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131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2014. 12.

Upload: others

Post on 28-Jan-2020

8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2014. 12.

Page 2: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1-1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1.1 적용범위

--설계, 평가 및 보수에 적용함을 -- -- 설계, 평가 및 보수·보강에 적용함을 --

용어의 의미를 명확히 함.

1.2 정의 1.2 용어 오탈자 수정

1.2 용어

가동교 - 차량 또는 선박에 대한 형하공간이 -- 가동교 - 차량 또는 선박에 대한 다리밑공간이 --

용어 수정

극단상황한계상태 극단상황한계상태(Extreme Event Limit States) 영어 병기

극한한계상태 - 항복, 소성힌지의 형성, 골조 또는 부재의 안정성, 인장파괴, 피

로파괴 등 안정성과 최대하중 지지력에 대한 한계상태

극한한계상태 (Ultimate(Strength) Limit State) - 설계수명동안 강도, 안정성

등 붕괴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구조적인 파괴에 대한 한계상태

유사한 용어와 혼선을 막고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해 용어를 수정하고

영어를 병기함.

보수 - 교량의 저항성을 복구하거나 증가시키는 작업 보수·보강 - 교량의 내구성이나 내하력, 강성 등의 역학적 성능을 회복 또

는 향상시키는 작업

용어의 의미를 명확히 함.

사용한계상태 사용한계상태(Serviceability Limit State) 영어 병기

- 여용성(Redundancy) - 부재나 구성요소의 파괴가 교량의 붕괴를 초래하지

않는 성능

용어 추가

연성도 연성(Ductility) 용어 수정 및 영어 병기

- 재료계수 - 5장 콘크리트구조 설계에서 사용하는 저항계수이며, 재료 설계값을

구하기 위하여 재료 기준값에 곱하는 부분안전계수로서 대개 1 보다 작은 값으로

재료저항계수라고도 한다.

용어 추가

저항계수 - 공칭저항에 곱하는 통계기반 계수이며, 일차적으로 재료특성과 구조

물 치수 및 시공숙련도에 있어서의 변동성과 저항의 예측에 있어서의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한 계수이다. 보정과정을 통하여 하중의 통계특성과도 연관되어 있다.

저항계수 - 부재나 재료의 공칭값에 곱하는 통계기반 계수이며, 일차적으로 재료

와 치수 및 시공의 변동성과 저항모델의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한 계수이다. 이

기준에서는 콘크리트구조에 사용하는 저항계수는 재료계수, 그 이외의 모든 경우

에는 저항계수로 용어를 통일한다.

용어의 정의를 수정

- 중요도(Operational Importance) - 도로 기능상 교량의 중요한 정도 용어 추가

- 피로와 파단한계상태(Fatigue and Fracture Limit State)- 반복적인 차량하중

에 의한 피로파괴 및 파단에 관한 한계상태

용어 추가

한계상태 한계상태(Limit State) 영어 병기

1.3.2 한계상태 (1) 일반사항

= 계수저항 : 콘크리트부재에 대하여는 , 그 이외에는

을 적용한다. (여기서, 는 재료의 기준강도)

1.3.2 한계상태 (1) 일반사항

= 계수저항 : 콘크리트부재에 대하여는 , 그 이외에는

을 적용한다. (여기서, 및 는 5장에 정의된 재료계수 및 재료의 기준강도,

및 은 6장, 7장 및 8장에서 적용하는 저항계수 및 공칭저항)

의미가 명확하도록 에 대한 정의 수정

1.3.2 한계상태 (1) 일반사항

= 공칭저항

- 위에서 정의되어 있으므로 삭제

Page 3: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1-2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1.3.2 한계상태 (1) 일반사항

= 저항계수 : 5장, 6장 및 7장에 규정된 바와 같이 공칭저항에 적용하는 통

계적 산출계수.

- 위에서 정의되어 있으므로 삭제

1.3.2 한계상태

(3) ....파단한계상태는 「KSD3515-용접구조물 압연강재」에 제시하고 있는...

1.3.2 한계상태

(3) ...파단한계상태는 「KS D 3515-용접구조물 압연강재」에 제시하고 있는...

오탈자 수정

1.3.4 여용성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다재하-경로구조 연속구조로 한다.

파괴시 교량의 붕괴를 ~~ 여용구조계로 지정한다.

1.3.4 여용성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다재하경로구조 연속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부재는

여용성 분류에 따라 다음의 값을 사용한다.

파괴시 교량의 붕괴를 ~~ 여용구조계로 지정한다.

오탈자 수정

여용/비여용에 대한 적용이 명확치 않으므로 삭제하고 이 내용을 해

설에서 기술함

Page 4: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2 장 설계개요

2-1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2.1 적용범위

~~ 검사성 및 유지관리성에 대한 ~~

2.1 적용범위

~~ 검사 및 유지관리에 대한 ~~

용어 수정

2.2 용어정의 2.2 용어 기준 작성 목차에 맞게 문구 수정

2.3.1 노선 선정

(1) 일반사항

~~ 검토안 중에서 경제적, 공학적, 사회적, 환경적 요인과 ~~

2.3.1 노선 선정

(1) 일반사항

~~ 검토안 중에서 공학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요인과 ~~

문장의 의미가 명확하도록 수정

2.3.2 교량의 배치

(2) 교통안전

① 구조물의 보호

~~ 「도로의 구조 ․ 시설기준에 관한 규칙」(국토해양부)에 제시되어 ~~

③ 구조규격기준

「도로의 구조 ․ 시설기준에 관한 규칙(국토해양부)」의 ~~

④ 노면

교량의 노면은 「도로의 구조 ․ 시설기준에 관한 규칙(국토해양부)」 ~~

2.3.2 교량의 배치

(2) 교통안전

① 구조물의 보호

~~ 「도로의 구조 ․ 시설기준에 관한 규칙」(국토교통부)에 제시되어 ~~

③ 구조규격기준

「도로의 구조 ․ 시설기준에 관한 규칙(국토교통부)」의 ~~

④ 노면

교량의 노면은 「도로의 구조 ․ 시설기준에 관한 규칙(국토교통부)」 ~~

명칭 변경

2.3.3 다리밑공간

(1) 항로상 교량

항로상에 건설되는 교량은 해양항만청 또는 유관기관의 허가를 취득해야 한다.

항해를 위한 수평, 수직 다리밑공간은 해양항만청과 협의하여 설정해야 한다.

(3) 철로상 교량

~~ 철도설계기준(국토해양부), 철도건설규칙(국토해양부)을 만족하도록 ~~

2.3.3 다리밑공간

(1) 하천 혹은 항로상 교량

하천 혹은 항로상에 건설되는 교량의 수평, 수직 다리밑공간은 유관기관과 협의

하여 설정해야 한다.

(3) 철로상 교량

~~ 철도설계기준(국토해양부), 철도건설규칙(국토교통부)을 만족하도록 ~~

하천상의 교량에 대한 기준을 추가하며 문장을 수정함.

명칭 변경

2.5.2.1 내구성

(1)재료

~~ 내후성을 사용하거나, ~~

2.5.2.1 내구성

(1)재료

~~ 내후성 강재를 사용하거나, ~~

용어의 의미를 명확히 하도록 수정

2.5.2.2 검사성

~~ 발생할 수 있는 셀형 구성요소의 내부 및 접촉면에는 ~~

2.5.2.2 검사

~~ 발생할 수 있는 다중박스형 구성요소의 내부 및 연결부에는 ~~

용어의 의미를 명확히 하도록 수정

2.5.2.3 유지관리성 2.5.2.3 유지관리 용어의 의미를 명확히 하도록 수정

Page 5: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2 장 설계개요

2-2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2.5.2.6 처짐

(2) 처짐기준

l 직교이방성 바닥판에 대한 규정은 ~~

~~

l 최대처짐을 조사하는 경우 모든 설계차로에 ~~

~~

I형 강재 보와 거더 그리고 강상자형, 강박스형 거더에서 ~~

2.5.2.6 처짐

(2) 처짐기준

l 직교이방성 강바닥판에 대한 규정은 ~~

~~

l 최대처짐을 조사하는 경우 모든 재하차로에 ~~

~~

I형 강재 보와 거더 그리고 강상자형, 강박스 및 튜브형 거더에서 ~~

문장의 의미가 명확하도록 용어 수정

2.6.4 수리분석

(4) 교량기초

① 일반사항

~~ 기초설계의 구조적, 수리적, 지반역학적 사항들이 ~~

② 교량 세굴

~~ (하천설계기준 37.3 세굴평가 및 세굴방토공 참조) ~~

2.6.4 수리분석

(4) 교량기초

① 일반사항

~~ 기초설계의 구조적, 수리적, 지반공학적 사항들이 ~~

② 교량 세굴

~~ (하천설계기준 37.3 세굴평가 및 세굴방호공 참조) ~~

용어 수정

Page 6: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3 장 하 중

3-1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3.2 용어정의 3.2 용어 기준 작성 목차에 맞게 문구 수정

- 계획차로 - 발주자에 의해 정해진, 교량완공시 계획된 통행차로 용어 추가

노출 - 배의 어떤 부분과 물리적인 충돌에 의한 교량 하부구조 또는 상부구조 부

분의 상태

노출 - 선박의 이물, 갑판 또는 돛대와의 충돌에 대하여, 교량의 하부구조나 상부

구조의 일부가 물리적인 충돌의 대상이 되는 상태

문장 의미 명확하도록 수정

방충재 – 선박의 --- 감소시키므로서 -- 방충재 – 선박의 --- 감소시켜 -- 오타 수정

설계차로 – 도로를 가로지르는 개념상의 차로 재하차로 – 활하중의 재하를 위한 개념상의 차로 용어의 의미를 정확히 하기 위해 용어와 정의를 수정

영구하중 - 완성된 구조물에 영구적으로 작용하는 힘이나 하중 지속하중 - 완성된 구조물에 영구적으로 작용하거나 또는 장기간에 걸쳐서만 변

화하는 또는 그렇게 가정하는 힘이나 하중

용어 수정 및 문장 의미 명확하도록 수정

3.3 기호

= 굴착폭

= 역직벽 요소의 폭

= 기초의 두께

= 단위 점착력

= 탄성계수

= 변형에너지

= 안정수

= 연구에서 얻어진 평균 등가정적 바지선 충격력

= 설계차로폭 (3.6.1 참조)

3.3 기호

= 굴착폭

= 역직벽 요소의 폭

= 기초의 두께

= 단위 점착력

= 탄성계수

= 변형에너지

= 안정수

= 연구에서 얻어진 평균 등가정적 바지선 충격력

= 재하차로폭 (3.6.1.1)

= 발주자에 의해 정해진, 교량완공시 계획된 통행차로의 폭(3.6.1.1)

= 수로의 중심선에서 항로폭 끝단까지의 거리(3.21.6)

= 꺾임 혹은 곡선영역의 회전각도(3.21.5.2), 수평에 대한 벽체 배면

의 각도 (3.11.5 참조)

= 침하에 대한 하중계수(3.4.2)

불필요한 기호를 삭제하였으며 필요한 기호를 추가하였으며, 일괄적으로

기호가 사용된 항번호를 괄호안에 표기하였음

-

= 수로의 중심선에서 호안까지의 거리(3.21.6 참조)

= 꺾임 혹은 곡선영역의 회전각도(3.21.5 참조), 수평에 대한 벽체 배

면의 각도 (3.11.5 참조)

= 침하에 대한 하중계수

3.4.2 하중계수와 하중조합

(3.4.1)

= 하중 또는 하중효과

3.4.2 하중계수와 하중조합

(3.4.1)

= 하중 또는 하중효과

-> 오타 수정

3.4.2 하중계수와 하중조합

극한한계상태 하중조합Ⅲ - 풍속 90 km/hr (25 m/sec)를 초과하는 풍하중을 고

려하는 하중조합.

3.4.2 하중계수와 하중조합

극한한계상태 하중조합Ⅲ - 거더높이에서의 풍속 25 m/s를 초과하는 설계 풍하

중을 고려하는 하중조합.

문장 의미 명확하도록 수정

3.4.2 하중계수와 하중조합

극한한계상태 하중조합Ⅴ- 90 km/hr의 풍속과 일상적인 차량통행에 의한 하중

효과를 고려한 하중조합.

3.4.2 하중계수와 하중조합

극한한계상태 하중조합Ⅴ- 차량 통행이 가능한 최대 풍속과 일상적인 차량통행에

의한 하중효과를 고려한 하중조합.

문장 의미 명확하도록 수정

Page 7: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3 장 하 중

3-2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3.4.2 하중계수와 하중조합

-

3.4.2 하중계수와 하중조합

사용한계상태 하중조합V - 설계수명 동안 작용하는 고정하중과 수명의 약 50%

기간 동안 지속하여 작용하는 하중을 고려한 하중조합이다.

지속하중조합 추가

3.4.2 하중계수와 하중조합

3.4.2 하중계수와 하중조합

오타 수정

3.4.2 하중계수와 하중조합

뒤채움이나, 얕은 기초 또는 깊은 기초의 설치와 관계없이 사면의 전체

안정성은 7.5.2와 7.5.6에서 규정된 적절한 저항계수와 사용한계상태조합1

에 근거하여 평가되어야 한다.

3.4.2 하중계수와 하중조합

뒤채움이나 (콤마 삭제) 얕은 기초 또는 깊은 기초의 설치와 관계없이 사

면의 전체 안정성은 7.5.2와 7.5.6에서 규정된 적절한 저항계수와 사용한

계조합- Ⅰ에 근거하여 평가되어야 한다.

불필요한 콤마 삭제

전체 안정성 해당 절은 7.5.2절임

하중조합 명칭 통일

표 3.4.1

-

표 3.4.1

사용 V 1.00 - - - - - 0.50 - - - - - -

지속하중조합인 사용한계상태 V 추가.

표 3.4.1

LL IM CE BR PL LS CF

이 하중들은 한번에 한가지만 고려피로 - LL, IM & CE만 고려

표 3.4.1

LL IM BR PL LS CF

이 하중들은 한번에 한가지만 고려피로 - LL, IM & CF만 고려

오타 수정

표 3.4.2

EV : 연직토압

• 전체안정

표 3.4.2

EV : 연직토압

• 전체 안정성

오타 수정

표 3.4.2 에 관한 하중계수

PS : 프리스트레스힘

• 비세그멘탈콘크리트교량 하부구조

- 를 사용하는 경우 1.0

- 를 사용하는 경우 0.5

표 3.4.2 에 관한 하중계수

PS : 프리스트레스힘

• 비세그멘탈콘크리트교량 하부구조

- 를 사용하는 경우 0.5

- 를 사용하는 경우 1.0

숫자 오타 수정

3.4.2

경우에는

3.4.2

경우에 는

오타 수정

3.6.1.1 설계차로의 수

연석간의 교폭 에 따른 설계차로의 수 은 표 3.6.1에 따라 결정한다. 이에

따른 설계차로 폭 는 식(3.6.1)과 같이 정한다.

≤ m (3.6.1)

표 3.6.1 설계차로의 수

3.6.1.1 재하차로의 수

(1) 차량활하중의 재하를 위한 재하차로의 수 은 식(3.6.1)과 같다.

의 정수부 (3.6.1)

여기서,

= 연석, 방호울타리(중앙분리대 포함)간의 교폭 (m)

= 발주자에 의해 정해진 계획차로의 폭 (m)

다만, 식(3.6.1)에 의한 이 1이며 가 6.0m이상인 경우에는 재하차로의 수

( )를 2로 한다.

Page 8: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3 장 하 중

3-3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의 범위(m) N 의 범위(m) N

6.0≤<9.1

9.1≤<12.8

12.8≤<16.4

16.4≤<20.1

20.1≤<23.8

2

3

4

5

6

23.8≤<27.4

27.4≤<31.1

31.1≤<34.7

34.7≤<38.4

7

8

9

10

(2) 재하차로의 폭 는 식(3.6.2)와 같다.

≤ m (3.6.2)

(3) 교량 바닥판상의 차도가 중앙분리대 등에 의해 물리적으로 두 부분으로 나누

어져 있는 경우에는 다음을 따른다.

① 두 부분이 영구적인 시설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두 부분의 폭을

각각 고려하여 재하차로의 수와 폭을 정하여야 한다.

② 두 부분이 임시적인 시설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체 차도의 폭

을 고려하여 재하차로의 수와 폭을 정하여야 한다.

3.6.1.2 활하중의 동시재하

이 조항은 설계차로수에 ~~

표 3.6.2

표 3.6.2 다차로재하계수

3.6.1.2 활하중의 동시재하

이 조항은 재하차로수에 ~~

표 3.6.1

표 3.6.1 다차로재하계수

용어 및 표 번호수정

3.6.1.3 설계 차량활하중

~~ 이 하중들은 설계차로 내에서 ~~

3.6.1.3 설계 차량활하중

~~ 이 하중들은 재하차로 내에서 ~~

용어 수정

3.6.1.3.2 표준차로하중

표 3.6.3

표 3.6.3 표준차로하중

3.6.1.3.2 표준차로하중

표 3.6.2

표 3.6.2 표준차로하중

표 번호 수정

3.6.1.3.2 표준차로하중

×

3.6.1.3.2 표준차로하중

×

장경간교량에 대해 하중의 크기를 수정하여 케이블교량설계지침의 값과 동일하

게 함

3.6.1.5 주거더를 설계하는 경우의 설계차량활하중

(3) 설계차로와 각 차로에 ~~

3.6.1.5 주거더를 설계하는 경우의 설계차량활하중

(3) 재하차로와 각 차로에 ~~

용어 수정

3.6.2 피로하중

피로 하중은 세 개의 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중향을 351kN로 환산한

한 대의 설계트럭하중 또는 축하중이다 (그림 3.6.2). 3.7에 규정된 충격

하중도 피로하중에 적용된다.

3.6.2 피로하중

피로의 영향을 검토하는 경우의 활하중은 3.6.1.3.1에서 규정된 표준트럭하중의

80 % 를 적용한다. 이때 적용하는 충격계수는 3.7의 충격하중 조항을 적용한다.

피로트럭의 형태와 중량을 수정

3.6.2 피로하중 3.6.2 피로하중 표 번호 수정

Page 9: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3 장 하 중

3-4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p = 표 3.6.2의 값

표 3.6.2 한 차로에서의 트럭교통량 비율, p

p = 표 3.6.3의 값

표 3.6.3 한 차로에서의 트럭교통량 비율, p

3.6.2.2 빈도

식(3.6.2)

(3.6.2)

3.6.2.2 빈도

식(3.6.3)

(3.6.3)

식 번호 수정

3.6.2.3 피로설계에서의 하중분배

(1) 정밀한 방법

~~ 바닥판의 통행위치나 설계차로의 위치에 ~~

3.6.2.3 피로설계에서의 하중분배

(1) 정밀한 방법

~~ 바닥판의 통행위치나 재하차로의 위치에 ~~

용어 수정

3.6.4 표 3.6.4

등분포하중의 크기

3.6.4 표 3.6.4

등분포하중의 크기(MPa)

단위 추가

3.7.1 일반사항

표 3.7.1 충격하중계수, IM

성 분 IM

바닥판 신축이음장치 모든 한계상태 70%

모든 다른

부재

피로한계상태를 제외한

모든 한계상태25%

피로한계상태 15%

3.7.1 일반사항

표 3.7.1 충격하중계수, IM

성 분 IM

바닥판

신축이음장

치를 제외한

모든 다른

부재

피로한계상태를 제외한

모든 한계상태25%

피로한계상태 15%

바닥판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충격계수는 9장에서 상세히 규정하므로 표 3.7.1

에서는 삭제함.

3.7.3 목재부재

3.6.2.1에 규정된

3.7.3 목재부재

3.7.1에 규정된

오타 수정

3.9 콘크리트의 크리프

-- 변형도는 각각 제5장과 제8장의 규정에 따른다. --

3.9 콘크리트의 크리프

-- 변형도는 각각 제5장 규정에 따른다. --

오타수정

3.13.1.2 설계기준풍속

(3.13.1)

3.13.1.2 설계기준풍속

(3.13.1)

오타 수정

3.13.2.2 태풍이나 ~~

~~ 항력계수 및 거스트계수 ~~

3.13.2.2 태풍이나 ~~

~~ 항력계수 및 거스트계수 ~~

오타 수정

Page 10: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3 장 하 중

3-5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3.14.2 온도경사(TG)

~~ 온도변화에 의한 내부응력과 구조변형은 4.6.6에 의하여 결정하

여야 한다.

3.14.2 온도경사(TG)

~~ 온도변화에 의한 내부응력과 구조변형은 4.6.13에 의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오타 수정

3.18 원심하중 및 제동하중 : CF, BR

도로설계기준(2005)

3.18 원심하중 및 제동하중 : CF, BR

도로설계기준(2012)

최신 규정 적용

3.18 원심하중 및 제동하중 : CF, BR

(2) 제동하중

자동차의 제동하중은 최대하중 효과가 발생되도록 설계차로 위에 재하한 표

준트럭하중의 10%로 하고

3.18 원심하중 및 제동하중 : CF, BR

(2) 제동하중

자동차의 제동하중은 최대하중 효과가 발생되도록 재하차로 위에 재하한 표

준트럭하중의 10%로 하고

용어 수정

3.21.5 연간파괴빈도

= 항로이탈한 선박이 교각이나 상판과 충돌할 기하학적 확률

3.21.5 연간파괴빈도

= 항로이탈한 선박이 교각이나 상부구조와 충돌할 기하학적 확률

용어 수정

3.21.5.2 항로이탈확률

~~

= 배의 통과경로에 평행한 유속성분(단위: km/hr)

3.21.5.2 항로이탈확률

~~

= 배의 통과경로에 평행한 유속성분(단위: km/h)

오타 수정

3.21.7 선박충돌에너지

= 선박의 충돌 에너지(단위 : joule)

3.21.7 선박충돌에너지

= 선박의 충돌 에너지(단위 : J)

오타 수정

3.21.9 선박의 이물손상길이

= 배의 충돌 에너지(단위 : joule)

= 식 3.21.8-1에서 규정된 배의 충격력(단위:N)

3.21.7 선박충돌에너지

= 선박의 충돌 에너지(단위 : J)

= 식(3.21.17)에서 규정된 배의 충격력(단위:N)

오타 수정

3.21.11 교각에 작용하는 바지선의 충격력

× (3.21.24)

3.21.11 교각에 작용하는 바지선의 충격력

× (3.21.24)

오타 수정

3.21.12 바지선의 이물손상길이

= 선박의 충돌 에너지(단위 : joule)

3.21.9 선박의 이물손상길이

= 선박의 충돌 에너지(단위 : J)

오타 수정

Page 11: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4 장 구조해석

4-1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목차

4.6.7 플랜지 유효폭

4.6.7.1 일반사항

4.6.7.2 강거더교

4.6.7.3 상자형 세그멘탈 콘크리트 보 및 단 격실 상자형 현장타설 콘크리트 보

4.6.7.4 현장타설 콘크리트 다중박스거더

4.6.7.5 직교이방성 강바닥판

목차

4.6.7 플랜지 유효폭

4.6.7.1 일반사항

4.6.7.2 상자형 세그멘탈 콘크리트 보 및 단 격실 상자형 현장타설 콘크리트 보

4.6.7.3 현장타설 콘크리트 다중박스거더

4.6.7.4 직교이방성 강바닥판

[삭제] 4.6.7.1의 내용으로 대체할 수 있어 해당내용 삭제

[수정] 절번호 수정

[수정] 절번호 수정

[수정] 절번호 수정

4.2 용어정의 4.2 용어정의

뒤틀림(distortion) - 비틀림 작용 시 박벽보의 면내변형으로 단면의 형상이 일그러

지는 변위모드

뒴(warping) - 보의 투영된 단면형상이 유지되면서 비틀림 작용시 축방향으

로 발행하는 변위모드

[추가] 용의 정의 추가

[추가] 용의 정의 추가

4.5.1 일반사항

구조해석을 위한 해석 모델에는 하중, 기하학적 형상, 재료의 특성, 경계조건 등을

가급적 실제조건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표현하여야 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기초의

응답특성을 포함시켜야 한다. 한계상태 및 하중영향, 그리고 필요한 해석의 정밀도

에 따라 해석 모델을 선정한다.

구조적으로 불연속인 난간, 연석, 중앙분리대와 방호울타리의 강성도는 구조해

석에서 고려하지 않는다. 다만, 구조적으로 연속인 방호울타리는 사용한계상태 및

피로한계상태에 대한 검토와 구조적인 평가 시에만 해석 모델에 포함시킨다.

기초의 해석 모델에는 교량을 지지하는 지반의 성질을 적절히 고려하여야 한다.

4.5.1 일반사항

구조해석을 위한 해석 모델에는 하중, 기하학적 형상, 재료의 특성, 경계조건 등을

가급적 실제조건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표현하여야 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기초의

응답특성을 포함시켜야 한다. 한계상태 및 하중영향, 그리고 필요한 해석의 정밀도

에 따라 해석 모델을 선정한다.

구조적으로 불연속인 난간, 연석, 중앙분리대와 방호울타리의 강성도는 구조해

석에서 고려하지 않는다. 다만, 구조적으로 연속인 방호울타리는 사용한계상태 및

피로한계상태에 대한 검토와 구조적인 평가 시에만 해석 모델에 포함시킨다.

기초의 해석 모델에는 교량을 지지하는 지반의 성질을 적절히 고려하여야 한다.

내진설계의 경우, 전체적인 지반이동과 액상화가 고려되어야 한다.

받침에 들뜸(lift off)이 발생하는 경우, 해석 모델은 해당 받침에서 거더의 연직변위

를 허용하여야 한다.

[추가] 구조해석을 수행하는 경우에 지반여건과 경계조건을

고려하도록 관련내용 추가 (AASHTO 2012 참조)

4.3 기호

= 세로보, 보 혹은 부재의 단면적(mm2) (4.6.3.1) (4.6.11.7)

= 보강재의 전체면적(mm2) (4.6.7.5)

= 짧은 지간의 길이(mm); 복부판 각면의 플랜지폭과 지간길이의 1/4 중

4.3 기호

= 세로보, 보 혹은 부재의 단면적(mm2); 케이블의 단면적 (4.6.3.1)

= 보강재의 전체면적(mm2) (4.6.7.5)

= 짧은 지간의 길이(mm); 복부판 각면의 플랜지폭과 지간길이의 1/4 중

[수정] 미인용구 삭제

Page 12: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4 장 구조해석

4-2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에서 작은 값을 플랜지 유효폭으로 취하였을 경우 유효폭이 변화되는 지

간 부위; 종방향 보강재의 간격 혹은 직교이방성 강상판의 리브 폭(mm)

(4.6.2.6) (4.6.7.3) (4.6.7.5)

= 보의 간격 혹은 변곡점 간이 거리(mm) (4.6.7.5)

= 긴 지간의 길이(mm); 타이어 길이(mm); 보의 폭(mm); 평판요소의 폭

(mm); 복부판 간격의 혹 또는 플랜지 돌출폭; 복부판 어느 한쪽으

로의 플랜지 폭(mm) (4.6.2.6) (4.6.2.8) (4.6.3.1) (4.6.7.2)

(4.6.7.3)

= 특별한 지점단면의 플랜지 유효폭(mm) (4.6.7.3)

= 내부 지간에 대한 플랜지 유효폭을 결정하기 위한 계수.

= 경간의 내부구간에서의 플랜지 유효폭(mm) (4.6.7.3)

= 내부지점 또는 캔틸레버 구간에서의 플랜지 유효폭 (4.6.7.3)

= 연속계수(Continuity factor); 강성도 변수 (4.6.2.8) (4.6.3.1)

= 모멘트 구배 계수 (4.5.3.3 (2))

= 차로 당의 분포 폭(mm) (4.6.2.8) (4.6.3.1)

= 주부재 방향의 휨 강성(N ․ mm2/mm) (4.6.2.8)

= 주부재 직각 방향의 휨강성(N ․ mm2/mm) (4.6.2.8)

= 세로보 및 보의 높이(mm); 부재의 높이(mm) (4.6.3.1)

= 외부거더의 중심선과 차량방호책 또는 연석의 내측단부까지의 거리(mm)

(4.6.3.1)

= 상부구조물의 높이(mm) (4.6.7.3)

= 탄성계수(MPa); 등가폭(mm) (4.5.3.3 (2)) (4.6.4) (4.6.11.7)

= 보재료의 탄성계수 (4.6.3.1)

= 바닥판재료의 탄성계수 (4.6.3.1)

= 분배 수정계수; 각 거더의 무게중심으로부터 설계트럭과 설계차선하중

의 편심거리(mm); 강상판에서의 리브 간격(mm) (4.6.3.1) (4.6.3.2)

(4.6.7.5)

= 보의 중심과와 바닥판 중심 사이의 거리(mm) (4.6.3.1)

= 설계하중에 의한 하중영향 (4.6.3.4)

= 부가하중트럭에 의한 하중영향 (4.6.3.4)

에서 작은 값을 플랜지 유효폭으로 취하였을 경우 유효폭이 변화되는 지

간 부위; 종방향 보강재의 간격 혹은 직교이방성 강상판의 리브 폭(mm)

(4.6.2.6) (4.6.7.2) (4.6.7.4)

= 보의 간격 혹은 변곡점 간이 거리(mm) (4.6.7.5)

= 긴 지간의 길이(mm); 보의 폭(mm); 평판요소의 폭(mm); 복부판 어느

한쪽으로의 플랜지 폭(mm); (4.6.2.6) (4.6.3.1) (4.6.7.2)

= 특별한 지점단면의 플랜지 유효폭(mm) (4.6.7.2)

= 내부 지간에 대한 플랜지 유효폭을 결정하기 위한 계수.

= 경간의 내부구간에서의 플랜지 유효폭(mm) (4.6.7.2)

= 내부지점 또는 캔틸레버 구간에서의 플랜지 유효폭 (4.6.7.2)

= 강성도 변수 (4.6.3.1)

= 모멘트 구배 계수 (4.5.3.3 (3))

= 차로 당의 분포 폭(mm); 복부의 깊이(m) (4.6.3.1)

= 세로보 및 보의 높이(mm); 부재의 높이(mm) (4.6.3.1)

= 외부거더의 중심선과 차량방호책 또는 연석의 내측단부까지의 거리(mm)

(4.6.3.1)

= 상부구조물의 높이(mm) (4.6.7.2)

= 탄성계수(MPa); 등가폭(mm); 1차륜이 분포하는 바닥판의 폭(m)

(4.5.3.3 (2)) (4.6.4) (4.6.2.4)

= 보재료의 탄성계수 (4.6.3.1)

= 바닥판재료의 탄성계수 (4.6.3.1)

= 분배 수정계수; 각 거더의 무게중심으로부터 설계트럭과 설계차선하중

의 편심거리(mm); 강상판에서의 리브 간격(mm) (4.6.3.1) (4.6.3.2)

(4.6.7.5)

= 보의 중심과와 바닥판 중심 사이의 거리(mm) (4.6.3.1)

[수정] 인용 절 수정

[수정] 미인용구 삭제

[수정] 인용 절 수정

[수정] 인용 절 수정

[수정] 인용 절 수정

[수정] 미인용구 삭제

[수정] 인용 절 수정

[수정] 인용 절 수정

[삭제] 미인용구 삭제

[삭제] 미인용구 삭제

[수정] 인용 절 수정

[수정] 인용 절 수정

[삭제] 미인용구 삭제

[삭제] 미인용구 삭제

Page 13: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4 장 구조해석

4-3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 분배계수; 중력가속도(m/s2) (4.6.3.1)

= 한차로의 활하중 분배계수 (4.6.3.4)

= 다중차로 활하중 분배계수 (4.6.3.4)

= 케이블하중의 수평성분(N) (4.6.11.7)

= 바닥의 두께(mm) (4.6.2.3)

= 단면 2차 모멘트(mm4) (4.5.3.3.(2)) (4.6.3.1)

= 기둥의 단면 2차 모멘트(mm4) (4.6.6)

= 들보 혹은 다른 구속 부재의 단면 2차 모멘트(mm4) (4.6.6)

= 극관성모멘트(mm4) (4.6.3.1)

= 등가 스트립의 단면 2차 모멘트(mm4) (4.6.2.5)

= 생 베낭(St. Venant) 비틂상수(mm4) (4.6.3.1)

= 기둥의 유효 길이계수; 아치 리브의 유효길이 계수; 시공형태에 따른 상

수; (4.5.3.3 (2)) (4.6.6) (4.5.3.3 (3)) (4.6.3.1)

= 종방향 강성도 변수(mm4) (4.6.3.1)

= 스트립 강성도 계수(N/mm) (4.6.2.5)

= 바닥판 지간장(mm); 종방향 단부보 지간(mm); 보의 지간장(mm)

(4.6.2.3) (4.6.2.8) (4.6.3.1)

= 지지점의 간격(mm)

= 기둥의 브레이싱이 되지 않은 길이(mm) (4.6.6)

= 들보 혹은 다른 구속 부재의 지지점간의 거리(mm) (4.6.6)

= 실제 지간장과 18000 mm 중 작은 값을 사용한 지간장(mm); 가로보의

변곡점 사이의 길이(mm) (4.6.4) (4.6.7.5)

= 가로보의 변곡점 사이의 길이(mm) (4.6.7.5)

= 등가 지간장 (4.6.7.2)

= 지간장 (4.6.7.2)

= 압축부재의 지점 간 길이(mm); 아치 리브 길이의 1/2(mm) (4.5.3.3

(2)) (4.5.3.3 (3))

= 이차 효과를 고려하여 수정된 설계모멘트(N ․ mm); 온도효과에 의한 부

반력을 저항하는데 필요한 모멘트(N ․ mm) (4.5.3.3 (2))

= 주철근이 차량방향에 직각인 경우 바닥판의 폭 1m에 대한 교축직각방향

= 분배계수; 중력가속도(m/s2) (4.6.3.1)

= 단면 2차 모멘트(mm4) (4.5.3.3.(2)) (4.6.3.1)

= 기둥의 단면 2차 모멘트(mm4) (4.6.6)

= 들보 혹은 다른 구속 부재의 단면 2차 모멘트(mm4) (4.6.6)

= 극관성모멘트(mm4) (4.6.3.1)

= 생 베낭(St. Venant) 비틂상수(mm4) (4.6.3.1)

= 기둥의 유효 길이계수; 아치 리브의 유효길이 계수; 시공방법에 따른 상

수; (4.5.3.3 (2)) (4.6.6) (4.5.3.3 (3)) (4.6.3.1)

= 종방향 강성도 변수(mm4) (4.6.3.1)

= 바닥판 지간장(m); 종방향 단부보 지간(m); 보의 지간장(mm)

(4.6.2.4) (4.6.2.8) (4.6.3.1)

= 원호지간(mm) (4.6.1.2 (4))

= 기둥의 브레이싱이 되지 않은 길이(mm) (4.6.6)

= 들보 혹은 다른 구속 부재의 지지점간의 거리(mm) (4.6.6)

= 실제 지간장과 18000 mm 중 작은 값을 사용한 지간장(mm); 가로보의

변곡점 사이의 길이(mm) (4.6.4) (4.6.7.5)

= 가로보의 변곡점 사이의 길이(mm) (4.6.7.5)

= 고정하중에 대한 바닥판의 지간(m) (4.6.2.7)

= 지간장 (4.6.7.2)

= 압축부재의 지점 간 길이(mm); 아치 리브 길이의 1/2(mm) (4.5.3.3

(2)) (4.5.3.3 (3))

= 이차 효과를 고려하여 수정된 설계모멘트(N ․ mm) (4.5.3.3 (2))

= 주철근이 차량방향에 직각인 경우 바닥판의 폭 1m에 대한 교축직각방향

[삭제] 미인용구 삭제

[삭제] 미인용구 삭제

[삭제] 미인용구 삭제

[삭제] 미인용구 삭제

[삭제] 미인용구 삭제

[수정] 용어 수정

[삭제] 미인용구 삭제

[수정] 인용절 및 단위 수정

[수정] 인용내용 및 인용절 수정

[삭제] 미인용구 삭제

[추가] 인용구 추가

[수정] 미인용구 삭제

Page 14: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4 장 구조해석

4-4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활하중 모멘트(kN ․ m) (4.6.2.4(1))

= 주철근이 차량방향에 평행인 경우 단순 바닥판의 폭 1m에 대한 교축방

향 활하중 모멘트(kN ․ m) (4.6.2.4(2))

= 설계풍하중으로 인한 플랜지에서의 최대 횡방향 모멘트(N ․ mm)

= 큰 횡방향 변위를 발생시키지 않는 중력으로 인한 압축부재에서의 작은

단모멘트. 모멘트가 단일 곡률로 휘는 경우는 양, 이중 곡률로 휘는 경

우는 음이 된다.

(N ․ mm) (4.5.3.3 (2))

= 가로 흔들이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계수하중을 재하시켜 선형 뼈대 해석

으로 구한 압축부재 모멘트, 항상 양의 값을 가진다. (N ․ mm) (4.5.3.3

(2))

= 보다 큰 가로 흔들이를 발생시키는 계수하중을 재하시켜 선형 뼈

대 해석으로 구한 압축부재 모멘트, 양의 값을 가진다.(N ․ mm) (4.5.3.3

(2))

= 보, 세로보, 거더의 개수 (4.6.3.1) (4.6.3.2)

= 콘크리트 박스 거더의 격실 개수 (4.6.3.1)

= 3.6.1.1에 정의된 설계차로 수 (4.6.3.1) (4.6.4) (4.6.3.2)

= 보와 바닥판 사이의 탄성계수비 (4.6.3.1)

= 설계차량활하중의 1후륜하중(kN) (4.6.2.4)

= 설계횡방향 풍압(MPa)

= 오일러(Euler) 좌굴하중 (N) (4.5.3.3.(2))

= 계수축하중(N) (4.5.3.3.(2))

= 지지점에 가해진 횡방향 풍력(N)

= 차로수에 따른 외측거더의 반력계수 (4.6.3.2)

= 사교에서의 종방향 부재단면력의 감소계수 (4.6.4)

= 지지 부재의 간격(mm); 보 또는 복부판의 간격(mm); 지간에 수직한 선

으로부터 측정된 지점의 사각(도) (4.6.2.3) (4.6.3.1)

= 격자부재의 간격(mm) (4.6.2.3)

= 측면요소의 길이(mm)

활하중 모멘트(kN ․ m) (4.6.2.4(1))

= 주철근이 차량방향에 평행인 경우 단순 바닥판의 폭 1m에 대한 교축방

향 활하중 모멘트(kN ․ m) (4.6.2.4(2))

= 큰 횡방향 변위를 발생시키지 않는 중력으로 인한 압축부재에서의 작은

단모멘트. 모멘트가 단일 곡률로 휘는 경우는 양, 이중 곡률로 휘는 경

우는 음이 된다.

(N ․ mm) (4.5.3.3 (2))

= 가로 흔들이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계수하중을 재하시켜 선형 뼈대 해석

으로 구한 압축부재 모멘트, 항상 양의 값을 가진다. (N ․ mm) (4.5.3.3

(2))

= 보다 큰 가로 흔들이를 발생시키는 계수하중을 재하시켜 선형 뼈

대 해석으로 구한 압축부재 모멘트, 양의 값을 가진다.(N ․ mm) (4.5.3.3

(2))

= 보, 세로보, 거더의 개수 (4.6.3.1) (4.6.3.2)

= 콘크리트 박스 거더의 격실 개수 (4.6.3.1)

= 3.6.1.1에 정의된 설계차로 수 (4.6.3.1) (4.6.4) (4.6.3.2)

= 보와 바닥판 사이의 탄성계수비 (4.6.3.1)

= 설계차량활하중의 1후륜하중(kN); 개별부재의 축방향력 (4.6.2.4)

(4.6.2.8) (4.6.6)

= 오일러(Euler) 좌굴하중 (N) (4.5.3.3.(2))

= 계수축하중(N) (4.5.3.3.(2))

= 지지점에 가해진 횡방향 풍력(N) (해설4.6.8.1)

= 짧은 지간 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의 비율 (4.6.2.6)

= 차로수에 따른 외측거더의 반력계수 (4.6.3.2)

= 사교에서의 종방향 부재단면력의 감소계수 (4.6.4)

= 보 또는 복부판의 간격(mm) (4.6.3.1)

[삭제] 미인용구 삭제

[수정] 인용구 추가

[삭제] 미인용구 삭제

[수정] 미인용구 삭제

[추가] 인용구 추가

[수정] 미인용구 삭제

[수정] 미인용구 삭제

[삭제] 미인용구 삭제

Page 15: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4 장 구조해석

4-5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 온도 구배(℃)

= 단면 평균 온도(℃)

= 단면적에 대한 평균 온도(℃)

= 평판형태 요소의 두께(mm); 직교이방성 강상판의 플랜지판의 두께(mm)

(4.6.7.5)

= 강재격자 혹은 주름진 강판의 높이(mm) (4.6.3.1)

= 구조적 덧씌움 두께(mm) (4.6.3.1)

= 콘크리트 슬래브의 두께(mm) (4.6.3.1)

= 최외측 면간의 교폭(mm); 실제 교폭(mm) 단위길이당의 설계풍력

(N/mm); 케이블의 총중량(N) (4.6.3.1) (4.6.4) (4.6.11.7)

= 복부판 간격의 절반과 내민부분의 합(mm) (4.6.3.1)

= (한 차로 재하의 경우 :실제 교폭과 9000 mm 중 작은 값) (두차로 이상

차로 재하의 경우 실제 교폭과 18000 mm 중 작은 값)을 취한 교량 단

면의 수정된 전체 폭(mm) (4.6.4)

= 단면에서의 부재 폭(mm)

= 한차로의 활하중 분배계수에 대해서 지렛대법칙이 사용되지 않으면 1.2

를 사용하고, 지렛대 법칙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1.0을 사용하는 계수

(4.6.3.4)

= 단면의 무게중심으로부터의 수직거리(mm)

= 하중에서 지점까지의 거리(mm) (4.6.2.3)

= 거더의 무게중심으로부터 설계트럭과 설계차선하중의 편심거리(mm)

(4.6.3.2)

= 거더의 무게중심에서 각 들보까지의 수평거리(mm)

= 케이블이 수평과 이루는 각도(도); 온도팽창계수(mm/mm/℃);

일반화된 유연도 (4.6.11.7)

= 하중계수; 일반화된 질량

= 내민 폭 길이(mm)

= 지지된 형상의 처짐에 대한 모멘트 혹은 응력의 확대계수 (4.5.3.3 (2))

s = 지지되지 않은 형상의 처짐에 대한 모멘트나 응력의 확대계수 (4.5.3.3

(2))

= 사교의 사각(도) (4.6.3.1)

= 포아송 비 (4.6.3.1)

= 직교이방성 강상판의 플랜지의 두께(mm) (4.6.7.4)

= 강재격자 혹은 주름진 강판의 높이(mm) (4.6.3.1)

= 구조적 덧씌움 두께(mm) (4.6.3.1)

= 콘크리트 슬래브의 두께(mm) (4.6.3.1)

= 최외측 면간의 교폭(mm) (4.6.3.1)

= 복부판 간격의 절반과 내민부분의 합(mm) (4.6.3.1)

= 1차로 재하의 경우 : 실제 교폭과 9,000 mm 중 작은 값,

2차로 이상 재하의 경우 : 실제 교폭과 18,000 mm 중 작은 값 (4.6.4)

= 등분포 고정하중(kN/m2) (4.6.2.7)

= 거더의 무게중심으로부터 설계트럭과 설계차선하중의 편심거리(mm)

(4.6.3.2)

= 지지된 형상의 처짐에 대한 모멘트 혹은 응력의 확대계수 (4.5.3.3 (2))

s = 지지되지 않은 형상의 처짐에 대한 모멘트나 응력의 확대계수 (4.5.3.3

(2))

= 사교의 사각(도) (4.6.3.1) (4.6.4)

= 포아송 비 (4.6.3.1)

[삭제] 미인용구 삭제

[삭제] 미인용구 삭제

[삭제] 미인용구 삭제

[수정] 미인용구 삭제

[수정] 인용절 수정

[수정] 미인용구 삭제

[수정] 인용내용 수정

[수정] 미인용구 삭제

[수정] 미인용구 삭제

[수정] 미인용구 삭제

[수정] 미인용구 삭제

[수정] 미인용구 삭제

[수정] 미인용구 삭제

[수정] 미인용구 삭제

[수정] 인용절 추가

Page 16: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4 장 구조해석

4-6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 이차 효과를 고려한 설계응력(MPa) (4.5.3.3 (2))

= 에 의한 응력(MPa) (4.5.3.3 (2))

= 에 의한 응력(MPa) (4.5.3.3 (2))

= 압축력 저항계수; 단위길이 당 회전각 (4.5.3.3 (2))(4.6.14)

= 이차 효과를 고려한 설계응력(MPa) (4.5.3.3 (2))

= 에 의한 응력(MPa) (4.5.3.3 (2))

= 에 의한 응력(MPa) (4.5.3.3 (2))

k = 강성감소계수 (4.5.3.3 (2)) [수정] 기호 및 인용내용 수정

4.6 정적 해석

4.6.1 평면 형상의 영향

4.6.1.2 곡선교

(1) 일반사항

폐합단면의 왜곡(distortion)은 구조해석 시 고려되지 않아도 된다.

(3) 다중보로 이루어진 상부구조

기타 하중영향에 관한 다른 규정이 없다면, 수평면에서 곡면을 가지는 현장타설

다중박스 거더교의 경우 한 지간 안에서 중심각 34도 까지는 직선 부재로 이루어

진 단일 등가보로 이상화 할 수 있다.

4.6 정적 해석

4.6.1 평면 형상의 영향

4.6.1.2 곡선교

(1) 일반사항

폐합단면의 뒤틀림(distortion)은 구조해석을 수행하는 경우에 고려하지 않아도 된

다.

원심력 효과는 3.18에 따라 고려한다

(3) 콘크리트 박스거더교

평면 내에서 곡선을 가지는 콘크리트 박스 거더의 경우, 다른 하중 효과가 명시되어

있지 않으면 경간 내에서 중앙 각도가 12°까지는 직선 조립부재들(segments)로 설계

할 수 있다.

평면 내에서 곡선을 가지는 일체형(nonsegmental) 콘크리트 박스 거더교 상부구조

의 경우는 특별히 국소 힘 효과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그림 4.6.1에

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하나의 경간 안에서 중앙 각이 34 ° 까지는 직선 세그멘트로

이루어진 단일 뼈대에 대한 전체적 힘의 효과에 대하여 해석하고 설계할 수 있다. 이

러한 보의 중심선 위치는 단면의 무게중심에서 취한다.

하부 구조가 상부구조와 일체로 결합된 경우, 하부구조의 요소들은 해석모델에 포함

시켜야 하고 수평 곡률과 긴장재 편향(tendon deviation)으로 인한 프리스트레스 마

찰 손실을 허용오차 범위에서 고려하여야 한다.

4.6.1.1 절을 만족시키는 수평 내에서 곡선을 가지는 세그멘탈 콘크리트 박스 거더

상부구조가 하나의 경간 내에서 중앙 각이 12 ° 와 34 ° 사이에 있으면, 모든 세그

먼트의 중앙각이 3.5 ° 이하인 경우 그림 4.6.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여러개의 직선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하나의 뼈대를 가지는 보로 해석될 수 있다. 하부구조와 강결된

구조의 경우 구조물의 적절한 3차원 모델이 사용될 수 있다. 시간 이력과 관계된 콘크

리트 물성에 의한 힘의 재분배를 고려해야 한다.

[수정] 용어 수정 : 왜곡 -> 뒤틀림

일본식 표현을 수정

[수정] 현장타설 박스거더 곡선교의 구조해석에 관한 관련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기술함 (2012 AASHTO 개정내용을

참조)

Page 17: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4 장 구조해석

4-7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4) 다중 강거더교

2) 플레이트 거더교

브레이싱(cross-frame) 또는 다이어프램 부재는 합리적인 방법에 따라 계산된

부재력에 대하여 6.7.4와 6.13에 따라 설계되어야 한다.

브레이싱(cross-frame) 간격은 거더에서 플랜지 횡방향 좌굴을 제한할 수 있

도록 결정되어야 한다.

하나의 경간 안에서 중앙각이 34 ° 를 넘어가거나 일반적이지 않은 형태를 가지고

중앙각의 최대값이 12 ° 를 넘어가는 경우 교량은 검증된 3차원 해석 방법으로 해석

되어야 한다.

그림 4.6.1 중심각의 정의

그림 4.6.2 곡선 콘크리트 박스거더교의

3차원 빼대 모델

(4) 다중 강거더교

2) 플레이트 거더교

수직브레이싱(cross-frame) 또는 다이어프램 부재는 합리적인 방법에 따라 계

산된 부재력에 대하여 6.7.4에 따라 설계되어야 한다.

수직브레이싱 간격은 거더에서 플랜지 횡방향 좌굴을 제한할 수 있도록 결정되어야

한다.

