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60
2001 제4제 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 The 4 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Environmental Education 제제제제제제제 제제제 제제 Prospects and Status on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제제 : 2001. 9. 7.(제) 제제 : 제제 제제제제 제제제제 제제/제제 : 제제제제제제 / 제제제제제제 제제 : / 제제제제제 제제제제제제: 제제제제 / 제제제제제 / 제제제제제 / 제제제제제제제제제 DATE : September 7, 2001 VENUE :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Office Building, Small Conference Room Convener : Korean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 / Environmental Education

Upload: others

Post on 01-Ja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2001 제4차 국제환경교육심포지움

The 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Environmental Education

사회환경교육의 현황과 전망

Prospects and Status

on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일시 : 2001. 9. 7.(금)장소 : 국회 의원회관 소회의실주최/주관 : 환경운동연합 / 환경교육센터후원 : / 한국일보사국제협력기관: 호한재단 / 영국문화원 / 미국대사관 /

일본지구환경연구소

DATE : September 7, 2001

VENUE :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Office Building,

Small Conference RoomConvener : Korean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 /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

Page 2: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Sponsor : / The Hankook Ilbo International Cooperative Organization : Australia-Korea Foundation / The British Council / Embass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Japan

2001 제4차 국제환경교육심포지움

The 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Environmental Education

사회환경교육의 현황과 전망

Prospects and Status

on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일시 : 2001. 9. 7.(금)장소 : 국회 의원회관 소회의실주최/주관 : 환경운동연합 / 환경교육센터후원 : / 한국일보사국제협력기관: 호한재단 / 영국문화원 / 미국대사관 /

일본지구환경연구소

DATE : September 7, 2001

Page 3: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VENUE :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Office Building,

Small Conference RoomConvener : Korean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 /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

Sponsor : / The Hankook Ilbo International Cooperative Organization : Australia-Korea Foundation / The British Council / Embass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Japan

한글KOREAN

Page 4: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2001 제4차 국제환경교육심포지움

사회환경교육의 현황과 전망

일시 : 2001년 9월 7일 금요일 오전 9:00-오후 5:00장소 : 국회 의원회관 소회의실

주관 : 환경연합 국제협력위원회, 환경교육센터

후원 : SK그룹, 한국일보사

국제협력기관 : 호한재단, 영국문화원, 미국대사관, 일본지구환경연구소

1. 기획의도 국제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사회환경교육의 중요성 인식재고

어린이, 학생, 성인들에게 평생교육의 형태로 자리잡은 사회환경교육과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학교환경교육의 사례를 통한 양자간의 비교 분석

환경교육 관련 전문가, 활동가들의 깊이있는 토론의 장 마련 및 국내, 국제적

네트워크 강화

Page 5: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지속가능 발전 전략 차원의 학교 및 사회환경교육 방향 설정

2. 사업목적 다양한 환경 현장 교육 사례발표를 통한 더욱 실천적인 환경교육 프로그램 모색

사회환경교육의 효과를 분석하고 학교환경교육과 사회환경

교육의 효과적인 접목 가능성과 그 방안 모색

호주, 영국, 미국, 일본, 중국에서 진행중인 각종 환경교육의 사례를 통해 현지

환경교육의 현황 파악 및 구체적인 협력의 틀 마련

3. 기대효과 한국 환경단체들의 환경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전국적인 차원에서 통찰할 수 있다. 외국단체 혹은 대학-한국환경단체와의 교류를 통해 상호 프로그램의 소개 및 양자

교육내용의 질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환경교육분야의 전문가, 학생, 시민단체 활동가 간의 폭넓은 교류 형성의 계기가 될

수 있다. 환경교육 담당자들간의 국제적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환경교육에 대한 중요한 인식제공의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 4. 프로그램09:00-09:30 등록

09:30-09:50 개회

사회 : 김혜정 (환경연합 활동처장)

개회사 : 이상곤 (환경연합 국제협력위원장)

축사 : 김명자 (환경부 장관)

09:50-10:00 휴식

Session Ⅰ 평생교육차원의 관점에서 바라본 사회 환경교육의 방향 사회 : 최석진 박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선임연구위원)

10:00-10:20 미국의 사회환경교육 (로잔느 W. 포트너, 미국 오하이오대학 교수)

10:20-10:40 한국 사회환경교육과 환경NGO (이시재,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교수)

10:40-11:00 지속가능을 위한 환경교육 : NGO 활동가들의 훈련을 위한 길잡이

(크리스 게이포드, 영국 리딩대학 교수)

11:00-11:20 생태적 관점의 환경교육 (유정길, 한국불교환경교육원 사무국장)

11:20-11:40 휴식

11:40-12:00 환경교육에서의 중국 NGO의 역할

(젱홍잉, 중국 환경청 환경교육센터 프로젝트 책임자)

Page 6: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12:00-13:00 질의응답 13:00-14:00 점심

Session Ⅱ 환경교육 사례 발표 사회 : 이인식 (경남환경연합의장 / 환경을 생각하는 교사모임)

14:00-14:20 전국YMCA 어린이 갯벌생태캠프의 성과와 전망 : 아이들의 감수성 에

파장을 일으켜 미래의 생명지킴이로 (이희출, 서산 YMCA 총무)

14:20-14:40 호주의 사회환경교육 동향(로즈 리드, 호주를 깨끗하게 본부 매니저)

14:40-15:00 숲 체험교육의 사례 (홍혜란, 생명의숲 가꾸기 국민운동 사무처장)

15:00-15:20 야생동물과 함께 사는 길 (박그림, 산양의 동무 작은뿔 대표)

15:20-15:30 휴식

15:30-15:50 일본 환경교육활동 동향 (오사무 아베, 일본 사이타마 대학 교수)

15:50-16:10 종합토론

오창길 (인천성리초등학교 교사 / 환경을 생각하는 교사모임)

주선희 (환경연합 환경교육센터 팀장)

16:10-16:50 질의응답

16:50-17:00 폐회

미국의 사회 환경교육: 최근 프로그램과 실례

로잔느 W. 포트너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

사회 환경교육이란 무엇인가?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 볼 때 미국에서 환경교육은 학습(learning)과 전문

(profession) 분야로서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미국에서 환경교육의 뿌리는 1950년대

초의 자연 기록, 여행기록, 야외교육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러한 움직임은 환경이

변화하고 있는 상태, 몇 십년에 걸쳐 환경의 질을 위협하고 있는 사건, 사례들에 대한

대중의 반응으로 나타나고 있다. 역사를 보면 러브 캐널에서 발암물질이 발견되고

쿠야호가(Cuyahoga)강이 불타는 위기가 성장에 박차를 가하였다. 이전의 시대에

있어서 성장은 보다 조용이 이루어졌고 인간이 필요로 하는 자원이 꾸준히 생성되면서

진행되었다. 화석연료 연소, 남획과 같이 오랜 기간에 걸쳐 지구를 미세하게

변화시켰다.

Page 7: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환경교육은 유네스코에서 정의내린 바대로 급속도로 뻗어가고 있다. 형식교육(formal education) : 초등학교에서부터 대학교까지 위계적으로

구조되어 있고, 시간 순으로 등급화되어 있는 교육 시스템. 형식적 교육은 학습의

목적을 위해 모아진 같은 나이 집단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형식교육은 대부분

교실에서 이루어지지만 비형식적 환경에서의 현장 경험을 위해 학교를 떠날 수도

있다. 비형식교육(nonformal education) : 형식적인 체계 밖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활동. 비형식적 교육은 형식적이고 나이가 같은 집단과 학습이 아닌 다른 이유로

모인 집단(가족 같은 일차 사회집단, 보이 스카우트와 같은 비학교 단체나 클럽) 모두에게 제공된다. 비형식적 교육은 교실이 아니면서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특별한 장소인 박물관, 공원, 자연지역, 동물원, 수족관 등에서 이루어진다. 무형식교육(informal education) : 모든 사람이 대중 매체, 부모, 친구, 개인적

경험으로부터, 자신의 환경에서 매일의 경험과 교육적 영향으로부터 태도, 가치, 기능, 지식을 얻는 삶의 과정.

형식, 비형식, 무형식 환경교육 사이의 경계는 불분명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환경교육에 대한 기회는 경쟁적이기보다는 상호 보완적인 것으로 보여진다. 환경교육의 역할은 너무 커서 하나의 교육이 모든 것을 다룰 수 없다.

(우리나라의 경우 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을 학교환경교육, formal과

i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을 합쳐서 사회환경교육이라고 하고 있으므로

의사소통의 편의를 위해 이를 따르고자 한다.)

사회환경교육이 학교환경교육을 어떻게 보완하고 보충하는가?

야외기회 ( Outdoor opportunities ) . 미국에서 많은 학교들은 특별 학습이

교과과정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을 맺으면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소로 학교 부지를 야외

실험실, 교정, 자연학습장으로 발달시켰다. 학교와 가까운 지역을 보유함으로써

학생들이 교실을 떠나서 해야 하는 현장 여행을 하지 않아도 되고 비용적인 면에서도

계획을 세울 수 있다. 다른 실험실에서 학생들은 소기후(microclimate)의 실례를

발견할 수 있고, 환경적 특징을 측정하고 서식지를 비교할 수 있고 그림이나 책에서

보면서 명확하지 않았던 지구 부분들의 상호작용을 직접 관찰할 수 있다. 일부 학교 지구는 일일 프로그램(day-facility) 또는 며칠동안 야외(통나무집이나

자연지역)에서 지내는 거주형 야외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한다. 그들은 과학, 수학, 창작, 지리 뿐만 아니라 하나의 사회에서 함께 지내면서 시민의식을 배우기 위해서 책상 앞에

앉아 있지 않고 실제 세계를 탐구한다.

Page 8: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대학이나 NGO는 또한 형식적 수업이 비형식적 학습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숙박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예로 에리 호수에 있는 암석 학습장(Stone Laboratory on Lake Erie)을 들 수 있는데 이곳은 교사를 위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교육을 받은

교사들이 수생과학(aquatic science) 교육을 위해 학생들을 데리고 온다. 대부분의

교사가 학생들을 호수로 데리고 올 수 없기 때문에 형식적 교육과정 소재는 손으로

접하는 학습 경험을 모의실험하는 것이 가장 좋다.

사회교육단체 ( Nonformal education institutions ). 동물원, 박물관, 수족관 뿐만

아니라 공원의 방문객 센터와 특별 지역은 찾아오는 사람 모두를 위한 비형식적 교육을

하고 있다. 매년 5억 명 이상의 사람들이 미국 박물관을 방문하고 1억 명 이상의

사람들이 동물원과 수족관을 방문한다. 이것은 환경교육에 대한 잠재적 학습자의

인구가 많다는 것을 말해 준다. 이러한 시설에서의 프로그램과 전시는 주로 가족과 같은

비동질적인 단체를 위한 것인데 학습 경험은 휴양 학습으로 계획되어 구조화되어 있지

않다. 대부분이 방문하는 학급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하고, 교사들은 교육과정

시간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특별 프로그램을 계획할 수 있다. 연구에 의하면 비형식

시설에서의 가장 효과적인 학습은 수업 프로그램이 현장 여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에서 신문 ( Newspapers in Education ) 은 교육과정에 있어서 어떤 주제에 대한

신문의 특별 쟁점의 다양한 면을 제공하는 미국 프로그램이다. 신문은 또한 교사가 매일

신문을 어떻게 교육과정을 보충하기 위해 사용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환경이 매체의

주의를 끌고 있다면 학교는 이러한 사회교육 매체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미국에서 사회환경교육은 어떻게 성장하고 있는가?

환경교육 지침의 발달 ( Development of EE Guidelines ) . NAAEE(North Americ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는 전문적인 조직이다. 이

조직에 있는 구성원의 활동 범위는 매우 다양하지만, 모두 질적인 부분에 있어서 책임과

건강에 관한 관심을 발달시키고, 환경에 대한 학습을 돕는다는 공통의 목적을 위해

일한다. 최상의 사고가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는 가이드 라인이 없다면 이러한 임무는

매우 크기 때문에 우리는 모두가 믿을 만한 일을 하고 있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환경교육의 특징은 실천의 모든 형태에 적용 가능한 환경교육의 목적을 정의하는데

도움을 준다. 환경교육은 환경 주제와 쟁점과 관련이 있다. 환경교육은 학문과 학습의 다양한 분야와 관계하는 간학문적이다. 환경교육은 학습자의 필요, 관심, 동기와 관련된다. 환경교육은 평생 학습 과정이다.

Page 9: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환경교육은 명확하고 사실적인 정보를 근거로 한다. 환경교육은 균형적이고 편견없는 방식으로 정보를 제시한다. 환경교육은 가능하면 언제든지 학습 환경으로서 야외를 구성한다.

명확성, 균형성, 관련성, 간학문성에 대한 중요성은 강조되어야 한다. 이것은 형식적

교육으로 환경교육을 곤고히 한다. 비형식적 교육의 핵심은 단지 사실이나 개념이

아니라 쟁점에 초점을 맞춘 기회이고 야외에서의 교육이며, 평생학습이다. 수월성(Excellence)을 위한 NAAEE 지침은 다음과 같은 주제를 가지고 있다.

환경교육자의 첫 단계 준비

유치원생, 초, 중, 고등 학생의 학습을 위한 지침서

소재 개발과 선택

프로그램 평가

온라인 상(http://naaee.org/npeee/)에서 소책자는 모두 볼 수 있다.해설자 인증 (I nterpreter C ertification ) . 미국 공원에서 사회교육자는 종종 해설자

(interpreter)라고 불린다. 해설국제협회(National Association for Interpretation-NAI)는 전문가로서 자연과 문화 해설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도력과 탁월성을

고무하는데 봉사하고 있다. NAI는 50개 주 30지역에서 거의 500명의 학생을 포함해서

4500명이 넘는 사람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 담당업무는 참여자들의 질적 수준을

보증하는 인증 프로그램의 발달을 고려하는 것이다. 그리고 몇 년 동안 스스로 학습한

이후에 조직은 이러한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환경교육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실행을

위한 기준의 발달에 있어서, 성장하고 있는 업무에 있어서 초기 지도자 몇몇이 적절한

유연성없이 그들 자신의 생각만을 반영하는 기준을 세울 위험이 있다. NAI에서

전문성을 강화하고 다양한 구성원을 갖추고, 전문성에 대한 요구도를 평가하고 그리고

나서 새로이 함께 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전체적 기능을 결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제안된

인증 유형으로 인증된 유산 해설자(Certified Heritage Interpreter), 인증된 해설

안내자(Certified Interpretive Guide), 인증된 해설 메니저(Certified Interpretive Manager), 인증된 해설 계획자(Certified Interpretive Planner), 인증된 해설 훈련자

(Certified Interpretive Trainer)가 있다. 더 상세한 정보는 온라인

www.interpnet.org에서 이용할 수 있다.

평가 ( Evaluation ) . 학급 교사뿐만 아니라 사회교육자들은 프로그램과 교육에 대한

비판적 평가를 하기 위하여 지식, 기능, 책임을 가져야 한다. 평가는 교수(instruction)와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사람들은 그들이 방문객 센터를 떠날 때 시험을

보려고 하지는 않지만, 컴퓨터 퀴즈 게임을 할 수도 있고, 카드 놀이를 할 수도 있고, 학습의 핵심적인 목적을 다루는 다른 방식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사회교육자를 위한

Page 10: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훈련은 어떻게 평가를 해야 하는가를 포함해야 한다.

교수 기술 사용 ( Use of instructional technology ) . 실제적인 현장 여행이 폭포에

대한 여행으로 대치될 수 없지만 모두가 폭포를 방문할 수 없다면 컴퓨터로 이를 대체할

수 있다. 미국에서 대부분의 사회환경교육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적어도

자연지역에 관한 사진과 흥미있는 사실을 담고 있는 웹 사이트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인터넷을 통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한국에서 사회환경교육에 대한 이러한 발달을

무시하는 것은 하나의 오점이 될 수 있다.

조직 평가 도구 ( Organizational Assessment Tool ). 국내 환경교육 향상 프로젝트

(Na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Advancement Project)는 한정된 자원을

관리하고 최대한의 이익을 창출하고자 노력하는 비정부기구를 위한 지침서를

제시한다. 주제는 문제 해결, 지도력, 경영, 분제 해결, 팀 형성, 조직 강화를 위해

필요한 과정 등을 포함한다. 상식적으로 무슨 일을 하고 어떻게 성공을 최대화 할

것인지에 대한 기초적 조직 구조화 계획인 OAT는 미국 환경 보호청(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과 환경교육 훈련 협력(Environmental Education Training and Partnerships, EETAP), 국가 야생동물 연합(National Wildlife Federation)의 지원을 받고 있다. http://www.uwsp.edu/cnr/neeap/neeapservices/oat/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요약

사회교육과 학교교육은 효과적인 환경교육을 위해 협력해야 한다. 미국에서

전체적인 환경교육의 이익을 위해 이러한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에 대한 많은

사례가 있다. 사회교육은 범위, 효과성, 전문적 기능을 확대하기 위하여 많은 생산적인

방법을 시행하고 있고, 인터넷 자원은 다른 사람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사회(비형식, 무형식)환경교육이 이 세기에 환경 결정 능력을 갖춘 인간의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 학교환경교육을 함께 다루어야 한다.

참고문헌

Byrd, N.J. 1998. The nature center handbook – A manual of best practices from the field. Assoc of Nature Center Administrators.

EETAP Resource Library (at http://eelink.net ): Fact sheets and resource lists as follows:

# 12. Understanding evaluations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1997

Page 11: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 25. Assessing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Unobtrusive data collection, 1998# 35. Environmental Education and Nature Centers, 1998

Ham, S.H. 1992.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A practical guide for people with big ideas and small budgets. Golden, CO: North American Press.

