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능력개발평가 만족도조사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26
교육행정학연구 제호 교원능력개발평가 만족도조사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중앙대학교 교수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 중앙대학교 석사과정 본 연구는 교원능력개발평가제가 전국 단위학교에서 실시된 지 년이 지난 시점에서 교육 수요자 만족도조사의 쟁점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구를 위해 전국 초 고 학생 명과 학부모 명 등 총 명에 대한 온라인 설 문조사자료를 토대로 용 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방법 검정 일원분산분석 및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만족도조사에 대한 학생들의 인 식은 질문의 용이성 교사와의 친밀도 학습 흥미 등에서 학교급이 낮을수록 긍정적인 경향을 보였고 학부모들은 우려와 달리 만족도조사에 공정하고 솔직하게 응답하고 익명성 보장이나 응답의 편의성 등에 대해서 학교급이 낮을수록 그리고 공개수업에 참여한 학부모들일수록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인 네 개 문항 가운데 응답의 공정성 및 솔직성 에서만 학생의 반응이 높았고 만족도조사에 대한 사전 설명의 충분성 응답의 편리성 교사의 수업열의 증대에서는 학부모의 반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원능력개발평가에서 교육수요자가 참여하는 만족도조사를 더욱 내실화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중심으로 제언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학생평가 학부모평가 교원능력개발평가 교육만족도 초중등교원 서 론 교원의 전문성 신장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공동체 구성원인 학생과 학부모가 참여한다는 특징을 골자로 한 교원능력개발평가제가 년 전국 단위학교에서 실시된 지 년이 지났

Upload: others

Post on 26-Sep-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교육행정학연구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12, 제30권, 제4호, pp. 277~301

1)

교원능력개발평가 만족도조사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김 이 경(중앙대학교 교수)

김 갑 성(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

박 병 선(중앙대학교 석사과정)

요 약

본 연구는 교원능력개발평가제가 전국 단위학교에서 실시된 지 2년이 지난 시점에서, 교육

수요자 만족도조사의 쟁점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

구를 위해 전국 초⋅중⋅고 학생 10,292명과 학부모 7,388명 등 총 17,680명에 대한 온라인 설

문조사자료를 토대로, SPSS 20.0(window용)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방법, t-검정, 일원분산분석

(one-way ANOVA) 및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만족도조사에 대한 학생들의 인

식은 질문의 용이성, 교사와의 친밀도, 학습 흥미 등에서 학교급이 낮을수록 긍정적인 경향을

보였고, 학부모들은 우려와 달리 만족도조사에 공정하고 솔직하게 응답하고, 익명성 보장이나

응답의 편의성 등에 대해서 학교급이 낮을수록, 그리고 공개수업에 참여한 학부모들일수록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인 네 개 문항 가운데 ‘응답의 공정성 및 솔직성’에서만 학생의 반응이 높았고, 만족도조사에

대한 사전 설명의 충분성, 응답의 편리성, 교사의 수업열의 증대에서는 학부모의 반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원능력개발평가에서 교육수요자가 참여하는

만족도조사를 더욱 내실화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중심으로 제언을 제시하였다.

[주제어]:학생평가, 학부모평가, 교원능력개발평가, 교육만족도, 초중등교원

Ⅰ. 서 론

교원의 전문성 신장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공동체 구성원인 학생과 학부모가 참여한다는

특징을 골자로 한 교원능력개발평가제가 2010년 전국 단위학교에서 실시된 지 2년이 지났

▣ 접수일(2012. 10. 31), 심사일(2012. 11. 20), 게재확정일(2012. 12. 05) 1)

278 교육행정학연구

다. 공교육에 대한 교육수요자의 권리의식과 참여의 증대라는 세계적인 흐름에 교원들이 좀

더 긴장감을 가지고 노력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우리나라의 문제인식이 합

류되면서 교원능력개발평가제에는 수요자의 만족도조사가 중요한 기제로 자리잡게 되었다.

교육수요자에 대한 만족도조사는 비단 그들이 만족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만족도가 낮은 요인을 찾아내고 해당 요인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Kotler & Fox, 1995).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국가 수준에서 강한 의지를 가지고 추

진해 온 교원능력개발평가제가 교원 외에 교육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를 평가에 참여시킨

모형으로 자리 잡기까지는 지나치게 공급자 중심으로 운영되던 학교교육에 수요자들의 목

소리를 반영하고, 그에 따라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게 작용하였다. 최상근·

양수경(2010)의 연구에 따르면, 과반수이상의 학부모가 자신을 학교 운영의 주체로 인식하

고 있고, 학교교육 개선을 위해 ‘수업 및 학교운영 모니터링’에 참여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

힌 바, 학교 경영과 교육활동에 교육수요자가 참여하는 것은 더 이상 낯선 일이 아니다.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는 한편, 우리나라 교직과 학교의 특성을 반영하여 마련된 교원

능력개발평가제에서는 학생과 학부모를 평가자로 칭하지 않고 ‘만족도조사를 통한 평가

참여자’로 규정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여기에는 교원의 전문성을 ‘평가’할 수

있는 주체는 교원이라는 인식이 반영되어 있다. 교육수요자들의 평가 참여는 수요자의

목소리와 만족도를 교육활동에 반영함으로써 학교교육에 대한 공급자의 책무성을 일부

담보한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그 동안 교육수요

자의 참여를 둘러싼 긍정적 관점과 부정적 관점이 공존했던 것이 사실이다.

교사와 수업의 질에 대해서 보다 정확하고 풍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다양한 집단

이 평가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Harris, 1987)이나 실제 학생들의 성취도를 가장

잘 반영하는 평가 결과는 학교행정가나 교사들의 평가가 아닌 학생들에 의한 평가였다

는 연구결과(Wilkerson et al., 2000)가 출현하면서 수요자평가에 힘이 실리게 된다. 학생

들이야말로 교사들의 수업에 직접 노출되는 유일한 집단이므로 수업에 대한 유익한 통

찰을 제공하는 한편 수업 개선에 가장 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주장(김이경 외, 2006)이

나, 교육의 수월성과 교원의 책무성 확보 차원에서 학부모의 교원평가 참여가 필요하고

(신현석 외, 2008), 자녀의 교육을 교원에게 위탁한 권리주체로서 평가참여는 권리실현

을 위한 요구라는 주장(안선희, 2005) 등에 이르기까지 교육수요자의 평가 참여를 긍정

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아직도 학생과 학부모의 참여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최근의 우려는 주로 평가자의 공정성, 합리성, 신뢰성에 대한 의구심에서 비

롯된다(김수아, 2008). 일부 교원단체와 교원을 중심으로 학생, 학부모에 의한 평가는 공

정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제기되었고(김동석, 2006), 교수·학생지도에 대한 평가가 아닌

교원능력개발평가 만족도조사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279

인기를 측정하는 도구로 전락할 수 있거나, 전문성 결여로 인한 답변의 신뢰성 부족(강

용옥·문경업, 2009), 공개수업에 참여하지 않았거나 정보가 부족한 학부모가 자녀나 주

변 인물의 의견에 따라 평가를 할 우려(이경호, 2010) 등이 대표적인 문제제기이다. 보

다 최근에는 학부모의 참여율이 낮아서 평가 결과가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도 제

기되고, 참여율이 낮은 원인으로 평가방법의 불편이나 학부모들의 익명성 보장에 대한

불신 등이 작용한다는 분석도 있다(김갑성·전제상·안병천, 2011).

참여정부에 이어 현 정부에서도 교원능력개발평가제의 시행에 공을 들였고, 이제는

교육수요자의 평가 참여를 제한하거나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보다는 교원평가가 지향하

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생과 학부모 만족도조사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해야 한

다는 주장들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 동안 수요자만족도조사와 관련된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한 여러 가지 대책을 강구해 온 바, 과연 문제점이 해결되었는지, 향후 교육수요

자의 교원능력개발평가 참여가 교원의 교육활동에 도움을 주기위해서는 어떤 개선점이

필요한가에 대한 심도있는 분석이 필요하다. 그러나 교육수요자에 초점을 맞추어 학생

과 학부모의 만족도조사 참여 과정에서 쟁점이 되는 사항을 비교 관점에서 조망하고 특

성과 문제점을 발견하려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원능력개발평가에 참여한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조사와 관련된

쟁점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

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능력개발평가 만족도조사에 대한 학생들

의 인식은 어떠하며,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교원능력개발평가 만족도조사

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하며,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교원능력개

발평가 만족도조사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만족도조사 쟁점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은 그 동안 교

육수요자 만족도조사 모형을 개선하기 위해 도입된 정책적 노력의 실효성을 밝히는 한

편, 향후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 데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Ⅱ. 이론적 배경

1. 교원능력개발평가에서 만족도조사의 의의 및 모형 변화

교원능력개발평가에서 교사에 대한 평가는 교감, 교장, 동료교사 및 본인뿐만 아니라

학생 및 학부모 등 많은 관련자들이 참여하는 다면평가제 방식을 취하고 있다. 다면평

가제는 통상적으로 성과나 업적보다 수행 능력을 평가하고, 구성원의 능력을 개발할 목

280 교육행정학연구

적으로 사용된다. 이는 교육에서도 마찬가지로 평가자의 위치나 배경에 따라 관점이 다

르므로 교원을 다양한 측면에서 평가함으로써 교원의 강약점을 파악하여 개선점을 마련

해 줄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Perterson, 2000).

