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159

Upload: others

Post on 27-Oct-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Page 2: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Page 3: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방사선사고에 대한 의료적 대응은 국민의 생명 보호는 물론이고 사회의 안녕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부

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는 25기의 원자력발전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방사선 또는 방사성동위원소

를 이용하는 병원 및 산업체의 수도 매년 급증하고 있습니다. 2016년 원자력 발전소 인근의 경주 지역에

서 발생한 5.8 규모의 지진 및 여진은 자연재해에 대한 대비의 중요성을 일깨웠습니다.

2011년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방사선의 영향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우려가 폭발적으로 증가

했습니다. 국민들이 느끼는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방사선의 인체 영향과 위험성 여부에 대한 올바

른 정보제공이 가장 중요하며, 이는 의료진에 의해 정확히 전달될 때 가장 효율적이라고 여겨집니다. 우

리나라가 방사선사고에 대한 의료적 대응 능력을 제대로 갖추고 있는지, 의료적인 문제는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구체적으로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등의 문제들도 매우 중요합니다.

2003년 제정된 ‘원자력시설 등의 방호 및 방사능방재대책법’에 따라 한국원자력의학원에 설립된 국가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유수한 의료기관들이 방사선비

상진료지정기관으로 지정되었고, 이를 계기로 국가적 방사선비상진료 네트워크(NARMED-NET)를 구성

하였습니다.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는 방사선사고 또는 방사능 재난에 대한 최선의 의료대응을 위하여

인프라 구축과 전문 인력 양성에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또한 전문인력 양성의 과정에서 기본 교과서

역할을 할 수 있는 한국판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의 필요성이 부각되어 이를 간행하였습니다.(2009년)

이번 개정판(제4판)에서는 지난 15여 년간 축적된 방사선비상진료 관련 자료와 국제적 동향, 실무 경험

등을 통합하고 정책적, 학문적, 실무적, 임상적 측면 등을 모두 포함하여 가능한 최신 경향의 자료를 수

록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하였습니다. 이러한 노력이 방사능 재난 또는 사고의 피해자를 최소화하여 국민

과 국가의 손실을 막을 수 있도록 핵심적인 역할을 해낼 수 있는 첫걸음이 될 것을 의심치 않습니다. 본

개론서가 방사선비상진료요원뿐 아니라 이 분야의 지식을 얻고자 하는 일반 의료진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한국원자력의학원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장

진 영 우

서 문

Page 4: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제1장 방사선기초 및 계측 이론 1

제1절 방사선의 기초 ························································································································3

1. 관련 용어 ·····························································································································3

2. 방사선의 종류 ······················································································································5

3. 방사선의 일반적 성질 ··········································································································6

4. 방사선량의 단위 ···················································································································6

5. 방사능량의 단위 ···················································································································8

제2절 방사선 계측 ···························································································································9

1. 방사선검출기 ························································································································9

2. 방사선검출기 선택과 사용 ·································································································10

3. 공간선량률 측정 ················································································································12

4. 오염감시기를 이용한 오염 측정 ························································································13

5. 전자개인선량계 사용법 ······································································································16

6. 이동식 외부오염감시기 사용법 ··························································································17

제2장 방사선의 인체영향 19

제1절 방사선의 인체영향 ··············································································································21

1.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21

2. 방사선의 건강영향 ·············································································································22

3. 방사선의 급성과 만성, 신체적・유전적, 결정적・확률적 영향 ···········································22

4. 방사선의 급성효과(acute or early effects of radiation) ············································25

5. 방사선의 만성효과(chronic or late effects of radiation) ···········································27

6. 배아에 미치는 방사선 영향(radiation effects on embryo ···········································30

7. 저선량 방사선 ····················································································································30

8. 저선량 방사선에 의한 non-targeted delayed effects ·················································31

9. 저선량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32

10. 방사선 적응반응(radiation adaptive response) ··························································33

11. 방관자 효과(bystander effect) ······················································································33

12. 호메시스(긍정적 효과) ·····································································································34

제2절 역학연구에서 바라본 저선량 방사선의 인체 영향 ····························································35

1. 생활 속에서의 방사선 이용과 저선량 방사선 정의 ··························································35

2. 방사선영향 역학연구 ·········································································································36

3. 결론 ····································································································································40

목 차 Contents

Page 5: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5

제3장 방사선사고 41

제1절 방사선사고 및 상해 유형 ···································································································43

1. 우리나라의 방사선 이용 현황 ···························································································43

2. 방사선사고의 정의와 선량한도 ··························································································45

3. 방사선사고의 유형과 구분 ·································································································47

제2절 방사선사고 사례 ··················································································································57

1. 방사선사고 사례 ················································································································57

2. 국내・외 방사선원에 의한 사고사례 ··················································································67

3. 외국의 방사선 의료사고 ····································································································76

4. 기타 사고(국내・외 대단위 조사시설 또는 연구실 사고) ··················································77

제3절 방사선사고의 교훈과 시사점 ······························································································80

1. 방사선사고의 특징과 교훈 ·································································································80

2. 사고 확대방지 조치 ···········································································································80

3. 한국형 방사선사고의 특징과 개선방안 제언 ·····································································82

4. 사고 기록의 작성과 유지 ··································································································84

5. 법 집행 및 범죄 수사 ·······································································································84

제4장 방사선대응체계 85

제1절 국가방사선대응체계 ·············································································································87

1. 국가방사선비상진료체계 개요 ····························································································87

2. 위기 경보 및 방사선 비상 ································································································87

3. 국가방사능방재체계 ···········································································································89

4. 국가방사능테러 대응체계 ·································································································90

5. 방사선비상 대응 ················································································································91

6. 방사선비상진료기관 ···········································································································93

제2절 언론대응 ·······························································································································96

1. 위기 단계별 홍보 점검사항 ·······························································································96

2. 위기 수준별 홍보 체크 포인트 ·························································································97

3. 위기 시 언론 홍보 유의사항 ·····························································································97

4. 미디어와 접촉 시 유의사항 ·······························································································98

제3절 국제협력 ·······························································································································99

1. IAEA(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99

2.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100

3. 해외 선진기관 ··················································································································100

Page 6: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제5장 현장대응 103

제1절 환자분류(Triage) ··············································································································105

1. Triage의 일반론 ··············································································································105

2. 복합손상 분류 ··················································································································110

제2절 현장대응 ····························································································································116

1. 방사선사고 인지 ··············································································································116

2. 방사선사고 환자 접수 ······································································································116

3. 현장지휘센터 의료지원단 파견 ························································································117

4. 초기 현장대응에서의 상해자 분류 ··················································································119

5. 현장에서의 방사선 계측 ··································································································123

6. 현장에서의 제염 ··············································································································125

7. 병원으로의 상해자 이송 ··································································································128

제6장 병원대응 131

1. 사고 접수와 보고 체계 ····································································································133

2. 소규모 환자 대응 ·············································································································133

3. 대량 환자 대응 ················································································································140

4. 오염 통제와 환자 분류 ····································································································142

5. 방사성물질의 제염 ···········································································································145

6. 2차 환자 분류 ·················································································································149

7. 급성방사선증후군(ARS) 환자의 수술 ··············································································150

Page 7: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

방사선기초 및 계측 이론

제1절 방사선의 기초

제2절 방사선 계측

제1장

❘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

Page 8: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Page 9: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3

제1장_방사선기초 및 계측 이론

방사선의 기초제1절

제1장 방사선기초 및 계측 이론

1 관련 용어

1) 원자(atom)

모든 물질은 원자로 이루어져 있다. 원자의 구성을 살펴보면 중심에 전기적으로 양성(+)인 원자핵

(nucleus)이 있고 그 주위를 전기적으로 음성(-)인 전자(electron)들이 원자핵과의 전기적인 힘에 의해서

일정한 궤도를 그리며 돌고 있다. 원자핵은 전기적으로 양성(+)인 양성자(proton)와 전기적 성질을

가지고 있지 않은 중성자(neutron)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양성자와 중성자를 핵자(nucleons)라

한다.

그림 1-1 원자의 구조

2) 방사선(radiation)

방사성물질의 원자핵이나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받은 방사선 발생장치의 방사선 발생부위에 있는 원자

핵은 상태가 불안정해서 에너지를 원자 밖으로 내보내고 안정된 상태로 가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때 원자 밖으로 전자파 또는 입자의 형태로 나오는 에너지를 방사선이라 한다.

3) 방사성 또는 방사능(radio-)

어떤 물질이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자발적으로 방사선을 방출하는 성질을 말하며, 이러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물질을 방사성핵종(radionuclide) 또는 방사성물질이라 한다. 방사능은 방사능량을 나타내는

데도 사용한다.

Page 10: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4

4) 방사성동위원소(radioisotope)

동위원소란 동일한 원자번호로 같은 원소이면서 질량수가 서로 다른 핵종을 말하며, 이 중에서 방사선

을 방출하는 핵종을 방사성동위원소라 한다. 예를 들어 수소(1H), 이중수소(

2H) 및 삼중수소(

3H)는 원자

번호가 1로 같은 동위원소이나, 이 중 삼중수소만이 방사성동위원소이다. 동위원소의 화학적 성질은 같

은 원자번호를 가지고 있어 동일하다.

그림 1-2 방사성동위원소

5) 이온화(ionization) 및 들뜸(excitation)

방사선이 물질을 통과하면 통과하는 물질의 원자에 에너지를 전달하게 된다. 이때 주어진 에너지가 원

자의 궤도 전자에 작용하여 궤도 전자가 원자핵이 당기고 있는 힘보다 큰 에너지를 얻으면 전자가 원자

로부터 밖으로 이탈되어 음(-)이온인 전자와 전자가 이탈된 양(+)이온 원자가 만들어진다. 이것을 ‘이온

화’라고 한다. 이때 궤도 전자에 주어진 에너지가 적어 궤도 전자가 원자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를 ‘들뜸’이라 한다.

6) 반감기(half-life) 및 반가층(half-value layer)

반감기는 방사능량이 절반으로 감소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반감기에는 ‘물리적 반감기’와

‘생물학적 반감기’의 두 종류가 있다. 방사성핵종이 자발적인 핵변환에 의해서 방사능량이 절반으로 줄

어드는 시간을 물리적 반감기라 하고, 방사성핵종이 생체 내에 투여되었을 때 소변이나 땀 등과 같은 생

리적인 과정에 의해서 생체 내에 남아 있는 방사능량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시간을 생물학적 반감기라

한다. 반가층이란 방사선의 진행 방향에 어떤 물질이 놓여 있을 때 그 물질에 의해서 방사선량이 절반으

로 줄어드는 물질의 두께로 정의된다.

Page 11: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5

제1장_방사선기초 및 계측 이론

2 방사선의 종류

방사선은 크게 세 가지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는 방사선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에 따른 분

류로, 방사선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가 커서 방사선이 통과하는 물질을 이온화시키는 방사선을 ‘이온화

방사선’이라 하고 에너지가 작아서 이온화 능력이 없는 방사선을 ‘비이온화 방사선’이라 부른다. 이온화

방사선에는 알파(α)선, 베타(β)선(전자선), 감마(γ)선, 중성자선, 우주선 등이 있으며 비이온화 방사선에

는 전파, 마이크로파, 빛, 적외선, 자외선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방사선이라 하면 이온화 방사선을 의미

한다. 두 번째는 방사선의 형태에 따른 분류로 α선, β선 및 중성자선과 같이 질량을 가지고 있는 입자방

사선과 파동 형태의 X선, γ선과 같은 전자파 방사선으로 나눈다. 세 번째는 생성에 따른 분류로, 시멘트

에서 미량 방출되는 가스 형태의 라돈과 같이 자연계에 존재하고 있는 방사선을 ‘자연방사선’이라 하고

인공적으로 만들어내는 방사선을 ‘인공방사선’이라 한다.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진단에 이용되는 X선은

대표적인 인공방사선이다.

그림 1-3 방사선의 종류

1) α선(입자)

α선은 원자핵에서 방출되는 고속의 헬륨 원자핵으로 중성자 2개와 양성자 2개로 구성되어 있어

질량수는 4 amu(atomic mass unit : 원자질량 단위, 1 amu=1.66×10-27

㎏)이며, 전기적인 전하

량(Charge=1.6×10-19C)은 +2이다. α선은 상대적으로 매우 큰 질량과 전하량을 가지고 있어 α선이

조사되는 물질을 이온화시키는 능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공기 중에서는 수㎝, 조직 내에서는 수십 분의

1㎜ 정도 투과한다. 따라서 종이 한 장 정도로도 차단할 수 있어 α선을 방출하는 방사성핵종이 인체 외

부에 존재할 때는 위험성이 크지 않지만, 피부나 인체 내부에 오염이 발생하면 α선이 가지고 있는 모든

에너지를 인체에 전달하게 되므로 위험성이 커진다.

Page 12: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6

2) β선(입자)

β선은 질량이 1/1836 amu인 전자로 α선에 비하여 매우 가벼워 빛의 속도에 가깝게 움직이지만, 전

기적으로 ­1의 전하를 가지고 있어 물질을 이온화시키는 능력은 상대적으로 중간 정도로 공기 중에서 수

m, 조직 내에서 수㎜ 정도 투과한다. 알루미늄판 정도로 차폐할 수 있다.

3) 중성자선

중성자선은 질량이 1 amu로 β선에 비하여 무거운 질량을 가지고 있지만, 전기적으로 중성이기 때문

에 물질을 이온화시키는 능력은 매우 작다. 따라서 수㎝의 철판이나 수m의 콘크리트를 투과할 수도 있

다. 일반적으로 에너지가 낮은 중성자선을 효과적으로 차폐하기 위해서는 중성자와 질량수가 ‘1’로 서로

동일한 수소가 다량으로 함유된 물, 파라핀 및 합성수지 등을 사용한다.

4) 광자

γ선이나 X선을 묶어서 광자라고도 부른다. γ선이나 X선은 발생하는 곳만 다를 뿐 성질은 동일하여

발생된 후에는 전혀 구분이 불가능하다. 원자핵으로부터 나온 광자를 γ선이라 부르고 전자궤도로부터

나오는 광자를 X선이라 부른다. 광자는 질량을 가지고 있지 않고 전기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

문에 물질을 이온화시키는 능력이 매우 작다. 따라서 에너지에 따라 수㎜~수㎝의 납판이나 수m의 콘크

리트를 투과할 수도 있다. 광자를 효과적으로 차폐하기 위해서는 납과 같은 전자밀도가 높은(원자번호가

높은) 물질이 사용된다.

3 방사선의 일반적 성질

모든 방사선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일반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가 앞에서 언급한 물질을

이온화시키는 성질이다. 두 번째는 일정한 물질에 방사선을 조사하면 물질로부터 형광을 방출시키는 형

광작용이다. 세 번째는 필름이나 사진건판을 흑화시키는 사진작용이다. 이 작용을 이용하여 의료기관이

나 비파괴검사기관에서 방사선 사진을 촬영한다. 네 번째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물질을 투과하는 투과

성이다. 이 외에 중성자선은 특이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중성자선이 조사된 물질을 방사성물질로 만

드는 방사화작용이다.

4 방사선량의 단위

방사선량은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방사선량으로는 조사선량, 흡수선

량, 등가선량, 유효선량이 있다. 다음은 이들 네 가지 선량 및 단위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 것이다.

1) 조사선량

조사선량은 단순히 공간상의 어떤 위치에서의 방사선의 세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오래전부터 전통적

으로 사용되어온 선량이 지금도 실무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단위로는 뢴트겐(X 또는 R)을 사용한다.

1R은 표준상태의 공기 1㎏당 2.58×10-4

C(쿨롱)의 전하를 만드는 방사선의 양으로 정의되며, γ선이나

Page 13: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7

제1장_방사선기초 및 계측 이론

X선에서만 사용한다. 이는 전자의 전하량이 1.6×10-19C이므로 1015개 정도의 전자를 만들어내는 방사

선의 세기로, 매우 큰 양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위는 1/1,000 크기인 mR이 많이 사용된

다. 또한 공기 중에서의 방사선의 강도를 나태내기 위하여 대부분의 방사선 측정기에서는 단위시간당 선

량인 선량률(mR/h) 형태로 주로 사용된다. 그러므로 공기가 받은 전체 선량을 계산하려면 선량률에 시

간을 곱하면 된다.

2) 흡수선량

방사선이 물질을 통과할 때 에너지를 물질에 전달하는 것은 앞에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방사선에

의해서 어떤 물질에 에너지가 전달되었을 때 이것을 나타내는 것이 흡수선량이다. 흡수선량은 물질의 단

위질량당 흡수된 방사선의 에너지로 정의된다. 단위는 그레이(gray, Gy)를 사용한다. 1 Gy는 1 ㎏의 물

질에 1J(약 0.24cal)의 에너지가 흡수된 것을 말한다. 예전에는 단위로 라드(rad)를 사용하였으며, 1 Gy

= 100 rad이다.

3) 등가선량

등가선량은 방사선 방어의 입장에서 도입된 선량으로, 방사선에 의해서 인체에 전달된 에너지가 흡수

선량의 에너지와 같다고 할지라도 방사선의 종류나 에너지 크기, 즉 방사선 가중치에 따라 인체에서 나

타나는 생물학적 영향이 다르다. 예를 들면 인체에 γ선과 중성자선이 같은 양의 흡수선량으로 피폭되었

을 때 γ선보다는 중성자선에 의한 생물학적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이러한 방사선의 종류나 에너

지와 같은 방사선의 질에 따른 상대적 효과를 방사선 가중치로 보정한 것이 등가선량(H)이다. 아래 표는

방사선의 종류와 에너지에 따른 방사선 가중치를 나타낸 것이다. 단위는 시버트(Sv)를 사용한다. 1Sv는

흡수선량과 마찬가지로 1㎏의 물질에 1J(약 0.24cal)의 에너지가 흡수된 것을 말한다. 예전에는 단위로

렘(rem)을 사용하였으며, 1Sv=100rem이다.

등가선량 H 흡수선량 D ×방사선가중치 wR

표 1-1. 방사선 종류 및 에너지에 따른 방사선가중치

방사선 종류 에너지 방사선가중치

광자 전 에너지 1

전자 전 에너지 1

중성자

<10 kev10 kev~100 kev100 kev~2 MeV2 MeV~20 MeV

> 20 MeV

51020105

양성자 >2 MeV 5

α입자 20

출처 : 방사선 방호 등에 관한 기준(원자력안전위원회 고시 제2014-34호)

Page 14: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8

4) 유효선량

유효선량도 등가선량과 마찬가지로 방사선 방어의 입장에서 도입된 선량으로, 인체 내의 여러 장기나

조직들이 같은 등가선량을 받았을 경우라도 조직에 따라서 나타나는 증상과 위험도가 서로 다르다. 따라

서 이와 같이 인체 내 조직의 위험도를 고려한 선량이 유효선량이다. 단위는 등가선량 단위와 같은 Sv를

사용한다. 유효선량은 등가선량에 조직의 상대적 위험도를 나타내는 조직가중치를 곱하여 구한다. 아래

에 있는 표는 조직별 가중치를 나타낸 것이며, 조직가중치를 전부 합하면 1이 된다.

유효선량 E 조직가중치 wT ×등가선량 H

표 1-2. 조직가중치

조직가중치 0.2 0.12 0.05 0.01

장기・조직 생식선

대장폐

적색골수위

방광

유방간

식도갑상선

기타 조직

뼈 표면

피부

출처 : 방사선 방호 등에 관한 기준(원자력안전위원회 고시 제2014-34호)

5 방사능량의 단위

방사능은 원자핵에서 방사선을 방출하는 성질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단위시간당 자발적으로 변환되는

핵자의 수(변환율)를 나타내기도 한다. 방사능은 계속해서 자발적으로 변환되므로 각각의 시각에 따른

방사능량이 변한다. 따라서 일정 시간 후의 방사능량은 다음 식으로 구할 수 있다.

시간TeXX

´-

= 2/1

693.0

0 X0 : 초기 방사능 T1/2 : 반감기

방사능의 단위는 베크렐(Bq)로, 이는 1초당 1개의 핵자가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예전에는 단위로

큐리(Ci)를 사용하였다. 1Ci란 라듐 1g에서 1초당 변환하는 핵자의 수로, 3.7×1010Bq과 같다.

Page 15: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9

제1장_방사선기초 및 계측 이론

방사선 계측제2절

1 방사선검출기

방사선을 측정할 수 있는 방사선검출기는 개인이 방사선에 얼마나 피폭되었는가를 측정할 수 있는 개인

피폭선량 검출기를 비롯하여 공기 중의 방사선 세기나 방사성 오염을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는 GM

(Geiger-Müller) 계수관 및 비례계수관 등이 있다. 그 외에 대용량의 방사선량을 측정하거나 매우 정밀

하게 방사선을 측정하는 것과 같은 특수목적에 사용되는 이온함, 섬광검출기, 반도체검출기 등 매우 다

양한 검출기 종류가 있다. 개인의 방사선 피폭량을 측정하기 위한 검출기로는 방사선의 사진작용을 이용

하여 필름의 흑화도로 피폭선량을 측정하는 필름 배지(badge), 방사선을 받은 물질에 일정한 열을 가하여

물질 밖으로 나오는 빛의 양으로 피폭선량을 측정하는 열형광선량계(Thermoluminescence Dosimeter,

TLD), 방사선이 공기를 이온화시키는 원리를 이용해 이온화된 전하량과 비례하여 눈금선이 이동되도록

하여 현장에서 바로 피폭된 방사선량을 알 수 있도록 된 포켓선량계, 전하량을 별도의 기구로 측정하여

피폭된 방사선량을 알 수 있는 포켓이온함 외에 포켓 알람미터나 전자개인선량계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방사선 방어의 목적으로 공기 중에서의 방사선의 세기나 주변 오염 등을 측정할 때에는

β선과 γ선을 모두 측정할 수 있으며, 가격이 저렴한 GM 계수관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GM 계수

관은 전형적인 기체검출기이다. 기체검출기의 방사선 검출원리를 간단하게 알아보면, 기체를 채운 밀폐된

금속 GM 튜브에 방사선이 들어오면 방사선에 의해서 튜브 속에 있는 기체가 이온화되어 -전기의 전자와

+전기의 원자 이온쌍이 만들어진다. 이때 외부에서 금속 튜브에 음극 전압을, 튜브 중앙에 위치하는 중

심전극에 양극 전압을 걸어주면 -전기를 가진 전자는 양극인 중심전극 쪽으로 움직이고, +전기의 원자는

음극인 튜브 쪽으로 이동하여 전류가 흐르게 된다. GM 계수관은 흐르는 전류의 크기나 전압강하에 따라

방사선의 세기나 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위에서 기술한 것과 같이 GM 튜브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어

미량의 오염이나 β선을 측정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오염이나 β선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GM 튜브

부분이 매우 얇은 금속막으로 되어 있고 면적이 넓은 팬케이크형 검출기가 필요하다. 또한 방사선량의

세기를 알 수 없거나 높은 방사선량 지역에서 작업을 할 경우는 검출기 부분을 3~5m 정도 길게 뽑을 수

있는 GM 계수관을 사용하기도 한다. GM 계수관은 에너지를 분해하는 능력이 없고 에너지에 따라 효율이

달라지므로 정확한 선량을 측정할 수는 없지만, 오염의 유무와 상대적인 오염 정도는 측정할 수 있다.

중성자를 측정하고자 할 때에는 중성자가 일반 기체와 거의 상호작용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중성자와

상호작용을 잘 일으키는 BF3가 채워진 검출기를 사용한다.

그림 1-4 기체 검출기의 검출 원리

Page 16: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10

2 방사선검출기 선택과 사용

측정치가 실제 상태를 정확히 반영하고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요구되는 측정에 부합하는 장비를

선택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중 GM 계수관을 이용한 서베이미터는 검출기

의 감도가 높고 휴대가 용이하면서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방사선 관리 현장에서 사용되는 대다수

의 실용 서베이미터들이 주로 GM 계수관을 검출기로 사용한다.

1) 서베이미터 선택 시 고려사항

(1) 데이터의 종류

공간선량률 측정인지 오염 측정인지를 구분해야 한다. 공간선량률 측정 시에는 mR/h, R/h, μSv/h,

mSv/h 등의 선량률 단위로 읽어야 하고, 오염 측정인 경우에는 cpm(counts per minute)과 같은

계수율의 단위로 읽어야 한다.

(2) 방사선의 종류

전리함은 X선 또는 γ선에 대하여 평탄한 에너지반응도를 지니고 있으며, 인체등가물질에 가깝다.

β선에도 반응하지만 측정치에 보정인자를 적용하여야 한다.

보상형 GM 계수관의 경우 차폐를 닫은 상태에서는 X선과 γ선의 공간선량률 측정에 사용되는데,

수십 kev 이하의 저에너지 X선에 대해서는 낮게 반응한다. 차폐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300 kev 이상의

β입자 측정에 사용된다.

단창형 GM 계수관은 100 kev 이상의 β입자 측정에 적합하며, 저에너지 X선과 γ선에도 반응하지만

측정효율은 극히 낮다.

NaI 섬광검출기는 γ선 측정에 사용된다. 입사창이 얇게 제작된 NaI 검출기는 저에너지 X선과 γ선

측정에 특히 유용하다.

(3) 방사선장의 세기

선량률이 낮은 환경에서 방사선 측정은 저선량률 용도로 고안된, 보다 민감한 서베이미터를 요한다.

높은 선량률에서는 검출기와 작업자 사이에 거리를 둘 수 있는 원거리 서베이미터를 사용하여 피폭을

줄여야 한다. 전리함은 고선량률 방사선장에서 선량률 및 누적선량 측정에 적합하다.

2) 서베이미터 동작 전 점검사항

사용할 서베이미터가 결정되면 측정을 수행하기에 앞서 다음의 사항을 점검함으로써 장비의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1) 교정상태

서베이미터에 부착된 교정필증을 통해 장비가 교정되었고 유효기간 중에 있음을 확인한다.

(2) 배터리 상태

서베이미터는 배터리 점검용 버튼을 이용하여 배터리 상태를 확인한 후 필요하면 배터리를 교체한다.

디지털 장비는 LCD 화면에 배터리의 상태가 나타나고, 아날로그 장비의 경우에 배터리가 정상적인 상

태라면 지시 바늘이 이에 대응하는 범위에 위치한다.

Page 17: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1

제1장_방사선기초 및 계측 이론

(3) 체크선원을 통한 동작상태 점검

기지의 선원을 이용하여 검출기의 반응 여부를 점검한다. 위의 사항들 외에 측정을 수행하기 전, 작업자는

측정치를 읽는 방법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그림 1-5에서와 같이 대부분의 서베이미터에는 ×0.1, ×1,

×10, ×100의 비례자가 있어 검출기의 지시치에 이를 곱해서 읽어야 한다. 예를 들어 서베이미터를 이용하여

어떤 작업장의 공간선량률을 측정한 결과, 지시 바늘이 그림 1-5와 같았음을 가정하자. 이때 비례자를

×0.1, ×1, ×10, 그리고 ×100에 설정하고 측정하였다면 각각의 경우 측정값은 다음과 같다.

표 1-3. 서베이미터 지시값에 따른 비례자 선택

바늘의 지시값(mR/h)

비례자측정값(mR/h)

0.7 ×0.1 0.07

0.7 ×1 0.7

0.7 ×10 7

0.8 ×100 80

특이한 것은 비례자를 ×100으로 설정했을 경우인데, 이때는 ×100 전용 눈금(×100 ONLY)에서

바늘의 지시값을 읽어야 한다. 여기서는 바늘의 지시값이 0.8 mR/h를 가리켰고, 여기에 100을 곱하면

80 mR/h라는 측정값이 얻어진다.

그림 1-5 서베이미터를 이용한 선량률 측정결과

Page 18: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12

3) 기타 주의사항

종종 발생하는 경우로서 공간선량률 또는 오염정도를 측정할 때 비례자의 설정치를 확인하지 않고 무

심코 측정을 수행하게 되면 지시 바늘이 전혀 움직이지 않는 경우가 있다(비례자가 적절하게 설정되었다

면 지시 바늘은 자연방사선 준위에서도 약간의 요동이 있다). 이는 비례자가 너무 높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례자의 설정과 무관하지만 방사선의 준위에 따라 반응하는 경고음을 울리도록 설정

한 후 측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서베이미터는 계측 회로의 시정수가 고정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다(fast 또는

slow response). 시정수가 짧으면 민감한 대신 지시치의 요동이 심하고 시정수가 길어지면 지시치는 안

정되지만 선량률의 변화를 속도가 떨어진다. 너무 요동이 심하면 평균치를 잡기가 어려우므로 수 초 정

도의 시정수가 적절하다.

3 공간선량률 측정

그림 1-6과 같이 수위게이지 내에 장착된 241Am 선원을 이용하여 음료수 캔의 용량을 검사하는 시설

에서 공간선량률의 실제 측정절차를 살펴보자. 241

Am 선원은 α붕괴 후 여러 에너지의 γ선을 방출하는데,

이 중 60 kev γ선 방출률이 가장 높은 핵종이다.

1) 측정절차

(1) 공간선량률계의 선택

60 kev 에너지의 γ선을 방출하고 수위 게이지 내에 장착된 밀봉선원이므로 원칙적으로 누설되는 방

사선은 극히 작다. 따라서 일반 목적의 보상형 GM 공간선량률계를 이용할 수 있다.

(2) 공간선량률계 점검

교정 및 배터리 상태, 그리고 체크선원이나 백그라운드를 측정하여 공간선량률계가 정상적으로 동작

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그림 1-6 동위원소를 이용한 캔 용량 검사시설의 공간선량률 측정

Page 19: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3

제1장_방사선기초 및 계측 이론

(3) 측정

① 측정 전에 공간선량률계의 스피커를 켠다.

② 선원이 없는 조건에서 백그라운드를 측정하고 기록한다.

③ 서베이미터의 지시 바늘이 적합한 위치에 오도록 비례자를 높은 쪽부터 낮은 쪽으로 조정한

다. 정상적인 환경이라면 ×0.1 또는 ×1이 적합하다.

④ 정해진 위치 또는 일상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위치를 중심으로 바닥으로부터 1m 높이에서

측정을 수행하고 서베이미터가 표시하는 선량률을 읽는다.

그림 1-7 공간선량률 측정(좌 : 아날로그 장비, 우 : 디지털 장비)

4 오염감시기를 이용한 오염 측정

오염이란 원치 않는 장소에 방사성물질이 옮겨 붙은 것을 말하는 것으로, 작업장 또는 물체의 표면과

작업자의 인체가 방사성물질로 오염될 수 있다. 3H,

14C,

32P,

33P,

35S,

125I 등의 비밀봉선원을 취급하

는 시설은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다소간의 오염을 피할 수 없으므로 일상적으로 작업장 및 인체오염을

측정하고 필요에 따라 제염을 수행하여 외부피폭과 내부피폭을 줄이도록 항상 노력해야 한다.

1) 오염감시기를 이용한 표면오염 측정

표면오염 측정 시 서베이미터는 오염된 핵종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해야 한다. 삼중수소(3H)를 제외한

β입자를 방출하는 핵종의 측정에는 팬케이크 타입의 GM 오염감시기를 사용하고, 125

I (27 kev, 31 kev)

과 같이 저에너지의 γ선과 X선을 방출하는 핵종의 경우에는 저에너지 광자 측정용 NaI 섬광검출기를

이용할 수 있다. α입자 방출핵종은 ZnS 섬광검출기, 삼중수소는 기체유입형 비례계수관을 이용한 오염

감시기로 오염 측정이 가능하다. 표면오염 측정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오염감시기를 그림 1-8에 도시하

였다. 이들 서베이미터는 cps, cpm 등의 계수율 단위로 측정해야 한다.

Page 20: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14

(a) 팬케이크형 GM 오염감시기 (b) NaI 섬광검출기 (c) ZnS 섬광검출기

그림 1-8 오염감시용 서베이미터

(1) 오염감시기 점검

교정 및 배터리 상태, 그리고 체크선원이나 백그라운드를 측정하여 오염감시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

고 있음을 확인한다. 팬케이크 탐침기는 50~70cpm, NaI 탐침기는 200~400cpm 정도의 백그라운드

계수율을 보인다.

(2) 아날로그 장비를 이용한 측정

① 측정 전에 오염감시기의 스피커를 켠다.

② 오염되지 않은 환경에서 백그라운드를 측정하고 기록한다.

③ 오염감시기의 지시 바늘이 적합한 위치에 오도록 비례자가 높은 쪽부터 낮은 쪽으로 조정한

다. 정상적인 환경이라 ×0.1 또는 ×1이 적합하다.

④ 정해진 위치 또는 일상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위치를 중심으로 측정을 수행한다. 측정 시에는

탐침기를 오염된 표면과 1~2㎝ 정도로 유지하고 탐침기를 천천히 이동(초당 수cm)하면서

오염상태를 체크한다. 이때 탐침기가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비례자가 ×10 에서 지

시 바늘이 그림 1-10을 가리킨다면 계수율은 2만 4,000cpm이 된다.

⑤ 측정치가 백그라운드 계수율의 2배를 초과한다면 제염을 수행하고 이후 백그라운드 수준임을 확

인해야 한다. 방사성물질이 γ선이나 고에너지 β입자를 방출하는 핵종이고 오염정도가 높다면 ‘공

간선량률 측정절차’에 따라 공간선량률도 측정한다.

(3) 디지털 장비를 이용한 측정

① 측정을 위해 장비를 켠다.

② 오염되지 않은 환경에서 백그라운드를 측정하고 기록한다.

③ 정해진 위치 또는 일상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위치를 중심으로 측정을 수행한다. 측정 시에는

탐침기를 오염된 표면과 1㎝ 정도로 유지하고 탐침기를 천천히 이동(초당 수cm)하면서 오염상태

를 체크한다. 이때 탐침기가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측정기의 모델에 따라 표시되는 단

위는 cpm 또는 cps(또는 s-1

)로 표시된다. 이때 측정단위에 따라 cpm과 cps(s-1

)은 분과 초의

개념이므로 결과값에 60을 곱해주거나 나누어준다.

Page 21: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5

제1장_방사선기초 및 계측 이론

⑤ 측정치가 백그라운드 계수율의 2배를 초과한다면 제염을 수행하고 이후 백그라운드 수준임을 확

인해야 한다. 방사성물질이 γ선이나 고에너지 β입자를 방출하는 핵종이고 오염정도가 높다면 ‘공

간선량률 측정절차’에 따라 공간선량률도 측정한다.

그림 1-9 표면오염 측정(좌 : 아날로그 장비, 우 : 디지털 장비)

그림 1-10 표면오염 측정치(좌 : 아날로그 장비, 우 : 디지털 장비)

(4) 측정치의 기록

‘실제 오염도(A)’는 아래 식으로 구해진다. 널리 사용되는 팬케이크 탐침기의 유효측정면적은

15㎠이며, 단창형 탐침기(ZnS)의 유효측정면적은 125㎠이다.

여기서 Rt : 총계수율(cpm)

Rb : 백그운드계수율(cpm)

ε : 검출효율

W : 탐침기 창의 유효면적(㎠)

2) 인체의 표면오염 측정

방사선사고(radiation accident) 현장에서 비오염구역으로 나올 때에는 반드시 신체 및 휴대 물품의

표면오염을 검사해야 한다. 신체 표면의 오염은 종사자의 내부피폭과 피부피폭에 직접 관련될 뿐 아니라

Page 22: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16

오염의 확대방지를 위해서도 세심하게 검사할 필요가 있다. 측정방법은 일반 표면오염 측정절차와 마찬

가지로 대개의 경우는 그림 1-11과 같이 비오염구역에 있는 다른 요원이 대상이 되는 자의 오염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장비는 일반 표면오염 측정에서와 같이 GM 계수관이나 NaI 오염감시기

가 주로 쓰인다.

측정절차는 오염감시기를 든 요원이 오염되기 쉬운 신발, 팔꿈치, 무릎, 몸통 전면, 엉덩이, 머리 등을

중심으로 대상자를 측정한다. 고농도의 방사성물질을 취급하는 작업장에서는 작지만 방사능 밀도가

높은 ‘매운 입자(hot particle)’에 의한 오염 우려가 있으므로 더욱 신중히 검사해야 한다.

