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베체트병의확산강조자기공명영상: 초기및추적검사 · 2016. 6. 21. · 2...

6
베체트병은 반복되는 구강 및 음부궤양과 안구염증을 특징 으로 하는 전신적인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중동 아시아와 일 본을 비롯한 동아시아에 비교적 흔하다. 아직까지 정확한 기 전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중추 신경계의 침범은 5-10% 정 도로 보고되고 있다(1-4). 베체트병의 중추신경계 침범은 뇌 실질 침범, 뇌정맥동 혈전증, 뇌수막염 및 다른 이상소견없이 나타나는 신경학적 증상등의 형태로 일어난다(1, 5-8).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중 확산 강조 자기공명영상(diffusion weighted MR imaging, DWI)기 법은 조직내 물 분자의 미세운동에 대한 MRI의 민감성을 이 용해 신호강도 차이를 유발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기법으로서, 조직내 물 분자가 확산되는 정도나 특성의 차이를 영상화할 수 있고 현성확산계수(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 값의 측정이 가능하게 되어 확산 정도를 정량화 할 수 있어 급성뇌경색 등 여러 뇌질환의 진단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9-12). MRI가 개발된 이래로 신경베체트병의 다양한 MRI소견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중 DWI를 이용한 보고들(13-16)이 있으 나 저자들이 아는 한 초기 및 추적 검사를 포함하는 연구 증 례가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DWI를 포함하여 초기 및 추 적 검사를 시행한 6예의 신경베체트병 환자에서 ADC 값을 측정하고 이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1년 5월부터 2003년까지 12월까지 신경베체트병으로 진단받은 8명 환자 중 DWI 를 포함하여 초기 및 추적 MRI 시행한 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베체트병은 International Study Group for Behcet’ s disease(1990년)의 규정에 따라 반복되는 구강궤양 외 반복되는 음부궤양, 안질 대한영상의학회지 2005;53:159-164 159 신경베체트병의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 초기 및 추적 검사 1 허숙희·서정진 1, 2, 3 ·김형중 2 ·장남규 1, 2 ·신상수 2, 3 ·정용연 1, 2, 3 ·정광우 2, 3 ·강형근 1, 2, 3 목적: 신경베체트병의 진단과 추적 검사에서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고 현성확산계 수 값을 측정하여 이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신경베체트병으로 진단된 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6명 환자 모 두에서 초기 및 추적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였고 이중 4명에서 초기 및 추적 확산강조 자기 공명영상을 얻었으며 나머지 2명의 환자는 초기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을 얻었다.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은 1.5 T MR기기를 이용하여 multi-shot echo planar imaging 기법으로 확산 강조 경사자계세기(b value) b 0 와b 1 을 각각 0 sec/mm 2 , 1000 sec/mm 2 으로하여 획득하였 다. 현성확산계수 값과 현성확산계수 지도는 상용화된 software를 이용하여 얻었다. 자기공명 영상에서 병변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산강조영상에서 병변의 신호강도를 관찰하였다. 초기 확 산강조영상에서 병변부위와 정상부위에서 측정한 각각의 현성확산계수 값을 비교하였으며 추 적 확산강조영상에서 병변부위의 현성확산계수 값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초기 확산강조영상에서 6예중 4예에서 등신호강도를, 2예에서 고신호강도를 보였다. 현 성확산계수 값은 등신호강도를 보인 4예중 3예와 고신호강도를 보인 2예에서 정상부위와 비 교하여 높은 값을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 <0.05). 추적 확산강조 자기공명 영상을 시행한 4예중 3예에서 현성확산계수 값이 감소하여 정상부위와 비슷한 값을 보였다. 결론: 신경베체트 환자에서 초기 및 추적 검사에서 확산강조영상을 시행하고 현성확산계수 값 을 측정함으로써 신경베체트병의 병태 생리를 규명하고 다른 질환과의 감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1 화순전남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2 전남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3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이 논문은 2005년 3월 4일 접수하여 2005년 7월 4일에 채택되었음.

