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29
- 349 - 韓國敎員敎育硏究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008. Vol.25, No.3, pp.349-377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과목 강의운영 실태 분석 개선과제 연구*An Analysis of the Content and Improvement Strategies of 'Educational Technology' Course I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이 미 자(광주교육대학교 교수)** 본 연구는 국내 초등예비교사양성기관의 교육학분야 교육공학과목 강의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개선과제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분석연구를 중심으로 하고 설문연구로 보완하였다. 문헌연구 자료는 1) 11개 교육대학교 2008년 강의계획서, 2) 초등예비교사교육 프로그램 개선 국가 프로젝트 연구보고서, 3) 교육공학 관련 학술지 논 문 등이었다. 강의운영 실태 분석 영역은 교육활동의 기본 네 가지 중심 요소, 즉 교육목 ,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였다. 강의운영현황을 각 영역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세 가지 공통적인 실태가 종합되었다. 우선, 예비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과목 강의운영 현황은 네 가지 영역별로 개별 학교 간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초등 현장과의 실제적 연계성이 상당히 부족한 상태로 운 영되고 있었다. 동시에 강의계획 및 학습안내 자료로서 강의계획서 자체의 체계성과 구체 성이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무엇보다 먼저 표준교 육과정, 표준강의안, 공동강의교재 개발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교육공학과목 운영의 실천적인 연계성 향상을 위해 초등현장 변화 및 요구분석을 하고 이를 강의요목 및 내용에 반영할 것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강의계획서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설계 이론 적용을 제안하였다. 주제어: 초등교사양성교육, 교육공학, 강의운영 * 본 연구는 2007년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학술연구비 지원으로 연구되었음. ** [email protected] *** 원고접수(08.10.29). 심사(08.12.15). 수정완료(08.12.18).

Upload: others

Post on 23-Oct-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 349 -

韓國敎員敎育硏究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2008. Vol.25, No.3, pp.349-377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과목 강의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과제 연구*1)

An Analysis of the Content and Improvement Strategies of

'Educational Technology' Course I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이 미 자( 주교육 학교 교수)**

요 약

본 연구는 국내 초등예비교사양성기관의 교육학분야 ‘교육공학’과목 강의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개선과제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분석연구를 중심으로

하고 설문연구로 보완하였다. 문헌연구 자료는 1) 11개 교육대학교 2008년 강의계획서, 2)

초등예비교사교육 프로그램 개선 국가 프로젝트 연구보고서, 3) 교육공학 관련 학술지 논

문 등이었다. 강의운영 실태 분석 영역은 교육활동의 기본 네 가지 중심 요소, 즉 교육목

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였다.

강의운영현황을 각 영역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세 가지 공통적인 실태가 종합되었다.

우선, 예비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과목 강의운영 현황은 네 가지 영역별로 개별 학교 간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초등 현장과의 실제적 연계성이 상당히 부족한 상태로 운

영되고 있었다. 동시에 강의계획 및 학습안내 자료로서 강의계획서 자체의 체계성과 구체

성이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무엇보다 먼저 표준교

육과정, 표준강의안, 공동강의교재 개발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교육공학과목

운영의 실천적인 연계성 향상을 위해 초등현장 변화 및 요구분석을 하고 이를 강의요목

및 내용에 반영할 것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강의계획서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설계

이론 적용을 제안하였다.

주제어: 등교사양성교육, 교육공학, 강의운

* 본 연구는 2007년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학술연구비 지원으로 연구되었음.

** [email protected]

*** 원고접수(08.10.29). 심사(08.12.15). 수정완료(08.12.18).

Page 2: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350 -

Ⅰ. 연구 필요성 연구목

1. 연구 필요성

세계 각 국가들은 국가의 미래를 좌우하는 최우선 과제로 교육개 을 추진하고 있다(서

범석, 2003; 최희선, 2003). 교육개 을 해서는 교육 반 인 측면 개 이 동시에 필요하

겠지만 특히, 한 국가의 교육개 의 출발 은 그 나라의 기본교육이고 기 교육인 등교

육의 개 부터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능가 할 수 없고 교

사의 질은 교사교육의 질을 능가 할 수 없다”는 것을 되새겨 볼 때, 교육개 은 교사교육

을 담당하는 양성기 에서부터 제 로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그동안 등교사양성을 한

교육 학의 교육개선은 주로 건물 시설 확충 등의 하드웨어 심으로 진행되어왔다(교

육인 자원부, 2003). 교육 학의 교육의 질 개선을 해 이러한 하드웨어 개선도 필요하지

만 더 근본 인 개선과제들 하나는 실질 인 교육과정과 로그램 개선일 것이다.

이러한 필요에 의해 교육인 자원부(교육인 자원부 2003, 2004, 2005, 2006)는 등교육

과 등교사양성 질 개선을 해 2003년부터 2006년까지 4년에 걸쳐 등 비교사교육에

한 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교육과정에 용할 수 있도록 “교사교육 로그램개발”이라

는 형 로젝트를 운 하 다. 이 로젝트는 40억원 산을 투입하여 등교사양성기

교수들 심으로 총 130 여개의 다양한 학교운 강의과목 개선 연구와 실제 로그램

개발을 지원하 다.

특히, 교직이론 과목 로그램 개선을 해 부분의 교육학 과목에 한 실제 강의 운

실태를 검하고 개선을 한 구체 인 연구결과물(표 교육과정안, 표 강의계획안,

공동강의교재)들을 만들어 내었다. 그리고 연구결과로 개발한 이러한 표 로그램들을

재 11개 교육 학에서 부분 용하고 있다. 그러나 당시 교육공학과목은 교육학과목

개선 로그램 연구주제로 지정되지 않아 련 연구가 이루어 지지 못하 다.

다른 한편, 속도로 변화하는 사회는 능동 이고 창의 인 인재양성을 요구하고 따

라서 이러한 학습자들을 길러내기 해 수업방법의 변화가 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한

공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학교교육에 여러 가지 첨단 매체들이 활발하게 보 되었고 이러

한 매체들을 효과 으로 활용하는 수업능력을 기르기 한 비교사교육의 필요성이 더욱

높아졌다. 선행 연구들(AECT, 1994; Seels & Richey, 1994)의하면, 교육공학이 바로 이러한

변화하는 수업의 방법과 자원들을 체계 인 이론과 실제를 근간으로 설계, 개발, 활용,

Page 3: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등교사양성기 의 ‘교육공학’과목 강의운 실태 분석 개선과제 연구

- 351 -

리, 평가 학문 역이다. 그러므로 등 비교사양성교육에 교육공학 교육의 요성은 과거

어느 때 보다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등 비교사양성 로그램 개선과 련한 교육공학 강의운 련 직 인 연

구는 최근까지 이루어 지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 미, 양용칠(2005)과 허희옥

(2006)의 연구에 의하며 지 까지 국내 교육공학 학문 분야에 지난 20 여 년 동안 무려

700 여 편의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나 부분 교수설계 역, 매체와 학습자 특성 연계성, 정

보화시 새로운 매체 용 방안 실태 연구들이었다. 아주 최근 들어 이미자(2004)와 설

양환(2007)은 등교사양성과 교육공학 련 연구를 하 으나 이 두 연구도 연구내용(교육

과정)과 연구범 (특정 학)가 제한 이라 등교사양성기 의 로그램 질 개선을 해

실질 인 방향을 제시하기에는 상당한 한계가 있다.

등 비교사양성교육을 한 반 인 로그램 개선 로젝트에 그동안 외가 되었

던 교육공학 과목 검토요구와 동시에 시 여건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교육공학교육 자

체 개선 필요성이 어느 때 보다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시 에 교육공학 로그램 질

개선을 한 기 연구로 재의 교육공학 실제 강의운 에 한 실태를 악하고 문제

개선 과제를 도출해 내는 연구가 실히 필요하다.

2. 연구 목 연구 내용

본 연구는 등 비교사교육에 교육공학교육 개선을 해 궁극 으로 필요한 효과 인

로그램 개발 실제 용을 한 기 연구로서 교육 학교 ‘교육공학’과목의 재 강의

운 실태를 분석하고 문제 을 악하며 실제 개선방향을 마련하고자 하 다. 구체 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교육 학교 교육학과정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 황을 비교 분석한다.

나. 교육 학교 교육학과정의 ‘교육공학’과목 강의운 황 문제 을 종합한다.

다. 교육 학교 교육학과정에 ‘교육공학’과목 강의운 황 개선방향을 제시한다.

