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

146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기후환경정책연구 2013-02 곽소윤안소은배두현

Upload: others

Post on 28-Nov-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기후환경정책연구 2013-02

곽소윤∣안소은∣배두현

연구진

연구책임자 곽소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부연구위원)

참여연구원 안소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배두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

산학연정 연구자문위원 (가나다 순)

박은추 (환경부 환경경제기술과 서기관)

신철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양연구본부 전문연구원)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에너지정책학과 교수)

조용성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

ⓒ 2013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발행인 이병욱

발행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흥로 215 (우편번호) 122-706

전화 02) 380-7777 팩스 02) 380-7799

http://www.kei.re.kr

인쇄 2013년 12월 26일

발행 2013년 12월 31일

출판등록 제17-254호

ISBN 978-89-8464-795-4 93530

값 9,000원

서 언

환경이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의 가치를 정책의 의사결정과정에 반영해야 한다는 점에 공감대

가 형성된 것은 오래 전의 일입니다. 이제 이슈는 의사결정과정에 환경가치를 반영할 것인지를

논하는 차원이 아니라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하는 차원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본 연구는 환경정책의 사전·사후 평가분석, 대규모 국책사업의 타당성 검토, 환경영향평가 등의

지원을 위해 환경가치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DB를 구축하고 기초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환경문제의 효과적 해결과 경제적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을 궁극적 목적으로 하여 기획되었습니다.

본 연구는 총 4년 동안 DB 구축사업과 DB를 활용한 환경자산/서비스별 원단위 추정으로 구분하

여 병렬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1차연도는 웹기반 환경가치 DB의 틀을 설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수행되었고, 2차연도와 3차연도는 DB의 안정화 및 매체별, 환경자산별 단위가치 분석에 중점을

두었으며, 4차연도에는 구축된 DB의 정책적 활용방안을 구체화하고자 하였습니다.

4차연도 연구결과가 나오기까지 곽소윤 박사, 안소은 박사, 배두현 연구원이 본 연구를 맡아

수행하였습니다. 바쁘신 와중에도 외부 자문위원으로 수고해 주신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신철오

박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숭훈 교수, 고려대학교 조용성 교수, 환경부 박은추 서기관께 진심으

로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또한 내부 자문위원으로 도움을 주신 이창훈 박사께도 고마움을

전합니다.

2013년 12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원장 이 병 욱

국문요약

본 연구는 정부부처 및 민간기업의 의사결정자를 비롯하여 학계, 환경컨설팅, 환경NGO 등에게

환경 질(environmental quality) 변화에 따른 환경가치 추정치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비용편익분석, 환경영향평가, 사업타당성평가를 포함한 다양한 정책분석을 지원하는 것을 일차적

인 목표로 하여 기획되었다. 본 연구는 총 4년(2009〜2011,2013)으로 계획되었으며, 국내 환경가

치 생활환경/자연환경, 추정기법의 분류체계 제시, 국내 환경가치 온라인 DB 설계 및 구축, DB

분석을 통한 국내 환경자원 가치추정 선행연구의 종합분석, 메타회귀분석을 포함한 매체별/생태계

별 환경가치 원단위(단위가치) 추정, 가치확장/가치이전의 적용지침 마련과 실제 사례연구를 통한

정책적 활용방안 제시 등의 세부목표 아래 진행되었다.

올해 4차연도에는 해외 환경가치 DB 분류체계에 대한 문헌검토와 2009년부터 현재까지 환경

가치종합정보시스템(EVIS)에 업데이트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환경가치 DB의 분류체계를 국내

현황에 적합하도록 수정하였다. 특히 정책분석 지원이라는 DB의 목적을 염두에 두고 생활환경과

자연환경, 추정기법으로 나누어 분야별로 원하는 검색이 가능하도록 분류체계를 설계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분류체계를 새롭게 설계한 부분은 자연환경분야이다. 우선 3차연도의 생태계 기능/서

비스/편익을 생태계서비스로 수정하였다. 여기에 TEEB 보고서에 제시하고 있는 4가지의 생태계

서비스(공급서비스, 조절서비스, 지지서비스, 문화서비스)를 중분류로 새롭게 추가 설계하였다.

그리고 3차연도의 개별생태계/자연지역은 개별생태계로 수정하였다. 또한 중분류의 강/하천/호수

는 환경적, 지리적인 특성을 고려해 호수를 독립적으로 분류하였고, 도시는 도시생태계로 수정하

였다. 축적된 EVIS의 선행연구를 검토해본 결과 분리되어 있던 보호지역과 자연공원은 선행연구

가 서로 중복되어 보호지역/자연공원으로 하나로 통합하였다. 또한 추정기법은 개별 추정기법에

중점을 두어 설계했던 것을 크게 선호체계 접근법과 물리적 접근법으로 양분하여 구분하였다.

선호체계 접근법에는 시장가격법과 현시선호법, 진술선호법, 편익이전을 중분류로 설계하였다.

현시선호법 아래 여행비용법, 헤도닉가격법, 회피행동비용법을 소분류로 설계하고, 진술선호법

아래 조건부가치측정법, 선택실험법을 소분류로 설계하였다. 선택실험법은 이전의 컨조인트분석

법(조건부선택결정법, 조건부순위결정법, 조건부등급결정법)을 하나의 추정기법으로 수정한 것이

다. 물리적 접근법에는 이전에 있던 대체비용법과 새롭게 추가된 복원비용법, 피해비용접근법,

에머지분석법으로 설계하였다. 한편, 기타 카테고리를 추가하여 현 분류체계에 담기 어려운 연구

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하였다.

환경가치종합정보시스템(EVIS)에 축적되어 있는 단위가치들의 활용을 위해 가치확장의 개념

에 대해 살펴보고 적용절차 및 점검목록에 대해 검토하며 적용사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단위가치

의 단위(Unit)에 따라 가치확장의 종류를 구분하고 대상재화의 개별 기능에 대한 단위가치들의

합계를 시도하는 과정까지 넓은 범위의 가치확장을 다루고 있다. 다양한 연구가 연구대상지로

활용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막고 단위가치 활용 사례를 명확하게 이해하여 비교·분

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린벨트 보존의 가치를 추정한 이준구 외(2000)의 연구를 지속적으로

활용하였다. 먼저 가치추정치의 단위가 원/가구인 경우와 원/면적인 경우로 구분하여 가치확장을

실시하였다. 우선 원/가구인 경우에는 모집단 내 및 모집단 외의 가치확장으로 구분해볼 수 있으며,

각 분류에 대한 절차 및 점검목록을 4단계로 나누어 살펴보고 세부 점검목록들을 추가하며 이준구

외(2000) 연구를 활용하여 적용사례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가치추정치가 원/면적인 경우에는

동일하게 4단계의 절차 및 점검목록을 제시하였으나, 현재 DB에 수록된 연구들을 살펴보았을

때 생태계서비스의 한계가치곡선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가치추정치의 단위가 원/면적인 경우에 대한 적용사례를 제시하기 어렵다. 이것은 과학적 상관관

계를 다루는 모듈과 경제적 영향을 분석하는 모듈 사이의 연결고리가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는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측면을 면밀히 검토하고, 절차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고 향후 관련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함으로써 연구

활성화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고자 한다. 가치확장의 세 번째 분류로서 개별생태계의

서비스들의 가치를 합산하는 적용절차와 적용사례를 산림 및 습지에 대한 DB 구축현황을 살펴본

결과, 특정한 기능에 연구사례가 집중되어 있고 대상지역의 다양한 기능에 대한 가치추정치가

제공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적용사례를 제시하기 위해서는 향후 관련 연구들이 더욱

활성화되고 연구사례들이 축적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DB의 정책적 활용방안으로 가치이전을 소개하고 국내 적용을 위한 원칙을

수립하였으며, 6단계로 구분된 적용절차와 단계별 점검목록을 검토하였다. 이후 가치이전 기법별

로 사례연구를 시도하였고 그 과정에서 기법별 세부 적용절차 및 적용사례를 제시하였다. 가치확장

의 적용사례 제시에서와 마찬가지로 혼란을 줄이고 사례 간의 비교·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준구 외(2000)의 연구를 연구대상지로 삼고 단위가치 조정이전 및 가치(수요) 함수이전을 시도

하였다. 이준구 외(2000)의 연구에서는 수도권 그린벨트 중 상대적으로 보존가치가 낮은 것으로

알려진 4등급지와 5등급지 (수도권 그린벨트 총면적의 15%에 해당함)를 보존하기 위한 서울시민

들의 지불의사액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책대상지로 대구권 그린벨트를 설정하고 단위가

치 조정이전 기법을 활용하여 이에 대한 대구권 주민들의 지불의사액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가치

(수요) 함수이전의 적용사례 또한 동일한 연구를 적용하되, 정책대상지에 관한 시나리오를 구성하

여 시나리오별 가치함수이전 결과를 제시하였다. 환경인식변수 중 하나의 변수를 조정한 시나리오

1, 사회경제적변수 중 하나의 변수인 소득을 조정한 시나리오 2, 두 가지 변수를 동시에 조정한

시나리오 3이 그것이다.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은 수질과 공원에 대해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질부문은 3차연도의

메타회귀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한강유역의 수질등급 1등급 개선(시나리오 1)과 비한강유역(낙동

강, 금강, 영산강)의 수질 3등급 개선(시나리오 2)을 통해 정책대상지를 구성하고 결과값을 도출하

였다. 공원부문은 40편의 선행연구가 EVIS로부터 선별되었고 이로부터 총 122개의 가치추정치를

추출하였다. 공원부문에 대한 추정에서는 독립변수로 연구 특성, 대상지 특성, 방법론적 특성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변수까지 포함한 모델을 추정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

다. 공원 부문은 정책대상지로 영남 알프스로 불리는 운문산 자연공원을 선정하여 비시장적 가치를

도출하였다.

이번 4차연도 연구는 환경가치 DB의 정책적 활용방안을 구체화하고자 기획되었다. 이에 구축

된 환경가치 DB에 대한 검증 및 추가업데이트를 기본으로 하여 진행된 연구 결과를 반영하고

DB 이용의 편이성 및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분류체계 수정을 시도하는 DB 구축사업 측면의

연구 이외에, DB의 정책적 활용에 초점을 두고 활용가능한 유형에 대한 분류를 시도하였으며

각각의 분류에 대한 적용절차 및 실제 적용사례를 제시하였다. 환경가치 추정 및 활용은 대상재화

에 따라 특수성이 존재하고 정책적 상황이나 수요에 따라서도 변수가 많은 분야이므로 일반화하기

가 매우 어려운 부분 중 하나이다. 이러한 측면을 충분히 고려하여 기본 절차 및 실제 활용사례에

대해 하나의 연구대상지를 중심으로 비교 가능하도록 제시했기에 본 연구 결과를 참고삼아 향후

연구자들이 더욱 완성도 높은 연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환경가치 DB, 가치확장, 가치이전

제1장 서 론 ······················································································································· 1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2

2. 연구의 내용과 범위 ···································································································· 4

제2장 환경가치 DB 구축현황 및 원단위(단위가치) 분석 ················································ 9

1. 환경가치 DB 분류체계 ······························································································ 10

가. 생활환경/자연환경 분류체계 ··············································································· 10

나. 추정기법 분류체계 ····························································································· 15

2. DB 자료구축 현황 ···································································································· 17

가. 생활환경/자연환경 DB 구축현황 ········································································ 17

나. 추정기법 DB 구축현황 ······················································································· 23

다. 연도별 DB 구축현황 ·························································································· 24

라. 주요 생태계의 기능별・추정기법별 DB 구축현황 ················································ 25

3. 부문별 단위가치 추정치 요약 및 비교분석 ······························································· 39

제3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확장 절차 및 적용사례 ··········································· 51

1. 가치확장 개념 및 분류 ····························································································· 52

2. 가치추정치 단위가 원/가구인 경우 ··········································································· 53

가. 모집단 내 가치확장 절차 및 적용사례 ······························································· 53

나. 모집단 외 가치확장 절차 및 적용사례 ······························································· 58

3. 가치추정치 단위가 원/면적인 경우 ··········································································· 66

4. 개별 생태계서비스 가치의 합산절차 ········································································· 70

제4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이전 절차 및 적용사례 ········································· 75

1. 가치이전 기법 개요 및 절차 ····················································································· 76

차 례

2. 단위가치 조정이전 적용사례 ····················································································· 81

3. 가치(수요) 함수이전 적용사례 ················································································· 84

가. 시나리오 1 : 환경인식 변수 조정 ······································································ 86

나. 시나리오 2 : 소득 변수 조정 ············································································· 89

다. 시나리오 3 : 환경인식 및 소득 변수 조정 ························································ 90

4.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 적용사례 ············································································· 93

가. 모형설정 ············································································································ 95

나. 수질 부문 적용사례 ··························································································· 97

다. 공원 부문 적용사례 ·························································································· 106

제5장 결론 및 향후과제 ······························································································· 113

1. 요약 및 시사점 ····································································································· 114

2. 향후과제 ·················································································································· 119

참고문헌 ························································································································ 125

Abstract ······················································································································· 129

표 1-1. 연차별 주요 연구내용 ··························································································4

표 2-1. 생활환경/자연환경 분류체계 ················································································11

표 2-2. 추정기법 분류체계 ·····························································································16

표 2-3. 생활환경과 자연환경의 선행연구 구축현황 ···························································17

표 2-4. 기타 선행연구 현황 ··························································································22

표 2-5. 추정기법 선행연구 구축현황 ···············································································23

표 2-6. 개별생태계의 서비스별 연구분포 ·········································································26

표 2-7. 개별생태계의 추정기법별 연구분포 ······································································27

표 2-8. 해양의 생태계서비스별・추정기법별 연구분포 ························································28

표 2-9. 해안의 생태계서비스별・추정기법별 연구분포 ························································29

표 2-10. 도서의 생태계서비스별・추정기법별 연구분포 ······················································30

표 2-11. 습지의 생태계서비스별・추정기법별 연구분포 ······················································31

표 2-12. 강/하천의 생태계서비스별・추정기법별 연구분포 ··················································32

표 2-13. 호수의 생태계서비스별・추정기법별 연구분포 ······················································33

표 2-14. 경작지의 생태계서비스별・추정기법별 연구분포 ···················································34

표 2-15. 산림의 생태계서비스별・추정기법별 연구분포 ······················································35

표 2-16. 도시생태계의 생태계서비스별・추정기법별 연구분포 ·············································36

표 2-17. 보호지역/자연공원의 생태계서비스별・추정기법별 연구분포 ···································37

표 2-18. 기타의 생태계서비스별・추정기법별 연구분포 ······················································38

표 2-19. 대기질 가치추정치의 원단위 비교(오염물질 기준) ···············································39

표 2-20. 대기질 가치추정치의 원단위 비교(추정기법 기준) ···············································41

표 2-21. 수질 가치추정치의 원단위 비교(수질개선정도 기준) ··········································42

표 2-22. 습지 가치추정치의 원단위 비교(생태계서비스) ····················································44

표 2-23. 강/하천 가치추정치의 원단위 비교(생태계서비스) ················································45

표 차 례

표 2-24. 자연공원 가치추정치의 원단위 비교(생태계서비스) ··············································46

표 2-25. 산림 가치추정치의 원단위 비교(생태계서비스) ····················································47

표 2-26. 도시생태계 가치추정치의 원단위 비교(생태계서비스) ···········································48

표 2-27. 휴양/생태관광 가치추정치의 원단위 비교 ···························································49

표 3-1. 가치확장 개념 구분도 ························································································52

표 3-2. 모집단 내 가치확장 절차 및 점검목록 ·································································54

표 3-3. 모집단 내 가치확장 결과 ····················································································58

표 3-4. 모집단 외 가치확장 절차 및 점검목록 ·································································59

표 3-5. 지역별 일인당 개인소득 수준 ············································································61

표 3-6. 지역별 가구당 소득 수준 ··················································································62

표 3-7. 수도권 그린벨트 보존의 경제적 가치(서울시) ·······················································64

표 3-8. 소득보정 후 수도권 그린벨트 보존에 대한 WTP 확장결과(서울 및 경기도) ············65

표 3-9. 서울 및 경기도 주민들의 수도권 지역 그린벨트 보존의 경제적 가치 ····················65

표 3-10. 가치추정치 단위가 원/면적인 경우의 절차 및 점검목록 ·······································67

표 3-11. 산림의 기능 ·····································································································70

표 3-12. 습지의 기능 ·····································································································71

표 3-13. 개별 생태계서비스 가치의 합산 절차 및 점검목록 ··············································72

표 4-1. 가치이전 개념 구분도 ························································································77

표 4-2. 가치이전의 절차 및 점검목록 ·············································································78

표 4-3. 단위가치 조정이전 적용 결과 ·············································································83

표 4-4. 이준구 외(2000) 연구의 변수와 기초통계량 ··························································87

표 4-5. 가치함수 이전 적용결과 (시나리오 1) ······························································89

표 4-6. 가치함수 이전 적용결과 (시나리오 2) ································································90

표 4-7. 가치함수 이전 적용결과 (시나리오 3) ······························································91

표 4-8. 가치함수 이전 적용결과 (종합) ·········································································92

표 4-9.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을 위한 정책대상지 ···························································98

표 4-10. 수질 부문 메타회귀분석을 위해 구축된 변수목록 및 내용 ···································99

표 4-11. 메타회귀분석을 위한 수질 부문 변수의 기초통계량 ···········································101

표 4-12. 수질 부문 메타회귀분석 추정결과 ··································································103

표 4-13.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을 위한 변수값 조정 ······················································105

표 4-14.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 적용 결과 ····································································105

표 4-15. 공원 부문 메타회귀분석을 위해 구축된 변수목록 및 내용 ··································107

표 4-16. 메타회귀분석을 위한 공원 부문 변수의 기초통계량 ···········································109

표 4-17. 공원 부문 메타회귀분석 추정결과 ··································································110

표 4-18.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을 위한 변수값 조정 ······················································111

표 4-19.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 적용 결과 ····································································112

그림 1-1. 연구추진 체계도 ······························································································ 7

그림 2-1. 생활환경 자료구축 현황 ················································································· 20

그림 2-2. 자연환경(생태계서비스) 자료구축 현황(중분류) ················································· 20

그림 2-3. 자연환경(생태계서비스) 자료구축 현황(소분류) ················································· 21

그림 2-4. 자연환경(개별생태계) 자료구축 현황 ································································ 21

그림 2-5. 추정기법 선행연구 구축현황 ··········································································· 24

그림 2-6. 연도별 선행연구 구축현황 ·············································································· 25

그림 3-1. 총 WTP가 같지만 서로 다른 MWTP 곡선들 ···················································· 55

그림 3-2. 모집단으로의 확장 과정 ················································································· 56

그림 3-3. 모집단 내 가치확장 적용사례 ·········································································· 57

그림 3-4. 모집단 외 가치확장 적용사례 ·········································································· 63

그림 3-5. 생태계서비스의 한계가치곡선 ·········································································· 68

그림 3-6. 산림에 대한 DB 구축현황 ·············································································· 72

그림 3-7. 습지에 대한 DB 구축현황 ·············································································· 73

그림 4-1. 가치이전 기법의 유형 ·····················································································76

그림 4-2. 단위가치 조정이전 적용사례 ············································································82

그림 4-3. 가치함수 이전 적용사례 ··················································································85

그림 4-4.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 적용사례 ······································································94

그림 5-1. 환경가치 DB 2단계 연구사업 설계 ·································································120

그림 5-2. 경로분석에 근거한 건강편익 추정절차 (예시) ··················································123

그림 5-3. 경로분석에 근거한 생태계편익 추정절차 (예시) ···············································123

그 림 차 례

제1장

서 론

2•••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국내에서 환경자원을 포함한 비시장재화에 대한 가치추정 관련연구는 1990년대 이후 본격적으

로 시작되었다. 1990년대 초반에는 주로 대기질, 수질, 생태계 등에 대한 가치추정 연구가 수행되

었으며,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조건부가치측정법이 다양한 환경재화에 광범위하게 적용되면

서 가치추정 연구가 확대되었다. 그러나 국내에서 수행된 연구들은 특정 사례를 대상으로 학문적인

측면에서 접근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며, 가치추정 결과가 관련정책과 연계되어 정책에 반영되었거

나 정책평가에 활용된 사례는 제한적이다.

특히 환경정책에 대한 사전평가를 통한 타당성 검토와 사후평가를 통한 성과진단을 위해서는

단순 시장경제성 분석에서 벗어나 환경편익과 비용을 동시에 고려하는 확장된 경제성 분석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정책평가에서 이러한 통합적인 접근은 미흡한 상황이다. 그동안 환경정책의

확장된 경제성 평가가 미진했던 주요 원인 중의 하나로는 정책으로 인한 편익과 비용항목의 확인이

어렵고, 각 항목에 대한 신뢰성 있는 원단위, 즉 편익/비용의 단위가치에 대한 자료가 구축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외국의 경우 환경가치 정보를 체계화하여 DB를 구축하고 정책결정자 및 연구자에게 환경가치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한편, 신뢰성 있는 환경가치 추정치를 제공함으로써 정책평가 및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있다(예: EVRI, Envalue, RED 등). 국내에서도 김광임 외(2004), 안소은

외(2006), 안소은 외(2007), 이진권 외(2007) 등의 환경가치 종합·분석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특정

대상이나 방법론에 제한되어 있으며 체계적인 환경가치의 DB 구축으로까지는 연계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 아래 본 연구는 정부부처 및 민간기업의 의사결정자를 비롯하여 학계, 환경컨설팅,

환경 NGO 등에게 환경 질(environmental quality) 변화에 따른 환경가치 추정치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비용편익 분석, 환경영향 평가, 사업타당성 평가를 포함한 다양한 정책분석

지원을 일차적인 목표로 기획되었다. 또한 정책분석에 필수적인 환경가치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기초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환경문제의 효과적 해결과 경제적 효율성 제고를 궁극적 목적

3제1장 서 론 •

••

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환경가치 선행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고 환경자원/서비스

분류체계별 단위가치(원단위) 추정치를 DB화 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하여 총 3년(2009년∼2011

년) 동안 진행된 바 있으며 2013년에 단위가치 추정치와 가치이전 기법을 연계하는 사례연구를

통하여 구축된 환경가치 DB의 정책적 활용방안을 구체화하고, 2단계 연구사업과의 연계방안

설계를 목적으로 4차연도 연구가 추진되었다. 4차연도(2013) 연구의 세부 목표는 다음과 같다.1)

○ 국내 환경자원/서비스의 분류체계 재검토 및 개선

○ 추정기법 분류체계 재검토 및 개선

○ 입력데이터의 검증 및 업데이트

○ 단위가치의 확장 및 이전 방법론 검토 및 개발

○ 단위가치의 확장 및 이전 사례연구

○ 2단계 연구사업 설계

1) 보고서 전체를 통해 ‘원단위’ 와 ‘단위가치’ 가 동일한 의미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음을 밝혀두며, 용어의 보다 적절한

사용을 위하여 ‘편익이전’은 ‘가치이전’으로 대체하여 사용함을 밝혀둔다.