교원능력개발평가에서 학생과 학부모는 만족도조사자로서 참여하고 있으며, 그들의

참여는 교육적 근거를 갖는다. 학생의 경우, 교사들의 수업을 직접 일상적으로 접하는

유일한 집단이다. Hoy와 Miskel(2004)에 따르면, 관련 집단을 의사결정에 참여시키는 데

있어 관련 집단이 결정하려는 사안에 대해 얼마나 깊은 이해관계와 전문적 능력을 가지

고 있는지의 정도에 따라 참여 정도를 차별화해야 한다. 학생의 경우 교사의 수업을 전

문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전문적 능력은 없지만 교사의 수업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적

극적으로 개진할 수 있는 충분한 이해관계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기존의 교원능

력개발평가 결과보고서(김갑성·김이경, 2008; 김이경·김갑성, 2009; 김갑성·김이경, 2012;

서범종 외, 2010)에서도 교사들은 학생의 수업만족도조사 결과가 수업개선에 도움이 되

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학부모의 경우, 그들의 평가 참여는 가정환경과 아동발달 간 관계를 설명하는 기제로

서, 가정과 학교 간 연계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Epstein, 1987). 특히,

학부모들이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만족도조사에 참여하는 것은 첫째, 교사들이 학부모들

에게 자녀의 교육 성취도 및 향상도에 대해 알리는 의무를 다할 수 있게 하고(Dwyer,

1995), 둘째, 학생들의 교육을 위해 교사와 학부모가 동반자적 역할을 할 수 있게 하며

(Drake & Roe, 1994), 셋째, 학부모는 자녀의 교육에 대한 사항을 교사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점(Stronge & Ostrander, 1997)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교원능력개발평가에서 학생과 학부모의 참여가 제도화되기까지 그 방법과 결과 보고

및 활용을 둘러싸고 논란이 있었고, 시범운영과정 및 전면시행 후에도 모형 개선 노력

이 지속되었고 여러 차례의 시행착오를 거쳐 변화해 왔다.

먼저, 만족도조사 문항 수에 변화가 있었다. 2005년 말부터 2009년까지의 제도 시범운

영 기간에는 평균적으로 만족도조사 문항 수가 10개 내외였다. 2010년 제도 전면 시행

이후 2011년에는 학생 만족도조사 문항 수가 8개 전후로 줄어들었고, 학부모 만족도조

사 문항 수는 학부모의 선택에 따라 종합만족도조사의 경우 2문항, 세부만족도조사의

경우 5문항으로 줄어들었다. 그러다 2012년 다시 학부모 만족도조사의 문항 수만 5문항

이상으로 변화하였다. 이는 학부모들의 만족도조사 참여는 확대시키되, 참여하는 학부모

들의 부담을 줄여주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

둘째, 만족도조사 평가척도 가운데 체크리스트 척도에 변화가 있었다. 2005년 말부터 2009

년까지의 제도 시범운영과 2010년 후 제도 전면 실시 기간 동안 만족도조사 평가척도는 5단

계 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5단계 척도가 변별력이 높지 않아 만족도조사 결과의 객관성

교원능력개발평가 만족도조사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281

이 저하된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9년에 실시된 마지막 시범운영 기간동안 5단계와 9

단계 척도를 일부 시범학교에 선별적으로 적용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러나 9단계 척

도의 변별력이 높지 않다는 결론이 도출된 이후 현재는 5단계 평가척도를 사용하고 있다.

셋째, 만족도조사 실시 방식에도 변화가 있었다. 2005년 말부터 2010년까지는 동료교

원평가 및 교육수요자 만족도조사에 있어서 종이를 활용한 지필평가가 주류를 형성했

다. 그러나 2011년부터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을 활용한 온라인평가로 전환하여 실

시되고 있다. 이는 단위학교에서 평가업무를 담당하는 교사의 부담을 줄여주는 한편 평

가의 익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그러나 평가의 익명성을 지나치게 강

조한 나머지 일부 컴퓨터에 접근하지 못하는 학부모들의 만족도조사 참여가 제한된다는

문제 지적에 따라 2012년도부터는 온라인조사와 지필조사를 병행하도록 하였다.

2. 학생과 학부모 만족도조사의 쟁점

학생과 학부모의 평가 참여는 계속해서 논란이 되어왔으나 논란의 핵심은 이제 점차

참여의 정당성이나 참여 여부보다는 만족도조사의 객관성, 응답의 솔직성, 정보의 신뢰

성, 참여의 효과 등으로 이동하고 있다.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조사와 관련된 주요 쟁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만족도조사 실시에 앞서 조사의 목적, 방법 등에 대하여 충분히 홍보했는가와

관련된 쟁점이다.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일환으로 학생 및 학부모 만족도조사를 실시하는

목적은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피드백 제공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학부모들은

부적격 교원을 퇴출시키기 위한 제도로 인식하거나(서범종 외, 2010; 이경호, 2010), 제

도 실시 목적에 대해 상세하게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조사에 참여하고 있다(김갑성·

김이경, 2011). 이러한 상황은 제도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켜 취지를 퇴색시키거나 제

도에 대한 무관심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로 지적된다.

둘째, 만족도조사 실시과정 중에 나타나는 주요 쟁점들은 만족도조사 참여자들의 특성

과 관련이 있다. 우선 학생들의 경우, 합리적 판단력을 보유하지 못한 미성숙한 존재이므

로 만족도조사 참여자로 적합한 능력과 태도를 갖추지 못했다는 것이다. 또한 교사들의

수업 능력보다는 개인적 인기도, 성적에 대한 감정적 대처 등이 만족도조사에 반영될 가

능성이 있다는 것이다(김이경, 2006; 김정현, 박소영, 2012; 이경호, 2010). 이러한 문제에

대해 Eisner(1979)는 학생이 평가할 수 있는 교수 활동을 선별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

다. 교사와 학생들의 관계, 교과 내용 설명의 명료성, 교육 활동에 대한 열성이나 열의,

교육내용에 대해 제기하는 질문의 적절성 등을 중심으로 평가 문항을 설계하되, 평가 결

과는 수업 개선을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하였다(김이경 외,

282 교육행정학연구

2007, 재인용). 한편, 학부모의 경우, 만족도조사를 통해 자신의 의견을 전달하기보다는

자녀들의 의견을 참고하는 경우가 많아서 교사에 대한 피드백의 객관성과 타당성을 담보

할 수 없다는 것도 지적되었다(김갑성·김이경, 2011). 이러한 경향은 주로 학부모들에게

제공되는 자녀 교육에 관한 정보의 부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셋째, 만족도조사 실시 이후에 나타나는 대표적 쟁점은 교육공급자인 교사들이 교육

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의 교육 개선에 대한 의견을 제대로 반영하는가의 문제이다. 학

생의 경우, 교사의 수업을 가장 가까이서 관찰하는 집단으로, 그들의 의견에 교사들은

어느 정도 귀를 기울이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교사들이 학부모의 의견을 자기 개

선에 반영하는가의 문제는 학생 의견 반영과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다. Lareau(1989)는

학부모의 교육 참여가 부모의 지적 능력, 자녀교육 태도, 직업적 특성 등에 의해 좌우된

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즉, 고학력의 부모는 자녀들의 학습활동에 직접 개입하고 교사들

과의 대등한 관계를 형성하는 반면, 학력이 낮은 부모들은 자녀의 학교생활이나 학습내

용을 이해하기 어려워하며, 자신보다 높은 학력을 가진 교사와의 만남을 어려워한다는

것이다. 또한, 교사와 학부모 간 교육 목표 및 기대의 차이도 교사들이 학부모 의견 반

영에 소극적인 원인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2011년도 교원능력개발평가에 참여한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전국 규모

의 설문조사를 실시한 것이다.1) 모집단은 전국 16개 시·도교육청 소속 11,706개 초․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6,986,847명과 그들의 학부모들로, 소속 시‧도교육청, 학교급,

학교규모를 기준으로 한 층화표집방법을 활용하여 총 538개 학교를 추출하였다. 응답

학생 수 및 학부모 수는 표집된 각 학교에서 2011년도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대상이 되는

교원 수와 동일한 수로 하였으며 단순무선표집을 통해 학생과 학부모 각각 19,411명을

설문조사 대상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는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각 시‧도교육청의 협조를 받아 대상 학교에 온라

인 설문 접속 URL을 전달하고, 설문대상자가 직접 URL에 접속하여 응답하는 방식을

1) 이 연구에서 분석한 데이터는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 분석 및 매뉴얼 개발 연구의일환으로 실시된 교원, 학생, 학부모 대상 설문조사 자료 가운데 학생과 학부모의 응답 자료

를 재분석한 것이다.