Page 4: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352 -

Ⅱ. 이론 배경

1. 등교사양성 로그램 개선 노력

가. ‘교사교육 로그램개발’ 로젝트를 통한 개선

1) 로젝트 목 , 기간, 규모

교육인 자원부(2003, 2004, 2005, 2006)는 한국의 등교육과 등 비교사교육의 발 을

해 2003년부터 2006년까지 4년에 걸쳐 교사교육에 한 로그램을 검토개발하고 이를

교육 학 교육과정에 용할 수 있도록 ‘교사교육 로그램개발’이라는 형 로젝트를 운

하 다. 이 로젝트의 다양한 연구를 통하여 교육 학교에 실제로 용할 수 있는 로

그램을 개발함으로써 등 비교사교육 뿐만 아니라 등학교 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하여 추진하 다.

2003년부터 연차 으로 등 비교사교육기 교수들을 심으로 로그램 개선방안 마

련, 로그램 개발, 로그램 용 교육 학에 본격 확산 과제들을 포함하여 총 130여

개의 연구 과제를 수행하 다. 4년에 걸쳐 이루어진 이러한 교사교육 로그램개선 로젝

트 지원 비용이 40억 원에 달하 다.

<표 II- 1> 교사교육 로그램 산 과제 수

구 분

연차별 투자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합 계

지원과제 수 18 21 23 67 130과제

지원 산 1,000 950 950 950 3,850(백만원)

출처: http://tep.snue.ac.kr (교사교육 로그램개발 추진기획단, 2006)

2) 로젝트 지원 연구 역

교사교육 로그램개발 지원 연구는 크게 세 가지 역으로 이루어졌다. 우선, 7차교육과

정 기본 편제인 교과교육(국어, 수학, 사회, 과학, 어, 음악, 미술, 체육, 실과, 도덕), 특별

활동, 재량활동 각각 역별로 강의운 에 한 재 실태를 악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하

Page 5: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등교사양성기 의 ‘교육공학’과목 강의운 실태 분석 개선과제 연구

- 353 -

여 실제 개선 로그램을 개발하 다(유 창, 2003; 추병완, 2003; 박인기, 2003; 김재형,

2003; 강호감, 2003). 다음으로 교직이론 과목 로그램 개선을 해 부분의 교육학과목

(교육사 교육철학, 교육상담, 교육과정, 교육행정 학 경 , 교사론, 특수교육)에 한

운 실태 검하고 개선을 한 구체 인 연구결과(강의 로그램 개선안, 강의 방법 개선

안, 강의 교재 개발)들을 만들어 내었다(고재천, 2005; 박성희, 2003; 이 식, 2005; 신상명,

2005). 마지막으로, 교사양성 교육지원 지역 학교와 사회와의 연계를 한 연구( , 교수

-학습 센터 개발 운 , 부설 등학교와의 연계방안, 지역사회와의 연계 방안 등)가 이루

어졌다(설양환, 2003, 2004, 2005; 성병창, 2003, 2004, 2005; 심우엽, 2003, 2004, 2005).

교사교육 로그램 지원으로 부분의 교과교육학 교육학 과목에 한 실제 행 강

의운 실태를 검하고 개선을 한 구체 으로 표 강의안, 표 강의 방법, 강의 교재

개발 등을 개발하 다. 그리고 연구결과로 개발한 표 로그램 강의 교재들을 재

부분의 교육 학에서 활발하게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당시 교육공학과목은 교육학과목

개선 로그램 연구주제로 선정되지 않아 련 연구가 이루어 지지 못하 다.

나. 교사양성 교육법(교원자격검정령) 개정을 통한 개선

교육인 자원부는 등학교 교사자격 취득을 한 무시험검정의 법제화 필요성을 지

하고 법 근거를 마련하 다. 교육인 자원부(2007)에 따르면, 2007년 까지 둥교사와 다

르게 등교사 자격의 경우 자격 취득을 한 무시험검정 기 이 없어 공과목에 한

기본이수과목이 등교원양성기 마다 교육과정 편차를 보이고 있다고 지 하 다.

교육과학기술부(2008)는 이러한 제한 을 반 하여 일정한 자격기 과 기본 공통교육과

정 마련을 해 교원자격검정령을 개정하 다. 2007년 12월 시 으로 우리나라의 교사자격

조건을 규정하는 교육법「교원자격검정령」을 개정하 다. 살펴보면, 학 교사 자격증의

취득을 한 교직과정을 설치하고자 할 때 이수해야할 교직과정의 과목과 학 을 다음<표

II-2>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이 개정된 교원자격검정령에 따르면, 교직과목의 이수기 이 확 (기존 20학 → 22학

)된다. 특히, 교사 자격을 해 이수해야할 교육학 과목 14학 (7과목 이상) 들로 교육개

론, 교육철학 교육사, 교육과정, 교육평가, 교육방법 교육공학, 교육심리, 교육사회, 교

육행정 교육경 , 생활지도 등 9과목을 제시하고 있다.

Page 6: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354 -

<표 II-2> 교직과정 이수과목과 학

구분 정교사(2 ) 교사(2 ) 교사 실기교사

교직

이론

14학 이상(7과목 이상)

-교육개론 -교육철학 교육사

-교육과정 -교육평가

-교육방법 교육공학

-교육심리 -교육사회

-교육행정 교육경

-생활지도 -기타교직이론과목

14학 이상(7과목 이상)

-교육개론 -교육철학 교육사

-교육과정 -교육평가

-교육방법 교육공학

-교육심리 -교육사회

-교육행정 교육경

-생활지도 -기타교직이론과목

4학 이상

(2과목 이상)

-교육학개론

-실기교육방법론

교직

소양

4학 이상

-특수아동의 이해(2학 이상)

재교육 포함

-교직실무(2학 이상)

교육

실습

4학 이상(기존은 2학 )

-학교 장실습(2학 이상)

-교육 사활동(2학 이내 가능)

합계 총 22학 총 10학 총 4학

출처: 교육과학기술부 (2008). p. 61

이와 같이 등교사양성 로그램 개선을 해 국가는 교육법을 개정하고 양성기 별 교

육과정 편차를 최소화하기 한 틀을 마련하 다. 의 교원자격검정령은 비교사를 한

교직이론과목으로 9가지 기본 교육학 과목들을 제시하고 이외에도 ‘기타 교직이론’에 한

과목을 개설할 수 있는 융통성을 주고 있다. 그리고 교사교육을 해 우선 으로 개설이 필

요한 기본 교육학과목들을 제시하고 특히, 교육공학을 교직과목으로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이미자, 2004)와 2008년 재 교육 학들 교육과정운 분석(<표 4>, <표

5> 참조)에 따르면, 재 11개 교육 학교 교육과정운 은 이러한 교원자격검정령의 교직이론

과목 기 으로 볼 때 상당한 거리가 있다. 특히, 교육공학과목은 부분 교육 학(90%)이 선택과목

으로 개설하거나 특정 학은 개설하지 않기도 하 다.

한편, 의 교사자격 무시험 검정령(교육과학기술부, 2008)에 따르면, 이법령은 2009년

신입생부터 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11개 등교사양성기 은 2008년 후반기에 기존 교육

과정을 검토하고 필요한 부분 개정을 해야 한다. 개정교육과정의 교직이론은 교육학과목

7과목 이상 개설해야 한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지 까지 교육 학이 부분 선택과목

으로 운 하는 ‘교육방법 교육공학’ 과목을 개선하고 강화할 수 있는 제도 내용 검

Page 7: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등교사양성기 의 ‘교육공학’과목 강의운 실태 분석 개선과제 연구

- 355 -

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해 특히, 내용 인 개선을 한 기 연구로 재

학별 실제 교육공학 강의 운 실태 악이 우선 으로 필요하다.

2. 교사의 수업능력 개발 필요성과 교육공학 연계성

가. 교사의 업무와 수업능력

교사의 업무(학습지도, 생활지도, 교육 리)역할 에서 가장 요한 것이 학 에서의 학

습지도라고 한다(박한권, 1998, 교육학술정보원, 2004; 서근원 2004). 수업은 교육 목표를 달

성하기 해 학교에서 일어나는 모든 교육활동의 핵심이고 교사들에게 가장 기본 인 업

무이다. 노구 요시히로(한형식 역, 1997) 한 수업은 학교생활 핵이며 교사의 최 업

무라고 하 다. 이성은 외(2002), 신통철 외 (1999), 조 일 (2000)의 연구들도 ‘결국 교사는

수업으로 승부 한다’는 것을 강조하 다. 한 교육학술정보원(2004)은 교사의 업무 련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여 다음<표 II-3>과 같이 통합 으로 정리하 고 여기서도 교사의 핵

심 업무는 학습지도임을 알 수 있다.

