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71
생활폐기물 발생 처리 및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2005. 12 에코프론티어

Upload: others

Post on 03-Nov-2019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생활폐기물 발생 ․ 처리 및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2005. 12

에코프론티어

Page 2: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제 출 문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사장 귀하

본 보고서를“생활폐기물 발생ㆍ처리 및 생활폐기물

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의

요약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5. 12.

에코프론티어

대표이사 정해봉

Page 3: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연구수행진

1. 시행기관 :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2. 연구용역기관 : 에코프론티어

3. 총괄연구책임자 : 정정만 연구소장

4. 수행연구원 : 송인경, 권동혁, 김미선, 김소영 외 6인

5. 연구기간 : 2005.8.26~2005.12.25

Page 4: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4 -

<목 차>

제1장 서론 ······························································································3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3

1.1. 연구의 배경 ······································································································ 3

1.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4

2. 연구범위 및 추진체계 ··············································································4

제2장 국내ㆍ외 관련현황 조사 ··························································9

1. 국내 현황 조사 ··························································································9

1.1. 폐기물 관련 행정 업무 ·················································································· 9

1.2. 폐기물 관련 시스템 구축 현황 ································································· 13

2. 해외 현황 조사 ·······················································································17

2.1. 해외 폐기물 관련 정보시스템 구축 현황 ··············································· 17

제3장 목표시스템 내용 ······································································23

1. 목표시스템 개념 및 목적 ·····································································23

2. 목표시스템 체계 ·····················································································24

3. 목표시스템 구성 ·····················································································26

3.1. 생활폐기물정보조회시스템 ········································································· 26

3.2. 폐기물처리목표산출시스템 ········································································· 27

3.3. 설치계획수립 및 검토시스템 ····································································· 28

3.4. 국고보조행정관리시스템 ············································································· 29

4. 기대효과 ···································································································29

Page 5: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5 -

제4장 타당성 분석 ··············································································33

1. 타당성 분석 개요 ···················································································33

1.1. 필요성 및 목적 ····························································································· 33

1.2. 개념 및 분석 내용 ······················································································· 34

2. 경제적 타당성 분석 ···············································································35

2.1. 개요 ················································································································· 35

2.2. 비용분석 ········································································································· 36

2.3. 경제적 편익 분석 ························································································· 38

2.4. 비용편익분석 (Cost Benefit Analysis) ·················································· 41

3. 정책적 타당성 분석 ···············································································44

3.1. 정책적 타당성 분석 관점 및 분석 방법 ················································· 44

3.2. 정책적 필요성 및 시급성 ··········································································· 47

3.3. 환경정책과의 부합성 및 기여도 ······························································· 48

3.4. 사업추진 의지 및 역량 ··············································································· 49

3.5. 정책적 타당성 분석 종합 ··········································································· 50

4. 기술적 타당성 분석 ···············································································51

4.1. 분석 관점 및 분석 방법 ············································································· 51

4.2. 기존 시스템 현황 검토 ··············································································· 52

4.3. 목표시스템 범위 검토 ················································································· 52

4.4. 목표시스템 사용기술 검토 ········································································· 53

4.5. 리스크 평가 ··································································································· 53

제5장 종합결론 및 정책제언 ····························································59

1. 결론 ···········································································································59

2. 정책제언 ···································································································60

참 고 문 헌 ··················································································································63

Page 6: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6 -

<표 목차>

제1장 서론 ······························································································3

<표 1.1> 연구 추진일정 ·························································································· 5

제3장 목표시스템 내용 ······································································23

<표 3.1> 목표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정보(안) ·················································· 26

<표 3.2> 설치계획 수립 및 검토시스템 정보 ················································· 28

제4장 타당성 분석 ··············································································33

<표 4.1> 목표시스템의 타당성 조사내용 ························································· 34

<표 4.2> 목표시스템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기간 ··········································· 36

<표 4.3>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지 않을 경우 정보화사업비 총괄 ··········· 37

<표 4.4>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경우 정보화사업비 총괄 ··········· 37

<표 4.5> 목표시스템의 연간 경제적 편익 규모 ············································· 38

<표 4.6> 행정업무의 생산성 향상효과 ····························································· 39

<표 4.7> 경제적 편익 산출근거 ········································································· 40

<표 4.8> 연도별 경제적 편익 및 투자비용 ····················································· 42

<표 4.9> 공공부문 정보화사업의 정책적 타당성 분석 관점 ······················· 44

<표 4.10> 목표시스템의 정책적 타당성 분석 관점 ······································· 45

<표 4.11> 정량화 척도의 의미 ··········································································· 45

<표 4.12> 지자체 설문조사 개요 ······································································· 46

<표 4.13> 정책적 필요성 및 시급성 관점 분석 결과 ··································· 48

<표 4.14> 환경정책과의 목표시스템의 부합성 및 기여도 ··························· 49

<표 4.15> 목표시스템의 기술적 타당성 분석 관점 ······································· 51

<표 4.16> 목표시스템 사용기술 검토 ······························································· 53

<표 4.17> 리스크 평가 기준 ··············································································· 54

<표 4.18> 리스크 평가 결과 ··············································································· 55

Page 7: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7 -

제5장 종합결론 및 정책제언 ····························································59

<표 5.1> 목표시스템 운영기관 대안 ································································· 62

Page 8: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8 -

<그림 목차>

제1장 서론 ······························································································3

[그림 1.1] 연구 추진체계 ······················································································· 5

제2장 국내ㆍ외 관련현황 조사 ··························································9

[그림 2.1] 폐기물통계보고 업무체계 ································································ 10

[그림 2.2] 폐기물처리기본계획 수립 책임 ······················································ 11

제3장 목표시스템 내용 ······································································23

[그림 3.1] 목표시스템 체계도 ············································································ 25

제4장 타당성 분석 ··············································································33

[그림 4.1] 경제적 타당성 분석 프로세스 ························································ 35

[그림 4.2] 목표시스템의 연도별 편익 및 비용 ············································ 43

[그림 4.3] 목표시스템의 연도별 누적 순현재가치 ········································ 43

[그림 4.4] 정책적 타당성 분석 종합 ································································ 50

Page 9: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 연구범위 및 추진체계

Page 10: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Page 11: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3 -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1. 연구의 배경

오늘날 인류사회는 각종 통신기술과 정보처리기술의 눈부신 발달로 이른바

정보사회1)라는 새로운 변혁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컴퓨터와 통신기술의 획기

적 발전과 융합은 정보혁명을 일으켜 정치, 경제, 사회, 문화는 물론 우리의 의식

구조에까지 대변혁을 가져오고 있으며, 통신기술은 다양한 개개의 표류정보

(Information Float)들을 체계화하고 정보전달시간을 더 한층 단축시켜 변화의

속도를 가속시키는 정보사회의 주역이자 총아로 각광받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1993년 정보화촉진기본법 제정이후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추진 및

민ㆍ관의 투자, 기술발전 등을 통해 매우 빠른 속도로 정보화시대에 진입하였다.

풍부한 정보의 빠르고 유용한 분배가 가능해지고 사회구성원들이 적은 비용으로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특히 급속한 정보화의 진전은 행정업무

의 정보화ㆍ전산화를 가능하게 하여 시민과 담당자를 위한 각종 민원 및 사무

업무의 처리가 빠르고도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환경 분야의 정보화는 다른 분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낙후

되어있는 상태이다. 환경정보의 특성상 여러 시스템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종

합적으로 활용하여야 하는 사안이 많이 존재하지만 정보시스템간 상호 연계성이

부족하여 정보 공동활용이 어렵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환경정보 기초 데이터의

수집, 생성, 관리, 보고체계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 과정에

서 이중 작업, 재작업, 누락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중에서도 폐기물 분야는 발생량 및 그 처리흐름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적정

하게 처리된 것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에 대한 정보화 사업이 더

디게 진행되면서, 오랫동안 폐기물 기초정보를 수작업으로 수집, 생성, 관리, 보

고해왔다. 이에 따라 폐기물 관리를 위한 각종 행정업무가 비효율적으로 진행되

고, 정보의 활용도가 미흡하여 폐기물을 최적으로 관리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1) 정보화사회란 산업사회가 일정수준으로 발전 성숙하여 출현된 사회로서, 풍부한 정보의 빠르고

유용한 분배가 가능해지고 모든 사회구성원들이 적은 비용으로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사

회를 말하는 것이다.(한국전산원, “국가정보화백서”, 1993)

Page 12: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4 -

최근 폐기물 발생 및 처리 정보를 수집, 보고하기 위한 폐기물통계정보시스템,

사업장 폐기물의 처리과정을 관리하기 위한 폐기물적법처리입증정보시스템 등이

구축되었지만, 전국의 생활폐기물의 처리현황 및 발생예측, 처리시설의 설치 및

관리를 위한 지원시스템이 부재한 상황이다. 특히 지자체가 폐기물 발생 예측을

통해 폐기물처리시설 설치계획을 수립ㆍ보고하고 정부에서 적합성 검토 및 국고

보조 및 집행실적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향후 국고보조 업무가 환

경부에서 지방환경청으로 이관될 경우, 업무의 부담과 혼란을 방지하기 위한 폐

기물처리시설 설치에 대한 지원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1.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앞서 말했듯이 지자체가 생활폐기물 발생 예측을 통해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계획을 수립ㆍ보고하고 정부에서 적합성 검토 및 국고보조 및 집행실적을 모니

터링 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이 필요하다. 이 시스템은 행정업무 처리의 편리함뿐

아니라, 통합폐기물관리 관점에서 적합한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하도록 의사결정

을 지원하는 측면에서 더욱 중요성을 갖는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제기된 생활폐기물의 발생ㆍ처리 및 생활폐

기물처리시설의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의 타당성을 조사하기 위해 시작되

었다. 공공부문 정보화사업의 추진여부를 판단하는 사전 검토 작업으로서 타당성

조사는 사업의 효과적인 추진 및 정부재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

다. 정보화 사업은 본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즉 본 연구

는 ‘생활폐기물의 발생ㆍ처리 및 생활폐기물처리시설의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의 필요성, 계획의 합리성, 목표의 바람직성, 기대효과 등을 사전에 분석함

으로써 사업에 대한 최적대안을 선정하고 그 대안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고자 하

는 목적을 갖는다.

2. 연구범위 및 추진체계

본 연구는 생활폐기물 발생ㆍ처리 및 처리시설 관련 정보 수집 현황을 파악

하고 국내외 폐기물 분야 정보시스템 구축사례를 조사하여 시사점을 도출한다.

Page 13: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5 -

이를 통해 생활폐기물 발생ㆍ처리 및 처리시설의 설치 정보에 대한 관련기관(환

경부ㆍ지자체ㆍ환경청)간의 효율적인 정보전달체계, 즉 목표시스템을 도출한다.

그리고 도출된 목표시스템 구축사업 추진을 위해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고, 향후

추진방향을 제시하도록 한다.

연구는 다음과 같이 크게 5단계의 추진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그림 1.1] 연구 추진체계

국내 현황조사

정보수집 현황조사

관련행정체계 현황조사

관련 정보시스템구축현황

관련법규 조사

국내 현황조사

정보수집 현황조사

관련행정체계 현황조사

관련 정보시스템구축현황

관련법규 조사

해외 사례 조사

해외 관련 정보시스템 구축현황 조사

해외 사례 벤치마킹

해외 사례 조사

해외 관련 정보시스템 구축현황 조사

해외 사례 벤치마킹

국내외 사례 벤치마킹

국내 사례 조사 및 벤치마킹

해외 사례 조사 및 벤치마킹

목표시스템 도출

필요한 목표시스템 개념 및 운영체계

시스템 기능 및 기대효과

국내외 사례 벤치마킹

국내 사례 조사 및 벤치마킹

해외 사례 조사 및 벤치마킹

목표시스템 도출

필요한 목표시스템 개념 및 운영체계

시스템 기능 및 기대효과

정책적 제언

필요한 자원 및 소요예산, 구축방안

운영기관 대안, 추가 정보시스템 제시

정책적 제언

필요한 자원 및 소요예산, 구축방안

운영기관 대안, 추가 정보시스템 제시

목표시스템 구축사업 타당성 조사

경제적/정책적/기술적 타당성 조사

종합정리

목표시스템 구축사업 타당성 조사

경제적/정책적/기술적 타당성 조사

종합정리

첫 번째 단계에서는 생활폐기물 발생ㆍ처리 및 처리시설 관련 데이터 및 정

보 수집 현황, 관련 정보시스템 구축현황, 관련 행정체계 및 법규를 조사하여 문

제점 및 필요한 정보시스템 요구사항을 파악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해외에 구축된 폐기물 관련 정보시스템 사례 및 운용현

황을 조사하여 생활폐기물의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사업에 대한 벤치마킹을 한

Page 14: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6 -

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국내외 현황 조사를 토대로 생활폐기물 관리를 위해 필

요한 목표시스템을 도출한다. 특히 목표시스템을 정의하고 시스템의 운영체계 및

기능을 요구사항에 맞게 설계하며, 기존 시스템과의 연계방안도 제시하도록 한

다.

