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의 공공성, 일하는 부모의 보육정책 강화 방안 · 5. 일하는 여성 및...

80
보육의 공공성, 일하는 부모의 보육정책 강화 방안 일 시 : 2013. 10. 24.(목) 14:00~17:00 장 소 : 한국노총 6층 대회의실 한국노총 보육정책토론회

Upload: others

Post on 18-Jun-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보육의 공공성,

    일하는 부모의 보육정책 강화 방안

    ❙일 시 : 2013. 10. 24.(목) 14:00~17:00❙장 소 : 한국노총 6층 대회의실

    한국노총 보육정책토론회

  • 프 로 그 램

    14:00~14:20 등 록

    14:20~14:30 사 회 임은주(한국노총 여성본부 여성국장)

    14:30~15:00 사 회 김순희(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주제발표 보육의 공공성, 수요자 중심 보육정책 효율화 방안

    유희정(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15:00~16:20 지정토론

    이수진(전국의료산업노련 수석부위원장,

    연세의료원노조 위원장)

    심선혜(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보육협의회 의장)

    김미정(근로복지공단 직장보육지원센터 센터장)

    신윤정(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양미선(육아정책연구소 연구위원)

    16:20~17:00 종합토론

  • 목 차

    [주제발표]

    보육의 공공성, 수요자 중심 보육정책 효율화 방안

    유희정(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1

    [지정토론]

    이수진(전국의료산업노련 수석부위원장, 연세의료원노조 위원장) ····························35

    심선혜(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보육협의회 의장) ······················································41

    김미정(근로복지공단 직장보육지원센터 센터장) ······················································47

    신윤정(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55

    양미선(육아정책연구소 연구위원) ··············································································63

  • 주제발표

    보육의 공공성, 수요자 중심 보육정책 효율화 방안

    1)

    유 희 정*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 3 -

    목 차

    Ⅰ. 보육정책의 목표

    Ⅱ. 보육정책 현황

    1. 보육예산 및 영유아 1인당 비용

    가. 보육예산 규모의 변화

    나. 영유아 1인당 지원금

    2. 어린이집 현황

    3. 보육영유아 현황

    4. 보육교사 현황

    5. 보육내용 : 보육과정, 누리과정, 특별활동

    Ⅲ. 보육정책 현안 및 대안

    1. 보육정책의 목표

    2. 보육정책의 대상

    3. 보육서비스 수준 향상 : 보육내용

    4. 보육서비스 수준 향상 : 보육교사

    5. 일하는 여성 및 맞벌이가구 대응 : 시간연장 보육

    6. 무상보육, 예산투입의 효율화 방안

    가. 보육의 공공성과 무상보육

    나. 영유아 1인당 지원금

    다. 어린이집 시설유형에 대한 논의 : 국공립어린이집이 대안

    참고문헌

  • - 4 -

    보육의 공공성, 수요자 중심 보육정책 효율화 방안

    ❏ 보육정책은 현재 정책사업을 시행하기 위한 법 · 제도가 대체적으로 완비되었고, 어린이집의 수도 모자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현원율 86.3%, 보육통계, 2012). 우리나라 육아지원예

    산은 GDP대비 0.9%에 달하여 상당히 향상되어 있음.

    ❏ 이 시점에서 보육정책의 현재 및 주요 문제점을 짚어보고 보육의 공공성 강화로 보육수요자 특히, 일하는 부모 지원을 위한 보육정책 효율화 방안을 모색해 봄1).

    ◦이를 위해 보육정책의 목표를 재확인해보고, 이러한 보육정책의 목표를 보육현장이 잘 따라가고 있는지를 살펴본 후, 도출된 현안문제 비교를 통하여 향후 보육정책의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음.

    Ⅰ. 보육정책의 목표

    ❏ 보육정책의 주요 목표로 ‘맞벌이가구의 일-가정 균형’지원이 강조되고 있으나 구체적으로는 정책대상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음.

    ◦여성계 : 일하는 여성 지원. 아직까지도 여성의 책임으로 강조되고 있는 자녀 육아문제가 사회적으로 지원되지 않는 한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증가는 어려움.

    ◦정부 : 맞벌이가구의 육아문제 지원을 통하여 저출산 문제 대응◦보육정책 목표에는 보육정책의 대상인 영유아들의 잘 자랄 권리 보장이 포함되어 있기는

    하지만 보육정책에 관한 논의가 시작되면 끝자락에서 영유아 이슈는 사라져 버림.

    - 보육정책의 우선 목표는 ‘행복한 영유아’, ‘바람직한 인간상’에 대하여 끊임없이 발전적

    으로 문제제기가 이루어져야 함.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육아지원정책이 구축되면 자

    연적으로 맞벌이가구의 일-가정 양립이 실현되고 이로써 저출산문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임.

    1) 본 원고는 유희정(2013. 7), 「보육정책의 공공성 강화방안」, 국정과제 추진을 위한 제 81차 여성정책포럼(한국여성정책연구원). 원고를 중심으로 수정, 보완하였음.

  • 주제발표 : 보육의 공공성, 수요자 중심 보육정책 효율화 방안

    - 5 -

    ❏ 현재의 보육현장이 이러한 보육정책의 목표를 달성하고 있는지 점검되어야 함. ◦수요자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는 지

    - 영유아: 행복한 영유아, 잘 자랄 권리가 지켜지고 있는 지

    - 부모: 1) 안심하고 자녀를 맡길 수 있는 서비스인가, 2) 집 가까운 곳의 국공립어린이집

    ((시설 관련 이슈), 3) 적절한 비용(현재 국가는 무상보육표명)

    ◦정부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는 지 - 무상 보육정책2)으로 여성경제활동참가율이 높아지고 있지 않음. 저출산문제에 효율적

    으로 대응하고 못함.

    Ⅱ. 보육정책 현황

    ❏ 보육예산, 어린이집, 보육영유아, 보육교사, 보육내용에 대하여 고찰함.

    1. 보육예산 및 영유아 1인당 비용

    가. 보육예산 규모의 변화

    ❏ 정부의 보육정책 활성화는 보육예산 증가로 나타남. ◦2013년도는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모든 영유아 대상 무상보육이 도입된 해로 중앙정

    부 4조 1,313억원, 지방자치단체 4조 2,882억원, 총 8조 4,195억원임. 유아교육예산 2

    조 5,982억원을 합하면 국가의 육아지원예산은 11조 177억원에 달함.

    2) 무상육아지원정책과 관련하여 현재 대표적인 사회적 육아지원기관은 어린이집과 유치원임. 어린이집은 공공서비

    스여서 무상정책을 적용받고, 유치원은 공공서비스가 아니어서 사적 시장이 적용되고 있는가의 문제가 제기됨.

    구분 국비 지방비 계 GDP대비 비율

    2002 2,147 2,264 4,411 0.061

    2005 6,004 10,046 16,050 0.185

    2006 7,913 12,441 20,354 0.224

    2007 10,435 12,483 22,918 0.235

    2008 14,678 15,300 29,978 0.292

    연도별 보육예산 단위: 억원, %

  • 한국노총 보육정책토론회

    - 6 -

    ◦이는 국가 GDP 대비 0.8 – 0.9%수준으로 OECD가 여러 나라들에게 개개 국가들의 육아지원정책을 위하여 최소한 그 나라 GDP의 1%를 투자하도록 한 권고에 크게 부

    족하지 않는 수준임. 따라서 보육정책의 발전을 위해서 보육예산을 계속 증대시켜 나

    가야 하는 한편 정부가 왜 예산투입을 늘려야 하는지 목적을 분명히 하고, 투입 목적

    에 맞게 적절하게 운용되고 있는지 역시 철저히 점검되어야 함.

    나. 영유아 1인당 지원금

    ❏시간이 흐르면서 보육비용의 지원내역은 인건비와 보육료에서 기타 지원금들이 덧붙여짐. 주요 지원내역은 다음과 같음.

    국공립, 법인 민간, 가정 직장

    원장- 보수(호봉)

    - 처우개선비(195천원)

    월 80만원

    (중소기업 100만원)

    보육교사

    - 보수(호봉) 월 80-100만원

    - 처우개선비(145천원)

    - 보육교사수당

    ·영아 : 근무환경개선비

    120천원

    ·유아 : 누리과정 수당

    300천원

    - 처우개선비(200천원)

    - 보육교사수당

    ·영아 : 근무환경개선비

    120천원

    ·유아 : 누리과정 수당

    300천원

    - 보육교사 수당 : 월 120천원

    교사겸직원장: 월 7.5만원

    · 유아: 누리과정 수당

    300천원

    소계 : 영아교사 265천원

    유아교사 445천원

    소계 : 영아교사 320천원

    유아교사 500천원

    인건비 및 보육료 지원 내역(2013)

    2009 17,104 18,782 35,886 0.337

    2010 21,275 21,614 42,889 0.366

    2011 24,784 25,408 50,192 0.406

    2012 30,286 31,040 61,326 0.482

    2013 41,313 42,882 84,195

    * 자료

    ․ GDP : 9,087,438억원(2006), 9,750,130억원(2007), 10,264,518억원(2008), 10,650,368억원(2009), 11,732,749억원(2010), 12,351,605억원(2011), 12,724,590억원(2012), 한국은행. 2002~2005년 : 기획예산처 내부자료. 2006~2009 :

    국무총리실 내부자료. 2010~2013 : 보건복지부 내부자료.

  • 주제발표 : 보육의 공공성, 수요자 중심 보육정책 효율화 방안

    - 7 -

    ❏정부의 보육사업안내에 의할 때 어린이집 유형은 국공립, 법인, 민간, 가정, 부모협동, 직장 어린이집임. 그러나 이를 정부의 지원유형에 따라 구분하면 다음과 같이 크게 4가

    지 유형으로 분류됨.

    구분 어린이집 유형 비고(지원내역)

    지원유형 1 국공립, 법인 보육료 + 교사인건비(호봉 기준)

    지원유형 2 민간개인, 가정 보육료 + 기본보육료

    지원유형 3 공공형(민간개인, 가정) 보육료 + 기본보육료 + 운영비 지원

    지원유형 4 직장 보육료 + 기업부담금(교사인건비(1인당 80∼100만원) + 추가지원금)

    ❏ 지원유형 1◦2013년도 국공립, 법인 어린이집 이용시 정부의 월별 지원금(인건비 및 보육료, 누리

    과정지원금)은 1세미만 994,898원, 만1세 718,984원, 만2세 559,877원, 만3세

    364,575원, 만4-5세 348,084원임.