직 무 수행업무 수행과제

학습지도

교수-학습 설계

1. 교과 교육과정 운 의 연간, 학기 간 계획 수립하기

2. 학습 목표와 내용에 한 교수 학습 방법 설계하기

3. 평가 계획 세우기 4. 학습 평가 자료 개발하기

5. 학습에 필요한 교수 매체 장비 검하기

교수-학습 실행6. 학습자와 개방 이고 사려 깊게 화하기

7. 다양한 수업환경과 자료를 활용하기

교수-학습 평가8. 학습 평가 수행하기 9. 평가 결과의 피드백과 리하기

10. 수업 과정 결과에 하여 성찰하기

생활지도

생활지도 계획 1. 생활 지도 계획하기 2. 학생 개인 상황 악하기

생활지도 실행3. 학생 생활 지도 상담하기

4. 학생 지도를 해 학부모 문가와 교류하기

교육 리

학 리 1. 학 경 의 효율 리를 한 계획하기 2. 학 운 하기

학교경3. 담당 업무 계획하기

4. 담당 업무 수행 결과 리 활용하기

<표 II-3> 교원 직무 수행활동

Page 8: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356 -

나. 수업능력 개발과 교육공학

의 교사업무에 한 다양한 연구결과들이 강조하듯이 교사업무에서 수업업무 비 이

가장 높고 따라서 비교사교육에서의 수업능력개발의 필요성은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수업(학습지도)능력이란 수업을 체계 으로 설계하고 실천하는 활동으로서 학습목

표와 내용을 선정하고 학습자료 매체들을 갖추어 수업을 개하는 일련의 비 실

행을 하는 교수 학습활동 능력을 말한다.

교육공학은 바로 이러한 교수-학습 방법과 운 능력에 한 이론과 실제를 탐구하는 연

구 역이다. AECT의 교육공학 정의 즉, ‘교육공학(교수공학)은 교수-학습을 한 과정과 자

원의 설계, 개발, 활용, 리, 평가에 한 이론과 실제를 다루는 학문 역이다’(AECT,

1994; Seels & Richey, 1994)도 이러한 교육공학의 역할을 잘 규명해 주고 있다. 다시 말해,

교육공학은 수업의 효과성, 효율성, 매력성을 최 화하기 하여 교수-학습 과정 반에 걸

쳐 필요한 이론과 실제 인 방법에 해 체계 으로 연구하고 구체 인 실천방법들을 실

제 으로 제시해 주는 학문이다. 따라서 교육공학은 비교사들의 수업능력 계발을 직

이고 구체 으로 비시키고 지원해 주기 한 필수 인 교육학과목이다.

3. 등교사양성기 의 교육공학 교육과정 운

11개 교육 학들 10개 학은 교육공학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나 1개 학은 개

설하지 않고 있다. 교육공학과목은 거의 모든 학이 ‘교육공학’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A

학교 경우는 “수업 교육공학”으로 하 다. 학 은 모두 2학 으로 운 하고 있다. 개

설학기는 부분 4학년 1, 2 학기에 이루어지고 있다.

<표 II-4> 교육공학 강의명칭, 학 , 개설학기

구분개설 여부 명칭 학 개설학기

개설 미개설 교육공학 수업 교육공학 2학 2학년 3학년 4학년

학수 10 1 9 1 10 1 2 7

* 11개 교육 학교 교육과정 2008년 6월 기 (단, 제주교육 학은 2008년 3월부터 제주 학

교육 학으로 통합되었음)

교육공학과목을 개설한 거의 모든 교육 학교들은 선택과목형태로 운 하고 있었다. 유

일하게 A교육 학은 2005년부터 교육공학과목을 필수과목으로 운 하고 있었다. 한편, 교

Page 9: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등교사양성기 의 ‘교육공학’과목 강의운 실태 분석 개선과제 연구

- 357 -

육공학 과목 수강 학생 수는 체의 약 36% 정도로 상당히 낮은 편이었다. 특히, 재 선

택과목으로 운 되므로 부분 여러 가지 교육학 선택과목(4-8개) 한 과목으로 일부분의

학생들만 수강하게 되어 많은 등 비교사들은 ‘교육공학’과목을 수강하지 않고 졸

업을 하고 있었다.

<표 II-5> 교육공학 수강학생 수 운 방식

학 A B C D E F G H I J K 계

수강학생/학년학생

520/520

280/600

240/520

260/620

100/520

N/A280/

50070/

520170/

620N/A -

1880/5370

비 율 (100%) (46%) (46%) (42%) (19%) N/A (58%) (13%) (27%) N/A - (36%)

운방식

필수과목 V - 1

선택과목 V V V V V V V V V - 9

* 11개 교육 학교 교육과정 2008년 6월 기

4. 등교사양성과 교육공학 선행연구

가. 선행 연구

지 까지 등교사양성과 교육공학 로그램 질 개선 연구는 실질 으로 이루어지

지 않은 상태이다. 한편, 국내의 교육공학분야 연구는 교육 장의 시 인 역할 필요에 따

라 상당히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교육공학분야 연구자들이 활동하는 두 학회, ‘한국교

육공학회’와 ‘교육정보미디어학회’는 회원수가 복 회원을 감안하더라도 각각 300여 명에

이르고 년 2회 학술 회 년 4회 연구지 발행을 하고 있다. 따라서 연간 연구물은 100

여 편이며 학술지 게제 연구만도 최소한 60 여 편에 달한다.

최근 교육공학 분야의 이러한 방 한 양의 연구물들의 일반 인 동향 분석 향후 연

구 지향 을 제시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졌다(정 미, 양용칠, 2005; 허희옥, 2006). 설양환

(2007) 한 두 선행 연구자들의 연구를 인용하여 그동안의 교육공학 련 연구를 연구 역

측면과 연구방법 측면으로 정리하 다. 이들의 연구를 보면 지 까지 지난 20여년 동안 이

루어진 방 한 교육공학분야 연구물들 등교사양성 로그램과 련한 교육공학 교육

과정 연구는 거의 이루어 지지 않았다.

한편, 등교사양성기 의 교육공학과목 강화의 필요성 교육공학과목에서 교육 학

학생들은 무엇을 배우게 되는지 질 연구가 이루어졌다(이미자, 2004; 설양환, 2007). 그러

Page 10: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358 -

나 이 두 연구 한 강의 개선을 해 실질 인 방안을 제시하기에는 연구내용(교육과정개

정) 연구 상 범 (특정 학한정)에 상당한 한계가 있다. 특히, 이미자(2004)의 연구는

교육공학과목을 재 선택에서 필수과목으로 조정되어야 함을 강조하 다. 그러나 이러한

방안은 제도개정을 통해서만 실 할 수 있다. 무엇보다 교육과정 개정은 학 체 인 교

육과정 조율과 구성원의 합의를 얻어야 하는 상당히 역학 인 과정이고 한 학의 자율

인 권한이므로 실 가능성이 상 으로 낮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교육과정 개정 보다

는 개별 강의운 의 실질 인 질 개선을 한 노력이 더 실 으로 의미가 있을 것이다.

나. 시사 본 연구의 필요성

지 까지 등교사교육 로그램 개선을 한 노력으로 교육인 자원부 주도 으로 교교

사교육 로그램개발 로젝트를 운 하고 교과교육 교육학과목 운 에 한 다양한 개

선연구들이 이루어졌으나 교육공학분야 로그램 개선 개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 교육공학 련 연구자들의 선행연구 분석결과도 등교사양성과 교육공학과

목 강의 운 의 실제를 볼 수 있는 련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 음을 알 수 있다.

한편, 2008년 등학교 교사자격 취득 한 무시험검정기 (교육과학기술부, 2008)개정에

따라 교육공학과목 개선 필요 여건이 두되고 있다. 동시에 21C 등 장의 수업개선을

한 수업방법 변화 첨단매체 도입 등에 따라 비교사를 한 효과 인 교육공학 교

육의 필요성이 어느 때 보다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 ․제도 여건과 21C 등교실의 교육환경 변화로 비교사양성교육에 교

육공학 교육이 강조되는 이 시 에 교육공학교육을 실질 이고 효과 으로 제공하기 해

반 인 교육공학 로그램 검토 개선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한 기 연구로 교육공

학 실제 강의운 에 한 실태를 악하고 재의 문제 개선 과제를 도출하는 연구

가 우선 이루어져야 한다.

Ⅲ. 연구 방법

1. 문헌 연구

가. 문헌연구 자료

문헌수집 분석 시기는 2008년 1-6월 기간이었다. 검색키워드는 등 비교사교육, 교

Page 11: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등교사양성기 의 ‘교육공학’과목 강의운 실태 분석 개선과제 연구

- 359 -

육공학, 강의운 황, 교사교육 로그램 등이었다. 연구 보고서, 학술지논문, 학 논문 등

을 통하여 교사양성 교육공학 련 선행 연구 자료를 모았다. 한 11개 교육 학교

2008년 1학기 교육공학 강의계획서를 수합하 다. 강의계획서는 화 이메일 연락으로

담당 교수님들의 동의를 얻고 직 제공해 강의계획서를 수합하 다. 일부(2개 학)는

학 홈페이지에 공개 탑재한 교육과정 강의계획서를 다운받아 사용하 다.