4•••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DB 구축사업 선행연구 분석

1차연도

(2009)

- 환경자원 및 가치의 분류체계 검토

- 해외 DB 구축사례 및 운영현황 분석

- DB 설계를 위한 환경가치 분류체계 완성

- 환경가치 DB 설계 및 자료구축

2차연도

(2010)

- 환경가치 분류체계(수정보완)

- 환경가치 DB 자료구축(계속)

- DB 시범운영

- 환경가치 DB 안정화 및 기능보완

- 관리자/사용자 모드의 표준화를 위한 지침서

작성

- 매체별/생태계별 선행연구 진행정도 분석

(예비분석)

- 원단위(단위가치) 산정 및 추정(예비분석)

2. 연구의 내용과 범위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개별 가치추정 연구가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여 정책평가에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기존의 단순 시장경제성 분석에서 나아가 환경적으로 민감한 정부정책이

나 대규모 개발 사업의 경우에 주로 요구되는 확장된 경제성 분석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국내 환경자원의 가치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DB를 구축한 바 있다. 기존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진 이번 4차연도 연구에서는 가치추정 DB를 기반으로 정책적 활용방안을

구체화한다는 측면에서 환경자산/서비스 부문별 단위가치 추정치와 가치이전 기법을 연계하고

구체적인 사례연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표 1-1>은 본 연구의 연차별 연구내용을 DB 구축사업과

선행연구 분석으로 구분하여 정리하고 있다.

❚ 표 1-1. 연차별 주요 연구내용

5제1장 서 론 •

••

❚ 표 1-1. 연차별 주요 연구내용 (계속)

DB 구축사업 선행연구 분석

3차연도

(2011)

- 환경가치 DB 자료구축(계속)

- DB 대외오픈 운영시작

‧ 사용자/전문가 의견수렴

- 환경가치 DB 안정화 및 기능보완(계속)

‧ 검색모듈 및 입력모듈 개선

‧ 주메뉴창/게시판 개선

- DB 관리자/사용자 지침서 보완

- 매체별/생태계별 선행연구 현황분석

(계속)

- 원단위(단위가치) 산정 및 추정(계속)

- DB의 정책적 활용방안 제시

4차연도

(2013)

- 환경자산/서비스 분류체계 재검토 및 개선

- 추정기법 분류체계 재검토 및 개선

- 입력데이터의 검증 및 추가 업데이트

- 단위가치의 확장 및 이전을 위한 적정절차 검토

및 개발

‧ 유형 분류

‧ 유형별 적정절차 및 점검목록 제시

- 단위가치의 확장 및 이전 사례연구

‧ DB에 정리된 단위가치 추정치를 기반으로

가치확장 및 이전이 가능한 사례연구 선정

‧ 적절한 기법을 선별적으로 적용하여 사례연구

진행

- 2단계 연구사업 설계

‧ 환경경제통합분석 시스템 설계

‧ 사례연구 설계

DB 구축사업 측면을 살펴보면, 1차연도(2009)의 주요 목표는 해외 DB 구축사례를 조사하고

환경자원/서비스의 분류체계에 대한 문헌을 검토하여 국내 현황에 적합한 분류체계를 마련하는

것과 제시된 분류체계를 토대로 웹 기반 환경가치 DB를 설계하는 것이었다. 2차연도(2010)에는

DB의 시범운영을 통하여 DB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기능을 지속적으로 보완하는 한편 DB 관리자

와 사용자 설명서를 작성하여 DB의 효율적 운영기반을 마련하였다. 3차연도(2011)는 시범운영의

결과 도출된 문제점 분석 및 사용자 의견수렴을 기반으로 DB를 개선하고 국내 가치추정 선행연구

분석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또한 관리자 지침서를 보완하여 관리자 변경 시에도 일관성

있는 DB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였고, 사용자 설명서 역시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DB 게시판을

6•••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통해 업데이트하여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였다. 4차연도(2013)에는 기존 데이터에 대한 검증 및

추가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고 분류체계 전반에 대한 재검토 및 개선, 단위가치 추정치 기술통계에

대한 업데이트가 수행된다.

한편 선행연구 분석은 DB의 전 분류체계를 대상으로 선행연구 수집 및 정리를 일차적으로

완료한 후 현황분석부터 시작하였다. 먼저 매체별, 개별 생태계별 선행연구 빈도수를 집계하여

상대적으로 선행연구가 진행된 부문과 그렇지 못한 부문을 구분하고, 상대적으로 선행연구가

축적된 분야에 대해서는 사용된 원단위를 기술통계 위주로 정리하여 정책분석과 연계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DB 구축정도를 고려하여 가능한 부문에 대해서는

메타회귀분석을 적용하고 정책분석 및 사례분석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차연도는 일차적

으로 수집된 선행연구를 대상으로 현황분석 및 메타회귀분석을 통해 예비결과를 도출했고, 3차연

도는 추가적인 선행연구 수집과 예비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재분석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4차연도

에는 DB를 활용한 가치확장 및 가치이전 절차를 제시하고 활용사례를 보여주며 2단계 연구사업과

의 연계방안을 모색한다.

7제1장 서 론 •

••

4차연도 연구 추진의 체계도는 <그림 1-1>과 같다.

❚그림 1-1 연구추진 체계도

환경가치 DB의 유지 및 개선을 토대로 정책적 활용방안을 구체화하여 제시하기 위해서 부문별

단위가치 추정치에 가치확장 기법 및 가치이전 기법을 적용한다. 활용가능한 방법론에 대해 검토

및 정리하고 적용과정에 필요한 적정절차를 개발하며 선정된 연구대상지에 대해 사례연구를 진행

한다. 또한 환경가치 DB의 2단계 발전방향에 대한 설계를 제시하여 향후 나아갈 방향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제2장

환경가치 DB 구축현황 및

원단위(단위가치) 분석

10•••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1. 환경가치 DB 분류체계

본 연구에서는 해외 환경가치 DB 분류체계에 대한 문헌검토와 2009년부터 현재까지 환경가치

종합정보시스템(EVIS)에 업데이트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국내 현황에 적합한 분류체계를 마련하

였다. 특히 정책분석 지원이라는 DB의 목적을 염두에 두고 생활환경과 자연환경, 추정기법으로

나누어 분야별로 원하는 검색이 가능하도록 분류체계를 설계하였다.

가. 생활환경/자연환경 분류체계

먼저 환경가치 분야를 생활환경 분야와 자연환경 분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표 2-1 참조).

생활환경 분야는 환경영향평가의 검토항목과 연계를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대분류는 매체별로

대기, 물, 토지/토양/지질, 소음/진동, 폐기물로 구분하고 관련 환경영향에 해당하는 항목을 중분류

로 배치하였다. 건강/보건 항목은 매체별로 포함하였으며, 중분류 범주에 기타 항목을 두어 현

분류체계에서 수용하기 어려운 연구를 포함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자연환경 분야는 TEEB에서

발간한 The Economic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에서 제시한 생태계의 서비스에 기반

한 분류법과 새천년생태계평가(Millenium Ecosystem Assessment: MEA) 에서 제시한 개별

생태계 및 자연지역을 고려한 분류법을 병행하여 활용하기로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분류체계를 새롭게 설계한 부분은 자연환경 분야이다. 우선 3차연도의 생태계

기능/서비스/편익을 생태계서비스로 수정하였다. 여기에 TEEB 보고서에 제시하고 있는 4가지의

생태계서비스(공급서비스, 조절서비스, 지지서비스, 문화서비스)를 중분류로 새롭게 추가 설계하

였다. 공급서비스는 생태계로부터 얻을 수 있는 생산물(재화)로서 음식, 연료, 유전자원 등이

있다. 조절서비스는 생태계과정의 조절기능으로 대기정화, 기후조절/탄소흡수, 수량조절/물공급,

수질정화, 재해방지를 소분류로 설계했다. 지지서비스는 다른 생태계서비스 생산을 위해 기반이

되는 서비스로 토양침식 방지, 서식처제공, 생물다양성을 소분류로 설계했다. 마지막으로 문화서

비스는 생태계로부터 얻는 비물질적인 편익으로 휴양/생태관광, 경관미, 문화예술/교육으로 설계

11제2장 환경가치 DB 구축현황 및 원단위(단위가치) 분석 •

••

메인 카테고리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생활환경

대기

(air)

대기질 (air quality)

가시거리 (visibility)

농업 영향

(agricultural impact)

제조업 영향

(manufacturing impact)

악취 (odor)

생태계 영향

(ecological impact)

건강/보건 (health impact)

기타 (others)

(water)

수질 (water quality)

농업영향

(agricultural impact)

악취/탁도 (odor)

상하수도

(water supply system/sewerage

system)

하였다. 그리고 3차연도의 개별생태계/자연지역은 개별생태계로 수정하였다. 또한 중분류의 강/

하천/호수는 환경적, 지리적인 특성을 고려해 호수를 독립적으로 분류하였고, 도시는 도시생태계

로 수정하였다. 축적된 EVIS의 선행연구를 검토해본 결과 분리되어 있던 보호지역과 자연공원은

선행연구가 서로 중복되어 보호지역/자연공원으로 하나로 통합하였다.

❚ 표 2-1. 생활환경/자연환경 분류체계

12•••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 표 2-1. 생활환경/자연환경 분류체계 (계속)

메인 카테고리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생활환경

(계속)

(water)

(계속)

수상레저/휴양

(recreation)

생태적 영향

(ecological impact)

건강/보건 (health impact)

기타 (others)

토지/토양/지질

(land/soil)

토양오염

(soil contamination)

토양침식 (soil erosion)

생태적 영향

(ecological impact)

건강/보건 (health impact)

기타 (others)

소음/진동

(noise)

생활소음 (living)

도로/교통/건설소음

(road/transport/construction)

비행소음 (aircraft)

축산농가 피해

(impact on livestock farms)

생태적 영향

(ecological impact)

건강/보건 (health impact)

기타 (others)

13제2장 환경가치 DB 구축현황 및 원단위(단위가치) 분석 •

••

❚ 표 2-1. 생활환경/자연환경 분류체계 (계속)

메인 카테고리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생활환경

(계속)

폐기물

(waste)

매립장 (landfill)

소각장 (incinerator)

재활용 (recycling)

유해폐기물처리장

(hazardous waste

treatment)

방사능 (radiation)

생태적 영향

(ecological impact)

건강/보건 (health impact)

기타 (others)

자연환경생태계서비스

(ecological

service)

공급서비스

(provisioning services)

조절서비스

(regulating services)

대기정화

(gas purification)

기후조절/탄소흡수

(climate regulation/

greenhouse gas

regulation)

수량조절/물 공급

(water

regulation/supply)

14•••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표 2-1. 생활환경/자연환경 분류체계 (계속)

메인 카테고리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자연환경

(계속)

생태계서비스

(ecological

service)

(계속)

조절서비스

(regulating services)

수질정화

(water

purification/waste

treatment/clean

water)

재해방지

(disturbance

protection(storm

protection; flood

control etc))

지지서비스

(supporting services)

토양침식방지

(soil

formation/retention/e

rosion control)

서식처제공

(habitat/nursery)

생물다양성

biodiversity

문화서비스

(cultural/amenity services)

휴양/생태관광

(recreation/eco-touri

sm)

경관미

(aesthetic)

문화예술/교육

(cultural/education)

기타 (others)

개별생태계

(ecosystem)

해양 (marine)

해안 (coastal)

도서 (island)

습지 (wetland)

15제2장 환경가치 DB 구축현황 및 원단위(단위가치) 분석 •

••

❚표 2-1. 생활환경/자연환경 분류체계 (계속)

메인 카테고리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자연환경

(계속)

개별생태계

(ecosystem)

(계속)

강/하천 (river)

호수 (lake)

경작지 (cultivated)

산림 (forest/mountain)

도시생태계

(urban ecosystem)

보호지역/자연공원

(protected area/natural

park)

기타 (others)

기타 선행연구1)

1) 선행연구 수집 및 정리과정에서 현 분류체계에 수용하기 어려운 선행연구의 관리를 위해 메인 카테고리에 기타를 추가함; 향후 기타범주에 연구들이 축적되면 그룹화하여 분류체계에 추가할 예정임

나. 추정기법 분류체계

환경가치 추정기법은 해외 환경가치 DB와 축적된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하여 분류체계를

새롭게 설계하였다. 이전의 개별 추정기법에 중점을 두어 설계했던 것을 크게 선호체계 접근법과

물리적 접근법으로 양분하여 구분하였다. 선호체계 접근법에는 시장가격법과 현시선호법, 진술선

호법, 편익이전을 중분류로 설계하였다. 그리고 현시선호법에는 여행비용법, 헤도닉가격법, 회피

행동비용법을 소분류로 설계하고, 진술선호법에는 조건부가치측정법, 선택실험법으로 설계했다.

선택실험법은 이전의 컨조인트분석법(조건부선택결정법, 조건부 순위결정법, 조건부 등급결정법)

을 하나의 추정기법으로 수정한 것이다. 물리적 접근법에는 이전에 있던 대체비용법과 새롭게

추가된 복원비용법, 피해비용접근법, 에머지분석법으로 설계하였다. 또한 기타 선행연구 카테고리

를 추가하여 현 분류체계에 담기 어려운 연구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하였다.2)

2) 환경가치의 개념, 추정기법, 정책적 연계성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1차연도 보고서 안소은 외(2009)를 참고하기 바란다.

16•••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표 2-2. 추정기법 분류체계

메인 카테고리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추정기법

선호체계 접근법

(preference method)

시장가격법

(market price method)

현시선호법

(revealed preference

method)

여행비용법

(travel cost method)

헤도닉가격법

(hedonic price

method)

회피행동비용법

(averting

behavior/cost

method)

진술선호법

(stated preference

method)

조건부가치측정법

(contingent

valuation method)

선택실험법

(choice experiment)

편익이전

(benefit transfer)

물리적 접근법

(physical method)

대체비용법

(replacement cost

method)

복원비용법

(restoration cost

method)

피해비용접근법

(damage cost method)

에머지분석법

(emergy analysis

method)

기타 (others)

17제2장 환경가치 DB 구축현황 및 원단위(단위가치) 분석 •

••

2. DB 자료구축 현황

선행연구 수집은 우선 국내 학술지, 학술논문, 보고서 위주로 진행하였으며, 전 분류체계를

대상으로 일차적인 정리를 완료한 상태이다. 2013년 10월 31일 현재 351개의 선행연구가 요약·

정리되어 수록되어 있다(표 2-3 참조).

가. 생활환경/자연환경 DB 구축현황

❚표 2-3. 생활환경과 자연환경의 선행연구 구축현황

메인 카테고리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연구의 수

생활환경

대기

대기질 28

가시거리 4

농업 영향 1

제조업 영향

악취 1

생태계 영향

건강/보건 20

기타 1

수질 33

농업 영향

악취/탁도 4

상하수도 9

수상레저/휴양 2

생태계 영향 1

건강/보건 1

기타 1

토지/토양/

지질

토양오염 1

토양침식

생태계 영향

건강/보건

기타 4

18•••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표 2-3. 생활환경과 자연환경의 선행연구 구축현황 (계속)

메인 카테고리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연구의 수

생활환경

(계속)

소음/진동

생활소음 3

도로/교통/

건설소음1

비행소음 2

축산농가 피해

생태계 영향

건강/보건

기타

폐기물

매립장 2

소각장 1

재활용 1

유해폐기물

처리장1

방사능 1

생태계 영향

건강/보건

기타

자연환경 생태계서비스

공급서비스 9

조절서비스

대기정화 6

기후조절/

탄소흡수7

수량조절/

물 공급9

수질정화 20

재해방지 14

지지서비스

토양침식방지 3

서식처제공 13

생물다양성 18

문화서비스

휴양/생태관광 92

경관미 28

문화예술/교육 24

기타 6

19제2장 환경가치 DB 구축현황 및 원단위(단위가치) 분석 •

••

❚표 2-3. 생활환경과 자연환경의 선행연구 구축현황 (계속)

메인 카테고리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연구의 수

자연환경

(계속)개별생태계

해양 8

해안 17

도서 4

습지 37

강/하천 32

호수 7

경작지 8

산림 53

도시생태계 42

보호지역/

자연공원33

기타 13

기타 선행연구1)

119

주: 동일한 연구가 여러 카테고리에 중복하여 분류될 수 있으므로 총 연구 수는 351개보다 많음

1) 현 대분류체계에 수용하기 어려운 연구의 별도관리를 위함; 환경복원사업, 환경산업, 친환경제품, 지역축제 등이 포함되어 있음

수록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현황분석(2013년 10월 31일 기준)을 실시하였다. 먼저 분류체계별

로 살펴보면 생활환경 분야에서는 대기와 물에 대한 연구가 각각 55개, 51개로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연구가 축적되어 있으며, 토지/토양/지질, 소음/진동, 폐기물 분야는 선행연

구 수가 6개 이하로 매우 빈약하다. 이는 과거 환경정책의 우선순위가 대기와 물에 치우쳐져

왔음을 보여주는 결과이기도 하다.

개별생태계 분류 내에서는 산림, 도시생태계, 습지, 보호지역/자연공원, 강/하천 순으로 각각

53개, 42개, 37개, 33개, 32개의 선행연구가 정리되어 있으며, 해양, 해안, 도서, 경작지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선행연구가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계서비스 측면에서는 문화서

비스의 휴양/생태관광이 74개의 선행연구로 압도적으로 많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으며 경관미,

수질정화, 문화예술/교육 기능에 대한 연구가 뒤를 잇고 있다.

20•••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그림 2-1. 생활환경 자료구축 현황

❚그림 2-2. 자연환경(생태계서비스) 자료구축 현황(중분류)

21제2장 환경가치 DB 구축현황 및 원단위(단위가치) 분석 •

••

❚그림 2-3. 자연환경(생태계서비스) 자료구축 현황(소분류)

❚그림 2-4. 자연환경(개별생태계) 자료구축 현황

22•••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선행연구 요약과정에서 현 분류체계에 수용할 수 없는 연구들이 다수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

데, 이는 조건부가치측정법이 환경재화/서비스 이외에도 다양한 대상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적용되

어 온 결과라고 보여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들을 대분류 아래 ‘기타 선행연구’ 카테고리를

추가하여 일괄적으로 정리하였다. 현재 기타 범주에는 환경복원 사업, 친환경 상품, 지역축제,

건축물 등을 포함한 119개의 선행연구가 포함되어 있는데, 향후 더 많은 선행연구를 축적한 후

분류체계의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표 2-4 참조).

❚ 표 2-4. 기타 선행연구 현황

구분 적용 사례(예시) 연구의 수

거주지(residence) 아파트, 한옥 거주지 4

건축물(construction) 댐 4

문화유산/역사적 유적

(cultural/historical)화엄사, 창덕궁 15

농·수·임산물 생산

(agricultural·fisheries·forestry

production)

수산물 생산(시장재화) 15

도시공원(urban park) 광화문 광장, 용산공원 17

축제(festival) 주왕산 국립공원 수달래 축제 7

공익기능(public function)사회문화적, 환경보전, 식량안보

의료서비스 등5

환경사업(environmental project) 청계천, 안양천 복원사업 11

환경산업(environmental industry) 친환경농업 3

환경시설(environmental facility) 환경오염 저감화 시설 6

환경정책(environmental policy) 재활용 정책 4

환경제품1)(environmental product) 무농약 브랜드 쌀 17

기타(others) 온실가스, 관광지의 음식 등 11

합계 119

1)‘환경제품’카테고리는 친환경 인증상품을 포괄하고 있으며 환경산업에 포함 가능함

23제2장 환경가치 DB 구축현황 및 원단위(단위가치) 분석 •

••

나. 추정기법 DB 구축현황

선행연구에 사용된 추정기법 측면에서 보면, 전체 선행연구 중 72%가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사용하였고, 8%를 차지하고 있는 선택실험법까지 고려하면 진술선호법이 절대적인 다수를 차지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대체비용법 5%, 여행비용법 4%, 시장가격법 3%가 뒤를

잇고 있다(표 2-5, 그림 2-4 참조).

