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50
보건학 석사학위 논문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보 건 학 과 신 기 정

Upload: others

Post on 31-Oct-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보건학 석사학 논문

농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 막 두께 정상유무와

련 요인

아주 학교 보건 학원

보 건 학 과

신 기 정

Page 2: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농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 막 두께 정상유무와

련 요인

지도교수 이 은

이 논문을 보건학 석사학 논문으로 제출함.

2009년 7월

아주 학교 보건 학원

보 건 학 과

신 기 정

Page 3: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Page 4: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감사의

직장과 육아, 그리고 학원 생활들이 무 힘들어서 포기하고

싶은 고민이 많았던 시간들이 있었습니다. 어느 하나 제 로 하지

못하고 있다는 압박감이 돌이켜보니 나를 다시 발견하는 값진 시간

이었던 것 같습니다. 늘 반복 인 생활에 때론 긴장감을 때론 뿌듯

함을 갖게 했던 학원 생활들을 잊지 못할 것입니다.

바쁘신 에도 부족한 논문을 철자하나 세 히 다듬어 주신 이은

교수님, 그 열정과 애정에 머리 숙여 감사드립니다. 논문을 탈고

하면서 교수님은 제게 떨리는 두려움의 상이면서도 에 지 넘치

는 힘의 근원을 주셨습니다. 차근히 설명해주시며 논문을 수정해주

신 박재범 교수님과 먼 곳에서 재 하는 탓하지 않으시고 수정

을 주신 박샛별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딸의 학업을 마치도록 가장 힘써주신 엄마, 고생스러우면서도 딸

의 집과 아이들을 한결같이 보살펴주심에 진심으로 감사하다고

하고 싶습니다. 격려를 아끼지 않고 세심한 배려를 해 우리 신랑,

엄마가 늦는다고 투정하면서도 동생들과 잘 참아내 우리 딸 희

원이에게도 고맙다고 하고 싶습니다.

힘에 부쳤던 학교생활을 참고 즐겁게 보낼 수 있었던 것은 에

서 함께 도와주고 차분히 알려 공부 역학 동기들 덕분이었습니

다. 친구같은 세진이, 꼼꼼하고 잘 챙겨주었던 미연이와 그 외 동기

들에게 고마운 마음을 합니다. 늘 먼 연락하고 열심히 살고 있

는지 안부를 묻는 동기 혜 이에게도 고맙다고 하고 싶습니다.

논문에 많은 도움을 주신 심 선 선생님, 문서작업에 도움을

Page 5: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병원 식구 재희와 성우, 지원이에게 고맙다고 합니다.

논문은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것처럼 인내와 고통 속에서 빛을 발

한다는 원칙을 새삼 깨달게 해주신 모든 분들게 감사드립니다.

2009년 7월에.

신 기 정

Page 6: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ii

차 례

차례 ·············································································· ⅱ

표 차례 ·········································································· ⅳ

그림 차례 ······································································ ⅴ

부록 차례 ······································································· ⅵ

국문요약 ······································································· ⅶ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문제 ·································································· 2

3. 용어의 정의 ······························································ 3

제2장 문헌고찰

1. 농 노인의 특성 ······················································· 5

2. 노인 질환 ································································ 6

3. 노인의 동맥 경화증 ···················································· 7

4. 경동맥 내 막 두께 ···················································· 8

5. 경동맥 내 막 두께에 향을 미치는 변수 ························ 9

Page 7: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iii

제3장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 12

2. 연구 상자 표집방법 ············································ 12

(1) 상 ··································································· 12

(2) 방법 차 ························································ 13

3. 자료 분석방법 ························································· 14

제 4장 연구 결과

1. 상자의 일반 특성 ················································ 16

2. 경동맥 내 막 두께 연구 변수에 한 서술통계 ··········· 17

3. 경동맥 내 막 두께 정상유무와 변수들과의 계 ·············· 19

4. 농 노인들의 경동맥 내 막 두께 정상유무와 련요인 ········ 21

제 5장 논의 ···································································· 23

제 6장 결론 ···································································· 26

참고문헌 ········································································ 29

부록 ············································································· 35

Abstract ········································································ 38

Page 8: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iv

표 차 례

표 1. 지역별 65세 이상 노인의 만성 질환 유병률 ······················ 7

표 2. 도시와 농 의 질환율 비교 ·········································· 7

표 3. 경동맥 내 막 두께와 련된 문헌고찰 ··························· 11

표 4. 상자의 일반 특성 ··············································· 16

표 5. 변수들의 서술 통계 ·················································· 18

표 6. 농 노인의 경동맥 내 막 두께 정상유무와 변수들과의 계

·············································································· 20

표 7. 농 노인의 경동맥 내 막 두께에 향을 미치는 요인········ 22

Page 9: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v

그 림 차 례

그림1. 좌측 총경동맥 내 막 두께 음 이미지···················· 15

그림2. 좌측 총경동맥 내 막 두께 죽상경화······················ 15

Page 10: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vi

부 록 차 례

부록 1. 설문지 ······························································· 34

부록 2. 연구 참여 설명문 동의서 ···································· 35

Page 11: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vii

국 문 요약

본 연구는 농 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일반 노인들을 상으로 경동맥

음 검사를 하여 경동맥 내 막 두께와 련된 요인들을 알아보는 서술

계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08년 10월 1일부터 동년 10월 5일까지 검진에

응한 308명의 노인을 임의 표본 추출하 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3.0을 이용

하여 산통계 처리하 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자 남자 노인이 118명(38.1%), 여자 노인이 190명(61.9%)으로 여자

노인 인구가 많았다. 나이별로는 60 노인이 44명(14.1%), 70 노인이 185명

(59.1%), 80 가 76명(24.7%), 90 노인이 4명(1.3%)으로 70, 80 노인 수가

많았다.

(2) 경동맥 내 막 두께 정상유무에 따른 변수들과의 계를 알아보기

해 χ2-test로 분석하 다. 성별(χ2

=8.795, p=.003), 연령(χ2=9.754, p=.002),

이완기 압(χ2=3.190, p=.048), 성지방(χ2

=10.151, p=.001)에서 경동맥 내

막 두께 정상유무와 통계 으로 유의하 다.

(3) 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는 성별(OR=2.135, p<.004), 연령(OR=1.677,

p<.008)이 농 노인의 경동맥 내 막 두께의 측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농 노인의 경동맥 내 막 두께와 련된 요

인은 연령, 성별로 악되었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선행 연구와 달리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일반 농 노인을 상으로 경동맥 내 막 두께

Page 12: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viii

를 연구하 다는 것이다. 일반 농 노인들에게 경동맥 내 막 두께를 이

용한 동맥 경화의 선별검사는 증으로 진행될 수 있는 질환의 방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심단어 : 경동맥 내 막 두께, 농 노인, 동맥 경화 , 압 , 성 지방

Page 13: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1 -

제1 장. 서 론

1 . 연 구 의 필 요성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비율은 2006년 체 인구의 9.5%이

며, 그 37.1%가 농 지역에 거주하고 있고, 독거노인의 수는 2000년

16.2%에서 2005년 18.1%로 증가하고 있다. 더욱이 농 은 노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도시 지역에 비해 3배 가량이 높았고, 2005년에 실시한

인구주택 총 조사 결과에 의하면 재 농 은 고령사회로 어든 것으로

나타났다(통계청, 2006).