나. 분석 상 학

최종 10개 교육 학 강의 계획서를 분석 상으로 선정하 다. 11개 교육 학 1개 특

정 학은 교육학과에 ‘교육공학’ 공교수가 없고 교육공학 과목이 3년 연속 개설되지 않

아 다른 10개 학과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특수한 상황으로 이 학은 상

호비교분석에서 제외하 다. 한편, 이화여자 학교와 교원 학교 등교육과는 교육과정 운

에 있어서 11개 교육 학과의 연계 운 보다는 해당 학 자체 으로 운 하는 경향이

높으므로 본 연구의 자료수합 상에 포함하지 않았다.

다. 분석 역 분석내용

분석 역은 교육활동의 기본 네 가지 역: 1) 교육목표, 2) 교육내용, 3) 교육방법, 4) 평

가방법으로 하 다. 구체 분석 역과 분석내용은 <표 III-1>과 같다.

<표 III-1> 분석 역 분석내용

분석 역 분 석 내 용

교육목표- 강의목표가 무엇인가?- 강의목표는 어떠한 역의 내용을 제시하는가?

교육내용- 강의내용은 무엇인가?- 강의내용들의 비 은 어느 정도인가?- 강의교재는 무엇을 사용하는가?

교육방법- 강의는 어떠한 강의방법들로 운 하는가?- 강의방법들의 비 은 어느 정도인가?

평가방법- 평가는 어떠한 역을 평가하는가?- 평가 역들의 비 은 어느 정도인가?- 평가 과제물 유형과 내용은 무엇인가?

2. 조사 연구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기 해 강의계획서 련 보충 설문조사를 하 다. 즉, 강의계획서

Page 12: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360 -

와 실제 강의운 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강의계획서와 실제 강의운 련 신뢰성을

확보하기 해 두 가지를 조사하 다. 설문은 이메일을 통해 제시하고 회수하 다. 회수율

은 80% 다.

<표 III-2> 강의계획서 련 설문 내용

설문 역 설 문 문 항

강의계획서와 강의

일치 여부강의계획서와 실제 강의운 의 일치는 어느 정도 입니까?

강의계획서에 따른

강의운 평가 여부

교수강의평가에 강의계획서에 따라 강의가 충실히 운 되었는지에

한 평가문항이 있습니까?

Ⅳ. 연구 결과

1. 강의계획서의 신뢰성

설문조사결과 강의계획서와 실제 강의운 의 일치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5단계

척도에서 4.5). 한 수강학생들의 교수강의평가에 강의계획서에 따른 강의운 을 평가하는

항목이 있는지에 해 응답한 모든 상 학이 있다고 응답하 다(100%). 두 가지 설문

결과로 볼 때 강의계획서로 교육 학교별 교육공학 실제 강의운 (목표, 내용, 방법, 평가)

황을 악하는 것은 신뢰성이 충분히 뒷받침되었다고 볼 수 있다.

<표 IV-1> 강의계획서 련 설문 내용

설문 역 A B C D E F G H I J 총

강의계획서와

강의일치여부

5단계

척 도5 5 4 5 3 5 4 5 4.5

% 95% 95% 85% 90% 65% 90% 85% 90% 87%

강의계획서에 따른 강의

운 강의평가 여부V V V V V V V V 100%

* 5단계척도(1-5: 숫자가 클수록 일치도가 높은 단계)

Page 13: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등교사양성기 의 ‘교육공학’과목 강의운 실태 분석 개선과제 연구

- 361 -

2. 강의운 에 한 결과

가. 강의목표 분석

1) 강의목표 내용

10개 교육 학별로 교육공학 과목의 강의목표는 F 학의 경우를 제외하고 체로 일

성을 보 다. 강의목표는 주로 “체계 인 수업설계”와 “수업자료 매체 통합 용방

법”에 한 이론과 실제 용이 주를 이루었다. F 학 경우 등학교 방송실운 내용을

체 목표로 제시하 다. 특히, B 학은 어강의를 운 하고 강의 목표를 어로 제시하

으나 내용은 다른 학들과 일 성을 유지하고 있다.

<표 IV-2> 강의목표

학 강 의 내 용

A수업의 효과성, 효율성,매력성을 높이기 해 다양한 수업방법들을 알고 시청각 매체 활용

원리를 이해하여 등학교 수업에 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B

You will be able to utilize major instructional media in elementary school effectively and

efficiently, including visual messages, real objects, specimen, model, black/whiteboard,

electronic board, cartoon, fieldtrip, beam projector, document camera, Powerpoint materials,

audio, video, ICT etc.

C

1. 수업 설계를 체제 으로 할 수 있다.

2. 교수 매체의 유형 특성을 이해하고 용할 수 있다.

3. 한 수업을 할 수 있는 태도를 기른다.

D

1. 교육공학에 한 이론을 요약설명할 수 있다.

2. 체제 근방법에 따라 수업을 설계하고, 매체를 선택,제작, 활용할 수 있다.

3. 교육공학 수업을 선호한다.

E교육공학의 기 와 탐구 역을 살펴보고 다양한 교육목 에 합한 교육방법의 탐구와 그

용을 한 태도를 기른다.

F

1. 표상형식의 한 종류로서 비디오 이미지의 요성을 이해한다.

2. 등학교 TV방송실의 구조를 이해한다. 3. 등학교 TV방송실을 운 하는 방법을 익힌다.

4. 컴퓨터를 이용하여 비디오를 편집하는 방법을 익힌다. 5. 간단한 방송물(작품)을 제작한다.

G

1. 교육공학의 정의, 기본원리 모형 등을 이해할 수 있다.

2. 체제 수업설계모형을 활용하여 효과 이고 매력 인 단 수업을 창출할 수 있다.

3. 다양한 공학을 효과 인 수업 원리 매체 특성에 따라 단 수업에 히 통합할 수 있다.

H

본 과정은 교육공학의 개념과 련 이론들을 이해하고, 교육공학의 최신 과 동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 으로 한다. 특히 교육공학의 핵심 이론과 원리를 등학교 교실수업에 효과 으로

용하여 등학교의 수업 체제를 설계할 수 있는 역량 개발하는 것에 을 둔다.

I

이 과목은 교육공학의 이론과 연구들을 반 으로 개 하면서 이를 실제 교수개발을 통해

수행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실제 장에서 가르칠 때 용할 수 있는 교육공학 기술과

원리를 습득하고 이를 수행해 으로써 교육공학의 역할과 가능성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J 교육공학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능력을 기른다

Page 14: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362 -

2) 강의목표 역

10개 교육 학의 교육공학 수업목표를 좀 더 세부 으로 분석한 결과 크게 세 가지

역으로 구분 할 수 있었다: 1) 이론이해, 2) 이론 용 실습, 3) 태도. 학들은 3가지

역 목표들 부분 두 가지(이론이해와 용)를 통합 으로 제시하 다. 태도 역의 목표

를 제시한 학은 2개 학 경우만 있었다. 한편, ‘이론이해’ 목표를 기능 태도에 비해

으로 많이(61%) 제시하고 있었다.

<표 IV-3> 강의목표 역

역 수업목표 핵심 요소 학 수 비

이 해

교수매체 유형 특성 이해 8

61%체계 수업설계 이론 이해 7

수업모형 방법 이해 2

기 능

( 용, 실습)

체계 인 수업설계 이론 용 수업설계 7

32%교수매체 유형 특성 이해를 기 한 자료 제작 1

방송실 구조, 운 방법 이해 방송물 제작 1

태 도한 수업을 할 수 있는 태도 함양 1

7%수업모형 이해를 근거로 용하는 태도 1

2. 강의내용 분석

가. 강의내용 종류와 빈도 분석

가장 많이 가르치는 강의내용 악을 해 강의요목별 빈도를 조사하 다. 학교별 교

수요목은 상당한 차이를 보 다. 23가지 내용들이 분산되어 있었으며 5개미만 학이 가르

치는 주제도 13가지나 있었다. ‘방송실 운 ’, ‘원격수업 개발’, ‘ 장방문’은 특정 각 개별

학에서만 지도하 다. 한편, 4가지 교육내용 역 ‘이해’ 부분의 교육내용이 75%를 차

지하고 있었다. ‘태도’ 역은 2개 학이 강의목표에 제시하 으나 실제 강의요목에는 별도

로 제시하고 다루지는 않았다.