    국공립, 법인 어린이집 영유아 1인당 월별 지원금(2013)3) 단위: 원

    3) - 인건비지원시설(국공립, 법인어린이집) 영유아 1인당 보육비용 산출은 정부기준 보육료와 보육교사 5호봉 인

    건비, 시설장 인건비 5호봉을 기준으로 산출(사대보험 지원 포함). 취사부 및 기타인력 인건비는 미적용. 야간보

    육지원, 24시간보육 지원 미적용. 원장 처우개선비 195천원, 교사 처우개선비 145천원 적용

    - 국공립, 법인, 민간, 가정 모두 누리과정 지원금으로 영아교사수당 120천원, 유아교사 수당 300천원 적용. 영유

    아 1인당 종일제 비용 50천원 계상 적용

    보육료보육료 전액 보육료 전액

    기본보육료

    기타(누리과

    정지원금)

    종일반 지원금

    · 아동 1인당 5만원 수준

    종일반 지원금

    · 아동 1인당 5만원 수준

    종일반 지원금

    · 아동 1인당 5만원 수준

    주 : 정부의 보육예산 내역에는 인건비 지원, 보육료 지원 이외에도 시설 기능보강비, 평가인증 운영비, 보육프로그

    램 관리비, 보육사업관리비, 교재교구비 등과 같은 내역들이 포함됨.

    * 보육교사를 위한 수당으로는 처우개선비, 누리과정 수당, 근무환경개선비 외에 국공립어린이집 근무교사에게는

    구에 따라 복리후생비(5만원), 중식비(25천원)가 지급되기도 하고, 민간어린이집 근무교사에게는 복리후생비(8

    만원)가 지급되기도 함.

    * 서울시 어린이집 종일반 지원금(2013년도 3월에는 54천원, 4월에는 53천원 지원).

    구분인건비

    보육료 누리운영비 계인건비 처우개선비, 수당

    1세미만 509,693 91,205 394,000 994,898만1세 316,112 55,872 347,000 718,984

  • 한국노총 보육정책토론회

    - 8 -

    ❏ 지원유형 2◦2013년도 민간, 가정 어린이집 이용시 정부의 월별 지원금(보육료 및 기본보육료, 누

    리과정지원금)은 1세미만 861,667원, 만1세 585,000원, 만2세 446,714원, 만3세

    303,333원, 만4~5세 295,000원임. 이는 국공립 이용 영유아 지원금과 비교시 80~

    86% 수준임을 알 수 있음.

    구분 기본보육료 보육료 처우개선비, 수당 누리 운영비 계 국공립대비 비율

    1세미만 361,000 394,000 106,667 861,667 86.6

    만1세 174,000 347,000 64,000 585,000 81.4

    만2세 115,000 286,000 45,714 446,714 79.8

    만3세 220,000 33,333 50,000 303,333 83.2

    만4-5세 220,000 25,000 50,000 295,000 84.7

    민간, 가정 어린이집 영유아 1인당 월별 지원금(2013) 단위: 원, %

    - 인건비미지원시설(민간, 가정)은 기본보육료 적용. 교사 처우개선비 200천원 적용

    - 국공립, 법인, 민간, 가정 모두 누리과정 지원금으로 영아교사수당 120천원, 유아교

    사 수당 300천원 적용. 영유아 1인당 종일제 비용 50천원 계상 적용

    ❏ 지원유형 3◦공공형어린이집(민간 및 가정어린이집)에 대한 지원은 와 같으며, 영유아 1인

    당 지원내역에 운영비 지원이 추가로 포함됨.

    ◦공공형어린이집은 일반 민간어린이집과는 달리 운영비를 지원받으며, 운영비는 총괄 운영비 지원과 지자체 특수시책 예산으로 지원되는 지방비 지원이 있음.

    - 운영비 지원은 2011년도 20인 이하부터 98인 이상까지 다섯 구간에서 2013년도 어

    린이집 규모(정원)에 따라 총 열 구간으로 구분되어 지원됨.

    - 에서와 같이 영유아 1인당 지원금은 대체적으로 7∼8만원 선임을 알 수 있음

    (보건복지부, 2013).

    - 기존에 민간어린이집에 지원하였던 기본보육료는 계속 지급됨.

    만2세 233,148 40,729 286,000 559,877만3세 62,036 32,539 220,000 50,000 364,575

    만4-5세 52,962 25,122 220,000 50,000 348,084

  • 주제발표 : 보육의 공공성, 수요자 중심 보육정책 효율화 방안

    - 9 -

    정원 20인 이하 21∼35 36∼49 50∼62 63∼76 77∼86 87∼97 98∼111 112∼123 124인 이상

    월지원액 116 253 268 445 460 565 580 829 844 875

    인당 지원액

    5.8∼ 7.2∼12 5.5∼7.4 7.2∼8.9 6.1∼7.3 6.6∼7.3 6.0∼6.7 7.5∼8.5 6.9∼7.5 7∼

    공공형 어린이집 월별 운영비 지원금 단위:만원

    ◦공공형어린이집의 영유아 1인당 정부지원금은 운영비지원을 영유아 1인당 평균 7만원으로 계상하였을 경우 1세미만 931,667원, 만1세 655,000원, 만2세 516.,714원, 만

    3세 373,333원, 만4-5세 365,000원임.

    구분 기본보육료 보육료 처우개선비, 수당 누리 운영비 기타운영비 계 국공립대비 비율

    1세미만 361,000 394,000 106,667 70,000 931,667 93.7

    만1세 174,000 347,000 64,000 70,000 655,000 91.1

    만2세 115,000 286,000 45,714 70,000 516,714 92.3

    만3세 220,000 33,333 50,000 70,000 373,333 102.4

    만4-5세 220,000 25,000 50,000 70,000 365,000 104.9

    공공형 어린이집 영유아 1인당 월별 지원금(2013) 단위: 원, %

    ❏ 지원유형 4◦직장어린이집은 지원금 계산에 어려움이 있음. 직장어린이집을 설치하거나, 지역의

    어린이집과 위탁계약을 맺은 사업주는 그 어린이집의 운영 및 수탁 보육 중인 영유아

    의 보육에 필요한 비용의 100분의 50이상을 부담하도록 되어 있음. 이때 우선 ‘보육

    에 필요한 비용’을 산출하여야 하는데, 직장어린이집은 야간보육 운영이 많은 관계

    로 비용 산출이 반일제와 종일제 기준으로 운영되는 국공립, 법인, 민간, 가정 어린이

    집과 다소 차이가 있음. 대기업 대상 선행연구에 의할 때 직장보육 정원 1인당 기업

    투입금액은 연간평균 530만원으로 제시된 바 있음(김미정, 김온기, 원종욱, 황해익,

    2012)4).

    4) 김미정, 김온기, 원종욱, 황해익(2012). 기업의 직장보육비스 지원 사례 및 효과성 분석. 근로복지공단 직장보육

    지원센터.

  • 한국노총 보육정책토론회

    - 10 -

    구분 국공립 ‧ 법인 직장보육료 인건비 기업지원금 계

    1세미만 996,690 394,000 350,877 441,667 1,186,544

    만1세 720,775 347,000 217,544 441,667 659,211

    만2세 561,669 286,000 160,401 441,667 602,068

    만3세 304,366 220,000 84,210 441,667 525,877

    만4세 290,875 220,000 67,544 441,667 509,211

    국공립, (대기업)직장 어린이집 월별 지원금(2) 단위: 원

    ◦직장어린이집 운영시 기업의 100분의 50이상 부담이란 보육료의 50%부담으로 해석되기도 함. 이 경우 직장보육의 보육비용은 보육료의 150%가 됨. 기업주가 부담하여

    야하는 50%중 일부를 다시 고용노동부가 인건비로 지원함. 또한 중소기업에 지원하

    는 교재교구비 지원도 기업부담금 50%에 포함됨. 그러나 현재 기업들이 직장보육에

    실제로 얼마를 지원하고 있는가는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음.

    ◦직장어린이집 비용을 보육료의 150%로 계상하여 국공립어린이집과 직장어린이집을 비교하면 영아의 경우 59.3%에서 유아는 113.5% 수준으로 지원의 구조가 다름을

    알 수 있음.

    구분국공립 ‧ 법인 직장

    보육료 인건비 계 보육료 계(보육료*1.5) 국공립 대비 비율

    1세미만 394,000 602,690 996,690 394,000 591,000 59.3

    만1세 347,000 373,775 720,775 347,000 520,500 72.2

    만2세 286,000 275,669 561,669 286,000 429,000 76.4

    만3세 220,000 84,366 304,366 220,000 330,000 108.4

    만4-5세 220,000 70,875 290,875 220,000 330,000 113.5

    * 직장어린이집 지원금에서 현재와 같이 보육료 단가의 50%를 추가하지 않고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야간보

    육 교사인건비 등을 계상하여 보육비용(보육료 + 정부(고용노동부)지원금 + 기업부담금)으로 계상하면 직장보육 지

    원금은 국공립 지원금보다 액수가 월등히 높아짐.

    국공립, 직장 어린이집 월별 지원금(1) 단위: 원, %

    ❏ 4개의 지원유형별 지원금을 비교해보면 1) 국공립, 법인, 2) 민간, 3) 공공형(민간, 가정), 4) 직장 유형에서 영아가 많은 어린이집인지, 유아가 많은 어린이집인지에 따라 차

    이가 있을 수 있으나 에서와 같이 전체적으로 국공립, 법인 / 공공형(민간, 가정)

  • 주제발표 : 보육의 공공성, 수요자 중심 보육정책 효율화 방안

    - 11 -

    / 직장 어린이집은 정부지원금에서 차이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음.

    ◦다만 지원방식에 차이가 있어 보육현장의 혼란을 초래한다면 영유아 1인당 지원금 및 지원방식을 통일할 필요 있음.

    구분 국공립, 법인 민간 민간공공형 직장

    1세미만 996,690 861,667(86.6) 931,667(93.7) 591,000(59.3)

    만1세 720,775 585,000(81.4) 655,000(91.1) 520,500(72.2)

    만2세 561,669 446,714(79.8) 516,714(92.3) 429,000(76.4)

    만3세 304,366 303,333(83.2) 373,333(102.4) 330,000(108.4)

    만4-5세 290,875 295,000(84.7) 365,333(104.9) 330,000(113.5)

    * 비율은 국공립 대비 비율임.

    지원유형별 영유아 1인당 월별 지원금(2013) 단위: 원(%)

    2. 어린이집 현황

    ❏ 어린이집 설치현황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02년 이후 어린이집 개소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2013년 3월 현재 43,213개소로 2002년 22,147개소에 비해 약 2배 증가함.

    ◦어린이집 설립유형별로는 2013년 3월 현재 가정어린이집이 23,341개소로 전체의 54.0%를 차지하고 있고, 민간어린이집이 35.9%로 다음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함. 반면

    국공립 어린이집은 5.2%, 직장어린이집은 1.3%로 설치율이 낮음.

    연도 국공립 법인민간

    가정 부모협동 직장 계비고:

    증가개소수소계 법인외 민간개인

    20051,473(5.2)

    1,495(5.3)

    13,748(48.5)

    979(3.5)

    12,769(45.0)

    11,346(40.0)

    42(0.1)

    263(0.9)

    28,367(100.0)

    4,225

    20081,826(5.5)

    1,458(4.4)

    14,275(42.6)

    969(2.9)

    13,306(39.7)

    15,525(46.3)

    65(0.2)

    350(1.0)

    33,499(100.0)

    5,132

    20102,034(5.3)

    1,468(3.9)

    14,677(38.6)

    888(2.3)

    13,789(36.3)

    19,367(50.9)

    74(0.2)

    401(1.1)

    38,021(100.0)

    4,522

    20112,116(5.3)

    1,462(3.7)

    15,004(37.7)

    870(2.2)

    14,134(35.5)

    20,722(52.0)

    89(0.2)

    449(1.1)

    39,842(100.0)

    1,821

    20122,203(5.2)

    1,444(3.4)

    15,309(36.0)

    869(2.0)

    14,440(34.0)

    22,935(53.9)

    113(0.3)

    523(1.2)

    42,527(100.0)

    2,685

    연도별, 설립유형별 어린이집 현황 단위: 개소(%)

  • 한국노총 보육정책토론회

    - 12 -

    ◦연도별 설치율 추이를 보면, 국공립어린이집은 전체 어린이집 증가현황에 비하여 2011년도 82개소 증가, 2012년도 87개소 증가로 보육 수요자들이 국공립어린이집 증

    가를 희망하는 것에 비하여 증가현황이 미미함.