고령의 농 거주 노인들은 소득 수 경제 수 이 낮으며, 의료시

설이 부족하고, 독거노인, 과 한 농사일, 건강 인식의 문제가 있다. 2006

년 통계청 발표에서는 경제 어려움이 노인들의 가장 큰 문제라고 하

다. 이승용(2007)의 연구에서도 농 거주 노인들은 경제 어려움 때문에

의료비 감을 가장 비 있는 문제라 인식하며 정책 건강검진을 원하고

있었다.

농 노인의 고령화 증가와 더불어 고 압, 당뇨, 뇌졸 , 동맥경화 등

과 같은 만성질환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2006년 통계청이 발표한 사망원

인 통계 결과 65세 이상의 경우 뇌 질환이 암 다음으로 높은 비율

을 차지했다. 부분 사망자는 65세 이상 고령층에 속하며 뇌졸 사망률

은 연령에 따라 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매 5년마다 약 2배 정

도 증가한다. 고령화가 뚜렷한 농 노인들은 동맥경화증 련 질환이 조

기 발견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오효숙, 2007).

동맥경화증의 지표가 될 수 있는 경동맥 내 막 두께(intima-medi

thickness, IMT) 측정은 비침습 이며 험이 없고 편리하게 검사할 수

있다(조유리, 김 , 김하동, 최성희, 김수경, 2003). 이 검사를 통해 허

Page 14: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2 -

성 심질환과 뇌졸 의 험이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고(O'Leary et al.

1999), 상동맥질환군에서 경동맥 내 막 두께가 유의하게 두꺼웠다는

보고도 있다(Terry et al., 2003).

기존의 연구들(이 훈 등, 2006; Terry et al., 2003)은 심 질환이나

타 질환을 갖고 형 병원에 내원한 상을 심으로 연구하거나 병원에

서 건강검진을 받는 상자들을 연구했다. 일반 인구를 상으로 경동맥

내 막 두께의 정상유무와 련된 요인을 연구한 자료는 부족하다. 본 연

구에서는 농 지역에 거주하는 일반 노인 인구를 상으로 경동맥 내

막 두께의 정상유무와 련된 요인을 연구함으로써 질환의 방 검

진을 좀 더 보편화 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2 . 연 구 문제

농 지역 거주 노인들의 경동맥 내 막 두께의 정상유무와 련된 요인

을 악하고자 한다.

3. 구 체 연 구 문제

1) 연령은 농 노인들의 경동맥 내 막 두께의 정상유무와 련이 있는가?

2) 성별은 농 노인들의 경동맥 내 막 두께의 정상유무와 련이 있는가?

3) 체질량지수는 농 노인들의 경동맥 내 막 두께의 정상유무와 련이

있는가?

4) 압은 농 노인들의 경동맥 내 막 두께의 정상유무와 련이 있는가?

5) 음주는 농 노인들의 경동맥 내 막 두께의 정상유무와 련이 있는

가?

6) 운동여부는 농 노인들의 경동맥 내 막 두께의 정상유무와 련이

Page 15: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3 -

있는가?

7) 성지방은 농 노인들의 경동맥 내 막 두께의 정상유무와 련이 있는가?

8) 간효소 수치(ALT, AST)는 농 노인들의 경동맥 내 막 두께의 정상

유무와 련이 있는가?

4 . 용 어 정의

① 경동맥 내 막 두께(IMT)의 정상유무

경동맥 내 막 두께(IMT)는 음 상 내강과 내막의 경계

부 로부터 막과 외막의 경계 부 까지의 거리로 정의한다

(신해원, 2006). 본 연구에서는 좌측, 우측 총 경동맥과 내경동맥의 내 막

두께가 외막에서 내막까지의 거리를 1.2 mm 이상 증가시 비정상 집단으

로 구분한다(조성원, 2004).

② 음주 운동

음주란 술을 마심을 말하고, 운동이란 몸을 단련하거나 건강을 하여

몸을 움직이는 일을 말한다(표 국어 사 , 2008). 본 연구에서는 음주유

무와 운동여부도 조사하 다.

③ 체질량지수(BMI)

체질량지수란 키와 몸무게를 이용하여 지방의 양을 추정하는 비만 측정

법이다(황경하, 2006). 본 연구에서는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가 20kg/㎡ 미만이면 체 , 20-24kg/㎡이면 정상, 25kg/㎡ 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하 다(홍미령, 박종한, 변용찬, 장병원, 2004).

④ 압

압이란 심장에서 액을 어낼 때, 내에 생기는 압력으로 흔히

Page 16: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4 -

동맥 압을 가리킨다(표 국어 사 , 2008). 본 연구에서는 수동 압계

로 수축기 압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압 90mmHg 이상을 고

압인 것으로 정의하 다(배종화 등, 2005).

⑤ 성지방(Triglyceride, TG)

성지방이란 식이 의 주요한 지방질 성분이다(이경률, 2004). 본 연

구에서는 녁식사 후 12시간 이상 공복인 상태에서 액 검사를 하여

성지방 수치가 200mg/dl이하인 경우 정상으로 보았다(이경률, 2004).

⑥간효소 수치(Aminotransferase)

Aminotransferase란 아미노산과 토산 간의 아미노기의 이반응을

매하는 효소이다(이귀녕, 김진규, 1988). 본 연구에서는 ALT의 정상범

는 8-41U/L이고, AST의 정상범 는 5-38U/L이다(이경률, 2004).

Page 17: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5 -

제2장. 문헌 고 찰

1 . 농 노인 특 성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율은 차 증가하여 2000년에는 체

인구의 7%에 도달한 고령화 사회에 어들었고, 재 약 10%수 에 육

박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더욱 가속화되어 2018년에는 14%인 고령사

회, 2026년에는 고령 사회에 도달할 망이어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

도의 인구고령화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고

령화가 속히 진행된 우리나라의 노인 86.7%는 고 압, 당뇨 등의 만

성질환을 한 가지 이상 앓고 있으며, 지역별로는 동부보다 읍·면부 지역

이, 성별로는 남자보다 여자노인이, 그리고 연령이 높을수록 만성 질환 유

병률이 높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9). 배철 (1994)은 우리나라 노인들

치료 가능한 질환을 제때 발견하지 못해 심각한 질환으로 발 되는 경

우가 많다고 했다. 의학은 치료 심에서 방 심으로 가고 있고, 이

에 따라 노인들의 건강상태를 사 에 평가하여 도움을 주는 일은 매우

요하다고 생각된다.

농 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특성은 경제 으로 취약한 상태이며 자녀와

지리 으로 떨어져 혼자 사는 노인이 많고, 지역 으로 교통이 불편하다

는 것이다. 그리고 건강과 직결되어 있는 보건의료서비스는 의료 달체계

가 미비한 농 지역에서는 거의 부재한 실정이다. 특히 자녀와 동거하는

비율이 낮아 병이 났을 경우에는 주변으로부터 도움을 얻기 힘들기 때문

에 보호와 부양문제의 의료서비스가 필요하다(권용기, 2005).

Rosenblatt et al. (2001)도 농 에서 도시로 갈수록 더 질 좋은 의료 서

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고 발표하 고, 보건복지통계연보(보건복지부,

2006)에 의하면 도시와 농 간의 의료서비스 차이가 크다고 보고하 다.

Page 18: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6 -

각 지역간의 의료기 분포를 보면, 2004년 의료시설은 90%가 도시지역

에 편 되어 있었다. 의료기 의 도시편 으로 의료서비스에 근하기 힘

든 농 에서는 의료보험료를 내면서도 의료혜택을 제 로 받지 못하고 있

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방 진료가 시 한 실정이다.