교원능력개발평가 만족도조사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283

취했으며, 조사는 2011년 12월 8일(목)~12월 14일(수), 7일간 진행되었다. 응답자 수는

학생 10,292명, 학부모 7,388명 등 총 17,680명으로 각각 53.0%, 38.1%의 응답율을 보였

다. 배경변인별 연구 대상자의 현황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다.

학 생 학 부 모

학교급 빈도(%) 학교급/공개수업 참여여부 빈도(%)

초등학교 4,368(42.4)

학교급

초등학교

1-3학년 1,276(17.3)

4-6학년 1,815(24.6)

소계 3,091(41.9)

중학교 2,613(25.4) 중학교 1,935(26.2)

고등학교 3,311(32.2) 고등학교 2,362(32.0)

공개수업

참여여부

참여 4,365(59.1)

미참여 3,023(40.9)

전체 10,292(100.0) 전체 7,388(100.0)

<표 1> 배경변인에 따른 연구 대상자 현황

2. 조사도구 및 분석 방법

조사도구는 과거에 유사한 목적으로 제작된 설문조사 도구를 참고하여 연구진이 초안

을 개발하였으며, 학계 전문가 및 현장실천가들의 검토를 거쳐 최종 확정하였다. 학생과

학부모의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전반적 인식을 조사할 목적으로 개발된 조사문항 가

운데, 본 연구에서는 학생과 학부모가 참여한 만족도조사 실시 시점을 기준으로 만족도

조사 실시 이전, 만족도실시 과정 중, 실시 이후 등으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서 쟁점이

된 사항을 중심으로 총 10개 문항을 선정하였고, 그 가운데 학생과 학부모가 공통으로

응답한 문항은 6개이다(<표 2> 참조).

본 연구에서 도출한 자료는 SPSS 12.0(window용)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먼저 학

생과 학부모의 문항별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와 퍼센트를 산출하였다. 학생집단과

학부모 집단의 응답이 배경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학생의 경우에는

학교급에 따른 차이검증을 실시하였으며, 학부모의 경우 학교급 및 공개수업 참여 여부

에 따른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집단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

보기 위해 등분산이 가정된 경우, scheffé 사후검증을, 등분산이 가정되지 않으면

Dunnett T3를 사용하여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생과 학부모 집단에 공통으로 선정된

문항 간 비교를 위해서는 두 집단 간 t-test를 실시하였다.

284 교육행정학연구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그렇다

매우

그렇다전체

M

(SD)F

사후분석

(Scheffe/

Dunnett T3)

초등학교101

(2.3)

215

(4.9)

1,026

(23.5)

1,599

(36.6)

1,427

(32.7)

4,368

(100.0)

3.92

(.980)315.207*** 초>중>고

중학교164

(6.3)

325

(12.4)

764

(29.2)

822

(31.5)

538

(20.6)

2,613

(100.0)

3.48

(1.134)

구 분 학생 학부모

만족도조사

실시 전평가에 대한 사전 설명의 충분성 ○ ○

만족도조사

실시과정 중

응답의 공정성 및 솔직성 ○ ○

만족도조사지 질문 이해의 용이성 ○ ○

응답의 편리성 ○ ○

응답자의 익명성 보장 ○

응답을 위한 정보제공의 필요성 ○

만족도조사

실시 이후

교사의 교수 열의 증대 ○ ○

교육수요자의 의견 반영 증대 ○ ○

교사와의 친밀도 향상 ○

자신의 수업태도 개선 ○

계 8문항 8문항

<표 2> 학생 및 학부모 인식조사를 위한 문항 구성

Ⅳ. 연구 결과 해석 및 논의

1. 학생의 인식

가. 만족도 조사 실시 전 쟁점에 대한 학생의 인식

교원능력개발평가 실시에 앞서 ‘학생 만족도조사를 왜 하는지에 대해 학교에서 충분

한 설명을 들을 수 있었다’는 문항에 대한 학생의 인식은 5점 척도에서 3.62로 보통 이

상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로는 초(3.92), 중(3.48), 고(3.34) 순을 보여 학교급이 낮을수록

사전 설명이 충분하다는 반응을 보였다(<표 3> 참조).

<표 3> 사전 설명의 충분성에 대한 학생의 인식

단위: 빈도(%)

교원능력개발평가 만족도조사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285

고등학교259

(7.8)

446

(13.5)

1,050

(31.7)

1,032

(31.2)

524

(15.8)

3,311

(100.0)

3.34

(1.131)

전체524

(5.1)

986

(9.6)

2,840

(27.6)

3,453

(33.6)

2,489

(24.2)

10,292

(100.0)

3.62

(1.103)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그렇다

매우

그렇다전체

M

(SD)F

사후분석

(Scheffe/

Dunnett T3)

응답

공정성

솔직성

초등학교137

(3.1)

316

(7.2)

1,268

(29.0)

1,366

(31.3)

1,281

(29.3)

4,368

(100.0)

3.76

(1.049)

457.781*** 초>중>고중학교229

(8.8)

505

(19.3)

937

(35.9)

539

(20.6)

403

(15.4)

2,613

(100.0)

3.15

(1.160)

고등학교346

(10.5)

661

(20.0)

1,205

(36.4)

661

(20.0)

438

(13.2)

3,311

(100.0)

3.06

(1.159)

전체712

(6.9)

1,482

(14.4)

3,410

(33.1)

2,566

(24.9)

2,122

(20.6)

10,292

(100.0)

3.38

(1.162)

*p<.05, **p<.01, ***p<.001

나. 만족도조사 실시과정 중의 쟁점에 대한 학생의 인식

만족도 조사 실시과정 중, 응답의 공정성 및 솔직성, 질문지 이해의 용이성, 응답의

편리성 등 3개 문항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모든 문항에 대하여

상당히 높은 반응을 보였고, 모든 문항에서 초등학생의 반응이 가장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문항에 대한 세부 분석결과는 <표 4>와 같다.

먼저, ‘나는 학생만족도 조사에 공정하고 솔직하게 대답했다’는 문항에 대한 학생들

의 평균 응답점수는 3.38로,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다른 문항들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

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학교급별로 보면 초(3.76), 중(3.15), 고(3.06) 순으로, 학교급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생만족도 조사지의 질문은 이해하기 쉬웠다’는 문항에 대한 학생의 반응

은 평균 4.23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를 학교급별로 보면, 초(4.44), 중(4.15), 고(4.03)

순으로 역시 초등학생의 반응이 긍정적이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만족도조사에 응답하기가 편해졌다’는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평균 3.39로 나타났고, 이를 학교급별로 보면 초등학생(3.74)의 반응이 중학생(3.16)이나

고등학생(3.11)보다 높았다.