Upload: others

Post on 28-Mar-2021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신경베체트병의확산강조자기공명영상: 초기및추적검사 · 2016. 6. 21. · 2 36/M 180 Thalamus, Medulla, Pons, Midbrain, Frontal Cortex 3 43/F 115 Thalamus, Medulla,

베체트병은 반복되는 구강 및 음부궤양과 안구염증을 특징

으로 하는 전신적인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중동 아시아와 일

본을 비롯한 동아시아에 비교적 흔하다. 아직까지 정확한 기

전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중추 신경계의 침범은 5-10% 정

도로 보고되고 있다(1-4). 베체트병의 중추신경계 침범은 뇌

실질 침범, 뇌정맥동 혈전증, 뇌수막염 및 다른 이상소견없이

나타나는 신경학적 증상등의 형태로 일어난다(1, 5-8).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중 확산

강조 자기공명영상(diffusion weighted MR imaging, DWI)기

법은 조직내 물 분자의 미세운동에 대한 MRI의 민감성을 이

용해 신호강도 차이를 유발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기법으로서,

조직내 물 분자가 확산되는 정도나 특성의 차이를 영상화할

수 있고 현성확산계수(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

값의 측정이 가능하게 되어 확산 정도를 정량화 할 수 있어

급성뇌경색 등 여러 뇌질환의 진단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9-12).

MRI가 개발된 이래로 신경베체트병의 다양한 MRI소견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중 DWI를 이용한 보고들(13-16)이 있으

나 저자들이 아는 한 초기 및 추적 검사를 포함하는 연구 증

례가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DWI를 포함하여 초기 및 추

적 검사를 시행한 6예의 신경베체트병 환자에서 ADC 값을

측정하고 이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1년 5월부터 2003년까지 12월까지 신경베체트병으로

진단받은 8명 환자 중 DWI 를 포함하여 초기 및 추적 MRI

를 시행한 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베체트병은

International Study Group for Behcet’s disease(1990년)의

규정에 따라 반복되는 구강궤양 외 반복되는 음부궤양, 안질

대한영상의학회지 2005;53:159-164

─ 159 ─

신경베체트병의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 초기 및 추적 검사1

허숙희·서정진1, 2, 3·김형중2·장남규1, 2·신상수2, 3·정용연1, 2, 3·정광우2, 3·강형근1, 2, 3

목적: 신경베체트병의 진단과 추적 검사에서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고 현성확산계

수 값을 측정하여 이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신경베체트병으로 진단된 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6명 환자 모

두에서 초기 및 추적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였고 이중 4명에서 초기 및 추적 확산강조 자기

공명영상을 얻었으며 나머지 2명의 환자는 초기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을 얻었다.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은 1.5 T MR기기를 이용하여 multi-shot echo planar imaging 기법으로 확산

강조 경사자계세기(b value) b0와 b1을 각각 0 sec/mm2, 1000 sec/mm2으로하여 획득하였

다. 현성확산계수 값과 현성확산계수 지도는 상용화된 software를 이용하여 얻었다. 자기공명

영상에서 병변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산강조영상에서 병변의 신호강도를 관찰하였다. 초기 확

산강조영상에서 병변부위와 정상부위에서 측정한 각각의 현성확산계수 값을 비교하였으며 추

적 확산강조영상에서 병변부위의 현성확산계수 값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초기 확산강조영상에서 6예중 4예에서 등신호강도를, 2예에서 고신호강도를 보였다. 현

성확산계수 값은 등신호강도를 보인 4예중 3예와 고신호강도를 보인 2예에서 정상부위와 비

교하여 높은 값을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추적 확산강조 자기공명

영상을 시행한 4예중 3예에서 현성확산계수 값이 감소하여 정상부위와 비슷한 값을 보였다.

결론: 신경베체트 환자에서 초기 및 추적 검사에서 확산강조영상을 시행하고 현성확산계수 값

을 측정함으로써 신경베체트병의 병태 생리를 규명하고 다른 질환과의 감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1화순전남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2전남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3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이 논문은 2005년 3월 4일 접수하여 2005년 7월 4일에 채택되었음.

Page 2: 신경베체트병의확산강조자기공명영상: 초기및추적검사 · 2016. 6. 21. · 2 36/M 180 Thalamus, Medulla, Pons, Midbrain, Frontal Cortex 3 43/F 115 Thalamus, Medulla,

환, 피부질환 및 Pathergy test 양성 중 적어도 2가지 이상

의 증상을 만족하는 경우에 진단하였다. 그리고 신경베체트병

은 베체트병의 진단기준을 만족한 환자에서 신경학적 검사상

이상이 있고 MRI에서 이상 소견이 발견된 경우로 진단하였

다. 모든 환자에서 고용량 스테로이드 강화 요법(1g/day)으

로 평균 3일(1-7일) 동안 치료하고 평균 118일(40-192일)

후에 추적 MRI를 시행하였다.