Page 15: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등교사양성기 의 ‘교육공학’과목 강의운 실태 분석 개선과제 연구

- 363 -

<표 IV-4> 강의요목 빈도

교 육 내 용 학

학수 비A B C D E F G H I J

이해

1 교육, 교육방법, 교육공학 v v v v v v v

7

75%

2 매체선정활용방법(ASSURE) v v v v v v v

3 원격교육 v v v v v v v

4 교육공학과 발 동향, 미래 v v v v v v

6

5 교육용자료/ 매체와 학습자료 v v v v v v

6 학습자료(시각자료) v v v v v v

7 학습자료(청각매체) v v v v v v

8 학습자료(비디오) v v v v v v

9 컴퓨터와 멀티미디어활용 v v v v v v

10 시각 원리 v v v v v

411 수업 수업방법 v v v v

12 온라인학습 /웹 수업/ 이러닝 v v v v

13 교수체제 교수설계 이론 v v v 3

14 등 방송실 이해 운 v v

215 ICT활용 v v

16 교직과교육공학 v v

17 교육공학 심리학 기 v 1

실습

18 교수설계/수업설계 발표 v v v v 4

22%

19 수업시범 발표 v v2

20 기타 과제 토론 발표 v v

21 원격수업 개발 실습 v1

22 등 방송실 운 실습 v

태도 0

장 23 학교 련 장방문 v 1 3%

* 교육내용 제시는 각 역별 빈도수 순

나. 강의내용 시간 비 분석

강의요목별 요도 악을 해 항목별 강의시간 비 을 분석하 다. 교수요목별 강의시

간 비 은 총 2시간부터 14시간 까지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의 교수요목분석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 던 ‘이해’ 역과 일 되게 ‘이해’ 부분의 강의시간 비 이 84%로

으로 높았다. 특이사항은 ‘수업 수업방법’ 과 ‘ 등방송실 운 실습’ 강의시간 비

은 높게 나타났으나 이는 특정 학 만에 한정된 경우 다.

Page 16: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364 -

<표 IV-5> 강의요목별 수업시간 비 (시간 단 수)

교 육 내 용

총 강의시간 학 수총

시간비1시간

미만1-2시간

3시간

이상

이해

1 교육방법,교육공학/공학,매체,학습 1 6 13

84%

2 매체선정 활용(ASSURE) 7 14

3 원격교육 3 4 11

4 교육공학과 발 동향, 미래 6 12

5 교육용자료/ 매체와 학습자료 6 12

6 학습자료(시각자료) 1 5 11

7 학습자료(청각매체) 1 5 11

8 학습자료(비디오) 1 5 11

9 컴퓨터와 멀티미디어 1 5 11

10 시각 원리 4 8

11 수업 수업방법 2 2(6시간) 14

12 온라인학습 /웹 수업/ 이러닝 2 2 6

13 교수체제 교수설계 이론 3 6

14 등 방송실 이해 운 1 1(4시간) 5

15 ICT활용 1 1 3

16 교직과교육공학(수업 회,자료 ) 2 4

17 교육공학 심리학 기 1 2

실습

18 교수설계/수업설계 실기 4 8

15%

19 수업시범 발표 2 4

20 과제 토론 발표 1 2

21 원격수업 개발 실습 1 2

22 등 방송실 운 실습 1(14) 14

태도

장 23 학교 련 장방문 1 2 1%

* 교육내용 제시는 비교를 해 <표 IV-4> 의 순서와 동일하게 제시함

다. 강의교재 분석

10개 학에서 총 6가지 서로 다른 교재를 사용하고 있었다. 특히, 교육공학 어강의를

실시하는 학은 어교재를 사용하고 있었고 강의내용을 방송교육 심으로 하는 학

교재는 일반 교육공학 교재들과는 다른 화 상편집 교재를 사용하고 있었다. 일정한

출 교재 없이 자료집을 사용하는 학도 있었다.

한편, 5개 학이 ‘교육공학과 교수매체’를 강의교재로 사용하고 있었다. 이 교재는 교육

학교 교육공학 담당교수들 심으로 공동 번역한 책(설양환, 권 일, 박인우, 손미, 송상

호, 이미자, 최욱, 홍기칠, 2005)이며 부분 번역자 소속 학 교재로 사용하고 있었다. B

Page 17: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등교사양성기 의 ‘교육공학’과목 강의운 실태 분석 개선과제 연구

- 365 -

학의 어교재 한 번역서 ‘교육공학과 교수매체’의 원서이므로 결국 같은 교재 다.

<표 IV-6> 강의 교재

학 교재 명칭 출 사 계

A 강의 담당자 편집 자료집 1

BSmaldino, S. E., Lowther, D. L., and Russell, J. D. (2007).

Instructional technology and media for learningPrentice Hall 1

C, D, G,

H, J설양환 외 번역(2006). 교육공학과 교수매체,

서울:

아카데미 스. 5

E 변 계. 김 환. 손미(2007). 교육방법 교육공학, 서울: 학지사 1

F 황인선. 디지털 화 상 길라잡이. 서울: 여울미디어. 1

I 박성익 외(2007). 교육공학의 교육공학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1

계 10

3. 강의방법 분석

강의방법도 다양한 10가지(“강의소개” 와 “시험” 포함) 형태로 학별로 상당히 다르게

운 하고 있었다. 강의방법은 “강의”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강의 토론” 비 이 높았

다. 특이 은 강의 방법에 한 구체 인 계획을 강의계획서에 거의 제시하지 않는 경우도

상당히 많았다(<표 IV-7> 에서 N/A로 표기된 부분 참조).

<표 IV-7> 강의 방법 비 (주별 단 )

학도입

(강의소개)강의

강의

토론실습

조사

과제

해결발표

수업

분석온라인 시험 계

A 1 7 4 2 1 2 1 1

15주

(100%)

B 1 9 9 1 1

C 1 13 11 N/A 1 N/A N/A N/A N/A 1

D 1 12 11 11 1

E 1 12 N/A N/A N/A N/A 3 N/A N/A 1

F 1 11 9 1 1

G 1 13 N/A N/A N/A N/A 2 N/A 6 1

H 1 11 11 2 N/A N/A N/A 1

I 1 11 N/A 2 N/A N/A 2 N/A N/A 1

J 1 11 11 N/A N/A N/A N/A N/A N/A 2

계 10122

(52%)

57

(24%)15 1 1

22

(0.9%)1 6 11

* N/A: Not Available: 강의방법을 특별히 제시 하지 않은 경우( 체의 30%)

Page 18: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366 -

학 출 석 과 제 수업참여 시 험 계

A 10 70 20

100

B 100

C 10 40 10 40

D 10 50 40

E 10 50 40

F N/A N/A N/A N/A

G 10 30 60

H 30 20 50

I 10 50 40

J 10 40 50

평균 8% 51% 6% 35% (100%)

4. 평가 방법 분석

가. 평가 방법과 비 분석

평가 역과 비 도 학교별 차이가 많은 편이었다. 일단, 6개의 학은 비 은 다르더라

도 세가지 역(출석, 과제, 시험)을 평가하고 있었다. 그러나 2개 학은 출석과 과제는 반

하되 시험은 반 하지 않았다. 더욱이 1개 학은 과제만으로 100% 평가를 하 다.

시험비 은 0-60%까지 학교별로 편차가 매우 컸다. 과제를 평가에 반 하지만 여 히 시

험을 상당한 비 (40-60%)으로 강조하고 있었다. 평가에 과제도 비 이 높았으나 A, B

학의 특정한 경우(과제 70-100%)를 제외하고 다른 학의 경우 평균 41% : 46% 로 지필시

험의 비 이 더 높게 나타났다.

<표 IV-8> 평가 역과 비 (%)

나. 평가 과제물 분석

과제물의 종류는 지도안작성부터 매체제작 까지 6가지 형태로 학교별로 상당히 다르게

부과하 다. 각 종류별 과제의 구체 인 내용 들은 <표 IV-9>에 제시하 다. 가장 보편

과제는 ‘지도안작성’이었다. 과제해결의 형태는 개인과제가 조별보다 더 일반 이었다.

한편, 과제가 구체 으로 무엇인지, 평가 기 은 어떠한지 강의계획서에 상세히 제시하

는 경우는 2개 학에 불과 하 고 다른 학들은 략 인 제목이나 ‘과제’ 라고만 제시

하 다. 반 으로 과제에 한 안내가 상당히 부족하 다.

Page 19: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등교사양성기 의 ‘교육공학’과목 강의운 실태 분석 개선과제 연구

- 367 -

과 제 유 형학

학수A B C D E F G H I J

과제물

1

지도안 작성

- 학습이론 용 지도안 작성

- 수업모형 용 지도안 작성

- ASSURE 용 수업계획안 작성

V V V V 4

2

보고서

- 기억에 남는 수업 보고서

- 매체분석 보고서(매체특징 활용)

- 시각자료 재구성 보고서

- 강의 주제에 련된 문제 한조사

V V V 3

3

수업분석 수업 시연

- 수업지도안 분석: 수업모형의 용

- 수업분석: 실습 본인수업촬 분석

- ASSURE 용 수업개발 시연

V V 2

4성찰일지 성찰노트

- 주별 강의 내용에 한 성찰일지V V 2

5교재내용 이해 발표

- 교재내용 장르별 이해 발표V 1

6매체 제작

- ASSURE 용 매체제작V 1

과제수 3 2 2 2 - 1 2 - 3 -

방 법개인 2 1 2 1 - - NA - NA -

조별 1 1 - 1 - 1 NA - NA -

<표 IV-9> 과제물 유형, 내용, 수, 방법

Ⅴ. 문제 논의 개선 과제

본 연구 분석 결과를 기 로 행 교육 학의 교육공학 강의 운 황의 문제 을 악

하고 시사 개선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강의운 실태에서 분석한 네 가지 항목별

황의 문제 은 근본 으로 서로 동일한 원인에서 비롯된 경향이 높다. 따라서 실태분석

항목별 문제 들을 개별 으로 논의하기 보다는 교육공학 강의 운 개선을 한 공통

인 문제 논의와 이를 개선하기 한 시사 을 종합 으로 제시하기로 한다.