네 번째 단계에서 앞서 도출된 목표시스템 구축사업의 타당성 및 기대효과

조사한다. 타당성 조사는 사업의 비용편익 분석을 통한 경제성 분석과 정책적 필

요성 및 부합성을 정성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정책적 분석, 기존에 추진된 정보

화와의 부합성과 기술관리 역량을 검토하는 기술적 분석 등, 세 가지 주요 분석

에 따라 종합적인 결론을 도출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생활폐기물 관련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구축 수단과 구축비용, 운영주체 선정대안을 제시하고, 본 사업 이외에 폐

기물처리시설 운영에 필요한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표 1.1> 연구 추진일정

추진내용 1 2 3 4

1. 국내현황조사

2. 해외사례조사

3. 목표시스템 도출

4. 목표시스템 구축사업

타당성조사

5. 정책적 제언

보고회

성과품제출

Page 15: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제2장

국내ㆍ외 관련현황 조사

1. 국내 현황 조사

2. 해외 현황 조사

Page 16: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Page 17: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9 -

제2장 국내ㆍ외 관련현황 조사

1. 국내 현황 조사

1.1. 폐기물 관련 행정 업무

1.1.1. 폐기물 처리실적 보고 및 통계조사 업무

시 ․ 도지사 또는 시장 ․ 군수 ․ 구청장은 각 지자체의 폐기물 처리 결과를 폐

기물관리법 제54조 및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제62조의 규정에 따라 폐기물처리

실적 보고를 해야 한다.

또한 환경부장관, 시ㆍ도지사 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폐기물관리법 제9조

에 따라 폐기물통계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시행규칙 제5조2의 제1항에 따르면

폐기물통계조사는 5년마다 실시한다고 규정되어 있으나 제2항에서 폐기물통계조

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수시로 이를 실시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현재 정부 차원에서는 국립환경과학원이 시 ․ 도지사가 보고한 폐기물처리실적

사항들을 취합하여 매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자료 조사 및 기록을 모두 수작업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정보는 문서화하여

파일형식으로 공개되고 있다. 또한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정보는 1년

이라는 시차를 두고 늦게 공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범운영 중에 있는 폐기

물통계정보시스템이 정식으로 운영되면 조사 및 기록업무를 전산으로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폐기물 처리실적 및 통계보고 체계는 [그림 2.1]과 같다. 배출업소(체)가 시

군구 및 유역(지방)환경청에게 실적보고를 하고 시군구는 그 자료를 취합하여 시

도에 보고한다. 시도와 유역(지방)환경청은 실적을 취합하여 국립환경연구원에

보고하며 국립환경연구원은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환경부와 협의 후에 전국적인

폐기물 통계를 발표하게 된다.

Page 18: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10 -

[그림 2.1] 폐기물통계보고 업무체계

한편 이것과 별도로 환경부 생활폐기물과에서 자체적으로 생활폐기물에 관한

자료를 파악하기 위해 지자체에게 생활폐기물처리시설 통합관리카드를 작성하게

하고 그것을 취합하여 기본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생활폐기물처리시설 통합관리카드에는 일반현황, 발생 및 처리 현황, 사용 중

인 처리시설 현황, 향후 설치계획 등의 항목이 있다. ‘일반현황’에는 지자체의 면

적, 인구 등을, ‘발생 및 처리 현황’ 에는 발생량, 처리량을 기입해야 한다. ‘사용

중인 처리시설 현황’ 에는 시설별 위치, 시설용량, 설치비, 향후 사용기간을,

‘마지막 향후 설치계획’ 에는 시설별 소요예산, 착공․정비년도, 완공․정비년도, 사

용예정기간 등을 적어야 한다.

1.1.2. 폐기물처리기본계획 수립 업무

폐기물관리법 제8조 및 제8조2는 국가로 하여금『국가폐기물관리종합계획』

을, 시⋅도 및 시⋅군⋅구로 하여금『폐기물처리기본계획』을 매 10년마다 수

립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Page 19: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11 -

[그림 2.2] 폐기물처리기본계획 수립 책임

폐기물관리법 제8조 제3항에 폐기물처리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할 사항들이

제시되어있다.

폐기물처리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할 사항

(폐기물관리법 제8조 제3항)

1. 관할구역안의 인구, 주거형태, 산업구조 및 분포, 지리적 환경 등에 관한 개황

2. 폐기물의 종류별 발생량 및 장래의 발생예상량

3. 폐기물의 처리현황 및 향후 처리계획

4. 폐기물의 감량화 및 재활용 등 자원화에 관한 사항

5.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현황 및 향후 설치계획

6. 폐기물의 수집·운반·보관 및 그 장비·용기 등의 개선에 관한 사항

7. 소요재원의 확보계획

1.1.3. 폐기물 처리시설 설치 지원 업무

폐기물은 적정한 방법으로 처리되어야 하며 처리에는 소각, 중화, 파쇄, 고형

화 등에 의한 중간처리와 매립, 해역배출 등에 의한 최종처리 방법이 있다. 해역

배출에 의한 처리방법을 제외하고는 폐기물은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처리

시설에서 처리되어야 한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 운영 및 관리의 책임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 있다. 폐기물처리시설은 폐촉법 또는 폐기물관리법 등 관련법

에서 정하는 절차에 따라 설치가 추진된다.

Page 20: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12 -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시에 폐기물처리시설설치기관은 폐기물관리법 제52조 및

보조금의예산및관리에관한법률에 따라 국고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국고보조 대

상사업으로 매립시설 설치사업, 농어촌폐기물종합처리시설 설치사업, 소각시설

설치사업, 음식물류폐기물처리시설 설치사업이 있으며 각 시설설치사업에 대한

국고보조율은 30%~70% 이다.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국가보조 행정절차는 환경부에서 매년 3월에 국고보조

사업계획서 작성지침이 시달되면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계획이 있는 시ㆍ도지사

는 관할 시ㆍ군ㆍ구의 예산계상신청서를 종합하여 예산계상 연도의 전년도 4월

30일까지 환경부에 제출해야 한다. 환경부장관은 시ㆍ도에서 제출한 예산계상신

청서를 검토ㆍ조정하여 다음 연도의 예산요구서를 5월 31일까지 기획예산처장관

에게 제출하고, 환경부장관은 시ㆍ도지사에게 다음연도의 예산(안)을 10월 15일

까지 통보하며, 국회에서 예산이 심의ㆍ확정되는 즉시 12월 중에 예산확정이 통

보된다.

폐기물처리시설 예산 집행 당해연도 1/4기중에 국고보조금 교부계획을 수립

ㆍ통보해야 한다. 국고보조금 교부계획에 따라 국고보조금 교부신청을 하면 당해

연도 사업계획의 시행 가능성을 중점 검토 후 국고보조금 교부가 결정된다. 교부

결정 후 담당 시ㆍ도는 매반기마다 국고보조사업 수행상황을, 국고보조사업 준공

후 30일 이내에는 국고집행실적을 보고해야 한다.

보조금의예산및관리에관한법률 제28조에 따라서 국고보조금이 확정되는데

먼저 국고보조금 집행실적보고서에 따라 국고보조금 집행내역을 심사한 후 시설

비의 합계를 구한다음 시설비에 국고보조율을 곱하여 국고보조금 소요액을 산정

ㆍ확정하게 된다.

국고보조금 신청 과정에서 국고보조금 교부신청시에는 보조금교부신청서 및

사업계획서를, 폐기물처리시설 준공 후에는 폐기물처리시설국고보조금집행실적보

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전체 시군구는 폐기물처리시설 설치로 연 3,000억을 요청하고 있는데 반해

그에 대한 국고보조금은 약 연 1,000억 정도로 한정되어 있어 보조금을 지급할

지자체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환경부의 국고보조 담

당자는 사업계획서에 기재된 내용 즉 부지매입정도, 입지선정여부, 기본계획설계

Page 21: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13 -

여부, 기존 처리용량 현황, 사전환경조사 실시 여부, 폐기물처리시설의 규모 등을

고려하여 우선적으로 국고보조금을 지급받을 지자체를 결정하고 있는데 이 모든

사항의 검토 및 결정을 1달 안에 해내야 하는 실정이다.2)

1.2. 폐기물 관련 시스템 구축 현황

보고서 제출은 폐기물관리법 제54조 및 동법 제42조의2 제1항에 따라 폐기

물처리시설의 설치 ․ 운영자, 폐기물처리업자 등이 폐기물의 발생 ․ 처리 및 재활

용에 관한 보고서를 다음 연도 2월 말일까지 제출하여야 한다. 그러나 기술의 발

달로 인해 문서로 보고하던 것을 시스템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게 되었으며 법적으로도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제43조의2 제3항의 규정이

2004년 8월에 신설, 이에 따라 폐기물처리실적 보고를 전산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게 되었다.

전산처리기구, 시스템에 보고사항을 입력하는 것으로 보고서 제출을 대체하게

되면 문서로 보고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일선 담당

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한번 시스템이 구축되면

추후 다른 시스템과도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1.2.1. 폐기물통계정보시스템

폐기물통계정보시스템(Waste Statistics Information System: WSIS)은 인터

넷을 이용하여 ‘전국 폐기물의 발생 및 처리현황’ 자료를 수집하고 취합할 수 있

는 통계정보시스템이다. 현재 서면으로 작성ㆍ제출하고 있는 ‘전국폐기물발생 및

처리현황’ 과 ‘지정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자료를 온라인상에서 작업할 수 있

도록 함으로써 지자체 담당공무원들의 업무 부담을 경감시키는 효과도 가져온다.

‘전국폐기물발생및처리현황’을 발간하고 있는 국립환경과학원이 폐기물통계정

보시스템의 구축 및 시행을 담당하고 있으며 현재는 시범운영 중에 있다.

배출업체 및 처리업체, 시군구, 시도, 유역(지방)환경청이 폐기물통계시스템이

요구하는 생활폐기물 관리구역 현황,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폐기물 관리인원

2) 환경부 국고보조 담당 사무관과의 인터뷰

Page 22: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14 -

및 장비현황, 지방자치단체 폐기물 처리시설 현황, 폐기물 처리업체 현황 등을

입력하게 되면 배출업체 및 처리업체의 자료는 시군구 및 유역(지방) 환경청에,

시군구의 자료는 시도에, 시도 및 유역(지방)환경청의 자료는 국립환경연구원에

자동적으로 보고가 되어 상위기관은 하위기관의 폐기물처리실적을 취합할 수 있

다. 폐기물통계정보시스템은 자료 입력 후 자료 검색, 자료 조회, 자료 처리, 자

료검증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배출 ․ 처리업소 D/B, 실적 D/B, 보고서 D/B 등이

구축되어 있다. 또한 OECD에 보고제출을 위한 조사표 서식이 제공되어 통계 작

성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도 포함하고 있다.

1.2.2. 시군구행정정보시스템

시군구행정정보시스템은 행정업무 효율화를 통해 국가경쟁력을 제고하고, 인

터넷 민원처리를 통한 무방문서비스를 실시함으로서 주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지역간 정보격차를 해소 및 균형발전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구축되었다. 행정자

치부가 전자지방정부 근간 마련에 대한 필요성에 따라 1998년부터 2003년까지

주민등록, 지적, 차량, 건축, 환경, 보건복지, 지역산업, 재세정, 농촌, 민원의 10

개 업무를 개발 및 DB를 구축하는 1단계 사업과 지역개발, 문화체육, 상하수도,

축산, 수산, 산림, 도로교통, 민방위, 내부행정, 호적, 재난재해의 12개 업무 개

발 및 DB를 구축하는 2단계 사업을 추진하였다.