6명 환자 모두에서 초기 및 추적 MRI를 시행하였고 이중

4명에서 초기 및 추적 DWI를 얻었으며 나머지 2명의 환자는

초기 DWI를 얻었다. MRI는 1.5 T 초전도형 MR 기기(Signa

Horizon, GE Medical Systems, Milwaukee, WI, U.S.A.)를

사용하여 스핀에코 T1 강조영상(TR/TE 450-500 msec/8

msec)과 급속 스핀에코 T2 강조영상(TR/TE 3500 msec/104

msec) 및 FLAIR(fluid-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image, TR/TE 10004 msec/123.5 msec)의 횡단면 영상을

얻었고 4명의 환자에서 Gd-DTPA(MagnevistⓇ, Schering,

Germany)로 조영증강한 T1 강조영상을 각각 횡단면 및 시

상면 영상을 얻었다. DWI는 multi-shot echo planar imag-

ing(EPI) 기법을 이용하여 TR/TE 10000 msec/96.8 msec,

128×128 matrix, 절편두께 5 mm, 촬영 시야 24×24 cm,

신호획득수 1로 하여 b값을 0 sec/mm2과 1000 sec/mm2으

로 하는 중복경사자계를 x, y, z세 방향으로 차례차례 가하여

영상을 획득한 후, 세 방향 영상을 평균한 비등방성 확산강조

영상(anisotropic DWI)을 얻었다. DWI는 개인용 컴퓨터로 옮

긴후 상용화된 software(DP toolⓇ, France)를 이용하여 ADC

값을 측정하고 ADC 지도를 얻었으며 자동색조조절장치를 통

하여 병변을 확인하였다. 병변부위의 ADC 값은 횡단면 T2

강조 영상에서 고신호강도를 보이는 병변부위 중 최소 직경

이 10 mm 이상인 병변부위의 횡단면과 동일한 DWI 횡단면

에서, 정상부위의 ADC 값은 병변과 대칭되는 반대부위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관심영역(region-of-interest)의 크기를 34

mm2(약 9 pixel)로 정하고 병변부위와 정상부위에서 각각 4

회 측정한 후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초기와 추적 MRI에서 병변의 위치를 확인하고 DWI에서 병

변의 신호강도를 알아보았다. ADC 지도에서 병변의 색조변

화 및 병변부위와 정상부위에서 측정한 ADC 값을 비교하였

다. 통계 처리는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였으며

p값이 0.05이하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하였다.

결 과

환자의 평균 연령은 36세(29-44세)이었고 여자가 4명, 남

자가 2명이었다.

초기 MRI에서 병변부위는 6명의 환자중 5예가 교뇌와 연

수, 4예에서 중뇌와 시상부위이었고 3예가 소뇌각(cerebel-

lar peduncle), 대뇌기저핵 및 대뇌주위백질이었다. 6명의 환

자중 5예에서 뇌간을 침범하였으며 뇌간의 침범없이 천막상

부를 침범한 경우는 1예이었다(Table 1).

초기 DWI에서 병변의 신호강도는 6예중 4예에서 등신호강

도를, 2예에서 고신호강도를 보였다. 이들 병변의 평균 ADC

허숙희 외: 신경베체트병의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

─ 160 ─

Table 1. Summary of 6 Patients with Neuro-Behcet’s Disease

Case No. Age/Sex Interval (days) Involved Regions

1 44/F 110 Thalamus, Basal ganglia, Medulla, Pons, Midbrain2 36/M 180 Thalamus, Medulla, Pons, Midbrain, Frontal Cortex3 43/F 115 Thalamus, Medulla, Pons, Midbrain, Cbll peduncle, Corpus Callosum, PVWM4 31/F 110 Thalamus, Basal ganglia, Medulla, Pons, Midbrain, Cbll peduncle, PVWM5 29/F 040 Basal ganglia, Medulla, Pons, Cbll peduncle6 38/M 192 PVWM, Centrum semiovale

No.: number, Interval: interval (days) between initial and follow-up MRI, F: female, M: male, Cbll: cerebellum, PVWM: periventricularwhite matter

Table 2. Comparison of Signal Intensity and ADC Values on Initial and Follow-up DWI