Heimlich, J.E. and others. 1996. Adult learning in nonformal institutions. ERIC Digest #173. ED 399412. On line at http://www.ed.gov/databases?ERIC_Digests/ed399421.htm

Moore, R. and H. Wong. 1997. Natural learning: Creating environments for rediscovering nature’s way of teaching. Berkeley, CA: MIG Communications.

Ruskey, A. and R. Wilke. 1994. Promoting environmental education – An action handbook for strengthening EE I your state and community. Amherst, WI: New Hope Graphics.

Support Center for Nonprofit Management. The Nonprofit Genie. http://www.genie.org/

지속가능성을 위한 교육; NGO활동가들의 훈련을 위한 길잡이

크리스 게이포드 (영국 레딩대학 교수)

이 연구는 영국 환경 NGO 활동가들을 위한 새로운 훈련 방법을 다루고 있다. 여기서

사용된 방법론은-나중에 보게 되겠지만- 특히 중요하다. 그들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 NGO 활동가들은 현 시대의 생각과 방법론에 밝아야 하며, 그들의 역할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최근 영국의 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대중은 NGO가 제공한

정보를 정부나 기업이 제공한 정보보다 훨씬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중요한

점이지만, 그 정보가 믿을 수 없거나 질이 좋지않다면 신용을 쉽게 잃을 수 있다. 또

공공교육을 위해서 NGO가 써왔던 방법들도 시대의 흐름에 맞아야 한다. 그리고 정부의

교육체제와도 자주 협력해야만 한다.

여기에 기록된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NGO 교육자들이 실제로 필요로 하고 있고, 후에 이어질 다른 연구에 대해

모델이 될 수 있는 교육훈련을 개발하는 것.2. 외부의 전문가들에 의해 제시되는 것이 아니라, 활동가들이 스스로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그들의 필요를 규정함으로써 서로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

Page 12: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3. 활동가들이 지속가능성의 특성과 EFS를 명확히 하도록 하는 것

4. EFS에 대한 이해와 가능한 모델을 탐색하고 구축하도록 하는 것

5. 이러한 모델을 이용하거나 가능한 교수전략을 구안하는 것

이 연구는 지속가능성을 위한 교육(EFS)의 목적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목표

대상에 대한 효과적인 방법 사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연구는 EFS 의 개념과

이해의 급속한 변화가 NGO의 활동가들에게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는 점에서

시작되었다. 최근의 행동 연구에서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은 참여 방법이 이용되었는데, 참여자들이 자신들의 생각을 탐색하고 이것을 자신들의 필요와 맥락(정황)과

관련시키는 것이 이 방법의 기본적 토대이다. 이 생각은 실제로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고 훈련을 받는 사람들이 다른 어떤 사람들보다 실제의 문제점과 그 해결 방법에

대해 잘 알 것이라는 가정 하에 나왔다. 또한 다양한 집단이 자신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많은 아이디어와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했다. 목적은 성인 집단에 적절한 방법을 예증하는 것이다.

지속가능성이라는 주제는 교육자에게 상이한 여러 과제를 제시한다. 이 주제는 그

목적에 근본적인 불일치가 있기 때문에 논쟁의 여지가 있다. 어떤 교육자들은 이 주제를

도구적인 방법으로 다루는데, 직접적으로 환경에 적절한 행동을 장려하여 학습자의

행동변화를 요구한다. 이러한 논쟁이 도구적이거나 규범적이 아닌 방식으로 다뤄지고

사람들이 자신과 동료들의 가치와 태도, 행동에 대해서 탐구하게 될 때, 이 연구의

목적은 좀더 자유로워진다.

12개의 NGO에서 온 다양한 경험을 가진 15명의 활동가들이 참여했다. 이 활동은 2단계에 걸쳐서 이루어졌다. 첫번째 과정에서는 지속가능성이라는 주제를 참가자들이

정확히 이해하고, 교육활동에 있어서 가능한 접근방법을 결정하였다. 이 과정 후에

목표 대상에게 이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은 그들의 활동 중에 이를 적용해

보았다. 두 번째 과정에서는 그들의 생각이 실제로 유효한지 반추해 보고 토론해

보았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처음에 바람직한 EFS가 무엇인지 설명을

하지 않을 필요가 있다. 참가자들은 보다 나은 실행을 위해 그들 나름대로의 기준을

세우고, 가능한 한 제한없이 교육방법을 구상하도록 요구되었다. 나의 역할은 지도자나

전문가로서 활동하기 보다는 교육과정을 개선하고 참여자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다. 다음에 이어지는 토론의 순서는 참여자들에 의해 결정된 것이다.

첫번째 단계(The first block of time)

Page 13: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참고가 될 도서가 필요해서 3개의 짧은 기사를 준비했다. EFS 프로그램에서 강조되어야 하는 목적을 제시한 리스트가 필요해서 이를

준비했다. 이것들은 맥락과 교육 두 가지를 다루었는데, 위에서 말한 3개의 기사에

포함되어 있었다. 이것들에 대해 토론이 이루어졌고 후에 추가되거나 삭제되었다. 참여자들은 지속가능성이라는 개념과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요인들에 대해서

토론했고, 관련되는 여러 가지 용어들을 제안했다. 이와 같은 아이디어는 지속가능성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하는 개념적인 모델을

창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참여자들은 목적 리스트와 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지속가능성에 관한 이슈를

가르치는 다양한 방법을 제안했다. 그들은 그들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선택했고 미래에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계속 개발했다.

그리고 6주 동안 6명의 참가자들이 그들의 아이디어를 시험해보았다. 일부는

학교에서 이루어졌고, 다른 일부는 학교 밖의 청소년 집단에서 이루어졌다.

두 번째 단계(The second block)

참가자들은 어떻게 그 방법을 발전시킬 것인지에 대하여 토론했다. 그들은 그 방법을 평가하기 위해 그들 나름대로의 기준을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어떻게 참가자들이 행동했는가에 대한 세부 사항

먼저 지속가능성의 특성에 대한 중요한 토론이 있었다. 관련된 개념을 각각 작은 종이

(포스트 잍)에 적고 큰 종이에 옮겨 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어떤 요인이 환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주는, 같은 중심을 가지고 있는 타원형 모양의 2차원적인

모델이 만들어졌다. 참여자들은 단체 사이의 지속가능성의 특성에 대한 토론을 촉진하는 교육방법으로

평가하는데 기초로서 이 모델을 사용했다. 첫번째로 참가자들은 접근방법의 선택을

지도하고 후에 평가를 도울 수 있는 여러 개의 학습 목표를 정했다.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개념과 상관이 있는 일반적인 어휘사용의 범위

1.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개념과 사상들, 문제와 이슈들의 상관관계

2. 이슈와 과학적, 기술적, 윤리적, 경제적, 문화적, 정신적인 분야에서 다른 특성을

갖는 지식의 적용방법에 대한 복잡성. 어떤 한 분야만으로 문제를 이해하고

Page 14: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가능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데 완전한 도움이 될 수 없다는 것

3. 지속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이슈들은 집단과 사회뿐만 아니라 자연환경과

건조환경과도 관련이 있다는 것.

4. 다른 이익 집단이 지속가능성을 획득하는 방법에 대한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

5. 지구적인 이슈를 지역적인 맥락과 연결짓는 것

* 이런 목표를 이루기 위하여 필요한 방법:1. 사람들이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상황을 사용해야 한다

2. 상호적이며 협동적이어야 한다

3. 권위 그 자체나 정보의 주된 공급처로서가 아니라 문제를 돕고 해결하는 역할의

지도자를 사용해야 한다. 4. 세부 정보보다 단체 내에서 지식 공유를 강조해야 한다.

규명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라이프사이클 분석과 환경영향평가에 기초하여

교육방법이 결정되었다. 그들은 대부분의 영국 사람들에게 친숙하면서 캐주얼화 한

켤레를 시작으로 실제적인 예를 사용했다. 교수 자료는 두 번째 모델을 따라

원료생산에서부터 분배, 마케팅, 사용과 폐기에 이르는 신발의 순환 과정을 다루었다. 이 모델은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도왔다. 이중의

일부는 과학적이거나 기술적이고, 다른 일부는 경제적이고, 사회적이거나

문화적이었다. 이 자료를 시험해보면서 지도자들은 훈련자의 입장에서 라이프 사이클

분석과 환경영향평가의 개념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러한 영향의 일부는 명백히

지역적이고, 다른 일부는 보다 지구적이다.

가르치는 집단 구성원들에게 다음 사항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하였다.A) 신발은 어디에서 만들어지는가? B) 어떤 물질로 만들어졌는가? 신발은 어떻게

만들어졌고, 어떤 조건에서 신발이 만들어지는가? C) 신발은 판매되어 어떻게

분배되는가? D) 신발은 어떻게 사용되는가? E) 신발이 낡으면 어떻게 되는가? F)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어떤 영향을 줄이는 방법은 무엇인가?

2번째 단계의 토론에서, 참가자들은 모든 실험의 시작단계에서 지도자가 모든

이들에게 상세한 지식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말에 동의했다. 자료를 가지고

시험해본 몇몇은 “라이프사이클”의 네 단계 각각을 시나리오로 구성하는 방법으로

교육을 시작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이 사람들에게

원료추출과 생산은 보다 가난한 나라에서 이루어진다고 말한다. 그들은 노동자들의

생활과 위생조건을 관리하는 방법이나 이런 과정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Page 15: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생각해보게 된다. 완성된 제품은 광범위한 광고를 필요로 하는 시장경제 체제하에서

세계곳곳으로 연결되는 교통망을 통해 분배된다. 이 과정에서 많은 중간 단계를 거치게

되며 그 가격에 상응하는 마진이 첨부된다.

결과 평가

이 시도에서 우리가 한 활동이 여러 유용한 성과를 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성과는 네

가지 범위로 분류된다.

1. 지속 가능성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설명하기위해 새로운 단어를 배웠다.

2. 그저 사실적 지식에 기초한 것이 아닌 합리적인 결론을 이끌어내는 보다 수준 높은

사고 능력을 강조하였다.

3. 다른 사람들에게 적절한 질문을 하고 의사소통하는 것을 도왔다.

4. 사회적으로 비판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교육방법의 성공을 평가하면서, 참가자들은 이런 활동의 목적이 단지 전문가들을

곤란하게 하는 문제들의 해답을 찾기 위한 것이 아니라고 밝혔다. 그들은 문제의

복잡성을 확실히 인식하고, 현재 지식의 한계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 인해 사람들은 실생활에서의 상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참가자들은 이 방법이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전통적인 교육방법과는 다르기 때문에,

방법의 진기함은 NGO 활동가들에게 유용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 활동은 사람들이

지속가능성과 관련한 용어를 더 확실히 알고 사용하게 했고, 삶에 있어서 사회적으로

비판적인 자세를 갖도록 도왔다. 게다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는 여러 가지

가능한 방법들을 제시했다. 그리고 참가자들은 이 활동을 통해서 얻은 큰 이익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EFS 가 여러 다른 방면의 지식에 관하여 만큼 사람들이 갖는 가치에 관한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그들은 자신들이 그룹 안의 친구들에게서

배울 때 외부 전문가에게서 배울 때보다 훨씬 의욕적이 된다고 했다. 동료와 또래

사이에서의 경험은 특히 중요하다. 참여방법은 매우 효과적이며 또한 즐겁다. 그들은

생각을 해체해고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지속가능성 개념에 대한

관점을 얻었다. 참가자들은 이 교육방법이 여기에서 이용되었고 보다 전문적인 활동가의

발달의 다른 측면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여겼다.

Page 16: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생태적관점에서 교육을 다시 생각한다

유정길 (한국불교환경교육원 사무국장)

들어가는 글

환경적 가치과 생태적 가치는 같은 듯 다르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그 용어를 크게

변별하려고 하지 않지만, 엔드류 돕슨(Andrew Dobson)처럼 이 두가지를 아주

명확하게 구분하려고 하는 사람도 있다. 필자는 환경교육은 대단히 중요하며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고 생각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환경교육의 끝은 '환경'이라는

과목이 만들어지는 것과 환경교육이 별도로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교과와 모든 교육, 나아가 성인교육의 모든 내용에 생태적 세계관이 녹아들어가야만이 진정한

생태적교육의 완성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나아가 가장 훌륭한 교육제도는 바로

'사회'이 듯이 생태적 가치는 사회속에 완전히 구현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한다면 무엇이 생태적이고 무엇이 생태적이지 않다는 것인가.

이분법적이라고 오해될 수 있음을 무릅쓰고 무엇에서 무엇으로 변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언급해 보도록 하겠다.

생태적 세계관과 반생태적 세계관

환경문제는 데카르트 이후부터 시작된 인류역사의 근대적 기획에 대한 포괄적이며

전면적인 부정을 의미한다. 생태위기를 조장해온 페러다임은 주체와 객체를 분리하고

Page 17: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인간과 자연을 분리해왔으며, 자연의 인식에 있어서도 근본입자의 조합으로 인식하는

분절적인 사고를 해왔다. 직선적인 시간관과 인과관계를 기조로 하면서 양적인 것을 중요시하고, 인간의

필요에 복무하는 것만이 중요시 해왔고 획일적인 가치를 초래했다. 그러나 생태적

페러다임은 이와같은 사고를 근본적으로 부정한다. 그래서 주체와 객체의 상호보완과

상호작용하며, 인간과 자연은 분리할 수 없는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모든 지식의

가치중립성보다는 가치관여적인 지식을 지향하고, 분석적이고 분절적인 지식이 아니라

종합적인 인식능력이 강조되며, 순환적인 시간관과 인과관계, 삶의 질과 정신적, 영성적가치, 깨달음의 가치를 지향하는 것이다. 그리고 모든 자연과 물질은 그것이

인간에게 필요하기 때문이 아니라 그 자체의 내재적인 가치를 갖고 있기 때문에

소중하며, 생태계 내에서의 다양성을 중요한 가치로 인식한다. 반생태적인 페러다임은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의 위계질서와 효율을 중시하고,

시장적 질서를 어쩔 수 없는 것으로 보며, 그 속에서 '경쟁적 삶'을 자연적인 것으로

본다. 그래서 이를 위해 보다 빨리, 보다 높이를 추구한다. 그리고 노동을 자기실현의

가치로 보는 것이 아니라 노동을 돈을 벌기 위한 행위로 인식하고, 더 많은 소비가 더 큰

행복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생태적인 페러다임은 인간의 자연파괴로 자연과 인간

모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고 본다. 또한 자연환경이 파괴되는 것은 인간의

공동체파괴와 사회질서의 교란, 인간심성의 파괴를 초래한 원인이라고 생각하며, 생태적인 사회는 이 모든 것의 통합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그리고 위계와

효율보다는 평등과 과정, 그리고 참여를 지향하고, 시장적 질서보다는 공동체적 질서와

협동적 삶, 그리고 단순하고 느린 생활양식을 지향한다. 특히 노동은 그 자체의

즐거움이자 자기실현으로 인식한다. 그래서 덜 쓰지만 더 행복한 삶을 지향하는 것이다.또한 반생태적인 가치는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그러한

자연을 상품생산을 위한 자원으로 이용하는데 관심있고, 생태계의 질서보다

경제성장을 우선시하다. 이러한 생각의 근저에 자원은 무한하다는 신념이 도사리고

있고 이를 기반으로 무한한 성장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모든 나라와 사회는

미국과 같이 대량생산과 대량소비를 추구하는 것이 진보나 발전이라고 한다. 또한

문화적 가치는 무시하고 물질적인 가치만을 기준으로 하여 풍요를 이룬 나라를

앞선나라(先進國), 혹은 문명국(文明)이라고 하고 그렇지 못한 나라를 뒤처진 나라(後進國) 혹은 라고 말하고 나아가 야만(野蠻)국이라고까지 폄하한다.

그러나 생태적사고는 이러한 사고와 결연한 결별을 의미한다. 인간은 자연을

지배해서는 안되며, 조화와 공존관계여야 한다, 그리고 자연은 인간의 필요 때문에

소중한 것이 아니라 자연 그 자체의 내재적인 가치 때문에 소중한 것이라고 생각하며, 무한성장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경제성장보다는 생태적균형을 중시하고

경쟁보다는 연대와 협동을 강조하며 인구문제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또한 반생태적인 사고는 오로지 자기와 자기세대의 이익에만 관심이 있을 뿐이다.

Page 18: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그리고 과학과 기술을 숭배하고 맹신하며 자원의 한계는 극복될 수 있다고 생각하며, 대규모 거대 플랜트의 고도화된 기술개발을 강조한다.

그러나 생태적사고는 과학기술은 비판적으로 통제되어야 하며, 자원은 생태학적인

한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자원의 복원능력이나 정화능력을 벗어나서는 이용이어서는

안되며, 미래세대가 사용해야 할 자원에 대한 분배와 제3세계와의 평등한 자원분배, 나아가 인간을 포함한 많은 생명이 살수 있는 자연적 조건을 고려한 인간의 발전에

관심을 갖는다. 그리고 정치적으로 반생태적 페러다임은 중앙집중화된 대의제민주주의를 선호하며

소위 전문가들에 의한 지배, 남성중심의 사회와 제도정치가 강조되고, 좌우대립의

이원적인 가치가 강조된다. 그러나 생태적 패러다임은 분권화된 참여민주주의를

지향하며, 지방자치적 풀뿌리 민주주의를 기반으로 하고 남녀평등의 가치를 지지한다. 생태적정치는 좌우대립이 아니라 경제성장주의와 생태적가치를 대립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생태주의교육과 환경교육

생태적교육은 반생태적인 사회 속에서 만들어진 교육의 부정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생태적교육은 환경과목을 넣어 집중적으로 교육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생태적인 교육은, 반생태적으로 짜여진 세계에 대한 부정이며, 나아가

반생태적인 교육시스템과 교과에 대한 근본적인 부정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전 교과과목에 대한 변화를 도모하는 것이며 나아가 교육시스템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것이다. 더욱 나아가 생태교육은 학교교육을 교육의 전부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교육은

평생교육이어야 하며 따라서 개인의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학습할 수 있는 지역에

기반한 다양한 학습제도가 마련되어야 하고, 다양한 사회교육이 지역사회와 긴밀하게

결합되어 진행되어야 한다. 어쨌든 모든 교과과목과 교육시스템, 교사들의 학습방식과 시험방식등에

생태적세계관이 녹아 들어가야만 하며 그것이 근본적으로 살림의 교육이며 생명의

교육인 것이다.