시군구행정정보시스템은 전국 9부2청, 16개 시ㆍ도, 234개 시ㆍ군ㆍ구 및

3,600여개 읍ㆍ면ㆍ동에게까지 이 시스템이 확산되어 사용되며 시ㆍ도 및 중앙

정부와 연계되어 활용되고 있다. 시ㆍ도의 국가안전관리시스템, 지적시스템, 정책

기초자료ㆍ보고통계와 연계되어 있고 중앙부처의 정책기초자료ㆍ보고통계, 전국

자료활용시스템, 행정정보시스템 중앙중계센터와 연계되어 있다.

대부분의 행정업무와 민원서비스가 중앙부처와 시ㆍ도, 시ㆍ군ㆍ구를 오가면

서 처리되고 있는 가운데 현재 시군구행정정보시스템만이 구축되어있기 때문에

시도는 중앙부처와 시ㆍ군ㆍ구를 잇는 업무 흐름을 단절시켜왔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따라서 행정자치부는 2002년부터 시도행정정보사업을 추진하여 현재 시스

템 구축 완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시스템 구축이 완료되면 중앙부처와 시ㆍ도,

시ㆍ군ㆍ구에서 처리하는 행정 업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Page 23: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15 -

기대되고 있다.

1.2.3. 폐기물통계관리시스템

폐기물통계관리시스템은 서울특별시에서 자체적으로 구축한 시스템으로 폐기

물 및 재활용품 관련 통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업무의 효율 및 경쟁력을 극대

화하고 아울러 시민에게 정확한 통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시정의 투명성을 제고

하는 것이 목표이다. 약 3개월의 개발기간을 거쳐 2003년 6월부터 운영을 개시

했으며 서울시 안에 25개 구청은 생활폐기물 ․ 재활용품 ․ 음식물 ․ 대형폐기물처

리현황, 청소인력 ․ 청소차량 ․ 기타장비 ․ 적환장현황, 정수ㆍ하수장오니 처리현

황 등을 월별로 작성하고 분기별로 시스템에 입력하고 있다

서울시 청소과가 폐기물통계관리시스템을 실질적으로 관리 운영하고 있으며

확정된 자료들은 인터넷을 통해 시민에게 공개될 예정이다.

5개 지자체를 제외한 전국 16개 광역자치단체들은 좀더 효율적인 시도운영을

위해 자체적으로 폐기물 통계를 분기별로 조사하고 있다. 그 중 서울시만이 전산

화된 프로그램을 갖고 있으며 현재 광주광역시가 폐기물 통계의 전산화 개발을

검토 중에 있다고 한다.3)

1.2.4. 국가환경종합정보시스템 구축사업

1990년대 중반 이후 정보화사업이 시행과 함께 각 부처 및 기관들은 각기 업

무수행에 필요한 각종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업무가 전산화됨에 따라 업무 수행

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되었고 일선 담당자는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너무 많은 시스템들이 구축

후 혼재되어 있는 상황에서 시스템 사용 및 운영ㆍ관리에 중복성 및 효율성의

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하여 환경부의 주도로 관련 기관이나 단

위 업무별로 각기 개발, 운영되고 있는 시스템들을 통합 및 연계시키는 것을 목

표로 하는 국가환경종합정보시스템을 계획하게 되었으며 타당성조사사업이 끝난

상태로 현재 시스템 구축 계획단계에 있다.

3) 전국 시ㆍ도 폐기물 통계관리 현황

Page 24: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16 -

국가환경종합정보시스템 타당성조사사업 단계에서 환경정책, 상하수도, 수질,

대기, 폐기물, 자연보전, 유해화학 등의 분야에서 기존의 시스템을 개선하고 신규

시스템 20개를 개발하여 전체 38개의 단위시스템을 통합하는 계획이 제안되었

다. 그 중 국가폐기물종합정보시스템은 기존에 구축한 폐기물적법처리입증정보시

스템 및 폐기물통계정보시스템과 별도로 폐기물통합관리, 폐기물처리시설관리,

폐기물부담금관리, 폐기물정보공개시스템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실제 국가환경종합정보시스템은 2006년 예산 편성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아직까지 타당성 조사사업 단계에서 제안된 것과 같은 시스템들을 구축할

계획은 없다.

1.2.5. 폐기물적법처리입증정보시스템

폐기물적법처리입증정보시스템은 페기물의 배출에서 운반, 최종처리까지의 전

과정을 관리하기 위하여 폐기물의 배출, 운반, 처리하는 자와 행정기관 사이에

수기작업으로 관리되는 폐기물인계서(종이전표)를 인터넷상의 전자정보형태로 자

동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과거에는 폐기물의 발생부터 최종처리까지 처리경로를 확인하기 위해서 폐기

물인계서를 수기 작성하였고 배출자, 운반자, 처리자, 행정관청 등이 각각 그 인

계서를 보관해야 했다. 그러나 종이인계전표의 관리, 확인, 검토에 따른 행정절차

가 복잡하고, 과다한 업무량 및 행정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드러남에 따라

업체와 행정기관 모두에게 편의를 주기 위해 폐기물의 배출에서부터 최종처리까

지의 과정을 인터넷상으로 실시간 자동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

다.

배출자, 운반자, 처리자는 먼저 시스템에 사용신청을 하고 승인을 받아야 한

다. 그 이후 폐기물 배출, 운반, 인수시 시스템을 이용하여 폐기물정보등록을 할

수 있다. 등록된 정보는 (지방)환경관리청으로 전송이 되며 환경부는 이들 자료

를 추후에 검색 ․ 열람할 수 있다. DB를 포함한 전산처리기구는 한국환경자원공

사가 관리하고 있다.

현재 모든 지정폐기물 처리업체가 전자인계서를 작성하고 있으며 사업장배출

시설계폐기물 처리업체의 적용범위는 작은 사업장까지 그 적용 범위를 점차적으

Page 25: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17 -

로 확대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건설폐기물 처리업체에의 적용은 2005년 말부

터 시작할 예정에 있다.

사업장폐기물 발생ㆍ처리 현황 등 각종 신뢰성 있는 통계정보를 추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현행의 실태조사를 통한 지도감독 업무 및 폐기물 발생에

서부터 최종처리까지의 폐기물 인계정보 및 기초정보와의 비교 등의 전산처리를

통한 모니터링으로 폐기물의 적정처리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2.6. 국가재정정보시스템

국가재정정보시스템은 국가재정을 종합적,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으로 재정경제부에 의해 구축되었으며 각 중앙관서가 운영하는 재정관련 개별정

보시스템과 체계적으로 연계되어 운영되고 있다.

국가재정정보시스템은 중앙관서용표준재정시스템, 통합결산시스템, 재정통합

ㆍ정보분석시스템, 자금출납시스템, 사이버교육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처의 예산집행 및 회계, 결산 및 자금, 자산, 부채관리 등의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2. 해외 현황 조사

2.1. 해외 폐기물 관련 정보시스템 구축 현황

2.1.1. 미국

가) 캘리포니아 폐기물종합관리위원회

미국의 대표적인 주인 캘리포니아에서 주관하는 캘리포니아 폐기물종합관리

위원회는 캘리포니아 주 전체의 폐기물관리를 위해 구축되었다. 이곳에서는 각

기초자치단체의 자원절약 및 재활용요소에 대한 계획 작성 등을 통하여 폐기물

의 적절한 처리를 돕고 있으며 지역정부, 주민, 학생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폐기물 발생 현황 및 처리업체 정보, 처리량, 폐기물 발생 추이, 재활용품 관리

및 시장 확대, 교육 및 예방활동 등 폐기물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공개하고 있

다.

Page 26: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18 -

폐기물종합관리위원회에서는 폐기물종합관리위원회에서 시행하는 프로그램별

로 자료를 구분하고 있으며, 폐기물을 매립용, 음식물쓰레기, 타이어, 유류, 지정

폐기물 등 다양하게 분류하여 물질별로 해당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한 방문자의 특성에 맞추어 기업, 어린이, 학교, 정부유관기관 등 13개

항목으로 구분하여 방문자 특성에 따른 정보의 검색을 돕고 있다.

캘리포니아 주에 대한 대략적 정보와 폐기물에 관련된 정보는 ‘Overview',

'Waste flow', 'Assistance', 'Facilities', 'Contacts', 'Chart' 항목에서 설명되고

있다. 주 단위에서는 캘리포니아 주 전체 폐기물 관련 사항을 집약하여 보여주고

있고 기초자치단체 단위에서는 각 분야마다 일정한 틀이 있어 각 기초단체별 비

교가 가능하며 주요 사항에 대해서는 필요한 정보로 이동할 수 있다.

폐기물관리위원회에서는 많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운영하고 있다. Solid

Waste Information System(SWIS) 이라는 시스템에서는 폐기물처리시설과 관련

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다. 캘리포니아 주 전체에 걸쳐 폐기물처리

시설, 처리장에 대한 위치, 소유자, 운영자, 처리시설 종류, 운영상태, 시설에 허

가된 폐기물 종류 등의 정보가 제공된다. 이 시스템에서는 각 처리시설에 SWIS

Number가 부여되어 관계자들의 신속한 검색이 가능하며 지역별 또는 시설종류

별로 처리시설을 검색할 수 있다.

폐기물의 운반, 처리업체에 대하여 지역별 혹은 시설종류별로 선택을 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는 각 코드(SWIS Number)를 부여하여 유관기관 및 전문가들

의 신속한 검색이 가능하게 하였다. 선택된 업체에 대해서는 위치, 규모, 연락처,

운영업체 및 토지 소유자 연락처, 주변지형 활동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재활용과 관련하여 음료수 용기, 전자제품, 폐타이어, 폐기름 등의 품목에 대

한 재활용 프로그램 및 재활용품 장터 정보제공 프로그램(Recycling Market

Development Zones)과 가장 가까운 재활용 센터 검색하는 기능도 있다.

캘리포니아에서는 재활용을 늘리고 소각, 매립 등의 최종 처분량을 줄이기 위

한 법인 AB939가 시행되고 있어 각 기초단체들은 캘리포니아폐기물관리위원회

(CIWMB)에게 5년에 한번씩 폐기물 처리계획에 대한 승인을 받고 적절히 시행

되었는지 매년 감사를 받아야 한다. 재활용 비율은 소각장과 매립장에 반입된 수

치를 기준으로 재활용량을 산출하여 계산하고 최종처분량 계산시 천재지변, 지정

Page 27: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19 -

폐기물, 처리시설부산물, 타 지역 빅딜량 등은 제외시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폐

기물과 처리노력이 인정되는 폐기물에 대해서는 부담을 줄여주고 있지만 평균적

인 목표 재활용 비율은 50%으로 합당한 이유 없이 이를 지키지 못하는 지자체

에는 10,000달러에 해당하는 벌금을 과세하고 있다. 이런 배경 하에 이 시스템

을 이용하여 각 기초단체는 승인시기가 되기 전까지 자유롭게 심사제외 폐기물

량 및 인구, 사업장 등의 변화율을 넣어 현재 해당 기초단체의 재활용 비율을 계

산하며, 승인시기가 지난 결과물은 4단계 등급을 매기고 그 결과를 보고서 형식

으로 공개하고 있다.

폐기물 통계 분석을 지원하는 시스템도 있다. 폐기물을 크게 종이, 유리, 금

속, 플라스틱, 유기물, C&D, 특정폐기물, 혼합폐기물로 나누고 다시 종이백, 지

류 등 세부 항목으로 나누어서 표시한다. 이 시스템은 빈 항목에 폐기물 발생량

을 입력하면 분류별 및 전체 비율을 자동적으로 계산해주어 폐기물 통계를 쉽게

산출해 낼 수 있게 한다.

나) 미국 EPA ‘The WIN/Informed Initiative’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위한 유해폐기물 발생에 관하여 종류 및 유해성에 관련

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발생량 예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적합성 평가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며 이를 위해 EPA의 전자 공공 정보공개 시스템을 통해 기반자료

를 공개하고 있다. 이 시스템의 목적은 높은 수준의 유해폐기물 정보관리를 이루

어 정보 요청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다. 또한 투

명한 정보의 공개로 불법적 처리를 예방할 수 있다.