Initial DWI Follow-up DWI

CaseLocation

Involved Region Uninvolved Region Involved Region

No.SI

ADCSI

ADC

Range Mean±SD Range Mean±SD Range Mean±SD

1 Thalamus High 0.99-1.24 1.11±0.29 0.73-0.80 0.78±0.09 Iso 0.77-0.85 0.80±0.072 Pons Iso 0.86-0.94 0.91±0.07 0.69-0.74 0.72±0.30 Iso 0.71-0.79 0.74±0.063 PVWM Iso 0.83-0.89 0.86±0.03 0.77-0.83 0.79±0.084 Midbrain Iso 0.72-0.75 0.73±0.01 0.73-0.75 0.74±0.01 Iso 0.74-0.76 0.75±0.015 Cbll peduncle High 1.23-1.25 1.24±0.01 0.79-0.86 0.81±0.35 Iso 0.86-0.92 0.89±0.056 PVWM Iso 1.17-1.26 1.22±0.04 0.89-0.92 0.90±0.17

DWI: diffusion-weighted image, SI: signal intensity, ADC: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10-5cm2/sec), SD: standard deviation, PVWM: periventricular white matter, Cbll: cerebellum

Page 3: 신경베체트병의확산강조자기공명영상: 초기및추적검사 · 2016. 6. 21. · 2 36/M 180 Thalamus, Medulla, Pons, Midbrain, Frontal Cortex 3 43/F 115 Thalamus, Medulla,

값(1.02±0.17×10-5 cm2/sec)은 등신호강도를 보인 4예중 3

예와 고신호강도를 보인 2예에서 반대측 정상부위의 평균

ADC 값(0.79±0.08×10-5 cm2/sec)보다 높았으며 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Table 2). 또한 이들 병변 부

위는 ADC 지도에서 정상 부위와 비교하였을 때 색조의 변화

를 보였다(Figs. 1, 2).

추적 DWI에서 병변부위의 신호강도는 4예 모두에서 등신

호강도를 보여 신호강도가 감소하였고 ADC 값은 4예중 3예

에서 감소하여 정상부위와 비슷한 값을 보였다(Table 2, Fig.

1).

고 찰

베체트병은 중동 아시아와 일본, 지중해 연안 지역에 비교

적 흔한 전신적인 만성 질환이다. 베체트병은 International

Study Group for Behcet’s Disease(1990년)의 규정에 따라

반복되는 구강궤양 외 반복되는 음부궤양, 안질환, 피부질환

및 Pathergy test 양성 중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증상을 만족

대한영상의학회지 2005;53:159-164

─ 161 ─

A B C

D E FFig. 1. Case 1. A 44-year-old woman with headache and drowsy consciousness.A. Initial axial T2-weighted image shows high signal intensity in left basal ganglia (arrowhead) and left thalamus (arrow).B. Diffusion-weighted image shows iso-signal intensity in left basal ganglia (arrowhead) and high signal intensity in left thalamus(arrow).C.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 map shows green to yellow color in left basal ganglia (arrowhead) and left thalamus (ar-row). And ADC value of left thalamic lesion (arrow) (Mean±standard deviation: 1.11±0.29×10-5 cm2/sec) is more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normal contralateral side (black arrow) (0.78±0.09×10-5 cm2/sec).D, E. Follow-up axial T2-weighted image (D) and diffusion weighted image (E) obtained 110 days later is normal appearing. ADCvalue of left thalamus is decreased (0.80±0.07×10-5cm2/sec).F. Follow-up ADC map shows no difference in color of left thalamus and left basal ganglia compared with that of contralateral un-involved region.

Page 4: 신경베체트병의확산강조자기공명영상: 초기및추적검사 · 2016. 6. 21. · 2 36/M 180 Thalamus, Medulla, Pons, Midbrain, Frontal Cortex 3 43/F 115 Thalamus, Medulla,

하는 경우에 진단되며 그 외 관절, 혈관, 소화기, 폐, 신장, 부

고환 및 신경계를 침범하여 다양한 전신 증상을 일으킨다. 아

직까지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으나 바이러스성, 면역

학적, 유전적 요인 및 감염성 인자 등 복합적 요인에 의하며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전신성 면역학적 혈관염에 의한 것

으로 생각하고 있다. 베체트병의 신경계 침범은 1941년

Knapp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으며 보고마다 다양하지만 베체

트병 환자의 10-20% 정도에서 발생한다(1-7). 베체트병의

중추신경계 침범은 뇌실질 침범, 뇌정맥동 혈전증, 뇌수막염

및 다른 이상 소견없이 나타나는 신경학적 증상등의 형태로

일어난다(1-3).

