돕는 정보나 교재 프로그램을 통해 이들의 문화와 전

통 가치관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상의 결론을 토 로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바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면담 상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을 공식검사 결과만으로 평가하는 데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는 선별에서 고위험군

으로 판정된 아동에 해서는 언어장애 유무를 확인

하는 단계에서 공식검사와 비공식검사를 보완하여 사

용하거나 역동적 평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

로 보는 선행연구(Bedore amp Pefia 2008 Deponio et

al 2000)와 일치하는 견해이다 임상현장에서 단순히

공식검사결과만으로 이들이 언어장애라고 진단하지 않

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을 규준

에 포함시키거나 이들의 특성을 민감하게 반영할 수 있

는 공식검사도구의 개발도 필요하다 할 수 있겠다

둘째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우리가 다문화가정이라

고 부르는 집단은 결혼 이민자 가정 중도입국자 가정

외국인 근로자 및 유학생 가정 새터민 가정 등 이질적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0

인 하위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다 면담 상자들이 지

적했듯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결혼 이민자가정의 아동은 사실상 단일언어가정이며

이중언어 사용아동이라 할 수 없음을 기억하고 다문화

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연구를 진행할 때 하위집단에

따른 특성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에 의하면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이 자녀

의 성장에 따라 고차원적인 의사소통과 언어적 지원

이 필요하다고 느끼지만 부족한 한국어 능력으로 인하

여 심리적 위축감과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한다(고은

2006 전홍주배소영곽금주 2008) 또한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한국어 능력이 우선임을 강조

하며 자신의 출신국 언어에 해 교육하는 것을 필수

가 아닌 선택사항으로 인식하고 있고 이중언어 환경

에 해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고은 2006) 면

담 상자에 의하면 다문화센터를 중심으로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 중요성을 알리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이

중언어교실이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그렇지만 이는

다문화가정의 아동 및 일반인을 상으로 베트남어 등

외국어를 가르치는 프로그램으로 집에서 엄마의 모국

어를 사용하여 아동을 이중언어 사용자로 양육하는 것

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정책적으로나 연구를

통해 부모가 가지고 있는 이중언어 환경에 한 불안

감을 감소시키고 초기 중요한 시기에 엄마와 아동이

어느 나라 말을 사용하든지 충분한 언어자극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넷째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교육을 지원

하고자 하는 강한 열망에도 불구하고 자녀들의 학업

에 도움을 주는 실제적이고 직접적인 지원에는 한계를

느낀다고 한다(송미경 외 2008 이진숙 2007 전홍주

배소영곽금주 2008 Cooper et al 1995) 면담 상

자들의 견해로도 언어문제를 인식하거나 평가에 의뢰

하는 데 다른 전문가들 상의 홍보와 도움이 많이 필

요했다고 하였다 또한 아동의 치료과정에서도 어머니

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 가정 방문교사나 어린이

집교사의 도움에 의존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사

실은 부모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노력해야함을 의미하

기도 하지만 언어치료사들이 다문화가정 아동을 치

료하는 과정에서 다른 전문가들과의 협력이 중요함을

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다섯째 언어평가에 의뢰되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연

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면담에 참여한 언어치료사

들도 담당하고 있는 아동의 많은 수가 24에서 36개월

사이의 영유아라고 답하고 있다 영유아를 상으로

하는 언어중재는 부모를 포함한 가정-중심 중재이며

부모에 의한 언어촉진방법을 중시하고 있다(Paul

2007) 그러나 다문화가족 영유아의 어머니는 한국에

체류한 기간이 짧아 그만큼 한국어가 미숙한 실정이

다 그러므로 다문화가정 영유아 아동의 중재 시에는

이러한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엄마의 모국어로

상호작용하도록 권유하거나 어린이집에서 제공되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과제라 할

것이다

여섯째 다문화가정 부모들은 자녀의 교육에 한

부분을 교육기관에 일임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왕한석 2007 전홍주배소영곽금주 2008)

한국사회에서 문화적응과 언어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들에게는 자녀를 이른 시

기에 교육기관에 보내어 다문화 가정의 취약한 언어

환경을 극복하고 발달을 돕고자 하는 것이 이들의 최

선의 선택이자 노력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면담에

서 밝혀진 바와 같이 부모의 소극적 참여 역시 같은

맥락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부모의 이러한 특성

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에 관련 전문가들의 역할

과 공교육에서의 교육제공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

다 어린이집과 유치원 학교에서 언어치료사가 근무

하게 될 경우 언어치료 상에 다문화가정 아동을 포

함시키는 방안도 추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 언

어치료사가 전체 언어치료사의 55를 넘는 미국의

경우(김영태 2004) 학교언어치료사가 현실적으로 과

중한 치료사례를 담당하고 있는 것이 이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나타났다(Marshall Stojanovik amp Ralph

2002) 이러한 문제는 앞으로 학교에서 언어치료를 제

공하게 될 우리나라에서도 미리 고려해야 할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더구나 다문화가정 아동과 같은 위험군 아

동을 학교 언어치료사의 치료 상에 포함시킬지 여부

도 우리가 고려해야할 사항이 될 것이다 언어치료사의

역할에 lsquo장애의 예방rsquo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ASHA

2004 Paul(2007)에서 재인용) 향후 학교 언어치료사

에 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될 때에 다문화가정 아

동과 같은 위험군 상아동에 한 예방 업무가 포함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이끌 수 있도록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사회의 일원인 언어치료사의

역할 역시 변화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

해 밝혀진 바와 같이 급증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아동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61

의 언어치료 및 지도에서 언어치료사는 언어발달지도

사로 근무하거나 이들의 수퍼바이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면담 상자에 의하면 언어발달지도사들이

현재 아동이 속한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로 파견 근무

를 나가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앞으로 통합어린이집

에서 언어치료를 제공하거나 학교 언어치료사로 근무

하는 것 역시 새로운 언어치료사의 역할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언어치료사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관련 정보 습득 학령기 아동을 위한 읽기 등에 한

공부 통합된 교실에서의 언어치료 제공능력과 같은

다양한 직업 환경에 맞는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언어치료사와 연구자들이 변화해가는 역할을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한 방향을 제시하

는 데 그 임상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참 고 문 헌

고은(2006) 이중언어 사용 아동의 부모들이 갖는 모국어에

한 가치 기준과 경험적 의미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5(3) 165-184

권수진(2006) 다문화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생성이름

기 특성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교육과학기술부(2010) 다문화가정 학생현황(2010 4 출신국

포함) 출처 httpwwwmestgokr

김영란김영태이은주(2007) 이중언어아동의 어휘학습

능력 측정에 적용된 역동적 평가에 한 타당성 고찰

-1990년 이후의 문헌을 중심으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3) 59-77

김영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김영태김경희윤혜련김화수(2003) 985172영유아 언어발달

검사(SELSI)985173 서울 파라다이스 복지재단

김영태(2002) 985172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985173 서울 학지사

김화수(2009) 한국 다문화사회에서 언어치료사의 역할모형에

한 제안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85-209류현주김향희김화수신지철(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능력 및 음운변동 특성 985172음성과학985173 15(3) 133-144박상희(2006)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985172한국언어치료

학회 학술 회 발표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박상희(2009)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산출에 관한 종단적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89-97박지윤박상희석동일(2007) 학령전기 이중언어 환경 아동

의 언어학적 특성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2) 131-145배소영곽금주김근영정경희김효정(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발달지원자 설문을 통해 본 아동의 언어환경

및 언어발달 실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65-184신경림장연집김영경이금재최명민김혜영김옥현

김영혜(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포커스 그룹985173 서울

현문사

송미경지승희조은경임영선(2008)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985172한국 심리학회985173 20(2) 497-517

안성우신영주(2008) 저소득층 일반아동과 다문화 가정아동

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4) 81-94

이명선김춘미고문희(역)(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상호

작용적 접근985173 서울 군자출판사

이은주김영태(2010) 1990년 이후 이중언어 연구 동향 985172언어

치료연구985173 19(2) 73-90이수정신지철김향희김화수(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능력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3) 95-115이진숙(2007)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양육실태와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관한 연구 985172열린 유아교육 연구985173 12(6) 21-42

오성숙(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 개인변인 가정환경자극과

유아 언어능력의 관계 구 학교 학원 석사학위

논문

오소정김영태김영란(2009) 서울 및 경기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과 관련변인에 한 기초 연구 985172특수

교육985173 8(1) 137-161오성배(2005) 도시와 시골지역 사이의 학업성취도 격차연구

목포시와 인근지역의 자료분석 중앙 학교 학원 박

사학위논문

왕한석(2007) 985172또 다른 한국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언어

적응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985173 서울 교문사

양성오황보명(2009) 취학전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37-56

여성가족부(2012) 2012년 다문화가족지원사업안내 출처

httpmogefgokr

장유경이근영곽금주성현란(2003)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

이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심리

학회지 발달985173 16(4) 227-241장현진신명선전희숙김효정(2011) 어머니 국적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비유창성 특성 연구 985172언어치료

연구985173 20(1) 17-29전홍주배소영곽금주(2008) 결혼이민자 가정에서 이루어

지는 자녀교육지원의 실제와 의미 필리핀과 일본

어머니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가족과 문화985173 20(3) 161-186

정은희(2004) 농촌지역 국제결혼가정 아동의 언어발달과

언어환경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3(3) 33-52정하성유진이이장현(2007) 985172다문화청소년 이해론985173 파주

양서원

정현영(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시아 여성과 한국남성의

이중문화가정자녀를 중심으로 숭실 학교 학원 석

사학위논문

최연실(2007) 도시 국제결혼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이야기능력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2

황상심정옥란(2008) 경상도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13(2) 174-192황상심(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초기 표현어휘 발달과 성차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9(1) 193-209황상심김화수(2008) 다문화환경 조음음운장애아동과 기능

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음운변동 패턴 연구 985172특수

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985173 9(4) 329-348황상심김화수(2009) 다문화에 한 언어치료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985172제1회 한국언어치료학회한국언어청각

임상학회 공동학술 회 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황상심정옥란(2008)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발달과 관련

변인 상관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1) 81-102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3

Received January 20 2012 Final revision received February 24 2012 Accepted March 1 2012

2012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httpwwwkasa1986orkr

ABSTRACT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o Hyun ParkMyoung sim Jungsect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Korea

sect Correspondence to

Myoung sim Jung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99 Daehangno Yuseong-gu Daejeon Koreae-mail bogamihanmailnet tel +82 10 2990 5002

Background amp Objectives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been increasing for yearsin Korea increased attention has been given to childrenrsquos language development Recent researchhas revealed language problem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research specifically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these problems are due to language differences or language difficulties is lack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between children with simple language disorders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In-depth interviewing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Seve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who had been working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ll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Four primary themes and seven subthemes emerged fromthe analysis 1) speech and language evalu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2)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3)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4)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for SLPs who work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scussion amp Conclusion The results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themes defined in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in reference to otherrelated literatur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presented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Key Words multicultural families bilingual speech-language evaluation speech-language intervention language development consultant at-risk children

REFERENCES

Ahn S amp Shin Y (2008) A comparative study of multi-ultural background childrenrsquos and low-income childrenrsquos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4) 81-94

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hang H Shin M Jeon H amp Kim H (2011) A study on disfluenc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mothersrsquo nationali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20(1) 17-29

Chang Y Lee K Kwak K amp Sung H (2003) Relations of maternal linguistic inputs to lexical development of Korean infant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

chology 16(4) 227-241

Choi Y (2007) Narrative abilities of Korean children with and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64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Hwang S (2010) Early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and gender difference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9(1) 193-209

Hwang S amp Jeong O (2008)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3(2) 174-192

Hwang S amp Kim H (2009) A survey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ervice deliver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oceedings of the 1st Korean Speech- 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Collaboration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Hwang S amp Kim W (2008) A study on the phonological process patterns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problem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gricultural Area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9(4) 329-348

Jeong E (2004) A study on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environment of children from internationally married couple living in an agricultural villag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3(3) 33-52

Jeong H Yoo J amp Lee J (2007)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youth Paju Yoangseowon Press

Jun H Pae S amp Kwak K (2008) Practices and meanings of immigrant mothersrsquo support for childrenrsquos education Cases of mothers from the Philippines and Japan The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20(3) 161-186

Jung H (2007)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mixed ethnic children Focused on the marriage of Korean man with Asian woman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im W (2009) A new light on models of SLPrsquos role in a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8(4) 185-209

Kim Y (2002)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Seoul Hakji Press

Kim Y (2007) Literature review regarding validity of the dynamic assessment applied in lexical learning ability measures for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3) 59-77

Kim Y Kim K Yoon H amp Kim H (2003)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Seoul Paradise Welfare Foundation

Kim Y Seong T amp Lee Y (2003) Preschool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Ko U (2006) The criteria for value and empirical meaning of mother tongue in case of parents of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5(3) 165-184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Kwon S (2006)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in generative naming for children of multi-culture family and children of ordinary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Lee E amp Kim Y (2010) A literature review of bilingual study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2009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9(2) 73-90

Lee J (2007) A study of childcare and education fathersrsquo childcare participatio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6) 21-42

Lee M Kim C amp Ko M (2004)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Seoul Koonja Press

Lee S Shin J Kim H amp Kim W (2008) A study on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3) 95-115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Statu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vailable from httpwwwmestgok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mp Family (2012)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guidance Available from httpmogef gokr

Oh S (2005) A study of achievement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ith data from Mokpo city and adjacent to regions Unpublished doctorrsquos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Oh S (2009) The relations of childrenrsquos linguistic abilities to mothersrsquo personal variables and home environmental stimuli in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Oh S Kim Y amp Kim Y (2009) Preliminary study o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mily factor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Special Education Research 8(1) 137-161

Pae S Kwak K Kim K amp Kim H (2009) Supporting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survey of mothers and developmental sup-porter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4) 165-184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rk J Park S amp Seok D (2007) Language characteristics in pre-school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2)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5

131-145

Park S (2006) Language abilit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oceedings of the Korean Speech- L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Park S (2009) A longitudinal study of articulation production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89-97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Shin K L Jang Y Kim Y K Lee K J Choi M M Kim H Y Kim O H amp Kim Y H (2004) The method of quality study Focus group Seoul Huynmoon Press

Song M Jee S Cho E amp Lim Y (2008) A study on the parental experience of a foreign mother in a mul-ticultural famil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2) 497-517

Wang H (2007) Another Korean Seoul Kyomun Press

Yang S amp Hwang B (2009) A comparative study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culture familie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37-56

Yoo H Kim H Kim W amp Shin J (2008) Articulation ability and phonological process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Korean Journal of Speech Sciences 15(3) 133-144

The authors wish to thank Youngheon Lee(Saint

Andrewrsquos school DE) amp Ye Rin Jung(Chungnam Univ)

for their unfailing support in organizing interview

data

Page 9: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최소 1년 이상의 언어평 가 및 치료경험이 있는 자로 한다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5

러니까 연계되었다가도 치료실에 적응 못하고 다시

오는 경우가 있어요 그러니까 엄마랑엄마가 의사

소통이 잘 안되고 치료실 선생님들이 잘 받아주지

못하는 그런 게 조금 있었나 봐요 어떤 엄마 같은

경우는 본인이 말이 어눌한데 선생님이 빨리 설명

해주고 상담시간에 본인이 이해가 안 되게 이야기

해줘서 치료를 받다가 다시 오게 되는 경우도 있었

고 그리고 그 장애 진단을 받으면 편한데 아빠들

이 장애진단을 안 받으려고 하세요 특히 더더군다

나 치료실을 가게 되면 비용이 비싸지니까 바우처 활

용도 못 받고 그래서 그런 경우는 (다문화) 센터를

이용하려고 하시는 분들도 계세요(S4 14540-550)

한국에 들어와서 한국어에 해서 잘 모르시니까

한국어에서 문제가 있다하더라도 본인이 못 느끼

시는 경우 많이 있으세요 본인이 한국어 실력이 그

만큼 안 되기 때문에 아이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자

기가 못 느꼈다거나 그 다음에 뭐약간 국적적인

성향 같은 것을 가끔 느끼는 게 일본이라든가 중

국 어머님들은 그나마 학구열이 있기 때문에 그나마

조금 저거 하시는데 동남아권이라든가 그런 분들

은 그냥 뭐 lsquo잘 살아가면 되지rsquo로 생각하시는 분들

되게 많거든요 그래서 아이가 문제가 있다 하더라

도 생활 속에서 나랑 잘 생활하고 있다 그러면 lsquo난

안 받을래요rsquo 하시는 경우가 많으시고 어머니는 문

제에 해서 lsquo아 그렇군요rsquo라고 받아들이셔도 이제

아버지라든가 할머니라든가 이제 그한국가정에

서 lsquo어우리 아이가 무슨 문제가 있나요 왜 다문

화라고 해서 자꾸 우리아이를 찾아내고rsquo 워낙 교

육이라든가 도움이 많다보니까 lsquo다문화라도 우리

한테 자꾸 이런 거 주지 마세요 그리고 뭐가 문제가

있다고 자꾸 찾아내고 우리 애 잘 살고 있습니다rsquo

이런 분들이 오히려 아빠나 시어머니나 이쪽이 많

으신 거 같아요(S5 7299-311)

지금 제가 수업하고 있는 애들 중에서는 아직 어린이

집 가기 전 아동이 거의 40-50정도거든요 40

가 안 가고 60가 가고 이 정도 퍼센튼데 요새는

어려도 어린이집에 보내려는 경우가 많아서 근데

어린이집 가면 시간이 없다고 안 오시려고 하시는

경우가 많고 또 어린이 집 끝나고 오는 딱 그 시간

을 원해가지고 수업을 못 받는 경우가 많고 받는

경우가 60 40정도가 돼요 지금(S6 14545-550)

나 언어치료(지도) 장소

다문화 언어장애아동을 상으로 언어치료사가 제

공하는 언어치료 혹은 환경요인에 의한 경미한 언어

지체위험군 아동을 상으로 언어지도사가 제공하는

언어지도는 센터의 교실 또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다

니고 있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으로 파견 나가서 제공

되고 있었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다수가 어린이집을

다니고 있으며 어머니들은 아동이 있는 곳으로 방문

지도를 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파견근무가 늘고

있다고 한다 영유아의 경우는 가정에서의 지도가 바

람직하지만 여러 이유로 다문화 센터 규정상 가정에서

의 언어지도는 제공되지 않는다고 한다

센터 안에 있는 언어발달지도교실 근데 중요한 건

센터에 와서 언어발달지도교실에서 하는 것 보다 어

린이집으로 우리 선생님들이 가서 언어발달지도를

하는 비율이 거의 2 8에요(S3 7237-239)

다 언어치료(지도) 효과

다문화가정 아동을 언어치료(지도)를 했을 경우 어

휘영역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향상된다고 한다 하지만

연령이 높아지면서 습득해야 할 어휘가 늘어나기 때문

에 학령기 아동이 힘들어하는 부분도 어휘영역이라고

한다 아동의 언어치료(지도) 효과는 부모의 교육수준

안정된 가정환경이나 언어자극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

는다는 의견이었다 언어치료(지도)를 받는 다문화가

정 아동은 어휘습득은 빠른 편이지만 문법오류와 담

화 읽기 인지적 부분은 지속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경

우가 많다고 한다

어휘력은 노출되는 만큼 자기 것이 되서 사용하는

데 단어를 많이 활용하기 때문에 주로 어휘력부분

같은 경우에는 lsquo어라 이런 단어도 사용하네 이런

단어도 사용하네rsquo 이런 부분들이 있어요 근데 인

지적인 측면은 늘긴 늘지만 계속 향상될 만하면 어

려움이 닥치고 될 만하면 닥치잖아요 얼마나 어려

워요 그쵸 그래서 이런 측면은 계속 발달되는 게

정말 다르더라구요(S2 18640-645)

약간 문제가 있는데 문법적인 게 굉장히 많이 오류

가 있다거나 특이한 사항이 좀 관찰되었다하는 아

이들은 전체적인 점수가 향상되어도 약간의 것들이

남아있는 거예요 특히나 문법이라든가 화용적인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6

측면에서이제 만 5-6세 넘어오고 학령기 들어가

다 보면 아이들이 이미 유치원이라든가 거기서 의

사소통에 제한이 있었던 거예요 언어문제 때문에

약간 좀 소외되었다거나 아니면 뭐상호작용을

잘 못했다거나 그래서 이게 연습이 제 로 안 되어

있는 거예요 그런데 이거를 선생님하고 11로 앉아

가지고 보통의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은 화용문

제를 잡기도 하시지만 보통 드러나는 공식검사에

서 드러나는 거 어휘라든가 문법을 잡으시거든요

그런데 그러다 보니까 이 아이가 나중에 어휘와 문

법이 잘 쌓여도 나중에 그룹에 들어가 가지고 화용

적으로 막 쓰는 데는 약간누가 듣기에는 어 상호

작용을 해보면 약간 이상한 용어가 남아있는 거예

요 그래서 결국에는 이제 만 6세 학교 들어가기 전

이라든가 학교 들어가고 나면 그게 계속 두드러지

게 되는 거 같아요(S5 6236-7250)

언어지도 후 6개월마다 진전평가를 실시하는데 이

때 정상범주에 들어서 종결되는 아동들이 꽤 많다고

한다 이는 아동의 언어문제가 언어환경적인 이유로 인

한 일시적인 언어지체이기 때문으로 설명되고 있었다

연령별로는 영유아의 경우에 6개월 언어지도 후 거의

정상범주에 드는 경우가 많지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6개월 안에 종결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는 의견도

있었다

라 언어치료(지도) 내용 및 방법

일반적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을 언어지도하는 방법

은 일반 언어치료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한다 이는

면담 상자들이 언어치료사이기 때문일 수도 있고 이

들의 수퍼바이저가 모두 언어치료사이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상자의 언어문제가 장애인지 환경적인 일시

적 언어지체인지 명확하지 않은 경우 언어치료를 제공

하는 것이 안전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이었었다 언어촉

진이나 부모 및 교사교육이 포함된 언어치료프로그램

이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적절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언

어지도 방법 면에서는 다문화가정아동과 비슷한 상황

의 주인공을 다룬 이야기책을 사용하거나 어머니의 출

신국에 관한 내용을 반영한 교재를 사용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보통은 lsquo언어치료하고 별로 다르지 않다rsquo라고 언어

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 아이들한테 더 맞는 거 같

거든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제가 그게 더 익숙해서

그런지 몰라도 뭐 한국어 학습 같은 거라든지 이런

것을 받고 그것을 응용을 할 수는 있겠지만 언어치

료 프로그램이 더 맞는 거 같아요(S4 10408-411)

엄마를 지원하는 게 중요하기는 한 거 같아요 lsquo아동

에게 집에 가서 어떻게 자극 주세요rsquo 하는 것들이

그냥 설명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엄마 언어 수준에

맞춰서 제공된다거나(S5 17711-715)

마 부모 참여 및 교육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머니는 스스로 한국어가 부

족하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언어치료사를 만나는 것에

한 부담을 느끼며 비참여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한

다 한국어가 능숙한 어머니에게는 직접 부모교육을

실시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아버지나 방문교사

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의견이었다

그리고 우리나라와 다른 문화에서 자란 다문화가정 아

동의 어머니들이 한국에서 아동을 가르치고 키우는 방

법들을 이해하기 힘들어하거나 혼란스러워하는 경우

가 있다고 한다 이런 경우 부모 출신국에 한 문화적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는 견해이다 그리고 아동의 언

어능력이 어머니의 한국어능력보다 좋아지게 되면 어

머니가 아동에게 언어적인 피드백을 해주는데 어려움

을 겪는 경우가 종종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치료 참여에) 적극적이진 않고 왜냐면 언어가 잘

안된다고 생각을 늘 하세요 그래서 lsquo잘 못 알아듣겠

다rsquo 이런 말씀을 전제로 깔고 가시기 때문에 그런

환경(교육환경)에 익숙하지가 않은 거예요 아직 국

내에서 적응하는 것 자체도 익숙하지 않은데 더군

다나 선생님과의 관계 속에서 무언가 또 같이 이야

기를 나누는 것 자체도 많이 염려스러워하고 이런

부분 때문에 참여하기도 어려운 거죠 참여 시키는

것 자체도 되게 어려움이 있는데 거의 비참여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S2 19689-695)