❚표 2-5. 추정기법 선행연구 구축현황

메인 카테고리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연구의 수

추정기법

선호체계 접근법

시장가격법 10

현시선호법

여행비용법 15

헤도닉가격법 9

회피행동비용법 1

진술선호법조건부가치측정법 272

선택실험법 32

편익이전 5

물리적 접근법

대체비용법 19

복원비용법

피해비용접근법 5

에머지분석법 2

기타 8

주: 동일한 연구가 여러 카테고리에 중복하여 분류될 수 있으므로 총 연구 수는 351개보다 많음

기타범주에는 에머지가치평가법, 투입반응법 등이 포함되어 있음

24•••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그림 2-5. 추정기법 선행연구 구축현황

다. 연도별 DB 구축현황

연도별 선행연구의 구축현황을 살펴보면 국내에서 가치추정 연구는 1990년대 초반부터 시작되

어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본격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최근까지도 환경가치 추정연

구들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5제2장 환경가치 DB 구축현황 및 원단위(단위가치) 분석 •

••

❚그림 2-6. 연도별 선행연구 구축현황

라. 주요 생태계의 기능별・추정기법별 DB 구축현황

자연환경의 개별생태계 가치추정의 대상이 된 생태계서비스와 사용된 추정기법 간의 분포를

보면 다음과 같다(표 2-6, 표 2-7 참조). 상대적으로 많이 축적된 습지, 강/하천/호수, 산림, 도시생

태계, 보호지역/자연공원의 생태계서비스를 보면, 먼저 습지와 강/하천/호수의 경우는 수질정화,

서식처제공, 휴양/생태관광 등 다양한 기능을 대상으로 가치추정 연구가 진행된 반면 산림, 도시생

태계, 보호지역/자연공원의 경우는 대부분 휴양/생태관광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시생태계의 경우 도시공원을 포함하고 있고 보호지역/자연공원은 휴양을 목적으로 하므로 이와

같은 결과가 이해되는 측면이 있으나, 산림의 경우 산림이 제공하는 다양한 간접사용가치 예를

들면 수질 및 수량조절, 재해방지, 기후조절, 대기정화에 대한 가치추정 선행연구가 거의 이루어지

지 않은 것은 다소 의외의 결과이다. 추정기법의 경우는 조건부가치측정법과 여행비용법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각 개별 생태계별로 서비스와 추정기법을 연계하면 <표 2-8>∼<표 2-18>과

26•••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같다. 제시된 표의 빈 칸은 현재 DB 내 해당 선행연구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표 2-6. 개별생태계의 서비스별 연구분포

개별

생태계

생태계서비스

대기

정화

기후

조절

/

탄소

흡수

수량

조절

/

공급

수질

정화

재해

방지

토양

침식

방지

서식

처제

생물

다양

휴양

/

생태

관광

경관

문화

예술

/

교육

해양 1 1 3

해안 4 2 2 1 8 2 2

도서 1 1 2

습지 2 13 1 9 4 9 7 1

강/하천 1 6 2 3 1 8 3 2

호수 2 2

경작지 1 1 1 1 1 1

산림 1 2 1 33 2 4

도시

생태계1 18 9 4 1

보호지역

/

자연공원

24 1 3

기타 2 1 2 4 1 1

27제2장 환경가치 DB 구축현황 및 원단위(단위가치) 분석 •

••

❚표 2-7. 개별생태계의 추정기법별 연구분포

개별

생태계

추정기법

시장

가격

여행

비용

헤도

닉가

격법

회피

행동

비용

조건

부가

치측

정법

선택

실험

편익

이전

대체

비용

복원

비용

피해

비용

접근

에머

지분

석법

기타

해양 7

해안 3 2 11 1

도서 4

습지 10 2 16 4 3 12 1 2

강/하천 1 27 7 1

호수 6 1

경작지 5 1 3

산림 7 46 4 1 1

도시

생태계3 4 42 3 1

보호지역

/

자연공원

7 30 2 1

기타 1 10 2 1 2

28•••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표 2-8. 해양의 생태계서비스별 ․ 추정기법별 연구분포

개별

생태

생태계

서비스

추정기법

해양

대기정화

기후조절/

탄소흡수

수량조절/

물 공급

수질정화

재해방지 1

토양

침식방지

서식처제공

생물다양성 1

휴양/

생태관광3

경관미

문화예술/

교육

기타

29제2장 환경가치 DB 구축현황 및 원단위(단위가치) 분석 •

••

❚표 2-9. 해안의 생태계서비스별 ․ 추정기법별 연구분포

개별

생태

생태계

서비스

추정기법

해안

대기정화

기후조절/

탄소흡수

수량조절/

물 공급

수질정화

재해방지 4

토양

침식방지2

서식처제공 4

생물다양성 4

휴양/

생태관광3 7

경관미 2

문화예술/

교육1

기타

30•••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표 2-10. 도서의 생태계서비스별 ․ 추정기법별 연구분포

개별

생태

생태계

서비스

추정기법

도서

대기정화

기후조절/

탄소흡수

수량조절/

물 공급

수질정화 1

재해방지

토양

침식방지

서식처제공

생물다양성 1

휴양/

생태관광2

경관미

문화예술/

교육

기타

31제2장 환경가치 DB 구축현황 및 원단위(단위가치) 분석 •

••

❚표 2-11. 습지의 생태계서비스별 ․ 추정기법별 연구분포

개별

생태

생태계

서비스

추정기법

습지

대기정화 2

기후조절/

탄소흡수

수량조절/

물 공급

수질정화 2 1 1 9

재해방지 1

토양

침식방지

서식처제공 5 2 2 1

생물다양성 2 1 1

휴양/

생태관광2 5 1 2 1

경관미 1 1 1 2 1 1

문화예술/

교육1

기타

32•••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표 2-12. 강/하천의 생태계서비스별 ․ 추정기법별 연구분포

개별

생태

생태계

서비스

추정기법

강/

하천

대기정화

기후조절/

탄소흡수

수량조절/

물 공급1

수질정화 6 1

재해방지 1 1

토양

침식방지

서식처제공 2 1

생물다양성 1

휴양/

생태관광1 5 2 1

경관미 3 1

문화예술/

교육1 1

기타

33제2장 환경가치 DB 구축현황 및 원단위(단위가치) 분석 •

••

❚표 2-13. 호수의 생태계서비스별 ․ 추정기법별 연구분포

개별

생태

생태계

서비스

추정기법

호수

대기정화

기후조절/

탄소흡수

수량조절/

물 공급

수질정화

재해방지

토양

침식방지

서식처제공

생물다양성 1 1

휴양/

생태관광2

경관미

문화예술/

교육

기타

34•••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표 2-14. 경작지의 생태계서비스별 ․ 추정기법별 연구분포

개별

생태

생태계

서비스

추정기법

경작지

대기정화

기후조절/

탄소흡수1

수량조절/

물 공급

수질정화 1

재해방지 1 2

토양

침식방지1 1

서식처제공

생물다양성

휴양/

생태관광1 1

경관미 1

문화예술/

교육2 1

기타

35제2장 환경가치 DB 구축현황 및 원단위(단위가치) 분석 •

••

❚표 2-15. 산림의 생태계서비스별 ․ 추정기법별 연구분포

개별

생태

생태계

서비스

추정기법

산림

대기정화 1

기후조절/

탄소흡수

수량조절/

물 공급

수질정화

재해방지 2

토양

침식방지

서식처제공

생물다양성

휴양/

생태관광6 32 3 1

경관미 1 1 1

문화예술/

교육4

기타

36•••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표 2-16. 도시생태계의 생태계서비스별 ․ 추정기법별 연구분포

개별

생태

생태계

서비스

추정기법

도시

생태

대기정화

기후조절/

탄소흡수

수량조절/

물 공급

수질정화

재해방지

토양

침식방지

서식처제공 1

생물다양성

휴양/

생태관광2 1 17 1

경관미 3 6

문화예술/

교육1 4 1

기타 1

37제2장 환경가치 DB 구축현황 및 원단위(단위가치) 분석 •

••

❚표 2-17. 보호지역/자연공원의 생태계서비스별 ․ 추정기법별 연구분포

개별

생태

생태계

서비스

추정기법

보호

지역/

자연

공원

대기정화

기후조절/

탄소흡수

수량조절/

물 공급

수질정화

재해방지

토양

침식방지

서식처제공

생물다양성

휴양/

생태관광6 23 1

경관미 1

문화예술/

교육3

기타

38•••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표 2-18. 기타의 생태계서비스별 ․ 추정기법별 연구분포

개별

생태

생태계

서비스

추정기법

기타

대기정화

기후조절/

탄소흡수

수량조절/

물 공급2 2

수질정화

재해방지

토양

침식방지

서식처제공 1

생물다양성 1 1

휴양/

생태관광1 3

경관미

문화예술/

교육1

기타 1

39제2장 환경가치 DB 구축현황 및 원단위(단위가치) 분석 •

••

오염물질 연구 수 추정치수 원단위가치추정치 분포

최소 평균 중위 최대

벤젠 1 1 원/월/인 14,852

이산화황

(SO2)

1 6 원/월/인 1,621 1,915 1,889 2,169

2 2 원/월/가구 24,963 41,046 41,046 57,129

1 1원/월/30평형

(아파트 수명 25년)13,800

3. 부문별 단위가치 추정치 요약 및 비교분석

본 연구에서 새롭게 작성한 EVIS 분류체계를 기준으로 다른 부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선행연구

가 축적된 부문은 생활환경의 대기질, 수질, 그리고 자연환경의 습지, 강/하천, 도시생태계, 자연공

원, 산림 부분이다. 본 절에서는 열거된 부문에 한하여 사용된 원단위의 종류와 가치추정치의

분포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먼저 생활환경 부문 대기질의 경우 총 28편의 선행연구가 집계되었으며, 대기오염 물질(벤젠,

이산화황,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오존, 먼지(PM10, TSP), 질소산화물, 황산화물)별

로 연구를 분류하고 해당 원단위와 가치추정치 분포를 살펴보면 <표 2-19>와 같다. 사용된 원단위

는 만원, 억원 등의 원단위와 원/월/인, 원/년/가구와 같이 가구당 지불의사액에까지 단위선정이

다양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추정기법에 의한 분류별 원단위와 가치추정치를 살펴보면 추정기법별

로 사용하는 원단위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표 2-20 참조). 한편 수질의 경우는 대부분

수질등급의 개선/악화정도에 따른 지불의사액 추정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수질개선 정도에 따라

구분하여 정리하였다(표 2-21 참조). 수질개선 정도는 환경부의 하천수질 등급 기준(환경부, 2010)

에 근거하였으며, 보통(III)에서 약간 좋음(Ib) 또는 매우 좋음(Ia)으로 수질을 개선하는 연구가

다수를 차지한다. 수질의 경우 사용된 원단위가 하나의 연구를 제외하고 원단위가 원/월/가구로

일치된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표 2-19. 대기질 가치추정치의 원단위 비교(오염물질 기준)

40•••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 표 2-19. 대기질 가치추정치의 원단위 비교(오염물질 기준) (계속)

오염물질 연구 수 추정치수 원단위가치추정치 분포

최소 평균 중위 최대

1 1원/월/30평형

(아파트 수명30년)14,400

1 1 만원/가구 203

1 1 만원/년/가구 3.49

1 1 억원 82.4

1 3 십억원 6.71 19.05 16.83 33.61

이산화질소

(NO2)

1 6 원/월/인 1,621 1,915 1,889 2,169

1 1 원/월/가구 57,129

1 4 원/건 5,800 50,001 24,415145,37

4

1 1 만원/년/가구 21.57

1 1 억원 2.60

2 4 십억원 6.71 385.16 25.22 1,483.50

일산화탄소

(CO)

1 6 원/월/인 1,621 1,915 1,889 2,169

1 1 만원/년/가구 4.40

1 1 억원 1,835.10

1 3 십억원 6.71 19.05 16.83 33.61

이산화탄소

(CO2)1 6 원/월/인 1,621 1,915 1,889 2,169

오존

(O3)

2 5 원/월/가구 7,427 12,647 9,576 27,362

1 1

원/월/30평형

(아파트 수명

25년)

15,500

1 1

원/월/30평형

(아파트 수명

30년)

14,900

1 1 만원/년/가구 65.18

1 3 십억원 6.71 19.05 16.83 33.61

먼지 (PM10)

1 6 원/월/인 1,621 1,915 1,889 2,169

1 5 원/년/가구 854 1,984 1,800 3,491

1 1 만원/년/가구 0.55

1 1 억원 3.50

먼지

(TSP)1 3 원/월/인 2,833 22,266 8,942 55,023

질소산화물

(NOx)1 3 원/월/인 2,833 22,266 8,942 55,023

황산화물

(SOx)1 3 원/월/인 2,833 22,266 8,942 55,023

41제2장 환경가치 DB 구축현황 및 원단위(단위가치) 분석 •

••

❚표 2-20. 대기질 가치추정치의 원단위 비교(추정기법 기준)

추정기법 연구 수 추정치수 원단위가치추정치 분포

최소 평균 중위 최대

조건부

가치측정법

2 3 원/년/가구 5,315 216,636 315,336 329,256

3 8 원/년/인 10,700 43,166 16,328 233,370

1 2 원/6개월/가구 18,331 18,386 18,386 18,441

2 6 원/월/가구 19,494 38,362 31,860 69,808

4 11 원/월/인 1,621 8,661 2,132 55,023

선택실험법

1 5 만원/년/가구 0.55 19.04 4.40 65.18

1 3 원/년/가구 854 1,984 1,800 3,491

1 5 원/년/인 8,080 45,417 27,930 97,682

1 1 원/월/가구 55,139

1 3 원/인 72 146 146 220

1 3 원/1L 13.57 26.60 20.23 46.00

헤도닉

가격법

1 1 만원/가구 203

1 2 원/월/가구 24,963 26,163 26,163 27,362

1 2

원/월/30평형

(아파트 수명

25년)

14,400 14,950 14,950 15,500

1 2

원/월/30평형

(아파트 수명

30년)

13,800 14,350 14,350 14,900

피해비용

접근법

2 4 원/건 5,800 50,001 24,415 145,374

1 4 억원 2.60 480.90 42.95 1,835.10

2 4 십억원 6.71 385.16 25.221,483.5

0

회피행동/

비용법1 4 원/월/가구 7,427 8,969 8,764 10,920

42•••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 표 2-21. 수질 가치추정치의 원단위 비교(수질개선정도 기준)

수질개선정도 연구수 추정치수 원단위가치추정치 분포

최소 평균 중위 최대

Ⅰa로 유지 1 1 원/월/가구 1,512

Ⅰa에서Ⅰb로 악화 1 1 원/월/가구 -1,732

Ⅰa에서 Ⅴ로 악화 1 1 원/월/가구 -995

Ⅰb에서Ⅰa로 개선 3 3 원/월/가구 829 2,615 1,915 5,101

Ⅲ에서Ⅰa로 개선 15 30 원/월/가구 843 4,237 3,642 9,804

Ⅲ에서Ⅰa로 개선 1 1 원/월/인 7,292

Ⅲ에서Ⅰb로 개선 8 15 원/월/가구 867 3,514 3,009 6,875

Ⅲ으로 유지 1 1 원/월/가구 964

Ⅴ에서 Ⅲ로 개선 1 2 원/월/가구 7,625 8,112 8,112 8,599

Ⅴ에서Ⅰb로 개선 1 2 원/월/가구 5,150 5,481 5,481 5,811

Ⅵ에서 Ⅲ로 개선 1 1 원/월/가구 4,569

Ⅵ에서 Ⅴ로 개선1 1 원/월/가구 598

1 1 원/년/가구 107,700

등급 내용

매우 좋음 Ⅰa

용존산소가 풍부하고 오염물질이 없는 청정상태의 생태계로 여과·살균 등 간단한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가장 맑고 깨끗한 물로 냄새가 나지 않으며, 그냥 마실

수 있음

약간 좋음 Ⅰb

용존산소가 많은 편이고 오염물질이 거의 없는 청정상태에 근접한 생태계로 여과·침전·살

균 등 일반적인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맑고 냄새 나지 않는 물로,

그냥 마시지는 못하고 수영이나 목욕을 할 수 있음

좋음 Ⅱ용존산소가 많은 편이고 오염물질이 거의 없는 청정상태에 근접한 생태계로 여과·침전·살

균 등 일반적인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보통 Ⅲ

보통의 오염물질로 인하여 용존산소가 소모되는 일반 생태계로 여과, 침전, 활성탄 투입,

살균 등 고도의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로 이용하거나 일반적 정수처리 후 공업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약간 나쁨 Ⅳ상당량의 오염물질로 인하여 용존산소가 소모되는 생태계로 농업용수로 사용하거나, 여과,

침전, 활성탄 투입, 살균 등 고도의 정수처리 후 공업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나쁨 Ⅴ

다량의 오염물질로 인하여 용존산소가 소모되는 생태계로 산책 등 국민의 일상생활에

불쾌감을 유발하지 아니하며, 활성탄 투입, 역삼투압 공법 등 특수한 정수처리 후 공업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매우 나쁨 Ⅵ 용존산소가 거의 없는 오염된 물로 물고기가 살기 어려움

주: 하천수질환경기준은 Ia~Ⅵ등급의 총 7단계로 분류하고 있으며, 5개 항목(pH, BOD, 부유물질, 용존산소, 대장균수)에

기반하여 기준을 설정하여 활용하고 있음

자료:「환경정책기본법」별표 1, 제3호 참조(환경부, 2010.1.1)

43제2장 환경가치 DB 구축현황 및 원단위(단위가치) 분석 •

••

한편 자연환경 부문은 각 개별 생태계별로 생태계서비스를 기준으로 원단위를 정리하였다.

먼저 습지의 경우는 수질정화, 서식처제공, 휴양/생태관광 기능에 대한 연구가 많았으며, 사용된

원단위로는 원/단위면적, 원/가구, 에머지, 원/방문․인 등 다양한 것을 볼 수 있다(표 2-22 참조).

강/하천의 경우는 원/가구, 원/방문․인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 원단위이다(표 2-23 참조). 도시생

태계, 자연공원, 산림의 경우 모두 휴양/생태관광 기능을 대상으로 가치추정 연구가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사용된 원단위도 원/방문․인이 가장 많다. 그러나 동시에 원/가구를

원단위로 사용한 연구도 상당수에 이르는데, 휴양/생태관광 가치추정은 사용가치에 중점을 두면

원/방문․인이, 총가치에 중점을 두면 원/가구를 원단위로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표

2-24, 표 2-25, 표 2-26 참조).

생활환경과 자연환경의 개별생태계,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유형별 원단위들을 살펴본 결과 올바

른 원단위의 선택은 실제로 대상 환경재화의 특성 및 측정하고자 하는 가치유형 그리고 가치추정치

(지불의사액)의 정책적 활용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4•••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생태계

서비스연구 수 추정치수 원단위

가치추정치 분포

최소 평균 중위 최대

대기조절/

정화

1 1 천원/ha 302

1 1 천원/년/ha 34,000

수질정화

11 10kg/ha/일 5,130,898

1 20kg/ha/일 10,261,797

2 5 원/년/가구 385 830 708 1,592

10 13 천원/ha 275 6,673 5,007 23,267

재해방지 1 1 천원/ha 2,207

서식처제공

3 10 원/년/가구 473 1,150 943 2,559

5 8 천원/ha 341 3,256 2,495 6,215

1 3원/10년

동안1회/가구4,531 5,737 5,829 6,850

생물다양성

1 2 원/월/가구 1,862 7,389 7,389 12,915

1 1 Em 원/ha/yr 9,860,000

1 1 천원/년/ha 34,000

1 3원/10년

동안1회/가구4,531 5,737 5,829 6,850

휴양/

생태관광

3 6 원/년/가구 361 5,608 992 28,600

1 2 원/년/인 4,633 4,644 4,644 4,654

2 6 원/년/방문․인 29,607 53,320 55,361 68,942

2 2 천원/ha 400 367,353 367,353 734,306

1 5 원/방문․인 960 4,126 3,314 7,039

경관미

2 5 원/년/가구 361 802 701 1,282

3 5 천원/ha 395 655 395 1,954

1 1 Em 원/ha/yr 9,860,000

1 2 원/년/방문․인 33,524 55,793 55,793 78,062

문화예술/

교육1 1 원/년/가구 2,215

❚표 2-22. 습지 가치추정치의 원단위 비교(생태계서비스)

45제2장 환경가치 DB 구축현황 및 원단위(단위가치) 분석 •

••

생태계

서비스연구 수 추정치수 원단위

가치추정치 분포

최소 평균 중위 최대

수량조절/

물공급1 10 원/월/가구 244 3,884 3,045 10,082

수질정화2 6 원/년/가구 490 988 973 1,592

4 5 원/월/가구 843 3,481 2,648 7784

재해방지1 4 원/방문․인 14,900 19,775 19,700 24,800

1 8 원/월/가구 208 2,064 1,688 7,322

서식처제공 3 14 원/년/가구 473 1,028 887 2,559

생물다양성 1 2 원/월/가구 1,915 2,855 2,855 3,795

휴양/

생태관광

4 9 원/년/가구 361 15,494 4,494 36,854

1 1 원/월/가구 1,753

4 7 원/방문․인 6,660 17,443 9,759 48,295

경관미3 8 원/년/가구 361 2,154 1,489 5,201

1 2 원/월/가구 1,282 1,586 1,586 1,889

문화예술/교육1 1 원/년/가구 36,854

1 2 원/방문․인 9,759 12,861 12,861 15,963

❚표 2-23. 강/하천 가치추정치의 원단위 비교(생태계서비스)

46•••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생태계

서비스연구수 추정치수 원단위

가치추정치 분포

최소 평균 중위 최대

경관미 1 1 원/방문․인 9,479

문화예술/

교육

1 2 원/년/가구 10,840 13,491 13,491 16,142

1 1 원/년/인 22,469

1 2 원/인 17,838 167,043 167,043 316,248

휴양/

생태관광

2 8 원/년/방문․인 15,087 17,645 16,290 22,718

15 78 원/방문․인 128 14,068 8,946 83,941

1 1 원/1회/인 18,361

1 1 원/인 18,749

1 1 원/년/인 22,469

5 12 원/년/가구 4,175 10,489 9,398 28,747

❚표 2-24. 자연공원 가치추정치의 원단위 비교(생태계서비스)

47제2장 환경가치 DB 구축현황 및 원단위(단위가치) 분석 •

••

생태계

서비스연구 수 추정치수 원단위

가치추정치 분포

최소 평균 중위 최대

대기조절/

정화1 2 억원 31 196 196 361

재해방지1 1 원/년/ha 8,644 9,838 9,838 11,032

1 2 원/1회/인 4,532 5,774 5,774 7,016

생물다양성 1 1 원/월/가구 1,110 3,300 3,229 5,633

휴양/

생태관광

21 75 원/방문․인 152 14,489 9,156 292,417

1 2 원/년/방문․인 2,204억 2,328억 2,328억 2,452억

1 1 원/1회/인 18,361

3 7 원/년/인 18 10,759 202 22,469

9 22 원/년/가구 1,279 10,561 9,386 28,747

1 1 원/인 18,749

경관미1 62 원/년/가구 25,000 197,194 201,752 269,792

1 1 원/방문․인 9,479

문화예술/

교육

2 3 원/인 4,858 8,238 9,354 10,502

1 1 원/년/인 22,469

1 1 원/가구 1,515

1 2 원/년/가구 12,189 12,653 12,653 13,117

❚표 2-25. 산림 가치추정치의 원단위 비교(생태계서비스)

48•••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생태계

서비스연구 수 추정치수 원단위

가치추정치 분포

최소 평균 중위 최대

서식처제공 1 4 원/년/가구 10,049 10,394 10,394 10,741

휴양/

생태관광

4 5 원/월/가구 2,862 4,264 4,162 6,500

1 6 원/인 11,376 12,113 12,031 13,126

2 3 원/년/인 1.406 2,785 1,824 5,124

3 5 원/년/가구 750 8,804 1,640 36,854

1 2 만원/가구 1,265 2,425 2,425 3,584

1 5 백만원/년 282 11,166 2,535 29,544

5 10 원/방문․인 152 9,459 9,147 23,508

1 2 원/인 13,065 14,507 14,507 15,948

1 1 억원/년 341

경관미

1 1 만원/건/평 4,059

1 2 원/년/가구 750 6,236 6,236 11,721

1 2 원/년/인 1,824 3,474 3,474 5,124

2 6 만원/가구 1,180 5,242 3,716 11,574

1 2 만원/인 10,000 10,787 10,787 11,574

1 4 원/평 33,000 56,525 51,050 91,000

1 2 원/월/가구 1,282 1,586 1,586 1,889

1 2 만원/3.3m2 29,381 41,191 41,191 53,001

문화예술/

교육

1 3 원/인 11,732 12,414 12,384 13,126

2 10 원/방문․인 854 3,048 1,723 11,039

1 1 원/년/가구 36,854

❚표 2-26. 도시생태계 가치추정치의 원단위 비교(생태계서비스)

49제2장 환경가치 DB 구축현황 및 원단위(단위가치) 분석 •

••

❚표 2-27. 휴양/생태관광 가치추정치의 원단위 비교

원단위 연구수 추정치수가치추정치 분포

최소 평균 중위 최대

원/ha 2 2 545,598 1,459,602 1,459,602 2,373,606

만원/가구 1 2 1,394 2,671 2,671 3,949

백만원/년 1 3 269 8,924 11,198 15,305

억원/년 2 3 386 1,543 2,009 2,235

원/10만평/인 1 1 789

원/1회/인 2 2 8,421 23,818 23,818 39,215

원/가구 1 2 81,719 94,933 94,933 108,146

원/년/가구 23 62 353 9,156 8,394 70,739

원/년/방문․인 3 5 24,527 47,215 33,970 78,062

원/년/인 7 15 122 20,620 12,476 45,534

원/방문․인 42 132 136 24,061 8,050 517,204

원/월/가구 9 19 756 4,655 4,091 12,899

원/인 6 14 1,506 16,926 15,546 29,449

제3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확장

절차 및 적용사례

52•••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1. 가치확장 개념 및 분류

본 장에서는 환경가치종합정보시스템(EVIS)에 축적되어 있는 단위가치들의 활용을 위해 가치

확장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적용절차 및 점검목록에 대해 검토하며 적용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가치확장은 <표 3-1>과 같이 구분해볼 수 있다.