<표 4> 만족도조사 실시과정 중 쟁점에 대한 학생의 인식

단위: 빈도(%)

286 교육행정학연구

질문지

이해

용이성

초등학교38

(0.9)

44

(1.0)

452

(10.3)

1,275

(29.2)

2,559

(58.6)

4,368

(100.0)

4.44

(.786)

215.308*** 초>중>고중학교39

(1.5)

68

(2.6)

473

(18.1)

909

(34.8)

1,124

(43.0)

2,613

(100.0)

4.15

(.909)

고등학교83

(2.5)

105

(3.2)

661

(20.0)

1,236

(37.3)

1,226

(37.0)

3,311

(100.0)

4.03

(.960)

전체160

(1.6)

217

(2.1)

1,586

(15.4)

3,420

(33.2)

4,909

(47.7)

10,292

(100.0)

4.23

(.895)

응답

편리성

초등학교132

(3.0)

314

(7.2)

1,340

(30.7)

1,358

(31.1)

1,224

(28.0)

4,368

(100.0)

3.74

(1.039)

391.212***초>중

초>고중학교

195

(7.5)

502

(19.2)

1,003

(38.4)

527

(20.2)

386

(14.8)

2,613

(100.0)

3.16

(1.122)

고등학교293

(8.8)

643

(19.4)

1,292

(39.0)

582

(17.6)

501

(15.1)

3,311

(100.0)

3.11

(1.148)

전체620

(6.0)

1,459

(14.2)

3,635

(35.3)

2,467

(24.0)

2,111

(20.5)

10,292

(100.0)

3.39

(1.137)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그렇다

매우

그렇다전체

M

(SD)F

사후분석

(Scheffe/

Dunnett T3)

교사

교수

열의

증대

초등학교89

(2.0)

135

(3.1)

875

(20.0)

1,342

(30.7)

1,927

(44.1)

4,368

(100.0)

4.12

(.967)

632.943***초>중

초>고중학교

202

(7.7)

331

(12.7)

867

(33.2)

673

(25.8)

540

(20.7)

2,613

(100.0)

3.39

(1.170)

고등학교269

(8.1)

400

(12.1)

1,180

(35.6)

899

(27.2)

563

(17.0)

3,311

(100.0)

3.33

(1.136)

전체560

(5.4)

866

(8.4)

2,922

(28.4)

2,914

(28.3)

3,030

(29.4)

10,292

(100.0)

3.68

(1.141)

*p<.05, **p<.01, ***p<.001

다. 만족도 조사 실시 후 쟁점에 대한 학생의 인식

만족도 조사 실시과정 후의 쟁점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정한 문항은

교사의 교수열의 증대, 학생의 의견반영 증대, 교사와의 친밀도 향상, 자신의 수업태도

개선 등 4개의 문항이다. 분석 결과, 4개의 문항 모두 평균적으로 3.5이상의 긍정적 반

응을 보였으며, 초등학생의 반응이 중등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각 문항

에 대한 세부 분석결과는 다음 <표 5>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 5> 만족도조사 실시 후 쟁점에 대한 학생의 인식

단위: 빈도(%)

교원능력개발평가 만족도조사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287

학생의

의견

반영

증대

초등학교88

(2.0)

175

(4.0)

991

(22.7)

1,376

(31.5)

1,738

(39.8)

4,368

(100.0)

4.03

(.983)

532.756***초>중

초>고중학교

216

(8.3)

330

(12.6)

895

(34.3)

688

(26.3)

484

(18.5)

2,613

(100.0)

3.34

(1.160)

고등학교270

(8.2)

417

(12.6)

1,171

(35.4)

902

(27.2)

551

(16.6)

3,311

(100.0)

3.32

(1.136)

전체574

(5.6)

922

(9.0)

3,057

(29.7)

2,966

(28.8)

2,773

(26.9)

10,292

(100.0)

3.63

(1.134)

교사

와의

친밀도

향상

초등학교68

(1.6)

130

(3.0)

804

(18.4)

1,354

(31.0)

2,012

(46.1)

4,368

(100.0)

4.17

(.935)

251.193*** 초>중>고중학교81

(3.1)

132

(5.1)

720

(27.6)

910

(34.8)

770

(29.5)

2,613

(100.0)

3.83

(1.010)

고등학교131

(4.0)

175

(5.3)

1,083

(32.7)

1,146

(34.6)

776

(23.4)

3,311

(100.0)

3.68

(1.014)

전체280

(2.7)

437

(4.2)

2,607

(25.3)

3,410

(33.1)

3,558

(34.6)

10,292

(100.0)

3.93

(1.004)

자신의

수업

태도

개선

초등학교80

(1.8)

91

(2.1)

1,012

(23.2)

1,339

(30.7)

1,846

(42.3)

4,368

(100.0)

4.09

(.945)

325.438*** 초>중>고중학교94

(3.6)

138

(5.3)

1,005

(38.5)

738

(28.2)

638

(24.4)

2,613

(100.0)

3.65

(1.019)

고등학교156

(4.7)

191

(5.8)

1,352

(40.8)

895

(27.0)

717

(21.7)

3,311

(100.0)

3.55

(1.039)

전체330

(3.2)

420

(4.1)

3,369

(32.7)

2,972

(28.9)

3,201

(31.1)

10,292

(100.0)

3.8)

(1.026)

*p<.05, **p<.01, ***p<.001

‘학생만족도조사 이후 선생님은 더 열심히 가르치려고 노력하신다’는 문항에 대한 학

생들의 응답 평균은 3.68로, 보통 이상의 긍정 반응을 보였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생

(4.12)의 반응이 중학생(3.39)이나 고등학생(3.33)보다 월등하게 높게 나타나 초등교사의

수업 개선 열의가 훨씬 긍정적으로 비춰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생만족도조사 이후 선생님들은 학생들의 의견을 더 많이 들으려고 노력하시는 것

같다’는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 평균 3.63으로 나타났고, 여기서도 역시, 초등학생

(4.03)의 반응이 중학생(3.34)이나 고등학생(3.32)보다 훨씬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업만족도 조사 후 나의 수업 태도가 더 좋아졌다’는 문항에 대한 학생의 반응은 평

균 3.93점으로,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자신들의 수업 태도 개선을 상당히 긍정적으로 인

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로는 초(4.17), 중(3.83), 고(3.68) 순으로 .001 수

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생만족도 조사 이후 선생님과 전보다 더 가까워졌다고 느낀다’는 문항에 대한 학생

288 교육행정학연구

들의 응답 평균은 3.81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 교원능력개발평가가 교사와의 친밀도 개

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학교급별로 보면 역시 초(4.09), 중(

3.65), 고(3.55)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총 8개 문항의 평균을 비교해보면 만족도조사에 대

한 학생들의 인식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임을 알 수 있다. 문항별 긍정적 인식 순위를 보

면, 질문이해의 용이성이나 교사와의 친밀도, 자신의 수업태도 개선 등은 상대적으로 높

게 나타난 반면, 응답의 공정성 및 솔직성, 응답의 전년도 대비 편리성, 사전 설명의 충

분성 등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표 6> 참조). 이러한 결과는 학생의 경우, 만족도

조사 실시 이전과 실시과정에서 학생들의 이해도와 응답의 편리성을 높이려는 노력이

상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표 6> 학생 인식의 상대적 순위 및 학교급별 차이 비교

구 분 학교급별 차이 평균(표준편차) 순위

만족도조사

실시 이전 평가에 대한 사전 설명의 충분성 초>중>고 3.62(1.103) 6

만족도조사

실시 중

응답의 공정성 및 솔직성 초>중>고 3.38(1.162) 8

만족도조사지 질문 이해의 용이성 초>중>고 4.23(0.895) 1

응답의 전년도 대비 편의성 초>중, 초>고 3.39(1.137) 7

만족도조사

실시 이후

교사의 교수 열의 증대 초>중, 초>고 3.68(1.141) 4

교육활동에 학생 의견반영 증대 초>중, 초>고 3.63(1.134) 5

교사와의 친밀도 향상 초>중>고 3.93(1.004) 2

자신의 수업태도 개선 초>중>고 3.80(1.026) 3

한편, 학교급별 차이를 보면, 학교급이 낮을수록 더 긍정적인 반응이라는 매우 일관된

경향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시범운영 기간 동안의 설문조사(김갑성·김이

경, 2008; 김이경·김갑성, 2009)나 2010년도 교원능력개발평가 전면 실시 직후 1차년도의

설문조사 결과(서범종 외, 2011)와 일치하는 것으로, 초등학교는 대부분의 수업이 담임

교사에 의해 이루어져서 교사와 학생 간 친밀도가 높고, 대학입시 부담으로부터 상대적

으로 자유로워서 학생의 반응과 흥미를 반영한 수업이 가능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2. 학부모 인식 분석

가. 만족도 조사 실시 전 쟁점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학부모만족도조사를 왜 실시하고, 어떻게 참여하며 결과를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대해

교원능력개발평가 만족도조사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289

학교로부터 충분한 설명을 들을 수 있었다’는 문항에 대한 학부모의 반응은 평균 3.88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배경변인 별로 보면, 학교급이 낮을수록, 공개수업에 참여한 학

부모일수록 높은 반응을 보였고, 그 차이는 .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조

사되었다(<표 7> 참조).