    ◦어린이집 증가를 주도하는 것은 가정어린이집으로 가정어린이집은 2002년 이후 개소 수뿐 아니라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꾸준히 증가하여 2010년도를 기점으로전체 시

    설현황의 50%를 넘어섬. 반면 민간 어린이집은 개소수가 줄고 있지는 않으나 전체에

    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8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3. 보육영유아 현황

    ❏ 연도별로 총 영유아 중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영유아 비율의 경우 2002년 이후 꾸준히 증가해 2012년 53.5%였으나 2013년 3월 현재 46.1%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연도 총 영유아수(A) 어린이집 이용 영유아수(B) 어린이집 이용률(B/A)

    2005 3,166,691 989,390 31.2

    2008 2,789,527 1,135,502 40.7

    2010 2,725,135 1,279,910 47.0

    2011 2,759,816 1,348,729 48.9

    2012 2,777,812 1,487,361 53.5

    2013* 2,958,000 1,364,000 46.1

    * 주 : 2013년 통계자료는 3월 기준임. 자료: 보건복지부(2012). 보육통계. 보건복지부(2013). '13년 3월 영유아 보육・양육 지원 현황 보도자료(2013.3.25)

    연도별 영유아 어린이집 이용률 단위: 명, %

    ❏ 보육영유아는 2012년 1,487,361명이었으나 2013년 현재 1,364,000명으로 감소(표 12).◦2012년에 비해 2013년 3월 현재 어린이집 이용 영유아 수는 감소함. 영아, 유아별로는

    영아가 872,284명에서 745,271명으로 127,013명 감소한 반면 유아는 603,047명에서

    618,930명으로 15,883명 증가하여 영유아수 감소는 영아수 감소로 인한 것임(표 13).

    2013*2,243(5.2)

    1,438(3.3)

    15,498(35.9)

    868(2.0)

    14,630(33.9)

    23,341(54.0)

    120(0.3)

    573(1.3)

    43,213(100.0)

    686

    * 주: 2013년 통계자료는 3월 기준임.

    자료: 보건복지부(2012). 보육통계. 보건복지부(2013). '13년 3월 영유아 보육・양육 지원 현황 보도자료(2013.3.25)

  • 주제발표 : 보육의 공공성, 수요자 중심 보육정책 효율화 방안

    - 13 -

    연도 국공립 법인민간

    가정 부모협동 직장 계소계 법인외 민간개인

    2005111,911

    (11.3)

    125,820

    (12.7)

    608,734

    (61.5)

    56,374

    (5.7)

    552,360

    (55.8)

    129,007

    (13.0)

    933

    (0.1)

    12,985

    (1.3)

    989,390

    (100.0)

    2008123,405

    (10.9)

    113,894

    (10.0)

    669,465

    (59.0)

    53,818

    (4.7)

    615,647

    (54.2)

    210,438

    (18.5)

    1,491

    (0.1)

    16,809

    (1.5)

    1,135,502

    (100.0)

    2010137,604

    (10.8)

    114,054

    (8.9)

    723,017

    (56.5)

    51,126

    (4.0)

    671,891

    (52.5)

    281,436

    (22.0)

    1,898

    (0.1)

    21,901

    (1.7)

    1,279,910

    (100.0)

    2011143,035

    (10.6)

    112,688

    (8.4)

    757,323

    (56.2)

    50,676

    (3.8)

    706,647

    (52.4)

    308,410

    (22.9)

    2,286

    (0.2)

    24,987

    (1.9)

    1,348,729

    (100.0)

    2012149,677

    (10.1)

    113,049

    (7.6)

    820,170

    (55.1)

    51,914

    (3.5)

    768,256

    (51.7)

    371,671

    (25.0)

    2,913

    (0.2)

    29,881

    (2.0)

    1,487,361

    (100.0)

    2013*151,000

    (11.1)

    105,000

    (7.7)

    767,000

    (56.2)

    50,000

    (3.7)

    717,000

    (52.6)

    306,000

    (22.4)

    3,000

    (0.2)

    33,000

    (2.4)

    1,364,000

    (100.0)

    * 2013년 통계자료는 3월 기준. 자료: 보건복지부(2012). 보육통계. 보건복지부(2013). '13년 3월 영유아 보육・양육 지원 현황 보도자료(2013.3.25.).

    연도별, 설립유형별 어린이집 이용 영유아 현황 단위: 명(%)

    구분영아 유아

    소계 만0세 만1세 만2세 소계 만3세 만4세 만5세

    2005302,351

    (32.1)

    33,647

    (3.6)

    89,403

    (9.5)

    179,301

    (19.0)

    639,037

    (67.9)

    223,628

    (23.8)

    219,954

    (23.4)

    195,455

    (20.8)

    2008501,889

    (45.7)

    99,245

    (9.0)

    160,320

    (14.6)

    242,324

    (22.0)

    597,415

    (54.3)

    229,424

    (20.9)

    192,668

    (17.5)

    175,323

    (15.9)

    2010686,256

    (54.5)

    125,133

    (9.9)

    229,486

    (18.2)

    331,637

    (26.3)

    573,084

    (45.5)

    243,264

    (19.3)

    180,542

    (14.3)

    149,278

    (11.9)

    2011739,332

    (55.5)

    146,666

    (11.0)

    249,787

    (18.8)

    342,879

    (25.7)

    592,382

    (44.5)

    272,034

    (20.4)

    182,999

    (13.7)

    137,349

    (10.3)

    2012872,284

    (59.1)

    177,757

    (12.0)

    321,716

    (21.8)

    372,811

    (25.3)

    603,047

    (40.9)

    259,112

    (17.6)

    194,413

    (13.2)

    149,522

    (10.1)

    2013*745,271

    (54.6)

    74,896

    (5.5)

    271,996

    (19.9)

    398,379

    (29.2)

    618,930

    (45.4)

    264,708

    (19.4)

    190,049

    (13.9)

    164,173

    (12.0)

    연도별 영아, 유아의 어린이집 이용 현황 단위: 명(%)

  • 한국노총 보육정책토론회

    - 14 -

    4. 보육교사 현황

    ❏ 어린이집 증가 및 보육영유아 증가에 따라 보육교사 역시 증가함. ◦ 어린이집 종사자는 총 284,237명으로 원장 42,164명, 보육교사 204,946명 등임. ◦ 종사자들의 성별 분포를 살펴보면 총 조사자중 남성비율이 3.7%인 반면 여성 96.3%

    임. 특히 원장의 96.5%, 보육교사의 98.8%가 여성으로 대부분의 어린이집 종사자가

    여성임을 알 수 있음.

    총계 원장보육교사

    특수교사 치료사 영양사 간호사 사무원 취사부소계 보육교사 기타교사*

    남10,496

    (3.7)

    1,458

    (0.5)

    2,488

    (1.2)

    1,831

    (0.9)

    657

    (6.4)

    91

    (5.3)

    42

    (8.1)

    7

    (0.9)

    37

    (3.3)

    376

    (33.0)

    91

    (0.4)

    녀273,741

    (96.3)

    40,706

    (96.5)

    202,458

    (98.8)

    192,905

    (99.1)

    9,553

    (93.6)

    1,626

    (94.7)

    478

    (91.9)

    764

    (99.1)

    1,081

    (96.7)

    762

    (67.0)

    22,775

    (99.6)

    합계284,237

    (100.0)

    42,164

    (100.0)

    204,946

    (100.0)

    194,736

    (100.0)

    10,210

    (100.0)

    1,717

    (100.0)

    520

    (100.0)

    771

    (100.0)

    1,118

    (100.0)

    1,138

    (100.0)

    22,866

    (100.0)

    * 기타교사 : 대체교사, 방과후교사, 시간연장교사, 24시간보육교사, 시간제보육교사, 보조교사

    자료: 보건복지부(2012). 보육통계.

    어린이집 보육교직원 현황 단위 : 명(%)

    ❏ 보육교사 보수운영현황은 와 같음. ◦2012보육실태조사에 의한 시설 유형별 인건비 지출 내역을 살펴보면 보육교사 1인당

    월평균보수는 국공립어린이집 1,882,900원, 민간어린이집 1,454,800원, 가정어린이집

    1,378,000원으로 민간어린이집은 국공립어린이집 대비 월 428,100원, 가정어린이집은

    월 504,900원 적게 수령하고 있음(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 2012 보육실태조사).

    구 분 월평균보수(원) 비고(평균호봉)

    국 공 립 1,882,900 5.94

    법 인 1,819,700 5.59

    민 간 1,454,800 3.35

    가 정 1,378,000 2.29

    직 장 1,889,600 4.9

    설립유형별 보육교사 보수(2012)

  • 주제발표 : 보육의 공공성, 수요자 중심 보육정책 효율화 방안

    - 15 -

    5. 보육내용 : 보육과정, 누리과정, 특별활동

    ❏ 보육정책의 목표란 영유아의 행복한 삶과 잘 자랄 권리를 지킬 수 있도록 보장하는 일이 가장 우선 과제임. 부모들 역시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질적 수준이 보장된 보육서비

    스 제공”을 희망함. 그러나 실제적으로 부모들은 무엇을 어떻게 제공받아야 좋은 프로그

    램인지에 대하여 잘 알지 못함.

    ◦부모들은 때때로 자녀들이 읽고, 쓰고, 셈하기를 가능한 한 이른 나이에 익힐 수 있기를 희망함. 하지만 3R(읽고, 쓰고, 셈하기) 지도는 영유아 발달에 적합하지 못할 경우 창의

    력 개발을 저해하는 등 부정적 영향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일부 선진국에서는 영유아

    대상 3R지도를 금지하기도 함.

    ◦세계 영유아 보육․교육을 이끄는 NAEYC(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에서는 발달에 적합한 실제(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Programs)를 출간하여 영유아에 대한 보호와 교육은 영유아 발달에 적

    합하여야 함을 최우선으로 강조하고 있음.

    ◦영유아들이 부모를 떠나 어린이집에서 하루종일 어떤 일들을 겪으며 살고 있는지를 끊임없이 점검하고, 평가되고, 발전하여야 함. 우선 종일을 기준으로 운영되는어린이집

    의 프로그램 운영시간과 프로그램의 내용에 관한 것임.

