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 · 에서...

25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2호, 42-65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참고치와 유병률 연구 이종석 1) 장성옥 2) 요약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참고치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없는 상황에서, 실무적으로 기기 회사 가 제공하는 기준(Hologic의 경우, 일본인 참고치)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민건 강영양조사 4개년(2008-2011)의 대규모 표본을 활용하여, 한국인 정상 참고치를 도출하고 유병 률 차이를 분석하였다. 기존 일본인 참고치를 적용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연령 표준화된 골다공 증 유병률이 50-89세 남성의 경우 7.7%에서 10.5%로 증가한 반면, 50-89세 여성의 경우 36.1% 에서 30.3%로 감소하였다. 진단부위별로 66세 여성의 T-값이 –1.0 미만인 비중을 살펴보면, 요추 부가 74.3%이고 대퇴부(대퇴 전체 혹은 경부)가 82.6%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 66세의 여 성을 대상으로 시행되는 생애전환기 국가건강검진에서, 골밀도 검사부위를 현행 요추에서 대퇴 로 변환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최근 골다공증 환자와 진료비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골감 소증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체계를 만드는 것이 골다공증 유병률과 이와 관련된 사회경제적 비용 을 줄이는 방안이 되기 때문이다. 주요용어 : 골다공증, 골감소증, 정상 참고치, 유병률, 국민영양조사 1. 서론 골다공증은 뼈의 강도가 약해져서, 골절의 위험이 증대되는 질환이다. 특별한 자각 증상은 없지만, 골절이 발생하면 내과적 합병증을 유발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건강 보험심사평가원(2013)에 따르면, 최근 골다공증 환자와 진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 다. 2007-2011년 5년간 진료환자는 53만5천명에서 77만3천명으로 약 45% 증가하였고, 진료비는 535억 원에서 722억 원으로 약 35%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5년간의 진 료비 총액은 약 3,191억 원에 달하며, 같은 기간 골다공증성 골절로 인한 사회적 비용 도 약 1조 166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진료환자 중 70% 이상이 60세 이상의 노년층인 것으로 나타나서,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함께 골다공증 유병률과 사회경제적 비용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년층에서의 골절 발생 전, 골다공증의 검진과 치료는 중요한 의료문제라는 인식 이 증대되어 왔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는 2011년 골다공증 치료를 위한 의료보험급 여를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하여 시행하였다. 급여기준을 골밀도 검사결과 T-값 3.0 이하에서 2.5 이하로 확대하고, 급여기간을 6개월에서 1년으로 연장하였다. 그리고 1) 교신저자. 춘천시 한림대학길 1, 한림대학교 경영학부, 부교수. E-mail: [email protected] 2) 춘천시 한림대학길 1, 한림대학교 경영학부, 박사과정. 춘천시 효자2동, 한국건강관리협회, 진단 검사과, 연구원. E-mail: [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08-Feb-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 · 에서 30.3%로 감소하였다. 진단부위별로 66세 여성의 t-값이 –1.0 미만인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2호, 42-65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참고치와 유병률 연구

이종석1) ․ 장성옥2)

요약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참고치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없는 상황에서, 실무적으로 기기 회사

가 제공하는 기준(Hologic의 경우, 일본인 참고치)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민건

강영양조사 4개년(2008-2011)의 대규모 표본을 활용하여, 한국인 정상 참고치를 도출하고 유병

률 차이를 분석하였다. 기존 일본인 참고치를 적용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연령 표준화된 골다공

증 유병률이 50-89세 남성의 경우 7.7%에서 10.5%로 증가한 반면, 50-89세 여성의 경우 36.1%

에서 30.3%로 감소하였다. 진단부위별로 66세 여성의 T-값이 –1.0 미만인 비중을 살펴보면, 요추

부가 74.3%이고 대퇴부(대퇴 전체 혹은 경부)가 82.6%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 66세의 여

성을 대상으로 시행되는 생애전환기 국가건강검진에서, 골밀도 검사부위를 현행 요추에서 대퇴

로 변환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최근 골다공증 환자와 진료비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골감

소증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체계를 만드는 것이 골다공증 유병률과 이와 관련된 사회경제적 비용

을 줄이는 방안이 되기 때문이다.

주요용어 : 골다공증, 골감소증, 정상 참고치, 유병률, 국민영양조사

1. 서론

골다공증은 의 강도가 약해져서, 골 의 험이 증 되는 질환이다. 특별한 자각

증상은 없지만, 골 이 발생하면 내과 합병증을 유발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건강

보험심사평가원(2013)에 따르면, 최근 골다공증 환자와 진료비가 격히 증가하고 있

다. 2007-2011년 5년간 진료환자는 53만5천명에서 77만3천명으로 약 45% 증가하 고,

진료비는 535억 원에서 722억 원으로 약 35%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5년간의 진

료비 총액은 약 3,191억 원에 달하며, 같은 기간 골다공증성 골 로 인한 사회 비용

도 약 1조 166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진료환자 70% 이상이 60세

이상의 노년층인 것으로 나타나서,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함께 골다공증 유병률과

사회경제 비용은 증할 것으로 상된다.

노년층에서의 골 발생 , 골다공증의 검진과 치료는 요한 의료문제라는 인식

이 증 되어 왔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는 2011년 골다공증 치료를 한 의료보험

여를 확 하는 방안을 마련하여 시행하 다. 여기 을 골 도 검사결과 T-값 –3.0

이하에서 –2.5 이하로 확 하고, 여기간을 6개월에서 1년으로 연장하 다. 그리고

1) 교신 자. 춘천시 한림 학길 1, 한림 학교 경 학부, 부교수. E-mail: [email protected]

2) 춘천시 한림 학길 1, 한림 학교 경 학부, 박사과정. 춘천시 효자2동, 한국건강 리 회, 진단

검사과, 연구원. E-mail: [email protected]

Page 2: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 · 에서 30.3%로 감소하였다. 진단부위별로 66세 여성의 t-값이 –1.0 미만인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을 활용한 골다공증진단을 위한 정상 참고치와 유병률 연구 43

국가건강검진 로그램(생애 환기 건강진단)에 골다공증 검사가 포함되어, 만 66세의

여성을 상으로 요추의 골 도를 검진하고 있다. 하지만 골다공증은 방과 조기치

료가 요한 질환이라는 측면에서, 행 보험 리체계는 사후치료 심이라는 지

이 있어 왔다(안정훈, 2011). 장선미 등(2010)의 연구에 따르면, 50세 이상의 골다공

증성 골 환자들 이 에 골다공증 검진이나 치료를 받은 사람은 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골 환자 이 에 검사를 받은 남성은 24.8%로서

여성 55.7%에 비해 히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골다공증이 여성 질병이

라는 잘못된 인식을 반 한다.

국가 체의 골다공증 유병 규모를 정확히 악하는 것은 이들의 체계 리를

한 보건정책 수립의 기 가 된다. 하지만 기존의 국내연구 부분은 국을 표하

는 표본을 사용하지 못했기 때문에 유병률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인다. 남원, 안성,

강원 등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수행된 연구결과를 비교해보면(장숙량 등, 2006; 최지엽

등, 2008; 균호 등, 2008; Gui 등, 2008; Shin 등, 2010), 남성 요추와 퇴골 경부의

유병률이 각각 6.5%-12.9%와 1.3%-5.8%, 여성은 각각 24.0-40.1%와 5.7%-12.4%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성별 부 에 따라 약 2-5배의 차이를 보인다. 유병률에 한 많은

기존연구들이 표본 수가 충분하지 못하고, 표본구성에 있어서도 병원을 방문한 환자

나 건강검진 수진자와 같은 특정집단에 집 되어 있다. 따라서 국 인구를 표하는

규모의 표본을 사용한 유병률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보건복지부의 질병 리본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국민건강 양조사(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에 2008년부터 골 도에

한 조사가 추가됨으로써, 골다공증에 한 국 규모의 자료를 분석할 수 있는 기회

를 제공하고 있다. Choi 등(2012)은 국민건강 양조사 2개년(2008-2009) 자료의 분석

을 통해, 50세 이상 한국인 골다공증 유병률을 남성 7.5% 그리고 여성 35.5%로 보고

하 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 골다공증 진단을 해 사용한 ‘정상 참고치(reference

value)’가 한국인 고유의 골 도 특성을 고려한 기 이 아닌, Hologic 기기 회사가 제

공하는 아시아(일본인) 기 이었다. 재 국내에서 골 도 측정 장비는 Lunar와

Hologic 회사의 기기가 리 사용되고 있는데, Lunar 기기의 경우 한국인 정상 참고

치가 제공되고 있지만 Hologic 기기는 한국인 기 이 제공되지 않고 있다. 두 기기는

동일한 사람에 해서 골 도 측정값이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어(Reid 등, 1999),

Lunar 기기의 정상 참고치를 이용할 수도 없는 실정이다.

많은 다른 질병들의 진단이 정상인의 기 범 를 이용하는 것처럼, 골다공증의 진

단도 정상인의 골 도를 기 으로 유병 여부를 정하는 단값(cut-off value)이 만

들어진다. 즉 규모의 표본을 이용하여 건강한 은 성인의 골 도 참고치를 계산하

여, 이를 기 으로 지나치게 골 도가 낮으면 질병이 있는 것으로 정하게 된다. 세

계보건기구는 정상인 골 도 ‘평균—2.5⨯표 편차’ 이하이면 골다공증으로 정할 것

을 권장하고 있다. 따라서 정상 참고치의 설정은 골다공증의 진단이나 유병률에 향

을 미친다. Shin 등(2010)은 정상 참고치에 따라 유병률이 크게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

하 는데, 여성의 요추는 24.0-42.1% 그리고 퇴골 경부는 5.7%-21.7%이었다. 골

도는 인종이나 지역에 따라 한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Henry 등, 2000; Kanis 등,

Page 3: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 · 에서 30.3%로 감소하였다. 진단부위별로 66세 여성의 t-값이 –1.0 미만인

44 이종석 ․ 장성옥

2000), 각 나라별 혹은 인종별로 고유의 정상 참고치를 개발하여 골다공증을 진단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기기 회사가 제공하는 참고치를 그 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정상 참고치에 한 명확한 지침이 필요하다.