그림 1-11 인체 표면오염 감시 모습

5 전자개인선량계 사용법

1) 개인선량계

방사선 작업종사자는 그림 1-12의 열형광선량계 또는 필름선량계가 지급된다. 방사선 이용시설의 화

재 및 사고의 진압에 투입되는 현장대응 요원 또한 이들 개인선량계가 지급되지만, 피폭량 판독을 위해

서는 특별한 처리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현장에서의 신속한 사용에 적합하지 않다. 현장대응 요원의 경우

현장에서 자신의 피폭선량 및 위치한 지역의 선량률을 즉시에 인지하고 위험에 대처할 필요가 있으므로

선량이나 선량률을 디지털로 표시하는 전자선량계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그림 1-13). 즉,

전자선량계는 서베이미터 기능까지 겸하고 있어 미리 설정된 적산선량 또는 선량률에 도달하면 경보를

울리는 기능을 지니고 있으므로 사고 현장에서의 현장대응 요원의 선량측정에 요긴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림 1-12 개인선량계(a : 열형광선량계, b : 필름선량계)

Page 23: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7

제1장_방사선기초 및 계측 이론

그림 1-13 전자개인선량계

2) 개인선량계의 착용

필름선량계, 열형광선량계 및 전자선량계 모두 작고 납작한 사각형 모양이며 의복에 착용할 수 있도록

집게를 갖추고 있다. 이들 개인선량계의 착용위치가 지정되어 있지는 않으나 편의와 관례상 창이 있는

면을 밖으로 하여 좌측 흉부에 착용하도록 한다. 몸통에 착용하는 것은 방사선 영향의 관점에서 중요하

다고 판단되는 장기나 조직들 모두가 몸통에 있기 때문이다. 바른 착용 위치를 판정하는 것은 작업 과정

에서 방사선이 자신의 몸으로 들어오는 전형적인 위치라고 보면 된다. 몸통의 정면에 착용하는 것은 내부

장기가 정면에 가까운 쪽에 주로 배치되어 있다는 점도 있지만 현실적인 착용상의 편의를 위해서이다.

현장의 방사선장은 넓고 고른 경우가 있는가 하면 때로는 위치에 따라 변화가 심한 불균일 방사선장도

있다. 이러한 불균일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하나의 몸통 선량계만으로는 대표선량을 평가하기 어려우므로

방사선이 노출되는 부위를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제2 또는 제3의 선량계를 착용할 필요도 있다.

6 이동식 외부오염감시기 사용법

방사능의 대량재난이 발생하였을 경우 오염군과 비오염군에 대한 신속한 오염 판단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신속한 측정이 가능한 플라스틱신틸레이션 계측기가 설치된 이동식 외부오염감시기를 사용한다.

그림 1-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도보속도로 이동식 외부오염감시기를 통과하여 외부오염을 평가

한다.

그러나 이동식 외부오염감시기는 인체 외부 전신에 대한 오염도를 평가하기 때문에 특정부위에서의

오염도에 대한 평가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오염이 확인된 경우 표면오염감시기 등을 이용하여 구체적인

오염부위를 평가해야 할 필요가 있다.

1) 측정절차

(1) High voltage 설정

이동식 외부오염감시기의 최적화된 사용을 위해서는 계측기의 작동을 위한 High voltage 설정이 필요

하며, 방사선원이 존재하지 않는 일반적인 자연계수율 환경 하에서 일정 전압을 상승시켜서 전압 플래

토우 곡선을 획득한다. 플래토우 곡선을 바탕으로 하여 장비의 작동이 최적화될 수 있는 High voltage를

설정한다.

Page 24: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18

(2) 효율평가

High voltage가 설정된 이동식 외부오염감시기의 작동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Cs-137 또는 Co-60

등의 γ방출 체크선원을 이용하여 효율을 평가한다.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에서 사용하고 있는 이동식

외부오염감시기의 Cs-137에 대한 측정효율은 약 6% 정도이며, Co-60에 대한 측정효율은 11% 정도

이다.

(3) 측정

① 측정 전에 장비의 High voltage를 확인한다.

② 선원이 없는 조건에서 백그라운드를 5초간 측정한다.

③ 오염에 대한 판단을 위한 알람 설정은 σ값을 조정하여 설정한다(장비 초기 설정값=4σ).

※ 알람=백그라운드(cps) + σ× ((백그라운드(cps)/측정시간(s))1/2

예) 백그라운드가 5,000cps의 상황에서 4σ를 알람 기준으로 설정하고, 1초 동안 측정하였을

경우 약 5,283cps가 될 경우 알람 발생

④ 오염판별을 위해 1명씩 이동식 외부오염감시기를 통과한다.

⑤ 사용목적에 따라 이동식 외부오염감시기의 측정모드를 ‘Walk through mode, Enter wait

mode, Count rate mode’로 변경하여 측정한다.

∙ Walk through mode : 일반적인 백그라운드 환경 하에서 인체 외부오염 측정

∙ Enter wait mode : 백그라운드가 높은 지역에서 인체 외부오염 측정

∙ Count rate mode : 계측기간의 거리를 확장하여 차량 등의 외부오염 측정

⑥ 알람이 발생하였을 경우, 표면오염감시기 등을 이용하여 세부적인 오염부위를 탐색한다.

그림 1-14 이동식 외부오염감시기

Page 25: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9

제1장_방사선기초 및 계측 이론

방사선의 인체영향

제1절 방사선의 인체영향

제2절 역학연구에서 바라본 저선량

방사선의 인체 영향

제2장

❘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

Page 26: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Page 27: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21

제2장_방사선의 인체영향

제2장 방사선의 인체영향

방사선의 인체영향제1절

1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방사선이 인체에 조사되면 방사선 에너지를 흡수하여 전리현상을 일으킨다. 이 과정에서 인체의 대부

분을 구성하고 있는 물분자 일부가 분해되어 산소의 유리기(free radical)가 생성된다. 즉 H2O가 -HO와

-H로 분해되는 것이 가장 흔하고, 이때 생성된 -HO는 활성산소의 일종으로 세포의 분열에 관계하는

염색체의 DNA를 변형시킬 수 있다. DNA의 변화가 인체에 주는 피해의 중요한 원인이며, 변화가 일정

수준을 넘으면 염색체의 형태 변화를 일으켜 불안정형 염색체 이상을 유발한다. 불안정형 염색체의 개수를

세는 것이 방사선의 과피폭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도 활용된다. 염색체의 변화는 해가

지나가면서 많이 회복되지만, 심한 변화는 영구적으로 남아 원폭피해자를 구별할 수 있고 피폭 정도를

추정하는 데도 이용할 수 있다. 방사선이 인체에 조사될 시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낼 때는 앞에서 설명한

mSv(mrem)라는 단위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태양광선에는 우리 눈에 보이는 빛과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적외선, 자외선 등이 섞여 있다. 웃옷을 벗은 상태로 태양광선을 쪼이면 피부가 뜨거움을 느끼는데 그

원인은 적외선에 의한 열작용에 따른 것이다. 또한 태양광선을 오랫동안 지나치게 받으면 피부가 검게

되고 표피가 벗겨지는 등 일종의 화상을 입게 되는데, 그 이유는 적외선보다 파장이 짧은(에너지가 큰)

자외선에 의해 피부 세포가 일부 파괴되었기 때문이다. 자외선에 의해서도 피부암이 발생된다. 그런데

X선이나 γ선은 자외선보다 파장이 더 짧아 그 에너지가 자외선보다도 크기 때문에 피부를 투과하여 인체

내의 세포에 영향을 미친다.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동물실험, 원폭피해자에 대한 역학조사, 방사선치료를 받고 있거나 과거에

받은 환자, 유방암 검진사업 등에서 참여자와 비참여자에 대한 역학조사 등을 통하여 많은 부분이 알려져

있다.

일반 방사선 검사를 받은 환자에서 어떠한 신체적 변화가 생겼는지를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것은 불가

능하다. 그러나 인터벤션 영상시술을 받은 환자의 경우 탈모, 백혈구 감소 등의 현상은 빈번하며, 피부

괴사 등도 보고되고 있다. 특히 CT 등도 피폭선량이 많아 암 발생률을 높인다는 주장도 있다.

표 2-1. 방사선의 생물학적 영향

이온화 방사선 인체세포의 반응결과

변화(change) 여기 및 이온화 작용에 의하여 세포를 구성하고 있는 DNA의 구조변화가 생기나 세포는 회복됨

손상(damage) 세포 자체가 변화하여 세포 수준에서 어느 정도의 해로운 변화가 나타남

장해(harm) 세포의 심한 손상과 상해로 신체장애효과 또는 유전적 장해효과가 나타남

손해(detriment) 장해의 확률, 심각도, 출현시간 등의 복합적으로 고려되는 영향임

Page 28: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22

2 방사선의 건강영향 1) 신체적 영향

피폭자 개인에게 직접 나타나는 영향으로 암, 불임, 백내장 및 방사선 화상 등의 결정적인 영향이

있다.

2) 유전적 영향

피폭자의 후손에게서 나타날 수 있으며, 생식선 또는 생식세포의 방사선피폭 시 문제가 된다. 이 영향

은 방사선피폭 없이 자연적으로 발생하고 유전적 질환의 발생 빈도가 증가한다.

그림 2-1 방사선의 인체영향 분류

3 방사선의 급성과 만성, 신체적・유전적, 결정적・확률적 영향

방사선의 영향은 급성과 만성, 신체적과 유전적, 결정적과 확률적 영향 등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같은 선량의 방사선을 받더라도 한꺼번에 받은 경우와 여러 번에 나누어 받은 경우 그 영향에 차이가

있다. 왜냐하면 여러 번 나누어 받을 경우에는 받지 않는 시간 동안에 회복작용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방사선을 전신에 받은 경우와 신체의 일부에만 받은 경우에도 나타나는 영향은 다르다.

1) 급성 영향과 만성 영향

(1) 급성 영향

원자로 사고 또는 핵폭탄의 투하 등으로 다량의 방사선을 일시에 받았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대부

분 사망하거나 심한 손상 후유증을 갖게 된다. 진단용 방사선 검사에서는 이와 같은 급성 영향은 일어

날 수 없다. 짧은 시간 안에 1 Gy 이상 많은 양의 방사선을 받으면 몸의 조직에 따라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0.25 Gy 이하로 받으면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0.5 Gy 정도를 받으면 혈

액에서 백혈구의 농도 변화가 나타난다. 1 Gy 이상 받으면 메스꺼움 증세가 나타나며, 더 많이 받으면

위험해진다.

Page 29: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23

제2장_방사선의 인체영향

(2) 만성 영향

대표적인 것으로는 암과 백내장을 들 수 있다. 영향이 나타날 때까지의 시간을 ‘잠복기’라 한다. 발암

의 잠복기간은 방사선을 받은 시간, 조직의 종류, 방사선을 받을 때의 나이, 방사선을 받은 선량 등에

따라 다르나 대체로 10~30년 정도이다. 백혈병은 빠르면 2년 정도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방사선 쪼임

에 의한 발암 확률은 방사선을 받은 장기/기관, 나이 등에 따라 다르겠지만,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

(ICRP)는 방사선 방호상 1cSv(센치시버트)를 온몸에 받았을 경우의 치사성 암 발생 확률을 1만분의

5로 추정하고 있다.

백내장의 잠복기간은 방사선을 받은 선량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수 년~수십 년 정도이다. 백내장은

1회에 5Sv 이상의 방사선량을 받은 경우가 아니면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영향이 발생하는 최소의

선량을 ‘발단선량’이라고 한다.

2) 신체적 영향과 유전적 영향

방사선의 인체에 대한 영향은 각 세포에 대한 손상의 결과로 생기는 것이다. 그리고 그 영향을 신체적

영향과 유전적 영향의 두 가지로 나누여 생각하는 것이 편리하다.

(1) 신체적 영향

신체적 영향은 신체의 체세포 손상에 의해서 생기는 것으로 그 영향은 피폭받은 사람에게만 한정된

영향이다. 반면에 유전적 영향은 생식을 담당하는 기관, 다시 말하면 생식선의 세포에 대한 손상에 의

해 일어나는 것으로 손상이 그 사람의 자식, 더 나아가 그 후손에까지 전해진다. 신체적 영향에는 방사

선을 받아서 조기에 나타나는 것과, 암과 같이 오랜 잠복기 후에 나타나는 것이 있다.

(2) 유전적 영향

방사선의 유전적 영향은 생식세포 손상에 의해서 일어난다. 그 손상은 세포 내에서 유전을 담당하고

있는 물질인 유전자의 변화에 의해서 생기기 때문에 유전자 돌연변이(gene mutation) 또는 점 돌연변

이(point mutation)라고 부르며, 그 영향은 몇 세대 후에 나타날 수도 있다. 생식은 난자가 수정될 때

일어난다. 그 결과로서 자식은 양친으로부터 유전물질을 한 조씩 받게 되며 우성 유전자와 열성 유전자

로 구분되게 된다. 열성 유전자의 존재를 알 수 있는 기회는 우연히 열성 유전자 두 개가 함께 있을

때뿐이다. 상당수의 질병이 열성 유전자에 의해서 일어나는데, 이것들은 양친이 모두 똑같은 열성 유전

자를 갖고 있을 때만 발생한다. 자연돌연변이라는 것이 있기 때문에 유전적인 효과를 유발하는 500개

이상의 결함이나 질병 증 어느 한 가지를 갖고 있는 사람은 전 세계적으로 상당수 있다.

방사선에 의해서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일어난다 해도 그것을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돌연변이와 구별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열이나 화학약품으로도 돌연변이가 일어난다는 것을 여기서 설명할 필요는 없

을 것이다.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유전자는 일반적으로 열성이기 때문에 모든 돌연변이가 유해하다고 간

주되나 엄밀하게 보면 맞는다고 할 수 없다. 그 이유는 일련의 돌연변이를 통해서 현재의 진보된 상태

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이온화 방사선은 돌연변이율을 증대시키기 때문에 그것을 이용하는 것은 유전적

이상이 있는 사람의 수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사람들의 방사선피폭에 대한 엄중한

주의가 필요하다.

Page 30: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24

그림 2-2 방사선의 생물학적 영향

3) 결정적 영향과 확률적 영향

(1) 결정적 영향

일정량 이상을 받으면 누구에게나 나타나는 변화를 말하며, 대체적인 발단선량(threshold dose)이

있다. 따라서 발단선량 이하에서는 가시적인 변화가 발견되지 않는다. 또한 확정적 영향은 선량에 비례

하여 변화가 심해진다. 즉, 많은 양을 받으면 변화가 심해진다.

(2) 확률적 영향

확률적 영향은 나타날 수도 있고 안 나타날 수도 있는 변화로, 유전적 영향과 암의 발생을 들 수 있다.

유전적 영향은 방사선피폭으로 생긴 염색체 이상을 관찰하여 추정하는 것이지만, 저선량의 방사선에 의한

염색체의 손상은 시간이 지나가면서 대부분이 회복되기 때문에 판단에 어려움이 많다. 암이나 백혈병은

방사선 이외의 원인에 의해서도 일어날 수 있다. 그 때문에 어떤 방사선 관계 종사자에게 나타난 암이

방사선 쪼임에 의한 것인지 다른 원인에 의한 것인지를 구별하기가 사실상 어렵다.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원폭피해자에 대한 역학조사에서 자연발생 변이의 빈도를 두 배로 증가시키는

배가선량이 1,560mSv라고 추정하였고, 전신 조사선량으로 10mSv(1rem)를 받는 경우 100만 명당

약 50명에서 염색체의 이상이 추가로 초래된다고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자연 상태에서의 염색체의 변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담배 한 개비를 피우는 것은 10~40마이

크로시버트(μSv)의 방사선량 쪼임과 같은 정도의 발암작용으로 환산할 수 있다. 즉, 담배를 하루 20개

비씩 1년간 계속 피운 사람의 발암확률은 78~292mSv의 방사선을 받은 사람의 발암 확률과 비슷한

위험도를 가진다. X선 검사에 따라 유발되는 평균 위험도와 일상 생활환경에 많이 있는 위험도를 상대

적으로 비교하면 커피를 마시는 것과 비슷하다.

Page 31: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25

제2장_방사선의 인체영향

4 방사선의 급성효과(acute or early effects of radiation)

생물체가 방사선에 피폭되면 조직 및 기관에 손상이 일어나 질병이 발생하거나 또는 선량에 따라서는

사망에 이르게 되는데, 생물체에 대한 방사선의 효과가 피폭 후 1∼2개월 이내에 발생할 경우 이를 방사

선의 급성효과라 한다. 방사선을 비교적 단시간에 전신에 받게 되는 경우 피폭 후 30일간 사망률이 50%

정도 되는 LD50(30)은 4∼5 Gy로 알려져 있으며, 이 정도의 방사선을 받게 되면 한기나 구토와 같은 증상이 수

시간 안에 일어나고 약 3주 후에 탈모, 식욕부진, 출혈성 발진, 발열, 쇠약 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표 2-2. X선 또는 γ선을 일시에 전신에 받았을 때의 증상

선 량 증 상 비 고

0.25 Gy 거의 임상증상이 없음

0.5 Gy 림프구 일시적 감소

1 Gy 구토, 구역질, 전신권태, 림프구 거의 감소

1.5 Gy 방사선 숙취 50%

2 Gy 장기 백혈구 감소 사망률 5%

4 Gy 사망 30일 내에 50% LD50(30)

6 Gy 사망 15일 내에 50%

7 Gy 사망 100% 100% 치사선량

표 2-3. 선량과 림프구 수의 변화(1회 조사)

선 량 림프구 수(피폭 후 24시간 내)의 변화

0.25 Gy 이하 변화 없음

0.25 Gy ~ 1 Gy 약간의 감소

1 Gy 90% 감소

표 2-4. 방사선량에 따른 피부장애(1회 조사)

구 분 선량 및 증상

제1도 3 Gy 탈모, 지문손실

제2도 5 Gy 홍반, 색소침착

제3도 8.5 Gy 수포 형성

제4도 10 Gy 궤양 형성

표 2-5. 생식선에 대한 방사선량과 불임의 정도(1회 조사)

방사선량 불임의 정도

1.5 Gy 생식력 단기간 저하

2.5 Gy 1~2년간 불임

5 Gy 영구적 불임 또는 상당히 오랜 기간의 불임

8 Gy 생식력 회복 안 됨

Page 32: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26

1) 치사효과(lethal effect)

방사선 조사선량이 높아지면 생물을 치사시킨다. 생물의 치사율을 표시함에 있어 반치사선량(lethal

dose50(30))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선량 단위는 일반적으로 고등동물의 치사율을 나타내는 데 사용하고

있다. 즉, 방사선에 피폭된 생물의 50%를 30일 이내에 치사케 할 수 있는 선량을 LD50(30)의 부호로

표시한다.

표 2-6. 동물의 X, y-선에 대한 LD50(30)

동 물 명 LD50(30)(Gy) 동 물 명 LD50(30)(Gy)

사람 2.5~4.5 토끼 8.0

개 3.5 닭 6.0

기니피그 4.0 종달새 6.0

생쥐 5.5 금붕어 23.0

원숭이 6.0 개구리 7.0

쥐 7.5 거북이 15.0

LD50(30)은 생물의 종, 생리조건, 연령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건강한 성체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 척추동물에서는 고등동물일수록 LD50(30)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무척추동물은

척추동물에 비하여 방사선 저항성이 아주 강하다.

2) 급성방사선증후군(acute radiation syndrome)

사람을 포함한 포유동물이 정도 또는 그 이상의 방사선량에 피폭되면 30일 이내에 조직이나 장기가

심한 장해를 입게 된다. 일반적으로 피폭선량에 다른 급성 증상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분자사(molecular death)

동물체가 1,000 Gy나 그 이상의 방사선에 피폭되면 피폭 도중 또는 직후에 죽게 되는데, 이는 생물

의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효소나 호르몬 등과 같은 물질들이 방사선에 의하여 파괴되거나 활성

도를 상실하기 때문이다. 즉, 분자 수준에서 그 기능을 상실하기 때문에 이를 분자사라 한다.

(2) 중추신경증후군(central nervous system syndrome)

포유동물이 100 Gy 정도의 방사선에 전신 피폭되면 1∼2일 후에는 죽게 되는데, 그 증상은 신경조

직의 손상으로 인하여 과도흥분, 구토, 설사 등이 생기며 피폭 후 5∼6시간이 지나면 혈관염

(vasculitis), 유종(edema), 뇌막염(meningitis) 등의 증상이 나타나 결국은 죽게 된다.

(3) 위장증후군(gastrointestinal syndrome)

포유동물이 9∼10 Gy의 방사선에 피폭되면 대부분 2∼5일 만에 죽는다. 사망 원인은 소화관의 장해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소장 융모나출(denudation), 설사, 백혈구 감소, 세균의 감염 등으로 인

해 죽음에 이른다.

Page 33: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27

제2장_방사선의 인체영향

(4) 조혈증후군(hematopoietic syndrome)

사람은 5 Gy 정도의 방사선에 전신 피폭되면 피폭 직후에는 속이 메스껍거나 구토가 나며 1∼2일

후에는 그러한 증상이 없어진다. 그러나 2∼3주 후에는 조혈기관인 골수의 장해로 인하여 골수원세포

(stem cell)의 수가 줄어들고 혈구가 급격히 감소되며 빈혈(anemia), 출혈(hemorrhage) 등의 증상이

수반되며 결국은 세균감염으로 인해 죽는다.

5 방사선의 만성효과(chronic or late effects of radiation)

사람 또는 동물이 방사선에 피폭된 후 치사효과, 중추신경증후군 같은 생물학적 효과가 피폭 후 1∼2개월

이내에 발생하지 않고 오랜 세월이 지난 후에 그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만성효과라고 한다. 만성효과나

급성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선량의 명확한 구분은 없다. 다시 말하면 급성효과가 발생하였으나 모든 상

해가 회복되어 육안으로 보아서는 정상이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러 가지 만성효과가 나타나는 경

우도 있다. 또한 저선량의 방사선에 오랫동안 피폭되면 급성효과는 발생하지 않으나 노화촉진, 수명단축

또는 암 발생 빈도 증가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모든 현상을 방사선의 만성효과라 한다.

표 2-7. 방사선의 만성효과

효 과 평균잠복기 증 거

백혈병 8~10년 원자폭탄 피폭자, X선 치료받은 환자

골암 15년 라디움 도료 작업자

갑상선암 15~30년 원자폭탄 피폭자, 치료받은 환자

폐암 10~20년 우라늄 광산 노동자

수명단축 생쥐실험

백내장 5~10년 치료받은 환자

1) 방사선에 의한 노화(radiological ageing)

정상적인 노화라 함은 세포의 기능이 저하되고 적응력이 퇴보함을 의미한다. 세포나 조직은 성장기가

지나면 노화가 시작되어 연령이 많아지면 결국 그 생명체는 죽게 된다. 방사선은 비록 비특이적인 영향

을 미치기는 하지만 조직기능의 퇴화를 촉진하는 것이 확실하게 알려져 있다. 정상조직에서의 노화를 조

직학적 측면에서 보면 유조직 세포와 미세혈관(fine vasculature)의 수나 양이 감소하고 결체조직

(connective tissue)의 양이 증가한다. 방사선에 피폭된 동물의 경우는 동일한 연령의 정상군에 비하여

전술한 것과 같은 증상들이 빨리 나타나지만, 대사장해로 인한 노화촉진과 관련된 만성효과는 아직 알려

진 바 없다.

2) 수명의 단축(life shorting)

준치사량(sublethal dose) 이하의 방사선량에 피폭된 동물이 정상군에 비해 수명이 짧아진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피폭선량과 수명의 단축은 어느 정도의 비례 관계가 있으며, 동일 선량이면 장

기조사의 경우가 일시조사에 비하여 수명이 단축되는 율이 낮다. 동물의 수명단축은 방사선의 피폭에

Page 34: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28

기인한 장해나 손상이 회복되지 않고 누적되어 노화를 촉진케 되며 그 외에도 암이나 질병을 유발하여

빨리 죽게 되는 것이나 방사선량 1 Gy에 대해 1년 이하의 수명단축이 일어날 것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

적이다.

3) 수명의 연장(life lengthening)

높은 자연방사선 준위의 방사선이 존재하는 환경조건 하에서는 수명이 연장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

은 수명연장 효과는 저선량 방사선의 유익효과(radiation hormesis)라는 측면에서 고려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가능성들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1) 기존 질병에 대한 저선량 방사선의 치유효과

(2) 전염성 질병의 출현을 억제하는 예방효과

(3) 낮은 선량에 의한 백혈구(호중구)의 활성화

(4) 스트레스유도인자에 의한 질병저항성 증가

4) 방사선 발암(radiation carcinogenesis)

(1) 발암 과정

방사선이 발암요인 중의 하나라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방사선에 피폭된 사람의 암 발생 빈도를

측정한다는 것은 극히 어려운 문제이나 일본에서 원폭에 피폭된 인간집단,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

핵시설 또는 방사성물질 취급 종사자 등에 대해서는 암의 발생빈도가 다른 인간집단에 비하여 높다는

보고가 있다.

방사선 피폭선량과 암의 발생 빈도와의 상관관계 및 피폭 후의 암 발생 시기에 대하여 명확하게 단정

하기는 어려운 문제이다. 성인의 경우 0.25 Gy, 태아의 경우는 이보다 저선량에 피폭되어도 암이 발생

할 수 있으며, 피폭 후의 발암시기도 일정하지는 않으나 평균 20년 전후로 알려져 있다.

방사선에 의한 발암과정은 다른 발암과정 물질에 의해서 유발되는 암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그림 2-3과 같이 다단계 과정(multistep process)을 거쳐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방사선 발암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① 초기유발단계(initiation step) : 정상 세포가 발암원인 방사선에 피폭되는 단계

② 촉진단계 I(promotion step I) : 생물학적 과정을 통해 피폭 손상의 대부분이 복구되나 이 과정에

서 손상이 복구되지 않고 고정되는 경우

③ 촉진단계 II(promotion step II) : 손상이 고정된 세포가 촉진물질과 접촉되면 종양이 발생

④ 진행단계(progression step) : 양성 또는 악성의 종양세포가 암세포로 전환되는 단계

⑤ 질병발생(desease development) : 각종 암이 발병하는 단계이며 natural killer 세포에 의한 암

세포의 사멸이 부분적으로 일어남

Page 35: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29

제2장_방사선의 인체영향

그림 2-3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전환되는 과정

(2) 방사선에 의하여 유발되는 암의 종류

① 백혈병(leukemia) : 백혈병은 잠복기가 약 10년으로 다른 암에 비하여 짧은 편이다. 백혈병을

유발할 수 있는 선량의 예로서 일본 히로시마 원폭피폭자 중 0.5 Gy 이상 피폭 생존자에서는 정

상인 집단보다 발생빈도가 높았으나 나가사끼의 경우는 정상 집단과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이러

한 차이점은 피폭된 방사선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으로 생각되는데, 히로시마의 경우는 90% 이상

이 이온화 방사선이었으나 나가사끼의 경우는 약80%가 중성자였다. 태아의 경우는 0.01∼0.05

Gy 정도의 낮은 선량에서도 백혈병이 유발될 수 있으며, 발암율과 선량과의 관계에 있어서 발단

선량(threshold)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② 피부암(skin cancer) : 방사선의 영향이 알려지기 전 초기의 X선 발생장치 취급자들에게는 손에

피부암이 많이 발생하였으나, 피폭선량에 대한 규제가 실시된 이후에는 그와 같은 예가 거의 없다.

③ 폐암(lung cancer) : 일본 원폭피해자들의 폐암 발생률은 높지 않았으나 우라늄, 라돈이 함유된

광산에서 일하는 광부들에게선 정상인에 비해 발암률이 높다.

④ 갑상선암(thyroid cancer) : 잠복기는 20년 정도이며 1 Gy 이상의 선량에 피폭될 경우 갑상선암

발생율이 높다. 주로 유두상암(papilary carcinoma)과 여포상암(follicular carcinoma)이며, 남

자보다 여자에게 발생률이 높다.

⑤ 유방암(breast cancer) : 피폭 후 10년의 잠복기를 지나 발생되는 경우도 있으나 평균 25년 후에

발생된다. 연령 면에서 볼 때 10대보다는 20대에서 발병률이 높다.

표 2-8. 방사선의 급성 및 만성 효과

급성방사선증후군 방사선의 만성효과

1) 분자사(1,000 Gy 이상 피폭 시) 1) 방사선에 의한 노화(radiogical ageing)

2) 중추신경증후군(100 Gy 정도에 전신피폭 시) 2) 수명의 단축(life-shortening)

3) 위장증후군(9~100 Gy에 피폭 시) 3) 수명의 연장(life-lengthening)

4) 조혈증후군(5 Gy 정도에 전신피폭 시) 4) 방사선 발암(radiological carcinogenesis)

Page 36: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30

6 배아에 미치는 방사선 영향(radiation effects on embryo)

포유동물의 배(胚)아에 미치는 방사선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 배아의 발생단계를 기준으로 하여 전착

상기(preimplantation period), 기관형성기(organogenesis period) 및 태아기(fetus period)의 3기로

구분, 각 시기에 따른 방사선의 영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전착상기

이 시기에 방사선에 피폭되면 매우 큰 영향을 받는다. 염색체 소실, 기형출산, 사산 등이 0.1 Gy 정도의

저선량에서도 나타난다.

2) 기관형성기

방사선에 피폭 시 전착상기에 비해 사망률은 낮으나 기형발생 빈도가 높다. 소안(micropthalmia)이나

이상사지, 무두개골-뇌노출, 중추신경 손상 등의 기형이 발생한다.

3) 태아기

모체가 방사선에 피폭되어 특별한 증상이나 태아의 사망은 발생하지 않더라도 출산 후 만성효과가 나

타나는 경우가 있으며, 위장이나 조혈기관의 장해 등의 기능이상 증세가 나타난다. 일본 히로시마에서

원폭 폭발 중심반경 1.2㎞ 내의 피폭 임산부 출산의 경우 소두증, 정신박약아, 선천성 심장병 등의 신생

아 증상이 나타났고, 나가사끼의 원폭 임산부 30명 중 유산 또는 사산 14명, 분만 16명 중 정박아 4명

(이들 임산부들이 피폭된 선량은 0.2 Gy 정도로 추산)이 나타난 것으로 보고되었다.

7 저선량 방사선

저선량 방사선이란 자연방사선과 같이 낮은 선량의 방사선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100mSv 이하의 방

사선을 의미한다. 이는 연간 자연방사선 피폭량인 2.4~3mSv의 30~40배에 해당하며, 일반적인 chest

computed tomogra-phy(CT) 검사 20회 정도의 양이다. 방사선의 위험도는 방사선 영향을 측정할 수

있는 단위인 Sv로 표시한다. Sv는 방사선의 형태와 관계없이 어떠한 방사선이든지 그 방사선으로 인한

생물학적 효과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종래에는 렘(rem)이라는 단위를 사용하였는데, 1Sv는 100rem에

해당하고 1mSv는 0.1rem, 즉 100mrem에 해당한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역학연구에서 100mSv 이하

의 방사선피폭에서 직접적인 암 발생 증가 등을 증명하지는 못하였으나, 일반인이나 의료방사선 노출은

대부분 이 범위에서 일어난다. 미국 국립과학아카데미의 ‘저선량 방사선의 생물학적 영향(health risks

from exposure to low levels of ionizing radiation, BEIR VII)’ 보고서에서는 암 발생 위험이 저선

량에서도 문턱값(threshold) 없이 선형으로 올라가면 최소 선량에서도 인간에게 추가위험의 증가를 일

으킬 잠재성이 있다는 문턱값 없는 선형비례이론(linear-no threshold [LNT] model)을 지지하고 있다.

현재는 대부분의 국제기구 보고서에서 저선량 방사선에 의한 암과 유전적 장애는 문턱값이 없다고 간주

하고 있다.

Page 37: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31

제2장_방사선의 인체영향

방사선이 유전자에 닿으면 유전자를 구성하고 있는 원자와 원자 사이의 결합을 끊어버리는 작용이 일

어나고, 이를 유전자 손상(radiation-induced DNA-damage)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유전자 손상

은 노출된 방사선 양이 적은 경우에는 비교적 단시간에 복구(copy and DNA repair)된다. 방사선 양이

많고 유전자 손상이 동시에 많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모든 손상이 제대로 복구되지 않고 그중 일부가 잘

못 복구될 수도 있다.

유전자는 아주 긴 분자로 두 개의 사슬로 연결되어 있다. 한쪽의 사슬만 절단된 경우는 바르게 복구된다.

두 개의 사슬도 한 곳만 절단되면 문제없다. 그러나 두 개의 사슬이 여러 군데 동시에 절단되면 유전자

전체의 연결에서 떨어져나가거나 원래와 반대로 연결되어 복구되지 못하고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한 일이

일어나면 세포가 사멸되거나 기능에 변화가 생긴다. 그리고 극히 드물게 암 유전자가 생기거나 암 억제

유전자의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8 저선량 방사선에 의한 non-targeted delayed effects

1) Bystander effects

직접 방사선에 노출되지 않은 인접 세포가 방사선노출 세포에서 분비하는 신호전달물질에 의하여

방사선에 노출된 세포에서 일어나는 손상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2) Abscopal effects

방사선피폭을 받은 신체부위와 떨어져 있는 조직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말한다.

3) Radiation-induced genomic instability

세포가 방사선을 받은 후 생존하게 되면 딸세포가 방사선을 받지 않더라도 세대에 걸쳐 염색체 이상이

발생된다는 것이다. 이 현상은 방사선피폭 후 생존 세포의 딸세포들에서 발생한다. Genome의 변화에는

염색체 수 변화, 돌연변이, 체세포 복제 시 세포 수의 감소 등이 포함된다.

4) Clastogenic factors

방사선피폭을 받은 동물이나 인체의 혈장에는 방사선노출을 받지 않은 세포에 염색체 손상을 유발

하는 clastogenic factor라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5) Heritable effects

부모가 방사선피폭을 받은 후 태어난 후손에서 생기는 효과를 의미한다.

Page 38: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32

9 저선량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저선량 방사선(<100mSv)에 의한 암 발생에 대한 LNT model에 대하여 각종 학회와 연구기관에서는

다양한 견해를 발표하고 있다.

1) United Nations Scientific Committee on the Effects of Atomic Radiation 보고서

UN과학위원회(United Nations Scientific Committee on the Effects of Atomic Radiation,

UNSCEAR) 등 방사선 관계 국제기관에서는 현재 저선량 방사선이 암을 비롯한 이외 질환에 의한 사망

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가 진행 중이다. 암 이외의 질환으로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요인

으로는 방사선에 의한 염증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UNSCEAR은 1982년의 보고서에서 저선량 방사선에서는 암 이외의 다른 사망 위험 요인은 없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이후의 일련의 동물실험은 암으로 인한 사망이 방사 선과 관련된 수명 손실을 모두

설명할 수는 없었다. 더욱이 일본 원폭생존자의 수명 연구에서 얻은 최근 몇 년간의 데이터는 이러한 가

능성이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최근 2010년에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백내장의 발생이 저선량

방사선피폭과 관계되며 심혈관계 질환에 있어서도 계속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2) BEIR VII 보고서의 요약

(1) 원폭생존자들 가운데 100 mSv 초과의 방사선에 노출된 사람들에게서 방사선에 의한 암 발생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백혈병, 유방암/갑상선암/소화기(식도, 결장, 위, 간장)암/폐암/난소암/피부

암/방광암 등의 고형암의 발생이 증가하였다.

(2) 자궁 안에서 10mSv 초과의 방사선에 노출된 소아에게서 암 발생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지금은

거의 시행하지 않지만 1950~1970년대까지는 pelvimetry와 fetal position을 검사하기 위한

obstetric abdominal radio-graph를 빈번히 시행하였다. 이 데이터를 이용해 태내에서 방사선

을 조사받은 아이들에게서 암이 발생하는 확률은 조사받은 방사선량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것이

여러 연구를 통해 알려지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자궁 내에서 10 mGy 이상의 방사선을 조사받은 태아의 경우 소아암의 발생이 증가하고, 6% per

Gy의 excess risk를 보인다.

(3) 100 mSv 이하의 방사선노출 시 암 발생과의 영향을 추정할 때는 다음의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고형암에서는 LNT model, 그리고 백혈병에서는 linear-quadratic model이 reasonable fit을

보였다. 선량-선량률 효과 인자는 1.1~2.3으로 추정되었고, 위험도 분석을 위해 1.5를 사용

하였다.

(4) 암 발생률과 암 사망률에 대한 ERR과 EAR을 11개의 specific cancer sites에 대하여 추정하였고

이를 표로 제시하였다.

Page 39: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33

제2장_방사선의 인체영향

10 방사선 적응반응(radiation adaptive response)

저선량(20c Gy 이하)의 방사선에 노출된 인체 림프구가 일정한 시간 내에 고선량(1∼2 Gy)의 방사선

에 다시 노출되어도 염색체 손상을 잘 입지 않는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 현상을 방사선 적응

반응이라고 부른다.