[수정] 용어 수정 : 브레이싱 -> 수직브레이싱

[수정] 미인용구 삭제

Page 18: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4 장 구조해석

4-8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3) 폐단면 박스와 상부개단면(tub) 거더

여기서 원호지간(the arc span), 은 상기 2)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박스거더교는 원호길이와 동일 지간을 가진 하나의 독

립적인 직선 거더로서 해석될 수 있다. 플랜지의 횡방향 휨 효과는 적절한 가정으

로부터 결정되어야하고, 설계 시 고려되어야 한다.

브레이싱(cross-frame) 또는 다이어프램 부재는 6.7.4와 6.13의 규정에 따라

설계되어야 하고, 횡방향 브레이싱 부재는 합리적인 방법에 따라 계산된 부재력에

대하여 6.7.5와 6.13에 따라 설계되어야 한다.

4.6.2 바닥판의 해석방법

4.6.2.3 바닥판의 지간

(가) 직교의 경우 (나) 사교의 경우

그림 4.6.1 단순판 및 연속판의 지간

3) 폐단면 박스와 상부개단면(tub) 거더

여기서 원호지간, 은 상기 2)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박스거더교는 원호길이와 동일 지간을 가진 하나의 독립적

인 직선 거더로서 해석될 수 있다. 플랜지의 횡방향 휨 효과는 적절한 가정으로부터

결정되어야하고, 설계 시 고려되어야 한다.

수직브레이싱 또는 다이어프램 부재는6.7.4의 규정에 따라 설계되어야 하고, 횡

방향 브레이싱 부재는 합리적인 방법에 따라 계산된 부재력에 대하여 6.7.5에 따

라 설계되어야 한다.

4.6.2 바닥판의 해석방법

4.6.2.3 바닥판의 지간

(가) 직교의 경우 (나) 사교의 경우

그림 4.6.3 단순판 및 연속판의 지간

[수정] 중복표기된 영문 삭제

[수정] 중복표기된 영문 삭제

[수정] 미인용구 삭제

Page 19: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4 장 구조해석

4-9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가) 차량진행방향에 직각으로 (나) 차량진행방향에 캔틸레버판이

캔틸레버판이 있는 경우 있는 경우

그림 4.6.2 캔틸레버판의 지간

(4) 사교의 지간은 주철근 방향으로 재는 것으로 한다.

(가) 차량진행방향에 직각으로 (나) 차량진행방향에 캔틸레버판이

캔틸레버판이 있는 경우 있는 경우

그림 4.6.4 캔틸레버판의 지간

(4) 사교의 지간은 주철근 방향으로 재는 것으로 한다.

[수정] 그림 번호 수정

4.6.3 보-슬래브 교량의 근사적 해석방법

4.6.3.1 적용

4.6.3.2 모멘트 및 전단 분배계수

(1) 콘크리트 바닥판을 지지하는 내측거더

4.6.3 보-슬래브 교량의 근사적 해석방법

4.6.3.1 적용

발주자의 동의하에, 표 4.6.3-1에서 제공하는 간이값을 사용할 수 있다.

표 4.6.3-1 4.6.3.2와 4.6.3.3를 위한 간이값

구 분 해당 표간 이 값

a e k f,g,i,j

4.6.4 1.02 1.05 1.09 -

4.6.6 1.03 1.07 1.15 -

4.6.9 0.97 0.93 0.85 -

4.6.4

4.6.7- - -

4.6.3.2 모멘트 및 전단 분배계수

(1) 콘크리트 바닥판을 지지하는 내측거더

[추가] AASHTO 2012를 참고하여 규정 내용 보완,

Page 20: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4 장 구조해석

4-10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보의 형태표 4.6.3

의적용 단면

분배 계수 적용 범위

콘크리트

바닥판,

완전채움

격자 또는

부분채움

격자

바닥판을

지지하는

강재 보

또는 T형 및

더블 T 형

단면

콘크리트

거더

a, e, k,

i, j

일체로

거동하게

서로

연결된

경우

한개 설계차로 재하:

×

두개 이상 설계차로 재하:

×

1100 ≤ ≤ 4900

110 ≤ ≤ 300

6000 ≤ ≤ 73000

≥ 4

4×109 ≤ ≤

3×1012

=3을 사용한 식의 값과 지렛대 법칙

을 사용한 값 중 작은 값 = 3

현장타설

콘크리트

다중박스

d

한개 설계차로 재하:

×

두개 이상 설계차로 재하:

×

2100 ≤ ≤ 4000

18000 ≤ ≤ 73000

≥ 3

만약 > 8 이면

= 8

콘크리트

바닥판을

지지하는

일련의

콘크리트 단일

박스거더

b, c

한개 설계 차로 재하:

두개 이상 설계 차로 재하:

1800 ≤ ≤ 5500

6000 ≤ ≤ 43000

450 ≤ ≤ 1700

≥ 3

지렛대 법칙 사용 S > 5500

다중 보

바닥판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거더

f 한개 설계 차로 재하:

여기서, ≥

두개 이상 설계 차로 재하:

900 ≤ ≤ 1500

6000 ≤ ≤ 37000

5 ≤ ≤ 20

g

일체로

거동하도

록 상호

연결된

경우

h 재하 차로수에 무관하게 적용 :

여기서,

≤ ≤ 일 때

일 때

≤ 45°

≤ 6

g, i, j

접합면에

서 상대

수직변위

일어나지

않을

정도로

연결된

경우

표 4.6.4 내측거더의 휨 모멘트 계산을 위한 차로당 활하중 분배계수

보의 형태표 4.6.3 의적용 단면

분배 계수 적용 범위

콘크리트

바닥판,

완전채움

격자 또는

부분채움

격자

바닥판을

지지하는

강재 보

또는 T형

및 더블 T

형 단면

콘크리트

거더

a, e, k

그리고

일체로

거동하게

서로

연결된

경우 i, j

적용

한개 설계차로 재하:

×

두개 이상 설계차로 재하:

×

1100 ≤ ≤ 4900

110 ≤ ≤ 300

6000 ≤ ≤ 73000

≥ 4

4×109 ≤ ≤

3×1012

=3을 사용한 식의 값과 지렛대 법칙을

사용한 값 중 작은 값 = 3

현장타설

콘크리트

다중박스

d

한개 설계차로 재하:

×

두개 이상 설계차로 재하:

×

2100 ≤ ≤ 4000

18000 ≤ ≤ 73000

≥ 3

만약 > 8 이면

= 8

콘크리트

바닥판을

지지하는

일련의

콘크리트

단일

박스거더

b, c

한개 설계 차로 재하:

두개 이상 설계 차로 재하:

1800 ≤ ≤ 5500

6000 ≤ ≤ 43000

450 ≤ ≤ 1700

≥ 3

지렛대 법칙 사용 S > 5500

다중 보

바닥판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거더

f, g

한개 설계 차로 재하:

여기서, ≥

두개 이상 설계 차로 재하:

900 ≤ ≤ 1500

6000 ≤ ≤ 37000

5 ≤ ≤ 20

h 그리고

접합면에

서 상태

수직변위

일어나지

않을

정도로

연결된

경우 i, j

적용

재하 차로수에 무관하게 적용 :

0.9

여기서,

≤ ≤ 일 때

일 때

기본설계 시 사용할 수 있는 값 :

≤ 45°

≤ 6

표 4.6.4 내측거더의 휨 모멘트 계산을 위한 차로당 활하중 분배계수

[수정] 도로교설계기준 3.6.1.2과 AASHTO LRFD 3.6.1.1.2

의 활하중 동시재하계수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수정계수

적용

Page 21: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4 장 구조해석

4-11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상부구조의 형태

표 4.6.3의 적용단면

한개 설계 차로 재하

두개 이상 설계 차로 재하

적용 범위

콘크리트

바닥판을

지지하는

강재거더

또는 T형 및

더블 T형

단면

콘크리트

거더

a, e, k

i,j

(일체로

거동하게

서로

연결된

경우)

지렛대 법칙

-300 ≤ ≤

1700

=3을 사용한 식의

값과 지렛대 법칙을

사용한 값 중 작은 값

= 3

콘크리트

다중박스거더,

박스 단면

d

≤ 혹은 4.6.3.1에 규정된 전체폭 설계에 대한

조항

콘크리트

바닥판을

지지하는

일련의

콘크리트

b, c 지렛대 법칙

0 ≤ ≤ 1400

1800 < ≤ 5500

보의 형태표 4.6.3

의적용 단면

분배 계수 적용 범위

기본설계 시 사용할 수 있는 값 :

보 형태

중실 직사각형 보

중공 직사각형 보

박스거더

ㄷ형 보

T 형 보

더블 T형 보

0.7

0.8

1.0

2.2

2.0

2.0

강격자

바닥판을

지지하는

강재 거더

a

한개 설계차로 재하:

<100 mm 시 /2760

≥100 mm 시 /3660

두개 이상 설계차로 재하:

<100 mm 시 3/8000

≥100 mm 시 9/30500

≤ 1800 mm

≤ 3200 mm

콘크리트

바닥판을

지지하는 다중

강박스거더

b, c재하차로수에 관계없이 적용:

0.5 ≤

≤ 1.5

(2) 외측거더

= 차로수에 따른 외측거더의 반력계수

표 4.6.5 외측거더의 휨 모멘트 계산을 위한 차로 당 활하중 분배계수

상부구조의 형태

표 4.6.3의 적용단면

한개 설계 차로 재하

두개 이상 설계 차로 재하

적용 범위

콘크리트

바닥판을

지지하는

강재거더

또는 T형 및

더블 T형

단면

콘크리트

거더

a, e, k

그리고

일체로

거동하게

서로 연결된

경우 i, j

적용

지렛대 법칙

-300 ≤ ≤

1700

=3을 사용한 식의

값과 지렛대 법칙을

사용한 값 중 작은 값

= 3

콘크리트

다중박스거더,

박스 단면

d

≤ 혹은 4.6.3.1에 규정된 전체폭 설계에 대한

조항

콘크리트

바닥판을

지지하는

일련의

콘크리트

b, c 지렛대 법칙

0 ≤ ≤ 1400

1800 < ≤ 5500

보의 형태표 4.6.3 의적용 단면

분배 계수 적용 범위

보 형태

중실 직사각형 보

중공 직사각형 보

박스거더

ㄷ형 보

T 형 보

더블 T형 보

0.7

0.8

1.0

2.2

2.0

2.0

강격자

바닥판을

지지하는

강재 거더

a

한개 설계차로 재하:

<100 mm 시 /2760

≥100 mm 시 /3660

두개 이상 설계차로 재하:

<100 mm 시 3/8000

≥100 mm 시 9/30500

≤ 1800 mm

≤ 3200 mm

콘크리트

바닥판을

지지하는

다중

강박스거더

b, c재하차로수에 관계없이 적용:

0.9

0.5 ≤

≤ 1.5

(2) 외측거더

= 차로수에 따른 외측거더의 휨모멘트에 대한 분배계수

표 4.6.5 외측거더의 휨 모멘트 계산을 위한 차로 당 활하중 분배계수

[수정] 용어정의 수정

[수정] 도로교설계기준 3.6.1.2과 AASHTO LRFD 3.6.1.1.2

의 활하중 동시재하계수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수정계수를

내측거더와 동일하게 적용하였으나, 외측거더의 경우 동시재

하계수 적용이 의미가 없어 수정계수를 삭제함.

Page 22: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4 장 구조해석

4-12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상부구조의 형태

표 4.6.3의 적용단면

한개 설계차로 재하 두개 이상 설계 차로 재하 적용 범위

콘크리트 바닥판을 지지하는

강재거더 또는 T형 및 더블 T형 단면

콘크리트 거더

a, e, k

지렛대 법칙

-300 ≤ ≤ 1700

i, j 일체로

거동하게 서로 연결된

경우지렛대 법칙 = 3

콘크리트 다중 박스거더, 박스

단면d

지렛대 법칙

-600 ≤ ≤ 1500 혹은 4.6.3.1에 규정된 전체 폭설계에 대한

조항들

콘크리트 바닥판을

지지하는 일련의 콘크리트 단일

박스거더

b, c 지렛대 법칙

0 ≤ ≤ 1400

지렛대 법칙 > 5500

다중보 바닥판을 지지하는

f, g

≤ 600

상부구조의 형태

표 4.6.3의 적용단면

한개 설계 차로 재하

두개 이상 설계 차로 재하

적용 범위

단일

박스거더지렛대 법칙 > 5500

다중 보 바닥판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박스거더

f, g

≥1.0

≤ 600

다중보 바닥판에 사용된

박스거더 외의

콘크리트 거더

h

지렛대 법칙 지렛대 법칙 N/A

i, j 접합면에서 상대수직변

위가 일어나지

않을 정도로 연결된 경우

강 격자 바닥판을 지지하는 강재 거더

a 지렛대 법칙 지렛대 법칙 N/A

콘크리트 바닥판을 지지하는

다중 박스거더

b, c 표 4.6.4 규정 적용

(3) 사교

표 4.6.8 외측거더 전단력 계산을 위한 차로 당 활하중 분배

상부구조의 형태

표 4.6.3의 적용단면

한개 설계 차로 재하

두개 이상 설계 차로 재하

적용 범위

단일

박스거더지렛대 법칙 > 5500

다중 보 바닥판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박스거더

f, g

≥1.0

≤ 600

다중보 바닥판에 사용된

박스거더 외의

콘크리트 거더

h 그리고 접합면에서 상대수직변

위가 일어나지

않을 정도로 연결된 경우 i, j 적용

지렛대 법칙 지렛대 법칙 N/A

강 격자 바닥판을 지지하는 강재 거더

a 지렛대 법칙 지렛대 법칙 N/A

콘크리트 바닥판을 지지하는

다중 박스거더

b, c 표 4.6.4 규정 적용

상부구조의 형태

표 4.6.3의 적용단면

한개 설계차로 재하 두개 이상 설계 차로 재하 적용 범위

콘크리트 바닥판을 지지하는

강재거더 또는 T형 및 더블 T형 단면

콘크리트 거더

a, e, k 그리고 일체로

거동하게 서로 연결된 경우 i, j

적용

지렛대 법칙

-300 ≤ ≤ 1700

지렛대 법칙 = 3

콘크리트 다중 박스거더, 박스

단면d

지렛대 법칙

-600 ≤ ≤ 1500 혹은 4.6.3.1에 규정된 전체 폭설계에 대한

조항들

콘크리트 바닥판을

지지하는 일련의 콘크리트 단일

박스거더

b, c 지렛대 법칙

0 ≤ ≤ 1400

지렛대 법칙 > 5500

(3) 사교

표 4.6.8 외측거더 전단력 계산을 위한 차로 당 활하중 분배

[수정] 도로교설계기준 3.6.1.2과 AASHTO LRFD 3.6.1.1.2

의 활하중 동시재하계수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수정계수를

내측거더와 동일하게 적용하였으나, 외측거더의 경우 동시재

하계수 적용이 의미가 없어 수정계수를 삭제함.

Page 23: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4 장 구조해석

4-13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상부구조의 형태

표 4.6.3의 적용단면

한개 설계차로 재하 두개 이상 설계 차로 재하 적용 범위

콘크리트 박스거더

≥1.0

다중보 바닥판에 사용된 박스거더 외의 콘크리트

거더

h, i, j 접합면에서 상대수직변

위가 일어나지

않을 정도로 연결된 경우

지렛대 법칙 지렛대 법칙 N/A

강 격자 바닥판을

지지하는 강재 거더

a 지렛대 법칙 지렛대 법칙 N/A

콘크리트 바닥판을

지지하는 다중 강 박스거더

b, c 표 4.6.4의 규정 적용

상부구조의 형태

표 4.6.3의 적용단면

한개 설계차로 재하 두개 이상 설계 차로 재하 적용 범위

다중보 바닥판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박스거더

f, g

≥1.0

≤ 600

다중보 바닥판에 사용된 박스거더 외의 콘크리트

거더

h 그리고 접합면에서 상대수직변

위가 일어나지

않을 정도로 연결된 경우 i, j 적용

지렛대 법칙 지렛대 법칙 N/A

강 격자 바닥판을

지지하는 강재 거더

a 지렛대 법칙 지렛대 법칙 N/A

콘크리트 바닥판을

지지하는 다중 강 박스거더

b, c 표 4.6.4의 규정 적용

4.6.4 슬래브 교에 대한 등가 스트립 폭

(4.6.15)

(4.6.16)

4.6.4 슬래브 교에 대한 등가 스트립 폭

(4.6.15)

(4.6.16)

[수정] 도로교설계기준 3.6.1.2과 AASHTO LRFD 3.6.1.1.2

의 활하중 동시재하계수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수정계수

적용

4.6.6 유효길이계수, K

식 4.6.18와 4.6.19에 대응하는 그림 4.6.3과 4.6.4는 , 그리고 의 관계를

나타내는 차트이며, 이 차트를 사용하여 의 값을 직접 구할 수 있다.

식 4.6.18와 4.6.19 및 그림 4.6.3과 4.6.4에 주어진 차트는 모두 이상화된 지지

조건으로 유도된 것이다. 실제의 조건이 위에서 설명한 이상화된 조건과 현저하게

다를 경우, 그림 4.6.3과 4.6.4의 차트를 사용하면 실제 상황과 맞지 않는 비현실적인

설계가 될 수 있다.

4.6.6 유효길이계수, K

식 4.6.18와 4.6.19에 대응하는 그림 4.6.5와 4.6.6은 , 그리고 의 관계를

나타내는 차트이며, 이 차트를 사용하여 의 값을 직접 구할 수 있다.

식 4.6.18와 4.6.19 및 그림 4.6.5와 4.6.6에 주어진 차트는 모두 이상화된 지

지조건으로 유도된 것이다. 실제의 조건이 위에서 설명한 이상화된 조건과 현저하

게 다를 경우, 그림 4.6.5와 4.6.6의 차트를 사용하면 실제 상황과 맞지 않는 비현실적

인 설계가 될 수 있다.

[수정] 그림번호 수정

Page 24: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4 장 구조해석

4-14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그림 4.6.3 브레이싱이 설치된 뼈대의 유효좌굴계수를 구하기 위한 차트

그림 4.6.4 브레이싱이 없는 뼈대의 유효좌굴계수를 구하기 위한 차트

다음 사항들을 그림 4.6.3, 그림 4.6.4와 함께 고려할 수 있다.

• 그림 4.6.3 및 4.6.4를 이용하여 K를 구할 경우, 모든 절점들은 강결되어 있다는

가정을 전제로 한다.

그림 4.6.5 브레이싱이 설치된 뼈대의 유효좌굴계수를 구하기 위한 차트

그림 4.6.6 브레이싱이 없는 뼈대의 유효좌굴계수를 구하기 위한 차트

다음 사항들을 그림 4.6.5, 그림 4.6.6과 함께 고려할 수 있다.

• 그림 4.6.5 및 4.6.6을 이용하여 K를 구할 경우, 모든 절점들은 강결되어 있다는

가정을 전제로 한다.

[수정] 그림번호 수정

Page 25: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4 장 구조해석

4-15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4.6.7 플랜지 유효폭

4.6.7.1 일반사항

상세한 해석을 수행하지 않거나 혹은 본 설계기준에서 별도의 규정을 제시하지

않은 경우, 모든 한계상태 구조물의 저항성을 산정하기 위하여 합성거동을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유효폭을 여기서 규정한다. 처짐 계산을 계산할 때에는 전체

플랜지폭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 활하중에 대한 처짐계산이 요구될 경우에는

2.5.2.6의 조항을 적용하여야 한다.

플랜지의 유효폭을 계산하는데 사용하는 등가지간장은 단순지지된 지간에서는 실

제 지간장을 사용하고, 연속 지지의 경우에는 고정하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정모멘트

구간의 거리 혹은 부모멘트 구간의 거리 중에서 고려하고 있는 단면이 속한 구간의

거리를 사용한다.

내측거더의 플랜지 유효폭은 다음의 값들 중 가장 작은 값으로 한다.

• 등가지간장의 1/4

• 슬래브 평균두께의 12배 + Max(복부 두께, 주거더 상부플랜지폭의 1/2)

• 인접한 보사이의 평균 간격

외측거더의 플랜지 유효폭은 인접한 내측거더 유효폭의 절반과 다음 값 중의 최

솟값의 합으로 한다.

• 등가지간장의 1/8

• 슬래브 평균두께의 6배 + Max(복부 두께의 절반, 주거더 상부플랜지폭의

1/4)

• 내민부분(overhang)의 폭

4.6.7.2 강거더교

이 조항은 강바닥판교 또는 강-콘크리트 합성거더교에서 주거더의 플랜지로

작용하는 강바닥판 또는 콘크리트 바닥판의 유효폭에 대하여 규정한다.

응력과 변형을 계산하기 위한 플랜지의 유효폭 는 식 (4.6.22), (4.6.23) 또는 그림

4.6.6에 의해 계산하도록 한다. 여기서, 주거더 사이에 있는 플랜지의 폭을 , 주거더의

등가지간장을 로 놓는다.

등가지간장 과 실제의 지간장 과의 관계 및 식 (4.6.22), 식 (4.6.23)의 적용방법을

표 4.6.13에 나타낸다. 여기서, 중간지점과 지간중앙부 사이의 유효폭은 표 4.6.13에 나

타낸 바와 같이 직선적으로 변화한다고 본다.

4.6.7 플랜지 유효폭

4.6.7.1 일반사항

상세한 해석을 수행하지 않거나 혹은 본 설계기준에서 별도의 규정을 제시하지

않은 경우, 모든 한계상태 구조물의 저항성을 산정하기 위하여 합성거동을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유효폭을 여기서 규정한다. 처짐 계산을 계산할 때에는 전체

플랜지폭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 활하중에 대한 처짐계산이 요구될 경우에는

2.5.2.6의 조항을 적용하여야 한다.

플랜지의 유효폭을 계산하는데 사용하는 등가지간장은 단순지지된 지간에서는 실

제 지간장을 사용하고, 연속 지지의 경우에는 고정하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정모멘트

구간의 거리 혹은 부모멘트 구간의 거리 중에서 고려하고 있는 단면이 속한 구간의

거리를 사용한다.

내측거더의 플랜지 유효폭은 다음의 값들 중 가장 작은 값으로 한다.

• 등가지간장의 1/4

• 슬래브 평균두께의 12배 + Max(복부 두께, 주거더 상부플랜지폭의 1/2)

• 인접한 보사이의 평균 간격

외측거더의 플랜지 유효폭은 인접한 내측거더 유효폭의 절반과 다음 값 중의 최

솟값의 합으로 한다.

• 등가지간장의 1/8

• 슬래브 평균두께의 6배 + Max(복부 두께의 절반, 주거더 상부플랜지폭의

1/4)

• 내민부분(overhang)의 폭

4.6.7.2 강거더교 (삭제)

[실무자 질의] 콘크리트 구조기준해설(2012) 3.4.10(1)의 유

효폭과 상이

[의견] 도로교설계기준과 콘크리트 구조기준의 하중특성이

다르므로 AASHTO LRFD와 같은 방식으로 유효폭을 정의

함.

[삭제] 당초 4.6.7.2 강거더교는 도로교설계기준(2010)의 강

교의 유효폭 규정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으며, AASHTO

LRFD를 기준으로 하는 여러 설계사례를 조사한 결과

4.6.7.1으로 당초 4.6.7.2 강거더교를 대체할 수 있어 해당

내용을 삭제함

Page 26: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4 장 구조해석

4-16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유효폭의 변화 상태 구간 등가지간장 적용식

① (거더전장)

:=(4.6.22)

① (지간중앙부)

:=

(4.6.22)

⑤(지간중앙부)

:=

(4.6.22)

③ (중간지점)

:= +(4.6.23)

⑦ (중간지점)

:= +(4.6.23)

②④

⑥⑧

양단의 유효폭을

사용하여 직선적으로

변화한다.

①(지간중앙부)

:=

(4.6.22)

④ (지간중앙부)

:=

(4.6.22)

② (켄틸레버부)

:=

(4.6.23)

양단의 유효폭을

사용하여 직선적으로

변화한다.

표 4.6.13 등가지간장과 적용식

≤ =

= - ⋅

≥ =

(4.6.22)

≤ =

= - + ⋅

≥ =

(4.6.23)

여기서,

= 플랜지의 한쪽 유효폭(mm) (그림 4.6.5)

= 복부판 간격의 1/2 또는 플랜지 돌출폭(mm) (그림 4.6.5)

= 등가지간장(mm) (표 4.6.13)

Page 27: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4 장 구조해석

4-17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그림 4.6.5 플랜지의 유효폭

그림 4.6.6 플랜지의 유효폭 산정

4.6.7.3 상자형 세그멘탈 콘크리트 보 및 단 격실 상자형 현장타설 콘크리트 보

플렌지 유효폭은 다음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실제 플렌지의 폭으로 가정할 수

있다:

4.6.7.4 현장타설 콘크리트 다중박스거더

현장타설 콘크리트 다중박스거더의 유효폭은 각 복부판을 보로 간주하여

4.6.7.1 절에서 규정한 사항에 따라 결정할 수도 있고, 바닥 슬래브의 전체 폭을

유효폭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단부에서 전단지연(shear lag) 효과를 반

드시 검토하여야 한다.

4.6.7.5 직교이방성 강바닥판

종방향 보강재 혹은 종방향 리브의 상부플랜지 역할을 하는 바닥판의 유효폭은

표 4.6.14의 규정을 따른다.

4.6.7.2 상자형 세그멘탈 콘크리트 보 및 단 격실 상자형 현장타설 콘크리트 보

플렌지 유효폭은 다음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실제 플렌지의 폭으로 가정할 수

있다:

4.6.7.3 현장타설 콘크리트 다중박스거더

현장타설 콘크리트 다중박스거더의 유효폭은 각 복부판을 보로 간주하여

4.6.7.1 절에서 규정한 사항에 따라 결정할 수도 있고, 바닥 슬래브의 전체 폭을

유효폭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단부에서 전단지연(shear lag) 효과를 반

드시 검토하여야 한다.

4.6.7.4 직교이방성 강바닥판

종방향 보강재 혹은 종방향 리브의 상부플랜지 역할을 하는 바닥판의 유효폭은

표 4.6.13의 규정을 따른다.

[수정] 절번호 수정

[수정] 절번호 수정

[수정] 절번호 수정

Page 28: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4 장 구조해석

4-18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표 4.6.14 리브가 있는 바닥판의 유효폭

구 분

바닥판의 강성 계산과 고정하중에 의한 휨 효과 계산을 위한 리브의 단면 성질

윤하중에 의한 휨 효과 계산 시 사용하는 리브의 단면치

표 4.6.13 리브가 있는 바닥판의 유효폭

구 분

바닥판의 강성 계산과 고정하중에 의한 휨 효과 계산을 위한 리브의 단면 성질

윤하중에 의한 휨 효과 계산 시 사용하는 리브의 단면치

4.6.11 정밀 해석법

4.6.11.1 일반사항

(1) 교량의 정밀해석법으로 4.4 절에 제시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유한요소법

과 같이 해석영역을 이산화해야 하는 수치 해석법에서는 대상 구조물의 기하

학적, 역학적 거동 특성을 적절히 반영할 수 있도록 적합한 요소를 선택하고,

요소 분할방법, 요소 및 절점의 위치와 개수(총자유도), 절점에 반영되는 하중

값과 경계조건 등을 잘 결정해 주어야 해석결과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형상이 왜곡되거나 변장비가 큰 요소(일반적으로 1:3이상)는 해석의 정밀도를 저

하시키므로 가급적 정사각형 (정삼각형) 혹은 정육면체 (정사면체)에 가까운 요소

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요소 크기와 형상의 급격한 변화는 가급적 피하여야 한

다.

4.6.11 정밀 해석법

4.6.11.1 일반사항

(1) 교량의 정밀해석법으로 4.4 절에 제시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유한요소법

과 같이 해석영역을 이산화해야 하는 수치 해석법에서는 대상 구조물의 기하

학적, 역학적 거동 특성을 적절히 반영할 수 있도록 적합한 요소를 선택하고,

요소 분할방법, 요소 및 절점의 위치와 개수(총자유도), 절점에 반영되는 하중

값과 경계조건 등을 잘 결정해 주어야 해석결과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형상이 왜곡되거나 변장비가 큰 요소(일반적으로 1:3이상)는 해석의 정밀도를 저

하시키므로 2차원 해석에서는 가급적 정사각형 또는 정삼각형 요소를 사용하고, 3

차원 해석에서는 정육면체 또는 정사면체에 가까운 요소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요소 크기와 형상의 급격한 변화는 가급적 피하여야 한다.

[수정] 명확한 의미전달을 위하여 문구 수정

4.6.11.4 박스거더교

(1) 박스거더교는 평면 2차원 형상과 경계조건을 적절히 모델링하여 4.4 구조해석법

(항복선법 제외)에 따라 정밀해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4.6.3의 적용이

가능한 구조물의 경우에는 근사적 해석방법으로 해석할 수 있다.

4.6.11.4 박스거더교

(1) 박스거더교는 평면 2차원 형상과 경계조건을 적절히 모델링하여 4.4 구조해석법

(항복선법 제외)에 따라 정밀해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4.6.3 절의 내용이

적용 가능한 구조물의 경우에는 근사적 해석방법으로 해석할 수 있다.

[수정] 표현 통일을 위하여 인용절 뒤에 ‘절’ 추가 및 문구

수정

4.6.13 온도 해석

단면 내에서의 온도 변화는 3.12.3의 규정을 사용한다.

4.6.13 온도 해석

단면 내에서의 온도 변화는 3.14.3 절의 규정을 사용한다. [수정] 인용절 수정

Page 29: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1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목차

5.1 일반사항

5.1.1 목적 및 범위

5.1.2 용 어

5.1.3 기 호

5.2 설계원칙

목차

5.1 적용범위

5.2 용어

5.3 기호

5.4 설계범위

(이하 5.X > 5.X+2로 일괄 변경)

다른 장들과 포맷 통일을 위하여 2개의 절을 추가하

였으며, 이에 따라 절/표/그림/수식 번호를 모두 수정

하였음

5.1 일반 사항

5.1.1 목적 및 범위

(1) 이 장에서 다루는 콘크리트교량구조설계기준은 무근콘크리트, 철근콘크리

트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 구조물과 그 부대 시설물을 설계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술적 원리와 최소한의 요구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콘크리트

교량 구조물의 안전성, 사용성 및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5.1 적용범위

이 장에서 다루는 콘크리트교량구조설계기준은 무근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와 프리스트

레스트 콘크리트 교량 구조물과 그 부대 시설물을 설계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술적 원리

와 최소한의 요구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콘크리트 교량 구조물의 안전성, 사용성 및 내

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포맷 통일을 위해 변경

5.1.2 용 어 5.2 용어정의 포맷 통일을 위해 변경

5.1.3 기 호 5.3 기호 포맷 통일을 위해 변경

= 프리스트레스 강재의 인장강도(N/mm2MPa)

= 프리스트레스 강재의 기준항복강도(N/mm2MPa)

= 기본정착길이

= 코팅과 같은 추가 표면처리를 하는 경우 5.8.4.2(8)에서 추천하는 최소피복두께

감소값

누락된 기호 추가

5.1.3 기호

5.5.2.2 전단보강철근이 없는 부재

5.5.4.3 전단철근이 없는 슬래브 또는 기둥 기저부의 펀칭전단강도

5.6.3.3 간접 균열 제어

5.6.4.2 직접 처짐 계산을 생략하는 경우

(N/mm2)

5.3 기호

5.7.2.2 전단보강철근이 없는 부재

5.7.4.3 전단철근이 없는 슬래브 또는 기둥 기초판의 뚫림전단강도

5.8.3.3 간접 균열 제어

5.8.4.2 직접 처짐 계산을 생략하는 경우

(MPa)

MPa로 단위통일을 위해 수정

=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설계값( , MPa)

= 콘크리트 설계인장강도 ( , MPa)

= 기준/5.8.4.2(5)에서 추천하는 추가의 피복두께(mm), 일반적으로 0

mm임

= 스테인레스 강재를 사용할 경우 기준/5.8.4.2(6)에서 추천하는 최소

피복두께의 감소값(mm). 일반적으로 0 mm로 추천함.

= 콘크리트 설계압축강도( , MPa)

= 콘크리트 설계인장강도 ( , MPa)

= 스테인레스 강재를 사용할 경우 기준/5.8.4.2(6)에서 추천하는 최소 피복두께의

감소값

콘크리트 설계압축강도 및 설계인장강도에서 계수 포

불필요한 기호 제거 및 설명을 명확히 수정

Page 30: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2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5.2,2.3 재료

(1) 설계에 사용하는 재료의 성질에 관한 기준값은 적절한 시험 방법에 의해 획

득한 실제 실험 자료의 통계적 분포에서 특정한 분위수에 해당하는 값으로

정해야 한다.

(3) 재료의 설계값은 재료 기준값에 재료계수를 곱하여 결정한 값이다.

5.4,2.3 재료

(1) 설계에 사용하는 재료의 성질에 관한 기준값은 적절한 시험 방법에 의해 획득한 실제

실험 자료의 통계적 분포에서 특정한 분위수에 해당하는 값으로 정해야 한다. 이 설계기

준에서 따로 정의하지 않는 경우에는 재료의 성질을 나타내는 값은 공칭값을 사용한다.

(3) 재료의 설계값은 재료 기준값에 재료계수를 곱하여 결정한 값이다.

① 재료계수는 설계상황을 반영하는 각 하중조합에 대해 표 5.4.1에서 주어진 값을 적용

하여야 한다.

② 충분한 품질관리에 의해 보증할 수 있다면, 표 5.4.1에서 주어진 재료계수를 증가시

킬 수 있다.

표 5.4.1 재료계수

하중조합 콘크리트 철근 또는 프리스트레싱 강재

극한하중조합-I, -II, -III, -IV, -V극단상황하중조합-I, -II사용하중조합-I, -III, -IV, -V피로하중조합

0.651.01.01.0

0.901.01.01.0

(1) 설계기준에서 정의하지 않은 경우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 제시

(3) 당초 재료계수에 대한 설명이 5.4.3.2 극한한계상

태에서 설명되고 있었으나, 극한한계 뿐 아니라 사용

한계 및 피로한계까지 적용하는 내용이므로 설계기본

변수정의로 이동하였음. 또한 하중조합 “지속”을 “사용

하중조합-V”로 수정

5.2.2.4 구조물 치수

(1) 하중영향과 저항성능을 산정하는 데 사용하는 구조물 치수에 관련한 설계

값은 특성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2) 구조물의 치수에 관련된 오차가 해당 구조물의 신뢰성에 현저한 영향을 미

칠 경우에 치수의 설계값은 특성값에 변동 편차를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

다.

5.4.2.4 구조물 치수

(1) 하중영향과 저항성능을 산정하는 데 사용하는 구조물 치수에 관련한 설계값은 공칭값

으로 나타낼 수 있다.

(2) 구조물의 치수에 관련된 오차가 해당 구조물의 신뢰성에 현저한 영향을 미칠 경우에

치수의 설계값은 공칭값에 변동 편차를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용어를 수정하여 명확히 함

5.2.3.2 극한한계상태

(1) 검증 항목

① 구조계의 정력학적 평형 한계상태를 검토할 때, 안정화 하중영향 값이 불안

정화 하중영향 값보다 크다는 것을 검증해야 한다.

④ 피로 하중에 의해 유발되는 파괴 한계상태를 검토할 때, 작용 응력진폭에 의

한 누적손상에 의해 파괴되지 않는다는 것을 검증하여야 한다.

⑤ 콘크리트교량을 설계할 때, 3장에서 정의한 부재저항계수는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항상 1.0을 적용하여 극한한계상태를 검증하여야 한다.

(3) 재료저항계수

① 설계상황을 반영하는 각 하중조합에서 한계상태를 검증할 때 적용하는 재료

저항계수는 표 5.2.1에서 주어진 값을 적용하여야 한다.

5.4.3.2 극한한계상태

(1) 검증 항목

① 구조계의 정력역학적 평형 한계상태를 검토할 때, 안정화 하중영향 값이 불안정화 하중

영향 값보다 크다는 것을 검증해야 한다.

④ 콘크리트교량을 설계할 때, 3장에서 정의한 부재저항계수는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항

상 1.0을 적용하여 극한한계상태를 검증하여야 한다.

(1)

① 오타수정

④ 극한한계상태에서 피로한계상태에 대해 설명하고

있어 혼란을 줄 여지가 있으므로 삭제

(3) 극한한계상태에만 적용하는 내용이 아니므로

5.4.2.3으로 이동

Page 31: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3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② 충분한 품질관리에 의해 보증할 수 있다면, 표 5.2.1에서 주어진 재료저항계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표 5.2.1 재료저항계수

하중조합 콘크리트 철근, 또는 프리스트레스 강재

극한하중조합-I, -II, -III, -IV

극단상황하중조합-I, -II

사용하중조합-I, -III, -IV, 지

피로하중조합

0.65

0.85

1.0

1.0

0.95

1.0

1.0

1.0

5.3.1.1 일반사항

(1) 이 절에서 다루는 사항은 기준압축강도가 70 MPa 이하인 보통 및 고강도

콘크리트와 경량콘크리트에 대한 규정을 명시한 것이다.

5.5.1.1 일반사항

(1) 이 절에서 다루는 사항은 기준압축강도가 90 MPa 이하인 보통 및 고강도 콘크리트와

경량콘크리트에 대한 규정을 명시한 것이다.

오타수정

5.3.1.2 강도

(2) 설계에 대한 검증과 콘크리트의 다른 성질을 평가하기 위해서 실제 콘크리

트의 평균압축강도가 필요할 경우가 있다. 충분한 통계 자료가 없다면 평균

압축강도 은 다음과 같이 평가 할 수 있다.

(5.3.1)

여기서, 는 기준압축강도 40 MPa미만의 콘크리트에 대해서는 4 MPa,

기준압축강도 60 MPa이상의 콘크리트에 대해서는 6 MPa이며, 기준압축강

도 40 MPa이상, 60 MPa이하의 콘크리트에 대해서는 두 값에 대한 직선보간

으로 결정한다.

5.5.1.2 강도

(2) 설계에 대한 검증과 콘크리트의 다른 성질을 평가하기 위해서 실제 콘크리트의 평균압

축강도가 필요할 경우가 있다. 충분한 통계 자료가 없다면 평균압축강도 은 다음과 같이

평가 할 수 있다.

(5.5.1)

여기서, 는 평균압축강도와 기준압축강도의 차이로 기준압축강도 40 MPa이하의 콘크리

트에 대해서는 4 MPa, 기준압축강도 60 MPa이상의 콘크리트에 대해서는 6 MPa이며, 기준압축

강도 40 MPa과 60 MPa 사이의 콘크리트에 대해서는 두 값에 대한 직선보간으로 결정한다.

오타수정하여 문구를 명확히 함

5.3.1.2 강도

(3) 재령 일에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시멘트 종류, 온도 및 양생조건에 따라 다

르다. 표준 양생된 콘크리트의 각 재령에서 평균압축강도 는 아래 식을 이

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5.3.2)

여기서 콘크리트 재령에 따라 발현되는 강도 보정 계수는

exp

(5.3.3)

: 재령 일에서 콘크리트 평균압축강도

5.5.1.2 강도

(3) 재령 일에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시멘트 종류, 온도 및 양생조건에 따라 다르다. 표준

양생된 콘크리트의 각 재령에서 평균압축강도 는 아래 식을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5.5.2)

여기서 콘크리트 재령에 따라 발현되는 강도 보정 계수는

exp

(5.5.3)

: 재령 일에서 콘크리트 평균압축강도

: 재령 28일에서 콘크리트 평균압축강도

오타수정

Page 32: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4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 재령 28일에서 콘크리트 평균압축강도

: 콘크리트의 재령(일)

: 시멘트 종류에 따른 상수로

= 0.35 : 1종 시멘트 습윤 양생

= 0.15 : 1종 시멘트 증기 양생

= 0.25 : 3종 시멘트 습윤 양생

= 0.12 : 3종 시멘트 증기 양생

= 0.40 : 2종 시멘트

: 콘크리트의 재령(일)

: 시멘트 종류와 양생방법에 따른 상수로

= 0.35 : 1종 시멘트 습윤 양생

= 0.15 : 1종 시멘트 증기 양생

= 0.25 : 3종 시멘트 습윤 양생

= 0.12 : 3종 시멘트 증기 양생

= 0.40 : 2종 시멘트

5.3.1.2 강도

(4) 콘크리트의 평균인장강도 은 직접인장강도 시험에 의해 구하는 것을 원칙으

로 하나, 부득이한 경우 간접적인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마) 콘크리트 인장강도의 시간에 따른 증진은 시험에 의해서 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적절한 시험을 행하기 어려운 경우 다음의 근사식을 사

용할 수 있다.

· (5.3.8)

여기서, : 식 (5.3.3)의 값

: 가 28일 미만이면

가 28일 이상이면

: 재령 28일 평균인장강도

(5) 경량 골재는 아래의 표 5.3.1의 밀도에 따라 분류한다. 또한 표에는 설계

목적으로 자중이나 고정하중을 계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무근콘크리트와

보통의 철근량을 포함하고 있는 철근콘크리트의 밀도가 주어져 있다.

(7) 경량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보통콘크리트의 평균인장강도 에 다음 계수를

곱하여 얻을 수 있다.

(5.3.9)

여기서, 는 절대 건조 밀도의 상한값이다.

표 5.3.1 경량 콘크리트의 골재 밀도와 설계 단위 질량

5.5.1.2 강도

(4) 콘크리트의 평균인장강도 은 직접인장강도 시험에 의해 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다음에 따라 간접적인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마) 각 재령에서의 콘크리트 인장강도는 시험에 의해서 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적

절한 시험을 행하기 어려운 경우 다음의 근사식을 사용할 수 있다.

· (5.5.8)

여기서, : 식 (5.5.3)의 값

: 가 28일 미만이면

가 28일 이상이면

: 재령 28일 평균인장강도

(5) 경량 골재의 설계 단위질량은 아래의 표 5.5.1의 밀도에 따라 정할 수 있다. 또한 표에

는 설계 목적으로 자중이나 고정하중을 계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무근콘크리트와 보

통의 철근량을 포함하고 있는 철근콘크리트의 밀도가 주어져 있다.

(7) 경량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보통콘크리트의 평균인장강도 에 다음 계수를 곱하여 얻을

수 있다.

(5.5.9)

여기서, 는 절대건조 밀도의 상한값이다.

표 5.5.1 골재 밀도와 경량콘크리트의 설계 기건단위질량

문구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숫자를 명확히 표현하기 위해 1,000단위 숫자 구분기

호 사용하여 수정

Page 33: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5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절대건조 밀도 (kg/m3) 801∼1000

1001∼

1200

1201∼

1400

1401∼

1600

1601∼

1800

1801∼

2000

단위 질량

(kg/m3)

무근콘크리

트1050 1250 1450 1650 1850 2050

철근콘크리

트1150 1350 1550 1750 1950 2150

절대건조 밀도 (kg/m3) 1,001∼1,200

1,201∼1,400

1,401∼1,600

1,601∼1,800

1,801∼2,000

단위

질량

(kg/m3)

무근콘크리

트1,250 1,450 1,650 1,850 2,050

철근콘크리

트1,350 1,550 1,750 1,950 2,150

5.3.1.3 탄성변형

(1)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구성 성분의 탄성계수에 지배된다. 규암을 골재로

사용한 보통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 점에서 구한 할선 탄성계수)의 근

사값은 다음 식으로 평가할 수 있다.

MPa (5.3.10)

여기서, 는 콘크리트의 단위 질량 kgm 이다.

5.5.1.3 탄성변형

(1) 보통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 점에서 구한 할선 탄성계수)의 근사값은 다음 식으로

평가할 수 있다.

MPa (5.5.10)

여기서, 는 콘크리트의 단위 질량 kgm 이다.

불필요한 문구 제거

5.3.1.4 크리프

(5.3.14)

(5.3.15)

′=∑=

exp-+

+ (5.3.24)

5.5.1.4 크리프

(5.5.14)

′ (5.5.15)

′=∑=

exp-+

+ (5.5.24)

표현방식 변경

숫자를 명확히 표현하기 위해 1,000단위 숫자 구분기

호 사용하여 수정

5.3.1.4 크리프 5.5.1.4 크리프

RH=상대습도(%)

누락된 기호설명 추가

5.3.1.6 응력-변형률 관계

(1) 비선형 해석을 위한 응력-변형률 관계

② 식 (5.3.37)과 다르게 표현된 응력-변형률 관계가 사용 콘크리트의 거동을

잘 표현한다면, 이를 적용할 수 있다.

5.5.1.6 응력-변형률 관계

(1) 비선형 해석을 위한 응력-변형률 관계

② 식 (5.5.37)과 다르게 표현된 응력-변형률 관계가 사용 콘크리트의 거동을 잘 표현한다

면, 이를 적용할 수 있다.

표현수정

Page 34: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6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그림 5.3.1 비선형 해석을 위한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곡선

표 5.3.2 비선형 해석을 위한 콘크리트 응력-변형률 곡선의 콘크리트 강도 변화에 따른 계수값

(MPa) 18 21 24 27 30 35 40 50 60 70

(‰) 1.92 2 2.05 2.1 2.2 2.25 2.3 2.45 2.6 2.7

(‰) 3.3 3.2 3.1 3.0

그림 5.5.1 비선형 해석을 위한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곡선

표 5.5.2 비선형 해석을 위한 콘크리트 응력-변형률 곡선의 계수값

(MPa) 18 21 24 27 30 35 40 50 60 70 80 90

(‰) 1.83 1.90 1.97 2.03 2.09 2.18 2.26 2.42 2.57 2.68 2.79 2.80

(‰) 3.3 3.2 3.1 3.0 2.9 2.8

5.3.1.6 응력-변형률 관계

(2) 단면 설계를 위한 응력-변형률 관계

① 휨부재의 단면 설계를 위하여 포물선-직선 형상의 응력-변형률 관계를 사

용할 수 있다.(그림 5.3.2)

≤ ≤ 구간에서,

(5.3.38)

≤ 구간에서, (5.3.39)

여기서, 는 콘크리트에 대한 재료계수로 5.2.3.2에서 정의된 값이며,

은 상승 곡선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지수,

는 최대 응력에 처음 도달할 때의 변형률,

는 극한변형률이다.

콘크리트 강도가 40 MPa 이하인 경우, , , 는 각각 2.0, 0.002, 0.0033

으로 한다. 콘크리트 강도가 40 MPa을 초과할 경우에는 매 10 MPa의 강도 증가에

대하여, , , 의 값을 각각 0.1씩 감소, 0.0001씩 증가, 0.0001씩 감소시킨

다.(표 5.3.3)

≤ (5.3.40)

≥ (5.3.41)

5.5.1.6 응력-변형률 관계

(2) 단면 설계를 위한 응력-변형률 관계

① 휨부재의 단면 설계를 위하여 포물선-직선 형상의 응력-변형률 관계를 사용할 수 있

다.(그림 5.5.2)

≤ ≤ 구간에서,

(5.5.38)

≤ 구간에서, (5.5.39)

여기서, 는 콘크리트에 대한 재료계수로 5.2.3.2에서 정의된 값이며,

은 상승 곡선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지수,

는 최대 응력에 처음 도달할 때의 변형률,

는 극한변형률이다.

콘크리트 강도가 40 MPa 이하인 경우, , , 는 각각 2.0, 0.002, 0.0033으로 한다.

콘크리트 강도가 40 MPa을 초과할 경우에는 매 10 MPa의 강도 증가에 대하여, , 의 값을

0.0001씩 증가시키고 의 값을 0.0001씩 감소시키며, 은 식 (3.43)에 따라 결정한다.(표

5.5.3)

≤ (5.5.40)

≥ (5.5.41)

고강도콘크리트의 특성을 반영하여 부분수정

Page 35: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7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 (5.3.42)

그림 5.3.2 단면설계를 위한 응력-변형률 곡선

표 5.3.3 단면설계를 위한 응력-변형률 곡선의 콘크리트 강도 변화에 따른

계수값

(MPa) 18 21 24 27 30 35 40 50 60 70

2.0 1.9 1.8 1.7

(‰) 2.0 2.1 2.2 2.3

(‰) 3.3 3.2 3.1 3.0

≤ (5.5.42)

그림 5.5.2 단면설계를 위한 응력-변형률 곡선

표 5.5.3 단면설계를 위한 응력-변형률 곡선의 콘크리트 강도 변화에 따른 계수값

(MPa) 18 21 24 27 30 35 40 50 60 70 80 90

2.0 1.92 1.50 1.29 1.22 1.20

(‰) 2.0 2.1 2.2 2.3 2.4 2.5

(‰) 3.3 3.2 3.1 3.0 2.9 2.8

5.3.1.6 응력-변형률 관계

(3) 횡방향으로 구속된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관계

① 구속된 콘크리트는 훨씬 높은 강도와 큰 임계 변형률을 나타내므로, 이러한

경우 유효응력-변형률 관계를 수정하여야 한다. 설계와 관련된 그 밖의 기본

적인 재료특성은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② 별도로 조사된 상세한 자료가 없는 경우, 그림 5.3.3에 보인 것과 같은 응력-

변형률 관계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속된 콘크리트의 압축기준강도 및 변

형률의 증가는 다음 식과 같다.