    - 우리나라의 어린이집은 정부가 제정한 표준보육과정(2005) 및 연령별 보육프로그램

    (2007)에 따라 운영되고 있음. 그리고 보육이란 당초 종일반이 기준이므로 표준보육

    과정 및 보육프로그램 역시 종일반을 기준으로 개발되었음.

    - 근래 어린이집과 유치원 통합이 본격적으로 논의되면서 그 일환으로 우선 교육과정

    통합이 시도되고 있음. 표준보육과정과 유치원교육과정 통합방안 일환으로 5세 대상

    공통 누리과정이 2011년도 도입, 2012년도부터 어린이집, 유치원에 공동 적용된 이

    래 2013년도에는 3∼4세 대상 공통 누리과정이 도입, 운영되고 있음.

    - 그러나 누리과정이 하루 3∼5시간 운영 즉, 하루 전체 운영시간을 대상으로 하는 것

    이 아니라 오전 3∼5시간 운영에 해당하는 공통과정이라는 점에 주목함. 종일 운영인

    어린이집에서 누리과정으로 오전 프로그램을 진행하면 오후프로그램운영에 대한 별

    도의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임. 이는 자연스럽게 어린이집에서의 특별활동 도

    입의 계기가 되고 있음.

    ❏ 우리사회는 우리 아이들을 어떤 아이로, 어떤 미래 인적자원으로 키울 것인가.

  • 한국노총 보육정책토론회

    - 16 -

    ◦영유아 보육․교육과정은 대체적으로 학습중심 교육과정과 민주시민 양성 중심 교육과정으로 나누어짐.

    ◦교실 안에서 잘 외우는 아이, 계획표에 따라 어른들의 명령에 순종하는 아이, 일찍 셈하고 일찍 쓰는 아이가 중요한 것인지, 끊임없이 자연과 상호작용하면서 사회속의 다양

    한 환경과 문제 해결력, 탐색능력을 키워나가는 것이 중요한 지 등에 대한 논의임. 전자

    와 관련된 특별활동이 강조되고 있는 현실임(유희정, 서문희, 김종해, 최혜선, 2006).

    학습중심 교육과정 민주시민 양성 중심 교육과정

    아동과

    아동기에

    대한 이해

    ‧ 미래사회의 희망이자 시회 구성원, 즉 능력을 가진 지식인, 유순하고 모범적인 시민으로 성장할

    잠재력을 가진 아동으로 바라봄. 이런 시각을 바

    탕으로 아동에 대해 호의적이고 실용적인 접근

    방식으로 다가감.

    ‧ 아동교육은 실용적인 학습, 취학 준비에 중점을 두게 됨. 교실수업을 선호함.

    ‧ 하나의 인간으로 권리를 가진 존재, 즉 아동 스스로의 존엄성으로 인해 성장할 수 있는 권리와 자

    율성과 복지를 누릴 권리를 가진 존재로 봄.

    ‧ 아동 스스로 학습의 행위자가 되며 학습과 탐구전략을 가지고 있는 능력이 있다고 봄.

    ‧ 아동이 외부에서 즐거움과 자유로움을 찾을 수 있다고 봄.

    ‧ 아동기를 다시는 반복될 수 없는 소중한 시간으로 바라봄.

    프로

    그램의

    초점

    ‧ 취학 준비에 필요한 학습과 기술들에 특히 중점들 둠. 주로 교수가 지식을 전달하는 수업방식을

    사용함.

    ‧ 교사 한 명당 아동 수가 많고 세분화 된 교육 목표를 달성해야 하므로 교사와 아동 관계가 형식화

    되고 일방적으로 되어 버림.

    ‧ 아동과 아동의 가족들이 다함께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함.

    ‧ 단순한 지식 학습뿐만 아니라 아동이 (전반적으로) 성장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음. 프로그램들은

    아동 중심으로 이루어짐.

    ‧ 교사들과 또래들과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도록 교육기관 내에서 아동 생활의 질적인 측면을

    가장 중요하게 여김.

    아동을

    위한

    목표와

    목적들

    ‧ 모든 교육기관들이 달성해야 하는 학습목표(때로는 연령별로 구분되어 제시되기도 함)들은 인

    지발달과 관련된 내용들이고 국가 차원에서 미

    리 정해져 교육이 이루어짐.

    ‧ 미리 성취해야 할 학습 목표를 정하기보다 넓은 범위의 방향성만을 제시함.

    ‧ 아동들이 정해진 목표를 단지 성취하는 것에 초점을 두기보다 성취를 위해 노력하는 것을 더 중

    요시 함.

    ‧ 교육의 질적인 측면이 적극적으로 추구되어지지 않으면 교육의 책임성이 불분명해지고 목표가

    방향을 잃을 수 있음.

    〈표 16〉학습중심 교육과정과 사회교육중심 교육과정 비교

  • 주제발표 : 보육의 공공성, 수요자 중심 보육정책 효율화 방안

    - 17 -

    ❏ 특별활동의 폐해가 지속적으로 지적되어 왔으나 어린이집에서의 특별활동 운영은 어른들의 이익과 맞물려 확대되는 형편임.

    ◦영유아 대상의 보육내용을 가늠하는 표준보육과정과 연령별 보육프로그램이 영유아들의 발달적 특성과 바람직한 인간상을 연구하여 준비된 것이라면 현재 대부분의 어린

    이집에서 운영되고 있는 특별활동은 어떤 내용으로 어떤 교사가 어떻게 운영하는지 전

    혀 관리되지 못하고 있음.

    ◦대부분의 어린이집에서 운영되고 있는 특별활동 평균개수는 영아 2.39개이고 유아는 3.24개임. 최대 10개 특별활동을 운영하는 곳도 있는 것으로 나타남.

    - 특별활동 운영은 추가비용을 통한 어린이집의 소득증대 방법으로 활용되기도 함. 현

    재 100여 가지가 넘는 특별활동이 운영되고 있음(부표 특별활동의 종류).

    구분 사례수 평균 최대 최소 표준편차

    영아

    국공립 215 2.06 7 1 1.081

    법인 177 2.21 10 1 1.317

    민간 656 2.63 10 1 1.299

    가정 684 2.39 8 1 1.160

    직장 123 1.94 5 1 0.899

    계 1855 2.39 10 1 1.222

    유아

    국공립 281 3.20 9 1 1.438

    법인 232 3.22 9 1 1.540

    민간 874 3.45 10 1 1.575

    가정 265 2.65 8 1 1.280

    직장 182 3.16 7 1 1.215

    계 1834 3.24 10 1 1.500

    * 자료 : 보건복지부(2009). 2009 전국 보육 실태조사.

    특별활동 운영 현황(2009) 단위: 개소

    Ⅲ. 보육정책 현안 및 대안

    ❏ 보육정책이 현장에 적용될 때 발생하는 현안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음. 우선 보육정책의 목표에서 영유아 양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음. 거듭

    보육서비스의 수준 향상이 최우선 정책과제이며, 보육수요자들의 만족도 향상과 직결

  • 한국노총 보육정책토론회

    - 18 -

    됨을 놓쳐서는 안됨. 이러한 목표가 달성되면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지원하는 등 우리

    사회의 일가정양립등의 정책효과를 가져오게 될 것임.

    ◦1) 보육정책의 목표, 2) 보육정책의 대상, 3) 보육서비스 수준 향상(보육내용과 보육교사), 4) 무상보육, 예산 투입의 효율화방안에 대한 대안을 논의해 보고자 하였음.

    1. 보육정책의 목표

    ❏ 보육정책의 목표가 영유아들의 바람직한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는 것이라는 점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모자람이 없음. 보육 현장에서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들이 발전

    하고 있는지 논의되고, 계속 점검되고, 고민되어져야 함.

    ◦보육정책의 목표를 분명히 할 때 정부 지원 예산이 어떻게 사용되어져야 하는지 분명해 짐. 정부 예산지원 확대의 목표는 부모 부담 완화와 더불어 영유아를 잘 지도하기 위

    한 서비스 수준 향상으로, 서비스 수준 발전정도가 중요 점검지표가 되어야 함. 현재 부

    모부담 감소 목적으로 정부예산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부모부담은 줄지도 않았고,

    확대지원된 예산의 지출도 성과가 모호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음.

    ◦수요자들의 만족도에 부합하는 육아지원(보육, 유아교육)정책이 실현되어 자녀양육이 안정적으로 지원될 때 이는 일하는 여성을 지원하게 되어 맞벌이가구의 일가정 양

    립 균형 성과로 이어질 것이며, 그 결과 사회적 저출산 문제에도 적절하게 대응하는 효

    과를 창출하게 될 것임.

    ◦현재 수요자들이 요구하는 육아지원정책을 재확인하면 다음으로 요약됨. 첫째,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일정수준이 보장되는 서비스

    둘째, 일하는 여성 및 맞벌이가구에 대응하는 운영시간(반일제, 종일제 및 시간연장 보

    육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

    셋째, 다양한 관점에서의 형성평을 고려한 무상보육정책 실현 검토(동시에 예산투입

    의 효율화 방안 검토 필요)

    2. 보육정책의 대상

    ❏ 어린이집이란 종일제 운영이 기본 모형이나 부모의 양육여건에 따라 낮동안 자녀양육이 가능한 경우와 맞벌이 등 그렇지 못한 경우를 나누어 고려하여야 함.5)

    5) 유희정, 마경희, 김소영(2013). 어린이집 설립유형에 따른 재정운영 비교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수시과제-1.

  • 주제발표 : 보육의 공공성, 수요자 중심 보육정책 효율화 방안

    - 19 -

    ◦육아의 책임은 원칙적으로 부모에게 있으며, 부모가 육아의 어려움에 처한 경우 국가나 사회가 이를 지원해주는 정책이 정부의 육아지원정책(보육정책과 유아교육정책)임.

    ◦따라서 부모가 집에서 육아가 가능한 경우와 맞벌이가구 등 육아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는 분리하여 고려되어야 함. 또한 자녀가 영아(0~2세)인지 유아(3~5세)인지에 따라

    서도 영유아의 발달특성상 접근이 달라질 수 있음.

    - 영아는 부모가 낮 시간 동안 가정양육이 가능한 경우, 부모양육이 우선되도록 지원되

    어야 함. 육아수당 및 시간제 육아지원프로그램 지원이 가능함. 그러나 부모가 맞벌

    이 등 육아지원 필수 가정에 대해서는 무상 종일보육서비스를 제공함. 즉, 종일보육

    서비스는 부모가 낮 시간 동안 가정에서 육아가 어려운 경우에만 지원함.

    - 유아는 부모가 낮 시간 동안 가정양육이 가능하더라도 유아의 잠재력 개발 및 발달 촉

    진을 위하여 반일제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음. 다만 부모의 맞벌이 등 육아지원 필수

    가정에 대해서는 무상 종일보육서비스를 제공함6).

    구분부모(혹은 친인척)가 낮동안 육아가

    가능한 경우

    부모가 낮동안 육아가 어려운 경우

    (맞벌이, 한부모, 질병/간병, 구직, 학업, 장애 등)

    만0세~만2세

    - 부모양육 원칙

    (기타 지원: 육아수당 및 시간제 육아지

    원 프로그램 등)- 무상 종일 보육

    - 육아휴직

    (기타 지원: 육아수당 및 시간제 육아지원 프로그램

    등)만3세 이상~

    - 무상 반일 보육

    (기타 지원: 육아수당 및 시간제 육아지

    원 프로그램 등)

    비고 - 종일제 : 교사 2인 배치

    ◦현재 일부 어린이집은 종일제를 운영하되 반일제 운영을 병행하고 있음. 이는 인근 유치원이 반일제, 종일제를 구분하여 운영하는 것에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음.