본 논문의 첫 번째 목 은 국민건강 양조사 4개년(2008-2011)의 자료를 활용하여,

규모 표본에 근거한 한국인 고유의 골다공증 정상 참고치를 제시하는 것이다. 둘째,

이 게 만들어진 한국인 기 참고치와 기존의 아시아(일본인) 기 참고치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즉 두 정상 참고치가 제시하는 유병률에 통계 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유병률에 차이가 있다면, 새로운 정상 참고치의 용

이 실제 보건의료 장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가를 고찰하는 것이다. 구체

으로 한국인의 골다공증 유병률에 한 보다 정확한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국가건

강검진과 같은 행 리체계에 한 시사 을 도출하는 것이다.

2. 연구대상 및 방법

2.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민건강 양조사 4개년(제4기 2-3차년도와 제5기 1-2차년도)의 자료를

통합하여 수행되었는데, 이는 정상 참고치 산정을 해서 규모의 표본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국민건강 양조사는 보건복지부 질병 리본부에서 매년주기로 시행하는

국 규모의 단면 조사(cross-sectional survey)이다. 표본은 국을 표할 수 있도록

계층화하여 추출되는데, 특히 제4기와 5기에는 각 연도별로 유사한 표본이 뽑히도록

순환표본설계방식(rolling survey sampling)을 사용하 다. 조사내용은 건강설문조사,

양조사, 검진조사로 구성되며, 검진조사로서 골 도 검사가 도입된 것은 제4기 2차

년도인 2008년부터이다.

<Table 2.1> Study population and KNHANES 2008-2011

Gender Male Female

Age group (years) 10 to 49 50 to 89 Total 10 to 49 50 to 89 Total

KNHANES 2008 n 779 651 1,430 1,053 944 1,997

(%) ( 8.8) ( 7.3) (16.1) ( 9.4) ( 8.5) (17.9)

KNHANES 2009 n 1,963 1,441 3,404 2,389 1,903 4,292

(%) (22.2) (16.3) (38.4) (21.4) (17.0) (38.4)

KNHANES 2010 n 1,763 1,240 3,003 2,036 1,622 3,658

(%) (19.9) (14.0) (33.9) (18.2) (14.5) (32.7)

KNHANES 2011 n 574 449 1,023 671 533 1,224

(%) ( 6.5) ( 5.1) (11.5) ( 6.0) ( 5.0) (11.0)

Total n 5,079 3,781 8,860 6,149 5,022 11,171

(%) (57.3) (42.7) (100.0) (55.0) (45.0) (100.0)

Page 4: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 · 에서 30.3%로 감소하였다. 진단부위별로 66세 여성의 t-값이 –1.0 미만인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을 활용한 골다공증진단을 위한 정상 참고치와 유병률 연구 45

연구 상은 2008-2011년도 국민 양조사에 참여하여 골 도 검사를 수행한 모든

사람, 총 21,303명(2008년 3,583명, 2009년 7,920명, 2010년 7,043명, 2011년 2,757명)이

된다(질병 리본부, 2008-2011). 본 연구는 10-49세의 남성과 여성의 골 도 자료를

이용하여 골다공증 진단을 한 정상 참고치를 도출하고, 50-89세 남성과 여성을

상으로 골다공증 유병률을 조사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음 사유에 해당하는

상자는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1) 90세 이상의 남성 혹은 여성, (2) 골다공증의 세 검

진부 (요추, 퇴골 체, 퇴골 경부) 어느 한 곳이라도 골 도 검사를 시행하

지 않은 경우, 그리고 (3) 10-49세의 남성 혹은 여성 , 특정 질환이나 병력을 가지

고 있어 건강한 사람이라고 단되지 않는 경우이다. 이들을 제외한 총 20,031명(남성

8,860명, 여성 11,171명)의 국민건강 양조사 연도별 구성은 <Table 2.1>과 같다. 이들

연구 상 50-89세에 해당하는 총 8,803명(남성 3,781명, 여성 5,022명)이 유병률

분석을 해 사용되었다.

2.2 골밀도 측정과 골다공증 진단

연구 상자들의 골 도(bone mineral density, BMD)는 이 에 지 방사선 측정법

(dual X-ray absorptionmetry, DXA)으로 측정되었다. 이를 해 Hologic 모델의 기기

(DISCOVERY QDR4500W, Hologic Inc, Bedford, MA, USA)가 사용되었다. 골 도

검사는 요추(1-4번)와 퇴골 체( 퇴골 자부, 퇴골 자간부, 퇴골 경부,

Ward 부 )에 해 수행되었다. 측정 에 기기 제조사에서 제공된 모형(phantom)으

로 정도 리를 수행하 고, 기기의 정 도에 해서는 무작 로 선정된 30명의 골

도를 2회 측정하여 최소 오차범 (요추 1.9%, 퇴골 체, 1.8%, 퇴골 경부 2.5%)

를 유지하 다.

골다공증 진단을 해서 측정된 ‘골 도(g/cm2)’는 ‘T-값(T-score)’으로 환되는

데, 이를 해 은 정상 집단(young normal group)의 평균과 표 편차가 기 으로

사용된다. 즉 ‘T-값 = (골 도 — 정상 참고집단의 평균) / 정상 참고집단의 표 편차’

이다( 한골다공증학회, 2009). 정상 참고집단은 20세 이상의 건강한 성인을 상으로,

성별 검진부 별로 최 골 도에 이르는 연령집단을 분석하여 선정하게 된다(최승

화 등, 2008). 를 들어, 특정부 의 골 도가 10세 단 로 30 에 최 에 이른다면

20-39세가 정상 참고집단이 된다(Yang et al., 2006). 본 연구에서 T-값의 산정을

해 사용된 정상 참고치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Table 2.2>에 제시된 Hologic 기기회

사가 제공하는 아시아(일본) 기 참고치로서, 재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모든

국가에 용되고 있다(질병 리본부, 2008-2011). 다른 하나는 본 연구에서 국민건강

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도출된 한국인 정상 참고치이다(<Table 3.2> 참조).

골다공증의 진단은 세계보건기구(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 제

정한 기 을 따랐다. 즉 각 연구 상에 해 측정된 골 도 값을 정상 참고치를 이용

하여 환한 T-값을 기 으로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하 다. 즉 T-값이 (1) —2.5 이하

이면 골다공증(osteoporosis), (2) —2.5보다 크고 —1.0 미만이면 골감소증(osteopenia),

그리고 (3) —1.0 이상이면 정상(normal)으로 진단하 다. 그리고 세계임상골 도학회

Page 5: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 · 에서 30.3%로 감소하였다. 진단부위별로 66세 여성의 t-값이 –1.0 미만인

46 이종석 ․ 장성옥

(International society for clinical densitometry, ISCD)의 권고안에 따라, 세 검진부

(요추, 퇴골 체, 퇴골 경부)의 가장 낮은 T-값을 골다공증 진단기 으로 사용하

다. 따라서 세 부 들 어느 하나라도 T-값이 —2.5 이하이면 골다공증으로 진단

하게 된다.

<Table 2.2> Japanese reference provided by equipment manufacturer

Skeletal site

Male Female

Mean SD Mean SD

Lumbar Spine 1-4 1.024 0.120 1.006 0.115

Total Hip 0.940 0.137 0.851 0.115

Femoral Neck 0.846 0.124 0.803 0.107

Source: Hologic ◯R (Hologic Discovery, Hologic, USA)

2.3 통계분석

기술통계량은 골 도와 같은 연속형 변수들에 해서는 평균(mean)과 표 편차

(standard deviation, SD), 골다공증 여부와 같은 범주형 변수들에 해서는 도수(명)

와 백분율(%)로 제시하 다. 서로 다른 두 정상 참고치(일본인 기 과 한국인 기 )

의 용에 따른 골다공증 진단 결과를 비교하기 하여, 성별 연령집단별로 T-값

과 유병률을 비교하 다. 두 참고치가 제시하는 T-값 평균에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해, 응표본 t-검정(t-test for two paired samples)을 사용

하 다. 그리고 골다공증 진단 범주의 일치도(agreement)를 평가하기 해 Cohen의

카 (kappa) 통계량을 이용하 다. 유병률에 차이에 해서는 범주 수에 따라, 2⨯2의

경우는 맥니마 정확한 검정(McNemar’s exact test), 3⨯3의 경우에는 맥니마-보우커

근사 검정(McNemar-Bowker test)을 수행하 다. 통계분석을 한 로그램은 SPSS

for Windows version 20.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사용하 다.