❚표 3-1. 가치확장 개념 구분도

구분 연구대상지

단위가치의 단위(Unit)가 원/가구인 경우

단위가치의 단위(Unit)가 원/인인 경우

단위가치의 단위(Unit)가 원/방문객인 경우

분류 ①

단위가치의 단위(Unit)가 원/면적인 경우 분류 ②

개별 생태계 서비스 단위가치 합산의 경우 분류 ③

가치확장은 연구대상지에서 표본을 대상으로 도출된 단위가치를 이용하여 모집단 전체로 확대

하여 합산하는 경우(분류 ①, 분류 ②)와 개별 생태계서비스 단위가치의 합계를 시도하는 과정(분

류 ③)을 포함한다. 한편 가치확장은 연구대상지의 단위가치에 대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고, 가치이

전으로 얻어진 정책대상지의 단위가치에 대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지

내의 가치확장 적용사례를 주로 살펴본다.

또한 본 연구 전반에 걸쳐 적용사례는 이준구 외(2000)의 연구를 지속적으로 활용한다. 이는

다양한 연구가 연구대상지로 활용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막고 단위가치 활용사례를

명확하게 이해하여 비교·분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53제3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확장 절차 및 적용사례 •

••

2. 가치추정치 단위가 원/가구인 경우

가. 모집단 내 가치확장 절차 및 적용사례

표본으로부터 도출된 정보를 조사대상 지역으로 확장하는 것으로, 설문조사 대상인 표본의

응답을 분석하여 대상재화에 대한 단위가치를 도출한 후 이 값에 모집단의 정보를 결합하여 모집단

전체에 해당하는 가치를 산출하는 과정을 다룬다. 이 과정에서 확인해야할 요소는 표본의 대표성

및 설문 과정의 적절성이다. 표본의 값을 모집단으로 확장하기 위해서는 먼저 표본이 모집단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 여부가 전제조건으로 갖추어져야 한다. 이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표본 추출과정에서 표본의 크기 및 표본 추출방법 등에 유의하여 설문을 설계하고 수행해야 한다.

또한 설문의 응답이 응답자들의 의사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어야한다. 설문조사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문설문기관에 의뢰하여 설문을 시행하고 숙달된 설문조사원

을 통해 일대일 면접조사를 권장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며 무응답을 최소화하여 신뢰도 높은

설문결과를 이끌어내야 한다. 이와 같은 사항을 고려할 때 모집단 내 가치확장에 대한 적용절차

및 점검목록은 다음과 같다.

54•••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표 3-2. 모집단 내 가치확장 절차 및 점검목록

단계 세부 점검목록

1단계: 연구대상지의 의사결정내용 확인(1) 의사결정의 배경 및 목적 검토

(2) 연구대상지의 시나리오 내용 파악

2단계: 연구대상지에서 도출된 단위가치에 대한 정보

수집

(1) 직접연구에서 활용된 방법론 및 자료, 도출과정의

적절성 검토

3단계: 표본 및 모집단의 범위에 대한 정보수집

(1) 표본 설계과정에 대한 정보 수집

(2) 모집단의 범위 파악

(3) 모집단의 사회경제적 특성 파악

4단계: 연구대상지의 환경서비스 공급변화량에 대한

총가치 추정(1) 단위(Unit) 확인 및 적합한 방법 적용

1단계는 의사결정 내용을 이해하고, 연구대상지에서 가치추정 대상으로 삼고 있는 재화 또는

서비스에 대한 시나리오의 내용을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다. 이는 도출된 단위가치가 무엇에 대한

가치를 나타내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로서 가치의 이전 및 확장의 기본이 되는 절차이다.

가치추정 방법론 중 진술선호기법에 속하는 방법론들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바탕으로 대상재화

에 대한 지불의사액(Willingess to pay, WTP) 또는 수용의사액(Willingness to accept,

WTA)을 얻는다.

· 환경 수준이 q0에서 q1으로 개선될 때, 본인의 현재 후생수준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어느

정도의 소득감소를 감당할 수 있는가? (얼마만큼 내겠는가?)

· 현재 환경수준이 q1에서 q0로 악화된다면, 본인의 현재 후생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얼마만큼

의 금전적 보상이 필요한가? (악화를 견디기 위해 얼마나 받아야하는가?)

질문에서 q0 및 q1과 관련된 부분이 가치추정 대상으로서 일종의 시나리오로 처리되는 부분이

며, 질문에 대한 응답자료를 이용하여 한계지불의사액(Marginal willingness to pay: MWTP)

함수를 도출하게 된다. <그림 3-1>에 따르면 q0와 q1 사이의 MWTP 곡선의 아래 면적이 총

55제3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확장 절차 및 적용사례 •

••

WTP이며, 이 총 WTP는 MWTP의 곡선의 기울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곽승준

외, 2007). 따라서 MWTP를 구하여 총 WTP를 구하는 경우에는 유의해야 할 점이 있다. 설문

자체가 q0와 q1이라는 특정한 수준의 변화에 대한 WTP를 물었기 때문에 추정된 MWTP 함수를

이용하여 해당 범위의 WTP를 구하는 것에는 무리가 없지만, 이 범위를 벗어난 수준의 변화에

대한 WTP를 추정하는 것은 논란이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연구대상지의

시나리오를 파악하여야 한다.

자료: 곽승준 외(2007)

❚그림 3-1. 총 WTP가 같지만 서로 다른 MWTP 곡선들

2단계는 연구대상지에서 도출된 단위가치에 대한 수치를 확인하고, 도출 과정에서 활용된 방법

론 및 자료, 추정절차 등이 적절히 수행되었는지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대상재화에

대한 정확한 가치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대상재화에 대한 명확한 시나리오 설정 및

56•••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이에 대한 파악이 중요하지만, 이후 단계에서는 적합한 방법론을 설정하고 대표성 있는 자료를

활용하여 단위가치를 도출하는 과정이 주의 깊게 수행되어야한다. 대부분의 연구대상지의 단위가

치는 학술지나 보고서에 실린 수치로서 이 과정에 대한 검증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수행되었다고

판단되지만, 활용 과정의 재검토는 단위가치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데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3단계는 연구대상지에서 설정한 표본 및 모집단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이다. 연구대상지

의 의사결정 내용 및 대상재화의 범위에 적합한 모집단이 설정되어 있는지, 모집단에 대해 어떠한

표본설계 과정을 거쳐서 표본이 선정되었는지, 표본 및 모집단에 대한 사회경제적 특성은 어떠한지

에 대한 확인절차를 수행한다.

4단계에서는 단위가치 추정치에 대한 합계가 이루어진다. 이는 개별 가구 또는 개인을 기준으로

도출된 단위가치 추정치에 영향범위 내 전체 가구수 또는 인구수를 곱하면 구할 수 있다. 즉,

단위가치의 단위(Unit)에 따라 해당 모집단의 정보를 곱하여 구할 수 있으며 <그림 3-2>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그림 3-2. 모집단으로의 확장 과정

실증연구에서 도출된 단위가치의 단위(Unit)가 가구라면 가구당 WTP에 모집단의 가구수를

곱하여 조사대상 지역 전체에 대한 가치를 도출하고, 일인당 W T P라면 모집단의 인구수를 곱하며

방문객 당 W TP를 도출한 경우라면 총 방문객수를 곱하여 모집단 전체에 해당하는 가치를 산출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활용하여 조사대상 지역 전체에 대한 가치를 제시한 연구로 이준구 외(2000)

57제3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확장 절차 및 적용사례 •

••

를 들 수 있다. <그림 3-3>은 앞서 살펴본 적용절차 및 점검목록에 근거하여 가치확장 사례연구를

예시하고 있다.

1단계

연구대상지의

의사결정내용 확인

2단계

연구대상지에서 도출된

단위가치에 대한 정보수집

3단계

표본 및 모집단의 범위에 대한

정보수집

4단계

연구대상지의 환경서비스 공급

변화량에 대한 총가치 추정

· 환경평가에 의해 보존가치가 낮다고 판단되는 지역에 한해 (환경 평가

결과 4, 5등급지에 해당) 그린벨트 설정을 해제하는 상황을 가정하고 이를 그대로

보존하는 것에 대한 지불의사액을 도출

· 수도권 그린벨트에 대한 700가구 설문자료 분석

· 조건부가치측정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활용

· 모집단: 서울시 전체 가구 총 3,458,510(세대)(1998년 12월 말 기준)

· 표본설계과정: 서울 강남지역 및 강북지역 설정→각 지역에 속해 있는 가구로

설정→각 세대원 중 임의로 대면한 만 18세 이상인 세대원

· 수도권 그린벨트 보존의 평균지불의사액(서울시) 가구 당 월 7,430원

· 서울시 전체 가구 그린벨트 보존의 평균지불의사액 월 257억원

그린벨트 보존 지불의사액을 묻는 시나리오

직접연구에서 활용된 방법론 및 자료 도출 과정 적절성 검토

표본 및 모집단에 대한 정보검토 및 설정

단위(Unit) 확인 및 적합한 방법 적용

❚그림 3-3. 모집단 내 가치확장 적용사례

이준구 외(2000)에서는 그린벨트 보존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기 위해 서울시를 둘러싸고 있는

수도권 그린벨트를 대상으로 하여 수도권 주변 그린벨트 총면적 15%에 해당하는 면적이 해제되는

상황을 가정하고 이를 보존하기 위해 부담하고자 하는 서울시 가구들의 지불의사액을 도출하였다.

표본설계 과정을 거쳐 선정된 720가구를 대상으로 일대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유효표본

700가구에 대해 조건부가치측정법을 활용하여 서울시 주민이 수도권 그린벨트를 현재대로 보존하

58•••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는 데에 대해 얼마만큼의 부담금을 지불할 용의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대상지의

단위가치는 가구당 월 7,430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연간 부담액으로 환산하면 89,160원

이었으며, 표본에서 도출된 이 값에 모집단인 서울시 전체가구수를 곱하여 서울시 전체가구가

부담할 용의가 있는 금액을 3,083억 원으로 도출하였다.

❚표 3-3. 모집단 내 가치확장 결과

매월 WTP

(원/가구당)개월 수

연간 WTP

(원/가구당)

서울시 가구수

(1998년 기준)

서울시

연간 WTP (원)

7,430 12 89,160 3,458,510 30,836,075,160

자료: 이준구 외(2000)

나. 모집단 외 가치확장 절차 및 적용사례

연구대상지에서 도출된 단위가치를 확장할 때 앞서 살펴본 모집단 내 가치확장처럼 설문조사

지역 내에서만의 확장이 아닌, 설문조사 지역을 포함하는 전국으로의 확장이 요구될 수 있다.

조사대상 지역뿐만 아니라 비 조사대상 지역에 연구대상지의 단위가치를 확장하기 위해서는 두

지역 사이의 차이를 반영해주는 절차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모집단 외 가치확장

적용절차는 <표 3-4>와 같다.

59제3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확장 절차 및 적용사례 •

••

❚표 3-4. 모집단 외 가치확장 절차 및 점검목록

단계 세부 점검목록

1단계: 연구대상지의 의사결정 내용 확인(1) 의사결정의 배경 및 목적 검토

(2) 연구대상지의 시나리오 내용 파악

2단계: 연구대상지에서 도출된 단위가치에 대

한 정보 수집

(1) 직접연구에서 활용된 방법론 및 자료, 도출

과정의 적절성 검토

3단계: 표본 및 모집단의 범위에 대한 정보수집

(1) 표본 설계과정에 대한 정보 수집

(2) 모집단의 범위 파악 및 설정

(3) 최종적으로 확장하고자하는 영향범위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특성을 파악

4단계: 연구대상지의 환경서비스 공급변화량

에 대한 총가치 추정

(1) 단위(Unit) 확인 및 적합한 방법 적용

(2) 조사대상 지역과 비 조사대상 지역 사이의

차별성 확인

(3) 격차비율 도출

모집단 내 가치확장과 비교하여 달라진 부분은 3단계와 4단계이므로 이에 대해 세부 점검목록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3단계는 연구대상지에서 설정한 표본 및 모집단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총가치를 도출하고자

하는 집단의 범위를 파악 또는 설정하는 과정이다. 모집단 내 가치확장에서는 연구대상지의 의사결

정 내용 및 대상재화의 범위에 적합한 모집단이 설정되어 있는지, 모집단에 대해 어떠한 표본설계

과정을 거쳐서 표본이 선정되었는지, 표본 및 모집단에 대한 사회경제적 특성은 어떠한지에 대한

확인절차만을 수행했다면, 모집단 외 가치확장에서는 연구대상지의 의사결정 내용 및 대상재화의

범위에 대한 고려와 더불어 최종적으로 확장하고자 하는 영향범위를 설정하고 특성을 파악하는

과정이 추가된다.

4단계에서는 단위가치 추정치에 대한 합계가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조사대상 지역과 비

조사대상 지역 사이의 차별성을 반영하는 비율 즉, 격차비율을 고려해야한다. 두 지역 사이의

소득의 차이를 반영해주는 것이 일반적이며 식 (1)을 통해 반영가능하다.

60•••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식 (1)

는 비 조사대상 지역의 WTP를 의미하고,

는 연구대상지에서 도출된 단위가

치 즉, 조사대상 지역의 WTP를 의미하며,

는 각각 조사대상 지역과 비 조사대상 지역의

평균 소득수준을 나타낸다. 은 WTP의 소득 탄력성을 의미하는데, Czajkowski and Scasny

(2010)의 연구를 참고하여 탄력성은 1로 가정한다.

소득격차 비율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소득정보가 필요하며, 단위가치의 단위(Unit)에

따라 일인당 소득 정보 또는 가구당 소득 정보가 필요하다. 단위가 일인당 WTP인 경우에는

개인부문 총처분가능소득을 의미하는 ‘일인당 개인소득’ 통계를 활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

며, 2010년 기준 지역별 ‘일인당 개인소득’은 <표 3-5>와 같다.

61제3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확장 절차 및 적용사례 •

••

❚표 3-5. 지역별 일인당 개인소득 수준

(2010년 기준, 단위: 천 원)

구분 일인당 개인소득

서울 16,123

부산 13,276

대구 12,737

인천 12,290

광주 12,942

대전 13,667

울산 16,376

경기 13,036

강원 11,690

충북 12,273

충남 12,539

전북 12,025

전남 11,331

경북 12,177

경남 12,658

제주 12,971

전국 13,461

자료: 국가통계포털 (www.kosis.kr)

62•••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한편, 가구당 WTP의 경우에는 행정구역별 가구당 소득정보가 필요한데, 현재 공식적으로

발표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일인당 개인소득의 값에 지역별 가구당 평균

인원수를 곱하여 지역별 가구당 소득 수준을 제시하였다.

❚표 3-6. 지역별 가구당 소득 수준

(2010년 기준, 단위: 천 원)

구분 가구당 평균 인원수* 1인당 개인소득 가구당 소득

서울 3.1 16,123 49,981

부산 3.2 13,276 42,483

대구 3.2 12,737 40,758

인천 3.2 12,290 39,328

광주 3.2 12,942 41,414

대전 3.2 13,667 43,734

울산 3.2 16,376 52,403

경기 3.3 13,036 43,019

강원 2.9 11,690 33,901

충북 3.1 12,273 38,046

충남 3.0 12,539 37,617

전북 3.0 12,025 36,075

전남 2.9 11,331 32,860

경북 2.9 12,177 35,313

경남 3.0 12,658 37,974

제주 3.2 12,971 41,507

전국 3.1 13,461 41,729

자료: 2000년 인구 총조사 가구부문 (행정구역/거처의 종류/가구원수, 사용방수, 연면적별 총조사가구) 정보

63제3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확장 절차 및 적용사례 •

••

이준구 외(2000)의 연구를 토대로 모집단 외 가치확장 절차를 적용한 사례를 예시하면 <그림

3-4>와 같다.

1단계

연구대상지의

의사결정 내용 확인

2단계

연구대상지에서 도출된

단위가치에 대한 정보 수집

3단계

표본 및 모집단의 범위에 대한

정보수집 및 범위설정

4단계

연구대상지의 환경서비스

공급변화량에 대한 총가치

추정

· 환경평가에 의해 보존가치가 낮다고 판단되는 지역(환경평가에 의한 4, 5등급

지역)에 한해 그린벨트설정을 해제하는 상황을 가정하고 이를 그대로 보존하는

것에 대한 지불의사액을 도출

· 수도권 그린벨트에 대한 700가구 설문자료 분석

· 조건부가치측정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활용

· 모집단: 서울시 전체 가구 총 3,458,51(세대)(1998년 12월 말 기준)

· 표본설계과정: 서울 강남지역 및 강북지역 설정→각 지역에 속해

있는 가구로 설정→각 세대원 중 임의로 대면한 만 18세 이상인 세대원

· 단위가치 영향범위를 서울 및 경기도로 확장

· 조사대상 지역(서울)과 비 조사대상 지역(경기도) 사이의 차이를 반영하

여 조사대상지역 및 비 조사대상 지역의 단위가치 도출

· Czajkowski & Scasny(2010)의 연구를 참고하여 탄력성 1로 가정

· 총가치 추정

그린벨트 보존 지불의사액을 묻는 시나리오

직접연구에서 활용된 방법론 및 자료 도출과정 적절성 검토

연구대상지에서 확장된 단위가치 추정

표본 및 모집단의 범위에 대한 정보 파악 및 범위 설정

❚그림 3-4. 모집단 외 가치확장 적용사례

64•••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이준구 외(2000)의 연구는 수도권 그린벨트 중 상대적으로 보존가치가 낮은 4등급지, 5등급지

를 해제하는 제도개선 방안을 대상재화로 삼고, 서울시민들을 설문 대상으로 하여 WTP를 도출하

였다. 1999년 12월부터 2000년 1월까지 720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여 700개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추정결과는 <표 3-7>과 같다.

❚표 3-7. 수도권 그린벨트 보존의 경제적 가치(서울시)

대상 시간 단위 평균 지불의사금액95% 신뢰구간 지불의사금액

하위 금액 상위 금액

가구월 7.430원 6,220원 8,640원

년 8만 9,150원 7만 4,650원 10만 3,650원

서울시 전체가구월 257억 원 215억 원 299억 원

년 3,083억 원 2,582억 원 3,585억 원

자료: 이준구 외(2000)

이 값을 모집단 외 지역 즉, 서울 및 경기도 지역으로 확장하고자 한다. 조사대상 지역인 서울과

비 조사대상 지역인 경기도 사이의 격차를 반영하기 위해 이들 지역간의 소득의 차이를 고려하는

절차를 거친다. 이 과정에서 적용절차 및 점검목록 제시 과정에서 소개한 <표 3-4>의 지역별

가구당 소득수준 정보를 활용한다. 또한, 소득 보정 이전에 소비자물가지수(CPI)를 활용하여

2000년 기준 서울시의 WTP 7,430원으로 2010년 기준 10,164원으로 보정하였다.

65제3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확장 절차 및 적용사례 •

••

서울

WTP (원)

서울

가구당 소득수준

(천원)

경기도

가구당 소득수준

(천원)

경기도 WTP (원)

10,164 49,981 43,0198,748

(=10,164×(43,019/49,981)

구분 가구당 WTP (원) 가구수 편익 (억원)

서울 10,164 3,500,471 356

경기도 8,748 3,839,171 336

서울 및 경기도 지역 - - 692

❚표 3-8. 소득보정 후 수도권 그린벨트 보존에 대한 WTP 확장결과(서울 및 경기도)

(2010년 기준, 매월)

사례연구에서 도출된 대상재화에 대한 서울지역의 WTP는 10,164원이었으나, 지역 간 소득격

차를 보정하여 인천 및 경기도 지역에 대한 WTP를 구한 결과는 8,748원이었다. 이렇게 도출된

가구당 WTP의 값에 각 지역별 가구원 수를 곱하여 총 편익을 도출할 수 있다(표 3-8 참조).

서울 및 경기도 지역의 수도권 그린벨트 보존의 경제적 가치는 2010년 기준으로 매월 692억

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표 3-9 참조).

❚표 3-9. 서울 및 경기도 주민들의 수도권 지역 그린벨트 보존의 경제적 가치

(2010년 기준, 매월)

66•••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3. 가치추정치 단위가 원/면적인 경우

연구대상지에서 표본을 대상으로 도출된 단위가치를 이용하여 모집단 전체의 가치로 확장하는

과정 중 가치추정치의 단위가 원/면적인 경우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이는 <표 3-1>에서 분류

②로 구분되는데, 가치추정치의 단위가 원/가구 또는 원/인, 원/방문객이었던 분류 ①처럼 연구대

상지의 정보를 단순히 곱함으로써 단위가치의 합계를 구할 수 없다. 예를 들어, 1ha 습지의 가치가

100만원일 때 10ha 크기의 습지의 가치가 단순히 100만 원의 열 배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생태계에 대한 단위면적당 총가치를 추정한 연구들이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가치추정치의 단위가 원/면적인 경우의 적용 절차 및 사례에 대해 살펴본다. 앞서 살펴본 단위가

원/가구의 경우에는 대상재화에 대한 시나리오가 변하는 것이 아니었기에 도출된 단위가치에

설문조사 범위를 고려하여 합계를 도출할 수 있었지만, 단위가 원/면적인 경우에는 유사한 과정을

거칠 경우, 시나리오 자체를 변화시키는 셈이 되기 때문에 분류 ①처럼 단순 곱하기 방법을 적용하

기에는 한계가 있다. 요약하자면, 단위가 원/면적인 경우에는 한계가치곡선이 생태계서비스 특유

의 형태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도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사항을 고려할

때, 분류 ②에 대한 적용절차는 <표 3-10>과 같다.

67제3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확장 절차 및 적용사례 •

••

❚표 3-10. 가치추정치 단위가 원/면적인 경우의 절차 및 점검목록

단계 세부 점검목록

1단계: 연구대상지의 의사결정내용 확인(1) 의사결정의 배경 및 목적 검토

(2) 연구대상지의 시나리오 내용 파악

2단계: 생태계서비스의 양에 대한 한계가치곡선

도출(1) 한계가치곡선 확인

3단계: 단위가치에 대한 정보 및 생태계서비스 공급

변화량 확인 (1) 생태계서비스 공급변화량 검토

4단계: 연구대상지의 생태계서비스 공급변화량에

대한 총가치 추정

1단계에서는 의사결정 내용을 이해하고, 연구대상지에서 가치추정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재화

또는 서비스에 대한 시나리오의 내용을 명확히 파악한다. 이 단계에서 도출된 단위가치가 무엇에

대한 가치를 나타내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얻고자하는 총가치가 시나리오에

대한 변화를 가져오는 분류 ②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Farley(2008)의 연구에 의하면 <그림 3-5>와 같이 생태계서비스나 중대한 자연자본의 경우,

한계가치가 전 구간에 걸쳐 일정하지 않고 세 구간으로 나누어 다르게 나타난다.

68•••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그림 3-5. 생태계서비스의 한계가치곡선

구간 1은 비교적 풍부한 자연자본이 존재하는 구간으로 한계가치가 일정한 수준에서 유지되는

경우이다. 충분한 수준의 자연자본으로 회복성이 보장되기에 한계가치의 변화가 거의 없고, 규모

에 대한 수익 불변 (constant return to scale)에 해당하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가치추정

방법의 적용이 가능한 부분이며, 이 경우에는 단위당 한계가치가 동일하므로 선형 관계가 성립하고

단순 곱을 이용해 총 가치를 도출할 수 있다.