생명운동으로서 생태적교육의 내용

생명운동이 갖고 있는 특징은 "관계성, 순환성, 다양성, 영성"이다. 필자는

생명운동으로서의 성격을 강조하기 위해 "관계성의 교육, 순환성의 교육, 다양성의

교육, 영성과 깨달음의 교육"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Page 19: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1) 관계성의 교육

현대 사회는 분절적이고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를 서로 고립된 개체로

인식한다. 따라서 서로의 변화가 나와는 전혀 무관한 것으로 인정하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 타인을, 인간의 이익을 위해 자연을, 자기 나라의 이익을 위해 다른 나라와 다른

지역을 이용하거나 식민지화, 전쟁 등을 통해 개인과 국가의 이익을 도모한다. 관계성의 교육은 그동안 자기 중심의 이해를 기반으로 한 교육이나, 개인의 성공과

경제적 성장에 집중하는 교육이 아니다. 1) 인간과 인간과의 공동체적 각성을 체득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또한 2) 인간과 자연, 생명과의 관계를 인식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관계성은 무수한 많은 생명들과 자신과의 호흡, 일체의식을 느끼고

체험하는 교육이며, 서로 의존하고, 서로 보완하는 관계임을 인식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한 장의 종이 속에 나무의 향내와 벌레의 울음소리, 물과 바람, 구름과 비소리를

듣고, 벌목공의 땀내음을 느낄 수 있는 교육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한 관계성의

인식은 반드시 참여와 자발성을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게 한다. 그러한 행동을 통해

발전적인 관계로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시키는 교육인 것이다.또한 이 관계성은 동시대의 많은 사람들과의 관계(공간적 관계성), 즉 이웃과 국가,

민족과 지구와의 관계뿐 아니라 선조들의 지혜를 소중히 생각하며 나아가 미래세대의

가능성(시간적 관계성)을 동시에 통찰하는 것이어야 한다. 그리고 인간과의 관계성만이

아니라 수많은 식물과 동물, 뭇생명과의 관계성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2) 순환성의 교육

관계성은 바로 순환성을 그 성격으로 하고 있다. 모든 것이 서로 그물처럼 연결되어

서로 영향을 미친다면 그 영향의 흐름이 바로 순환성이다. 우리가 생각하는 역사의

인식은 끝임없이 진보로 향한 직선적인 역사로 인식한다. 시작에서 출발하여 끝을 향해

수직 상승하는 발전사관인 것이다. 그것이 서양의 대표적인 역사관이며 바로 그점이

환경위기시대에 제기를 받고 있는 패러다임이다. 과거 많은 사회운동가들이 추구해온

진보에 대한 관념 또한 이러한 직선적인 시간관에 예속되어 있다. 과거는 언제나

미개했고, 미래는 언제나 진보했다는 사고, 그리고 미래에 인간은 행복해 질 것이라는

사고하는 것이다. 그러나 환경위기는 이러한 인간의 선형적 역사관의 유토피아적

사고가 잘못된 것임을 알려주고 있다. 구체적인 현실가능성은 디스토피아로 향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게 한 것이며, 역사관의 새로운 변화, 진보에 대한 새로운 명제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생태계가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가 순환하는 것처럼, 그리고 생태계에서 탄소와

산소가 순환하고 있는 것처럼 자연의 모든 것은 순환과 윤회를 그 성격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의 사고는 마치 수세식 변기처럼 더러운 것을 물과 함께 가능한 멀리

떠나보내면, 그것은 나와는 관계 없다고 사고한다. 그러나 재래식변소는 순환적

시스템이다. 똥은 더러운 것이 아니며, 또한 물로 씻겨져 한강으로 가서 바다로 흘러

Page 20: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버려져야 할 것이 아니라, 소중한 자원이며 우리가 먹어야 할 채소의 먹이가 되고, 그

채소는 사람의 먹이가 되고 사람은 다시 똥은 만드는 순환의 과정의 소중한 하나임을

인식하는 것이다. 쓰레기란 본래 없는 것이다. 바로 순환, 윤회, 그리고 돌림을 잘되었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위기는 바로 순환과 윤회, 돌림이 끊어져서 발생한 문제인 것이다.

3) 다양성의 교육

관계성은 다양성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양성은 획일적이고, 단순화를

반대하는 것이다. 오늘날 제도교육은 영어, 수학 등 단지 몇몇 과목의 능력에 의해

사람의 서열과 순위가 만들어진다. 예술적 능력이나, 문학적 감수성, 체육에 대한

능력이 있어도, 그것은 무시된다. 오로지 성적 순으로 가치가 평가되는 것이다.인간의 능력과 관심은 다양하다. 오로지 하나로만 판단하고 평가될 수 없다. 또한

나와 같아져야 한다는 것도 바로 다양성을 헤치는 사고인 것이다. 다양성은 차이를

인정하는 단계를 넘어서 바로 그 차이점 때문에 오히려 소중한 것이다. 나아가 우위와

서열이라는 것이 본래 없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다. 획일성은 우월한 자와 열등한

자와의 순위와 서열만들기와 연관되어 있다. 물질적인 풍요를 유일한 척도로 선진국과

후진국을 나누고 문명과 야만을 나누는 것, 그것 자체가 이미 폭력이다. 나와 같아져야

한다는 강박은 바로 폭력의 뿌리가 되는 것이다. 또한 다양성은 책임감과 독립성을

의미한다. 다양성은 평등함과 그 속에 참여적 내용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생명교육으로서 환경교육은 바로 많은 사람들의 다양한 개성과 특성을 차별적인

사회적 요구, 경제적 요구, 문화적 요구에 이끌림 없이 자유롭게 발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4) 영성 및 깨달음의 교육

영성(Spirituality)은 신비적이고 관념적인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철저한

유물주의, 보다 철저한 과학주의를 뜻하는 것이다. 위에서 말한 관계성, 순환성, 다양성을 인지하는 것은 그야 말로 환경위기시대의 과학적 사고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고를 온몸으로 채득하는 것이 바로 깨달음이며, 이것을 다른 언어로 영성이라고

표현하는 것이다. 즉 통찰력과 예지력, 직관적 인식, 통합적인 지혜를 말하는 것이다. 합리성과 이성을 넘어서는 문화적인 내용, "깨달음"을 뜻하는 것이다. 조선시대의 입시

(그것을 입시라기보다는 고시라고 할 수 있었는지 모르지만)였던 과거제도는 개인의

기술적 능력이나 전문성을 시험하는 것이 아니라 문장력, 인격, 풍류를 판단하는

기제였다. 이것은 다른 어떤 것보다 사람으로서의 됨됨이, 그리고 인격적 완성과

깊이를 중요하게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대학입시는 교육의 패러다임이

과거와는 달라진 것이다. 통합적인 인격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기계를 다루는 기술과

지식을 원하는 것이다. 영성은 사람과 자연의 모든 관계에 대해 보다 성찰적이 되는

것이다. 물질을 넘어서서 정신적 가치에 대한 소중함, 풍요에 대한 강박에서 벗어나

Page 21: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가난과 자발적인 검소함(Voluntary Poverty), 보이는 것만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가치에 대한 소중함, 자연과 인간사이에서 이해심과 자연 속의 아름다움을 인식하고

삶의 진정한 의미와 근본성을 깨닫는 것이다.

나가는 말

도대체 이러한 교육을 어떻게 실현할 수 있을까, 결국 과거와 같은 혁명적인

사회변혁으로 사회구조와 교육시스템의 변화를 도모해야 할까, 물론 그렇지 않다. 해충이나 생명을 박멸하겠다는 것도 바로 다양성을 무시하고 획일적인 인식이듯이, 과거사회를 일거에 파괴시키고, 새로운 사회를 만드는 것도 비슷한 상상력이라고

생각한다. 단지 사회의 무게중심이 이동되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생명운동은

산업사회의 '틈'을 비집고 전개되는 운동인 것이다. 산업사회에 있으면서 산업사회에

포섭되지 않은 영역의 틈을 벌려나가는 것, 저항운동 속에 대안적 가치를 실현하는

운동인 것이다.모든 주류는 어제의 비주류였다. 역사는 변방에서 시작되듯이, 모든 사회운동의

에너지는 작은 구석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생태적 세계관에 기초한 모든 변화의

기획들이 오늘날의 현실이 아니라고 5년 뒤까지도 그러리라는 보장이 없는 것이다. 우리가 과거 10년간의 변화를 당시에는 예측하지 못했듯이, 우리의 인식이 근본과 잘

연결된 것이라면 머지않은 장래에 그것은 현실화될 것이다.

Page 22: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첨부하는 글

UNESCO/일본 아태지역 환경교육세미나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환경교육의 네트워크한국보고서

유정길 (한국불교환경교육원 사무국장)

환경교육을 조금 세부적으로 구분한다면, 크게 생태교육과 환경교육으로 나눌수 있고

생태교육은 다시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으로, 환경교육 또한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으로

구분되어 정리할 수 있다.

1) 사회생태교육

생태교육은 환경문제에 직접적인 해결이 아니라, 환경위기를 새로운 가치관과

깨달음의 전환을 요구하는 것으로 보고, 환경문제를 야기시킨 사회구조와 인간의

가치관 등, 산업사회의 변화와 문명적 전환을 도모하며, 생태적 대안사회를 위한

총체적인 변화를 도모하는 활동을 지칭하고자 한다. 이러한 생태주의적 교육은 도시를 벗어나서 친생태적인 삶을 살아가려는 "귀농운동" 또한 그 중 하나이다. 전국귀농운동본부(Return to the Farm Movement National Office)에서는 전국 13개 주요 지역에서 "귀농학교"가 진행되고 있으며 불과 4년간의

활동을 통해 약 3000명이 수료했다. 그리고 한국불교환경교육원(Buddhist Academy for Ecological awakening) 과

같은 교육기관에서 생명운동아카데미나 생태선제기행 등을 통해 다양한 대안적

생태교육을 실시하고 있어 7년간 약 2000여명이 교육을 받았고, 한겨레문화센타(한겨레신문사운영)에서 실시하고 있는 "생명운동과 생태공동체운동"이라는 교육에서

실시하는 생태마을이나 대안공동체운동에는 약 5회 정도가 실시되어 400여명이

참여하기도 했다.

2) 학교생태교육

Page 23: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또한 교육자체가 이미 반생태적이고 반자연적인 경쟁과 물질문명에 포섭되어 있기

때문에 교육과정에 환경이라는 과목을 넣어 가르친다해도 그것은 진정한 의미의

환경교육이 되기에는 많은 한계를 안고 있다. 그래서 최근 생태친화적인 대안학교

운동은 교육과정 모두를 생태적으로 재구성하려는 교육으로 시도되고 있다. 홍성의

풀무학교, 산청의 간디학교, 무주의 푸른꿈고등학교, 광주의 한빛고등학교, 영산의

영산성지학교 등의 대안교육이 불길처럼 확대되어가고 있다. 또한 탁아 연령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전국에서 공동육아협동조합운동이 진행되고

있으며 지역의 생태주의운동을 위한 풀뿌리 지방자치교육들도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대안적 실험들은 학교교육에 서서히 영향을 미치고 있고, 최근

합법화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의 뜻있는 사람들에게도 미래의 대안적 학교교육의

모델을 찾으려는 시도들이 점차 높아가고 있다.

3) 이들간의 네트워크

대안운동으로서 생태교육은 이미 많은 사람들간에 서로 긴밀한 연관을 갖고 아주

활발한 교류와 연대를 하고 있다. 그래서 이 분야에 대한 서로 강력한 동질적 유대를

갖고 있다. 그래서 사회교육이든 학교교육이든 이들간의 빈번한 왕래는 서로에게 많은

영향을 주고 받는 하나의 새로운 교육계의 한 경향으로 자리잡고 있을 정도이다.

환경교육은 그야말로 직접적으로 환경오염과 개발에 대응하며 환경보전을 위한

의식을 고양시키는 교육이다. 그래서 환경문제해결을 위한 인식 (Awareness),지식

(Knowledge), 기술 (Skill), 태도 (Attitude), 참여(Participation)를 고양시키는

교육을 지칭한다.

1) 사회환경교육

사회에서 진행되는 환경교육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등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고 점차 평생교육차원의

교육으로 방향을 잡아나가고 있다. 우선 성인을 위한 교육으로는 한국불교환경교육원의 생태학교(1500명)가 있고,

환경운동연합(Korea Federation Environment Movement KFEM)에서 진행되는

환경교육이 있으며, 수원환경운동센타에서 진행되는 환경교육이 있으며, 생태보전시민모임에서는 길동 자연생태공원에서 자연관찰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고, 지속가능한 개발네트워크한국본부(Korea Sustainable Development Network KSDN)에서도 한강생태문화학교, 나무학교, 녹색학교 등을 전개해왔고, 두레생태기행에서는 성인들과 청소년들의 환경보전의식을 고양시키기 위한

기행교육을 많이 실시하였다.

Page 24: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그리고 청소년을 위한 교육으로서는 서울YMCA 및 지역YMCA 와 녹색연합(Green Korea), 그린훼밀리운동연합(Green Familiy, 환경운동연합, 수원환경운동센타

(Suwan Environment Movement SWEM)에서 활발하기 진행되고 있고 특히

민주시민교육포럼을 만들어 시민단체교육을 받을 때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교육참여를 증진시키려는 노력을 정부에 건의하고 있는 중이다.

2) 학교환경교육

현재 제6차 교육과정에는 중학교에 '환경'과목과 고등학교에 '환경과학'과목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환경과목에 대한 선택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전국의 중학교

2,741개 중 환경과목을 선택한 학교는 341학교로 12.4%를 차지하고 있고, 전국

고등학교 1,943학교 중 19%인 370개학교가 환경과학을 선택하여 전국 중,고등학교

4.684개중 15.2%인 711개 학교가 환경을 선택하고 있다. 또한 환경담당교사는

1,127명으로 증가하였다. 한문과 컴퓨터, 환경 등 3가지 중에 하나를 선택하게 되어

있는 학교에서 '환경'을 선택한 학교는 점차 늘어가고 있다. 그리고 전국의

유치원등에서도 많은 환경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3) 이들간의 네트워크

환경부에서는 환경강사명단을 작성하여 환경교육을 시행할 때 강사비를 지원하고

있다. 그리고 교육부나 환경부 모두 학교환경교육을 위해 사회 단체들이 환경 교사들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1999년 시민단체지원에 관한 법률이

통과되어, 사회단체와 환경교육에 대한 지원이 많이 늘어난 상황이다. 이는 환경교사에

대한 육성을 사회단체와 함께 하려는 모범적인 시도라고 평가 할 수 있을 것이다.그러나 상태적으로 학교환경교육과 사회환경교육은 서로 긴밀한 교류나 연대가 많지

않고 있다. 상호침투하면서 서로 발전시켜나가기 위한 특별한 노력이 필요하다.

마치면서

1) 통합적, 간학문적 접근의 필요 : 환경교육은 간학문적이고 통합적 학문이다. 따라서 사회환경교육과 학교환경교육 간의 네트워크가 필요하며, 어렵지만

상호침투하는 과정이 진행되어야 한다. 나아가 환경교과만으로 근본적인 한계 (경제주의, 물질성장주의)를 가질 수밖에 없다고 판단된다. 그래서 풀뿌리

지역사회운동단체에서 실시하는 평생교육이 함께 공조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교육이 될

수 있을 것이다.2) 그리고 현재 사회환경교육단체들 간의 네트워크활동을 전개하고 있고 보다

활력적인 계획을 검토 중에 있다.

Page 25: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중국 사회환경교육에 대한 환경 NGO의 기여

젱홍잉 (중국 환경청 환경교육 센터 프로젝트 책임자)

1. 중국에서 비형식 환경교육에 참여하는 환경 NGO에 대한 접근 (Approaches of Environmental NGO to participate in i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China)

환경 NGO가 공공 환경교육과 학교의 비형식 환경교육에 보다 많이 관여한 이후로

사회환경교육이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지난 5년 동안 심각한 환경오염

사건에 대한 사실들이 대중 매체에 드러났고 시민들의 환경 인식이 상당히 높아졌다. 일부 지식인들이 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더 많은 사람들에게 수질

오염, 쓰레기 문제, 생물다양성 소실과 같은 환경 오염 현실을 알리기 위해 노력했고, 마침내 어린이와 일반 대중을 위한 환경교육이 환경을 개선하는 중요한 방법이라는

것을 깨달았다.첫 번째 환경 NGO인 ‘자연의 친구들(Friends of Nature)’이 1994년에 만들어졌고,

‘베이징 지구마을(Global village of Beijing)’ 또한 1996년에 설립되었다. 사실상 이

두 환경 NGO의 설립은 중국 환경운동 역사에 있어서 주목할만한 사건이다. 이 당시에

일반 대중은 NGO가 무엇이고, NGO가 무슨 일을 하는지에 대해 전혀 몰랐다. 이 두

NGO가 대중에게 그들의 힘을 키워가는데 있어서 공통적인 접근방법은 모든 종류의

매체, 그 중에서도 가장 유력한 TV를 통해 대중의 환경 참여를 증대하는 것이다. NGO가 초점을 맞춘 대상 집단은 매체 리포터와 학교 교사였다. 자연의 친구들에서 진행하고

있는 모델을 예로 들어보자. 다음과 같은 모델이 사실상 전형적이다.게다가, 주요 활동들은 학생들의 여름 캠프활동, 리포터와 보고자의 환경교육 훈련과

워크샵, 환경 프로그램 제작, 방송, 환경에 대한 예술품과 사진 전시, 녹색 생활 패턴, 야생조류 보호, 학교에서의 교수활동, 조류 관찰, 나무 심기, 대회, 환경 서적과 신문

발행, 국제 교류와 관련이 있다.