3. 결과

3.1 성별 및 연령집단별 골다공증 검진부위들의 골밀도 변화

골다공증 진단을 한 정상 참고집단의 설정을 해, 남성과 여성 각각에 해 연

령에 따른 골 도의 변화를 분석하 다. 술한 바와 같이, 골다공증 진단에는 요추

(lumbar spine 1-4), 퇴골 체(total hip), 그리고 퇴골 경부(femoral neck), 세 부

의 골 도가 측정된다. <Table 3.1>은 세 진단부 각각에 하여, 10세 단 로 골

도 평균을 분석한 결과이다. 연구 상 체(10-89세)의 골 도 평균값은 세 부 모

Page 6: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 · 에서 30.3%로 감소하였다. 진단부위별로 66세 여성의 t-값이 –1.0 미만인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을 활용한 골다공증진단을 위한 정상 참고치와 유병률 연구 47

두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다. 50세를 기 으로 두 연령집단으로 나 어보면, 요추

골 도의 평균값은 50세 미만 연령집단(10-49세)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반면, 50

세 이상 연령집단(50-89세)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낮았다. 따라서 50세 이후에 여성

이 남성에 비해 상 으로 요추 골 도의 감소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퇴

체와 퇴 경부는 50세 미만과 50세 이상 연령집단 모두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골

도 평균값이 높았다. 10세 단 로 연령에 따른 골다공증 검진부 별 골 도 평균값의

변화를 악하기 하여, 남성과 여성에 하여 도식화하면 각각 <Figure 3.1-A>와

<Figure 3.1-B>와 같다.

<Table 3.1> Bone mineral density (g/cm2) by gender and age group

Age

(years)

n

(persons)

Lumbar spine 1-4 Total hip Femoral neck

Mean SD Mean SD Mean SD

Male

10-89 8,860 0.943 0.156 0.952 0.134 0.802 0.138

10-49 5,079 0.946 0.155 0.975 0.133 0.846 0.133

50-89 3,781 0.939 0.156 0.920 0.130 0.743 0.121

10-19 1,078 0.794 0.169 0.895 0.147 0.807 0.149

20-29 945 1.002 0.118 1.023 0.124 0.914 0.133

30-39 1,499 0.987 0.121 0.989 0.117 0.852 0.119

40-49 1,557 0.977 0.127 0.989 0.118 0.825 0.116

50-59 1,404 0.954 0.141 0.965 0.117 0.789 0.111

60-69 1,343 0.942 0.154 0.924 0.122 0.745 0.112

70-79 876 0.917 0.173 0.863 0.123 0.686 0.111

80-89 158 0.890 0.163 0.799 0.138 0.632 0.120

Female

10-89 11,171 0.892 0.160 0.839 0.131 0.698 0.128

10-49 6,149 0.962 0.134 0.890 0.112 0.757 0.107

50-89 5,022 0.806 0.146 0.777 0.125 0.625 0.114

10-19 969 0.842 0.149 0.842 0.123 0.734 0.121

20-29 1,175 0.961 0.109 0.887 0.105 0.774 0.105

30-39 1,977 0.993 0.115 0.892 0.106 0.758 0.103

40-49 2,028 0.990 0.123 0.911 0.110 0.758 0.104

50-59 1,920 0.882 0.138 0.853 0.109 0.698 0.102

60-69 1,680 0.787 0.125 0.769 0.099 0.617 0.088

70-79 1,161 0.735 0.130 0.696 0.101 0.548 0.087

80-89 261 0.687 0.124 0.623 0.095 0.487 0.080

Page 7: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 · 에서 30.3%로 감소하였다. 진단부위별로 66세 여성의 t-값이 –1.0 미만인

48 이종석 ․ 장성옥

<Figure 3.1-A> Male: Age-related changes in bone mineral density (g/cm2)

<Figure 3.1-B> Female: Age-related changes in bone mineral density (g/cm2)

Page 8: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 · 에서 30.3%로 감소하였다. 진단부위별로 66세 여성의 t-값이 –1.0 미만인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을 활용한 골다공증진단을 위한 정상 참고치와 유병률 연구 49

남성의 경우 골 도 평균값이 최 가 되는 연령집단은 세 부 모두 20 인 것으

로 나타나며, 이후 연령집단들에서 골 도 평균값이 지속 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

인다(<Figure 3.1-A> 참조). 반면 여성의 경우, 골 도가 최 가 되는 연령집단은 부

별로 다르다. 즉 요추는 30 , 퇴골 체는 40 , 그리고 퇴골 경부는 20 에

골 도 평균값이 최 에 도달한다(<Figure 3.1-B> 참조). 하지만 세 부 모두에서

20-40 의 골 도 평균값의 변화의 폭은 크지 않으며, 50 이후 연령집단들에서

격히 하락하는 추세를 보인다.

3.2 성별 및 부위별 한국인 정상 참조집단과 참고치 설정

따라서 골다공증 진단을 한 정상 참조집단을 ‘20 부터 최 골 도 집단까지의

연령집단’으로 정의하면, 남성의 경우 세 부 모두 20 성인이 참고집단이 된다. 반

면 여성의 경우 부 별로 참조집단이 다른데, 요추는 20-30 , 퇴골 체는 20-40

, 그리고 퇴골 경부는 20 성인이 참고집단이 된다. 이러한 참고집단들의 골 도

평균과 표 편차는 한국인 고유의 정상 참고치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를 성별 검

진부 별로 제시하면 <Table 3.2>와 같다.

<Table 3.2> Korean reference calculated from KNHANES 2008-2011

Skeletal site

Male Female

Mean SD Mean SD

Lumbar Spine 1-4 1.002 0.118 0.981 0.114

Total Hip 1.023 0.124 0.899 0.108

Femoral Neck 0.914 0.133 0.774 0.105

이는 <Table 2.2>에서 제시한 Hologic 기기 회사가 제공하는 아시아(일본인) 기

정상 참고치와 차이를 보인다. 두 참고치 사이의 차이를 비교하기 해, 이들 참고치

가 제시하는 골다공증과 골감소증의 단값(cut-off value)을 계산하면 <Table 3.3>과

같다. 술한 바와 같이, 성별 부 별로 정상 참고치의 골 도 평균에서 ‘2.5⨯표

편차’를 뺀 값이 골다공증의 단값이 되며, 평균에서 ‘1⨯표 편차’를 뺀 값이 골감소

증의 단값이 된다. 를 들어, 한국인 참고치를 기 으로 할 때 남성 요추의 골다공

증 단값은 1.002—2.5⨯0.118 = 0.707이 된다. 즉 골 도가 0.707(g/cm2) 이하이면 골

다공증으로 정하게 된다.

참고치에 따른 골다공증 단값의 차이가 가장 큰 진단부 는 남성의 퇴 체이

다. 먼 기기 회사가 제공하는 일본인 기 참고치를 용하면, 골다공증의 단값은

0.598 (= 0.940—2.5⨯0.137)이다. 따라서 퇴 체의 골 도가 0.598 이하이면 골다공

증으로 정하게 된다. 반면에 국민건강 양조사의 자료를 활용해 만든 한국인 기

참고치를 용하면, 골다공증의 단값은 0.713 (= 1.023—2.5⨯0.124)이다. 따라서 퇴

Page 9: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 · 에서 30.3%로 감소하였다. 진단부위별로 66세 여성의 t-값이 –1.0 미만인

50 이종석 ․ 장성옥

체의 골 도가 0.713 이하이면 골다공증으로 정하게 되며, 이 단값이 기존의 일

본인 기 0.598보다 높기 때문에 상 으로 유병률이 증가하게 된다.

<Table 3.3> BMD cut-off values for osteoporosis diagnosis according to two different

references by gender and skeletal site

Gender

Skeletal site

Japanese reference Korean reference

Osteopenia Osteoporosis Osteopenia Osteoporosis

Male

Lumbar Spine 1-4 0.904 0.724 0.884 0.707

Total Hip 0.803 0.598 0.899 0.713

Femoral Neck 0.722 0.536 0.781 0.582

Female

Lumbar Spine 1-4 0.891 0.719 0.867 0.696

Total Hip 0.736 0.564 0.791 0.629

Femoral Neck 0.696 0.536 0.669 0.512

두 참고치가 제시하는 골다공증과 골감소증의 단값을 비교하면, 남성의 경우 요

추는 일본인 기 에서 높은 값을 제시하는 반면, 퇴 체와 퇴 경부는 한국인 기

이 높은 단값을 제시한다. 따라서 한국인 정상 참고치를 용할 경우, 남성의 요

추 유병률은 상 으로 감소하지만 퇴 체와 퇴 경부 유병률은 증가한다. 여성

의 경우 요추와 퇴 경부는 일본인 기 이 높은 단값을 제시하지만, 퇴 체는

한국인 기 이 높은 단값을 제시하게 된다. 즉 한국인 정상 참고치를 용할 경우,

여성의 요추와 퇴골 경부 유병률은 감소하지만 퇴골 체 유병률은 상 으로

증가하게 된다.

3.3 정상 참고치에 따른 T-값의 변화

정상 참고치의 설정은 골다공증 정을 한 T-값에 향을 미친다. 동일한 연구

상에 두 정상 참고치의 용에 따른 성별 세 검진부 의 T-값의 평균을 비교한 결

과, 남녀의 모든 부 에서 통계 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 다(<Table 3.4> 참조).

남성의 경우 T-값 평균에 있어, 요추는 한국인 기 을 용하 을 때 높았지만, 퇴

체와 퇴 경부는 일본인 기 을 용하 을 때 높았다. 여성의 경우 요추와 퇴

경부는 한국인 기 에서 높았지만, 퇴골 체는 일본인 기 에서 높았다. T-값이

크다는 것은 유병률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술한 <Table 3.3>의 단값에

한 분석과 일 된 결과를 제시한다.

