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138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 2012년 12월 국립재활원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종보고서

Upload: others

Post on 27-Oct-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

2012년 12월

국립재활원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종보고서

제 출 문

국립재활원장 귀하

이 보고서를lsquo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rsquo의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2 12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단 장 이 준 식

주관 연구 기관명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목 차제1장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연구의 필요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연구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3 연구 내용 및 범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4 연구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제2장 공공재활의료지원체계 구축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1 공공재활의료 문헌 검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2 국립재활원 공공재활서비스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3 타 기관 공공의료 지원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4 국립재활원의 공공재활의료 지원 전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5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6 국제보건의 필요성 및 진행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7 국립재활원과 권역재활병원의 협력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8 법middot제도적 개선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9 요약 및 소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0

제3장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1 사회복귀지원의 개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2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지원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3 타 기관의 사회복귀 지원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74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지원 전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75 요약 및 소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8

제4장 (가칭)장애인재활교육훈련시설(체육관) 운영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1 개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2 필요성 및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3 타기관 운영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4 향후 운영 계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5 재정 확충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46 요약 및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5

제5장 재활교육체계 구축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1 국립재활원 교육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2 타 기관 교육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63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관련 법조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34 재활전문인력 양성규정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0

5 재활인력 전문교육 수요도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26 대학원대학 설립에 대한 법적 타당성 검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87 교육체계 강화를 위한 전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88 요약 및 소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2

제6장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61 연구 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62 공공재활의료 지원체계 구축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63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74 (가칭)장애인재활교육훈련시설(체육관) 운영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95 재활교육체계 구축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06 시기별 추진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2

제7장 부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51 2012년 국립재활원 부서별 교육현황 조사 설문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52 재활인력 전문교육 수요도 조사 설문지(간호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83 일본국립장애인재활 센터 방문 인터뷰 질문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2

제8장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6

표 차례표 1 재활의학과 전문의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표 2 중도장애인 사회복귀지원과정 프로그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표 3 재활 전문의료인력 보수교육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표 4 서면 조사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표 5 프로그램 참여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표 6 법 제도적 개선사항 제안 정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표 7 H-CRsP 프로그램 구성 및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3표 8 사회복귀 프로그램 목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6표 9 프로그램 구분 및 참가자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7표 10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지체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표 11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뇌병변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표 12 재입원 의료이용 현황(지체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표 13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뇌병변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표 14 표준산정일수 필요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4표 15 필요하다고 응답한 전문가들의 표준산정일수 추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표 16 인증기관 평가 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표 17 추가인정 재활수가 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표 18 장비 목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표 19 임시 장비 목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표 20 인력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표 21 운동 프로그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6표 22 추가 필요 장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표 23 고양시 재활스포츠센터 인력구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표 24 재활 체육 프로그램 목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표 25 생활체육프로그램 목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표 26 부산시설공단 한마음스포츠센터 장애인 프로그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표 27 국립재활원 장애인 체육 지원 구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8표 28 국립재활체육센터 인력 프로그램 및 장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표 29 ACSM 권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표 30 2013년 장애인체육 육성 기금 예산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5표 31 부서별 교육과정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0표 32 부서별 교육 프로그램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0표 33 부서별 교육 시간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1표 34 부서별 교육대상 인력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1표 35 교육과정 종류별 교육 경험자 직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2표 36 부서별 교육 대상자 소속 분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3표 37 보수교육 인정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3표 38 교육과정 강사 인력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4표 39 부서별 주요 교육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5표 40 국립 암센터 교육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8표 41 국립중앙의료원 공공기관 근무자 교육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9표 42 일본 국립장애인 재활센터 직종별 입학 조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0표 43 연수교육 시행기관과 교과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4

표 44 대한간호협회 보수교육 시행규정 및 교육 지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5표 45 대한작업치료사협회 보수교육 종류 및 교육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6표 46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과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7표 47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규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7표 48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9표 49 재활전문인력 자격증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1표 50 응답자 일반적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3표 51 응답자 공공민간 기관 근무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3표 52 응답자의 재활분야 근무연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4표 53 응답자의 최종학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4표 54 응답자의 재활관련 교육 경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4표 55 응답자의 교육 경험 경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5표 56 응답자의 교육 경험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5표 57 응답자의 교육 만족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5표 58 전문재활교육 수요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6표 59 원하는 전문재활교육의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6표 60 학사 학위자들이 원하는 전문재활교육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7표 61 국립재활원 교육과정 참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7표 62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법제 연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9표 63 부서별 교육 기능 및 역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0

그림 차례그림 1 재활의료서비스 전달체계 모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그림 2 국립재활원의 비전과 본 연구 주제와의 관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그림 3 지체장애 재활의료서비스 지역별 자체 충족률(중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그림 4 뇌병변장애 재활의료서비스 지역별 자체 충족률(중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그림 5 재활의학전문의 1인당 인구수 및 지체뇌병변장애인 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그림 6 포괄적 재활의료 서비스 연계체계 모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그림 7 OECD 회원국의 2000년대 장애인 가구 빈곤율 및 상대빈곤 위험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그림 8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의 기능과 역할(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그림 9 국립재활원 교육훈련 체계 강화 방안 연구수행 체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그림 10 공공재활의료 지원체계 모식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그림 11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의 기능과 역할(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그림 12 권역재활병원의 기능과 역할(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그림 13 국립 암센터 지정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그림 14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체계 제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그림 15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 기준(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그림 16 재활전문병원 인센티브 방안(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그림 17 국립재활원과 타기관의 현재 관계 모식도(As i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그림 18 국립재활원과 타기관의 관계 제안 모식도(To b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그림 19 사회복귀 프로그램의 운영 흐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그림 20 사회복귀지원과 사업추진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6그림 21 서울시 지역사회복귀 지원 사업 확산 모식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그림 22 지체장애 최초입원-3년 사이 입원양상(전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그림 23 지체장애 최초입원-3년 사이 입원양상(중증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그림 24 뇌병변장애 최초입원-3년 사이 입원양상(전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그림 25 뇌병변장애 최초입원-3년 사이 입원양상(중증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그림 26 재원 확보 방안 단계 모식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그림 27 아산병원 스포츠의학센터 진료흐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그림 28 체육센터 운영 흐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그림 29 건강 병력 질문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그림 30 신체적 활동 준비 질문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그림 31 국립재활원 조직구성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그림 32 교육과정 종류별 총시간 구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9그림 33 교육과정 연간 순환횟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4그림 34 국립암센터 일본 국립재활원 조직도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6그림 35 일본장애인재활 센터 학원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2그림 36 국립 암센터 내부 직원 대상 교육 목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3그림 37 일본 국립재활원의 학원 재정 운영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1그림 38 국립재활원 교육 담당 조직 정비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9

- 1 -

제1장 서론

연구의 필요성

가 국립재활원의 역할과 조직개편

재활의료서비스 전달 모형과 국립재활원의 역할

장애 발생 이후 재활의료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환자의 이용경로는 lt그림 1gt과 같음 - 사고나 질병 등으로 장애가 발생하고 환자의 생체징후 등 의학적 상태가 불안정하

면 의학적 상태를 안정화시키는 내과신경과신경외과정형외과적인 집중적 치료에 병행하여 기능적 회복을 증진시키는 초기 재활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게 됨

- 환자가 의학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내원하거나 치료서비스 및 초기재활서비스를 제공 받고 의학적으로 안정된 상태에 이르게 되면 기능회복 가능성과 제공되어야 할 재활서비스의 복잡성을 평가하여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직업재활 보장구 심리치료 사회서비스 등이 포함된 포괄적인 입원재활서비스를 제공하게 됨

- 또한 환자의 기능회복 가능성이 낮거나 제공되어야 할 재활서비스의 복잡성이 낮은 경우 외래 혹은 방문재활서비스 장기요양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사회 재활 단계로 환자를 의뢰하게 됨

- 2 -

국립재활원은 권역재활병원과 함께 재활의료 교육 연구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가 중앙재활센터 기능을 수행해야 함 1994년 제정된 국립재활원운영규칙(보건사회부령 제930호)에서는 국립재활원의 기능으로서 다음 네 가지를 규정하고 있음- 장애인에 대한 의료재활- 장애인의 자립재활- 장애인재활전문요원의 양성 및 훈련- 장애발생의 예방과 장애인의 재활훈련 등 그 복지의 증진에 관한 조사연구

2005년 12월 공공보건의료 확충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권역재활병원이 단계적으로 건립되었고 2008년 보건복지가족부령 제84호로 국립재활원 내 재활연구소가 설치되는 등 국립재활원에 새로운 역할들이 부여되고 있음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실의 2010년 연구1)에 따르면 실용적 재활보조기술 연구 국가 장애인 정책 수립 방안 제시 재활 연구를 위한 연구센터로서의 역할 권역재활병원의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사항 등이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의 기능으로 새롭게 추가 규정되어야 할 역할로서 제안되고 있으며 장애인 재활정보센터 역할 담당 최상의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표준 제시 등은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됨

이에 따라 국립재활원의 새로운 역할로 제안된 내용들은 다음과 같음 - 광역 수준의 재활의료기관을 관리하고 권역재활병원과 함께 재활의료 교육 연구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가 중앙재활센터 기능을 수행함 - 권역재활병원의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표준을 제시하고 재활연구 활성화를

유도하며 국가차원의 장애인 재활관련 통계자료를 관리하고 정보를 제공함- 장애인 재활정책 연구를 전문적으로 수행하여 국가의 장애인 정책 수립을 뒷받침함 -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연구 및 기술개발사업 그리고 선진 임상재활 연구를 위한

임상연구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재활서비스의 프로그램 인력 시설 등의 표준화된 인증 주관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함

국립재활원 조직개편

2009년 보건복지부는 국립재활원의 발전적인 기능개편을 목적으로 「국립재활원 발전 민middot관 TF」를 구성하여 운영하였음 - 2009 12 31 「국립재활원 발전 민middot관 TF」 구성 운영계획 수립- 2010 2 24 「국립재활원 발전 민middot관 TF」 제1차 전체회의 개최 기획총괄 재활

1)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실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10

- 3 -

교육훈련 재활의료 재활연구 등 4개 분과회의 구성- 2011 9 7 「국립재활원 발전 민middot관 TF」 제3차 전체회의 개최 국립재활원의 발

전적인 기능개편을 위한 기본방향(안) 마련- 2012 2-3월 국립재활원의 발전 기본방향 개편내용 운영프로그램에 대하여 보건

복지부와 협의

이러한 과정을 거쳐 2012 5 1 국립재활원 조직개편이 이루어짐 - 한방내과 장애인건강증진센터 신설- 장애인운전지원과 공공재활의료지원과 사회복귀지원과 개편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12 5 1 조직개편에 따라 신설되거나 개편된 부서의 기능 및 역할을 재정립하고 이를 통해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음

- 4 -

나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구축의 필요성

재활의료 시설의 불균형적인 분포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근접 지역 내에 재활시설이 없을 경우 재활서비스를 이용하기가 매우 어려움

현재 지역별로 불균형적인 재활의료서비스 공급은 장애인들이 자신의 거주지에서 재활의료서비스를 받는 것을 제한함 결론적으로 지역별 재활의료서비스 이용의 불평등을 야기함- 2006년 재활의료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지역별 자체 충족률을 살펴보면 입원

및 외래에서 지역별로 자체 충족률에 상당한 불평등이 존재하고 있음 특히 광역시 주변 시도의 자체 충족률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이 지역 장애인들이 재활의료서비스에 관한 필요가 충족 못하고 있다고 판단됨

자료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09)

- 5 -

자료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09)

장애인 재활서비스 제공기관들이 지역적으로 불균등하게 분포됨으로 인해 장애인의 서비스 이용지와 주거지가 일치하지 않음 이로 인해 긴급한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고 지속적인 재활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으며 환자 및 보호자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음

따라서 장애인의 지리적middot경제적 재활의료서비스 이용의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재활의료서비스가 취약한 지역에 대한 재활의료서비스 시설의 확충이 필요함

그러나 재활을 포함한 우리나라 의료는 대다수가 민간중심으로 공급되고 있어 이에 공공재활의료 지원에 대한 대책이 필요함

재활의료 인력의 불균형적 분포

현재 재활의료 서비스의 인력 공급은 지역 간 불균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2008년 재활의학과 전문의의 지역별 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서울(281)과 경기도(219)에 근무하는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전체의 절반에 이르고 울산이 11로 가장 낮았음2)

2) 보건복지부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향 연구 2009년

- 6 -

지역별 재활의학전문의 1인당 인구 및 지체뇌병변 장애인 수를 비교해보면 대전이 재활의학과 전문의 1인당 인구 2794백 명 지체뇌병변 장애인 78백 명으로 가장 낮았음 전문의 1인당 인구는 울산이 10113백 명으로 가장 높았고 1인당 지체뇌병변 장애인 수는 전남이 338백 명으로 가장 높았음

지역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의원 보건기관 총계종합

전문종합병원 병원 요양

병원 소계

서울 67 30 35 38 170 113 1 284 부산 7 14 12 6 39 16 0 55 대구 13 5 9 5 32 3 1 36 인천 5 3 18 6 32 14 0 46 광주 5 10 7 3 25 12 0 37 대전 3 10 3 10 26 27 0 53 울산   2 4 2 8 3 0 11 경기 4 53 58 37 152 67 2 221 강원 5 5 3 1 14 11 0 25 충북 2 4 3 5 14 14 0 28 충남 4 3 4 10 21 21 2 44 전북 5 6 5 9 25 14 2 41 전남   4 9 5 18 5 2 25 경북   6 10 10 26 8 1 35 경남 4 15 16 13 48 5 0 53 제주   3 3 3 9 7 0 16 총계 124 173 199 163 659 340 11 1010

표 1 재활의학과 전문의 현황

(단위 명)

- 7 -

취약한 공공재활 의료 현황

장애인의 재활의료서비스의 불균형적인 공급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권역재활병원 건립(6개 예정 경인 강원 제주 영남 충청 호남)과 지역사회 중심 재활사업을 전국 60개(시범사업까지 70개) 거점 보건소를 중심으로 시행하고 있음

그러나 권역재활병원은 기능 수행이 미흡한 실정이며 장애인이 자신의 거주 지역에서 진료 받을 수 있는 지역거점 장애인 진료병원은 양적으로 매우 취약한 실정임

공공재활의료 연계체계에 대한 다양한 모형이 제시되었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관 확충이 진행 중 이지만 현재 국립재활원 ndash 권역재활병원- 지역사회재활 거점 보건소 간 연계 체계는 매우 미흡한 상황이며 이를 뒷받침해줄 법제도적 지원 역시 미흡한 상황임

2012년 국립재활원에서는 공공재활의료 지원을 위해 공공재활의료 지원과를 신설하였음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구축을 통해 취약한 공공재활 의료지원을 활성화하고 국립재활원의 리더십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함

- 8 -

다 사회복귀 지원에 대한 필요성

재활의료란 의학적 치료 후 환자가 장애를 갖게 되었을 때 남아있는 기능으로 일상생활은 물론이며 직장생활도 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재활치료의 목적은 환자의 건강 및 생명을 최선의 상태로 회복하고 이를 유지하는데 있다고 정의할 수 있음3)

따라서 장애인들이 사회에 복귀하여 최대한 독립적인 삶을 살 수 있게 해주는 것은 재활의료서비스의 최종 목적이라고 할 수 있음

2011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장애연금수급자 재활서비스 실태 및 욕구』에 따르면4) 의료재활서비스를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경험이 있는 사람은 장애인연금 수급자 중 82로 나타났으나 직업재활서비스를 현재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경험이 있는 사람은 12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음 또한 사회재활서비스를 이용 중이거나 경험해본 사람은 15정도임

사회재활서비스 욕구에 관한 조사에서는 스포츠재활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전체의 40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활동보조 등 서비스 31 심리치료서비스 24의 순으로 나타났음 따라서 운동 재활과 관련하여 체육관을 이용한 재활 프로그램의 확산 및 법적middot제도적 지원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2010년 OECD 보고에 따르면 우리나라 장애인의 월평균 소득은 전체 인구 평균 소득보다 20p 정도 낮았으며 이는 OECD 회원국의 평균보다 더 낮은 수준임 장애인 가구 상대빈곤율 역시 35로 OECD 회원군 평균보다 13p 높음

3) Howard A Rusk MD (1901-1989) the Rusk Institute of Rehabilitation의 설립자로서 lsquocomprehensiverehabilitation medicinersquo 제시 httpwwwmednyueduruskabouthruskhtml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애연금수급자 재활서비스 실태 및 욕구 2011

- 9 -

장애인들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립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사회재활지원 및 확대가 필요함

현재 국립재활원에서는 장애인의 빠른 사회복귀를 지원하기 위하여 장애인의 욕구 및 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개별 프로그램 제공을 목적으로 lsquo병원기반 사회복귀 지원 프로그램(H-CRsP)를 운영하고 있음

구분 내용장애인 운전교육 운전면허취득 실기교육 운전적응교육

의료지원 및 보조기 평가 심리상담 성재활 보조기 평가 및 지원사회체험 및 지역자원 연계 대중교통이용훈련 사회문화활동 지역자원연계

일상(독립)생활 훈련 스마트홈 체험 샤워 및 세탁 쇼핑 요리실습 등상담지원 동료상담 가족상담 등

학업직업 복귀탐색 학업복귀 지원 직업훈련 연계 취업준비 지원정보제공 컴퓨터교육 장애인복지시책 안내 주택개조 지원

레포츠 및 취미활동 레포츠(수영 탁구 보치아 파크골프 등)미술활동(원예 음악 미술 도자기 등)

자료 국립재활원 홈페이지

표 2 중도장애인 사회복귀지원과정 프로그램

그러나 전체 장애인의 필요의 사회복귀를 위해서는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프로그램을 확산시킬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

국립재활원에서는 장애인의 사회복귀지원을 돕기 위하여 사회복귀지원과를 구성하였음 향후 장애인의 사회복귀와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스포츠 재활을 포함

- 10 -

한 다양한 사회재활서비스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법 제도 개선 및 사회복귀지원 체계구축이 필요함

라 장애인재활 교육훈련시설의 필요성

장애 패러다임 변화 재활욕구의 다양화 및 증가 등에 따른 장애인 자립 등 재활교육훈련 기능강화를 위한 시설 필요함

후천적 장애예방 및 체험교육훈련시스템 전문화 기존의 노후 체육관 철거 등에 따라 종합적인 재활교육훈련시설 건립 필요함

마 국립재활원 교육체계 강화의 필요성

재활의료 인력에 대한 교육 현황

재활의료서비스 공급체계의 강화를 위해서는 시설 확립 전달체계 구축과 더불어 재활의료를 제공할 양질의 전문 인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교육훈련 체계가 필요함

그러나 우리나라의 재활 의료 공급은 양과 질적으로 부족한 상태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08년 요양기관현황에 의하면 의료기관의 26에만 재활의학 전문의가 배정되어 있으며 지역사회 기반 재활의료를 제공하는 보건소 역시 253개 시군구 보건소 중 60여개 소에 불과함

보건의료서비스는 기본적으로 대인서비스이므로 인력의 양과 질에 의해 서비스의 질적 수준이 결정됨

현재 재활의료분야의 전문적인 교육훈련체계는 수요에 비해 매우 취약함 임상영역의 경우 교육이 협회학회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부분 첨단의료최신지견을 위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가 많음 또한 분절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어 재활전달체계의 측면에서 필요한 임상적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의문임

또한 재활과 관련된 비임상영역의 교육은 부재함 재활의료서비스는 다양한 직종의 인력이 연계해서 제공해야 하지만 재활 관련 교육은 직종에 따라 분절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11 -

직종에 따라 의무적으로 받아야하는 보수교육 내용들 역시 대부분 의료기술과 최신지견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정시간의 교육만을 이수해야 한다는 양적인 규정만 존재함 따라서 지정된 시간의 보수교육만을 통해서 재활의료분야에서 얼마만큼 전문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 의문임

재활전문인력의 보수교육과 관련한 내용은 다음과 같음

재활영역 전문인력 보수교육

법령근거보수교육 시행규정 보수교육 시행기관 자격 요건

의료재활

의사

의료법 제38조 제 2항 제 3항 및 동 시행규칙제21조 2middot3middot4middot5

항의사협회 정관

제 3조

12평점 이상년

-중앙회-해당 시middot도 의사회

-의과대학 및 대학원-레지던트

교육병원(단과레지던트 교육병원 포함

-각 학회 및 지회(단 의학회에 등록된

학회에 한함)-기타 교육 위원회에서 인정하는 기관 및 단체

의학 대학middot전문대학원

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의 면허를 수여 받은

물리치료사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제20조 및 동법 시행세칙 제

18조

8평점 이상년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작업치료사협회

물리middot작업치료 대학 졸업 후

언어치료사 - 60시간이상 5년

한국언어치료사협회 및 지정학회

언어치료관련 대학 및 대학원 졸업 후 자격증 시험 합격자

청능사 - 60시간 이상3년

-청능사자격검정원 및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청능사 관련 대학 및 대학원 졸업 후 자격증 시험 합격자

간호사

의료법 제28조 제2항 제3항 및

동 시행규칙 제21조의 2에

의거

8평점 이상년

- 지부 및 산화단체보수교육인정기관

간호대학(학과)대한간호사협회 사이버교육센터

간호 대학 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의 면허를 수여 받은자

사회심리재활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업법 제13조 2항 8시간 이상년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위탁한 협회나

협의회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 대학

석사 또는 박사학위 취득자(석사middot박사 학위 취득자는 사회복지관련

필수과목 6과목 이상 이수해야함)

정신보건사회복지사 - 20평점년 -(사)한국정신보건사회

복지사협회사회복지사 1급 자격소지자로서

표 3 재활 전문의료인력 보수교육 현황

- 12 -

자료원 관련법-의료법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장애인복지법사회복지사업법자격기본법

기관-한국언어치료사협회청능사자격검정원 및 청각언어재활학회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사협회

한국미술치료학회 한국장애인직업생활상담원협회

국립재활원의 교육 기능에 대한 높은 요구도

2010년에 폐지된 lsquo국립재활원운영규칙(보건사회부령 제930호)rsquo에서는 국립재활원의 기능으로써 장애인에 대한 의료재활 장애인의 자립재활 장애인의 재활 전문요원의 양성 및 재훈련 장애발생의 예방과 장애인의 재활middot훈련 등 그 복지의 증진에 관한 조사연구로 규정하고 있음

보건복지부와 그 소속직제(대통령령 제23764호)rsquo에서는 국립재활원의 직무로 장애인의 복지증진을 위한 진료middot상담지도middot재활훈련 재활전문요원의 훈련 보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한 전문요원

수련기관에서 1년이상 수련을

마친자

수화통역사 자격기본법 제35조

50시간 이상년

-중앙회(한국농아인협회)-외부유관기관 및 단체

만19세 이상의 대한민국 남녀

점역middot교정사

점역middot교정사 국가공인

민간자격의 관리middot운영에

관한 규정 31조

1회 이상년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만19세 이상으로 고졸 이상의 학력을

소지한자 또는 시각장애인 관련

기관의 점역middot교정업무

3년이상의 경력자

미술치료사 - 60시간 이상5년 -(사)한국미술치료학회

미술치료사 미술치료전문가

수련감독미술치료전문가 자격취득자

직업재활

직업생활상담원 - 1회(8시간)1

년-(사)한국장애인직업새

활상담원협회장애인직업생활상담원 양성과정 수료자

재활보조공학

의지middot보조기 기사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법시행규칙 제 61middot62middot63조

8시간 이상2년 -국립재활원

의지middot보조기 대학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 가족부 장관의

면허를 수여받은 자

- 13 -

장구의 연구개선 재활조사연구사업 및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에 관한 업무를 관장한다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음

2010년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의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향』연구에서 시행한 전문가 조사에 따르면 국립재활원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결과에서 전문재활 인력 교육 및 강화를 국립재활원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로 응답하였음

국립재활원은 국가재활의료의 중추기관으로서 역할을 감당하기 위해 재활의료전문인력을 안정적이고 체계적으로 교육하고 공급하기 위한 교육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

또한 내부 교육 체계 강화를 통해서 국립재활원 내부 인력의 역량강화 및 근무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음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립재활원의 2012 5 1 조직개편에 따라 신설되거나 개편된 부서의 기능 및 역할을 재정립하고 현재 불균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재활서비스에 대해 국가 중추 기관으로서 국립재활원의 조직 발전방향과 미래상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음

- 14 -

- 첫째 국립재활원의 공공재활의료 지원체계 구축방안 제안- 둘째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방안 제안- 셋째 국립재활원의 장애인재활교육훈련시설 운영방안 제안- 넷째 향후 국립재활원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 전문 인력의 체계적 전문적 교육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새로운 재활 교육 체계 구축방안 제시

연구 내용 및 범위

가 공공재활의료 지원체계 구축

국립재활원에서 진행 중이거나 진행예정인 공공재활의료 지원 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함

권역재활병원에 대한 법적 규정 재활의료 연계 체계 등 공공재활의료 지원 업무와 관련된 법제도규정 등을 조사 분석함

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 지역암센터 지원 사업 등 다른 의료분야의 공공의료지원 체계에 대하여 조사 분석함

해외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를 조사하고 비교 고찰함

법 제도 규정 재원 등에 대한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개선안을 제시함

나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

국립재활원에서 진행 중이거나 진행예정인 사회복귀 지원 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함

사회복귀지원 업무와 관련된 법 제도 규정 등을 조사 분석함

국립재활원의 병원기반의 운동재활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하고 확산 방법을 모색함

해외 장애인 사회복귀 지원 정책 현황 및 실태분석을 진행함

법 제도 규정 재원 등에 대한 사회복귀지원 체계 개선안을 제시함

- 15 -

다 장애인 재활교육시설 운영방안 제시

현재 장애인 재활교육시설의 현황과 실태분석을 진행

국내에 운영중인 장애인 재활교육시설의 운영 및 프로그램을 조사

해외 재활교육시설 운영 리뷰

재활교육시설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시

라 국립재활원 교육훈련 체계 강화 방안 연구

재활분야의 교육훈련 체계 현황 파악

의료법 의료기사 등에 대한 법률 사회복지법 등 재활분야의 교육훈련과 관련된 법령을 조사하고 분석함

대한의사협회 대한물리치료사협회 대한작업치료사협회 한국사회복지사 협회 등 재활분야와 관련하여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학회협회의 교육 관련 규정을 분석하고 내용을 조사함

국립재활원 권역 재활병원 공공병원 지역사회 기반 재활 거점 보건소에 근무하는 인력을 대상으로 진행한 재활인력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함

임상분야(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등)와 재활사업분야(사회복지사 등)의 직종별 교육내용과 운영 방식 교육과정 운영규정 등 교육현황을 조사 분석함

전문가 자문을 통해 재활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함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대상 수요파악

재활의료서비스 분야의 교육 훈련 수요를 조사함 기관별로 국립재활원 권역재활병원 공공병원 지역사회재활 거점 보건소등에 근무하는 인력을 대상으로 교육훈련 수요를 조사함

임상분야(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등)와 재활사업분야(사회복지사 등)의 직종별 교육 수요를 분석함

- 16 -

재활 교육 대상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재활 관련 교육경험률 재활관련 교육 만족도 필요한 교육훈련 내용 등에 관한 수요조사를 시행함

다른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 비교 고찰

국립특수교육원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의 재활 교육훈련 체계를 조사 분석함

국립암센터의 교육훈련 체계를 조사 분석함

교육훈련체계는 교육훈련 운영방식 교육 내용 교육 대상(내외부인력) 교육과정 법적규정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함

각 기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장middot단점에 대하여 비교 고찰함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체계 구축 방안제시

현재 국립재활원의 현재 교육훈련체계에 대하여 조사 분석함 조사 내용으로는 운영방식 교육내용 교육대상(내외부인력) 교육 과정 법적 규정 등을 포함함

재활인력교육훈련 현황 파악 재활 교육훈련 대상 수요도 조사 다른 국립기관의 교육훈련체계 비교 고찰 등의 내용을 종합하여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체계 강화 방안을 개발함

국립재활원 내외부의 인력을 포괄하는 교육체계 구축방안을 모색함

- 17 -

연구방법

가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분석 및 개선안 제시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분석 및 개선안 제시를 위해 다음의 항목을 시행할 것임- 국립재활원에서 진행 또는 예정인 공공재활의료 지원 프로그램 현황조사 - 공공재활의료 지원 업무와 관련된 법middot제도 규정 조사- 다른 의료 분야의 공공의료 지원체계 조사- 해외 공공 재활의료지원 체계 조사 및 비교-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개선안 제시

나 사회복귀지원 체계 분석 및 개선안 제시

사회복귀지원 체계 분석 및 개선안 제시를 위해 다음의 항목을 시행할 것임- 국립재활원에서 진행 또는 예정인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현황조사- 사회복귀지원 업무와 관련된 법middot제도 규정 조사- 국립재활원의 운동재활프로그램 현황 조사- 운동재활과 관련된 지원할 법middot제도 규정 조사- 해외 장애인 사회복귀 지원정책 현황 및 실태분석- 운동재활 확산 방안 및 사회복귀지원 체계 개선안 제시

- 18 -

다 장애인 재활교육시설 운영방안 제시

장애인 재활교육시설 운영방안 제시를 위하여 다음의 항목을 시행할 것임- 장애인 재활교육시설의 현황과 실태분석- 국내에 운영 중인 장애인 재활교육시설의 운영 및 프로그램을 조사- 장애인 체육시설의 수요와 수요 충족도 조사- 해외 재활교육시설 운영 프로그램 리뷰

라 재활의료분야 인력의 교육훈련 체계 개발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현황 파악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분석할 것임- 의료법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사회복지사업법 등 재활의료 인력의 교육과 관

련된 법률 및 규정 - 의사협회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작업치료사 협회 한국사회복지사 협회 등의 관련

학회를 통한 직종별 교육 규정 및 내용-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 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권역 재활병원의 교육훈련 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공공병원의 교육훈련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지역사회재활 거점 보건소의 교육훈련체계(대상 운영 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수요파악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대상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분석할 것임- 건강보험심사평가원등의 자료를 이용한 재활의료전문인력의 직종별 현황- 건강보험심사평가원등의 자료를 이용한 재활의료서비스 기관별 인력 현황- 국립재활원 권역재활병원 공공병원 지역사회 기반 재활 거점 보건소에 근무하는

직종별 인력 현황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대상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시행할 것임- 설문을 이용한 재활 관련 교육 경험률 교육 만족도 필요한 교육훈련 내용 등

다른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 비교 고찰

다른 재활관련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분

- 19 -

석할 것임- 일본국립장애인재활 센터 교육훈련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다른 의료분야의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분석할 것임- 국립암센터 교육훈련 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다른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시행할 것임- 각 기관의 교육 체계 문헌조사- 기관 방문 및 교육 담당자 인터뷰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체계 구축 방안제시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 체계를 구축 방안을 개발 제시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시행할 것임-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체계 분석((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 20 -

제2장 공공재활의료지원체계 구축 방안

공공재활의료 문헌 검토

공공재활의료지원을 통해 공공재활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양질의 재활의료서비스를 공급

국립재활원은 국가재활중추 기관으로 권역재활병원과 보건소의 기술적 지원 및 재활인력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

- 21 -

국립재활원 역할에 대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는 권역재활병원과 함께 재활의료 교육 연구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가중앙재활센터 기능을 수행해야 함

보건복지부 인증 재활 전문의료기관 인증을 주관해야 함

- 22 -

재활연구소를 주축으로 권역재활병원의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표준을 제시하고 재활연구 활성화를 유도 함

국가차원의 장애인 재활관련 통계자료를 관리하고 정보를 제공함- 교육 훈련을 매개로 한 국립재활원과 권역재활병원의 리더쉽 체계를 구축함

- 23 -

국립재활원 공공재활서비스 현황

1차 현황 서면 조사표 4 서면 조사 결과

- 24 -

공공재활의료지원 프로그램 구분 및 참여 현황

프로그램 구분 참가기관 참가자 수(장애인)

교육프로그램 및 설명회(9가지 프로그램)

보건(지)소 659

권역재활병원 6

기타 병middot의원 13

복지관 12

기타(시도청) 13

총계 703명

표 5 프로그램 참여 현황

- 보건소 인원이 프로그램 참여 인원의 937를 차지함- 프로그램 중 의사가 참여한 프로그램 없음

공공재활의료지원 프로그램 예산(2012년 기준)- 56100000원

주요내용- 지역사회중신재활 기본실무- 방문재활의 실제- 노년기 재활을 통한 건강관리- 장애 아동 재활의 핵심파악- 쉽게 따라 하는 재활실무- 건강한 일상을 위한 여성 장애인 재활- 지역사회 중심 재활 사업 성과대회- 공공재활 프로그램 설명회- 지역사회 재활사업 운영실제(예정)

현 프로그램의 문제- 공공재활 의료팀에서는 주로 보건(지)소 근무자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권역 재활 병원 및 2차 병원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함- 교육 프로그램 외 기술적 지원 및 협력체계 기반이 미흡함- 다양한 직종이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미흡함

- 25 -

타 기관 공공의료 지원 현황

가 국립 암센터

국립암센터와 지역암센터 연계체계

- 12개의 지역암센터가 지정되어 있음- 국가 암관리사업의 경우에는 지역단위까지 연계하여 수행하는 거점기관임- 국리암센터와의 연계체계를 구축하고 국가 암관리사업에 적극 활용 중- 국립암센터와 MOU 등을 통한 활발한 연계 지원을 시행 중

나 중앙정신보건 사업 지원단

법적근거

정신보건법 제13조 6항 동법 시행규칙 제 7조-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집중적이고 전문적인 지원을 위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은

- 26 -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을 시 도지사는 지방정신보건사업지원단을 각각 설치 운영할 수 있음

직무범위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기획 및 조정에 대한 지원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 및 정신보건시설에 대한 평가

정신보건관련기관 단체 또는 정신보건시설 간의 연계체계 구축 지원

정신보건사업의 현황 파악 및 통계

기타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시하는 사항

국립재활원의 공공재활의료 지원 전략

가 공공재활의료 체계 내 국립재활원의 역할 강화

권역 재활병원과 상호 협력- 진료 지원 및 협진(환자이송체계 구축)- 통계산출 및 정보제공을 위한 각종 자료 공유- 권역재활병원의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표준을 제시- 공동연구수행- 전문 인력 교육 및 교류- 국가재활사업 상호협력 수행

재활 전문병원 평가 및 인증- 보건복지부 인증 재활 전문병원의 평가 지침 개발- 보건복지부로부터 재활 전문 병원 인증 권한 위임

국가정책수립 기능- 국가 장애인 정책수립방안 제시- 장애인 및 재활의료서비스 통계 산출- 적정 재활 의료서비스 제공 표준 제시

- 27 -

교육 및 연구 기능- 권역재활병원 및 공공병원의 재활 인력 교육 및 훈련- 지역사회 중심 재활 인력의 교육 및 훈련- 재활연구 활성화를 유도 장애인 재활정책 연구를 전문적으로 수행- 매년 전국단위의 포럼 혹은 세미나를 개최하여 인적 학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학문적 역량 및 리더쉽을 확보

국제보건- 국제기구 혹은 국내 국제보건 단체들과의 지속적 협력을 통하여 개발도상국 저개

발 국가의 재활의료 원조를 지원- WHO 협력센터 지정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 방안

가 필요성

의료기관 평가의 목적은 의료의 질 향상 및 의료의 질에 대한 사회적 책임 증대임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해서 개별 의료기관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고 평가 기준을 준수하도록 함으로써 환자 진료 및 서비스의 질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임 의료의 질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평가 결과를 공표하고 병원 간 평가결과를 비교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비자의 병원 선택에 도움을 줌

2010년 의료기관평가 인증원이 의료법 제 58조에 근거하여 세워졌음 인증원의 병원 인증은 병원급 이상의 모든 병원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재활전문 의료기관에 대한 전문성이 떨어짐 따라서 인증원에서 적절한 재활의료에 대한 평가 기준을 세우고 이를 전국에 확산시켜 전 국민이 적절한 재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에는 힘듬

인증원에서 인증을 받아도 보건복지부 인증기관이라는 명칭을 부여받을 뿐 수가나 다른 인증에 대한 인센티브가 없는 실정임

또한 산재보험공단과 재활의학회에서도 각각 재활전문병원을 인증하고 있어 혼란이 가중되고 있음

5) 김윤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용역과제 2010

- 28 -

나 의료기관 인증평가 관련 선행연구 검토

의료기관 평가제도 장기적 발전방안 연구

연구에서 제시된 평가기준의 원칙은 다음과 같음- 첫째 환자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환자중심의 평가기준을 개발하여 궁극적으로

환자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킴 제공자의 부서 직종 구분이 아니라 환자가 병원에서 받게 되는 서비스의 흐름과 종류에 맞추어 평가의 부문과 영역을 설정하며 특정 서비스의 제공과 연계 관련된 기능 부서를 통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함

- 둘째 평가기준이 측정하는 영역이 중복되거나 편중되지 않으면서 포괄적인 기준을 마련함

- 셋째 평가기준이 의료의 질을 반영할 수 있도록 평가기준의 질적 측면을 포괄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하여야 함

- 넷째 평가지표의 특성이 너무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평가기준보다는 목적을 정립하고 이에 부합하는 기준이 되도록 함 즉 명목적(explicit) 평가기준보다는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에 초점을 맞추면서 묵시적(implicit)인 평가기준으로 유도해감

의료기관평가의 안정적인 발전뿐만 아니라 앞으로 평가 대상 기관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갈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독립적인 전담 기구가 필요함(현재의 의료기관평가의 대상 기관은 종합병원 및 300병상 이상의 병원으로 현재 약 360여개 병원이 이에 속하고 있음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전반적인 질적 수준의 제고라는 측면에서 볼 때 앞으로 평가 대상 병원을 소규모 병원으로까지 확대할 필요성이 있으며 많은 나라들에서 1차 진료를 평가 대상에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다면 장기적으로 볼 때 평가 대상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산재보험 의료재활항목 수가개발보완 및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제 도

입 방안 연구

산재전문병원 인증제도의 도입은 현재의 4단계 종별분류에서 3단계의 새로운 분류체계와 개념상 일치한다고 생각함 현행의 4단계 종별분류는 의원 병원 종합병원 종합전문병원(대개 대학병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병원 종합병원과 종합전문병원간의 시설규모나 인력 장비 수준이 너무 차이가 생겨 상급병원으로서의 병원 종합병원의 역할이 과거에 비해 약화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6)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2005

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2006

- 29 -

이에 새로운 3단계 분류로서 ldquo전문병원rdquo이란 개념을 도입하게 되었음 병상 수 등의 규모보다는 내적인 시설 인력구조 진료상병의 집중화 등을 토대로 전문적인 진료가 가능한 병원을 인증하여 이곳에는 여러 가지의 지원을 하자는 것임 이를 통해 종합전문병원으로 집중되는 환자를 분산시키고 다양한 의료의 전문화를 구축하자는 것임

인증 기준은 다음과 같음- 인력구성의 적절성 의사(전체의사 재활의학전문의) 간호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

사 언어치료사 임상심리사 의료사회복지사 직원 교육 및 연수프로그램- 시설 및 장비의 적절성 시설구비(병동 및 진료관련시설) 재활치료장비 응급장비

시설 및 장비 안전관리 장애인 편의시설- 질적 서비스의 제공 입퇴원 기준의 구비 및 준수 환자 평가 치료계획의 수립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및 평가 수행 여부 팀 접근 재활간호서비스 보장구 처방 검수 및 훈련 능력 입원환자의 진단명 구성 및 중증도

- 질 향상 활동 질 향상 위원회 환자 시설 인력의 질 평가 자료의 활용 여부

다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 방안 개발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가 구축middot개선되는 과정에서 새롭게 설립되거나 역할을 부여 받은 서비스 제공자가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 내에서의 역할과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음 이러한 경우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의 운영에 장애가 될 수 있음 이를 예방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적절한 인증기준과 인센티브 방안 등이 포함된 재활의료기관 인증제가 활용될 수 있을 것임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10)8)의 전문가 조사 결과와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체계를 구성하여 그림 14와 같이 정리하였음

8)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안 연구 2010

- 30 -

현재 산업재해공단 재활의학회 보건복지부 산하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서 각각 재활전문병원 인증을 시행하고 있음 이는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들에게도 혼란을 줄 뿐만 아니라 병원에도 부담과 혼란만 가중시킬 뿐임 국가적으로도 의료자원의 낭비임 따라서 현행의 재활전문병원 인증을 하나로 통합하여 인증할 수 있도록 함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이 현재 모든 병원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재활전문병원에 대한 전문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는 국립재활원과 재활의학회에서 평가 및 인증기준을 설립하여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서 설립된 기준을 바탕으로 평가 및 인증을 시행 해야함

재활전문병원 인증기준과 관련하여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5)9) 연구에서는 재활의료서비스 대상자에 대한 직접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치료사(물리치료사 및 작업치료사 등) 재활의학전문의 간호사 등의 재활 인력 재활의료서비스 진료실적의 질적 측면 진료관련 편의시설 및 장애시설 구비정도에 대한 인증 기준의 필요도가 35 이상으로 높게 제시된 바 있음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10) 연구에서는 재활전문병원 인증기준을 시설 및 장비 기준 인력 기준 재활서비스 기준 등으로 분류하였고 이 중에서 전문가들은 장애인 편의시설 구비 정도와 재활의료서비스 진료실적에 대한 질적 평가에 높은 중요성을 부여하였음(그림 14)

9)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5 이 연구에서는 재활의학전문의 270명 물리치료사 74명 작업치료사 3명 등 총

347명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한 바 있음

- 31 -

재활의료서비스의 질적 평가를 위한 지표와 관련하여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5) 연구에서는 재활계획(입원 시 치료계획) 수립 환자 및 보호자 대상 정보제공 및 교육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사용 기능상태 사정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및 평가 수행 등이 중요하게 제시된 바 있음

대한재활의학회는 2008년부터 전문재활병원 인증제 평가를 수행해오고 있음 이 때 평가 기준들은 다음과 같음- 인력 부문 의사 인력 간호 인력 물리치료사 인력 작업치료사 인력 언어치료사

인력 사회복지사 인력 임상심리사 인력- 시설 및 장비 부문 운동치료실 작업치료실 언어치료실 사회사업실 이동성 장

애인용 화장실 물리치료 기구 운동치료 기구 작업치료 기구- 전문재활서비스 부문 기능의 평가 팀접근에 의한 재활서비스 집으로 퇴원한 환

자의 비율 발병 후(장애 발생 또는 악화 후) 2년이 경화하지 않은 환자의 비율- 전문적인 재활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의 비율

한국보건사업진흥원의 연구와 대한재활의학회의 평가기준을 참고하여 2010년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10)의 연구 보고서에서는 재활전문병원 인증 기준을 다음과 같이 예시함- 인력 기준 의사 수 재활의학전문의 수 간호사 수 치료사(물리치료사 등) 수 사

회복지사 수 등- 시설 및 장비 기준 병상 수 진료관련시설 구비 정도 장애인 편의시설 구비 정

도 장비 기준 준수 등- 재활의료서비스 진료실적에 대한 양적 기준- 재활의료서비스 진료실적에 대한 질적 기준 재활계획(입원시 치료계획) 수립 여부

- 32 -

퇴원 전 퇴원계획(기관 연계 등) 수립 여부 재활전문 인력 면허자격 비율 다학제적 팀접근 여부 재활프로그램의 다양성 환자 및 보호자 대상 정보제공 및 교육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사용 여부 기능상태 사정 여부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및 평가수행 여부 사례회의 실시 정도 직원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

재활전문병원으로 인증된 의료기관에 대한 인센티브 방안으로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 교실의 2010년 연구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취약지 시설 건립을 위한 건축비 지원 지역사회 재활사업 지원 등 공적 사업에 대한 재정 지원 인증기관에 대한 차등수가제 적용 등의 방안을 제시함

국제보건의 필요성 및 진행 방향

가 세계장애현황10)

장애인 인구

장애 인구는 전 세계적으로 10억명 이상 혹은 세계 인구의 15이상으로 추정되고 있음(2010 global population estimate 기준)

WHO에서 2011년 발간한 World Report on Disability에 따르면 장애를 15년 이상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은 7억 8천 5백만 명이며 세계 인구에 156를 차지함

10) World report on disability 2011 WHO

- 33 -

이 중 1억 1천만 명(22)이 심각한 장애를 안고 있는 것으로 추정됨

장애는 심각한 우울증 시력상실 사지마비 등과 같은 수준의 심각성을 가지고 있음

현재 장애인의 숫자는 인구가 노령화되면서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임

재활분야의 수요와 미충족 수요

현재 재활분야에서는 몇몇 국가에 대한 자료만 있을 뿐 전 세계적으로 통합하여 미충족 수요를 추정한 자료는 없음- 재활분야의 데이터들은 완전치 않거나 분절화 되어 있는 경우가 많음

재활분야의 미충적 수요는 퇴원을 늦추고 활동을 제한하며 건강을 악화시키고 삶의 질을 낮출 수 있음 - 이런 부정적 결과는 개인을 넘어 가족 지역사회 까지도 사회적으로 재정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음

미충족 수요의 대한 데이터는 일부 국가의 특정 장애에 관한 조사만 사용 가능함11)

- 말라위 모잠비크 나미비아 잠비아 짐바브웨에서 시행된 국가적 장애인 삶의 실태조사에서 재활치료와 보조장비의 심각한 부족과 성의 불평등을 나타내었음

- 크로아티아 체코 헝가리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에서 진행된 재활의료 조사에서 일차 이차 삼차 재활에 접근성의 부족을 보였음

또 다른 방법으로 재활분야의 미충족 수요를 추정한 방법은 재활 서비스를 받기까지의 기간으로 추정하는 방법임- 최근의 국제 조사(2006-2008)에서 도시지역에 재활의료를 받는데 까지 걸리는 대

기시간은 평균 한 달 미만으로 조사되었음 그러나 시골지역에서는 6개월에서 1년까지 걸리는 것으로 조사됨12)

11) Maclachian M et al Disability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Dordrecht Netherlands Sringer

2009(World report on disabiltiy WHO 2011에서 재인용)

12) Chiang PPC The Global mapping of low vision services Melbourne University of Melbourne

2010(World report on disabiltiy WHO 2011에서 재인용)

- 34 -

나 필요성13)

전술한 국제사회의 광범위한 보건부문의 미충족 수요(unmet need)는 보건 ODA수요를 발생시키고 있으나 국제적인 보건 ODA는 이런 수요에 충분히 부합하지 못하고 있음

이런 상황 속에서 50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수원국에서 공여국이 된 전 세계에 몇 안 되는 사례 중 하나인 우리나라의 발전경험이 개도국 발전의 모범적인 성공사례로 주목받고 있으며 국제기구들과 개도국들로부터 한국의 개발경험 전수에 대한 요청이 늘어나고 있음

재활 분야에서도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우리나라 재활의료에 대해 제3세계 등지에서 경험 전수에 대한 요청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임

다 국립재활원 현황

콜롬비아 중앙재활센터 건립사업

2008년 국립재활원은 한국국제협력과 협력하여 콜롬비아 무상협력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콜롬비아 보고타 지역의 중앙재활센터 건립사업을 수행하였음

국립재활원은 콜롬비아에 선진재활프로그램 전수 재활센터 설계 등 마스터플랜 수립을 지원하고 재활장비 선정 및 자문을 하였음- 콜롬비아 병원건립 프로젝트 책임자 병원 설계자 대학교수 및 중앙재활 센터 담

당자 등이 한국을 방문하여 재활센터의 방향 및 개념 정립 재활병원 건축 및 설계 한국의 재활 기술 및 재활모델 한국의 의료시스템 전반 의료정보 활용 사회적 직업적 재활 전략 등에 관한 연수를 국립재활원에서 진행하였음

한국국제협력단 와의 체결

2010년 국립재활원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보건의료분야 대외무상 원조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 함- 협력내용은 기관의 고유사업 중 협력을 통해 성과를 제고 시킬 수 있는 업무분야

에 대한 기획 의사결정 수행- 개발도상국의 보건의료 관련 신규 상호협력과제 마련 및 추진 등

13) 오주환 한국형 ODA 프로그램 선정 연구 2012 총리실 연구용역과제

- 35 -

라 향후 방향

효과적으로 국제보건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WHO 협력센터 지정을 받는 것이 필요함- WHO 협력기관은 WHO가 수행하는 각종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해 WHO 사무총

장이 지정하는 국제적인 협력네트워크임- 매 4년 마다 재지정 평가 절차를 거친 후 협력센터의 기능을 유지함- WHO 협력센터 지정을 통해 수행하는 업무에 국내외적 관심을 높일 수 있으며

생산된 결과물에 대한 국내외 관계자들의 신뢰를 끌어올릴 수 있고 국제 보건관계 기관간의 협력관계 구축에 용이해지며 국제사회에서 협력을 추진하는데 큰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음

WHO 협력기관의 조건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은 다음과 같음14)

- 국내외적으로 높은 과학적 기술적 지위를 가지고 있을 것- 국내의 의료적 과학 혹은 교육 구조에서 두드러진 위치에 있을 것- 높은 질의 과학적 기술적 리더쉽을 가지고 있으며 높은 질의 직원을 충분히 확보

하고 있을 것- 개인 활동 펀드 모두 안정적인 상황일 것- 국내외의 다른 기관들과 강한 협력관계를 맺고 있을 것- 특정 국가의 원조 프로그램이나 국제 협력 활동에 참여하여 WHO의 프로그램들을

단일기관으로 혹은 네트워크의 하나로서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함- 적어도 WHO와 지난 2년간 협력관계를 가진 경험이 있어야 함

위의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준비를 지속해 나가야 할 것임

국립재활원과 권역재활병원의 협력 방안

가 권역 재활원 관리 모델

보건복지부로부터 권역재활병원의 관리권한을 위임 받아 병원의 재활 센터의 질관리 등 전반적인 관리를 책임짐

권역재활병원의 관리를 위하여 재활병원 평가 기준을 개발하여 점차 전국의 재활 연관 병원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

장애인 재활 지침을 마련하여 진료의 표준화를 확립 재활 연관 직종의 보수교육의 전부 혹은 일부를 담당하여 국립재활원이 재활

14) Guide for WHO collaborating centres WHO 2012

- 36 -

연관 직종에서도 리더쉽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

- 37 -

나 권역재활병원 협력 모델

국립재활원은 1년 단위로 각 권역재활병원과의 협의를 통하여 각 지역의 이전 공공 재활 계획과 그 결과를 평가하고 다음해의 계획을 세우는데 조언을 함

복지부와의 협의를 통하여 공공재활을 지원할 재원을 확보하여 각 권역 병원의 공공재활 프로그램에 재원을 분배하여 지원함

권역 재활병원과의 MOU를 통하여 적극적으로 인력 및 기술을 지원함

법 제도적 개선 방향

위에 기술한 공공재활서비스 발전 방안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가칭)장애인보건법의 제정 혹은 제도 정비 등 몇 가지 법적 제도적 개선이 필요함

가 국립재활원 및 권역재활병원 운영규칙 및 설립근거

1994년 제정된 lsquo국립재활원운영규칙(보건사회부령 제930호)rsquo은 폐지됨 대신 보건복지부의 소속기관으로 lsquo책임운영기관의 설치 운영에 관한 법률rsquo lsquo책임운영기관의 설치 및 구분rsquo과 예규의 형식으로 발령된 lsquo국립재활원 기본 운영 규정rsquo에 의해 규율을 받고 있음

현재 국립재활원의 법적위치는 lsquo책임운영기관의 설치 운영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보건복지부소속 책임운영기관으로 되어 있음

따라서 앞서 제시한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의 새로운 기능으로 제시한 국가 재활연구센터로서의 역할과 국가 장애인정책 수립방안을 제시하는 재활정책 수립 기능 재활의료기관 인증을 수행하고 권역재활병원의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사항을 조정하는 인증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가칭)장애인 보건법 등 법 제도 신설 혹은 정비 시 국립재활원의 설립근거와 운영규칙을 확립해야함

권역재활병원의 기능으로는 포괄적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권역 내 재활사업 주관 권역 내 재활전문 교육훈련 및 임상연구 등 재활연구센터로서의 역할 담당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와 함께 교육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국가

15)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안 연구 김윤 보건복지가족부 용역과제 2009

- 38 -

중앙재활센터로서의 기능 등이 포함되어야 함 또한 권역재활원 선정 및 심사 평가 체계로서 보건복지부 및 지방자치체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 민간 학회 등 연구기관이 각각 담당하는 역할과 권역재활병원 지정 절차 지정조건 및 기간 지원 내용 등도 규정되어야 함

나 재활전문병원 인증 관련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

의료법 제3조의 5 전문병원 지정 항목에 의거하여 재활전문병원의 요건을 보건복지부령으로 규정함 또한 특정 질환의 경우로서 을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함

재활전문병원 지정을 위한 요건에는 시설 및 장비 기준 인력 기준 재활서비스 기준 등이 포함되어야 하며 특히 재활계획(입원시 치료계획) 수립 환자 및 보호자 대상 정보제공 및 교육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사용 기능상태 사정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및 평가 수행 등 진료실적에 대한 질적 평가의 비중이 강조되어야 함

현행 의료법 제3조 5 전문병원 지정 항목에는 전문병원 지정 이후 인센티브 제공 내용이 언급되어 있지 않으나 취약지 시설 건립을 위한 건축비 지원 지역사회 재활사업 지원 등 공적 사업에 대한 재정 지원 인증기관에 대한 차등수가제 적용 등의 방안들이 규정될 필요가 있음

- 39 -

다 개선사항 제안

국립재활원의 설립근거 및 운영규칙

-국립재활원의 설립근거와 운영규칙을 법에 명시하도록 함예시) 보건복지부장관은 장애인의 보건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와 장애인의 진료 등을 위하여 국립재활원을 설치운영하여야 한다-권역재활병원의 기능과 역할을 명시예시) 지역사회 장애보건 및 재활의료사업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하여 권역재활병원으로 하여금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1 해당지역 장애발생율 등 장애보건관련 통계산출을 위한 자료의 수집분석관리 2 해당지역 장애보건관리사업의 기획 및 재활의료서비스 연계체계 구축 3 해당지역 장애보건 관련 조사연구사업 4 해당지역 장애보건 관련 인력교육훈련 및 국제협력 5 해당지역 장애건강등록사업에 관한 사항 6 해당지역 장애인 가족지원에 관한 사항 7 지역거점재활의료센터 지원 8 그 밖에 지역사회 장애보건 및 재활의료사업과 관련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

재활전문기관 평가 및 인증

-의료기관인증평가원의 재활전문병원 인증시 국립재활원의 역할을 명시

예시) ➀ 보건복지부장관은 재활의료기관에 대하여 특화 및 전문치료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는 기관에 대하여 재활의료전문기관으로 인증취소할 수 있다 ➁ 제1항의 재활의료전문기관 인증취소에 관한 업무는 중앙장애보건관리본부(현 국립재활원) 등 관련 단체 및 전문기관에서 수행할 수 있다 ➂ 재활의료전문기관 인증취소에 관한 범위와 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지역거점재활의료센터

-지역사회 장애보건 및 재활의료사업의 전문적 수행을 위해 보건소나 국공립 및 권역재활의료기관에 (가칭)지역거점재활의료센터를 설치 위탁 할 수 있도록 함예시)지역사회 장애보건 및 재활의료사업을 전문적으로 수행하게 하기 위하여 보건소 또는 국middot공립 및 권역재활의료기관에 권역장애보건관리본부 및 지역거점재활의료센터를 설치하거나 그 사업을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관 또는 단체에 위탁할 수 있다

표 6 법 제도적 개선사항 제안 정리

- 40 -

요약 및 소결

현재 국립재활원 공공재활 의료팀에서 시행중인 공공재활의료 관련 사업을 검토하였음 - 위에서 서술한 현재 공공재활의료 관련 사업의 문제는 아래와 같음- 공공재활 의료팀에서는 대부분 보건(지)소 근무자 교육 프로그램만 운영하고 있음- 권역 재활 병원 및 2차 병원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함- 교육 프로그램을 제외한 기술적 지원 및 협력체계 기반이 미흡함- 다양한 직종이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미흡함

위에 제시한 문제점과 2009년 재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델파이 조사를 바탕으로 국립재활원의 공공재활의료 발전 방향에 대한 전략을 구상하였음

권역 재활병원과의 상호 협력 증진- 보건소에서부터 권역재활병원 국립재활원으로 이어지는 공공재활의료 전달체계 구축-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진료 지원 및 협진 등

의 재활의료서비스를 지원함

재활 전문병원 평가기준마련 및 인증제 실시- 장애인 보건법 제정 등의 제도적 정비가 필요함

국가정책수립 기능- 장애인 보건법 등의 법적 제도적 정비 방향을 제시함- 장애인 및 재활의료서비스 통계를 산출함

교육 및 연구 기능- 권역재활병원 및 공공재활의료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권역재활병원 실무과정 공

공재활의료 아카데미교육과정 등과 같은 공공재활체계교육을 수행함- 재활정책 고위과정을 교육을 수행하여 정책형성의 기반을 형성함

국제보건- 국제기구 혹은 국내의 국제보건 단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국제적 재활의료 부분에

대한 원조를 지원함- 효과적인 국제보건 지원을 위해서는 WHO 협력기관 지정을 받는 것이 필요함

- 41 -

제3장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 방안

사회복귀지원의 개념

가 문헌 검토

lsquo사회복귀rsquo 용어는 일반적으로 미국에서 lsquocommunity (re)integration(사회복귀)rsquo와 lsquosocial integration(사회통합)rsquo를 사용하고 있고 그 외 lsquocommunity reentryrsquo lsquocommunity livingrsquo lsquogetting back to real livingrsquo 등으로 다양하게 지칭하고 있음

lsquo사회복귀rsquo 관련 개념은 명확하게 개념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임 단지 장애인 부상자 범죄자 등 사회적 취약 계층의 사회로 복위 갱생 회복 등을 의미하며 대상자별로 조작적 정의를 통해 개념이 정립화되어 있음- Kenneth Lam (1994) 사회복귀란 가족과 지역 내 일상생활 일상적인 역할과 책

임 사회 구성원의 일원으로 동참하는 것을 의미함17)

- Marcel Dijkers (1998) (물리적 손상이나 장애 후) 사회복귀란 연령성별문화적 적절한 역할상태기능을 돌이키는 요구 의사결정을 통해 독립적상호의존적 그리고 지역사회에서 가족과 친구 등 다양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완성된 행동을 수행하는 것을 말함18)

- Mank amp Buckley (1989) 장애인의 사회통합은 비장애인이 영위하는 수준과 동등하게 장애인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존재(presence)하고 참여(participation)하는 정도를 의미함19)

- Ely amp Peter (1991) 사회통합은 lsquo사회적 동반rsquo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장애인이 실제 살아가는 곳에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상적인 활동에 참여하는 것임20)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장애인 대상의 사회복귀는 장애 발생 이후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기능이 재조직화 되어 개인의 가정생활 사회활동 직업활동에 복귀하여 안녕감을 갖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음

16) 사회복귀지원의 개념 및 프로그램 운영 사례에 대해서는 lsquo국립재활연구소 장애인의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재활서비스 모형 개발 2010rsquo 및 lsquo국립재활연구소 장애인의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ICF 기반의 재활서비스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 2011rsquo을 참고하였음

17) Kenneth Lam Community reintegration Life after stroke 1994 세미나 발표 자료

18) Marcel Dijkers Community Integration Conceptual Issues and Measurement Approaches in

Rehabilitation Research Top Spinal Cord Inj Rehabil 19984(1)1ndash15

19) Mank D M amp Buckley J Strategy for integrated employment in W E Kierman amp R L Schlock

(Eds) Econimoic industry and disability A look ahead baltimore Paul Books Publishing 1989

20) Ely Peter W Quality of life and social integration of psychiatrically disabled citizens in community

residences MI University Microfilms International 1991

- 42 -

나 병원 기반 사회복귀지원프로그램

질병 및 손상으로 인한 장애가 발생한 환자에게 제공되는 환자병원 기반 사회복귀지원 과정은 다음과 같음

병원 기반 사회복귀지원프로그램은 일상생활훈련(실생활 훈련)을 비롯하여 운전교육 컴퓨터 교육 학업(직장) 복귀지원 주택개조 정보 제공 및 연계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멘토링(동료상담) 프로그램 정서적 지원 성재활 지역사회자원 연계 가족지지상담 및 프로그램 법률지원서비스 독립생활체험 활동보조인 이용체험 보조기 평가 및 대여이용체험 등으로 구성됨- 일상생활훈련(실생활) 훈련은 장보기 요리실습 및 세탁 청소 샤워 등 기본적인

- 43 -

일상생활 및 가정관리 훈련 쇼핑 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 이용 및 이동훈련 시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음

- 운전교육에는 운전클리닉 운전면허 취득 운전적응훈련이 포함되어 있음- 학업 및 직장 복귀 지원은 학업 복귀와 취업준비 지원 및 직업 훈련 연계가 포함됨-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은 재활스포츠와 문화활동이 포함되어 있음- 정서적 지원부분에서는 인지middot정서에 대한 심리학적 평가를 기반으로 정서적 어려

움에 대한 상담과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음

구분 내용

일상생활(실생활)

훈련

요리 메뉴 짜기 및 시장보기 실습실을 이용한 요리 실습 시행

쇼핑 대중교통 이용하여 백화점 할인마트 시장 방문하여 쇼핑하기 계산하기 등 일상적인 가정관리 훈련제공

금융이용 훈련 통장 및 현금카드 만들기 현금인출기 이용 세금 납부하기 인터넷 뱅킹 등 금융이용 훈련 제공

대중교통 이용 지하철

지하철 내 편의시설 이해 엘리베이터 장애인 개찰구 및 출입구 이용 등 사전 모의 체험 및 실제 지하철 이용하기

대중교통 이용 시내버스

저상버스 이용법 리프트 승하차 휠체어장애인용 좌석 이용 등 사전 모의체험 및 실제 저상버스 이용하기

운전교육운전클리닉 자동차 운전을 원하는 환자에게 전문적인 자동차 운전 평가와

가상현실운전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훈련 제공 운전면허취득 운전면허 취득을 위한 운전기능교육 및 도로주행교육 시행운전적응훈련 장애 발생 전 운전면허 소지 장애인을 위한 도로주행 교육 시행

컴퓨터 교육 타자연습 등 기초교육 문서작성 인터넷 포토샵 등 개인 수준에 따른 정보활용 교육 시행

학업직장복귀 지원

학업복귀지원 입(복)학 관련 정보 제공 장애인 편의시설 조사 담당자 면담 등 진학 및 복학을 위한 지원

취업준비지원 장애인고용공단 직업평가 및 상담 연계 장애인일자리 관련 단체 안내 등 장애발생 전의 직장복귀 및 취업연계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

직업훈련연계 장애인 직업전문학교 상담 및 장애인직업능력개발센터 장애인복지관 직업훈련 등 훈련 연계

주택개조정보제공 및 연계장애인의 주거환경을 진단하고 편의시설 및 주택개조에 대한 정보제공

주택개조 지원연계 등의 서비스를 지원함 (지역구별 집수리 신청 주거개선 업체정보 관련 후원단체 연결 등)

레저 및레크리에이

재활스포츠수중운동체험 및 농구 럭비 볼링 배드민턴 탁구 사격 게이트볼

수영 펜싱 파크골프 등 다양한 원내middot외 연계스포츠를 통해 지역사회에서 이용할 수 있는 레저스포츠 개발 및 참여기회 제공

문화활동 박물관 민속촌 등 다양한 문화활동 체험 및 영화관 미술관 관람

멘토링(동료상담) 프로그램

입원환자에게 여러 가지 조언과 치료완료 후 사회에 적응하고 직장복귀 취업안내 등을 컨설팅 할 수 있도록 잠재력을 키워가도록

도와줌 사회복귀 성공사례 및 정보 제공 동료상담 활동가 및 사회복귀 코디네이터 연계

정서적 심리치료 인지middot정서에 대한 심리학적 평가를 기반으로 정서적 어려움에 대한

표 7 H-CRsP 프로그램 구성 및 내용

- 44 -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지원 현황

가 주간재활센터 프로그램

주간재활센터는 각종 질병이나 사고로 뇌손상을 입은 장애인을 대상으로 독립적인 생활 및 사회적응을 돕고 가족의 부담을 경감시키고자 낮 시간동안 포괄적인 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임

대상은 급성기 치료가 끝나고 의학적으로 안정된 뇌손상 장애인으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기능증진을 위해 적극적인 재활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이며 매주5일(월~금)동안 하루 8시간 총 3개월 동안 이용할 수 있음

재활스포츠 활동 게이트볼 골프 배드민턴 탁구 볼링 배구 등 환자의 장애에 맞는 응용스포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신체적 활동 및 운동경기를 통해 운동능력을 향상시키고 즐거움 만족감을 느끼게 하며 환자간의 협동력을 높여줌

집단 간호 상담 장애로 인해 환자와 가족들이 겪게 되는 심리적 충격 및 고

지 원

상담과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제공

미술치료 그리기 만들기 등 다양한 미술활동을 통한 내면의 정서상태 표현 및 역량 강화

음악치료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 율동 등 음악활동 및 치료 레크리에이션을 통한 정서순화

원예치료 식물심기 및 기르기 꽃꽂이 창작품 만들기 등 원예활동을 통한 정서순화 및 취미개발

성재활성재활 상담 교육 치료를 통하여 장애인의 올바른 성에 대한 인식과

성생활이 가능하도록 도와주어 행복한 가정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는 재활치료

지역사회자원 연계 자립생활센터 복지관 등 거주지에서 이용 가능한 지역자원 및 재활운동 취미활동 자조모임 등 프로그램 연계

가족지지 상담 및 프로그램 가정방문 및 가족상담

법률지원서비스 장애인 관련 법 및 장애인 복지시책 관련 정보 제공과 법률상담 연계 지원

독립생활체험 첨단 보조기구 및 환경제어 시스템이 설치된 실거주형 원룸(침실 욕실 주방 등)에서 생활할 수 있는 기회 제공

활동보조인 이용체험 활동보조지원 사업 및 이용법에 대한 안내 활동보조서비스 신청 지원 필요시 실제 활용 기회 제공

보조기 평가 및 대여이용체험 장애인의 특성과 기능에 맞춘 보조기구 활용을 위해 보조기구 상담 및 제작 개조 및 대여 등의 서비스 제공

- 45 -

충을 같은 입장에 있는 사람들이 함께 모여 이야기를 나누고 서로에게 주어지는 피드백을 통해 보다 긍정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장애수용을 돕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임

성재활 상담 뇌졸중 재발의 두려움과 신체적 불편감으로 인한 부부간의 성생활 결여로 야기되는 갈등을 해소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며 뇌졸중 후 성생활시 주의점 및 전문적인 지식을 제공함

음악치료 음악활동을 체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사람의 신체와 정신기능을 향상시켜 개인의 삶의 질을 추구하고 보다 나은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프로그램임

치료 레크리에이션 병원생활과 기능손상으로 인한 무기력감과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기능 증진을 위한 다양한 여가프로그램을 통해 환자의 적절한 여가활용 및 사회복귀를 촉진함

원예치료 식물을 이용한 원예활동을 통해 사회적 심리적 신체적 적응력을 기르고 녹색의 쾌적함을 얻고자 하는 활동 프로그램임

미술치료 색채 및 미술도구를 이용하여 심신의 안정과 흥미를 유발함으로서 손의 감각자극이나 동작기능을 향상시킴으로서 사회복귀를 촉진함

가정방문 가정에서 생활환경 및 기능상의 어려움을 파악하여 이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고 대상자의 치료 및 훈련을 보다 효과적이며 실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임

실생활재활치료 사회복귀에 대한 두려움 해소 재활의욕 고취에 긍정적인 도움으로 주는 프로그램으로 옥외활동 문화체험 및 관람활동 교통수단 이용해보기 등의 3가지 테마로 구성되어 있고 월1회 실시하고 있으면 환자기능에 맞는 과제를 제시해 줌으로써 동기부여와 목적을 재인식시켜줌

가족프로그램 보호자와 함께하는 프로그램으로 요리하기 요가 등이 있음

- 46 -

나 사회복귀지원과 2012년 사업추진 현황21)

국립재활원 사회복귀지원과의 2012년 사회복귀지원사업 추진 현황은 다음과 같음

21) 국립재활원 사회복귀지원사업 현황 국립재활원 사회복귀지원과 2012

구 분 내 용 비 고

일상생활훈련

가정관리 세탁 샤워 장보기 및 요리실습 등 의식주 활동

이동훈련 수동 및 전동휠체어 이용훈련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시설 이용하기

활동보조서비스 활동보조서비스 안내 및 지원활동보조인 연계 무료 실습기회 제공(25시간)

의료지원

의료평가 원내 재활의학의 진료 및 평가원내재활병원연계치료 및 교육 필요시물리ㆍ작업치료 교육제공

심리상담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진료 및 상담

보조기 사례관리 휠체어 등 보조기 상담 및 평가훈련 중 보조기 맞춤 및 대여 체험

재활연구소연계

상담동료상담 동료장애인 경험 및 사례모델링

가족상담 및 교육 성재활 가족갈등 해소를 위한 가족상담 및 교육

정보제공

컴퓨터(정보활용) 한글 인터넷 등 기초과정엑셀 파워포인트 등 고급과정

장애인복지정보 장애인복지시책 등 각종 정보안내 거주기 지역자원 복지관ㆍ지원센터 등 지역자원 안내 및 연계

주택개조지원 주택개조에 대한 정보제공 및 연계

운동 재활운동 재활운동실을 이용한 개별운동레저스포츠 탁구ㆍ펜싱ㆍ수영ㆍ볼링 등 원내ㆍ외 레포츠 활동

표 8 사회복귀 프로그램 목록

- 47 -

2012년 프로그램 참가자 수는 총 798명이며 집행된 예산은 수용비 86819000원 재료비 3500000원 운영비 49500000원 등 총 139819000원임

프로그램 구분 참가자 수(명)상담 404운동 76교육 9(회)

멘토링 2심리정서지원 87

여가문화 19진로지원 1가족지원 37

스마트홈체험 15자원연계 157

총원 798

표 9 프로그램 구분 및 참가자 현황

타 기관의 사회복귀 지원 현황

가 서울재활병원

낮병원 프로그램

낮병원 프로그램은 입원치료와 외래치료의 장점을 극대화시킨 새로운 재활치료의 모델로서 발병 후 입원재활치료를 마친 후 가정과 사회로 복귀를 준비하기 위한 재활프로그램임 대상은 뇌졸중 척수손상 뇌손상 등 집중 재활치료가 필요한 성인으로 치료기간은 3개월로 필요시 연장이 가능하며 주 5일 주 3일 주 2일로 운영함 - 각 재활 영역별 전문적이고 세밀한 초기평가를 실시 후 각 환자별 특성에 따라 계

획된 맞춤형 집중 재활치료 프로그램 (물리치료 수중재활치료 통증치료 작업치

운전교육운전면허취득훈련 원내 연습장을 이용한 기능ㆍ도로주행 교육

운전적응훈련 면허 있는 중도장애인을 위한 도로주행 과정

사회체험 방문체험 복지관ㆍ자립생활센터ㆍ체험 홈 등 방문지역 공공기관 방문 및 체험

직업적응 학업 및 직업복귀 학업ㆍ직업복귀를 위한 직업평가 및 정보제공장애인공단 등과 연계서비스

취미활동 생활공예 점토를 이용한 다양한 도자기 소품 만들기한지공예ㆍ지점토 등 생활공예품 만들기

- 48 -

료 언어치료 음악치료 재활심리치료)과 그룹 프로그램(그룹 체조 미술치료 도예) 사회적응치료로 제공하며 뇌졸중 학교를 통해 스스로 장애를 이해하고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음

레크리에이션 재활프로그램

레크리에이션 재활프로그램은 장애인들도 레크리에이션(음악 미술 스포츠 여행 등)을 즐길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재활 및 심리적 치료를 꾀하고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임 대상은 입원 및 낮병원 외래를 이용하는 뇌졸중 척수손상 뇌성마비 등의 환자임- 사회적응치료 문화체험 대중교통이용훈련 대인관계훈련 영화관람 마트 이용 등

을 통해 병원을 벗어나 지역사회를 직접 체험하여 병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퇴원을 위한 실제적인 준비와 지역사회로의 적응을 돕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함

- 원예치료 소아 낮병동 환자 및 보호자 입원중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정서적 안정과 신체적 건강을 위해 식물 기르기 꽃장식 등 다양한 원예활동을 통한 협응능력향상 사회성 향상 손근육강화를 위한 치료로 꽃꽂이 디쉬가든 테라리움 포푸리 수경재배 등이 있음

- 미술치료 미술활동을 통해 심리적 정서적 갈등을 완화시킴으로서 원만하고 창조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심리치료법으로 미술을 통해 고통스런 경험을 동화 통합시키며 적개심이나 공격성을 안전하게 표현할 수 있고 자신을 신뢰하고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기회 제공을 함

재활스포츠 프로그램

재활스포츠 프로그램은 다양한 스포츠 활동으로 인한 심한 손상이나 관절 인대 근육의 손상이 있는 경우 손상 초기부터 정확한 진단 및 안정 통증과 염증의 조절 관절 구축의 방지 근력과 지구력의 증진을 통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재활치료를 목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함

기타 지원프로그램

환자 및 보호자 상담- 환자와 보호자가 가지고 있는 심리사회적 문제를 해결하여 환자의 재활의지를 높

이고 지역사회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개인력 조사 사회사업상담(심리상담 경제적 상담 가족상담 퇴원계획 복지정보제공)을 실시함

환자지원 프로그램- 환자적응치료 지역사회로 외출경험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변화를 직접 경험함

- 49 -

으로 지역사회로의 복귀할 수 있는 의지를 심어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집단활동 프로그램 미술치료 도예치료 놀이치료 구연동화 등 사회성 향상 및

양손 협응력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집단활동을 지원함- 학습놀이 프로그램 입원기간 동안 취학을 앞두고 있거나 학업이 중단된 아동 그

외 학습 및 놀이가 필요한 아동에게 학습 및 놀이 프로그램을 지원함

가족지원 프로그램- 어머니 여가활동지원 가사 간병으로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어머니들에게 여

가활동(토피어리 종이접기 풍선아트 등)을 지원하여 친목도모 및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 아빠교실 재활치료에 아버지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자조모임을 통해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정보를 공유할 기회를 제공함

나 삼육재활병원

사회재활프로그램

사회재활프로그램은 장애인이 사회생활과 가정생활에 적응을 돕기 위해 물리적 사회middot 문화적 심리적 환경 등에서 활동능력을 획득하여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산재 환자프로그램 사회적응프로그램 미술치료 원예치료 그룹 활동 집단 활동 프로그램 피아노교실 사랑의 듀엣 노래자랑 송년잔치 등을 제공함

장애인 정보화 교육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주관으로 운영되는 교육시설로 입원환자 뿐만 아니라 직계가족 지역거주 장애인 및 직계가족 모두가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윈도우 인터넷 한글 엑셀 등 컴퓨터 초middot중급 과정의 강의를 실시하고 있으며 교육비나 교재는 무료로 지원함

무료간병연계

저소득 계층의 의료보호 환자 중 가족이 돌볼 형편이 어려운 환자들에게 광주자활센터와 연계하여 낮시간 동안 복지간병서비스를 제공함

상담

경제문제 상담 및 지원 가족교육 및 가족상담 보장구 지급에 대한 상담 재

- 50 -

활정보 제공 직업상담 가정방문 및 주택개조 지원 상담 등을 시행함

다 파크사이드 병원

집으로 프로젝트

집으로 프로젝트 프로그램은 환자가 병원 퇴원 후 집으로 가서 일상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협력하는 프로젝트로 재활의학과 전문의 재활치료팀(물리 작업 언어) 재활간호팀 뿐만 아니라 의료장비업체 인테리어업체 의료공학자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환자가 퇴원 후 집에서 통원치료를 할 수 있도록 직접 방문하여 여러 방안을 모색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함

펀 쿡 프로그램

펀amp쿡이라는 카페 같은 공간을 이용하여 환자가 직접 시장을 보고 직접 요리를 함으로써 자신감을 고취시킬 수 있으며 요리를 통해 일상생활생활동작 훈련을 하는데 도움을 줌 가족과 함께하는 요리경연대회 다양한 퍼즐 및 보드게임을 통해 기능향상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함

펀 플레이 프로그램

환자를 즐겁게 한 후에 치료로 연결하는 프로그램으로 환자들이 웃고 쉬고 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줌 슬링을 이용한 놀이와 음악을 들으며 춤추기 다양한 게임 등을 통해 즐겁게 움직임을 유도하고 환자들이 평소에 좋아했던 운동을 확인하여 스포츠 활동까지 할 수 있도록 지원함

직업복귀 프로그램

손상전의 직업으로 복귀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으며 의료진이 개입하여 회사 관계자와의 접촉을 통해 환자가 이전 직업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도와줌

자동차 면허취득 프로그램

병원입원기간 환자들을 대상으로 장애인 자동차 면허취득을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함

- 51 -

라 인천산재병원

특수재활요법

특수재활요법은 환자의 심리 정서적 상태를 기록하여 심리재활치료에 반영 및 작업치료의 일환으로 신체적인 잔존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제공됨- 프로그램은 기존에 제공하던 7개 훈련공과를 의료재활의 일부분으로 전면 개편하

여 물리치료실과 함께 재활 의학전문의의 처방에 따라 귀금속디자인 전통공예 목조형디자인 원예 컴퓨터 멀티미디어 회화교실로 변경 시행하여 작업치료와 연결되는 심리재활 프로그램으로 제공됨

수중운동재활

수중운동재활관은 중추신경계 손상 산재환자의 조기재활을 통한 기능회복 재활사업 중 전문재활 급성기환자의 재활 System 확보 전인재활을 통한 사회참여 산재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임- 대상은 뇌손상 척수손상 골절 및 절단 장애 근육병 스포츠상해 등을 가지고 있

는 지체장애인이며 세부 프로그램에 따라 주 2-3회 1회당 30-50분 11 또는 소그룹이나 대그룹으로 운영됨

- 프로그램은 수중물리치료 수중재활운동으로 구분되어 제공되는데 수중물리치료는 수중에서 적응력 균형유지 불필요한 반응 억제 신체조절능력을 증진시키는 HALLIWICK 치료와 미온의 수중에서 등척성 등장성 등속성 운동을 통하여 중추성 신경손상 등으로 인한 근신경 및 골격근을 재활시키는 BRRM 치료 미온의 수중에서 스트레칭 마사지를 통하여 신체의 근신경계 및 관절의 경직 마비된 신체를 이완시키고 심리적으로 안정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WATSU 치료로 제공되며 수중재활운동은 HALLIWICK 방법 BadRagaz 방법 Aquatic Exercise를 적용하여 정상적인 신체이동 패턴과 근력 지구력 심폐 지구력 유연성 관절가동범위증진 및 향상으로 자세유지 능력향상과 일상생활 동작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공됨

야외운동재활센터

야외운동재활센터는 환자들을 위한 스포츠 시설로서 운동을 통해 환자분들의 재활을 돕고 있으며 탁구장 테니스장 농구장 론볼장을 갖추고 있어 환우 여러분들의 병상생활에 활력을 불어 넣어주고 있는 프로그램임- 프로그램은 흰색 표적구를 먼저 굴려 그 표적구에 목적구를 가까이 붙여 점수를

획득하는 경기로 남녀노소 즐길 수 있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서로 페널티 없이 어울릴 수 있는 론볼 다목적 구장을 이용해 제공하는 농구 테니스 배드민턴 실

- 52 -

내에서 4계절 이용 가능한 탁구 프로그램을 제공함

재활공학서비스 연계

국내에서 유일하게 재활공학연구소와 연계한 종합재활서비스를 제공함 - 다양한 첨단 재활보조기구를 연구 middot 공급하는 재활공학연구소가 병원 내에 위치해

재활치료 후 첨단 보장구 지급 생활적응 훈련(ADL) 및 장애인 보장구 적응훈련(ATAD)의 효율성을 높이고 산재 근로자들이 조기에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도모함

마 일본 국립장애인재활센터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는 병원 연구소 학원 훈련센터로 구성되어 있어서 연구-재활치료-교육-사회복귀가 모두 한 공간에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훈련센터에서는 작업치료부터 직업교육 사회생활 적응교육까지 직업훈련사 1인당 5~6명의 장애인을 전담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약 2년 정도 교육이 진행됨 교육 진행 중 취업이 되는 경우도 많이 있음

직업훈련장에서는 실제 장애인 센터에서 요구되는 세탁 장비 수리 등의 작업을 부여 받아 진행하고 있으며 초기 교육부터 마지막 사회적응과정까지 단계별로 교육을 시행함 직업교육의 직능교육 외에도 직장상사와 잘 지내는 법 직장 동료들과 약속을 지키는 것과 같은 관계에 대한 교육도 함께 이루어짐- 일본의 장애인 직업훈련은 공공직업훈련과 사업주가 행하는 직업훈련으로 구분됨 - 공공직업훈련은 국가 도도부현 및 시정촌에 설치하여 운영함 이들 훈련은 무상훈

련을 원칙으로 하며 훈련수당 등이 지급됨- 사업주가 실시하는 직업훈련은 지방자치단체장의 인정을 받아 실시함 - 일본의 장애인 취업은 후생노동성 산하 공공직업안정소에서 관리함 공공직업안정

소는 장애인 취업알선 및 직업상담과 평가 취업을 위한 지원 취직 후의 사후지도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 일본의 장애인 직업훈련과 관련된 인적자원은 직업훈련지도원(훈련교사)이 주된 인원이며 고용과 관련된 요원은 직업생활상담원 잡코치 장애인 카운슬러 등이 있음

스포츠재활의 경우 재활의학 의사의 운동 처방이 존재함 국립장애인센터 내에 장애인 전용 체육관이 있으며 이곳에서 장애인들이 수영 등 스포츠 활동을 진행함 원칙적으로 국립재활원 주변의 의사들도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처방을 할 수 있고 운동처방을 받은 장애인은 국립재활원 내의 체육관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나 아직 시범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단계임

- 53 -

바 마국 시카고 재활원(RIC Rehabilitation Institute of Chicago)의 LIFE Center

2001년 시카고 재활원 1층에 위치한 LIFE센터는 L학습(Learing) I혁신(Innovation) F가족(Family) E권한(Empowerment)상징함 방문자들은 잡지나 책 그리고 비디오와 같은 많은 정보를 얻기를 원하고 음악감상 예술작품 감상뿐만 아니라 다른 방문객들과의 만남을 원함 LIFE센터는 보호자 자원봉사자 등의 인터뷰를 통한 철저한 필요도 평가에 의해 고안됨 따라서 위 센터는 8개 영역에 따라 조직화됨- 의료정보 (Medical information amp care) 기능장애 피부 대소변 호흡 그리고

다른 일상생활활동에 대해 교육제공- 간병과 보조기기 (Caregiving amp equipment) 간병인 적합한 기기 그리고 보조기

기의 정보제공 연계- 가정과 교통수단 (Housing amp Transportation) 집의 접근방법 가정간호를 위한

주정부 정보제공 연계- 지지와 건강관리 (Support amp Wellness) 장애인에게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사립 기관- 여가와 레크레이션 (Leisure amp Recreation) 여행 스포츠 예술 댄스 실내외

레크레이션 활동 경험- 재정관리와 법 (Finance amp Law) 장애법 이해- 영감과 희망 (Inspiration amp Hope) 장애를 극복하고 도전적인 삶을 사는 이야기

발견

사 미국 케슬러 재활원 (Kessler Institute for Rehabilitation)의 사회재활

Return-to-Work strategy Services는 고용자와 고용인 그리고 보험회사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되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임- 기능적 역량 평가(Functional Capacity Evaluations FCEs)- 이전 직업의 인지평가(Pre-Vocational Cognitive Evaluations)- 작업상태 평가(Work conditioning)- 인간공학평가(Ergonomic assessments)- 직업재활과 직업가이드 서비스(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Career Guidance

Services)

장애인에게 경쟁력 있는 고용 학교 혹은 자원봉사 하도록 도와주거나 그들에게 사회의 생산적인 일원이 되도록 복돋아줌 위의 결과지향적인 프로그램은

- 54 -

개개인이 실제적인 커리어에 필요한 기술과 전략을 개발하도록 도움- 상담 배경정보 의학적 치유력 교육 및 직업경력 가족관계 개인적인 관심- 직업평가 적성 개성 학업 문제해결능력 조직력 컴퓨터 사무 능력- 직장체험 재활원과 지역사회 병행하며 직장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 커리어 상담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사는 그들의 강점을 인식하도록 도움- 추가 서비스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휠체어 클리닉 운전재활 인지재활

아 호주 Princess Alexandra Hospital (PA Hospital)

ABIOS는 전문가 지역사회기반 재활서비스로 독립성 향상 참여 및 기회제공 적절한 서비스를 통해 뇌손상 장애인과 그들의 가족 및 간병인에게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 통합을 목적을 위해 지원하는 서비스임

외상성 뇌손상 뇌졸중 뇌종양 약물중독 감염 및 질병 산소결핍 알콜middot약물중독 등 후천적 원인에 의한 뇌손상 장애인으로 PHA 퇴원환자 타병원 의뢰환자 기타 재가 장애인 등으로 퀸즈랜드 거주 장애인만 대상이 됨

교육프로그램- 장애인 당사자 가족 간병인 그리고 지역 내 다른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교육을

실시함- 후천적 뇌손상 이해 뇌손상으로 인한 인지적middot행동적 장애 도발적인 행동관리 뇌

손상 장애인 지원을 위한 일반적인 가이드라인 후천적 뇌손상 장애인을 위한 효과적인 생활양식 지원 지역사회 연계 케어 스트레스 사례관리 뇌손상장애인을 위한 목표설정에 관한 주제로 진행됨

STEPS(The Skills To Enable People and Communities)- 뇌졸중 및 뇌손상을 가지고 있는 18~64세 성인과 가족 친구 간병인들과 함께 참

여하고 실제 장애인이 살고 있는 지역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함

- The STEPS Skills Program은 프로그램은 6주간 제공되며 자신을 돌보는 방법 지역사회에서 살아가는 방법 서비스를 받는 방법 등에 대한 지기관리법에 대해 배우며 그룹의 다른 사람들과 경험과 사고를 공유함

- STEPS Network Groups은 지역사회의 지속적인 네트워크가 되며 프로그램의 핵심은 네트워크 구성으로 지원그룹 파트너쉽 등을 형성하며 그룹활동으로 점심 먹기 공원에 소풍가기 모닝차 마시기 패션쇼 경매참여 카드 등 게임하기 볼링

- 55 -

등 레포츠 영화 및 연극보기 시낭송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함

TRP는 재활의 다음 단계로 퀸즐랜드 척수손상병동에 있던 사람들에게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로 대부분의 TRP 프로그램은 4~8주 정도 진행되나 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며 그 이루는 Outreach 서비스로 연계됨- 이동 휠체어 기술 보행 옥외이동기술 등 신체적 기술의 강화 일상생활활동 지

역사회접근 직업 상담 보조기구 운전 및 주택 개조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직업과 직업 전 기술 등에 대해 다룸

척수 손상환자들이 병원 재활에서 지역사회 생활로의 전환을 도와줌으로써 지역사회 재통합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이 있으며 병원으로부터 좀 더 빨리 퇴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줌 프로그램은 전문가들의 다학제적 팀 접근으로 개인의 요구도와 목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며 적극적으로 이러한 프로그램에 가족 파트너 및 친구의 참여를 권장함

SPOT는 기존서비스와의 중복되지 않도록 교육과 상담에 중점을 두며 서비스 내용으로는 스킨케어 보조기구 주택개조 직업 및 교육정보 통증관리 상담과 지원 일상생활활동 관절과 근육문제 자세와 앉기 대소변 관리 다른 관련 건강과 간호문제 등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를 제공함

서비스는 브리즈번에서 200km이내인 경우거나 지역방문의 정규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하는 경우 가정이나 지역방문을 통해 제공되며 또한 전화나 화상회의와 같은 멀티미디어를 사용하여 조언과 교육도 제공됨

장애인에 대한 직접적인 서비스 외에 척수손상에 대한 2차 합병증 예방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장애인 당사자와 주변인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짐 주제는 욕창치료 및 관리 척수손상으로 인한 2차합병증 예방 자세유지 의수족 고령화 등으로 구성됨

- 56 -

자 호주 Royal Rehabilitation centre Sydney

Brain Injury Rehabilitation team(BICRT)- BICRT는 외상성 뇌 손상을 가지고 지역 사회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로 팀원들은 외상성 뇌손상 장애인들이 만족스러운 생활로 돌아가고 독립적인 생활을 격려하며 정서적 사회적 신체적 지적 기능의 수준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도와줌

- 관계(relationships) 건강(health) 학습(learning) 재정(finances) 직장 및 레저 활동(work and leisure)에 관한 지원을 제공함

환자의 의학적 상태에 따라 ldquo재활 밖의 삶(life outside rehab)rdquo을 경험하기 가족과 함께 Transitional Living Unit에 머물도록 장려함 척수손상병동 퇴원 후 프로그램으로 플랫형 공동 주택으로 되어 있으며 3일 동안 지낼 수 있음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체육관 가이드는 지역사회 기반의 헬스 클럽과 피트니스 센터 참석으로 건강 및 피트니스 활동을 추구하기 위한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있는 재활 환자에게 레크리에이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함

홈 기반 재활 서비스 (HBRS)는 북부 시드니 지역 보건 서비스의 거주하고 있으며 최근 부상 또는 질병을 입었거나 받은 수술을 하거나 만성 근골격계 또는 신경학적인 상태의 악화를 경험하신 고객을 대상으로 집중적으로 짧은 기간 가정에서 자신의 재활을 수행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함 환자는 의사나 입원팀에 의해 연계되며 병원 퇴원 전 HBRS 매니저로부터 평가를 받음

운전 평가 및 재활 센터는 장애인이나 의료적 문제가 있는 사람들에게 독립적이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도와줌 DARC는 운전 평가 및 재교육(re-training)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면허를 회복하거나 운전면허 취득을 위해 조언과 도움이 필요한 특별한 요구가 있는 사람들을 지원함

- 57 -

장애인과 그들이 배우자에게 비밀이 보장되는 환경에서 성에 대한 고민과 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배우도록 지원함

변형된 신체상 성에 영향을 주는 감각 이동 대소변 기능에 변화 의사소통문제 여러 가지 성기능의 변화 관계문제 부적절한 성적행동 성에 대한 잘못된 인식 장애 후 다시 시작된 성생활 등 성적 및 성에 대한 고민이 있는 후천적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함

서비스 내용은 성기능 평가 개인의 요구도에 기반한 개별 치료 개별 및 부부상담 장애인과 배우자 부모 및 간병인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전화상담 및 조언 전문가와 지역사회 단체를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작 및 보급 등이 있음

홈페이지 지원

장애와 상관없이 레저 예술 스포츠 레크리에이션 여행 라이프 스타일 등 세계 각지의 개인 단체 및 관련 제품에 대한 필요한 정보가 링크되어 있어 가이드를 제공함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지원 전략

가 재활의료 전달체계 및 사회복귀 연계체계 확립을 위한 국가정책 수립 지원

교육 및 연구 활동을 통한 국가정책 수립 지원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확산을 위하여 권역재활병원 및 재활전문병원의 사회복귀 담당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정 개설

현행 비급여 재활치료서비스의 수가화 기반 마련을 위한 표준 서비스 안 개발- 성재활 언어치료 운동 처방middot상담middot교육- 사회적응훈련치료 사회복귀훈련- 가족상담 보호자교육 환자교육 질병교육

- 58 -

나 서울시 중심 지역사회복귀 지원사업 수행을 통한 확산 모형 개발

직접 포괄적 서비스 제공- 입원재활치료 퇴원 전 사정 외래재활치료 직업훈련 및 사회적응프로그램 지역

사회 자원 확보 및 연계-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서울시 거점보건소와 함께 하는 시범사업 진행 검토

사업모형 확산- 개발된 모형을 권역재활병원 및 거점보건소 등으로 확산 모색

도시형 보건지소를 사회복귀지원프로그램의 지역거점으로 활용- 현재 정부 지원 도시보건지소 5개소 중 일부에서 방문재활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

는 것과 별도로 lsquo서울형 보건지소rsquo를 향후 약 50개소 추가 건립예정임- 보건지소의 역할 중 방문 재활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으나 역할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국립재활원에서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도시형 보건지소의 역할 수립 및 지역 사회 복귀 거점 기관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함

다 사회복귀지원 사업의 효과22)

한국 중증장애인 재활의료이용 현황

2006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로 신규 등록한 장애인의 2005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22) 이 절의 내용은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실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10

참조

- 59 -

진료비 청구내역 자료를 전수 분석하였음

지체장애로 입원한 중증환자의 총재원기간은 578일이었음 지체장애 중 중증이라고 볼 수 있는 척수손상의 경우 미국23)은 2001년 기준 재원기간이 14일로 나타났고 호주24)는 2006년 기준 331일로 나타났음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우리나라의 재원기간이 외국에 비해서는 긴 것으로 나타남

최초입원기간 동안에 소요되는 진료비용은 전체는 약 243만 원 정도가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증의 경우 614만 원 정도가 소요됨 최초입원 에피소드에서 입원횟수는 전체 15회 중증 25회로 장애의 정도가 심한 경우 재원기간도 길어 반복적인 입퇴원이 늘어나는 것으로 판단됨 입원 간격은 전체 139일 중증 113일이었고 건당 재원일은 전체 139일 중증장애 234일로 나타남 중증 장애에서 건당 재원기간도 길고 퇴원 후 입원하는 간격이 짧은 것을 알 수 있음

중증도 환자 수 총재원기간

총진료비용

총입원횟수

입원간격

건당재원일

전체 17345 198 2427985 15 139 139중증 696 578 6144615 25 113 234경증 16649 183 2272614 14 141 135

표 10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지체장애)

(단위 명 일 원 회)

뇌병변장애의 경우 총재원기간이 평균 1008일로 지체장애에 비해 긴 것으로 나타남 특히 중증장애의 총재원기간은 평균 1382일로 4달 이상을 최초입원기간 동안 입원해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이와 같은 결과는 외국과 비교하였을 때 매우 긴 것으로 뇌졸중의 경우 미국25)은 2001년 기준 16일 호주26)는 2006년 기준 280일로 우리나라에 비해 매우 짧은 것으로 나타남

한편 뇌병변장애 최초입원에 들어가는 총진료비용은 전체 1076만원 중증

23) Ottenbager et al Trends in length of stay living setting functional outcome and mortality following

medical rehabilitation JAMA 2004 292(14) 1687-1695

24) Simmonds and Stevermuer The AROC annual report the state of rehabilitation in Australia 2008

Australian Health Review 2008 32(1) 85-110

25) Ottenbager et al Trends in length of stay living setting functional outcome and mortality following

medical rehabilitation JAMA 2004 292(14) 1687-1695

26) Simmonds and Stevermuer The AROC annual report the state of rehabilitation in Australia 2008

Australian Health Review 2008 32(1) 85-110

- 60 -

1451만원으로 초기치료비용이 상당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총 입원횟수는 전체 28회 중증장애 34회였고 최초입원 에피소드 중 입원간격은 전체 76일 중증 71일로 지체장애에 비해 짧았음 한번 입원한 경우 재원기간은 전체는 394일 중증장애는 491일이었음

중증도 환자 수 총재원기간

총진료비용

총입원횟수

입원간격

건당재원일

전체 7325 1008 10760785 28 76 394중증 4430 1382 14507511 34 71 491경증 2895 436 5027454 2 87 245

표 11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뇌병변장애)

(단위 명 일 원 회)

한편 지체장애의 경우 전체 17345명 가운데 9128명이 재입원하여 526의 재입원률을 보임 이 가운데 중증장애 환자는 629가 재입원하였음 척수손상의 경우 미국27)에서 2년 재입원률은 326 10년 재입원률은 52로 나타남 호주28)의 경우 척수손상 환자의 10년 재입원률을 586로 보고하였음 이와 같은 결과와 비교하여 볼 때 우리나라의 재입원률이 외국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재입원 환자의 총재원기간은 전체 179일 중증장애 703일이었음 총진료비용은 전체 159만원 중증장애 643만원이었고 총입원횟수는 전체 19회 중증장애 47회로 중증장애 환자가 재입원횟수가 더 많음을 알 수 있음 재입원 간당 입원일수는 전체 57일 중증장애 168일로 나타남

27) Dersett amp Geraghty Health-related outcomes of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a 10 year

longitudinal study Spinal cord 2008 46 386-391

28) Middleton et al Patterns of morbidity and rehospitalisation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Spinal cord

2004 42 359-367

- 61 -

중증도 환자 수(재입원률)

총재원기간

총진료비용

총입원횟수 입원간격 건당

재원일

전체 9128(526) 179 1588881 19 42 57

중증 438(629) 703 6427675 47 527 168

경증 8690(522) 157 1386598 18 416 52

표 12 재입원 의료이용 현황(지체장애)

(단위 명 일 원 회)

뇌병변장애 환자 7325명 중 뇌병변장애 관련 합병증으로 재입원한 환자는 총 3575명으로 이는 전체의 488를 차지함 중증장애의 경우 553의 재입원률을 보여 지체장애와 마찬가지로 중증에서 높은 재입원률을 보임 미국의 연구들29)30)에 따르면 뇌졸중 환자의 1년 재입원률은 1998-2000년 사이에는 37-47 2000-2001년 사이에는 311로 나왔는데 우리나라와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의 재입원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재입원 환자의 총재원기간은 전체 722일 중증장애 1040일이었음 총진료비용은 전체 546만원 중증장애 789만원이었고 총입원횟수는 전체 25회 중증장애 31회로 중증장애 환자들이 비용도 많이 들고 입원횟수 및 기간도 긺을 알 수 있음 건당 재원일은 전체 222일 중증장애 317일로 나타남

중증도 환자 수(재입원률)

총재원기간

총진료비용

총입원횟수 입원간격 건당

재원일

전체 3575(488) 722 5460980 25 288 222

중증 2451(553) 104 7889880 31 317 317

경증 1124(388) 235 1744217 16 244 76

표 13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뇌병변장애)

(단위 명 일 원 회)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의 반복적인 입퇴원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첫 입원시점부터 3년까지의 입원양상을 분석함 각 환자의 최초입원 시점을 0일로 하고

29) Smith et al Rehospitalization and survival for survival for stroke patients in managed care and

traditional medicare plans Med care 2005 43(9) 902-910

30) Jia et al Multiple system utilization and mortality for veterans with stroke Stroke 2007 38

355-360

- 62 -

3년까지 매일 입원상태를 파악하여 모든 환자의 입퇴원 양상을 파악함

분석결과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 모두 반복적으로 입퇴원하는 양상을 보임 지체장애의 경우 17000여명의 환자 가운데 대부분은 입원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았지만 입원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이용하는 500여명은 입퇴원을 반복적으로 하고 있었음 이러한 모습은 중증에서 보다 두드러졌는데 전체 700여명의 환자 가운데 300여명이 반복적인 입퇴원을 하고 있었음 입원기간은 대략 한 달 정도였고 퇴원과 다음 입원 사이에도 약 한 달의 간격이 존재함

- 63 -

뇌병변장애의 경우 이러한 양상이 더욱 두드러졌음 전체 7000여명 가운데 2000여 명 가량이 반복적인 입퇴원을 하고 있었고 중증장애의 경우 전체 4500여명 가운데 1500여명 이상이 반복적인 입퇴원을 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음

이러한 반복적인 입퇴원은 보험료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 현행 건강보험 수가에서는 재활 환자가 입원한지 15일이 경과하였을 경우 10의 보험

- 64 -

료 삭감이 이루어지고 30일 이후에는 15의 보험료 삭감이 이루어짐 그렇기 때문에 재활서비스를 받아야할 필요가 있는 환자일지라도 한 달 정도 입원하면 의료기관에서 퇴원을 시키게 되고 환자는 다시금 재활서비스를 받기위해 동일 의료기관 혹은 다른 의료기관에 재입원할 수밖에 없음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경우 지역사회 복귀가 지연될 우려가 있음

사회복귀지원 사업을 통한 재원기간 감소 효과

재활의료기관에서 부적절한 재활의료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재활 성과가 불충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반복적인 입원 및 의료비용 증가의 문제가 발생함 서비스 강도가 약할 경우 서비스 제공 기간의 길이와 상관없이 추가적인 의료이용량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음

초기 장애발생 직후부터 의료기관에서 환자에게 적극적인 사회복귀지원 사업을 제공한다면 적절한 재활의료서비스 제공을 통해 보다 많은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의료이용 관련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현재의 불안정한 사회복귀 재정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재정기전의 마련이 필요함 이를 위해 적절한 사회복귀프로그램의 부재로 인하여 발생하는 장기입원 사회복귀 지연으로 야기되는 개인적 사회적 비용을 추계하여 이를 근거로 사회복귀 재정 기전을 확립해 나가야 할 것임

2008년 장애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체 및 뇌병변장애인 의료서비스 미치료율이 지체장애 534 뇌병변장애 180로 나타났음 이들 대부분이 치료해도 나을 것 같지 않거나(지체 364 뇌병변 349) 치료해도 효과가 없다(지체 445 뇌병변 309)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 우리나라의 재활의료서비스가 서비스 대상자에 기대에 못 미치는 수준으로 제공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음

한편 반복적인 입퇴원을 줄이기 위해 표준산정일수를 도입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음 국내 다수의 재활의료 전문가들은 표준산정일수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추산된 일수는 180일로 일본의 보수지불사례와 유사하였음

필요하다 필요하지 않다표준산정일수 필요성 760 240

표 14 표준산정일수 필요성

- 65 -

Mean CV Median표준산정일수 추산 180일 019 180일

표 15 필요하다고 응답한 전문가들의 표준산정일수 추산

라 재원 확보 방안

수가화 모색

현재에도 운동치료 재활사회사업(개인력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문) 등은 수가로 인정되는 항목임 이를 기준으로 성재활 언어치료 운동 처방middot상담middot교육 사회적응훈련치료 middot 사회복귀훈련 방문재활 가족상담 보호자교육 환자교육 질병교육 등에 대한 수가화 방안을 모색

재활전문의료기관 인증기관에 재활수가를 별도로 인정하는 방안

가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재활인증 의료기관

현재 근로복지공단이 주관하여 산재보험재활인증 의료기관을 선정하고 다음과 같은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음- 이학요법료 수가(급여항목)의 20 별도 인정- 시범실시 재활수가 29개 항목 추가 인정 18개 비급여 항목 11개 급여항목 기준

완화 적용- 정기 현지조사 면제 및 재활치료 대상자의 전원 지원 등

- 66 -

인증기관에 대한 평가 항목은 다음과 같음

구분 평가기준 평가내용필수항목 재활전문인력의 충족성 인력구성 부문 평가

평가항목

(100점)

시설 및 장비의 적절성 (50점)

시설구비재활치료장비

재활의료서비스제공체계 (50점)

재활전문인력 다직종간 팀 구성 및 활동내역

(25점)

다직종간 팀 구성 여부팀 단위 평가회의 여부

팀 단위 회의록 작성 및 보관여부재활간호서비스 제공여부

보장구 처방검수 제공 체계

질적 서비스의 제공(25점)

입원시 재활치료 계획 수립여부기능상태 평가 및 정기적 재평가 여부

퇴원전 퇴원계획 수립여부재활치료계획에 환자 또는 보호자 교육 및 설명여부

기타항목

(10점)

권고사항

언어치료사(4점) 임상심리사(4점) 여부

산재근로자 상담공간 보유 여부(2점)

표 16 인증기관 평가 항목

추가인정 재활수가 항목은 다음과 같음

비급여 항목 급여적용 요양급여 적용기준 완화 언어전반진단검사 발음 및 발성검사 체온열 검사 보스톤 사물이름 대기검사 장비를 이용한 근력검사 체외충격파치료(근골격계 질환) 기립경사훈련(단순재활치료) 집단운동치료(단순재활치료) 집단상담치료(단순재활치료) 전산화인지재활치료(전문재활치료) 연하재활 기능적전기자극치료(전문재활치료) 증식치료(사지관절부위 및 척추부위 전문재활치

료) 근육내자극술(단순 전문재활치료) 언어치료(전문재활치료) 수기요법(단순재활치료) 수중운동평가 수중운동치료(11 전문재활치료) 수중운동치료(그룹치료 단순재활치료)

나-610-가 신경학적검사 나-661 도수근력검사 너-771 일상생활동작검사 너-772 수지기능검사 너-773 관절가동범위검사 사-105 맛사지치료 사-116 운동치료 사-130 재활기능치료 사-121 풀치료 사-128-나 재활사회사업(사회사업상담)

표 17 추가인정 재활수가 항목

- 67 -

나 보건복지부의 재활전문병원

보건복지부는 환자구성비율 진료량 필수진료과목 의료인력 및 병상 등의 지정기준을 평가하여 2011년 10개 의료기관을 재활전문병원으로 지정하였음- 국립재활원재활병원- 서울재활병원- 파크사이드재활의학병원- 남산병원- 브래덤기념병원- 유성웰니스요양병원- 카이저병원- 러스크분당병원- 행복한병원- 늘봄재활요양병원

현재 보건복지부의 재활전문병원 지정에 따른 인센티브는 3년 간 lsquo보건복지부 지정 전문병원rsquo 명칭을 사용할 수 있는 것뿐임

향후 보건복지부 지정 재활전문병원에 제한적으로 운동치료 재활사회사업(개인력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문) 성재활 언어치료 운동 처방middot상담middot교육 사회적응훈련치료 middot 사회복귀훈련 방문재활 가족상담 보호자교육 환자교육 질병교육 등에 대한 수가를 별도로 인정하는 방안을 모색

이와 더불어 현재도 인정되고 있는 수가들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현실에 맞게 조정하고 정리하는 것이 필요함

공익기금 활용

가 교통사고 및 보험 관련

미국 버지니아 주 Community rehabilitation program 재정의 15는 CNI trust fund (운전면허취소자가 면허 재취득시 내는 요금)으로 부담함

한국에서도 교통범칙금 일부를 활용할 수 있을 것임- 현재 한국의 자동차교통관리개선특별회계법에는 교통범칙금의 이용에 관한 별도의

규정이 없어 교통범칙금의 20sim25 정도만이 교통관련 예산으로 사용되고 나머지는 일반회계에 편입되면서 대부분 교통과는 무관한 데 사용돼 왔음

- 68 -

또한 민간 보험업체들도 각각 사회공헌기금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이 기금을 활용하는 방안도 모색될 수 있음- 2011년 11월 손해보험협회는 약 200억 원의 기금 조성 계획을 밝혔음 - 생명보험사가 소속된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는 2011년 약 274억 원의 사회공헌

재원을 조성하여 기금을 조성하여 희귀난치성 질환자 지원 자살예방 지원 저소득 치매노인 지원 저출산 해소 및 미숙아 지원 사회적 의인 지원 금융보험교육 및 학술연구활동 지원 사회공익 및 복지활동 소비자 권익증진 기타 대국민 복지 지원 등에 사용해왔음

나 음주 관련

한국 음주문화연구센터는 주류 및 주정 회사가 주류 소비자의 보호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위하여 출연한 재원으로 운영되며 알코올상담센터 등의 활동을 수행함

주류 건강증진부담금 부과된다면 그 일부를 활용할 수 있을 것임

다 담배부담금 일부 활용

국민건강증진법 제25조(기금의 사용등)에 의하면 ldquo보건복지부장관은 기금을 제1항 각호의 사업에 사용함에 있어서 아동middot청소년middot여성middot노인middot장애인 등에 대하여 특별히 배려middot지원할 수 있다rdquo고 규정되어 있음

이러한 규정을 활용하여 담배부담금 일부를 활용할 수 있을 것임

요약 및 소결

다양한 사회복귀 프로그램 중 국립재활원이 중점적으로 추구해야 하는 사업은 병원 기반 사회복귀 지원체계임 - 병원 기반 사회복귀 지원체계는 환자 입원 후 사례관리회의 때부터 시작하여 맞

춤형 사회복귀프로그램 제공 퇴원 전 사정회의와 지역사회 자원 연계 사후관리로 이어지는 일련의 프로그램들임

- 병원 기반 사회복귀 프로그램은 일상생활훈련(실생활 훈련)을 비롯하여 운전교육 컴퓨터 교육 학업(직장) 복귀지원 주택개조 정보 제공 및 연계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멘토링(동료상담) 프로그램 정서적 지원 성재활 지역사회자원 연계 가족지지상담 및 프로그램 법률지원서비스 독립생활체험 활동보조인 이용체험 보조기 평가 및 대여이용체험 등으로 구성됨

- 69 -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 방안 모색을 위해 기존 연구 및 타 기관 사례를 검토하고 현재 국립재활원 사회복귀 지원 현황을 검토하였음 - 그간 국립재활원에서 수행해 온 사회복귀프로그램은 주간재활센터프로그램 등으로

일상생활훈련 운전교육 직업 및 학업복귀 사회참여활동 및 지역자원 연계 독립생활체험 재활스포츠 활동 성재활 상담 음악치료 치료레크리에이션 실생활재활치료 가족프로그램 등의 사업을 수행하였음

- 조직개편 이후 신설된 사회복귀지원과에서도 일상생활훈련 의료지원 및 상담 정보제공 운동 운전교욱 사회체험 직업적응 취미활동 등의 사업을 수행해왔음

- 국내 일부 재활병원과 산재병원에서도 유사한 사회재활프로그램과 환자 및 보호자 지원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음

-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는 병원 연구소 학원 훈련센터로 구성되어 있어서 연구-재활치료-교육-사회복귀가 모두 한 공간에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성이 있음 그 외 미국 및 호주 재활병원의 사회복귀지원프로그램들을 검토하였음

이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지원 전략은 다음과 같음- 재활의료 전달체계 및 사회복귀 연계체계 확립을 위한 국가정책 수립 지원으로

교육 및 연구 활동과 성재활 운동처방 등 현행 비급여 재활치료서비스의 수가화 기반 마련을 위한 표준 서비스 안을 개발함

- 서울시 중심 지역사회복귀 지원사업 수행을 통한 확산 모형 개발로 입원재활치료 퇴원 전 사정 외래재활치료 직업훈련 및 사회적응프로그램 지역사회 자원 확보 및 연계직접 포괄적 서비스 제공하면서 개발된 모형을 권역재활병원 및 거점보건소 등으로 확산시킴

- 사회복귀 지원을 통해 부적저한 재활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발생하는 불충분한 재활 성과와 반복적인 입원 및 의료비용의 증가문제를 줄일 수 있음

- 초기 장애발생 직후부터 의료기관에서 환자에게 적극적인 사회복귀지원 사업을 제공한다면 적절한 재활의료서비스 제공을 통해 보다 많은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의료이용 관련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사회복귀 지원 사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재원 확보 방안은 다음의 방법들을 고려할 수 있음- 현재 수가로 인정받는 운동치료 재활사회사업(개인력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

문) 등을 기준으로 성재활 언어치료 운동 처방middot상담middot교육 사회적응훈련치료 middot 사회복귀훈련 방문재활 가족상담 보호자교육 환자교육 질병교육 등에 대한 수가화 방안을 모색

-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재활인증 의료기관 수가 지원을 참고하여 보건복지부의 재활전문병원 지정에 따른 인센티브로서 별도 수가 인정 방안 모색

- 70 -

- 교통범칙금 민간 보험업체들의 사회공헌기금 등 교통사고 및 보험관련 기금들을 활용하는 방안 모색

- 담배 및 주류로 인한 건강증진부담금 일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

- 71 -

제4장 (가칭)장애인재활교육훈련시설(체육관) 운영 방안

개요

국제연합(UN)에 의하면 21세기의 특징은 아래와 같음 - 첫째 인구지진(Age-quake)으로 저출산고령화라는 인구학적 변화가 사회 경제

문화는 물론 보건의료체계에 개혁적인 변화를 요구- 둘째 만성 비전염성 질환 증가로 건강관리 체계를 기존 치료(cure)에서 관리

(care)로의 변화를 요구

이를 종합해 보면 현 시대는 인구수는 증가하지 않으면서 평균 수명은 증가하고 각 종 만성 퇴행성 질환으로 건강 수명(Disability-adjusted life expectancy)은 오히려 감소하는 시대적 특징을 대변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음

따라서 21세기를 사는 현대인들은 인간의 꿈이라 할 수 있는 건강 장수를 위해 건강 수명 증가를 위한 국민 개인의 노력이 필요한 실정임

이에 부응 하여 우리나라에서도 과거 그 어느 때 보다도 많은 사람들이 규칙적 운동(체육 스포츠 포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제로 일상에서 개인의 건강관리를 위해 각 종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음

신체활동을 하는 사람이 다르면 사람마다 신체활동의 목표가 다르듯 운동의 방법 즉 체육 스포츠의 형태 및 활동량도 다를 수 있으며 특히 각종 만성퇴행성 질환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달라야 할 것임

지체 장애 및 뇌병변 장애로 신체 기능의 제한이 있는 장애인들의 경우 재활 치료 외에 본인에게 적합한 운동에 대한 정보를 얻기 힘든 것이 현재 실정임

노령 인구 뿐 아니라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경우 심장마비(심근 경색 심정지) 및 각 종 근골격계 손상(염좌 낙상 골절 등)이 더 쉽게 발생 할 수 있어 이에 대한 방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

그러므로 고령화가 지속되고 만성질환 유병률이 증가되고 있는 시대적 상황에서 건강 수명 증가를 목적으로 체육 및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람들(일정 수준의 만성질환 위험인자 보유자 및 질환자)은 기본적으로 본인의

- 72 -

건강도(medical condition)와 기능적 능력(functional abilties) 들이 평가된 후 실행가능성(feasibilty)과 효과성(efficacy)이 검증된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함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중에 안정 시에 나타나지 않았던 내재된 심혈관계 관련 이상 증상 및 징후를 조기발견하거나 추적관찰하는 것도 안전하고 지속적인 프로그램 참여를 위해 필요함

따라서 국립재활원 장애인 건강증진센터에서는 원내 입원한 환자들 및 지역사회 장애인(만성질환 위험인자 보유자 및 질환자 장애인)을 대상으로 개인별 운동 목적에 부합되는 운동 프로그램을 체계적이고 개별적으로 처방 및 지도관리하기 위해 운동 처방 시스템을 운영하고자 함

필요성 및 현황

가 필요성

현재 우리나라의 평균수명은 786세인 반면 건강수명은 686세로 평균 수명은 과거 그 어느 때보다도 증가되었으나 건강 수명은 평균 수명 보다 무려 10여년이나 짧게 나타나고 있음(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31)

이는 국가의 의료비 부담은 물론 국민의 삶의 질에 막대한 문제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이와 같은 시대적 특성은 국가는 물론 국민 모두에게 보다 적극적인 대처 방안의 모색을 요구하고 있음

여러 가지 방안 중에서 규칙적인 운동의 실천은 개인의 의료비 절감과 건강 수명 연장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으로 잘 알려져 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국민의 운동 실천율은 선진국 보다 매우 낮은 수준인 341(예 미국 55)로 나타나 있음(보건복지부 2006)32)

건강관리를 위해 일정 수준의 운동을 실천하지 않는 운동 부족으로 인한 비용은 총 건강관리 비용의 약 6를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전 세계적으로 1900만 명의 사망 원인이 되는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또한 운동 부족은 각종 만성 질환(심혈관질환 허혈성 뇌졸중 제 2형 당뇨병 결장암 및 유방암

31) 건강수명의 사회계층간 형평성 및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32) 새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수립 보건복지부 2006

- 73 -

등)의 독립적 주요 위험 인자이며 더불어 비만이나 낙상 및 정신 건강 등의 다른 건강 수준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규칙적인 운동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률을 감소시키고 심혈관 질환 대장암 및 제 2형 당뇨병 고혈압 비만 등을 예방 및 개선시키며 골다공증 예방 및 감소와 그에 따른 골절 위험 감소 요통 통증 완화 등의 근골격계 건강을 유지향상시킴(Astrand PO 등 2003)33)

운동은 심리적 효과(심리적 안녕감 증진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 감소) 고 위험 행위(흡연 음주 약불 복용 건강하지 못한 식이 폭력) 예방 및 조절이라는 효과 또한 갖고 있음 또한 그 어느 건강관리를 위한 중재 방안에서도 얻을 수 없는 건강관리에 가장 중요한 독립적 기능 수행 능력을 유지향상시킬 수 있어 질적 수명 향상에도 효과가 있음

그러므로 고령화 속도 세계 1위이면서 각 종 만성질환 유병률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시대적 특성을 고려해 볼 때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건강관리 방안은 운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스스로 규칙적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음

위와 같은 운동의 중요성에 따라 국립재활원은 건강증진센터를 소외되기 쉬운 장애인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운영하고자 함- 첫째 재활병원 내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용이하여 원내 입원 환자와 지역 사회 장

애인들이 입원초기부터 신체기능 향상을 위한 재활치료와 더불어 심폐기능 등의 기초체력 향상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이 병행가능하게 되어 규칙적인 운동을 위한 동기화를 촉진함

- 둘째 의료진 및 전문 치료사 특수 체육 교사에 의한 운동 프로그램을 처방 및 지속적인 지도를 받음으로써 안전하고 효과적인 체육활동을 가능하게 함

- 셋째 개인의 신체활동 상태 및 진행 사항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실시간으로 운동 정도를 조절하고 관리 할 수 있음

- 넷째 등록된 의료기관에 수집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진료 시 필요한 개인별 건강생활습관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어 의료비 절감과 효과적인 진료서비스를 제공 가능함

- 다섯째 국립재활체육센터에서도 개인별 자료를 확인 할 수 있으므로 체육 지도자 및 개인이 보다 안전하고 목적에 부합되는 운동을 할 수 있어 참여자들이 개인의

33) Metabolism during Exercise ndash Energy Expenditure and Hormonal Change Astrand PO Michael

Kjaer Michael Krogsgaard Peter Magnusson Lars Engebretsen etc 2003

- 74 -

건강관리에 대한 안정감과 자신감을 갖고 동시에 일상에서 웰빙감과 개선된 삶의 질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질적 수명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

나 운영 목적

장애인 건강 증진 센터에 등록된 장애인들에게 개인별 신체병력 자료를 기초로 심폐기능 및 지구력 등의 운동 기능 검사 및 건강 체력 수준을 평가하여 이를 기반으로 과학적으로 검증되고 수요자에게 안전하고 선호하는 실행 가능하고 효과성 있는 운동 프로그램을 처방하여 퇴원이후에 자가 건강관리가 가능하도록 함

일정 기간(3~6 개월) 재활체육을 처방 및 지도하여 운동 프로그램을 경험한 참여자에게 스스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을 지속적으로 유지 및 관리하도록 함

다 현황

일반현황

장애인을 위한 체육 시설은 전국적으로 22개소로 이는 비장애인 체육시설의 0044 수준임

일반체육 시설 내 장애인 활용을 위한 편의시설이 미흡하며 프로그램도 부재함

시설 운영비 문제로 장애인 체육시설 조차 장애인 이용 극도로 제한적임

한계점

일반 체육시설에 있어 장애인 이용 편의 설비 규정 부재 체육시설의 설치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관련 항목 부재

장애인 체육시설의 경우 예산 부족을 이유로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수익사업에 치중

시설 내 장애인체육 프로그램 비활성화

- 75 -

국립재활원 건강증진센터 운영 현황 년 월

병원동 신관 2층 심폐재활실에서 운영

운동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 보유

장 비 명 용 도 수 량운동검사기 트레드밀 운동 장비 트레드밀

각력계 (Cybex) 상ㆍ하지용

체간용

심ㆍ폐 지구력 측정 및 평가용

심ㆍ폐 지구력 증진용

근력 측정 및 평가용

2 대

1 대

2 대1 대

표 18 장비 목록

필요시 타 부서 소속의 장비를 임대하여 사용

장 비 명 (소속) 용 도 수 량운동 장비

트레드밀 (연구소) 스텝퍼 (연구소)

Ergometer (신관 병동)체지방 측정기 (검사실)

응급치료장비 (병동) 수동 제세동기 이송용 침대 응급 키트

심ㆍ폐 지구력 증진용

체지방량 측정 및 평가용응급상황 처치용

1대1대3대1대

1대1대1대

표 19 임시 장비 목록

운영 인력은 4인으로 구성

직 위 인 원 업 무 재활의학과 전문의

물리치료사

간호사

2 인

1 인

1 인

운동부하 검사 처방 및 결과 분석개인별 운동 상담개인별 운동 처방

근력 평가 및 운동부하검사 시행심폐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 지도

근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운동 지도체지방 측정

운동 검사 및 운동 지도 보조심폐 소생술 교육 보조

표 20 인력 현황

- 76 -

운영방법

대상자- 입원 환자- 뇌병변 환자 - 고관절 굴근과 신근 및 무릎관절 신근의 근력이 근력등급 3이상- 동적 균형 조절능력이 양호- 보행 동작이 독립적으로 가능 (보조기 사용 여부와 무관)- 인지 기능 양호(간이정신진단 검사 점수gt19)하며 의사소통이 원활한 자 - 운동부하검사의 금기사항이 없는 자 (미국 스포츠 의학회 지침에 의거)

검사 및 처방 시행 운영 방법- 운동 부하 검사 주 2회 (화목 오후)- 한 명의 환자에게 심폐부하검사와 근력 검사를 시행한 후 그 결과를 근거로 운동

처방- 한 주기동안 운동이 가능한 환자 대상- 종합적 체력 단련 방식(circuit training) 총 40분 혹은 60분- 등속성 근력 운동(CYBEX) + 트레드밀 보행 + 에르고미터 (상ㆍ하지) 운동을 통합

하여 한 주기로 만들어 시행

운동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신체병력 상태에 따라 차등 적용

주 2회 (60분회) - 화 목 주 3회 (40분회) - 월 수 금대상자

구성

기간

중위험군 저위험군(비혈관성 뇌병변 질환)

Cybex 15-20분

(8-12회 반복 8-10세트)고정형 자전거 15분

트레드밀 20분

6주 (총 12회)

고위험군(혈관성 뇌병변 질환 위주)

Cybex 15-20분

(8-12회 반복 8-10세트)고정형 자전거 15분 혹은트레드밀 15분 중 택 1

6주 (총 18회)

표 21 운동 프로그램

심폐재활실의 운영 대상- 입원 환자 적용 범위 확대 뇌병변 장애인 척수 손상 장애인 지체 장애인 - 국립재활체육센터 방문자 중 의료진의 일차 면담을 통하여 심폐 기능 평가 및 근

력 평가 등 운동 부하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자

- 77 -

현재 소유 혹은 임대하고 있는 장비만으로는 장애인 개개인의 운동능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추가적인 장비가 필요

이용 목적 업무 필요 장비

심폐 재활실

입원환자의 운동 처방 및 운동 프로그램 운영운동 검사 및 건강 체력 수준 평가

심ㆍ폐 지구력 측정 및 평가 및 근력 측정 모니터링하에 운동 프로그램 운영 국립재활체육센터와 연계

운동검사기 심ㆍ폐 지구력 측정 및 평가용 - 트레드밀 - 정지형 자전거  - 휠체어 트레드밀 악력계 근력 측정 및 평가용(전완) 배근력계근력 측정 및 평가용(체간) 각력계근력 측정 및 평가용(하지) 윗몸일으키기계 근지구력 측정 및 평가용(체간) 팔굽혀펴기계 근지구력 측정 및 평가용(상완) 체지방 측정기 체지방량 측정 및 평가용 체전굴계유연성 측정 및 평가용 평형성 측정기평형성 측정 및 평가용 기타 장비 자동 제세동기 응급 키드 환자 이동용 침대 체중계

표 22 추가 필요 장비

현재 있는 인력이외에 추가적인 인력이 필요- 근력 평가 및 운동 지도 1명- 심폐 기능 검사 및 운동 모니터링 1명

타기관 운영 사례

가 국내 스포츠 센터

상계백병원 심장재활센터

진료과 재활의학과

인력 재활의학과 전문의(1명) 전공의(1명) 간호사(2명) 치료사(1명)- 주중 운동부하 검사와 개별 환자운동은 상시 운영(상주 인원 간호사 1명 치료사

1명)되며 수금(오전)에는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개별 진료 및 상담하고 재활의학과 전공의 1명과 간호사 1명 업무지원

- 진료내용 운동부하 검사 시행 운동처방 개별운동 시행

- 78 -

운영 현황- 검사 혹은 운동 시 발생할 수 있는 응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시

설 구비- 근무 인력의 업무 분담으로 보다 많은 환자의 수용(평가(간호사 1인)와 개별운동

모니터(치료사 1인))- 개별운동 환자를 위한 서비스(개별 운동복과 운동화 비치 탈의실과 샤워실 구비)

타과 환자의 재활프로그램 운영- 의뢰에 따라 운동부하검사 실시 rarr 결과에 맞춘 운동처방 rarr 처방에 따른 개별운동

지도(6주) rarr 6주 후 재평가(환자에 따라 3개월 6개월 1년 후 정기적인 검사 시행)

운동 프로그램 구성- 본격적인 개별운동 전후의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매트에서 환자 스스로 자율운동

으로 시작하여 일반적으로 트레드밀 운동(12분~16분)과 에르고미터(10분~12분)운동으로 이루어지고 소요시간은 준비운동정리운동 포함하여 일회당 대략 40분 정도이고 비용은 2만5천원회

- 운동 중 심박수와 심전도를 모니터할 수 있는 장비를 착용하고 운동시행

서울아산병원 스포츠건강의학센터

- 79 -

정형외과에서 운영

인력 정형외과 전문의 등 스포츠의학 관련 의사(7명) 운동지도사(11명) 간호사(1명)- 병원 내에 검사 및 운동 지도하는 스포츠건강의학센터 병동 내에 관절 수술 전후

의 입원 중인 환자에게 검사와 운동을 시행하는 병동 내 센터 지속적인 운동과 관리를 원하는 외래 환자를 위한 스포츠센터 등으로 운영

- 진료내용 다양한 질환에 맞는 운동부하검사근력균형감각유연성 등 전반적인 체력검사 시행 운동처방 운동지도(병동 내 센터) 및 개별운동(병동 외 스포츠센터) 으로 진행

운영 현황- 응급상황에 대비한 응급의료장비 설치- 근무 인력의 업무 분담으로 보다 많은 환자의 수용(코디네이터(간호사 1인)와 운동

교육 및 개별운동(운동지도사 11인))

개별운동 환자를 위한 서비스(개별운동복과 운동화 비치 탈의실과 샤워실 구비)

환자의뢰에 따라 필요한 검사 실시 rarr 결과에 맞춘 운동처방 rarr 처방에 따른 개별운동지도(1일 지도 2주 1개월 그 이상)

스포츠건강의학센터 내에서는 심박수와 심전도를 모니터할 수 있는 장비 착용 후 운동시행

11로 질환에 맞는 운동방법지도 후 종료하는 경우도 있음(비용- 4만 8천원)

지속적인 운동을 원하는 경우 의사의 처방 하에 스포츠센터에서 자유로이 운동 가능(비용-월 20여 만원)

삼성서울병원 스포츠 의학 센터

진료과 스포츠의학과 심장내과 (심장재활팀과 연계)

인력 스포츠 의학 전문의 운동지도사 간호사

진료내용 건강검진 혹은 심장질환자에 대한 심폐부하검사와 몸통과 팔다리의 근력 및 균형감각유연성 등 전반적인 운동능력평가 시행 스포츠의학 전문의

- 80 -

와의 상담을 거쳐 운동처방을 받은 후 운동지도사의 지도하에 개별 혹은 단체 운동 수행

운영 현황- 응급상황에 대비한 의료인(내과의사 간호사) 배치 및 응급의료장비 설치- 시간별 개별 업무 내용이 나누어짐(일반 환자 심폐능력 평가시간과 심장질환 혹은

타 혈관질환의 평가시간을 다르게 배정)- 심혈관계 환자의 평가 혹은 운동시간에는 심전도와 맥박 텔레모니터링 체계하에

시행- 운동은 스트레칭과 걷기 운동으로 시작하여 트레드밀 싸이클을 시행한 후 마무리

운동- 개별운동복과 운동화 비치 탈의실과 샤워실 구비- 정기적으로 심폐기능 평가 시행 후 전후 비교

고양시 재활스포츠센터

체육관 운영 현황- 운영 201011월~- 연면적 585294(지하 2층 지상 3층) 건축면적 237589

주요시설현황- 3층 관람석- 2층 체육관(97565) 다목적실(123실 9752)- 1층 헬스장(25823) 접수안내실 매점 사무실- 지하1층 수영장 쉼터- 지하2층 기계실 등

운영 인력 총 57명(정규직26 강사31)

구분 센터장 팀장특수체육교사

헬스트레이너

수영교사

사무원

안내원

전기기사

운전기사

탈의실보조

경비 청소 계

정규직 1 3 3 2 8 2 2 2 3 - - 26

강사 - - 4 5 13 2 - - - 4 3 31

표 23 고양시 재활스포츠센터 인력구성

- 81 -

운영 예산 19억원(시 지원 50)

체육장비 보유금액 7억(수영용품 196백만원 포함) 사무용비품 9천5백 일반비품 5천5백 등 별도

운영방법- 운영시간 매일 운영(오전9시 ~ 오후9시)- 이용료 장애인은 비장애인의 50- 운영방식

① 11(강사 장애인) 프로그램 운영 자폐성장애인 뇌병변장애인 ② 그룹지도 지체 및 지적 장애인은 4명에 강사 1인

이용 현황 장애인 50 비장애인 50- 일일평균이용인원(900여명)

일일평균 장애인 이용률 체력단련실 다목적체육관 230명

다양한 장애인 체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재활체육프로그램

구분 프로그램 대 상 시 간 요 일 회 비(원)

체육관

재활농구지적장애 초등부 1030~1200 토

48000지적장애 중ㆍ고등부 0900~1030 토

재활운동 성인 1100~1150 월 수 금 20000

헬스장 재활헬스 성인청소년

0600~2100 월~금20000

0800~1700 토일일입장 월~토 2000

재활체육실

특수체육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A B F반)

1500~1550월 수 560001600~1650

1600~165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청소년성인 1700~1830 월 수 9600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청소년 1700~1750 월 수 5600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

1500~1550화 목 560001600~1650

1700~175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청소년 1630~1800 화 목 96000

표 24 재활 체육 프로그램 목록

- 82 -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무료

- 생활체육프로그램

부산시설공단 한마음스포츠센터

체육관 운영 현황- 운영 20071227~- 연면적 77081(지하 1층 지상 4층)- 주요시설현황

① 4층 조깅트랙(130m) ② 3층 체육관(배드민턴 농구대 배구대 샤워실) ③ 2층 헬스장 ④ 1층 수영장 에어로빅실 안내데스크 관리사무실 휠체어 무상수리센터 ⑤ 지하1층 주차장

운영인력은 총 59명(정규직8 무기계약직13 강사38)으로 세부인원은 아래와 같음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성인 1800~1930 화 목 9600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 주1회 2800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청소년 주2회 56000

특수체육(인라인스케이트)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아동청소년

1500~1600

금 400001600~1700

1700~1800

특수체육(태권도) 지적장애 청소년성인 1300~1400 화 금 80000

프로그램 대 상 시 간 요 일 회 비탁구 장애인 1100~1800 월 수 금

상담 후 결정

휠체어 럭비지체성인

1300~1600 화 목죄식 배구 1500~1800 일

휠체어 댄스스포츠 1800~2000 월휠체어 농구 지체성인(여자) 1700~2000 수 금

농구 지적성인 1000~1200 화 목청각장애성인 1000~1200 수

보치아 뇌병변 청소년성인 1300~1500 수1300~1500 금

골볼 시각장애성인 1500~1700 금

표 25 생활체육프로그램 목록

- 83 -

① 정규직(8) 파트장 행정3 시설4 ② 무기계약직(13) 안내4 트레이너 9 ③ 강사(38) 체육관 27 수영11

수입금 실적현황 1065백만원(입장료 1053백만원 시설사용료 11백만원 잡수입 1백만원)

운영시간 및 방식은 아래와 같음- 운영시간 월~토(9시 ~ 22시)- 이용료 장애인은 비장애인의 50

시조례 기준 20년전 기준 유지

- 운영방식 장애인 10명당 강사 2명 기준 운영- 이용 현황 장애인 38 비장애인 62

① 일일평균이용인원(600명) 장애인 240명 비장애인 360명

다양한 장애인 체육프로그램을 운영

프로그램 대 상 교육일 시 간 교육비 장소

건강헬스 청소년 월~토 0600~2200 19250성인 22000

한마음배드민턴교실(A B C D반)

성인(복지카드소지자) 월 수 금

0600~07300730~09001900~20302030~2200

15000

체육관(3층)

휠체어 배드민턴 장애인 화 목 토 1100~1200 13750

어린이체육교실 6세~초등생(발달 지체) 화 목 1400~1500 9200

김동수의 신나는 체육교실

청소년(복지카드소지자) 수 0930~1130 9200

청소년 체육교실(A B반)

청소년(발달 지체)

월수금1600~1700 13750화목금

HㆍM 배드민턴 지적장애(선수양성) 월~금 1600~1800 46000

청소년 인라인교실 청소년(발달 지체) 화 목 1800~1900 20000

탁구(5개반)

청소년 성인(비장애인등록가능) 월~금

0900~10001000~11001100~12001800~19001900~2000

17500(비장애인35000) 탁구

교실한마음탁구 발달ㆍ지적장애 월수금 1500~1600 13750

어린이탁구AB 초등부 월수금 1600~17001700~1800

13750(비장애인 27500)

표 26 부산시설공단 한마음스포츠센터 장애인 프로그램

- 84 -

나 해외 사례 ndash 장애인 스포츠 센터 중심으로

일본 개 시설

- 85 -

도 시 명 시 설 명 시 찰 사 유

오사카(大阪)

마이시마 장애인

스포츠센터

체육관 수영장 호텔 등 운영 타켓 골프rdquo 프로그램 운영 - 실내에서 장애인 및 노약자가 큰 체력소모 없이 유희놀이로 할 수 있음 클럽 및 동호회운영 실내수영장에서는 ldquo스쿠버다이빙rdquo 및 ldquo카누rdquo 프로그램 운영 유도장 및 에어로빅실 평상시는 장애아동 놀이방으로 활용 연회장은 가라오케 기능 겸용 모든 근무자는 유니폼(츄리닝) 착용 인력 운영 - 직원 80명 중 일일 50명씩 교대 근무 - 자원봉사원은 평상시에는 없고 행사시에만 활용 운영비 확보 - 운영비 년간 58억원 - 재 원 전액 오사카 시부 부담 - 수입금 전액 오사카 시에 귀속 오사카 지역민은 무료 타 지역민은 유료

도쿄(東京)

도쿄국립재활원

3만여평의 부지에 각종 시설 완비 노동(장애인고용촉진)+보건(재활병원)+교육 (직업재활시설)+체육(운동시설) 등의 일체화된 종합시설임 체육시설과 연수시설의 연계 프로그램 운영 재활원에서는 스포츠를 다음과 같이 기능면으로 분류하여 활용하고 있음 - 재활체육 신체장애자의 사회복귀를 위한 준비체육 - 일반체육 신체장애의 요소가 있는 자(병원 입원자 포함)를 위한 체육 재활훈련은 단기 1년에서 장기 5년의 기간으로 시행 스포츠동호회 지원은 기록향상보다는 단순 재활활동 지원에 목적이 있음 이용현황은 - 병원 정원 200명 평균 이용자는 일일 160명 - 숙소 정원 550명 평균 이용자는 일일 350명 장애인 또는 장애인시설 종사자 및 연수생 입소 직원현황은 - 정 규 직 320명 - 비정규직 100명 - 기 타 설비보수직 위탁직(청소 조경 등) 숙소 (4인실기준 4층 규모 2개동) - 시설이용료 ¥32000 1개월 단 영세민(후생연금자)는 무료 운영비 - 운영비는 전액 국고로 지원 약 ¥50억 - 수익금은 전액 국고에 귀속 약 ¥10~15억

요코하마(橫浜)

라포르 장애인

스포츠시설

최신 시설이며 규모가 큼 장애인용 극장 및 영상시설에 대한 시설 설비 및 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조사 등록절차 이용 희망자는 상담실에서 체육지도자와 상담하여 운동종 목을 선정한 후 등록카드를 발급 받은 후 이용 이용료 장애인은 무료 일반인은 ¥500 볼링은 장애인 ¥200 일반인 ¥400 추가

- 86 -

독일 개 시설

도 시 명 시 설 명 시 찰 사 유

도이스버그

도이스버그장애인종합시설

제1 체육관 - 플로어 충격흡수장치가 된 ldquo뉴빙빈rdquo 플로어(리놀리움 바닥) - 방음천막을 이용하여 3등분 구분 사용 가능 - 수납식 관중석 설치 - 좌식배구 각종 실내종목 양궁 제2 체육관 - 플로어 휠체어장애인을 위하여 나무 플로어 설치 - 탁구 휠체어 하키 휠체어 농구 일반인도 휠체어종목을 즐기고 있으며 관련 클럽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 노하우에 의하여 지도력을 갖추게 됨 - 유도 매트는 2면이며 시각장애인용 매트를 설치함 숙소 독일 축구협회 소속 시설로서 노드라인팔레스 축구협회에서 시설을 임대하여 독일 장애인체육회가 운영 중임 운영비 자체 수익금과 축구협회 지원금으로 충당

본 독일장애인체육협회

건립 동기 ldquo바이엘rdquo사가 기업 이윤의 사회환원 차원에서 건립 하였으며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음 운영 목적 레버쿠젠 지역의 비장애인 및 장애인 체육 육성 운영 형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사용을 혼용하여 자체 클럽형 태로 운영 대상 경증장애인 400명이 넘는 일반 육상선수 때문에 휠체어 장애인을 위한 종목 (프로그램)은 없음 운영 종목 좌식배구수영육상시각유도 총 4개 종목만 운영함 클럽내 장애인 분과에서는 학교를 통하여 장애인체육선수를 발굴하고 있음 또한 각종 사업비 조달을 위하여 스폰서 발굴에 노력을 경주함

미국

장애인들의 전용시설인 유타 주의 국립 장애인 레저센터(National Ability Center)와 비장애인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딤플 델 체육 레크리에이션 센터(Dimple Dell Fitness and Recreation Center)등이 있음- 장애인레저센터의 명칭에서도 보이는 것과 같이 장애인 전용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장애라는 단어 대신 능력(ability)라는 단어를 쓰고 있음

장애인 레저센터는 주정부가 부지를 기증하고 주 예산 일부와 후원금으로 건립되었음- 장애인들과 보호자를 위하여 스키 수영 카누 승마 등산 등 전문 레저 스포츠와

그룹캠프 연수 등을 실시- 운동에 필요한 모든 장비와 기구는 대부분 후원에 의해 조달됨

34) 정책보고서-장애인 올림픽 유치를 위한 전문체육 육성방안 이광재 2006

- 87 -

- 운영비 또한 대부분 주정부의 지원과 일반인들의 후원금으로 충당되며 이용료는 장애인들과 보호자 모두에게 실비를 받고 있으며 수익 사업을 위해 기숙사 임대 장애인 교육 레저 교육에 사용함