2. 노인 질 환

우리나라 노인의 주요 사망원인을 살펴보면 1980년 이후 고 압, 뇌졸

과 련된 순환기 질환과 악성 신생물인 암이 부각되었고, 2006년에는

65세 이상 인구의 사망원인 1 는 암이고, 2 가 뇌 질환, 심장질환,

당뇨질환 순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통계청, 2006). 이와 같이 노

인의 주요 사망원인인 질환은 진행양상 질병특성이 암에 비해 독

특하므로 만성질환의 치료를 해서는 조기 발견도 요하지만 더욱 요

한 것은 질환의 방이다(이석구, 배상수, 2001). 만성질환이란 6개월 혹은

1년 이상 질병이 지속되는 상태로 고 압, 당뇨, 뇌졸 , 고지 증 등을 포

함한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9). 1999년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조사

한 65세 이상 노인의 만성질병 상태를 살펴보면 체 노인의 86.7%가 한

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농 지역 노인들의 만성질환 유

병률이 89.1%로 도시지역의 85.3%에 비해 약간 높은 수 이었다(표1, 2).

2001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뇌졸 과 허 성심질환과 련된 조사에서

농 지역 거주자, 학력, 소득 등 사회경제 수 이 낮은 계층에서 유

병률이 높은 수 을 나타냈다고 보고했다.

질병 리본부(2007)의 국민건강 양조사 결과보고서에 의하면 동맥경

화의 험인자로 여러 연구에서 발표되었던 고 압, 비만율, 콜 스테롤,

성지방 등은 도시지역 노인에 비해 농 지역 노인이 수치상 낮았음에도

만성질환 유병률은 높게 나타났다.

Page 19: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7 -

구분 체 65-69세 70-74세 75세이상

국 86.7 85.2 87.6 87.8

동부 85.3 82.9 88.1 85.8

읍・면부 89.1 89.6 86.8 90.7

만성질환

유병률

확정형고 압

유병률

비만도 성지방

(>210u/l)

총콜 스테롤

(>240mg/dl )체 비만

지역

도시 86.6 38.4 9.0 29.6 6.5 14.0

농 90.4 29.1 13.1 18.9 10.0 12.7

성별

남자 83.0 27.3 15.5 11.2 9.8 6.4

여자 91.0 39.0 8.0 33.3 6.9 17.6

표1. 지역별 65세 이상 노인의 만성 질환 유병률

자료: 국 노인 생활실태 복지욕구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9)

표2. 도시와 농 의 질환율 비교

1998년도 국민건강 양조사 결과보고서. (보건 복지부, 1999)

Page 20: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8 -

3. 노인의 동맥경화 증

동맥경화증은 신질환으로 65세 이상의 노인에서 유병률과 치사율이

높은 질환이고, 경동맥의 동맥경화증은 개체에서 동맥경화의 정도를 추정

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한 동맥경화증은 뇌 질환과 허 성

상동맥질환에 깊은 연 계를 보이며 신동맥경화증에 한 유용한

지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Crouse & Thompson, 1993). 동맥경화증의 주

험인자는 나이, 고 압, 고지 증, 흡연 당뇨병이며, 이 험인자들이

동맥경화증의 정도를 35~40% 측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콜 스테

롤과 성지방의 증가는 상동맥질환과 동맥경화성질환의 발생빈도를 높

인다고 보고되었다(O'Leary et al., 1999). 신 우(1997)는 66-93세인 상

자 에서 동맥경화증 환자비율은 남자가 93.5%, 여자가 73.1%이고 체

의 80% 다고 보고하 다. 차 고령화되고 있는 인구구성비를 감안할

때 국내 노인에서의 동맥경화증 빈도도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노인의 동맥경화증에 한 많은 심과 연구가 지속 으로 필요할 것이

다.

4 . 경동맥 내 막 두께( C a r o t i d I n t i m a - M e d i a T h i c k n e s s )

경동맥 내 막 두께(IMT) 측정은 최근 연구에선 동맥경화나 고 험군

심 계 환자들의 임상 평가를 한 지표로서 형태학 인 변화를 악

하며 사용되고 있다. B-mode 음 를 이용하여 측정한 경동맥 내 막

두께는 조직학 내 막 두께와 비슷하고 재 성이 높으며, 비교 검사

가 용이하고 비침습 으로 안 하게 경동맥 죽상경화반의 진행을 추

찰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Whally, Gamble, Doughty, & Sharpe,

1996). Kannel(1998)은 경동맥 내 막 두께가 심 계 험정도의 유용

Page 21: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9 -

한 평가지표인 랭 험 험지수와 독립 상 계가 있음을 보고하

다. 따라서 동맥경화의 비 인 지표의 하나로 경동맥 내 막 두께 측

정이 추천되고 있다. 그러므로 내 막 두께가 두껍다는 것은 조기 동맥

경화증의 표식자일 뿐 아니라 상동맥질환이나 뇌졸 의 독립 인 험

인자로 알려져 있어 동맥경화성 질환의 험성을 측하는 신뢰도 높은

비침습 검사이다(Smith, Greenland, & Grundy, 2000).

B-mode 음 로 측정한 경동맥 내 막 두께는 내 (intraobserver)

외 (interobserver) 측오차가 0.1mm 이하로 재 성이 높아 추 찰

에 문제가 없다. 그 측정방법에 있어서 경동맥을 흔히 총경동맥, 경동맥구

부, 분지부의 세 부분으로 나 어 각각의 최고 측정치를 구한다. 좌우 총

12곳의 측정치를 평균 경동맥 내 막 두께로 사용하는 것이 이상 이다

(조성원, 2004). 최근에는 정상 성인과 비교하여 경동맥 내 막 두께가

질환의 측요인이 될 수 있다는 연구를 토 로 경동맥 내 막 두께

측정을 기 으로 방 치료가 심의 상이 되고 있다(Spence,

Elasziw & Dicicco, 2002).

5 . 경동맥 내 막 두께에 향 을 미 치 는 변 수

경동맥 내 막 두께에 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여러연구에서 발표된 바

있다. 박진아, 김철식, 박종숙(2005)의 연구에서는 연령, 수축기 이완기

압이 경동맥 내 막 평균치와 유의한 계가 있다고 했다. 정상수의 연

구(2001)에서는 연령증가, 남성, 체질량지수가 향을 미치는 험인자로

보았다. 경동맥 내 막 두께는 연령, 당뇨병, 고 압, 청 총콜 스테

롤, LDL과 양의 상 계가 있으며, HDL과는 음의 상 계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조유리, 김 , 김하동, 최성희, 김수경, 2003). 한 복부비

만, 고 압, 당뇨 등이 동반된 경우 경동맥 내 막 두께를 유의하게 증가

시킨다고 보고하 다(Uribina, Srinivasan, Tang, Bond, & Kieltykal Berenson,

Page 22: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10 -

2002). Alanine-aminotransferase는 간에 포함되어 있는 아미노기 간 효소

로서 간장애시 수치가 증가한다. Fracanzani et al. (2008)는 Alanine-am

inotransferase 치와 경동맥 내 막 두께의 계는 통계 으로 유의하다고

보고하 다. 국내 연구에서도 간효소 수치를 통해 지방간과 경동맥 내

막 두께는 유의하다고 보고하 다(최수연 등, 2006).