일 때 (5.3.43)

일 때 (5.3.44)

(5.3.45)

(5.3.46)

여기서, 는 극한한계상태에서 구속에 의해서 발생하는 횡방향 유효 압

축응력이다. 구속은 콘크리트의 횡방향 팽창을 막을 수 있게 적절하게 배치된 폐

합 철근 또는 결속 철근이 소성상태에 도달하여 발휘된다.

5.5.1.6 응력-변형률 관계

(3) 횡방향으로 구속된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관계

① 횡방향철근으로 구속된 휨부재는 횡구속 효과를 고려한 응력-변형률 관계를 사용

하여 휨강도와 변형 성능을 검증할 수 있다. 이때의 횡구속 철근은 심부콘크리트

를 구속할 수 있는 철근상세를 가진 횡방향 철근이어야 한다.

② 별도로 조사된 상세한 자료가 없는 경우, 다음 식으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변형률이

증가된 포물선-직선 형상의 응력-변형률 관계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림 5.5.3)

(5.5.43)

(5.5.44)

(5.5.45)

여기서, 는 극한한계상태에서 구속에 의해서 발생하는 횡방향 유효 압축응력으로

원형후프나 나선철근으로 횡구속된 경우에는 식 (5.5.46a)으로, 사각형띠철근으로 횡구속된

경우에는 식 (5.5.46b)로 구한다.

표현 수정 및 189개의 실험결과와 FIB Model Code

2010의 횡구속 모델을 분석하여,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모델로 수정

Page 36: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8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그림 5.3.3 구속된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관계

(5.5.46a)

m in

(5.5.46b)

여기서, 은 콘크리트 심부체적에 대한 횡구속 철근의 체적비 : ,

는 횡구속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MPa),

는 부재의 축방향으로 측정한 횡구속 철근의 간격(mm),

는 원형 단면의 횡구속 철근 외측표면을 기준으로 한 콘크리트 심부의 단면 치수

(mm),

는 원형 단면의 횡구속 철근 한 개의 단면적(mm),

m in 는 긴변 방향과 짧은 변 방향으로 계산한 사각형 횡구속 띠철근의 체적비(

과 ) 중 작은 값 : ,

는 긴 변 방향으로 배치된 사각형 횡구속 띠철근의 총 단면적(mm),

는 짧은 변 방향으로 배치된 사각형 횡구속 띠철근의 총 단면적(mm),

m in 는 사각형 횡구속 띠철근 외측표면을 기준으로 한 콘크리트 심부의 단면 치수

중에서 작은 값(mm),

m ax는 사각형 횡구속 띠철근 외측표면을 기준으로 한 콘크리트 심부의 단면 치수

중에서 큰 값(mm),

는 후프띠철근의 모서리나 보강띠철근의 갈고리로 구속된 축방향 철근 사이의 중심

간격(mm)으로, 식 (5.3.46b)에는 단면 둘레의 변을 따라 존재하는 모든 를

계산에 포함한다. (그림 5.5.3 참조)

(a) 구속된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관계

Page 37: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9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b) 횡구속된 압축부재

그림 5.5.3 구속된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관계와 횡구속된 압축부재

5.3.1.7 설계압축강도 및 설계인장강도

(1) 설계압축강도

콘크리트의 설계압축강도는 다음 식과 같이 기준압축강도에 재료계수와 유효

계수를 곱하여 구한다.

(5.3.47)

여기서, 는 설계압축강도이고, 는 표 5.2.1에 주어진 콘크리트의 재료계

수이다. 장기하중이 편심으로 작용할 경우의 유효계수로 휨-압축을 받는 부재에

대해 0.85의 값을 취하며, 그 밖의 부재에서는 1.0의 값을 취한다.

5.5.1.7 설계압축강도 및 설계인장강도

(1) 설계압축강도

콘크리트의 설계압축강도는 다음 식과 같이 기준압축강도에 재료계수와 유효계수를 곱하

여 구한다.

(5.5.47)

여기서, 는 설계압축강도이고, 는 표 5.2.1에 주어진 콘크리트의 재료계수이며.

는 유효계수로 0.85다.

수식 및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3.1.7 설계압축강도 및 설계인장강도

(2) 설계인장강도

콘크리트의 휨인장강도를 포함한 설계인장강도는 다음 식과 같이 기준인장강

도에 재료계수를 곱하여 구한다.

(5.3.48)

여기서, 는 설계인장강도이고, 는 표 5.2.1에 주어진 콘크리트의 재료계수이다.

5.5.1.7 설계압축강도 및 설계인장강도

(2) 설계인장강도

콘크리트의 휨인장강도를 포함한 설계인장강도는 다음 식과 같이 기준인장강도에 재료계

수를 곱하여 구한다.

(5.5.48)

여기서, 는 설계인장강도이고, 는 표 5.4.1에 주어진 콘크리트의 재료계수이며,

는 인장강도 유효계수로 콘크리트 압축대의 쪼갬인장강도를 산정할 때 유효계수 값은 0.85를

취하고, 그 외의 경우 유효계수는 모두 1.0을 적용한다.

수식 및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3.1.8 증기양생 콘크리트 재료

(1) 강도

① 콘크리트 요소를 증기 양생하는 경우 28일 이전 일의 콘크리트 압축강도

는 식 (5.3.2)에 온도에 따라 조정한 콘크리트 재령 를 대입하여 구할

수 있다.(식 (5.3.24) 참조) 이 때 계수 는 1.0이하이다. 또한, 증기양생

의 효과는 식 (5.3.49)을 사용할 수 있다.

5.5.1.8 증기양생한 콘크리트 재료

(1) 강도

① 콘크리트 혹은 콘크리트 부재를 증기 양생하는 경우 28일 이전 일의 콘크리트 압축강도

는 식 (5.5.2)에 온도에 따라 조정한 콘크리트 재령 를 대입하여 구할 수 있다.(식

(5.5.24) 참조) 이 때 계수 는 1.0이하이다. 또한, 증기양생의 효과는 식 (5.5.49)을

사용할 수 있다.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3.2.2 특성

(1) 이 설계기준은 KS D 3504 규격에 적합한 성질을 갖는 철근에 적용된다.

5.5.2.2 특성

(1) 이 설계기준의 특성값은 현장에서 철근을 구부리거나 용접할 경우 온도범위가 한국산업

혼란을 없애고자 불필요한 문구를 삭제

Page 38: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10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현장에서 철근을 구부리거나 용접할 경우 온도범위는 한국산업규격에서 허

용하는 범위이내로 제한하여야 한다.

(2) 이 설계기준에 있는 설계 및 상세 규정은 설계기준항복강도, MPa 이하의

철근에만 유효하다. 단, 내진설계에 적용하는 경우 8장의 내용에 따르도록 한다.

(3) 부착과 정착 - 이형철근의 표면 형상은 철근이 설계강도에 도달할 때까지

철근과 콘크리트의 적절한 부착이 확보되도록 제작하여야 한다. 이형철근의

표면형상이 KS D 3504의 규격을 만족하는 경우 그 철근은 충분한 부착강도

를 갖고 있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다른 표면 형상을 갖는 보강재의 부착

특성은 반드시 검증되어야 한다. 또한, 용접철망의 정착길이에서의 용접점

의 강도는 적절하여야 한다.

(4) 강도 - 철근의 기준항복강도 (또는 : 0.2% 오프셋 항복강도) 와 인장강도

는 각각 항복하중의 기준 값과 직접 1축 인장의 최대하중을 공칭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한다. 실제 시험을 통하여 얻어지는 항복 응력은 기준항복강도

의 1.3배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5) 연성 - 항복강도에 대한 인장강도의 비 와 최대하중에서의 극한변형률

로 정의되는 철근의 적절한 연성을 확보하여야한다. 일반적으로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적절한 연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며 극한 변형률

여기서, 는 최대하중을 받을 때의 변형률이다.

또한, 철근은 적절한 굽힘 가공성을 가져야한다.

그림 5.3.4는 일반적인 열간압연가공 및 냉간 압연 가공 강재에 대한 응력-

변형률 곡선을 보인 것이다.

(6) 용접

① 모든 용접은 KS D 0816-0892의 규격에 따라 수행하여야 하며, 그 용접성

은 KS B 0804 를 따라야 한다.

② 용접철망의 정착 길이를 따라 있는 용접 연결부의 강도는 충분하여야 한

다.

③ 용접철망의 용접 연결부에 있어서 각 연결부가 규정된 기준항복강도와 공

칭 단면적을 곱한 값의 30% 이상의 전단력을 견딘다면 그 강도가 적절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철망의 두 강선의 지름이 다른 경우 이 힘은 더

굵은 강선의 단면적에 기초하여 구한다.

(7) 피로 - 피로강도가 요구되는 경우 KS B 0802에 따라 검증되어야 한다.

표준에서 허용하는 범위내에 있을 때 적용된다.

(2) 이 설계기준에 있는 설계 및 상세 규정은 설계기준항복강도 MPa 이하의 철근에만 유효

하다. 단, 내진설계에 적용하는 경우 8장의 내용에 따르도록 한다.

(3) 철근의 기준항복강도 (또는 : 0.2% 오프셋 항복강도)와 인장강도 는 각각 항복하중

의 기준값과 직접 1축 인장의 최대하중을 공칭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한다. 실제 시험

을 통하여 얻어지는 항복 응력은 기준항복강도의 1.3배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보통 철근

의 응력-변형률 관계는 그림 5.5.4와 같다.

(4) 용접

① 모든 용접은 KS D 0816-0892의 규격에 따라 수행하여야 하며, 그 용접성은 KS B

0804 를 따라야 한다.

② 용접철망의 정착 길이 내의 용접 연결부의 강도는 충분하여야 한다.

③ 용접철망의 용접 연결부에 있어서 각 연결부가 규정된 기준항복강도와 공칭 단면적

을 곱한 값의 30% 이상의 전단력을 견딘다면 그 강도가 적절한 것으로 가정할 수 있

다. 철망의 두 강선의 지름이 다른 경우 이 힘은 더 굵은 강선의 단면적에 기초하여

구한다.

(5) 피로강도가 요구되는 경우 KS B 0802에 따라 검증되어야 한다.

Page 39: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11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그림 5.3.4 보통 철근의 응력-변형률 관계

그림 5.5.4 보통 철근의 응력-변형률 관계5.3.2.3 설계 가정

(1) 설계는 철근의 공칭단면적과 5.3.2.2에 주어진 기준강도로부터 도출된 설계

강도에 기초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철근의 설계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5.3.50)

(2) 철근의 항복 이후 응력-변형률 관계는 극한변형률까지 수평 직선으로 가정

하여 설계에 사용할 수 있다. (그림 5.3.5 참조)

(3) 철근의 평균 단위 질량은 7850 kgm으로 간주할 수 있다.

(5) 철근의 열팽창계수는 × ℃ 로 가정할 수 있다. 이 값과 콘크리트 열팽

창계수 값과의 차이는 일반적으로 무시해도 좋다.

그림 5.3.5 철근의 설계 응력-변형률 선도

5.5.2.3 설계 가정

(1) 설계는 철근의 공칭단면적과 5.5.2.2에 주어진 기준강도로부터 도출된 설계항복강도에

기초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철근의 설계항복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5.5.50)

(2) 부재의 극한한계상태에서 변형을 검토할 필요가 없을 경우 철근의 항복 이후 응력-변

형률 관계는 그림 5.5.5에 보인 수평 직선으로 가정하여 설계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극한한계상태에서 변형률을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그림 5.5.5에 보인 항복점 이

후 변형률 한계 까지 기울기를 갖는 응력-변형률 곡선을 사용해야 한다.

(3) 철근의 평균 단위 질량은 7,850 kgm으로 간주할 수 있다.⋯

(5) 철근의 열팽창계수는 × ℃로 가정할 수 있다. 이 값과 콘크리트 열팽창계수 값과

의 차이는 일반적으로 무시해도 좋다.

e

f

eyd

kfy

kfsfy

eud euey

fyfyd

변형률 한계상태검증불필요한 경우

변형률 한계상태검증불필요한 경우

이상화한 응력-변형률관계

그림 5.5.5 철근의 설계 응력-변형률 관계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3) 숫자를 명확히 표현하기 위해 1,000단위 숫자 구

분기호 사용하여 수정

(5) 표현 방식을 변경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3.3.1 일반

(1) 이 절은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프리스트레싱 긴장재로 사용되는 강선, 강봉

및 스트랜드에 적용된다.

(2) 프리스트레싱 긴장재는 그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결함이 없어야 한다.

(3) 프리스트레싱 긴장재는 응력 부식이 일어날 가능성이 충분히 낮은 수준이

5.5.3.1 일반

(1) 이 절은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프리스트레싱 긴장재로 사용되는 강선, 강봉 및 스트랜드

에 적용된다.

(2) 프리스트레싱 강재는 그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결함이 없어야 한다.

오타 및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Page 40: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12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어야 한다.

(4) 프리스트레싱 긴장재는 KS D 7002(PC 강선 및 PC강연선) 및 KS D 3505(PC

강봉) 혹은 동종의 강재에 적용되는 KS에 규정된 품질시험에 준한 시험을 행하

여 품질을 조사, 확인하고 인장강도, 기준항복강도 등을 정하여야 한다. 특히 일

반적이지 않은 고강도의 PS강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연 파괴의 검토 등 설계

와 시공 상의 주의사항에 대해 별도의 검토가 필요하다.

(5) 프리스트레싱 긴장재의 성질에 대한 요구조건은 긴장재가 부재 내에서 최

종적인 위치에 배치되는 재료인 경우에 대한 것이다. 프리스트레싱 긴장재

의 생산방법, 시험 및 인증의 적합성이 관련 KS 규격을 따르는 경우 그 긴장

재는 이 설계기준의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6) 이 설계기준을 따르는 프리스트레싱 강재는 인장강도, 기준항복강도( 또는

: 0.2% 오프셋 항복강도), 최대하중에서의 신장량이 기준값의 항으로 규정

될 수 있으며, 그 값은 각각 , 및 로 나타낸다.

(7) 및 는 각각 구조물에 쓰일 때 요구되는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성질에 기초

한 기준인장강도 및 기준항복강도 값으로서 이들 두 값 사이에는 직접적인 관계

는 없다.

(8) 각 제품은 5.3.3.2(2)의 구분 체계에 따라 명확히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9) 프리스트레싱 긴장재는 릴랙세이션에 관한 성질에 따라, 또는 관련 KS 규

격에 따라 구분되어야 한다.

(10) 모든 제품의 배송은 5.3.3.2(2)의 (가)-(라)에 따라 제품의 구분에 필요

한 정보가 전부 포함된 증명서를 포함하여야 하며,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정보도 함께 포함되어야 한다.

(11) 강선 및 강봉에 용접부가 있어서는 안 된다. 스트랜드의 개별 강선은 냉간

인발 이전에 만들어진 엇갈림(staggered) 용접부만을 포함할 수 있다.

(12) 코일 형태의 긴장재는 일정 길이를 풀어 놓은 후에 강선 또는 강연선의 최

대 굽힘 높이(bow height)가 관련 KS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다.

(3) 프리스트레싱 강재는 KS D 7002(PC 강선 및 PC강연선) 및 KS D 3505(PC 강봉) 혹

은 동종의 강재에 적용되는 KS에 규정된 품질시험에 준한 시험을 행하여 품질을 조사,

확인하고 인장강도, 기준항복강도 등을 정하여야 한다. 특히 고강도의 프리스트레싱 강

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연 파괴의 검토 등 설계와 시공 상의 주의사항에 대해 별도

의 검토가 필요하다.

(4) 프리스트레싱 긴장재의 성질에 대한 요구조건은 긴장재가 부재 내에서 최종적인 위치

에 배치되는 재료인 경우에 대한 것이다. 프리스트레싱 강의 생산방법, 시험 및 인증의

적합성이 관련 KS 규격을 따르는 경우 그 긴장재는 이 설계기준의 요구조건을 만족하

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5) 이 설계기준을 따르는 프리스트레싱 강재는 인장강도, 기준항복강도, 최대하중에서의

신장량으로 규정될 수 있으며, 그 값은 각각 , 및 로 나타낸다. 항복점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 0.2% 오프셋 항복강도를 항복강도로 쓸 수 있다(=).

(6) 및 는 각각 구조물에 쓰일 때 요구되는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성질에 기초한 기준인장

강도 및 기준항복강도 값으로서 이들 두 값 사이에는 직접적인 관계는 없다.

(7) 각 제품은 5.5.3.2(2)의 구분 체계에 따라 명확히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8) 프리스트레싱 강재는 릴랙세이션에 관한 성질에 따라, 또는 관련 KS 규격에 따라 구분

되어야 한다.

(9) 모든 제품의 배송은 5.5.3.2(2)의 ① ~ ④에 따라 제품의 구분에 필요한 정보가 전부 포함된

증명서를 포함하여야 하며,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정보도 함께 포함되어야 한다.

(10) 강선 및 강봉에 용접부가 있어서는 안 된다. 스트랜드의 개별 강선은 냉간 인발 이전에 만들

어진 엇갈림(staggered) 용접부만을 포함할 수 있다.

(11) 코일 형태의 긴장재는 일정 길이를 풀어 놓은 후에 강선 또는 강연선의 최대 굽힘 높

이(bow height)가 관련 KS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다.

5.3.3.2 특성

(7) 릴랙세이션

②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릴랙세이션에 의한 손실의 설계 계산은 평균기온 20℃

에서 긴장한 이후 1000시간이 경과하였을 때의 릴랙세이션 손실인 (%)

값에 기초하여야 한다. 여기서, 값은 초기 응력에 대하여 백분율로 표시

5.5.3.2 특성

(7) 릴랙세이션

②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릴랙세이션에 의한 손실의 설계 계산은 평균기온 20℃에서 긴

장한 이후 1,000시간이 경과하였을 때의 릴랙세이션 손실인 (%) 값에 기초하여야

한다. 여기서, 값은 초기 응력에 대하여 백분율로 표시되며, 초기응력을 와 같

숫자를 명확히 표현하기 위해 1,000단위 숫자 구분기

호 사용하여 수정

수식의 표현방식을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Page 41: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13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되며, 초기응력을 와 같게 놓고 얻는다. 는 프리스트레싱 강재 시편의

인장강도이다. 설계 계산을 할 때는 기준인장강도( )를 사용하여야 한다.

④ 릴랙세이션 손실은 초기 프리스트레싱 응력에 대한 프리스트레싱 응력 변화의

백분율로 정의된다. 릴렉세이션 손실은 다음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식

(5.3.51) 및 식 (5.3.52)는 보통 프리스트레싱을 하는 강선 또는 스트랜드 및

저 릴랙세이션 긴장재에 각각 적용되며, 식 (5.3.53)는 열연강봉에 적용된다.

Class 1:

(5.3.51)

Class 2:

(5.3.52)

Class 3:

(5.3.53)

여기서, 프리스트레스의 변화량

초기 응력(5.4.7.2(1) 참조)

여기서 : 프리텐셔닝 부재의 경우 정착장치의 활동에 의한 손실을 초기

프리스트레싱 응력에서 빼도 좋다.(5.4.7.4(1)① 긴장작업 시의 손실

참조)

긴장 이후 경과 시간(시간)

, 여기서 는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기준인장장강도.

평균기온 20℃,에서 긴장 이후 1000시간이 경과하였을 때의 릴랙

세이션 손실(%)

게 놓고 얻는다. 는 프리스트레싱 강재 시편의 인장강도이다. 설계 계산을 할 때는 기준

인장강도( )를 사용하여야 한다.

④ 릴랙세이션 손실은 초기 프리스트레싱 응력에 대한 프리스트레싱 응력 변화비율로

정의된다. 릴렉세이션 손실은 다음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식 (5.5.51) 및 식

(5.5.52)는 보통 릴랙세이션 긴장재와 저 릴랙세이션 긴장재에 각각 적용되며, 식

(5.5.53)는 열연강봉에 적용된다.

Class 1:

(%) (5.5.51)

Class 2:

(%) (5.5.52)

Class 3:

(%) (5.5.53)

여기서, 릴랙세이션에 의한 프리스트레스의 변화량

= 초기 프리스트레스트 응력(5.6.7.3(1) 참조)

여기서 프리텐셔닝 부재의 경우 정착장치의 활동에 의한 손실을 초기

프리스트레싱 응력에서 빼도 좋다.(5.6.7.4(1)① 긴장작업 시의 손실 참조)

긴장 이후 경과 시간(시간)

, 여기서 는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기준인장강도.

평균기온 20℃,에서 긴장 이후 1,000시간이 경과하였을 때의 릴랙세이션 손실

(%)

5.3.3.2 특성

(7) 강재 응력에 대한 설계값은 이상화된 특성선도를 프리스트레싱 강재에 대

한 재료계수 를 곱하여 구한다.(5.2.3.2 참조)

5.5.3.2 특성

(7) 강재 응력에 대한 설계값은 이상화된 응력-변형률 곡선을 프리스트레싱 강재에 대한

재료계수 를 곱하여 구한다.(5.4.3.2 참조)

그림 5.5.6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설계응력-변형률 관계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Page 42: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14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5.3.3.3 설계 가정

(4) 설계목적으로 사용되는 평균 밀도는 다음과 같이 가정하여도 좋다.

강선 및 강연선에 대하여,

강봉에 대하여,

(7) 강재 응력에 대한 설계값은 이상화된 특성선도를 프리스트레싱 강재에 대한 재료

계수 를 곱하여 구한다.(5.2.3.2 참조)

5.5.3.3 설계 가정

(4) 설계목적으로 사용되는 평균 밀도는 다음과 같이 가정하여도 좋다.

강선 및 강연선에 대하여,

강봉에 대하여,

(7) 강재 응력에 대한 설계값은 이상화된 특성선도를 프리스트레싱 강재에 대한 재료계수 를

곱하여 구한다.(5.2.2.3 참조)

숫자를 명확히 표현하기 위해 1,000단위 숫자 구분기호

사용하여 수정

오타 수정

5.4.1 일반 사항

(2) 보, 슬래브, 또는 이와 유사한 휨부재와 기둥과 같이 축력과 휨모멘트가 동

시에 작용하는 부재는 일반적으로 평면유지의 가정이 유효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다만, 깊은 보, 브래킷, 내민받침, 벽체 등과 같이 평면유지의 가정이

유효하지 않은 부재와 응력교란영역에 대해서는 이들의 영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5.6.1 일반 사항

(2) 보, 슬래브, 또는 이와 유사한 휨부재와 기둥과 같이 축력과 휨모멘트가 동시에 작용하

는 부재는 일반적으로 평면유지의 가정이 유효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다만, 평면유지의

가정이 유효하지 않은 깊은 보, 브래킷, 내민받침, 벽체 등과 같은 부재와 응력교란영역

에 대해서는 5.6.4.4의 스트럿-타이 모델과 같은 추가적인 국부해석이 필요하다.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4.3 휨모멘트 재분배

(3) 연속보 또는 슬래브에 대하여 회전능력에 대한 명확한 검토가 없어도 다음

의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는 식 (5.4.3)의 비율로 휨모멘트를 재분배할 수 있

다.

- 휨이 지배적이며

- 인접한 슬래브의 지간의 비가 0.5와 2의 범위 안에 있을 때

≤ (5.4.3)

여기서,

= 탄성해석으로 구한 휨모멘트에 대한 재분배할 수 있는 휨모멘트의 비

= 극한한계상태에서의 중립축의 깊이

= 단면의 유효깊이

= 5.3.1.6에 따른 단면의 극한한계변형률

5.6.3 휨모멘트 재분배

(3) 연속보 또는 슬래브에 대하여 회전능력에 대한 명확한 검토가 없어도 다음의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는 식 (5.6.3)의 비율로 휨모멘트를 재분배할 수 있다.

- 휨이 지배적이며

- 인접한 부재와의 지간의 비가 0.5와 2의 범위 안에 있을 때

≤ (5.6.3)

여기서,

= 탄성해석으로 구한 휨모멘트에서 재분배할 수 있는 휨모멘트의 비율

( , 5.12.2.1(3) 참조)

= 극한한계상태에서의 중립축의 깊이

= 단면의 유효깊이

= 5.5.1.6에 따른 단면의 극한한계변형률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기호의 설명을 추가함

5.4.4.1 일반사항

(3) 소성해석은 하한계해나 상한계해에 기초하여야 한다.

5.6.4.1 일반사항

(3) 소성해석은 하한계해나 상한계해에 기초하여야 한다. 하한계법은 한계해석(limit

analysis)에서 평형조건만을 만족하는 경우의 해를 구하는 방법이며, 상한계법은 한계해석

에서 운동적합조건만을 만족하는 경우의 해를 구하는 방법이다.

설명을 추가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4.4.3 회전 능력

(2) 허용 소성회전각( )은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5.6.4.3 회전 능력

(2) 허용 소성회전각( )은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오타수정

Page 43: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15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5.4.4)

여기서,

= 전단지간비에 따른 보정계수( )

= 전단지간비( )

= 그림 5.4.2의 기준 소성회전각으로서 45 MPa에서 80 MPa 범위의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상응하는 값은 보간하여 구한다.

(rad)

그림 5.4.2 기준 소성회전각()

(5.6.4)

여기서,

= 전단지간비에 따른 보정계수( )

= 전단지간비( )

= 그림 5.6.2의 기준 소성회전각으로서 40 MPa에서 80 MPa 범위의 콘크리트 압

축강도에 상응하는 값은 보간하여 구한다.

그림 5.6.2 기준 소성회전각()

5.4.6.1 일반사항

(3) 장주 효과는 4.5.3.2의 대변위 이론에 따라 2차해석( 해석)을 적용하여

하중효과에 대한 횡방향 처짐의 영향을 고려하여야 하지만, 세장비 이 100

미만인 철근콘크리트 휨압축부재를 설계할 때에는 근사해석법으로 4.5.3.3(2)에

따라 모멘트 확대계수를 사용하는 단일 단계 조정법을 적용할 수 있다.

(4) 4.5.3.3(2)에 따라 모멘트 확대계수법을 적용하여 철근콘크리트 휨압축 부

재를 설계할 때에는 5.4.6.2에 따라야 한다.

(5) 2축 휨이 작용하는 휨압축 부재는 단면의 두 주축에 대하여 장주 효과를 고

려하여야 한다.

5.6.6.1 일반사항

(3) 장주 효과는 4.5.3.2의 대변위 이론에 따라 2차해석( 해석)을 적용하여 하중효과에

대한 횡방향 처짐의 영향을 고려하여야 하지만, 근사해석법으로 4.5.3.3(2)에 따라 모멘트

확대계수를 사용하는 단일 단계 조정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모멘트 확대계수의 값은 1.4

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4) 4.5.3.3(2)에 따라 모멘트 확대계수법을 적용하여 철근콘크리트 휨압축부재를 설계할

때에는 5.6.6.2에 따라야 한다.

(5) 장주효과를 고려하여 철근콘크리트 휨압축부재를 설계할 때 4.5.3.3(2)에 따른 모멘트

확대계수법을 적용하는 대신, 콘크리트구조기준(2012)에 따른 모멘트 확대계수법을 적

용하여 설계할 수 있다.

(6) 2축 휨이 작용하는 휨압축부재는 단면의 두 주축에 대하여 장주효과를 고려하여야 한

다.

추가 및 제거

- 세장비 100 규정은 콘크리트구조기준(2012) 및

ACI 318에서 삭제되었으므로 여기에서도 삭제

- 모멘트 확대계수 1.4는 콘크리트구조기준(2012)

및 ACI 318에 추가된 규정이므로 여기에서도 추가

- 강구조/합성구조에서는 4.5.3.3(2)와 같이 2개

term 사용. 콘크리트는 최근 콘크리트구조기준과 같이

1개 term으로 통합 사용하는 추세이므로 이러한 규정

을 통해 선택권 주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5)를 추가.

5.4.7.1 개요

(1) 이 절에서 프리스트레스는 긴장된 텐던에 의해 콘크리트에 도입되는 것을

말한다.

5.6.7.1 개요

(1) 이 절에서 프리스트레스는 긴장된 프리스트레싱 강재에 의해 콘크리트에 도입되는 것

을 말한다.

용어 및 단위 표기법 통일

Page 44: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16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2) 프리스트레싱에 의한 하중영향과 강도를 검토하여야 하며, 그에 따른 정착

부의 지압강도를 검증하여야 한다.

(3) 일반적으로 프리스트레스는 조합하중의 일부로서 작용력 조합으로 반영되

며, 하중영향은 내부휨모멘트와 축력에 포함되어야 한다.

(4) 부재의 취성파괴를 피하여야 한다.

(5) 일반적인 경우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다음의 최소조건을 만

족하여야 한다.

• 포스트텐션 부재의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는 30 Nmm 이상, 프리텐션

부재의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는 35 30 Nmm 이상이어야 한다.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개별 부재의 기압축 인장영역의 긴장재는 소수

의 강재의 파괴가 전체 부재의 파괴를 유발하지 않도록 표 5.4.1의 최소한

의 개수의 강재로 이루어져야 한다.

(2) 프리스트레싱에 의한 하중영향과 강도를 검토하여야 하며, 그에 따른 정착부의 지압강

도를 검증하여야 한다.

(3) 일반적으로 프리스트레스는 조합하중의 일부로서 작용력 조합으로 반영되며, 하중영향

은 내부휨모멘트와 축력에 포함되어야 한다.

(4) 부재의 취성파괴를 피하여야 한다.

(5) 일반적인 경우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다음의 최소조건을 만족하여야 한

다.

- 포스트텐션 부재의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는 30 MPa 이상, 프리텐션 부재의 콘

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는 35 MPa이상이어야 한다.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개별 부재의 기압축 인장영역의 프리스트레싱 강재는 소수

의 강재의 파괴가 전체 부재의 파괴를 유발하지 않도록 표 5.6.1의 최소한의 개수의

강재로 이루어져야 한다.

5.4.7.2 프리스트레스 힘

(1) 최대 긴장력

① 긴장재에 가하는 최대 힘, (즉, 긴장작업시 긴장단에서의 힘)는 다음 값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m ax (5.4.7)

여기서, 는 텐던의 단면적이며, m ax 는 텐던의 최대 응력으로

또는

중에서 작은 값이다.

② 만일 긴장력을 최종 프리스트레스 힘의 ±5% 정확도로 측정할 수 있다면

초과 긴장을 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롱라인 프리텐션 작업에서 예상

보다 높은 마찰이 발생할 경우) 최대 프리스트레스 힘 는 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2) 콘크리트 응력의 제한

① 포스트텐션 정착장치 위치의 국부적인 콘크리트의 파쇄나 쪼갬응력은 관

련된 설계규정에 적합하도록 제한하여야 한다.

② 프리스트레스를 도입 할 때의 콘크리트의 강도는 관련된 규정에서 정의한

5.6.7.2 긴장할 때 프리스트레스 힘의 제한

(1) 최대 긴장력

① 프리스트레싱 강재에 가하는 최대 힘, (즉, 긴장작업시 긴장단에서의 힘)는 다음 값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m ax (5.6.7)

여기서, 는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단면적이며, m ax 는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최대 응력

으로 또는 중에서 작은 값이다. 5.5.3.1(6)에 따라 항복점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에는 의 값으로 의 값을 쓸 수 있다.

② 만일 긴장력을 최종 프리스트레스 힘의 ±5% 정확도로 측정할 수 있다면 초과 긴장

을 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롱라인 프리텐션 작업에서 예상보다 높은 마찰이 발

생할 경우) 최대 프리스트레스 힘 는 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2) 콘크리트 응력의 제한

① 포스트텐션 정착장치 위치의 국부적인 콘크리트의 파쇄나 쪼갬이 방지되어야 한다.

용어통일 및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오타수정

Page 45: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17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최소 값보다 작아서는 안된다.

③ 프리스트레스가 개개의 텐던에 순차적으로 도입될 때, 소요 콘크리트 압

축강도는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에 따라서 선형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시간 에서의 최소압축강도 는 관련된 규정에 제시된 풀 프리스트레싱

에 대한 소요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30% 이상 이어야 한다.

④ 긴장시 또는 프리스트레스 도입시 작용되는 프리스트레스 힘과 기타 하중

에 의한 구조물 내의 콘크리트 압축응력은 다음과 같이 제한하여야 한다.

≤ (5.4.8)

여기서, 는 프리스트레스 힘을 받게 되는 시간 일 때의 콘크리트의 설

계기준압축강도이다. 는 5.2.2.3에 따라 정할 수 있다. 프리텐션 부재

의 경우, 실험이나 경험에 의해 입증될 수 있다면 프리스트레스 전달시의 응

력은 로 증가될 수 있다. 만일 압축응력이 영구히 를 초

과할 때에는 크리프의 비선형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3) 계측

① 포스트텐션의 경우, 프리스트레스 힘과 텐던의 신장량은 계측을 통해 검

사하여야 하며, 마찰에 의한 실제 손실량을 조절하여야 한다.

② 프리스트레스가 개개의 프리스트레싱 강재에 순차적으로 도입될 때, 소요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감소될 수 있다. 시간 에서의 최소압축강도 는 관련된 규정에 제시된

100% 프리스트레싱을 위한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50% 이상이어야 한다. 이러한 최소압축

강도와 100% 프리스트레싱을 위한 압축강도 사이에서, 프리스트레스는 30%∼100% 범

위로 보간할 수 있다.

③ 긴장 또는 프리스트레스를 전달할 때 작용되는 프리스트레스 힘과 기타 하중에 의한

구조물 내의 콘크리트 압축응력은 다음과 같이 제한하여야 한다.

≤ (5.6.8)

여기서, 는 프리스트레스 힘을 받게 되는 시간 일 때의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

강도이다. 는 5.4.2.3에 따라 정할 수 있다. 프리텐션 부재의 경우, 실험이나 경험

에 의해 입증될 수 있다면 프리스트레스 전달시의 응력은 로 증가될 수 있다.

만일 압축응력이 영구히 를 초과할 때에는 크리프의 비선형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3) 계측

① 포스트텐션의 경우, 프리스트레스 힘과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신장량은 계측을 통해

검사하여야 하며, 마찰에 의한 실제 손실량을 조절하여야 한다.5.4.7.3 프리스트레스 힘

(1) 긴장 및 정착 직후(포스트텐션) 또는 프리스트레스 도입직후(프리텐션), 시

간 에서 콘크리트에 전달되는 프리스트레스 힘 는 다음 값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5.4.9)

여기서, 는 긴장 도입 직후의 긴장재의 응력 또는 중

작은 값이며, 는 긴장력이 도입되는 시간이다.

(2) 임의 시간 및 긴장재의 긴장단으로부터의 거리 (또는 원호길이)에서의 긴장력

는 긴장단에서의 최대 힘 에서 손실을 제외한 값이다.

5.6.7.3 긴장한 뒤 프리스트레스 힘의 계산

(1) 긴장 및 정착 직후(포스트텐션) 또는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프리텐션), 시간 에서 콘크리

트에 전달되는 프리스트레스 힘 는 다음 값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5.6.9)

여기서, 는 긴장 도입 직후의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응력으로 또는 중

작은 값이며, 는 긴장력이 도입되는 시간이다.

(2) 임의 시간 및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긴장단으로부터의 거리 (또는 원호길이)에서의 긴장력

는 긴장단에서의 최대 힘 에서 손실을 제외한 값이다.

제목 및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4.7.4 프리스트레스의 손실

(2) 포스트텐션에서 프리스트레스 즉시손실

① 콘크리트 탄성 변형에 의한 손실

(가) 텐던의 긴장 순서를 고려하여 콘크리트의 변형에 따른 힘의 손실을

고려하여야 한다.

5.6.7.4 프리스트레스의 손실

(2) 포스트텐션에서 프리스트레스의 즉시손실

① 콘크리트 탄성 변형에 의한 손실

(가)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긴장 순서를 고려하여 콘크리트의 변형에 따른 힘의 손실

을 고려하여야 한다.

용어/수식기호를 통일하고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

확히 함

Page 46: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18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나) 탄성변형에 의한 손실 는 다음과 같이 개개의 텐던의 평균적인 손실

로 가정할 수 있다.

(5.4.10)

여기서, 시간 일 때 도입되는 텐던의 도심위치에서의 응력 변화량

또는 1(프리스트레싱 이후에 가해지는 영구하중에 의한

응력 변화량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긴장되는 동일한 텐던의 개수. 의 값이 큰 경우 근사적

으로 ½을 취할 수 있다.

(3) 프리텐션 방식과 포스트텐션 방식에서의 프리스트레스의 장기 손실

① 장기 손실은 다음의 두 가지 응력 감소를 고려하여 계산할 수 있다.

(가) 지속하중에서 크리프와 건조수축에 의한 콘크리트의 변형에 의해 발

생되는 변형률의 감소에 의한 응력 감소

(나) 인장 상태에서 릴랙세이션에 의한 강재의 응력 감소

강재의 긴장력은 콘크리트의 크리프와 건조수축에 의한 변형률 감소

에 상호 의존한다. 이러한 상호관계는 일반적으로 감소계수 0.8을 적

용함으로써 근사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② 지속하중에서 x위치에서의 장기 손실은 간편식인 식 (5.4.12)를 사용하여 산

정할 수 있다.

(5.4.12)

여기서,

= 시간 일 때 크리트, 건조수축, 그리고 릴랙세이션에 의한 위

치에서의 강재의 응력변화량

= 최종건조수축에 대한 식 (5.3.30)의 값으로부터 얻는 건조수축 변형

=

= PS강재의 탄성계수 (5.3.3.4(2)참조)

=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식 (5.3.10) 참조)

= 일 때의 응력

= 프리스트레스와 반영구적 하중에 의한 강재의 초기응력

(나) 탄성변형에 의한 손실 는 다음과 같이 개개의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평균적인 손

실로 가정할 수 있다.

(5.6.10)

여기서, = 시간 일 때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도심위치에서의 응력 변화량

또는 1(프리스트레싱 이후에 가해지는 영구하중에 의한 응력 변화량

에 대하여). 의 값이 큰 경우 근사적으로 ½을 취할 수 있다.

연속적으로 긴장되는 동일한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개수.

(3) 프리텐션 방식과 포스트텐션 방식에서의 프리스트레스의 장기 손실

① 장기 손실은 다음의 두 가지 응력 감소를 고려하여 계산할 수 있다.

(가) 지속하중에서 크리프와 건조수축에 의한 콘크리트의 변형에 의해 발생되는 변형

률의 감소에 의한 응력 감소

(나) 인장 상태에서 릴랙세이션에 의한 강재의 응력 감소

강재의 긴장력은 콘크리트의 크리프와 건조수축에 의한 변형률 감소에 상호 의존

한다. 이러한 상호관계는 일반적으로 감소계수 0.8을 적용함으로써 근사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② 지속하중하에서 x위치에서의 장기 손실은 간편식인 식 (5.6.12)를 사용하여 산정할 수

있다.

(5.6.12)

여기서,

= 시간 일 때 크리프, 건조수축, 그리고 릴랙세이션에 의한 위치에서의 강

재의 응력변화량

= 최종건조수축에 대한 식 (5.5.30)의 값으로부터 얻는 건조수축 변형률

=

= PS강재의 탄성계수 (5.5.3.4(2) 참조)

=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식 (5.5.10) 참조)

= 릴랙세이션에 의한 프리스트레스의 변화량, 식 (5.5.51)에서 식 (5.5.53)까지를

적용할 때 일 때의 값을 사용하는데, 여기서 는 프리스트

레스와 지속 하중에 의한 강재의 초기 응력

Page 47: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19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 시간 일 때 재하된 하중에 의한 시간 일 때의 크리프 계수

= 고정하중과 기타 반영구적 하중에 의한 강재위치에서의 콘크리트 응력

=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강재 위치에서의 콘크리트 초기응력

= PS긴장재의 단면적

= 콘크리트의 단면적

= 콘크리트 단면의 단면2차모멘트

= 콘크리트 단면의 도심과 긴장재 도심 사이의 거리

식 (5.4.12)에서 압축응력과 압축변형률은 (-)부호를 사용하여야 한다.

= 시간 일 때 재하된 하중에 의한 시간 일 때의 크리프 계수

= 고정하중과 기타 지속하중에 의한 강재 위치에서의 콘크리트 응력

=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강재 위치에서의 콘크리트 초기응력

=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단면적

= 콘크리트의 단면적

= 콘크리트 단면의 단면2차모멘트

= 콘크리트 단면의 도심과 프리스트레싱 강재 도심 사이의 거리

식 (5.6.12)에서 압축응력과 압축변형률은 (-)부호를 사용하여야 한다.5.4.7.5 프리스트레스의 고려 사항 5.6.7.5 해석할 때 프리스트레스의 고려 사항 제목을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4.7.6 극한한계상태의 프리스트레스 영향

(1) 일반적으로 프리스트레스 힘의 계수값은 로 결정된다( 에 대

한 정의는 5.4.7.3(4) 참조). 그러나 비선형 해석시에는 로 가정하여야

한다.

(2) 영구적인 비부착 텐던의 프리스트레스 부재의 경우, PS강재의 응력 증가량

을 계산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부재 전체의 변형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세한 계산을 하지 않는 경우라면, 유효 프리스트레스로부터 극한한계상태

까지의 응력의 증가는 5%로 가정할 수 있다.

(3) 전체 구조계의 변형 상태를 이용하여 응력 증가량을 계산할 경우에는 평균

적인 재료성질 값을 사용하여야 한다. 응력 증가량의 설계 값

를 정할 때, 안정성에 유리하게 하는 경우에는 하중계수

을 적용하고, 불리한 경우에는 를 적용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만일, 비

균열 단면으로 선형해석을 하는 경우에는, 보다 낮은 변형 한계를 가정할 수 있

고 유리한 경우 , 불리한 경우 를 사용할 수 있다.

5.6.7.6 극한한계상태에서의 프리스트레스 효과

(1) 프리스트레스 힘의 설계값은 로 결정할 수 있다( 에 대한 정의는

5.6.7.3(4) 참조). 극한한계상태 검증에서 는 아래 (3)항에 따라 결정한다. 그러나 비선

형해석 시에는 로 가정하여야 한다.

(2) 영구적인 비부착 긴장재의 프리스트레스트 부재의 경우, PS강재의 응력 증가량을 계산

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부재 전체의 변형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세한 계산을 하지

않는 경우라면, 유효 프리스트레스로부터 극한한계상태까지의 응력의 증가는 5%로 가

정할 수 있다.

(3) 전체 구조계의 변형 상태를 이용하여 응력 증가량을 계산할 경우에는 평균적인 재료성

질 값을 사용하여야 한다. 응력 증가량의 설계값은 · 로 계산하는데 이때

부분안전계수 는 다음과 같은 상한값과 하한값을 쓸 수 있다.

만일 비균열 단면으로 선형해석을 한다면 변형한계를 더 낮게 가정할 수 있고, 및 의

값을 1.0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목 및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4.7.7 사용한계상태 및 피로한계상태시의 프리스트레스 영향

(1) 사용성 검토에는 프리스트레스의 변화 가능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사용한계

상태에서 프리스트레스 힘의 두 가지 기준값은 다음 식으로 계산한다.

여기서, 는 상한 계수긴장력이며 는 하한 계수긴장력이고, 와 은

5.6.7.7 사용한계상태 및 피로한계상태에서의 프리스트레스 효과

(1) 사용성 검토에는 프리스트레스의 변화 가능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사용한계상태에서

프리스트레스 힘의 두 가지 기준값은 다음 식으로 계산한다.

여기서, 는 상한 계수긴장력이며 는 하한 계수긴장력이고, 와 은 해당 하

기호를 통일하고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Page 48: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20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해당 하중계수이다.

(2) 일반적으로 다음의 와 를 가정할 수 있다.

=1.05, =0.95 : 프리텐션 부재와 비부착 강선

=1.10, =0.90 : 포스트텐션 부재와 부착 강선

적절하게 측정하는 경우(예를 들어서 사용상태에서 비부착 강선의 응력을

직접 측정하는 경우)에는 와 를 1.0으로 할 수 있다.

중계수이다.

(2) 일반적으로 다음의 와 를 가정할 수 있다.

=1.05, =0.95 : 프리텐션 부재와 비부착 강선

=1.10, =0.90 : 포스트텐션 부재와 부착 강선

사용한계상태에서 비부착 강선의 응력을 직접 측정하는 경우와 같이 강선의 응력을 적

절하게 측정하는 경우에는 와 를 1.0으로 할 수 있다.

5.5.1.1 일반

(2) 철근콘크리트 또는 프리스트레스트 부재의 단면 강도를 산정할 때 다음

의 가정을 적용한다.

① 변형 전의 평면은 하중에 의해 변형된 후에도 평면을 유지한다.

② 콘크리트에 부착된 철근과 프리스트레싱 긴장재의 변형률은 인장 상태나

압축 상태에서 주변 콘크리트의 변형률과 같다.

④ 콘크리트의 압축응력분포는 5.3.1.6에 규정된 응력-변형률 관계와 같다.

⑥ 철근의 응력은 5.3.2.2(그림 5.3.4)에서 규정한 응력-변형률 관계로 결정

한다.

⑦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응력은 5.3.2.3(그림 5.3.5)에서 규정한 응력-변형

률 관계와 같다. 프리스트레싱 긴장재의 응력은 긴장재의 초기 변형률을 고

려하여 결정한다.

5.7.1.1 일반

(2) 철근콘크리트 또는 프리스트레스트 부재의 단면 강도를 산정할 때 평면 보존 가정

과 함께다음의 가정을 적용한다.

① 콘크리트에 부착된 철근과 프리스트레싱 긴장재의 변형률은 인장 상태나 압축 상태

에서 주변 콘크리트의 변형률과 같다.

③ 콘크리트의 압축응력분포는 5.5.1.6에 규정된 응력-변형률 관계로부터 얻는다.

④ 철근의 응력은 5.5.2.3.(그림 5.5.5)에서 규정한 응력-변형률 관계로 부터 얻는다.

⑤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응력은 5.5.2.3(그림 5.5.5)에서 규정한 응력-변형률 관계로부

터 얻는다. 프리스트레싱 긴장재의 응력은 긴장재의 초기 변형률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문구 수정 및 항목 추가를 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7.1.2 휨 및 축력이 작용하는 부재의 극한한계상태 검증

5.7.3.2 설계

5.8.3.2 최소철근량

5.12.13.2 횡구속 철근

5.13.2.3 현장타설 거더 교량

5.13.3.3 세그멘탈 공법 교량의 설계

5.13.3.7 연속압출공법 교량

5.13.3.8 세그멘탈 공법 교량의 하부구조

도로교설계기준(2010년)과 일관되게 “상자”대신 “박스” 로 통일함. 총 12곳 수정

용어 변경

Page 49: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21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5.5.1.2 휨 및 축력이 작용하는 부재의 극한한계상태 검증

(1) 휨과 축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부재에서 중립축이 단면 내에 있을 경우에

는 콘크리트 압축 연단의 변형률은 5.5.1.6의 콘크리트 강도에 따라 규정된

한계변형률 이하로 제한하여야 하며, 철근과 프리스트레스 강재의 극한한계

변형률은 5.3.2와 5.3.3에서 규정된 한계변형률 이하로 제한하여야 한다.

(2) 기둥이나 상자형 단면 거더의 압축 플랜지처럼 중심축 압축력

( ≤ )이 작용하는 상태일 때 이 요소의 극한한계변형률은 5.3.1.6에 규정

된 콘크리트 정점변형률 이하로 제한하여야 한다.

(3) 휨과 축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부재에서 압축력이 지배적이어서 중립축이

단면 밖에 놓일 경우에는 압축연단의 한계변형률은 그림 5.5.1에 보인 것과

같이 점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구한 에서 사이 값 이하로 제한하여야 한다.

따라서 휨과 축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부재의 가능한 변형률 분포 범위는 아래 그

림 5.5.1과 같다.

(7)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급작스런 취성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다음의 두 조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이를 충족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① 사용하중조합-III에 의해 관찰 가능한 휨균열이 발생할 수 있도록, 긴장

재 수를 가상으로 감소시켜서 남아 있는 긴장재가 사용하중조합-III에 의해

발생하는 휨모멘트를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 때 균열휨모멘트

를 산정할 때 인장강도 을 사용하며, 부정정 구조일 때 휨모멘트 재분배를

반영할 수 있다.

② 식 (5.5.1)에 의해 산정된 최소철근량을 배치하는 방법이다.

m in

(5.5.1)

여기서, 은 거더의 균열휨모멘트로 연단 응력이 프리스트레스 영향을 무시하

고 콘크리트 인장강도 에 도달할 때의 휨모멘트이며, 는 철근만에 의한 단

면 내부팔길이이다. 이 최소철근량은 사용하중조합-I 에 의해 인장응력이 유발된

영역에 배치하여야 하며, 경간의 받침부까지 연장 배치하여야 한다.