11 방관자 효과(bystander effect)

새로운 연구는 방사선 처리된 인간 세포가 방사선이 쪼여진 세포에서 엄청 멀리 떨어진 세포에도 손상

을 준다고 보여준다. 실험은 최초로 세포 배양에서 불가사의한 ‘방관자 효과’가 처음 나타나고, 조직에서

또한 나타나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발견은 저선량 방사선이 가정된 것보다 훨씬 위험하다는 관점을

지지한다. 1992년 방사선 생물학자들은 배양된 세포를 통한 실험으로 이온 방사선이 방사선을 쏘는 세

포보다 훨씬 해롭다는 것을 발견했다. 주변 세포 또한 염색체 손상을 입는다.

최근 연구는 방사선에 의해 형성된 DNA에 손상을 주는 인자들이 배양 매체를 통해 확산되고 있음을

주장한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이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서로 교통하는 조직이나 삼차원 내에서 서로 가

깝게 밀집되어 있는 세포의 조직에서도 일어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뉴욕 시 콜롬비아 대학 David

Brenner와 연구진은 α입자방사선을 인위적으로 생성된 샘플의 적은 양에 적용시켰다. 그때 그들은 방

사선의 영향, 즉 세포사멸, 프로그램된 세포 죽음 등의 범위를 알기 위해 두 개의 끝점을 측정했다. 두

개의 끝점은 세포사멸 또는 프로그램된 세포의 괴사 그리고 세포핵으로부터 떨어져나간 손상된 염색체

의 파편인 소핵이다. 이러한 손상 표시는 타깃 세포에서 최대 1㎜의 세포 또는 50~75 세포 직경에서

보이며, ‘이는 매우 긴 거리’라고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에 온라인으로

연구를 발표한 Brenner는 언급했다. 그의 연구는 직접 방사선 세포보다 주변 세포들이 손상을 덜 받지

만, 주변 세포들과 방사선을 쐬지 않은 대조세포를 비교하면 평균 세포 사멸치에서는 2.8배, 미세 핵 수

치에서는 1.7배 높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Brenner는 ‘일부 계전 시스템 유형’을 통해 세포 간 방사선

이동에 의해 고통 신호가 야기됐을 것으로 의심했다. 조직의 방관자 효과를 지켜보는 것은 매우 흥미롭

고 중요하다고 볼티모어 메릴랜드 대학의 방사선 생물학자 윌리엄 모건은 말했다. 위의 결과로 직접 쏘

인 세포를 기준으로 계산한 것보다 저선량 방사선만이 더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어느 누구도

방관자 효과가 이로울지 해로울지 알 수 없다고 모건이 밝혔다. 변이를 일으킨 세포는 결국 암을 일으킬

수 있는데, 모든 손상받은 세포가 죽는, 결국 방관자 효과가 암에 저항하도록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높은 방사선조사를 이용했던 콜롬비아 팀은 적은 방사선량이 어느 정도의 결과를 보일지 알

필요가 있다고 모건은 지적했다. Brenner 팀은 피부조직에 한 개의 α입자만 조사하여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Page 40: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34

12 호메시스(긍정적 효과)

저선량의 이온화 방사선이 생물에 유익하며 생체 방어력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왔다.

뢴트겐선이 발견된 직후 Atkinson은 해초에서 그러한 효과를 발견했다. 그는 X선에 노출된 후 청록색

해초의 성장률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주목했다. 이것은 그 후로부터 82년 뒤에 사실로 인증되었다. 방사선의

자극과 적응효과, 즉 방사선 호메시스(그리스어인 ‘hormaein’에서 유래되었는데 ‘자극하다’라는 뜻)에 대한

연구는 수십 년간 계속되었으며 1,000여 편이 넘는 논문이 발행되었다.

방사선 호메시스는, 방사선이 저선량에서는 어떠한 해로운 영향도 없다는 개념을 뛰어 넘는다. 즉, 고선량

에서는 볼 수 없는 새로운 자극효과가 저선량 영역에서 일어나고, 이런 효과가 인체에 유익할 수도 있다고

역설한다.

1994년, UNSCEAR는 저선량의 방사선이 나타내는 자극과 적응효과에 관한 논문 405편에 대해 논평을

발표하였다. 이 논평에서 DNA 재생 자극, 단백질 합성, 유전자 활성화, 중합단백질의 생산, 자유라디칼의

해독, 수용기 막의 활성화, 성장인자의 방출, 면역체계의 자극, splenocytes의 증식작용 등이 이런 호메시

스 효과에 포함되어 있다.

호메시스 효과는 세포 배양, 박테리아, 식물, 그리고 동물 등에서 생화학적, 세포학적, 기관학적인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포유류에서 방사선 호메시스는 종양과 전염병에 대한 방어력을 증강시키고

수명을 증가시키며 번식력을 늘린다.

UNSCEAR의 1994년 보고서는 호메시스 효과에 대한 풍부한 자료를 검토하면서 이 효과의 존재 가능성

을 처음으로 인정하였다.

Page 41: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35

제2장_방사선의 인체영향

역학연구에서 바라본 저선량 방사선의 인체 영향제2절

산업의 고도화와 더불어 방사선 이용 분야는 에너지 산업뿐 아니라 농업, 우주항공, 비파괴검사, 의료

장비 등 산업 전반에 걸쳐 그 활용 범위가 매우 광범위해지면서 우리의 생활과 밀접하게 자리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따른 방사선노출에 의한 피폭 가능성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인접국가인 우리나라로의 방사능 물질 유입에 대한 우려와 함께 저선량 방사선의 인체영향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생활 속에서의 방사선 이용과 저선량 방사선에 대한 정의, 그리고 ‘방사선

영향 역학연구’를 통해 저선량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1 생활 속에서의 방사선 이용과 저선량 방사선 정의

1) 생활 속의 방사선

방사선은 생성 원인에 따라 크게 자연방사선과 인공방사선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자연방사선은 지구상의

여러 물질로부터 자연적으로 생겨나는 방사선으로, 우주방사선(우주로부터 나오는 방사선)을 포함해 토양,

물, 우리가 섭취하는 채소나 과일 등에서도 찾을 수 있다. 자연방사선의 연간 세계평균은 개인당 2.4mSv로,

우리나라는 이보다 조금 높은 3mSv이다. 그 주요 원인은 화강암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 지형의 특성 때문이다.

반면 인공방사선은 인위적인 행동이나 발생장치를 통해 만들어진 방사선으로 병원에서 진단 및 치료용으로

사용하는 방사선 장비나 공항에서의 보안 검색장치, 원자력발전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림 2-1은 생활 속에서 피폭되는 방사선량을 나타내는데, 자연방사선과 인공방사선 모두 방사선이 가지는

성질이나 특성은 동일하므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 역시 같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방사선은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일상에서 지속적으로 미량의 방사선을 받으면서 생활하고 있다.

출처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그림 2-4 생활 속의 저선량 방사선

Page 42: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36

2) 저선량 방사선 정의

방사선은 에너지가 높은 방사성물질이 안정된 상태를 찾기 위해 방출하는 에너지의 흐름으로, 입자선

혹은 전자기파를 일컫는다. 우리가 흔히 아는 전파, 적외선, 자외선, 가시광선 등도 방사선의 범주에 포

함되지만, 보통 방사선이라고 하면 α, β, γ, X선과 같이 전리작용으로 인해 인체에 해를 주는 이온화된

방사선(전리방사선)을 말한다.

인체에 미치는 방사선영향을 평가할 때 Sv가 단위인 등가선량과 유효선량을 주로 사용하는데, 전리방

사선생물학적영향위원회(BEIR)는 100mSv 이하의 전리방사선을 저선량 전리방사선으로 정의하였다.

현재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와 UN방사선영향과학위원회(UNSCEAR)에서도 동일한 정의를 사용

한다. 100mSv는 우리나라 국민이 받는 1인당 연간 자연방사선 피폭량(3mSv)의 약 33배에 해당하며,

현재까지 그 이하의 피폭에서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2 방사선영향 역학연구

1) 저선량 방사선 위험도 평가

역학이란 질병을 포함한 건강과 관련된 이슈들의 발생, 분포, 경향과 그 원인 및 위험요인 등을 조사

하는 학문으로, 일반적으로 인간 집단을 대상으로 한다. 방사선피폭의 인체영향에 대한 과학적인 견해는

생물학적 연구와 함께 역학적 연구를 토대로 이루어지며, 역학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은 방사선피폭 인구

집단의 다년간 추적조사를 통해 방사선과 질병의 관련성을 조사하고 이를 정량화하는 데 있다.

저선량 방사선 영향은 고선량 피폭에서 주로 보이는 급성반응과 달리 오랜 잠복기(일반적으로 피폭 후

백혈병 2~5년, 고형암 5~10년)를 거쳐 나타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암 발생과 유전적 장해가 대표적

이다. 또한 방사선피폭의 증가에 따라 영향 발생 확률 역시 증가한다는 확률적 영향의 특성을 기본 가정

으로 한다. 피폭에 따른 암 위험도 추정을 위해서 현재까지 100mSv 이상의 구간에서 발견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저선량 구간에서의 외삽(extrapolation)과 선량선량률효과인자(DDREF)1)를 보정하여 추정하

고 있다. 하지만 DDREF에 관한 수치는 동물, 세포, 역학연구들마다 다른 주관적 해석에 기초하여 다른

수치들을 사용하고 있으며, 저선량과 관련된 장기적인 건강위험도 평가는 여전히 명확한 결론을 내리지

못한 실정이다.

다음 4가지 모델들은 방사선피폭에 따른 대표적인 암 위험도 추정 가설로, BEIR을 비롯한 대부분의

국제 연구에서 아무리 작은 선량의 방사선이라도 암 위험도가 존재한다는 선형무역치모델(LNT)2)을 지

지하며,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에서도 이를 반영하여 선형무역치모델과 선형이차모델을 방사선

방호의 기본 모델로 삼는다.

1) DDREF: 저선량 구간에서 위험도 추정 시 100mSv 이상 구간에서의 발견된 위험도를 단순 선형 외삽을 통해 추정하게 되면 과대평가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보정(위험도/DDREF)하기 위한 상수. BEIR VII 보고서에서는 1.5를 사용함.

2) LNT 모델은 ‘문턱 없는 선형 모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Page 43: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37

제2장_방사선의 인체영향

(1) Linear no-threshold model(선형무역치모델) : 아무리 작은 선량의 방사선이라도 암 위험도가

존재하며, 위험도는 선량에 비례한다.

(2) Linear quadratic model(선형이차모델) : 선량에 따른 암 위험도가 선형이차곡선의 형태로

다수의 연구에서 백혈병 위험도가 이 모델을 따른다고 추정한다.

(3) Linear model with a threshold(선형역치모델) : 암 발생의 문턱값이 존재하여 그 이하의

선량에서는 암 발생이 일어나지 않지만, 그 이상의 값에서는 암 위험도가 선량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4) Hormesis(호메시스) : 소량의 방사선이 오히려 암 위험을 감소시켜 인체에 이로운 영향을 역할을

한다는 가정으로, 대부분의 위험도 평가와 관련한 역학연구에서는 고려되지 않는 모델이다.

출처 : BEIR VII

그림 2-5 방사선노출에 따른 암 위험도 모델

방사선 역학연구에서 방사선과 질병(주로 암)과의 관련성이나 위험도는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하는데,

대표적인 평가지표는 다음과 같다.

(1) 초과상대위험도(Excessive Relative Risk) : 방사선으로 인한 질병이나 사망의 위험이 자연적

으로(방사선을 제외한 다른 요인) 발생하는 위험에 비해 증가하는 정도를 추정(ERR=Relative

Risk3)-1)

(2) 초과절대위험도(Excessive Absolute Risk) : 방사선피폭 집단에서 발생한 위험에서 자연적으

로 발생하는 위험을 뺀 수치로, 방사선으로 인한 질병이나 사망이 person-years당 몇 명에서 발

생하는지를 추정(EAR=Risk-Baseline)

3) Relative Risk(상대위험도) : 피폭군/비피폭군에서의 위험도

Page 44: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38

(3) 생애기여위험도(Lifetime Attributable Risk) : 초과상대위험 모델과 초과절대위험 모델로부

터 방사선피폭에 의한 생애기여위험을 요약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지표로서 방사선피폭으로 인한

질병 및 사망 발생자 수를 인구 10만 명당 몇 명에서 발생하는지로 추정

(4) 표준화발생비(Standardized Incidence Ratio) : 방사선피폭 집단의 질병발생률과 대조군(피폭

을 받지 않은 집단)의 질병발생률의 비율(Ratio)로 질병발생과 관계가 있는 인구특성(나이, 경제적

수준 등)이 두 비교집단에서 다를 때 이를 표준화하여 발생률을 비교

(5) 표준화사망비(Standardized Mortality Ratio) : 표준화발생비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망률을 비교

그 외에도 확률의 개념을 이용한 승산비(Odds Ratios), 생존시간을 고려한 생존위험비(Hazard

Ratios) 등 평가 목적과 방법에 따라 다양한 평가지표를 사용하여 방사선과 질병과의 관련성을 연구한다.

방사선 영향과 관련된 질병으로 백혈병을 포함한 암과 유전적인 영향은 피폭 후 오랜 기간에 걸쳐 발

생한다. 일반적으로 백혈병은 피폭 후 2년 이후, 고형암은 5년 이후, 유전적인 장애는 그 다음 세대에

걸쳐 확인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방사선 역학연구는 피폭 집단의 장기간에 걸친 추적 조사가 필수적이며,

현재까지 방사선 위험도 평가에 있어 주된 데이터로 일본 원폭생존자 코호트를 이용한다. 원폭생존자 코

호트 연구(Life Span Study)에서 사용하는 암 위험도 평가에 선형무역치모델(고형암)과 선형이차모델

(백혈병)을 기본 모델로 사용하며, 성별과 피폭 당시 나이, 피폭 후 경과시간을 주요 인자로 고려하여

선량에 따른 암 위험도를 평가한다.

그림 2-6은 피폭 나이와 경과 시점에 따른 고형암 사망 위험을 도식화한 것으로, 피폭 당시 나이가

어릴수록 위험도의 증가를 보여준다. 또한 피폭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초과절대위험도는 증가하고

초과상대위험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연령 증가에 따른 기저위험(자연암 발생)의 상승에

기인한다.

출처 : Ozasa et. al, 2012

그림 2-6 피폭 나이와 경과 시점에 따른 고형암 사망 위험

Page 45: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39

제2장_방사선의 인체영향

2) 저선량 방사선 역학연구 코호트와 연구 결과

제14차 일본 원폭생존자 사망률 연구보고서(추적기간 1950~2003, 전체 연구대상 수 86,661명 중

58% 사망)에 따르면, 0.2 Gy 이하에서 고형암 위험도(ERR/Gy=0.56[95% CI4): 0.15, 1.04])의 유의

성은 보고되었지만 피폭군들의 지리적, 사회・인구학적 요인에 따른 기저 암 위험도의 차이로 인해 명확

한 결론을 도출하지 못했다. 또한 그보다 더 낮은 저선량 구간에 대해서는 유의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현재까지 원폭생존자 역학연구를 바탕으로 ICRP는 1Sv(1,000mSv)의 방사선피폭으로 암 위험도가 약

5% 증가한다고 제시하였다. 선형무역치모델을 가정하여 이를 저선량 구간까지 확대하면 1~100mSv의

피폭에 0.005~0.5%의 암 위험도 증가를 추정할 수 있다. 우리나라 국민이 평균수명(81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이 약 37%임을 가정할 때(2011년 국가암등록 통계), 이는 흡연이나 생활식습관 등

에 의한 발암의 영향과도 구별이 어려울 수 있다. 최근 관심이 높아진 의료방사선의 경우 소아기의 진단

검사(CT, X-ray) 시 피폭되는 방사선과 암 발생과의 연관성을 보고한 연구 사례도 있지만, 현재까지

대부분의 연구들은 방사선을 이용한 진단이나 치료의 이득이 피폭에 의한 위험성보다 높다는 견해를 유

지한다. 100mSv 이하의 저선량 방사선 연구의 주요 코호트로 원전종사자, 항공승무원, 고자연배후방사

능지역의 거주 주민을 예로 들 수 있다.

(1) 원전종사자

원전종사자는 대표적인 저선량 방사선 역학 연구 코호트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 프랑스 등 세계

주요 원전 선진국들에서 자국 원전종사자에 대한 추적조사가 체계적으로 진행 중이다. 우리나라 원전종

사자를 대상으로 한 ‘암 발생과 사망 연구’에서 원전종사자와 대조군의 암 발생, 사망은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오히려 일반인에 비해 암 발생이나 사망률이 낮은 경향이 관찰되었다(Lim et at

2006, Ahn et al 2005, Jeong et al 2010). 대부분의 연구에서 이러한 경향을 건강근로자 효과

(healthy workers effect)와 함께 설명하며, 낮은 사망 원인으로 정기적인 건강검진의 효과 때문이라는

보도도 있다. 우리나라를 포함해 15개국 40만 7,391(5.2million person years)명의 원전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장기간의 저선량 방사선 노출에서도 적은 수치이지만 잠재적인 암 위험도(ERR/Sv

for cancers excluding leukaemia=0.97[95% CI: 0.14, 1.97], ERR/Sv for leukaemia excluding

CLL=1.93[<0, 0.47])가 보고되었다. 하지만 불확실한 피폭선량 추정 가능성이 있는 캐나다를 제외한

분석에선 위험도에 대한 유의성(ERR/Sv for cancers excluding leukaemia=0.58[-0.22, 1.55])이

관찰되지 않았다(Cardis, 2005).

(2) 항공승무원(우주방사선 노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 발행한 우리나라의 방사선 환경 보고서(2009)에 따르면, 표본 조사한 항

공승무원의 연평균 우주선 피폭 선량은 조종사는 평균 2.96mSv/y, 승무원은 평균 2.28mSv/y로 나타

났다. 이는 원전이나 비파괴 및 의료분야 방사선작업종사자의 개인선량에 비해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며, 저선량 방사선 피폭군으로 분류하여 체계적인 선량관리가 요구된다. 유럽 및 미국에서 수행된

우주방사선과 관련한 항공승무원 집단의 암 발생률 연구에서 승무원 집단에서의 암 발생률이 더 크다고

4) CI(Confidence Interval) : 모수에 대한 점추정치의 신뢰구간으로 모수의 범위를 확률로 보여주는 구간

Page 46: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40

보고된 사례가 있다. 특히 여승무원 집단에서의 유방암 발생률 증가(Pukkala, 1995; Rafnsson, 2003;

Reynolds, 2003) 및 은퇴한 여승무원 집단에서도 발생률 증가(표준화발생비(SIR)의 95% CI: 1~4.3)가

보고되었다(Wartenberg, 1998). 하지만 여승무원과 유방암의 연관성을 발견하지 못한 연구 역시 존재

한다(Zeeb, 2003; Haldorsen, 2001). 남자 파일럿에서는 피부암 위험도의 증가(Pukkala, 2002) 및

전립선암과 급성골수성백혈병(Band, 1996), 뇌암과 호치킨스 림프암의 위험도 증가(Band,

1990)가 보고된 사례가 있으며, 50년에 걸친 북유럽 남자 조종사들의 추적조사에서 피부암, 흑색

종, 기저세포암의 SIR이 약 2배로 관찰되었고, 방사선노출 양이나 비행시간 증가에 따른 전립선암

위험도 증가가 보고된 사례도 있다(Pukkala, 2002). 하지만 이러한 결과들은 연구마다 일관성이

크지 않고, 백혈병이나 전체 고형암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아 우주방사선 노출로 인한

항공승무원에서의 암 발생 증가를 단정 지을 수 없다.

(3) 고(High)자연배후방사능지역

세계적으로 평균적인 자연방사선 피폭량은 연간 2.4 mSv 정도로 보고되고 있지만 지역에 따른 편차

가 상당하며, 자연방사선 피폭량이 세계평균의 두 배인 연간 5mSv 이상으로 보고된 지역도 있다. 특히

인도의 Karunagappally(3~77mSv/year)나 중국의 Yangjinag(1~5.5mSv/year)의 경우 대표적인

고자연배후방사능지역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이러한 지역 주민에 대한 역학연구들에서 염색체 이상의

차이는 보고되었으나 암 발생 및 수명 단축은 아직 발견된 바가 없다.

3 결론

고선량 방사선피폭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으나, 100mSv 이하의 방사선이 실

제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았다. 피폭 집단에서의 역학연구 외에도

in vitro(시험관 내) 실험이나 동물실험을 통해 저선량 방사선의 생물학적 영향에 대한 다양한 가설들(적

응반응, 방관자 효과, 호메시스, 유전적 영향 등)도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영향들이 인체 내에서 질병과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저선량 방사선피폭에 따른 질병발생 위험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아 이를 통계적으로 입증할

만한 코호트의 크기나 추적기간의 확보가 아직은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특정 질병에 민감한

개인의 유전적 취약성의 차이, 오랜 잠복기를 가진 질병의 복잡한 발병기전과 방사선 외의 다양한 발암

원에 대한 노출 및 생활 식습관에 따른 질병발생 위험도와의 구별이 쉽지 않은 것도 한 이유라 할 수

있겠다. 대부분의 저선량 방사선 위험도 추정 연구에 있어 고선량 영역대에서 보여진 선량에 비례해서

위험도도 증가한다는 관계를 기본 가설로 하여, 아무리 작은 선량의 방사선이라도 질병발생의 위험이 존

재한다는 선형무역치모델(LNT)을 지지한다. 이는 비록 방사선의 호메시스 효과를 지지하는 연구들도 있

지만 아직 이러한 추론 역시 불확실하여, 방사선 방호 목적으로 보수적인 관점에서 LNT가설을 수용한다

는 것이다. 일부에서는 이러한 가설의 과학적 근거가 충분하지 않으며 미량의 방사선에 대한 위험을 불

필요하게 과장하고 있다는 반론도 있다.

Page 47: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41

제2장_방사선의 인체영향

방사선사고

제1절 방사선사고 및 상해 유형

제2절 방사선사고 사례

제3절 방사선사고의 교훈과 시사점

제3장

❘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

Page 48: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Page 49: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43

제3장_방사선사고

제3장 방사선사고

방사선사고 및 상해 유형제1절

1 우리나라의 방사선 이용 현황

원자력발전소와 핵주기시설을 제외한 우리나라의 방사선 이용 분야는 의료, 산업, 연구, 교육, 공공,

군사 등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사용기관의 수는 산업분야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공공분야, 연구,

교육, 의료 순으로 사용기관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이용기관의 수는 2016년 말 현재 기준으로 7,400여

개를 넘고 있다. 이용기관의 전국적 분포는 철강, 화학, 전자 단지가 몰려 있는 공업단지와 병원, 학교,

연구소가 밀집되어 있는 대도시에 이용기관들이 분포한다.

표 3-1. 방사선원 이용기관 현황 (2016년 12월 13일 기준)

업종일반사용 판매/

사용판매

이동사용

생산이용기관

신고 허가 신고 허가 계

교육기관 127 170 0 0 0 2 127 172 299

군사기관 65 32 0 0 0 0 65 32 97

의료기관 13 177 0 0 0 11 13 188 201

공공기관 694 51 0 0 0 1 694 52 746

산업체 4,823 571 33 208 57 94 4,823 963 5,786

연구기관 258 56 2 0 0 3 258 61 319

합계 5,980 1,057 35 208 57 111 5,980 1,468 7,448

표 3-2. 방사선원 이용기관의 지역적 분포 현황 (2016년 12월 13일 기준)

지역사용 판매

/사용판매

이동사용

생산이용기관

신고 허가 신고 허가 계

서울 461 108 8 99 15 22 461 252 713

부산 350 60 1 2 7 7 350 77 427

인천 363 43 0 11 0 2 363 56 419

대구 181 35 0 0 0 3 181 38 219

광주 88 26 0 2 1 4 88 33 121

대전 140 48 2 6 0 12 140 68 208

경기 1,835 179 19 74 10 39 1,835 321 2,156

경남 562 79 2 5 12 0 562 98 660

Page 50: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44

지역사용 판매

/사용판매

이동사용

생산이용기관

신고 허가 신고 허가 계

경북 402 93 0 3 1 4 402 101 503

강원 164 28 0 0 0 3 164 31 195

전남 203 61 1 1 3 3 203 69 272

전북 213 49 0 0 1 5 213 55 268

충남 432 98 1 1 0 1 432 101 533

충북 367 73 1 3 1 4 367 82 449

제주 46 4 0 0 0 2 46 6 52

울산 145 64 0 1 6 0 145 71 216

세종 28 9 0 0 0 0 28 9 37

합계 5,980 1,057 35 208 57 111 5,980 1,468 7,448

그림 3-1 방사선 이용기관의 전국적 분포 현황

산업분야의 세부적인 이용 용도는 주로 비파괴검사와 계측제어, 대단위 조사 등에 이용되고 있다. 계

측제어는 물질의 성분분석, 무게 측정, 액면 측정, 두께 측정, 밀도 측정, 수분 측정, 각도 측정, 평량

측정, 회분 측정, 농도 측정 등에서 이용되고 대단위 조사는 식품, 농축산물, 의료기기 등에 대한 방사선

멸균, 전선이나 타이어의 가교 형성, 반도체 이온 주입, 문화재 분석 등에 주로 이용된다. 기타의 용도로는

연기감지기, 야광조명, 정전기의 제거, 전구용 도입선 등에 활용된다. 연구분야에서는 잔류농약 분석과

수질오염 분석, 유황이나 물성 분석, 농산물의 종자개량에 이용되고 있고 의료분야에서는 병의 진단과

치료에 이용된다.

Page 51: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45

제3장_방사선사고

2 방사선사고의 정의와 선량한도

1) 방사선사고의 정의

방사선사고란 방사성물질이나 방사선 발생장치의 고장, 누출, 잘못된 사용, 자연방사선의 인위적인 증가

등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인체 내・외부 방사선피폭이 발생하여 사람의 신체와 정신적인 건강에 피해를

입히거나 미래에 피해를 입힐 것으로 예상되는 사건이라 정의할 수 있다.

방사선피폭이란 결국 선원-환경-인간의 네트워크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므로 비록 인체에 직접

적인 피폭이 발생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방사성물질이나 방사선 발생장치 등이 도난, 분실, 화재 등으로

인해 의도하지 않게 원래의 위치에서 벗어났거나, 원래의 위치에 있다 하더라도 정상적인 작동이나 통제

가 불가능하여 결과를 예측하거나 관리할 수 없는 경우도 사고라고 할 수 있다. 인공방사성 물질이나 방

사선 발생장치뿐만 아니라 인위적으로 증가된 자연방사성 물질이 환경으로의 통제되지 않은 이동이 발

생하거나 의도하지 않은 확산, 정해진 경로에서의 이탈이 일어나는 일도 포괄적인 의미에서 사고로 분류

될 수 있을 것이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방사선사고를 ‘생명, 건강 및 재산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피해를 초래하는

것과 같이 방사선원의 제어 실패에 의한 이상사태’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유럽공동체(EC)는 ‘시설에 이

상이 생겨 정상적인 운전에 혼란을 주는 예상치 않은 사태’로, 그 결과 ‘사람에게 선량한도 이상의 피폭

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태’를 사고로 정의하고 있다.

더 나아가 특정한 의도나 불순한 목적을 가지고 방사성물질 등을 특정 개인이나 세력, 사회단체 등이

확보하여 사회혼란, 인명살상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방사선테러의 경우도 인위적이고 의도적인 사고

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원자력안전법에서 정의하고 있는 방사선사고란 무엇일까?

‘방사선비상’, ‘방사선사고’ 또는 ‘방사선원 사고’, ‘방사선테러’와 같은 단어가 원자력안전법을 비롯한 원

자력 관련 법령에 명확히 기술되거나 정의되어 있지는 않지만, ‘사고’나 ‘테러’가 발생하였을 때 취해야

할 대응사항이 규정되어 있는 법 조항이나 고시, 훈령은 존재하므로 이런 규정들을 통해 방사선사고의

법적 정의를 유추해볼 수 있다.

먼저 원자력안전법 제74조(사고의 조치 등)5)와 제92조(장해방어조치 및 보고)6), 제97조(도난 등의

신고)에는 ‘사고’에 관해 조치할 내용이 직접적・간접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이 조항에서 간접적으로 정의

하고 있는 방사선사고란 ⓛ 운반 시 방사성물질 관련 사고로 운반 중인 방사성물질의 전도, 화재, 파손,

분실 등을 말하거나, ② 과피폭에 의한 인간의 방사선장해 발생사고, ③ 고정되어 있거나 이동 사용 중

인 방사성물질의 도난, 분실, 화재 등을 방사선사고로 보고 있다.

한편 방사선테러에 관한 사항은 대통령 훈령 제292호(국가 대테러 활동지침)에 그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방사선사고나 비정상적인 방사선 준위 증가 등의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정부에서 취해야 할

조치는 ‘원자력시설 시설 등의 방호 및 방사능방재 대책법’ 제22조(방사능사고의 신고 등)와 제22조의

2(긴급조치)에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방사선사고의 규모가 매우 커서 재난에 해당한다고 판단될

5) 원자력안전법 시행령 제110조(사고 시의 조치 등) 참고.6) 원자력안전법 시행령 제136조(장해방어조치 및 보고) 참고.

Page 52: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46

경우에는 방사선비상과 방사능재난상황을 선포하게 되는데, 이러한 국가 차원의 대규모 비상에 대한 방

재계획과 대응책, 영향평가와 피해복구계획, 지역지원에 관한 사항은 ‘원자력시설 등의 방호 및 방사능

방재 대책법’ 제17조부터 제46조까지의 규정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2) 방사선사고 시 피폭 기준(선량한도)

2011년 3월, 일본의 대지진으로 인해 후쿠시마 원전 1~4호기에서 사고가 발생하였을 당시, 일본 정

부는 일반인의 선량한도를 1 mSv에서 20 mSv로 단숨에 상향조정했다. 이로 인해 일본 정부는 국민들

로 불신과 많은 비난을 받게 되었는데, 사고 이전에 이러한 기준이 미리 설정되어 있었다면 혹독한 비난

은 피할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에서는 긴급한 상황이나 사고 등의 경우에는 20~100 mSv범위 내에서

특정값을 일반인들의 선량한도로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권고하고 있지만, 특정한 단일값이나 연령,

성별을 고려한 기준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일반인들의 유효선량이나 등가선량에 대해 상향조정된 기준

이나 규제치를 법에서 정하고 있지는 않으므로 원자력안전법 시행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최상위 수준의

선량한도는 평상시나 사고 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어야 하는 기준으로 보아야 한다. 원자력안전법 시

행령 제2조에서 정의하고 있는 ‘선량한도’의 상세 내용은 표 3-3과 같다.

표 3-3. 원자력안전법 시행령 [별표 1] 선량한도(제2조 제4호 관련)

구 분 방사선작업종사자 수시 출입자 및 운반종사자 일반인

1. 유효선량한도연간 50mSv를 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5년간 100mSv연간 12mSv 연간 1mSv

2. 등가선량한도수정체 연간 150mSv 연간 15mSv 연간 15mSv

손・발 및 피부 연간 500mSv 연간 50mSv 연간 50mSv

1. 위 표에서의 ‘5년간’은 임의의 특정 연도부터 계산하여 매 5년씩의 기간(예 : 1998~2002)을 말한다. 다만, 1998년도 이전의 기간

에는 이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2. 일반인의 경우 5년간 평균하여 연 1mSv를 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단일한 1년에 대하여 1mSv를 넘는 값이 인정될 수 있다.

3. 방사선작업종사자 중 임신이 확인된 자와 일반인 중 방사성동위원소 등을 제한적 또는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자에 대하여는 위원

회가 따로 정하여 고시하는 바에 의한다.

일반인들에 대한 유효선량이나 등가선량한도가 사고 시와 평상시로 구분되어 있지는 않지만, 방사선

비상이나 방사능재난 시에 긴급 주민보호조치를 결정하는 기준은 원자력안전법이 아닌 다른 법에 명시

되어 있다. 즉, 주민들을 대피시키거나 소개시켜야 할 경우 혹은 갑상선방호약품을 배포해야 하는 결정

기준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데, ‘원자력시설 등의 방호 및 방사능방재대책법’ 시행규칙([별표4])에 이러한

기준들이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준들은 실제 주민들이나 일반인이 결정기준에 해당되는 양까지의 방

사선피폭이 허용된다기보다는 각종 계산이나 예측으로 인하여 결정기준에 해당하는 양의 방사선피폭이

예상되면 적절한 주민보호 조치를 취하라는 ‘참고값’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한다.

Page 53: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47

제3장_방사선사고

표 3-4. 원자력시설 등의 방호 및 방사능방재대책법 시행규칙[별표 4]

긴급 주민보호조치의 결정기준(제15조 제1항 관련)

▢ 대피・소개 및 갑상선방호약품배포 등의 결정기준

긴급 주민보호조치 결정기준

대피 10 mSv

소개 50 mSv

갑상선방호약품 배포 100 mGy

일시이주30 mSv/처음 1개월,

10 mSv/그 다음 1개월

영구정착 1Sv/평생

1. 결정기준은 유효선량(인체 내 각 조직 간의 선량분포에 따른 위험 정도를 하나의 양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각 조직의 등가선량에

해당 조직의 가중치를 곱하여 이를 모든 조직에 대해 합산한 양)을 기준으로 한다.

2. 대피는 2일을 초과할 수 없다.

3. 소개는 1주일을 초과할 수 없다.

4. 월은 30일을 기준으로 한다.

5. 평생은 70년을 기준으로 한다.

방사선사고 발생 시에 사고를 진압하고 피해의 확대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일반인이 아닌 긴급작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투입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긴급작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별도의 선량

제한을 규정하고 있으며, 그 규정은 원자력안전위원회 고시 제2012-29호 ‘방사선방호 등에 관한 규정’

제14조(방사선 긴급 작업 시 선량제한)에서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의 전문은 다음과 같다.

표 3-5. 원자력안전위원회 고시 제2012-29호 ‘방사선방호 등에 관한 기준’ 제14조(방사선 긴급작업 시

선량제한)

제14조(방사선 긴급작업 시 선량제한)

① 영 제2조 제4호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영 제136조 제1항 제3호 마목에 따른 긴급작업에 종사하는 자나

사고의 진압 등 피해의 확대를 방지하기 위하여 불가피한 작업에 참여하는 자에 대하여는 유효선량은

0.5Sv, 피부의 등가선량은 5Sv까지 허용할 수 있다. 다만, 인명의 구조를 목적으로 하는 긴급작업에 대해서는

이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② 제1항의 작업으로 인한 피폭선량은 개인피폭방사선량에 합산하지 아니할 수 있다.

3 방사선사고의 유형과 구분

1) 사고의 분류 기준

방사선사고의 분류는 다양한 기준을 적용해볼 수 있다. 사고와 관련된 방사성물질이나 선원의 종류에

의한 분류, 사고의 원인에 의한 분류, 발생 장소나 시기에 따른 분류, 사고 영향이나 규모에 따른 분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만큼 방사선 관련 사고는 다양하고 복잡한 형태와 양상을 띤다고 볼 수

있다.

Page 54: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48

(1) 방사선원의 종류에 의한 분류

사고에 관련된 방사성물질이나 선원에 의한 분류는 방사성물질 등의 구분에 따라 나뉘어질 수 있는

데, 먼저 방사성물질 중 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핵물질(핵연료물질, 핵원료물질), 방사성동위원소, 방사

선발생장치, 방사성폐기물 등으로 구분하여 생각해볼 수 있다. 이외에도 드물지만 자연방사선원이 인위

적으로 증가되는 경우도 생각해볼 수 있다.

핵물질에 의한 사고는 핵무기를 사용하는 군대나 핵무기 제조시설의 사고와 같이 일반인들이 쉽게

접하거나 알 수 없는 사고로부터 연구용 원자로나 상용원자로의 핵연료 취급에 따른 사고, 우라늄 광산과

같은 핵원료물질에 의한 사고, 핵물질 농축, 정련, 가공, 재처리시설과 같은 핵연료주기시설에서 발생

할 수 있는 사고 등이 있을 수 있다. 사고의 형태와 전개양상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데, 임계,

폭발, 화재, 오염, 누설이나 확산, 과피폭, 테러 등 여러 가지 형태가 나타날 수 있다.

방사성동위원소에 의한 사고는 주로 산업용, 의료용, 교육・연구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정제되고 분리

된 방사성동위원소에 의한 사고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도난이나 분실, 화재, 오염의 누설이나 확산, 과

피폭, 테러, 운반 중의 사고 등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비파괴검사를 위한 이동사용을 목적으로

하는 방사성동위원소의 사용과 취급에서 방사성동위원소 사고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방사선 발생장치에 의한 사고 또한 방사성동위원소와 마찬가지로 산업 및 의료, 교육・연구 분야에서

그 사례를 찾아볼 수 있기는 하지만 전원이 상실되면 더 이상 방사선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이 방사성

동위원소에 의한 사고와 큰 차이를 보이며, 주로 과피폭의 결과만을 초래하는 것이 보통이다.