Cantu-Brito, Rodriguez-S aldana, R eynoso-M arenco, M arm olejo-H end erson,

& Barinagarr-enmenteria (1999)는 일반 성인에서 경동맥 내 막 두께와

련있는 변수로 고령, 고 압, 고지 증, 당뇨를 보고하 다. 한, Howard

et al. (1998)는 경동맥 내 막 두께와 련 있는 변수로 연령과 흡연이라

하 다. Csanyi, Egervari, Nagy (2001)도 고 압과 흡연이 경동맥 내 막

두께에 가장 향을 주는 험인자로 보고하 다. Ulf et al. (2005)는 알

콜섭취가 남자에서 경동맥 내 막 두께와 계가 있다고 보고하 다.

Tanaka(2002)는 습 운동은 경동맥의 확장 압력을 감소시키므로 연령

이 증가할수록 방 운동이 필요하다고 하 다.

선행 연구들에서 경동맥 내 막 두께에 향을 미치는 변수로 연령이

가장 많았고 성별, 고 압, 체질량지수, 당뇨, 콜 스테롤, 흡연, 운동, 알

콜 등이 보고되었다. 이 훈 등(2006)을 제외한 부분 문헌에서 상자

주거상태는 도시이며 상자 수집도 형 병원에 다른 질환으로 내원한

환자들을 상으로 조사되었다(표3).

농 지역 거주 노인은 지리 근이 힘들어 질환의 조기 발견과

치료가 잘 안되고 있는 상황에서 방 리가 시 하다. 본 연구에서는

농 노인들의 경동맥 내 막 두께 정상유무와 련된 요인을 악하고자

한다.

Page 23: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1

1 -

변수

논문

Sex

Ag

e H

igh

b

loo

d

pre

ssu

reA

lco

hic

BM

I

Ch

ole

ster

ol

TG

상자

주거

태(도

or

농)

상자

수집

기타

연구

변수

Cel

ema

jer

et a

l.(1

994

)

남성

*>

연령

Ho

spit

al

(Pt.

wit

h

coro

na

ry a

rter

y

dis

ease

)

기*

흡연

*

Ca

ntu

-B

rito

C

et a

l.

(

199

9)

남성

<여

연령

수축

기압

고콜

스테

증멕

시코

시티

in

145

C

UP

A

pa

rtic

ipa

nts

Jam

s.

et

al

(20

03)

남성

>여

령*

excl

ud

e<4

5yea

r

Rec

ruit

ed

for

the

caro

tid

a

rter

y

foll

ow

u

p s

tud

y

fro

m C

AD

p

ati

ent

hei

gh

t*

CA

D

an

d I

A

dia

met

er*

Uri

bin

a

et.a

l

(20

02)

남성

*>

령*

수축

기압

*H

DL

*

LD

L*

enro

lled

Bo

ga

lusa

Hea

rt

Stu

dy

흑인

*>

백인

,인슐

허리

이훈

(20

06)

여성

*>

50y

ear*

(20

~75

세)

<50

yea

r*총

콜스

테롤

*

*

남지

역2개

갑상

선질

병유

병률

조사

참여

조유

(20

03)

여성

연령

(30

~79

세)

수축

기압

**

이완

기압

**

B

MI*

*총

콜스

테롤

*

*

한국

건강

리회

건강

검진

상자

신이

(20

04)

5

5±8

BM

I*

T

G*

검진

센터

내원

조성

(20

04)

수축

기압

*

이완

기압

*총

콜스

테롤

*병

원내

원자

고압

단자

L

VM

I*

맥압

*

조길

(19

91)

남성

*<

58±

11

수축

기압

*

이완

기압

*

알콜

*총

콜스

테롤

*

순환

기내

진료

받은

자흡

연*

표3.

경동

맥 내

막 두

께와

된 문

헌 고

**

p<.0

1

* p<.0

5

C

AD

: co

ron

ary

art

ery

dis

ease

Page 24: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12 -

제3장. 연 구 방 법

1 . 연 구 설 계

본 연구는 농 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일반 노인들을 상으로 경동

맥 음 검사를 하여 경동맥 내 막 두께와 련된 요인들을 알아보는

서술 계연구이다.

2. 연 구 상자 표 집 방 법

( 1 ) 상

본 연구는 충청도 태안군 태안읍에 거주하는 노인들 3,368명(통계연보,

2008) 에서 B-mode 음 로 경동맥 4부 의 내 막 두께를 측정한 308명

을 상으로 임의표본추출을 하 다.

상자 선정기 은 다음과 같다.

1) 3개 마을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

2) 질문지의 내용을 이해하고, 연구참여에 동의한 자

3) 12시간 공복상태를 유지한 자

Page 25: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13 -

( 2) 방 법 차

자료수집 기간은 2008년 10월 1일부터 동년 10월 5일까지 실시하 다.

충청도 태안군 태안읍 3개 마을(창지리, 인평리, 장산리)에서 검진에 응한

만 65세 이상의 일반 농 노인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상

자모집은 일주일 검진 정자 명단을 마을 표에게 미리 받고 식

련 필요사항을 달하 다. 간단한 교육을 미리 받은 조사원 한 명은 당

일 검진 노인들에게 연구동의서에 친필사인을 받았고, 다른 조사원은 국

문해독이 어려운 노인들을 해 설문지작성에 참여하 다. 훈련된 조사원

이 자동 신체계측기로 측정한 키와 몸무게를 이용하여 상 노인들의 체

질량지수(BMI)를 측정하 다. 숙련된 간호사가 수동 수은 압계로 수축

기, 이완기 압을 구하고, 고 압은 수축기 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

완기 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로 하 다(배종화 등, 2005). 녁식사 후

12시간 이상 식상태로 측정한 액검사를 시행하여 간효소 수치(ALT,

AST)와 성지방(TG)의 결과치를 측정하 다.

다음으로 경험이 있는 음 사가 경동맥 내 막 두께(IMT)를 측정하

다. 상노인을 편안한 상태로 침 에 눕게 한 후 턱을 최 한 들어올

리고 우측과 좌측으로 돌려 Probe방향과 수평인 상태로 스캔 비를 하

다. 경동맥 음 (Sono ACE, 128 BW)의 7.5 MHZ probe를 사용하여 측정하

고 측정부 는 총경동맥에서 경동맥 분지부 로 이행하는 경계부로부터 근

부 2cm구간의 원 부 벽(near wall)의 총경동맥(common carotid artery)과

근 내경동맥( proximal internal carotid artery)을 사용하 다.

Gain과 image 조(contrast)는 60dB에서 목 두께에 따라 보상(compensation)하며

스캔하 다. 내 막 두께(IMT)는 음 상 내강과 내막(intima)의 경

계부 로부터 막(media)과 외막(adventitia)의 경계부 까지의 거리로

정의하 다(그림 2,3). 그외 부 는 불규칙하게 두꺼워지고 국소 인 비후와

석회성에 의해 내 막 두께가 1.2 mm 이상인 경우를 비정상 집단으로 분류하

Page 26: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14 -

다(조성원, 2004).

3. 자 료 분 석 방 법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 13.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1) 연구 상자와 변수의 일반 특성은 서술통계를 사용하 다.

2) 경동맥 내 막 두께의 정상유무와 연구변수들을 χ²-test 분석하 다.

3) 경동맥 내 막 두께의 정상유무와 련요인을 악하기 해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하 다.