2.1.2. 오스트레일리아

가) 오스트레일리아 EPA Victoria ‘WasteCert’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주의 환경사이트인 EPA Victoria에서 운영되며 온

라인상에서 폐기물의 발생부터 운반, 폐기 및 적정량 인증까지 모든 과정이 관리

되는 폐기물정보관리시스템이다.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전문가들은 사전에 등록을 하면 ID를 발급받아 좀더

Page 28: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20 -

세부적인 자료를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관리자 측에서도 효율적인 정보 관리

가 가능하다. WasteCert에서는 WasteCert이용 방법을 교육하여 온라인상에서

폐기물의 발생부터 이동, 처리까지 전 과정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현

장에 가지 않아도 폐기물의 전 과정을 투명하게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

다. 폐기물에 관련된 기록 자료는 ‘publication 758' 이라는 형식으로 일괄 관리

한다. 자료는 업체와 배출업소, 세부 지역, 운반 폐기물, 운반양 등으로 구별되어

스프레트시트와 텍스트 파일 등으로 제공된다.

2.1.3. 영국

가) 영국 Waste Data Flow

Waste Data Flow는 영국 지방자치단체가 중앙정부에 폐기물 관련 데이터

보고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웹기반 시스템이며 폐기물매립총량제도 및 거래제

도 운영을 지원한다. 영국의 폐기물매립총량제도 및 거래제도(Landfill

Allowance Trading Scheme)는 EU의 Landfill Directive에 대한 대책으로 최종

단계연도인 2020년까지 1995년 발생량의 35%수준으로 생분해성 도시폐기물 매

립량을 감소시켜야 함을 규정한 제도이다. 전체적인 폐기물 발생량이 더 이상 증

가하지 않는다 하여도 지자체는 2020년까지 1998ㆍ1999기간의 60%수준으로

매립을 저감해야 하며, 현재 추세인 연간 1.5%의 증가율을 보인다면 2020년도

에는 1998ㆍ1999년도의 100%가 넘는 양을 저감해야 한다.

Waste Data Flow 시스템은 지자체에게는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규칙적이고

효율적으로 관할 구역 내의 폐기물 통계 수집을 할 수 있게 하며 폐기물매립총

량제도 및 거래제도 시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분기별로 환경국에 보고하고 폐기

물 목표 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관리해 준다. 또한 쉽게 다른

지자체 사례를 벤치마킹할 수 있게 한다.

정부에게는 Landfill Directive4)의 조항에 근거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할

당 목표 달성 현황을 모니터링 하고 보고서를 손쉽게 작성할 수 있게 한다.

4) 1995년도 EU 국가들의 평균 매립비율이 67%에 이르자 이에 대한 대책으로 1999년에 ‘Landfill

Directive'를 주창했다. ’Landfill Directive' 는 생분해성 폐기물에 대한 직매립 금지가 주된 골

자를 이루며 실행이후 빠른 속도로 매립비율이 감소하고 재활용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Page 29: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제3장

목표시스템 내용

1. 목표시스템 개념 및 목적

2. 목표시스템 체계

3. 목표시스템 구성

4. 기대효과

Page 30: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Page 31: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23 -

제3장 목표시스템 내용

1. 목표시스템 개념 및 목적

폐기물 관리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함에 있어 전국의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은 기초 자료로써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각종 폐기물 관련 정보는

폐기물처리책임주체인 지자체와 환경부에게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다. 또한 폐기물정책이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담당공무원 등 정보수요자에

게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현재 해당 구역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관리하여야 하는 지자체는 폐기물의

발생 및 처리, 감량화 및 재활용, 처리시설 설치 및 관리 등의 업무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많은 양의 정보를 수집ㆍ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앞서 국내 현황조사에

서 살펴보았듯이 이러한 정보는 수작업으로 작성되고 있어 자료생성 및 보고 시

간이 길고 자료의 정확성도 떨어진다. 그리고 축적된 자료가 데이터베이스화 되

어있지 않아 필요한 자료의 검색 및 조회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주요 폐기물 정책 및 행정업무 수행시 필요한 폐기물 정보를 통합적

으로 수집하여 업무 수행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키고 업무수행의 정확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연간 수천억에 이르는 국가 예산이 소요되는 폐기물처리시설 설치계획

수립을 지원하는 정보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폐기물관리법상 시ㆍ군ㆍ구

에서 수립한 폐기물처리시설 설치계획은 시ㆍ도와 국고보조금 교부 결정을 내리

는 환경부에서 검토ㆍ조정하게 되어있다. 그러나 문서만으로 제공되는 정보는 의

사결정을 내리는데 한계가 있으며, 보다 환경효율적인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할

수 있는 여지를 가로막는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 환경청, 시ㆍ도, 시ㆍ군ㆍ구 등 폐기물 관련 주체들에

게 생활폐기물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고, 효율적인 폐기물관리와 처리시설

설치를 지원하는 ‘폐기물처리시설정보시스템’ 구축사업을 제안한다.

‘폐기물처리시설정보시스템’의 목적은 폐기물처리시설을 보다 효율적이고 적

정하게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폐기물 통계 및 처리시설 정보를 검색

하고 폐기물 발생량을 예측하여 지자체별 폐기물관리목표에 따른 처리량을 산출

Page 32: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24 -

한다. 이와 더불어 기존에 문서상으로 진행되던 지자체 폐기물처리시설 국고보조

예산계상 및 보조금 지급, 추진실적 보고 등 국고보조 관련 업무를 전산화하여

통합관리 한다.

이 시스템은 환경부에서 생활폐기물처리시설 현황을 수집ㆍ관리하기 위해 일

반현황, 사용 중인 처리시설 현황, 향후 설치계획 등을 기록하는 ‘생활폐기물처리

시설 통합관리카드’에서 요구하는 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지자체가 폐기

물 발생량을 추정하고 이에 따라 향후 폐기물처리시설 설치계획을 적절하게 수

립할 수 있도록 지원함과 동시에 국고보조금 교부 기관이 지자체에서 신청한 폐

기물처리시설 설치계획의 적합성ㆍ타당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국

고보조금의 집행실적을 추적하고 건설 진행상황을 멀티미디어를 통해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목표시스템 범위는 폐기물관리법과 폐촉법 등 관련법에서 정하는 추진절차

중에서 국고지원행정절차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폐기물처리시설 설치계

획 수립’, ‘시설설치 기본계획 및 입지타당성 조사’ 단계의 업무를 부분적으로 포

함한다.

2. 목표시스템 체계

목표시스템은 국고보조금 예산편성부터 국고보조금 확정까지 국고보조행정업

무 절차에 따라 진행된다. 목표시스템의 사용자는 환경부, 7개 유역(지방)환경청,

시ㆍ도, 시ㆍ군ㆍ구 등이다.

우선 시ㆍ군ㆍ구에서는 매년 해당 지역의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예상 발

생량 및 처리량, 폐기물처리시설 현황 및 설치계획 등을 입력한다. 그리고 시ㆍ

도에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예산계상신청서, 사업계획서, 국고보조금교부신청서,

집행실적보고서를 웹상에서 작성하여 제출한다.

시ㆍ도는 시ㆍ군ㆍ구에서 제출한 국고보조사업 관련 문서를 취합ㆍ검토한 후

환경청에 제출한다.

유역(지방)환경청은 제출된 예산계상신청서와 사업계획서, 기타 관련 정보를

참고로 국고보조 예산안을 작성하여 환경부에 제출한다. 환경부로부터 예산(안)

Page 33: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25 -

을 통보받으면 이에 따라 당해연도 국고보조금 교부계획을 수립하여 시ㆍ도에

통보한다. 그리고 국고보조금을 교부받은 시ㆍ군ㆍ구의 국고보조사업 추진상황에

따라 국고보조금 집행내역을 심사한 후 국고보조금 소요액을 산정하여 확정한다.

이때 만약 국고보조업무가 유역(지방)환경청으로 이관되지 않을 경우에는 이 업

무는 환경부가 진행한다.

환경부는 환경청으로부터 제출된 예산(안)을 검토하여 작성한 후 기획예산처

에 제출한다. 그 다음 국회에서 예산이 심의ㆍ확정된 후 예산통보를 한다. 목표

시스템을 통해 환경부는 모든 행정업무 현황을 조회하여 검토할 수 있다.

[그림 3.1] 목표시스템 체계도

시군구시군구 시도시도

WEB 서버 DB 서버WEB 서버 DB 서버

-일반현황(면적, 인구 등)-예상발생량-폐기물 발생량 및 처리량-사용중인 처리시설 현황-향후 설치계획

데이터입력

예산계상신청서

국고보조사업계획서

국고보조금 교부신청서

집행실적보고서

국고보조사업계획서 작성지침

예산안 확정내역

국고보조금 교부결정 현황

예산계상신청서 종합제출

국고보조사업계획서

국고보조금 교부신청서

폐기물관련현황

국고보조사업계획현황

집행실적 현황

국고보조예산배정 및

확정내역

국고보조금교부결정

국고보조환수내역통지

환경부

보고

검토, 조정

보조금보조금 예산편성예산편성

국고보조금국고보조금 교부교부

국고보조금국고보조금 확정확정

국고보조사업국고보조사업

추진상황보고추진상황보고

목표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는 국립환경과학원의 폐기물통계정보시스템의 데

이터베이스와 연계하도록 한다. 목표시스템에서 필요한 폐기물통계정보는 현재

‘전국폐기물발생 및 처리현황’을 인터넷상에서 수집하기 위해 구축된 폐기물통계

정보시스템에서 대부분 포괄하고 있다5). 따라서 목표시스템에서 같은 데이터를

지자체로부터 입력하도록 한다면 업무와 시스템 기능의 중복성 문제가 발생한다.

이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폐기물통계정보시스템을 통해 구축되는 데이터베

이스를 연결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얻고, 추가로 필요한 데이터는 지자체가 입력

5) 표 3.3 참조

Page 34: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26 -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목표시스템 구성

3.1. 생활폐기물정보조회시스템

‘생활폐기물정보조회시스템’은 폐기물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해 사용자

가 필요한 폐기물관련 정보를 검색ㆍ조회할 수 있는 기능이다. 폐기물관련 정보

는 폐기물 발생ㆍ처리 현황 데이터, 폐기물처리 관련 시설ㆍ장비현황, 생활폐기

물 관리인원ㆍ장비 및 예산 현황 등이다. 위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제공되

는 정보는 다음 표와 같으며, 실무자들이 폐기물 정책 및 행정업무를 수행할 때

필요로 하는 데이터들이다. 향후 시스템 설계시 사용자 요구사항에 따라 정보데

이터 범위는 변경될 수 있다.

<표 3.1> 목표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정보(안)

중분류 소분류

지자체 일반현황 면적, 인구 등

폐기물 현황 발생량, 처리량, 예상발생량, 처리목표량 등

폐기물처리시설 일반현황

시설구분, 위치, 시공업체, 운영업체, 자치단체 담당자

및 연락처, 운영업체 담당자 및 연락처, 이메일주소,

용량(면적), 설치일시, 설치승인일, 사용개시일 향후

사용기간 등

폐기물처리시설 설치계획시설구분, 위치, 시설용량(면적), 소요예산(국비, 도비,

시군비), 착공정비년도, 완공정비년도, 사용예정기간 등

위 정보들 중에서 대부분은 앞서 살펴본 폐기물통계정보시스템, 시군구행정정

보시스템 등에서 수집ㆍ입력하고 있다. 생활폐기물정보조회시스템에서 필요한 정

보 중에서 폐기물통계정보시스템에서 수집하고 있는 데이터는 이 시스템의 D/B

를 통해서 제공되도록 한다. 그리고 폐기물 예상발생량과 신규 폐기물처리시설

계획 등은 지자체가 입력한다.

Page 35: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27 -

본 시스템을 통해서 사용자들은 웹페이지에 로그인한 후 지역명, 시설유형,

연도 등의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얻을 수 있게 된다.

위 정보 중에서 지자체 일반현황과 폐기물처리시설 일반현황은 현재시점의

데이터이며, 폐기물 발생량 및 처리량은 과거시점, 예상발생량 및 처리목표량, 폐

기물처리시설 설치계획은 미래시점의 데이터이다. 폐기물 발생량 및 처리량은 현

재 시범 운영되고 있는 폐기물통계정보시스템이 100% 정상 운영되면, 당해연도

4월경에는 전년도 통계를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일반현황 데이터는 변경될 때

마다 지자체에서 업데이트하도록 한다.