Page 10: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 · 에서 30.3%로 감소하였다. 진단부위별로 66세 여성의 t-값이 –1.0 미만인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을 활용한 골다공증진단을 위한 정상 참고치와 유병률 연구 51

<Table 3.4> T-score according to two different references by gender and skeletal site,

subjects aged 50 to 89

Gender Japanese reference Korean reference

Skeletal site n Mean ± SD Mean ± SD p-value1)

Male

Lumbar Spine 1-4 3,781 ­0.712 ± 1.296 ­0.538 ± 1.318 < 0.001

Total Hip 3,781 ­0.147 ± 0.946 ­0.832 ± 1.045 < 0.001

Femoral Neck 3,781 ­0.834 ± 0.973 ­1.289 ± 0.907 < 0.001

Female

Lumbar Spine 1-4 5,022 ­1.740 ± 1.273 ­1.536 ± 1.284 < 0.001

Total Hip 5,022 ­0.647 ± 1.085 ­1.134 ± 1.155 < 0.001

Femoral Neck 5,022 ­1.662 ± 1.067 ­1.417 ± 1.087 < 0.001

1) Statistical significances were tested by two paired samples t-test.

3.4 정상 참고치에 따른 골다공증 유병률의 차이

골다공증 정을 해 두 가지 상이한 정상 참고치의 용에 따른, 남성과 여성

각각의 유병률 차이는 <Table 3.5>와 같다. 일본인 기 을 사용하 을 때와 비교하여

한국인 정상 참고치를 용하 을 때, 남성의 경우 골다공증의 유병률이 증가한 반면,

여성의 경우는 감소하 다. 즉 50세 이상 연령집단(50-89세)의 골다공증 유병률의 차

이는 남성의 경우, 기존의 일본인 기 을 용하 을 때 8.6%인 반면 한국인 정상 참

고치를 사용하 을 때 12.1%로 증가 다. 반 로 여성의 경우는 36.2%에서 30.2%로

감소하 다. 골감소증의 유병률은 남성의 경우 48.4%에서 57.3%로 증가하 고, 여성

도 47.5%에서 48.7%로 약간 증가하 다.

골다공증 정의 결과를 세 범주(정상, 골감소증, 그리고 골다공증)로 구분하 을

때, 결과의 일치도는 남성의 경우 80.4%이고 여성은 87.9%이다. 정 결과의 일치도

를 카 (Kappa)값으로 평가해보면, 남성은 0.663이고 여성은 0.808로서 둘 다 높은 편

이다. 하지만 두 정상 참고치가 제시하는 골다공증과 골감소증의 유병률이 모두 같다

고 할 수 있는지에 한 맥니마-보우커 (McNemar-Bowker) 검정 결과, 남성과 여성

모두 유의수 0.001에서 유병률이 같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다.

연령집단을 5세 단 로 구분하여 남성과 여성 각각에 하여, 두 정상 참고치가

제시하는 골다공증 유병률의 차이를 도식화하면 <Figure 3.2>와 같다. 남성의 경우

50-54세 연령집단을 제외하고 모든 연령집단들에서, 한국인 기 을 용하 을 때가

골다공증 유병률이 더 높다. 그리고 이러한 유병률의 차이에 한 맥니마 정확한 검

정(McNemar’s exact test) 결과, 60-84세까지의 연령집단들은 유의수 0.01에서 유병

률의 차이가 없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다. 여성의 경우 모든 5세 단 의 연령

집단들에서 한국인 기 을 용하 을 때 골다공증 유병률이 더 낮다. 그리고 이러한

Page 11: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 · 에서 30.3%로 감소하였다. 진단부위별로 66세 여성의 t-값이 –1.0 미만인

52 이종석 ․ 장성옥

유병률 차이는 85-89세 연령집단을 제외하고 유의수 0.01에서 통계 으로 유의한

것이었다.

<Table 3.5> Agreement in osteoporosis categorization between two different references by

gender, subjects aged 50 to 89 years

Based onJapanesereference

Based on Korean reference

Normal Osteopenia Osteoporosis Total

n (%) n (%) n (%) n (%) p1) κ2)

Male <0.001 0.663

Normal 1,117 (29.5) 506 (13.4) 0 ( 0.0) 1,623 (42.9)

Osteopenia 40 ( 1.1) 1,629 (43.1) 162 ( 4.3) 1,831 (48.4)

Osteoporosis 0 ( 0.0) 32 ( 0.8) 295 ( 7.8) 327 ( 8.6)

Total 1,157 (30.6) 2,167 (57.3) 457 (12.1) 3,781 (100)

Female <0.001 0.808

Normal 805 (16.0) 11 ( 0.2) 0 ( 0.0) 816 (16.2)

Osteopenia 207 ( 5.1) 2,114 (42.1) 16 ( 0.3) 2,387 (47.5)

Osteoporosis 0 ( 0.0) 320 ( 6.4) 1,499 (29.8) 1,819 (36.2)

Total 1,062 (21.1) 2,445 (48.7) 1,515 (30.2) 5,022 (100)

1) Statistical significances were tested by McNemar-Bowker test for correlated proportions.

2) κ: Cohen’s kappa, p-values both of male and female are less than 0.001.

3.5 정상 참고치에 따른 연령 표준화된 골다공증 유병률의 차이

기존 일본인 기 과 한국인 기 이라는 두 가지 정상 참고치에 따라, 연령 표 화

된 유병률이 어떻게 다른지는 검진부 별로 <Table 3.6>에 제시되어 있다. 연령 표

화된 유병률은 통계청 조사 리국 인구총조사과에서 발표하는 ‘2010년 인구분포(통계

청, 2010)’를 기 으로 연령별 가 치를 용하여 보정된 유병률을 의미한다. 먼 세

부 어느 한 부 라도 T값이 –2.5 이하이면 골다공증으로, -2.5보다 크고 –1.0

보다 작으면 골감소증으로 정하는 경우에 해 살펴보자(<Table 3.6>의 Any site

행들 참조). 이는 우리나라 의료 장에서 실제로 골다공증을 진단하는 방식이다. 정상

참고치에 따른 50세 이상 연령집단(50-89세)의 연령 표 화된 골다공증과 골감소증

유병률은 성별로 다음과 같다. 남성의 골다공증 유병률은 일본인 정상 참고치를 용

했을 때 7.7%에서, 한국인 정상 참고치를 용할 경우 10.5%로 증가하 다. 골감소증

유병률 역시 46.9%에서 56.2%로 증가하 다. 여성의 골다공증 유병률은 36.1%에서

30.3%로 감소한 반면, 골감소증 유병률은 46.3%에서 47.0% 약간 증가하 다. 한국인

고유의 정상 참고치를 기 으로 할 경우, 50세 이상의 남성은 10명 1명이 여성은

10명 3명이 골다공증 유병자이다.

Page 12: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 · 에서 30.3%로 감소하였다. 진단부위별로 66세 여성의 t-값이 –1.0 미만인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을 활용한 골다공증진단을 위한 정상 참고치와 유병률 연구 53

* Statistical significances were tested by McNemar’s exact test for correlated proportions.

<Figure 3.2> Osteoporosis prevalence according to two different references by gender

Page 13: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 · 에서 30.3%로 감소하였다. 진단부위별로 66세 여성의 t-값이 –1.0 미만인

54 이종석 ․ 장성옥

54

이종

석 ․

장성

<Table 3.6> A

ge-

standardized

prevalence of osteopen

ia and osteo

porosis according to two different references by skeletal site and age

group

Male

Fem

ale

Age

Norm

al

Osteopen

iaOsteoporosis

Norm

al

Osteopen

iaOsteoporosis

Skeletal site

(years)

Japan

Korea

Japan

Korea

Japan

Korea

Japan

Korea

Japan

Korea

Japan

Korea

Any site

50-89

45.4

33.3

46.9

56.2

7.7

10.5

17.6

22.6

46.3

47.0

36.1

30.3

50-59

54.3

42.8

41.8

52.9

3.9

4.3

33.8

42.1

53.9

49.2

12.3

8.6

60-69

44.9

31.3

47.6

58.4

7.5

10.3

8.9

13.3

54.2

57.8

36.9

28.8

70-79

26.6

15.5

58.6

62.2

14.8

22.3

2.3

3.4

34.8

40.4

62.9

56.2

80-89

19.3

6.2

54.1

55.1

26.5

38.7

0.3

0.6

11.3

18.5

88.4

80.9

Lum

bar spine 1-4

50-89

58.3

63.1

35.6

32.0

6.2

4.9

27.9

33.4

43.6

43.5

28.6

23.1

50-59

62.6

67.5

33.6

29.7

3.8

2.8

45.7

52.6

43.8

40.0

10.5

7.5

60-69

58.2

63.2

35.4

31.7

6.4

5.2

19.7

24.9

49.7

51.4

30.6

23.7

70-79

49.0

54.0

40.6

37.9

10.4

8.1

11.0

15.0

40.0

43.5

48.9

41.5

80-89

44.0

47.7

40.5

38.8

15.5

13.5

5.2

8.2

31.6

36.3

63.2

55.5

Total Hip

50-89

84.9

59.0

14.3

36.6

0.8

4.5

62.7

46.3

32.0

40.8

5.3

12.9

50-59

92.7

70.6

7.3

28.4

0.0

1.0

87.0

71.8

12.7

26.8

0.3

1.4

60-69

85.4

57.2

14.3

38.8

0.3

4.0

63.0

42.5

35.3

50.1

1.7

7.4

70-79

69.6

36.4

28.3

53.3

2.1

10.3

33.6

15.6

55.7

59.0

10.7

25.3

80-89

50.2

23.5

40.9

51.0

8.9

25.5

10.2

4.3

62.0

38.3

27.8

57.5

Fem

oral neck

50-89

59.4

39.3

37.5

53.9

3.1

6.8

26.3

34.3

51.5

49.2

22.2

16.5

50-59

72.0

50.9

27.7

47.8

0.3

1.3

47.5

59.0

48.3

39.0

4.2

2.0

60-69

57.3

36.0

39.9

57.3

2.7

6.7

17.4

25.8

66.3

64.0

16.3

10.2

70-79

34.7

17.5

57.8

65.9

7.5

16.6

4.6

7.2

51.2

58.7

44.3

34.1

80-89

24.4

10.7

54.9

55.5

20.7

33.7

0.9

2.1

21.6

31.6

77.5

66.3

1) A

ge-

standardized

prevalence p

er 100 persons adjusted for the distribution of the Korean p

opulation, 2010.