Page 27: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15 -

그림 2. 좌측 총경동맥 내중막 두께 죽상경화 이미지

(단축, 2.4 mm)

그림 1. 좌측 총경동맥 내중막 두께 초음파 이미지

(장축, 1.7 mm)

Page 28: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16 -

변수 구분 빈도(명) 백분율(%)

성별 남자 118 38.0

여자 190 61.9

나이 60 44 14.1

70 185 59.9

80 76 24.7

90 4 1.3

학력 무학 148 47.0

졸(자퇴포함) 97 31.2

졸(자퇴포함) 38 13.3

고졸(자퇴포함) 18 5.7

무응답 7 2.8

음주여부 한다 34 10.7

안한다 275 87.8

운동여부 한다 41 11.4

안한다 267 88.6

제4 장. 연 구 결 과

1 . 상자 일반 특 성

상자는 창지리, 인평리, 장산리에 거주하는 노인들 검진에 응한 총

308명을 상으로 하 다. 그 남자노인이 118명(38.1%), 여자노인이

190명(61.9%)으로 여자 노인인구가 많았다. 나이별로는 60 노인이 44명

(14.1%), 70 노인이 185명(59.1%), 80 가 76명(24.7%), 90 노인이 4

명(1.3%)으로 연령별로는 70, 80 의 노인이 부분을 차지했다. 학력별로

는 무학 148명(47%), 졸 97명(31.2%), 졸 38명(13.3%), 고졸이 18명

(5.7%), 무응답 7명(2.8%)으로 졸이하 학력이 다수를 차지했다(표4).

표 4. 상자의 일반 특성 (N=308)

Page 29: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17 -

2. 변 수들 의 정상유무와 평 균 지표

수축기 압 평균은 130.8±16.0mmHg이고 정상 198명(63.2%), 비정상은

110명(35.3%)으로 정상군이 더 많았다. 이완기 압은 평균 80.67±10.9

mmHg이고 정상 213명(68.3%), 비정상 95명(30.2%)로 정상 압이 더 많

게 나타났다. 한 체질량지수는 평균 23.83±2.84이고 정상 210명(67.3%),

비정상 98명(31.4%)으로 정상이 많게 측정되었다. 성지방은 평균이

198.96±37.2mg/dl이었고 정상 163명(52.2%), 비정상이 145명(46.5%)으로

정상분포가 많았다. AST는 평균 24.2±16.4U/L이고 정상 296명(94.9%),

비정상 12명(3.8%)이다. ALT는 평균 19.54±11.58U/L이고 정상 297명

(94.9%), 비정상 12명(3.8%)으로 수치상 부분 정상이 많았다. 음주여부

에 한 질문에 34명(10.7%)이 ‘술을 마신다.’고 했고, 부분인 274명

(87.8%)이 ‘술을 안 마신다’고 하 다. 운동유무에 해 41명(11.4%)이 ‘주

1회 이상 한다’고 했고, 267명(88.6)은 ‘안한다’고 하 다(표5).

Page 30: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18 -

변수 평균±표준편차정상 비정상

n (%) n (%)

AST(U/L) 24.2±16.4 296(94.9) 12(3.8)

ALT(U/L) 19.5±11.5 297(95.2) 11(3.5)

중성지방(mg/dl) 198.9±37.2 163(52.2) 145(46.5)

BMI(kg/㎡) 23.8±2.8 210(67.3) 98(31.4)

수축기혈압(mmHg) 130.8±16.0 201(67.9) 105(35.3)

이완기혈압(mmHg) 80.6±10.9 213(68.3) 95(30.2)

표5. 변수들의 정상유무와 평균지표

(N=308)

missing data were excluded.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 Alanine Aminotranseferase

BMI: Body Mass Index

Page 31: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19 -

3. 경동맥 내 막 두께 정상유무와 변 수들 과의 계

경동맥 내 막 두께 정상유무에 따른 변수들과의 계를 알아보기 해

χ2-test로 분석하 다. 만일 최소 기 빈도가 5미만일 경우는 Fisher 검정

(Fisher's exact test)을 사용하 다.

경동맥 내 막 두께 정상군과 비정상군을 남녀별로 살펴보았다. 남자는 정

상군 34명(29.5%), 비정상군 84명(70.5%)으로 경동맥 내 막 두께 비정상

군에 더 많았다. 여자는 정상군 87명(45.8%), 비정상군 103명(54.2%)이

고, 경동맥 정상군보다 비정상군에 더 많았다. 따라서 성별과 경동맥 내

막 두께는 통계 으로 련이 있었다(χ2=8.975, p=.003).

연령별로 60 가 정상군 17명(40.5%), 비정상군 25명(59.5%)이었고, 70

에서 정상군 78명(47.9%), 비정상군 85명(52.1%), 80 에서 정상군 20명

(27.8%), 비정상군 52명(72.2%), 90 는 정상군은 없었고, 비정상군 4명

(100%)이었다. 따라서 연령과 경동맥 내 막 두께의 유무는 통계 으로

유의하 다(χ2=9.754, p=.002).

정상 이완기 압에서 경동맥 정상군 122명(57.3%), 경동맥 비정상군 91

명(42.7%)이고, 이완기 고 압에서 경동맥 정상군 64명(68.1%), 비정상군

30명(31.9%)이었다. 따라서 이완기 압과 경동맥 내 막 두께는 유의한

련성이 있었다(χ2=3.190, p=.048).

성지방이 정상에서 경동맥 내 막 두께 정상군이 111명(68.9%), 비정

상군 50명(31.1%)이고, 성지방에서 경동맥 내 막 두께 정상군이 73명

(51.0%), 비정상군 70명(49.0%)으로 성지방과 경동맥 내 막 두께는 통

계 으로 유의하 다(χ2=10.151, p=.001)(표6). 간효소 수치(ALT, AST)에

해서 Fisher 검정(Fisher's exact test)을 실시하 다(표6). 검정 결과 간

효소 수치는 경동맥 내 막 두께 집단과는 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32: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20 -

변 수 구 분

경동맥두께

정상

경동맥두께

비정상 χ2

(p-value )

Fisher 검정

(p-value) 빈도 (%) 빈도(%)

성별남자 34(29.5) 84(70.5) 8.795

여자 87(45.8) 103(54.2) (0.003)**

연령 60 17(40.5) 25(59.5) 9.754

70 78(47.9) 85(52.1) (0.002)**

80 20(27.8) 52(72.2)

90 0(0) 4(100)

BMI

(kg/m2

)

정상 129(61.4) 81(38.6) 0.275

비만 58(59.2) 40(40.8) (0.600)

이완기 압

(mmHg)

정상 122(57.3) 91(42.7) 3.190

고 압 64(68.1) 30(31.9) (0.048)*

수축기 압

(mmHg)

정상 120(60.9) 77(39.1) 0.101

고 압 66(60.0) 44(40.0) (0.751)

운동여부

운동 안한다 109(42.1) 150(57.9) 1.105

주1번,20분이

상한다 10(32.3) 21( 67.7) (0.293)

음주여부

마신다 9(27.3) 24( 72.7) 2.282

안 마신다 112(40.9) 162(59.1) (0.131)

AST(U/L)

정상 176(60.3) 116(39.7) 0.197

(0.770)

비정상 8(66.7) 4( 33.3) (0.657)

ALT(U/L)

정상 179(61.1) 114(38.9) 1.085

(0.353)비정상 5(45.5) 6( 54.5) (0.298)

성지방

(mg/dl)

정상 111(68.9) 64(31.1) 10.151

비정상 87(51.0) 56(49.0) (0.001)**

표6. 농 노인의 경동맥 내 막 두께 정상유무에 따른 변수들과의 계

(N=308)

**p<.01 *p <.05

missing data were excluded. BMi: Body Mass Index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 Alanine Aminotranseferase

TG: Triglyceride

Page 33: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21 -

4 . 농 노인들 의 경동맥 내 막 두께 험 요인

농 노인의 경동맥 내 막 두께의 험 요인을 알아보기 하여 로지스

틱 회귀분석을 실시하 다. Hosmer-Lemeshow 검정한 결과 χ2=6.899,

df=8, p=0.548로 나타나 모델이 합하다고 할 수 있다. 성별, 연령,은 통

계 으로 유의하게 양의 계를 보 으며, 이완기 압, 성지방은 음의

계를 보 고 유의하지 않았다. 즉, 남자가 경동맥 내 막 두께 비정상

집단에 속할 가능성은 2.1배 다(OR=2.135, p<.004). 연령이 증가할수록 경

동맥 내 막 두께 비정상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1.67배 다(OR=1.677,

p<.008). 이완기 압, 성지방은 경동맥 내 막 두께 정상유무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으로 농 거주 노인들의 경동

맥 내 막 두께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으로 악되었다

(표7).