3.2. 폐기물처리목표산출시스템

‘폐기물처리목표산출시스템’은 지자체의 폐기물 발생량을 예측하고 폐기물관

리목표에 따른 감량목표량, 재활용량, 처리량 등을 산출하는 시스템이다. 그리고

시스템에 입력된 국가폐기물관리목표와 해당 지자체의 목표를 비교할 수 있으며,

입력된 전국 지자체의 폐기물관리목표를 검색할 수 있다.

폐기물발생량 예측은 폐기물관리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가장 우선시되고 기본

이 되는 업무이다. 업무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담당 공무원의 전문성 부족과 잦

은 부서이동 등 현실적인 여건 때문에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발생량 예측이 힘

든 상황이다. 또한 지자체별로 폐기물발생량 예측 방법이 달라 일반화하기 힘들

다. ‘폐기물처리목표산출시스템’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폐기물발생량을 산출하여 효과적인 폐기물관리목표 수립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시스템에서는 지자체들이 인구, 주택수 등과 같이 생활폐기물발생량에 영

향을 주는 변수값을 입력하면 시스템에 입력된 함수식에 따라 향후 예상발생량

이 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감량목표량(감량목표율), 재활용량(재활용률) 등에

따라 처리량(매립+소각)을 자동 계산하여 산출하는 기능도 포함한다. 산출된 발

생량 예측값, 감량목표량, 재활용량, 처리량 등에 따라 지자체는 10년간의 폐기

물관리목표를 수립하게 된다. 그리고 시ㆍ도는 시ㆍ군ㆍ구의 목표를 취합하여 역

시 10년간의 폐기물관리목표를 수립한다. 수립된 지자체의 목표 현황을 환경부

와 환경청에서도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다.

Page 36: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28 -

이 시스템을 개발할 때 폐기물발생량을 예측하는 함수식을 결정하는 것이 중

요하며, 산출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는데 중점을 둬야 할 것이다. 그리고 현업부

서의 업무프로세스 현황을 파악하여 현재 업무체계에 부합하도록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3.3. 설치계획수립 및 검토시스템

‘설치계획수립 및 검토시스템’은 지자체가 제출하도록 되어있는 폐기물처리시

설 설치계획서를 웹상에서 입력하여 사용자들이 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시

스템이다. 이 시스템을 통해 지자체는 폐기물처리시설 설치계획서를 제출하고 진

행중인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업무 추진현황을 체크하고 이를 환경부에 보고하게

된다. 환경부와 환경청은 지자체의 시설설치계획 및 추진현황을 파악하고, 국고

보조예산을 배정할 때 이를 기초로 하여 예산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본 시스템에서 지자체가 입력하고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정보항목은 다음과

같다. 이 항목은 폐기물처리시설 사업계획서와 설치 업무 절차에 따른 것이다.6)

<표 3.2> 설치계획 수립 및 검토시스템 정보

구분 항목

폐기물처리시설 설치계획

시설일반현황

사업비

연차별투자계획

그간의 추진실적

향후 추진계획

폐기물처리시설설치업무

추진현황

입지선정계획 수립

입지선정위원회 구성

시설설치기본계획 및 입지타당성 조사

환경성조사

6) 자료: 환경부, 2004,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업무 편람”

Page 37: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29 -

3.4. 국고보조행정관리시스템

‘국고보조행정관리시스템’은 ‘폐기물관리법 제52조’, ‘보조금의예산및관리에관

한법률’에 따라 진행되는 폐기물처리시설 국고보조 행정업무를 인터넷상에서 처

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시ㆍ군ㆍ구의 예산계상신청부터 국고보조금 확

정까지 지자체와 환경부간의 의사소통 채널을 통해 신청ㆍ통보ㆍ보고 등 복잡한

행정절차를 인터넷상에서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자료가 안전하게 데

이터베이스에 축적되며 사용자는 관련 자료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국고보조금 교부가 결정되는 국고보조사업의 집행실적에 따라

국고보조금을 확정하고 시설의 설치현황을 이미지, 동영상 파일 등을 통해 현장

에 직접 가지 않고도 확인할 수 있다.

4. 기대효과

‘폐기물처리시설 운영 및 관리지원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발생하는 기대효과

중 가장 주요한 것으로 기존 행정업무의 개선과 혁신을 들 수 있다. 전국의 폐기

물과 폐기물처리시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

게 수집하고, 현행 국고보조 행정업무를 간소화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업무 효율

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폐기물행정업무 수행과정에서 빈번히 발생하던

수작업, 이중작업, 재작업 등이 목표시스템에 의해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보인

다. 이러한 업무처리 효율성 향상은 궁극적으로 업무처리의 신뢰성 제고, 정책수

립 역량 간화, 담당직원의 전문성 향상 등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자체가 폐기물 발생량을 보다 정확하고 간편하게 예측하고, 이를 기반

으로 지속가능한 관점에서 폐기물관리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해줌으로써

국가 폐기물 관리 선진화에 획기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Page 38: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Page 39: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제4장

타당성 분석

1. 타당성 분석 개요

2. 경제적 타당성 분석

3. 정책적 타당성 분석

4. 기술적 타당성 분석

Page 40: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Page 41: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33 -

제4장 타당성 분석

1. 타당성 분석 개요

1.1. 필요성 및 목적

정부의 재정이 투입되는 정보화사업을 효과적으로 집행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해당 사업을 추진할 필요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다양한 측면

에서 검토해야 한다. 이러한 사전검토7)는 민간부문에서의 의사결정과정에서도

필요하겠지만, 공공투자사업의 경우 그 중요성이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만약

타당성에 대한 신중한 검토 없이 사업을 추진하는 경우에는 수요가 없거나 활용

도가 낮은 사업, 혹은 달성하고자 했던 사업의 목표를 성취하기 힘든 사업들이

추진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예기치 않게 사업비가 증액되거나 사업계획

이 변경되는 등 궁극적으로 예산이 비효율적으로 사용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

다.8)

이러한 예는 최근 정보화부문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지난 5년간 정

보화부문의 예산규모가 약 2배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으며9), 향후에도 지속적인

투자 증가가 예상되는 가운데, 예산 운용의 비효율 및 중복투자의 방지, 그리고

사업간 연계 및 표준강화 등에 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10)

국회에서도 2002년 결산 부대의견으로 정보화사업에 대한 사전평가제를 촉구

하였으며, 정부는 일정규모 이상의 정보화사업을 대상으로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를 정착하고자 하는 취지로 관계 법령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본 사업도 ‘목표시스템의 추진 필요성과 사업 자체의 타당성을 분석하여 사업

추진여부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7) ‘사전’은 정책이나 사업이 집행되기 이전단계를 말한다.

8) 김기환, “정보화사업 타당성분석제도의 개선방향 모색: 공공분야 타당성분석제도들의 비교를 중

심으로”, 2005, 정보화정책 제12권 제1호

9) 우리나라 정보화부문의 예산규모는 1999년 8,562억원에서 2004년 총 52개 부처의 327개 사업

에 걸쳐 16,545억원으로 5년 동안 약 2배정도 증가하였다.

10) 1단계 전자정부사업에 대한 감사원 감사(2002.6)에서 전자서명체계(정보통신부)와 전자관인체

계(행정자치부)의 중복투자, 시ㆍ군ㆍ구 행정종합정보시스템의 실시간 자료제공의 한계 및 민원

서비스 혁신(G4C)과의 중복 등이 지적된 바가 있다.

Page 42: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34 -

1.2. 개념 및 분석 내용

타당성(feasibility)이란 정책 또는 사업 자체의 집행가능성 혹은 정책의 추진

을 통해 달성하려는 목표를 실현할 가능성을 의미한다. 전자인 집행가능성은 말

그대로 어떤 정책이나 사업이 채택되어 일정한 기간 동안 일정한 재정적 범위

내에서 집행될 수 있는 가능성을 뜻한다. 따라서 집행가능성의 검토기준은 일반

적으로 재정적, 정치적, 기술적, 법적, 사회적, 행정적, 시간적 가능성 등 다양한

측면을 포함한다.11) 즉, 한정된 재원과 이용 가능한 기술을 사용하여 주어진 시

간동안 특정한 법 또는 제도적 환경 하에서 사업을 집행하는 과정에서 정치적ㆍ

행정적ㆍ사회적 위험요인은 무엇이며 대응방안은 무엇인가 등이 타당성을 구성

하는 주된 요소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목표시스템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경제적 타당성, 정책적 타당

성, 기술적 타당성 3가지 측면에서 분석해보고자 한다.

<표 4.1> 목표시스템의 타당성 조사내용

구분 개요

경제적 타당성

사업 수행으로 인하여 환경행정기관이 얻는 경제적 편익은

얼마인가?

목표시스템 개발 및 활용으로 인하여 국민의 경제적 편익은

얼마나 발생하는가?

투입비용과 대비한 경제적 편익규모는 얼마인가?

정책적 타당성

주요 환경정책과 얼마나 부합하는가?

정책적으로 수행할 만큼 중요하고, 필요하며, 시급한가?

주관부처의 사업추진 의지 및 역량은 갖추어져 있는가?

기술적 타당성

기술적으로 목표시스템이 개발 가능한가?

개발이 실패할 리스크는 어느 정도인가?

관련 기술이 현실적으로 도입 타당한가?

<자료: 한국개발연구원, “국가환경종합정보시스템 구축사업”, 2004>

11) 이창균ㆍ서정섭, “지방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제도의 운영실태와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2004,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4(3)

Page 43: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35 -

2. 경제적 타당성 분석

2.1. 개요

2.1.1. 분석 프로세스

정보화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프로세스는 [그림 4.1]에 나타난 바와 같

이 3단계 10개 작업으로 구성된다.

[그림 4.1] 경제적 타당성 분석 프로세스

1단계 비용 분석 단계에서는 정보화사업이 구축하고자 하는 목표시스템에 투

입되는 총비용을 산출한다.

2단계 경제적 편익 분석 단계에서는 목표시스템으로 인하여 창출되는 경제적

편익을 파악하고 그 화폐가치를 산출한다.

3단계 비용편익분석 단계에서는 선행 단계에서 산출된 데이터를 토대로 총비

용 대비 총효과(경제적 총편익) 비율을 구한다.

2.1.2. 분석을 위한 전제

목표시스템 개발기간은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간이며 개발 및 활용 병

행기간은 2008년 1년간이다. 생명기간, 활용기간은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

년으로 설정하였으며 비용편익분석 기간은 2006년부터 2013년까지 8년으로 설

정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할인율을 2005년 12월 1일 기준 국고채 10년 만기이

자율인 5.69%를 적용하였다.

Page 44: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36 -

<표 4.2> 목표시스템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기간

구분 기간

사업기간 (목표시스템 개발기간) 2006년~2008년 3년간

개발 및 활용 병행기간 2008년 1년간

생명기간 (활용기간) 2009년~2013년 5년간

비용편익분석 기간 2006년~2013년 8년간

2.2. 비용분석

2.2.1. 비용분석의 방법

정보화 사업비는 각각의 주요 사업 구성분야에 따라 적용 방식이 구분된다.

비용 산출 적용 기준은 정보통신부 고시 제2005-22호(2005.5.14) 소프트웨어사

업대가기준을 적용하였다.

소프트웨어 규모 측정은 소프트웨어 개발비 산정 유형에 따라 직접적인 개발

대상 규모를 측정하여 평균 단가를 적용하여 계산하는 방식과 개발대상 업무에

대한 인력 투입공수를 산정하여 계산하는 방식이 있는데 본 예비타당성 평가는

개발규모 산정 방식을 적용한다.

가)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지 않을 경우

목표시스템은 정보수집 및 발생량 예측, 시설설치 타당성 분석, 국고보조 행

정업무 관리, 집행실적추적 및 진행현황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한다. 이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국립환경과학원의 폐기물통계정보시스템 D/B

와 연계하여 얻고 추가로 필요한 데이터는 지자체로 하여금 직접 입력하도록 할

경우, 목표시스템 구축 사업비에 데이터베이스구축비, 자료입력비, 정보전략계획

수립비는 포함되지 않는다.