부모교육 같은 경우에는 저는 조금 거의 한국에서

사신 지 좀 되신 분들 적어도 한 4sim5년 이렇게 되

신 분들 상 로 했었어요 그런데 그런 분들은 크게

문제는 없으세요 특히나 일본 분들은 한국어를 또

쉽게 배우시기 때문에 크게 문제는 없는데 그러

니까 들어오신지 10년이 됐는데 과수원에서 과일

만 따다보니까 한국어를 못 배우신거예요 그래서

아이하고 한 거에 해서 말씀을 드려도 이해를 못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7

하시고 lsquo가서 뭐 해주세요rsquo 해도 못 하시고 그러다

보니까 나중에는 어머니한테 말씀드리는 게 아니라

아버지를 부르게 된다거나 아니면 이 아이가 다니

는 공부방의 누군가에게 도움을 요청한다거나 그

렇게 해서 환경적으로 전체적으로 접근하게 되고

그 때는 어머니만 잡기에는 어려움이 많이 있어

요(S5 9343-352)

(부모님이 집에서 언어촉진 주는 것을) lsquo알겠다rsquo고

하고 잘 안하시는 것 같아요 우선적으로 저는 (아

동과 한 것) 다 얘기 못하거든요 그게 설명이 힘들

어요 솔직히 lsquo공부한 거 애들은 그렇게 어려운 말

필요 없고 그냥 애들이 하는 거 보고 신 엄마가

애 입장에서 얘기해주세요rsquo 이 말 자체는 (엄마에게)

어려워서 예를 들어주거든요 자동차를 보면 어떻

게 어떻게 말을 하는 걸 보여주면 lsquo아아 이렇게

이해했다rsquo고 말을 해요 그렇게 하나씩만 이야기를

하는 편이예요 lsquo오늘 집에서 이렇게만 해주세요rsquo 이

런 식으로 그럼 lsquo잘 알겠어요rsquo하긴 하는데 lsquo어려워

요rsquo 이렇게 얘기를 해요 말을 못 알아듣는 게 아니라

애한테 그렇게 하는 게 어렵다고 잘 안된다고(S6

11410-421)

바 치료에 한 조언

면담 상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에만 초점

을 두기보다는 다문화가정에 해 전반적으로 이해하

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아동과 부모와

의 관계 및 문화적인 부분도 함께 고려해야 하면 다른

발달영역 전문가들과도 협력하는 능력도 필요하다는

의견이었다 공식검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한계점이 있

다는 것을 인식하고 언어학습능력과 잠재력 등을 평

가하여 언어치료(지도)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견

해이다 부모상담 시에는 충분한 상담시간을 제공해

야 한다는 의견이었다

다문화가정 아이들 경우에는 우선은 이 아이가 정

말로 다문화냐 정말로 이 아이가 환경적으로 다문

화환경에 노출돼서 이중언어가 되고 있는지아니

면 이 아이가 뭐 중도입국한 경우도 있구요 지금은

이주노동자들도 언어발달지도사를 찾아오거든요

그럴 경우에 언어적인 자극을 엄마가 안 주거나 교

육적인 서포트를 안 해주는 게 단순히 엄마가 문제

가 있다고 보기보다는 lsquo어 이 나라(엄마의 출신국)

에서는 이런 것들이 없었고 엄마가 적응하는데 내

가 서포트하는 역할이 있어야 되는 구나rsquo해야 하거

든요 그런데 그게 없이 아이만 보게 되는 거예요 왜

냐하면 저희는 lsquo엄마랑 상호작용하는 거 봐요rsquo하고

언어치료사가 이런 것들을 하긴 하지만 계속 아이

의 상태 아이의 수준 이것만 많이 보게 되는 거예

요 그러니까 엄마가 가지고 있는 한국어 실력이라

든가 엄마의 한국어 실력이 얼마나 성장되는지 혹

은 엄마가 어느 정도의 자극을 줄 수 있는 환경에

있는지 이런 것들이라든가 엄마가 아니라도 그러

면 가족들은 얼마나 지원했는지 이런 것들을 많이

놓치세요

또 아이가 가지고 있는 많은 어려움들 특히 피부색

이 다르거나 그런 아이들 중에 간혹 생기긴 하거든

요 많이 없어졌다고 해도(중략)요즘엔 정말로

많이 줄기는 했어요 그런데 필리핀 아이나 베트남

아이 같은 경우는 생김새가 조금 다르다 보니까 애

들이 왕따 같은 것들도 많이 당하기도 하고 선생님

한테 와가지고 다 털어놓고 얘기를 잘해도 학교 가

서는 얘기를 못한다거나 그러면사실은 나만 잡고

교육을 할 수가 없는 거잖아요 심리적인 문제라든

가 여러 가지가 걸리기 때문에그런데 lsquo어 얘가 밖

에서 언어를 못 쓰면 내가 계속 지원해주면 되겠지rsquo

라고 가는 경우도 있긴 하거든요 그러니까 그게 언

어치료사가 아동만 보다보니까 lsquo지금 내가 언어부

분만 봐야지rsquo로 가는데 사실 아이를 전반적으로 보

면 뭐 가족도 봐야 되고 문화적인 것도 봐야 되고

또 다른 발달영역에서 같이 좀 코웍할 수 있는 게

뭐가 있는지도 좀 자세히 살펴보기는 해야 될 거

같아요(S5 13503-14534)

4 향후 과제

가 향후 연구과제

다문화가정 아이들의 특성을 잘 반영해주기 위한

검사도구가 새로 개발되어야 한다는 의견과 앞으로 한

국어가 제2외국어가 되는 경우에 해서도 준비가 필

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연구방향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 같

아요 옛날에는 그냥 단순히 비교해 가지고 lsquo낮다rsquo

이렇게만 했었는데 요즘에는 소득도 약간 통제해

보고 중산층이랑 저소득층이랑 다문화랑 이렇게 비

교하잖아요 조금 특성을 더 접근해 갈려고 하는 것

같아요(S1 11522-524)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8

저는우선은 (특성연구에서) 공식검사 사용은 어

쩔 수가 없는 것 같기는 해요 공식검사에서 이제

우선은 (언어평가 결과가) 나와야 일단은 언어문제

가 있다고 판단은 하니까 그런데 특성을 보려면

공식검사만으로 lsquo어휘가 어때요 문법이 어때요 발

음이 어때요rsquo하는 것보다 조금은 환경적인 것들을

다 통합해서 아이가 실제 쓰고 있는 언어라던가

이런 것들을 자세히 살펴볼 필요는 있을 것 같아요

그런데 연구에서는 사실은 되게 어렵잖아요 자발

화를 여러 개를 떠온다거나 뭐 엄마하고 상호작용

을 관찰한다거나 그런 게 굉장히 어렵기는 하지만

그게 이제는 공식검사만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조금 부모를 포함해서 혹은 설문을 통해서라도 환

경하고 언어를 같이 보는 게 이제는 많이 시작은

되어야 할 것 같아요(S5 271103-1111)

나 엄마의 모국어 습득의 중요성

다문화가정 아동이 한국어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모

국어도 사용하는 것을 국가적으로 장려하고 있다고 한

다 그리고 다문화가정 아동이 학령기가 되었을 때 제

2외국어나 장래직업과 관련지어서 혹은 단순히 어머

니의 모국어를 배우고 싶어 하는 경우가 있다는 보고

가 있었다

제가 만나봤던 거의 90퍼센트 정도는 주 언어가 한

국어였고 그리고 물어보면 나중에 커서 가르쳐 주

겠다 하는 아동이 많았어요 진짜 이중언어를 배우

는 건 솔직히 좀 좋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진짜

이거 이중언어 이런 거를 필수적으로 방문 서비스

에서도 이렇게 엄마말 가르쳐 주는 서비스를 만들어

가지고 다시 또 이렇게 할 수 있게끔 같이하는 것도

필요한 것 같아요 어렸을 때부터 그걸 제가 가르쳐

줄 순 없으니까(S6 17654-665)

올해부터 장려해서 정확한 제목은 기억이 안 나는

데 영재 영재교실이라고 해서 엄마의 모국어를 가

르치는 교실도 함께 다니는 친구들도 많아요 요즘

에는 올해부터는 우리친구들을 다문화친구들을 글

로벌인재로 양성하려는 게 국가적으로 목표가 됐

죠 그래서 한국말도 가르치지만 엄마의 모국어도

한국말처럼 잘해라 엄마의 모국어도 못하는 애들

도 있거든 그래서 두 가지 언어를 잘하게 될 거 아

니에요 정말 훌륭한 인재가 될 수 있잖아요 그거

를 올해부터는 많이 강조하고 있더라구요 영재겠

지 언어영재교실이라는 이름으로 엄마의 나라 말

도 배우고 또 언어발달지도 선생님한테 한국말도 배

우고(S3 262-69)

다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

면담 상자들은 어머니가 아동의 교육에 참여하고

직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모교육프로그램이 필

요하다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영유아 아동을 위한 언

어발달지도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보고가 있었다

영유아아이들을 언어발달 지도할 때는 좀 더 다를

수 있어서 그런 영유아아이들을 상으로 하는 언

어발달지도프로그램 그런 것도아까 말했던 lsquo엄마

들을 어떻게 언어치료에 좀 더 참여시킬 것인가rsquo 이

런 문제들 그리고 매뉴얼들을 많이 개발하시려고

하는 것 같아요(S3 9307-311)

라 언어치료사의 새로운 역할

모든 면담참여자는 궁극적으로 언어에 문제가 있는

아동을 중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언어치료전공자가 다

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로 일하는 것이 필요하

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지만 현재에는 언어

치료를 전공하지 않은 언어발달지도사들도 많기 때문

에 이들과의 연계 필요성도 언급되었다 그밖에 언어

발달지도사의 감독자나 유치원 및 학교현장에서 치료

를 제공하는 학교언어치료사가 언어치료사의 새로운

역할이 될 것이라는 견해도 있었다 또한 언어치료전

공자가 언어발달지도사로 일한 경력도 언어치료사 경

력으로 인정될 필요성이 언급되었다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이 다 언어치료사는 아니

잖아요 만약에 언어치료사가 아닌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이 있다고 치면 그런 분들과 연계해서 해

야 될 부분이 많을 것 같구요(S1 13628-631)

(아동이 언어지체를 보이는) 그런 경우에는 치료를

해줘야 된다고 생각을 해요 현재는 그런 예가 적지

만 다문화 가정 아동의 엄마가 잘 못해주는 경우가

있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그냥 놔두는 것 보다 그

위험부담을 감수할 필요는 없는 것 같아요(S1

9413-316)

무료교육이 되다보니깐 우리 친구들이 100 어린

이집을 다니잖아요 그러다보니깐 엄마들이 그 유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9

치원에서 다 해결을 해보고 싶으신 거에요 자기가

데리고 오려면 교통비도 들잖아요 여유 있지 않다

보니깐그래서 유치원에 일단 들어가잖아요 그러

면 센터로 안와요(S3 7241-244)

Ⅳ 논의 및 결론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평가 및 언어치료(지도)에

해 숙련된 언어치료사를 상으로 실시한 면담 결

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에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언어평가를 받

기 위해 자발적으로 센터를 방문하는 경우는 많지 않

았으나 타전문가들에 한 홍보활동과 다문화가족지

원센터를 이용하는 어머니들이 많아지면서 다문화가

정 아동의 언어평가를 의뢰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

고 있다 면담 상자들은 기존의 공식검사 결과만으로

나타난 언어발달지체가 언어장애여부 판별에 사용되

는 것에 한계가 있음을 강조하였으며 공식검사 외에

비공식검사나 역동적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어평가 및 언어치료(지도)를 받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그 이유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비가 무료화되면서 24개월 미

만의 영유아가 센터로 방문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

기 때문이다 다수의 어머니들은 아동과 의사소통을

할 때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영유아의 경우는

엄마의 한국어 공부기간이 짧기 때문에 그만큼 더 부

족한 언어자극을 받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다문화

가정은 사회경제적 여건이 어려운 가정이 많기 때문

에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이 낮은 사회경제적 위

치에 있는 가정의 아동 언어특성과 유사한 면이 많다

는 의견이다 특히 어휘부분에서 크게 떨어지는 것으

로 평가되고 있지만 그 외에도 문법 면에서의 잦은

오류 사회적 의사소통이나 담화 및 읽기 등에서도 문

제를 보이고 있었다 언어 이외에 정서적 문제를 동반

하는 경우도 이들의 언어지도 및 학습에 영향을 미치

고 있었다

셋째 언어평가 후 언어치료가 필요한 아동의 경우

언어치료센터로 의뢰되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지

역적 특성상 언어치료센터를 찾아보기 힘든 경우도 있

지만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와 가족들이 언어치료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 않는 경우도 많다는 의견이

었다 따라서 언어치료가 필요한 언어장애아동의 경

우 언어발달지도사가 지도해야하는 경우가 많았다 언

어지도는 다문화센터 뿐 아니라 다문화가정 아동이 다

니고 있는 어린이집으로 파견 나가서 하고 있는 경우

도 많았다 환경적 요인에 의한 언어발달지체일 경우

에는 언어촉진을 주었을 때 아동의 언어능력이 크게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휘능력이 크

게 향상 되는 반면 문법오류와 담화 읽기 인지적 부

분의 어려움은 지속적으로 남아있기도 하였다

언어발달지도사는 치료사가 아니기 때문에 개발되

어 있는 교재를 활용하여 아동의 언어촉진을 목적으

로 언어지도를 수행하고 있으나 언어치료를 전공한

언어발달지도사의 경우는 일반 언어장애아동을 상

으로 한 언어치료목표나 방법을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적용하고 있었다 다만 방법 면에서 다문화가정 아동

과 비슷한 상황의 주인공을 다룬 이야기를 사용하거

나 어머니의 출신국에 관한 내용을 고려한 교재를 사

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언어치료 상이 된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의 경우 아동의 언어치료에

비참여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이 부분인데 이는 어

머니 스스로 한국어가 부족하다는 인식 때문에 전문

가를 만나는 것에 부담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라는 의

견이었다 언어치료사는 부모의 출신국에 한 이해를

돕는 정보나 교재 프로그램을 통해 이들의 문화와 전

통 가치관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상의 결론을 토 로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바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면담 상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을 공식검사 결과만으로 평가하는 데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는 선별에서 고위험군

으로 판정된 아동에 해서는 언어장애 유무를 확인

하는 단계에서 공식검사와 비공식검사를 보완하여 사

용하거나 역동적 평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

로 보는 선행연구(Bedore amp Pefia 2008 Deponio et

al 2000)와 일치하는 견해이다 임상현장에서 단순히

공식검사결과만으로 이들이 언어장애라고 진단하지 않

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을 규준

에 포함시키거나 이들의 특성을 민감하게 반영할 수 있

는 공식검사도구의 개발도 필요하다 할 수 있겠다

둘째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우리가 다문화가정이라

고 부르는 집단은 결혼 이민자 가정 중도입국자 가정

외국인 근로자 및 유학생 가정 새터민 가정 등 이질적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0

인 하위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다 면담 상자들이 지

적했듯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결혼 이민자가정의 아동은 사실상 단일언어가정이며

이중언어 사용아동이라 할 수 없음을 기억하고 다문화

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연구를 진행할 때 하위집단에

따른 특성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에 의하면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이 자녀

의 성장에 따라 고차원적인 의사소통과 언어적 지원

이 필요하다고 느끼지만 부족한 한국어 능력으로 인하

여 심리적 위축감과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한다(고은

2006 전홍주배소영곽금주 2008) 또한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한국어 능력이 우선임을 강조

하며 자신의 출신국 언어에 해 교육하는 것을 필수

가 아닌 선택사항으로 인식하고 있고 이중언어 환경

에 해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고은 2006) 면

담 상자에 의하면 다문화센터를 중심으로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 중요성을 알리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이

중언어교실이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그렇지만 이는

다문화가정의 아동 및 일반인을 상으로 베트남어 등

외국어를 가르치는 프로그램으로 집에서 엄마의 모국

어를 사용하여 아동을 이중언어 사용자로 양육하는 것

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정책적으로나 연구를

통해 부모가 가지고 있는 이중언어 환경에 한 불안

감을 감소시키고 초기 중요한 시기에 엄마와 아동이

어느 나라 말을 사용하든지 충분한 언어자극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넷째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교육을 지원

하고자 하는 강한 열망에도 불구하고 자녀들의 학업

에 도움을 주는 실제적이고 직접적인 지원에는 한계를

느낀다고 한다(송미경 외 2008 이진숙 2007 전홍주

배소영곽금주 2008 Cooper et al 1995) 면담 상

자들의 견해로도 언어문제를 인식하거나 평가에 의뢰

하는 데 다른 전문가들 상의 홍보와 도움이 많이 필

요했다고 하였다 또한 아동의 치료과정에서도 어머니

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 가정 방문교사나 어린이

집교사의 도움에 의존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사

실은 부모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노력해야함을 의미하

기도 하지만 언어치료사들이 다문화가정 아동을 치

료하는 과정에서 다른 전문가들과의 협력이 중요함을

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다섯째 언어평가에 의뢰되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연

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면담에 참여한 언어치료사

들도 담당하고 있는 아동의 많은 수가 24에서 36개월

사이의 영유아라고 답하고 있다 영유아를 상으로

하는 언어중재는 부모를 포함한 가정-중심 중재이며

부모에 의한 언어촉진방법을 중시하고 있다(Paul

2007) 그러나 다문화가족 영유아의 어머니는 한국에

체류한 기간이 짧아 그만큼 한국어가 미숙한 실정이

다 그러므로 다문화가정 영유아 아동의 중재 시에는

이러한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엄마의 모국어로

상호작용하도록 권유하거나 어린이집에서 제공되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과제라 할

것이다

여섯째 다문화가정 부모들은 자녀의 교육에 한

부분을 교육기관에 일임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왕한석 2007 전홍주배소영곽금주 2008)

한국사회에서 문화적응과 언어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들에게는 자녀를 이른 시

기에 교육기관에 보내어 다문화 가정의 취약한 언어

환경을 극복하고 발달을 돕고자 하는 것이 이들의 최

선의 선택이자 노력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면담에

서 밝혀진 바와 같이 부모의 소극적 참여 역시 같은

맥락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부모의 이러한 특성

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에 관련 전문가들의 역할

과 공교육에서의 교육제공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

다 어린이집과 유치원 학교에서 언어치료사가 근무

하게 될 경우 언어치료 상에 다문화가정 아동을 포

함시키는 방안도 추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 언

어치료사가 전체 언어치료사의 55를 넘는 미국의

경우(김영태 2004) 학교언어치료사가 현실적으로 과

중한 치료사례를 담당하고 있는 것이 이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나타났다(Marshall Stojanovik amp Ralph

2002) 이러한 문제는 앞으로 학교에서 언어치료를 제

공하게 될 우리나라에서도 미리 고려해야 할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더구나 다문화가정 아동과 같은 위험군 아

동을 학교 언어치료사의 치료 상에 포함시킬지 여부

도 우리가 고려해야할 사항이 될 것이다 언어치료사의

역할에 lsquo장애의 예방rsquo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ASHA

2004 Paul(2007)에서 재인용) 향후 학교 언어치료사

에 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될 때에 다문화가정 아

동과 같은 위험군 상아동에 한 예방 업무가 포함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이끌 수 있도록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사회의 일원인 언어치료사의

역할 역시 변화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

해 밝혀진 바와 같이 급증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아동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61

의 언어치료 및 지도에서 언어치료사는 언어발달지도

사로 근무하거나 이들의 수퍼바이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면담 상자에 의하면 언어발달지도사들이

현재 아동이 속한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로 파견 근무

를 나가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앞으로 통합어린이집

에서 언어치료를 제공하거나 학교 언어치료사로 근무

하는 것 역시 새로운 언어치료사의 역할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언어치료사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관련 정보 습득 학령기 아동을 위한 읽기 등에 한

공부 통합된 교실에서의 언어치료 제공능력과 같은

다양한 직업 환경에 맞는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언어치료사와 연구자들이 변화해가는 역할을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한 방향을 제시하

는 데 그 임상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참 고 문 헌

고은(2006) 이중언어 사용 아동의 부모들이 갖는 모국어에

한 가치 기준과 경험적 의미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5(3) 165-184

권수진(2006) 다문화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생성이름

기 특성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교육과학기술부(2010) 다문화가정 학생현황(2010 4 출신국

포함) 출처 httpwwwmestgokr

김영란김영태이은주(2007) 이중언어아동의 어휘학습

능력 측정에 적용된 역동적 평가에 한 타당성 고찰

-1990년 이후의 문헌을 중심으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3) 59-77

김영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김영태김경희윤혜련김화수(2003) 985172영유아 언어발달

검사(SELSI)985173 서울 파라다이스 복지재단

김영태(2002) 985172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985173 서울 학지사

김화수(2009) 한국 다문화사회에서 언어치료사의 역할모형에

한 제안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85-209류현주김향희김화수신지철(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능력 및 음운변동 특성 985172음성과학985173 15(3) 133-144박상희(2006)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985172한국언어치료

학회 학술 회 발표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박상희(2009)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산출에 관한 종단적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89-97박지윤박상희석동일(2007) 학령전기 이중언어 환경 아동

의 언어학적 특성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2) 131-145배소영곽금주김근영정경희김효정(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발달지원자 설문을 통해 본 아동의 언어환경

및 언어발달 실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65-184신경림장연집김영경이금재최명민김혜영김옥현

김영혜(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포커스 그룹985173 서울

현문사

송미경지승희조은경임영선(2008)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985172한국 심리학회985173 20(2) 497-517

안성우신영주(2008) 저소득층 일반아동과 다문화 가정아동

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4) 81-94

이명선김춘미고문희(역)(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상호

작용적 접근985173 서울 군자출판사

이은주김영태(2010) 1990년 이후 이중언어 연구 동향 985172언어

치료연구985173 19(2) 73-90이수정신지철김향희김화수(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능력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3) 95-115이진숙(2007)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양육실태와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관한 연구 985172열린 유아교육 연구985173 12(6) 21-42

오성숙(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 개인변인 가정환경자극과

유아 언어능력의 관계 구 학교 학원 석사학위

논문

오소정김영태김영란(2009) 서울 및 경기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과 관련변인에 한 기초 연구 985172특수

교육985173 8(1) 137-161오성배(2005) 도시와 시골지역 사이의 학업성취도 격차연구

목포시와 인근지역의 자료분석 중앙 학교 학원 박

사학위논문

왕한석(2007) 985172또 다른 한국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언어

적응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985173 서울 교문사

양성오황보명(2009) 취학전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37-56

여성가족부(2012) 2012년 다문화가족지원사업안내 출처

httpmogefgokr

장유경이근영곽금주성현란(2003)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

이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심리

학회지 발달985173 16(4) 227-241장현진신명선전희숙김효정(2011) 어머니 국적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비유창성 특성 연구 985172언어치료

연구985173 20(1) 17-29전홍주배소영곽금주(2008) 결혼이민자 가정에서 이루어

지는 자녀교육지원의 실제와 의미 필리핀과 일본

어머니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가족과 문화985173 20(3) 161-186

정은희(2004) 농촌지역 국제결혼가정 아동의 언어발달과

언어환경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3(3) 33-52정하성유진이이장현(2007) 985172다문화청소년 이해론985173 파주

양서원

정현영(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시아 여성과 한국남성의

이중문화가정자녀를 중심으로 숭실 학교 학원 석

사학위논문

최연실(2007) 도시 국제결혼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이야기능력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2

황상심정옥란(2008) 경상도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13(2) 174-192황상심(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초기 표현어휘 발달과 성차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9(1) 193-209황상심김화수(2008) 다문화환경 조음음운장애아동과 기능

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음운변동 패턴 연구 985172특수

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985173 9(4) 329-348황상심김화수(2009) 다문화에 한 언어치료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985172제1회 한국언어치료학회한국언어청각

임상학회 공동학술 회 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황상심정옥란(2008)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발달과 관련

변인 상관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1) 81-102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3

Received January 20 2012 Final revision received February 24 2012 Accepted March 1 2012

2012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httpwwwkasa1986orkr

ABSTRACT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o Hyun ParkMyoung sim Jungsect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Korea

sect Correspondence to

Myoung sim Jung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99 Daehangno Yuseong-gu Daejeon Koreae-mail bogamihanmailnet tel +82 10 2990 5002