<표 7> 사전 설명의 충분성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단위: 빈도(%)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그렇다

매우

그렇다전체

M

(SD)F/t

사후분석

(Scheffe/

Dunnett T3)

자녀

학교급

초등 1-39

(0.7)

51

(4.0)

188

(14.7)

507

(39.7)

521

(40.8)

1,276

(100.0)

4.16

(.868)

152.210***

초1-3>중>고

초4-6>중>고

초등 4-612

(0.7)

71

(3.9)

327

(18.0)

726

(40.0)

679

(37.4)

1,815

(100.0)

4.10

(.873)

중학교38

(2.0)

139

(7.2)

448

(23.2)

711

(36.7)

599

(31.0)

1,935

(100.0)

3.88

(.995)

고등학교113

(4.8)

241

(10.2)

707

(29.9)

819

(34.7)

482

(20.4)

2,362

(100.0)

3.56

(1.071)

공개

수업

참여

참여45

(1.0)

180

(4.1)

671

(15.4)

1,754

(40.2)

1,715

(39.3)

4,365

(100.0)

4.13

(.888)26.140***

미참여127

(4.2)

322

(10.7)

999

(33.0)

1,009

(33.4)

566

(18.7)

3,023

(100.0)

3.52

(1.044)

전체172

(2.3)

502

(6.8)

1,670

(22.6)

2,763

(37.4)

2,281

(30.9)

7,388

(100.0)

3.88

(1.001)

*p<.05, **p<.01, ***p<.001

나. 만족도조사 실시과정 중 쟁점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만족도 조사 실시과정 중의 쟁점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설정한 문항

은 응답의 공정성 및 솔직성, 질문지 이해의 용이성, 응답의 편의성, 응답자의 익명성

보장, 학부모에 대한 정보제공의 필요성 등 5개 문항이다. 5개의 문항 모두에서 학부모

들은 평균 3.7이상의 높은 반응을 보였으며, 각 문항에 대한 세부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

다(<표 8> 참조).

290 교육행정학연구

구분전혀

그렇지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매우

그렇다전체

M

(SD)F/t

사후분석(Scheffe/

Dunnett T3)

응답 솔직성

자녀학교급

초등 1-312

(0.9)

29

(2.3)

120

(9.4)

502

(39.3)

613

(48.0)

1,276

(100.0)

4.31

(.868)

88.619***

초1-3>중>고

초4-6>중>고

초등 4-614

(0.8)

33

(1.8)

195

(10.7)

720

(39.7)

853

(47.0)

1,815

(100.0)

4.30

(.873)

중학교14

(0.7)

55

(2.8)

306

(15.8)

796

(41.1)

764

(39.5)

1,935

(100.0)

4.16

(.995)

고등학교60

(2.5)

85

(3.6)

543

(23.0)

960

(40.6)

714

(30.2)

2,362

(100.0)

3.92

(1.071)

공개수업 참여

참여40

(.9)

102

(2.3)

490

(11.2)

1,703

(39.0)

2,030

(46.5)

4,365

(100.0)

4.28

(.888)15.954***

미참여60

(2.0)

100

(3.3)

674

(22.3)

1,275

(42.2)

914

(30.2)

3,023

(100.0)

3.95

(1.044)

전체100

(1.4)

202

(2.7)

1164

(15.8)

2,978

(40.3)

2,944

(39.8)

7,388

(100.0)

4.15

(0.875)

질문지이해용이성

자녀학교급

초등 1-319

(1.5)

42

(3.3)

157

(12.3)

529

(41.5)

529

(41.5)

1,276

(100.0)

4.18

(.868)

91.653***초1-3>초4-6

>중>고

초등 4-631

(1.7)

74

(4.1)

283

(15.6)

736

(40.6)

691

(38.1)

1,815

(100.0)

4.09

(.873)

중학교45

(2.3)

136

(7.0)

359

(18.6)

790

(40.8)

605

(31.3)

1,935

(100.0)

3.92

(.995)

고등학교93

(3.9)

173

(7.3)

648

(27.4)

894

(37.8)

554

(23.5)

2,362

(100.0)

3.70

(1.071)

공개수업 참여

참여80

(1.8)

218

(5.0)

598

(13.7)

1,796

(41.1)

1,673

(38.3)

4,365

(100.0)

4.09

(.888)16.475***

미참여108

(3.6)

207

(6.8)

849

(28.1)

1,153

(38.1)

706

(23.4)

3,023

(100.0)

3.71

(1.044)

전체188

(2.5)

425

(5.8)

1,447

(19.6)

2,949

(39.9)

2,379

(32.2)

7,388

(100.0)

3.93

(0.986)

응답 편리성

자녀학교급

초등 1-330

(2.4)

79

(6.2)

243

(19.0)

480

(37.6)

444

(34.8)

1,276

(100.0)

3.96

(.868)

65.054***초1-3>중>고

초4-6>중>고

초등 4-633

(1.8)

76

(4.2)

360

(19.8)

729

(40.2)

617

(34.0)

1,815

(100.0)

4.00

(.873)

중학교50

(2.6)

131

(6.8)

466

(24.1)

723

(37.4)

565

(29.2)

1,935

(100.0)

3.84

(.995)

고등학교119

(5.0)

195

(8.3)

690

(29.2)

856

(36.2)

502

(21.3)

2,362

(100.0)

3.60

(1.071)

공개수업 참여

참여97

(2.2)

244

(5.6)

859

(19.7)

1,656

(37.9)

1,509

(34.6)

4,365

(100.0)

3.97

(.888) 14.764***

미참여135

(4.5)

237

(7.8)

900

(29.8)

1,132

(37.4)

619

(20.5)

3,023

(100.0)

3.62

(1.044)

전체232

(3.1)

481

(6.5)

1,759

(23.8)

2,788

(37.7)

2,128

(28.8)

7,388

(100.0)

3.83

(1.019)

<표 8> 만족도 조사 실시과정 중 쟁점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단위: 빈도(%)

교원능력개발평가 만족도조사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291

응답자익명성보장

자녀학교급

초등 1-336

(2.8)

109

(8.5)

260

(20.4)

482

(37.8)

389

(30.5)

1,276

(100.0)

3.85

(.868)

20.961***

초1-3>고초4-6>고중>고

초등 4-647

(2.6)

156

(8.6)

420

(23.1)

689

(38.0)

503

(27.7)

1,815

(100.0)

3.80

(.873)

중학교56

(2.9)

158

(8.2)

498

(25.7)

708

(36.6)

515

(26.6)

1,935

(100.0)

3.76

(.995)

고등학교82

(3.5)

215

(9.1)

759

(32.1)

815

(34.5)

491

(20.8)

2,362

(100.0)

3.60

(1.071)

공개수업 참여

참여119

(2.7)

355

(8.1)

950

(21.8)

1,630

(37.3)

1,311

(30.0)

4,365

(100.0)

3.84

(.888)10.741***

미참여102

(3.4)

283

(9.4)

987

(32.6)

1,064

(35.2)

587

(19.4)

3,023

(100.0)

3.58

(1.044)

전체221

(3.0)

638

(8.6)

1,937

(26.2)

2,694

(36.5)

1,898

(25.7)

7,388

(100.0)

3.73

(1.031)

정보제공의

필요성

자녀학교급

초등 1-335

(2.7)

76

(6.0)

251

(19.7)

454

(35.6)

460

(36.1)

1,276

(100.0)

3.96

(.868)

40.230***

초1-3>고초4-6>고중>고

초등 4-631

(1.7)

106

(5.8)

411

(22.6)

690

(38.0)

577

(31.8)

1,815

(100.0)

3.92

(.873)

중학교31

(1.6)

106

(5.5)

474

(24.5)

714

(36.9)

610

(31.5)

1,935

(100.0)

3.91

(.995)

고등학교76

(3.2)

192

(8.1)

713

(30.2)

857

(36.3)

524

(22.2)

2,362

(100.0)

3.66

(1.071)

공개수업 참여

참여73

(1.7)

248

(5.7)

862

(19.7)

1,623

(37.2)

1,559

(35.7)

4,365

(100.0)