Page 45: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37 -

<표 4.3>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지 않을 경우

정보화사업비 총괄

구분 금액(천원)

소프트웨어개발비 1,261,235

소프트웨어유지보수비 170,266

시스템운용환경구축비 105,000

데이터베이스구축비 해당사항 없음

자료입력비 해당사항 없음

정보전략계획수립비 해당사항 없음

합계 1,536,501

나)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경우

현재 구축된 폐기물통계정보시스템의 과거 데이터베이스는 사실상 없는 실정

이다. 매년 발간되는 전국폐기물발생 및 처리현황을 보다 쉽고 빠르게 발간하기

위하여 구축된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목표시스템은 발생량 예측을 통

해 보다 합리적인 폐기물시설설치 결정 및 예산집행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

에 예측을 할 수 있게 하는 충분한 양의 과거 데이터가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폐기물통계정보시스템(WSIS) D/B와 연계하여 데이터를 얻되 WSIS에 없는 과거

데이터베이스는 자체적으로 구축하는 경우를 고려해 보았다.

<표 4.4>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경우

정보화사업비 총괄

구분 금액(천원)

소프트웨어개발비 1,261,235

소프트웨어유지보수비 170,266

시스템운용환경구축비 105,000

데이터베이스구축비 80,235

자료입력비 해당사항 없음

정보전략계획수립비 해당사항 없음

합계 1,616,736

Page 46: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38 -

2.3. 경제적 편익 분석

2.3.1. 목표시스템의 경제적 편익 항목

본 조사에서는 목표시스템이 창출하는 경제적 편익 중에서 정량적으로 측정

할 수 있고 객관적 화폐가치를 산출할 수 있는 일차적 편익만을 대상으로 하며

목표시스템이 간접적, 복합적으로 창출하는 이차적 편익이나 객관적 타당성이 미

흡한 데이터에 의한 편익은 제외한다. 따라서 목표시스템으로 인해 발생하는 제

반 경제적 편익이나 목표시스템이 없는 경우보다 환경오염이 낮아지는 편익 등

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한다.

본 조사에서는 목표시스템의 범위 및 기능, 이용자 그룹 및 이용수요, 그리고

해결하고자 하는 현재의 문제점 및 개선점을 파악함으로써 경제적 편익 항목을

도출하였다. 폐기물 통계 관리 및 폐기물처리시설설치를 담당하는 일선 담당자들

을 위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행정기관의 편익에 해당하는 사항만 있고 국민의 편

익에 해당하는 사항이 없다.

2.3.2 목표시스템의 경제적 편익 규모

경제적 편익 항목별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표 4.5>에 나타난 바

와 같이 목표시스템이 창출하는 경제적 편익 규모는 연간 약 14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산출되었다.

<표 4.5> 목표시스템의 연간 경제적 편익 규모

분석 범위 편익 항목 금액

행정기관의 편익업무수행시간 감소로 인한

행정생산성 향상 효과1,380,999,316원

국민의 편익 해당사항 없음 0

여기서 유의해야 할 점은 목표시스템의 경제적 편익 규모가 매우 보수적으로

산출되었다는 점이다.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여러 편익 항목과 데이터 중 객

Page 47: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39 -

관성, 정량성, 사실성이 충분히 확보되는 것만 선택하였고, 그렇지 못한 데이터는

폐기하였다. 또한 편익 규모에 대한 화폐가치 산출방법이 존재하지 않는 데이터

도 포함하지 않았다. 예컨대 기존 정보시스템의 유지보수 및 고도화 비용 감소

항목이 이런 경우에 속한다. 목표시스템이 구축되면 그 비용이 감소할 것으로 예

측되지만 현재 시점에서 그 정확한 규모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목표시스템에 의하여 발생하는 실제 경제적 편익은 여기에 나타난 수치보다 상

당히 클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점이 후술되는 편익/비용 비율을 해석하는 과

정에서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2.3.3. 산출근거

목표시스템이 창출하는 행정기관 내부 편익의 산출 근거는 다음과 같다.

<표 4.6> 행정업무의 생산성 향상효과

업무명

업무수행 1건

소요시간차이

현재업무

건수

(연간)

투입인력*

목표시스템환경부 환경청 지자체

이전 이후

(1) 폐기물처리시설

현황 데이터 수집

(생활폐기물처리시설

통합관리카드 수집)

30일 10일 20일 1건 0.332 0.4648 21.06

(2) 폐기물발생량 예측

및 처리목표량 산출20일 5일 15일 1건 0 0 21.06

(3) 폐기물처리시설

국고보조 행정업무20일 10일 10일 10건 1.5 16.8 25

주*) 투입인력=(현재 업무담당인력 수)*(담당인력의 업무 중 해당업무의 비중)

<표 4.7>은 행정업무 생산성 향상 효과의 경제적 화폐가치를 산출하고 있다.

여러 가지 화폐가치 산출기법 중 비교적 단순하지만 일반적으로 가장 이해하기

쉬운 인건비 대체비용 추정기법을 채택하였다. 즉, 목표시스템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필요한 대체 인력비용을 산출하였다.

Page 48: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40 -

<표 4.7> 경제적 편익 산출근거

업무명 경제적 가치 산출근거 연간 소계

(1) 폐기물처리시설

현황 데이터 수집

투입인력 = (2명x16.6%) + (14명x16.6%) +

(234명x0.09%) = 21.86MY

생산성 증가율 = 20일 / 30일 = 67%

경제적 가치 = 21.86MY x 평균연봉 2,654만원 x

67% = 386,856,734원

약 3,867만원

(2) 폐기물발생량 예측

및 처리목표량 산출

투입인력 = 0 + 0 + (234명x0.09) = 21.06MY

생산성 증가율 = 15일 / 20일 = 75%

경제적 가치 = 21.06MY x 평균연봉 2,654만원 x

75% = 419,347,899원

약 4,193만원

(3) 폐기물처리시설

국고보조 행정업무

투입인력 = (3명x50%) + (28명x60%) +

(250명x0.1) = 43.3MY

생산성 증가율 = 10일 / 20일 = 50%

경제적 가치 = 43.7MY x 평균연봉 2,654만원 x

50% = 574,794,683원

약 5,748만원

합계 약 13,810만원

산출 기준이 되는 업무담당인력의 연봉을 산출하기 위해 공무원 5, 6, 7급의

연간 본봉을 평균한 수치 2,654만원을 사용하였다. 화폐가치 산출결과 폐기물처

리시설 국고보조 행정업무 분야가 5,748만원으로 가장 많은 효과를 거두는 것으

로 나타났다.

2.3.4. 분석기간 연도별 경제적 편익 실현도

정보화의 경제적 편익은 시스템이 구축된 시점부터 즉각적으로 발생하는 것

이 아니라 학습 및 체질화를 위하여 상당한 기간이 지나면서부터 서서히 발생한

다. 목표시스템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현장실무자와 이용자에 대한 교육훈련이

이루어지고, 데이터베이스에 정보가 축적되며, 현업업무 활용과정에서의 시행착

오 극복이 이루어지면서 체질화, 활성화되어 간다. 국민의 온라인 민원서비스 이

용 목표도 활용 3년차에 이르러 100% 달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앞에서

기술한 연간 약 23,279백만원에 달하는 경제적 편익이 100% 실현되기 위해서는

3년 정도의 학습 및 체질화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Page 49: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41 -

2.4. 비용편익분석 (Cost Benefit Analysis)

2.4.1. 비용편익분석 기법

목표시스템의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는 가장 전통적이고 대표적으로 사용되

는 방법이 비용편익분석이다. 총투입비용과 총투자효과를 토대로 다양한 경제적

타당성 지표12)를 제공하기 때문에 민간부문 뿐 아니라 공공부문에서 투자사업의

예비타당성이나 사후 평가시에 주로 사용한다.

본 조사에서는 비용편익분석의 순현재가치와 편익비용비율을 주요 타당성 지

표로 사용한다. 순현재가치(NPV; Net Present Value)는 연도별 비용과 편익에

할인율을 적용하여 연도별 비용 현재가치와 편익 현재가치를 구한다. 현재가치로

산출된 총 편익에 총 투자비용을 빼면 NPV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연도별이

라 함은 목표시스템의 분석기간에 포함된 연도를 의미한다. NPV 산출식은 다음

과 같다.

순현재가치 (NPV ) = Σt= 0

n Bt

(1 + r )t− Σ

t= 0

n Ct

(1 + r )t

Bt : 편익의 현재가치, Ct : 비용의 현재가치,

r : 할인율, n : 목표시스템 분석기간

순현재가치가 클수록 경제적 타당성이 양호한 것이며, 마이너스 순현재가치는

적자 또는 손해를 보는 사업으로 해석된다.

2.4.2. 목표시스템의 비용편익분석

목표시스템의 연도별 투자비용과 투자효과를 명목금액 및 할인된 현재가치에

나타난 수치를 토대로 비용편익분석 지표를 산출하면 다음과 같다.

12) 산출되는 재무적 지표로는 ROI(Return on Investment;투자수익률), NPV(Net Present Value;

순현재가치),IRR(Internal Rate of Return; 내부수익률), PB(Payback Period; 회수기간법) 등이

사용된다.

Page 50: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42 -

총비용 대비 총편익 비율 (B/C Ratio)

= 5,437백만원 / 1,468백만원 = 3.703

순현재가치 = 3,968백만원

B/C 비율이 3.703이며, 2013년까지 약 3,968백만원의 순현재가치 이익이 창

출되었으므로 본 조사대상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은 ‘기본적으로 확보되었다’라고

볼 수 있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조사의 경제적 편익은 정량적으로 측정

가능하고, 객관적 화폐가치 산출이 가능한 일차적이고 직접적인 편익 항목만을

대상으로 매우 보수적으로 산출되었다.

<표 4.8> 연도별 경제적 편익 및 투자비용

연도경제적 편익 투자비용

실현도 명목가치 현재가치 명목가치 현재가치

2006년 0% 0 0 515,500,333원 487,747,501원

2007년 0% 0 0 515,500,333원 461,488,788원

2008년 40% 552,399,727원 467,898,617원 515,500,333원 436,643,759원

2009년 100% 1,380,999,316원 1,106,771,257원 22,868,900원 18,327,772원

2010년 100% 1,380,999,316원 1,047,186,354원 22,868,900원 17,341,066원

2011년 100% 1,380,999,316원 990,809,304원 22,868,900원 16,407,480원

2012년 100% 1,380,999,316원 937,467,409원 22,868,900원 15,524,156원

2013년 100% 1,380,999,316원 886,997,264원 22,868,900원 14,688,387원

계 7,457,396,309원 5,437,130,205원 1,660,845,500원 1,468,168,908원

[그림 4.2]는 2006년부터 2013년까지 목표시스템 투입비용과 경제적 편익

분포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림 4.3]은 연도별 누적 순현재가치를 나타내고 있

다. 2008년 시점에 이르러서는 누적편익이 누적비용을 상회하게 됨을 알 수 있

다.

Page 51: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43 -

[그림 4.2] 목표시스템의 연도별 편익 및 비용

0

200

400

600

800

1,000

1,2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

경제적편익 투자비용

[그림 4.3] 목표시스템의 연도별 누적 순현재가치

(488) (461)

31

1,0881,030

974922

872

(600)

(400)

(20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만)

Page 52: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44 -

3. 정책적 타당성 분석

3.1. 정책적 타당성 분석 관점 및 분석 방법

정부의 재정이 투입되는 사업은 기본적으로 공공재적 성격이 있는 것이기 때

문에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책적 차원에서의 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이 목표

시스템은 환경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정책적 타당성 분석에 보다 비중

을 두었다.

일반적으로 정책적 타당성 분석은 크게 정책적 필요성 및 시급성, 주요 환경

정책과의 부합성 및 기여도, 사업추진의지 및 역량 이렇게 3개 관점에서 실시한

다.

<표 4.9> 공공부문 정보화사업의 정책적 타당성 분석 관점

구분 내용

정책적 필요성 및 시급성정책적으로 추진할 만큼 목표시스템 구축사업이

필요하고 시급한 것인가?

주요 환경정책과의 부합성 및

기여도

정부의 정책목표 및 내용과 부합하는가?

주요 정책의 성공적 수행에 기여하는가?

사업추진의지 및 역량

주관부처의 사업추진 의지와 역량은 갖추어져

있는가?

사업추진에 필수적인 관련기관의 협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가?

목표시스템의 비전, 범위, 구조, 기능, 규모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정

책적 타당성을 분석할 수 있는 세부 관점을 <표 4.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총

18개로 설정하였다.