Page 14: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 · 에서 30.3%로 감소하였다. 진단부위별로 66세 여성의 t-값이 –1.0 미만인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을 활용한 골다공증진단을 위한 정상 참고치와 유병률 연구 55

10세를 단 로 한 연령집단들의 성별 연령 표 화된 골다공증 유병률은 다음과 같

다. 남성은 일본인 기 을 사용하 을 때, 50 부터 80 까지 각각 3.9%, 7.5%, 14.8%,

26.5%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 정상 참고치를 용하 을 때는 각각 4.3%, 10.3%,

22.3%, 38.7%로 조사되어, 모든 연령집단에서 일본인 기 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따

라서 기기 회사가 제공하는 일본인 정상 참고치를 용할 경우, 남성의 골다공증 유

병률은 모든 연령집단에서 상 으로 과소평가될 수 있다. 여성은 일본인 기 에서

각각 12.3%, 36.9%, 62.9%, 88.4%인 반면, 한국인 기 에서 각각 8.6%, 28.8%, 56.2%,

80.9%로 더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일본인 정상 참고치를 용할 경우, 여성의 골다공

증 유병률은 10세 단 의 모든 연령집단에서 상 으로 과 평가될 수 있다.

50 부터 80 까지의 10세 단 의 성별 연령 표 화된 골감소증 유병률은 다음과

같다. 남성은 일본인 기 으로 각각 41.8%, 47.6%, 58.6%, 54.1%인 반면, 한국인 기

으로 각각 52.9%, 58.4%, 62.2%, 55.1%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남성의 골감소증

유병률은 일본인 정상 참고치를 용하 을 때, 모든 연령집단에서 상 으로 과소

평가될 수 있다. 그리고 여성은 일본인 기 에서 각각 53.9%, 54.2%, 34.8%, 11.3%인

반면, 한국인 기 으로 각각 49.2%, 57.8%, 40.4%, 18.5%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성의 골감소증 유병률은 일본인 정상 참고치를 용하 을 때, 50 를 제외한 연령

집단에서 상 으로 과소평가될 수 있다. 남성은 80 에서 그리고 여성은 70 와 80

에서 골감소증 유병률이 감소하 는데, 이는 노령화에 따라 골감소증 유병자들

상당수가 골다공증으로 악화된다는 사실을 반 한다.

3.6 정상 참고치에 따른 진단부위별 연령 표준화된 골다공증 유병률의 차이

정상 참고치에 따른 50세 이상 연구 상 체(50-89세)의 진단부 별 연령 표 화

된 골다공증과 골감소증 유병률은 다음과 같다(<Table 3.6> 참조). 남성의 골다공증

과 골감소증 유병률은 일본인 정상 참고치에 비교하여 한국인 정상 참고치를 용할

때, 요추는 감소하 고(각각 6.2%에서 4.9%로, 35.6%에서 32.0%로), 퇴 체(각각

0.8%에서 4.5%로, 35.6%에서 32.0%로)와 퇴 경부(3.1%에서 6.8%로, 37.5%에서

53.9%로)는 증가하 다. 여성의 골다공증과 골감소증 유병률은 요추(각각 28.6%에서

23.1%로, 43.6%에서 43.5%로)와 퇴 경부(각각 22.2%에서 16.5%로, 51.5%에서

49.2%로)는 감소한 반면, 퇴 체는 증가하 다(각각 5.3%에서 12.9%로, 32.0%에서

40.8%로).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요추는 감소하 고, 퇴 체는 증가하 다. 그리고

퇴 경부는 남성은 증가한 반면, 여성은 감소하 다.

50세 이상 남성의 10세 단 연령집단들에서, 두 정상 참고치에 따른 진단부 별

연령 표 화된 골다공증 유병률의 차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able 3.6> 참조).

일본인의 정상 참고치를 용하 을 때, 50 에서 70 까지는 요추의 유병률이 각각

3.8%, 6.4%, 10.4%로서 가장 높았으며, 80 에는 퇴 경부의 유병률이 20.7%로서 가

장 높았다. 퇴 체의 유병률은 각각 0.0%, 0.3%, 2.1%, 8.9%로서 가장 낮은 수 이

었다. 반면 한국인 고유의 정상 참고치를 용하 을 때, 50 만 요추의 유병률이

2.8%로 가장 높았고, 60 부터 80 까지는 퇴 경부의 유병률이 각각 6.7%, 16.6%,

Page 15: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 · 에서 30.3%로 감소하였다. 진단부위별로 66세 여성의 t-값이 –1.0 미만인

56 이종석 ․ 장성옥

33.7%로서 가장 높았다. 퇴 체의 유병률은 각각 1.0%, 4.0%, 10.3%, 25.5%로서

모든 연령집단에서 일본인 기 에 비해 증가하 고, 특히 70 와 80 에는 요추의 유

병률 13.5%보다 높았다.

여성의 10세 단 연령집단들에서, 두 정상 참고치에 따른 진단부 별 연령 표

화된 골다공증 유병률의 차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able 3.6> 참조). 일본인의

정상 참고치를 용하 을 때, 50 에서 70 까지는 요추의 유병률이 각각 10.5%,

30.6%, 48.9%로서 가장 높았으며, 80 에는 퇴 경부의 유병률이 77.5%로서 가장 높

았다. 퇴 체의 유병률은 각각 0.3%, 1.7%, 10.7%, 27.8%로서 가장 낮은 수 이었

다. 반면 한국인 고유의 정상 참고치를 용하 을 때에도, 50 에서 70 까지는 요추

의 유병률이 각각 7.5%, 23.7%, 41.5%로서 가장 높았으며, 80 에는 퇴 경부의 유

병률이 66.3%로서 가장 높았다. 퇴 체의 유병률은 각각 1.4%, 7.4%, 25.3%,

57.5%로서 일본인 기 에 비해 모든 연령집단에서 증가하 고, 특히 80 에는 요추의

유병률 55.5%보다 높았다.

3.7 한국 여성의 골다공증과 골감소증 유병부위 분석

50세 이상 여성의 골다공증과 골감소증 발생부 를 보다 정확히 악하기 해서,

한국인 고유의 정상 참고치를 용하 을 때 유병률과 함께 유병부 의 개수를 분석

하면 <Table 3.7>과 같다. 50세 이상 여성(50-89세)의 골다공증 유병자 1,515명

(30.2%) , 요추만 골다공증인 경우가 631명(12.6%)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세 부 모두 골다공증 325명(6.5%), 퇴골 경부만 골다공증 153명(3.0%), 퇴골

체와 퇴골 경부가 골다공증 150명(3.0%), 요추와 퇴골 경부가 골다공증 146명

(2.9%), 요추와 퇴골 체가 골다공증 68명(1.4%), 퇴골 체만 골다공증 42명

(0.8%)의 순이었다. 이러한 분석은 진단 부 별로 각각 골다공증 유병률을 분석한

<Table 3.5>과 비교해, 한 유병자가 복수로 집계되는 것을 막는다. 를 들어, 요추와

퇴골 경부가 모두 골다공증인 사람은 진단부 별로 따로 분석한다면, 두 부 각각

유병자가 한 명씩 증가될 것이다.

10세 단 의 연령집단별로 골다공증 유병부 를 살펴보면, 50 에서 70 까지 요

추 부 만 골다공증인 비 이 가장 컸다. 즉 50 (50-59세)의 골다공증 유병자 169명

약 70%에 해당하는 120명, 60 (60-69세)의 유병자 493명 57%에 해당하는 281

명, 그리고 70 (70-79세)의 유병자 646명 약 30%에 해당하는 203명이 요추 부

만 골다공증인 경우 다. 하지만 80 (80-89세)에는 세 부 모두 골다공증인 경우가

유병자 207명 약 43%에 해당하는 88명으로 가장 높았다. 퇴만 골다공증인 비

( 퇴 체, 퇴 경부, 그리고 퇴 체와 퇴 경부 골다공증인 비 의 합)은 노년

집단으로 갈수록 증가하 다. 즉 50 에는 유병자 약 14%(23명), 60 에는 약

18%(88명), 70 에는 약 26%(168명), 그리고 80 에는 약 32%(66명)에 달하 다. 따

라서 50 부터 70 까지 퇴만 골다공증인 비 은 요추만 골다공증인 경우보다

다. 하지만 80 의 경우 요추만 골다공증인 비 은 13%(27명)로서, 퇴만 골다공증인

경우에 비해 1/2도 안 되는 수 이다.