4.00

(.888)16.010***

미참여100

(3.3)

232

(7.7)

987

(32.6)

1,092

(36.1)

612

(20.2)

3,023

(100.0)

3.62

(1.044)

전체173

(2.3)

480

(6.5)

1,849

(25.0)

2,715

(36.7)

2,171

(29.4)

7,388

(100.0)

3.84

(0.995)*p<.05, **p<.01, ***p<.001

먼저, ‘학부모만족도조사에 공정하고 솔직하게 응답했다’는 문항에 대한 반응은 평균

4.1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를 학교급별로 비교해보면 초 1-3(4.31), 초 4-6(4.30), 중

(4.16), 고등학교(3.92)의 순으로 초등학교 학부모의 반응이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공개수업에 참여한 학부모(4.28)의 반응이 미참여 학부모

(3.95)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만족도조사 질문에 응답하기는 어렵지 않았다’는 문항에 대한 학부모의 응답

평균은 3.93으로, 조사지 질문은 응답하기가 비교적 쉬웠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를 학교급별로 보면, 초 1-3(4.18), 초 4-6(4.09), 중(3.92), 고(3.70) 순으로, 학교급이 낮을

수록 높은 반응을 보였고, 역시 공개수업에 참여한 학부모(4.09)의 반응이 미참여 학부

모( 3.71)에 비해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이다.

‘학부모만족도조사에 참여하여 응답하기가 편해졌다’는 문항에 대한 학부모의 반응 역

시, 평균 3.83로 높게 나타났다. 이를 학교급별로 보면, 초등 학부모의 반응(초 1-3 3.96,

292 교육행정학연구

초 4-6 4.00)이, 중(3.84), 고(3.60) 학부모보다 높았고, 공개수업에 참여한 학부모(3.97)의

반응이 미참여 학부모(3.62)의 반응보다 높았으며, 이는 모두 .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이다. 이는 만족도조사방식을 종이설문에서 온라인방식으로 변환한 정책이

응답의 편의성 개선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음을 말해준다.

‘온라인을 통해 만족도를 조사하면 신분 노출 걱정을 줄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는 문

항에 대한 학부모의 반응은 평균 3.73으로 온라인 조사는 학부모의 신분 노출 걱정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를 학교급별로 보면 초 1-3(3.85),

초 4-6(3.80), 중(3.76), 고(3.60)의 순으로, 초등학교 학부모의 반응이 상대적으로 높고, 공

개수업에 참여한 학부모(3.84)의 반응이 미참여 학부모(3.58) 보다 높았다.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공개수업이나 정보를 학교에서 더 많이 제공한다면 만족도조

사의 실효성이 높아질 것이다’는 문항에 대하여 학부모는 3.84의 평균점을 보여 긍정적

인 반응을 보였다. 학교급별로 보면 초 1-3(3.96), 초 4-6(3.92), 중(3.91), 고(3.66)의 순이

었고, 공개수업 참여여부에 따라 보면, 역시 참여한 학부모(4.00)가 미참여 학부모(3.62)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반응을 보였다.

다. 만족도 조사 실시 후 쟁점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만족도 조사 실시 후 쟁점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정한 문항은 교

사의 교수열의 증대, 학부모의 의견반영 증대 등을 포함하는 2개 문항이다. 이에 대한

학부모의 반응은 평균 3.6 이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다음 <표 9>는 각 문항의

분석결과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먼저, ‘교원능력개발평가는 선생님들의 교육활동에 대한 객관적인 성찰을 돕고 전문성

신장을 촉진하여 학생들에게 더 나은 교육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문항에 대한 학

부모의 반응은 평균 3.65로 나타나, 교원능력개발평가가 교사의 교육활동 개선과 전문성

신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교급별로 보면, 초등

학부모의 반응(초 1-3 3.80, 초 4-6 3.81)이 중등 학부모(중학교 3.63, 고등학교 3.46)보다 높

았고, 공개수업에 참여한 학부모(3.78)가 미참여 학부모(3.45) 보다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이어서, ‘교원능력개발평가를 통하여 학교나 선생님들의 교육활동에 학부모의 의견이

반영된다’는 문항의 평균은 3.84로 학부모들이 평가를 의사소통의 통로로 긍정적으로 인

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배경변인 중 학교급에 있어서는 초등 학부모(초 1-3 3.95, 초

4-6 3.97)가 중등 학부모(중 3.87, 고 3.66)보다, 공개수업 참여여부에 있어서는 참여 학부

모(3.96)가 미참여 학부모(3.67) 보다 높은 반응을 보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 만족도조사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293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그렇다

매우

그렇다전체

M

(SD)F/t

사후분석

(Scheffe/

Dunnett T3)

교사

교수

열의

증대

자녀

학교급

초등

1-3

26

(2.0)

95

(7.4)

333

(26.1)

480

(37.6)

342

(26.8)

1,276

(100.0)

3.80

(.868)

51.417***초1-3>중>고초4-6>중>고

초등

4-6

30

(1.7)

98

(5.4)

534

(29.4)

685

(37.7)

468

(25.8)

1,815

(100.0)

3.81

(.873)

중학교54

(2.8)

176

(9.1)

648

(33.5)

609

(31.5)

448

(23.2)

1,935

(100.0)

3.63

(.995)

고등학교117

(5.0)

239

(10.1)

866

(36.7)

716

(30.3)

424

(18.0)

2,362

(100.0)

3.46

(1.071)

공개

수업

참여

참여99

(2.3)

308

(7.1)

1,218

(27.9)

1,555

(35.6)

1,185

(27.1)

4,365

(100.0)

3.78

(.888)13.815***

미참여128

(4.2)

300

(9.9)

1,163

(38.5)

935

(30.9)

497

(16.4)

3,023

(100.0)

3.45

(1.044)

전체227

(3.1)

608

(8.2)

2,381

(32.2)

2,490

(33.7)

1,682

(22.8)

7,388

(100.0)

3.65

(1.016)

학부모

의견

반영

증대

자녀

학교급

초등

1-3

25

(2.0)

45

(3.5)

309

(24.2)

491

(38.5)

406

(31.8)

1,276

(100.0)

3.95

(.868)

40.441***초1-3>고

초4-6>중>고

초등

4-6

26

(1.4)

60

(3.3)

421

(23.2)

747

(41.2)

561

(30.9)

1,815

(100.0)

3.97

(.873)

중학교30

(1.6)

65

(3.4)

560

(28.9)

742

(38.3)

538

(27.8)

1,935

(100.0)

3.87

(.995)

고등학교77

(3.3)

127

(5.4)

846

(35.8)

779

(33.0)

533

(22.6)

2,362

(100.0)

3.66

(1.071)

공개

수업

참여

참여78

(1.8)

144

(3.3)

1,046

(24.0)

1,707

(39.1)

1,390

(31.8)

4,365

(100.0)

3.96

(.888)12.853***

미참여80

(2.6)

153

(5.1)

1,090

(36.1)

1,052

(34.8)

648

(21.4)

3,023

(100.0)

3.67

(1.044)

전체158

(2.1)

297

(4.0)

2,136

(28.9)

2,759

(37.3)

2,038

(27.6)

7,388

(100.0)

3.84

(0.945)

<표 9> 만족도 조사 실시 후 쟁점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단위: 빈도(%)

*p<.05, **p<.01, ***p<.001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총 8개 문항의 분석 결과를 놓고 상대적 순위와 학교급별 차이

를 비교하였다. <표 10>에 제시된 바와 같이, 만족도조사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전반

적으로 매우 긍정적임을 알 수 있다. 학부모들이 자녀를 담보로 하여 공정하고 솔직하

게 응답하지 못한다는 우려와 달리 ‘응답의 공정성 및 솔직성’은 1위를 차지한 반면, ‘교

사의 교수 열의 증대’는 가장 하위인 8위를 차지한 점에 비추어 볼 때, 만족도조사 실시

294 교육행정학연구

후의 효과에 대한 인식은 만족도조사 실시 전이나 과정 중의 쟁점에 대한 인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배경변인별로 볼 때, 학교급이 낮은 학부모와 공개

수업에 참여한 학부모가 일관되게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표 10> 학부모 인식의 상대적 순위 및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 비교

구 분 학교급별 차이공개수업참여

여부 차이

평균점수

(표준편차)