5.7.1.2 휨 및 축력이 작용하는 부재의 극한한계상태 검증

(1) 휨과 축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부재에서 중립축이 단면 내에 있을 경우에는 콘크리

트 압축 연단의 변형률은 5.5.1.6의 콘크리트 강도에 따라 규정된 한계변형률 이하로 제

한하여야 하며, 철근과 프리스트레스 강재의 극한한계변형률은 5.5.2와 5.5.3에서 규정

된 설계한계변형률 이하로 제한하여야 한다.

(2) 휨과 축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부재의 가능한 변형률 분포 범위는 아래 그림 5.7.1

과 같다. 휨과 축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부재에서 압축력이 지배적이어서 중립축이 단면

밖에 놓일 경우에는 압축연단의 한계변형률은 그림 5.7.1에 보인 것과 같이 점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구한 에서 사이 값 이하로 제한하여야 한다.

(7)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급작스런 취성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다음의 두

방법 중에서 한 방법을 선택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① 사용하중조합-III에 의해 관찰 가능한 휨균열이 발생할 수 있도록, 긴장재 수를 가상

으로 감소시켜서 남아 있는 긴장재가 사용하중조합-III에 의해 발생하는 휨모멘트를 저

항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② 식 (5.7.1)에 의해 산정된 최소철근량을 배치하는 방법이다.

m in

(5.7.1)

여기서, = 프리스트레스 영향을 무시한 거더의 균열휨모멘트 = 철근만에 의한 단면 내

부팔길이

불필요한 문구를 삭제하여 혼란을 방지하고 의미를

명확히 함

5.5.1.3 축력과 2축 휨이 작용하는 부재의 휨강도(3)

= 단면 형상과 축력비에 따른 지수

원형 단면과 타원형 단면의 경우,

5.7.1.3 축력과 2축 휨이 작용하는 부재의 휨강도(3)

= 단면 형상과 축력비에 따른 지수

원형 단면과 타원형 단면의 경우,

오타수정

5.5.2.1 일 반

(1) 5.5.5에 규정한 스트럿-타이 모델에 따라 설계된 부재를 제외하고는 전단

력이 작용하는 부재의 단면은 식 (5.5.5)를 만족하는지를 검증하여야 한다.

≤ (5.5.5)

5.7.2.1 일 반

(1) 5.7.5에 규정한 스트럿-타이 모델에 따라 설계된 부재를 제외하고는 전단력이 작용하

는 부재의 단면은 식 (5.7.5)를 만족하는지를 검증하여야 한다.

≤ (5.7.5)

Page 50: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22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여기서, 는 계수하중에 의한 단면 전단력이며, 는 그 단면의 설계전단강도

이다.

여기서, 는 계수하중에 의한 단면 전단력이며, 는 검증단면의 설계전단강도이다. 뜻을 명확히 표현하기 위해 수정

5.5.2.2 전단보강철근이 없는 부재

(1) 전단철근이 없는 부재의 설계전단강도 는 식 (5.5.7)로 산정하여야 하며, 이

값은 식 (5.5.8)로 계산한 최소설계전단강도 m in 보다 작게 취할 필요는 없

다.

(5.5.7)

m in (5.5.8)

여기서, = 콘크리트 재료계수로 표 5.4.1에 정해진 값

= 콘크리트 기준압축강도 ( NmmMPa)

= 콘크리트 인장강도 ( NmmMPa)

= ≤ 로, 여기서 는 mm 단위

= 철근비 ≤

= 주인장 철근량 ( mm)

= 단면의 복부폭 ( mm )

= ≤ ( NmmMPa)

= 축력 (압축일 때 +)

= 단면적 (mm)

(4) 경량콘크리트로 제작되었으며 전단철근이 없는 부재의 설계전단강도 는

식 (5.5.13)으로 산정하여야 하며, 이 값은 식 (5.5.14)로 계산한 최소설계전단강

도 m in 보다 작게 취할 필요가 없다.

(5.5.13)

m in (5.5.14)

여기서, =

= 표 5.3.1에 주어진 절대건조 밀도

5.7.2.2 전단보강철근이 없는 부재

(1) 전단철근이 없는 부재의 설계전단강도 는 식 (5.7.7)로 산정하여야 하며, 이 값은 식

(5.7.8)로 계산한 최소설계전단강도 m in 보다 작게 취할 필요는 없다.

(5.7.7)

m in (5.7.8)

여기서, = 콘크리트 재료계수로 표 5.4.1에 정해진 값

= 콘크리트 기준압축강도 ( NmmMPa)

= 콘크리트 인장강도 ( NmmMPa)

= ≤ 로, 여기서 는 mm 단위

= 단면유효깊이 ( mm )

= 철근비 ≤

= 주인장 철근량 ( mm)

= 단면의 복부폭 ( mm )

= ≤ ( NmmMPa)

= 축력 (압축일 때 +)

= 단면적 (mm)

(4) 경량콘크리트로 제작되었으며 전단철근이 없는 부재의 설계전단강도 는 식 (5.7.13)

으로 산정하여야 하며, 이 값은 식 (5.7.14)로 계산한 최소설계전단강도 m in 보다 작게

취할 필요가 없다.

(5.7.13)

m in (5.7.14)

여기서, =

= 표 5.5.1에 주어진 절대건조 밀도

단면유효깊이 정의 추가

숫자를 명확히 표현하기 위해 1,000단위 숫자 구분기

호 사용하여 수정

5.4.2.4 T형 단면 부재의 플랜지와 복부 사이 계면 전단

(6) 플랜지의 종방향 인장철근은 이 철근이 필요한 단면에서 복부까지 힘을

전달하는 스트럿을 지나서 정착하여야 한다.

5.7.2.4 T형 단면 부재의 플랜지와 복부 사이 계면 전단

(6) 플랜지의 종방향 인장철근은 계면전단 위험구간을 지나서 충분히 정착하여야 한다.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5.2.5 서로 다른 시기에 타설한 콘크리트의 계면 전단

(3) 계면의 설계전단강도 는 식 (5.5.35)로 산정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5.7.2.5 서로 다른 시기에 타설한 콘크리트의 계면 전단

(3) 계면의 설계전단강도 는 식 (5.7.35)로 산정 하여야 한다.

기호설명을 방식을 변경하여 이해도를 높이고자 함

Page 51: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23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sin cos≤ (5.5.35)

여기서, 과 는 계면 거칠기에 따른 계수로 표 5.5.1에서 정한 값이며,

은 계면에 전단력과 동시에 작용하는 최소 직각응력(압축이 +)으로 압축일 경

우 이하로, 인장일 경우 0으로 취한다. 철근비 로 는 계면

을 가로지르는 철근량이고 는 계면의 면적이다. 는 그림 5.5.7에 정의한 사

잇각으로 ≤ ≤ 의 범위이어야 하며, 는 식 (5.5.12)로 정한 콘크리

트 유효강도계수이다.

sin cos≤ (5.7.35)

여기서, c과 = 계면 거칠기에 따른 계수로 표 5.7.1에서 정한 값

= 계면에 전단력과 동시에 작용하는 최소 법선응력(압축이 +)

압축일 경우

인장일 경우 으로 취해야 한다.

로 는 계면을 가로지르는 철근량, 는 계면의 면적

= 그림 5.7.7에 정의한 사잇각으로 ≤ ≤ 의 범위

= 식 (5.7.12)로 정한 콘크리트 압축강도 유효계수

5.5.3.1 일반

(1) 구조물에서 비틀림에 대해 정력학적 평형 확보가 구조 요소의 안정성에

필수적인 경우에는 극한한계상태와 사용한계상태에서 비틀림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여야 한다. 반면에 비틀림이 구조물의 안정성을 지배하지 않는 부정정

구조물의 요소 부재는 극한한계상태에서 비틀림에 관한 검증이 필요하지 않

다. 그러나 비틀림에 관한 검증이 불필요한 경우에도 균열이 과도하게 발생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5.6.3 및 5.10.2에 규정된 횡방향 및 종방향 최

소철근량을 배치하여야 한다.

5.7.3.1 일반

(1) 구조물에서 비틀림에 대해 정력역학적 평형 확보가 구조 요소의 안정성에 필수적인

경우에는 극한한계상태와 사용한계상태에서 비틀림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여야 한다. 반

면에 비틀림이 구조물의 안정성을 지배하지 않는 부정정 구조물의 요소 부재는 극한한

계상태에서 비틀림에 관한 검증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비틀림에 관한 검증이 불필요

한 경우에도 균열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5.8.3 및 5.12.2에 규정된

최소철근량과 부재 상세를 따라야 한다.

오타수정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5.3.2 설계

(4) 비틀림과 전단이 동시에 작용하는 부재의 최대 강도는 압축스트럿의 강도

에 의해 제한된다. 이 강도를 초과하지 않기 위해서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여

야 한다. 전단과 비틀림의 조합하중이 작용하는 상자박스형 단면 거더인 경

우에는 최대설계전단강도 m ax를 기준으로 콘크리트의 한계상태를 검토하여

야 한다.

m ax m ax ≤ : 속찬 단면의 경우 (5.5.39)

m ax m ax ≤ : 속빈 단면의 경우 (5.5.40)

여기서 와 = 각각 비틀림모멘트와 전단력

m ax sincos로 계산한 최대 설계비틀림강도

m ax = 5.5.2.3에서 규정한 최대설계전단강도

(6) 부착된 프리스트레스 강재가 없는 프리캐스트 상자형 세그멘탈 공법으로

시공된 거더에서 각 세그멘트 이음부에 비틀림에 의해 발생되는 국부적 전단

력을 저항하는 적절한 전단키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 인장 영역에서 큰

5.7.3.2 설계

(4) 비틀림과 전단이 동시에 작용하는 부재의 최대 강도는 압축스트럿의 강도에 의해 제한

된다. 이 강도를 초과하지 않기 위해서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전단과 비틀림

의 조합하중이 작용하는 상자박스형 단면 거더인 경우에는 최대설계전단강도 m ax를 기준

으로 콘크리트의 한계상태를 검토하여야 한다.

m ax m ax ≤ : 속찬 단면의 경우 (5.7.39)

m ax m ax ≤ : 속빈 단면의 경우 (5.7.40)

여기서 와 = 각각 비틀림모멘트와 전단력

m ax sincos로 계산한 최대 설계비틀림강도

= 식 (5.7.12)로 정의되는 콘크리트 유효강도 계수

m ax = 5.7.2.3에서 규정한 최대설계전단강도

(6) 부착된 프리스트레스 강재가 없는 프리캐스트 상자박스형 세그멘탈 공법으로 시공

된 거더의 각 세그멘트 이음부에서 비틀림에 의해 발생되는 국부적 전단력을 저항하는

적절한 전단키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 인장 영역에서 큰 이음부 열림은 거더의 실

콘크리트 유효강도 계수 정의 추가

용어변경

불필요한 문구를 삭제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Page 52: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24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이음부 열림은 거더의 실질적 비틀림 저항 기구를 닫힌단면에서 열린단면 저

항기구로 근본적으로 변화시킨다. 따라서 비틀림에 의해 유발된 실제 복부

전단력은 두 배가 된다. 이러한 상황의 간단한 극한한계상태 검증은 휨, 전단

및 비틀림의 조합을 고려하여 가장 큰 응력이 발생하는 복부에 대하여 수행

하여야 한다.

질적 비틀림 저항 기구를 닫힌 단면에서 열린 단면 저항기구로 근본적으로 변화시킨다.

이러한 상황의 간단한 극한한계상태 검증은 휨, 전단 및 비틀림의 조합을 고려하여 가

장 큰 응력이 발생하는 복부에 대하여 수행하여야 한다.

5.5.4.1 일반

(3) 확대기초판에서 위험단면 둘레 이내에 작용하는 하중은 펀칭전단강도를

증가시키므로 강도를 산정할 때 이를 고려하여서는 안된다.

5.7.4.1 일반

(3) 확대기초판에서 위험단면 둘레 이내에 작용하는 지반 반력은 펀칭전단강도를 증가

시키므로 이를 무시하고 강도를 산정할 수 있다.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5.4.2 펀칭전단 설계

(4) 받침점 반력이 위험단면 둘레에 대해 편심으로 작용하는 경우의 계수하

중에 의한 최대 전단응력은 식 (5.5.43)의 값에 를 곱하여야 하며, 의 값은

다음과 같이 구하여야 한다.

① 사각형 기둥의 경우

=

: 그림 5.5.10과 같은 전단력 분포 형태에

대응하는 값

5.7.4.2 펀칭전단 설계

(4) 받침점 반력이 위험단면 둘레에 대해 편심으로 작용하는 경우의 계수하중에 의한

최대 전단응력은 식 (5.5.43)의 값에 를 곱하여야 하며, 의 값은 다음과 같이 구하여야

한다.

① 사각형 기둥의 경우

=

: 그림 5.7.10과 같은 위험단면둘레 1차모멘트

오타 및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5.4.3 전단철근이 없는 슬래브 또는 기둥 기초판의 펀칭전단강도

(1) 슬래브의 설계펀칭전단강도는 다음과 같이 산정한다.

로,

,

로 계산한 위험단면에서 방

향 및 방향의 콘크리트 직각응력(압축이 -)이며,

5.7.4.3 전단철근이 없는 슬래브 또는 기둥 기초판의 펀칭전단강도

(1) 슬래브의 설계펀칭전단강도는 기본위험단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산정한다.

로,

,

인 법선응력(압축이 +)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5.5.2 스트럿

(2) 균열이 발생한 압축 영역의 가상의 콘크리트 스트럿의 설계강도는 횡방

향 인장철근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한다.

② 횡방향 철근이 0.4% 이상인 압축영역 (그림 5.5.12(c) 참조)

≥ 일 때: m ax (5.5.52)

≥ ≥ 일 때: m ax (5.5.53)

≤ 일 때: m ax (5.5.54)

5.7.5.2 스트럿

(2) 균열이 발생한 압축 영역의 가상의 콘크리트 스트럿의 설계강도는 횡방향 인장철근

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한다.

② 횡방향 철근이 0.4% 이상인 압축영역 (그림 5.7.12(c) 참조)

m ax : (5.7.52)

m ax : ≥ (5.7.53)

m ax : ≤ (5.7.54)

수식 표기 방법을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5.5.3 타 이

(1) 타이의 설계강도는 5.3.2와 5.3.3에 따라 제한된다.

5.7.5.3 타 이

(1) 타이의 설계강도는 5.5.2의 일반 철근이나 5.5.3의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설계 규정

에 따른다.

설명을 추가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Page 53: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25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2) 철근은 절점영역에 적절히 정착되어야 한다. (2) 철근은 절점영역에 적절히 정착되어야 한다.

(3) 병모양 스트럿의 내부에는 횡방향 파열 인장력에 저항할 수 있는 타이를 배치하여

야 한다.

5.5.5.4 절점영역

(4) 절점영역의 크기와 상세는 지압강도의 결정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곳, 지점, 철근 또는 프리스트레스 강선이 집중된

정착영역, 철근을 구부린 곳, 부재의 이음과 모서리 같은 곳에 절점영역이 존

재한다.

(5) 절점영역내의 압축응력의 최대설계유효강도 값은 다음과 같이 정할 수

있다.

① 타이가 정착되지 않은 압축 절점(C-C-C 절점, 그림 5.5.13(a) 참조):

m ax (5.5.55)

여기서, m ax 는 , , 중 큰 값이다.

② 한쪽에 정착 타이가 있는 압축-인장 절점(C-C-T 절점, 그림 5.5.13(b)

참조):

m ax (5.5.56)

여기서, m ax 는 중 큰 값이다.

③ 두 방향으로 정착 타이가 있는 압축-인장 절점(C-T-T 절점, 그림

5.5.13(c) 참조):

m ax (5.5.57)

5.7.5.4 절점영역

(4) 절점영역의 크기와 상세는 지압강도의 결정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스트럿, 타이

와 외력의 기하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5) 절점영역내의 압축응력의 최대설계유효강도 값은 다음과 같이 정할 수 있다.

① 타이가 정착되지 않은 압축 절점(C-C-C 절점, 그림 5.7.13(a) 참조):

m ax (5.7.55)

여기서, m ax 는 , , 중 큰 값이다.

② 한쪽에 정착 타이가 있는 압축-인장 절점(C-C-T 절점, 그림 5.7.13(b) 참조):

m ax (5.7.56)

여기서, m ax 는 중 큰 값이다.

③ 두 방향으로 정착 타이가 있는 압축-인장 절점(C-T-T 절점, 그림 5.7.13(c) 참

조):

m ax (5.7.57)

문구를 간략히 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수식 표기방법을 전문에 걸쳐 통일함

5.5.6 지압부 설계

(2) 등분포 하중이 면적 에 작용할 경우의 설계지압강도 는 식 (5.5.58)로

산정할 수 있다.

≤ (5.5.58)

여기서, 는 지압력 재하 면적이며(그림 5.5.14 참조), 은 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최대 설계 분포 면적으로 다음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① 하중 작용 방향의 분포 높이는 그림 5.5.14에 보인 것처럼 와

중 작은 값과 같게 한다.

② 분포 면적 의 중심은 재하 면적 의 중심선 상에 있어야 한다.

5.7.6 지압부 설계

(2) 등분포 하중이 면적 에 작용할 경우의 설계지압강도 는 식 (5.7.58)로 산정할 수

있다.

≤ (5.7.58)

여기서, = 지압력 재하 면적(그림 5.7.14 참조), 은 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최

대 설계 분포 면적으로 다음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① 하중 작용 방향의 분포 높이는 그림 5.7.14에 보인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② 분포 면적 의 중심은 재하 면적 의 중심을 지나는 작용선 상에 있어야 한다.

수식표기 방법을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Page 54: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26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③ 콘크리트 표면에 두개 이상의 압축력이 작용할 때 분포 면적 은 겹칠 수

없다.

③ 콘크리트 표면에 두개 이상의 압축력이 작용할 때 분포 면적 은 겹칠 수 없다.

5.5.7.1 판요소 설계

(2) 철근콘크리트 판요소를 설계 할 때, 종방향과 횡방향 축에 일치하게 직

교 2방향으로 배치한 철근의 콘크리트 단면적에 대한 비를 각각 과 이라면,

계수하중에 의해 유발된 철근과 콘크리트의 응력은 아래 식을 만족하여야 한다.

tan ≤ (5.5.59)

cot ≤ (5.5.60)

tan cot ≤ m ax (5.5.61)

여기서 과 는 각각 요소의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직각응력(인

장일 때 +), 는 전단응력이며, 는 콘크리트 스트럿에 유발된 압축응력이고,

m ax는 스트럿의 최대 유효 압축강도이며, 와 은 균열면에서 각각 횡방

향과 종방향 철근 응력이고, 과 는 각각 종방향 철근과 횡방향 철근의 항복

응력이다. 는 종방향 축(철근)으로부터 잰 스트럿의 경사각이다.

(4) 콘크리트의 기준강도가 50 MPa 이하이며, 위 (3)의 규정에 따라 설계자

가 설계에 사용한 경사각과 주응력 방향각과의 차이가 있다면 식 (5.5.61)의

검증에 사용하는 스트럿의 최대 유효강도는 식 (5.5.62)와 같이 감소시킨 값

이어야 한다.

m ax (5.5.62)

여기서, 는 소성이론 하한해을 적용할 때 사용한 경사각이고, 은 작용하

중에 의해 탄성 이론으로 계산한 응력 상태의 주응력 경사각이며, 는 식

(5.5.12)에 정의된 유효강도계수이다.

현저한 유효 강도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경사각의 차이 는 극한한계상태

에서는 15도 이하로, 사용한계상태 검증에서는 5도 이하로 제한하여야 한다.

5.7.7.1 판요소 설계

(2) 철근콘크리트 판요소를 설계 할 때, 종방향과 횡방향 축에 일치하게 직교 2방향으

로 배치한 철근의 콘크리트 단면적에 대한 비를 각각 과 이라면, 계수하중에 의해 유발

된 철근과 콘크리트의 응력은 아래 식을 만족하여야 한다.

cot ≤ (5.7.59)

tan ≤ (5.7.60)

tan cot ≤ m ax (5.7.61)

여기서, 과 = 각각 요소의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법선응력(인장+)

= 요소에 작용하는 전단응력

= 콘크리트 스트럿에 유발된 압축응력

m ax = 스트럿의 최대 유효 압축강도

과 = 균열면에서 각각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유발된 철근 응력

과 = 각각 종방향 철근과 횡방향 철근의 항복응력

는 종방향 축(철근)에 대한 스트럿의 경사각이다.

(4) 콘크리트의 기준강도가 50 MPa 이하이며, 위 (3)의 규정에 따라 설계자가 설계에

사용한 경사각과 주응력 방향각과의 차이가 있다면 식 (5.7.61)의 검증에 사용하는 스

트럿의 최대 유효강도는 식 (5.7.62)와 같이 감소시킨 값이어야 한다.

m ax (5.7.62)

여기서, = 소성이론 하한해를 적용할 때 사용한 경사각

= 작용하중에 의해 탄성 이론으로 계산한 응력 상태의 주응력 경사각

= 식 (5.7.12)에 정의된 콘크리트 압축강도 유효계수

현저한 유효 강도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경사각의 차이 는 극한한계상태에서는 15°

도 이하로, 사용한계상태 검증에서는 5°도 이하로 제한하여야 한다.

기호설명 방식을 변경하여 식별성 및 이해도를 높임

단위통일

5.5.7.2 쉘요소 설계

(3) 3겹판요소 모델에서는 그림 5.5.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쉘요소를 세 개

의 판으로 분활하여서 양 바깥 판은 모든 면내력과 휨모멘트에 대해 저항하

고, 중앙의 핵판은 면외 전단력만을 저항한다고 간주한다. 각 판의 두께는 반

복법에 의해 검증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5.7.7.2 쉘요소 설계

(3) 겹판요소 모델에서는 그림 5.7.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쉘요소를 세 개의 층으로 분

할하여서 양 바깥 층은 모든 면내력과 휨모멘트에 대해 저항하고, 중앙의 핵판은 면외

전단력만을 저항한다고 간주한다. 각 판의 두께는 반복법에 의해 검증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용어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Page 55: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27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5.6.1.2 노출 환경과 한계 기준

표 5.6.2 설계 등급에 따른 사용 한계값

설계 등급 한계상태 검증을 위한 하중조합 표면 한계균열폭(㎜)영(0)응력 한계상태 균열폭 한계상태

A 사용하중조합-I - -

B 사용하중조합-III/IV 사용하중조합-I 0.2

C 지속하중조합 사용하중조합-III/IV 0.2

D - 사용하중조합-III/IV 0.3

E - 지속하중조합 0.3

5.8.1.2 노출 환경과 한계 기준

표 5.8.2 설계 등급에 따른 사용 한계값

설계 등급 한계상태 검증을 위한 하중조합 표면 한계균열폭(㎜)영(0)응력 한계상태 균열폭 한계상태A 사용하중조합-I - -

B 사용하중조합-III/IV 사용하중조합-I 0.2

C 사용한계상태 하중조합-V

사용하중조합-III/IV 0.2

D - 사용하중조합-III/IV 0.3

E - 사용한계상태 하중조합-V 0.3

기준 전반에 걸쳐 하중조합용어를 통일함

5.6.2.1 기본 사항

(1) 구조물의 정상적 기능 발휘에 영향을 주는 균열 또는 큰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의 압축응력의 크기를 제한하여야한다.

② 유효 프리스트레스와 사용하중조합-I에 의한 콘크리트 압축응력이

를 초과하지 않아야한다. 또한 부재를 제작하고 운반하는 시공 상황에서도 콘크

리트 압축응력은 를 초과하지 않아야한다.

(2) 철근의 비탄성 변형을 방지하고 부재의 과도한 균열 또는 변형을 방지하

기 위해 철근과 강재의 응력은 다음과 같이 제한하여야한다.

① 사용하중조합-I에 의해 유발된 보통 철근의 인장응력은 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② 유효 프리스트레스와 지속하중조합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강재의 응력은

를 초과하지 않아야한다.

5.8.2.1 기본 사항

(1) 구조물의 정상적 기능 발휘에 영향을 주는 균열 또는 큰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의 압축응력의 크기를 제한하여야한다.

② 유효 프리스트레스와 사용하중조합-I에 의한 콘크리트 압축응력이 를 초과하지

않아야한다. 또한 부재를 제작하고 운반하는 시공 상황에서도 콘크리트 압축응력은 를

초과하지 않아야한다.

(2) 철근의 비탄성 변형을 방지하고 부재의 과도한 균열 또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철

근과 강재의 응력은 다음과 같이 제한하여야한다.

① 사용하중조합-I에 의해 유발된 보통 철근의 인장응력은 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② 유효 프리스트레스와 사용한계상태 하중조합-V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강재의 응력은

를 초과하지 않아야한다.

기준 전반에 걸쳐 하중조합용어를 통일함

5.6.2.2 응력 계산 방법

① 사용하중조합-1 상태에서 비균열 단면 해석으로 계산한 콘크리트 최대 인

장응력이 콘크리트 인장강도 미만이면 비균열 단면으로, 초과한 곳은 균열 단면

으로 간주한다.

⑤ 간접 변형하중이 지배 하중으로 작용하는 구조물에서 보통 철근의 응력

한계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5.6.3.2에서 정한 최소철근량을 배치하여야 한

다.

5.8.2.2 응력 계산 방법

① 사용하중조합-I 상태에서 비균열 단면 해석으로 계산한 콘크리트 최대 인장응력이 콘크리

트 기준인장강도 미만이면 비균열 단면으로, 초과한 곳은 균열 단면으로 간주한다.

⑤ 변형이 구속되어 발생한 내력에 의하여 유발되는 철근의 인장력을 제한하기 위하

여 5.8.3.2에서 정한 최소철근량을 배치하여야 한다.

콘크리트 인장강도에 대한 의미를 보다 명확히 함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6.3.2 최소철근량

(2) 균열폭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콘크리트 인장 영역에는 최소 철근량을 배

치하여야 한다. 이 때 소요 최소 철근량 m in 은 식 (5.6.1)로 산정하여야 한

다.

m in

(5.6.1a)

5.8.3.2 최소철근량

(2) 상세 계산에 의해 보다 작은 최소 철근량이 요구되지 않을 경우, 콘크리트 인장 영

역내의 소요 최소 철근량 m in 은 식 (5.8.1)로 산정하여야 한다.

m in

(5.8.1)

여기서 = 첫 균열 발생 직전 상태에서 계산된 콘크리트의 인장 영역 단면적

(2)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기호설명 방식을 변경하여 식별성 및 이해도를 높임

용어 변경

Page 56: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28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여기서 는 첫 균열 발생 직전 상태에서 계산된 콘크리트의 인장 영역 단

면적,

는 첫 균열 발생 직후에 허용하는 철근의 인장응력,

는 첫 균열이 발생할 때 유효한 콘크리트 인장강도,

는 하중영향에 의한 균열 발생 직전의 단면 내 응력 분포 상태를 반영하는 계

수로서, 다음 식으로 정한 값이다.

≤ (5.6.1b)

여기서 은 검토하는 단면의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평균 직각응력(=)인데,

는 단면에 작용하는 축력(압축이 +)으로 프리스트레스와 사용하중조합-I 상

태에서 결정한 값이다. 는 실제 부재 깊이로 m이면 이고,

≥ m이면 m를 취한다. 은 축력이 응력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는 계수로써, 만약 축력 가 압축력이면 1.5, 인장력이면 의 값

을 취한다.

는 간접하중효과에 의해 부등분포하는 응력의 영향을 반영하는 계수로서, 단면

깊이가 300 mm 이하일 경우는 이 계수 값은 1.0이고, 깊이가 800 mm 이상이

면 0.65를 적용한다. 단면 깊이가 300에서 800 mm 사이이면 위 두 값 사이를

보간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3) 부착된 프리스트레스 긴강재 주변으로 피복이 150 mm 인 사각형 단면

내에 필요한 최소 철근량은 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는 프리스트

레스 긴강재의 단면적이다. 여기서 은 철근과 긴장재의 서로 다른 지름의 영향

을 반영하기 위한 계수로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이 때 부착강도 비 는 표

5.6.3에 주어진 값을 사용할 수 있다.

(5.6.2)

= 첫 균열 발생 직후에 허용하는 철근의 인장응력,

= 첫 균열이 발생할 때 유효한 콘크리트 인장강도,

= 균열 발생 직전의 단면 내 응력 분포 상태를 반영하는 계수

= 1.0 : 순수인장을 받는 경우

≤ : 휨과 축력을 받는 부재 복부

≥ : 박스형이나 T형 단면 부재 플랜지

= 단면에 작용하는 평균 법선응력(=)

= 단면에 작용하는 축력(압축이 +)

= 단면 기준 깊이

: m 일 때

m : ≥ m 일 때

= 축력이 응력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는 계수

=1.5 : 축력 가 압축력일 때

= : 축력 가 인장력일 때

= 플랜지에 균열이 처음 발생하기 직전에 부재 전 단면에 작용하는 휨모멘트

와 축력으로 계산한 플랜지의 인장력

= 간접하중영향에 의해 부등 분포하는 응력의 영향을 반영하는 계수

= 1.0 : 단면 깊이가 300 mm 이하일 경우

= 0.65 : 깊이가 800 mm 이상일 경우

중간값은 위 두 값 사이를 보간하여 사용할 수 있다.

(3) 부착된 프리스트레스 긴강재 중심으로부터 거리 150 mm 이내의 사각형 단면 내에

필요한 최소 철근량은 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는 프리스트레스 긴강재의 단

면적이고, 은 철근과 긴장재의 부착특성 및 지름의 차이에 따른 영향을 반영하기 위한 계

수로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5.8.2)

여기서, = 표 5.8.3에 주어진 철근과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부착강도 비

= 철근 지름

=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지름

= : 다발 강선

= : 7연선 1가닥

= : 3연선 1가닥

철근은 사용되지 않고 프리스트레싱 강재만 사용된 경우에는 의 값을 1.0으로 계산

한다.

(3)기호설명 추가

Page 57: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29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4) 유효 프리스트레스와 사용하중조합-I에 의해 콘크리트가 압축 상태에

있으면, 프리스트레스트 부재의 단면에는 최소 철근량이 필요하지 않다.

PC 강재부착강도 비

프리 텐션 강재부착된 포스트 텐션 강재≤ MPa MPa

원형강봉과 강선 사용되지 않음 0.3 0.15강연선 0.6 0.5 0.25

이형 강선 0.7 0.6 0.3이형 강봉 0.8 0.7 0.35

표 5.6.3 철근에 대한 강재의 부착강도 비,

(4) 유효 프리스트레스와 사용하중조합-I에 의해 콘크리트가 압축 상태에 있으면, 프리스트

레스트 부재의 단면에는 최소 철근량이 필요하지 않다.

PC 강재부착강도 비

프리텐션 강재부착된 포스트텐션 강재

≤ MPa ≥ MPa원형강봉과 강선 사용되지 않음 0.3 0.15

강연선 0.6 0.5 0.25이형 강선 0.7 0.6 0.3이형 강봉 0.8 0.7 0.35

표 5.8.3 철근에 대한 프리스트레싱 긴강재의 부착강도 비

(4) 합리적인 수치로 변경

5.6.3.3 간접 균열 제어

(2) 균열이 간접하중인 변형 구속에 의해 지배적으로 발생하는 부재에서

5.6.3.2의 규정에 따라 최소 철근량 조건을 만족하고, 균열 발생 직후에 구한

철근 응력에서 표 5.6.4에 주어진 지름을 초과하지 않는 철근을 배치했을 때,

균열폭이 허용 한계값 이내에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철근 응력*

(N/mm2)

최대 철근 지름 (mm)철근

콘크리트프리스트레스트

160200240280320360

32251612108

251612865

표 5.6.4 균열 제어를 위한 최대 철근 지름

5.8.3.3 간접 균열 제어

(2) 균열이 간접하중인 변형 구속에 의해 지배적으로 발생하는 부재에서 5.8.3.2의 규

정에 따라 최소 철근량 조건을 만족하고, 적합한 하중 조합과 균열 단면을 기준으로 계

산한 철근 응력에서 표 5.8.4에 주어진 지름을 초과하지 않는 철근을 배치했을 때, 균열

폭이 허용 한계값 이내에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철근 응력*

(N/mm2)

최대 철근 지름 (mm)철근

콘크리트프리스트레스트

160200240280320360

32251614108

251613865

표 5.8.4 균열 제어를 위한 최대 철근 지름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6.3.3 간접 균열 제어

(8) 스트럿-타이 모델을 적용하여 부재를 설계할 경우, 타이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의 양 측면에는 0.015 만큼의 표피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5.8.3.3 간접 균열 제어

혼란을 피하고자 불필요한 내용을 삭제

5.6.3.4 균열폭 계산

(2) 변형률 차이 는 식 (5.6.5)로 계산 할 수 있다.

(5.6.5)

여기서 는 균열면에서 계산한 철근 인장응력이고, 은 탄성계수비

이며, 는 식 (5.6.6)으로 계산한 유효 철근비이다.

5.8.3.4 균열폭 계산

(2) 변형률 차이 는 식 (5.8.5)로 계산 할 수 있다.

(5.8.5)

여기서, = 균열면에서 계산한 철근 인장응력 = 첫 균열이 발생할 때 유효한 콘크리트 인장강도, ≥ 일에서의

(2) 기호설명 방식을 수정하여 이해도를 높임

유효한 콘크리트 인장강도에 대한 기호 정의 추가

Page 58: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30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5.6.6)

여기서, 는 유효 인장 면적으로 그림 5.6.1에 보인 것처럼 인장철근 주변

깊이 , , 또는 중에서 작은 값으로 구분된 영역의 면적이

다.

로 정의된 프리스트레스 강재의 부착 특성을 고려하기 위한 계수이며

는 표 5.6.4에 주어진 값을 사용한다.

(4) 직교 2방향으로 보강된 부재에서 주응력 축과 철근 방향 사이의 각이

보다 클 때는 다음 식으로 최대균열간격 m ax를 산정할 수 있다.

m ax cos m ax sinm ax

(5.6.8)

여기서 는 방향 철근과 인장 주응력 방향 사이 각이고, m ax ,과

m ax 는 와 방향으로 각각 계산한 균열 간격이다.

= 단기하중일 경우 0.6, 장기하중일 경우 0.4

= 탄성계수비

= 식 (5.8.6)으로 계산한 유효 철근비

(5.8.6)

여기서, = 그림 5.8.1에 나타낸 콘크리트의 유효 인장면적으로 의 크기로 결정 및 = 콘크리트 유효 인장면적 내에 있는 철근 및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단면

= 콘크리트 유효 인장깊이로 , , 중 가장 작은 값

= 식 (5.8.2)로 주어진 계수

(4) 직교 2방향으로 보강된 부재에서 주응력 축과 철근 방향 사이의 각이 보다 클 때는

다음 식으로 최대균열간격 m ax를 산정할 수 있다.

m ax cos m ax sin m ax

(5.8.8)

여기서 는 종방향 철근과 압축 주응력 방향 사잇각이고, m ax과 m ax는 종방향과

횡방향에서 각각 계산한 균열 간격이다.

(4)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6.4.2 직접 처짐 계산을 생략하는 경우

(1) 식 (5.6.9)로 주어지는 한계 지간/깊이-비보다 작게 부재를 설계하였다

면, 그 처짐은 5.6.4.1 (2)와 (3)에서 설정한 처짐 한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

고 간주할 수 있다.

if ≤ (5.6.9a)

if (5.6.9b)

여기서,

= 부재의 지지 조건을 반영하는 계수 (표 5.6.6 참조)

= 기준 철근비 ( )

= 지간 중앙의 인장 철근비

′ = 지간 중앙의 압축 철근비

= 콘크리트 기준압축강도 (N/mm2)

(2) 식 (5.6.9)는 단순 지지된 슬래브에 대해 5.6.4.3의 공식을 적용한 결과

5.8.4.2 직접 처짐 계산을 생략하는 경우

(1) 식 (5.8.9)로 주어지는 한계 지간/깊이-비보다 작게 부재를 설계하였다면, 그 처짐

은 5.8.4.1 (2)와 (3)에서 설정한 처짐 한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고 간주할 수 있다.

if: ≤ (5.8.9a)

if: (5.8.9b)

여기서,

= 부재의 지지 조건을 반영하는 계수 (표 5.8.6 참조)

= 기준 철근비 ( × )

= 지간 중앙(캔틸레버의 경우 지지단)의 인장 철근비

′ = 지간 중앙(캔틸레버의 경우 지지단)의 압축 철근비

= 콘크리트 기준압축강도 (N/mm2)

(2) 식 (5.8.9)는 단순 지지된 슬래브에 대해 5.8.4.3의 공식을 적용한 결과를 단순화

(1) 문구를 추가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2) 설명을 추가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기호설명을 추가함

Page 59: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31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를 단순화 한 것으로써 부재의 중앙 단면의 철근 인장응력이 310 MPa라고

가정하고, 지속하중은 설계하중의 50 %라고 가정하여 유도한 것이다. 만약

철근 인장응력 수준이 이 가정과 다른 값이라면, 위 식으로 얻은 값에

를 곱해 보정해야 한다.

한 것으로서 부재의 중앙 단면이나 캔틸레버의 경우 지지단의 철근 인장응력이 철근의

인장강도 500 MPa의 약 60 %인 310 MPa이라고 가정하여 유도한 것이다. 만약 철근 인

장응력 수준이 이 가정과 다른 값이라면, 위 식으로 얻은 값에 를 곱해 보정해야 한다.

이 보정값은 다음식으로 산정된 값을 취하면 일반적으로 안전한 설계가 된다.

(5.8.10)

여기서,

= 사용하중에서 지간 중앙의 인장 철근응력

= 극한한계상태에서 중앙단면에 필요한 철근량

= 지간 중앙단면(캔틸레버의 경우 지지단)에 배치된 철근량

5.6.4.3 직접 처짐 계산에 의한 검증

(2) 채택한 계산 방법은 구조물의 실제 거동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어야

한다.

(5) 건조수축에 의한 곡률은 식 (5.6.13)으로 평가할 수 있다.

(5.6.13)

여기서, 는 건조수축에 의해 유발된 곡률이고, 는 건조수축 변형률

(5.3.1.5 참조)이며, 는 단면 중심에 대한 철근 면적의 1차모멘트이다.

5.8.4.3 직접 처짐 계산에 의한 검증

(5) 건조수축에 의한 곡률은 식 (5.8.14)로 평가할 수 있다.

(5.8.14)

여기서, = 건조수축에 의해 유발된 곡률

= 콘크리트 유효탄성계수를 적용한 탄성계수비,

= 건조수축 변형률 (5.5.1.5 참조)

= 단면 도심에 대한 철근 면적의 1차모멘트

= 단면 2차모멘트

기호설명 방식을 수정하여 이해도를 높임

기호설명을 추가

5.7 피로한계상태

5.7.1 일 반

(1) 규칙적인 교번 하중이 작용하는 구조 요소와 부재에 대하여 피로한계상

태를 검증하여야 하며, 이 검증은 해당 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철근과 콘크리

트에 대해 각각 수행하여야 한다.

(4) 고정하중과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압축 영역의 압축응력이 3.6.1.4의 규

정과 표 3.4.1에 명시된 피로하중조합으로 계산한 최대 활하중 인장응력의

두 배 미만인 경우에만 피로한계상태를 검증하여야 한다.

5.9 피로한계상태

5.9.1 일 반

(1) 규칙적인 교번 하중이 작용하는 구조 요소와 부재에 대하여 피로한계상태를 검증하

여야 하며, 이 검증은 해당 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철근에 대해서만 수행하여야 한다.

(4) 고정하중과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압축 영역의 압축응력이 3.6.1.4 표 3.4.1에 명시

된 피로하중과 피로하중조합으로 계산한 최대 활하중 인장응력의 두 배 미만인 경우에

만 피로한계상태를 검증하여야 한다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7.2 철근

(1) 표 3.4.1에 명시된 피로하중조합에 의해 직선 철근에 유발된 응력 는 식

(5.7.1)을 만족하여야 한다.

≤ m in (5.7.1)

5.9.2 철근

(1) 고응력영역에 있는 직선 철근과 가로방향 용접이 없는 직선 용접 철선에 표 3.4.1 하중

조합과 하중계수에 명시된 피로하중조합에 의해 유발된 응력 는 식 (5.9.1)을 만족하

여야 한다.

최근 연구성과에 기반하여 제시된 케이블교량편의 식에

따라 내용 수정

Page 60: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32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여기서, 는 피로응력범위(MPa), m in 은 표 3.4.1에 명시된 피로하중조합

에 의한 최소 활하중 응력(MPa)으로, 인장일 때 +값이다. = 압연 철근의 마

디 높이에 대한 반지름의 비로써 실제 값을 알 수 없는 경우 0.3을 사용하여도

좋다.

m in (5.9.1)

(2) 고응력영역에 있는 가로방향 용접이 있는 직선 용접 철선에 표 3.4.1 하중조합과 하중계

수에 명시된 피로하중조합에 의해 유발된 응력 는 식 (5.9.2)를 만족하여야 한다.

m in (5.9.2)

여기서, = 피로응력범위

m in = 표 3.4.1에 명시된 피로하중조합에 의한 최소 활하중 응력(인장일 때 +)

(3) (1) 및 (2)에서의 휨철근에 대한 고응력영역은 최대모멘트 발생 단면에서 좌우로 지간의

1/3을 취하여야 한다.5.7.4 철근의 용접 이음부 혹은 기계적 이음장치

(2) 전체 하중재하수 가 1백만회 이하인 경우 피로응력범위는 168 MPa 만

큼 증가할 수 있다. 다만, 증가된 값은 식 (5.7.1)에 주어진 값보다 크지 않

아야 한다. 실제 사용될 것과 동일한 이음 장치에 대한 피로 실험에 의해 확인되

었다면 식 (5.7.1)에 의해 주어진 값보다 높은 값을 사용할 수 있다.

5.9.4 철근의 용접 이음부 혹은 기계적 이음장치

(2) 전체 하중재하수 가 1백만회 이하인 경우 피로응력범위는 log MPa 만

큼 증가할 수 있다. 다만, 증가된 값은 식 (5.9.1)에 주어진 값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

실제 사용될 것과 동일한 이음 장치에 대한 피로 실험에 의해 확인되었다면 식 (5.9.1)에 의

해 주어진 값보다 높은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오타수정

5.8.1 일반

(4) 철근의 부식방지는 콘크리트의 밀도와 품질, 피복두께 및 균열폭의 결정

에 영향을 받는다. 콘크리트의 밀도와 품질은 최대 물-시멘트비와 최소 시멘

트량을 조절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표 5.8.1에 규정한 콘크리트의 최저 소요

강도와 관련이 있다.

① 철근의 부식방지와 콘크리트의 성능저하를 억제하기 위한 내구적인 콘

크리트를 위해서는 콘크리트의 조성에 대해서 고려해야 하며, 이에 따라 구

조 계산에 의하여 요구되는 강도보다 높은 압축강도를 요구할 수 있다. 표

5.8.2에 정의된 환경조건에 따른 노출등급에서 요구되는 최소 콘크리트 강도

는 표 5.8.1에 제시되고 있다.

② 결정된 강도값이 구조계산에 의하여 요구되는 강도값보다 클 경우 더

큰 강도의 값을 5.6.3.2에 따른 최소철근량, 5.6.3.3 및 5.6.3.4에 따른 균열

폭 제어 계산에 적용하여야 한다.

표 5.8.1 노출환경등급에 따른 최소 콘크리트강도(MPa)

5.10.1 일반

(4) 철근의 부식방지를 위해서 피복 콘크리트의 밀도와 품질, 두께를 확보하여야 하며,

5.8.3의 균열폭 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콘크리트의 밀도와 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표

5.10.1에 규정한 최소 콘크리트 기준압축강도 이상의 압축강도를 적용하여야 한다.

표 5.10.1 노출환경등급에 따른 최소 콘크리트강도

노출환경(표 5.10.2)

부식

탄산화에 의한 부식염화물에 의한

부식해수의 염화물에

의한 부식

EC1 EC2 EC3 EC4 ED1 ED2 ED3 ES1 ES2 ES3

최소 콘크리트기준압축강도

(MPa)21 24 30 30 35 30 35

오류수정

Page 61: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33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노출환경(표 5.8.2)

콘크리트의 손상

위험없음

동결/융해 침투 화학적 침투

E0 EF1 EF2EF3/E

F4EA1 EA2 EA3

최소 콘크리트강도(MPa)

12 30 25 30 30 35

표 5.8.2 환경 조건에 따른 노출 등급

노출등급 환경 조건 해당 노출 등급이 발생할 수 있는 사례

3. 염화물에 의한 부식

ED1 보통의 습도 • 공기 중의 염화물에 노출된 콘크리트 표면

ED2 습윤, 드물게 건조한 상태• 수영장• 염화물을 함유한 물에 노출된 콘크리트 부재

ED3 주기적인 습윤과 건조 상태• 염화물을 함유한 물보라에 노출된 교량 부위3

• 포장• 주차장 슬래브

주 3. 이것은 차도로부터 4m 이내에 있는 모든 난간, 벽체, 교각을 포함하며, 또한 차도로부

터 배출되는 물에 노출되기 쉬운 신축이음부(expansion joints) 하부 교각의 윗부분과

같은 표면을 포함한다.

노출환경(표 5.10.2)

콘크리트의 손상

위험없음 동결/융해 침투 화학적 침투

E0 EF1 EF2 EF3 ET4 EA1 EA2 EA3최소

콘크리트기준압축강도

(MPa)

18 24 30 30 35

KS 호칭강도에 맞게 수정히고, 현행 콘크리트의 기준

과 최대한 부합되도록 조정했으며, 의미를 명확히 하

기 위해 “강도”를 “기준압축강도”로 수정

노출환경을 규정한 표는 5.10.2로 이동

도로교와 관련 없는 구조물(수영장, 주차장 등) 내용

삭제

5.8.2 환경 조건 5.10.2 환경 조건

표 5.10.2 환경 조건에 따른 노출 등급

노출등급 환경 조건 해당 노출 등급이 발생할 수 있는 사례

3. 염화물에 의한 부식

ED1 보통의 습도 • 공기 중의 염화물에 노출된 콘크리트 표면

ED2 습윤, 드물게 건조한 상태 • 염화물을 함유한 물에 노출된 콘크리트 부재

ED3 주기적인 습윤과 건조 상태• 염화물을 함유한 물보라에 노출된 교량 부위3

• 포장

주 3. 이것은 차도로부터 6m 이내에 있는 모든 난간, 벽체, 교각을 포함하며, 또한 차도로부터 배출되는

물에 노출되기 쉬운 신축이음부(expansion joints) 하부 교각의 윗부분과 같은 표면을 포함한다.

5.10.1에서 5.10.2로 이동

도로교와 관련 없는 구조물(수영장, 주차장 등) 내용

삭제

염수 물보라에 의한 영향 거리를 확대 적용

5.8.4.1 일반 사항

(2)공칭피복두께 는 도면에 명시하여야 한다. 공칭피복두께는 최소 피복두께

(5.8.4.2 참조)와 설계 편차 허용량 (5.8.4.3 참조)의 합으로 구한다.

5.10.4.1 일반 사항

(2) 공칭피복두께 는 도면에 명시하여야 하며, 최소 피복두께 m in (5.10.4.2 참조)와 설

계 편차 허용량 (5.10.4.3 참조)의 합으로 구한다.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Page 62: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34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5.8.4.2 최소피복두께

(1) 콘크리트 최소피복두께 m in 는 아래 사항을 고려하여 규정하여야 한다.

• 부착력의 안전한 전달 • 철근의 부식 방지(내구성) • 적절한 내화성

(2) 부착과 환경조건에 대한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m in 중 큰 값을 설계에 사용

하여야 한다.

m in maxm in m in

(5.8.2)

(3) 부착력을 안전하게 전달하고 충분한 다짐을 위하여 최소피복두께는 표

5.8.3에 주어진 m in 값보다 더 큰 값을 사용하여야 한다.

(4) 철근과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내구성을 고려한 최소피복두께 m in 는 환경

조건에 관련된 노출등급에 따라 각각 표 5.8.4 및 표 5.8.5에 제시되어 있다. 사

용수명이 50년이고 특수한 보호처리를 하지 않는 보통 중량 콘크리트와 보통 탄

소강을 사용한 콘크리트 교량의 최소피복두께 m in 는 표 5.8.6에 제시되어

있으며, 이는 피복등급 TC4에 해당한다.

(5) 사용수명이 50년보다 길 경우 최소피복두께를 증가시켜야 한다. 100년

사용수명의 경우 피복두께의 증가는 10 mm 정도 된다. 사용연한이 짧을 경

우에는 표 5.8.4, 표 5.8.5, 표 5.8.6 및 표 5.8.7을 고려하여 최소피복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5.10.4.2 최소피복두께

(1) 콘크리트 최소피복두께 m in 는 아래 사항을 고려하여 규정하여야 한다.