구간 2는 자연자본의 크기가 줄어들 때 한계가치가 증가하는 구간이다. 바꾸어 말해, 상대적으로

큰 규모의 자연자본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한 단위의 자본이 공급되었을 때 총가치가 증가하는

수준이 보다 작은 규모의 자연자본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한 단위의 자본이 공급되었을 때 더

높다는 것이다. 이는 규모에 대한 수익이 변하는 경우 (non-constant return to scale)이며

그 중에서도 규모에 대한 수익 체감 (diminishing return to scale)에 해당한다. 그리고 생태계의

회복성(resilience)이 보장되지 못하여 역치에 가까워질수록 한계가치가 폭증하는 모습을 보이는

데, 이는 대체가 거의 불가능한 필수재화에 대해 가격 비탄력적인 수요를 보이는 경우에 해당한다.

69제3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확장 절차 및 적용사례 •

••

이 경우에는 선형 관계가 성립하지 않으므로 단위당 한계가치에 수량 정보를 단순히 곱하여 총가치

를 도출할 수 없다.

구간 3은 자연자본의 양이 역치(threshold)를 지났기에 생태계의 기능 자체가 수행되지 않는

구간이다. 한계가치 도출 자체가 무의미한 구간이며 생태계 복원을 통한 기능회복이 절실한 상황을

표현한다.

2단계에서는 대상 생태계서비스의 한계가치곡선의 형태를 파악하고 측정하고자 하는 자연자본

또는 생태계서비스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여 구간 1, 구간 2, 구간 3 중 어느 범위에

속하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생태계에는 특정 수준 이하에서 생태계의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 최소 자연자본의 양을 의미하는

역치의 개념이 존재하고, 구간별로 상이한 한계가치곡선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가치추정의 대상이

되는 생태계서비스의 특징 및 한계가치곡선에 대한 파악 이후에 총가치를 도출할 수 있다. 앞서

확인한 생태계서비스 공급변화량 부분의 M W TP곡선 아랫부분 면적을 도출하여 총가치를 확인한다.

현재 DB에 수록된 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생태계서비스의 한계가치곡선 도출을 시도한 연구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기 때문에 해당 적용사례를 제시하기는 어렵다. 이것은 과학적

상관관계를 다루는 모듈과 경제적 영향을 분석하는 모듈 사이의 연결고리가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는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측면을 면밀히 검토하고, 절차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고 향후 관련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함으로써

연구 활성화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고자 한다.

70•••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산림의 공익적 기능 내용(정의)

수자원 함양 기능- 홍수 및 가뭄에 따른 물 부족 방지

- 수질 정화 기능

토사유출 방지 기능- 토사유출 방지 기능

- 산사태 방지 기능

대기정화 기능 - 이산화탄소의 흡수와 방출이 탄소대기 정화시키는 기능

생물다양성 보전 기능- 유전자의 보존, 생물종의 보존, 생태계의 보전

- 천연기념물의 보호 혹은 야생동식물의 보호 기능

휴양·보건 기능- 휴양공간 제공 기능

- 다양한 생물체나 환경에 대한 학습의 장소 제공 기능

4. 개별 생태계서비스 가치의 합산절차

본 절에서는 생태계서비스 개별 단위가치를 합산하는 과정을 다루고자 한다. 국내에서 기능별

가치가 존재하는 대표적인 생태계는 산림과 습지이다.

산림의 기능을 살펴보면, <표 3-11>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 3-11. 산림의 기능

자료: 산림청(2006) 인용 후 재정리

수자원 함양기능이란 산림토양에 존재하는 스펀지와 같은 공간에 내린 비가 스며들어 천천히

하천으로 흘려보내져 집중호우에 따른 홍수나 가뭄에 따른 물 부족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하고, 토사유출 방지 기능은 우리나라의 산림은 대부분 경사지에 위치하기 때문에 비가

내릴 경우에 토사의 유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지만 산림토양에는 낙엽이나 잡목이 쌓여 있어

이러한 낙엽이나 잡목에 의해 토사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또한 산림은 산사태를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산림청, 2006).

대기정화 기능이란 산림생태계의 활동으로 인한 이산화탄소의 흡수와 방출, 증발산작용이 탄소

71제3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확장 절차 및 적용사례 •

••

기 능 내 용

서식처 제공 기능- 물새 및 야생동물, 패류 등 다양한 생물의 서식처 제공

- 종다양성 유지

오염물질(수질)정화 기능- 습지에 서식하는 생물과 습지를 구성하는 토양이 주변으로 부터의

각종 오염물질을 흡수

홍수조절 기능- 습지의 토사와 습지식물이 물을 저장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하류로

흘러가는 유속을 늦추는 역할을 함

기후조절 기능

- 미시적 측면에서 한 지역의 대기온도 및 습도 등을 조절하는 국지적

기후 조절 기능을 가지며 거시적으로 대기 중으로 탄소 유입을 차단하여

이산화탄소의 양을 조절하는 기능

휴양- 습지가 지닌 다양한 동식물과 독특한 경관은 관광활동의 이상적인

목적지가 되고 있으며 지역에 많은 수입을 창출

대기를 정화시키는 기능을 의미하고, 생물다양성 보전 기능이란 유전자의 보전, 생물종의 보존,

생태계의 보존을 의미하며 기존의 조수보호와 천연기념물의 보호 혹은 야생동식물의 보호 기능을

의미한다. 한편, 휴양 · 보건 기능이란 산림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캠핑, 하이킹 등과 같은

실외 활동을 통해 마음의 안정을 가져다주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의미한다(산림청, 2006).

생물다양성의 보고인 습지도 야생 동·식물에 서식지를 제공하며 오염물질의 정화, 홍수조절,

기후조절, 휴양 및 여가의 기능 등을 담당한다. 습지가 주는 경제적 이익을 물의 양적 · 질적

공급, 어업, 지하수위 유지에 따른 농업, 야생생물 자원, 레크리에이션 및 관광 등으로 설명하고

있다. 습지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표 3-12. 습지의 기능

지료: 국립습지센터(www.wetland.go.kr )

이렇듯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 기능별 가치를 합하여 총가치를 제시하고자 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적용절차 및 점검목록은 <표 3-13>과 같다.

72•••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표 3-13. 개별 생태계서비스 가치의 합산 절차 및 점검목록

단계 세부 점검목록

1단계: 대상 생태계의 기능 구분(1) 기능 간의 중복 지양

(2) 기능 사이의 상호의존 관계 고려

2단계: 기능별 가치추정치 정보 확보 (1) 추정기법 적용 과정에서 발생가능한 불확

실성 검토

3단계: 추정 및 합계(1) 공간적 범위의 상이성

(2) 시간적 범위의 상이성

적용절차를 토대로 사례연구를 예시하기 위하여 환경가치종합정보시스템(EVIS)에 축적되어

있는 산림 및 습지와 관련된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기정화기후조절/

탄소흡수

수량조절/

물공급수질정화 재해방지

토양침식방

지서식처제공생물다양성

휴양/생태

관광경관미

문화예술/

교육기타

연구의수 1 2 1 33 2 4

연구의비중 2% 5% 2% 77% 5% 9%

0

5

10

15

20

25

30

35

❚그림 3-6. 산림에 대한 DB 구축현황

73제3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확장 절차 및 적용사례 •

••

대기정화기후조절/

탄소흡수

수량조절/

물공급수질정화 재해방지

토양침식방

지서식처제공생물다양성

휴양/생태

관광경관미

문화예술/

교육기타

연구의수 2 13 1 9 4 9 7 1

연구의비중 4% 28% 2% 20% 9% 20% 15% 2%

0

2

4

6

8

10

12

14

❚그림 3-7. 습지에 대한 DB 구축현황

산림 및 습지에 대한 DB 구축현황을 살펴본 결과, 특정한 기능에 연구사례가 집중되어 있고

대상지역의 다양한 기능에 대한 가치추정치가 제공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 산림의 경우 휴양/

생태관광 서비스를 다룬 연구사례가 77%에 달하였고 수자원 관련 기능이나 대기정화 기능 등을

다룬 연구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습지의 경우에도 수질정화, 휴양/생태관광, 서식처 제공,

경관미 등의 일부 기능에 연구사례가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적용사례를 제시하

기 위해서는 향후 관련 연구들이 더욱 활성화되고 기능별 연구사례들이 확충되어야 한다. 연구사례

가 충분히 축적된 이후의 실질적 적용절차는 다음과 같다. 1단계로 대상지역을 선정하고 대상

생태계가 보유하고 있는 기능을 확인한다. 2단계는 축적된 연구사례들을 통해 각 기능에 대한

가치추정치를 확보하는 단계이다. 3단계에서는 추정기법의 적용과정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폐

적 가치의 불확실성 및 공간적 범위의 상이성(어떤 기능은 기능이 발휘되는 범위가 특정 지역에

한정되어 있으나 다른 기능은 전국을 대상으로 발휘될 수 있음), 시간적 범위의 상이성(생물다양성

과 같은 기능은 후손에게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음) 등을 고려하여 활용가능한 가치추정치를

구분하고 규모를 조정한다. 4단계는 확보된 가치추정치들을 합산하는 과정이다.

제4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이전

절차 및 적용사례

76•••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1. 가치이전 기법 개요 및 절차

본 장에서는 환경가치종합정보시스템(EVIS)에 축적되어 있는 단위가치들의 활용을 위해 가치

이전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가치이전 기법별로 적용절차 및 점검목록에 대해 검토하며 적용사례

를 확인하고자 한다. 가치이전은 현재 존재하는 정보나 지식을 새로운 상황 또는 환경에 이전하여

사용하는 것을 일컫는 용어로서, 특정 대상지로부터 획득한 단위가치 정보를 특성이 유사한 그러나

새로운 대상지로 조정하여 사용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정보가 실제로 존재하는 대상지를

‘연구대상지(study site)'로, 정보가 이전될 유사하나 새로운 대상지를 ’정책대상지(policy site)'

라고 부른다. 가치이전 기법은 <그림 4-1>과 같이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해볼 수 있다.

❚그림 4-1. 가치이전 기법의 유형

단위가치 직접이전(simple unit value transfer)은 연구대상지의 환경재화 및 서비스의 단위

가치를 정책대상지에 그대로 옮겨오는 기법이다. 단위가치는 추정대상의 가치유형 및 기법에

따라 원/가구, 원/인 등의 형태를 띠며 정책대상지의 정보와 곱해져 정책대상지의 총가치 변화량

산정에 활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단위가치 조정이전(adjusted unit value transfer)은 연구대

상지와 정책대상지 사이의 차이를 반영하기 위해 연구대상지의 단위가치를 일정 조정절차를 거쳐

77제4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이전 절차 및 작용사례 •

••

이전하는 것이다. 가장 일반적이고 기본적인 조정의 형태는 연구대상지와 정책대상지 사이의

소득 보정이다.

가치함수이전(value function transfer)은 가치추정 방법을 사용하여 추정된 연구대상지의

가치 또는 수요함수 자체를 이전하는 방법이다. 이전 시에는 추정된 연구대상지의 가치 또는

수요함수의 파라미터를 활용하되 정책대상지에서 도출된 평균값을 대입하여 이전하는 것이 일반

적이다.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meta-regression analytic value function transfer)은 독립적

으로 수행된 일련의 연구들을 대상으로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로 도출된 가치함수를

이전하는 방법으로 다수의 연구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가치함수 이전과 구분된다. 한편 가치이전의

경우에도 가치확장에서처럼 <표 4-1>과 같은 구분이 가능하다.

❚표 4-1. 가치이전 개념 구분도

구분 연구대상지→정책대상지

단위가치의 단위(Unit)가 원/가구인 경우

단위가치의 단위(Unit)가 원/인인 경우

단위가치의 단위(Unit)가 원/방문객인 경우

분류 ④

단위가치의 단위(Unit)가 원/면적인 경우 분류 ⑤

분류 ④는 연구대상지에서 정책대상지로의 가치이전을 시도하되, 단위가치의 단위(Unit)가

원/가구 또는 원/인, 원/방문객인 경우이고 분류 ⑤는 원/면적인 경우이다. 분류 ⑤는 크게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경우는 연구대상지와 정책대상지의 MWTP 곡선이 모두 알려진

경우로 이 경우에는 단위가 원/가구인 경우인 분류 ④의 적용절차와 점검목록을 활용하여 가치이

전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이고, 두 번째 경우는 MWTP 곡선이 알려지지 않은 경우이다. 두

번째 경우에는 연구대상지 및 정책대상지의 상이함에서 오는 불확실성과 가치이전 과정에서의

불확실성, 생태계서비스의 특수성 등으로 가치이전 또는 합계보다 직접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78•••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바람직하다.

가치이전의 일반적인 절차 및 점검목록에 대해 살펴보고자하며 적용절차는 다음과 같이 6단계

로 구분된다.

❚표 4-2. 가치이전의 절차 및 점검목록

단계 세부 점검목록

1단계: 정책대상지의 의사결정내용 확인

(1) 의사결정의 배경, 목적 검토

(2) 관련 법, 제도, 정책 검토

(3) 가치이전 기법 적용의 적절성 검토

2단계: 정책대상지의 환경재화/서비스 정의

(1) 환경재화/서비스 가치유형 및 정의 확인

(2) 환경재화/서비스 기준선 설정

(3) 환경재화/서비스의 질적, 양적 변화의 방향,

크기 측정

(4) 해당 환경재화/서비스의 대체재 유무 확인

3단계: 정책대상지의 영향범위 모집단 확인 및

범위설정

(1) 영향 모집단의 범위 설정

(2) 모집단의 현재 환경자원 이용현황 검토

(3) 모집단의 사회경제적 특성 파악

4단계: 해당 직접연구에 대한 정보수집 및 검토

(1) 해당 가치추정치에 대한 직접연구 정보수집

(2) 직접연구의 방법론 및 자료의 적절성 검토

(3) 연구대상지와 정책대상지 간의 유사성 및

차별성 검토

5단계: 적절한 가치이전 방법론 선택 및 적용

(1) 단위가치 이전 또는 함수이전 기법의 선택

(2) 선택된 기법의 적용절차에 따른 가치이전

수행

(3) 환경재화/서비스 변화량에 대한 가치추정

치의 합계

6단계: 민감도 분석 및 불확실성 검토

(1) 주요 파라미터 확인 및 영향분석을 통한

민감도 분석

(2) 불확실성 요인 확인 및 검토

79제4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이전 절차 및 작용사례 •

••

1단계는 정책대상지(policy site)의 의사결정 내용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특정 정책대상지의

환경서비스 및 재화의 변화만을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정책대상이 된 배경 및 목적을 이해하고

정책대상지의 관련 제도 및 정책을 검토하는 등 보다 큰 틀에서 의사결정내용을 이해하는 것이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가치이전 기법을 적용하기 위한 정책의 의사결정 수준과 중요도 등 적절성이

검토된다.

1단계에서 가치이전을 적용하기 위한 적절성 검토로 정책대상지의 의사결정 내용 이해 및

확인 등이 이루어졌다면 2단계는 특정 의사결정으로 예상되는 가치이전 정책대상지의 환경재화

및 서비스를 정의하는 것이다. 정책대상지의 합리적인 정책을 위해 환경재화/서비스 가치유형

및 정의에 대한 명확한 확인이 필요하며 환경가치의 유형은 경제적 총가치 개념에 기반하여 구분된

다. 이에 대한 세부유형 구분은 본 연구의 2차연도 보고서 부록 2가 활용가능하다. 또한 이 단계에

서는 환경재화/서비스 공급의 한계변화(marginal change)에 대한 정보가 중요하므로 해당 환경

재화/서비스의 질적 및 양적변화량에 대한 측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3단계에서는 정책대상지가 영향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모집단의 지역적 범위를 설정하는 것과

모집단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어떠한지를 파악하는 과정이다. 가치추정치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

제적 특성으로는 소득, 교육수준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대한 정보는 국가통계포털과 같은

국가 공식통계를 활용하도록 한다.

4단계에서는 해당 가치추정치를 추출하기 위한 직접연구의 정보수집이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해당 가치추정치에 대한 직접연구 사례가 목록화 되면 각 직접연구의 연구방법론, 분석에 활용된

데이터, 설문조사 사항, 추정결과의 적절성 등에 대한 검토를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직접연구에

사용된 원단위(단위가치)가 정책 대상지에서 이전 가능한 유형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연구대상지와 정책대상 간 유사성 및 차별성을 검토하여 기록하도록 한다.

5단계는 가치이전을 위한 선행연구 검토가 완료된 후 적절한 가치이전 방법론을 선택하는

과정으로 가치이전 방법론의 적용은 이전 단계에서 검토되었던 모든 정보를 포괄적으로 고려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정책대상지와 연구대상지 간의 환경재화/서비스 및 모집단의 특성이 동일하다면

80•••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단위가치 직접이전, 소득보정 등과 같은 일부 변수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 단위가치 조정이전,

연구대상지와 정책대상지 간의 물리적 특성 및 사회경제적 특성 차이를 반영하고자 한다면 가치함

수이전 또는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환경재화/서비스 변화량에 대한

가치추정치의 합계는 정책대상지의 환경재화/서비스 종류 및 가치유형, 정책대상지의 모집단,

시간적 영향범위와 같은 세 가지 차원에서 논의가 가능하다. 정책대상지의 환경재화/서비스 종류

및 가치유형의 합계는 개별 가구 또는 개인을 기준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정책대상지의 모집단은

계산된 개별 가구 또는 개인 기준의 가치추정치에 전체 가구 수 또는 전체 인구수를 곱하여

추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시간적 영향범위의 합계는 정책대상지 계산된 환경재화/서비스의

가치추정치를 현재가치화 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마지막 단계는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주요 파라미터 확인과 영향분석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주요 파라미터의 확인은 이전 5단계의 과정을 검토하여 이루어지며 영향분석은 하나

의 주요 파라미터를 변화시킨 후 영향을 분석하는 방법 또는 시나리오 분석을 통하여 복수의

파라미터 변화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는 방법 등이 있다.

어떠한 가치이전 기법을 활용하느냐에 따라 일반적 적용절차의 6단계 중 다섯 번째 단계인

‘적절한 가치이전 방법론 선택 및 적용’ 부분의 세부 내용이 달라진다. 각 가치이전 기법을 직접

적용하여 사례연구를 시도함으로써 기법별 세부 점검사항을 제시한다.

81제4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이전 절차 및 작용사례 •

••

2. 단위가치 조정이전 적용사례

이준구 외(2000)의 연구를 연구대상지로 삼고 단위가치 조정이전을 시도한다. 이 연구에서는

수도권 그린벨트 중 상대적으로 보존가치가 낮은 것으로 알려진 4등급지와 5등급지 (수도권 그린

벨트 총면적의 15%에 해당함)를 보존하기 위한 서울시민들의 지불의사액을 도출하였다. 정책대상

지로 대구권 그린벨트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대구권 주민들의 지불의사액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부분은 연구대상지와 정책대상지 사이의 대상재화의 유사성이

다. 유사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단위가치 조정이전 기법을 활용할 수 없다. 앞서 살펴본 단위가치

이전의 일반적 절차에 따라 각 과정을 요약하면 <그림 4-2>와 같다.

82•••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1단계

정책대상지의

의사결정 내용 확인

2단계

정책대상지의 환경재화 및

서비스 정의

3단계

정책대상지의 영향범위

모집단 확인 및 범위 설정

4단계

해당 직접연구에 대한

정보수집 및 검토

5단계

적절한 가치이전 방법론 선택

및 적용

6단계

민감도 분석 및 불확실성

검토

· 환경평가에 의해 보존가치가 낮다고 판단되는 지역에 한해 그린벨트

설정을 해제하는 제도개선 방안을 대상재화로 삼고 WTP 도출

· 가치이전 기법 적용의 적절성 검토

· 자연휴식 장소 제공

· 자연재해(홍수 등) 예방 기능

· 자연생태계의 보존 등

· 대구권 주민들의 WTP를 산정하기로 함

· 해당 가치추정치에 대한 직접연구 정보수집

· 이준구 외(2000)의 연구 활용

· 연구대상지와 정책대상지의 소득차이를 반영하는 과정에 활용가능한

정보 검토

· 단위가치 조정이전 적용하여 대구권의 WTP 산정

· 소비자물가지수(CPI)를 활용하여 서울시 WTP를 2010년 기준으로

보정

· 지역별 소득의 차이를 반영하는 지역별 가구당 소득수준 정보 활용

· 주요 파라미터 확인 및 영향분석을 통한 민감도 분석

· 불확실성 요인 확인 및 검토

그린벨트의 편익 및 서비스 정의

영향범위 및 모집단 설정

직접연구의 방법론 및 정보수집

단위가치 조정이전 기법 활용

민감도 분석

그린벨트 보존 지불의사액을 묻는 시나리오

❚그림 4-2. 단위가치 조정이전 적용사례

83제4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이전 절차 및 작용사례 •

••

서울

WTP (원)

서울

가구당 소득수준

(천원)

대구

가구당 소득수준

(천원)

대구 WTP (원)

10,164 49,981 40,7588,288

(=10,164×(40,758/49,981)

이번 적용사례에서는 연구대상지와 정책대상지의 대상재화가 동일하게 그린벨트 지역 중 보전

가치가 낮다고 판단되는 4, 5등급지였기에 무리없이 단위가치 조정이전 기법을 적용해볼 수 있었

다. 단위가치 조정이전 과정에서 고려할 수 있는 요소들로 화폐의 종류, 시간, 소득 등을 들 수

있다. 국가간 가치이전 이슈가 아닌 정책적 활용을 위한 국내 가치이전을 다루는 본 연구에서는

화폐의 종류에 대한 조정은 불필요하며 지역별 소득의 차이를 반영해 주는 절차가 필요하다.

연구대상지와 정책대상지의 소득차이를 반영하기 위하여 모집단 외 가치확장 절차에서와 마찬가

지로 <표 3-4>에 제시된 지역별 가구당 소득수준 정보를 활용하였다. 단위가치 조정이전 결과는

<표 4-3>과 같다.

❚표 4-3. 단위가치 조정이전 적용 결과

(2010년 기준, 매월)

대구권 그린벨트 4, 5등급지에 대한 대구 시민들의 지불의사액은 2010년 기준으로 매월 8,288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84•••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3. 가치(수요) 함수이전 적용사례

가치(수요) 함수이전은 소득 격차만 반영한 단위가치 조정이전에서 사회경제적 특성 격차까지

반영한 이전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가치함수 이전이 적용가능한 모형과 불가능한 모형이 존재하므로

활용 시에 유의해야 한다.

CVM 실증연구에서 WTP 도출을 위해 사용되는 질문 방법에는 개방형 질문법, 경매법, 지불카

드법, 양분선택형 질문법 등이 있는데, 대답하기 용이하고 편의의 발생 가능성이 비교적 낮은

방법인 양분선택형 질문법이 널리 사용되는 추세이다. 양분선택형 WTP 자료를 모형화하는 방법

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WTP 함수 접근법과 효용격차 접근법이 그것이다. WTP 함수 접근법은

Cameron and James(1987)이 제안한 것으로 초창기에 널리 이용되었고, Hanemann(1984)이

제안한 효용격차(utility-difference) 접근법은 최근 실증연구에서 널리 이용되는 추세이다.