Background amp Objectives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been increasing for yearsin Korea increased attention has been given to childrenrsquos language development Recent researchhas revealed language problem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research specifically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these problems are due to language differences or language difficulties is lack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between children with simple language disorders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In-depth interviewing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Seve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who had been working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ll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Four primary themes and seven subthemes emerged fromthe analysis 1) speech and language evalu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2)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3)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4)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for SLPs who work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scussion amp Conclusion The results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themes defined in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in reference to otherrelated literatur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presented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Key Words multicultural families bilingual speech-language evaluation speech-language intervention language development consultant at-risk children

REFERENCES

Ahn S amp Shin Y (2008) A comparative study of multi-ultural background childrenrsquos and low-income childrenrsquos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4) 81-94

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hang H Shin M Jeon H amp Kim H (2011) A study on disfluenc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mothersrsquo nationali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20(1) 17-29

Chang Y Lee K Kwak K amp Sung H (2003) Relations of maternal linguistic inputs to lexical development of Korean infant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

chology 16(4) 227-241

Choi Y (2007) Narrative abilities of Korean children with and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64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Hwang S (2010) Early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and gender difference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9(1) 193-209

Hwang S amp Jeong O (2008)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3(2) 174-192

Hwang S amp Kim H (2009) A survey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ervice deliver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oceedings of the 1st Korean Speech- 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Collaboration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Hwang S amp Kim W (2008) A study on the phonological process patterns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problem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gricultural Area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9(4) 329-348

Jeong E (2004) A study on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environment of children from internationally married couple living in an agricultural villag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3(3) 33-52

Jeong H Yoo J amp Lee J (2007)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youth Paju Yoangseowon Press

Jun H Pae S amp Kwak K (2008) Practices and meanings of immigrant mothersrsquo support for childrenrsquos education Cases of mothers from the Philippines and Japan The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20(3) 161-186

Jung H (2007)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mixed ethnic children Focused on the marriage of Korean man with Asian woman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im W (2009) A new light on models of SLPrsquos role in a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8(4) 185-209

Kim Y (2002)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Seoul Hakji Press

Kim Y (2007) Literature review regarding validity of the dynamic assessment applied in lexical learning ability measures for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3) 59-77

Kim Y Kim K Yoon H amp Kim H (2003)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Seoul Paradise Welfare Foundation

Kim Y Seong T amp Lee Y (2003) Preschool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Ko U (2006) The criteria for value and empirical meaning of mother tongue in case of parents of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5(3) 165-184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Kwon S (2006)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in generative naming for children of multi-culture family and children of ordinary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Lee E amp Kim Y (2010) A literature review of bilingual study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2009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9(2) 73-90

Lee J (2007) A study of childcare and education fathersrsquo childcare participatio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6) 21-42

Lee M Kim C amp Ko M (2004)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Seoul Koonja Press

Lee S Shin J Kim H amp Kim W (2008) A study on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3) 95-115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Statu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vailable from httpwwwmestgok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mp Family (2012)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guidance Available from httpmogef gokr

Oh S (2005) A study of achievement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ith data from Mokpo city and adjacent to regions Unpublished doctorrsquos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Oh S (2009) The relations of childrenrsquos linguistic abilities to mothersrsquo personal variables and home environmental stimuli in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Oh S Kim Y amp Kim Y (2009) Preliminary study o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mily factor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Special Education Research 8(1) 137-161

Pae S Kwak K Kim K amp Kim H (2009) Supporting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survey of mothers and developmental sup-porter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4) 165-184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rk J Park S amp Seok D (2007) Language characteristics in pre-school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2)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5

131-145

Park S (2006) Language abilit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oceedings of the Korean Speech- L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Park S (2009) A longitudinal study of articulation production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89-97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Shin K L Jang Y Kim Y K Lee K J Choi M M Kim H Y Kim O H amp Kim Y H (2004) The method of quality study Focus group Seoul Huynmoon Press

Song M Jee S Cho E amp Lim Y (2008) A study on the parental experience of a foreign mother in a mul-ticultural famil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2) 497-517

Wang H (2007) Another Korean Seoul Kyomun Press

Yang S amp Hwang B (2009) A comparative study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culture familie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37-56

Yoo H Kim H Kim W amp Shin J (2008) Articulation ability and phonological process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Korean Journal of Speech Sciences 15(3) 133-144

The authors wish to thank Youngheon Lee(Saint

Andrewrsquos school DE) amp Ye Rin Jung(Chungnam Univ)

for their unfailing support in organizing interview

data

Page 10: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최소 1년 이상의 언어평 가 및 치료경험이 있는 자로 한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6

측면에서이제 만 5-6세 넘어오고 학령기 들어가

다 보면 아이들이 이미 유치원이라든가 거기서 의

사소통에 제한이 있었던 거예요 언어문제 때문에

약간 좀 소외되었다거나 아니면 뭐상호작용을

잘 못했다거나 그래서 이게 연습이 제 로 안 되어

있는 거예요 그런데 이거를 선생님하고 11로 앉아

가지고 보통의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은 화용문

제를 잡기도 하시지만 보통 드러나는 공식검사에

서 드러나는 거 어휘라든가 문법을 잡으시거든요

그런데 그러다 보니까 이 아이가 나중에 어휘와 문

법이 잘 쌓여도 나중에 그룹에 들어가 가지고 화용

적으로 막 쓰는 데는 약간누가 듣기에는 어 상호

작용을 해보면 약간 이상한 용어가 남아있는 거예

요 그래서 결국에는 이제 만 6세 학교 들어가기 전

이라든가 학교 들어가고 나면 그게 계속 두드러지

게 되는 거 같아요(S5 6236-7250)

언어지도 후 6개월마다 진전평가를 실시하는데 이

때 정상범주에 들어서 종결되는 아동들이 꽤 많다고

한다 이는 아동의 언어문제가 언어환경적인 이유로 인

한 일시적인 언어지체이기 때문으로 설명되고 있었다

연령별로는 영유아의 경우에 6개월 언어지도 후 거의

정상범주에 드는 경우가 많지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6개월 안에 종결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는 의견도

있었다

라 언어치료(지도) 내용 및 방법

일반적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을 언어지도하는 방법

은 일반 언어치료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한다 이는

면담 상자들이 언어치료사이기 때문일 수도 있고 이

들의 수퍼바이저가 모두 언어치료사이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상자의 언어문제가 장애인지 환경적인 일시

적 언어지체인지 명확하지 않은 경우 언어치료를 제공

하는 것이 안전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이었었다 언어촉

진이나 부모 및 교사교육이 포함된 언어치료프로그램

이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적절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언

어지도 방법 면에서는 다문화가정아동과 비슷한 상황

의 주인공을 다룬 이야기책을 사용하거나 어머니의 출

신국에 관한 내용을 반영한 교재를 사용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보통은 lsquo언어치료하고 별로 다르지 않다rsquo라고 언어

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 아이들한테 더 맞는 거 같

거든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제가 그게 더 익숙해서

그런지 몰라도 뭐 한국어 학습 같은 거라든지 이런

것을 받고 그것을 응용을 할 수는 있겠지만 언어치

료 프로그램이 더 맞는 거 같아요(S4 10408-411)

엄마를 지원하는 게 중요하기는 한 거 같아요 lsquo아동

에게 집에 가서 어떻게 자극 주세요rsquo 하는 것들이

그냥 설명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엄마 언어 수준에

맞춰서 제공된다거나(S5 17711-715)

마 부모 참여 및 교육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머니는 스스로 한국어가 부

족하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언어치료사를 만나는 것에

한 부담을 느끼며 비참여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한

다 한국어가 능숙한 어머니에게는 직접 부모교육을

실시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아버지나 방문교사

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의견이었다

그리고 우리나라와 다른 문화에서 자란 다문화가정 아

동의 어머니들이 한국에서 아동을 가르치고 키우는 방

법들을 이해하기 힘들어하거나 혼란스러워하는 경우

가 있다고 한다 이런 경우 부모 출신국에 한 문화적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는 견해이다 그리고 아동의 언

어능력이 어머니의 한국어능력보다 좋아지게 되면 어

머니가 아동에게 언어적인 피드백을 해주는데 어려움

을 겪는 경우가 종종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치료 참여에) 적극적이진 않고 왜냐면 언어가 잘

안된다고 생각을 늘 하세요 그래서 lsquo잘 못 알아듣겠

다rsquo 이런 말씀을 전제로 깔고 가시기 때문에 그런

환경(교육환경)에 익숙하지가 않은 거예요 아직 국

내에서 적응하는 것 자체도 익숙하지 않은데 더군

다나 선생님과의 관계 속에서 무언가 또 같이 이야

기를 나누는 것 자체도 많이 염려스러워하고 이런

부분 때문에 참여하기도 어려운 거죠 참여 시키는

것 자체도 되게 어려움이 있는데 거의 비참여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S2 19689-695)

부모교육 같은 경우에는 저는 조금 거의 한국에서

사신 지 좀 되신 분들 적어도 한 4sim5년 이렇게 되

신 분들 상 로 했었어요 그런데 그런 분들은 크게

문제는 없으세요 특히나 일본 분들은 한국어를 또

쉽게 배우시기 때문에 크게 문제는 없는데 그러

니까 들어오신지 10년이 됐는데 과수원에서 과일

만 따다보니까 한국어를 못 배우신거예요 그래서

아이하고 한 거에 해서 말씀을 드려도 이해를 못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7

하시고 lsquo가서 뭐 해주세요rsquo 해도 못 하시고 그러다

보니까 나중에는 어머니한테 말씀드리는 게 아니라

아버지를 부르게 된다거나 아니면 이 아이가 다니

는 공부방의 누군가에게 도움을 요청한다거나 그

렇게 해서 환경적으로 전체적으로 접근하게 되고

그 때는 어머니만 잡기에는 어려움이 많이 있어

요(S5 9343-352)

(부모님이 집에서 언어촉진 주는 것을) lsquo알겠다rsquo고

하고 잘 안하시는 것 같아요 우선적으로 저는 (아

동과 한 것) 다 얘기 못하거든요 그게 설명이 힘들

어요 솔직히 lsquo공부한 거 애들은 그렇게 어려운 말

필요 없고 그냥 애들이 하는 거 보고 신 엄마가

애 입장에서 얘기해주세요rsquo 이 말 자체는 (엄마에게)

어려워서 예를 들어주거든요 자동차를 보면 어떻

게 어떻게 말을 하는 걸 보여주면 lsquo아아 이렇게

이해했다rsquo고 말을 해요 그렇게 하나씩만 이야기를

하는 편이예요 lsquo오늘 집에서 이렇게만 해주세요rsquo 이

런 식으로 그럼 lsquo잘 알겠어요rsquo하긴 하는데 lsquo어려워

요rsquo 이렇게 얘기를 해요 말을 못 알아듣는 게 아니라

애한테 그렇게 하는 게 어렵다고 잘 안된다고(S6

11410-421)

바 치료에 한 조언

면담 상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에만 초점

을 두기보다는 다문화가정에 해 전반적으로 이해하

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아동과 부모와

의 관계 및 문화적인 부분도 함께 고려해야 하면 다른

발달영역 전문가들과도 협력하는 능력도 필요하다는

의견이었다 공식검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한계점이 있

다는 것을 인식하고 언어학습능력과 잠재력 등을 평

가하여 언어치료(지도)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견

해이다 부모상담 시에는 충분한 상담시간을 제공해

야 한다는 의견이었다

다문화가정 아이들 경우에는 우선은 이 아이가 정

말로 다문화냐 정말로 이 아이가 환경적으로 다문

화환경에 노출돼서 이중언어가 되고 있는지아니

면 이 아이가 뭐 중도입국한 경우도 있구요 지금은

이주노동자들도 언어발달지도사를 찾아오거든요

그럴 경우에 언어적인 자극을 엄마가 안 주거나 교

육적인 서포트를 안 해주는 게 단순히 엄마가 문제

가 있다고 보기보다는 lsquo어 이 나라(엄마의 출신국)

에서는 이런 것들이 없었고 엄마가 적응하는데 내

가 서포트하는 역할이 있어야 되는 구나rsquo해야 하거

든요 그런데 그게 없이 아이만 보게 되는 거예요 왜

냐하면 저희는 lsquo엄마랑 상호작용하는 거 봐요rsquo하고

언어치료사가 이런 것들을 하긴 하지만 계속 아이

의 상태 아이의 수준 이것만 많이 보게 되는 거예

요 그러니까 엄마가 가지고 있는 한국어 실력이라

든가 엄마의 한국어 실력이 얼마나 성장되는지 혹

은 엄마가 어느 정도의 자극을 줄 수 있는 환경에

있는지 이런 것들이라든가 엄마가 아니라도 그러

면 가족들은 얼마나 지원했는지 이런 것들을 많이

놓치세요

또 아이가 가지고 있는 많은 어려움들 특히 피부색

이 다르거나 그런 아이들 중에 간혹 생기긴 하거든

요 많이 없어졌다고 해도(중략)요즘엔 정말로

많이 줄기는 했어요 그런데 필리핀 아이나 베트남

아이 같은 경우는 생김새가 조금 다르다 보니까 애

들이 왕따 같은 것들도 많이 당하기도 하고 선생님

한테 와가지고 다 털어놓고 얘기를 잘해도 학교 가

서는 얘기를 못한다거나 그러면사실은 나만 잡고

교육을 할 수가 없는 거잖아요 심리적인 문제라든

가 여러 가지가 걸리기 때문에그런데 lsquo어 얘가 밖

에서 언어를 못 쓰면 내가 계속 지원해주면 되겠지rsquo

라고 가는 경우도 있긴 하거든요 그러니까 그게 언

어치료사가 아동만 보다보니까 lsquo지금 내가 언어부

분만 봐야지rsquo로 가는데 사실 아이를 전반적으로 보

면 뭐 가족도 봐야 되고 문화적인 것도 봐야 되고

또 다른 발달영역에서 같이 좀 코웍할 수 있는 게

뭐가 있는지도 좀 자세히 살펴보기는 해야 될 거

같아요(S5 13503-14534)

4 향후 과제

가 향후 연구과제

다문화가정 아이들의 특성을 잘 반영해주기 위한

검사도구가 새로 개발되어야 한다는 의견과 앞으로 한

국어가 제2외국어가 되는 경우에 해서도 준비가 필

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연구방향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 같

아요 옛날에는 그냥 단순히 비교해 가지고 lsquo낮다rsquo

이렇게만 했었는데 요즘에는 소득도 약간 통제해

보고 중산층이랑 저소득층이랑 다문화랑 이렇게 비

교하잖아요 조금 특성을 더 접근해 갈려고 하는 것

같아요(S1 11522-524)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8

저는우선은 (특성연구에서) 공식검사 사용은 어

쩔 수가 없는 것 같기는 해요 공식검사에서 이제

우선은 (언어평가 결과가) 나와야 일단은 언어문제

가 있다고 판단은 하니까 그런데 특성을 보려면

공식검사만으로 lsquo어휘가 어때요 문법이 어때요 발

음이 어때요rsquo하는 것보다 조금은 환경적인 것들을

다 통합해서 아이가 실제 쓰고 있는 언어라던가

이런 것들을 자세히 살펴볼 필요는 있을 것 같아요

그런데 연구에서는 사실은 되게 어렵잖아요 자발

화를 여러 개를 떠온다거나 뭐 엄마하고 상호작용

을 관찰한다거나 그런 게 굉장히 어렵기는 하지만

그게 이제는 공식검사만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조금 부모를 포함해서 혹은 설문을 통해서라도 환

경하고 언어를 같이 보는 게 이제는 많이 시작은

되어야 할 것 같아요(S5 271103-1111)

나 엄마의 모국어 습득의 중요성

다문화가정 아동이 한국어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모

국어도 사용하는 것을 국가적으로 장려하고 있다고 한

다 그리고 다문화가정 아동이 학령기가 되었을 때 제

2외국어나 장래직업과 관련지어서 혹은 단순히 어머

니의 모국어를 배우고 싶어 하는 경우가 있다는 보고

가 있었다

제가 만나봤던 거의 90퍼센트 정도는 주 언어가 한

국어였고 그리고 물어보면 나중에 커서 가르쳐 주

겠다 하는 아동이 많았어요 진짜 이중언어를 배우

는 건 솔직히 좀 좋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진짜

이거 이중언어 이런 거를 필수적으로 방문 서비스

에서도 이렇게 엄마말 가르쳐 주는 서비스를 만들어

가지고 다시 또 이렇게 할 수 있게끔 같이하는 것도

필요한 것 같아요 어렸을 때부터 그걸 제가 가르쳐

줄 순 없으니까(S6 17654-665)

올해부터 장려해서 정확한 제목은 기억이 안 나는

데 영재 영재교실이라고 해서 엄마의 모국어를 가

르치는 교실도 함께 다니는 친구들도 많아요 요즘

에는 올해부터는 우리친구들을 다문화친구들을 글

로벌인재로 양성하려는 게 국가적으로 목표가 됐

죠 그래서 한국말도 가르치지만 엄마의 모국어도

한국말처럼 잘해라 엄마의 모국어도 못하는 애들

도 있거든 그래서 두 가지 언어를 잘하게 될 거 아

니에요 정말 훌륭한 인재가 될 수 있잖아요 그거

를 올해부터는 많이 강조하고 있더라구요 영재겠

지 언어영재교실이라는 이름으로 엄마의 나라 말

도 배우고 또 언어발달지도 선생님한테 한국말도 배

우고(S3 262-69)

다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

면담 상자들은 어머니가 아동의 교육에 참여하고

직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모교육프로그램이 필

요하다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영유아 아동을 위한 언

어발달지도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보고가 있었다

영유아아이들을 언어발달 지도할 때는 좀 더 다를

수 있어서 그런 영유아아이들을 상으로 하는 언

어발달지도프로그램 그런 것도아까 말했던 lsquo엄마

들을 어떻게 언어치료에 좀 더 참여시킬 것인가rsquo 이

런 문제들 그리고 매뉴얼들을 많이 개발하시려고

하는 것 같아요(S3 9307-311)

라 언어치료사의 새로운 역할

모든 면담참여자는 궁극적으로 언어에 문제가 있는

아동을 중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언어치료전공자가 다

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로 일하는 것이 필요하

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지만 현재에는 언어

치료를 전공하지 않은 언어발달지도사들도 많기 때문

에 이들과의 연계 필요성도 언급되었다 그밖에 언어

발달지도사의 감독자나 유치원 및 학교현장에서 치료

를 제공하는 학교언어치료사가 언어치료사의 새로운

역할이 될 것이라는 견해도 있었다 또한 언어치료전

공자가 언어발달지도사로 일한 경력도 언어치료사 경

력으로 인정될 필요성이 언급되었다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이 다 언어치료사는 아니

잖아요 만약에 언어치료사가 아닌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이 있다고 치면 그런 분들과 연계해서 해

야 될 부분이 많을 것 같구요(S1 13628-631)

(아동이 언어지체를 보이는) 그런 경우에는 치료를

해줘야 된다고 생각을 해요 현재는 그런 예가 적지

만 다문화 가정 아동의 엄마가 잘 못해주는 경우가

있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그냥 놔두는 것 보다 그

위험부담을 감수할 필요는 없는 것 같아요(S1

9413-316)

무료교육이 되다보니깐 우리 친구들이 100 어린

이집을 다니잖아요 그러다보니깐 엄마들이 그 유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9

치원에서 다 해결을 해보고 싶으신 거에요 자기가

데리고 오려면 교통비도 들잖아요 여유 있지 않다

보니깐그래서 유치원에 일단 들어가잖아요 그러

면 센터로 안와요(S3 7241-244)

Ⅳ 논의 및 결론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평가 및 언어치료(지도)에

해 숙련된 언어치료사를 상으로 실시한 면담 결

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에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언어평가를 받

기 위해 자발적으로 센터를 방문하는 경우는 많지 않

았으나 타전문가들에 한 홍보활동과 다문화가족지

원센터를 이용하는 어머니들이 많아지면서 다문화가

정 아동의 언어평가를 의뢰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

고 있다 면담 상자들은 기존의 공식검사 결과만으로

나타난 언어발달지체가 언어장애여부 판별에 사용되

는 것에 한계가 있음을 강조하였으며 공식검사 외에

비공식검사나 역동적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어평가 및 언어치료(지도)를 받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그 이유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비가 무료화되면서 24개월 미

만의 영유아가 센터로 방문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

기 때문이다 다수의 어머니들은 아동과 의사소통을

할 때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영유아의 경우는

엄마의 한국어 공부기간이 짧기 때문에 그만큼 더 부

족한 언어자극을 받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다문화

가정은 사회경제적 여건이 어려운 가정이 많기 때문

에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이 낮은 사회경제적 위

치에 있는 가정의 아동 언어특성과 유사한 면이 많다

는 의견이다 특히 어휘부분에서 크게 떨어지는 것으

로 평가되고 있지만 그 외에도 문법 면에서의 잦은

오류 사회적 의사소통이나 담화 및 읽기 등에서도 문

제를 보이고 있었다 언어 이외에 정서적 문제를 동반

하는 경우도 이들의 언어지도 및 학습에 영향을 미치

고 있었다

셋째 언어평가 후 언어치료가 필요한 아동의 경우

언어치료센터로 의뢰되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지

역적 특성상 언어치료센터를 찾아보기 힘든 경우도 있

지만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와 가족들이 언어치료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 않는 경우도 많다는 의견이

었다 따라서 언어치료가 필요한 언어장애아동의 경

우 언어발달지도사가 지도해야하는 경우가 많았다 언

어지도는 다문화센터 뿐 아니라 다문화가정 아동이 다

니고 있는 어린이집으로 파견 나가서 하고 있는 경우

도 많았다 환경적 요인에 의한 언어발달지체일 경우

에는 언어촉진을 주었을 때 아동의 언어능력이 크게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휘능력이 크

게 향상 되는 반면 문법오류와 담화 읽기 인지적 부

분의 어려움은 지속적으로 남아있기도 하였다

언어발달지도사는 치료사가 아니기 때문에 개발되

어 있는 교재를 활용하여 아동의 언어촉진을 목적으

로 언어지도를 수행하고 있으나 언어치료를 전공한

언어발달지도사의 경우는 일반 언어장애아동을 상

으로 한 언어치료목표나 방법을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적용하고 있었다 다만 방법 면에서 다문화가정 아동

과 비슷한 상황의 주인공을 다룬 이야기를 사용하거

나 어머니의 출신국에 관한 내용을 고려한 교재를 사

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언어치료 상이 된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의 경우 아동의 언어치료에

비참여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이 부분인데 이는 어

머니 스스로 한국어가 부족하다는 인식 때문에 전문

가를 만나는 것에 부담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라는 의

견이었다 언어치료사는 부모의 출신국에 한 이해를

돕는 정보나 교재 프로그램을 통해 이들의 문화와 전

통 가치관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상의 결론을 토 로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바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면담 상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을 공식검사 결과만으로 평가하는 데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는 선별에서 고위험군

으로 판정된 아동에 해서는 언어장애 유무를 확인

하는 단계에서 공식검사와 비공식검사를 보완하여 사

용하거나 역동적 평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

로 보는 선행연구(Bedore amp Pefia 2008 Deponio et

al 2000)와 일치하는 견해이다 임상현장에서 단순히

공식검사결과만으로 이들이 언어장애라고 진단하지 않

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을 규준

에 포함시키거나 이들의 특성을 민감하게 반영할 수 있

는 공식검사도구의 개발도 필요하다 할 수 있겠다

둘째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우리가 다문화가정이라

고 부르는 집단은 결혼 이민자 가정 중도입국자 가정

외국인 근로자 및 유학생 가정 새터민 가정 등 이질적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0

인 하위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다 면담 상자들이 지

적했듯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결혼 이민자가정의 아동은 사실상 단일언어가정이며

이중언어 사용아동이라 할 수 없음을 기억하고 다문화

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연구를 진행할 때 하위집단에

따른 특성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에 의하면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이 자녀

의 성장에 따라 고차원적인 의사소통과 언어적 지원

이 필요하다고 느끼지만 부족한 한국어 능력으로 인하

여 심리적 위축감과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한다(고은

2006 전홍주배소영곽금주 2008) 또한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한국어 능력이 우선임을 강조

하며 자신의 출신국 언어에 해 교육하는 것을 필수

가 아닌 선택사항으로 인식하고 있고 이중언어 환경

에 해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고은 2006) 면

담 상자에 의하면 다문화센터를 중심으로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 중요성을 알리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이