Page 16: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 · 에서 30.3%로 감소하였다. 진단부위별로 66세 여성의 t-값이 –1.0 미만인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을 활용한 골다공증진단을 위한 정상 참고치와 유병률 연구 57

국민

건강

영양

조사

(200

8-20

11)을

활용

한 골

다공

증진

단을

위한

정상

참고

치와

유병

률 연

구 5

7

<Table 3

.7> W

omen: Skeletal source(s) of osteoporosis a

nd o

steopenia b

y a

ge g

roup

One site

Two sites

Three

sites

Any site

LS only

TH only

FN only

LS and T

HLS and FN

TH and FN

LS, TH, FN

Age

(years)

n(%

)n

(%)

n(%

)n

(%)

n(%

)n

(%)

n(%

)n

(%)

Osteoporosis

50-89

1,515

(30.2)

631

(12.6)

42( 0.8)

153

( 3.0)

68( 1.4)

146

( 2.9)

150

( 3.0)

325

( 6.5)

50-59

169

( 8.8)

120

( 6.3)

7( 0.4)

9( 0.5)

3( 0.2)

12

( 0.6)

7( 0.4)

11

( 0.6)

60-69

493

(29.3)

281

(16.7)

12( 0.7)

44

( 2.6)

24( 1.4)

41

( 2.4)

32

( 1.9)

59

( 3.5)

70-79

646

(55.6)

203

(17.5)

22( 1.9)

79

( 6.8)

31( 2.7)

77

( 6.6)

67

( 5.8)

167

(14.4)

80-89

207

(79.3)

27(10.3)

1( 0.4)

21

( 8.0)

10( 3.8)

16

( 6.1)

44

(16.9)

88

(33.7)

Osteopen

ia

50-89

2,445

(48.7)

451

( 9.0)

32( 0.6)

253

( 5.0)

67( 1.3)

408

( 8.1)

228

( 4.5)

1,006

(20.0)

50-59

952

(49.6)

267

(13.9)

14( 0.7)

118

( 6.1)

30( 1.6)

161

( 8.4)

69

( 3.6)

293

(15.3)

60-69

967

(57.6)

155

( 9.2)

9( 0.5)

88

( 5.2)

31( 1.8)

190

(11.3)

85( 5.1)

409

(24.3)

70-79

474

(40.8)

26( 2.2)

7( 0.6)

42

( 3.6)

6( 0.5)

54

( 4.7)

66

( 5.7)

273

(23.5)

80-89

52

(19.9)

3( 1.1)

2( 0.8)

5( 1.9)

0( 0.0)

3( 1.1)

8( 3.1)

31

(11.9)

Abnorm

al

50-89

3,960

(78.9)

475

( 9.5)

33( 0.7)

253

( 5.0)

75( 1.5)

486

( 9.7)

266

( 5.3)

2,372

(47.2)

50-59

1,121

(58.4)

279

(14.5)

14( 0.7)

118

( 6.1)

34( 1.8)

177

( 9.2)

69

( 3.6)

430

(22.4)

60-69

1,460

(86.9)

161

( 9.6)

10

( 0.6)

88

( 5.2)

34( 2.0)

236

(14.0)

96( 5.7)

835

(49.7)

70-79

1,120

(96.5)

32( 2.8)

7( 0.6)

42

( 3.6)

7( 0.6)

70

( 6.0)

85

( 7.3)

877

(75.5)

80-89

259

(99.2)

3( 1.1)

2( 0.8)

5( 1.9)

0( 0.0)

3( 1.1)

16

( 6.1)

230

(88.1)

LS, lumbar spine 1-4; TH, total hip; FN, femoral neck.

Page 17: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 · 에서 30.3%로 감소하였다. 진단부위별로 66세 여성의 t-값이 –1.0 미만인

국민

건강

영양

조사

(200

8-20

11)을

활용

한 골

다공

증진

단을

위한

정상

참고

치와

유병

률 연

구 5

7

<Table 3

.7> W

omen: Skeletal source(s) of osteoporosis a

nd o

steopenia b

y a

ge g

roup

One site

Two sites

Three

sites

Any site

LS only

TH only

FN only

LS and T

HLS and FN

TH and FN

LS, TH, FN

Age

(years)

n(%

)n

(%)

n(%

)n

(%)

n(%

)n

(%)

n(%

)n

(%)

Osteoporosis

50-89

1,515

(30.2)

631

(12.6)

42( 0.8)

153

( 3.0)

68( 1.4)

146

( 2.9)

150

( 3.0)

325

( 6.5)

50-59

169

( 8.8)

120

( 6.3)

7( 0.4)

9( 0.5)

3( 0.2)

12

( 0.6)

7( 0.4)

11

( 0.6)

60-69

493

(29.3)

281

(16.7)

12( 0.7)

44

( 2.6)

24( 1.4)

41

( 2.4)

32

( 1.9)

59

( 3.5)

70-79

646

(55.6)

203

(17.5)

22( 1.9)

79

( 6.8)

31( 2.7)

77

( 6.6)

67

( 5.8)

167

(14.4)

80-89

207

(79.3)

27(10.3)

1( 0.4)

21

( 8.0)

10( 3.8)

16

( 6.1)

44

(16.9)

88

(33.7)

Osteopen

ia

50-89

2,445

(48.7)

451

( 9.0)

32( 0.6)

253

( 5.0)

67( 1.3)

408

( 8.1)

228

( 4.5)

1,006

(20.0)

50-59

952

(49.6)

267

(13.9)

14( 0.7)

118

( 6.1)

30( 1.6)

161

( 8.4)

69

( 3.6)

293

(15.3)

60-69

967

(57.6)

155

( 9.2)

9( 0.5)

88

( 5.2)

31( 1.8)

190

(11.3)

85( 5.1)

409

(24.3)

70-79

474

(40.8)

26( 2.2)

7( 0.6)

42

( 3.6)

6( 0.5)

54

( 4.7)

66

( 5.7)

273

(23.5)

80-89

52

(19.9)

3( 1.1)

2( 0.8)

5( 1.9)

0( 0.0)

3( 1.1)

8( 3.1)

31

(11.9)

Abnorm

al

50-89

3,960

(78.9)

475

( 9.5)

33( 0.7)

253

( 5.0)

75( 1.5)

486

( 9.7)

266

( 5.3)

2,372

(47.2)

50-59

1,121

(58.4)

279

(14.5)

14( 0.7)

118

( 6.1)

34( 1.8)

177

( 9.2)

69

( 3.6)

430

(22.4)

60-69

1,460

(86.9)

161

( 9.6)

10

( 0.6)

88

( 5.2)

34( 2.0)

236

(14.0)

96( 5.7)

835

(49.7)

70-79

1,120

(96.5)

32( 2.8)

7( 0.6)

42

( 3.6)

7( 0.6)

70

( 6.0)

85

( 7.3)

877

(75.5)

80-89

259

(99.2)

3( 1.1)

2( 0.8)

5( 1.9)

0( 0.0)

3( 1.1)

16

( 6.1)

230

(88.1)

LS, lumbar spine 1-4; TH, total hip; FN, femoral neck.

Page 18: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 · 에서 30.3%로 감소하였다. 진단부위별로 66세 여성의 t-값이 –1.0 미만인

58 이종석 ․ 장성옥

50 이상 여성(50-89세)의 골감소증은 유병자 2,445(48.7%) , 세 부 모두 골

감소증인 경우가 1,006명(20.0%)으로 가장 많았다. 10세 단 의 연령집단들에서 골감

소증 유병자 요추만 골감소증인 비 은 노년집단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즉 50

골감소증 유병자 952명 약 28%(267명), 60 의 유병자 967명 약 16%(155명),

70 의 유병자 474명 약 6%(26명), 그리고 80 유병자 52명 약 6%(3명)이 요

추만 골다공증인 경우 다. 반면에 퇴 체 혹은 퇴 경부가 골감소증인 비 은

노령집단에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즉 50 에 약 21%(201명), 60 에 약 19%(182

명), 70 에 약 24%(115명), 그리고 80 에 약 29%(15명)으로 조사되었다.

진단부 에 따라 T-값이 —1.0 미만인 경우(골감소증 혹은 골다공증)의 비 을 분

석하면 <Table 3.7>의 “Abnormal”행들과 같다. 이는 연령집단별 총계에 있어서는 골

다공증과 골감소증의 합계와 같지만, 진단부 별로는 골다공증과 골감소증의 단순한

합계와 다르다. 를 들어, 세 진단부 [요추, 퇴 체, 퇴 경부]가 [골다공증, 정

상, 골감소증]인 여성은 골다공증의 ‘요추만 골다공증’인 범주에 속하지만, T-값 —1.0

미만 분류에서는 ‘요추와 퇴경부의 두 부 비정상’인 범주에 속하게 된다.

10세 단 의 연령집단별로 ‘요추만 비정상’인 경우와 ‘ 퇴만( 퇴 체 혹은 퇴

경부) 비정상’인 경우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50 에는 비정상 1,121명 요추만 비

정상이 약 25%(279명)으로 퇴 비정상 약 18%(201명)보다 많다. 반면 60 이후의

연령집단들에서는 요추만 비정상보다 퇴만 비정상의 비 이 더 높다. 60 의 비정

상자 1,460명 각각 약 11%(161명)와 약 13%(194명), 70 의 비정상자 1,120명

각각 약 3%(32명)과 12%(134명), 그리고 80 의 비정상자 259명 각각 약 1%(3명)

과 약 9%(23명)으로 조사되었다.

<Table 3.8> Agreement in osteoporosis categorization between the index sites,

women aged 66 years

Total hip or Femoral neck

Normal Osteopenia Osteoporosis Total

Lumbar spine 1-4 n (%) n (%) n (%) n (%) p1) κ2)

Normal 17 (10.2) 24 (14.4) 2 ( 1.2) 43 (25.7) <0.001 0.197

Osteopenia 12 ( 7.2) 53 (31.7) 9 ( 5.4) 74 (44.3)

Osteoporosis 0 ( 0.0) 35 (21.0) 15 ( 9.0) 50 (29.9)

Total 29 (17.4) 112 (67.1) 26 (15.6) 167 (100)

1) Statistical significances were tested by McNemar-Bowker test for correlated proportions.