신경베체트병의 MR 영상 소견에 대한 많은 보고들이 있으

며 이중 뇌실질 침범의 호발부위는 주로 천막하부이며 중간

뇌 접합부(mesodiencephalic junction), 뇌교연수 부위(pon-

tobulbar region), 시상 및 시상하부 그리고 대뇌기저핵으로

알려져 있다(1-6). 저자들의 연구에서도 초기 MRI에서 6명

의 환자 중 5예에서 천막하부를 침범하였으며 뇌간의 침범없

이 천막상부를 침범한 경우는 1예이었다. 또한 6명의 환자중

5예가 뇌교와 연수를, 4예가 중뇌와 시상부위를 침범하였으

며 3예가 소뇌각, 대뇌기저핵 및 대뇌주위백질을 침범하였다.

이러한 특징적인 뇌실질 침범은 소정맥(venule)을 주로 침범

하여 소혈관염을 일으키는 신경베체트병의 병리와 천막상부

의 정맥 배액이 수질 정맥(medullary vein)에 의해 심부 정

맥계와 표재성 정맥계의 양방향으로 배액되나, 뇌간 특히 중

뇌와 간뇌는 측부 혈관의 분포가 적게 발달되어 있다는 해부

학적 차이에 의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정맥의 침범

이 좀더 큰 정맥이나 정맥동에 발생하는 경우 뇌정맥동 혈전

증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빈도는 보고마다 다양하나 약 4%

에서 발생한다(3-7).

신경베체트병의 뇌실질 병변의 특징적인 분포가 혈관염에

의한 다른 뇌질환과의 감별에 유용하나 고식적 T2 강조영상

에서 고신호강도의 병변으로 나타나게 되어 T2 강조영상에

서 고신호강도를 보이는 다른 뇌질환과의 감별이 어려운 경

우가 있다. MRI 기법 중 DWI는 조직내 물 분자의 미세운동

에 대한 MRI의 민감성을 이용해 신호강도 차이를 유발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기법이다. 조직내 물 분자가 확산되는 정도

나 특성의 차이를 영상화하고 ADC 값을 측정하여 확산 정도

를 정량화 할 수 있어 주로 급성뇌경색의 진단에 사용되어 왔

허숙희 외: 신경베체트병의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

─ 162 ─

A B C

D

Fig. 2. Case 6. A 38-year-old man with recurrent orogenital ulcers and right hemipare-sis.A. Initial axial T2-weighted image shows high signal intensity in left frontal periven-tricular white matter.B. On initial diffusion-weighted image, the left periventricular white matter lesion isisointense.C. ADC map shows yellow to red color (arrow) and increased ADC value (Mean±standard deviation: 1.22±0.04×10-5 cm2/sec) of the lesion compared with that of nor-mal contralateral side (arrowhead) (0.90±0.17×10-5 cm2/sec).D. Follow-up axial T2-weighted image obtained 192 days later shows still signal abnor-mality of the left frontal periventricular white matter seen on previous study.

Page 5: 신경베체트병의확산강조자기공명영상: 초기및추적검사 · 2016. 6. 21. · 2 36/M 180 Thalamus, Medulla, Pons, Midbrain, Frontal Cortex 3 43/F 115 Thalamus, Medulla,

으며 그 외 다른 원인에 의한 세포성 뇌부종과 혈관성 뇌부

종을 감별하는데 이용되어 왔다(8-12).

신경베체트병의 DWI에 대한 보고들 중 Ohta 등(13)은 뇌

간에 병변이 있는 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은 T2

강조영상에서 고신호강도를 보였으며 DWI(b=1000 sec/mm2)