중언어교실이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그렇지만 이는

다문화가정의 아동 및 일반인을 상으로 베트남어 등

외국어를 가르치는 프로그램으로 집에서 엄마의 모국

어를 사용하여 아동을 이중언어 사용자로 양육하는 것

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정책적으로나 연구를

통해 부모가 가지고 있는 이중언어 환경에 한 불안

감을 감소시키고 초기 중요한 시기에 엄마와 아동이

어느 나라 말을 사용하든지 충분한 언어자극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넷째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교육을 지원

하고자 하는 강한 열망에도 불구하고 자녀들의 학업

에 도움을 주는 실제적이고 직접적인 지원에는 한계를

느낀다고 한다(송미경 외 2008 이진숙 2007 전홍주

배소영곽금주 2008 Cooper et al 1995) 면담 상

자들의 견해로도 언어문제를 인식하거나 평가에 의뢰

하는 데 다른 전문가들 상의 홍보와 도움이 많이 필

요했다고 하였다 또한 아동의 치료과정에서도 어머니

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 가정 방문교사나 어린이

집교사의 도움에 의존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사

실은 부모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노력해야함을 의미하

기도 하지만 언어치료사들이 다문화가정 아동을 치

료하는 과정에서 다른 전문가들과의 협력이 중요함을

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다섯째 언어평가에 의뢰되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연

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면담에 참여한 언어치료사

들도 담당하고 있는 아동의 많은 수가 24에서 36개월

사이의 영유아라고 답하고 있다 영유아를 상으로

하는 언어중재는 부모를 포함한 가정-중심 중재이며

부모에 의한 언어촉진방법을 중시하고 있다(Paul

2007) 그러나 다문화가족 영유아의 어머니는 한국에

체류한 기간이 짧아 그만큼 한국어가 미숙한 실정이

다 그러므로 다문화가정 영유아 아동의 중재 시에는

이러한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엄마의 모국어로

상호작용하도록 권유하거나 어린이집에서 제공되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과제라 할

것이다

여섯째 다문화가정 부모들은 자녀의 교육에 한

부분을 교육기관에 일임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왕한석 2007 전홍주배소영곽금주 2008)

한국사회에서 문화적응과 언어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들에게는 자녀를 이른 시

기에 교육기관에 보내어 다문화 가정의 취약한 언어

환경을 극복하고 발달을 돕고자 하는 것이 이들의 최

선의 선택이자 노력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면담에

서 밝혀진 바와 같이 부모의 소극적 참여 역시 같은

맥락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부모의 이러한 특성

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에 관련 전문가들의 역할

과 공교육에서의 교육제공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

다 어린이집과 유치원 학교에서 언어치료사가 근무

하게 될 경우 언어치료 상에 다문화가정 아동을 포

함시키는 방안도 추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 언

어치료사가 전체 언어치료사의 55를 넘는 미국의

경우(김영태 2004) 학교언어치료사가 현실적으로 과

중한 치료사례를 담당하고 있는 것이 이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나타났다(Marshall Stojanovik amp Ralph

2002) 이러한 문제는 앞으로 학교에서 언어치료를 제

공하게 될 우리나라에서도 미리 고려해야 할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더구나 다문화가정 아동과 같은 위험군 아

동을 학교 언어치료사의 치료 상에 포함시킬지 여부

도 우리가 고려해야할 사항이 될 것이다 언어치료사의

역할에 lsquo장애의 예방rsquo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ASHA

2004 Paul(2007)에서 재인용) 향후 학교 언어치료사

에 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될 때에 다문화가정 아

동과 같은 위험군 상아동에 한 예방 업무가 포함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이끌 수 있도록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사회의 일원인 언어치료사의

역할 역시 변화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

해 밝혀진 바와 같이 급증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아동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61

의 언어치료 및 지도에서 언어치료사는 언어발달지도

사로 근무하거나 이들의 수퍼바이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면담 상자에 의하면 언어발달지도사들이

현재 아동이 속한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로 파견 근무

를 나가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앞으로 통합어린이집

에서 언어치료를 제공하거나 학교 언어치료사로 근무

하는 것 역시 새로운 언어치료사의 역할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언어치료사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관련 정보 습득 학령기 아동을 위한 읽기 등에 한

공부 통합된 교실에서의 언어치료 제공능력과 같은

다양한 직업 환경에 맞는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언어치료사와 연구자들이 변화해가는 역할을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한 방향을 제시하

는 데 그 임상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참 고 문 헌

고은(2006) 이중언어 사용 아동의 부모들이 갖는 모국어에

한 가치 기준과 경험적 의미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5(3) 165-184

권수진(2006) 다문화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생성이름

기 특성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교육과학기술부(2010) 다문화가정 학생현황(2010 4 출신국

포함) 출처 httpwwwmestgokr

김영란김영태이은주(2007) 이중언어아동의 어휘학습

능력 측정에 적용된 역동적 평가에 한 타당성 고찰

-1990년 이후의 문헌을 중심으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3) 59-77

김영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김영태김경희윤혜련김화수(2003) 985172영유아 언어발달

검사(SELSI)985173 서울 파라다이스 복지재단

김영태(2002) 985172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985173 서울 학지사

김화수(2009) 한국 다문화사회에서 언어치료사의 역할모형에

한 제안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85-209류현주김향희김화수신지철(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능력 및 음운변동 특성 985172음성과학985173 15(3) 133-144박상희(2006)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985172한국언어치료

학회 학술 회 발표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박상희(2009)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산출에 관한 종단적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89-97박지윤박상희석동일(2007) 학령전기 이중언어 환경 아동

의 언어학적 특성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2) 131-145배소영곽금주김근영정경희김효정(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발달지원자 설문을 통해 본 아동의 언어환경

및 언어발달 실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65-184신경림장연집김영경이금재최명민김혜영김옥현

김영혜(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포커스 그룹985173 서울

현문사

송미경지승희조은경임영선(2008)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985172한국 심리학회985173 20(2) 497-517

안성우신영주(2008) 저소득층 일반아동과 다문화 가정아동

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4) 81-94

이명선김춘미고문희(역)(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상호

작용적 접근985173 서울 군자출판사

이은주김영태(2010) 1990년 이후 이중언어 연구 동향 985172언어

치료연구985173 19(2) 73-90이수정신지철김향희김화수(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능력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3) 95-115이진숙(2007)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양육실태와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관한 연구 985172열린 유아교육 연구985173 12(6) 21-42

오성숙(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 개인변인 가정환경자극과

유아 언어능력의 관계 구 학교 학원 석사학위

논문

오소정김영태김영란(2009) 서울 및 경기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과 관련변인에 한 기초 연구 985172특수

교육985173 8(1) 137-161오성배(2005) 도시와 시골지역 사이의 학업성취도 격차연구

목포시와 인근지역의 자료분석 중앙 학교 학원 박

사학위논문

왕한석(2007) 985172또 다른 한국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언어

적응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985173 서울 교문사

양성오황보명(2009) 취학전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37-56

여성가족부(2012) 2012년 다문화가족지원사업안내 출처

httpmogefgokr

장유경이근영곽금주성현란(2003)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

이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심리

학회지 발달985173 16(4) 227-241장현진신명선전희숙김효정(2011) 어머니 국적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비유창성 특성 연구 985172언어치료

연구985173 20(1) 17-29전홍주배소영곽금주(2008) 결혼이민자 가정에서 이루어

지는 자녀교육지원의 실제와 의미 필리핀과 일본

어머니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가족과 문화985173 20(3) 161-186

정은희(2004) 농촌지역 국제결혼가정 아동의 언어발달과

언어환경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3(3) 33-52정하성유진이이장현(2007) 985172다문화청소년 이해론985173 파주

양서원

정현영(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시아 여성과 한국남성의

이중문화가정자녀를 중심으로 숭실 학교 학원 석

사학위논문

최연실(2007) 도시 국제결혼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이야기능력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2

황상심정옥란(2008) 경상도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13(2) 174-192황상심(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초기 표현어휘 발달과 성차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9(1) 193-209황상심김화수(2008) 다문화환경 조음음운장애아동과 기능

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음운변동 패턴 연구 985172특수

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985173 9(4) 329-348황상심김화수(2009) 다문화에 한 언어치료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985172제1회 한국언어치료학회한국언어청각

임상학회 공동학술 회 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황상심정옥란(2008)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발달과 관련

변인 상관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1) 81-102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3

Received January 20 2012 Final revision received February 24 2012 Accepted March 1 2012

2012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httpwwwkasa1986orkr

ABSTRACT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o Hyun ParkMyoung sim Jungsect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Korea

sect Correspondence to

Myoung sim Jung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99 Daehangno Yuseong-gu Daejeon Koreae-mail bogamihanmailnet tel +82 10 2990 5002

Background amp Objectives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been increasing for yearsin Korea increased attention has been given to childrenrsquos language development Recent researchhas revealed language problem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research specifically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these problems are due to language differences or language difficulties is lack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between children with simple language disorders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In-depth interviewing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Seve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who had been working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ll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Four primary themes and seven subthemes emerged fromthe analysis 1) speech and language evalu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2)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3)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4)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for SLPs who work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scussion amp Conclusion The results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themes defined in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in reference to otherrelated literatur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presented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Key Words multicultural families bilingual speech-language evaluation speech-language intervention language development consultant at-risk children

REFERENCES

Ahn S amp Shin Y (2008) A comparative study of multi-ultural background childrenrsquos and low-income childrenrsquos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4) 81-94

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hang H Shin M Jeon H amp Kim H (2011) A study on disfluenc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mothersrsquo nationali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20(1) 17-29

Chang Y Lee K Kwak K amp Sung H (2003) Relations of maternal linguistic inputs to lexical development of Korean infant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

chology 16(4) 227-241

Choi Y (2007) Narrative abilities of Korean children with and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64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Hwang S (2010) Early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and gender difference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9(1) 193-209

Hwang S amp Jeong O (2008)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3(2) 174-192

Hwang S amp Kim H (2009) A survey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ervice deliver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oceedings of the 1st Korean Speech- 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Collaboration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Hwang S amp Kim W (2008) A study on the phonological process patterns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problem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gricultural Area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9(4) 329-348

Jeong E (2004) A study on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environment of children from internationally married couple living in an agricultural villag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3(3) 33-52

Jeong H Yoo J amp Lee J (2007)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youth Paju Yoangseowon Press

Jun H Pae S amp Kwak K (2008) Practices and meanings of immigrant mothersrsquo support for childrenrsquos education Cases of mothers from the Philippines and Japan The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20(3) 161-186

Jung H (2007)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mixed ethnic children Focused on the marriage of Korean man with Asian woman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im W (2009) A new light on models of SLPrsquos role in a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8(4) 185-209

Kim Y (2002)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Seoul Hakji Press

Kim Y (2007) Literature review regarding validity of the dynamic assessment applied in lexical learning ability measures for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3) 59-77

Kim Y Kim K Yoon H amp Kim H (2003)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Seoul Paradise Welfare Foundation

Kim Y Seong T amp Lee Y (2003) Preschool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Ko U (2006) The criteria for value and empirical meaning of mother tongue in case of parents of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5(3) 165-184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Kwon S (2006)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in generative naming for children of multi-culture family and children of ordinary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Lee E amp Kim Y (2010) A literature review of bilingual study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2009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9(2) 73-90

Lee J (2007) A study of childcare and education fathersrsquo childcare participatio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6) 21-42

Lee M Kim C amp Ko M (2004)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Seoul Koonja Press

Lee S Shin J Kim H amp Kim W (2008) A study on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3) 95-115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Statu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vailable from httpwwwmestgok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mp Family (2012)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guidance Available from httpmogef gokr

Oh S (2005) A study of achievement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ith data from Mokpo city and adjacent to regions Unpublished doctorrsquos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Oh S (2009) The relations of childrenrsquos linguistic abilities to mothersrsquo personal variables and home environmental stimuli in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Oh S Kim Y amp Kim Y (2009) Preliminary study o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mily factor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Special Education Research 8(1) 137-161

Pae S Kwak K Kim K amp Kim H (2009) Supporting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survey of mothers and developmental sup-porter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4) 165-184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rk J Park S amp Seok D (2007) Language characteristics in pre-school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2)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5

131-145

Park S (2006) Language abilit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oceedings of the Korean Speech- L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Park S (2009) A longitudinal study of articulation production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89-97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Shin K L Jang Y Kim Y K Lee K J Choi M M Kim H Y Kim O H amp Kim Y H (2004) The method of quality study Focus group Seoul Huynmoon Press

Song M Jee S Cho E amp Lim Y (2008) A study on the parental experience of a foreign mother in a mul-ticultural famil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2) 497-517

Wang H (2007) Another Korean Seoul Kyomun Press

Yang S amp Hwang B (2009) A comparative study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culture familie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37-56

Yoo H Kim H Kim W amp Shin J (2008) Articulation ability and phonological process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Korean Journal of Speech Sciences 15(3) 133-144

The authors wish to thank Youngheon Lee(Saint

Andrewrsquos school DE) amp Ye Rin Jung(Chungnam Univ)

for their unfailing support in organizing interview

data

Page 11: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최소 1년 이상의 언어평 가 및 치료경험이 있는 자로 한다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7

하시고 lsquo가서 뭐 해주세요rsquo 해도 못 하시고 그러다

보니까 나중에는 어머니한테 말씀드리는 게 아니라

아버지를 부르게 된다거나 아니면 이 아이가 다니

는 공부방의 누군가에게 도움을 요청한다거나 그

렇게 해서 환경적으로 전체적으로 접근하게 되고

그 때는 어머니만 잡기에는 어려움이 많이 있어

요(S5 9343-352)

(부모님이 집에서 언어촉진 주는 것을) lsquo알겠다rsquo고

하고 잘 안하시는 것 같아요 우선적으로 저는 (아

동과 한 것) 다 얘기 못하거든요 그게 설명이 힘들

어요 솔직히 lsquo공부한 거 애들은 그렇게 어려운 말

필요 없고 그냥 애들이 하는 거 보고 신 엄마가

애 입장에서 얘기해주세요rsquo 이 말 자체는 (엄마에게)

어려워서 예를 들어주거든요 자동차를 보면 어떻

게 어떻게 말을 하는 걸 보여주면 lsquo아아 이렇게

이해했다rsquo고 말을 해요 그렇게 하나씩만 이야기를

하는 편이예요 lsquo오늘 집에서 이렇게만 해주세요rsquo 이

런 식으로 그럼 lsquo잘 알겠어요rsquo하긴 하는데 lsquo어려워

요rsquo 이렇게 얘기를 해요 말을 못 알아듣는 게 아니라

애한테 그렇게 하는 게 어렵다고 잘 안된다고(S6

11410-421)

바 치료에 한 조언

면담 상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에만 초점

을 두기보다는 다문화가정에 해 전반적으로 이해하

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아동과 부모와

의 관계 및 문화적인 부분도 함께 고려해야 하면 다른

발달영역 전문가들과도 협력하는 능력도 필요하다는

의견이었다 공식검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한계점이 있

다는 것을 인식하고 언어학습능력과 잠재력 등을 평

가하여 언어치료(지도)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견

해이다 부모상담 시에는 충분한 상담시간을 제공해

야 한다는 의견이었다

다문화가정 아이들 경우에는 우선은 이 아이가 정

말로 다문화냐 정말로 이 아이가 환경적으로 다문

화환경에 노출돼서 이중언어가 되고 있는지아니

면 이 아이가 뭐 중도입국한 경우도 있구요 지금은

이주노동자들도 언어발달지도사를 찾아오거든요

그럴 경우에 언어적인 자극을 엄마가 안 주거나 교

육적인 서포트를 안 해주는 게 단순히 엄마가 문제

가 있다고 보기보다는 lsquo어 이 나라(엄마의 출신국)

에서는 이런 것들이 없었고 엄마가 적응하는데 내

가 서포트하는 역할이 있어야 되는 구나rsquo해야 하거

든요 그런데 그게 없이 아이만 보게 되는 거예요 왜

냐하면 저희는 lsquo엄마랑 상호작용하는 거 봐요rsquo하고

언어치료사가 이런 것들을 하긴 하지만 계속 아이

의 상태 아이의 수준 이것만 많이 보게 되는 거예

요 그러니까 엄마가 가지고 있는 한국어 실력이라

든가 엄마의 한국어 실력이 얼마나 성장되는지 혹

은 엄마가 어느 정도의 자극을 줄 수 있는 환경에

있는지 이런 것들이라든가 엄마가 아니라도 그러

면 가족들은 얼마나 지원했는지 이런 것들을 많이

놓치세요

또 아이가 가지고 있는 많은 어려움들 특히 피부색

이 다르거나 그런 아이들 중에 간혹 생기긴 하거든

요 많이 없어졌다고 해도(중략)요즘엔 정말로

많이 줄기는 했어요 그런데 필리핀 아이나 베트남

아이 같은 경우는 생김새가 조금 다르다 보니까 애

들이 왕따 같은 것들도 많이 당하기도 하고 선생님

한테 와가지고 다 털어놓고 얘기를 잘해도 학교 가

서는 얘기를 못한다거나 그러면사실은 나만 잡고

교육을 할 수가 없는 거잖아요 심리적인 문제라든

가 여러 가지가 걸리기 때문에그런데 lsquo어 얘가 밖

에서 언어를 못 쓰면 내가 계속 지원해주면 되겠지rsquo

라고 가는 경우도 있긴 하거든요 그러니까 그게 언

어치료사가 아동만 보다보니까 lsquo지금 내가 언어부

분만 봐야지rsquo로 가는데 사실 아이를 전반적으로 보

면 뭐 가족도 봐야 되고 문화적인 것도 봐야 되고

또 다른 발달영역에서 같이 좀 코웍할 수 있는 게

뭐가 있는지도 좀 자세히 살펴보기는 해야 될 거

같아요(S5 13503-14534)

4 향후 과제

가 향후 연구과제

다문화가정 아이들의 특성을 잘 반영해주기 위한

검사도구가 새로 개발되어야 한다는 의견과 앞으로 한

국어가 제2외국어가 되는 경우에 해서도 준비가 필

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연구방향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 같

아요 옛날에는 그냥 단순히 비교해 가지고 lsquo낮다rsquo

이렇게만 했었는데 요즘에는 소득도 약간 통제해

보고 중산층이랑 저소득층이랑 다문화랑 이렇게 비

교하잖아요 조금 특성을 더 접근해 갈려고 하는 것

같아요(S1 11522-524)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8

저는우선은 (특성연구에서) 공식검사 사용은 어

쩔 수가 없는 것 같기는 해요 공식검사에서 이제

우선은 (언어평가 결과가) 나와야 일단은 언어문제

가 있다고 판단은 하니까 그런데 특성을 보려면

공식검사만으로 lsquo어휘가 어때요 문법이 어때요 발

음이 어때요rsquo하는 것보다 조금은 환경적인 것들을

다 통합해서 아이가 실제 쓰고 있는 언어라던가

이런 것들을 자세히 살펴볼 필요는 있을 것 같아요

그런데 연구에서는 사실은 되게 어렵잖아요 자발

화를 여러 개를 떠온다거나 뭐 엄마하고 상호작용

을 관찰한다거나 그런 게 굉장히 어렵기는 하지만

그게 이제는 공식검사만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조금 부모를 포함해서 혹은 설문을 통해서라도 환

경하고 언어를 같이 보는 게 이제는 많이 시작은

되어야 할 것 같아요(S5 271103-1111)

나 엄마의 모국어 습득의 중요성

다문화가정 아동이 한국어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모

국어도 사용하는 것을 국가적으로 장려하고 있다고 한

다 그리고 다문화가정 아동이 학령기가 되었을 때 제

2외국어나 장래직업과 관련지어서 혹은 단순히 어머

니의 모국어를 배우고 싶어 하는 경우가 있다는 보고

가 있었다

제가 만나봤던 거의 90퍼센트 정도는 주 언어가 한

국어였고 그리고 물어보면 나중에 커서 가르쳐 주

겠다 하는 아동이 많았어요 진짜 이중언어를 배우

는 건 솔직히 좀 좋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진짜

이거 이중언어 이런 거를 필수적으로 방문 서비스

에서도 이렇게 엄마말 가르쳐 주는 서비스를 만들어

가지고 다시 또 이렇게 할 수 있게끔 같이하는 것도

필요한 것 같아요 어렸을 때부터 그걸 제가 가르쳐

줄 순 없으니까(S6 17654-665)

올해부터 장려해서 정확한 제목은 기억이 안 나는

데 영재 영재교실이라고 해서 엄마의 모국어를 가

르치는 교실도 함께 다니는 친구들도 많아요 요즘

에는 올해부터는 우리친구들을 다문화친구들을 글

로벌인재로 양성하려는 게 국가적으로 목표가 됐

죠 그래서 한국말도 가르치지만 엄마의 모국어도

한국말처럼 잘해라 엄마의 모국어도 못하는 애들

도 있거든 그래서 두 가지 언어를 잘하게 될 거 아

니에요 정말 훌륭한 인재가 될 수 있잖아요 그거

를 올해부터는 많이 강조하고 있더라구요 영재겠

지 언어영재교실이라는 이름으로 엄마의 나라 말

도 배우고 또 언어발달지도 선생님한테 한국말도 배

우고(S3 262-69)

다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

면담 상자들은 어머니가 아동의 교육에 참여하고

직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모교육프로그램이 필

요하다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영유아 아동을 위한 언

어발달지도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보고가 있었다

영유아아이들을 언어발달 지도할 때는 좀 더 다를

수 있어서 그런 영유아아이들을 상으로 하는 언

어발달지도프로그램 그런 것도아까 말했던 lsquo엄마

들을 어떻게 언어치료에 좀 더 참여시킬 것인가rsquo 이

런 문제들 그리고 매뉴얼들을 많이 개발하시려고

하는 것 같아요(S3 9307-311)

라 언어치료사의 새로운 역할

모든 면담참여자는 궁극적으로 언어에 문제가 있는

아동을 중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언어치료전공자가 다

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로 일하는 것이 필요하

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지만 현재에는 언어

치료를 전공하지 않은 언어발달지도사들도 많기 때문

에 이들과의 연계 필요성도 언급되었다 그밖에 언어

발달지도사의 감독자나 유치원 및 학교현장에서 치료

를 제공하는 학교언어치료사가 언어치료사의 새로운

역할이 될 것이라는 견해도 있었다 또한 언어치료전

공자가 언어발달지도사로 일한 경력도 언어치료사 경

력으로 인정될 필요성이 언급되었다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이 다 언어치료사는 아니

잖아요 만약에 언어치료사가 아닌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이 있다고 치면 그런 분들과 연계해서 해

야 될 부분이 많을 것 같구요(S1 13628-631)

(아동이 언어지체를 보이는) 그런 경우에는 치료를

해줘야 된다고 생각을 해요 현재는 그런 예가 적지

만 다문화 가정 아동의 엄마가 잘 못해주는 경우가

있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그냥 놔두는 것 보다 그

위험부담을 감수할 필요는 없는 것 같아요(S1

9413-316)

무료교육이 되다보니깐 우리 친구들이 100 어린

이집을 다니잖아요 그러다보니깐 엄마들이 그 유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9

치원에서 다 해결을 해보고 싶으신 거에요 자기가

데리고 오려면 교통비도 들잖아요 여유 있지 않다

보니깐그래서 유치원에 일단 들어가잖아요 그러

면 센터로 안와요(S3 7241-244)

Ⅳ 논의 및 결론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평가 및 언어치료(지도)에

해 숙련된 언어치료사를 상으로 실시한 면담 결

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에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언어평가를 받

기 위해 자발적으로 센터를 방문하는 경우는 많지 않

았으나 타전문가들에 한 홍보활동과 다문화가족지

원센터를 이용하는 어머니들이 많아지면서 다문화가

정 아동의 언어평가를 의뢰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

고 있다 면담 상자들은 기존의 공식검사 결과만으로

나타난 언어발달지체가 언어장애여부 판별에 사용되

는 것에 한계가 있음을 강조하였으며 공식검사 외에

비공식검사나 역동적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어평가 및 언어치료(지도)를 받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그 이유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비가 무료화되면서 24개월 미