Page 26: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2. 사회환경교육에 대한 기업의 적극적인 지원과 참여(Actively supports and participation in i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from Enterprises)

중국에서는 환경교육에 대한 재정적 지원이 약하기 때문에 환경교육에 대한 기업의

후원은 환경 NGO에 있어서 필요불가결한 요소이다. 지난 5년 동안 대부분의 지원은

Ford, Shell, Mobil, Unilevel Company와 같은 대기업에 의해 이루어졌다. 국제 기구

또한 중국의 환경 현황과 사회환경교육에 관심을 가지는 물론 WWF, FOE of HongKong, IFAW, WRI, Word bank는 형식 환경교육에 영향을 미치는데, WWF는

“중국의 녹색 교육 활동(China Green Education Action)”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프로그램에 의해 MOE의 환경교육 국가 정책에 영향을 미칠 적으로 기대되고 있는데

약간의 진전을 보이고 있다.대부분의 기금은 환경 활동, 시상, 대회를 지원함으로써 학교 학생들의 환경 인식을

증대시키기 위해 쓰여진다. 예를 들면 환경 예술 대회, 환경 논문 대회, 환경 개선 계획

대회, 환경교육과 환경 보호를 위해 두드러지게 활동한 사람들에게 홍콩의 FOE가

수여하는 지구상이 있다.

환경 NGO활동유형 ghkfetypes활동유형

대상집단

야외활동 일반대중

대학과 학교 학생

교사

훈련

출판물

매체 기자, 저널리스트

Page 27: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3. 매체: 사회와 학교를 위해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 (Media: Playing a major role of provid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for public and school)

최근 5년 동안 거의 모든 매체는 많은 환경 정보와 오염사례를 드러내었는데, 이것은

환경교육에서 교수 자료와 사례 연구로 쓰이고 있다. 일반 대중을 위한 주된 환경정보와

학교 학생들을 위한 환경정보의 약 50%, 환경 정보의 약 70%가 텔레비전으로부터

나온다. 예를 들면 CCTV는 1997년 이후로 매주 15분을 “환경을 위한 시간”이라고

하고 환경에 대한 새로운 프로그램을 방영했다. 지난 2년 동안 CCTV는 “환경 주

(environmental weekly)”라는 다른 프로그램을 덧붙였다. 환경 기사가 대중의

관심의 초점이 되기 매우 쉬웠다. 많은 신문들이 어린이 매일 녹색 생활, 과학과 기술, 환경 칼럼을 만들었다. 매체는 환경 쟁점을 해결 능력을 길러준다.

4. 사례 연구: 중국에서 정부 색을 띈 CEEC 시스템의 기여(Case Study: Contributions of the CEECs System with Governmental Color in China)

중국에서 환경교육센터 (CEEC- Center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ommunication)는 사회환경교육에 있어서 정부 환경부에 힘입어 67개의 CEEC와

네트워크가 되는, 가장 크고 강력한 시스템이다. 1996년 5월에 설립된 중국 환경청

(SEPA)의 CEEC 시스템 본부는 공식적으로 3개의 부서 광고(홍보), 교육, 시청각

출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고부서는 중국 환경과 지속가능한 개발 관련 연구 센터이다.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다.- SEPA의 계획과 광고 교육 프로그램에 따른 국가 환경 정책 활동뿐만 아니라 6월 5일

환경의 날과 다른 주요한 환경 행사 계획을 세우고 실행한다. - 관련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환경 보호 관련 시청각 자료와 교수 자료, 환경 자료와

광고물을 편집하고 구성한다. - 또한 SEPA의 환경 관리와 훈련 인증 센터(Center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 Certification Training of SEPA)로서 다양한 유형의 환경 보호

훈련을 제공하고 ISO14000 환경관리 시스템 감사를 위한 훈련과 환경관리 인증을

함유하고, 교수법 연구를 실행한다.- 환경 홍보, 환경 교육, 훈련에 있어서 국제적 교류와 협력을 도모한다.- 환경 홍보와 교육 활동가의 국가적 수준에 있어서 SEPA를 보조하고, 지역 환경 보호

선전과 교육 센터 일에 관한 지도를 한다.

Page 28: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1997-2000동안 주요 프로젝트에 관한 간략한 소개

- 정기적인 국내 학교 학생들의 환경 보호 대회

- 지구의 녹색 리본(A Green Ribbon of the Earth)- 중국의 GLOBE 프로젝트

- 매체의 녹색화

- 환경 보호 관련 야외 광고

- 모빌(Mobil)-중국 환경교육 기금 : 환경보호에 대한 중국의 이유를 촉진하는데

쓰임

- 사업 환경 학습 지도자 프로그램 –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간부급 경영자 훈련

- 녹색 관청 – 정부관청에서의 순환식 계획

- 환경 보호 사무국의 경영자를 위한 국가 서비스 훈련

- 녹색 학교 프로그램

- 3국(중국-일본-한국) 환경교육 네트워크

- 내부 참조 문서: 환경 보호, 장 기간의 임무

- 내부 참조 문서: 중국 생태 문제에 대한 경고

- 원격 환경 훈련을 위한 텔레비전 수업

- ISO14000 환경경영시스템의 국내 auditor 훈련

5. 사례연구 : 자연의 친구들의 영양 버스 프로젝트 (Antelope Bus project of “Friends of Nature” )– 지역 주민을 위한 광고 활동과 중국 시골 지역에서의 학교

환경교육을 위한 이동 버스

1) 시골 지역에서 학교 학생들을 위한 이동 교수 학습 환경교육

2000년 5월에 자연의 친구들의 영양 차(Antelope Car) 프로젝트는 베이징

근교 시골 학교에서 첫 교육을 시작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 아이디어는

독일 전지역에 걸쳐 환경교육을 위한 여우 버스와 독일 환경 NGO Save Our Future(S.O.F)의 지원을 받은 영양 프로젝트로부터 나왔다.

2000년 5월부터 2001년 5월까지 영양차, 영양 버스의 교사 집단은 중국 북부

세 지방에 있는 몇 개의 박물관과 100개의 시골 초등학교에서 123회 가르쳤다. 환경 교수-학습의 주 분야는 자연교육에 집중되어 있고, 영양 버스의 주된 교육은

게임, 환경 계획 모의 실험, 역할 놀이이다. 매번 교사들은 시골 환경교육에서

쟁점과 문제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자 지역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포하였다. 2001년 여름에 영양버스는

동생버스로 양생마 버스(Wild Horse Bus)를 가지게 되었고, 중국 서부의 건조한

사막 지대에 시골 학생들의 환경 보호 의식을 일깨우고 가르치기 위해서 Inner Magalia의 Xian, Ningxia, Shanxi에서부터 Gansu, Quinghai, Xinjiang까지

긴 여정을 시작했다.

Page 29: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2) 녹색 생활 실천-사회 환경 활동(Green life practice - community environmental activity)

지난 해에 시골 학교에서의 이동 교수 학습으로 영양 버스는 녹색 생활 실천에

참여했다. 교수 집단이 베이징의 도시에 있는 8개 집단(community)으로 나가서

거주자들이 쓰레기를 줄이고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도록 지도했다. 그들은

지역민들이 종이 1490kg, 베터리 480kg을 재활용하도록 했고, 지역민들에게

500개의 천가방을 나누어 주었다. 결국 2970명의 지역민들이 이 활동에

참여했다.

Page 30: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첨부하는 글

중국의 환경교육 현황

젱홍잉 (중국 환경청 환경교육 센터 프로젝트 책임자)

1. 1992년 이래 중국의 학교 환경교육의 새로운 진보

개발 도상국인 중국은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 중이다. 점점 강도를 더해가는 자원

개발, 광범위한 경제 성장과 비교적 뒤떨어진 기술과 경영 수준의 결과로 오염 물질

생산량은 점점 늘어나고 있다. 대체로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는 중국의 경제적, 사회적 성장을 제약하는 중요한 요인이자 대중들의 주 관심사가 되고 있다.

1992년 중국 국가 교육 위원회(State Education Commission, 중국 교육부의

이전 명칭)에서 만든 의무화된 초.중.고등학교의 요강은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인구, 자원, 환경에 기초적인 국가 정책을 가르치도록 하고 있고 환경 교육을 초등학교의 “

자연” 과정과 중학교의 물리,화학, 생물, 지리 등의 과정에서 강조하도록 하고 있다. 몇몇 이 요강에서 재확인된 자세한 요구 사항은 환경 교육이 국가 교육 정책으로

공식적으로 정부 문서에 첨가되었음을 나타낸다.

1992년 중국 국가 교육 위원회와 중국환경보호국(NEPA) 공동으로 주최한 제 1차

국가 환경 교육 회의는 진보적 방법을 제시했다. “교육은 환경 보호의 기초이다

(education is the basi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이 새로운 문구에서 대다수의 중국인들은 환경의 질(quality)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대중의 환경에 대한 관심과 환경문제를 해결에 대한 요구는 점점 더

강해졌다. 환경 교육 관련 범위에서의 국제적인 협력도 증가했다. 자연적으로 국제

환경 교육으로부터 기술 교육, 상담과 질문, 테마 중심의 교육, 야외 활동과 같은 새로운

환경 교육에 대학 의견들이 중국 본토로 소개되고 있다. 교육자들과 교사들은

대중으로부터 점점 더 많은 지원을 받고 있다.

1992년 유엔 환경 개발에 관한 세계 회의 이래로 중국 정부는 지속적인 개발을 국가

Page 31: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개발의 가장 중요한 정책의 하나로 이행할 것을 확실히 제안하고 있다. 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3월에 출판된 21세기 중국의 인구, 환경, 개발에 관한 흰

표지의 책 “ 중국 협의 사항 21(China’s Agenda 21)”, “제 9차 5개년 국가 사회, 경제

개발 계획(The Ninth five-year Plan for Nation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1996년 3월 국회를 통과한 “ 2010년 중국 의회 보고의 목표 전망

(展望)( Goal Prospect of Year 2010 of P. R. China)”에서 잘 드러나 있다. 중국 초,중,고등 학교의 환경 교육의 발전과 유럽의 환경 학교 프로그램의 주된 영향으로 국가

환경 보호청, 중화인민공화국 선전부서 CPC 중앙 위원회, 그리고 중화 인민 공화국

정부 교육위원회에서는 1996년 12월 환경 홍보와 교육에 관한 국가적 운동 프로그램

(The National Action Programme for Environmental Publicity and Education)( 1996-2010)을 출판하였다. 그리고 정부 보고서가 제시되었다.

2000년까지 우리는 국가전역에 점진적으로 “녹색 학교(green schools)"를

세웠어야 했다. 그런 학교들의 주요한 지표로서, 녹색 학교 학생들은 다양한 코스

교육자료에 포함된 환경보호에 관한 내용을 성실하게 배우고, 교사들과 학생들은

환경에 대한 강한 인식을 가지고, 환경 감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사회의 필요한

사람에게 홍보와 교육이 조정되고, 그들의 캠퍼스는 아름답고 깨끗하게 될 것이다.

그때부터 녹색 학교 프로그램은 중국 전역에서 실시 되었다. CEEC와 SEPA에

의하면 약 3000여 개의 녹색 학교들이 여러 공정한 정부 기관들에 의해 임명되었고

105개의 녹색 학교들이 2000년 말에 SEPA에서 상을 받았다.

Page 32: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2. 학교교육에서 환경 교육 시스템

2.1.중국 학교환경교육 시스템.

<표1> 중국 학교환경 교육 시스템

정부 환경 보호국

전문적 혹은 비전문적 환경교육훈련, 간부들

SEPA SYSTEM 환경부서 간부들을 위한 환경 교육 전문 훈련

다른 직업들을 위한 대학 내 환경교육입문선택과정

사범대학 ,일반대학 ,교육 기관 교사들을 위한 연수

환경과학전공 대학생들을 위한 전문적환경교육훈련

Ph.DMS.학사2 년 제 대학고등교육

중고등학교

일반 고등학생(13-18 세 ) 과 목 에 포함된 환경교육

전문고등학생(16-18세)을 위한 환경교육 훈련

초등학교

유치원 교육

“자연” 과목을 통한 환경교육

엄격한 환경교육 요구 없음,게임과 다른 활동을 통해 자연을 보고 인식하기.

교육부

중국환경교육

구조

기술적지원

타 정부 혹은 CPC 부서 아래의대학들

Page 33: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2.2 환경 교육을 위한 국가 정책

1970년대부터 환경에 대한 홍보와 교육은 일반 대중이 어느 정도 환경과 환경

이슈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키는 것에 일조가 되면서 점진적으로 중국에서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중국 대중이 여전히 환경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다른 지역 다른 집단 간에 환경에 대한 인식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고 지적했다. 환경에 대한 선전과 교육을 강화하고 전국적으로 환경에 대한 인식을 늘리는 것은

여전히 긴급한 과제이다.현상에 기초하여, 국가 환경 보호청(National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예전의 국가 환경 보호국)과 CPC 중앙 국가 교육 위원회의 중화 인민 공화국 선전

부서에서는 1996년 12월 10일 “국가 환경 홍보 및 교육 활동 프로그램 The National Action Programme for Environmental Publicity and Education( 1996-2010) ”을 공포하였다. 이것은 환경 교육의 결정적인 최신 국가 정책으로 보여진다.

이것은 또한 특별히 중 고등학교 교사 학교, 교육기관, 일반 단과 대학과 종합 대학에

필수 환경 교육 과정을 만들고, 고등 교육의 비전문 대학에 선택 혹은 필수 과정으로

환경 보호 과정을 만들 것을 요구하고 있다.

2.3 중국 환경교육의 재조정

2001년 6월, 중국 국회는 중요한 국가 기초 교육 회의를 개최했다. 환경 교육은 회의

결의안에서 학생들이 기본적인 창조 정신과 행동을 취할 능력, 기술과 교양, 환경에

대한 자각을 가지게 하기 위해 제안 되었던 “중국 국회에 의한 기초 교육 개혁과 개발

결의안(Resolution for Basic Education reform and development by The State Council of China)”으로 다시 설정 되었다. 실제로, 환경에 대한

자각은 학생들을 위한 기본적 교양으로 강조되어 왔다.

2.4 환경 교육 정책에 관한 이슈

- 정부 보고에서 부적절하고 모호한 항목들

비록 환경 교육에 관한 정부 보고가 대부분 환경 교육 강화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있을지라도, 모호하고 포괄적이 용어들이 있다. 재정 보조 시스템과 투자와 같이 꼭

행하여져야 할 많은 효율적인 시도들이 정부 보고에서는 찾을 수 없었다. - 환경 교육에 대한 부분적 이해

환경에 대한 홍보와 교육 국가 행동 프로그램(1996-2010)에서 환경 교육은 세 가지

타입의 지식으로 해석되었는데, 이것은 확실히 잘못된 생각이다. 왜냐하면 어떤

교육도 비록 지식이 학생들에게는 중요하다 할지라도 단순히 지식만을 다루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가치, 기술, 법의식, 참여, 감정을 개발하는 것은 점점 더 환경

Page 34: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교육자들은 교육에 대한 새로운 시각들과 교육

개혁의 실권을 가진 정부 관계자들을 이해해야 한다.- 교육부의 분명한 정책 보조의 결여

환경 교육 학교와 대학들에 엄격한 요구 사항이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교육 부서들은

충분한 정책적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학교와 대학 내의 환경 교육 활동은

강력한 정부의 환경 교육 정책 대신에 교사들과 지역 교육자들의 환경에 대한 자각에

주로 의존하고 있다. 어떤 경우에는 지역 교육과는 환경 교육이 보통 학교 교육에

부담이 되기만 한다고 생각하고, 지역 환경과와 잘 협조하지 않는다.

3. 초, 중, 고등학교 내의 과정

초,중,고등학교에서 환경 교육의 가장 지배적인 방법은 주입(infusion)이다. 한

연구는 중국어나 역사를 통해 환경에 대한 지식을 얻은 학생들보다 자연, 지리, 도덕으로 환경 지식을 얻은 학생들이 환경 인식 수준이 높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같은

연구는 중,고등학교에서 중국어나 물리로 환경 지식을 얻은 학생들보다는 지리나

생물로 환경에 대한 지식을 얻은 학생들이 환경인식 수준이 더 높은 것을 보여 주었다

(Wangmin, 1997). 우리는 학교에서의 모든 과정과 모든 훈련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다양한 과목은 학생들의 인식과 태도에 확실히 다르게 영향을 준다. 특히

초등학교의 “자연”과 “사회”와 중, 고등학교의 “지리”는 주입의 가장 좋은 방법이며, Mckeown-Ice(1995)와 Chris Gayford(1993)의 연구에서도 이와 같은 점을 알 수

있다. 중국 조사 단체(Wangmin, 1997)의 조사에 의하면 지리는 고등학교에서 환경

교육을 하는 데에 가장 으뜸가는 과목이고(69%), 두 번째로는 생물(14.3%), 그

다음으로는 화학(12.1%)이었다.