• 부착력의 안전한 전달 • 철근의 부식 방지(내구성) • 내화성

(2) 부착과 환경조건에 대한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m in 중 큰 값을 설계에 사용하여야 한

다.

m in maxm in m in (5.10.2)

여기서,

m in = 부착에 대한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최소피복두께(mm)

m in = 환경조건에 대한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최소피복두께(mm)

= 고부식성 노출환경에서 이 절 (5)항의 규정에 의한 피복두께 증가값(mm)

= 스테인레스 철근을 사용할 때 이 절 (6)항에 의한 피복두께 감소값(mm)

= 코팅과 같은 추가 보호 조치를 취한 경우 이 절 (7)항에 의한 피복두께 감소값

(mm)

(3) 부착력을 안전하게 전달하고 충분한 다짐을 위하여 피복두께는 표 5.10.3에 주어진

m in 값보다 더 큰 값을 사용하여야 한다.

(4) 철근과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내구성을 고려한 최소피복두께 m in 는 환경노출등급에

따라 표 5.10.4에 제시되어 있다.

(5) 염화물 도는 해수에 노출되는 고부식성 환경에 대한 추가적인 안전을 확보하기 위

하여 최소피복두께를 만큼 증가시켜야 한다. 는 아래 값을 적용하되, 실험

데이터와 신뢰할 수 있는 내구성 예측을 통해 타당한 근거를 제시할 경우 이보다 작은 값을

적용할 수 있다.

= 5mm(ED1/ES1), 10mm(ED2/ES2), 15mm(ED3/ES3)

(6) 표 5.10.1에서 요구하는 최소 강도보다 아래에서 정하는 값 이상 큰 강도를 사용하

는 경우, 시공과정에서 철근 위치의 변동이 없는 슬래브 형상의 부재인 경우, 콘크리트

를 제조할 때 특별한 품질관리방안이 확보되었다고 승인받은 경우에는 최소피복두께를

각각 5 mm 감소시킬 수 있다.

(1) 아래 (13)에 내화성에 대한 규정 신설

(2) 고부식성 환경의 경우 추가 안전율 확보를 위해

피복두께를 증가하도록 규정, 기호 설명 추가

(3)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4)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 내구수명과 피복등급 개념을 삭제하고, 고부식성

환경에 대해서는 추가 안전 확보를 위해 피복두께를

증가하도록 규정

삭제된 표(5.8.6 및 5.8.7)의 내용을 본문에 규정

Page 63: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35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6) 스테인레스 철근을 사용하거나 다른 특별한 조치를 취한 경우에는 최소

피복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부착강도를 비롯한 모든 관련된

재료적 특성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7) 코팅과 같은 추가 표면처리를 한 콘크리트의 경우 최소피복두께를 감소

시킬 수 있다.

(8) 프리캐스트나 현장 타설 콘크리트와 같은 다른 콘크리트 부재에 접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 철근에서 표면까지의 최소피복두께는 다음 요구조건

을 만족하면 표 5.8.3의 부착에 대한 최소피복두께 값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 콘크리트 강도는 25 MPa 이상이다.

• 콘크리트 표면이 외기에 노출된 시간이 짧다.(28일 미만)

• 접촉면이 거칠게 처리되어 있다.

(9) 특별한 조성(시멘트 종류, 물-시멘트비, 미분말 채움재)을 갖는 적은 투

수계수의 콘크리트를 사용할 경우 최소피복두께는 감소시킬수 있다.

(10) 노출 골재 등과 같은 요철 표면의 경우 최소피복두께는 적어도 5 mm를

증가시켜야 한다.

(11) 콘크리트에 동결융해 또는 화학적 침투(EF, EA 등급)가 우려될 때, 콘

크리트 배합에 특별히 주의해야 하며, 표 5.8.4와 표 5.8.5에 의한 피복두께

는 보통 이러한 조건을 포함한 것이다.

표 5.10.4 철근의 내구성을 고려한 최소피복두께, m in (mm)

∙ E0 등급이나 탄산화에 노출된 경우(EC 등급) : 5 MPa

∙ 염화물이나 해수에 노출된 경우 (ED, ES 등급) : 10 MPa

(67) 스테인레스 철근을 사용하거나 다른 특별한 조치를 취한 경우에는 만큼 최소

피복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부착강도를 비롯한 모든 관련된 재료적 특

성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는 일반적으로 0 mm을 적용하되, 실험 데이터

와 신뢰할 수 있는 내구성 예측 기법에 따른 타당한 근거를 제시한 경우에는 0 mm보다 큰

값을 적용할 수 있다.

(78) 코팅과 같은 추가 표면처리를 한 콘크리트의 경우 만큼 최소피복두께를 감소

시킬 수 있다. 는 일반적으로 0 mm을 적용하되, 실험 데이터와 신뢰할 수 있는 내

구성 예측 기법에 따른 타당한 근거를 제시한 경우에는 0 mm보다 큰 값을 적용할 수 있다.

(89) 프리캐스트나 현장 타설 콘크리트와 같은 다른 콘크리트 부재에 접하여 콘크리트를 타

설할 경우 철근에서 표면까지의 최소피복두께는 다음 요구조건을 만족하면 표 5.10.3의 부착

에 대한 최소피복두께 값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 콘크리트 강도는 25 MPa 이상이다.

• 콘크리트 표면이 외기에 노출된 시간이 짧다(28일 미만).

• 접촉면이 거칠게 처리되어 있다.

(10) 노출 골재 등과 같은 요철 표면의 경우 최소피복두께는 적어도 5 mm를 증가시켜야 한

다.

(11) 일반적으로 EF와 EA 등급에 대해서는 이 절(5.10.4절)의 규정에 따라 정한 피복

두께로 충분하다. 동결융해 작용(EF 등급)에 대해서는 연행 공기량의 확보가 중요하며,

제빙화학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혼화재료의 사용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화학적

침식(EA 등급)의 경우는 시멘트의 화학 조성이 큰 영향을 미치므로 결합재의 선정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12) 방수처리나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노출 콘크리트 바닥판의 피복두께는 마모에 대

비하여 최소 10 mm만큼 증가시켜야 한다.

(6) 상세한 설명을 추가하여 이해도를 높임

(7) 상세한 설명을 추가하여 이해도를 높임

(9) 모호한 조항을 삭제하고 신설된 항(6)으로 대체

(11)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보다 분명하게 함

(12) 노출 바닥판에 대한 피복두께 규정 추가

Page 64: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36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피 복등급

노출등급

E0 EC1 EC2/EC3/EF2

EC4/EF1/EF3

ED1/ES1/EA1

ED2/ES2/EA2

ED3/ES3/EA3

TC1 10 10 10 15 20 25 30TC2 10 10 15 20 25 30 35TC3 10 10 20 25 30 35 40TC4 10 15 25 30 35 40 45TC5 15 20 30 35 40 45 50TC6 20 25 35 40 45 50 55

표 5.10.5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내구성을 고려한 최소피복두께,

m in (mm)

피 복등급

노출등급

E0 EC1 EC2/EC3/EF2

EC4/EF1/EF3

ED1/ES1/EA1

ED2/ES2/EA2

ED3/ES3/EA3

TC1 10 15 20 25 30 35 40TC2 10 15 25 30 35 40 45TC3 10 20 30 35 40 45 50TC4 15 25 35 40 45 50 55TC5 15 30 40 45 50 55 60TC6 20 35 45 50 55 60 65

표 5.8.6 사용수명 50년의 최소피복두께(mm)

구분

표 5.8.2에 따른 노출환경조건

E0 EC1EC2/EC3/EF2

EC4/EF1/EF3

ED1/ES1/EA1

ED2/ES2/EA2

ED3/ES3/EA3

min 1

철근10 15 25 30 35 40 45

min 1

프리스트레싱 강재

15 25 35 40 45 50 55

주 1 : 표 5.8.1에 제시한 최소 콘크리트 강도보다 더 큰 강도의 철근콘크리

트 구조물의 최소피복두께는 2단계의 강도등급에 따라 5 mm정도 감소시킬

수 있다.

표 5.8.7 표 5.8.4 및 표 5.8.5의 피복 노출 등급 제한

(13) 내화를 필요로 하는 구조물의 피복 두께는 화열의 온도, 지속시간, 사용골재의 성

질 등을 고려하여 정하여야 한다.

표 5.10.4 철근 및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내구성을 고려한 최소피복두께, m in (mm)

강재 종류노출등급

E0 EC1 EC2 / EC3 EC4 ED1 / ES1 ED2 / ES2 ED3 / ES3

철근 20 25 35 40 45 50 55프리스트레싱 강재 20 35 45 50 55 60 65

(13) 내화를 고려한 피복두께 관련 규정 추가

Page 65: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37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구분

표 5.8.2에 따른 노출 등급위 험 도 매우낮음탄산화에 노출 경우 염화물에 노출 경우 해수의 염화물

에 노출 경우

E0 EC1 EC2/EC3/EF2

EC4/EF1/EF3

ED1/EA1

ED2/EA2

ED3/EA3 ES1 ES2 ES3

100년 사용수명 2등급 상향 조정

콘크리트강도 등급 1,2

≥30MPa

≥30 MPa ≥35MPa ≥ 4 0

MPa≥ 4 0 MPa

≥ 4 0 MPa

≥ 4 5 MPa

≥ 4 0 MPa

≥ 4 5 MPa

≥ 4 5 MPa

1등급 하향 조정슬래브 형상의 부재 경우 (시공과정 중에 철근위치가 변동없는경우)

1등급 하향 조정

특수한 품질관리가 요구되는 경우 1등급 하향 조정

주1 : 콘크리트 강도와 물-시멘트비는 서로 관련된 값이다. 작은 투수계수를

갖는 콘크리트를 위한 특수한 배합(시멘트 종류, 물-시멘트비, 분말채움재

등)은 피복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

주2 : 4% 이상의 AE제를 사용하면 피복두께는 강도크기에 따라 하향 조정

될 수 있다.5.9.2.1 철근 구부림의 최소 내면 반지름

(2) 철근 구부림에 의한 철근 자체의 손상을 막기 위한 최소 내면 반지름은

표 5.9.1과 같다.

5.11.2.1 철근 구부림의 최소 내면 지름

(2) 철근 구부림에 의한 철근 자체의 손상을 막기 위한 최소 내면 지름은 표 5.11.1과

같다.

오타수정

5.9.2.1 철근 구부림의 최소 내면 지름

표 5.9.1 철근 자체의 손상을 막기 위한 최소 내면반지름

(1) 일반 철근 (절곡, 갈고리, 루프를 포함하는 구부린 철근)

구 분 일반 철근D16이하의 철근 D19이상의 철근

원형 철근 1.25 2.5

이형철근 2 3.5

(2) 용접철망

5.11.2.1 철근 구부림의 최소 내면 지름

표 5.11.1 철근 자체의 손상을 막기 위한 최소 내면 지름

(1) 일반 철근

일반 철근D16이하의 철근 D19이상의 철근

원형철근 1.25 2.5

이형철근 2 3.5

(2) 용접 후에 구부린 철근 또는 철망

설명을 추가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Page 66: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38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구 분

용접철근이 내부에 있을 경우

용접철근이 외부에 있을 경우

최소 내면

반지름2.5

2.5≥ 또는 곡선 영

역에서의 용접10*)

용접철근이 내부에 있을 경우 용접철근이 외부에 있을 경우

최소

내면

반지름

2.5

2.5≥ 또는 곡

선 영역에서의 용

10*)

5.9.2.1 철근 구부림의 최소 내면 지름

(3) 구부린 철근 내부의 콘크리트 손상을 막기 위한 최소 내면 반지름은 다

음과 같다.

≥ (5.9.1)

콘크리트 강도 가 30 MPa 이상이고 철근 강도 가 500 MPa 이하인 경우

에는 표 5.9.2를 사용할 수 있다.

5.11.2.1 철근 구부림의 최소 내면 지름

(3) 구부린 철근 내부의 콘크리트 손상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따로 고려

하지 않을 수 있다.

- 구부린 영역의 끝점에서 정착길이가 >5 이거나 철근이 표면 근처에 있지 않고 구

부린 위치에 배근된 횡방향 철근의 지름이 > 인 경우

- 구부린 철근의 내면 지름이 표 5.11.1보다 큰 경우

위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 콘크리트의 손상을 막기 위한 최소 내면 지름은

식 (5.11.1)과 같다.

≥ (5.11.1)

이 식에서 는 ≤ 의 설계압축강도 보다 클 수 없다.

설명을 추가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9.2.1 철근 구부림의 최소 내면 지름

표 5.9.2 콘크리트의 손상을 막기 위한 최소 내면 반지름

굽힘 면에 수직인 콘크리트의 최소 피복두께 또는 이웃하는 철근 사이의

자유길이(free distance)의 1/2

bent-up 철근 또는 기타 곡선철근(curved bars)의 최소

내면 반지름

>100 mm 이고 >7 5

>50 mm 이고 >3 7.5

≤50 mm 또는 ≤3 10

5.11.2.1 철근 구부림의 최소 내면 지름 불필요한 내용 삭제

5.9.3.3 프리스트레싱 긴장재 및 덕트의 최소간격

(1) 프리텐션 강연선

5.9.5.7에 규정된 정착길이 이내에 있는 부재의 양 단부에서 프리텐션 강연선

5.11.3.3 프리스트레싱 강재 및 덕트의 최소 간격

(1) 프리텐션 강연선

5.11.5.7에 규정된 정착길이 이내에 있는 부재의 양 단부에서 프리텐션 강연선(피복이 있

오타수정

편집상 표의 위치 변경

Page 67: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39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피복이 있는 것도 포함)의 순간격은 골재 최대치수의 1.33배 이상으로 하여야

하며 중심 간격은 표 5.9.3의 값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실물실험에 의하여 검증된다면 부재단부에서 프리텐션 강연선의 순간격을 감

소시켜도 좋다.

강연선 다발 사이의 순간격은 골재 최대치수의 1.33배 이상, 25 m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프리텐셔닝 강연선을 절곡하는 경우 절곡하는 위치와 절곡위치 사

이에서는 상하로 접촉하는

표 5.9.3 프리텐션 강연선의 중심 간격

강연선 지름 (mm) 간격 (mm)

15.2414.29 special

14.2951

12.70

11.1112.70 special

44

9.53 38

는 것도 포함)의 순간격은 골재 최대치수의 1.33배 이상으로 하여야 하며 중심 간격은 표

5.11.3의 값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표 5.11.3 프리텐션 강연선의 중심 간격

강연선 지름 (mm) 간격 (mm)

15.214.3 50

12.711.1 44

9.5 38

실물실험에 의하여 검증된다면 부재단부에서 프리텐션 강연선의 순간격을 감소시켜도 좋

다.

강연선 다발 사이의 순간격은 골재 최대치수의 1.33배 이상, 25 mm 이상으로 하여야 한

다. 프리텐셔닝 강연선을 절곡하는 경우 절곡하는 위치와 절곡위치 사이에서는 상하로 접촉

하는 다발을 형성할 수 있다. 상하로 접촉하는 다발 이외의 다른 방법으로 다발을 형성할

때에는 다발을 구성하는 강연선의 수가 4개 이하가 되어야 한다.

5.9.3.4 슬래브에서의 프리스트레싱 긴장재와 덕트의 최대간격 5.11.3.4 슬래브에서의 프리스트레싱 강재와 덕트의 최대간격 용어의 통일

5.9.4.3 부착강도

(2) 이형 철근의 극한 부착강도에 대한 설계강도는 다음과 같이 취한다.

(5.9.2)

여기서,

콘크리트 설계인장강도 ××

5.11.4.3 부착강도

(2) 이형 철근의 부착강도에 대한 설계값은 다음과 같이 취한다.

(5.11.2)

여기서,

= 콘크리트 기준인장강도

수식의 표현 방식 수정(통일)

5.9.4.5 설계정착길이

(1) 설계정착길이는 다음 식으로 계산한다.

≥ m in (5.9.4)

5.11.4.5 설계정착길이

(1) 설계정착길이는 다음 식으로 계산한다.

≥ m in (5.11.4)

용어변경

Page 68: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40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여기서 는 표 5.9.4의 계수이다.

= 적절한 피복두께를 가진 철근의 형상효과(그림 5.9.1 참조)

= 콘크리트 피복두께의 효과(그림 5.9.3 참조)

a) 직선 철근 b) 절곡 철근 또는 갈고리 c) 루프 철근

min min

그림 5.9.3 보와 슬래브에서 의 크기

여기서 는 표 5.11.4의 계수이다.

: 적절한 피복두께를 가진 철근의 형상효과(그림 5.11.1 참조)

: 콘크리트 피복두께의 효과(그림 5.11.3 참조)

a) 직선 철근 b) 굽힘 철근 또는 갈고리 c) 루프 철근

min min

그림 5.11.3 보와 슬래브에서 의 크기

5.9.4.7. 용접철근에 의한 정착

(2) 횡방향 용접철근(지름 14 mm-32 mm) 하나의 정착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

된다.

≤ (5.9.5)

(4) 두 철근이 의 최소 간격으로 같은 면에 용접되는 경우에는 정착력을 1.41배

한다.

(5) 공칭지름 12 mm 이하의 MPa 철근의 경우, 용접된 횡철근(cross

bar)의 정착력은 주로 용접 조인트의 설계강도에 의해 결정 된다. 최대 지름12

mm의 용접된 횡철근의 정착력은 다음 식으로 계산된다.

≤ (5.9.6)

여기서, = 설계전단 용접 강도(식 (5.9.5) 참조)

= 횡방향 철근의 공칭지름 ≤ mm = 정착철근의 공칭지름 ≤ mm

5.11.4.7. 용접철근에 의한 정착

(2) 횡방향 용접철근(지름 14 mm-32 mm) 하나의 정착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5.11.5)

(4) 두 철근이 의 최소 간격으로 같은 면에 용접되는 경우에는 정착력을 1.4배 한다.

(5) 공칭지름 12 mm 이하의 MPa 철근의 경우, 용접된 횡철근의 정착력은 주로 용접

조인트의 설계강도에 의해 결정 된다. 최대 지름 12 mm의 용접된 횡철근의 정착력은 다음

식으로 계산된다.

≤ (5.11.6)

여기서, 용접의 설계전단강도(식 (5.11.5) 참조)

횡방향 철근의 지름 ≤ mm 정착철근의 지름 ≤ mm

수식의 표현 방식 수정하여 이해도 높힘

기호의 설명 수정하여 의미 명확히 함

철근의 지름 겹침이음길이

≤≥ mm : 겹침이음길이내에서 최소한 1와이어 피

≤ ≥ mm : 최소한 2 와이어 피치

≤ ≥ mm : 최소한 2 와이어 피치

5.9.5.5 용접철망의 겹침이음

표 5.11.6 배력 층배열 철망(secondary layered fabric)의 소요

배력 철근의 지름 겹침이음길이

≤ ≥ mm ; 겹침이음길이내에서 최소한 1와이어 피치

≤ ≥ mm ; 최소한 2 와이어 피치

≤ ≥ mm ; 최소한 2 와이어 피치

5.11.5.5 용접철망의 겹침이음

표 5.11.6 배력 층배열 철망(secondary layered fabric)의 소요

용어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9.6. 지름이 큰 철근에 대한 추가 규정

(8) 지름이 큰 철근에 대한 표피철근량은 큰 지름 철근의 직각 방향으로는

5.11.6. 지름이 큰 철근에 대한 추가 규정

(8) 지름이 큰 철근에 대한 표피철근 단면적은 큰 지름 철근의 직각 방향으로는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Page 69: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41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 평행한 방향으로는 보다 작아서는 안된다. , 평행한 방향으로는 이상 이어야 한다.

5.9.8.2 프리스트레싱 강연선의 정착

(2) 부착된 강연선

프리텐셔닝 강연선을 위험단면을 지나 다음과 같은 정착길이(mm) 만큼 부

착되어야 한다.

≥ (5.9.10)

여기서,

= 강연선의 공칭지름(mm)

= 부재의 공칭강도를 구할 때 긴장재에서의 평균응력(MPa)

= 손실 후의 긴장재에서의 유효 응력(MPa)

= 1.0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보

= 1.6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슬래브와 파일, 다른 값이 승인기관에

의해 연구 혹은 이전의 적용 경험에 비추어 주어질 수 있다.

5.11.8.2 프리스트레싱 강연선의 정착

(2) 부착된 강연선

프리텐셔닝 강연선을 위험단면을 지나 다음과 같은 정착길이(mm) 만큼 부착되어야 한

다.

≥ (5.11.10)

여기서,

= 강연선의 공칭지름(mm)

= 부재의 공칭강도를 구할 때 긴장재에서의 평균응력(MPa)

= 손실 후의 긴장재에서의 유효 응력(MPa)

= 1.0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보

= 1.6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슬래브와 파일, 다른 값이 승인기관에 의해 연구

혹은 이전의 적용 경험에 비추어 주어질 수 있다.

기호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10.2.2 종방향 인장 철근의 길이 방향 배치

(2) 전단 철근이 배치된 부재에 대해서는 경사균열에 의한 추가되는 인장력

를 5.5.2.3(6)에 따라 계산하여야 한다. 전단철근이 배치되지 않은 부재에

대해서는 경사균열에 의한 추가 인장력을, 모멘트 포락곡선과 비례하는 철근의

인장력 분포를 그림 5.10.1의 B곡선과 같이 부재 길이에 따라 만큼 이동

시키는 방법으로 반영할 수 있다. 이 규정은 전단 철근이 배치된 부재에 대해서

도 적용할 수 있다. 경사균열에 의한 추가 인장력은 그림 5.10.1에 나타나 있다.

cot cot (5.10.4)

여기서, = 전단철근과 주인장 현재 사이의 경사각

= 콘크리트 압축 스트럿과 주인장 철근 사이의 경사각

5.12.2.2 종방향 인장 철근의 길이 방향 배치

(2) 전단철근이 배치된 부재에 대해서는 경사균열에 의해 추가되는 인장력 를 5.7.2.3(6)에

따라 계산하여야 한다. 전단철근이 배치되지 않은 부재에 대해서는 경사균열에 의한 추가

인장력을, 모멘트 포락곡선에 비례하는 철근의 인장력 분포를 그림 5.12.1의 철근의 저항

인장강도곡선과 같이 부재 길이에 따라 만큼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반영할 수 있다.

이 규정은 전단 철근이 배치된 부재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경사균열에 의한 추가 인장

력은 그림 5.12.1에 나타나 있다.

cot cot (5.12.4)

여기서, = 전단철근과 주인장 현재 사이의 경사각

= 콘크리트 압축 스트럿과 주인장 철근 사이의 경사각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10.2.4 내측 받침부 하부 철근의 정착

(3)내측 받침부의 받침침하 등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정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도

록 정모멘트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이때에는 그림 5.10.3(b)와(c)와 같이 겹침

이음으로 연속시키는 방법으로 정모멘트철근의 역할을 하도록 하여도 좋다.

5.12.2.4 내측 받침부 하부 철근의 정착

(3) 내측 받침부의 지점 침하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정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도록 정모

멘트 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이때에는 그림 5.12.3(b)와(c)와 같이 겹침이음으로 연

속시키는 방법으로 정모멘트 철근의 역할을 하도록 하여도 좋다.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10.3.1 휨철근

(1) 일반사항

① 주방향에 대한 최소 및 최대철근비는 5.10.2.1(1)과 (3)을 적용한다. 그

러나 슬래브의 최소인장철근은 극한한계상태에 필요한 철근량의 1.5배보

다 클 필요는 없다.

5.12.3.1 휨철근

(1) 일반사항

① 주방향에 대한 최소 및 최대철근비는 5.12.2.1(1)과 (3)을 적용한다. 5.12.2.1 (1)의

적용에 있어 취성파괴의 위험이 적은 슬래브 경우 최소인장철근은 극한한계상태에

필요한 철근량의 1.5배로 하여도 된다.

상세한 설명을 추가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Page 70: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42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 주열대 - 중간대

참고: 지판의 폭이 (/3) 보다 큰 경우, 주열대는 지판의 폭을 사용한다.

중간대의 폭은 적절하게 조정하여야 한다.

그림 5.10.9 플랫 슬래브의 패널 구분

5.10.4.3 기둥이 불규칙하게 배치된 플랫 슬래브

(1) 기둥이 불규칙하게 배치된 플랫 슬래브의 경우에는 등가뼈대법, 격자해석

또는 유사한 탄성해석법이 적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다음 순서에 따른

단순 방법을 적용하여 해석을 수행하여도 좋다.

① 총계수하중에 대한 슬래브 해석

(2) 외측 기둥에 대한 휨모멘트 전달을 고려한 구속 효과는 5.10.4.2를 적용해

야 한다.

- 슬래브 모서리

참고: 는 보다 클 수 있다. Note: 는 보다 클 수 있고, 는 보다

클 수 있다.

a) 가장자리 기둥 b) 모서리 기둥

참고: 는 슬래브 모서리로부터 기둥의 가장 안쪽 표면까지의 거리

그림 5.10.10 슬래브 모서리의 유효폭의 정의

- 주열대 - 중간대

참고: 지판의 폭이 (/3) 보다 큰 경우, 주열대는 지판의 폭을 사용한다.

중간대의 폭은 적절하게 조정하여야 한다.

그림 5.12.9 플랫 슬래브의 패널 구분

- 슬래브 모서리

참고: 는 보다 클 수 있다. Note: 는 보다 클 수 있고, 는 보다 클 수 있다.

a) 가장자리 기둥 b) 모서리 기둥

참고: 는 슬래브 모서리로부터 기둥의 가장 안쪽 표면까지의 거리

그림 5.12.10 슬래브 모서리의 유효폭의 정의

5.12.4.3 기둥이 불규칙하게 배치된 플랫 슬래브

(1) 기둥이 불규칙하게 배치된 플랫 슬래브의 경우에는 등가골조법, 격자해석 또는 유사한

탄성해석법이 적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다음 순서에 따른 단순 방법을 적용하여

해석을 수행하여도 좋다.

ⅰ) 총 계수하중에 대한 슬래브 해석.

(2) 외측 기둥에 대한 휨모멘트 전달을 고려한 구속 효과는 5.12.4.2를 적용해야 한다.

편집상 그림의 위치를 수정하여 이해도를 높힘

Page 71: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43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5.10.4.4 플랫 슬래브의 철근 배치

(3) 2방향(펀칭) 전단철근

① 2방향 전단철근이 요구되는 부분(5.5.4 참조)은 집중 하중이 재하되는면

둘레 또는 기둥과 전단철근이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 위험단면둘레의 1.5

사이에 2방향전단철근을 배치해야 한다. 2방향전단철근은 두 개 이상의 전

단철근을 사용해야 한다(그림 5.10.11 참조). 이 때 전단철근의 수평간격은

0.75 이하이어야 한다.

③ 굽힘철근이 재하면을 통과하거나, 재하면으로부터 0.25 이내에 있는 경우 굽힘

철근을 전단철근으로 사용할 수 있다.

a) 전단철근의 간격 b) 굽힙철근의 간격

그림 5.10.11 2방향 전단철근

④ 받침부 표면 또는 재하면의 주변과 가장 가까운 전단철근 사이의 거리는

/2 이하로 하여야 한다. 이 거리는 인장철근 위치에서 취해야 한다. 만약 굽

힘철근이 1개의 철근으로 배치된 경우라면 굽힘철근의 경사각은 30。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5.12.4.4 플랫 슬래브의 철근 배치

(3) 2방향(펀칭) 전단철근

① 2방향 전단철근이 요구되는 부분(5.7.4 참조)은 집중 하중이 재하되는 면 둘레 또는

기둥과 전단철근이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 위험단면 둘레의 1.5 사이에 2방향 전단철근

을 배치해야 한다. 2방향 전단철근은 두 개 이상의 전단철근을 사용해야 한다(그림

5.12.11 참조). 이 때 전단철근의 수평간격은 0.75 이하이어야 한다.

③ 굽힘철근이 재하면을 통과하거나, 재하면으로부터 0.25 이내에 있는 경우 굽힘철근을 전

단철근으로 사용할 수 있다.

④ 받침부 표면 또는 재하면의 주변과 가장 가까운 전단철근 사이의 거리는 /2 이하로 하여

야 한다. 이 거리는 인장철근 위치에서 취해야 한다. 만약 굽힘철근이 1개의 철근으로 배치

된 경우라면 굽힘철근의 경사각은 30°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a) 전단철근의 간격 b) 굽힙철근의 간격

그림 5.12.11 2방향 전단철근

편집상 그림의 위치를 수정함

5.10.5.1 일반사항

(5) 특별히 요구되지 않는 한, 콘크리트 바닥판은 흠 또는 마모 방지층의 두께를 뺀 판 최소두께는 240mm 보다 작아서는 않된다. 바닥판의 최소 피복 두께는 ~~ .

5.12.5.1 일반사항

(5) 특별히 요구되지 않는 한, 콘크리트 바닥판은 흠 또는 마모 방지층의 두께를 뺀 판 최소두께는 220mm 보다 작아서는 안 된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최소두께는 200mm 이상이어야 한다. 바닥판의 최소 피복 두께는 ~~ .

교량 콘크리트 바닥판 최소두께는 반복 윤하중에 대한

피로저항강도를 토대로 제시된 규정으로, 현행 강교편

6.14.6 콘크리트 바닥판 일반사항의 최소두께 규정을 따

르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됨

5.10.6.5 띠철근 상세

(1) 5.10.6.3의 횡방향 철근의 일반 규정 외에 띠 철근에 대해서는 이절의 상세

규정을 적용한다.

(2) 띠철근 압축부재에서는 모든 축방향 철근을 다음과 같은 띠철근으로 둘러

5.12.6.5 띠철근 상세

(1) 5.12.6.3의 횡방향 철근의 일반 규정 외에 띠 철근에 대해서는 이절의 상세 규정을 적

용한다.

(2) 띠철근 압축부재에서는 모든 축방향 철근을 다음과 같은 띠철근으로 둘러싸야 한다.

오타수정 및 누락된 내용 추가

Page 72: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44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싸야 한다.

• D29 이하의 축방향철근 : D10의 띠철근

• D35 이상의 축방향철근 : D16의 띠철근

• 다발철근 : D16의 띠철근

철근대신 등가단면적의 이형철선이나 용접철선망을 띠철근으로 사용해도 좋

다.

(3) 띠철근의 간격은 압축부재의 최소치수 이하, 300 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D35를 초과하는 철근을 다발로 한 경우에, 띠철근의 간격은 부재 최소치수

의 ½이하, 150 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4) 띠철근은 모든 모서리에 있는 축방향철근과 하나 건너 있는 축방향철근이

135。이하로 구부린 띠철근의 모서리에 의하여 횡지지되도록 배치하여야

하며, 어떤 축방향철근도 띠철근을 따라 횡지지된 축방향철근의 양쪽으로

중심간격이 610 mm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기둥에 소성힌지가 형성되도

록 설계하는 경우에는 어떤 축방향철근도 횡지지된 축방향철근과의 순간격

이 150 mm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 D32 이하의 축방향 철근 : D10의 띠철근

• D35 이상의 축방향 철근 : D13의 띠철근

• 다발철근 : D16의 띠철근

철근대신 등가단면적의 이형철선이나 용접철선망을 띠철근으로 사용해도 좋다.

(3) 띠철근의 간격은 축방향 철근 최소 지름의 20배 이하, 압축부재의 최소치수 이하, 400

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D32보다 큰 철근을 다발로 한 경우에, 띠철근의 간격은 부재

최소치수의 ½이하, 150 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4) 띠철근은 모든 모서리에 있는 축방향철근과 하나 건너 있는 축방향철근이 135°이하로

구부린 띠철근의 모서리에 의하여 횡지지되도록 배치하여야 하며, 어떤 축방향철근도

띠철근을 따라 횡지지된 축방향철근의 양쪽으로 중심간격이 600 mm를 초과하지 않아

야 한다. 기둥에 소성힌지가 형성되도록 설계하는 경우에는 어떤 축방향 철근도 횡지지

된 축방향 철근과의 순간격이 150 mm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5.10.7.1 일반사항

단면내의 종방향 철근의 총단면적은 콘크리트 면적의 0.01배 보다 작아서는 안된다.

5.12.7.1 일반사항

단면내의 종방향 철근의 총단면적은 이상이어야 한다.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표현 방법 통일

5.10.7.5 폐쇄철근 5.12.7.5 후프철근 용어수정

5.10.8.3 수평 철근

(1) 벽면에 평행한 수평 철근은 각 벽체의 표면에 배치되어야 한다. 수평 철근량

은 수직 철근량의 25% 또는 이상이어야 한다.

5.12.8.3 수평 철근

(1) 벽면에 평행한 수평 철근은 각 벽체의 표면에 배치되어야 한다. 수평 철근량은 수직

철근량의 25% 또는 중 큰 값 이상이어야 한다.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10.8.4 횡방향 철근

(1) 두 면에서 총 수직 철근량이 를 초과하는 벽체 부분에 대해서는 기둥의

철근상세 규정과 동일하게 전단철근 형태의 횡방향 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5.10.6.3 참조).

(2) 지름이 16 mm이하인 용접강선망이 지름의 2배 이상의 피복두께를 갖도록

배치된 경우 외에는 주철근이 벽체 표면 가장 가까이에 배치된 곳에서 벽체

단위면적당 4개의 횡방향 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5.12.8.4 횡방향 철근

(1) 두 면에서 총 수직 철근량이 를 초과하는 벽체 부분에 대해서는 기둥의 철근 상세

규정과 동일하게 전단철근 형태의 횡방향 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5.12.6.3 참조).

(2) 주철근이 벽체 표면 가장 가까이에 배치된 곳에서 횡방향 철근은 벽체 단위면적당 4개

이상 배치하여야 한다. 지름이 16 mm 이하인 용접강선망이 지름의 2배 이상의 피복두

께를 갖고 배치된 경우 횡방향 철근은 배치하지 않아도 된다.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10.9 깊은 보

(1) 깊은 보 (5.4.2.1(1)①항의 정의 참조)는 각각의 면에 인접한 직교 철근망

을 수직과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야 한다. 이때 깊은 보 양면 각각의 철근

망은 최소 0.1%의 철근비로서 1 m 당 150 mm2( mmm ) 이상이어

야 한다.

(2) 철근망의 두 인접한 철근 사이의 간격은 벽체 두께의 2배 또는 300 mm 중

작은 값 이하여야 한다.

5.12.9 깊은 보

(1) 깊은 보 (5.6.2.1(1)①항의 정의 참조)는 각각의 면에 인접한 직교 철근망을 수직과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야 한다. 이때 깊은 보 양면 각각의 철근망은 최소 철근량이

로서 1 m 당 150 mm2( mmm ) 이상이어야 한다.

(2) 철근망의 두 인접한 철근 사이의 간격은 깊은 보 두께의 2배 또는 300 mm 중 작은

값 이하여야 한다.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Page 73: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45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5.10.11.1 라멘 우각부

(1) 일반

① 압축영역의 콘크리트 설계강도, m ax은 5.5.5.2에 따라 결정해야 한다.

(2) 닫힘모멘트가 작용하는 라멘 우각부

① 기둥과 보의 깊이가 비슷한 경우 (그림 5.10.16(a) 참

조), 또는 보-기둥 접합부내의 전단철근 설계와 정착길이 검토는 수행하지 않

아도 된다. 보의 모든 인장철근은 우각부 주위에서 구부려서 배치하여야 한

다.

(a) 기둥과 보의 깊이가 동일한 경우

(b) 기둥과 보의 깊이가 크게 다른 경우

그림 5.10.16 닫힘모멘트가 있는 라멘 우각부의 모델과 철근상세

② 그림 5.10.16(b)는 ≤ tan ≤ 인 곳에서 인 경우에 대

한 스트럿-타이 모델을 나타낸다.

③ 정착길이 는 에 대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④ 면내절점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횡방향인장력에 대하여 철근을 배치하여

야 한다.

5.12.11.1 라멘 우각부

(1) 일반

① 압축영역의 콘크리트 설계강도, m ax는 5.7.5.2에 따라 결정해야 한다.

(2) 닫힘모멘트가 작용하는 라멘 우각부

① 기둥과 보의 깊이가 비슷한 경우 (그림 5.12.16(a) 참조), 또는 보-

기둥 접합부내의 전단철근 설계와 정착길이 검토는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보의 모든 인장

철근은 우각부 주위에서 구부려서 배치하여야 한다.

② 그림 5.12.16(b)는 ≤ tan ≤ 인 곳에서 인 경우에 대한

스트럿-타이 모델을 나타낸다.

③ 정착길이 는 에 대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④ 면내절점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횡방향인장력에 대하여 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a) 기둥과 보의 깊이가 동일한 경우

(b) 기둥과 보의 깊이가 크게 다른 경우

그림 5.12.16 닫힘모멘트가 있는 라멘 우각부의 모델과 철근 상세

편집상 그림의 위치를 변경하여 이해도를 높힘

5.10.11.2 내민받침 (브래킷, 코벨)

(3) 이고, (5.5.2.2 참조)인 경우, ≥ 인 폐

합수직철근을 주인장철근에 추가하여 배치하여야 한다(그림 5.10.19(b) 참조).

5.12.11.2 내민받침 (브래킷, 코벨)

(3) 이고, (5.7.2.2 참조)인 경우, ≥ 인 폐합 수직철근을

주인장철근에 추가하여 배치하여야 한다(그림 5.12.19(b) 참조).

기호변경

Page 74: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46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5.11.1.6 프리캐스트 요소의 연결부와 받침

(7) 받침에서 철근 정착은 지지하거나 지지되는 부재의 철근은 각각의 절점에

허용값 이내에서 정착을 확보할 수 있게 그림 5.11.5와 같이 배치하여야 한

다. 여기서, 유효 지압길이 은 다음 식으로 정해지는 요소 단부에서 떨어진

거리 에 따라 결정하여야 한다.

수평루프 또는 다른 방법으로 단부 정착된 철근에 대하여

수직으로 굽힌 철근에 대하여

여기서, 는 콘크리트 피복 두께이며 는 허용오차로서 정의에 대해서는 그

림 5.11.5 및 그림 5.11.7을 참조한다.

5.13.1.6 프리캐스트 요소의 연결부와 받침

(7) 받침에서 철근 정착을 지지하거나 지지되는 부재의 철근은 각각의 절점에 허용값 이내

에서 정착을 확보할 수 있게 그림 5.13.5와 같이 배치하여야 한다. 여기서, 유효 지압길

이 은 다음 식으로 정해지는 요소 단부에서 떨어진 거리 에 따라 결정하여야 한다.

수평루프 또는 다른 방법으로 단부 정착된 철근

수직으로 굽힌 철근

여기서, 는 콘크리트 피복 두께이며 는 허용오차로서 정의는 그림 5.13.5 및 그림

5.13.6을 참조한다.

오타수정

5.11.1.7 프리캐스트 요소의 받침부 지압판

(6) 그림 5.11.6에 보는 바와 같은 단순 받침부의 공칭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

할 수 있다.

(5.11.3)

여기서,

= 지압응력을 고려한 순 지압판 길이, ,

이 값은 표 5.11.1의 최소값보다 작지 않아야 한다.

= 받침점 반력

= 받침부의 순 폭, (3)항 참조

= 설계지압강도, (2)항 참조

= 지지하는 부재의 바깥쪽 끝에서 받침부 외측까지의 거리, (그림

5.11.6과 표 5.11.2 참조)

= 지지되는 부재의 바깥쪽 끝에서 받침부 외측까지의 거리

= 지지하는 부재사이의 간격에 대한 오차의 허용 값

= 지지되는 부재의 길이에 대한 오차 허용 값

= 여기서 은 부재 길이

특별히 정한 다른 규정이 없다면 다음 값들을 지압 강도로 쓴다.

= : 건식 연결

= ≤ : 그 외의 모든 경우

여기서,

= 지지하거나 지지되는 부재의 가장 낮은 설계강도

= 접착 재료의 설계강도

5.13.1.7 프리캐스트 요소의 받침부 지압판

(6) 그림 5.13.6에 보는 바와 같은 단순 받침부의 공칭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5.13.3)

여기서,

= 지압응력을 고려한 순 지압판 길이, ,

이 값은 표 5.13.1의 최소값보다 작지 않아야 한다.

= 받침점 반력

= 받침부의 순 폭

= 설계지압강도

= 지지하는 부재의 바깥쪽 끝에서 받침부 외측까지의 거리 (그림 5.13.6과 표

5.13.2 참조)

= 지지되는 부재의 바깥쪽 끝에서 받침부 외측까지의 거리

= 지지하는 부재사이의 간격에 대한 오차의 허용값

= 지지되는 부재의 길이에 대한 오차 허용값

= 여기서 은 부재 길이

특별히 정한 다른 규정이 없다면 다음 값들을 지압강도로 쓴다.

= : 건식 연결

= ≤ : 그 외의 모든 경우

여기서,

= 지지하거나 지지되는 부재의 가장 낮은 설계강도

= 접착 재료의 설계강도

표 5.13.2 지지하는 부재의 바깥쪽 끝으로부터 가정한 길이 (단위 mm)

오타수정

(표 5.13.2) 가독성이 높도록 편집

Page 75: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47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표 5.11.2 : 지지하는 부재의 바깥쪽 끝으로부터 가정한 길이 (단위 mm),

(-)의 경우는 콘크리트 지지석을 사용한 경우

지점 재료와 종류 ≤0.150.15 -

0.40.4

강재선지지 0 0 10

집중 지지 5 10 15

철근콘크리트 강도≥ MPa

선지지 5 10 15

집중 지지 10 15 25

무근 콘크리트, 철근과콘크리트 강도≤ MPa

선지지 10 15 25

집중 지지 20 25 35

벽돌쌓기 구조선지지 10 15 (-)

집중 지지 20 25 (-)

표 5.11.4 받침면 사이 순간격의 오차에 대한 허용값

지지 재료

강재 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 ≤ mm벽돌쌓기 부재 또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 ≤ mm

지점 재료와 종류 ≤0.15 0.15~0.4 0.4

강재선지지 0 0 10

집중 지지 5 10 15

철근 및콘크리트(강도≥ MPa)

선지지 5 10 15

집중 지지 10 15 25

무근 콘크리트,

철근 및콘크리트(강도≤ MPa)

선지지 10 15 25

집중 지지 20 25 35

벽돌쌓기 구조선지지 10 15 (-)

집중 지지 20 25 (-)

※ (-)의 경우는 콘크리트 지지석을 사용한 경우

표 5.13.4 받침면 사이 순간격의 오차에 대한 허용값

지지 재료

강재 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 ≤ mm벽돌쌓기 부재 또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 mm

5.11.2.3 현장타설 거더 교량

(1) 현장 타설로 시공되는 상자형 거더 및 T형 거더에서 바닥판으로 이용하는

상부 플랜지의 두께는, 횡방향 프리스트레싱을 위한 정착과 피복두께에 필

요한 두께보다 커야 하며, 동시에 인접 거더 사이의 순간격의 1/20보다 작지

않아야 한다.

5.13.2.3 현장타설 거더 교량

(1) 현장타설로 시공되는 상자박스형 거더 및 T형 거더에서 바닥판으로 이용하는 상부플랜

지의 두께는, 횡방향 프리스트레싱을 위한 정착과 피복두께에 필요한 두께보다 커야 하

며, 동시에 복부 또는 복부 헌치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되는 인접 거더 사이의 순간격의

1/20보다 작지 않아야 한다.

용어 변경

문구를 수정하여 의미를 명확히 함

5.11.3.3 세그멘탈 공법 교량의 설계

(4) 5.6 규정에 의해 산정한 부재의 설계강도는 아래의 시공하중조합에 의한 계

수하중 영향보다 작지 않아야 한다.

최대 단면력 산정시: (5.13.4) 최소 단면력 산정시: (5.13.5)

5.13.3.3 세그멘탈 공법 교량의 설계

(4) 5.8 규정에 의해 산정한 부재의 설계강도는 아래의 시공하중조합에 의한 계수하중 영

향보다 작지 않아야 한다.

최대 단면력 산정시: (5.13.4) 최소 단면력 산정시: (5.13.5)

오류 수정

5.11.4.2 아치 리브

(1) 아치 리브의 면내 안정성은 리브에 작용하는 조합하중, 적합한 탄성계수, 및

단면2차모멘트를 사용하여 검토하여야 한다. 좌굴에 대한 유효길이는 정확

한 해석에 의하지 않는 한 아치 지간 길이의 1/2 값에 4.5.3.3에 명시된 계수

를 곱하여 산정할 수 있다.

(2) 아치 리브를 해석할 때 4.5.3.2의 규정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근사

5.13.4.2 아치 리브

(1) 아치 리브의 면내 안정성은 리브에 작용하는 조합하중, 적합한 탄성계수 및 단면2차모

멘트를 사용하여 검토하여야 한다. 좌굴에 대한 유효길이는 정확한 해석에 의하지 않는

한 아치 지간 길이의 1/2 값에 4.5.3.2에 명시된 계수를 곱하여 산정할 수 있다.

(2) 아치 리브를 해석할 때 4.5.3.3의 규정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근사 단면2차모

멘트 수정에 필요한 할선탄성계수는 의 강도에 기초하여 5.5의 규정에 따라 산정하여

오타수정

Page 76: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5 장 콘크리트교

5-48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단면2차모멘트수정에 필요한 할선탄성계수는 의 강도에 기초하여 5.3의

규정에 따라 산정하여야 한다.

야 한다.

5.11.5.1 현장타설 슬래브 상부구조

(2) 활하중 분포는 정밀한 해석이나 4.6.2.3에서 명시된 방법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4.6.2.3에 따른 모멘트에 대해 설계된 슬래브나 슬래브교는 전단에 대

해 안전한 것으로 간주하여도 좋다.

5.13.5.1 현장타설 슬래브 상부구조

(2) 활하중 분포는 정밀한 해석이나 4.6.2에서 명시된 방법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4.6.2

에 따른 모멘트에 대해 설계된 슬래브나 슬래브교는 전단에 대해 안전한 것으로 간주하

여도 좋다.

오타수정

5.11.5.2 현장타설 속빈 슬래브교

(4) 공극이 위에서 규정한 치수 조건을 만족하고, 공극율이 40% 이하일 경우

상부구조는 4.6.2.3의 규정이나 등방성판에 대한 2차원 해석 방법을 사용하

여 슬래브로 해석할 수 있다. 공극율이 40% 이상일 경우 슬래브는 다중구조

로 취급하여야 하며, 4.6.2.2에 명시된 일체로 된 다연박스, 직방성판, 또는

3차원 연속체 구조형식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5.13.5.2 현장타설 속빈 슬래브교

(4) 준공이 위에서 규정한 치수 조건을 만족하고, 준공면적비가 40% 이하일 경우 상부구

조는 4.6.2.3의 규정이나 등방성판에 대한 2차원 해석 방법을 사용하여 슬래브로 해석

할 수 있다. 준공면적비가 40% 이상일 경우 슬래브는 다중구조로 취급하여야 하며,

4.6.2.2에 명시된 일체로 된 다연박스, 직교 이방성판, 또는 3차원 연속체 구조형식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용어 수정

Page 77: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6 장 강 교

6-1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제6장 목차

6.14.5.3 직교이방성 강상판

제6장 목차

6.14.5.3 직교이방성 강바닥판

[용어수정]

Ÿ ‘강상판’을 ‘강바닥판’으로 용어수

6.2 용어정의

개단면 리브 - 강상판에 있는 하나의 판 또는 말린 단면으로 구성된 리브로 바닥강판

에 용접됨.

볼스터 - 강상판과 보 사이의 간격을 띄우는 것

= 일차선당 일평균 트럭 교통량

= 탄성중립축에서 응력블럭 도심까지의 거리(mm); 볼트중심에서 연단까지의 거리; 다

중박스거더 단면에서 인접 상자간의 플랜지 중심간 거리(mm)

= 직교 강상판에서 폐단면 리브사이의 순간격(mm)

= 박스거더에서 플랜지의 최대비틂전단응력(MPa)

= 순수비틂상수(mm)

= 비탄성 횡-비틂좌굴을 보장하는 비지지길이의 한계(mm)

제6장 목차

개단면 리브 - 강바닥판에 있는 하나의 판 또는 말린 단면으로 구성된 리브로 바닥강

판에 용접됨.