Page 20: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368 -

1. 강의운 황의 기본 인 일 성 미흡

가. 문제

교육 학교간 교육공학 과목 운 황은 네 가지 역별로 상호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교육목표는 학 간 상호 공통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제 교육내용(강의요

목 종류, 강의요목별 강의시간 비 , 강의교재), 교육방법(강의운 방법 비 ), 평가방법

(평가 역 종류 비 ) 등의 세부 인 분석 결과를 보면 기본 인 일 성을 유지하기보

다 학별로 상당히 다르게 운 하고 있었다.

우선, 강의내용 측면에서 학별 강의요목이 23가지로 분산되어 있었다. 이 일부

학만이 가르치는 내용도 13가지나 되며 더욱이 한 두 학에서만 가르치는 강의요목도 10

가지 이상으로 상당히 다르게 분포되어 있었다(<표 IV-4> 참조). 강의요목별 강의시간 비

한 2시간부터 14시간으로 차이가 크게 운 하고 있었다(<표 IV-5> 참조). 강의방법은 강

의내용과 평가방법에 비해 차이가 은 편이지만 학교별로 다른 강의활동 방법들(기

능실습, 과제 로젝트 실행, 온라인 학습)을 활용하고 있었다(<표 IV-7> 참조). 마찬가지로

평가부분을 보면, 학교별로 지필시험의 비 이 반 하지 않는 0%부터 60% 정도까지

크게 차이가 나고 과제 반 비 도 낮은 경우는 30%부터 높은 학교는 100%까지 큰 폭으

로 다르게 반 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은 비교사교육에서 개 인 교육목표보다 구체 인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이 실제 교육 내용과 질을 좌우한다는 것을 감안할 때 결과 으로 개별 교육 학 학생들

이 교육공학을 통해 무엇을 어느 정도 학습하게 되는지는 서로 상당히 다르다는 것을 말

해 다. 교육 학교별 교육공학 강의운 의 이러한 차이는 비 등교사양성 학이라는

특수목 학(교육법 , 2007)임을 고려하고 재학생들의 진로가 등교사로서 거의 100%

동일하다는 실을 제로 할 때 교사의 역할로서 심이 되는 수업능력 개발 비가 서

로 많이 다르다는 문제를 래한다.

나. 개선 방향

실제 이러한 교육공학 강의운 황의 기본 인 일 성 부족 문제는 표 교육과정, 표

강의안, 표 교재 개발 필요성을 시사해 다. 비교사교육 학의 여러 과목별 운 실태

선행연구들(강호감, 2006; 고재천, 2005; 김재형, 2006; 박성희, 2003; 박인기, 2006; 이 식,

2005; 신상명, 2005; 추병완, 2006)도 거의 모두 해당 과목 강의운 황의 일 성 부족을

가장 심 문제 으로 지 하 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 개선을 해 표 교육과정, 표

Page 21: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등교사양성기 의 ‘교육공학’과목 강의운 실태 분석 개선과제 연구

- 369 -

강의안, 표 교재 개발을 우선 강조하고 그 후 직 개발을 하여 2007년 이후 부분의

비교사교육 장에서 용운 을 하고 있다.

표 교육과정, 표 강의안, 공동강의교재 개발 등을 통해 학 강의 반을 일치시키는

것은 오히려 학과 교수의 자율성 문성 침해와 필요이상의 구속을 가져올 수 있다

는 지 을 받을 수도 있다. 그 지만 비교사양성 학의 특수목 을 근간으로 최소한의

기본표 안에 한 논의와 합의를 먼 이루고 이를 기 로 각 학별 여건과 요구 그리

고 담당교수의 문 인 단에 따라 조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일 것이다. 등

비교사교육을 한 과목별 표 안 개발의 필요성은 최근에 이루어진 교육 학의 교과별

운 실태 분석에 한 다양한 선행연구들(강호감, 2006; 고재천, 2005; 김재형, 2006; 박성희,

2003; 박인기, 2006; 이 식, 2005; 신상명, 2005; 추병완, 2006)과 기타 련 연구들(정규 ,

2006; 이원희, 2005)에서 공통 으로 설득력을 얻고 있었다.

2. 실천학문으로서의 실질 인 연계성 미흡

교육공학은 련 인 학문 이론과 교육 장 수업맥락을 교수-학습 과정에 연계하는 실천

학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실천 인 특성이 교육 장에 주는 실질 인 역할 기 도 높다. 그

러나 비교사교육기 의 교육공학 재 운 상황은 실천학문으로서의 실질 인 등 장

연계성이 체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 교육목표 교육내용 련 문제

우선, 교육목표 교육내용에서 ‘이론 이해’ 비 이 으로 높아(교육목표의 61%,

교육내용의 75%) 등교사로서의 실질 인 수업능력 개발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강의목

표와 내용을 주로 이론 심으로 운 하므로 등 비교사양성을 하는 교육 학교에서 직

인 실제 수업운 능력 실습 용 교육비 은 상 으로 매우 낮았다(교육내용의

23%미만). 이론 배경에서 살펴본 교사로서 수업능력개발의 요성과 비 을 고려할 때

이론 심 강의운 은 실 으로 등교사의 수업능력 개발을 해 개선되는 것이 바람

직할 것이다.

무엇보다 교육목표 교육내용이 학교별 선정 강의교재에 따라 거의 으로 종

속되어 등 장 연계를 한 목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즉, 강의내용들이 일반 학 ‘교육

공학 공’ 학과의 교육공학개론서나 등교사양성 사범 학 교육공학과목 교재들( , 김신

자, 이인숙, 양 선, 2006; 박성익 외, 2007; 변 계, 김 환, 손미, 2007;이화여자 학교 교육

Page 22: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370 -

공학과, 2004)의 내용과 차별성을 찾기 어려웠다. 그러나 이러한 교재들은 ․ ․고등학

교 교육, 학교육, 기업교육 등 다양한 진로분야 학생 상으로 하는 체 이고 아주 일반

인 교육공학 입문서들이라 등 장 수업에 한 연계 내용을 거의 반 하지 못하고 있

었다. 더욱이 60% 교육 학이 사용하는 외국원서와 번역서 내용은 국내 등 장의 실제

맥락을 제공하기에는 더 큰 한계가 있다. 교육 학에서 사용하는 이러한 번역교재의 문

제는 설양환(2007)의 연구도 지 하 다.

국내 등 장은 최근 교육 정책 으로 는 시 요구에 따라 수업측면에 새로운 변

화를 맞이하고 있다. 우선, 7차교육과정은 등교육에 ICT활용수업(교육인 자원부, 2000;

교육인 자원부, 한국학술정보원, 2002; 고 곤, 2004)을 운 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교

사들은 각 교과별 수업에 10%이상 ICT활용수업을 운 하여야 한다. 한 최근 등학교는

학습자 심의 자기주도 학습을 강조하고 실제 용을 확 해가고 있다( 주교육 학교부

설 등학교, 2003;교육인 자원부, 1999; 이성은 외, 2002; 박숙희, 염명숙, 2002; 교육과학기

술부, 2008). 그러나 교육공학 교육목표 교육내용에 이러한 등 장의 정책 사회

수업운 변화를 효과 으로 숙지하교 운 할 수 있는 수업능력 개발을 해 특별히 반

한 내용이 거의 있지 않았다.

나. 교육방법 평가방법 련 문제

교육방법도 실질 인 장 연계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7차교육과정은자기주도

학습을 강조하고(교육인 자원부, 1999; 교육과학기술부, 2008) 이의 실천을 해 등 장

은 학습자의 스스로 조사활동, 토의, 발표, 온라인 학습 등의 학습자 심 수업방법을 극

으로 시도하고 있다( 주교육 학교부설 등학교, 2003; 이성은 외, 2002; 이미자, 2004).

반면, 교육 학의 교육공학 운 방법은 교수 심 강의 비 (강의, 52%; 강의 토의 24%)

이 으로 높았다. 특히, ‘발표’는 특정 학을 제외한 부분 교육 학에서 한 학기에

1-3회 정도로만 운 하고 있었다.