만의 영유아가 센터로 방문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

기 때문이다 다수의 어머니들은 아동과 의사소통을

할 때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영유아의 경우는

엄마의 한국어 공부기간이 짧기 때문에 그만큼 더 부

족한 언어자극을 받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다문화

가정은 사회경제적 여건이 어려운 가정이 많기 때문

에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이 낮은 사회경제적 위

치에 있는 가정의 아동 언어특성과 유사한 면이 많다

는 의견이다 특히 어휘부분에서 크게 떨어지는 것으

로 평가되고 있지만 그 외에도 문법 면에서의 잦은

오류 사회적 의사소통이나 담화 및 읽기 등에서도 문

제를 보이고 있었다 언어 이외에 정서적 문제를 동반

하는 경우도 이들의 언어지도 및 학습에 영향을 미치

고 있었다

셋째 언어평가 후 언어치료가 필요한 아동의 경우

언어치료센터로 의뢰되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지

역적 특성상 언어치료센터를 찾아보기 힘든 경우도 있

지만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와 가족들이 언어치료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 않는 경우도 많다는 의견이

었다 따라서 언어치료가 필요한 언어장애아동의 경

우 언어발달지도사가 지도해야하는 경우가 많았다 언

어지도는 다문화센터 뿐 아니라 다문화가정 아동이 다

니고 있는 어린이집으로 파견 나가서 하고 있는 경우

도 많았다 환경적 요인에 의한 언어발달지체일 경우

에는 언어촉진을 주었을 때 아동의 언어능력이 크게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휘능력이 크

게 향상 되는 반면 문법오류와 담화 읽기 인지적 부

분의 어려움은 지속적으로 남아있기도 하였다

언어발달지도사는 치료사가 아니기 때문에 개발되

어 있는 교재를 활용하여 아동의 언어촉진을 목적으

로 언어지도를 수행하고 있으나 언어치료를 전공한

언어발달지도사의 경우는 일반 언어장애아동을 상

으로 한 언어치료목표나 방법을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적용하고 있었다 다만 방법 면에서 다문화가정 아동

과 비슷한 상황의 주인공을 다룬 이야기를 사용하거

나 어머니의 출신국에 관한 내용을 고려한 교재를 사

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언어치료 상이 된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의 경우 아동의 언어치료에

비참여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이 부분인데 이는 어

머니 스스로 한국어가 부족하다는 인식 때문에 전문

가를 만나는 것에 부담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라는 의

견이었다 언어치료사는 부모의 출신국에 한 이해를

돕는 정보나 교재 프로그램을 통해 이들의 문화와 전

통 가치관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상의 결론을 토 로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바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면담 상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을 공식검사 결과만으로 평가하는 데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는 선별에서 고위험군

으로 판정된 아동에 해서는 언어장애 유무를 확인

하는 단계에서 공식검사와 비공식검사를 보완하여 사

용하거나 역동적 평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

로 보는 선행연구(Bedore amp Pefia 2008 Deponio et

al 2000)와 일치하는 견해이다 임상현장에서 단순히

공식검사결과만으로 이들이 언어장애라고 진단하지 않

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을 규준

에 포함시키거나 이들의 특성을 민감하게 반영할 수 있

는 공식검사도구의 개발도 필요하다 할 수 있겠다

둘째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우리가 다문화가정이라

고 부르는 집단은 결혼 이민자 가정 중도입국자 가정

외국인 근로자 및 유학생 가정 새터민 가정 등 이질적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0

인 하위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다 면담 상자들이 지

적했듯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결혼 이민자가정의 아동은 사실상 단일언어가정이며

이중언어 사용아동이라 할 수 없음을 기억하고 다문화

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연구를 진행할 때 하위집단에

따른 특성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에 의하면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이 자녀

의 성장에 따라 고차원적인 의사소통과 언어적 지원

이 필요하다고 느끼지만 부족한 한국어 능력으로 인하

여 심리적 위축감과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한다(고은

2006 전홍주배소영곽금주 2008) 또한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한국어 능력이 우선임을 강조

하며 자신의 출신국 언어에 해 교육하는 것을 필수

가 아닌 선택사항으로 인식하고 있고 이중언어 환경

에 해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고은 2006) 면

담 상자에 의하면 다문화센터를 중심으로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 중요성을 알리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이

중언어교실이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그렇지만 이는

다문화가정의 아동 및 일반인을 상으로 베트남어 등

외국어를 가르치는 프로그램으로 집에서 엄마의 모국

어를 사용하여 아동을 이중언어 사용자로 양육하는 것

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정책적으로나 연구를

통해 부모가 가지고 있는 이중언어 환경에 한 불안

감을 감소시키고 초기 중요한 시기에 엄마와 아동이

어느 나라 말을 사용하든지 충분한 언어자극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넷째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교육을 지원

하고자 하는 강한 열망에도 불구하고 자녀들의 학업

에 도움을 주는 실제적이고 직접적인 지원에는 한계를

느낀다고 한다(송미경 외 2008 이진숙 2007 전홍주

배소영곽금주 2008 Cooper et al 1995) 면담 상

자들의 견해로도 언어문제를 인식하거나 평가에 의뢰

하는 데 다른 전문가들 상의 홍보와 도움이 많이 필

요했다고 하였다 또한 아동의 치료과정에서도 어머니

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 가정 방문교사나 어린이

집교사의 도움에 의존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사

실은 부모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노력해야함을 의미하

기도 하지만 언어치료사들이 다문화가정 아동을 치

료하는 과정에서 다른 전문가들과의 협력이 중요함을

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다섯째 언어평가에 의뢰되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연

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면담에 참여한 언어치료사

들도 담당하고 있는 아동의 많은 수가 24에서 36개월

사이의 영유아라고 답하고 있다 영유아를 상으로

하는 언어중재는 부모를 포함한 가정-중심 중재이며

부모에 의한 언어촉진방법을 중시하고 있다(Paul

2007) 그러나 다문화가족 영유아의 어머니는 한국에

체류한 기간이 짧아 그만큼 한국어가 미숙한 실정이

다 그러므로 다문화가정 영유아 아동의 중재 시에는

이러한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엄마의 모국어로

상호작용하도록 권유하거나 어린이집에서 제공되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과제라 할

것이다

여섯째 다문화가정 부모들은 자녀의 교육에 한

부분을 교육기관에 일임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왕한석 2007 전홍주배소영곽금주 2008)

한국사회에서 문화적응과 언어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들에게는 자녀를 이른 시

기에 교육기관에 보내어 다문화 가정의 취약한 언어

환경을 극복하고 발달을 돕고자 하는 것이 이들의 최

선의 선택이자 노력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면담에

서 밝혀진 바와 같이 부모의 소극적 참여 역시 같은

맥락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부모의 이러한 특성

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에 관련 전문가들의 역할

과 공교육에서의 교육제공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

다 어린이집과 유치원 학교에서 언어치료사가 근무

하게 될 경우 언어치료 상에 다문화가정 아동을 포

함시키는 방안도 추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 언

어치료사가 전체 언어치료사의 55를 넘는 미국의

경우(김영태 2004) 학교언어치료사가 현실적으로 과

중한 치료사례를 담당하고 있는 것이 이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나타났다(Marshall Stojanovik amp Ralph

2002) 이러한 문제는 앞으로 학교에서 언어치료를 제

공하게 될 우리나라에서도 미리 고려해야 할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더구나 다문화가정 아동과 같은 위험군 아

동을 학교 언어치료사의 치료 상에 포함시킬지 여부

도 우리가 고려해야할 사항이 될 것이다 언어치료사의

역할에 lsquo장애의 예방rsquo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ASHA

2004 Paul(2007)에서 재인용) 향후 학교 언어치료사

에 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될 때에 다문화가정 아

동과 같은 위험군 상아동에 한 예방 업무가 포함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이끌 수 있도록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사회의 일원인 언어치료사의

역할 역시 변화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

해 밝혀진 바와 같이 급증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아동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61

의 언어치료 및 지도에서 언어치료사는 언어발달지도

사로 근무하거나 이들의 수퍼바이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면담 상자에 의하면 언어발달지도사들이

현재 아동이 속한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로 파견 근무

를 나가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앞으로 통합어린이집

에서 언어치료를 제공하거나 학교 언어치료사로 근무

하는 것 역시 새로운 언어치료사의 역할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언어치료사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관련 정보 습득 학령기 아동을 위한 읽기 등에 한

공부 통합된 교실에서의 언어치료 제공능력과 같은

다양한 직업 환경에 맞는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언어치료사와 연구자들이 변화해가는 역할을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한 방향을 제시하

는 데 그 임상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참 고 문 헌

고은(2006) 이중언어 사용 아동의 부모들이 갖는 모국어에

한 가치 기준과 경험적 의미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5(3) 165-184

권수진(2006) 다문화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생성이름

기 특성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교육과학기술부(2010) 다문화가정 학생현황(2010 4 출신국

포함) 출처 httpwwwmestgokr

김영란김영태이은주(2007) 이중언어아동의 어휘학습

능력 측정에 적용된 역동적 평가에 한 타당성 고찰

-1990년 이후의 문헌을 중심으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3) 59-77

김영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김영태김경희윤혜련김화수(2003) 985172영유아 언어발달

검사(SELSI)985173 서울 파라다이스 복지재단

김영태(2002) 985172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985173 서울 학지사

김화수(2009) 한국 다문화사회에서 언어치료사의 역할모형에

한 제안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85-209류현주김향희김화수신지철(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능력 및 음운변동 특성 985172음성과학985173 15(3) 133-144박상희(2006)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985172한국언어치료

학회 학술 회 발표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박상희(2009)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산출에 관한 종단적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89-97박지윤박상희석동일(2007) 학령전기 이중언어 환경 아동

의 언어학적 특성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2) 131-145배소영곽금주김근영정경희김효정(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발달지원자 설문을 통해 본 아동의 언어환경

및 언어발달 실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65-184신경림장연집김영경이금재최명민김혜영김옥현

김영혜(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포커스 그룹985173 서울

현문사

송미경지승희조은경임영선(2008)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985172한국 심리학회985173 20(2) 497-517

안성우신영주(2008) 저소득층 일반아동과 다문화 가정아동

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4) 81-94

이명선김춘미고문희(역)(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상호

작용적 접근985173 서울 군자출판사

이은주김영태(2010) 1990년 이후 이중언어 연구 동향 985172언어

치료연구985173 19(2) 73-90이수정신지철김향희김화수(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능력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3) 95-115이진숙(2007)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양육실태와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관한 연구 985172열린 유아교육 연구985173 12(6) 21-42

오성숙(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 개인변인 가정환경자극과

유아 언어능력의 관계 구 학교 학원 석사학위

논문

오소정김영태김영란(2009) 서울 및 경기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과 관련변인에 한 기초 연구 985172특수

교육985173 8(1) 137-161오성배(2005) 도시와 시골지역 사이의 학업성취도 격차연구

목포시와 인근지역의 자료분석 중앙 학교 학원 박

사학위논문

왕한석(2007) 985172또 다른 한국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언어

적응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985173 서울 교문사

양성오황보명(2009) 취학전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37-56

여성가족부(2012) 2012년 다문화가족지원사업안내 출처

httpmogefgokr

장유경이근영곽금주성현란(2003)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

이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심리

학회지 발달985173 16(4) 227-241장현진신명선전희숙김효정(2011) 어머니 국적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비유창성 특성 연구 985172언어치료

연구985173 20(1) 17-29전홍주배소영곽금주(2008) 결혼이민자 가정에서 이루어

지는 자녀교육지원의 실제와 의미 필리핀과 일본

어머니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가족과 문화985173 20(3) 161-186

정은희(2004) 농촌지역 국제결혼가정 아동의 언어발달과

언어환경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3(3) 33-52정하성유진이이장현(2007) 985172다문화청소년 이해론985173 파주

양서원

정현영(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시아 여성과 한국남성의

이중문화가정자녀를 중심으로 숭실 학교 학원 석

사학위논문

최연실(2007) 도시 국제결혼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이야기능력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2

황상심정옥란(2008) 경상도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13(2) 174-192황상심(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초기 표현어휘 발달과 성차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9(1) 193-209황상심김화수(2008) 다문화환경 조음음운장애아동과 기능

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음운변동 패턴 연구 985172특수

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985173 9(4) 329-348황상심김화수(2009) 다문화에 한 언어치료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985172제1회 한국언어치료학회한국언어청각

임상학회 공동학술 회 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황상심정옥란(2008)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발달과 관련

변인 상관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1) 81-102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3

Received January 20 2012 Final revision received February 24 2012 Accepted March 1 2012

2012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httpwwwkasa1986orkr

ABSTRACT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o Hyun ParkMyoung sim Jungsect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Korea

sect Correspondence to

Myoung sim Jung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99 Daehangno Yuseong-gu Daejeon Koreae-mail bogamihanmailnet tel +82 10 2990 5002

Background amp Objectives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been increasing for yearsin Korea increased attention has been given to childrenrsquos language development Recent researchhas revealed language problem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research specifically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these problems are due to language differences or language difficulties is lack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between children with simple language disorders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In-depth interviewing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Seve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who had been working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ll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Four primary themes and seven subthemes emerged fromthe analysis 1) speech and language evalu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2)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3)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4)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for SLPs who work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scussion amp Conclusion The results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themes defined in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in reference to otherrelated literatur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presented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Key Words multicultural families bilingual speech-language evaluation speech-language intervention language development consultant at-risk children

REFERENCES

Ahn S amp Shin Y (2008) A comparative study of multi-ultural background childrenrsquos and low-income childrenrsquos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4) 81-94

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hang H Shin M Jeon H amp Kim H (2011) A study on disfluenc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mothersrsquo nationali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20(1) 17-29

Chang Y Lee K Kwak K amp Sung H (2003) Relations of maternal linguistic inputs to lexical development of Korean infant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

chology 16(4) 227-241

Choi Y (2007) Narrative abilities of Korean children with and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64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Hwang S (2010) Early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and gender difference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9(1) 193-209

Hwang S amp Jeong O (2008)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3(2) 174-192

Hwang S amp Kim H (2009) A survey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ervice deliver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oceedings of the 1st Korean Speech- 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Collaboration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Hwang S amp Kim W (2008) A study on the phonological process patterns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problem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gricultural Area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9(4) 329-348

Jeong E (2004) A study on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environment of children from internationally married couple living in an agricultural villag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3(3) 33-52

Jeong H Yoo J amp Lee J (2007)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youth Paju Yoangseowon Press

Jun H Pae S amp Kwak K (2008) Practices and meanings of immigrant mothersrsquo support for childrenrsquos education Cases of mothers from the Philippines and Japan The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20(3) 161-186

Jung H (2007)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mixed ethnic children Focused on the marriage of Korean man with Asian woman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im W (2009) A new light on models of SLPrsquos role in a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8(4) 185-209

Kim Y (2002)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Seoul Hakji Press

Kim Y (2007) Literature review regarding validity of the dynamic assessment applied in lexical learning ability measures for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3) 59-77

Kim Y Kim K Yoon H amp Kim H (2003)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Seoul Paradise Welfare Foundation

Kim Y Seong T amp Lee Y (2003) Preschool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Ko U (2006) The criteria for value and empirical meaning of mother tongue in case of parents of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5(3) 165-184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Kwon S (2006)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in generative naming for children of multi-culture family and children of ordinary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Lee E amp Kim Y (2010) A literature review of bilingual study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2009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9(2) 73-90

Lee J (2007) A study of childcare and education fathersrsquo childcare participatio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6) 21-42

Lee M Kim C amp Ko M (2004)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Seoul Koonja Press

Lee S Shin J Kim H amp Kim W (2008) A study on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3) 95-115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Statu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vailable from httpwwwmestgok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mp Family (2012)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guidance Available from httpmogef gokr

Oh S (2005) A study of achievement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ith data from Mokpo city and adjacent to regions Unpublished doctorrsquos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Oh S (2009) The relations of childrenrsquos linguistic abilities to mothersrsquo personal variables and home environmental stimuli in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Oh S Kim Y amp Kim Y (2009) Preliminary study o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mily factor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Special Education Research 8(1) 137-161

Pae S Kwak K Kim K amp Kim H (2009) Supporting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survey of mothers and developmental sup-porter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4) 165-184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rk J Park S amp Seok D (2007) Language characteristics in pre-school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2)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5

131-145

Park S (2006) Language abilit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oceedings of the Korean Speech- L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Park S (2009) A longitudinal study of articulation production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89-97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Shin K L Jang Y Kim Y K Lee K J Choi M M Kim H Y Kim O H amp Kim Y H (2004) The method of quality study Focus group Seoul Huynmoon Press

Song M Jee S Cho E amp Lim Y (2008) A study on the parental experience of a foreign mother in a mul-ticultural famil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2) 497-517

Wang H (2007) Another Korean Seoul Kyomun Press

Yang S amp Hwang B (2009) A comparative study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culture familie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37-56

Yoo H Kim H Kim W amp Shin J (2008) Articulation ability and phonological process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Korean Journal of Speech Sciences 15(3) 133-144

The authors wish to thank Youngheon Lee(Saint

Andrewrsquos school DE) amp Ye Rin Jung(Chungnam Univ)

for their unfailing support in organizing interview

data

Page 12: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최소 1년 이상의 언어평 가 및 치료경험이 있는 자로 한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58

저는우선은 (특성연구에서) 공식검사 사용은 어

쩔 수가 없는 것 같기는 해요 공식검사에서 이제

우선은 (언어평가 결과가) 나와야 일단은 언어문제

가 있다고 판단은 하니까 그런데 특성을 보려면

공식검사만으로 lsquo어휘가 어때요 문법이 어때요 발

음이 어때요rsquo하는 것보다 조금은 환경적인 것들을

다 통합해서 아이가 실제 쓰고 있는 언어라던가

이런 것들을 자세히 살펴볼 필요는 있을 것 같아요

그런데 연구에서는 사실은 되게 어렵잖아요 자발

화를 여러 개를 떠온다거나 뭐 엄마하고 상호작용

을 관찰한다거나 그런 게 굉장히 어렵기는 하지만

그게 이제는 공식검사만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조금 부모를 포함해서 혹은 설문을 통해서라도 환

경하고 언어를 같이 보는 게 이제는 많이 시작은

되어야 할 것 같아요(S5 271103-1111)

나 엄마의 모국어 습득의 중요성

다문화가정 아동이 한국어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모

국어도 사용하는 것을 국가적으로 장려하고 있다고 한

다 그리고 다문화가정 아동이 학령기가 되었을 때 제

2외국어나 장래직업과 관련지어서 혹은 단순히 어머

니의 모국어를 배우고 싶어 하는 경우가 있다는 보고

가 있었다

제가 만나봤던 거의 90퍼센트 정도는 주 언어가 한

국어였고 그리고 물어보면 나중에 커서 가르쳐 주

겠다 하는 아동이 많았어요 진짜 이중언어를 배우

는 건 솔직히 좀 좋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진짜

이거 이중언어 이런 거를 필수적으로 방문 서비스

에서도 이렇게 엄마말 가르쳐 주는 서비스를 만들어

가지고 다시 또 이렇게 할 수 있게끔 같이하는 것도

필요한 것 같아요 어렸을 때부터 그걸 제가 가르쳐

줄 순 없으니까(S6 17654-665)

올해부터 장려해서 정확한 제목은 기억이 안 나는

데 영재 영재교실이라고 해서 엄마의 모국어를 가

르치는 교실도 함께 다니는 친구들도 많아요 요즘

에는 올해부터는 우리친구들을 다문화친구들을 글

로벌인재로 양성하려는 게 국가적으로 목표가 됐

죠 그래서 한국말도 가르치지만 엄마의 모국어도

한국말처럼 잘해라 엄마의 모국어도 못하는 애들

도 있거든 그래서 두 가지 언어를 잘하게 될 거 아

니에요 정말 훌륭한 인재가 될 수 있잖아요 그거

를 올해부터는 많이 강조하고 있더라구요 영재겠

지 언어영재교실이라는 이름으로 엄마의 나라 말

도 배우고 또 언어발달지도 선생님한테 한국말도 배

우고(S3 262-69)

다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

면담 상자들은 어머니가 아동의 교육에 참여하고

직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모교육프로그램이 필

요하다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영유아 아동을 위한 언

어발달지도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보고가 있었다

영유아아이들을 언어발달 지도할 때는 좀 더 다를

수 있어서 그런 영유아아이들을 상으로 하는 언

어발달지도프로그램 그런 것도아까 말했던 lsquo엄마

들을 어떻게 언어치료에 좀 더 참여시킬 것인가rsquo 이

런 문제들 그리고 매뉴얼들을 많이 개발하시려고

하는 것 같아요(S3 9307-311)

라 언어치료사의 새로운 역할

모든 면담참여자는 궁극적으로 언어에 문제가 있는

아동을 중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언어치료전공자가 다

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도사로 일하는 것이 필요하

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지만 현재에는 언어

치료를 전공하지 않은 언어발달지도사들도 많기 때문

에 이들과의 연계 필요성도 언급되었다 그밖에 언어

발달지도사의 감독자나 유치원 및 학교현장에서 치료

를 제공하는 학교언어치료사가 언어치료사의 새로운

역할이 될 것이라는 견해도 있었다 또한 언어치료전

공자가 언어발달지도사로 일한 경력도 언어치료사 경

력으로 인정될 필요성이 언급되었다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이 다 언어치료사는 아니

잖아요 만약에 언어치료사가 아닌 언어발달지도사

선생님들이 있다고 치면 그런 분들과 연계해서 해

야 될 부분이 많을 것 같구요(S1 13628-631)

(아동이 언어지체를 보이는) 그런 경우에는 치료를

해줘야 된다고 생각을 해요 현재는 그런 예가 적지

만 다문화 가정 아동의 엄마가 잘 못해주는 경우가

있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그냥 놔두는 것 보다 그

위험부담을 감수할 필요는 없는 것 같아요(S1

9413-316)

무료교육이 되다보니깐 우리 친구들이 100 어린

이집을 다니잖아요 그러다보니깐 엄마들이 그 유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9

치원에서 다 해결을 해보고 싶으신 거에요 자기가

데리고 오려면 교통비도 들잖아요 여유 있지 않다

보니깐그래서 유치원에 일단 들어가잖아요 그러

면 센터로 안와요(S3 7241-244)

Ⅳ 논의 및 결론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평가 및 언어치료(지도)에

해 숙련된 언어치료사를 상으로 실시한 면담 결

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에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언어평가를 받

기 위해 자발적으로 센터를 방문하는 경우는 많지 않

았으나 타전문가들에 한 홍보활동과 다문화가족지

원센터를 이용하는 어머니들이 많아지면서 다문화가

정 아동의 언어평가를 의뢰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

고 있다 면담 상자들은 기존의 공식검사 결과만으로

나타난 언어발달지체가 언어장애여부 판별에 사용되

는 것에 한계가 있음을 강조하였으며 공식검사 외에

비공식검사나 역동적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어평가 및 언어치료(지도)를 받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그 이유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비가 무료화되면서 24개월 미

만의 영유아가 센터로 방문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

기 때문이다 다수의 어머니들은 아동과 의사소통을

할 때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영유아의 경우는

엄마의 한국어 공부기간이 짧기 때문에 그만큼 더 부

족한 언어자극을 받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다문화

가정은 사회경제적 여건이 어려운 가정이 많기 때문

에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이 낮은 사회경제적 위

치에 있는 가정의 아동 언어특성과 유사한 면이 많다

는 의견이다 특히 어휘부분에서 크게 떨어지는 것으

로 평가되고 있지만 그 외에도 문법 면에서의 잦은

오류 사회적 의사소통이나 담화 및 읽기 등에서도 문

제를 보이고 있었다 언어 이외에 정서적 문제를 동반

하는 경우도 이들의 언어지도 및 학습에 영향을 미치

고 있었다

셋째 언어평가 후 언어치료가 필요한 아동의 경우

언어치료센터로 의뢰되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지

역적 특성상 언어치료센터를 찾아보기 힘든 경우도 있

지만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와 가족들이 언어치료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 않는 경우도 많다는 의견이

었다 따라서 언어치료가 필요한 언어장애아동의 경

우 언어발달지도사가 지도해야하는 경우가 많았다 언

어지도는 다문화센터 뿐 아니라 다문화가정 아동이 다

니고 있는 어린이집으로 파견 나가서 하고 있는 경우

도 많았다 환경적 요인에 의한 언어발달지체일 경우

에는 언어촉진을 주었을 때 아동의 언어능력이 크게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휘능력이 크