    ◦일부 어린이집에서는 종일반 이용에 대한 근거없는 추가비용을 징수하기도 함. 이 역시 유치원이 종일반 비용을 추가 징수하는 것과 비교하여 발생함.

    ◦종일반 운영에서 부모중 한 명이 집에 있는 경우 부모들은 영유아들을 이른 오후(3~4시경) 퇴원시키기도 함. 일부 어린이집에서는 종일제를 운영하면서 영유아 부모들로

    하여금 이른 퇴원(오후 5~6시 경)을 종용하며, 이 때 맞벌이가구등인 경우에는 자녀를

    이르게 퇴원시켜 다른 형태의 추가 육아지원서비스를 이용할 수 밖에 없게 됨. 종일반

    6) 3~5세 유아중 어린이집 이용아는 603,047명, 유치원 이용아는 564,834명으로 총 1,167,881명임. 3~5세 총인구

    수 대비 이용율은 84.5%임(2012).

  • 한국노총 보육정책토론회

    - 20 -

    조차 잘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사례가 있다는 의미임.

    3. 보육서비스 수준 향상 : 보육내용

    ❏ 앞서 보육내용에 대하여 논의하였는데, 영유아들이 어린이집에서 하루종일 무엇을 배우며 커가고 있는지 지속적으로 점검되어야 함.

    ◦아동중심, 놀이중심의 보육과정이 종일제를 기준으로 마련되어 시행되고 있으나, 반일제 중심의 누리과정이 도입되었고, 대부분의 어린이집에서 특별활동이 운영되고 있

    다면 종일제 보육과정과는 달리 실제 보육현장에서는 오전에는 누리과정, 오후에는

    특별활동의 형태로 보육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는 의미임.

    - 정부지침 : 종일제 보육과정/반일제누리과정

    - 보육현장 : (종일제 보육과정/반일제누리과정) + 특별활동

    - 특별활동 운영은 부모 부담이므로 추가비용이 필수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무상보육

    을 부정하게 됨.

    ◦대부분의 어린이집이 오후시간에 특별활동을 운영하고 있다면, 현재 100가지도 넘게 도입되어 있는 특별활동의 내용들이 영유아의 발달과 흥미에 적합한지 점검되어야

    함. 현재 그런 시스템은 없음. 보육과정과 누리과정이 영유아 관련 전문가, 육아지원

    현장 종사자들의 오랜 연구 끝에 개발된 것과 비교할 수 있음.

    ◦영유아는 발달 특성상 형식교육이 어려운 시기여서 놀이중심의 프로그램이 적용되어야 함. 따라서 어린시기의 영유아들에게 학과목 형식으로 운영되는 특별활동은 원칙

    적으로 금지되어야 함. 혹 도입된다 하더라도 학과목 형식이 아니라 놀이중심으로 보

    육과정에 통합되는 보충적 프로그램이어야 하며, 특수한 경우에 한하여 최소화하거나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비영리로 지원할 수 있어야 할 것임. 서울시가 도입하고자 하는

    ‘특별활동비 없는 어린이집(2013.9.2.)’의 확대를 경력단절 여성인력 활용과 연계하여

    적극 도입을 제안함.

    ○ 서울시, ‘특별활동비 없는 어린이집’ 첫 도입

    전국에서 처음으로 특별활동비 없는 어린이집이 이달 중 서울에 시범 도입된다. 특별활동비는 외부

    강사가 영어 등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비용이다. 학부모들은 무상보육이 시행됐음에도 특별활동비로

    월 평균 10만원가량 추가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

    서울시는 다양한 분야에서 시민들의 재능 기부를 받아 이르면 이달 중순부터 특별활동비를 받지 않

  • 주제발표 : 보육의 공공성, 수요자 중심 보육정책 효율화 방안

    - 21 -

    는 어린이집을 25개 자치구에 1곳씩 시범 도입한다고 2일 밝혔다. 재능 기부자들은 영어, 음악, 미술,

    무용, 국악, 예절, 종이접기, 만들기, 구연동화 등을 통해 0∼5세 영 · 유아들의 학습 발달, 신체활동력

    증진, 창의력 개발 등을 돕게 된다.

    시 관계자는 “지난 7월 어린이집 특별활동 강사로 나설 재능 기부자를 모집한 결과 개인 62명, 단체

    1곳이 지원했다”면서 “시범 선정된 20개구 어린이집에는 이미 재능 기부자를 연결해줬다”고 설명했

    다. 다만 현재 강남 · 광진 · 구로 · 금천 · 도봉 등 5개구는 해당 어린이집이 원하는 과목과 구에 등록

    된 재능 기부자의 과목이 맞지 않아 시가 인근 지역 재능 기부자를 연결해주는 작업을 하고 있다.

    시는 또한 특별활동비가 없는 어린이집 시범사업을 평가한 뒤 구별 재능기부 인력 풀을 통해 이를 단

    계적으로 늘려 학부모 부담을 줄인다는 방침이다. 특별활동 강사를 맡은 재능 기부자에게는 1강좌

    당 활동비 1만원이 지급되며 자원봉사 활동실적 증명서도 발급된다.

    아울러 시는 내년부터 전체 어린이집 특별활동비 내역을 시 보육포털에 공개하는 등 특별활동 운영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기로 했다. 올해는 국 · 공립 및 서울형 어린이집에서만 특별활동비 내역을 공

    개하고 있다.

    (국민일보 2013.09.02.)

    ◦대만 정부는 2013년 8월 영유아 특별활동을 금지하는 ‘보습교육법’을 개정, 발표함.

    대만 정부가 “건전한 정서 발달에 방해되는 조기 과열 과외를 차단하겠다는 취지”로 만 6세 미만 영

    유아의 조기 영어 과외를 금지하는 내용의 ‘보습교육법’개정안을 마련함. 동 법에서는 6세 미만 영유

    아를 대상으로 한 암산, 속독, 작문 등의 학원 과외도 금지하고 있음. 개정안에 따르면 유아에게 단어

    를 쓰거나 문장을 외우도록 하는 등 전통 방식의 학원 영어 과외는 원칙적으로 금지되며, 이를 위반하

    면 최고 50만 대만달러(약 1천 850만원)의 벌금이 부과됨.

    (빈과일보, 2013.8.30)(연합뉴스, 2013.8.30).

    4. 보육서비스 수준 향상 : 보육교사

    ❏ 어린이집 종사자는 총 284,237명으로 이중 여성은 273,741명(96.35)이고 남성 10,496명(3.7%)으로 보육교직원은 여성일자리 분야인 특성있음.

    ❏ 현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의 근무여건을 검토할 필요 있음. ◦보육교사로 논의를 좁히면, 보육교사의 직무는 보육프로그램 운영(교수학습) 준비, 보

    육프로그램 운영 실제(교수학습), 보육프로그램 운영(교수학습) 평가, 전문성 신장, 영

  • 한국노총 보육정책토론회

    - 22 -

    유아보호 관련 업무, 학부모 관련 업무, 행사 관련 업무, 사무관련 업무, 시설설비 관련

    업무, 대인관계 및 사회적인 업무의 10개 영역, 35개 직무, 177개의 직무내용을 수행함

    (김은영, 권미경, 조혜주, 2012)7).

    1) 보육프로그램 운영 준비보육프로그램 계획, 교재교구 준비, 환경구성, 프로그램 운영 준비, 보육프

    로그램 운영 협의

    2) 보육프로그램 운영의 실제 등하원지도, 놀이지도, 생활지도, 상호작용, 활동운영

    3) 보육프로그램 운영 평가 영유아평가, 프로그램 운영 평가, 보육과정 평가

    4) 기타 업무전문성 신장, 영유아 보호관련 업무, 학부모 관련 업무, 행사관련 업무, 사

    무관련 업무, 시설설비관련 업무, 대인관계 및 사회적인 업무

    ◦보육프로그램 운영이 12시간이 기준이라면 ‘보육프로그램 운영의 실제’가 이미 12시간 이상 진행되므로 그 이외의 업무를 추진하기 위한 추가 시간이 소요됨.

    ◦선행연구(김은영, 권미경, 조혜주, 2012)에 의할 때 보육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직무 수행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보육,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 운영은 차이가 있어 개

    선이 요구됨. 종일제 운영을 비교하면 보육교사는 12시간 운영을 교사 1인이 담당하도

    록 되어 있으나 유치원에서의 종일제는 2명의 교사가 담당하고 있음.

    어린이집 유치원

    반일제 교사 1인

    종일제 교사 1인 오전 담당, 오후 담당 교사 2인

    ◦영유아들에 대한 보호와 교육을 하루 12시간 이상 교사 1인이 담당한다는 것은 직무수행에서 매우 어려운 일로 교사들의 과로는 영유아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됨.

    어린이집, 유치원 공히 반일제에는 교사 1인, 종일제에는 교사 2인 배치를 제안함.

    어린이집, 유치원 모두

    반일제 - 교사 1인

    종일제

    - 오전 담당, 오후 담당 교사 2인

    · 하루 6시간 영유아 보호와 교육

    · 하루 2시간 보호와 교육이외의 직무 수행

    7) 김은영, 권미경, 조혜주(2012). 교사양성과정 내실화를 위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일과 운영 및 교사의 직무분석.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2-07.

  • 주제발표 : 보육의 공공성, 수요자 중심 보육정책 효율화 방안

    - 23 -

    ❏ 선행연구(유희정, 2007)에 의할 때 보육교사의 전문성 수준은 보육교사의 보수 수준에 밀접하게 영향을 받음8).

    ◦보육교사와 동일직종인 유치원교사 보수를 비교해 보았음. 우선 종사자들이 수령하는 임금은 국공립어린이집/국공립유치원/민간어린이집/사립유치원에 따라 다름.

    ◦국공립어린이집, 국공립유치원은 정부가 제시하고 있는 보수기준에 따라 임금이 지급되고 있어 비교분석이 가능하나 민간어린이집과 사립유치원은 이를 준수하지 않아도

    특별한 제제 없음. 민간어린이집의 경우 3∼5년 단위로 실시되고 있는 보육실태조사

    에 의하여 교직원 보수가 파악되고 있으나 사립유치원은 전혀 파악되지 않고 있음.

    어린이집 유치원

    국공립- 각년도 보육교직원 인건비 지급기준에 따름

    - 총 교직원의 14.7%(41,736명)

    - 유/초/중/고 교원 기준에 따름

    - 총 교직원의 23.6%(9,969명)

    민간/사립- 지급기준 없음

    - 총 교직원의 83.1%(236,220명)

    - 지급기준 없음

    - 총 교직원의 76.4%(32,266명)

    자격기준

    자격기준: 고졸이후 보육교사 교육훈련기관 수료

    자 혹은 전문대이상에서 관련 교과목 및 학점 이

    수 졸업자

    - 보육교사 1, 2, 3급이 있으나 보수는 경력별 호봉

    으로만 구분

    자격기준: 2년재대학 이상 관련학과 졸업자

    - 졸업학력에 따라 최초 호봉으로 6, 7, 8, 9호봉을

    부여받아 자격 및 경력에 따라 보수에 차이 있음.