2) κ: Cohen’s kappa, p-value is less than 0.001.

술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는 생애 환기 건강진단에서, 만 66세의 여성을 상으

로 요추의 골 도를 측정한다. 연구 상자들 66세 여성 167명의 요추와 퇴의 골

다공증 진단결과를 교차 분석한 결과는 <Table 3.8>과 같다. 여기서 퇴는 퇴 경

Page 19: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 · 에서 30.3%로 감소하였다. 진단부위별로 66세 여성의 t-값이 –1.0 미만인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을 활용한 골다공증진단을 위한 정상 참고치와 유병률 연구 59

부와 퇴 체 두 부 를 포함하며, 어느 한 부 라도 골다공증 혹은 골감소증이라

면 유병자로 진단된다. 66세 여성 요추부 기 골다공증 유병률은 29.9%로서

퇴부 기 유병률은 15.6%보다 크다. 반면 66세 여성 골감소증 유병률은 요추부

기 44.3%로서 퇴부 기 67.1%보다 작다.

4. 고찰

골다공증성 골 의 측인자는 연령, 음주, 흡연, 신체활동도, 성별 구분, 골 과거

력, 가족력 등 다양하다(Kasper 등 2004). 이들 골 도는 골 에 한 가장 높은

측력을 갖는 표 인 험인자이다(World Health Organization, 1994; Miller 등,

2002; Gauley 등, 2005). 실제로 측정된 골 도는 인종과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어

(Vogel 등, 1997; Henry 등, 2000), 각 나라마다 정상 참고치를 만들고 이를 기 으로

골 도를 T-값으로 변환하여 골다공증을 진단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고유의

정상 참고치가 개발되지 못한 상태에서, 골다공증 측정기기 회사가 제공하는 참고치

를 그 로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Hologic 기기의 경우 일본인 참고치를 사용하고 있

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 양조사 4개년(2008-2011)의 자료를 통합하여 한국

인 정상 참고치를 도출하고, 이를 기 으로 할 경우와 기존 참고치를 용할 때 유병

률 차이를 분석하 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골다공증 진단을 한 정상

참고치는 T-값을 변화시켜 유병률에 차이를 발생시킨다. (2) 50세 이상(50-89세)의

정상 참고치에 따른 연령 표 화된 골다공증 유병률의 차이를 비교하면, 남성은 기존

의 일본인 기 을 용하 을 때 7.7%에서 한국인 정상 참고치를 사용하 을 때

10.5%로 증가하 다. 반면 여성의 경우 일본인 기 에서 유병률은 36.1%에서 한국인

기 에서 30.3%로 감소하 다. (3) 진단부 별 50세 이상 여성의 골다공증 유병률을

살펴보면, 연령의 증가에 따라 요추는 감소하는 반면 퇴( 퇴 경부와 퇴 체)는

증가한다. (4) 66세 여성들의 요추 골다공증 유병률은 29.9%로서 퇴 15.6%보다 높

다. 반면 요추 골감소증 유병률은 44.3%로서 퇴 67.1%보다 작다.

기기 회사가 제공하는 참고치와 실제 인종 지역별 참고치로 계산된 유병률의

차이에 한 연구결과는 지속 으로 제시되어 왔다. Chen 등(1998)은 미국의 건강

양조사 3기(NHANES III) 자료에서 도출된 정상 참고치를 용했을 경우, 퇴 경부

의 유병률이 기기 회사 참고치 기 49.2%에서 27.7%로 감소한다고 보고하 다. 이러

한 정상 참고치에 따른 상이한 유병률의 문제를 해소하기 해, 최근 주요 가이드라

인들은 미국 NHANES III의 정상 참고치를 사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World Health

Organization Scientific Group, 2007; International Society of Clinical Densitometry,

2007; National Osteoporosis Guideline Group, 2010). 이러한 권고안의 근거는 국가들

사이에 정상 참고치의 차이가 크지 않다는 것인데(Kanis 등, 2013), 작은 참고치의 변

화도 유병률에 상당한 향을 미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참고치 설정 방식에 한 학계의 논의와 함께, 실무 으로 이에 한 지침이 제시되

Page 20: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 · 에서 30.3%로 감소하였다. 진단부위별로 66세 여성의 t-값이 –1.0 미만인

60 이종석 ․ 장성옥

어야 한다. 하지만 국내 실제 임상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있는 ‘골다공증의 진단

치료 지침( 한골 사학회, 2011)’에 참고치에 한 어떠한 명시도 없는 실이다.

최승화 등(2008)과 Yang 등(2006)의 연구에서와 같이 정상 참조집단을 ‘20 부터

최 골 도에 달하는 집단까지의 연령집단’으로 정의하고, 이를 악하기 해 10세

단 연령집단들에 해 골 도 평균의 변화를 분석하 다. 남성의 경우 골다공증 진

단에 사용되는 세 부 모두가 20 에 최 에 도달한 반면, 여성은 진단부 별로 최

골 도에 달하는 연령집단이 달랐다. 여성의 경우 요추는 30 , 퇴 경부는 20 ,

그리고 퇴 체는 20 에 골 도 평균값이 최 에 도달했다. 이는 최승화 등(2008)

의 연구결과와 남성은 일치하지만, 여성에 해서는 부분 인 차이를 보 다. 즉 여성

의 요추가 30 이고 퇴 경부는 20 로 같지만, 퇴 체는 30 에서 최 라는 면

에서 다르다. 여성만을 상으로 한 Yang 등(2006)의 연구에서는 요추와 퇴 경부

모두 30 에 최 골 도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두 연구가 Lunar 기기를 상으로

하 다는 것과 함께, 표본의 차이가 복합 으로 향을 미쳤을 것으로 단된다.

정상 참고치의 설정은 T-값을 변화시켜 유병률에 향을 미친다(최승화 등, 2008,

Chen 등, 1998). 본 연구에서 도출된 한국인 정상 참고치와 기존의 기기 회사가 제공

하는 인본인 참고치와의 차이를 비교하기 해, 두 정상 참고치에 따른 T-값 평균의

차이를 분석하 다. 50세 이상의 연령집단에 한 성별 그리고 진단부 별 분석결과,

모두에서 T-값 평균 차이의 통계 유의성을 나타내는 p-값은 0.001보다 작았다. 두

정상 참고치가 제시하는 골다공증과 골감소증의 단값을 비교하면, 남성의 경우 한

국인 기 에서 요추는 더 낮은 반면, 퇴골 체와 퇴골 경부는 더 높았다. 따라서

한국인 정상 참고치를 용할 경우, 요추의 유병률은 상 으로 감소하 지만 퇴

체와 퇴 경부의 유병률은 증가하 다. 여성의 경우 한국인 기 에 요추와 퇴

경부는 더 낮지만, 퇴 체는 더 높았다. 따라서 한국인 정상 참고치를 용할 경

우, 요추와 퇴 경부의 유병률은 감소하 지만 퇴 체의 유병률은 상 으로 증

가하 다.

골다공증 검진부 에 따른 진단결과의 불일치는 기존 연구에서 지속 으로 보고되

어 왔다(Abrahamsen 등, 1997). 이는 연령에 따라 유병부 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Lee 등(2003)은 한국 여성의 요추 골다공증은 50 반부터 시작되는 반면

퇴 골다공증은 50 반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60 반에 격히 증가한다고 보

고하 다. 이는 본 연구에서 한국인 정상 참고치를 용하여, 한국 여성의 부 별 유

병률을 분석한 결과와 일치한다. 10세 단 연령집단의 골다공증 유병자 요추만

골다공증인 비 은 50 부터 노령집단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0

70%, 60 에 57%, 70 에 30%, 그리고 80 에 13%.) 반면 퇴만 골다공증의 비 은

높은 연령집단으로 갈수록 증가하 다(각각 14%, 18%, 26%, 그리고 32%). 이는 연령

의 증가에 따라 유병부 의 상 요성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생애 환기 건강진단에서, 만 66세 여성을 상으로 요추 골 도를 측

정하여 골다공증을 진단한다. 본 연구의 상 만 66세 여성의 유병률은 진단부

별로 살펴보면, 요추 골다공증은 29.9%로서 퇴 골다공증 15.6%보다 높다. 따라서

국가검진의 목 이 골다공증 유병자 발견에 있다면, 요추를 검진하는 것이 효과 일

Page 21: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 · 에서 30.3%로 감소하였다. 진단부위별로 66세 여성의 t-값이 –1.0 미만인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을 활용한 골다공증진단을 위한 정상 참고치와 유병률 연구 61

것이다. 반면 T-값이 –1.0 미만(골감소증 혹은 골다공증)인 비 을 살펴보면, 요추가

74.3%이고 퇴가 82.6%인 것을 나타났다. 따라서 골감소증을 포함한 유병자의 발견

에 국가검진의 목 이 있다면, 퇴를 검진하는 것이 더 효과 일 것이다. 골감소증은

연령의 증가에 따른 골량의 감소로 인해, 골다공증으로 발 하는 것이 일반 이다. 따

라서 골다공증은 방과 조기치료가 요하며, 이를 해서는 골감소증에 한 극

인 치료가 필요하다. 하지만 행 의료보험체계의 여기 은 T-값 –2.5 이하(골

다공증)인 경우로 제한하고 있어서, 사후치료 심이라는 비 이 제기되어 왔다. 이러

한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 국가건강검진의 연령과 부 그리고 여기 에 한 다

각 인 검토가 요구된다. 본 연구결과는 검진연령을 50 폐경여성으로 연령을 낮추

어 요추를 검사하거나, 행처럼 66세에 진단하는 경우 퇴로 검진부 를 변경하는

것이 효과 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리고 방 조기치료를 한 투자가 궁

극 으로 재정지출을 일 수 있기 때문에, 여기 을 확 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 양조사라는 국을 표하는 규모의 표본을 사용하여 한국