실시전 평가에 대한 사전 설명의 충분성 초1-3>중>고

초4-6>중>고참여>미참여 3.88(1.001) 3

실시중

응답의 공정성 및 솔직성초1-3>중>고

초4-6>중>고참여>미참여 4.15(0.875) 1

만족도조사지 질문 이해의 용이성초1-3>초4-6>중>

고참여>미참여 3.93(0.986) 2

응답의 편의성 초1-3>중>고

초4-6>중>고참여>미참여 3.83(1.019) 6

응답자 익명성 보장초1-3>고

초4-6>고, 중>고참여>미참여 3.73(1.031) 7

학부모에 대한 정보제공의 필요성초1-3>고

초4-6>고, 중>고참여>미참여 3.84(0.995) 4

실시후

교사의 교수 열의 증대초1-3>중>고

초4-6>중>고참여>미참여 3.65(1.016) 8

교육활동에 학부모 의견반영 증대초1-3>고

초4-6>중>고참여>미참여 3.84(0.945) 4

3.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비교 분석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을 비교하기 위하여 두 집단에 공통된 문항, 즉, 만족도조사에

대한 사전설명의 충분성, 응답의 공정성 및 솔직성, 조사지 질문의 이해 용이성, 설문응

답의 편의성, 교사의 교수 열의 증대, 수요자 의견반영 증대 등 6개 문항을 비교 분석한

결과, 사전설명의 충분성, 응답의 공정성 및 솔직성, 설문 응답의 편리성, 교사 수업열의

증대 등 4개 문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표 11> 참조).

교원능력개발평가 만족도조사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295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그렇다

매우

그렇다전체

M

(SD)t

만족도조사에

대한 사전

설명의 충분성

학생524

(5.1)

986

(9.6)

2,840

(27.6)

3,453

(33.6)

2,489

(24.2)

10,292

(100.0)

3.62

(1.103)-16.037***

학부모172

(2.3)

502

(6.8)

1,670

(22.6)

2,763

(37.4)

2,281

(30.9)

7,388

(100.0)

3.88

(1.001)

응답의 공정성

및 솔직성

학생160

(1.6)

217

(2.1)

1,586

(15.4)

3,420

(33.2)

4,909

(47.7)

10,292

(100.0)

4.23

(.895)6.564***

학부모100

(1.4)

202

(2.7)

1,164

(15.8)

2,978

(40.3)

2,944

(39.8)

7,388

(100.0)

4.15

(.875)

조사지 질문의

이해 용이성

학생280

(2.7)

437

(4.2)

2607

(25.3)

3410

(33.1)

3558

(34.6)

10,292

(100.0)

3.93

(1.004)-.587

학부모188

(2.5)

425

(5.8)

1447

(19.6)

2949

(39.9)

2379

(32.2)

7,388

(100.0)

3.93

(.986)

설문응답의

편리성

학생330

(3.2)

420

(4.1)

3,369

(32.7)

2,972

(28.9)

3,201

(31.1)

10,292

(100.0)

3.81

(1.026)-2.430*

학부모158

(2.1)

297

(4.0)

2,136

(28.9)

2,759

(37.3)

2,038

(27.6)

7,388

(100.0)

3.84

(.945)

만족도조사 후

교사 수업열의

증대

학생560

(5.4)

866

(8.4)

2,922

(28.4)

2,914

(28.3)

3,030

(29.4)

10,292

(100.0)

3.68

(1.141)-8.967***

학부모232

(3.1)

481

(6.5)

1,759

(23.8)

2,788

(37.7)

2,128

(28.8)

7,388

(100.0)

3.83

(1.019)

만족도조사 후

의견 반영 증대

학생574

(5.6)

922

(9.0)

3,057

(29.7)

2,966

(28.8)

2,773

(26.9)

10,292

(100.0)

3.63

(1.134)-1.395

학부모227

(3.1)

608

(8.2)

2,381

(32.2)

2,490

(33.7)

1,682

(22.8)

7,388

(100.0)

3.65

(1.016)

<표 11> 만족도조사에 대한 설명의 충분성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 인식 비교

단위: 빈도(%)

*p<.05, **p<.01, ***p<.001

먼저, 교원능력개발평가에 앞서 만족도조사에 대한 설명이 충분했는가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반응을 비교한 결과, 두 집단 모두 대체적으로 높은 반응을 보였지만 학부모

의 반응(3.88)이 학생(3.62)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학교에서 생활하는 학생에게 평가에

관한 정보가 더 충분히 제공되었을 것이라는 추측과 다른 의외의 결과를 보였다.

응답의 공정성 및 솔직성의 경우, 학생(4.23)과 학부모(4.15) 모두 매우 긍정적 반응을

보여 만족도조사에서 공정하고 솔직하게 응답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부모의 반응이 학생보다 낮은 이유는 학부모들이 자신의 신분이 노출되어 자녀에게

296 교육행정학연구

피해가 갈 수 있다는 막연한 우려가 아직도 잔존하고 있다는 현실을 반영한다.

응답의 편리성의 경우 학부모(3.84)의 반응이 학생(3.81)보다 근소한 차이이지만 더 긍

정적인 것으로 나타나, 2011년도 교원능력개발평가에서 학부모 만족도조사를 쉽고 편리

하게 하려는 노력은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교원능력개발평가 만족도조사 이후 교사의 교수 열의가 증가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문

항에 대해서는 학부모는(3,83)의 반응이 학생(3.68)보다 높다는 점에서 학부모들이 교사

의 변화를 더 긍정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종합해서 볼 때, ‘응답의 공정성 및 솔직성’에서만 학생의 반응이 높았고, 나머지 3개

문항 ‘만족도조사에 대한 사전 설명의 충분성’ ‘응답의 편리성’ ‘교사의 수업열의 증대’

에서는 모두 학부모가 더 높은 반응을 보여 교원능력개발평가에 교육수요자를 참여시키

기로 하고,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조사를 포함시킨 결정과 관련하여 학부모들의 인식

에 더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Ⅴ. 결론 및 제언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우여곡절을 거쳐 전국 단위에서 실시된 지 2년이 지났고, 학교교

육에 수요자의 목소리를 반영한다는 취지에서 도입된 학생과 학부모에 의한 수요자만족

도조사도 어느 정도 학교현장에 자리 잡았다. 여러 차례 평가 모형의 수정을 거쳤지만

교육수요자 만족도조사는 응답의 공정성, 신뢰성, 정보의 충분성, 조사 참여자의 전문성

등의 관점에서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는 문제인식에서, 이 연구는 만족도조사의 쟁점

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을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학교 측에서 만족도조사에 앞서 관련 정보를 충분히 제공함으로써 학생과

학부모에 의한 만족도조사가 취지에 맞게 실행될 수 있는 기반이 축적되고 있고, 조사

지 질문도 이해하기 쉬워졌으며, 온라인조사로 인한 응답의 편의성 증대에 힘입어 참여

자들은 공정하고 솔직하게 응답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

다. 만족도조사 실시 결과, 학생과 학부모 모두 교사의 수업 열의가 증대되고, 자신들의

의견이 교육활동에 더 많이 반영되는 것으로 인식하는 등 대체적으로 높은 만족감을 표

시하였다.

두 집단 가운데 학생들의 경우, 조사지 질문의 용이성이나 교사와의 친밀도 증대, 자

신의 수업태도 개선 등에 대해서는 더 높은 반응을 보였지만, 응답의 공정성 및 솔직성,

응답의 편리성, 사전 설명의 충분성 등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반응을 보였다. 학

교급별로 볼 때, 모든 문항에 대해서 일관되게 학교급이 낮을수록 더 긍정적인 반응을

교원능력개발평가 만족도조사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297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를 대상으로 한 학생의 만족도조사가 공정성

과 객관성을 담보하는 방향으로 더욱 개선되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만족도조사의 취지

및 방법에 대해서 더 상세하게 설명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지도와 생활지도의 개선을

위해 더 공정하고 솔직하게 답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학부모들의 경우, 자녀를 담보로 하기 때문에 솔직하게 응답하지 못한다는 통상적 우

려와 달리 만족도조사에서 공정하고 솔직하게 응답하였고,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인하여

응답의 편의성이 증대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온라인 조사방식이라 할지라도

여전히 신분이 노출될지 모른다는 우려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부모들

의 참여도를 높이고 익명성을 보장하기 위해 온라인조사를 실시했지만, 자신들의 의견이

노출되는 것에 대해 학부모들이 여전히 부담을 느낀다는 점에서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의

익명성 보장 등 안정성에 대한 홍보를 더욱 강화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한편, 학교

급이 낮을수록, 그리고 공개수업에 참여한 학부모일수록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는

점은 향후, 만족도조사가 더욱 원활하게 실시되고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학부모를 대

상으로 한 공개수업 및 정보제공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을 비교한 결과, 1개 문항을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학부모가 더

긍정적 반응을 보였고, 특히 교사의 수업열의 증대에 대한 인식의 차가 가장 컸다는 점

에서 만족도조사는 학부모들의 인식 변화에 상대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교원능력개발평가제 정책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교육수요자를 평가에 참여시키려

는 구상으로 인하여 상당한 마찰이 발생했고 고통이 수반되었으나, 그 결과 학부모들의

인식이 상당히 긍정적인 방향으로 개선되었다는 점은 고무적이다.