평가방법 한 등 장의 방법과 연계 으로 운 하는 측면이 미흡하 다. 등 장은

7차교육과정 기본 평가방향에 부응하여 수행평가를 확 하고 있다(강기원, 2005; 교육과학

기술부, 2008; 조미경, 2007). 따라서 지필평가보다 수행평가 방법으로 학습내용과 련한

최종작품, 포트폴리오, 로젝트 등 학습자들의 학습 과정과 결과를 찰하고 상호작용 할

수 있는 평가방향으로 변화해가고 있다. 한편, 교육 학 교육공학 과목 평가는 부분의

학의 지필시험 비 이 여 히 40-60% 정도로 상당히 큰 비 을 차지하고 있었다(특정 두

학은 외 <표 IV-8>).

Page 23: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등교사양성기 의 ‘교육공학’과목 강의운 실태 분석 개선과제 연구

- 371 -

다. 개선 방향

"Teachers teach the way they were taught(Hall, Fisher, Musanti 2005. p.25)"이라는 교

사교육 격언이 있다. 이 격언은 비교사교육 기간에 경험한 강의내용과 강의방법이 이후

실제 교사가 되었을 때의 수업운 에 커다란 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교훈

을 고려할 때 재 교육 학의 교육공학 강의운 이 장과의 연계성이 상당히 부족한

황은 개선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 개선을 해서는 재의 교육공학 강의 반(목표, 내용, 방법, 평가)을 연

계성 측면에서 검토하고 체계 으로 재조정해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교육공학 실

천학문으로서의 특성과 효과를 최 화하기 해서는 련 이론 이해를 기 로 실제 용

능력개발이 요하므로 이러한 강의비 을 높이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등 비교사교육

을 한 이론 용 실습 기회향상 필요는 선행연구들(설양환, 2007b; 황윤한, 2007)에서도

같은 지 을 하 다.

특히, 지 까지는 교육공학 강의 반이 기존 교육공학 교재와 개별 담당교수 결정으로

좌우 되었으나 좀 더 실제 연계성을 높이기 해 각 학 담당교수들 공동으로 학교

장과 소통노력 이를 강의에 반 하려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해 우선 련 교육정

책이나 등교실의 변화 실태 악과 이에 따라 비교사들에게 기 되는 수업능력 요

구를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다음 단계로 이러한 요구조사 결과를 표 강의안

표 교재 개발 과정에 체계 으로 반 할 수 있는 동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3. 강의계획서 체계성 구체성 부족

가. 문제

각 학 강의계획서의 강의목표, 내용, 방법, 평가 등 각각의 역에 한 반 인 체계

성과 구체성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강의목표 진술이 구체 으로 찰 가

능한 행동목표 과정목표 제시방법으로 제시되지 않아 학습자가 해당과목에서 무엇을

달성할 수 있는지 악하기 모호한 경우도 많았다. 더욱이 한 학기 교육목표와 실제 주별

교육내용이 상호 일치 하지 않고 다른 경우도 분석되었다. 특히, 강의방법 그리고 평가

는 평가 역(출석, 과제, 시험, 수업태도)별 비 (%)은 제시하 으나 과제는 략 인 과제

형태(지도안, 보고서, 수업시연, 매체제작)제시 정도로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강의계획서 단계에서의 상세한 사 계획이 강의진행 운 을 구속할 수 있는 측면도

Page 24: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372 -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기본 인 체계성과 구체성이 부족한 강의계획서는 강의운 의 부실함

을 래할 가능성이 더 높다. 무엇보다 교육 학교 강의운 황조사에서 강의계획서와

실제 강의의 일치정도에 한 설문결과 일치성이 매우 높았다(5단계척도에서 4.5, <표

IV-1> 참조). 이러한 실을 감안할 때 강의의 질 향상을 한 강의계획서 개선의 필요성

은 더욱 실해진다. 특히, 교육공학 담당 교수들은 등 비교사들에게 수업운 능력 향상

을 한 사 교수설계의 요성과 교수설계 이론 용에 해 직 강의를 하는(<표

IV-4>, <표 IV-5>참조) 반면 교수들의 교수설계의 기본 계획인 강의계획서 작성은 체계

인 근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분석된다.

나. 개선 방향

강의계획서의 실효성을 높이기 해 무엇보다 교수설계이론과 략을 교수들의 강의계

획서 작성과정에 직 용할 수 있기를 제안한다. 물론 한 단 수업을 설계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한 학기 강의계획서 작성 한 넓게 보면 목표, 내용, 방법, 평가를

동시에 고려해야하는 수업설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강의계획서 작성 시 목표 진술부터

평가계획 까지 단계별로 수업설계모형( , ASSURE 모형)을 용하여 계획할 경우 체계성

과 구체성을 상당히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강의계획서 개선 한 담당 교수들 간 소통과

공동사고를 통해 기본 인 표 강의안을 개발하고 이를 기 로 학교별 여건과 담당 교수

의 문 결정에 따라 조율을 하는 방법으로 운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Ⅵ. 결론 제언

2003년 이후 교육인 자원부 지원으로 등교사교육 로그램 개선을 해 총체 인 개

선을 해 법 제도개선 교육과정 로그램에 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나 교

육공학분야 로그램 개선 개발 연구는 이루어 지지 않았다. 더욱이 최근 21세기

정보화세계화 시 에 필요한 사회 구성원들의 기본 능력 변화에 따라 학교교실의 수업방

법 개선을 요구하고 이에 따라 교육공학과목의 요성과 역할도 이 어느 때 보다 강조

되고 있다. 이러한 시 에서 재 등교사양성기 의 교육공학과목 실제 운 실태를

악하고, 문제 을 분석하고, 개선을 한 우선 인 과제는 무엇인지 도출해 보았다.

교육 학교 교육과정은 국가에서 제시하는 교원자격검정령(교육과학기술부, 2008)을 기

으로 하고 학교별 여건에 따라 자율 으로 개발․운 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실제 교육

Page 25: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등교사양성기 의 ‘교육공학’과목 강의운 실태 분석 개선과제 연구

- 373 -

학교 교육과정은 등교사를 양성하는 특수 목 학이라는 공동 목표를 가지고 기본 이

수과목 학 등의 기본 틀은 상호 상당한 일 성을 유지하고 있다(한국교육개발원,

2006; 박천환, 2007). 그러나 각 과목별 강의운 황(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평가방

법)의 실제는 학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강호감, 2006; 고재천, 2005; 김재형,

2006; 박성희, 2003; 박인기, 2006; 이 식, 2005; 신상명, 2005; 추병완, 2006). 본 연구 결과

이러한 상은 교육공학 과목도 외가 아니었다.

연구 결과, 등 비교사 교육기 간 교육공학 운 황의 기본 인 일 성 이 상당히

부족하 다. 다른 한편, 가장 응용 이고 실천 인 교육학 과목이라는 교육공학 특성에 비

해 이론 심 강의운 으로 등 장실질 인 필요 변화를 충분히 반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강의계획서와 실제 강의 운 의 일치정도는 매우 높은 반면 실제

강의계획서의 체계성 구체성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국 이러한 3가지 종합 인 문제 들을 개선하기 한 공통 인 개선방안으로 다음 단

계 련 후속연구 필요성과 고려해야 할 연구방향들을 제안하 다. 무엇보다 표 교육과정,

표 강의안, 표 교재 개발 필요성을 강조하 다. 한 이러한 표 안 개발 과정에 실제

연계성 향상을 한 장요구도 조사가 필요하다는 것과 이러한 요구를 표 안에 반 하

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 다. 강의계획서 자체 효과성 향상을 해서는 교수설

계이론 용을 제시하 다.

한편, 본 연구결과 해석에 제한 도 있다. 본 연구는 개인연구자가 10개 교육 학교

의 강의 운 황을 주로 문헌연구와 보완 인 설문조사로 비교 분석하고 문제 과 시사

을 제시하 다. 그러나 직 인 련 선행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연구자의 분석

결과 해석을 다른 연구결과로 뒷받침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후속연구는 특히, 교육공학 과목 질 개선을 해 개인 연구자의 입장에서 나아

가 10개 교육 학 담당교수들의 공동참여를 이끌어내고 문 의견 수렴 개선이 필요한

지향 에 한 합일 을 도출하여 이러한 내용을 반 한 표 교육과정, 표 강의안, 표 교

재 개발을 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등 비교사양성을 한 특수목 학의 교육공학과

목이 일반 학의 교육공학과목과 어떠한 차별성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한 성찰과

종합 연구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교육공학이 등 장과 연계성을 높이기 해 실질 인

등의 변화와 필요를 반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가 국 11개 교육 학 교육공학과목에 한 교육과정 개정 련 제도 인

노력과 나란히 ‘교육공학’과목의 기본이수 핵심내용을 좀 더 체계 이고 일 성 있게 운

하기 한 단계 인 변화과정에 실질 인 근간이 될 수 있기 바란다.