인 고유의 정상 참고치를 만들고, 이를 기 으로 한 유병률과 시사 을 도출하 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한계 을 가지며 이는 추후 연

구 과제가 될 것이다. 첫째, 골 도 측정이 ‘Hologic’ 기기로 이루어져 일반화에 제한

을 가지며, 국내 의료 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른 기기인 ‘Lunar’와의 비교연구는

추후 과제가 될 것이다. 둘째, 특정시 에서 다양한 연령집단을 상으로 한 단면연구

로서, 개인들의 실제 연령 증가에 따른 변화를 설명하는 데는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향후 코호트를 기반으로 한 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골다공증 진단과 치료의 성과

는 골다공증성 골 의 감소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측면에서, 골 도와 골 의 계에

한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제시된 안들에 한 비용-편익 분석이 이루어

지지 못했다. 최근 골다공증 환자와 진료비가 증하는 상황에서, 건강보험재정을 고

려한 실효성 있는 리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2013년 8월 6일 수, 2013년 9월 17일 수정, 2013년 10월 1일 채택)

Page 22: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 · 에서 30.3%로 감소하였다. 진단부위별로 66세 여성의 t-값이 –1.0 미만인

62 이종석 ․ 장성옥

참고문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3). 가 약해지는 골다공증, 고령환자 크게 늘어, 보도자료:

2013.1.24.

한골다공증학회. (2009) <골 도 측정 가이드>, 청운. 서울.

한골 사학회. (2011). <골다공증의 진단 치료 지침 2011>, 진료지침 원회.

안정훈. (2011) <골다공증의 합리 인 한국 평가기 개발>,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장선미, 박찬미, 장수 , 윤 구, 신찬수, 김덕윤, 하용찬, 이성수, 최형진, 이 균, 김범

택, 최지엽. (2010). 골다공증 환자의 의료이용 양상, <내분비학회지>,

25(4), 329-339.

장숙량, 최 호, 최문기, 강성 , 정진 , 최용 , 김동 . (2006). 춘천지역 폐경 후 여

성의 골다공증 유병률과 련 요인: 한림노년연구, < 방의학회지>, 39(5),

389-396.

호균, 김소라, 김성훈, 채희동, 김정훈, 강병문. (2008). 강원지역 여성의 골다공증

골감소증 유병률: 지역비교연구, < 한골 사학회지>, 15(2), 135-141.

질병 리본부. (2008-2011). 국민건강 양조사 제4기 2-3차년도와 제5기 1-2차년도.

최승화, 박일 , 주남석, 김범택. (2008). 건강검진 자료를 통한 성인 골다공증 진단을

한 정상 참고치, < 한골 사학회지>, 15(1), 67-76.

최지엽, 한소희, 신애선, 신찬수, 박수경, 조성일, 강 희. (2008). 한국인 여성 골다공증

골감소증의 유병률과 험요인: 지역사회 단면연구, < 한폐경학회지>,

14(1), 35-49.

통계청. (2010). 2010년 인구총조사, 조사 리국 인구총조사과.

Abrahamsen, B., Hansen, T.B., Jensen, L.B., Hermann, A.P., Eiken, P. (1997). Site

of osteoporosis in perimennopausal women: Correlation and limits of

agreement between anatomic regions,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12(9), 1471-1479.

Cauley, J.A., Lui, L.Y., Ensrud, K.E., Zmda, J.M., Stone, K.L., and Hochberg, M.C.

(2005). Bone mineral density and the risk of incident nonspinal fractures

in black and white women, JAMA, 293(17), 2102-2108.

Chen, Z., Maricic, M., Lund, P., Tesser, J., and Gluck, O. (1998). How the new

Hologic hip normal reference values affect the densitometric diagnosis of

osteoporosis, Osteoporosis International, 8, 423-427.

Choi, Y.J., Oh, H,J., Kim D.J., Lee Y.H., and Chung Y.S. (2012).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 Korean adults aged 50 years or older and the higher

diagnosis rates in women who were beneficiaries of a national screening

progra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09, Journal of Bone Mineral Research, 27, 1879-1886.

Gui, L.H., Choi, J.S., Shin, M.H., Kweon, S.S., Park, K.S., Lee, Y.H., Nam, H.S.,

Jeong, S.K., and Im, J.S. (2008) Prevalence of osteoporosis and reference

Page 23: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 · 에서 30.3%로 감소하였다. 진단부위별로 66세 여성의 t-값이 –1.0 미만인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을 활용한 골다공증진단을 위한 정상 참고치와 유병률 연구 63

data for lumbar spine and hip bone mineral density in a Korean

population, Journal of Bone Mineral Metabolism, 26, 609-617.

Henry, Y.M., and Eastell, R. (2000). Ethnic and gender differences in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turnover in young adults: Effect of bone size,

Osteoporosis International, 11(6), 512-517.

International Society for Clinical Densitometry. (2007) Official Positions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Clinical Densitometry, Hartford, West Hartford.

Kanis, J.A., and Gluer, C.C., (2000). Au update on the diagnosis and assessment of

osteoporosis with densitometry, Osteoporosis International, 11, 192-202.

Kanis, J.A., McCloskey, E.V., Johansson, H., Cooper, C., Rizzoli, R., and Reginster,

J.Y. (2013) European guidance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Osteoporosis International, 24,

23-57.

Kasper, D.L., Braunwald, E., Hauser, S., Longo D., Jameson, J.L., and Fauci, A.S.

(2004).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6th ed.),

McGraw-Hill Professional, New York.

Lee, J.S., Lee S., Jang, S., Ryu, O.H. (2013). Age-related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According to Gender and Skeletal Site: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0,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8(3), 180-191.

Miller, P.D., Siris E.S., Barrett-Connor E., Faulkner, K.G., Wehren, L.E., and

Abbott, T.A. (2002). Prediction of fracture risk in postmenopausal white

women with peripheral bone densitometry: Evidence from the National

Osteoporosis Risk Assessment, Journal of Bone Mineral Research,

17(12), 2222-2230.

National Osteoporosis Guideline Group. (2010). Clinician’s Guidelin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Washington, DC.

Reid, D.M., Lanham, S.M., McDonald, A.G. (1990). Speed on comparability of three

dual energy X-ray absorptionmetry models, Osteoporosis International,

2, 575-577.

Shin, C.S., Choi, H.J., Kim, M.J., Kim, J.T., Yu, S.H. Koo, B.K., Cho, H.Y., Cho,

S.W., Kim, S.W., Park, Y.J., Jang, H.C., Kim, S.Y., and Cho, N.H.

(2010).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in Korea: A

community-based cohort study with lumbar spine and hip bone mineral

density, Bone, 47, 378-387.

Vogel, J.M., Davis, J.W., Nomura, A., Wanich, R.D. and Ross, P.D. (1997). The

effects of smoking on bone mass and the rates of bone loss among

elderly Japanese-American men, Journal of Bone Mineral Research,

Page 24: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 · 에서 30.3%로 감소하였다. 진단부위별로 66세 여성의 t-값이 –1.0 미만인

64 이종석 ․ 장성옥

12(9), 1495-1501.

World Health Organization Scientific Group. (2007). Assessment of Osteoporosis at

the Primary Health Care Level, the University of Sheffield, Sheffield.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4). Assessment of fracture risk and its application

to screening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Technical Report 843,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Yang, S., Chung, Y., Kim, D., Sohn, M., Kang, Y., and Barden, H. (2006).

Normative study on bone mineral density in a population of Korean

women using DXA, Bone Mineral Research, 21, S227.

Page 25: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 · 에서 30.3%로 감소하였다. 진단부위별로 66세 여성의 t-값이 –1.0 미만인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을 활용한 골다공증진단을 위한 정상 참고치와 유병률 연구 65

A Study on Reference Values and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 Korea: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1

Jongseok Lee1) ․ Sungok Jang2)

Abstract

For osteoporosis diagnosis in Korea, normal reference values provided by medical equipment manufacturers (especially, Japanese reference in Hologic) have commonly used due to the absence of national guideli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two folds: 1) to create a bone mineral density reference database that is more reliable; 2)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and osteopenia between the current vs. the new reference that is based on a large-scale sample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11. In terms of the age-standardized prevalence of osteoporosis, the reference from Hologic was compared to the new reference derived from KNHANES data. In men aged 50-89 years, the former showed 7.7% while the latter indicated 10.5%. For women in the same age group, on the other hand, the former 36.1% dropped to 30.3% when it came to the latter. Looking into the proportions of 66-year-women with the new-reference- based T-value less than –1.0 by skeletal site, the lumbar spine accounted for 74.3% and the femur (total hip or femoral neck) formed 82.6%. This result suggests a need for reconsidering a change in the National Health Screening Policy from testing the lumbar spine to the femoral region for 66-year-old women. We believe that the change would contribute to build a more effective management system for osteopenia, which can reduce the socioeconomic costs related to osteoporotic fracture.

Key words : Osteoporosis, Osteopenia, Normal Reference, Prevalenc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 (Corresponding author) Associate Professor,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Hallym

University, 1 Hallymdaehak-gil, Chunheon, Gangwon-do, 200-702 Korea. E-mail: ljs1844@

hallym.ac.kr

2) Graduate Student, School of Business, Hallym University. 1 Hallymdaehak-gil, Chunheon,

Gangwon-do, 200-702 Korea. Researcher, Dept. of Diagnostic Laboratory Medicine,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Ganwon Branch. E-mail: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