볼스터 - 강바닥판과 보 사이의 간격을 띄우는 것

= 한차로당 일평균 트럭 교통량

= 탄성중립축에서 응력블럭 도심까지의 거리(mm); 볼트중심에서 연단까지의 거리; 다

중박스거더 단면에서 인접 박스간의 플랜지 중심간 거리(mm)

= 직교이방성 강바닥판에서 폐단면 리브사이의 순간격(mm)

= 박스거더에서 플랜지의 최대비틀림전단응력(MPa)

= 순수비틀림상수(mm)

= 비탄성 횡-비틀림좌굴을 보장하는 비지지길이의 한계(mm)

[용어수정]

Ÿ ‘강상판’을 ‘강바닥판’으로 용어수

Ÿ ‘일차선’에 대한 용어를 ‘일차로’

또는 ‘한차선’ 수정의견을 ‘한차

로’로 용어 수정

Ÿ ‘상자’를 ‘박스’로 용어수정

Ÿ ‘직교 강상판’을 ‘직교이방성 강바

닥판’으로 용어수정

Ÿ ‘비틂’을 ‘비틀림’으로 용어수정

6.4.4.1 강재의 강도

표 6.4.8 경량 및 기타 구조용 강재의 재료강도(MPa)

강재 기호

SSC400SWH400SWH400

LSHP400

W

SY295

SHP490W

SPY345SPY345WSPY345M

SY390 SPY450SPA-

HSPA-C SDP1 SDP2 SDP3

강도

245

(235)1) 295

325

(315)2) 345 390 450 355 315 206 245 315

400 490 490450

(485)3) 540 550 4904) 450 270 400 450

6.4.4.1 강재의 강도

표 6.4.8 경량 및 기타 구조용 강재의 재료강도(MPa)

강재 기호

SSC400SWH400SWH400

LSHP400

W

SY295 SHP490

W

SPY345SPY345WSPY345M

SY390 SPY450SPA-

HSPA-C SDP1 SDP2 SDP3

강도

245

(235)1) 295

325

(315)2) 345 390 450 355 315 206 245 315

400 490 490450

(485)3) 540 550 4904) 450 270 400 450

[편집수정]

Ÿ 한글프로그램 버전상의 편집오류

수정

6.5.5 극단한계상태

표 3.4.1의 모든 적용 가능한 극단한계상태조합에 대해 검토한다.

극단한계상태에 대한 저항계수는 볼트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1.0을 취한다.

내하력 설계에 의해 보호되지 않은 볼트 조인트는 극단한계상태에 대해 지압이음 형식으로

거동하는 것으로 가정하며, 저항계수는 6.5.4.2에 주어진 볼트 지압력에 대한 값을 적용한다.

6.5.5 극단상황한계상태

표 3.4.1의 모든 적용 가능한 극단상황한계상태조합에 대해 검토한다.

극단상황한계상태에 대한 저항계수는 볼트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1.0을 취한다.

내하력 설계에 의해 보호되지 않은 볼트 조인트는 극단상황한계상태에 대해 지압이음 형식

으로 거동하는 것으로 가정하며, 저항계수는 6.5.4.2에 주어진 볼트 지압력에 대한 값을 적용

한다.

[오타수정]

Ÿ ‘극단한계상태’를 ‘극단상황한계상

태’로 용어수정

Page 78: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6 장 강 교

6-2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6.6.2 인성요구조건

표 6.6.6 국내 지역별 최저 공용온도에 따른 온도구역 구분

구 분 최저 공용온도(T) 대 상 지 역1

온도구역

Ⅰ-15℃≤T

부산, 울산, 광주 전체 지역

전라남도 전체 지역

경상남도 전체 지역

경상북도 전체 지역

제주도 전체 지역

온도구역

Ⅱ-25℃≤T<-15℃

서울, 인천, 대구, 대전 전체 지역

경기도 동부를 제외한 지역

충청남도 전체 지역

전라북도 전체 지역

경상북도 내륙 지역

강원도 해안 지역

온도구역

Ⅲ-35℃≤T<-25℃

경기도 동부지역(동두천, 이천, 양평 등)

강원도 내륙 지역

충청북도 전체 지역

주 1. 교량이 건설되는 지역의 온도구역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대상 지역의 기

상청 관측자료를 기준으로 최근 30년 내 최저기온에 따라 온도구역을 구분한다.

구 분 최저 공용온도(T)2)

대 상 지 역1)

온도구역

Ⅰ-15℃≤T

부산, 울산, 광주 전체 지역

전라남도 전체 지역

경상남도 전체 지역

경상북도 전체 지역(온도구역II 지역제외)

제주도 전체 지역

온도구역

Ⅱ-25℃≤T<-15℃

서울, 인천, 대구, 대전 전체 지역

경기도 동부를 제외한 지역

충청남도 전체 지역

전라북도 전체 지역

경상북도 내륙 지역

강원도 해안 지역

온도구역

Ⅲ-35℃≤T<-25℃

경기도 동부지역(동두천, 이천, 양평 등)

강원도 내륙 지역

충청북도 전체 지역

6.6.2 인성요구조건

표 6.6.6 국내 지역별 최저 공용온도에 따른 온도구역 구분

주1) 교량이 건설되는 지역의 온도구역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대상 지역의 기

상청 관측자료를 기준으로 최근 30년 내 최저기온에 따라 온도구역을 구분한다.

주2) 최저 공용온도(T)라 함은 교량이 건설되는 지역의 최근 30년 내 최저 기온(100

년 재현주기 최저 기온과 유사)을 말한다.

[내용수정]

Ÿ 온도구역 I과 II에서 경상북도 지

역에 대한 명확히 구분

Ÿ 최저 공용온도에 대한 주석 내용

추가

6.6.2 인성요구조건

표 6.6.7 인장 또는 교번응력을 받는 주부재의 강종별 인성규격과 온도구역별 최대 허용

판두께

주 1. 선형 보간법에 따라 최대 허용 판두께를 산정할 때 사용되는 각 구역별 기준 공용온도.

2. 교량이 건설되는 지역의 최근 30년 내 최저기온(T)를 알고 있는 경우, 주 1의 기준 공용온도에 따른 선형

보간법을 적용하여 최대 허용 판두께를 산정해도 좋다. 예를 들어 SM520C의 경우, 어느 지역의 최저기

온(T)이 -20℃라면 구역 Ⅰ의 -15℃와 구역 Ⅱ의 -25℃를 기준으로 하여 최대 허용 판두께는 77.5

mm(≒78 mm)로 된다. 단, 최저기온의 범위가 -15℃≤T<-35℃일 때만 선형 보간을 적용할 수 있다.

6.6.2 인성요구조건

표 6.6.7 인장 또는 교번응력을 받는 주부재의 강종별 인성규격과 온도구역별 최대 허용

판두께

주 1. 선형 보간법에 따라 최대 허용 판두께를 산정할 때 사용되는 각 구역별 기준 공용온도.

2. 교량이 건설되는 지역의 최근 30년 내 최저기온(T)를 알고 있는 경우, 주 1의 기준 공용온도에 따른 선형

보간법을 적용하여 최대 허용 판두께를 산정해도 좋다. 예를 들어 SM520C의 경우, 어느 지역의 최저기

온(T)이 -20℃라면 구역 Ⅰ의 -15℃와 구역 Ⅱ의 -25℃를 기준으로 하여 최대 허용 판두께는 77.5

mm(≒78 mm)로 된다. 단, 최저기온의 범위가 -35℃≤T<-15℃일 때만 선형 보간을 적용할 수 있다.

[오타수정]

Ÿ ‘-15℃≤T<-35℃’를 ‘-35℃≤

T<-15℃’로 수정

6.7.4.3 직선교의 박스거더 단면

단면의 회전, 변위 및 뒤틀림에 저항할 수 있도록 각 지점부에는 박스거더 단면 내부에

다이아프램이나 수직브레이싱을 설치하고, 박스거더로부터 받침부로 비틂모멘트나 횡방향 하

중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6.7.4.3 직선교의 박스거더 단면

단면의 회전, 변위 및 뒤틀림에 저항할 수 있도록 각 지점부에는 박스거더 단면 내부에

다이아프램이나 수직브레이싱을 설치하고, 박스거더로부터 받침부로 비틀림모멘트나 횡방향

하중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용어수정]

Ÿ ‘비틂’을 ‘비틀림’으로 용어수정

6.9.2.2 축방향 압축과 휨

= 6.10.4 및 6.12에 규정된 x축에 관한 설계 휨저항강도(N․mm)

6.9.2.2 축방향 압축과 휨

= 6.10.4 및 6.12에 규정된 x축에 관한 설계휨강도(N․mm)

[오타수정]

Ÿ 6.8.2.3에서 ‘설계휨강도’와 ‘휨모멘트’

Page 79: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6 장 강 교

6-3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 6.10, 6.11 및 6.12에 규정된 y에 관한 설계 휨저항강도(N․mm)

= 다음의 규정에 따라 계산된 x축에 관한 설계휨모멘트(N․mm)

= 다음의 규정에 따라 계산된 y축에 관한 설계휨모멘트(N․mm)

= 6.10, 6.11 및 6.12에 규정된 y에 관한 설계휨강도(N․mm)

= 다음의 규정에 따라 계산된 x축에 관한 휨모멘트(N․mm)

= 다음의 규정에 따라 계산된 y축에 관한 휨모멘트(N․mm)

로 용어로 사용하였기에 6.9.2.2에서도

용어통일

Ÿ ‘설계 휨저항강도’를 ‘설계휨강도’로 용

어수정

Ÿ ‘설계휨모멘트’를 ‘휨모멘트’로 용어수정

6.9.2.2 축방향 압축과 휨

각 대칭축에 관한 설계휨모멘트 와 는 다음 중 하나로 결정한다.

• 설계하중으로 인해 발생하는 모멘트의 증가를 고려한 2차 탄성해석

• 4.5.3.2.2b에 규정된 근사방법

6.9.2.2 축방향 압축과 휨

각 대칭축에 관한 설계휨모멘트 와 는 다음 중 하나로 결정한다.

• 설계하중으로 인해 발생하는 모멘트의 증가를 고려한 2차 탄성해석

• 4.5.3.3에 규정된 근사방법

[오타수정]

Ÿ ‘4.5.3.2.2b’를 ‘4.5.3.3’으로 수정

6.9.4.2 축방향 압축부재의 폭-두께비 제한

판의 세장비 b/t는 다음을 만족시켜야 한다.

(6.9.7)

6.9.4.2 축방향 압축부재의 폭-두께비 제한

판의 세장비 b/t는 다음을 만족시켜야 한다.

(6.9.7)

[오타수정]

Ÿ ’‘를 ’‘로 수식수정

6.9.5.1 공칭압축강도

4.5.3.2(2)②에 규정된 근사방법에 의한 휨과 압축을 받는 합성단면부재에 대한 모멘트확대계

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다음을 적용한다.

(6.9.16)

6.9.5.1 공칭압축강도

4.5.3.3에 규정된 근사방법에 의한 휨과 압축을 받는 합성단면부재에 대한 모멘트확대계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다음을 적용한다.

(6.9.16)

[오타수정]

Ÿ ‘4.5.3.2(2)②’를 ‘4.5.3.3’으로 수

6.10.3.1 합성단면

(3) 소성모멘트

소성모멘트 는 소성단면력의 소성중립축에 대한 일차모멘트로 구한다.

6.10.3.1 합성단면

(3) 소성모멘트

소성모멘트 는 소성단면력의 소성중립축에 대한 1차모멘트로 구한다.

[용어수정]

Ÿ ‘일차모멘트’를 ‘1차모멘트’로 용

어수정

6.10.3.7 부모멘트 구간의 최소 바닥판 철근

계수시공하중 또는 표 3.4.1의 ~~ 초과하는 경우, 교축방향 철근 단면적은 계산에 의해

결정하되 적어도 바닥판 총단면적의 1% 이상이어야 한다. 이때 적용하는 철근의 ~~ 사

용해야 한다.

철근을 바닥판 전폭에 걸쳐서 등간격 및 2단으로 배근하며, 필요시 2/3를 상단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철근의 간격은 300mm ~~ .

6.10.3.7 부모멘트 구간의 최소 바닥판 철근

계수시공하중 또는 표 3.4.1의 ~~ 초과하는 경우, 교축방향 철근 단면적은 계산에 의해

결정하되 적어도 바닥판 총단면적의 1.5 % 이상이어야 한다. 이때 적용하는 철근의 ~~

사용해야 한다.

철근을 바닥판 전폭에 걸쳐서 등간격 및 2단으로 배근한다. 하며, 필요시 2/3를 상단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철근의 간격은 300 mm ~~ .

인장력을 받는 바닥판 특히 부모멘트부

에 대해 허용균열폭을 0.3 mm로 가

정해 산정한 최소 철근비는 바닥판 총

단면적의 1.5 % 수준이며, 주장률은

0.0035 ㎜/㎟ 수준임. 주장률의 경우

D9 이하의 철근을 사용해야 된다고

규정하고 있어 생략 가능함.

6.10.4.2 휨강도의 정의

(5) 횡비틂좌굴을 고려한 합성단면 플랜지의 휨강도

① 압축플랜지

응력으로 표시되는 압축플랜지의 공칭휨강도는 식(6.10.44)로 구한다. 그러나 횡비틂좌굴

을 고려한 다음 식을 초과할 수는 없다.

6.10.4.2 휨강도의 정의

(5) 횡비틀림좌굴을 고려한 합성단면 플랜지의 휨강도

① 압축플랜지

응력으로 표시되는 압축플랜지의 공칭휨강도는 식(6.10.44)로 구한다. 그러나 횡비틀림좌

굴을 고려한 다음 식을 초과할 수는 없다.

[용어수정]

Ÿ ‘횡비틂’을 ‘횡비틀림’으로 용어수

Page 80: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6 장 강 교

6-4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6) 횡비틂좌굴을 고려한 비합성단면의 플랜지 휨강도

① 압축플랜지

압축플랜지의 공칭휨강도는 식(6.10.44)로 구하지만, 횡비틂좌굴을 고려한 다음의 휨강도

를 로 나눈 값을 초과할 수는 없다.

(6) 횡비틀림좌굴을 고려한 비합성단면의 플랜지 휨강도

① 압축플랜지

압축플랜지의 공칭휨강도는 식(6.10.44)로 구하지만, 횡비틀림좌굴을 고려한 다음의 휨강

도를 로 나눈 값을 초과할 수는 없다.

6.10.7.3 보강된 복부판의 공칭강도

이면,

(6.10.82)

6.10.7.3 보강된 복부판의 공칭강도

이면,

(6.10.82)

[오타수정]

Ÿ ’

‘를 ’

‘로 수식

수정

6.11.1.1 다중 박스거더 단면

그림 6.11.1 플랜지 중심간 거리

6.11.1.1 다중 박스거더 단면

그림 6.11.1 플랜지 중심간 거리

[그림수정]

Ÿ 그림 내부에 수식표현 수정

6.11.1.2 단일 박스거더(2) 해석

단일 박스거더의 해석은 4.6.1.2(2)의 유사해석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해석시에는 비틂과 휨

에 대한 영향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박스 내부에 단면의 변형을 막기 위한 적절한 브레이싱

이나 다이아프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비틀림의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해석에는

받침의 횡방향 위치를 고려해야 한다. 피로해석시 축방향 뒴응력(warping stress)을 고려해

야 하지만, 극한한계상태에서는 이를 무시할 수 있다. 뒤틀림(distortion)에 대한 영향을 무

시할 수 있을 경우에 박스거더 단면의 순수비틂상수 J는 다음의 식을 사용할 수 있다.

6.11.1.2 단일 박스거더(2) 해석

단일 박스거더의 해석은 4.6.1.2(2)의 유사해석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해석시에는 비틀림과

휨에 대한 영향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박스 내부에 단면의 변형을 막기 위한 적절한 브레이

싱이나 다이아프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비틀림의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해석에는

받침의 횡방향 위치를 고려해야 한다. 피로해석시 축방향 뒴응력(warping stress)을 고려해

야 하지만, 극한한계상태에서는 이를 무시할 수 있다. 뒤틀림(distortion)에 대한 영향을 무

시할 수 있을 경우에 박스거더 단면의 순수비틀림상수 J는 다음의 식을 사용할 수 있다.

[용어수정]

Ÿ ‘비틂’을 ‘비틀림’으로 용어수정

6.11.2.1 휨

= 설계하중에 의한 플랜지의 최대 St. Venant 비틂전단응력(MPa) = 설계하중에 의한 내부 비틂모멘트(N ․ mm)

6.11.2.1 휨

= 설계하중에 의한 플랜지의 최대 생 베낭 비틀림전단응력(MPa) = 설계하중에 의한 내부 비틀림모멘트(N ․ mm)

[용어수정]

Ÿ ‘St. Venant 비틂’을 ‘생 베낭 비

틀림’으로 용어수정

Ÿ ‘비틂’을 ‘비틀림’으로 용어수정

6.11.2.2 전단

단일 박스거더 단면에 대하여는 휨에 대한 최대전단력과 비틂에 의한 최대전단력의 각 절대값

을 더하여 사용하거나 휨과 비틂이 동시에 발생할 때의 최대전단력을 사용한다.

(2) 전단연결재

6.11.2.2 전단

단일 박스거더 단면에 대하여는 휨에 대한 최대전단력과 비틀림에 의한 최대전단력의 각 절대

값을 더하여 사용하거나 휨과 비틂이 동시에 발생할 때의 최대전단력을 사용한다.

(2) 전단연결재

[용어수정]

Ÿ ‘비틂’을 ‘비틀림’으로 용어수정

Page 81: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6 장 강 교

6-5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직선부재의 전단연결재는 6.10.7.4의 규정에 따른다. 부모멘트 구간에도 전단연결재를 사용한

다. 단일 박스거더 단면에서는 전단연결재를 휨과 비틂에 의한 전단력에 대하여 설계한다.

직선부재의 전단연결재는 6.10.7.4의 규정에 따른다. 부모멘트 구간에도 전단연결재를 사용한

다. 단일 박스거더 단면에서는 전단연결재를 휨과 비틀림에 의한 전단력에 대하여 설계한다.

6.12.2.1 일반사항

횡-비틂좌굴에 관한 규정을 합성부재, 비합성 박스형 부재, 복부판과 평행한 축에 대해 휨을

받는 H형 부재 및 원형강관에는 적용할 필요가 없다.

6.12.2.1 일반사항

횡-비틀림좌굴에 관한 규정을 합성부재, 비합성 박스형 부재, 복부판과 평행한 축에 대해 휨

을 받는 H형 부재 및 원형강관에는 적용할 필요가 없다.

[용어수정]

Ÿ ‘비틂’을 ‘비틀림’으로 용어수정

6.14.5.3 직교이방성 강상판(1) 일반사항

직교이방성 강상판은 세로리브와 가로보에 의해 지지되고 보강되는 바닥판으로 구성된다.

이때 바닥판은 세로리브와 가로보의 플랜지로 작용하는 동시에 주형의 플랜지로도 작용한다.

보수·보강시, 직교이방성 바닥판이 이미 존재하는 가로보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경우에는 비록

가로보의 설계 시에 합성작용이 무시되었다고 할지라도, 가로보와 바닥판 사이의 연결은 완

전히 일체가 되도록 설계해야 한다.

(2) 차륜의 분포하중

바닥판에 작용하는 차륜하중은 접지 면적으로부터 바닥판의 중립면까지 모든 방향으로 45o

의 분포를 갖는다고 가정한다.

(3) 포장

포장은 전체 직교이방성 바닥판 구조의 한 부분으로 취급되며, 바닥판의 상부에 접착해야 한

다. 포장의 구조적 성질 및 접착성이 섭씨 -30o에서 50o 범위에서 만족스럽게 작용한다면,

포장이 직교이방성 바닥판 부재들의 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수도 있다. 만일 포장의

강성에 대한 영향을 설계에서 고려하는 경우, 요구되는 포장의 성질을 공사 계약서에 명시해

야 한다.

예상되는 극한 사용온도 하에서 포장의 성질에 대한 고려와 함께 바닥판과 포장의 접촉면에

서 또는 포장 내에서 하중의 영향이 검토해야 한다.

포장과 바닥판 사이의 장기적 합성거동은 정적 및 주기반복 하중시험을 통하여 입증해야 한

다.

포장 자체와 포장의 바닥판 접착에 대한 설계를 하는 경우, 바닥판이 합성으로 설계되었든지

아니든지에 상관없이 포장이 바닥판과 합성으로 거동한다고 가정한다.

(4) 세부해석

직교이방성 바닥판에 있어서 하중의 영향은 제4장에서 규정된 등가 격자법, 유한대판법 또

는 유한요소법과 같은 탄성해석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6.14.5.3 직교이방성 강바닥판(1) 일반사항

직교이방성 강바닥판은 세로리브와 가로보에 의해 지지되고 보강되는 바닥강판으로 구성된다.

이때 바닥강판은 세로리브와 가로보의 플랜지로 작용하는 동시에 주형의 플랜지로도

작용한다. 보수·보강시, 직교이방성 강바닥판이 이미 존재하는 가로보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경우에는 비록 가로보의 설계 시에 합성작용이 무시되었다고 할지라도, 가로보와 바닥강판

사이의 연결은 완전히 일체가 되도록 설계해야 한다.

(2) 차륜의 분포하중

바닥강판에 작용하는 차륜하중은 접지 면적으로부터 바닥판의 중립면까지 모든 방향으로

45°의 분포를 갖는다고 가정한다.

(3) 포장

포장은 전체 직교이방성 강바닥판 구조의 한 부분으로 취급되며, 바닥판의 상부에 접착해야

한다. 포장의 구조적 성질 및 접착성이 섭씨 -30o에서 50o 범위에서 만족스럽게 작용한다면,

포장이 직교이방성 강바닥판 부재들의 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수도 있다. 만일 포장의

강성에 대한 영향을 설계에서 고려하는 경우, 요구되는 포장의 성질을 공사 계약서에

명시해야 한다.

예상되는 극한 사용온도 하에서 포장의 성질에 대한 고려와 함께 바닥강판과 포장의

접촉면에서 또는 포장 내에서 하중의 영향이 검토해야 한다.

포장과 바닥강판 사이의 장기적 합성거동은 정적 및 주기반복 하중시험을 통하여 입증해야

한다.

포장 자체와 포장의 바닥강판 접착에 대한 설계를 하는 경우, 바닥강판이 합성으로

설계되었든지 아니든지에 상관없이 포장이 바닥강판과 합성으로 거동한다고 가정한다.

(4) 세부해석

직교이방성 강바닥판에 있어서 하중의 영향은 제4장에서 규정된 등가 격자법, 유한대판법

또는 유한요소법과 같은 탄성해석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용어수정]

Ÿ ‘강상판’을 ‘강바닥판’으로 용어수

Ÿ ‘바닥판’을 ‘바닥강판’으로 용어수

Ÿ ‘긱교이방성 바닥판’을 ‘직교이방

성 강바닥판’으로 용어수정

[오타수정]

Ÿ ‘45o’을 ‘45°’으로 용어수정

Ÿ ’4.8 mm‘를 ’7 mm‘로 값 수

Page 82: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6 장 강 교

6-6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5) 근사해석

① 유효폭

세로 리브와 같이 거동하는 바닥판의 유효폭은 4.6.7.4에 따라 결정된다.

② 개단면 리브를 갖는 바닥판

세로 리브는 가로보에 의해 지지되는 연속보로 해석될 수 있다.

지간이 4,500 mm를 넘지 않는 리브의 경우, 하나의 리브에 작용하는 차륜하중은 리브들에 의

해 고정지지 되는 연속 바닥판의 반력으로 구할 수 있다. 지간이 4,500 mm 이상인 경우, 차륜

하중의 횡분배에 대한 리브 유연성의 영향은 탄성해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6) 설계

② 한계상태

직교이방성 바닥판은 다른 규정이 없으면, 모든 적용 가능한 한계상태에 대한 제6장의 규정들

에 따라 설계한다.

사용한계상태에서, 바닥판은 2.5.2.6의 규정을 만족해야 한다.

국부 하중효과와 전체 하중효과의 조합에 대한 극한한계상태는 6.14.3의 규정이 적용된다.

직교 이방성판의 좌굴 효과는 극한한계상태에 대하여 검토해야 하며, 좌굴을 제어할 수 없는

경우, 직교 이방성판의 저항은 단면의 어느 위치에서 항복강도에 도달하는 것에 근거한다.

피로한계상태에서, 하중으로 유발된 피로에 대해 6.6.1.2의 내용과 표 6.6.2가 적용되며,

6.14.5.3(7)의 세부 요구조건들과 함께 6.6.1.3(3)의 조항들이 뒤틀림으로 유발된 피로를

받는 요소에 적용된다.

(7) 세부 요구조건

① 판의 최소두께

바닥판의 두께는 14 mm 또는 리브 복부판의 간격 중 큰 것의 4% 보다 작아서는 안 된다.

② 폐단면 리브

폐단면 리브의 두께는 4.8 mm보다 작아서는 안 된다.

직교이방성 강상판의 단면 치수는 아래의 식을 만족해야 한다.

= 6.14.5.3(3) 규정과 같이 표면의 강도효과를 고려한 바닥판의 유효두께

(mm)

③ 직교이방성 판에서 금지된 용접

부착물, 설비 지지대, 계단 손잡이 혹은 전단연결재 등을 바닥판이나 리브에 용접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5) 근사해석

① 유효폭

세로 리브와 같이 거동하는 바닥강판의 유효폭은 4.6.7.4에 따라 결정된다.

② 개단면 리브를 갖는 바닥판

세로 리브는 가로보에 의해 지지되는 연속보로 해석될 수 있다.

지간이 4,500 mm를 넘지 않는 리브의 경우, 하나의 리브에 작용하는 차륜하중은 리브들에

의해 고정지지 되는 연속 바닥강판의 반력으로 구할 수 있다. 지간이 4,500 mm 이상인 경우,

차륜하중의 횡분배에 대한 리브 유연성의 영향은 탄성해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6) 설계

② 한계상태

직교이방성 강바닥판은 다른 규정이 없으면, 모든 적용 가능한 한계상태에 대한 제6장의

규정들에 따라 설계한다.

사용한계상태에서, 바닥판은 2.5.2.6의 규정을 만족해야 한다.

국부 하중효과와 전체 하중효과의 조합에 대한 극한한계상태는 6.14.3의 규정이 적용된다.

직교이방성 판의 좌굴 효과는 극한한계상태에 대하여 검토해야 하며, 좌굴을 제어할 수 없는

경우, 직교이방성 강바닥판의 저항은 단면의 어느 위치에서 항복강도에 도달하는 것에

근거한다. 피로한계상태에서, 하중으로 유발된 피로에 대해 6.6.1.2의 내용과 표 6.6.2가

적용되며, 6.14.5.3(7)의 세부 요구조건들과 함께 6.6.1.3(3)의 조항들이 뒤틀림으로

유발된 피로를 받는 요소에 적용된다.

(7) 세부 요구조건

① 판의 최소두께

바닥강판의 두께는 14 mm 또는 리브 복부판의 간격 중 큰 것의 4 % 보다 작아서는 안 된다.

② 폐단면 리브

폐단면 리브의 두께는 7 mm보다 작아서는 안 된다.

직교이방성 강바닥판의 단면 치수는 아래의 식을 만족해야 한다.

= 6.14.5.3(3) 규정과 같이 표면의 강도효과를 고려한 바닥강판의

유효두께(mm)

③ 직교이방성 강바닥판에서 금지된 용접

부착물, 설비 지지대, 계단 손잡이 혹은 전단연결재 등을 바닥강판이나 리브에 용접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Page 83: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6 장 강 교

6-7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④ 바닥판과 리브의 상세규정

표 6.6.2와 그림 6.14.3에 나타난 상세규정을 적용하여, 바닥판과 리브의 덧판을 고강도 볼트

로 단단히 연결하거나 용접으로 연결해야 한다.

그림 6.14.3 직교이방성 판에 대한 상세 요구조건

④ 바닥강판과 리브의 상세규정

표 6.6.2와 그림 6.14.3에 나타난 상세규정을 적용하여, 바닥강판과 리브의 덧판을 고강도

볼트로 단단히 연결하거나 용접으로 연결해야 한다.

그림 6.14.3 직교이방성 강바닥판에 대한 상세 요구조건

6.14.6.1 일반사항

(1) 최소 두께와 최소 피복두께

발주자에 의해 승인되지 않은 한, 콘크리트 바닥판의 최소두께는 바닥판의 흠집, 마모면 그

리고 보호덮개를 제외하고 220 mm보다 작아서는 안 된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최소두께는 200 mm 이상이어야 한다.

최소 피복두께는 5.4절에 따라야 한다.

(5) 캔틸레버 바닥판의 설계

캔틸레버 바닥판은 3.6.1.3(4)와 방호울타리의 충격하중에 관련된 조항에 따라 설계해야 한

다. 차량 충돌에 의한 난간기둥 또는 방호울타리의 바깥쪽 앞부리에서의 펀칭전단 효과를

검토해야 한다.

6.14.6.1 일반사항

(1) 최소 두께와 최소 피복두께

발주자에 의해 승인되지 않은 한, 콘크리트 바닥판의 최소두께는 바닥판의 흠집, 마모면 그

리고 보호덮개를 제외하고 220 mm보다 작아서는 안 된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최소두께는 200 mm 이상이어야 한다.

최소 피복두께는 5.8절에 따라야 한다.

(5) 캔틸레버 바닥판의 설계

캔틸레버 바닥판은 3.6.1.3(4)와 방호울타리의 충격하중에 관련된 조항에 따라 설계해야 한

다. 차량 충돌에 의한 난간기둥 또는 방호울타리의 바깥쪽 앞부리에서의 뚫림전단 효과를

검토해야 한다.

[오타수정]

Ÿ ‘5.4절’를 ‘5.8절’로 수정

[용어수정]

Ÿ ‘펀칭’을 ‘뚫림’으로 용어수정

Page 84: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6 장 강 교

6-8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6.14.6.2 경험적 설계

(4) 설계조건

11) 콘크리트의 28일 압축강도는 27.0 MPa 이상인 경우

6.14.6.2 경험적 설계

(4) 설계조건

11) 콘크리트의 28일 압축강도는 27 MPa 이상인 경우

[오타수정]

Ÿ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과 일치하

기 위하여 숫자표현 수정

6.14.6.2 경험적 설계

(5) 철근 배근량

경험적 설계법으로 설계되는 콘크리트 바닥판은 ~~ 가자 바깥쪽 층에 배근된다.

배근해야 되는 4개층의 최소철근량은 아래와 같다.

지간방향 : 하부 철근량 = 콘크리트바닥판 단면의 0.3% 이상

상부 철근량 = 콘크리트바닥판 단면의 0.25% 이상

지간방향에 직각방향 : 하부 철근량 = 콘크리트바닥판 단면의 0.3% 이상

상부 철근량 = 콘크리트바닥판 단면의 0.25% 이상

철근 간격은 100mm 이산 또한 300mm를 초과할 수 없다. 철근의 항복강도는 400MPa

이상어어야 한다.

모든 철근은 직선으로 연속적으로 배근해야 하며, 필요시 절곡 철근이 사용될 수 있다.

~~

6.14.6.2 경험적 설계

(5) 철근 배근량

경험적 설계법으로 설계되는 콘크리트 바닥판은 ~~ 가자 바깥쪽 층에 배근된다.

배근해야 되는 4개층의 최소철근량은 아래와 같다.

지간방향 : 하부 철근량 = 콘크리트바닥판 단면의 0.3 % 이상

상부 철근량 = 콘크리트바닥판 단면의 0.3 % 이상

지간방향에 직각방향 : 하부 철근량 = 콘크리트바닥판 단면의 0.3 % 이상

상부 철근량 = 콘크리트바닥판 단면의 0.3 % 이상

철근 간격은 100 mm 이산 또한 300 mm를 초과할 수 없다. 철근의 항복강도는 400

MPa 이상어어야 한다.

모든 철근은 직선으로 연속적으로 배근해야 한다. 하며, 필요시 절곡 철근이 사용될 수

있다. ~~

경험적 설계법 관련 강교편과 콘크리트

교편에 규정된 철근 배근 상세가 상이

하여 이를 통일하는 것이 필요함.

콘크리교편에 제시된 최소 철근량을

따라서 강교편의 상부 철근량을 0.25

% 이상에서 0.3 % 이상으로 상향 조

정하는 것이 타당함. 또한 강교편의

경우 필요시 절곡철근을 사용할 수 있

다고 규정되어 있는데, 절곡철근은 시

공성이 나쁘고 또한 콘크리트 바닥판

내구성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

에 삭제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됨.

6.14.6.6 세그먼트 공법으로 시공된 바닥판

(1) 일반사항

이 조항은 단면이 단일 또는 다중 상자로 구성된 포스트텐션된 이중합성거더의 상부 슬래브

에 적용한다. 이 슬래브는 4.6.2절의 조항에 따라서 해석한다.

6.14.6.6 세그먼트 공법으로 시공된 바닥판

(1) 일반사항

이 조항은 단면이 단일 또는 다중 박스로 구성된 포스트텐션된 이중합성거더의 상부 슬래브

에 적용한다. 이 슬래브는 4.6.2절의 조항에 따라서 해석한다.

[용어수정]

Ÿ ‘상자’을 ‘박스’로 용어수정

6.15.3.2 바닥판의 유효폭 6.15.3.2 바닥강판의 유효폭 [용어수정]

Ÿ ‘바닥판’을 ‘바닥강판’으로 용어수

6.15.3.3 전체 및 국부적 영향의 중첩

(2) 전체인장을 받는 바닥판

전체인장, 국부휨 및 전체 전단력을 동시에 받는 바닥판은 다음을 만족해야 한다.

= 바닥판의 유효폭을 고려한 바닥판의 설계인장강도(N)

(3) 전체압축을 받는 바닥판

종방향리브의 국부 휨압축력과 전체 압축력에 의한 전체적인 좌굴해석을 수행하지 않을 경

우에는, 강바닥판의 유효폭을 포함하는 종방향리브를 가로보에 의해 단순지지된 기둥으로

6.15.3.3 전체 및 국부적 영향의 중첩

(2) 전체인장을 받는 바닥판

전체인장, 국부휨 및 전체 전단력을 동시에 받는 바닥판은 다음을 만족해야 한다.

= 바닥판의 유효폭을 고려한 바닥강판의 설계인장강도(N)

(3) 전체압축을 받는 바닥판

종방향리브의 국부 휨압축력과 전체 압축력에 의한 전체적인 좌굴해석을 수행하지 않을 경

우에는, 바닥강판의 유효폭을 포함하는 종방향리브를 가로보에 의해 단순지지된 기둥으로

[용어수정]

Ÿ ‘바닥판 및 강바닥판’을 ‘바닥강

판’으로 용어수정

Page 85: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6 장 강 교

6-9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설계해야 한다. 설계해야 한다.

6.15.3.4 횡방향휨

가로보와 상판의 설계휨강도는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6.15.3.4 횡방향휨

가로보와 바닥판의 설계휨강도는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용어수정]

Ÿ ‘상판’을 ‘바닥판’으로 용어수정

A6.1 소성모멘트

표 A6.1.1 정모멘트 단면에 대한 와

경우 소성중립축 조건 와

Ⅰ 복부판 ≥

Ⅱ 상부플랜지 ≥

슬래브

(아래부분

)

Ⅳ슬래브

(부분) ≥

Ⅴ슬래브

(윗부분) ≥

A6.1 소성모멘트

표 A6.1.1 정모멘트 단면에 대한 와

경우 소성중립축 조건 와

Ⅰ 복부판 ≥

Ⅱ 상부플랜지 ≥

슬래브

(아래부분

)

Ⅳ슬래브

(부분) ≥

Ⅴ슬래브

(윗부분) ≥

[오타수정]

Ÿ 수식오타 수정

A6.1 소성모멘트

표 A6.1.2 부모멘트 단면에 대한 와

A6.1 소성모멘트

표 A6.1.2 부모멘트 단면에 대한 와

[오타수정]

Ÿ 수식오타 수정

Page 86: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6 장 강 교

6-10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경우

소성중립축

조건 와

Ⅰ 복부판 ≥

Ⅱ 상부플랜

경우

소성중립축

조건 와

Ⅰ 복부판 ≥

Ⅱ 상부플랜

A6.2 합성단면의 항복모멘트

합성단면의 항복모멘트는 다음과 같다.

1) 콘크리트의 28일 압축강도의 75 %가 발현되기 전에 작용 예상되는 모든 영구설계하

중에 의한 모멘트를 계산하여 강재단면에 적용한다.

2) 나머지 설계고정하중에 의한 모멘트를 계산하여 장기합성단면에 적용한다.

3) 단기합성단면에서 한쪽 플랜지를 항복시킬 수 있는 추가 모멘트를 계산한다.

4) 항복모멘트는 총 영구하중에 의한 모멘트와 이 방법에 의해 결정된 추가 모멘트의 합이다.

이 과정을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1) 다음 식으로부터 를 구한다.

2)

여기서,

= 비합성 단면계수

= 단기합성 단면계수

= 장기합성 단면계수

, , = 단면에 작용하는 설계하중에 의한 모멘트

는 양쪽 플랜지에서 구한 최소값을 취한다.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는 플랜지에

대한 값이고 단면계수는 플랜지의 외측 연단에 대한 값이다.

A6.2 합성단면의 항복모멘트

정모멘트부 합성단면의 항복모멘트 는 강도한계상태에서 상하부 어느 한 쪽 강재플랜

지에서 최초항복을 일으키는 강재단면, 단기합성단면과 장기합성단면에 각각 작용하는 모

멘트의 합과 같다. 이와 같은 계산 시 모든 형태의 단면에서 플랜지 횡방향휨과 하이브리

드단면의 웨브항복은 무시해야 한다.

정모멘트부 합성단면의 항복모멘트는 아래와 같이 구한다.

∙콘크리트바닥판이 굳기 전이나 합성되기 전에 작용하는 계수영구하중에 의한 모멘트

을 계산한다. 이 모멘트는 강재단면에 적용된다.

∙나머지 계수영구하중에 의한 모멘트 를 계산한다. 이 모멘트는 장기합성단면에 적용

된다.

∙단기합성단면에서 어느 한 쪽 플랜지가 항복응력에 도달하기 위해 추가로 적용해야 하는

모멘트 를 계산한다.

∙항복모멘트는 총 영구하중에 의한 모멘트와 추가모멘트의 합이다.

계산과정을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 다음 식에서 를 구한다.

(A6.2-1)

2) 다음을 계산한다.

(A6.2-2)

여기서, : 비합성단면의 단면계수 (mm3)

: 단기합성단면의 단면계수 (mm3)

: 장기합성단면의 단면계수 (mm3)

[내용수정]

Ÿ 정모멘트부와 부모멘트부를 나누

어서 설명

Ÿ 기호 , , 에 대해 명

확히 정의함

Page 87: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6 장 강 교

6-11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 및 : 단면에 적용되는 계수하중에 의한 모멘트 (N·mm)

는 압축플랜지 항복모멘트 또는 인장플랜지 항복모멘트 가운데 작은 값이

다.

부모멘트부 합성단면의 경우도, 위의 정모멘트부 합성단면에 대한 규정에 따라 구한다.

이 때 단기합성과 장기합성모멘트에 대한 합성단면은 콘크리트바닥판 유효폭 내의 종방향

철근과 강재단면으로 구성된 단면으로 하며 결과적으로 와 는 같은 값이다. 또한,

는 인장플랜지 또는 종방향철근 중에 먼저 항복에 도달할 때에 대응되는 모멘트이다.

B6.3 상부구조설계

2. 박스거더

a. 일반사항(6.11.1)

(1) 다박스거더(6.11.1.1)

(2) 단일 박스거더(6.11.1.2)

(3) 직교이방성 바닥판(6.15.3)

B6.3 상부구조설계

2. 박스거더

a. 일반사항(6.11.1)

(1) 다박스거더(6.11.1.1)

(2) 단일 박스거더(6.11.1.2)

(3) 직교이방성 강바닥판(6.15.3)

[용어수정]

Ÿ ‘직교이방성 바닥판’을 ‘직교이방

성 강바닥판’으로 용어수정

Page 88: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7.2 용어정의

강성 중력식 및 반중력식(재래식) 옹벽

목재, 철근 콘크리트 또는 강재로 만든 상자에 흙을 채워

콘크리트 또는 강재 등으로 미리 제작한 상자형 부재

강성 중력식 및 반중력식 옹벽

목재, 철근 콘크리트 또는 강재로 만든 박스에 흙을 채워

콘크리트 또는 강재 등으로 미리 제작한 박스형 부재

중간지반(IGM, intermediate geomaterial) - 흙과 암반의 중간특성을 지닌 전이지반

RMR(rock mass rating) - Bieniawski가 제안한 정량적인 암반분류 방법이며, 암석강도,

RQD, 불연속면 간격, 불연속면 상태, 지하수 상태, 불연속면의 상대적 방향 등을 반영하여 암반

상태를 분류하는 방법

신규용어 추가

신규용어 추가

7.3 가호

보강의 단위 폭; 상자모듈의 폭(m)

상자모듈 내부의 압력 (MPa)

7.3 기호

보강의 단위 폭; 박스모듈의 폭(m)

박스모듈 내부의 압력 (MPa)

7.4.2.1 일반사항

실내시험은 관련된 한국산업규격(KS) 또는 사용자가 제공하는 규정에 따라

7.4.2.1 일반사항

실내시험은 관련된 한국산업표준(KS) 또는 사용자가 제공하는 규정에 따라

공식 용어로 수정

7.4.2.2 토질시험

• 함수비 - KS F 2306-00

• 밀도 - KS F 2308-06

• 입도분포 - KS F 2302-02

• 액성한계, 소성한계 - KS F 2303-00

• 직접전단시험 - KS F 2343-07

• 일축압축시험 - KS F 2314-01

• 비압밀-비배수 삼축시험 - KS F 2346-07

• 압밀-비배수 삼축시험 - ASTM D 4767-04, AASHTO T 297-94(07)

• 압밀시험 - KS F 2316-02

• 투수시험 - KS F 2322-00

7.4.2.2 토질시험

• 흙의 함수비 시험 - KS F 2306:2000

• 흙의 밀도 시험 - KS F 2308:2006

• 흙의 입도 시험 - KS F 2302:2002

• 흙의 액성한계⋅소성한계 시험 - KS F 2303:2000

• 압밀 배수 조건에서 흙의 직접전단시험 - KS F 2343:2007

• 흙의 일축압축강도 시험 - KS F 2314:2013

• 삼축압축시험에서 점성토의 비압밀, 비배수 강도 시험 - KS F 2346:2007

• 삼축압축시험에서 점성토의 압밀, 비배수 강도 시험 - ASTM D 4767-04, AASHTO

T 297-94(07)

• 흙의 압밀 시험 - KS F 2316:2002

• 흙의 투수 시험 - KS F 2322:2000

7.4.2.3 암석시험

∙ 일축압축시험 - ASTM D 7012-10

∙ 할렬인장강도시험 - ASTM D 3967-08

7.4.2.3 암석시험

∙ 암석의 일축압축시험 - KS E 3033 : 2001

∙ 암석의 인장강도시험 - KS E 3032 : 2006

해당 국내 규격으로 교체

7.4.3.1 일반사항

시험은 ASTM, AASHTO 및 KS의 규정에 맞게 수행하며,

7.4.3.1 일반사항

시험은 관련된 한국산업표준(KS) 또는 사용자가 제공하는 규정에 따라 수행하며,

미국 표준의 제시 여부 결정에 따라

7.4.2.1의 일반사항과 통일 필요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7 장 하부구조

7-1

Page 89: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7.4.3.2 현장토질시험

• 표준관입시험 - KS F 2307-07

• 콘관입시험 - ASTM D 5778-07

• 현장베인시험 - KS F 2342-01

• 공내재하시험 - ASTM D 4719-07

• 평판재하시험 - KS F 2310-00

7.4.3.2 현장토질시험

• 표준관입시험 - KS F 2307:2007

• 콘관입시험 - KS F 2592:2004, ASTM D 5778-07

• 점성토의 현장 베인전단시험 - KS F 2342:2001

• 평판재하시험 - KS F 2310:2000

7.5.1

모든 활하중과 사하중을 포함한 모든 활하중과 고정하중을 포함한

7.5.2 사용한계상태

• 침하량

• 횡방향 변위량

• 지지력

• 전체 안정성

• 침하량

• 횡방향 변위량

• 전체 안정성

7.5.4 하중조합과 하중계수

[pp 7-20, 7-21]

7.5.2

7.5.3

표 7.5.2

표 7.5.3

“표” 누락

표 7.5.2 축하중을 받는 타입말뚝의 극한한계상태에 대한 저항계수

CPT 방법((Schmertmann)

암반에 선단 근입된 경우 (Canadian Geotech. Society, 1985)

표 7.5.2 축하중을 받는 타입말뚝의 극한한계상태에 대한 저항계수

CPT 방법((Schmertmann)

암반에 선단 근입된 경우 (캐나다 지반공학회, 1985)

표 7.5.3 축하중을 받는 현장타설말뚝의 극한한계상태에 대한 저항계수

암반의 선단 지지력 Canadian Geotech. Society (1985)

프레셔미터 시험법(Canadian Geotech. Society, 1985)O'Neill과 Reese (1999)

표 7.5.3 축하중을 받는 현장타설말뚝의 극한한계상태에 대한 저항계수

암반의 선단 지지력 캐나다 지반공학회 (1985)

프레셔미터 시험법(캐나다 지반공학회, 1985)

O'Neill과 Reese (1999)

7.6.2 사용한계상태의 변위와 지지력 7.6.2 사용한계상태의 변위

7.6.2 사용한계상태의 변위와 지지력

③ 점성토에 놓인 기초의 침하

[pp7-27]

7.6.2 사용한계상태의 변위와 지지력

③ 점성토에 놓인 기초의 침하

[pp7-27]

내용 명확화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7 장 하부구조

7-2

Page 90: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초기두께

압밀층의 중간 깊이

7.6.2.2 변위

(2) 하중

3.4.2에 제시한 사용하중조합-Ⅰ(load combination Service-Ⅰ)을 사용하여 즉시 침하

량을 결정한다.

7.6.2.2 변위

(2) 하중

3.4.2에 제시한 사용하중조합-Ⅰ을 사용하여 즉시 침하량을 결정한다.

불필요한 영문 삭제

7.6.2.2 변위

(3) 침하해석

③ 점성토에 놓인 기초의 침하

- 식 (7.6.6)의 &

- 식 (7.6.7) & (7.6.8)의

- 기호설명에서

- 표 7.6.3 바로 위 줄에서 7.6.2.2(3c)에 규정된

7.6.2.2 변위

(3) 침하해석

③ 점성토에 놓인 기초의 침하

- &

-

-

- 7.6.2.2(3)③에 규정된

7.6.2.2 변위 (4) 전체 안정성 손상

(4) 전체 안정성 손상

전체적인 안정성은 3.4.1의 규정에 따라 사용한계상태에서 평가한다.

7.6.2.2 변위 (4) 전체 안정성 손상

(4) 전체 안정성 평가

전체 안정성은 3.4.2의 규정에 따라 사용한계상태에서 평가한다.

정확한 용어 사용

해당 절 정확히 수정

7.6.2.3 사용한계상태의 지지력 내용 전체삭제

7.6.3.1 지지력

② 포화점성토

7.6.3.1 지지력

② 포화점성토

점선과 실선을 명확하게 표현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7 장 하부구조

7-3

Page 91: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그림 7.6.6 경사 지반 위 혹은 근처에 경사 지반이 있는 경우에 대한

점성토 위 기초의 수정 지지력 계수 (Meyerhof, 1957) 그림 7.6.6 경사 지반 위 혹은 근처에 경사 지반이 있는 경우에 대한

점성토 위 기초의 수정 지지력 계수 (Meyerhof, 1957)

7.6.3.1 지지력

③ 사질토

7.6.3.1 지지력

③ 사질토

점선과 실선을 명확하게 표현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7 장 하부구조

7-4

Page 92: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그림 7.6.9 경사 지반 위 혹은 근처에 경사 지반이 있는 경우에 대한

사질토 위 기초의 수정 지지력 계수(Meyerhof, 1957) 그림 7.6.9 경사 지반 위 혹은 근처에 경사 지반이 있는 경우에 대한

사질토 위 기초의 수정 지지력 계수(Meyerhof, 1957)

그림 7.6.10 경험적인 지지력계수 값, (Canadian Geotech. Society, 1985) 그림 7.6.10 경험적인 지지력계수 값, (캐나다 지반공학회, 1985)

7.6.3.1 (5) 편심하중의 영향

설계하중을 근거로 계산한 기초의 편심은 기초 크기인 또는 의 1/4 미만일 것

설계하중을 근거로 계산한 기초의 편심은 기초의 크기인 또는 의 1/4 미만으로 하되, 지진

하중을 고려하는 극단상황한계상태에서는 기초의 크기인 또는 의 4/10 미만으로 할 것.

지진하중을 고려하는 극단상황한계상태에 대

한 편심기준 제시

7.6.3.2 (5) 하중편심량의 제한

하중에 대한 편심량은 기초 크기인 또는 의 3/8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하중에 대한 편심량은 기초 크기인 또는 의 3/8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단, 지진하중을

고려하는 극단상황한계상태에서는 기초의 크기인 또는 의 4/10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지진하중을 고려하는 극단상황한계상태에

대한 편심기준 제시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7 장 하부구조

7-5

Page 93: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7.6.4 구조 설계

기초의 구조 설계는 5.10.10에 명시된 요구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확대기초의 구조 설계는 5장에 명시된 요구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7.7.1.4 지반침하와 하향력의 영향

설계 연직 사하중에 더해줘야 한다.

깊은기초에 작용하는 연직 사하중에 더해줘야 한다.

설계 연직 고정하중에 더해줘야 한다.

깊은기초에 작용하는 연직 고정하중에 더해줘야 한다.