에서 등신호강도를 보여 DWI에서 고신호강도를 보이는 뇌경

색을 배제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Kang 등(14)의 보고에

서는 뇌간, 대뇌기저핵, 시상 및 방사형 해무리(corona radi-

ata)에 T2 강조영상에서 고신호강도를 보이는 병변들이 있었

고 이들 병변들 중 대뇌기저핵, 시상, 방사형 해무리의 일부

분이 DWI(b=1000 sec/mm2) 에서 약간 높은 신호강도를 보

였으며 이 부위의 ADC 값이 1.17-1.26×10-5 cm2/sec로 반

대편 정상 부위의 ADC값 0.77-0.80×10-5 cm2/sec과 비교하

여 높았다. 또한 Sener(15)와 Hiwatashi 등(16)의 연구에서

도 병변 부위가 DWI에서 고신호강도를 보이고 ADC 값이 반

대측 정상 부위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신경베

체트병의 병변이 높은 확산정도를 나타내며 이는 혈뇌장벽의

파괴에 의한 혈관성 부종에 의한 것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

서는 초기 DWI를 시행한 6예중 4예에서 등신호강도를 보였

으며 2예에서 고신호강도를 보였다. ADC 값은 등신호강도를

보인 4예중 3예와 고신호강도를 보인 2예에서 정상부위와 비

교하여 높은 값을 보였다. 병변 부위의 평균 ADC 값이 1.02

±0.17×10-5 cm2/sec로 정상 부위의 평균 ADC 값인 0.79±

0.08×10-5 cm2/sec보다 높았으며 이는 Ohta 등(13)과 Kang

등(14)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였다. Kang 등(14)은 1년 후

추적 검사한 MRI에서 이전 병변 부위들의 ADC값이 0.98-

1.07×10-5 cm2/sec로 감소하였고 이러한 가역적인 변화는 교

질이나 허혈에 의한 것보다는 급성 염증성 과정에 의한 가역

적 혈뇌장벽 파괴에 의한 것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추

적 DWI를 시행한 4예중 3예에서 평균 ADC 값이 0.85±0.09

×10-5 cm2/sec로 초기 ADC 값과 비교하여 그 값이 감소하

고 정상부위와 비슷한 값을 보이는 가역적인 변화를 보였으

나 통계적인 의의는 없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Sener(15)의

연구에서는 초기 ADC 값 1.22×10-5 cm2/sec 과 비교하여

16개월 후 시행한 추적 ADC 값이 1.20×10-5 cm2/sec로 큰

차이가 없이 정상 부위와 비교하여 높았으며 이는 신경베체

트병이 만성적으로 진행하는 경우 교질화되는 병리로 설명할

수 있다고 하였다. 정리하면 신경베체트병의 뇌실질 병변은

DWI에서 등신호강도 혹은 고신호강도를 보이고 높은 ADC

값을 보여 세포 독성에 의한 부종이 아니라 혈관염에 의한 부

종에 의하며 급성인 경우 대개 가역적인 변화를 보이나 만성

적으로 진행하는 경우는 교질로 변하게 되어 추적 ADC 값이

이전과 비교하여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본 연구는 대상수

가 적고 특히 모든 환자에서 추적 DWI를 시행하지 못한 제

한점이 있어 앞으로 좀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신경베체트병의 초기 및 추적 검사에서 DWI를

시행하고 ADC 값을 측정하는 것이 다른 뇌질환을 감별하고

병태생리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참 고 문 헌

1. 김찬성, 최순섭, 이하종, 하동호, 이영일. 신경베체트병: 초기 및 추적 자기공명영상 소견.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8;39:469-474

2. Serdaroglu P. Behcet’s disease and the nervous system. J Neurol1998;65:299-307

3. Sakane T, Takeno M, Suzuki N, Inaba G. Current concept: Behcet’s disease. New Eng J Med 1999;17:1284-1291

4. Kidd D, Steuer A, Denman AM, Rudge P. Neurological complica-tions in Behcet’s syndrome. Brain 1999;122:2183-2192

5. Kocer N, Islak C, Siva A, Saip S, Akman C, Kantarci O, et al. CNSinvolvement in neuro-Behcet syndrome: an MR study. AJNR Am JNeuroradiol 1999;20:1015-1024

6. 김성수, 송창준, 이애영, 백충호. Neuro-Behcet병: 자기공명영상의유용성. 대한방사선의학회지 2000;43:145-151

7. Hadfield MG, Aydin F, Lippman HR, Sanders KM. Neuro-Behcet’s disease. Clin Neuropathol 1997;16:55-60

8. Coban O, Bahar S, Akman-Demir G, Tasci B, Yurdakul S, YaziciH, et al. Masked assessment of MRI findings: is it possible to differ-entiate neuro-Behcet’s disease from other central nervous systemdiseases? Neuroradiology 1999;41:255-260