McConnell(1990)은 두 접근법이 쌍대(duality) 관계에 있으므로 어느 방법을 사용하느냐의

문제는 단지 연구자의 선택임을 밝힌 바 있다. 계량경제학적 이슈 또는 특정 디자인 이슈를

다루는 경우에는 WTP 함수 접근법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유용하여 최근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나 본 연구에서 시도하고자 하는 가치함수이전이 용이하지 않은 측면이 있으므로 WTP

함수 접근법에 근거한 선행연구 사례를 기준으로 가치이전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준구 외(2000)의 연구를 연구대상지로 삼고 가치함수 이전 적용절차를 살펴보면 <그림 4-3>

과 같다.

85제4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이전 절차 및 작용사례 •

••

1단계

정책대상지의

의사결정 내용 확인

2단계

정책대상지의 환경재화 및

서비스 정의

3단계

정책대상지의 영향범위

모집단 확인 및 범위 설정

4단계

해당 직접연구에 대한

정보수집 및 검토

5단계

적절한 가치이전 방법론

선택 및 적용

6단계

민감도 분석 및 불확실성

검토

· 환경평가에 의해 보존가치가 낮다고 판단되는 지역에 한해 그린벨트

설정을 해제하는 제도개선 방안을 대상재화로 삼고 WTP 도출

· 가치이전 기법 적용의 적절성 검토

· 자연휴식 장소 제공

· 자연재해(홍수 등) 예방 기능

· 자연생태계의 보존 등

· 사례연구에서는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산정하기로 함

· 해당 가치추정치에 대한 직접연구 정보수집

· 이준구 외(2000)의 연구 활용

· 이준구 외(2000)의 연구는 조건부가치측정법을 활용하여 서울시 주민

이 그린벨트 보존에 얼마만큼의 부담금을 지불할 용의가 있는지 분석

· 시나리오 1: 환경인식 변수 중 하나의 변수 조정

- 선행연구 값을 참고하여 연구대상지 그린벨트 중요도 항목에 대한

비수도권지역의 표본평균값을 수도권지역보다 낮게 설정

· 시나리오 2: 사회경제적 변수 중 하나의 변수(소득) 조정

· 시나리오 3: 위의 두 변수를 동시에 조정

· 주요 파라미터 확인 및 영향분석을 통한 민감도 분석

· 불확실성 요인 확인 및 검토

그린벨트 보존 지불의사액을 묻는 시나리오

그린벨트의 편익 및 서비스 정의

영향범위 및 모집단 설정

직접연구의 방법론 및 정보수집

가치함수 이전 기법 활용

민감도 분석

❚그림 4-3. 가치함수 이전 적용사례

86•••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본 연구에서는 활용사례의 제시에 목적을 두고 있기에 정책대상지의 표본평균값을 위해 시나리

오를 구성하였다. 환경인식변수 중 하나의 변수를 조정한 시나리오 1, 사회경제적변수 중 하나의

변수인 소득을 조정한 시나리오 2, 두 가지 변수를 동시에 조정한 시나리오 3이 그것이다.

가. 시나리오 1 : 환경인식 변수 조정

이준구 외(2000)의 연구는 수도권 그린벨트를 중심으로 서울시 가구들이 수도권 그린벨트의

보전에 어느 정도의 가치를 부여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CVM 방법론을 활용하여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였다. 그 과정에서 지불의사금액 모형의 설명 변수로 활용된 변수들은 크게 인식 및 태도,

개인특성, 가구특성으로 범주화할 수 있으며 세부 변수들과 관련 내용을 표로 정리하면 <표 4-4>와

같다.

87제4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이전 절차 및 작용사례 •

••

❚표 4-4. 이준구 외(2000) 연구의 변수와 기초통계량

설명

변수

범주

변수 표시 변수 내용 코딩 내용

인식

태도

환경시책

순위

서울시의 네 가지 역점시책 중

환경시책의 순위

첫 번째(3) ~

네 번째(0)

그린벨트

정의

인식

그린벨트는 개발이 극히 제한되는

개발제한구역이라는 사실 인식

예(1)

아니오(0)

그린벨트

중요도

그린벨트가 제공하는 다섯 가지

기능들의 중요도

각 기능별 5단계

→ 총 5-25

그린벨트

보존

중요도

그린벨트 보존의 중요성전혀 중요하지 않다(-2)~

매우 중요하다(2)

건교부안

인식건교부안의 내용 인식 여부

모른다(-1)~

자세히안다(1)

개인

특성

성별 성별여(0)

남(1)

연령 연령 18세 -

교육기간 교육기간 0년 -

서울거주

기간비율

서울시에 거주한 햇수가

연령에서 차지하는 비율(%)0-100

소득점유

비율

가구소득 중 응답자 자신의

소득이 차지하는 비율(%)0-100

가구

특성

1인당

평균소득가구원 1인당 평균소득 0만원 -

가구원수 가구원의 수 1명 -

자료: 이준구 외(2000) 재구성

88•••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인식 및 태도 범주에 분류된 각 변수들 중, 환경시책의 순위 변수는 서울시의 네 가지 역점시책

중 환경시책의 순위를 나타내고 그린벨트 인식 변수는 그린벨트의 정의에 관한 것으로 개발이

극히 제한되는 구역이라는 사실에 대한 인식 여부를 다루고 있다. 그린벨트의 중요도는 설문에서

제공한 그린벨트가 제공하는 다섯 가지 기능들에 대한 중요도를 의미하는데, 설문 과정에서 제시한

다섯 가지 기능은 ① 서울시민을 위한 위락(레크레이션) 및 자연휴식 장소 제공 ② 서울시의

대기오염 완화기능, 수자원(빗물)의 저장과 홍수예방기능 ③ 자연경관 감상 등에서 오는 즐거움

및 정서적 안정감 제공 ④ 서울시 주변지역 자연생태계의 보존 (야생동식물의 서식처 제공, 토양보

존 등) ⑤ 산림(녹지)을 포함한 서울시 주변의 미개발 지역을 후손들에게 물려줄 수 있다는 점이다.

한편 그린벨트 보존 중요도 변수는 그린벨트 보존의 중요성을 나타내며 건교부안 인식 변수는

건교부 정책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다루고 있다.

그린벨트 제도에 대한 지역별 인식 차이를 연구한 이미홍 외(2009)의 연구에서 수행한 설문조사

결과에서 그린벨트 제도의 이해도 및 필요성에 대한 지역별 응답을 살펴보면,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비수도권 주민들에 비해 그린벨트의 필요성을 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린벨트의 이해 정도의 경우 서울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평균점수 3.82점으

로 다른 지역보다 그린벨트 제도를 가장 잘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필요성의 경우

수도권 지역의 평균점수는 3점대인 반면 비수도권 지역은 2점대로 수도권이 비수도권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추어 그린벨트 중요도 항목에 대한 정책대상지의 표본 평균값을 수도권지역보다 낮게

설정하여 시나리오 1을 구성하였다. 필요성과 중요도 사이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판단하

여 그린벨트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한 수도권 지역의 중요도 응답 결과보다 비수도권의 그린벨트

의 중요도 응답 결과의 수준이 다소 낮은 것으로 가정하였다. 즉, 이준구 외(2000)의 연구는

서울시 주민들의 그린벨트 중요도를 각 기능별 5단계로 자료화하여 추정하였으며 표본 평균값은

19.94로 나타났으나, 본 연구의 정책대상지인 비수도권의 경우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그린벨

트의 중요성을 각 기능별로 한 단계씩 낮게 응답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14.94로 환경인식 변수의

89제4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이전 절차 및 작용사례 •

••

표본 평균값을 조정하고 가치함수 이전을 적용하였다.

❚표 4-5. 가치함수 이전 적용결과 (시나리오 1)

구분 추정계수표본 평균값

계산 ()수도권 정책대상지

상수항 -1.981 - -1.981

환경시책 순위 0.248 2.39 2.39 0.593

그린벨트 인식 0.539 0.8 0.8 0.431

그린벨트 중요도 0.044 19.94 14.94 0.657

그린벨트 보존 0.113 0.71 0.71 0.080

건교부안 인식 0.301 -0.29 -0.29 -0.087

성별 -0.173 0.47 0.47 -0.081

연령 -0.005 35.06 35.06 -0.175

교육 기간 0.053 13.24 13.24 0.702

서울거주 기간 -0.001 66.66 66.66 -0.067

소득점유 비율 0.002 42.73 42.73 0.085

1인당 평균소득 0.001 61.36 61.36 0.061

가구원수 0.077 4.06 4.06 0.313

합계 0.531

나. 시나리오 2 : 소득 변수 조정

시나리오 2에서는 개인특성 범주로 구분되는 변수들 중, 1인당 평균소득의 값을 조정함으로써

사회경제적 변수 중 소득 변수의 값을 연구대상지의 수준으로 조정하는 상황을 다루었다. 즉,

수도권의 1인당 평균소득보다 연구대상지의 1인당 평균소득이 약 20% 정도 낮다고 가정하고

90•••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구분 추정계수표본 평균값

계산 ()수도권 정책대상지

상수항 -1.981 - -1.981

환경시책 순위 0.248 2.39 2.39 0.593

그린벨트 인식 0.539 0.8 0.8 0.431

그린벨트 중요도 0.044 19.94 19.94 0.657

그린벨트 보존 0.113 0.71 0.71 0.080

건교부안 인식 0.301 -0.29 -0.29 -0.087

성별 -0.173 0.47 0.47 -0.081

연령 -0.005 35.06 35.06 -0.175

교육 기간 0.053 13.24 13.24 0.702

서울거주 기간 -0.001 66.66 66.66 -0.067

소득점유 비율 0.002 42.73 42.73 0.085

1인당 평균소득 0.001 61.36 48.47 0.048

가구원수 0.077 4.06 4.06 0.313

합계 0.738

수도권 표본 평균값 61.36을 정책대상지의 값 48.47로 조정하여 가치함수 이전을 시도하였다.

❚표 4-6. 가치함수 이전 적용결과 (시나리오 2)

다. 시나리오 3 : 환경인식 및 소득 변수 조정

시나리오 3에서는 환경인식 변수인 그린벨트 중요도와 사회경제적 특성인 1인당 평균

소득 변수를 동시에 조정하여 가치함수 이전을 수행하였다.

91제4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이전 절차 및 작용사례 •

••

구분 추정계수표본 평균값

계산 ()수도권 정책대상지

상수항 -1.981 - -1.981

환경시책 순위 0.248 2.39 2.39 0.593

그린벨트 인식 0.539 0.8 0.8 0.431

그린벨트 중요도 0.044 19.94 14.94 0.657

그린벨트 보존 0.113 0.71 0.71 0.080

건교부안 인식 0.301 -0.29 -0.29 -0.087

성별 -0.173 0.47 0.47 -0.081

연령 -0.005 35.06 35.06 -0.175

교육 기간 0.053 13.24 13.24 0.702

서울거주 기간 -0.001 66.66 66.66 -0.067

소득점유 비율 0.002 42.73 42.73 0.085

1인당 평균소득 0.001 61.36 48.47 0.048

가구원수 0.077 4.06 4.06 0.313

합계 0.518

❚표 4-7. 가치함수 이전 적용결과 (시나리오 3)

시나리오 1, 2, 3에서 도출된 결과를 모아서 정리해 보면 <표 4-8>과 같다.

92•••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구분 WTP (원)

연구대상지 7,430

시나리오 1

(환경인식 변수 조정)5,310

시나리오 2

(사회경제적 변수 조정)7,380

시나리오 3

(환경인식 변수 및 사회경제적 변수 조정)5,180

❚표 4-8. 가치함수 이전 적용결과 (종합)

(2000년 기준, 매월)

환경인식 변수인 그린벨트 중요도 변수를 조정한 시나리오 1의 가치함수 이전 적용결과 지불의

사금액은 2000년 기준 매월 5,310원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연간 금액으로 환산하면 63,720원이다.

사회경제적 변수인 소득을 조정한 시나리오 2의 결과는 7,380원으로 나타났고, 환경인식 변수와

사회경제적 변수를 동시에 조정한 시나리오 3은 지불의사금액이 2000년 기준 매월 5,180원으로

분석되었으며 연간 지불의사금액은 각각 88,560원과 62,160원으로 환산될 수 있다. 연구대상지에

비해 그린벨트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 정도가 다소 낮다고 가정한 시나리오 1의 경우 연구대상지의

7,430원에 비해 낮은 수준의 지불의사금액을 가지는 것으로 도출되었고, 연구대상지에 비해 소득

수준이 다소 낮은 것으로 가정했던 시나리오 2의 경우에도 연구대상지의 지불의사금액에 비해

낮은 수준의 지불의사금액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변수를 모두 조정한 시나리오

3의 경우 시나리오 1과 시나리오 2에서보다 더 낮은 수준의 지불의사금액이 도출되어 가치함수

이전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93제4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이전 절차 및 작용사례 •

••

4.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 적용사례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은 하나의 연구대상지로부터 연구결과를 인용하는 가치(수요) 함수이전

과 달리 기존에 축적되어 있는 연구결과들에 다양한 통계적 방법을 적용하여 활용할 연구결과를

도출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에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의 적용을 위해서는 분석이 가능할

정도의 추정치가 확보되어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갖추어져야함을 의미하며 환경가치종합정보시스

템(EVIS)에 구축된 자료들을 살펴본 결과, 수질, 습지, 강/하천/호소, 휴양/생태관광, 산림, 공원

부문이 전제조건을 갖춘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질 및 공원 부문을 대상으로 메타회

귀분석 함수이전 적용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앞서 살펴본 가치이전의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의 각 과정을 요약하면 <그림 4-4>와 같다.

94•••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1단계

정책대상지의

의사결정 내용 확인

2단계

정책대상지의 환경재화 및

서비스 정의

3단계

정책대상지의 영향범위

모집단 확인 및 범위 설정

4단계

해당 직접연구에 대한

정보수집 및 검토

5단계

적절한 가치이전 방법론

선택 및 적용

6단계

민감도 분석 및 불확실성

검토

· 수질개선사업의 편익 산정 및 자연공원의 비시장적 가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각

사례의 의사결정 내용에 대해 검토

· 가치이전 기법 적용의 적절성 검토

· 수질개선을 위한 매월 평균 가구당 지불의사액 도출 과정을 사례연구로서 다루기

위해 시나리오 설정

· 자연공원의 비시장적 가치산정을 위해 운문산을 대상재화로 설정

· 지불단위를 수질개선을 위한 가구당 지불의사액으로 설정하고, 시나리오 별로 영향

범위 및 모집단을 설정

· 지불단위를 방문객 1인당 지불의사액으로 설정하고 운문산 전체 방문객을 영향범위

로 설정

· 부문별로 환경가치종합정보시스템(EVIS)로부터 해당 메타회귀분석을 위해 활용

가능한 변수 목록 구축

· 구축된 자료의 특성 및 사례연구별 특수성을 반영하여 적절한 추정모델을 적용

· 정책대상지의 특성을 반영하는 수치 대입으로 정책대상지에 대한 값 도출

· 주요 파라미터 확인 및 영향분석을 통한 민감도 분석

· 불확실성 요인 확인 및 검토

수질부문 및 공원부문에의 적용

각 사례별 환경재화 정의

영향범위 및 모집단 설정

직접연구로부터 자료 구축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 기법 활용

민감도 분석

❚그림 4-4.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 적용사례

95제4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이전 절차 및 작용사례 •

••

가. 모형설정

메타분석을 분석방법에 따라 구분해보면 통합모델(pooled model)과 메타회귀모델(meta

regression model)로 나누어볼 수 있다. 전자는 기존연구로부터 관측치를 모두 통합하여 새로운

데이터 집합을 구축한 후 모델 추정을 실시하는 것으로 유사한 실험을 반복하는 의학, 심리학

분야에서 주로 활용되는 방법이고 후자는 기존의 개별 연구로부터 정리한 요약 통계량을 종속변수

로 삼고 개별 연구의 특성 및 데이터 특성을 설명 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는 방법이다.

메타회귀모델은 경제학 실증연구의 분석을 위해 고안되어 주로 활용되고 있다(안소은 외, 2011).

메타회귀분석은 1990년대 초반부터 환경·자원 경제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관련 국외 연구로는 휴양가치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적용한 Smith and

Kaoru(1990), Rosenberger and Loomis (2000), Shretha and Loomis (2001), Muthke

and Holm-Mueller (2004) 및 자연습지에 대한 적용을 시도한 Brander et al. (2003), 문화유산

에 관한 Riganti and Nijkanp (2005)의 연구 등을 들 수 있다. 국내 연구로는 습지의 환경가치를

도출한 안소은 (2007a), 휴양가치에 관한 연구인 안소은 (2007b), 각각 도시공원 및 수질 보전의

가치를 도출한 조우영 외 (2010), 이희수 (2010) 등의 연구가 있다.

메타회귀분석을 위한 모형설정 및 추정기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타회귀분석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전통적인 선형회귀모델을 고려할 수 있다.

′X ⋯ (1)

여기서 는 관측치(선행연구로부터 도출된 개별 가치추정치), 는 종속변수(가치추정치 요약

통계량), 와 는 추정될 모수로서 각각 상수항과 독립변수들의 계수값이다. 는 독립변수

행렬로서 대상지 특성, 방법론적 특성, 연구특성 변수 등이 포함되며, 는 오차항을 의미한다.

만약 식 (1)이 오차항에 대한 전통적인 기본가정을 만족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최소자승법(OLS)

을 사용하여 식 (1)을 추정할 수 있다.

96•••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그러나 동일한 연구에서 다수의 관측치가 추출될 수 있는 데이터의 구조상 최소자승법을 이용하

여 식 (1)을 추정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동일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관측치들은

해당 특정연구가 갖는 고유한 특성을 공유하게 되기 때문에 오차항에 대한 동분산 가정을 위배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 경우의 데이터는 패널데이터와 유사한 구조를 갖게 되며, 각각의

선행연구로부터 추출된 관측치의 개수가 동일하지 않으면 (대부분이 여기에 해당함) 불균형 패널

테이터(unbalanced panel data)의 성격을 갖게 된다(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1). 이 경우

일반적으로 패널데이터 분석에 사용되는 고정효과모델(fixed effect model)과 임의효과모델

(random effect model)을 고려할 수 있다.

먼저 고정효과모델은 동일한 연구 내의 관측치들이 공유하는 변이를 구조적 차이로 가정하고

각 연구에 더미변수를 부여한 모델로서, 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

여기서 는 개별 선행연구를, 는 특정 선행연구 에서 도출된 관측치를 나타내는 첨자이다.

는 각 선행연구에 부여된 상수항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정효과모델과 식 (1)과의 차이점은

전체 상수항 대신 선행연구마다 개별 더미변수를 설정한다는 것이며, 최소자승법을 사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효과모델은 각 연구마다 더미변수를 부여하기 때문에 연구의 수가

많을 경우 상당량의 자유도를 잃게 되어 실질적인 적용이 제한적일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반면 임의효과모델은 관측치의 모분포가 존재한다는 가정하에, 개개의 선행연구를 이 모분포로

부터의 임의추출로 간주한다(Desvousges et al., 1998). 즉, 임의효과모델은 동일한 연구내의

관측치들이 공유하는 변이를 확률변수로 가정한다고 볼 수 있으며, 식 (3)에서와 같이 전체 오차항

은 개별 관측치와 관련된 오차()와 관측치가 도출된 특정연구와 관련된 오차()의 합이 된다.

식 (3)의 효율적 추정법은 Generalized Least Squares(GLS) 추정법이다. 고정효과모델과는

달리 임의효과모델은 식 (1)과 비교하여 추정해야 할 모수가 한 개 추가되는 셈이므로 자유도

97제4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이전 절차 및 작용사례 •

••

상실과 관련된 문제는 최소화된다.

(3)

메타회귀분석의 적용시, 데이터의 특성을 반영하는 적절한 모형을 선택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나. 수질 부문 적용사례

1) 정책대상지 설정

본 절에서는 수질 부문을 대상으로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의 활용사례를 예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가치이전 대상지인 정책대상지를 확인하고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번 사례에서는 적용과정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시나리오를 통해 정책대상지를

구성하였다. 수질개선 사업의 편익을 도출하기 위하여 <표 4-9>와 같이 두 가지 시나리오를 구성하

였다.

98•••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표 4-9.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을 위한 정책대상지

구분 내용

시나리오 1 한강유역의 수질 1등급 개선

시나리오 2 비한강유역(낙동강, 금강, 영산강)의 수질 3등급 개선

수질 부문의 선행연구들이 대부분 등급에 기초하여 대상지를 묘사하고 있기에 등급으로 표현된

수질의 개선정도를 시나리오의 주요한 요소 중 하나로 삼았고, 시나리오를 통하여 등급 개선의

변화에 따른 지불의사액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상지의 위치를 함께 고려하여 시나리오를

구성하기 위해 정책대상지가 한강유역인지 여부를 포함하였다. 시나리오 1은 한강유역의 수질을

1등급 개선시키는 경우에 대한 편익을 확인하고자 하고, 시나리오 2는 낙동강, 금강, 영산강과

같은 비한강유역의 수질을 3등급 개선시키는 경우에 대한 편익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2) 변수구축 및 추정3)

메타회귀분석을 적용하기 위해서 자료를 수집하여 변수를 구축하는 과정을 거쳐야한다. 환경가

치종합정보시스템(EVIS)으로부터 수질 부문 관련 연구를 선별하고, 선별된 선행연구들로부터

개별 가치추정치 및 독립변수로 사용될 대상지특성, 방법론적 특성, 연구 특성 등에 관한 요약

정보들을 추출 및 정리하였다. 메타회귀분석을 위해 구축된 수질부문과 관련된 변수 목록 및

내용은 <표 4-10>과 같다.

3) 본 절은 3차연도 연구결과에 기반을 두고 구성되었다.