딤플 델 체육 레크레이션 센터는 미국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체육시설임- 수영장 헬스장 사우나 시설 다용도 체육관 놀이시설 등이 갖추어진 상당한 규

모의 센터이며 장애인들의 이용률이 전체 약 5로 낮으나 장애인들이 사용하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이 모든 시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시설을 갖춤

이 센터는 장애인 생활체육 개념을 모토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됨 장애인 레저센터를 통하여 장애인들이 원하는 스포츠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 한편으로는 일반 체육 시설에서도 장애인들의 이용률이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들이 이용하기에 불편함이 없도록 시설을 갖추어 놓았음 이런 예는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미국의 많은 대학 체육시설에서도 찾아볼 수 있음 미국 대학의 체육시설은 장애인 체육시설을 갖추어놓은 곳이 대부분이어서 미국에서 장애인에 관한 체육대회 등을 개최할 때 별다른 문제 없이 대학의 시설을 빌려서 하는 경우가 많음

재활원의 체육 센터도 이와 같이 국립재활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지 않은 장애인이나 기타 장애인 단체 등에게도 개방하여 장애인들이 원하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해나가야 할 것으로 생각함

향후 운영 계획 국립재활체육센터 프로그램과 연계 중심

가 운영 전략

근거-기반(Evidence-based)의 장애인에게 적절한 운동처방 및 재활체육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실행 가능하고 효과적인 운동을 수행

수혜자 중심(Population-centered)의 재활체육 프로그램 공급을 통하여 활동량 증가와 적절한 생활체육으로의 연결

- 88 -

나 운영 목적

국립 재활원은 장애인 체육을 재활치료 재활 체육 장애인 스포츠로 구분하여 지원하고 있음

공급자 장소 운영비 프로그램

재활치료 의사 처방치료사 치료

병원 물리치료실 작업치료실 등

진료비 의료보험 수가 적용

물리치료 작업치료 열전기 치료 등

재활 체육의사 지도 치료사 및 특수체육교사 교육 및 감독

국립 재활 체육 센터

회비발생(의료 수가 적용되지 않음)

단체 운동 체력강화 트레이닝 유산소 운동 근력 강화 운동 유연성 및 순발력 강화 운동

장애인 스포츠

생활 체육장애인 자발적 참여 장애인 체육회 장애인 스포츠 단체

지역 장애인 스포츠 센터 회비 및 참가비

단체운동 유산소 운동 근력 강화 운동 유연성 및 순발력 강화 운동

엘리트 체육 장애인 체육회 장애인 스포츠 단체

장애인 스포츠 훈련원 선수촌 선수 지원금

종목별 장애인 스포츠 선수 양성 지도자 교육 등

표 27 국립재활원 장애인 체육 지원 구분

재활체육35)은 장애인이 지속적이며 자발적으로 체육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의사의 지도를 받아 전문지도자의 지도아래 그룹 체육활동을 통해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인 총체적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돕는 치료 활동임 재활 치료와 생활 체육의 중간단계의 역할을 함으로서 장애인들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체육활동을 수행하여 더나은 삶의 질을 얻을 수 있도록 함

생활체육36)은 건강과 체력의 증진을 통해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는데 목적을 두고 개인의 일상생활 영역 안에서 각자의 취미와 여건에 다라 여가 시간을 이용해 자발적으로 행해지는 신체적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음 장애인 생활체육37)은 장애인이 인간답게 살 수 있는 기본적 권리로서 운동발달을 촉진하고 기능의 유지 및 회복의 단계를 넘어 체력과 건강의 증진은 물론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건강을 증진하며 삶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활동으로 정의됨

국립재활원 입원 환자 및 지역 사회 장애인을 대상으로 기존의 의사 처방 하

35) 최영순 장애인 재활체육 재활간호학회지 제12권 1호 2009

36) 금창용 생활체육활동 참여 노인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석사 논문

2010

37) 노은이 장애인 생활체육 현황과 과제 서울시정개별연구원 2007

- 89 -

에 치료사가 환자의 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 치료와 더불어 운동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병행하고자 함 이를 통해 장애인들 스스로 더 나은 삶을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신체 활동의 시작인 재활 체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장애인 스포츠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함

다 운영 체계

운영 주체 국립재활원 건강증진센터

역할- 운동처방과 관련된 건강 증진 센터 운영 및 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 - 운동처방 관련 상품 및 장비 개발 및 자문- 운동처방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연구 및 자문- 장애인 전용 특수체육인력 양성 및 지속적 보수 교육 담당 - 재활체육 프로그램 적극적 병행-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지역사회 장애인 스포츠와의 연계

운영 부서 - 심폐재활실 국립재활원 병원동 신관 2층 - 생활 체육관 국립재활체육센터 1층- 재활 체육실 I II 국립재활체육센터 1층

- 90 -

국립재활체육센터 인력 배치 프로그램 및 구성 장비

인 력 이용 목적 업무 필요 장비

생활 체육관

특수체육 지도 2-3명

단체 운동

장애인 스포츠-농구 배구 탁구 보치아 피구 배드민턴 등 필요시 장애인 체육회와 연계

농구대 탁구대 배구 코트 기타 농구공 배구공 탁구공 배드민턴 라켓 보치아 공 보치아 표적구 등

재활 체육실 I

운동 지도 4명

체력강화 트레이닝 근력 증진 운동

심폐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 부위별 근력 운동

심폐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 장비 - 트레드밀 - 정지형 자전거 - 휠체어 트레드밀 - 스텝퍼 부위별 근력 운동 장비 - Leg extension - Leg curl - Leg press - Multi hip - Shoulder press - Arm curl - Abdominal Muscle - Back Muscle 체지방 측정기

재활 체육실 II

코디네이터 1명 운동 지도 2명

유연성과 순발력 증진운동 근력 강화 운동

요가 스트레칭 에어로빅 프리웨이트 스텝박스 근력 증진 장애인 건강증진센터 사무 업무 및 상담실 운영

요가 및 스트레칭용 매트 전신 거울 설치 짐볼 스텝박스 아령 테라밴드 슬링 치료 기구 사무용 가구 및 사무 용품

표 28 국립재활체육센터 인력 프로그램 및 장비

심폐재활실 및 재활체육실 주요 업무- 개인별 운동 상담 - 건강 체력 평가- 운동 기능 평가- 심폐 지구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운동 처방 및 운동 지도- 근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운동 처방 및 운동 지도- 장애인 건강 증진 사업 연계 기관 관련자 교육 - 운영자 운동지도 인력 및 사용

자 대상 - 장애인 건강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 개발 사업 - 운동 전 건강 위험도 평가 프로그램 개발 사업

- 91 -

- 장애유형별 운동 지침 개발 및 보급 - 원내외 관련 기관과 연계- 사회복귀지원과와의 연계로 입원 환자의 원활한 사회복귀 촉진 유도- 지역사회재활추진단과의 연계로 지역 보건소에서의 장애인 건강 프로그램 운영 지원- 권역별 재활병원과의 연계로 병원기반 재활체육 프로그램 활성화 지원

운영 흐름도

일차 면담시 평가 내용- 병력건강습관 질문 (건강 병력 질문지)

- 92 -

- 신체적 활동 준비 질문서 (PAR-Q 형식)

- 의학적건강 검진 ACSM risk stratification

운동 프로그램 참여 전 현재의 의학적 검진과 운동 검사 그리고 운동 검사를 위한 의료 감

독에 대한 ACSM의 권고

낮은 위험요소 중등도 위험요소 높은 위험 요소 A

중등도 운동 필요없음 필요없음 권고고강도 운동 필요없음 권고 권고

B최대하 검사 필요없음 필요없음 권고 최대 검사 필요없음 권고 권고

표 29 ACSM 권고

세부적인 운영 내용은 아래와 같음- 운동 전 검사 및 개인별 운동 처방

개인별 신체활동 목적에 부합되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체계적이고 개별적으로 처 방 및 지도관리하기 위해 건강 체력 검사 및 필요한 경우 운동 부하 검사를 시행 함 그 후 심폐 지구력과 근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운동 처방 및 운동 지도

- 건강 증진 운동 교육 과정 운영 장애인 건강 증진 사업 연계 기관 운영자 운동지도 인력 및 사용자를 대상으로985170장 애인건강증진운동교육과정985171을 운영

- 운동 프로그램 개발 사업 각종 장애별(지체장애 뇌병변 장애 등) 생애주기별(어린이청소년 성인 및 노인 대상) 및 건강 체력 요인별(심폐 지구력 강화용 근력 강화용 낙상 예방용) 운동

- 93 -

프로그램 개발 - 각종 설문지 및 기록지 개발 사업

연구 및 자문을 제공 할 목적으로 개인별 운동실태 운동정서 운동 장애 요인을 파악 할 수 있는 설문지를 개발하고 운동처방 내용 건강 체력실태 및 운동 내용 을 확인 할 수 있는 기록지 개발

- 운동 전 건강 위험도 평가 프로그램 개발 사업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 전에 개인별 건강 상태(예 연령 심혈관 및 폐질환 관련 증 상 및 징후 관상동맥 위험인자 수준 진단된 질환 명)를 근거로 운동검사 필요 유 무 확인 운동 강도(중강도 또는 고강도) 적용 시 또는 운동 검사(최대 하 또는 최 대 운동 검사) 시 의료진 및 장애인 체육 전문가의 감독 권장 여부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도록 함 이를통해 본 사업의 대상자 중 각 종 만성 질환을 갖고 있거나 고령 자인 경우 안전성과 운동 프로그램의 참여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

- 장애별 운동 처방 시스템 구축 주요 대상 장애별로 운동처방 원칙을 시스템화 시키고 운동 중 질환별 특성을 고 려한 주요 모니터링 항목을 포함시켜 환자들이 지역사회에서 운동 처방 수 행시 안전성을 높임 운동처방 시스템 구축에 포함 될 구체적인 내용들로는 질환별 운동 금기 조건 질환 정도 및 기간 약물 처방 여부 및 처방 약물 종류 운동 종 류 및 기간에 따른 약불 투여량 조절 방법 합병증 여부 및 정도에 따른 운동 시 주의 사항 운동 검사 시행 여부 운동 형태 및 운동량 등이 있음

- 장애별 운동 매뉴얼 개발 및 보급 주요 대상 장애인을 위한 운동 매뉴얼을 개발하여 환자들이 주민자치센터 피트니 스 센터 및 가정에서 운동을 할 때 운영자 및 운동 지도자 등록된 일반인들에게 운동 매뉴얼을 보급하기 위한 것임 운동 매뉴얼에는 각 질환의 간단한 특성과 운 동 효과 및 운동 방법 운동 시 주의사항 및 응급 상황에서의 대처 요령(예 심폐 소생술 등) 등이 포함

- 지역 장애인 체육회 연계사업 추진 지역 장애인 체육회와 연계하여 장애인 생활체육 교실 등의 공동프로그램을 적극 개최하여 장애인 체육 전문가의 부족을 메울 수 있도록 하여 일상생활에서도 체육 을 즐길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교육이 가능함 필요시 체육관을 대여하거나 지역 체육회의 장애인 체육 센터로의 지정을 통해 부족한 장애인 체육시설을 보충 가능

- 장애인 체육 활동 실태 조사 전반적인 장애인 체육 활동 실태조사를 통하여 퇴원 후 체육 활동 지속율 지역 사 회 체육 프로그램 이용율 체육 활동시 불편 요인 보완되어야 할 프로그램 내용 등을 파악하여 정책적 제안의 기반 및 체육관 운영방안 설정의 기반을 획득

라 기대 효과

근거-기반 운동 프로그램 수혜자 증가 - 의학적 검사와 기능 평가를 근거로 장애인 개인별 맞춤형 운동처방을 통한 지속적

으로 실행 가능 하고 개인 건강 유지에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 제공- 입원 재활치료와 재활체육 사회재활훈련을 병행 실시함에 따라 선진 사회복귀 모

델 제시 가능 장애인의 조기 퇴원 및 조속한 사회복귀에 긍정적 효과 rarr 장기적인 의료비 절감 효과

- 94 -

- 수혜자 중심의 운동 프로그램 공급(공급자가 아닌 수혜자 위주의 운동 형태 및 운동량을 제공함으로써 운동 지속성 증가)

- 장애인의 건강수명 연장-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 - 장애인 체육시설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 마련

재정 확충 방안

장애인 체육시설은 장애인 엘리트 체육시설을 제외하고 생활체육이나 재활체육을 실현할 수 있는 공간은 부족한 실정임

부족한 장애인 체육시설을 확충해 나가기 위해서는 건립 예정인 국립재활원의 체육관이 합리적이고 이상적인 재정 모델을 개발 및 운영하여 점차 전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 이를 위한 방안은 아래와 같음

가 수가화 모색

현재에도 운동치료 재활사회사업(개인력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문) 등은 수가로 인정되는 항목임 이를 기반으로 의료기관 내의 장애인 체육시설 인증을 통하여 인증된 체육시설에서 의사의 처방 혹은 지도로 시행되는 장애인 체육 활동에 대한 수가화를 모색함

나 공익기금 활용

가 국민체육진흥기금

정부 출연금 광고 사업 수입금 골프장 시설 입장료 부가금 복권기금 등에 의해 조성되는 국민체육 진흥기금은 국민체육진흥법 제22조에 따라 사용이 정해짐

22조 10항에 따라 국민체육진흥기금은 대한장애인체육회을 포함한 생활체육 관련 체육단체와 체육 과학 연구 기관의 운영지원 국민체육시설 확충을 위한 사업에 사용될 수 있음 따라서 국민체육진흥기금을 활용하여 장애인 체육시설을 운영가능 할 것임

국민체육진흥공단에 따르면 2013년 장애인체육 육성 기금은 총 464억이며 이중 장애인 생활체육이 83억 장애인 전문체육이 332억 대한장애인체육회 지원이 49억으로 책정되어있으며 구체적 내역은 아래와 같음

- 95 -

장애인 생활 체육 장애인 전문 체육 장애인 생활체육 34 억 장애인전문체육 61 억

장애인 생활체육대회 20 억 장애인 전국체전 시도 지원 19 억장애인활체육지도자배치 24 억 2013 스폐셜올림픽 지원 68 억시도 주최 생활체육대회 4 억 장애인 종합체육시설 건립 및 운영 115 억

장애인 실업팀 창단 지원 8 억2014 인천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지원 61 억

표 30 2013년 장애인체육 육성 기금 예산안

자료원 국민체육진흥공단 홈페이지

따라서 국립재활원의 체육관 및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국민체육진흥공단의 장애인 체육육성 기금의 활용이 가능할 것임

나 스포츠토토 공익기금

스포츠토토 공익기금은 규정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지정 문화 체육 사업 지원이 가능함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지정할 수 있는 체육 사업에 비인기 운동종목 지원 및 문화예술 취약 분야 육성 사업 그 밖에 체육문화예술 진흥을 위하여 특별히 지원이 필요한 사업 등이 가능함

따라서 이런 교정을 활용하여 스포츠토토 공익기금의 일부도 사용가능 할 것임

다 담배부담금 일부 활용

국민건강증진법 제25조(기금의 사용등)에 의하면 ldquo보건복지부장관은 기금을 제1항 각호의 사업에 사용함에 있어서 아동middot청소년middot여성middot노인middot장애인 등에 대하여 특별히 배려middot지원할 수 있다rdquo고 규정되어 있음

이러한 규정을 활용하여 담배부담금 일부를 체육시설 운영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임

요약 및 결론

현재 국립재활원에 있는 이전 체육관 시설이 없어지고 사회복귀를 중시하는 쪽으로 재활의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신설되는 장애인재활교육훈련시설(체육관)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이 필요함- 운영 목적은 장애인 건강 증진 센터에 등록된 장애인들에게 개인별 신체병력 자료

를 기초로 검사를 통하여 일정 기간(3~6개월) 재활체육을 처방 및 지도하여 운동

- 96 -

프로그램을 경험한 참여자에게 스스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을 지속적으로 유지 및 관리하도록 하는 것임

이를 위해 타기관 운영사례들을 검토하였음- 상계백병원 심장재활센터 아산병원 스포츠 건강의학센터 삼성병원 스포츠 의학

센터 고양시 재활스포츠 센터 부산시 한마음스포츠 센터- 일본 미국 독일의 체육관 운영 사례

이를 통해 운영전략을 설정하였음- 근거-기반(Evidence-based)의 장애인에게 적절한 운동처방 및 재활체육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실행 가능하고 효과적인 운동 수행- 수혜자 중심(Population-centered)의 재활체육 프로그램 공급을 통하여 활동량

증가와 적절한 생활체육으로의 연결- 국립재활원 입원 환자 및 지역 사회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기존의 의사 처방 하에

치료사가 환자의 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 치료와 더불어 운동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병행

체육관 시설을 통한 기대효과는 아래와 같음- 학적 검사와 기능 평가를 근거로 장애인 개인별 맞춤형 운동처방을 통한 지속적으

로 실행 가능 하고 개인 건강 유지에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 제공- 입원 재활치료와 재활체육 사회재활훈련을 병행 실시함에 따라 선진 사회복귀 모

델 제시 가능 장애인의 조기 퇴원 및 조속한 사회복귀에 긍정적 효과 rarr 장기적인 의료비 절감 효과

- 수혜자 중심의 운동 프로그램 공급(공급자가 아닌 수혜자 위주의 운동 형태 및 운동량을 제공함으로써 운동 지속성 증가)

- 장애인의 건강수명 연장-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 - 장애인 체육시설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 마련

부족한 장애인 체육시설을 효과적으로 확충시키기 위해서는 현재 시행하려는 국립재활원의 체육관이 장애인 체육시설의 효과적인 재정 운영 방안 모델을 수립 운영하여 전국으로 모델을 퍼뜨릴 수 있도록 해야함 이를 위한 방안은 아래와 같음- 장애인 체육시설 인증을 통한 재활 체육의 수가화를 모색- 국민체육진흥기금 스포츠토토 공익기금 등의 공익기금들을 활용하는 방안 모색- 담배 등으로 인한 건강증진부담금 일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

- 97 -

제5장 재활교육체계 구축 방안

국립재활원 교육현황

가 국립재활원 교육 체계

현재 국립재활원은 총무과 장애인운전지원과 교육홍보과 등 3개 과 재활병원부 내에 15개 과 그리고 재활연구소 내에 3개 과로 구성되어 있음

이 중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부서는 총무과 간호과 교육홍보과 사회복귀지원과 공공재활의료지원과 장애인운전지원과 등 6개 과와 재활연구소임

나 2012년 국립재활원 교육현황 조사

조사 대상

2012년 동안 내부 직원 혹은 외부 인력에 대한 재활교육을 수행해왔던 총무과 간호과 교육홍보과 사회복귀지원과 공공재활의료지원과 장애인운전지

- 98 -

원과 등 6개 과와 재활연구소를 조사 대상으로 하였음

QI실은 과정 내용이 본 연구의 범위에서 벗어났고 장애예방사업은 대국민 교육을 중심으로 하고 있기에 조사 대상에서 제외하였음

공공재활의료지원과는 교육과정만 제공하고 프로그램은 제공하지 않았음

조사 내용

조사 내용은 2012년 동안 해당 과 혹은 연구소가 내부 직원 혹은 외부 직원을 대상으로 수행한 교육들의 다음과 같은 내용들임- 교육과정- 교육프로그램- 연간교육경험자(재활원 내외)- 직종별 교육경험자- 유료교육 여부- 법적 보수교육 인정여부- 교육과정 단계 여부- 연간 교육횟수- 강사구성- 연간 총 소요예산- 국립재활원 외부지원 예산

교육과정 및 교육프로그램은 진행 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분류하였음- 공공재활(정책)-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인원 측면에서 연간 교육경험자는 교육과정별 참석인원에 교육횟수를 곱한 연인원으로 계산하였고 직종별 교육경험자 수 중 의사는 정규직 전공의 공중보건의사를 포함한 것임

교육프로그램을 수행한 경우 커리큘럼을 별도로 제공 받았음

- 99 -

조사 결과

가 일반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총 교육과정은 27과정이었고 총 프로그램 수는 138 프로그램이었음 그리고 총 교육시간(순환 교육과정의 경우 횟수를 곱하여 산출함)은 467시간이었음

교육내용별로는 사회복귀 임상재활 분야가 전체 교육시간의 81를 차지하고 있음

2012년 조사 시점까지 총 교육경험자 수는 4667명으로 내부 직원이 2732명이었고 외부 인력이 1935명이었음

2012년 조사 시점까지 총 소요 예산은 124억 원이었음

나 부서별 교육과정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수행된 교육과정은 총 27개였음 교육내용별로 임상재활과 사회복귀 분야가 가장 많았음

교육홍보과에서 수행한 교육과정이 11개로 가장 많았음 교육내용은 사회복귀 임상재활 분야가 많았음 다음으로 공공재활의료지원과에서 수행한 교육과정이 6개였고 임상재활 사회복귀 분야의 내용이 교육되었음

- 100 -

  공공재활(정책)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총무과         5 5

교육홍보과   4 5 2   11간호과   2       2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2     2

연구소   1       1공공재활의료지원   3 2 1   6

총계 0  10 9 3 5 27

표 31 부서별 교육과정 현황

다 부서별 교육 프로그램 현황

각 교육과정별 실제 수행된 교육 프로그램을 기준으로 볼 때 총 138개의 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되었음 임상재활 분야 프로그램이 절반 정도를 차지하였음

부서별로는 교육홍보과에서 주관한 교육 프로그램이 전체 프로그램 중 557를 차지하고 있음 교육홍보과에서 주관한 프로그램은 사회복귀 분야 내용이 가장 많았음

  공공재활(정책)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총무과 5 5

교육홍보과 6 24 31 13 3 77간호과 32 32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10 10

연구소 1 11 2 14공공재활의료지원

총계 7 67 43 13 8 138

표 32 부서별 교육 프로그램 현황

라 부서별 교육시간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수행된 교육시간은 총 467시간이었음 교육내용별로 사회복귀와 임상재활 분야가 많았음

- 101 -

교육홍보과에서 수행한 교육시간이 401시간으로 전체의 859를 차지하고 있음 교육내용은 사회복귀 임상재활 분야가 많았음

  공공재활(정책)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총무과 9 9

교육홍보과 118 203 80 401간호과 32 32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11 11

연구소 14 14공공재활의료지원 0

총계 0 164 214 80 9 467

표 33 부서별 교육 시간 현황

마 부서별 교육대상 인력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교육받은 인력은 연인원 4667명이었음 국립재활원 내부 직원 대상이 585로 외부 인력보다 약간 많았음

부서별로 볼 때 총무과 및 재활연구소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모두 국립재활원 내부 직원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반면 교육홍보과 공공재활의료지원과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모두 외부 인력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재활원 내부 재활원 외부 합계총무과 2221   2221

교육홍보과   1471 1471간호과 98 75 173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12 27 39

연구소 401 4 405공공재활의료지원   358 358

합계 2732 1935 4667

표 34 부서별 교육대상 인력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교육받은 인력 중 직종이 구분된 인원은

- 102 -

연인원 4184명이었음 기타 직종을 제외하면 사회복지사가 1431명으로 가장 많았고 간호사가 747명이었음

직종 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사회복지사 기타직종 합계임상재활 23 305 95 35 371 317 1146사회복귀 0 72 32 2 754 99 959시설운영 0 13 15 4 297 12 341

기타 113 357 0 0 9 1259 1738합계 136 747 142 41 1431 1687 4184

표 35 교육과정 종류별 교육 경험자 직종

교육과정 종류별로 볼 때 임상재활 분야 교육 대상자는 사회복지사가 32 간호사가 27를 차지하고 있었음 사회복귀 분야 및 시설운영 분야 교육 대상자는 사회복지사가 각각 79 8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음

- 103 -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교육받은 인력의 소속기관은 국립재활원이 가장 많았고 외부 인력 중에서는 복지관 및 기타기관이 가장 많았음

부서별로 볼 때 총무과 및 재활연구소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모두 국립재활원 내부 직원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부서별 교육 대상자 중 외부 인력의 소속기관은 다음과 같음 - 교육홍보과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모두 복지관 및 기타기관 소속 인력을 대상으

로 수행되었음 - 공공재활의료지원과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대부분 보건소 및 보건지소 소속 인력

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 간호과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국립재활원과 민간병원 소속 인력을 대상으로 수행

되었음

  국립재활원 보건(지)소 공공병원 민간병원 복지관기타기관 합계총무과 2221         2221

교육홍보과         1471 1471간호과 98     75   173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12       27 39

연구소 401       4 405공공재활의료지원   342     16 358

합계 2732 342 0 75 1518 4667

표 36 부서별 교육 대상자 소속 분류

바 법정 보수교육 인정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수행한 교육과정 중 법정 보수교육으로 인정받는 과정은 총 4개였음 임상재활 분야 2 과정 사회복귀 분야 1 과정 시설운영 분야 1 과정임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인정 2 1 1   4

불인정 5 6 1 5 17

표 37 보수교육 인정 현황

- 104 -

사 연간 교육과정 순환 횟수

대부분의 교육과정은 연간 1회 혹은 2회만 수행되고 있음

아 교육과정 강사 인력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수행한 교육과정 중 내부 강사와 외부 강사는 절반 정도씩 차지하고 있음

교육과정 분야별로 볼 때 임상재활 및 사회복귀 분야는 내부 강사와 외부 강사 비율이 비슷하며 시설운영 분야는 외부 강사가 더 많음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내부강사 35 22 3 4 64외부강사 30 18 12 2 62

표 38 교육과정 강사 인력 현황

- 105 -

자 부서별 주요 교육 내용

부서별 주요 교육 내용은 다음과 같음

  교육 내용

교육홍보과

케어기술(기본) 장애인 성재활 케이기술(심화) 직업재활 고령장애케어 물리작업치료 사례관리(기본) 욕창 재활간호 영유아케어기술 장애행동수정 사례관리(심화)

공공재활지원과

지역사회중심재활 기본실무 방문재활의 실제 노년기 재활을 통한 건강관리 장애아동재활의 핵심파악 노년기 재활을 통한 건강관리 쉽게 따라 하는 재활실무 건강한 일상을 위한 여성 장애인 재활

간호과 재활간호 3일 과정 재활병원에서의 가족 프로그램과 성재활 간호

장애인운전지원과 장애인 운전강사 역량강화 교육 자동차 운전강사 양성교육

재활훈련과(2011)

사회복귀지원과정 복지시설 장애인 자립특성화과정 자립생활실무자과정 보조기구 관리지원교육 민간재활병원 가족교육

표 39 부서별 주요 교육 내용

국립재활원 교육현황 요약 및 문제점

부서별 교육대상 인력은 주로 소속기관별로 구분되고 있음- 간호과 병원 간호사- 교육홍보과 복지관 직원- 공공재활지원과 보건소직원- 사회복귀지원과 장애인 가족 활동보조인 등

- 106 -

단기간의 일회적 교육과정이 많고 장기간 운영되는 체계적 전문교육과정이 미흡함- 교육과정의 기본심화 단계 과정이 부족- 케어기술(기본심화) 사례관리 (기본심화)외 부재- 교육과정 당 시간 1시간~24시간

공공병원 교육참여자가 없음

간호사 사회복지사 외의 직종에 대한 전문교육과정 없음- 물리작업치료사 1과정- 언어재활사 수화통역사 의지보조기기사 점역교정사 등의 교육과정 없음

기타- 이용자가 교육요금을 부담하는 유상 교육이 많음- 법정 보수교육 인정 과정이 적음(간호사 2 과정 및 사회복지사 2과정)- 교육 예산이 부족함

타 기관 교육 현황

가 교육체계

국립암센터는 교육훈련부에서 내부 직원과 외부 인력에 대한 모든 교육 과정 총괄 관리함 실제 교육프로그램은 각 부서별로 이루어지나 교육훈련부에서 과정목표 교육대상 시간 형태 과정운영방향특징 등을 총괄하여 동일한

- 107 -

구성으로 모든 교육과정에 대한 연간 교육 훈련 계획서를 관리하고 실행함

또한 일본국립재활원은 병원 연구소와 같은 위상의 전문교육기관인 대학이 존재함 일본 국립장애인 재활 센터는 대학 병원 연구소 훈련센터 관리부로 구성되어 유기적으로 운영되며 대학을 통해 의료 인력을 위한 교육을 진행하고 있음- 연구-재활치료-교육-사회복귀가 모두 한 공간에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WHO 지정 연구기관임 - 재활에 관한 기술자 양성 및 현재 종사 인력의 기술 향상을 목적으로 교육을 진행

하고 있음

일본국립재활대학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음

1971년 4월 옛 국립 청각 언어 장애 센터에 부속 언어 전문 인력 양성소가 설치되어 첫 언어 전문 인력의 양성 (1년제)가 시작된다

1979년 7월 옛 국립 청각 언어 장애 센터가 신설 국립 장애인 재활 센터에 통합됨에 따라 학원 언어 전문 인력 양성 과정 (1년제)가된다

1979년 9월 언어 전문 인력 양성 과정 업무 개시 연수 업무 시작 1982년 3월 직업 현임 교육을 목적으로 학원 동 및 학원 기숙사 1 호동의 준공 1982년 4월 처음의 의지 보조기 전문 인력 양성 과정 (3년제) 개설 1988년 4월 의지 보조기 사법의 제정 시행에 따라 의족 보조기 전문가 양성소로 후생 대신의 지정을

받는다 1989년 4월 후생 대신 공인 수화 통역사 인증 제도가 발족 수화 통역사 시험이 시작된다 1990년 4월 첫 시각 장애인 생활 훈련 전문 인력 양성 과정 (1년제) 개설 1990년 4월 본방 처음 수화 통역 전문 인력 양성 과정 (1년제) 개설 1991년 4월 본방 처음 개화 체육 전문 인력 양성 과정 (2년제) 개설 1992년 4월 언어 전문 인력 양성 과정의 2년제로 전환 1995년 1월 전수 학교 전문 과정 수료자에 대한 전문사 칭호 부여에 관한 규정에 따라 의족 보조기

전문 인력 양성 과정 수료자 전문사 칭호를 수여 1995년 9월 학원 기숙사 2 호동 준공 1998년 10월 언어 청각 사법의 제정 시행에 따라 언어 청각 전문가 양성소로 후생 대신의 지정을 받

는다 1998년 12월 새로운 양성 연수 동 준공 1999년 4월 전문 인력 양성 과정에서학과 제로 명칭 변경 언어청각학과 의지 보조기학과 시각장애

학과 수화통역학과 재활체육학과 5학과 됨 시각 장애학과의 2 년제로 전환 2001년 4월 수화 통역학과 2년제로 전환 2003년 4월 수화 통역학과의 정원 증가 2008년 10월 명칭을 국립 장애인 재활 센터로 변경 2011년 10월 뇌졸중 재활 간호 인정 간호사 교육 과정 개강 2012년 4월 치치 학원 부속 보호지도 직원 양성소가 조직 통합함으로써 아동 지도원과의 업무 개시

- 108 -

나 재활전문인력 대상 교육 과정

국립암센터 사례

국립암센터의 직종별 전문교육 과정은 의사 간호사 약사 영양사 사회복지사 공무원 암 진료기관 종사자 호스피스 및 재가암환자 관리 인력 등으로 나누어 수행되고 있음

 대상 교육 내용

의사를 위한 전문화 과정(1년 ~ 2년 과정)

혈액종양 내과 전문의 (2명) 대장내시경 소화기내과 외과전문의(3명) 부인종양 산부인과 방사선종양학과 영상의학과 전문의(2명)

간호사 교육 과정 국제장루창상실금 전문간호과정 전문간호분야 실무자 교수(8명 2개월) 종양전문간호과정 전문간호분야 실무자 책임자 교수 등(100명 6개월)

국립암센터의 암에 특화된 직종별 수련체계 과정

전공약사과정(약사면허증 취득자 1년) 전공영양사과정(영양사 면허증취득자 1년) 수련사회복지사과정(사회복지사 면허 취득자 1년)

최고위 과정 보건복지정책 고위과정 국회의원 의료기관 고위관리자 대상

공무원 대상 교육

암관리사업 관리자과정 시middot도 5급 이상 암관리 사업담당 보건소장 및 5급 이상 관리자

암검진 및 의료비 지원 사업 과정 보건복지부 보건(지)소 직원 6~9급 재가암환자관리과정(이론과정실무과정) 보건(지)소 방문간호 담당 6~9

급 완화 의료 전문기관 가정간호 담당자 지역암센터 암등록

진료기관 종사자 대상 교육 지역암센터 실무과정 지역암센터 암관리사업담당자 암등록의무기록사과정 암환자 진료 의료기관 지역암센터 근무자 등

호스피스 및 재가암환자 관리 인력 교육

말기암 및 재가암환자 관리사업전문인력 양성 호스피스 middot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실무 간호사

호스피스전문과정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 종사자

표 40 국립 암센터 교육과정

공공기관 근무자 대상 교육과정은 국립암센터뿐만 아니라 국립중앙의료원에서도 수행되고 있음

- 109 -

 대상 교육 내용

최고위 과정

국립암센터 보건복지정책고위 과정 국회의원 의료기관 고위관리자 대상 국립중앙의료원 응급의료 최고위정책 과정 보건복지부 공무원 의료진

대상 국립중앙의료원 공공간호 최고지도자 과정 보건복지부 관계자 공공의료

관련 연구진 간호사

지역암센터공공병원 대상 교육 과정

국립암센터의 지역암센터 실무과정 시 middot 도 및 지역암센터 암 관리 사업 담당자 등 80명

국립중앙의료원 춘계 공공의료아카데미 전국 국공립병원 부서장 실무자

표 41 국립중앙의료원 공공기관 근무자 교육과정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 사례

일본국립장애인재활 센터의 재활전문가 양성과정은 6종류의 직종에 대해 운영됨 각 대상 직종별로 언어청각학과 의지middot보장구학과 시각장애학과 수화통역학과 재활체육학과 아동지도원과와 같은 학과로 구성됨

이 중 언어청각학과 의지middot보장구학과 시각장애학과 수화통역학과 재활체육학과는 교육법에 의거하여 설립 운영됨 교육과정은 학과에 따라 1-3년 과정으로 운영되고 있음

이는 우리나라의 장애인복지 전문인력 중 수화통역사 언어재활사 의지보장구기사와 직종이 겹침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의 시각장애학과는 우리나라의 점역middot교정사 보다 넓은 개념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함

이 중 의지보장구학과를 졸업할 경우 전문사(전문대학사)자격을 취득할 수 있으며 언어재활학과와 의지보장구학과를 졸업하면 국가자격 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받음

수화통역사의 경우 후생성 장관이 인정하는 민간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음

이 외에 일본간호사협회가 지정하는 뇌졸중전문간호사 지정 교육기관으로 뇌졸중 전문간호사 과정을 운영함

- 110 -

각 과정의 직종 및 기관 입학 조건은 아래와 같음

학과명 설치년도 정원 입학 자격 과정

언어청각학과 1972 60 학교 교육법 제 102 조 제 1 항 본문의 규정에 따라 대학원에 입학 할 수 있는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2년

의지middot보장구학과 1983 30 학교 교육법 제 90 조제 1 항의 규정에 의하여 대학에 입학 할 수있는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3년

시각장애학과 1990 40 학교 교육법 제 102 조 제 1 항 본문의 규정에 따라 대학원에 입학 할 수 있는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2년

수화통역학과 1990 60학교 교육법 제 90 조제 1 항의 규정에 의하여 대학에 입학 할 수 있고 또한 20 세 이상의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2년

재활체육학과 1991 40

① 교육 직원 면허 법에 의한 보건 체육 고등학교 교사 면허증 또는 일종의 면허증을 가진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② ①과 동등 이상의 자격을 가진 자 총장이 인정한 것으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2년

아동지도원과 1963 40

학교 교육법 제 102 조 제 1 항 본문의 규정에 따라 대학원에 입학 할 수있는 자 또는 아동 복지법 제 18 조의 6에 따라 보육사 자격을 가진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1년

표 42 일본 국립장애인 재활센터 직종별 입학 조건

언어청각학과는 2년간 2340시간을 이수해야 졸업할 수 있으며 졸업 시 국가시험 응시자격을 획득함 언어청각사가 국가자격으로 도입되기 전 전국에서 처음으로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음

현재 전국의 여러 전문학교 대학교에서 학과가 개설되어 인력을 양성하고 있음 일본 장애인재활센터의 경우 학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며 국가시험자격이 부여되어 경쟁률이 상당히 높은 편임

의지middot보장구학과는 3년간 3315시간을 이수해야 졸업할 수 있으며 졸업 시 전문사 자격과 함께 국가시험 응시 자격을 획득함 의지보조기사가 국가자격으로 도입되기 전 학과가 설치되어 교육 진행함

현재 일본 내 의지보조기 인력양성은 3개의 대학과 7개의 전문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음 언어청각학과와 마찬가지로 학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양질

- 111 -

의 교육을 제공하며 국가시험 자격이 부여되어 경쟁률이 높음

수화통역학과는 2년간 2400시간을 이수해야 졸업 할 수 있으며 졸업 시 후생성 장관이 인정하는 민간 자격 시험에 응시할 수 있음(우리나라 역시 수화통역사는 민간자격으로 운영되고 있음)

시각장애학과는 2년간 3134시간을 이수해야 졸업 할 수 있으며 관련 자격증은 없음 졸업 후 시각장애인 시설 등에 주로 취업함

재활체육학과는 2년간 2385시간을 이수해야 졸업 할 수 있으며 졸업 시 민간협회자격증(2가지종류)에 응시할 수 있음 졸업 후 장애인스포츠센터나 복지시설등에 취업함

아동지도원과는 1년간 1800시간을 이수해야 졸업 할 수 있으며 다른 학과와 다르게 국립장애인센터 자체적으로 운영함 관련 자격증은 없지만 국가기관 중 아동지도원이 필요한 곳에 인력을 공급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졸업시 임용권을 부여하여 장애아동관련 교직으로 진출할 수 있음

뇌졸중 전문간호사는 일본간호사협회가 인정하는 21개 전문자격증 하나임 뇌졸중 전문간호사는 일본간호사협회가 전국에 지정한 6군데 기관에서 교육을 진행하고 있음 전문간호사 인정은 대학원 졸업자만 가능하며 프로그램 및 커리큘럼 작성시 일본간호협회의 확인을 받아야 함

- 112 -

다 내부 직원 대상 교육과정

국립암센터의 내부 직원 대상 교육은 직종별로 관리직 의사직 연구 의사직 연구직 일반직 등으로 구분되어 있음

또한 교육 목표별로는 공통역량 직무역량 계층역량 자기개발 등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공통역량은 조직 활성화 법정교육 고객만족 역량 등으로 직무역량은 공통 및 세부 직무역량과 사이버연수원으로 세분되어 있음

- 113 -

국립중앙의료원은 내부 직원에 대한 교육으로서 공공의료아카데미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음 - 대상 전문의 간호사 기획 관련부서 실무자 공공보건의료계획 담당부서 실무자

등 국립의료원 구성원 20명- 주요 내용 공공성 공공의료 우수한 적정진료 제공 국가차원의 새로운 공공의료

모색 등- 참여적 워크숍 방식으로 진행(40시간)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관련 법조항

가 재활의학 전문의

의사의 연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의료법 제 30조 제2항 제3항 및 동 시행규칙 제20조 제21조 제23조- 대한의사협회 정관 3조- 대한의사협회 연수교육 시행규칙

의료법에서 의사는 연간 8평점 이상 이수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의사협회의 연수교육 시행규칙에는 연간 12평점의 보수교육을 진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음(20103월 기준) 의사협회 연수교육 시행규칙에서는 연수교육의 시행기관과 교과목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음

- 114 -

대한재활의학회 회칙 4조에서 재활의학에 관한 보수교육 및 재활의학 보급에 관한 사항을 학회의 사업으로 규정하였으나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재활의학 교

연수교육 시행 기관

제5조(연수교육시행기관)각 시middot도의사회

의과대학middot의학전문대학원레지던트수련병원 및 인턴수련병원

학회(단 의학회에 등록된 학회에 한함)기타 교육위원회에서 인정하는 기관 및 단체

교과목

제13조(교과목) ⓵연수교육에 있어서는 가급적 임상교육과 기초교육을 병행해야 하며 10 이내의 의사윤리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⓶연수교육기관은 제1항의 윤리교육 이외에 10이내의 교양과목 의료정책 의료사회학 의료정보학 등을 교육과목으로 개설할 수 있다

평점

제14조(연수교육 인정한계 및 평점)

교육종목 평점 연상한본회 승인 프로그램

1)강 좌 1시간당1평점 -2)실 습 1시간당1평점 -

3)시청각(비디오 슬라이드) 1시간당1평점 - 4)대한의사협회지 자율학습 1시간당1평점 3

5)위크숍 1시간당1평점 - 6)심포지엄 1시간당1평점 -

2 국내외 학술대회 및 본회 종합학술대회

1강좌당 1평점을 원칙으로 하되 교육위원장이

별도로 정한 사항은 예외로 할 수 있다

1일 6평점

3 사이버 연수교육

1강좌당 1평점을 원칙으로 하되 교육위원장이

별도로 정한 사항은 예외로 할 수 있다

5

4의과대학교수 지도전문의 연수교육 강사 1시간당1평점 7

5 논문게재

제1저자 및 교신저자 1편당

5평점제2저자이하1편당

3평점

10

6기타 교육위원장이 인정하는 사항

표 43 연수교육 시행기관과 교과목

- 115 -

육을 반드시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님

나 간호사

간호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의료법 제 30조 제2항 제3항 및 동 시행규칙 제20조 제21조 제23조- 대한간호협회 정관 6조- 대한간호협회 보수교육 시행규정 보수교육지침 온라인보수교육지침

의료법에서 간호사는 연간 8시간 이상 이수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간호협회의 연수교육 시행규정에는 연간 8평점의 보수교육을 진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단 전문간호사38)는 전문간호사를 위한 보수교육을 받아야한다고 규정하고 있음 온라인 오프라인의 교육이 모두 가능하며 오프라인 보수교육 하한 점수는 4평점 온라인 보수교육 하한평점은 4평점임

대한간호협회 보수교육 시행규정 및 교육지침은 다음과 같음

국립재활원에서는 간호부에서는 간호사보수교육으로 인정되는 교육과정 및 재활간호 3일 과정을 진행하고 있음

추후 보건복지부령에 의한 장애인 재활전문간호사 과정 도입 및 교육을 위한 대학원 과정을 생각해 볼 수 있음

38) 보건복지부령인 lsquo전문간호사 자격인정 등에 대한 규칙rsquo에 의해 정의된 전문간호사는 보건복지부장관에 의해

발급되는 자격증으로 보건middot마취middot정신middot가정middot감염관리middot산업middot응급middot노인middot중환자middot호스피스middot종양middot임상 및 아동분야의

전문간호사가 있음 장애인 재활 부분의 전문간호사 자격은 현재 없음

39) 보건간호사회 병원간호사회 마취전문간호사회 보건진료원회 보건교사회 산업간호사회 보험심사간호사회

가정간호사회 정신간호사회 노인간호사회(신설 20104

연수교육 시행 기관

제6조(연수교육실시기관)1 본회의 17개 시middot도 간호사회 및 산하단체39)

2 3 4년제 간호교육기관3 대학의 부속병원4 보수교육 지정기관으로 인정받은 기관

전문간호사 보수교육 실시기관

대한간호협회한국간호평가원전문간호사과정 교육 및 실습기관기타 본회가 인정한 단체 단 전문간호사과정 교육 및 실습기관 또는 본회가 인정한 단체는 해당 전문분야로 한정하여 보수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표 44 대한간호협회 보수교육 시행규정 및 교육 지침

- 116 -

다 물리치료사

물리치료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20조 의료기사등에 대한 법률 시행규칙 18조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서 믈리치료사는 연간 8시간 이상 이수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라 작업치료사

작업치료사의 보수교육 규정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20조 의료기사등에 대한 법률 시행규칙 18조- 대한작업치료사협회 규정 57조 58조 59조 60조 64조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서 작업치료사는 연간 8시간 이상 이수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대한작업치료사협회 규정에는 연간 8평점이상의 보수교육을 진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이중 협회의 보수교육을 3평점 나머지 5평점은 각 지회에 의무이수 평점으로 받아야 함 대한작업치료사협회 규정에는 보수교육의 종류와 교육내용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음

보수교육 종류

제58조(보수교육의 종류)1 지회보수교육 연간 10평점 이상 보수교육 개설2 중앙회보수교육 연간 6평점 이상 보수교육 개설3 대학의 부속병원4 보수교육 지정기관으로 인정받은 기관

보수교육 교육내용제64조(교육내용) 교육내용은 작업치료학의 임상분야에서 실제 활용되고 있는 내용이나 해외 최신 학술정보에 관한 내용 기타 작업치료사로서 갖추어야 할 윤리에 관한 교양강좌(20)로 한다

표 45 대한작업치료사협회 보수교육 종류 및 교육 내용

마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사회복지사업법 13조 2항 동 시행규칙 제 5조-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보수교육 안내(대상자 매뉴얼)

사회복지사업법에서 사회복지법인 또는 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는 정기적으로 인권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 보수교육을 받아야 함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대상자 매뉴얼에서는 연간 8평점(8시간) 이상 이수할 것을 규정함 필수영역은 각 1평점 이상을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함

- 117 -

필수영역 선택영역사회복지 윤리와

가치 사회복지 실천 사회복지 정책과제와 법 사회복지 행정 사회복지

조사연구

표 46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과목

사이버교육은 4평점까지 인정하며 나머지 4평점은 반드시 집합교육을 통해 이수해야함

바 수화통역사

수화통역사는 국가공인 민간자격임 수화통역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자격기본법 제35조(보수교육) 국가자격관리자 및 공인자격관리자는 해당 국가자격

및 공인자격을 취득한 자의 직무능력의 유지middot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보수교육을 실시할 수 있음

- 한국농아인협회 보수교육 내용 규정

한국 농아인 협회에서는 보수교육에 대해 자격을 취득한 날로부터 5년 이내에 50시간 이상의 보수교육을 이수할 것을 규정함 보수교육은 한국 농아인 협회 중앙회교육과 외부기관교육(시도협회 외부유관기관 및 단체)이 있음 이 중 최소 30시간 이상은 중앙회에서 운영하는 교육에 참여해야 함 5년 이내에 50시간의 보수교육을 미이수하였을 경우 자격정지 3회 이상의 자격정지시 자격이 취소됨- 수화 연구의 동행과 언어운용에 관한 내용- 수화 통역 이론의 동향과 과제에 관한 내용- 지역사회 통역의 연습을 중심으로 하는 내용- 상황별 사례발표 및 토의를 중심으로 하는 내용- 청각 장애인 복지 정책과 과제에 관한 내용- 농사회 농문화 관련 내용- 그밖에 관련 내용

유형 세부기준 평점

집합교육-교육정원 80명 이하 1시간1평점-교육정원 80명 초과

이수평점(총 8평점)중 연간 2평점까지 인정가능 4시간1평점

사이버교육 온라인 교육이수평점(총 8평점)중 연간 4평점까지 인정가능 1차시05평점

표 47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규정

- 118 -

사 점역교정사

점역교정사는 국가공인 민간자격임 점역교정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자격기본법 제35조(보수교육) 국가자격관리자 및 공인자격관리자는 해당 국가자격

및 공인자격을 취득한 자의 직무능력의 유지middot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보수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 한국시각장애인협회 점역middot교정사 민간자격관리에 관한 규정 제31조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에서는 자격증의 유효기관을 5년으로 하고 유효기관 내에 1회 이상 보수교육을 이수할 것을 규정하고 있음

아 언어재활사

언어재활사는 국가자격임 언어재활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 시행령 61조 2항

보수교육은 한국언어재활사협회가 실시하며 교육시간은 연간 10시간 이상으로 함

자 의지보조기기사

의지보조기기사 국가자격임 의지보조기기사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 시행령 61조 1항

보수교육은 국립재활원장이 실시하며 교육시간은 2년간 8시간 이상으로 함 국립재활원 교육홍보과에서 실시하고 있음

차 요약 및 문제점

보수교육 규정 요약

이상의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현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 119 -

재활영역

전문인력 보수교육 법령 및 규정 보수교육

시간 보수교육 시행기관 교육과목 및 특징

의료재활인력

의사

의료법 제 30조 제2항 제 3항 및 동 시행규칙 제 20조 제 21조 제 23조대한의사협회 정관 3조대한의사협회 연수교육 시행규칙

8평점 이상년

-중앙회-해당 시middot도 의사회-의과대학 및 대학원-레지던트 교육병원-각 학회 및 지회(단 의학회에 등록된 학회에 한함)-기타 교육 위원회에서 인정하는 기관 및 단체

-임상교육과 기초교육을 병행- 10 이내의 의사윤리교육을 실시 - 윤리교육 외에 10이내의 교양과목 의료정책의료사회학 의료정보학 등을 교육과목으로 개설 가능- 재활의학과목을 이수해야 하는 것 아님

간호사

의료법 제 30조 제2항 제 3항 및 동 시행규칙 제 20조 제 21조 제 23조대한간호협회 정관 6조대한간호협회보수교육 시행규정 보수교육지침 온라인보수교육지침

8평점 이상년

- 지부 및 산화단체보수교육인정기관간호대학(학과)대한간호사협회 사이버교육센터

전문 간호사는 반드시 전문간호사 보수교육을 시행받아야 함오프라인 보수교육 하한은 4평점

물리치료사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제20조 및 동법 시행세칙 제 18조

8평점 이상년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작업치료사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20조 의료기사등에 대한 법률 시행규칙 18조대한작업치료사협회 규정 57조 58조 59조 60조 64조

8시간 이상년 대한작업치료사 협회

-협회 보수교육 3평점-지회보수교육5평점-임상분야에서 실제 활용되고 있는 내용이나 해외 최신 학술정보에 관한 내용 기타 작업치료사로서 갖추어야 할 윤리에 관한 교양강좌(20)

사회복지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업법 13조 2항 동 시행규칙 제 5조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보수교육 안내(대상자 매뉴얼)

8시간 이상년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위탁한 협회나 협의회

-필수영역 사회복지윤리와 가치 사회복지 실천-선택영역 사회복지 정책과제와 법 사회복지행정 사회복지 조사연구

장애인

복지 전문인력

언어재활사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 시행령 61조 2항

10시간 이상년 - 한국언어재활사협회 현재 자격 및 제도 도입 중 (구) 언

어치료사

의지middot보조기

기사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 시행령 61조 1항

8시간 이상2년-국립재활원

국립재활원 교육홍보과에서 시행 자격증이 분야별 세분화되어 있지 않음

수화통역사

자격기본법 제35조한국농아인협회 보수교육 내용 규정

50시간 이상5년

-중앙회(한국농아인협회)-외부유관기관 및 단체

-최소 30시간은 중앙회에서 교육을 받아야 함

점역middot교정사

점역middot교정사 국가공인 민간자격의 관리middot운영에 관한 규정 31조

1회 이상5년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시간 및 규정이 규체적이지 않음

표 48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현황

- 120 -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문제점 및 대안

재활의료 인력에 특화된 보수교육 의무규정이 없음- 재활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 및 사회복지사에 대한 재활 관련 교육영역과 내용에

대한 보수교육 규정 부재- 점역교정사 언어재활사 보수교육에 대한 과목 규정 등이 취약

국립재활원에서 재활 분야 간호사 및 사회복지사에 대한 보수교육에 적극 참여해야 함

또한 보수교육규정 상 의지보조기사를 제외한 직종에서 국립재활원의 역할이 없음- 의지보조기사 규정(장애인복지법 시행령 61조 1항) 국립재활원장이 실시하고 교

육시간은 2년간 8시간 이상으로 한다

국립재활원에서 보수교육 중 재활영역 가이드라인 및 프로그램을 생산하여 권역재활병원 등으로 확산시킴

국립재활원에서 보수교육 중 재활영역 가이드라인 및 프로그램을 생산하여 권역재활병원에서도 보수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확산시킴

각 직종별 보수교육 규정 중 시행기관에 국립재활원 및 권역재활병원을 포함시키도록 함

각 직종별 보수교육 규정 중 병원 및 장애인재활시설에서 근무하는 인력은 국립재활원 및 권역재활병원에서 개설하는 임상실기 전문이론 공공재활 등을 필수적으로 이수하도록 명시함

재활전문인력 양성규정 현황

가 재활전문인력 양성 규정

현재 재활전문인력의 자격증 종류 자격취득경로 인력 수 등 현황은 다음과 같음

- 121 -

재활영역 전문인력 자격증 종류 자격취득 수

(2012년)

의료재활

재활의학과의사 국가자격증

의과대학middot전문대학원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면허를 수여 받은 자중 재활의학 레지던트 수련을 받고

전문의 시험에 합격한 자

1386명

간호사 국가면허증 간호대학 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수여받은자 120491명

물리치료사 국가면허증4년제 또는 3년제 대학의

물리치료학과를 졸업한 후 국가 자격시험에 통과한 자

25475명

작업치료사 국가면허증 4년제 또는 3년제 대학을 졸업한 후 작업치료사 국가시험에 통과한 자 3594명

사회복지 사회복지사 국가자격증 2급 대학에서 14과목을 이수한 자

1급 국가자격시험에 통과해야 함

2642명

장애인복지전문인력

언어재활사 국가자격증

2급 대학원 대학 전문대학의 언어재활 관련 교과목을 이수하고

학위를 취득한 자 중 국가시험 통과자1급 2급 자격자 중 박사학위 또는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 중 언어재활기관에 1년 근무했거나 학사학위자 중 3년 근무한 경우

-

의지보조기기사 국가자격증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서 의지 보조기

관련 과목을 이수하고 국가시험에 통과한 자

944명(20131)

점역교정사 국가공인 민간자격증

3급 20세이상 고절이상 3년이상 경험자

2급 3급취득후 1년 혹은 4년제 대학 졸업자 4년이상 경험자

1급 2급 자격취득후 1년이상 경과 혹은 4년제 대학졸업자 5년이상

경험자

3급 484명 2급 72명 1급 40명(20131)

수화통역사 국가공인 만 19세 이상의 대한민국 남녀

표 49 재활전문인력 자격증 현황

- 122 -

의료재활 및 사회복지인력은 보건의료기관 내 근무인력임

자료원 국가통계포탈 국시원 내부자료 한국시각장애인협회 내부자료 한국농아인협회 내부자료

나 재활 전문인력 양성 규정의 문제점

학교와 민간단체가 혼재되어 있는 인력 양성 과정

의료재활 인력과 사회복지 인력은 대학교와 병원을 통해 인력이 양성됨

장애인 복지 전문 인력 중 국가공인 민간자격증을 부여하는 점역교정사 수화통역사의 양성은 민간 기관양성과 학교를 통한 양성과정이 혼재되어 있음

재활에 특화된 전문인력 양성 과정의 부재

간호사의 경우 장애인 재활 전문 간호사 자격 및 양성 과정이 부재함

사회복지사의 경우 재활과 관련된 교육 과정이 부족함

재활인력 공급의 양적인 불균형

물리치료사 공급은 많으나 작업치료사는 공급은 부족함

장애인 복지 전문인력 중 점역교정사 수화통역사 언어재활사 의지보조기기사 연도별 배출인력이 편차가 큼

재활인력 전문교육 수요도 조사

가 조사기간 및 대상

2012년 12월 10일 ~ 2012년 12월 17일(약 일주일간)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재활간호학회 대한사회복지사협회 대한직업치료사협회 소속 재활인력 총 225명

나 조사내용

- 근무 기관의 종류(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 보건(지)소보건의료원 복지관

민간자격증 1049명(20131)

- 123 -

기타- 공공기관민간기관 근무 - 재활 관련 근무 연수- 최종학위- 장애인 재활과 관련하여 받은 교육 여부 내용 및 만족도- 장애인 재활과 관련하여 전문적인 교육과정의 필요성 여부와 필요한 내용 국립재

활원에 개설 시 참여 여부

다 조사결과

일반적 현황

사회복지사를 제외한 나머지 직종은 전반적으로 설문에 참여한 사람 중 종합병원과 병원에 근무하는 사람이 많았으며 사회복지사의 경우는 대부분 복지관 등 장애인 복지시설에 근무하고 있음

구분직종

응답자수

종합병원 병원 요양

병원 의원 보건기관 장애인 복지시설 기타

물리치료사 25 280 320 160 80 120 00 40작업치료사 81 284 210 86 62 37 123 198재활간호사 19 105 895 00 00 00 00 00사회복지사 100 10 00 00 00 20 940 30

표 50 응답자 일반적 현황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 사회복지사는 민간기관에 근무하는 경우가 많았고 조사에 응한 재활간호사는 모두 공공기관에 근무하고 있음

구분직종 응답자 수 공공기관 민간기관

물리치료사 24 292 708작업치료사 81 370 630재활간호사 17 1000 00사회복지사 95 358 642

표 51 응답자 공공민간 기관 근무 현황

모든 직종에서 5년 이상 재활분야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가장 많았음

- 124 -

구분직종

응답자 수 1년 미만 1년 이상 1년 이상

3년 미만3년 이상5년 미만 5년 이상

물리치료사 25 00 40 80 160 720작업치료사 81 74 25 136 210 556재활간호사 19 53 00 421 53 474사회복지사 98 184 112 133 92 480

표 52 응답자의 재활분야 근무연수

재활간호사는 석사 이상 학위를 가진 군이 더 많았고 나머지 직종은 학사 학위를 가진 군이 더 많았음

구분직종 응답자 수 학사 석사 박사

물리치료사 24 667 333 00작업치료사 80 577 352 70재활간호사 19 316 684 00사회복지사 100 634 323 43

표 53 응답자의 최종학위

재활 관련 교육 경험 현황

직종별로 장애인 재활 관련 교육을 전혀 받지 못했던 군도 작업치료사 중 222 사회복지사 중 170 물리치료사 중 160 정도 존재함 재활간호사 중 재활 관련 교육을 전혀 받지 못했던 군은 53로 직종 중 가장 낮음

응답자 수 있음 없음물리치료사 25 840 160작업치료사 81 778 222재활간호사 19 947 53사회복지사 100 830 170

표 54 응답자의 재활관련 교육 경험

모든 직종에서 보수교육을 통한 재활 교육 경험이 가장 많았음 주목할 만한 부분으로서 사회복지사는 직원교육을 통한 재활 교육을 거의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125 -

구분직종 응답 수 보수교육 직원교육 관련 학회 소그룹

세미나 기타

물리치료사 59 305 203 288 203 00작업치료사 155 348 174 310 129 39재활간호사 53 340 264 170 208 19사회복지사 144 486 35 243 167 69

표 55 응답자의 교육 경험 경로

교육의 내용은 모든 직종에 걸쳐 이론 교육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임상실기 교육이 그 다음이고 공공재활 교육은 가장 낮음

구분직종 응답 수 임상 실기교육 이론 교육 공공 재활 교육 기타

물리치료사 42 452 452 95 00작업치료사 113 398 496 106 00재활간호사 41 341 415 244 00사회복지사 107 271 598 56 75

표 56 응답자의 교육 경험 내용

기존에 받았던 재활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재활간호사가 767 정도로 높지만 나머지 직종들은 5점을 조금 넘는 수준임 특히 사회복지사의 만족도가 가장 낮음

응답자 수 만족도(10점 만점)

물리치료사 24 625

작업치료사 81 596

재활간호사 18 767

사회복지사 97 567

표 57 응답자의 교육 만족도

전문재활교육 수요도

전문재활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모든 직종에서 464-489까지의 높은 요구를 나타냄

- 126 -

응답자 수 필요성(5점 만점)

물리치료사 25 484

작업치료사 80 464

재활간호사 19 489

사회복지사 98 480

표 58 전문재활교육 수요도

국립재활원에서 개설하기 원하는 전문재활교육의 내용에 대해서는 모든 직종에서 임상실기 교육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음 반면 학위 취득을 위한 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가장 낮았음

구분직종 응답자 수 임상실기 교육

(5점 만점)이론 교육(5점 만점)

공공재활 교육(5점 만점)

석사 이상의 학위 취득(5점 만점)

물리치료사 24 433 432 267 233작업치료사 81 460 375 325 188재활간호사 19 484 416 289 189사회복지사 100 416 398 321 218

표 59 원하는 전문재활교육의 내용

- 127 -

혼란변수를 고려하여 학사 학위를 가진 군만으로 분석했을 때도 결과는 동일함

구분직종 응답자 수 임상실기 교육

(5점 만점)이론 교육(5점 만점)

공공재활 교육(5점 만점)

석사 이상의 학위 취득(5점 만점)

물리치료사 15 420 431 267 253작업치료사 41 466 383 322 185재활간호사 6 483 417 267 183사회복지사 59 408 395 324 217

표 60 학사 학위자들이 원하는 전문재활교육 내용

국립재활원에서 교육과정을 개설했을 때 참여 의사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재활간호사의 의사가 463으로 가장 높았음 반면 나머지 직종은 368-398 정도의 의사를 보였음

응답자 수 참여 의사(5점 만점)

물리치료사 25 368작업치료사 81 379재활간호사 19 463사회복지사 100 398

표 61 국립재활원 교육과정 참여

라 조사 결과 요약

장애인 재활 관련 교육을 전혀 받지 못했던 군도 직종별로 최소 53에서 최대 222까지 존재함

재활전문인력들이 재활교육을 받는 가장 흔한 경로는 보수교육임 한편 사회복지사의 경우 직원교육을 통한 재활교육을 거의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재활교육의 내용은 모든 직종에 걸쳐 이론 교육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임상실기 교육이 그 다음이고 공공재활 교육은 가장 낮음

기존에 받았던 재활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재활간호사가 767 정도로 높지만 나머지 직종들은 평균을 조금 넘는 수준임 특히 사회복지사의 만족도가 가장 낮음

- 128 -

전문재활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모든 직종에서 매우 높음

국립재활원에서 개설하기 원하는 전문재활교육의 내용에 대해서는 모든 직종에서 임상실기 교육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음 반면 학위 취득을 위한 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가장 낮았음

국립재활원에서 교육과정을 개설했을 때 참여하겠다는 의사는 재활간호사에서 매우 높았고 나머지 직종은 높은 편이었음

대학원대학 설립에 대한 법적 타당성 검토

가 타 기관 사례

구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1958년 국립의료원 부설 간호학교가 설립되었고 1999년 국립의료원 간호대학으로 직제가 개편되었음- 1958 6 27 대한민국과 스칸디나비아 제국과의 협정으로 국립의료원 부설간호학

교 설립 보건사회부에서 관리운영(대통령령제1377호)- 1959 2 23 국립의료원 간호학교 직제 제정 (대통령령 제1454호)- 1959 7 06 국립의료원 간호학교 개교(초급대학 과정)- 1977 9 01 국립의료원 간호전문학교로 직제개편 (대통령령 제8672호)- 1979 1 01 국립의료원 간호전문대학으로 직제 개편- 1999 3 01 국립의료원 간호대학으로 직제 개편 (대통령령제16039호)- 2000 8 04 제16대 학장 송지호 박사 취임- 2005 2 05 제17대 학장 김애리 박사 취임- 2006 2 09 제45회 졸업 (졸업생 총1925名)- 2007 2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폐지

- 129 -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시행날짜 법령명 주요내용1958627 중앙의료원직제 제10조 중앙의료원에 간호학교를 부설 할 수 있음

1959223 중앙의료원 간호학교직제

제1조 중앙의료원에 간호학교 부설함제3조 간호학교의 수업 년한은3년으로하고 이에 입학할 수 있는 자는 고등학교를 졸업한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문교부장관이 인정한 자로 함제4조 교장은 의료원부원장이 교감은 의료원 간호과장이 겸하고 사감은 간호부장 중에서 겸무함

197791 국립의료원 간호학교직제 폐지

197791 국립학교설치령

제2조 문교부장관소관제36조 ⓻ 간호전문학교 입학금과 수업료 면제 실습비middot기숙사비middot피복비middot기타학비 국고 지급제37조 ⓶ 졸업 후 3년간 보건복지부 장광이 지정한 직무에 복무제40조 국립의료원 간호전문학교의 운영에 필요한 경비는 국고(국립의료원 특별회계)에서 지급제41조 공무원임용시 문교부장관은 보건사회부장관과 협의

199331 국립학교설치령제2조 교육부장관 소관제41조 공무원 임용시 교육부장관은 보건복지부 장관과 협의부칙 2조 국립의료원 간호대학으로 명칭변경

표 62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법제 연혁

국립암센터 대학원대학

2010년 5월 국립암센터법이 폐지되고 lsquo암관리법rsquo 으로 통합되었음 이때 대학원대학의 법적 근거도 함께 마련됨- 암관리법29조 (부속기관의 설치) ①국립암센터에 암연구소 부속병원 국가암관리

사업본부 및 그 밖에 필요한 기구를 둔다② 국립암센터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고등교육법」 제30조에 따른 대학원대학(이하 대학원대학이라 한다)을 설치할 수 있다③ 대학원대학의 조직 교원 학위 과정 운영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2012년 현재 대학원대학 설립이 진행 중임 - 2012년 5월 교과부의 lsquo국가-특수법인 대학설립 심의위원회rsquo 통과- 2012년 8월 lsquo대학설립인가신청서rsquo 교과부에 제출 국제암대학교대학원(정원 총 70

명 (석사 20명 박사 10명))- 2012년 11월 2일 현장 점검 시행- 2012년 12월 초 현장 점검 예정- 2013년 2학기부터 신입생 모집 예정

- 130 -

일본국립장애인재활학원

시대에 따라 보건복지인력에 대한 일본사회의 요구도는 꾸준히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일본사회의 요구에 선도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국립기관에서 인력을 양성함

이렇게 필수적으로 필요한 인력의 양성은 국립에서부터 시작하여 민간영역으로 확산시키는 것이 중요함 왜냐하면 민간에서 충분한 양의 인력을 공급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임 또한 이미 민간의 양성기관이 많은 경우 양성과정의 질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음 이를 통해 양질의 재활인력을 공급할 수 있음

일본재활원내의 인력양성 학원의 법적 지위는 학교교육법 124조에 의거한 전수학교임40) 설립 및 운영은 후생노동부가 주관하고 법률적으로는 문부과학성에 소속됨

법적으로 지정된 전수학원으로 교원 수 및 학교운영에 대해서 학교교육법의 통제를 받음

법적으로 자격증이 도입되기 전에 필요한 인력을 선도적으로 양성하고 민간으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며 전체적인 민간 교육기관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역할을 진행함

일본 재활원내의 대학의 경우 학비가 같은 직종의 전수학원에 비해 학비가 저렴하며 공공기관이 필요로 하는 인재 양성에 주력하는 역할을 함 학생 1인당 입학금 및 학비는 대략 350000엔~560000엔으로 다른 사립학교에 비해 학비가 저렴함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 학원 재정은 학생이 내는 금액이 모두 국가 재정으로 포함되고 모인 후에 학원의 운영비와 시설비가 국고지원 형식으로 지원됨 따라서 운영 및 시설 소요 재정은 전부 국비로 지원받고 있는 셈임

이 중 학원의 연간 운영비는 약 75억 엔 정도이며 이 중 70 이상 인건비로

40) 전수학교는 우리나라의 전문학교와 유사한 개념으로 일본의 경우 직업교육의 일환으로 간호 미용 양재

속기 타자 자동차 통신 편물 등과 관련된 직업교육을 진행하는 민간 전수학교가 존재함

- 131 -

사용함 시설비 외에 운영비 역시 국비로 지원되어 운영됨으로써 운영에 대한 재정적 어려움이 크지 않음 이는 운영비를 자체적으로 조달하여야 하는 국내 국공립기관들과 큰 차이를 가짐

현재 6개 학과의 경우 강사진이 대략 센터 50 외부강사 50로 구성되어 있으며 향후 센터내의 강사 비율을 높일 계획임 현재 연수교육의 경우 내부강사 60 외부강사 40로 구성되어 있음

나 국립재활원 대학원대학 설립

Page 2: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제 출 문

국립재활원장 귀하

이 보고서를lsquo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rsquo의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2 12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단 장 이 준 식

주관 연구 기관명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목 차제1장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연구의 필요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연구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3 연구 내용 및 범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4 연구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제2장 공공재활의료지원체계 구축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1 공공재활의료 문헌 검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2 국립재활원 공공재활서비스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3 타 기관 공공의료 지원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4 국립재활원의 공공재활의료 지원 전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5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6 국제보건의 필요성 및 진행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7 국립재활원과 권역재활병원의 협력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8 법middot제도적 개선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9 요약 및 소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0

제3장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1 사회복귀지원의 개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2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지원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3 타 기관의 사회복귀 지원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74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지원 전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75 요약 및 소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8

제4장 (가칭)장애인재활교육훈련시설(체육관) 운영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1 개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2 필요성 및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3 타기관 운영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4 향후 운영 계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5 재정 확충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46 요약 및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5

제5장 재활교육체계 구축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1 국립재활원 교육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2 타 기관 교육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63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관련 법조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34 재활전문인력 양성규정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0

5 재활인력 전문교육 수요도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26 대학원대학 설립에 대한 법적 타당성 검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87 교육체계 강화를 위한 전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88 요약 및 소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2

제6장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61 연구 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62 공공재활의료 지원체계 구축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63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74 (가칭)장애인재활교육훈련시설(체육관) 운영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95 재활교육체계 구축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06 시기별 추진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2

제7장 부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51 2012년 국립재활원 부서별 교육현황 조사 설문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52 재활인력 전문교육 수요도 조사 설문지(간호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83 일본국립장애인재활 센터 방문 인터뷰 질문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2

제8장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6

표 차례표 1 재활의학과 전문의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표 2 중도장애인 사회복귀지원과정 프로그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표 3 재활 전문의료인력 보수교육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표 4 서면 조사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표 5 프로그램 참여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표 6 법 제도적 개선사항 제안 정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표 7 H-CRsP 프로그램 구성 및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3표 8 사회복귀 프로그램 목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6표 9 프로그램 구분 및 참가자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7표 10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지체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표 11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뇌병변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표 12 재입원 의료이용 현황(지체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표 13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뇌병변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표 14 표준산정일수 필요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4표 15 필요하다고 응답한 전문가들의 표준산정일수 추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표 16 인증기관 평가 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표 17 추가인정 재활수가 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표 18 장비 목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표 19 임시 장비 목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표 20 인력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표 21 운동 프로그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6표 22 추가 필요 장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표 23 고양시 재활스포츠센터 인력구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표 24 재활 체육 프로그램 목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표 25 생활체육프로그램 목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표 26 부산시설공단 한마음스포츠센터 장애인 프로그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표 27 국립재활원 장애인 체육 지원 구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8표 28 국립재활체육센터 인력 프로그램 및 장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표 29 ACSM 권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표 30 2013년 장애인체육 육성 기금 예산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5표 31 부서별 교육과정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0표 32 부서별 교육 프로그램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0표 33 부서별 교육 시간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1표 34 부서별 교육대상 인력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1표 35 교육과정 종류별 교육 경험자 직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2표 36 부서별 교육 대상자 소속 분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3표 37 보수교육 인정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3표 38 교육과정 강사 인력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4표 39 부서별 주요 교육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5표 40 국립 암센터 교육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8표 41 국립중앙의료원 공공기관 근무자 교육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9표 42 일본 국립장애인 재활센터 직종별 입학 조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0표 43 연수교육 시행기관과 교과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4

표 44 대한간호협회 보수교육 시행규정 및 교육 지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5표 45 대한작업치료사협회 보수교육 종류 및 교육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6표 46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과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7표 47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규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7표 48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9표 49 재활전문인력 자격증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1표 50 응답자 일반적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3표 51 응답자 공공민간 기관 근무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3표 52 응답자의 재활분야 근무연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4표 53 응답자의 최종학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4표 54 응답자의 재활관련 교육 경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4표 55 응답자의 교육 경험 경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5표 56 응답자의 교육 경험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5표 57 응답자의 교육 만족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5표 58 전문재활교육 수요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6표 59 원하는 전문재활교육의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6표 60 학사 학위자들이 원하는 전문재활교육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7표 61 국립재활원 교육과정 참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7표 62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법제 연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9표 63 부서별 교육 기능 및 역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0

그림 차례그림 1 재활의료서비스 전달체계 모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그림 2 국립재활원의 비전과 본 연구 주제와의 관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그림 3 지체장애 재활의료서비스 지역별 자체 충족률(중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그림 4 뇌병변장애 재활의료서비스 지역별 자체 충족률(중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그림 5 재활의학전문의 1인당 인구수 및 지체뇌병변장애인 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그림 6 포괄적 재활의료 서비스 연계체계 모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그림 7 OECD 회원국의 2000년대 장애인 가구 빈곤율 및 상대빈곤 위험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그림 8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의 기능과 역할(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그림 9 국립재활원 교육훈련 체계 강화 방안 연구수행 체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그림 10 공공재활의료 지원체계 모식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그림 11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의 기능과 역할(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그림 12 권역재활병원의 기능과 역할(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그림 13 국립 암센터 지정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그림 14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체계 제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그림 15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 기준(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그림 16 재활전문병원 인센티브 방안(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그림 17 국립재활원과 타기관의 현재 관계 모식도(As i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그림 18 국립재활원과 타기관의 관계 제안 모식도(To b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그림 19 사회복귀 프로그램의 운영 흐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그림 20 사회복귀지원과 사업추진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6그림 21 서울시 지역사회복귀 지원 사업 확산 모식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그림 22 지체장애 최초입원-3년 사이 입원양상(전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그림 23 지체장애 최초입원-3년 사이 입원양상(중증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그림 24 뇌병변장애 최초입원-3년 사이 입원양상(전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그림 25 뇌병변장애 최초입원-3년 사이 입원양상(중증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그림 26 재원 확보 방안 단계 모식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그림 27 아산병원 스포츠의학센터 진료흐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그림 28 체육센터 운영 흐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그림 29 건강 병력 질문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그림 30 신체적 활동 준비 질문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그림 31 국립재활원 조직구성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그림 32 교육과정 종류별 총시간 구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9그림 33 교육과정 연간 순환횟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4그림 34 국립암센터 일본 국립재활원 조직도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6그림 35 일본장애인재활 센터 학원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2그림 36 국립 암센터 내부 직원 대상 교육 목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3그림 37 일본 국립재활원의 학원 재정 운영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1그림 38 국립재활원 교육 담당 조직 정비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9

- 1 -

제1장 서론

연구의 필요성

가 국립재활원의 역할과 조직개편

재활의료서비스 전달 모형과 국립재활원의 역할

장애 발생 이후 재활의료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환자의 이용경로는 lt그림 1gt과 같음 - 사고나 질병 등으로 장애가 발생하고 환자의 생체징후 등 의학적 상태가 불안정하

면 의학적 상태를 안정화시키는 내과신경과신경외과정형외과적인 집중적 치료에 병행하여 기능적 회복을 증진시키는 초기 재활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게 됨

- 환자가 의학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내원하거나 치료서비스 및 초기재활서비스를 제공 받고 의학적으로 안정된 상태에 이르게 되면 기능회복 가능성과 제공되어야 할 재활서비스의 복잡성을 평가하여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직업재활 보장구 심리치료 사회서비스 등이 포함된 포괄적인 입원재활서비스를 제공하게 됨

- 또한 환자의 기능회복 가능성이 낮거나 제공되어야 할 재활서비스의 복잡성이 낮은 경우 외래 혹은 방문재활서비스 장기요양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사회 재활 단계로 환자를 의뢰하게 됨

- 2 -

국립재활원은 권역재활병원과 함께 재활의료 교육 연구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가 중앙재활센터 기능을 수행해야 함 1994년 제정된 국립재활원운영규칙(보건사회부령 제930호)에서는 국립재활원의 기능으로서 다음 네 가지를 규정하고 있음- 장애인에 대한 의료재활- 장애인의 자립재활- 장애인재활전문요원의 양성 및 훈련- 장애발생의 예방과 장애인의 재활훈련 등 그 복지의 증진에 관한 조사연구

2005년 12월 공공보건의료 확충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권역재활병원이 단계적으로 건립되었고 2008년 보건복지가족부령 제84호로 국립재활원 내 재활연구소가 설치되는 등 국립재활원에 새로운 역할들이 부여되고 있음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실의 2010년 연구1)에 따르면 실용적 재활보조기술 연구 국가 장애인 정책 수립 방안 제시 재활 연구를 위한 연구센터로서의 역할 권역재활병원의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사항 등이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의 기능으로 새롭게 추가 규정되어야 할 역할로서 제안되고 있으며 장애인 재활정보센터 역할 담당 최상의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표준 제시 등은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됨

이에 따라 국립재활원의 새로운 역할로 제안된 내용들은 다음과 같음 - 광역 수준의 재활의료기관을 관리하고 권역재활병원과 함께 재활의료 교육 연구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가 중앙재활센터 기능을 수행함 - 권역재활병원의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표준을 제시하고 재활연구 활성화를

유도하며 국가차원의 장애인 재활관련 통계자료를 관리하고 정보를 제공함- 장애인 재활정책 연구를 전문적으로 수행하여 국가의 장애인 정책 수립을 뒷받침함 -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연구 및 기술개발사업 그리고 선진 임상재활 연구를 위한

임상연구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재활서비스의 프로그램 인력 시설 등의 표준화된 인증 주관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함

국립재활원 조직개편

2009년 보건복지부는 국립재활원의 발전적인 기능개편을 목적으로 「국립재활원 발전 민middot관 TF」를 구성하여 운영하였음 - 2009 12 31 「국립재활원 발전 민middot관 TF」 구성 운영계획 수립- 2010 2 24 「국립재활원 발전 민middot관 TF」 제1차 전체회의 개최 기획총괄 재활

1)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실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10

- 3 -

교육훈련 재활의료 재활연구 등 4개 분과회의 구성- 2011 9 7 「국립재활원 발전 민middot관 TF」 제3차 전체회의 개최 국립재활원의 발

전적인 기능개편을 위한 기본방향(안) 마련- 2012 2-3월 국립재활원의 발전 기본방향 개편내용 운영프로그램에 대하여 보건

복지부와 협의

이러한 과정을 거쳐 2012 5 1 국립재활원 조직개편이 이루어짐 - 한방내과 장애인건강증진센터 신설- 장애인운전지원과 공공재활의료지원과 사회복귀지원과 개편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12 5 1 조직개편에 따라 신설되거나 개편된 부서의 기능 및 역할을 재정립하고 이를 통해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음

- 4 -

나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구축의 필요성

재활의료 시설의 불균형적인 분포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근접 지역 내에 재활시설이 없을 경우 재활서비스를 이용하기가 매우 어려움

현재 지역별로 불균형적인 재활의료서비스 공급은 장애인들이 자신의 거주지에서 재활의료서비스를 받는 것을 제한함 결론적으로 지역별 재활의료서비스 이용의 불평등을 야기함- 2006년 재활의료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지역별 자체 충족률을 살펴보면 입원

및 외래에서 지역별로 자체 충족률에 상당한 불평등이 존재하고 있음 특히 광역시 주변 시도의 자체 충족률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이 지역 장애인들이 재활의료서비스에 관한 필요가 충족 못하고 있다고 판단됨

자료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09)

- 5 -

자료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09)

장애인 재활서비스 제공기관들이 지역적으로 불균등하게 분포됨으로 인해 장애인의 서비스 이용지와 주거지가 일치하지 않음 이로 인해 긴급한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고 지속적인 재활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으며 환자 및 보호자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음

따라서 장애인의 지리적middot경제적 재활의료서비스 이용의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재활의료서비스가 취약한 지역에 대한 재활의료서비스 시설의 확충이 필요함

그러나 재활을 포함한 우리나라 의료는 대다수가 민간중심으로 공급되고 있어 이에 공공재활의료 지원에 대한 대책이 필요함

재활의료 인력의 불균형적 분포

현재 재활의료 서비스의 인력 공급은 지역 간 불균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2008년 재활의학과 전문의의 지역별 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서울(281)과 경기도(219)에 근무하는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전체의 절반에 이르고 울산이 11로 가장 낮았음2)

2) 보건복지부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향 연구 2009년

- 6 -

지역별 재활의학전문의 1인당 인구 및 지체뇌병변 장애인 수를 비교해보면 대전이 재활의학과 전문의 1인당 인구 2794백 명 지체뇌병변 장애인 78백 명으로 가장 낮았음 전문의 1인당 인구는 울산이 10113백 명으로 가장 높았고 1인당 지체뇌병변 장애인 수는 전남이 338백 명으로 가장 높았음

지역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의원 보건기관 총계종합

전문종합병원 병원 요양

병원 소계

서울 67 30 35 38 170 113 1 284 부산 7 14 12 6 39 16 0 55 대구 13 5 9 5 32 3 1 36 인천 5 3 18 6 32 14 0 46 광주 5 10 7 3 25 12 0 37 대전 3 10 3 10 26 27 0 53 울산   2 4 2 8 3 0 11 경기 4 53 58 37 152 67 2 221 강원 5 5 3 1 14 11 0 25 충북 2 4 3 5 14 14 0 28 충남 4 3 4 10 21 21 2 44 전북 5 6 5 9 25 14 2 41 전남   4 9 5 18 5 2 25 경북   6 10 10 26 8 1 35 경남 4 15 16 13 48 5 0 53 제주   3 3 3 9 7 0 16 총계 124 173 199 163 659 340 11 1010

표 1 재활의학과 전문의 현황

(단위 명)

- 7 -

취약한 공공재활 의료 현황

장애인의 재활의료서비스의 불균형적인 공급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권역재활병원 건립(6개 예정 경인 강원 제주 영남 충청 호남)과 지역사회 중심 재활사업을 전국 60개(시범사업까지 70개) 거점 보건소를 중심으로 시행하고 있음

그러나 권역재활병원은 기능 수행이 미흡한 실정이며 장애인이 자신의 거주 지역에서 진료 받을 수 있는 지역거점 장애인 진료병원은 양적으로 매우 취약한 실정임

공공재활의료 연계체계에 대한 다양한 모형이 제시되었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관 확충이 진행 중 이지만 현재 국립재활원 ndash 권역재활병원- 지역사회재활 거점 보건소 간 연계 체계는 매우 미흡한 상황이며 이를 뒷받침해줄 법제도적 지원 역시 미흡한 상황임

2012년 국립재활원에서는 공공재활의료 지원을 위해 공공재활의료 지원과를 신설하였음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구축을 통해 취약한 공공재활 의료지원을 활성화하고 국립재활원의 리더십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함

- 8 -

다 사회복귀 지원에 대한 필요성

재활의료란 의학적 치료 후 환자가 장애를 갖게 되었을 때 남아있는 기능으로 일상생활은 물론이며 직장생활도 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재활치료의 목적은 환자의 건강 및 생명을 최선의 상태로 회복하고 이를 유지하는데 있다고 정의할 수 있음3)

따라서 장애인들이 사회에 복귀하여 최대한 독립적인 삶을 살 수 있게 해주는 것은 재활의료서비스의 최종 목적이라고 할 수 있음

2011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장애연금수급자 재활서비스 실태 및 욕구』에 따르면4) 의료재활서비스를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경험이 있는 사람은 장애인연금 수급자 중 82로 나타났으나 직업재활서비스를 현재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경험이 있는 사람은 12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음 또한 사회재활서비스를 이용 중이거나 경험해본 사람은 15정도임

사회재활서비스 욕구에 관한 조사에서는 스포츠재활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전체의 40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활동보조 등 서비스 31 심리치료서비스 24의 순으로 나타났음 따라서 운동 재활과 관련하여 체육관을 이용한 재활 프로그램의 확산 및 법적middot제도적 지원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2010년 OECD 보고에 따르면 우리나라 장애인의 월평균 소득은 전체 인구 평균 소득보다 20p 정도 낮았으며 이는 OECD 회원국의 평균보다 더 낮은 수준임 장애인 가구 상대빈곤율 역시 35로 OECD 회원군 평균보다 13p 높음

3) Howard A Rusk MD (1901-1989) the Rusk Institute of Rehabilitation의 설립자로서 lsquocomprehensiverehabilitation medicinersquo 제시 httpwwwmednyueduruskabouthruskhtml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애연금수급자 재활서비스 실태 및 욕구 2011

- 9 -

장애인들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립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사회재활지원 및 확대가 필요함

현재 국립재활원에서는 장애인의 빠른 사회복귀를 지원하기 위하여 장애인의 욕구 및 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개별 프로그램 제공을 목적으로 lsquo병원기반 사회복귀 지원 프로그램(H-CRsP)를 운영하고 있음

구분 내용장애인 운전교육 운전면허취득 실기교육 운전적응교육

의료지원 및 보조기 평가 심리상담 성재활 보조기 평가 및 지원사회체험 및 지역자원 연계 대중교통이용훈련 사회문화활동 지역자원연계

일상(독립)생활 훈련 스마트홈 체험 샤워 및 세탁 쇼핑 요리실습 등상담지원 동료상담 가족상담 등

학업직업 복귀탐색 학업복귀 지원 직업훈련 연계 취업준비 지원정보제공 컴퓨터교육 장애인복지시책 안내 주택개조 지원

레포츠 및 취미활동 레포츠(수영 탁구 보치아 파크골프 등)미술활동(원예 음악 미술 도자기 등)

자료 국립재활원 홈페이지

표 2 중도장애인 사회복귀지원과정 프로그램

그러나 전체 장애인의 필요의 사회복귀를 위해서는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프로그램을 확산시킬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

국립재활원에서는 장애인의 사회복귀지원을 돕기 위하여 사회복귀지원과를 구성하였음 향후 장애인의 사회복귀와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스포츠 재활을 포함

- 10 -

한 다양한 사회재활서비스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법 제도 개선 및 사회복귀지원 체계구축이 필요함

라 장애인재활 교육훈련시설의 필요성

장애 패러다임 변화 재활욕구의 다양화 및 증가 등에 따른 장애인 자립 등 재활교육훈련 기능강화를 위한 시설 필요함

후천적 장애예방 및 체험교육훈련시스템 전문화 기존의 노후 체육관 철거 등에 따라 종합적인 재활교육훈련시설 건립 필요함

마 국립재활원 교육체계 강화의 필요성

재활의료 인력에 대한 교육 현황

재활의료서비스 공급체계의 강화를 위해서는 시설 확립 전달체계 구축과 더불어 재활의료를 제공할 양질의 전문 인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교육훈련 체계가 필요함

그러나 우리나라의 재활 의료 공급은 양과 질적으로 부족한 상태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08년 요양기관현황에 의하면 의료기관의 26에만 재활의학 전문의가 배정되어 있으며 지역사회 기반 재활의료를 제공하는 보건소 역시 253개 시군구 보건소 중 60여개 소에 불과함

보건의료서비스는 기본적으로 대인서비스이므로 인력의 양과 질에 의해 서비스의 질적 수준이 결정됨

현재 재활의료분야의 전문적인 교육훈련체계는 수요에 비해 매우 취약함 임상영역의 경우 교육이 협회학회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부분 첨단의료최신지견을 위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가 많음 또한 분절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어 재활전달체계의 측면에서 필요한 임상적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의문임

또한 재활과 관련된 비임상영역의 교육은 부재함 재활의료서비스는 다양한 직종의 인력이 연계해서 제공해야 하지만 재활 관련 교육은 직종에 따라 분절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11 -

직종에 따라 의무적으로 받아야하는 보수교육 내용들 역시 대부분 의료기술과 최신지견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정시간의 교육만을 이수해야 한다는 양적인 규정만 존재함 따라서 지정된 시간의 보수교육만을 통해서 재활의료분야에서 얼마만큼 전문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 의문임

재활전문인력의 보수교육과 관련한 내용은 다음과 같음

재활영역 전문인력 보수교육

법령근거보수교육 시행규정 보수교육 시행기관 자격 요건

의료재활

의사

의료법 제38조 제 2항 제 3항 및 동 시행규칙제21조 2middot3middot4middot5

항의사협회 정관

제 3조

12평점 이상년

-중앙회-해당 시middot도 의사회

-의과대학 및 대학원-레지던트

교육병원(단과레지던트 교육병원 포함

-각 학회 및 지회(단 의학회에 등록된

학회에 한함)-기타 교육 위원회에서 인정하는 기관 및 단체

의학 대학middot전문대학원

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의 면허를 수여 받은

물리치료사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제20조 및 동법 시행세칙 제

18조

8평점 이상년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작업치료사협회

물리middot작업치료 대학 졸업 후

언어치료사 - 60시간이상 5년

한국언어치료사협회 및 지정학회

언어치료관련 대학 및 대학원 졸업 후 자격증 시험 합격자

청능사 - 60시간 이상3년

-청능사자격검정원 및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청능사 관련 대학 및 대학원 졸업 후 자격증 시험 합격자

간호사

의료법 제28조 제2항 제3항 및

동 시행규칙 제21조의 2에

의거

8평점 이상년

- 지부 및 산화단체보수교육인정기관

간호대학(학과)대한간호사협회 사이버교육센터

간호 대학 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의 면허를 수여 받은자

사회심리재활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업법 제13조 2항 8시간 이상년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위탁한 협회나

협의회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 대학

석사 또는 박사학위 취득자(석사middot박사 학위 취득자는 사회복지관련

필수과목 6과목 이상 이수해야함)

정신보건사회복지사 - 20평점년 -(사)한국정신보건사회

복지사협회사회복지사 1급 자격소지자로서

표 3 재활 전문의료인력 보수교육 현황

- 12 -

자료원 관련법-의료법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장애인복지법사회복지사업법자격기본법

기관-한국언어치료사협회청능사자격검정원 및 청각언어재활학회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사협회

한국미술치료학회 한국장애인직업생활상담원협회

국립재활원의 교육 기능에 대한 높은 요구도

2010년에 폐지된 lsquo국립재활원운영규칙(보건사회부령 제930호)rsquo에서는 국립재활원의 기능으로써 장애인에 대한 의료재활 장애인의 자립재활 장애인의 재활 전문요원의 양성 및 재훈련 장애발생의 예방과 장애인의 재활middot훈련 등 그 복지의 증진에 관한 조사연구로 규정하고 있음

보건복지부와 그 소속직제(대통령령 제23764호)rsquo에서는 국립재활원의 직무로 장애인의 복지증진을 위한 진료middot상담지도middot재활훈련 재활전문요원의 훈련 보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한 전문요원

수련기관에서 1년이상 수련을

마친자

수화통역사 자격기본법 제35조

50시간 이상년

-중앙회(한국농아인협회)-외부유관기관 및 단체

만19세 이상의 대한민국 남녀

점역middot교정사

점역middot교정사 국가공인

민간자격의 관리middot운영에

관한 규정 31조

1회 이상년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만19세 이상으로 고졸 이상의 학력을

소지한자 또는 시각장애인 관련

기관의 점역middot교정업무

3년이상의 경력자

미술치료사 - 60시간 이상5년 -(사)한국미술치료학회

미술치료사 미술치료전문가

수련감독미술치료전문가 자격취득자

직업재활

직업생활상담원 - 1회(8시간)1

년-(사)한국장애인직업새

활상담원협회장애인직업생활상담원 양성과정 수료자

재활보조공학

의지middot보조기 기사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법시행규칙 제 61middot62middot63조

8시간 이상2년 -국립재활원

의지middot보조기 대학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 가족부 장관의

면허를 수여받은 자

- 13 -

장구의 연구개선 재활조사연구사업 및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에 관한 업무를 관장한다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음

2010년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의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향』연구에서 시행한 전문가 조사에 따르면 국립재활원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결과에서 전문재활 인력 교육 및 강화를 국립재활원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로 응답하였음

국립재활원은 국가재활의료의 중추기관으로서 역할을 감당하기 위해 재활의료전문인력을 안정적이고 체계적으로 교육하고 공급하기 위한 교육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

또한 내부 교육 체계 강화를 통해서 국립재활원 내부 인력의 역량강화 및 근무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음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립재활원의 2012 5 1 조직개편에 따라 신설되거나 개편된 부서의 기능 및 역할을 재정립하고 현재 불균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재활서비스에 대해 국가 중추 기관으로서 국립재활원의 조직 발전방향과 미래상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음

- 14 -

- 첫째 국립재활원의 공공재활의료 지원체계 구축방안 제안- 둘째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방안 제안- 셋째 국립재활원의 장애인재활교육훈련시설 운영방안 제안- 넷째 향후 국립재활원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 전문 인력의 체계적 전문적 교육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새로운 재활 교육 체계 구축방안 제시

연구 내용 및 범위

가 공공재활의료 지원체계 구축

국립재활원에서 진행 중이거나 진행예정인 공공재활의료 지원 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함

권역재활병원에 대한 법적 규정 재활의료 연계 체계 등 공공재활의료 지원 업무와 관련된 법제도규정 등을 조사 분석함

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 지역암센터 지원 사업 등 다른 의료분야의 공공의료지원 체계에 대하여 조사 분석함

해외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를 조사하고 비교 고찰함

법 제도 규정 재원 등에 대한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개선안을 제시함

나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

국립재활원에서 진행 중이거나 진행예정인 사회복귀 지원 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함

사회복귀지원 업무와 관련된 법 제도 규정 등을 조사 분석함

국립재활원의 병원기반의 운동재활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하고 확산 방법을 모색함

해외 장애인 사회복귀 지원 정책 현황 및 실태분석을 진행함

법 제도 규정 재원 등에 대한 사회복귀지원 체계 개선안을 제시함

- 15 -

다 장애인 재활교육시설 운영방안 제시

현재 장애인 재활교육시설의 현황과 실태분석을 진행

국내에 운영중인 장애인 재활교육시설의 운영 및 프로그램을 조사

해외 재활교육시설 운영 리뷰

재활교육시설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시

라 국립재활원 교육훈련 체계 강화 방안 연구

재활분야의 교육훈련 체계 현황 파악

의료법 의료기사 등에 대한 법률 사회복지법 등 재활분야의 교육훈련과 관련된 법령을 조사하고 분석함

대한의사협회 대한물리치료사협회 대한작업치료사협회 한국사회복지사 협회 등 재활분야와 관련하여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학회협회의 교육 관련 규정을 분석하고 내용을 조사함

국립재활원 권역 재활병원 공공병원 지역사회 기반 재활 거점 보건소에 근무하는 인력을 대상으로 진행한 재활인력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함

임상분야(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등)와 재활사업분야(사회복지사 등)의 직종별 교육내용과 운영 방식 교육과정 운영규정 등 교육현황을 조사 분석함

전문가 자문을 통해 재활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함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대상 수요파악

재활의료서비스 분야의 교육 훈련 수요를 조사함 기관별로 국립재활원 권역재활병원 공공병원 지역사회재활 거점 보건소등에 근무하는 인력을 대상으로 교육훈련 수요를 조사함

임상분야(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등)와 재활사업분야(사회복지사 등)의 직종별 교육 수요를 분석함

- 16 -

재활 교육 대상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재활 관련 교육경험률 재활관련 교육 만족도 필요한 교육훈련 내용 등에 관한 수요조사를 시행함

다른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 비교 고찰

국립특수교육원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의 재활 교육훈련 체계를 조사 분석함

국립암센터의 교육훈련 체계를 조사 분석함

교육훈련체계는 교육훈련 운영방식 교육 내용 교육 대상(내외부인력) 교육과정 법적규정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함

각 기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장middot단점에 대하여 비교 고찰함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체계 구축 방안제시

현재 국립재활원의 현재 교육훈련체계에 대하여 조사 분석함 조사 내용으로는 운영방식 교육내용 교육대상(내외부인력) 교육 과정 법적 규정 등을 포함함

재활인력교육훈련 현황 파악 재활 교육훈련 대상 수요도 조사 다른 국립기관의 교육훈련체계 비교 고찰 등의 내용을 종합하여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체계 강화 방안을 개발함

국립재활원 내외부의 인력을 포괄하는 교육체계 구축방안을 모색함

- 17 -

연구방법

가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분석 및 개선안 제시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분석 및 개선안 제시를 위해 다음의 항목을 시행할 것임- 국립재활원에서 진행 또는 예정인 공공재활의료 지원 프로그램 현황조사 - 공공재활의료 지원 업무와 관련된 법middot제도 규정 조사- 다른 의료 분야의 공공의료 지원체계 조사- 해외 공공 재활의료지원 체계 조사 및 비교-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개선안 제시

나 사회복귀지원 체계 분석 및 개선안 제시

사회복귀지원 체계 분석 및 개선안 제시를 위해 다음의 항목을 시행할 것임- 국립재활원에서 진행 또는 예정인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현황조사- 사회복귀지원 업무와 관련된 법middot제도 규정 조사- 국립재활원의 운동재활프로그램 현황 조사- 운동재활과 관련된 지원할 법middot제도 규정 조사- 해외 장애인 사회복귀 지원정책 현황 및 실태분석- 운동재활 확산 방안 및 사회복귀지원 체계 개선안 제시

- 18 -

다 장애인 재활교육시설 운영방안 제시

장애인 재활교육시설 운영방안 제시를 위하여 다음의 항목을 시행할 것임- 장애인 재활교육시설의 현황과 실태분석- 국내에 운영 중인 장애인 재활교육시설의 운영 및 프로그램을 조사- 장애인 체육시설의 수요와 수요 충족도 조사- 해외 재활교육시설 운영 프로그램 리뷰

라 재활의료분야 인력의 교육훈련 체계 개발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현황 파악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분석할 것임- 의료법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사회복지사업법 등 재활의료 인력의 교육과 관

련된 법률 및 규정 - 의사협회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작업치료사 협회 한국사회복지사 협회 등의 관련

학회를 통한 직종별 교육 규정 및 내용-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 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권역 재활병원의 교육훈련 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공공병원의 교육훈련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지역사회재활 거점 보건소의 교육훈련체계(대상 운영 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수요파악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대상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분석할 것임- 건강보험심사평가원등의 자료를 이용한 재활의료전문인력의 직종별 현황- 건강보험심사평가원등의 자료를 이용한 재활의료서비스 기관별 인력 현황- 국립재활원 권역재활병원 공공병원 지역사회 기반 재활 거점 보건소에 근무하는

직종별 인력 현황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대상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시행할 것임- 설문을 이용한 재활 관련 교육 경험률 교육 만족도 필요한 교육훈련 내용 등

다른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 비교 고찰

다른 재활관련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분

- 19 -

석할 것임- 일본국립장애인재활 센터 교육훈련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다른 의료분야의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분석할 것임- 국립암센터 교육훈련 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다른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시행할 것임- 각 기관의 교육 체계 문헌조사- 기관 방문 및 교육 담당자 인터뷰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체계 구축 방안제시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 체계를 구축 방안을 개발 제시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시행할 것임-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체계 분석((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 20 -

제2장 공공재활의료지원체계 구축 방안

공공재활의료 문헌 검토

공공재활의료지원을 통해 공공재활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양질의 재활의료서비스를 공급

국립재활원은 국가재활중추 기관으로 권역재활병원과 보건소의 기술적 지원 및 재활인력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

- 21 -

국립재활원 역할에 대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는 권역재활병원과 함께 재활의료 교육 연구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가중앙재활센터 기능을 수행해야 함

보건복지부 인증 재활 전문의료기관 인증을 주관해야 함

- 22 -

재활연구소를 주축으로 권역재활병원의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표준을 제시하고 재활연구 활성화를 유도 함

국가차원의 장애인 재활관련 통계자료를 관리하고 정보를 제공함- 교육 훈련을 매개로 한 국립재활원과 권역재활병원의 리더쉽 체계를 구축함

- 23 -

국립재활원 공공재활서비스 현황

1차 현황 서면 조사표 4 서면 조사 결과

- 24 -

공공재활의료지원 프로그램 구분 및 참여 현황

프로그램 구분 참가기관 참가자 수(장애인)

교육프로그램 및 설명회(9가지 프로그램)

보건(지)소 659

권역재활병원 6

기타 병middot의원 13

복지관 12

기타(시도청) 13

총계 703명

표 5 프로그램 참여 현황

- 보건소 인원이 프로그램 참여 인원의 937를 차지함- 프로그램 중 의사가 참여한 프로그램 없음

공공재활의료지원 프로그램 예산(2012년 기준)- 56100000원

주요내용- 지역사회중신재활 기본실무- 방문재활의 실제- 노년기 재활을 통한 건강관리- 장애 아동 재활의 핵심파악- 쉽게 따라 하는 재활실무- 건강한 일상을 위한 여성 장애인 재활- 지역사회 중심 재활 사업 성과대회- 공공재활 프로그램 설명회- 지역사회 재활사업 운영실제(예정)

현 프로그램의 문제- 공공재활 의료팀에서는 주로 보건(지)소 근무자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권역 재활 병원 및 2차 병원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함- 교육 프로그램 외 기술적 지원 및 협력체계 기반이 미흡함- 다양한 직종이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미흡함

- 25 -

타 기관 공공의료 지원 현황

가 국립 암센터

국립암센터와 지역암센터 연계체계

- 12개의 지역암센터가 지정되어 있음- 국가 암관리사업의 경우에는 지역단위까지 연계하여 수행하는 거점기관임- 국리암센터와의 연계체계를 구축하고 국가 암관리사업에 적극 활용 중- 국립암센터와 MOU 등을 통한 활발한 연계 지원을 시행 중

나 중앙정신보건 사업 지원단

법적근거

정신보건법 제13조 6항 동법 시행규칙 제 7조-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집중적이고 전문적인 지원을 위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은

- 26 -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을 시 도지사는 지방정신보건사업지원단을 각각 설치 운영할 수 있음

직무범위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기획 및 조정에 대한 지원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 및 정신보건시설에 대한 평가

정신보건관련기관 단체 또는 정신보건시설 간의 연계체계 구축 지원

정신보건사업의 현황 파악 및 통계

기타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시하는 사항

국립재활원의 공공재활의료 지원 전략

가 공공재활의료 체계 내 국립재활원의 역할 강화

권역 재활병원과 상호 협력- 진료 지원 및 협진(환자이송체계 구축)- 통계산출 및 정보제공을 위한 각종 자료 공유- 권역재활병원의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표준을 제시- 공동연구수행- 전문 인력 교육 및 교류- 국가재활사업 상호협력 수행

재활 전문병원 평가 및 인증- 보건복지부 인증 재활 전문병원의 평가 지침 개발- 보건복지부로부터 재활 전문 병원 인증 권한 위임

국가정책수립 기능- 국가 장애인 정책수립방안 제시- 장애인 및 재활의료서비스 통계 산출- 적정 재활 의료서비스 제공 표준 제시

- 27 -

교육 및 연구 기능- 권역재활병원 및 공공병원의 재활 인력 교육 및 훈련- 지역사회 중심 재활 인력의 교육 및 훈련- 재활연구 활성화를 유도 장애인 재활정책 연구를 전문적으로 수행- 매년 전국단위의 포럼 혹은 세미나를 개최하여 인적 학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학문적 역량 및 리더쉽을 확보

국제보건- 국제기구 혹은 국내 국제보건 단체들과의 지속적 협력을 통하여 개발도상국 저개

발 국가의 재활의료 원조를 지원- WHO 협력센터 지정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 방안

가 필요성

의료기관 평가의 목적은 의료의 질 향상 및 의료의 질에 대한 사회적 책임 증대임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해서 개별 의료기관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고 평가 기준을 준수하도록 함으로써 환자 진료 및 서비스의 질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임 의료의 질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평가 결과를 공표하고 병원 간 평가결과를 비교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비자의 병원 선택에 도움을 줌

2010년 의료기관평가 인증원이 의료법 제 58조에 근거하여 세워졌음 인증원의 병원 인증은 병원급 이상의 모든 병원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재활전문 의료기관에 대한 전문성이 떨어짐 따라서 인증원에서 적절한 재활의료에 대한 평가 기준을 세우고 이를 전국에 확산시켜 전 국민이 적절한 재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에는 힘듬

인증원에서 인증을 받아도 보건복지부 인증기관이라는 명칭을 부여받을 뿐 수가나 다른 인증에 대한 인센티브가 없는 실정임

또한 산재보험공단과 재활의학회에서도 각각 재활전문병원을 인증하고 있어 혼란이 가중되고 있음

5) 김윤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용역과제 2010

- 28 -

나 의료기관 인증평가 관련 선행연구 검토

의료기관 평가제도 장기적 발전방안 연구

연구에서 제시된 평가기준의 원칙은 다음과 같음- 첫째 환자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환자중심의 평가기준을 개발하여 궁극적으로

환자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킴 제공자의 부서 직종 구분이 아니라 환자가 병원에서 받게 되는 서비스의 흐름과 종류에 맞추어 평가의 부문과 영역을 설정하며 특정 서비스의 제공과 연계 관련된 기능 부서를 통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함

- 둘째 평가기준이 측정하는 영역이 중복되거나 편중되지 않으면서 포괄적인 기준을 마련함

- 셋째 평가기준이 의료의 질을 반영할 수 있도록 평가기준의 질적 측면을 포괄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하여야 함

- 넷째 평가지표의 특성이 너무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평가기준보다는 목적을 정립하고 이에 부합하는 기준이 되도록 함 즉 명목적(explicit) 평가기준보다는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에 초점을 맞추면서 묵시적(implicit)인 평가기준으로 유도해감

의료기관평가의 안정적인 발전뿐만 아니라 앞으로 평가 대상 기관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갈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독립적인 전담 기구가 필요함(현재의 의료기관평가의 대상 기관은 종합병원 및 300병상 이상의 병원으로 현재 약 360여개 병원이 이에 속하고 있음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전반적인 질적 수준의 제고라는 측면에서 볼 때 앞으로 평가 대상 병원을 소규모 병원으로까지 확대할 필요성이 있으며 많은 나라들에서 1차 진료를 평가 대상에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다면 장기적으로 볼 때 평가 대상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산재보험 의료재활항목 수가개발보완 및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제 도

입 방안 연구

산재전문병원 인증제도의 도입은 현재의 4단계 종별분류에서 3단계의 새로운 분류체계와 개념상 일치한다고 생각함 현행의 4단계 종별분류는 의원 병원 종합병원 종합전문병원(대개 대학병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병원 종합병원과 종합전문병원간의 시설규모나 인력 장비 수준이 너무 차이가 생겨 상급병원으로서의 병원 종합병원의 역할이 과거에 비해 약화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6)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2005

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2006

- 29 -

이에 새로운 3단계 분류로서 ldquo전문병원rdquo이란 개념을 도입하게 되었음 병상 수 등의 규모보다는 내적인 시설 인력구조 진료상병의 집중화 등을 토대로 전문적인 진료가 가능한 병원을 인증하여 이곳에는 여러 가지의 지원을 하자는 것임 이를 통해 종합전문병원으로 집중되는 환자를 분산시키고 다양한 의료의 전문화를 구축하자는 것임

인증 기준은 다음과 같음- 인력구성의 적절성 의사(전체의사 재활의학전문의) 간호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

사 언어치료사 임상심리사 의료사회복지사 직원 교육 및 연수프로그램- 시설 및 장비의 적절성 시설구비(병동 및 진료관련시설) 재활치료장비 응급장비

시설 및 장비 안전관리 장애인 편의시설- 질적 서비스의 제공 입퇴원 기준의 구비 및 준수 환자 평가 치료계획의 수립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및 평가 수행 여부 팀 접근 재활간호서비스 보장구 처방 검수 및 훈련 능력 입원환자의 진단명 구성 및 중증도

- 질 향상 활동 질 향상 위원회 환자 시설 인력의 질 평가 자료의 활용 여부

다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 방안 개발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가 구축middot개선되는 과정에서 새롭게 설립되거나 역할을 부여 받은 서비스 제공자가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 내에서의 역할과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음 이러한 경우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의 운영에 장애가 될 수 있음 이를 예방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적절한 인증기준과 인센티브 방안 등이 포함된 재활의료기관 인증제가 활용될 수 있을 것임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10)8)의 전문가 조사 결과와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체계를 구성하여 그림 14와 같이 정리하였음

8)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안 연구 2010

- 30 -

현재 산업재해공단 재활의학회 보건복지부 산하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서 각각 재활전문병원 인증을 시행하고 있음 이는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들에게도 혼란을 줄 뿐만 아니라 병원에도 부담과 혼란만 가중시킬 뿐임 국가적으로도 의료자원의 낭비임 따라서 현행의 재활전문병원 인증을 하나로 통합하여 인증할 수 있도록 함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이 현재 모든 병원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재활전문병원에 대한 전문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는 국립재활원과 재활의학회에서 평가 및 인증기준을 설립하여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서 설립된 기준을 바탕으로 평가 및 인증을 시행 해야함

재활전문병원 인증기준과 관련하여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5)9) 연구에서는 재활의료서비스 대상자에 대한 직접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치료사(물리치료사 및 작업치료사 등) 재활의학전문의 간호사 등의 재활 인력 재활의료서비스 진료실적의 질적 측면 진료관련 편의시설 및 장애시설 구비정도에 대한 인증 기준의 필요도가 35 이상으로 높게 제시된 바 있음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10) 연구에서는 재활전문병원 인증기준을 시설 및 장비 기준 인력 기준 재활서비스 기준 등으로 분류하였고 이 중에서 전문가들은 장애인 편의시설 구비 정도와 재활의료서비스 진료실적에 대한 질적 평가에 높은 중요성을 부여하였음(그림 14)

9)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5 이 연구에서는 재활의학전문의 270명 물리치료사 74명 작업치료사 3명 등 총

347명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한 바 있음

- 31 -

재활의료서비스의 질적 평가를 위한 지표와 관련하여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5) 연구에서는 재활계획(입원 시 치료계획) 수립 환자 및 보호자 대상 정보제공 및 교육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사용 기능상태 사정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및 평가 수행 등이 중요하게 제시된 바 있음

대한재활의학회는 2008년부터 전문재활병원 인증제 평가를 수행해오고 있음 이 때 평가 기준들은 다음과 같음- 인력 부문 의사 인력 간호 인력 물리치료사 인력 작업치료사 인력 언어치료사

인력 사회복지사 인력 임상심리사 인력- 시설 및 장비 부문 운동치료실 작업치료실 언어치료실 사회사업실 이동성 장

애인용 화장실 물리치료 기구 운동치료 기구 작업치료 기구- 전문재활서비스 부문 기능의 평가 팀접근에 의한 재활서비스 집으로 퇴원한 환

자의 비율 발병 후(장애 발생 또는 악화 후) 2년이 경화하지 않은 환자의 비율- 전문적인 재활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의 비율

한국보건사업진흥원의 연구와 대한재활의학회의 평가기준을 참고하여 2010년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10)의 연구 보고서에서는 재활전문병원 인증 기준을 다음과 같이 예시함- 인력 기준 의사 수 재활의학전문의 수 간호사 수 치료사(물리치료사 등) 수 사

회복지사 수 등- 시설 및 장비 기준 병상 수 진료관련시설 구비 정도 장애인 편의시설 구비 정

도 장비 기준 준수 등- 재활의료서비스 진료실적에 대한 양적 기준- 재활의료서비스 진료실적에 대한 질적 기준 재활계획(입원시 치료계획) 수립 여부

- 32 -

퇴원 전 퇴원계획(기관 연계 등) 수립 여부 재활전문 인력 면허자격 비율 다학제적 팀접근 여부 재활프로그램의 다양성 환자 및 보호자 대상 정보제공 및 교육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사용 여부 기능상태 사정 여부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및 평가수행 여부 사례회의 실시 정도 직원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

재활전문병원으로 인증된 의료기관에 대한 인센티브 방안으로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 교실의 2010년 연구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취약지 시설 건립을 위한 건축비 지원 지역사회 재활사업 지원 등 공적 사업에 대한 재정 지원 인증기관에 대한 차등수가제 적용 등의 방안을 제시함

국제보건의 필요성 및 진행 방향

가 세계장애현황10)

장애인 인구

장애 인구는 전 세계적으로 10억명 이상 혹은 세계 인구의 15이상으로 추정되고 있음(2010 global population estimate 기준)

WHO에서 2011년 발간한 World Report on Disability에 따르면 장애를 15년 이상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은 7억 8천 5백만 명이며 세계 인구에 156를 차지함

10) World report on disability 2011 WHO

- 33 -

이 중 1억 1천만 명(22)이 심각한 장애를 안고 있는 것으로 추정됨

장애는 심각한 우울증 시력상실 사지마비 등과 같은 수준의 심각성을 가지고 있음

현재 장애인의 숫자는 인구가 노령화되면서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임

재활분야의 수요와 미충족 수요

현재 재활분야에서는 몇몇 국가에 대한 자료만 있을 뿐 전 세계적으로 통합하여 미충족 수요를 추정한 자료는 없음- 재활분야의 데이터들은 완전치 않거나 분절화 되어 있는 경우가 많음

재활분야의 미충적 수요는 퇴원을 늦추고 활동을 제한하며 건강을 악화시키고 삶의 질을 낮출 수 있음 - 이런 부정적 결과는 개인을 넘어 가족 지역사회 까지도 사회적으로 재정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음

미충족 수요의 대한 데이터는 일부 국가의 특정 장애에 관한 조사만 사용 가능함11)

- 말라위 모잠비크 나미비아 잠비아 짐바브웨에서 시행된 국가적 장애인 삶의 실태조사에서 재활치료와 보조장비의 심각한 부족과 성의 불평등을 나타내었음

- 크로아티아 체코 헝가리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에서 진행된 재활의료 조사에서 일차 이차 삼차 재활에 접근성의 부족을 보였음

또 다른 방법으로 재활분야의 미충족 수요를 추정한 방법은 재활 서비스를 받기까지의 기간으로 추정하는 방법임- 최근의 국제 조사(2006-2008)에서 도시지역에 재활의료를 받는데 까지 걸리는 대

기시간은 평균 한 달 미만으로 조사되었음 그러나 시골지역에서는 6개월에서 1년까지 걸리는 것으로 조사됨12)

11) Maclachian M et al Disability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Dordrecht Netherlands Sringer

2009(World report on disabiltiy WHO 2011에서 재인용)

12) Chiang PPC The Global mapping of low vision services Melbourne University of Melbourne

2010(World report on disabiltiy WHO 2011에서 재인용)

- 34 -

나 필요성13)

전술한 국제사회의 광범위한 보건부문의 미충족 수요(unmet need)는 보건 ODA수요를 발생시키고 있으나 국제적인 보건 ODA는 이런 수요에 충분히 부합하지 못하고 있음

이런 상황 속에서 50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수원국에서 공여국이 된 전 세계에 몇 안 되는 사례 중 하나인 우리나라의 발전경험이 개도국 발전의 모범적인 성공사례로 주목받고 있으며 국제기구들과 개도국들로부터 한국의 개발경험 전수에 대한 요청이 늘어나고 있음

재활 분야에서도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우리나라 재활의료에 대해 제3세계 등지에서 경험 전수에 대한 요청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임

다 국립재활원 현황

콜롬비아 중앙재활센터 건립사업

2008년 국립재활원은 한국국제협력과 협력하여 콜롬비아 무상협력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콜롬비아 보고타 지역의 중앙재활센터 건립사업을 수행하였음

국립재활원은 콜롬비아에 선진재활프로그램 전수 재활센터 설계 등 마스터플랜 수립을 지원하고 재활장비 선정 및 자문을 하였음- 콜롬비아 병원건립 프로젝트 책임자 병원 설계자 대학교수 및 중앙재활 센터 담

당자 등이 한국을 방문하여 재활센터의 방향 및 개념 정립 재활병원 건축 및 설계 한국의 재활 기술 및 재활모델 한국의 의료시스템 전반 의료정보 활용 사회적 직업적 재활 전략 등에 관한 연수를 국립재활원에서 진행하였음

한국국제협력단 와의 체결

2010년 국립재활원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보건의료분야 대외무상 원조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 함- 협력내용은 기관의 고유사업 중 협력을 통해 성과를 제고 시킬 수 있는 업무분야

에 대한 기획 의사결정 수행- 개발도상국의 보건의료 관련 신규 상호협력과제 마련 및 추진 등

13) 오주환 한국형 ODA 프로그램 선정 연구 2012 총리실 연구용역과제

- 35 -

라 향후 방향

효과적으로 국제보건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WHO 협력센터 지정을 받는 것이 필요함- WHO 협력기관은 WHO가 수행하는 각종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해 WHO 사무총

장이 지정하는 국제적인 협력네트워크임- 매 4년 마다 재지정 평가 절차를 거친 후 협력센터의 기능을 유지함- WHO 협력센터 지정을 통해 수행하는 업무에 국내외적 관심을 높일 수 있으며

생산된 결과물에 대한 국내외 관계자들의 신뢰를 끌어올릴 수 있고 국제 보건관계 기관간의 협력관계 구축에 용이해지며 국제사회에서 협력을 추진하는데 큰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음

WHO 협력기관의 조건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은 다음과 같음14)

- 국내외적으로 높은 과학적 기술적 지위를 가지고 있을 것- 국내의 의료적 과학 혹은 교육 구조에서 두드러진 위치에 있을 것- 높은 질의 과학적 기술적 리더쉽을 가지고 있으며 높은 질의 직원을 충분히 확보

하고 있을 것- 개인 활동 펀드 모두 안정적인 상황일 것- 국내외의 다른 기관들과 강한 협력관계를 맺고 있을 것- 특정 국가의 원조 프로그램이나 국제 협력 활동에 참여하여 WHO의 프로그램들을

단일기관으로 혹은 네트워크의 하나로서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함- 적어도 WHO와 지난 2년간 협력관계를 가진 경험이 있어야 함

위의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준비를 지속해 나가야 할 것임

국립재활원과 권역재활병원의 협력 방안

가 권역 재활원 관리 모델

보건복지부로부터 권역재활병원의 관리권한을 위임 받아 병원의 재활 센터의 질관리 등 전반적인 관리를 책임짐

권역재활병원의 관리를 위하여 재활병원 평가 기준을 개발하여 점차 전국의 재활 연관 병원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

장애인 재활 지침을 마련하여 진료의 표준화를 확립 재활 연관 직종의 보수교육의 전부 혹은 일부를 담당하여 국립재활원이 재활

14) Guide for WHO collaborating centres WHO 2012

- 36 -

연관 직종에서도 리더쉽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

- 37 -

나 권역재활병원 협력 모델

국립재활원은 1년 단위로 각 권역재활병원과의 협의를 통하여 각 지역의 이전 공공 재활 계획과 그 결과를 평가하고 다음해의 계획을 세우는데 조언을 함

복지부와의 협의를 통하여 공공재활을 지원할 재원을 확보하여 각 권역 병원의 공공재활 프로그램에 재원을 분배하여 지원함

권역 재활병원과의 MOU를 통하여 적극적으로 인력 및 기술을 지원함

법 제도적 개선 방향

위에 기술한 공공재활서비스 발전 방안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가칭)장애인보건법의 제정 혹은 제도 정비 등 몇 가지 법적 제도적 개선이 필요함

가 국립재활원 및 권역재활병원 운영규칙 및 설립근거

1994년 제정된 lsquo국립재활원운영규칙(보건사회부령 제930호)rsquo은 폐지됨 대신 보건복지부의 소속기관으로 lsquo책임운영기관의 설치 운영에 관한 법률rsquo lsquo책임운영기관의 설치 및 구분rsquo과 예규의 형식으로 발령된 lsquo국립재활원 기본 운영 규정rsquo에 의해 규율을 받고 있음

현재 국립재활원의 법적위치는 lsquo책임운영기관의 설치 운영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보건복지부소속 책임운영기관으로 되어 있음

따라서 앞서 제시한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의 새로운 기능으로 제시한 국가 재활연구센터로서의 역할과 국가 장애인정책 수립방안을 제시하는 재활정책 수립 기능 재활의료기관 인증을 수행하고 권역재활병원의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사항을 조정하는 인증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가칭)장애인 보건법 등 법 제도 신설 혹은 정비 시 국립재활원의 설립근거와 운영규칙을 확립해야함

권역재활병원의 기능으로는 포괄적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권역 내 재활사업 주관 권역 내 재활전문 교육훈련 및 임상연구 등 재활연구센터로서의 역할 담당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와 함께 교육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국가

15)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안 연구 김윤 보건복지가족부 용역과제 2009

- 38 -

중앙재활센터로서의 기능 등이 포함되어야 함 또한 권역재활원 선정 및 심사 평가 체계로서 보건복지부 및 지방자치체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 민간 학회 등 연구기관이 각각 담당하는 역할과 권역재활병원 지정 절차 지정조건 및 기간 지원 내용 등도 규정되어야 함

나 재활전문병원 인증 관련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

의료법 제3조의 5 전문병원 지정 항목에 의거하여 재활전문병원의 요건을 보건복지부령으로 규정함 또한 특정 질환의 경우로서 을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함

재활전문병원 지정을 위한 요건에는 시설 및 장비 기준 인력 기준 재활서비스 기준 등이 포함되어야 하며 특히 재활계획(입원시 치료계획) 수립 환자 및 보호자 대상 정보제공 및 교육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사용 기능상태 사정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및 평가 수행 등 진료실적에 대한 질적 평가의 비중이 강조되어야 함

현행 의료법 제3조 5 전문병원 지정 항목에는 전문병원 지정 이후 인센티브 제공 내용이 언급되어 있지 않으나 취약지 시설 건립을 위한 건축비 지원 지역사회 재활사업 지원 등 공적 사업에 대한 재정 지원 인증기관에 대한 차등수가제 적용 등의 방안들이 규정될 필요가 있음

- 39 -

다 개선사항 제안

국립재활원의 설립근거 및 운영규칙

-국립재활원의 설립근거와 운영규칙을 법에 명시하도록 함예시) 보건복지부장관은 장애인의 보건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와 장애인의 진료 등을 위하여 국립재활원을 설치운영하여야 한다-권역재활병원의 기능과 역할을 명시예시) 지역사회 장애보건 및 재활의료사업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하여 권역재활병원으로 하여금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1 해당지역 장애발생율 등 장애보건관련 통계산출을 위한 자료의 수집분석관리 2 해당지역 장애보건관리사업의 기획 및 재활의료서비스 연계체계 구축 3 해당지역 장애보건 관련 조사연구사업 4 해당지역 장애보건 관련 인력교육훈련 및 국제협력 5 해당지역 장애건강등록사업에 관한 사항 6 해당지역 장애인 가족지원에 관한 사항 7 지역거점재활의료센터 지원 8 그 밖에 지역사회 장애보건 및 재활의료사업과 관련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

재활전문기관 평가 및 인증

-의료기관인증평가원의 재활전문병원 인증시 국립재활원의 역할을 명시

예시) ➀ 보건복지부장관은 재활의료기관에 대하여 특화 및 전문치료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는 기관에 대하여 재활의료전문기관으로 인증취소할 수 있다 ➁ 제1항의 재활의료전문기관 인증취소에 관한 업무는 중앙장애보건관리본부(현 국립재활원) 등 관련 단체 및 전문기관에서 수행할 수 있다 ➂ 재활의료전문기관 인증취소에 관한 범위와 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지역거점재활의료센터

-지역사회 장애보건 및 재활의료사업의 전문적 수행을 위해 보건소나 국공립 및 권역재활의료기관에 (가칭)지역거점재활의료센터를 설치 위탁 할 수 있도록 함예시)지역사회 장애보건 및 재활의료사업을 전문적으로 수행하게 하기 위하여 보건소 또는 국middot공립 및 권역재활의료기관에 권역장애보건관리본부 및 지역거점재활의료센터를 설치하거나 그 사업을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관 또는 단체에 위탁할 수 있다

표 6 법 제도적 개선사항 제안 정리

- 40 -

요약 및 소결

현재 국립재활원 공공재활 의료팀에서 시행중인 공공재활의료 관련 사업을 검토하였음 - 위에서 서술한 현재 공공재활의료 관련 사업의 문제는 아래와 같음- 공공재활 의료팀에서는 대부분 보건(지)소 근무자 교육 프로그램만 운영하고 있음- 권역 재활 병원 및 2차 병원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함- 교육 프로그램을 제외한 기술적 지원 및 협력체계 기반이 미흡함- 다양한 직종이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미흡함

위에 제시한 문제점과 2009년 재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델파이 조사를 바탕으로 국립재활원의 공공재활의료 발전 방향에 대한 전략을 구상하였음

권역 재활병원과의 상호 협력 증진- 보건소에서부터 권역재활병원 국립재활원으로 이어지는 공공재활의료 전달체계 구축-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진료 지원 및 협진 등

의 재활의료서비스를 지원함

재활 전문병원 평가기준마련 및 인증제 실시- 장애인 보건법 제정 등의 제도적 정비가 필요함

국가정책수립 기능- 장애인 보건법 등의 법적 제도적 정비 방향을 제시함- 장애인 및 재활의료서비스 통계를 산출함

교육 및 연구 기능- 권역재활병원 및 공공재활의료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권역재활병원 실무과정 공

공재활의료 아카데미교육과정 등과 같은 공공재활체계교육을 수행함- 재활정책 고위과정을 교육을 수행하여 정책형성의 기반을 형성함

국제보건- 국제기구 혹은 국내의 국제보건 단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국제적 재활의료 부분에

대한 원조를 지원함- 효과적인 국제보건 지원을 위해서는 WHO 협력기관 지정을 받는 것이 필요함

- 41 -

제3장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 방안

사회복귀지원의 개념

가 문헌 검토

lsquo사회복귀rsquo 용어는 일반적으로 미국에서 lsquocommunity (re)integration(사회복귀)rsquo와 lsquosocial integration(사회통합)rsquo를 사용하고 있고 그 외 lsquocommunity reentryrsquo lsquocommunity livingrsquo lsquogetting back to real livingrsquo 등으로 다양하게 지칭하고 있음

lsquo사회복귀rsquo 관련 개념은 명확하게 개념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임 단지 장애인 부상자 범죄자 등 사회적 취약 계층의 사회로 복위 갱생 회복 등을 의미하며 대상자별로 조작적 정의를 통해 개념이 정립화되어 있음- Kenneth Lam (1994) 사회복귀란 가족과 지역 내 일상생활 일상적인 역할과 책

임 사회 구성원의 일원으로 동참하는 것을 의미함17)

- Marcel Dijkers (1998) (물리적 손상이나 장애 후) 사회복귀란 연령성별문화적 적절한 역할상태기능을 돌이키는 요구 의사결정을 통해 독립적상호의존적 그리고 지역사회에서 가족과 친구 등 다양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완성된 행동을 수행하는 것을 말함18)

- Mank amp Buckley (1989) 장애인의 사회통합은 비장애인이 영위하는 수준과 동등하게 장애인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존재(presence)하고 참여(participation)하는 정도를 의미함19)

- Ely amp Peter (1991) 사회통합은 lsquo사회적 동반rsquo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장애인이 실제 살아가는 곳에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상적인 활동에 참여하는 것임20)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장애인 대상의 사회복귀는 장애 발생 이후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기능이 재조직화 되어 개인의 가정생활 사회활동 직업활동에 복귀하여 안녕감을 갖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음

16) 사회복귀지원의 개념 및 프로그램 운영 사례에 대해서는 lsquo국립재활연구소 장애인의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재활서비스 모형 개발 2010rsquo 및 lsquo국립재활연구소 장애인의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ICF 기반의 재활서비스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 2011rsquo을 참고하였음

17) Kenneth Lam Community reintegration Life after stroke 1994 세미나 발표 자료

18) Marcel Dijkers Community Integration Conceptual Issues and Measurement Approaches in

Rehabilitation Research Top Spinal Cord Inj Rehabil 19984(1)1ndash15

19) Mank D M amp Buckley J Strategy for integrated employment in W E Kierman amp R L Schlock

(Eds) Econimoic industry and disability A look ahead baltimore Paul Books Publishing 1989

20) Ely Peter W Quality of life and social integration of psychiatrically disabled citizens in community

residences MI University Microfilms International 1991

- 42 -

나 병원 기반 사회복귀지원프로그램

질병 및 손상으로 인한 장애가 발생한 환자에게 제공되는 환자병원 기반 사회복귀지원 과정은 다음과 같음

병원 기반 사회복귀지원프로그램은 일상생활훈련(실생활 훈련)을 비롯하여 운전교육 컴퓨터 교육 학업(직장) 복귀지원 주택개조 정보 제공 및 연계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멘토링(동료상담) 프로그램 정서적 지원 성재활 지역사회자원 연계 가족지지상담 및 프로그램 법률지원서비스 독립생활체험 활동보조인 이용체험 보조기 평가 및 대여이용체험 등으로 구성됨- 일상생활훈련(실생활) 훈련은 장보기 요리실습 및 세탁 청소 샤워 등 기본적인

- 43 -

일상생활 및 가정관리 훈련 쇼핑 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 이용 및 이동훈련 시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음

- 운전교육에는 운전클리닉 운전면허 취득 운전적응훈련이 포함되어 있음- 학업 및 직장 복귀 지원은 학업 복귀와 취업준비 지원 및 직업 훈련 연계가 포함됨-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은 재활스포츠와 문화활동이 포함되어 있음- 정서적 지원부분에서는 인지middot정서에 대한 심리학적 평가를 기반으로 정서적 어려

움에 대한 상담과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음

구분 내용

일상생활(실생활)

훈련

요리 메뉴 짜기 및 시장보기 실습실을 이용한 요리 실습 시행

쇼핑 대중교통 이용하여 백화점 할인마트 시장 방문하여 쇼핑하기 계산하기 등 일상적인 가정관리 훈련제공

금융이용 훈련 통장 및 현금카드 만들기 현금인출기 이용 세금 납부하기 인터넷 뱅킹 등 금융이용 훈련 제공

대중교통 이용 지하철

지하철 내 편의시설 이해 엘리베이터 장애인 개찰구 및 출입구 이용 등 사전 모의 체험 및 실제 지하철 이용하기

대중교통 이용 시내버스

저상버스 이용법 리프트 승하차 휠체어장애인용 좌석 이용 등 사전 모의체험 및 실제 저상버스 이용하기

운전교육운전클리닉 자동차 운전을 원하는 환자에게 전문적인 자동차 운전 평가와

가상현실운전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훈련 제공 운전면허취득 운전면허 취득을 위한 운전기능교육 및 도로주행교육 시행운전적응훈련 장애 발생 전 운전면허 소지 장애인을 위한 도로주행 교육 시행

컴퓨터 교육 타자연습 등 기초교육 문서작성 인터넷 포토샵 등 개인 수준에 따른 정보활용 교육 시행

학업직장복귀 지원

학업복귀지원 입(복)학 관련 정보 제공 장애인 편의시설 조사 담당자 면담 등 진학 및 복학을 위한 지원

취업준비지원 장애인고용공단 직업평가 및 상담 연계 장애인일자리 관련 단체 안내 등 장애발생 전의 직장복귀 및 취업연계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

직업훈련연계 장애인 직업전문학교 상담 및 장애인직업능력개발센터 장애인복지관 직업훈련 등 훈련 연계

주택개조정보제공 및 연계장애인의 주거환경을 진단하고 편의시설 및 주택개조에 대한 정보제공

주택개조 지원연계 등의 서비스를 지원함 (지역구별 집수리 신청 주거개선 업체정보 관련 후원단체 연결 등)

레저 및레크리에이

재활스포츠수중운동체험 및 농구 럭비 볼링 배드민턴 탁구 사격 게이트볼

수영 펜싱 파크골프 등 다양한 원내middot외 연계스포츠를 통해 지역사회에서 이용할 수 있는 레저스포츠 개발 및 참여기회 제공

문화활동 박물관 민속촌 등 다양한 문화활동 체험 및 영화관 미술관 관람

멘토링(동료상담) 프로그램

입원환자에게 여러 가지 조언과 치료완료 후 사회에 적응하고 직장복귀 취업안내 등을 컨설팅 할 수 있도록 잠재력을 키워가도록

도와줌 사회복귀 성공사례 및 정보 제공 동료상담 활동가 및 사회복귀 코디네이터 연계

정서적 심리치료 인지middot정서에 대한 심리학적 평가를 기반으로 정서적 어려움에 대한

표 7 H-CRsP 프로그램 구성 및 내용

- 44 -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지원 현황

가 주간재활센터 프로그램

주간재활센터는 각종 질병이나 사고로 뇌손상을 입은 장애인을 대상으로 독립적인 생활 및 사회적응을 돕고 가족의 부담을 경감시키고자 낮 시간동안 포괄적인 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임

대상은 급성기 치료가 끝나고 의학적으로 안정된 뇌손상 장애인으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기능증진을 위해 적극적인 재활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이며 매주5일(월~금)동안 하루 8시간 총 3개월 동안 이용할 수 있음

재활스포츠 활동 게이트볼 골프 배드민턴 탁구 볼링 배구 등 환자의 장애에 맞는 응용스포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신체적 활동 및 운동경기를 통해 운동능력을 향상시키고 즐거움 만족감을 느끼게 하며 환자간의 협동력을 높여줌

집단 간호 상담 장애로 인해 환자와 가족들이 겪게 되는 심리적 충격 및 고

지 원

상담과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제공

미술치료 그리기 만들기 등 다양한 미술활동을 통한 내면의 정서상태 표현 및 역량 강화

음악치료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 율동 등 음악활동 및 치료 레크리에이션을 통한 정서순화

원예치료 식물심기 및 기르기 꽃꽂이 창작품 만들기 등 원예활동을 통한 정서순화 및 취미개발

성재활성재활 상담 교육 치료를 통하여 장애인의 올바른 성에 대한 인식과

성생활이 가능하도록 도와주어 행복한 가정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는 재활치료

지역사회자원 연계 자립생활센터 복지관 등 거주지에서 이용 가능한 지역자원 및 재활운동 취미활동 자조모임 등 프로그램 연계

가족지지 상담 및 프로그램 가정방문 및 가족상담

법률지원서비스 장애인 관련 법 및 장애인 복지시책 관련 정보 제공과 법률상담 연계 지원

독립생활체험 첨단 보조기구 및 환경제어 시스템이 설치된 실거주형 원룸(침실 욕실 주방 등)에서 생활할 수 있는 기회 제공

활동보조인 이용체험 활동보조지원 사업 및 이용법에 대한 안내 활동보조서비스 신청 지원 필요시 실제 활용 기회 제공

보조기 평가 및 대여이용체험 장애인의 특성과 기능에 맞춘 보조기구 활용을 위해 보조기구 상담 및 제작 개조 및 대여 등의 서비스 제공

- 45 -

충을 같은 입장에 있는 사람들이 함께 모여 이야기를 나누고 서로에게 주어지는 피드백을 통해 보다 긍정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장애수용을 돕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임

성재활 상담 뇌졸중 재발의 두려움과 신체적 불편감으로 인한 부부간의 성생활 결여로 야기되는 갈등을 해소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며 뇌졸중 후 성생활시 주의점 및 전문적인 지식을 제공함

음악치료 음악활동을 체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사람의 신체와 정신기능을 향상시켜 개인의 삶의 질을 추구하고 보다 나은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프로그램임

치료 레크리에이션 병원생활과 기능손상으로 인한 무기력감과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기능 증진을 위한 다양한 여가프로그램을 통해 환자의 적절한 여가활용 및 사회복귀를 촉진함

원예치료 식물을 이용한 원예활동을 통해 사회적 심리적 신체적 적응력을 기르고 녹색의 쾌적함을 얻고자 하는 활동 프로그램임

미술치료 색채 및 미술도구를 이용하여 심신의 안정과 흥미를 유발함으로서 손의 감각자극이나 동작기능을 향상시킴으로서 사회복귀를 촉진함

가정방문 가정에서 생활환경 및 기능상의 어려움을 파악하여 이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고 대상자의 치료 및 훈련을 보다 효과적이며 실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임

실생활재활치료 사회복귀에 대한 두려움 해소 재활의욕 고취에 긍정적인 도움으로 주는 프로그램으로 옥외활동 문화체험 및 관람활동 교통수단 이용해보기 등의 3가지 테마로 구성되어 있고 월1회 실시하고 있으면 환자기능에 맞는 과제를 제시해 줌으로써 동기부여와 목적을 재인식시켜줌

가족프로그램 보호자와 함께하는 프로그램으로 요리하기 요가 등이 있음

- 46 -

나 사회복귀지원과 2012년 사업추진 현황21)

국립재활원 사회복귀지원과의 2012년 사회복귀지원사업 추진 현황은 다음과 같음

21) 국립재활원 사회복귀지원사업 현황 국립재활원 사회복귀지원과 2012

구 분 내 용 비 고

일상생활훈련

가정관리 세탁 샤워 장보기 및 요리실습 등 의식주 활동

이동훈련 수동 및 전동휠체어 이용훈련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시설 이용하기

활동보조서비스 활동보조서비스 안내 및 지원활동보조인 연계 무료 실습기회 제공(25시간)

의료지원

의료평가 원내 재활의학의 진료 및 평가원내재활병원연계치료 및 교육 필요시물리ㆍ작업치료 교육제공

심리상담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진료 및 상담

보조기 사례관리 휠체어 등 보조기 상담 및 평가훈련 중 보조기 맞춤 및 대여 체험

재활연구소연계

상담동료상담 동료장애인 경험 및 사례모델링

가족상담 및 교육 성재활 가족갈등 해소를 위한 가족상담 및 교육

정보제공

컴퓨터(정보활용) 한글 인터넷 등 기초과정엑셀 파워포인트 등 고급과정

장애인복지정보 장애인복지시책 등 각종 정보안내 거주기 지역자원 복지관ㆍ지원센터 등 지역자원 안내 및 연계

주택개조지원 주택개조에 대한 정보제공 및 연계

운동 재활운동 재활운동실을 이용한 개별운동레저스포츠 탁구ㆍ펜싱ㆍ수영ㆍ볼링 등 원내ㆍ외 레포츠 활동

표 8 사회복귀 프로그램 목록

- 47 -

2012년 프로그램 참가자 수는 총 798명이며 집행된 예산은 수용비 86819000원 재료비 3500000원 운영비 49500000원 등 총 139819000원임

프로그램 구분 참가자 수(명)상담 404운동 76교육 9(회)

멘토링 2심리정서지원 87

여가문화 19진로지원 1가족지원 37

스마트홈체험 15자원연계 157

총원 798

표 9 프로그램 구분 및 참가자 현황

타 기관의 사회복귀 지원 현황

가 서울재활병원

낮병원 프로그램

낮병원 프로그램은 입원치료와 외래치료의 장점을 극대화시킨 새로운 재활치료의 모델로서 발병 후 입원재활치료를 마친 후 가정과 사회로 복귀를 준비하기 위한 재활프로그램임 대상은 뇌졸중 척수손상 뇌손상 등 집중 재활치료가 필요한 성인으로 치료기간은 3개월로 필요시 연장이 가능하며 주 5일 주 3일 주 2일로 운영함 - 각 재활 영역별 전문적이고 세밀한 초기평가를 실시 후 각 환자별 특성에 따라 계

획된 맞춤형 집중 재활치료 프로그램 (물리치료 수중재활치료 통증치료 작업치

운전교육운전면허취득훈련 원내 연습장을 이용한 기능ㆍ도로주행 교육

운전적응훈련 면허 있는 중도장애인을 위한 도로주행 과정

사회체험 방문체험 복지관ㆍ자립생활센터ㆍ체험 홈 등 방문지역 공공기관 방문 및 체험

직업적응 학업 및 직업복귀 학업ㆍ직업복귀를 위한 직업평가 및 정보제공장애인공단 등과 연계서비스

취미활동 생활공예 점토를 이용한 다양한 도자기 소품 만들기한지공예ㆍ지점토 등 생활공예품 만들기

- 48 -

료 언어치료 음악치료 재활심리치료)과 그룹 프로그램(그룹 체조 미술치료 도예) 사회적응치료로 제공하며 뇌졸중 학교를 통해 스스로 장애를 이해하고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음