Page 53: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45 -

<표 4.10> 목표시스템의 정책적 타당성 분석 관점

대구분 중구분 소구분

정책적 필요성 및

시급성

행정혁신

업무처리 효율성

업무처리 투명성/공정성/신뢰성

정보수집의 정확성/신속성

조직구성원 능력/전문성/사기/직무만족 강화

의사결정지원 및 정책수립 역량 강화

행정정보화

행정 지원시스템 구축

타 시스템과의 시너지 효과 창출

여러 기관간 중복투자 방지

대국민서비스 환경정보서비스 개선

주요 환경정책과의

부합성 및 기여도

정책1 환경정보화 추진

정책2 건강한 국토, 쾌적한 생명공동체 구현

정책3 환경보건기능 강화로 국민건강 보호

정책4 사전예방적 환경 보전

정책5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관리역량 강화

정책6 지구환경문제 대응능력 강화

사업추진의지 및 역량환경부 현업 실무자의 관심 및 공감대

주요 관련 기관 관련기관의 협력실천 의지

정책적 타당성 분석 관점은 본질적으로 정성적, 주관적 견해를 기술한다. 그

러나 18개 분석 관점의 상호 비교를 도모하고, 분석 결과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4점 척도에 의한 정량화를 시도하였다. 각 척도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표 4.11> 정량화척도의 의미

척도 의미

4점 “매우” 필요하거나 시급함

3점 “상당히” 필요하거나 시급함

2점 “어느 정도, 약간” 필요하거나 시급함

1점 “별로” 필요하지 않음

Page 54: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46 -

지자체 설문조사

정책적 타당성을 뒷받침하고 시스템 사용자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전국

234개 지자체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객관식 15문

항,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있으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표 4.12> 지자체 설문조사 개요

문항 분류 내용

1)~5) 폐기물통계수집 및 보고지자체생활폐기물발생량 및 처리량 작성

및 보고주기, 보고방법, 문제점 등

6)~7) 폐기물처리시설 현황 지자체생활폐기물설치현황 및 계획

8)~13)폐기물처리 및 처리시설설치

계획

생활폐기물처리계획수립 및 발생량

예측방법, 애로사항, 시설종류선정기준

14)~15) 폐기물처리시설 국고보조국고보조행정업무 개선점, 국고보조

업무이관에 대한 의견

16)~18) 폐기물처리시설정보시스템 시스템구축에 대한 의견, 업무협조 여부

설문지는 2005년 12월 14일 기준으로 83부가 회수되었으며, 응답한 지자체

의 지역별 분포를 보면 경상도가 39%로 가장 높으며 서울시가 5%로 가장 낮았

다.

목표시스템 구축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 응답한 지자체의 74%가 시스템 구축

을 찬성하였으며, 18%가 중립적인 의견을 보이는 등 전체 응답자의 92%가 긍정

적인 의견을 보였다. 그리고 응답한 83개의 지자체 중에서 4개 지자체(5%)만이

반대의견을 보였는데, 그 이유로는 “지자체의 재정난 등 근본적인 문제해결이 먼

저 고려되어야 한다,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에 근원적인 도움은 되지 않을 것 같

다” 등의 의견이 있었다.

데이터 입력에 관하여는 전체 49%가 가능, 전체의 47%가 지금 상황에서 답

변할 수 없다고 답하였는데 지자체의 업무 협조를 위해 시스템 설계와 홍보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자체들은 폐기물통계자료 작성 및 보고시에 전체의 88%가 생활폐기

Page 55: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47 -

물 통계자료 수집, 복잡하고 중복된 보고서식, 폐기물 통계 산출 방법, 수작업으

로 진행되는 폐기물통계수집 및 보고체계 등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폐

기물처리시설설치계획 수립시에는 전체의 48%가 계획 수립에 필요한 발생예측

량 등 필수기초자료가 부족, 29%가 처리시설 종류, 용량산정, 설치시기 등에 대

한 정보부족 등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3.2. 정책적 필요성 및 시급성

목표시스템 구축을 통해서 현재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 및 요구사항들의 중요

성과 목표시스템의 문제해결 기대효과가 어느 정도인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설문조사 결과 알아낸,

응답한 지자체 중 41%가 연도별로 발생량 및 처리량 통계자료를 작성

응답한 지자체의 61%가 연도별로 발생량 및 처리량 통계자료를 시도에 보고

서울시를 제외한 모든 지자체는 생활폐기물 발생량 및 처리량 통계자료를

시도에 문서파일을 송부하는 방식으로 보고

등의 상황을 고려하여 목표시스템 개발필요성 및 개발시급성 정도를 도출하

였다.

Page 56: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48 -

<표 4.13> 정책적 필요성 및 시급성 관점 분석 결과

분석관점분석결과

개발필요성 개발시급성

정책적

필요성 및

시급성

행정혁신

업무처리 효율성 4 4

업무처리 투명성/공정성/신뢰성 4 2

정보수집의 정확성/신속성 4 4

조직구성원

능력/전문성/사기/직무만족 강화3 3

의사결정지원 및 정책수립역량 강화 3 2

행정정보화

행정지원시스템 구축 4 4

타시스템과의 시너지효과 창출 2 -

여러 기관간의 중복투자 방지 2 -

대국민

서비스환경정보서비스 개선 3 -

3.3. 환경정책과의 부합성 및 기여도

목표시스템 구축사업이 기존에 수립된 환경정책과 얼마나 부합하고 있는지

부합성 및 그 정책에 대한 목표시스템의 기여도를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환경부에서 추진 중인 주요 환경정책 중에서 목표시스템은 환경정보화 정책

과 완전히 부합하며, 정책에 대한 목표시스템의 기여도는 높다고 할 수 있다. 또

한 목표시스템은 사전예방적 환경보전,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관리역량 강

화 등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age 57: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49 -

<표 4.14> 환경정책과의 목표시스템의 부합성 및 기여도

주요 환경정책 구분

분석결과

목표시스템의

부합성

목표시스템의

기여도

주요

환경정책

환경정보화 추진 4 4

건강한 국토, 쾌적한 생명공동체 구현 - -

환경보건기능 강화로 국민건강 보호 - -

사전예방적 환경보전 3 3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관리역량 강화 3 3

지구환경문제 대응능력 강화 - -

3.4. 사업추진 의지 및 역량

목표시스템 구축 사업의 성공에는 주관부처의 사업추진의지 및 역량이 중요

하다. 사업추진 의지는 구체적으로 현업실무자의 관심 및 공감대, 관련기관의 사

업추진 역량 등 2개 관점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목표시스템 구축사업 주체인 환경부와 지자체 실무자들은 목표시스템 개발의

필요성 및 시급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또한 목표시스템 개발을 위해 2006년 차세

대사업 기술수요조사서를 제출한 상황이다.

또한 목표시스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서는 환경부 산하단체, 행정자치부,

234개 지자체 등의 협력실천의지도 중요하다. 타당성조사과정에서 관련기관인

국립환경연구원, 행정자치부, 지자체 등에게 목표시스템 개발에 대한 의견을 수

렴하였는데 폐기물통계정보시스템 운영기관인 국립환경연구원에서는 적극적인

협력의지를 보였다. 그러나 목표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지

의 여부를 묻는 설문조사에서 47%가 지금상황에서 답변할 수 없다고 대답한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지자체의 협력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교육ㆍ

홍보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Page 58: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50 -

3.5. 정책적 타당성 분석 종합

목표시스템 구축이 정책적으로 타당성이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서 정책적 필

요성 및 시급성, 환경정책과의 부합성 및 환경정책에 기여도, 사업추진 담당자의

추진 의지 및 역량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행정혁신, 행정정보화 관점에서 업무처리 효율성제고와 행정처리지원

을 위해 목표시스템의 개발이 매우 필요하며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환경

정보화 정책과 완전히 부합하며 그 외 주요환경정책의 효율적 추진에도 기여함

을 알 수 있었다. 환경부 실무부서에서 목표시스템 개발의 필요성과 시급성을 인

식하고 사업추진 단계에 있기 때문에 사업추진 의지 및 역량은 충분히 확보되었

다고 볼 수 있다. 종합하면 목표시스템 구축사업의 정책적 타당성은 “기본적으로

확보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림 4.4] 정책적 타당성 분석 종합

Page 59: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51 -

4. 기술적 타당성 분석

4.1. 분석 관점 및 분석 방법

대부분 공공투자에 대한 타당성조사의 주요 분석 범위는 경제성 분석과 정책

적 분석에 치중되어 수행되어 왔다. 이에 비해 정보화사업은 신기술 및 융합 기

술형 사업이므로, 기술적 요건이 정보화 사업의 성패를 결정할 수 있는 주요한

요인이므로 사업 수행의 제반 여건을 고려하는 예비타당성 검토에서 중요한 의

미를 갖는다. 기술적 타당성 분석은 대상사업에 적용되는 핵심 기술을 정확히 파

악함은 물론 기술의 유용성, 기술의 위험요소 및 성공 가능성 정도를 평가하는

것을 핵심과제로 하고 있다.

정보시스템에 대한 기술적 타당성 분석은 일반적으로 ① 정보시스템의 효율

적 구축가능성과 관련된 기술의 특성, 구축방법론, 구축일정의 적정성, ② 기존인

프라와의 정합성, ③ 정보시스템 범위 및 기술구현능력, ④ 인력의 활용계획 등

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타당성 평가요소는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객관적이고 심층

적으로 분석되지 않으면 안 된다. 첫째, 기술적인 근본문제로서 구축성패를 결정

할 수 있는 치명적 요소가 존재하는지를 검토하는 일이다. 둘째, 기술관리요소로

서 정보시스템 구축에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평가요소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좀 더 구체화하여 일반적으로 공공부문 정보화사업의 기술적 타당성을 분석하는

관점은 <표 4.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크게 4개 관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표 4.15> 목표시스템의 기술적 타당성 분석 관점

구분 내용

기존시스템현황 검토환경부문의 기존 정보시스템 현황을 검토하고 요구사항

파악

목표시스템 범위 검토목표시스템의 범위를 파악하여 요구사항과의 부합 정도

파악

목표시스템 사용기술 검토 목표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사용할 기술 도출

리스크 평가목표시스템의 기술적인 실현가능성 검토

잠재적인 위험요소 발생가능성 검토

Page 60: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52 -

예비타당성 조사에서는 목표시스템의 기능 및 범위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과

적용할 기술의 상세한 정의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기술적 타당성 분석 작업은 불

확실성이 매우 높은 시점에서 이루어진다. 특히 정보기술아키텍처 분석은 객관

적, 사실적 데이터가 아니라 기초데이터를 이용하여 체크리스트별로 평가자의 주

관적, 비정량적 분석 데이터를 기초로 수행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현

장방문, 자료분석, 인터뷰 자료 외에도 정보시스템 진단에 관한 사례자료, 고도의

전문지식, 경험, 통찰력에 기반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4.2. 기존 시스템 현황 검토

기존에 구축된 시스템 현황을 검토함으로써 현재 대두된 문제 및 요구사항들

을 파악할 수 있으며 목표시스템 설계의 타당성 및 적합한 범위를 도출할 수 있

다.

현재 환경부 및 산하기관에서 관련 정보시스템들이 분산 운영 중에 있으며

관련 업무 프로세스 간에 유기적인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폐기물부문에

서는 통계, 처리시설 정보 등과 같은 기초정보 DB구축, 지자체 및 중앙정부의

정책지원시스템, 발생량 예측, 대국민정보제공 시스템이 부재한 실정이다. 이렇게

업무효율성을 위한 정보시스템 개선 및 환경부문의 현안문제 해결에 대한 요구

가 증대하고 있다.

4.3. 목표시스템 범위 검토

폐기물처리시설정보시스템은 기존 시스템 현황에서 부족한 요구사항을 충족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폐기물정보 통합관리 부재, 폐기물처리시설 계획수립 지

원시스템 부재, 국고보조행정업무 비효율성의 문제를 생활폐기물 정보조회시스

템, 폐기물처리목표 산출시스템, 설치계획 수립 및 검토 시스템, 국고보조 행정업

무 관리시스템을 포함한 목표시스템으로 현 상황의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Page 61: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53 -

4.4. 목표시스템 사용기술 검토

폐기물처리시설정보시스템 구축에는 다음과 같은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표 4.16> 목표시스템 사용기술 검토

구분 기술 종류

DataDBA

이기종데이터호환성

Application

웹서비스

트랜잭션 분산

메시지처리기술

통신TCP/IP

HTTP

보안S/W

어플리케이션 접근에 대한 통제

4.5. 리스크 평가

리스크 평가를 객관화하기 위한 평가 지표 및 척도는 다음과 같다.