게 향상 되는 반면 문법오류와 담화 읽기 인지적 부

분의 어려움은 지속적으로 남아있기도 하였다

언어발달지도사는 치료사가 아니기 때문에 개발되

어 있는 교재를 활용하여 아동의 언어촉진을 목적으

로 언어지도를 수행하고 있으나 언어치료를 전공한

언어발달지도사의 경우는 일반 언어장애아동을 상

으로 한 언어치료목표나 방법을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적용하고 있었다 다만 방법 면에서 다문화가정 아동

과 비슷한 상황의 주인공을 다룬 이야기를 사용하거

나 어머니의 출신국에 관한 내용을 고려한 교재를 사

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언어치료 상이 된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의 경우 아동의 언어치료에

비참여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이 부분인데 이는 어

머니 스스로 한국어가 부족하다는 인식 때문에 전문

가를 만나는 것에 부담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라는 의

견이었다 언어치료사는 부모의 출신국에 한 이해를

돕는 정보나 교재 프로그램을 통해 이들의 문화와 전

통 가치관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상의 결론을 토 로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바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면담 상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을 공식검사 결과만으로 평가하는 데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는 선별에서 고위험군

으로 판정된 아동에 해서는 언어장애 유무를 확인

하는 단계에서 공식검사와 비공식검사를 보완하여 사

용하거나 역동적 평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

로 보는 선행연구(Bedore amp Pefia 2008 Deponio et

al 2000)와 일치하는 견해이다 임상현장에서 단순히

공식검사결과만으로 이들이 언어장애라고 진단하지 않

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을 규준

에 포함시키거나 이들의 특성을 민감하게 반영할 수 있

는 공식검사도구의 개발도 필요하다 할 수 있겠다

둘째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우리가 다문화가정이라

고 부르는 집단은 결혼 이민자 가정 중도입국자 가정

외국인 근로자 및 유학생 가정 새터민 가정 등 이질적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0

인 하위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다 면담 상자들이 지

적했듯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결혼 이민자가정의 아동은 사실상 단일언어가정이며

이중언어 사용아동이라 할 수 없음을 기억하고 다문화

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연구를 진행할 때 하위집단에

따른 특성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에 의하면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이 자녀

의 성장에 따라 고차원적인 의사소통과 언어적 지원

이 필요하다고 느끼지만 부족한 한국어 능력으로 인하

여 심리적 위축감과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한다(고은

2006 전홍주배소영곽금주 2008) 또한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한국어 능력이 우선임을 강조

하며 자신의 출신국 언어에 해 교육하는 것을 필수

가 아닌 선택사항으로 인식하고 있고 이중언어 환경

에 해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고은 2006) 면

담 상자에 의하면 다문화센터를 중심으로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 중요성을 알리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이

중언어교실이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그렇지만 이는

다문화가정의 아동 및 일반인을 상으로 베트남어 등

외국어를 가르치는 프로그램으로 집에서 엄마의 모국

어를 사용하여 아동을 이중언어 사용자로 양육하는 것

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정책적으로나 연구를

통해 부모가 가지고 있는 이중언어 환경에 한 불안

감을 감소시키고 초기 중요한 시기에 엄마와 아동이

어느 나라 말을 사용하든지 충분한 언어자극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넷째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교육을 지원

하고자 하는 강한 열망에도 불구하고 자녀들의 학업

에 도움을 주는 실제적이고 직접적인 지원에는 한계를

느낀다고 한다(송미경 외 2008 이진숙 2007 전홍주

배소영곽금주 2008 Cooper et al 1995) 면담 상

자들의 견해로도 언어문제를 인식하거나 평가에 의뢰

하는 데 다른 전문가들 상의 홍보와 도움이 많이 필

요했다고 하였다 또한 아동의 치료과정에서도 어머니

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 가정 방문교사나 어린이

집교사의 도움에 의존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사

실은 부모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노력해야함을 의미하

기도 하지만 언어치료사들이 다문화가정 아동을 치

료하는 과정에서 다른 전문가들과의 협력이 중요함을

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다섯째 언어평가에 의뢰되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연

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면담에 참여한 언어치료사

들도 담당하고 있는 아동의 많은 수가 24에서 36개월

사이의 영유아라고 답하고 있다 영유아를 상으로

하는 언어중재는 부모를 포함한 가정-중심 중재이며

부모에 의한 언어촉진방법을 중시하고 있다(Paul

2007) 그러나 다문화가족 영유아의 어머니는 한국에

체류한 기간이 짧아 그만큼 한국어가 미숙한 실정이

다 그러므로 다문화가정 영유아 아동의 중재 시에는

이러한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엄마의 모국어로

상호작용하도록 권유하거나 어린이집에서 제공되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과제라 할

것이다

여섯째 다문화가정 부모들은 자녀의 교육에 한

부분을 교육기관에 일임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왕한석 2007 전홍주배소영곽금주 2008)

한국사회에서 문화적응과 언어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들에게는 자녀를 이른 시

기에 교육기관에 보내어 다문화 가정의 취약한 언어

환경을 극복하고 발달을 돕고자 하는 것이 이들의 최

선의 선택이자 노력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면담에

서 밝혀진 바와 같이 부모의 소극적 참여 역시 같은

맥락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부모의 이러한 특성

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에 관련 전문가들의 역할

과 공교육에서의 교육제공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

다 어린이집과 유치원 학교에서 언어치료사가 근무

하게 될 경우 언어치료 상에 다문화가정 아동을 포

함시키는 방안도 추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 언

어치료사가 전체 언어치료사의 55를 넘는 미국의

경우(김영태 2004) 학교언어치료사가 현실적으로 과

중한 치료사례를 담당하고 있는 것이 이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나타났다(Marshall Stojanovik amp Ralph

2002) 이러한 문제는 앞으로 학교에서 언어치료를 제

공하게 될 우리나라에서도 미리 고려해야 할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더구나 다문화가정 아동과 같은 위험군 아

동을 학교 언어치료사의 치료 상에 포함시킬지 여부

도 우리가 고려해야할 사항이 될 것이다 언어치료사의

역할에 lsquo장애의 예방rsquo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ASHA

2004 Paul(2007)에서 재인용) 향후 학교 언어치료사

에 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될 때에 다문화가정 아

동과 같은 위험군 상아동에 한 예방 업무가 포함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이끌 수 있도록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사회의 일원인 언어치료사의

역할 역시 변화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

해 밝혀진 바와 같이 급증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아동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61

의 언어치료 및 지도에서 언어치료사는 언어발달지도

사로 근무하거나 이들의 수퍼바이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면담 상자에 의하면 언어발달지도사들이

현재 아동이 속한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로 파견 근무

를 나가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앞으로 통합어린이집

에서 언어치료를 제공하거나 학교 언어치료사로 근무

하는 것 역시 새로운 언어치료사의 역할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언어치료사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관련 정보 습득 학령기 아동을 위한 읽기 등에 한

공부 통합된 교실에서의 언어치료 제공능력과 같은

다양한 직업 환경에 맞는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언어치료사와 연구자들이 변화해가는 역할을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한 방향을 제시하

는 데 그 임상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참 고 문 헌

고은(2006) 이중언어 사용 아동의 부모들이 갖는 모국어에

한 가치 기준과 경험적 의미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5(3) 165-184

권수진(2006) 다문화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생성이름

기 특성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교육과학기술부(2010) 다문화가정 학생현황(2010 4 출신국

포함) 출처 httpwwwmestgokr

김영란김영태이은주(2007) 이중언어아동의 어휘학습

능력 측정에 적용된 역동적 평가에 한 타당성 고찰

-1990년 이후의 문헌을 중심으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3) 59-77

김영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김영태김경희윤혜련김화수(2003) 985172영유아 언어발달

검사(SELSI)985173 서울 파라다이스 복지재단

김영태(2002) 985172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985173 서울 학지사

김화수(2009) 한국 다문화사회에서 언어치료사의 역할모형에

한 제안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85-209류현주김향희김화수신지철(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능력 및 음운변동 특성 985172음성과학985173 15(3) 133-144박상희(2006)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985172한국언어치료

학회 학술 회 발표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박상희(2009)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산출에 관한 종단적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89-97박지윤박상희석동일(2007) 학령전기 이중언어 환경 아동

의 언어학적 특성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2) 131-145배소영곽금주김근영정경희김효정(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발달지원자 설문을 통해 본 아동의 언어환경

및 언어발달 실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65-184신경림장연집김영경이금재최명민김혜영김옥현

김영혜(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포커스 그룹985173 서울

현문사

송미경지승희조은경임영선(2008)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985172한국 심리학회985173 20(2) 497-517

안성우신영주(2008) 저소득층 일반아동과 다문화 가정아동

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4) 81-94

이명선김춘미고문희(역)(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상호

작용적 접근985173 서울 군자출판사

이은주김영태(2010) 1990년 이후 이중언어 연구 동향 985172언어

치료연구985173 19(2) 73-90이수정신지철김향희김화수(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능력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3) 95-115이진숙(2007)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양육실태와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관한 연구 985172열린 유아교육 연구985173 12(6) 21-42

오성숙(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 개인변인 가정환경자극과

유아 언어능력의 관계 구 학교 학원 석사학위

논문

오소정김영태김영란(2009) 서울 및 경기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과 관련변인에 한 기초 연구 985172특수

교육985173 8(1) 137-161오성배(2005) 도시와 시골지역 사이의 학업성취도 격차연구

목포시와 인근지역의 자료분석 중앙 학교 학원 박

사학위논문

왕한석(2007) 985172또 다른 한국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언어

적응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985173 서울 교문사

양성오황보명(2009) 취학전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37-56

여성가족부(2012) 2012년 다문화가족지원사업안내 출처

httpmogefgokr

장유경이근영곽금주성현란(2003)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

이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심리

학회지 발달985173 16(4) 227-241장현진신명선전희숙김효정(2011) 어머니 국적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비유창성 특성 연구 985172언어치료

연구985173 20(1) 17-29전홍주배소영곽금주(2008) 결혼이민자 가정에서 이루어

지는 자녀교육지원의 실제와 의미 필리핀과 일본

어머니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가족과 문화985173 20(3) 161-186

정은희(2004) 농촌지역 국제결혼가정 아동의 언어발달과

언어환경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3(3) 33-52정하성유진이이장현(2007) 985172다문화청소년 이해론985173 파주

양서원

정현영(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시아 여성과 한국남성의

이중문화가정자녀를 중심으로 숭실 학교 학원 석

사학위논문

최연실(2007) 도시 국제결혼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이야기능력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2

황상심정옥란(2008) 경상도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13(2) 174-192황상심(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초기 표현어휘 발달과 성차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9(1) 193-209황상심김화수(2008) 다문화환경 조음음운장애아동과 기능

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음운변동 패턴 연구 985172특수

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985173 9(4) 329-348황상심김화수(2009) 다문화에 한 언어치료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985172제1회 한국언어치료학회한국언어청각

임상학회 공동학술 회 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황상심정옥란(2008)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발달과 관련

변인 상관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1) 81-102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3

Received January 20 2012 Final revision received February 24 2012 Accepted March 1 2012

2012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httpwwwkasa1986orkr

ABSTRACT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o Hyun ParkMyoung sim Jungsect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Korea

sect Correspondence to

Myoung sim Jung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99 Daehangno Yuseong-gu Daejeon Koreae-mail bogamihanmailnet tel +82 10 2990 5002

Background amp Objectives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been increasing for yearsin Korea increased attention has been given to childrenrsquos language development Recent researchhas revealed language problem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research specifically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these problems are due to language differences or language difficulties is lack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between children with simple language disorders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In-depth interviewing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Seve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who had been working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ll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Four primary themes and seven subthemes emerged fromthe analysis 1) speech and language evalu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2)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3)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4)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for SLPs who work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scussion amp Conclusion The results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themes defined in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in reference to otherrelated literatur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presented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Key Words multicultural families bilingual speech-language evaluation speech-language intervention language development consultant at-risk children

REFERENCES

Ahn S amp Shin Y (2008) A comparative study of multi-ultural background childrenrsquos and low-income childrenrsquos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4) 81-94

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hang H Shin M Jeon H amp Kim H (2011) A study on disfluenc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mothersrsquo nationali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20(1) 17-29

Chang Y Lee K Kwak K amp Sung H (2003) Relations of maternal linguistic inputs to lexical development of Korean infant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

chology 16(4) 227-241

Choi Y (2007) Narrative abilities of Korean children with and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64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Hwang S (2010) Early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and gender difference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9(1) 193-209

Hwang S amp Jeong O (2008)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3(2) 174-192

Hwang S amp Kim H (2009) A survey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ervice deliver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oceedings of the 1st Korean Speech- 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Collaboration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Hwang S amp Kim W (2008) A study on the phonological process patterns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problem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gricultural Area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9(4) 329-348

Jeong E (2004) A study on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environment of children from internationally married couple living in an agricultural villag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3(3) 33-52

Jeong H Yoo J amp Lee J (2007)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youth Paju Yoangseowon Press

Jun H Pae S amp Kwak K (2008) Practices and meanings of immigrant mothersrsquo support for childrenrsquos education Cases of mothers from the Philippines and Japan The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20(3) 161-186

Jung H (2007)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mixed ethnic children Focused on the marriage of Korean man with Asian woman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im W (2009) A new light on models of SLPrsquos role in a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8(4) 185-209

Kim Y (2002)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Seoul Hakji Press

Kim Y (2007) Literature review regarding validity of the dynamic assessment applied in lexical learning ability measures for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3) 59-77

Kim Y Kim K Yoon H amp Kim H (2003)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Seoul Paradise Welfare Foundation

Kim Y Seong T amp Lee Y (2003) Preschool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Ko U (2006) The criteria for value and empirical meaning of mother tongue in case of parents of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5(3) 165-184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Kwon S (2006)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in generative naming for children of multi-culture family and children of ordinary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Lee E amp Kim Y (2010) A literature review of bilingual study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2009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9(2) 73-90

Lee J (2007) A study of childcare and education fathersrsquo childcare participatio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6) 21-42

Lee M Kim C amp Ko M (2004)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Seoul Koonja Press

Lee S Shin J Kim H amp Kim W (2008) A study on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3) 95-115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Statu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vailable from httpwwwmestgok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mp Family (2012)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guidance Available from httpmogef gokr

Oh S (2005) A study of achievement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ith data from Mokpo city and adjacent to regions Unpublished doctorrsquos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Oh S (2009) The relations of childrenrsquos linguistic abilities to mothersrsquo personal variables and home environmental stimuli in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Oh S Kim Y amp Kim Y (2009) Preliminary study o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mily factor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Special Education Research 8(1) 137-161

Pae S Kwak K Kim K amp Kim H (2009) Supporting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survey of mothers and developmental sup-porter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4) 165-184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rk J Park S amp Seok D (2007) Language characteristics in pre-school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2)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5

131-145

Park S (2006) Language abilit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oceedings of the Korean Speech- L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Park S (2009) A longitudinal study of articulation production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89-97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Shin K L Jang Y Kim Y K Lee K J Choi M M Kim H Y Kim O H amp Kim Y H (2004) The method of quality study Focus group Seoul Huynmoon Press

Song M Jee S Cho E amp Lim Y (2008) A study on the parental experience of a foreign mother in a mul-ticultural famil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2) 497-517

Wang H (2007) Another Korean Seoul Kyomun Press

Yang S amp Hwang B (2009) A comparative study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culture familie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37-56

Yoo H Kim H Kim W amp Shin J (2008) Articulation ability and phonological process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Korean Journal of Speech Sciences 15(3) 133-144

The authors wish to thank Youngheon Lee(Saint

Andrewrsquos school DE) amp Ye Rin Jung(Chungnam Univ)

for their unfailing support in organizing interview

data

Page 13: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최소 1년 이상의 언어평 가 및 치료경험이 있는 자로 한다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59

치원에서 다 해결을 해보고 싶으신 거에요 자기가

데리고 오려면 교통비도 들잖아요 여유 있지 않다

보니깐그래서 유치원에 일단 들어가잖아요 그러

면 센터로 안와요(S3 7241-244)

Ⅳ 논의 및 결론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평가 및 언어치료(지도)에

해 숙련된 언어치료사를 상으로 실시한 면담 결

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에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언어평가를 받

기 위해 자발적으로 센터를 방문하는 경우는 많지 않

았으나 타전문가들에 한 홍보활동과 다문화가족지

원센터를 이용하는 어머니들이 많아지면서 다문화가

정 아동의 언어평가를 의뢰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

고 있다 면담 상자들은 기존의 공식검사 결과만으로

나타난 언어발달지체가 언어장애여부 판별에 사용되

는 것에 한계가 있음을 강조하였으며 공식검사 외에

비공식검사나 역동적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어평가 및 언어치료(지도)를 받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그 이유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비가 무료화되면서 24개월 미

만의 영유아가 센터로 방문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

기 때문이다 다수의 어머니들은 아동과 의사소통을

할 때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영유아의 경우는

엄마의 한국어 공부기간이 짧기 때문에 그만큼 더 부

족한 언어자극을 받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다문화

가정은 사회경제적 여건이 어려운 가정이 많기 때문

에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이 낮은 사회경제적 위

치에 있는 가정의 아동 언어특성과 유사한 면이 많다

는 의견이다 특히 어휘부분에서 크게 떨어지는 것으

로 평가되고 있지만 그 외에도 문법 면에서의 잦은

오류 사회적 의사소통이나 담화 및 읽기 등에서도 문

제를 보이고 있었다 언어 이외에 정서적 문제를 동반

하는 경우도 이들의 언어지도 및 학습에 영향을 미치

고 있었다

셋째 언어평가 후 언어치료가 필요한 아동의 경우

언어치료센터로 의뢰되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지

역적 특성상 언어치료센터를 찾아보기 힘든 경우도 있

지만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와 가족들이 언어치료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 않는 경우도 많다는 의견이

었다 따라서 언어치료가 필요한 언어장애아동의 경

우 언어발달지도사가 지도해야하는 경우가 많았다 언

어지도는 다문화센터 뿐 아니라 다문화가정 아동이 다

니고 있는 어린이집으로 파견 나가서 하고 있는 경우

도 많았다 환경적 요인에 의한 언어발달지체일 경우

에는 언어촉진을 주었을 때 아동의 언어능력이 크게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휘능력이 크

게 향상 되는 반면 문법오류와 담화 읽기 인지적 부

분의 어려움은 지속적으로 남아있기도 하였다

언어발달지도사는 치료사가 아니기 때문에 개발되

어 있는 교재를 활용하여 아동의 언어촉진을 목적으

로 언어지도를 수행하고 있으나 언어치료를 전공한

언어발달지도사의 경우는 일반 언어장애아동을 상

으로 한 언어치료목표나 방법을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적용하고 있었다 다만 방법 면에서 다문화가정 아동

과 비슷한 상황의 주인공을 다룬 이야기를 사용하거

나 어머니의 출신국에 관한 내용을 고려한 교재를 사

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언어치료 상이 된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의 경우 아동의 언어치료에

비참여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이 부분인데 이는 어

머니 스스로 한국어가 부족하다는 인식 때문에 전문

가를 만나는 것에 부담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라는 의

견이었다 언어치료사는 부모의 출신국에 한 이해를

돕는 정보나 교재 프로그램을 통해 이들의 문화와 전

통 가치관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상의 결론을 토 로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바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면담 상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을 공식검사 결과만으로 평가하는 데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는 선별에서 고위험군

으로 판정된 아동에 해서는 언어장애 유무를 확인

하는 단계에서 공식검사와 비공식검사를 보완하여 사

용하거나 역동적 평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

로 보는 선행연구(Bedore amp Pefia 2008 Deponio et

al 2000)와 일치하는 견해이다 임상현장에서 단순히

공식검사결과만으로 이들이 언어장애라고 진단하지 않

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을 규준

에 포함시키거나 이들의 특성을 민감하게 반영할 수 있

는 공식검사도구의 개발도 필요하다 할 수 있겠다

둘째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우리가 다문화가정이라

고 부르는 집단은 결혼 이민자 가정 중도입국자 가정

외국인 근로자 및 유학생 가정 새터민 가정 등 이질적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0

인 하위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다 면담 상자들이 지

적했듯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결혼 이민자가정의 아동은 사실상 단일언어가정이며

이중언어 사용아동이라 할 수 없음을 기억하고 다문화

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연구를 진행할 때 하위집단에

따른 특성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에 의하면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이 자녀

의 성장에 따라 고차원적인 의사소통과 언어적 지원

이 필요하다고 느끼지만 부족한 한국어 능력으로 인하

여 심리적 위축감과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한다(고은

2006 전홍주배소영곽금주 2008) 또한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한국어 능력이 우선임을 강조

하며 자신의 출신국 언어에 해 교육하는 것을 필수

가 아닌 선택사항으로 인식하고 있고 이중언어 환경

에 해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고은 2006) 면

담 상자에 의하면 다문화센터를 중심으로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 중요성을 알리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이

중언어교실이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그렇지만 이는

다문화가정의 아동 및 일반인을 상으로 베트남어 등

외국어를 가르치는 프로그램으로 집에서 엄마의 모국

어를 사용하여 아동을 이중언어 사용자로 양육하는 것

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정책적으로나 연구를

통해 부모가 가지고 있는 이중언어 환경에 한 불안

감을 감소시키고 초기 중요한 시기에 엄마와 아동이

어느 나라 말을 사용하든지 충분한 언어자극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넷째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교육을 지원

하고자 하는 강한 열망에도 불구하고 자녀들의 학업

에 도움을 주는 실제적이고 직접적인 지원에는 한계를

느낀다고 한다(송미경 외 2008 이진숙 2007 전홍주

배소영곽금주 2008 Cooper et al 1995) 면담 상

자들의 견해로도 언어문제를 인식하거나 평가에 의뢰

하는 데 다른 전문가들 상의 홍보와 도움이 많이 필

요했다고 하였다 또한 아동의 치료과정에서도 어머니

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 가정 방문교사나 어린이

집교사의 도움에 의존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사

실은 부모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노력해야함을 의미하

기도 하지만 언어치료사들이 다문화가정 아동을 치

료하는 과정에서 다른 전문가들과의 협력이 중요함을

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다섯째 언어평가에 의뢰되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연

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면담에 참여한 언어치료사

들도 담당하고 있는 아동의 많은 수가 24에서 36개월

사이의 영유아라고 답하고 있다 영유아를 상으로

하는 언어중재는 부모를 포함한 가정-중심 중재이며

부모에 의한 언어촉진방법을 중시하고 있다(Paul

2007) 그러나 다문화가족 영유아의 어머니는 한국에

체류한 기간이 짧아 그만큼 한국어가 미숙한 실정이

다 그러므로 다문화가정 영유아 아동의 중재 시에는

이러한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엄마의 모국어로

상호작용하도록 권유하거나 어린이집에서 제공되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과제라 할

것이다

여섯째 다문화가정 부모들은 자녀의 교육에 한

부분을 교육기관에 일임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왕한석 2007 전홍주배소영곽금주 2008)

한국사회에서 문화적응과 언어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들에게는 자녀를 이른 시

기에 교육기관에 보내어 다문화 가정의 취약한 언어

환경을 극복하고 발달을 돕고자 하는 것이 이들의 최

선의 선택이자 노력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면담에

서 밝혀진 바와 같이 부모의 소극적 참여 역시 같은

맥락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부모의 이러한 특성

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에 관련 전문가들의 역할

과 공교육에서의 교육제공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

다 어린이집과 유치원 학교에서 언어치료사가 근무

하게 될 경우 언어치료 상에 다문화가정 아동을 포

함시키는 방안도 추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 언

어치료사가 전체 언어치료사의 55를 넘는 미국의

경우(김영태 2004) 학교언어치료사가 현실적으로 과

중한 치료사례를 담당하고 있는 것이 이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나타났다(Marshall Stojanovik amp Ralph

2002) 이러한 문제는 앞으로 학교에서 언어치료를 제

공하게 될 우리나라에서도 미리 고려해야 할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더구나 다문화가정 아동과 같은 위험군 아

동을 학교 언어치료사의 치료 상에 포함시킬지 여부

도 우리가 고려해야할 사항이 될 것이다 언어치료사의

역할에 lsquo장애의 예방rsquo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ASHA

2004 Paul(2007)에서 재인용) 향후 학교 언어치료사

에 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될 때에 다문화가정 아

동과 같은 위험군 상아동에 한 예방 업무가 포함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이끌 수 있도록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사회의 일원인 언어치료사의

역할 역시 변화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

해 밝혀진 바와 같이 급증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아동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61