방사성폐기물에 의한 사고는 주로 운반 중 사고나 화재, 오염의 누설이나 확산 등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고준위의 재처리시설이나 사용 후 연료와 같은 방사성폐기물은 임계사고나 과피폭,

테러와 같은 사고가 나타날 수도 있다.

(2) 사고의 원인에 의한 분류

사고의 원인에 의한 분류는 사람의 실수나 착오, 절차위반, 안전의식 결여, 교육훈련 부족, 취급절차

미준수, 취급방법의 결핍, 감독자의 판단이나 결정의 실수, 정보연락의 결핍, 정리, 정돈 및 준비 부족,

부적절한 인사배치, 테러나 사보타지, 직원의 명령 및 지시 불복종, 직원의 일시적 능력이나 집중 저하,

정신적・신체적 능력의 저하 및 결핍 등 인문・사회적 요인에 따른 사고와 시설이나 장치의 설계 미흡과

결함, 계통이나 장치의 오작동, 기능상의 미흡 등 시설이나 장비의 기계적 오류, 그리고 낙하, 전도,

전기적인 누설, 부적합한 기구・장치 사용, 장치의 보수 미흡, 설계・건설의 실패, 기업의 기술적 수준의

부족 등 물리적・기술적 과정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는 물적 요인이 있을 수 있다. 한편 동・식물의

영향이나 자연현상, 천재지변 등 자연・환경적으로 불가피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 자연・환경적 요인

등으로 나눌 수 있지만,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일어나는 경우도 많다.

사고는 원인과 진행과정에 따라 분실, 화재, 도난, 폭발, 피폭, 누출, 오염, 파손, 운반 시 사고 등으

로 구분되기도 한다.

(3) 발생장소나 시기에 의한 분류

발생장소에 따른 분류는 방사성물질이나 방사선발생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된 방사선관리구역

내에서 발생하는 사고와 방사선관리구역 밖이나 사업소의 범위를 초과하는 지역 혹은 장소에서 발생하는,

Page 55: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49

제3장_방사선사고

사업소 관리자의 권한이 미치지 않는 장소에서 발생하는 사고로 구분할 수 있다. 시기에 의한 분류는

계절과 주・야간, 근무일과 (공)휴일, 평시와 전시로 대비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다양한 분류가 가능하다.

특히 장소에 따른 분류에는 시설별 특징을 구분할 수 있는 장소, 즉 상업용 원자력발전소, 핵연료 주기

시설, 교육・연구용 실험시설, 대규모 조사시설을 비롯한 산업용 시설, 이동사용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이나 장소 주변, 병원이나 의료시설, 군사용 시설, 채광이나 정련을 위한 광산시설 등 다양한 시설에

따른 장소로 구분할 수 있다.

(4) 사고 영향이나 규모에 따른 분류

사고의 영향이나 규모는 주로 인명 피해의 여부와 그 규모, 오염지역의 범위, 피폭의 형태 등으로 구

분해볼 수 있다. 방사선사고로 직접적・간접적인 인명 피해가 발생하였거나 장래에 인명 피해나 건강상

의 악영향이 예상되는 사고로부터 인명 피해는 없지만 환경상의 오염으로 인해 경제적・환경적 피해가

발생하거나 사회혼란이나 공황 등으로 인해 막대한 경제적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사고, 특정 건물이나

소수의 사람에게만 국한하지 않고 한 나라나 지역 전체의 사람이나 환경, 경제, 사회에 큰 피해를 입히

는 대규모의 사고도 생각해볼 수 있고 다양한 예도 찾을 수 있다. 사람에 대한 피폭 역시 내부피폭과

외부피폭을 모두 초래하는 사고와 어느 특정형태의 한 가지 종류의 피폭만 발생시키는 사고로도 구분이

가능하다. 이러한 사고의 분류는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여 사고를 바라보는 사람에 따라 관점을 달리하

여 분류한다면 보다 더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나 기준으로 사고를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분류체

계가 정확한지를 가늠하거나 판단하기가 어렵다. 다만, 국제적으로 사고를 분류하는 국제원자력기구

(IAEA)의 사고 분류체계는 ‘심각도’에 따라 사고를 1등급에서 7등급까지 분류하고 있다.

(5)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사고 분류 체계(INES)

국제원자력 사고 등급체계(INES)7)는 원자력 관계시설 및 방사성물질 사용 시설 또는 운반 중 발생

하는 각종 사건들의 심각한 정도를 일반 대중에게 신속하고 일관성 있게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발

되었다. 이러한 체계는 1989년 IAEA와 OECD/NEA8)의 전문가 그룹에 의해 도입되고, 1990년부터

시범적용이 되기 시작하여 1992년 첫 번째 INES 사용자 매뉴얼이 발간된 이후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IAEA INES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60 여 개국이 참여하여 사용하고 있다. 참여국은 사건

의 심각성을 INES 등급으로 평가하고, 2등급 이상 또는 1등급 이하이더라도 일반 대중의 관점에서 중

요한 사건일 경우 24시간 이내에 INES 정보시스템에 등록하도록 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1991년 1월부터 이 정보시스템에 참여하였다. IAEA INES는 1993년 이후 60개 참가국

이 등급평가 결과 등에 대하여 공식적인 정보를 교환하고 있으며, 정보교류 대상은 2등급 이상의 사건

과 국제적인 관심사건으로 정하고 있다. IAEA INES 기술위원회는 최근 NEWS9)를 개발하여 각국의

담당관이 사건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건 정보의 신속한 교류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회원국은 자국에서 보고대상 사건이 발생할 경우 NEWS에 사건 내용을 직접 입력하고 있다. NEWS는

2002년 7월 이후 대중에게 공개되었으며, 인터넷(www-news.iaea.org)을 통하여 원하는 사건, 사고

7) International Nuclear Event Scale.8)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Nuclear Energy Agency.9) Nuclear Events Web-based System.

Page 56: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50

정보를 얻을 수 있다. IAEA INES에 접수된 정보를 검토하고 체계 운영방안 등을 검토하기 위하여

IAEA는 2년에 1번씩 기술위원회를 소집한다. 기술위원회는 IAEA INES와 관련한 주요 사항을 결정하

는 회의다. INES 사용자 매뉴얼(2001)에 따르면 INES는 사건・사고의 심각도에 따라 1등급에서 7등급

까지 분류하고 있으며, 1~3등급을 ‘사건(Incident)’, 4등급 이상을 ‘사고(Accident)’로 구분하여 정의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고와 사건의 분류 기준은 종사자 및 일반인 또는 환경에 미치는 방사선의 영

향의 정도가 되며, 방사선의 영향이 심각한 사건을 사고로 분류하고 방사선 영향이 미치지 않는 사건을

사건으로 분류한다. 그 외 INES는 안전에 중요하지 않은 사건에 대해서는 등급 이하(0등급/below

scale)로 분류하고 있다10).

발생 빈도

심각도

그림 3-2 IAEA의 방사선사건 등급분류 개념도

사건등급은 3가지의 주요 인자, 즉 일반인 및 환경에 대한 영향(People and Environment), 방사선

방벽 및 관리(Radiological Barriers and Controls at Facilities), 심층방어(Defence in Depth)11)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표 3-6과 표 3-7은 INES의 등급별 평가기준을 대략적으로 설명하고 각국에서 실

제로 발생하였던 주요 사건사례를 등급별로 보여주고 있다.

10) 기존의 INES 사용자 매뉴얼(2001)에서는 등급 이하의 사건을 경미한 사건(Deviation)으로 정의하고, 안전과 무관한 사건은 등급 외 사건(out of scale)으로 규정하였다. 최근 발간된 최신 매뉴얼(2008)에서는 경미한 사건 및 등급 외 사건에 대한 정의가 제외되었다.

11) INES 사용자 최신 매뉴얼(2008)에서의 등급평가 기준은 아직 국내 원자력법상에 반영되지 않아 등급평가 지침과 관련된 기술 용어에 대한 공식적인 정의가 없으므로 본 보고서에 국한하여 사용한다.

Page 57: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51

제3장_방사선사고

표 3-6. INES 등급평가 기준

분 류 등 급기준 1

인간 및 환경기준 2

방사선방벽 및 관리기준 3

심층방어

7 대형사고

∙보건 및 환경에 대한 영향을 수반하는 방사성물질의 대량 외부누출

6 심각한 사고

∙ 방사성물질의 상당량 외부누출

5 광범위 위험사고

∙ 방사성물질의 한정적인 외부누출

∙ 방사선피폭으로 수명 사망

∙ 원자로 중대 손상∙ 방사성물질의 대량 소내누출

4 한정범위 위험사고

∙ 방사성물질의 소량 외부누출∙ 방사선피폭으로 최소 1명

사망

∙ 원자로 노심 상당 수준 손상으로 인한 Core Inventory 0.1% 이상 누출

∙ 방사성물질의 상당량 소내누출

3 심각한 사건

∙ 종사자 연간 법적 선량한도 10배 이상되는 방사선피폭

∙ 비치사 결정적 영향(예:화상)의 발현

∙ 작업구역(Operating Area)에서 1Sv/시간 이상의 선량률

∙ 설계단계에서 예측하지 못한 심각한 소내오염

∙ 심층방어 손상, 사고에 근접한 원자력발전소 사건

∙ 고방사능 밀봉선원의 분실 또는 도난

∙ 안전설비가 갖추어지지 않은 시설로 잘못 배달된 고방사능 밀봉선원

2사 건

∙ 10mSv 이상의 일반인 피폭∙ 종사자의 연간 법적 선량

한도 초과

∙ 작업구역(Operating Area)에서 50mSv/시간 이상의 선량률

∙ 설계단계에서 예측하지 못한 상당한 소내오염

∙ 심층방어의 상당 수준 실패∙ 안전방벽이 손상되지 않은 고

방사능 무적선원, 방사선기기 및 운반물 등

∙ 고방사능 밀봉선원의 부적절한 포장

1단순사건

∙ 일반인의 연간 법적 선량한도 초과

∙ 안전요소의 경미한 문제∙ 저방사능 밀봉선원, 방사선기기

및 운반물 등의 분실 또는 도난

등급이하

0 안전상 중요하지 않은 사건

Page 58: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52

표 3-7. INES 등급평가 주요 사건 사례

분 류 등 급기준 1

인간 및 환경기준 3

심층방어

7 대형사고

6 심각한사고

5 광범위

위험사고

Goiania 세슘(Cs-137) 오염사고(1987, 브라질)∙ 4명 사망 및 수 Gy 수준의 방사선피폭 6명

4 한정범위 위험사고

Fleurus 피폭사고(2006, 벨기에)∙ 대단위조사시설에서의 종사자 고선량피폭

3 심각한 사건

Yanango 비파괴검사 작업자 피폭(1999, 페루)∙ 비치사 결정적 영향(방사선 화상)의 발현

Ikitelli 선원분실사고(1999, 터키)∙ 고방사능 Co-60선원 분실사고

2사 건

비파괴검사 작업자 피폭(2005, 미국)∙ 종사자의 연간 법적 선량한도 초과

가속기 시설 사고(1995, 프랑스)∙ 가속기 시설 출입통제 실패

1단순사건

수분게이지 방사선기기 도난사고

이전의 매뉴얼은 방사선사건에 대한 등급평가 방법을 일부 제시하고는 있었지만 매뉴얼상의 등급평가

지침 대부분이 원자력발전소 사고 중심으로 등급평가 체계를 다루고 있었다. 이에 2002년 개최된 기술

검토 회의에서 운반 또는 방사선사건에 대한 추가적인 등급평가 지침 개발이 요구되었고, 2004년 추가

적인 지침의 초안이 완성되었다. 이 초안은 2004년 이후 많은 나라에서 검토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추

가지침의 최종본(2006)이 개발되었다. 이 추가지침은 기존의 원자력발전소 중심의 등급평가 지침과 통

합되어 2009년 INES 사용자 최신 매뉴얼(2008)이 최종 발간되게 되었다. INES 사용자 최신 매뉴얼

(2008)부터는 광범위한 방사선사건을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기는 하지만, ① 방사선원 보안 및 방사선원의

악의적 이용과 관련한 사건, ② 진료를 목적으로 방사선기기를 사용할 경우 종사자 및 일반인의 피폭을

유발하는 사건이 아닌, 환자의 방사선피폭과 관련한 사건의 경우에는 등급평가지침을 적용하지 않는다.

2) 사고에 따른 유형별 피해결과

1895년 뢴트겐에 의해 X선이 발견되고, 1896년 베크렐에 의해 우라늄 감광현상이 발견되고 나서부터

방사선사고의 역사가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초기의 방사선사고는 주로 X선에 의한 피부의 장해,

Page 59: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53

제3장_방사선사고

발적(發赤), 궤양, 피부암, 열상(熱傷)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후 방사선을 이용한 산업이 다양해

지면서 그에 따라 다양한 양상의 피해결과가 나타나게 된다.

사고에 따른 유형별 피해결과는 과피폭에 의한 사람의 사망, 신체의 일부 절단, 피부의 궤사 등 결정

론적인 피해(영향)와 암 또는 백혈병 발생확률 증가 등 확률적인 인적 피해나 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방사성물질의 누출, 확산에 따른 인체오염과 환경오염에 의한 피해가 있을 수 있는데, 오염에 의

한 인간 보건상의 피해보다는 오염을 제거하는 데 소요되는 천문학적이고 막대한 경제적 손실피해만 발

생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심리적인 피해를 빼놓을 수 없다. 원자력이나 방사선이라는 분야의

특성상 막연한 두려움과 공포로 인해 심리적 공황이나 불안이 발생하여 사회 전반의 모든 분야에 영향을

끼쳐 피해 정도를 가늠할 수도 없는 결과가 나타나기도 하며, 심지어는 심한 정치적인 부담으로까지 작

용하여 정권의 교체나 붕괴가 발생할 수도 있다.

피해의 특징을 분야별로 구분하여 생각해보면, 우선 의료분야 방사선사고의 피해 특징은 방사선치료

에서의 과잉조사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과잉조사의 결과로는 환자의 사망과 환자 및 의료진의 과피폭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예를 들어 1996년 8월부터 10월까지 코스타리카공화국의 산호세 병원에서 발생한

코발트(Co-60) 과잉조사는 다수의 환자를 사망케 했지만, 원인은 의외로 단순한 계산착오나 실수에 의

한 것이었다. 이러한 의료상의 피폭사고는 세계 각국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특히 방사선을 의학적인 분

야에 많이 사용하는 선진국에서 두드러지는 경향이 있다. 미국의 예를 살펴보면, 지금까지 모두 26명이

방사선사고로 사망하였는데 그중 21명은 병원에서의 의료실수에 의하여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의료

피폭의 세부적인 원인으로는 선량단위의 오인, 선량계산의 착오, 광자와 전자선을 착각한 잘못된 조사,

방사성동위원소의 과잉투여, 선원을 몸속에 두고 잊어버리는 일 등이다.

다음으로 산업분야, 특히 방사선 비파괴조사 분야에서의 특징은 작업자뿐만 아니라 방사선원과는 아

무런 관련이 없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사망이나 신체절단, 피부손상 등의 인명 피해로 이어지는 경우

가 많은데 공업용 조사선원의 사용 또는 수리, 공업용 γ선 사진촬영 과정, 그리고 선원관리의 부실에

의해 주로 발생한다. 이러한 사고는 품질관리가 제대로 갖추어지지 못하여 발생하는 문제로, 선진국보다

는 주로 개발도상국이나 후진국에서 빈번히 발생한다. 구체적인 사례로 2000년 5월 이집트에서는 천연

가스의 파이프라인 용접부 검사에서 이리듐(Ir-192) γ선원 방치에 의한 피폭으로 작업자가 아닌 일반인

2명이 사망한 사고가 발생하였으며, 1992년 중국에서는 방사선에 의한 돌연변이 이용 품종개량시설 철

거 시에 선원을 방치하여 인부와 그 가족 등 3명이 사망한 사고가 발생했다.

이러한 사고 외에도 화재, 폭발에 의한 선원손상, 분실, 도난에 따른 과피폭과 사회적・심리적 피해,

방사성물질의 누출에 의한 오염으로 광범위한 경제적・사회적 피해가 발생하기도 하고 운반 시의 사고

등으로 인해 과피폭과 오염이 발생하기도 한다.

3) 국내・외 사고 통계 분석

방사선사고는 방사선이 발견됨과 동시에 시작되었지만, 방사선의 이용 특성상 사고가 수집 및 분류되

어 통계 형태로 일반인들에게 소개되기 시작한 것은 1995년 유엔(UN)이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국제회의를 개최한 이후부터 사례가 보고되기 시작하였다. 당시 폴란드에서는 조선시설에서만 50건의

사고가 발생됨을 보고하였고, 구소련에서는 체르노빌사고 이외의 사고만 해도 139건에 달하였으며, 멕

시코에서는 과거 25년간에 69건의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Page 60: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54

국내의 방사선사고는 주로 방사성동위원소를 이동, 사용하는 비파괴검사 작업장에서 발생하거나, 의

료분야에서 방사선발생장치의 품질관리나 선량계산 오류에 기인한 과피폭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1) 전 세계의 방사선사고 통계

전 세계적으로 보고된 방사선사고 건수와 피해자 통계는 표 3-8을 통해 볼 수 있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국에서만 250건이 발생하였지만, 미국 이외의 국가에서 발생한 사고 건수는 182건에 불과

하다. 그것은 이 통계에 포함되지 못한 사고들이 많이 있을 수 있으며, 특히 냉전시대에 핵무기 개발

경쟁으로 인해 구소련과 동구권에서 발생한 사고는 다수가 알려지지 않고 영원히 묻혀 버렸음을 반증한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과거에 발생한 사고는 잘 알려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공식적인 통계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표 3-8. 세계의 주요 방사선사고(Major Radiation Accidents Worldwide Human Experience, 1944~2008)

사고 건수 관련된 사람 수 심각한 피폭 피해자 수 사망자 수

미국 250 1,358 796 26

미국 이외 국가 182 132,453 2,286 101

총계 432 133,811 3,082 127

출처 : Radiation Emergency Assistance Center / Training Site Radiation Accident Registries ORISE-EHSD-REACT/TS

그림 3-3 세계 주요 방사선사고의 연차적 변화 양상

방사선사고의 추이와 변화 양상은 그림 3-3에서 알 수 있듯이 군비경쟁이 끝나고부터는 임계사고 발생

건수가 크게 줄었지만,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방사성동위원소와 방사선장치의 사고는 크게 늘어났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방사선장치에 의한 사고는 1980년대를 기점으로 감소하기 시작한다.

Page 61: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55

제3장_방사선사고

그림 3-4 2012년도 IAEA Conference 발표자료

(2) 우리나라의 방사선사고 통계

우리나라에서 방사선을 처음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부터이지만 방사선사고 통계는 1970년

대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1970~1980년대의 사고 통계는 모든 사고가 포함되지 못하였고, 많은 수

의 사고가 보고되지 않거나 대응이 되었다 하더라도 통계에는 잡히지 못하였다. 우리나라의 방사선사고

통계는 2010년을 기준으로 총 65건의 사고가 공식적인 기록으로 남아 있다.

표 3-9. 연도별 방사선사고 발생 통계(1970~2010)

구 분2000년대

(2010년 12월 기준)1990년대 1980년대 1970년대 합 계

건수 21 22 18 4 65

표 3-10. 유형별 방사선사고 발생 통계

구 분 도 난 분 실 피 폭판 독특 이

오 염선 원관 리

기 타(화재 등)

합 계

건수 10 19 23 2 2 3 6 65

표 3-11. 산업분야별 방사선사고 발생 통계

구 분공 공기 관

교 육기 관

비파괴 산업체연 구기 관

의 료기 관

판 매업 체

합 계

건수 2 1 36 6 5 13 2 65

Page 62: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56

1981년부터 2010년까지 피폭에 의해 급성 방사선장해가 발생한 사람은 총 30명으로 집계되어 있다.

시설별로는 산업체 29명, 병원 1명이지만 모두 비파괴 전문 업체에서 발생하였다. 증상은 화상이나 피

부상해, 손가락 홍반, 복부피부 궤양, 손가락 절단 등이며 공식적인 사망자는 없었다.

방사선피폭에 의한 급성장해를 제외한 방사선사고의 유형은 방사선조사기 분실사고와 도난사고가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였고, 그 뒤를 이어 방사능오염사고와 화재사고가 뒤를 이었다.

그림 3-5 우리나라 방사선사고 통계 그래프

Page 63: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57

제3장_방사선사고

방사선사고 사례제2절

1 방사선사고 사례

1) 국외의 원자력발전소 사고

방사선사고의 범주에는 분류하기에 따라 원자력발전소나 핵무기 제조시설에서의 사고도 포함될 수 있

는데, 이러한 시설에서의 사고는 그 영향이나 범위가 매우 크고 광범위하여 인명 피해나 재산, 환경상의

피해 정도가 국가적 규모를 넘어 전 세계적 범위에 영향을 미치는 사고가 될 수도 있다.

영국의 윈드스케일(Windscale) 원자로 화재사고(1957)나 미국의 드리마일 섬(Three Mile Island)

원전사고(1979), 구소련의 체르노빌(현재의 우크라이나 북부) 원전사고(1986), 그리고 최근의 동일본

대지진이라는 자연재해로 인해 촉발된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2011) 등이 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대규모 사고는 그 원인과 경과가 복잡하고 영향이 매우 지대한 만큼, 여러 가지 관점과 각도에서

면밀히 분석되어 별도의 보고서나 책으로 나올 만큼 고려해야 할 것들과 다루어야 할 문제들이 다양하고

많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이미 전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대규모 원전사고에 대해서 심도 있게 다루지는

않으므로, 이러한 사고에 대해서는 별도의 문헌이나 자료를 참고하기를 권한다.

(1) 미국 드리마일 섬 원전사고(1979)

그림 3-6 미국 드리마일 섬(Three Mile Island) 원전의 모습

원자로 냉각장치의 펌프 고장으로 발생한 미국의 드리마일 섬 원전사고는 원자로의 압력과 온도가

올라가게 되면 압력 조절밸브가 자동으로 열리도록 설계되었는데, 압력이 다시 떨어지면서 밸브가 자동

으로 닫혀야 함에도 불구하고 밸브가 닫히지 않아 사고로 이어졌다. 주제어실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알

지 못하고 2시간 동안 밸브가 열린 상태로 운전을 계속하여 냉각수가 누출되었고, 설상가상으로 비상노

심냉각수를 인위적으로 차단하여 원자로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 핵연료가 녹아내려 원자로 바닥에 고착

되었다. 다행히 원자로 용기는 누설되지 않았지만 방사성물질 일부가 환경으로 누출되었다. 원자로의

핵연료가 녹아내리는 사고는 중대사고로 간주되지만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Page 64: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58

(2) 구소련(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원전사고(1986)

그림 3-7 사고 직후 체르노빌 원전의 모습(좌)과 사고에 의해 죽은 나무들의 붉은 숲(우)

그림 3-8 콘크리트 석관에 씌워진 체르노빌 원전의 모습

1986년 4월 26일 오전 1시 23분, 구소련의 체르노빌 원자로 4호기에서 발생한 사고로 원자로가

정지된 이후 터빈의 추력만으로 어느 정도의 전기 생산이 가능한지 여부를 실험하던 중 사고가 발생하

였다. 당시 비상노심 냉각장치를 인위적으로 끄고 시험을 진행하여 사고가 더욱 확대되었다. 이 사고는

인류 최악의 원자력사고로 기록되어 있으며, 그 영향 또한 최악이라 할 만한 사고였다. 원자로가 위치

해 있던 콘크리트 건물은 천장이 날아가고 외벽은 붕괴된 후 화염에 휩싸였으며, 원자로 내에 있던 방

사성물질은 폭발 바람을 타고 유럽을 비롯한 전 세계에 퍼졌다. 헬기 100여 대가 동원되어 붕소, 납,

진흙, 모래, 콘크리트 등을 살포하여 9일 만에 사고 진압에 성공하였다. 오염된 원자로는 자유의 여신

상이 그대로 들어갈 만한 거대한 석관을 씌워 밀폐하였으나 2015년이면 그 수명이 완료되므로 재보강

을 위한 공사 중에 있다.

Page 65: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59

제3장_방사선사고

그림 3-9 사고 진압에 투입된 세계 최대의 헬기 MI-26 헤일로의 모습

(사고 진압 후 오염된 헬기 100여 대를 매몰 처분하였다.)

그림 3-10 사고 후 거대한 석관에 씌워진 체르노빌 원전 4호기

사고로 인해 방출된 방사능 양은 1,200경Bq(10억Ci 이상)이며, 이는 히로시마 원자폭탄투하로 인한

방출량의 500배 이상에 해당한다. 기형아 출산, 기형가축의 발생, 식품 및 생태계 오염, 암 및 백혈병

환자의 급증이 보고되었고, 유럽의 환경방사능 준위가 사고 이전 평균 0.2Bq에 불과하였으나 사고 후

최고 600Bq까지 치솟았다고 한다. 사고에 투입된 처리 비용은 약 80억 루블(약 12조 7,000억 원)이며

사후 처리는 아직도 진행 중이다.

사고에 의한 피폭자는 치사량 수준의 수천mSv 이상 피폭자만 해도 수십 명이며, 단기 사망자만 47명

이었다. 방사선피폭에 의한 사망자 수는 총 56명으로 알려져 있다. 1Sv 이상의 피폭을 받은 사람만

255명이며, 원자로 반경 30㎞ 이내를 출입금지구역으로 설정하였다. 50mSv 이상의 피폭을 받은 주민

은 인근 프리피야트(Pripyat) 시민 11만 6,000명 중 10%인 1만 2,000명 정도가 될 것으로 평가되었

으며, 500mSv 이상 피폭된 사람은 주민 11만 6,000명 중 약 5% 정도가 될 것으로 평가되었다.

사고로 인해 관찰된 급성방사선증후군을 보인 환자는 99명이었으며, 선량과는 무관하였지만 시간당 피

폭된 선량률과 전구증상과는 강한 비례관계를 보였다고 한다. 지발성 장해인 백혈병 외에 다른 암은 통

Page 66: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60

계학적으로는 관찰 가능한 증가가 인정되지 않았다. 오염지역 주민들에게서 보인 영향은 주로 소아의 갑

상선 암과 백혈병 및 다른 암, 태내 피폭과 방사선 이외의 영향이 관찰되었다. 소아의 갑상선암은 방사선피

폭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었는데, 피폭량과의 비례관계가 선형이었으며, 소아 및 청소년이 성인보

다 더 위험하고 여자가 남자보다 위험하며, 잠복기는 5년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률은 약 10% 정

도로, 체르노빌 사고로 대중의 건강에 영향을 준 유일하고도 명백한 사실로 분류되어 있다. 1996년 국제

원자력기구의 보고에 따르면 ‘방사선에 기인하는 갑상선암의 과잉발생은 향후 10~20년 동안 볼 수 있을

것이며, 그 위험도는 사고 후 1개월 이내에 받은 갑상선 피폭의 선량에 관계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체르노빌 사고 시 갑상선 방호약의 지급시점은 현장 초동요원에 대해서는 1.5시간, 프리피야트 거주

자는 6.5시간, 30㎞ 반경 9만 명에 대한 지급 완료 시점은 5월 1일이었다.

사고 직후의 일반인의 방호조치는 4개 구간 기간으로 나누어서 이루어졌다.

① 처음 24시간 : 바람 부는 방향에 있는 사람들은 문과 창문을 닫고 실내에 남아 있는다. 옥소

(I-131)의 갑상선 흡수를 차단하기 위해 안정화요오드를 배급하기 시작했다.

② 1~7일 : 안전한 대피 경로를 설정한 후에 프리피야트에서 소개하였다. 제염 장소가 정해졌다.

키에프(Kiev) 지역을 대피시켰다. 대피한 사람의 총 수는 8만 8,000명 이상이었다.

③ 1~6주 : 대피한 사람의 총 수가 11만 5,000명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요오드화칼륨이 어린이

170만 명을 포함해서 540만 명의 (구)소련인들에게 투여되었다. 수만의 소가 오염지역에서 제거

되었다. 현지의 우유와 음식물이 많은 지역에 걸쳐 금지되었다.

④ 6주 후 : 대피 반경 30㎞가 3개의 소구역으로 나뉘어졌다. ㉮ 향후 전면적 출입금지 4~5㎞ 구역,

㉯ 제한된 사람에 한해 일정 시간 후에 다시 들어갈 수 있는 5~10 ㎞ 구역, ㉰ 사람들이 결국은

다시 돌아갈 10~30㎞ 구역이다.

사고 발생 4년 후 갑상선 장해의 증가가 관찰되기 시작하여 5~6년 후 갑상선암의 발생률이 급격하

게 상승하였다. 1995년 말까지의 진단으로 15세 미만의 아이 약 890명에서 암이 발생하였다. 체르노

빌 원전사고에 의한 지발성 영향은 갑상선암만이 과학적으로 증명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방사성 강하

물의 지리적 분포와 발생률의 증가가 잘 일치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즉, 방사성옥소에 의해서 오염되

었다고 생각되는 구역에 집중하여 암이 발생하였다. 또한 시간적 분포와 발생률도 잘 일치하였는데, 사

고 후 6개월 이내에 태어난 아이의 집단에서 갑상선암의 발생률 증가가 뚜렷하였다.

안정화요오드(KI)의 갑상선 방호는 노출 직전 또는 직후에 복용하여야 최대 효율을 가진다. 주민에

대한 옥내대피, 소개조치, 갑상선 방호약품의 복용시점이 모두 늦어지면서 이런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림 3-11 안정화요오드 복용 시점에 따른 갑상선 방호효율

Page 67: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61

제3장_방사선사고

특히 우크라이나 지역 주민들은 평소에도 갑상선에 안정옥소의 양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사고

후 급격한 방사성옥소(I-131)의 유입이 갑상선암의 발생을 더욱 증가시켰을 가능성도 있다.

그림 3-12 벨라루스에서 관찰된 진단 시점의 갑상선암 발생 연령대 분포

방사선 이외의 영향은 주로 심리적 영향으로 방사선피폭, 방사성낙진에 의한 자신의 건강장해 불안,

오염지역으로부터의 강제이주에 대한 불안 및 체르노빌 신드롬이 있다. 이는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영향으로 확대되었다.

체르노빌 사고 이후 방사성구름이 폴란드 지역을 통과할 것이 예상되어 대규모 인원에 대한 안정화요

오드 복용이 1회 이상 이루어졌다. 16세 이하 1,050만 명, 성인 700만 명이 복용하였다. 주요 부작용

은 아동의 2%에서 위장장애, 전체 1%에서 발진, 성인 2명에서 과민반응, 신생아 0.37%에서 갑상선자

극호르몬 증가가 관찰되었다. 대규모 인원에 대한 안정화요오드 투여를 통한 심각한 부작용 발생률은

성인은 100만 명당 1명, 소아에서는 1,000만 명당 1명으로 보고되었다.

(3) 후쿠시마 원전사고

그림 3-13 사고 직후의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Page 68: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62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사고(Fukushima Daiichi nuclear disaster) 또는 후쿠시마 원전사고(福

島原發事故)는 2011년 3월 11일, 도호쿠 지방 태평양 앞바다 지진과 그로 인한 쓰나미로 인해 3월 12

일에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의 냉각 시스템이 고장나기 시작하면서 발생한 원자력 사고이다. 현재

도 방사능 사건이 진행 중에 있다. 2011년 4월 12일, 일본 경제산업성 산하 원자력안전보안원은 후쿠

시마 원전 사고의 등급을 국제 원자력 사고 등급의 최고 단계인 7등급으로 상향해 동급인 체르노빌 원

자력발전소 사고와 비교되고 있다. 동일본 대지진이 발생함에 따라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의 모든

원전이 정지하였다는데, 중력 가속도는 설계치의 126%였으며, 이로 인해 시설에 큰 피해가 발생하였고,

모든 직원은 대피하였다. 또한 1, 2, 3호기가 정지하였다. 4호기는 정지 상태에 있었다.

그림 3-14 후쿠시마 제1원전 1, 2, 3, 4호기의 BWR 노형의 모습

이 지진으로 송전탑 1기가 붕괴되어 후쿠시마 제1원전은 전력을 상실하게 되었다. 발전소의 설비도

지진으로 손상되었다. 외부 전원의 손실로 인해 비상 전원(디젤발전기) 공급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큰

해일이 지진 41분 후인 오후 3시 27분에 덮쳤고, 이후 수차례에 걸쳐 원전을 덮쳤다. 지진 해일은 낮은

방파제를 넘어 시설을 크게 파괴하면서 지하실도 침수되었다. 지하에 있던 2, 4호기의 비상 전원은 수

몰되고, 보조 냉각 시스템 해수 펌프와 연료 탱크도 유실된다. 따라서 원자로는 모든 전원을 잃고(전체

정전), 비상 노심 냉각 장치(ECCS) 및 냉각수 순환 시스템을 움직일 수 없게 되었다. 게다가 냉각 해수

계통 펌프는 그릇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해일로 손상된다(최종 방열판 상실). 핵연료는 원

자로 정지 후에도 오랜 시간 동안 열을 발생하기 때문에 장시간 냉각이 되지 않을 경우 과열을 일으켜

사고로 연결된다. 후쿠시마 제1원전(1~4호기)은 해발 35m의 구릉을 표고 10m까지 깎아 건설한 뒤,

비상 전원을 지하에 설치했다. 도쿄 전력의 발표에 따르면, 지진으로 해일은 높이 14~15m 정도로 들

이닥쳤다고 한다.

원전 사고로 인해 대기, 토양, 고인 물, 바다, 지하수에 방사성물질이 누출되었다. 이러한 오염은 일

본 국외에 퍼지면서 일본 경제에 큰 영향을 주었다. 원자력안전보안원은 4월 18일, 1~3호기에 대한

연료 펠렛 피복관의 파괴(노심 손상)와 함께 연료 펠렛의 용융도 일어나고 있다고 처음으로 인정했다.

대기에 방출되었을 방사성물질의 양은 37경Bq(0.37페타베크렐) 이상으로 추산되고, 4월 12일에

INES 사고등급 평가상 잠정 7등급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도쿄 전력 자료에 근거하면, 2호기에서 누출

Page 69: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63

제3장_방사선사고

되는 고농도 오염수에 포함된 방사성물질의 양은 2011년 4월 19일 당시 330경Bq이라고 했다. 누출된

방사성물질이 해양과 지하수에 더 이상 퍼지지 않게 하고 정화하는 것이 또 하나의 과제이다. 따라서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아직도 현재 진행형이다.

주민 소개조치에 의해 후쿠시마 현민 20만 1,831명에 대해 오염 선별검사가 이루어졌다. 이 중 원전

사고 직후 설정한 표면오염도가 10만cpm 이상으로 측정된 경우는 102명으로, 0.05% 수준이었다. 적

절한 옥내대피가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표 3-12. 후쿠시마 원전사고 일지 및 소개(대피) 시기

일 자 시 각 내 용

2011년 3월 11일 21시 23분 1원전 1호기 3㎞ 반경 거주자 소개

2011년 3월 12일 05시 44분 1원전 1호기 10㎞ 반경 거주자 소개

15시 36분 1원전 1호기 수소 폭발

17시 39분 2원전 10㎞ 반경 거주자 소개

18시 25분 1원전 20㎞ 반경 거주자 소개

2011년 3월 13일 20㎞ 반경 내 병원 및 시설에 약 700명 환자 미대피 상태

00시 47분 20㎞ 반경 내 병원 및 시설내 환자 소개령 발동

11시 01분 1원전 3호기 수소 폭발

2011년 3월 15일 1원전 20~30㎞ 옥내 거주(indoor stay) 상태

06시 00분 2, 4호기 폭발(오전 0.09에서 오후 24.08μSv/hr로 상승)

11시 00분 1원전 20~30㎞ 범위 옥내 대피령

15시 00분 1원전 20㎞ 지역 내 모든 거주자 대피 완료

2011년 3월 25일 일 관방장관 1원전 20~30㎞ 자발적 대피구역 권고

그림 3-15 후쿠시마 원전사고 당시 기류방향(좌)과 해양오염 모습 예측도(우)

Page 70: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64

그림 3-16 일본 문부과학성이 발표한 2011년 9월 18일 기준으로 한 공간선량률(좌) 및 토양오염도(우) 실측지도

그림 3-17 후쿠시마 제1원전 주변에 설정된 피난구역 설정 상황(2012년 말 기준)

Page 71: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65

제3장_방사선사고

표 3-13. 후쿠시마 원전사고 수습 참여자들의 선량 분포(1차 평가결과)단위: 명

 선량(mSv)2011년 3월 2011년 4월

동경전력 협력사 합 계 동경전력 협력사 합 계

>250 6 0 6 0 0 0

200~250 1 2 3 0 0 0

150~200 12 2 14 0 0 0

100~150 72 16 88 0 0 0

50~100 195 106 301 2 8 10

20~50 504 309 813 18 78 96

10~20 489 428 917 31 248 279

10> 354 1,042 1,396 645 2,224 2,869

최대(mSv)

670.4 238.4 670.4 74.2 88.2 88.2

평균(mSv)

31.7 15.7 23.1 3.0 4.5 4.2

총계(명) 1,633 1,905 3,538 696 2,558 3,254

일본에서는 비상상황 시 작업종사자의 선량한도를 최대 100mSv로 규정하고 있었으나, 사고 수습을

위해 2011년 3월 14일에 250mSv로 상향조정하였다. 2011년 3월 종사자에 대한 1차 평가 결과, 6명이

외부 및 내부 피폭에 의해 250mSv 초과자가 발생하였으나 급성방사선증후군이 유발된 경우는 보고되

지 않았다. 2012년 1월부터는 선량한도를 연간 50mSv로 다시 낮추었다. 후쿠시마 현에서는 주민의

외부피폭 평가를 위한 조사를 대대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된 주민의 이

동 경로와 방사성물질 확산 및 외부 방사선량에 대한 스피디(SPEEDI) 시뮬레이션 결과를 함께 활용하

여 주민의 피폭선량을 추정한다. 2011년 12월 발표된 선행조사 결과에 의하면, 사고 후 4개월에 대해

추정할 수 있는 최대 외부 피폭선량은 23mSv였으며, 99% 이상이 10mSv 이하, 58%가 1mSv 이하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설문에 대한 답변이 계속 회수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수정되어 발표되고 있다.