9. Sevick RJ, Kanda F, Mintorovitch J, Arieff AL, Kucharczyk J,Tsuruda JS, et al. Cytotoxic brain edema: assessment with diffu-sion-weighted MR imaging. Radiology 1992;185:687-690

10. Chien D, Kwong KK, Gress DR, Buonanno FS, Buxton RB, RosenBR, et al. MR diffusion imaging of cerebral infarction in humans.AJNR Am J Neuroradiol 1992;13:1097-1102

11. Le Bihan D, Breton E, Lallemand D, Aubin ML, Vignaud J, Laval-Jeantet M, et al. Separation of diffusion and perfusion in itravoxelincoherent motion MR imaging. Radiology 1988;168:497-505

12. Schaefer PW, Buonanno FS, Gonzalez RG, Schwamm LH.Diffusion weighted imaging discriminates between cytotoxic andvasogenic edema in a patient with eclampsia. Stroke 1997;28:1082-1085

13. Ohta K, Obara K, Sato H, Iguchi T, Suzuki N. Diffusion-weighted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neuro-Behcet’s disease [InJapanese]. Rinsho Shinkeigaku 2000;40:398-401

14. Kang DW, Chu K, Cho JY, Koo JS, Yoon BW, Roh JK, et al.Diffusion 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neuro-Behcet’sdiseas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1;70:412-413

15. Sener RN. Neuro-Behcet’s disease: diffusion MR imaging and pro-ton MR spectroscopy. AJNR Am J Neuroradiol 2003;24:1612-1614

16. Hiwatashi A, Garber T, Moritani T, Kinoshita T, Westesson PL.Diffusion-weighted MR imaging of neuro-Behcet’s disease: a casereport. Neuroradiology 2003;45:468-471

대한영상의학회지 2005;53:159-164

─ 163 ─

Page 6: 신경베체트병의확산강조자기공명영상: 초기및추적검사 · 2016. 6. 21. · 2 36/M 180 Thalamus, Medulla, Pons, Midbrain, Frontal Cortex 3 43/F 115 Thalamus, Medulla,

허숙희 외: 신경베체트병의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

─ 164 ─

J Korean Radiol Soc 2005;53:159-164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Jeong Jin Seo, M.D.,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wasun Hospital,160 Ilsim-ri, Hwasun, 519-809 Jeollanam-do, Korea.Tel. 82-61-379-7112 Fax. 82-61-379-7133 E-mail: [email protected]

Diffusion-Weighted MR Imaging of Neuro-Behcet's Disease: Initial and Follow-up Studies1

Suk Hee Heo, M.D., Jeong Jin Seo, M.D.1, 2, 3, Heung Joong Kim, Ph.D.2, Nam Gyu Chang, M.D.1,2,Sang Soo Shin, M.D.2, 3, Yong Yeon Jeong, M.D.1, 2, 3, Gwang Woo Jeong, Ph.D.2, 3,

Heoung Keun Kang, M.D.1, 2, 3

1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wasun Hospital2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3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Purpose: To assess the usefulness of diffusion-weighted MR imaging (DWI) and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ADC) in the initial and follow-up studies of patients with neuro-Behcet's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Six patients diagnosed with neuro-Behcet's disease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Initial and follow-up MR imaging were obtained in all six patients. Initial and follow-up DWI were also ob-tained in four of the six patients, with only an initial DWI in the other two. The DWI were obtained using mul-ti-shot echo planar imaging, on a 1.5T MR unit, with two gradient steps (b values of 0, 1000 sec/mm2). TheADC value and ADC maps were obtained using commercial software. The locations and signal intensities ofthe lesions were analyzed on conventional MRI and DWI, respectively. The ADC values of the lesions werecalculated on the initial and follow-up DWI, and compared those of lesions in the normal contralateral regions. Results: The initial DWI showed iso-signal intensities in four of the six patients, with high signal intensities inthe other two. In five of the six patients, including three of the four that showed isosignal intensities and thetwo that showed high signal intensities on the initial DWI, the ADC values of the involved lesions were higherthan those of the normal contralateral regions. In three of four that showed isosignal intensities, the ADC val-ues of the lesions were decreased and normalized on the follow-up DWI. Conclusion: Obtaining DWI and ADC values in patients with neuro-Behcet's disease may be helpful in the un-derstanding of pathophysiology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this disease.

Index words : Behcet's disease Behcet's disease, MR study Behcet's disease, diff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