레크리에이션 재활프로그램

레크리에이션 재활프로그램은 장애인들도 레크리에이션(음악 미술 스포츠 여행 등)을 즐길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재활 및 심리적 치료를 꾀하고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임 대상은 입원 및 낮병원 외래를 이용하는 뇌졸중 척수손상 뇌성마비 등의 환자임- 사회적응치료 문화체험 대중교통이용훈련 대인관계훈련 영화관람 마트 이용 등

을 통해 병원을 벗어나 지역사회를 직접 체험하여 병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퇴원을 위한 실제적인 준비와 지역사회로의 적응을 돕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함

- 원예치료 소아 낮병동 환자 및 보호자 입원중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정서적 안정과 신체적 건강을 위해 식물 기르기 꽃장식 등 다양한 원예활동을 통한 협응능력향상 사회성 향상 손근육강화를 위한 치료로 꽃꽂이 디쉬가든 테라리움 포푸리 수경재배 등이 있음

- 미술치료 미술활동을 통해 심리적 정서적 갈등을 완화시킴으로서 원만하고 창조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심리치료법으로 미술을 통해 고통스런 경험을 동화 통합시키며 적개심이나 공격성을 안전하게 표현할 수 있고 자신을 신뢰하고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기회 제공을 함

재활스포츠 프로그램

재활스포츠 프로그램은 다양한 스포츠 활동으로 인한 심한 손상이나 관절 인대 근육의 손상이 있는 경우 손상 초기부터 정확한 진단 및 안정 통증과 염증의 조절 관절 구축의 방지 근력과 지구력의 증진을 통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재활치료를 목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함

기타 지원프로그램

환자 및 보호자 상담- 환자와 보호자가 가지고 있는 심리사회적 문제를 해결하여 환자의 재활의지를 높

이고 지역사회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개인력 조사 사회사업상담(심리상담 경제적 상담 가족상담 퇴원계획 복지정보제공)을 실시함

환자지원 프로그램- 환자적응치료 지역사회로 외출경험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변화를 직접 경험함

- 49 -

으로 지역사회로의 복귀할 수 있는 의지를 심어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집단활동 프로그램 미술치료 도예치료 놀이치료 구연동화 등 사회성 향상 및

양손 협응력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집단활동을 지원함- 학습놀이 프로그램 입원기간 동안 취학을 앞두고 있거나 학업이 중단된 아동 그

외 학습 및 놀이가 필요한 아동에게 학습 및 놀이 프로그램을 지원함

가족지원 프로그램- 어머니 여가활동지원 가사 간병으로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어머니들에게 여

가활동(토피어리 종이접기 풍선아트 등)을 지원하여 친목도모 및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 아빠교실 재활치료에 아버지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자조모임을 통해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정보를 공유할 기회를 제공함

나 삼육재활병원

사회재활프로그램

사회재활프로그램은 장애인이 사회생활과 가정생활에 적응을 돕기 위해 물리적 사회middot 문화적 심리적 환경 등에서 활동능력을 획득하여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산재 환자프로그램 사회적응프로그램 미술치료 원예치료 그룹 활동 집단 활동 프로그램 피아노교실 사랑의 듀엣 노래자랑 송년잔치 등을 제공함

장애인 정보화 교육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주관으로 운영되는 교육시설로 입원환자 뿐만 아니라 직계가족 지역거주 장애인 및 직계가족 모두가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윈도우 인터넷 한글 엑셀 등 컴퓨터 초middot중급 과정의 강의를 실시하고 있으며 교육비나 교재는 무료로 지원함

무료간병연계

저소득 계층의 의료보호 환자 중 가족이 돌볼 형편이 어려운 환자들에게 광주자활센터와 연계하여 낮시간 동안 복지간병서비스를 제공함

상담

경제문제 상담 및 지원 가족교육 및 가족상담 보장구 지급에 대한 상담 재

- 50 -

활정보 제공 직업상담 가정방문 및 주택개조 지원 상담 등을 시행함

다 파크사이드 병원

집으로 프로젝트

집으로 프로젝트 프로그램은 환자가 병원 퇴원 후 집으로 가서 일상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협력하는 프로젝트로 재활의학과 전문의 재활치료팀(물리 작업 언어) 재활간호팀 뿐만 아니라 의료장비업체 인테리어업체 의료공학자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환자가 퇴원 후 집에서 통원치료를 할 수 있도록 직접 방문하여 여러 방안을 모색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함

펀 쿡 프로그램

펀amp쿡이라는 카페 같은 공간을 이용하여 환자가 직접 시장을 보고 직접 요리를 함으로써 자신감을 고취시킬 수 있으며 요리를 통해 일상생활생활동작 훈련을 하는데 도움을 줌 가족과 함께하는 요리경연대회 다양한 퍼즐 및 보드게임을 통해 기능향상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함

펀 플레이 프로그램

환자를 즐겁게 한 후에 치료로 연결하는 프로그램으로 환자들이 웃고 쉬고 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줌 슬링을 이용한 놀이와 음악을 들으며 춤추기 다양한 게임 등을 통해 즐겁게 움직임을 유도하고 환자들이 평소에 좋아했던 운동을 확인하여 스포츠 활동까지 할 수 있도록 지원함

직업복귀 프로그램

손상전의 직업으로 복귀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으며 의료진이 개입하여 회사 관계자와의 접촉을 통해 환자가 이전 직업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도와줌

자동차 면허취득 프로그램

병원입원기간 환자들을 대상으로 장애인 자동차 면허취득을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함

- 51 -

라 인천산재병원

특수재활요법

특수재활요법은 환자의 심리 정서적 상태를 기록하여 심리재활치료에 반영 및 작업치료의 일환으로 신체적인 잔존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제공됨- 프로그램은 기존에 제공하던 7개 훈련공과를 의료재활의 일부분으로 전면 개편하

여 물리치료실과 함께 재활 의학전문의의 처방에 따라 귀금속디자인 전통공예 목조형디자인 원예 컴퓨터 멀티미디어 회화교실로 변경 시행하여 작업치료와 연결되는 심리재활 프로그램으로 제공됨

수중운동재활

수중운동재활관은 중추신경계 손상 산재환자의 조기재활을 통한 기능회복 재활사업 중 전문재활 급성기환자의 재활 System 확보 전인재활을 통한 사회참여 산재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임- 대상은 뇌손상 척수손상 골절 및 절단 장애 근육병 스포츠상해 등을 가지고 있

는 지체장애인이며 세부 프로그램에 따라 주 2-3회 1회당 30-50분 11 또는 소그룹이나 대그룹으로 운영됨

- 프로그램은 수중물리치료 수중재활운동으로 구분되어 제공되는데 수중물리치료는 수중에서 적응력 균형유지 불필요한 반응 억제 신체조절능력을 증진시키는 HALLIWICK 치료와 미온의 수중에서 등척성 등장성 등속성 운동을 통하여 중추성 신경손상 등으로 인한 근신경 및 골격근을 재활시키는 BRRM 치료 미온의 수중에서 스트레칭 마사지를 통하여 신체의 근신경계 및 관절의 경직 마비된 신체를 이완시키고 심리적으로 안정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WATSU 치료로 제공되며 수중재활운동은 HALLIWICK 방법 BadRagaz 방법 Aquatic Exercise를 적용하여 정상적인 신체이동 패턴과 근력 지구력 심폐 지구력 유연성 관절가동범위증진 및 향상으로 자세유지 능력향상과 일상생활 동작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공됨

야외운동재활센터

야외운동재활센터는 환자들을 위한 스포츠 시설로서 운동을 통해 환자분들의 재활을 돕고 있으며 탁구장 테니스장 농구장 론볼장을 갖추고 있어 환우 여러분들의 병상생활에 활력을 불어 넣어주고 있는 프로그램임- 프로그램은 흰색 표적구를 먼저 굴려 그 표적구에 목적구를 가까이 붙여 점수를

획득하는 경기로 남녀노소 즐길 수 있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서로 페널티 없이 어울릴 수 있는 론볼 다목적 구장을 이용해 제공하는 농구 테니스 배드민턴 실

- 52 -

내에서 4계절 이용 가능한 탁구 프로그램을 제공함

재활공학서비스 연계

국내에서 유일하게 재활공학연구소와 연계한 종합재활서비스를 제공함 - 다양한 첨단 재활보조기구를 연구 middot 공급하는 재활공학연구소가 병원 내에 위치해

재활치료 후 첨단 보장구 지급 생활적응 훈련(ADL) 및 장애인 보장구 적응훈련(ATAD)의 효율성을 높이고 산재 근로자들이 조기에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도모함

마 일본 국립장애인재활센터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는 병원 연구소 학원 훈련센터로 구성되어 있어서 연구-재활치료-교육-사회복귀가 모두 한 공간에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훈련센터에서는 작업치료부터 직업교육 사회생활 적응교육까지 직업훈련사 1인당 5~6명의 장애인을 전담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약 2년 정도 교육이 진행됨 교육 진행 중 취업이 되는 경우도 많이 있음

직업훈련장에서는 실제 장애인 센터에서 요구되는 세탁 장비 수리 등의 작업을 부여 받아 진행하고 있으며 초기 교육부터 마지막 사회적응과정까지 단계별로 교육을 시행함 직업교육의 직능교육 외에도 직장상사와 잘 지내는 법 직장 동료들과 약속을 지키는 것과 같은 관계에 대한 교육도 함께 이루어짐- 일본의 장애인 직업훈련은 공공직업훈련과 사업주가 행하는 직업훈련으로 구분됨 - 공공직업훈련은 국가 도도부현 및 시정촌에 설치하여 운영함 이들 훈련은 무상훈

련을 원칙으로 하며 훈련수당 등이 지급됨- 사업주가 실시하는 직업훈련은 지방자치단체장의 인정을 받아 실시함 - 일본의 장애인 취업은 후생노동성 산하 공공직업안정소에서 관리함 공공직업안정

소는 장애인 취업알선 및 직업상담과 평가 취업을 위한 지원 취직 후의 사후지도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 일본의 장애인 직업훈련과 관련된 인적자원은 직업훈련지도원(훈련교사)이 주된 인원이며 고용과 관련된 요원은 직업생활상담원 잡코치 장애인 카운슬러 등이 있음

스포츠재활의 경우 재활의학 의사의 운동 처방이 존재함 국립장애인센터 내에 장애인 전용 체육관이 있으며 이곳에서 장애인들이 수영 등 스포츠 활동을 진행함 원칙적으로 국립재활원 주변의 의사들도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처방을 할 수 있고 운동처방을 받은 장애인은 국립재활원 내의 체육관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나 아직 시범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단계임

- 53 -

바 마국 시카고 재활원(RIC Rehabilitation Institute of Chicago)의 LIFE Center

2001년 시카고 재활원 1층에 위치한 LIFE센터는 L학습(Learing) I혁신(Innovation) F가족(Family) E권한(Empowerment)상징함 방문자들은 잡지나 책 그리고 비디오와 같은 많은 정보를 얻기를 원하고 음악감상 예술작품 감상뿐만 아니라 다른 방문객들과의 만남을 원함 LIFE센터는 보호자 자원봉사자 등의 인터뷰를 통한 철저한 필요도 평가에 의해 고안됨 따라서 위 센터는 8개 영역에 따라 조직화됨- 의료정보 (Medical information amp care) 기능장애 피부 대소변 호흡 그리고

다른 일상생활활동에 대해 교육제공- 간병과 보조기기 (Caregiving amp equipment) 간병인 적합한 기기 그리고 보조기

기의 정보제공 연계- 가정과 교통수단 (Housing amp Transportation) 집의 접근방법 가정간호를 위한

주정부 정보제공 연계- 지지와 건강관리 (Support amp Wellness) 장애인에게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사립 기관- 여가와 레크레이션 (Leisure amp Recreation) 여행 스포츠 예술 댄스 실내외

레크레이션 활동 경험- 재정관리와 법 (Finance amp Law) 장애법 이해- 영감과 희망 (Inspiration amp Hope) 장애를 극복하고 도전적인 삶을 사는 이야기

발견

사 미국 케슬러 재활원 (Kessler Institute for Rehabilitation)의 사회재활

Return-to-Work strategy Services는 고용자와 고용인 그리고 보험회사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되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임- 기능적 역량 평가(Functional Capacity Evaluations FCEs)- 이전 직업의 인지평가(Pre-Vocational Cognitive Evaluations)- 작업상태 평가(Work conditioning)- 인간공학평가(Ergonomic assessments)- 직업재활과 직업가이드 서비스(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Career Guidance

Services)

장애인에게 경쟁력 있는 고용 학교 혹은 자원봉사 하도록 도와주거나 그들에게 사회의 생산적인 일원이 되도록 복돋아줌 위의 결과지향적인 프로그램은

- 54 -

개개인이 실제적인 커리어에 필요한 기술과 전략을 개발하도록 도움- 상담 배경정보 의학적 치유력 교육 및 직업경력 가족관계 개인적인 관심- 직업평가 적성 개성 학업 문제해결능력 조직력 컴퓨터 사무 능력- 직장체험 재활원과 지역사회 병행하며 직장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 커리어 상담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사는 그들의 강점을 인식하도록 도움- 추가 서비스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휠체어 클리닉 운전재활 인지재활

아 호주 Princess Alexandra Hospital (PA Hospital)

ABIOS는 전문가 지역사회기반 재활서비스로 독립성 향상 참여 및 기회제공 적절한 서비스를 통해 뇌손상 장애인과 그들의 가족 및 간병인에게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 통합을 목적을 위해 지원하는 서비스임

외상성 뇌손상 뇌졸중 뇌종양 약물중독 감염 및 질병 산소결핍 알콜middot약물중독 등 후천적 원인에 의한 뇌손상 장애인으로 PHA 퇴원환자 타병원 의뢰환자 기타 재가 장애인 등으로 퀸즈랜드 거주 장애인만 대상이 됨

교육프로그램- 장애인 당사자 가족 간병인 그리고 지역 내 다른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교육을

실시함- 후천적 뇌손상 이해 뇌손상으로 인한 인지적middot행동적 장애 도발적인 행동관리 뇌

손상 장애인 지원을 위한 일반적인 가이드라인 후천적 뇌손상 장애인을 위한 효과적인 생활양식 지원 지역사회 연계 케어 스트레스 사례관리 뇌손상장애인을 위한 목표설정에 관한 주제로 진행됨

STEPS(The Skills To Enable People and Communities)- 뇌졸중 및 뇌손상을 가지고 있는 18~64세 성인과 가족 친구 간병인들과 함께 참

여하고 실제 장애인이 살고 있는 지역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함

- The STEPS Skills Program은 프로그램은 6주간 제공되며 자신을 돌보는 방법 지역사회에서 살아가는 방법 서비스를 받는 방법 등에 대한 지기관리법에 대해 배우며 그룹의 다른 사람들과 경험과 사고를 공유함

- STEPS Network Groups은 지역사회의 지속적인 네트워크가 되며 프로그램의 핵심은 네트워크 구성으로 지원그룹 파트너쉽 등을 형성하며 그룹활동으로 점심 먹기 공원에 소풍가기 모닝차 마시기 패션쇼 경매참여 카드 등 게임하기 볼링

- 55 -

등 레포츠 영화 및 연극보기 시낭송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함

TRP는 재활의 다음 단계로 퀸즐랜드 척수손상병동에 있던 사람들에게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로 대부분의 TRP 프로그램은 4~8주 정도 진행되나 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며 그 이루는 Outreach 서비스로 연계됨- 이동 휠체어 기술 보행 옥외이동기술 등 신체적 기술의 강화 일상생활활동 지

역사회접근 직업 상담 보조기구 운전 및 주택 개조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직업과 직업 전 기술 등에 대해 다룸

척수 손상환자들이 병원 재활에서 지역사회 생활로의 전환을 도와줌으로써 지역사회 재통합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이 있으며 병원으로부터 좀 더 빨리 퇴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줌 프로그램은 전문가들의 다학제적 팀 접근으로 개인의 요구도와 목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며 적극적으로 이러한 프로그램에 가족 파트너 및 친구의 참여를 권장함

SPOT는 기존서비스와의 중복되지 않도록 교육과 상담에 중점을 두며 서비스 내용으로는 스킨케어 보조기구 주택개조 직업 및 교육정보 통증관리 상담과 지원 일상생활활동 관절과 근육문제 자세와 앉기 대소변 관리 다른 관련 건강과 간호문제 등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를 제공함

서비스는 브리즈번에서 200km이내인 경우거나 지역방문의 정규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하는 경우 가정이나 지역방문을 통해 제공되며 또한 전화나 화상회의와 같은 멀티미디어를 사용하여 조언과 교육도 제공됨

장애인에 대한 직접적인 서비스 외에 척수손상에 대한 2차 합병증 예방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장애인 당사자와 주변인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짐 주제는 욕창치료 및 관리 척수손상으로 인한 2차합병증 예방 자세유지 의수족 고령화 등으로 구성됨

- 56 -

자 호주 Royal Rehabilitation centre Sydney

Brain Injury Rehabilitation team(BICRT)- BICRT는 외상성 뇌 손상을 가지고 지역 사회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로 팀원들은 외상성 뇌손상 장애인들이 만족스러운 생활로 돌아가고 독립적인 생활을 격려하며 정서적 사회적 신체적 지적 기능의 수준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도와줌

- 관계(relationships) 건강(health) 학습(learning) 재정(finances) 직장 및 레저 활동(work and leisure)에 관한 지원을 제공함

환자의 의학적 상태에 따라 ldquo재활 밖의 삶(life outside rehab)rdquo을 경험하기 가족과 함께 Transitional Living Unit에 머물도록 장려함 척수손상병동 퇴원 후 프로그램으로 플랫형 공동 주택으로 되어 있으며 3일 동안 지낼 수 있음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체육관 가이드는 지역사회 기반의 헬스 클럽과 피트니스 센터 참석으로 건강 및 피트니스 활동을 추구하기 위한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있는 재활 환자에게 레크리에이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함

홈 기반 재활 서비스 (HBRS)는 북부 시드니 지역 보건 서비스의 거주하고 있으며 최근 부상 또는 질병을 입었거나 받은 수술을 하거나 만성 근골격계 또는 신경학적인 상태의 악화를 경험하신 고객을 대상으로 집중적으로 짧은 기간 가정에서 자신의 재활을 수행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함 환자는 의사나 입원팀에 의해 연계되며 병원 퇴원 전 HBRS 매니저로부터 평가를 받음

운전 평가 및 재활 센터는 장애인이나 의료적 문제가 있는 사람들에게 독립적이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도와줌 DARC는 운전 평가 및 재교육(re-training)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면허를 회복하거나 운전면허 취득을 위해 조언과 도움이 필요한 특별한 요구가 있는 사람들을 지원함

- 57 -

장애인과 그들이 배우자에게 비밀이 보장되는 환경에서 성에 대한 고민과 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배우도록 지원함

변형된 신체상 성에 영향을 주는 감각 이동 대소변 기능에 변화 의사소통문제 여러 가지 성기능의 변화 관계문제 부적절한 성적행동 성에 대한 잘못된 인식 장애 후 다시 시작된 성생활 등 성적 및 성에 대한 고민이 있는 후천적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함

서비스 내용은 성기능 평가 개인의 요구도에 기반한 개별 치료 개별 및 부부상담 장애인과 배우자 부모 및 간병인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전화상담 및 조언 전문가와 지역사회 단체를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작 및 보급 등이 있음

홈페이지 지원

장애와 상관없이 레저 예술 스포츠 레크리에이션 여행 라이프 스타일 등 세계 각지의 개인 단체 및 관련 제품에 대한 필요한 정보가 링크되어 있어 가이드를 제공함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지원 전략

가 재활의료 전달체계 및 사회복귀 연계체계 확립을 위한 국가정책 수립 지원

교육 및 연구 활동을 통한 국가정책 수립 지원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확산을 위하여 권역재활병원 및 재활전문병원의 사회복귀 담당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정 개설

현행 비급여 재활치료서비스의 수가화 기반 마련을 위한 표준 서비스 안 개발- 성재활 언어치료 운동 처방middot상담middot교육- 사회적응훈련치료 사회복귀훈련- 가족상담 보호자교육 환자교육 질병교육

- 58 -

나 서울시 중심 지역사회복귀 지원사업 수행을 통한 확산 모형 개발

직접 포괄적 서비스 제공- 입원재활치료 퇴원 전 사정 외래재활치료 직업훈련 및 사회적응프로그램 지역

사회 자원 확보 및 연계-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서울시 거점보건소와 함께 하는 시범사업 진행 검토

사업모형 확산- 개발된 모형을 권역재활병원 및 거점보건소 등으로 확산 모색

도시형 보건지소를 사회복귀지원프로그램의 지역거점으로 활용- 현재 정부 지원 도시보건지소 5개소 중 일부에서 방문재활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

는 것과 별도로 lsquo서울형 보건지소rsquo를 향후 약 50개소 추가 건립예정임- 보건지소의 역할 중 방문 재활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으나 역할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국립재활원에서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도시형 보건지소의 역할 수립 및 지역 사회 복귀 거점 기관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함

다 사회복귀지원 사업의 효과22)

한국 중증장애인 재활의료이용 현황

2006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로 신규 등록한 장애인의 2005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22) 이 절의 내용은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실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10

참조

- 59 -

진료비 청구내역 자료를 전수 분석하였음

지체장애로 입원한 중증환자의 총재원기간은 578일이었음 지체장애 중 중증이라고 볼 수 있는 척수손상의 경우 미국23)은 2001년 기준 재원기간이 14일로 나타났고 호주24)는 2006년 기준 331일로 나타났음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우리나라의 재원기간이 외국에 비해서는 긴 것으로 나타남

최초입원기간 동안에 소요되는 진료비용은 전체는 약 243만 원 정도가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증의 경우 614만 원 정도가 소요됨 최초입원 에피소드에서 입원횟수는 전체 15회 중증 25회로 장애의 정도가 심한 경우 재원기간도 길어 반복적인 입퇴원이 늘어나는 것으로 판단됨 입원 간격은 전체 139일 중증 113일이었고 건당 재원일은 전체 139일 중증장애 234일로 나타남 중증 장애에서 건당 재원기간도 길고 퇴원 후 입원하는 간격이 짧은 것을 알 수 있음

중증도 환자 수 총재원기간

총진료비용

총입원횟수

입원간격

건당재원일

전체 17345 198 2427985 15 139 139중증 696 578 6144615 25 113 234경증 16649 183 2272614 14 141 135

표 10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지체장애)

(단위 명 일 원 회)

뇌병변장애의 경우 총재원기간이 평균 1008일로 지체장애에 비해 긴 것으로 나타남 특히 중증장애의 총재원기간은 평균 1382일로 4달 이상을 최초입원기간 동안 입원해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이와 같은 결과는 외국과 비교하였을 때 매우 긴 것으로 뇌졸중의 경우 미국25)은 2001년 기준 16일 호주26)는 2006년 기준 280일로 우리나라에 비해 매우 짧은 것으로 나타남

한편 뇌병변장애 최초입원에 들어가는 총진료비용은 전체 1076만원 중증

23) Ottenbager et al Trends in length of stay living setting functional outcome and mortality following

medical rehabilitation JAMA 2004 292(14) 1687-1695

24) Simmonds and Stevermuer The AROC annual report the state of rehabilitation in Australia 2008

Australian Health Review 2008 32(1) 85-110

25) Ottenbager et al Trends in length of stay living setting functional outcome and mortality following

medical rehabilitation JAMA 2004 292(14) 1687-1695

26) Simmonds and Stevermuer The AROC annual report the state of rehabilitation in Australia 2008

Australian Health Review 2008 32(1) 85-110

- 60 -

1451만원으로 초기치료비용이 상당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총 입원횟수는 전체 28회 중증장애 34회였고 최초입원 에피소드 중 입원간격은 전체 76일 중증 71일로 지체장애에 비해 짧았음 한번 입원한 경우 재원기간은 전체는 394일 중증장애는 491일이었음

중증도 환자 수 총재원기간

총진료비용

총입원횟수

입원간격

건당재원일

전체 7325 1008 10760785 28 76 394중증 4430 1382 14507511 34 71 491경증 2895 436 5027454 2 87 245

표 11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뇌병변장애)

(단위 명 일 원 회)

한편 지체장애의 경우 전체 17345명 가운데 9128명이 재입원하여 526의 재입원률을 보임 이 가운데 중증장애 환자는 629가 재입원하였음 척수손상의 경우 미국27)에서 2년 재입원률은 326 10년 재입원률은 52로 나타남 호주28)의 경우 척수손상 환자의 10년 재입원률을 586로 보고하였음 이와 같은 결과와 비교하여 볼 때 우리나라의 재입원률이 외국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재입원 환자의 총재원기간은 전체 179일 중증장애 703일이었음 총진료비용은 전체 159만원 중증장애 643만원이었고 총입원횟수는 전체 19회 중증장애 47회로 중증장애 환자가 재입원횟수가 더 많음을 알 수 있음 재입원 간당 입원일수는 전체 57일 중증장애 168일로 나타남

27) Dersett amp Geraghty Health-related outcomes of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a 10 year

longitudinal study Spinal cord 2008 46 386-391

28) Middleton et al Patterns of morbidity and rehospitalisation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Spinal cord

2004 42 359-367

- 61 -

중증도 환자 수(재입원률)

총재원기간

총진료비용

총입원횟수 입원간격 건당

재원일

전체 9128(526) 179 1588881 19 42 57

중증 438(629) 703 6427675 47 527 168

경증 8690(522) 157 1386598 18 416 52

표 12 재입원 의료이용 현황(지체장애)

(단위 명 일 원 회)

뇌병변장애 환자 7325명 중 뇌병변장애 관련 합병증으로 재입원한 환자는 총 3575명으로 이는 전체의 488를 차지함 중증장애의 경우 553의 재입원률을 보여 지체장애와 마찬가지로 중증에서 높은 재입원률을 보임 미국의 연구들29)30)에 따르면 뇌졸중 환자의 1년 재입원률은 1998-2000년 사이에는 37-47 2000-2001년 사이에는 311로 나왔는데 우리나라와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의 재입원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재입원 환자의 총재원기간은 전체 722일 중증장애 1040일이었음 총진료비용은 전체 546만원 중증장애 789만원이었고 총입원횟수는 전체 25회 중증장애 31회로 중증장애 환자들이 비용도 많이 들고 입원횟수 및 기간도 긺을 알 수 있음 건당 재원일은 전체 222일 중증장애 317일로 나타남

중증도 환자 수(재입원률)

총재원기간

총진료비용

총입원횟수 입원간격 건당

재원일

전체 3575(488) 722 5460980 25 288 222

중증 2451(553) 104 7889880 31 317 317

경증 1124(388) 235 1744217 16 244 76

표 13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뇌병변장애)

(단위 명 일 원 회)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의 반복적인 입퇴원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첫 입원시점부터 3년까지의 입원양상을 분석함 각 환자의 최초입원 시점을 0일로 하고

29) Smith et al Rehospitalization and survival for survival for stroke patients in managed care and

traditional medicare plans Med care 2005 43(9) 902-910

30) Jia et al Multiple system utilization and mortality for veterans with stroke Stroke 2007 38

355-360

- 62 -

3년까지 매일 입원상태를 파악하여 모든 환자의 입퇴원 양상을 파악함

분석결과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 모두 반복적으로 입퇴원하는 양상을 보임 지체장애의 경우 17000여명의 환자 가운데 대부분은 입원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았지만 입원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이용하는 500여명은 입퇴원을 반복적으로 하고 있었음 이러한 모습은 중증에서 보다 두드러졌는데 전체 700여명의 환자 가운데 300여명이 반복적인 입퇴원을 하고 있었음 입원기간은 대략 한 달 정도였고 퇴원과 다음 입원 사이에도 약 한 달의 간격이 존재함

- 63 -

뇌병변장애의 경우 이러한 양상이 더욱 두드러졌음 전체 7000여명 가운데 2000여 명 가량이 반복적인 입퇴원을 하고 있었고 중증장애의 경우 전체 4500여명 가운데 1500여명 이상이 반복적인 입퇴원을 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음

이러한 반복적인 입퇴원은 보험료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 현행 건강보험 수가에서는 재활 환자가 입원한지 15일이 경과하였을 경우 10의 보험

- 64 -

료 삭감이 이루어지고 30일 이후에는 15의 보험료 삭감이 이루어짐 그렇기 때문에 재활서비스를 받아야할 필요가 있는 환자일지라도 한 달 정도 입원하면 의료기관에서 퇴원을 시키게 되고 환자는 다시금 재활서비스를 받기위해 동일 의료기관 혹은 다른 의료기관에 재입원할 수밖에 없음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경우 지역사회 복귀가 지연될 우려가 있음

사회복귀지원 사업을 통한 재원기간 감소 효과

재활의료기관에서 부적절한 재활의료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재활 성과가 불충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반복적인 입원 및 의료비용 증가의 문제가 발생함 서비스 강도가 약할 경우 서비스 제공 기간의 길이와 상관없이 추가적인 의료이용량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음

초기 장애발생 직후부터 의료기관에서 환자에게 적극적인 사회복귀지원 사업을 제공한다면 적절한 재활의료서비스 제공을 통해 보다 많은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의료이용 관련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현재의 불안정한 사회복귀 재정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재정기전의 마련이 필요함 이를 위해 적절한 사회복귀프로그램의 부재로 인하여 발생하는 장기입원 사회복귀 지연으로 야기되는 개인적 사회적 비용을 추계하여 이를 근거로 사회복귀 재정 기전을 확립해 나가야 할 것임

2008년 장애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체 및 뇌병변장애인 의료서비스 미치료율이 지체장애 534 뇌병변장애 180로 나타났음 이들 대부분이 치료해도 나을 것 같지 않거나(지체 364 뇌병변 349) 치료해도 효과가 없다(지체 445 뇌병변 309)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 우리나라의 재활의료서비스가 서비스 대상자에 기대에 못 미치는 수준으로 제공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음

한편 반복적인 입퇴원을 줄이기 위해 표준산정일수를 도입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음 국내 다수의 재활의료 전문가들은 표준산정일수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추산된 일수는 180일로 일본의 보수지불사례와 유사하였음

필요하다 필요하지 않다표준산정일수 필요성 760 240

표 14 표준산정일수 필요성

- 65 -

Mean CV Median표준산정일수 추산 180일 019 180일

표 15 필요하다고 응답한 전문가들의 표준산정일수 추산

라 재원 확보 방안

수가화 모색

현재에도 운동치료 재활사회사업(개인력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문) 등은 수가로 인정되는 항목임 이를 기준으로 성재활 언어치료 운동 처방middot상담middot교육 사회적응훈련치료 middot 사회복귀훈련 방문재활 가족상담 보호자교육 환자교육 질병교육 등에 대한 수가화 방안을 모색

재활전문의료기관 인증기관에 재활수가를 별도로 인정하는 방안

가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재활인증 의료기관

현재 근로복지공단이 주관하여 산재보험재활인증 의료기관을 선정하고 다음과 같은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음- 이학요법료 수가(급여항목)의 20 별도 인정- 시범실시 재활수가 29개 항목 추가 인정 18개 비급여 항목 11개 급여항목 기준

완화 적용- 정기 현지조사 면제 및 재활치료 대상자의 전원 지원 등

- 66 -

인증기관에 대한 평가 항목은 다음과 같음

구분 평가기준 평가내용필수항목 재활전문인력의 충족성 인력구성 부문 평가

평가항목

(100점)

시설 및 장비의 적절성 (50점)

시설구비재활치료장비

재활의료서비스제공체계 (50점)

재활전문인력 다직종간 팀 구성 및 활동내역

(25점)

다직종간 팀 구성 여부팀 단위 평가회의 여부

팀 단위 회의록 작성 및 보관여부재활간호서비스 제공여부

보장구 처방검수 제공 체계

질적 서비스의 제공(25점)

입원시 재활치료 계획 수립여부기능상태 평가 및 정기적 재평가 여부

퇴원전 퇴원계획 수립여부재활치료계획에 환자 또는 보호자 교육 및 설명여부

기타항목

(10점)

권고사항

언어치료사(4점) 임상심리사(4점) 여부

산재근로자 상담공간 보유 여부(2점)

표 16 인증기관 평가 항목

추가인정 재활수가 항목은 다음과 같음

비급여 항목 급여적용 요양급여 적용기준 완화 언어전반진단검사 발음 및 발성검사 체온열 검사 보스톤 사물이름 대기검사 장비를 이용한 근력검사 체외충격파치료(근골격계 질환) 기립경사훈련(단순재활치료) 집단운동치료(단순재활치료) 집단상담치료(단순재활치료) 전산화인지재활치료(전문재활치료) 연하재활 기능적전기자극치료(전문재활치료) 증식치료(사지관절부위 및 척추부위 전문재활치

료) 근육내자극술(단순 전문재활치료) 언어치료(전문재활치료) 수기요법(단순재활치료) 수중운동평가 수중운동치료(11 전문재활치료) 수중운동치료(그룹치료 단순재활치료)

나-610-가 신경학적검사 나-661 도수근력검사 너-771 일상생활동작검사 너-772 수지기능검사 너-773 관절가동범위검사 사-105 맛사지치료 사-116 운동치료 사-130 재활기능치료 사-121 풀치료 사-128-나 재활사회사업(사회사업상담)

표 17 추가인정 재활수가 항목

- 67 -

나 보건복지부의 재활전문병원

보건복지부는 환자구성비율 진료량 필수진료과목 의료인력 및 병상 등의 지정기준을 평가하여 2011년 10개 의료기관을 재활전문병원으로 지정하였음- 국립재활원재활병원- 서울재활병원- 파크사이드재활의학병원- 남산병원- 브래덤기념병원- 유성웰니스요양병원- 카이저병원- 러스크분당병원- 행복한병원- 늘봄재활요양병원

현재 보건복지부의 재활전문병원 지정에 따른 인센티브는 3년 간 lsquo보건복지부 지정 전문병원rsquo 명칭을 사용할 수 있는 것뿐임

향후 보건복지부 지정 재활전문병원에 제한적으로 운동치료 재활사회사업(개인력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문) 성재활 언어치료 운동 처방middot상담middot교육 사회적응훈련치료 middot 사회복귀훈련 방문재활 가족상담 보호자교육 환자교육 질병교육 등에 대한 수가를 별도로 인정하는 방안을 모색

이와 더불어 현재도 인정되고 있는 수가들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현실에 맞게 조정하고 정리하는 것이 필요함

공익기금 활용

가 교통사고 및 보험 관련

미국 버지니아 주 Community rehabilitation program 재정의 15는 CNI trust fund (운전면허취소자가 면허 재취득시 내는 요금)으로 부담함

한국에서도 교통범칙금 일부를 활용할 수 있을 것임- 현재 한국의 자동차교통관리개선특별회계법에는 교통범칙금의 이용에 관한 별도의

규정이 없어 교통범칙금의 20sim25 정도만이 교통관련 예산으로 사용되고 나머지는 일반회계에 편입되면서 대부분 교통과는 무관한 데 사용돼 왔음

- 68 -

또한 민간 보험업체들도 각각 사회공헌기금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이 기금을 활용하는 방안도 모색될 수 있음- 2011년 11월 손해보험협회는 약 200억 원의 기금 조성 계획을 밝혔음 - 생명보험사가 소속된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는 2011년 약 274억 원의 사회공헌

재원을 조성하여 기금을 조성하여 희귀난치성 질환자 지원 자살예방 지원 저소득 치매노인 지원 저출산 해소 및 미숙아 지원 사회적 의인 지원 금융보험교육 및 학술연구활동 지원 사회공익 및 복지활동 소비자 권익증진 기타 대국민 복지 지원 등에 사용해왔음

나 음주 관련

한국 음주문화연구센터는 주류 및 주정 회사가 주류 소비자의 보호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위하여 출연한 재원으로 운영되며 알코올상담센터 등의 활동을 수행함

주류 건강증진부담금 부과된다면 그 일부를 활용할 수 있을 것임

다 담배부담금 일부 활용

국민건강증진법 제25조(기금의 사용등)에 의하면 ldquo보건복지부장관은 기금을 제1항 각호의 사업에 사용함에 있어서 아동middot청소년middot여성middot노인middot장애인 등에 대하여 특별히 배려middot지원할 수 있다rdquo고 규정되어 있음

이러한 규정을 활용하여 담배부담금 일부를 활용할 수 있을 것임

요약 및 소결

다양한 사회복귀 프로그램 중 국립재활원이 중점적으로 추구해야 하는 사업은 병원 기반 사회복귀 지원체계임 - 병원 기반 사회복귀 지원체계는 환자 입원 후 사례관리회의 때부터 시작하여 맞

춤형 사회복귀프로그램 제공 퇴원 전 사정회의와 지역사회 자원 연계 사후관리로 이어지는 일련의 프로그램들임

- 병원 기반 사회복귀 프로그램은 일상생활훈련(실생활 훈련)을 비롯하여 운전교육 컴퓨터 교육 학업(직장) 복귀지원 주택개조 정보 제공 및 연계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멘토링(동료상담) 프로그램 정서적 지원 성재활 지역사회자원 연계 가족지지상담 및 프로그램 법률지원서비스 독립생활체험 활동보조인 이용체험 보조기 평가 및 대여이용체험 등으로 구성됨

- 69 -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 방안 모색을 위해 기존 연구 및 타 기관 사례를 검토하고 현재 국립재활원 사회복귀 지원 현황을 검토하였음 - 그간 국립재활원에서 수행해 온 사회복귀프로그램은 주간재활센터프로그램 등으로

일상생활훈련 운전교육 직업 및 학업복귀 사회참여활동 및 지역자원 연계 독립생활체험 재활스포츠 활동 성재활 상담 음악치료 치료레크리에이션 실생활재활치료 가족프로그램 등의 사업을 수행하였음

- 조직개편 이후 신설된 사회복귀지원과에서도 일상생활훈련 의료지원 및 상담 정보제공 운동 운전교욱 사회체험 직업적응 취미활동 등의 사업을 수행해왔음

- 국내 일부 재활병원과 산재병원에서도 유사한 사회재활프로그램과 환자 및 보호자 지원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음

-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는 병원 연구소 학원 훈련센터로 구성되어 있어서 연구-재활치료-교육-사회복귀가 모두 한 공간에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성이 있음 그 외 미국 및 호주 재활병원의 사회복귀지원프로그램들을 검토하였음

이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지원 전략은 다음과 같음- 재활의료 전달체계 및 사회복귀 연계체계 확립을 위한 국가정책 수립 지원으로

교육 및 연구 활동과 성재활 운동처방 등 현행 비급여 재활치료서비스의 수가화 기반 마련을 위한 표준 서비스 안을 개발함

- 서울시 중심 지역사회복귀 지원사업 수행을 통한 확산 모형 개발로 입원재활치료 퇴원 전 사정 외래재활치료 직업훈련 및 사회적응프로그램 지역사회 자원 확보 및 연계직접 포괄적 서비스 제공하면서 개발된 모형을 권역재활병원 및 거점보건소 등으로 확산시킴

- 사회복귀 지원을 통해 부적저한 재활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발생하는 불충분한 재활 성과와 반복적인 입원 및 의료비용의 증가문제를 줄일 수 있음

- 초기 장애발생 직후부터 의료기관에서 환자에게 적극적인 사회복귀지원 사업을 제공한다면 적절한 재활의료서비스 제공을 통해 보다 많은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의료이용 관련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사회복귀 지원 사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재원 확보 방안은 다음의 방법들을 고려할 수 있음- 현재 수가로 인정받는 운동치료 재활사회사업(개인력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

문) 등을 기준으로 성재활 언어치료 운동 처방middot상담middot교육 사회적응훈련치료 middot 사회복귀훈련 방문재활 가족상담 보호자교육 환자교육 질병교육 등에 대한 수가화 방안을 모색

-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재활인증 의료기관 수가 지원을 참고하여 보건복지부의 재활전문병원 지정에 따른 인센티브로서 별도 수가 인정 방안 모색

- 70 -

- 교통범칙금 민간 보험업체들의 사회공헌기금 등 교통사고 및 보험관련 기금들을 활용하는 방안 모색

- 담배 및 주류로 인한 건강증진부담금 일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

- 71 -

제4장 (가칭)장애인재활교육훈련시설(체육관) 운영 방안

개요

국제연합(UN)에 의하면 21세기의 특징은 아래와 같음 - 첫째 인구지진(Age-quake)으로 저출산고령화라는 인구학적 변화가 사회 경제

문화는 물론 보건의료체계에 개혁적인 변화를 요구- 둘째 만성 비전염성 질환 증가로 건강관리 체계를 기존 치료(cure)에서 관리

(care)로의 변화를 요구

이를 종합해 보면 현 시대는 인구수는 증가하지 않으면서 평균 수명은 증가하고 각 종 만성 퇴행성 질환으로 건강 수명(Disability-adjusted life expectancy)은 오히려 감소하는 시대적 특징을 대변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음

따라서 21세기를 사는 현대인들은 인간의 꿈이라 할 수 있는 건강 장수를 위해 건강 수명 증가를 위한 국민 개인의 노력이 필요한 실정임

이에 부응 하여 우리나라에서도 과거 그 어느 때 보다도 많은 사람들이 규칙적 운동(체육 스포츠 포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제로 일상에서 개인의 건강관리를 위해 각 종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음

신체활동을 하는 사람이 다르면 사람마다 신체활동의 목표가 다르듯 운동의 방법 즉 체육 스포츠의 형태 및 활동량도 다를 수 있으며 특히 각종 만성퇴행성 질환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달라야 할 것임

지체 장애 및 뇌병변 장애로 신체 기능의 제한이 있는 장애인들의 경우 재활 치료 외에 본인에게 적합한 운동에 대한 정보를 얻기 힘든 것이 현재 실정임

노령 인구 뿐 아니라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경우 심장마비(심근 경색 심정지) 및 각 종 근골격계 손상(염좌 낙상 골절 등)이 더 쉽게 발생 할 수 있어 이에 대한 방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

그러므로 고령화가 지속되고 만성질환 유병률이 증가되고 있는 시대적 상황에서 건강 수명 증가를 목적으로 체육 및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람들(일정 수준의 만성질환 위험인자 보유자 및 질환자)은 기본적으로 본인의

- 72 -

건강도(medical condition)와 기능적 능력(functional abilties) 들이 평가된 후 실행가능성(feasibilty)과 효과성(efficacy)이 검증된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함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중에 안정 시에 나타나지 않았던 내재된 심혈관계 관련 이상 증상 및 징후를 조기발견하거나 추적관찰하는 것도 안전하고 지속적인 프로그램 참여를 위해 필요함

따라서 국립재활원 장애인 건강증진센터에서는 원내 입원한 환자들 및 지역사회 장애인(만성질환 위험인자 보유자 및 질환자 장애인)을 대상으로 개인별 운동 목적에 부합되는 운동 프로그램을 체계적이고 개별적으로 처방 및 지도관리하기 위해 운동 처방 시스템을 운영하고자 함

필요성 및 현황

가 필요성

현재 우리나라의 평균수명은 786세인 반면 건강수명은 686세로 평균 수명은 과거 그 어느 때보다도 증가되었으나 건강 수명은 평균 수명 보다 무려 10여년이나 짧게 나타나고 있음(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31)

이는 국가의 의료비 부담은 물론 국민의 삶의 질에 막대한 문제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이와 같은 시대적 특성은 국가는 물론 국민 모두에게 보다 적극적인 대처 방안의 모색을 요구하고 있음

여러 가지 방안 중에서 규칙적인 운동의 실천은 개인의 의료비 절감과 건강 수명 연장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으로 잘 알려져 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국민의 운동 실천율은 선진국 보다 매우 낮은 수준인 341(예 미국 55)로 나타나 있음(보건복지부 2006)32)

건강관리를 위해 일정 수준의 운동을 실천하지 않는 운동 부족으로 인한 비용은 총 건강관리 비용의 약 6를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전 세계적으로 1900만 명의 사망 원인이 되는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또한 운동 부족은 각종 만성 질환(심혈관질환 허혈성 뇌졸중 제 2형 당뇨병 결장암 및 유방암

31) 건강수명의 사회계층간 형평성 및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32) 새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수립 보건복지부 2006

- 73 -

등)의 독립적 주요 위험 인자이며 더불어 비만이나 낙상 및 정신 건강 등의 다른 건강 수준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규칙적인 운동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률을 감소시키고 심혈관 질환 대장암 및 제 2형 당뇨병 고혈압 비만 등을 예방 및 개선시키며 골다공증 예방 및 감소와 그에 따른 골절 위험 감소 요통 통증 완화 등의 근골격계 건강을 유지향상시킴(Astrand PO 등 2003)33)

운동은 심리적 효과(심리적 안녕감 증진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 감소) 고 위험 행위(흡연 음주 약불 복용 건강하지 못한 식이 폭력) 예방 및 조절이라는 효과 또한 갖고 있음 또한 그 어느 건강관리를 위한 중재 방안에서도 얻을 수 없는 건강관리에 가장 중요한 독립적 기능 수행 능력을 유지향상시킬 수 있어 질적 수명 향상에도 효과가 있음

그러므로 고령화 속도 세계 1위이면서 각 종 만성질환 유병률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시대적 특성을 고려해 볼 때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건강관리 방안은 운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스스로 규칙적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음

위와 같은 운동의 중요성에 따라 국립재활원은 건강증진센터를 소외되기 쉬운 장애인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운영하고자 함- 첫째 재활병원 내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용이하여 원내 입원 환자와 지역 사회 장

애인들이 입원초기부터 신체기능 향상을 위한 재활치료와 더불어 심폐기능 등의 기초체력 향상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이 병행가능하게 되어 규칙적인 운동을 위한 동기화를 촉진함

- 둘째 의료진 및 전문 치료사 특수 체육 교사에 의한 운동 프로그램을 처방 및 지속적인 지도를 받음으로써 안전하고 효과적인 체육활동을 가능하게 함

- 셋째 개인의 신체활동 상태 및 진행 사항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실시간으로 운동 정도를 조절하고 관리 할 수 있음

- 넷째 등록된 의료기관에 수집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진료 시 필요한 개인별 건강생활습관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어 의료비 절감과 효과적인 진료서비스를 제공 가능함

- 다섯째 국립재활체육센터에서도 개인별 자료를 확인 할 수 있으므로 체육 지도자 및 개인이 보다 안전하고 목적에 부합되는 운동을 할 수 있어 참여자들이 개인의

33) Metabolism during Exercise ndash Energy Expenditure and Hormonal Change Astrand PO Michael

Kjaer Michael Krogsgaard Peter Magnusson Lars Engebretsen etc 2003

- 74 -

건강관리에 대한 안정감과 자신감을 갖고 동시에 일상에서 웰빙감과 개선된 삶의 질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질적 수명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

나 운영 목적

장애인 건강 증진 센터에 등록된 장애인들에게 개인별 신체병력 자료를 기초로 심폐기능 및 지구력 등의 운동 기능 검사 및 건강 체력 수준을 평가하여 이를 기반으로 과학적으로 검증되고 수요자에게 안전하고 선호하는 실행 가능하고 효과성 있는 운동 프로그램을 처방하여 퇴원이후에 자가 건강관리가 가능하도록 함

일정 기간(3~6 개월) 재활체육을 처방 및 지도하여 운동 프로그램을 경험한 참여자에게 스스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을 지속적으로 유지 및 관리하도록 함

다 현황

일반현황

장애인을 위한 체육 시설은 전국적으로 22개소로 이는 비장애인 체육시설의 0044 수준임

일반체육 시설 내 장애인 활용을 위한 편의시설이 미흡하며 프로그램도 부재함

시설 운영비 문제로 장애인 체육시설 조차 장애인 이용 극도로 제한적임

한계점

일반 체육시설에 있어 장애인 이용 편의 설비 규정 부재 체육시설의 설치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관련 항목 부재

장애인 체육시설의 경우 예산 부족을 이유로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수익사업에 치중

시설 내 장애인체육 프로그램 비활성화

- 75 -

국립재활원 건강증진센터 운영 현황 년 월

병원동 신관 2층 심폐재활실에서 운영

운동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 보유

장 비 명 용 도 수 량운동검사기 트레드밀 운동 장비 트레드밀

각력계 (Cybex) 상ㆍ하지용

체간용

심ㆍ폐 지구력 측정 및 평가용

심ㆍ폐 지구력 증진용

근력 측정 및 평가용

2 대

1 대

2 대1 대

표 18 장비 목록

필요시 타 부서 소속의 장비를 임대하여 사용

장 비 명 (소속) 용 도 수 량운동 장비

트레드밀 (연구소) 스텝퍼 (연구소)

Ergometer (신관 병동)체지방 측정기 (검사실)

응급치료장비 (병동) 수동 제세동기 이송용 침대 응급 키트

심ㆍ폐 지구력 증진용

체지방량 측정 및 평가용응급상황 처치용

1대1대3대1대

1대1대1대

표 19 임시 장비 목록

운영 인력은 4인으로 구성

직 위 인 원 업 무 재활의학과 전문의

물리치료사

간호사

2 인

1 인

1 인

운동부하 검사 처방 및 결과 분석개인별 운동 상담개인별 운동 처방

근력 평가 및 운동부하검사 시행심폐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 지도

근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운동 지도체지방 측정

운동 검사 및 운동 지도 보조심폐 소생술 교육 보조

표 20 인력 현황

- 76 -

운영방법

대상자- 입원 환자- 뇌병변 환자 - 고관절 굴근과 신근 및 무릎관절 신근의 근력이 근력등급 3이상- 동적 균형 조절능력이 양호- 보행 동작이 독립적으로 가능 (보조기 사용 여부와 무관)- 인지 기능 양호(간이정신진단 검사 점수gt19)하며 의사소통이 원활한 자 - 운동부하검사의 금기사항이 없는 자 (미국 스포츠 의학회 지침에 의거)

검사 및 처방 시행 운영 방법- 운동 부하 검사 주 2회 (화목 오후)- 한 명의 환자에게 심폐부하검사와 근력 검사를 시행한 후 그 결과를 근거로 운동

처방- 한 주기동안 운동이 가능한 환자 대상- 종합적 체력 단련 방식(circuit training) 총 40분 혹은 60분- 등속성 근력 운동(CYBEX) + 트레드밀 보행 + 에르고미터 (상ㆍ하지) 운동을 통합

하여 한 주기로 만들어 시행

운동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신체병력 상태에 따라 차등 적용

주 2회 (60분회) - 화 목 주 3회 (40분회) - 월 수 금대상자

구성

기간

중위험군 저위험군(비혈관성 뇌병변 질환)

Cybex 15-20분

(8-12회 반복 8-10세트)고정형 자전거 15분

트레드밀 20분

6주 (총 12회)

고위험군(혈관성 뇌병변 질환 위주)

Cybex 15-20분

(8-12회 반복 8-10세트)고정형 자전거 15분 혹은트레드밀 15분 중 택 1

6주 (총 18회)

표 21 운동 프로그램

심폐재활실의 운영 대상- 입원 환자 적용 범위 확대 뇌병변 장애인 척수 손상 장애인 지체 장애인 - 국립재활체육센터 방문자 중 의료진의 일차 면담을 통하여 심폐 기능 평가 및 근

력 평가 등 운동 부하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자

- 77 -

현재 소유 혹은 임대하고 있는 장비만으로는 장애인 개개인의 운동능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추가적인 장비가 필요

이용 목적 업무 필요 장비

심폐 재활실

입원환자의 운동 처방 및 운동 프로그램 운영운동 검사 및 건강 체력 수준 평가

심ㆍ폐 지구력 측정 및 평가 및 근력 측정 모니터링하에 운동 프로그램 운영 국립재활체육센터와 연계

운동검사기 심ㆍ폐 지구력 측정 및 평가용 - 트레드밀 - 정지형 자전거  - 휠체어 트레드밀 악력계 근력 측정 및 평가용(전완) 배근력계근력 측정 및 평가용(체간) 각력계근력 측정 및 평가용(하지) 윗몸일으키기계 근지구력 측정 및 평가용(체간) 팔굽혀펴기계 근지구력 측정 및 평가용(상완) 체지방 측정기 체지방량 측정 및 평가용 체전굴계유연성 측정 및 평가용 평형성 측정기평형성 측정 및 평가용 기타 장비 자동 제세동기 응급 키드 환자 이동용 침대 체중계

표 22 추가 필요 장비

현재 있는 인력이외에 추가적인 인력이 필요- 근력 평가 및 운동 지도 1명- 심폐 기능 검사 및 운동 모니터링 1명

타기관 운영 사례

가 국내 스포츠 센터

상계백병원 심장재활센터

진료과 재활의학과

인력 재활의학과 전문의(1명) 전공의(1명) 간호사(2명) 치료사(1명)- 주중 운동부하 검사와 개별 환자운동은 상시 운영(상주 인원 간호사 1명 치료사

1명)되며 수금(오전)에는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개별 진료 및 상담하고 재활의학과 전공의 1명과 간호사 1명 업무지원

- 진료내용 운동부하 검사 시행 운동처방 개별운동 시행

- 78 -

운영 현황- 검사 혹은 운동 시 발생할 수 있는 응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시

설 구비- 근무 인력의 업무 분담으로 보다 많은 환자의 수용(평가(간호사 1인)와 개별운동

모니터(치료사 1인))- 개별운동 환자를 위한 서비스(개별 운동복과 운동화 비치 탈의실과 샤워실 구비)

타과 환자의 재활프로그램 운영- 의뢰에 따라 운동부하검사 실시 rarr 결과에 맞춘 운동처방 rarr 처방에 따른 개별운동

지도(6주) rarr 6주 후 재평가(환자에 따라 3개월 6개월 1년 후 정기적인 검사 시행)

운동 프로그램 구성- 본격적인 개별운동 전후의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매트에서 환자 스스로 자율운동

으로 시작하여 일반적으로 트레드밀 운동(12분~16분)과 에르고미터(10분~12분)운동으로 이루어지고 소요시간은 준비운동정리운동 포함하여 일회당 대략 40분 정도이고 비용은 2만5천원회

- 운동 중 심박수와 심전도를 모니터할 수 있는 장비를 착용하고 운동시행

서울아산병원 스포츠건강의학센터

- 79 -

정형외과에서 운영

인력 정형외과 전문의 등 스포츠의학 관련 의사(7명) 운동지도사(11명) 간호사(1명)- 병원 내에 검사 및 운동 지도하는 스포츠건강의학센터 병동 내에 관절 수술 전후

의 입원 중인 환자에게 검사와 운동을 시행하는 병동 내 센터 지속적인 운동과 관리를 원하는 외래 환자를 위한 스포츠센터 등으로 운영

- 진료내용 다양한 질환에 맞는 운동부하검사근력균형감각유연성 등 전반적인 체력검사 시행 운동처방 운동지도(병동 내 센터) 및 개별운동(병동 외 스포츠센터) 으로 진행

운영 현황- 응급상황에 대비한 응급의료장비 설치- 근무 인력의 업무 분담으로 보다 많은 환자의 수용(코디네이터(간호사 1인)와 운동

교육 및 개별운동(운동지도사 11인))

개별운동 환자를 위한 서비스(개별운동복과 운동화 비치 탈의실과 샤워실 구비)

환자의뢰에 따라 필요한 검사 실시 rarr 결과에 맞춘 운동처방 rarr 처방에 따른 개별운동지도(1일 지도 2주 1개월 그 이상)

스포츠건강의학센터 내에서는 심박수와 심전도를 모니터할 수 있는 장비 착용 후 운동시행

11로 질환에 맞는 운동방법지도 후 종료하는 경우도 있음(비용- 4만 8천원)

지속적인 운동을 원하는 경우 의사의 처방 하에 스포츠센터에서 자유로이 운동 가능(비용-월 20여 만원)

삼성서울병원 스포츠 의학 센터

진료과 스포츠의학과 심장내과 (심장재활팀과 연계)

인력 스포츠 의학 전문의 운동지도사 간호사

진료내용 건강검진 혹은 심장질환자에 대한 심폐부하검사와 몸통과 팔다리의 근력 및 균형감각유연성 등 전반적인 운동능력평가 시행 스포츠의학 전문의

- 80 -

와의 상담을 거쳐 운동처방을 받은 후 운동지도사의 지도하에 개별 혹은 단체 운동 수행

운영 현황- 응급상황에 대비한 의료인(내과의사 간호사) 배치 및 응급의료장비 설치- 시간별 개별 업무 내용이 나누어짐(일반 환자 심폐능력 평가시간과 심장질환 혹은

타 혈관질환의 평가시간을 다르게 배정)- 심혈관계 환자의 평가 혹은 운동시간에는 심전도와 맥박 텔레모니터링 체계하에

시행- 운동은 스트레칭과 걷기 운동으로 시작하여 트레드밀 싸이클을 시행한 후 마무리

운동- 개별운동복과 운동화 비치 탈의실과 샤워실 구비- 정기적으로 심폐기능 평가 시행 후 전후 비교

고양시 재활스포츠센터

체육관 운영 현황- 운영 201011월~- 연면적 585294(지하 2층 지상 3층) 건축면적 237589

주요시설현황- 3층 관람석- 2층 체육관(97565) 다목적실(123실 9752)- 1층 헬스장(25823) 접수안내실 매점 사무실- 지하1층 수영장 쉼터- 지하2층 기계실 등

운영 인력 총 57명(정규직26 강사31)

구분 센터장 팀장특수체육교사

헬스트레이너

수영교사

사무원

안내원

전기기사

운전기사

탈의실보조

경비 청소 계

정규직 1 3 3 2 8 2 2 2 3 - - 26

강사 - - 4 5 13 2 - - - 4 3 31

표 23 고양시 재활스포츠센터 인력구성

- 81 -

운영 예산 19억원(시 지원 50)

체육장비 보유금액 7억(수영용품 196백만원 포함) 사무용비품 9천5백 일반비품 5천5백 등 별도

운영방법- 운영시간 매일 운영(오전9시 ~ 오후9시)- 이용료 장애인은 비장애인의 50- 운영방식

① 11(강사 장애인) 프로그램 운영 자폐성장애인 뇌병변장애인 ② 그룹지도 지체 및 지적 장애인은 4명에 강사 1인

이용 현황 장애인 50 비장애인 50- 일일평균이용인원(900여명)

일일평균 장애인 이용률 체력단련실 다목적체육관 230명

다양한 장애인 체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재활체육프로그램

구분 프로그램 대 상 시 간 요 일 회 비(원)

체육관

재활농구지적장애 초등부 1030~1200 토

48000지적장애 중ㆍ고등부 0900~1030 토

재활운동 성인 1100~1150 월 수 금 20000

헬스장 재활헬스 성인청소년

0600~2100 월~금20000

0800~1700 토일일입장 월~토 2000

재활체육실

특수체육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A B F반)

1500~1550월 수 560001600~1650

1600~165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청소년성인 1700~1830 월 수 9600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청소년 1700~1750 월 수 5600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

1500~1550화 목 560001600~1650

1700~175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청소년 1630~1800 화 목 96000

표 24 재활 체육 프로그램 목록

- 82 -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무료

- 생활체육프로그램

부산시설공단 한마음스포츠센터

체육관 운영 현황- 운영 20071227~- 연면적 77081(지하 1층 지상 4층)- 주요시설현황

① 4층 조깅트랙(130m) ② 3층 체육관(배드민턴 농구대 배구대 샤워실) ③ 2층 헬스장 ④ 1층 수영장 에어로빅실 안내데스크 관리사무실 휠체어 무상수리센터 ⑤ 지하1층 주차장

운영인력은 총 59명(정규직8 무기계약직13 강사38)으로 세부인원은 아래와 같음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성인 1800~1930 화 목 9600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 주1회 2800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청소년 주2회 56000

특수체육(인라인스케이트)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아동청소년

1500~1600

금 400001600~1700

1700~1800

특수체육(태권도) 지적장애 청소년성인 1300~1400 화 금 80000

프로그램 대 상 시 간 요 일 회 비탁구 장애인 1100~1800 월 수 금

상담 후 결정

휠체어 럭비지체성인

1300~1600 화 목죄식 배구 1500~1800 일

휠체어 댄스스포츠 1800~2000 월휠체어 농구 지체성인(여자) 1700~2000 수 금

농구 지적성인 1000~1200 화 목청각장애성인 1000~1200 수

보치아 뇌병변 청소년성인 1300~1500 수1300~1500 금

골볼 시각장애성인 1500~1700 금

표 25 생활체육프로그램 목록

- 83 -

① 정규직(8) 파트장 행정3 시설4 ② 무기계약직(13) 안내4 트레이너 9 ③ 강사(38) 체육관 27 수영11

수입금 실적현황 1065백만원(입장료 1053백만원 시설사용료 11백만원 잡수입 1백만원)

운영시간 및 방식은 아래와 같음- 운영시간 월~토(9시 ~ 22시)- 이용료 장애인은 비장애인의 50

시조례 기준 20년전 기준 유지

- 운영방식 장애인 10명당 강사 2명 기준 운영- 이용 현황 장애인 38 비장애인 62

① 일일평균이용인원(600명) 장애인 240명 비장애인 360명

다양한 장애인 체육프로그램을 운영

프로그램 대 상 교육일 시 간 교육비 장소

건강헬스 청소년 월~토 0600~2200 19250성인 22000

한마음배드민턴교실(A B C D반)

성인(복지카드소지자) 월 수 금

0600~07300730~09001900~20302030~2200

15000

체육관(3층)

휠체어 배드민턴 장애인 화 목 토 1100~1200 13750

어린이체육교실 6세~초등생(발달 지체) 화 목 1400~1500 9200

김동수의 신나는 체육교실

청소년(복지카드소지자) 수 0930~1130 9200

청소년 체육교실(A B반)

청소년(발달 지체)

월수금1600~1700 13750화목금

HㆍM 배드민턴 지적장애(선수양성) 월~금 1600~1800 46000

청소년 인라인교실 청소년(발달 지체) 화 목 1800~1900 20000

탁구(5개반)

청소년 성인(비장애인등록가능) 월~금

0900~10001000~11001100~12001800~19001900~2000

17500(비장애인35000) 탁구

교실한마음탁구 발달ㆍ지적장애 월수금 1500~1600 13750

어린이탁구AB 초등부 월수금 1600~17001700~1800

13750(비장애인 27500)

표 26 부산시설공단 한마음스포츠센터 장애인 프로그램

- 84 -

나 해외 사례 ndash 장애인 스포츠 센터 중심으로

일본 개 시설

- 85 -

도 시 명 시 설 명 시 찰 사 유

오사카(大阪)

마이시마 장애인

스포츠센터

체육관 수영장 호텔 등 운영 타켓 골프rdquo 프로그램 운영 - 실내에서 장애인 및 노약자가 큰 체력소모 없이 유희놀이로 할 수 있음 클럽 및 동호회운영 실내수영장에서는 ldquo스쿠버다이빙rdquo 및 ldquo카누rdquo 프로그램 운영 유도장 및 에어로빅실 평상시는 장애아동 놀이방으로 활용 연회장은 가라오케 기능 겸용 모든 근무자는 유니폼(츄리닝) 착용 인력 운영 - 직원 80명 중 일일 50명씩 교대 근무 - 자원봉사원은 평상시에는 없고 행사시에만 활용 운영비 확보 - 운영비 년간 58억원 - 재 원 전액 오사카 시부 부담 - 수입금 전액 오사카 시에 귀속 오사카 지역민은 무료 타 지역민은 유료

도쿄(東京)

도쿄국립재활원

3만여평의 부지에 각종 시설 완비 노동(장애인고용촉진)+보건(재활병원)+교육 (직업재활시설)+체육(운동시설) 등의 일체화된 종합시설임 체육시설과 연수시설의 연계 프로그램 운영 재활원에서는 스포츠를 다음과 같이 기능면으로 분류하여 활용하고 있음 - 재활체육 신체장애자의 사회복귀를 위한 준비체육 - 일반체육 신체장애의 요소가 있는 자(병원 입원자 포함)를 위한 체육 재활훈련은 단기 1년에서 장기 5년의 기간으로 시행 스포츠동호회 지원은 기록향상보다는 단순 재활활동 지원에 목적이 있음 이용현황은 - 병원 정원 200명 평균 이용자는 일일 160명 - 숙소 정원 550명 평균 이용자는 일일 350명 장애인 또는 장애인시설 종사자 및 연수생 입소 직원현황은 - 정 규 직 320명 - 비정규직 100명 - 기 타 설비보수직 위탁직(청소 조경 등) 숙소 (4인실기준 4층 규모 2개동) - 시설이용료 ¥32000 1개월 단 영세민(후생연금자)는 무료 운영비 - 운영비는 전액 국고로 지원 약 ¥50억 - 수익금은 전액 국고에 귀속 약 ¥10~15억

요코하마(橫浜)

라포르 장애인

스포츠시설

최신 시설이며 규모가 큼 장애인용 극장 및 영상시설에 대한 시설 설비 및 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조사 등록절차 이용 희망자는 상담실에서 체육지도자와 상담하여 운동종 목을 선정한 후 등록카드를 발급 받은 후 이용 이용료 장애인은 무료 일반인은 ¥500 볼링은 장애인 ¥200 일반인 ¥400 추가

- 86 -

독일 개 시설

도 시 명 시 설 명 시 찰 사 유

도이스버그

도이스버그장애인종합시설

제1 체육관 - 플로어 충격흡수장치가 된 ldquo뉴빙빈rdquo 플로어(리놀리움 바닥) - 방음천막을 이용하여 3등분 구분 사용 가능 - 수납식 관중석 설치 - 좌식배구 각종 실내종목 양궁 제2 체육관 - 플로어 휠체어장애인을 위하여 나무 플로어 설치 - 탁구 휠체어 하키 휠체어 농구 일반인도 휠체어종목을 즐기고 있으며 관련 클럽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 노하우에 의하여 지도력을 갖추게 됨 - 유도 매트는 2면이며 시각장애인용 매트를 설치함 숙소 독일 축구협회 소속 시설로서 노드라인팔레스 축구협회에서 시설을 임대하여 독일 장애인체육회가 운영 중임 운영비 자체 수익금과 축구협회 지원금으로 충당

본 독일장애인체육협회

건립 동기 ldquo바이엘rdquo사가 기업 이윤의 사회환원 차원에서 건립 하였으며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음 운영 목적 레버쿠젠 지역의 비장애인 및 장애인 체육 육성 운영 형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사용을 혼용하여 자체 클럽형 태로 운영 대상 경증장애인 400명이 넘는 일반 육상선수 때문에 휠체어 장애인을 위한 종목 (프로그램)은 없음 운영 종목 좌식배구수영육상시각유도 총 4개 종목만 운영함 클럽내 장애인 분과에서는 학교를 통하여 장애인체육선수를 발굴하고 있음 또한 각종 사업비 조달을 위하여 스폰서 발굴에 노력을 경주함

미국

장애인들의 전용시설인 유타 주의 국립 장애인 레저센터(National Ability Center)와 비장애인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딤플 델 체육 레크리에이션 센터(Dimple Dell Fitness and Recreation Center)등이 있음- 장애인레저센터의 명칭에서도 보이는 것과 같이 장애인 전용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장애라는 단어 대신 능력(ability)라는 단어를 쓰고 있음

장애인 레저센터는 주정부가 부지를 기증하고 주 예산 일부와 후원금으로 건립되었음- 장애인들과 보호자를 위하여 스키 수영 카누 승마 등산 등 전문 레저 스포츠와

그룹캠프 연수 등을 실시- 운동에 필요한 모든 장비와 기구는 대부분 후원에 의해 조달됨

34) 정책보고서-장애인 올림픽 유치를 위한 전문체육 육성방안 이광재 2006

- 87 -

- 운영비 또한 대부분 주정부의 지원과 일반인들의 후원금으로 충당되며 이용료는 장애인들과 보호자 모두에게 실비를 받고 있으며 수익 사업을 위해 기숙사 임대 장애인 교육 레저 교육에 사용함

딤플 델 체육 레크레이션 센터는 미국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체육시설임- 수영장 헬스장 사우나 시설 다용도 체육관 놀이시설 등이 갖추어진 상당한 규

모의 센터이며 장애인들의 이용률이 전체 약 5로 낮으나 장애인들이 사용하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이 모든 시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시설을 갖춤

이 센터는 장애인 생활체육 개념을 모토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됨 장애인 레저센터를 통하여 장애인들이 원하는 스포츠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 한편으로는 일반 체육 시설에서도 장애인들의 이용률이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들이 이용하기에 불편함이 없도록 시설을 갖추어 놓았음 이런 예는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미국의 많은 대학 체육시설에서도 찾아볼 수 있음 미국 대학의 체육시설은 장애인 체육시설을 갖추어놓은 곳이 대부분이어서 미국에서 장애인에 관한 체육대회 등을 개최할 때 별다른 문제 없이 대학의 시설을 빌려서 하는 경우가 많음

재활원의 체육 센터도 이와 같이 국립재활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지 않은 장애인이나 기타 장애인 단체 등에게도 개방하여 장애인들이 원하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해나가야 할 것으로 생각함

향후 운영 계획 국립재활체육센터 프로그램과 연계 중심

가 운영 전략

근거-기반(Evidence-based)의 장애인에게 적절한 운동처방 및 재활체육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실행 가능하고 효과적인 운동을 수행

수혜자 중심(Population-centered)의 재활체육 프로그램 공급을 통하여 활동량 증가와 적절한 생활체육으로의 연결

- 88 -

나 운영 목적

국립 재활원은 장애인 체육을 재활치료 재활 체육 장애인 스포츠로 구분하여 지원하고 있음

공급자 장소 운영비 프로그램

재활치료 의사 처방치료사 치료

병원 물리치료실 작업치료실 등

진료비 의료보험 수가 적용

물리치료 작업치료 열전기 치료 등

재활 체육의사 지도 치료사 및 특수체육교사 교육 및 감독

국립 재활 체육 센터

회비발생(의료 수가 적용되지 않음)

단체 운동 체력강화 트레이닝 유산소 운동 근력 강화 운동 유연성 및 순발력 강화 운동

장애인 스포츠

생활 체육장애인 자발적 참여 장애인 체육회 장애인 스포츠 단체

지역 장애인 스포츠 센터 회비 및 참가비

단체운동 유산소 운동 근력 강화 운동 유연성 및 순발력 강화 운동

엘리트 체육 장애인 체육회 장애인 스포츠 단체

장애인 스포츠 훈련원 선수촌 선수 지원금

종목별 장애인 스포츠 선수 양성 지도자 교육 등

표 27 국립재활원 장애인 체육 지원 구분

재활체육35)은 장애인이 지속적이며 자발적으로 체육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의사의 지도를 받아 전문지도자의 지도아래 그룹 체육활동을 통해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인 총체적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돕는 치료 활동임 재활 치료와 생활 체육의 중간단계의 역할을 함으로서 장애인들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체육활동을 수행하여 더나은 삶의 질을 얻을 수 있도록 함

생활체육36)은 건강과 체력의 증진을 통해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는데 목적을 두고 개인의 일상생활 영역 안에서 각자의 취미와 여건에 다라 여가 시간을 이용해 자발적으로 행해지는 신체적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음 장애인 생활체육37)은 장애인이 인간답게 살 수 있는 기본적 권리로서 운동발달을 촉진하고 기능의 유지 및 회복의 단계를 넘어 체력과 건강의 증진은 물론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건강을 증진하며 삶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활동으로 정의됨

국립재활원 입원 환자 및 지역 사회 장애인을 대상으로 기존의 의사 처방 하

35) 최영순 장애인 재활체육 재활간호학회지 제12권 1호 2009

36) 금창용 생활체육활동 참여 노인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석사 논문

2010

37) 노은이 장애인 생활체육 현황과 과제 서울시정개별연구원 2007

- 89 -

에 치료사가 환자의 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 치료와 더불어 운동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병행하고자 함 이를 통해 장애인들 스스로 더 나은 삶을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신체 활동의 시작인 재활 체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장애인 스포츠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함

다 운영 체계

운영 주체 국립재활원 건강증진센터

역할- 운동처방과 관련된 건강 증진 센터 운영 및 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 - 운동처방 관련 상품 및 장비 개발 및 자문- 운동처방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연구 및 자문- 장애인 전용 특수체육인력 양성 및 지속적 보수 교육 담당 - 재활체육 프로그램 적극적 병행-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지역사회 장애인 스포츠와의 연계

운영 부서 - 심폐재활실 국립재활원 병원동 신관 2층 - 생활 체육관 국립재활체육센터 1층- 재활 체육실 I II 국립재활체육센터 1층

- 90 -

국립재활체육센터 인력 배치 프로그램 및 구성 장비

인 력 이용 목적 업무 필요 장비

생활 체육관

특수체육 지도 2-3명

단체 운동

장애인 스포츠-농구 배구 탁구 보치아 피구 배드민턴 등 필요시 장애인 체육회와 연계

농구대 탁구대 배구 코트 기타 농구공 배구공 탁구공 배드민턴 라켓 보치아 공 보치아 표적구 등

재활 체육실 I

운동 지도 4명

체력강화 트레이닝 근력 증진 운동

심폐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 부위별 근력 운동

심폐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 장비 - 트레드밀 - 정지형 자전거 - 휠체어 트레드밀 - 스텝퍼 부위별 근력 운동 장비 - Leg extension - Leg curl - Leg press - Multi hip - Shoulder press - Arm curl - Abdominal Muscle - Back Muscle 체지방 측정기

재활 체육실 II

코디네이터 1명 운동 지도 2명

유연성과 순발력 증진운동 근력 강화 운동

요가 스트레칭 에어로빅 프리웨이트 스텝박스 근력 증진 장애인 건강증진센터 사무 업무 및 상담실 운영

요가 및 스트레칭용 매트 전신 거울 설치 짐볼 스텝박스 아령 테라밴드 슬링 치료 기구 사무용 가구 및 사무 용품

표 28 국립재활체육센터 인력 프로그램 및 장비

심폐재활실 및 재활체육실 주요 업무- 개인별 운동 상담 - 건강 체력 평가- 운동 기능 평가- 심폐 지구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운동 처방 및 운동 지도- 근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운동 처방 및 운동 지도- 장애인 건강 증진 사업 연계 기관 관련자 교육 - 운영자 운동지도 인력 및 사용

자 대상 - 장애인 건강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 개발 사업 - 운동 전 건강 위험도 평가 프로그램 개발 사업

- 91 -

- 장애유형별 운동 지침 개발 및 보급 - 원내외 관련 기관과 연계- 사회복귀지원과와의 연계로 입원 환자의 원활한 사회복귀 촉진 유도- 지역사회재활추진단과의 연계로 지역 보건소에서의 장애인 건강 프로그램 운영 지원- 권역별 재활병원과의 연계로 병원기반 재활체육 프로그램 활성화 지원

운영 흐름도

일차 면담시 평가 내용- 병력건강습관 질문 (건강 병력 질문지)

- 92 -

- 신체적 활동 준비 질문서 (PAR-Q 형식)

- 의학적건강 검진 ACSM risk stratification

운동 프로그램 참여 전 현재의 의학적 검진과 운동 검사 그리고 운동 검사를 위한 의료 감

독에 대한 ACSM의 권고

낮은 위험요소 중등도 위험요소 높은 위험 요소 A

중등도 운동 필요없음 필요없음 권고고강도 운동 필요없음 권고 권고

B최대하 검사 필요없음 필요없음 권고 최대 검사 필요없음 권고 권고

표 29 ACSM 권고

세부적인 운영 내용은 아래와 같음- 운동 전 검사 및 개인별 운동 처방

개인별 신체활동 목적에 부합되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체계적이고 개별적으로 처 방 및 지도관리하기 위해 건강 체력 검사 및 필요한 경우 운동 부하 검사를 시행 함 그 후 심폐 지구력과 근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운동 처방 및 운동 지도

- 건강 증진 운동 교육 과정 운영 장애인 건강 증진 사업 연계 기관 운영자 운동지도 인력 및 사용자를 대상으로985170장 애인건강증진운동교육과정985171을 운영

- 운동 프로그램 개발 사업 각종 장애별(지체장애 뇌병변 장애 등) 생애주기별(어린이청소년 성인 및 노인 대상) 및 건강 체력 요인별(심폐 지구력 강화용 근력 강화용 낙상 예방용) 운동

- 93 -

프로그램 개발 - 각종 설문지 및 기록지 개발 사업

연구 및 자문을 제공 할 목적으로 개인별 운동실태 운동정서 운동 장애 요인을 파악 할 수 있는 설문지를 개발하고 운동처방 내용 건강 체력실태 및 운동 내용 을 확인 할 수 있는 기록지 개발

- 운동 전 건강 위험도 평가 프로그램 개발 사업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 전에 개인별 건강 상태(예 연령 심혈관 및 폐질환 관련 증 상 및 징후 관상동맥 위험인자 수준 진단된 질환 명)를 근거로 운동검사 필요 유 무 확인 운동 강도(중강도 또는 고강도) 적용 시 또는 운동 검사(최대 하 또는 최 대 운동 검사) 시 의료진 및 장애인 체육 전문가의 감독 권장 여부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도록 함 이를통해 본 사업의 대상자 중 각 종 만성 질환을 갖고 있거나 고령 자인 경우 안전성과 운동 프로그램의 참여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

- 장애별 운동 처방 시스템 구축 주요 대상 장애별로 운동처방 원칙을 시스템화 시키고 운동 중 질환별 특성을 고 려한 주요 모니터링 항목을 포함시켜 환자들이 지역사회에서 운동 처방 수 행시 안전성을 높임 운동처방 시스템 구축에 포함 될 구체적인 내용들로는 질환별 운동 금기 조건 질환 정도 및 기간 약물 처방 여부 및 처방 약물 종류 운동 종 류 및 기간에 따른 약불 투여량 조절 방법 합병증 여부 및 정도에 따른 운동 시 주의 사항 운동 검사 시행 여부 운동 형태 및 운동량 등이 있음

- 장애별 운동 매뉴얼 개발 및 보급 주요 대상 장애인을 위한 운동 매뉴얼을 개발하여 환자들이 주민자치센터 피트니 스 센터 및 가정에서 운동을 할 때 운영자 및 운동 지도자 등록된 일반인들에게 운동 매뉴얼을 보급하기 위한 것임 운동 매뉴얼에는 각 질환의 간단한 특성과 운 동 효과 및 운동 방법 운동 시 주의사항 및 응급 상황에서의 대처 요령(예 심폐 소생술 등) 등이 포함

- 지역 장애인 체육회 연계사업 추진 지역 장애인 체육회와 연계하여 장애인 생활체육 교실 등의 공동프로그램을 적극 개최하여 장애인 체육 전문가의 부족을 메울 수 있도록 하여 일상생활에서도 체육 을 즐길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교육이 가능함 필요시 체육관을 대여하거나 지역 체육회의 장애인 체육 센터로의 지정을 통해 부족한 장애인 체육시설을 보충 가능

- 장애인 체육 활동 실태 조사 전반적인 장애인 체육 활동 실태조사를 통하여 퇴원 후 체육 활동 지속율 지역 사 회 체육 프로그램 이용율 체육 활동시 불편 요인 보완되어야 할 프로그램 내용 등을 파악하여 정책적 제안의 기반 및 체육관 운영방안 설정의 기반을 획득

라 기대 효과

근거-기반 운동 프로그램 수혜자 증가 - 의학적 검사와 기능 평가를 근거로 장애인 개인별 맞춤형 운동처방을 통한 지속적

으로 실행 가능 하고 개인 건강 유지에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 제공- 입원 재활치료와 재활체육 사회재활훈련을 병행 실시함에 따라 선진 사회복귀 모

델 제시 가능 장애인의 조기 퇴원 및 조속한 사회복귀에 긍정적 효과 rarr 장기적인 의료비 절감 효과

- 94 -

- 수혜자 중심의 운동 프로그램 공급(공급자가 아닌 수혜자 위주의 운동 형태 및 운동량을 제공함으로써 운동 지속성 증가)

- 장애인의 건강수명 연장-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 - 장애인 체육시설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 마련

재정 확충 방안

장애인 체육시설은 장애인 엘리트 체육시설을 제외하고 생활체육이나 재활체육을 실현할 수 있는 공간은 부족한 실정임

부족한 장애인 체육시설을 확충해 나가기 위해서는 건립 예정인 국립재활원의 체육관이 합리적이고 이상적인 재정 모델을 개발 및 운영하여 점차 전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 이를 위한 방안은 아래와 같음

가 수가화 모색

현재에도 운동치료 재활사회사업(개인력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문) 등은 수가로 인정되는 항목임 이를 기반으로 의료기관 내의 장애인 체육시설 인증을 통하여 인증된 체육시설에서 의사의 처방 혹은 지도로 시행되는 장애인 체육 활동에 대한 수가화를 모색함

나 공익기금 활용

가 국민체육진흥기금

정부 출연금 광고 사업 수입금 골프장 시설 입장료 부가금 복권기금 등에 의해 조성되는 국민체육 진흥기금은 국민체육진흥법 제22조에 따라 사용이 정해짐

22조 10항에 따라 국민체육진흥기금은 대한장애인체육회을 포함한 생활체육 관련 체육단체와 체육 과학 연구 기관의 운영지원 국민체육시설 확충을 위한 사업에 사용될 수 있음 따라서 국민체육진흥기금을 활용하여 장애인 체육시설을 운영가능 할 것임

국민체육진흥공단에 따르면 2013년 장애인체육 육성 기금은 총 464억이며 이중 장애인 생활체육이 83억 장애인 전문체육이 332억 대한장애인체육회 지원이 49억으로 책정되어있으며 구체적 내역은 아래와 같음

- 95 -

장애인 생활 체육 장애인 전문 체육 장애인 생활체육 34 억 장애인전문체육 61 억

장애인 생활체육대회 20 억 장애인 전국체전 시도 지원 19 억장애인활체육지도자배치 24 억 2013 스폐셜올림픽 지원 68 억시도 주최 생활체육대회 4 억 장애인 종합체육시설 건립 및 운영 115 억

장애인 실업팀 창단 지원 8 억2014 인천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지원 61 억

표 30 2013년 장애인체육 육성 기금 예산안

자료원 국민체육진흥공단 홈페이지

따라서 국립재활원의 체육관 및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국민체육진흥공단의 장애인 체육육성 기금의 활용이 가능할 것임

나 스포츠토토 공익기금

스포츠토토 공익기금은 규정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지정 문화 체육 사업 지원이 가능함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지정할 수 있는 체육 사업에 비인기 운동종목 지원 및 문화예술 취약 분야 육성 사업 그 밖에 체육문화예술 진흥을 위하여 특별히 지원이 필요한 사업 등이 가능함

따라서 이런 교정을 활용하여 스포츠토토 공익기금의 일부도 사용가능 할 것임

다 담배부담금 일부 활용

국민건강증진법 제25조(기금의 사용등)에 의하면 ldquo보건복지부장관은 기금을 제1항 각호의 사업에 사용함에 있어서 아동middot청소년middot여성middot노인middot장애인 등에 대하여 특별히 배려middot지원할 수 있다rdquo고 규정되어 있음

이러한 규정을 활용하여 담배부담금 일부를 체육시설 운영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임

요약 및 결론

현재 국립재활원에 있는 이전 체육관 시설이 없어지고 사회복귀를 중시하는 쪽으로 재활의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신설되는 장애인재활교육훈련시설(체육관)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이 필요함- 운영 목적은 장애인 건강 증진 센터에 등록된 장애인들에게 개인별 신체병력 자료

를 기초로 검사를 통하여 일정 기간(3~6개월) 재활체육을 처방 및 지도하여 운동

- 96 -

프로그램을 경험한 참여자에게 스스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을 지속적으로 유지 및 관리하도록 하는 것임

이를 위해 타기관 운영사례들을 검토하였음- 상계백병원 심장재활센터 아산병원 스포츠 건강의학센터 삼성병원 스포츠 의학

센터 고양시 재활스포츠 센터 부산시 한마음스포츠 센터- 일본 미국 독일의 체육관 운영 사례

이를 통해 운영전략을 설정하였음- 근거-기반(Evidence-based)의 장애인에게 적절한 운동처방 및 재활체육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실행 가능하고 효과적인 운동 수행- 수혜자 중심(Population-centered)의 재활체육 프로그램 공급을 통하여 활동량

증가와 적절한 생활체육으로의 연결- 국립재활원 입원 환자 및 지역 사회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기존의 의사 처방 하에

치료사가 환자의 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 치료와 더불어 운동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병행

체육관 시설을 통한 기대효과는 아래와 같음- 학적 검사와 기능 평가를 근거로 장애인 개인별 맞춤형 운동처방을 통한 지속적으

로 실행 가능 하고 개인 건강 유지에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 제공- 입원 재활치료와 재활체육 사회재활훈련을 병행 실시함에 따라 선진 사회복귀 모

델 제시 가능 장애인의 조기 퇴원 및 조속한 사회복귀에 긍정적 효과 rarr 장기적인 의료비 절감 효과

- 수혜자 중심의 운동 프로그램 공급(공급자가 아닌 수혜자 위주의 운동 형태 및 운동량을 제공함으로써 운동 지속성 증가)

- 장애인의 건강수명 연장-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 - 장애인 체육시설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 마련

부족한 장애인 체육시설을 효과적으로 확충시키기 위해서는 현재 시행하려는 국립재활원의 체육관이 장애인 체육시설의 효과적인 재정 운영 방안 모델을 수립 운영하여 전국으로 모델을 퍼뜨릴 수 있도록 해야함 이를 위한 방안은 아래와 같음- 장애인 체육시설 인증을 통한 재활 체육의 수가화를 모색- 국민체육진흥기금 스포츠토토 공익기금 등의 공익기금들을 활용하는 방안 모색- 담배 등으로 인한 건강증진부담금 일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

- 97 -

제5장 재활교육체계 구축 방안

국립재활원 교육현황

가 국립재활원 교육 체계

현재 국립재활원은 총무과 장애인운전지원과 교육홍보과 등 3개 과 재활병원부 내에 15개 과 그리고 재활연구소 내에 3개 과로 구성되어 있음

이 중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부서는 총무과 간호과 교육홍보과 사회복귀지원과 공공재활의료지원과 장애인운전지원과 등 6개 과와 재활연구소임

나 2012년 국립재활원 교육현황 조사

조사 대상

2012년 동안 내부 직원 혹은 외부 인력에 대한 재활교육을 수행해왔던 총무과 간호과 교육홍보과 사회복귀지원과 공공재활의료지원과 장애인운전지

- 98 -

원과 등 6개 과와 재활연구소를 조사 대상으로 하였음

QI실은 과정 내용이 본 연구의 범위에서 벗어났고 장애예방사업은 대국민 교육을 중심으로 하고 있기에 조사 대상에서 제외하였음

공공재활의료지원과는 교육과정만 제공하고 프로그램은 제공하지 않았음

조사 내용

조사 내용은 2012년 동안 해당 과 혹은 연구소가 내부 직원 혹은 외부 직원을 대상으로 수행한 교육들의 다음과 같은 내용들임- 교육과정- 교육프로그램- 연간교육경험자(재활원 내외)- 직종별 교육경험자- 유료교육 여부- 법적 보수교육 인정여부- 교육과정 단계 여부- 연간 교육횟수- 강사구성- 연간 총 소요예산- 국립재활원 외부지원 예산

교육과정 및 교육프로그램은 진행 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분류하였음- 공공재활(정책)-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인원 측면에서 연간 교육경험자는 교육과정별 참석인원에 교육횟수를 곱한 연인원으로 계산하였고 직종별 교육경험자 수 중 의사는 정규직 전공의 공중보건의사를 포함한 것임

교육프로그램을 수행한 경우 커리큘럼을 별도로 제공 받았음

- 99 -

조사 결과

가 일반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총 교육과정은 27과정이었고 총 프로그램 수는 138 프로그램이었음 그리고 총 교육시간(순환 교육과정의 경우 횟수를 곱하여 산출함)은 467시간이었음

교육내용별로는 사회복귀 임상재활 분야가 전체 교육시간의 81를 차지하고 있음

2012년 조사 시점까지 총 교육경험자 수는 4667명으로 내부 직원이 2732명이었고 외부 인력이 1935명이었음

2012년 조사 시점까지 총 소요 예산은 124억 원이었음

나 부서별 교육과정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수행된 교육과정은 총 27개였음 교육내용별로 임상재활과 사회복귀 분야가 가장 많았음

교육홍보과에서 수행한 교육과정이 11개로 가장 많았음 교육내용은 사회복귀 임상재활 분야가 많았음 다음으로 공공재활의료지원과에서 수행한 교육과정이 6개였고 임상재활 사회복귀 분야의 내용이 교육되었음

- 100 -

  공공재활(정책)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총무과         5 5

교육홍보과   4 5 2   11간호과   2       2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2     2

연구소   1       1공공재활의료지원   3 2 1   6

총계 0  10 9 3 5 27

표 31 부서별 교육과정 현황

다 부서별 교육 프로그램 현황

각 교육과정별 실제 수행된 교육 프로그램을 기준으로 볼 때 총 138개의 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되었음 임상재활 분야 프로그램이 절반 정도를 차지하였음

부서별로는 교육홍보과에서 주관한 교육 프로그램이 전체 프로그램 중 557를 차지하고 있음 교육홍보과에서 주관한 프로그램은 사회복귀 분야 내용이 가장 많았음

  공공재활(정책)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총무과 5 5

교육홍보과 6 24 31 13 3 77간호과 32 32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10 10

연구소 1 11 2 14공공재활의료지원

총계 7 67 43 13 8 138

표 32 부서별 교육 프로그램 현황

라 부서별 교육시간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수행된 교육시간은 총 467시간이었음 교육내용별로 사회복귀와 임상재활 분야가 많았음

- 101 -

교육홍보과에서 수행한 교육시간이 401시간으로 전체의 859를 차지하고 있음 교육내용은 사회복귀 임상재활 분야가 많았음

  공공재활(정책)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총무과 9 9

교육홍보과 118 203 80 401간호과 32 32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11 11

연구소 14 14공공재활의료지원 0

총계 0 164 214 80 9 467

표 33 부서별 교육 시간 현황

마 부서별 교육대상 인력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교육받은 인력은 연인원 4667명이었음 국립재활원 내부 직원 대상이 585로 외부 인력보다 약간 많았음

부서별로 볼 때 총무과 및 재활연구소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모두 국립재활원 내부 직원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반면 교육홍보과 공공재활의료지원과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모두 외부 인력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재활원 내부 재활원 외부 합계총무과 2221   2221

교육홍보과   1471 1471간호과 98 75 173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12 27 39

연구소 401 4 405공공재활의료지원   358 358

합계 2732 1935 4667

표 34 부서별 교육대상 인력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교육받은 인력 중 직종이 구분된 인원은

- 102 -

연인원 4184명이었음 기타 직종을 제외하면 사회복지사가 1431명으로 가장 많았고 간호사가 747명이었음

직종 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사회복지사 기타직종 합계임상재활 23 305 95 35 371 317 1146사회복귀 0 72 32 2 754 99 959시설운영 0 13 15 4 297 12 341

기타 113 357 0 0 9 1259 1738합계 136 747 142 41 1431 1687 4184

표 35 교육과정 종류별 교육 경험자 직종

교육과정 종류별로 볼 때 임상재활 분야 교육 대상자는 사회복지사가 32 간호사가 27를 차지하고 있었음 사회복귀 분야 및 시설운영 분야 교육 대상자는 사회복지사가 각각 79 8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음

- 103 -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교육받은 인력의 소속기관은 국립재활원이 가장 많았고 외부 인력 중에서는 복지관 및 기타기관이 가장 많았음

부서별로 볼 때 총무과 및 재활연구소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모두 국립재활원 내부 직원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부서별 교육 대상자 중 외부 인력의 소속기관은 다음과 같음 - 교육홍보과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모두 복지관 및 기타기관 소속 인력을 대상으

로 수행되었음 - 공공재활의료지원과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대부분 보건소 및 보건지소 소속 인력

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 간호과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국립재활원과 민간병원 소속 인력을 대상으로 수행

되었음

  국립재활원 보건(지)소 공공병원 민간병원 복지관기타기관 합계총무과 2221         2221

교육홍보과         1471 1471간호과 98     75   173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12       27 39

연구소 401       4 405공공재활의료지원   342     16 358

합계 2732 342 0 75 1518 4667

표 36 부서별 교육 대상자 소속 분류

바 법정 보수교육 인정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수행한 교육과정 중 법정 보수교육으로 인정받는 과정은 총 4개였음 임상재활 분야 2 과정 사회복귀 분야 1 과정 시설운영 분야 1 과정임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인정 2 1 1   4

불인정 5 6 1 5 17

표 37 보수교육 인정 현황

- 104 -

사 연간 교육과정 순환 횟수

대부분의 교육과정은 연간 1회 혹은 2회만 수행되고 있음

아 교육과정 강사 인력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수행한 교육과정 중 내부 강사와 외부 강사는 절반 정도씩 차지하고 있음

교육과정 분야별로 볼 때 임상재활 및 사회복귀 분야는 내부 강사와 외부 강사 비율이 비슷하며 시설운영 분야는 외부 강사가 더 많음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내부강사 35 22 3 4 64외부강사 30 18 12 2 62

표 38 교육과정 강사 인력 현황

- 105 -

자 부서별 주요 교육 내용

부서별 주요 교육 내용은 다음과 같음

  교육 내용

교육홍보과

케어기술(기본) 장애인 성재활 케이기술(심화) 직업재활 고령장애케어 물리작업치료 사례관리(기본) 욕창 재활간호 영유아케어기술 장애행동수정 사례관리(심화)

공공재활지원과

지역사회중심재활 기본실무 방문재활의 실제 노년기 재활을 통한 건강관리 장애아동재활의 핵심파악 노년기 재활을 통한 건강관리 쉽게 따라 하는 재활실무 건강한 일상을 위한 여성 장애인 재활

간호과 재활간호 3일 과정 재활병원에서의 가족 프로그램과 성재활 간호

장애인운전지원과 장애인 운전강사 역량강화 교육 자동차 운전강사 양성교육

재활훈련과(2011)

사회복귀지원과정 복지시설 장애인 자립특성화과정 자립생활실무자과정 보조기구 관리지원교육 민간재활병원 가족교육

표 39 부서별 주요 교육 내용

국립재활원 교육현황 요약 및 문제점

부서별 교육대상 인력은 주로 소속기관별로 구분되고 있음- 간호과 병원 간호사- 교육홍보과 복지관 직원- 공공재활지원과 보건소직원- 사회복귀지원과 장애인 가족 활동보조인 등

- 106 -

단기간의 일회적 교육과정이 많고 장기간 운영되는 체계적 전문교육과정이 미흡함- 교육과정의 기본심화 단계 과정이 부족- 케어기술(기본심화) 사례관리 (기본심화)외 부재- 교육과정 당 시간 1시간~24시간

공공병원 교육참여자가 없음

간호사 사회복지사 외의 직종에 대한 전문교육과정 없음- 물리작업치료사 1과정- 언어재활사 수화통역사 의지보조기기사 점역교정사 등의 교육과정 없음

기타- 이용자가 교육요금을 부담하는 유상 교육이 많음- 법정 보수교육 인정 과정이 적음(간호사 2 과정 및 사회복지사 2과정)- 교육 예산이 부족함

타 기관 교육 현황

가 교육체계

국립암센터는 교육훈련부에서 내부 직원과 외부 인력에 대한 모든 교육 과정 총괄 관리함 실제 교육프로그램은 각 부서별로 이루어지나 교육훈련부에서 과정목표 교육대상 시간 형태 과정운영방향특징 등을 총괄하여 동일한

- 107 -

구성으로 모든 교육과정에 대한 연간 교육 훈련 계획서를 관리하고 실행함

또한 일본국립재활원은 병원 연구소와 같은 위상의 전문교육기관인 대학이 존재함 일본 국립장애인 재활 센터는 대학 병원 연구소 훈련센터 관리부로 구성되어 유기적으로 운영되며 대학을 통해 의료 인력을 위한 교육을 진행하고 있음- 연구-재활치료-교육-사회복귀가 모두 한 공간에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WHO 지정 연구기관임 - 재활에 관한 기술자 양성 및 현재 종사 인력의 기술 향상을 목적으로 교육을 진행

하고 있음

일본국립재활대학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음

1971년 4월 옛 국립 청각 언어 장애 센터에 부속 언어 전문 인력 양성소가 설치되어 첫 언어 전문 인력의 양성 (1년제)가 시작된다

1979년 7월 옛 국립 청각 언어 장애 센터가 신설 국립 장애인 재활 센터에 통합됨에 따라 학원 언어 전문 인력 양성 과정 (1년제)가된다

1979년 9월 언어 전문 인력 양성 과정 업무 개시 연수 업무 시작 1982년 3월 직업 현임 교육을 목적으로 학원 동 및 학원 기숙사 1 호동의 준공 1982년 4월 처음의 의지 보조기 전문 인력 양성 과정 (3년제) 개설 1988년 4월 의지 보조기 사법의 제정 시행에 따라 의족 보조기 전문가 양성소로 후생 대신의 지정을

받는다 1989년 4월 후생 대신 공인 수화 통역사 인증 제도가 발족 수화 통역사 시험이 시작된다 1990년 4월 첫 시각 장애인 생활 훈련 전문 인력 양성 과정 (1년제) 개설 1990년 4월 본방 처음 수화 통역 전문 인력 양성 과정 (1년제) 개설 1991년 4월 본방 처음 개화 체육 전문 인력 양성 과정 (2년제) 개설 1992년 4월 언어 전문 인력 양성 과정의 2년제로 전환 1995년 1월 전수 학교 전문 과정 수료자에 대한 전문사 칭호 부여에 관한 규정에 따라 의족 보조기

전문 인력 양성 과정 수료자 전문사 칭호를 수여 1995년 9월 학원 기숙사 2 호동 준공 1998년 10월 언어 청각 사법의 제정 시행에 따라 언어 청각 전문가 양성소로 후생 대신의 지정을 받

는다 1998년 12월 새로운 양성 연수 동 준공 1999년 4월 전문 인력 양성 과정에서학과 제로 명칭 변경 언어청각학과 의지 보조기학과 시각장애

학과 수화통역학과 재활체육학과 5학과 됨 시각 장애학과의 2 년제로 전환 2001년 4월 수화 통역학과 2년제로 전환 2003년 4월 수화 통역학과의 정원 증가 2008년 10월 명칭을 국립 장애인 재활 센터로 변경 2011년 10월 뇌졸중 재활 간호 인정 간호사 교육 과정 개강 2012년 4월 치치 학원 부속 보호지도 직원 양성소가 조직 통합함으로써 아동 지도원과의 업무 개시

- 108 -

나 재활전문인력 대상 교육 과정

국립암센터 사례

국립암센터의 직종별 전문교육 과정은 의사 간호사 약사 영양사 사회복지사 공무원 암 진료기관 종사자 호스피스 및 재가암환자 관리 인력 등으로 나누어 수행되고 있음

 대상 교육 내용

의사를 위한 전문화 과정(1년 ~ 2년 과정)

혈액종양 내과 전문의 (2명) 대장내시경 소화기내과 외과전문의(3명) 부인종양 산부인과 방사선종양학과 영상의학과 전문의(2명)

간호사 교육 과정 국제장루창상실금 전문간호과정 전문간호분야 실무자 교수(8명 2개월) 종양전문간호과정 전문간호분야 실무자 책임자 교수 등(100명 6개월)

국립암센터의 암에 특화된 직종별 수련체계 과정

전공약사과정(약사면허증 취득자 1년) 전공영양사과정(영양사 면허증취득자 1년) 수련사회복지사과정(사회복지사 면허 취득자 1년)

최고위 과정 보건복지정책 고위과정 국회의원 의료기관 고위관리자 대상

공무원 대상 교육

암관리사업 관리자과정 시middot도 5급 이상 암관리 사업담당 보건소장 및 5급 이상 관리자

암검진 및 의료비 지원 사업 과정 보건복지부 보건(지)소 직원 6~9급 재가암환자관리과정(이론과정실무과정) 보건(지)소 방문간호 담당 6~9

급 완화 의료 전문기관 가정간호 담당자 지역암센터 암등록

진료기관 종사자 대상 교육 지역암센터 실무과정 지역암센터 암관리사업담당자 암등록의무기록사과정 암환자 진료 의료기관 지역암센터 근무자 등

호스피스 및 재가암환자 관리 인력 교육

말기암 및 재가암환자 관리사업전문인력 양성 호스피스 middot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실무 간호사

호스피스전문과정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 종사자

표 40 국립 암센터 교육과정

공공기관 근무자 대상 교육과정은 국립암센터뿐만 아니라 국립중앙의료원에서도 수행되고 있음

- 109 -

 대상 교육 내용

최고위 과정

국립암센터 보건복지정책고위 과정 국회의원 의료기관 고위관리자 대상 국립중앙의료원 응급의료 최고위정책 과정 보건복지부 공무원 의료진

대상 국립중앙의료원 공공간호 최고지도자 과정 보건복지부 관계자 공공의료

관련 연구진 간호사

지역암센터공공병원 대상 교육 과정

국립암센터의 지역암센터 실무과정 시 middot 도 및 지역암센터 암 관리 사업 담당자 등 80명

국립중앙의료원 춘계 공공의료아카데미 전국 국공립병원 부서장 실무자

표 41 국립중앙의료원 공공기관 근무자 교육과정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 사례

일본국립장애인재활 센터의 재활전문가 양성과정은 6종류의 직종에 대해 운영됨 각 대상 직종별로 언어청각학과 의지middot보장구학과 시각장애학과 수화통역학과 재활체육학과 아동지도원과와 같은 학과로 구성됨

이 중 언어청각학과 의지middot보장구학과 시각장애학과 수화통역학과 재활체육학과는 교육법에 의거하여 설립 운영됨 교육과정은 학과에 따라 1-3년 과정으로 운영되고 있음

이는 우리나라의 장애인복지 전문인력 중 수화통역사 언어재활사 의지보장구기사와 직종이 겹침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의 시각장애학과는 우리나라의 점역middot교정사 보다 넓은 개념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함

이 중 의지보장구학과를 졸업할 경우 전문사(전문대학사)자격을 취득할 수 있으며 언어재활학과와 의지보장구학과를 졸업하면 국가자격 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받음

수화통역사의 경우 후생성 장관이 인정하는 민간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음

이 외에 일본간호사협회가 지정하는 뇌졸중전문간호사 지정 교육기관으로 뇌졸중 전문간호사 과정을 운영함

- 110 -

각 과정의 직종 및 기관 입학 조건은 아래와 같음

학과명 설치년도 정원 입학 자격 과정

언어청각학과 1972 60 학교 교육법 제 102 조 제 1 항 본문의 규정에 따라 대학원에 입학 할 수 있는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2년

의지middot보장구학과 1983 30 학교 교육법 제 90 조제 1 항의 규정에 의하여 대학에 입학 할 수있는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3년

시각장애학과 1990 40 학교 교육법 제 102 조 제 1 항 본문의 규정에 따라 대학원에 입학 할 수 있는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2년

수화통역학과 1990 60학교 교육법 제 90 조제 1 항의 규정에 의하여 대학에 입학 할 수 있고 또한 20 세 이상의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2년

재활체육학과 1991 40

① 교육 직원 면허 법에 의한 보건 체육 고등학교 교사 면허증 또는 일종의 면허증을 가진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② ①과 동등 이상의 자격을 가진 자 총장이 인정한 것으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2년

아동지도원과 1963 40

학교 교육법 제 102 조 제 1 항 본문의 규정에 따라 대학원에 입학 할 수있는 자 또는 아동 복지법 제 18 조의 6에 따라 보육사 자격을 가진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1년

표 42 일본 국립장애인 재활센터 직종별 입학 조건

언어청각학과는 2년간 2340시간을 이수해야 졸업할 수 있으며 졸업 시 국가시험 응시자격을 획득함 언어청각사가 국가자격으로 도입되기 전 전국에서 처음으로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음

현재 전국의 여러 전문학교 대학교에서 학과가 개설되어 인력을 양성하고 있음 일본 장애인재활센터의 경우 학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며 국가시험자격이 부여되어 경쟁률이 상당히 높은 편임

의지middot보장구학과는 3년간 3315시간을 이수해야 졸업할 수 있으며 졸업 시 전문사 자격과 함께 국가시험 응시 자격을 획득함 의지보조기사가 국가자격으로 도입되기 전 학과가 설치되어 교육 진행함

현재 일본 내 의지보조기 인력양성은 3개의 대학과 7개의 전문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음 언어청각학과와 마찬가지로 학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양질

- 111 -

의 교육을 제공하며 국가시험 자격이 부여되어 경쟁률이 높음

수화통역학과는 2년간 2400시간을 이수해야 졸업 할 수 있으며 졸업 시 후생성 장관이 인정하는 민간 자격 시험에 응시할 수 있음(우리나라 역시 수화통역사는 민간자격으로 운영되고 있음)

시각장애학과는 2년간 3134시간을 이수해야 졸업 할 수 있으며 관련 자격증은 없음 졸업 후 시각장애인 시설 등에 주로 취업함

재활체육학과는 2년간 2385시간을 이수해야 졸업 할 수 있으며 졸업 시 민간협회자격증(2가지종류)에 응시할 수 있음 졸업 후 장애인스포츠센터나 복지시설등에 취업함

아동지도원과는 1년간 1800시간을 이수해야 졸업 할 수 있으며 다른 학과와 다르게 국립장애인센터 자체적으로 운영함 관련 자격증은 없지만 국가기관 중 아동지도원이 필요한 곳에 인력을 공급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졸업시 임용권을 부여하여 장애아동관련 교직으로 진출할 수 있음

뇌졸중 전문간호사는 일본간호사협회가 인정하는 21개 전문자격증 하나임 뇌졸중 전문간호사는 일본간호사협회가 전국에 지정한 6군데 기관에서 교육을 진행하고 있음 전문간호사 인정은 대학원 졸업자만 가능하며 프로그램 및 커리큘럼 작성시 일본간호협회의 확인을 받아야 함

- 112 -

다 내부 직원 대상 교육과정

국립암센터의 내부 직원 대상 교육은 직종별로 관리직 의사직 연구 의사직 연구직 일반직 등으로 구분되어 있음

또한 교육 목표별로는 공통역량 직무역량 계층역량 자기개발 등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공통역량은 조직 활성화 법정교육 고객만족 역량 등으로 직무역량은 공통 및 세부 직무역량과 사이버연수원으로 세분되어 있음

- 113 -

국립중앙의료원은 내부 직원에 대한 교육으로서 공공의료아카데미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음 - 대상 전문의 간호사 기획 관련부서 실무자 공공보건의료계획 담당부서 실무자

등 국립의료원 구성원 20명- 주요 내용 공공성 공공의료 우수한 적정진료 제공 국가차원의 새로운 공공의료

모색 등- 참여적 워크숍 방식으로 진행(40시간)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관련 법조항

가 재활의학 전문의

의사의 연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의료법 제 30조 제2항 제3항 및 동 시행규칙 제20조 제21조 제23조- 대한의사협회 정관 3조- 대한의사협회 연수교육 시행규칙

의료법에서 의사는 연간 8평점 이상 이수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의사협회의 연수교육 시행규칙에는 연간 12평점의 보수교육을 진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음(20103월 기준) 의사협회 연수교육 시행규칙에서는 연수교육의 시행기관과 교과목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음

- 114 -

대한재활의학회 회칙 4조에서 재활의학에 관한 보수교육 및 재활의학 보급에 관한 사항을 학회의 사업으로 규정하였으나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재활의학 교

연수교육 시행 기관

제5조(연수교육시행기관)각 시middot도의사회

의과대학middot의학전문대학원레지던트수련병원 및 인턴수련병원

학회(단 의학회에 등록된 학회에 한함)기타 교육위원회에서 인정하는 기관 및 단체

교과목

제13조(교과목) ⓵연수교육에 있어서는 가급적 임상교육과 기초교육을 병행해야 하며 10 이내의 의사윤리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⓶연수교육기관은 제1항의 윤리교육 이외에 10이내의 교양과목 의료정책 의료사회학 의료정보학 등을 교육과목으로 개설할 수 있다

평점

제14조(연수교육 인정한계 및 평점)

교육종목 평점 연상한본회 승인 프로그램

1)강 좌 1시간당1평점 -2)실 습 1시간당1평점 -

3)시청각(비디오 슬라이드) 1시간당1평점 - 4)대한의사협회지 자율학습 1시간당1평점 3

5)위크숍 1시간당1평점 - 6)심포지엄 1시간당1평점 -

2 국내외 학술대회 및 본회 종합학술대회

1강좌당 1평점을 원칙으로 하되 교육위원장이

별도로 정한 사항은 예외로 할 수 있다

1일 6평점

3 사이버 연수교육

1강좌당 1평점을 원칙으로 하되 교육위원장이

별도로 정한 사항은 예외로 할 수 있다

5

4의과대학교수 지도전문의 연수교육 강사 1시간당1평점 7

5 논문게재

제1저자 및 교신저자 1편당

5평점제2저자이하1편당

3평점

10

6기타 교육위원장이 인정하는 사항

표 43 연수교육 시행기관과 교과목

- 115 -

육을 반드시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님

나 간호사

간호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의료법 제 30조 제2항 제3항 및 동 시행규칙 제20조 제21조 제23조- 대한간호협회 정관 6조- 대한간호협회 보수교육 시행규정 보수교육지침 온라인보수교육지침

의료법에서 간호사는 연간 8시간 이상 이수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간호협회의 연수교육 시행규정에는 연간 8평점의 보수교육을 진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단 전문간호사38)는 전문간호사를 위한 보수교육을 받아야한다고 규정하고 있음 온라인 오프라인의 교육이 모두 가능하며 오프라인 보수교육 하한 점수는 4평점 온라인 보수교육 하한평점은 4평점임

대한간호협회 보수교육 시행규정 및 교육지침은 다음과 같음

국립재활원에서는 간호부에서는 간호사보수교육으로 인정되는 교육과정 및 재활간호 3일 과정을 진행하고 있음

추후 보건복지부령에 의한 장애인 재활전문간호사 과정 도입 및 교육을 위한 대학원 과정을 생각해 볼 수 있음

38) 보건복지부령인 lsquo전문간호사 자격인정 등에 대한 규칙rsquo에 의해 정의된 전문간호사는 보건복지부장관에 의해

발급되는 자격증으로 보건middot마취middot정신middot가정middot감염관리middot산업middot응급middot노인middot중환자middot호스피스middot종양middot임상 및 아동분야의

전문간호사가 있음 장애인 재활 부분의 전문간호사 자격은 현재 없음

39) 보건간호사회 병원간호사회 마취전문간호사회 보건진료원회 보건교사회 산업간호사회 보험심사간호사회

가정간호사회 정신간호사회 노인간호사회(신설 20104

연수교육 시행 기관

제6조(연수교육실시기관)1 본회의 17개 시middot도 간호사회 및 산하단체39)

2 3 4년제 간호교육기관3 대학의 부속병원4 보수교육 지정기관으로 인정받은 기관

전문간호사 보수교육 실시기관

대한간호협회한국간호평가원전문간호사과정 교육 및 실습기관기타 본회가 인정한 단체 단 전문간호사과정 교육 및 실습기관 또는 본회가 인정한 단체는 해당 전문분야로 한정하여 보수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표 44 대한간호협회 보수교육 시행규정 및 교육 지침

- 116 -

다 물리치료사

물리치료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20조 의료기사등에 대한 법률 시행규칙 18조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서 믈리치료사는 연간 8시간 이상 이수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라 작업치료사

작업치료사의 보수교육 규정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20조 의료기사등에 대한 법률 시행규칙 18조- 대한작업치료사협회 규정 57조 58조 59조 60조 64조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서 작업치료사는 연간 8시간 이상 이수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대한작업치료사협회 규정에는 연간 8평점이상의 보수교육을 진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이중 협회의 보수교육을 3평점 나머지 5평점은 각 지회에 의무이수 평점으로 받아야 함 대한작업치료사협회 규정에는 보수교육의 종류와 교육내용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음

보수교육 종류

제58조(보수교육의 종류)1 지회보수교육 연간 10평점 이상 보수교육 개설2 중앙회보수교육 연간 6평점 이상 보수교육 개설3 대학의 부속병원4 보수교육 지정기관으로 인정받은 기관

보수교육 교육내용제64조(교육내용) 교육내용은 작업치료학의 임상분야에서 실제 활용되고 있는 내용이나 해외 최신 학술정보에 관한 내용 기타 작업치료사로서 갖추어야 할 윤리에 관한 교양강좌(20)로 한다

표 45 대한작업치료사협회 보수교육 종류 및 교육 내용

마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사회복지사업법 13조 2항 동 시행규칙 제 5조-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보수교육 안내(대상자 매뉴얼)

사회복지사업법에서 사회복지법인 또는 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는 정기적으로 인권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 보수교육을 받아야 함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대상자 매뉴얼에서는 연간 8평점(8시간) 이상 이수할 것을 규정함 필수영역은 각 1평점 이상을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함

- 117 -

필수영역 선택영역사회복지 윤리와

가치 사회복지 실천 사회복지 정책과제와 법 사회복지 행정 사회복지

조사연구

표 46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과목

사이버교육은 4평점까지 인정하며 나머지 4평점은 반드시 집합교육을 통해 이수해야함

바 수화통역사

수화통역사는 국가공인 민간자격임 수화통역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자격기본법 제35조(보수교육) 국가자격관리자 및 공인자격관리자는 해당 국가자격

및 공인자격을 취득한 자의 직무능력의 유지middot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보수교육을 실시할 수 있음

- 한국농아인협회 보수교육 내용 규정

한국 농아인 협회에서는 보수교육에 대해 자격을 취득한 날로부터 5년 이내에 50시간 이상의 보수교육을 이수할 것을 규정함 보수교육은 한국 농아인 협회 중앙회교육과 외부기관교육(시도협회 외부유관기관 및 단체)이 있음 이 중 최소 30시간 이상은 중앙회에서 운영하는 교육에 참여해야 함 5년 이내에 50시간의 보수교육을 미이수하였을 경우 자격정지 3회 이상의 자격정지시 자격이 취소됨- 수화 연구의 동행과 언어운용에 관한 내용- 수화 통역 이론의 동향과 과제에 관한 내용- 지역사회 통역의 연습을 중심으로 하는 내용- 상황별 사례발표 및 토의를 중심으로 하는 내용- 청각 장애인 복지 정책과 과제에 관한 내용- 농사회 농문화 관련 내용- 그밖에 관련 내용

유형 세부기준 평점

집합교육-교육정원 80명 이하 1시간1평점-교육정원 80명 초과

이수평점(총 8평점)중 연간 2평점까지 인정가능 4시간1평점

사이버교육 온라인 교육이수평점(총 8평점)중 연간 4평점까지 인정가능 1차시05평점

표 47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규정

- 118 -

사 점역교정사

점역교정사는 국가공인 민간자격임 점역교정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자격기본법 제35조(보수교육) 국가자격관리자 및 공인자격관리자는 해당 국가자격

및 공인자격을 취득한 자의 직무능력의 유지middot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보수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 한국시각장애인협회 점역middot교정사 민간자격관리에 관한 규정 제31조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에서는 자격증의 유효기관을 5년으로 하고 유효기관 내에 1회 이상 보수교육을 이수할 것을 규정하고 있음

아 언어재활사

언어재활사는 국가자격임 언어재활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 시행령 61조 2항

보수교육은 한국언어재활사협회가 실시하며 교육시간은 연간 10시간 이상으로 함

자 의지보조기기사

의지보조기기사 국가자격임 의지보조기기사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 시행령 61조 1항

보수교육은 국립재활원장이 실시하며 교육시간은 2년간 8시간 이상으로 함 국립재활원 교육홍보과에서 실시하고 있음

차 요약 및 문제점

보수교육 규정 요약

이상의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현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 119 -

재활영역

전문인력 보수교육 법령 및 규정 보수교육

시간 보수교육 시행기관 교육과목 및 특징

의료재활인력

의사

의료법 제 30조 제2항 제 3항 및 동 시행규칙 제 20조 제 21조 제 23조대한의사협회 정관 3조대한의사협회 연수교육 시행규칙

8평점 이상년

-중앙회-해당 시middot도 의사회-의과대학 및 대학원-레지던트 교육병원-각 학회 및 지회(단 의학회에 등록된 학회에 한함)-기타 교육 위원회에서 인정하는 기관 및 단체

-임상교육과 기초교육을 병행- 10 이내의 의사윤리교육을 실시 - 윤리교육 외에 10이내의 교양과목 의료정책의료사회학 의료정보학 등을 교육과목으로 개설 가능- 재활의학과목을 이수해야 하는 것 아님

간호사

의료법 제 30조 제2항 제 3항 및 동 시행규칙 제 20조 제 21조 제 23조대한간호협회 정관 6조대한간호협회보수교육 시행규정 보수교육지침 온라인보수교육지침

8평점 이상년

- 지부 및 산화단체보수교육인정기관간호대학(학과)대한간호사협회 사이버교육센터

전문 간호사는 반드시 전문간호사 보수교육을 시행받아야 함오프라인 보수교육 하한은 4평점

물리치료사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제20조 및 동법 시행세칙 제 18조

8평점 이상년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작업치료사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20조 의료기사등에 대한 법률 시행규칙 18조대한작업치료사협회 규정 57조 58조 59조 60조 64조

8시간 이상년 대한작업치료사 협회

-협회 보수교육 3평점-지회보수교육5평점-임상분야에서 실제 활용되고 있는 내용이나 해외 최신 학술정보에 관한 내용 기타 작업치료사로서 갖추어야 할 윤리에 관한 교양강좌(20)

사회복지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업법 13조 2항 동 시행규칙 제 5조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보수교육 안내(대상자 매뉴얼)

8시간 이상년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위탁한 협회나 협의회

-필수영역 사회복지윤리와 가치 사회복지 실천-선택영역 사회복지 정책과제와 법 사회복지행정 사회복지 조사연구

장애인

복지 전문인력

언어재활사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 시행령 61조 2항

10시간 이상년 - 한국언어재활사협회 현재 자격 및 제도 도입 중 (구) 언

어치료사

의지middot보조기

기사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 시행령 61조 1항

8시간 이상2년-국립재활원

국립재활원 교육홍보과에서 시행 자격증이 분야별 세분화되어 있지 않음

수화통역사

자격기본법 제35조한국농아인협회 보수교육 내용 규정

50시간 이상5년

-중앙회(한국농아인협회)-외부유관기관 및 단체

-최소 30시간은 중앙회에서 교육을 받아야 함

점역middot교정사

점역middot교정사 국가공인 민간자격의 관리middot운영에 관한 규정 31조

1회 이상5년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시간 및 규정이 규체적이지 않음

표 48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현황

- 120 -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문제점 및 대안

재활의료 인력에 특화된 보수교육 의무규정이 없음- 재활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 및 사회복지사에 대한 재활 관련 교육영역과 내용에

대한 보수교육 규정 부재- 점역교정사 언어재활사 보수교육에 대한 과목 규정 등이 취약

국립재활원에서 재활 분야 간호사 및 사회복지사에 대한 보수교육에 적극 참여해야 함

또한 보수교육규정 상 의지보조기사를 제외한 직종에서 국립재활원의 역할이 없음- 의지보조기사 규정(장애인복지법 시행령 61조 1항) 국립재활원장이 실시하고 교

육시간은 2년간 8시간 이상으로 한다

국립재활원에서 보수교육 중 재활영역 가이드라인 및 프로그램을 생산하여 권역재활병원 등으로 확산시킴

국립재활원에서 보수교육 중 재활영역 가이드라인 및 프로그램을 생산하여 권역재활병원에서도 보수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확산시킴

각 직종별 보수교육 규정 중 시행기관에 국립재활원 및 권역재활병원을 포함시키도록 함

각 직종별 보수교육 규정 중 병원 및 장애인재활시설에서 근무하는 인력은 국립재활원 및 권역재활병원에서 개설하는 임상실기 전문이론 공공재활 등을 필수적으로 이수하도록 명시함

재활전문인력 양성규정 현황

가 재활전문인력 양성 규정

현재 재활전문인력의 자격증 종류 자격취득경로 인력 수 등 현황은 다음과 같음

- 121 -

재활영역 전문인력 자격증 종류 자격취득 수

(2012년)

의료재활

재활의학과의사 국가자격증

의과대학middot전문대학원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면허를 수여 받은 자중 재활의학 레지던트 수련을 받고

전문의 시험에 합격한 자

1386명

간호사 국가면허증 간호대학 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수여받은자 120491명

물리치료사 국가면허증4년제 또는 3년제 대학의

물리치료학과를 졸업한 후 국가 자격시험에 통과한 자

25475명

작업치료사 국가면허증 4년제 또는 3년제 대학을 졸업한 후 작업치료사 국가시험에 통과한 자 3594명

사회복지 사회복지사 국가자격증 2급 대학에서 14과목을 이수한 자

1급 국가자격시험에 통과해야 함

2642명

장애인복지전문인력

언어재활사 국가자격증

2급 대학원 대학 전문대학의 언어재활 관련 교과목을 이수하고

학위를 취득한 자 중 국가시험 통과자1급 2급 자격자 중 박사학위 또는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 중 언어재활기관에 1년 근무했거나 학사학위자 중 3년 근무한 경우

-

의지보조기기사 국가자격증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서 의지 보조기

관련 과목을 이수하고 국가시험에 통과한 자

944명(20131)

점역교정사 국가공인 민간자격증

3급 20세이상 고절이상 3년이상 경험자

2급 3급취득후 1년 혹은 4년제 대학 졸업자 4년이상 경험자

1급 2급 자격취득후 1년이상 경과 혹은 4년제 대학졸업자 5년이상

경험자

3급 484명 2급 72명 1급 40명(20131)

수화통역사 국가공인 만 19세 이상의 대한민국 남녀

표 49 재활전문인력 자격증 현황

- 122 -

의료재활 및 사회복지인력은 보건의료기관 내 근무인력임

자료원 국가통계포탈 국시원 내부자료 한국시각장애인협회 내부자료 한국농아인협회 내부자료

나 재활 전문인력 양성 규정의 문제점

학교와 민간단체가 혼재되어 있는 인력 양성 과정

의료재활 인력과 사회복지 인력은 대학교와 병원을 통해 인력이 양성됨

장애인 복지 전문 인력 중 국가공인 민간자격증을 부여하는 점역교정사 수화통역사의 양성은 민간 기관양성과 학교를 통한 양성과정이 혼재되어 있음

재활에 특화된 전문인력 양성 과정의 부재

간호사의 경우 장애인 재활 전문 간호사 자격 및 양성 과정이 부재함

사회복지사의 경우 재활과 관련된 교육 과정이 부족함

재활인력 공급의 양적인 불균형

물리치료사 공급은 많으나 작업치료사는 공급은 부족함

장애인 복지 전문인력 중 점역교정사 수화통역사 언어재활사 의지보조기기사 연도별 배출인력이 편차가 큼

재활인력 전문교육 수요도 조사

가 조사기간 및 대상

2012년 12월 10일 ~ 2012년 12월 17일(약 일주일간)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재활간호학회 대한사회복지사협회 대한직업치료사협회 소속 재활인력 총 225명

나 조사내용

- 근무 기관의 종류(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 보건(지)소보건의료원 복지관

민간자격증 1049명(20131)

- 123 -

기타- 공공기관민간기관 근무 - 재활 관련 근무 연수- 최종학위- 장애인 재활과 관련하여 받은 교육 여부 내용 및 만족도- 장애인 재활과 관련하여 전문적인 교육과정의 필요성 여부와 필요한 내용 국립재

활원에 개설 시 참여 여부

다 조사결과

일반적 현황

사회복지사를 제외한 나머지 직종은 전반적으로 설문에 참여한 사람 중 종합병원과 병원에 근무하는 사람이 많았으며 사회복지사의 경우는 대부분 복지관 등 장애인 복지시설에 근무하고 있음

구분직종

응답자수

종합병원 병원 요양

병원 의원 보건기관 장애인 복지시설 기타

물리치료사 25 280 320 160 80 120 00 40작업치료사 81 284 210 86 62 37 123 198재활간호사 19 105 895 00 00 00 00 00사회복지사 100 10 00 00 00 20 940 30

표 50 응답자 일반적 현황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 사회복지사는 민간기관에 근무하는 경우가 많았고 조사에 응한 재활간호사는 모두 공공기관에 근무하고 있음

구분직종 응답자 수 공공기관 민간기관

물리치료사 24 292 708작업치료사 81 370 630재활간호사 17 1000 00사회복지사 95 358 642

표 51 응답자 공공민간 기관 근무 현황

모든 직종에서 5년 이상 재활분야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가장 많았음

- 124 -

구분직종

응답자 수 1년 미만 1년 이상 1년 이상

3년 미만3년 이상5년 미만 5년 이상

물리치료사 25 00 40 80 160 720작업치료사 81 74 25 136 210 556재활간호사 19 53 00 421 53 474사회복지사 98 184 112 133 92 480

표 52 응답자의 재활분야 근무연수

재활간호사는 석사 이상 학위를 가진 군이 더 많았고 나머지 직종은 학사 학위를 가진 군이 더 많았음

구분직종 응답자 수 학사 석사 박사

물리치료사 24 667 333 00작업치료사 80 577 352 70재활간호사 19 316 684 00사회복지사 100 634 323 43

표 53 응답자의 최종학위

재활 관련 교육 경험 현황

직종별로 장애인 재활 관련 교육을 전혀 받지 못했던 군도 작업치료사 중 222 사회복지사 중 170 물리치료사 중 160 정도 존재함 재활간호사 중 재활 관련 교육을 전혀 받지 못했던 군은 53로 직종 중 가장 낮음

응답자 수 있음 없음물리치료사 25 840 160작업치료사 81 778 222재활간호사 19 947 53사회복지사 100 830 170

표 54 응답자의 재활관련 교육 경험

모든 직종에서 보수교육을 통한 재활 교육 경험이 가장 많았음 주목할 만한 부분으로서 사회복지사는 직원교육을 통한 재활 교육을 거의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125 -

구분직종 응답 수 보수교육 직원교육 관련 학회 소그룹

세미나 기타

물리치료사 59 305 203 288 203 00작업치료사 155 348 174 310 129 39재활간호사 53 340 264 170 208 19사회복지사 144 486 35 243 167 69

표 55 응답자의 교육 경험 경로

교육의 내용은 모든 직종에 걸쳐 이론 교육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임상실기 교육이 그 다음이고 공공재활 교육은 가장 낮음

구분직종 응답 수 임상 실기교육 이론 교육 공공 재활 교육 기타

물리치료사 42 452 452 95 00작업치료사 113 398 496 106 00재활간호사 41 341 415 244 00사회복지사 107 271 598 56 75

표 56 응답자의 교육 경험 내용

기존에 받았던 재활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재활간호사가 767 정도로 높지만 나머지 직종들은 5점을 조금 넘는 수준임 특히 사회복지사의 만족도가 가장 낮음

응답자 수 만족도(10점 만점)

물리치료사 24 625

작업치료사 81 596

재활간호사 18 767

사회복지사 97 567

표 57 응답자의 교육 만족도

전문재활교육 수요도

전문재활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모든 직종에서 464-489까지의 높은 요구를 나타냄

- 126 -

응답자 수 필요성(5점 만점)

물리치료사 25 484

작업치료사 80 464

재활간호사 19 489

사회복지사 98 480

표 58 전문재활교육 수요도

국립재활원에서 개설하기 원하는 전문재활교육의 내용에 대해서는 모든 직종에서 임상실기 교육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음 반면 학위 취득을 위한 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가장 낮았음

구분직종 응답자 수 임상실기 교육

(5점 만점)이론 교육(5점 만점)

공공재활 교육(5점 만점)

석사 이상의 학위 취득(5점 만점)

물리치료사 24 433 432 267 233작업치료사 81 460 375 325 188재활간호사 19 484 416 289 189사회복지사 100 416 398 321 218

표 59 원하는 전문재활교육의 내용

- 127 -

혼란변수를 고려하여 학사 학위를 가진 군만으로 분석했을 때도 결과는 동일함

구분직종 응답자 수 임상실기 교육

(5점 만점)이론 교육(5점 만점)

공공재활 교육(5점 만점)

석사 이상의 학위 취득(5점 만점)

물리치료사 15 420 431 267 253작업치료사 41 466 383 322 185재활간호사 6 483 417 267 183사회복지사 59 408 395 324 217

표 60 학사 학위자들이 원하는 전문재활교육 내용

국립재활원에서 교육과정을 개설했을 때 참여 의사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재활간호사의 의사가 463으로 가장 높았음 반면 나머지 직종은 368-398 정도의 의사를 보였음

응답자 수 참여 의사(5점 만점)

물리치료사 25 368작업치료사 81 379재활간호사 19 463사회복지사 100 398

표 61 국립재활원 교육과정 참여

라 조사 결과 요약

장애인 재활 관련 교육을 전혀 받지 못했던 군도 직종별로 최소 53에서 최대 222까지 존재함

재활전문인력들이 재활교육을 받는 가장 흔한 경로는 보수교육임 한편 사회복지사의 경우 직원교육을 통한 재활교육을 거의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재활교육의 내용은 모든 직종에 걸쳐 이론 교육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임상실기 교육이 그 다음이고 공공재활 교육은 가장 낮음

기존에 받았던 재활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재활간호사가 767 정도로 높지만 나머지 직종들은 평균을 조금 넘는 수준임 특히 사회복지사의 만족도가 가장 낮음

- 128 -

전문재활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모든 직종에서 매우 높음

국립재활원에서 개설하기 원하는 전문재활교육의 내용에 대해서는 모든 직종에서 임상실기 교육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음 반면 학위 취득을 위한 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가장 낮았음

국립재활원에서 교육과정을 개설했을 때 참여하겠다는 의사는 재활간호사에서 매우 높았고 나머지 직종은 높은 편이었음

대학원대학 설립에 대한 법적 타당성 검토

가 타 기관 사례

구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1958년 국립의료원 부설 간호학교가 설립되었고 1999년 국립의료원 간호대학으로 직제가 개편되었음- 1958 6 27 대한민국과 스칸디나비아 제국과의 협정으로 국립의료원 부설간호학

교 설립 보건사회부에서 관리운영(대통령령제1377호)- 1959 2 23 국립의료원 간호학교 직제 제정 (대통령령 제1454호)- 1959 7 06 국립의료원 간호학교 개교(초급대학 과정)- 1977 9 01 국립의료원 간호전문학교로 직제개편 (대통령령 제8672호)- 1979 1 01 국립의료원 간호전문대학으로 직제 개편- 1999 3 01 국립의료원 간호대학으로 직제 개편 (대통령령제16039호)- 2000 8 04 제16대 학장 송지호 박사 취임- 2005 2 05 제17대 학장 김애리 박사 취임- 2006 2 09 제45회 졸업 (졸업생 총1925名)- 2007 2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폐지

- 129 -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시행날짜 법령명 주요내용1958627 중앙의료원직제 제10조 중앙의료원에 간호학교를 부설 할 수 있음

1959223 중앙의료원 간호학교직제

제1조 중앙의료원에 간호학교 부설함제3조 간호학교의 수업 년한은3년으로하고 이에 입학할 수 있는 자는 고등학교를 졸업한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문교부장관이 인정한 자로 함제4조 교장은 의료원부원장이 교감은 의료원 간호과장이 겸하고 사감은 간호부장 중에서 겸무함

197791 국립의료원 간호학교직제 폐지

197791 국립학교설치령

제2조 문교부장관소관제36조 ⓻ 간호전문학교 입학금과 수업료 면제 실습비middot기숙사비middot피복비middot기타학비 국고 지급제37조 ⓶ 졸업 후 3년간 보건복지부 장광이 지정한 직무에 복무제40조 국립의료원 간호전문학교의 운영에 필요한 경비는 국고(국립의료원 특별회계)에서 지급제41조 공무원임용시 문교부장관은 보건사회부장관과 협의

199331 국립학교설치령제2조 교육부장관 소관제41조 공무원 임용시 교육부장관은 보건복지부 장관과 협의부칙 2조 국립의료원 간호대학으로 명칭변경

표 62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법제 연혁

국립암센터 대학원대학

2010년 5월 국립암센터법이 폐지되고 lsquo암관리법rsquo 으로 통합되었음 이때 대학원대학의 법적 근거도 함께 마련됨- 암관리법29조 (부속기관의 설치) ①국립암센터에 암연구소 부속병원 국가암관리

사업본부 및 그 밖에 필요한 기구를 둔다② 국립암센터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고등교육법」 제30조에 따른 대학원대학(이하 대학원대학이라 한다)을 설치할 수 있다③ 대학원대학의 조직 교원 학위 과정 운영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2012년 현재 대학원대학 설립이 진행 중임 - 2012년 5월 교과부의 lsquo국가-특수법인 대학설립 심의위원회rsquo 통과- 2012년 8월 lsquo대학설립인가신청서rsquo 교과부에 제출 국제암대학교대학원(정원 총 70

명 (석사 20명 박사 10명))- 2012년 11월 2일 현장 점검 시행- 2012년 12월 초 현장 점검 예정- 2013년 2학기부터 신입생 모집 예정

- 130 -

일본국립장애인재활학원

시대에 따라 보건복지인력에 대한 일본사회의 요구도는 꾸준히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일본사회의 요구에 선도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국립기관에서 인력을 양성함

이렇게 필수적으로 필요한 인력의 양성은 국립에서부터 시작하여 민간영역으로 확산시키는 것이 중요함 왜냐하면 민간에서 충분한 양의 인력을 공급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임 또한 이미 민간의 양성기관이 많은 경우 양성과정의 질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음 이를 통해 양질의 재활인력을 공급할 수 있음

일본재활원내의 인력양성 학원의 법적 지위는 학교교육법 124조에 의거한 전수학교임40) 설립 및 운영은 후생노동부가 주관하고 법률적으로는 문부과학성에 소속됨

법적으로 지정된 전수학원으로 교원 수 및 학교운영에 대해서 학교교육법의 통제를 받음

법적으로 자격증이 도입되기 전에 필요한 인력을 선도적으로 양성하고 민간으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며 전체적인 민간 교육기관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역할을 진행함

일본 재활원내의 대학의 경우 학비가 같은 직종의 전수학원에 비해 학비가 저렴하며 공공기관이 필요로 하는 인재 양성에 주력하는 역할을 함 학생 1인당 입학금 및 학비는 대략 350000엔~560000엔으로 다른 사립학교에 비해 학비가 저렴함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 학원 재정은 학생이 내는 금액이 모두 국가 재정으로 포함되고 모인 후에 학원의 운영비와 시설비가 국고지원 형식으로 지원됨 따라서 운영 및 시설 소요 재정은 전부 국비로 지원받고 있는 셈임

이 중 학원의 연간 운영비는 약 75억 엔 정도이며 이 중 70 이상 인건비로

40) 전수학교는 우리나라의 전문학교와 유사한 개념으로 일본의 경우 직업교육의 일환으로 간호 미용 양재

속기 타자 자동차 통신 편물 등과 관련된 직업교육을 진행하는 민간 전수학교가 존재함

- 131 -

사용함 시설비 외에 운영비 역시 국비로 지원되어 운영됨으로써 운영에 대한 재정적 어려움이 크지 않음 이는 운영비를 자체적으로 조달하여야 하는 국내 국공립기관들과 큰 차이를 가짐

현재 6개 학과의 경우 강사진이 대략 센터 50 외부강사 50로 구성되어 있으며 향후 센터내의 강사 비율을 높일 계획임 현재 연수교육의 경우 내부강사 60 외부강사 40로 구성되어 있음

나 국립재활원 대학원대학 설립

Page 3: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목 차제1장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연구의 필요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연구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3 연구 내용 및 범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4 연구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제2장 공공재활의료지원체계 구축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1 공공재활의료 문헌 검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2 국립재활원 공공재활서비스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3 타 기관 공공의료 지원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4 국립재활원의 공공재활의료 지원 전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5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6 국제보건의 필요성 및 진행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7 국립재활원과 권역재활병원의 협력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8 법middot제도적 개선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9 요약 및 소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0

제3장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1 사회복귀지원의 개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2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지원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3 타 기관의 사회복귀 지원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74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지원 전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75 요약 및 소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8

제4장 (가칭)장애인재활교육훈련시설(체육관) 운영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1 개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2 필요성 및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3 타기관 운영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4 향후 운영 계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5 재정 확충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46 요약 및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5

제5장 재활교육체계 구축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1 국립재활원 교육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2 타 기관 교육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63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관련 법조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34 재활전문인력 양성규정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0

5 재활인력 전문교육 수요도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26 대학원대학 설립에 대한 법적 타당성 검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87 교육체계 강화를 위한 전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88 요약 및 소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2

제6장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61 연구 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62 공공재활의료 지원체계 구축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63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74 (가칭)장애인재활교육훈련시설(체육관) 운영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95 재활교육체계 구축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06 시기별 추진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2

제7장 부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51 2012년 국립재활원 부서별 교육현황 조사 설문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52 재활인력 전문교육 수요도 조사 설문지(간호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83 일본국립장애인재활 센터 방문 인터뷰 질문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2

제8장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6

표 차례표 1 재활의학과 전문의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표 2 중도장애인 사회복귀지원과정 프로그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표 3 재활 전문의료인력 보수교육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표 4 서면 조사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표 5 프로그램 참여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표 6 법 제도적 개선사항 제안 정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표 7 H-CRsP 프로그램 구성 및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3표 8 사회복귀 프로그램 목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6표 9 프로그램 구분 및 참가자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7표 10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지체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표 11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뇌병변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표 12 재입원 의료이용 현황(지체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표 13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뇌병변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표 14 표준산정일수 필요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4표 15 필요하다고 응답한 전문가들의 표준산정일수 추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표 16 인증기관 평가 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표 17 추가인정 재활수가 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표 18 장비 목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표 19 임시 장비 목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표 20 인력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표 21 운동 프로그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6표 22 추가 필요 장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표 23 고양시 재활스포츠센터 인력구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표 24 재활 체육 프로그램 목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표 25 생활체육프로그램 목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표 26 부산시설공단 한마음스포츠센터 장애인 프로그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표 27 국립재활원 장애인 체육 지원 구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8표 28 국립재활체육센터 인력 프로그램 및 장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표 29 ACSM 권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표 30 2013년 장애인체육 육성 기금 예산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5표 31 부서별 교육과정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0표 32 부서별 교육 프로그램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0표 33 부서별 교육 시간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1표 34 부서별 교육대상 인력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1표 35 교육과정 종류별 교육 경험자 직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2표 36 부서별 교육 대상자 소속 분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3표 37 보수교육 인정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3표 38 교육과정 강사 인력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4표 39 부서별 주요 교육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5표 40 국립 암센터 교육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8표 41 국립중앙의료원 공공기관 근무자 교육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9표 42 일본 국립장애인 재활센터 직종별 입학 조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0표 43 연수교육 시행기관과 교과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4