    비고(직무)- 8시간 보육과정 담당

    - 8시간 근무이외로 기타 직무 수행, 상시 초과근무

    - 3∼4시간 유아교육과정 담당

    - 기타 수업준비를 합하여 하루 8시간 근무

    * 어린이집 종사 보육교직원 총 284,237명 중 국공립, 법인어린이집 종사 교직원은 14.7%(41,736명), 민간어린이집

    교직원은 83.1%(236,220명), 직장어린이집 종사 교직원은 2.2%(6,281명)임.

    * 유치원 종사 교직원은 총 42,235명으로 국공립유치원 종사 교직원 23.6%(9,969명), 사립유치원 종사 교직원

    76.4%(32,266명)임. 유치원은 연간 교육일수 180일, 하루 교육시간 180시간을 최소기준으로 함.

    어린이집 및 유치원 종사 교직원 운영 비교

    ◦국공립어린이집 교사와 국공립유치원 교사의 보수를 비교해 보았음. - 어린이집의 경우 보육교사 자격취득 학력의 종류나 보육교사 1, 2, 3급에 따른 임보수

    의 차이 없음. 보육교사 1호봉인 경우 2013년도 기준 기본급, 처우개선비, 근무환경

    개선비/혹은 누리과정수당을 합하였을 경우 월급여는 유아담당교사는 1,879,050원,

    영아담당교사는 월 1,699,050원을 수령함.

    8) 유희정(2007). 보육시설종사자 경력 및 호봉체계 개선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2007-31.

  • 한국노총 보육정책토론회

    - 24 -

      유아담당 보육교사 영아담당 보육교사

    기본급 1,434,050 1,434,050

    처우개선비 145,000 145,000

    근무환경개선비   120,000

    누리과정수당 300,000  

      1,879,050 1,699,050

    국공립 1호봉 보육교사 인건비 지급 내역(2013) 단위 : 원

    - 동일직종인 유치원 유아교사는 국공립유치원에 종사한 경우 안전행정부가 관리하는

    공무원성과급중 유/초/중/고 교원 직종에 준함. 다만 학력 기준에 따라 2년재대학 졸

    업자는 최초호봉을 6호봉, 3년재 대학 졸업 7호봉, 4년재 일반대학 졸업 8호봉, 4년재

    사범대학 졸업자는 최초호봉으로 9호봉을 부여받음.

    - 초임은 수당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대략 2,708,530원(6호봉)에서 2,861,390

    원(9호봉) 수준임.

      2년재대학 졸 3년재대학 졸 4년재일반대학 졸 4년재사범대학 졸

    기본급 1,524,300 1,582,800 1,623,600 1,664,900

    정액급식비 130,000 130,000 130,000 130,000

    제 수당 900,000 900,000 900,000 900,000

    명절휴가비 154,230 158,280 162,360 166,490

     계 2,708,530 2,771,080 2,815,960 2,861,390

    비고 6호봉 7호봉 8호봉 9호봉

    * 기본급 명절휴가비(100%) : 안전행정부 공무원월급여계산표

    * 각종 수당 : 서울시 소재 A유치원 B교사 봉급 명세서. 월별 수당으로는 가족수당(배우자 월 4만원, 기타가족 1인당

    월 2만원), 정근수당가산금 80,000원, 보존수당 8,000원, 보존수당가산금 47,000원, 교직수당 250,000원, 교직수

    당가산금 110,000원, 시간외수당 8∼100,000원, (보직을 맡은 경우)보직수당 70,000원 등으로 통상 90∼100만원

    이상의 수당을 받음. 본 표에서는 각종수당으로 90만원을 계상하였음.

    대학졸업 1년차 유치원 교사 인건비 지급 내역(2013) 단위 : 원

    - 국공립어린이집 교사 1호봉과 국공립유치원 교사를 비교해 보면 적게는 80만원에서

    많게는 100만원의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음.

  • 주제발표 : 보육의 공공성, 수요자 중심 보육정책 효율화 방안

    - 25 -

      2년재대학 졸 3년재대학 졸 4년재일반대학 졸 4년재사범대학 졸

    보육교사(1호봉) 1,879,050 1,879,050 1,879,050 1,879,050

    유치원교사(초임) 2,708,530 2,771,080 2,815,960 2,861,390

    차액 829,480 892,030 936,910 982,340

    대학졸업 1년차 국공립보육교사와 국공립유치원 교사 인건비 비교(2013) 단위 : 원

    ◦은 국공립어린이집 교사와 국공립유치원 교사의 보수를 비교한 것으로 이보다 열악한 민간어린이집 및 사립유치원 종사 교사를 비교하면 교사들간 보수의 차이는 더

    욱 확대될 것임.

    어린이집 유치원

    국공립- 인건비 지급기준

    - 총 교직원의 14.7%(41,736명)

    - 교원 기준

    - 총 교직원의 23.6%(9,969명)

    민간/사립- 지급기준 없음

    - 총 교직원의 83.1%(236,220명)

    - 지급기준 없음

    - 총 교직원의 76.4%(32,266명)

    * 민간어린이집 보육교사 1호봉은 120∼130만원 수준임.

    ❏ 보육교사 운영 개선을 위하여 보육교사들의 보수체계 개선을 제안함. ◦보육교사와 유아교사의 보수체계를 유사하게 통일,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보수체계

    는 학력과 경력을 기준으로 하여야 할 것임. 동시에 보육교사와 유아교사 보수도 점차

    통일해 나갈 것을 제안함. 동일한 학력의 교사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어디서 근무하

    든 동일한 보수를 받는 것이 정당함9).

    어린이집 유치원

    현행 변경 현행 변경

    4년재 사범대학 졸업후 자격 취득자 2급 1급 9호봉 좌동

    4년재 일반대학 졸업후 자격 취득자 2급 2급 8호봉 좌동

    3년재 졸업후 자격 취득자 2급 3급 7호봉 좌동

    2년재 졸업후 자격 취득자 2급 4급 6호봉 좌동

    고등학교 졸업후 자격 취득자 3급 보조교사

    9) 보육교사중 대졸은 69.1%(전문대 45.1%, 4년제 19.3%, 대학원 0.7%, 사이버대학 4.0%)임. 이들의 최종학교 전

    공은 유아교육 42.0%, 아동학 16.5%, 사회복지 12.9%, 보육 13.5%등임(보건복지부, 2012).

  • 한국노총 보육정책토론회

    - 26 -

    5. 일하는 여성 및 맞벌이가구 대응 : 시간연장 보육

    ❏ 현제 어린이집은 종일제를 근거로 운영되고 있고 수요자 요구가 있을 경우 시간연장프로그램을 운영함.

    ◦부모의 요구가 있는 경우 시간연장을 운영함. 야근근무가 일반적인 맞벌이가구 지원을 위해서는 시간연장 보육이 필수적임.

    ◦대상 : 시간연장 이용 가구의 자격을 제한하여 실수요자 중심의 운영이 안착되어야 함. 현재는 부모가 집에 있는 영유아들도 여러 가지 이유로 시간연장을 이용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집에 부모가 있으면서도 저녁밥을 먹이기 위해 시간연장을 이용하는 사례도

    있음. 어린이집운영위원회 등을 거쳐 부모 여건 상 시간연장 필요성이 확인된 가정의

    영유아로 제한할 필요 있음10).

    - 운영시간 : 부모의 야근근무형태를 고려하여 시간연장 운영시간을 1) 오후 7시 반~10

    시 운영(일반형), 오후 10시 이후까지 운영(24시간형)으로 나누어 논의하여야 함. 왜

    냐하면 인건비 지출을 포함하여 운영형태가 다르기 때문임.

    - 반구성 : 현재는 별도의 시간연장 프로그램이 제시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있

    으며, 영유아 연령 운영 형태도 단일 연령 운영 형태와 혼합 연령 운영 형태를 고려하

    여 접근하여야 함.

    - 보육교사 : 시간연장은 저녁시간에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이므로 다른 나라에서와 같

    이 시간연장 교사는 한 원당 최소 성인 2인 이상이 필수이고 그중 1인은 보육교사 필

    수일 필요 있음. 이들의 근무는 시간연장 운영시간에 따라 6~8시간 근무형과 3~4시

    간 근무형으로 운영될 수 있으며, 이상의 것들을 모두 고려하여 시간연장 최소 규모

    및 이에 따른 운영비가 논의되어야 할 것임.

    ❏ 시간연장보육과 동일한 접근방식으로 맞벌이가구의 육아지원을 위하여 휴일보육등이 정리되어야 함.

    10) 유희정, 마경희, 김소영(2013). 어린이집 설립유형에 따른 재정운영 비교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수시과제

    -1.

  • 주제발표 : 보육의 공공성, 수요자 중심 보육정책 효율화 방안

    - 27 -

    6. 무상보육, 예산투입의 효율화 방안

    가. 보육의 공공성과 무상보육

    ❏ ‘무상 육아지원정책’은 정부의 육아지원이 공공정책으로 추진되는 공익성을 띤 정책임을 확인시킴. 그러나 정부의 무상정책이 현장에서는 무상이 아님. 지난 10여년간 정부 육

    아지원(보육, 유아교육) 예산은 1조 619억원(2004)에서 8조 4,195억원(2013)으로 7.9배

    증가하였음. 여기에는 부모부담 완화라는 목표가 있었으나 보육료이외에 부모가 추가

    로 부담하는 비용은 2004년도 28,300원에서 2012년도 108,580원으로 오히려 3.8배 증가

    하였음. 적어도 부모부담 완화 목표는 정책 효과 없음11).

    ◦어린이집 이용시 보육료이외의 부모 추가부담은 2004년도 28,300원에서 2009년도 53,800원, 2012년도 108,580원으로 증가하였음. 2012년도는 무상보육이 도입된 해로

    부모부담이 증가한 것에 대한 이유가 분석되어야 할 것임. 이로써 부모들에게는 무상

    정책이 현실성이 없음.

    구분 보육료 추가비용 합계

    2004 136,400 28,300 164,700

    2009 114,300 53,800 168,100

    2012 108,580

    부모들이 보육시설에 내는 비용 단위: 원

    ❏ 어린이집에서 정부지원금(종사자 인건비 및 보육료)이외의 부모들로부터 추가로 징수하는 비용은 차량이용비용, 현장학습비, 행사비, 급식비, 특별활동비 등임.

    ◦2012년 보육실태조사12)에 따르면 부모들은 영유아 1인당 월평균 108,580원을 추가로 부담하고 있음. 어린이집 유형별로는 민간어린이집이 121,600원으로 가장 높음.

    ◦추가비용 징수 내역은 특별활동비가 52,330원으로 가장 높고, 현장학습비 19,850원, 행사비 17,440원, 아침·저녁급식비 16,900원, 차량이용비용이 2,060원임.