의 언어치료 및 지도에서 언어치료사는 언어발달지도

사로 근무하거나 이들의 수퍼바이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면담 상자에 의하면 언어발달지도사들이

현재 아동이 속한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로 파견 근무

를 나가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앞으로 통합어린이집

에서 언어치료를 제공하거나 학교 언어치료사로 근무

하는 것 역시 새로운 언어치료사의 역할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언어치료사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관련 정보 습득 학령기 아동을 위한 읽기 등에 한

공부 통합된 교실에서의 언어치료 제공능력과 같은

다양한 직업 환경에 맞는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언어치료사와 연구자들이 변화해가는 역할을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한 방향을 제시하

는 데 그 임상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참 고 문 헌

고은(2006) 이중언어 사용 아동의 부모들이 갖는 모국어에

한 가치 기준과 경험적 의미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5(3) 165-184

권수진(2006) 다문화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생성이름

기 특성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교육과학기술부(2010) 다문화가정 학생현황(2010 4 출신국

포함) 출처 httpwwwmestgokr

김영란김영태이은주(2007) 이중언어아동의 어휘학습

능력 측정에 적용된 역동적 평가에 한 타당성 고찰

-1990년 이후의 문헌을 중심으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3) 59-77

김영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김영태김경희윤혜련김화수(2003) 985172영유아 언어발달

검사(SELSI)985173 서울 파라다이스 복지재단

김영태(2002) 985172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985173 서울 학지사

김화수(2009) 한국 다문화사회에서 언어치료사의 역할모형에

한 제안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85-209류현주김향희김화수신지철(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능력 및 음운변동 특성 985172음성과학985173 15(3) 133-144박상희(2006)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985172한국언어치료

학회 학술 회 발표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박상희(2009)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산출에 관한 종단적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89-97박지윤박상희석동일(2007) 학령전기 이중언어 환경 아동

의 언어학적 특성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2) 131-145배소영곽금주김근영정경희김효정(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발달지원자 설문을 통해 본 아동의 언어환경

및 언어발달 실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65-184신경림장연집김영경이금재최명민김혜영김옥현

김영혜(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포커스 그룹985173 서울

현문사

송미경지승희조은경임영선(2008)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985172한국 심리학회985173 20(2) 497-517

안성우신영주(2008) 저소득층 일반아동과 다문화 가정아동

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4) 81-94

이명선김춘미고문희(역)(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상호

작용적 접근985173 서울 군자출판사

이은주김영태(2010) 1990년 이후 이중언어 연구 동향 985172언어

치료연구985173 19(2) 73-90이수정신지철김향희김화수(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능력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3) 95-115이진숙(2007)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양육실태와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관한 연구 985172열린 유아교육 연구985173 12(6) 21-42

오성숙(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 개인변인 가정환경자극과

유아 언어능력의 관계 구 학교 학원 석사학위

논문

오소정김영태김영란(2009) 서울 및 경기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과 관련변인에 한 기초 연구 985172특수

교육985173 8(1) 137-161오성배(2005) 도시와 시골지역 사이의 학업성취도 격차연구

목포시와 인근지역의 자료분석 중앙 학교 학원 박

사학위논문

왕한석(2007) 985172또 다른 한국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언어

적응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985173 서울 교문사

양성오황보명(2009) 취학전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37-56

여성가족부(2012) 2012년 다문화가족지원사업안내 출처

httpmogefgokr

장유경이근영곽금주성현란(2003)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

이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심리

학회지 발달985173 16(4) 227-241장현진신명선전희숙김효정(2011) 어머니 국적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비유창성 특성 연구 985172언어치료

연구985173 20(1) 17-29전홍주배소영곽금주(2008) 결혼이민자 가정에서 이루어

지는 자녀교육지원의 실제와 의미 필리핀과 일본

어머니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가족과 문화985173 20(3) 161-186

정은희(2004) 농촌지역 국제결혼가정 아동의 언어발달과

언어환경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3(3) 33-52정하성유진이이장현(2007) 985172다문화청소년 이해론985173 파주

양서원

정현영(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시아 여성과 한국남성의

이중문화가정자녀를 중심으로 숭실 학교 학원 석

사학위논문

최연실(2007) 도시 국제결혼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이야기능력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2

황상심정옥란(2008) 경상도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13(2) 174-192황상심(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초기 표현어휘 발달과 성차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9(1) 193-209황상심김화수(2008) 다문화환경 조음음운장애아동과 기능

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음운변동 패턴 연구 985172특수

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985173 9(4) 329-348황상심김화수(2009) 다문화에 한 언어치료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985172제1회 한국언어치료학회한국언어청각

임상학회 공동학술 회 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황상심정옥란(2008)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발달과 관련

변인 상관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1) 81-102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3

Received January 20 2012 Final revision received February 24 2012 Accepted March 1 2012

2012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httpwwwkasa1986orkr

ABSTRACT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o Hyun ParkMyoung sim Jungsect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Korea

sect Correspondence to

Myoung sim Jung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99 Daehangno Yuseong-gu Daejeon Koreae-mail bogamihanmailnet tel +82 10 2990 5002

Background amp Objectives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been increasing for yearsin Korea increased attention has been given to childrenrsquos language development Recent researchhas revealed language problem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research specifically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these problems are due to language differences or language difficulties is lack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between children with simple language disorders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In-depth interviewing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Seve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who had been working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ll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Four primary themes and seven subthemes emerged fromthe analysis 1) speech and language evalu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2)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3)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4)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for SLPs who work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scussion amp Conclusion The results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themes defined in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in reference to otherrelated literatur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presented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Key Words multicultural families bilingual speech-language evaluation speech-language intervention language development consultant at-risk children

REFERENCES

Ahn S amp Shin Y (2008) A comparative study of multi-ultural background childrenrsquos and low-income childrenrsquos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4) 81-94

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hang H Shin M Jeon H amp Kim H (2011) A study on disfluenc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mothersrsquo nationali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20(1) 17-29

Chang Y Lee K Kwak K amp Sung H (2003) Relations of maternal linguistic inputs to lexical development of Korean infant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

chology 16(4) 227-241

Choi Y (2007) Narrative abilities of Korean children with and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64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Hwang S (2010) Early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and gender difference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9(1) 193-209

Hwang S amp Jeong O (2008)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3(2) 174-192

Hwang S amp Kim H (2009) A survey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ervice deliver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oceedings of the 1st Korean Speech- 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Collaboration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Hwang S amp Kim W (2008) A study on the phonological process patterns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problem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gricultural Area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9(4) 329-348

Jeong E (2004) A study on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environment of children from internationally married couple living in an agricultural villag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3(3) 33-52

Jeong H Yoo J amp Lee J (2007)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youth Paju Yoangseowon Press

Jun H Pae S amp Kwak K (2008) Practices and meanings of immigrant mothersrsquo support for childrenrsquos education Cases of mothers from the Philippines and Japan The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20(3) 161-186

Jung H (2007)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mixed ethnic children Focused on the marriage of Korean man with Asian woman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im W (2009) A new light on models of SLPrsquos role in a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8(4) 185-209

Kim Y (2002)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Seoul Hakji Press

Kim Y (2007) Literature review regarding validity of the dynamic assessment applied in lexical learning ability measures for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3) 59-77

Kim Y Kim K Yoon H amp Kim H (2003)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Seoul Paradise Welfare Foundation

Kim Y Seong T amp Lee Y (2003) Preschool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Ko U (2006) The criteria for value and empirical meaning of mother tongue in case of parents of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5(3) 165-184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Kwon S (2006)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in generative naming for children of multi-culture family and children of ordinary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Lee E amp Kim Y (2010) A literature review of bilingual study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2009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9(2) 73-90

Lee J (2007) A study of childcare and education fathersrsquo childcare participatio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6) 21-42

Lee M Kim C amp Ko M (2004)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Seoul Koonja Press

Lee S Shin J Kim H amp Kim W (2008) A study on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3) 95-115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Statu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vailable from httpwwwmestgok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mp Family (2012)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guidance Available from httpmogef gokr

Oh S (2005) A study of achievement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ith data from Mokpo city and adjacent to regions Unpublished doctorrsquos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Oh S (2009) The relations of childrenrsquos linguistic abilities to mothersrsquo personal variables and home environmental stimuli in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Oh S Kim Y amp Kim Y (2009) Preliminary study o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mily factor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Special Education Research 8(1) 137-161

Pae S Kwak K Kim K amp Kim H (2009) Supporting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survey of mothers and developmental sup-porter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4) 165-184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rk J Park S amp Seok D (2007) Language characteristics in pre-school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2)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5

131-145

Park S (2006) Language abilit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oceedings of the Korean Speech- L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Park S (2009) A longitudinal study of articulation production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89-97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Shin K L Jang Y Kim Y K Lee K J Choi M M Kim H Y Kim O H amp Kim Y H (2004) The method of quality study Focus group Seoul Huynmoon Press

Song M Jee S Cho E amp Lim Y (2008) A study on the parental experience of a foreign mother in a mul-ticultural famil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2) 497-517

Wang H (2007) Another Korean Seoul Kyomun Press

Yang S amp Hwang B (2009) A comparative study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culture familie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37-56

Yoo H Kim H Kim W amp Shin J (2008) Articulation ability and phonological process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Korean Journal of Speech Sciences 15(3) 133-144

The authors wish to thank Youngheon Lee(Saint

Andrewrsquos school DE) amp Ye Rin Jung(Chungnam Univ)

for their unfailing support in organizing interview

data

Page 14: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최소 1년 이상의 언어평 가 및 치료경험이 있는 자로 한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0

인 하위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다 면담 상자들이 지

적했듯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결혼 이민자가정의 아동은 사실상 단일언어가정이며

이중언어 사용아동이라 할 수 없음을 기억하고 다문화

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연구를 진행할 때 하위집단에

따른 특성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에 의하면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이 자녀

의 성장에 따라 고차원적인 의사소통과 언어적 지원

이 필요하다고 느끼지만 부족한 한국어 능력으로 인하

여 심리적 위축감과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한다(고은

2006 전홍주배소영곽금주 2008) 또한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한국어 능력이 우선임을 강조

하며 자신의 출신국 언어에 해 교육하는 것을 필수

가 아닌 선택사항으로 인식하고 있고 이중언어 환경

에 해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고은 2006) 면

담 상자에 의하면 다문화센터를 중심으로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 중요성을 알리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이

중언어교실이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그렇지만 이는

다문화가정의 아동 및 일반인을 상으로 베트남어 등

외국어를 가르치는 프로그램으로 집에서 엄마의 모국

어를 사용하여 아동을 이중언어 사용자로 양육하는 것

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정책적으로나 연구를

통해 부모가 가지고 있는 이중언어 환경에 한 불안

감을 감소시키고 초기 중요한 시기에 엄마와 아동이

어느 나라 말을 사용하든지 충분한 언어자극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넷째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교육을 지원

하고자 하는 강한 열망에도 불구하고 자녀들의 학업

에 도움을 주는 실제적이고 직접적인 지원에는 한계를

느낀다고 한다(송미경 외 2008 이진숙 2007 전홍주

배소영곽금주 2008 Cooper et al 1995) 면담 상

자들의 견해로도 언어문제를 인식하거나 평가에 의뢰

하는 데 다른 전문가들 상의 홍보와 도움이 많이 필

요했다고 하였다 또한 아동의 치료과정에서도 어머니

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 가정 방문교사나 어린이

집교사의 도움에 의존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사

실은 부모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노력해야함을 의미하

기도 하지만 언어치료사들이 다문화가정 아동을 치

료하는 과정에서 다른 전문가들과의 협력이 중요함을

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다섯째 언어평가에 의뢰되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연

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면담에 참여한 언어치료사

들도 담당하고 있는 아동의 많은 수가 24에서 36개월

사이의 영유아라고 답하고 있다 영유아를 상으로

하는 언어중재는 부모를 포함한 가정-중심 중재이며

부모에 의한 언어촉진방법을 중시하고 있다(Paul

2007) 그러나 다문화가족 영유아의 어머니는 한국에

체류한 기간이 짧아 그만큼 한국어가 미숙한 실정이

다 그러므로 다문화가정 영유아 아동의 중재 시에는

이러한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엄마의 모국어로

상호작용하도록 권유하거나 어린이집에서 제공되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과제라 할

것이다

여섯째 다문화가정 부모들은 자녀의 교육에 한

부분을 교육기관에 일임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왕한석 2007 전홍주배소영곽금주 2008)

한국사회에서 문화적응과 언어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들에게는 자녀를 이른 시

기에 교육기관에 보내어 다문화 가정의 취약한 언어

환경을 극복하고 발달을 돕고자 하는 것이 이들의 최

선의 선택이자 노력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면담에

서 밝혀진 바와 같이 부모의 소극적 참여 역시 같은

맥락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부모의 이러한 특성

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에 관련 전문가들의 역할

과 공교육에서의 교육제공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

다 어린이집과 유치원 학교에서 언어치료사가 근무

하게 될 경우 언어치료 상에 다문화가정 아동을 포

함시키는 방안도 추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 언

어치료사가 전체 언어치료사의 55를 넘는 미국의

경우(김영태 2004) 학교언어치료사가 현실적으로 과

중한 치료사례를 담당하고 있는 것이 이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나타났다(Marshall Stojanovik amp Ralph

2002) 이러한 문제는 앞으로 학교에서 언어치료를 제

공하게 될 우리나라에서도 미리 고려해야 할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더구나 다문화가정 아동과 같은 위험군 아

동을 학교 언어치료사의 치료 상에 포함시킬지 여부

도 우리가 고려해야할 사항이 될 것이다 언어치료사의

역할에 lsquo장애의 예방rsquo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ASHA

2004 Paul(2007)에서 재인용) 향후 학교 언어치료사

에 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될 때에 다문화가정 아

동과 같은 위험군 상아동에 한 예방 업무가 포함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이끌 수 있도록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사회의 일원인 언어치료사의

역할 역시 변화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

해 밝혀진 바와 같이 급증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아동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61

의 언어치료 및 지도에서 언어치료사는 언어발달지도

사로 근무하거나 이들의 수퍼바이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면담 상자에 의하면 언어발달지도사들이

현재 아동이 속한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로 파견 근무

를 나가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앞으로 통합어린이집

에서 언어치료를 제공하거나 학교 언어치료사로 근무

하는 것 역시 새로운 언어치료사의 역할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언어치료사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관련 정보 습득 학령기 아동을 위한 읽기 등에 한

공부 통합된 교실에서의 언어치료 제공능력과 같은

다양한 직업 환경에 맞는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언어치료사와 연구자들이 변화해가는 역할을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한 방향을 제시하

는 데 그 임상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참 고 문 헌

고은(2006) 이중언어 사용 아동의 부모들이 갖는 모국어에

한 가치 기준과 경험적 의미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5(3) 165-184

권수진(2006) 다문화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생성이름

기 특성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교육과학기술부(2010) 다문화가정 학생현황(2010 4 출신국

포함) 출처 httpwwwmestgokr

김영란김영태이은주(2007) 이중언어아동의 어휘학습

능력 측정에 적용된 역동적 평가에 한 타당성 고찰

-1990년 이후의 문헌을 중심으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3) 59-77

김영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김영태김경희윤혜련김화수(2003) 985172영유아 언어발달

검사(SELSI)985173 서울 파라다이스 복지재단

김영태(2002) 985172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985173 서울 학지사

김화수(2009) 한국 다문화사회에서 언어치료사의 역할모형에

한 제안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85-209류현주김향희김화수신지철(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능력 및 음운변동 특성 985172음성과학985173 15(3) 133-144박상희(2006)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985172한국언어치료

학회 학술 회 발표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박상희(2009)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산출에 관한 종단적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89-97박지윤박상희석동일(2007) 학령전기 이중언어 환경 아동

의 언어학적 특성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2) 131-145배소영곽금주김근영정경희김효정(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발달지원자 설문을 통해 본 아동의 언어환경

및 언어발달 실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65-184신경림장연집김영경이금재최명민김혜영김옥현

김영혜(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포커스 그룹985173 서울

현문사

송미경지승희조은경임영선(2008)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985172한국 심리학회985173 20(2) 497-517

안성우신영주(2008) 저소득층 일반아동과 다문화 가정아동

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4) 81-94

이명선김춘미고문희(역)(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상호

작용적 접근985173 서울 군자출판사

이은주김영태(2010) 1990년 이후 이중언어 연구 동향 985172언어

치료연구985173 19(2) 73-90이수정신지철김향희김화수(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능력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3) 95-115이진숙(2007)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양육실태와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관한 연구 985172열린 유아교육 연구985173 12(6) 21-42

오성숙(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 개인변인 가정환경자극과

유아 언어능력의 관계 구 학교 학원 석사학위

논문

오소정김영태김영란(2009) 서울 및 경기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과 관련변인에 한 기초 연구 985172특수

교육985173 8(1) 137-161오성배(2005) 도시와 시골지역 사이의 학업성취도 격차연구

목포시와 인근지역의 자료분석 중앙 학교 학원 박

사학위논문

왕한석(2007) 985172또 다른 한국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언어

적응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985173 서울 교문사

양성오황보명(2009) 취학전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37-56

여성가족부(2012) 2012년 다문화가족지원사업안내 출처

httpmogefgokr

장유경이근영곽금주성현란(2003)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

이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심리

학회지 발달985173 16(4) 227-241장현진신명선전희숙김효정(2011) 어머니 국적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비유창성 특성 연구 985172언어치료

연구985173 20(1) 17-29전홍주배소영곽금주(2008) 결혼이민자 가정에서 이루어

지는 자녀교육지원의 실제와 의미 필리핀과 일본

어머니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가족과 문화985173 20(3) 161-186

정은희(2004) 농촌지역 국제결혼가정 아동의 언어발달과

언어환경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3(3) 33-52정하성유진이이장현(2007) 985172다문화청소년 이해론985173 파주

양서원

정현영(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시아 여성과 한국남성의

이중문화가정자녀를 중심으로 숭실 학교 학원 석

사학위논문

최연실(2007) 도시 국제결혼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이야기능력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2

황상심정옥란(2008) 경상도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13(2) 174-192황상심(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초기 표현어휘 발달과 성차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9(1) 193-209황상심김화수(2008) 다문화환경 조음음운장애아동과 기능

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음운변동 패턴 연구 985172특수

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985173 9(4) 329-348황상심김화수(2009) 다문화에 한 언어치료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985172제1회 한국언어치료학회한국언어청각

임상학회 공동학술 회 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황상심정옥란(2008)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발달과 관련

변인 상관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1) 81-102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3

Received January 20 2012 Final revision received February 24 2012 Accepted March 1 2012

2012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httpwwwkasa1986orkr

ABSTRACT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o Hyun ParkMyoung sim Jungsect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Korea

sect Correspondence to

Myoung sim Jung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99 Daehangno Yuseong-gu Daejeon Koreae-mail bogamihanmailnet tel +82 10 2990 5002

Background amp Objectives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been increasing for yearsin Korea increased attention has been given to childrenrsquos language development Recent researchhas revealed language problem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research specifically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these problems are due to language differences or language difficulties is lack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between children with simple language disorders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In-depth interviewing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Seve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who had been working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ll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Four primary themes and seven subthemes emerged fromthe analysis 1) speech and language evalu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2)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3)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4)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for SLPs who work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scussion amp Conclusion The results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themes defined in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in reference to otherrelated literatur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presented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Key Words multicultural families bilingual speech-language evaluation speech-language intervention language development consultant at-risk children

REFERENCES

Ahn S amp Shin Y (2008) A comparative study of multi-ultural background childrenrsquos and low-income childrenrsquos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4) 81-94

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hang H Shin M Jeon H amp Kim H (2011) A study on disfluenc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mothersrsquo nationali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20(1) 17-29

Chang Y Lee K Kwak K amp Sung H (2003) Relations of maternal linguistic inputs to lexical development of Korean infant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

chology 16(4) 227-241

Choi Y (2007) Narrative abilities of Korean children with and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64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Hwang S (2010) Early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and gender difference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9(1) 193-209

Hwang S amp Jeong O (2008)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3(2) 174-192

Hwang S amp Kim H (2009) A survey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ervice deliver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oceedings of the 1st Korean Speech- 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Collaboration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Hwang S amp Kim W (2008) A study on the phonological process patterns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problem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gricultural Area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9(4) 329-348

Jeong E (2004) A study on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environment of children from internationally married couple living in an agricultural villag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3(3) 33-52

Jeong H Yoo J amp Lee J (2007)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youth Paju Yoangseowon Press

Jun H Pae S amp Kwak K (2008) Practices and meanings of immigrant mothersrsquo support for childrenrsquos education Cases of mothers from the Philippines and Japan The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20(3) 161-186

Jung H (2007)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mixed ethnic children Focused on the marriage of Korean man with Asian woman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im W (2009) A new light on models of SLPrsquos role in a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8(4) 185-209

Kim Y (2002)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Seoul Hakji Press

Kim Y (2007) Literature review regarding validity of the dynamic assessment applied in lexical learning ability measures for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3) 59-77

Kim Y Kim K Yoon H amp Kim H (2003)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Seoul Paradise Welfare Foundation

Kim Y Seong T amp Lee Y (2003) Preschool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Ko U (2006) The criteria for value and empirical meaning of mother tongue in case of parents of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5(3) 165-184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Kwon S (2006)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in generative naming for children of multi-culture family and children of ordinary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Lee E amp Kim Y (2010) A literature review of bilingual study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2009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9(2) 73-90

Lee J (2007) A study of childcare and education fathersrsquo childcare participatio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6) 21-42

Lee M Kim C amp Ko M (2004)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Seoul Koonja Press

Lee S Shin J Kim H amp Kim W (2008) A study on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3) 95-115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Statu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vailable from httpwwwmestgok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mp Family (2012)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guidance Available from httpmogef gokr

Oh S (2005) A study of achievement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ith data from Mokpo city and adjacent to regions Unpublished doctorrsquos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Oh S (2009) The relations of childrenrsquos linguistic abilities to mothersrsquo personal variables and home environmental stimuli in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Oh S Kim Y amp Kim Y (2009) Preliminary study o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mily factor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Special Education Research 8(1) 137-161

Pae S Kwak K Kim K amp Kim H (2009) Supporting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survey of mothers and developmental sup-porter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4) 165-184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rk J Park S amp Seok D (2007) Language characteristics in pre-school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2)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5

131-145

Park S (2006) Language abilit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oceedings of the Korean Speech- L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Park S (2009) A longitudinal study of articulation production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89-97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Shin K L Jang Y Kim Y K Lee K J Choi M M Kim H Y Kim O H amp Kim Y H (2004) The method of quality study Focus group Seoul Huynmoon Press

Song M Jee S Cho E amp Lim Y (2008) A study on the parental experience of a foreign mother in a mul-ticultural famil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2) 497-517

Wang H (2007) Another Korean Seoul Kyomun Press

Yang S amp Hwang B (2009) A comparative study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culture familie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37-56

Yoo H Kim H Kim W amp Shin J (2008) Articulation ability and phonological process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Korean Journal of Speech Sciences 15(3) 133-144

The authors wish to thank Youngheon Lee(Saint

Andrewrsquos school DE) amp Ye Rin Jung(Chungnam Univ)

for their unfailing support in organizing interview

data

Page 15: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최소 1년 이상의 언어평 가 및 치료경험이 있는 자로 한다

박소현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61

의 언어치료 및 지도에서 언어치료사는 언어발달지도

사로 근무하거나 이들의 수퍼바이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면담 상자에 의하면 언어발달지도사들이

현재 아동이 속한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로 파견 근무

를 나가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앞으로 통합어린이집

에서 언어치료를 제공하거나 학교 언어치료사로 근무

하는 것 역시 새로운 언어치료사의 역할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언어치료사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관련 정보 습득 학령기 아동을 위한 읽기 등에 한

공부 통합된 교실에서의 언어치료 제공능력과 같은

다양한 직업 환경에 맞는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언어치료사와 연구자들이 변화해가는 역할을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한 방향을 제시하

는 데 그 임상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참 고 문 헌

고은(2006) 이중언어 사용 아동의 부모들이 갖는 모국어에

한 가치 기준과 경험적 의미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5(3) 165-184

권수진(2006) 다문화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생성이름

기 특성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교육과학기술부(2010) 다문화가정 학생현황(2010 4 출신국