표 3-14. 한국원자력학회 후쿠시마위원회가 도출한 사고의 교훈

분 야 교 훈

안전 철학 및확보체계 강화

1) 원전 안전을 위한 심층방어 전략을 보완하고 강화시켜야 한다.2) 원전 안전 목표에 인명손실 측면과 사회적 위기 측면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3) 방사선안전 기준, 비상대피 기준 등의 정비와 국제적 조화가 필요하다.4) 규제기관의 독립성과 전문성이 매우 중요하다.5) 안전에 대한 운영기관의 책임이 더 강조되고 관련 인프라가 강화되어야 한다.

중대사고예방을 위한설계 안전성

강화

1) 자연재해에 대한 설계 기준을 재검토하고 대응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2) 전원공급계통의 다양성과 신뢰성을 강화해야 한다.3) 피동 안전성 강화를 통해 붕괴열 제거의 신뢰성을 계속 향상시켜야 한다.4) 원전 설계 및 운영에서 리스크 정보를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5) 사용 후 연료저장조의 안전특성을 재확인하고 강화할 필요가 있다.

중대사고대처능력 강화

1) 원전의 중대사고를 가정하고 현실적인 대응능력을 갖추어야 한다.2) 극한적 중대사고 대응까지를 포함하여 원전 절차서들이 개선되어야 한다.3) 사고 대응에 중요한 계측기 등 원전 상태 감시설비가 보강되어야 한다.4) 사고 대응은 최상의 매뉴얼 구비와 함께 인간의 창의성에도 의존해야 한다.

Page 72: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66

분 야 교 훈

비상대응(방재)체계 강화

1) 대형 사고에 대비한 비상대응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2) 비상대응시설은 사고 시의 악화된 환경을 고려하여 구축되어야 한다.3) 신뢰성 있는 방사선 감시체계와 신속한 방사능 확산・3영향 평가가 중요하다.4) 원자력시설 사고에 대비한 의료대응체계가 준비되어야 한다.5) 사고 대응 종사자의 방사선 피폭선량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6) 원전사고에 대비한 소통체계가 강화되어야 한다.7) 인접국가 원전 정보를 확보하고 사고 영향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안전 기반 강화1) 원자력 안전문화가 체질화되고 독립적으로 평가되어야 한다.2) 원자력 안전연구가 강화되고 성과가 공유되어야 한다.3) 방사선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강화되어야 한다.

2) 국외의 핵물질 임계사고

(1) 일본 JCO 핵연료 가공공장의 핵 임계사고(1999)

1999년 일본 토카이무라(東海村) 소재 JCO 핵연료 가공공장에서 발생한 임계사고로 원래는 이산화

우라늄 분말을 질산에 녹여서 잘 섞은 다음, 조금씩 침전조에 부어야 하는 작업절차를 무시하고 이산화

우라늄 분말을 그냥 침전조에 들이부어 임계가 발생하였다. 우라늄의 양이 16㎏을 초과해서 임계가 시

작되었으며, 인부 3명이 피폭되고 출동한 소방관 3명도 피폭되었다. 사고 발생 한 시간 후에 중앙에

보고되고 사고 발생 4시간 30분 이후 주민대피가 시작되었다. 당시 반경 500m 이내에는 100가구 이

상이 거주 중이었다. 인부 3명은 NIRS(National Institute of Radiological Science, 방사선의학총합

연구소)로 후송되었다. 이들 3명의 피폭 등가선량은 각각 18.4 Gy, 10.4 Gy, 2.53 Gy로, 이들 중 2명

이 2~3개월 후 사망하였다. 붕산수를 침전조에 주입하고서야 사고가 수습되었고, 사건 이후 해당공장

은 폐쇄되었다. JCO 관련자 6명은 집행유예가 선고되고 JCO에는 100만 엔(약 1,000만 원)의 벌금을

선고받은 후 폐업되었다. 이 사고는 안전불감증이 빚어낸 사고의 전형으로 알려져 있다.

Radiation Health Research Center

B

C

AB

오염된 옷

C

A침전조

사고시 작업 상황도

그림 3-18 토카이무라, 일본 JCO 핵연료 처리사업소의 방사선사고 시 작업 상황도

Page 73: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67

제3장_방사선사고

그림 3-19 81일 만에 사망한 오우치 히사시 씨 그림 3-20 사고 당시 NIRS 의료진 대응

2 국내・외 방사선원에 의한 사고사례

1) 국내 방사선원에 의한 사고사례

(1) 비파괴작업자 과피폭 손가락 절단 사고(1989)

1989년 4월 배관 용접부위 비파괴검사 도중 발생한 사고로 방사선조사기(Ir-192, 38 Ci) Remote

Controller의 wire가 끊어져 선원이 조사기의 Container로 되돌아가지 않고 Front Guide tube에 남

아 있었으나, 이를 작업자가 인지하지 못하고 손으로 Guide tube를 잡으면서 과피폭된 사고이다.

사고 당시 종사자는 개인법정선량계 등 어떠한 선량계도 착용하지 않고 있었으며, 사고 사실을 1년간

신고나 보고도 하지 않았다.

그림 3-21 방사선조사기(좌)와 손가락 두 마디가 절단된 피해자의 손(우)

이 사고로 작업자는 손가락 두 마디를 절단해야 했으며, 나중에 사고가 알려져 당시의 피폭선량을

평가해본 결과, 전신에 540mSv, 손에 54Sv 정도의 방사선피폭이 발생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Page 74: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68

(2) 김해 D항공 비파괴검사 중 과피폭 사고(1999)

그림 3-22 사고 당시를 재현하여 팬텀으로 선량을 평가하는 모습

1999년 2월 20일 X선 발생장치(165 kev/5mA)를 이용하여 2명의 정비공이 항공기 날개 이음부위

에 대한 비파괴검사 작업도중 방사선발생장치 고장으로 방사선 과피폭사고가 발생하였다. 방사선발생

장치의 Control Box에서 방사선조사 시간을 4.5분으로 설정하고 X선 스위치를 ‘ON’시킨 후, 설정시

간이 경과한 후 자동적으로 스위치가 ‘OFF’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지 않은 채 다음 촬영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타이머 고장 및 오작동으로 피폭이 발생하였다. 피폭 시간은 5㎝ 거리에서 약 2~3분, 120㎝

거리에서 4~5분간 노출되었다. 한 작업자의 오른손과 왼손의 손가락, 손바닥, 손등에서 궤양이 발생하였

으며 전신 피폭량은 약 1,130 mSv로 평가되었고, 손에만 55 Gy의 피폭이 발생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림 3-23 사고로 인해 손상된 피해자의 손

Page 75: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69

제3장_방사선사고

(3) 울산 D검사 비파괴조사기 손상 및 오염사고(2000)

그림 3-24 울산 D검사 사무실 위치(좌)와 수거된 폐기물 드럼(우)

2000년 11월 22일 02:30경 울산 남구 울산출장소에 위치한 D검사업체 저장실에서 작업자(43세)가

선원 안내튜브 끝부분에 고착되어 있는 이리듐(Ir-192) 선원(약 20 Ci)을 방사선조사기 내로 회수하기

위해 울산출장소 저장실에서 튜브 끝부분을 그라인더로 제거하는 과정에서 선원 캡슐이 파손・분산되

었고, 작업자가 오염된 의복 및 신발을 입은 채로 건물앞 도로까지 나옴으로써 사무실 및 주변 도로

일부가 오염되었다.

그림 3-25 비파괴검사용 조사장치(좌)와 D검사업체 사무실이 위치한 거리의 모습(우)

사고 신고를 접수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방사선방호전문가를 현장에 급파하고(11월 22일,

09:00) 당시 과학기술부 방사선안전과와 현장사고대책본부를 구성하였다. 사고 대응을 위하여 측정

및 출입통제를 실시하고 피폭된 작업자를 한일병원으로 후송(11:40)하였으며, 사고복구 지원반으로

KINS 직원들과 당시 한전 원자력발전소의 방사선관리전문요원(고리 제2원자력, 한일원자력) 80명이

사고를 수습하였다. 파손된 선원은 특수 운반용기 3대를 제작하여 회수조치(11월 23~24일)했으며, 주변

도로 등 인근 오염지역에 대한 제염조치를 실시하였다(11월 23~30일). 이후 오염지역의 측정, 통제, 제

염작업 후 폐기물 처리를 하였다. 방사성폐기물은 200리터 드럼 75개와 50리터 드럼 24개가 발생하였으며,

Page 76: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70

그림 3-26 사고 장소 주변의 방사선량률 측정 결과

모두 원자력환경기술원(NETEC)에 위탁 폐기하였다. 사고 사무실에 대한 제염조치(12월 12~22일) 후

여기서 발생된 폐기물은 200리터 드럼 9개와 50리터 드럼 9개가 발생되었고, 이 역시 원자력환경기술원

에 위탁 폐기하였다. 그리고 주민설명회를 11월 25일에 개최하였다. 11월 27일과 29일에는 주변 주민에

대한 오염검사와 건강진단을 실시하고, 11월 30일에는 제염작업 후 주민대표 및 시민대표와 공동으로

오염 여부를 측정하였다. 사고당시 작업자는 특별한 방사선장해를 보이지 않았으며, 한 달 후 병원에서

퇴원하였다. 이 사건에서 적발된 주요 위반사항은 원자력법상 기준준수의무 등 위반(법 제71조), 운반

기준 위반(법 제87조), 안전관리규정 위반(법 제65조 제5항), 장해방어조치 보고내용 미흡(법 제98조

제1항), 방사선장해방지조치 미흡(법 제97조 제1항)이었다.

위반사항에 대한 조치로 위법사항 통고, 청문 등 사실관계 확인 후 사고업체 허가취소 또는 업무정지

및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고발조치하였으며, 작업자에 대하여는

과태료 부과 등의 조치를 취하였다. 방사성폐기물 위탁폐기에 소요된 비용은 약 2억 원, 사고 수습에

따른 기타 제반 비용으로 6억 원이 소요되었다. 건물주에 의한 손해배상 행정소송에서는 약 5억 5,000

만 원이 청구되었으나, 2003년 9월 D검사가 건물 주인에게 총 5,200만 원의 손해배상을 하도록 한

판결을 비롯하여 주민 피해보상금에 약 1억 원이 소요되었다. 해당 건물 주인은 2003년 10월 항소제

기, 2006년 2월 상고를 제기하였다가 2006년 4월 상고를 취하시켰다.

(4) 비파괴검사업체의 작업자 과피폭사고(2004)

2004년 3월 18일 02:00~04:00시경 비파괴검사업체인 K검사에서 열 교환기 파이프 용접공사를 하던

작업자가 패용하고 있던 알람미터의 고장 사실을 모른 채 이리듐(Ir-192) 선원(43 Ci)을 2시간 동안

약 40회가량 접촉하던 중, 3분 정도 피폭한 사고로 손에 심한 화상을 입고 피부가 궤사한 사고이다.

Page 77: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71

제3장_방사선사고

그림 3-27 사고발생 7개월 후인 2004년 10월 7일 피해자의 손 상태

(5) 인천시 중구 방사선투과검사기 분실사고(2010)

2010년 9월 13일 09:00시, 인천시 중구에서 작업자 2인이 이동형 γ선 조사장치를 방치하였다가

마침 이곳을 지나던 고철수집상이 고철로 여겨 수거해간 사고이다.

그림 3-28 분실된 조사기 위치

2) 국외 방사선원에 의한 사고사례

(1) 브라질 고이아니아 세슘 오염 사고(1987)

그림 3-29 브라질 고이아니아 시의 위치와 시의 모습(좌), IAEA 보고서에 실린 고이아니아 사고(우)

Page 78: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72

그림 3-30 사고 시 문제가 된 세슘(Cs-137) 선원의 형태(좌)와 염화세슘의 모습(우)

1985년 브라질의 고이아니아 지방에 암 전문 의료원이 새 건물로 이전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법적

분쟁이 발생하여 철거가 지연되면서, 법원에서는 시설을 철거하지 못하게 하고 고준위의 세슘

(Cs-137) 방사선 암 치료기를 낡은 건물에 방치하였다. 기계에 들어 있는 염화세슘을 감시하기 위해

경비원이 고용되었지만, 1987년 9월 13일 이 경비원이 무단결근하게 된다. 이때 주위에 살던 ‘아우베스’와

‘파헤이라’라는 두 청년이 아무도 없는 버려진 병원에 난입해서 문제의 의료기기를 발견하고, 돈이 될까

싶어 장치를 뜯어서 집으로 가져갔다. 이들은 기기를 해체하다가 주먹보다 약간 작은 크기의 염화세슘이

봉입된 캡슐을 꺼내게 되었고, γ선의 영향으로 구토, 설사 등의 방사선피폭 증세를 보였지만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캡슐을 해체하며 증세가 더욱 심해지자 인근의 동네 병원을 찾았지만, 의사는 상한 음식

을 먹어서 생긴 알레르기 증상이라고 진단하게 된다. 결국 며칠 후 캡슐을 완전히 부숴 내부의 염화세

슘을 누출시켜 확산이 진행되었다. 밤에 캡슐 안에서 신비한 푸른 빛(체렌코프 현상으로 생긴 체렌코프

광)이 발산되는 것을 보고 문제의 캡슐을 25달러에 고물상 주인에게 팔아버린다. 이 가루를 신기하게

생각한 고물상 주인은 이웃들을 초대해서 보여주고 가루를 인근 친지들에게 나눠주었다. 심지어 그들

중 일부는 이것을 피부에 바르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방사능 피폭 증세를 보여 병원을

찾았으나 의사들은 열대성 질병으로 진단하여 이들은 열대병 병원으로 이송하였다. 가루 중 일부를 가

져간 사람은 이것을 자신의 6살짜리 딸에게 보여주었으며, 가루 일부를 먹였고, 딸의 엄마인 마리아에

게도 그 가루를 보여주었다. 약 보름 후, 주변 사람들이 동시에 아프기 시작하자 이를 이상하게 여긴

마리아는 1987년 9월 28일에 문제의 가루 약간을 가지고 동물병원에 갔다. 수의사는 시립병원에 가보

라고 충고하였고, 마리아는 이 가루를 들고 버스를 타고 보건소에도 가보고 군병원에도 방문하였다. 이

와중에 많은 사람들이 오염되었다.

드디어 이 가루의 정체가 판명되자 도시에 비상이 걸렸다. 브라질 정부 소속 원자력위원회의 전문가가

조사를 시작하였다. 8개 지구 25가구가 오염되었고, 250여 명에게서 오염이 발견되었다. 도시 전체가

패닉 상태에 빠지고, 가루를 먹은 6살짜리 딸은 6Sv의 피폭으로 10월 23일 사망하였다. 최초 신고자인

어머니 마리아 역시 5.5Sv 피폭으로 같은 날 사망하였다. 이들의 시체는 납으로 된 무게 600㎏ 이상의

관에 밀봉하였으나, 장례식장에서 방사능 공포에 질린 수많은 사람들이 “도시 안에 그걸 묻으면 안 된다.”

며 돌을 던지기도 하였다. 고물상의 고용인으로 일하다 세슘 가루를 의료장비에서 꺼냈던 사람은 4.5Sv

의 피폭으로 10월 27일에 사망하고, 고물상 주인은 5Sv의 피폭으로 그 다음날 사망하였다. 함께 캡슐을

파손했던 사람은 한쪽 팔을 절단하였다. 오염 여부를 검진받은 사람이 11만여 명이며, 약 250명에게서

방사능 오염이 검출되었다. 20명의 환자가 입원치료를 받았고, 12월 말까지 해당 지역의 오염된 건물

Page 79: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73

제3장_방사선사고

등을 모두 해체하였다. 건물은 약 1m 깊이까지 파내어 오염 폐기물, 토양과 건축자재까지 폐기물 처리

를 하였고, 휴지 및 폐지뿐만 아니라 각종 약품과 진공청소기까지 동원하여 제염작업을 하였다. 오염된

가옥은 모두 101채였으며, 도로를 포함한 공공장소 오염 58군데, 오염된 차량은 68대에 이르렀다.

수거된 방사성폐기물의 양이 200리터짜리 드럼으로 3,800드럼, 5톤짜리 금속 컨테이너 1,400개, 선

박용 컨테이너(32㎡) 10개 등, 총 3,500㎡의 오염된 물질이 수거되었다. 이 폐기물들은 약 25㎞ 떨어

진 고이아니아 교외의 아바디아(Abadia)에 임시 보관 장소로 운반하여 보관 중이다. 가장 오염이 심했

던 폐품 해체 장소의 지상 1m 높이에서의 선량률이 시간당 2Sv에 달하기도 했다. 원전시설이나 재처

리시설을 제외한 단일 방사선원 사고로는 최악의 사고로 꼽히고 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에서는 국제원자력사고등급(INES) 5등급 사고로 규정하였다. 이 사고를 대응

하기 위해 미국・서독・헝가리・프랑스・영국・이스라엘・네덜란드・아르헨티나・국제원자력기구・세계보건기

구(WHO)・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 등에서 방사선 방호를 지원하였고, 미국・소련・아르헨티나・일본에서 의료진을 파견하였다. 다수의 오염자가 발생한 것에 대한 의료대응을 위해서 올림픽경기장을 분

류 장소(Triage station)로 이용하였고, 지역병원에서 1차 진료, 고이아니아 종합병원이 2차 진료, 마

르실리오 해군병원이 3차 진료를 담당하였고 국제협력대응이 이루어졌다.

그림 3-31 오염된 가옥과 건물을 철거하는 모습

그림 3-32 아바디아 임시저장소에 야적된 방사성폐기물 모습

사고의 영향으로 인구 11만 2,800명이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방사능 오염검사를 받았으며, 271명에

게서 인체 내・외부 오염이 발견되고, 이 중 120명은 신발과 의복에서만 오염이 발견되었지만 151명은

피부까지 오염되었다. 20명이 급성방사선증후군을 보여 입원하였고, 이 중 14명이 골수억제 소견을

Page 80: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74

보였다. 모두 4명이 사망하고 28명이 국소피폭으로 여러 정도의 방사선 화상을 입었으며, 4명은 신체

의 일부를 절단하였다. 129명에 대한 생물학적 선량평가(biological dosimetry: biodosimtery)가 이

루어졌다(표 3-15). 복구비용은 2,000만 달러(약 200억 원)가 소요되었다.

내부오염에 대해서는 전신계수기검사를 통해 내부피폭선량을 평가하면서 46명에 대해 Prussian

blue를 이용하여 치료하였다. 정상 성인의 경우 세슘(Cs-137)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약 110일 정도이

지만 프러시안블루(Prussian blue)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1/3 수준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 증명되

었으며, 변비증상 외에는 특이한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어 안전한 방호약품으로 평가되었다.

표 3-15. 생물학적 선량평가를 통한 피폭선량 평가

생물학적 선량평가 결과(Gy) 인 원(명)

<0.1~0.49 105

0.50~0.99 8

1.00~1.99 8

2.00~2.99 3

3.00~3.99 2

4.00~4.99 2

5.00~5.99 1

Total 129

그림 3-33 고이아니아 사고에 의해 피폭된 피해자의 모습

그림 3-34 오염검사를 받고 있는 고이아니아 시민들

Page 81: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75

제3장_방사선사고

그림 3-35 프러시안블루(Prussian blue)를 경구복용하는 경우 세슘(Cs-137)에 대해 위장관계에서 감청하여 배변으로 배출하는 작용기전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생체시료 평가 결과

그림 3-36 프러시안블루를 복용하는 동안은 A와 같은 감소 비율을 보이고, 지속 사용할 경우 예상되는 체내 잔류량(점선)과 복용을 중단할 경우의 체내 잔류량(B)

(2) 이란의 무적선원에 의한 과피폭 사고(1996)

단열 작업을 하던 이란의 한 작업자가 1996년 7월에 분실된 이리듐(Ir-192) 선원을 발견하고, 이를

자신의 앞주머니에 넣고 약 1.5시간 동안 피폭한 사고이다. 초기 증상으로 가슴부위에서 홍반과 궤양이

발생하고 3주 후에는 혈액 내 혈구 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후 이 작업자는 프랑스 파리로 옮겨져

피부이식 등 두 달간의 치료를 받았으며, 조혈모세포 억제 증상에 대해 프랑스 큐리센터로 이송 후 급성

방사선증후군에 대한 치료 이후 약 1년간 이란의 테헤란에서 국제원자력기구의 파견팀으로부터 치료를

받아 회복되었다.

Page 82: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76

3 외국의 방사선 의료사고

의료 방사선이란 진단용 X선 발생장치를 비롯하여 방사성동위원소를 체내・외 진단에 사용하는데, 체

외진단(in vitro)에는 주로 간염검사와 갑상선 검사에 옥소(I-125) RIA(Radioimmunoassay)가 사용되

고, 체내진단(in vivo)에는 옥소(I-131)를 이용한 갑상선 진단과 테크네슘(Tc-99m)을 이용한 다양한

검사(SPECT), 그리고 C-11, F-18, N-13, O-15 등을 이용한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이 사용되며,

그 외 Ga-67, Tl-201, In-111, Au-198 등 다양한 핵종이 사용된다. 이러한 진단에 사용되는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는 세기가 매우 약하여 사고로 이어지기는 어려우며, 주로 강한 방사선원이 사용되는

치료분야에서 사고가 발생한다.

치료는 고에너지 방사선가속기를 이용한 빔 치료와 방사선동위원소를 내장한 조사장치(Tele-therapy)

에 의한 빔 치료가 있다. 빔 치료의 경우에는 선량 계산을 잘못하거나 장비의 품질에 문제가 생기면 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밀봉방사성동위원소를 암 등의 부위에 삽입하여 치료하거나 자궁과 같은 강 내에 이리듐

(Ir-192) 등을 삽입하여 치료하는 Brachy-therapy 치료의 종류는 매우 작은 바늘 형태의 선원을 사용

하므로 분실이나 파손에 의한 사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이리듐(Ir-192)과 같은 방사성동위원소를 인체 내에 직접 삽입하여 치료를 하는 방법은 주변

사람에게 과피폭을 주거나 선량의 오류로 인해서 과피폭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림 3-37 치료용 조사기

1) 폴란드 의료방사선 사고(2001. 2. 27)

폴란드의 Bialystock Oncology Center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던 5명의 환자가 과피폭된 사고

사례이다. 환자 치료 중 선형가속기의 전원이 소실되었고, 재전류 공급이 이루어져 장비는 재가동되었으

나 계획된 치료선량보다 과다한 피폭이 이루어졌다. 피폭받은 조직의 갈비뼈를 이용하여 전자상자성공

명(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방법을 통해 재구성한 피폭선량은 60~80 Gy에 이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국소방사선손상으로 인해 피부이식 수술을 받아야 했다.

Page 83: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77

제3장_방사선사고

(A) (B) (C)

그림 3-38 (A)사고 피폭 후 9개월 경과 후 창상 모습, (B)14개월 경과한 모습, (C)피부이식 수술 후 창상 회복 모습

4 기타 사고(국내・외 대단위 조사시설 또는 연구실 사고)

대단위 조사시설은 주로 식품, 농・축산물 및 의료기기의 멸균과 소독을 위해 행해지는 것으로, 주된

선원은 에너지가 높은 코발트(Co-60) 선원이 사용되고 방사능은 500~1,000,000Ci 정도가 사용된다.

다중 차폐된 조사실 내에서 작동하며, 선원이 노출되어 있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조사실 출입구가 잠기는

인터록(inter-lock) 장치 등 다중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러한 장치에 고장이 생기면 사고로 이

어질 수 있다.

그림 3-39 일반적인 대단위 방사선조사시설의 모습

1) 산살바도르 조사시설의 방사선피폭 사고(1989)

1989년 5월 2일 의료용품의 멸균을 위한 조사시설에서 발생한 사고이다.

선원은 막대모양의 코발트(Co-60) 펜슬선원 54개로 구성된 수직 병렬 2단으로 구성된 선원받침대를

사용하는 조사장비였다.

제조업체에서는 다른 국가에서 설치된 동일 장비에서 컨베이어벨트 위에 놓이는 조사시킬 물품을 담

는 박스가 파손되어 선원받침대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것이 확인되자 교체할 것을 권고하였으나, 임시적

으로만 수리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Page 84: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78

컨베이어벨트에서 손상된 박스가 넘어지면서 선원을 이동시키는 케이블의 움직임을 방해하게 되었고,

느슨해진 선원 케이블을 원상복구하기 위해 작업자 A가 제어반에서 선원이 켜져 있는 신호를 무시하고

조사시설로 진입하였다. 혼자 작업하기가 어렵다고 생각한 A는 동료 B, C와 함께 들어가 선원 위치를

바로잡기 위해 작업을 하였고, 총 작업시간은 약 5분 정도였다. 작업자 A, B, C의 작업 자세에 의해 신

체부위별 피폭선량은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임상 양상의 차이로 나타났다.

그림 3-40 사고 조사시설에서 사용하는 선원 그림 3-41 조사시설 구조도

그림 3-42 조사물품 상자의 파열로 인해 컨베이어벨트 움직임을 방해

그림 3-43 피폭받은 작업자의 작업 형태

Page 85: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79

제3장_방사선사고

그림 3-44 피폭받은 작업자의 신체부위별 피폭 정도

그림 3-45 종사자 A의 국소방사선화상 병변

그림 3-46 종사자 B의 국소방사선화상 병변 그림 3-47 종사자 C의 국소방사선화상 병변

Page 86: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80

방사선사고의 교훈과 시사점제3절

1 방사선사고의 특징과 교훈

브라질의 고이아니아 사고가 우리에게 시사하는 점은 원전이나 핵주기시설과 같은 대형시설에서의 사

고가 아니더라도 불특정 다수에게 방사선피폭을 초래하는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오감으

로는 감지하기 어려운 방사선의 특성상 사고 초기에 발견이 어렵다는 점과, 방사성 선원이 고철이나 혹

은 귀한 자원, 물건이 될 수 있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방사선이나 방사성물질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대다수의 일반인들에게는 소규모의 방사선원만으로도 경우에 따라서는 치명적인 사고로 이

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방사선사고는 초기의 적절한 대응과 신속한 통제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오염

확산의 통제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오염된 사람과 지역의 통제, 하수와 지표수 및 토양 오염

의 통제 등이다. 오염 확산을 초기에 통제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최종 오염의 제거와 처리 등 사후 처리

에 막대한 비용과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일단 방사선사고에 대한 내용이나 가능성이 일반인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하면 방사선의 위험에

대한 과학적 이해가 어려운 일반인들은 실제보다 훨씬 더 위협적인 상황으로 사고를 받아들이게 된다.

특히 오감으로 인지가 불가능하다는 점이 더욱 큰 불안감을 유발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방사선의

영향이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더라도 회복할 수 없는 손상이나 장애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공포감을

유발하고 심지어는 경험이 있는 방사선작업자도 심각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는다. 이는 히로시마 원폭,

체르노빌 원전사고 등의 역사적 사건으로 인해 강화된 부정적 이미지가 더욱더 두려움을 가중시키는 것

도 한 이유이다. 특히 어린이나 어린이의 부모, 임산부는 더욱 큰 공포감과 불안감에 시달리게 되어 극

단적인 경우에는 사회적으로 통제가 곤란한 상황이 올 수도 있고, 장기적으로는 개인의 만성스트레스,

사회제도에 대한 신뢰상실, 오염 관련 징후나 제염에 관련된 사회적 논쟁으로 복구활동의 지연이나 방

해, 사회불안과 경제 불황까지 닥칠 수도 있다. 이런 점에서 방사선사고는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고 특별하다고 할 수 있다.

2 사고 확대방지 조치

사고 확대방지 조치란 연쇄사고 또는 2차 사고를 막고, 본격적인 사고수습 이전에 행해야 할 꼭 필요

한 응급처치활동, 사고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해야 할 조치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인명구조 및 더 큰 사고로의 이행을 막기 위한 꼭 필요한 조치만 취해야 하며, 사고원인 규명을

위한 증거나 단서까지 인멸해서는 안 된다. 사고 확대방지 조치에는 4가지 원칙이 존재한다. 첫째, 응급

조치, 둘째, 사고의 통보, 셋째, 이상피폭 시 조치, 넷째, 오염방지 원칙이다. 사고 확대방지 조치에 대한

원칙들을 하나씩 살펴보자.

Page 87: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81

제3장_방사선사고

1) 응급조치의 원칙

‘원자력시설 등의 방호 및 방사능방재대책법 시행규칙 제14조(응급조치 등) ① 원자력사업자는 법 제

21조 제1항 제4호의 규정에 의하여 방사선사고 확대 방지를 위한 응급조치를 하는 경우에는 영 제22조

제1항 제5호 및 이 규칙 별표3 제5호의 규정에 의한 응급조치를 하여야 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법에서 말하는 응급조치의 원칙은 방사선시설에서 폭발, 지진, 화재 등에 의한 이상사태나 오염, 피폭

등의 방사선사고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을 때에는 다음 원칙에 따라 임시 응급처치를 하여야

한다.

첫째, 안전보호의 원칙이다. 이는 인명구조를 최우선으로 하고 물질의 손상배려는 차선으로 하는 것이다.

둘째는 통보의 원칙으로, 인근의 사람, 책임자 등 사고의 신속한 전파가 두 번째로 취해야 할 원칙이다.

세 번째는 확대 방지의 원칙으로, 오염확산 등의 방지를 중점으로 하며 이때 방사선피폭을 고려하고, 화재

시에는 초기 소화에 노력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과대평가의 원칙인데, 이는 비상대응 시 사고의 영향

이나 결과를 과소평가하지 말고 가능한 최대한의 피해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뜻이다.

2) 사고의 통보

사고의 통보는 먼저 방사성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소 내 통보와 사업소 외 통보를 하는 것이다. 이상사

태의 발견자는 언제, 어디서, 어떤 사고(인명사고, 화재사고, 방사선사고)가 어떻게 발생했는가(발생상황,

사상자 유무, 피폭가능성, 오염의 유무, 사고의 확대성 유무)를 통보원칙에 따라 관계자에게 알린다. 또한

정보원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그 후의 연락을 보전하기 위해 통보자의 성명, 소재(전화번호)를 알린다.

통보를 받은 관계자는 필요에 따라 소내 관계자와 상급자에게 보고한다.

사업소 외 통보는 원자력안전법 제74조, 제92조, 제97조에 따라 원자력안전위원회에 보고하도록 규

정하고 있다. 이는 사고의 경중에 따라 1~4시간 이내에 유선상으로 구두보고를 하고, 24시간 이내에 초기

서면보고, 그리고 몇 개월 이내에 상세 서면보고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3) 이상 피폭 시 조치

이상피폭이 발생할 우려가 생기면 즉시 다음 조치를 취한다. ① 사고가 실내에서 발생했다면 같은 방

에 있는 사람에게 이상 가능성을 알리고 즉시 실외로 피난시킨다. 실외라면 공동작업자에게 이상 사실을

알린다. ② 본인이 이상발생 통보를 하거나 근처에 있는 사람에게 통보를 의뢰한다. 통보처나 통보방법

을 방사성동위원소를 사용하는 장소에 상시 게시해두면 이상사태 발생 시에 도움이 된다. ③ 방의 문을

닫고 다른 사람들의 피폭을 막기 위해 출입금지 등의 조치를 취한다. 실외라면 로프 등으로 출입금지 구

역을 설정하고 주의사항을 표시한다. 다음에는 방사선안전관리자나 담당자의 지시에 따라 피폭을 발생

시키는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을 한다.

(1) 화재, 지진 발생 시의 조치

화재 시에는 초기 소화로 손해를 최소화하고 방사능오염 확대 방지와 소방대에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신속히 방사선 위험구역을 설정해야 한다. 진화 후에는 방사성물질 및 위험물을 우선적으로 옮기고 잔

량을 확인해야 하며, 오염범위 확인 후 출입금지 구역을 설정하고 출입을 금지시켜야 한다.

Page 88: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82

지진 발생 시에는 열원과 전기, 가스를 차단하고 진동 종료 후 사람들의 신변의 안전을 확인한 후

주위의 상황을 점검한다. 필요할 경우, 초기 소화를 실시하고 방사성용액 등의 누출 시 오염확대 방지,

제2의 지진에 대비하여 안전한 장소로 사람들을 소개시킨다.

(2) 선원 분실 시의 조치

이리듐(Ir-192) 및 코발트(Co-60) 등이 내장된 비파괴검사용 조사기 분실 시에는 사고대응 절차에

따라 안전관리자, 관계기관(원자력안전위원회), 관할경찰서에 즉시 신고 및 보고를 하고 전문가의 협조

하에 수색활동 및 언론매체를 통한 분실과 주의사항을 홍보한다. 그리고 회수된 조사기는 표면과 주변에

대한 선량률 측정을 실시하여 누설이 없는지 확인하고, 안전관리자의 감독 하에 운반과 저장을 한다.

방사선작업 도중 선원을 분실하였다면 즉시 사고 장소에서 대피하여 출입금지 조치를 취하고 방사선

안전관리자와 관계기관에 보고를 한다. 이후 사용 가능성이 있는 장소부터 선원을 탐색하고 발견 여부와

관계없이 분실사유를 규명해야 한다.

4) 오염방지 원칙

오염 사고 시에는 오염방지 원칙에 따라 조치하여 한다. 오염사고는 표면오염, 공기오염, 인체 피부오

염 및 인체 내부오염이 있을 수 있으며, 관리구역 외부로의 누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가 요구된다. 먼저 오염의 범위와 정도, 확대 가능성을 가늠해보고 유리성, 부유성 오염 여부, 공기

오염 가능성을 확인한다. 오염핵종과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오염밀도와 오염량을 평가하고 발

생원인, 시기 등을 파악해야 한다. 제일 먼저 취해야 할 조치는 일반인들에 대한 출입통제이다. 두 번째

로는 오염구역 설정 및 오염구역 내 관련자들에 대한 통제이고, 세 번째로는 경찰을 비롯한 통제요원을

선발하여 지속적으로 오염확산을 방지해야 한다. 그리고 제염 등의 수습조치를 취해야 한다.