    11) 이러한 현상은 유치원에서는 더욱 심각함. 유치원 원비는 자율화되어 있어 유아 1인당 원비가 월 100만원이 넘

    기도 함

    12)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2012). 2012 전국보육실태조사: 어린이집조사 보고.

  • 한국노총 보육정책토론회

    - 28 -

    차량 이용비용 현장 학습비 행사비 아침저녁 급식비 특별 활동비 계

    평균 2.06 19.85 17.44 16.90 52.33 108.58

    국공립 2.88 19.60 20.12 11.81 48.28 102.69

    법인 2.13 15.65 14.72 16.93 48.39 97.82

    법인외 2.09 16.10 13.51 16.75 49.25 97.7

    민간 2.00 22.57 17.61 17.52 61.90 121.6

    가정 1.79 18.93 17.45 20.99 45.94 105.1

    직장 1.61 20.55 29.16 15.58 48.63 115.53

    자료 :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2012). 2012 전국보육실태조사: 어린이집조사 보고.

    어린이집 유형별 평균 추가비용(2012) 단위 : 천원

    나. 영유아 1인당 지원금

    ❏ 영유아가 어떤 유형의 어린이집을 이용하든 영유아 한명에게 투입되는 비용은 동일하여야 함을 강조하고자 함.

    ◦영유아 한명에게 투입되는 비용은 시설 유형 및 영유아 연령에 따라 다름. 운영주체가 정부인지, 민간인지에 따라, 영아인지, 유아인지에 따라 영유아 1인당 비용이 달라 수

    입, 지출구조가 달라짐. 이러한 차이가 적절한 것인지 혹은 그렇지 않은 것인지 세입,

    세출 내역을 명료화할 필요 있음.

    ◦영유아 한명당 동일한 비용 지원을 강조하는 것은 동일한 수준의 교사인건비 지급을 강조하고자 한 것임. 보육교사의 보수가 안정적일 때 우수한 인력을 활용할 수 있을 것

    이라는 전제임. 우수한 교사인력을 확보할 수 있을 때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임.

    ◦또한 돌봄노동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어린이집 전체 보육교사들이 최소한 국공립보육교사 인건비 수준을 확보하도록 하여야 할 것임. 나아가 점차 국공립유아교사 수준의

    보수를 수령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배려가 요구됨.

    ❏ 앞서 지원유형을 4가지로 정리하였는데, 아래 표를 살펴보면 국공립, 민간, 공공형, 직장 어린이집의 지원금이 유사해져 왔음을 알 수 있음. 이와 같이 정부 지원금액이 유사하다

    면 지원방식을 각각 다르게 할 필요없이 동일방식으로 통일할 것을 제안함.

  • 주제발표 : 보육의 공공성, 수요자 중심 보육정책 효율화 방안

    - 29 -

    구분 국공립, 법인 민간 민간공공형 직장

    1세미만 996,690 861,667(86.6) 931,667(93.7) 591,000(59.3)

    만1세 720,775 585,000(81.4) 655,000(91.1) 520,500(72.2)

    만2세 561,669 446,714(79.8) 516,714(92.3) 429,000(76.4)

    만3세 304,366 303,333(83.2) 373,333(102.4) 330,000(108.4)

    만4-5세 290,875 295,000(84.7) 365,333(104.9) 330,000(113.5)

    * 비율은 국공립 대비 비율임.

    4가지 지원유형별 영유아 1인당 월별지원금 비교(2013) 단위: 원(%)

    ◦현재 국공립, 법인, 직장 어린이집 이용시 지원되는 교사 인건비에 해당하는 금액을 민간, 가정 어린이집 이용시에는 기본보육료로 지원하는 것을 어린이집 유형 구분없이

    보육료와 인건비로 통합하여 지원하는 방안임.

    - 지원방식의 통일은 교사인건비 지급방식의 통일을 내포함.

    현행 변경

    국공립, 법인 민간, 가정 직장 모든 어린이집 통일

    원장 및

    보육교사

    - 기본급 지원(호봉) - 기본급 지원(월 80∼100만원) - 기본급 지원(호봉)

    - 각종 수당 지원 - 각종 수당 지원 - 각종 수당 지원 - 각종 수당 지원

    보육료- 보육료 전액 - 보육료 전액 - 보육료 전액 - 보육료 전액

    - 기본보육료

    ❏ 또 하나의 논의는 현재 영유아 1인당 투입 금액이 적지 않다는 것임. 무상보육시대를 맞이하여 어린이집의 투명한 회계운영은 필수적이며, 특히 총 수입대비 총지출이 분석되

    어야 함.

    ◦어린이집 운영은 세입과 세출이 있겠으며, 세입은 명확한 분석이 가능함. 그러나 세출은 아직 명확히 보고된 바 없어 분석이 어려움. 세출예산은 어린이집 운영비, 사업비,

    재산조성비, 기타지출로 나누어지며 이중 인건비 비중이 시설에 따라 70∼80%에 달

    하는 것으로 예측됨.

    ◦현재 영유아 1인당 투입 비용 산출은 가능하지만, 총지출에 대한 자료에는 접근할 수 없었음. 예를 들어 0세아 1인당 월 994,898원(민간 861,667원)이 지원되고 인건비를 빼

    고서도 월 394,000원(민간 389,534원)이 지원된다면 이는 무엇을 위한 비용인지 산출

    내역이 제시되어야 함. 왜냐하면 일부 어린이집에서는 급식비, 난방비, 개별 소모품,

  • 한국노총 보육정책토론회

    - 30 -

    교재교구준비금 등의 명목으로 추가비용을 징수하기도 하기 때문임.

    어린이집 운영비 인건비, 업무추진비, 관리운영비

    사업비 사업운영비(급간식비, 교재교구비, 행사비, 기타 필요경비, 특별활동비 지출)

    재산조성비 시설비(시설비, 자산취득비, 시설장비유지비)

    기타 전출금, 과년도지출, 잡지출, 예비비

    다. 어린이집 시설유형에 대한 논의 : 국공립이 대안

    ❏ 지금까지는 어린이집 운영비에 대하여 논의하였음. 그러나 어린이집 운영을 위해서는 대지 구입 및 건축비, 시설설치비가 소요됨. 지금까지의 어린이집 유형은 대지 구입 및

    건축비, 시설설치비를 누가 부담하는가에 따라 구분되었음.

    국공립/법인 민간, 가정, 부모협동 직장

    대지 구입비 정부/법인 개인 정부/기업/개인

    건축 및 시설설치비 정부/법인 개인 정부/기업/개인

    시설 운영비 정부 정부 정부

    비고시설수 3,681개소 38,959개소 573개소

    영유아수 256,000명 1,075,000명 33,000명

    ◦정부가 대지구입비와 건축비, 시설설치비를 담당하는 국공립어린이집에 비하여 개인이 이를 부담하는 민간, 가정 어린이집은 많은 문제를 내포함. 보육정책이 국가 공공사

    업이라면 국가가 이를 부담하는 것이 무상보육의 취지에 부합함.

    ◦개인이 대지를 구입하고 건축과 시설설비를 부담한 건물에서 이익을 내지 말고 비영리로 어린이집을 운영하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음. 실제 현장에서도 민간어린이집은

    투자 금액에 대한 이익 창출을 실질적으로 요구함. 이익을 많이 내려고 하는 경우에는

    상황이 더욱 악화됨. 이에 대한 대안이 마련되어야 함.

    - 현재에도 국공립, 법인, 직장 어린이집에 비하여 민간어린이집 이용시 영유아 1인당

    투입 금액이 낮아 서비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민간어린이집 운영자들이 한

    발 더 나아가 보다 많은 이익을 창출하려고 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민간어린이집

    이용 영유아들에게 돌아감. 결국 보육정책의 공공성 목표 달성에 적신호가 켜질 수

  • 주제발표 : 보육의 공공성, 수요자 중심 보육정책 효율화 방안

    - 31 -

    밖에 없음. 어린이집에서의 특별활동 확대도 이러한 이익 창출과 맞물려있다고 할 수

    있음.

    - 민간어린이집의 임대 및 융자금 문제가 구체적으로 다루어져야 함. 2009 보육실태조

    사에 의할 때 민간어린이집은 임대율 32.3%, 융자율 20.7%로 53.0%의 어린이집이

    임대 및 융자시설이었음. 국가가 대지와 건물 비용을 지불하는 국공립어린이집과 개

    인이 이를 지불하는 민간, 가정 어린이집에 대한 차이의 문제에 대하여 근본적인 대

    안이 마련되어야 함.

    - 예를 들면, 작은 임대아파트 / 혹은 작은 임대상가 교실 한 칸에서 공공서비스 제공의

    정책 성과를 도출하기란 어려움이 많음.

    ◦보육목표에서부터 보육서비스가 공공서비스이고, 영유아 1인당 투입되는 비용이 보육서비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데, 영유아 1인당 투입되는 비용이 국공립어린이집에

    서 가장 안정적으로 경쟁력이 있다면 향후 어린이집 증설은 국공립이 대안임.

    ◦국공립어린이집을 확대 증설하여 90.2%를 점유하고 있는 민간어린이집 점유율을 낮춰야 하는 것은 기정 사실이나 그 속도를 높여 보육현장에서 국공립어린이집이 보육시

    장을 주도할 수 있어야 함.

    - 거꾸로 민간어린이집의 증설을 제한하여야 함. 특히 유치원에서와 동일하게 임대시

    설의 진입은 금지되어야 함.

    ◦이미 자산이 투입된 민간어린이집에 대해서는 공개적으로 일정부분 이익을 허용할 것을 제안함.

    - 1단계 : 영유아 1인당 비용을 국공립 수준으로 높여야 함.

    - 2단계 : 국공립 수준 확보 이후에는 기타운영비 10%를 추가 허용해야 함. 그래야 영

    유아 한명에게 투입되는 금액이 동일해 질 수 있음.

    - 현재 민간어린이집 운영자들이 요구하는 추가 이익에 대한 논의를 구체적으로 추진

    하여 이를 표면화 하여야 할 것임.

    ❏ 보육정책의 공공의 목표 달성을 민간에게 이익창출을 허용하면서 추진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음. 국공립시설에서 정책을 수행하는 것이 정책목표 성과 도출의 효율성

    을 높일 것이라는 것은 자명함.

  • 한국노총 보육정책토론회

    - 32 -

    | 참고문헌 |

    권미경, 김문정(2012). 2012 유아교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김미정, 김온기, 원종욱, 황해익(2012). 기업의 직장보육비스 지원 사례 및 효과성 분석. 근로복

    지공단 직장보육지원센터.

    김은영, 권미경, 조혜주(2012). 교사양성과정 내실화를 위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일과 운영 및 교

    사의 직무분석.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2-07.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2012). 2012 전국보육실태조사: 어린이집조사 보고.

    보건복지부(2013). 보육사업안내.

    보건복지부(2013). 2013 공공형어린이집 업무매뉴얼.

    보건복지부(2013). ’13년 3월 영유아 보육・양육 지원 현황 보도자료(2013.3.25)보건복지부(2012). 보육통계.

    보건복지부(2009). 2009 전국 보육 실태조사.