Page 34: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22 -

변 수 b S.E. Wald 유의확률 승산비 95%신뢰구간

성별 .758 .261 8.458 .004**

2.135 1.281-3.560

연령 .517 .194 7.124 .008** 1.677 1.147-2.452

성지방

(mg/dl)-.005 .003 1.946 .163 .995 .989-1.002

이완기 압

(mmHg)-0.14 .011 1.576 .209 .986 .965-1.008

constant 1.113 1.215 .839 .360 3.044

표7. 농 노인의 경동맥 내 막 두께 정상유무와 련 요인

(N=308)

** p < .01 * p < .05

종속변수(정상 집단=0, 비정상 집단= 1)

성별(여자=0, 남자=1)

Page 35: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23 -

제5 장. 논의 제언

경동맥 련 선행 연구들은 부분 심 질환이나 이미 동맥경화증이 있

는 환자와 병원 내원자들을 상으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는 농 에 거주하는

만 65세 일반노인을 상으로 경동맥 음 검사를 시행하여 내 막 두께

정상유무와 련된 요인을 악하 다.

경동맥 내 막 두께와 험 요인들과의 련성에 한 많은 연구가 보고되

고 있다. Lorenz(2006)의 연구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경동맥 내 막 두께가 두

꺼워졌다고 보고하 고, 조유리 등(2003)도 경동맥 내 막 두께에 향을 주

는 요인은 연령이라고 하 다. 이 훈 등(2006)의 연구에서도 연령은 내 막

두께 증가와 련된 가장 요한 요인이며 이는 연령이 직 인 향이기

보다는 연령이 증가함으로 인해 다른 요인들이 변화되는 것이라 추정했다. 본

연구에서도 농 노인의 연령 증가는 경동맥 내 막 두께에 향을 주는 요

인으로 악되었다. 따라서 연령은 상 집단의 과거 질환 유무나 지역 특

성과 계없이 경동맥 내 막 두께 증가의 요한 측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성별에 따라 경동맥 내 막 두께와 련 변수들은 많은 연구에서 보고

되었다. 신 우(2007)는 남자가 여자보다 모든 연령에서 경동맥 내 막 두

께가 더 두껍다고 보고하 다. Stensland-Bugge & Oddmund (2000)는

남자에서 흡연과 운동 유무가 경동맥 내 막 두께의 험 요인이고 여자

에서는 성지방과 당뇨가 험 요인이라고 보고하 다. 성별에 따른 경

동맥 내 막 두께의 차이는 남녀의 생활양식이 다른 데서 오는 간 결

과라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도 남자에서 경동맥 내 막 두께가 비정상 집

단에 속할 험비가 높게 나왔다. 이는 선행연구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선행연구에서 성지방은 심 질환의 주요 험 요인이며, 성지방

Page 36: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24 -

이 높을수록 여자에서 경동맥 내 막 두께 증가와 계가 있다고 보고하

다(Stensland-Bugge & Oddmund, 2000). 반면 조유리 등(2003)의 연구에

서는 성지방은 경동맥 내 막 두께와 련이 없다고 보고하 다. 성

지방에 한 선행연구는 보고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

에서도 카이 검정 결과 성지방은 경동맥 두께 정상유무와 유의한 련

성은 있지만 험요인으로 악되지는 않았다. 이는 성지방은 연령과

성별의 다른 변수에 향을 받아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을 것이라 사료

된다.

신해원(2006)은 압은 성별에 계없이 경동맥 내 막 두께의 측 인

자라고 하 다. 조성원(2004)의 연구도 경동맥 내 막 두께 증가와 압은

련이 있으며 특히 압과 맥압 증가는 경동맥의 신 성과 유순도를 감

소시켜 하게 내 막 두께를 증가시킨다고 보고하 다. 본 연구는 이

완기 압과 경동맥 내 막 두께의 정상유무와는 유의한 련성이 있었

다. 그러나 로지스틱 분석 결과 이완기 압은 경동맥 내 막 두께에

향을 미치는 험요인으로 악되지는 않았다. 이 훈 등(2006)의 연구 결

과에서 50세 미만은 압이 뚜렷한 험요인이었으나 50세 이후에선 압

은 련성이 어드는 반면 콜 스테롤과 흡연이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고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콜 스테롤과 흡연을 다루지는 못하

지만 65세 이상 노인만을 상으로 연구되었기 때문에 의 연구와 같은

맥락에서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간효소 수치와 BMI는 경동맥 내 막 두께와 유의한 련성이 있다고

보고되었다(Fracanzani et al., 2008; 최수연 등, 2006). 특히 BMI 증가는

경동맥 내 막 두께의 요변수라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BMI는 경동맥 내 막 두께의 정상유무와 통계 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선행연구에 비해 경동맥 내 막 두께 정상유무와 간효소 수치나

BMI가 련성이 낮은 이유는 식습 의 차이와 지역 특성이 연 되어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한 여성인구 빈도가 높은 본 연구에서 성별이

Page 37: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25 -

간효소 수치나 BMI 결과에 간 향을 주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Ulf et al. (2005)은 알코올 섭취가 남자에서 경동맥 내 막 두께와 계

가 있다고 보고하 다. 반면 Demirovic et al. (1993)의 연구는 음주력과

경동맥 내 막 두께와의 련성은 없다고 보고하 다. 본 연구에서는 음

주유무는 통계 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본 연구가 장기

추 찰에 의한 연구가 아닌 단면연구이고 한 연구의 설문내용이

좀 더 세분화 되지 못했고 회상 바이어스도 결과에 향을 주었다고 사료

된다.

운동여부가 경동맥 내 막 두께와 련성이 있는가는 선행연구마다 보

고의 차이가 있다. Tanaka(2002)는 습 운동은 경동맥의 확장압력을

감소시키므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방 운동이 필요하다고 하 다. 반면

이 훈 등(2006)의 연구에서 운동은 경동맥 두께와 유의한 련성이 없다

고 보고했다. 본 연구에서도 운동 유무와 경동맥 내 막 두께와 유의한

련성은 없게 분석되었다. 이는 본 연구의 상자 특성상 규칙 운동을

하는 집단이 어 운동량에 따라 세분화하지 못하고 운동유무로 통합하여

분석하 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선행연구에서는 경동맥 내 막 두께와 련된 변수로 당뇨, 콜 스테롤,

흡연, 식이 그리고 사증후군 등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심 질환의

요 요인으로 흡연은 유의하다고 보고하 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다양

한 변수들을 다루지 못한 부분이 있다. 이후 연구에서는 일반 농 노인의

경동맥 내 막 두께와 련된 더 다양한 변수들의 인과 계를 알아보아

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토 로 제언 은 첫째, 요한 변수임에도 경동맥 내 막 두

께의 정상유무와 연 성을 검증하지 못한 간효소 수치, BMI, 음주유무,

운동여부 등의 변수들을 장기 추 찰을 통해 인과 계를 찾아야 할

것이다. 둘째, 농 노인의 경동맥 내 막 두께 정상유무의 요변수인

성지방, 압은 차후 연구들에서 좀 더 많은 표본으로 검증되어져야 할

Page 38: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26 -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흡연, 당뇨, 콜 스테롤, 식이 그

리고 사증후군 등의 변수들과 경동맥 내 막 두께와의 련성도 일반

인구를 상으로 연구되어야 하겠다.