Page 26: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374 -

▣ 참 고 문 헌 ▣

강기원(2005). 등 교사의 사회 교과 수행평가 실행에 한 이해. 등교육연구, 18(.2), 22-37.

강호감(2005). 등교사 교육을 한 교과교육(과학) 로그램 개발 용. 교육인 자원부.

고 곤(2004). 교원양성기 ICT활용 교육 교육과정 운 에 한 연구. 구교육 학교.

고재천(2005). 등교사 교육을 한 교육학 기본과목(교사론) 로그램 개발. 교육인 자 원부.

주교육 학교 부설 등학교(2003). 학생 심의 학습을 한 수업연구.

교육과학기술부(2008). 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I).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2008). 2008년 교원자격검정 실무 편람. 교육과학기술부.

교육 학교요람(2008). 11개 교육 학교 학교.

교육법 (2007). 2007 개정 교육법 . 서울: 교학사.

교육인 자원부(1999). 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I). 교육인 자원부.

교육인 자원부(2000). 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 운 지침.

교육인 자원부(2003). 교육 학발 교사교육 로그램개발 2003년 합동연구 발표회 자료집.

교육인 자원부(2004). 교육 학발 교사교육 로그램개발 2004년 합동연구 발표회 자료집.

교육인 자원부(2005). 교육 학발 교사교육 로그램개발 2005년 합동연구 발표회 자료집.

교육인 자원부(2006). 교육 학발 교사교육 로그램개발 2006년 합동연구 발표회 자료집.

교육인 자원부(2007). 등교사 자격 무시험검정 기 의 법제화 추진 계획.

교육학술정보원(2004). ICT활용 창의 수업 설계 연수과정. 교육자료 TM 2004-12.

김재형(2005). 등교사 교육을 한 교과교육(사회) 로그램 개발 용. 교육인 자원부.

노구 요시히로(1985). 수업에서 단련하자. 한형식 (역). (1997). 서울 : 교육과학사.

박성익(1999). 교육방법의 교육공학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박성희(2003). 등교사 교육을 한 교육학 기본과목(상담) 로그램 개발. 교육인 자 원부.

박숙희․염명숙(2002). 교수학습과 교육공학. 서울: 학지사.

박인기(2003, 2004, 2005). 등교사 교육을 한 교과교육(국어) 로그램 개발 용. 교육인 자

원부.

박찬용(2000). 학교재량활동의 운 방안과 문제 . 한국 등교육학회 연차학술 회, 71-95.

박천환(2007). 등교사 교육을 한 교육학 심화과정 로그램 개발. 교육과정과 수업연구회 세미나

자료. 교육과정과 수업연구회.

박한권(1998). 학교교육의 구조 개 을 한 등학교 학 담임교사의 역할연구. 한국교원 학교

석사학 논문.

방명숙(2001), 국민 ICT 활용능력기 교육과정개발연구, 정책연구과제 ITP 2001-1(연구보고CR

2001-9),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변 계․김 환․손미(2007). 교육방법 교육공학. 서울: 학지사.

서근원 2004). 산들 등학교 교육공동체의 형성에 한 연구. 서울 학교 박사학 논문.

서범석(2003). 21세기 교원교육의 발 과제와 등교사 로그램 개발. 교육 학발 교사교육 로그

Page 27: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등교사양성기 의 ‘교육공학’과목 강의운 실태 분석 개선과제 연구

- 375 -

램 개발 합동 연구 발표자료.

서정화(1995). 교육인사행정. 서울: 세 사.

설양환(2005) 교수 학생 능력개발 로그램 개발 용. 교육인 자원부.

설양환(2007a). 교육 학에서의 교수-학습 지원센터 운 .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2), 309-331.

설양환(2007b). 교육 학생들은 교육공학 수업을 통해 무엇을 배우는가? 교육공학연구 23(2), 1-33.

설양환․권 일․박인우․손미․송상호․이미자․최욱․홍기칠(2005). 교육공학과 교수매체. 서울:

아카데미 스.

성병창(2005). 교육 학과 일반 학 사회 연계 강화 로그램 개발 용. 교육인 자원부.

신상명(2004). 등교사 교육을 한 교육학 기본과목(학 경 ) 로그램 개발. 교육인 자원부.

신통철 외(1999). 교사를 한 교육공학. 서울: 교육과학사.

심우엽(2005) 교육 학과 등학교와 연계 강화 로그램 개발 용. 교육인 자원부.

유 찬(2003). 등교사 교육을 한 교육학 기본과목(특별활동) 로그램 개발. 교육인 자원부.

윤홍주(1996). 교사발달단계 직능발달 요인에 한 연구. 서울 학교 박사학 논문.

이 식(2005). 등교사 교육을 한 교육학 기본과목(특수교육) 로그램 개발. 교육인 자원부.

이미자(2004). 교육 학교 교육학 ‘교육공학’과목 강화 필요성에 한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0(4), 65-76.

이미자․송지은(2002). 등학교 ‘ICT활용교육’과 교육 학교 교육과정 연계성 분석 개선방안 연

구. 등교육연구 15(1), p.211-243.

이성은․오은순․성기옥(2002). 등 교실을 한 새 교수법. 서울: 교육과학사.

이원희(2005). 등교사 교육을 한 교육학 기본과목(교육과정과 수업) 로그램 개발. 교육인 자

원부.

이화여자 학교 교육공학과(2004). 21세기 교육방법 교육공학. 서울: 교육과학사.

정규 (2005). 등교사 교육을 한 교육학 기본과목(교육사 교육철학) 로그램 개발. 교육인

자 원부.

정 미․양용칠(2005). 교육공학연구 20년 연구의 흐름 분석. 교육공학연구, 2(4), 168-191.

조미경(2007). 등수학 서술형 수행평가 문항 평가기 개발 연구. 수학교육, 46(2), 37-48.

조 일(2000). 교육방법 교육공학. 서울: 형설출 사.

최희선(2003). 21세기 교원교육의 발 과제와 등교사 로그램 개발. 교육 학발 교사교육 로그

램 개발 합동 연구 발표자료.

추병완(2003, 2004, 2005). 등교사 교육을 한 교과교육(도덕) 로그램 개발. 교육인 자원부.

한국교육개발원(2006). 교육 학교 교육 학교 교육 학원 종합평가 보고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2). 교원 ICT 활용능력 기 의 표 화 교육과정 연구. CR 2002-4.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4b). 교원양성기 ICT활용 교육과정 운 략 개발 용 연구, 간보고

자료집.

허희옥(2006). 교육정보미디어 분야의 연구 동향과 과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2(2). 195-206.

황윤한(2007). 교육 학 교육실습 개선을 한 실천방안. 등교육연구, 20(1), 301-334.

Page 28: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 376 -

http://tep.snue.ac.kr 교육인 자원부 교사교육 로그램개발 추진기획단 (2008. 8 재).

AECT(1994). Instructional technology: The definition and domains of the field. Washington D.C.: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Hall, L., Fisher, C., Musanti, S.(2005). What can we learn from PT3? TechTrends, 50(3), 25-31.

Heinich, R. Molenda, M., Russell, J, & Smadino, S.(2002). Instructional media and the new

technologies for learning.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

Intel(2002). Teach to the future. Intel corporation.

Russell, M., Bebell, D., Odwyer, L., & Oconnor, K.(2003). Examining teacher technology use:

Implications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prepar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4(4), 297-310.

Seels, B. & Richey, R.(1994). Instructional technology: The definition and domains of the field.

Washington, DC: AECT.

Tan, A., Valle, R., & Pereira, M.(2004).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 technology course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Diego,

April 2004.

Page 29: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공학 과목 강의운영 실태 개선과제 연구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TFKeNoX_16_EC9DB4... · 문헌연구 자료는

등교사양성기 의 ‘교육공학’과목 강의운 실태 분석 개선과제 연구

- 377 -

ABSTRACT

An Analysis of the Content and Improvement Strategies of 'Educational Technology' Course I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Mijar Lee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rofess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Technology

course in the curriculum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Korea and to find the

implications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main method was literature

review: 1) Educational Technology syllabus from 11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

project reports for Teacher Education Program supported by Ministry of Education, and 3)

conference proceedings and journal article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a number of problems and implications among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Technology courses in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ways how each professor

actually runs the Educational Technology course. In addition, it is hard to find any attempts

to employ the practical needs from elementary school and contemporary society demands

beyond the core Educational Technology theory and content. Also the lack of systematic

approaches and precise information needed for appropriate syllabus is pointed out. To

improve these problematic circumstance a number of suggestions were made. Developing

the standardized curriculum, syllable, and textbook is one of the major alternatives. Next,

actual needs assessment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classroom for what Educational

Technology would assist should be conducted and employed in developing the standardized

curriculum, syllable, and textbook. Lastly, applying instructional design theory in preparing

syllable was suggested.

Key words :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educational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