    유희정, 마경희, 김소영(2013). 어린이집 설립유형에 따른 재정운영 비교 연구. 한국여성정책연

    구원 수시과제-1.

    유희정(2013. 7), “보육정책의 공공성 강화방안”, 국정과제 추진을 위한 제 81차 여성정책포럼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원고를 중심으로 수정, 보완하였음.

    유희정(2010.8.31.). “저출산에 대응한 보육지원 방안”, 2010-2014 국가재정운용계획 공개토론

    회 주제발표 자료. 기획재정부.

    유희정(2007). 보육시설종사자 경력 및 호봉체계 개선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2007-31.

    유희정, 서문희, 김종해, 최혜선(2006). 보육정책의 전망과 과제에 관한 연구. 육아정책개발센

    터.

    국민일보(2013.09.02.)

    연합뉴스(2013.8.30.)(빈과일보, 2013.8.30)

  • 주제발표 : 보육의 공공성, 수요자 중심 보육정책 효율화 방안

    - 33 -

    어린이집에서 운영되고 있는 특별활동 유형

    미술관련01)그리기 02)만들기 03)종이접기 04)점토(칼라믹스 등) 05)플레이아트 06)도자기 공예 07)통합미

    술 08)NIE 09)미술치료

    음악관련11)피아노 12)바이올린 13)국악(장구, 소고, 전래동요) 14)유아음악 일반 15)유리드믹스 16)리듬악

    기 17)오르프 18)킨더뮤직 19)아마데우스 20)핸드벨

    체육관련21)체육 일반 22)태권도 23)택견 24)발레나 무용 25)유아체조 26)수영 27)인라인 28)댄스스포츠 29)

    키즈 요가 30)검도

    과학관련 31)과학 실험 32)친환경 생태 프로그램 33)창의력 과학 34)요리

    수학관련 41)학습지 42)수학교수 43)놀이수학 44)주산

    한글관련51)글짓기(논술) 52)학습지 53)동화구연 54)웅변 55)한글 플래시 카드 56)독서지도 57)말하기 지도

    58)보니또(독후표현활동)

    외국어관련 61)영어 62)일본어 63)중국어

    교구 이용

    71)프뢰벨 72)오르다 73)레고 74)몬테소리 75)가베(은물) 76)델터 샌드 77)시찌다 78)하바 79)마그

    네 80)버그박사 81)몰폰 82)큐빅 83)색도형 84)피타고라스 85)바오픽스 86)피아제 87)도트카드놀

    이 88)케이넥스 89)도미노

    기타

    91)컴퓨터 92)다도 93)바둑 94)한문 95)예절 96)전래놀이 97)베이비 마사지 98)종교수업(인성교육)

    99)통합교과형 학습지 100)북아트 101)브레인 놀이 102)팻찌아이 103)프로젝트 104)주말농장 105)

    딩동댕(창의력) 106)발도르프 107)비테교육 108)아기탄생(글레도만 109)호크마 110)오감발달

  • 토론문 1

    여성노동자들이 느끼는 보육환경 현실

    13)

    이 수 진*

    * 전국의료산업노련 수석부위원장, 연세의료원노조 위원장

  • 지정토론 : 토론문

    - 37 -

    여성노동자들이 느끼는 보육환경 현실

    발제문에서 현실적 문제들에 대해 잘 진단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지적하고 있는 보육 시간, 프

    로그램의 질, 비용 등 대부분 여성노동자가 공감하는 문제일 거라 생각됩니다. 큰 방향에서 동의

    하며 여성노동자들이 현실적으로 체감하고 있는 문제와 사례들을 이야기할까 합니다. 때로는

    뚜렷한 대안이 없어 갑갑하게 여겨지는 부분들도 많이 있는데, 생각하건대 보육정책, 나아가 보

    육환경의 근본적 개선 없이는 한계가 존재할 듯 싶습니다.

    먼저 모 대학병원의 직장 어린이집 운영 실패 사례를 이야기할까 합니다. 이야기 듣고 의외라

    는 생각이 들었는데, 배경을 들으면서 공감이 되었던 이야기입니다. 대부분 직장인은 직장 어린

    이집을 상대적으로 선호하곤 합니다. 같은 공간에 있다는 심리적 안정감, 직장의 관리 감독하에

    있다는 믿음, 출퇴근 시 편리함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여성노동자들은 질 좋은 보육프로그램을 제

    공받을 거라는 기대감을 갖고 있습니다.

    병원의 경우 여성이 70~80%의 비율을 차지하는 여성중심의 사업장입니다. 또한 24시간 근무

    가 진행되는 3교대가 일반화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여성노동자들을 위해 노사가 합의하여 24시

    간 어린이집을 운영하였다고 합니다. 상식적으로 좋을 것 같았지만 현실은 그러하지 못했습니

    다. 대부분 야간근무자들은 불규칙하게 늦은 저녁 혹은 새벽 시간에 어린이집에 맡기는 것을 기

    피하였다고 합니다. 이유는 소수 혹은 홀로 있어야 할 영유아 자녀를 맡기는 것에 심적인 거부감

    을 나타냈다고 하는데, 어머니의 마음으로 돌아보면 충분히 이해가 되는 대목입니다.

    다음으로 보육시간 보장 문제를 하나 더 언급해볼까 합니다. 4~5시경 어린이집의 풍경은 대부

    분 유사합니다. 오후 4~5시면 어린이집 문 앞은 아이를 찾기 위해 기다리는 부모들로 붐비기 마

    련입니다. 대부분 직장의 퇴근 시간이 6시라는 점을 고려하면 맞벌이 집안에서는 불가능할 시

    간입니다. 어린이집에서도 부모에게 눈치를 주거나, 퇴원 시간을 강제하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그러함에도 4~5시면 아이들을 찾는 것이 당연시되고 있습니다.

    이유는 앞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4~5시가 지나서 아이들이 하나둘씩 떠나기 시작하면, 아이가

    홀로 남아있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상당수 부모가 맞벌이지만 퇴원시간이 4~5시로

    자연스럽게 형성이 되면 울며 겨자 먹기로 이른바 ‘픽업 보모’, 시간제 유아 돌봄 서비스 등을 이

    용할 수밖에 없다고 합니다. 10명이면 6~7명은 4~5시에 아이 찾는 것이 부담스러운 일이지만

  • 한국노총 보육정책토론회

    - 38 -

    맞벌이 부부 모두 같은 선택을 한다니 안타까운 일이라 생각됩니다. 누구의 잘못도 없고 문제도

    없지만 현실에서 종종 듣게 되는 여성노동자의 고민입니다.

    다음으로 보육교사의 적정임금과 근무환경 개선을 이야기할까 합니다. 발제문에서 지적하고

    있는 대로 보육교사의 근무조건은 아이들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합니다. 국공립 보육시설과 달

    리 사립 특히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어린이집의 경우 편차는 있으나 상대적으로 어려운 점들

    이 있다 여겨집니다.

    어린이집을 선택하는 부모들은 비교적 신중하게 결정합니다. 그리고 자신의 결정에 따라 가능

    하면 보육환경의 변화 없이 안정적으로 맡기길 선호합니다. 당연하게도 갑작스러운 환경 변화

    가 영유아에게 긍정적일 거라 생각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물론 근무지 주거지의 변경, 아이의 적

    응 실패 등의 이유로 변경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반대로 보육시설의 이유로 아이에게 변화가 생

    기는 경우는 교사의 변경이 가장 흔한 이유이고, 큰 변화라 보입니다.

    아이의 입장에서는 교사와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어린이집에서는 가장 큰일일 것입니다. 정서

    적으로 더없이 민감한 영유아들에게 보육교사의 잦은 교체가 좋은 영향은 주지 못할 것입니다.

    근무조건이 열악한 일부 보육시설의 경우 보육교사 입장에서는 당연히 기피하게 되고 피해는

    고스란히 아이들에게 돌아간다 생각됩니다. 보육교사들의 근무환경을 가늠할 수 있는 것 중 하

    나는 교사의 잦은 교체이며, 아이들을 위해서도 보육교사들의 처우개선은 필요하다 생각됩니다.

    마지막으로 이른바 ‘영유아 학대사건’등이 발생할 때마다 인터넷상에서 벌어지는 ‘갑을 논쟁’

    을 소개할까 합니다. 잊을만하면 발생하는 보육시설에서의 아동학대문제는 참으로 슬픈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특정사건들에 대해서만큼은 학대 당사자를 두둔할 여지가 없으며 엄중한 처

    벌이 따라야 할 것입니다.

    사건이 터지면 인터넷상에서 부모들은 보육시설의 ‘행패’들을 쏟아 냅니다. 아이 학대, 보육시

    간을 보장하지 않는 문제, 촌지 문제, 특별활동비 문제, 아이 차별 등. 심지어 정당한 문제 인식을

    제출한 부모는 주변 보육시설에서도 거부당하게 된다며 보육기관 간의 암묵적인 정보공유와

    ‘왕따설’까지 거론하며 보육기관의 행태를 고발합니다. 반대로 보육교사들은 아이에게 무관심

    하며, 모든 책임을 보육교사들에게 전가하려는 부모들의 행태를 나열합니다.

    이러한 논쟁의 본질은 보육시설 공급자와 수요자 간의 신뢰에서 비롯된다 생각됩니다. 일차적

    으로는 문제가 되는 ‘아동 학대’와 같은 사건은 최소화해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 절대로 발생해

    서는 안 되는 문제입니다. 모든 곳에 문제 있는 1%는 있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영유아의 보육에

    관한 것이라면 철저히 관리되어야 합니다. 단 한 번의 실수도 신뢰에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입니

    다. 이런 의미에서 공공성만이 유일한 대안으로 강조될 수 있을 것입니다. 또 수요자 중심의 보

  • 지정토론 : 토론문

    - 39 -

    유정책 수립에 대해 적극적으로 지지하면서, 조심스럽게 수요자 스스로의 자각과 도덕적 책임

    역시 지적되어야 할 것입니다.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여성노동자들의 육아 고민과 생각을 이야기했습니다. 발제문에서

    지적하고 있는 문제도 다르지 않지만 현실에서 여성노동자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와 체감

    의 정도는 차이가 있습니다. 아마 어떠한 토론문에서도 여성노동자들의 절박한 마음을 다 담아

    내지 못할 것입니다.

    사례 하나하나 개별을 두고 해결방안을 모색해서는 뚜렷한 답이 보이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

    다. 여성노동자들의 입장에서, 현실에서 체감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분, 형식적인

    보육 공공성 확보로는 한계에 봉착할 수밖에 없습니다. 정부 지원에도 한계가 존재하므로 지원

    을 늘리는 것만이 답도 아닐 것입니다. 서두에 언급한 대로 갑갑한 마음이 한편에 있습니다.

    지금의 몇 가지 정책, 제도 개선과 함께 공공성을 보장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입니다. 또 점진적으로 보육 프로그램, 시간 등 형태의 일원화와 매뉴얼화가 진행되어야 할 것

    입니다. 보육기관의 투명성 보장과 부모에게는 충분한 정보와 교육 자료를 제공하여 공급자와

    수요자 간의 신뢰를 형성하는 문제까지 종합적인 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