본 연구의 제한 은 첫째, 연구한 노인표본수가 체 농 노인을 표

할 수 없다는 것이며 둘째, 검사 결과에 회상 바이어스와 교란 변수가

향을 주었을 수 있다. 셋째, 경동맥 내 막 두께와 련된 변수들을 다양

하게 연구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넷째, 본 연구는 시간 경과 찰을 통

해 연구하지 않아 근본 으로 단면 연구가 갖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Page 39: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27 -

제6장. 결 론

본 연구는 농 지역 노인의 경동맥 내 막 두께의 정상유무와 련된 요인

을 알아보기 한 서술 계 연구이다. 연구 상은 태안읍 3개 마을에 거주

하고 있는 만 65세 이상의 일반 농 노인들을 임의표본추출 하 으며, 자료

수집은 2008년 10월 5일부터 10월 6일까지 하 다. 설문지, 체질량지수, 압,

액검사, 경동맥 음 검사의 순서로 조사하 고, 308명을 상으로 경동

맥 음 검사를 데이터화 하 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자의 일반 특성상 성별은 여자 노인 인구가 많았고 연령별로는 70,

80 의 노인이 부분을 차지했다. 학력은 무학과 졸이 많았다.

2) 경동맥 내 막 두께 정상유무에 따른 변수들과의 계를 알아보기

해 χ2-test로 분석하 다. 성별(χ2=8.795, p=.003), 연령(χ2=9.754, p=.002),

이완기 압(χ2=3.190, p=.048), 성지방(χ2

=10.151, p=.001)에서 경동맥 내

막 두께 정상유무와 통계 으로 유의하 다.

3) 경동맥 내 막 두께 정상유무와 련된 험요인을 로지스틱 회귀 분석한

결과 유의하게 련 있는 험요인은 연령, 성별이었다.

Page 40: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28 -

참 고 문헌

국립국어원. 표 국어 사 . Retrieved December 20, 2008,

from http://www.korean.go.kr/08_new/index.jsp

권용기. (2005). 노인 질환 실태 의료서비스 응방안: 청송군 보건의료원

내방 환자를 심으로, 미출 석사학 논문, 남 학교, 구

박진아, 김철식, 박종숙. (2005). 비 당뇨성 성인에서 LDL 입자크기와 내 막

두께 인슐린 항성과의 연 성, 당뇨병 학회지, 29(4), 333-343.

보건 복지부. (2006). 2005 보건복지 통계연보. 서울: 자.

배철 . (1994). 노인 환자 리, 가정의학회지, 163(2), 792-801.

배종화, 김철호, 이방헌, 재은, 서일, 홍순표. (2005). 고 압지침서,

서울: 한 고 압학회, 5-10.

신해원. (2006). 여러 가지 진단기 으로 정의된 사증후군과 경동맥 내 막

두께의 련성, 미출 석사학 논문, 연세 학교, 서울.

신이철. (2005). 상동맥 질환을 가진 환자들에 있어서 경동맥 내 막 두께

의 결정인자, 미출 석사학 논문, 계명 학교, 구.

신 우. (1997). 노인에서 경동맥 경화증의 빈도, 노인병학회지, 20(1), 4-7.

Page 41: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29 -

질병 리본부. (2007). 국민건강 양조사 제3기 조사결과 심층분석 연구,

2006, 서울: 자.

오효숙. (2007). 농 지역 일개 군 주민의 유병상태와 의료이용, 호남 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3, 121-128.

이경률. (2004). 실용 임상검사 해설집. 서울: 보문각.

이 훈, 최련화, 신민호, 권순석, 박경수, 정슬기 등. (2006). 경동맥 내 막

두께 죽종과 심 질환 험요인과의 련성, 방의학회지, 39(6),

477-484.

이석구, 배상수. (2001). 새로이 발견된 고 압 환자들의 약물치료 생활양식

개선의도와 순응도와의 계, 방의학회지, 34(4), 314-319.

이승용. (2007). 농 노인의 건강 특성 보건의료 서비스 요구에 한 연구,

미출 석사학 논문, 원 학교, 익산.

정귀애, 장정환, 김성환, 이철갑, 김동 , 김 철. (2004) 정상 성인의 죽상경화

증의 험요인과 경동맥 내 막 두께의 상 계. 한외과학회지, 20(2),

200-208.

정상수. (2001).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경동맥 내 막 두께에 미치는 죽상

경화증 험인자의 분석 항 소 제 치료 효과. 미출 석사학 논

문, 연세 학교, 서울.

Page 42: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30 -

조유리, 김 , 김하동, 최성희, 김수경. (2003). 한국인의 경동맥 내 막 두께

정상치와 죽상 경화증 험인자와의 상 계. 한 내과 학회지, 64(3),

275-283.

조성원. (2004). 고 압 환자에서 맥압과 경동맥 내막- 막 두께와의 상 계.

미출 석사학 논문, 앙 학교, 서울.

최수연, 김동희, 강진희, 박민정, 김 선, 임선희 등. (2006).

심 계 험인자로서 비알콜성 지방간; 경동맥 동맥경화와의 상 계.

한간학회지, 14, 77-88.

통계청. (2006). 주요 사망 통계. In 2006 고령자 통계(pp 26-27), 서울: 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9). 권두언, 한국 보건 복지 포럼, 29(2), 31-3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고령사회의 도래와 정책 방향, 1(3), 3-6.

홍미령, 박종한, 변용찬, 장병원. (2004). 장기요양보호 상 노인의 실태 악

어욕구 조사, 서울: 2004헬스 어 포럼.

황경하. (2006). 한국인의 비만 련 험인자에 한 체지방률 분별치 정립과

이에 근거한 체질량지수(BMI)기 의 제시, 미출 박사학 논문, 을지

학교, .

Cantu-Brito, C., Rodriguez-Saldana, J., Reynoso-Marenco, M. T.,

Marmolejo-Henderson, R., & Barinagarrenmenteria-Aldatz, F. (1999).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carotid atherosclerosis detected by

Page 43: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31 -

ultrasonography. Salud Publcation Mexico, 41, 452-459.

Crouse, J. R., & Thompson, C. J. (1993). An evaluation methods for

imaging and quantifying coronary and carotid lumen stenosis

and atherosclerosis. Journal of Circulation, 87, 17-33.

Demirovic, J., Nabulsi, A., Folsom, A. R., Carpenter, M. A., Szklo, M.,

Sorlie, P. D., & Barnes, R. W. (1993). Alcohol Consumption and

ultrasonographically assessed carotid artery wall thickness

and distensibility, Circulation, 88, 2787-2793.

Stensland-Bugge, E., Bonaa, K. H., & Joakimsen, O. (2000). Sex

Diferences in the Relationship of Risk factor to Subclinical

Carotid Atherosclerosis Measured 15 Years Later, Stroke, 31, 574-581.