7.7.1.11 최소 선단깊이

세굴(필요시), 그리고/또는 상부 연약층을세굴(필요시), 상부 연약층을

7.7.3.1 일반사항

말뚝 펀칭에 대한 저항력말뚝 관입(punching)에 대한 저항력

7.7.3.2 말뚝의 축방향 하중

말뚝재하시험결과를 외삽하여 적용할 수도말뚝재하시험결과를 참조하여 적용할 수도

7.7.3.3 말뚝 지지력의 반경험적 평가

2) 주면마찰력

④ 사질토층에 대한 Nordlung 방법

7.7.3.3 말뚝 지지력의 반경험적 평가

(2) 주면마찰력

④ 사질토층에 대한 Nordlung 방법

-사질토층에 대한 Nordlund/Thurman 방법

7.7.3.4 현장 원위치시험을 통한 말뚝지지력의 평가

(3) 콘관입시험(CPT)을 이용한 방법

① 일반사항

② 말뚝의 선단지지력

③ 주면마찰력

7.7.3.4 현장 원위치시험을 통한 말뚝지지력의 평가

(3) 콘관입시험(CPT)을 이용한 방법

① 일반사항

② 말뚝의 선단지지력

③ 주면마찰력

(3) 국내 적용성이 낮은 콘 관입시험(CPT)을

이용한 방법 본문 모두 삭제

7.7.3.5 암반 지지 말뚝

= 그림 7.7.16의 무차원 지지력계수

7.7.3.5 암반 지지 말뚝

= 그림 7.7.14의 무차원 지지력계수

7.7.3.7 인발

(1) 일반사항

극한한계상태의 사용하중조합-Ⅰ을 고려하여 계산한…

7.7.3.7 인발

(1) 일반사항

극한한계상태를 고려하여 계산한…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7 장 하부구조

7-6

Page 94: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3) 무리말뚝의 인발저항력

말뚝의 인발저항력, 는 다음 두 값 중 작은 값으로 한다.

… 인발되는 블록의 중량은 그림 7.7.17과 같이 …

… 점성토에서는 그림 7.7.18과 같이 …

(7.7.25)

여기서,

= 그림 7.7.18에서 무리말뚝의 폭(mm)

= 그림 7.7.18에서 무리말뚝의 길이(mm)

= 그림 7.7.18에서 말뚝캡 아래 블록의 깊이(mm)

(3) 무리말뚝의 인발저항력

무리말뚝의 공칭 인발저항력, 는 다음 두 값 중 작은 값으로 한다.

… 인발되는 블록의 중량은 그림 7.7.15와 같이 …

… 점성토에서는 그림 7.7.16과 같이 …

(7.7.25)

여기서,

= 그림 7.7.16에서 무리말뚝의 폭(mm)

= 그림 7.7.16에서 무리말뚝의 길이(mm)

= 그림 7.7.16에서 말뚝캡 아래 블록의 깊이(mm)

그림 7.7.16 지지력계수 (Canadian Geotech. Society, 1985) 그림 7.7.14 지지력계수 (캐나다 지반공학회, 1985)(3) 콘 관입시험(CPT)을 이용한 방법 본문

모두 삭제하면서 그림 번호 바뀜.

그림 7.7.17 사질토에서 말뚝 사이의 간격이 작은 무리말뚝의 인발(Tomlinson, 1987) 그림 7.7.15 사질토에서 말뚝 사이의 간격이 작은 무리말뚝의 인발(Tomlinson, 1987)상동

그림 7.7.18 점성토에 설치된 무리말뚝의 인발(Tomlinson, 1987) 그림 7.7.16 점성토에 설치된 무리말뚝의 인발(Tomlinson, 1987)상동

7.7.3.8 수평하중

수평방향 하중을 받는

7.7.3.8 수평하중

수평하중을 받는

7.7.3.10 (2) 점성토

말뚝캡이 지반과 밀착된다면 효율을 감소시킬 필요는 없다.

캡이 지반과 밀착되지 않으나 지반이 단단한 경우에도 효율을 감소시킬 필요는 없다.

말뚝캡이 지반과 밀착된 경우 효율을 감소시킬 필요는 없다.

캡이 지반과 밀착되지 않더라도 지반이 단단한 경우 효율을 감소시킬 필요는 없다.

7.8.3.5 (1) 일반사항

변형량에 따라서 최대 값을 변형량에 따라서 최대값을

7.8.3.8 수평하중

수평방향 하중을 받는

7.8.3.8 수평하중

수평하중을 받는

7.9 교대와 재래식 옹벽 7.9 교래와 중력식 및 반중력식 옹벽

7.9.1.1 일반사항

- “ 그림 7.9.1 ”이 기준에 있음.

7.9.1.1 일반사항

- “ 그림 7.9.1 ”을 해설로 빼고 “ 그림 해설 7.9.1.1 ”로 함.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7 장 하부구조

7-7

Page 95: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7.9.1.2 하중

상재 활하중 및 사하중

3.4.2의 규정에 나타낸 적합한 최대 그리고/또는 최소 하중계수

상재 활하중 및 고정하중

3.4.2의 규정에 나타낸 적합한 최대 또는 최소 하중계수

7.9.1.4 날개벽

도로의 경사를 고려하여 결정하며, 도로성토 유지하기에 그리고 침식에 대한 보호기능을 도로의 경사를 고려하여 결정 하여야 하며, 도로성토를 유지하고 침식에 대한 보호기능을

7.9.1.5 철근 보강

(1) 재래식 벽체와 교대 (1) 중력식 및 반중력식 벽체와 교대

7.9.1.6 신축 및 수축이음

재래식 옹벽과 교대에서는 9 m 간격 이내로 신축이음을 중력식 및 반중력식 옹벽과 교대에서는 9 m 간격 이내로 수축이음을

7.9.2.2 재래식 옹벽 7.9.2.2 중력식 및 반중력식 옹벽

7.9.3.2 지지력

벽체가 토질기초에 지지되는 경우

벽체가 암반기초에 지지되는 경우

벽체가 토사에 지지되는 경우

벽체가 암반에 지지되는 경우

7.9.3.5 수동 저항력 (passive resistance)

교대 또는 재래식 옹벽의 전면에서 교대 또는 중력식 및 반중력식 옹벽의 전면에서

7.10.2.1 충돌

… 충격저항 수준, 그리고/또는 적절한 … 한다. 충돌하중은 3.6.5과 3.4.1에 명시된 … … 충격저항 수준 또는 적절한 … 한다. 충돌하중은 3장에 명시된 …

7.11.2 하중

횡방향 토압에 대하여 알맞은 계수를 횡방향 토압에 대하여 적정 계수를

7.13.1 일반사항

내부가 서로 이어진 상자형 구조 내부가 서로 이어진 박스형 구조

7.13 보강토 옹벽

그림 7.13.1 설계 시 필요한 보강토 옹벽 구성 요소

그림 7.13.3 교통 상재하중이 있는 수평배후 사면 벽체의 외적 안정성그림 7.13.4 내적안정성 분석에서 활하중과 사하중을 포함한 수평 배후사면 조건에서 연직응력의 계산

7.13 보강토 옹벽

그림 7.13.1 설계 시 필요한 보강토 옹벽 구성 요소

그림 7.13.3 교통 상재하중이 있는 수평배후 사면 벽체의 외적 안정성그림 7.13.4 내적안정성 분석에서 활하중과 고정하중을 포함한 수평 배후사면 조건에서 연직응력의 계산

그림의 수식기호 오류 수정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7 장 하부구조

7-8

Page 96: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그림 7.13.5 내적안정성 분석에서 경사진 배후사면 조건에서 연직응력의 계산

위 그림 중에서 기호

, , , ,

그림 7.13.5 내적안정성 분석에서 경사진 배후사면 조건에서 연직응력의 계산

위 그림 중에서 기호

, , , ,

7.13.2 구조물 구성 요소

- (7줄) 7.13.2.1에 기술된 경우를 제외하고 벽체 높이의 70% 이상

7.13.2 구조물 구성 요소

-7.13.2.1에 기술된 경우 외의 벽체 높이 70% 이상

7.13.2.3 전면판 (2) 연성벽체 전면판

- (1줄) 용접한 와이어, 얇은 금속판, 그리고 유사한 전면판이 사용되었을 경우,

7.13.2.3 전면판 (2) 연성벽체 전면판

- 용접한 와이어, 얇은 금속판, 그리고 이와 유사한 전면판이 사용되었을 경우,

7.13.4.3 전체 안정성

-(제목) 전반적인 안정성

-(1줄) 복잡한 형상을 갖는 보강토 옹벽의 경우에, 특히 전체적인 안정성이

-(3줄) 복잡한 파괴면이

7.13.4.3 전체 안정성

- 전체 안정성

- 복잡한 형상을 갖는 보강토 옹벽의 경우에, 특히 전체 안정성이

- 복합 파괴면이 나타날 수 있다.

7.13.5.2 하중

- (1줄) 외적안정

- (4줄) 외부 안정성 계산의 경우에만

- (6줄) 사하중

7.13.5.2 하중

- 외적 안정

- 외적 안정성 계산의 경우에만

- 고정하중

7.13.5.4 지지력

- (5줄) 지반응력의 상대적 차이를 지지력 평가시 고려해야 한다.

7.13.5.4 지지력

-지반응력의 상대적 차이를 지지력 평가 시 고려해야 한다.

7.13.6.3 보강재 인발

표 7.13.1 크기효과 보정계수, 의 기본값

보강재 형태 의 기본값

완전 강 보강재 1.0

지오그리드 0.8

토목섬유 0.6

7.13.6.3 보강재 인발

표 7.13.1 크기효과 보정계수, 의 기본값

보강재 형태 의 기본값

완전 강재 보강재 1.0

지오그리드 0.8

토목섬유 0.6

그림 7.13.9 금속 보강재에 대한 보강재 점유율그림 7.13.9 금속 보강재에 대한 보강재 점유율

문구 수정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7 장 하부구조

7-9

Page 97: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Use = 연속 보강재에 대해서는 =1을 적용하도록 한다.단, = 연속 보강재에 대해서는 =1을 적용하도록 한다.

그림 7.13.10 토목섬유 보강재에 대한 보강재 점유율

Use = 연속 토목섬유재에 대해서는 =1을 적용하도록 한다.(즉, ==1)

불연속 토목섬유재

그림 7.13.10 토목섬유 보강재에 대한 보강재 점유율

단, = 연속 토목섬유 보강재에 대해서는 =1을 적용하도록 한다.(즉, ==1)

불연속 토목섬유 보강재

문구 및 기호 수정

7.13.6.4 보강재 강도

(1) 일반사항

-(14줄) 은 강보강재의 경우 7.13.6.4(3)①, 토목섬유 보강재의 경우 7.13.6.4(3)②의

규정에 따른다.

-(26줄) 는 강보강재의 경우 7.13.6.4(4)①에 토목섬유 보강재의 경우 7.13.6.4(4)②

에 명시된 바에 따라 벽체 연결부위에서 결정한다.

7.13.6.4 보강재 강도

(1) 일반사항

- 은 강재 보강재의 경우 7.13.6.4(3)①, 토목섬유 보강재의 경우 7.13.6.4(3)②의 규

정에 따른다.

- 는 강재 보강재의 경우 7.13.6.4(4)①에 토목섬유 보강재의 경우 7.13.6.4(4)②에

명시된 바에 따라 벽체 연결부위에서 결정한다.

7.13.6.4 보강재 강도

(2) 설계수명 고려사항

① 강재 보강재

강재 지반보강재의 설계는 AASHTO Bridge Construction 시방서 7.6.4.2의 강재 보강

재 규정을 따른다.

강재 지반보강재와 접합부에 대한 구조적 설계는 보강재 두께 를 결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다.

… 망이나 격자 강보강재는 ASTM A 641M의 따라 …

• 도금의 손실 = 0.015 mm/yr., 처음 2년 동안 0.004 mm/yr., 나머지 기간 동안

• 탄소강의 손실 = 0.012 mm/yr., 아연 손실 후

만약 전기비저항이 5000 ohm-cm보다

7.13.6.4 보강재 강도

(2) 설계수명 고려사항

① 강재 보강재

강재 지반보강재의 설계는 AASHTO Bridge Construction 시방서 7.6.4.2의 강재 보강재

규정을 따른다.

강재 보강재와 접합부에 대한 구조적 설계는 보강재 두께 를 결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 망이나 격자 강재 보강재는 ASTM A 641M의 따라 …

• 도금의 손실 = 0.015 mm/yr., 처음 2년 동안 0.004 mm/yr., 나머지 기간 동안

• 탄소강의 손실 = 0.012 mm/yr., 아연 손실 후

만약 전기비저항이 5,000 ohm-cm보다

② 토목섬유 보강재

- 주변 지반 역시 뒷채움에 적용되는 화학적

- Elias (2001)와 Elias(2000)에

- 구조물의 설계 수명까지 외삽한 자세한 제품 자료를 얻을 수 있다면 표 7.13.2의 조건을

충족하지 않은 폴리머라도 사용할 수 있다.

- 주변 지반 역시 뒤채움에 적용되는 화학적

- Elias 등(2001)과 Elias(2000)에

- 구조물의 설계 수명에 해당하는 기간 동안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세한 자료를 제시

할 수 있다면 표 7.13.2의 조건을 충족하지 않은 폴리머라도 사용할 수 있다.

7.13.6.4 보강재 강도

(2) 설계수명 고려사항

② 토목섬유 보강재

7.13.6.4 보강재 강도

(2) 설계수명 고려사항

② 토목섬유 보강재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7 장 하부구조

7-10

Page 98: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 (표7.13.2 의 1, 6 ,7 번째 항목)의 중합체

- 25000

- 폴리머

- 25,000

7.13.6.4 (4) 보강재/전면판 연결부 설계 강도

② 토목섬유 보강재

공칭 장기 토목섬유 연결강도 공칭 장기 토목섬유 보강재의 연결강도

7.13.9.1 집중 사하중

주동과 저항영역 사이의 경계 위치는 집중 사하중의 위치와

7.13.9.1 집중 고정하중

주동과 저항영역 사이의 경계 위치는 집중 고정하중의 위치와

(그림의 최상단부 좌측 : “집중 사하중 #1”)

(그림의 최상단부 우측 : “집중 사하중 #2”)

그림 7.13.11 외적, 내적 안정성 평가를 위한 집중 사하중의 중첩

주의:상대적으로 두꺼운 전면판 요소(예를 들어 계단 콘크리트 블록)의 경우, 활동, 전도, 지지

력 계산에 전면판의 크기와 무게를 포함하는 것이 적절하다.

주의: 는 그림 3.11.22와 3.11.23을 이용하고, 는 로부터 결정

한다.

(그림의 최상단부 좌측 : “집중 고정하중 #1” 으로 수정)

(그림의 최상단부 우측 : “집중 고정하중 #2” 으로 수정)

그림 7.13.11 외적, 내적 안정성 평가를 위한 집중 고정하중의 중첩

주의:상대적으로 두꺼운 전면판(예를 들어 계단 콘크리트 블록)의 경우, 활동, 전도, 지지력 계

산에 전면판의 크기와 무게를 포함하는 것이 적절하다.

두 번째 "주의" 내용 삭제

7.13.9.4 보강토 영역에서 방해물

- 지장물 앞에 놓인 벽체전면은 토플링(toppling)이나

- 지장물과 벽체전면 사이의 보강재를 구조적으로 연결하여 토플링을 막거나

- 지장물 앞에 놓인 벽체전면은 전도(toppling)나

- 지장물과 벽체전면 사이의 보강재를 구조적으로 연결하여 전도를 막거나

7.13.10 보강토 교대

i층의

= 3.4.2에 제시된 수직 토압에 대한 하중계수

= 3.11.5.8에 규정된 주동토압계수

7.13.10 보강토 교대

i번째 층의

= 수직 토압에 대한 하중계수

= 주동토압계수

7.14.4.3 지지력

지지력은 사하중과 토압하중이 지지력은 고정하중과 토압하중이

7.14.4.5 지중 침식

세굴 가능성이 큰 구역에 상자형 벽체를 세굴 가능성이 큰 구역에 박스형 벽체를

식(7.14.1)

= 상자 모듈의 폭(mm) = 박스 모듈의 폭(mm)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7 장 하부구조

7-11

Page 99: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별권)

6.6.4 저항계수

(5) 말뚝에 사용하는 ~ 제3장에 규정된 재료저항계수 , 제4장 및 제5장에 규정된 부

재저항계수 을 적용하여 설계강도를 산정한다.

(5) 기초에 사용하는 ~ 제3장에 규정된 재료계수, 제4장에 규정된 저항계수 적용하여 설

계강도를 산정한다.

(별권)

6.7.1 설계일반

얕은기초에 작용하는 하중의 합력이 작용하는 위치는 사용한계상태에서는 바닥면의 중심

으로부터 바닥면 폭의 ㅣ/6 이내, 극한한계상태 및 극단상황한계상태에서는 바닥면 폭의

ㅣ/3 이내에 있어야 한다.

6.7.1 설계일반

얕은기초에 작용하는 하중의 합력이 작용하는 위치는 극한한계상태일 경우 토사지반은

바닥면의 중심으로부터 바닥면 폭의 l/4 이내, 암반은 바닥면의 중심으로부터 바

닥면 폭의 3l/8 이내, 극단상황한계상태일 경우 토사지반과 암반 모두 바닥면 폭

의 4l/10 이내에 있어야 한다.

(별권)

6.12 말뚝본체의 설계

(1) ② 말뚝에 사용하는 콘크리트부재와 강부재는 각각 제3장에 규정된 재료저항계수

matf , 제4장, 제5장에 규정된 부재저항계수 memf 을 적용하여 설계강도를 산정한

다.

(1) ② 말뚝에 사용하는 콘크리트부재와 강부재는 각각 제3장에 규정된 재료계수, 제4장

에 규정된 저항계수를 적용하여 설계강도를 산정한다.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7 장 하부구조

7-12

Page 100: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8.1 일반사항

8.1.1 적용범위

8.1.2 용어의 정의

8.1.3 기호

8.2 내진설계의 기본방침

8.1 적용범위

8.2 용어정의

8.3 기호

8.4 내진설계의 기본방침

다른 장들과의 형식 통일을 위해 수정하였으

며, 이에 따른 절, 표, 그림 및 수식번호를 모

두 수정하였음

(8.4 이하의 절들 즉, 8.x 를 8.x+2로 수정)

8.1 일반사항

8.1.1 적용범위8.1 적용범위 형식 통일을 위해 수정

8.1.2 용어의 정의 8.2 용어정의 형식 통일을 위해 수정

8.1.3 기호 8.3 기호 형식 통일을 위해 수정

8.4.9 지반의 액상화 평가

(1) 교량의 액상화 피해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지반의 액상화 발생 가능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2) 액상화 평가 기준

① 액상화 평가시 설계 지진가속도는 8.3절 설계 일반사항의 구조물 내진등급에 따라 결

정한다.

② 설계 지진 규모는 지진구역 I, Ⅱ 모두 리히터규모 6.5를 적용한다.

③ 내진 1등급 교량인 경우에는 현장 및 실내시험 결과를 이용한 부지특성 평가 방법을

사용하여 지진응답해석을 수행하고, 액상화 전단저항응력은 실내 반복시험 결과를 이

용한다.

(3) 액상화 평가 방법

① 액상화 평가방법은 교량의 내진등급에 따라 표준관입시험의 N값, 콘관입시험의 qc값과

전단파 속도 Vs값 등과 같은 현장시험 결과를 이용한 간편예측법 또는 실내 반복시험

을 이용한 상세예측법 등을 적용한다.

② 액상화 발생 가능성은 대상 현장에서 액상화를 유발시키는 전단저항응력비(CRR)를 지진

에 의해 발생되는 반복전단응력비(CSR)로 나눈 값으로 정의되는 안전율(FSL)로 평가한

다.

③ 간편예측법을 통해 획득한 안전율이 1.5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세예측법을 실시한다.

상세예측법을 통해 획득한 안전율이 1.0 미만인 경우에는 대책공법을 마련하며, 1.0

이상인 경우에는 액상화에 대해 안전한 것으로 판정한다.

8.6.9 지반의 액상화 평가

(1) 교량의 액상화 피해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지반의 액상화 발생 가능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2) 액상화 평가 기준

① 액상화 평가시 설계 지진가속도는 8.5절 설계 일반사항의 구조물 내진등급에 따라 결

정한다.

② 설계 지진 규모는 지진구역 I, Ⅱ 모두 리히터규모 6.5를 적용한다.

③ 지반의 액상화 평가는 교량의 내진등급에 관계없이 예비평가, 간편 예측법, 상세예

측법의 3단계로 구분하여 수행한다.

④ 예비평가는 수집한 관련 자료에 근거하여 지반의 액상화 가능성에 대해 개괄적으

로 판단하는 것이며 액상화 가능성이 없을 경우에는 액상화 평가를 생략하는 것으

로 한다.

(3) 액상화 평가 방법

① 액상화 평가가 필요할 경우 표준관입시험의 N값, 콘관입시험의 qc값과 전단파 속도 Vs

값 등과 같은 현장시험 결과를 이용한 간편예측법 또는 실내 반복시험을 이용한 상세예

측법 등을 적용한다.

② 액상화 발생 가능성은 대상 현장에서 액상화를 유발시키는 전단저항응력비(CRR)를 지진

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전단응력비(CSR)로 나눈 값으로 정의되는 안전율(FSL)로 평가한

다.

③ 간편예측법을 통해 획득한 안전율이 1.5 이상인 지반은 액상화에 대해 안전하다고

판단하며, 1.0미만인 경우에는 액상화가 발생한다. 액상화 발생시, 액상화를 고려

한 설계와 필요시 대책공법을 적용한다. 안전율이 1.0 이상 1.5 미만인 경우에는

상세평가를 수행한다.

액상화 평가 기준 및 방법을 현재 지반분야에

서 통용되는 내용으로 수정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8 장 내진설계

8-1

Page 101: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8.8 콘크리트교 설계 8.10 콘크리트교 설계[용어정의 및 기호 절

작성에 따른 번호 수정]

8.8.1 일반사항

(3) 단일기둥, 다주가구, 말뚝가구를 설계할 때, 소성힌지구역에 배근되는 심부구속철

근은 8.3.4의 응답수정계수와 8.8.3.4의 심부구속철근량에 대한 규정을 적용하는 대신

ʻ8.8.5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연성도 내진설계ʼ 를 적용하여 설계할 수 있다.

8.10.1 일반사항

(3) 단일기둥, 다주가구, 말뚝가구를 설계할 때, 소성힌지구역에 배근되는 심부구속철

근은 8.5.4의 응답수정계수와 8.10.3.4의 심부구속철근량에 대한 규정을 적용하는 대

신 ʻ8.10.6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연성도 내진설계ʼ 를 적용하여 설계할 수 있다.

[8.10.5절 신설에 따른 절 번호 수정]

8.8.2.4 교각의 설계휨강도

(1) 지진하중에 대한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축력-휨강도를 검토할 때에는, 공칭휨강도

에 1.0의 재료계수를 적용하여 설계휨강도를 결정한다.

(2)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휨강도는 콘크리트의 등가직사각형 응력분포를 이용한 휨강도

해석이나 콘크리트와 축방향철근의 응력-변형도 곡선을 이용한 모멘트-곡률 해석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3)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휨강도 해석에는 축력의 영향이 고려되어야 하며, 8.8.3.5의

철근상세를 갖는 횡방향철근이 배근되는 구간에는 횡방향철근에 의한 심부구속효과를

고려할 수 있다.

8.10.2.4 교각의 설계휨강도

(1) 지진하중에 대한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축력-휨강도를 검토할 때에는, 5.4.2.3

에 따라 1.0의 재료계수를 적용하여 설계휨강도를 결정한다.

(2)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휨강도는 5.5.1.6(2)의 콘크리트 압축 응력분포를 이용

한 휨강도 해석이나 콘크리트와 축방향철근의 응력-변형률 곡선을 이용한 모멘트

-곡률 해석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3)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휨강도 해석에는 축력의 영향이 고려되어야 하며,

8.10.3.5의 철근상세를 갖는 횡방향철근이 배근되는 구간에는 5.5.1.6(3)을 적용하

여 횡구속 효과를 고려하여 설계휨강도를 구할 수 있다.

[제5장 콘크리트교 개정내용 반영]

8.8.2.5 교각의 최대 소성힌지력

(5) ②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가 60 MPa 이하이고, 계수 축하중이 0.3 이하

이며, 축방향철근비가 0.03 이하인 교각의 경우에는, 모멘트-곡률 해석을 수행하는 대

신, 콘크리트의 등가직사각형 응력분포를 이용한 축력-휨강도 해석으로 구한 공칭휨강

도에 식 (8.8.3)으로 계산되는 휨 초과강도계수 를 곱하여 휨 초과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R은 설계에 사용한 응답수정계수이다.

8.10.2.5 교각의 최대 소성힌지력

(5) ②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가 60 MPa 이하이고, 계수 축하중이 0.3 이하

이며, 축방향철근비가 0.03 이하인 교각의 경우에는, 모멘트-곡률 해석을 수행하는 대

신, 5.5.1.6(2)의 압축응력분포를 이용한 축력-휨강도 해석으로 구한 공칭휨강도에 식

(8.10.3)으로 계산되는 휨 초과강도계수 를 곱하여 휨 초과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R은 설계에 사용한 응답수정계수이다.

[제5장 콘크리트교 개정내용 반영]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8 장 내진설계

8-2

Page 102: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8.8.2.6 교각의 설계전단강도

(1) 지진하중에 대한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전단강도를 검토할 때에는, 공칭전단강도에 1.0의

재료계수를 적용하여 설계전단강도를 결정한다.

(2) 휨 설계에서 표 8.3.7의 응답수정계수가 적용된 교각에 대하여는, 소성힌지구역의 전단강

도를 검토할 때 콘크리트에 의한 공칭전단강도를 다음 식으로 결정하여야 한다. 여기서 최

소 계수축력 가 이하인 경우에는 식 (8.8.4)를, 를 초과하는 경우

에는 식 (8.8.5)를 적용한다. 여기서 는 전단 유효단면적으로 사각형단면은 , 원형단

면은 0.8를 사용한다.

(8.8.4)

= +

(8.8.5)

(3) 전단철근에 의한 공칭전단강도를 결정할 때 사각형 띠철근단면에 대해서는 식 (8.8.6), 원

형단면의 나선철근 또는 원형 후프띠철근에 대해서는 식 (8.8.7)을 적용한다. 원형 후프띠

철근에 보강띠철근이 추가된 경우에는 식 (8.8.8)로 계산되는 보강띠철근에 의한 공칭전단

강도를 추가할 수 있다.

(8.8.6)

(8.8.7)

(8.8.8)

여기서,

= 전단철근으로 작용하는 띠철근의 단면적(mm2)

= 나선철근 또는 원형 후프띠철근의 단면적(mm2)

= 원형단면에 배근되는 보강띠철근의 단면적(mm2)

= 사각형단면의 유효깊이(mm2)

= 원형후프띠철근이나 나선철근 중심 간의 심부콘크리트 지름(mm)

= 띠철근 또는 나선철근의 항복강도(MPa)

= 원형단면에 배근되는 보강띠철근의 길이(mm)

= 띠철근 또는 나선철근의 수직간격(mm)

8.10.2.6 교각의 설계전단강도

(1) 지진하중에 대한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전단강도를 검토할 때에는, 5.4.2.3에

따라 1.0의 재료계수를 적용하여 설계전단강도를 결정한다.

(2) 휨 설계에서 표 8.5.7의 응답수정계수가 적용된 교각에 대하여는, 소성힌지구

역의 전단강도를 검토할 때 콘크리트에 의한 전단강도는 5.7.2.3의 (1)에서 (3)까

지의 규정에 따라 결정하여야 한다.

(3) 정착이 된 보강띠철근은 8.10.2.6(2)의 전단강도 계산에 포함할 수 있다.

[제5장 콘크리트교 개정내용 반영]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8 장 내진설계

8-3

Page 103: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8.8.3.2 단부구역과 소성힌지구역의 설계

(4) 기둥과 말뚝가구의 단부구역 중 설계휨강도보다 큰 탄성지진모멘트가 작용하는 소

성힌지구역은 표 8.3.7의 응답수정계수를 적용하고 8.8.3.3에서 8.8.3.5까지의 규정을

만족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단 기둥은 표 8.3.7의 응답수정계수를 적용하는 대신

8.8.5에 따라 연성도 내진설계를 수행해도 좋다. 단부구역이 아닌 구역이라도 소성거

동이 예측되는 구역은 소성힌지구역에 준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8.10.3.2 단부구역과 소성힌지구역의 설계

(4) 기둥과 말뚝가구의 단부구역 중 설계휨강도보다 큰 탄성지진모멘트가 작용하는 소

성힌지구역은 표 8.5.7의 응답수정계수를 적용하고 8.10.3.3에서 8.10.3.5까지의 규

정을 만족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단 기둥은 표 8.5.7의 응답수정계수를 적용하는 대

신 8.10.6에 따라 연성도 내진설계를 수행해도 좋다. 단부구역이 아닌 구역이라도 소

성거동이 예측되는 구역은 소성힌지구역에 준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8.10.5절 신설에 따른 절 번호 수정]

8.8.3.4 소성힌지구역에서의 심부구속 횡방향철근량

식 (8.8.9), 식 (8.8.10), 식 (8.8.11), 식 (8.8.12),

식 (8.8.13)

8.10.3.4 소성힌지구역에서의 심부구속 횡방향철근량

식 (8.10.4), 식 (8.10.5), 식 (8.10.6), 식 (8.10.7),

식 (8.10.8)

[개정내용에 따른 해당 수식번호 수정]

8.8.3.5 심부구속 횡방향철근상세

(2) 사각형 심부구속 횡방향철근으로는 하나의 사각형 후프띠철근 또는 중복된 사각형

폐합띠철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후프띠철근과 같은 크기의 보강띠철근을 사용할 수

있다.

8.10.3.5 심부구속 횡방향철근상세

(2) 사각형 심부구속 횡방향철근으로는 하나의 사각형 후프띠철근 또는 중복된 사각형

폐합띠철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강띠철근은 후프띠철근과 유사한 크기를 사용하여

야 한다.

[설계 및 시공 실무의 현실적인 부분과 사례를

반영하여 수정]

8.8.3.6 결합나선철근

(3) 소성힌지부에서의 결합나선철근량은 8.3.4의 응답수정계수와 8.8.3.4의 심부구속

철근량에 대한 규정을 적용하는 대신 8.8.5를 적용하여 설계할 수 있다.

8.10.3.6 결합나선철근

(3) 소성힌지부에서의 결합나선철근량은 8.5.4의 응답수정계수와 8.10.3.4의 심부구속

철근량에 대한 규정을 적용하는 대신 8.10.6를 적용하여 설계할 수 있다.

[8.10.5절 신설에 따른 절 번호 수정]

8.8.4 벽식 교각

(3) 벽체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철근비 와 는 0.0025 이상이어야 하며, 철근의 수평

및 수직 간격은 450 mm 이하이어야 한다.

(4) 벽체의 전단철근은 연속되어야 하고 균일하게 배치되어야 하며, 공칭전단강도 은 다음

중 작은 값을 취한다.

= (8.8.14)

= (8.8.15)

8.10.4 벽식 교각

(3) 5.7의 극한한계상태 설계와 5.12.8의 부재 상세 규정에 따른다.[제5장 콘크리트교 개정내용 반영]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8 장 내진설계

8-4

Page 104: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8.10.5 중공원형 교각

8.10.5.1 일반사항

(1) 중공원형 교각은 일반적인 원형기둥에 적용하는 규정 이외에, 이 절의 규정을 추가로 적용

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2) 중공원형 교각에서 중공치수비는 단면의 최대지름에 대한 중공지름의 비율로 정의

한다.

(3) 중공원형 교각의 축력비는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와 콘크리트 단면적의 곱에

대한 축력의 비율로 정의한다.

[신설]

8.10.5.2 중공원형 교각의 단면구분

(1) 중공원형 교각의 단면은 극한상태에서의 중립축의 위치에 따라 그림 8.10.1과 같

이 압축지배단면과 휨 지배단면으로 구분한다.

(2) 극한상태에서 중립축의 위치가 중공단면의 중공부에 존재하여, 벽체두께에 걸쳐 압

축응력을 받는 단면을 압축 지배단면으로 정의한다.

(3) 극한상태에서 중립축의 위치가 벽체두께의 내부, 즉 단면의 외측 면과 내측 면 사

이에 존재하는 단면을 휨 지배단면으로 정의한다.

(4) 극한상태에서의 중립축 위치는 일반적인 축력-휨 강도해석이나 모멘트-곡률 해석

등 엄밀한 해석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

(5) 단면의 분류를 해석에 의하지 않는 경우, 축력비가 0.1 이하이고 중공치수비가

0.5 이하인 경우에는 휨 지배단면으로 분류할 수 있다.

N.A

N.A

(a) 압축 지배단면 (b) 휨 지배단면

그림 8.10.1 극한상태에서의 중립축 위치에 따른 단면구분

현행의 도로교설계기준은 콘크리트교각의 소

성 설계 시 ‘축방향 철근과 횡방향 철근’에

관한 규정 내용이 중실단면을 중심으로 작성되

었기 때문에 중공단면에 대한 설계규정이 모호

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명확한 기준 정립이

필요하여 중공 원형 교각에 대한 규정을 추가

하였다.

이 규정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영남대학교가

수행한 내진성능 실증실험 “중공단면 교각 소

성설계 기준정립 연구”(2011-2012) 이외에

도 한국도로공사 주관으로 영남대학교와 성균

관대학교의 공동연구로 수행한 “중공원형 콘

크리트 교각 연성도와 설계변수 상관관계 검증

실험연구”(2010)의 중공원형 교각에 대한 내

진성능 실험과 해석적 연구 결과를 근거로 작

성하였다.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8 장 내진설계

8-5

Page 105: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8.10.5 중공원형 교각

8.10.5.3 축방향철근과 횡방향철근의 배치

(1) 중공원형 교각의 압축 지배단면은 벽체단면의 외측 면과 내측 면에 인접한 위치에

축방향 철근과 횡방향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2) 중공원형 교각의 휨 지배단면은 벽체단면의 외측 면과 내측 면에 인접한 위치에

축방향철근과 횡방향철근을 배치하거나, 벽체단면의 외측 면에 인접한 위치에만 축방

향철근과 횡방향철근을 배치할 수 있다.

(3) 중공원형 교각의 횡방향철근은 벽체단면에서 콘크리트 단면의 심부와 축방향철근을

감싸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4) 벽체단면 외측과 내측의 축방향철근을 감싸는 보강띠철근의 배치는 8.10.5.4에 따

른다.

8.10.5.4 소성힌지구역에서의 심부구속 횡방향철근량 및 철근상세

(1) 중공원형 교각의 심부구속 후프철근은 나선철근이나 완전원형후프, 또는 8.10.3.5

의 (7)를 만족하는 띠철근을 사용하여야 한다.

(2) 표 8.5.7의 응답수정계수를 적용한 완전연성설계에서는 식 (8.10.6)에 따라 소요

나선철근비를 계산하여 벽체단면 외측의 축방향철근을 감싸도록 심부구속철근을 배치

하여야 한다.

(3) 8.10.6을 적용한 연성도 내진설계에서는 8.10.6.2와 8.10.6.3의 규정에 따라 소

요 나선철근비를 계산하여 벽체단면 외측의 축방향철근을 감싸도록 심부구속철근을 배

치하여야 한다.

(4) 벽체단면 외측의 축방향철근을 감싸는 심부구속철근은 식 (8.10.4) 또는 식

(8.10.14)에 따라 심부구속철근의 지름과 수직간격을 결정하여야 한다. 단, 중공원형

교각에서는 식 (8.10.4) 또는 식 (8.10.14)의 를 외측 심부구속철근의 외측표면을

기준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지름으로 하여야 한다.

(5) 휨 지배단면에서 단면의 내측에 축방향철근이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내측의 축

방향철근을 감싸는 심부구속철근을 배치할 필요가 없다.

내진성능 실험에서는 중공치수비 0.5인 실험체

는 파괴 시 중립축이 단면내부에 존재하며 파

괴모드는 주철근 파단에 의한 연성파괴이고,

중공치수비 0.75인 실험체는 파괴 시 중립축이

중공내부에 존재하며 파괴모드는 콘크리트 압

축파괴에 의한 취성파괴로 나타났다. 즉 중공

단면의 파괴 시 중립축 위치에 따라 교각의 파

괴거동이 다르게 나타난다.

한편, Zahn, F. A 등의 “Flexural

Strength and Ductility of Circular Hollow

Reinforced Concrte Columns without

Confinement on Inside Face" (ACI

Structural Journal, V:87, No. 2, 1990)에

의하면 축력이 낮고, 적절한 단면두께와 주철

근량이 배근되는경우, 중실단면 교각과 비슷한

연성적인 파괴거동 특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

타났다.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8 장 내진설계

8-6

Page 106: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6) 휨 지배단면에서 단면의 내측에도 축방향철근이 배치된 경우에는, 내측의 축방향철

근을 감싸는 횡방향구속철근을 「제5장 콘크리트교」의 규정에 따라 배치하여야 한다.

(7) 압축 지배단면은 외측의 축방향철근을 감싸는 심부구속철근과 동일한 지름과 간격

으로 내측의 축방향철근을 감싸는 심부구속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단, 외측 심부구속

철근 수직간격의 2배가 내측 축방향철근 지름의 6배 이하인 경우에는, 내측 심부구속

철근의 수직간격을 외측 심부구속철근 간격의 2배로 배치할 수 있다.

(8) 중공원형 교각의 심부구속 횡방향철근상세는 8.10.3.5의 (1)과 (7)의 규정 외에 이

절의 (9) ~ (13)의 규정을 따라야 한다.

(9) 중공원형 교각에서 심부구속철근의 호칭지름이 이 절의 (4)에 정의된 의 1/125

배 이상인 경우에는 벽체단면 외측과 내측의 축방향철근을 감싸는 보강띠철근을 배치

할 필요가 없다.

(10) 중공원형 교각에서 심부구속 후프철근의 호칭지름이 이 절의 (4)에 정의된

의 1/125배 미만인 경우에는 벽체단면 외측과 내측의 축방향철근을 감싸는 보강띠

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이때 보강띠철근은 심부구속 후프철근과 동일한 지름의 철근

을 사용하여야 한다.

(11) 심부구속 보강띠철근 상세는 8.10.3.5의 (4)에 따르며, 중공원형 교각에서는 보

강 띠철근간의 수평간격이 외측 심부구속철근의 위치에서 심부구속 후프철근 호칭지름

의 30배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2) 심부구속 보강띠철근은 축방향철근을 감싸도록 배치하여야 하며, 단면 내측에 축

방향철근이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보강띠철근의 배치를 위한 조립용 철근을 축방향

으로 배치하여야 한다.

(13) 보강띠철근을 연속적으로 같은 축방향철근에 걸리게 할 경우에는 90° 갈고리가

연달아 걸리지 않도록 연속된 보강띠철근의 양단을 바꿔주어야 하며, 휨지배단면의 경

우에는 90° 갈고리가 내측축방향철근에만 걸리도록 배치하는 방법과 90° 갈고리가

연달아 걸리지 않도록 연속된 보강띠철근의 양단을 바꿔주는 방법중 하나를 적용하여

야 한다.

“중공원형 콘크리트 교각 연성도와 설계변수

상관관계 검증 실험연구”(2010)에서는 파괴

시 중립축 위치가 단면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축방향 철근은 단면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단면

강도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 경우에

는 외측면에만 주철근을 배치할 수 있도록 하

였다.

“중공단면 교각 소성설계 기준정립 연

구”(2011-2012)에서는 파괴 시 중립축 위치

가 중공내부에 존재하고 축방향철근 배근이 단

면 내측과 외측에 2열로 배근된 경우 압축력에

저항하는 콘크리트 전단면은 단면의 외측면과

내측면으로 압력이 퍼지기 때문에 콘크리트 압

축파괴에 의한 급작스런 파괴거동을 막기 위

한 적절한 횡구속력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심

부구속 횡방향 철근은 내측과 외측에 배근 되

어야 한다.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8 장 내진설계

8-7

Page 107: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8.10.5.5 중공원형 교각의 설계전단강도

(1) 중공원형 교각의 설계전단강도는, 표 8.5.7의 응답수정계수를 적용한 완전연성설계

나 8.10.6을 적용한 연성도 내진설계의 구분 없이, 모두 8.10.2.6의 규정에 따른다.

(2) 휨 설계에서 표 8.5.7의 응답수정계수가 적용된 교각에 대하여는, 소성힌지구

역의 전단강도를 검토할 때 콘크리트에 의한 전단강도는 5.7.2.3의 (1)에서 (3)까

지의 규정에 따라 결정하여야 한다.

(3) 정착이 된 보강띠철근은 8.10.5.5(2)의 전단강도 계산에 포함할 수 있다.

원형중공 철근콘크리트 교각 단면이 중실단면

과 동등 이상의 연성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소성힌지 구역에서 적절한 심부구속 횡방향 철

근량이 배근되어야만 가능하다.

8.8.5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연성도 내진설계

8.8.5.1 일반사항

식 (8.8.23)에서

식 (8.8.24)에서

식 (8.8.25)에서

8.8.5.2 소요연성도

식 (8.8.16)

식 (8.8.17)

식 (8.8.18)

식 (8.8.19)

식 (8.8.20)

8.8.5.3 심부구속 횡방향철근량

식 (8.8.21)

식 (8.8.22)

8.10.6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연성도 내진설계

8.10.6.1 일반사항

식 (8.10.16)에서

식 (8.10.17)에서

식 (8.10.18)에서

8.10.6.2 소요연성도

식 (8.10.9)

식 (8.10.10)

식 (8.10.11)

식 (8.10.12)

식 (8.10.13)

8.10.6.3 심부구속 횡방향철근량

식 (8.10.14)

식 (8.10.15)

[8.10.5절 신설에 따른 절 번호 수정 및 개정

내용에 따른 해당 수식번호 수정]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8 장 내진설계

8-8

Page 108: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식 (8.8.23)

식 (8.8.24)

식 (8.8.25)

식 (8.8.26)

8.8.5.4 전단 설계

(1) 이 절의 규정에 따라 변위연성도를 고려하여 콘크리트 교각의 전단강도를 검토할

때에는, 공칭전단강도에 1.0의 재료계수를 적용하여 설계전단강도를 결정하여야 한다.

식 (8.8.27)

식 (8.8.28)

식 (8.8.29)

식 (8.8.30)

식 (8.8.31)

식 (8.8.32)

식 (8.8.33)

식 (8.10.16)

식 (8.10.17)

식 (8.10.18)

식 (8.10.19)

8.10.6.4 전단 설계

(1) 이 절의 규정에 따라 변위연성도를 고려하여 콘크리트 교각의 전단강도를 검토할

때에는, 1.0의 재료계수를 적용하여 설계전단강도를 결정하여야 한다.

식 (8.10.20)

식 (8.10.21)

식 (8.10.22)

식 (8.10.23)

식 (8.10.24)

식 (8.10.25)

식 (8.10.26)

[제5장 콘크리트교 개정내용 반영]

[8.10.5절 신설에 따른 절 번호 수정 및 개정

내용에 따른 해당 수식번호 수정]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8 장 내진설계

8-9

Page 109: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9.2.2 받침관련 용어

유도장치(guide) - 미끄럼 받침의 특정 축에 대한 구속하는 요소

지점(support) - 상대 이동 및 구조부재로 하중전달을 위한 받침을 포함하는 모든 가설

조치

9.2.2 받침관련 용어

유도장치(guide) - 미끄럼 받침에서 특정 축에 대해 구속하는 요소

지점(support) - 상대 이동 및 구조부재로 하중전달을 위한 받침을 포함하는 모든 시설

단순 문구수정

9.2.3 지진격리받침관련 용어

지진격리받침(seismic isolation bearing)

- 교량에 고유주기 이동, 지진력 분산, 지진에너지 감쇠 기능을 부여하

여 교량을 지진으로부터 보호하는 받침으로서, 여기서는 선형천연

고무받침, 고감쇠고무지진격리받침, 납삽입지진격리받침 등을 대상

으로 한다.

선형천연고무받침(linear natural rubber bearing, LNR)

- 전단하중과 전단변형의 관계가 선형적 특성을 가지고 있고, 감쇠비

가 상대적으로 작은 지진격리받침으로서 천연고무를 재료로 제작된

다.

고감쇠고무지진격리받침(high-damping rubber bearing, HDR)

- 고무의 조성을 조절하고 첨가물을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큰 감쇠비를

갖도록 제작된 지진격리받침

납삽입지진격리받침(lead rubber bearing, LRB)

- 납봉을 탄성중합체 블럭에 삽입하여 납의 전단변형이 감쇠효과를

나타내도록 제작된 지진격리받침

지진격리받침의 수평특성- LNR : 전단강성( )

- HDR : 전단강성( )과 등가감쇠비()

- LRB : 항복 후 전단강성()와 특성 하중()

- EDC : 싸이클 당 소산되는 에너지

지진격리받침의 압축특성(compressive properties of elastomeric isolators)

- 지진격리받침의 압축강성( )

극한특성(ultimate properties)

- 압축하중과 전단하중을 재하하여 좌굴(buckling), 파단(breaking)

혹은 삐져나옴(롤아웃, roll-out) 등이 발생하는 지점에서의 지진격

리받침의 특성

지진격리받침의 파괴 - 압축(또는 인장)-전단 하중에 의한 지진격리받침의 파손

9.2.3 지진격리받침관련 용어

고감쇠고무지진격리받침(high-damping rubber bearing, HDR)

- 고무의 조성을 조절하고 첨가물을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큰 감쇠비를

갖도록 제작된 지진격리받침

공칭 압축응력 - 장기적으로 지진격리받침에 가해지는 압축응력으로서 안전율을 감

안하여 제조사가 추천하는 값

구조 기술자 - 교량 구조의 지진격리설계에 대한 책임을 맡고 있고 지진격리받침의

요구 사항들을 지정할 책임이 있는 사람

극한특성(ultimate properties)

- 압축하중과 전단하중을 재하 하였을 때 좌굴(buckling), 파단

(breaking) 혹은 삐져나옴(롤아웃, roll-out) 등이 발생하는 지점에

서의 지진격리받침의 특성

극한 특성 다이아그램(Ultimate property diagram, UPD)

- 지진격리받침에 있어서 압축응력과 좌굴 혹은 파괴 시의 전단변형률

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곡선

납삽입지진격리받침(lead rubber bearing, LRB)

- 납봉을 탄성중합체 블럭에 삽입하여 납의 전단변형이 감쇠효과를

나타내도록 제작된 지진격리받침

내부 고무 - 지진격리받침의 보강철판 사이에 있는 고무층

덮개 고무 - 보강철판과 고무층을 번갈아 적층한 지진격리받침에 있어서 보강철

판의 부식을 방지하고 산화작용, 자외선 기타 자연 상태의 열화 요인

으로부터 내부 고무층을 보호할 목적으로 가황처리 이전에 내부 고

무와 보강철판을 바깥쪽에서 둘러싸는 고무

삐져 나옴 - 맞춤못(dowel 또는 recess)으로 연결된 지진격리받침이 전단 변위

를 받아 불안정해진 상태

선형천연고무받침(linear natural rubber bearing, LNR)

- 전단하중과 전단변형의 관계가 선형적 특성을 가지고 있고, 감쇠비

가 상대적으로 작은 지진격리받침으로서 천연고무를 재료로 제작됨

용어 순서 변경(가나다순)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9 장 신축이음, 받침 및 방호울타리

Page 110: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좌굴 - 압축-전단 하중을 받는 상태에서 지진격리받침이 안정성을 잃는 상

압축-전단 시험 기계- 지진격리받침에 일정한 압축하중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전단 하중을

가함으로써 지진격리받침을 시험하는 설비

덮개 고무 - 보강철판과 고무층을 번갈아 적층한 지진격리받침에 있어서 보강철

판의 부식을 방지하고 산화작용, 자외선 기타 자연 상태의 열화 요인

으로부터 내부 고무층을 보호할 목적으로 가황처리 이전에 내부 고

무와 보강철판을 바깥쪽에서 둘러싸는 고무

설계 압축 하중 - 구조물에 의해 지진격리받침에 장기적으로 가해지는 압축 하중

유효 재하 면적 - 지진격리받침에서 수직 하중을 버티는 면적으로서 보강철판의 면적

과 동일하다.

유효폭 - 사각형 지진격리받침에서 내부 고무의 짧은 변 길이를 의미하며

이 방향으로는 전단변형이 구속되지 않는다.