포함) 출처 httpwwwmestgokr

김영란김영태이은주(2007) 이중언어아동의 어휘학습

능력 측정에 적용된 역동적 평가에 한 타당성 고찰

-1990년 이후의 문헌을 중심으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3) 59-77

김영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김영태김경희윤혜련김화수(2003) 985172영유아 언어발달

검사(SELSI)985173 서울 파라다이스 복지재단

김영태(2002) 985172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985173 서울 학지사

김화수(2009) 한국 다문화사회에서 언어치료사의 역할모형에

한 제안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85-209류현주김향희김화수신지철(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능력 및 음운변동 특성 985172음성과학985173 15(3) 133-144박상희(2006)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985172한국언어치료

학회 학술 회 발표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박상희(2009)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산출에 관한 종단적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89-97박지윤박상희석동일(2007) 학령전기 이중언어 환경 아동

의 언어학적 특성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6(2) 131-145배소영곽금주김근영정경희김효정(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발달지원자 설문을 통해 본 아동의 언어환경

및 언어발달 실태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4) 165-184신경림장연집김영경이금재최명민김혜영김옥현

김영혜(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포커스 그룹985173 서울

현문사

송미경지승희조은경임영선(2008)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985172한국 심리학회985173 20(2) 497-517

안성우신영주(2008) 저소득층 일반아동과 다문화 가정아동

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4) 81-94

이명선김춘미고문희(역)(2004) 985172질적 연구방법 상호

작용적 접근985173 서울 군자출판사

이은주김영태(2010) 1990년 이후 이중언어 연구 동향 985172언어

치료연구985173 19(2) 73-90이수정신지철김향희김화수(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능력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3) 95-115이진숙(2007)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양육실태와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관한 연구 985172열린 유아교육 연구985173 12(6) 21-42

오성숙(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 개인변인 가정환경자극과

유아 언어능력의 관계 구 학교 학원 석사학위

논문

오소정김영태김영란(2009) 서울 및 경기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과 관련변인에 한 기초 연구 985172특수

교육985173 8(1) 137-161오성배(2005) 도시와 시골지역 사이의 학업성취도 격차연구

목포시와 인근지역의 자료분석 중앙 학교 학원 박

사학위논문

왕한석(2007) 985172또 다른 한국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언어

적응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985173 서울 교문사

양성오황보명(2009) 취학전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8(1) 37-56

여성가족부(2012) 2012년 다문화가족지원사업안내 출처

httpmogefgokr

장유경이근영곽금주성현란(2003)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

이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심리

학회지 발달985173 16(4) 227-241장현진신명선전희숙김효정(2011) 어머니 국적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비유창성 특성 연구 985172언어치료

연구985173 20(1) 17-29전홍주배소영곽금주(2008) 결혼이민자 가정에서 이루어

지는 자녀교육지원의 실제와 의미 필리핀과 일본

어머니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가족과 문화985173 20(3) 161-186

정은희(2004) 농촌지역 국제결혼가정 아동의 언어발달과

언어환경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3(3) 33-52정하성유진이이장현(2007) 985172다문화청소년 이해론985173 파주

양서원

정현영(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시아 여성과 한국남성의

이중문화가정자녀를 중심으로 숭실 학교 학원 석

사학위논문

최연실(2007) 도시 국제결혼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이야기능력 비교 명지 학교 사회교육 학원 석사학위

논문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2

황상심정옥란(2008) 경상도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13(2) 174-192황상심(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초기 표현어휘 발달과 성차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9(1) 193-209황상심김화수(2008) 다문화환경 조음음운장애아동과 기능

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음운변동 패턴 연구 985172특수

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985173 9(4) 329-348황상심김화수(2009) 다문화에 한 언어치료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985172제1회 한국언어치료학회한국언어청각

임상학회 공동학술 회 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황상심정옥란(2008)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발달과 관련

변인 상관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1) 81-102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3

Received January 20 2012 Final revision received February 24 2012 Accepted March 1 2012

2012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httpwwwkasa1986orkr

ABSTRACT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o Hyun ParkMyoung sim Jungsect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Korea

sect Correspondence to

Myoung sim Jung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99 Daehangno Yuseong-gu Daejeon Koreae-mail bogamihanmailnet tel +82 10 2990 5002

Background amp Objectives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been increasing for yearsin Korea increased attention has been given to childrenrsquos language development Recent researchhas revealed language problem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research specifically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these problems are due to language differences or language difficulties is lack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between children with simple language disorders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In-depth interviewing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Seve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who had been working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ll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Four primary themes and seven subthemes emerged fromthe analysis 1) speech and language evalu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2)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3)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4)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for SLPs who work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scussion amp Conclusion The results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themes defined in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in reference to otherrelated literatur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presented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Key Words multicultural families bilingual speech-language evaluation speech-language intervention language development consultant at-risk children

REFERENCES

Ahn S amp Shin Y (2008) A comparative study of multi-ultural background childrenrsquos and low-income childrenrsquos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4) 81-94

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hang H Shin M Jeon H amp Kim H (2011) A study on disfluenc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mothersrsquo nationali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20(1) 17-29

Chang Y Lee K Kwak K amp Sung H (2003) Relations of maternal linguistic inputs to lexical development of Korean infant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

chology 16(4) 227-241

Choi Y (2007) Narrative abilities of Korean children with and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64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Hwang S (2010) Early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and gender difference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9(1) 193-209

Hwang S amp Jeong O (2008)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3(2) 174-192

Hwang S amp Kim H (2009) A survey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ervice deliver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oceedings of the 1st Korean Speech- 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Collaboration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Hwang S amp Kim W (2008) A study on the phonological process patterns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problem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gricultural Area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9(4) 329-348

Jeong E (2004) A study on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environment of children from internationally married couple living in an agricultural villag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3(3) 33-52

Jeong H Yoo J amp Lee J (2007)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youth Paju Yoangseowon Press

Jun H Pae S amp Kwak K (2008) Practices and meanings of immigrant mothersrsquo support for childrenrsquos education Cases of mothers from the Philippines and Japan The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20(3) 161-186

Jung H (2007)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mixed ethnic children Focused on the marriage of Korean man with Asian woman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im W (2009) A new light on models of SLPrsquos role in a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8(4) 185-209

Kim Y (2002)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Seoul Hakji Press

Kim Y (2007) Literature review regarding validity of the dynamic assessment applied in lexical learning ability measures for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3) 59-77

Kim Y Kim K Yoon H amp Kim H (2003)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Seoul Paradise Welfare Foundation

Kim Y Seong T amp Lee Y (2003) Preschool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Ko U (2006) The criteria for value and empirical meaning of mother tongue in case of parents of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5(3) 165-184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Kwon S (2006)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in generative naming for children of multi-culture family and children of ordinary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Lee E amp Kim Y (2010) A literature review of bilingual study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2009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9(2) 73-90

Lee J (2007) A study of childcare and education fathersrsquo childcare participatio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6) 21-42

Lee M Kim C amp Ko M (2004)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Seoul Koonja Press

Lee S Shin J Kim H amp Kim W (2008) A study on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3) 95-115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Statu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vailable from httpwwwmestgok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mp Family (2012)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guidance Available from httpmogef gokr

Oh S (2005) A study of achievement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ith data from Mokpo city and adjacent to regions Unpublished doctorrsquos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Oh S (2009) The relations of childrenrsquos linguistic abilities to mothersrsquo personal variables and home environmental stimuli in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Oh S Kim Y amp Kim Y (2009) Preliminary study o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mily factor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Special Education Research 8(1) 137-161

Pae S Kwak K Kim K amp Kim H (2009) Supporting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survey of mothers and developmental sup-porter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4) 165-184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rk J Park S amp Seok D (2007) Language characteristics in pre-school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2)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5

131-145

Park S (2006) Language abilit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oceedings of the Korean Speech- L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Park S (2009) A longitudinal study of articulation production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89-97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Shin K L Jang Y Kim Y K Lee K J Choi M M Kim H Y Kim O H amp Kim Y H (2004) The method of quality study Focus group Seoul Huynmoon Press

Song M Jee S Cho E amp Lim Y (2008) A study on the parental experience of a foreign mother in a mul-ticultural famil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2) 497-517

Wang H (2007) Another Korean Seoul Kyomun Press

Yang S amp Hwang B (2009) A comparative study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culture familie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37-56

Yoo H Kim H Kim W amp Shin J (2008) Articulation ability and phonological process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Korean Journal of Speech Sciences 15(3) 133-144

The authors wish to thank Youngheon Lee(Saint

Andrewrsquos school DE) amp Ye Rin Jung(Chungnam Univ)

for their unfailing support in organizing interview

data

Page 16: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최소 1년 이상의 언어평 가 및 치료경험이 있는 자로 한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121747-65

62

황상심정옥란(2008) 경상도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13(2) 174-192황상심(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초기 표현어휘 발달과 성차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9(1) 193-209황상심김화수(2008) 다문화환경 조음음운장애아동과 기능

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음운변동 패턴 연구 985172특수

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985173 9(4) 329-348황상심김화수(2009) 다문화에 한 언어치료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985172제1회 한국언어치료학회한국언어청각

임상학회 공동학술 회 논문집985173 구 학교 구

황상심정옥란(2008)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발달과 관련

변인 상관연구 985172언어치료연구985173 17(1) 81-102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3

Received January 20 2012 Final revision received February 24 2012 Accepted March 1 2012

2012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httpwwwkasa1986orkr

ABSTRACT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o Hyun ParkMyoung sim Jungsect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Korea

sect Correspondence to

Myoung sim Jung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99 Daehangno Yuseong-gu Daejeon Koreae-mail bogamihanmailnet tel +82 10 2990 5002

Background amp Objectives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been increasing for yearsin Korea increased attention has been given to childrenrsquos language development Recent researchhas revealed language problem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research specifically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these problems are due to language differences or language difficulties is lack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between children with simple language disorders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In-depth interviewing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Seve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who had been working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ll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Four primary themes and seven subthemes emerged fromthe analysis 1) speech and language evalu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2)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3)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4)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for SLPs who work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scussion amp Conclusion The results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themes defined in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in reference to otherrelated literatur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presented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Key Words multicultural families bilingual speech-language evaluation speech-language intervention language development consultant at-risk children

REFERENCES

Ahn S amp Shin Y (2008) A comparative study of multi-ultural background childrenrsquos and low-income childrenrsquos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4) 81-94

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hang H Shin M Jeon H amp Kim H (2011) A study on disfluenc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mothersrsquo nationali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20(1) 17-29

Chang Y Lee K Kwak K amp Sung H (2003) Relations of maternal linguistic inputs to lexical development of Korean infant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

chology 16(4) 227-241

Choi Y (2007) Narrative abilities of Korean children with and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64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Hwang S (2010) Early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and gender difference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9(1) 193-209

Hwang S amp Jeong O (2008)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3(2) 174-192

Hwang S amp Kim H (2009) A survey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ervice deliver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oceedings of the 1st Korean Speech- 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Collaboration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Hwang S amp Kim W (2008) A study on the phonological process patterns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problem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gricultural Area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9(4) 329-348

Jeong E (2004) A study on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environment of children from internationally married couple living in an agricultural villag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3(3) 33-52

Jeong H Yoo J amp Lee J (2007)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youth Paju Yoangseowon Press

Jun H Pae S amp Kwak K (2008) Practices and meanings of immigrant mothersrsquo support for childrenrsquos education Cases of mothers from the Philippines and Japan The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20(3) 161-186

Jung H (2007)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mixed ethnic children Focused on the marriage of Korean man with Asian woman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im W (2009) A new light on models of SLPrsquos role in a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8(4) 185-209

Kim Y (2002)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Seoul Hakji Press

Kim Y (2007) Literature review regarding validity of the dynamic assessment applied in lexical learning ability measures for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3) 59-77

Kim Y Kim K Yoon H amp Kim H (2003)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Seoul Paradise Welfare Foundation

Kim Y Seong T amp Lee Y (2003) Preschool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Ko U (2006) The criteria for value and empirical meaning of mother tongue in case of parents of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5(3) 165-184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Kwon S (2006)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in generative naming for children of multi-culture family and children of ordinary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Lee E amp Kim Y (2010) A literature review of bilingual study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2009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9(2) 73-90

Lee J (2007) A study of childcare and education fathersrsquo childcare participatio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6) 21-42

Lee M Kim C amp Ko M (2004)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Seoul Koonja Press

Lee S Shin J Kim H amp Kim W (2008) A study on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3) 95-115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Statu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vailable from httpwwwmestgok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mp Family (2012)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guidance Available from httpmogef gokr

Oh S (2005) A study of achievement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ith data from Mokpo city and adjacent to regions Unpublished doctorrsquos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Oh S (2009) The relations of childrenrsquos linguistic abilities to mothersrsquo personal variables and home environmental stimuli in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Oh S Kim Y amp Kim Y (2009) Preliminary study o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mily factor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Special Education Research 8(1) 137-161

Pae S Kwak K Kim K amp Kim H (2009) Supporting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survey of mothers and developmental sup-porter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4) 165-184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rk J Park S amp Seok D (2007) Language characteristics in pre-school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2)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5

131-145

Park S (2006) Language abilit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oceedings of the Korean Speech- L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Park S (2009) A longitudinal study of articulation production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89-97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Shin K L Jang Y Kim Y K Lee K J Choi M M Kim H Y Kim O H amp Kim Y H (2004) The method of quality study Focus group Seoul Huynmoon Press

Song M Jee S Cho E amp Lim Y (2008) A study on the parental experience of a foreign mother in a mul-ticultural famil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2) 497-517

Wang H (2007) Another Korean Seoul Kyomun Press

Yang S amp Hwang B (2009) A comparative study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culture familie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37-56

Yoo H Kim H Kim W amp Shin J (2008) Articulation ability and phonological process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Korean Journal of Speech Sciences 15(3) 133-144

The authors wish to thank Youngheon Lee(Saint

Andrewrsquos school DE) amp Ye Rin Jung(Chungnam Univ)

for their unfailing support in organizing interview

data

Page 17: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최소 1년 이상의 언어평 가 및 치료경험이 있는 자로 한다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3

Received January 20 2012 Final revision received February 24 2012 Accepted March 1 2012

2012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httpwwwkasa1986orkr

ABSTRACT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o Hyun ParkMyoung sim Jungsect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Korea

sect Correspondence to

Myoung sim Jung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Chungnam University 99 Daehangno Yuseong-gu Daejeon Koreae-mail bogamihanmailnet tel +82 10 2990 5002

Background amp Objectives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been increasing for yearsin Korea increased attention has been given to childrenrsquos language development Recent researchhas revealed language problem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research specifically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these problems are due to language differences or language difficulties is lack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between children with simple language disorders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In-depth interviewing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Seve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who had been working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ll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Four primary themes and seven subthemes emerged fromthe analysis 1) speech and language evalu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2)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3)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4)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for SLPs who work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scussion amp Conclusion The results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themes defined in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in reference to otherrelated literatur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presented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Key Words multicultural families bilingual speech-language evaluation speech-language intervention language development consultant at-risk children

REFERENCES

Ahn S amp Shin Y (2008) A comparative study of multi-ultural background childrenrsquos and low-income childrenrsquos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4) 81-94

Bedore L M amp Pentildea E D (2008) Assessment of bilingual children for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Curr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1(1) 1-29

Chang H Shin M Jeon H amp Kim H (2011) A study on disfluenc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mothersrsquo nationali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20(1) 17-29

Chang Y Lee K Kwak K amp Sung H (2003) Relations of maternal linguistic inputs to lexical development of Korean infant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

chology 16(4) 227-241

Choi Y (2007) Narrative abilities of Korean children with and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Cooper C R Jackson J F Azmitia M Lopez E M amp Dunbar N (1995) Bridging students multipleworlds African american amp latino youth in academic outreach programs In R F Macias amp R G Garica Ramos (Eds) Changing schools for changing students An anthology of research on language minorities (pp 211-234) Santa Barbar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Linguistic Minority Research Institute

Deponio P Landon J Mullin K amp Reid G (2000) An audit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identifying and assessing bilingual learners suspected of being dyslexic A Scottish study Dyslexia 6(1) 29-41

Fabiano-Smith L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64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Hwang S (2010) Early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and gender difference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9(1) 193-209

Hwang S amp Jeong O (2008)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3(2) 174-192

Hwang S amp Kim H (2009) A survey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ervice deliver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oceedings of the 1st Korean Speech- 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Collaboration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Hwang S amp Kim W (2008) A study on the phonological process patterns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problem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gricultural Area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9(4) 329-348

Jeong E (2004) A study on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environment of children from internationally married couple living in an agricultural villag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3(3) 33-52

Jeong H Yoo J amp Lee J (2007)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youth Paju Yoangseowon Press

Jun H Pae S amp Kwak K (2008) Practices and meanings of immigrant mothersrsquo support for childrenrsquos education Cases of mothers from the Philippines and Japan The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20(3) 161-186

Jung H (2007)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mixed ethnic children Focused on the marriage of Korean man with Asian woman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im W (2009) A new light on models of SLPrsquos role in a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8(4) 185-209

Kim Y (2002)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Seoul Hakji Press

Kim Y (2007) Literature review regarding validity of the dynamic assessment applied in lexical learning ability measures for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3) 59-77

Kim Y Kim K Yoon H amp Kim H (2003)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Seoul Paradise Welfare Foundation

Kim Y Seong T amp Lee Y (2003) Preschool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Ko U (2006) The criteria for value and empirical meaning of mother tongue in case of parents of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5(3) 165-184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Kwon S (2006)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in generative naming for children of multi-culture family and children of ordinary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Lee E amp Kim Y (2010) A literature review of bilingual study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2009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9(2) 73-90

Lee J (2007) A study of childcare and education fathersrsquo childcare participatio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6) 21-42

Lee M Kim C amp Ko M (2004)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Seoul Koonja Press

Lee S Shin J Kim H amp Kim W (2008) A study on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3) 95-115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Statu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vailable from httpwwwmestgok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mp Family (2012)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guidance Available from httpmogef gokr

Oh S (2005) A study of achievement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ith data from Mokpo city and adjacent to regions Unpublished doctorrsquos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Oh S (2009) The relations of childrenrsquos linguistic abilities to mothersrsquo personal variables and home environmental stimuli in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Oh S Kim Y amp Kim Y (2009) Preliminary study o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mily factor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Special Education Research 8(1) 137-161

Pae S Kwak K Kim K amp Kim H (2009) Supporting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survey of mothers and developmental sup-porter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4) 165-184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rk J Park S amp Seok D (2007) Language characteristics in pre-school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2)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5

131-145

Park S (2006) Language abilit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oceedings of the Korean Speech- L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Park S (2009) A longitudinal study of articulation production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89-97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Shin K L Jang Y Kim Y K Lee K J Choi M M Kim H Y Kim O H amp Kim Y H (2004) The method of quality study Focus group Seoul Huynmoon Press

Song M Jee S Cho E amp Lim Y (2008) A study on the parental experience of a foreign mother in a mul-ticultural famil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2) 497-517

Wang H (2007) Another Korean Seoul Kyomun Press

Yang S amp Hwang B (2009) A comparative study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culture familie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37-56

Yoo H Kim H Kim W amp Shin J (2008) Articulation ability and phonological process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Korean Journal of Speech Sciences 15(3) 133-144

The authors wish to thank Youngheon Lee(Saint

Andrewrsquos school DE) amp Ye Rin Jung(Chungnam Univ)

for their unfailing support in organizing interview

data

Page 18: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최소 1년 이상의 언어평 가 및 치료경험이 있는 자로 한다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21747-65

64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66-77

Horton-Ikard R Muntildeoz M L (2010)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in communication dciences a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7 167-173

Hwang S (2010) Early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and gender difference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9(1) 193-209

Hwang S amp Jeong O (2008)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3(2) 174-192

Hwang S amp Kim H (2009) A survey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ervice deliver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oceedings of the 1st Korean Speech- 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Collaboration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Hwang S amp Kim W (2008) A study on the phonological process patterns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problem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gricultural Area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9(4) 329-348

Jeong E (2004) A study on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environment of children from internationally married couple living in an agricultural villag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3(3) 33-52

Jeong H Yoo J amp Lee J (2007)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youth Paju Yoangseowon Press

Jun H Pae S amp Kwak K (2008) Practices and meanings of immigrant mothersrsquo support for childrenrsquos education Cases of mothers from the Philippines and Japan The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20(3) 161-186

Jung H (2007)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mixed ethnic children Focused on the marriage of Korean man with Asian woman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im W (2009) A new light on models of SLPrsquos role in a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8(4) 185-209

Kim Y (2002)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Seoul Hakji Press

Kim Y (2007) Literature review regarding validity of the dynamic assessment applied in lexical learning ability measures for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3) 59-77

Kim Y Kim K Yoon H amp Kim H (2003)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Seoul Paradise Welfare Foundation

Kim Y Seong T amp Lee Y (2003) Preschool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Ko U (2006) The criteria for value and empirical meaning of mother tongue in case of parents of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5(3) 165-184

Kritikos E P (2003) Speech-Language Pathologistsrsquos beliefs about language assessment of bilingualbicultural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73-91

Kwon S (2006)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in generative naming for children of multi-culture family and children of ordinary family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Lee E amp Kim Y (2010) A literature review of bilingual study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2009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9(2) 73-90

Lee J (2007) A study of childcare and education fathersrsquo childcare participatio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6) 21-42

Lee M Kim C amp Ko M (2004)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Seoul Koonja Press

Lee S Shin J Kim H amp Kim W (2008) A study on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7(3) 95-115

Marshall J Stojanovik V amp Ralph S (2002) lsquoI never even gave it a second thoughtrsquo PGCE studentsrsquo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4) 475-48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Statu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vailable from httpwwwmestgok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mp Family (2012)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guidance Available from httpmogef gokr

Oh S (2005) A study of achievement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ith data from Mokpo city and adjacent to regions Unpublished doctorrsquos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Oh S (2009) The relations of childrenrsquos linguistic abilities to mothersrsquo personal variables and home environmental stimuli in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masterrsquo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Oh S Kim Y amp Kim Y (2009) Preliminary study o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mily factor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Special Education Research 8(1) 137-161

Pae S Kwak K Kim K amp Kim H (2009) Supporting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survey of mothers and developmental sup-porter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4) 165-184

Park J amp Turnbull A P (2001) Quality of partnerships in service provision for Korean America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inquiry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6(3) 158-170

Park J Park S amp Seok D (2007) Language characteristics in pre-school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6(2)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5

131-145

Park S (2006) Language abilit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oceedings of the Korean Speech- L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Park S (2009) A longitudinal study of articulation production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89-97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Shin K L Jang Y Kim Y K Lee K J Choi M M Kim H Y Kim O H amp Kim Y H (2004) The method of quality study Focus group Seoul Huynmoon Press

Song M Jee S Cho E amp Lim Y (2008) A study on the parental experience of a foreign mother in a mul-ticultural famil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2) 497-517

Wang H (2007) Another Korean Seoul Kyomun Press

Yang S amp Hwang B (2009) A comparative study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culture familie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37-56

Yoo H Kim H Kim W amp Shin J (2008) Articulation ability and phonological process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Korean Journal of Speech Sciences 15(3) 133-144

The authors wish to thank Youngheon Lee(Saint

Andrewrsquos school DE) amp Ye Rin Jung(Chungnam Univ)

for their unfailing support in organizing interview

data

Page 19: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최소 1년 이상의 언어평 가 및 치료경험이 있는 자로 한다

Park amp Jung A Qualitative Study on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65

131-145

Park S (2006) Language abilit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oceedings of the Korean Speech- Language and Hearing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Daegu University Daegu

Park S (2009) A longitudinal study of articulation production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89-97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3rd ed) St Louis MO Mosby

Shin K L Jang Y Kim Y K Lee K J Choi M M Kim H Y Kim O H amp Kim Y H (2004) The method of quality study Focus group Seoul Huynmoon Press

Song M Jee S Cho E amp Lim Y (2008) A study on the parental experience of a foreign mother in a mul-ticultural famil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2) 497-517

Wang H (2007) Another Korean Seoul Kyomun Press

Yang S amp Hwang B (2009) A comparative study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culture familie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1) 37-56

Yoo H Kim H Kim W amp Shin J (2008) Articulation ability and phonological process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Korean Journal of Speech Sciences 15(3) 133-144

The authors wish to thank Youngheon Lee(Saint

Andrewrsquos school DE) amp Ye Rin Jung(Chungnam Univ)

for their unfailing support in organizing interview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