3 한국형 방사선사고의 특징과 개선방안 제언

한국형 방사선사고의 특징은 사고의 대부분이 비파괴검사 사업장이나 비파괴검사 조사기 등과 관련해

서 사고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비파괴 검사 사업과 관련한 과피폭, 도난, 분실사고가 우리나

라에서 발생하는 방사선사고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우리나라 비파괴 검사 분야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강력한 선원을 사용하여 작업을 실시함에도 불구하

고 만성적인 안전의식 부재, 유사한 법령 위반 사례 빈발, 작업현장의 안전관리 활동 미흡, 본사 및 현장

안전관리자의 지도, 감독이나 교육훈련 미비, 선량계 미착용, 사고 시의 대응조치 미흡 등 기본적인 안

전수칙 미준수가 반복된다는 점이고, 방사선조사기의 품질관리제도 미흡, 방사선조사기 부품(조사기, 튜

브, 케이블, 와이어 등) 품질관리의 문제점이 계속 노출된다는 점이다. 또한 과거 한때 규제완화의 바람

을 타고 일시적 사용 장소 및 검사면제, 장비 등 허기기준이 완화됨에 따라 관리・감독의 취약점이 지속

적으로 발생한다는 점이다. 거기에 더하여 업체의 난립과 저가 수주경쟁 등, 과다 출혈경쟁에 의한 비파

괴 업체의 채산성 악화, 안전성 증진을 위한 기술투자 및 장비개선 미흡, 유능한 종사자 확보 문제가 만

성적인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Page 89: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83

제3장_방사선사고

비파괴검사 분야의 비상사고 대응에 관한 측면에서의 문제점은 방사선사고에 대응하는 전문 인력이나

장비, 절차 등이 미흡하거나 아예 없고, 국가 정책도 원자력발전소의 방사선비상사고 체계 구축과 운영

에 치중되어 있으며, 사고대응 관련 유관기관 간의 유기적 협조체계나 관계설정, 임무 부여가 미흡하고

제염 기준이나 폐기물의 처리에 관한 사항 등의 제도적 문제점이나 허점이 많다는 점이다. 또한 현실적

인 주민피해 보상 규정도 적절히 마련되어 있지 않아 사회적 갈등과 정부불신 등의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생각해볼 수 있는 개선방안으로는 이동사용에 따른 일시적 사용 장소에 대한 현행 신고, 등록 제도를

보다 더 엄격한 제도로 강화하고 방사선작업 책임자의 자격제도를 도입하여 방사선방호 관련 전문지식

을 보유한 사람이 작업을 총괄 지휘하고, 감독・책임질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방사선조사기의

엄격한 품질관리 제도를 도입하여 고장이나 오동작으로 인한 과피폭 사고를 예방하여야 하며, 방사선작

업자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여 안전관리 의식과 안전문화 함양에 힘을 쏟고, 작업자의 주의력이 떨어지는

야간작업에서 주로 사고가 많이 발생하므로 야간작업을 원칙적으로 금지시켜야 한다.

아울러 구체적인 규제제도의 개선방안으로는 작업현장의 불시검사를 더욱 확대, 강화하고 규정이나

법령 위반 시 과징금 위주의 행정처분보다는 허가취소 및 사업주 구속과 같은 강력한 행정조치가 필요하

며, 안전관리자나 작업종사자도 처벌을 병행하여 책임의식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의 개선사항으로는 비파괴검사 업체의 난립으로 인한 과당경쟁을 방지하도록

비파괴검사 업무의 진입 장벽을 높일 필요가 있다. 즉, 최저가격 입찰제 방식을 지양하고 정부투자기관

이나 정부발주 공사 시 안전관리 실적이나 업체의 안전에 관한 등급을 평가하여 입찰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비상사고 대응체계 분야의 개선 측면으로는 사업체의 사고대응 체계 마련을 위해 전문인력단을 구성

하도록 하고 최신, 첨단 장비 등을 계속 확보하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비상대책반에는 비파괴진흥협회,

지역별 구성 및 운영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정부의 대책으로는 중앙정부와 지자체, 경찰 등의 유관기

관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의 방사선방호기술지원본부의 기능과 역할, 권한

과 책임을 보다 구체화하고 Mobile Lab 등의 비상, 첨단 장비를 보강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업체나

정부가 손해배상보험 가입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포함하여 주민피해보상 방안도 마련하여야 한다.

Page 90: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84

또한 방사선작업자들의 방사선안전 취급절차 준수를 유도하기 위해 방사선조사기 및 안전장구 점검을

강화하고 콜리메이터와 안전장구 등을 반드시 사용하도록 하여야 하며, 공간선량률 측정을 반드시 실시

하고 개인선량계 착용을 강력히 유지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비상대응 절차를 숙지하고 주기적인 모의훈

련을 실시하며, 관련 장비를 확보하고 현장 실무 위주의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4 사고 기록의 작성과 유지

방사선사고로부터 교훈을 얻고 방사선작업 순서나 관리의 개선방안을 찾기 위해서는 기록이 반드시

필요하며, 방사선장해발생 가능성이나 제반법규 및 행정상의 규제에 대한 입증을 위해서라도 기록은 꼭

필요하다. 아울러 유사 사고의 재발방지에 좋은 교훈과 반면교사로도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고의 기

록은 숨기지 말고 가능하면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 국가의 기록으로도 유지될 필요가 있다. 기록에 관

한 항목은 법령과 고시에 지정된 방법에 따라 작성해야 한다.

5 법 집행 및 범죄 수사

방사선테러의 경우 테러리스트나 범죄 용의자가 사고 현장의 일반인들 중에 있을 수 있으며, 치료나

방사선감시를 수행하는 사람들에게 위협이 될 수도 있다. 사고 현장에서 발견되거나 회수된 물품을 증거

로 취급하지 않으면 결정적인 정보를 잃어버릴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주의해야 하고, 대피장소 또는 집결

지가 테러리스트나 범죄집단의 이상적인 표적이 될 수 있다는 점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초동대응 요원

들의 대응활동이 범죄수사의 증거를 파괴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여 중요한 범죄수사 증거를

잃어버리거나 파괴되는 경우도 있다.

Page 91: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85

제3장_방사선사고

방사선대응체계

제1절 국가방사선대응체계

제2절 언론대응

제3절 국제협력

제4장

❘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

Page 92: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Page 93: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87

제4장_방사선대응체계

제4장 방사선대응체계

국가방사선대응체계제1절

1 국가방사선비상진료체계 개요

국가방사선비상진료체계는 ‘원자력시설 등의 방호 및 방사능방재대책법’에 근거하여 원자력안전위원

회에 설치되는 ‘중앙방사능방재대책본부’ 산하의 ‘방사선비상의료지원본부(한국원자력의학원)’를 중심으

로 구축된다. ‘원자력시설 등의 방호 및 방사능방재대책법(제39조)’은 방사선비상진료를 책임지도록 한

국원자력의학원에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설립하고 전국 지역에 1차 및 2차 방사선비상진료기관을

지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2 위기 경보 및 방사선 비상

1) 방사선비상 종류별 대응조치

구 분 정 의 비상등급별 대응조치

백색비상

∙ 방사성물질의 밀봉상태의 손상 또는 원자력시설의 안전상태 유지를 위한 전원공급기능 손상이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등의 사고

∙ 방사선영향이 원자력시설 건물 내에 국한될 것으로 예상되는 비상상태

∙ 비상발령 보고, 상황 전파∙ 사고확대 방지 응급 조치∙ 사업자 비상대응시설의 운영∙ 지역방재대책본부 발족 운영(상황실 및 연합

정보센터)

청색비상

∙ 백색비상 등에서 안전상태로의 복구기능의 저하로 원자력시설의 주요 안전기능에 손상이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사고

∙ 방사선영향이 원자력시설 부지 내에 국한될 것으로 예상되는 비상상태

∙ 백색비상 대응조치 수행∙ 사업자비상대책본부 발족 운영∙ 중앙방재대책본부 발족 운영∙ 현장지휘센터 발족 운영∙ 기술 및 의료 지원 조직 운영∙ 지역방재대책본부 확대 운영

적색비상

∙ 노심의 손상 또는 용융 등으로 원자력 시설의 최후방벽에 손상이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사고

∙ 방사선영향이 원자력시설 부지 밖으로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비상상태

∙ 청색비상 대응조치 수행∙ 방사능재난 발생 선포 검토∙ 원자력시설 주변 주민에 대한 보호조치

실시

※ 원전안전분야(방사능 누출) 위기대응 실무 매뉴얼, 2015. 09

Page 94: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88

2) 위기경보 수준(방사능테러 시)

구 분 판 단 기 준 대 응 조 치 비 고

관심(Blue)

∙ 아국대상 방사능테러 첩보 입수 ∙ 국제테러조직․분자의 활동 증가로 국제테러 빈발∙ 동맹・우호국 내 대형 테러 발생∙ 원자력시설 등에 대한 단순테러 첩보 입수∙ 국외에서 방사성물질의 분실사고 발생∙ 테러 이용 가능한 방사성물질의 불법 국제유통 확산

∙ 상황전파∙ 유관기관별 비상대응 통신체제 및

비상연락망 점검

징후활동감시

주의(Yellow)

∙ 아국 포함 다수국가를 대상 국제테러 조직의 공개 테러 위협

∙ 국제테러조직 또는 연계혐의자 국내 잠입기도 징후 포착∙ 국내 방사성물질의 도난사고 발생ㅊ∙ 불법 방사성물질의 국내 반입기도 및 국내유통 징후 포착

∙ 방사능테러 대상시설 및 방사능테러 이용가능 물질에 대한 방호 활동 강화

∙ 기관별로 자체 대비태세 점검 등∙ 테러 이용가능 방사성물질의 운반

에 대한 특별방호조치 수행

협조체계가동

경계(Orange)

∙ 국제 테러조직․분자의 아국 직접 지목, 공개 테러 위협∙ 아국대상 구체적 방사능테러 첩보 입수∙ 국제테러 조직․분자의 국내 잠입, 활동 징후 포착∙ 원자력시설 등에 대한 구체적 테러 첩 보 입수∙ 국내에서 불법 방사성물질의 대량 발견・확인

∙ 취약요소 및 시설에 대 한 경비 등 예방 활동 및 출입통제 강화

∙ 테러상황실 가동 및 테러대응조직 가동 준비

∙ 對방사능테러 담당직원비상근무

대비계획점검

심각(Red)

∙ 아국대상 명백하고 중대한 방사능테러 첩보 입수∙ 원자력시설 등에 대한 테러기도 행위 적발 ∙ 방사성물질의 대량 도난・강탈 사고 발생

∙ 방사능테러 상황실 관계직원 비상근무

∙ 대책본부 등 테러대응조직 가동∙ 장비・인원 동원 태세 유지 등

즉각대응태세돌입

※「방사능테러」위기대응 실무 매뉴얼, 2014. 06

3) 방사선비상 종류와 사고등급 관련 구분표

방사선비상종류 국제원자력사건등급 위기관리 단계

백색비상

사고를 일으키거나 확대시킬 가능성은 없지만 안전 계통의 재평가가 요구되는 고장

2등급 수준(고장)

대비단계

청색비상

사고를 일으키거나 확대시킬 가능성이 있는안전 계통의 심각한 기능 상실

3등급 수준(심각한 고장)

대응단계

적색비상

4등급 수준(소내 위험사고)

5등급 수준(소외 위험사고)

6등급 수준(심각한 사고)

7등급 수준(대형사고)

※ 원전안전분야(방사능 누출) 위기대응 실무 매뉴얼, 2015. 09

Page 95: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89

제4장_방사선대응체계

3 국가방사능방재체계

1) 방사능방재대응조직

2) 방사선비상의료지원본부

※ 조직 체계 및 구성, 운영은 상황에 따라 변경 가능함

Page 96: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90

3) 전국 방사선비상진료기관 현황

구 분

1차 방사선비상진료기관(11개)

2차 방사선비상진료기관(12개)

강릉동인병원 동국대경주병원 경북대병원 울산대병원

고창종합병원 울진군의료원 경상대병원 전남대병원

국군대구병원 영광기독병원 국군대전병원 전북대병원

국군부산병원 영광종합병원 국군수도병원 충남대병원

국군함평병원 방사선보건원 부산대병원 충북대병원

기장병원 서울대병원 제주한라병원

※ 2016년 12월 현황

4 국가방사능테러 대응체계

대통령

테러대책회의(의장 : 국무총리)

테러대책상임위원회(위원장 : 국가정보원장)

방사능테러사건대책본부(본부장 : 원자력안전위부위원장)

현장지휘본부(본부장 : 방사선방재국장)

상황팀(원자력통제과장)

현장조치팀(방재환경과장)

지원팀(기초지자체 부단체장 /광역지자체 담당국장)

합동조사반(관계기관 합동)

초동조치팀(관할 경찰서장)

국가정보원테러정보통합센터

유관기관대책반

지역 테러대책협의회

대통령실국가위기상황센터

물리적방호기술지원본부(본부장 : 원자력통제기술원장)

방사능방호기술지원본부(본부장 : 원자력안전기술원장)

방사선비상의료지원본부(본부장 : 원자력의학원장)

물리적방호지원반(원자력통제기술원)

방사선대책반(원자력안전기술원)

수습처리반(원자력안전기술원)

방사선비상진료반(원자력의학원,지역의료기관)

Page 97: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91

제4장_방사선대응체계

5 방사선비상 대응

1) 비상 발령

(1) 원자력시설 비상발령체계

① 백색비상 발령 시

② 청색비상 발령 시

원안위‧지자체‧의학원 등

방통위기재부미래부교육부외교부국방부안행부문체부

농식품부산업부복지부환경부여가부국토부해수부식약처방재청기상청경찰청해경청

Page 98: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92

③ 적색비상 발령 시

방통위기재부미래부교육부외교부국방부안행부문체부

농식품부산업부복지부환경부여가부국토부해수부식약처방재청기상청경찰청해경청

(2) 한국원자력의학원 내 비상발령 및 대응 체계

① 백색비상 발령 시

∙ 백색비상발령 접수자(☎1522-2300)는 보고 체계를 거쳐 한국원자력의학원장(이하, 의학원

장) 및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장(이하, 센터장)에게 보고한다.

∙ 의학원장은 센터장에게 의료지원 및 대응활동을 지시한다.

∙ 의학원장은 예비방사선비상의료지원본부 가동을 지시한다.

∙ 센터장은 의학원 비상연락망을 가동하고 비상진료요원 대기・소집을 지시한다.

∙ 센터장은 전국 방사선비상진료 지정기관에 비상발령을 전파하고, 해당지역 대응 지정기관은 비상

연락망 가동 및 비상요원 소집・대기를 지시한다.

∙ 비상소집을 통보받은 비상진료요원은 신속히 임무수행에 필요한 자료와 기자재를 가지고 비상통보

시 전달된 장소(방사선비상의료지원본부)에 집결하여 비상의료지원 임무를 수행한다.

∙ 의학원장은 방사선격리병동에 기존환자 소개를 준비하도록 지시한다(청색비상 발령 시 이동함).

② 청색 또는 적색비상 발령 시

∙ 청색비상 상황이 접수되면 의학원장은 방사선비상의료지원본부(본부장 : 의학원장) 가동을 지시

한다.

Page 99: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93

제4장_방사선대응체계

∙ 청색비상 상황 시 방사선비상의료지원본부장(이하, 본부장)은 의학원 내 현장파견의료지원단

파견을 지시한다.

∙ 청색비상 상황 시 본부장은 현장지역 대응 지정기관에 현장출동을 지시하고 그 외 지정기관에는

현장 지원요청 및 상해자 입원・후송 대기를 지시한다.

∙ 의학원장은 방사선격리병동에 기존환자 소개를 지시한다.

∙ 의학원장은 격리병동 수용 이상의 대량 환자 발생이 예상될 경우 원자력병원 항암요법센터 기존

환자의 소개 및 후송환자 입원준비를 지시한다.

6 방사선비상진료기관

한국원자력의학원은 전국 규모의 방사선비상진료기관을 지정‧운영하여 방사선사고 시 신속한 의료대

응과 진료수준 제고를 도모하고 국가방사선비상진료체계를 운영한다.

1) 한국원자력의학원 임무

국가차원의 방사능재난 발생 시 한국원자력의학원에 방사선비상의료지원본부를 설치・운영하여 방사선

비상진료활동을 총괄하도록 한다. 방사선비상의료지원본부에서는 현장파견의료지원단을 파견하여 합동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설치・운영하고, 사고지역에 현장방사선비상진료소의 설치・운영을 지원한다.

∙ 피폭환자에 대한 집중치료가 가능한 다양한 임상과 구축

∙ 과피폭 치료(피부이식, 골수이식, 화상치료 등) 및 내부오염을 고려한 치료가 가능한 기관에 후송

환자 수용에 대한 지원요청

∙ 사고현장에서의 합동 의료구호활동 주도

∙ 정밀검사를 요하거나 피폭의 정도가 큰 경우 격리병동 운영, 피폭의 정도에 따른 분류 및 치료

∙ 방사능사고 의료구호에 관한 자문 및 기술적 지원

∙ 이송 및 입원환자에 관한 데이터 관리

∙ 피폭선량 평가자료 수집

∙ 사고현장에 참여한 의료진에 대한 추적관찰 및 검사

∙ 방사능사고에 관여했던 관련기관에 정보 제공

2) 1・2차 지정기관의 임무

(1) 1차 지정 의료기관의 역할

∙ 외래에서 대처 가능한 의료를 원칙으로 함

∙ 사고현장 주민 응급의료구호

∙ 현장에서의 1차 제염 및 응급처치

∙ 방사능사고로 인한 오염 및 피폭에 관한 진단

∙ 2차 지정의료기관 및 중앙의료기관으로의 환자 이송

∙ 주민 소개소 또는 이재민센터 등에서 전개되는 의료구호활동 지원

Page 100: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94

구 분 기관명 및 지정연도기 관 수

센터 1차 2차 계

중앙센터한국원자력의학원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2002년)

1 1

중부권역

서울대학교병원(2004년/2차)국군수도병원(2004년/2차)국군대전병원(2004년/2차)충북대학교병원(2004년/2차)충남대학교병원(2004년/2차)방사선보건원(2010년/1차)

1 5 6

울진권역월성권역고리권역

울산대학교병원(2004년/2차)경북대학교병원(2004년/2차)부산대학교병원(2004년/2차)경상대학교병원(2004년/2차)울진군의료원(2004년/1차)동국대경주병원(2005년/1차)기장병원(2005년/1차)국군대구병원(2010년/1차)국군부산병원(2010년/1차)강릉동인병원(2012년/1차)

6 4 10

영광권역

전남대학교병원(2004년/2차)전북대학교병원(2004년/2차)제주한라병원(2004년/2차)영광기독병원(2005년/1차)영광종합병원(2005년/1차)국군함평병원(2010년/1차)고창종합병원(2015년/1차)

4 3 7

계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1)방사선비상진료기관(22)

1 11 12 24

∙ 관내 의료자원(인력, 장비 등)의 동원

∙ 비상진료 실시 후 센터장에게 보고

(2) 2차 지정 의료기관의 역할

∙ 입원 및 전문치료(내부오염 치료, 조혈모세포 이식, 화상치료 등)

∙ 제염설비, 무균실, 수술실, 선량측정 장비 등의 시설과 장비를 활용한 진료제공

∙ 사고현장 1차 지정 의료기관과의 합동방사선비상진료활동

∙ 중앙의료기관 현장파견팀 도착 전까지의 합동방사선비상진료활동 주도

∙ 비상진료 실시 후 센터장에게 보고

3) 권역별 방사선비상진료기관 현황

Page 101: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95

제4장_방사선대응체계

그림 4-1 방사선비상진료지정기관 현황

Page 102: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96

언론대응제2절

방사능 재난이나 방사능테러는 대중의 극심한 불안감을 야기하며 사회적 혼란이 발생되므로, 신뢰성

을 담보로 하는 언론대응은 방사능사고 대응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사고나 재난이 발생할

경우 취재진은 경쟁적으로 신속하게 현장에 접근하여 초기 단계부터 보도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일반

대중이 정보를 습득하는 수단이 언론매체이고, 언론을 통해 습득한 정보를 기초로 자신이 취해야 할 행

동을 결정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방사능 재난의 경우 방사선 또는 방사능에 대한 일반인의 이해가 깊지

않고, 방사선피폭(또는 오염) 여부를 일반인 스스로 즉각적으로 판단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자

신과 가족 등이 안전한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갈구하게 된다. 방사능 재난의 경우 언론대응의 성패가

유언비어로 인한 2차 피해 확산을 최소화하고 사태를 조기에 수습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1 위기 단계별 홍보 점검사항

위기 단계 언론대응 업무 점검사항

쟁점관리이슈 모니터링 : 정책 환경, 쟁점, 위험요소 등

쟁점 확산 가능성 및 위험수준 분석

위기상황 대비

위기상황별 언론대응 전략 개발 및 지침 공유

비상연락망 점검

체크리스트 통한 언론 인터뷰 및 브리핑 준비

위기 대응

언론대응팀 구성 및 업무분장

대변인 선정 및 언론대응 창구 일원화, 외부전문가 지원 확보

대응입장 정리 및 핵심 메시지 선정, 관련자료 준비

홈페이지 게시판을 이용한 메시지 전달

언론보도 모니터링 및 주무부처 수시 보고, 의료지원본부 내 상황 전파

비상진료지정기관에 언론대응 지침 전파

사후 위기관리 위기대응 평가 및 사례 자료집 등

Page 103: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97

제4장_방사선대응체계

2 위기 수준별 홍보 체크 포인트

위기 수준 위기 진단 위기 대응

평시(White)

∙ 일상적 상황∙ 비상 연락망 점검∙ 언론보도 모니터링

관심(Blue)

∙ 위기 징후 초기 상황∙ 홍보조직 점검, 담당자에 상황 전달∙ 위기 징후 변화양상 및 언론보도 모니터링

주의(Yellow)

∙ 위기가 실제로 발생한 초기 단계∙ 국가위기로 발전될 경향성이

나타나는 단계

∙ 홍보팀과 관계부서 중심으로 역할과 책임 부여∙ 여론상황 분석 및 언론보도 모니터링∙ 언론대응 기조 협의 결정, 전 부서에 전파∙ 비상진료지정기관에 언론대응 전담자 지정 요청

경계(Orange)

∙ 중대한 위기상황 발생∙ 징후활동이 활발하고 국가위기

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태

∙ 언론대응팀 구성・운영∙ 언론인터뷰 가이드와 자료 준비 ∙ 언론보도, 여론 변화 모니터링 및 수시 보고∙ 해당부서 책임자와 언론대응 회의 및 연습 실시∙ 비상진료지정기관에 언론대응 기조 전파

심각(Red)

∙ 치명적인 위기 발생∙ 시시각각 변화 상황에 즉각 대처

해야 하는 경우 ∙ 징후활동이 매우 활발하고 위기

발생이 확실한 상태

∙ 언론대응팀 구성・운영∙ 의료지원본부에 상황보고 및 전파∙ 인터뷰 및 보도자료 배포 준비 ∙ 대변인 선정 및 언론대응 창구 일원화 ∙ 대언론 및 대국민 홍보 ∙ 여론 및 언론보도 모니터반 가동∙ 언론대응 지침 제시, 전문가 자문 및 활용 ∙ 비상진료지정기관에 언론대응 지침 전파 및 의료지원본부로

운영 상황 수시 보고 요청

※ 원자력안전위원회 연합정보센터의 지침에 준하여 언론대응팀 운영

3 위기 시 언론 홍보 유의사항

TMT12)는 다음과 같이 권고하고 있다.

방사능 재난 등과 관련하여 국민에 제공되는 정보는

∙ 투명하고 공개적이어야 하며

∙ 특별한 이유가 없는 경우 지체 없이 즉각적으로 제공해야 하며

∙ 자주 제공하여야 하며

∙ 신뢰할 만하여야 하며(절대로 거짓말을 해서는 안 된다.)

∙ 객관적이고

∙ 전문용어 사용을 가급적 배제하고, 평이한 어휘로 보통의 사람들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 일방적이 아니어야 하며

∙ 수사/정보기관이 조사활동을 벌이는 데 방해가 되어서는 안 된다.

12) TMT Handbook, Triage, Monitoring and Treatment of people exposed to ionising radiation following a malevolent act, pp. 14-20.

Page 104: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98

특히 비상 상황일 경우에는

∙ 정보제공의 목적을 명확히 하고

∙ 정보제공의 대상을 분명히 설정하여 대상에 맞추어진 정보를 제공하고

∙ 피해자 당사자와 가족에 대한 위로를 표현하고

∙ 적절한 정보제공 방식(예를 들면 보도자료, 대국민 성명, 기자 회견 등)을 선택한다.

4 미디어와 접촉 시 유의사항

미디어와의 접촉 시에는

∙ 미디어와 접촉 통로를 항상 개방하고

∙ 재난 구호 활동에 대한 배경을 반드시 설명하고

∙ 마감 시간을 존중하고

∙ 미디어를 통제하되 미디어의 역할을 존중하고, 잘 훈련된 대변인을 선정한다.

사진기자에게는

∙ 관심을 가질 만한 사진 아이디어를 주고

∙ 재난 희생자의 품위를 고려해줄 것을 강력히 요청하고

∙ 사진기자가 재난현장에 가깝게 접근할 수 있도록 협력한다.

인터뷰 요청을 받은 경우에는

∙ 반드시 상급자에게 보고하고

∙ 소속 단체의 임무를 말하고

∙ 핵심 메시지를 3개 이내로 하고

∙ 첫 문장을 미리 만들어 준비하고

∙ 중요한 메시지는 처음과 맨 끝에 반복 강조하고

∙ ‘off the record’ 또는 ‘no comment’라는 말은 쓰지 않고

∙ 확인 질문을 해서 명확히 하고

∙ 보도 내용을 모니터링하고 잘못 보도했으면 정정을 요청한다.

Page 105: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99

제4장_방사선대응체계

국제협력제3절

1 IAEA(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대규모 방사능 재난의 경우 한 국가의 재난 대응 역량을 넘어설 수 있으며, 피폭환자 진료에 대한 의료진의

관심이 크지 않기 때문에 방사선비상진료에 있어 국가적 차원 및 전문가 차원의 국제협력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방사선비상진료의 국제협력은 IAEA(국제원자력기구)와 WHO(국제보건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원자력안전 및 방사능 재난 등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IAEA는 사고 및 재난 발생 시 국가

간의 상호지원을 목적으로 2006년 비상대응지원 네트워크(Response Assistance Network, RANET)를 설치

하였다.13) RANET은 IAEA 회원국과 국제기구의 자발적 가입을 통해 구성되는데, 2016년 현재 한국,

미국, 일본, 프랑스, 스웨덴 등 30개국이 가입해 있으며, 각 가입국은 RANET의 지원요청 시 의료지원,

선량평가, 방사선 모니터링 등 방사능 재난 대응에 필요한 12개 분야를 지원한다. RANET을 주관하는

IAEA의 부서는 2005년 2월 설치된 사고비상센터(Incident and Emergency Center, IEC)이다. IEC는

연평균 174건의 사건・사고 보고를 접수하고, 연평균 28건에 대해 자문활동을 하며 매년 1~2건의 현지파견

지원을 해오고 있다.

그림 4-2 RANET의 지원 절차도

13) IAEA가 RANET를 설치한 근거는 ‘핵사고 조기통보에 관한 협약(Convention on Early Notification of a Nuclear Accident)’ 및 ‘핵사고 또는 방사능 긴급사태 시 지원에 관한 협약(Convention on Assistance in the Case of a Nuclear Accident or Radiological Emergency)’ 등이다.

Page 106: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100

2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WHO가 방사선비상진료 및 방사능 방재에 참여하는 근거는 2005년에 개정된 ‘국제 보건 규칙(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 IHR)’이다. 1969년에 만들어진 IHR은 콜레라, 흑사병, 황열병, 천연두, 회귀열

(relapsing fever), 발진티푸스에 대해서만 각국 정부가 모니터링을 하고, 이 중 콜레라, 흑사병, 황열 등

3가지 질병이 발병할 경우에만 WHO에 통보할 의무를 진다고 규정했다. 그러나 국경을 넘어서는 여행이

많아지고, 특히 2002년 첫 발병한 사스(SARS)가 급속히 확산되어 세계를 공포에 몰아넣음에 따라 WHO는

2005년에 IHR을 개정하여 WHO 회원국이 통보해야 할 보건에 대한 위협을 특정 질병에 국한하지 않고

‘그 발생 원인을 막론하고 인류에 위협이 되거나 위협이 될 수 있는 모든 질병이나 의학적 상태’14)로

확대하였다. 여기에는 당연히 화학, 생물, 방사선 등에 의한 보건위협의 경우도 포함된다.

개정된 IHR은 2005년 5월 제58차 세계보건총회에서 당시 회원국 192개국 만장일치로 통과되었으며,

2007년 6월 15일부터 발효되었다. 우리나라도 IHR을 승인하였다. IHR이 승인됨에 따라 회원국은 국제적

위협이 될 수 있는 포괄적인 요인에 대한 감시, 통제 등의 체계를 구축하고 WHO와 공조체제를 유지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맥락에서 WHO는 방사선 및 핵 사고에 개입할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하였다.

WHO에서 방사선비상진료를 주관하는 부서는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PHE)’ 산하 ‘Radiation Team’이며, WHO의 방사선비상진료는 ‘방사선비상

의료대응 및 지원 네트워크(Radiation Emergency Medical Preparedness and Assistance Network,

REMPAN)’을 통해 수행된다. REMPAN은 1987년에 설립되었으며, 현재 방사선비상진료 분야에 15개

협력센터(Collaborating Center, 9개국)와 30개 연락기관(Liaison Institute, 21개국)을 보유하고 있다.

REMPAN은 응급의료, 혈액학, 종양학, 화상 및 외상치료, 독성학, 핵의학 등 분야의 전문화된 의료 자문과

생물학적 선량평가 네트워크(BioDoseNet) 운영, 피폭환자 정보 데이터 관리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WHO의 또 다른 활동사항 중 하나는 ‘생물학적 선량평가 네트워크(BioDoseNet)’ 운영이다. 선량평가는

환자분류(Triage), 치료전략 수립, 예후판단 등에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방사선비상진료

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BioDoseNet의 기본 취지는 대규모 사고 발생 시 다량의 검체를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는 국제 공조

체제를 수립, 유지하는 것이다. 생물학적 선량평가에서 세계적으로 우수한 연구실을 몇 개 선정하여 준거

연구실(Reference Lab.)로 지정하고, 이들 준거 연구실이 각 국가적 또는 지역적으로 협동 연구실(Satellite

Lab.)을 거느리고 인력 양성, 교차 비교(inter-comparison) 등의 기능을 수행하여 협동 연구실의 육성을

지원한다. 피폭사고 또는 재난 발생 시 그 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준거 연구실이 해당 사고에 대한 생물학적

선량평가 지원의 ‘핵심 연구실’ 역할을 수행한다.

3 해외 선진기관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에서는 해외 선진 기관과의 공동연구, 인력양성 및 각종 세미나 개최를

통하여 최신 지견 습득 및 구성원의 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14)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 2005, WHO, p. 1.

Page 107: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01

제4장_방사선대응체계

순 번 국 가 기 관15) 협 력 내 용

1 중국 NIRP∙ 방사선 상해 대응 초기 의료 지원 협력∙ 원자력/방사선 사고 상해자들의 장기적 의료관리 협력∙ 양 기관의 지속적인 관련 분야 협력연구

2 일본 QST

∙ 방사선 상해 대응 초기 의료 지원 협력∙ 원자력/방사선 사고 상해자들의 장기적 의료관리 협력∙ 전문가, 의료기사 및 간호사 연수∙ 원자력/방사선 사고 훈련 프로그램 구축∙ 양 기관의 지속적인 관련 분야 협력연구

3 러시아 FMBA

∙ 양 기관의 연구원 및 전문가 교환∙ 양 기관의 연구 협력 및 공유∙ 양 기관의 과학적 최신정보 공유∙ 의학원과 FMBA 간의 정기적 회의∙ 급성방사선증후군 환자와 관련된 교육/훈련 방법 지원

4 프랑스 IRSN∙ 양 기관의 연구 협력 및 공유∙ 양 기관의 연구원 및 전문가 교환∙ 방사선비상진료 관련 요원 연수

5 우크라이나 RCRM

∙ 방사선비상 시 의료대응 협력∙ 급성방사선증후군으로 인한 분자유전학적 영향 연구∙ 저선량 사고 및 자연방사선으로 인한 대국민 방사선 방호 및 방사선 인체

영향∙ 양 기관의 관련 분야 상호협력

6 일본 Hirosaki Univ.∙ 방사선비상진료 관련 학생 및 관련 분야 인력 워크숍 또는 연수과정 제공∙ 방사선비상진료 및 관련 분야 공동연구 주최∙ 관련 분야 동의하에 협력

표 4-1. 해외기관과의 MOU 체결 현황

15) NIRP(National Institute of Radiological Protection), QST(National Institutes for Quantum and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FMBA(Federal Medical and Biological Agency), IRSN(Institute for Radiological Protection and Nuclear Safety), RCRM(Research Center for Radiation Medicine).

Page 108: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Page 109: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03

제4장_방사선대응체계

현장대응

제1절 환자분류(Triage)

제2절 현장대응

제5장

❘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

Page 110: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Page 111: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05

제5장_현장대응

제5장 현장대응

환자분류(Triage)제1절

1 Triage의 일반론

1) Triage의 목적

갑작스런 질병, 상해로 인하여 건강과 안녕이 급속히 위협받는 긴박한 상황에 처하게 되는 경우, 이러한

돌발적이고 예기치 못한 긴급 상황에 처한 대상자의 생명을 구하고 유지하며, 질병이나 손상의 악화를

방지하고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신체적・심리적인 문제를 즉시 사정하고 진단하며 그에 대한 치료를

제공해야만 한다.

현재는 국민의 건강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짐으로 인해 의료기관을 찾는 환자의 수가 증가하고, 응급실의

과밀화와 더불어 비응급환자의 내원이 증가하기 때문에 즉각적인 치료를 요하는 긴급환자의 신속한 분

류와 이에 적합한 치료구역 설정이 절실하게 되었다. 또한 노년층이 많고 심장병, 고혈압, 당뇨병 등의

내과적 질환의 경우 급작스러운 위험 상태에 빠지는 경우가 많아 이를 위한 신속한 의료적 처치가 더욱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환자나 환자의 가족들은 자신이야말로 진정 응급진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기 때

문에 의료인에 의한 환자의 중증도 분류와 응급환자의 치료순위 매김이 필수불가결 요소가 되고 있다.

2) Triage의 유래

‘사물을 분류하다’, ‘같은 종류로 묶는다’라는 불어동사 ‘trier’에서 유래된 것으로, 환자에 대한 의학적

진단이 아닌 현재의 중증도와 심각성, 그 유형을 분류하는 과정이며 환자를 적시적소에 관련 의료제공자

에게 치료받도록 하기 위한 첫 번째 의사결정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전쟁터에서 상해를 입은 군인

들의 치료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하여 도입되기 시작했으며, 나폴레옹 전쟁(1797~1815) 당시 프랑스 육

군 군의관 도미니크 장 라레(1766~1842)에 의해 계급이 아닌 부상 정도에 따라 치료의 우선순위를 결

정하고 전쟁이 가능한 자와 불가능한 자를 분류하는 것으로 발전되었다. 또한 말이 끄는 구급차

(ambulance)를 고안하여 전쟁 중 환자 발생 시에 정해진 구역에 방치하였다가 치료하던 방식에서 군의

관이 전쟁터 속으로 직접 투입되어 환자의 부상 정도를 초기에 신속히 확인하고 분류하는 등, 그 개념이

정립되기 시작했다.

이후 미국 남북전쟁(1861~1865), 1차 세계대전(1914~1918)에서도 자원이 부족한 상태에서 이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Triage를 실시하였고, 2차 세계대전(1939~1945)에서 미군은 이를

한층 더 발전시켜 이동 야전병원을 설치하고 의무병 제도를 최초 도입하여 전장에서 보다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응급처치가 가능하게 되었고, 외상을 입은 군인들의 생존율이 크게 향상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근대에 들어 우리나라의 6・25전쟁(1950~1953)에서는 즉각/지연/최소/기대의 새로운 환자군 분류와

다양하고 신속한 환자 후송수단을 접목 운영함으로써 부상자의 생존율을 더욱 향상시켰으며, 전쟁터

Page 112: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106

에서 부상자가 치료를 받기 위해 12~18시간씩 대기했던 이전과는 달리 베트남 전쟁(1960~1975) 시기

에는 2시간 이내로 단축되었다.

표 5-1. Triage Category

구 분 환자의 상태

즉각/긴급 (Immediate)

∙ 즉각적인 치료와 후송이 요구되는 상태∙ 생존을 위해 60분 이내 의학적 주의가 요구되는 상태∙ 기도유지, 호흡, 순환 관련 손상 환자

지연(Delayed)∙ 즉각 후송이 필요하지 않은 상태∙ 심각하고 중대한 상해의 환자이나 수 시간 이내에 악화되지 않을 상태

최소(Minor)∙ 경미한 상해의 환자∙ 수일 이내에 악화되지 않을 상태∙ 자가(自家) 간호가 가능한 상태

기대(Expectant)∙ 중대한 손상으로 생존이 불가능한 환자∙ 고식적 간호와 통증 완화 조치가 필요한 환자

민간에서는 1950년대 이후부터 비응급환자의 응급실 이용자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1958~1960년 18

만 명에서 1990년 99만 명 이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면서 물적・인적 자원의 부족, 이용 가능한 의료

서비스 결여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미국의 Baldrige와 Seater에 의해 처음 시행되었다. 의료

진이 환자의 중증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적절한 치료와 적합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지연치료를 방지하고 치료를 대기하는 환자의 불안감을 감소시키는 대신 적절한 정보와 관련 조언까지

제공하시 시작하면서 오늘날의 모습을 구현하기 시작했다.