표 44 대한간호협회 보수교육 시행규정 및 교육 지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5표 45 대한작업치료사협회 보수교육 종류 및 교육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6표 46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과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7표 47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규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7표 48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9표 49 재활전문인력 자격증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1표 50 응답자 일반적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3표 51 응답자 공공민간 기관 근무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3표 52 응답자의 재활분야 근무연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4표 53 응답자의 최종학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4표 54 응답자의 재활관련 교육 경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4표 55 응답자의 교육 경험 경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5표 56 응답자의 교육 경험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5표 57 응답자의 교육 만족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5표 58 전문재활교육 수요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6표 59 원하는 전문재활교육의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6표 60 학사 학위자들이 원하는 전문재활교육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7표 61 국립재활원 교육과정 참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7표 62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법제 연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9표 63 부서별 교육 기능 및 역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0

그림 차례그림 1 재활의료서비스 전달체계 모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그림 2 국립재활원의 비전과 본 연구 주제와의 관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그림 3 지체장애 재활의료서비스 지역별 자체 충족률(중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그림 4 뇌병변장애 재활의료서비스 지역별 자체 충족률(중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그림 5 재활의학전문의 1인당 인구수 및 지체뇌병변장애인 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그림 6 포괄적 재활의료 서비스 연계체계 모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그림 7 OECD 회원국의 2000년대 장애인 가구 빈곤율 및 상대빈곤 위험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그림 8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의 기능과 역할(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그림 9 국립재활원 교육훈련 체계 강화 방안 연구수행 체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그림 10 공공재활의료 지원체계 모식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그림 11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의 기능과 역할(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그림 12 권역재활병원의 기능과 역할(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그림 13 국립 암센터 지정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그림 14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체계 제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그림 15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 기준(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그림 16 재활전문병원 인센티브 방안(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그림 17 국립재활원과 타기관의 현재 관계 모식도(As i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그림 18 국립재활원과 타기관의 관계 제안 모식도(To b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그림 19 사회복귀 프로그램의 운영 흐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그림 20 사회복귀지원과 사업추진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6그림 21 서울시 지역사회복귀 지원 사업 확산 모식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그림 22 지체장애 최초입원-3년 사이 입원양상(전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그림 23 지체장애 최초입원-3년 사이 입원양상(중증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그림 24 뇌병변장애 최초입원-3년 사이 입원양상(전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그림 25 뇌병변장애 최초입원-3년 사이 입원양상(중증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그림 26 재원 확보 방안 단계 모식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그림 27 아산병원 스포츠의학센터 진료흐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그림 28 체육센터 운영 흐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그림 29 건강 병력 질문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그림 30 신체적 활동 준비 질문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그림 31 국립재활원 조직구성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그림 32 교육과정 종류별 총시간 구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9그림 33 교육과정 연간 순환횟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4그림 34 국립암센터 일본 국립재활원 조직도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6그림 35 일본장애인재활 센터 학원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2그림 36 국립 암센터 내부 직원 대상 교육 목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3그림 37 일본 국립재활원의 학원 재정 운영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1그림 38 국립재활원 교육 담당 조직 정비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9

- 1 -

제1장 서론

연구의 필요성

가 국립재활원의 역할과 조직개편

재활의료서비스 전달 모형과 국립재활원의 역할

장애 발생 이후 재활의료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환자의 이용경로는 lt그림 1gt과 같음 - 사고나 질병 등으로 장애가 발생하고 환자의 생체징후 등 의학적 상태가 불안정하

면 의학적 상태를 안정화시키는 내과신경과신경외과정형외과적인 집중적 치료에 병행하여 기능적 회복을 증진시키는 초기 재활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게 됨

- 환자가 의학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내원하거나 치료서비스 및 초기재활서비스를 제공 받고 의학적으로 안정된 상태에 이르게 되면 기능회복 가능성과 제공되어야 할 재활서비스의 복잡성을 평가하여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직업재활 보장구 심리치료 사회서비스 등이 포함된 포괄적인 입원재활서비스를 제공하게 됨

- 또한 환자의 기능회복 가능성이 낮거나 제공되어야 할 재활서비스의 복잡성이 낮은 경우 외래 혹은 방문재활서비스 장기요양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사회 재활 단계로 환자를 의뢰하게 됨

- 2 -

국립재활원은 권역재활병원과 함께 재활의료 교육 연구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가 중앙재활센터 기능을 수행해야 함 1994년 제정된 국립재활원운영규칙(보건사회부령 제930호)에서는 국립재활원의 기능으로서 다음 네 가지를 규정하고 있음- 장애인에 대한 의료재활- 장애인의 자립재활- 장애인재활전문요원의 양성 및 훈련- 장애발생의 예방과 장애인의 재활훈련 등 그 복지의 증진에 관한 조사연구

2005년 12월 공공보건의료 확충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권역재활병원이 단계적으로 건립되었고 2008년 보건복지가족부령 제84호로 국립재활원 내 재활연구소가 설치되는 등 국립재활원에 새로운 역할들이 부여되고 있음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실의 2010년 연구1)에 따르면 실용적 재활보조기술 연구 국가 장애인 정책 수립 방안 제시 재활 연구를 위한 연구센터로서의 역할 권역재활병원의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사항 등이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의 기능으로 새롭게 추가 규정되어야 할 역할로서 제안되고 있으며 장애인 재활정보센터 역할 담당 최상의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표준 제시 등은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됨

이에 따라 국립재활원의 새로운 역할로 제안된 내용들은 다음과 같음 - 광역 수준의 재활의료기관을 관리하고 권역재활병원과 함께 재활의료 교육 연구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가 중앙재활센터 기능을 수행함 - 권역재활병원의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표준을 제시하고 재활연구 활성화를

유도하며 국가차원의 장애인 재활관련 통계자료를 관리하고 정보를 제공함- 장애인 재활정책 연구를 전문적으로 수행하여 국가의 장애인 정책 수립을 뒷받침함 -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연구 및 기술개발사업 그리고 선진 임상재활 연구를 위한

임상연구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재활서비스의 프로그램 인력 시설 등의 표준화된 인증 주관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함

국립재활원 조직개편

2009년 보건복지부는 국립재활원의 발전적인 기능개편을 목적으로 「국립재활원 발전 민middot관 TF」를 구성하여 운영하였음 - 2009 12 31 「국립재활원 발전 민middot관 TF」 구성 운영계획 수립- 2010 2 24 「국립재활원 발전 민middot관 TF」 제1차 전체회의 개최 기획총괄 재활

1)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실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10

- 3 -

교육훈련 재활의료 재활연구 등 4개 분과회의 구성- 2011 9 7 「국립재활원 발전 민middot관 TF」 제3차 전체회의 개최 국립재활원의 발

전적인 기능개편을 위한 기본방향(안) 마련- 2012 2-3월 국립재활원의 발전 기본방향 개편내용 운영프로그램에 대하여 보건

복지부와 협의

이러한 과정을 거쳐 2012 5 1 국립재활원 조직개편이 이루어짐 - 한방내과 장애인건강증진센터 신설- 장애인운전지원과 공공재활의료지원과 사회복귀지원과 개편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12 5 1 조직개편에 따라 신설되거나 개편된 부서의 기능 및 역할을 재정립하고 이를 통해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음

- 4 -

나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구축의 필요성

재활의료 시설의 불균형적인 분포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근접 지역 내에 재활시설이 없을 경우 재활서비스를 이용하기가 매우 어려움

현재 지역별로 불균형적인 재활의료서비스 공급은 장애인들이 자신의 거주지에서 재활의료서비스를 받는 것을 제한함 결론적으로 지역별 재활의료서비스 이용의 불평등을 야기함- 2006년 재활의료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지역별 자체 충족률을 살펴보면 입원

및 외래에서 지역별로 자체 충족률에 상당한 불평등이 존재하고 있음 특히 광역시 주변 시도의 자체 충족률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이 지역 장애인들이 재활의료서비스에 관한 필요가 충족 못하고 있다고 판단됨

자료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09)

- 5 -

자료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09)

장애인 재활서비스 제공기관들이 지역적으로 불균등하게 분포됨으로 인해 장애인의 서비스 이용지와 주거지가 일치하지 않음 이로 인해 긴급한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고 지속적인 재활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으며 환자 및 보호자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음

따라서 장애인의 지리적middot경제적 재활의료서비스 이용의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재활의료서비스가 취약한 지역에 대한 재활의료서비스 시설의 확충이 필요함

그러나 재활을 포함한 우리나라 의료는 대다수가 민간중심으로 공급되고 있어 이에 공공재활의료 지원에 대한 대책이 필요함

재활의료 인력의 불균형적 분포

현재 재활의료 서비스의 인력 공급은 지역 간 불균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2008년 재활의학과 전문의의 지역별 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서울(281)과 경기도(219)에 근무하는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전체의 절반에 이르고 울산이 11로 가장 낮았음2)

2) 보건복지부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향 연구 2009년

- 6 -

지역별 재활의학전문의 1인당 인구 및 지체뇌병변 장애인 수를 비교해보면 대전이 재활의학과 전문의 1인당 인구 2794백 명 지체뇌병변 장애인 78백 명으로 가장 낮았음 전문의 1인당 인구는 울산이 10113백 명으로 가장 높았고 1인당 지체뇌병변 장애인 수는 전남이 338백 명으로 가장 높았음

지역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의원 보건기관 총계종합

전문종합병원 병원 요양

병원 소계

서울 67 30 35 38 170 113 1 284 부산 7 14 12 6 39 16 0 55 대구 13 5 9 5 32 3 1 36 인천 5 3 18 6 32 14 0 46 광주 5 10 7 3 25 12 0 37 대전 3 10 3 10 26 27 0 53 울산   2 4 2 8 3 0 11 경기 4 53 58 37 152 67 2 221 강원 5 5 3 1 14 11 0 25 충북 2 4 3 5 14 14 0 28 충남 4 3 4 10 21 21 2 44 전북 5 6 5 9 25 14 2 41 전남   4 9 5 18 5 2 25 경북   6 10 10 26 8 1 35 경남 4 15 16 13 48 5 0 53 제주   3 3 3 9 7 0 16 총계 124 173 199 163 659 340 11 1010

표 1 재활의학과 전문의 현황

(단위 명)

- 7 -

취약한 공공재활 의료 현황

장애인의 재활의료서비스의 불균형적인 공급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권역재활병원 건립(6개 예정 경인 강원 제주 영남 충청 호남)과 지역사회 중심 재활사업을 전국 60개(시범사업까지 70개) 거점 보건소를 중심으로 시행하고 있음

그러나 권역재활병원은 기능 수행이 미흡한 실정이며 장애인이 자신의 거주 지역에서 진료 받을 수 있는 지역거점 장애인 진료병원은 양적으로 매우 취약한 실정임

공공재활의료 연계체계에 대한 다양한 모형이 제시되었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관 확충이 진행 중 이지만 현재 국립재활원 ndash 권역재활병원- 지역사회재활 거점 보건소 간 연계 체계는 매우 미흡한 상황이며 이를 뒷받침해줄 법제도적 지원 역시 미흡한 상황임

2012년 국립재활원에서는 공공재활의료 지원을 위해 공공재활의료 지원과를 신설하였음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구축을 통해 취약한 공공재활 의료지원을 활성화하고 국립재활원의 리더십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함

- 8 -

다 사회복귀 지원에 대한 필요성

재활의료란 의학적 치료 후 환자가 장애를 갖게 되었을 때 남아있는 기능으로 일상생활은 물론이며 직장생활도 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재활치료의 목적은 환자의 건강 및 생명을 최선의 상태로 회복하고 이를 유지하는데 있다고 정의할 수 있음3)

따라서 장애인들이 사회에 복귀하여 최대한 독립적인 삶을 살 수 있게 해주는 것은 재활의료서비스의 최종 목적이라고 할 수 있음

2011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장애연금수급자 재활서비스 실태 및 욕구』에 따르면4) 의료재활서비스를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경험이 있는 사람은 장애인연금 수급자 중 82로 나타났으나 직업재활서비스를 현재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경험이 있는 사람은 12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음 또한 사회재활서비스를 이용 중이거나 경험해본 사람은 15정도임

사회재활서비스 욕구에 관한 조사에서는 스포츠재활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전체의 40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활동보조 등 서비스 31 심리치료서비스 24의 순으로 나타났음 따라서 운동 재활과 관련하여 체육관을 이용한 재활 프로그램의 확산 및 법적middot제도적 지원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2010년 OECD 보고에 따르면 우리나라 장애인의 월평균 소득은 전체 인구 평균 소득보다 20p 정도 낮았으며 이는 OECD 회원국의 평균보다 더 낮은 수준임 장애인 가구 상대빈곤율 역시 35로 OECD 회원군 평균보다 13p 높음

3) Howard A Rusk MD (1901-1989) the Rusk Institute of Rehabilitation의 설립자로서 lsquocomprehensiverehabilitation medicinersquo 제시 httpwwwmednyueduruskabouthruskhtml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애연금수급자 재활서비스 실태 및 욕구 2011

- 9 -

장애인들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립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사회재활지원 및 확대가 필요함

현재 국립재활원에서는 장애인의 빠른 사회복귀를 지원하기 위하여 장애인의 욕구 및 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개별 프로그램 제공을 목적으로 lsquo병원기반 사회복귀 지원 프로그램(H-CRsP)를 운영하고 있음

구분 내용장애인 운전교육 운전면허취득 실기교육 운전적응교육

의료지원 및 보조기 평가 심리상담 성재활 보조기 평가 및 지원사회체험 및 지역자원 연계 대중교통이용훈련 사회문화활동 지역자원연계

일상(독립)생활 훈련 스마트홈 체험 샤워 및 세탁 쇼핑 요리실습 등상담지원 동료상담 가족상담 등

학업직업 복귀탐색 학업복귀 지원 직업훈련 연계 취업준비 지원정보제공 컴퓨터교육 장애인복지시책 안내 주택개조 지원

레포츠 및 취미활동 레포츠(수영 탁구 보치아 파크골프 등)미술활동(원예 음악 미술 도자기 등)

자료 국립재활원 홈페이지

표 2 중도장애인 사회복귀지원과정 프로그램

그러나 전체 장애인의 필요의 사회복귀를 위해서는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프로그램을 확산시킬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

국립재활원에서는 장애인의 사회복귀지원을 돕기 위하여 사회복귀지원과를 구성하였음 향후 장애인의 사회복귀와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스포츠 재활을 포함

- 10 -

한 다양한 사회재활서비스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법 제도 개선 및 사회복귀지원 체계구축이 필요함

라 장애인재활 교육훈련시설의 필요성

장애 패러다임 변화 재활욕구의 다양화 및 증가 등에 따른 장애인 자립 등 재활교육훈련 기능강화를 위한 시설 필요함

후천적 장애예방 및 체험교육훈련시스템 전문화 기존의 노후 체육관 철거 등에 따라 종합적인 재활교육훈련시설 건립 필요함

마 국립재활원 교육체계 강화의 필요성

재활의료 인력에 대한 교육 현황

재활의료서비스 공급체계의 강화를 위해서는 시설 확립 전달체계 구축과 더불어 재활의료를 제공할 양질의 전문 인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교육훈련 체계가 필요함

그러나 우리나라의 재활 의료 공급은 양과 질적으로 부족한 상태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08년 요양기관현황에 의하면 의료기관의 26에만 재활의학 전문의가 배정되어 있으며 지역사회 기반 재활의료를 제공하는 보건소 역시 253개 시군구 보건소 중 60여개 소에 불과함

보건의료서비스는 기본적으로 대인서비스이므로 인력의 양과 질에 의해 서비스의 질적 수준이 결정됨

현재 재활의료분야의 전문적인 교육훈련체계는 수요에 비해 매우 취약함 임상영역의 경우 교육이 협회학회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부분 첨단의료최신지견을 위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가 많음 또한 분절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어 재활전달체계의 측면에서 필요한 임상적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의문임

또한 재활과 관련된 비임상영역의 교육은 부재함 재활의료서비스는 다양한 직종의 인력이 연계해서 제공해야 하지만 재활 관련 교육은 직종에 따라 분절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11 -

직종에 따라 의무적으로 받아야하는 보수교육 내용들 역시 대부분 의료기술과 최신지견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정시간의 교육만을 이수해야 한다는 양적인 규정만 존재함 따라서 지정된 시간의 보수교육만을 통해서 재활의료분야에서 얼마만큼 전문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 의문임

재활전문인력의 보수교육과 관련한 내용은 다음과 같음

재활영역 전문인력 보수교육

법령근거보수교육 시행규정 보수교육 시행기관 자격 요건

의료재활

의사

의료법 제38조 제 2항 제 3항 및 동 시행규칙제21조 2middot3middot4middot5

항의사협회 정관

제 3조

12평점 이상년

-중앙회-해당 시middot도 의사회

-의과대학 및 대학원-레지던트

교육병원(단과레지던트 교육병원 포함

-각 학회 및 지회(단 의학회에 등록된

학회에 한함)-기타 교육 위원회에서 인정하는 기관 및 단체

의학 대학middot전문대학원

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의 면허를 수여 받은

물리치료사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제20조 및 동법 시행세칙 제

18조

8평점 이상년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작업치료사협회

물리middot작업치료 대학 졸업 후

언어치료사 - 60시간이상 5년

한국언어치료사협회 및 지정학회

언어치료관련 대학 및 대학원 졸업 후 자격증 시험 합격자

청능사 - 60시간 이상3년

-청능사자격검정원 및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청능사 관련 대학 및 대학원 졸업 후 자격증 시험 합격자

간호사

의료법 제28조 제2항 제3항 및

동 시행규칙 제21조의 2에

의거

8평점 이상년

- 지부 및 산화단체보수교육인정기관

간호대학(학과)대한간호사협회 사이버교육센터

간호 대학 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의 면허를 수여 받은자

사회심리재활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업법 제13조 2항 8시간 이상년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위탁한 협회나

협의회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 대학

석사 또는 박사학위 취득자(석사middot박사 학위 취득자는 사회복지관련

필수과목 6과목 이상 이수해야함)

정신보건사회복지사 - 20평점년 -(사)한국정신보건사회

복지사협회사회복지사 1급 자격소지자로서

표 3 재활 전문의료인력 보수교육 현황

- 12 -

자료원 관련법-의료법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장애인복지법사회복지사업법자격기본법

기관-한국언어치료사협회청능사자격검정원 및 청각언어재활학회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사협회

한국미술치료학회 한국장애인직업생활상담원협회

국립재활원의 교육 기능에 대한 높은 요구도

2010년에 폐지된 lsquo국립재활원운영규칙(보건사회부령 제930호)rsquo에서는 국립재활원의 기능으로써 장애인에 대한 의료재활 장애인의 자립재활 장애인의 재활 전문요원의 양성 및 재훈련 장애발생의 예방과 장애인의 재활middot훈련 등 그 복지의 증진에 관한 조사연구로 규정하고 있음

보건복지부와 그 소속직제(대통령령 제23764호)rsquo에서는 국립재활원의 직무로 장애인의 복지증진을 위한 진료middot상담지도middot재활훈련 재활전문요원의 훈련 보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한 전문요원

수련기관에서 1년이상 수련을

마친자

수화통역사 자격기본법 제35조

50시간 이상년

-중앙회(한국농아인협회)-외부유관기관 및 단체

만19세 이상의 대한민국 남녀

점역middot교정사

점역middot교정사 국가공인

민간자격의 관리middot운영에

관한 규정 31조

1회 이상년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만19세 이상으로 고졸 이상의 학력을

소지한자 또는 시각장애인 관련

기관의 점역middot교정업무

3년이상의 경력자

미술치료사 - 60시간 이상5년 -(사)한국미술치료학회

미술치료사 미술치료전문가

수련감독미술치료전문가 자격취득자

직업재활

직업생활상담원 - 1회(8시간)1

년-(사)한국장애인직업새

활상담원협회장애인직업생활상담원 양성과정 수료자

재활보조공학

의지middot보조기 기사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법시행규칙 제 61middot62middot63조

8시간 이상2년 -국립재활원

의지middot보조기 대학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 가족부 장관의

면허를 수여받은 자

- 13 -

장구의 연구개선 재활조사연구사업 및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에 관한 업무를 관장한다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음

2010년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의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향』연구에서 시행한 전문가 조사에 따르면 국립재활원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결과에서 전문재활 인력 교육 및 강화를 국립재활원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로 응답하였음

국립재활원은 국가재활의료의 중추기관으로서 역할을 감당하기 위해 재활의료전문인력을 안정적이고 체계적으로 교육하고 공급하기 위한 교육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

또한 내부 교육 체계 강화를 통해서 국립재활원 내부 인력의 역량강화 및 근무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음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립재활원의 2012 5 1 조직개편에 따라 신설되거나 개편된 부서의 기능 및 역할을 재정립하고 현재 불균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재활서비스에 대해 국가 중추 기관으로서 국립재활원의 조직 발전방향과 미래상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음

- 14 -

- 첫째 국립재활원의 공공재활의료 지원체계 구축방안 제안- 둘째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방안 제안- 셋째 국립재활원의 장애인재활교육훈련시설 운영방안 제안- 넷째 향후 국립재활원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 전문 인력의 체계적 전문적 교육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새로운 재활 교육 체계 구축방안 제시

연구 내용 및 범위

가 공공재활의료 지원체계 구축

국립재활원에서 진행 중이거나 진행예정인 공공재활의료 지원 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함

권역재활병원에 대한 법적 규정 재활의료 연계 체계 등 공공재활의료 지원 업무와 관련된 법제도규정 등을 조사 분석함

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 지역암센터 지원 사업 등 다른 의료분야의 공공의료지원 체계에 대하여 조사 분석함

해외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를 조사하고 비교 고찰함

법 제도 규정 재원 등에 대한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개선안을 제시함

나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

국립재활원에서 진행 중이거나 진행예정인 사회복귀 지원 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함

사회복귀지원 업무와 관련된 법 제도 규정 등을 조사 분석함

국립재활원의 병원기반의 운동재활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하고 확산 방법을 모색함

해외 장애인 사회복귀 지원 정책 현황 및 실태분석을 진행함

법 제도 규정 재원 등에 대한 사회복귀지원 체계 개선안을 제시함

- 15 -

다 장애인 재활교육시설 운영방안 제시

현재 장애인 재활교육시설의 현황과 실태분석을 진행

국내에 운영중인 장애인 재활교육시설의 운영 및 프로그램을 조사

해외 재활교육시설 운영 리뷰

재활교육시설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시

라 국립재활원 교육훈련 체계 강화 방안 연구

재활분야의 교육훈련 체계 현황 파악

의료법 의료기사 등에 대한 법률 사회복지법 등 재활분야의 교육훈련과 관련된 법령을 조사하고 분석함

대한의사협회 대한물리치료사협회 대한작업치료사협회 한국사회복지사 협회 등 재활분야와 관련하여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학회협회의 교육 관련 규정을 분석하고 내용을 조사함

국립재활원 권역 재활병원 공공병원 지역사회 기반 재활 거점 보건소에 근무하는 인력을 대상으로 진행한 재활인력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함

임상분야(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등)와 재활사업분야(사회복지사 등)의 직종별 교육내용과 운영 방식 교육과정 운영규정 등 교육현황을 조사 분석함

전문가 자문을 통해 재활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함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대상 수요파악

재활의료서비스 분야의 교육 훈련 수요를 조사함 기관별로 국립재활원 권역재활병원 공공병원 지역사회재활 거점 보건소등에 근무하는 인력을 대상으로 교육훈련 수요를 조사함

임상분야(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등)와 재활사업분야(사회복지사 등)의 직종별 교육 수요를 분석함

- 16 -

재활 교육 대상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재활 관련 교육경험률 재활관련 교육 만족도 필요한 교육훈련 내용 등에 관한 수요조사를 시행함

다른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 비교 고찰

국립특수교육원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의 재활 교육훈련 체계를 조사 분석함

국립암센터의 교육훈련 체계를 조사 분석함

교육훈련체계는 교육훈련 운영방식 교육 내용 교육 대상(내외부인력) 교육과정 법적규정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함

각 기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장middot단점에 대하여 비교 고찰함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체계 구축 방안제시

현재 국립재활원의 현재 교육훈련체계에 대하여 조사 분석함 조사 내용으로는 운영방식 교육내용 교육대상(내외부인력) 교육 과정 법적 규정 등을 포함함

재활인력교육훈련 현황 파악 재활 교육훈련 대상 수요도 조사 다른 국립기관의 교육훈련체계 비교 고찰 등의 내용을 종합하여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체계 강화 방안을 개발함

국립재활원 내외부의 인력을 포괄하는 교육체계 구축방안을 모색함

- 17 -

연구방법

가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분석 및 개선안 제시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분석 및 개선안 제시를 위해 다음의 항목을 시행할 것임- 국립재활원에서 진행 또는 예정인 공공재활의료 지원 프로그램 현황조사 - 공공재활의료 지원 업무와 관련된 법middot제도 규정 조사- 다른 의료 분야의 공공의료 지원체계 조사- 해외 공공 재활의료지원 체계 조사 및 비교-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개선안 제시

나 사회복귀지원 체계 분석 및 개선안 제시

사회복귀지원 체계 분석 및 개선안 제시를 위해 다음의 항목을 시행할 것임- 국립재활원에서 진행 또는 예정인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현황조사- 사회복귀지원 업무와 관련된 법middot제도 규정 조사- 국립재활원의 운동재활프로그램 현황 조사- 운동재활과 관련된 지원할 법middot제도 규정 조사- 해외 장애인 사회복귀 지원정책 현황 및 실태분석- 운동재활 확산 방안 및 사회복귀지원 체계 개선안 제시

- 18 -

다 장애인 재활교육시설 운영방안 제시

장애인 재활교육시설 운영방안 제시를 위하여 다음의 항목을 시행할 것임- 장애인 재활교육시설의 현황과 실태분석- 국내에 운영 중인 장애인 재활교육시설의 운영 및 프로그램을 조사- 장애인 체육시설의 수요와 수요 충족도 조사- 해외 재활교육시설 운영 프로그램 리뷰

라 재활의료분야 인력의 교육훈련 체계 개발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현황 파악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분석할 것임- 의료법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사회복지사업법 등 재활의료 인력의 교육과 관

련된 법률 및 규정 - 의사협회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작업치료사 협회 한국사회복지사 협회 등의 관련

학회를 통한 직종별 교육 규정 및 내용-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 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권역 재활병원의 교육훈련 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공공병원의 교육훈련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지역사회재활 거점 보건소의 교육훈련체계(대상 운영 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수요파악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대상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분석할 것임- 건강보험심사평가원등의 자료를 이용한 재활의료전문인력의 직종별 현황- 건강보험심사평가원등의 자료를 이용한 재활의료서비스 기관별 인력 현황- 국립재활원 권역재활병원 공공병원 지역사회 기반 재활 거점 보건소에 근무하는

직종별 인력 현황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대상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시행할 것임- 설문을 이용한 재활 관련 교육 경험률 교육 만족도 필요한 교육훈련 내용 등

다른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 비교 고찰

다른 재활관련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분

- 19 -

석할 것임- 일본국립장애인재활 센터 교육훈련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다른 의료분야의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분석할 것임- 국립암센터 교육훈련 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다른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시행할 것임- 각 기관의 교육 체계 문헌조사- 기관 방문 및 교육 담당자 인터뷰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체계 구축 방안제시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 체계를 구축 방안을 개발 제시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시행할 것임-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체계 분석((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 20 -

제2장 공공재활의료지원체계 구축 방안

공공재활의료 문헌 검토

공공재활의료지원을 통해 공공재활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양질의 재활의료서비스를 공급

국립재활원은 국가재활중추 기관으로 권역재활병원과 보건소의 기술적 지원 및 재활인력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

- 21 -

국립재활원 역할에 대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는 권역재활병원과 함께 재활의료 교육 연구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가중앙재활센터 기능을 수행해야 함

보건복지부 인증 재활 전문의료기관 인증을 주관해야 함

- 22 -

재활연구소를 주축으로 권역재활병원의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표준을 제시하고 재활연구 활성화를 유도 함

국가차원의 장애인 재활관련 통계자료를 관리하고 정보를 제공함- 교육 훈련을 매개로 한 국립재활원과 권역재활병원의 리더쉽 체계를 구축함

- 23 -

국립재활원 공공재활서비스 현황

1차 현황 서면 조사표 4 서면 조사 결과

- 24 -

공공재활의료지원 프로그램 구분 및 참여 현황

프로그램 구분 참가기관 참가자 수(장애인)

교육프로그램 및 설명회(9가지 프로그램)

보건(지)소 659

권역재활병원 6

기타 병middot의원 13

복지관 12

기타(시도청) 13

총계 703명

표 5 프로그램 참여 현황

- 보건소 인원이 프로그램 참여 인원의 937를 차지함- 프로그램 중 의사가 참여한 프로그램 없음

공공재활의료지원 프로그램 예산(2012년 기준)- 56100000원

주요내용- 지역사회중신재활 기본실무- 방문재활의 실제- 노년기 재활을 통한 건강관리- 장애 아동 재활의 핵심파악- 쉽게 따라 하는 재활실무- 건강한 일상을 위한 여성 장애인 재활- 지역사회 중심 재활 사업 성과대회- 공공재활 프로그램 설명회- 지역사회 재활사업 운영실제(예정)

현 프로그램의 문제- 공공재활 의료팀에서는 주로 보건(지)소 근무자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권역 재활 병원 및 2차 병원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함- 교육 프로그램 외 기술적 지원 및 협력체계 기반이 미흡함- 다양한 직종이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미흡함

- 25 -

타 기관 공공의료 지원 현황

가 국립 암센터

국립암센터와 지역암센터 연계체계

- 12개의 지역암센터가 지정되어 있음- 국가 암관리사업의 경우에는 지역단위까지 연계하여 수행하는 거점기관임- 국리암센터와의 연계체계를 구축하고 국가 암관리사업에 적극 활용 중- 국립암센터와 MOU 등을 통한 활발한 연계 지원을 시행 중

나 중앙정신보건 사업 지원단

법적근거

정신보건법 제13조 6항 동법 시행규칙 제 7조-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집중적이고 전문적인 지원을 위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은

- 26 -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을 시 도지사는 지방정신보건사업지원단을 각각 설치 운영할 수 있음

직무범위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기획 및 조정에 대한 지원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 및 정신보건시설에 대한 평가

정신보건관련기관 단체 또는 정신보건시설 간의 연계체계 구축 지원

정신보건사업의 현황 파악 및 통계

기타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시하는 사항

국립재활원의 공공재활의료 지원 전략

가 공공재활의료 체계 내 국립재활원의 역할 강화

권역 재활병원과 상호 협력- 진료 지원 및 협진(환자이송체계 구축)- 통계산출 및 정보제공을 위한 각종 자료 공유- 권역재활병원의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표준을 제시- 공동연구수행- 전문 인력 교육 및 교류- 국가재활사업 상호협력 수행

재활 전문병원 평가 및 인증- 보건복지부 인증 재활 전문병원의 평가 지침 개발- 보건복지부로부터 재활 전문 병원 인증 권한 위임

국가정책수립 기능- 국가 장애인 정책수립방안 제시- 장애인 및 재활의료서비스 통계 산출- 적정 재활 의료서비스 제공 표준 제시

- 27 -

교육 및 연구 기능- 권역재활병원 및 공공병원의 재활 인력 교육 및 훈련- 지역사회 중심 재활 인력의 교육 및 훈련- 재활연구 활성화를 유도 장애인 재활정책 연구를 전문적으로 수행- 매년 전국단위의 포럼 혹은 세미나를 개최하여 인적 학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학문적 역량 및 리더쉽을 확보

국제보건- 국제기구 혹은 국내 국제보건 단체들과의 지속적 협력을 통하여 개발도상국 저개

발 국가의 재활의료 원조를 지원- WHO 협력센터 지정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 방안

가 필요성

의료기관 평가의 목적은 의료의 질 향상 및 의료의 질에 대한 사회적 책임 증대임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해서 개별 의료기관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고 평가 기준을 준수하도록 함으로써 환자 진료 및 서비스의 질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임 의료의 질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평가 결과를 공표하고 병원 간 평가결과를 비교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비자의 병원 선택에 도움을 줌

2010년 의료기관평가 인증원이 의료법 제 58조에 근거하여 세워졌음 인증원의 병원 인증은 병원급 이상의 모든 병원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재활전문 의료기관에 대한 전문성이 떨어짐 따라서 인증원에서 적절한 재활의료에 대한 평가 기준을 세우고 이를 전국에 확산시켜 전 국민이 적절한 재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에는 힘듬

인증원에서 인증을 받아도 보건복지부 인증기관이라는 명칭을 부여받을 뿐 수가나 다른 인증에 대한 인센티브가 없는 실정임

또한 산재보험공단과 재활의학회에서도 각각 재활전문병원을 인증하고 있어 혼란이 가중되고 있음

5) 김윤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용역과제 2010

- 28 -

나 의료기관 인증평가 관련 선행연구 검토

의료기관 평가제도 장기적 발전방안 연구

연구에서 제시된 평가기준의 원칙은 다음과 같음- 첫째 환자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환자중심의 평가기준을 개발하여 궁극적으로

환자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킴 제공자의 부서 직종 구분이 아니라 환자가 병원에서 받게 되는 서비스의 흐름과 종류에 맞추어 평가의 부문과 영역을 설정하며 특정 서비스의 제공과 연계 관련된 기능 부서를 통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함

- 둘째 평가기준이 측정하는 영역이 중복되거나 편중되지 않으면서 포괄적인 기준을 마련함

- 셋째 평가기준이 의료의 질을 반영할 수 있도록 평가기준의 질적 측면을 포괄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하여야 함

- 넷째 평가지표의 특성이 너무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평가기준보다는 목적을 정립하고 이에 부합하는 기준이 되도록 함 즉 명목적(explicit) 평가기준보다는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에 초점을 맞추면서 묵시적(implicit)인 평가기준으로 유도해감

의료기관평가의 안정적인 발전뿐만 아니라 앞으로 평가 대상 기관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갈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독립적인 전담 기구가 필요함(현재의 의료기관평가의 대상 기관은 종합병원 및 300병상 이상의 병원으로 현재 약 360여개 병원이 이에 속하고 있음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전반적인 질적 수준의 제고라는 측면에서 볼 때 앞으로 평가 대상 병원을 소규모 병원으로까지 확대할 필요성이 있으며 많은 나라들에서 1차 진료를 평가 대상에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다면 장기적으로 볼 때 평가 대상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산재보험 의료재활항목 수가개발보완 및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제 도

입 방안 연구

산재전문병원 인증제도의 도입은 현재의 4단계 종별분류에서 3단계의 새로운 분류체계와 개념상 일치한다고 생각함 현행의 4단계 종별분류는 의원 병원 종합병원 종합전문병원(대개 대학병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병원 종합병원과 종합전문병원간의 시설규모나 인력 장비 수준이 너무 차이가 생겨 상급병원으로서의 병원 종합병원의 역할이 과거에 비해 약화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6)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2005

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2006

- 29 -

이에 새로운 3단계 분류로서 ldquo전문병원rdquo이란 개념을 도입하게 되었음 병상 수 등의 규모보다는 내적인 시설 인력구조 진료상병의 집중화 등을 토대로 전문적인 진료가 가능한 병원을 인증하여 이곳에는 여러 가지의 지원을 하자는 것임 이를 통해 종합전문병원으로 집중되는 환자를 분산시키고 다양한 의료의 전문화를 구축하자는 것임

인증 기준은 다음과 같음- 인력구성의 적절성 의사(전체의사 재활의학전문의) 간호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

사 언어치료사 임상심리사 의료사회복지사 직원 교육 및 연수프로그램- 시설 및 장비의 적절성 시설구비(병동 및 진료관련시설) 재활치료장비 응급장비

시설 및 장비 안전관리 장애인 편의시설- 질적 서비스의 제공 입퇴원 기준의 구비 및 준수 환자 평가 치료계획의 수립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및 평가 수행 여부 팀 접근 재활간호서비스 보장구 처방 검수 및 훈련 능력 입원환자의 진단명 구성 및 중증도

- 질 향상 활동 질 향상 위원회 환자 시설 인력의 질 평가 자료의 활용 여부

다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 방안 개발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가 구축middot개선되는 과정에서 새롭게 설립되거나 역할을 부여 받은 서비스 제공자가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 내에서의 역할과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음 이러한 경우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의 운영에 장애가 될 수 있음 이를 예방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적절한 인증기준과 인센티브 방안 등이 포함된 재활의료기관 인증제가 활용될 수 있을 것임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10)8)의 전문가 조사 결과와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체계를 구성하여 그림 14와 같이 정리하였음

8)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안 연구 2010

- 30 -

현재 산업재해공단 재활의학회 보건복지부 산하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서 각각 재활전문병원 인증을 시행하고 있음 이는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들에게도 혼란을 줄 뿐만 아니라 병원에도 부담과 혼란만 가중시킬 뿐임 국가적으로도 의료자원의 낭비임 따라서 현행의 재활전문병원 인증을 하나로 통합하여 인증할 수 있도록 함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이 현재 모든 병원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재활전문병원에 대한 전문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는 국립재활원과 재활의학회에서 평가 및 인증기준을 설립하여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서 설립된 기준을 바탕으로 평가 및 인증을 시행 해야함

재활전문병원 인증기준과 관련하여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5)9) 연구에서는 재활의료서비스 대상자에 대한 직접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치료사(물리치료사 및 작업치료사 등) 재활의학전문의 간호사 등의 재활 인력 재활의료서비스 진료실적의 질적 측면 진료관련 편의시설 및 장애시설 구비정도에 대한 인증 기준의 필요도가 35 이상으로 높게 제시된 바 있음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10) 연구에서는 재활전문병원 인증기준을 시설 및 장비 기준 인력 기준 재활서비스 기준 등으로 분류하였고 이 중에서 전문가들은 장애인 편의시설 구비 정도와 재활의료서비스 진료실적에 대한 질적 평가에 높은 중요성을 부여하였음(그림 14)

9)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5 이 연구에서는 재활의학전문의 270명 물리치료사 74명 작업치료사 3명 등 총

347명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한 바 있음

- 31 -

재활의료서비스의 질적 평가를 위한 지표와 관련하여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5) 연구에서는 재활계획(입원 시 치료계획) 수립 환자 및 보호자 대상 정보제공 및 교육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사용 기능상태 사정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및 평가 수행 등이 중요하게 제시된 바 있음

대한재활의학회는 2008년부터 전문재활병원 인증제 평가를 수행해오고 있음 이 때 평가 기준들은 다음과 같음- 인력 부문 의사 인력 간호 인력 물리치료사 인력 작업치료사 인력 언어치료사

인력 사회복지사 인력 임상심리사 인력- 시설 및 장비 부문 운동치료실 작업치료실 언어치료실 사회사업실 이동성 장

애인용 화장실 물리치료 기구 운동치료 기구 작업치료 기구- 전문재활서비스 부문 기능의 평가 팀접근에 의한 재활서비스 집으로 퇴원한 환

자의 비율 발병 후(장애 발생 또는 악화 후) 2년이 경화하지 않은 환자의 비율- 전문적인 재활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의 비율

한국보건사업진흥원의 연구와 대한재활의학회의 평가기준을 참고하여 2010년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10)의 연구 보고서에서는 재활전문병원 인증 기준을 다음과 같이 예시함- 인력 기준 의사 수 재활의학전문의 수 간호사 수 치료사(물리치료사 등) 수 사

회복지사 수 등- 시설 및 장비 기준 병상 수 진료관련시설 구비 정도 장애인 편의시설 구비 정

도 장비 기준 준수 등- 재활의료서비스 진료실적에 대한 양적 기준- 재활의료서비스 진료실적에 대한 질적 기준 재활계획(입원시 치료계획) 수립 여부

- 32 -

퇴원 전 퇴원계획(기관 연계 등) 수립 여부 재활전문 인력 면허자격 비율 다학제적 팀접근 여부 재활프로그램의 다양성 환자 및 보호자 대상 정보제공 및 교육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사용 여부 기능상태 사정 여부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및 평가수행 여부 사례회의 실시 정도 직원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

재활전문병원으로 인증된 의료기관에 대한 인센티브 방안으로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 교실의 2010년 연구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취약지 시설 건립을 위한 건축비 지원 지역사회 재활사업 지원 등 공적 사업에 대한 재정 지원 인증기관에 대한 차등수가제 적용 등의 방안을 제시함

국제보건의 필요성 및 진행 방향

가 세계장애현황10)

장애인 인구

장애 인구는 전 세계적으로 10억명 이상 혹은 세계 인구의 15이상으로 추정되고 있음(2010 global population estimate 기준)

WHO에서 2011년 발간한 World Report on Disability에 따르면 장애를 15년 이상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은 7억 8천 5백만 명이며 세계 인구에 156를 차지함

10) World report on disability 2011 WHO

- 33 -

이 중 1억 1천만 명(22)이 심각한 장애를 안고 있는 것으로 추정됨

장애는 심각한 우울증 시력상실 사지마비 등과 같은 수준의 심각성을 가지고 있음

현재 장애인의 숫자는 인구가 노령화되면서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임

재활분야의 수요와 미충족 수요

현재 재활분야에서는 몇몇 국가에 대한 자료만 있을 뿐 전 세계적으로 통합하여 미충족 수요를 추정한 자료는 없음- 재활분야의 데이터들은 완전치 않거나 분절화 되어 있는 경우가 많음

재활분야의 미충적 수요는 퇴원을 늦추고 활동을 제한하며 건강을 악화시키고 삶의 질을 낮출 수 있음 - 이런 부정적 결과는 개인을 넘어 가족 지역사회 까지도 사회적으로 재정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음

미충족 수요의 대한 데이터는 일부 국가의 특정 장애에 관한 조사만 사용 가능함11)

- 말라위 모잠비크 나미비아 잠비아 짐바브웨에서 시행된 국가적 장애인 삶의 실태조사에서 재활치료와 보조장비의 심각한 부족과 성의 불평등을 나타내었음

- 크로아티아 체코 헝가리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에서 진행된 재활의료 조사에서 일차 이차 삼차 재활에 접근성의 부족을 보였음

또 다른 방법으로 재활분야의 미충족 수요를 추정한 방법은 재활 서비스를 받기까지의 기간으로 추정하는 방법임- 최근의 국제 조사(2006-2008)에서 도시지역에 재활의료를 받는데 까지 걸리는 대

기시간은 평균 한 달 미만으로 조사되었음 그러나 시골지역에서는 6개월에서 1년까지 걸리는 것으로 조사됨12)

11) Maclachian M et al Disability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Dordrecht Netherlands Sringer

2009(World report on disabiltiy WHO 2011에서 재인용)

12) Chiang PPC The Global mapping of low vision services Melbourne University of Melbourne

2010(World report on disabiltiy WHO 2011에서 재인용)

- 34 -

나 필요성13)

전술한 국제사회의 광범위한 보건부문의 미충족 수요(unmet need)는 보건 ODA수요를 발생시키고 있으나 국제적인 보건 ODA는 이런 수요에 충분히 부합하지 못하고 있음

이런 상황 속에서 50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수원국에서 공여국이 된 전 세계에 몇 안 되는 사례 중 하나인 우리나라의 발전경험이 개도국 발전의 모범적인 성공사례로 주목받고 있으며 국제기구들과 개도국들로부터 한국의 개발경험 전수에 대한 요청이 늘어나고 있음

재활 분야에서도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우리나라 재활의료에 대해 제3세계 등지에서 경험 전수에 대한 요청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임

다 국립재활원 현황

콜롬비아 중앙재활센터 건립사업

2008년 국립재활원은 한국국제협력과 협력하여 콜롬비아 무상협력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콜롬비아 보고타 지역의 중앙재활센터 건립사업을 수행하였음

국립재활원은 콜롬비아에 선진재활프로그램 전수 재활센터 설계 등 마스터플랜 수립을 지원하고 재활장비 선정 및 자문을 하였음- 콜롬비아 병원건립 프로젝트 책임자 병원 설계자 대학교수 및 중앙재활 센터 담

당자 등이 한국을 방문하여 재활센터의 방향 및 개념 정립 재활병원 건축 및 설계 한국의 재활 기술 및 재활모델 한국의 의료시스템 전반 의료정보 활용 사회적 직업적 재활 전략 등에 관한 연수를 국립재활원에서 진행하였음

한국국제협력단 와의 체결

2010년 국립재활원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보건의료분야 대외무상 원조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 함- 협력내용은 기관의 고유사업 중 협력을 통해 성과를 제고 시킬 수 있는 업무분야

에 대한 기획 의사결정 수행- 개발도상국의 보건의료 관련 신규 상호협력과제 마련 및 추진 등

13) 오주환 한국형 ODA 프로그램 선정 연구 2012 총리실 연구용역과제

- 35 -

라 향후 방향

효과적으로 국제보건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WHO 협력센터 지정을 받는 것이 필요함- WHO 협력기관은 WHO가 수행하는 각종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해 WHO 사무총

장이 지정하는 국제적인 협력네트워크임- 매 4년 마다 재지정 평가 절차를 거친 후 협력센터의 기능을 유지함- WHO 협력센터 지정을 통해 수행하는 업무에 국내외적 관심을 높일 수 있으며

생산된 결과물에 대한 국내외 관계자들의 신뢰를 끌어올릴 수 있고 국제 보건관계 기관간의 협력관계 구축에 용이해지며 국제사회에서 협력을 추진하는데 큰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음

WHO 협력기관의 조건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은 다음과 같음14)

- 국내외적으로 높은 과학적 기술적 지위를 가지고 있을 것- 국내의 의료적 과학 혹은 교육 구조에서 두드러진 위치에 있을 것- 높은 질의 과학적 기술적 리더쉽을 가지고 있으며 높은 질의 직원을 충분히 확보

하고 있을 것- 개인 활동 펀드 모두 안정적인 상황일 것- 국내외의 다른 기관들과 강한 협력관계를 맺고 있을 것- 특정 국가의 원조 프로그램이나 국제 협력 활동에 참여하여 WHO의 프로그램들을

단일기관으로 혹은 네트워크의 하나로서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함- 적어도 WHO와 지난 2년간 협력관계를 가진 경험이 있어야 함

위의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준비를 지속해 나가야 할 것임

국립재활원과 권역재활병원의 협력 방안

가 권역 재활원 관리 모델

보건복지부로부터 권역재활병원의 관리권한을 위임 받아 병원의 재활 센터의 질관리 등 전반적인 관리를 책임짐

권역재활병원의 관리를 위하여 재활병원 평가 기준을 개발하여 점차 전국의 재활 연관 병원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

장애인 재활 지침을 마련하여 진료의 표준화를 확립 재활 연관 직종의 보수교육의 전부 혹은 일부를 담당하여 국립재활원이 재활

14) Guide for WHO collaborating centres WHO 2012

- 36 -

연관 직종에서도 리더쉽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

- 37 -

나 권역재활병원 협력 모델

국립재활원은 1년 단위로 각 권역재활병원과의 협의를 통하여 각 지역의 이전 공공 재활 계획과 그 결과를 평가하고 다음해의 계획을 세우는데 조언을 함

복지부와의 협의를 통하여 공공재활을 지원할 재원을 확보하여 각 권역 병원의 공공재활 프로그램에 재원을 분배하여 지원함

권역 재활병원과의 MOU를 통하여 적극적으로 인력 및 기술을 지원함

법 제도적 개선 방향

위에 기술한 공공재활서비스 발전 방안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가칭)장애인보건법의 제정 혹은 제도 정비 등 몇 가지 법적 제도적 개선이 필요함

가 국립재활원 및 권역재활병원 운영규칙 및 설립근거

1994년 제정된 lsquo국립재활원운영규칙(보건사회부령 제930호)rsquo은 폐지됨 대신 보건복지부의 소속기관으로 lsquo책임운영기관의 설치 운영에 관한 법률rsquo lsquo책임운영기관의 설치 및 구분rsquo과 예규의 형식으로 발령된 lsquo국립재활원 기본 운영 규정rsquo에 의해 규율을 받고 있음

현재 국립재활원의 법적위치는 lsquo책임운영기관의 설치 운영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보건복지부소속 책임운영기관으로 되어 있음

따라서 앞서 제시한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의 새로운 기능으로 제시한 국가 재활연구센터로서의 역할과 국가 장애인정책 수립방안을 제시하는 재활정책 수립 기능 재활의료기관 인증을 수행하고 권역재활병원의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사항을 조정하는 인증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가칭)장애인 보건법 등 법 제도 신설 혹은 정비 시 국립재활원의 설립근거와 운영규칙을 확립해야함

권역재활병원의 기능으로는 포괄적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권역 내 재활사업 주관 권역 내 재활전문 교육훈련 및 임상연구 등 재활연구센터로서의 역할 담당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와 함께 교육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국가

15)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안 연구 김윤 보건복지가족부 용역과제 2009

- 38 -

중앙재활센터로서의 기능 등이 포함되어야 함 또한 권역재활원 선정 및 심사 평가 체계로서 보건복지부 및 지방자치체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 민간 학회 등 연구기관이 각각 담당하는 역할과 권역재활병원 지정 절차 지정조건 및 기간 지원 내용 등도 규정되어야 함

나 재활전문병원 인증 관련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

의료법 제3조의 5 전문병원 지정 항목에 의거하여 재활전문병원의 요건을 보건복지부령으로 규정함 또한 특정 질환의 경우로서 을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함

재활전문병원 지정을 위한 요건에는 시설 및 장비 기준 인력 기준 재활서비스 기준 등이 포함되어야 하며 특히 재활계획(입원시 치료계획) 수립 환자 및 보호자 대상 정보제공 및 교육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사용 기능상태 사정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및 평가 수행 등 진료실적에 대한 질적 평가의 비중이 강조되어야 함

현행 의료법 제3조 5 전문병원 지정 항목에는 전문병원 지정 이후 인센티브 제공 내용이 언급되어 있지 않으나 취약지 시설 건립을 위한 건축비 지원 지역사회 재활사업 지원 등 공적 사업에 대한 재정 지원 인증기관에 대한 차등수가제 적용 등의 방안들이 규정될 필요가 있음

- 39 -

다 개선사항 제안

국립재활원의 설립근거 및 운영규칙

-국립재활원의 설립근거와 운영규칙을 법에 명시하도록 함예시) 보건복지부장관은 장애인의 보건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와 장애인의 진료 등을 위하여 국립재활원을 설치운영하여야 한다-권역재활병원의 기능과 역할을 명시예시) 지역사회 장애보건 및 재활의료사업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하여 권역재활병원으로 하여금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1 해당지역 장애발생율 등 장애보건관련 통계산출을 위한 자료의 수집분석관리 2 해당지역 장애보건관리사업의 기획 및 재활의료서비스 연계체계 구축 3 해당지역 장애보건 관련 조사연구사업 4 해당지역 장애보건 관련 인력교육훈련 및 국제협력 5 해당지역 장애건강등록사업에 관한 사항 6 해당지역 장애인 가족지원에 관한 사항 7 지역거점재활의료센터 지원 8 그 밖에 지역사회 장애보건 및 재활의료사업과 관련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

재활전문기관 평가 및 인증

-의료기관인증평가원의 재활전문병원 인증시 국립재활원의 역할을 명시

예시) ➀ 보건복지부장관은 재활의료기관에 대하여 특화 및 전문치료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는 기관에 대하여 재활의료전문기관으로 인증취소할 수 있다 ➁ 제1항의 재활의료전문기관 인증취소에 관한 업무는 중앙장애보건관리본부(현 국립재활원) 등 관련 단체 및 전문기관에서 수행할 수 있다 ➂ 재활의료전문기관 인증취소에 관한 범위와 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지역거점재활의료센터

-지역사회 장애보건 및 재활의료사업의 전문적 수행을 위해 보건소나 국공립 및 권역재활의료기관에 (가칭)지역거점재활의료센터를 설치 위탁 할 수 있도록 함예시)지역사회 장애보건 및 재활의료사업을 전문적으로 수행하게 하기 위하여 보건소 또는 국middot공립 및 권역재활의료기관에 권역장애보건관리본부 및 지역거점재활의료센터를 설치하거나 그 사업을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관 또는 단체에 위탁할 수 있다

표 6 법 제도적 개선사항 제안 정리

- 40 -

요약 및 소결

현재 국립재활원 공공재활 의료팀에서 시행중인 공공재활의료 관련 사업을 검토하였음 - 위에서 서술한 현재 공공재활의료 관련 사업의 문제는 아래와 같음- 공공재활 의료팀에서는 대부분 보건(지)소 근무자 교육 프로그램만 운영하고 있음- 권역 재활 병원 및 2차 병원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함- 교육 프로그램을 제외한 기술적 지원 및 협력체계 기반이 미흡함- 다양한 직종이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미흡함

위에 제시한 문제점과 2009년 재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델파이 조사를 바탕으로 국립재활원의 공공재활의료 발전 방향에 대한 전략을 구상하였음

권역 재활병원과의 상호 협력 증진- 보건소에서부터 권역재활병원 국립재활원으로 이어지는 공공재활의료 전달체계 구축-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진료 지원 및 협진 등

의 재활의료서비스를 지원함

재활 전문병원 평가기준마련 및 인증제 실시- 장애인 보건법 제정 등의 제도적 정비가 필요함

국가정책수립 기능- 장애인 보건법 등의 법적 제도적 정비 방향을 제시함- 장애인 및 재활의료서비스 통계를 산출함

교육 및 연구 기능- 권역재활병원 및 공공재활의료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권역재활병원 실무과정 공

공재활의료 아카데미교육과정 등과 같은 공공재활체계교육을 수행함- 재활정책 고위과정을 교육을 수행하여 정책형성의 기반을 형성함

국제보건- 국제기구 혹은 국내의 국제보건 단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국제적 재활의료 부분에

대한 원조를 지원함- 효과적인 국제보건 지원을 위해서는 WHO 협력기관 지정을 받는 것이 필요함

- 41 -

제3장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 방안

사회복귀지원의 개념

가 문헌 검토

lsquo사회복귀rsquo 용어는 일반적으로 미국에서 lsquocommunity (re)integration(사회복귀)rsquo와 lsquosocial integration(사회통합)rsquo를 사용하고 있고 그 외 lsquocommunity reentryrsquo lsquocommunity livingrsquo lsquogetting back to real livingrsquo 등으로 다양하게 지칭하고 있음

lsquo사회복귀rsquo 관련 개념은 명확하게 개념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임 단지 장애인 부상자 범죄자 등 사회적 취약 계층의 사회로 복위 갱생 회복 등을 의미하며 대상자별로 조작적 정의를 통해 개념이 정립화되어 있음- Kenneth Lam (1994) 사회복귀란 가족과 지역 내 일상생활 일상적인 역할과 책

임 사회 구성원의 일원으로 동참하는 것을 의미함17)

- Marcel Dijkers (1998) (물리적 손상이나 장애 후) 사회복귀란 연령성별문화적 적절한 역할상태기능을 돌이키는 요구 의사결정을 통해 독립적상호의존적 그리고 지역사회에서 가족과 친구 등 다양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완성된 행동을 수행하는 것을 말함18)

- Mank amp Buckley (1989) 장애인의 사회통합은 비장애인이 영위하는 수준과 동등하게 장애인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존재(presence)하고 참여(participation)하는 정도를 의미함19)

- Ely amp Peter (1991) 사회통합은 lsquo사회적 동반rsquo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장애인이 실제 살아가는 곳에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상적인 활동에 참여하는 것임20)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장애인 대상의 사회복귀는 장애 발생 이후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기능이 재조직화 되어 개인의 가정생활 사회활동 직업활동에 복귀하여 안녕감을 갖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음

16) 사회복귀지원의 개념 및 프로그램 운영 사례에 대해서는 lsquo국립재활연구소 장애인의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재활서비스 모형 개발 2010rsquo 및 lsquo국립재활연구소 장애인의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ICF 기반의 재활서비스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 2011rsquo을 참고하였음

17) Kenneth Lam Community reintegration Life after stroke 1994 세미나 발표 자료

18) Marcel Dijkers Community Integration Conceptual Issues and Measurement Approaches in

Rehabilitation Research Top Spinal Cord Inj Rehabil 19984(1)1ndash15

19) Mank D M amp Buckley J Strategy for integrated employment in W E Kierman amp R L Schlock

(Eds) Econimoic industry and disability A look ahead baltimore Paul Books Publishing 1989

20) Ely Peter W Quality of life and social integration of psychiatrically disabled citizens in community

residences MI University Microfilms International 1991

- 42 -

나 병원 기반 사회복귀지원프로그램

질병 및 손상으로 인한 장애가 발생한 환자에게 제공되는 환자병원 기반 사회복귀지원 과정은 다음과 같음

병원 기반 사회복귀지원프로그램은 일상생활훈련(실생활 훈련)을 비롯하여 운전교육 컴퓨터 교육 학업(직장) 복귀지원 주택개조 정보 제공 및 연계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멘토링(동료상담) 프로그램 정서적 지원 성재활 지역사회자원 연계 가족지지상담 및 프로그램 법률지원서비스 독립생활체험 활동보조인 이용체험 보조기 평가 및 대여이용체험 등으로 구성됨- 일상생활훈련(실생활) 훈련은 장보기 요리실습 및 세탁 청소 샤워 등 기본적인

- 43 -

일상생활 및 가정관리 훈련 쇼핑 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 이용 및 이동훈련 시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음

- 운전교육에는 운전클리닉 운전면허 취득 운전적응훈련이 포함되어 있음- 학업 및 직장 복귀 지원은 학업 복귀와 취업준비 지원 및 직업 훈련 연계가 포함됨-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은 재활스포츠와 문화활동이 포함되어 있음- 정서적 지원부분에서는 인지middot정서에 대한 심리학적 평가를 기반으로 정서적 어려

움에 대한 상담과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음

구분 내용

일상생활(실생활)

훈련

요리 메뉴 짜기 및 시장보기 실습실을 이용한 요리 실습 시행

쇼핑 대중교통 이용하여 백화점 할인마트 시장 방문하여 쇼핑하기 계산하기 등 일상적인 가정관리 훈련제공

금융이용 훈련 통장 및 현금카드 만들기 현금인출기 이용 세금 납부하기 인터넷 뱅킹 등 금융이용 훈련 제공

대중교통 이용 지하철

지하철 내 편의시설 이해 엘리베이터 장애인 개찰구 및 출입구 이용 등 사전 모의 체험 및 실제 지하철 이용하기

대중교통 이용 시내버스

저상버스 이용법 리프트 승하차 휠체어장애인용 좌석 이용 등 사전 모의체험 및 실제 저상버스 이용하기

운전교육운전클리닉 자동차 운전을 원하는 환자에게 전문적인 자동차 운전 평가와

가상현실운전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훈련 제공 운전면허취득 운전면허 취득을 위한 운전기능교육 및 도로주행교육 시행운전적응훈련 장애 발생 전 운전면허 소지 장애인을 위한 도로주행 교육 시행

컴퓨터 교육 타자연습 등 기초교육 문서작성 인터넷 포토샵 등 개인 수준에 따른 정보활용 교육 시행

학업직장복귀 지원

학업복귀지원 입(복)학 관련 정보 제공 장애인 편의시설 조사 담당자 면담 등 진학 및 복학을 위한 지원

취업준비지원 장애인고용공단 직업평가 및 상담 연계 장애인일자리 관련 단체 안내 등 장애발생 전의 직장복귀 및 취업연계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

직업훈련연계 장애인 직업전문학교 상담 및 장애인직업능력개발센터 장애인복지관 직업훈련 등 훈련 연계

주택개조정보제공 및 연계장애인의 주거환경을 진단하고 편의시설 및 주택개조에 대한 정보제공

주택개조 지원연계 등의 서비스를 지원함 (지역구별 집수리 신청 주거개선 업체정보 관련 후원단체 연결 등)

레저 및레크리에이

재활스포츠수중운동체험 및 농구 럭비 볼링 배드민턴 탁구 사격 게이트볼

수영 펜싱 파크골프 등 다양한 원내middot외 연계스포츠를 통해 지역사회에서 이용할 수 있는 레저스포츠 개발 및 참여기회 제공

문화활동 박물관 민속촌 등 다양한 문화활동 체험 및 영화관 미술관 관람

멘토링(동료상담) 프로그램

입원환자에게 여러 가지 조언과 치료완료 후 사회에 적응하고 직장복귀 취업안내 등을 컨설팅 할 수 있도록 잠재력을 키워가도록

도와줌 사회복귀 성공사례 및 정보 제공 동료상담 활동가 및 사회복귀 코디네이터 연계

정서적 심리치료 인지middot정서에 대한 심리학적 평가를 기반으로 정서적 어려움에 대한

표 7 H-CRsP 프로그램 구성 및 내용

- 44 -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지원 현황

가 주간재활센터 프로그램

주간재활센터는 각종 질병이나 사고로 뇌손상을 입은 장애인을 대상으로 독립적인 생활 및 사회적응을 돕고 가족의 부담을 경감시키고자 낮 시간동안 포괄적인 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임

대상은 급성기 치료가 끝나고 의학적으로 안정된 뇌손상 장애인으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기능증진을 위해 적극적인 재활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이며 매주5일(월~금)동안 하루 8시간 총 3개월 동안 이용할 수 있음

재활스포츠 활동 게이트볼 골프 배드민턴 탁구 볼링 배구 등 환자의 장애에 맞는 응용스포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신체적 활동 및 운동경기를 통해 운동능력을 향상시키고 즐거움 만족감을 느끼게 하며 환자간의 협동력을 높여줌

집단 간호 상담 장애로 인해 환자와 가족들이 겪게 되는 심리적 충격 및 고

지 원

상담과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제공

미술치료 그리기 만들기 등 다양한 미술활동을 통한 내면의 정서상태 표현 및 역량 강화

음악치료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 율동 등 음악활동 및 치료 레크리에이션을 통한 정서순화

원예치료 식물심기 및 기르기 꽃꽂이 창작품 만들기 등 원예활동을 통한 정서순화 및 취미개발

성재활성재활 상담 교육 치료를 통하여 장애인의 올바른 성에 대한 인식과

성생활이 가능하도록 도와주어 행복한 가정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는 재활치료

지역사회자원 연계 자립생활센터 복지관 등 거주지에서 이용 가능한 지역자원 및 재활운동 취미활동 자조모임 등 프로그램 연계

가족지지 상담 및 프로그램 가정방문 및 가족상담

법률지원서비스 장애인 관련 법 및 장애인 복지시책 관련 정보 제공과 법률상담 연계 지원

독립생활체험 첨단 보조기구 및 환경제어 시스템이 설치된 실거주형 원룸(침실 욕실 주방 등)에서 생활할 수 있는 기회 제공

활동보조인 이용체험 활동보조지원 사업 및 이용법에 대한 안내 활동보조서비스 신청 지원 필요시 실제 활용 기회 제공

보조기 평가 및 대여이용체험 장애인의 특성과 기능에 맞춘 보조기구 활용을 위해 보조기구 상담 및 제작 개조 및 대여 등의 서비스 제공

- 45 -

충을 같은 입장에 있는 사람들이 함께 모여 이야기를 나누고 서로에게 주어지는 피드백을 통해 보다 긍정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장애수용을 돕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임

성재활 상담 뇌졸중 재발의 두려움과 신체적 불편감으로 인한 부부간의 성생활 결여로 야기되는 갈등을 해소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며 뇌졸중 후 성생활시 주의점 및 전문적인 지식을 제공함

음악치료 음악활동을 체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사람의 신체와 정신기능을 향상시켜 개인의 삶의 질을 추구하고 보다 나은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프로그램임

치료 레크리에이션 병원생활과 기능손상으로 인한 무기력감과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기능 증진을 위한 다양한 여가프로그램을 통해 환자의 적절한 여가활용 및 사회복귀를 촉진함

원예치료 식물을 이용한 원예활동을 통해 사회적 심리적 신체적 적응력을 기르고 녹색의 쾌적함을 얻고자 하는 활동 프로그램임

미술치료 색채 및 미술도구를 이용하여 심신의 안정과 흥미를 유발함으로서 손의 감각자극이나 동작기능을 향상시킴으로서 사회복귀를 촉진함

가정방문 가정에서 생활환경 및 기능상의 어려움을 파악하여 이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고 대상자의 치료 및 훈련을 보다 효과적이며 실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임

실생활재활치료 사회복귀에 대한 두려움 해소 재활의욕 고취에 긍정적인 도움으로 주는 프로그램으로 옥외활동 문화체험 및 관람활동 교통수단 이용해보기 등의 3가지 테마로 구성되어 있고 월1회 실시하고 있으면 환자기능에 맞는 과제를 제시해 줌으로써 동기부여와 목적을 재인식시켜줌

가족프로그램 보호자와 함께하는 프로그램으로 요리하기 요가 등이 있음

- 46 -

나 사회복귀지원과 2012년 사업추진 현황21)

국립재활원 사회복귀지원과의 2012년 사회복귀지원사업 추진 현황은 다음과 같음

21) 국립재활원 사회복귀지원사업 현황 국립재활원 사회복귀지원과 2012

구 분 내 용 비 고

일상생활훈련

가정관리 세탁 샤워 장보기 및 요리실습 등 의식주 활동

이동훈련 수동 및 전동휠체어 이용훈련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시설 이용하기

활동보조서비스 활동보조서비스 안내 및 지원활동보조인 연계 무료 실습기회 제공(25시간)

의료지원

의료평가 원내 재활의학의 진료 및 평가원내재활병원연계치료 및 교육 필요시물리ㆍ작업치료 교육제공

심리상담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진료 및 상담

보조기 사례관리 휠체어 등 보조기 상담 및 평가훈련 중 보조기 맞춤 및 대여 체험

재활연구소연계

상담동료상담 동료장애인 경험 및 사례모델링

가족상담 및 교육 성재활 가족갈등 해소를 위한 가족상담 및 교육

정보제공

컴퓨터(정보활용) 한글 인터넷 등 기초과정엑셀 파워포인트 등 고급과정

장애인복지정보 장애인복지시책 등 각종 정보안내 거주기 지역자원 복지관ㆍ지원센터 등 지역자원 안내 및 연계

주택개조지원 주택개조에 대한 정보제공 및 연계

운동 재활운동 재활운동실을 이용한 개별운동레저스포츠 탁구ㆍ펜싱ㆍ수영ㆍ볼링 등 원내ㆍ외 레포츠 활동

표 8 사회복귀 프로그램 목록

- 47 -

2012년 프로그램 참가자 수는 총 798명이며 집행된 예산은 수용비 86819000원 재료비 3500000원 운영비 49500000원 등 총 139819000원임

프로그램 구분 참가자 수(명)상담 404운동 76교육 9(회)

멘토링 2심리정서지원 87

여가문화 19진로지원 1가족지원 37

스마트홈체험 15자원연계 157

총원 798

표 9 프로그램 구분 및 참가자 현황

타 기관의 사회복귀 지원 현황

가 서울재활병원

낮병원 프로그램

낮병원 프로그램은 입원치료와 외래치료의 장점을 극대화시킨 새로운 재활치료의 모델로서 발병 후 입원재활치료를 마친 후 가정과 사회로 복귀를 준비하기 위한 재활프로그램임 대상은 뇌졸중 척수손상 뇌손상 등 집중 재활치료가 필요한 성인으로 치료기간은 3개월로 필요시 연장이 가능하며 주 5일 주 3일 주 2일로 운영함 - 각 재활 영역별 전문적이고 세밀한 초기평가를 실시 후 각 환자별 특성에 따라 계

획된 맞춤형 집중 재활치료 프로그램 (물리치료 수중재활치료 통증치료 작업치

운전교육운전면허취득훈련 원내 연습장을 이용한 기능ㆍ도로주행 교육

운전적응훈련 면허 있는 중도장애인을 위한 도로주행 과정

사회체험 방문체험 복지관ㆍ자립생활센터ㆍ체험 홈 등 방문지역 공공기관 방문 및 체험

직업적응 학업 및 직업복귀 학업ㆍ직업복귀를 위한 직업평가 및 정보제공장애인공단 등과 연계서비스

취미활동 생활공예 점토를 이용한 다양한 도자기 소품 만들기한지공예ㆍ지점토 등 생활공예품 만들기

- 48 -

료 언어치료 음악치료 재활심리치료)과 그룹 프로그램(그룹 체조 미술치료 도예) 사회적응치료로 제공하며 뇌졸중 학교를 통해 스스로 장애를 이해하고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음

레크리에이션 재활프로그램

레크리에이션 재활프로그램은 장애인들도 레크리에이션(음악 미술 스포츠 여행 등)을 즐길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재활 및 심리적 치료를 꾀하고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임 대상은 입원 및 낮병원 외래를 이용하는 뇌졸중 척수손상 뇌성마비 등의 환자임- 사회적응치료 문화체험 대중교통이용훈련 대인관계훈련 영화관람 마트 이용 등

을 통해 병원을 벗어나 지역사회를 직접 체험하여 병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퇴원을 위한 실제적인 준비와 지역사회로의 적응을 돕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함

- 원예치료 소아 낮병동 환자 및 보호자 입원중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정서적 안정과 신체적 건강을 위해 식물 기르기 꽃장식 등 다양한 원예활동을 통한 협응능력향상 사회성 향상 손근육강화를 위한 치료로 꽃꽂이 디쉬가든 테라리움 포푸리 수경재배 등이 있음

- 미술치료 미술활동을 통해 심리적 정서적 갈등을 완화시킴으로서 원만하고 창조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심리치료법으로 미술을 통해 고통스런 경험을 동화 통합시키며 적개심이나 공격성을 안전하게 표현할 수 있고 자신을 신뢰하고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기회 제공을 함

재활스포츠 프로그램

재활스포츠 프로그램은 다양한 스포츠 활동으로 인한 심한 손상이나 관절 인대 근육의 손상이 있는 경우 손상 초기부터 정확한 진단 및 안정 통증과 염증의 조절 관절 구축의 방지 근력과 지구력의 증진을 통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재활치료를 목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함

기타 지원프로그램

환자 및 보호자 상담- 환자와 보호자가 가지고 있는 심리사회적 문제를 해결하여 환자의 재활의지를 높

이고 지역사회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개인력 조사 사회사업상담(심리상담 경제적 상담 가족상담 퇴원계획 복지정보제공)을 실시함

환자지원 프로그램- 환자적응치료 지역사회로 외출경험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변화를 직접 경험함

- 49 -

으로 지역사회로의 복귀할 수 있는 의지를 심어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집단활동 프로그램 미술치료 도예치료 놀이치료 구연동화 등 사회성 향상 및

양손 협응력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집단활동을 지원함- 학습놀이 프로그램 입원기간 동안 취학을 앞두고 있거나 학업이 중단된 아동 그

외 학습 및 놀이가 필요한 아동에게 학습 및 놀이 프로그램을 지원함

가족지원 프로그램- 어머니 여가활동지원 가사 간병으로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어머니들에게 여

가활동(토피어리 종이접기 풍선아트 등)을 지원하여 친목도모 및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 아빠교실 재활치료에 아버지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자조모임을 통해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정보를 공유할 기회를 제공함

나 삼육재활병원

사회재활프로그램

사회재활프로그램은 장애인이 사회생활과 가정생활에 적응을 돕기 위해 물리적 사회middot 문화적 심리적 환경 등에서 활동능력을 획득하여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산재 환자프로그램 사회적응프로그램 미술치료 원예치료 그룹 활동 집단 활동 프로그램 피아노교실 사랑의 듀엣 노래자랑 송년잔치 등을 제공함

장애인 정보화 교육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주관으로 운영되는 교육시설로 입원환자 뿐만 아니라 직계가족 지역거주 장애인 및 직계가족 모두가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윈도우 인터넷 한글 엑셀 등 컴퓨터 초middot중급 과정의 강의를 실시하고 있으며 교육비나 교재는 무료로 지원함

무료간병연계

저소득 계층의 의료보호 환자 중 가족이 돌볼 형편이 어려운 환자들에게 광주자활센터와 연계하여 낮시간 동안 복지간병서비스를 제공함

상담

경제문제 상담 및 지원 가족교육 및 가족상담 보장구 지급에 대한 상담 재

- 50 -

활정보 제공 직업상담 가정방문 및 주택개조 지원 상담 등을 시행함

다 파크사이드 병원

집으로 프로젝트

집으로 프로젝트 프로그램은 환자가 병원 퇴원 후 집으로 가서 일상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협력하는 프로젝트로 재활의학과 전문의 재활치료팀(물리 작업 언어) 재활간호팀 뿐만 아니라 의료장비업체 인테리어업체 의료공학자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환자가 퇴원 후 집에서 통원치료를 할 수 있도록 직접 방문하여 여러 방안을 모색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함

펀 쿡 프로그램

펀amp쿡이라는 카페 같은 공간을 이용하여 환자가 직접 시장을 보고 직접 요리를 함으로써 자신감을 고취시킬 수 있으며 요리를 통해 일상생활생활동작 훈련을 하는데 도움을 줌 가족과 함께하는 요리경연대회 다양한 퍼즐 및 보드게임을 통해 기능향상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함

펀 플레이 프로그램

환자를 즐겁게 한 후에 치료로 연결하는 프로그램으로 환자들이 웃고 쉬고 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줌 슬링을 이용한 놀이와 음악을 들으며 춤추기 다양한 게임 등을 통해 즐겁게 움직임을 유도하고 환자들이 평소에 좋아했던 운동을 확인하여 스포츠 활동까지 할 수 있도록 지원함

직업복귀 프로그램

손상전의 직업으로 복귀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으며 의료진이 개입하여 회사 관계자와의 접촉을 통해 환자가 이전 직업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도와줌

자동차 면허취득 프로그램

병원입원기간 환자들을 대상으로 장애인 자동차 면허취득을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함

- 51 -

라 인천산재병원

특수재활요법

특수재활요법은 환자의 심리 정서적 상태를 기록하여 심리재활치료에 반영 및 작업치료의 일환으로 신체적인 잔존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제공됨- 프로그램은 기존에 제공하던 7개 훈련공과를 의료재활의 일부분으로 전면 개편하

여 물리치료실과 함께 재활 의학전문의의 처방에 따라 귀금속디자인 전통공예 목조형디자인 원예 컴퓨터 멀티미디어 회화교실로 변경 시행하여 작업치료와 연결되는 심리재활 프로그램으로 제공됨

수중운동재활

수중운동재활관은 중추신경계 손상 산재환자의 조기재활을 통한 기능회복 재활사업 중 전문재활 급성기환자의 재활 System 확보 전인재활을 통한 사회참여 산재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임- 대상은 뇌손상 척수손상 골절 및 절단 장애 근육병 스포츠상해 등을 가지고 있

는 지체장애인이며 세부 프로그램에 따라 주 2-3회 1회당 30-50분 11 또는 소그룹이나 대그룹으로 운영됨

- 프로그램은 수중물리치료 수중재활운동으로 구분되어 제공되는데 수중물리치료는 수중에서 적응력 균형유지 불필요한 반응 억제 신체조절능력을 증진시키는 HALLIWICK 치료와 미온의 수중에서 등척성 등장성 등속성 운동을 통하여 중추성 신경손상 등으로 인한 근신경 및 골격근을 재활시키는 BRRM 치료 미온의 수중에서 스트레칭 마사지를 통하여 신체의 근신경계 및 관절의 경직 마비된 신체를 이완시키고 심리적으로 안정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WATSU 치료로 제공되며 수중재활운동은 HALLIWICK 방법 BadRagaz 방법 Aquatic Exercise를 적용하여 정상적인 신체이동 패턴과 근력 지구력 심폐 지구력 유연성 관절가동범위증진 및 향상으로 자세유지 능력향상과 일상생활 동작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공됨

야외운동재활센터

야외운동재활센터는 환자들을 위한 스포츠 시설로서 운동을 통해 환자분들의 재활을 돕고 있으며 탁구장 테니스장 농구장 론볼장을 갖추고 있어 환우 여러분들의 병상생활에 활력을 불어 넣어주고 있는 프로그램임- 프로그램은 흰색 표적구를 먼저 굴려 그 표적구에 목적구를 가까이 붙여 점수를

획득하는 경기로 남녀노소 즐길 수 있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서로 페널티 없이 어울릴 수 있는 론볼 다목적 구장을 이용해 제공하는 농구 테니스 배드민턴 실

- 52 -

내에서 4계절 이용 가능한 탁구 프로그램을 제공함

재활공학서비스 연계

국내에서 유일하게 재활공학연구소와 연계한 종합재활서비스를 제공함 - 다양한 첨단 재활보조기구를 연구 middot 공급하는 재활공학연구소가 병원 내에 위치해

재활치료 후 첨단 보장구 지급 생활적응 훈련(ADL) 및 장애인 보장구 적응훈련(ATAD)의 효율성을 높이고 산재 근로자들이 조기에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도모함

마 일본 국립장애인재활센터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는 병원 연구소 학원 훈련센터로 구성되어 있어서 연구-재활치료-교육-사회복귀가 모두 한 공간에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훈련센터에서는 작업치료부터 직업교육 사회생활 적응교육까지 직업훈련사 1인당 5~6명의 장애인을 전담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약 2년 정도 교육이 진행됨 교육 진행 중 취업이 되는 경우도 많이 있음

직업훈련장에서는 실제 장애인 센터에서 요구되는 세탁 장비 수리 등의 작업을 부여 받아 진행하고 있으며 초기 교육부터 마지막 사회적응과정까지 단계별로 교육을 시행함 직업교육의 직능교육 외에도 직장상사와 잘 지내는 법 직장 동료들과 약속을 지키는 것과 같은 관계에 대한 교육도 함께 이루어짐- 일본의 장애인 직업훈련은 공공직업훈련과 사업주가 행하는 직업훈련으로 구분됨 - 공공직업훈련은 국가 도도부현 및 시정촌에 설치하여 운영함 이들 훈련은 무상훈

련을 원칙으로 하며 훈련수당 등이 지급됨- 사업주가 실시하는 직업훈련은 지방자치단체장의 인정을 받아 실시함 - 일본의 장애인 취업은 후생노동성 산하 공공직업안정소에서 관리함 공공직업안정

소는 장애인 취업알선 및 직업상담과 평가 취업을 위한 지원 취직 후의 사후지도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 일본의 장애인 직업훈련과 관련된 인적자원은 직업훈련지도원(훈련교사)이 주된 인원이며 고용과 관련된 요원은 직업생활상담원 잡코치 장애인 카운슬러 등이 있음

스포츠재활의 경우 재활의학 의사의 운동 처방이 존재함 국립장애인센터 내에 장애인 전용 체육관이 있으며 이곳에서 장애인들이 수영 등 스포츠 활동을 진행함 원칙적으로 국립재활원 주변의 의사들도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처방을 할 수 있고 운동처방을 받은 장애인은 국립재활원 내의 체육관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나 아직 시범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단계임

- 53 -

바 마국 시카고 재활원(RIC Rehabilitation Institute of Chicago)의 LIFE Center

2001년 시카고 재활원 1층에 위치한 LIFE센터는 L학습(Learing) I혁신(Innovation) F가족(Family) E권한(Empowerment)상징함 방문자들은 잡지나 책 그리고 비디오와 같은 많은 정보를 얻기를 원하고 음악감상 예술작품 감상뿐만 아니라 다른 방문객들과의 만남을 원함 LIFE센터는 보호자 자원봉사자 등의 인터뷰를 통한 철저한 필요도 평가에 의해 고안됨 따라서 위 센터는 8개 영역에 따라 조직화됨- 의료정보 (Medical information amp care) 기능장애 피부 대소변 호흡 그리고

다른 일상생활활동에 대해 교육제공- 간병과 보조기기 (Caregiving amp equipment) 간병인 적합한 기기 그리고 보조기

기의 정보제공 연계- 가정과 교통수단 (Housing amp Transportation) 집의 접근방법 가정간호를 위한

주정부 정보제공 연계- 지지와 건강관리 (Support amp Wellness) 장애인에게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사립 기관- 여가와 레크레이션 (Leisure amp Recreation) 여행 스포츠 예술 댄스 실내외

레크레이션 활동 경험- 재정관리와 법 (Finance amp Law) 장애법 이해- 영감과 희망 (Inspiration amp Hope) 장애를 극복하고 도전적인 삶을 사는 이야기

발견

사 미국 케슬러 재활원 (Kessler Institute for Rehabilitation)의 사회재활

Return-to-Work strategy Services는 고용자와 고용인 그리고 보험회사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되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임- 기능적 역량 평가(Functional Capacity Evaluations FCEs)- 이전 직업의 인지평가(Pre-Vocational Cognitive Evaluations)- 작업상태 평가(Work conditioning)- 인간공학평가(Ergonomic assessments)- 직업재활과 직업가이드 서비스(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Career Guidance

Services)

장애인에게 경쟁력 있는 고용 학교 혹은 자원봉사 하도록 도와주거나 그들에게 사회의 생산적인 일원이 되도록 복돋아줌 위의 결과지향적인 프로그램은

- 54 -

개개인이 실제적인 커리어에 필요한 기술과 전략을 개발하도록 도움- 상담 배경정보 의학적 치유력 교육 및 직업경력 가족관계 개인적인 관심- 직업평가 적성 개성 학업 문제해결능력 조직력 컴퓨터 사무 능력- 직장체험 재활원과 지역사회 병행하며 직장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 커리어 상담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사는 그들의 강점을 인식하도록 도움- 추가 서비스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휠체어 클리닉 운전재활 인지재활

아 호주 Princess Alexandra Hospital (PA Hospital)

ABIOS는 전문가 지역사회기반 재활서비스로 독립성 향상 참여 및 기회제공 적절한 서비스를 통해 뇌손상 장애인과 그들의 가족 및 간병인에게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 통합을 목적을 위해 지원하는 서비스임

외상성 뇌손상 뇌졸중 뇌종양 약물중독 감염 및 질병 산소결핍 알콜middot약물중독 등 후천적 원인에 의한 뇌손상 장애인으로 PHA 퇴원환자 타병원 의뢰환자 기타 재가 장애인 등으로 퀸즈랜드 거주 장애인만 대상이 됨

교육프로그램- 장애인 당사자 가족 간병인 그리고 지역 내 다른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교육을

실시함- 후천적 뇌손상 이해 뇌손상으로 인한 인지적middot행동적 장애 도발적인 행동관리 뇌

손상 장애인 지원을 위한 일반적인 가이드라인 후천적 뇌손상 장애인을 위한 효과적인 생활양식 지원 지역사회 연계 케어 스트레스 사례관리 뇌손상장애인을 위한 목표설정에 관한 주제로 진행됨

STEPS(The Skills To Enable People and Communities)- 뇌졸중 및 뇌손상을 가지고 있는 18~64세 성인과 가족 친구 간병인들과 함께 참

여하고 실제 장애인이 살고 있는 지역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함

- The STEPS Skills Program은 프로그램은 6주간 제공되며 자신을 돌보는 방법 지역사회에서 살아가는 방법 서비스를 받는 방법 등에 대한 지기관리법에 대해 배우며 그룹의 다른 사람들과 경험과 사고를 공유함

- STEPS Network Groups은 지역사회의 지속적인 네트워크가 되며 프로그램의 핵심은 네트워크 구성으로 지원그룹 파트너쉽 등을 형성하며 그룹활동으로 점심 먹기 공원에 소풍가기 모닝차 마시기 패션쇼 경매참여 카드 등 게임하기 볼링

- 55 -

등 레포츠 영화 및 연극보기 시낭송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함

TRP는 재활의 다음 단계로 퀸즐랜드 척수손상병동에 있던 사람들에게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로 대부분의 TRP 프로그램은 4~8주 정도 진행되나 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며 그 이루는 Outreach 서비스로 연계됨- 이동 휠체어 기술 보행 옥외이동기술 등 신체적 기술의 강화 일상생활활동 지

역사회접근 직업 상담 보조기구 운전 및 주택 개조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직업과 직업 전 기술 등에 대해 다룸

척수 손상환자들이 병원 재활에서 지역사회 생활로의 전환을 도와줌으로써 지역사회 재통합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이 있으며 병원으로부터 좀 더 빨리 퇴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줌 프로그램은 전문가들의 다학제적 팀 접근으로 개인의 요구도와 목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며 적극적으로 이러한 프로그램에 가족 파트너 및 친구의 참여를 권장함

SPOT는 기존서비스와의 중복되지 않도록 교육과 상담에 중점을 두며 서비스 내용으로는 스킨케어 보조기구 주택개조 직업 및 교육정보 통증관리 상담과 지원 일상생활활동 관절과 근육문제 자세와 앉기 대소변 관리 다른 관련 건강과 간호문제 등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를 제공함

서비스는 브리즈번에서 200km이내인 경우거나 지역방문의 정규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하는 경우 가정이나 지역방문을 통해 제공되며 또한 전화나 화상회의와 같은 멀티미디어를 사용하여 조언과 교육도 제공됨

장애인에 대한 직접적인 서비스 외에 척수손상에 대한 2차 합병증 예방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장애인 당사자와 주변인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짐 주제는 욕창치료 및 관리 척수손상으로 인한 2차합병증 예방 자세유지 의수족 고령화 등으로 구성됨

- 56 -

자 호주 Royal Rehabilitation centre Sydney

Brain Injury Rehabilitation team(BICRT)- BICRT는 외상성 뇌 손상을 가지고 지역 사회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로 팀원들은 외상성 뇌손상 장애인들이 만족스러운 생활로 돌아가고 독립적인 생활을 격려하며 정서적 사회적 신체적 지적 기능의 수준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도와줌

- 관계(relationships) 건강(health) 학습(learning) 재정(finances) 직장 및 레저 활동(work and leisure)에 관한 지원을 제공함

환자의 의학적 상태에 따라 ldquo재활 밖의 삶(life outside rehab)rdquo을 경험하기 가족과 함께 Transitional Living Unit에 머물도록 장려함 척수손상병동 퇴원 후 프로그램으로 플랫형 공동 주택으로 되어 있으며 3일 동안 지낼 수 있음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체육관 가이드는 지역사회 기반의 헬스 클럽과 피트니스 센터 참석으로 건강 및 피트니스 활동을 추구하기 위한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있는 재활 환자에게 레크리에이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함

홈 기반 재활 서비스 (HBRS)는 북부 시드니 지역 보건 서비스의 거주하고 있으며 최근 부상 또는 질병을 입었거나 받은 수술을 하거나 만성 근골격계 또는 신경학적인 상태의 악화를 경험하신 고객을 대상으로 집중적으로 짧은 기간 가정에서 자신의 재활을 수행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함 환자는 의사나 입원팀에 의해 연계되며 병원 퇴원 전 HBRS 매니저로부터 평가를 받음

운전 평가 및 재활 센터는 장애인이나 의료적 문제가 있는 사람들에게 독립적이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도와줌 DARC는 운전 평가 및 재교육(re-training)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면허를 회복하거나 운전면허 취득을 위해 조언과 도움이 필요한 특별한 요구가 있는 사람들을 지원함

- 57 -

장애인과 그들이 배우자에게 비밀이 보장되는 환경에서 성에 대한 고민과 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배우도록 지원함

변형된 신체상 성에 영향을 주는 감각 이동 대소변 기능에 변화 의사소통문제 여러 가지 성기능의 변화 관계문제 부적절한 성적행동 성에 대한 잘못된 인식 장애 후 다시 시작된 성생활 등 성적 및 성에 대한 고민이 있는 후천적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함

서비스 내용은 성기능 평가 개인의 요구도에 기반한 개별 치료 개별 및 부부상담 장애인과 배우자 부모 및 간병인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전화상담 및 조언 전문가와 지역사회 단체를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작 및 보급 등이 있음

홈페이지 지원

장애와 상관없이 레저 예술 스포츠 레크리에이션 여행 라이프 스타일 등 세계 각지의 개인 단체 및 관련 제품에 대한 필요한 정보가 링크되어 있어 가이드를 제공함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지원 전략

가 재활의료 전달체계 및 사회복귀 연계체계 확립을 위한 국가정책 수립 지원

교육 및 연구 활동을 통한 국가정책 수립 지원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확산을 위하여 권역재활병원 및 재활전문병원의 사회복귀 담당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정 개설

현행 비급여 재활치료서비스의 수가화 기반 마련을 위한 표준 서비스 안 개발- 성재활 언어치료 운동 처방middot상담middot교육- 사회적응훈련치료 사회복귀훈련- 가족상담 보호자교육 환자교육 질병교육

- 58 -

나 서울시 중심 지역사회복귀 지원사업 수행을 통한 확산 모형 개발

직접 포괄적 서비스 제공- 입원재활치료 퇴원 전 사정 외래재활치료 직업훈련 및 사회적응프로그램 지역

사회 자원 확보 및 연계-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서울시 거점보건소와 함께 하는 시범사업 진행 검토

사업모형 확산- 개발된 모형을 권역재활병원 및 거점보건소 등으로 확산 모색

도시형 보건지소를 사회복귀지원프로그램의 지역거점으로 활용- 현재 정부 지원 도시보건지소 5개소 중 일부에서 방문재활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

는 것과 별도로 lsquo서울형 보건지소rsquo를 향후 약 50개소 추가 건립예정임- 보건지소의 역할 중 방문 재활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으나 역할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국립재활원에서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도시형 보건지소의 역할 수립 및 지역 사회 복귀 거점 기관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함

다 사회복귀지원 사업의 효과22)

한국 중증장애인 재활의료이용 현황

2006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로 신규 등록한 장애인의 2005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22) 이 절의 내용은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실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10

참조

- 59 -

진료비 청구내역 자료를 전수 분석하였음

지체장애로 입원한 중증환자의 총재원기간은 578일이었음 지체장애 중 중증이라고 볼 수 있는 척수손상의 경우 미국23)은 2001년 기준 재원기간이 14일로 나타났고 호주24)는 2006년 기준 331일로 나타났음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우리나라의 재원기간이 외국에 비해서는 긴 것으로 나타남

최초입원기간 동안에 소요되는 진료비용은 전체는 약 243만 원 정도가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증의 경우 614만 원 정도가 소요됨 최초입원 에피소드에서 입원횟수는 전체 15회 중증 25회로 장애의 정도가 심한 경우 재원기간도 길어 반복적인 입퇴원이 늘어나는 것으로 판단됨 입원 간격은 전체 139일 중증 113일이었고 건당 재원일은 전체 139일 중증장애 234일로 나타남 중증 장애에서 건당 재원기간도 길고 퇴원 후 입원하는 간격이 짧은 것을 알 수 있음

중증도 환자 수 총재원기간

총진료비용

총입원횟수

입원간격

건당재원일

전체 17345 198 2427985 15 139 139중증 696 578 6144615 25 113 234경증 16649 183 2272614 14 141 135

표 10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지체장애)

(단위 명 일 원 회)

뇌병변장애의 경우 총재원기간이 평균 1008일로 지체장애에 비해 긴 것으로 나타남 특히 중증장애의 총재원기간은 평균 1382일로 4달 이상을 최초입원기간 동안 입원해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이와 같은 결과는 외국과 비교하였을 때 매우 긴 것으로 뇌졸중의 경우 미국25)은 2001년 기준 16일 호주26)는 2006년 기준 280일로 우리나라에 비해 매우 짧은 것으로 나타남

한편 뇌병변장애 최초입원에 들어가는 총진료비용은 전체 1076만원 중증

23) Ottenbager et al Trends in length of stay living setting functional outcome and mortality following

medical rehabilitation JAMA 2004 292(14) 1687-1695

24) Simmonds and Stevermuer The AROC annual report the state of rehabilitation in Australia 2008

Australian Health Review 2008 32(1) 85-110

25) Ottenbager et al Trends in length of stay living setting functional outcome and mortality following

medical rehabilitation JAMA 2004 292(14) 1687-1695

26) Simmonds and Stevermuer The AROC annual report the state of rehabilitation in Australia 2008

Australian Health Review 2008 32(1) 85-110

- 60 -

1451만원으로 초기치료비용이 상당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총 입원횟수는 전체 28회 중증장애 34회였고 최초입원 에피소드 중 입원간격은 전체 76일 중증 71일로 지체장애에 비해 짧았음 한번 입원한 경우 재원기간은 전체는 394일 중증장애는 491일이었음

중증도 환자 수 총재원기간

총진료비용

총입원횟수

입원간격

건당재원일

전체 7325 1008 10760785 28 76 394중증 4430 1382 14507511 34 71 491경증 2895 436 5027454 2 87 245

표 11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뇌병변장애)

(단위 명 일 원 회)

한편 지체장애의 경우 전체 17345명 가운데 9128명이 재입원하여 526의 재입원률을 보임 이 가운데 중증장애 환자는 629가 재입원하였음 척수손상의 경우 미국27)에서 2년 재입원률은 326 10년 재입원률은 52로 나타남 호주28)의 경우 척수손상 환자의 10년 재입원률을 586로 보고하였음 이와 같은 결과와 비교하여 볼 때 우리나라의 재입원률이 외국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재입원 환자의 총재원기간은 전체 179일 중증장애 703일이었음 총진료비용은 전체 159만원 중증장애 643만원이었고 총입원횟수는 전체 19회 중증장애 47회로 중증장애 환자가 재입원횟수가 더 많음을 알 수 있음 재입원 간당 입원일수는 전체 57일 중증장애 168일로 나타남

27) Dersett amp Geraghty Health-related outcomes of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a 10 year

longitudinal study Spinal cord 2008 46 386-391

28) Middleton et al Patterns of morbidity and rehospitalisation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Spinal cord

2004 42 359-367

- 61 -

중증도 환자 수(재입원률)

총재원기간

총진료비용

총입원횟수 입원간격 건당

재원일

전체 9128(526) 179 1588881 19 42 57

중증 438(629) 703 6427675 47 527 168

경증 8690(522) 157 1386598 18 416 52

표 12 재입원 의료이용 현황(지체장애)

(단위 명 일 원 회)

뇌병변장애 환자 7325명 중 뇌병변장애 관련 합병증으로 재입원한 환자는 총 3575명으로 이는 전체의 488를 차지함 중증장애의 경우 553의 재입원률을 보여 지체장애와 마찬가지로 중증에서 높은 재입원률을 보임 미국의 연구들29)30)에 따르면 뇌졸중 환자의 1년 재입원률은 1998-2000년 사이에는 37-47 2000-2001년 사이에는 311로 나왔는데 우리나라와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의 재입원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재입원 환자의 총재원기간은 전체 722일 중증장애 1040일이었음 총진료비용은 전체 546만원 중증장애 789만원이었고 총입원횟수는 전체 25회 중증장애 31회로 중증장애 환자들이 비용도 많이 들고 입원횟수 및 기간도 긺을 알 수 있음 건당 재원일은 전체 222일 중증장애 317일로 나타남

중증도 환자 수(재입원률)

총재원기간

총진료비용

총입원횟수 입원간격 건당

재원일

전체 3575(488) 722 5460980 25 288 222

중증 2451(553) 104 7889880 31 317 317

경증 1124(388) 235 1744217 16 244 76

표 13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뇌병변장애)

(단위 명 일 원 회)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의 반복적인 입퇴원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첫 입원시점부터 3년까지의 입원양상을 분석함 각 환자의 최초입원 시점을 0일로 하고

29) Smith et al Rehospitalization and survival for survival for stroke patients in managed care and

traditional medicare plans Med care 2005 43(9) 902-910

30) Jia et al Multiple system utilization and mortality for veterans with stroke Stroke 2007 38

355-360

- 62 -

3년까지 매일 입원상태를 파악하여 모든 환자의 입퇴원 양상을 파악함

분석결과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 모두 반복적으로 입퇴원하는 양상을 보임 지체장애의 경우 17000여명의 환자 가운데 대부분은 입원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았지만 입원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이용하는 500여명은 입퇴원을 반복적으로 하고 있었음 이러한 모습은 중증에서 보다 두드러졌는데 전체 700여명의 환자 가운데 300여명이 반복적인 입퇴원을 하고 있었음 입원기간은 대략 한 달 정도였고 퇴원과 다음 입원 사이에도 약 한 달의 간격이 존재함

- 63 -

뇌병변장애의 경우 이러한 양상이 더욱 두드러졌음 전체 7000여명 가운데 2000여 명 가량이 반복적인 입퇴원을 하고 있었고 중증장애의 경우 전체 4500여명 가운데 1500여명 이상이 반복적인 입퇴원을 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음

이러한 반복적인 입퇴원은 보험료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 현행 건강보험 수가에서는 재활 환자가 입원한지 15일이 경과하였을 경우 10의 보험

- 64 -

료 삭감이 이루어지고 30일 이후에는 15의 보험료 삭감이 이루어짐 그렇기 때문에 재활서비스를 받아야할 필요가 있는 환자일지라도 한 달 정도 입원하면 의료기관에서 퇴원을 시키게 되고 환자는 다시금 재활서비스를 받기위해 동일 의료기관 혹은 다른 의료기관에 재입원할 수밖에 없음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경우 지역사회 복귀가 지연될 우려가 있음

사회복귀지원 사업을 통한 재원기간 감소 효과

재활의료기관에서 부적절한 재활의료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재활 성과가 불충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반복적인 입원 및 의료비용 증가의 문제가 발생함 서비스 강도가 약할 경우 서비스 제공 기간의 길이와 상관없이 추가적인 의료이용량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음

초기 장애발생 직후부터 의료기관에서 환자에게 적극적인 사회복귀지원 사업을 제공한다면 적절한 재활의료서비스 제공을 통해 보다 많은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의료이용 관련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현재의 불안정한 사회복귀 재정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재정기전의 마련이 필요함 이를 위해 적절한 사회복귀프로그램의 부재로 인하여 발생하는 장기입원 사회복귀 지연으로 야기되는 개인적 사회적 비용을 추계하여 이를 근거로 사회복귀 재정 기전을 확립해 나가야 할 것임

2008년 장애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체 및 뇌병변장애인 의료서비스 미치료율이 지체장애 534 뇌병변장애 180로 나타났음 이들 대부분이 치료해도 나을 것 같지 않거나(지체 364 뇌병변 349) 치료해도 효과가 없다(지체 445 뇌병변 309)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 우리나라의 재활의료서비스가 서비스 대상자에 기대에 못 미치는 수준으로 제공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음

한편 반복적인 입퇴원을 줄이기 위해 표준산정일수를 도입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음 국내 다수의 재활의료 전문가들은 표준산정일수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추산된 일수는 180일로 일본의 보수지불사례와 유사하였음

필요하다 필요하지 않다표준산정일수 필요성 760 240

표 14 표준산정일수 필요성

- 65 -

Mean CV Median표준산정일수 추산 180일 019 180일

표 15 필요하다고 응답한 전문가들의 표준산정일수 추산

라 재원 확보 방안

수가화 모색

현재에도 운동치료 재활사회사업(개인력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문) 등은 수가로 인정되는 항목임 이를 기준으로 성재활 언어치료 운동 처방middot상담middot교육 사회적응훈련치료 middot 사회복귀훈련 방문재활 가족상담 보호자교육 환자교육 질병교육 등에 대한 수가화 방안을 모색

재활전문의료기관 인증기관에 재활수가를 별도로 인정하는 방안

가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재활인증 의료기관

현재 근로복지공단이 주관하여 산재보험재활인증 의료기관을 선정하고 다음과 같은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음- 이학요법료 수가(급여항목)의 20 별도 인정- 시범실시 재활수가 29개 항목 추가 인정 18개 비급여 항목 11개 급여항목 기준

완화 적용- 정기 현지조사 면제 및 재활치료 대상자의 전원 지원 등

- 66 -

인증기관에 대한 평가 항목은 다음과 같음

구분 평가기준 평가내용필수항목 재활전문인력의 충족성 인력구성 부문 평가

평가항목

(100점)

시설 및 장비의 적절성 (50점)

시설구비재활치료장비

재활의료서비스제공체계 (50점)

재활전문인력 다직종간 팀 구성 및 활동내역

(25점)

다직종간 팀 구성 여부팀 단위 평가회의 여부

팀 단위 회의록 작성 및 보관여부재활간호서비스 제공여부

보장구 처방검수 제공 체계

질적 서비스의 제공(25점)

입원시 재활치료 계획 수립여부기능상태 평가 및 정기적 재평가 여부

퇴원전 퇴원계획 수립여부재활치료계획에 환자 또는 보호자 교육 및 설명여부

기타항목

(10점)

권고사항

언어치료사(4점) 임상심리사(4점) 여부

산재근로자 상담공간 보유 여부(2점)

표 16 인증기관 평가 항목

추가인정 재활수가 항목은 다음과 같음

비급여 항목 급여적용 요양급여 적용기준 완화 언어전반진단검사 발음 및 발성검사 체온열 검사 보스톤 사물이름 대기검사 장비를 이용한 근력검사 체외충격파치료(근골격계 질환) 기립경사훈련(단순재활치료) 집단운동치료(단순재활치료) 집단상담치료(단순재활치료) 전산화인지재활치료(전문재활치료) 연하재활 기능적전기자극치료(전문재활치료) 증식치료(사지관절부위 및 척추부위 전문재활치

료) 근육내자극술(단순 전문재활치료) 언어치료(전문재활치료) 수기요법(단순재활치료) 수중운동평가 수중운동치료(11 전문재활치료) 수중운동치료(그룹치료 단순재활치료)

나-610-가 신경학적검사 나-661 도수근력검사 너-771 일상생활동작검사 너-772 수지기능검사 너-773 관절가동범위검사 사-105 맛사지치료 사-116 운동치료 사-130 재활기능치료 사-121 풀치료 사-128-나 재활사회사업(사회사업상담)

표 17 추가인정 재활수가 항목

- 67 -

나 보건복지부의 재활전문병원

보건복지부는 환자구성비율 진료량 필수진료과목 의료인력 및 병상 등의 지정기준을 평가하여 2011년 10개 의료기관을 재활전문병원으로 지정하였음- 국립재활원재활병원- 서울재활병원- 파크사이드재활의학병원- 남산병원- 브래덤기념병원- 유성웰니스요양병원- 카이저병원- 러스크분당병원- 행복한병원- 늘봄재활요양병원

현재 보건복지부의 재활전문병원 지정에 따른 인센티브는 3년 간 lsquo보건복지부 지정 전문병원rsquo 명칭을 사용할 수 있는 것뿐임

향후 보건복지부 지정 재활전문병원에 제한적으로 운동치료 재활사회사업(개인력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문) 성재활 언어치료 운동 처방middot상담middot교육 사회적응훈련치료 middot 사회복귀훈련 방문재활 가족상담 보호자교육 환자교육 질병교육 등에 대한 수가를 별도로 인정하는 방안을 모색

이와 더불어 현재도 인정되고 있는 수가들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현실에 맞게 조정하고 정리하는 것이 필요함

공익기금 활용

가 교통사고 및 보험 관련

미국 버지니아 주 Community rehabilitation program 재정의 15는 CNI trust fund (운전면허취소자가 면허 재취득시 내는 요금)으로 부담함

한국에서도 교통범칙금 일부를 활용할 수 있을 것임- 현재 한국의 자동차교통관리개선특별회계법에는 교통범칙금의 이용에 관한 별도의

규정이 없어 교통범칙금의 20sim25 정도만이 교통관련 예산으로 사용되고 나머지는 일반회계에 편입되면서 대부분 교통과는 무관한 데 사용돼 왔음

- 68 -

또한 민간 보험업체들도 각각 사회공헌기금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이 기금을 활용하는 방안도 모색될 수 있음- 2011년 11월 손해보험협회는 약 200억 원의 기금 조성 계획을 밝혔음 - 생명보험사가 소속된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는 2011년 약 274억 원의 사회공헌

재원을 조성하여 기금을 조성하여 희귀난치성 질환자 지원 자살예방 지원 저소득 치매노인 지원 저출산 해소 및 미숙아 지원 사회적 의인 지원 금융보험교육 및 학술연구활동 지원 사회공익 및 복지활동 소비자 권익증진 기타 대국민 복지 지원 등에 사용해왔음

나 음주 관련

한국 음주문화연구센터는 주류 및 주정 회사가 주류 소비자의 보호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위하여 출연한 재원으로 운영되며 알코올상담센터 등의 활동을 수행함

주류 건강증진부담금 부과된다면 그 일부를 활용할 수 있을 것임

다 담배부담금 일부 활용

국민건강증진법 제25조(기금의 사용등)에 의하면 ldquo보건복지부장관은 기금을 제1항 각호의 사업에 사용함에 있어서 아동middot청소년middot여성middot노인middot장애인 등에 대하여 특별히 배려middot지원할 수 있다rdquo고 규정되어 있음

이러한 규정을 활용하여 담배부담금 일부를 활용할 수 있을 것임

요약 및 소결

다양한 사회복귀 프로그램 중 국립재활원이 중점적으로 추구해야 하는 사업은 병원 기반 사회복귀 지원체계임 - 병원 기반 사회복귀 지원체계는 환자 입원 후 사례관리회의 때부터 시작하여 맞

춤형 사회복귀프로그램 제공 퇴원 전 사정회의와 지역사회 자원 연계 사후관리로 이어지는 일련의 프로그램들임

- 병원 기반 사회복귀 프로그램은 일상생활훈련(실생활 훈련)을 비롯하여 운전교육 컴퓨터 교육 학업(직장) 복귀지원 주택개조 정보 제공 및 연계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멘토링(동료상담) 프로그램 정서적 지원 성재활 지역사회자원 연계 가족지지상담 및 프로그램 법률지원서비스 독립생활체험 활동보조인 이용체험 보조기 평가 및 대여이용체험 등으로 구성됨

- 69 -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 방안 모색을 위해 기존 연구 및 타 기관 사례를 검토하고 현재 국립재활원 사회복귀 지원 현황을 검토하였음 - 그간 국립재활원에서 수행해 온 사회복귀프로그램은 주간재활센터프로그램 등으로

일상생활훈련 운전교육 직업 및 학업복귀 사회참여활동 및 지역자원 연계 독립생활체험 재활스포츠 활동 성재활 상담 음악치료 치료레크리에이션 실생활재활치료 가족프로그램 등의 사업을 수행하였음

- 조직개편 이후 신설된 사회복귀지원과에서도 일상생활훈련 의료지원 및 상담 정보제공 운동 운전교욱 사회체험 직업적응 취미활동 등의 사업을 수행해왔음

- 국내 일부 재활병원과 산재병원에서도 유사한 사회재활프로그램과 환자 및 보호자 지원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음

-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는 병원 연구소 학원 훈련센터로 구성되어 있어서 연구-재활치료-교육-사회복귀가 모두 한 공간에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성이 있음 그 외 미국 및 호주 재활병원의 사회복귀지원프로그램들을 검토하였음

이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지원 전략은 다음과 같음- 재활의료 전달체계 및 사회복귀 연계체계 확립을 위한 국가정책 수립 지원으로

교육 및 연구 활동과 성재활 운동처방 등 현행 비급여 재활치료서비스의 수가화 기반 마련을 위한 표준 서비스 안을 개발함

- 서울시 중심 지역사회복귀 지원사업 수행을 통한 확산 모형 개발로 입원재활치료 퇴원 전 사정 외래재활치료 직업훈련 및 사회적응프로그램 지역사회 자원 확보 및 연계직접 포괄적 서비스 제공하면서 개발된 모형을 권역재활병원 및 거점보건소 등으로 확산시킴

- 사회복귀 지원을 통해 부적저한 재활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발생하는 불충분한 재활 성과와 반복적인 입원 및 의료비용의 증가문제를 줄일 수 있음

- 초기 장애발생 직후부터 의료기관에서 환자에게 적극적인 사회복귀지원 사업을 제공한다면 적절한 재활의료서비스 제공을 통해 보다 많은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의료이용 관련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사회복귀 지원 사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재원 확보 방안은 다음의 방법들을 고려할 수 있음- 현재 수가로 인정받는 운동치료 재활사회사업(개인력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

문) 등을 기준으로 성재활 언어치료 운동 처방middot상담middot교육 사회적응훈련치료 middot 사회복귀훈련 방문재활 가족상담 보호자교육 환자교육 질병교육 등에 대한 수가화 방안을 모색

-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재활인증 의료기관 수가 지원을 참고하여 보건복지부의 재활전문병원 지정에 따른 인센티브로서 별도 수가 인정 방안 모색

- 70 -

- 교통범칙금 민간 보험업체들의 사회공헌기금 등 교통사고 및 보험관련 기금들을 활용하는 방안 모색

- 담배 및 주류로 인한 건강증진부담금 일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

- 71 -

제4장 (가칭)장애인재활교육훈련시설(체육관) 운영 방안

개요

국제연합(UN)에 의하면 21세기의 특징은 아래와 같음 - 첫째 인구지진(Age-quake)으로 저출산고령화라는 인구학적 변화가 사회 경제

문화는 물론 보건의료체계에 개혁적인 변화를 요구- 둘째 만성 비전염성 질환 증가로 건강관리 체계를 기존 치료(cure)에서 관리

(care)로의 변화를 요구

이를 종합해 보면 현 시대는 인구수는 증가하지 않으면서 평균 수명은 증가하고 각 종 만성 퇴행성 질환으로 건강 수명(Disability-adjusted life expectancy)은 오히려 감소하는 시대적 특징을 대변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음

따라서 21세기를 사는 현대인들은 인간의 꿈이라 할 수 있는 건강 장수를 위해 건강 수명 증가를 위한 국민 개인의 노력이 필요한 실정임

이에 부응 하여 우리나라에서도 과거 그 어느 때 보다도 많은 사람들이 규칙적 운동(체육 스포츠 포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제로 일상에서 개인의 건강관리를 위해 각 종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음

신체활동을 하는 사람이 다르면 사람마다 신체활동의 목표가 다르듯 운동의 방법 즉 체육 스포츠의 형태 및 활동량도 다를 수 있으며 특히 각종 만성퇴행성 질환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달라야 할 것임

지체 장애 및 뇌병변 장애로 신체 기능의 제한이 있는 장애인들의 경우 재활 치료 외에 본인에게 적합한 운동에 대한 정보를 얻기 힘든 것이 현재 실정임

노령 인구 뿐 아니라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경우 심장마비(심근 경색 심정지) 및 각 종 근골격계 손상(염좌 낙상 골절 등)이 더 쉽게 발생 할 수 있어 이에 대한 방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

그러므로 고령화가 지속되고 만성질환 유병률이 증가되고 있는 시대적 상황에서 건강 수명 증가를 목적으로 체육 및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람들(일정 수준의 만성질환 위험인자 보유자 및 질환자)은 기본적으로 본인의

- 72 -

건강도(medical condition)와 기능적 능력(functional abilties) 들이 평가된 후 실행가능성(feasibilty)과 효과성(efficacy)이 검증된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함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중에 안정 시에 나타나지 않았던 내재된 심혈관계 관련 이상 증상 및 징후를 조기발견하거나 추적관찰하는 것도 안전하고 지속적인 프로그램 참여를 위해 필요함

따라서 국립재활원 장애인 건강증진센터에서는 원내 입원한 환자들 및 지역사회 장애인(만성질환 위험인자 보유자 및 질환자 장애인)을 대상으로 개인별 운동 목적에 부합되는 운동 프로그램을 체계적이고 개별적으로 처방 및 지도관리하기 위해 운동 처방 시스템을 운영하고자 함

필요성 및 현황

가 필요성

현재 우리나라의 평균수명은 786세인 반면 건강수명은 686세로 평균 수명은 과거 그 어느 때보다도 증가되었으나 건강 수명은 평균 수명 보다 무려 10여년이나 짧게 나타나고 있음(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31)

이는 국가의 의료비 부담은 물론 국민의 삶의 질에 막대한 문제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이와 같은 시대적 특성은 국가는 물론 국민 모두에게 보다 적극적인 대처 방안의 모색을 요구하고 있음

여러 가지 방안 중에서 규칙적인 운동의 실천은 개인의 의료비 절감과 건강 수명 연장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으로 잘 알려져 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국민의 운동 실천율은 선진국 보다 매우 낮은 수준인 341(예 미국 55)로 나타나 있음(보건복지부 2006)32)

건강관리를 위해 일정 수준의 운동을 실천하지 않는 운동 부족으로 인한 비용은 총 건강관리 비용의 약 6를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전 세계적으로 1900만 명의 사망 원인이 되는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또한 운동 부족은 각종 만성 질환(심혈관질환 허혈성 뇌졸중 제 2형 당뇨병 결장암 및 유방암

31) 건강수명의 사회계층간 형평성 및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32) 새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수립 보건복지부 2006

- 73 -

등)의 독립적 주요 위험 인자이며 더불어 비만이나 낙상 및 정신 건강 등의 다른 건강 수준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규칙적인 운동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률을 감소시키고 심혈관 질환 대장암 및 제 2형 당뇨병 고혈압 비만 등을 예방 및 개선시키며 골다공증 예방 및 감소와 그에 따른 골절 위험 감소 요통 통증 완화 등의 근골격계 건강을 유지향상시킴(Astrand PO 등 2003)33)

운동은 심리적 효과(심리적 안녕감 증진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 감소) 고 위험 행위(흡연 음주 약불 복용 건강하지 못한 식이 폭력) 예방 및 조절이라는 효과 또한 갖고 있음 또한 그 어느 건강관리를 위한 중재 방안에서도 얻을 수 없는 건강관리에 가장 중요한 독립적 기능 수행 능력을 유지향상시킬 수 있어 질적 수명 향상에도 효과가 있음

그러므로 고령화 속도 세계 1위이면서 각 종 만성질환 유병률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시대적 특성을 고려해 볼 때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건강관리 방안은 운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스스로 규칙적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음

위와 같은 운동의 중요성에 따라 국립재활원은 건강증진센터를 소외되기 쉬운 장애인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운영하고자 함- 첫째 재활병원 내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용이하여 원내 입원 환자와 지역 사회 장

애인들이 입원초기부터 신체기능 향상을 위한 재활치료와 더불어 심폐기능 등의 기초체력 향상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이 병행가능하게 되어 규칙적인 운동을 위한 동기화를 촉진함

- 둘째 의료진 및 전문 치료사 특수 체육 교사에 의한 운동 프로그램을 처방 및 지속적인 지도를 받음으로써 안전하고 효과적인 체육활동을 가능하게 함

- 셋째 개인의 신체활동 상태 및 진행 사항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실시간으로 운동 정도를 조절하고 관리 할 수 있음

- 넷째 등록된 의료기관에 수집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진료 시 필요한 개인별 건강생활습관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어 의료비 절감과 효과적인 진료서비스를 제공 가능함

- 다섯째 국립재활체육센터에서도 개인별 자료를 확인 할 수 있으므로 체육 지도자 및 개인이 보다 안전하고 목적에 부합되는 운동을 할 수 있어 참여자들이 개인의

33) Metabolism during Exercise ndash Energy Expenditure and Hormonal Change Astrand PO Michael

Kjaer Michael Krogsgaard Peter Magnusson Lars Engebretsen etc 2003

- 74 -

건강관리에 대한 안정감과 자신감을 갖고 동시에 일상에서 웰빙감과 개선된 삶의 질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질적 수명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

나 운영 목적

장애인 건강 증진 센터에 등록된 장애인들에게 개인별 신체병력 자료를 기초로 심폐기능 및 지구력 등의 운동 기능 검사 및 건강 체력 수준을 평가하여 이를 기반으로 과학적으로 검증되고 수요자에게 안전하고 선호하는 실행 가능하고 효과성 있는 운동 프로그램을 처방하여 퇴원이후에 자가 건강관리가 가능하도록 함

일정 기간(3~6 개월) 재활체육을 처방 및 지도하여 운동 프로그램을 경험한 참여자에게 스스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을 지속적으로 유지 및 관리하도록 함

다 현황

일반현황

장애인을 위한 체육 시설은 전국적으로 22개소로 이는 비장애인 체육시설의 0044 수준임

일반체육 시설 내 장애인 활용을 위한 편의시설이 미흡하며 프로그램도 부재함

시설 운영비 문제로 장애인 체육시설 조차 장애인 이용 극도로 제한적임

한계점

일반 체육시설에 있어 장애인 이용 편의 설비 규정 부재 체육시설의 설치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관련 항목 부재

장애인 체육시설의 경우 예산 부족을 이유로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수익사업에 치중

시설 내 장애인체육 프로그램 비활성화

- 75 -

국립재활원 건강증진센터 운영 현황 년 월

병원동 신관 2층 심폐재활실에서 운영

운동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 보유

장 비 명 용 도 수 량운동검사기 트레드밀 운동 장비 트레드밀

각력계 (Cybex) 상ㆍ하지용

체간용

심ㆍ폐 지구력 측정 및 평가용

심ㆍ폐 지구력 증진용

근력 측정 및 평가용

2 대

1 대

2 대1 대

표 18 장비 목록

필요시 타 부서 소속의 장비를 임대하여 사용

장 비 명 (소속) 용 도 수 량운동 장비

트레드밀 (연구소) 스텝퍼 (연구소)

Ergometer (신관 병동)체지방 측정기 (검사실)

응급치료장비 (병동) 수동 제세동기 이송용 침대 응급 키트

심ㆍ폐 지구력 증진용

체지방량 측정 및 평가용응급상황 처치용

1대1대3대1대

1대1대1대

표 19 임시 장비 목록

운영 인력은 4인으로 구성

직 위 인 원 업 무 재활의학과 전문의

물리치료사

간호사

2 인

1 인

1 인

운동부하 검사 처방 및 결과 분석개인별 운동 상담개인별 운동 처방

근력 평가 및 운동부하검사 시행심폐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 지도

근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운동 지도체지방 측정

운동 검사 및 운동 지도 보조심폐 소생술 교육 보조

표 20 인력 현황

- 76 -

운영방법

대상자- 입원 환자- 뇌병변 환자 - 고관절 굴근과 신근 및 무릎관절 신근의 근력이 근력등급 3이상- 동적 균형 조절능력이 양호- 보행 동작이 독립적으로 가능 (보조기 사용 여부와 무관)- 인지 기능 양호(간이정신진단 검사 점수gt19)하며 의사소통이 원활한 자 - 운동부하검사의 금기사항이 없는 자 (미국 스포츠 의학회 지침에 의거)

검사 및 처방 시행 운영 방법- 운동 부하 검사 주 2회 (화목 오후)- 한 명의 환자에게 심폐부하검사와 근력 검사를 시행한 후 그 결과를 근거로 운동

처방- 한 주기동안 운동이 가능한 환자 대상- 종합적 체력 단련 방식(circuit training) 총 40분 혹은 60분- 등속성 근력 운동(CYBEX) + 트레드밀 보행 + 에르고미터 (상ㆍ하지) 운동을 통합

하여 한 주기로 만들어 시행

운동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신체병력 상태에 따라 차등 적용

주 2회 (60분회) - 화 목 주 3회 (40분회) - 월 수 금대상자

구성

기간

중위험군 저위험군(비혈관성 뇌병변 질환)

Cybex 15-20분

(8-12회 반복 8-10세트)고정형 자전거 15분

트레드밀 20분

6주 (총 12회)

고위험군(혈관성 뇌병변 질환 위주)

Cybex 15-20분

(8-12회 반복 8-10세트)고정형 자전거 15분 혹은트레드밀 15분 중 택 1

6주 (총 18회)

표 21 운동 프로그램

심폐재활실의 운영 대상- 입원 환자 적용 범위 확대 뇌병변 장애인 척수 손상 장애인 지체 장애인 - 국립재활체육센터 방문자 중 의료진의 일차 면담을 통하여 심폐 기능 평가 및 근

력 평가 등 운동 부하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자

- 77 -

현재 소유 혹은 임대하고 있는 장비만으로는 장애인 개개인의 운동능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추가적인 장비가 필요

이용 목적 업무 필요 장비

심폐 재활실

입원환자의 운동 처방 및 운동 프로그램 운영운동 검사 및 건강 체력 수준 평가

심ㆍ폐 지구력 측정 및 평가 및 근력 측정 모니터링하에 운동 프로그램 운영 국립재활체육센터와 연계

운동검사기 심ㆍ폐 지구력 측정 및 평가용 - 트레드밀 - 정지형 자전거  - 휠체어 트레드밀 악력계 근력 측정 및 평가용(전완) 배근력계근력 측정 및 평가용(체간) 각력계근력 측정 및 평가용(하지) 윗몸일으키기계 근지구력 측정 및 평가용(체간) 팔굽혀펴기계 근지구력 측정 및 평가용(상완) 체지방 측정기 체지방량 측정 및 평가용 체전굴계유연성 측정 및 평가용 평형성 측정기평형성 측정 및 평가용 기타 장비 자동 제세동기 응급 키드 환자 이동용 침대 체중계

표 22 추가 필요 장비

현재 있는 인력이외에 추가적인 인력이 필요- 근력 평가 및 운동 지도 1명- 심폐 기능 검사 및 운동 모니터링 1명

타기관 운영 사례

가 국내 스포츠 센터

상계백병원 심장재활센터

진료과 재활의학과

인력 재활의학과 전문의(1명) 전공의(1명) 간호사(2명) 치료사(1명)- 주중 운동부하 검사와 개별 환자운동은 상시 운영(상주 인원 간호사 1명 치료사

1명)되며 수금(오전)에는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개별 진료 및 상담하고 재활의학과 전공의 1명과 간호사 1명 업무지원

- 진료내용 운동부하 검사 시행 운동처방 개별운동 시행

- 78 -

운영 현황- 검사 혹은 운동 시 발생할 수 있는 응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시

설 구비- 근무 인력의 업무 분담으로 보다 많은 환자의 수용(평가(간호사 1인)와 개별운동

모니터(치료사 1인))- 개별운동 환자를 위한 서비스(개별 운동복과 운동화 비치 탈의실과 샤워실 구비)

타과 환자의 재활프로그램 운영- 의뢰에 따라 운동부하검사 실시 rarr 결과에 맞춘 운동처방 rarr 처방에 따른 개별운동

지도(6주) rarr 6주 후 재평가(환자에 따라 3개월 6개월 1년 후 정기적인 검사 시행)

운동 프로그램 구성- 본격적인 개별운동 전후의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매트에서 환자 스스로 자율운동

으로 시작하여 일반적으로 트레드밀 운동(12분~16분)과 에르고미터(10분~12분)운동으로 이루어지고 소요시간은 준비운동정리운동 포함하여 일회당 대략 40분 정도이고 비용은 2만5천원회

- 운동 중 심박수와 심전도를 모니터할 수 있는 장비를 착용하고 운동시행

서울아산병원 스포츠건강의학센터

- 79 -

정형외과에서 운영

인력 정형외과 전문의 등 스포츠의학 관련 의사(7명) 운동지도사(11명) 간호사(1명)- 병원 내에 검사 및 운동 지도하는 스포츠건강의학센터 병동 내에 관절 수술 전후

의 입원 중인 환자에게 검사와 운동을 시행하는 병동 내 센터 지속적인 운동과 관리를 원하는 외래 환자를 위한 스포츠센터 등으로 운영

- 진료내용 다양한 질환에 맞는 운동부하검사근력균형감각유연성 등 전반적인 체력검사 시행 운동처방 운동지도(병동 내 센터) 및 개별운동(병동 외 스포츠센터) 으로 진행

운영 현황- 응급상황에 대비한 응급의료장비 설치- 근무 인력의 업무 분담으로 보다 많은 환자의 수용(코디네이터(간호사 1인)와 운동

교육 및 개별운동(운동지도사 11인))

개별운동 환자를 위한 서비스(개별운동복과 운동화 비치 탈의실과 샤워실 구비)

환자의뢰에 따라 필요한 검사 실시 rarr 결과에 맞춘 운동처방 rarr 처방에 따른 개별운동지도(1일 지도 2주 1개월 그 이상)

스포츠건강의학센터 내에서는 심박수와 심전도를 모니터할 수 있는 장비 착용 후 운동시행

11로 질환에 맞는 운동방법지도 후 종료하는 경우도 있음(비용- 4만 8천원)

지속적인 운동을 원하는 경우 의사의 처방 하에 스포츠센터에서 자유로이 운동 가능(비용-월 20여 만원)

삼성서울병원 스포츠 의학 센터

진료과 스포츠의학과 심장내과 (심장재활팀과 연계)

인력 스포츠 의학 전문의 운동지도사 간호사

진료내용 건강검진 혹은 심장질환자에 대한 심폐부하검사와 몸통과 팔다리의 근력 및 균형감각유연성 등 전반적인 운동능력평가 시행 스포츠의학 전문의

- 80 -

와의 상담을 거쳐 운동처방을 받은 후 운동지도사의 지도하에 개별 혹은 단체 운동 수행

운영 현황- 응급상황에 대비한 의료인(내과의사 간호사) 배치 및 응급의료장비 설치- 시간별 개별 업무 내용이 나누어짐(일반 환자 심폐능력 평가시간과 심장질환 혹은

타 혈관질환의 평가시간을 다르게 배정)- 심혈관계 환자의 평가 혹은 운동시간에는 심전도와 맥박 텔레모니터링 체계하에

시행- 운동은 스트레칭과 걷기 운동으로 시작하여 트레드밀 싸이클을 시행한 후 마무리

운동- 개별운동복과 운동화 비치 탈의실과 샤워실 구비- 정기적으로 심폐기능 평가 시행 후 전후 비교

고양시 재활스포츠센터

체육관 운영 현황- 운영 201011월~- 연면적 585294(지하 2층 지상 3층) 건축면적 237589

주요시설현황- 3층 관람석- 2층 체육관(97565) 다목적실(123실 9752)- 1층 헬스장(25823) 접수안내실 매점 사무실- 지하1층 수영장 쉼터- 지하2층 기계실 등

운영 인력 총 57명(정규직26 강사31)

구분 센터장 팀장특수체육교사

헬스트레이너

수영교사

사무원

안내원

전기기사

운전기사

탈의실보조

경비 청소 계

정규직 1 3 3 2 8 2 2 2 3 - - 26

강사 - - 4 5 13 2 - - - 4 3 31

표 23 고양시 재활스포츠센터 인력구성

- 81 -

운영 예산 19억원(시 지원 50)

체육장비 보유금액 7억(수영용품 196백만원 포함) 사무용비품 9천5백 일반비품 5천5백 등 별도

운영방법- 운영시간 매일 운영(오전9시 ~ 오후9시)- 이용료 장애인은 비장애인의 50- 운영방식

① 11(강사 장애인) 프로그램 운영 자폐성장애인 뇌병변장애인 ② 그룹지도 지체 및 지적 장애인은 4명에 강사 1인

이용 현황 장애인 50 비장애인 50- 일일평균이용인원(900여명)

일일평균 장애인 이용률 체력단련실 다목적체육관 230명

다양한 장애인 체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재활체육프로그램

구분 프로그램 대 상 시 간 요 일 회 비(원)

체육관

재활농구지적장애 초등부 1030~1200 토

48000지적장애 중ㆍ고등부 0900~1030 토

재활운동 성인 1100~1150 월 수 금 20000

헬스장 재활헬스 성인청소년

0600~2100 월~금20000

0800~1700 토일일입장 월~토 2000

재활체육실

특수체육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A B F반)

1500~1550월 수 560001600~1650

1600~165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청소년성인 1700~1830 월 수 9600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청소년 1700~1750 월 수 5600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

1500~1550화 목 560001600~1650

1700~175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청소년 1630~1800 화 목 96000

표 24 재활 체육 프로그램 목록

- 82 -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무료

- 생활체육프로그램

부산시설공단 한마음스포츠센터

체육관 운영 현황- 운영 20071227~- 연면적 77081(지하 1층 지상 4층)- 주요시설현황

① 4층 조깅트랙(130m) ② 3층 체육관(배드민턴 농구대 배구대 샤워실) ③ 2층 헬스장 ④ 1층 수영장 에어로빅실 안내데스크 관리사무실 휠체어 무상수리센터 ⑤ 지하1층 주차장

운영인력은 총 59명(정규직8 무기계약직13 강사38)으로 세부인원은 아래와 같음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성인 1800~1930 화 목 9600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 주1회 2800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청소년 주2회 56000

특수체육(인라인스케이트)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아동청소년

1500~1600

금 400001600~1700

1700~1800

특수체육(태권도) 지적장애 청소년성인 1300~1400 화 금 80000

프로그램 대 상 시 간 요 일 회 비탁구 장애인 1100~1800 월 수 금

상담 후 결정

휠체어 럭비지체성인

1300~1600 화 목죄식 배구 1500~1800 일

휠체어 댄스스포츠 1800~2000 월휠체어 농구 지체성인(여자) 1700~2000 수 금

농구 지적성인 1000~1200 화 목청각장애성인 1000~1200 수

보치아 뇌병변 청소년성인 1300~1500 수1300~1500 금

골볼 시각장애성인 1500~1700 금

표 25 생활체육프로그램 목록

- 83 -

① 정규직(8) 파트장 행정3 시설4 ② 무기계약직(13) 안내4 트레이너 9 ③ 강사(38) 체육관 27 수영11

수입금 실적현황 1065백만원(입장료 1053백만원 시설사용료 11백만원 잡수입 1백만원)

운영시간 및 방식은 아래와 같음- 운영시간 월~토(9시 ~ 22시)- 이용료 장애인은 비장애인의 50

시조례 기준 20년전 기준 유지

- 운영방식 장애인 10명당 강사 2명 기준 운영- 이용 현황 장애인 38 비장애인 62

① 일일평균이용인원(600명) 장애인 240명 비장애인 360명

다양한 장애인 체육프로그램을 운영

프로그램 대 상 교육일 시 간 교육비 장소

건강헬스 청소년 월~토 0600~2200 19250성인 22000

한마음배드민턴교실(A B C D반)

성인(복지카드소지자) 월 수 금

0600~07300730~09001900~20302030~2200

15000

체육관(3층)

휠체어 배드민턴 장애인 화 목 토 1100~1200 13750

어린이체육교실 6세~초등생(발달 지체) 화 목 1400~1500 9200

김동수의 신나는 체육교실

청소년(복지카드소지자) 수 0930~1130 9200

청소년 체육교실(A B반)

청소년(발달 지체)

월수금1600~1700 13750화목금

HㆍM 배드민턴 지적장애(선수양성) 월~금 1600~1800 46000

청소년 인라인교실 청소년(발달 지체) 화 목 1800~1900 20000

탁구(5개반)

청소년 성인(비장애인등록가능) 월~금

0900~10001000~11001100~12001800~19001900~2000

17500(비장애인35000) 탁구

교실한마음탁구 발달ㆍ지적장애 월수금 1500~1600 13750

어린이탁구AB 초등부 월수금 1600~17001700~1800

13750(비장애인 27500)

표 26 부산시설공단 한마음스포츠센터 장애인 프로그램

- 84 -

나 해외 사례 ndash 장애인 스포츠 센터 중심으로

일본 개 시설

- 85 -

도 시 명 시 설 명 시 찰 사 유

오사카(大阪)

마이시마 장애인

스포츠센터

체육관 수영장 호텔 등 운영 타켓 골프rdquo 프로그램 운영 - 실내에서 장애인 및 노약자가 큰 체력소모 없이 유희놀이로 할 수 있음 클럽 및 동호회운영 실내수영장에서는 ldquo스쿠버다이빙rdquo 및 ldquo카누rdquo 프로그램 운영 유도장 및 에어로빅실 평상시는 장애아동 놀이방으로 활용 연회장은 가라오케 기능 겸용 모든 근무자는 유니폼(츄리닝) 착용 인력 운영 - 직원 80명 중 일일 50명씩 교대 근무 - 자원봉사원은 평상시에는 없고 행사시에만 활용 운영비 확보 - 운영비 년간 58억원 - 재 원 전액 오사카 시부 부담 - 수입금 전액 오사카 시에 귀속 오사카 지역민은 무료 타 지역민은 유료

도쿄(東京)

도쿄국립재활원

3만여평의 부지에 각종 시설 완비 노동(장애인고용촉진)+보건(재활병원)+교육 (직업재활시설)+체육(운동시설) 등의 일체화된 종합시설임 체육시설과 연수시설의 연계 프로그램 운영 재활원에서는 스포츠를 다음과 같이 기능면으로 분류하여 활용하고 있음 - 재활체육 신체장애자의 사회복귀를 위한 준비체육 - 일반체육 신체장애의 요소가 있는 자(병원 입원자 포함)를 위한 체육 재활훈련은 단기 1년에서 장기 5년의 기간으로 시행 스포츠동호회 지원은 기록향상보다는 단순 재활활동 지원에 목적이 있음 이용현황은 - 병원 정원 200명 평균 이용자는 일일 160명 - 숙소 정원 550명 평균 이용자는 일일 350명 장애인 또는 장애인시설 종사자 및 연수생 입소 직원현황은 - 정 규 직 320명 - 비정규직 100명 - 기 타 설비보수직 위탁직(청소 조경 등) 숙소 (4인실기준 4층 규모 2개동) - 시설이용료 ¥32000 1개월 단 영세민(후생연금자)는 무료 운영비 - 운영비는 전액 국고로 지원 약 ¥50억 - 수익금은 전액 국고에 귀속 약 ¥10~15억

요코하마(橫浜)

라포르 장애인

스포츠시설

최신 시설이며 규모가 큼 장애인용 극장 및 영상시설에 대한 시설 설비 및 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조사 등록절차 이용 희망자는 상담실에서 체육지도자와 상담하여 운동종 목을 선정한 후 등록카드를 발급 받은 후 이용 이용료 장애인은 무료 일반인은 ¥500 볼링은 장애인 ¥200 일반인 ¥400 추가

- 86 -

독일 개 시설

도 시 명 시 설 명 시 찰 사 유

도이스버그

도이스버그장애인종합시설

제1 체육관 - 플로어 충격흡수장치가 된 ldquo뉴빙빈rdquo 플로어(리놀리움 바닥) - 방음천막을 이용하여 3등분 구분 사용 가능 - 수납식 관중석 설치 - 좌식배구 각종 실내종목 양궁 제2 체육관 - 플로어 휠체어장애인을 위하여 나무 플로어 설치 - 탁구 휠체어 하키 휠체어 농구 일반인도 휠체어종목을 즐기고 있으며 관련 클럽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 노하우에 의하여 지도력을 갖추게 됨 - 유도 매트는 2면이며 시각장애인용 매트를 설치함 숙소 독일 축구협회 소속 시설로서 노드라인팔레스 축구협회에서 시설을 임대하여 독일 장애인체육회가 운영 중임 운영비 자체 수익금과 축구협회 지원금으로 충당

본 독일장애인체육협회

건립 동기 ldquo바이엘rdquo사가 기업 이윤의 사회환원 차원에서 건립 하였으며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음 운영 목적 레버쿠젠 지역의 비장애인 및 장애인 체육 육성 운영 형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사용을 혼용하여 자체 클럽형 태로 운영 대상 경증장애인 400명이 넘는 일반 육상선수 때문에 휠체어 장애인을 위한 종목 (프로그램)은 없음 운영 종목 좌식배구수영육상시각유도 총 4개 종목만 운영함 클럽내 장애인 분과에서는 학교를 통하여 장애인체육선수를 발굴하고 있음 또한 각종 사업비 조달을 위하여 스폰서 발굴에 노력을 경주함

미국

장애인들의 전용시설인 유타 주의 국립 장애인 레저센터(National Ability Center)와 비장애인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딤플 델 체육 레크리에이션 센터(Dimple Dell Fitness and Recreation Center)등이 있음- 장애인레저센터의 명칭에서도 보이는 것과 같이 장애인 전용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장애라는 단어 대신 능력(ability)라는 단어를 쓰고 있음

장애인 레저센터는 주정부가 부지를 기증하고 주 예산 일부와 후원금으로 건립되었음- 장애인들과 보호자를 위하여 스키 수영 카누 승마 등산 등 전문 레저 스포츠와

그룹캠프 연수 등을 실시- 운동에 필요한 모든 장비와 기구는 대부분 후원에 의해 조달됨

34) 정책보고서-장애인 올림픽 유치를 위한 전문체육 육성방안 이광재 2006

- 87 -

- 운영비 또한 대부분 주정부의 지원과 일반인들의 후원금으로 충당되며 이용료는 장애인들과 보호자 모두에게 실비를 받고 있으며 수익 사업을 위해 기숙사 임대 장애인 교육 레저 교육에 사용함

딤플 델 체육 레크레이션 센터는 미국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체육시설임- 수영장 헬스장 사우나 시설 다용도 체육관 놀이시설 등이 갖추어진 상당한 규

모의 센터이며 장애인들의 이용률이 전체 약 5로 낮으나 장애인들이 사용하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이 모든 시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시설을 갖춤

이 센터는 장애인 생활체육 개념을 모토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됨 장애인 레저센터를 통하여 장애인들이 원하는 스포츠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 한편으로는 일반 체육 시설에서도 장애인들의 이용률이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들이 이용하기에 불편함이 없도록 시설을 갖추어 놓았음 이런 예는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미국의 많은 대학 체육시설에서도 찾아볼 수 있음 미국 대학의 체육시설은 장애인 체육시설을 갖추어놓은 곳이 대부분이어서 미국에서 장애인에 관한 체육대회 등을 개최할 때 별다른 문제 없이 대학의 시설을 빌려서 하는 경우가 많음

재활원의 체육 센터도 이와 같이 국립재활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지 않은 장애인이나 기타 장애인 단체 등에게도 개방하여 장애인들이 원하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해나가야 할 것으로 생각함

향후 운영 계획 국립재활체육센터 프로그램과 연계 중심

가 운영 전략

근거-기반(Evidence-based)의 장애인에게 적절한 운동처방 및 재활체육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실행 가능하고 효과적인 운동을 수행

수혜자 중심(Population-centered)의 재활체육 프로그램 공급을 통하여 활동량 증가와 적절한 생활체육으로의 연결

- 88 -

나 운영 목적

국립 재활원은 장애인 체육을 재활치료 재활 체육 장애인 스포츠로 구분하여 지원하고 있음

공급자 장소 운영비 프로그램

재활치료 의사 처방치료사 치료

병원 물리치료실 작업치료실 등

진료비 의료보험 수가 적용

물리치료 작업치료 열전기 치료 등

재활 체육의사 지도 치료사 및 특수체육교사 교육 및 감독

국립 재활 체육 센터

회비발생(의료 수가 적용되지 않음)

단체 운동 체력강화 트레이닝 유산소 운동 근력 강화 운동 유연성 및 순발력 강화 운동

장애인 스포츠

생활 체육장애인 자발적 참여 장애인 체육회 장애인 스포츠 단체

지역 장애인 스포츠 센터 회비 및 참가비

단체운동 유산소 운동 근력 강화 운동 유연성 및 순발력 강화 운동

엘리트 체육 장애인 체육회 장애인 스포츠 단체

장애인 스포츠 훈련원 선수촌 선수 지원금

종목별 장애인 스포츠 선수 양성 지도자 교육 등

표 27 국립재활원 장애인 체육 지원 구분

재활체육35)은 장애인이 지속적이며 자발적으로 체육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의사의 지도를 받아 전문지도자의 지도아래 그룹 체육활동을 통해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인 총체적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돕는 치료 활동임 재활 치료와 생활 체육의 중간단계의 역할을 함으로서 장애인들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체육활동을 수행하여 더나은 삶의 질을 얻을 수 있도록 함

생활체육36)은 건강과 체력의 증진을 통해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는데 목적을 두고 개인의 일상생활 영역 안에서 각자의 취미와 여건에 다라 여가 시간을 이용해 자발적으로 행해지는 신체적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음 장애인 생활체육37)은 장애인이 인간답게 살 수 있는 기본적 권리로서 운동발달을 촉진하고 기능의 유지 및 회복의 단계를 넘어 체력과 건강의 증진은 물론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건강을 증진하며 삶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활동으로 정의됨

국립재활원 입원 환자 및 지역 사회 장애인을 대상으로 기존의 의사 처방 하

35) 최영순 장애인 재활체육 재활간호학회지 제12권 1호 2009

36) 금창용 생활체육활동 참여 노인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석사 논문

2010

37) 노은이 장애인 생활체육 현황과 과제 서울시정개별연구원 2007

- 89 -

에 치료사가 환자의 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 치료와 더불어 운동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병행하고자 함 이를 통해 장애인들 스스로 더 나은 삶을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신체 활동의 시작인 재활 체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장애인 스포츠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함