교육수요자 만족도조사는 교사들의 교육활동에 대한 전문적인 평가라기보다는 피드백

형식으로 교육만족도를 표시함으로써 교육활동이 보다 수요자를 염두에 두고 수행되어

야 한다는 신호를 주고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단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교원능력개발평가는 아직도 현재진행형이다. 이에, 교육수요자의 건설적이고 올바른 참

여를 유도하고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 노력은 계속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이 연구 결과는 학생과 학부모가 만족도조사의 취지를 충분히 이해하고, 교사들

의 교육활동의 개선을 위해 진솔하게 응답할 수 있도록 조사 방식 및 접근방식을 개선

하려고 할 때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298 교육행정학연구

참고문헌

강용옥․문경협(2009). 교원능력개발평가 내용에 관한 교육주체들의 인식 조사 연구. 시

민교육연구, 41(4), 1-29.

교육과학기술부(2012). 전년도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따른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성과.

권순달(2011).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메타평가. 교육평가연구, 24(3), 527-547.

김갑성(2009). 2009년 하반기 교원능력개발평가 운영결과. 한국교육개발원.

김갑성(2010). 교원능력개발평가제 운영 및 성과평가. 57차 교원교육 학술대회 토론자료.

김갑성․김도기(2011).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시범운영 효과 분석. 초등교육연구, 24(1),

21-42.

김갑성․김이경(2008). 2008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선도학교 운영 결과 분석 연구. 한국교

육개발원.

김갑성․김이경(2012).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 분석 및 매뉴얼 개발연구. 한국교

육개발원.

김갑성․전제상․안병천(2011). 2012년 교원능력개발평가 모형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김도기․이정화(2008). 교원능력개발평가 실시 원칙의 비판적 검토: 교직의 특성을 중심

으로. 교육행정학연구, 26(1), 343-367.

김동규(2005). 교원평가제: 외국의 사례와 비교 분석. 부산교육학연구, 18(1), 1-16.

김수아(2008). 교원평가제에 관한 찬반 의견의 논리구조 분석. 교원연구논총, 29(1),

41-59.

김승태(2011). 교원능력개발평가제도의 운영성과 분석: 시범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인사

행정학회보, 10(1), 187-217.

김양분․류한구․남궁지영․김일혁․전민정(2007). 학생용 및 학부모용 학교 교육 만족도 조

사 도구 개발. 교육평가연구, 20(3), 1-27.

김이경(2006). 교사평가 시스템 분석 및 향후 개선 방향. 교육비평, 20호, 14-35.

김이경(2010). 교원능력개발평가 개선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 교원능력개발평가 실행

쟁점 및 개선방향. 한국교육개발원.

김이경․김갑성(2009). 2009 교원능력개발평가 선도학교 운영결과 분석 및 모형개선 연

구. 교육과학기술부, 인천광역시교육청.

김정현․박소영(2012). 교원에 대한 학생의 평가가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원능력

개발평가에의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9(2), 277-297.

김창걸․이봉우․김창수․배상만(2005). 교육인사행정의 이론과 실제. 형설출판사.

김혜영(2006). 표준기반 교원평가와 전자포트폴리오의 역할: 미국사례 연구. 한국교원교

육연구, 23(3), 119-142.

김희규(2008). 교원평가제도의 개정에 담긴 정책적 함의와 개선방안. 인력개발연구,

교원능력개발평가 만족도조사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299

10(3), 265-286.

김희규(2010). 교원능력개발평가제 운영 및 성과 평가에 대한 토론. 57차 교원교육 학

술대회 토론자료. 161-168.

서범종·전제상·이지혜·이혜정(2010). 전국 및 시·도별 2010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성과 분

석 및 시행절차·모형 개선 연구. 한국지방교육연구센터.

서정화(2006). 교육력 제고를 위한 교원평가의 방향과 과제. 한국교원교육연구, 23(2),

365-384.

안선희(2005). 학생․학부모가 함께 참여하는 교원평가. 학교운영위원회 통권, 59호.

안세근․라종민(2005). 보상제도와 연계한 미국의 교원평가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3(4),

129-154.

원효헌(2011).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의 타당성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3(4), 673-683.

이경호(2010). 교원능력개발평가 정책분석 및 발전방향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7(3),

43-68.

전제상(2009). 다원적 교원평가제의 일원화 가능성 및 방안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8(2), 387-410.

전제상(2010).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따른 교원연수지원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7(4), 369-394.

전제상․조동섭․신상명․김수영(2008).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결

과 활용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정수현(2008). 교원의 전문성과 책무성에 근거한 교원평가제도의 타당성 평가. 초등교

육연구, 21(2), 409-434.

정영수(2009). 합리적 교원경쟁체제 구축의 방향과 과제. 한국교원교육연구, 26(1),

221-240.

주삼환․이미라(2006). 교원평가의 방향. 인문학연구, 32(2), 247-268.

최상근․양수경(2010). 학부모 자녀교육 및 학교참여 실태조사 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

부.

한유경(2006). 시․도교육청 평가 결과와 교육 수요자 만족도 조사 결과간 상관 분석. 교

육행정학연구, 24(1), 289-312.

Drake, L. & Roe, H.(1994). The Principalship (4th ed.). NY: Macmillan College

Publishing Company.

Dwyer, A.(1995). Criteria for performance-based teacher assessments: Validity,

standards, and issues. In A. J. Shinkfield & D. Stufflebeam(Eds.). Teacher

Evaluation: Guide to Effective Practice (pp.62-80).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Epstein, J.(1987). Toward a theory of family-school connections: Teacher practices

300 교육행정학연구

and parent involvement. In K. Hurrelmann, F. Kaufmann and F. Losel(Eds.).

Social Intervention: Potential and constraints. Berlin: Walter de Gruyter.

Harris, B.(1987). Resolving old dilemmas in diagnostic evaluation. Educational

Leadership, 44(7), 46-49.

Hoy, K. & Miskel, G.(2004).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8th ed.). NY: McGraw-Hill.

Lareau, A.(1989). Hoe advantage. Philadelphia, PA: Falmer Press.

Perterson, D.(2000). Teacher evaluation: A comprehensive guide to new directions and

practice. Thousand Oaks, CA: Corwin.

Stronge, J. & Ostrander, L.(1997). Client surveys in teacher evaluation. In J. H.

Stronge(Ed.). Evaluating teaching: A guide to current thinking and best practice.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Wilkerson, D., Manatt, Rogers, M., & Maughan, R.(2000). Validation of student,

principal, and self-rating in 360° feedback for teacher evaluation. Journal of

Personnel Evaluation in Education, 14(2), 179-192.

교원능력개발평가 만족도조사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301

Abstract

The Perception of Students and Parents on Multisource

Teacher Evaluation

Kim, Ee-Gyeong(Chung-Ang University)

Kim, Gap-Sung(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Park, Byung-Sun(Chung-Ang University)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students

and parents on multisouce teacher evaluation, which began to be administered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cross Korea since 2010. A total of 17,689

students and parents responded to a survey containing 10 items representing

controversies on evaluation by education consumer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was conducted. Data analysis showed that students and parents

showed very positive responses on the process and outcome of teacher evaluation.

Despite the conventional perception that the evaluation by educational consumers are

not fair and candid due to their lack of expertise, students and parents expressed

their opinions objectively and frankly. Especially the perception of students and

parents at elementary school level turned out to be more positive than those at

secondary schools. One of the important findings was that parents perceived their

participation in teacher evaluation more positively than students, and those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observation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s. Based on

the findings, a few recommendation were made to make education consumers'

participation in multisouce teacher evaluation more meaningful and effective for

teachers' professional growth.

[Key words] student evaluation, parents evaluation, growth-centered teacher

evalu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