3) Triage System의 적용

표 5-2. 재난유형별 Triage 적용

상 황 가용자원 사회질서환자 대자원비

환자도착유 형

분류방법

응 급 실 풍부함 영향 없음 높 음 순차적∙ 위독환자 우선치료∙ 이후 선착순 치료

중환자실 풍부함 영향 없음 높 음 순차적 ∙ 가변적임

대량사상/다중손상사고

풍부함(병원후송 시)

국지적혼란

치료시설 외 낮음

집단적∙ 최선의 결과 기대 또는 신속후송이

가능한 환자 우선 치료∙ ‘기대’ 분류 미사용

전 시풍부함

(자원운송 시)가변적임

치료시설 외 낮음

순차 또는집단적

∙ 최선의 결과 기대 또는 신속후송이 가능한 환자 우선 치료

∙ 게릴라전/제3세계군 : 전장복귀 가능 순서

∙ ‘기대’ 분류 사용

국지적재 난

초기 부족함점차 높아짐

국지적혼란

초기 낮음점차

높아짐

집단적→순차적

∙ 최선의 결과 기대되는 환자 우선 치료∙ ‘기대’ 분류는 추가 자원보급 및 사

회혼란이 해소되기 전까지 사용

광범위한재 난

장시간부족함

장기간대혼란

극히 낮음 순차적∙ Triage 무의미 (최소/간헐적 실시)

Page 113: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07

제5장_현장대응

Triage는 적용되는 장소 또는 상황에 따라 분류방법에 차이가 있다. 진료체계가 잘 갖추어져 있는 응

급실(ED)과 중환자실(ICU)에서는 가용자원이 풍부하고 환자가 순차적으로 도착하는 경향이 있다. 응급

실에서는 추가적인 과잉검사나 환자의 대기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긴급치료가 필요한 위독 환자를 우선

치료하고, 그 외에는 선착순으로 분류하는 것이 원칙이다. 중환자실은 가변적으로 적용한다.

대량사상자 또는 다중손상 사고 시에는 국지적 혼란 가능성이 있고, 치료시설로의 후송여부에 따라 자

원의 공급이 결정되며, 환자가 집단적으로 치료시설로 도착함에 따라 최선의 결과가 기대되는 환자 또는

가장 신속히 후송이 가능한 환자를 우선 치료한다.

전시상황에서는 대량 수송을 통해 치료에 필요한 자원을 공급받지만, 치료시설이 아닌 전장에서는 환자

대비 자원부족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고 환자의 도착 형태도 순차적, 집단적 형태가 모두 나타난다. 현대

군의 대부분은 최선의 치료 결과가 예상되거나 가장 신속히 후송 가능한 환자를 우선 분류하고 있으나,

게릴라전 또는 제3세계군은 전장복귀 가능성이 높은 환자를 우선 치료하기도 한다(Revers Triage). 또

한 ‘기대’ 분류를 사용하여 자원의 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국지적 재난 초기에는 치료를 위한 자원이 부족하고 일시적으로 사회적 혼란이 발생할 것이다. 환자는

사고 발생 단계에서는 집단적으로, 이후에는 순차적으로 도착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최선의 결과가 예상

되는 환자를 우선 치료하고 추가적인 자원보급이나 혼란이 해소되고 지휘체계가 회복되기 전까지 ‘기대’

분류를 사용하여 자원 부족을 해소한다.

대량살상무기에 의한 광범위한 재난이 발생할 경우 장시간 동안 자원은 희박하고 혼란이 가중될 것이다.

이때 환자의 분류는 사실상 무의미하나, 필요할 경우 최소한으로 실시하여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Under Triage

그림 5-1 유타(Utah) 주 사고발생지역 병원으로 후송된 외상환자의 예후

부정확한 Triage의 적용은 환자의 생존율에 영향을 끼친다. 상위단계의 치료를 제공받아야 되는 환

자를 과소분류하는 Under Triage는 주로 응급실 또는 중환자실의 분류 시 발생된다. 그림 5-1에서

보듯이 전체 외상환자 727명 중 외상전문센터가 아닌 지역 병원으로 후송되어 치료받은 315명의 예후

를 비율로 보여주고 있다. 외상전문센터로 우선 후송된 412명의 사망률이 7%인 것에 비해 지역 병원에

서의 사망률은 10%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Under Triage가 3%의 사망률 증가를 가져온 것으로 분석

된다.

Page 114: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108

(2) Over Triage

표 5-3. 대량사상자 발생사고 시 Over Triage 사례 (단위 : 명)

발생지역 연 도 생존자‘즉각’

분류(%)실제 중증환자(%)

Over Triage 사망자(%)

Cu Chi (CC) 1969 34 12(35) 3(9) 9(75) 1(33)

Craigavon (CA) 1970s 339 142(41) 113(33) 29(20) 5(4)

Old Bailey (OB) 1973 160 19(11) 4(2.5) 15(79) 1(25)

Guildford (GP) 1974 64 24(37) 22(34) 2(8.3) 0

Birmingham (PB) 1974 119 21(17) 9(8) 12(57) 2(22)

Tower of London (TL) 1974 37 19(51) 10(27) 9(47) 1(10)

Bologna (Bol) 1980 218 181(83) 48(22) 133(73.5) 11(23)

Beirut (BF) 1983 112 96(85) 19(17) 77(80) 7(37)

AMIA (AMIA) 1984 200 61(30) 14(7) 47(56) 4(29)

Oklahoma City (OC) 1995 597 83(13) 52(9) 31(37) 5(10)

NYC 9/11 (9/11) 2001 30 30(100) 7(23) 23(77) 2(29)

Madrid (Mad) 2004 312 91(30) 29(9) 62(68) 5(17)

총 계 2,222 779(35) 330(15) 449(58) 44(13.3)

Under Triage와는 반대로 환자를 과대분류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재난, 전시, 대량사상사

사고 등 특수 상황에서 나타나며, 긴급하고 위독한 환자를 위한 적절한 자원분배의 실패를 초래하여 생

존율을 낮추는 결과를 가져온다.

표 5-3에서 1995년 168명이 사망하고 600명이 넘는 부상자가 발생했던 오클라호마 시티 폭탄테러

당시 사고 현장에서 생존자는 597명이었으며, 이 중 ‘즉각’으로 분류된 환자는 83명이었다. 조사결과

이 당시 ‘즉각’으로 분류된 환자 중 52명만이 실제로 중증 손상이었고 나머지 31명은 중증 손상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예로 미국 뉴욕에서 발생한 9・11테러에서는 ‘즉각’으로 분류된 30명 중 7명만이,

스페인 수도 마드리드 중심부에서 발생한 열차테러 사건에서는 91명 중 29명만이 실제 중증 손상을 입

었으나 그 이상의 부상자가 중증 손상 판정을 받는 Over Triage 현상이 발생했다.

그림 5-2 Over Triage와 사망률과의 상관관계

Page 115: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09

제5장_현장대응

그림 5-2에서 볼 수 있듯이 Over Triage의 비율이 높을수록 실제 중증 손상 환자의 사망률이 유의

미하게 높아지는 경향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즉각적인 치료를 받아야 되는 중증 손상의 환자가

과대분류된 경상 환자로 인하여 치료의 집중도를 저하시켜 사망률을 높인다고 볼 수 있다.

그림 5-3 대량사고 발생 시 시간경과에 따른 거리별 병원 환자 수 변화

그림 5-3은 재난발생 시 시간흐름에 따라 발생장소로부터 일정거리에 있는 병원에 입원하는 환자

수를 나타내고 있다. Geographic effect는 발생 초기 지리적으로 가까운 병원에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

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자가 거동이 가능한 환자들이 최인근 병원으로 내원하면

서 중증 환자는 오히려 상대적으로 거리가 더 먼 병원으로 이송되는 Dual wave phenomenon이 나타

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 수 있듯이 중증 손상 환자는 근거리 병원으로 신속히 이동하여 충분

한 자원을 가지고 집중적으로 치료를 받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Over Triage로 인하여 자원부족, 환자의

수송시간/거리 증가 등 생존율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Page 116: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110

2 복합손상 분류

1) Combined(Radiation+Trauma) Injury Triage System

표 5-4. 방사선피폭에 따른 치료 우선순위 변화

외상과 방사선 상해가 동시에 발생하는 복합손상의 경우, 표 5-5의 Conventional Trige에 설명하고

있고, 방사선피폭에 대한 분류방법은 표 5-7 Radiational Trige에 설명되어 있다.

2) Conventional Triage의 종류

표 5-5. Conventional Triage 분류

구 분 분류기준 분류범주 특 징

START

∙ Walking∙ Respiration∙ Perfusion∙ Mental Status

∙ Immediate∙ Delayed∙ Minor∙ Deceased

∙ 즉각적인 명령/지휘 가능∙ 대량 환자 분류 시 용이∙ 소아에게 Jump-START 적용∙ START-SAVE로 변형 사용

MASS

∙ Move∙ Assess∙ Sort∙ Send

∙ Immediate∙ Delayed∙ Minor∙ Expectant∙ D-dead

∙ MCI(Mass Casualty Incident)를 처리하는 데 유리한 재난환자 중증도 분류법

SALT

∙ Sort (walk/wave/still)∙ Assess∙ LSI∙ Treatment/Transport

∙ Immediate∙ Delayed∙ Minor∙ Expectant

∙ 모든 재난상황에서 성인, 소아 등 대량 사상 환자 최초 분류에 용이

5단계 분류체계

∙ 0~120분(혹은 240분)∙ Waiting Time으로 분류

∙ Resuscitation∙ Emergency∙ Urgent∙ Semi-urgent∙ Non-urgent

∙ ATS(호주, 뉴질랜드)∙ MTS(영국)∙ CTAS(캐나다)∙ 주요 외국에서 사용되는 시간기준 분류법

Page 117: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11

제5장_현장대응

(1) START(Simple Triage and Rapid Treatment)

1938년 캘리포니아에서 Newport Beach Fire, Marine Department, Hoag Hospital에 의해 개

발된 Triage로, 즉각적인 명령 또는 지휘가 가능한 정도를 호흡수, 말초순환을 기준으로 분류함으로써

구조자보다 부상자가 많은 상황에서 객관적이고 간소하게 치료 우선순위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후 Benson은 말초순환 대신 요골맥박을 대입하여 특히 추운 온도에서 정확함을 향상시켰고, 1995년

플로리다 소아병원의 Dr. Lou Romig는 소아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jump-START 분류법을 개발했으며,

이는 아직까지도 소아 대량 사상자 발생 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림 5-4 성인에게 적용되는 START 순서도

Page 118: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112

성인에게 적용되는 START는 우선 자가 거동이 가능한지 확인 후 자가호흡(RPM), 맥박, 의식을 평

가하여 기준에 맞게 분류한다. 예를 들어 거동이 불가능하지만 자가호흡이 가능한 경우 호흡수를 측정

하여 30회 이상이면 ‘즉각’으로 분류하고, 30회 미만이면 요골동맥을 촉지하거나 말초순환을 확인한 후

의식상태를 확인하여 지시에 따르는 경우 ‘지연’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림 5-5 소아에게 적용되는 jump-START 순서도

Jump-START도 성인 START와 동일하게 거동 여부 확인 후 자가호흡 가능 여부, 호흡수, 맥박을

확인하고 신경학적 평가를 통해 4가지 중증도 분류를 적용한다.

(2) SAVE(Secondary Assessment of Victim Endpoint)

대형 재난 시 유용한 방법으로 부상자의 치료를 위해 필요한 자원과 기대효과, 생존 가능성을 고려

하여 치료 여부를 결정하고 재해구역 내에서 수일 이상의 이송지연이 예상될 경우 적용하도록 고안되었다.

이는 두 개의 질문을 통해 예후를 판단하고 세 가지의 카테고리로 분류한다.

Page 119: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13

제5장_현장대응

구 분 내 용

예후 판단∙ 최소한의 치료만 제공될 경우 환자의 예후는?

∙ 치료구역 내에서 가용자원만으로 치료 시 환자의 예후는?

우선순위 분류

∙ 여부와 관계없이 사망하는 집단

∙ 치료 여부에 따라 생존 가능한 집단

∙ 제한적이나마 적시 응급처치가 효과적인 집단

(3) MASS

미군의 다중손상(MCI-Mass Casualty incident)에 대한 처리 시 그 효과가 입증된 분류법으로 우

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환자는 지연(delay)으로 분류한 후 기타 환자는 즉각(immediate) 혹은 기대

(expectant)로 구분하고 재평가하여 이송 여부를 결정한다. 최초 분류 시 이동할 수 있는 환자는 대부분

경증 환자이지만, 폭발로 인한 고막손상, 소음이 심한 장소에서의 청력마비 등을 고려하여 분류해야 한다.

(4) SALT(Sort-Assess-Lifesaving intervention-Treatment/Transport)

적절한 처치는 물론 후송의 개념까지 포함하고 있는 분류법으로, 최초 육안이나 문진을 통한 전반적

인 상태를 기준으로 신속한 1차 분류 후 집단별로 개별 평가하여 생존율을 보장하고 치료 및 후송하는

것이다. 이는 성인과 소아에게 동시 적용이 가능하다.

그림 5-6 SALT 순서도

Page 120: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114

그림 5-6은 SALT 분류 순서도이다. 첫 단계는 전반적인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로, 우선 거동이 가능

한 자를 확인하여 지정된 장소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 환자들은 2단계 개별평가 시에 가장 마지막에

평가하는 분류군이 된다. 다음으로 지시에 반응할 수 있는 환자들을 한 집단으로 분류하고, 거동이 불

가능하거나 자신의 상태를 설명하지 못하는 환자를 생명이 위험한 집단으로 분류한다. 2단계는 호흡을

평가한 뒤 지시에 따르는지의 여부, 맥박, 호흡부전, 주출혈 등 현재의 가용자원으로 생존이 가능한지

판단하여 분류한다.

(5) 5단계 분류체계

표 5-6. Triage 5단계 분류체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Emergent Emergent Life-threatening Immediate

Non-emergent Urgent Emergent Very Urgent

Non-urgent Urgent Urgent

Non-urgent Standard

Non-urgent

영국, 호주, 미국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분류척도로서 Emergency, Urgent, Non-urgent의 3단계

분류법과 Immediate, Very urgent, Urgent, Standard, Non-Urgent의 5단계 분류법이 있다. 참

고로 Acuity는 환자 개개인에게 적절한 시기에 정확한 중증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유용성, 적절성, 타

당성에 입각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6) 기타

Reverse Triage는 러시아 육군이 특수상황 하에서 도입한 분류법이다. 대부분의 분류법이 중증도가

높은 환자를 먼저 치료하는 반면, 경상자부터 우선적으로 치료하여 전장에 최대한 빨리 복귀시킴으로써

전투력을 보존하는 방법이다.

Page 121: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15

제5장_현장대응

3) Radiational Triage

표 5-7. Radiational Triage 분류체계

구 분 Ⅰ군 Ⅱ군 Ⅲ군

추정피폭 선량16)<2 Gy

(Vomit>4hr)<2-6 Gy

(Vomit 1~4hr)>6 Gy

(Vomit<1hr)

증상 발현 전 지연시간(평균)

12시간 이하 5시간 이하 30분 이하

피부 홍반 0 +/- +++/3시간 전

무기력 + ++ +++

구 분 Ⅰ군 Ⅱ군 Ⅲ군

오심 + +++ (-)

24시간 동안 구토 적어도 1회 1-10회 10회 이상/현존

설사/24시간 동안대변 횟수

2~3회 이하/보통

2~9회/묽게

10회 이상/설사

복통 거의 없음 증가 극심함

두통 0 ++ 극심/내압상승증상

체온 38℃ 이하 38~40℃ 40℃ 이상

혈압 정상정상/

일시적 하강수축기압 -80 이하

일시적 의식 소실 0 0 +/혼수

혈액 림프구 감소 추이

24시간 이내 1,500 이상/㎕ 1,500 이하/㎕ 500 이하/㎕

48시간 이내 1,500 이상/㎕ 1,500 이하/㎕ 100 이하/㎕

통원 치료입원 치료(병원 후송)

입원 치료(병원 후송)MOF* 예상

※ MOF(Multiple Organ Failure) : 복합기관 손상

임상적 증상・징후에 따른 방사선학적 상해자는 (1) 의학적 손상으로 인한 상해자 분류에서 2순위와

3순위의 상해자 (2) 사고 발생 당시 또는 그 이후 ‘Red Zone’에 있었던 모든 사람 (3) 대량 피폭이 의

심되는 모든 사람들로 구분한다. 또한 관찰 대상이 되는 임상적 증상・징후는 구토, 오심, 설사, 홍반

또는 발적, CBC 분석(림프구수 분포)의 5가지가 대표적이다.

16) 표 5-4. 방사선피폭에 따른 치료 우선순위 변화 참조.

Page 122: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116

현장대응제2절

1 방사선사고 인지

방사선사고는 방사선 또는 방사성물질에 비의도적이나 타인에 의해 의도적으로 노출된 경우와 노출이

의심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상황이다. 방사선사고는 사고가 매우 드물기 때문에 관련 대응경험 지식이 부

족하고 오감으로 인지할 수 없어 방사선계측기에 의해서만 방사선사고인지 확인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또한 방사선원과 직접적인 접촉이 없어도 방사선피폭을 유발할 수 있으며, 방사선사고로 인한 상해자의

신체적 영향, 즉 증상 및 징후는 즉시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지발성 영향이 있을 수 있다.

사고 현장에서 방사선사고로 인한 오염 확산을 방지하고 방사선 상해자 치료 과정을 결정하는 데 있어

서 방사선사고임을 신속,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은 사고 현장에서 방사선사고임을 인지하게 되는 경로에 관한 것이다.

그림 5-7 방사선사고 인지 경로

2 방사선사고 환자 접수

방사선사고에 의한 상해자가 발생하여 의학적인 치료와 함께 방사선 비상진료를 요할 경우, 국가

방사선비상진료센터의 환자 접수는 24시간 운영되는 응급 전화(1522-2300)를 통해 가능하다.

방사선사고 환자 접수 후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는 방사선비상의료지원본부를 가동하게 되는데, 주

임무 및 역할은 현장의료지원단 파견과 지원, 방사선피폭 환자의 제염과 치료를 위한 원내 확대진

료반의 구성이다.17)

17) 제6장, 병원대응 참고.

Page 123: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17

제5장_현장대응

3 현장지휘센터 의료지원단 파견

1) 센터장을 중심으로 비상진료팀은 사고 상황 및 규모를 파악하고 현장출동 여부, 후송 환자 진료,

대량의 환자 후송 시 원자력병원과의 대응 등에 대하여 사전 협의하며 계획한다.

2) 현장파견의료지원단은 방호복 및 선량계 착용 등의 의료진 방호장비를 갖추고 사고 현장으로 출동하며,

행동 지침은 다음과 같다.

(1) 현장으로 이동 중 현장 초기의료대응 상황 파악

(2) 필요시 갑상선방호약품 복용

(3) 현장방사선비상진료 장비를 탑재한 긴급의료 차량 이용

(4) 현장방사선비상진료소 운영 장비 및 물품 등 탑재

표 5-8. 차량 탑재 물품 및 장비(예시 : 현장파견인원 10명 기준/기관별)

장 비 수 량 용 도 비 고

개인방호복(kit) 50개인방호장비(예비물자 준비)

대응요원 전체TLD 배지(badge) 10

직독식 개인선량계 10

선량계(서베이미터) 2대 선량 측정 보건물리요원

전신오염측정기 1대 오염 확인 보건물리요원

비닐, 흡습지 각 1role 오염 확산 방지 의료진

오염구역 설정용 띠 1role 일반인 출입제한 의료진

에어 빌딩 및 수조 일체 처치 및 제염 의료진

샤워 빌딩 1대 응급처치 후, 제염 의료진

발전기 2대 발전용

응급가방 3 의료진

제염가방 3 의료진

인체제염액 3L 이상 인체제염 의료진

폐기물통 3개 이상 처치 후 폐기물 처리 보건물리요원

망자낭 1개 오염사망자 의료진

임시영안소용 텐트 1대 사망자 안치 의료행정

중증도 분류표500장 이상

(사고 규모에 따름)환자 상태 분류 의사

무전기 10개 통신 의료행정

상황판 2개 환자 및 이송 상황 등 기록 의료행정

Page 124: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118

3) 환자 흐름도에 따른 현장 방사선비상진료소 운영

상황실은 전체적인 방사선 상해자의 흐름을 보면서 현장 상황 설명 및 현장 지휘센터와의 긴밀한 연락

망을 구축하여 실시간 사고에 대한 전문적인 자문 등을 전파하며, 각 반의 상해자에 대한 응급 치료 및

후송 여부에 대한 보고 및 결정 등과 함께 전반적으로 현장진료소를 지휘・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분류반은 상해자를 방사선학적으로 오염, 비오염으로 구분하여 응급의료소/방사선비상진료소/귀가 등

으로 흐름을 결정하며, 의학적 손상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여 응급치료 및 후송 순위를 결정한다. 오염

상해자는 의학적 손상의 정도에 따라 경증, 중증으로 분류하고 오염 정도에 따라 전신피폭, 국소피폭,

내부오염 등으로 구분하며, 기록지에 의학적 응급 처치, 오염 여부 및 선량평가를 기록하여 상해자를 경

증/중증 제염반 및 지정병원으로 분류・후송한다.

제염반의 역할은 경증・중증의 제염 지침에 따라 제염을 시행한다. 내부오염이 의심되면 격리 병실을

갖춘 병원으로 후송한다.

처치반에서는 제염된 상해자에게 귀가나 지정병원으로의 후송 전 의학적 상태에 따라 치료가 이루어

지며, 지정된 병원으로의 후송은 후송반에서 이루어진다.

관찰/심리상담반은 단체 주민 교육장소와 개인 상담 장소를 별도로 운영하며, 개인 상담소는 오염과

상처가 있었던 사람들 중 불안을 호소하는 사람들만 선별하여 상담한다.

비오염 상해자는 현장 응급의료소로 이동하여 일반상해에 대하여 치료받는다.

Page 125: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19

제5장_현장대응

4 초기 현장대응에서의 상해자 분류

1) 의학적 손상으로 인한 상해자 분류

(1) 안전경계선 밖 분류구역에서 하는 것을 권고한다.

(2) 생명을 위협하는 손상의 우선순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해자 분류 체계를 이용해서 상해자의

상태를 평가한다. 초기 사고 현장에서 사용되는 상해자 분류 범주는 다음과 같다.

∙ 1순위 : 즉각적인 생명 구조가 필요한 상해자

∙ 2순위 : 병원 처치를 요하는 중증이나 후송 대기시간(10~12시간)을 견딜 수 있는 상해자

∙ 3순위 : 외상 처치가 필요하나 대기 가능한 상해자로 귀가 후 다음 날 통원 치료 할 수 있는 상해자,

즉 ‘보행 가능한 외상 환자’를 일컫는다.

(3) 즉각적인 생명구조가 필요한 1순위 상해자는 즉시 사정하고 치료한다. 비록 오염 측정을 하지 않은

상해자라도 생명이 위험하여 병원치료가 필요한 상해자는 즉시 이송할 병원을 중재한 후 후송하며,

후송될 병원에 오염측정과 제염이 행해지지 않았음을 알린다.

(4) 병원 처치를 요하는 2순위 상해자는 병원으로 후송하기 전에 가능하면 사고 현장에서 제염이 이루

어지도록 한다. 제염 후 멸균 드레싱으로 상처를 덮고 병원으로 후송한다.

(5) 보행 가능한 3순위 외상 환자는 가능하면 사고 현장에서 제염을 하거나 자가제염하는 방법을 교육

한다.

(6) 사망자에 대한 관리는 다음과 같다.

① 다른 상해자나 대중에게 노출되지 않도록Yellow Zone안에 마련된 사망자 안치소로 옮긴다.

② 사망자를 다룰 때에도 개인보호조치에 준하여 행동한다.

③ 망자낭을 이용하며, 내부오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시료를 채취한다.

④ 망자낭에는 인적사항을 기록한 라벨을 부착하며, 눈에 보이는 방사선 표지를 한다.

⑤ 법률적 증거를 확보할 때까지 사망자를 둔다.

2) 방사선학적 상해자 분류

(1) 사고 현장에서 상해자의 1차 방사선 측정을 한다. 보건물리요원의 방사선 측정을 토대로 방사선학

적 분류를 시행한다. 의학적 분류와 방사선학적 분류 시행 후에 적절한 의학적 처치와 다른 필요한

처치를 시행한다.

∙ 1순위 : 방사선이나 방사성물질에 의한 피폭 및 오염으로 인한 증상・징후를 보이는 상해자(예 : 급

성방사선증후군의 증상・징후), 또는 심한 개방성 외상에 방사성 오염이 동반된 상해자

∙ 2순위 : 저수준의 방사능 노출로 인하여 현존하는 건강상 영향은 없으나 지연적 영향(예 : 암 발생)이

보일 가능성이 있는 상해자

∙ 3순위 : 잠재적인 대다수의 사람들로, 건강상 영향이 거의 나타나지 않을 정도의 방사선피폭을 받

았거나 방사선피폭을 의심하는 사람들

Page 126: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120

(2) 오염된 범주를 확인하기 어려운 외상을 입은 상해자는 격리한다. 의학적으로 금기가 아니라면 오염

이 확인된 의복을 벗긴다. 추운 환경인 상황에서는 후송하기 직전에 오염된 의복을 벗긴다.

(3) 보건물리요원은 방사선 계측기로 즉시 방사성 오염 측정을 한다. 측정 결과를 토대로 장기간 추후

관리 등록이 필요한 사람들을 분류한다.

(4) 의복, 신발, 개인소지품 등은 이중 비닐봉지에 넣어 밀봉한다. 만일 고의적 행위가 의심된다면, 모

든 물품을 법의학적 검사를 위해 유지한다.

(5) 반드시 상해자들의 측정 결과 기록을 남기고, 그 기록을 병원 내 선량평가팀에 제공한다.

(6) 추후 조사를 하기 위해 관련된 사람들의 이름과 주소를 확인한다.

(7) 후송병원에 상해자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만일 방사성물질과 관련된 것이 파악되었다면 방사

성물질에 대해 확인하도록 한다.

그림 5-8 현장에서의 상해자 분류

3) 임상적 증상・징후에 따른 방사선학적 상해자 분류

(1) 임상적 증상・징후에 따른 방사선학적 상해자 분류의 주 대상자는 다음과 같다.

① 의학적 손상으로 인한 상해자 분류에서 2순위와 3순위의 상해자

② 사고 발생 시나 후에 ‘Red Zone’에 있었던 모든 사람

③ 대량 피폭이 의심되는 모든 사람들

Page 127: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21

제5장_현장대응

(2) 관찰 대상이 되는 임상적 증상・징후는 다음과 같다.

① 구토

② 오심

③ 설사

④ 홍반 또는 발적

⑤ CBC 분석 : 림프구 수 분포

(3) 임상적 증상・징후에 따른 방사선학적 상해자 분류 범주

Ⅰ군 Ⅱ군 Ⅲ군

증상 발현 전 지연시간(평균)

12시간 이하 5시간 이하 30분 이하

피부 홍반 0 +/- +++/3시간 전

무기력 + ++ +++

오심 + +++ (-)

24시간 동안 구토 적어도 1회 1-10회 10회 이상/현존

설사/24시간 동안 대변 횟수

2~3회 이하/보통

2~9회/묽게

10회 이상/설사

복통 거의 없음 증가 극심함

두통 0 ++ 극심/내압상승 증상

체온 38℃ 이하 38~40℃ 40℃ 이상

혈압 정상정상/

일시적 하강수축기압 -80 이하

일시적 의식 소실 0 0 +/혼수

혈액 림프구 감소 추이

24시간 이내 1,500 이상/㎕ 1,500 이하/㎕ 500 이하/㎕

48시간 이내 1,500 이상/㎕ 1,500 이하/㎕ 100 이하/㎕

통원 치료입원 치료(병원 후송)

입원 치료(병원 후송)MOF* 예상

※ MOF(Multiple Organ Failure) : 복합기관 손상

Page 128: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122

그림 5-9 임상적 증상・징후에 따른 방사선학적 분류 흐름도

Page 129: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23

제5장_현장대응

5 현장에서의 방사선 계측

1) 외부 오염 측정

상해자의 외부 오염에 대한 개별 감시를 되도록 빨리 시행하고, 감시 결과에 따라 오염 확산의 예방과

제염 절차를 수행한다. 초기 방사선학적 평가는 사고 현장에서부터 실시되어야 하며 병원에서도 지속적

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외부 오염은 피부와 의복의 직접 감시로 평가된다.

(1) 포털 모니터(portal monitor)에 의한 감시

포털 모니터는 1시간에 150명 이상의 사람을 감시할 수 있는 방사선 계측기로, 잠재적인 오염 환자

를 분류할 수 있다. 이 계측기는 β와 γ 오염을 감지할 수 있으나 α 오염에 대해서는 감지할 수 없다.

(2) 서베이미터(surveymeter)에 의한 감시

서베이미터 탐침(probe)을 이용한 감시는 1시간에 20명의 사람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대상자의

표면에서 1~1.5㎝의 거리를 두고 계측하여 오염 환자를 분류할 수 있다. 포털 모니터로 분류할 수 없는

α 오염 환자를 분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상해자 감시

① 인체로부터 약 1㎝ 거리에 감시기를 놓고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머리에서부터 시작하여 목,

옷깃, 어깨, 팔, 손목, 손, 겨드랑이, 측면, 다리, 소매, 발까지 감시기를 이동시킨다.

② 그림 5-10과 같이 다리 내부와 반대 측면에 대해서도 감시한다.

③ 인체 정면과 후면을 감시한다. 발, 엉덩이, 팔꿈치, 손, 얼굴 부위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인다.

④ 감시기는 5㎝/s의 속도로 이동시킨다. 오염은 주로 오디오 반응에서 탐지될 것이므로 소란스런

곳에서는 이어폰을 사용한다.

⑤ 외부에 가장 많이 오염되는 인체 부위는 손과 얼굴이다. 머리, 목, 머리카락, 팔뚝, 손목, 몸통

부위는 이보다 덜하다. 방사성물질이 액체 형태일 경우, 이는 의복을 투과하여 오염부위를 다른

영역으로 확산시킬 가능성이 증가한다.

⑥ 피부나 의복의 경우 100㎠의 면적을 측정하여 평균하고, 손과 손가락은 30, 3㎠의 면적을 측정하

여 각각 평균하여 평가한다. 표면오염 평균치를 구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표면오염 측정기에 적

절한 유효면적을 가진 프로브를 연결하여 측정하는 것이다. α 감시를 위해서는 인체와 감시기 거

리를 0.5㎝ 이내로 유지한다. 하지만 의복에서 α 감시는 신뢰성이 매우 낮다. 긴급 상황 시에는

피폭된 피부를 직접 감시하고 상해자의 의복 교체를 요구한다. 오염된 의복은 탈의 이후에 감시한다.

심각한 오염이 의심될 경우에는 의복 제거 시에 보조해주고 상해자 이송을 재고려하며, 상해자에

게 장갑을 제공하여 착용케 한다.

⑦ 중증 상해자의 경우 대부분 누워 있는 상태에서 수행되므로, 감시가 가능한 신체의 전면부에 대해

우선적으로 감시한다.

⑧ 중증 상해자의 의학적 상태가 가능할 경우 후면부를 감시한다. 가능하다면 의학적 치료 목적으로

의료대응요원이 상해자의 자세를 변경할 경우 후면부를 감시한다.

⑨ 중증 상해자가 즉시 병원으로 후송되어야 하는 경우, 의료대응팀에서 병원 측에 방사선학적 검사

가 현장에서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보고한다.

Page 130: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124

그림 5-10 감시 요령

Page 131: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25

제5장_현장대응

※ 서베이미터의 자세한 모니터링을 위한 지침

① 모니터할 장비는 정확한 계측을 위해 계측 전에 성능을 시험해본다.

② 오염 감시기의 소리를 켜고 가벼운 비닐을 탐침에 씌워서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탐침 창이 덮이지

않게 한다. 유용한 결과를 얻기 위해 20㎠ 이상 측정해야 한다.

③ 모니터를 하는 곳의 방사능 배후선량 수준을 주기적으로 기록하고 판단한다.

④ 사고 현장에서 계측값이 자연방사선보다 10배 이상 높을 경우, 가능한 차폐된 공간에서 감시하도

록 한다. 상해자의 의학적 상태가 안정적이면 방사선 준위가 낮은 지역으로 상해자를 옮긴 이후에

감시한다.

2) 내부오염 측정

이미 체내로 섭취된 방사능은 그 양을 평가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섭취량의 측정은 직접 또는

간접 생물 검정(direct/indirect bioassay) 기법에 따르며, 전문병원에서 가능하므로 내부오염이 의심되

면 관련 병원으로 후송한다.

6 현장에서의 제염

1) 외부 제염

제염에 앞서 상해자의 의학적 안정을 우선으로 하며, 제염으로 인해 상해자의 의학적 안정을 위한 행

위가 미뤄지거나 방해되어져서는 안 된다. 신발을 포함한 모든 의복의 제거와 샤워로 오염의 95% 이상

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림 5-11 외부 제염 효과

(1) 방법 및 지침

① 상해자의 신발을 포함한 모든 의복은 머리부터 발끝 방향으로, 안에서 바깥으로 말면서 조심스럽

게 제거한다.

② 이중 비닐봉지나 플라스틱 용기에 각 상해자별로 물건을 담는다. 이름, 수집 날짜와 시간, 장소를

기록하고 방사성 오염 표지를 부착한다. 안전한 위치에 수집백을 저장하고, 추후 선량을 평가하여

안정성이 확인되면 폐기한다.

Page 132: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126

③ 의복 제거 후 전신계측을 시행한다. 계측하여 오염도가 높게 측정된 피부 부위를 유성펜으로 표시

한다. 계측기와 피부 사이의 거리는 계측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일관되게 유지한다. 신체기록표

에 상해자별로 초기측정 결과와 나중에 측정한 결과를 기록한다. 이름, 초기측정 날짜와 시간, 후

기측정 날짜와 시간을 기록한다. 각 제염 후 같은 신체기록표에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거나 새로

운 신체기록표에 기록한다.

④ 제염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 전신 제염

㉯ 방사성 파편 제거

㉰ 개방상처 제염

㉱ 신체개구부 제염 : 코, 입, 귀 등

㉲ 방사선 계측 시 가장 높게 오염이 나타난 국소피부부터 제염

⑤ 일반적 지침을 고려한다.

㉮ 배후선량(background dose)의 2배 이하로 측정되는 것이 전신 외부 제염의 목표다.

㉯ 가능하다면 두 번 전신제염을 반복하고 각각의 제염 후 선량측정을 시행한다.

㉰ 미온수를 사용해 제염을 시행한다.

∙ 찬물은 피부모공을 닫는 경향이 있어 방사성 오염물질이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며 저체온을 야

기할 수 있다.

∙ 뜨거운 물은 혈관을 확장시키고 피부 혈류 흐름을 증가시켜 방사성 오염물질이 흡수되게 하며

화상을 야기할 수 있다.

㉱ 물에 유화시키고 오염을 분해하기 위해 약산성의 일반적인 비누를 사용한다.

㉲ 상해자로부터 직접 오염된 폐수는 방사성 폐기물로 분류하여 처리한다.

㉳ 전신 외부 제염은 2번 반복하고 중지한다.

㉴ 피부의 모든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시도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 어떤 방사성물질은 피부의 가장 바깥층인 피부각질층에 남아 있을 수 있고, 정상적으로 피부

에서 탈락될 때까지 12~15일 정도 잔류할 수 있다.

∙ 격렬하게 제염을 시도하는 것은 정상피부 방어벽에 손상을 줄 수 있고 내부오염의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 방사능 오염이 남아 있는 부위는 밀봉(방수) 드레싱으로 덮어 신체의 다른 부위나 주변 환경 등

으로 오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 적절한 제염 시행 후에 외부오염이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것은 내부오염이거나 방사성

이물질이 존재하거나(예 : 방사성 파편), 오염된 상처나 신체개구부 등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Page 133: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27

제5장_현장대응

2) 현장에서 구조구급 시 상해자의 의복제거

1. 시트 3장 준비 2. 통나무 굴리기

3. 호흡기→아래로 의복 자름 4. 오염의복을 말아놓음

7. 보호대를 놓고 두 번째 시트로 환자를 보호한다. 8. 세 번째 시트가 비오염지역이 된다.