중국 고등학교에서 쓰이는 대부분의 지리 교과서는 인간 교육 출판사(people education press)에서 간행판이다. 이 지리 교과서의 주요 항목은 인구 문제, 자원

문제, 인간과 관련된 환경 이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환경이 이 교과서의 30%이상을

차지한다. 고등학교의 생물은 유기적 조직체, 환경, 생태계 보호, 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소개한다. 화학은 중금속, 암모니아, 매연, 유기적 오염 물질, 산업 폐수에 의한 오염과

이들의 위험성, 오존층 보호의 내용과 연관되어 있다( 간 교육 출판사의 9년 의무 교육

교과서는 중국 지역의 70%에서 사용하고 있다. 나머지 30 %는 지역 교육 기관에 의해

편집된 여러 다른 버전의 교과서를 쓴다. 국내의 학교들이 쓰는 모든 다양한 버전의

교과서들은 앞으로 중국 교육부에 의해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교육요강에 의거하여

쓰여질 것이다).

여러 교육자와 교사들이 인식하면 문제는 달라질 것이다. 최근 5년간 상담과 질문, 테마 중심의 교육 방법이 중국에 소개 되었고 학생과 교사들에게 환영 받았다. 이

Page 35: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방법들은 전통적 지식 중심이고 종합적인 교양을 무시하는 교육을 하는 대신에, 환경

학교 내의 다양한 수준의 능력, 교육 목표, 환경 교양의 증진의 필요성을 충족하고

발전시킨다.

중국의 기초 교육 개혁이 진행되면서, 중국 교육부는 의지하며 공부하는 배움의 기초, 노동 기술, 지역 봉사, 사회 실습의 4가지 부분으로 구성된 의무 과목 “종합 실습

(comprehensive practice)” 의 개발 착수를 제안했다. 이 네 부분 중에서 한 학기에

한 가지 주제만 다루는 공부가 첫 단계이다. 이 과정은 중국에서 현재 시험 단계에 있고

환경 교육에 보다 넓은 시야를 제공할 것이다. 영국과 홍콩의 환경 교육의 안내로

계발되기 시작한 2000년 이래로 WWF환경 교육 프로그램과의 협력 중에 중국

교육부는 학교 환경 교육에 더 관심을 기울였다. 중국 교육부는 “ 중국 초, 중, 고등학교의 환경 교육 안내(China Environmental Education Guide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를 앞으로 학교 환경 교육을 안내하기 위해 편찬하기

시작했다.

참고문헌

1, XU Jialin ,Wanghongqi ,Yang Mingchuan,Hao Fanghua, 1996,Environmental Guidebook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Middle Schools,Beijing Normal University Press,

2, Zhu Zhengwei, 1991 “EE Teachers Guide” ,Educational Science Press ,

3, 1991NEPA,”Princples And Practice Of EE In China (1985-1990) By Chinese Environmental

Science Press,

4, H.R.Hungerford , 1991 Environmental Education Series 29---A Prototype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Middle School,(Chinese )Chinese Environmental Science Press

5, Lin Peiying, Zeng Hongying,2000, Teachers Material Of EPD Programme Of UNESCO ,

Chinese Environmental Science Press ,

6, Xu Hui , Zhuhuaixin, 1994,Introduction Of International EE, People's Education Press ,

7, National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People's Republic Of China Propaganda

Department Of The CPC Central Committee State Education Commission,1996, "The National

Action Programme For Environmental Publicity And Education (1996-2010)" ,

8,Hopkinson,M. 1978,The Geographyer’s Viepoint Environmental Edcuation :Principles And

Practice ,London 123-134p

9,Mckeown-Ice,R.1995,Environmental Education:A Geographical Perspetive, Journal Of

Geography(1-2):40—42

10,Gayford,C. And Patrick,J.D.1995, Policy And The Practice Of Environmenal Education In

England: A Dilemma For Teachers,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1(2):173—183

11,Xinhua Communication Of China, Resolution For Basic Education Reform And

Page 36: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Development By The State Council Of China”,June 15th ,2001

12,MOE, To Understand And Adapt The New Syllabus,China Education Daily, Nov 10,2000

13, Wang Min,1997, Study On Environmental Awareness Of Primary And Seconday School In

China.

14, Zeng Hongying, 1998, Study On Pre-Service Training For Secondary Schools Geography

Teachers.

전국YMCA 어린이 갯벌생태캠프의 성과와 전망

Page 37: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 아이들의 감수성에 파장을 일으켜 미래의 생명지킴이로! -

이희출 (서산YMCA 총무)

들어가며

서산YMCA는 1998년부터 올해까지 여름방학을 맞은 전국의 YMCA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 갯벌의 생태를 통해 하나님의 참된 창조질서를 깨달으며, 자연과 생명에

대한 올바른 가치를 이해하게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전국 YMCA 어린이 갯벌캠프'를

펼쳐오고 있습니다. 총괄진행자인 저는 지난 1996년, 1997년, 2년 동안 전북 변산반도에서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펼친바 있으며 서산으로 옮겨와 충남 태안군 안면도에서 이 프로그램을 계속

진행하고 있습니다. '전국 YMCA 어린이 갯벌생태캠프'가 목적한 부분에 얼마나 성과가 있었는지와

아울러 아쉬운 점들을 객관적으로 짚어보며, 앞으로 이 프로그램이 얼마나 가치있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전망을 6년 동안 진행해온 경험과 느낌, 그리고

진행사례를 중심으로 간단히 밝혀보도록 하겠습니다.

캠프의 일정

올해는 7월 23일부터 8월 20일까지 2박 3일 일정이 4회, 3박 4일이 5회 등 총 9회의

일정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인원은 평균 1회당 80여명으로 약 700여명의

어린이 및 교사가 참가하였습니다. 장소는 충청남도 태안군 행정권역에 있는 이름난 섬인(현재는 가장 수난을 받고 있음) 안면도 끝자락에 위치한 '바람아래 갯벌'이란 아름다운 이름을 가진 곳에서 펼쳐지고

있습니다. 프로그램 장소를 이곳으로 선택한 이유는 염전, 뻘갯벌, 혼합갯벌, 모래갯벌, 바위지대, 잘 발달된 숲 등이 한 공간에 같이 형성되어 있는 보기 드문

생태학습공간이라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진행자는 총 10명(음식조리 5명, 프로그램 진행 5명)으로 일정과 프로그램의 각

역할을 을 맡아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프로그램

첫째 날 프로그램은 캠프장에 오후 3시쯤에 도착하여, 입촌식(기도와 묵상, 생활안내, 방배정 등), 소금에 대한 공부, 염전견학, 저녁식사, 갯벌공부(슬라이드 상영), 밤

모래갯벌 탐사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age 38: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둘째 날은 명상과 산책, 뻘갯벌, 혼합갯벌 탐사, 물놀이, 공동체놀이 등으로

진행합니다

셋째 날은 갯벌 쓰레기 모니터링과 갯벌보호 캠페인, 바위지대(부착생물) 탐사로

진행하며, 점심을 먹고 퇴촌식을 마친 후 집으로 돌아갑니다. 3박 4일 일정은 물놀이를 한번 더 진행하며, 넷째 날에는 숲 생태 탐사활동이 첨가되어

진행합니다.

갯벌생태캠프의 특징

갯벌생태 프로그램이 6년째 많은 아이들이 참가하고 있는 이유 가운데 하나는 우선, 갯벌생태탐사 프로그램은 움직임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어제는 저 멀리

머물던 바닷물이 오늘은 해변 가까이까지 밀려드는 현상의 밀물과 썰물, 서로 다른

형태로 움직이는 게를 비롯한 생물들, 이는 아이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충족시키기에 너무나 충분한 조건을 가진 '움직임'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밤바다(모래갯벌)에 손전등을 가지고 나가 여러 가지 생물들을 탐사하는 시간은

아이들이 TV나 다른 어떤 매체에서 간접적으로도 경험해보지 못한 매우 흥미로운

프로그램이라 평가합니다.

갯벌생태캠프에 참가하는 어린이들의 준비물

어린이가 갯벌에서 경험하는 것은 대개 처음인 경우가 많습니다. 도시의 아이들이기

때문입니다. 이때 아이들에게 직접 체험의 흥미와 학습의 효과를 더할 수 있도록

준비물을 가지고 오게하는 것이 좋으며, 프로그램별로 준비물은 아래와 같습니다. - 염전견학 : 소금담는 통(소금에 대해 공부하고 염전을 견학하는 과정에서

소금창고에서 소금을 담아갈 수 있도록 합니다.) - 밥 모래갯벌 탐사 : 손전등(야간에 썰물시간에 맞춰 깜깜한 밤중에 손전등을 비추어

발견하는 생물들의 느낌은 환한 낮과는 느낌이 매우 다르며, 흥미도가 높습니다.)- 갯벌탐사 : 돋보기(대부분 작은 생물이므로 돋보기를 사용하면 좋습니다.)- 일상생활 : 슬리퍼(항상 발에 물이 묻기 때문에 슬리퍼가 가장 편리한

신발입니다.)

갯벌생태캠프에서 아이들에게 지키게 하는 몇가지 원칙들

1. 사전교육(오리엔테이션 포함)과 복습 활동

아이들에게 프로그램이 바뀔 때 마다 먼저 그 활동하는 범위에 대한 특징과 서식생물

등을 상세하게 안내를 하여 이해도를 높이고 진지하게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한 활동이 끝나면 모둠을 인솔하는 선생님과 함께 활동한 것에 대해

확인하고 점검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는 미리 만들어 참가하는 각

YMCA로 보내준 책자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Page 39: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처음에는 아이들이 게를 보면 무조건 "꽃게다!"라고 소리치지만 나중에는 이리저리

살펴보고 돋보기를 들이대고는 종의 이름을 알고 생태적 특성을 말하는 수준이 됩니다. 이는 2박 3일과 3 박 4일이라는 충분한 시간이 있어, 단계적이고 부분적인

탐사활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만큼 진행하는 사람도 여유를 갖고

아이들을 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집중력을 꾀하기 위해 '갯벌생물 엽서'를 선물로

나누어 주며 진행합니다.

2. 탐사활동

특히 갯벌에 들어갈 때에는 즐기는 '놀이터'가 아닌, 생명체들의 서식처로 들어감을

강조합니다. - 갯벌은 맨발과 맨손(삽과 호미, 채집기구는 안됨)으로 들어갑니다. 맨손으로 탐사가

안되는 생물(갯지렁이, 개맛, 달랑게 등)은 진행자가 삽으로 파서 보여줍니다. - 뛰지 않도록 합니다.(생물들이 발에 밟히는 것을 강조합니다.) - 관찰한 후에는 '미안하다', '잘 살아라'라고 인사를 꼭 하며 채집한 근처에 놓게

합니다.(갯벌에서 나올 때는 반드시 빈손이어야 합니다.) 3. 생활지도

- 캠프 기간에 인스턴트 식품은 먹지 않도록 합니다. 아이들에게 제공되는 음식에도

화학조미료(맛소금, 미원)는 절대로 사용하지 않고 자연재료를 사용합니다. - 캠프화이어 등 환경오염을 발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진행하지 않습니다. - 마을 어른들께 공손하고 상냥하게 인사합니다.

평가

1. 뛰어넘어야 할 점들

1) 참가하는 각 YMCA마다 10-12명의 아이들과 함께 생활하는 자원봉사자 선생님을

배치하는데, 이분들은 아이들을 캠프기간 동안 안전 생활 영역에서의 역할로만

인식하여 아이들이 풍부하고 깊은 생태적 이해를 하는데 도움이 적은 경우가 많습니다. 갯벌생태캠프는 탐사 프로그램 이외의 모든 생활에서도 살아있는 생태적 관점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입니다. 앞으로 '교사 생태 지침서'를 통하여 사전교육이 이루어지고, 즐거운 마음가짐을 품고

아이들을 인솔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 하겠습니다. 2) 어린이의 정서와 눈높이에 어울리는 교구와 시설은 가장 우선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매우 열악한 것이 사실입니다. 예산 문제 정책적인 문제 등을 어떻게 의지와

지헤를 가지고 풀어가야 하는가가 또 하나의 과제입니다.

Page 40: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3) 지속적이고 전문적인 어린이 갯벌생태캠프 연구모임이 만들어져 생태 프로그램의

전형을 이루어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아이들을 만나는 진행자는 생태에 대한 지식만 가지고는 안됩니다. 아이들을 마음을

읽어내는 능력, 흥미를 이끌어낼 수 있는 기술, 그리고 헌신성과 인내심이 요구됩니다. 이를 위해 장기적이고 결단있는, 사람에 대한 투자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판단합니다.

생명지킴이를 길러내는 산실을 위하여

갯벌생태만큼 아이들을 붙잡아 놓는 공간도 드물다고 생각합니다. 2박 3일이나 3박 4일이 지나 집으로 가는 아이들은 정말 행동과 눈빛이 달라져

있습니다. 이때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진행하는 사람으로서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성취감을 맛봅니다. 그때마다 아프게 떠오르는 고향의 매립된 갯벌이 있습니다.

저는 태어나 고등학교 때까지 갯벌이 있어 그곳에서 많은 것을 경험하고 느끼며

살아왔습니다. 그 갯벌은 생물의 다양성과 어유의 산란장 등 가치가 높기로 평가되었던

곳이며, 매립 당시 일본의 과학자들이 직접 찾아와 매립을 반대했다고도 합니다. 그곳은 지금의 충청남도 천수만 AB지구이며, 대재벌 현대건설이 1984년에

매립완료하여 지금까지 사회문제, 환경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곳입니다. 가끔씩 둑이 터져 유유자적 헤엄치는 꿈을 꾸기도 합니다. 꿈에서 깨어났을 때의

느낌은 댐 공사로 살던 터전이 수몰된 사람들의 심정과 다르지 않을 것입니다. 그나마 얼마 남지 않은 공간의 울림과 꿈을 매립하는 참담한 시대입니다. 하지만

미래의 기둥인 똘망한 눈빛, 아이들에게 희망을 건다면 그것은 최선의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호주 사회-환경교육의 동향 : 호주 정화 운동과 세계 정화 운동(Clean Up Australia and Clean Up The World) 사례 연구

로즈 리드 (호주 클린 업 환경 단체 매니저)

Page 41: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환경교육은 이제 더 이상 자연이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에 대해서 학습한다거나, 그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키기 위한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다. 환경교육은 현재나

미래에 생태학적으로 지속가능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우리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새로운 관점, 가치, 지식, 기술을 획득하게 하는 것이다.

오늘 필자는 비정부단체들이 호주의 환경교육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 호주

환경교육의 변화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하고, 이를 다른 국가들과 공유하려 한다.지난 10년 동안, 학교, 사회 환경교육프로그램의 급속한 팽창이 있었다. 이러한

발달과 함께, 지난 해 7월 호주 정부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환경교육

국가활동계획을 발표하였다. 이 계획은 두 가지 주요한 목적이 있다. 첫째는 환경

교육과 관련된 많은 분야( 즉, 학교 뿐만 아니라, 제 3의, 그리고 비정부 분야 )를

통솔하고자 하는 것이며, 둘째는 호주의 생태학적으로 지속가능한 발달을 지지하기

위한 국가의 노력을 강화하기 위한 출발점이다.이러한 국가계획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네 영역으로 환경교육방향을 전략적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즉 환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보다는 오히려 호주의 환경을

보호하고, 보존하기 위해 사람들에게 변화를 줄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환경이슈와 교육은 사회, 경제적 이슈와 동등한 영역으로

보장하거나, 인터넷을 통한 네트워크와, 다른 환경교육포럼을 통해서 여러

환경교육활동을 조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주지교육 분야를 모두 섭렵하는

환경교육의 원칙을 통합하려 하는 것이다.

호주 환경교육 국가활동계획의 주요 원칙은 환경교육이 모든 주체(즉 정부, 산업, 매체, 환경 단체, 지역 사회, 비정부 단체, 개인)를 포함하고, 또한 그들의 책임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 핵심이다. 환경교육은 평생동안 이루어지고, 그동안 인지하는 지식과 기술은 새로운 환경의

도전을 설명하기 위해 계속 변화, 개선되어야 한다.환경교육은 전체적이면서도, 상호관련성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즉, 전문가가

강의하는 기초지식보다는 오히려 확산적으로 사고하고, 체계, 연결, 유형, 원인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환경교육의 특징 안에서는 환경문제의 배경을

이해하는 것이 본질이며, 형식적 교육은 토착민을 포함하며, 지속가능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환경교육은 비실용적인 지식과 기술보다는 좀 더 나은 환경적 결과를 산출할 수 있는

실용적인 것을 다루어야 한다. 환경교육은 사회, 경제적 목표와 조화를 이루어야 하고, 동등한 지위를 차지해야

한다. (즉, 진공상태에서 배우는 것이 아니라, 다른 합리적인 사회, 경제적 목적과

균형을 이루어 가면서 배우는 것이다.)

Page 42: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호주에는 작은 지역 사회에 기반한 단체부터 국가 수준 규모의 조직까지 500여 개의

비정부 단체가 있다. 어떤 단체들은 특정 동물 종의 보호와 같은 한정된 이슈와

관련되어 있기도 하며, 반면에 핵폐기물에서 종다양성까지 광범위한 이슈들을 다루는

단체들도 있다. 환경교육과 관련해서 이러한 단체들의 역할은 다양하다. 멸종위기의

종이나 서식지들을 조사하거나 연구하는 활동을 통해서 환경적 지식을 제공하는데

기여하거나, 입법상의 변화를 위해 정부에 로비활동을 하기도 하며,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서 사회(구성원, 학교, 재계와 정부)를 계몽하기도 한다. 이러한 단체들의 환경교육프로그램의 공통 주제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의 원칙을 적용하여, 그들의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사회의

능력을 발달시키고, 사회의 활동을 유도하며, 협력을 도모하는 것이다.