다 운영 체계

운영 주체 국립재활원 건강증진센터

역할- 운동처방과 관련된 건강 증진 센터 운영 및 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 - 운동처방 관련 상품 및 장비 개발 및 자문- 운동처방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연구 및 자문- 장애인 전용 특수체육인력 양성 및 지속적 보수 교육 담당 - 재활체육 프로그램 적극적 병행-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지역사회 장애인 스포츠와의 연계

운영 부서 - 심폐재활실 국립재활원 병원동 신관 2층 - 생활 체육관 국립재활체육센터 1층- 재활 체육실 I II 국립재활체육센터 1층

- 90 -

국립재활체육센터 인력 배치 프로그램 및 구성 장비

인 력 이용 목적 업무 필요 장비

생활 체육관

특수체육 지도 2-3명

단체 운동

장애인 스포츠-농구 배구 탁구 보치아 피구 배드민턴 등 필요시 장애인 체육회와 연계

농구대 탁구대 배구 코트 기타 농구공 배구공 탁구공 배드민턴 라켓 보치아 공 보치아 표적구 등

재활 체육실 I

운동 지도 4명

체력강화 트레이닝 근력 증진 운동

심폐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 부위별 근력 운동

심폐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 장비 - 트레드밀 - 정지형 자전거 - 휠체어 트레드밀 - 스텝퍼 부위별 근력 운동 장비 - Leg extension - Leg curl - Leg press - Multi hip - Shoulder press - Arm curl - Abdominal Muscle - Back Muscle 체지방 측정기

재활 체육실 II

코디네이터 1명 운동 지도 2명

유연성과 순발력 증진운동 근력 강화 운동

요가 스트레칭 에어로빅 프리웨이트 스텝박스 근력 증진 장애인 건강증진센터 사무 업무 및 상담실 운영

요가 및 스트레칭용 매트 전신 거울 설치 짐볼 스텝박스 아령 테라밴드 슬링 치료 기구 사무용 가구 및 사무 용품

표 28 국립재활체육센터 인력 프로그램 및 장비

심폐재활실 및 재활체육실 주요 업무- 개인별 운동 상담 - 건강 체력 평가- 운동 기능 평가- 심폐 지구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운동 처방 및 운동 지도- 근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운동 처방 및 운동 지도- 장애인 건강 증진 사업 연계 기관 관련자 교육 - 운영자 운동지도 인력 및 사용

자 대상 - 장애인 건강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 개발 사업 - 운동 전 건강 위험도 평가 프로그램 개발 사업

- 91 -

- 장애유형별 운동 지침 개발 및 보급 - 원내외 관련 기관과 연계- 사회복귀지원과와의 연계로 입원 환자의 원활한 사회복귀 촉진 유도- 지역사회재활추진단과의 연계로 지역 보건소에서의 장애인 건강 프로그램 운영 지원- 권역별 재활병원과의 연계로 병원기반 재활체육 프로그램 활성화 지원

운영 흐름도

일차 면담시 평가 내용- 병력건강습관 질문 (건강 병력 질문지)

- 92 -

- 신체적 활동 준비 질문서 (PAR-Q 형식)

- 의학적건강 검진 ACSM risk stratification

운동 프로그램 참여 전 현재의 의학적 검진과 운동 검사 그리고 운동 검사를 위한 의료 감

독에 대한 ACSM의 권고

낮은 위험요소 중등도 위험요소 높은 위험 요소 A

중등도 운동 필요없음 필요없음 권고고강도 운동 필요없음 권고 권고

B최대하 검사 필요없음 필요없음 권고 최대 검사 필요없음 권고 권고

표 29 ACSM 권고

세부적인 운영 내용은 아래와 같음- 운동 전 검사 및 개인별 운동 처방

개인별 신체활동 목적에 부합되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체계적이고 개별적으로 처 방 및 지도관리하기 위해 건강 체력 검사 및 필요한 경우 운동 부하 검사를 시행 함 그 후 심폐 지구력과 근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운동 처방 및 운동 지도

- 건강 증진 운동 교육 과정 운영 장애인 건강 증진 사업 연계 기관 운영자 운동지도 인력 및 사용자를 대상으로985170장 애인건강증진운동교육과정985171을 운영

- 운동 프로그램 개발 사업 각종 장애별(지체장애 뇌병변 장애 등) 생애주기별(어린이청소년 성인 및 노인 대상) 및 건강 체력 요인별(심폐 지구력 강화용 근력 강화용 낙상 예방용) 운동

- 93 -

프로그램 개발 - 각종 설문지 및 기록지 개발 사업

연구 및 자문을 제공 할 목적으로 개인별 운동실태 운동정서 운동 장애 요인을 파악 할 수 있는 설문지를 개발하고 운동처방 내용 건강 체력실태 및 운동 내용 을 확인 할 수 있는 기록지 개발

- 운동 전 건강 위험도 평가 프로그램 개발 사업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 전에 개인별 건강 상태(예 연령 심혈관 및 폐질환 관련 증 상 및 징후 관상동맥 위험인자 수준 진단된 질환 명)를 근거로 운동검사 필요 유 무 확인 운동 강도(중강도 또는 고강도) 적용 시 또는 운동 검사(최대 하 또는 최 대 운동 검사) 시 의료진 및 장애인 체육 전문가의 감독 권장 여부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도록 함 이를통해 본 사업의 대상자 중 각 종 만성 질환을 갖고 있거나 고령 자인 경우 안전성과 운동 프로그램의 참여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

- 장애별 운동 처방 시스템 구축 주요 대상 장애별로 운동처방 원칙을 시스템화 시키고 운동 중 질환별 특성을 고 려한 주요 모니터링 항목을 포함시켜 환자들이 지역사회에서 운동 처방 수 행시 안전성을 높임 운동처방 시스템 구축에 포함 될 구체적인 내용들로는 질환별 운동 금기 조건 질환 정도 및 기간 약물 처방 여부 및 처방 약물 종류 운동 종 류 및 기간에 따른 약불 투여량 조절 방법 합병증 여부 및 정도에 따른 운동 시 주의 사항 운동 검사 시행 여부 운동 형태 및 운동량 등이 있음

- 장애별 운동 매뉴얼 개발 및 보급 주요 대상 장애인을 위한 운동 매뉴얼을 개발하여 환자들이 주민자치센터 피트니 스 센터 및 가정에서 운동을 할 때 운영자 및 운동 지도자 등록된 일반인들에게 운동 매뉴얼을 보급하기 위한 것임 운동 매뉴얼에는 각 질환의 간단한 특성과 운 동 효과 및 운동 방법 운동 시 주의사항 및 응급 상황에서의 대처 요령(예 심폐 소생술 등) 등이 포함

- 지역 장애인 체육회 연계사업 추진 지역 장애인 체육회와 연계하여 장애인 생활체육 교실 등의 공동프로그램을 적극 개최하여 장애인 체육 전문가의 부족을 메울 수 있도록 하여 일상생활에서도 체육 을 즐길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교육이 가능함 필요시 체육관을 대여하거나 지역 체육회의 장애인 체육 센터로의 지정을 통해 부족한 장애인 체육시설을 보충 가능

- 장애인 체육 활동 실태 조사 전반적인 장애인 체육 활동 실태조사를 통하여 퇴원 후 체육 활동 지속율 지역 사 회 체육 프로그램 이용율 체육 활동시 불편 요인 보완되어야 할 프로그램 내용 등을 파악하여 정책적 제안의 기반 및 체육관 운영방안 설정의 기반을 획득

라 기대 효과

근거-기반 운동 프로그램 수혜자 증가 - 의학적 검사와 기능 평가를 근거로 장애인 개인별 맞춤형 운동처방을 통한 지속적

으로 실행 가능 하고 개인 건강 유지에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 제공- 입원 재활치료와 재활체육 사회재활훈련을 병행 실시함에 따라 선진 사회복귀 모

델 제시 가능 장애인의 조기 퇴원 및 조속한 사회복귀에 긍정적 효과 rarr 장기적인 의료비 절감 효과

- 94 -

- 수혜자 중심의 운동 프로그램 공급(공급자가 아닌 수혜자 위주의 운동 형태 및 운동량을 제공함으로써 운동 지속성 증가)

- 장애인의 건강수명 연장-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 - 장애인 체육시설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 마련

재정 확충 방안

장애인 체육시설은 장애인 엘리트 체육시설을 제외하고 생활체육이나 재활체육을 실현할 수 있는 공간은 부족한 실정임

부족한 장애인 체육시설을 확충해 나가기 위해서는 건립 예정인 국립재활원의 체육관이 합리적이고 이상적인 재정 모델을 개발 및 운영하여 점차 전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 이를 위한 방안은 아래와 같음

가 수가화 모색

현재에도 운동치료 재활사회사업(개인력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문) 등은 수가로 인정되는 항목임 이를 기반으로 의료기관 내의 장애인 체육시설 인증을 통하여 인증된 체육시설에서 의사의 처방 혹은 지도로 시행되는 장애인 체육 활동에 대한 수가화를 모색함

나 공익기금 활용

가 국민체육진흥기금

정부 출연금 광고 사업 수입금 골프장 시설 입장료 부가금 복권기금 등에 의해 조성되는 국민체육 진흥기금은 국민체육진흥법 제22조에 따라 사용이 정해짐

22조 10항에 따라 국민체육진흥기금은 대한장애인체육회을 포함한 생활체육 관련 체육단체와 체육 과학 연구 기관의 운영지원 국민체육시설 확충을 위한 사업에 사용될 수 있음 따라서 국민체육진흥기금을 활용하여 장애인 체육시설을 운영가능 할 것임

국민체육진흥공단에 따르면 2013년 장애인체육 육성 기금은 총 464억이며 이중 장애인 생활체육이 83억 장애인 전문체육이 332억 대한장애인체육회 지원이 49억으로 책정되어있으며 구체적 내역은 아래와 같음

- 95 -

장애인 생활 체육 장애인 전문 체육 장애인 생활체육 34 억 장애인전문체육 61 억

장애인 생활체육대회 20 억 장애인 전국체전 시도 지원 19 억장애인활체육지도자배치 24 억 2013 스폐셜올림픽 지원 68 억시도 주최 생활체육대회 4 억 장애인 종합체육시설 건립 및 운영 115 억

장애인 실업팀 창단 지원 8 억2014 인천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지원 61 억

표 30 2013년 장애인체육 육성 기금 예산안

자료원 국민체육진흥공단 홈페이지

따라서 국립재활원의 체육관 및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국민체육진흥공단의 장애인 체육육성 기금의 활용이 가능할 것임

나 스포츠토토 공익기금

스포츠토토 공익기금은 규정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지정 문화 체육 사업 지원이 가능함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지정할 수 있는 체육 사업에 비인기 운동종목 지원 및 문화예술 취약 분야 육성 사업 그 밖에 체육문화예술 진흥을 위하여 특별히 지원이 필요한 사업 등이 가능함

따라서 이런 교정을 활용하여 스포츠토토 공익기금의 일부도 사용가능 할 것임

다 담배부담금 일부 활용

국민건강증진법 제25조(기금의 사용등)에 의하면 ldquo보건복지부장관은 기금을 제1항 각호의 사업에 사용함에 있어서 아동middot청소년middot여성middot노인middot장애인 등에 대하여 특별히 배려middot지원할 수 있다rdquo고 규정되어 있음

이러한 규정을 활용하여 담배부담금 일부를 체육시설 운영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임

요약 및 결론

현재 국립재활원에 있는 이전 체육관 시설이 없어지고 사회복귀를 중시하는 쪽으로 재활의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신설되는 장애인재활교육훈련시설(체육관)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이 필요함- 운영 목적은 장애인 건강 증진 센터에 등록된 장애인들에게 개인별 신체병력 자료

를 기초로 검사를 통하여 일정 기간(3~6개월) 재활체육을 처방 및 지도하여 운동

- 96 -

프로그램을 경험한 참여자에게 스스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을 지속적으로 유지 및 관리하도록 하는 것임

이를 위해 타기관 운영사례들을 검토하였음- 상계백병원 심장재활센터 아산병원 스포츠 건강의학센터 삼성병원 스포츠 의학

센터 고양시 재활스포츠 센터 부산시 한마음스포츠 센터- 일본 미국 독일의 체육관 운영 사례

이를 통해 운영전략을 설정하였음- 근거-기반(Evidence-based)의 장애인에게 적절한 운동처방 및 재활체육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실행 가능하고 효과적인 운동 수행- 수혜자 중심(Population-centered)의 재활체육 프로그램 공급을 통하여 활동량

증가와 적절한 생활체육으로의 연결- 국립재활원 입원 환자 및 지역 사회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기존의 의사 처방 하에

치료사가 환자의 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 치료와 더불어 운동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병행

체육관 시설을 통한 기대효과는 아래와 같음- 학적 검사와 기능 평가를 근거로 장애인 개인별 맞춤형 운동처방을 통한 지속적으

로 실행 가능 하고 개인 건강 유지에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 제공- 입원 재활치료와 재활체육 사회재활훈련을 병행 실시함에 따라 선진 사회복귀 모

델 제시 가능 장애인의 조기 퇴원 및 조속한 사회복귀에 긍정적 효과 rarr 장기적인 의료비 절감 효과

- 수혜자 중심의 운동 프로그램 공급(공급자가 아닌 수혜자 위주의 운동 형태 및 운동량을 제공함으로써 운동 지속성 증가)

- 장애인의 건강수명 연장-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 - 장애인 체육시설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 마련

부족한 장애인 체육시설을 효과적으로 확충시키기 위해서는 현재 시행하려는 국립재활원의 체육관이 장애인 체육시설의 효과적인 재정 운영 방안 모델을 수립 운영하여 전국으로 모델을 퍼뜨릴 수 있도록 해야함 이를 위한 방안은 아래와 같음- 장애인 체육시설 인증을 통한 재활 체육의 수가화를 모색- 국민체육진흥기금 스포츠토토 공익기금 등의 공익기금들을 활용하는 방안 모색- 담배 등으로 인한 건강증진부담금 일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

- 97 -

제5장 재활교육체계 구축 방안

국립재활원 교육현황

가 국립재활원 교육 체계

현재 국립재활원은 총무과 장애인운전지원과 교육홍보과 등 3개 과 재활병원부 내에 15개 과 그리고 재활연구소 내에 3개 과로 구성되어 있음

이 중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부서는 총무과 간호과 교육홍보과 사회복귀지원과 공공재활의료지원과 장애인운전지원과 등 6개 과와 재활연구소임

나 2012년 국립재활원 교육현황 조사

조사 대상

2012년 동안 내부 직원 혹은 외부 인력에 대한 재활교육을 수행해왔던 총무과 간호과 교육홍보과 사회복귀지원과 공공재활의료지원과 장애인운전지

- 98 -

원과 등 6개 과와 재활연구소를 조사 대상으로 하였음

QI실은 과정 내용이 본 연구의 범위에서 벗어났고 장애예방사업은 대국민 교육을 중심으로 하고 있기에 조사 대상에서 제외하였음

공공재활의료지원과는 교육과정만 제공하고 프로그램은 제공하지 않았음

조사 내용

조사 내용은 2012년 동안 해당 과 혹은 연구소가 내부 직원 혹은 외부 직원을 대상으로 수행한 교육들의 다음과 같은 내용들임- 교육과정- 교육프로그램- 연간교육경험자(재활원 내외)- 직종별 교육경험자- 유료교육 여부- 법적 보수교육 인정여부- 교육과정 단계 여부- 연간 교육횟수- 강사구성- 연간 총 소요예산- 국립재활원 외부지원 예산

교육과정 및 교육프로그램은 진행 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분류하였음- 공공재활(정책)-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인원 측면에서 연간 교육경험자는 교육과정별 참석인원에 교육횟수를 곱한 연인원으로 계산하였고 직종별 교육경험자 수 중 의사는 정규직 전공의 공중보건의사를 포함한 것임

교육프로그램을 수행한 경우 커리큘럼을 별도로 제공 받았음

- 99 -

조사 결과

가 일반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총 교육과정은 27과정이었고 총 프로그램 수는 138 프로그램이었음 그리고 총 교육시간(순환 교육과정의 경우 횟수를 곱하여 산출함)은 467시간이었음

교육내용별로는 사회복귀 임상재활 분야가 전체 교육시간의 81를 차지하고 있음

2012년 조사 시점까지 총 교육경험자 수는 4667명으로 내부 직원이 2732명이었고 외부 인력이 1935명이었음

2012년 조사 시점까지 총 소요 예산은 124억 원이었음

나 부서별 교육과정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수행된 교육과정은 총 27개였음 교육내용별로 임상재활과 사회복귀 분야가 가장 많았음

교육홍보과에서 수행한 교육과정이 11개로 가장 많았음 교육내용은 사회복귀 임상재활 분야가 많았음 다음으로 공공재활의료지원과에서 수행한 교육과정이 6개였고 임상재활 사회복귀 분야의 내용이 교육되었음

- 100 -

  공공재활(정책)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총무과         5 5

교육홍보과   4 5 2   11간호과   2       2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2     2

연구소   1       1공공재활의료지원   3 2 1   6

총계 0  10 9 3 5 27

표 31 부서별 교육과정 현황

다 부서별 교육 프로그램 현황

각 교육과정별 실제 수행된 교육 프로그램을 기준으로 볼 때 총 138개의 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되었음 임상재활 분야 프로그램이 절반 정도를 차지하였음

부서별로는 교육홍보과에서 주관한 교육 프로그램이 전체 프로그램 중 557를 차지하고 있음 교육홍보과에서 주관한 프로그램은 사회복귀 분야 내용이 가장 많았음

  공공재활(정책)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총무과 5 5

교육홍보과 6 24 31 13 3 77간호과 32 32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10 10

연구소 1 11 2 14공공재활의료지원

총계 7 67 43 13 8 138

표 32 부서별 교육 프로그램 현황

라 부서별 교육시간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수행된 교육시간은 총 467시간이었음 교육내용별로 사회복귀와 임상재활 분야가 많았음

- 101 -

교육홍보과에서 수행한 교육시간이 401시간으로 전체의 859를 차지하고 있음 교육내용은 사회복귀 임상재활 분야가 많았음

  공공재활(정책)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총무과 9 9

교육홍보과 118 203 80 401간호과 32 32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11 11

연구소 14 14공공재활의료지원 0

총계 0 164 214 80 9 467

표 33 부서별 교육 시간 현황

마 부서별 교육대상 인력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교육받은 인력은 연인원 4667명이었음 국립재활원 내부 직원 대상이 585로 외부 인력보다 약간 많았음

부서별로 볼 때 총무과 및 재활연구소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모두 국립재활원 내부 직원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반면 교육홍보과 공공재활의료지원과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모두 외부 인력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재활원 내부 재활원 외부 합계총무과 2221   2221

교육홍보과   1471 1471간호과 98 75 173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12 27 39

연구소 401 4 405공공재활의료지원   358 358

합계 2732 1935 4667

표 34 부서별 교육대상 인력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교육받은 인력 중 직종이 구분된 인원은

- 102 -

연인원 4184명이었음 기타 직종을 제외하면 사회복지사가 1431명으로 가장 많았고 간호사가 747명이었음

직종 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사회복지사 기타직종 합계임상재활 23 305 95 35 371 317 1146사회복귀 0 72 32 2 754 99 959시설운영 0 13 15 4 297 12 341

기타 113 357 0 0 9 1259 1738합계 136 747 142 41 1431 1687 4184

표 35 교육과정 종류별 교육 경험자 직종

교육과정 종류별로 볼 때 임상재활 분야 교육 대상자는 사회복지사가 32 간호사가 27를 차지하고 있었음 사회복귀 분야 및 시설운영 분야 교육 대상자는 사회복지사가 각각 79 8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음

- 103 -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교육받은 인력의 소속기관은 국립재활원이 가장 많았고 외부 인력 중에서는 복지관 및 기타기관이 가장 많았음

부서별로 볼 때 총무과 및 재활연구소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모두 국립재활원 내부 직원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부서별 교육 대상자 중 외부 인력의 소속기관은 다음과 같음 - 교육홍보과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모두 복지관 및 기타기관 소속 인력을 대상으

로 수행되었음 - 공공재활의료지원과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대부분 보건소 및 보건지소 소속 인력

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 간호과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국립재활원과 민간병원 소속 인력을 대상으로 수행

되었음

  국립재활원 보건(지)소 공공병원 민간병원 복지관기타기관 합계총무과 2221         2221

교육홍보과         1471 1471간호과 98     75   173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12       27 39

연구소 401       4 405공공재활의료지원   342     16 358

합계 2732 342 0 75 1518 4667

표 36 부서별 교육 대상자 소속 분류

바 법정 보수교육 인정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수행한 교육과정 중 법정 보수교육으로 인정받는 과정은 총 4개였음 임상재활 분야 2 과정 사회복귀 분야 1 과정 시설운영 분야 1 과정임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인정 2 1 1   4

불인정 5 6 1 5 17

표 37 보수교육 인정 현황

- 104 -

사 연간 교육과정 순환 횟수

대부분의 교육과정은 연간 1회 혹은 2회만 수행되고 있음

아 교육과정 강사 인력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수행한 교육과정 중 내부 강사와 외부 강사는 절반 정도씩 차지하고 있음

교육과정 분야별로 볼 때 임상재활 및 사회복귀 분야는 내부 강사와 외부 강사 비율이 비슷하며 시설운영 분야는 외부 강사가 더 많음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내부강사 35 22 3 4 64외부강사 30 18 12 2 62

표 38 교육과정 강사 인력 현황

- 105 -

자 부서별 주요 교육 내용

부서별 주요 교육 내용은 다음과 같음

  교육 내용

교육홍보과

케어기술(기본) 장애인 성재활 케이기술(심화) 직업재활 고령장애케어 물리작업치료 사례관리(기본) 욕창 재활간호 영유아케어기술 장애행동수정 사례관리(심화)

공공재활지원과

지역사회중심재활 기본실무 방문재활의 실제 노년기 재활을 통한 건강관리 장애아동재활의 핵심파악 노년기 재활을 통한 건강관리 쉽게 따라 하는 재활실무 건강한 일상을 위한 여성 장애인 재활

간호과 재활간호 3일 과정 재활병원에서의 가족 프로그램과 성재활 간호

장애인운전지원과 장애인 운전강사 역량강화 교육 자동차 운전강사 양성교육

재활훈련과(2011)

사회복귀지원과정 복지시설 장애인 자립특성화과정 자립생활실무자과정 보조기구 관리지원교육 민간재활병원 가족교육

표 39 부서별 주요 교육 내용

국립재활원 교육현황 요약 및 문제점

부서별 교육대상 인력은 주로 소속기관별로 구분되고 있음- 간호과 병원 간호사- 교육홍보과 복지관 직원- 공공재활지원과 보건소직원- 사회복귀지원과 장애인 가족 활동보조인 등

- 106 -

단기간의 일회적 교육과정이 많고 장기간 운영되는 체계적 전문교육과정이 미흡함- 교육과정의 기본심화 단계 과정이 부족- 케어기술(기본심화) 사례관리 (기본심화)외 부재- 교육과정 당 시간 1시간~24시간

공공병원 교육참여자가 없음

간호사 사회복지사 외의 직종에 대한 전문교육과정 없음- 물리작업치료사 1과정- 언어재활사 수화통역사 의지보조기기사 점역교정사 등의 교육과정 없음

기타- 이용자가 교육요금을 부담하는 유상 교육이 많음- 법정 보수교육 인정 과정이 적음(간호사 2 과정 및 사회복지사 2과정)- 교육 예산이 부족함

타 기관 교육 현황

가 교육체계

국립암센터는 교육훈련부에서 내부 직원과 외부 인력에 대한 모든 교육 과정 총괄 관리함 실제 교육프로그램은 각 부서별로 이루어지나 교육훈련부에서 과정목표 교육대상 시간 형태 과정운영방향특징 등을 총괄하여 동일한

- 107 -

구성으로 모든 교육과정에 대한 연간 교육 훈련 계획서를 관리하고 실행함

또한 일본국립재활원은 병원 연구소와 같은 위상의 전문교육기관인 대학이 존재함 일본 국립장애인 재활 센터는 대학 병원 연구소 훈련센터 관리부로 구성되어 유기적으로 운영되며 대학을 통해 의료 인력을 위한 교육을 진행하고 있음- 연구-재활치료-교육-사회복귀가 모두 한 공간에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WHO 지정 연구기관임 - 재활에 관한 기술자 양성 및 현재 종사 인력의 기술 향상을 목적으로 교육을 진행

하고 있음

일본국립재활대학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음

1971년 4월 옛 국립 청각 언어 장애 센터에 부속 언어 전문 인력 양성소가 설치되어 첫 언어 전문 인력의 양성 (1년제)가 시작된다

1979년 7월 옛 국립 청각 언어 장애 센터가 신설 국립 장애인 재활 센터에 통합됨에 따라 학원 언어 전문 인력 양성 과정 (1년제)가된다

1979년 9월 언어 전문 인력 양성 과정 업무 개시 연수 업무 시작 1982년 3월 직업 현임 교육을 목적으로 학원 동 및 학원 기숙사 1 호동의 준공 1982년 4월 처음의 의지 보조기 전문 인력 양성 과정 (3년제) 개설 1988년 4월 의지 보조기 사법의 제정 시행에 따라 의족 보조기 전문가 양성소로 후생 대신의 지정을

받는다 1989년 4월 후생 대신 공인 수화 통역사 인증 제도가 발족 수화 통역사 시험이 시작된다 1990년 4월 첫 시각 장애인 생활 훈련 전문 인력 양성 과정 (1년제) 개설 1990년 4월 본방 처음 수화 통역 전문 인력 양성 과정 (1년제) 개설 1991년 4월 본방 처음 개화 체육 전문 인력 양성 과정 (2년제) 개설 1992년 4월 언어 전문 인력 양성 과정의 2년제로 전환 1995년 1월 전수 학교 전문 과정 수료자에 대한 전문사 칭호 부여에 관한 규정에 따라 의족 보조기

전문 인력 양성 과정 수료자 전문사 칭호를 수여 1995년 9월 학원 기숙사 2 호동 준공 1998년 10월 언어 청각 사법의 제정 시행에 따라 언어 청각 전문가 양성소로 후생 대신의 지정을 받

는다 1998년 12월 새로운 양성 연수 동 준공 1999년 4월 전문 인력 양성 과정에서학과 제로 명칭 변경 언어청각학과 의지 보조기학과 시각장애

학과 수화통역학과 재활체육학과 5학과 됨 시각 장애학과의 2 년제로 전환 2001년 4월 수화 통역학과 2년제로 전환 2003년 4월 수화 통역학과의 정원 증가 2008년 10월 명칭을 국립 장애인 재활 센터로 변경 2011년 10월 뇌졸중 재활 간호 인정 간호사 교육 과정 개강 2012년 4월 치치 학원 부속 보호지도 직원 양성소가 조직 통합함으로써 아동 지도원과의 업무 개시

- 108 -

나 재활전문인력 대상 교육 과정

국립암센터 사례

국립암센터의 직종별 전문교육 과정은 의사 간호사 약사 영양사 사회복지사 공무원 암 진료기관 종사자 호스피스 및 재가암환자 관리 인력 등으로 나누어 수행되고 있음

 대상 교육 내용

의사를 위한 전문화 과정(1년 ~ 2년 과정)

혈액종양 내과 전문의 (2명) 대장내시경 소화기내과 외과전문의(3명) 부인종양 산부인과 방사선종양학과 영상의학과 전문의(2명)

간호사 교육 과정 국제장루창상실금 전문간호과정 전문간호분야 실무자 교수(8명 2개월) 종양전문간호과정 전문간호분야 실무자 책임자 교수 등(100명 6개월)

국립암센터의 암에 특화된 직종별 수련체계 과정

전공약사과정(약사면허증 취득자 1년) 전공영양사과정(영양사 면허증취득자 1년) 수련사회복지사과정(사회복지사 면허 취득자 1년)

최고위 과정 보건복지정책 고위과정 국회의원 의료기관 고위관리자 대상

공무원 대상 교육

암관리사업 관리자과정 시middot도 5급 이상 암관리 사업담당 보건소장 및 5급 이상 관리자

암검진 및 의료비 지원 사업 과정 보건복지부 보건(지)소 직원 6~9급 재가암환자관리과정(이론과정실무과정) 보건(지)소 방문간호 담당 6~9

급 완화 의료 전문기관 가정간호 담당자 지역암센터 암등록

진료기관 종사자 대상 교육 지역암센터 실무과정 지역암센터 암관리사업담당자 암등록의무기록사과정 암환자 진료 의료기관 지역암센터 근무자 등

호스피스 및 재가암환자 관리 인력 교육

말기암 및 재가암환자 관리사업전문인력 양성 호스피스 middot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실무 간호사

호스피스전문과정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 종사자

표 40 국립 암센터 교육과정

공공기관 근무자 대상 교육과정은 국립암센터뿐만 아니라 국립중앙의료원에서도 수행되고 있음

- 109 -

 대상 교육 내용

최고위 과정

국립암센터 보건복지정책고위 과정 국회의원 의료기관 고위관리자 대상 국립중앙의료원 응급의료 최고위정책 과정 보건복지부 공무원 의료진

대상 국립중앙의료원 공공간호 최고지도자 과정 보건복지부 관계자 공공의료

관련 연구진 간호사

지역암센터공공병원 대상 교육 과정

국립암센터의 지역암센터 실무과정 시 middot 도 및 지역암센터 암 관리 사업 담당자 등 80명

국립중앙의료원 춘계 공공의료아카데미 전국 국공립병원 부서장 실무자

표 41 국립중앙의료원 공공기관 근무자 교육과정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 사례

일본국립장애인재활 센터의 재활전문가 양성과정은 6종류의 직종에 대해 운영됨 각 대상 직종별로 언어청각학과 의지middot보장구학과 시각장애학과 수화통역학과 재활체육학과 아동지도원과와 같은 학과로 구성됨

이 중 언어청각학과 의지middot보장구학과 시각장애학과 수화통역학과 재활체육학과는 교육법에 의거하여 설립 운영됨 교육과정은 학과에 따라 1-3년 과정으로 운영되고 있음

이는 우리나라의 장애인복지 전문인력 중 수화통역사 언어재활사 의지보장구기사와 직종이 겹침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의 시각장애학과는 우리나라의 점역middot교정사 보다 넓은 개념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함

이 중 의지보장구학과를 졸업할 경우 전문사(전문대학사)자격을 취득할 수 있으며 언어재활학과와 의지보장구학과를 졸업하면 국가자격 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받음

수화통역사의 경우 후생성 장관이 인정하는 민간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음

이 외에 일본간호사협회가 지정하는 뇌졸중전문간호사 지정 교육기관으로 뇌졸중 전문간호사 과정을 운영함

- 110 -

각 과정의 직종 및 기관 입학 조건은 아래와 같음

학과명 설치년도 정원 입학 자격 과정

언어청각학과 1972 60 학교 교육법 제 102 조 제 1 항 본문의 규정에 따라 대학원에 입학 할 수 있는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2년

의지middot보장구학과 1983 30 학교 교육법 제 90 조제 1 항의 규정에 의하여 대학에 입학 할 수있는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3년

시각장애학과 1990 40 학교 교육법 제 102 조 제 1 항 본문의 규정에 따라 대학원에 입학 할 수 있는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2년

수화통역학과 1990 60학교 교육법 제 90 조제 1 항의 규정에 의하여 대학에 입학 할 수 있고 또한 20 세 이상의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2년

재활체육학과 1991 40

① 교육 직원 면허 법에 의한 보건 체육 고등학교 교사 면허증 또는 일종의 면허증을 가진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② ①과 동등 이상의 자격을 가진 자 총장이 인정한 것으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2년

아동지도원과 1963 40

학교 교육법 제 102 조 제 1 항 본문의 규정에 따라 대학원에 입학 할 수있는 자 또는 아동 복지법 제 18 조의 6에 따라 보육사 자격을 가진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1년

표 42 일본 국립장애인 재활센터 직종별 입학 조건

언어청각학과는 2년간 2340시간을 이수해야 졸업할 수 있으며 졸업 시 국가시험 응시자격을 획득함 언어청각사가 국가자격으로 도입되기 전 전국에서 처음으로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음

현재 전국의 여러 전문학교 대학교에서 학과가 개설되어 인력을 양성하고 있음 일본 장애인재활센터의 경우 학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며 국가시험자격이 부여되어 경쟁률이 상당히 높은 편임

의지middot보장구학과는 3년간 3315시간을 이수해야 졸업할 수 있으며 졸업 시 전문사 자격과 함께 국가시험 응시 자격을 획득함 의지보조기사가 국가자격으로 도입되기 전 학과가 설치되어 교육 진행함

현재 일본 내 의지보조기 인력양성은 3개의 대학과 7개의 전문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음 언어청각학과와 마찬가지로 학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양질

- 111 -

의 교육을 제공하며 국가시험 자격이 부여되어 경쟁률이 높음

수화통역학과는 2년간 2400시간을 이수해야 졸업 할 수 있으며 졸업 시 후생성 장관이 인정하는 민간 자격 시험에 응시할 수 있음(우리나라 역시 수화통역사는 민간자격으로 운영되고 있음)

시각장애학과는 2년간 3134시간을 이수해야 졸업 할 수 있으며 관련 자격증은 없음 졸업 후 시각장애인 시설 등에 주로 취업함

재활체육학과는 2년간 2385시간을 이수해야 졸업 할 수 있으며 졸업 시 민간협회자격증(2가지종류)에 응시할 수 있음 졸업 후 장애인스포츠센터나 복지시설등에 취업함

아동지도원과는 1년간 1800시간을 이수해야 졸업 할 수 있으며 다른 학과와 다르게 국립장애인센터 자체적으로 운영함 관련 자격증은 없지만 국가기관 중 아동지도원이 필요한 곳에 인력을 공급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졸업시 임용권을 부여하여 장애아동관련 교직으로 진출할 수 있음

뇌졸중 전문간호사는 일본간호사협회가 인정하는 21개 전문자격증 하나임 뇌졸중 전문간호사는 일본간호사협회가 전국에 지정한 6군데 기관에서 교육을 진행하고 있음 전문간호사 인정은 대학원 졸업자만 가능하며 프로그램 및 커리큘럼 작성시 일본간호협회의 확인을 받아야 함

- 112 -

다 내부 직원 대상 교육과정

국립암센터의 내부 직원 대상 교육은 직종별로 관리직 의사직 연구 의사직 연구직 일반직 등으로 구분되어 있음

또한 교육 목표별로는 공통역량 직무역량 계층역량 자기개발 등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공통역량은 조직 활성화 법정교육 고객만족 역량 등으로 직무역량은 공통 및 세부 직무역량과 사이버연수원으로 세분되어 있음

- 113 -

국립중앙의료원은 내부 직원에 대한 교육으로서 공공의료아카데미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음 - 대상 전문의 간호사 기획 관련부서 실무자 공공보건의료계획 담당부서 실무자

등 국립의료원 구성원 20명- 주요 내용 공공성 공공의료 우수한 적정진료 제공 국가차원의 새로운 공공의료

모색 등- 참여적 워크숍 방식으로 진행(40시간)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관련 법조항

가 재활의학 전문의

의사의 연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의료법 제 30조 제2항 제3항 및 동 시행규칙 제20조 제21조 제23조- 대한의사협회 정관 3조- 대한의사협회 연수교육 시행규칙

의료법에서 의사는 연간 8평점 이상 이수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의사협회의 연수교육 시행규칙에는 연간 12평점의 보수교육을 진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음(20103월 기준) 의사협회 연수교육 시행규칙에서는 연수교육의 시행기관과 교과목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음

- 114 -

대한재활의학회 회칙 4조에서 재활의학에 관한 보수교육 및 재활의학 보급에 관한 사항을 학회의 사업으로 규정하였으나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재활의학 교

연수교육 시행 기관

제5조(연수교육시행기관)각 시middot도의사회

의과대학middot의학전문대학원레지던트수련병원 및 인턴수련병원

학회(단 의학회에 등록된 학회에 한함)기타 교육위원회에서 인정하는 기관 및 단체

교과목

제13조(교과목) ⓵연수교육에 있어서는 가급적 임상교육과 기초교육을 병행해야 하며 10 이내의 의사윤리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⓶연수교육기관은 제1항의 윤리교육 이외에 10이내의 교양과목 의료정책 의료사회학 의료정보학 등을 교육과목으로 개설할 수 있다

평점

제14조(연수교육 인정한계 및 평점)

교육종목 평점 연상한본회 승인 프로그램

1)강 좌 1시간당1평점 -2)실 습 1시간당1평점 -

3)시청각(비디오 슬라이드) 1시간당1평점 - 4)대한의사협회지 자율학습 1시간당1평점 3

5)위크숍 1시간당1평점 - 6)심포지엄 1시간당1평점 -

2 국내외 학술대회 및 본회 종합학술대회

1강좌당 1평점을 원칙으로 하되 교육위원장이

별도로 정한 사항은 예외로 할 수 있다

1일 6평점

3 사이버 연수교육

1강좌당 1평점을 원칙으로 하되 교육위원장이

별도로 정한 사항은 예외로 할 수 있다

5

4의과대학교수 지도전문의 연수교육 강사 1시간당1평점 7

5 논문게재

제1저자 및 교신저자 1편당

5평점제2저자이하1편당

3평점

10

6기타 교육위원장이 인정하는 사항

표 43 연수교육 시행기관과 교과목

- 115 -

육을 반드시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님

나 간호사

간호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의료법 제 30조 제2항 제3항 및 동 시행규칙 제20조 제21조 제23조- 대한간호협회 정관 6조- 대한간호협회 보수교육 시행규정 보수교육지침 온라인보수교육지침

의료법에서 간호사는 연간 8시간 이상 이수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간호협회의 연수교육 시행규정에는 연간 8평점의 보수교육을 진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단 전문간호사38)는 전문간호사를 위한 보수교육을 받아야한다고 규정하고 있음 온라인 오프라인의 교육이 모두 가능하며 오프라인 보수교육 하한 점수는 4평점 온라인 보수교육 하한평점은 4평점임

대한간호협회 보수교육 시행규정 및 교육지침은 다음과 같음

국립재활원에서는 간호부에서는 간호사보수교육으로 인정되는 교육과정 및 재활간호 3일 과정을 진행하고 있음

추후 보건복지부령에 의한 장애인 재활전문간호사 과정 도입 및 교육을 위한 대학원 과정을 생각해 볼 수 있음

38) 보건복지부령인 lsquo전문간호사 자격인정 등에 대한 규칙rsquo에 의해 정의된 전문간호사는 보건복지부장관에 의해

발급되는 자격증으로 보건middot마취middot정신middot가정middot감염관리middot산업middot응급middot노인middot중환자middot호스피스middot종양middot임상 및 아동분야의

전문간호사가 있음 장애인 재활 부분의 전문간호사 자격은 현재 없음

39) 보건간호사회 병원간호사회 마취전문간호사회 보건진료원회 보건교사회 산업간호사회 보험심사간호사회

가정간호사회 정신간호사회 노인간호사회(신설 20104

연수교육 시행 기관

제6조(연수교육실시기관)1 본회의 17개 시middot도 간호사회 및 산하단체39)

2 3 4년제 간호교육기관3 대학의 부속병원4 보수교육 지정기관으로 인정받은 기관

전문간호사 보수교육 실시기관

대한간호협회한국간호평가원전문간호사과정 교육 및 실습기관기타 본회가 인정한 단체 단 전문간호사과정 교육 및 실습기관 또는 본회가 인정한 단체는 해당 전문분야로 한정하여 보수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표 44 대한간호협회 보수교육 시행규정 및 교육 지침

- 116 -

다 물리치료사

물리치료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20조 의료기사등에 대한 법률 시행규칙 18조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서 믈리치료사는 연간 8시간 이상 이수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라 작업치료사

작업치료사의 보수교육 규정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20조 의료기사등에 대한 법률 시행규칙 18조- 대한작업치료사협회 규정 57조 58조 59조 60조 64조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서 작업치료사는 연간 8시간 이상 이수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대한작업치료사협회 규정에는 연간 8평점이상의 보수교육을 진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이중 협회의 보수교육을 3평점 나머지 5평점은 각 지회에 의무이수 평점으로 받아야 함 대한작업치료사협회 규정에는 보수교육의 종류와 교육내용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음

보수교육 종류

제58조(보수교육의 종류)1 지회보수교육 연간 10평점 이상 보수교육 개설2 중앙회보수교육 연간 6평점 이상 보수교육 개설3 대학의 부속병원4 보수교육 지정기관으로 인정받은 기관

보수교육 교육내용제64조(교육내용) 교육내용은 작업치료학의 임상분야에서 실제 활용되고 있는 내용이나 해외 최신 학술정보에 관한 내용 기타 작업치료사로서 갖추어야 할 윤리에 관한 교양강좌(20)로 한다

표 45 대한작업치료사협회 보수교육 종류 및 교육 내용

마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사회복지사업법 13조 2항 동 시행규칙 제 5조-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보수교육 안내(대상자 매뉴얼)

사회복지사업법에서 사회복지법인 또는 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는 정기적으로 인권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 보수교육을 받아야 함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대상자 매뉴얼에서는 연간 8평점(8시간) 이상 이수할 것을 규정함 필수영역은 각 1평점 이상을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함

- 117 -

필수영역 선택영역사회복지 윤리와

가치 사회복지 실천 사회복지 정책과제와 법 사회복지 행정 사회복지

조사연구

표 46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과목

사이버교육은 4평점까지 인정하며 나머지 4평점은 반드시 집합교육을 통해 이수해야함

바 수화통역사

수화통역사는 국가공인 민간자격임 수화통역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자격기본법 제35조(보수교육) 국가자격관리자 및 공인자격관리자는 해당 국가자격

및 공인자격을 취득한 자의 직무능력의 유지middot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보수교육을 실시할 수 있음

- 한국농아인협회 보수교육 내용 규정

한국 농아인 협회에서는 보수교육에 대해 자격을 취득한 날로부터 5년 이내에 50시간 이상의 보수교육을 이수할 것을 규정함 보수교육은 한국 농아인 협회 중앙회교육과 외부기관교육(시도협회 외부유관기관 및 단체)이 있음 이 중 최소 30시간 이상은 중앙회에서 운영하는 교육에 참여해야 함 5년 이내에 50시간의 보수교육을 미이수하였을 경우 자격정지 3회 이상의 자격정지시 자격이 취소됨- 수화 연구의 동행과 언어운용에 관한 내용- 수화 통역 이론의 동향과 과제에 관한 내용- 지역사회 통역의 연습을 중심으로 하는 내용- 상황별 사례발표 및 토의를 중심으로 하는 내용- 청각 장애인 복지 정책과 과제에 관한 내용- 농사회 농문화 관련 내용- 그밖에 관련 내용

유형 세부기준 평점

집합교육-교육정원 80명 이하 1시간1평점-교육정원 80명 초과

이수평점(총 8평점)중 연간 2평점까지 인정가능 4시간1평점

사이버교육 온라인 교육이수평점(총 8평점)중 연간 4평점까지 인정가능 1차시05평점

표 47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규정

- 118 -

사 점역교정사

점역교정사는 국가공인 민간자격임 점역교정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자격기본법 제35조(보수교육) 국가자격관리자 및 공인자격관리자는 해당 국가자격

및 공인자격을 취득한 자의 직무능력의 유지middot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보수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 한국시각장애인협회 점역middot교정사 민간자격관리에 관한 규정 제31조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에서는 자격증의 유효기관을 5년으로 하고 유효기관 내에 1회 이상 보수교육을 이수할 것을 규정하고 있음

아 언어재활사

언어재활사는 국가자격임 언어재활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 시행령 61조 2항

보수교육은 한국언어재활사협회가 실시하며 교육시간은 연간 10시간 이상으로 함

자 의지보조기기사

의지보조기기사 국가자격임 의지보조기기사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 시행령 61조 1항

보수교육은 국립재활원장이 실시하며 교육시간은 2년간 8시간 이상으로 함 국립재활원 교육홍보과에서 실시하고 있음

차 요약 및 문제점

보수교육 규정 요약

이상의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현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 119 -

재활영역

전문인력 보수교육 법령 및 규정 보수교육

시간 보수교육 시행기관 교육과목 및 특징

의료재활인력

의사

의료법 제 30조 제2항 제 3항 및 동 시행규칙 제 20조 제 21조 제 23조대한의사협회 정관 3조대한의사협회 연수교육 시행규칙

8평점 이상년

-중앙회-해당 시middot도 의사회-의과대학 및 대학원-레지던트 교육병원-각 학회 및 지회(단 의학회에 등록된 학회에 한함)-기타 교육 위원회에서 인정하는 기관 및 단체

-임상교육과 기초교육을 병행- 10 이내의 의사윤리교육을 실시 - 윤리교육 외에 10이내의 교양과목 의료정책의료사회학 의료정보학 등을 교육과목으로 개설 가능- 재활의학과목을 이수해야 하는 것 아님

간호사

의료법 제 30조 제2항 제 3항 및 동 시행규칙 제 20조 제 21조 제 23조대한간호협회 정관 6조대한간호협회보수교육 시행규정 보수교육지침 온라인보수교육지침

8평점 이상년

- 지부 및 산화단체보수교육인정기관간호대학(학과)대한간호사협회 사이버교육센터

전문 간호사는 반드시 전문간호사 보수교육을 시행받아야 함오프라인 보수교육 하한은 4평점

물리치료사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제20조 및 동법 시행세칙 제 18조

8평점 이상년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작업치료사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20조 의료기사등에 대한 법률 시행규칙 18조대한작업치료사협회 규정 57조 58조 59조 60조 64조

8시간 이상년 대한작업치료사 협회

-협회 보수교육 3평점-지회보수교육5평점-임상분야에서 실제 활용되고 있는 내용이나 해외 최신 학술정보에 관한 내용 기타 작업치료사로서 갖추어야 할 윤리에 관한 교양강좌(20)

사회복지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업법 13조 2항 동 시행규칙 제 5조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보수교육 안내(대상자 매뉴얼)

8시간 이상년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위탁한 협회나 협의회

-필수영역 사회복지윤리와 가치 사회복지 실천-선택영역 사회복지 정책과제와 법 사회복지행정 사회복지 조사연구

장애인

복지 전문인력

언어재활사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 시행령 61조 2항

10시간 이상년 - 한국언어재활사협회 현재 자격 및 제도 도입 중 (구) 언

어치료사

의지middot보조기

기사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 시행령 61조 1항

8시간 이상2년-국립재활원

국립재활원 교육홍보과에서 시행 자격증이 분야별 세분화되어 있지 않음

수화통역사

자격기본법 제35조한국농아인협회 보수교육 내용 규정

50시간 이상5년

-중앙회(한국농아인협회)-외부유관기관 및 단체

-최소 30시간은 중앙회에서 교육을 받아야 함

점역middot교정사

점역middot교정사 국가공인 민간자격의 관리middot운영에 관한 규정 31조

1회 이상5년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시간 및 규정이 규체적이지 않음

표 48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현황

- 120 -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문제점 및 대안

재활의료 인력에 특화된 보수교육 의무규정이 없음- 재활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 및 사회복지사에 대한 재활 관련 교육영역과 내용에

대한 보수교육 규정 부재- 점역교정사 언어재활사 보수교육에 대한 과목 규정 등이 취약

국립재활원에서 재활 분야 간호사 및 사회복지사에 대한 보수교육에 적극 참여해야 함

또한 보수교육규정 상 의지보조기사를 제외한 직종에서 국립재활원의 역할이 없음- 의지보조기사 규정(장애인복지법 시행령 61조 1항) 국립재활원장이 실시하고 교

육시간은 2년간 8시간 이상으로 한다

국립재활원에서 보수교육 중 재활영역 가이드라인 및 프로그램을 생산하여 권역재활병원 등으로 확산시킴

국립재활원에서 보수교육 중 재활영역 가이드라인 및 프로그램을 생산하여 권역재활병원에서도 보수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확산시킴

각 직종별 보수교육 규정 중 시행기관에 국립재활원 및 권역재활병원을 포함시키도록 함

각 직종별 보수교육 규정 중 병원 및 장애인재활시설에서 근무하는 인력은 국립재활원 및 권역재활병원에서 개설하는 임상실기 전문이론 공공재활 등을 필수적으로 이수하도록 명시함

재활전문인력 양성규정 현황

가 재활전문인력 양성 규정

현재 재활전문인력의 자격증 종류 자격취득경로 인력 수 등 현황은 다음과 같음

- 121 -

재활영역 전문인력 자격증 종류 자격취득 수

(2012년)

의료재활

재활의학과의사 국가자격증

의과대학middot전문대학원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면허를 수여 받은 자중 재활의학 레지던트 수련을 받고

전문의 시험에 합격한 자

1386명

간호사 국가면허증 간호대학 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수여받은자 120491명

물리치료사 국가면허증4년제 또는 3년제 대학의

물리치료학과를 졸업한 후 국가 자격시험에 통과한 자

25475명

작업치료사 국가면허증 4년제 또는 3년제 대학을 졸업한 후 작업치료사 국가시험에 통과한 자 3594명

사회복지 사회복지사 국가자격증 2급 대학에서 14과목을 이수한 자

1급 국가자격시험에 통과해야 함

2642명

장애인복지전문인력

언어재활사 국가자격증

2급 대학원 대학 전문대학의 언어재활 관련 교과목을 이수하고

학위를 취득한 자 중 국가시험 통과자1급 2급 자격자 중 박사학위 또는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 중 언어재활기관에 1년 근무했거나 학사학위자 중 3년 근무한 경우

-

의지보조기기사 국가자격증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서 의지 보조기

관련 과목을 이수하고 국가시험에 통과한 자

944명(20131)

점역교정사 국가공인 민간자격증

3급 20세이상 고절이상 3년이상 경험자

2급 3급취득후 1년 혹은 4년제 대학 졸업자 4년이상 경험자

1급 2급 자격취득후 1년이상 경과 혹은 4년제 대학졸업자 5년이상

경험자

3급 484명 2급 72명 1급 40명(20131)

수화통역사 국가공인 만 19세 이상의 대한민국 남녀

표 49 재활전문인력 자격증 현황

- 122 -

의료재활 및 사회복지인력은 보건의료기관 내 근무인력임

자료원 국가통계포탈 국시원 내부자료 한국시각장애인협회 내부자료 한국농아인협회 내부자료

나 재활 전문인력 양성 규정의 문제점

학교와 민간단체가 혼재되어 있는 인력 양성 과정

의료재활 인력과 사회복지 인력은 대학교와 병원을 통해 인력이 양성됨

장애인 복지 전문 인력 중 국가공인 민간자격증을 부여하는 점역교정사 수화통역사의 양성은 민간 기관양성과 학교를 통한 양성과정이 혼재되어 있음

재활에 특화된 전문인력 양성 과정의 부재

간호사의 경우 장애인 재활 전문 간호사 자격 및 양성 과정이 부재함

사회복지사의 경우 재활과 관련된 교육 과정이 부족함

재활인력 공급의 양적인 불균형

물리치료사 공급은 많으나 작업치료사는 공급은 부족함

장애인 복지 전문인력 중 점역교정사 수화통역사 언어재활사 의지보조기기사 연도별 배출인력이 편차가 큼

재활인력 전문교육 수요도 조사

가 조사기간 및 대상

2012년 12월 10일 ~ 2012년 12월 17일(약 일주일간)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재활간호학회 대한사회복지사협회 대한직업치료사협회 소속 재활인력 총 225명

나 조사내용

- 근무 기관의 종류(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 보건(지)소보건의료원 복지관

민간자격증 1049명(20131)

- 123 -

기타- 공공기관민간기관 근무 - 재활 관련 근무 연수- 최종학위- 장애인 재활과 관련하여 받은 교육 여부 내용 및 만족도- 장애인 재활과 관련하여 전문적인 교육과정의 필요성 여부와 필요한 내용 국립재

활원에 개설 시 참여 여부

다 조사결과

일반적 현황

사회복지사를 제외한 나머지 직종은 전반적으로 설문에 참여한 사람 중 종합병원과 병원에 근무하는 사람이 많았으며 사회복지사의 경우는 대부분 복지관 등 장애인 복지시설에 근무하고 있음

구분직종

응답자수

종합병원 병원 요양

병원 의원 보건기관 장애인 복지시설 기타

물리치료사 25 280 320 160 80 120 00 40작업치료사 81 284 210 86 62 37 123 198재활간호사 19 105 895 00 00 00 00 00사회복지사 100 10 00 00 00 20 940 30

표 50 응답자 일반적 현황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 사회복지사는 민간기관에 근무하는 경우가 많았고 조사에 응한 재활간호사는 모두 공공기관에 근무하고 있음

구분직종 응답자 수 공공기관 민간기관

물리치료사 24 292 708작업치료사 81 370 630재활간호사 17 1000 00사회복지사 95 358 642

표 51 응답자 공공민간 기관 근무 현황

모든 직종에서 5년 이상 재활분야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가장 많았음

- 124 -

구분직종

응답자 수 1년 미만 1년 이상 1년 이상

3년 미만3년 이상5년 미만 5년 이상

물리치료사 25 00 40 80 160 720작업치료사 81 74 25 136 210 556재활간호사 19 53 00 421 53 474사회복지사 98 184 112 133 92 480

표 52 응답자의 재활분야 근무연수

재활간호사는 석사 이상 학위를 가진 군이 더 많았고 나머지 직종은 학사 학위를 가진 군이 더 많았음

구분직종 응답자 수 학사 석사 박사

물리치료사 24 667 333 00작업치료사 80 577 352 70재활간호사 19 316 684 00사회복지사 100 634 323 43

표 53 응답자의 최종학위

재활 관련 교육 경험 현황

직종별로 장애인 재활 관련 교육을 전혀 받지 못했던 군도 작업치료사 중 222 사회복지사 중 170 물리치료사 중 160 정도 존재함 재활간호사 중 재활 관련 교육을 전혀 받지 못했던 군은 53로 직종 중 가장 낮음

응답자 수 있음 없음물리치료사 25 840 160작업치료사 81 778 222재활간호사 19 947 53사회복지사 100 830 170

표 54 응답자의 재활관련 교육 경험

모든 직종에서 보수교육을 통한 재활 교육 경험이 가장 많았음 주목할 만한 부분으로서 사회복지사는 직원교육을 통한 재활 교육을 거의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125 -

구분직종 응답 수 보수교육 직원교육 관련 학회 소그룹

세미나 기타

물리치료사 59 305 203 288 203 00작업치료사 155 348 174 310 129 39재활간호사 53 340 264 170 208 19사회복지사 144 486 35 243 167 69

표 55 응답자의 교육 경험 경로

교육의 내용은 모든 직종에 걸쳐 이론 교육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임상실기 교육이 그 다음이고 공공재활 교육은 가장 낮음

구분직종 응답 수 임상 실기교육 이론 교육 공공 재활 교육 기타

물리치료사 42 452 452 95 00작업치료사 113 398 496 106 00재활간호사 41 341 415 244 00사회복지사 107 271 598 56 75

표 56 응답자의 교육 경험 내용

기존에 받았던 재활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재활간호사가 767 정도로 높지만 나머지 직종들은 5점을 조금 넘는 수준임 특히 사회복지사의 만족도가 가장 낮음

응답자 수 만족도(10점 만점)

물리치료사 24 625

작업치료사 81 596

재활간호사 18 767

사회복지사 97 567

표 57 응답자의 교육 만족도

전문재활교육 수요도

전문재활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모든 직종에서 464-489까지의 높은 요구를 나타냄

- 126 -

응답자 수 필요성(5점 만점)

물리치료사 25 484

작업치료사 80 464

재활간호사 19 489

사회복지사 98 480

표 58 전문재활교육 수요도

국립재활원에서 개설하기 원하는 전문재활교육의 내용에 대해서는 모든 직종에서 임상실기 교육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음 반면 학위 취득을 위한 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가장 낮았음

구분직종 응답자 수 임상실기 교육

(5점 만점)이론 교육(5점 만점)

공공재활 교육(5점 만점)

석사 이상의 학위 취득(5점 만점)

물리치료사 24 433 432 267 233작업치료사 81 460 375 325 188재활간호사 19 484 416 289 189사회복지사 100 416 398 321 218

표 59 원하는 전문재활교육의 내용

- 127 -

혼란변수를 고려하여 학사 학위를 가진 군만으로 분석했을 때도 결과는 동일함

구분직종 응답자 수 임상실기 교육

(5점 만점)이론 교육(5점 만점)

공공재활 교육(5점 만점)

석사 이상의 학위 취득(5점 만점)

물리치료사 15 420 431 267 253작업치료사 41 466 383 322 185재활간호사 6 483 417 267 183사회복지사 59 408 395 324 217

표 60 학사 학위자들이 원하는 전문재활교육 내용

국립재활원에서 교육과정을 개설했을 때 참여 의사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재활간호사의 의사가 463으로 가장 높았음 반면 나머지 직종은 368-398 정도의 의사를 보였음

응답자 수 참여 의사(5점 만점)

물리치료사 25 368작업치료사 81 379재활간호사 19 463사회복지사 100 398

표 61 국립재활원 교육과정 참여

라 조사 결과 요약

장애인 재활 관련 교육을 전혀 받지 못했던 군도 직종별로 최소 53에서 최대 222까지 존재함

재활전문인력들이 재활교육을 받는 가장 흔한 경로는 보수교육임 한편 사회복지사의 경우 직원교육을 통한 재활교육을 거의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재활교육의 내용은 모든 직종에 걸쳐 이론 교육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임상실기 교육이 그 다음이고 공공재활 교육은 가장 낮음

기존에 받았던 재활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재활간호사가 767 정도로 높지만 나머지 직종들은 평균을 조금 넘는 수준임 특히 사회복지사의 만족도가 가장 낮음

- 128 -

전문재활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모든 직종에서 매우 높음

국립재활원에서 개설하기 원하는 전문재활교육의 내용에 대해서는 모든 직종에서 임상실기 교육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음 반면 학위 취득을 위한 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가장 낮았음

국립재활원에서 교육과정을 개설했을 때 참여하겠다는 의사는 재활간호사에서 매우 높았고 나머지 직종은 높은 편이었음

대학원대학 설립에 대한 법적 타당성 검토

가 타 기관 사례

구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1958년 국립의료원 부설 간호학교가 설립되었고 1999년 국립의료원 간호대학으로 직제가 개편되었음- 1958 6 27 대한민국과 스칸디나비아 제국과의 협정으로 국립의료원 부설간호학

교 설립 보건사회부에서 관리운영(대통령령제1377호)- 1959 2 23 국립의료원 간호학교 직제 제정 (대통령령 제1454호)- 1959 7 06 국립의료원 간호학교 개교(초급대학 과정)- 1977 9 01 국립의료원 간호전문학교로 직제개편 (대통령령 제8672호)- 1979 1 01 국립의료원 간호전문대학으로 직제 개편- 1999 3 01 국립의료원 간호대학으로 직제 개편 (대통령령제16039호)- 2000 8 04 제16대 학장 송지호 박사 취임- 2005 2 05 제17대 학장 김애리 박사 취임- 2006 2 09 제45회 졸업 (졸업생 총1925名)- 2007 2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폐지

- 129 -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시행날짜 법령명 주요내용1958627 중앙의료원직제 제10조 중앙의료원에 간호학교를 부설 할 수 있음

1959223 중앙의료원 간호학교직제

제1조 중앙의료원에 간호학교 부설함제3조 간호학교의 수업 년한은3년으로하고 이에 입학할 수 있는 자는 고등학교를 졸업한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문교부장관이 인정한 자로 함제4조 교장은 의료원부원장이 교감은 의료원 간호과장이 겸하고 사감은 간호부장 중에서 겸무함

197791 국립의료원 간호학교직제 폐지

197791 국립학교설치령

제2조 문교부장관소관제36조 ⓻ 간호전문학교 입학금과 수업료 면제 실습비middot기숙사비middot피복비middot기타학비 국고 지급제37조 ⓶ 졸업 후 3년간 보건복지부 장광이 지정한 직무에 복무제40조 국립의료원 간호전문학교의 운영에 필요한 경비는 국고(국립의료원 특별회계)에서 지급제41조 공무원임용시 문교부장관은 보건사회부장관과 협의

199331 국립학교설치령제2조 교육부장관 소관제41조 공무원 임용시 교육부장관은 보건복지부 장관과 협의부칙 2조 국립의료원 간호대학으로 명칭변경

표 62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법제 연혁

국립암센터 대학원대학

2010년 5월 국립암센터법이 폐지되고 lsquo암관리법rsquo 으로 통합되었음 이때 대학원대학의 법적 근거도 함께 마련됨- 암관리법29조 (부속기관의 설치) ①국립암센터에 암연구소 부속병원 국가암관리

사업본부 및 그 밖에 필요한 기구를 둔다② 국립암센터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고등교육법」 제30조에 따른 대학원대학(이하 대학원대학이라 한다)을 설치할 수 있다③ 대학원대학의 조직 교원 학위 과정 운영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2012년 현재 대학원대학 설립이 진행 중임 - 2012년 5월 교과부의 lsquo국가-특수법인 대학설립 심의위원회rsquo 통과- 2012년 8월 lsquo대학설립인가신청서rsquo 교과부에 제출 국제암대학교대학원(정원 총 70

명 (석사 20명 박사 10명))- 2012년 11월 2일 현장 점검 시행- 2012년 12월 초 현장 점검 예정- 2013년 2학기부터 신입생 모집 예정

- 130 -

일본국립장애인재활학원

시대에 따라 보건복지인력에 대한 일본사회의 요구도는 꾸준히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일본사회의 요구에 선도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국립기관에서 인력을 양성함

이렇게 필수적으로 필요한 인력의 양성은 국립에서부터 시작하여 민간영역으로 확산시키는 것이 중요함 왜냐하면 민간에서 충분한 양의 인력을 공급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임 또한 이미 민간의 양성기관이 많은 경우 양성과정의 질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음 이를 통해 양질의 재활인력을 공급할 수 있음

일본재활원내의 인력양성 학원의 법적 지위는 학교교육법 124조에 의거한 전수학교임40) 설립 및 운영은 후생노동부가 주관하고 법률적으로는 문부과학성에 소속됨

법적으로 지정된 전수학원으로 교원 수 및 학교운영에 대해서 학교교육법의 통제를 받음

법적으로 자격증이 도입되기 전에 필요한 인력을 선도적으로 양성하고 민간으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며 전체적인 민간 교육기관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역할을 진행함

일본 재활원내의 대학의 경우 학비가 같은 직종의 전수학원에 비해 학비가 저렴하며 공공기관이 필요로 하는 인재 양성에 주력하는 역할을 함 학생 1인당 입학금 및 학비는 대략 350000엔~560000엔으로 다른 사립학교에 비해 학비가 저렴함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 학원 재정은 학생이 내는 금액이 모두 국가 재정으로 포함되고 모인 후에 학원의 운영비와 시설비가 국고지원 형식으로 지원됨 따라서 운영 및 시설 소요 재정은 전부 국비로 지원받고 있는 셈임

이 중 학원의 연간 운영비는 약 75억 엔 정도이며 이 중 70 이상 인건비로

40) 전수학교는 우리나라의 전문학교와 유사한 개념으로 일본의 경우 직업교육의 일환으로 간호 미용 양재

속기 타자 자동차 통신 편물 등과 관련된 직업교육을 진행하는 민간 전수학교가 존재함

- 131 -

사용함 시설비 외에 운영비 역시 국비로 지원되어 운영됨으로써 운영에 대한 재정적 어려움이 크지 않음 이는 운영비를 자체적으로 조달하여야 하는 국내 국공립기관들과 큰 차이를 가짐

현재 6개 학과의 경우 강사진이 대략 센터 50 외부강사 50로 구성되어 있으며 향후 센터내의 강사 비율을 높일 계획임 현재 연수교육의 경우 내부강사 60 외부강사 40로 구성되어 있음

나 국립재활원 대학원대학 설립

Page 4: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5 재활인력 전문교육 수요도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26 대학원대학 설립에 대한 법적 타당성 검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87 교육체계 강화를 위한 전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88 요약 및 소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2

제6장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61 연구 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62 공공재활의료 지원체계 구축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63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74 (가칭)장애인재활교육훈련시설(체육관) 운영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95 재활교육체계 구축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06 시기별 추진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2

제7장 부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51 2012년 국립재활원 부서별 교육현황 조사 설문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52 재활인력 전문교육 수요도 조사 설문지(간호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83 일본국립장애인재활 센터 방문 인터뷰 질문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2

제8장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6

표 차례표 1 재활의학과 전문의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표 2 중도장애인 사회복귀지원과정 프로그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표 3 재활 전문의료인력 보수교육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표 4 서면 조사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표 5 프로그램 참여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표 6 법 제도적 개선사항 제안 정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표 7 H-CRsP 프로그램 구성 및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3표 8 사회복귀 프로그램 목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6표 9 프로그램 구분 및 참가자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7표 10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지체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표 11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뇌병변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표 12 재입원 의료이용 현황(지체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표 13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뇌병변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표 14 표준산정일수 필요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4표 15 필요하다고 응답한 전문가들의 표준산정일수 추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표 16 인증기관 평가 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표 17 추가인정 재활수가 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표 18 장비 목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표 19 임시 장비 목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표 20 인력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표 21 운동 프로그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6표 22 추가 필요 장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표 23 고양시 재활스포츠센터 인력구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표 24 재활 체육 프로그램 목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표 25 생활체육프로그램 목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표 26 부산시설공단 한마음스포츠센터 장애인 프로그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표 27 국립재활원 장애인 체육 지원 구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8표 28 국립재활체육센터 인력 프로그램 및 장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표 29 ACSM 권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표 30 2013년 장애인체육 육성 기금 예산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5표 31 부서별 교육과정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0표 32 부서별 교육 프로그램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0표 33 부서별 교육 시간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1표 34 부서별 교육대상 인력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1표 35 교육과정 종류별 교육 경험자 직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2표 36 부서별 교육 대상자 소속 분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3표 37 보수교육 인정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3표 38 교육과정 강사 인력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4표 39 부서별 주요 교육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5표 40 국립 암센터 교육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8표 41 국립중앙의료원 공공기관 근무자 교육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9표 42 일본 국립장애인 재활센터 직종별 입학 조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0표 43 연수교육 시행기관과 교과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4

표 44 대한간호협회 보수교육 시행규정 및 교육 지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5표 45 대한작업치료사협회 보수교육 종류 및 교육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6표 46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과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7표 47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규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7표 48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9표 49 재활전문인력 자격증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1표 50 응답자 일반적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3표 51 응답자 공공민간 기관 근무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3표 52 응답자의 재활분야 근무연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4표 53 응답자의 최종학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4표 54 응답자의 재활관련 교육 경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4표 55 응답자의 교육 경험 경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5표 56 응답자의 교육 경험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5표 57 응답자의 교육 만족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5표 58 전문재활교육 수요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6표 59 원하는 전문재활교육의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6표 60 학사 학위자들이 원하는 전문재활교육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7표 61 국립재활원 교육과정 참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7표 62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법제 연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9표 63 부서별 교육 기능 및 역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0

그림 차례그림 1 재활의료서비스 전달체계 모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그림 2 국립재활원의 비전과 본 연구 주제와의 관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그림 3 지체장애 재활의료서비스 지역별 자체 충족률(중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그림 4 뇌병변장애 재활의료서비스 지역별 자체 충족률(중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그림 5 재활의학전문의 1인당 인구수 및 지체뇌병변장애인 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그림 6 포괄적 재활의료 서비스 연계체계 모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그림 7 OECD 회원국의 2000년대 장애인 가구 빈곤율 및 상대빈곤 위험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그림 8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의 기능과 역할(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그림 9 국립재활원 교육훈련 체계 강화 방안 연구수행 체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그림 10 공공재활의료 지원체계 모식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그림 11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의 기능과 역할(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그림 12 권역재활병원의 기능과 역할(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그림 13 국립 암센터 지정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그림 14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체계 제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그림 15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 기준(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그림 16 재활전문병원 인센티브 방안(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그림 17 국립재활원과 타기관의 현재 관계 모식도(As i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그림 18 국립재활원과 타기관의 관계 제안 모식도(To b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그림 19 사회복귀 프로그램의 운영 흐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그림 20 사회복귀지원과 사업추진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6그림 21 서울시 지역사회복귀 지원 사업 확산 모식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그림 22 지체장애 최초입원-3년 사이 입원양상(전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그림 23 지체장애 최초입원-3년 사이 입원양상(중증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그림 24 뇌병변장애 최초입원-3년 사이 입원양상(전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그림 25 뇌병변장애 최초입원-3년 사이 입원양상(중증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그림 26 재원 확보 방안 단계 모식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그림 27 아산병원 스포츠의학센터 진료흐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그림 28 체육센터 운영 흐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그림 29 건강 병력 질문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그림 30 신체적 활동 준비 질문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그림 31 국립재활원 조직구성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그림 32 교육과정 종류별 총시간 구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9그림 33 교육과정 연간 순환횟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4그림 34 국립암센터 일본 국립재활원 조직도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6그림 35 일본장애인재활 센터 학원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2그림 36 국립 암센터 내부 직원 대상 교육 목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3그림 37 일본 국립재활원의 학원 재정 운영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1그림 38 국립재활원 교육 담당 조직 정비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9

- 1 -

제1장 서론

연구의 필요성

가 국립재활원의 역할과 조직개편

재활의료서비스 전달 모형과 국립재활원의 역할

장애 발생 이후 재활의료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환자의 이용경로는 lt그림 1gt과 같음 - 사고나 질병 등으로 장애가 발생하고 환자의 생체징후 등 의학적 상태가 불안정하

면 의학적 상태를 안정화시키는 내과신경과신경외과정형외과적인 집중적 치료에 병행하여 기능적 회복을 증진시키는 초기 재활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게 됨

- 환자가 의학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내원하거나 치료서비스 및 초기재활서비스를 제공 받고 의학적으로 안정된 상태에 이르게 되면 기능회복 가능성과 제공되어야 할 재활서비스의 복잡성을 평가하여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직업재활 보장구 심리치료 사회서비스 등이 포함된 포괄적인 입원재활서비스를 제공하게 됨

- 또한 환자의 기능회복 가능성이 낮거나 제공되어야 할 재활서비스의 복잡성이 낮은 경우 외래 혹은 방문재활서비스 장기요양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사회 재활 단계로 환자를 의뢰하게 됨

- 2 -

국립재활원은 권역재활병원과 함께 재활의료 교육 연구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가 중앙재활센터 기능을 수행해야 함 1994년 제정된 국립재활원운영규칙(보건사회부령 제930호)에서는 국립재활원의 기능으로서 다음 네 가지를 규정하고 있음- 장애인에 대한 의료재활- 장애인의 자립재활- 장애인재활전문요원의 양성 및 훈련- 장애발생의 예방과 장애인의 재활훈련 등 그 복지의 증진에 관한 조사연구

2005년 12월 공공보건의료 확충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권역재활병원이 단계적으로 건립되었고 2008년 보건복지가족부령 제84호로 국립재활원 내 재활연구소가 설치되는 등 국립재활원에 새로운 역할들이 부여되고 있음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실의 2010년 연구1)에 따르면 실용적 재활보조기술 연구 국가 장애인 정책 수립 방안 제시 재활 연구를 위한 연구센터로서의 역할 권역재활병원의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사항 등이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의 기능으로 새롭게 추가 규정되어야 할 역할로서 제안되고 있으며 장애인 재활정보센터 역할 담당 최상의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표준 제시 등은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됨

이에 따라 국립재활원의 새로운 역할로 제안된 내용들은 다음과 같음 - 광역 수준의 재활의료기관을 관리하고 권역재활병원과 함께 재활의료 교육 연구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가 중앙재활센터 기능을 수행함 - 권역재활병원의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표준을 제시하고 재활연구 활성화를

유도하며 국가차원의 장애인 재활관련 통계자료를 관리하고 정보를 제공함- 장애인 재활정책 연구를 전문적으로 수행하여 국가의 장애인 정책 수립을 뒷받침함 -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연구 및 기술개발사업 그리고 선진 임상재활 연구를 위한

임상연구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재활서비스의 프로그램 인력 시설 등의 표준화된 인증 주관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함

국립재활원 조직개편

2009년 보건복지부는 국립재활원의 발전적인 기능개편을 목적으로 「국립재활원 발전 민middot관 TF」를 구성하여 운영하였음 - 2009 12 31 「국립재활원 발전 민middot관 TF」 구성 운영계획 수립- 2010 2 24 「국립재활원 발전 민middot관 TF」 제1차 전체회의 개최 기획총괄 재활

1)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실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10

- 3 -

교육훈련 재활의료 재활연구 등 4개 분과회의 구성- 2011 9 7 「국립재활원 발전 민middot관 TF」 제3차 전체회의 개최 국립재활원의 발

전적인 기능개편을 위한 기본방향(안) 마련- 2012 2-3월 국립재활원의 발전 기본방향 개편내용 운영프로그램에 대하여 보건

복지부와 협의

이러한 과정을 거쳐 2012 5 1 국립재활원 조직개편이 이루어짐 - 한방내과 장애인건강증진센터 신설- 장애인운전지원과 공공재활의료지원과 사회복귀지원과 개편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12 5 1 조직개편에 따라 신설되거나 개편된 부서의 기능 및 역할을 재정립하고 이를 통해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음

- 4 -

나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구축의 필요성

재활의료 시설의 불균형적인 분포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근접 지역 내에 재활시설이 없을 경우 재활서비스를 이용하기가 매우 어려움

현재 지역별로 불균형적인 재활의료서비스 공급은 장애인들이 자신의 거주지에서 재활의료서비스를 받는 것을 제한함 결론적으로 지역별 재활의료서비스 이용의 불평등을 야기함- 2006년 재활의료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지역별 자체 충족률을 살펴보면 입원

및 외래에서 지역별로 자체 충족률에 상당한 불평등이 존재하고 있음 특히 광역시 주변 시도의 자체 충족률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이 지역 장애인들이 재활의료서비스에 관한 필요가 충족 못하고 있다고 판단됨

자료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09)

- 5 -

자료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09)

장애인 재활서비스 제공기관들이 지역적으로 불균등하게 분포됨으로 인해 장애인의 서비스 이용지와 주거지가 일치하지 않음 이로 인해 긴급한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고 지속적인 재활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으며 환자 및 보호자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음

따라서 장애인의 지리적middot경제적 재활의료서비스 이용의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재활의료서비스가 취약한 지역에 대한 재활의료서비스 시설의 확충이 필요함

그러나 재활을 포함한 우리나라 의료는 대다수가 민간중심으로 공급되고 있어 이에 공공재활의료 지원에 대한 대책이 필요함

재활의료 인력의 불균형적 분포

현재 재활의료 서비스의 인력 공급은 지역 간 불균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2008년 재활의학과 전문의의 지역별 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서울(281)과 경기도(219)에 근무하는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전체의 절반에 이르고 울산이 11로 가장 낮았음2)

2) 보건복지부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향 연구 2009년

- 6 -

지역별 재활의학전문의 1인당 인구 및 지체뇌병변 장애인 수를 비교해보면 대전이 재활의학과 전문의 1인당 인구 2794백 명 지체뇌병변 장애인 78백 명으로 가장 낮았음 전문의 1인당 인구는 울산이 10113백 명으로 가장 높았고 1인당 지체뇌병변 장애인 수는 전남이 338백 명으로 가장 높았음

지역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의원 보건기관 총계종합

전문종합병원 병원 요양

병원 소계

서울 67 30 35 38 170 113 1 284 부산 7 14 12 6 39 16 0 55 대구 13 5 9 5 32 3 1 36 인천 5 3 18 6 32 14 0 46 광주 5 10 7 3 25 12 0 37 대전 3 10 3 10 26 27 0 53 울산   2 4 2 8 3 0 11 경기 4 53 58 37 152 67 2 221 강원 5 5 3 1 14 11 0 25 충북 2 4 3 5 14 14 0 28 충남 4 3 4 10 21 21 2 44 전북 5 6 5 9 25 14 2 41 전남   4 9 5 18 5 2 25 경북   6 10 10 26 8 1 35 경남 4 15 16 13 48 5 0 53 제주   3 3 3 9 7 0 16 총계 124 173 199 163 659 340 11 1010

표 1 재활의학과 전문의 현황

(단위 명)

- 7 -

취약한 공공재활 의료 현황

장애인의 재활의료서비스의 불균형적인 공급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권역재활병원 건립(6개 예정 경인 강원 제주 영남 충청 호남)과 지역사회 중심 재활사업을 전국 60개(시범사업까지 70개) 거점 보건소를 중심으로 시행하고 있음

그러나 권역재활병원은 기능 수행이 미흡한 실정이며 장애인이 자신의 거주 지역에서 진료 받을 수 있는 지역거점 장애인 진료병원은 양적으로 매우 취약한 실정임

공공재활의료 연계체계에 대한 다양한 모형이 제시되었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관 확충이 진행 중 이지만 현재 국립재활원 ndash 권역재활병원- 지역사회재활 거점 보건소 간 연계 체계는 매우 미흡한 상황이며 이를 뒷받침해줄 법제도적 지원 역시 미흡한 상황임

2012년 국립재활원에서는 공공재활의료 지원을 위해 공공재활의료 지원과를 신설하였음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구축을 통해 취약한 공공재활 의료지원을 활성화하고 국립재활원의 리더십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함

- 8 -

다 사회복귀 지원에 대한 필요성

재활의료란 의학적 치료 후 환자가 장애를 갖게 되었을 때 남아있는 기능으로 일상생활은 물론이며 직장생활도 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재활치료의 목적은 환자의 건강 및 생명을 최선의 상태로 회복하고 이를 유지하는데 있다고 정의할 수 있음3)

따라서 장애인들이 사회에 복귀하여 최대한 독립적인 삶을 살 수 있게 해주는 것은 재활의료서비스의 최종 목적이라고 할 수 있음

2011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장애연금수급자 재활서비스 실태 및 욕구』에 따르면4) 의료재활서비스를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경험이 있는 사람은 장애인연금 수급자 중 82로 나타났으나 직업재활서비스를 현재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경험이 있는 사람은 12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음 또한 사회재활서비스를 이용 중이거나 경험해본 사람은 15정도임

사회재활서비스 욕구에 관한 조사에서는 스포츠재활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전체의 40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활동보조 등 서비스 31 심리치료서비스 24의 순으로 나타났음 따라서 운동 재활과 관련하여 체육관을 이용한 재활 프로그램의 확산 및 법적middot제도적 지원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2010년 OECD 보고에 따르면 우리나라 장애인의 월평균 소득은 전체 인구 평균 소득보다 20p 정도 낮았으며 이는 OECD 회원국의 평균보다 더 낮은 수준임 장애인 가구 상대빈곤율 역시 35로 OECD 회원군 평균보다 13p 높음

3) Howard A Rusk MD (1901-1989) the Rusk Institute of Rehabilitation의 설립자로서 lsquocomprehensiverehabilitation medicinersquo 제시 httpwwwmednyueduruskabouthruskhtml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애연금수급자 재활서비스 실태 및 욕구 2011

- 9 -

장애인들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립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사회재활지원 및 확대가 필요함

현재 국립재활원에서는 장애인의 빠른 사회복귀를 지원하기 위하여 장애인의 욕구 및 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개별 프로그램 제공을 목적으로 lsquo병원기반 사회복귀 지원 프로그램(H-CRsP)를 운영하고 있음

구분 내용장애인 운전교육 운전면허취득 실기교육 운전적응교육

의료지원 및 보조기 평가 심리상담 성재활 보조기 평가 및 지원사회체험 및 지역자원 연계 대중교통이용훈련 사회문화활동 지역자원연계

일상(독립)생활 훈련 스마트홈 체험 샤워 및 세탁 쇼핑 요리실습 등상담지원 동료상담 가족상담 등

학업직업 복귀탐색 학업복귀 지원 직업훈련 연계 취업준비 지원정보제공 컴퓨터교육 장애인복지시책 안내 주택개조 지원

레포츠 및 취미활동 레포츠(수영 탁구 보치아 파크골프 등)미술활동(원예 음악 미술 도자기 등)

자료 국립재활원 홈페이지

표 2 중도장애인 사회복귀지원과정 프로그램

그러나 전체 장애인의 필요의 사회복귀를 위해서는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프로그램을 확산시킬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

국립재활원에서는 장애인의 사회복귀지원을 돕기 위하여 사회복귀지원과를 구성하였음 향후 장애인의 사회복귀와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스포츠 재활을 포함

- 10 -

한 다양한 사회재활서비스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법 제도 개선 및 사회복귀지원 체계구축이 필요함

라 장애인재활 교육훈련시설의 필요성

장애 패러다임 변화 재활욕구의 다양화 및 증가 등에 따른 장애인 자립 등 재활교육훈련 기능강화를 위한 시설 필요함

후천적 장애예방 및 체험교육훈련시스템 전문화 기존의 노후 체육관 철거 등에 따라 종합적인 재활교육훈련시설 건립 필요함

마 국립재활원 교육체계 강화의 필요성

재활의료 인력에 대한 교육 현황

재활의료서비스 공급체계의 강화를 위해서는 시설 확립 전달체계 구축과 더불어 재활의료를 제공할 양질의 전문 인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교육훈련 체계가 필요함

그러나 우리나라의 재활 의료 공급은 양과 질적으로 부족한 상태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08년 요양기관현황에 의하면 의료기관의 26에만 재활의학 전문의가 배정되어 있으며 지역사회 기반 재활의료를 제공하는 보건소 역시 253개 시군구 보건소 중 60여개 소에 불과함

보건의료서비스는 기본적으로 대인서비스이므로 인력의 양과 질에 의해 서비스의 질적 수준이 결정됨

현재 재활의료분야의 전문적인 교육훈련체계는 수요에 비해 매우 취약함 임상영역의 경우 교육이 협회학회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부분 첨단의료최신지견을 위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가 많음 또한 분절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어 재활전달체계의 측면에서 필요한 임상적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의문임

또한 재활과 관련된 비임상영역의 교육은 부재함 재활의료서비스는 다양한 직종의 인력이 연계해서 제공해야 하지만 재활 관련 교육은 직종에 따라 분절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11 -

직종에 따라 의무적으로 받아야하는 보수교육 내용들 역시 대부분 의료기술과 최신지견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정시간의 교육만을 이수해야 한다는 양적인 규정만 존재함 따라서 지정된 시간의 보수교육만을 통해서 재활의료분야에서 얼마만큼 전문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 의문임

재활전문인력의 보수교육과 관련한 내용은 다음과 같음

재활영역 전문인력 보수교육

법령근거보수교육 시행규정 보수교육 시행기관 자격 요건

의료재활

의사

의료법 제38조 제 2항 제 3항 및 동 시행규칙제21조 2middot3middot4middot5

항의사협회 정관

제 3조

12평점 이상년

-중앙회-해당 시middot도 의사회

-의과대학 및 대학원-레지던트

교육병원(단과레지던트 교육병원 포함

-각 학회 및 지회(단 의학회에 등록된

학회에 한함)-기타 교육 위원회에서 인정하는 기관 및 단체

의학 대학middot전문대학원

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의 면허를 수여 받은

물리치료사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제20조 및 동법 시행세칙 제

18조

8평점 이상년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작업치료사협회

물리middot작업치료 대학 졸업 후

언어치료사 - 60시간이상 5년

한국언어치료사협회 및 지정학회

언어치료관련 대학 및 대학원 졸업 후 자격증 시험 합격자

청능사 - 60시간 이상3년

-청능사자격검정원 및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청능사 관련 대학 및 대학원 졸업 후 자격증 시험 합격자

간호사

의료법 제28조 제2항 제3항 및

동 시행규칙 제21조의 2에

의거

8평점 이상년

- 지부 및 산화단체보수교육인정기관

간호대학(학과)대한간호사협회 사이버교육센터

간호 대학 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의 면허를 수여 받은자

사회심리재활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업법 제13조 2항 8시간 이상년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위탁한 협회나

협의회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 대학

석사 또는 박사학위 취득자(석사middot박사 학위 취득자는 사회복지관련

필수과목 6과목 이상 이수해야함)

정신보건사회복지사 - 20평점년 -(사)한국정신보건사회

복지사협회사회복지사 1급 자격소지자로서

표 3 재활 전문의료인력 보수교육 현황

- 12 -

자료원 관련법-의료법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장애인복지법사회복지사업법자격기본법

기관-한국언어치료사협회청능사자격검정원 및 청각언어재활학회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사협회

한국미술치료학회 한국장애인직업생활상담원협회

국립재활원의 교육 기능에 대한 높은 요구도

2010년에 폐지된 lsquo국립재활원운영규칙(보건사회부령 제930호)rsquo에서는 국립재활원의 기능으로써 장애인에 대한 의료재활 장애인의 자립재활 장애인의 재활 전문요원의 양성 및 재훈련 장애발생의 예방과 장애인의 재활middot훈련 등 그 복지의 증진에 관한 조사연구로 규정하고 있음

보건복지부와 그 소속직제(대통령령 제23764호)rsquo에서는 국립재활원의 직무로 장애인의 복지증진을 위한 진료middot상담지도middot재활훈련 재활전문요원의 훈련 보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한 전문요원

수련기관에서 1년이상 수련을

마친자

수화통역사 자격기본법 제35조

50시간 이상년

-중앙회(한국농아인협회)-외부유관기관 및 단체

만19세 이상의 대한민국 남녀

점역middot교정사

점역middot교정사 국가공인

민간자격의 관리middot운영에

관한 규정 31조

1회 이상년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만19세 이상으로 고졸 이상의 학력을

소지한자 또는 시각장애인 관련

기관의 점역middot교정업무

3년이상의 경력자

미술치료사 - 60시간 이상5년 -(사)한국미술치료학회

미술치료사 미술치료전문가

수련감독미술치료전문가 자격취득자

직업재활

직업생활상담원 - 1회(8시간)1

년-(사)한국장애인직업새

활상담원협회장애인직업생활상담원 양성과정 수료자

재활보조공학

의지middot보조기 기사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법시행규칙 제 61middot62middot63조

8시간 이상2년 -국립재활원

의지middot보조기 대학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 가족부 장관의

면허를 수여받은 자

- 13 -

장구의 연구개선 재활조사연구사업 및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에 관한 업무를 관장한다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음

2010년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의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향』연구에서 시행한 전문가 조사에 따르면 국립재활원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결과에서 전문재활 인력 교육 및 강화를 국립재활원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로 응답하였음

국립재활원은 국가재활의료의 중추기관으로서 역할을 감당하기 위해 재활의료전문인력을 안정적이고 체계적으로 교육하고 공급하기 위한 교육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

또한 내부 교육 체계 강화를 통해서 국립재활원 내부 인력의 역량강화 및 근무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음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립재활원의 2012 5 1 조직개편에 따라 신설되거나 개편된 부서의 기능 및 역할을 재정립하고 현재 불균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재활서비스에 대해 국가 중추 기관으로서 국립재활원의 조직 발전방향과 미래상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음

- 14 -

- 첫째 국립재활원의 공공재활의료 지원체계 구축방안 제안- 둘째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방안 제안- 셋째 국립재활원의 장애인재활교육훈련시설 운영방안 제안- 넷째 향후 국립재활원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 전문 인력의 체계적 전문적 교육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새로운 재활 교육 체계 구축방안 제시

연구 내용 및 범위

가 공공재활의료 지원체계 구축

국립재활원에서 진행 중이거나 진행예정인 공공재활의료 지원 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함

권역재활병원에 대한 법적 규정 재활의료 연계 체계 등 공공재활의료 지원 업무와 관련된 법제도규정 등을 조사 분석함

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 지역암센터 지원 사업 등 다른 의료분야의 공공의료지원 체계에 대하여 조사 분석함

해외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를 조사하고 비교 고찰함

법 제도 규정 재원 등에 대한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개선안을 제시함

나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

국립재활원에서 진행 중이거나 진행예정인 사회복귀 지원 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함

사회복귀지원 업무와 관련된 법 제도 규정 등을 조사 분석함

국립재활원의 병원기반의 운동재활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하고 확산 방법을 모색함

해외 장애인 사회복귀 지원 정책 현황 및 실태분석을 진행함

법 제도 규정 재원 등에 대한 사회복귀지원 체계 개선안을 제시함

- 15 -

다 장애인 재활교육시설 운영방안 제시

현재 장애인 재활교육시설의 현황과 실태분석을 진행

국내에 운영중인 장애인 재활교육시설의 운영 및 프로그램을 조사

해외 재활교육시설 운영 리뷰

재활교육시설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시

라 국립재활원 교육훈련 체계 강화 방안 연구

재활분야의 교육훈련 체계 현황 파악

의료법 의료기사 등에 대한 법률 사회복지법 등 재활분야의 교육훈련과 관련된 법령을 조사하고 분석함

대한의사협회 대한물리치료사협회 대한작업치료사협회 한국사회복지사 협회 등 재활분야와 관련하여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학회협회의 교육 관련 규정을 분석하고 내용을 조사함

국립재활원 권역 재활병원 공공병원 지역사회 기반 재활 거점 보건소에 근무하는 인력을 대상으로 진행한 재활인력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함

임상분야(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등)와 재활사업분야(사회복지사 등)의 직종별 교육내용과 운영 방식 교육과정 운영규정 등 교육현황을 조사 분석함

전문가 자문을 통해 재활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함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대상 수요파악

재활의료서비스 분야의 교육 훈련 수요를 조사함 기관별로 국립재활원 권역재활병원 공공병원 지역사회재활 거점 보건소등에 근무하는 인력을 대상으로 교육훈련 수요를 조사함

임상분야(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등)와 재활사업분야(사회복지사 등)의 직종별 교육 수요를 분석함

- 16 -

재활 교육 대상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재활 관련 교육경험률 재활관련 교육 만족도 필요한 교육훈련 내용 등에 관한 수요조사를 시행함

다른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 비교 고찰

국립특수교육원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의 재활 교육훈련 체계를 조사 분석함

국립암센터의 교육훈련 체계를 조사 분석함

교육훈련체계는 교육훈련 운영방식 교육 내용 교육 대상(내외부인력) 교육과정 법적규정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함

각 기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장middot단점에 대하여 비교 고찰함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체계 구축 방안제시

현재 국립재활원의 현재 교육훈련체계에 대하여 조사 분석함 조사 내용으로는 운영방식 교육내용 교육대상(내외부인력) 교육 과정 법적 규정 등을 포함함

재활인력교육훈련 현황 파악 재활 교육훈련 대상 수요도 조사 다른 국립기관의 교육훈련체계 비교 고찰 등의 내용을 종합하여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체계 강화 방안을 개발함

국립재활원 내외부의 인력을 포괄하는 교육체계 구축방안을 모색함

- 17 -

연구방법

가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분석 및 개선안 제시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분석 및 개선안 제시를 위해 다음의 항목을 시행할 것임- 국립재활원에서 진행 또는 예정인 공공재활의료 지원 프로그램 현황조사 - 공공재활의료 지원 업무와 관련된 법middot제도 규정 조사- 다른 의료 분야의 공공의료 지원체계 조사- 해외 공공 재활의료지원 체계 조사 및 비교-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개선안 제시

나 사회복귀지원 체계 분석 및 개선안 제시

사회복귀지원 체계 분석 및 개선안 제시를 위해 다음의 항목을 시행할 것임- 국립재활원에서 진행 또는 예정인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현황조사- 사회복귀지원 업무와 관련된 법middot제도 규정 조사- 국립재활원의 운동재활프로그램 현황 조사- 운동재활과 관련된 지원할 법middot제도 규정 조사- 해외 장애인 사회복귀 지원정책 현황 및 실태분석- 운동재활 확산 방안 및 사회복귀지원 체계 개선안 제시

- 18 -

다 장애인 재활교육시설 운영방안 제시

장애인 재활교육시설 운영방안 제시를 위하여 다음의 항목을 시행할 것임- 장애인 재활교육시설의 현황과 실태분석- 국내에 운영 중인 장애인 재활교육시설의 운영 및 프로그램을 조사- 장애인 체육시설의 수요와 수요 충족도 조사- 해외 재활교육시설 운영 프로그램 리뷰

라 재활의료분야 인력의 교육훈련 체계 개발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현황 파악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분석할 것임- 의료법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사회복지사업법 등 재활의료 인력의 교육과 관

련된 법률 및 규정 - 의사협회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작업치료사 협회 한국사회복지사 협회 등의 관련

학회를 통한 직종별 교육 규정 및 내용-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 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권역 재활병원의 교육훈련 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공공병원의 교육훈련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지역사회재활 거점 보건소의 교육훈련체계(대상 운영 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수요파악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대상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분석할 것임- 건강보험심사평가원등의 자료를 이용한 재활의료전문인력의 직종별 현황- 건강보험심사평가원등의 자료를 이용한 재활의료서비스 기관별 인력 현황- 국립재활원 권역재활병원 공공병원 지역사회 기반 재활 거점 보건소에 근무하는

직종별 인력 현황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대상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시행할 것임- 설문을 이용한 재활 관련 교육 경험률 교육 만족도 필요한 교육훈련 내용 등

다른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 비교 고찰

다른 재활관련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분

- 19 -

석할 것임- 일본국립장애인재활 센터 교육훈련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다른 의료분야의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분석할 것임- 국립암센터 교육훈련 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다른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시행할 것임- 각 기관의 교육 체계 문헌조사- 기관 방문 및 교육 담당자 인터뷰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체계 구축 방안제시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 체계를 구축 방안을 개발 제시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시행할 것임-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체계 분석((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 20 -

제2장 공공재활의료지원체계 구축 방안

공공재활의료 문헌 검토

공공재활의료지원을 통해 공공재활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양질의 재활의료서비스를 공급

국립재활원은 국가재활중추 기관으로 권역재활병원과 보건소의 기술적 지원 및 재활인력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

- 21 -

국립재활원 역할에 대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는 권역재활병원과 함께 재활의료 교육 연구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가중앙재활센터 기능을 수행해야 함

보건복지부 인증 재활 전문의료기관 인증을 주관해야 함

- 22 -

재활연구소를 주축으로 권역재활병원의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표준을 제시하고 재활연구 활성화를 유도 함

국가차원의 장애인 재활관련 통계자료를 관리하고 정보를 제공함- 교육 훈련을 매개로 한 국립재활원과 권역재활병원의 리더쉽 체계를 구축함

- 23 -

국립재활원 공공재활서비스 현황

1차 현황 서면 조사표 4 서면 조사 결과

- 24 -

공공재활의료지원 프로그램 구분 및 참여 현황

프로그램 구분 참가기관 참가자 수(장애인)

교육프로그램 및 설명회(9가지 프로그램)

보건(지)소 659

권역재활병원 6

기타 병middot의원 13

복지관 12

기타(시도청) 13

총계 703명

표 5 프로그램 참여 현황

- 보건소 인원이 프로그램 참여 인원의 937를 차지함- 프로그램 중 의사가 참여한 프로그램 없음

공공재활의료지원 프로그램 예산(2012년 기준)- 56100000원

주요내용- 지역사회중신재활 기본실무- 방문재활의 실제- 노년기 재활을 통한 건강관리- 장애 아동 재활의 핵심파악- 쉽게 따라 하는 재활실무- 건강한 일상을 위한 여성 장애인 재활- 지역사회 중심 재활 사업 성과대회- 공공재활 프로그램 설명회- 지역사회 재활사업 운영실제(예정)

현 프로그램의 문제- 공공재활 의료팀에서는 주로 보건(지)소 근무자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권역 재활 병원 및 2차 병원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함- 교육 프로그램 외 기술적 지원 및 협력체계 기반이 미흡함- 다양한 직종이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미흡함

- 25 -

타 기관 공공의료 지원 현황

가 국립 암센터

국립암센터와 지역암센터 연계체계

- 12개의 지역암센터가 지정되어 있음- 국가 암관리사업의 경우에는 지역단위까지 연계하여 수행하는 거점기관임- 국리암센터와의 연계체계를 구축하고 국가 암관리사업에 적극 활용 중- 국립암센터와 MOU 등을 통한 활발한 연계 지원을 시행 중

나 중앙정신보건 사업 지원단

법적근거

정신보건법 제13조 6항 동법 시행규칙 제 7조-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집중적이고 전문적인 지원을 위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은

- 26 -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을 시 도지사는 지방정신보건사업지원단을 각각 설치 운영할 수 있음

직무범위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기획 및 조정에 대한 지원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 및 정신보건시설에 대한 평가

정신보건관련기관 단체 또는 정신보건시설 간의 연계체계 구축 지원

정신보건사업의 현황 파악 및 통계

기타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시하는 사항

국립재활원의 공공재활의료 지원 전략

가 공공재활의료 체계 내 국립재활원의 역할 강화

권역 재활병원과 상호 협력- 진료 지원 및 협진(환자이송체계 구축)- 통계산출 및 정보제공을 위한 각종 자료 공유- 권역재활병원의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표준을 제시- 공동연구수행- 전문 인력 교육 및 교류- 국가재활사업 상호협력 수행

재활 전문병원 평가 및 인증- 보건복지부 인증 재활 전문병원의 평가 지침 개발- 보건복지부로부터 재활 전문 병원 인증 권한 위임

국가정책수립 기능- 국가 장애인 정책수립방안 제시- 장애인 및 재활의료서비스 통계 산출- 적정 재활 의료서비스 제공 표준 제시

- 27 -

교육 및 연구 기능- 권역재활병원 및 공공병원의 재활 인력 교육 및 훈련- 지역사회 중심 재활 인력의 교육 및 훈련- 재활연구 활성화를 유도 장애인 재활정책 연구를 전문적으로 수행- 매년 전국단위의 포럼 혹은 세미나를 개최하여 인적 학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학문적 역량 및 리더쉽을 확보

국제보건- 국제기구 혹은 국내 국제보건 단체들과의 지속적 협력을 통하여 개발도상국 저개

발 국가의 재활의료 원조를 지원- WHO 협력센터 지정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 방안

가 필요성

의료기관 평가의 목적은 의료의 질 향상 및 의료의 질에 대한 사회적 책임 증대임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해서 개별 의료기관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고 평가 기준을 준수하도록 함으로써 환자 진료 및 서비스의 질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임 의료의 질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평가 결과를 공표하고 병원 간 평가결과를 비교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비자의 병원 선택에 도움을 줌

2010년 의료기관평가 인증원이 의료법 제 58조에 근거하여 세워졌음 인증원의 병원 인증은 병원급 이상의 모든 병원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재활전문 의료기관에 대한 전문성이 떨어짐 따라서 인증원에서 적절한 재활의료에 대한 평가 기준을 세우고 이를 전국에 확산시켜 전 국민이 적절한 재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에는 힘듬

인증원에서 인증을 받아도 보건복지부 인증기관이라는 명칭을 부여받을 뿐 수가나 다른 인증에 대한 인센티브가 없는 실정임

또한 산재보험공단과 재활의학회에서도 각각 재활전문병원을 인증하고 있어 혼란이 가중되고 있음

5) 김윤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용역과제 2010

- 28 -

나 의료기관 인증평가 관련 선행연구 검토

의료기관 평가제도 장기적 발전방안 연구

연구에서 제시된 평가기준의 원칙은 다음과 같음- 첫째 환자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환자중심의 평가기준을 개발하여 궁극적으로

환자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킴 제공자의 부서 직종 구분이 아니라 환자가 병원에서 받게 되는 서비스의 흐름과 종류에 맞추어 평가의 부문과 영역을 설정하며 특정 서비스의 제공과 연계 관련된 기능 부서를 통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함

- 둘째 평가기준이 측정하는 영역이 중복되거나 편중되지 않으면서 포괄적인 기준을 마련함

- 셋째 평가기준이 의료의 질을 반영할 수 있도록 평가기준의 질적 측면을 포괄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하여야 함

- 넷째 평가지표의 특성이 너무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평가기준보다는 목적을 정립하고 이에 부합하는 기준이 되도록 함 즉 명목적(explicit) 평가기준보다는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에 초점을 맞추면서 묵시적(implicit)인 평가기준으로 유도해감

의료기관평가의 안정적인 발전뿐만 아니라 앞으로 평가 대상 기관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갈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독립적인 전담 기구가 필요함(현재의 의료기관평가의 대상 기관은 종합병원 및 300병상 이상의 병원으로 현재 약 360여개 병원이 이에 속하고 있음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전반적인 질적 수준의 제고라는 측면에서 볼 때 앞으로 평가 대상 병원을 소규모 병원으로까지 확대할 필요성이 있으며 많은 나라들에서 1차 진료를 평가 대상에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다면 장기적으로 볼 때 평가 대상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산재보험 의료재활항목 수가개발보완 및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제 도

입 방안 연구

산재전문병원 인증제도의 도입은 현재의 4단계 종별분류에서 3단계의 새로운 분류체계와 개념상 일치한다고 생각함 현행의 4단계 종별분류는 의원 병원 종합병원 종합전문병원(대개 대학병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병원 종합병원과 종합전문병원간의 시설규모나 인력 장비 수준이 너무 차이가 생겨 상급병원으로서의 병원 종합병원의 역할이 과거에 비해 약화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6)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2005

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2006

- 29 -

이에 새로운 3단계 분류로서 ldquo전문병원rdquo이란 개념을 도입하게 되었음 병상 수 등의 규모보다는 내적인 시설 인력구조 진료상병의 집중화 등을 토대로 전문적인 진료가 가능한 병원을 인증하여 이곳에는 여러 가지의 지원을 하자는 것임 이를 통해 종합전문병원으로 집중되는 환자를 분산시키고 다양한 의료의 전문화를 구축하자는 것임

인증 기준은 다음과 같음- 인력구성의 적절성 의사(전체의사 재활의학전문의) 간호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

사 언어치료사 임상심리사 의료사회복지사 직원 교육 및 연수프로그램- 시설 및 장비의 적절성 시설구비(병동 및 진료관련시설) 재활치료장비 응급장비

시설 및 장비 안전관리 장애인 편의시설- 질적 서비스의 제공 입퇴원 기준의 구비 및 준수 환자 평가 치료계획의 수립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및 평가 수행 여부 팀 접근 재활간호서비스 보장구 처방 검수 및 훈련 능력 입원환자의 진단명 구성 및 중증도

- 질 향상 활동 질 향상 위원회 환자 시설 인력의 질 평가 자료의 활용 여부

다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 방안 개발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가 구축middot개선되는 과정에서 새롭게 설립되거나 역할을 부여 받은 서비스 제공자가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 내에서의 역할과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음 이러한 경우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의 운영에 장애가 될 수 있음 이를 예방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적절한 인증기준과 인센티브 방안 등이 포함된 재활의료기관 인증제가 활용될 수 있을 것임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10)8)의 전문가 조사 결과와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체계를 구성하여 그림 14와 같이 정리하였음

8)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안 연구 2010

- 30 -

현재 산업재해공단 재활의학회 보건복지부 산하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서 각각 재활전문병원 인증을 시행하고 있음 이는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들에게도 혼란을 줄 뿐만 아니라 병원에도 부담과 혼란만 가중시킬 뿐임 국가적으로도 의료자원의 낭비임 따라서 현행의 재활전문병원 인증을 하나로 통합하여 인증할 수 있도록 함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이 현재 모든 병원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재활전문병원에 대한 전문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는 국립재활원과 재활의학회에서 평가 및 인증기준을 설립하여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서 설립된 기준을 바탕으로 평가 및 인증을 시행 해야함

재활전문병원 인증기준과 관련하여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5)9) 연구에서는 재활의료서비스 대상자에 대한 직접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치료사(물리치료사 및 작업치료사 등) 재활의학전문의 간호사 등의 재활 인력 재활의료서비스 진료실적의 질적 측면 진료관련 편의시설 및 장애시설 구비정도에 대한 인증 기준의 필요도가 35 이상으로 높게 제시된 바 있음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10) 연구에서는 재활전문병원 인증기준을 시설 및 장비 기준 인력 기준 재활서비스 기준 등으로 분류하였고 이 중에서 전문가들은 장애인 편의시설 구비 정도와 재활의료서비스 진료실적에 대한 질적 평가에 높은 중요성을 부여하였음(그림 14)

9)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5 이 연구에서는 재활의학전문의 270명 물리치료사 74명 작업치료사 3명 등 총

347명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한 바 있음

- 31 -

재활의료서비스의 질적 평가를 위한 지표와 관련하여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5) 연구에서는 재활계획(입원 시 치료계획) 수립 환자 및 보호자 대상 정보제공 및 교육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사용 기능상태 사정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및 평가 수행 등이 중요하게 제시된 바 있음

대한재활의학회는 2008년부터 전문재활병원 인증제 평가를 수행해오고 있음 이 때 평가 기준들은 다음과 같음- 인력 부문 의사 인력 간호 인력 물리치료사 인력 작업치료사 인력 언어치료사

인력 사회복지사 인력 임상심리사 인력- 시설 및 장비 부문 운동치료실 작업치료실 언어치료실 사회사업실 이동성 장

애인용 화장실 물리치료 기구 운동치료 기구 작업치료 기구- 전문재활서비스 부문 기능의 평가 팀접근에 의한 재활서비스 집으로 퇴원한 환

자의 비율 발병 후(장애 발생 또는 악화 후) 2년이 경화하지 않은 환자의 비율- 전문적인 재활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의 비율

한국보건사업진흥원의 연구와 대한재활의학회의 평가기준을 참고하여 2010년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10)의 연구 보고서에서는 재활전문병원 인증 기준을 다음과 같이 예시함- 인력 기준 의사 수 재활의학전문의 수 간호사 수 치료사(물리치료사 등) 수 사

회복지사 수 등- 시설 및 장비 기준 병상 수 진료관련시설 구비 정도 장애인 편의시설 구비 정

도 장비 기준 준수 등- 재활의료서비스 진료실적에 대한 양적 기준- 재활의료서비스 진료실적에 대한 질적 기준 재활계획(입원시 치료계획) 수립 여부

- 32 -

퇴원 전 퇴원계획(기관 연계 등) 수립 여부 재활전문 인력 면허자격 비율 다학제적 팀접근 여부 재활프로그램의 다양성 환자 및 보호자 대상 정보제공 및 교육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사용 여부 기능상태 사정 여부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및 평가수행 여부 사례회의 실시 정도 직원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

재활전문병원으로 인증된 의료기관에 대한 인센티브 방안으로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 교실의 2010년 연구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취약지 시설 건립을 위한 건축비 지원 지역사회 재활사업 지원 등 공적 사업에 대한 재정 지원 인증기관에 대한 차등수가제 적용 등의 방안을 제시함

국제보건의 필요성 및 진행 방향

가 세계장애현황10)

장애인 인구

장애 인구는 전 세계적으로 10억명 이상 혹은 세계 인구의 15이상으로 추정되고 있음(2010 global population estimate 기준)

WHO에서 2011년 발간한 World Report on Disability에 따르면 장애를 15년 이상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은 7억 8천 5백만 명이며 세계 인구에 156를 차지함

10) World report on disability 2011 WHO

- 33 -

이 중 1억 1천만 명(22)이 심각한 장애를 안고 있는 것으로 추정됨

장애는 심각한 우울증 시력상실 사지마비 등과 같은 수준의 심각성을 가지고 있음

현재 장애인의 숫자는 인구가 노령화되면서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임

재활분야의 수요와 미충족 수요

현재 재활분야에서는 몇몇 국가에 대한 자료만 있을 뿐 전 세계적으로 통합하여 미충족 수요를 추정한 자료는 없음- 재활분야의 데이터들은 완전치 않거나 분절화 되어 있는 경우가 많음

재활분야의 미충적 수요는 퇴원을 늦추고 활동을 제한하며 건강을 악화시키고 삶의 질을 낮출 수 있음 - 이런 부정적 결과는 개인을 넘어 가족 지역사회 까지도 사회적으로 재정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음

미충족 수요의 대한 데이터는 일부 국가의 특정 장애에 관한 조사만 사용 가능함11)

- 말라위 모잠비크 나미비아 잠비아 짐바브웨에서 시행된 국가적 장애인 삶의 실태조사에서 재활치료와 보조장비의 심각한 부족과 성의 불평등을 나타내었음

- 크로아티아 체코 헝가리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에서 진행된 재활의료 조사에서 일차 이차 삼차 재활에 접근성의 부족을 보였음

또 다른 방법으로 재활분야의 미충족 수요를 추정한 방법은 재활 서비스를 받기까지의 기간으로 추정하는 방법임- 최근의 국제 조사(2006-2008)에서 도시지역에 재활의료를 받는데 까지 걸리는 대

기시간은 평균 한 달 미만으로 조사되었음 그러나 시골지역에서는 6개월에서 1년까지 걸리는 것으로 조사됨12)

11) Maclachian M et al Disability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Dordrecht Netherlands Sringer

2009(World report on disabiltiy WHO 2011에서 재인용)

12) Chiang PPC The Global mapping of low vision services Melbourne University of Melbourne

2010(World report on disabiltiy WHO 2011에서 재인용)

- 34 -

나 필요성13)

전술한 국제사회의 광범위한 보건부문의 미충족 수요(unmet need)는 보건 ODA수요를 발생시키고 있으나 국제적인 보건 ODA는 이런 수요에 충분히 부합하지 못하고 있음

이런 상황 속에서 50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수원국에서 공여국이 된 전 세계에 몇 안 되는 사례 중 하나인 우리나라의 발전경험이 개도국 발전의 모범적인 성공사례로 주목받고 있으며 국제기구들과 개도국들로부터 한국의 개발경험 전수에 대한 요청이 늘어나고 있음

재활 분야에서도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우리나라 재활의료에 대해 제3세계 등지에서 경험 전수에 대한 요청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임

다 국립재활원 현황

콜롬비아 중앙재활센터 건립사업

2008년 국립재활원은 한국국제협력과 협력하여 콜롬비아 무상협력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콜롬비아 보고타 지역의 중앙재활센터 건립사업을 수행하였음

국립재활원은 콜롬비아에 선진재활프로그램 전수 재활센터 설계 등 마스터플랜 수립을 지원하고 재활장비 선정 및 자문을 하였음- 콜롬비아 병원건립 프로젝트 책임자 병원 설계자 대학교수 및 중앙재활 센터 담

당자 등이 한국을 방문하여 재활센터의 방향 및 개념 정립 재활병원 건축 및 설계 한국의 재활 기술 및 재활모델 한국의 의료시스템 전반 의료정보 활용 사회적 직업적 재활 전략 등에 관한 연수를 국립재활원에서 진행하였음

한국국제협력단 와의 체결

2010년 국립재활원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보건의료분야 대외무상 원조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 함- 협력내용은 기관의 고유사업 중 협력을 통해 성과를 제고 시킬 수 있는 업무분야

에 대한 기획 의사결정 수행- 개발도상국의 보건의료 관련 신규 상호협력과제 마련 및 추진 등

13) 오주환 한국형 ODA 프로그램 선정 연구 2012 총리실 연구용역과제

- 35 -

라 향후 방향

효과적으로 국제보건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WHO 협력센터 지정을 받는 것이 필요함- WHO 협력기관은 WHO가 수행하는 각종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해 WHO 사무총

장이 지정하는 국제적인 협력네트워크임- 매 4년 마다 재지정 평가 절차를 거친 후 협력센터의 기능을 유지함- WHO 협력센터 지정을 통해 수행하는 업무에 국내외적 관심을 높일 수 있으며

생산된 결과물에 대한 국내외 관계자들의 신뢰를 끌어올릴 수 있고 국제 보건관계 기관간의 협력관계 구축에 용이해지며 국제사회에서 협력을 추진하는데 큰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음

WHO 협력기관의 조건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은 다음과 같음14)

- 국내외적으로 높은 과학적 기술적 지위를 가지고 있을 것- 국내의 의료적 과학 혹은 교육 구조에서 두드러진 위치에 있을 것- 높은 질의 과학적 기술적 리더쉽을 가지고 있으며 높은 질의 직원을 충분히 확보

하고 있을 것- 개인 활동 펀드 모두 안정적인 상황일 것- 국내외의 다른 기관들과 강한 협력관계를 맺고 있을 것- 특정 국가의 원조 프로그램이나 국제 협력 활동에 참여하여 WHO의 프로그램들을

단일기관으로 혹은 네트워크의 하나로서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함- 적어도 WHO와 지난 2년간 협력관계를 가진 경험이 있어야 함

위의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준비를 지속해 나가야 할 것임

국립재활원과 권역재활병원의 협력 방안

가 권역 재활원 관리 모델

보건복지부로부터 권역재활병원의 관리권한을 위임 받아 병원의 재활 센터의 질관리 등 전반적인 관리를 책임짐

권역재활병원의 관리를 위하여 재활병원 평가 기준을 개발하여 점차 전국의 재활 연관 병원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

장애인 재활 지침을 마련하여 진료의 표준화를 확립 재활 연관 직종의 보수교육의 전부 혹은 일부를 담당하여 국립재활원이 재활

14) Guide for WHO collaborating centres WHO 2012

- 36 -

연관 직종에서도 리더쉽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

- 37 -

나 권역재활병원 협력 모델

국립재활원은 1년 단위로 각 권역재활병원과의 협의를 통하여 각 지역의 이전 공공 재활 계획과 그 결과를 평가하고 다음해의 계획을 세우는데 조언을 함

복지부와의 협의를 통하여 공공재활을 지원할 재원을 확보하여 각 권역 병원의 공공재활 프로그램에 재원을 분배하여 지원함

권역 재활병원과의 MOU를 통하여 적극적으로 인력 및 기술을 지원함

법 제도적 개선 방향

위에 기술한 공공재활서비스 발전 방안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가칭)장애인보건법의 제정 혹은 제도 정비 등 몇 가지 법적 제도적 개선이 필요함

가 국립재활원 및 권역재활병원 운영규칙 및 설립근거

1994년 제정된 lsquo국립재활원운영규칙(보건사회부령 제930호)rsquo은 폐지됨 대신 보건복지부의 소속기관으로 lsquo책임운영기관의 설치 운영에 관한 법률rsquo lsquo책임운영기관의 설치 및 구분rsquo과 예규의 형식으로 발령된 lsquo국립재활원 기본 운영 규정rsquo에 의해 규율을 받고 있음

현재 국립재활원의 법적위치는 lsquo책임운영기관의 설치 운영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보건복지부소속 책임운영기관으로 되어 있음

따라서 앞서 제시한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의 새로운 기능으로 제시한 국가 재활연구센터로서의 역할과 국가 장애인정책 수립방안을 제시하는 재활정책 수립 기능 재활의료기관 인증을 수행하고 권역재활병원의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사항을 조정하는 인증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가칭)장애인 보건법 등 법 제도 신설 혹은 정비 시 국립재활원의 설립근거와 운영규칙을 확립해야함

권역재활병원의 기능으로는 포괄적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권역 내 재활사업 주관 권역 내 재활전문 교육훈련 및 임상연구 등 재활연구센터로서의 역할 담당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와 함께 교육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국가

15)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안 연구 김윤 보건복지가족부 용역과제 2009

- 38 -

중앙재활센터로서의 기능 등이 포함되어야 함 또한 권역재활원 선정 및 심사 평가 체계로서 보건복지부 및 지방자치체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 민간 학회 등 연구기관이 각각 담당하는 역할과 권역재활병원 지정 절차 지정조건 및 기간 지원 내용 등도 규정되어야 함

나 재활전문병원 인증 관련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

의료법 제3조의 5 전문병원 지정 항목에 의거하여 재활전문병원의 요건을 보건복지부령으로 규정함 또한 특정 질환의 경우로서 을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함

재활전문병원 지정을 위한 요건에는 시설 및 장비 기준 인력 기준 재활서비스 기준 등이 포함되어야 하며 특히 재활계획(입원시 치료계획) 수립 환자 및 보호자 대상 정보제공 및 교육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사용 기능상태 사정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및 평가 수행 등 진료실적에 대한 질적 평가의 비중이 강조되어야 함

현행 의료법 제3조 5 전문병원 지정 항목에는 전문병원 지정 이후 인센티브 제공 내용이 언급되어 있지 않으나 취약지 시설 건립을 위한 건축비 지원 지역사회 재활사업 지원 등 공적 사업에 대한 재정 지원 인증기관에 대한 차등수가제 적용 등의 방안들이 규정될 필요가 있음

- 39 -

다 개선사항 제안

국립재활원의 설립근거 및 운영규칙

-국립재활원의 설립근거와 운영규칙을 법에 명시하도록 함예시) 보건복지부장관은 장애인의 보건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와 장애인의 진료 등을 위하여 국립재활원을 설치운영하여야 한다-권역재활병원의 기능과 역할을 명시예시) 지역사회 장애보건 및 재활의료사업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하여 권역재활병원으로 하여금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1 해당지역 장애발생율 등 장애보건관련 통계산출을 위한 자료의 수집분석관리 2 해당지역 장애보건관리사업의 기획 및 재활의료서비스 연계체계 구축 3 해당지역 장애보건 관련 조사연구사업 4 해당지역 장애보건 관련 인력교육훈련 및 국제협력 5 해당지역 장애건강등록사업에 관한 사항 6 해당지역 장애인 가족지원에 관한 사항 7 지역거점재활의료센터 지원 8 그 밖에 지역사회 장애보건 및 재활의료사업과 관련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

재활전문기관 평가 및 인증

-의료기관인증평가원의 재활전문병원 인증시 국립재활원의 역할을 명시

예시) ➀ 보건복지부장관은 재활의료기관에 대하여 특화 및 전문치료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는 기관에 대하여 재활의료전문기관으로 인증취소할 수 있다 ➁ 제1항의 재활의료전문기관 인증취소에 관한 업무는 중앙장애보건관리본부(현 국립재활원) 등 관련 단체 및 전문기관에서 수행할 수 있다 ➂ 재활의료전문기관 인증취소에 관한 범위와 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지역거점재활의료센터

-지역사회 장애보건 및 재활의료사업의 전문적 수행을 위해 보건소나 국공립 및 권역재활의료기관에 (가칭)지역거점재활의료센터를 설치 위탁 할 수 있도록 함예시)지역사회 장애보건 및 재활의료사업을 전문적으로 수행하게 하기 위하여 보건소 또는 국middot공립 및 권역재활의료기관에 권역장애보건관리본부 및 지역거점재활의료센터를 설치하거나 그 사업을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관 또는 단체에 위탁할 수 있다

표 6 법 제도적 개선사항 제안 정리

- 40 -

요약 및 소결

현재 국립재활원 공공재활 의료팀에서 시행중인 공공재활의료 관련 사업을 검토하였음 - 위에서 서술한 현재 공공재활의료 관련 사업의 문제는 아래와 같음- 공공재활 의료팀에서는 대부분 보건(지)소 근무자 교육 프로그램만 운영하고 있음- 권역 재활 병원 및 2차 병원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함- 교육 프로그램을 제외한 기술적 지원 및 협력체계 기반이 미흡함- 다양한 직종이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미흡함

위에 제시한 문제점과 2009년 재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델파이 조사를 바탕으로 국립재활원의 공공재활의료 발전 방향에 대한 전략을 구상하였음

권역 재활병원과의 상호 협력 증진- 보건소에서부터 권역재활병원 국립재활원으로 이어지는 공공재활의료 전달체계 구축-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진료 지원 및 협진 등

의 재활의료서비스를 지원함

재활 전문병원 평가기준마련 및 인증제 실시- 장애인 보건법 제정 등의 제도적 정비가 필요함

국가정책수립 기능- 장애인 보건법 등의 법적 제도적 정비 방향을 제시함- 장애인 및 재활의료서비스 통계를 산출함

교육 및 연구 기능- 권역재활병원 및 공공재활의료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권역재활병원 실무과정 공

공재활의료 아카데미교육과정 등과 같은 공공재활체계교육을 수행함- 재활정책 고위과정을 교육을 수행하여 정책형성의 기반을 형성함

국제보건- 국제기구 혹은 국내의 국제보건 단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국제적 재활의료 부분에

대한 원조를 지원함- 효과적인 국제보건 지원을 위해서는 WHO 협력기관 지정을 받는 것이 필요함

- 41 -

제3장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 방안

사회복귀지원의 개념

가 문헌 검토

lsquo사회복귀rsquo 용어는 일반적으로 미국에서 lsquocommunity (re)integration(사회복귀)rsquo와 lsquosocial integration(사회통합)rsquo를 사용하고 있고 그 외 lsquocommunity reentryrsquo lsquocommunity livingrsquo lsquogetting back to real livingrsquo 등으로 다양하게 지칭하고 있음

lsquo사회복귀rsquo 관련 개념은 명확하게 개념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임 단지 장애인 부상자 범죄자 등 사회적 취약 계층의 사회로 복위 갱생 회복 등을 의미하며 대상자별로 조작적 정의를 통해 개념이 정립화되어 있음- Kenneth Lam (1994) 사회복귀란 가족과 지역 내 일상생활 일상적인 역할과 책

임 사회 구성원의 일원으로 동참하는 것을 의미함17)

- Marcel Dijkers (1998) (물리적 손상이나 장애 후) 사회복귀란 연령성별문화적 적절한 역할상태기능을 돌이키는 요구 의사결정을 통해 독립적상호의존적 그리고 지역사회에서 가족과 친구 등 다양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완성된 행동을 수행하는 것을 말함18)

- Mank amp Buckley (1989) 장애인의 사회통합은 비장애인이 영위하는 수준과 동등하게 장애인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존재(presence)하고 참여(participation)하는 정도를 의미함19)

- Ely amp Peter (1991) 사회통합은 lsquo사회적 동반rsquo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장애인이 실제 살아가는 곳에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상적인 활동에 참여하는 것임20)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장애인 대상의 사회복귀는 장애 발생 이후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기능이 재조직화 되어 개인의 가정생활 사회활동 직업활동에 복귀하여 안녕감을 갖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음

16) 사회복귀지원의 개념 및 프로그램 운영 사례에 대해서는 lsquo국립재활연구소 장애인의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재활서비스 모형 개발 2010rsquo 및 lsquo국립재활연구소 장애인의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ICF 기반의 재활서비스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 2011rsquo을 참고하였음

17) Kenneth Lam Community reintegration Life after stroke 1994 세미나 발표 자료

18) Marcel Dijkers Community Integration Conceptual Issues and Measurement Approaches in

Rehabilitation Research Top Spinal Cord Inj Rehabil 19984(1)1ndash15

19) Mank D M amp Buckley J Strategy for integrated employment in W E Kierman amp R L Schlock

(Eds) Econimoic industry and disability A look ahead baltimore Paul Books Publishing 1989

20) Ely Peter W Quality of life and social integration of psychiatrically disabled citizens in community

residences MI University Microfilms International 1991

- 42 -

나 병원 기반 사회복귀지원프로그램

질병 및 손상으로 인한 장애가 발생한 환자에게 제공되는 환자병원 기반 사회복귀지원 과정은 다음과 같음

병원 기반 사회복귀지원프로그램은 일상생활훈련(실생활 훈련)을 비롯하여 운전교육 컴퓨터 교육 학업(직장) 복귀지원 주택개조 정보 제공 및 연계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멘토링(동료상담) 프로그램 정서적 지원 성재활 지역사회자원 연계 가족지지상담 및 프로그램 법률지원서비스 독립생활체험 활동보조인 이용체험 보조기 평가 및 대여이용체험 등으로 구성됨- 일상생활훈련(실생활) 훈련은 장보기 요리실습 및 세탁 청소 샤워 등 기본적인

- 43 -

일상생활 및 가정관리 훈련 쇼핑 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 이용 및 이동훈련 시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음

- 운전교육에는 운전클리닉 운전면허 취득 운전적응훈련이 포함되어 있음- 학업 및 직장 복귀 지원은 학업 복귀와 취업준비 지원 및 직업 훈련 연계가 포함됨-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은 재활스포츠와 문화활동이 포함되어 있음- 정서적 지원부분에서는 인지middot정서에 대한 심리학적 평가를 기반으로 정서적 어려

움에 대한 상담과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음

구분 내용

일상생활(실생활)

훈련

요리 메뉴 짜기 및 시장보기 실습실을 이용한 요리 실습 시행

쇼핑 대중교통 이용하여 백화점 할인마트 시장 방문하여 쇼핑하기 계산하기 등 일상적인 가정관리 훈련제공

금융이용 훈련 통장 및 현금카드 만들기 현금인출기 이용 세금 납부하기 인터넷 뱅킹 등 금융이용 훈련 제공

대중교통 이용 지하철

지하철 내 편의시설 이해 엘리베이터 장애인 개찰구 및 출입구 이용 등 사전 모의 체험 및 실제 지하철 이용하기

대중교통 이용 시내버스

저상버스 이용법 리프트 승하차 휠체어장애인용 좌석 이용 등 사전 모의체험 및 실제 저상버스 이용하기

운전교육운전클리닉 자동차 운전을 원하는 환자에게 전문적인 자동차 운전 평가와

가상현실운전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훈련 제공 운전면허취득 운전면허 취득을 위한 운전기능교육 및 도로주행교육 시행운전적응훈련 장애 발생 전 운전면허 소지 장애인을 위한 도로주행 교육 시행

컴퓨터 교육 타자연습 등 기초교육 문서작성 인터넷 포토샵 등 개인 수준에 따른 정보활용 교육 시행

학업직장복귀 지원

학업복귀지원 입(복)학 관련 정보 제공 장애인 편의시설 조사 담당자 면담 등 진학 및 복학을 위한 지원

취업준비지원 장애인고용공단 직업평가 및 상담 연계 장애인일자리 관련 단체 안내 등 장애발생 전의 직장복귀 및 취업연계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

직업훈련연계 장애인 직업전문학교 상담 및 장애인직업능력개발센터 장애인복지관 직업훈련 등 훈련 연계

주택개조정보제공 및 연계장애인의 주거환경을 진단하고 편의시설 및 주택개조에 대한 정보제공

주택개조 지원연계 등의 서비스를 지원함 (지역구별 집수리 신청 주거개선 업체정보 관련 후원단체 연결 등)

레저 및레크리에이

재활스포츠수중운동체험 및 농구 럭비 볼링 배드민턴 탁구 사격 게이트볼

수영 펜싱 파크골프 등 다양한 원내middot외 연계스포츠를 통해 지역사회에서 이용할 수 있는 레저스포츠 개발 및 참여기회 제공

문화활동 박물관 민속촌 등 다양한 문화활동 체험 및 영화관 미술관 관람

멘토링(동료상담) 프로그램

입원환자에게 여러 가지 조언과 치료완료 후 사회에 적응하고 직장복귀 취업안내 등을 컨설팅 할 수 있도록 잠재력을 키워가도록

도와줌 사회복귀 성공사례 및 정보 제공 동료상담 활동가 및 사회복귀 코디네이터 연계

정서적 심리치료 인지middot정서에 대한 심리학적 평가를 기반으로 정서적 어려움에 대한

표 7 H-CRsP 프로그램 구성 및 내용

- 44 -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지원 현황

가 주간재활센터 프로그램

주간재활센터는 각종 질병이나 사고로 뇌손상을 입은 장애인을 대상으로 독립적인 생활 및 사회적응을 돕고 가족의 부담을 경감시키고자 낮 시간동안 포괄적인 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임

대상은 급성기 치료가 끝나고 의학적으로 안정된 뇌손상 장애인으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기능증진을 위해 적극적인 재활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이며 매주5일(월~금)동안 하루 8시간 총 3개월 동안 이용할 수 있음

재활스포츠 활동 게이트볼 골프 배드민턴 탁구 볼링 배구 등 환자의 장애에 맞는 응용스포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신체적 활동 및 운동경기를 통해 운동능력을 향상시키고 즐거움 만족감을 느끼게 하며 환자간의 협동력을 높여줌

집단 간호 상담 장애로 인해 환자와 가족들이 겪게 되는 심리적 충격 및 고

지 원

상담과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제공

미술치료 그리기 만들기 등 다양한 미술활동을 통한 내면의 정서상태 표현 및 역량 강화

음악치료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 율동 등 음악활동 및 치료 레크리에이션을 통한 정서순화

원예치료 식물심기 및 기르기 꽃꽂이 창작품 만들기 등 원예활동을 통한 정서순화 및 취미개발

성재활성재활 상담 교육 치료를 통하여 장애인의 올바른 성에 대한 인식과

성생활이 가능하도록 도와주어 행복한 가정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는 재활치료

지역사회자원 연계 자립생활센터 복지관 등 거주지에서 이용 가능한 지역자원 및 재활운동 취미활동 자조모임 등 프로그램 연계

가족지지 상담 및 프로그램 가정방문 및 가족상담

법률지원서비스 장애인 관련 법 및 장애인 복지시책 관련 정보 제공과 법률상담 연계 지원

독립생활체험 첨단 보조기구 및 환경제어 시스템이 설치된 실거주형 원룸(침실 욕실 주방 등)에서 생활할 수 있는 기회 제공

활동보조인 이용체험 활동보조지원 사업 및 이용법에 대한 안내 활동보조서비스 신청 지원 필요시 실제 활용 기회 제공

보조기 평가 및 대여이용체험 장애인의 특성과 기능에 맞춘 보조기구 활용을 위해 보조기구 상담 및 제작 개조 및 대여 등의 서비스 제공

- 45 -

충을 같은 입장에 있는 사람들이 함께 모여 이야기를 나누고 서로에게 주어지는 피드백을 통해 보다 긍정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장애수용을 돕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임

성재활 상담 뇌졸중 재발의 두려움과 신체적 불편감으로 인한 부부간의 성생활 결여로 야기되는 갈등을 해소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며 뇌졸중 후 성생활시 주의점 및 전문적인 지식을 제공함

음악치료 음악활동을 체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사람의 신체와 정신기능을 향상시켜 개인의 삶의 질을 추구하고 보다 나은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프로그램임

치료 레크리에이션 병원생활과 기능손상으로 인한 무기력감과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기능 증진을 위한 다양한 여가프로그램을 통해 환자의 적절한 여가활용 및 사회복귀를 촉진함

원예치료 식물을 이용한 원예활동을 통해 사회적 심리적 신체적 적응력을 기르고 녹색의 쾌적함을 얻고자 하는 활동 프로그램임

미술치료 색채 및 미술도구를 이용하여 심신의 안정과 흥미를 유발함으로서 손의 감각자극이나 동작기능을 향상시킴으로서 사회복귀를 촉진함

가정방문 가정에서 생활환경 및 기능상의 어려움을 파악하여 이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고 대상자의 치료 및 훈련을 보다 효과적이며 실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임

실생활재활치료 사회복귀에 대한 두려움 해소 재활의욕 고취에 긍정적인 도움으로 주는 프로그램으로 옥외활동 문화체험 및 관람활동 교통수단 이용해보기 등의 3가지 테마로 구성되어 있고 월1회 실시하고 있으면 환자기능에 맞는 과제를 제시해 줌으로써 동기부여와 목적을 재인식시켜줌

가족프로그램 보호자와 함께하는 프로그램으로 요리하기 요가 등이 있음

- 46 -

나 사회복귀지원과 2012년 사업추진 현황21)

국립재활원 사회복귀지원과의 2012년 사회복귀지원사업 추진 현황은 다음과 같음

21) 국립재활원 사회복귀지원사업 현황 국립재활원 사회복귀지원과 2012

구 분 내 용 비 고

일상생활훈련

가정관리 세탁 샤워 장보기 및 요리실습 등 의식주 활동

이동훈련 수동 및 전동휠체어 이용훈련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시설 이용하기

활동보조서비스 활동보조서비스 안내 및 지원활동보조인 연계 무료 실습기회 제공(25시간)

의료지원

의료평가 원내 재활의학의 진료 및 평가원내재활병원연계치료 및 교육 필요시물리ㆍ작업치료 교육제공

심리상담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진료 및 상담

보조기 사례관리 휠체어 등 보조기 상담 및 평가훈련 중 보조기 맞춤 및 대여 체험

재활연구소연계

상담동료상담 동료장애인 경험 및 사례모델링

가족상담 및 교육 성재활 가족갈등 해소를 위한 가족상담 및 교육

정보제공

컴퓨터(정보활용) 한글 인터넷 등 기초과정엑셀 파워포인트 등 고급과정

장애인복지정보 장애인복지시책 등 각종 정보안내 거주기 지역자원 복지관ㆍ지원센터 등 지역자원 안내 및 연계

주택개조지원 주택개조에 대한 정보제공 및 연계

운동 재활운동 재활운동실을 이용한 개별운동레저스포츠 탁구ㆍ펜싱ㆍ수영ㆍ볼링 등 원내ㆍ외 레포츠 활동

표 8 사회복귀 프로그램 목록

- 47 -

2012년 프로그램 참가자 수는 총 798명이며 집행된 예산은 수용비 86819000원 재료비 3500000원 운영비 49500000원 등 총 139819000원임

프로그램 구분 참가자 수(명)상담 404운동 76교육 9(회)

멘토링 2심리정서지원 87

여가문화 19진로지원 1가족지원 37

스마트홈체험 15자원연계 157

총원 798

표 9 프로그램 구분 및 참가자 현황

타 기관의 사회복귀 지원 현황

가 서울재활병원

낮병원 프로그램

낮병원 프로그램은 입원치료와 외래치료의 장점을 극대화시킨 새로운 재활치료의 모델로서 발병 후 입원재활치료를 마친 후 가정과 사회로 복귀를 준비하기 위한 재활프로그램임 대상은 뇌졸중 척수손상 뇌손상 등 집중 재활치료가 필요한 성인으로 치료기간은 3개월로 필요시 연장이 가능하며 주 5일 주 3일 주 2일로 운영함 - 각 재활 영역별 전문적이고 세밀한 초기평가를 실시 후 각 환자별 특성에 따라 계

획된 맞춤형 집중 재활치료 프로그램 (물리치료 수중재활치료 통증치료 작업치

운전교육운전면허취득훈련 원내 연습장을 이용한 기능ㆍ도로주행 교육

운전적응훈련 면허 있는 중도장애인을 위한 도로주행 과정

사회체험 방문체험 복지관ㆍ자립생활센터ㆍ체험 홈 등 방문지역 공공기관 방문 및 체험

직업적응 학업 및 직업복귀 학업ㆍ직업복귀를 위한 직업평가 및 정보제공장애인공단 등과 연계서비스

취미활동 생활공예 점토를 이용한 다양한 도자기 소품 만들기한지공예ㆍ지점토 등 생활공예품 만들기

- 48 -

료 언어치료 음악치료 재활심리치료)과 그룹 프로그램(그룹 체조 미술치료 도예) 사회적응치료로 제공하며 뇌졸중 학교를 통해 스스로 장애를 이해하고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음

레크리에이션 재활프로그램

레크리에이션 재활프로그램은 장애인들도 레크리에이션(음악 미술 스포츠 여행 등)을 즐길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재활 및 심리적 치료를 꾀하고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임 대상은 입원 및 낮병원 외래를 이용하는 뇌졸중 척수손상 뇌성마비 등의 환자임- 사회적응치료 문화체험 대중교통이용훈련 대인관계훈련 영화관람 마트 이용 등

을 통해 병원을 벗어나 지역사회를 직접 체험하여 병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퇴원을 위한 실제적인 준비와 지역사회로의 적응을 돕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함

- 원예치료 소아 낮병동 환자 및 보호자 입원중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정서적 안정과 신체적 건강을 위해 식물 기르기 꽃장식 등 다양한 원예활동을 통한 협응능력향상 사회성 향상 손근육강화를 위한 치료로 꽃꽂이 디쉬가든 테라리움 포푸리 수경재배 등이 있음

- 미술치료 미술활동을 통해 심리적 정서적 갈등을 완화시킴으로서 원만하고 창조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심리치료법으로 미술을 통해 고통스런 경험을 동화 통합시키며 적개심이나 공격성을 안전하게 표현할 수 있고 자신을 신뢰하고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기회 제공을 함

재활스포츠 프로그램

재활스포츠 프로그램은 다양한 스포츠 활동으로 인한 심한 손상이나 관절 인대 근육의 손상이 있는 경우 손상 초기부터 정확한 진단 및 안정 통증과 염증의 조절 관절 구축의 방지 근력과 지구력의 증진을 통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재활치료를 목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함

기타 지원프로그램

환자 및 보호자 상담- 환자와 보호자가 가지고 있는 심리사회적 문제를 해결하여 환자의 재활의지를 높

이고 지역사회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개인력 조사 사회사업상담(심리상담 경제적 상담 가족상담 퇴원계획 복지정보제공)을 실시함

환자지원 프로그램- 환자적응치료 지역사회로 외출경험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변화를 직접 경험함

- 49 -

으로 지역사회로의 복귀할 수 있는 의지를 심어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집단활동 프로그램 미술치료 도예치료 놀이치료 구연동화 등 사회성 향상 및

양손 협응력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집단활동을 지원함- 학습놀이 프로그램 입원기간 동안 취학을 앞두고 있거나 학업이 중단된 아동 그

외 학습 및 놀이가 필요한 아동에게 학습 및 놀이 프로그램을 지원함

가족지원 프로그램- 어머니 여가활동지원 가사 간병으로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어머니들에게 여

가활동(토피어리 종이접기 풍선아트 등)을 지원하여 친목도모 및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 아빠교실 재활치료에 아버지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자조모임을 통해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정보를 공유할 기회를 제공함

나 삼육재활병원

사회재활프로그램

사회재활프로그램은 장애인이 사회생활과 가정생활에 적응을 돕기 위해 물리적 사회middot 문화적 심리적 환경 등에서 활동능력을 획득하여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산재 환자프로그램 사회적응프로그램 미술치료 원예치료 그룹 활동 집단 활동 프로그램 피아노교실 사랑의 듀엣 노래자랑 송년잔치 등을 제공함

장애인 정보화 교육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주관으로 운영되는 교육시설로 입원환자 뿐만 아니라 직계가족 지역거주 장애인 및 직계가족 모두가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윈도우 인터넷 한글 엑셀 등 컴퓨터 초middot중급 과정의 강의를 실시하고 있으며 교육비나 교재는 무료로 지원함

무료간병연계

저소득 계층의 의료보호 환자 중 가족이 돌볼 형편이 어려운 환자들에게 광주자활센터와 연계하여 낮시간 동안 복지간병서비스를 제공함

상담

경제문제 상담 및 지원 가족교육 및 가족상담 보장구 지급에 대한 상담 재

- 50 -

활정보 제공 직업상담 가정방문 및 주택개조 지원 상담 등을 시행함

다 파크사이드 병원

집으로 프로젝트

집으로 프로젝트 프로그램은 환자가 병원 퇴원 후 집으로 가서 일상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협력하는 프로젝트로 재활의학과 전문의 재활치료팀(물리 작업 언어) 재활간호팀 뿐만 아니라 의료장비업체 인테리어업체 의료공학자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환자가 퇴원 후 집에서 통원치료를 할 수 있도록 직접 방문하여 여러 방안을 모색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함

펀 쿡 프로그램

펀amp쿡이라는 카페 같은 공간을 이용하여 환자가 직접 시장을 보고 직접 요리를 함으로써 자신감을 고취시킬 수 있으며 요리를 통해 일상생활생활동작 훈련을 하는데 도움을 줌 가족과 함께하는 요리경연대회 다양한 퍼즐 및 보드게임을 통해 기능향상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함