6. 오염된 시트를 제거한다.5. 오염된 옷과 첫 번째 시트를 말아간다.

Page 134: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128

3) 방사성 파편 물질

(1) 모든 개방상처는 오염이 아닌 것으로 판명될 때까지 오염된 것으로 간주한다.

(2) 깊이 박힌 이물질은 내부오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제거해야 한다. 이는 체내로의 방사성물질 흡

수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3) 개방상처 주변의 피부를 방수포로 덮어 상처를 세척, 제염하는 동안 오염이 확산되지 않도록 한다.

(4) 충분한 양의 물이나 생리식염수로 상처를 부드럽게 세척한다.

∙ 필요하면 여러 번 세척을 시행한다.

∙ 포셉이나 워터픽(물사출기)을 이용해 눈에 보이는 방사성 이물질(금속 파편이나 유산탄 파편 등)을

제거한다.

∙ 방사성 파편을 제거하는 동안 긴 외과기구를 사용해 파편을 제거하는 사람과 파편 사이의 거리를

최대화하여 피폭을 줄인다.

∙ 제거된 이물질과 이물질을 다룰 때 사용했던 기구는 납 차폐 용기에 보관해야 하고, 방사성물질

표지를 붙이고 선량 측정 후 안정성이 확인되면 폐기한다.

(5) 전문 제염팀은 팀원의 피폭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인별 피폭선량을 자주 모니터하고 팀원을 자주

교체해야 한다.

(6) 초기 제염 시도 후 오염이 높게 측정된다면 외과적 변연절제술(surgical debridment)을 고려해야

한다.

(7) 제염이 완료된 상처는 밀봉 드레싱을 하여 더 이상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8) 상처를 꿰매거나 다른 치료를 하기 전에 가능하면 완전히 상처 주변의 피부 제염을 한다.

7 병원으로의 상해자 이송

1) 이송 시 주의점

가능하다면 현장에서 통제구역으로 들어가지 않았던 전문 의료인이나 보조의료원을 통해 부상자를 후

송해야 한다.

피폭된 부상자는 특별히 오염통제 절차가 요구되지 않는 반면에, 오염 상해자는 오염통제 절차에 따라

후송하고 처치를 시행한다. 어떤 의심이라도 들면 비오염이 증명될 때까지 모든 피해자는 오염되었다고

추정한다.

필요한 상황에서는 이동 중이더라도 의학적 사정과 처치를 지속해야 한다.

2) 후송 가이드

상해자의 의학적 및 방사선학적 상태에 따라 후송해야 될 병원을 결정한다.

표 5-9는 초기 증상에 따른 방사선 상해 치료 가이드로, 후송해야 될 병원을 결정할 때 참고한다.

Page 135: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29

제5장_현장대응

표 5-9. 초기 증상에 따른 방사선 상해 후송 가이드

후송병원 결정임상증상

전신 피폭 국소 피폭

감시 기간 5주 동안 외래(혈액, 피부) 구토 없음 초기 홍반 없음

일반 병원에서 감시(또는 3주간 외래진료 후 필요시 입원)

2~3시간 후 구토피폭 후 12~24시간 후의 비정상적인 감각이나 초기 홍반

혈액종양학과 입원또는 외과(화상)

1~2시간 후 구토피폭 후 8~15시간 후의 비정상적인 감각이나 초기 홍반

잘 준비된 혈액종양학과나 외과 치료 후 방사선 병리에 대한 전문병원 후송

1시간 이내 구토, 저혈압과 같은 다른 심각한 증상

피폭 후 3~6시간 후의 초기 홍반, 피부나 점막의 부종

3) 방법

(1) 지정된 후송병원으로 상해자를 이송하기 전에 상해자의 인적사항을 알려주고, 의학적 및 방사선학

적 상태를 보고하며 처치해야 할 사항에 대해 전달한다.

(2) 오염 여부에 따라서 오염통제 절차를 결정하고 이송 및 도착 시에도 행해야 할 오염통제 절차에

대해 알려준다. 상해자에 관한 모든 서류의 사본을 준비해서 후송병원에 전달한다.

(3) 상해자의 방사선학적 상태에 따라 지속적인 감시와 처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후송병원에 이송 및

입원시키는 동안 보건물리요원 및 의료인이 동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상해자 이송을 시작한다.

(5) 상해자 이송에 사용된 오염된 시트, 담요, 의료용품 등을 수거하고 이러한 물품들을 비닐봉지에 집

어넣고 내용물에 맞게 표지 부착 후, 수거물을 지정보관 장소로 보낸다.

(6) 이송 구급차의 방사선학적 측정은 주의 깊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장비는 일상적으로 다

시 사용하기 전에 시간적인 여유를 두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만약 어떠한 오염이라도 발견되

었다면 제염해야 한다.

(7) 후송병원의 보건물리요원은 후송병원 및 해당 직원들에게 피폭 및 오염에 대한 통제를 알리고 준수

하도록 한다. 후송병원으로 이송하는 상해자들은 방사선학적 상태에 따라 추가적인 피부 및 상처

제염이 필요하다. 상해자의 배설물은 방사선학적 분석을 위해 수집한다. 병원에서의 보건물리요원

및 의료인은 모든 절차와 시료채취 시 오염을 통제해야 한다.

Page 136: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Page 137: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31

제5장_현장대응

병원대응

제6장

❘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

Page 138: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Page 139: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33

제6장_병원대응

제6장 병원대응

1 사고 접수와 보고 체계

1) 사고 파악과 정보수집

(1) 사고 정보 파악 : 사고 내용, 위치, 시간, 사고 유형, 방사능 오염 위험 여부, 오염물의 성질, 화학적・생물학적 위험, 이송될 환자 인원수 등

(2) 의료 정보 수집 : 환자에 대한 신상 정보, 건강 상태, 부상 여부, 방사선피폭 이외의 질환, 사고

현장에서 구급대 등이 취한 행동(간단한 치료와 샘플링 등), 예상 도착 시간, 방사선오염 의심 또는

확인 여부, 현장에서 실시한 제염 등

(3) 정보 기록과 추가 정보 갱신

(4) 정보제공자 이름과 연락처 기록

(5) 환자 이송 시 유의점 : 기본정보와 함께 추가정보도 지속적으로 전달

예) 이송 중의 환자 상태 변화, 처치 사항-응급치료, 정맥천자, 샘플링 등

(6) 앰뷸런스 주차 위치 파악, 공지

2 소규모 환자 대응

1) 공간과 경로 확보

그림 6-1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 내 구역설정 및 환자 흐름도

Page 140: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134

2) 역할별 준비

(1) 센터장

① 방사선비상진료 계획 발동

: 방사선비상진료팀원 소집, 사고 규모에 따라 방사선의료지원본부 가동 여부 결정, 원자력의학

원장 보고 및 요청

② 요원 임무 배분

: 사건 상황 및 수행 임무에 대한 정보를 전해주기 위한 브리핑 회의 실시

③ 필요 시 정부기관 통보

: 방사선 방호, 방사선피폭 진료, 물리학적 선량평가, 생물학적 선량평가, 내부 선량평가 전문팀

투입 또는 자문 요구

④ 오염 확산 방지를 위한 조치 지시

: 비오염이 확인되기 전까지 병원 도착 환자는 일단 오염으로 간주해야 함

⑤ 공간 확인

: 방사선응급실 입구 근처에 구급차 전용 주차 공간 확보, 구급차에서 방사선응급실까지의 통로

확인

Page 141: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35

제6장_병원대응

(2) 원내 비상진료반(팀)

표 6-1. 비상진료팀 구성 및 개인별 역할

요 원 역 할

의사a 비상진료팀의 리더, 주요 의사결정

의사b 환자 분류, 의학적 진단 및 응급 처치, 제염 수행

간호사a, b 환자 분류 보조 및 응급 처치 시 간호 업무 수행, 오염제거실 내의 업무 수행

간호사c 오염제거실 출입구에서의 업무 수행, 기록, 완충구역에서의 모든 업무

보건물리요원/방사선사 a, b

선량평가, 신속한 오염 검출, 오염제거 지원, 외부 오염 감시를 위한 지시 및 감독, 오염 및 피폭에 관해 의료진에게 자문, 자체 의료진 선량측정, 오염구역 내에서의 의료진 퇴실 시 선량평가

행정지원 통제(보호자, 기자 등) 요원, 입원실 확보, 언론 및 보호자와의 중재

① 장비 보호

∙ 방사선 비상진료를 위해 배정된 구역 내의 불필요한 장비와 시설 이동

∙ 치료 테이블, 장비 등 표면 덮기

② 장비/물품 준비

∙ 개인방호 장비, 방사능 오염과 감염 통제를 위한 장비 준비

∙ 환자 진료에 필요한 장비와 물품 확인

∙ 방사선 모니터링 장비와 시료채취 용기 확보

∙ 고체 및 액체 방사능폐기물 용기 준비

∙ 다양한 크기의 비닐봉지, 라벨지, 방사선 표지, 진료 일지, 기타 진료에 필요한 양식 및 서식지

등 준비

∙ 앰뷸런스에서부터 응급실까지의 통로, 접수 구역 및 치료 구역 바닥의 오염방지 처리(미끄럽지

않은 포장용지로 덮고 가장자리 테이핑)

∙ 통로를 표시하고 구역 설정 띠를 둘러쳐서 구역 설정

③ 환자 진료 준비

∙ 진료 프로토콜, 절차서, 장비, 물품 및 진료일지 등의 가용 여부 확인

④ 방사선 방호

∙ 장비 및 물품의 가용 여부 확인, 계측기 상태 체크, 방사선량 모니터링을 위한 측정 체크 포인트

설정(예 : 앰뷸런스 주차 구역, 비상진료 구역의 출입구 등)

⑤ 방호복 착용

∙ 호흡기 보호장비 및 개인 방호장비 착용

∙ 수술복(scrub suit) 위에 방수 가운 착용

∙ 모자(cap), 장화, 신발덮개 착용

∙ 이중 장갑 : 의료진 보호를 위한 속장갑(파랑 등의 유색장갑) 착용 후 장갑 끝단은 소매 속으로

넣고 그 윗부분에 테이핑함. 속장갑 위에 겉장갑(흰색) 착용. 겉장갑은 오염된 경우나 환자 교체

시, 수시로 교환해야 하므로 테이핑하지 않음

∙ 방호복 아래 선량계(dosimeter) 착용(그림 6-2 참조)

Page 142: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136

(3) 안전요원

① 장소 확보 : 앰뷸런스 주차 장소와 부상자 치료 장소

② 출입 통제 : 피폭환자 진료와 관계없는 사람들(일반인과 병원 일반환자 접근 통제)

③ 동선 변경 : 피폭환자 진료와 관계없는 병원 직원, 병원 환자, 일반인의 이동 동선 변경

④ 안내문 설치 : 쉽게 눈에 띄는 안내문 설치. 필요에 따라 장애물 설치

< 착 의 > < 탈 의 >

먼저 일반적인 수술 가운을 입는다.제일 먼저 바깥 장갑을 벗는다.

비닐봉지 입구를 밖으로 벌려 오염이 되지 않게 주의하며 개인선량계를 담는다.

바지 아랫단을 덧신 속에 넣어 테이핑한다. 테이프 끝을 살짝 접으면 이후에 테이프를 뗄 때 수월하다.바닥에 테이프를 한번 감아주면 미끄럼 방지에 효과적이다.

겉가운을 벗는다.

겉가운을 입은 후 의료진 보호를 위한 속장갑(파랑)을 착용한다. 이때 소매 속에 장갑 끝단을 넣고 그 위로 테이핑한다. 환자를 위한 겉장갑(흰색)을 착용한다.

바지의 안쪽이 밖으로 나오도록 하여 돌돌 말아가며 벗는다.

모자와 마스크 착용. 환자 제염 시 물이 튈 수 있으므로 페이스 쉴드나 고글을 쓰는 것이 중요하다.

폐기물통 쪽으로 몸을 기울여 모자와 마스크를 벗는다.

겉가운의 여밈이나 끌리는 부위가 있다면 테이핑한다.

한쪽 덧신을 벗은 후 신발의 바닥 오염을 측정한다. 나머지 덧신을 벗고 측정한다.

개인선량계를 가운 안으로 착용 후 자신의 이름과 역할을 적는다. 마지막으로 속장갑을 벗는다.

전신 계측을 수행한다.

그림 6-2 의료진 및 시설 내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호복 착의 및 탈의 절차

Page 143: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37

제6장_병원대응

그림 6-3 Level D 방호복의 표준 착의 및 탈의 절차

Page 144: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138

표 6-2. 장비와 소모품 체크리스트

용 도 장 비 확 인 소 모 품 확 인

선 량 측 정

Whole Body Counter, Dose Calibrator, Dual Gamma Camera

비강・구강 smear 채취 면봉, 생리식염수, 비닐(대/소)

GM 서베이미터, 전리함 서베이미터, NaI 서베이미터

제염 시 젖은 티슈와 세정액을 넣을 용기/비닐봉지

개인선량계(전자선량계) 구토물 보관용기, 비닐봉지

MCA System(감마 핵종 분석) 소・대변을 보관하는 용기

Low Background α/β Count System창상 오염부를 처치한 거즈나 면봉 보관용 비닐봉지

먼지 포집기 유성펜

제 염

Shower Trolly오염부 주변용 흡습지, 오염부를 덮을 방수드레싱/필름, 테이프

조직 절제(창상)용 의료기구 제염액의 비산방지 종이 패드

방사선 제독기젖은 거즈/타월, 멸균 생리식염수, 중성세제, 비누(세안기)

pus pan, 세정용 주사기, 면봉(구강, 외이, 비강)

오 염 방 지

Hand-Foot Monitor System(오염 감시)제염용 방호복(수술복, 마스크, 캡, 글러브, 덧신(장화))

구역설정용 로프 기구용 비닐, 바닥용 비닐시트

침대에 까는 방수 시트

진 료

Infusion /Syringe Pump, Emergency Cart, Dressing Cart

갑상선 방호제(대량 방사성 요오드 방출 시)

Patient Monitor, 인공호흡기, Portable X-ray, Defiblator, Electrocardiograph

정맥채혈 주사기, 주사바늘, 혈액검사 용기 비닐봉지

Autoclave, Strecher cart 방사성핵종별 킬레이트제

<수술>Surgical Luminary System, Operating Table, Operating Light, Side Lamp, Instrument Table, Scrub Station, Anesthesia Machine With Ventilator, Electrosurgical Unit, Suction Pump Unit

기타

무전기 또는 무선전화기 필기구(유성매직펜), 서식지

화상회의 네트워크(컴퓨터)

응급구호 텐트(추가 공간)

이동형 발전기(긴급 전원)

Page 145: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39

제6장_병원대응

그림 6-4 병원 비상진료팀의 오염 통제를 위한 준비

Page 146: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140

3 대량 환자 대응

1) 방사선비상의료지원본부 준비18)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 내의 시설만으로 수용이 불가능한 다수의 방사선사고 환자가 발생할 경우

원자력병원 시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하기 위함이다.

(1) 방사선의료지원본부

① 임무 및 역할 : 방사선비상의료지원본부 대응 총괄

② 인력구성

㉮ 본부장 : 한국원자력의학원장

(2) 지휘센터

① 임무 및 역할 : 방사선비상의료지원본부의 편성 및 운영 총괄

② 인력구성

㉮ 센터장 :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장

(3) 통제상황실

① 임무 및 역할

㉮ 본부장 및 센터장의 방사선 비상진료 총괄 지휘 보좌

㉯ 환자소개, 병원시설 이용 등 주요 의사 결정

㉰ 방사선 비상상황 관련 정보수집 및 방사선사고 관련 상황 파악

㉱ 정부, 군, 경찰, 중앙 119구조대 등 대외 기관과의 연락

㉲ 언론접촉 창구

㉳ 비상대응 정보교환시스템(ERIX) 운영

② 인력구성

㉮ 상황실장 : 안전보안팀장

㉯ 반원 : 각 실무반장 및 진료부장, 간호부장, 방비센터 소속 부서장, 홍보실, 안전보안팀, 방사선

안전관리팀, 비상대응교육팀, 기획사업팀, 피폭치료연구팀 등

(4) 현장파견의료지원단

① 임무 및 역할 : 현장파견 방사선비상진료 대응활동, 자문 및 응급의료 지원

② 인력구성

㉮ 반장 : 비상진료연구기획부장

㉯ 반원 : 비상진료 A팀

18) 조직명은 조직 개편에 따라 변경 가능함.

Page 147: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41

제6장_병원대응

(5) 원내 비상진료반

① 임무 및 역할

㉮ 원내 방사선비상진료팀 가동

㉯ 방사선비상 응급진료 및 병동 운영 등 대응활동

② 인력구성

㉮ 반장 : 비상진료부장

㉯ 반원 : 비상진료 B/C팀

(6) 원내 확대진료반

① 임무 및 역할

㉮ 원자력의학원의 방사선의료지원체제 전환 시 및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 요청 시 원자력병원

내 피폭환자 진료를 위한 응급실, 병실, 의료장비의 확보

㉯ 피폭환자 진료를 위한 의료진의 동원 및 확보

㉰ 원내 비상진료반 및 현장파견 의료지원단의 오염・피폭환자 진료 지원

② 인력구성

㉮ 반장 : 원자력병원장

㉯ 반원 : 진료분과반장(진료부장), 간호분과반장(간호부장)

(7) 행정지원반

① 임무 및 역할 : 소관업무에 따른 방사선비상진료 관련 행정지원(인력, 장비, 물품, 전산, 구급차

운행 등) 총괄

② 인력구성

㉮ 반장 : 경영기획본부장

㉯ 반원 : 총무인사반장(총무인사팀장), 구매반장(구매팀장), 시설장비반장(시설장비팀장), 재무반장

(재무팀장), 전산정보반장(전산정보팀장), 행정실장, 기획실장 등

표 6-3. 행정지원부서별 비상업무

부 서 비 상 업 무

총무인사팀∙ 방사선비상근무 인력편성 및 동원∙ 원내 확대 진료의료진 근무 배정∙ 구급차 운행

구매팀 ∙ 방사선비상진료 응급물자 확보 및 지원

시설장비팀 ∙ 전기, 설비 등 지원

재무팀 ∙ 예산지원

전산정보팀 ∙ 전산관련 지원

Page 148: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142

(8) 기술지원반

① 임무 및 역할

㉮ 방사선피폭선량 평가, 제염, 안전관리 등 관련 기술지원 및 자문

㉯ 방사선사 자격소지자 동원 방사선 계측 활동 수행

② 인력구성

㉮ 반장 : 보건물리팀장

㉯ 반원 : 생물선량평가팀장, 핵의학과장, 보건물리팀, 방사선안전관리팀 등

4 오염 통제와 환자 분류

병원에 도착한 방사선 상해 의심자를 수용하여 관리하는 기본 절차는 ⓛ 응급 구조, ② 오염검사 및

방사선학적 분류, ③ 진단검사, ④ 의학적 손상에 의한 분류, ⑤ 치료 계획으로 이루어진다. 심한 외상

등으로 생명이 위협받는 환자는 무엇보다 응급 구조와 안정이 우선이다.

그림 6-5 방사선비상 시 대응절차

다음은 병원에서의 의학적 손상과 방사선학적 분류에 의한 환자 분류군에 따른 오염 통제 절차에 대한

사항이다.

1) 통상적인 부상 및 외부 피폭을 당한 비오염 환자군

(1) 통상적인 응급 상황의 절차 적용

(2) 환자 오염 여부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경우, 오염으로 간주

Page 149: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43

제6장_병원대응

2) 통상적인 부상 및 외부 피폭을 당한 오염 환자군

(1) 앰뷸런스 도착

∙ 앰뷸런스 내부와 주변은 오염 구역으로 간주

∙ 호흡기 보호장비와 개인 보호장비를 착용한 의료진이 오염관리구역 경계선에서 앰뷸런스팀 인수

인계

(2) 환자 이동

∙ 병원 카트는 비닐과 시트를 3중으로 씌워 오염 확대 방지

∙ 오염 관리구역 경계선을 기준으로 하여 양쪽으로 앰뷸런스 카트와 병원 카트를 나란히 설치(오염

구역 : 앰뷸런스 카트, 오염 관리구역 : 병원 카트)

(3) 작업 종료한 앰뷸런스 차량과 앰뷸런스 팀원

∙ 개인선량계 반납

∙ 방사선 오염 확인, 오염 시 제염 실시

∙ 오염된 의복, 물품, 장비 등 오염 절차에 맞게 처리

∙ 외부 모니터링, bioassay sample 등을 통해 내부피폭 확인

(4) 오염된 환자는 의학적 손상에 의한 환자 분류와 방사선학적 환자 분류를 실시

(5) 제염과 적절한 후속 치료 계획 결정

(6) 응급실 1차 조치 후,

∙ 격리병동의 입원실에서 적절한 후속 치료

∙ 상태에 따라 조혈모세포이식 전문병원으로 후송

(7) 오염 환자 이동

∙ 이동 경로 바닥의 오염 방지 작업

∙ 내부오염 또는 의심 시 환자에게 마스크 착용

3) 통상적인 부상 및 외부 피폭 환자군

(1) 분류실에서 환자 분류 실시

∙ 생명이 위독한 상해자들은 방사선학적 분류 이전에 먼저 치료

∙ 오염 여부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경우, 모두 오염으로 간주

∙ 비오염 시 통상적인 응급 환자 접수 절차대로 시행

(2) 의료진 보호

∙ 제염절차를 연기한 응급 환자의 치료 시 의료진은 반드시 호흡기 보호장비, 개인 방호장비를 적절히

착용

∙ 의료진에게 허용된 최대 허용 선량을 정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 실시

Page 150: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144

표 6-4. 각 선량한도별 작업시간

선 량 제한 선량 50mSv까지 작업시간 제한 선량 500mSv까지 작업시간

0.1mSv/h(100uSv/h)

500시간 5,000시간

1mSv/h 50시간 500시간

10mSv/h 5시간 50시간

100mSv/h 30분 5시간

1,000mSv/h 3분 30분

(3) 방사성물질 취급

∙ 고준위 방사성물질이나 파편이 상처부위에 있는 경우 : 방사선 안전 절차를 준수하며 최대한 신속히

파편 제거

∙ 방사성물질일 수도 있는 금속 파편 : 손으로 직접 접촉은 피하고 방사선피폭을 최소화하기 위해

long forcep을 사용하여 제거

∙ 방사성물질 제거 작업자는 반드시 개인 보호장비 착용

∙ 치료 시간 동안 선량률 모니터링 실시

(4) 방사성물질 관리

∙ 제거된 파편의 방사선 모니터링 실시

∙ 적절히 차폐된 납 용기에 담아 병원 내 적절하고 지정된 장소에 보관

(5) 오염 환자의 혈관 내 주사

∙ 피부 관찰 후 깨끗한 부위나 오염이 덜한 부위 선정

∙ 면봉 등으로 주사 자리 소독 후 실시

(6) 치료가 끝난 환자는 완충구역으로 이동, 방사성 오염 검사 실시 후 일반 구역으로 내보냄

(7) 응급실에서 첫 조치가 끝나면, 환자를 상태에 따라

∙ 일반 병동의 입원실로 보내고 적절한 후속 치료 실시

∙ 화상이나 성형 전문병원으로 후송

∙ 퇴원 후 통원 치료

(8) 폐기물 관리

∙ 오염된 물품과 방사성폐기물의 처리법과 보관 기간 결정

∙ 단기간 보관 시에는 오염된 물품을 이중 비닐백에 넣어 보관 후 방사선 안전관리요원의 지도하에

일반인이나 의료진의 접근이 가장 적은 장소로 이동 보관

Page 151: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45

제6장_병원대응

5 방사성물질의 제염

1) 시료채취

방사선 상해자의 진료에도 각종 임상병리검사가 따른다. 특히 혈액상에 관한 데이터는 피폭량을 근사

적으로 추정하고 예후를 판단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이다. 상해자가 피폭한 방사선량에 관한 정보는 예방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요소이므로 생물학적 계측이나 물리적 계측을 통해 최선의 선량 값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표 6-5. 시료채취 시 시행하는 주요 임상 검사

검사내용 목적 및 시행절차

백혈구, 혈소판, 생화학검사 및 혈액형 검사

∙ 목적 : 피폭량을 근사적으로 추정하고 예후를 판단하는 데 중요∙ 채혈부위는 오염이 없는지를 확인한 후 시행∙ 채혈 후에는 천자(穿刺 : 구멍이 뚫린) 부위에 테가덤 등으로 밀봉드레싱하여 오염 방지∙ 림프구, 호중구, 혈소판수를 조사하여 피폭 정도 파악∙ 초기의 베이스라인을 채취∙ 시간의 경과에 따라 계측함으로써 피폭의 정도를 예상 ∙ 아밀라제를 함유하는 일반생화학검사 실시∙ 전신 피폭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6시간마다 채혈 실시

비강 및 구강, 외이도 스미어

∙ 목적 : 내부오염의 가능성 평가∙ 젖은 면봉으로 조심스럽게 좌우 신체 개구부에서 시료채취 ∙ 코를 풀거나 샤워를 하면 정밀도가 떨어짐∙ 비강 스미어 채취 시 기침이 나오지 않도록 조심∙ 비강 스미어 수치의 약 5~10배가 체내오염의 양으로 추정

상처드레싱/ 상처부위 시료 채취

∙ 목적 : 상처/내부오염 여부 확정∙ 사용된 드레싱을 플라스틱 통에 저장∙ 각 상처의 분비물를 습성 또는 건성인 면봉으로 채취∙ 점적기나 주사기를 사용하여 몇 방울의 분비물을 채취∙ 육안상 파괴 조직을 가진 상처에서는 도포기나 긴 핀셋 또는 섭자를 사용하여 파편을 채취하여

납(lead, pigs)으로 된 저장 용기 안에 놓인 검체용기에 저장

소변

∙ 목적 : 신장 및 비뇨기계 기능 평가∙ 수집 날짜, 시간, 이름이 표시된 깨끗한 용기에 수집∙ 체내 섭취량의 추정을 위해 먼저 시료를 채취∙ 신장기능(특히 우라늄을 체내 섭취했을 때)을 확인∙ 환자의 손으로부터의 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채뇨 시에는 환자에게 장갑을 착용하도록 함∙ 분석이 종료된 시료는 방사성폐기물로 처리∙ 내부오염 의심 시에는 체내 잔존 방사능 평가를 위해 매일 24시간 소변 채집용기 사용

대변∙ 체내섭취량 추정을 위해, 대변으로의 배설을 무시할 수 없는 방사성핵종(예 : 세슘)에 대해 실시∙ 내부오염이 있으면 최소 1시간은 계속하여 채취하며 매일 평가(비닐봉지, 샬레 등에 냉동 보존)

구토물 ∙ 체내오염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오염되지 않은 용기에 채취

세정에 사용한 액 ∙ 밀봉용기에 보관하고, 핵종판별 및 방사능을 측정

EDTA 채혈 ∙ CBC, 생화학검사용으로 채혈을 실시

헤파린 채혈 ∙ 염색체분석용으로 채혈을 실시

전혈(全血) ∙ 방사화 Na를 측정(중성자 피폭의 경우)

기타 ∙ 손톱, 목면, 패각의 버튼, 치아의 에나멜질 등은 전자스핀공명(ESR)법으로 측정

Page 152: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146

2) 상처 제염

(1) 상처가 오염되었을 때 의료진은 내부피폭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상처부위에서 시료채취를 시행

한다. 채취된 시료는 절차에 의해 이중 비닐과 라벨링(labeling)을 한다.

(2) 오염 확산 방지를 위해 방습포로 오염된 상처만 노출시키고 주변 주위를 덮는다.

(3) 상처 깊숙이 박힌 방사능 파편이 눈에 보인다면 제거하고 분석을 시행한다.

(4) 상처는 생리식염수나 깨끗한 물(지정하거나 공급하는 물)로 부드럽게 중력을 이용하여 세척한다.

(5) 세척된 물은 오염된 걸로 간주하고 액체 방사성 폐기물통에 모으거나 패드 등을 이용하여 흡수시킨

후 방사성폐기물로 처리한다.

(6) 상처를 세척한 후에 상처부위를 계측한다. 계측 시 오염량이 최초의 1/10로 낮아지면 제염을 멈춘다.

오염이 남아 있을 때에는 제염이 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시행하나 피부에 발적 또는 홍반이 보일

때는 바로 제염을 멈춘다.

(7) 겉장갑은 오염이 의심되거나 환자 교체 시, 또는 필요시마다 휴대용 계측기로 오염 여부를 판단 후

교체할 수 있다.

(8) 제염이 된 후 상처부위는 가볍게 눌러 닦거나 자연스럽게 건조하고 방수되는 밀봉 드레싱을 시행한다.

(9) 반복된 제염 후 상처 치료는 일반 상처와 같은 방법으로 시행한다.

20

3) 신체개구부 제염 : 귀, 비강, 구강

(1) 방사성물질은 피부를 통해서보다 신체개구부 및 점막을 통해 흡수가 더 빠르다. 따라서 제염 순서는

다음과 같다.

∙ 상처 제염 → 신체개구부 제염 → 피부 제염

(2) 신체개구부는 오염이 있을지라도 주변 부위는 오염이 없을 수도 있으므로 주의 깊게 사정한다.

(3) 개구부 오염을 사정하기 위해 신체개구부 시료를 채취한다.

∙ 신체기록표에 상해자별로 초기측정 결과와 나중에 측정한 결과를 기록한다.

Page 153: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47

제6장_병원대응

(4) 귀 제염

∙ 제염하기 전에 고막의 상태를 확인한다.

∙ 만약 고막이 손상되지 않았다면 외이도를 세척한다.

∙ 헹구어낸 세척액을 모아 저장하며 방사성 폐기물 표지를 붙이고, 선량측정 후 안정성이 확인되면

폐기한다.

그림 6-7 귀 제염

(5) 비강 및 구강제염

∙ 비강 오염 시 환자가 의식이 있다면 직접 코를 풀도록 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또는 필요시 면봉

으로 코 안쪽을 닦아낸다.

∙ 구강 및 인후오염 시에는 생리식염수나 3% 과산화수소용액으로 가글한다. 이때 가글액을 삼키지

않도록 주의한다.

∙ 칫솔, 치약을 이용해 이를 닦고 입안은 자주 헹구어낸다.

∙ 헹구어낸 세척액을 모아 저장하며 방사성폐기물 표지를 붙이고, 선량측정 후 안정성이 확인되면

폐기한다.

그림 6-8 비강 및 구강 제염

Page 154: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148

4) 눈 제염

(1) X-ray를 이용해 안구에 파편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2) 각막에 오염이 있고 안구가 손상되지 않았다면 충분한 물이나 생리식염수로 눈을 세척한다.

(3) 파열된 안구는 세척하지 않는다.

(4) 비루관의 오염을 피하기 위해 눈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흐르도록 세척한다.

(5) 제염 후 결막염의 여부를 관찰한다.

(6) 헹구어낸 세척액을 모아 저장하며 방사성폐기물 표지를 붙이고, 선량측정 후 안정성이 확인되면

폐기한다.

그림 6-9 눈 제염

5) 모발 제염

(1) 흐르는 물로 인한 오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시트나 방수포 등을 이용하여 상해자를 감싼다.

(2) 미온수와 비누 및 샴푸로 머리를 감는다.

∙ 비누나 샴푸는 물에 유화되고 오염을 분해한다.

∙ 린스는 모발 단백질에 방사성물질이 결합하여 제염을 더 어렵게 하므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 오염된 물이 눈, 귀, 코나 입으로 들어가는 것을 피한다.

(3) 오염되지 않은 타월로 머리를 깨끗이 말린다.

(4) 상해자가 사용한 모든 타월은 각 상해자별로 이중 비닐봉지나 플라스틱 통에 담고 이름, 수집날짜

와 시간, 장소를 기록한 후 방사성 오염 표지를 부착한다. 안전한 위치에 수집백을 저장하고, 추후

선량측정을 하여 안정성이 확인되면 폐기한다.

(5) 제염의 목표는 배후선량의 두 배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이다.

∙ 모든 오염을 제거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 샴푸로 오염된 머리카락을 여러 번 감고 매번 선량측정을 하여 기록한다.

Page 155: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NATIONAL RADIATION EMERGENCY MEDICAL CENTER 149

제6장_병원대응

∙ 샴푸로 오염이 제거되지 않는다면 오염된 머리카락을 자를 수 있다.

∙ 머리카락을 면도(shave)하지 않는다. 이는 면도로 인해 홈이 생기거나 찰과상 등의 피부손상을 피

하기 위함이다.

그림 6-10 모발 제염

6 2차 환자 분류

1) 환자의 의학적 상태는 개선되거나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의학적 손상상태에 기초하여 2차

의학적 손상에 의한 분류(trauma triage)를 실시한다.

2) 2차 의학적 손상에 의한 분류에서는 우선순위를 3단계로 나눈다.

∙ 1순위 : 생명이 위험하여 어떠한 제염보다도 즉각적인 소생술이 필요한 경우. 이러한 환자들은 즉

각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가능한 별도의 독립된 공간으로 보낸다. 진료 활동에 방해

가 되지 않는다면 환자를 안정화시키는 동안에 제염을 실시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응

급 치료가 끝날 때까지 제염을 연기한다.

∙ 2순위 : 진료가 필요하기는 하지만 현장에서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하지는 않은 경우. 제염하지 않

았다면 진료 전에 호흡기 보호장비와 개인 방호장비를 착용한 전문가가 병원 내의 적절한

지정된 장소에서 이들 환자들에 대한 제염을 실시할 수 있다.

∙ 3순위 : 2차 방사선 Triage의 결과 외래진료가 가능한 경미한 부상의 경우. 이러한 환자들은 대개

병원 도착 전에 사고 현장에서 제염을 받을 수 있다. 만약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경미한

부상을 치료하기 전에 호흡기 보호장비와 개인 방호장비를 착용한 전문가가 병원 내의 적

절한 지정된 장소에서 제염을 실시할 수 있다.

3) 환자들이 최적화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환자의 방사선학적 상태에 따라 2차 방사선학적 Triage를

실시한다.

∙ 사고 현장과 환자나 보호자에 의한 문진으로부터 수집되는 정보에 기초한 간략한 환자별 병력 조사

∙ 기본적 신체 사정 및 검사 : 신체부위별 손상 및 장애에 대한 사정

Page 156: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150

∙ 혈액 샘플, 혈구수 분석(중성구, 림프구, 혈소판, 적혈구 등), 혈액형 검사, 염색체 분석, 생화학

검사 등 시행

∙ 혈액 샘플은 기초값(baseline value)을 구하기 위해 최대한 빨리 채취. 1일차는 매 4~8시간마다

differential blood cell count를 반복, 2일차는 매 12시간마다, 그 이후로는 매일 한 번씩 반복

4) 2차 방사선학적 환자 분류를 실시

표 6-6. 방사선학적 Triage 범주

범 주 조 건

0 방사선피폭을 받았을 가능성이 거의 없는 사람(환자가 아님)

I 외래 또는 1일(낮) 입원으로 (치료받고)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한 환자

II 생명을 구하기 위해 최대한의 의료적 조치가 필요한 환자

III 모든 치료에도 불구하고 향후 복합기관 손상(multiple organ failure)이 예측되는 환자

7 급성방사선증후군(ARS) 환자의 수술

1) 수술은 가능한 한 조기에 실시(72시간 이내)하거나 출혈과 감염을 조절할 수 있을 때(피폭 2개월 후)

실시해야 한다.

2) 급하지 않은 수술이라면 환자의 상태가 범혈구감소증(pancytopenia)으로부터 회복할 수 있을 때까지

연기해야 한다.

3) 임시방편이라 하더라도, 상처 봉합은 조기에 하도록 고려한다.

Page 157: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발 행 일 : 2016년 12월

발 행 처 : 한국원자력의학원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

주 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노원로 75

전 화 : 02-3399-5931

팩 스 : 02-3399-5830

홈페이지 : www.kirams.re.kr

저 자

한국원자력의학원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

진영우, 배근량, 박선후, 이효락,

조민수, 하위호, 장성재, 김선실, 양미현, 명재경,

서성원, 박창연, 강진규, 이승숙, 이진경, 최원식 등

한국원자력의학원 원자력병원

강혜진, 김병일, 김철현, 양기영, 조성진, 최상열

감 수

한국원자력의학원 원자력병원 방사선종양학과 조철구

한국원자력의학원 원자력병원 핵의학과 임상무

편 집

한국원자력의학원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

조민수, 김현정

Page 158: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
Page 159: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 (상권) 2016-편 - kirams.re.kr · 2017. 9. 13. ·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국공립 대학병원, 군병원 등 전국 23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