Fracanzani, A. L., Burdick, L., Raselli, S., Pedotti, P., Grigore, L., Santorelli,

G., et al. (2008). Carotid artery intima-media thickness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21,

72–78.

Howard, G., Lynne, E., Gregory, L., Ana, D. R., Gregory, W., & Javier,

N. (1998). Cigarette Smoking and Progression of Atherosclerosis.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79(2), 119-124.

Hirofumi, T., Douglas, R. S., Kevin, D. M., Christopher, M. C., Christopher,

A. D., & Frank, A. D. (2002). Regular aerobic exercise and the

age-related increase in carotid intima-media thickeness in healthy men.

Page 44: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32 -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92(4), 1458-1464.

James, G. T., Rong Tang, M. A., Donna, H. D., Jose, L. C., & Vieira, M. J.

(2003). Carotid Arterial Structure in patients with Documented

Coronary Artery Disease - Free Control Subjects. Circulation., 107,

1146-1451.

Kannel, W. B. (1998). Contributions of the Framungham Study to the

conquest of coronary artery disease. Journal of American

Cardiology, 62, 1109-1112.

Matthias, W. L., Stefan, V. K., Helmuth, S., Hugh, S. M., & Matthias, S.

(2006). Carotid Intima-Media Thickening Indicates a Higher Vascular

Risk Across a wide Age Range. Stoke, 37, 87-92.

O'Leary, D. H., Polak, J. F., Kronmal, R. A., Manolio, T. A., Burke, G. L., &

Wolfson, S. J. (1999). Carotid-artery intima and media thickness

as a risk factor for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in older

adult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0, 14-22.

Rosenblatt, R., Balddwin, I. M., Chen, I., Rondyoe, M. A., Hirsch, I. B., &

Parmart, J. P. (2001). Improving the quality of outpatient care for

older patients with diabetes lessons form a comparison of nural

and unban. Communities Journal Family Practice, 1, 676-680.

Spence, J. D., Eliasziw, M., & Dicicco, M. (2002). Carotid Plaque Area -

a Tool for Targeting and Evaluating Vascular Preventive Therapy.

Page 45: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33 -

Stroke, 33, 2916-2922.

Smith, S. C., Greenland, P., & Grundy, S. M. (2000). Identifing the

High-risk patient for primary prevention: Executive Summary.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101, 16.

Ulf, S., Jan, L., Klaus, B., Dietrich, A., Rolf, M., William, G. W., et al. (2005).

Association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Subcinical Carotid Athe

-rosclerosis. Stoke, American Heart Association, In. 36, 1746.

Uribina, E. M., Srinivasan, S. R., Tang, R., Bond, M. G., & Kieltyka, B.

G. (2002). Impact of Multiple Coronary risk factors on the

Intima-Media thickness of different Segments of Carotid Artery in

healthy young adults.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90(99),

953-958.

Whally, G., Gamble, G., Doughty, R., & Sharpe, N. (1996). Validity and

reproducibility of color enhancement of the common carotid artery.

Journal of Amrican Society Echocardiography, 9, 549-555.

Page 46: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34 -

< 부 록 1 > 일반 설 문

N o .

이름: 성 별: 남 , 여

아래 의 질 문은 일반 사항 에 한 것 입 니 다 .

해 당 하는 항 목 에 직 기록 하거나 V 표 해 주세 요.

1. 어르신의 재 연세는 몇 세 입니까? 만( )세

2. 어르신의 최종 학력은 무었입니까?

①무학 ② 등학교 ③ 학교 ④고등학교 ⑤ 학이상

3. 술을 드십니까?

① 먹 는다 ② 안 먹 는다

4.술을 드시면 어느 정도 드십니까?

① 두 서 잔 이상(소주잔)

② 한 병 정도(소주병)

③ 두 병 정도(소주병)

④ 두 병 이상(소주병)

5.운동을 하십니까?(하루 20분 이상의 농어업일 외의 운동성 움직임)

① 한다 ② 안 한다

6.운동을 하시면 일주일 에 몇 회 하십니까?

① 2~3회 이상 ② 3~4회 이상 ③ 매일

Page 47: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35 -

위 치

SIZE(mm)

RCCA LCCARt.

Bifurcation

Lt.

BifurcationRt. ICA Lt. ICA

키(Hight) 몸무게(weight) BMI(Body Mass Index)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ALT(8-42U/L) AST(5-38U/L)중성지방

(Trigriceride) <200mg/dl

< 부 록 2> 검 사별 수치

1 . < 경동맥 내막 두께 크 기>

2. < B M I >

3. < 압 >

4 . < 액 수치 >

Page 48: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36 -

< 부 록 3> 연 구 참 여 설 명 문 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는 아주 보건 학원 학생으로 어르신들의 경동맥 내 막 두께와

련된 요인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일반 농 노인

의 경동맥 내 막 두께와 련된 요인을 알아내어 동맥 경화의 방 보건

체계에 조 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이 연구를 하고자 합니다.

본 연구에 참여하시면 어르신의 경동맥 검사 결과와 액 검사 일부를

의 연구에 사용해도 된다는 동의와 어르신의 일반 사항에 한 설문지

를 작성하시게 됩니다.

어르신의 성의 있는 답변은 제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체 인 분석 결과로만 제시되며 비 이 보장됨을 약속드립니다.

어르신의 건강을 기원하며 본 설문에 응해주셔서 단히 감사드립니다.

아주 학교 보건 학원 신기정 올림

본인은 의 연구 목 을 설명 들었고 이 동의서를 읽고 충분히 이해하 으며,

본 연구에 참여할 것을 동의합니다.

2008 년 월 일 서 명 ( 인)

Page 49: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37 -

A b s t r a c t

Associated risk factors with the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withe the rural

elderly Shin, Gi-Jeong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jou University

P u r p o s 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fine the related risk factors with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MT) of the rural elderly using B mode

ultrasonography.

M a t e r i a l a n d M e t h o d 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st to 5th in 2008 from 308

subjects(118 men, 190 women) aged more than 65 years. The data was

analysed using SPSS 13.0.

R e s u l t s

Consequently, the key results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ample tested consisted of 118 male elderly (38.1%) and 190 female

elderly (61.9%), which demonstrated that, as for gender, the female

predominated the male. As for their age distribution, 44 (14.1%) subjects

were in their 60s, 185 (59.1%) in their 70s, 76 (24.7%) in their 80s and only

4 (1.3%) in their 90s, which means that the large portion were in their 70s

Page 50: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167/1/000000010254.pdf · 몸을 움직이는

- 38 -

and 80s.

(2) In χ2 test analysis, gender(χ2=8.975, p=.003), age(χ2=9.754, p=.002),

diastolic blood pressure(χ2=3.190, p=.048), and triglyceride(χ2

=10.151,

p=.001)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group with unusual values

in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3)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emphasized that the predictive

factors attributed to carotid IMT were with male(OR=2.135, p<.004), the

age(OR=1.677, p<.008).

C o n c l u s i o n

Following these results, the associated risk factors were identified as

age and gender withe carotid IMT for the rural elderly. The study

can be seen as meaningful compared to preceding studies in that it

was done considering the general population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K e y w o r d s : c a r o t i d i n t i m a - m e d i a t h i c k n e s s , r u r a l e l d e r l y ,

a t h e r o s c l e r o s i s , d i a s t o l i c b l o o d p r e s s u r e , t r i g l y c e r i d 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