Page 62: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54 -

<표 4.17> 리스크 평가 기준

지표 가중치 기준치 지표의 설명

일정 4

0: 위험

높음

4: 위험

낮음

프로젝트 진행과 관련한 수명주기 활동을 기간 내에

완료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영향 요인

예) 계약 지연, 일정과 자원 및 예산 할당의 불일치,

강요된 일정수립, 유사 프로젝트 경험 부족,

프로젝트의 복잡도

비용민감도 4

0: 위험

높음

4: 위험

낮음

비용 추정치의 품질과 민감도를 평가

프로젝트의 복잡성이나 추가적인 비용 개선작업을 요구

예) 프로젝트 복잡도, 비용 추가사항이 많음, 프로젝트

재계획에 의한 비용 개선사항

기술 4

0: 위험

높음

4: 위험

낮음

적용 기술의 복잡도 분석을 통한 실현 가능성 평가

예)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솔루션 적용이 조직의

아키텍쳐와 불일치, 외부 지원이 불가능

조직 4

0: 위험

높음

4: 위험

낮음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의 영향에 의한 문제 발생 가능성

평가

예) 시스템 실행에 대한 조직의 변화, 사용자 거부,

프로세스 재설계 영향, 의사결정을 위한 위원회구성,

커뮤니케이션 절차, 변화관리 준비부족, 교육부족

Do-Nothing

리스크4

0: 위험

높음

4: 위험

낮음

본 사업을 하지 않음으로써 발생되는 리스크

예) 프로젝트 미시행시 고객, 사업, 조직 등에 영향을

주어 비용 증가

<자료: 한국개발연구원, 국가환경종합정보시스템 구축사업, 2004>

리스크 평가는 아래와 같다. 위험도를 0~4까지 5점 척도화한 5가지 지표별

평가에서 평균 2점을 얻어 보통 수준의 리스크 안정성을 보이고 있다.

Page 63: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55 -

<표 4.18> 리스크 평가 결과

지표 프로젝트 특성치 설명 위험도

일정

프로젝트 규모 작음

WSIS와의 인터페이스 문제, WSIS의 운영에 따라 일정에 차질이

생길 수 있는 위험 존재

2009년까지 3년이라는 충분한 기간 있음

1

비용민감도개발 및 운영 측면의 예산이 모두 고려되어 있음.

프로젝트 변경이 예산에 크게 영향을 미침.2

기술

WSIS와 연계할 경우 WSIS의 기술적리스크 부담을 함께 안게 됨

(즉 WSIS가 중지될 경우 목표시스템의 일부기능도 중지됨)

용역업체가 제한적이지 않음

필요한 기술이 복잡하지 않으며, 현재 기술여건상 모두 구현가능

2

조직

실무부서에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음

유관기관과의 협조가 필요함

신정보시스템에 대한 변화관리, 교육, 추진인력 등이 필요함

2

Do-Nothing

리스크

정보화 미 시행시 업무처리 비용이 증가함

변화하는 행정업무체계에 대응할 수 없음 3

리스크 평가는 정보화 계획을 수립하기 전 단계에서 실시한 것으로 본 사업

의 착수 전 정보계획 수립을 통해서 제반 리스크 요인들에 대한 관리와 적절한

대책 수립을 권고한다.

Page 64: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Page 65: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제5장

종합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Page 66: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Page 67: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59 -

제5장 종합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국내 폐기물 관련 정보수집체계와 정보화 현황을 살펴볼 때 생활폐기물 발생

ㆍ처리 및 처리시설의 효율적인 정보관리와 국고보조 행정업무의 효율화를 위한

정보시스템 개발이 시급하다. 특히 매년 천억원의 예산이 소요되는 국고보조 행

정업무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도모하고, 지자체들이 장기적인 폐기물처리계획과

처리시설 설치계획을 효율적으로 수립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생활폐기물 관련한 모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

고 지자체 폐기물처리계획 수립 및 국고보조업무를 지원하는 ‘폐기물처리시설정

보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시스템은 폐기물 정보의 체계적인 관리와 신뢰성 제

고, 정확한 처리시설설치계획 수립지원, 국고보조행정업무 전산화 등을 목적으로

하며, 생활폐기물정보조회시스템, 폐기물처리목표산출시스템, 설치계획 수립 및

검토시스템, 국고보조행정업무관리시스템 등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목표시스템 구축사업의 필요성 도출과 사업 자체의 추진여부에 대

한 의사결정을 위해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경제성 분석 결과 목표시스템 구축사업은 비용편익분석 결과 투입되는

비용보다 편익이 크게 나타나 사업추진의 기본이 되는 경제적 타당성이 입증되

었다. 목표시스템의 편익 범위를 ‘행정생산성 향상 효과’로 설정하더라도 분석기

간 8년간 경제적 편익은 54억3천7백만원으로 투자비용 14억6천8백만원을 초과

하며, 목표시스템이 2006년부터 3년간 개발되고 2009년부터 본격적으로 가동될

경우 2009년부터 약 6천5백만원의 순현재가치이익이 창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지자체 대상의 설문조사, 현장방문 인터뷰, 자료분석 등을 통한 정

책적 타당성 분석에서는 업무처리 효율성 제고와 행정처리 지원을 위해 목표시

스템의 개발이 매우 필요하며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관련 업무의 실무 담

당자들이 목표시스템 개발에 대해 74%가 찬성하는 등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정보화를 통한 신속한 정보제공에 대한 요구가 높다는 설문분석 결과가 도출되

었다. 이와 함께 목표시스템의 개발이 정부의 주요 환경정책 방향과 부합하며,

시스템 개발 가능성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환경부 주관부서의 사업추진 의지

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age 68: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60 -

마지막으로 기술적 타당성의 경우 목표시스템이 기존 정보시스템 개선요구에

부합하며, 기술적 측면에서 개발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목표시스템

구축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를 객관화하여 볼 때 위험도가 0~4까

지 5점 척도화한 지표별 평가에서 평균 2점으로 보통 수준의 리스크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목표시스템 구축사업의 타당성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목

표시스템 구축사업은 추진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였으므로 ‘시행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폐기물처리시설정보시스템’ 구축사업은 크게 ‘행정 생산성 및 효율성 향상’,

‘합리적인 국고보조 예산 운용’, ‘생활폐기물관리 최적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기존 단순 반복 업무가 자동화ㆍ전문화됨으로써 행정업무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폐기물 관리정책에 필요한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집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담당자의 업무수행능력과 전문성 등을 높이고 사기진작

과 직무만족 강화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게 될 것이다. 특히 폐기물관리정책을 주

관하는 실무담당자들의 정책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폐기물관리목표 등 정책

수립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라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부와 지자체가 폐기물처리시설 국고보조 예산을 운용함에 있

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행정업무를 전산화함으로써 업무의 효율화와 적절한

예산운용을 동시에 꾀할 수 있게 된다. 궁극적으로 목표시스템은 국가 및 지자체

가 폐기물을 최적으로 관리하는데 직ㆍ간접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국가폐기물

관리목표인 ‘지속가능한 자원순환형 사회기반 확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된다.

2. 정책제언

‘폐기물처리시설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을 시행함에 있어 몇 가지 유의할 점이

있다.

첫째, 본 사업은 여러 유관기관과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업무협조가 성공적인

사업 수행을 위해 필요하다. 폐기물통계정보시스템, 시군구행정정보시스템 등 기

Page 69: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61 -

존의 시스템을 개발ㆍ운영하고 있는 국립환경연구원, 행정자치부와의 긴밀한 업

무협조와 유관 시스템에 대한 정보공유가 이루어져야만,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구축범위를 도출하고 중복투자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 시스템과

의 연계성과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향 및 범위를 도출할 수 있었지만, 향후 시스

템 설계시 다시금 유관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현황과 향후 계획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현재 업무 및 데이터 중복성의 문제로 행정자치부의 시군구행

정정보시스템과 국립환경과학원의 폐기물통계정보시스템의 연계가 논의되고 있

으므로, 그 추이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목표시스템의 정보 입력자가 전국의 지자체 담당 공무원이므로,

이들의 업무협조가 반드시 필요하다. 정부는 지자체 단위에서 목표시스템에서 요

구하는 데이터 및 문서를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교육과 홍보를 실시하여야

한다. 그리고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담당공무원의 책임을 강조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목표시스템의 주요 데이터를 폐기물통계정

보시스템을 통해 받게 될 경우, 해당 지자체의 폐기물 통계가 정확하게 입력되지

않으면 의사결정과 발생량 예측을 지원하는 기능도 신뢰도가 떨어지게 된다. 따

라서 정보입력자들이 정확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법적ㆍ제도적 의무를 강화하는

조치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목표시스템을 설계할 때 향후 확장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목표

시스템은 데이터검증시스템, 평가시스템, 운영관리시스템, 대국민정보공개시스템

등 확장 가능성이 높다. 목표시스템이 폐기물처리시설의 효율적인 설치를 지원하

기 위한 목적을 가지므로 제공하는 정보와 발생량 예측값 등의 정확성을 검증하

는 데이터검증시스템과 사용자의 의사결정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평가시스템 등

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설치 후 폐기물처리시설의 운영 효율성과 환경적 지속가

능성을 평가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 폐기물관련 정보를 일반 국민들에

게 효과적으로 공개하는 대국민정보공개시스템 등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목표

시스템은 향후 이러한 확장 가능성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셋째, 목표시스템을 운영하는 기관을 적절하게 선정해야 한다. 시스템의 개발

및 감독 기관은 환경부가 되며 운영기관은 환경부 산하기관 중 한 곳이 될 수

있다. 이중에서 고려할 수 있는 대안으로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국립환경과학원

등이 있다.

Page 70: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62 -

<표 5.1> 목표시스템 운영기관 대안

대안 특징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자원과 인프라, 장기적인 발전가능성

관련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기술과 지식 축적

목표시스템의 기능과 반입총량제도의 연계 가능성

국립환경과학원

유사 시스템 개발 및 운영 경험이 있음

목표시스템과 폐기물통계정보시스템을 함께

관리하여 리스크를 감소시킬 수 있음

2000년에 설립된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장기적인 발전가능성을 갖고 있는

곳으로 물적ㆍ인적 자원이 풍부하고, 기술적인 인프라가 갖추어진 곳이다. 그리

고 폐기물의 최적 관리를 위한 연구가 매년 수십건씩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

설립된 매립기술연구센터를 중심으로 학술대회가 개최되고 있다. 그리고 폐기물

반입총량제도에서 필요로 하는 지자체 폐기물관리목표 등과 같은 데이터가 목표

시스템을 통해 생성되기 때문에, 추후 개발될 반입총량제도 운영시스템과 연계성

을 고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매년 지자체 폐기물 통계를 수집하여 ‘전국폐기물발생 및

처리현황’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최근 폐기물통계정보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와 같은 유사 시스템 개발 및 운영 경험이 있으며, 목표시스템과

폐기물통계정보시스템이 연계될 때 두 시스템을 함께 관리하여 운영리스크를 감

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목표시스템 운영기관은 보다 면밀한 검토 후에 시스템의 목표와 기능을 최대

한 살릴 수 있고 안정적으로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는 곳이 선정되어야 할 것이

다.

Page 71: (요약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07/149382.pdf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타당성조사사업 (요약보고서)

- 63 -

참 고 문 헌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2005,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

한 연구”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2004, “수도권매립지 폐기물 반입총량제도 개발 연구”

한국환경자원공사, “폐기물적법처리입증정보시스템 사용자 매뉴얼”

국립환경과학원, 2004, “폐기물발생처리통계정보화시스템개발 사용자지침서”

환경부, 2002, "제2차 국가폐기물관리종합계획(2002~2011)"

환경부, 2004, “2005년도 국고보조사업 신청지침”

환경부, 2004,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업무 편람”

환경부, “2005 환경백서”

환경부, 2005, “환경예산과 예산제도”

환경부, 2005, “2006년도 환경정보화촉진시행계획(안)”

환경부, 2005, “전국 매립시설 설치ㆍ운영 시태 조사결과 및 조치계획”

환경부, 2005, “2004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한국개발연구원, 2004, “국가환경종합정보시스템 구축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

고서”

박래, 2004, “시스템다이나믹스를 이용한 폐기물관리의 지속가능성 분석모델

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