호주정화운동본부(Clean Up Australia) 호주와 세계의 환경교육에 기여하기 위한

비정부단체중의 하나이다. 쓰레기와 물과 관련된 이슈에 중점을 두는 호주정화운동은

사람들이 우리의 환경을 깨끗이 하고, 훼손된 환경을 살리며, 보호하도록 하는 것이

임무이다.호주 건축가이며, 단독 요트 조종자인 이안 키에르넌(Ian Kiernan)에 의해, 1989년

시드니항에서 시작된 호주정화운동은 현재 국가적, 국제적인 환경교육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우리의 환경을 치유하고, 회복시키려는 수많은 장기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호주정화운동이 환경교육에 처음 기여하게 된 것은 시드니항의 사람들이 자신의

뒷마당을 청소하는 것, 이러한 단순하고, 실용적인 생각에서 시작되었다. 이 고귀한

항구를 청소하기 위해 하루에 4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밖으로 나왔다. 다음 해에는

호주정화의 날(Clean Up Australia Day)이 정해졌다. 이러한 행사는 사람들이

청소하는 데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쓰레기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교육시키고, 그들이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더욱 중요한 일들을 가르쳤다.

이 행사가 일정한 조직의 형태를 갖추면서, 호주정화운동본부는 1993년에

UNEP(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의 지원을 받아 호주정화의 날을

세계로 확대하여 세계정화운동(Clean Up The World)을 시작하였다. 매년 9월 한 주

동안 열리는 세계정화운동의 목표는 국민, 정부, 산업, 경제, 지역과 도시를 결합하여, 쓰레기를 줄이도록 태도나 행동을 장기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세계정화운동(Clean Up The World)은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세계정화운동의 기본 아이디어는 단순하다. 자원봉사자들은 그들이 사는 지역을

좀더 깨끗하고, 건강한 곳으로 만들기 위해 협력하여, 지역정화운동을 실천한다. 지역과 환경 단체, 학교, 스카우트와 지도자, 정부 부처와 직원, 소비자와 산업체,

Page 43: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그리고 열성적인 개인의 협조에 의해 정화운동을 실천하는 것이다. 정화운동은 해변, 수로, 공원, 시장, 길가, 학교 등의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지역

조직위원회는 장소를 정하고, 정화운동을 운영하였다. 각 위원회는 포스터, 가방, 안내서, 정화운동을 장려하는 비디오가 들어있는 자료를 지원받는다.

지원 자료에 최근 세계정화운동 교육 자료가 추가되었다. 교사는 이 자료를 통해

학생들에게 쓰레기의 특성과 물건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자원, 쓰레기가 환경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쓰레기를 줄이는 방법과 재활용하는 방법을 가르친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학교나 사회의 정화운동에 참여하고, 지역 환경을 치유하기 위한 장기적인

행동을 계획하고, 실천한다. 환경정화운동은 지역의 쓰레기를 치우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교육캠페인, 환경

콘서트, 사진 전시회, 나무 심기 프로젝트, 재활용 센터 설립까지 다양하다.멕시코의 산 미구엘(San Miguel)에서 시작된 재활용 프로그램에서부터 인도의

합성물 처리시설의 건립까지, 이러한 세계정화운동의 예를 통해서 개인의 행동이

환경의 상태에 지대한 변화를 가져오며, 환경과 관련해 최선의 결과를 얻기 위해 정부와

재계, 지역사회의 협력을 구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세계정화운동을 통해서 세계 많은 국가들은 뜻을 같이 하는 환경 단체들이

연결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오염과 질병, 부족한 식량과 물 등의 사회 문제와

사회적 혼란을 겪고 있는 환경오염 국가들에게는 세계정화운동이 그들의 대안의

첫번째 선택이기도 하다.호주정화운동이 이러한 모든 문제들을 해결할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지만, 세계정화운동의 경우는 다르다. 세계정화운동은 사람들이 사회에 대한

책임감을 갖게 하고, 자원을 절제하면서 쓰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쓰레기에 대한 대안, 재활용, 재사용, 퇴비로 만들기 등의 방법이 있으며, 이를 통해

바람직한 경제관과 환경관을 갖게 한다. 사람들에게 정화운동을 운영하는 방법을 가르치고, 그들에게 환경문제에 대한

기본적인 교육자료를 제공하면서, 우리는 그들이 지역사회의 역할모델이 되도록

돕는다. 또한 환경 문제에 관심을 가지는 다른 사람들과 만나게 하며, 지역 환경 이슈에

대한 매체를 만들게 하고, 정부, 산업, 지역의 환경 이슈 특히, 쓰레기 최소화, 재활용, 쓰레기 관리에 대한 인식을 높인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서 그들에게 지역 환경을 관리하는 새로운 접근방식을 소개한다. 사회는 우리가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이해하며, 그러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새롭고 긍정적인 방법에 대해 생각한다.세계적으로 생각하고, 지역적으로 행동하기(Thinking globally, acting locally) :

이것은 변화를 만드는 힘의 열쇠이다. 우리가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은

우리의 고유한 환경을 보존할 수 있다는 희망이 남아있다는 증거이다. 세계정화운동은 지금 환경 프로젝트에 기초한 세계의 가장 큰 공동체로 발달하였다.

Page 44: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2001년에 세계정화운동은 Duskin, National Geographic Channels International, UNEP, KPMG와 QANTAS의 후원을 받아, 세계 환경 인식의 가장 중요한 위치에서 9주년을 맞이하였다. 금년에, 124 개국의 3천 8백만 이상의 사람들이 지구의 환경을

변화시키기 위해 세계정화운동의 기치아래 참여하였다.한국의 환경 운동을 위하여, 세계 유산인 종묘 거리를 청소하는데 서울의 주한 호주

대사관이 참여한다. 호주정화운동, 세계정화운동의 다음 단계는 바로 이러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확대시키는 것이다. 세계적으로 널리 퍼지는 프로그램은 실용적인 환경정보와 기술, 해결방법에 접근 가능하게 하고, 또한 인터넷을 통해서 우리가 직면한 많은 환경의

도전들을 해결하는 방법에 대한 아이디어와 경험들을 공유하게 할 것이다. National Geographic Channels International의 지원이 이러한 발달을 가져왔다.

호주정화의 날과 같은 프로그램을 가진 호주정화운동과 세계정화운동은 호주의

환경교육프로그램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들은 생태학적으로 지속가능한 발달을

촉진시킨다. 특히 주어진 주제에 관련된 환경자료를 제공하거나(여기서는 쓰레기와 그

영향), 사회가 지역의 행동을 취하고, 지역의 지원을 얻도록 안내하며, 자료를

지원하거나, 고무시키며, 학교교육자료를 학교의 교육과정 활동에 쉽게 통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특성들을 종합해 보면, 호주정화의 날과 세계정화운동과 같은

환경교육프로그램은 모든 사람(지역사회, 산업과 정부, 비정부단체, 개인)이

환경교육에 참여하도록 한다. 또한 환경 지식과 기술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환경의

도전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새로운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하도록 하며, 행동을 통해

사람들은 환경체계와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이해하며, 실질적인 환경 이익을 성취하기

위한 실용적인 기술을 발달시킨다. 그리고 환경교육의 노력이 조화를 이루도록 하며, 환경이슈가 경제와 사회 이슈와 동등한 지위를 획득하게 한다.

모든 주체를 포함하고, 공동으로 책임을 지며,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발달의 원칙을

강화하는 환경교육의 접근은 호주의 비정부 단체에 의해 운영되는 환경교육프로그램의

핵심 요소이다.

숲 체험교육의 사례

홍혜란 (생명의 숲 가꾸기 국민운동 사무처장)

1. 들어가며

Page 45: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숲을 생태계의 보고라 하기도 하고 좀더 문학적인 표현으로 생태적 자궁이라고도

부른다. 이런 찬사는 주요한 육상생태계가 숲이라는 공간에 크게 의지하고 있기

때문이다.따라서 숲을 체험하는 행위는 단지 나무들의 단순 집합이 아닌 다양한 생물종들이

어떻게 하나의 살아있는 계(界)를 이루며 생활하는가를 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된다.이를 통해 체험 학습자는 생태적 감성을 기를 수 있고 이 감성은 자연환경 전체에

대한 의식적인 애정으로 승화될 수 있다. 현장체험 없는 학습에 의한 숲과 생태계에 대한 당위적인 보전의식의 강조는 효과가

반분될 뿐아니라 본질적으로 생태친화적인 교육이라 할 수도 없다. '무엇을 생태라

하는가'에 대한 논의는 접어두더라도 사람의 의식은 순의식적 동력에 의해 형성된다기

보다도 감성에 이끌리고 그것이 감동이 된 연후에야 이를 지식으로 나아가 이것들이

융합된 의식으로 형성되는 경로를 가지기 때문에 현장체험의 중요성은 절대적이다.불교적 사유에 기대 숲 체험학습의 중요성에 대해 부언하자면, 숲이야말로 '내가 순전한

나로서 살아지는 것이 아니라 나 아닌 여러 존재가 모여 나를 형성한다'는 불법의

진실을 드러내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자기'를 잃고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자기회복의

성찰적 계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숲에서는 잣이나 상수리같은

참나무류에서 바닥을 기는 덩굴풀들까지 다 하나의 숲의 일원이며, 이들 사이에

깃들이어 사는 부엉이와 소쩍새와 지렁이와 개미와 여치와 사마귀까지 아니 숲의

부엽토 속에서 숲의 생태적 순환고리를 최종적으로 완성하는 미생물과 박테리아들까지

숲의 정당한 일원으로서 그들 모두가 모여 '숲'이라는 커다란 이름을 완성하는 것처럼, 사람 또한 손 자체가 사람이 아니고 발 자체가, 신장이 심장이, 위가 대장과 소장이

자체로 사람이 아니며 나아가 하나 하나의 세포가 사람이 아니다.아메바나 세균처럼 한 단위 세포가 생명일 수도 있지만 사람은 무수한 세포, 자기를

복제하고 재생산하는 생명의 구조 속에서 사람이다. 그 모든 낱낱의 세포들이 다 '나'라는 의식을 가지지 않는 덕에 다시 말해 합해서 더 큰 나를 위해 자기라는 의식을

죽여주는 덕에 사람이 된다. 스스로를 향해 이러한 생각을 하고 삶 앞에 겸허해지는

사람이 몇 있겠는가.그러나 숲은 우리에게 그러한 드러나지 않는 생명의 비의를 환하게 드러나는

가시적인 것으로 바꿔 보여준다. 흰가슴숲제비도 숲이며 그가 부리에 문 자벌레도

숲이고 물고 날다 앉은 가지도 숲이며 그가 쇠해 숲의 낙엽에 떨어질 때 그를 뜯는 삵도

숲이며 남겨진 뼈와 깃털을 분해하는 개미와 부식박테리아들도 숲이다. 이 커다란

순환고리 속에 적자생존의 참혹한 진실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숲이라는 계를

유지하기 위한 각 생물종들의 협업이 더욱 드러난다. 숲 생태교육은 그래서 생명의 활동을 배우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삶의 공부이다.

2. 우리나라 산림환경교육의 필요성과 전개

Page 46: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숲은 우리나라의 가장 대표적인 생태계이며, 우리민족의 역사가 숨쉬는 곳이다.그러나 70년대 이후 산업화, 도시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많은

숲이 파괴되었고 더불어서 자연과의 괴리감이 발생하게 되었다.산림환경교육은 이러한 과정들 속에서 나타난 생태맹을 극복하고 자연과 조화롭게

살아가는 가치관을 정립하는 훈련의 장으로서도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우리나라에서 산림환경교육, 자연해설이 도입된 것은 1995년도를 전후하여

나타났다고 볼 수 있겠다.초기에 대학 또는 연구자 중심의 프로그램, 그리고 몇몇 환경단체의 자연탐사 등이

초기 산림환경교육으로 볼 수 있다. 이후 90년대 후반부터는 환경단체의 내부의 전문화와 더불어 생명의 숲과 같은

숲전문단체, 숲 해설을 하는 숲 해설가 단체가 탄생하였으며, 국립공원, 휴양림, 수목원

등과 대학의 연습림에서도 산림환경교육이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2000년대에는 좀

더 전문화, 세분화된 자연학교가 개교되기도 했고, 비정기적인 숲 속 학교가 진행되고

있다. 산림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자연과 친숙한 벗이 되어 자연과 인간과 공존하는 철학적

사고와 더불어 나무와 숲의 생태계를 이해하는 형식으로 진행이 된다.유형을 보면 첫째, 전문가(Interpreter)에 의한 숲 해설, 둘째 야외에서 진행하는

자연놀이와 수목관찰과 셋째, 기행 프로그램 넷째, 숲 캠프를 통한 장기간의 체험

프로그램 다섯째, 자원봉사를 겸한 임업체험 교육 등으로 진행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3. 숲체험학습, 생태교육의 진행현황 및 내용

⑴ 생명의 숲 교실

▶ 목 적 : 숲속에서 놀이를 통하여 어려서부터 자연의 소중함과 생명존중의 생각을

자연스럽게 가질 수 있도록 한다. ▶ 대 상 : 초등학생

▶ 내 용 : 학년별로 진행하며, 계절별로 변하는 나무의 형태나 나무의 생활 알기

① 나무들의 특징/ 나무이름의 알기

② 나무들도 경쟁을 한답니다. ③ 나무들도 스트레스를 받을까요? ④ 나무의 심장소리를 들어 본적 있나요? ⑤ 피부로 숲을 직접 느껴보세요

⑥ 애벌레가 되어 볼까요? ⑦ 숲의 구조가 가진 의미

⑧ 산림토양의 의미

Page 47: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⑨ 숲속 소리지도 그리기

⑩ 나뭇잎 탁본 뜨기

⑪ 내 나무 찾기

⑫ 숲 속의 보물찾기

⑬ 우리 야생화 알기

⑵ 1일 현장체험

▶ 목 적 : 숲을 왜 가꾸어 주어야 하는지, 숲을 가꿔주면 어떠한 혜택이 있는지를

체험을 통하여 느끼도록 한다. ▶ 대 상 : 초등학생부터 일반인 모두

▶ 내 용 : 실제 숲 가꾸기를 체험하므로 숲 가꾸기의 필요성, 숲의 소중함을 직접

체험한다

① 가지치기 체험

② 간벌을 통한 나이테 관찰

③ 숲 탐방(나무특성 알기. 숲의 구조 의미. 숲속 동물의 생활탐구)

⑶ 생명의 숲 기행

▶ 목 적 : 일반인들에게 많이 알려지지 않은 숲을 기행하면서 그 숲의 구조와 숲을

바라보는 방법, 숲이 가진 다양성 등을 통하여 숲의 중요성과 숲가꾸기의 필요성을

자연스럽게 알고 느끼도록 한다. ▶ 대 상 : 초등학생부터 일반인 모두

▶ 내 용 : ① 찾아갈 숲에 대한 산림형태 설명(인공림, 천연림 구분) ② 많이 분포하고 있는 나무의 특성과 그 이유설명

③ 그 숲의 지형에 대한 설명

④ 인근에 있는 숲과 관련 있는 문화와 문화재 설명

⑷ 생명의 숲 캠프

▶ 목 적 : 숲 속에서 생활하면서 숲속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들을 가까이에서

관찰함으로써 자신이 직접 자연과 하나되는 체험을 하여 자연의 모습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 대 상 : 초등학생

▶ 내용 : ① 산림욕이란? ② 자연놀이

- 풀피리 불기

- 맨발로 걷기와 계곡물에 발 담그기

- 굴참나무 껍질로 분장하기

Page 48: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 살구씨로 새소리 내기

- 왕관 만들기

③ 숲 가꾸기 산물을 이용한 목가공품 만들기

④ 미래로 보내는 편지 쓰기

⑸ 다음세대를 위하여 나무심기

▶ 목 적 : 우리와 우리의 다음세대를 위하여 나무를 심고 가꾸어 숲을 조성한다. ▶ 대 상 : 관심 있는 사람 모두다

▶ 내 용 : 장소를 선택하여 그곳에 적합한 수종을 선택하여 나무를 심고 가꾼다. ① 장소선택(나무심기가 필요한가?) ② 숲의 기능(어떤 숲으로 만들 것인가?) ③ 수종 선택

④ 나무심기(봄철) ⑤ 나무 가꾸기(여름방학)/ 풀베기, 덩굴제거

⑥ 나무 가꾸기(가을 ) / 겨울나기 준비/ 비료주기 등

⑹ 대학생 산촌봉사활동

▶ 목 적 : 숲의 생태적 관리를 통한 풍요로운 산촌 만들기와 산촌과 도시민 교류의

필요성을 인식하며, 직접 숲가꾸기를 체험함으로써 숲의 중요성을 깨닫도록 한다. ▶ 대 상 : 대학생

▶ 내 용 : ① 숲 가꾸기 체험: 솎아베기, 가지치기, 덩굴제거, 풀베기 등

② 숲 가꾸기 산물 만들기 : 숲가꾸기의 산물을 우드칲, 톱밥 등을 만들어

퇴비로 전환하는 체험. ③ 숲과 생명에 대한 강연 및 토론

④ 산촌주민 일손 돕기

⑺ 학교 숲 가꾸기

▶ 목 적 : 학교 내에 나무를 심고 숲을 조성함으로써 자라나는 청소년들이 푸른

자연의 공간에서 생명의 소중함, 생태적 감수성을 키우면서 자랄 수 있도록 하며

숲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들뿐만 아니라 학부모, 지역주민, 동창들이

참여를 하여 지역 사회의 유대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 대 상 : 초, 중, 고등학교

▶ 내 용 : ① 초기단계: 전체 학교 구성원과 학교 숲 가꾸기의 필요성과 개념을

공유하여 운영그룹을 구성하고 조직한다.② 조사, 발전단계: 학교 옥외환경에는 무엇이 있고, 어떻게 운영되고

있으며, 관리되는지 등의 학교 현황조사를 한다.