99제4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이전 절차 및 작용사례 •

••

범주 변수 성격 내용

가치

추정치

UV2005 정량변수 평균 지불의사액; 2005년 불변가격(총소비자물가지수 활용)

lnUV 정량변수 평균 지불의사액; 2005년 불변가격; 로그값

원단위 unit 카테고리 사용된 원단위

연구특성 

refereed 더미변수 문헌유형이 학술논문이면=1/아니면=0

year1 정량변수 연구결과 발표연도

year2 정량변수 분석평가 기준연도

grade1 정량변수 추정대상 수질의 개선정도(5등급 기준)

grade2 정량변수 추정대상 수질의 개선정도(7등급 기준)

대상지

특성

r_basin1 더미변수 추정대상이 한강유역에 속해 있으면=1/아니면=0

r_basin2 더미변수 추정대상이 낙동강유역에 속해 있으면=1/아니면=0

r_basin3 더미변수 추정대상이 금강유역에 속해 있으면=1/아니면=0

r_basin4 더미변수 추정대상이 영산강유역에 속해 있으면=1/아니면=0

방법론적

특성

cvm 더미변수 추정기법이 조건부가치측정법이면=1/아니면=0

open 더미변수 지불의사 유도방법이 개방형이면=1/아니면=0

one_bound 더미변수 지불의사 유도방법이 단일양분형이면=1/아니면=0

tax 더미변수 지불수단이 세금의 형태이면=1/아니면=0

fee 더미변수 지불수단이 이용료의 형태이면=1/아니면=0

contribution 더미변수 지불수단이 자발적 기금의 형태이면=1/아니면=0

truncated 더미변수 분석시 절단된 모형을 사용하였으면=1/아니면=0

s_region 더미변수 설문조사 지역이 해당지역이면=1/아니면=0

s_method 더미변수 설문조사 방법이 일대일면접이면=1/아니면=0

s_size1 정량변수 설문조사 표본크기

s_size2 정량변수 설문조사 유효표본 크기

사회

경제적

변수

gender 정량변수 설문조사 표본의 성비; 예) 48%가 남자이면 0.48

age 정량변수 설문조사 표본의 평균 나이

income 정량변수 설문조사 표본의 가구별 월평균 소득 (만원/월/가구)

education 정량변수 설문조사 표본의 평균교육연수; 예) 고등학교 졸업=12

❚표 4-10. 수질 부문 메타회귀분석을 위해 구축된 변수목록 및 내용

100•••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수질 부문은 32편의 선행연구가 EVIS로부터 선별되었고 이로부터 총 75개의 가치추정치를

추출하였다. 추정에 가장 많이 활용된 원단위는 원/월/가구이고, 대부분의 연구가 조건부가치측정

법 내지는 조건부 선택결정법을 사용하고 있어 진술선호법이 수질 가치추정에 압도적으로 사용되

어 온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에는 원단위로 원/월/가구를 사용한 추정치만을 포함하였고 분석에 필요한 기본정보가

누락된 선행연구는 제외하였다. <표 4-11>은 총 75개 추정치 중 최종적으로 회귀분석에 포함된

58개의 추정치에 대한 기초통계량을 정리하고 있다. 정량변수인 경우 최소, 최대, 중위, 평균값을,

더미변수인 경우 해당 빈도수를 정리하여 개별 변수의 분포상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사회경제적 변수의 경우 총 58개의 관측치 중 32개의 관측치에 한하여 집계가 가능하였다. 이는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설문조사 표본의 사회경제적 변수에 대한 기초통계량을 보고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101제4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이전 절차 및 작용사례 •

••

범주 변수 성격기초통계량/빈도수 총관측

치수 최소 평균 중위 최대

가치

추정치UV2005 정량변수 571 4,155 3,780 11,140

58

원단위 unit 원/월/가구

연구특성 

refereed 더미변수 문헌유형이 학술논문 = 50

year1 정량변수 1997 2007 2008 2010

year2 정량변수 1996 2005 2007 2009

grade1 정량변수 0 1.57 2 3.5

grade2 정량변수 0 2.6 3 6

대상지

특성

r_basin1 더미변수 대상지역이 한강 유역 = 32

r_basin2 더미변수 대상지역이 낙동강 유역 = 18

r_basin3 더미변수 대상지역이 금강 유역 = 5

r_basin4 더미변수 대상지역이 영산강 유역 = 0

방법론적

특성

cvm 더미변수 추정기법이 조건부가치측정법 = 47

open 더미변수 지불의사 유도방법이 개방형 = 0

one_bound 더미변수 지불의사 유도방법이 단일양분선택형 = 8

tax 더미변수 지불수단이 세금의 형태 = 48

fee 더미변수 지불수단이 이용료의 형태 = 6

contribution 더미변수 지불수단이 자발적 기금의 형태 = 0

truncated 더미변수 분석 시 절단된 모형 사용 = 15

s_region 더미변수 설문조사를 해당지역에서 실시 = 58

s_method 더미변수 설문조사 방법이 일대일 개별면접 = 51

s_size1 정량변수 20 490 465 1,858

s_size2 정량변수 20 462 463 1,858

사회

경제적

변수

gender 정량변수 0.2 0.41 0.42 0.52

32age 정량변수 34.6 40.5 38.8 48.5

income 정량변수 174 296 301 410

education 정량변수 10.5 13.5 13.7 16.1

❚표 4-11. 메타회귀분석을 위한 수질 부문 변수의 기초통계량

102•••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로 연구 특성, 대상지 특성, 방법론적 특성만을 고려한 모델과 사회경제

적 변수까지 추가로 고려한 모델을 모두 고려하였으나, 사회경제적 변수까지 고려한 모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였다. 이는 사회경제적 변수를 포함할 경우 사용가능한

관측치의 수가 58개에서 32개로 현저히 감소하는데 일차적인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사회경제적 변수를 다루지 않는 모델에서는 다수의 관측치를 보유하고 있는 연구를 더미변수로

추가하여 동일한 연구내의 관측치들이 공유하는 변이를 통제하고자 하였다. 이는 고정효과모델에

서와 같이 모든 연구에 개별 더미를 부여하기는 어렵지만, 그 중 다수의 관측치를 보유한 연구에

더미변수를 부여함으로써 식(3)의 를 부분적으로 통제하기 위함이다. 정은성 외(2008)가 9개,

추재욱(2010)이 8개의 관측치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각에 더미변수(study_d1, study_d2)를 부

여하였다. 특정연구 더미변수를 포함한 모델의 추정결과는 <표 4-12>와 같다.

103제4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이전 절차 및 작용사례 •

••

❚표 4-12. 수질 부문 메타회귀분석 추정결과

범주 변수 추정계수 p-value

연구 특성year2 -0.126*** 0.001

grade2 0.344*** 0.000

대상지 특성 r_basin1 0.411* 0.094

평가방법 특성 tax 0.198 0.472

특정연구 더미변수study_d1 0.250 0.597

study_d2 0.590 0.241

상수항 261.0*** 0.001

R2

0.44

Wald statistics1) 31.88(0.00)

LM statistics2) 0.20 (0.32)

관측치 수 58

주: *, **, ***: 10%, 5%, 1% 수준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함

1) Wald 통계량(괄호안은 p value)

2) Breusch and Pagan Lagrangian Multiplier Test 통계량(괄호안은 p value)

먼저 모델전체의 유의성 검정 즉, 귀무가설

에 대한 Wald

통계량은 31.88로서 귀무가설률 1% 유의수준에서 기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별변수의

계수값이 모두 동시에 0은 아니라는 의미로서 모델전체의 유의성 검정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4)

한편 모델전체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R2 값은 0.44로서 종속변수 총변이 중 44%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reusch-Pagan Lagrange Multiplier 검정결과 귀무가설 0:2

0=

uH σ

은 기각되지 못하였다. 이는 데이터의 구조적 특성으로부터 예상되는 특정 연구관련 변이, 즉 동일한

연구 내의 관측치들이 공유하는 변이의 존재가 최소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는 의미이다.

개별 독립변수를 살펴보면 평가기준 연도(year2)는 가치추정치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는

4) 여기서 Wald 통계량은 선형회귀모델의 F-통계량과 유사한 개념이다.

104•••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데, 이는 최근에 발표된 연구일수록 가치추정치가 상대적으로 낮게 추정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수질등급 개선정도(grade2)는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나 수질개선 정도가 높을수록 지불의사액도

커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유역구분은 연구대상지가 한강유역(r_basin1)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지불의사액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불수단

이 세금(tax)의 형태인 경우가 기타 지불수단에 비해 지불의사액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일반적으로 지불수단이 세금인 경우는 응답자의 전략적 행동에 따라 지불의사액이 상대적으

로 낮게 추정되는 경향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 상충되는 결과이기는 하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다. 특정연구 더미변수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 결과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을 위하여 <표 4-12>에 제시된 메타회귀분석 추정결과에 정책대상지의

특성을 반영하여 추정된 회귀모델을 조정하는 절차를 거치게 된다. 시나리오에서 다루고 있는

변수들의 경우에는 시나리오의 내용에 맞는 변수값으로 조정하여 대입하고, 발표 연도 및 평가방법

특성 변수와 같이 별도의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변수에 대해서는 표본 전체 평균값을 대입하였

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조정된 정책대상지의 변수값은 <표 4-13>에 제시되어 있다.

105제4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이전 절차 및 작용사례 •

••

❚표 4-13.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을 위한 변수값 조정

범주 변수 표본평균 시나리오 1 시나리오 2

연구 특성year2 2004.931 2004.931 2004.931

grade2 2.603 1 3

대상지 특성 r_basin1 0.552 1 0

평가방법 특성 tax 0.828 0.828 0.828

특정연구 더미변수study_d1 0.155 0 0

study_d2 0.138 0 0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을 적용하여 시나리오 1, 시나리오 2에 해당하는 수질개선 사업의 편익을

도출한 결과는 <표 4-14>와 같다.

❚표 4-14.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 적용 결과

(2005년 기준, 매월)

구분 WTP (원)

시나리오 1 2,065

시나리오 2 2,722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을 적용한 결과, 한강유역의 수질 1등급 개선을 위한 매월 지불의사금액

은 2,065원으로 도출되었고, 비한강유역의 수질 3등급 개선을 위한 매월 지불의사금액은 2,722원

으로 나타났다.

106•••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다. 공원 부문 적용사례

1) 정책대상지 설정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적용사례를 살펴본 물 부문과 달리 공원 부문 적용사례에서는 실제 정책대

상지를 대상으로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을 활용하는 가치이전 사례연구를 예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책대상지로 운문산 자연공원을 삼고 이에 대한 비시장적 가치를 도출해 보고자

한다. 운문산은 경상북도 청도군에 위치하고 있으며 영남 알프스로 불리는 7개의 산 가운데 하나

로, 이 산군 중 자연경관이 가장 아름다운 산으로 꼽히고 있다. 운문산은 현재 수집된 선행연구

사례에서는 다루어지고 있지 않지만 자원의 유형과 특성이 유사하면서도 직접 연구가 아직 이루어

지지 않은 지역으로서 본 사례연구의 정책대상지로 삼기에 적합하다.

2) 변수구축 및 추정

수질부문에의 적용사례에서와 마찬가지로 메타회귀분석을 적용하기 위해 환경가치종합정보시

스템(EVIS)으로부터 공원 부문 관련 연구를 선별하고, 선별된 선행연구들로부터 개별 가치추정치

및 독립변수로 사용될 대상지 특성, 방법론적 특성, 연구 특성 등에 관한 요약 정보들을 추출

및 정리하였다. 메타회귀분석을 위해 구축된 공원 부문과 관련된 변수 목록 및 내용은 <표 4-15>와

같다.

107제4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이전 절차 및 작용사례 •

••

범주 변수 성격 내용

가치

추정치

UV2005 정량변수 평균지불의사액; 2005년 불변가격(총소비자물가지수 활용)

lnUV 정량변수 평균지불의사액; 2005년 불변가격; 로그값

원단위 unit 카테고리 사용된 원단위

연구특성 

refereed 더미변수 문헌유형이 학술논문이면=1/아니면=0

year1 정량변수 연구결과 발표연도

year2 정량변수 분석평가 기준연도

대상지

특성

mountain 더미변수 추정대상이 산림에 위치할 경우=1/아니면=0

sea 더미변수 추정대상이 해안에 위치할 경우=1/아니면=0

n_park 더미변수 추정대상이 자연공원인 경우=1/아니면=0

s_park 더미변수 추정대상이 도립공원인 경우=1/아니면=0

nat_park 더미변수 추정대상이 국립공원인 경우=1/아니면=0

u_park 더미변수 추정대상이 도시공원인 경우=1/아니면=0

metro 더미변수 추정대상이 수도권 지역에 위치해 있으면=1/아니면=0

urban 더미변수 추정대상이 광역도시권에 위치해 있으면=1/아니면=0

방법론적

특성

s_size1 정량변수 설문조사 표본크기

s_size2 정량변수 설문조사 유효표본크기

tcm 더미변수 추정기법이 여행비용법이면=1/아니면=0

cvm 더미변수 추정기법이 조건부가치측정법이면=1/아니면=0

ce 더미변수 추정기법이 조건부 선택결정법이면=1/아니면=0

open 더미변수 지불의사 유도방법이 개방형이면=1/아니면=0

one_bound 더미변수 지불의사 유도방법이 단일양분형이면=1/아니면=0

tax 더미변수 지불수단이 세금의 형태이면=1/아니면=0

fee 더미변수 지불수단이 이용료의 형태이면=1/아니면=0

contribution 더미변수 지불수단이 자발적 기금의 형태이면=1/아니면=0

사회

경제적

변수

gender 정량변수 설문조사 표본의 성비; 예) 48%가 남자이면 0.48

age 정량변수 설문조사 표본의 평균 나이

income 정량변수 설문조사 표본의 가구별 월평균 소득 (만원/월/가구)

education 정량변수 설문조사 표본의 평균교육연수; 예) 고등학교 졸업=12

❚표 4-15. 공원 부문 메타회귀분석을 위해 구축된 변수목록 및 내용

108•••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공원 부문은 40편의 선행연구가 EVIS로부터 선별되었고 이로부터 총 122개의 가치추정치를

추출하였다. 추정에 가장 많이 활용된 원단위는 원/방문·인이다. 회귀분석에는 원단위로 원/방문·

인을 사용한 추정치만을 포함하였고, 사회경제적 변수가 명시되어있는 연구의 추정치만을 다루었

다. <표 4-16>은 최종적으로 회귀분석에 포함된 45개의 추정치에 대한 기초통계량을 정리하고

있다.

109제4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이전 절차 및 작용사례 •

••

범주 변수 성격기초통계량/빈도수 총관측

치수 최소 평균 중위 최대

가치

추정치UV2005 정량변수 136 16,842 8,006 113,400

45

(gender

변수의

경우

39개,

educati

on

변수의

경우

38개)

원단위 unit 원/방문·인

연구

특성 

refereed 더미변수 문헌유형이 학술논문 = 35

year1 정량변수 2000 2005 2005 2010

year2 정량변수 1998 2004 2003 2009

대상지

특성

mountain 더미변수 추정대상이 산에 위치 = 34

sea 더미변수 추정대상이 해안지역에 위치 = 4

metro 더미변수 추정대상이 수도권 지역에 위치 = 12

urban 더미변수 추정대상이 7대 광역도시에 위치 = 18

nat_park 더미변수 추정대상이 국립공원 = 32

s_park 더미변수 추정대상이 도립공원 = 3

u_park 더미변수 추정대상이 도시공원 = 7

방법론

특성

s_size1 정량변수 26 501 400 1,270

s_size2 정량변수 26 418 326 1,243

tcm 더미변수 추정기법이 여행비용법 = 9

cvm 더미변수 추정기법이 조건부가치측정법 = 31

ce 더미변수 추정기법이 조건부선택결정법 = 5

open 더미변수 지불의사 유도방법이 개방형 = 11

one_bound 더미변수 지불의사 유도방법이 단일양분선택법 = 17

tax 더미변수 지불수단이 세금의 형태 = 23

fee 더미변수 지불수단이 이용료의 형태 = 5

contribution 더미변수 지불수단이 자발적 기금의 형태 = 17

사회

경제적

변수

gender 정량변수 0.28 0.50 0.51 0.66

age 정량변수 31.4 38.2 39.2 46.1

income 정량변수 183 271 268 407

education 정량변수 12.9 14.4 14.4 15.8

❚표 4-16. 메타회귀분석을 위한 공원 부문 변수의 기초통계량

110•••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범주 변수 추정계수 p-value

연구 특성 year2 0.057 0.396

대상지 특성

mountain -0.093 0.857

urban -0.843* 0.083

s_park 2.319** 0.021

평가방법 특성tcm -3.045*** 0.001

tax -1.324** 0.028

사회경제적 변수 income 0.004 0.381

상수항 -104.225 0.433

Adjusted R2

0.36

관측치 수 45

공원 부문에 대한 추정에서는 독립변수로 연구 특성, 대상지 특성, 방법론적 특성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변수까지 포함한 모델을 추정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부문의 경우, 수질 부문과 달리 임의효과모델의 경우 모델 자체의 유의성을 나타내는 Wald

통계량이 낮아 선형회귀모델로 추정하였다. 선형회귀모델 추정결과는 <표 4-17>과 같다.

❚표 4-17. 공원 부문 메타회귀분석 추정결과

주: *, **, ***: 10%, 5%, 1% 수준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함

추정결과에 의하면 대상지 특성 변수그룹은 가치추정 대상이 7대 광역 도시권에 위치해 있는

경우(urban)에는 가치추정치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도립공원일 경우(s_park) 양의 상관관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다. 이는 도시 근교 공원보다는 도시권에서

다소 벗어나 있는 공원에 상대적으로 높은 가치가 부여되었고,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경우에 더욱

높은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보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평가방법 특성 변수 중에서는 여행비용법

(tcm) 추정치가 다른 추정기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가치추정치를 제공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지불수단이 세금의 형태일 경우 여타 지불수단에 비해 낮은 추정치와 상관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소득이 높은 편일수록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통계적으

111제4장 환경가치 DB를 활용한 가치이전 절차 및 작용사례 •

••

로 유의하지 않다.

3)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 결과

공원부문의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 적용사례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단계를

거쳐야한다. 먼저 편익이전을 시도하는 정책대상지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해야 하며, 두 번째 단계

로 이와 같은 정책대상지의 특성을 반영하여 추정된 회귀모델을 조정해야한다. <표 4-17>의 메타

회귀분석 추정결과에 정책대상지인 운문산의 특성을 반영하여 추정된 회귀모델을 조정하기 위하

여 <표 4-18>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변수값 조정을 시도하였다.

❚표 4-18.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을 위한 변수값 조정

범주 변수 표본평균 운문산

연구 특성 year2 2003.867 2005

대상지 특성

mountain 0.756 1

urban 0.4 1

s_park 0.711 0

평가방법 특성tcm 0.2 0.2

tax 0.511 0.511

사회경제적 변수 income 271.491 294.275

운문산 자연공원의 경우, 대상지 특성이 산이고 7대 광역시에 위치하고 있기에 mountain

변수와 urban 변수에 대한 값은 각각 1을 대입하였고, 도립공원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s_park

변수값은 0으로 입력하였으며 경상북도의 가구당 소득수준을 활용하였다. 평가기준 연도를 2005

년으로 삼고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을 적용하여 운문산 자연공원의 비시장적 가치를 도출한 결과

는 <표 4-19>와 같다.

112•••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표 4-19.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 적용 결과

(2005년 기준, 방문객 1인당)

구분 가치예측치 (원) 표준오차 p-value

운문산 3,975.239 1,726.276 0.021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을 적용한 결과, 운문산 자연공원의 비시장적 가치는 방문객 1인당 약

3,826원으로 나타났다. 가치예측치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year, mountain

변수들에 대한 계수추정치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가치예측치의 경우,

이와 같은 변수들뿐만 아니라 <표 4-14>에 제시된 계수추정치를 모두 포함하여 식 (2)에 의해

도출되는 값이므로 회귀분석 결과인 개별 독립변수들의 통계적 유의성에 무게를 두기보다는 편익

이전을 통한 최종 결과물인 가치예측치의 통계적 유의성에 주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며

이에 따라 델타법(delta method)을 활용하여 가치예측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를

<표 4-16>에 제시하였다. 가치예측치는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5.303으로

도출된 wald 통계량으로 볼 때, 모든 추정계수들의 값이 0이라는 귀무가설도 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기각되었다.

제5장

결론 및 향후과제

114•••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1. 요약 및 시사점

본 연구는 정부부처 및 민간기업의 의사결정자를 비롯하여 학계, 환경컨설팅, 환경 NGO 등에게

환경 질(environmental quality) 변화에 따른 환경가치 추정치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비용편익 분석, 환경영향 평가, 사업타당성 평가를 포함한 다양한 정책분석을 지원하는 것을 일차

적인 목표로 하여 기획되었다. 본 연구는 총 4년(2009∼2011, 2013)으로 계획되었으며, 국내 환경

가치 생활환경/자연환경, 추정기법의 분류체계 제시, 국내 환경가치 온라인 DB 설계 및 구축,

DB 분석을 통한 국내 환경자원 가치추정 선행연구의 종합분석, 메타회귀분석을 포함한 매체별/생

태계별 환경가치 원단위(단위가치) 추정, 가치확장/가치이전의 적용지침 마련과 실제 사례연구를

통한 정책적 활용방안 제시 등의 세부목표 아래 진행되었다.

1차연도(2009)는 해외 DB 구축사례를 검토하고 환경서비스의 분류체계에 대한 문헌검토를

통하여 국내 현황에 적합한 분류체계를 마련하는 작업과 제시된 분류체계를 토대로 웹 기반 환경가

치 DB의 틀을 설계하는 것을 중심으로 연구가 추진되었다. 특히 정책분석 지원이라는 DB의

목적을 염두에 두고 환경자원/서비스와 추정기법을 중심축으로 하여 검색이 가능하도록 DB를

설계하였다. 환경자원/서비스는 생활환경과 자연환경으로 구분하고, 생활환경은 현재 운용 중인

환경영향 평가 검토항목에 기반하여 세부 구분하였으며, 생태계는 생태계가 제공하는 기능/서비스

/편익과 개별생태계에 기초한 분류체계를 병행하여 활용하였다. 추정기법은 현시선호법 또는

진술선호법을 구분하지 않고 개별 추정기법을 분류체계로 사용하였다. 자료검색은 메뉴기능 찾기

와 주제어 찾기가 동시에 활용 가능하도록 설계하였고, 검색된 선행연구 목록에서 원하는 연구를

선택하면 연구의 주요 결과를 HTML 또는 엑셀파일 형태로 열어보거나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검색된 선행연구 목록은 정렬기능을 활용하여 저자 순, 발표연도 순 등으로 정렬이 가능하도

록 설계하였다.

2차연도와 3차연도(2010〜2011)에는 DB 구축사업과 DB내 축적된 선행연구 분석을 병행하여

추진하였다. DB 구축사업 측면에서는 1차연도에 마련된 기본 틀에 검색모듈과 입력모듈을 자동화

내지는 표준화하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였으며, 동시에 선행연구 요약을 진행하면서 도출된

115제5장 결론 및 향후과제 •

••

문제점을 반영하여 입력모듈을 개선하였다. 또한 가치추정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를 위하여

주 메뉴창에 가치추정의 개념과 추정기법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여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환경가

치 DB는 환경가치종합정보시스템(Environmental Valuation Information System, EVIS)이라는

이름으로 3개월간의 시범운영(2010.9.1〜12.31)을 거쳐 2011년 1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홈페이지를 통해 공식적으로 오픈되었다.

4차연도에는 해외 환경가치 DB 분류체계에 대한 문헌검토와 2009년부터 현재까지 환경가치종

합정보시스템(EVIS)에 업데이트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환경가치 DB의 분류체계를 국내 현황에

더욱 적합하도록 수정하였다. 특히 정책분석 지원이라는 DB의 목적을 염두에 두고 생활환경과

자연환경, 추정기법으로 나누어 분야별로 원하는 검색이 가능하도록 분류체계를 설계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분류체계를 새롭게 설계한 부분은 자연환경 분야이다. 우선 3차연도의 생태계 기능/

서비스/편익을 생태계서비스로 수정하였다. 여기에 TEEB 보고서에 제시하고 있는 4가지의 생태계

서비스(공급서비스, 조절서비스, 지지서비스, 문화서비스)를 중분류로 새롭게 추가 설계하였다.

그리고 3차연도의 개별생태계/자연지역은 개별생태계로 수정하였다. 또한 중분류의 강/하천/호수

는 환경적, 지리적인 특성을 고려해 호수를 독립적으로 분류하였고, 도시는 도시생태계로 수정하

였다. 축적된 EVIS의 선행연구를 검토해본 결과 분리되어 있던 보호지역과 자연공원은 선행연구가

서로 중복되어 보호지역/자연공원으로 하나로 통합하였다. 또한 추정기법은 개별 추정기법에

중점을 두어 설계했던 것을 크게 선호체계 접근법과 물리적 접근법으로 양분하여 구분하였다.