펀 플레이 프로그램

환자를 즐겁게 한 후에 치료로 연결하는 프로그램으로 환자들이 웃고 쉬고 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줌 슬링을 이용한 놀이와 음악을 들으며 춤추기 다양한 게임 등을 통해 즐겁게 움직임을 유도하고 환자들이 평소에 좋아했던 운동을 확인하여 스포츠 활동까지 할 수 있도록 지원함

직업복귀 프로그램

손상전의 직업으로 복귀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으며 의료진이 개입하여 회사 관계자와의 접촉을 통해 환자가 이전 직업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도와줌

자동차 면허취득 프로그램

병원입원기간 환자들을 대상으로 장애인 자동차 면허취득을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함

- 51 -

라 인천산재병원

특수재활요법

특수재활요법은 환자의 심리 정서적 상태를 기록하여 심리재활치료에 반영 및 작업치료의 일환으로 신체적인 잔존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제공됨- 프로그램은 기존에 제공하던 7개 훈련공과를 의료재활의 일부분으로 전면 개편하

여 물리치료실과 함께 재활 의학전문의의 처방에 따라 귀금속디자인 전통공예 목조형디자인 원예 컴퓨터 멀티미디어 회화교실로 변경 시행하여 작업치료와 연결되는 심리재활 프로그램으로 제공됨

수중운동재활

수중운동재활관은 중추신경계 손상 산재환자의 조기재활을 통한 기능회복 재활사업 중 전문재활 급성기환자의 재활 System 확보 전인재활을 통한 사회참여 산재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임- 대상은 뇌손상 척수손상 골절 및 절단 장애 근육병 스포츠상해 등을 가지고 있

는 지체장애인이며 세부 프로그램에 따라 주 2-3회 1회당 30-50분 11 또는 소그룹이나 대그룹으로 운영됨

- 프로그램은 수중물리치료 수중재활운동으로 구분되어 제공되는데 수중물리치료는 수중에서 적응력 균형유지 불필요한 반응 억제 신체조절능력을 증진시키는 HALLIWICK 치료와 미온의 수중에서 등척성 등장성 등속성 운동을 통하여 중추성 신경손상 등으로 인한 근신경 및 골격근을 재활시키는 BRRM 치료 미온의 수중에서 스트레칭 마사지를 통하여 신체의 근신경계 및 관절의 경직 마비된 신체를 이완시키고 심리적으로 안정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WATSU 치료로 제공되며 수중재활운동은 HALLIWICK 방법 BadRagaz 방법 Aquatic Exercise를 적용하여 정상적인 신체이동 패턴과 근력 지구력 심폐 지구력 유연성 관절가동범위증진 및 향상으로 자세유지 능력향상과 일상생활 동작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공됨

야외운동재활센터

야외운동재활센터는 환자들을 위한 스포츠 시설로서 운동을 통해 환자분들의 재활을 돕고 있으며 탁구장 테니스장 농구장 론볼장을 갖추고 있어 환우 여러분들의 병상생활에 활력을 불어 넣어주고 있는 프로그램임- 프로그램은 흰색 표적구를 먼저 굴려 그 표적구에 목적구를 가까이 붙여 점수를

획득하는 경기로 남녀노소 즐길 수 있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서로 페널티 없이 어울릴 수 있는 론볼 다목적 구장을 이용해 제공하는 농구 테니스 배드민턴 실

- 52 -

내에서 4계절 이용 가능한 탁구 프로그램을 제공함

재활공학서비스 연계

국내에서 유일하게 재활공학연구소와 연계한 종합재활서비스를 제공함 - 다양한 첨단 재활보조기구를 연구 middot 공급하는 재활공학연구소가 병원 내에 위치해

재활치료 후 첨단 보장구 지급 생활적응 훈련(ADL) 및 장애인 보장구 적응훈련(ATAD)의 효율성을 높이고 산재 근로자들이 조기에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도모함

마 일본 국립장애인재활센터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는 병원 연구소 학원 훈련센터로 구성되어 있어서 연구-재활치료-교육-사회복귀가 모두 한 공간에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훈련센터에서는 작업치료부터 직업교육 사회생활 적응교육까지 직업훈련사 1인당 5~6명의 장애인을 전담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약 2년 정도 교육이 진행됨 교육 진행 중 취업이 되는 경우도 많이 있음

직업훈련장에서는 실제 장애인 센터에서 요구되는 세탁 장비 수리 등의 작업을 부여 받아 진행하고 있으며 초기 교육부터 마지막 사회적응과정까지 단계별로 교육을 시행함 직업교육의 직능교육 외에도 직장상사와 잘 지내는 법 직장 동료들과 약속을 지키는 것과 같은 관계에 대한 교육도 함께 이루어짐- 일본의 장애인 직업훈련은 공공직업훈련과 사업주가 행하는 직업훈련으로 구분됨 - 공공직업훈련은 국가 도도부현 및 시정촌에 설치하여 운영함 이들 훈련은 무상훈

련을 원칙으로 하며 훈련수당 등이 지급됨- 사업주가 실시하는 직업훈련은 지방자치단체장의 인정을 받아 실시함 - 일본의 장애인 취업은 후생노동성 산하 공공직업안정소에서 관리함 공공직업안정

소는 장애인 취업알선 및 직업상담과 평가 취업을 위한 지원 취직 후의 사후지도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 일본의 장애인 직업훈련과 관련된 인적자원은 직업훈련지도원(훈련교사)이 주된 인원이며 고용과 관련된 요원은 직업생활상담원 잡코치 장애인 카운슬러 등이 있음

스포츠재활의 경우 재활의학 의사의 운동 처방이 존재함 국립장애인센터 내에 장애인 전용 체육관이 있으며 이곳에서 장애인들이 수영 등 스포츠 활동을 진행함 원칙적으로 국립재활원 주변의 의사들도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처방을 할 수 있고 운동처방을 받은 장애인은 국립재활원 내의 체육관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나 아직 시범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단계임

- 53 -

바 마국 시카고 재활원(RIC Rehabilitation Institute of Chicago)의 LIFE Center

2001년 시카고 재활원 1층에 위치한 LIFE센터는 L학습(Learing) I혁신(Innovation) F가족(Family) E권한(Empowerment)상징함 방문자들은 잡지나 책 그리고 비디오와 같은 많은 정보를 얻기를 원하고 음악감상 예술작품 감상뿐만 아니라 다른 방문객들과의 만남을 원함 LIFE센터는 보호자 자원봉사자 등의 인터뷰를 통한 철저한 필요도 평가에 의해 고안됨 따라서 위 센터는 8개 영역에 따라 조직화됨- 의료정보 (Medical information amp care) 기능장애 피부 대소변 호흡 그리고

다른 일상생활활동에 대해 교육제공- 간병과 보조기기 (Caregiving amp equipment) 간병인 적합한 기기 그리고 보조기

기의 정보제공 연계- 가정과 교통수단 (Housing amp Transportation) 집의 접근방법 가정간호를 위한

주정부 정보제공 연계- 지지와 건강관리 (Support amp Wellness) 장애인에게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사립 기관- 여가와 레크레이션 (Leisure amp Recreation) 여행 스포츠 예술 댄스 실내외

레크레이션 활동 경험- 재정관리와 법 (Finance amp Law) 장애법 이해- 영감과 희망 (Inspiration amp Hope) 장애를 극복하고 도전적인 삶을 사는 이야기

발견

사 미국 케슬러 재활원 (Kessler Institute for Rehabilitation)의 사회재활

Return-to-Work strategy Services는 고용자와 고용인 그리고 보험회사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되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임- 기능적 역량 평가(Functional Capacity Evaluations FCEs)- 이전 직업의 인지평가(Pre-Vocational Cognitive Evaluations)- 작업상태 평가(Work conditioning)- 인간공학평가(Ergonomic assessments)- 직업재활과 직업가이드 서비스(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Career Guidance

Services)

장애인에게 경쟁력 있는 고용 학교 혹은 자원봉사 하도록 도와주거나 그들에게 사회의 생산적인 일원이 되도록 복돋아줌 위의 결과지향적인 프로그램은

- 54 -

개개인이 실제적인 커리어에 필요한 기술과 전략을 개발하도록 도움- 상담 배경정보 의학적 치유력 교육 및 직업경력 가족관계 개인적인 관심- 직업평가 적성 개성 학업 문제해결능력 조직력 컴퓨터 사무 능력- 직장체험 재활원과 지역사회 병행하며 직장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 커리어 상담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사는 그들의 강점을 인식하도록 도움- 추가 서비스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휠체어 클리닉 운전재활 인지재활

아 호주 Princess Alexandra Hospital (PA Hospital)

ABIOS는 전문가 지역사회기반 재활서비스로 독립성 향상 참여 및 기회제공 적절한 서비스를 통해 뇌손상 장애인과 그들의 가족 및 간병인에게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 통합을 목적을 위해 지원하는 서비스임

외상성 뇌손상 뇌졸중 뇌종양 약물중독 감염 및 질병 산소결핍 알콜middot약물중독 등 후천적 원인에 의한 뇌손상 장애인으로 PHA 퇴원환자 타병원 의뢰환자 기타 재가 장애인 등으로 퀸즈랜드 거주 장애인만 대상이 됨

교육프로그램- 장애인 당사자 가족 간병인 그리고 지역 내 다른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교육을

실시함- 후천적 뇌손상 이해 뇌손상으로 인한 인지적middot행동적 장애 도발적인 행동관리 뇌

손상 장애인 지원을 위한 일반적인 가이드라인 후천적 뇌손상 장애인을 위한 효과적인 생활양식 지원 지역사회 연계 케어 스트레스 사례관리 뇌손상장애인을 위한 목표설정에 관한 주제로 진행됨

STEPS(The Skills To Enable People and Communities)- 뇌졸중 및 뇌손상을 가지고 있는 18~64세 성인과 가족 친구 간병인들과 함께 참

여하고 실제 장애인이 살고 있는 지역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함

- The STEPS Skills Program은 프로그램은 6주간 제공되며 자신을 돌보는 방법 지역사회에서 살아가는 방법 서비스를 받는 방법 등에 대한 지기관리법에 대해 배우며 그룹의 다른 사람들과 경험과 사고를 공유함

- STEPS Network Groups은 지역사회의 지속적인 네트워크가 되며 프로그램의 핵심은 네트워크 구성으로 지원그룹 파트너쉽 등을 형성하며 그룹활동으로 점심 먹기 공원에 소풍가기 모닝차 마시기 패션쇼 경매참여 카드 등 게임하기 볼링

- 55 -

등 레포츠 영화 및 연극보기 시낭송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함

TRP는 재활의 다음 단계로 퀸즐랜드 척수손상병동에 있던 사람들에게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로 대부분의 TRP 프로그램은 4~8주 정도 진행되나 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며 그 이루는 Outreach 서비스로 연계됨- 이동 휠체어 기술 보행 옥외이동기술 등 신체적 기술의 강화 일상생활활동 지

역사회접근 직업 상담 보조기구 운전 및 주택 개조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직업과 직업 전 기술 등에 대해 다룸

척수 손상환자들이 병원 재활에서 지역사회 생활로의 전환을 도와줌으로써 지역사회 재통합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이 있으며 병원으로부터 좀 더 빨리 퇴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줌 프로그램은 전문가들의 다학제적 팀 접근으로 개인의 요구도와 목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며 적극적으로 이러한 프로그램에 가족 파트너 및 친구의 참여를 권장함

SPOT는 기존서비스와의 중복되지 않도록 교육과 상담에 중점을 두며 서비스 내용으로는 스킨케어 보조기구 주택개조 직업 및 교육정보 통증관리 상담과 지원 일상생활활동 관절과 근육문제 자세와 앉기 대소변 관리 다른 관련 건강과 간호문제 등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를 제공함

서비스는 브리즈번에서 200km이내인 경우거나 지역방문의 정규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하는 경우 가정이나 지역방문을 통해 제공되며 또한 전화나 화상회의와 같은 멀티미디어를 사용하여 조언과 교육도 제공됨

장애인에 대한 직접적인 서비스 외에 척수손상에 대한 2차 합병증 예방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장애인 당사자와 주변인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짐 주제는 욕창치료 및 관리 척수손상으로 인한 2차합병증 예방 자세유지 의수족 고령화 등으로 구성됨

- 56 -

자 호주 Royal Rehabilitation centre Sydney

Brain Injury Rehabilitation team(BICRT)- BICRT는 외상성 뇌 손상을 가지고 지역 사회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로 팀원들은 외상성 뇌손상 장애인들이 만족스러운 생활로 돌아가고 독립적인 생활을 격려하며 정서적 사회적 신체적 지적 기능의 수준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도와줌

- 관계(relationships) 건강(health) 학습(learning) 재정(finances) 직장 및 레저 활동(work and leisure)에 관한 지원을 제공함

환자의 의학적 상태에 따라 ldquo재활 밖의 삶(life outside rehab)rdquo을 경험하기 가족과 함께 Transitional Living Unit에 머물도록 장려함 척수손상병동 퇴원 후 프로그램으로 플랫형 공동 주택으로 되어 있으며 3일 동안 지낼 수 있음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체육관 가이드는 지역사회 기반의 헬스 클럽과 피트니스 센터 참석으로 건강 및 피트니스 활동을 추구하기 위한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있는 재활 환자에게 레크리에이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함

홈 기반 재활 서비스 (HBRS)는 북부 시드니 지역 보건 서비스의 거주하고 있으며 최근 부상 또는 질병을 입었거나 받은 수술을 하거나 만성 근골격계 또는 신경학적인 상태의 악화를 경험하신 고객을 대상으로 집중적으로 짧은 기간 가정에서 자신의 재활을 수행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함 환자는 의사나 입원팀에 의해 연계되며 병원 퇴원 전 HBRS 매니저로부터 평가를 받음

운전 평가 및 재활 센터는 장애인이나 의료적 문제가 있는 사람들에게 독립적이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도와줌 DARC는 운전 평가 및 재교육(re-training)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면허를 회복하거나 운전면허 취득을 위해 조언과 도움이 필요한 특별한 요구가 있는 사람들을 지원함

- 57 -

장애인과 그들이 배우자에게 비밀이 보장되는 환경에서 성에 대한 고민과 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배우도록 지원함

변형된 신체상 성에 영향을 주는 감각 이동 대소변 기능에 변화 의사소통문제 여러 가지 성기능의 변화 관계문제 부적절한 성적행동 성에 대한 잘못된 인식 장애 후 다시 시작된 성생활 등 성적 및 성에 대한 고민이 있는 후천적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함

서비스 내용은 성기능 평가 개인의 요구도에 기반한 개별 치료 개별 및 부부상담 장애인과 배우자 부모 및 간병인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전화상담 및 조언 전문가와 지역사회 단체를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작 및 보급 등이 있음

홈페이지 지원

장애와 상관없이 레저 예술 스포츠 레크리에이션 여행 라이프 스타일 등 세계 각지의 개인 단체 및 관련 제품에 대한 필요한 정보가 링크되어 있어 가이드를 제공함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지원 전략

가 재활의료 전달체계 및 사회복귀 연계체계 확립을 위한 국가정책 수립 지원

교육 및 연구 활동을 통한 국가정책 수립 지원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확산을 위하여 권역재활병원 및 재활전문병원의 사회복귀 담당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정 개설

현행 비급여 재활치료서비스의 수가화 기반 마련을 위한 표준 서비스 안 개발- 성재활 언어치료 운동 처방middot상담middot교육- 사회적응훈련치료 사회복귀훈련- 가족상담 보호자교육 환자교육 질병교육

- 58 -

나 서울시 중심 지역사회복귀 지원사업 수행을 통한 확산 모형 개발

직접 포괄적 서비스 제공- 입원재활치료 퇴원 전 사정 외래재활치료 직업훈련 및 사회적응프로그램 지역

사회 자원 확보 및 연계-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서울시 거점보건소와 함께 하는 시범사업 진행 검토

사업모형 확산- 개발된 모형을 권역재활병원 및 거점보건소 등으로 확산 모색

도시형 보건지소를 사회복귀지원프로그램의 지역거점으로 활용- 현재 정부 지원 도시보건지소 5개소 중 일부에서 방문재활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

는 것과 별도로 lsquo서울형 보건지소rsquo를 향후 약 50개소 추가 건립예정임- 보건지소의 역할 중 방문 재활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으나 역할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국립재활원에서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도시형 보건지소의 역할 수립 및 지역 사회 복귀 거점 기관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함

다 사회복귀지원 사업의 효과22)

한국 중증장애인 재활의료이용 현황

2006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로 신규 등록한 장애인의 2005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22) 이 절의 내용은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실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10

참조

- 59 -

진료비 청구내역 자료를 전수 분석하였음

지체장애로 입원한 중증환자의 총재원기간은 578일이었음 지체장애 중 중증이라고 볼 수 있는 척수손상의 경우 미국23)은 2001년 기준 재원기간이 14일로 나타났고 호주24)는 2006년 기준 331일로 나타났음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우리나라의 재원기간이 외국에 비해서는 긴 것으로 나타남

최초입원기간 동안에 소요되는 진료비용은 전체는 약 243만 원 정도가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증의 경우 614만 원 정도가 소요됨 최초입원 에피소드에서 입원횟수는 전체 15회 중증 25회로 장애의 정도가 심한 경우 재원기간도 길어 반복적인 입퇴원이 늘어나는 것으로 판단됨 입원 간격은 전체 139일 중증 113일이었고 건당 재원일은 전체 139일 중증장애 234일로 나타남 중증 장애에서 건당 재원기간도 길고 퇴원 후 입원하는 간격이 짧은 것을 알 수 있음

중증도 환자 수 총재원기간

총진료비용

총입원횟수

입원간격

건당재원일

전체 17345 198 2427985 15 139 139중증 696 578 6144615 25 113 234경증 16649 183 2272614 14 141 135

표 10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지체장애)

(단위 명 일 원 회)

뇌병변장애의 경우 총재원기간이 평균 1008일로 지체장애에 비해 긴 것으로 나타남 특히 중증장애의 총재원기간은 평균 1382일로 4달 이상을 최초입원기간 동안 입원해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이와 같은 결과는 외국과 비교하였을 때 매우 긴 것으로 뇌졸중의 경우 미국25)은 2001년 기준 16일 호주26)는 2006년 기준 280일로 우리나라에 비해 매우 짧은 것으로 나타남

한편 뇌병변장애 최초입원에 들어가는 총진료비용은 전체 1076만원 중증

23) Ottenbager et al Trends in length of stay living setting functional outcome and mortality following

medical rehabilitation JAMA 2004 292(14) 1687-1695

24) Simmonds and Stevermuer The AROC annual report the state of rehabilitation in Australia 2008

Australian Health Review 2008 32(1) 85-110

25) Ottenbager et al Trends in length of stay living setting functional outcome and mortality following

medical rehabilitation JAMA 2004 292(14) 1687-1695

26) Simmonds and Stevermuer The AROC annual report the state of rehabilitation in Australia 2008

Australian Health Review 2008 32(1) 85-110

- 60 -

1451만원으로 초기치료비용이 상당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총 입원횟수는 전체 28회 중증장애 34회였고 최초입원 에피소드 중 입원간격은 전체 76일 중증 71일로 지체장애에 비해 짧았음 한번 입원한 경우 재원기간은 전체는 394일 중증장애는 491일이었음

중증도 환자 수 총재원기간

총진료비용

총입원횟수

입원간격

건당재원일

전체 7325 1008 10760785 28 76 394중증 4430 1382 14507511 34 71 491경증 2895 436 5027454 2 87 245

표 11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뇌병변장애)

(단위 명 일 원 회)

한편 지체장애의 경우 전체 17345명 가운데 9128명이 재입원하여 526의 재입원률을 보임 이 가운데 중증장애 환자는 629가 재입원하였음 척수손상의 경우 미국27)에서 2년 재입원률은 326 10년 재입원률은 52로 나타남 호주28)의 경우 척수손상 환자의 10년 재입원률을 586로 보고하였음 이와 같은 결과와 비교하여 볼 때 우리나라의 재입원률이 외국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재입원 환자의 총재원기간은 전체 179일 중증장애 703일이었음 총진료비용은 전체 159만원 중증장애 643만원이었고 총입원횟수는 전체 19회 중증장애 47회로 중증장애 환자가 재입원횟수가 더 많음을 알 수 있음 재입원 간당 입원일수는 전체 57일 중증장애 168일로 나타남

27) Dersett amp Geraghty Health-related outcomes of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a 10 year

longitudinal study Spinal cord 2008 46 386-391

28) Middleton et al Patterns of morbidity and rehospitalisation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Spinal cord

2004 42 359-367

- 61 -

중증도 환자 수(재입원률)

총재원기간

총진료비용

총입원횟수 입원간격 건당

재원일

전체 9128(526) 179 1588881 19 42 57

중증 438(629) 703 6427675 47 527 168

경증 8690(522) 157 1386598 18 416 52

표 12 재입원 의료이용 현황(지체장애)

(단위 명 일 원 회)

뇌병변장애 환자 7325명 중 뇌병변장애 관련 합병증으로 재입원한 환자는 총 3575명으로 이는 전체의 488를 차지함 중증장애의 경우 553의 재입원률을 보여 지체장애와 마찬가지로 중증에서 높은 재입원률을 보임 미국의 연구들29)30)에 따르면 뇌졸중 환자의 1년 재입원률은 1998-2000년 사이에는 37-47 2000-2001년 사이에는 311로 나왔는데 우리나라와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의 재입원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재입원 환자의 총재원기간은 전체 722일 중증장애 1040일이었음 총진료비용은 전체 546만원 중증장애 789만원이었고 총입원횟수는 전체 25회 중증장애 31회로 중증장애 환자들이 비용도 많이 들고 입원횟수 및 기간도 긺을 알 수 있음 건당 재원일은 전체 222일 중증장애 317일로 나타남

중증도 환자 수(재입원률)

총재원기간

총진료비용

총입원횟수 입원간격 건당

재원일

전체 3575(488) 722 5460980 25 288 222

중증 2451(553) 104 7889880 31 317 317

경증 1124(388) 235 1744217 16 244 76

표 13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뇌병변장애)

(단위 명 일 원 회)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의 반복적인 입퇴원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첫 입원시점부터 3년까지의 입원양상을 분석함 각 환자의 최초입원 시점을 0일로 하고

29) Smith et al Rehospitalization and survival for survival for stroke patients in managed care and

traditional medicare plans Med care 2005 43(9) 902-910

30) Jia et al Multiple system utilization and mortality for veterans with stroke Stroke 2007 38

355-360

- 62 -

3년까지 매일 입원상태를 파악하여 모든 환자의 입퇴원 양상을 파악함

분석결과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 모두 반복적으로 입퇴원하는 양상을 보임 지체장애의 경우 17000여명의 환자 가운데 대부분은 입원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았지만 입원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이용하는 500여명은 입퇴원을 반복적으로 하고 있었음 이러한 모습은 중증에서 보다 두드러졌는데 전체 700여명의 환자 가운데 300여명이 반복적인 입퇴원을 하고 있었음 입원기간은 대략 한 달 정도였고 퇴원과 다음 입원 사이에도 약 한 달의 간격이 존재함

- 63 -

뇌병변장애의 경우 이러한 양상이 더욱 두드러졌음 전체 7000여명 가운데 2000여 명 가량이 반복적인 입퇴원을 하고 있었고 중증장애의 경우 전체 4500여명 가운데 1500여명 이상이 반복적인 입퇴원을 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음

이러한 반복적인 입퇴원은 보험료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 현행 건강보험 수가에서는 재활 환자가 입원한지 15일이 경과하였을 경우 10의 보험

- 64 -

료 삭감이 이루어지고 30일 이후에는 15의 보험료 삭감이 이루어짐 그렇기 때문에 재활서비스를 받아야할 필요가 있는 환자일지라도 한 달 정도 입원하면 의료기관에서 퇴원을 시키게 되고 환자는 다시금 재활서비스를 받기위해 동일 의료기관 혹은 다른 의료기관에 재입원할 수밖에 없음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경우 지역사회 복귀가 지연될 우려가 있음

사회복귀지원 사업을 통한 재원기간 감소 효과

재활의료기관에서 부적절한 재활의료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재활 성과가 불충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반복적인 입원 및 의료비용 증가의 문제가 발생함 서비스 강도가 약할 경우 서비스 제공 기간의 길이와 상관없이 추가적인 의료이용량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음

초기 장애발생 직후부터 의료기관에서 환자에게 적극적인 사회복귀지원 사업을 제공한다면 적절한 재활의료서비스 제공을 통해 보다 많은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의료이용 관련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현재의 불안정한 사회복귀 재정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재정기전의 마련이 필요함 이를 위해 적절한 사회복귀프로그램의 부재로 인하여 발생하는 장기입원 사회복귀 지연으로 야기되는 개인적 사회적 비용을 추계하여 이를 근거로 사회복귀 재정 기전을 확립해 나가야 할 것임

2008년 장애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체 및 뇌병변장애인 의료서비스 미치료율이 지체장애 534 뇌병변장애 180로 나타났음 이들 대부분이 치료해도 나을 것 같지 않거나(지체 364 뇌병변 349) 치료해도 효과가 없다(지체 445 뇌병변 309)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 우리나라의 재활의료서비스가 서비스 대상자에 기대에 못 미치는 수준으로 제공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음

한편 반복적인 입퇴원을 줄이기 위해 표준산정일수를 도입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음 국내 다수의 재활의료 전문가들은 표준산정일수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추산된 일수는 180일로 일본의 보수지불사례와 유사하였음

필요하다 필요하지 않다표준산정일수 필요성 760 240

표 14 표준산정일수 필요성

- 65 -

Mean CV Median표준산정일수 추산 180일 019 180일

표 15 필요하다고 응답한 전문가들의 표준산정일수 추산

라 재원 확보 방안

수가화 모색

현재에도 운동치료 재활사회사업(개인력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문) 등은 수가로 인정되는 항목임 이를 기준으로 성재활 언어치료 운동 처방middot상담middot교육 사회적응훈련치료 middot 사회복귀훈련 방문재활 가족상담 보호자교육 환자교육 질병교육 등에 대한 수가화 방안을 모색

재활전문의료기관 인증기관에 재활수가를 별도로 인정하는 방안

가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재활인증 의료기관

현재 근로복지공단이 주관하여 산재보험재활인증 의료기관을 선정하고 다음과 같은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음- 이학요법료 수가(급여항목)의 20 별도 인정- 시범실시 재활수가 29개 항목 추가 인정 18개 비급여 항목 11개 급여항목 기준

완화 적용- 정기 현지조사 면제 및 재활치료 대상자의 전원 지원 등

- 66 -

인증기관에 대한 평가 항목은 다음과 같음

구분 평가기준 평가내용필수항목 재활전문인력의 충족성 인력구성 부문 평가

평가항목

(100점)

시설 및 장비의 적절성 (50점)

시설구비재활치료장비

재활의료서비스제공체계 (50점)

재활전문인력 다직종간 팀 구성 및 활동내역

(25점)

다직종간 팀 구성 여부팀 단위 평가회의 여부

팀 단위 회의록 작성 및 보관여부재활간호서비스 제공여부

보장구 처방검수 제공 체계

질적 서비스의 제공(25점)

입원시 재활치료 계획 수립여부기능상태 평가 및 정기적 재평가 여부

퇴원전 퇴원계획 수립여부재활치료계획에 환자 또는 보호자 교육 및 설명여부

기타항목

(10점)

권고사항

언어치료사(4점) 임상심리사(4점) 여부

산재근로자 상담공간 보유 여부(2점)

표 16 인증기관 평가 항목

추가인정 재활수가 항목은 다음과 같음

비급여 항목 급여적용 요양급여 적용기준 완화 언어전반진단검사 발음 및 발성검사 체온열 검사 보스톤 사물이름 대기검사 장비를 이용한 근력검사 체외충격파치료(근골격계 질환) 기립경사훈련(단순재활치료) 집단운동치료(단순재활치료) 집단상담치료(단순재활치료) 전산화인지재활치료(전문재활치료) 연하재활 기능적전기자극치료(전문재활치료) 증식치료(사지관절부위 및 척추부위 전문재활치

료) 근육내자극술(단순 전문재활치료) 언어치료(전문재활치료) 수기요법(단순재활치료) 수중운동평가 수중운동치료(11 전문재활치료) 수중운동치료(그룹치료 단순재활치료)

나-610-가 신경학적검사 나-661 도수근력검사 너-771 일상생활동작검사 너-772 수지기능검사 너-773 관절가동범위검사 사-105 맛사지치료 사-116 운동치료 사-130 재활기능치료 사-121 풀치료 사-128-나 재활사회사업(사회사업상담)

표 17 추가인정 재활수가 항목

- 67 -

나 보건복지부의 재활전문병원

보건복지부는 환자구성비율 진료량 필수진료과목 의료인력 및 병상 등의 지정기준을 평가하여 2011년 10개 의료기관을 재활전문병원으로 지정하였음- 국립재활원재활병원- 서울재활병원- 파크사이드재활의학병원- 남산병원- 브래덤기념병원- 유성웰니스요양병원- 카이저병원- 러스크분당병원- 행복한병원- 늘봄재활요양병원

현재 보건복지부의 재활전문병원 지정에 따른 인센티브는 3년 간 lsquo보건복지부 지정 전문병원rsquo 명칭을 사용할 수 있는 것뿐임

향후 보건복지부 지정 재활전문병원에 제한적으로 운동치료 재활사회사업(개인력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문) 성재활 언어치료 운동 처방middot상담middot교육 사회적응훈련치료 middot 사회복귀훈련 방문재활 가족상담 보호자교육 환자교육 질병교육 등에 대한 수가를 별도로 인정하는 방안을 모색

이와 더불어 현재도 인정되고 있는 수가들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현실에 맞게 조정하고 정리하는 것이 필요함

공익기금 활용

가 교통사고 및 보험 관련

미국 버지니아 주 Community rehabilitation program 재정의 15는 CNI trust fund (운전면허취소자가 면허 재취득시 내는 요금)으로 부담함

한국에서도 교통범칙금 일부를 활용할 수 있을 것임- 현재 한국의 자동차교통관리개선특별회계법에는 교통범칙금의 이용에 관한 별도의

규정이 없어 교통범칙금의 20sim25 정도만이 교통관련 예산으로 사용되고 나머지는 일반회계에 편입되면서 대부분 교통과는 무관한 데 사용돼 왔음

- 68 -

또한 민간 보험업체들도 각각 사회공헌기금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이 기금을 활용하는 방안도 모색될 수 있음- 2011년 11월 손해보험협회는 약 200억 원의 기금 조성 계획을 밝혔음 - 생명보험사가 소속된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는 2011년 약 274억 원의 사회공헌

재원을 조성하여 기금을 조성하여 희귀난치성 질환자 지원 자살예방 지원 저소득 치매노인 지원 저출산 해소 및 미숙아 지원 사회적 의인 지원 금융보험교육 및 학술연구활동 지원 사회공익 및 복지활동 소비자 권익증진 기타 대국민 복지 지원 등에 사용해왔음

나 음주 관련

한국 음주문화연구센터는 주류 및 주정 회사가 주류 소비자의 보호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위하여 출연한 재원으로 운영되며 알코올상담센터 등의 활동을 수행함

주류 건강증진부담금 부과된다면 그 일부를 활용할 수 있을 것임

다 담배부담금 일부 활용

국민건강증진법 제25조(기금의 사용등)에 의하면 ldquo보건복지부장관은 기금을 제1항 각호의 사업에 사용함에 있어서 아동middot청소년middot여성middot노인middot장애인 등에 대하여 특별히 배려middot지원할 수 있다rdquo고 규정되어 있음

이러한 규정을 활용하여 담배부담금 일부를 활용할 수 있을 것임

요약 및 소결

다양한 사회복귀 프로그램 중 국립재활원이 중점적으로 추구해야 하는 사업은 병원 기반 사회복귀 지원체계임 - 병원 기반 사회복귀 지원체계는 환자 입원 후 사례관리회의 때부터 시작하여 맞

춤형 사회복귀프로그램 제공 퇴원 전 사정회의와 지역사회 자원 연계 사후관리로 이어지는 일련의 프로그램들임

- 병원 기반 사회복귀 프로그램은 일상생활훈련(실생활 훈련)을 비롯하여 운전교육 컴퓨터 교육 학업(직장) 복귀지원 주택개조 정보 제공 및 연계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멘토링(동료상담) 프로그램 정서적 지원 성재활 지역사회자원 연계 가족지지상담 및 프로그램 법률지원서비스 독립생활체험 활동보조인 이용체험 보조기 평가 및 대여이용체험 등으로 구성됨

- 69 -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 방안 모색을 위해 기존 연구 및 타 기관 사례를 검토하고 현재 국립재활원 사회복귀 지원 현황을 검토하였음 - 그간 국립재활원에서 수행해 온 사회복귀프로그램은 주간재활센터프로그램 등으로

일상생활훈련 운전교육 직업 및 학업복귀 사회참여활동 및 지역자원 연계 독립생활체험 재활스포츠 활동 성재활 상담 음악치료 치료레크리에이션 실생활재활치료 가족프로그램 등의 사업을 수행하였음

- 조직개편 이후 신설된 사회복귀지원과에서도 일상생활훈련 의료지원 및 상담 정보제공 운동 운전교욱 사회체험 직업적응 취미활동 등의 사업을 수행해왔음

- 국내 일부 재활병원과 산재병원에서도 유사한 사회재활프로그램과 환자 및 보호자 지원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음

-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는 병원 연구소 학원 훈련센터로 구성되어 있어서 연구-재활치료-교육-사회복귀가 모두 한 공간에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성이 있음 그 외 미국 및 호주 재활병원의 사회복귀지원프로그램들을 검토하였음

이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지원 전략은 다음과 같음- 재활의료 전달체계 및 사회복귀 연계체계 확립을 위한 국가정책 수립 지원으로

교육 및 연구 활동과 성재활 운동처방 등 현행 비급여 재활치료서비스의 수가화 기반 마련을 위한 표준 서비스 안을 개발함

- 서울시 중심 지역사회복귀 지원사업 수행을 통한 확산 모형 개발로 입원재활치료 퇴원 전 사정 외래재활치료 직업훈련 및 사회적응프로그램 지역사회 자원 확보 및 연계직접 포괄적 서비스 제공하면서 개발된 모형을 권역재활병원 및 거점보건소 등으로 확산시킴

- 사회복귀 지원을 통해 부적저한 재활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발생하는 불충분한 재활 성과와 반복적인 입원 및 의료비용의 증가문제를 줄일 수 있음

- 초기 장애발생 직후부터 의료기관에서 환자에게 적극적인 사회복귀지원 사업을 제공한다면 적절한 재활의료서비스 제공을 통해 보다 많은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의료이용 관련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사회복귀 지원 사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재원 확보 방안은 다음의 방법들을 고려할 수 있음- 현재 수가로 인정받는 운동치료 재활사회사업(개인력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

문) 등을 기준으로 성재활 언어치료 운동 처방middot상담middot교육 사회적응훈련치료 middot 사회복귀훈련 방문재활 가족상담 보호자교육 환자교육 질병교육 등에 대한 수가화 방안을 모색

-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재활인증 의료기관 수가 지원을 참고하여 보건복지부의 재활전문병원 지정에 따른 인센티브로서 별도 수가 인정 방안 모색

- 70 -

- 교통범칙금 민간 보험업체들의 사회공헌기금 등 교통사고 및 보험관련 기금들을 활용하는 방안 모색

- 담배 및 주류로 인한 건강증진부담금 일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

- 71 -

제4장 (가칭)장애인재활교육훈련시설(체육관) 운영 방안

개요

국제연합(UN)에 의하면 21세기의 특징은 아래와 같음 - 첫째 인구지진(Age-quake)으로 저출산고령화라는 인구학적 변화가 사회 경제

문화는 물론 보건의료체계에 개혁적인 변화를 요구- 둘째 만성 비전염성 질환 증가로 건강관리 체계를 기존 치료(cure)에서 관리

(care)로의 변화를 요구

이를 종합해 보면 현 시대는 인구수는 증가하지 않으면서 평균 수명은 증가하고 각 종 만성 퇴행성 질환으로 건강 수명(Disability-adjusted life expectancy)은 오히려 감소하는 시대적 특징을 대변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음

따라서 21세기를 사는 현대인들은 인간의 꿈이라 할 수 있는 건강 장수를 위해 건강 수명 증가를 위한 국민 개인의 노력이 필요한 실정임

이에 부응 하여 우리나라에서도 과거 그 어느 때 보다도 많은 사람들이 규칙적 운동(체육 스포츠 포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제로 일상에서 개인의 건강관리를 위해 각 종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음

신체활동을 하는 사람이 다르면 사람마다 신체활동의 목표가 다르듯 운동의 방법 즉 체육 스포츠의 형태 및 활동량도 다를 수 있으며 특히 각종 만성퇴행성 질환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달라야 할 것임

지체 장애 및 뇌병변 장애로 신체 기능의 제한이 있는 장애인들의 경우 재활 치료 외에 본인에게 적합한 운동에 대한 정보를 얻기 힘든 것이 현재 실정임

노령 인구 뿐 아니라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경우 심장마비(심근 경색 심정지) 및 각 종 근골격계 손상(염좌 낙상 골절 등)이 더 쉽게 발생 할 수 있어 이에 대한 방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

그러므로 고령화가 지속되고 만성질환 유병률이 증가되고 있는 시대적 상황에서 건강 수명 증가를 목적으로 체육 및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람들(일정 수준의 만성질환 위험인자 보유자 및 질환자)은 기본적으로 본인의

- 72 -

건강도(medical condition)와 기능적 능력(functional abilties) 들이 평가된 후 실행가능성(feasibilty)과 효과성(efficacy)이 검증된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함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중에 안정 시에 나타나지 않았던 내재된 심혈관계 관련 이상 증상 및 징후를 조기발견하거나 추적관찰하는 것도 안전하고 지속적인 프로그램 참여를 위해 필요함

따라서 국립재활원 장애인 건강증진센터에서는 원내 입원한 환자들 및 지역사회 장애인(만성질환 위험인자 보유자 및 질환자 장애인)을 대상으로 개인별 운동 목적에 부합되는 운동 프로그램을 체계적이고 개별적으로 처방 및 지도관리하기 위해 운동 처방 시스템을 운영하고자 함

필요성 및 현황

가 필요성

현재 우리나라의 평균수명은 786세인 반면 건강수명은 686세로 평균 수명은 과거 그 어느 때보다도 증가되었으나 건강 수명은 평균 수명 보다 무려 10여년이나 짧게 나타나고 있음(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31)

이는 국가의 의료비 부담은 물론 국민의 삶의 질에 막대한 문제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이와 같은 시대적 특성은 국가는 물론 국민 모두에게 보다 적극적인 대처 방안의 모색을 요구하고 있음

여러 가지 방안 중에서 규칙적인 운동의 실천은 개인의 의료비 절감과 건강 수명 연장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으로 잘 알려져 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국민의 운동 실천율은 선진국 보다 매우 낮은 수준인 341(예 미국 55)로 나타나 있음(보건복지부 2006)32)

건강관리를 위해 일정 수준의 운동을 실천하지 않는 운동 부족으로 인한 비용은 총 건강관리 비용의 약 6를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전 세계적으로 1900만 명의 사망 원인이 되는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또한 운동 부족은 각종 만성 질환(심혈관질환 허혈성 뇌졸중 제 2형 당뇨병 결장암 및 유방암

31) 건강수명의 사회계층간 형평성 및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32) 새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수립 보건복지부 2006

- 73 -

등)의 독립적 주요 위험 인자이며 더불어 비만이나 낙상 및 정신 건강 등의 다른 건강 수준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규칙적인 운동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률을 감소시키고 심혈관 질환 대장암 및 제 2형 당뇨병 고혈압 비만 등을 예방 및 개선시키며 골다공증 예방 및 감소와 그에 따른 골절 위험 감소 요통 통증 완화 등의 근골격계 건강을 유지향상시킴(Astrand PO 등 2003)33)

운동은 심리적 효과(심리적 안녕감 증진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 감소) 고 위험 행위(흡연 음주 약불 복용 건강하지 못한 식이 폭력) 예방 및 조절이라는 효과 또한 갖고 있음 또한 그 어느 건강관리를 위한 중재 방안에서도 얻을 수 없는 건강관리에 가장 중요한 독립적 기능 수행 능력을 유지향상시킬 수 있어 질적 수명 향상에도 효과가 있음

그러므로 고령화 속도 세계 1위이면서 각 종 만성질환 유병률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시대적 특성을 고려해 볼 때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건강관리 방안은 운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스스로 규칙적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음

위와 같은 운동의 중요성에 따라 국립재활원은 건강증진센터를 소외되기 쉬운 장애인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운영하고자 함- 첫째 재활병원 내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용이하여 원내 입원 환자와 지역 사회 장

애인들이 입원초기부터 신체기능 향상을 위한 재활치료와 더불어 심폐기능 등의 기초체력 향상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이 병행가능하게 되어 규칙적인 운동을 위한 동기화를 촉진함

- 둘째 의료진 및 전문 치료사 특수 체육 교사에 의한 운동 프로그램을 처방 및 지속적인 지도를 받음으로써 안전하고 효과적인 체육활동을 가능하게 함

- 셋째 개인의 신체활동 상태 및 진행 사항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실시간으로 운동 정도를 조절하고 관리 할 수 있음

- 넷째 등록된 의료기관에 수집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진료 시 필요한 개인별 건강생활습관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어 의료비 절감과 효과적인 진료서비스를 제공 가능함

- 다섯째 국립재활체육센터에서도 개인별 자료를 확인 할 수 있으므로 체육 지도자 및 개인이 보다 안전하고 목적에 부합되는 운동을 할 수 있어 참여자들이 개인의

33) Metabolism during Exercise ndash Energy Expenditure and Hormonal Change Astrand PO Michael

Kjaer Michael Krogsgaard Peter Magnusson Lars Engebretsen etc 2003

- 74 -

건강관리에 대한 안정감과 자신감을 갖고 동시에 일상에서 웰빙감과 개선된 삶의 질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질적 수명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

나 운영 목적

장애인 건강 증진 센터에 등록된 장애인들에게 개인별 신체병력 자료를 기초로 심폐기능 및 지구력 등의 운동 기능 검사 및 건강 체력 수준을 평가하여 이를 기반으로 과학적으로 검증되고 수요자에게 안전하고 선호하는 실행 가능하고 효과성 있는 운동 프로그램을 처방하여 퇴원이후에 자가 건강관리가 가능하도록 함

일정 기간(3~6 개월) 재활체육을 처방 및 지도하여 운동 프로그램을 경험한 참여자에게 스스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을 지속적으로 유지 및 관리하도록 함

다 현황

일반현황

장애인을 위한 체육 시설은 전국적으로 22개소로 이는 비장애인 체육시설의 0044 수준임

일반체육 시설 내 장애인 활용을 위한 편의시설이 미흡하며 프로그램도 부재함

시설 운영비 문제로 장애인 체육시설 조차 장애인 이용 극도로 제한적임

한계점

일반 체육시설에 있어 장애인 이용 편의 설비 규정 부재 체육시설의 설치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관련 항목 부재

장애인 체육시설의 경우 예산 부족을 이유로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수익사업에 치중

시설 내 장애인체육 프로그램 비활성화

- 75 -

국립재활원 건강증진센터 운영 현황 년 월

병원동 신관 2층 심폐재활실에서 운영

운동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 보유

장 비 명 용 도 수 량운동검사기 트레드밀 운동 장비 트레드밀

각력계 (Cybex) 상ㆍ하지용

체간용

심ㆍ폐 지구력 측정 및 평가용

심ㆍ폐 지구력 증진용

근력 측정 및 평가용

2 대

1 대

2 대1 대

표 18 장비 목록

필요시 타 부서 소속의 장비를 임대하여 사용

장 비 명 (소속) 용 도 수 량운동 장비

트레드밀 (연구소) 스텝퍼 (연구소)

Ergometer (신관 병동)체지방 측정기 (검사실)

응급치료장비 (병동) 수동 제세동기 이송용 침대 응급 키트

심ㆍ폐 지구력 증진용

체지방량 측정 및 평가용응급상황 처치용

1대1대3대1대

1대1대1대

표 19 임시 장비 목록

운영 인력은 4인으로 구성

직 위 인 원 업 무 재활의학과 전문의

물리치료사

간호사

2 인

1 인

1 인

운동부하 검사 처방 및 결과 분석개인별 운동 상담개인별 운동 처방

근력 평가 및 운동부하검사 시행심폐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 지도

근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운동 지도체지방 측정

운동 검사 및 운동 지도 보조심폐 소생술 교육 보조

표 20 인력 현황

- 76 -

운영방법

대상자- 입원 환자- 뇌병변 환자 - 고관절 굴근과 신근 및 무릎관절 신근의 근력이 근력등급 3이상- 동적 균형 조절능력이 양호- 보행 동작이 독립적으로 가능 (보조기 사용 여부와 무관)- 인지 기능 양호(간이정신진단 검사 점수gt19)하며 의사소통이 원활한 자 - 운동부하검사의 금기사항이 없는 자 (미국 스포츠 의학회 지침에 의거)

검사 및 처방 시행 운영 방법- 운동 부하 검사 주 2회 (화목 오후)- 한 명의 환자에게 심폐부하검사와 근력 검사를 시행한 후 그 결과를 근거로 운동

처방- 한 주기동안 운동이 가능한 환자 대상- 종합적 체력 단련 방식(circuit training) 총 40분 혹은 60분- 등속성 근력 운동(CYBEX) + 트레드밀 보행 + 에르고미터 (상ㆍ하지) 운동을 통합

하여 한 주기로 만들어 시행

운동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신체병력 상태에 따라 차등 적용

주 2회 (60분회) - 화 목 주 3회 (40분회) - 월 수 금대상자

구성

기간

중위험군 저위험군(비혈관성 뇌병변 질환)

Cybex 15-20분

(8-12회 반복 8-10세트)고정형 자전거 15분

트레드밀 20분

6주 (총 12회)

고위험군(혈관성 뇌병변 질환 위주)

Cybex 15-20분

(8-12회 반복 8-10세트)고정형 자전거 15분 혹은트레드밀 15분 중 택 1

6주 (총 18회)

표 21 운동 프로그램

심폐재활실의 운영 대상- 입원 환자 적용 범위 확대 뇌병변 장애인 척수 손상 장애인 지체 장애인 - 국립재활체육센터 방문자 중 의료진의 일차 면담을 통하여 심폐 기능 평가 및 근

력 평가 등 운동 부하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자

- 77 -

현재 소유 혹은 임대하고 있는 장비만으로는 장애인 개개인의 운동능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추가적인 장비가 필요

이용 목적 업무 필요 장비

심폐 재활실

입원환자의 운동 처방 및 운동 프로그램 운영운동 검사 및 건강 체력 수준 평가

심ㆍ폐 지구력 측정 및 평가 및 근력 측정 모니터링하에 운동 프로그램 운영 국립재활체육센터와 연계

운동검사기 심ㆍ폐 지구력 측정 및 평가용 - 트레드밀 - 정지형 자전거  - 휠체어 트레드밀 악력계 근력 측정 및 평가용(전완) 배근력계근력 측정 및 평가용(체간) 각력계근력 측정 및 평가용(하지) 윗몸일으키기계 근지구력 측정 및 평가용(체간) 팔굽혀펴기계 근지구력 측정 및 평가용(상완) 체지방 측정기 체지방량 측정 및 평가용 체전굴계유연성 측정 및 평가용 평형성 측정기평형성 측정 및 평가용 기타 장비 자동 제세동기 응급 키드 환자 이동용 침대 체중계

표 22 추가 필요 장비

현재 있는 인력이외에 추가적인 인력이 필요- 근력 평가 및 운동 지도 1명- 심폐 기능 검사 및 운동 모니터링 1명

타기관 운영 사례

가 국내 스포츠 센터

상계백병원 심장재활센터

진료과 재활의학과

인력 재활의학과 전문의(1명) 전공의(1명) 간호사(2명) 치료사(1명)- 주중 운동부하 검사와 개별 환자운동은 상시 운영(상주 인원 간호사 1명 치료사

1명)되며 수금(오전)에는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개별 진료 및 상담하고 재활의학과 전공의 1명과 간호사 1명 업무지원

- 진료내용 운동부하 검사 시행 운동처방 개별운동 시행

- 78 -

운영 현황- 검사 혹은 운동 시 발생할 수 있는 응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시

설 구비- 근무 인력의 업무 분담으로 보다 많은 환자의 수용(평가(간호사 1인)와 개별운동

모니터(치료사 1인))- 개별운동 환자를 위한 서비스(개별 운동복과 운동화 비치 탈의실과 샤워실 구비)

타과 환자의 재활프로그램 운영- 의뢰에 따라 운동부하검사 실시 rarr 결과에 맞춘 운동처방 rarr 처방에 따른 개별운동

지도(6주) rarr 6주 후 재평가(환자에 따라 3개월 6개월 1년 후 정기적인 검사 시행)

운동 프로그램 구성- 본격적인 개별운동 전후의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매트에서 환자 스스로 자율운동

으로 시작하여 일반적으로 트레드밀 운동(12분~16분)과 에르고미터(10분~12분)운동으로 이루어지고 소요시간은 준비운동정리운동 포함하여 일회당 대략 40분 정도이고 비용은 2만5천원회

- 운동 중 심박수와 심전도를 모니터할 수 있는 장비를 착용하고 운동시행

서울아산병원 스포츠건강의학센터

- 79 -

정형외과에서 운영

인력 정형외과 전문의 등 스포츠의학 관련 의사(7명) 운동지도사(11명) 간호사(1명)- 병원 내에 검사 및 운동 지도하는 스포츠건강의학센터 병동 내에 관절 수술 전후

의 입원 중인 환자에게 검사와 운동을 시행하는 병동 내 센터 지속적인 운동과 관리를 원하는 외래 환자를 위한 스포츠센터 등으로 운영

- 진료내용 다양한 질환에 맞는 운동부하검사근력균형감각유연성 등 전반적인 체력검사 시행 운동처방 운동지도(병동 내 센터) 및 개별운동(병동 외 스포츠센터) 으로 진행

운영 현황- 응급상황에 대비한 응급의료장비 설치- 근무 인력의 업무 분담으로 보다 많은 환자의 수용(코디네이터(간호사 1인)와 운동

교육 및 개별운동(운동지도사 11인))

개별운동 환자를 위한 서비스(개별운동복과 운동화 비치 탈의실과 샤워실 구비)

환자의뢰에 따라 필요한 검사 실시 rarr 결과에 맞춘 운동처방 rarr 처방에 따른 개별운동지도(1일 지도 2주 1개월 그 이상)

스포츠건강의학센터 내에서는 심박수와 심전도를 모니터할 수 있는 장비 착용 후 운동시행

11로 질환에 맞는 운동방법지도 후 종료하는 경우도 있음(비용- 4만 8천원)

지속적인 운동을 원하는 경우 의사의 처방 하에 스포츠센터에서 자유로이 운동 가능(비용-월 20여 만원)

삼성서울병원 스포츠 의학 센터

진료과 스포츠의학과 심장내과 (심장재활팀과 연계)

인력 스포츠 의학 전문의 운동지도사 간호사

진료내용 건강검진 혹은 심장질환자에 대한 심폐부하검사와 몸통과 팔다리의 근력 및 균형감각유연성 등 전반적인 운동능력평가 시행 스포츠의학 전문의

- 80 -

와의 상담을 거쳐 운동처방을 받은 후 운동지도사의 지도하에 개별 혹은 단체 운동 수행

운영 현황- 응급상황에 대비한 의료인(내과의사 간호사) 배치 및 응급의료장비 설치- 시간별 개별 업무 내용이 나누어짐(일반 환자 심폐능력 평가시간과 심장질환 혹은

타 혈관질환의 평가시간을 다르게 배정)- 심혈관계 환자의 평가 혹은 운동시간에는 심전도와 맥박 텔레모니터링 체계하에

시행- 운동은 스트레칭과 걷기 운동으로 시작하여 트레드밀 싸이클을 시행한 후 마무리

운동- 개별운동복과 운동화 비치 탈의실과 샤워실 구비- 정기적으로 심폐기능 평가 시행 후 전후 비교

고양시 재활스포츠센터

체육관 운영 현황- 운영 201011월~- 연면적 585294(지하 2층 지상 3층) 건축면적 237589

주요시설현황- 3층 관람석- 2층 체육관(97565) 다목적실(123실 9752)- 1층 헬스장(25823) 접수안내실 매점 사무실- 지하1층 수영장 쉼터- 지하2층 기계실 등

운영 인력 총 57명(정규직26 강사31)

구분 센터장 팀장특수체육교사

헬스트레이너

수영교사

사무원

안내원

전기기사

운전기사

탈의실보조

경비 청소 계

정규직 1 3 3 2 8 2 2 2 3 - - 26

강사 - - 4 5 13 2 - - - 4 3 31

표 23 고양시 재활스포츠센터 인력구성

- 81 -

운영 예산 19억원(시 지원 50)

체육장비 보유금액 7억(수영용품 196백만원 포함) 사무용비품 9천5백 일반비품 5천5백 등 별도

운영방법- 운영시간 매일 운영(오전9시 ~ 오후9시)- 이용료 장애인은 비장애인의 50- 운영방식

① 11(강사 장애인) 프로그램 운영 자폐성장애인 뇌병변장애인 ② 그룹지도 지체 및 지적 장애인은 4명에 강사 1인

이용 현황 장애인 50 비장애인 50- 일일평균이용인원(900여명)

일일평균 장애인 이용률 체력단련실 다목적체육관 230명

다양한 장애인 체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재활체육프로그램

구분 프로그램 대 상 시 간 요 일 회 비(원)

체육관

재활농구지적장애 초등부 1030~1200 토

48000지적장애 중ㆍ고등부 0900~1030 토

재활운동 성인 1100~1150 월 수 금 20000

헬스장 재활헬스 성인청소년

0600~2100 월~금20000

0800~1700 토일일입장 월~토 2000

재활체육실

특수체육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A B F반)

1500~1550월 수 560001600~1650

1600~165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청소년성인 1700~1830 월 수 9600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청소년 1700~1750 월 수 5600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

1500~1550화 목 560001600~1650

1700~175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청소년 1630~1800 화 목 96000

표 24 재활 체육 프로그램 목록

- 82 -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무료

- 생활체육프로그램

부산시설공단 한마음스포츠센터

체육관 운영 현황- 운영 20071227~- 연면적 77081(지하 1층 지상 4층)- 주요시설현황

① 4층 조깅트랙(130m) ② 3층 체육관(배드민턴 농구대 배구대 샤워실) ③ 2층 헬스장 ④ 1층 수영장 에어로빅실 안내데스크 관리사무실 휠체어 무상수리센터 ⑤ 지하1층 주차장

운영인력은 총 59명(정규직8 무기계약직13 강사38)으로 세부인원은 아래와 같음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성인 1800~1930 화 목 9600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 주1회 2800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청소년 주2회 56000

특수체육(인라인스케이트)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아동청소년

1500~1600

금 400001600~1700

1700~1800

특수체육(태권도) 지적장애 청소년성인 1300~1400 화 금 80000

프로그램 대 상 시 간 요 일 회 비탁구 장애인 1100~1800 월 수 금

상담 후 결정

휠체어 럭비지체성인

1300~1600 화 목죄식 배구 1500~1800 일

휠체어 댄스스포츠 1800~2000 월휠체어 농구 지체성인(여자) 1700~2000 수 금

농구 지적성인 1000~1200 화 목청각장애성인 1000~1200 수

보치아 뇌병변 청소년성인 1300~1500 수1300~1500 금

골볼 시각장애성인 1500~1700 금

표 25 생활체육프로그램 목록

- 83 -

① 정규직(8) 파트장 행정3 시설4 ② 무기계약직(13) 안내4 트레이너 9 ③ 강사(38) 체육관 27 수영11

수입금 실적현황 1065백만원(입장료 1053백만원 시설사용료 11백만원 잡수입 1백만원)

운영시간 및 방식은 아래와 같음- 운영시간 월~토(9시 ~ 22시)- 이용료 장애인은 비장애인의 50

시조례 기준 20년전 기준 유지

- 운영방식 장애인 10명당 강사 2명 기준 운영- 이용 현황 장애인 38 비장애인 62

① 일일평균이용인원(600명) 장애인 240명 비장애인 360명

다양한 장애인 체육프로그램을 운영

프로그램 대 상 교육일 시 간 교육비 장소

건강헬스 청소년 월~토 0600~2200 19250성인 22000

한마음배드민턴교실(A B C D반)

성인(복지카드소지자) 월 수 금

0600~07300730~09001900~20302030~2200

15000

체육관(3층)

휠체어 배드민턴 장애인 화 목 토 1100~1200 13750

어린이체육교실 6세~초등생(발달 지체) 화 목 1400~1500 9200

김동수의 신나는 체육교실

청소년(복지카드소지자) 수 0930~1130 9200

청소년 체육교실(A B반)

청소년(발달 지체)

월수금1600~1700 13750화목금

HㆍM 배드민턴 지적장애(선수양성) 월~금 1600~1800 46000

청소년 인라인교실 청소년(발달 지체) 화 목 1800~1900 20000

탁구(5개반)

청소년 성인(비장애인등록가능) 월~금

0900~10001000~11001100~12001800~19001900~2000

17500(비장애인35000) 탁구

교실한마음탁구 발달ㆍ지적장애 월수금 1500~1600 13750

어린이탁구AB 초등부 월수금 1600~17001700~1800

13750(비장애인 27500)

표 26 부산시설공단 한마음스포츠센터 장애인 프로그램

- 84 -

나 해외 사례 ndash 장애인 스포츠 센터 중심으로

일본 개 시설

- 85 -

도 시 명 시 설 명 시 찰 사 유

오사카(大阪)

마이시마 장애인

스포츠센터

체육관 수영장 호텔 등 운영 타켓 골프rdquo 프로그램 운영 - 실내에서 장애인 및 노약자가 큰 체력소모 없이 유희놀이로 할 수 있음 클럽 및 동호회운영 실내수영장에서는 ldquo스쿠버다이빙rdquo 및 ldquo카누rdquo 프로그램 운영 유도장 및 에어로빅실 평상시는 장애아동 놀이방으로 활용 연회장은 가라오케 기능 겸용 모든 근무자는 유니폼(츄리닝) 착용 인력 운영 - 직원 80명 중 일일 50명씩 교대 근무 - 자원봉사원은 평상시에는 없고 행사시에만 활용 운영비 확보 - 운영비 년간 58억원 - 재 원 전액 오사카 시부 부담 - 수입금 전액 오사카 시에 귀속 오사카 지역민은 무료 타 지역민은 유료

도쿄(東京)

도쿄국립재활원

3만여평의 부지에 각종 시설 완비 노동(장애인고용촉진)+보건(재활병원)+교육 (직업재활시설)+체육(운동시설) 등의 일체화된 종합시설임 체육시설과 연수시설의 연계 프로그램 운영 재활원에서는 스포츠를 다음과 같이 기능면으로 분류하여 활용하고 있음 - 재활체육 신체장애자의 사회복귀를 위한 준비체육 - 일반체육 신체장애의 요소가 있는 자(병원 입원자 포함)를 위한 체육 재활훈련은 단기 1년에서 장기 5년의 기간으로 시행 스포츠동호회 지원은 기록향상보다는 단순 재활활동 지원에 목적이 있음 이용현황은 - 병원 정원 200명 평균 이용자는 일일 160명 - 숙소 정원 550명 평균 이용자는 일일 350명 장애인 또는 장애인시설 종사자 및 연수생 입소 직원현황은 - 정 규 직 320명 - 비정규직 100명 - 기 타 설비보수직 위탁직(청소 조경 등) 숙소 (4인실기준 4층 규모 2개동) - 시설이용료 ¥32000 1개월 단 영세민(후생연금자)는 무료 운영비 - 운영비는 전액 국고로 지원 약 ¥50억 - 수익금은 전액 국고에 귀속 약 ¥10~15억

요코하마(橫浜)

라포르 장애인

스포츠시설

최신 시설이며 규모가 큼 장애인용 극장 및 영상시설에 대한 시설 설비 및 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조사 등록절차 이용 희망자는 상담실에서 체육지도자와 상담하여 운동종 목을 선정한 후 등록카드를 발급 받은 후 이용 이용료 장애인은 무료 일반인은 ¥500 볼링은 장애인 ¥200 일반인 ¥400 추가

- 86 -

독일 개 시설

도 시 명 시 설 명 시 찰 사 유

도이스버그

도이스버그장애인종합시설

제1 체육관 - 플로어 충격흡수장치가 된 ldquo뉴빙빈rdquo 플로어(리놀리움 바닥) - 방음천막을 이용하여 3등분 구분 사용 가능 - 수납식 관중석 설치 - 좌식배구 각종 실내종목 양궁 제2 체육관 - 플로어 휠체어장애인을 위하여 나무 플로어 설치 - 탁구 휠체어 하키 휠체어 농구 일반인도 휠체어종목을 즐기고 있으며 관련 클럽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 노하우에 의하여 지도력을 갖추게 됨 - 유도 매트는 2면이며 시각장애인용 매트를 설치함 숙소 독일 축구협회 소속 시설로서 노드라인팔레스 축구협회에서 시설을 임대하여 독일 장애인체육회가 운영 중임 운영비 자체 수익금과 축구협회 지원금으로 충당

본 독일장애인체육협회

건립 동기 ldquo바이엘rdquo사가 기업 이윤의 사회환원 차원에서 건립 하였으며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음 운영 목적 레버쿠젠 지역의 비장애인 및 장애인 체육 육성 운영 형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사용을 혼용하여 자체 클럽형 태로 운영 대상 경증장애인 400명이 넘는 일반 육상선수 때문에 휠체어 장애인을 위한 종목 (프로그램)은 없음 운영 종목 좌식배구수영육상시각유도 총 4개 종목만 운영함 클럽내 장애인 분과에서는 학교를 통하여 장애인체육선수를 발굴하고 있음 또한 각종 사업비 조달을 위하여 스폰서 발굴에 노력을 경주함

미국

장애인들의 전용시설인 유타 주의 국립 장애인 레저센터(National Ability Center)와 비장애인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딤플 델 체육 레크리에이션 센터(Dimple Dell Fitness and Recreation Center)등이 있음- 장애인레저센터의 명칭에서도 보이는 것과 같이 장애인 전용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장애라는 단어 대신 능력(ability)라는 단어를 쓰고 있음

장애인 레저센터는 주정부가 부지를 기증하고 주 예산 일부와 후원금으로 건립되었음- 장애인들과 보호자를 위하여 스키 수영 카누 승마 등산 등 전문 레저 스포츠와

그룹캠프 연수 등을 실시- 운동에 필요한 모든 장비와 기구는 대부분 후원에 의해 조달됨

34) 정책보고서-장애인 올림픽 유치를 위한 전문체육 육성방안 이광재 2006

- 87 -

- 운영비 또한 대부분 주정부의 지원과 일반인들의 후원금으로 충당되며 이용료는 장애인들과 보호자 모두에게 실비를 받고 있으며 수익 사업을 위해 기숙사 임대 장애인 교육 레저 교육에 사용함

딤플 델 체육 레크레이션 센터는 미국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체육시설임- 수영장 헬스장 사우나 시설 다용도 체육관 놀이시설 등이 갖추어진 상당한 규

모의 센터이며 장애인들의 이용률이 전체 약 5로 낮으나 장애인들이 사용하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이 모든 시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시설을 갖춤

이 센터는 장애인 생활체육 개념을 모토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됨 장애인 레저센터를 통하여 장애인들이 원하는 스포츠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 한편으로는 일반 체육 시설에서도 장애인들의 이용률이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들이 이용하기에 불편함이 없도록 시설을 갖추어 놓았음 이런 예는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미국의 많은 대학 체육시설에서도 찾아볼 수 있음 미국 대학의 체육시설은 장애인 체육시설을 갖추어놓은 곳이 대부분이어서 미국에서 장애인에 관한 체육대회 등을 개최할 때 별다른 문제 없이 대학의 시설을 빌려서 하는 경우가 많음

재활원의 체육 센터도 이와 같이 국립재활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지 않은 장애인이나 기타 장애인 단체 등에게도 개방하여 장애인들이 원하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해나가야 할 것으로 생각함

향후 운영 계획 국립재활체육센터 프로그램과 연계 중심

가 운영 전략

근거-기반(Evidence-based)의 장애인에게 적절한 운동처방 및 재활체육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실행 가능하고 효과적인 운동을 수행

수혜자 중심(Population-centered)의 재활체육 프로그램 공급을 통하여 활동량 증가와 적절한 생활체육으로의 연결

- 88 -

나 운영 목적

국립 재활원은 장애인 체육을 재활치료 재활 체육 장애인 스포츠로 구분하여 지원하고 있음

공급자 장소 운영비 프로그램

재활치료 의사 처방치료사 치료

병원 물리치료실 작업치료실 등

진료비 의료보험 수가 적용

물리치료 작업치료 열전기 치료 등

재활 체육의사 지도 치료사 및 특수체육교사 교육 및 감독

국립 재활 체육 센터

회비발생(의료 수가 적용되지 않음)

단체 운동 체력강화 트레이닝 유산소 운동 근력 강화 운동 유연성 및 순발력 강화 운동

장애인 스포츠

생활 체육장애인 자발적 참여 장애인 체육회 장애인 스포츠 단체

지역 장애인 스포츠 센터 회비 및 참가비

단체운동 유산소 운동 근력 강화 운동 유연성 및 순발력 강화 운동

엘리트 체육 장애인 체육회 장애인 스포츠 단체

장애인 스포츠 훈련원 선수촌 선수 지원금

종목별 장애인 스포츠 선수 양성 지도자 교육 등

표 27 국립재활원 장애인 체육 지원 구분

재활체육35)은 장애인이 지속적이며 자발적으로 체육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의사의 지도를 받아 전문지도자의 지도아래 그룹 체육활동을 통해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인 총체적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돕는 치료 활동임 재활 치료와 생활 체육의 중간단계의 역할을 함으로서 장애인들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체육활동을 수행하여 더나은 삶의 질을 얻을 수 있도록 함

생활체육36)은 건강과 체력의 증진을 통해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는데 목적을 두고 개인의 일상생활 영역 안에서 각자의 취미와 여건에 다라 여가 시간을 이용해 자발적으로 행해지는 신체적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음 장애인 생활체육37)은 장애인이 인간답게 살 수 있는 기본적 권리로서 운동발달을 촉진하고 기능의 유지 및 회복의 단계를 넘어 체력과 건강의 증진은 물론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건강을 증진하며 삶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활동으로 정의됨

국립재활원 입원 환자 및 지역 사회 장애인을 대상으로 기존의 의사 처방 하

35) 최영순 장애인 재활체육 재활간호학회지 제12권 1호 2009

36) 금창용 생활체육활동 참여 노인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석사 논문

2010

37) 노은이 장애인 생활체육 현황과 과제 서울시정개별연구원 2007

- 89 -

에 치료사가 환자의 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 치료와 더불어 운동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병행하고자 함 이를 통해 장애인들 스스로 더 나은 삶을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신체 활동의 시작인 재활 체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장애인 스포츠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함

다 운영 체계

운영 주체 국립재활원 건강증진센터

역할- 운동처방과 관련된 건강 증진 센터 운영 및 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 - 운동처방 관련 상품 및 장비 개발 및 자문- 운동처방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연구 및 자문- 장애인 전용 특수체육인력 양성 및 지속적 보수 교육 담당 - 재활체육 프로그램 적극적 병행-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지역사회 장애인 스포츠와의 연계

운영 부서 - 심폐재활실 국립재활원 병원동 신관 2층 - 생활 체육관 국립재활체육센터 1층- 재활 체육실 I II 국립재활체육센터 1층

- 90 -

국립재활체육센터 인력 배치 프로그램 및 구성 장비

인 력 이용 목적 업무 필요 장비

생활 체육관

특수체육 지도 2-3명

단체 운동

장애인 스포츠-농구 배구 탁구 보치아 피구 배드민턴 등 필요시 장애인 체육회와 연계

농구대 탁구대 배구 코트 기타 농구공 배구공 탁구공 배드민턴 라켓 보치아 공 보치아 표적구 등

재활 체육실 I

운동 지도 4명

체력강화 트레이닝 근력 증진 운동

심폐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 부위별 근력 운동

심폐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 장비 - 트레드밀 - 정지형 자전거 - 휠체어 트레드밀 - 스텝퍼 부위별 근력 운동 장비 - Leg extension - Leg curl - Leg press - Multi hip - Shoulder press - Arm curl - Abdominal Muscle - Back Muscle 체지방 측정기

재활 체육실 II

코디네이터 1명 운동 지도 2명

유연성과 순발력 증진운동 근력 강화 운동

요가 스트레칭 에어로빅 프리웨이트 스텝박스 근력 증진 장애인 건강증진센터 사무 업무 및 상담실 운영

요가 및 스트레칭용 매트 전신 거울 설치 짐볼 스텝박스 아령 테라밴드 슬링 치료 기구 사무용 가구 및 사무 용품

표 28 국립재활체육센터 인력 프로그램 및 장비

심폐재활실 및 재활체육실 주요 업무- 개인별 운동 상담 - 건강 체력 평가- 운동 기능 평가- 심폐 지구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운동 처방 및 운동 지도- 근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운동 처방 및 운동 지도- 장애인 건강 증진 사업 연계 기관 관련자 교육 - 운영자 운동지도 인력 및 사용

자 대상 - 장애인 건강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 개발 사업 - 운동 전 건강 위험도 평가 프로그램 개발 사업

- 91 -

- 장애유형별 운동 지침 개발 및 보급 - 원내외 관련 기관과 연계- 사회복귀지원과와의 연계로 입원 환자의 원활한 사회복귀 촉진 유도- 지역사회재활추진단과의 연계로 지역 보건소에서의 장애인 건강 프로그램 운영 지원- 권역별 재활병원과의 연계로 병원기반 재활체육 프로그램 활성화 지원

운영 흐름도

일차 면담시 평가 내용- 병력건강습관 질문 (건강 병력 질문지)

- 92 -

- 신체적 활동 준비 질문서 (PAR-Q 형식)

- 의학적건강 검진 ACSM risk stratification

운동 프로그램 참여 전 현재의 의학적 검진과 운동 검사 그리고 운동 검사를 위한 의료 감

독에 대한 ACSM의 권고

낮은 위험요소 중등도 위험요소 높은 위험 요소 A

중등도 운동 필요없음 필요없음 권고고강도 운동 필요없음 권고 권고

B최대하 검사 필요없음 필요없음 권고 최대 검사 필요없음 권고 권고

표 29 ACSM 권고

세부적인 운영 내용은 아래와 같음- 운동 전 검사 및 개인별 운동 처방

개인별 신체활동 목적에 부합되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체계적이고 개별적으로 처 방 및 지도관리하기 위해 건강 체력 검사 및 필요한 경우 운동 부하 검사를 시행 함 그 후 심폐 지구력과 근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운동 처방 및 운동 지도

- 건강 증진 운동 교육 과정 운영 장애인 건강 증진 사업 연계 기관 운영자 운동지도 인력 및 사용자를 대상으로985170장 애인건강증진운동교육과정985171을 운영

- 운동 프로그램 개발 사업 각종 장애별(지체장애 뇌병변 장애 등) 생애주기별(어린이청소년 성인 및 노인 대상) 및 건강 체력 요인별(심폐 지구력 강화용 근력 강화용 낙상 예방용) 운동

- 93 -

프로그램 개발 - 각종 설문지 및 기록지 개발 사업

연구 및 자문을 제공 할 목적으로 개인별 운동실태 운동정서 운동 장애 요인을 파악 할 수 있는 설문지를 개발하고 운동처방 내용 건강 체력실태 및 운동 내용 을 확인 할 수 있는 기록지 개발

- 운동 전 건강 위험도 평가 프로그램 개발 사업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 전에 개인별 건강 상태(예 연령 심혈관 및 폐질환 관련 증 상 및 징후 관상동맥 위험인자 수준 진단된 질환 명)를 근거로 운동검사 필요 유 무 확인 운동 강도(중강도 또는 고강도) 적용 시 또는 운동 검사(최대 하 또는 최 대 운동 검사) 시 의료진 및 장애인 체육 전문가의 감독 권장 여부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도록 함 이를통해 본 사업의 대상자 중 각 종 만성 질환을 갖고 있거나 고령 자인 경우 안전성과 운동 프로그램의 참여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

- 장애별 운동 처방 시스템 구축 주요 대상 장애별로 운동처방 원칙을 시스템화 시키고 운동 중 질환별 특성을 고 려한 주요 모니터링 항목을 포함시켜 환자들이 지역사회에서 운동 처방 수 행시 안전성을 높임 운동처방 시스템 구축에 포함 될 구체적인 내용들로는 질환별 운동 금기 조건 질환 정도 및 기간 약물 처방 여부 및 처방 약물 종류 운동 종 류 및 기간에 따른 약불 투여량 조절 방법 합병증 여부 및 정도에 따른 운동 시 주의 사항 운동 검사 시행 여부 운동 형태 및 운동량 등이 있음

- 장애별 운동 매뉴얼 개발 및 보급 주요 대상 장애인을 위한 운동 매뉴얼을 개발하여 환자들이 주민자치센터 피트니 스 센터 및 가정에서 운동을 할 때 운영자 및 운동 지도자 등록된 일반인들에게 운동 매뉴얼을 보급하기 위한 것임 운동 매뉴얼에는 각 질환의 간단한 특성과 운 동 효과 및 운동 방법 운동 시 주의사항 및 응급 상황에서의 대처 요령(예 심폐 소생술 등) 등이 포함

- 지역 장애인 체육회 연계사업 추진 지역 장애인 체육회와 연계하여 장애인 생활체육 교실 등의 공동프로그램을 적극 개최하여 장애인 체육 전문가의 부족을 메울 수 있도록 하여 일상생활에서도 체육 을 즐길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교육이 가능함 필요시 체육관을 대여하거나 지역 체육회의 장애인 체육 센터로의 지정을 통해 부족한 장애인 체육시설을 보충 가능

- 장애인 체육 활동 실태 조사 전반적인 장애인 체육 활동 실태조사를 통하여 퇴원 후 체육 활동 지속율 지역 사 회 체육 프로그램 이용율 체육 활동시 불편 요인 보완되어야 할 프로그램 내용 등을 파악하여 정책적 제안의 기반 및 체육관 운영방안 설정의 기반을 획득

라 기대 효과

근거-기반 운동 프로그램 수혜자 증가 - 의학적 검사와 기능 평가를 근거로 장애인 개인별 맞춤형 운동처방을 통한 지속적

으로 실행 가능 하고 개인 건강 유지에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 제공- 입원 재활치료와 재활체육 사회재활훈련을 병행 실시함에 따라 선진 사회복귀 모

델 제시 가능 장애인의 조기 퇴원 및 조속한 사회복귀에 긍정적 효과 rarr 장기적인 의료비 절감 효과

- 94 -

- 수혜자 중심의 운동 프로그램 공급(공급자가 아닌 수혜자 위주의 운동 형태 및 운동량을 제공함으로써 운동 지속성 증가)

- 장애인의 건강수명 연장-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 - 장애인 체육시설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 마련

재정 확충 방안

장애인 체육시설은 장애인 엘리트 체육시설을 제외하고 생활체육이나 재활체육을 실현할 수 있는 공간은 부족한 실정임

부족한 장애인 체육시설을 확충해 나가기 위해서는 건립 예정인 국립재활원의 체육관이 합리적이고 이상적인 재정 모델을 개발 및 운영하여 점차 전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 이를 위한 방안은 아래와 같음

가 수가화 모색

현재에도 운동치료 재활사회사업(개인력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문) 등은 수가로 인정되는 항목임 이를 기반으로 의료기관 내의 장애인 체육시설 인증을 통하여 인증된 체육시설에서 의사의 처방 혹은 지도로 시행되는 장애인 체육 활동에 대한 수가화를 모색함

나 공익기금 활용

가 국민체육진흥기금

정부 출연금 광고 사업 수입금 골프장 시설 입장료 부가금 복권기금 등에 의해 조성되는 국민체육 진흥기금은 국민체육진흥법 제22조에 따라 사용이 정해짐

22조 10항에 따라 국민체육진흥기금은 대한장애인체육회을 포함한 생활체육 관련 체육단체와 체육 과학 연구 기관의 운영지원 국민체육시설 확충을 위한 사업에 사용될 수 있음 따라서 국민체육진흥기금을 활용하여 장애인 체육시설을 운영가능 할 것임

국민체육진흥공단에 따르면 2013년 장애인체육 육성 기금은 총 464억이며 이중 장애인 생활체육이 83억 장애인 전문체육이 332억 대한장애인체육회 지원이 49억으로 책정되어있으며 구체적 내역은 아래와 같음

- 95 -

장애인 생활 체육 장애인 전문 체육 장애인 생활체육 34 억 장애인전문체육 61 억

장애인 생활체육대회 20 억 장애인 전국체전 시도 지원 19 억장애인활체육지도자배치 24 억 2013 스폐셜올림픽 지원 68 억시도 주최 생활체육대회 4 억 장애인 종합체육시설 건립 및 운영 115 억

장애인 실업팀 창단 지원 8 억2014 인천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지원 61 억

표 30 2013년 장애인체육 육성 기금 예산안

자료원 국민체육진흥공단 홈페이지

따라서 국립재활원의 체육관 및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국민체육진흥공단의 장애인 체육육성 기금의 활용이 가능할 것임

나 스포츠토토 공익기금

스포츠토토 공익기금은 규정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지정 문화 체육 사업 지원이 가능함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지정할 수 있는 체육 사업에 비인기 운동종목 지원 및 문화예술 취약 분야 육성 사업 그 밖에 체육문화예술 진흥을 위하여 특별히 지원이 필요한 사업 등이 가능함

따라서 이런 교정을 활용하여 스포츠토토 공익기금의 일부도 사용가능 할 것임

다 담배부담금 일부 활용

국민건강증진법 제25조(기금의 사용등)에 의하면 ldquo보건복지부장관은 기금을 제1항 각호의 사업에 사용함에 있어서 아동middot청소년middot여성middot노인middot장애인 등에 대하여 특별히 배려middot지원할 수 있다rdquo고 규정되어 있음

이러한 규정을 활용하여 담배부담금 일부를 체육시설 운영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임

요약 및 결론

현재 국립재활원에 있는 이전 체육관 시설이 없어지고 사회복귀를 중시하는 쪽으로 재활의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신설되는 장애인재활교육훈련시설(체육관)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이 필요함- 운영 목적은 장애인 건강 증진 센터에 등록된 장애인들에게 개인별 신체병력 자료

를 기초로 검사를 통하여 일정 기간(3~6개월) 재활체육을 처방 및 지도하여 운동

- 96 -

프로그램을 경험한 참여자에게 스스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을 지속적으로 유지 및 관리하도록 하는 것임

이를 위해 타기관 운영사례들을 검토하였음- 상계백병원 심장재활센터 아산병원 스포츠 건강의학센터 삼성병원 스포츠 의학

센터 고양시 재활스포츠 센터 부산시 한마음스포츠 센터- 일본 미국 독일의 체육관 운영 사례

이를 통해 운영전략을 설정하였음- 근거-기반(Evidence-based)의 장애인에게 적절한 운동처방 및 재활체육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실행 가능하고 효과적인 운동 수행- 수혜자 중심(Population-centered)의 재활체육 프로그램 공급을 통하여 활동량

증가와 적절한 생활체육으로의 연결- 국립재활원 입원 환자 및 지역 사회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기존의 의사 처방 하에

치료사가 환자의 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 치료와 더불어 운동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병행

체육관 시설을 통한 기대효과는 아래와 같음- 학적 검사와 기능 평가를 근거로 장애인 개인별 맞춤형 운동처방을 통한 지속적으

로 실행 가능 하고 개인 건강 유지에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 제공- 입원 재활치료와 재활체육 사회재활훈련을 병행 실시함에 따라 선진 사회복귀 모

델 제시 가능 장애인의 조기 퇴원 및 조속한 사회복귀에 긍정적 효과 rarr 장기적인 의료비 절감 효과

- 수혜자 중심의 운동 프로그램 공급(공급자가 아닌 수혜자 위주의 운동 형태 및 운동량을 제공함으로써 운동 지속성 증가)

- 장애인의 건강수명 연장-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 - 장애인 체육시설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 마련

부족한 장애인 체육시설을 효과적으로 확충시키기 위해서는 현재 시행하려는 국립재활원의 체육관이 장애인 체육시설의 효과적인 재정 운영 방안 모델을 수립 운영하여 전국으로 모델을 퍼뜨릴 수 있도록 해야함 이를 위한 방안은 아래와 같음- 장애인 체육시설 인증을 통한 재활 체육의 수가화를 모색- 국민체육진흥기금 스포츠토토 공익기금 등의 공익기금들을 활용하는 방안 모색- 담배 등으로 인한 건강증진부담금 일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

- 97 -

제5장 재활교육체계 구축 방안

국립재활원 교육현황

가 국립재활원 교육 체계

현재 국립재활원은 총무과 장애인운전지원과 교육홍보과 등 3개 과 재활병원부 내에 15개 과 그리고 재활연구소 내에 3개 과로 구성되어 있음

이 중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부서는 총무과 간호과 교육홍보과 사회복귀지원과 공공재활의료지원과 장애인운전지원과 등 6개 과와 재활연구소임

나 2012년 국립재활원 교육현황 조사

조사 대상

2012년 동안 내부 직원 혹은 외부 인력에 대한 재활교육을 수행해왔던 총무과 간호과 교육홍보과 사회복귀지원과 공공재활의료지원과 장애인운전지

- 98 -

원과 등 6개 과와 재활연구소를 조사 대상으로 하였음

QI실은 과정 내용이 본 연구의 범위에서 벗어났고 장애예방사업은 대국민 교육을 중심으로 하고 있기에 조사 대상에서 제외하였음

공공재활의료지원과는 교육과정만 제공하고 프로그램은 제공하지 않았음

조사 내용

조사 내용은 2012년 동안 해당 과 혹은 연구소가 내부 직원 혹은 외부 직원을 대상으로 수행한 교육들의 다음과 같은 내용들임- 교육과정- 교육프로그램- 연간교육경험자(재활원 내외)- 직종별 교육경험자- 유료교육 여부- 법적 보수교육 인정여부- 교육과정 단계 여부- 연간 교육횟수- 강사구성- 연간 총 소요예산- 국립재활원 외부지원 예산

교육과정 및 교육프로그램은 진행 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분류하였음- 공공재활(정책)-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인원 측면에서 연간 교육경험자는 교육과정별 참석인원에 교육횟수를 곱한 연인원으로 계산하였고 직종별 교육경험자 수 중 의사는 정규직 전공의 공중보건의사를 포함한 것임

교육프로그램을 수행한 경우 커리큘럼을 별도로 제공 받았음

- 99 -

조사 결과

가 일반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총 교육과정은 27과정이었고 총 프로그램 수는 138 프로그램이었음 그리고 총 교육시간(순환 교육과정의 경우 횟수를 곱하여 산출함)은 467시간이었음

교육내용별로는 사회복귀 임상재활 분야가 전체 교육시간의 81를 차지하고 있음

2012년 조사 시점까지 총 교육경험자 수는 4667명으로 내부 직원이 2732명이었고 외부 인력이 1935명이었음

2012년 조사 시점까지 총 소요 예산은 124억 원이었음

나 부서별 교육과정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수행된 교육과정은 총 27개였음 교육내용별로 임상재활과 사회복귀 분야가 가장 많았음

교육홍보과에서 수행한 교육과정이 11개로 가장 많았음 교육내용은 사회복귀 임상재활 분야가 많았음 다음으로 공공재활의료지원과에서 수행한 교육과정이 6개였고 임상재활 사회복귀 분야의 내용이 교육되었음

- 100 -

  공공재활(정책)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총무과         5 5

교육홍보과   4 5 2   11간호과   2       2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2     2

연구소   1       1공공재활의료지원   3 2 1   6

총계 0  10 9 3 5 27

표 31 부서별 교육과정 현황

다 부서별 교육 프로그램 현황

각 교육과정별 실제 수행된 교육 프로그램을 기준으로 볼 때 총 138개의 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되었음 임상재활 분야 프로그램이 절반 정도를 차지하였음

부서별로는 교육홍보과에서 주관한 교육 프로그램이 전체 프로그램 중 557를 차지하고 있음 교육홍보과에서 주관한 프로그램은 사회복귀 분야 내용이 가장 많았음

  공공재활(정책)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총무과 5 5

교육홍보과 6 24 31 13 3 77간호과 32 32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10 10

연구소 1 11 2 14공공재활의료지원

총계 7 67 43 13 8 138

표 32 부서별 교육 프로그램 현황

라 부서별 교육시간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수행된 교육시간은 총 467시간이었음 교육내용별로 사회복귀와 임상재활 분야가 많았음

- 101 -

교육홍보과에서 수행한 교육시간이 401시간으로 전체의 859를 차지하고 있음 교육내용은 사회복귀 임상재활 분야가 많았음

  공공재활(정책)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총무과 9 9

교육홍보과 118 203 80 401간호과 32 32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11 11

연구소 14 14공공재활의료지원 0

총계 0 164 214 80 9 467

표 33 부서별 교육 시간 현황

마 부서별 교육대상 인력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교육받은 인력은 연인원 4667명이었음 국립재활원 내부 직원 대상이 585로 외부 인력보다 약간 많았음

부서별로 볼 때 총무과 및 재활연구소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모두 국립재활원 내부 직원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반면 교육홍보과 공공재활의료지원과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모두 외부 인력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재활원 내부 재활원 외부 합계총무과 2221   2221

교육홍보과   1471 1471간호과 98 75 173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12 27 39

연구소 401 4 405공공재활의료지원   358 358

합계 2732 1935 4667

표 34 부서별 교육대상 인력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교육받은 인력 중 직종이 구분된 인원은

- 102 -

연인원 4184명이었음 기타 직종을 제외하면 사회복지사가 1431명으로 가장 많았고 간호사가 747명이었음

직종 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사회복지사 기타직종 합계임상재활 23 305 95 35 371 317 1146사회복귀 0 72 32 2 754 99 959시설운영 0 13 15 4 297 12 341

기타 113 357 0 0 9 1259 1738합계 136 747 142 41 1431 1687 4184

표 35 교육과정 종류별 교육 경험자 직종

교육과정 종류별로 볼 때 임상재활 분야 교육 대상자는 사회복지사가 32 간호사가 27를 차지하고 있었음 사회복귀 분야 및 시설운영 분야 교육 대상자는 사회복지사가 각각 79 8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음

- 103 -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교육받은 인력의 소속기관은 국립재활원이 가장 많았고 외부 인력 중에서는 복지관 및 기타기관이 가장 많았음

부서별로 볼 때 총무과 및 재활연구소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모두 국립재활원 내부 직원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부서별 교육 대상자 중 외부 인력의 소속기관은 다음과 같음 - 교육홍보과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모두 복지관 및 기타기관 소속 인력을 대상으

로 수행되었음 - 공공재활의료지원과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대부분 보건소 및 보건지소 소속 인력

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 간호과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국립재활원과 민간병원 소속 인력을 대상으로 수행

되었음

  국립재활원 보건(지)소 공공병원 민간병원 복지관기타기관 합계총무과 2221         2221

교육홍보과         1471 1471간호과 98     75   173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12       27 39

연구소 401       4 405공공재활의료지원   342     16 358

합계 2732 342 0 75 1518 4667

표 36 부서별 교육 대상자 소속 분류

바 법정 보수교육 인정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수행한 교육과정 중 법정 보수교육으로 인정받는 과정은 총 4개였음 임상재활 분야 2 과정 사회복귀 분야 1 과정 시설운영 분야 1 과정임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인정 2 1 1   4

불인정 5 6 1 5 17

표 37 보수교육 인정 현황

- 104 -

사 연간 교육과정 순환 횟수

대부분의 교육과정은 연간 1회 혹은 2회만 수행되고 있음

아 교육과정 강사 인력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수행한 교육과정 중 내부 강사와 외부 강사는 절반 정도씩 차지하고 있음

교육과정 분야별로 볼 때 임상재활 및 사회복귀 분야는 내부 강사와 외부 강사 비율이 비슷하며 시설운영 분야는 외부 강사가 더 많음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내부강사 35 22 3 4 64외부강사 30 18 12 2 62

표 38 교육과정 강사 인력 현황

- 105 -

자 부서별 주요 교육 내용

부서별 주요 교육 내용은 다음과 같음

  교육 내용

교육홍보과

케어기술(기본) 장애인 성재활 케이기술(심화) 직업재활 고령장애케어 물리작업치료 사례관리(기본) 욕창 재활간호 영유아케어기술 장애행동수정 사례관리(심화)

공공재활지원과

지역사회중심재활 기본실무 방문재활의 실제 노년기 재활을 통한 건강관리 장애아동재활의 핵심파악 노년기 재활을 통한 건강관리 쉽게 따라 하는 재활실무 건강한 일상을 위한 여성 장애인 재활

간호과 재활간호 3일 과정 재활병원에서의 가족 프로그램과 성재활 간호

장애인운전지원과 장애인 운전강사 역량강화 교육 자동차 운전강사 양성교육

재활훈련과(2011)

사회복귀지원과정 복지시설 장애인 자립특성화과정 자립생활실무자과정 보조기구 관리지원교육 민간재활병원 가족교육

표 39 부서별 주요 교육 내용

국립재활원 교육현황 요약 및 문제점

부서별 교육대상 인력은 주로 소속기관별로 구분되고 있음- 간호과 병원 간호사- 교육홍보과 복지관 직원- 공공재활지원과 보건소직원- 사회복귀지원과 장애인 가족 활동보조인 등

- 106 -

단기간의 일회적 교육과정이 많고 장기간 운영되는 체계적 전문교육과정이 미흡함- 교육과정의 기본심화 단계 과정이 부족- 케어기술(기본심화) 사례관리 (기본심화)외 부재- 교육과정 당 시간 1시간~24시간

공공병원 교육참여자가 없음

간호사 사회복지사 외의 직종에 대한 전문교육과정 없음- 물리작업치료사 1과정- 언어재활사 수화통역사 의지보조기기사 점역교정사 등의 교육과정 없음

기타- 이용자가 교육요금을 부담하는 유상 교육이 많음- 법정 보수교육 인정 과정이 적음(간호사 2 과정 및 사회복지사 2과정)- 교육 예산이 부족함

타 기관 교육 현황

가 교육체계

국립암센터는 교육훈련부에서 내부 직원과 외부 인력에 대한 모든 교육 과정 총괄 관리함 실제 교육프로그램은 각 부서별로 이루어지나 교육훈련부에서 과정목표 교육대상 시간 형태 과정운영방향특징 등을 총괄하여 동일한

- 107 -

구성으로 모든 교육과정에 대한 연간 교육 훈련 계획서를 관리하고 실행함

또한 일본국립재활원은 병원 연구소와 같은 위상의 전문교육기관인 대학이 존재함 일본 국립장애인 재활 센터는 대학 병원 연구소 훈련센터 관리부로 구성되어 유기적으로 운영되며 대학을 통해 의료 인력을 위한 교육을 진행하고 있음- 연구-재활치료-교육-사회복귀가 모두 한 공간에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WHO 지정 연구기관임 - 재활에 관한 기술자 양성 및 현재 종사 인력의 기술 향상을 목적으로 교육을 진행

하고 있음

일본국립재활대학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음

1971년 4월 옛 국립 청각 언어 장애 센터에 부속 언어 전문 인력 양성소가 설치되어 첫 언어 전문 인력의 양성 (1년제)가 시작된다

1979년 7월 옛 국립 청각 언어 장애 센터가 신설 국립 장애인 재활 센터에 통합됨에 따라 학원 언어 전문 인력 양성 과정 (1년제)가된다

1979년 9월 언어 전문 인력 양성 과정 업무 개시 연수 업무 시작 1982년 3월 직업 현임 교육을 목적으로 학원 동 및 학원 기숙사 1 호동의 준공 1982년 4월 처음의 의지 보조기 전문 인력 양성 과정 (3년제) 개설 1988년 4월 의지 보조기 사법의 제정 시행에 따라 의족 보조기 전문가 양성소로 후생 대신의 지정을

받는다 1989년 4월 후생 대신 공인 수화 통역사 인증 제도가 발족 수화 통역사 시험이 시작된다 1990년 4월 첫 시각 장애인 생활 훈련 전문 인력 양성 과정 (1년제) 개설 1990년 4월 본방 처음 수화 통역 전문 인력 양성 과정 (1년제) 개설 1991년 4월 본방 처음 개화 체육 전문 인력 양성 과정 (2년제) 개설 1992년 4월 언어 전문 인력 양성 과정의 2년제로 전환 1995년 1월 전수 학교 전문 과정 수료자에 대한 전문사 칭호 부여에 관한 규정에 따라 의족 보조기

전문 인력 양성 과정 수료자 전문사 칭호를 수여 1995년 9월 학원 기숙사 2 호동 준공 1998년 10월 언어 청각 사법의 제정 시행에 따라 언어 청각 전문가 양성소로 후생 대신의 지정을 받

는다 1998년 12월 새로운 양성 연수 동 준공 1999년 4월 전문 인력 양성 과정에서학과 제로 명칭 변경 언어청각학과 의지 보조기학과 시각장애

학과 수화통역학과 재활체육학과 5학과 됨 시각 장애학과의 2 년제로 전환 2001년 4월 수화 통역학과 2년제로 전환 2003년 4월 수화 통역학과의 정원 증가 2008년 10월 명칭을 국립 장애인 재활 센터로 변경 2011년 10월 뇌졸중 재활 간호 인정 간호사 교육 과정 개강 2012년 4월 치치 학원 부속 보호지도 직원 양성소가 조직 통합함으로써 아동 지도원과의 업무 개시

- 108 -

나 재활전문인력 대상 교육 과정

국립암센터 사례

국립암센터의 직종별 전문교육 과정은 의사 간호사 약사 영양사 사회복지사 공무원 암 진료기관 종사자 호스피스 및 재가암환자 관리 인력 등으로 나누어 수행되고 있음

 대상 교육 내용

의사를 위한 전문화 과정(1년 ~ 2년 과정)

혈액종양 내과 전문의 (2명) 대장내시경 소화기내과 외과전문의(3명) 부인종양 산부인과 방사선종양학과 영상의학과 전문의(2명)

간호사 교육 과정 국제장루창상실금 전문간호과정 전문간호분야 실무자 교수(8명 2개월) 종양전문간호과정 전문간호분야 실무자 책임자 교수 등(100명 6개월)

국립암센터의 암에 특화된 직종별 수련체계 과정

전공약사과정(약사면허증 취득자 1년) 전공영양사과정(영양사 면허증취득자 1년) 수련사회복지사과정(사회복지사 면허 취득자 1년)

최고위 과정 보건복지정책 고위과정 국회의원 의료기관 고위관리자 대상

공무원 대상 교육

암관리사업 관리자과정 시middot도 5급 이상 암관리 사업담당 보건소장 및 5급 이상 관리자

암검진 및 의료비 지원 사업 과정 보건복지부 보건(지)소 직원 6~9급 재가암환자관리과정(이론과정실무과정) 보건(지)소 방문간호 담당 6~9

급 완화 의료 전문기관 가정간호 담당자 지역암센터 암등록

진료기관 종사자 대상 교육 지역암센터 실무과정 지역암센터 암관리사업담당자 암등록의무기록사과정 암환자 진료 의료기관 지역암센터 근무자 등

호스피스 및 재가암환자 관리 인력 교육

말기암 및 재가암환자 관리사업전문인력 양성 호스피스 middot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실무 간호사

호스피스전문과정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 종사자

표 40 국립 암센터 교육과정

공공기관 근무자 대상 교육과정은 국립암센터뿐만 아니라 국립중앙의료원에서도 수행되고 있음

- 109 -

 대상 교육 내용

최고위 과정

국립암센터 보건복지정책고위 과정 국회의원 의료기관 고위관리자 대상 국립중앙의료원 응급의료 최고위정책 과정 보건복지부 공무원 의료진

대상 국립중앙의료원 공공간호 최고지도자 과정 보건복지부 관계자 공공의료

관련 연구진 간호사

지역암센터공공병원 대상 교육 과정

국립암센터의 지역암센터 실무과정 시 middot 도 및 지역암센터 암 관리 사업 담당자 등 80명

국립중앙의료원 춘계 공공의료아카데미 전국 국공립병원 부서장 실무자

표 41 국립중앙의료원 공공기관 근무자 교육과정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 사례

일본국립장애인재활 센터의 재활전문가 양성과정은 6종류의 직종에 대해 운영됨 각 대상 직종별로 언어청각학과 의지middot보장구학과 시각장애학과 수화통역학과 재활체육학과 아동지도원과와 같은 학과로 구성됨

이 중 언어청각학과 의지middot보장구학과 시각장애학과 수화통역학과 재활체육학과는 교육법에 의거하여 설립 운영됨 교육과정은 학과에 따라 1-3년 과정으로 운영되고 있음

이는 우리나라의 장애인복지 전문인력 중 수화통역사 언어재활사 의지보장구기사와 직종이 겹침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의 시각장애학과는 우리나라의 점역middot교정사 보다 넓은 개념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함

이 중 의지보장구학과를 졸업할 경우 전문사(전문대학사)자격을 취득할 수 있으며 언어재활학과와 의지보장구학과를 졸업하면 국가자격 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받음

수화통역사의 경우 후생성 장관이 인정하는 민간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음

이 외에 일본간호사협회가 지정하는 뇌졸중전문간호사 지정 교육기관으로 뇌졸중 전문간호사 과정을 운영함

- 110 -

각 과정의 직종 및 기관 입학 조건은 아래와 같음

학과명 설치년도 정원 입학 자격 과정

언어청각학과 1972 60 학교 교육법 제 102 조 제 1 항 본문의 규정에 따라 대학원에 입학 할 수 있는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2년

의지middot보장구학과 1983 30 학교 교육법 제 90 조제 1 항의 규정에 의하여 대학에 입학 할 수있는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3년

시각장애학과 1990 40 학교 교육법 제 102 조 제 1 항 본문의 규정에 따라 대학원에 입학 할 수 있는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2년

수화통역학과 1990 60학교 교육법 제 90 조제 1 항의 규정에 의하여 대학에 입학 할 수 있고 또한 20 세 이상의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2년

재활체육학과 1991 40

① 교육 직원 면허 법에 의한 보건 체육 고등학교 교사 면허증 또는 일종의 면허증을 가진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② ①과 동등 이상의 자격을 가진 자 총장이 인정한 것으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2년

아동지도원과 1963 40

학교 교육법 제 102 조 제 1 항 본문의 규정에 따라 대학원에 입학 할 수있는 자 또는 아동 복지법 제 18 조의 6에 따라 보육사 자격을 가진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1년

표 42 일본 국립장애인 재활센터 직종별 입학 조건

언어청각학과는 2년간 2340시간을 이수해야 졸업할 수 있으며 졸업 시 국가시험 응시자격을 획득함 언어청각사가 국가자격으로 도입되기 전 전국에서 처음으로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음

현재 전국의 여러 전문학교 대학교에서 학과가 개설되어 인력을 양성하고 있음 일본 장애인재활센터의 경우 학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며 국가시험자격이 부여되어 경쟁률이 상당히 높은 편임

의지middot보장구학과는 3년간 3315시간을 이수해야 졸업할 수 있으며 졸업 시 전문사 자격과 함께 국가시험 응시 자격을 획득함 의지보조기사가 국가자격으로 도입되기 전 학과가 설치되어 교육 진행함

현재 일본 내 의지보조기 인력양성은 3개의 대학과 7개의 전문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음 언어청각학과와 마찬가지로 학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양질

- 111 -

의 교육을 제공하며 국가시험 자격이 부여되어 경쟁률이 높음

수화통역학과는 2년간 2400시간을 이수해야 졸업 할 수 있으며 졸업 시 후생성 장관이 인정하는 민간 자격 시험에 응시할 수 있음(우리나라 역시 수화통역사는 민간자격으로 운영되고 있음)

시각장애학과는 2년간 3134시간을 이수해야 졸업 할 수 있으며 관련 자격증은 없음 졸업 후 시각장애인 시설 등에 주로 취업함

재활체육학과는 2년간 2385시간을 이수해야 졸업 할 수 있으며 졸업 시 민간협회자격증(2가지종류)에 응시할 수 있음 졸업 후 장애인스포츠센터나 복지시설등에 취업함

아동지도원과는 1년간 1800시간을 이수해야 졸업 할 수 있으며 다른 학과와 다르게 국립장애인센터 자체적으로 운영함 관련 자격증은 없지만 국가기관 중 아동지도원이 필요한 곳에 인력을 공급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졸업시 임용권을 부여하여 장애아동관련 교직으로 진출할 수 있음

뇌졸중 전문간호사는 일본간호사협회가 인정하는 21개 전문자격증 하나임 뇌졸중 전문간호사는 일본간호사협회가 전국에 지정한 6군데 기관에서 교육을 진행하고 있음 전문간호사 인정은 대학원 졸업자만 가능하며 프로그램 및 커리큘럼 작성시 일본간호협회의 확인을 받아야 함

- 112 -

다 내부 직원 대상 교육과정

국립암센터의 내부 직원 대상 교육은 직종별로 관리직 의사직 연구 의사직 연구직 일반직 등으로 구분되어 있음

또한 교육 목표별로는 공통역량 직무역량 계층역량 자기개발 등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공통역량은 조직 활성화 법정교육 고객만족 역량 등으로 직무역량은 공통 및 세부 직무역량과 사이버연수원으로 세분되어 있음

- 113 -

국립중앙의료원은 내부 직원에 대한 교육으로서 공공의료아카데미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음 - 대상 전문의 간호사 기획 관련부서 실무자 공공보건의료계획 담당부서 실무자

등 국립의료원 구성원 20명- 주요 내용 공공성 공공의료 우수한 적정진료 제공 국가차원의 새로운 공공의료

모색 등- 참여적 워크숍 방식으로 진행(40시간)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관련 법조항

가 재활의학 전문의

의사의 연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의료법 제 30조 제2항 제3항 및 동 시행규칙 제20조 제21조 제23조- 대한의사협회 정관 3조- 대한의사협회 연수교육 시행규칙

의료법에서 의사는 연간 8평점 이상 이수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의사협회의 연수교육 시행규칙에는 연간 12평점의 보수교육을 진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음(20103월 기준) 의사협회 연수교육 시행규칙에서는 연수교육의 시행기관과 교과목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음

- 114 -

대한재활의학회 회칙 4조에서 재활의학에 관한 보수교육 및 재활의학 보급에 관한 사항을 학회의 사업으로 규정하였으나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재활의학 교

연수교육 시행 기관

제5조(연수교육시행기관)각 시middot도의사회

의과대학middot의학전문대학원레지던트수련병원 및 인턴수련병원

학회(단 의학회에 등록된 학회에 한함)기타 교육위원회에서 인정하는 기관 및 단체

교과목

제13조(교과목) ⓵연수교육에 있어서는 가급적 임상교육과 기초교육을 병행해야 하며 10 이내의 의사윤리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⓶연수교육기관은 제1항의 윤리교육 이외에 10이내의 교양과목 의료정책 의료사회학 의료정보학 등을 교육과목으로 개설할 수 있다

평점

제14조(연수교육 인정한계 및 평점)

교육종목 평점 연상한본회 승인 프로그램

1)강 좌 1시간당1평점 -2)실 습 1시간당1평점 -

3)시청각(비디오 슬라이드) 1시간당1평점 - 4)대한의사협회지 자율학습 1시간당1평점 3

5)위크숍 1시간당1평점 - 6)심포지엄 1시간당1평점 -

2 국내외 학술대회 및 본회 종합학술대회

1강좌당 1평점을 원칙으로 하되 교육위원장이

별도로 정한 사항은 예외로 할 수 있다

1일 6평점

3 사이버 연수교육

1강좌당 1평점을 원칙으로 하되 교육위원장이

별도로 정한 사항은 예외로 할 수 있다

5

4의과대학교수 지도전문의 연수교육 강사 1시간당1평점 7

5 논문게재

제1저자 및 교신저자 1편당

5평점제2저자이하1편당

3평점

10

6기타 교육위원장이 인정하는 사항

표 43 연수교육 시행기관과 교과목

- 115 -

육을 반드시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님

나 간호사

간호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의료법 제 30조 제2항 제3항 및 동 시행규칙 제20조 제21조 제23조- 대한간호협회 정관 6조- 대한간호협회 보수교육 시행규정 보수교육지침 온라인보수교육지침

의료법에서 간호사는 연간 8시간 이상 이수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간호협회의 연수교육 시행규정에는 연간 8평점의 보수교육을 진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단 전문간호사38)는 전문간호사를 위한 보수교육을 받아야한다고 규정하고 있음 온라인 오프라인의 교육이 모두 가능하며 오프라인 보수교육 하한 점수는 4평점 온라인 보수교육 하한평점은 4평점임

대한간호협회 보수교육 시행규정 및 교육지침은 다음과 같음

국립재활원에서는 간호부에서는 간호사보수교육으로 인정되는 교육과정 및 재활간호 3일 과정을 진행하고 있음

추후 보건복지부령에 의한 장애인 재활전문간호사 과정 도입 및 교육을 위한 대학원 과정을 생각해 볼 수 있음

38) 보건복지부령인 lsquo전문간호사 자격인정 등에 대한 규칙rsquo에 의해 정의된 전문간호사는 보건복지부장관에 의해

발급되는 자격증으로 보건middot마취middot정신middot가정middot감염관리middot산업middot응급middot노인middot중환자middot호스피스middot종양middot임상 및 아동분야의

전문간호사가 있음 장애인 재활 부분의 전문간호사 자격은 현재 없음

39) 보건간호사회 병원간호사회 마취전문간호사회 보건진료원회 보건교사회 산업간호사회 보험심사간호사회

가정간호사회 정신간호사회 노인간호사회(신설 20104

연수교육 시행 기관

제6조(연수교육실시기관)1 본회의 17개 시middot도 간호사회 및 산하단체39)

2 3 4년제 간호교육기관3 대학의 부속병원4 보수교육 지정기관으로 인정받은 기관

전문간호사 보수교육 실시기관

대한간호협회한국간호평가원전문간호사과정 교육 및 실습기관기타 본회가 인정한 단체 단 전문간호사과정 교육 및 실습기관 또는 본회가 인정한 단체는 해당 전문분야로 한정하여 보수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표 44 대한간호협회 보수교육 시행규정 및 교육 지침

- 116 -

다 물리치료사

물리치료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20조 의료기사등에 대한 법률 시행규칙 18조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서 믈리치료사는 연간 8시간 이상 이수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라 작업치료사

작업치료사의 보수교육 규정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20조 의료기사등에 대한 법률 시행규칙 18조- 대한작업치료사협회 규정 57조 58조 59조 60조 64조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서 작업치료사는 연간 8시간 이상 이수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대한작업치료사협회 규정에는 연간 8평점이상의 보수교육을 진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이중 협회의 보수교육을 3평점 나머지 5평점은 각 지회에 의무이수 평점으로 받아야 함 대한작업치료사협회 규정에는 보수교육의 종류와 교육내용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음

보수교육 종류

제58조(보수교육의 종류)1 지회보수교육 연간 10평점 이상 보수교육 개설2 중앙회보수교육 연간 6평점 이상 보수교육 개설3 대학의 부속병원4 보수교육 지정기관으로 인정받은 기관

보수교육 교육내용제64조(교육내용) 교육내용은 작업치료학의 임상분야에서 실제 활용되고 있는 내용이나 해외 최신 학술정보에 관한 내용 기타 작업치료사로서 갖추어야 할 윤리에 관한 교양강좌(20)로 한다

표 45 대한작업치료사협회 보수교육 종류 및 교육 내용

마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사회복지사업법 13조 2항 동 시행규칙 제 5조-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보수교육 안내(대상자 매뉴얼)

사회복지사업법에서 사회복지법인 또는 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는 정기적으로 인권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 보수교육을 받아야 함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대상자 매뉴얼에서는 연간 8평점(8시간) 이상 이수할 것을 규정함 필수영역은 각 1평점 이상을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함

- 117 -

필수영역 선택영역사회복지 윤리와

가치 사회복지 실천 사회복지 정책과제와 법 사회복지 행정 사회복지

조사연구

표 46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과목

사이버교육은 4평점까지 인정하며 나머지 4평점은 반드시 집합교육을 통해 이수해야함

바 수화통역사

수화통역사는 국가공인 민간자격임 수화통역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자격기본법 제35조(보수교육) 국가자격관리자 및 공인자격관리자는 해당 국가자격

및 공인자격을 취득한 자의 직무능력의 유지middot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보수교육을 실시할 수 있음

- 한국농아인협회 보수교육 내용 규정

한국 농아인 협회에서는 보수교육에 대해 자격을 취득한 날로부터 5년 이내에 50시간 이상의 보수교육을 이수할 것을 규정함 보수교육은 한국 농아인 협회 중앙회교육과 외부기관교육(시도협회 외부유관기관 및 단체)이 있음 이 중 최소 30시간 이상은 중앙회에서 운영하는 교육에 참여해야 함 5년 이내에 50시간의 보수교육을 미이수하였을 경우 자격정지 3회 이상의 자격정지시 자격이 취소됨- 수화 연구의 동행과 언어운용에 관한 내용- 수화 통역 이론의 동향과 과제에 관한 내용- 지역사회 통역의 연습을 중심으로 하는 내용- 상황별 사례발표 및 토의를 중심으로 하는 내용- 청각 장애인 복지 정책과 과제에 관한 내용- 농사회 농문화 관련 내용- 그밖에 관련 내용

유형 세부기준 평점

집합교육-교육정원 80명 이하 1시간1평점-교육정원 80명 초과

이수평점(총 8평점)중 연간 2평점까지 인정가능 4시간1평점

사이버교육 온라인 교육이수평점(총 8평점)중 연간 4평점까지 인정가능 1차시05평점

표 47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규정

- 118 -

사 점역교정사

점역교정사는 국가공인 민간자격임 점역교정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자격기본법 제35조(보수교육) 국가자격관리자 및 공인자격관리자는 해당 국가자격

및 공인자격을 취득한 자의 직무능력의 유지middot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보수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 한국시각장애인협회 점역middot교정사 민간자격관리에 관한 규정 제31조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에서는 자격증의 유효기관을 5년으로 하고 유효기관 내에 1회 이상 보수교육을 이수할 것을 규정하고 있음

아 언어재활사

언어재활사는 국가자격임 언어재활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 시행령 61조 2항

보수교육은 한국언어재활사협회가 실시하며 교육시간은 연간 10시간 이상으로 함

자 의지보조기기사

의지보조기기사 국가자격임 의지보조기기사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 시행령 61조 1항

보수교육은 국립재활원장이 실시하며 교육시간은 2년간 8시간 이상으로 함 국립재활원 교육홍보과에서 실시하고 있음

차 요약 및 문제점

보수교육 규정 요약

이상의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현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 119 -

재활영역

전문인력 보수교육 법령 및 규정 보수교육

시간 보수교육 시행기관 교육과목 및 특징

의료재활인력

의사

의료법 제 30조 제2항 제 3항 및 동 시행규칙 제 20조 제 21조 제 23조대한의사협회 정관 3조대한의사협회 연수교육 시행규칙

8평점 이상년

-중앙회-해당 시middot도 의사회-의과대학 및 대학원-레지던트 교육병원-각 학회 및 지회(단 의학회에 등록된 학회에 한함)-기타 교육 위원회에서 인정하는 기관 및 단체

-임상교육과 기초교육을 병행- 10 이내의 의사윤리교육을 실시 - 윤리교육 외에 10이내의 교양과목 의료정책의료사회학 의료정보학 등을 교육과목으로 개설 가능- 재활의학과목을 이수해야 하는 것 아님

간호사

의료법 제 30조 제2항 제 3항 및 동 시행규칙 제 20조 제 21조 제 23조대한간호협회 정관 6조대한간호협회보수교육 시행규정 보수교육지침 온라인보수교육지침

8평점 이상년

- 지부 및 산화단체보수교육인정기관간호대학(학과)대한간호사협회 사이버교육센터

전문 간호사는 반드시 전문간호사 보수교육을 시행받아야 함오프라인 보수교육 하한은 4평점

물리치료사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제20조 및 동법 시행세칙 제 18조

8평점 이상년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작업치료사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20조 의료기사등에 대한 법률 시행규칙 18조대한작업치료사협회 규정 57조 58조 59조 60조 64조

8시간 이상년 대한작업치료사 협회

-협회 보수교육 3평점-지회보수교육5평점-임상분야에서 실제 활용되고 있는 내용이나 해외 최신 학술정보에 관한 내용 기타 작업치료사로서 갖추어야 할 윤리에 관한 교양강좌(20)

사회복지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업법 13조 2항 동 시행규칙 제 5조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보수교육 안내(대상자 매뉴얼)

8시간 이상년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위탁한 협회나 협의회

-필수영역 사회복지윤리와 가치 사회복지 실천-선택영역 사회복지 정책과제와 법 사회복지행정 사회복지 조사연구

장애인

복지 전문인력

언어재활사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 시행령 61조 2항

10시간 이상년 - 한국언어재활사협회 현재 자격 및 제도 도입 중 (구) 언

어치료사

의지middot보조기

기사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 시행령 61조 1항

8시간 이상2년-국립재활원

국립재활원 교육홍보과에서 시행 자격증이 분야별 세분화되어 있지 않음

수화통역사

자격기본법 제35조한국농아인협회 보수교육 내용 규정

50시간 이상5년

-중앙회(한국농아인협회)-외부유관기관 및 단체

-최소 30시간은 중앙회에서 교육을 받아야 함

점역middot교정사

점역middot교정사 국가공인 민간자격의 관리middot운영에 관한 규정 31조

1회 이상5년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시간 및 규정이 규체적이지 않음

표 48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현황

- 120 -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문제점 및 대안

재활의료 인력에 특화된 보수교육 의무규정이 없음- 재활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 및 사회복지사에 대한 재활 관련 교육영역과 내용에

대한 보수교육 규정 부재- 점역교정사 언어재활사 보수교육에 대한 과목 규정 등이 취약

국립재활원에서 재활 분야 간호사 및 사회복지사에 대한 보수교육에 적극 참여해야 함

또한 보수교육규정 상 의지보조기사를 제외한 직종에서 국립재활원의 역할이 없음- 의지보조기사 규정(장애인복지법 시행령 61조 1항) 국립재활원장이 실시하고 교

육시간은 2년간 8시간 이상으로 한다

국립재활원에서 보수교육 중 재활영역 가이드라인 및 프로그램을 생산하여 권역재활병원 등으로 확산시킴

국립재활원에서 보수교육 중 재활영역 가이드라인 및 프로그램을 생산하여 권역재활병원에서도 보수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확산시킴

각 직종별 보수교육 규정 중 시행기관에 국립재활원 및 권역재활병원을 포함시키도록 함

각 직종별 보수교육 규정 중 병원 및 장애인재활시설에서 근무하는 인력은 국립재활원 및 권역재활병원에서 개설하는 임상실기 전문이론 공공재활 등을 필수적으로 이수하도록 명시함

재활전문인력 양성규정 현황

가 재활전문인력 양성 규정

현재 재활전문인력의 자격증 종류 자격취득경로 인력 수 등 현황은 다음과 같음

- 121 -

재활영역 전문인력 자격증 종류 자격취득 수

(2012년)

의료재활

재활의학과의사 국가자격증

의과대학middot전문대학원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면허를 수여 받은 자중 재활의학 레지던트 수련을 받고

전문의 시험에 합격한 자

1386명

간호사 국가면허증 간호대학 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수여받은자 120491명

물리치료사 국가면허증4년제 또는 3년제 대학의

물리치료학과를 졸업한 후 국가 자격시험에 통과한 자

25475명

작업치료사 국가면허증 4년제 또는 3년제 대학을 졸업한 후 작업치료사 국가시험에 통과한 자 3594명

사회복지 사회복지사 국가자격증 2급 대학에서 14과목을 이수한 자

1급 국가자격시험에 통과해야 함

2642명

장애인복지전문인력

언어재활사 국가자격증

2급 대학원 대학 전문대학의 언어재활 관련 교과목을 이수하고

학위를 취득한 자 중 국가시험 통과자1급 2급 자격자 중 박사학위 또는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 중 언어재활기관에 1년 근무했거나 학사학위자 중 3년 근무한 경우

-

의지보조기기사 국가자격증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서 의지 보조기

관련 과목을 이수하고 국가시험에 통과한 자

944명(20131)

점역교정사 국가공인 민간자격증

3급 20세이상 고절이상 3년이상 경험자

2급 3급취득후 1년 혹은 4년제 대학 졸업자 4년이상 경험자

1급 2급 자격취득후 1년이상 경과 혹은 4년제 대학졸업자 5년이상

경험자

3급 484명 2급 72명 1급 40명(20131)

수화통역사 국가공인 만 19세 이상의 대한민국 남녀

표 49 재활전문인력 자격증 현황

- 122 -

의료재활 및 사회복지인력은 보건의료기관 내 근무인력임

자료원 국가통계포탈 국시원 내부자료 한국시각장애인협회 내부자료 한국농아인협회 내부자료

나 재활 전문인력 양성 규정의 문제점

학교와 민간단체가 혼재되어 있는 인력 양성 과정

의료재활 인력과 사회복지 인력은 대학교와 병원을 통해 인력이 양성됨

장애인 복지 전문 인력 중 국가공인 민간자격증을 부여하는 점역교정사 수화통역사의 양성은 민간 기관양성과 학교를 통한 양성과정이 혼재되어 있음

재활에 특화된 전문인력 양성 과정의 부재

간호사의 경우 장애인 재활 전문 간호사 자격 및 양성 과정이 부재함

사회복지사의 경우 재활과 관련된 교육 과정이 부족함

재활인력 공급의 양적인 불균형

물리치료사 공급은 많으나 작업치료사는 공급은 부족함

장애인 복지 전문인력 중 점역교정사 수화통역사 언어재활사 의지보조기기사 연도별 배출인력이 편차가 큼

재활인력 전문교육 수요도 조사

가 조사기간 및 대상

2012년 12월 10일 ~ 2012년 12월 17일(약 일주일간)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재활간호학회 대한사회복지사협회 대한직업치료사협회 소속 재활인력 총 225명

나 조사내용

- 근무 기관의 종류(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 보건(지)소보건의료원 복지관

민간자격증 1049명(20131)

- 123 -

기타- 공공기관민간기관 근무 - 재활 관련 근무 연수- 최종학위- 장애인 재활과 관련하여 받은 교육 여부 내용 및 만족도- 장애인 재활과 관련하여 전문적인 교육과정의 필요성 여부와 필요한 내용 국립재

활원에 개설 시 참여 여부

다 조사결과

일반적 현황

사회복지사를 제외한 나머지 직종은 전반적으로 설문에 참여한 사람 중 종합병원과 병원에 근무하는 사람이 많았으며 사회복지사의 경우는 대부분 복지관 등 장애인 복지시설에 근무하고 있음

구분직종

응답자수

종합병원 병원 요양

병원 의원 보건기관 장애인 복지시설 기타

물리치료사 25 280 320 160 80 120 00 40작업치료사 81 284 210 86 62 37 123 198재활간호사 19 105 895 00 00 00 00 00사회복지사 100 10 00 00 00 20 940 30

표 50 응답자 일반적 현황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 사회복지사는 민간기관에 근무하는 경우가 많았고 조사에 응한 재활간호사는 모두 공공기관에 근무하고 있음

구분직종 응답자 수 공공기관 민간기관

물리치료사 24 292 708작업치료사 81 370 630재활간호사 17 1000 00사회복지사 95 358 642

표 51 응답자 공공민간 기관 근무 현황

모든 직종에서 5년 이상 재활분야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가장 많았음

- 124 -

구분직종

응답자 수 1년 미만 1년 이상 1년 이상

3년 미만3년 이상5년 미만 5년 이상

물리치료사 25 00 40 80 160 720작업치료사 81 74 25 136 210 556재활간호사 19 53 00 421 53 474사회복지사 98 184 112 133 92 480

표 52 응답자의 재활분야 근무연수

재활간호사는 석사 이상 학위를 가진 군이 더 많았고 나머지 직종은 학사 학위를 가진 군이 더 많았음

구분직종 응답자 수 학사 석사 박사

물리치료사 24 667 333 00작업치료사 80 577 352 70재활간호사 19 316 684 00사회복지사 100 634 323 43

표 53 응답자의 최종학위

재활 관련 교육 경험 현황

직종별로 장애인 재활 관련 교육을 전혀 받지 못했던 군도 작업치료사 중 222 사회복지사 중 170 물리치료사 중 160 정도 존재함 재활간호사 중 재활 관련 교육을 전혀 받지 못했던 군은 53로 직종 중 가장 낮음

응답자 수 있음 없음물리치료사 25 840 160작업치료사 81 778 222재활간호사 19 947 53사회복지사 100 830 170

표 54 응답자의 재활관련 교육 경험

모든 직종에서 보수교육을 통한 재활 교육 경험이 가장 많았음 주목할 만한 부분으로서 사회복지사는 직원교육을 통한 재활 교육을 거의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125 -

구분직종 응답 수 보수교육 직원교육 관련 학회 소그룹

세미나 기타

물리치료사 59 305 203 288 203 00작업치료사 155 348 174 310 129 39재활간호사 53 340 264 170 208 19사회복지사 144 486 35 243 167 69

표 55 응답자의 교육 경험 경로

교육의 내용은 모든 직종에 걸쳐 이론 교육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임상실기 교육이 그 다음이고 공공재활 교육은 가장 낮음

구분직종 응답 수 임상 실기교육 이론 교육 공공 재활 교육 기타

물리치료사 42 452 452 95 00작업치료사 113 398 496 106 00재활간호사 41 341 415 244 00사회복지사 107 271 598 56 75

표 56 응답자의 교육 경험 내용

기존에 받았던 재활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재활간호사가 767 정도로 높지만 나머지 직종들은 5점을 조금 넘는 수준임 특히 사회복지사의 만족도가 가장 낮음

응답자 수 만족도(10점 만점)

물리치료사 24 625

작업치료사 81 596

재활간호사 18 767

사회복지사 97 567

표 57 응답자의 교육 만족도

전문재활교육 수요도

전문재활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모든 직종에서 464-489까지의 높은 요구를 나타냄

- 126 -

응답자 수 필요성(5점 만점)

물리치료사 25 484

작업치료사 80 464

재활간호사 19 489

사회복지사 98 480

표 58 전문재활교육 수요도

국립재활원에서 개설하기 원하는 전문재활교육의 내용에 대해서는 모든 직종에서 임상실기 교육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음 반면 학위 취득을 위한 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가장 낮았음

구분직종 응답자 수 임상실기 교육

(5점 만점)이론 교육(5점 만점)

공공재활 교육(5점 만점)

석사 이상의 학위 취득(5점 만점)

물리치료사 24 433 432 267 233작업치료사 81 460 375 325 188재활간호사 19 484 416 289 189사회복지사 100 416 398 321 218

표 59 원하는 전문재활교육의 내용

- 127 -

혼란변수를 고려하여 학사 학위를 가진 군만으로 분석했을 때도 결과는 동일함

구분직종 응답자 수 임상실기 교육

(5점 만점)이론 교육(5점 만점)

공공재활 교육(5점 만점)

석사 이상의 학위 취득(5점 만점)

물리치료사 15 420 431 267 253작업치료사 41 466 383 322 185재활간호사 6 483 417 267 183사회복지사 59 408 395 324 217

표 60 학사 학위자들이 원하는 전문재활교육 내용

국립재활원에서 교육과정을 개설했을 때 참여 의사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재활간호사의 의사가 463으로 가장 높았음 반면 나머지 직종은 368-398 정도의 의사를 보였음

응답자 수 참여 의사(5점 만점)

물리치료사 25 368작업치료사 81 379재활간호사 19 463사회복지사 100 398

표 61 국립재활원 교육과정 참여

라 조사 결과 요약

장애인 재활 관련 교육을 전혀 받지 못했던 군도 직종별로 최소 53에서 최대 222까지 존재함

재활전문인력들이 재활교육을 받는 가장 흔한 경로는 보수교육임 한편 사회복지사의 경우 직원교육을 통한 재활교육을 거의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재활교육의 내용은 모든 직종에 걸쳐 이론 교육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임상실기 교육이 그 다음이고 공공재활 교육은 가장 낮음

기존에 받았던 재활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재활간호사가 767 정도로 높지만 나머지 직종들은 평균을 조금 넘는 수준임 특히 사회복지사의 만족도가 가장 낮음

- 128 -

전문재활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모든 직종에서 매우 높음

국립재활원에서 개설하기 원하는 전문재활교육의 내용에 대해서는 모든 직종에서 임상실기 교육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음 반면 학위 취득을 위한 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가장 낮았음

국립재활원에서 교육과정을 개설했을 때 참여하겠다는 의사는 재활간호사에서 매우 높았고 나머지 직종은 높은 편이었음

대학원대학 설립에 대한 법적 타당성 검토

가 타 기관 사례

구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1958년 국립의료원 부설 간호학교가 설립되었고 1999년 국립의료원 간호대학으로 직제가 개편되었음- 1958 6 27 대한민국과 스칸디나비아 제국과의 협정으로 국립의료원 부설간호학

교 설립 보건사회부에서 관리운영(대통령령제1377호)- 1959 2 23 국립의료원 간호학교 직제 제정 (대통령령 제1454호)- 1959 7 06 국립의료원 간호학교 개교(초급대학 과정)- 1977 9 01 국립의료원 간호전문학교로 직제개편 (대통령령 제8672호)- 1979 1 01 국립의료원 간호전문대학으로 직제 개편- 1999 3 01 국립의료원 간호대학으로 직제 개편 (대통령령제16039호)- 2000 8 04 제16대 학장 송지호 박사 취임- 2005 2 05 제17대 학장 김애리 박사 취임- 2006 2 09 제45회 졸업 (졸업생 총1925名)- 2007 2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폐지

- 129 -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시행날짜 법령명 주요내용1958627 중앙의료원직제 제10조 중앙의료원에 간호학교를 부설 할 수 있음

1959223 중앙의료원 간호학교직제

제1조 중앙의료원에 간호학교 부설함제3조 간호학교의 수업 년한은3년으로하고 이에 입학할 수 있는 자는 고등학교를 졸업한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문교부장관이 인정한 자로 함제4조 교장은 의료원부원장이 교감은 의료원 간호과장이 겸하고 사감은 간호부장 중에서 겸무함

197791 국립의료원 간호학교직제 폐지

197791 국립학교설치령

제2조 문교부장관소관제36조 ⓻ 간호전문학교 입학금과 수업료 면제 실습비middot기숙사비middot피복비middot기타학비 국고 지급제37조 ⓶ 졸업 후 3년간 보건복지부 장광이 지정한 직무에 복무제40조 국립의료원 간호전문학교의 운영에 필요한 경비는 국고(국립의료원 특별회계)에서 지급제41조 공무원임용시 문교부장관은 보건사회부장관과 협의

199331 국립학교설치령제2조 교육부장관 소관제41조 공무원 임용시 교육부장관은 보건복지부 장관과 협의부칙 2조 국립의료원 간호대학으로 명칭변경

표 62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법제 연혁

국립암센터 대학원대학

2010년 5월 국립암센터법이 폐지되고 lsquo암관리법rsquo 으로 통합되었음 이때 대학원대학의 법적 근거도 함께 마련됨- 암관리법29조 (부속기관의 설치) ①국립암센터에 암연구소 부속병원 국가암관리

사업본부 및 그 밖에 필요한 기구를 둔다② 국립암센터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고등교육법」 제30조에 따른 대학원대학(이하 대학원대학이라 한다)을 설치할 수 있다③ 대학원대학의 조직 교원 학위 과정 운영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2012년 현재 대학원대학 설립이 진행 중임 - 2012년 5월 교과부의 lsquo국가-특수법인 대학설립 심의위원회rsquo 통과- 2012년 8월 lsquo대학설립인가신청서rsquo 교과부에 제출 국제암대학교대학원(정원 총 70

명 (석사 20명 박사 10명))- 2012년 11월 2일 현장 점검 시행- 2012년 12월 초 현장 점검 예정- 2013년 2학기부터 신입생 모집 예정

- 130 -

일본국립장애인재활학원

시대에 따라 보건복지인력에 대한 일본사회의 요구도는 꾸준히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일본사회의 요구에 선도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국립기관에서 인력을 양성함

이렇게 필수적으로 필요한 인력의 양성은 국립에서부터 시작하여 민간영역으로 확산시키는 것이 중요함 왜냐하면 민간에서 충분한 양의 인력을 공급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임 또한 이미 민간의 양성기관이 많은 경우 양성과정의 질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음 이를 통해 양질의 재활인력을 공급할 수 있음

일본재활원내의 인력양성 학원의 법적 지위는 학교교육법 124조에 의거한 전수학교임40) 설립 및 운영은 후생노동부가 주관하고 법률적으로는 문부과학성에 소속됨

법적으로 지정된 전수학원으로 교원 수 및 학교운영에 대해서 학교교육법의 통제를 받음

법적으로 자격증이 도입되기 전에 필요한 인력을 선도적으로 양성하고 민간으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며 전체적인 민간 교육기관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역할을 진행함

일본 재활원내의 대학의 경우 학비가 같은 직종의 전수학원에 비해 학비가 저렴하며 공공기관이 필요로 하는 인재 양성에 주력하는 역할을 함 학생 1인당 입학금 및 학비는 대략 350000엔~560000엔으로 다른 사립학교에 비해 학비가 저렴함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 학원 재정은 학생이 내는 금액이 모두 국가 재정으로 포함되고 모인 후에 학원의 운영비와 시설비가 국고지원 형식으로 지원됨 따라서 운영 및 시설 소요 재정은 전부 국비로 지원받고 있는 셈임

이 중 학원의 연간 운영비는 약 75억 엔 정도이며 이 중 70 이상 인건비로

40) 전수학교는 우리나라의 전문학교와 유사한 개념으로 일본의 경우 직업교육의 일환으로 간호 미용 양재

속기 타자 자동차 통신 편물 등과 관련된 직업교육을 진행하는 민간 전수학교가 존재함

- 131 -

사용함 시설비 외에 운영비 역시 국비로 지원되어 운영됨으로써 운영에 대한 재정적 어려움이 크지 않음 이는 운영비를 자체적으로 조달하여야 하는 국내 국공립기관들과 큰 차이를 가짐

현재 6개 학과의 경우 강사진이 대략 센터 50 외부강사 50로 구성되어 있으며 향후 센터내의 강사 비율을 높일 계획임 현재 연수교육의 경우 내부강사 60 외부강사 40로 구성되어 있음

나 국립재활원 대학원대학 설립

Page 5: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표 차례표 1 재활의학과 전문의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표 2 중도장애인 사회복귀지원과정 프로그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표 3 재활 전문의료인력 보수교육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표 4 서면 조사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표 5 프로그램 참여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표 6 법 제도적 개선사항 제안 정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표 7 H-CRsP 프로그램 구성 및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3표 8 사회복귀 프로그램 목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6표 9 프로그램 구분 및 참가자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7표 10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지체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표 11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뇌병변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표 12 재입원 의료이용 현황(지체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표 13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뇌병변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표 14 표준산정일수 필요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4표 15 필요하다고 응답한 전문가들의 표준산정일수 추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표 16 인증기관 평가 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표 17 추가인정 재활수가 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표 18 장비 목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표 19 임시 장비 목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표 20 인력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표 21 운동 프로그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6표 22 추가 필요 장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표 23 고양시 재활스포츠센터 인력구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표 24 재활 체육 프로그램 목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표 25 생활체육프로그램 목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표 26 부산시설공단 한마음스포츠센터 장애인 프로그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표 27 국립재활원 장애인 체육 지원 구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8표 28 국립재활체육센터 인력 프로그램 및 장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표 29 ACSM 권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표 30 2013년 장애인체육 육성 기금 예산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5표 31 부서별 교육과정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0표 32 부서별 교육 프로그램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0표 33 부서별 교육 시간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1표 34 부서별 교육대상 인력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1표 35 교육과정 종류별 교육 경험자 직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2표 36 부서별 교육 대상자 소속 분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3표 37 보수교육 인정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3표 38 교육과정 강사 인력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4표 39 부서별 주요 교육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5표 40 국립 암센터 교육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8표 41 국립중앙의료원 공공기관 근무자 교육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9표 42 일본 국립장애인 재활센터 직종별 입학 조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0표 43 연수교육 시행기관과 교과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4

표 44 대한간호협회 보수교육 시행규정 및 교육 지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5표 45 대한작업치료사협회 보수교육 종류 및 교육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6표 46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과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7표 47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규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7표 48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9표 49 재활전문인력 자격증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1표 50 응답자 일반적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3표 51 응답자 공공민간 기관 근무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3표 52 응답자의 재활분야 근무연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4표 53 응답자의 최종학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4표 54 응답자의 재활관련 교육 경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4표 55 응답자의 교육 경험 경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5표 56 응답자의 교육 경험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5표 57 응답자의 교육 만족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5표 58 전문재활교육 수요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6표 59 원하는 전문재활교육의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6표 60 학사 학위자들이 원하는 전문재활교육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7표 61 국립재활원 교육과정 참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7표 62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법제 연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9표 63 부서별 교육 기능 및 역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0

그림 차례그림 1 재활의료서비스 전달체계 모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그림 2 국립재활원의 비전과 본 연구 주제와의 관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그림 3 지체장애 재활의료서비스 지역별 자체 충족률(중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그림 4 뇌병변장애 재활의료서비스 지역별 자체 충족률(중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그림 5 재활의학전문의 1인당 인구수 및 지체뇌병변장애인 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그림 6 포괄적 재활의료 서비스 연계체계 모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그림 7 OECD 회원국의 2000년대 장애인 가구 빈곤율 및 상대빈곤 위험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그림 8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의 기능과 역할(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그림 9 국립재활원 교육훈련 체계 강화 방안 연구수행 체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그림 10 공공재활의료 지원체계 모식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그림 11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의 기능과 역할(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그림 12 권역재활병원의 기능과 역할(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그림 13 국립 암센터 지정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그림 14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체계 제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그림 15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 기준(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그림 16 재활전문병원 인센티브 방안(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그림 17 국립재활원과 타기관의 현재 관계 모식도(As i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그림 18 국립재활원과 타기관의 관계 제안 모식도(To b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그림 19 사회복귀 프로그램의 운영 흐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그림 20 사회복귀지원과 사업추진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6그림 21 서울시 지역사회복귀 지원 사업 확산 모식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그림 22 지체장애 최초입원-3년 사이 입원양상(전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그림 23 지체장애 최초입원-3년 사이 입원양상(중증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그림 24 뇌병변장애 최초입원-3년 사이 입원양상(전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그림 25 뇌병변장애 최초입원-3년 사이 입원양상(중증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그림 26 재원 확보 방안 단계 모식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그림 27 아산병원 스포츠의학센터 진료흐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그림 28 체육센터 운영 흐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그림 29 건강 병력 질문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그림 30 신체적 활동 준비 질문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그림 31 국립재활원 조직구성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그림 32 교육과정 종류별 총시간 구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9그림 33 교육과정 연간 순환횟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4그림 34 국립암센터 일본 국립재활원 조직도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6그림 35 일본장애인재활 센터 학원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2그림 36 국립 암센터 내부 직원 대상 교육 목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3그림 37 일본 국립재활원의 학원 재정 운영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1그림 38 국립재활원 교육 담당 조직 정비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9

- 1 -

제1장 서론

연구의 필요성

가 국립재활원의 역할과 조직개편

재활의료서비스 전달 모형과 국립재활원의 역할

장애 발생 이후 재활의료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환자의 이용경로는 lt그림 1gt과 같음 - 사고나 질병 등으로 장애가 발생하고 환자의 생체징후 등 의학적 상태가 불안정하

면 의학적 상태를 안정화시키는 내과신경과신경외과정형외과적인 집중적 치료에 병행하여 기능적 회복을 증진시키는 초기 재활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게 됨

- 환자가 의학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내원하거나 치료서비스 및 초기재활서비스를 제공 받고 의학적으로 안정된 상태에 이르게 되면 기능회복 가능성과 제공되어야 할 재활서비스의 복잡성을 평가하여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직업재활 보장구 심리치료 사회서비스 등이 포함된 포괄적인 입원재활서비스를 제공하게 됨

- 또한 환자의 기능회복 가능성이 낮거나 제공되어야 할 재활서비스의 복잡성이 낮은 경우 외래 혹은 방문재활서비스 장기요양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사회 재활 단계로 환자를 의뢰하게 됨

- 2 -

국립재활원은 권역재활병원과 함께 재활의료 교육 연구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가 중앙재활센터 기능을 수행해야 함 1994년 제정된 국립재활원운영규칙(보건사회부령 제930호)에서는 국립재활원의 기능으로서 다음 네 가지를 규정하고 있음- 장애인에 대한 의료재활- 장애인의 자립재활- 장애인재활전문요원의 양성 및 훈련- 장애발생의 예방과 장애인의 재활훈련 등 그 복지의 증진에 관한 조사연구

2005년 12월 공공보건의료 확충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권역재활병원이 단계적으로 건립되었고 2008년 보건복지가족부령 제84호로 국립재활원 내 재활연구소가 설치되는 등 국립재활원에 새로운 역할들이 부여되고 있음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실의 2010년 연구1)에 따르면 실용적 재활보조기술 연구 국가 장애인 정책 수립 방안 제시 재활 연구를 위한 연구센터로서의 역할 권역재활병원의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사항 등이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의 기능으로 새롭게 추가 규정되어야 할 역할로서 제안되고 있으며 장애인 재활정보센터 역할 담당 최상의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표준 제시 등은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됨

이에 따라 국립재활원의 새로운 역할로 제안된 내용들은 다음과 같음 - 광역 수준의 재활의료기관을 관리하고 권역재활병원과 함께 재활의료 교육 연구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가 중앙재활센터 기능을 수행함 - 권역재활병원의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표준을 제시하고 재활연구 활성화를

유도하며 국가차원의 장애인 재활관련 통계자료를 관리하고 정보를 제공함- 장애인 재활정책 연구를 전문적으로 수행하여 국가의 장애인 정책 수립을 뒷받침함 -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연구 및 기술개발사업 그리고 선진 임상재활 연구를 위한

임상연구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재활서비스의 프로그램 인력 시설 등의 표준화된 인증 주관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함

국립재활원 조직개편

2009년 보건복지부는 국립재활원의 발전적인 기능개편을 목적으로 「국립재활원 발전 민middot관 TF」를 구성하여 운영하였음 - 2009 12 31 「국립재활원 발전 민middot관 TF」 구성 운영계획 수립- 2010 2 24 「국립재활원 발전 민middot관 TF」 제1차 전체회의 개최 기획총괄 재활

1)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실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10

- 3 -

교육훈련 재활의료 재활연구 등 4개 분과회의 구성- 2011 9 7 「국립재활원 발전 민middot관 TF」 제3차 전체회의 개최 국립재활원의 발

전적인 기능개편을 위한 기본방향(안) 마련- 2012 2-3월 국립재활원의 발전 기본방향 개편내용 운영프로그램에 대하여 보건

복지부와 협의

이러한 과정을 거쳐 2012 5 1 국립재활원 조직개편이 이루어짐 - 한방내과 장애인건강증진센터 신설- 장애인운전지원과 공공재활의료지원과 사회복귀지원과 개편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12 5 1 조직개편에 따라 신설되거나 개편된 부서의 기능 및 역할을 재정립하고 이를 통해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음