1차 형상계수 - 보강 철판 사이에 있는 하나의 내부 고무층에 대하여 변형이 자유로

운 면적에 대한 유효 재하면적의 비율

내부 고무 - 지진격리받침의 보강철판 사이에 있는 고무층

최대 압축응력 - 지진 시에 지진격리받침에 장기적으로 작용하는 최대 압축응력

공칭 압축응력 - 장기적으로 지진격리받침에 가해지는 압축응력으로서 안전율을 감

안하여 제조사가 추천하는 값

삐져 나옴 - 맞춤못(dowel 또는 recess)으로 연결된 지진격리받침이 전단 변위

를 받아 불안정해진 상태

정기 시험(Routine test) - 지진격리받침의 생산 도중 혹은 생산 후에 지진격리받침의 품질

관리를 위해 실시하는 시험

2차 형상계수 - 원형 지진격리받침일 경우 내부 고무층의 총 두께에 대한 내부 고무

층의 지름의 비, 사각형 지진격리받침일 경우 내부 고무층의 총 두께

에 대한 내부 고무층의 유효폭의 비

구조 기술자 - 교량 구조의 지진격리설계에 대한 책임을 맡고 있고 지진격리받침의

요구 사항들을 지정할 책임이 있는 사람

형식 시험(Type test) - 제품 개발 단계에서 재료의 특성과 지진격리받침의 성능에 대한

검증, 혹은 요구되는 설계사양을 만족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

시하는 시험

극한 특성 다이아그램(Ultimate property diagram, UPD)

- 지진격리받침에 있어서 압축응력과 좌굴 혹은 파괴 시의 전단변형률

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곡선

설계 압축 하중 - 구조물에 의해 지진격리받침에 장기적으로 가해지는 압축 하중

압축-전단 시험 기계- 지진격리받침에 일정한 압축하중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전단 하중을

가함으로써 지진격리받침을 시험하는 설비

유효 재하 면적 - 지진격리받침에서 수직 하중을 버티는 면적으로서 보강철판의 면적

과 동일

유효폭 - 사각형 지진격리받침에서 내부 고무의 짧은 변 길이를 의미하며

이 방향으로는 전단변형이 구속되지 않음

정기 시험(Routine test) - 지진격리받침의 생산 도중 혹은 생산 후에 지진격리받침의 품질

관리를 위해 실시하는 시험

좌굴 - 압축-전단 하중을 받는 상태에서 지진격리받침이 안정성을 잃는 상

지진격리받침(seismic isolation bearing)

- 교량에 고유주기 이동, 지진력 분산, 지진에너지 감쇠 기능을 부여하

여 교량을 지진으로부터 보호하는 받침으로서, 여기서는 선형천연

고무받침, 고감쇠고무지진격리받침, 납삽입지진격리받침 등을 대상

으로 함

지진격리받침의 수평특성- LNR : 전단강성( )

- HDR : 전단강성( )과 등가감쇠비()

- LRB : 항복 후 전단강성()와 특성 하중()

- EDC : 싸이클 당 소산되는 에너지

지진격리받침의 압축특성(compressive properties of elastomeric isolators)

- 지진격리받침의 압축강성( )

지진격리받침의 파괴 - 압축(또는 인장)-전단 하중에 의한 지진격리받침의 파손

최대 압축응력 - 지진 시에 지진격리받침에 장기적으로 작용하는 최대 압축응력

형식 시험(Type test) - 제품 개발 단계에서 재료의 특성과 지진격리받침의 성능에 대한

검증, 혹은 요구되는 설계사양을 만족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

시하는 시험

1차 형상계수 - 보강 철판 사이에 있는 하나의 내부 고무층에 대하여 변형이 자유로

운 면적에 대한 유효 재하면적의 비율

2차 형상계수 - 원형 지진격리받침일 경우 내부 고무층의 총 두께에 대한 내부 고무

층의 지름의 비, 사각형 지진격리받침일 경우 내부 고무층의 총 두께

에 대한 내부 고무층의 유효폭의 비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9 장 신축이음, 받침 및 방호울타리

Page 111: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9.3.1 신축이음관련 기호

= 윤하중 분배 면적(mm)

= 윤하중 분배 면적내의 비접촉부분 면적(mm)

′ = 윤하중 접촉면적(mm)

= 구조물의 신축길이

= 유압가력기의 수축 및 신장 반복횟수

= 표준트럭 후륜하중

= 차량 진행방향으로 산정한 신축이음 노면 최대 틈새 간격(mm)

= 윤하중 등분포하중(MPa)

= 열팽창계수

= 신축이음의 설계 회전량, 회전 변형

9.3.1 신축이음관련 기호

= 차량 진행방향으로 산정한 신축이음 노면 최대 틈새 간격(mm)(9.4.3.1)

기호가 사용된 절 표시 및 미사용 기호 삭

9.3.2 받침관련 기호

= 미끄럼면의 접촉면

= 탄성받침의 전체면적

= 단면적

= 슬라이딩면의 접촉면; 슬라이딩 곡면의 투영면적

′ = 탄성받침의 유효면적(보강판 면적)

= 탄성받침의 감소 유효면적

= 받침의 압축강성

= 원형 받침의 전체 직경

= 포트 내부 직경

′ = 원형 적층받침의 유효직경

= 포트 링 외부 직경

= 탄성계수

= 체적계수

= 교차 압축계수

= 설계하중 효과

= 하중

= 제로 회전에 대한 복원모멘트식에서 계수

= 윤활 처리한 패드에 대한 복원모멘트식에서 계수

= 윤활 처리하지 않은 패드에 대한 복원모멘트식에서 계수

= 용접 저항력

9.3.2 받침관련 기호

= 탄성받침 단면적(9.5.3.2)

= 가동받침 이동량 계산을 위한 콘크리트 단면적(9.5.2.3)

= 탄성받침의 감소 유효면적(9.5.3.8)(9.5.3.11)(9.5.3.12)

= 슬라이딩면의 유효접촉면적(9.5.5.3)(9.5.6.9)

= 탄성받침 유효 단면적(9.5.3.7)

= 원형 받침의 전체 직경(9.5.3.4)

= 포트 내부 직경(9.5.4.3)(9.5.4.9)

′ = 원형 적층받침의 유효직경(9.5.3.4)(9.5.3.12)

= 탄성중합체의 체적탄성계수(9.5.3.13)

= 가동받침 이동량 계산을 위한 콘크리트 탄성계수(9.5.2.3)

= 탄성받침의 압축탄성계수(9.5.3.2)

= 포트의 탄성계수(9.5.4.9)

= 탄성받침에 작용하는 수평하중(9.5.3.12)

= 탄성받침의 수직설계하중(9.5.3.8)(9.5.3.11)(9.5.3.12)

= 탄성받침의 전단탄성계수(9.5.3.2)

= 포트의 깊이(9.5.4.3)

= 고정되지 않는 탄성받침의 마찰계수 계산을 위한 계수(9.5.3.12)

= 탄성받침의 수평 전단강성(9.5.3.2)

= 보강판에 발생한 인장응력을 고려하기 위한 계수(9.5.3.11)

= 하중 종류에 따라 탄성중합체의 최대설계변형률 계산을 위한 계수(9.5.3.6)

기호가 사용된 절 표시 및 미사용 기호 삭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9 장 신축이음, 받침 및 방호울타리

Page 112: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 수평하중

= 수평 설계하중

= 와 의 벡터합에 의한 최대 누적 수평력

= 수직설계하중

= 영구 하중

= 탄성받침의 공칭전단계수

= 동적상태에서의 탄성받침의 공칭전단계수

= 탄성중합체의 전단계수

= 시험으로 결정된 탄성받침의 공칭전단계수

= 포트의 깊이

K = Kelvins(캘빈온도)

= 타원형 받침에서 압축하중에 의한 변형률 계수

= 타원형 받침에서 하중에 의한 수직처짐 계수

= 타원형 받침에서 복원모멘트 계수

= 마찰계수

= 보강판에 발생한 인장응력에 대한 계수

= 하중 형식계수

= 모멘트 계수

= 보강판에 대한 응력 보정계수

= 회전계수

= 복원모멘트 계수

= 하나 이상의 PTFE를 둘러싸는 원의 직경 또는 가이드용으로 사용되는 PTFE의 길

= PTFE 시트의 투영면적의 직경 또는 대각선 길이

= 모멘트; 휨모멘트

= 시험시 패드와 내부 봉함링에 의한 저항 모멘트

= 복원모멘트 설계값

= 복원모멘트 실험값

= 패드와 내부 봉함링에 의한 저항 모멘트

= 피스톤과 포트의 마찰에 의한 추가 모멘트

= 회전에 대한 전체 저항 모멘트

= 축력 또는 연직력

= 접촉면 반경

= 탄성받침에서 복원모멘트 계수(9.5.3.13)

= 탄성받침의 수직 압축강성(9.5.3.2)

= PTFE 직경(9.5.6.6)

= 포트받침에서 탄성패드에 발생하는 최대구속모멘트(9.5.4.3)

= 탄성받침에서 복원모멘트 설계값(9.5.3.13)

m ax = 포트받침에서 피스톤과 포트벽의 마찰에 의한 모멘트(9.5.4.3)

= 프리스트레싱 직후의 PS강재에 작용하는 인장력(9.5.2.3)

= 포트받침에서 피스톤과 포트 접촉면의 반경(9.5.4.9)

= 탄성받침에서 이동변위에 의해 구조물에 가해지는 힘(9.5.3.13)

= 형상계수(9.5.3.7)

= 최소두께의 탄성중합체 내부 층에 대한 형상계수(9.5.3.12)

= 탄성중합체의 전체 공칭두께(9.5.3.12)(9.5.3.13)

= 상하 덮개를 포함한 탄성중합체의 총 두께(9.5.3.9)

= 탄성중합체의 총두께(9.5.3.2)

= 고정장치의 설계강도(9.5.2.2)

= 받침의 설계강도(9.5.2.2)

= 받침에 작용하는 전단력(9.5.2.2)

= 받침의 전체 나비(직사각형 받침에서 단변)(9.5.3.4)

′ = 적층탄성받침의 유효나비(보강판의 나비)(9.5.3.4)(9.5.3.8)(9.5.3.12)

= 받침의 전체 길이(직사각형 받침에서 장변)(9.5.3.4)

′ = 적층탄성받침의 유효 길이(보강판의 길이)(9.5.3.4)(9.5.3.8)

= 미끄럼 요소들 간의 유격(9.5.6.6)

= 포트받침에서 탄성패드 직경(9.5.4.6)

= 슬라이딩 곡면에서 편심(9.5.5.3)

= PTFE의 돌출길이(9.5.6.6)

= 거더의 중립축으로부터 받침의 회전중심까지의 거리(9.5.2.3)

= 포트받침에서 탄성중합체의 허용압축응력(9.5.4.6)

= PTFE 설계압축강도(9.5.5.3)(9.5.6.6)

= 재료의 항복 강도(9.5.3.11)(9.5.4.9)

= 신축거더길이(9.5.2.3)

= 탄성받침의 자유 힘 둘레(9.5.3.7)

= 받침 개수(9.5.2.4)

= 적층탄성받침의 총 두께(9.5.3.4)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9 장 신축이음, 받침 및 방호울타리

Page 113: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 설계 저항값

= 수평 이동에 저항하는 누적 힘

= 평균 표면거칠기

= 형상계수

= 가장 두꺼운 층에 대한 형상계수

= 내력 또는 모멘트에 대한 작동 설계값

= 온도

= 포트 저판 두께

= 상하부 덮개를 포함하지 않은 전체 초기 두께의 평균

= 받침의 전체 공칭 두께

= 받침의 초기 전체 두께 평균

= 탄성중합체의 전체 공칭두께

= 전단변형시 탄성중합체의 평균 전체 초기 두께, 전단변형을 제한하지 않을 때 상부

와 하부 고무 커버 두께를 포함한다.

= 횡력 또는 전단력

′ = 단위 길이당 전체 전단력

= 탄성중합체 압력에 의한 전단력

= PTFE의 최소 치수 또는 직사각형판의 부 축

= 받침의 전체 나비(직사각형 받침에서 단변)

= 원통형 PTFE 표면의 평면투영의 부 측

′ = 적층탄성받침의 유효나비(보강판의 나비)

= 타원형 받침의 단축

= 직사각평판의 주 축

= 받침의 전체 길이(직사각형 받침에서 장변)

= 계산된 피스톤/포트 접촉 나비

= 원통형 PTFE 표면의 평면투영의 주 측; 슬라이딩 곡면의 투영면적에서의 거

= 타원형 받침의 장축

′ = 적층탄성받침의 유효 길이(보강판의 길이)

= 미끄럼 요소들 간의 유격

= 압축강성

= 치수

= 직경

= 탄성패드의 직경

= 압축시 탄성중합체의 유효두께(9.5.3.7)

= 개별 탄성중합체 층 두께(9.5.3.4)(9.5.3.10)

′ = 개별 탄성중합체 층 중 가장 작은 두께(9.5.3.10)

m in = 포트받침에서 탄성패드 최소 두께(9.5.4.6)

= PTFE 두께(9.5.6.6)

= 보강판 두께(9.5.3.4)

= 적층탄성받침에서 내부보강판 양면의 탄성중합체 두께(9.5.3.11)

= 적층탄성받침에서 내부보강판 양면의 탄성중합체 두께(9.5.3.11)

= 이동 변위에 의한 적층탄성받침의 수평 상대 변위(9.5.3.9)

= 설계하중에 의한 받침의 나비 방향으로의 최대 수평 상대 변위(9.5.3.8)

= 설계하중에 의한 받침의 길이 방향으로의 최대 수평 상대 변위(9.5.3.8)

= 적층탄성받침의 총 수직변형(9.5.3.12)(9.5.3.13)

= 피스톤 면의 폭(9.5.4.9)

= 열팽창계수(9.5.2.3)

= 받침 형식 및 수량에 따른 마찰계수 보정계수(9.5.2.4)

= 직사각형 받침의 나비 a를 가로지르는 회전각(9.5.3.5)

= 직사각형 받침의 나비 a, 길이 b를 가로지르는 누적 회전각(9.5.3.5)

= 직사각형 받침의 나비 a를 가로지르는 회전각(9.5.3.10)(9.5.3.12)

= 직사각형 받침의 길이 b를 가로지르는 회전각(9.5.3.5)

= 직사각형 받침의 길이 b를 가로지르는 회전각(9.5.3.10)(9.5.3.12)

= 원형 받침의 직경 D를 가로지르는 회전각(9.5.3.5)

= 포트받침의 최대 회전각(9.5.4.3)

= 건조수축, 크리프의 저감계수(9.5.2.3)

= 회전에 의한 탄성중합체의 설계변형률(9.5.3.6)(9.5.3.10)

= 압축하중에 의한 탄성중합체의 설계변형률(9.5.3.6)(9.5.3.8)

= 수평 이동에 의한 탄성중합체의 설계변형률(9.5.3.6)(9.5.3.9)

= 탄성중합체의 전체 설계 공칭 변형률(9.5.3.6)

= 콘크리트의 크리프계수(9.5.2.3)

= 동적마찰계수(9.5.6.10)

= 고정되지 않은 탄성받침의 마찰계수(9.5.2.12)

= 마찰계수(9.5.2.2)

= 마찰계수(9.5.2.2)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9 장 신축이음, 받침 및 방호울타리

Page 114: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 피스톤 상부면의 유효 접촉 직경

= 저판 하부면의 유효 접촉 직경

= 편심

= 공칭압축강도

= 재료의 극한 강도

= 재료의 항복 강도

= 탄성중합체의 설계 접촉강도

= PTFE의 돌출길이

= 받침 개수

= 횟수

= 탄성중합체 층의 수

= 탄성받침의 자유 힘 둘레

= 반지름, 반경

= 미끄럼 거리

= 온도

= 두께, 시간

= 탄성패드 또는 스트립받침의 두께

= 탄성중합체의 공칭 두께

= 압축시 탄성중합체의 유효두께

= 적층탄성받침의 각각의 탄성중함체 층 두께

= PTFE 두께

= 보강판 두께

= 외부 보강판 두께

= PTFE 둘레

= 변위

= 미끄럼 속도

= 전체 수직처짐

= 나비 a방향으로의 최대 수평 상대 변위

= 길이 b방향으로의 최대 수평 상대 변위

= 수직처짐

= 와 의 벡터합에 의한 최대 누적 수평 상대 변위

= 변형

= 피스톤 면의 나비

= 정적마찰계수(9.5.6.10)

= 상쇄 마찰계수(9.5.2.4)

m ax = 최대 마찰계수(9.5.2.4)

= 받침 상부의 거더 회전각(9.5.2.3)

= 탄성받침의 수직압력(9.5.3.5)

= 탄성받침의 평균압축응력(9.5.3.12)

= 접촉응력(9.5.6.4)

∆ = 가동받침의 총 이동량(9.5.2.3)

∆ = 활하중으로 거더의 처짐에 의한 가동받침의 이동량(9.5.2.3)

∆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의한 가동받침의 이동량(9.5.2.3)

∆ = 온도변화에 의한 가동받침의 이동량(9.5.2.3)

∆ = 콘크리트의 크리프에 의한 가동받침의 이동량(9.5.2.3)

∆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해당하는 온도변화(9.5.2.3)

∆ = 활하중에 의한 포트받침의 회전각 변동(9.5.4.3)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9 장 신축이음, 받침 및 방호울타리

Page 115: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x = 세로축

y = 가로축

z = 주 받침면에 연직축

= 열팽창계수; 계수, 율; 회전

= 회전각

= 받침의 회전각

= 영구하중 과 변동하중에 의한 회전각

= 회전각

= 직사각형 받침의 나비 a를 가로지르는 회전각

= 직사각형 받침의 길이 b를 가로지르는 회전각

= 직사각형 받침의 나비 a, 길이 b를 가로지르는 누적 회전각

= 원형 받침의 직경 D를 가로지르는 회전각

= 영구하중에 의한 회전각

= 차량하중에 의한 회전각

= 적용하중 작용선의 수직 축과의 편향각

= 파단 시 신장량

= 각각의 탄성중합체 층의 수직처짐

= 비율, 계수

= 회전에 의한 탄성중합체의 설계변형률

= 압축하중에 의한 탄성중합체의 설계변형률

= 수평 이동에 의한 탄성중합체의 설계변형률

= 탄성중합체의 전체 설계 공칭 변형률

= 받침의 압축변형률

= 마찰계수

= 초기 마찰계수

= 주어진 온도범위에서의 최대 마찰계수

= 설계마찰계수

= 탄성중합체의 마찰계수

= 복원모멘트 시험에서 회전각

= PTFE 곡면의 반 끼인각

= 밀도

= 수직압력

= 압축응력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9 장 신축이음, 받침 및 방호울타리

Page 116: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 압축응력의 평균

= 강재의 인장응력

Δ = 차(差); 증분

∆ = 이론적 면과의 평탄 또는 굽은 슬라이딩면의 최대편차

= 전단응력

9.3.3 지진격리받침관련 기호

= 유효 평면적; 적층고무 지진격리받침에서 덮개 고무 부분을 제외한 평면적

= 볼트의 유효 면적

= 비지진 전단변위 상태에서 적층 고무 지진격리받침의 상부와 하부가 겹쳐지는 면적

= 지진격리받침에서 하중을 받지 않는 부분의 면적

= 지진격리받침에서 하중을 받는 부분의 면적

= 납삽입 지진격리받침에서 납심이 차지하는 면적

= 정사각형 지진격리받침에서 덮개고무를 제외한 한 변의 길이 또는 직사각형 지진

격리받침에서 덮개고무를 제외한 장변의 길이

= 직사각형 지진격리받침에서 덮개고무를 제외한 단변의 길이

′ = 직사각형 지진격리받침에서 덮개고무를 포함한 장변의 길이

= 플랜지의 휨에 대한 유효폭

= 직사각형 지진격리받침에서 덮개고무를 제외한 횡방향의 변의 길이

′ = 직사각형 지진격리받침에서 덮개고무를 포함한 횡방향의 변의 길이

= 유효 플랜지 단면과 볼트 중심간의 거리

′ = 덮개고무를 포함한 원형 지진격리받침의 지름

= 플랜지의 지름

= 보강철판의 내부 지름

= 볼트 구멍의 지름

= 보강철판의 외부 지름

= 지진격리받침 고무층의 겉보기 탄성계수

= 고무의 압축성을 고려하여 수정된 겉보기 탄성계수

= 1차 형상계수에 따라 결정되는 체적 압축특성을 고려하여 수정한 겉보기 탄성계수

∞ = 고무의 체적 탄성계수(Bulk modulus)

= 고무의 탄성계수(Young's modulus)

= 지진격리받침의 들림에 따른 인장력

= 전단탄성계수

9.3.3 지진격리받침관련 기호

= 유효 면적; 적층고무 지진격리받침에서 덮개 고무 부분을 제외한 면적(9.6.2)

= 비지진 전단변위 상태에서 적층 고무 지진격리받침의 상부와 하부가 겹쳐지는 면적

(9.6.2)(9.6.3.2)

= 정사각형 지진격리받침에서 덮개고무를 제외한 한 변의 길이 또는 직사각형 지진

격리받침에서 덮개고무를 제외한 장변의 길이(9.6.3.2)

= 직사각형 지진격리받침에서 덮개고무를 제외한 단변의 길이(9.6.3.4)

= 직사각형 지진격리받침에서 덮개고무를 제외한 횡방향의 변의 길이(9.6.3.2)

= 보강철판의 외부 지름(9.6.3.3)(9.6.3.4)

= 지진격리받침 고무층의 겉보기 탄성계수(9.6.3.2)

= 고무의 압축성을 고려하여 수정된 겉보기 탄성계수(9.6.2)

= 1차 형상계수에 따라 결정되는 체적 압축특성을 고려하여 수정한 겉보기 탄성계수

(9.6.3.2)

= 전단탄성계수(9.6.2)

= 전단변형률 에서의 등가 선형 전단탄성계수(9.6.2)

= 전단강성(9.6.2)

= 지진격리받침의 압축강성(9.6.2)

= 내부 고무층의 개수(9.6.3.2)

= 지진격리받침의 압축력(9.6.3.3)

= 지진격리받침의 설계 압축력(9.6.2)

max = 지진격리받침의 최대 설계 압축력(9.6.2)(9.6.3.5)

m in = 지진격리받침 최소 설계 압축력(9.6.2)

= 1차 형상계수(9.6.3.2)(9.6.3.4)(9.6.3.5)

= 고무층의 총두께로서 × 로 계산(9.6.2)(9.6.3.1)(9.6.3.4)

= 내부 고무층 1개의 두께(9.6.3.2)

= 지진격리받침에 작용하는 상향력(9.6.3.6)

= 설계 전단변위(9.6.2)

기호가 사용된 절 표시 및 미사용 기호 삭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9 장 신축이음, 받침 및 방호울타리

Page 117: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 전단변형률 에서의 등가 선형 전단탄성계수

= 마운트 플랜지를 포함한 지진격리받침의 높이

= 마운트 플랜지를 제외한 지진격리받침의 높이

= 등감감쇠비

= 전단변형률의 함수인 등가감쇠비

= 납삽입 지진격리받침의 항복 후 강성(납심의 항복 후 지진격리받침의 강성)

= 전단강성

= 초기 전단강성

= 납삽입 지진격리받침에서 납의 전단강성

= 납삽입 지진격리받침에서 납심 삽입하기 전의 전단강성

= 지진격리받침 전단력-전단변형률 관계에서의 접선 기울기

= 지진격리받침의 압축강성

= 정사각형 플랜지의 한변 길이

= 회전에 대한 저항력

= 볼트에 작용하는 모멘트

= 지진격리받침에 작용하는 모멘트

= 내부 고무층의 개수

= 고정 볼트의 개수

= 지진격리받침의 압축력

= 지진격리받침의 설계 압축력

max = 지진격리받침의 최대 설계 압축력

m in = 지진격리받침 최소 설계 압축력

= 전단력

= 파단 시의 전단력

= 좌굴 시의 전단력

= 지진격리받침의 특성강도

= 1차 형상계수

= 2차 형상계수

= 온도

= 고무층의 총두께로서 × 로 계산

= 내부 고무층 1개의 두께

= 보강철판 양쪽 면에 각각 접착되는 고무층의 두께

= 보강철판의 두께

= 준정적 전단 작용에 의한 전단변위(9.6.3.1)

max = 최대 설계 전단변위(9.6.2)

= 동적 전단 작용에 의한 전단변위(9.6.3.1)

= 설계 전단변형률(9.6.2)

= 적층고무 지진격리받침의 충 전단변형률에 대한 상한값(9.6.3.2)

= 압축력에 의한 국부 전단변형률(9.6.3.2)

max = 지진 시 최대 전단변형률(9.6.2)

= 회전에 의한 국부 전단변형률(9.6.3.2)

= 준정적 전단 작용에 의한 전단변형률(9.6.3.1)(9.6.3.2)

= 지진격리받침의 회전각(원형 지진격리받침은 지름, 직사각형 지진격리받침은 중심

축에 대한 회전)(9.6.3.2)

= 지진격리받침의 종축방향 회전각(9.6.3.2)

= 지진격리받침의 횡축방향 회전각(9.6.3.2)

= 지진격리받침의 설계 압축응력(9.6.2)

m ax = 지진격리받침의 최대 설계 압축응력(9.6.2)(9.6.3.5)

m in = 지진격리받침의 최소 설계 압축응력(9.6.2)

= 인장응력(9.6.3.6)

= 지진격리받침의 허용 인장응력(9.6.3.6)

= 좌굴 점검을 위한 계수(9.6.3.4)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9 장 신축이음, 받침 및 방호울타리

Page 118: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 바깥쪽 덮개 고무의 두께

= 전단력-전단변형 관계 그래프에서 최대 전단력에 대한 특성강도의 비를 나타내는

함수

= 지진격리받침에 작용하는 상향력

= 가력 속도

= 전단변위

= 설계 전단변위

= 파단 시 전단변위

= 좌굴 시 전단변위

= 준정적 전단 작용에 의한 전단변위

m ax = 최대 설계 전단변위

= 동적 전단 작용에 의한 전단변위

= 지진격리받침의 총 압축변위

= 플랜지의 단면 계수

= 선형 열팽창계수

= 전단변형률

= 설계 전단변형률

= 적층고무 지진격리받침의 충 전단변형률에 대한 상한값

= 파단 시 전단변형률

= 압축력에 의한 국부 전단변형률

= 동적 전단 작용에 의한 전단변형률

m ax = 지진 시 최대 전단변형률

= 회전에 의한 국부 전단변형률

= 준정적 전단 작용에 의한 전단변형률

= 극한 전단변형률

= 지진격리받침의 수평방향 치우침(offset)

= 180° 각도로 떨어진 두 지점에서 측정한 지진격리받침 높이의 차

= 지진격리받침의 압축변형률

= 장기처짐(크리프)에 의한 압축변형률

= 지진격리받침의 인장변형률

= 지진격리받침의 인장 파괴 시 인장변형률

= 지진격리받침의 인장 항복 변형률

= 고무층과 보강철판층 총합에 대한 고무층 총합의 비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9 장 신축이음, 받침 및 방호울타리

Page 119: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 지진격리받침의 회전각(원형 지진격리받침은 지름, 직사각형 지진격리받침은 중심

축에 대한 회전)

= 지진격리받침의 종축방향 회전각

= 지진격리받침의 횡축방향 회전각

= 보강철판의 응력계산에 대한 보정계수

= 임계 응력계산에 대한 보정계수

= 고무의 경도에 따른 겉보기 탄성계수의 보정계수

∑ = 국부 전단변형률의 총합

= 지진격리받침의 압축응력

= 지진격리받침의 설계 압축응력

= 볼트의 인장응력

= 플랜지의 휨응력

= 플랜지의 허용 휨응력

= 지진격리받침의 임계응력

= 강재의 허용 인장응력

max = 지진격리받침의 최대 설계 압축응력

m in = 지진격리받침의 최소 설계 압축응력

= 보강철판의 인장응력

= 보강철판의 허용 인장응력

= 보강철판과 플랜지 강재의 항복응력

= 보강철판과 플랜지 강재의 인장응력

= 인장응력

= 지진격리받침의 허용 인장응력

= 철판의 항복응력

= 볼트의 전단응력

= 강재의 허용 전단응력

= 좌굴 안정성 계산을 위한 계수

= 좌굴 점검을 위한 계수

= 임계응력을 계산하기 위한 계수

9.5.2.4 받침 저항 성능

= 받침 형식 및 수량에 따른 계수로 적절한 가 제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표에

따른다.

9.5.2.4 받침 저항 성능

= 받침 형식 및 수량에 따른 계수로 적절한 가 제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표에

따른다.

단순 오타 수정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9 장 신축이음, 받침 및 방호울타리

Page 120: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표 9.5.3 계수

1

0.5

표 9.5.3 계수

1

0.5

9.5.3.4 형상과 치수

표 9.5.5 강재보강 탄성받침 단면형식

설명 단면형식

A형 받침 : 단 하나의 보강판을 탄성중합체로

완전히 덮은 적층받침

B형 받침 : 최소 2개 이상의 보강판을

탄성중합체로 완전히 덮은 적층받침

C형 받침 : 외부 보강판이 있는 적층받침

D형 받침 : B형+PTFE 탄성중합체와 결합된 형식

※ PTFE(Polytetrafuluoroethylene)

E형 받침 : 탄성중합체와 강판에 오목한 테가

있는 PTFE 탄성받침에 결합된 외부판이 있는

형식

9.5.3.4 형상과 치수

표 9.5.5 강재보강 탄성받침 단면형식

설명 단면형식

A형 받침 : 단 하나의 보강판을 탄성중합체로

완전히 덮은 적층받침

B형 받침 : 최소 2개 이상의 보강판을

탄성중합체로 완전히 덮은 적층받침

C형 받침 : 외부 보강판이 있는 적층받침

D형 받침 : B형+PTFE 탄성중합체와 결합된 형식

※ PTFE(Polytetrafluoroethylene)

E형 받침 : 탄성중합체와 강판에 오목한 테가

있는 PTFE 탄성받침에 결합된 외부판이 있는

형식

단순 오타 수정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9 장 신축이음, 받침 및 방호울타리

Page 121: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9.5.3.7 형상계수

형상계수는 구멍을 포함한 탄성체의 힘의 자유표면적과 탄성체의 유효평면적비로 정의할

수 있다.

적층받침에서 개별 탄성중합체 층의 형상계수 S는 다음의 식으로 표현된다.

(9.5.8)

여기서,

= 내부강판과 접촉하는 받침의 유효 평면적. 단, 채워지지 않는 구멍의 면적은 제외

한다.()

= 탄성받침의 힘이 0인 둘레길이. 단, 채워지지 않는 구멍의 둘레는 포함한다.(mm)

= 압축상태에서 개별 탄성중합체의 층의 유효두께(mm). 적층받침의 경우 내부 층은

실제 두께 를 사용하고, 3 mm 이상인 외부 층은 를 사용한다.

= 개별 탄성중합체 층의 두께(mm)

9.5.3.7 형상계수

형상계수는 구멍을 포함한 탄성체의 자유표면적과 탄성체의 유효면적에 대한 비로 정의

할 수 있다.

적층받침에서 개별 탄성중합체 층의 형상계수 S는 다음의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9.5.8)

여기서,

= 내부강판과 접촉하는 받침의 유효 면적. 단, 채워지지 않은 구멍의 면적은 제외한

다.()

= 탄성받침의 힘이 0인 둘레길이. 단, 채워지지 않는 구멍의 둘레는 포함한다.(mm)

= 압축상태에서 개별 탄성중합체 층의 유효두께(mm). 적층받침의 경우 내부 층은

실제 두께 를 사용하고, 3 mm 이상인 외부 층은 를 사용한다.

= 개별 탄성중합체 층의 두께(mm)

단순 문구 수정

9.5.3.8 압축하중에 의한 설계변형률

압축하중에 의한 설계변형률 은 다음 식과 같으며, 이때의 값은 표 9.5.4의 값 중 하나

를 사용할 수 있다.

․ ․

(9.5.9)

하중효과로 감소된 유효평면적( )은 다음과 같다.

9.5.3.8 압축하중에 의한 설계변형률

압축하중에 의한 설계변형률 는 다음 식과 같으며, 이때의 값은 표 9.5.4의 값 중 하나

를 사용할 수 있다.

․ ․

(9.5.9)

이동효과로 감소된 유효평면적( )은 다음과 같다.

단순 문구 수정

9.5.3.9 전단변형률

이동 변위로 인한 탄성중합체의 전단변형률 은 사용한계상태에서 0.7을 초과할 수 없으며,

극한한계상태에서 1.0을 초과할 수 없다.

(9.5.11)

9.5.3.9 전단변형률

이동 변위로 인한 탄성중합체의 전단변형률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으며, 사용한계상태

에서 0.7을 초과할 수 없고, 극한한계상태에서 1.0을 초과할 수 없다.

(9.5.11)

단순 문구 수정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9 장 신축이음, 받침 및 방호울타리

Page 122: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9.5.3.11 보강판 규정

적층탄성받침의 보강판 최소두께는 다음을 따른다.

․ ․ 그리고 ≥ mm (9.5.13)

여기서,

= 수직설계하중(kN)

= 하중효과로 감소된 유효 평면적(mm2)

9.5.3.11 보강판 규정

적층탄성받침의 보강판 최소두께는 다음을 따른다.

․ ․ 그리고 ≥ mm (9.5.13)

여기서,

= 수직설계하중(kN)

= 하중효과로 감소된 유효 면적(mm2)

단순 문구 수정

9.5.3.12 안정성

(2) 버클링 안정성

직사각형 받침의 버클링 안정성 검토를 위하여 압축응력(

)이 식(9.5.16)를 만족시켜야

한다. 이때 는 최소 두께의 탄성중합체 내부 층에 대한 형상계수이다. 원형 받침에 대해서

는 식(9.5.16)에서 ′를 직경(′)으로 취급하여 검토할 수 있다.

9.5.3.12 안정성

(2) 버클링 안정성

직사각형 받침의 버클링 안정성 검토를 위하여 압축응력(

)이 식(9.5.16)을 만족시켜야

한다. 이때 는 최소 두께의 탄성중합체 내부 층에 대한 형상계수이다. 원형 받침에 대해서

는 식(9.5.16)에서 ′를 직경(′)으로 보고 검토할 수 있다.

단순 문구 수정

9.5.3.13 구조물에 가해지는 힘, 모멘트, 변형

(2) 이동변위에 의해 구조물에 가해지는 힘

이동변위에 의해 구조물에 가해지는 힘()은 다음 식을 따른다.

․ ․ (9.5.20)

(4) 수직처짐

적층받침에서 총 수직처짐()은 식(9.5.23)과 같이 각각의 층에서의 수직처짐의 합으로 계산

된다. 다만, 정밀한 값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받침의 샘플을 조사하여 확인하도록 한다.

․ ․

(9.5.23)

9.5.3.13 구조물에 가해지는 힘, 모멘트, 변형

(2) 이동변위에 의해 구조물에 가해지는 힘

이동변위에 의해 구조물에 가해지는 힘( )은 다음 식을 따른다.

․ ․ (9.5.20)

(4) 수직처짐

적층받침에서 총 수직처짐( )은 식(9.5.23)과 같이 각각의 층에서의 수직처짐의 합으로 계

산된다. 다만, 정밀한 값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받침의 샘플을 조사하여 확인하도록 한다.

․ ․

(9.5.23)

단순 문구 수정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9 장 신축이음, 받침 및 방호울타리

Page 123: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9.5.5.3 슬라이딩 곡면의 설계검토

범례 1) 투영면적

그림 9.5.7 슬라이딩 곡면의 검토개요 (예시)

9.5.5.3 슬라이딩 곡면의 설계검토

범례 1) 슬라이딩 곡면의 평면 투영

그림 9.5.7 슬라이딩 곡면의 검토개요 (예시)

단순 문구 수정

9.5.6.5 재료

그림 9.5.8 딤플의 형상과 패턴

9.5.6.5 재료

범례 1) 주 이동방향

그림 9.5.8 딤플의 형상과 패턴

단순 문구 수정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9 장 신축이음, 받침 및 방호울타리

Page 124: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9.5.6.6 미끄럼요소 설계

PTFE는 그림과 같이 지지판의 움푹 패인 곳에 위치시킨다.

그림 9.5.9 PTFE 위치 상세

고정하중에 의해 압축응력이 5 MPa를 초과한다면 딤플의 패턴이 주 미끄럼 방향으로 정

렬되게 설치하여 윤활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림 9.5.10 딤플의 형상과 패턴

9.5.6.6 미끄럼요소 설계

PTFE는 그림과 같이 지지판의 움푹 패인 곳에 위치시킨다.

그림 9.5.9 PTFE 위치 상세

고정하중에 의해 압축응력이 5 MPa를 초과한다면 딤플의 패턴이 그림 9.5.8의 주 미끄

럼 방향으로 정렬되게 설치하여 윤활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삭제)

그림 9.5.8과의 중복으로 삭제

9.5.6.8 지지판(backing plate) 설계

(1) 받침판 변형

지지판의 전체 변형(∆ ∆)은 식(9.5.35)을 만족시켜야 하며, 이 때 발생하는 응력은

탄성한계를 넘지 않아야 한다.

9.5.6.8 지지판(backing plate) 설계

(1) 받침판 변형

지지판의 전체 변형(∆ ∆)은 식(9.5.35)을 만족시켜야 하며, 이 때 발생하는 응력은

탄성한계를 넘지 않아야 한다.

그림번호 수정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9 장 신축이음, 받침 및 방호울타리

Page 125: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 ∆ ≤ (9.5.35)

그림 9.5.11 지지판의 변형

∆ ∆ ≤ (9.5.35)

그림 9.5.10 지지판의 변형

9.5.6.9 설계검증

직경이 100 mm 이상인 PTFE에서 접촉면적( A), 유효접촉면적( A r )은 딤플 면적을 포함시

키며, 직경이 100 mm 미만인 PTFE는 딤플 면적을 제외시킨다.

곡면의 경우는 9.5.5절 따른다.

9.5.6.9 설계검증

직경이 100 mm 이상인 PTFE에서 접촉면적( A), 유효접촉면적( A r )은 딤플 면적을 포함시

키며, 직경이 100 mm 미만인 PTFE는 딤플 면적을 제외시킨다.

곡면의 경우는 9.5.5절을 따른다.

단순 문구 수정

9.5.7.1 상부구조 및 하부구조와의 앵커부 설계

상하부구조와의 연결을 위한 앵커 볼트를 설계할 때에는 수평력과 수직력 뿐만 아니라

이들로 인해 발생하는 모멘트도 고려하여 사용한계상태를 만족하여야 한다.

앵커볼트의 허용응력은 표 9.5.19과 같다.

9.5.7.1 상부구조 및 하부구조와의 앵커부 설계

상하부구조와의 연결을 위한 앵커 볼트를 설계할 때에는 수평력과 수직력 뿐만 아니라

이들로 인해 발생하는 모멘트도 고려하여 사용한계상태를 만족하여야 한다.

앵커볼트의 허용응력은 표 9.5.19와 같다.

단순 문구 수정

9.5.7.2 볼트 이음부 설계

(1) 볼트 이음은 마찰이음으로 하며 볼트 허용력은 표 9.5.20와 같다.

(2) 마찰이음에 쓰이는 볼트, 너트 및 와셔는 KS B 1010에 규정된 제 1종 및 제 2종의

M20, M22 및 M24를 사용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

9.5.7.2 볼트 이음부 설계

(1) 볼트 이음은 마찰이음으로 하며 볼트 허용력은 표 9.5.20과 같다.

(2) 마찰이음에 쓰이는 볼트, 너트 및 와셔는 KS B 1010에 규정된 제 1종 및 제 2종의

M20, M22, M24를 사용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

단순 문구 수정

9.6.2 압축특성과 전단특성

그리고 등가감쇠비는 8.9.7.1절에 따라 주어진다.

9.6.2 압축특성과 전단특성

그리고 등가감쇠비는 8.11.7.1절에 따라 주어진다.

인용절 수정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9 장 신축이음, 받침 및 방호울타리

Page 126: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9.6.4 지진격리받침의 성능확인

지진격리받침은 설계 시 상정한 성능기준과 품질기준을 확보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

음 각 항의 시험을 행한다.

(1) 성능시험 : 온도의존성, 주기의존성, 압축피로, 전단피로 시험 등을 통하여 해당 지진격리받

침이 신뢰할 수 있는 성능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한다.

(2) 원형시험 : 설계와 해석에 사용되는 지진격리받침의 주기특성과 감쇠특성 등의 성능은 원형

혹은 축소모형시험에 의해 확인한다.

(3) 품질시험 : 해당 지진격리받침이 품질기준을 만족하고 있는지 전수 시험을 실시한다.

지진격리받침의 축소모형 및 시험에 대한 세부사항은 국내·외에서 인정되고 있는 지진격리장

치 관련 규준에 따른다.

지진격리받침의 성능확인을 위한 내용 추가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9 장 신축이음, 받침 및 방호울타리

Page 127: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없음 케이블교량 편(잠정 안) 별권 추가

< 주요내용>

제1장 총칙

▪케이블교량 설계에 한계상태설계법 도입

▪교량의 중요도에 따라 목표신뢰도지수 구분

▪교체/보수가 가능한 부재의 사용수명 고려 목표신뢰도 구분

▪케이블부재에 대한 목표신뢰도지수 설정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2012)와 연계성 위해 저항수정계수 적용

제2장 하중과 하중조합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2012)에서 케이블교량 설계에 고려해야하는 하중조합(케이블교체 지배,

케이블파단 지배, 파랑하중 지배) 추가

▪케이블교량 자중의 변동특성을 반영한 고정하중계수 합리적 저감

▪활하중 검토 시 사용하는 재하차로(설계차로)의 수와 폭을 정하는 규정을 합리적으로 개선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2012)의 활하중모형 KL-510을 합리적으로 개정·적용하며, 케이블교량

에 적합한 표준차로하중 모형을 제안

▪KL-510의 표준트럭하중 형태를 적용한 설계피로트럭 제안

▪강바닥판에 대한 수직온도분포 규정 제안

▪실측 풍속자료 기반 풍하중계수 산정 방안 제시

▪설계 지진의 재현주기에 따라 지진하중 지배 하중조합 3단계 세분화

제3장 콘크리트 구조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2012)의 5장 콘크리트교편과 설계개념 통일

▪고강도 콘크리트 및 고강도 철근 적용으로 경제적인 설계 가능

▪면응력 또는 3차원 응력상태에서의 콘크리트 응력-변형률 구성방정식 도입

▪설계수명과 환경조건에 따라 피복등급 설정

▪신뢰도 기반 내구성 설계법 도입

▪염해 내구성 설계를 위한 한계상태방정식 제시

[추가] 장경간 케이블 교량의

특수성을 고려한 설계를 위하여

초장대교량사업단의 성과를 반

영한 한계상태설계법 기반 기준

(잠정 안) 제시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별 권 케이블교량

별권-1

Page 128: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유지보수비용 대비 부식확률 저감을 위한 초기비용 수준에 따라 목표 신뢰도 수준 대안 제시

▪신뢰도 기반 내구성 설계절차 제시

▪내구성 설계를 위한 확률변수 통계특성 제시

▪설계결과 검증 및 시공 시 품질관리 방법 도입

제4장 강 구조

▪한계상태 설계법에 따른 케이블 교량에 적용하는 강구조 설계기준 제정

▪최근의 피로실험 결과 등을 반영한 새로운 피로상세 및 피로강도 제시

▪High Cycle 피로실험 결과를 반영한 새로운 피로강도식 제시

▪2014년에 개정된 강구조설계기준(하중저항계수설계법)내용 반영

▪HSB 800 강재 적용 시 연성도(Dp/Dt)에 따른 새로운 정모멘트부 휨강도식 제시

▪새로운 실험결과를 반영한 스터드 전단연결재에 대한 새로운 전단강도식 제시

▪전체좌굴 및 국부좌굴을 고려한 보강판의 압축 극한강도식 제시

▪무한수명 강바닥판을 위한 표준단면 상세 제시

▪표준단면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바닥판 피로설계법 제시

제5장 케이블 구조

▪사용한계상태의 정의와 적용

▪현수교 주케이블, 행어 및 사장교 케이블의 저항계수 설정

▪케이블 공칭피로강도 정의

▪케이블의 교체 및 파단에 대한 한계상태 정의

▪케이블 연결부재의 기능 정의

▪케이블 연결부재 설계변수 및 저항계수

▪케이블 부재일반 및 연결상세에 대한 내용 보완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별 권 케이블교량

별권-2

Page 129: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제6장 하부 구조

▪하부 구조의 LRFD 설계법 도입

- 국내 지역특성 및 하부 구조 형태를 고려한 저항계수 제시

- 특수한 기초 또는 교량의 중요도에 따라 저항계수 달리 적용

▪하부 구조의 개선된 한계변위량(침하량/수평변위) 기준 제시

- 장경간 케이블교량의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설계를 위하여 설계자의 판단에 따르도록 규정

▪상부 구조-하부기초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설계법 도입

▪확대기초(말뚝캡)-말뚝의 접합부 설계기준 제시

▪확대기초(말뚝캡)-말뚝의 상대강성을 고려한 연성설계 설정

▪단일 현장타설말뚝 설계기준 제시

▪장경간 케이블교량에 적합한 지반조사 기준 제시

▪앵커리지 설계 기준 및 모델링 기술 개발

▪특수기초 형태의 강관널말뚝기초 설계기준 제시

제7장 신축이음장치 및 받침

▪신축이음의 설계하중 및 하중조합

▪케이블 교량에 주로 사용되는 모듈형식에 대해 설계 주안점 정의

▪받침의 설계하중 및 하중조합

▪케이블교량에 적용되는 특수한 부속장치의 기능과 설계 주안점 정의

▪받침에 작용하는 부반력에 대한 하중조합 및 설계개념 상술

제8장 내풍설계

▪적용범위, 용어, 기호 절 신설

▪내풍설계 일반 개정

- 차량에 작용하는 풍하중 개정 보완

- 풍동실험 수행 조건 보완

- 내풍안정성 확보를 위한 대책 보완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별 권 케이블교량

별권-3

Page 130: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풍속 및 난류특성 개정

- 기본풍속을 재현기간 200년, 내용년수 100년, 비초과확률 60 %에서 재현주기 T년 사용기간 N년, 비초

과확률 37 %로 수정

- 지표조도구분에 따른 풍속 프로파일 매개변수 및 난류강도는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2012)을

따르지 않고, 개정 전 도로교설계기준(2000) 및 케이블강교량설계지침(2006)을 따름

- 시공기준풍속은 비초과확률 80 %에서 60 %로 수정

- 한계풍속에 대한 최소 안전계수를 1.2에서 1.3으로 상향 조정

▪정적풍하중에 대한 거스트계수도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2012)을 따르지 않고, 케이블강교량설계

지침(2006)을 따름

▪사용성 기준을 한계상태와 하중계수편으로 개정하고, 극한한계상태 및 사용한계상태에 대한 내용 보완

▪동적풍하중, 실험 및 해석, 케이블의 내풍설계 등 전반적으로 내용 설명 보강 및 설계자가 이해하기 쉽도

록 재편집 및 오타 수정

제9장 내진설계

▪내진설계는 설계단계와 성능검증단계로 구성

▪설계단계는 지진하중에 조합된 극한한계상태 하중조합에 대한 단면설계와 사용한계상태 하중조합에 대한

사용성 검토로 구성

▪성능검증단계는 지진하중에 조합된 극단한계상태 하중조합에 대한 성능검증(허용손상수준 검토)로 구성

▪설계지반운동

- 지진구역 개정 보완

- 위험도계수, 지진계수, 지반분류 개정 보완, 상위기준 적용

- 설계지진수준 개정 보완(설계수명 내 초과확률에 따른 설계지진)

▪구성요소의 허용손상수준

- 요구내진성능수준에 따른 허용손상수준 제시

- 허용손상수준 정량값 신설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별 권 케이블교량

별권-4

Page 131: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 2015-04-22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제 1 장 총 칙

현 행, 2012 개 정 (안), 2014 개 정 사 유

▪직교 지진력 조합

- 수직방향 지진력 조합(100%-30%-30%)

▪설계수명 내 초과확률 8% 지진에 대해서 충돌방지 조건

▪설계수명 내 초과확률 4% 지진에 대해서 낙교방지 조건

▪설계응답스펙터럼 개정 보완

▪시간이력해석 시 수직지반운동 크기는 수평지반운동의 1/2~2/3 수준으로 적용

▪붕괴방지수준 성능 검증 신설

- 시간이력해석을 위한 재료 계수 도입

- 주탑 및 교각의 성능검증 방법 제시

제10장 선박충돌

▪극단상황한계상태 하중조합II에 사용되는 선박충돌 설계하중 정의방법을 추가 명시

▪선박충돌의 요구성능수준을 붕괴방지수준으로 설정

▪붕괴방지수준을 만족하기 위한 연간파괴빈도는 0.0001 이하로 정의

▪최소 설계충돌하중을 연간초가확률 0.0001 또는 재현주기 10000년에 대응하는 하중으로 정의

▪선박충돌하중 확률분포를 정의하기 위한 근사적 방법을 명시함으로서 선박충돌의 기본데이터를 사용하여

설계하중의 정의가 가능하게 함

- 선박충돌하중의 조건부 상보누적분포함수

- 연간 선박충돌사건 발생확률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부분개정(안) 대비표 별 권 케이블교량

별권-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