선호체계 접근법에는 시장가격법과 현시선호법, 진술선호법, 편익이전을 중분류로 설계하였다.

그리고 현시선호법에는 여행비용법, 헤도닉가격법, 회피행동비용법을 소분류로 설계하고, 진술선

호법에는 조건부가치측정법, 선택실험법으로 설계했다. 선택실험법은 이전의 컨조인트분석법(조

건부선택결정법, 조건부순위결정법, 조건부등급결정법)을 하나의 추정기법으로 수정한 것이다.

물리적 접근법에는 이전에 있던 대체비용법과 새롭게 추가된 복원비용법, 피해비용접근법, 에머지

분석법으로 설계하였다. 또한 기타 카테고리를 추가하여 현 분류체계에 담기 어려운 연구를 포함

할 수 있도록 하였다.

116•••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환경가치종합정보시스템(EVIS)에 축적되어 있는 단위가치들의 활용을 위해 가치확장

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적용절차 및 점검목록에 대해 검토하며 적용사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단위가치의 단위(Unit)에 따라 가치확장의 종류를 구분하고 대상재화의 개별 기능에 대한

단위가치들의 합계를 시도하는 과정까지 넓은 범위의 가치확장에서 다루고 있다. 다양한 연구가

연구대상지로 활용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막고 단위가치 활용 사례를 명확하게

이해하여 비교·분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린벨트 보존의 가치를 추정한 이준구 외(2000)의

연구를 지속적으로 활용하였다. 먼저 가치추정치의 단위가 원/가구인 경우와 원/면적인 경우로

구분하여 가치확장을 실시하였다. 우선 원/가구인 경우에는 모집단 내 및 모집단 외의 가치확장으

로 구분해볼 수 있으며, 각 분류에 대한 절차 및 점검목록을 4단계로 나누어 살펴보고 세부 점검목

록들을 추가하며 이준구 외(2000) 연구를 활용하여 적용사례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가치추정치

가 원/면적인 경우에는 동일하게 4단계의 절차 및 점검목록을 제시하였으나, 현재 DB에 수록된

연구들을 살펴보았을 때 생태계서비스의 한계가치곡선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가치추정치의 단위가 원/면적인 경우에 대한 적용사례를 제시하기 어렵

다. 이것은 과학적 상관관계를 다루는 모듈과 경제적 영향을 분석하는 모듈 사이의 연결고리가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는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측면을 면밀히

검토하고, 이러한 절차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고 향후 관련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함으로써 연구 활성화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고자 한다. 가치확장의 세

번째 분류로서 개별생태계의 서비스들의 가치를 합산하는 적용절차와 적용사례를 산림 및 습지에

대한 DB 구축현황을 살펴본 결과, 특정한 기능에 연구사례가 집중되어 있고 대상지역의 다양한

기능에 대한 가치추정치가 제공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적용사례를 제시하기 위해서는

향후 관련 연구들이 더욱 활성화되고 연구사례들이 확충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DB의 정책적 활용방안으로 가치이전을 소개하고 국내 적용을 위한 원칙을

수립하였으며, 6단계로 구분된 적용절차와 단계별 점검목록을 검토하였다. 이후 가치이전 기법별

로 사례연구를 시도하였고 그 과정에서 기법별 세부 적용절차 및 적용사례를 제시하였다. 가치확

117제5장 결론 및 향후과제 •

••

장의 적용사례 제시에서와 마찬가지로 혼란을 줄이고 사례들 간의 비교·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준구 외(2000)의 연구를 연구대상지로 삼고 단위가치 조정이전 및 가치(수요) 함수이전

을 시도하였다. 이준구 외(2000)의 연구에서는 수도권 그린벨트 중 상대적으로 보존가치가 낮은

것으로 알려진 4등급지와 5등급지 (수도권 그린벨트 총면적의 15%에 해당함)를 보존하기 위한

서울시민들의 지불의사액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책대상지로 대구권 그린벨트를 설정하

고 단위가치 조정이전 기법을 활용하여 이에 대한 대구권 주민들의 지불의사액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가치(수요) 함수이전의 적용사례 또한 동일한 연구를 적용하되, 정책대상지에 관한 시나리

오를 구성하여 시나리오별 가치함수이전 결과를 제시하였다. 환경인식 변수 중 하나의 변수를

조정한 시나리오 1, 사회경제적 변수 중 하나의 변수인 소득을 조정한 시나리오 2, 두 가지 변수를

동시에 조정한 시나리오 3이 그것이다.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은 수질과 공원에 대해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질 부문은 32편의 선행연

구가 EVIS로부터 선별되었고 이로부터 총 75개의 가치추정치를 추출하고 회귀분석에는 58개의

추정치를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로 연구 특성, 대상지 특성, 방법론적 특성만을

고려한 모델과 사회경제적 변수까지 추가로 고려한 모델을 모두 고려하였으나, 사회경제적 변수까

지 고려한 모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였다. 이는 사회경제적 변수를

포함할 경우 사용가능한 관측치의 수가 58개에서 32개로 현저히 감소하는데 일차적인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메타회귀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한강유역의 수질등급 1등급 개선(시나리오

1)과 비한강유역(낙동강, 금강, 영산강)의 수질 3등급 개선(시나리오 2)을 통해 정책대상지를 구성

하였다. 공원 부문은 40편의 선행연구가 EVIS로부터 선별되었고 이로부터 총 122개의 가치추정치

를 추출하였다. 공원 부문에 대한 추정에서는 독립변수로 연구 특성, 대상지 특성, 방법론적 특성뿐

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변수까지 포함한 모델을 추정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

였다. 공원 부문은 정책대상지로 영남 알프스로 불리는 운문산 자연공원을 선정하여 비시장적

가치를 도출하였다.

이번 4차연도 연구는 환경가치 DB의 정책적 활용방안을 구체화하고자 추가적으로 기획되었다.

118•••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이에 구축된 환경가치 DB에 대한 검증 및 추가 업데이트를 기본으로 하여 진행된 연구 결과를

반영하고 DB의 이용의 편리성 및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분류체계 수정을 시도하는 DB 구축사업

측면의 연구 이외에, DB의 정책적 활용에 초점을 두고 활용가능한 유형에 대한 분류를 시도하였으

며 각각의 분류에 대한 적용절차 및 실제 적용사례를 제시하였다. 환경가치의 추정 및 활용은

대상재화에 따라 특수성이 존재하고 정책적 상황이나 수요에 따라서도 변수가 많은 분야이므로

일반화하기가 매우 어려운 부분 중 하나이다. 이러한 측면을 충분히 고려하여 기본 절차 및 실제

활용사례에 대해 하나의 연구대상지를 중심으로 비교 가능하도록 제시했기에 본 연구 결과를

참고 삼아 향후 연구자들이 더욱 완성도 높은 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19제5장 결론 및 향후과제 •

••

2. 향후과제

환경정책 또는 개발사업의 사전평가를 통한 타당성 검토와 사후평가를 통한 성과진단을 위해서

는, 특정 정책/사업으로 인한 물리적 환경영향의 확인은 물론 단순한 (시장)경제성분석에서 벗어나

환경비용과 편익을 고려하는 통합적인 접근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는 환경성분석과

경제성분석이 독립적으로 수행되어 효과적으로 연계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대표적 경제성분석

수단인 비용편익 분석의 경우, 정책/사업의 이행으로 예상되는 물리적 환경영향을 예측하는 환경

성분석이 전제되어야 하고, 그에 따른 환경편익/비용을 분석 틀 안으로 수용하여야 하나, 실질적인

반영은 미흡하여왔고, 대표적 환경성분석 수단인 환경영향 평가의 경우, 사업추진에 따른 환경영

향의 예측과 부정적인 환경영향의 저감방안 마련에 치중되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환경정책/개발사업-물리적환경 영향-환경가치 변화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고려할

때, 환경성분석과 환경편익/비용을 고려한 경제성분석은 큰 틀에서 동시에 맞물려 수행되어야

정책/사업 평가의 완성도를 높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 아래 KEI는 국내 환경가치 선행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고 환경자원/서비스 분류체

계별 단위가치(원단위) 추정치를 체계적으로 DB화하는 연구「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I, II, III」(2009-2011)를 수행한 바 있다. 본 연구는 구축된 환경가치 DB를 기반으로 정책적

활용방안을 구체화 하고자 기획되었으며, 환경가치 DB로부터의 단위가치(원단위) 추정치와 가치

이전 기법을 연계하는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결론적으로 환경가치 DB 구축과 정책적

활용방안이 완료되어 1단계 사업이 마무리 된 셈이다.

1단계 사업을 마무리하면서 환경가치 DB의 2단계 발전방향에 대한 고민도 지속되었다. 문제의

핵심은 환경경제성 분석은 기본적으로 특정정책/사업으로 인한 환경재화/서비스 공급량 변화와

단위가치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요구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환경가치종합정보시스템(EVIS)은 국

내에서 수행된 가치추정 선행연구의 요약정보를 정리하여 DB화하는 작업, 즉 단위가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온전한 환경경제성 분석을 위해서는 환경재화/서비스의 공급량에

대한 연구 및 정보가 체계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배경 아래 2단계 사업은 환경경제통합분석 시스템

120•••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구축에 목표를 두고, 환경가치 DB의 지속적 개선과 함께 경로분석(pathway analysis)에 근거한

부문별 용량반응함수를 체계화하는 방향으로 설계하고자 한다.

2단계 사업의 주요 내용은 환경경제통합분석 절차와 연계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사업은 크게

분석시스템 구축과 연구 부문(<그림 5-1>의 수직 축)으로 구분하여 추진하는 동시에 분석절차

단계별(<그림 5-1>의 수평 축)로 추진하는 이중구조로 설계하였다. 즉, 환경경제통합분석 절차를

모듈화 하여 하나로 연계하는 시스템 구축(부문 E)을 독립적인 축으로 두고, 분석절차 단계별(부문

A, B, C, D) 관련연구를 병행하여 진행한다. 이는 단계별 분석과 시스템 구축간의 피드백 채널을

활성화하고 통합분석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림 상으로는 분석시스템 구축과

부문별 연구가 명확히 구분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설명상의 편의 측면이 강하고 실제로는

연구결과의 양방향 공유가 중요하다.

❚그림 5-1. 환경가치 DB 2단계 연구사업 설계

121제5장 결론 및 향후과제 •

••

먼저 정책/사업 스코핑(부문 A) 부문의 주요 연구내용으로는 의사결정 내용이해를 위한 점검목

록과 기준선 설정 및 환경편익/비용 항목선정을 위한 간이지침을 포함한다. 환경경제통합분석의

스코핑에 해당하며, 분석의 기본 틀을 설정하는 중요한 단계임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검토가 제대

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부문이기도 하다.

환경영향 정량화(부문 B) 부문의 주요 내용은 환경서비스 유형 및 특성에 따른 공급량 측정

방법론 개발 및 사례연구로 요약할 수 있다. 특히 이 부문은 자연환경(생태계)과 생활환경(매체)으

로 구분하여 진행하는 것이 요구되며, 경로분석에 근거하여야 한다. 생태계 부문은 생태계서비스

유형분류와 측정체계와 관련된 연구와 정보의 체계화가 요구되고, 매체 부문은 용량반응함수

관련 연구와 정보의 체계화가 필요하다. 용량반응함수(dose-response function)는 환경교란인

자(정책/사업)로부터 예상되는 물리적 영향 및 수용체 영향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함수를 의미

한다. 용량반응함수는 환경경제성분석의 출발점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환경교란인자로부터

영향받는 주체, 영향의 파급경로, 영향의 크기 등에 대한 연구가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체계화되어

있지 못하고, 또한 정책분석으로의 연계성 없이 진행되어 온 측면이 있다. 따라서 부문별/매체별

용량반응함수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정책평가 틀에 적절한 형태로 수정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특히 환경가치 추정은 용량반응함수의 결과물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용량반응함수와 가치추정 기법의 연계성은 중요한 이슈이다. 환경영향 화폐화(부문

C)의 주요 내용은 환경가치종합정보시스템(EVIS)의 유지 및 개선으로 요약된다. 환경자산/서비

스별 단위가치 업데이트 및 분석, 환경자산/서비스별/매체별 분류체계 세부화를 통한 단위가치

행렬(matrix) 작성, 단위가치 행렬분석을 통하여 선행연구가 미흡한 환경서비스에 대한 가치추정

직접연구 수행 등이 포함된다. 동시에 가치이전 방법론 개선 및 사례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으며, 우수 사례연구의 홍보 및 가치이전 지침서 개발도 병렬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특히 환경영향 정량화(부문 B)와 화폐화(부문 C) 부문의 국내 연구는 통합분석 형태는 아니라

할지라도 고유의 영역 안에서 독립적으로 발전해 왔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2단계 사업은

통합분석을 전제로 하여 환경영향 정량화와 화폐화 간의 연결고리를 강화할 수 있는 방법론 개발

122•••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및 사례연구를 진행함으로써 두 영역 간의 시너지를 제고하는 것이 주요 목표 중의 하나이다.

환경영향 정량화와 화폐화 간의 연결고리 강화 예시를 위하여 건강편익과 생태계편익을 대상으

로 경로분석에 근거한 용량반응함수와 가치추정의 연계 분석 틀을 제시하면 <그림 5-2>와 <그림

5-3>과 같다. 그림의 왼쪽 패널은 스코핑-환경영향 정량화-화폐화의 경로를 보여주고 있고, 오른쪽

패널은 각 단계별 내용을 대략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건강편익 추정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망률

(mortality)과 유병률(morbidity)로 구분하여 진행되고, 해당 질병에 대한 유해성확인, 용량반응함

수, 노출평가, 인체위해성 평가 등이 정량화 부문의 주요 연구내용이다. 정량화 단계의 최종 결과물

에 해당하는 인체위해성 평가결과는 적절한 가치추정 기법 또는 원단위 추정치와 연계되어 화폐화

단계가 완성되는 구조이다. 사망률의 경우 헤도닉임금기법, 회피행동법, 조건부가치측정법을 포함

한 진술선호법, 통계적 생명가치 등이 활용 가능하며, 유병률의 경우 의료비용법, 회피행동법,

진술선호법 등이 적용가능하다.

한편 생태계편익 추정의 경우 새천년생태계평가(MA, 2005)와 생물다양성의 경제학(TEEB,

2010) 등 최근 연구동향을 반영하여, 인간후생 개념이 강조된 ‘생태계서비스’를 중심으로 경로

분석 틀을 제시하였다. 즉, 공급서비스, 조절서비스, 문화서비스를 대상으로 세부항목을 확인하고,

항목별로 위해요인과 서비스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작업이 정량화 단계의 주요 내용이다.

정량화 방법으로는 모델링 또는 지표/지수 접근법 등이 활용될 수 있으며, 일종의 용량반응함수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생태계시스템으로서의 존재가치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는 비사용가치는

물리적 정량화가 어려운 부분이므로 정량화 단계 없이 진술선호법을 활용한 가치추정 단계로

곧바로 진행된다.

종합평가/의사결정(부문 D) 부문의 주요 내용은 불확실성 고려를 위한 방법론 연구와 사업의

특이성 및 정성적 영향평가를 위한 점검목록 마련을 포함한다. 환경경제통합분석 시 정량적 영향

검토에 치우치다 보면 정성적 영향에 대한 분석을 놓치기 쉽다. 그러나 현재 지식수준에서 정량화

가 어렵다고 해서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므로 정성적 영향 검토가 반드시 필요하고, 더불어

통합분석 단계별로 잠재되어 있는 불확실성 요인 등을 점검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합적

123제5장 결론 및 향후과제 •

••

인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관련지침을 구체화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그림 5-2. 경로분석에 근거한 건강편익 추정절차 (예시)

❚그림 5-3. 경로분석에 근거한 생태계편익 추정절차 (예시)

124•••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분석시스템 구축(부문 E)은 연구부문 즉, 정책/사업 스코핑, 환경영향 정량화, 환경영향 화폐화,

종합평가/의사결정 부문의 주요 결과와 지침서를 기반으로 통합분석이 가능하도록 개별모듈 개발

과 개별모듈 간의 연결고리를 구축하여 통합분석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통합분석은

특정 사례연구로부터 출발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부문별 연구결과가 통합분석

에 효과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반대로 통합분석 사례연구로부터의 시사점이

해당 부문에 피드백 될 수 있도록 양방향 의사소통 채널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문 자료>

곽승준, 류문현, 신승식. 2007. 「환경·자원의 경제학적 접근」. 산문출판사.

신용광, 장철수. 2006. 「산림의 공익적 가치와 환원방안에 관한 연구」. 산림청

안소은, 전철현, 배두현. 2010.「환경가치를 고려한 통합정책평가 연구Ⅱ」.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안소은, 윤정호, 배두현. 2009.「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안소은, 배두현, 전철현, 윤정호. 2010.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Ⅱ」.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안소은, 이창훈, 배두현. 2011.「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Ⅲ」.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안소은. 2007a. “우리나라 습지의 환경적 가치: 메타회귀분석”.「자원․환경경제연구」16(1): 65-100.

안소은. 2007b. “메타회귀분석 편익이전 기법을 이용한 휴양가치 추정”.「경제학연구」55(3): 35-62.

이미홍, 김지현. 2009. “그린벨트 제도에 대한 지역별 인식차이에 대한 연구: 제도에 대한 주민의식 및 지불의사

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22(2): 113-135

이준구, 신영철. 2000. “그린벨트의 경제적 가치 측정 -수도권 그린벨트 보존가치를 중심으로”. 「자원·환경경

제연구」9(4):773-799.

이희수. 2010.「메타회귀분석을 이용한 수질보전 지불용의액 도출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정은성, 공기서, 이길성, 유진채. 2008. “실험선택법과 대안 평가지수를 이용한 대안의 편익산정”. 「한국수자원

학회논문집」41(1): 101-113.

조우영, 배두현, 안소은, 김홍석. 2010. “메타회귀분석을 활용한 도시공원의 비시장가치 추정”.「지역연구」.

추재욱. 2010.「부산시 생활용수 수질개선에 대한 지불의사액 추정」. 부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환경부. 2010. 「환경정책기본법」별표 1. 제 3호

<영문 자료>

Brander, L. M., R. J. M. Florax, and J. E. Vermaat. 2003. "The Emprics of Wetland Valuation

: A Comprehensive Summary and a Meta-Analysis of the Literature." Institute for

Environmental Studies, Report Number W-03/30, Amsterdam, The Netherlands.

Cameron, T.A and James, D. 1987. "Efficient estimation method for closed-ended contingent

valuation surveys".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19: 269-276.

참고문헌

126•••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Czajkowski, M., and Ščasný, M., 2010. “Study on benefit transfer in an international setting.

How to improve welfare estimates in the case of the countries' income heterogeneity?”.

Ecological Economics, 69(12):2409-2416.

Desvousges, W.H., F.R. Johnson, and H.S. Banzhaf. 1998. Environmental Policy Analysis with

Limited Information: Principles and Application of the Transfer Method. Edward Elgar

Publishing Limited. UK.

Farley, J. 2008. "The role of prices in conserving critical natural capital" Conservation Biology,

22(6): 1399-1408.

Hanemann, W. M. 1984. "Welfare evaluation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66: 332-341.

McConnell, K. E. 1990. "Models for referendum data: the structure of discrete choice models

for contingent valu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18:

19-34.

Millenium Ecosystem Assessment. 2003.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Muthke, T.K. and Holm-Mueller. 2004. "National and International Benefit Transfer Testing with

a Rigorous Test Procedure".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29: 323-336.

Riganti P. and Nijkamp P. 2005. "Benefit transfers of cultural heritage values: How far can

we go?" Paper presented at the 45th congress of the Europ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rije Universiteit Amsterdam,

Rosenberger, R.S. and J.B. Loomis. 2000. "Using Meta-analysis for Benefit Transfer: In-sample

Convergent Validity Test of an Outdoor Recreation Database". Water Resource Research

36(4): 1097-1107.

Shrestha, R.K. and J.B. Loomis. 2001. “Testing a Meta-analysis Model for Benefit Transfer in

International Outdoor Recreation". Ecological Economics, 39: 67-83.

Smith, V.K. and Y. Karou. 1990. “Signals or Noise? Explaining the Variation in Recreation Benefit

Estimate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72(2): 419-433.

TEEB. 2010. The Economics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

127참고문헌 •

••

<온라인 자료>

국가통계포털: http://www.kosis.kr

국립습지센터 웹사이트: http://www.wetland.go.kr

환경가치종합정보시스템(EVIS) 웹사이트: http://evis.kei.re.kr/

EVRI(Environmental Valuation Reference Inventory) 웹사이트 : http://www.evri.ca

Envalue 웹사이트: http://www.environment.nsw.gov.au/envalue

ESD(Ecosystem Services Database) 웹사이트: http://esd.uvm.edu

RED(Review of Externality Database) 웹사이트: http://www.red-externalities.net

Abstract

Construction of an Environmental Valuation Database

and Analysis of Valuation Studies of Korea Ⅳ

The importance of incorporating environmental value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has increased in Korea. Accordingly, the main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construct an on-line database for environmental valuation studies conducted in

Korea and to assist in related policy assessment by providing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environmental valuation.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four-year

project are to 1) provide classification on environmental assets/services, 2) design

and construct an environmental valuation on-line database, and 3) apply

meta-regression analysis to previous empirical studies to derive implications

regarding the policy assessment.

In 2009, a classification system on environmental assets/services in the Korean

context was devised and presented, and the basic framework of the on-line database

was completed. Subsequently in 2010, input and output modules of the DB have

been standardized and improved. After a test run, Environmental Valuation

Information System (EVIS) was finally launched in 2011 for a public service through

the homepage of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In 2011, preliminary

meta-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on six sectors which had enough

observations, namely water quality, wetlands, inland water, recreation, forests and

parks.

130•••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Ⅳ

The main contents of this year are as follows.

The effort to stabilize the DB continued and a total of 351 valuation studies

conducted in Korea were summarized in the EVIS as of October 31, 2013. A

classification system on environmental assets/services was modified considering the

main purpose of EVIS and ecosystem services. In addition, the concept of 'aggregate

value' and 'value transfer' was suggested to show how to utilize the accumulated

data of EVIS. The type of 'aggregate valu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unit

of the unit value and the process of scaling-up was considered in a wide range

of 'aggregate value'. The guidelines and case studies for each type of 'aggregate

value' were also provided. The concept and guidelines for 'value transfer' were

proposed. There were two basic variants of 'value transfer' which are unit value

transfer and value function transfer; and some variations within these. Case studies

for each variants were provided.

Estimating and utilizing environmental values are difficult to generalize due to

their distinctive character and various variables depending on political situations.

To put these perspectives, the guidelines and case studies are provided to assist

the use of EVIS. The database will assist decision makers in the government and

industry as well as academics in incorporating environmental values into their cost

benefit analyse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oject appraisals, and overall

assessment of changes in environmental quality.

Keywords: Environmental Valuation Database, Value Transfer, Policy Assess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