- 4 -

나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구축의 필요성

재활의료 시설의 불균형적인 분포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근접 지역 내에 재활시설이 없을 경우 재활서비스를 이용하기가 매우 어려움

현재 지역별로 불균형적인 재활의료서비스 공급은 장애인들이 자신의 거주지에서 재활의료서비스를 받는 것을 제한함 결론적으로 지역별 재활의료서비스 이용의 불평등을 야기함- 2006년 재활의료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지역별 자체 충족률을 살펴보면 입원

및 외래에서 지역별로 자체 충족률에 상당한 불평등이 존재하고 있음 특히 광역시 주변 시도의 자체 충족률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이 지역 장애인들이 재활의료서비스에 관한 필요가 충족 못하고 있다고 판단됨

자료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09)

- 5 -

자료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09)

장애인 재활서비스 제공기관들이 지역적으로 불균등하게 분포됨으로 인해 장애인의 서비스 이용지와 주거지가 일치하지 않음 이로 인해 긴급한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고 지속적인 재활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으며 환자 및 보호자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음

따라서 장애인의 지리적middot경제적 재활의료서비스 이용의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재활의료서비스가 취약한 지역에 대한 재활의료서비스 시설의 확충이 필요함

그러나 재활을 포함한 우리나라 의료는 대다수가 민간중심으로 공급되고 있어 이에 공공재활의료 지원에 대한 대책이 필요함

재활의료 인력의 불균형적 분포

현재 재활의료 서비스의 인력 공급은 지역 간 불균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2008년 재활의학과 전문의의 지역별 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서울(281)과 경기도(219)에 근무하는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전체의 절반에 이르고 울산이 11로 가장 낮았음2)

2) 보건복지부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향 연구 2009년

- 6 -

지역별 재활의학전문의 1인당 인구 및 지체뇌병변 장애인 수를 비교해보면 대전이 재활의학과 전문의 1인당 인구 2794백 명 지체뇌병변 장애인 78백 명으로 가장 낮았음 전문의 1인당 인구는 울산이 10113백 명으로 가장 높았고 1인당 지체뇌병변 장애인 수는 전남이 338백 명으로 가장 높았음

지역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의원 보건기관 총계종합

전문종합병원 병원 요양

병원 소계

서울 67 30 35 38 170 113 1 284 부산 7 14 12 6 39 16 0 55 대구 13 5 9 5 32 3 1 36 인천 5 3 18 6 32 14 0 46 광주 5 10 7 3 25 12 0 37 대전 3 10 3 10 26 27 0 53 울산   2 4 2 8 3 0 11 경기 4 53 58 37 152 67 2 221 강원 5 5 3 1 14 11 0 25 충북 2 4 3 5 14 14 0 28 충남 4 3 4 10 21 21 2 44 전북 5 6 5 9 25 14 2 41 전남   4 9 5 18 5 2 25 경북   6 10 10 26 8 1 35 경남 4 15 16 13 48 5 0 53 제주   3 3 3 9 7 0 16 총계 124 173 199 163 659 340 11 1010

표 1 재활의학과 전문의 현황

(단위 명)

- 7 -

취약한 공공재활 의료 현황

장애인의 재활의료서비스의 불균형적인 공급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권역재활병원 건립(6개 예정 경인 강원 제주 영남 충청 호남)과 지역사회 중심 재활사업을 전국 60개(시범사업까지 70개) 거점 보건소를 중심으로 시행하고 있음

그러나 권역재활병원은 기능 수행이 미흡한 실정이며 장애인이 자신의 거주 지역에서 진료 받을 수 있는 지역거점 장애인 진료병원은 양적으로 매우 취약한 실정임

공공재활의료 연계체계에 대한 다양한 모형이 제시되었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관 확충이 진행 중 이지만 현재 국립재활원 ndash 권역재활병원- 지역사회재활 거점 보건소 간 연계 체계는 매우 미흡한 상황이며 이를 뒷받침해줄 법제도적 지원 역시 미흡한 상황임

2012년 국립재활원에서는 공공재활의료 지원을 위해 공공재활의료 지원과를 신설하였음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구축을 통해 취약한 공공재활 의료지원을 활성화하고 국립재활원의 리더십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함

- 8 -

다 사회복귀 지원에 대한 필요성

재활의료란 의학적 치료 후 환자가 장애를 갖게 되었을 때 남아있는 기능으로 일상생활은 물론이며 직장생활도 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재활치료의 목적은 환자의 건강 및 생명을 최선의 상태로 회복하고 이를 유지하는데 있다고 정의할 수 있음3)

따라서 장애인들이 사회에 복귀하여 최대한 독립적인 삶을 살 수 있게 해주는 것은 재활의료서비스의 최종 목적이라고 할 수 있음

2011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장애연금수급자 재활서비스 실태 및 욕구』에 따르면4) 의료재활서비스를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경험이 있는 사람은 장애인연금 수급자 중 82로 나타났으나 직업재활서비스를 현재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경험이 있는 사람은 12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음 또한 사회재활서비스를 이용 중이거나 경험해본 사람은 15정도임

사회재활서비스 욕구에 관한 조사에서는 스포츠재활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전체의 40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활동보조 등 서비스 31 심리치료서비스 24의 순으로 나타났음 따라서 운동 재활과 관련하여 체육관을 이용한 재활 프로그램의 확산 및 법적middot제도적 지원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2010년 OECD 보고에 따르면 우리나라 장애인의 월평균 소득은 전체 인구 평균 소득보다 20p 정도 낮았으며 이는 OECD 회원국의 평균보다 더 낮은 수준임 장애인 가구 상대빈곤율 역시 35로 OECD 회원군 평균보다 13p 높음

3) Howard A Rusk MD (1901-1989) the Rusk Institute of Rehabilitation의 설립자로서 lsquocomprehensiverehabilitation medicinersquo 제시 httpwwwmednyueduruskabouthruskhtml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애연금수급자 재활서비스 실태 및 욕구 2011

- 9 -

장애인들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립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사회재활지원 및 확대가 필요함

현재 국립재활원에서는 장애인의 빠른 사회복귀를 지원하기 위하여 장애인의 욕구 및 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개별 프로그램 제공을 목적으로 lsquo병원기반 사회복귀 지원 프로그램(H-CRsP)를 운영하고 있음

구분 내용장애인 운전교육 운전면허취득 실기교육 운전적응교육

의료지원 및 보조기 평가 심리상담 성재활 보조기 평가 및 지원사회체험 및 지역자원 연계 대중교통이용훈련 사회문화활동 지역자원연계

일상(독립)생활 훈련 스마트홈 체험 샤워 및 세탁 쇼핑 요리실습 등상담지원 동료상담 가족상담 등

학업직업 복귀탐색 학업복귀 지원 직업훈련 연계 취업준비 지원정보제공 컴퓨터교육 장애인복지시책 안내 주택개조 지원

레포츠 및 취미활동 레포츠(수영 탁구 보치아 파크골프 등)미술활동(원예 음악 미술 도자기 등)

자료 국립재활원 홈페이지

표 2 중도장애인 사회복귀지원과정 프로그램

그러나 전체 장애인의 필요의 사회복귀를 위해서는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프로그램을 확산시킬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

국립재활원에서는 장애인의 사회복귀지원을 돕기 위하여 사회복귀지원과를 구성하였음 향후 장애인의 사회복귀와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스포츠 재활을 포함

- 10 -

한 다양한 사회재활서비스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법 제도 개선 및 사회복귀지원 체계구축이 필요함

라 장애인재활 교육훈련시설의 필요성

장애 패러다임 변화 재활욕구의 다양화 및 증가 등에 따른 장애인 자립 등 재활교육훈련 기능강화를 위한 시설 필요함

후천적 장애예방 및 체험교육훈련시스템 전문화 기존의 노후 체육관 철거 등에 따라 종합적인 재활교육훈련시설 건립 필요함

마 국립재활원 교육체계 강화의 필요성

재활의료 인력에 대한 교육 현황

재활의료서비스 공급체계의 강화를 위해서는 시설 확립 전달체계 구축과 더불어 재활의료를 제공할 양질의 전문 인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교육훈련 체계가 필요함

그러나 우리나라의 재활 의료 공급은 양과 질적으로 부족한 상태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08년 요양기관현황에 의하면 의료기관의 26에만 재활의학 전문의가 배정되어 있으며 지역사회 기반 재활의료를 제공하는 보건소 역시 253개 시군구 보건소 중 60여개 소에 불과함

보건의료서비스는 기본적으로 대인서비스이므로 인력의 양과 질에 의해 서비스의 질적 수준이 결정됨

현재 재활의료분야의 전문적인 교육훈련체계는 수요에 비해 매우 취약함 임상영역의 경우 교육이 협회학회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부분 첨단의료최신지견을 위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가 많음 또한 분절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어 재활전달체계의 측면에서 필요한 임상적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의문임

또한 재활과 관련된 비임상영역의 교육은 부재함 재활의료서비스는 다양한 직종의 인력이 연계해서 제공해야 하지만 재활 관련 교육은 직종에 따라 분절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11 -

직종에 따라 의무적으로 받아야하는 보수교육 내용들 역시 대부분 의료기술과 최신지견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정시간의 교육만을 이수해야 한다는 양적인 규정만 존재함 따라서 지정된 시간의 보수교육만을 통해서 재활의료분야에서 얼마만큼 전문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 의문임

재활전문인력의 보수교육과 관련한 내용은 다음과 같음

재활영역 전문인력 보수교육

법령근거보수교육 시행규정 보수교육 시행기관 자격 요건

의료재활

의사

의료법 제38조 제 2항 제 3항 및 동 시행규칙제21조 2middot3middot4middot5

항의사협회 정관

제 3조

12평점 이상년

-중앙회-해당 시middot도 의사회

-의과대학 및 대학원-레지던트

교육병원(단과레지던트 교육병원 포함

-각 학회 및 지회(단 의학회에 등록된

학회에 한함)-기타 교육 위원회에서 인정하는 기관 및 단체

의학 대학middot전문대학원

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의 면허를 수여 받은

물리치료사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제20조 및 동법 시행세칙 제

18조

8평점 이상년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작업치료사협회

물리middot작업치료 대학 졸업 후

언어치료사 - 60시간이상 5년

한국언어치료사협회 및 지정학회

언어치료관련 대학 및 대학원 졸업 후 자격증 시험 합격자

청능사 - 60시간 이상3년

-청능사자격검정원 및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청능사 관련 대학 및 대학원 졸업 후 자격증 시험 합격자

간호사

의료법 제28조 제2항 제3항 및

동 시행규칙 제21조의 2에

의거

8평점 이상년

- 지부 및 산화단체보수교육인정기관

간호대학(학과)대한간호사협회 사이버교육센터

간호 대학 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의 면허를 수여 받은자

사회심리재활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업법 제13조 2항 8시간 이상년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위탁한 협회나

협의회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 대학

석사 또는 박사학위 취득자(석사middot박사 학위 취득자는 사회복지관련

필수과목 6과목 이상 이수해야함)

정신보건사회복지사 - 20평점년 -(사)한국정신보건사회

복지사협회사회복지사 1급 자격소지자로서

표 3 재활 전문의료인력 보수교육 현황

- 12 -

자료원 관련법-의료법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장애인복지법사회복지사업법자격기본법

기관-한국언어치료사협회청능사자격검정원 및 청각언어재활학회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사협회

한국미술치료학회 한국장애인직업생활상담원협회

국립재활원의 교육 기능에 대한 높은 요구도

2010년에 폐지된 lsquo국립재활원운영규칙(보건사회부령 제930호)rsquo에서는 국립재활원의 기능으로써 장애인에 대한 의료재활 장애인의 자립재활 장애인의 재활 전문요원의 양성 및 재훈련 장애발생의 예방과 장애인의 재활middot훈련 등 그 복지의 증진에 관한 조사연구로 규정하고 있음

보건복지부와 그 소속직제(대통령령 제23764호)rsquo에서는 국립재활원의 직무로 장애인의 복지증진을 위한 진료middot상담지도middot재활훈련 재활전문요원의 훈련 보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한 전문요원

수련기관에서 1년이상 수련을

마친자

수화통역사 자격기본법 제35조

50시간 이상년

-중앙회(한국농아인협회)-외부유관기관 및 단체

만19세 이상의 대한민국 남녀

점역middot교정사

점역middot교정사 국가공인

민간자격의 관리middot운영에

관한 규정 31조

1회 이상년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만19세 이상으로 고졸 이상의 학력을

소지한자 또는 시각장애인 관련

기관의 점역middot교정업무

3년이상의 경력자

미술치료사 - 60시간 이상5년 -(사)한국미술치료학회

미술치료사 미술치료전문가

수련감독미술치료전문가 자격취득자

직업재활

직업생활상담원 - 1회(8시간)1

년-(사)한국장애인직업새

활상담원협회장애인직업생활상담원 양성과정 수료자

재활보조공학

의지middot보조기 기사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법시행규칙 제 61middot62middot63조

8시간 이상2년 -국립재활원

의지middot보조기 대학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 가족부 장관의

면허를 수여받은 자

- 13 -

장구의 연구개선 재활조사연구사업 및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에 관한 업무를 관장한다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음

2010년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의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향』연구에서 시행한 전문가 조사에 따르면 국립재활원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결과에서 전문재활 인력 교육 및 강화를 국립재활원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로 응답하였음

국립재활원은 국가재활의료의 중추기관으로서 역할을 감당하기 위해 재활의료전문인력을 안정적이고 체계적으로 교육하고 공급하기 위한 교육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

또한 내부 교육 체계 강화를 통해서 국립재활원 내부 인력의 역량강화 및 근무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음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립재활원의 2012 5 1 조직개편에 따라 신설되거나 개편된 부서의 기능 및 역할을 재정립하고 현재 불균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재활서비스에 대해 국가 중추 기관으로서 국립재활원의 조직 발전방향과 미래상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음

- 14 -

- 첫째 국립재활원의 공공재활의료 지원체계 구축방안 제안- 둘째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방안 제안- 셋째 국립재활원의 장애인재활교육훈련시설 운영방안 제안- 넷째 향후 국립재활원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 전문 인력의 체계적 전문적 교육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새로운 재활 교육 체계 구축방안 제시

연구 내용 및 범위

가 공공재활의료 지원체계 구축

국립재활원에서 진행 중이거나 진행예정인 공공재활의료 지원 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함

권역재활병원에 대한 법적 규정 재활의료 연계 체계 등 공공재활의료 지원 업무와 관련된 법제도규정 등을 조사 분석함

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 지역암센터 지원 사업 등 다른 의료분야의 공공의료지원 체계에 대하여 조사 분석함

해외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를 조사하고 비교 고찰함

법 제도 규정 재원 등에 대한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개선안을 제시함

나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

국립재활원에서 진행 중이거나 진행예정인 사회복귀 지원 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함

사회복귀지원 업무와 관련된 법 제도 규정 등을 조사 분석함

국립재활원의 병원기반의 운동재활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하고 확산 방법을 모색함

해외 장애인 사회복귀 지원 정책 현황 및 실태분석을 진행함

법 제도 규정 재원 등에 대한 사회복귀지원 체계 개선안을 제시함

- 15 -

다 장애인 재활교육시설 운영방안 제시

현재 장애인 재활교육시설의 현황과 실태분석을 진행

국내에 운영중인 장애인 재활교육시설의 운영 및 프로그램을 조사

해외 재활교육시설 운영 리뷰

재활교육시설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시

라 국립재활원 교육훈련 체계 강화 방안 연구

재활분야의 교육훈련 체계 현황 파악

의료법 의료기사 등에 대한 법률 사회복지법 등 재활분야의 교육훈련과 관련된 법령을 조사하고 분석함

대한의사협회 대한물리치료사협회 대한작업치료사협회 한국사회복지사 협회 등 재활분야와 관련하여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학회협회의 교육 관련 규정을 분석하고 내용을 조사함

국립재활원 권역 재활병원 공공병원 지역사회 기반 재활 거점 보건소에 근무하는 인력을 대상으로 진행한 재활인력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함

임상분야(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등)와 재활사업분야(사회복지사 등)의 직종별 교육내용과 운영 방식 교육과정 운영규정 등 교육현황을 조사 분석함

전문가 자문을 통해 재활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함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대상 수요파악

재활의료서비스 분야의 교육 훈련 수요를 조사함 기관별로 국립재활원 권역재활병원 공공병원 지역사회재활 거점 보건소등에 근무하는 인력을 대상으로 교육훈련 수요를 조사함

임상분야(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등)와 재활사업분야(사회복지사 등)의 직종별 교육 수요를 분석함

- 16 -

재활 교육 대상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재활 관련 교육경험률 재활관련 교육 만족도 필요한 교육훈련 내용 등에 관한 수요조사를 시행함

다른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 비교 고찰

국립특수교육원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의 재활 교육훈련 체계를 조사 분석함

국립암센터의 교육훈련 체계를 조사 분석함

교육훈련체계는 교육훈련 운영방식 교육 내용 교육 대상(내외부인력) 교육과정 법적규정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함

각 기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장middot단점에 대하여 비교 고찰함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체계 구축 방안제시

현재 국립재활원의 현재 교육훈련체계에 대하여 조사 분석함 조사 내용으로는 운영방식 교육내용 교육대상(내외부인력) 교육 과정 법적 규정 등을 포함함

재활인력교육훈련 현황 파악 재활 교육훈련 대상 수요도 조사 다른 국립기관의 교육훈련체계 비교 고찰 등의 내용을 종합하여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체계 강화 방안을 개발함

국립재활원 내외부의 인력을 포괄하는 교육체계 구축방안을 모색함

- 17 -

연구방법

가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분석 및 개선안 제시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분석 및 개선안 제시를 위해 다음의 항목을 시행할 것임- 국립재활원에서 진행 또는 예정인 공공재활의료 지원 프로그램 현황조사 - 공공재활의료 지원 업무와 관련된 법middot제도 규정 조사- 다른 의료 분야의 공공의료 지원체계 조사- 해외 공공 재활의료지원 체계 조사 및 비교-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개선안 제시

나 사회복귀지원 체계 분석 및 개선안 제시

사회복귀지원 체계 분석 및 개선안 제시를 위해 다음의 항목을 시행할 것임- 국립재활원에서 진행 또는 예정인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현황조사- 사회복귀지원 업무와 관련된 법middot제도 규정 조사- 국립재활원의 운동재활프로그램 현황 조사- 운동재활과 관련된 지원할 법middot제도 규정 조사- 해외 장애인 사회복귀 지원정책 현황 및 실태분석- 운동재활 확산 방안 및 사회복귀지원 체계 개선안 제시

- 18 -

다 장애인 재활교육시설 운영방안 제시

장애인 재활교육시설 운영방안 제시를 위하여 다음의 항목을 시행할 것임- 장애인 재활교육시설의 현황과 실태분석- 국내에 운영 중인 장애인 재활교육시설의 운영 및 프로그램을 조사- 장애인 체육시설의 수요와 수요 충족도 조사- 해외 재활교육시설 운영 프로그램 리뷰

라 재활의료분야 인력의 교육훈련 체계 개발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현황 파악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분석할 것임- 의료법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사회복지사업법 등 재활의료 인력의 교육과 관

련된 법률 및 규정 - 의사협회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작업치료사 협회 한국사회복지사 협회 등의 관련

학회를 통한 직종별 교육 규정 및 내용-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 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권역 재활병원의 교육훈련 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공공병원의 교육훈련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지역사회재활 거점 보건소의 교육훈련체계(대상 운영 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수요파악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대상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분석할 것임- 건강보험심사평가원등의 자료를 이용한 재활의료전문인력의 직종별 현황- 건강보험심사평가원등의 자료를 이용한 재활의료서비스 기관별 인력 현황- 국립재활원 권역재활병원 공공병원 지역사회 기반 재활 거점 보건소에 근무하는

직종별 인력 현황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대상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시행할 것임- 설문을 이용한 재활 관련 교육 경험률 교육 만족도 필요한 교육훈련 내용 등

다른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 비교 고찰

다른 재활관련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분

- 19 -

석할 것임- 일본국립장애인재활 센터 교육훈련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다른 의료분야의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분석할 것임- 국립암센터 교육훈련 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다른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시행할 것임- 각 기관의 교육 체계 문헌조사- 기관 방문 및 교육 담당자 인터뷰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체계 구축 방안제시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 체계를 구축 방안을 개발 제시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시행할 것임-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체계 분석((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 20 -

제2장 공공재활의료지원체계 구축 방안

공공재활의료 문헌 검토

공공재활의료지원을 통해 공공재활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양질의 재활의료서비스를 공급

국립재활원은 국가재활중추 기관으로 권역재활병원과 보건소의 기술적 지원 및 재활인력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

- 21 -

국립재활원 역할에 대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는 권역재활병원과 함께 재활의료 교육 연구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가중앙재활센터 기능을 수행해야 함

보건복지부 인증 재활 전문의료기관 인증을 주관해야 함

- 22 -

재활연구소를 주축으로 권역재활병원의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표준을 제시하고 재활연구 활성화를 유도 함

국가차원의 장애인 재활관련 통계자료를 관리하고 정보를 제공함- 교육 훈련을 매개로 한 국립재활원과 권역재활병원의 리더쉽 체계를 구축함

- 23 -

국립재활원 공공재활서비스 현황

1차 현황 서면 조사표 4 서면 조사 결과

- 24 -

공공재활의료지원 프로그램 구분 및 참여 현황

프로그램 구분 참가기관 참가자 수(장애인)

교육프로그램 및 설명회(9가지 프로그램)

보건(지)소 659

권역재활병원 6

기타 병middot의원 13

복지관 12

기타(시도청) 13

총계 703명

표 5 프로그램 참여 현황

- 보건소 인원이 프로그램 참여 인원의 937를 차지함- 프로그램 중 의사가 참여한 프로그램 없음

공공재활의료지원 프로그램 예산(2012년 기준)- 56100000원

주요내용- 지역사회중신재활 기본실무- 방문재활의 실제- 노년기 재활을 통한 건강관리- 장애 아동 재활의 핵심파악- 쉽게 따라 하는 재활실무- 건강한 일상을 위한 여성 장애인 재활- 지역사회 중심 재활 사업 성과대회- 공공재활 프로그램 설명회- 지역사회 재활사업 운영실제(예정)

현 프로그램의 문제- 공공재활 의료팀에서는 주로 보건(지)소 근무자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권역 재활 병원 및 2차 병원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함- 교육 프로그램 외 기술적 지원 및 협력체계 기반이 미흡함- 다양한 직종이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미흡함

- 25 -

타 기관 공공의료 지원 현황

가 국립 암센터

국립암센터와 지역암센터 연계체계

- 12개의 지역암센터가 지정되어 있음- 국가 암관리사업의 경우에는 지역단위까지 연계하여 수행하는 거점기관임- 국리암센터와의 연계체계를 구축하고 국가 암관리사업에 적극 활용 중- 국립암센터와 MOU 등을 통한 활발한 연계 지원을 시행 중

나 중앙정신보건 사업 지원단

법적근거

정신보건법 제13조 6항 동법 시행규칙 제 7조-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집중적이고 전문적인 지원을 위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은

- 26 -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을 시 도지사는 지방정신보건사업지원단을 각각 설치 운영할 수 있음

직무범위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기획 및 조정에 대한 지원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 및 정신보건시설에 대한 평가

정신보건관련기관 단체 또는 정신보건시설 간의 연계체계 구축 지원

정신보건사업의 현황 파악 및 통계

기타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시하는 사항

국립재활원의 공공재활의료 지원 전략

가 공공재활의료 체계 내 국립재활원의 역할 강화

권역 재활병원과 상호 협력- 진료 지원 및 협진(환자이송체계 구축)- 통계산출 및 정보제공을 위한 각종 자료 공유- 권역재활병원의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표준을 제시- 공동연구수행- 전문 인력 교육 및 교류- 국가재활사업 상호협력 수행

재활 전문병원 평가 및 인증- 보건복지부 인증 재활 전문병원의 평가 지침 개발- 보건복지부로부터 재활 전문 병원 인증 권한 위임

국가정책수립 기능- 국가 장애인 정책수립방안 제시- 장애인 및 재활의료서비스 통계 산출- 적정 재활 의료서비스 제공 표준 제시

- 27 -

교육 및 연구 기능- 권역재활병원 및 공공병원의 재활 인력 교육 및 훈련- 지역사회 중심 재활 인력의 교육 및 훈련- 재활연구 활성화를 유도 장애인 재활정책 연구를 전문적으로 수행- 매년 전국단위의 포럼 혹은 세미나를 개최하여 인적 학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학문적 역량 및 리더쉽을 확보

국제보건- 국제기구 혹은 국내 국제보건 단체들과의 지속적 협력을 통하여 개발도상국 저개

발 국가의 재활의료 원조를 지원- WHO 협력센터 지정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 방안

가 필요성

의료기관 평가의 목적은 의료의 질 향상 및 의료의 질에 대한 사회적 책임 증대임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해서 개별 의료기관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고 평가 기준을 준수하도록 함으로써 환자 진료 및 서비스의 질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임 의료의 질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평가 결과를 공표하고 병원 간 평가결과를 비교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비자의 병원 선택에 도움을 줌

2010년 의료기관평가 인증원이 의료법 제 58조에 근거하여 세워졌음 인증원의 병원 인증은 병원급 이상의 모든 병원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재활전문 의료기관에 대한 전문성이 떨어짐 따라서 인증원에서 적절한 재활의료에 대한 평가 기준을 세우고 이를 전국에 확산시켜 전 국민이 적절한 재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에는 힘듬

인증원에서 인증을 받아도 보건복지부 인증기관이라는 명칭을 부여받을 뿐 수가나 다른 인증에 대한 인센티브가 없는 실정임

또한 산재보험공단과 재활의학회에서도 각각 재활전문병원을 인증하고 있어 혼란이 가중되고 있음

5) 김윤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용역과제 2010

- 28 -

나 의료기관 인증평가 관련 선행연구 검토

의료기관 평가제도 장기적 발전방안 연구

연구에서 제시된 평가기준의 원칙은 다음과 같음- 첫째 환자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환자중심의 평가기준을 개발하여 궁극적으로

환자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킴 제공자의 부서 직종 구분이 아니라 환자가 병원에서 받게 되는 서비스의 흐름과 종류에 맞추어 평가의 부문과 영역을 설정하며 특정 서비스의 제공과 연계 관련된 기능 부서를 통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함

- 둘째 평가기준이 측정하는 영역이 중복되거나 편중되지 않으면서 포괄적인 기준을 마련함

- 셋째 평가기준이 의료의 질을 반영할 수 있도록 평가기준의 질적 측면을 포괄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하여야 함

- 넷째 평가지표의 특성이 너무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평가기준보다는 목적을 정립하고 이에 부합하는 기준이 되도록 함 즉 명목적(explicit) 평가기준보다는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에 초점을 맞추면서 묵시적(implicit)인 평가기준으로 유도해감

의료기관평가의 안정적인 발전뿐만 아니라 앞으로 평가 대상 기관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갈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독립적인 전담 기구가 필요함(현재의 의료기관평가의 대상 기관은 종합병원 및 300병상 이상의 병원으로 현재 약 360여개 병원이 이에 속하고 있음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전반적인 질적 수준의 제고라는 측면에서 볼 때 앞으로 평가 대상 병원을 소규모 병원으로까지 확대할 필요성이 있으며 많은 나라들에서 1차 진료를 평가 대상에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다면 장기적으로 볼 때 평가 대상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산재보험 의료재활항목 수가개발보완 및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제 도

입 방안 연구

산재전문병원 인증제도의 도입은 현재의 4단계 종별분류에서 3단계의 새로운 분류체계와 개념상 일치한다고 생각함 현행의 4단계 종별분류는 의원 병원 종합병원 종합전문병원(대개 대학병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병원 종합병원과 종합전문병원간의 시설규모나 인력 장비 수준이 너무 차이가 생겨 상급병원으로서의 병원 종합병원의 역할이 과거에 비해 약화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6)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2005

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2006

- 29 -

이에 새로운 3단계 분류로서 ldquo전문병원rdquo이란 개념을 도입하게 되었음 병상 수 등의 규모보다는 내적인 시설 인력구조 진료상병의 집중화 등을 토대로 전문적인 진료가 가능한 병원을 인증하여 이곳에는 여러 가지의 지원을 하자는 것임 이를 통해 종합전문병원으로 집중되는 환자를 분산시키고 다양한 의료의 전문화를 구축하자는 것임

인증 기준은 다음과 같음- 인력구성의 적절성 의사(전체의사 재활의학전문의) 간호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

사 언어치료사 임상심리사 의료사회복지사 직원 교육 및 연수프로그램- 시설 및 장비의 적절성 시설구비(병동 및 진료관련시설) 재활치료장비 응급장비

시설 및 장비 안전관리 장애인 편의시설- 질적 서비스의 제공 입퇴원 기준의 구비 및 준수 환자 평가 치료계획의 수립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및 평가 수행 여부 팀 접근 재활간호서비스 보장구 처방 검수 및 훈련 능력 입원환자의 진단명 구성 및 중증도

- 질 향상 활동 질 향상 위원회 환자 시설 인력의 질 평가 자료의 활용 여부

다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 방안 개발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가 구축middot개선되는 과정에서 새롭게 설립되거나 역할을 부여 받은 서비스 제공자가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 내에서의 역할과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음 이러한 경우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의 운영에 장애가 될 수 있음 이를 예방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적절한 인증기준과 인센티브 방안 등이 포함된 재활의료기관 인증제가 활용될 수 있을 것임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10)8)의 전문가 조사 결과와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체계를 구성하여 그림 14와 같이 정리하였음

8)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안 연구 2010

- 30 -

현재 산업재해공단 재활의학회 보건복지부 산하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서 각각 재활전문병원 인증을 시행하고 있음 이는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들에게도 혼란을 줄 뿐만 아니라 병원에도 부담과 혼란만 가중시킬 뿐임 국가적으로도 의료자원의 낭비임 따라서 현행의 재활전문병원 인증을 하나로 통합하여 인증할 수 있도록 함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이 현재 모든 병원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재활전문병원에 대한 전문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는 국립재활원과 재활의학회에서 평가 및 인증기준을 설립하여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서 설립된 기준을 바탕으로 평가 및 인증을 시행 해야함

재활전문병원 인증기준과 관련하여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5)9) 연구에서는 재활의료서비스 대상자에 대한 직접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치료사(물리치료사 및 작업치료사 등) 재활의학전문의 간호사 등의 재활 인력 재활의료서비스 진료실적의 질적 측면 진료관련 편의시설 및 장애시설 구비정도에 대한 인증 기준의 필요도가 35 이상으로 높게 제시된 바 있음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10) 연구에서는 재활전문병원 인증기준을 시설 및 장비 기준 인력 기준 재활서비스 기준 등으로 분류하였고 이 중에서 전문가들은 장애인 편의시설 구비 정도와 재활의료서비스 진료실적에 대한 질적 평가에 높은 중요성을 부여하였음(그림 14)

9)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5 이 연구에서는 재활의학전문의 270명 물리치료사 74명 작업치료사 3명 등 총

347명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한 바 있음

- 31 -

재활의료서비스의 질적 평가를 위한 지표와 관련하여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5) 연구에서는 재활계획(입원 시 치료계획) 수립 환자 및 보호자 대상 정보제공 및 교육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사용 기능상태 사정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및 평가 수행 등이 중요하게 제시된 바 있음

대한재활의학회는 2008년부터 전문재활병원 인증제 평가를 수행해오고 있음 이 때 평가 기준들은 다음과 같음- 인력 부문 의사 인력 간호 인력 물리치료사 인력 작업치료사 인력 언어치료사

인력 사회복지사 인력 임상심리사 인력- 시설 및 장비 부문 운동치료실 작업치료실 언어치료실 사회사업실 이동성 장

애인용 화장실 물리치료 기구 운동치료 기구 작업치료 기구- 전문재활서비스 부문 기능의 평가 팀접근에 의한 재활서비스 집으로 퇴원한 환

자의 비율 발병 후(장애 발생 또는 악화 후) 2년이 경화하지 않은 환자의 비율- 전문적인 재활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의 비율

한국보건사업진흥원의 연구와 대한재활의학회의 평가기준을 참고하여 2010년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10)의 연구 보고서에서는 재활전문병원 인증 기준을 다음과 같이 예시함- 인력 기준 의사 수 재활의학전문의 수 간호사 수 치료사(물리치료사 등) 수 사

회복지사 수 등- 시설 및 장비 기준 병상 수 진료관련시설 구비 정도 장애인 편의시설 구비 정

도 장비 기준 준수 등- 재활의료서비스 진료실적에 대한 양적 기준- 재활의료서비스 진료실적에 대한 질적 기준 재활계획(입원시 치료계획) 수립 여부

- 32 -

퇴원 전 퇴원계획(기관 연계 등) 수립 여부 재활전문 인력 면허자격 비율 다학제적 팀접근 여부 재활프로그램의 다양성 환자 및 보호자 대상 정보제공 및 교육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사용 여부 기능상태 사정 여부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및 평가수행 여부 사례회의 실시 정도 직원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

재활전문병원으로 인증된 의료기관에 대한 인센티브 방안으로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 교실의 2010년 연구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취약지 시설 건립을 위한 건축비 지원 지역사회 재활사업 지원 등 공적 사업에 대한 재정 지원 인증기관에 대한 차등수가제 적용 등의 방안을 제시함

국제보건의 필요성 및 진행 방향

가 세계장애현황10)

장애인 인구

장애 인구는 전 세계적으로 10억명 이상 혹은 세계 인구의 15이상으로 추정되고 있음(2010 global population estimate 기준)

WHO에서 2011년 발간한 World Report on Disability에 따르면 장애를 15년 이상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은 7억 8천 5백만 명이며 세계 인구에 156를 차지함

10) World report on disability 2011 WHO

- 33 -

이 중 1억 1천만 명(22)이 심각한 장애를 안고 있는 것으로 추정됨

장애는 심각한 우울증 시력상실 사지마비 등과 같은 수준의 심각성을 가지고 있음

현재 장애인의 숫자는 인구가 노령화되면서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임

재활분야의 수요와 미충족 수요

현재 재활분야에서는 몇몇 국가에 대한 자료만 있을 뿐 전 세계적으로 통합하여 미충족 수요를 추정한 자료는 없음- 재활분야의 데이터들은 완전치 않거나 분절화 되어 있는 경우가 많음

재활분야의 미충적 수요는 퇴원을 늦추고 활동을 제한하며 건강을 악화시키고 삶의 질을 낮출 수 있음 - 이런 부정적 결과는 개인을 넘어 가족 지역사회 까지도 사회적으로 재정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음

미충족 수요의 대한 데이터는 일부 국가의 특정 장애에 관한 조사만 사용 가능함11)

- 말라위 모잠비크 나미비아 잠비아 짐바브웨에서 시행된 국가적 장애인 삶의 실태조사에서 재활치료와 보조장비의 심각한 부족과 성의 불평등을 나타내었음

- 크로아티아 체코 헝가리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에서 진행된 재활의료 조사에서 일차 이차 삼차 재활에 접근성의 부족을 보였음

또 다른 방법으로 재활분야의 미충족 수요를 추정한 방법은 재활 서비스를 받기까지의 기간으로 추정하는 방법임- 최근의 국제 조사(2006-2008)에서 도시지역에 재활의료를 받는데 까지 걸리는 대

기시간은 평균 한 달 미만으로 조사되었음 그러나 시골지역에서는 6개월에서 1년까지 걸리는 것으로 조사됨12)

11) Maclachian M et al Disability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Dordrecht Netherlands Sringer

2009(World report on disabiltiy WHO 2011에서 재인용)

12) Chiang PPC The Global mapping of low vision services Melbourne University of Melbourne

2010(World report on disabiltiy WHO 2011에서 재인용)

- 34 -

나 필요성13)

전술한 국제사회의 광범위한 보건부문의 미충족 수요(unmet need)는 보건 ODA수요를 발생시키고 있으나 국제적인 보건 ODA는 이런 수요에 충분히 부합하지 못하고 있음

이런 상황 속에서 50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수원국에서 공여국이 된 전 세계에 몇 안 되는 사례 중 하나인 우리나라의 발전경험이 개도국 발전의 모범적인 성공사례로 주목받고 있으며 국제기구들과 개도국들로부터 한국의 개발경험 전수에 대한 요청이 늘어나고 있음

재활 분야에서도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우리나라 재활의료에 대해 제3세계 등지에서 경험 전수에 대한 요청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임

다 국립재활원 현황

콜롬비아 중앙재활센터 건립사업

2008년 국립재활원은 한국국제협력과 협력하여 콜롬비아 무상협력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콜롬비아 보고타 지역의 중앙재활센터 건립사업을 수행하였음

국립재활원은 콜롬비아에 선진재활프로그램 전수 재활센터 설계 등 마스터플랜 수립을 지원하고 재활장비 선정 및 자문을 하였음- 콜롬비아 병원건립 프로젝트 책임자 병원 설계자 대학교수 및 중앙재활 센터 담

당자 등이 한국을 방문하여 재활센터의 방향 및 개념 정립 재활병원 건축 및 설계 한국의 재활 기술 및 재활모델 한국의 의료시스템 전반 의료정보 활용 사회적 직업적 재활 전략 등에 관한 연수를 국립재활원에서 진행하였음

한국국제협력단 와의 체결

2010년 국립재활원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보건의료분야 대외무상 원조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 함- 협력내용은 기관의 고유사업 중 협력을 통해 성과를 제고 시킬 수 있는 업무분야

에 대한 기획 의사결정 수행- 개발도상국의 보건의료 관련 신규 상호협력과제 마련 및 추진 등

13) 오주환 한국형 ODA 프로그램 선정 연구 2012 총리실 연구용역과제

- 35 -

라 향후 방향

효과적으로 국제보건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WHO 협력센터 지정을 받는 것이 필요함- WHO 협력기관은 WHO가 수행하는 각종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해 WHO 사무총

장이 지정하는 국제적인 협력네트워크임- 매 4년 마다 재지정 평가 절차를 거친 후 협력센터의 기능을 유지함- WHO 협력센터 지정을 통해 수행하는 업무에 국내외적 관심을 높일 수 있으며

생산된 결과물에 대한 국내외 관계자들의 신뢰를 끌어올릴 수 있고 국제 보건관계 기관간의 협력관계 구축에 용이해지며 국제사회에서 협력을 추진하는데 큰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음

WHO 협력기관의 조건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은 다음과 같음14)

- 국내외적으로 높은 과학적 기술적 지위를 가지고 있을 것- 국내의 의료적 과학 혹은 교육 구조에서 두드러진 위치에 있을 것- 높은 질의 과학적 기술적 리더쉽을 가지고 있으며 높은 질의 직원을 충분히 확보

하고 있을 것- 개인 활동 펀드 모두 안정적인 상황일 것- 국내외의 다른 기관들과 강한 협력관계를 맺고 있을 것- 특정 국가의 원조 프로그램이나 국제 협력 활동에 참여하여 WHO의 프로그램들을

단일기관으로 혹은 네트워크의 하나로서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함- 적어도 WHO와 지난 2년간 협력관계를 가진 경험이 있어야 함

위의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준비를 지속해 나가야 할 것임

국립재활원과 권역재활병원의 협력 방안

가 권역 재활원 관리 모델

보건복지부로부터 권역재활병원의 관리권한을 위임 받아 병원의 재활 센터의 질관리 등 전반적인 관리를 책임짐

권역재활병원의 관리를 위하여 재활병원 평가 기준을 개발하여 점차 전국의 재활 연관 병원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

장애인 재활 지침을 마련하여 진료의 표준화를 확립 재활 연관 직종의 보수교육의 전부 혹은 일부를 담당하여 국립재활원이 재활

14) Guide for WHO collaborating centres WHO 2012

- 36 -

연관 직종에서도 리더쉽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

- 37 -

나 권역재활병원 협력 모델

국립재활원은 1년 단위로 각 권역재활병원과의 협의를 통하여 각 지역의 이전 공공 재활 계획과 그 결과를 평가하고 다음해의 계획을 세우는데 조언을 함

복지부와의 협의를 통하여 공공재활을 지원할 재원을 확보하여 각 권역 병원의 공공재활 프로그램에 재원을 분배하여 지원함

권역 재활병원과의 MOU를 통하여 적극적으로 인력 및 기술을 지원함

법 제도적 개선 방향

위에 기술한 공공재활서비스 발전 방안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가칭)장애인보건법의 제정 혹은 제도 정비 등 몇 가지 법적 제도적 개선이 필요함

가 국립재활원 및 권역재활병원 운영규칙 및 설립근거

1994년 제정된 lsquo국립재활원운영규칙(보건사회부령 제930호)rsquo은 폐지됨 대신 보건복지부의 소속기관으로 lsquo책임운영기관의 설치 운영에 관한 법률rsquo lsquo책임운영기관의 설치 및 구분rsquo과 예규의 형식으로 발령된 lsquo국립재활원 기본 운영 규정rsquo에 의해 규율을 받고 있음

현재 국립재활원의 법적위치는 lsquo책임운영기관의 설치 운영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보건복지부소속 책임운영기관으로 되어 있음

따라서 앞서 제시한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의 새로운 기능으로 제시한 국가 재활연구센터로서의 역할과 국가 장애인정책 수립방안을 제시하는 재활정책 수립 기능 재활의료기관 인증을 수행하고 권역재활병원의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사항을 조정하는 인증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가칭)장애인 보건법 등 법 제도 신설 혹은 정비 시 국립재활원의 설립근거와 운영규칙을 확립해야함

권역재활병원의 기능으로는 포괄적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권역 내 재활사업 주관 권역 내 재활전문 교육훈련 및 임상연구 등 재활연구센터로서의 역할 담당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와 함께 교육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국가

15)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안 연구 김윤 보건복지가족부 용역과제 2009

- 38 -

중앙재활센터로서의 기능 등이 포함되어야 함 또한 권역재활원 선정 및 심사 평가 체계로서 보건복지부 및 지방자치체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 민간 학회 등 연구기관이 각각 담당하는 역할과 권역재활병원 지정 절차 지정조건 및 기간 지원 내용 등도 규정되어야 함

나 재활전문병원 인증 관련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

의료법 제3조의 5 전문병원 지정 항목에 의거하여 재활전문병원의 요건을 보건복지부령으로 규정함 또한 특정 질환의 경우로서 을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함

재활전문병원 지정을 위한 요건에는 시설 및 장비 기준 인력 기준 재활서비스 기준 등이 포함되어야 하며 특히 재활계획(입원시 치료계획) 수립 환자 및 보호자 대상 정보제공 및 교육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사용 기능상태 사정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및 평가 수행 등 진료실적에 대한 질적 평가의 비중이 강조되어야 함

현행 의료법 제3조 5 전문병원 지정 항목에는 전문병원 지정 이후 인센티브 제공 내용이 언급되어 있지 않으나 취약지 시설 건립을 위한 건축비 지원 지역사회 재활사업 지원 등 공적 사업에 대한 재정 지원 인증기관에 대한 차등수가제 적용 등의 방안들이 규정될 필요가 있음

- 39 -

다 개선사항 제안

국립재활원의 설립근거 및 운영규칙

-국립재활원의 설립근거와 운영규칙을 법에 명시하도록 함예시) 보건복지부장관은 장애인의 보건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와 장애인의 진료 등을 위하여 국립재활원을 설치운영하여야 한다-권역재활병원의 기능과 역할을 명시예시) 지역사회 장애보건 및 재활의료사업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하여 권역재활병원으로 하여금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1 해당지역 장애발생율 등 장애보건관련 통계산출을 위한 자료의 수집분석관리 2 해당지역 장애보건관리사업의 기획 및 재활의료서비스 연계체계 구축 3 해당지역 장애보건 관련 조사연구사업 4 해당지역 장애보건 관련 인력교육훈련 및 국제협력 5 해당지역 장애건강등록사업에 관한 사항 6 해당지역 장애인 가족지원에 관한 사항 7 지역거점재활의료센터 지원 8 그 밖에 지역사회 장애보건 및 재활의료사업과 관련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

재활전문기관 평가 및 인증

-의료기관인증평가원의 재활전문병원 인증시 국립재활원의 역할을 명시

예시) ➀ 보건복지부장관은 재활의료기관에 대하여 특화 및 전문치료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는 기관에 대하여 재활의료전문기관으로 인증취소할 수 있다 ➁ 제1항의 재활의료전문기관 인증취소에 관한 업무는 중앙장애보건관리본부(현 국립재활원) 등 관련 단체 및 전문기관에서 수행할 수 있다 ➂ 재활의료전문기관 인증취소에 관한 범위와 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지역거점재활의료센터

-지역사회 장애보건 및 재활의료사업의 전문적 수행을 위해 보건소나 국공립 및 권역재활의료기관에 (가칭)지역거점재활의료센터를 설치 위탁 할 수 있도록 함예시)지역사회 장애보건 및 재활의료사업을 전문적으로 수행하게 하기 위하여 보건소 또는 국middot공립 및 권역재활의료기관에 권역장애보건관리본부 및 지역거점재활의료센터를 설치하거나 그 사업을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관 또는 단체에 위탁할 수 있다

표 6 법 제도적 개선사항 제안 정리

- 40 -

요약 및 소결

현재 국립재활원 공공재활 의료팀에서 시행중인 공공재활의료 관련 사업을 검토하였음 - 위에서 서술한 현재 공공재활의료 관련 사업의 문제는 아래와 같음- 공공재활 의료팀에서는 대부분 보건(지)소 근무자 교육 프로그램만 운영하고 있음- 권역 재활 병원 및 2차 병원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함- 교육 프로그램을 제외한 기술적 지원 및 협력체계 기반이 미흡함- 다양한 직종이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미흡함

위에 제시한 문제점과 2009년 재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델파이 조사를 바탕으로 국립재활원의 공공재활의료 발전 방향에 대한 전략을 구상하였음

권역 재활병원과의 상호 협력 증진- 보건소에서부터 권역재활병원 국립재활원으로 이어지는 공공재활의료 전달체계 구축-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진료 지원 및 협진 등

의 재활의료서비스를 지원함

재활 전문병원 평가기준마련 및 인증제 실시- 장애인 보건법 제정 등의 제도적 정비가 필요함

국가정책수립 기능- 장애인 보건법 등의 법적 제도적 정비 방향을 제시함- 장애인 및 재활의료서비스 통계를 산출함

교육 및 연구 기능- 권역재활병원 및 공공재활의료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권역재활병원 실무과정 공

공재활의료 아카데미교육과정 등과 같은 공공재활체계교육을 수행함- 재활정책 고위과정을 교육을 수행하여 정책형성의 기반을 형성함

국제보건- 국제기구 혹은 국내의 국제보건 단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국제적 재활의료 부분에

대한 원조를 지원함- 효과적인 국제보건 지원을 위해서는 WHO 협력기관 지정을 받는 것이 필요함

- 41 -

제3장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 방안

사회복귀지원의 개념

가 문헌 검토

lsquo사회복귀rsquo 용어는 일반적으로 미국에서 lsquocommunity (re)integration(사회복귀)rsquo와 lsquosocial integration(사회통합)rsquo를 사용하고 있고 그 외 lsquocommunity reentryrsquo lsquocommunity livingrsquo lsquogetting back to real livingrsquo 등으로 다양하게 지칭하고 있음

lsquo사회복귀rsquo 관련 개념은 명확하게 개념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임 단지 장애인 부상자 범죄자 등 사회적 취약 계층의 사회로 복위 갱생 회복 등을 의미하며 대상자별로 조작적 정의를 통해 개념이 정립화되어 있음- Kenneth Lam (1994) 사회복귀란 가족과 지역 내 일상생활 일상적인 역할과 책

임 사회 구성원의 일원으로 동참하는 것을 의미함17)

- Marcel Dijkers (1998) (물리적 손상이나 장애 후) 사회복귀란 연령성별문화적 적절한 역할상태기능을 돌이키는 요구 의사결정을 통해 독립적상호의존적 그리고 지역사회에서 가족과 친구 등 다양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완성된 행동을 수행하는 것을 말함18)

- Mank amp Buckley (1989) 장애인의 사회통합은 비장애인이 영위하는 수준과 동등하게 장애인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존재(presence)하고 참여(participation)하는 정도를 의미함19)

- Ely amp Peter (1991) 사회통합은 lsquo사회적 동반rsquo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장애인이 실제 살아가는 곳에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상적인 활동에 참여하는 것임20)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장애인 대상의 사회복귀는 장애 발생 이후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기능이 재조직화 되어 개인의 가정생활 사회활동 직업활동에 복귀하여 안녕감을 갖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음

16) 사회복귀지원의 개념 및 프로그램 운영 사례에 대해서는 lsquo국립재활연구소 장애인의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재활서비스 모형 개발 2010rsquo 및 lsquo국립재활연구소 장애인의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ICF 기반의 재활서비스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 2011rsquo을 참고하였음

17) Kenneth Lam Community reintegration Life after stroke 1994 세미나 발표 자료

18) Marcel Dijkers Community Integration Conceptual Issues and Measurement Approaches in

Rehabilitation Research Top Spinal Cord Inj Rehabil 19984(1)1ndash15

19) Mank D M amp Buckley J Strategy for integrated employment in W E Kierman amp R L Schlock

(Eds) Econimoic industry and disability A look ahead baltimore Paul Books Publishing 1989

20) Ely Peter W Quality of life and social integration of psychiatrically disabled citizens in community

residences MI University Microfilms International 1991

- 42 -

나 병원 기반 사회복귀지원프로그램

질병 및 손상으로 인한 장애가 발생한 환자에게 제공되는 환자병원 기반 사회복귀지원 과정은 다음과 같음

병원 기반 사회복귀지원프로그램은 일상생활훈련(실생활 훈련)을 비롯하여 운전교육 컴퓨터 교육 학업(직장) 복귀지원 주택개조 정보 제공 및 연계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멘토링(동료상담) 프로그램 정서적 지원 성재활 지역사회자원 연계 가족지지상담 및 프로그램 법률지원서비스 독립생활체험 활동보조인 이용체험 보조기 평가 및 대여이용체험 등으로 구성됨- 일상생활훈련(실생활) 훈련은 장보기 요리실습 및 세탁 청소 샤워 등 기본적인

- 43 -

일상생활 및 가정관리 훈련 쇼핑 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 이용 및 이동훈련 시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음

- 운전교육에는 운전클리닉 운전면허 취득 운전적응훈련이 포함되어 있음- 학업 및 직장 복귀 지원은 학업 복귀와 취업준비 지원 및 직업 훈련 연계가 포함됨-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은 재활스포츠와 문화활동이 포함되어 있음- 정서적 지원부분에서는 인지middot정서에 대한 심리학적 평가를 기반으로 정서적 어려

움에 대한 상담과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음

구분 내용

일상생활(실생활)

훈련

요리 메뉴 짜기 및 시장보기 실습실을 이용한 요리 실습 시행

쇼핑 대중교통 이용하여 백화점 할인마트 시장 방문하여 쇼핑하기 계산하기 등 일상적인 가정관리 훈련제공

금융이용 훈련 통장 및 현금카드 만들기 현금인출기 이용 세금 납부하기 인터넷 뱅킹 등 금융이용 훈련 제공

대중교통 이용 지하철

지하철 내 편의시설 이해 엘리베이터 장애인 개찰구 및 출입구 이용 등 사전 모의 체험 및 실제 지하철 이용하기

대중교통 이용 시내버스

저상버스 이용법 리프트 승하차 휠체어장애인용 좌석 이용 등 사전 모의체험 및 실제 저상버스 이용하기

운전교육운전클리닉 자동차 운전을 원하는 환자에게 전문적인 자동차 운전 평가와

가상현실운전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훈련 제공 운전면허취득 운전면허 취득을 위한 운전기능교육 및 도로주행교육 시행운전적응훈련 장애 발생 전 운전면허 소지 장애인을 위한 도로주행 교육 시행

컴퓨터 교육 타자연습 등 기초교육 문서작성 인터넷 포토샵 등 개인 수준에 따른 정보활용 교육 시행

학업직장복귀 지원

학업복귀지원 입(복)학 관련 정보 제공 장애인 편의시설 조사 담당자 면담 등 진학 및 복학을 위한 지원

취업준비지원 장애인고용공단 직업평가 및 상담 연계 장애인일자리 관련 단체 안내 등 장애발생 전의 직장복귀 및 취업연계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

직업훈련연계 장애인 직업전문학교 상담 및 장애인직업능력개발센터 장애인복지관 직업훈련 등 훈련 연계

주택개조정보제공 및 연계장애인의 주거환경을 진단하고 편의시설 및 주택개조에 대한 정보제공

주택개조 지원연계 등의 서비스를 지원함 (지역구별 집수리 신청 주거개선 업체정보 관련 후원단체 연결 등)

레저 및레크리에이

재활스포츠수중운동체험 및 농구 럭비 볼링 배드민턴 탁구 사격 게이트볼

수영 펜싱 파크골프 등 다양한 원내middot외 연계스포츠를 통해 지역사회에서 이용할 수 있는 레저스포츠 개발 및 참여기회 제공

문화활동 박물관 민속촌 등 다양한 문화활동 체험 및 영화관 미술관 관람

멘토링(동료상담) 프로그램

입원환자에게 여러 가지 조언과 치료완료 후 사회에 적응하고 직장복귀 취업안내 등을 컨설팅 할 수 있도록 잠재력을 키워가도록

도와줌 사회복귀 성공사례 및 정보 제공 동료상담 활동가 및 사회복귀 코디네이터 연계

정서적 심리치료 인지middot정서에 대한 심리학적 평가를 기반으로 정서적 어려움에 대한

표 7 H-CRsP 프로그램 구성 및 내용

- 44 -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지원 현황

가 주간재활센터 프로그램

주간재활센터는 각종 질병이나 사고로 뇌손상을 입은 장애인을 대상으로 독립적인 생활 및 사회적응을 돕고 가족의 부담을 경감시키고자 낮 시간동안 포괄적인 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임

대상은 급성기 치료가 끝나고 의학적으로 안정된 뇌손상 장애인으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기능증진을 위해 적극적인 재활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이며 매주5일(월~금)동안 하루 8시간 총 3개월 동안 이용할 수 있음

재활스포츠 활동 게이트볼 골프 배드민턴 탁구 볼링 배구 등 환자의 장애에 맞는 응용스포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신체적 활동 및 운동경기를 통해 운동능력을 향상시키고 즐거움 만족감을 느끼게 하며 환자간의 협동력을 높여줌

집단 간호 상담 장애로 인해 환자와 가족들이 겪게 되는 심리적 충격 및 고

지 원

상담과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제공

미술치료 그리기 만들기 등 다양한 미술활동을 통한 내면의 정서상태 표현 및 역량 강화

음악치료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 율동 등 음악활동 및 치료 레크리에이션을 통한 정서순화

원예치료 식물심기 및 기르기 꽃꽂이 창작품 만들기 등 원예활동을 통한 정서순화 및 취미개발

성재활성재활 상담 교육 치료를 통하여 장애인의 올바른 성에 대한 인식과

성생활이 가능하도록 도와주어 행복한 가정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는 재활치료

지역사회자원 연계 자립생활센터 복지관 등 거주지에서 이용 가능한 지역자원 및 재활운동 취미활동 자조모임 등 프로그램 연계

가족지지 상담 및 프로그램 가정방문 및 가족상담

법률지원서비스 장애인 관련 법 및 장애인 복지시책 관련 정보 제공과 법률상담 연계 지원

독립생활체험 첨단 보조기구 및 환경제어 시스템이 설치된 실거주형 원룸(침실 욕실 주방 등)에서 생활할 수 있는 기회 제공

활동보조인 이용체험 활동보조지원 사업 및 이용법에 대한 안내 활동보조서비스 신청 지원 필요시 실제 활용 기회 제공

보조기 평가 및 대여이용체험 장애인의 특성과 기능에 맞춘 보조기구 활용을 위해 보조기구 상담 및 제작 개조 및 대여 등의 서비스 제공

- 45 -

충을 같은 입장에 있는 사람들이 함께 모여 이야기를 나누고 서로에게 주어지는 피드백을 통해 보다 긍정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장애수용을 돕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임

성재활 상담 뇌졸중 재발의 두려움과 신체적 불편감으로 인한 부부간의 성생활 결여로 야기되는 갈등을 해소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며 뇌졸중 후 성생활시 주의점 및 전문적인 지식을 제공함

음악치료 음악활동을 체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사람의 신체와 정신기능을 향상시켜 개인의 삶의 질을 추구하고 보다 나은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프로그램임

치료 레크리에이션 병원생활과 기능손상으로 인한 무기력감과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기능 증진을 위한 다양한 여가프로그램을 통해 환자의 적절한 여가활용 및 사회복귀를 촉진함

원예치료 식물을 이용한 원예활동을 통해 사회적 심리적 신체적 적응력을 기르고 녹색의 쾌적함을 얻고자 하는 활동 프로그램임

미술치료 색채 및 미술도구를 이용하여 심신의 안정과 흥미를 유발함으로서 손의 감각자극이나 동작기능을 향상시킴으로서 사회복귀를 촉진함

가정방문 가정에서 생활환경 및 기능상의 어려움을 파악하여 이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고 대상자의 치료 및 훈련을 보다 효과적이며 실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임

실생활재활치료 사회복귀에 대한 두려움 해소 재활의욕 고취에 긍정적인 도움으로 주는 프로그램으로 옥외활동 문화체험 및 관람활동 교통수단 이용해보기 등의 3가지 테마로 구성되어 있고 월1회 실시하고 있으면 환자기능에 맞는 과제를 제시해 줌으로써 동기부여와 목적을 재인식시켜줌

가족프로그램 보호자와 함께하는 프로그램으로 요리하기 요가 등이 있음

- 46 -

나 사회복귀지원과 2012년 사업추진 현황21)

국립재활원 사회복귀지원과의 2012년 사회복귀지원사업 추진 현황은 다음과 같음

21) 국립재활원 사회복귀지원사업 현황 국립재활원 사회복귀지원과 2012

구 분 내 용 비 고

일상생활훈련

가정관리 세탁 샤워 장보기 및 요리실습 등 의식주 활동

이동훈련 수동 및 전동휠체어 이용훈련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시설 이용하기

활동보조서비스 활동보조서비스 안내 및 지원활동보조인 연계 무료 실습기회 제공(25시간)

의료지원

의료평가 원내 재활의학의 진료 및 평가원내재활병원연계치료 및 교육 필요시물리ㆍ작업치료 교육제공

심리상담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진료 및 상담

보조기 사례관리 휠체어 등 보조기 상담 및 평가훈련 중 보조기 맞춤 및 대여 체험

재활연구소연계

상담동료상담 동료장애인 경험 및 사례모델링

가족상담 및 교육 성재활 가족갈등 해소를 위한 가족상담 및 교육

정보제공

컴퓨터(정보활용) 한글 인터넷 등 기초과정엑셀 파워포인트 등 고급과정

장애인복지정보 장애인복지시책 등 각종 정보안내 거주기 지역자원 복지관ㆍ지원센터 등 지역자원 안내 및 연계

주택개조지원 주택개조에 대한 정보제공 및 연계

운동 재활운동 재활운동실을 이용한 개별운동레저스포츠 탁구ㆍ펜싱ㆍ수영ㆍ볼링 등 원내ㆍ외 레포츠 활동

표 8 사회복귀 프로그램 목록

- 47 -

2012년 프로그램 참가자 수는 총 798명이며 집행된 예산은 수용비 86819000원 재료비 3500000원 운영비 49500000원 등 총 139819000원임

프로그램 구분 참가자 수(명)상담 404운동 76교육 9(회)

멘토링 2심리정서지원 87

여가문화 19진로지원 1가족지원 37

스마트홈체험 15자원연계 157

총원 798

표 9 프로그램 구분 및 참가자 현황

타 기관의 사회복귀 지원 현황

가 서울재활병원

낮병원 프로그램

낮병원 프로그램은 입원치료와 외래치료의 장점을 극대화시킨 새로운 재활치료의 모델로서 발병 후 입원재활치료를 마친 후 가정과 사회로 복귀를 준비하기 위한 재활프로그램임 대상은 뇌졸중 척수손상 뇌손상 등 집중 재활치료가 필요한 성인으로 치료기간은 3개월로 필요시 연장이 가능하며 주 5일 주 3일 주 2일로 운영함 - 각 재활 영역별 전문적이고 세밀한 초기평가를 실시 후 각 환자별 특성에 따라 계

획된 맞춤형 집중 재활치료 프로그램 (물리치료 수중재활치료 통증치료 작업치

운전교육운전면허취득훈련 원내 연습장을 이용한 기능ㆍ도로주행 교육

운전적응훈련 면허 있는 중도장애인을 위한 도로주행 과정

사회체험 방문체험 복지관ㆍ자립생활센터ㆍ체험 홈 등 방문지역 공공기관 방문 및 체험

직업적응 학업 및 직업복귀 학업ㆍ직업복귀를 위한 직업평가 및 정보제공장애인공단 등과 연계서비스

취미활동 생활공예 점토를 이용한 다양한 도자기 소품 만들기한지공예ㆍ지점토 등 생활공예품 만들기

- 48 -

료 언어치료 음악치료 재활심리치료)과 그룹 프로그램(그룹 체조 미술치료 도예) 사회적응치료로 제공하며 뇌졸중 학교를 통해 스스로 장애를 이해하고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음

레크리에이션 재활프로그램

레크리에이션 재활프로그램은 장애인들도 레크리에이션(음악 미술 스포츠 여행 등)을 즐길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재활 및 심리적 치료를 꾀하고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임 대상은 입원 및 낮병원 외래를 이용하는 뇌졸중 척수손상 뇌성마비 등의 환자임- 사회적응치료 문화체험 대중교통이용훈련 대인관계훈련 영화관람 마트 이용 등

을 통해 병원을 벗어나 지역사회를 직접 체험하여 병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퇴원을 위한 실제적인 준비와 지역사회로의 적응을 돕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함

- 원예치료 소아 낮병동 환자 및 보호자 입원중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정서적 안정과 신체적 건강을 위해 식물 기르기 꽃장식 등 다양한 원예활동을 통한 협응능력향상 사회성 향상 손근육강화를 위한 치료로 꽃꽂이 디쉬가든 테라리움 포푸리 수경재배 등이 있음

- 미술치료 미술활동을 통해 심리적 정서적 갈등을 완화시킴으로서 원만하고 창조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심리치료법으로 미술을 통해 고통스런 경험을 동화 통합시키며 적개심이나 공격성을 안전하게 표현할 수 있고 자신을 신뢰하고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기회 제공을 함

재활스포츠 프로그램

재활스포츠 프로그램은 다양한 스포츠 활동으로 인한 심한 손상이나 관절 인대 근육의 손상이 있는 경우 손상 초기부터 정확한 진단 및 안정 통증과 염증의 조절 관절 구축의 방지 근력과 지구력의 증진을 통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재활치료를 목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함

기타 지원프로그램

환자 및 보호자 상담- 환자와 보호자가 가지고 있는 심리사회적 문제를 해결하여 환자의 재활의지를 높

이고 지역사회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개인력 조사 사회사업상담(심리상담 경제적 상담 가족상담 퇴원계획 복지정보제공)을 실시함

환자지원 프로그램- 환자적응치료 지역사회로 외출경험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변화를 직접 경험함

- 49 -

으로 지역사회로의 복귀할 수 있는 의지를 심어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집단활동 프로그램 미술치료 도예치료 놀이치료 구연동화 등 사회성 향상 및

양손 협응력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집단활동을 지원함- 학습놀이 프로그램 입원기간 동안 취학을 앞두고 있거나 학업이 중단된 아동 그

외 학습 및 놀이가 필요한 아동에게 학습 및 놀이 프로그램을 지원함

가족지원 프로그램- 어머니 여가활동지원 가사 간병으로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어머니들에게 여

가활동(토피어리 종이접기 풍선아트 등)을 지원하여 친목도모 및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 아빠교실 재활치료에 아버지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자조모임을 통해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정보를 공유할 기회를 제공함

나 삼육재활병원

사회재활프로그램

사회재활프로그램은 장애인이 사회생활과 가정생활에 적응을 돕기 위해 물리적 사회middot 문화적 심리적 환경 등에서 활동능력을 획득하여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산재 환자프로그램 사회적응프로그램 미술치료 원예치료 그룹 활동 집단 활동 프로그램 피아노교실 사랑의 듀엣 노래자랑 송년잔치 등을 제공함

장애인 정보화 교육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주관으로 운영되는 교육시설로 입원환자 뿐만 아니라 직계가족 지역거주 장애인 및 직계가족 모두가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윈도우 인터넷 한글 엑셀 등 컴퓨터 초middot중급 과정의 강의를 실시하고 있으며 교육비나 교재는 무료로 지원함

무료간병연계

저소득 계층의 의료보호 환자 중 가족이 돌볼 형편이 어려운 환자들에게 광주자활센터와 연계하여 낮시간 동안 복지간병서비스를 제공함

상담

경제문제 상담 및 지원 가족교육 및 가족상담 보장구 지급에 대한 상담 재

- 50 -

활정보 제공 직업상담 가정방문 및 주택개조 지원 상담 등을 시행함

다 파크사이드 병원

집으로 프로젝트

집으로 프로젝트 프로그램은 환자가 병원 퇴원 후 집으로 가서 일상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협력하는 프로젝트로 재활의학과 전문의 재활치료팀(물리 작업 언어) 재활간호팀 뿐만 아니라 의료장비업체 인테리어업체 의료공학자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환자가 퇴원 후 집에서 통원치료를 할 수 있도록 직접 방문하여 여러 방안을 모색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함

펀 쿡 프로그램

펀amp쿡이라는 카페 같은 공간을 이용하여 환자가 직접 시장을 보고 직접 요리를 함으로써 자신감을 고취시킬 수 있으며 요리를 통해 일상생활생활동작 훈련을 하는데 도움을 줌 가족과 함께하는 요리경연대회 다양한 퍼즐 및 보드게임을 통해 기능향상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함

펀 플레이 프로그램

환자를 즐겁게 한 후에 치료로 연결하는 프로그램으로 환자들이 웃고 쉬고 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줌 슬링을 이용한 놀이와 음악을 들으며 춤추기 다양한 게임 등을 통해 즐겁게 움직임을 유도하고 환자들이 평소에 좋아했던 운동을 확인하여 스포츠 활동까지 할 수 있도록 지원함

직업복귀 프로그램

손상전의 직업으로 복귀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으며 의료진이 개입하여 회사 관계자와의 접촉을 통해 환자가 이전 직업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도와줌

자동차 면허취득 프로그램

병원입원기간 환자들을 대상으로 장애인 자동차 면허취득을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함

- 51 -

라 인천산재병원

특수재활요법

특수재활요법은 환자의 심리 정서적 상태를 기록하여 심리재활치료에 반영 및 작업치료의 일환으로 신체적인 잔존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제공됨- 프로그램은 기존에 제공하던 7개 훈련공과를 의료재활의 일부분으로 전면 개편하

여 물리치료실과 함께 재활 의학전문의의 처방에 따라 귀금속디자인 전통공예 목조형디자인 원예 컴퓨터 멀티미디어 회화교실로 변경 시행하여 작업치료와 연결되는 심리재활 프로그램으로 제공됨

수중운동재활

수중운동재활관은 중추신경계 손상 산재환자의 조기재활을 통한 기능회복 재활사업 중 전문재활 급성기환자의 재활 System 확보 전인재활을 통한 사회참여 산재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임- 대상은 뇌손상 척수손상 골절 및 절단 장애 근육병 스포츠상해 등을 가지고 있

는 지체장애인이며 세부 프로그램에 따라 주 2-3회 1회당 30-50분 11 또는 소그룹이나 대그룹으로 운영됨

- 프로그램은 수중물리치료 수중재활운동으로 구분되어 제공되는데 수중물리치료는 수중에서 적응력 균형유지 불필요한 반응 억제 신체조절능력을 증진시키는 HALLIWICK 치료와 미온의 수중에서 등척성 등장성 등속성 운동을 통하여 중추성 신경손상 등으로 인한 근신경 및 골격근을 재활시키는 BRRM 치료 미온의 수중에서 스트레칭 마사지를 통하여 신체의 근신경계 및 관절의 경직 마비된 신체를 이완시키고 심리적으로 안정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WATSU 치료로 제공되며 수중재활운동은 HALLIWICK 방법 BadRagaz 방법 Aquatic Exercise를 적용하여 정상적인 신체이동 패턴과 근력 지구력 심폐 지구력 유연성 관절가동범위증진 및 향상으로 자세유지 능력향상과 일상생활 동작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공됨

야외운동재활센터

야외운동재활센터는 환자들을 위한 스포츠 시설로서 운동을 통해 환자분들의 재활을 돕고 있으며 탁구장 테니스장 농구장 론볼장을 갖추고 있어 환우 여러분들의 병상생활에 활력을 불어 넣어주고 있는 프로그램임- 프로그램은 흰색 표적구를 먼저 굴려 그 표적구에 목적구를 가까이 붙여 점수를

획득하는 경기로 남녀노소 즐길 수 있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서로 페널티 없이 어울릴 수 있는 론볼 다목적 구장을 이용해 제공하는 농구 테니스 배드민턴 실

- 52 -

내에서 4계절 이용 가능한 탁구 프로그램을 제공함

재활공학서비스 연계

국내에서 유일하게 재활공학연구소와 연계한 종합재활서비스를 제공함 - 다양한 첨단 재활보조기구를 연구 middot 공급하는 재활공학연구소가 병원 내에 위치해

재활치료 후 첨단 보장구 지급 생활적응 훈련(ADL) 및 장애인 보장구 적응훈련(ATAD)의 효율성을 높이고 산재 근로자들이 조기에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도모함

마 일본 국립장애인재활센터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는 병원 연구소 학원 훈련센터로 구성되어 있어서 연구-재활치료-교육-사회복귀가 모두 한 공간에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훈련센터에서는 작업치료부터 직업교육 사회생활 적응교육까지 직업훈련사 1인당 5~6명의 장애인을 전담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약 2년 정도 교육이 진행됨 교육 진행 중 취업이 되는 경우도 많이 있음

직업훈련장에서는 실제 장애인 센터에서 요구되는 세탁 장비 수리 등의 작업을 부여 받아 진행하고 있으며 초기 교육부터 마지막 사회적응과정까지 단계별로 교육을 시행함 직업교육의 직능교육 외에도 직장상사와 잘 지내는 법 직장 동료들과 약속을 지키는 것과 같은 관계에 대한 교육도 함께 이루어짐- 일본의 장애인 직업훈련은 공공직업훈련과 사업주가 행하는 직업훈련으로 구분됨 - 공공직업훈련은 국가 도도부현 및 시정촌에 설치하여 운영함 이들 훈련은 무상훈

련을 원칙으로 하며 훈련수당 등이 지급됨- 사업주가 실시하는 직업훈련은 지방자치단체장의 인정을 받아 실시함 - 일본의 장애인 취업은 후생노동성 산하 공공직업안정소에서 관리함 공공직업안정

소는 장애인 취업알선 및 직업상담과 평가 취업을 위한 지원 취직 후의 사후지도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 일본의 장애인 직업훈련과 관련된 인적자원은 직업훈련지도원(훈련교사)이 주된 인원이며 고용과 관련된 요원은 직업생활상담원 잡코치 장애인 카운슬러 등이 있음

스포츠재활의 경우 재활의학 의사의 운동 처방이 존재함 국립장애인센터 내에 장애인 전용 체육관이 있으며 이곳에서 장애인들이 수영 등 스포츠 활동을 진행함 원칙적으로 국립재활원 주변의 의사들도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처방을 할 수 있고 운동처방을 받은 장애인은 국립재활원 내의 체육관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나 아직 시범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단계임

- 53 -

바 마국 시카고 재활원(RIC Rehabilitation Institute of Chicago)의 LIFE Center

2001년 시카고 재활원 1층에 위치한 LIFE센터는 L학습(Learing) I혁신(Innovation) F가족(Family) E권한(Empowerment)상징함 방문자들은 잡지나 책 그리고 비디오와 같은 많은 정보를 얻기를 원하고 음악감상 예술작품 감상뿐만 아니라 다른 방문객들과의 만남을 원함 LIFE센터는 보호자 자원봉사자 등의 인터뷰를 통한 철저한 필요도 평가에 의해 고안됨 따라서 위 센터는 8개 영역에 따라 조직화됨- 의료정보 (Medical information amp care) 기능장애 피부 대소변 호흡 그리고

다른 일상생활활동에 대해 교육제공- 간병과 보조기기 (Caregiving amp equipment) 간병인 적합한 기기 그리고 보조기

기의 정보제공 연계- 가정과 교통수단 (Housing amp Transportation) 집의 접근방법 가정간호를 위한

주정부 정보제공 연계- 지지와 건강관리 (Support amp Wellness) 장애인에게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사립 기관- 여가와 레크레이션 (Leisure amp Recreation) 여행 스포츠 예술 댄스 실내외

레크레이션 활동 경험- 재정관리와 법 (Finance amp Law) 장애법 이해- 영감과 희망 (Inspiration amp Hope) 장애를 극복하고 도전적인 삶을 사는 이야기

발견

사 미국 케슬러 재활원 (Kessler Institute for Rehabilitation)의 사회재활

Return-to-Work strategy Services는 고용자와 고용인 그리고 보험회사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되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임- 기능적 역량 평가(Functional Capacity Evaluations FCEs)- 이전 직업의 인지평가(Pre-Vocational Cognitive Evaluations)- 작업상태 평가(Work conditioning)- 인간공학평가(Ergonomic assessments)- 직업재활과 직업가이드 서비스(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Career Guidance

Services)

장애인에게 경쟁력 있는 고용 학교 혹은 자원봉사 하도록 도와주거나 그들에게 사회의 생산적인 일원이 되도록 복돋아줌 위의 결과지향적인 프로그램은

- 54 -

개개인이 실제적인 커리어에 필요한 기술과 전략을 개발하도록 도움- 상담 배경정보 의학적 치유력 교육 및 직업경력 가족관계 개인적인 관심- 직업평가 적성 개성 학업 문제해결능력 조직력 컴퓨터 사무 능력- 직장체험 재활원과 지역사회 병행하며 직장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 커리어 상담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사는 그들의 강점을 인식하도록 도움- 추가 서비스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휠체어 클리닉 운전재활 인지재활

아 호주 Princess Alexandra Hospital (PA Hospital)

ABIOS는 전문가 지역사회기반 재활서비스로 독립성 향상 참여 및 기회제공 적절한 서비스를 통해 뇌손상 장애인과 그들의 가족 및 간병인에게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 통합을 목적을 위해 지원하는 서비스임

외상성 뇌손상 뇌졸중 뇌종양 약물중독 감염 및 질병 산소결핍 알콜middot약물중독 등 후천적 원인에 의한 뇌손상 장애인으로 PHA 퇴원환자 타병원 의뢰환자 기타 재가 장애인 등으로 퀸즈랜드 거주 장애인만 대상이 됨

교육프로그램- 장애인 당사자 가족 간병인 그리고 지역 내 다른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교육을

실시함- 후천적 뇌손상 이해 뇌손상으로 인한 인지적middot행동적 장애 도발적인 행동관리 뇌

손상 장애인 지원을 위한 일반적인 가이드라인 후천적 뇌손상 장애인을 위한 효과적인 생활양식 지원 지역사회 연계 케어 스트레스 사례관리 뇌손상장애인을 위한 목표설정에 관한 주제로 진행됨

STEPS(The Skills To Enable People and Communities)- 뇌졸중 및 뇌손상을 가지고 있는 18~64세 성인과 가족 친구 간병인들과 함께 참

여하고 실제 장애인이 살고 있는 지역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함

- The STEPS Skills Program은 프로그램은 6주간 제공되며 자신을 돌보는 방법 지역사회에서 살아가는 방법 서비스를 받는 방법 등에 대한 지기관리법에 대해 배우며 그룹의 다른 사람들과 경험과 사고를 공유함

- STEPS Network Groups은 지역사회의 지속적인 네트워크가 되며 프로그램의 핵심은 네트워크 구성으로 지원그룹 파트너쉽 등을 형성하며 그룹활동으로 점심 먹기 공원에 소풍가기 모닝차 마시기 패션쇼 경매참여 카드 등 게임하기 볼링

- 55 -

등 레포츠 영화 및 연극보기 시낭송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함

TRP는 재활의 다음 단계로 퀸즐랜드 척수손상병동에 있던 사람들에게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로 대부분의 TRP 프로그램은 4~8주 정도 진행되나 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며 그 이루는 Outreach 서비스로 연계됨- 이동 휠체어 기술 보행 옥외이동기술 등 신체적 기술의 강화 일상생활활동 지

역사회접근 직업 상담 보조기구 운전 및 주택 개조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직업과 직업 전 기술 등에 대해 다룸

척수 손상환자들이 병원 재활에서 지역사회 생활로의 전환을 도와줌으로써 지역사회 재통합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이 있으며 병원으로부터 좀 더 빨리 퇴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줌 프로그램은 전문가들의 다학제적 팀 접근으로 개인의 요구도와 목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며 적극적으로 이러한 프로그램에 가족 파트너 및 친구의 참여를 권장함

SPOT는 기존서비스와의 중복되지 않도록 교육과 상담에 중점을 두며 서비스 내용으로는 스킨케어 보조기구 주택개조 직업 및 교육정보 통증관리 상담과 지원 일상생활활동 관절과 근육문제 자세와 앉기 대소변 관리 다른 관련 건강과 간호문제 등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를 제공함

서비스는 브리즈번에서 200km이내인 경우거나 지역방문의 정규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하는 경우 가정이나 지역방문을 통해 제공되며 또한 전화나 화상회의와 같은 멀티미디어를 사용하여 조언과 교육도 제공됨

장애인에 대한 직접적인 서비스 외에 척수손상에 대한 2차 합병증 예방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장애인 당사자와 주변인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짐 주제는 욕창치료 및 관리 척수손상으로 인한 2차합병증 예방 자세유지 의수족 고령화 등으로 구성됨

- 56 -

자 호주 Royal Rehabilitation centre Sydney

Brain Injury Rehabilitation team(BICRT)- BICRT는 외상성 뇌 손상을 가지고 지역 사회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로 팀원들은 외상성 뇌손상 장애인들이 만족스러운 생활로 돌아가고 독립적인 생활을 격려하며 정서적 사회적 신체적 지적 기능의 수준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도와줌

- 관계(relationships) 건강(health) 학습(learning) 재정(finances) 직장 및 레저 활동(work and leisure)에 관한 지원을 제공함

환자의 의학적 상태에 따라 ldquo재활 밖의 삶(life outside rehab)rdquo을 경험하기 가족과 함께 Transitional Living Unit에 머물도록 장려함 척수손상병동 퇴원 후 프로그램으로 플랫형 공동 주택으로 되어 있으며 3일 동안 지낼 수 있음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체육관 가이드는 지역사회 기반의 헬스 클럽과 피트니스 센터 참석으로 건강 및 피트니스 활동을 추구하기 위한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있는 재활 환자에게 레크리에이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함

홈 기반 재활 서비스 (HBRS)는 북부 시드니 지역 보건 서비스의 거주하고 있으며 최근 부상 또는 질병을 입었거나 받은 수술을 하거나 만성 근골격계 또는 신경학적인 상태의 악화를 경험하신 고객을 대상으로 집중적으로 짧은 기간 가정에서 자신의 재활을 수행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함 환자는 의사나 입원팀에 의해 연계되며 병원 퇴원 전 HBRS 매니저로부터 평가를 받음

운전 평가 및 재활 센터는 장애인이나 의료적 문제가 있는 사람들에게 독립적이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도와줌 DARC는 운전 평가 및 재교육(re-training)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면허를 회복하거나 운전면허 취득을 위해 조언과 도움이 필요한 특별한 요구가 있는 사람들을 지원함

- 57 -

장애인과 그들이 배우자에게 비밀이 보장되는 환경에서 성에 대한 고민과 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배우도록 지원함

변형된 신체상 성에 영향을 주는 감각 이동 대소변 기능에 변화 의사소통문제 여러 가지 성기능의 변화 관계문제 부적절한 성적행동 성에 대한 잘못된 인식 장애 후 다시 시작된 성생활 등 성적 및 성에 대한 고민이 있는 후천적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함

서비스 내용은 성기능 평가 개인의 요구도에 기반한 개별 치료 개별 및 부부상담 장애인과 배우자 부모 및 간병인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전화상담 및 조언 전문가와 지역사회 단체를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작 및 보급 등이 있음

홈페이지 지원

장애와 상관없이 레저 예술 스포츠 레크리에이션 여행 라이프 스타일 등 세계 각지의 개인 단체 및 관련 제품에 대한 필요한 정보가 링크되어 있어 가이드를 제공함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지원 전략

가 재활의료 전달체계 및 사회복귀 연계체계 확립을 위한 국가정책 수립 지원

교육 및 연구 활동을 통한 국가정책 수립 지원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확산을 위하여 권역재활병원 및 재활전문병원의 사회복귀 담당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정 개설

현행 비급여 재활치료서비스의 수가화 기반 마련을 위한 표준 서비스 안 개발- 성재활 언어치료 운동 처방middot상담middot교육- 사회적응훈련치료 사회복귀훈련- 가족상담 보호자교육 환자교육 질병교육

- 58 -

나 서울시 중심 지역사회복귀 지원사업 수행을 통한 확산 모형 개발

직접 포괄적 서비스 제공- 입원재활치료 퇴원 전 사정 외래재활치료 직업훈련 및 사회적응프로그램 지역

사회 자원 확보 및 연계-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서울시 거점보건소와 함께 하는 시범사업 진행 검토

사업모형 확산- 개발된 모형을 권역재활병원 및 거점보건소 등으로 확산 모색

도시형 보건지소를 사회복귀지원프로그램의 지역거점으로 활용- 현재 정부 지원 도시보건지소 5개소 중 일부에서 방문재활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

는 것과 별도로 lsquo서울형 보건지소rsquo를 향후 약 50개소 추가 건립예정임- 보건지소의 역할 중 방문 재활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으나 역할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국립재활원에서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도시형 보건지소의 역할 수립 및 지역 사회 복귀 거점 기관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함

다 사회복귀지원 사업의 효과22)

한국 중증장애인 재활의료이용 현황

2006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로 신규 등록한 장애인의 2005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22) 이 절의 내용은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실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10

참조

- 59 -

진료비 청구내역 자료를 전수 분석하였음

지체장애로 입원한 중증환자의 총재원기간은 578일이었음 지체장애 중 중증이라고 볼 수 있는 척수손상의 경우 미국23)은 2001년 기준 재원기간이 14일로 나타났고 호주24)는 2006년 기준 331일로 나타났음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우리나라의 재원기간이 외국에 비해서는 긴 것으로 나타남

최초입원기간 동안에 소요되는 진료비용은 전체는 약 243만 원 정도가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증의 경우 614만 원 정도가 소요됨 최초입원 에피소드에서 입원횟수는 전체 15회 중증 25회로 장애의 정도가 심한 경우 재원기간도 길어 반복적인 입퇴원이 늘어나는 것으로 판단됨 입원 간격은 전체 139일 중증 113일이었고 건당 재원일은 전체 139일 중증장애 234일로 나타남 중증 장애에서 건당 재원기간도 길고 퇴원 후 입원하는 간격이 짧은 것을 알 수 있음

중증도 환자 수 총재원기간

총진료비용

총입원횟수

입원간격

건당재원일

전체 17345 198 2427985 15 139 139중증 696 578 6144615 25 113 234경증 16649 183 2272614 14 141 135

표 10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지체장애)

(단위 명 일 원 회)

뇌병변장애의 경우 총재원기간이 평균 1008일로 지체장애에 비해 긴 것으로 나타남 특히 중증장애의 총재원기간은 평균 1382일로 4달 이상을 최초입원기간 동안 입원해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이와 같은 결과는 외국과 비교하였을 때 매우 긴 것으로 뇌졸중의 경우 미국25)은 2001년 기준 16일 호주26)는 2006년 기준 280일로 우리나라에 비해 매우 짧은 것으로 나타남

한편 뇌병변장애 최초입원에 들어가는 총진료비용은 전체 1076만원 중증

23) Ottenbager et al Trends in length of stay living setting functional outcome and mortality following

medical rehabilitation JAMA 2004 292(14) 1687-1695

24) Simmonds and Stevermuer The AROC annual report the state of rehabilitation in Australia 2008

Australian Health Review 2008 32(1) 85-110

25) Ottenbager et al Trends in length of stay living setting functional outcome and mortality following

medical rehabilitation JAMA 2004 292(14) 1687-1695

26) Simmonds and Stevermuer The AROC annual report the state of rehabilitation in Australia 2008

Australian Health Review 2008 32(1) 85-110

- 60 -

1451만원으로 초기치료비용이 상당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총 입원횟수는 전체 28회 중증장애 34회였고 최초입원 에피소드 중 입원간격은 전체 76일 중증 71일로 지체장애에 비해 짧았음 한번 입원한 경우 재원기간은 전체는 394일 중증장애는 491일이었음

중증도 환자 수 총재원기간

총진료비용

총입원횟수

입원간격

건당재원일

전체 7325 1008 10760785 28 76 394중증 4430 1382 14507511 34 71 491경증 2895 436 5027454 2 87 245

표 11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뇌병변장애)

(단위 명 일 원 회)

한편 지체장애의 경우 전체 17345명 가운데 9128명이 재입원하여 526의 재입원률을 보임 이 가운데 중증장애 환자는 629가 재입원하였음 척수손상의 경우 미국27)에서 2년 재입원률은 326 10년 재입원률은 52로 나타남 호주28)의 경우 척수손상 환자의 10년 재입원률을 586로 보고하였음 이와 같은 결과와 비교하여 볼 때 우리나라의 재입원률이 외국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재입원 환자의 총재원기간은 전체 179일 중증장애 703일이었음 총진료비용은 전체 159만원 중증장애 643만원이었고 총입원횟수는 전체 19회 중증장애 47회로 중증장애 환자가 재입원횟수가 더 많음을 알 수 있음 재입원 간당 입원일수는 전체 57일 중증장애 168일로 나타남

27) Dersett amp Geraghty Health-related outcomes of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a 10 year

longitudinal study Spinal cord 2008 46 386-391

28) Middleton et al Patterns of morbidity and rehospitalisation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Spinal cord

2004 42 359-367

- 61 -

중증도 환자 수(재입원률)

총재원기간

총진료비용

총입원횟수 입원간격 건당

재원일

전체 9128(526) 179 1588881 19 42 57

중증 438(629) 703 6427675 47 527 168

경증 8690(522) 157 1386598 18 416 52

표 12 재입원 의료이용 현황(지체장애)

(단위 명 일 원 회)

뇌병변장애 환자 7325명 중 뇌병변장애 관련 합병증으로 재입원한 환자는 총 3575명으로 이는 전체의 488를 차지함 중증장애의 경우 553의 재입원률을 보여 지체장애와 마찬가지로 중증에서 높은 재입원률을 보임 미국의 연구들29)30)에 따르면 뇌졸중 환자의 1년 재입원률은 1998-2000년 사이에는 37-47 2000-2001년 사이에는 311로 나왔는데 우리나라와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의 재입원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재입원 환자의 총재원기간은 전체 722일 중증장애 1040일이었음 총진료비용은 전체 546만원 중증장애 789만원이었고 총입원횟수는 전체 25회 중증장애 31회로 중증장애 환자들이 비용도 많이 들고 입원횟수 및 기간도 긺을 알 수 있음 건당 재원일은 전체 222일 중증장애 317일로 나타남

중증도 환자 수(재입원률)

총재원기간

총진료비용

총입원횟수 입원간격 건당

재원일

전체 3575(488) 722 5460980 25 288 222

중증 2451(553) 104 7889880 31 317 317

경증 1124(388) 235 1744217 16 244 76

표 13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뇌병변장애)

(단위 명 일 원 회)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의 반복적인 입퇴원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첫 입원시점부터 3년까지의 입원양상을 분석함 각 환자의 최초입원 시점을 0일로 하고

29) Smith et al Rehospitalization and survival for survival for stroke patients in managed care and

traditional medicare plans Med care 2005 43(9) 902-910

30) Jia et al Multiple system utilization and mortality for veterans with stroke Stroke 2007 38

355-360

- 62 -

3년까지 매일 입원상태를 파악하여 모든 환자의 입퇴원 양상을 파악함

분석결과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 모두 반복적으로 입퇴원하는 양상을 보임 지체장애의 경우 17000여명의 환자 가운데 대부분은 입원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았지만 입원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이용하는 500여명은 입퇴원을 반복적으로 하고 있었음 이러한 모습은 중증에서 보다 두드러졌는데 전체 700여명의 환자 가운데 300여명이 반복적인 입퇴원을 하고 있었음 입원기간은 대략 한 달 정도였고 퇴원과 다음 입원 사이에도 약 한 달의 간격이 존재함

- 63 -

뇌병변장애의 경우 이러한 양상이 더욱 두드러졌음 전체 7000여명 가운데 2000여 명 가량이 반복적인 입퇴원을 하고 있었고 중증장애의 경우 전체 4500여명 가운데 1500여명 이상이 반복적인 입퇴원을 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음

이러한 반복적인 입퇴원은 보험료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 현행 건강보험 수가에서는 재활 환자가 입원한지 15일이 경과하였을 경우 10의 보험

- 64 -

료 삭감이 이루어지고 30일 이후에는 15의 보험료 삭감이 이루어짐 그렇기 때문에 재활서비스를 받아야할 필요가 있는 환자일지라도 한 달 정도 입원하면 의료기관에서 퇴원을 시키게 되고 환자는 다시금 재활서비스를 받기위해 동일 의료기관 혹은 다른 의료기관에 재입원할 수밖에 없음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경우 지역사회 복귀가 지연될 우려가 있음

사회복귀지원 사업을 통한 재원기간 감소 효과

재활의료기관에서 부적절한 재활의료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재활 성과가 불충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반복적인 입원 및 의료비용 증가의 문제가 발생함 서비스 강도가 약할 경우 서비스 제공 기간의 길이와 상관없이 추가적인 의료이용량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음

초기 장애발생 직후부터 의료기관에서 환자에게 적극적인 사회복귀지원 사업을 제공한다면 적절한 재활의료서비스 제공을 통해 보다 많은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의료이용 관련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현재의 불안정한 사회복귀 재정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재정기전의 마련이 필요함 이를 위해 적절한 사회복귀프로그램의 부재로 인하여 발생하는 장기입원 사회복귀 지연으로 야기되는 개인적 사회적 비용을 추계하여 이를 근거로 사회복귀 재정 기전을 확립해 나가야 할 것임

2008년 장애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체 및 뇌병변장애인 의료서비스 미치료율이 지체장애 534 뇌병변장애 180로 나타났음 이들 대부분이 치료해도 나을 것 같지 않거나(지체 364 뇌병변 349) 치료해도 효과가 없다(지체 445 뇌병변 309)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 우리나라의 재활의료서비스가 서비스 대상자에 기대에 못 미치는 수준으로 제공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음

한편 반복적인 입퇴원을 줄이기 위해 표준산정일수를 도입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음 국내 다수의 재활의료 전문가들은 표준산정일수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추산된 일수는 180일로 일본의 보수지불사례와 유사하였음

필요하다 필요하지 않다표준산정일수 필요성 760 240

표 14 표준산정일수 필요성

- 65 -

Mean CV Median표준산정일수 추산 180일 019 180일

표 15 필요하다고 응답한 전문가들의 표준산정일수 추산

라 재원 확보 방안

수가화 모색

현재에도 운동치료 재활사회사업(개인력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문) 등은 수가로 인정되는 항목임 이를 기준으로 성재활 언어치료 운동 처방middot상담middot교육 사회적응훈련치료 middot 사회복귀훈련 방문재활 가족상담 보호자교육 환자교육 질병교육 등에 대한 수가화 방안을 모색

재활전문의료기관 인증기관에 재활수가를 별도로 인정하는 방안

가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재활인증 의료기관

현재 근로복지공단이 주관하여 산재보험재활인증 의료기관을 선정하고 다음과 같은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음- 이학요법료 수가(급여항목)의 20 별도 인정- 시범실시 재활수가 29개 항목 추가 인정 18개 비급여 항목 11개 급여항목 기준

완화 적용- 정기 현지조사 면제 및 재활치료 대상자의 전원 지원 등

- 66 -

인증기관에 대한 평가 항목은 다음과 같음

구분 평가기준 평가내용필수항목 재활전문인력의 충족성 인력구성 부문 평가

평가항목

(100점)

시설 및 장비의 적절성 (50점)

시설구비재활치료장비

재활의료서비스제공체계 (50점)

재활전문인력 다직종간 팀 구성 및 활동내역

(25점)

다직종간 팀 구성 여부팀 단위 평가회의 여부

팀 단위 회의록 작성 및 보관여부재활간호서비스 제공여부

보장구 처방검수 제공 체계

질적 서비스의 제공(25점)

입원시 재활치료 계획 수립여부기능상태 평가 및 정기적 재평가 여부

퇴원전 퇴원계획 수립여부재활치료계획에 환자 또는 보호자 교육 및 설명여부

기타항목

(10점)

권고사항

언어치료사(4점) 임상심리사(4점) 여부

산재근로자 상담공간 보유 여부(2점)

표 16 인증기관 평가 항목

추가인정 재활수가 항목은 다음과 같음

비급여 항목 급여적용 요양급여 적용기준 완화 언어전반진단검사 발음 및 발성검사 체온열 검사 보스톤 사물이름 대기검사 장비를 이용한 근력검사 체외충격파치료(근골격계 질환) 기립경사훈련(단순재활치료) 집단운동치료(단순재활치료) 집단상담치료(단순재활치료) 전산화인지재활치료(전문재활치료) 연하재활 기능적전기자극치료(전문재활치료) 증식치료(사지관절부위 및 척추부위 전문재활치

료) 근육내자극술(단순 전문재활치료) 언어치료(전문재활치료) 수기요법(단순재활치료) 수중운동평가 수중운동치료(11 전문재활치료) 수중운동치료(그룹치료 단순재활치료)

나-610-가 신경학적검사 나-661 도수근력검사 너-771 일상생활동작검사 너-772 수지기능검사 너-773 관절가동범위검사 사-105 맛사지치료 사-116 운동치료 사-130 재활기능치료 사-121 풀치료 사-128-나 재활사회사업(사회사업상담)

표 17 추가인정 재활수가 항목

- 67 -

나 보건복지부의 재활전문병원

보건복지부는 환자구성비율 진료량 필수진료과목 의료인력 및 병상 등의 지정기준을 평가하여 2011년 10개 의료기관을 재활전문병원으로 지정하였음- 국립재활원재활병원- 서울재활병원- 파크사이드재활의학병원- 남산병원- 브래덤기념병원- 유성웰니스요양병원- 카이저병원- 러스크분당병원- 행복한병원- 늘봄재활요양병원

현재 보건복지부의 재활전문병원 지정에 따른 인센티브는 3년 간 lsquo보건복지부 지정 전문병원rsquo 명칭을 사용할 수 있는 것뿐임

향후 보건복지부 지정 재활전문병원에 제한적으로 운동치료 재활사회사업(개인력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문) 성재활 언어치료 운동 처방middot상담middot교육 사회적응훈련치료 middot 사회복귀훈련 방문재활 가족상담 보호자교육 환자교육 질병교육 등에 대한 수가를 별도로 인정하는 방안을 모색

이와 더불어 현재도 인정되고 있는 수가들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현실에 맞게 조정하고 정리하는 것이 필요함

공익기금 활용

가 교통사고 및 보험 관련

미국 버지니아 주 Community rehabilitation program 재정의 15는 CNI trust fund (운전면허취소자가 면허 재취득시 내는 요금)으로 부담함

한국에서도 교통범칙금 일부를 활용할 수 있을 것임- 현재 한국의 자동차교통관리개선특별회계법에는 교통범칙금의 이용에 관한 별도의

규정이 없어 교통범칙금의 20sim25 정도만이 교통관련 예산으로 사용되고 나머지는 일반회계에 편입되면서 대부분 교통과는 무관한 데 사용돼 왔음

- 68 -

또한 민간 보험업체들도 각각 사회공헌기금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이 기금을 활용하는 방안도 모색될 수 있음- 2011년 11월 손해보험협회는 약 200억 원의 기금 조성 계획을 밝혔음 - 생명보험사가 소속된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는 2011년 약 274억 원의 사회공헌

재원을 조성하여 기금을 조성하여 희귀난치성 질환자 지원 자살예방 지원 저소득 치매노인 지원 저출산 해소 및 미숙아 지원 사회적 의인 지원 금융보험교육 및 학술연구활동 지원 사회공익 및 복지활동 소비자 권익증진 기타 대국민 복지 지원 등에 사용해왔음

나 음주 관련

한국 음주문화연구센터는 주류 및 주정 회사가 주류 소비자의 보호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위하여 출연한 재원으로 운영되며 알코올상담센터 등의 활동을 수행함

주류 건강증진부담금 부과된다면 그 일부를 활용할 수 있을 것임

다 담배부담금 일부 활용

국민건강증진법 제25조(기금의 사용등)에 의하면 ldquo보건복지부장관은 기금을 제1항 각호의 사업에 사용함에 있어서 아동middot청소년middot여성middot노인middot장애인 등에 대하여 특별히 배려middot지원할 수 있다rdquo고 규정되어 있음

이러한 규정을 활용하여 담배부담금 일부를 활용할 수 있을 것임

요약 및 소결

다양한 사회복귀 프로그램 중 국립재활원이 중점적으로 추구해야 하는 사업은 병원 기반 사회복귀 지원체계임 - 병원 기반 사회복귀 지원체계는 환자 입원 후 사례관리회의 때부터 시작하여 맞

춤형 사회복귀프로그램 제공 퇴원 전 사정회의와 지역사회 자원 연계 사후관리로 이어지는 일련의 프로그램들임

- 병원 기반 사회복귀 프로그램은 일상생활훈련(실생활 훈련)을 비롯하여 운전교육 컴퓨터 교육 학업(직장) 복귀지원 주택개조 정보 제공 및 연계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멘토링(동료상담) 프로그램 정서적 지원 성재활 지역사회자원 연계 가족지지상담 및 프로그램 법률지원서비스 독립생활체험 활동보조인 이용체험 보조기 평가 및 대여이용체험 등으로 구성됨

- 69 -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 방안 모색을 위해 기존 연구 및 타 기관 사례를 검토하고 현재 국립재활원 사회복귀 지원 현황을 검토하였음 - 그간 국립재활원에서 수행해 온 사회복귀프로그램은 주간재활센터프로그램 등으로

일상생활훈련 운전교육 직업 및 학업복귀 사회참여활동 및 지역자원 연계 독립생활체험 재활스포츠 활동 성재활 상담 음악치료 치료레크리에이션 실생활재활치료 가족프로그램 등의 사업을 수행하였음

- 조직개편 이후 신설된 사회복귀지원과에서도 일상생활훈련 의료지원 및 상담 정보제공 운동 운전교욱 사회체험 직업적응 취미활동 등의 사업을 수행해왔음

- 국내 일부 재활병원과 산재병원에서도 유사한 사회재활프로그램과 환자 및 보호자 지원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음

-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는 병원 연구소 학원 훈련센터로 구성되어 있어서 연구-재활치료-교육-사회복귀가 모두 한 공간에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성이 있음 그 외 미국 및 호주 재활병원의 사회복귀지원프로그램들을 검토하였음

이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지원 전략은 다음과 같음- 재활의료 전달체계 및 사회복귀 연계체계 확립을 위한 국가정책 수립 지원으로

교육 및 연구 활동과 성재활 운동처방 등 현행 비급여 재활치료서비스의 수가화 기반 마련을 위한 표준 서비스 안을 개발함

- 서울시 중심 지역사회복귀 지원사업 수행을 통한 확산 모형 개발로 입원재활치료 퇴원 전 사정 외래재활치료 직업훈련 및 사회적응프로그램 지역사회 자원 확보 및 연계직접 포괄적 서비스 제공하면서 개발된 모형을 권역재활병원 및 거점보건소 등으로 확산시킴

- 사회복귀 지원을 통해 부적저한 재활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발생하는 불충분한 재활 성과와 반복적인 입원 및 의료비용의 증가문제를 줄일 수 있음

- 초기 장애발생 직후부터 의료기관에서 환자에게 적극적인 사회복귀지원 사업을 제공한다면 적절한 재활의료서비스 제공을 통해 보다 많은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의료이용 관련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사회복귀 지원 사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재원 확보 방안은 다음의 방법들을 고려할 수 있음- 현재 수가로 인정받는 운동치료 재활사회사업(개인력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

문) 등을 기준으로 성재활 언어치료 운동 처방middot상담middot교육 사회적응훈련치료 middot 사회복귀훈련 방문재활 가족상담 보호자교육 환자교육 질병교육 등에 대한 수가화 방안을 모색

-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재활인증 의료기관 수가 지원을 참고하여 보건복지부의 재활전문병원 지정에 따른 인센티브로서 별도 수가 인정 방안 모색

- 70 -

- 교통범칙금 민간 보험업체들의 사회공헌기금 등 교통사고 및 보험관련 기금들을 활용하는 방안 모색

- 담배 및 주류로 인한 건강증진부담금 일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

- 71 -

제4장 (가칭)장애인재활교육훈련시설(체육관) 운영 방안

개요

국제연합(UN)에 의하면 21세기의 특징은 아래와 같음 - 첫째 인구지진(Age-quake)으로 저출산고령화라는 인구학적 변화가 사회 경제

문화는 물론 보건의료체계에 개혁적인 변화를 요구- 둘째 만성 비전염성 질환 증가로 건강관리 체계를 기존 치료(cure)에서 관리

(care)로의 변화를 요구

이를 종합해 보면 현 시대는 인구수는 증가하지 않으면서 평균 수명은 증가하고 각 종 만성 퇴행성 질환으로 건강 수명(Disability-adjusted life expectancy)은 오히려 감소하는 시대적 특징을 대변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음

따라서 21세기를 사는 현대인들은 인간의 꿈이라 할 수 있는 건강 장수를 위해 건강 수명 증가를 위한 국민 개인의 노력이 필요한 실정임

이에 부응 하여 우리나라에서도 과거 그 어느 때 보다도 많은 사람들이 규칙적 운동(체육 스포츠 포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제로 일상에서 개인의 건강관리를 위해 각 종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음

신체활동을 하는 사람이 다르면 사람마다 신체활동의 목표가 다르듯 운동의 방법 즉 체육 스포츠의 형태 및 활동량도 다를 수 있으며 특히 각종 만성퇴행성 질환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달라야 할 것임

지체 장애 및 뇌병변 장애로 신체 기능의 제한이 있는 장애인들의 경우 재활 치료 외에 본인에게 적합한 운동에 대한 정보를 얻기 힘든 것이 현재 실정임

노령 인구 뿐 아니라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경우 심장마비(심근 경색 심정지) 및 각 종 근골격계 손상(염좌 낙상 골절 등)이 더 쉽게 발생 할 수 있어 이에 대한 방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

그러므로 고령화가 지속되고 만성질환 유병률이 증가되고 있는 시대적 상황에서 건강 수명 증가를 목적으로 체육 및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람들(일정 수준의 만성질환 위험인자 보유자 및 질환자)은 기본적으로 본인의

- 72 -

건강도(medical condition)와 기능적 능력(functional abilties) 들이 평가된 후 실행가능성(feasibilty)과 효과성(efficacy)이 검증된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함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중에 안정 시에 나타나지 않았던 내재된 심혈관계 관련 이상 증상 및 징후를 조기발견하거나 추적관찰하는 것도 안전하고 지속적인 프로그램 참여를 위해 필요함

따라서 국립재활원 장애인 건강증진센터에서는 원내 입원한 환자들 및 지역사회 장애인(만성질환 위험인자 보유자 및 질환자 장애인)을 대상으로 개인별 운동 목적에 부합되는 운동 프로그램을 체계적이고 개별적으로 처방 및 지도관리하기 위해 운동 처방 시스템을 운영하고자 함

필요성 및 현황

가 필요성

현재 우리나라의 평균수명은 786세인 반면 건강수명은 686세로 평균 수명은 과거 그 어느 때보다도 증가되었으나 건강 수명은 평균 수명 보다 무려 10여년이나 짧게 나타나고 있음(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31)

이는 국가의 의료비 부담은 물론 국민의 삶의 질에 막대한 문제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이와 같은 시대적 특성은 국가는 물론 국민 모두에게 보다 적극적인 대처 방안의 모색을 요구하고 있음

여러 가지 방안 중에서 규칙적인 운동의 실천은 개인의 의료비 절감과 건강 수명 연장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으로 잘 알려져 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국민의 운동 실천율은 선진국 보다 매우 낮은 수준인 341(예 미국 55)로 나타나 있음(보건복지부 2006)32)

건강관리를 위해 일정 수준의 운동을 실천하지 않는 운동 부족으로 인한 비용은 총 건강관리 비용의 약 6를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전 세계적으로 1900만 명의 사망 원인이 되는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또한 운동 부족은 각종 만성 질환(심혈관질환 허혈성 뇌졸중 제 2형 당뇨병 결장암 및 유방암

31) 건강수명의 사회계층간 형평성 및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32) 새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수립 보건복지부 2006

- 73 -

등)의 독립적 주요 위험 인자이며 더불어 비만이나 낙상 및 정신 건강 등의 다른 건강 수준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규칙적인 운동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률을 감소시키고 심혈관 질환 대장암 및 제 2형 당뇨병 고혈압 비만 등을 예방 및 개선시키며 골다공증 예방 및 감소와 그에 따른 골절 위험 감소 요통 통증 완화 등의 근골격계 건강을 유지향상시킴(Astrand PO 등 2003)33)

운동은 심리적 효과(심리적 안녕감 증진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 감소) 고 위험 행위(흡연 음주 약불 복용 건강하지 못한 식이 폭력) 예방 및 조절이라는 효과 또한 갖고 있음 또한 그 어느 건강관리를 위한 중재 방안에서도 얻을 수 없는 건강관리에 가장 중요한 독립적 기능 수행 능력을 유지향상시킬 수 있어 질적 수명 향상에도 효과가 있음

그러므로 고령화 속도 세계 1위이면서 각 종 만성질환 유병률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시대적 특성을 고려해 볼 때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건강관리 방안은 운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스스로 규칙적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음

위와 같은 운동의 중요성에 따라 국립재활원은 건강증진센터를 소외되기 쉬운 장애인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운영하고자 함- 첫째 재활병원 내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용이하여 원내 입원 환자와 지역 사회 장

애인들이 입원초기부터 신체기능 향상을 위한 재활치료와 더불어 심폐기능 등의 기초체력 향상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이 병행가능하게 되어 규칙적인 운동을 위한 동기화를 촉진함

- 둘째 의료진 및 전문 치료사 특수 체육 교사에 의한 운동 프로그램을 처방 및 지속적인 지도를 받음으로써 안전하고 효과적인 체육활동을 가능하게 함

- 셋째 개인의 신체활동 상태 및 진행 사항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실시간으로 운동 정도를 조절하고 관리 할 수 있음

- 넷째 등록된 의료기관에 수집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진료 시 필요한 개인별 건강생활습관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어 의료비 절감과 효과적인 진료서비스를 제공 가능함

- 다섯째 국립재활체육센터에서도 개인별 자료를 확인 할 수 있으므로 체육 지도자 및 개인이 보다 안전하고 목적에 부합되는 운동을 할 수 있어 참여자들이 개인의

33) Metabolism during Exercise ndash Energy Expenditure and Hormonal Change Astrand PO Michael

Kjaer Michael Krogsgaard Peter Magnusson Lars Engebretsen etc 2003

- 74 -

건강관리에 대한 안정감과 자신감을 갖고 동시에 일상에서 웰빙감과 개선된 삶의 질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질적 수명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

나 운영 목적

장애인 건강 증진 센터에 등록된 장애인들에게 개인별 신체병력 자료를 기초로 심폐기능 및 지구력 등의 운동 기능 검사 및 건강 체력 수준을 평가하여 이를 기반으로 과학적으로 검증되고 수요자에게 안전하고 선호하는 실행 가능하고 효과성 있는 운동 프로그램을 처방하여 퇴원이후에 자가 건강관리가 가능하도록 함

일정 기간(3~6 개월) 재활체육을 처방 및 지도하여 운동 프로그램을 경험한 참여자에게 스스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을 지속적으로 유지 및 관리하도록 함

다 현황

일반현황

장애인을 위한 체육 시설은 전국적으로 22개소로 이는 비장애인 체육시설의 0044 수준임

일반체육 시설 내 장애인 활용을 위한 편의시설이 미흡하며 프로그램도 부재함

시설 운영비 문제로 장애인 체육시설 조차 장애인 이용 극도로 제한적임

한계점

일반 체육시설에 있어 장애인 이용 편의 설비 규정 부재 체육시설의 설치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관련 항목 부재

장애인 체육시설의 경우 예산 부족을 이유로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수익사업에 치중

시설 내 장애인체육 프로그램 비활성화

- 75 -

국립재활원 건강증진센터 운영 현황 년 월

병원동 신관 2층 심폐재활실에서 운영

운동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 보유

장 비 명 용 도 수 량운동검사기 트레드밀 운동 장비 트레드밀

각력계 (Cybex) 상ㆍ하지용

체간용

심ㆍ폐 지구력 측정 및 평가용

심ㆍ폐 지구력 증진용

근력 측정 및 평가용

2 대

1 대

2 대1 대

표 18 장비 목록

필요시 타 부서 소속의 장비를 임대하여 사용

장 비 명 (소속) 용 도 수 량운동 장비

트레드밀 (연구소) 스텝퍼 (연구소)

Ergometer (신관 병동)체지방 측정기 (검사실)

응급치료장비 (병동) 수동 제세동기 이송용 침대 응급 키트

심ㆍ폐 지구력 증진용

체지방량 측정 및 평가용응급상황 처치용

1대1대3대1대

1대1대1대

표 19 임시 장비 목록

운영 인력은 4인으로 구성

직 위 인 원 업 무 재활의학과 전문의

물리치료사

간호사

2 인

1 인

1 인

운동부하 검사 처방 및 결과 분석개인별 운동 상담개인별 운동 처방

근력 평가 및 운동부하검사 시행심폐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 지도

근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운동 지도체지방 측정

운동 검사 및 운동 지도 보조심폐 소생술 교육 보조

표 20 인력 현황

- 76 -

운영방법

대상자- 입원 환자- 뇌병변 환자 - 고관절 굴근과 신근 및 무릎관절 신근의 근력이 근력등급 3이상- 동적 균형 조절능력이 양호- 보행 동작이 독립적으로 가능 (보조기 사용 여부와 무관)- 인지 기능 양호(간이정신진단 검사 점수gt19)하며 의사소통이 원활한 자 - 운동부하검사의 금기사항이 없는 자 (미국 스포츠 의학회 지침에 의거)

검사 및 처방 시행 운영 방법- 운동 부하 검사 주 2회 (화목 오후)- 한 명의 환자에게 심폐부하검사와 근력 검사를 시행한 후 그 결과를 근거로 운동

처방- 한 주기동안 운동이 가능한 환자 대상- 종합적 체력 단련 방식(circuit training) 총 40분 혹은 60분- 등속성 근력 운동(CYBEX) + 트레드밀 보행 + 에르고미터 (상ㆍ하지) 운동을 통합

하여 한 주기로 만들어 시행

운동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신체병력 상태에 따라 차등 적용

주 2회 (60분회) - 화 목 주 3회 (40분회) - 월 수 금대상자

구성

기간

중위험군 저위험군(비혈관성 뇌병변 질환)

Cybex 15-20분

(8-12회 반복 8-10세트)고정형 자전거 15분

트레드밀 20분

6주 (총 12회)

고위험군(혈관성 뇌병변 질환 위주)

Cybex 15-20분

(8-12회 반복 8-10세트)고정형 자전거 15분 혹은트레드밀 15분 중 택 1

6주 (총 18회)

표 21 운동 프로그램

심폐재활실의 운영 대상- 입원 환자 적용 범위 확대 뇌병변 장애인 척수 손상 장애인 지체 장애인 - 국립재활체육센터 방문자 중 의료진의 일차 면담을 통하여 심폐 기능 평가 및 근

력 평가 등 운동 부하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자

- 77 -

현재 소유 혹은 임대하고 있는 장비만으로는 장애인 개개인의 운동능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추가적인 장비가 필요

이용 목적 업무 필요 장비

심폐 재활실

입원환자의 운동 처방 및 운동 프로그램 운영운동 검사 및 건강 체력 수준 평가

심ㆍ폐 지구력 측정 및 평가 및 근력 측정 모니터링하에 운동 프로그램 운영 국립재활체육센터와 연계

운동검사기 심ㆍ폐 지구력 측정 및 평가용 - 트레드밀 - 정지형 자전거  - 휠체어 트레드밀 악력계 근력 측정 및 평가용(전완) 배근력계근력 측정 및 평가용(체간) 각력계근력 측정 및 평가용(하지) 윗몸일으키기계 근지구력 측정 및 평가용(체간) 팔굽혀펴기계 근지구력 측정 및 평가용(상완) 체지방 측정기 체지방량 측정 및 평가용 체전굴계유연성 측정 및 평가용 평형성 측정기평형성 측정 및 평가용 기타 장비 자동 제세동기 응급 키드 환자 이동용 침대 체중계

표 22 추가 필요 장비

현재 있는 인력이외에 추가적인 인력이 필요- 근력 평가 및 운동 지도 1명- 심폐 기능 검사 및 운동 모니터링 1명

타기관 운영 사례

가 국내 스포츠 센터

상계백병원 심장재활센터

진료과 재활의학과

인력 재활의학과 전문의(1명) 전공의(1명) 간호사(2명) 치료사(1명)- 주중 운동부하 검사와 개별 환자운동은 상시 운영(상주 인원 간호사 1명 치료사

1명)되며 수금(오전)에는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개별 진료 및 상담하고 재활의학과 전공의 1명과 간호사 1명 업무지원

- 진료내용 운동부하 검사 시행 운동처방 개별운동 시행

- 78 -

운영 현황- 검사 혹은 운동 시 발생할 수 있는 응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시

설 구비- 근무 인력의 업무 분담으로 보다 많은 환자의 수용(평가(간호사 1인)와 개별운동

모니터(치료사 1인))- 개별운동 환자를 위한 서비스(개별 운동복과 운동화 비치 탈의실과 샤워실 구비)

타과 환자의 재활프로그램 운영- 의뢰에 따라 운동부하검사 실시 rarr 결과에 맞춘 운동처방 rarr 처방에 따른 개별운동

지도(6주) rarr 6주 후 재평가(환자에 따라 3개월 6개월 1년 후 정기적인 검사 시행)

운동 프로그램 구성- 본격적인 개별운동 전후의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매트에서 환자 스스로 자율운동

으로 시작하여 일반적으로 트레드밀 운동(12분~16분)과 에르고미터(10분~12분)운동으로 이루어지고 소요시간은 준비운동정리운동 포함하여 일회당 대략 40분 정도이고 비용은 2만5천원회

- 운동 중 심박수와 심전도를 모니터할 수 있는 장비를 착용하고 운동시행

서울아산병원 스포츠건강의학센터

- 79 -

정형외과에서 운영

인력 정형외과 전문의 등 스포츠의학 관련 의사(7명) 운동지도사(11명) 간호사(1명)- 병원 내에 검사 및 운동 지도하는 스포츠건강의학센터 병동 내에 관절 수술 전후

의 입원 중인 환자에게 검사와 운동을 시행하는 병동 내 센터 지속적인 운동과 관리를 원하는 외래 환자를 위한 스포츠센터 등으로 운영

- 진료내용 다양한 질환에 맞는 운동부하검사근력균형감각유연성 등 전반적인 체력검사 시행 운동처방 운동지도(병동 내 센터) 및 개별운동(병동 외 스포츠센터) 으로 진행

운영 현황- 응급상황에 대비한 응급의료장비 설치- 근무 인력의 업무 분담으로 보다 많은 환자의 수용(코디네이터(간호사 1인)와 운동

교육 및 개별운동(운동지도사 11인))

개별운동 환자를 위한 서비스(개별운동복과 운동화 비치 탈의실과 샤워실 구비)

환자의뢰에 따라 필요한 검사 실시 rarr 결과에 맞춘 운동처방 rarr 처방에 따른 개별운동지도(1일 지도 2주 1개월 그 이상)

스포츠건강의학센터 내에서는 심박수와 심전도를 모니터할 수 있는 장비 착용 후 운동시행

11로 질환에 맞는 운동방법지도 후 종료하는 경우도 있음(비용- 4만 8천원)

지속적인 운동을 원하는 경우 의사의 처방 하에 스포츠센터에서 자유로이 운동 가능(비용-월 20여 만원)

삼성서울병원 스포츠 의학 센터

진료과 스포츠의학과 심장내과 (심장재활팀과 연계)

인력 스포츠 의학 전문의 운동지도사 간호사

진료내용 건강검진 혹은 심장질환자에 대한 심폐부하검사와 몸통과 팔다리의 근력 및 균형감각유연성 등 전반적인 운동능력평가 시행 스포츠의학 전문의

- 80 -

와의 상담을 거쳐 운동처방을 받은 후 운동지도사의 지도하에 개별 혹은 단체 운동 수행

운영 현황- 응급상황에 대비한 의료인(내과의사 간호사) 배치 및 응급의료장비 설치- 시간별 개별 업무 내용이 나누어짐(일반 환자 심폐능력 평가시간과 심장질환 혹은

타 혈관질환의 평가시간을 다르게 배정)- 심혈관계 환자의 평가 혹은 운동시간에는 심전도와 맥박 텔레모니터링 체계하에

시행- 운동은 스트레칭과 걷기 운동으로 시작하여 트레드밀 싸이클을 시행한 후 마무리

운동- 개별운동복과 운동화 비치 탈의실과 샤워실 구비- 정기적으로 심폐기능 평가 시행 후 전후 비교

고양시 재활스포츠센터

체육관 운영 현황- 운영 201011월~- 연면적 585294(지하 2층 지상 3층) 건축면적 237589

주요시설현황- 3층 관람석- 2층 체육관(97565) 다목적실(123실 9752)- 1층 헬스장(25823) 접수안내실 매점 사무실- 지하1층 수영장 쉼터- 지하2층 기계실 등

운영 인력 총 57명(정규직26 강사31)

구분 센터장 팀장특수체육교사

헬스트레이너

수영교사

사무원

안내원

전기기사

운전기사

탈의실보조

경비 청소 계

정규직 1 3 3 2 8 2 2 2 3 - - 26

강사 - - 4 5 13 2 - - - 4 3 31

표 23 고양시 재활스포츠센터 인력구성

- 81 -

운영 예산 19억원(시 지원 50)

체육장비 보유금액 7억(수영용품 196백만원 포함) 사무용비품 9천5백 일반비품 5천5백 등 별도

운영방법- 운영시간 매일 운영(오전9시 ~ 오후9시)- 이용료 장애인은 비장애인의 50- 운영방식

① 11(강사 장애인) 프로그램 운영 자폐성장애인 뇌병변장애인 ② 그룹지도 지체 및 지적 장애인은 4명에 강사 1인

이용 현황 장애인 50 비장애인 50- 일일평균이용인원(900여명)

일일평균 장애인 이용률 체력단련실 다목적체육관 230명

다양한 장애인 체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재활체육프로그램

구분 프로그램 대 상 시 간 요 일 회 비(원)

체육관

재활농구지적장애 초등부 1030~1200 토

48000지적장애 중ㆍ고등부 0900~1030 토

재활운동 성인 1100~1150 월 수 금 20000

헬스장 재활헬스 성인청소년

0600~2100 월~금20000

0800~1700 토일일입장 월~토 2000

재활체육실

특수체육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A B F반)

1500~1550월 수 560001600~1650

1600~165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청소년성인 1700~1830 월 수 9600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청소년 1700~1750 월 수 5600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

1500~1550화 목 560001600~1650

1700~175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청소년 1630~1800 화 목 96000

표 24 재활 체육 프로그램 목록

- 82 -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무료

- 생활체육프로그램

부산시설공단 한마음스포츠센터

체육관 운영 현황- 운영 20071227~- 연면적 77081(지하 1층 지상 4층)- 주요시설현황

① 4층 조깅트랙(130m) ② 3층 체육관(배드민턴 농구대 배구대 샤워실) ③ 2층 헬스장 ④ 1층 수영장 에어로빅실 안내데스크 관리사무실 휠체어 무상수리센터 ⑤ 지하1층 주차장

운영인력은 총 59명(정규직8 무기계약직13 강사38)으로 세부인원은 아래와 같음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성인 1800~1930 화 목 9600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 주1회 2800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청소년 주2회 56000

특수체육(인라인스케이트)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아동청소년

1500~1600

금 400001600~1700

1700~1800

특수체육(태권도) 지적장애 청소년성인 1300~1400 화 금 80000

프로그램 대 상 시 간 요 일 회 비탁구 장애인 1100~1800 월 수 금

상담 후 결정

휠체어 럭비지체성인

1300~1600 화 목죄식 배구 1500~1800 일

휠체어 댄스스포츠 1800~2000 월휠체어 농구 지체성인(여자) 1700~2000 수 금

농구 지적성인 1000~1200 화 목청각장애성인 1000~1200 수

보치아 뇌병변 청소년성인 1300~1500 수1300~1500 금

골볼 시각장애성인 1500~1700 금

표 25 생활체육프로그램 목록

- 83 -

① 정규직(8) 파트장 행정3 시설4 ② 무기계약직(13) 안내4 트레이너 9 ③ 강사(38) 체육관 27 수영11

수입금 실적현황 1065백만원(입장료 1053백만원 시설사용료 11백만원 잡수입 1백만원)

운영시간 및 방식은 아래와 같음- 운영시간 월~토(9시 ~ 22시)- 이용료 장애인은 비장애인의 50

시조례 기준 20년전 기준 유지

- 운영방식 장애인 10명당 강사 2명 기준 운영- 이용 현황 장애인 38 비장애인 62

① 일일평균이용인원(600명) 장애인 240명 비장애인 360명

다양한 장애인 체육프로그램을 운영

프로그램 대 상 교육일 시 간 교육비 장소

건강헬스 청소년 월~토 0600~2200 19250성인 22000

한마음배드민턴교실(A B C D반)

성인(복지카드소지자) 월 수 금

0600~07300730~09001900~20302030~2200

15000

체육관(3층)

휠체어 배드민턴 장애인 화 목 토 1100~1200 13750

어린이체육교실 6세~초등생(발달 지체) 화 목 1400~1500 9200

김동수의 신나는 체육교실

청소년(복지카드소지자) 수 0930~1130 9200

청소년 체육교실(A B반)

청소년(발달 지체)

월수금1600~1700 13750화목금

HㆍM 배드민턴 지적장애(선수양성) 월~금 1600~1800 46000

청소년 인라인교실 청소년(발달 지체) 화 목 1800~1900 20000

탁구(5개반)

청소년 성인(비장애인등록가능) 월~금

0900~10001000~11001100~12001800~19001900~2000

17500(비장애인35000) 탁구

교실한마음탁구 발달ㆍ지적장애 월수금 1500~1600 13750

어린이탁구AB 초등부 월수금 1600~17001700~1800

13750(비장애인 27500)

표 26 부산시설공단 한마음스포츠센터 장애인 프로그램

- 84 -

나 해외 사례 ndash 장애인 스포츠 센터 중심으로

일본 개 시설

- 85 -

도 시 명 시 설 명 시 찰 사 유

오사카(大阪)

마이시마 장애인

스포츠센터

체육관 수영장 호텔 등 운영 타켓 골프rdquo 프로그램 운영 - 실내에서 장애인 및 노약자가 큰 체력소모 없이 유희놀이로 할 수 있음 클럽 및 동호회운영 실내수영장에서는 ldquo스쿠버다이빙rdquo 및 ldquo카누rdquo 프로그램 운영 유도장 및 에어로빅실 평상시는 장애아동 놀이방으로 활용 연회장은 가라오케 기능 겸용 모든 근무자는 유니폼(츄리닝) 착용 인력 운영 - 직원 80명 중 일일 50명씩 교대 근무 - 자원봉사원은 평상시에는 없고 행사시에만 활용 운영비 확보 - 운영비 년간 58억원 - 재 원 전액 오사카 시부 부담 - 수입금 전액 오사카 시에 귀속 오사카 지역민은 무료 타 지역민은 유료

도쿄(東京)

도쿄국립재활원

3만여평의 부지에 각종 시설 완비 노동(장애인고용촉진)+보건(재활병원)+교육 (직업재활시설)+체육(운동시설) 등의 일체화된 종합시설임 체육시설과 연수시설의 연계 프로그램 운영 재활원에서는 스포츠를 다음과 같이 기능면으로 분류하여 활용하고 있음 - 재활체육 신체장애자의 사회복귀를 위한 준비체육 - 일반체육 신체장애의 요소가 있는 자(병원 입원자 포함)를 위한 체육 재활훈련은 단기 1년에서 장기 5년의 기간으로 시행 스포츠동호회 지원은 기록향상보다는 단순 재활활동 지원에 목적이 있음 이용현황은 - 병원 정원 200명 평균 이용자는 일일 160명 - 숙소 정원 550명 평균 이용자는 일일 350명 장애인 또는 장애인시설 종사자 및 연수생 입소 직원현황은 - 정 규 직 320명 - 비정규직 100명 - 기 타 설비보수직 위탁직(청소 조경 등) 숙소 (4인실기준 4층 규모 2개동) - 시설이용료 ¥32000 1개월 단 영세민(후생연금자)는 무료 운영비 - 운영비는 전액 국고로 지원 약 ¥50억 - 수익금은 전액 국고에 귀속 약 ¥10~15억

요코하마(橫浜)

라포르 장애인

스포츠시설

최신 시설이며 규모가 큼 장애인용 극장 및 영상시설에 대한 시설 설비 및 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조사 등록절차 이용 희망자는 상담실에서 체육지도자와 상담하여 운동종 목을 선정한 후 등록카드를 발급 받은 후 이용 이용료 장애인은 무료 일반인은 ¥500 볼링은 장애인 ¥200 일반인 ¥400 추가

- 86 -

독일 개 시설

도 시 명 시 설 명 시 찰 사 유

도이스버그

도이스버그장애인종합시설

제1 체육관 - 플로어 충격흡수장치가 된 ldquo뉴빙빈rdquo 플로어(리놀리움 바닥) - 방음천막을 이용하여 3등분 구분 사용 가능 - 수납식 관중석 설치 - 좌식배구 각종 실내종목 양궁 제2 체육관 - 플로어 휠체어장애인을 위하여 나무 플로어 설치 - 탁구 휠체어 하키 휠체어 농구 일반인도 휠체어종목을 즐기고 있으며 관련 클럽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 노하우에 의하여 지도력을 갖추게 됨 - 유도 매트는 2면이며 시각장애인용 매트를 설치함 숙소 독일 축구협회 소속 시설로서 노드라인팔레스 축구협회에서 시설을 임대하여 독일 장애인체육회가 운영 중임 운영비 자체 수익금과 축구협회 지원금으로 충당

본 독일장애인체육협회

건립 동기 ldquo바이엘rdquo사가 기업 이윤의 사회환원 차원에서 건립 하였으며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음 운영 목적 레버쿠젠 지역의 비장애인 및 장애인 체육 육성 운영 형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사용을 혼용하여 자체 클럽형 태로 운영 대상 경증장애인 400명이 넘는 일반 육상선수 때문에 휠체어 장애인을 위한 종목 (프로그램)은 없음 운영 종목 좌식배구수영육상시각유도 총 4개 종목만 운영함 클럽내 장애인 분과에서는 학교를 통하여 장애인체육선수를 발굴하고 있음 또한 각종 사업비 조달을 위하여 스폰서 발굴에 노력을 경주함

미국

장애인들의 전용시설인 유타 주의 국립 장애인 레저센터(National Ability Center)와 비장애인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딤플 델 체육 레크리에이션 센터(Dimple Dell Fitness and Recreation Center)등이 있음- 장애인레저센터의 명칭에서도 보이는 것과 같이 장애인 전용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장애라는 단어 대신 능력(ability)라는 단어를 쓰고 있음

장애인 레저센터는 주정부가 부지를 기증하고 주 예산 일부와 후원금으로 건립되었음- 장애인들과 보호자를 위하여 스키 수영 카누 승마 등산 등 전문 레저 스포츠와

그룹캠프 연수 등을 실시- 운동에 필요한 모든 장비와 기구는 대부분 후원에 의해 조달됨

34) 정책보고서-장애인 올림픽 유치를 위한 전문체육 육성방안 이광재 2006

- 87 -

- 운영비 또한 대부분 주정부의 지원과 일반인들의 후원금으로 충당되며 이용료는 장애인들과 보호자 모두에게 실비를 받고 있으며 수익 사업을 위해 기숙사 임대 장애인 교육 레저 교육에 사용함

딤플 델 체육 레크레이션 센터는 미국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체육시설임- 수영장 헬스장 사우나 시설 다용도 체육관 놀이시설 등이 갖추어진 상당한 규

모의 센터이며 장애인들의 이용률이 전체 약 5로 낮으나 장애인들이 사용하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이 모든 시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시설을 갖춤

이 센터는 장애인 생활체육 개념을 모토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됨 장애인 레저센터를 통하여 장애인들이 원하는 스포츠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 한편으로는 일반 체육 시설에서도 장애인들의 이용률이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들이 이용하기에 불편함이 없도록 시설을 갖추어 놓았음 이런 예는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미국의 많은 대학 체육시설에서도 찾아볼 수 있음 미국 대학의 체육시설은 장애인 체육시설을 갖추어놓은 곳이 대부분이어서 미국에서 장애인에 관한 체육대회 등을 개최할 때 별다른 문제 없이 대학의 시설을 빌려서 하는 경우가 많음

재활원의 체육 센터도 이와 같이 국립재활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지 않은 장애인이나 기타 장애인 단체 등에게도 개방하여 장애인들이 원하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해나가야 할 것으로 생각함

향후 운영 계획 국립재활체육센터 프로그램과 연계 중심

가 운영 전략

근거-기반(Evidence-based)의 장애인에게 적절한 운동처방 및 재활체육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실행 가능하고 효과적인 운동을 수행

수혜자 중심(Population-centered)의 재활체육 프로그램 공급을 통하여 활동량 증가와 적절한 생활체육으로의 연결

- 88 -

나 운영 목적

국립 재활원은 장애인 체육을 재활치료 재활 체육 장애인 스포츠로 구분하여 지원하고 있음

공급자 장소 운영비 프로그램

재활치료 의사 처방치료사 치료

병원 물리치료실 작업치료실 등

진료비 의료보험 수가 적용

물리치료 작업치료 열전기 치료 등

재활 체육의사 지도 치료사 및 특수체육교사 교육 및 감독

국립 재활 체육 센터

회비발생(의료 수가 적용되지 않음)

단체 운동 체력강화 트레이닝 유산소 운동 근력 강화 운동 유연성 및 순발력 강화 운동

장애인 스포츠

생활 체육장애인 자발적 참여 장애인 체육회 장애인 스포츠 단체

지역 장애인 스포츠 센터 회비 및 참가비

단체운동 유산소 운동 근력 강화 운동 유연성 및 순발력 강화 운동

엘리트 체육 장애인 체육회 장애인 스포츠 단체

장애인 스포츠 훈련원 선수촌 선수 지원금

종목별 장애인 스포츠 선수 양성 지도자 교육 등

표 27 국립재활원 장애인 체육 지원 구분

재활체육35)은 장애인이 지속적이며 자발적으로 체육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의사의 지도를 받아 전문지도자의 지도아래 그룹 체육활동을 통해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인 총체적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돕는 치료 활동임 재활 치료와 생활 체육의 중간단계의 역할을 함으로서 장애인들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체육활동을 수행하여 더나은 삶의 질을 얻을 수 있도록 함

생활체육36)은 건강과 체력의 증진을 통해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는데 목적을 두고 개인의 일상생활 영역 안에서 각자의 취미와 여건에 다라 여가 시간을 이용해 자발적으로 행해지는 신체적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음 장애인 생활체육37)은 장애인이 인간답게 살 수 있는 기본적 권리로서 운동발달을 촉진하고 기능의 유지 및 회복의 단계를 넘어 체력과 건강의 증진은 물론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건강을 증진하며 삶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활동으로 정의됨

국립재활원 입원 환자 및 지역 사회 장애인을 대상으로 기존의 의사 처방 하

35) 최영순 장애인 재활체육 재활간호학회지 제12권 1호 2009

36) 금창용 생활체육활동 참여 노인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석사 논문

2010

37) 노은이 장애인 생활체육 현황과 과제 서울시정개별연구원 2007

- 89 -

에 치료사가 환자의 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 치료와 더불어 운동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병행하고자 함 이를 통해 장애인들 스스로 더 나은 삶을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신체 활동의 시작인 재활 체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장애인 스포츠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함

다 운영 체계

운영 주체 국립재활원 건강증진센터

역할- 운동처방과 관련된 건강 증진 센터 운영 및 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 - 운동처방 관련 상품 및 장비 개발 및 자문- 운동처방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연구 및 자문- 장애인 전용 특수체육인력 양성 및 지속적 보수 교육 담당 - 재활체육 프로그램 적극적 병행-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지역사회 장애인 스포츠와의 연계

운영 부서 - 심폐재활실 국립재활원 병원동 신관 2층 - 생활 체육관 국립재활체육센터 1층- 재활 체육실 I II 국립재활체육센터 1층

- 90 -

국립재활체육센터 인력 배치 프로그램 및 구성 장비

인 력 이용 목적 업무 필요 장비

생활 체육관

특수체육 지도 2-3명

단체 운동

장애인 스포츠-농구 배구 탁구 보치아 피구 배드민턴 등 필요시 장애인 체육회와 연계

농구대 탁구대 배구 코트 기타 농구공 배구공 탁구공 배드민턴 라켓 보치아 공 보치아 표적구 등

재활 체육실 I

운동 지도 4명

체력강화 트레이닝 근력 증진 운동

심폐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 부위별 근력 운동

심폐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 장비 - 트레드밀 - 정지형 자전거 - 휠체어 트레드밀 - 스텝퍼 부위별 근력 운동 장비 - Leg extension - Leg curl - Leg press - Multi hip - Shoulder press - Arm curl - Abdominal Muscle - Back Muscle 체지방 측정기

재활 체육실 II

코디네이터 1명 운동 지도 2명

유연성과 순발력 증진운동 근력 강화 운동

요가 스트레칭 에어로빅 프리웨이트 스텝박스 근력 증진 장애인 건강증진센터 사무 업무 및 상담실 운영

요가 및 스트레칭용 매트 전신 거울 설치 짐볼 스텝박스 아령 테라밴드 슬링 치료 기구 사무용 가구 및 사무 용품

표 28 국립재활체육센터 인력 프로그램 및 장비

심폐재활실 및 재활체육실 주요 업무- 개인별 운동 상담 - 건강 체력 평가- 운동 기능 평가- 심폐 지구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운동 처방 및 운동 지도- 근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운동 처방 및 운동 지도- 장애인 건강 증진 사업 연계 기관 관련자 교육 - 운영자 운동지도 인력 및 사용

자 대상 - 장애인 건강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 개발 사업 - 운동 전 건강 위험도 평가 프로그램 개발 사업

- 91 -

- 장애유형별 운동 지침 개발 및 보급 - 원내외 관련 기관과 연계- 사회복귀지원과와의 연계로 입원 환자의 원활한 사회복귀 촉진 유도- 지역사회재활추진단과의 연계로 지역 보건소에서의 장애인 건강 프로그램 운영 지원- 권역별 재활병원과의 연계로 병원기반 재활체육 프로그램 활성화 지원

운영 흐름도

일차 면담시 평가 내용- 병력건강습관 질문 (건강 병력 질문지)

- 92 -

- 신체적 활동 준비 질문서 (PAR-Q 형식)

- 의학적건강 검진 ACSM risk stratification

운동 프로그램 참여 전 현재의 의학적 검진과 운동 검사 그리고 운동 검사를 위한 의료 감

독에 대한 ACSM의 권고

낮은 위험요소 중등도 위험요소 높은 위험 요소 A

중등도 운동 필요없음 필요없음 권고고강도 운동 필요없음 권고 권고

B최대하 검사 필요없음 필요없음 권고 최대 검사 필요없음 권고 권고

표 29 ACSM 권고

세부적인 운영 내용은 아래와 같음- 운동 전 검사 및 개인별 운동 처방

개인별 신체활동 목적에 부합되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체계적이고 개별적으로 처 방 및 지도관리하기 위해 건강 체력 검사 및 필요한 경우 운동 부하 검사를 시행 함 그 후 심폐 지구력과 근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운동 처방 및 운동 지도

- 건강 증진 운동 교육 과정 운영 장애인 건강 증진 사업 연계 기관 운영자 운동지도 인력 및 사용자를 대상으로985170장 애인건강증진운동교육과정985171을 운영

- 운동 프로그램 개발 사업 각종 장애별(지체장애 뇌병변 장애 등) 생애주기별(어린이청소년 성인 및 노인 대상) 및 건강 체력 요인별(심폐 지구력 강화용 근력 강화용 낙상 예방용) 운동

- 93 -

프로그램 개발 - 각종 설문지 및 기록지 개발 사업

연구 및 자문을 제공 할 목적으로 개인별 운동실태 운동정서 운동 장애 요인을 파악 할 수 있는 설문지를 개발하고 운동처방 내용 건강 체력실태 및 운동 내용 을 확인 할 수 있는 기록지 개발

- 운동 전 건강 위험도 평가 프로그램 개발 사업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 전에 개인별 건강 상태(예 연령 심혈관 및 폐질환 관련 증 상 및 징후 관상동맥 위험인자 수준 진단된 질환 명)를 근거로 운동검사 필요 유 무 확인 운동 강도(중강도 또는 고강도) 적용 시 또는 운동 검사(최대 하 또는 최 대 운동 검사) 시 의료진 및 장애인 체육 전문가의 감독 권장 여부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도록 함 이를통해 본 사업의 대상자 중 각 종 만성 질환을 갖고 있거나 고령 자인 경우 안전성과 운동 프로그램의 참여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

- 장애별 운동 처방 시스템 구축 주요 대상 장애별로 운동처방 원칙을 시스템화 시키고 운동 중 질환별 특성을 고 려한 주요 모니터링 항목을 포함시켜 환자들이 지역사회에서 운동 처방 수 행시 안전성을 높임 운동처방 시스템 구축에 포함 될 구체적인 내용들로는 질환별 운동 금기 조건 질환 정도 및 기간 약물 처방 여부 및 처방 약물 종류 운동 종 류 및 기간에 따른 약불 투여량 조절 방법 합병증 여부 및 정도에 따른 운동 시 주의 사항 운동 검사 시행 여부 운동 형태 및 운동량 등이 있음

- 장애별 운동 매뉴얼 개발 및 보급 주요 대상 장애인을 위한 운동 매뉴얼을 개발하여 환자들이 주민자치센터 피트니 스 센터 및 가정에서 운동을 할 때 운영자 및 운동 지도자 등록된 일반인들에게 운동 매뉴얼을 보급하기 위한 것임 운동 매뉴얼에는 각 질환의 간단한 특성과 운 동 효과 및 운동 방법 운동 시 주의사항 및 응급 상황에서의 대처 요령(예 심폐 소생술 등) 등이 포함