Page 49: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③ 실행단계: 학교 옥외환경에 개선하고자 하는 학교 숲에 대한 계획안을

마련하고 계획안을 실천하기 위해 필요한 인적자원과 물적자원 등의

요소와 역할을 구체적으로 수립하여 학교 구성원과 지역구성원들의

역할분담을 통하여 학교 숲 가꾸기 활동을 실행한다.④ 활용·관리단계: 학교 숲을 활용한 교육활동과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시하는 단계. 특히 학교 숲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보완할

계획도 함께 모색한다.학교구성원과 지역 구성원들의 연계를 통하여 학교 숲 가꾸기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평가하는 활동도 구체적으로 실시한다.

3. 마치며

자연, 특히 자연의 생명활동을 집약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숲의 체험학습은 다양한

성격을 가지고 또한 다양한 성장과정을 거치며 자라나는 학생들에게 그들의 다양성이

개별성에 그치지 않고 함께 사는 삶으로서 상호 존중받아야 할 것이라는 깨우침을 줄 수

있다. 생명에 대한 존중심을 일깨우는 숲 체험교육은 가장 먼저 체험자의 감성을

동화시키고 이 감동의 동조를 통해 자연과 생명에 대한 체험자의 의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숲 자체가 가지는 여러 가지 환경 공익적 효과와 역할은 이러한 생명외경에 대한

체험자의 각성이라는 점에 비추어 보면 차라리 작은 것이다.산림(숲)체험 교육이 우리나라에서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다. 또한 아직 숲 체험교육을 시민단체에서 전담하고 있다. 앞으로 숲 체험교육을 더욱

전문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관련 학문들 사이의 학제간 연구를 통해 더욱 풍부해지고

이들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더욱 전문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희망한다. 이러한 연구와, 프로그램과 그 실행이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했으면 한다. 이는

민간단체의 숲 체험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해 왔던 필자의 경험을 통해 정리된 것이다.

① 교육참여자의 수준에 따른 콘텐츠와 교육법의 다양화

② 숲 체험교육자(지도교사)의 절대 부족-교육자를 기르는 전문과정의 신설이 긴급하다

③ 전문성을 가지되 다양한 수준을 가진 교육참여자에게 맞는 교재의 다양화

④ 가장 중요한 것으로, 숲 체험교육을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교육장소의 확보와

이를 보호 육성하는 프로그램의 전국적인 확대이다.

Page 50: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야생동물과 함께 사는 길- 설악산 야생동물을 위한 환경교육 -

박그림 (산양의 동무 작은 뿔 대표)

야생동물을 위한 일이 왜 필요한가?

설악산은 아름답다고 말한다. 아름답다는 것은 살아서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살아 있다는 것은 산을 이루고

있는 나무와 숲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뭍짐승들이 있기 때문에 살아 있다고 할 수 있다. 설악산은 우리들이 보고 싶어 하는 호랑이나 반달곰이 어슬렁거리고 산양이 뛰어 노는

살아 있는 산일까? 그렇지 않다면 우리와 더불어 살아가야 할 짐승들은 어디로 사라진

것일까? 그들과 우리는 함께 살아갈 수 없는 것일까?

1970년 말까지만 해도 설악산을 오르면서 바위산을 오르는 산양을 가끔씩 볼 수

있었다. 먼발치에서 산양을 보고 느끼는 벅찬 감동을 지금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산은 늘 살아서 움직였고 그 속에 들어 청정한 자연의 아름다움과 계곡을 가로지르는

야생동물의 모습은 삶을 풍요롭게 해주었다.

2001년 설악산은 지치고 병들어 누웠다. 많은 탐방객들로 골골이 사람들의 발길이

미치고 야생동물이 살아갈 땅은 좁아졌다. 야생동물의 모습을 볼 수 있는 기회는

적어졌고 우리들의 삶도 삭막하게 바뀌고 있다. 더구나 도회지 아이들은 가까이에서

야생동물을 볼 수도 없을 뿐 아니라 배설물이나 발자국 등 흔적조차 보기 어려운 가운데

야생동물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거나 사랑을 이야기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야생동물의 발자국을 좇고 배설물을 만져 보고 그들이 누웠던 곳에 누워 봄으로서

Page 51: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동물을 이해하고 사랑하고 보호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알게 될 것이다. 그 일은

우리들이 야생동물과 더불어 살아가야 함을 깨우쳐주는 일이다.

“살아있는 생물을 사랑하고 존중하는 것은 인류가 지닌 가장 고귀한 자질과 열망에

대한 사랑과 존중에서 솟아나온다. 세계의 야생동물을 구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는

사람이라면, 동물 애호가에서부터 동식물 연구자, 과학자, 운동선수 또는 단순히

선의와 공공심을 지닌 사람들까지도 모두 함께 협력해서 효과적으로 노력해야만 한다. 단결하면 세계의 야생동물을 구해낼 수 있고 또 구할 것이다. 그러나 분열된다면 영원히

이를 잃어버릴지도 모른다.” -1962년 세계야생동물헌장에서-

어떻게 가까이 갈 수 있을까?

야생동물에게 가까이 다가가는 일은 힘들고 어렵다. 마음가짐에서부터 움직임

하나까지 야생동물에 대한 사랑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어린이로부터 어른에 이르기까지 관심의 정도가 다른 사람들을 상대로 현장체험을

통해 야생동물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우리들도 생태계를 이루고 있는 한

부분으로서 우리들의 역할을 깨닫게 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깨달음은 더불어

살아가야 함을 알게 되고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서는 사랑이 필요함을 알게 되는 것이다. 설악산에 도착해서 떠날 때까지 함께하는 일들은 야생동물의 발자취를 따라 흔적을

찾고 흔적을 통해서 야생동물의 세계 속으로 빠져드는 일이다.

* 동물의 세계 들여다보기

+ 설악산 도착 - 저녁 무렵

+ 동물의 세계는 어떤 곳인가? - 생태계 이야기

+ 야생동물의 모습과 사는 곳에 대한 슬라이드 보고 이야기하기

+ 두려움의 대상인 어둠과 친해지기

- 어둠 속에서 움직이는 동물들의 소리 듣기

- 움직임 들여다보기

+ 동물과 가까이 하려면? - 소리 안내기

- 냄새 안피우기

* 발자취를 따라서

Page 52: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 야생동물의 발자취를 찾아 산속으로 들어가기

+ 다니는 길과 발자국 찾기

- 어떤 길로 다니는가? = 늘 다니던 길로 다니는 까닭은 무엇일까? = 동물에 따라 다니는 길의 특징은 무엇일까? - 어떤 동물의 발자국인가? = 발자국의 특징과 모양에 따른 구분

= 발자국이 찍혔을 때 동물은 어떤 행동을 하고 있었을까? + 똥을 찾았다

- 어떤 모양의 똥인가? = 크기와 색깔, 모양으로 나눈다

- 어떤 먹이를 먹었는가? = 육식성, 식물성, 잡식성인가? - 어디에 누었는가? = 바위 위에, 나무 위에, 길에, - 얼만큼인가? = 한 무더기의 크기와 갯수

- 언제 누었는가? =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바뀌는가? + 잠자리, 쉼터에서 잘 쉬었니? - 어디에? = 바위 밑, 나무 밑 등

- 크기는? - 주변의 모습은? - 얼마나 드나들고 있는가? + 내 땅이야

- 영역 표시는 어떤 방법으로 하는가? + 먹이를 먹었네

- 풀이 뜯긴 모양을 보고

- 동물의 털을 보고

* 야생동물을 그리워 하면서

+ 야생동물을 쉽게 볼 수 없는 것은? - 사는 곳이 좁다

- 보신을 위한 밀렵

Page 53: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 야생동물과 더불어 살기 위한 방법은? - 생명에 대한 외경심

- 야생동물의 삶에 알맞는 보존대책 세우기

* 나만의 세계 속에서 벗어나기

+ 나는 생태계에서 어떤 자리에 있는가? + 앞으로 내가 해야 할 일은?

이런 어려움을 안고서

자연의 흐름에 따라 사는 야생동물의 삶은 위협으로부터 목숨을 이어가야 하는

일이기 때문에 모든 것에 조심스럽다. 특히 소리와 냄새는 그들을 쉽게 자극해서 멀리

떠나게 만든다. 이런 야생동물의 생태를 알면서 그들에게 가까이 가기 위해서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 적은 사람만 갈 수 있다. + 한번에 10명을 넘지 않아야 하는 일

+ 소리와 냄새를 없애는 일

+ 가장 단순한 차림이어야 하는 일

* 가끔씩 갈 수 밖에 없다

+ 우리들이 한번 다녀간 곳에는 1-2 달쯤 지나서 다시 오기도 하지만 아주 떠나

버리는 때가 있기 때문이다. + 여러 곳을 볼 수 없으며 한곳도 자주 갈 수가 없다. + 짝짓기 때나 새끼 낳는 때에는 갈 수 없다. * 야생동물에 관한 자료가 없다

+ 포유동물에 관한 자료가 모자라 충분한 준비가 어렵다. + 족적도감이나 야생동물에 관한 도감이 모자랄뿐 아니라 있는 것조차도 가지고

다니기에 불편하고 내용이 전문용어로 쓰여져 일반인들이 보기에 알맞지 않다. + 야생동물의 중요성을 알리는 홍보물이 없어 일반인들의 관심이 적다.

Page 54: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 모든 길은 등산로다

+ 야생동물들이 사는 곳이 날이 갈수록 줄어 들고 있다. + 깊은 산 험한 곳에 살고 있어 쉽게 다가갈 수 없고 위험 부담이 크다. + 여러 날 숨어서 기다려도 볼 수 없을 만큼 야생동물의 수가 적다. + 밀렵꾼이 쳐놓은 올무에 내가 걸리기도 한다. 날 잡아가라. 이 일을 하면서 희망을 본다. 야생동물의 뒤를 좇으면서 발자국을 볼 때마다, 똥을 만져 볼 때마다, 잠자리에 누워 볼

때마다 눈동자는 호기심으로 가득차고 가슴은 고동친다. 그 녀석들의 모습을

떠올리면서 입가에 미소를 떠올리기도 한다. 참가자들이 느끼는 마음이다. 힘들어

뒤쳐지던 사람들도 가까이 다가서고 작은 소리로 물어본다. “무슨 발자국이에요?” 바로

이 질문을 통해서 야생동물과 더불어 살아가는 새로운 세상을 본다. 한번의 체험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체험을 통해 얻은 느낌들을 삶 속에서 풀어 내고

소박하고 단순한 생태적인 삶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까지 우리들이 할 일은

많다. 모자라는 것은 채우고 넘치는 것은 나누어서 서로가 서로를 위해 가슴을 열고

살아가는 세상을 만들 때 야생동물도 우리 곁으로 돌아오지 않겠는가.

Page 55: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일본 환경교육 활동 동향- 환경교육 세미나를 위한 짧은 논문

오사무 아베 (일본 사이타마 대학 교수)

IGES에 대한 정보

지구 환경 전략 연구소(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IGES)는

1998년 4월 1일에 설립되었으나 IGES에 대한 아이디어는 1995년에 수상직속 특별

위원회(Special Council to the Prime Minister)에 의해 제기되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위한 환경 정책 연구소를 세우기 위한 제안이 수상인 토미치 무라야마에게

제출되어 그의 주도하에 IGES를 설립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1997년에

준비기구가 설립되었고 1998년에 현 기구가 조직되었다. 하야마의 국제 마을은 약 30명의 연구자와 20명의 직원을 갖추고 있다. 그들 중 연구자와 직원의 절반은 주로

아시아 지역에서 온 외국인 연구자들이다.

현재 IGES는 6개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그 중 하나는 기후 정책(Climate Policy) 프로젝트이다. 지구 온난화 이슈는 국제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 중의

하나이다. 현재 COP31에서 결정된 교토 메커니즘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CP 프로젝트가

열심히 진행되고 있으며 동시에, IGES는 지구온난화 가스 방출을 줄이기 위한 장기

전략도 진행하려고 한다. 두 번째 프로젝트는 도시 환경 (Urban Environmental, UE) 프로젝트이다. UE 프로젝트는 중국과 한국의 도시에서 현장 연구를 실행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아시아에서의 환경 관리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는데 특히 중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세 번째 프로젝트는 산림보존(Forest Conservation, FC) 프로젝트이다. FC 프로젝트 또한 현장 연구를 실행하며 동남아시아국가에서 국제

회의와 워크샵을 개최하고 있다. 이것은 인도네시아와 라오스(Lao P.D.R)뿐만 아니라

1

Page 56: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다른 여러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이미 실행되어 왔다. 산림보존에 있어서 국제 협력에

대한 정책을 제안하도록 기대되고 있다. 네 번째 프로젝트는 이 회의의 주제인 환경교육

프로젝트이다. 다섯번째는 사업(business)과 환경 프로젝트이다. 이 프로젝트는 2001년 4월에 시작되었다. 사업 분야의 활동이 환경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사업 순환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자발적인 평가는 또한

수행되어야 할 연구 분야이다. 이 분야는 매우 유망해서 아시아 사업체를 위한 몇 가지

계획과 구체적인 결과를 내놓을 것이다. 이상의 다섯 가지 프로젝트와 달리 IGES는

또한 장기적 정책 통합 프로젝트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정책결정자를 위한 혁신적인

정책 권고를 위하여 장기적인 관점의 횡단적 접근을 통해 21세기의 환경 쟁점을

제기하는 방법 연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환경교육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이러한 사실을 고려할 때, 나는 환경교육 프로젝트가 가장

중요하다고 믿는다.환경교육에 대한 연구와 전략이 얼마나 중요한 지에 대한 설명을 할 필요는 없다.

일본 정부는 일본과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환경교육 계획을 개발하는데 상당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미국과 일본의 공동 의제에 따라, 일본 정부는 인도네시아에서

환경교육에 관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통합학습시간은 각각의 학교가 특색있는 교육을 발전시키고, 특히 환경 이슈에

있어서 간학문적이고 종합적인 교수 활동을 하는데 노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환경과 에너지 이슈에 대한 아이들의 이해가 깊어지고 아이들이 환경에

대한 존중감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기회가 주어진다. 아이들은 환경을 보전하고 환경을

더 좋게 만들기 위해 자발적으로 행동하는 능력과 실천적인 마음가짐을 갖도록

장려된다. 그러므로 문제 해결 학습과 직접 부딪혀서 배우는 것이 강조된다. 지역의

실제 상황을 고려할 때, 환경교육은 통합학습시간뿐만 아니라 관련 수업시간에도

강화될 것이다.

통합학습시간은 아이들이 스스로 문제를 발견해내고 문제를 적절히 해결하는 능력과

가능성 을 발달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간학문적이고 종합적인 학습은 각 학교의 노력을

반영하고 있고, 아이들의 흥미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통합학습시간은 또한 아이들이 문제 해결활동이나 조사활동을 잘

하기 위하여 창의적이고 독립적으로 배우고, 사고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자신의 삶의 방식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각 수업에서 얻는

지식과 기능은 서로 관련이 되어 있어서 통합학습시간에 이루어지는 활동을 통해

아이들은 깊은 이해를 할 수 있고 이것은 아이들에게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Page 57: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각 학교는 통합학습시간을 위한 활동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학습활동은 과목에 따라 짜여진 과업과 활동으로부터 시작하여 발전될 것이다. 내용은 간학문적이고 종합적이며 국제 이해, 정보, 환경, 복지, 건강을 포함한다. 이러한 내용은 아이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고 지역사회와 학교의 특성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초등학교 학생들이 외국어 회화 수업을 할 때, 학습활동은 그들의 나이에 맞는 적절한

hands-on 활동이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아이들은 외국어에 노출되면서 외국의

생활과 문화에 친숙해질 수 있다. 통합수업시간의 장점을 이용하기 위해서, 고등학교는

학생들이 자신의 삶의 방식과 미래의 계획을 스스로 조사하고 정하기 위한 지식과

기능을 조합하고 심화시키는 활동을 고려해야 한다. 초등학교에서 3학년 이상 학생들은 매년 105-110 시간이, 중등학교에서는 70시간

이상이 통합교육시간으로 할당될 것이다. 고등학교에서는 총 105-210학점이

학생들에게 제공될 것이다.

Page 58: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환경을 생각하는 전국교사모임의 조직과 활동

오창길 (인천성리초교 교사, 환경을 생각하는 교사모임)

1. 모임의 방향과 조직

환경을 생각하는 전국교사모임은 환경문제와 환경교육에 남달리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전국 각 지역 교사들의 자발적인 네트워크로서, 21세기 생태위기 극복을 위한 보다

근본적인 교육적 접근으로서 생태론적인 교육(녹색교육)의 필요성을 널리 인식시키기

위해 애쓰고 있다. 각 지역모임을 중심으로 다양한 모습의 환경(녹색)교육을 실천하고

있으며, 그러한 실천 경험과 정보를 공유하고 확산시키기 위하여 자료의 제작과 보급을

통하여 생태론적인 환경교육의 다양한 방법을 확산시키고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지역의 환경문제를 주제로 다양한 연수,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교사들에게

지역사회에서의 환경교육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환경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제고시키는 한편, 지역사회의 생태, 환경을 소재로 한 학생대상의 다양한

환경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천하였다. 또한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당면

환경현안에 대하여 전국 교사들의 사회적 실천을 이끌어 냄으로써 교사들의

환경교육의 실천 영역을 사회적 운동의 영역으로 폭넓게 확장하였다.

환경을 생각하는 전국교사모임은 96년 6차 교육과정에서 환경과목의 개설, 학교의

환경부서의 설치 등으로 학교환경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는 조건을 맞이한 가운데

교육행정주도의 환경교육이 지닐 수 있는 교육내용과 방법상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환경교육의 현장성을 강화하는 한편, 내용을 보다 풍부히 하고 보완하는 역할을 하기

위하여 아래로부터 자발적 교사 네트워크를 구성하였고, 환경과목의 신설로 자칫

학교환경교육이 특정 교과로 협소화될 수 있는 위험성을 극복하고 환경교육이 통합

교과적으로 실천될 수 있도록 모든 교과 담당 교사들을 환경교육의 주체로 폭넓게

조직화하는데 기여하였다. 그리고 자칫 환경교육의 과학기술적 접근이 지닐 수 있는

피상적이고 공리주의적인 성격에서 벗어나 보다 생태론적인 교육론을 확립하기 위하여

회지인 계간 “녹색교육”을 통하여 이론적인 문제제기와 구체적인 방법론을 확산시켰다.91년부터 하계, 동계 방학을 이용하여 8 차례의 전국적인 연수(전교조 참실연수

Page 59: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환경분과)를 개최하면서 네트워크화되었고, 95년 1월 15일 부산에서 13개 지역의

대표와 50여명의 회원들이 모여 환경을 생각하는 전국교사모임을 출범시켰다. 현재 서울, 인천, 대구, 부산, 울산, 광주, 전북, 수원, 안산, 마산, 여수, 해남, 홍성,

속초, 장흥, 총 21개 지역에서 1000여명의 회원들이 활동하고 있다.1999년 제2회 교보환경문화상 환경교육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2. 모임의 활동

1) 학교 환경교육의 활성화 : 환경반 운영, 친환경적인 학급 운영, 학교 행사를 통한 환경교육(알뜰시장, 쓰레기

분리수거, 환경의 날 행사 등), 학교 조경 공간을 이용한 환경교육(나무,풀 이름표

붙여주기, 텃밭가꾸기, 식물 관찰, 학교생물도감 만들기 등)을 각 학교에서 실천하고

있으며, 각 지역 모임에서 지원하고 있음

2) 교사와 학생 대상 생태학습(탐사, 기행, 견학 등)

3) 전국 환경교육 연수실시

- <낙동강 하구댐과 을숙도의 환경문제>, 95. 1.13-15, 부산

- <영종도 갯벌 매립과 환경문제>, 95. 8. 4-6, 인천

- <지역사회의 문화와 환경, 환경교육운동의 모색>, 95. 12.26-28, 해남

- <우포늪의 생태와 지역환경운동>, 96.8.3-5, 경남 창녕 우포늪

- <동해안 석호개발과 환경문제>, 96.12.26-28, 강원 속초

- <공단지역의 환경문제>, 97.7.26-28, 울산

- <대도시의 환경문제, 도시하천 탐사>, 97.12.27-29, 서울 - <생명농업과 함께(유기농업의 현장을 찾아서)>, 98.8.4-6, 충남 홍성

- <나무와 숲에 관한 환경교육, 자연하천(수원천) 탐사>, 98.12.26-28, 수원

- <해양생태계 보전과 환경교육>, 99.8.10-12, 전남 여수

- <환경친화적인 주거문화와 녹색교육>99.12.27-29 전남 담양

- <상족암 일원의 해양생태계 수중체험활동> 2000.7.26-28 경남 고성

- <새만금 간척사업과 갯벌 생태계> 2000.12.26 - 28 전북 부안

- <생태 농업과 마을 공동체> 2001. 8. 13-15 충남 홍성

4) 환경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자료집 발간 : 가. 초, 중, 고 환경반 운영 프로그램개발

생명의 숨결되살리는 녹색교실 ( 내일을 여는 책, 1996)초등 환경반 운영을 위한 자료집 (인천)‘통합교과적 접근에 의한 중등 환경반 운영 자료집’ (서울)

Page 60: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환경반 운영자료집’(광주)

나. 각종 생태학습 프로그램등을 개발

다. 자료의 공유

홈페이지( http://konect.ktu.or.kr/)운영

5) 회지 발간 : 계간 ‘녹색교육’ 2500부 발행(현재 통권 34호 발간)

6) 환경문제에 대한 사회적인 실천

환경교육의 실천이 지역사회의 환경사안과 결합되어 실천될 때 환경교육의 의의를

더욱 살릴 수 있다고 보고 지역사회의 쟁점이 되고 있는 환경사안에 대해, 미래에

대한 권리를 지니고 있는 학생들과 함께 운동적 차원에서 노력을 전개해 나가고

있으며 당면한 환경현안에 대한 교사들의 사회적 실천을 이끌어 냄으로써 환경교육의

실천 지평을 확대하였다. - <우유병 살리기 운동>- <동강댐 건설, 새만금 간척사업 중단을 요구하는 전국 교사 1만인 선언>,

99.6.4 , 전국교사 1만 2천 630명 참가

- <새만금 간척사업에 1천인 교사 선언>, 99. 4.12 전주 환경운동연합, 전국교사 2130명 참가

- <도시 하천 살리기 주민 참여 캠페인> : 96. 9월 - 11월, 서울YMCA와 공동주관

- <청초호 되살리기 운동> : 94년 9월 - 96년 9월, 청초호 되살리기 시민모임

결성, 참여

- <해남 겨울철새도래지 보존운동> : 98년-99년 원전후보지 해제 운동 참여

- <무등산 운림 온천 건설 반대운동> : 99년

- ‘부산의 낙동강살리기 보존운동’ 2000-20001년

8) 지역 환경단체 및 사회단체연대 및 지원: 환경운동연합, 녹색연합, 습지와 새들의 친구, 카톨릭환경연대, 환경정의시민연대, 습지보전연대회의, YMCA, YWCA와 연대 하여 환경단체의 활성화에 기여

9) 조사활동

98-2000년에 걸쳐 임진강에서 낙동강 하구까지 한국의 습지 현장방문과 조사활동을

펼침

10) 국제교류활동

수원 모임- 1998년 일본과 미국의 환경시설 및 환경교육 현장 견학

Page 61: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인천과 서울 모임- 2000년 스위스와 독일의 숲 갯벌교육현장 견학

부산과 마산모임- 일본 환경교육현장 견학

환경운동연합의 교육활동

주선희 (환경교육센터 부장)

봄에 씨를 심어, 여름의 더위와 어려움을 견디고, 가을이면 열매를 맺고 그리고

겨울이면 다시 봄을 준비하고 이런 자연의 순환처럼 모든 것에는 시작과 과정과 끝이

있고 그 끝은 다시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는 과정일 것이다.

자연의 순환에 비교해보면 환경운동연합의 교육은 지금 어디쯤에 있는 것일까?

공해추방운동연합의 배움 마당으로부터 시작해서 현재의 환경교육센터라는 부설(전문)기관으로까지 성장했다고 할 수 있겠다. 공해추방운동연합의 배움 마당은 88년부터 92년 환경운동연합이 되기까지 일년에 2회 성인과 대학생들을 주 대상층으로

교육이 이루어 졌다. 환경운동연합에서 지금까지도 활동하시는 선배님들이 계시면, 이

때에는 공해에 대해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는 것과 함께 활동가들을 만드는 데에도

일정정도 목적이 있었다. 교육의 내용은 환경이나 공해 문제의 현황을 알리고 공해가

심한 지역의 현장을 찾아가 보는 등 환경문제의 심각성 등을 알리는 것이 교육의 주

내용을 이루었다.

1993년 4월 환경운동연합이 태어나고 그 이후의 교육활동도 많은 변화의 모습을

보였다. 환경운동연합은 시민환경학교라는 제도를 만들고 모든 교육 프로그램은

시민환경학교라는 틀 안에서 다시 분야별로 진행하는 것으로 제도화 시켜나갔다. 이때의 교육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시민환경학교와 수요환경교실 그리고

일반인과 함께 대학생들을 주대상층으로 한 환경전문강좌가 있었으며, 그 외에도

여성환경교실 그리고 어린이환경교실 등의 교육 프로그램이 있었다. 그 중 시민환경학교 교육내용은 환경문제의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었으며,

이론교육을 중심으로 환경 일반 총론, 현장학습, 분야별 학습으로 진행되는 강좌로

환경문제의 폭넓은 이해와 당면하고 있는 환경의 문제점을 현실적인 시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초적인 학습의 장의 구실을 하였다. 시민환경학교와 수요환경교실은

교육일정에 있어 조금 차이가 있게 진행된 것 말고는 크게 차이가 있지는 않았다. 시민환경학교는 일주일에 2회, 수요환경교실은 매주 수요일에 진행되었다.

Page 62: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시민환경학교 1997년 17기라는 이름으로 막을 내렸다. 약 2년정도 수강자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진행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받으면서도 명맥을 유지해오고

있었다. 그러나 사회와 사람들의 관심은 다양화되고 깊어지는데, 교육의 내용이

기초적인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는 평가와 함께 관심분야별로 교육을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대안을 생각하면서 막을 내린 시민환경학교의 17기 프로그램과

운영계획안 등을 남아 있는 자료를 기초로 별첨자료로 정리해 보았다.

시민환경학교와 함께 환경운동연합의 교육 프로그램 중 성인 대상 교육으로

대표적인 것을 꼽으라 한다면 환경전문강좌를 꼽을 수 있다. 환경전문강좌는 1주일에 1회(주로 월요일에) 진행되었다. 시민환경학교가 환경문제의 일반적 내용을 다루었다면

전문강좌는 조금 더 전문적인 내용을 다루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환경전문강좌는

당시 송상용(한림대 인문대학장)교수가 시민환경대학의 학장을 맡고 계셨고, 대부분의

기획과 섭외 등에서 많은 도움을 주셨다. 각 교육의 제목은 환경과 화학, 환경과 문학, 환경과 경제 등이 있었다.

시민환경대학의 그 외 교육프로그램으로는 14기 이상 진행된 여성환경교육과

노인환경대학 등도 있었다. 여성환경교육은 주로 전업 주부들은 일반인들과 활동할 수

있는 시간대가 다르기 때문에 평일 오전시간에 진행되었고, 교육 내용은 남성들에 비해

여성들이 더 관심을 갖는 주제로 먹거리, 쓰레기, 아이들이나 가족들과 할 수 있는

실천꺼리들이 교육내용의 주를 이루었다.1994년부터 환경운동연합의 교육은 내용과 형식의 면에 있어서 많은 변화를 갖는다.

그리고 그 계기는 어린이 교육의 다양한 접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어린이 교육

전담자의 채용과 함께 주말환경학교, 방학 때면 여름에는 2회 겨울과 봄방학 때는 각각

1회 씩의 캠프를 2박3일이나 3박4일 등의 일정으로 진행되었다. 서울 어린이 회원들을 위해 어린이 소식지 “푸름이”를 만들기 시작했고, 모든

교육프로그램를 거쳐간 어린이들은 회원을 가입하게 함으로 94년 초 약 180여명이던

어린이 회원이 2001년 8월 현재(회비를 계속 잘 내는 회원) 약 천 여명의 회원으로

성장하였으며, 푸름이 기자단이라는 이름으로 활동도 하고 있다.

2000년 환경운동연합의 교육 사업은 다양한 시민참여활동과 교육센터로 분화된다. 이것은 단지 분리라는 기계적의미가 아니라 교육의 위상을 환경교육센터라는 이름의

전문기관으로 부설기관화함으로써 사업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부여하였다.교육의 내용은 월 1회 이상의 현장교육과 방학 중의 캠프 그리고 외부의뢰 교육의

기획과 진행 등과 시민참여팀에서의 교육은 주말농장과 전문 강좌인 에코가이드 교육

그리고 월 1회 정도의 현장교육과 방학 중에 이루어지는 캠프 등으로 이루어 져 있으며, 2001년 하반기부터는 생태교육관 견학과 체험교육으로 상시교육을 마련할 계획에

있다.

Page 63: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1990년대 후반기 이후 그 전의 교육 사업과 비교해볼 때, 교육의 내용과 대상에 있어

다양화 되었고, 아동이나 가족 중심의 현장교육이 주를 이루었다. 교육 장소는

실내교육 보다는 실외교육으로 그리고 파괴된 자연환경과 오염된 곳을 돌아 보는

현장교육에서 일종의 생태기행이나 나무와 곤충, 야생화 탐사, 갯벌 탐사 등의 현장

교육의 형태를 이루게 되었다. 그리고 그 전에는 몇 회 이상 이어지는 지속적인

교육이었다면, 지금은 프로그램마다 소식지나 광고를 통해 참가자를 모집해서

진행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전체적인 변화를 본다면 프로그램이나 대상층이 다양화 되었고, 교재나 교구개발을

위해 미약하지만 힘을 쏟고 있고, 외부 프로젝트나 사업의 진행 등도 꾸준히 하고

있으며, 전문적인 분야의 교육은 각 분야별로 구성되어있는 담당팀이나 다른 부설기관

또는 전문기관에서 진행하고 있다. 일례로 에너지에 관한 교육은 에너지 대안센터에서 진행하고 있으며, 활동가

재교육의 차원에서 매 주 1회 진행하는 활동가 교육은 시민환경연구소에서 담당하고

있다.

Page 64: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별첨 1 "제 17기 시민환경학교" 운영계획안

1.사 업 명 : 제 17기 시민환경학교

2.목 적 : 환경문제의 폭넓은 이해와 당면하고 있는 환경의 문제점을 현실적인

시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3.기 간 : 1997년 1월7일(화)-1월28일(화)(매주 월·화요일,현장교육(일),총8회)

4.강의시간 : 오후 7:00-8:30까지 각 강의당 90분

5.교육장소 : 환경운동연합 교육관

6.참석예상 : 40여 명

7.교육 프로그램(교육안 일정)

"제 17기 시민환경학교" 교육안

(교육내용 및 강사)횟수 날짜 주 제 강 사

제1주(1. 7) 21C를 준비하는 환경운동의 정책과 방향 최 열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 제2주(1. 9) 물속생물로 알아보는 수질조사 방법

;slide 상영

류 창 희

(마당생태연구소 소장) 제3주(1.14) 지역주민 운동의 사례

;쓰레기 정책의 문제점

이 대 수

(군포 지역사회 연구소 소장) 제4주(1.16) 마지막 보고, 신비로운 갯벌의 모습

;slide 상영

최 예 용

(환경운동연합 조직국장) 제5주(1.21) 환경보전과 생태관광 이 광 희

(관광개발연구소 실장) 제6주(1.23) 지속가능한 에너지 정책 대안 이 항 규

(EUPEC동아시아 지사장) 제7주(1.26) 현장답사(일요일)

:산림생태조사

이 경 재

(서울 시립대학교 교수) 제8주(1.28) 법과 환경 오 세 훈

(시민 법률상담 실장)

Page 65: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별첨 2

▶재생가능에너지 시민강좌

에너지대안센터에서 재생가능에너지 시민강좌를 열고 있습니다.2001 년 7 월 27 일부터 12 월 28 일까지, 매월 마지막 금요일 오후 7 시, 대학로 방송통신대에서 재생가능에너지와 지속가능한 에너지미래에 대한 강좌가 있습니다. (아래 표 참조)많이 오셔서 좋은 강좌 함께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날짜 주제 시간

7월27일 에너지위기,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오후7시

8월31일 태양광발전 : 지붕만 덮어도 핵발전 필요없다 오후7시

9월28일 태양열로 난방과 온수를 해결한다 오후7시

10월26일 풍력, 빠르게 확대되는 재생가능에너지 오후7시

11월30일 수력, 바이오매스, 지열, 연료전지 오후7시

12월28일 미리가 본 에너지미래 오후7시

*별첨 3활동가 교육 프로그램

1) 활동가 교육의 목적

○ 현재 진행중인 활동에 전문성을 부여하고, ○ 체계화된 이론과 효율적인 실무능력을 배양하여 환경운동에 차원 높은 비전을

제시함

2) 교육기간

○ 2001년 4월 26일(목) - 2001년 12월 14일(목) ○ 주 1회 실시 (전체 23강)

Page 66: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3) 교육 시간 장소

○ 매주 목요일 오전 8:00 ∼ 9:30분

○ 장소 : 강당

4) 교육전담 부서

○ 이론 교육과 관계 실무 : 시민환경연구소

○ 실무교육 : 운영처 총무팀

* 교육 내용에 따라 해당활동부서의 협력을 요구

5) 평가 방법 및 평가의 효과

○ 출석, 리포트, 수업참여

○ 올부터 실시되는 활동가에 대한 평가제도에 점수반영

6) 교육 내용 및 일정

분야 주제 일시

생태학 기초 System 이론 4. 26에너지 대사와 물질순환 5. 3

개체군 생태학 5. 10보전 생태학 5. 17

특강 살아있는것은 모두가 아름답다 5. 24실무교육 리더십 교육 5. 31현장견학 한국유리 6. 7

환경법 관련 국내 환경법과 소송 절차 6. 14입법 운동, 국제 협약 등 6. 21

실무교육 문서작성 요령 6. 28특강 대안 에너지 7. 5

도시계획 및

지방자치

국토관리의 실태와 과제 7. 19지속가능한 도시발전 전략 7. 26

토지이용규제의 현황과 문제점 8. 2성공적인 도시계획 사례 발표 8. 9

환경독성학 환경호르몬 8. 23위해성 평가 방법 8. 30

실무교육 재정과 회계 9. 6특강 최열 총장 9. 13

Page 67: 미국에서의 비형식적 환경교육: 현재의 프로그램과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inter... · Web view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특강 인터넷과 사회운동 9. 27전체토론 마음의 벽을 허물고 10. 4

평가와 시상 10.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