- 지역 장애인 체육회 연계사업 추진 지역 장애인 체육회와 연계하여 장애인 생활체육 교실 등의 공동프로그램을 적극 개최하여 장애인 체육 전문가의 부족을 메울 수 있도록 하여 일상생활에서도 체육 을 즐길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교육이 가능함 필요시 체육관을 대여하거나 지역 체육회의 장애인 체육 센터로의 지정을 통해 부족한 장애인 체육시설을 보충 가능

- 장애인 체육 활동 실태 조사 전반적인 장애인 체육 활동 실태조사를 통하여 퇴원 후 체육 활동 지속율 지역 사 회 체육 프로그램 이용율 체육 활동시 불편 요인 보완되어야 할 프로그램 내용 등을 파악하여 정책적 제안의 기반 및 체육관 운영방안 설정의 기반을 획득

라 기대 효과

근거-기반 운동 프로그램 수혜자 증가 - 의학적 검사와 기능 평가를 근거로 장애인 개인별 맞춤형 운동처방을 통한 지속적

으로 실행 가능 하고 개인 건강 유지에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 제공- 입원 재활치료와 재활체육 사회재활훈련을 병행 실시함에 따라 선진 사회복귀 모

델 제시 가능 장애인의 조기 퇴원 및 조속한 사회복귀에 긍정적 효과 rarr 장기적인 의료비 절감 효과

- 94 -

- 수혜자 중심의 운동 프로그램 공급(공급자가 아닌 수혜자 위주의 운동 형태 및 운동량을 제공함으로써 운동 지속성 증가)

- 장애인의 건강수명 연장-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 - 장애인 체육시설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 마련

재정 확충 방안

장애인 체육시설은 장애인 엘리트 체육시설을 제외하고 생활체육이나 재활체육을 실현할 수 있는 공간은 부족한 실정임

부족한 장애인 체육시설을 확충해 나가기 위해서는 건립 예정인 국립재활원의 체육관이 합리적이고 이상적인 재정 모델을 개발 및 운영하여 점차 전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 이를 위한 방안은 아래와 같음

가 수가화 모색

현재에도 운동치료 재활사회사업(개인력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문) 등은 수가로 인정되는 항목임 이를 기반으로 의료기관 내의 장애인 체육시설 인증을 통하여 인증된 체육시설에서 의사의 처방 혹은 지도로 시행되는 장애인 체육 활동에 대한 수가화를 모색함

나 공익기금 활용

가 국민체육진흥기금

정부 출연금 광고 사업 수입금 골프장 시설 입장료 부가금 복권기금 등에 의해 조성되는 국민체육 진흥기금은 국민체육진흥법 제22조에 따라 사용이 정해짐

22조 10항에 따라 국민체육진흥기금은 대한장애인체육회을 포함한 생활체육 관련 체육단체와 체육 과학 연구 기관의 운영지원 국민체육시설 확충을 위한 사업에 사용될 수 있음 따라서 국민체육진흥기금을 활용하여 장애인 체육시설을 운영가능 할 것임

국민체육진흥공단에 따르면 2013년 장애인체육 육성 기금은 총 464억이며 이중 장애인 생활체육이 83억 장애인 전문체육이 332억 대한장애인체육회 지원이 49억으로 책정되어있으며 구체적 내역은 아래와 같음

- 95 -

장애인 생활 체육 장애인 전문 체육 장애인 생활체육 34 억 장애인전문체육 61 억

장애인 생활체육대회 20 억 장애인 전국체전 시도 지원 19 억장애인활체육지도자배치 24 억 2013 스폐셜올림픽 지원 68 억시도 주최 생활체육대회 4 억 장애인 종합체육시설 건립 및 운영 115 억

장애인 실업팀 창단 지원 8 억2014 인천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지원 61 억

표 30 2013년 장애인체육 육성 기금 예산안

자료원 국민체육진흥공단 홈페이지

따라서 국립재활원의 체육관 및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국민체육진흥공단의 장애인 체육육성 기금의 활용이 가능할 것임

나 스포츠토토 공익기금

스포츠토토 공익기금은 규정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지정 문화 체육 사업 지원이 가능함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지정할 수 있는 체육 사업에 비인기 운동종목 지원 및 문화예술 취약 분야 육성 사업 그 밖에 체육문화예술 진흥을 위하여 특별히 지원이 필요한 사업 등이 가능함

따라서 이런 교정을 활용하여 스포츠토토 공익기금의 일부도 사용가능 할 것임

다 담배부담금 일부 활용

국민건강증진법 제25조(기금의 사용등)에 의하면 ldquo보건복지부장관은 기금을 제1항 각호의 사업에 사용함에 있어서 아동middot청소년middot여성middot노인middot장애인 등에 대하여 특별히 배려middot지원할 수 있다rdquo고 규정되어 있음

이러한 규정을 활용하여 담배부담금 일부를 체육시설 운영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임

요약 및 결론

현재 국립재활원에 있는 이전 체육관 시설이 없어지고 사회복귀를 중시하는 쪽으로 재활의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신설되는 장애인재활교육훈련시설(체육관)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이 필요함- 운영 목적은 장애인 건강 증진 센터에 등록된 장애인들에게 개인별 신체병력 자료

를 기초로 검사를 통하여 일정 기간(3~6개월) 재활체육을 처방 및 지도하여 운동

- 96 -

프로그램을 경험한 참여자에게 스스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을 지속적으로 유지 및 관리하도록 하는 것임

이를 위해 타기관 운영사례들을 검토하였음- 상계백병원 심장재활센터 아산병원 스포츠 건강의학센터 삼성병원 스포츠 의학

센터 고양시 재활스포츠 센터 부산시 한마음스포츠 센터- 일본 미국 독일의 체육관 운영 사례

이를 통해 운영전략을 설정하였음- 근거-기반(Evidence-based)의 장애인에게 적절한 운동처방 및 재활체육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실행 가능하고 효과적인 운동 수행- 수혜자 중심(Population-centered)의 재활체육 프로그램 공급을 통하여 활동량

증가와 적절한 생활체육으로의 연결- 국립재활원 입원 환자 및 지역 사회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기존의 의사 처방 하에

치료사가 환자의 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 치료와 더불어 운동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병행

체육관 시설을 통한 기대효과는 아래와 같음- 학적 검사와 기능 평가를 근거로 장애인 개인별 맞춤형 운동처방을 통한 지속적으

로 실행 가능 하고 개인 건강 유지에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 제공- 입원 재활치료와 재활체육 사회재활훈련을 병행 실시함에 따라 선진 사회복귀 모

델 제시 가능 장애인의 조기 퇴원 및 조속한 사회복귀에 긍정적 효과 rarr 장기적인 의료비 절감 효과

- 수혜자 중심의 운동 프로그램 공급(공급자가 아닌 수혜자 위주의 운동 형태 및 운동량을 제공함으로써 운동 지속성 증가)

- 장애인의 건강수명 연장-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 - 장애인 체육시설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 마련

부족한 장애인 체육시설을 효과적으로 확충시키기 위해서는 현재 시행하려는 국립재활원의 체육관이 장애인 체육시설의 효과적인 재정 운영 방안 모델을 수립 운영하여 전국으로 모델을 퍼뜨릴 수 있도록 해야함 이를 위한 방안은 아래와 같음- 장애인 체육시설 인증을 통한 재활 체육의 수가화를 모색- 국민체육진흥기금 스포츠토토 공익기금 등의 공익기금들을 활용하는 방안 모색- 담배 등으로 인한 건강증진부담금 일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

- 97 -

제5장 재활교육체계 구축 방안

국립재활원 교육현황

가 국립재활원 교육 체계

현재 국립재활원은 총무과 장애인운전지원과 교육홍보과 등 3개 과 재활병원부 내에 15개 과 그리고 재활연구소 내에 3개 과로 구성되어 있음

이 중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부서는 총무과 간호과 교육홍보과 사회복귀지원과 공공재활의료지원과 장애인운전지원과 등 6개 과와 재활연구소임

나 2012년 국립재활원 교육현황 조사

조사 대상

2012년 동안 내부 직원 혹은 외부 인력에 대한 재활교육을 수행해왔던 총무과 간호과 교육홍보과 사회복귀지원과 공공재활의료지원과 장애인운전지

- 98 -

원과 등 6개 과와 재활연구소를 조사 대상으로 하였음

QI실은 과정 내용이 본 연구의 범위에서 벗어났고 장애예방사업은 대국민 교육을 중심으로 하고 있기에 조사 대상에서 제외하였음

공공재활의료지원과는 교육과정만 제공하고 프로그램은 제공하지 않았음

조사 내용

조사 내용은 2012년 동안 해당 과 혹은 연구소가 내부 직원 혹은 외부 직원을 대상으로 수행한 교육들의 다음과 같은 내용들임- 교육과정- 교육프로그램- 연간교육경험자(재활원 내외)- 직종별 교육경험자- 유료교육 여부- 법적 보수교육 인정여부- 교육과정 단계 여부- 연간 교육횟수- 강사구성- 연간 총 소요예산- 국립재활원 외부지원 예산

교육과정 및 교육프로그램은 진행 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분류하였음- 공공재활(정책)-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인원 측면에서 연간 교육경험자는 교육과정별 참석인원에 교육횟수를 곱한 연인원으로 계산하였고 직종별 교육경험자 수 중 의사는 정규직 전공의 공중보건의사를 포함한 것임

교육프로그램을 수행한 경우 커리큘럼을 별도로 제공 받았음

- 99 -

조사 결과

가 일반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총 교육과정은 27과정이었고 총 프로그램 수는 138 프로그램이었음 그리고 총 교육시간(순환 교육과정의 경우 횟수를 곱하여 산출함)은 467시간이었음

교육내용별로는 사회복귀 임상재활 분야가 전체 교육시간의 81를 차지하고 있음

2012년 조사 시점까지 총 교육경험자 수는 4667명으로 내부 직원이 2732명이었고 외부 인력이 1935명이었음

2012년 조사 시점까지 총 소요 예산은 124억 원이었음

나 부서별 교육과정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수행된 교육과정은 총 27개였음 교육내용별로 임상재활과 사회복귀 분야가 가장 많았음

교육홍보과에서 수행한 교육과정이 11개로 가장 많았음 교육내용은 사회복귀 임상재활 분야가 많았음 다음으로 공공재활의료지원과에서 수행한 교육과정이 6개였고 임상재활 사회복귀 분야의 내용이 교육되었음

- 100 -

  공공재활(정책)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총무과         5 5

교육홍보과   4 5 2   11간호과   2       2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2     2

연구소   1       1공공재활의료지원   3 2 1   6

총계 0  10 9 3 5 27

표 31 부서별 교육과정 현황

다 부서별 교육 프로그램 현황

각 교육과정별 실제 수행된 교육 프로그램을 기준으로 볼 때 총 138개의 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되었음 임상재활 분야 프로그램이 절반 정도를 차지하였음

부서별로는 교육홍보과에서 주관한 교육 프로그램이 전체 프로그램 중 557를 차지하고 있음 교육홍보과에서 주관한 프로그램은 사회복귀 분야 내용이 가장 많았음

  공공재활(정책)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총무과 5 5

교육홍보과 6 24 31 13 3 77간호과 32 32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10 10

연구소 1 11 2 14공공재활의료지원

총계 7 67 43 13 8 138

표 32 부서별 교육 프로그램 현황

라 부서별 교육시간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수행된 교육시간은 총 467시간이었음 교육내용별로 사회복귀와 임상재활 분야가 많았음

- 101 -

교육홍보과에서 수행한 교육시간이 401시간으로 전체의 859를 차지하고 있음 교육내용은 사회복귀 임상재활 분야가 많았음

  공공재활(정책)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총무과 9 9

교육홍보과 118 203 80 401간호과 32 32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11 11

연구소 14 14공공재활의료지원 0

총계 0 164 214 80 9 467

표 33 부서별 교육 시간 현황

마 부서별 교육대상 인력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교육받은 인력은 연인원 4667명이었음 국립재활원 내부 직원 대상이 585로 외부 인력보다 약간 많았음

부서별로 볼 때 총무과 및 재활연구소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모두 국립재활원 내부 직원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반면 교육홍보과 공공재활의료지원과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모두 외부 인력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재활원 내부 재활원 외부 합계총무과 2221   2221

교육홍보과   1471 1471간호과 98 75 173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12 27 39

연구소 401 4 405공공재활의료지원   358 358

합계 2732 1935 4667

표 34 부서별 교육대상 인력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교육받은 인력 중 직종이 구분된 인원은

- 102 -

연인원 4184명이었음 기타 직종을 제외하면 사회복지사가 1431명으로 가장 많았고 간호사가 747명이었음

직종 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사회복지사 기타직종 합계임상재활 23 305 95 35 371 317 1146사회복귀 0 72 32 2 754 99 959시설운영 0 13 15 4 297 12 341

기타 113 357 0 0 9 1259 1738합계 136 747 142 41 1431 1687 4184

표 35 교육과정 종류별 교육 경험자 직종

교육과정 종류별로 볼 때 임상재활 분야 교육 대상자는 사회복지사가 32 간호사가 27를 차지하고 있었음 사회복귀 분야 및 시설운영 분야 교육 대상자는 사회복지사가 각각 79 8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음

- 103 -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교육받은 인력의 소속기관은 국립재활원이 가장 많았고 외부 인력 중에서는 복지관 및 기타기관이 가장 많았음

부서별로 볼 때 총무과 및 재활연구소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모두 국립재활원 내부 직원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부서별 교육 대상자 중 외부 인력의 소속기관은 다음과 같음 - 교육홍보과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모두 복지관 및 기타기관 소속 인력을 대상으

로 수행되었음 - 공공재활의료지원과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대부분 보건소 및 보건지소 소속 인력

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 간호과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국립재활원과 민간병원 소속 인력을 대상으로 수행

되었음

  국립재활원 보건(지)소 공공병원 민간병원 복지관기타기관 합계총무과 2221         2221

교육홍보과         1471 1471간호과 98     75   173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12       27 39

연구소 401       4 405공공재활의료지원   342     16 358

합계 2732 342 0 75 1518 4667

표 36 부서별 교육 대상자 소속 분류

바 법정 보수교육 인정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수행한 교육과정 중 법정 보수교육으로 인정받는 과정은 총 4개였음 임상재활 분야 2 과정 사회복귀 분야 1 과정 시설운영 분야 1 과정임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인정 2 1 1   4

불인정 5 6 1 5 17

표 37 보수교육 인정 현황

- 104 -

사 연간 교육과정 순환 횟수

대부분의 교육과정은 연간 1회 혹은 2회만 수행되고 있음

아 교육과정 강사 인력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수행한 교육과정 중 내부 강사와 외부 강사는 절반 정도씩 차지하고 있음

교육과정 분야별로 볼 때 임상재활 및 사회복귀 분야는 내부 강사와 외부 강사 비율이 비슷하며 시설운영 분야는 외부 강사가 더 많음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내부강사 35 22 3 4 64외부강사 30 18 12 2 62

표 38 교육과정 강사 인력 현황

- 105 -

자 부서별 주요 교육 내용

부서별 주요 교육 내용은 다음과 같음

  교육 내용

교육홍보과

케어기술(기본) 장애인 성재활 케이기술(심화) 직업재활 고령장애케어 물리작업치료 사례관리(기본) 욕창 재활간호 영유아케어기술 장애행동수정 사례관리(심화)

공공재활지원과

지역사회중심재활 기본실무 방문재활의 실제 노년기 재활을 통한 건강관리 장애아동재활의 핵심파악 노년기 재활을 통한 건강관리 쉽게 따라 하는 재활실무 건강한 일상을 위한 여성 장애인 재활

간호과 재활간호 3일 과정 재활병원에서의 가족 프로그램과 성재활 간호

장애인운전지원과 장애인 운전강사 역량강화 교육 자동차 운전강사 양성교육

재활훈련과(2011)

사회복귀지원과정 복지시설 장애인 자립특성화과정 자립생활실무자과정 보조기구 관리지원교육 민간재활병원 가족교육

표 39 부서별 주요 교육 내용

국립재활원 교육현황 요약 및 문제점

부서별 교육대상 인력은 주로 소속기관별로 구분되고 있음- 간호과 병원 간호사- 교육홍보과 복지관 직원- 공공재활지원과 보건소직원- 사회복귀지원과 장애인 가족 활동보조인 등

- 106 -

단기간의 일회적 교육과정이 많고 장기간 운영되는 체계적 전문교육과정이 미흡함- 교육과정의 기본심화 단계 과정이 부족- 케어기술(기본심화) 사례관리 (기본심화)외 부재- 교육과정 당 시간 1시간~24시간

공공병원 교육참여자가 없음

간호사 사회복지사 외의 직종에 대한 전문교육과정 없음- 물리작업치료사 1과정- 언어재활사 수화통역사 의지보조기기사 점역교정사 등의 교육과정 없음

기타- 이용자가 교육요금을 부담하는 유상 교육이 많음- 법정 보수교육 인정 과정이 적음(간호사 2 과정 및 사회복지사 2과정)- 교육 예산이 부족함

타 기관 교육 현황

가 교육체계

국립암센터는 교육훈련부에서 내부 직원과 외부 인력에 대한 모든 교육 과정 총괄 관리함 실제 교육프로그램은 각 부서별로 이루어지나 교육훈련부에서 과정목표 교육대상 시간 형태 과정운영방향특징 등을 총괄하여 동일한

- 107 -

구성으로 모든 교육과정에 대한 연간 교육 훈련 계획서를 관리하고 실행함

또한 일본국립재활원은 병원 연구소와 같은 위상의 전문교육기관인 대학이 존재함 일본 국립장애인 재활 센터는 대학 병원 연구소 훈련센터 관리부로 구성되어 유기적으로 운영되며 대학을 통해 의료 인력을 위한 교육을 진행하고 있음- 연구-재활치료-교육-사회복귀가 모두 한 공간에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WHO 지정 연구기관임 - 재활에 관한 기술자 양성 및 현재 종사 인력의 기술 향상을 목적으로 교육을 진행

하고 있음

일본국립재활대학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음

1971년 4월 옛 국립 청각 언어 장애 센터에 부속 언어 전문 인력 양성소가 설치되어 첫 언어 전문 인력의 양성 (1년제)가 시작된다

1979년 7월 옛 국립 청각 언어 장애 센터가 신설 국립 장애인 재활 센터에 통합됨에 따라 학원 언어 전문 인력 양성 과정 (1년제)가된다

1979년 9월 언어 전문 인력 양성 과정 업무 개시 연수 업무 시작 1982년 3월 직업 현임 교육을 목적으로 학원 동 및 학원 기숙사 1 호동의 준공 1982년 4월 처음의 의지 보조기 전문 인력 양성 과정 (3년제) 개설 1988년 4월 의지 보조기 사법의 제정 시행에 따라 의족 보조기 전문가 양성소로 후생 대신의 지정을

받는다 1989년 4월 후생 대신 공인 수화 통역사 인증 제도가 발족 수화 통역사 시험이 시작된다 1990년 4월 첫 시각 장애인 생활 훈련 전문 인력 양성 과정 (1년제) 개설 1990년 4월 본방 처음 수화 통역 전문 인력 양성 과정 (1년제) 개설 1991년 4월 본방 처음 개화 체육 전문 인력 양성 과정 (2년제) 개설 1992년 4월 언어 전문 인력 양성 과정의 2년제로 전환 1995년 1월 전수 학교 전문 과정 수료자에 대한 전문사 칭호 부여에 관한 규정에 따라 의족 보조기

전문 인력 양성 과정 수료자 전문사 칭호를 수여 1995년 9월 학원 기숙사 2 호동 준공 1998년 10월 언어 청각 사법의 제정 시행에 따라 언어 청각 전문가 양성소로 후생 대신의 지정을 받

는다 1998년 12월 새로운 양성 연수 동 준공 1999년 4월 전문 인력 양성 과정에서학과 제로 명칭 변경 언어청각학과 의지 보조기학과 시각장애

학과 수화통역학과 재활체육학과 5학과 됨 시각 장애학과의 2 년제로 전환 2001년 4월 수화 통역학과 2년제로 전환 2003년 4월 수화 통역학과의 정원 증가 2008년 10월 명칭을 국립 장애인 재활 센터로 변경 2011년 10월 뇌졸중 재활 간호 인정 간호사 교육 과정 개강 2012년 4월 치치 학원 부속 보호지도 직원 양성소가 조직 통합함으로써 아동 지도원과의 업무 개시

- 108 -

나 재활전문인력 대상 교육 과정

국립암센터 사례

국립암센터의 직종별 전문교육 과정은 의사 간호사 약사 영양사 사회복지사 공무원 암 진료기관 종사자 호스피스 및 재가암환자 관리 인력 등으로 나누어 수행되고 있음

 대상 교육 내용

의사를 위한 전문화 과정(1년 ~ 2년 과정)

혈액종양 내과 전문의 (2명) 대장내시경 소화기내과 외과전문의(3명) 부인종양 산부인과 방사선종양학과 영상의학과 전문의(2명)

간호사 교육 과정 국제장루창상실금 전문간호과정 전문간호분야 실무자 교수(8명 2개월) 종양전문간호과정 전문간호분야 실무자 책임자 교수 등(100명 6개월)

국립암센터의 암에 특화된 직종별 수련체계 과정

전공약사과정(약사면허증 취득자 1년) 전공영양사과정(영양사 면허증취득자 1년) 수련사회복지사과정(사회복지사 면허 취득자 1년)

최고위 과정 보건복지정책 고위과정 국회의원 의료기관 고위관리자 대상

공무원 대상 교육

암관리사업 관리자과정 시middot도 5급 이상 암관리 사업담당 보건소장 및 5급 이상 관리자

암검진 및 의료비 지원 사업 과정 보건복지부 보건(지)소 직원 6~9급 재가암환자관리과정(이론과정실무과정) 보건(지)소 방문간호 담당 6~9

급 완화 의료 전문기관 가정간호 담당자 지역암센터 암등록

진료기관 종사자 대상 교육 지역암센터 실무과정 지역암센터 암관리사업담당자 암등록의무기록사과정 암환자 진료 의료기관 지역암센터 근무자 등

호스피스 및 재가암환자 관리 인력 교육

말기암 및 재가암환자 관리사업전문인력 양성 호스피스 middot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실무 간호사

호스피스전문과정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 종사자

표 40 국립 암센터 교육과정

공공기관 근무자 대상 교육과정은 국립암센터뿐만 아니라 국립중앙의료원에서도 수행되고 있음

- 109 -

 대상 교육 내용

최고위 과정

국립암센터 보건복지정책고위 과정 국회의원 의료기관 고위관리자 대상 국립중앙의료원 응급의료 최고위정책 과정 보건복지부 공무원 의료진

대상 국립중앙의료원 공공간호 최고지도자 과정 보건복지부 관계자 공공의료

관련 연구진 간호사

지역암센터공공병원 대상 교육 과정

국립암센터의 지역암센터 실무과정 시 middot 도 및 지역암센터 암 관리 사업 담당자 등 80명

국립중앙의료원 춘계 공공의료아카데미 전국 국공립병원 부서장 실무자

표 41 국립중앙의료원 공공기관 근무자 교육과정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 사례

일본국립장애인재활 센터의 재활전문가 양성과정은 6종류의 직종에 대해 운영됨 각 대상 직종별로 언어청각학과 의지middot보장구학과 시각장애학과 수화통역학과 재활체육학과 아동지도원과와 같은 학과로 구성됨

이 중 언어청각학과 의지middot보장구학과 시각장애학과 수화통역학과 재활체육학과는 교육법에 의거하여 설립 운영됨 교육과정은 학과에 따라 1-3년 과정으로 운영되고 있음

이는 우리나라의 장애인복지 전문인력 중 수화통역사 언어재활사 의지보장구기사와 직종이 겹침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의 시각장애학과는 우리나라의 점역middot교정사 보다 넓은 개념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함

이 중 의지보장구학과를 졸업할 경우 전문사(전문대학사)자격을 취득할 수 있으며 언어재활학과와 의지보장구학과를 졸업하면 국가자격 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받음

수화통역사의 경우 후생성 장관이 인정하는 민간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음

이 외에 일본간호사협회가 지정하는 뇌졸중전문간호사 지정 교육기관으로 뇌졸중 전문간호사 과정을 운영함

- 110 -

각 과정의 직종 및 기관 입학 조건은 아래와 같음

학과명 설치년도 정원 입학 자격 과정

언어청각학과 1972 60 학교 교육법 제 102 조 제 1 항 본문의 규정에 따라 대학원에 입학 할 수 있는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2년

의지middot보장구학과 1983 30 학교 교육법 제 90 조제 1 항의 규정에 의하여 대학에 입학 할 수있는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3년

시각장애학과 1990 40 학교 교육법 제 102 조 제 1 항 본문의 규정에 따라 대학원에 입학 할 수 있는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2년

수화통역학과 1990 60학교 교육법 제 90 조제 1 항의 규정에 의하여 대학에 입학 할 수 있고 또한 20 세 이상의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2년

재활체육학과 1991 40

① 교육 직원 면허 법에 의한 보건 체육 고등학교 교사 면허증 또는 일종의 면허증을 가진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② ①과 동등 이상의 자격을 가진 자 총장이 인정한 것으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2년

아동지도원과 1963 40

학교 교육법 제 102 조 제 1 항 본문의 규정에 따라 대학원에 입학 할 수있는 자 또는 아동 복지법 제 18 조의 6에 따라 보육사 자격을 가진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1년

표 42 일본 국립장애인 재활센터 직종별 입학 조건

언어청각학과는 2년간 2340시간을 이수해야 졸업할 수 있으며 졸업 시 국가시험 응시자격을 획득함 언어청각사가 국가자격으로 도입되기 전 전국에서 처음으로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음

현재 전국의 여러 전문학교 대학교에서 학과가 개설되어 인력을 양성하고 있음 일본 장애인재활센터의 경우 학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며 국가시험자격이 부여되어 경쟁률이 상당히 높은 편임

의지middot보장구학과는 3년간 3315시간을 이수해야 졸업할 수 있으며 졸업 시 전문사 자격과 함께 국가시험 응시 자격을 획득함 의지보조기사가 국가자격으로 도입되기 전 학과가 설치되어 교육 진행함

현재 일본 내 의지보조기 인력양성은 3개의 대학과 7개의 전문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음 언어청각학과와 마찬가지로 학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양질

- 111 -

의 교육을 제공하며 국가시험 자격이 부여되어 경쟁률이 높음

수화통역학과는 2년간 2400시간을 이수해야 졸업 할 수 있으며 졸업 시 후생성 장관이 인정하는 민간 자격 시험에 응시할 수 있음(우리나라 역시 수화통역사는 민간자격으로 운영되고 있음)

시각장애학과는 2년간 3134시간을 이수해야 졸업 할 수 있으며 관련 자격증은 없음 졸업 후 시각장애인 시설 등에 주로 취업함

재활체육학과는 2년간 2385시간을 이수해야 졸업 할 수 있으며 졸업 시 민간협회자격증(2가지종류)에 응시할 수 있음 졸업 후 장애인스포츠센터나 복지시설등에 취업함

아동지도원과는 1년간 1800시간을 이수해야 졸업 할 수 있으며 다른 학과와 다르게 국립장애인센터 자체적으로 운영함 관련 자격증은 없지만 국가기관 중 아동지도원이 필요한 곳에 인력을 공급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졸업시 임용권을 부여하여 장애아동관련 교직으로 진출할 수 있음

뇌졸중 전문간호사는 일본간호사협회가 인정하는 21개 전문자격증 하나임 뇌졸중 전문간호사는 일본간호사협회가 전국에 지정한 6군데 기관에서 교육을 진행하고 있음 전문간호사 인정은 대학원 졸업자만 가능하며 프로그램 및 커리큘럼 작성시 일본간호협회의 확인을 받아야 함

- 112 -

다 내부 직원 대상 교육과정

국립암센터의 내부 직원 대상 교육은 직종별로 관리직 의사직 연구 의사직 연구직 일반직 등으로 구분되어 있음

또한 교육 목표별로는 공통역량 직무역량 계층역량 자기개발 등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공통역량은 조직 활성화 법정교육 고객만족 역량 등으로 직무역량은 공통 및 세부 직무역량과 사이버연수원으로 세분되어 있음

- 113 -

국립중앙의료원은 내부 직원에 대한 교육으로서 공공의료아카데미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음 - 대상 전문의 간호사 기획 관련부서 실무자 공공보건의료계획 담당부서 실무자

등 국립의료원 구성원 20명- 주요 내용 공공성 공공의료 우수한 적정진료 제공 국가차원의 새로운 공공의료

모색 등- 참여적 워크숍 방식으로 진행(40시간)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관련 법조항

가 재활의학 전문의

의사의 연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의료법 제 30조 제2항 제3항 및 동 시행규칙 제20조 제21조 제23조- 대한의사협회 정관 3조- 대한의사협회 연수교육 시행규칙

의료법에서 의사는 연간 8평점 이상 이수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의사협회의 연수교육 시행규칙에는 연간 12평점의 보수교육을 진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음(20103월 기준) 의사협회 연수교육 시행규칙에서는 연수교육의 시행기관과 교과목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음

- 114 -

대한재활의학회 회칙 4조에서 재활의학에 관한 보수교육 및 재활의학 보급에 관한 사항을 학회의 사업으로 규정하였으나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재활의학 교

연수교육 시행 기관

제5조(연수교육시행기관)각 시middot도의사회

의과대학middot의학전문대학원레지던트수련병원 및 인턴수련병원

학회(단 의학회에 등록된 학회에 한함)기타 교육위원회에서 인정하는 기관 및 단체

교과목

제13조(교과목) ⓵연수교육에 있어서는 가급적 임상교육과 기초교육을 병행해야 하며 10 이내의 의사윤리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⓶연수교육기관은 제1항의 윤리교육 이외에 10이내의 교양과목 의료정책 의료사회학 의료정보학 등을 교육과목으로 개설할 수 있다

평점

제14조(연수교육 인정한계 및 평점)

교육종목 평점 연상한본회 승인 프로그램

1)강 좌 1시간당1평점 -2)실 습 1시간당1평점 -

3)시청각(비디오 슬라이드) 1시간당1평점 - 4)대한의사협회지 자율학습 1시간당1평점 3

5)위크숍 1시간당1평점 - 6)심포지엄 1시간당1평점 -

2 국내외 학술대회 및 본회 종합학술대회

1강좌당 1평점을 원칙으로 하되 교육위원장이

별도로 정한 사항은 예외로 할 수 있다

1일 6평점

3 사이버 연수교육

1강좌당 1평점을 원칙으로 하되 교육위원장이

별도로 정한 사항은 예외로 할 수 있다

5

4의과대학교수 지도전문의 연수교육 강사 1시간당1평점 7

5 논문게재

제1저자 및 교신저자 1편당

5평점제2저자이하1편당

3평점

10

6기타 교육위원장이 인정하는 사항

표 43 연수교육 시행기관과 교과목

- 115 -

육을 반드시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님

나 간호사

간호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의료법 제 30조 제2항 제3항 및 동 시행규칙 제20조 제21조 제23조- 대한간호협회 정관 6조- 대한간호협회 보수교육 시행규정 보수교육지침 온라인보수교육지침

의료법에서 간호사는 연간 8시간 이상 이수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간호협회의 연수교육 시행규정에는 연간 8평점의 보수교육을 진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단 전문간호사38)는 전문간호사를 위한 보수교육을 받아야한다고 규정하고 있음 온라인 오프라인의 교육이 모두 가능하며 오프라인 보수교육 하한 점수는 4평점 온라인 보수교육 하한평점은 4평점임

대한간호협회 보수교육 시행규정 및 교육지침은 다음과 같음

국립재활원에서는 간호부에서는 간호사보수교육으로 인정되는 교육과정 및 재활간호 3일 과정을 진행하고 있음

추후 보건복지부령에 의한 장애인 재활전문간호사 과정 도입 및 교육을 위한 대학원 과정을 생각해 볼 수 있음

38) 보건복지부령인 lsquo전문간호사 자격인정 등에 대한 규칙rsquo에 의해 정의된 전문간호사는 보건복지부장관에 의해

발급되는 자격증으로 보건middot마취middot정신middot가정middot감염관리middot산업middot응급middot노인middot중환자middot호스피스middot종양middot임상 및 아동분야의

전문간호사가 있음 장애인 재활 부분의 전문간호사 자격은 현재 없음

39) 보건간호사회 병원간호사회 마취전문간호사회 보건진료원회 보건교사회 산업간호사회 보험심사간호사회

가정간호사회 정신간호사회 노인간호사회(신설 20104

연수교육 시행 기관

제6조(연수교육실시기관)1 본회의 17개 시middot도 간호사회 및 산하단체39)

2 3 4년제 간호교육기관3 대학의 부속병원4 보수교육 지정기관으로 인정받은 기관

전문간호사 보수교육 실시기관

대한간호협회한국간호평가원전문간호사과정 교육 및 실습기관기타 본회가 인정한 단체 단 전문간호사과정 교육 및 실습기관 또는 본회가 인정한 단체는 해당 전문분야로 한정하여 보수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표 44 대한간호협회 보수교육 시행규정 및 교육 지침

- 116 -

다 물리치료사

물리치료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20조 의료기사등에 대한 법률 시행규칙 18조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서 믈리치료사는 연간 8시간 이상 이수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라 작업치료사

작업치료사의 보수교육 규정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20조 의료기사등에 대한 법률 시행규칙 18조- 대한작업치료사협회 규정 57조 58조 59조 60조 64조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서 작업치료사는 연간 8시간 이상 이수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대한작업치료사협회 규정에는 연간 8평점이상의 보수교육을 진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이중 협회의 보수교육을 3평점 나머지 5평점은 각 지회에 의무이수 평점으로 받아야 함 대한작업치료사협회 규정에는 보수교육의 종류와 교육내용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음

보수교육 종류

제58조(보수교육의 종류)1 지회보수교육 연간 10평점 이상 보수교육 개설2 중앙회보수교육 연간 6평점 이상 보수교육 개설3 대학의 부속병원4 보수교육 지정기관으로 인정받은 기관

보수교육 교육내용제64조(교육내용) 교육내용은 작업치료학의 임상분야에서 실제 활용되고 있는 내용이나 해외 최신 학술정보에 관한 내용 기타 작업치료사로서 갖추어야 할 윤리에 관한 교양강좌(20)로 한다

표 45 대한작업치료사협회 보수교육 종류 및 교육 내용

마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사회복지사업법 13조 2항 동 시행규칙 제 5조-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보수교육 안내(대상자 매뉴얼)

사회복지사업법에서 사회복지법인 또는 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는 정기적으로 인권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 보수교육을 받아야 함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대상자 매뉴얼에서는 연간 8평점(8시간) 이상 이수할 것을 규정함 필수영역은 각 1평점 이상을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함

- 117 -

필수영역 선택영역사회복지 윤리와

가치 사회복지 실천 사회복지 정책과제와 법 사회복지 행정 사회복지

조사연구

표 46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과목

사이버교육은 4평점까지 인정하며 나머지 4평점은 반드시 집합교육을 통해 이수해야함

바 수화통역사

수화통역사는 국가공인 민간자격임 수화통역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자격기본법 제35조(보수교육) 국가자격관리자 및 공인자격관리자는 해당 국가자격

및 공인자격을 취득한 자의 직무능력의 유지middot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보수교육을 실시할 수 있음

- 한국농아인협회 보수교육 내용 규정

한국 농아인 협회에서는 보수교육에 대해 자격을 취득한 날로부터 5년 이내에 50시간 이상의 보수교육을 이수할 것을 규정함 보수교육은 한국 농아인 협회 중앙회교육과 외부기관교육(시도협회 외부유관기관 및 단체)이 있음 이 중 최소 30시간 이상은 중앙회에서 운영하는 교육에 참여해야 함 5년 이내에 50시간의 보수교육을 미이수하였을 경우 자격정지 3회 이상의 자격정지시 자격이 취소됨- 수화 연구의 동행과 언어운용에 관한 내용- 수화 통역 이론의 동향과 과제에 관한 내용- 지역사회 통역의 연습을 중심으로 하는 내용- 상황별 사례발표 및 토의를 중심으로 하는 내용- 청각 장애인 복지 정책과 과제에 관한 내용- 농사회 농문화 관련 내용- 그밖에 관련 내용

유형 세부기준 평점

집합교육-교육정원 80명 이하 1시간1평점-교육정원 80명 초과

이수평점(총 8평점)중 연간 2평점까지 인정가능 4시간1평점

사이버교육 온라인 교육이수평점(총 8평점)중 연간 4평점까지 인정가능 1차시05평점

표 47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규정

- 118 -

사 점역교정사

점역교정사는 국가공인 민간자격임 점역교정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자격기본법 제35조(보수교육) 국가자격관리자 및 공인자격관리자는 해당 국가자격

및 공인자격을 취득한 자의 직무능력의 유지middot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보수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 한국시각장애인협회 점역middot교정사 민간자격관리에 관한 규정 제31조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에서는 자격증의 유효기관을 5년으로 하고 유효기관 내에 1회 이상 보수교육을 이수할 것을 규정하고 있음

아 언어재활사

언어재활사는 국가자격임 언어재활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 시행령 61조 2항

보수교육은 한국언어재활사협회가 실시하며 교육시간은 연간 10시간 이상으로 함

자 의지보조기기사

의지보조기기사 국가자격임 의지보조기기사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 시행령 61조 1항

보수교육은 국립재활원장이 실시하며 교육시간은 2년간 8시간 이상으로 함 국립재활원 교육홍보과에서 실시하고 있음

차 요약 및 문제점

보수교육 규정 요약

이상의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현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 119 -

재활영역

전문인력 보수교육 법령 및 규정 보수교육

시간 보수교육 시행기관 교육과목 및 특징

의료재활인력

의사

의료법 제 30조 제2항 제 3항 및 동 시행규칙 제 20조 제 21조 제 23조대한의사협회 정관 3조대한의사협회 연수교육 시행규칙

8평점 이상년

-중앙회-해당 시middot도 의사회-의과대학 및 대학원-레지던트 교육병원-각 학회 및 지회(단 의학회에 등록된 학회에 한함)-기타 교육 위원회에서 인정하는 기관 및 단체

-임상교육과 기초교육을 병행- 10 이내의 의사윤리교육을 실시 - 윤리교육 외에 10이내의 교양과목 의료정책의료사회학 의료정보학 등을 교육과목으로 개설 가능- 재활의학과목을 이수해야 하는 것 아님

간호사

의료법 제 30조 제2항 제 3항 및 동 시행규칙 제 20조 제 21조 제 23조대한간호협회 정관 6조대한간호협회보수교육 시행규정 보수교육지침 온라인보수교육지침

8평점 이상년

- 지부 및 산화단체보수교육인정기관간호대학(학과)대한간호사협회 사이버교육센터

전문 간호사는 반드시 전문간호사 보수교육을 시행받아야 함오프라인 보수교육 하한은 4평점

물리치료사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제20조 및 동법 시행세칙 제 18조

8평점 이상년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작업치료사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20조 의료기사등에 대한 법률 시행규칙 18조대한작업치료사협회 규정 57조 58조 59조 60조 64조

8시간 이상년 대한작업치료사 협회

-협회 보수교육 3평점-지회보수교육5평점-임상분야에서 실제 활용되고 있는 내용이나 해외 최신 학술정보에 관한 내용 기타 작업치료사로서 갖추어야 할 윤리에 관한 교양강좌(20)

사회복지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업법 13조 2항 동 시행규칙 제 5조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보수교육 안내(대상자 매뉴얼)

8시간 이상년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위탁한 협회나 협의회

-필수영역 사회복지윤리와 가치 사회복지 실천-선택영역 사회복지 정책과제와 법 사회복지행정 사회복지 조사연구

장애인

복지 전문인력

언어재활사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 시행령 61조 2항

10시간 이상년 - 한국언어재활사협회 현재 자격 및 제도 도입 중 (구) 언

어치료사

의지middot보조기

기사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 시행령 61조 1항

8시간 이상2년-국립재활원

국립재활원 교육홍보과에서 시행 자격증이 분야별 세분화되어 있지 않음

수화통역사

자격기본법 제35조한국농아인협회 보수교육 내용 규정

50시간 이상5년

-중앙회(한국농아인협회)-외부유관기관 및 단체

-최소 30시간은 중앙회에서 교육을 받아야 함

점역middot교정사

점역middot교정사 국가공인 민간자격의 관리middot운영에 관한 규정 31조

1회 이상5년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시간 및 규정이 규체적이지 않음

표 48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현황

- 120 -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문제점 및 대안

재활의료 인력에 특화된 보수교육 의무규정이 없음- 재활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 및 사회복지사에 대한 재활 관련 교육영역과 내용에

대한 보수교육 규정 부재- 점역교정사 언어재활사 보수교육에 대한 과목 규정 등이 취약

국립재활원에서 재활 분야 간호사 및 사회복지사에 대한 보수교육에 적극 참여해야 함

또한 보수교육규정 상 의지보조기사를 제외한 직종에서 국립재활원의 역할이 없음- 의지보조기사 규정(장애인복지법 시행령 61조 1항) 국립재활원장이 실시하고 교

육시간은 2년간 8시간 이상으로 한다

국립재활원에서 보수교육 중 재활영역 가이드라인 및 프로그램을 생산하여 권역재활병원 등으로 확산시킴

국립재활원에서 보수교육 중 재활영역 가이드라인 및 프로그램을 생산하여 권역재활병원에서도 보수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확산시킴

각 직종별 보수교육 규정 중 시행기관에 국립재활원 및 권역재활병원을 포함시키도록 함

각 직종별 보수교육 규정 중 병원 및 장애인재활시설에서 근무하는 인력은 국립재활원 및 권역재활병원에서 개설하는 임상실기 전문이론 공공재활 등을 필수적으로 이수하도록 명시함

재활전문인력 양성규정 현황

가 재활전문인력 양성 규정

현재 재활전문인력의 자격증 종류 자격취득경로 인력 수 등 현황은 다음과 같음

- 121 -

재활영역 전문인력 자격증 종류 자격취득 수

(2012년)

의료재활

재활의학과의사 국가자격증

의과대학middot전문대학원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면허를 수여 받은 자중 재활의학 레지던트 수련을 받고

전문의 시험에 합격한 자

1386명

간호사 국가면허증 간호대학 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수여받은자 120491명

물리치료사 국가면허증4년제 또는 3년제 대학의

물리치료학과를 졸업한 후 국가 자격시험에 통과한 자

25475명

작업치료사 국가면허증 4년제 또는 3년제 대학을 졸업한 후 작업치료사 국가시험에 통과한 자 3594명

사회복지 사회복지사 국가자격증 2급 대학에서 14과목을 이수한 자

1급 국가자격시험에 통과해야 함

2642명

장애인복지전문인력

언어재활사 국가자격증

2급 대학원 대학 전문대학의 언어재활 관련 교과목을 이수하고

학위를 취득한 자 중 국가시험 통과자1급 2급 자격자 중 박사학위 또는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 중 언어재활기관에 1년 근무했거나 학사학위자 중 3년 근무한 경우

-

의지보조기기사 국가자격증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서 의지 보조기

관련 과목을 이수하고 국가시험에 통과한 자

944명(20131)

점역교정사 국가공인 민간자격증

3급 20세이상 고절이상 3년이상 경험자

2급 3급취득후 1년 혹은 4년제 대학 졸업자 4년이상 경험자

1급 2급 자격취득후 1년이상 경과 혹은 4년제 대학졸업자 5년이상

경험자

3급 484명 2급 72명 1급 40명(20131)

수화통역사 국가공인 만 19세 이상의 대한민국 남녀

표 49 재활전문인력 자격증 현황

- 122 -

의료재활 및 사회복지인력은 보건의료기관 내 근무인력임

자료원 국가통계포탈 국시원 내부자료 한국시각장애인협회 내부자료 한국농아인협회 내부자료

나 재활 전문인력 양성 규정의 문제점

학교와 민간단체가 혼재되어 있는 인력 양성 과정

의료재활 인력과 사회복지 인력은 대학교와 병원을 통해 인력이 양성됨

장애인 복지 전문 인력 중 국가공인 민간자격증을 부여하는 점역교정사 수화통역사의 양성은 민간 기관양성과 학교를 통한 양성과정이 혼재되어 있음

재활에 특화된 전문인력 양성 과정의 부재

간호사의 경우 장애인 재활 전문 간호사 자격 및 양성 과정이 부재함

사회복지사의 경우 재활과 관련된 교육 과정이 부족함

재활인력 공급의 양적인 불균형

물리치료사 공급은 많으나 작업치료사는 공급은 부족함

장애인 복지 전문인력 중 점역교정사 수화통역사 언어재활사 의지보조기기사 연도별 배출인력이 편차가 큼

재활인력 전문교육 수요도 조사

가 조사기간 및 대상

2012년 12월 10일 ~ 2012년 12월 17일(약 일주일간)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재활간호학회 대한사회복지사협회 대한직업치료사협회 소속 재활인력 총 225명

나 조사내용

- 근무 기관의 종류(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 보건(지)소보건의료원 복지관

민간자격증 1049명(20131)

- 123 -

기타- 공공기관민간기관 근무 - 재활 관련 근무 연수- 최종학위- 장애인 재활과 관련하여 받은 교육 여부 내용 및 만족도- 장애인 재활과 관련하여 전문적인 교육과정의 필요성 여부와 필요한 내용 국립재

활원에 개설 시 참여 여부

다 조사결과

일반적 현황

사회복지사를 제외한 나머지 직종은 전반적으로 설문에 참여한 사람 중 종합병원과 병원에 근무하는 사람이 많았으며 사회복지사의 경우는 대부분 복지관 등 장애인 복지시설에 근무하고 있음

구분직종

응답자수

종합병원 병원 요양

병원 의원 보건기관 장애인 복지시설 기타

물리치료사 25 280 320 160 80 120 00 40작업치료사 81 284 210 86 62 37 123 198재활간호사 19 105 895 00 00 00 00 00사회복지사 100 10 00 00 00 20 940 30

표 50 응답자 일반적 현황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 사회복지사는 민간기관에 근무하는 경우가 많았고 조사에 응한 재활간호사는 모두 공공기관에 근무하고 있음

구분직종 응답자 수 공공기관 민간기관

물리치료사 24 292 708작업치료사 81 370 630재활간호사 17 1000 00사회복지사 95 358 642

표 51 응답자 공공민간 기관 근무 현황

모든 직종에서 5년 이상 재활분야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가장 많았음

- 124 -

구분직종

응답자 수 1년 미만 1년 이상 1년 이상

3년 미만3년 이상5년 미만 5년 이상

물리치료사 25 00 40 80 160 720작업치료사 81 74 25 136 210 556재활간호사 19 53 00 421 53 474사회복지사 98 184 112 133 92 480

표 52 응답자의 재활분야 근무연수

재활간호사는 석사 이상 학위를 가진 군이 더 많았고 나머지 직종은 학사 학위를 가진 군이 더 많았음

구분직종 응답자 수 학사 석사 박사

물리치료사 24 667 333 00작업치료사 80 577 352 70재활간호사 19 316 684 00사회복지사 100 634 323 43

표 53 응답자의 최종학위

재활 관련 교육 경험 현황

직종별로 장애인 재활 관련 교육을 전혀 받지 못했던 군도 작업치료사 중 222 사회복지사 중 170 물리치료사 중 160 정도 존재함 재활간호사 중 재활 관련 교육을 전혀 받지 못했던 군은 53로 직종 중 가장 낮음

응답자 수 있음 없음물리치료사 25 840 160작업치료사 81 778 222재활간호사 19 947 53사회복지사 100 830 170

표 54 응답자의 재활관련 교육 경험

모든 직종에서 보수교육을 통한 재활 교육 경험이 가장 많았음 주목할 만한 부분으로서 사회복지사는 직원교육을 통한 재활 교육을 거의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125 -

구분직종 응답 수 보수교육 직원교육 관련 학회 소그룹

세미나 기타

물리치료사 59 305 203 288 203 00작업치료사 155 348 174 310 129 39재활간호사 53 340 264 170 208 19사회복지사 144 486 35 243 167 69

표 55 응답자의 교육 경험 경로

교육의 내용은 모든 직종에 걸쳐 이론 교육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임상실기 교육이 그 다음이고 공공재활 교육은 가장 낮음

구분직종 응답 수 임상 실기교육 이론 교육 공공 재활 교육 기타

물리치료사 42 452 452 95 00작업치료사 113 398 496 106 00재활간호사 41 341 415 244 00사회복지사 107 271 598 56 75

표 56 응답자의 교육 경험 내용

기존에 받았던 재활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재활간호사가 767 정도로 높지만 나머지 직종들은 5점을 조금 넘는 수준임 특히 사회복지사의 만족도가 가장 낮음

응답자 수 만족도(10점 만점)

물리치료사 24 625

작업치료사 81 596

재활간호사 18 767

사회복지사 97 567

표 57 응답자의 교육 만족도

전문재활교육 수요도

전문재활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모든 직종에서 464-489까지의 높은 요구를 나타냄

- 126 -

응답자 수 필요성(5점 만점)

물리치료사 25 484

작업치료사 80 464

재활간호사 19 489

사회복지사 98 480

표 58 전문재활교육 수요도

국립재활원에서 개설하기 원하는 전문재활교육의 내용에 대해서는 모든 직종에서 임상실기 교육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음 반면 학위 취득을 위한 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가장 낮았음

구분직종 응답자 수 임상실기 교육

(5점 만점)이론 교육(5점 만점)

공공재활 교육(5점 만점)

석사 이상의 학위 취득(5점 만점)

물리치료사 24 433 432 267 233작업치료사 81 460 375 325 188재활간호사 19 484 416 289 189사회복지사 100 416 398 321 218

표 59 원하는 전문재활교육의 내용

- 127 -

혼란변수를 고려하여 학사 학위를 가진 군만으로 분석했을 때도 결과는 동일함

구분직종 응답자 수 임상실기 교육

(5점 만점)이론 교육(5점 만점)

공공재활 교육(5점 만점)

석사 이상의 학위 취득(5점 만점)

물리치료사 15 420 431 267 253작업치료사 41 466 383 322 185재활간호사 6 483 417 267 183사회복지사 59 408 395 324 217

표 60 학사 학위자들이 원하는 전문재활교육 내용

국립재활원에서 교육과정을 개설했을 때 참여 의사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재활간호사의 의사가 463으로 가장 높았음 반면 나머지 직종은 368-398 정도의 의사를 보였음

응답자 수 참여 의사(5점 만점)

물리치료사 25 368작업치료사 81 379재활간호사 19 463사회복지사 100 398

표 61 국립재활원 교육과정 참여

라 조사 결과 요약

장애인 재활 관련 교육을 전혀 받지 못했던 군도 직종별로 최소 53에서 최대 222까지 존재함

재활전문인력들이 재활교육을 받는 가장 흔한 경로는 보수교육임 한편 사회복지사의 경우 직원교육을 통한 재활교육을 거의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재활교육의 내용은 모든 직종에 걸쳐 이론 교육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임상실기 교육이 그 다음이고 공공재활 교육은 가장 낮음

기존에 받았던 재활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재활간호사가 767 정도로 높지만 나머지 직종들은 평균을 조금 넘는 수준임 특히 사회복지사의 만족도가 가장 낮음

- 128 -

전문재활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모든 직종에서 매우 높음

국립재활원에서 개설하기 원하는 전문재활교육의 내용에 대해서는 모든 직종에서 임상실기 교육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음 반면 학위 취득을 위한 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가장 낮았음

국립재활원에서 교육과정을 개설했을 때 참여하겠다는 의사는 재활간호사에서 매우 높았고 나머지 직종은 높은 편이었음

대학원대학 설립에 대한 법적 타당성 검토

가 타 기관 사례

구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1958년 국립의료원 부설 간호학교가 설립되었고 1999년 국립의료원 간호대학으로 직제가 개편되었음- 1958 6 27 대한민국과 스칸디나비아 제국과의 협정으로 국립의료원 부설간호학

교 설립 보건사회부에서 관리운영(대통령령제1377호)- 1959 2 23 국립의료원 간호학교 직제 제정 (대통령령 제1454호)- 1959 7 06 국립의료원 간호학교 개교(초급대학 과정)- 1977 9 01 국립의료원 간호전문학교로 직제개편 (대통령령 제8672호)- 1979 1 01 국립의료원 간호전문대학으로 직제 개편- 1999 3 01 국립의료원 간호대학으로 직제 개편 (대통령령제16039호)- 2000 8 04 제16대 학장 송지호 박사 취임- 2005 2 05 제17대 학장 김애리 박사 취임- 2006 2 09 제45회 졸업 (졸업생 총1925名)- 2007 2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폐지

- 129 -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시행날짜 법령명 주요내용1958627 중앙의료원직제 제10조 중앙의료원에 간호학교를 부설 할 수 있음

1959223 중앙의료원 간호학교직제

제1조 중앙의료원에 간호학교 부설함제3조 간호학교의 수업 년한은3년으로하고 이에 입학할 수 있는 자는 고등학교를 졸업한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문교부장관이 인정한 자로 함제4조 교장은 의료원부원장이 교감은 의료원 간호과장이 겸하고 사감은 간호부장 중에서 겸무함

197791 국립의료원 간호학교직제 폐지

197791 국립학교설치령

제2조 문교부장관소관제36조 ⓻ 간호전문학교 입학금과 수업료 면제 실습비middot기숙사비middot피복비middot기타학비 국고 지급제37조 ⓶ 졸업 후 3년간 보건복지부 장광이 지정한 직무에 복무제40조 국립의료원 간호전문학교의 운영에 필요한 경비는 국고(국립의료원 특별회계)에서 지급제41조 공무원임용시 문교부장관은 보건사회부장관과 협의

199331 국립학교설치령제2조 교육부장관 소관제41조 공무원 임용시 교육부장관은 보건복지부 장관과 협의부칙 2조 국립의료원 간호대학으로 명칭변경

표 62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법제 연혁

국립암센터 대학원대학

2010년 5월 국립암센터법이 폐지되고 lsquo암관리법rsquo 으로 통합되었음 이때 대학원대학의 법적 근거도 함께 마련됨- 암관리법29조 (부속기관의 설치) ①국립암센터에 암연구소 부속병원 국가암관리

사업본부 및 그 밖에 필요한 기구를 둔다② 국립암센터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고등교육법」 제30조에 따른 대학원대학(이하 대학원대학이라 한다)을 설치할 수 있다③ 대학원대학의 조직 교원 학위 과정 운영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2012년 현재 대학원대학 설립이 진행 중임 - 2012년 5월 교과부의 lsquo국가-특수법인 대학설립 심의위원회rsquo 통과- 2012년 8월 lsquo대학설립인가신청서rsquo 교과부에 제출 국제암대학교대학원(정원 총 70

명 (석사 20명 박사 10명))- 2012년 11월 2일 현장 점검 시행- 2012년 12월 초 현장 점검 예정- 2013년 2학기부터 신입생 모집 예정

- 130 -

일본국립장애인재활학원

시대에 따라 보건복지인력에 대한 일본사회의 요구도는 꾸준히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일본사회의 요구에 선도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국립기관에서 인력을 양성함

이렇게 필수적으로 필요한 인력의 양성은 국립에서부터 시작하여 민간영역으로 확산시키는 것이 중요함 왜냐하면 민간에서 충분한 양의 인력을 공급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임 또한 이미 민간의 양성기관이 많은 경우 양성과정의 질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음 이를 통해 양질의 재활인력을 공급할 수 있음

일본재활원내의 인력양성 학원의 법적 지위는 학교교육법 124조에 의거한 전수학교임40) 설립 및 운영은 후생노동부가 주관하고 법률적으로는 문부과학성에 소속됨

법적으로 지정된 전수학원으로 교원 수 및 학교운영에 대해서 학교교육법의 통제를 받음

법적으로 자격증이 도입되기 전에 필요한 인력을 선도적으로 양성하고 민간으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며 전체적인 민간 교육기관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역할을 진행함

일본 재활원내의 대학의 경우 학비가 같은 직종의 전수학원에 비해 학비가 저렴하며 공공기관이 필요로 하는 인재 양성에 주력하는 역할을 함 학생 1인당 입학금 및 학비는 대략 350000엔~560000엔으로 다른 사립학교에 비해 학비가 저렴함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 학원 재정은 학생이 내는 금액이 모두 국가 재정으로 포함되고 모인 후에 학원의 운영비와 시설비가 국고지원 형식으로 지원됨 따라서 운영 및 시설 소요 재정은 전부 국비로 지원받고 있는 셈임

이 중 학원의 연간 운영비는 약 75억 엔 정도이며 이 중 70 이상 인건비로

40) 전수학교는 우리나라의 전문학교와 유사한 개념으로 일본의 경우 직업교육의 일환으로 간호 미용 양재

속기 타자 자동차 통신 편물 등과 관련된 직업교육을 진행하는 민간 전수학교가 존재함

- 131 -

사용함 시설비 외에 운영비 역시 국비로 지원되어 운영됨으로써 운영에 대한 재정적 어려움이 크지 않음 이는 운영비를 자체적으로 조달하여야 하는 국내 국공립기관들과 큰 차이를 가짐

현재 6개 학과의 경우 강사진이 대략 센터 50 외부강사 50로 구성되어 있으며 향후 센터내의 강사 비율을 높일 계획임 현재 연수교육의 경우 내부강사 60 외부강사 40로 구성되어 있음

나 국립재활원 대학원대학 설립

Page 6: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표 44 대한간호협회 보수교육 시행규정 및 교육 지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5표 45 대한작업치료사협회 보수교육 종류 및 교육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6표 46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과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7표 47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규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7표 48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9표 49 재활전문인력 자격증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1표 50 응답자 일반적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3표 51 응답자 공공민간 기관 근무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3표 52 응답자의 재활분야 근무연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4표 53 응답자의 최종학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4표 54 응답자의 재활관련 교육 경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4표 55 응답자의 교육 경험 경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5표 56 응답자의 교육 경험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5표 57 응답자의 교육 만족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5표 58 전문재활교육 수요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6표 59 원하는 전문재활교육의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6표 60 학사 학위자들이 원하는 전문재활교육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7표 61 국립재활원 교육과정 참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7표 62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법제 연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9표 63 부서별 교육 기능 및 역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0

그림 차례그림 1 재활의료서비스 전달체계 모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그림 2 국립재활원의 비전과 본 연구 주제와의 관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그림 3 지체장애 재활의료서비스 지역별 자체 충족률(중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그림 4 뇌병변장애 재활의료서비스 지역별 자체 충족률(중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그림 5 재활의학전문의 1인당 인구수 및 지체뇌병변장애인 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그림 6 포괄적 재활의료 서비스 연계체계 모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그림 7 OECD 회원국의 2000년대 장애인 가구 빈곤율 및 상대빈곤 위험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그림 8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의 기능과 역할(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그림 9 국립재활원 교육훈련 체계 강화 방안 연구수행 체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그림 10 공공재활의료 지원체계 모식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그림 11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의 기능과 역할(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그림 12 권역재활병원의 기능과 역할(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그림 13 국립 암센터 지정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그림 14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체계 제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그림 15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 기준(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그림 16 재활전문병원 인센티브 방안(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그림 17 국립재활원과 타기관의 현재 관계 모식도(As i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그림 18 국립재활원과 타기관의 관계 제안 모식도(To b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그림 19 사회복귀 프로그램의 운영 흐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그림 20 사회복귀지원과 사업추진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6그림 21 서울시 지역사회복귀 지원 사업 확산 모식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그림 22 지체장애 최초입원-3년 사이 입원양상(전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그림 23 지체장애 최초입원-3년 사이 입원양상(중증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그림 24 뇌병변장애 최초입원-3년 사이 입원양상(전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그림 25 뇌병변장애 최초입원-3년 사이 입원양상(중증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그림 26 재원 확보 방안 단계 모식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그림 27 아산병원 스포츠의학센터 진료흐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그림 28 체육센터 운영 흐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그림 29 건강 병력 질문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그림 30 신체적 활동 준비 질문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그림 31 국립재활원 조직구성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그림 32 교육과정 종류별 총시간 구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9그림 33 교육과정 연간 순환횟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4그림 34 국립암센터 일본 국립재활원 조직도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6그림 35 일본장애인재활 센터 학원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2그림 36 국립 암센터 내부 직원 대상 교육 목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3그림 37 일본 국립재활원의 학원 재정 운영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1그림 38 국립재활원 교육 담당 조직 정비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9

- 1 -

제1장 서론

연구의 필요성

가 국립재활원의 역할과 조직개편

재활의료서비스 전달 모형과 국립재활원의 역할

장애 발생 이후 재활의료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환자의 이용경로는 lt그림 1gt과 같음 - 사고나 질병 등으로 장애가 발생하고 환자의 생체징후 등 의학적 상태가 불안정하

면 의학적 상태를 안정화시키는 내과신경과신경외과정형외과적인 집중적 치료에 병행하여 기능적 회복을 증진시키는 초기 재활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게 됨

- 환자가 의학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내원하거나 치료서비스 및 초기재활서비스를 제공 받고 의학적으로 안정된 상태에 이르게 되면 기능회복 가능성과 제공되어야 할 재활서비스의 복잡성을 평가하여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직업재활 보장구 심리치료 사회서비스 등이 포함된 포괄적인 입원재활서비스를 제공하게 됨

- 또한 환자의 기능회복 가능성이 낮거나 제공되어야 할 재활서비스의 복잡성이 낮은 경우 외래 혹은 방문재활서비스 장기요양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사회 재활 단계로 환자를 의뢰하게 됨

- 2 -

국립재활원은 권역재활병원과 함께 재활의료 교육 연구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가 중앙재활센터 기능을 수행해야 함 1994년 제정된 국립재활원운영규칙(보건사회부령 제930호)에서는 국립재활원의 기능으로서 다음 네 가지를 규정하고 있음- 장애인에 대한 의료재활- 장애인의 자립재활- 장애인재활전문요원의 양성 및 훈련- 장애발생의 예방과 장애인의 재활훈련 등 그 복지의 증진에 관한 조사연구

2005년 12월 공공보건의료 확충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권역재활병원이 단계적으로 건립되었고 2008년 보건복지가족부령 제84호로 국립재활원 내 재활연구소가 설치되는 등 국립재활원에 새로운 역할들이 부여되고 있음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실의 2010년 연구1)에 따르면 실용적 재활보조기술 연구 국가 장애인 정책 수립 방안 제시 재활 연구를 위한 연구센터로서의 역할 권역재활병원의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사항 등이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의 기능으로 새롭게 추가 규정되어야 할 역할로서 제안되고 있으며 장애인 재활정보센터 역할 담당 최상의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표준 제시 등은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됨

이에 따라 국립재활원의 새로운 역할로 제안된 내용들은 다음과 같음 - 광역 수준의 재활의료기관을 관리하고 권역재활병원과 함께 재활의료 교육 연구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가 중앙재활센터 기능을 수행함 - 권역재활병원의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표준을 제시하고 재활연구 활성화를

유도하며 국가차원의 장애인 재활관련 통계자료를 관리하고 정보를 제공함- 장애인 재활정책 연구를 전문적으로 수행하여 국가의 장애인 정책 수립을 뒷받침함 -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연구 및 기술개발사업 그리고 선진 임상재활 연구를 위한

임상연구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재활서비스의 프로그램 인력 시설 등의 표준화된 인증 주관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함

국립재활원 조직개편

2009년 보건복지부는 국립재활원의 발전적인 기능개편을 목적으로 「국립재활원 발전 민middot관 TF」를 구성하여 운영하였음 - 2009 12 31 「국립재활원 발전 민middot관 TF」 구성 운영계획 수립- 2010 2 24 「국립재활원 발전 민middot관 TF」 제1차 전체회의 개최 기획총괄 재활

1)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실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10

- 3 -

교육훈련 재활의료 재활연구 등 4개 분과회의 구성- 2011 9 7 「국립재활원 발전 민middot관 TF」 제3차 전체회의 개최 국립재활원의 발

전적인 기능개편을 위한 기본방향(안) 마련- 2012 2-3월 국립재활원의 발전 기본방향 개편내용 운영프로그램에 대하여 보건

복지부와 협의

이러한 과정을 거쳐 2012 5 1 국립재활원 조직개편이 이루어짐 - 한방내과 장애인건강증진센터 신설- 장애인운전지원과 공공재활의료지원과 사회복귀지원과 개편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12 5 1 조직개편에 따라 신설되거나 개편된 부서의 기능 및 역할을 재정립하고 이를 통해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음

- 4 -

나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구축의 필요성

재활의료 시설의 불균형적인 분포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근접 지역 내에 재활시설이 없을 경우 재활서비스를 이용하기가 매우 어려움

현재 지역별로 불균형적인 재활의료서비스 공급은 장애인들이 자신의 거주지에서 재활의료서비스를 받는 것을 제한함 결론적으로 지역별 재활의료서비스 이용의 불평등을 야기함- 2006년 재활의료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지역별 자체 충족률을 살펴보면 입원

및 외래에서 지역별로 자체 충족률에 상당한 불평등이 존재하고 있음 특히 광역시 주변 시도의 자체 충족률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이 지역 장애인들이 재활의료서비스에 관한 필요가 충족 못하고 있다고 판단됨

자료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09)

- 5 -

자료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09)

장애인 재활서비스 제공기관들이 지역적으로 불균등하게 분포됨으로 인해 장애인의 서비스 이용지와 주거지가 일치하지 않음 이로 인해 긴급한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고 지속적인 재활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으며 환자 및 보호자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음

따라서 장애인의 지리적middot경제적 재활의료서비스 이용의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재활의료서비스가 취약한 지역에 대한 재활의료서비스 시설의 확충이 필요함

그러나 재활을 포함한 우리나라 의료는 대다수가 민간중심으로 공급되고 있어 이에 공공재활의료 지원에 대한 대책이 필요함

재활의료 인력의 불균형적 분포

현재 재활의료 서비스의 인력 공급은 지역 간 불균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2008년 재활의학과 전문의의 지역별 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서울(281)과 경기도(219)에 근무하는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전체의 절반에 이르고 울산이 11로 가장 낮았음2)

2) 보건복지부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향 연구 2009년

- 6 -

지역별 재활의학전문의 1인당 인구 및 지체뇌병변 장애인 수를 비교해보면 대전이 재활의학과 전문의 1인당 인구 2794백 명 지체뇌병변 장애인 78백 명으로 가장 낮았음 전문의 1인당 인구는 울산이 10113백 명으로 가장 높았고 1인당 지체뇌병변 장애인 수는 전남이 338백 명으로 가장 높았음

지역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의원 보건기관 총계종합

전문종합병원 병원 요양

병원 소계

서울 67 30 35 38 170 113 1 284 부산 7 14 12 6 39 16 0 55 대구 13 5 9 5 32 3 1 36 인천 5 3 18 6 32 14 0 46 광주 5 10 7 3 25 12 0 37 대전 3 10 3 10 26 27 0 53 울산   2 4 2 8 3 0 11 경기 4 53 58 37 152 67 2 221 강원 5 5 3 1 14 11 0 25 충북 2 4 3 5 14 14 0 28 충남 4 3 4 10 21 21 2 44 전북 5 6 5 9 25 14 2 41 전남   4 9 5 18 5 2 25 경북   6 10 10 26 8 1 35 경남 4 15 16 13 48 5 0 53 제주   3 3 3 9 7 0 16 총계 124 173 199 163 659 340 11 1010

표 1 재활의학과 전문의 현황

(단위 명)

- 7 -

취약한 공공재활 의료 현황

장애인의 재활의료서비스의 불균형적인 공급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권역재활병원 건립(6개 예정 경인 강원 제주 영남 충청 호남)과 지역사회 중심 재활사업을 전국 60개(시범사업까지 70개) 거점 보건소를 중심으로 시행하고 있음

그러나 권역재활병원은 기능 수행이 미흡한 실정이며 장애인이 자신의 거주 지역에서 진료 받을 수 있는 지역거점 장애인 진료병원은 양적으로 매우 취약한 실정임

공공재활의료 연계체계에 대한 다양한 모형이 제시되었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관 확충이 진행 중 이지만 현재 국립재활원 ndash 권역재활병원- 지역사회재활 거점 보건소 간 연계 체계는 매우 미흡한 상황이며 이를 뒷받침해줄 법제도적 지원 역시 미흡한 상황임

2012년 국립재활원에서는 공공재활의료 지원을 위해 공공재활의료 지원과를 신설하였음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구축을 통해 취약한 공공재활 의료지원을 활성화하고 국립재활원의 리더십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함

- 8 -

다 사회복귀 지원에 대한 필요성

재활의료란 의학적 치료 후 환자가 장애를 갖게 되었을 때 남아있는 기능으로 일상생활은 물론이며 직장생활도 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재활치료의 목적은 환자의 건강 및 생명을 최선의 상태로 회복하고 이를 유지하는데 있다고 정의할 수 있음3)

따라서 장애인들이 사회에 복귀하여 최대한 독립적인 삶을 살 수 있게 해주는 것은 재활의료서비스의 최종 목적이라고 할 수 있음

2011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장애연금수급자 재활서비스 실태 및 욕구』에 따르면4) 의료재활서비스를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경험이 있는 사람은 장애인연금 수급자 중 82로 나타났으나 직업재활서비스를 현재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경험이 있는 사람은 12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음 또한 사회재활서비스를 이용 중이거나 경험해본 사람은 15정도임

사회재활서비스 욕구에 관한 조사에서는 스포츠재활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전체의 40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활동보조 등 서비스 31 심리치료서비스 24의 순으로 나타났음 따라서 운동 재활과 관련하여 체육관을 이용한 재활 프로그램의 확산 및 법적middot제도적 지원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2010년 OECD 보고에 따르면 우리나라 장애인의 월평균 소득은 전체 인구 평균 소득보다 20p 정도 낮았으며 이는 OECD 회원국의 평균보다 더 낮은 수준임 장애인 가구 상대빈곤율 역시 35로 OECD 회원군 평균보다 13p 높음

3) Howard A Rusk MD (1901-1989) the Rusk Institute of Rehabilitation의 설립자로서 lsquocomprehensiverehabilitation medicinersquo 제시 httpwwwmednyueduruskabouthruskhtml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애연금수급자 재활서비스 실태 및 욕구 2011

- 9 -

장애인들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립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사회재활지원 및 확대가 필요함

현재 국립재활원에서는 장애인의 빠른 사회복귀를 지원하기 위하여 장애인의 욕구 및 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개별 프로그램 제공을 목적으로 lsquo병원기반 사회복귀 지원 프로그램(H-CRsP)를 운영하고 있음

구분 내용장애인 운전교육 운전면허취득 실기교육 운전적응교육

의료지원 및 보조기 평가 심리상담 성재활 보조기 평가 및 지원사회체험 및 지역자원 연계 대중교통이용훈련 사회문화활동 지역자원연계

일상(독립)생활 훈련 스마트홈 체험 샤워 및 세탁 쇼핑 요리실습 등상담지원 동료상담 가족상담 등

학업직업 복귀탐색 학업복귀 지원 직업훈련 연계 취업준비 지원정보제공 컴퓨터교육 장애인복지시책 안내 주택개조 지원

레포츠 및 취미활동 레포츠(수영 탁구 보치아 파크골프 등)미술활동(원예 음악 미술 도자기 등)

자료 국립재활원 홈페이지

표 2 중도장애인 사회복귀지원과정 프로그램

그러나 전체 장애인의 필요의 사회복귀를 위해서는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프로그램을 확산시킬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

국립재활원에서는 장애인의 사회복귀지원을 돕기 위하여 사회복귀지원과를 구성하였음 향후 장애인의 사회복귀와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스포츠 재활을 포함

- 10 -

한 다양한 사회재활서비스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법 제도 개선 및 사회복귀지원 체계구축이 필요함

라 장애인재활 교육훈련시설의 필요성

장애 패러다임 변화 재활욕구의 다양화 및 증가 등에 따른 장애인 자립 등 재활교육훈련 기능강화를 위한 시설 필요함

후천적 장애예방 및 체험교육훈련시스템 전문화 기존의 노후 체육관 철거 등에 따라 종합적인 재활교육훈련시설 건립 필요함

마 국립재활원 교육체계 강화의 필요성

재활의료 인력에 대한 교육 현황

재활의료서비스 공급체계의 강화를 위해서는 시설 확립 전달체계 구축과 더불어 재활의료를 제공할 양질의 전문 인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교육훈련 체계가 필요함

그러나 우리나라의 재활 의료 공급은 양과 질적으로 부족한 상태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08년 요양기관현황에 의하면 의료기관의 26에만 재활의학 전문의가 배정되어 있으며 지역사회 기반 재활의료를 제공하는 보건소 역시 253개 시군구 보건소 중 60여개 소에 불과함

보건의료서비스는 기본적으로 대인서비스이므로 인력의 양과 질에 의해 서비스의 질적 수준이 결정됨

현재 재활의료분야의 전문적인 교육훈련체계는 수요에 비해 매우 취약함 임상영역의 경우 교육이 협회학회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부분 첨단의료최신지견을 위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가 많음 또한 분절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어 재활전달체계의 측면에서 필요한 임상적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의문임

또한 재활과 관련된 비임상영역의 교육은 부재함 재활의료서비스는 다양한 직종의 인력이 연계해서 제공해야 하지만 재활 관련 교육은 직종에 따라 분절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11 -

직종에 따라 의무적으로 받아야하는 보수교육 내용들 역시 대부분 의료기술과 최신지견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정시간의 교육만을 이수해야 한다는 양적인 규정만 존재함 따라서 지정된 시간의 보수교육만을 통해서 재활의료분야에서 얼마만큼 전문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 의문임

재활전문인력의 보수교육과 관련한 내용은 다음과 같음

재활영역 전문인력 보수교육

법령근거보수교육 시행규정 보수교육 시행기관 자격 요건

의료재활

의사

의료법 제38조 제 2항 제 3항 및 동 시행규칙제21조 2middot3middot4middot5

항의사협회 정관

제 3조

12평점 이상년

-중앙회-해당 시middot도 의사회

-의과대학 및 대학원-레지던트

교육병원(단과레지던트 교육병원 포함

-각 학회 및 지회(단 의학회에 등록된

학회에 한함)-기타 교육 위원회에서 인정하는 기관 및 단체

의학 대학middot전문대학원

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의 면허를 수여 받은

물리치료사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제20조 및 동법 시행세칙 제

18조

8평점 이상년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작업치료사협회

물리middot작업치료 대학 졸업 후

언어치료사 - 60시간이상 5년

한국언어치료사협회 및 지정학회

언어치료관련 대학 및 대학원 졸업 후 자격증 시험 합격자

청능사 - 60시간 이상3년

-청능사자격검정원 및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청능사 관련 대학 및 대학원 졸업 후 자격증 시험 합격자

간호사

의료법 제28조 제2항 제3항 및

동 시행규칙 제21조의 2에

의거

8평점 이상년

- 지부 및 산화단체보수교육인정기관

간호대학(학과)대한간호사협회 사이버교육센터

간호 대학 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의 면허를 수여 받은자

사회심리재활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업법 제13조 2항 8시간 이상년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위탁한 협회나

협의회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 대학

석사 또는 박사학위 취득자(석사middot박사 학위 취득자는 사회복지관련

필수과목 6과목 이상 이수해야함)

정신보건사회복지사 - 20평점년 -(사)한국정신보건사회

복지사협회사회복지사 1급 자격소지자로서

표 3 재활 전문의료인력 보수교육 현황

- 12 -

자료원 관련법-의료법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장애인복지법사회복지사업법자격기본법

기관-한국언어치료사협회청능사자격검정원 및 청각언어재활학회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사협회

한국미술치료학회 한국장애인직업생활상담원협회

국립재활원의 교육 기능에 대한 높은 요구도

2010년에 폐지된 lsquo국립재활원운영규칙(보건사회부령 제930호)rsquo에서는 국립재활원의 기능으로써 장애인에 대한 의료재활 장애인의 자립재활 장애인의 재활 전문요원의 양성 및 재훈련 장애발생의 예방과 장애인의 재활middot훈련 등 그 복지의 증진에 관한 조사연구로 규정하고 있음

보건복지부와 그 소속직제(대통령령 제23764호)rsquo에서는 국립재활원의 직무로 장애인의 복지증진을 위한 진료middot상담지도middot재활훈련 재활전문요원의 훈련 보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한 전문요원

수련기관에서 1년이상 수련을

마친자

수화통역사 자격기본법 제35조

50시간 이상년

-중앙회(한국농아인협회)-외부유관기관 및 단체

만19세 이상의 대한민국 남녀

점역middot교정사

점역middot교정사 국가공인

민간자격의 관리middot운영에

관한 규정 31조

1회 이상년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만19세 이상으로 고졸 이상의 학력을

소지한자 또는 시각장애인 관련

기관의 점역middot교정업무

3년이상의 경력자

미술치료사 - 60시간 이상5년 -(사)한국미술치료학회

미술치료사 미술치료전문가

수련감독미술치료전문가 자격취득자

직업재활

직업생활상담원 - 1회(8시간)1

년-(사)한국장애인직업새

활상담원협회장애인직업생활상담원 양성과정 수료자

재활보조공학

의지middot보조기 기사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법시행규칙 제 61middot62middot63조

8시간 이상2년 -국립재활원

의지middot보조기 대학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 가족부 장관의

면허를 수여받은 자

- 13 -

장구의 연구개선 재활조사연구사업 및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에 관한 업무를 관장한다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음

2010년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의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향』연구에서 시행한 전문가 조사에 따르면 국립재활원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결과에서 전문재활 인력 교육 및 강화를 국립재활원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로 응답하였음

국립재활원은 국가재활의료의 중추기관으로서 역할을 감당하기 위해 재활의료전문인력을 안정적이고 체계적으로 교육하고 공급하기 위한 교육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

또한 내부 교육 체계 강화를 통해서 국립재활원 내부 인력의 역량강화 및 근무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음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립재활원의 2012 5 1 조직개편에 따라 신설되거나 개편된 부서의 기능 및 역할을 재정립하고 현재 불균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재활서비스에 대해 국가 중추 기관으로서 국립재활원의 조직 발전방향과 미래상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음

- 14 -

- 첫째 국립재활원의 공공재활의료 지원체계 구축방안 제안- 둘째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방안 제안- 셋째 국립재활원의 장애인재활교육훈련시설 운영방안 제안- 넷째 향후 국립재활원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 전문 인력의 체계적 전문적 교육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새로운 재활 교육 체계 구축방안 제시

연구 내용 및 범위

가 공공재활의료 지원체계 구축

국립재활원에서 진행 중이거나 진행예정인 공공재활의료 지원 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함

권역재활병원에 대한 법적 규정 재활의료 연계 체계 등 공공재활의료 지원 업무와 관련된 법제도규정 등을 조사 분석함

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 지역암센터 지원 사업 등 다른 의료분야의 공공의료지원 체계에 대하여 조사 분석함

해외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를 조사하고 비교 고찰함

법 제도 규정 재원 등에 대한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개선안을 제시함

나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

국립재활원에서 진행 중이거나 진행예정인 사회복귀 지원 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함

사회복귀지원 업무와 관련된 법 제도 규정 등을 조사 분석함

국립재활원의 병원기반의 운동재활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하고 확산 방법을 모색함

해외 장애인 사회복귀 지원 정책 현황 및 실태분석을 진행함

법 제도 규정 재원 등에 대한 사회복귀지원 체계 개선안을 제시함

- 15 -

다 장애인 재활교육시설 운영방안 제시

현재 장애인 재활교육시설의 현황과 실태분석을 진행

국내에 운영중인 장애인 재활교육시설의 운영 및 프로그램을 조사

해외 재활교육시설 운영 리뷰

재활교육시설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시

라 국립재활원 교육훈련 체계 강화 방안 연구

재활분야의 교육훈련 체계 현황 파악

의료법 의료기사 등에 대한 법률 사회복지법 등 재활분야의 교육훈련과 관련된 법령을 조사하고 분석함

대한의사협회 대한물리치료사협회 대한작업치료사협회 한국사회복지사 협회 등 재활분야와 관련하여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학회협회의 교육 관련 규정을 분석하고 내용을 조사함

국립재활원 권역 재활병원 공공병원 지역사회 기반 재활 거점 보건소에 근무하는 인력을 대상으로 진행한 재활인력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함

임상분야(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등)와 재활사업분야(사회복지사 등)의 직종별 교육내용과 운영 방식 교육과정 운영규정 등 교육현황을 조사 분석함

전문가 자문을 통해 재활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함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대상 수요파악

재활의료서비스 분야의 교육 훈련 수요를 조사함 기관별로 국립재활원 권역재활병원 공공병원 지역사회재활 거점 보건소등에 근무하는 인력을 대상으로 교육훈련 수요를 조사함

임상분야(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등)와 재활사업분야(사회복지사 등)의 직종별 교육 수요를 분석함

- 16 -

재활 교육 대상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재활 관련 교육경험률 재활관련 교육 만족도 필요한 교육훈련 내용 등에 관한 수요조사를 시행함

다른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 비교 고찰

국립특수교육원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의 재활 교육훈련 체계를 조사 분석함

국립암센터의 교육훈련 체계를 조사 분석함

교육훈련체계는 교육훈련 운영방식 교육 내용 교육 대상(내외부인력) 교육과정 법적규정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함

각 기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장middot단점에 대하여 비교 고찰함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체계 구축 방안제시

현재 국립재활원의 현재 교육훈련체계에 대하여 조사 분석함 조사 내용으로는 운영방식 교육내용 교육대상(내외부인력) 교육 과정 법적 규정 등을 포함함

재활인력교육훈련 현황 파악 재활 교육훈련 대상 수요도 조사 다른 국립기관의 교육훈련체계 비교 고찰 등의 내용을 종합하여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체계 강화 방안을 개발함

국립재활원 내외부의 인력을 포괄하는 교육체계 구축방안을 모색함

- 17 -

연구방법

가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분석 및 개선안 제시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분석 및 개선안 제시를 위해 다음의 항목을 시행할 것임- 국립재활원에서 진행 또는 예정인 공공재활의료 지원 프로그램 현황조사 - 공공재활의료 지원 업무와 관련된 법middot제도 규정 조사- 다른 의료 분야의 공공의료 지원체계 조사- 해외 공공 재활의료지원 체계 조사 및 비교-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개선안 제시

나 사회복귀지원 체계 분석 및 개선안 제시

사회복귀지원 체계 분석 및 개선안 제시를 위해 다음의 항목을 시행할 것임- 국립재활원에서 진행 또는 예정인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현황조사- 사회복귀지원 업무와 관련된 법middot제도 규정 조사- 국립재활원의 운동재활프로그램 현황 조사- 운동재활과 관련된 지원할 법middot제도 규정 조사- 해외 장애인 사회복귀 지원정책 현황 및 실태분석- 운동재활 확산 방안 및 사회복귀지원 체계 개선안 제시

- 18 -

다 장애인 재활교육시설 운영방안 제시

장애인 재활교육시설 운영방안 제시를 위하여 다음의 항목을 시행할 것임- 장애인 재활교육시설의 현황과 실태분석- 국내에 운영 중인 장애인 재활교육시설의 운영 및 프로그램을 조사- 장애인 체육시설의 수요와 수요 충족도 조사- 해외 재활교육시설 운영 프로그램 리뷰

라 재활의료분야 인력의 교육훈련 체계 개발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현황 파악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분석할 것임- 의료법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사회복지사업법 등 재활의료 인력의 교육과 관

련된 법률 및 규정 - 의사협회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작업치료사 협회 한국사회복지사 협회 등의 관련

학회를 통한 직종별 교육 규정 및 내용-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 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권역 재활병원의 교육훈련 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공공병원의 교육훈련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지역사회재활 거점 보건소의 교육훈련체계(대상 운영 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수요파악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대상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분석할 것임- 건강보험심사평가원등의 자료를 이용한 재활의료전문인력의 직종별 현황- 건강보험심사평가원등의 자료를 이용한 재활의료서비스 기관별 인력 현황- 국립재활원 권역재활병원 공공병원 지역사회 기반 재활 거점 보건소에 근무하는

직종별 인력 현황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대상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시행할 것임- 설문을 이용한 재활 관련 교육 경험률 교육 만족도 필요한 교육훈련 내용 등

다른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 비교 고찰

다른 재활관련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분

- 19 -

석할 것임- 일본국립장애인재활 센터 교육훈련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다른 의료분야의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분석할 것임- 국립암센터 교육훈련 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다른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시행할 것임- 각 기관의 교육 체계 문헌조사- 기관 방문 및 교육 담당자 인터뷰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체계 구축 방안제시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 체계를 구축 방안을 개발 제시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시행할 것임-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체계 분석((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 20 -

제2장 공공재활의료지원체계 구축 방안

공공재활의료 문헌 검토

공공재활의료지원을 통해 공공재활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양질의 재활의료서비스를 공급

국립재활원은 국가재활중추 기관으로 권역재활병원과 보건소의 기술적 지원 및 재활인력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

- 21 -

국립재활원 역할에 대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는 권역재활병원과 함께 재활의료 교육 연구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가중앙재활센터 기능을 수행해야 함

보건복지부 인증 재활 전문의료기관 인증을 주관해야 함

- 22 -

재활연구소를 주축으로 권역재활병원의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표준을 제시하고 재활연구 활성화를 유도 함

국가차원의 장애인 재활관련 통계자료를 관리하고 정보를 제공함- 교육 훈련을 매개로 한 국립재활원과 권역재활병원의 리더쉽 체계를 구축함

- 23 -

국립재활원 공공재활서비스 현황

1차 현황 서면 조사표 4 서면 조사 결과

- 24 -

공공재활의료지원 프로그램 구분 및 참여 현황

프로그램 구분 참가기관 참가자 수(장애인)

교육프로그램 및 설명회(9가지 프로그램)

보건(지)소 659

권역재활병원 6

기타 병middot의원 13

복지관 12

기타(시도청) 13

총계 703명

표 5 프로그램 참여 현황

- 보건소 인원이 프로그램 참여 인원의 937를 차지함- 프로그램 중 의사가 참여한 프로그램 없음

공공재활의료지원 프로그램 예산(2012년 기준)- 56100000원

주요내용- 지역사회중신재활 기본실무- 방문재활의 실제- 노년기 재활을 통한 건강관리- 장애 아동 재활의 핵심파악- 쉽게 따라 하는 재활실무- 건강한 일상을 위한 여성 장애인 재활- 지역사회 중심 재활 사업 성과대회- 공공재활 프로그램 설명회- 지역사회 재활사업 운영실제(예정)

현 프로그램의 문제- 공공재활 의료팀에서는 주로 보건(지)소 근무자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권역 재활 병원 및 2차 병원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함- 교육 프로그램 외 기술적 지원 및 협력체계 기반이 미흡함- 다양한 직종이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미흡함

- 25 -

타 기관 공공의료 지원 현황

가 국립 암센터

국립암센터와 지역암센터 연계체계

- 12개의 지역암센터가 지정되어 있음- 국가 암관리사업의 경우에는 지역단위까지 연계하여 수행하는 거점기관임- 국리암센터와의 연계체계를 구축하고 국가 암관리사업에 적극 활용 중- 국립암센터와 MOU 등을 통한 활발한 연계 지원을 시행 중

나 중앙정신보건 사업 지원단

법적근거

정신보건법 제13조 6항 동법 시행규칙 제 7조-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집중적이고 전문적인 지원을 위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은

- 26 -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을 시 도지사는 지방정신보건사업지원단을 각각 설치 운영할 수 있음

직무범위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기획 및 조정에 대한 지원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 및 정신보건시설에 대한 평가

정신보건관련기관 단체 또는 정신보건시설 간의 연계체계 구축 지원

정신보건사업의 현황 파악 및 통계

기타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시하는 사항

국립재활원의 공공재활의료 지원 전략

가 공공재활의료 체계 내 국립재활원의 역할 강화

권역 재활병원과 상호 협력- 진료 지원 및 협진(환자이송체계 구축)- 통계산출 및 정보제공을 위한 각종 자료 공유- 권역재활병원의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표준을 제시- 공동연구수행- 전문 인력 교육 및 교류- 국가재활사업 상호협력 수행

재활 전문병원 평가 및 인증- 보건복지부 인증 재활 전문병원의 평가 지침 개발- 보건복지부로부터 재활 전문 병원 인증 권한 위임

국가정책수립 기능- 국가 장애인 정책수립방안 제시- 장애인 및 재활의료서비스 통계 산출- 적정 재활 의료서비스 제공 표준 제시

- 27 -

교육 및 연구 기능- 권역재활병원 및 공공병원의 재활 인력 교육 및 훈련- 지역사회 중심 재활 인력의 교육 및 훈련- 재활연구 활성화를 유도 장애인 재활정책 연구를 전문적으로 수행- 매년 전국단위의 포럼 혹은 세미나를 개최하여 인적 학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학문적 역량 및 리더쉽을 확보

국제보건- 국제기구 혹은 국내 국제보건 단체들과의 지속적 협력을 통하여 개발도상국 저개

발 국가의 재활의료 원조를 지원- WHO 협력센터 지정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 방안

가 필요성

의료기관 평가의 목적은 의료의 질 향상 및 의료의 질에 대한 사회적 책임 증대임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해서 개별 의료기관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고 평가 기준을 준수하도록 함으로써 환자 진료 및 서비스의 질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임 의료의 질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평가 결과를 공표하고 병원 간 평가결과를 비교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비자의 병원 선택에 도움을 줌

2010년 의료기관평가 인증원이 의료법 제 58조에 근거하여 세워졌음 인증원의 병원 인증은 병원급 이상의 모든 병원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재활전문 의료기관에 대한 전문성이 떨어짐 따라서 인증원에서 적절한 재활의료에 대한 평가 기준을 세우고 이를 전국에 확산시켜 전 국민이 적절한 재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에는 힘듬

인증원에서 인증을 받아도 보건복지부 인증기관이라는 명칭을 부여받을 뿐 수가나 다른 인증에 대한 인센티브가 없는 실정임

또한 산재보험공단과 재활의학회에서도 각각 재활전문병원을 인증하고 있어 혼란이 가중되고 있음

5) 김윤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용역과제 2010

- 28 -

나 의료기관 인증평가 관련 선행연구 검토

의료기관 평가제도 장기적 발전방안 연구

연구에서 제시된 평가기준의 원칙은 다음과 같음- 첫째 환자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환자중심의 평가기준을 개발하여 궁극적으로

환자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킴 제공자의 부서 직종 구분이 아니라 환자가 병원에서 받게 되는 서비스의 흐름과 종류에 맞추어 평가의 부문과 영역을 설정하며 특정 서비스의 제공과 연계 관련된 기능 부서를 통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함

- 둘째 평가기준이 측정하는 영역이 중복되거나 편중되지 않으면서 포괄적인 기준을 마련함

- 셋째 평가기준이 의료의 질을 반영할 수 있도록 평가기준의 질적 측면을 포괄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하여야 함

- 넷째 평가지표의 특성이 너무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평가기준보다는 목적을 정립하고 이에 부합하는 기준이 되도록 함 즉 명목적(explicit) 평가기준보다는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에 초점을 맞추면서 묵시적(implicit)인 평가기준으로 유도해감

의료기관평가의 안정적인 발전뿐만 아니라 앞으로 평가 대상 기관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갈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독립적인 전담 기구가 필요함(현재의 의료기관평가의 대상 기관은 종합병원 및 300병상 이상의 병원으로 현재 약 360여개 병원이 이에 속하고 있음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전반적인 질적 수준의 제고라는 측면에서 볼 때 앞으로 평가 대상 병원을 소규모 병원으로까지 확대할 필요성이 있으며 많은 나라들에서 1차 진료를 평가 대상에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다면 장기적으로 볼 때 평가 대상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산재보험 의료재활항목 수가개발보완 및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제 도

입 방안 연구

산재전문병원 인증제도의 도입은 현재의 4단계 종별분류에서 3단계의 새로운 분류체계와 개념상 일치한다고 생각함 현행의 4단계 종별분류는 의원 병원 종합병원 종합전문병원(대개 대학병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병원 종합병원과 종합전문병원간의 시설규모나 인력 장비 수준이 너무 차이가 생겨 상급병원으로서의 병원 종합병원의 역할이 과거에 비해 약화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6)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2005

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2006

- 29 -

이에 새로운 3단계 분류로서 ldquo전문병원rdquo이란 개념을 도입하게 되었음 병상 수 등의 규모보다는 내적인 시설 인력구조 진료상병의 집중화 등을 토대로 전문적인 진료가 가능한 병원을 인증하여 이곳에는 여러 가지의 지원을 하자는 것임 이를 통해 종합전문병원으로 집중되는 환자를 분산시키고 다양한 의료의 전문화를 구축하자는 것임

인증 기준은 다음과 같음- 인력구성의 적절성 의사(전체의사 재활의학전문의) 간호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

사 언어치료사 임상심리사 의료사회복지사 직원 교육 및 연수프로그램- 시설 및 장비의 적절성 시설구비(병동 및 진료관련시설) 재활치료장비 응급장비

시설 및 장비 안전관리 장애인 편의시설- 질적 서비스의 제공 입퇴원 기준의 구비 및 준수 환자 평가 치료계획의 수립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및 평가 수행 여부 팀 접근 재활간호서비스 보장구 처방 검수 및 훈련 능력 입원환자의 진단명 구성 및 중증도

- 질 향상 활동 질 향상 위원회 환자 시설 인력의 질 평가 자료의 활용 여부

다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 방안 개발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가 구축middot개선되는 과정에서 새롭게 설립되거나 역할을 부여 받은 서비스 제공자가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 내에서의 역할과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음 이러한 경우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의 운영에 장애가 될 수 있음 이를 예방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적절한 인증기준과 인센티브 방안 등이 포함된 재활의료기관 인증제가 활용될 수 있을 것임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10)8)의 전문가 조사 결과와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체계를 구성하여 그림 14와 같이 정리하였음

8)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안 연구 2010

- 30 -

현재 산업재해공단 재활의학회 보건복지부 산하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서 각각 재활전문병원 인증을 시행하고 있음 이는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들에게도 혼란을 줄 뿐만 아니라 병원에도 부담과 혼란만 가중시킬 뿐임 국가적으로도 의료자원의 낭비임 따라서 현행의 재활전문병원 인증을 하나로 통합하여 인증할 수 있도록 함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이 현재 모든 병원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재활전문병원에 대한 전문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는 국립재활원과 재활의학회에서 평가 및 인증기준을 설립하여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서 설립된 기준을 바탕으로 평가 및 인증을 시행 해야함

재활전문병원 인증기준과 관련하여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5)9) 연구에서는 재활의료서비스 대상자에 대한 직접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치료사(물리치료사 및 작업치료사 등) 재활의학전문의 간호사 등의 재활 인력 재활의료서비스 진료실적의 질적 측면 진료관련 편의시설 및 장애시설 구비정도에 대한 인증 기준의 필요도가 35 이상으로 높게 제시된 바 있음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10) 연구에서는 재활전문병원 인증기준을 시설 및 장비 기준 인력 기준 재활서비스 기준 등으로 분류하였고 이 중에서 전문가들은 장애인 편의시설 구비 정도와 재활의료서비스 진료실적에 대한 질적 평가에 높은 중요성을 부여하였음(그림 14)

9)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5 이 연구에서는 재활의학전문의 270명 물리치료사 74명 작업치료사 3명 등 총

347명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한 바 있음

- 31 -

재활의료서비스의 질적 평가를 위한 지표와 관련하여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5) 연구에서는 재활계획(입원 시 치료계획) 수립 환자 및 보호자 대상 정보제공 및 교육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사용 기능상태 사정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및 평가 수행 등이 중요하게 제시된 바 있음

대한재활의학회는 2008년부터 전문재활병원 인증제 평가를 수행해오고 있음 이 때 평가 기준들은 다음과 같음- 인력 부문 의사 인력 간호 인력 물리치료사 인력 작업치료사 인력 언어치료사

인력 사회복지사 인력 임상심리사 인력- 시설 및 장비 부문 운동치료실 작업치료실 언어치료실 사회사업실 이동성 장

애인용 화장실 물리치료 기구 운동치료 기구 작업치료 기구- 전문재활서비스 부문 기능의 평가 팀접근에 의한 재활서비스 집으로 퇴원한 환

자의 비율 발병 후(장애 발생 또는 악화 후) 2년이 경화하지 않은 환자의 비율- 전문적인 재활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의 비율

한국보건사업진흥원의 연구와 대한재활의학회의 평가기준을 참고하여 2010년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10)의 연구 보고서에서는 재활전문병원 인증 기준을 다음과 같이 예시함- 인력 기준 의사 수 재활의학전문의 수 간호사 수 치료사(물리치료사 등) 수 사

회복지사 수 등- 시설 및 장비 기준 병상 수 진료관련시설 구비 정도 장애인 편의시설 구비 정

도 장비 기준 준수 등- 재활의료서비스 진료실적에 대한 양적 기준- 재활의료서비스 진료실적에 대한 질적 기준 재활계획(입원시 치료계획) 수립 여부

- 32 -

퇴원 전 퇴원계획(기관 연계 등) 수립 여부 재활전문 인력 면허자격 비율 다학제적 팀접근 여부 재활프로그램의 다양성 환자 및 보호자 대상 정보제공 및 교육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사용 여부 기능상태 사정 여부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및 평가수행 여부 사례회의 실시 정도 직원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

재활전문병원으로 인증된 의료기관에 대한 인센티브 방안으로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 교실의 2010년 연구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취약지 시설 건립을 위한 건축비 지원 지역사회 재활사업 지원 등 공적 사업에 대한 재정 지원 인증기관에 대한 차등수가제 적용 등의 방안을 제시함

국제보건의 필요성 및 진행 방향

가 세계장애현황10)

장애인 인구

장애 인구는 전 세계적으로 10억명 이상 혹은 세계 인구의 15이상으로 추정되고 있음(2010 global population estimate 기준)

WHO에서 2011년 발간한 World Report on Disability에 따르면 장애를 15년 이상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은 7억 8천 5백만 명이며 세계 인구에 156를 차지함

10) World report on disability 2011 WHO

- 33 -

이 중 1억 1천만 명(22)이 심각한 장애를 안고 있는 것으로 추정됨

장애는 심각한 우울증 시력상실 사지마비 등과 같은 수준의 심각성을 가지고 있음

현재 장애인의 숫자는 인구가 노령화되면서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임

재활분야의 수요와 미충족 수요

현재 재활분야에서는 몇몇 국가에 대한 자료만 있을 뿐 전 세계적으로 통합하여 미충족 수요를 추정한 자료는 없음- 재활분야의 데이터들은 완전치 않거나 분절화 되어 있는 경우가 많음

재활분야의 미충적 수요는 퇴원을 늦추고 활동을 제한하며 건강을 악화시키고 삶의 질을 낮출 수 있음 - 이런 부정적 결과는 개인을 넘어 가족 지역사회 까지도 사회적으로 재정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음

미충족 수요의 대한 데이터는 일부 국가의 특정 장애에 관한 조사만 사용 가능함11)

- 말라위 모잠비크 나미비아 잠비아 짐바브웨에서 시행된 국가적 장애인 삶의 실태조사에서 재활치료와 보조장비의 심각한 부족과 성의 불평등을 나타내었음

- 크로아티아 체코 헝가리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에서 진행된 재활의료 조사에서 일차 이차 삼차 재활에 접근성의 부족을 보였음

또 다른 방법으로 재활분야의 미충족 수요를 추정한 방법은 재활 서비스를 받기까지의 기간으로 추정하는 방법임- 최근의 국제 조사(2006-2008)에서 도시지역에 재활의료를 받는데 까지 걸리는 대

기시간은 평균 한 달 미만으로 조사되었음 그러나 시골지역에서는 6개월에서 1년까지 걸리는 것으로 조사됨12)

11) Maclachian M et al Disability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Dordrecht Netherlands Sringer

2009(World report on disabiltiy WHO 2011에서 재인용)

12) Chiang PPC The Global mapping of low vision services Melbourne University of Melbourne

2010(World report on disabiltiy WHO 2011에서 재인용)

- 34 -

나 필요성13)

전술한 국제사회의 광범위한 보건부문의 미충족 수요(unmet need)는 보건 ODA수요를 발생시키고 있으나 국제적인 보건 ODA는 이런 수요에 충분히 부합하지 못하고 있음

이런 상황 속에서 50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수원국에서 공여국이 된 전 세계에 몇 안 되는 사례 중 하나인 우리나라의 발전경험이 개도국 발전의 모범적인 성공사례로 주목받고 있으며 국제기구들과 개도국들로부터 한국의 개발경험 전수에 대한 요청이 늘어나고 있음

재활 분야에서도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우리나라 재활의료에 대해 제3세계 등지에서 경험 전수에 대한 요청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임

다 국립재활원 현황

콜롬비아 중앙재활센터 건립사업

2008년 국립재활원은 한국국제협력과 협력하여 콜롬비아 무상협력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콜롬비아 보고타 지역의 중앙재활센터 건립사업을 수행하였음

국립재활원은 콜롬비아에 선진재활프로그램 전수 재활센터 설계 등 마스터플랜 수립을 지원하고 재활장비 선정 및 자문을 하였음- 콜롬비아 병원건립 프로젝트 책임자 병원 설계자 대학교수 및 중앙재활 센터 담

당자 등이 한국을 방문하여 재활센터의 방향 및 개념 정립 재활병원 건축 및 설계 한국의 재활 기술 및 재활모델 한국의 의료시스템 전반 의료정보 활용 사회적 직업적 재활 전략 등에 관한 연수를 국립재활원에서 진행하였음

한국국제협력단 와의 체결

2010년 국립재활원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보건의료분야 대외무상 원조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 함- 협력내용은 기관의 고유사업 중 협력을 통해 성과를 제고 시킬 수 있는 업무분야

에 대한 기획 의사결정 수행- 개발도상국의 보건의료 관련 신규 상호협력과제 마련 및 추진 등

13) 오주환 한국형 ODA 프로그램 선정 연구 2012 총리실 연구용역과제

- 35 -

라 향후 방향

효과적으로 국제보건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WHO 협력센터 지정을 받는 것이 필요함- WHO 협력기관은 WHO가 수행하는 각종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해 WHO 사무총

장이 지정하는 국제적인 협력네트워크임- 매 4년 마다 재지정 평가 절차를 거친 후 협력센터의 기능을 유지함- WHO 협력센터 지정을 통해 수행하는 업무에 국내외적 관심을 높일 수 있으며

생산된 결과물에 대한 국내외 관계자들의 신뢰를 끌어올릴 수 있고 국제 보건관계 기관간의 협력관계 구축에 용이해지며 국제사회에서 협력을 추진하는데 큰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음

WHO 협력기관의 조건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은 다음과 같음14)

- 국내외적으로 높은 과학적 기술적 지위를 가지고 있을 것- 국내의 의료적 과학 혹은 교육 구조에서 두드러진 위치에 있을 것- 높은 질의 과학적 기술적 리더쉽을 가지고 있으며 높은 질의 직원을 충분히 확보

하고 있을 것- 개인 활동 펀드 모두 안정적인 상황일 것- 국내외의 다른 기관들과 강한 협력관계를 맺고 있을 것- 특정 국가의 원조 프로그램이나 국제 협력 활동에 참여하여 WHO의 프로그램들을

단일기관으로 혹은 네트워크의 하나로서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함- 적어도 WHO와 지난 2년간 협력관계를 가진 경험이 있어야 함

위의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준비를 지속해 나가야 할 것임

국립재활원과 권역재활병원의 협력 방안

가 권역 재활원 관리 모델

보건복지부로부터 권역재활병원의 관리권한을 위임 받아 병원의 재활 센터의 질관리 등 전반적인 관리를 책임짐

권역재활병원의 관리를 위하여 재활병원 평가 기준을 개발하여 점차 전국의 재활 연관 병원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

장애인 재활 지침을 마련하여 진료의 표준화를 확립 재활 연관 직종의 보수교육의 전부 혹은 일부를 담당하여 국립재활원이 재활

14) Guide for WHO collaborating centres WHO 2012

- 36 -

연관 직종에서도 리더쉽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

- 37 -

나 권역재활병원 협력 모델

국립재활원은 1년 단위로 각 권역재활병원과의 협의를 통하여 각 지역의 이전 공공 재활 계획과 그 결과를 평가하고 다음해의 계획을 세우는데 조언을 함

복지부와의 협의를 통하여 공공재활을 지원할 재원을 확보하여 각 권역 병원의 공공재활 프로그램에 재원을 분배하여 지원함

권역 재활병원과의 MOU를 통하여 적극적으로 인력 및 기술을 지원함

법 제도적 개선 방향

위에 기술한 공공재활서비스 발전 방안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가칭)장애인보건법의 제정 혹은 제도 정비 등 몇 가지 법적 제도적 개선이 필요함

가 국립재활원 및 권역재활병원 운영규칙 및 설립근거

1994년 제정된 lsquo국립재활원운영규칙(보건사회부령 제930호)rsquo은 폐지됨 대신 보건복지부의 소속기관으로 lsquo책임운영기관의 설치 운영에 관한 법률rsquo lsquo책임운영기관의 설치 및 구분rsquo과 예규의 형식으로 발령된 lsquo국립재활원 기본 운영 규정rsquo에 의해 규율을 받고 있음

현재 국립재활원의 법적위치는 lsquo책임운영기관의 설치 운영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보건복지부소속 책임운영기관으로 되어 있음

따라서 앞서 제시한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의 새로운 기능으로 제시한 국가 재활연구센터로서의 역할과 국가 장애인정책 수립방안을 제시하는 재활정책 수립 기능 재활의료기관 인증을 수행하고 권역재활병원의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사항을 조정하는 인증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가칭)장애인 보건법 등 법 제도 신설 혹은 정비 시 국립재활원의 설립근거와 운영규칙을 확립해야함

권역재활병원의 기능으로는 포괄적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권역 내 재활사업 주관 권역 내 재활전문 교육훈련 및 임상연구 등 재활연구센터로서의 역할 담당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와 함께 교육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국가

15)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안 연구 김윤 보건복지가족부 용역과제 2009

- 38 -

중앙재활센터로서의 기능 등이 포함되어야 함 또한 권역재활원 선정 및 심사 평가 체계로서 보건복지부 및 지방자치체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 민간 학회 등 연구기관이 각각 담당하는 역할과 권역재활병원 지정 절차 지정조건 및 기간 지원 내용 등도 규정되어야 함

나 재활전문병원 인증 관련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

의료법 제3조의 5 전문병원 지정 항목에 의거하여 재활전문병원의 요건을 보건복지부령으로 규정함 또한 특정 질환의 경우로서 을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함

재활전문병원 지정을 위한 요건에는 시설 및 장비 기준 인력 기준 재활서비스 기준 등이 포함되어야 하며 특히 재활계획(입원시 치료계획) 수립 환자 및 보호자 대상 정보제공 및 교육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사용 기능상태 사정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및 평가 수행 등 진료실적에 대한 질적 평가의 비중이 강조되어야 함

현행 의료법 제3조 5 전문병원 지정 항목에는 전문병원 지정 이후 인센티브 제공 내용이 언급되어 있지 않으나 취약지 시설 건립을 위한 건축비 지원 지역사회 재활사업 지원 등 공적 사업에 대한 재정 지원 인증기관에 대한 차등수가제 적용 등의 방안들이 규정될 필요가 있음

- 39 -

다 개선사항 제안

국립재활원의 설립근거 및 운영규칙

-국립재활원의 설립근거와 운영규칙을 법에 명시하도록 함예시) 보건복지부장관은 장애인의 보건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와 장애인의 진료 등을 위하여 국립재활원을 설치운영하여야 한다-권역재활병원의 기능과 역할을 명시예시) 지역사회 장애보건 및 재활의료사업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하여 권역재활병원으로 하여금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1 해당지역 장애발생율 등 장애보건관련 통계산출을 위한 자료의 수집분석관리 2 해당지역 장애보건관리사업의 기획 및 재활의료서비스 연계체계 구축 3 해당지역 장애보건 관련 조사연구사업 4 해당지역 장애보건 관련 인력교육훈련 및 국제협력 5 해당지역 장애건강등록사업에 관한 사항 6 해당지역 장애인 가족지원에 관한 사항 7 지역거점재활의료센터 지원 8 그 밖에 지역사회 장애보건 및 재활의료사업과 관련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

재활전문기관 평가 및 인증

-의료기관인증평가원의 재활전문병원 인증시 국립재활원의 역할을 명시

예시) ➀ 보건복지부장관은 재활의료기관에 대하여 특화 및 전문치료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는 기관에 대하여 재활의료전문기관으로 인증취소할 수 있다 ➁ 제1항의 재활의료전문기관 인증취소에 관한 업무는 중앙장애보건관리본부(현 국립재활원) 등 관련 단체 및 전문기관에서 수행할 수 있다 ➂ 재활의료전문기관 인증취소에 관한 범위와 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지역거점재활의료센터

-지역사회 장애보건 및 재활의료사업의 전문적 수행을 위해 보건소나 국공립 및 권역재활의료기관에 (가칭)지역거점재활의료센터를 설치 위탁 할 수 있도록 함예시)지역사회 장애보건 및 재활의료사업을 전문적으로 수행하게 하기 위하여 보건소 또는 국middot공립 및 권역재활의료기관에 권역장애보건관리본부 및 지역거점재활의료센터를 설치하거나 그 사업을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관 또는 단체에 위탁할 수 있다

표 6 법 제도적 개선사항 제안 정리

- 40 -

요약 및 소결

현재 국립재활원 공공재활 의료팀에서 시행중인 공공재활의료 관련 사업을 검토하였음 - 위에서 서술한 현재 공공재활의료 관련 사업의 문제는 아래와 같음- 공공재활 의료팀에서는 대부분 보건(지)소 근무자 교육 프로그램만 운영하고 있음- 권역 재활 병원 및 2차 병원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함- 교육 프로그램을 제외한 기술적 지원 및 협력체계 기반이 미흡함- 다양한 직종이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미흡함

위에 제시한 문제점과 2009년 재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델파이 조사를 바탕으로 국립재활원의 공공재활의료 발전 방향에 대한 전략을 구상하였음

권역 재활병원과의 상호 협력 증진- 보건소에서부터 권역재활병원 국립재활원으로 이어지는 공공재활의료 전달체계 구축-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진료 지원 및 협진 등

의 재활의료서비스를 지원함

재활 전문병원 평가기준마련 및 인증제 실시- 장애인 보건법 제정 등의 제도적 정비가 필요함

국가정책수립 기능- 장애인 보건법 등의 법적 제도적 정비 방향을 제시함- 장애인 및 재활의료서비스 통계를 산출함

교육 및 연구 기능- 권역재활병원 및 공공재활의료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권역재활병원 실무과정 공

공재활의료 아카데미교육과정 등과 같은 공공재활체계교육을 수행함- 재활정책 고위과정을 교육을 수행하여 정책형성의 기반을 형성함

국제보건- 국제기구 혹은 국내의 국제보건 단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국제적 재활의료 부분에

대한 원조를 지원함- 효과적인 국제보건 지원을 위해서는 WHO 협력기관 지정을 받는 것이 필요함

- 41 -

제3장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 방안

사회복귀지원의 개념

가 문헌 검토

lsquo사회복귀rsquo 용어는 일반적으로 미국에서 lsquocommunity (re)integration(사회복귀)rsquo와 lsquosocial integration(사회통합)rsquo를 사용하고 있고 그 외 lsquocommunity reentryrsquo lsquocommunity livingrsquo lsquogetting back to real livingrsquo 등으로 다양하게 지칭하고 있음

lsquo사회복귀rsquo 관련 개념은 명확하게 개념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임 단지 장애인 부상자 범죄자 등 사회적 취약 계층의 사회로 복위 갱생 회복 등을 의미하며 대상자별로 조작적 정의를 통해 개념이 정립화되어 있음- Kenneth Lam (1994) 사회복귀란 가족과 지역 내 일상생활 일상적인 역할과 책

임 사회 구성원의 일원으로 동참하는 것을 의미함17)

- Marcel Dijkers (1998) (물리적 손상이나 장애 후) 사회복귀란 연령성별문화적 적절한 역할상태기능을 돌이키는 요구 의사결정을 통해 독립적상호의존적 그리고 지역사회에서 가족과 친구 등 다양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완성된 행동을 수행하는 것을 말함18)

- Mank amp Buckley (1989) 장애인의 사회통합은 비장애인이 영위하는 수준과 동등하게 장애인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존재(presence)하고 참여(participation)하는 정도를 의미함19)

- Ely amp Peter (1991) 사회통합은 lsquo사회적 동반rsquo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장애인이 실제 살아가는 곳에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상적인 활동에 참여하는 것임20)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장애인 대상의 사회복귀는 장애 발생 이후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기능이 재조직화 되어 개인의 가정생활 사회활동 직업활동에 복귀하여 안녕감을 갖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음

16) 사회복귀지원의 개념 및 프로그램 운영 사례에 대해서는 lsquo국립재활연구소 장애인의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재활서비스 모형 개발 2010rsquo 및 lsquo국립재활연구소 장애인의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ICF 기반의 재활서비스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 2011rsquo을 참고하였음

17) Kenneth Lam Community reintegration Life after stroke 1994 세미나 발표 자료

18) Marcel Dijkers Community Integration Conceptual Issues and Measurement Approaches in

Rehabilitation Research Top Spinal Cord Inj Rehabil 19984(1)1ndash15

19) Mank D M amp Buckley J Strategy for integrated employment in W E Kierman amp R L Schlock

(Eds) Econimoic industry and disability A look ahead baltimore Paul Books Publishing 1989

20) Ely Peter W Quality of life and social integration of psychiatrically disabled citizens in community

residences MI University Microfilms International 1991

- 42 -

나 병원 기반 사회복귀지원프로그램

질병 및 손상으로 인한 장애가 발생한 환자에게 제공되는 환자병원 기반 사회복귀지원 과정은 다음과 같음

병원 기반 사회복귀지원프로그램은 일상생활훈련(실생활 훈련)을 비롯하여 운전교육 컴퓨터 교육 학업(직장) 복귀지원 주택개조 정보 제공 및 연계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멘토링(동료상담) 프로그램 정서적 지원 성재활 지역사회자원 연계 가족지지상담 및 프로그램 법률지원서비스 독립생활체험 활동보조인 이용체험 보조기 평가 및 대여이용체험 등으로 구성됨- 일상생활훈련(실생활) 훈련은 장보기 요리실습 및 세탁 청소 샤워 등 기본적인

- 43 -

일상생활 및 가정관리 훈련 쇼핑 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 이용 및 이동훈련 시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음

- 운전교육에는 운전클리닉 운전면허 취득 운전적응훈련이 포함되어 있음- 학업 및 직장 복귀 지원은 학업 복귀와 취업준비 지원 및 직업 훈련 연계가 포함됨-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은 재활스포츠와 문화활동이 포함되어 있음- 정서적 지원부분에서는 인지middot정서에 대한 심리학적 평가를 기반으로 정서적 어려

움에 대한 상담과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음

구분 내용

일상생활(실생활)

훈련

요리 메뉴 짜기 및 시장보기 실습실을 이용한 요리 실습 시행

쇼핑 대중교통 이용하여 백화점 할인마트 시장 방문하여 쇼핑하기 계산하기 등 일상적인 가정관리 훈련제공

금융이용 훈련 통장 및 현금카드 만들기 현금인출기 이용 세금 납부하기 인터넷 뱅킹 등 금융이용 훈련 제공

대중교통 이용 지하철

지하철 내 편의시설 이해 엘리베이터 장애인 개찰구 및 출입구 이용 등 사전 모의 체험 및 실제 지하철 이용하기

대중교통 이용 시내버스

저상버스 이용법 리프트 승하차 휠체어장애인용 좌석 이용 등 사전 모의체험 및 실제 저상버스 이용하기

운전교육운전클리닉 자동차 운전을 원하는 환자에게 전문적인 자동차 운전 평가와

가상현실운전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훈련 제공 운전면허취득 운전면허 취득을 위한 운전기능교육 및 도로주행교육 시행운전적응훈련 장애 발생 전 운전면허 소지 장애인을 위한 도로주행 교육 시행

컴퓨터 교육 타자연습 등 기초교육 문서작성 인터넷 포토샵 등 개인 수준에 따른 정보활용 교육 시행

학업직장복귀 지원

학업복귀지원 입(복)학 관련 정보 제공 장애인 편의시설 조사 담당자 면담 등 진학 및 복학을 위한 지원

취업준비지원 장애인고용공단 직업평가 및 상담 연계 장애인일자리 관련 단체 안내 등 장애발생 전의 직장복귀 및 취업연계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

직업훈련연계 장애인 직업전문학교 상담 및 장애인직업능력개발센터 장애인복지관 직업훈련 등 훈련 연계

주택개조정보제공 및 연계장애인의 주거환경을 진단하고 편의시설 및 주택개조에 대한 정보제공

주택개조 지원연계 등의 서비스를 지원함 (지역구별 집수리 신청 주거개선 업체정보 관련 후원단체 연결 등)

레저 및레크리에이

재활스포츠수중운동체험 및 농구 럭비 볼링 배드민턴 탁구 사격 게이트볼

수영 펜싱 파크골프 등 다양한 원내middot외 연계스포츠를 통해 지역사회에서 이용할 수 있는 레저스포츠 개발 및 참여기회 제공

문화활동 박물관 민속촌 등 다양한 문화활동 체험 및 영화관 미술관 관람

멘토링(동료상담) 프로그램

입원환자에게 여러 가지 조언과 치료완료 후 사회에 적응하고 직장복귀 취업안내 등을 컨설팅 할 수 있도록 잠재력을 키워가도록

도와줌 사회복귀 성공사례 및 정보 제공 동료상담 활동가 및 사회복귀 코디네이터 연계

정서적 심리치료 인지middot정서에 대한 심리학적 평가를 기반으로 정서적 어려움에 대한

표 7 H-CRsP 프로그램 구성 및 내용

- 44 -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지원 현황

가 주간재활센터 프로그램

주간재활센터는 각종 질병이나 사고로 뇌손상을 입은 장애인을 대상으로 독립적인 생활 및 사회적응을 돕고 가족의 부담을 경감시키고자 낮 시간동안 포괄적인 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임

대상은 급성기 치료가 끝나고 의학적으로 안정된 뇌손상 장애인으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기능증진을 위해 적극적인 재활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이며 매주5일(월~금)동안 하루 8시간 총 3개월 동안 이용할 수 있음

재활스포츠 활동 게이트볼 골프 배드민턴 탁구 볼링 배구 등 환자의 장애에 맞는 응용스포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신체적 활동 및 운동경기를 통해 운동능력을 향상시키고 즐거움 만족감을 느끼게 하며 환자간의 협동력을 높여줌

집단 간호 상담 장애로 인해 환자와 가족들이 겪게 되는 심리적 충격 및 고

지 원

상담과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제공

미술치료 그리기 만들기 등 다양한 미술활동을 통한 내면의 정서상태 표현 및 역량 강화

음악치료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 율동 등 음악활동 및 치료 레크리에이션을 통한 정서순화

원예치료 식물심기 및 기르기 꽃꽂이 창작품 만들기 등 원예활동을 통한 정서순화 및 취미개발

성재활성재활 상담 교육 치료를 통하여 장애인의 올바른 성에 대한 인식과

성생활이 가능하도록 도와주어 행복한 가정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는 재활치료

지역사회자원 연계 자립생활센터 복지관 등 거주지에서 이용 가능한 지역자원 및 재활운동 취미활동 자조모임 등 프로그램 연계

가족지지 상담 및 프로그램 가정방문 및 가족상담

법률지원서비스 장애인 관련 법 및 장애인 복지시책 관련 정보 제공과 법률상담 연계 지원

독립생활체험 첨단 보조기구 및 환경제어 시스템이 설치된 실거주형 원룸(침실 욕실 주방 등)에서 생활할 수 있는 기회 제공

활동보조인 이용체험 활동보조지원 사업 및 이용법에 대한 안내 활동보조서비스 신청 지원 필요시 실제 활용 기회 제공

보조기 평가 및 대여이용체험 장애인의 특성과 기능에 맞춘 보조기구 활용을 위해 보조기구 상담 및 제작 개조 및 대여 등의 서비스 제공

- 45 -

충을 같은 입장에 있는 사람들이 함께 모여 이야기를 나누고 서로에게 주어지는 피드백을 통해 보다 긍정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장애수용을 돕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임

성재활 상담 뇌졸중 재발의 두려움과 신체적 불편감으로 인한 부부간의 성생활 결여로 야기되는 갈등을 해소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며 뇌졸중 후 성생활시 주의점 및 전문적인 지식을 제공함

음악치료 음악활동을 체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사람의 신체와 정신기능을 향상시켜 개인의 삶의 질을 추구하고 보다 나은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프로그램임

치료 레크리에이션 병원생활과 기능손상으로 인한 무기력감과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기능 증진을 위한 다양한 여가프로그램을 통해 환자의 적절한 여가활용 및 사회복귀를 촉진함

원예치료 식물을 이용한 원예활동을 통해 사회적 심리적 신체적 적응력을 기르고 녹색의 쾌적함을 얻고자 하는 활동 프로그램임

미술치료 색채 및 미술도구를 이용하여 심신의 안정과 흥미를 유발함으로서 손의 감각자극이나 동작기능을 향상시킴으로서 사회복귀를 촉진함

가정방문 가정에서 생활환경 및 기능상의 어려움을 파악하여 이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고 대상자의 치료 및 훈련을 보다 효과적이며 실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임

실생활재활치료 사회복귀에 대한 두려움 해소 재활의욕 고취에 긍정적인 도움으로 주는 프로그램으로 옥외활동 문화체험 및 관람활동 교통수단 이용해보기 등의 3가지 테마로 구성되어 있고 월1회 실시하고 있으면 환자기능에 맞는 과제를 제시해 줌으로써 동기부여와 목적을 재인식시켜줌

가족프로그램 보호자와 함께하는 프로그램으로 요리하기 요가 등이 있음

- 46 -

나 사회복귀지원과 2012년 사업추진 현황21)

국립재활원 사회복귀지원과의 2012년 사회복귀지원사업 추진 현황은 다음과 같음

21) 국립재활원 사회복귀지원사업 현황 국립재활원 사회복귀지원과 2012

구 분 내 용 비 고

일상생활훈련

가정관리 세탁 샤워 장보기 및 요리실습 등 의식주 활동

이동훈련 수동 및 전동휠체어 이용훈련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시설 이용하기

활동보조서비스 활동보조서비스 안내 및 지원활동보조인 연계 무료 실습기회 제공(25시간)

의료지원

의료평가 원내 재활의학의 진료 및 평가원내재활병원연계치료 및 교육 필요시물리ㆍ작업치료 교육제공

심리상담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진료 및 상담

보조기 사례관리 휠체어 등 보조기 상담 및 평가훈련 중 보조기 맞춤 및 대여 체험

재활연구소연계

상담동료상담 동료장애인 경험 및 사례모델링

가족상담 및 교육 성재활 가족갈등 해소를 위한 가족상담 및 교육

정보제공

컴퓨터(정보활용) 한글 인터넷 등 기초과정엑셀 파워포인트 등 고급과정

장애인복지정보 장애인복지시책 등 각종 정보안내 거주기 지역자원 복지관ㆍ지원센터 등 지역자원 안내 및 연계

주택개조지원 주택개조에 대한 정보제공 및 연계

운동 재활운동 재활운동실을 이용한 개별운동레저스포츠 탁구ㆍ펜싱ㆍ수영ㆍ볼링 등 원내ㆍ외 레포츠 활동

표 8 사회복귀 프로그램 목록

- 47 -

2012년 프로그램 참가자 수는 총 798명이며 집행된 예산은 수용비 86819000원 재료비 3500000원 운영비 49500000원 등 총 139819000원임

프로그램 구분 참가자 수(명)상담 404운동 76교육 9(회)

멘토링 2심리정서지원 87

여가문화 19진로지원 1가족지원 37

스마트홈체험 15자원연계 157

총원 798

표 9 프로그램 구분 및 참가자 현황

타 기관의 사회복귀 지원 현황

가 서울재활병원

낮병원 프로그램

낮병원 프로그램은 입원치료와 외래치료의 장점을 극대화시킨 새로운 재활치료의 모델로서 발병 후 입원재활치료를 마친 후 가정과 사회로 복귀를 준비하기 위한 재활프로그램임 대상은 뇌졸중 척수손상 뇌손상 등 집중 재활치료가 필요한 성인으로 치료기간은 3개월로 필요시 연장이 가능하며 주 5일 주 3일 주 2일로 운영함 - 각 재활 영역별 전문적이고 세밀한 초기평가를 실시 후 각 환자별 특성에 따라 계

획된 맞춤형 집중 재활치료 프로그램 (물리치료 수중재활치료 통증치료 작업치

운전교육운전면허취득훈련 원내 연습장을 이용한 기능ㆍ도로주행 교육

운전적응훈련 면허 있는 중도장애인을 위한 도로주행 과정

사회체험 방문체험 복지관ㆍ자립생활센터ㆍ체험 홈 등 방문지역 공공기관 방문 및 체험

직업적응 학업 및 직업복귀 학업ㆍ직업복귀를 위한 직업평가 및 정보제공장애인공단 등과 연계서비스

취미활동 생활공예 점토를 이용한 다양한 도자기 소품 만들기한지공예ㆍ지점토 등 생활공예품 만들기

- 48 -

료 언어치료 음악치료 재활심리치료)과 그룹 프로그램(그룹 체조 미술치료 도예) 사회적응치료로 제공하며 뇌졸중 학교를 통해 스스로 장애를 이해하고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음

레크리에이션 재활프로그램

레크리에이션 재활프로그램은 장애인들도 레크리에이션(음악 미술 스포츠 여행 등)을 즐길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재활 및 심리적 치료를 꾀하고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임 대상은 입원 및 낮병원 외래를 이용하는 뇌졸중 척수손상 뇌성마비 등의 환자임- 사회적응치료 문화체험 대중교통이용훈련 대인관계훈련 영화관람 마트 이용 등

을 통해 병원을 벗어나 지역사회를 직접 체험하여 병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퇴원을 위한 실제적인 준비와 지역사회로의 적응을 돕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함

- 원예치료 소아 낮병동 환자 및 보호자 입원중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정서적 안정과 신체적 건강을 위해 식물 기르기 꽃장식 등 다양한 원예활동을 통한 협응능력향상 사회성 향상 손근육강화를 위한 치료로 꽃꽂이 디쉬가든 테라리움 포푸리 수경재배 등이 있음

- 미술치료 미술활동을 통해 심리적 정서적 갈등을 완화시킴으로서 원만하고 창조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심리치료법으로 미술을 통해 고통스런 경험을 동화 통합시키며 적개심이나 공격성을 안전하게 표현할 수 있고 자신을 신뢰하고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기회 제공을 함

재활스포츠 프로그램

재활스포츠 프로그램은 다양한 스포츠 활동으로 인한 심한 손상이나 관절 인대 근육의 손상이 있는 경우 손상 초기부터 정확한 진단 및 안정 통증과 염증의 조절 관절 구축의 방지 근력과 지구력의 증진을 통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재활치료를 목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함

기타 지원프로그램

환자 및 보호자 상담- 환자와 보호자가 가지고 있는 심리사회적 문제를 해결하여 환자의 재활의지를 높

이고 지역사회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개인력 조사 사회사업상담(심리상담 경제적 상담 가족상담 퇴원계획 복지정보제공)을 실시함

환자지원 프로그램- 환자적응치료 지역사회로 외출경험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변화를 직접 경험함

- 49 -

으로 지역사회로의 복귀할 수 있는 의지를 심어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집단활동 프로그램 미술치료 도예치료 놀이치료 구연동화 등 사회성 향상 및

양손 협응력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집단활동을 지원함- 학습놀이 프로그램 입원기간 동안 취학을 앞두고 있거나 학업이 중단된 아동 그

외 학습 및 놀이가 필요한 아동에게 학습 및 놀이 프로그램을 지원함

가족지원 프로그램- 어머니 여가활동지원 가사 간병으로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어머니들에게 여

가활동(토피어리 종이접기 풍선아트 등)을 지원하여 친목도모 및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 아빠교실 재활치료에 아버지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자조모임을 통해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정보를 공유할 기회를 제공함

나 삼육재활병원

사회재활프로그램

사회재활프로그램은 장애인이 사회생활과 가정생활에 적응을 돕기 위해 물리적 사회middot 문화적 심리적 환경 등에서 활동능력을 획득하여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산재 환자프로그램 사회적응프로그램 미술치료 원예치료 그룹 활동 집단 활동 프로그램 피아노교실 사랑의 듀엣 노래자랑 송년잔치 등을 제공함

장애인 정보화 교육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주관으로 운영되는 교육시설로 입원환자 뿐만 아니라 직계가족 지역거주 장애인 및 직계가족 모두가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윈도우 인터넷 한글 엑셀 등 컴퓨터 초middot중급 과정의 강의를 실시하고 있으며 교육비나 교재는 무료로 지원함

무료간병연계

저소득 계층의 의료보호 환자 중 가족이 돌볼 형편이 어려운 환자들에게 광주자활센터와 연계하여 낮시간 동안 복지간병서비스를 제공함

상담

경제문제 상담 및 지원 가족교육 및 가족상담 보장구 지급에 대한 상담 재

- 50 -

활정보 제공 직업상담 가정방문 및 주택개조 지원 상담 등을 시행함

다 파크사이드 병원

집으로 프로젝트

집으로 프로젝트 프로그램은 환자가 병원 퇴원 후 집으로 가서 일상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협력하는 프로젝트로 재활의학과 전문의 재활치료팀(물리 작업 언어) 재활간호팀 뿐만 아니라 의료장비업체 인테리어업체 의료공학자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환자가 퇴원 후 집에서 통원치료를 할 수 있도록 직접 방문하여 여러 방안을 모색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함

펀 쿡 프로그램

펀amp쿡이라는 카페 같은 공간을 이용하여 환자가 직접 시장을 보고 직접 요리를 함으로써 자신감을 고취시킬 수 있으며 요리를 통해 일상생활생활동작 훈련을 하는데 도움을 줌 가족과 함께하는 요리경연대회 다양한 퍼즐 및 보드게임을 통해 기능향상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함

펀 플레이 프로그램

환자를 즐겁게 한 후에 치료로 연결하는 프로그램으로 환자들이 웃고 쉬고 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줌 슬링을 이용한 놀이와 음악을 들으며 춤추기 다양한 게임 등을 통해 즐겁게 움직임을 유도하고 환자들이 평소에 좋아했던 운동을 확인하여 스포츠 활동까지 할 수 있도록 지원함

직업복귀 프로그램

손상전의 직업으로 복귀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으며 의료진이 개입하여 회사 관계자와의 접촉을 통해 환자가 이전 직업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도와줌

자동차 면허취득 프로그램

병원입원기간 환자들을 대상으로 장애인 자동차 면허취득을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함

- 51 -

라 인천산재병원

특수재활요법

특수재활요법은 환자의 심리 정서적 상태를 기록하여 심리재활치료에 반영 및 작업치료의 일환으로 신체적인 잔존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제공됨- 프로그램은 기존에 제공하던 7개 훈련공과를 의료재활의 일부분으로 전면 개편하

여 물리치료실과 함께 재활 의학전문의의 처방에 따라 귀금속디자인 전통공예 목조형디자인 원예 컴퓨터 멀티미디어 회화교실로 변경 시행하여 작업치료와 연결되는 심리재활 프로그램으로 제공됨

수중운동재활

수중운동재활관은 중추신경계 손상 산재환자의 조기재활을 통한 기능회복 재활사업 중 전문재활 급성기환자의 재활 System 확보 전인재활을 통한 사회참여 산재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임- 대상은 뇌손상 척수손상 골절 및 절단 장애 근육병 스포츠상해 등을 가지고 있

는 지체장애인이며 세부 프로그램에 따라 주 2-3회 1회당 30-50분 11 또는 소그룹이나 대그룹으로 운영됨

- 프로그램은 수중물리치료 수중재활운동으로 구분되어 제공되는데 수중물리치료는 수중에서 적응력 균형유지 불필요한 반응 억제 신체조절능력을 증진시키는 HALLIWICK 치료와 미온의 수중에서 등척성 등장성 등속성 운동을 통하여 중추성 신경손상 등으로 인한 근신경 및 골격근을 재활시키는 BRRM 치료 미온의 수중에서 스트레칭 마사지를 통하여 신체의 근신경계 및 관절의 경직 마비된 신체를 이완시키고 심리적으로 안정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WATSU 치료로 제공되며 수중재활운동은 HALLIWICK 방법 BadRagaz 방법 Aquatic Exercise를 적용하여 정상적인 신체이동 패턴과 근력 지구력 심폐 지구력 유연성 관절가동범위증진 및 향상으로 자세유지 능력향상과 일상생활 동작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공됨

야외운동재활센터

야외운동재활센터는 환자들을 위한 스포츠 시설로서 운동을 통해 환자분들의 재활을 돕고 있으며 탁구장 테니스장 농구장 론볼장을 갖추고 있어 환우 여러분들의 병상생활에 활력을 불어 넣어주고 있는 프로그램임- 프로그램은 흰색 표적구를 먼저 굴려 그 표적구에 목적구를 가까이 붙여 점수를

획득하는 경기로 남녀노소 즐길 수 있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서로 페널티 없이 어울릴 수 있는 론볼 다목적 구장을 이용해 제공하는 농구 테니스 배드민턴 실

- 52 -

내에서 4계절 이용 가능한 탁구 프로그램을 제공함

재활공학서비스 연계

국내에서 유일하게 재활공학연구소와 연계한 종합재활서비스를 제공함 - 다양한 첨단 재활보조기구를 연구 middot 공급하는 재활공학연구소가 병원 내에 위치해

재활치료 후 첨단 보장구 지급 생활적응 훈련(ADL) 및 장애인 보장구 적응훈련(ATAD)의 효율성을 높이고 산재 근로자들이 조기에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도모함

마 일본 국립장애인재활센터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는 병원 연구소 학원 훈련센터로 구성되어 있어서 연구-재활치료-교육-사회복귀가 모두 한 공간에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훈련센터에서는 작업치료부터 직업교육 사회생활 적응교육까지 직업훈련사 1인당 5~6명의 장애인을 전담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약 2년 정도 교육이 진행됨 교육 진행 중 취업이 되는 경우도 많이 있음

직업훈련장에서는 실제 장애인 센터에서 요구되는 세탁 장비 수리 등의 작업을 부여 받아 진행하고 있으며 초기 교육부터 마지막 사회적응과정까지 단계별로 교육을 시행함 직업교육의 직능교육 외에도 직장상사와 잘 지내는 법 직장 동료들과 약속을 지키는 것과 같은 관계에 대한 교육도 함께 이루어짐- 일본의 장애인 직업훈련은 공공직업훈련과 사업주가 행하는 직업훈련으로 구분됨 - 공공직업훈련은 국가 도도부현 및 시정촌에 설치하여 운영함 이들 훈련은 무상훈

련을 원칙으로 하며 훈련수당 등이 지급됨- 사업주가 실시하는 직업훈련은 지방자치단체장의 인정을 받아 실시함 - 일본의 장애인 취업은 후생노동성 산하 공공직업안정소에서 관리함 공공직업안정

소는 장애인 취업알선 및 직업상담과 평가 취업을 위한 지원 취직 후의 사후지도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 일본의 장애인 직업훈련과 관련된 인적자원은 직업훈련지도원(훈련교사)이 주된 인원이며 고용과 관련된 요원은 직업생활상담원 잡코치 장애인 카운슬러 등이 있음

스포츠재활의 경우 재활의학 의사의 운동 처방이 존재함 국립장애인센터 내에 장애인 전용 체육관이 있으며 이곳에서 장애인들이 수영 등 스포츠 활동을 진행함 원칙적으로 국립재활원 주변의 의사들도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처방을 할 수 있고 운동처방을 받은 장애인은 국립재활원 내의 체육관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나 아직 시범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단계임

- 53 -

바 마국 시카고 재활원(RIC Rehabilitation Institute of Chicago)의 LIFE Center

2001년 시카고 재활원 1층에 위치한 LIFE센터는 L학습(Learing) I혁신(Innovation) F가족(Family) E권한(Empowerment)상징함 방문자들은 잡지나 책 그리고 비디오와 같은 많은 정보를 얻기를 원하고 음악감상 예술작품 감상뿐만 아니라 다른 방문객들과의 만남을 원함 LIFE센터는 보호자 자원봉사자 등의 인터뷰를 통한 철저한 필요도 평가에 의해 고안됨 따라서 위 센터는 8개 영역에 따라 조직화됨- 의료정보 (Medical information amp care) 기능장애 피부 대소변 호흡 그리고

다른 일상생활활동에 대해 교육제공- 간병과 보조기기 (Caregiving amp equipment) 간병인 적합한 기기 그리고 보조기

기의 정보제공 연계- 가정과 교통수단 (Housing amp Transportation) 집의 접근방법 가정간호를 위한

주정부 정보제공 연계- 지지와 건강관리 (Support amp Wellness) 장애인에게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사립 기관- 여가와 레크레이션 (Leisure amp Recreation) 여행 스포츠 예술 댄스 실내외

레크레이션 활동 경험- 재정관리와 법 (Finance amp Law) 장애법 이해- 영감과 희망 (Inspiration amp Hope) 장애를 극복하고 도전적인 삶을 사는 이야기

발견

사 미국 케슬러 재활원 (Kessler Institute for Rehabilitation)의 사회재활

Return-to-Work strategy Services는 고용자와 고용인 그리고 보험회사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되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임- 기능적 역량 평가(Functional Capacity Evaluations FCEs)- 이전 직업의 인지평가(Pre-Vocational Cognitive Evaluations)- 작업상태 평가(Work conditioning)- 인간공학평가(Ergonomic assessments)- 직업재활과 직업가이드 서비스(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Career Guidance

Services)

장애인에게 경쟁력 있는 고용 학교 혹은 자원봉사 하도록 도와주거나 그들에게 사회의 생산적인 일원이 되도록 복돋아줌 위의 결과지향적인 프로그램은

- 54 -

개개인이 실제적인 커리어에 필요한 기술과 전략을 개발하도록 도움- 상담 배경정보 의학적 치유력 교육 및 직업경력 가족관계 개인적인 관심- 직업평가 적성 개성 학업 문제해결능력 조직력 컴퓨터 사무 능력- 직장체험 재활원과 지역사회 병행하며 직장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 커리어 상담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사는 그들의 강점을 인식하도록 도움- 추가 서비스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휠체어 클리닉 운전재활 인지재활

아 호주 Princess Alexandra Hospital (PA Hospital)

ABIOS는 전문가 지역사회기반 재활서비스로 독립성 향상 참여 및 기회제공 적절한 서비스를 통해 뇌손상 장애인과 그들의 가족 및 간병인에게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 통합을 목적을 위해 지원하는 서비스임

외상성 뇌손상 뇌졸중 뇌종양 약물중독 감염 및 질병 산소결핍 알콜middot약물중독 등 후천적 원인에 의한 뇌손상 장애인으로 PHA 퇴원환자 타병원 의뢰환자 기타 재가 장애인 등으로 퀸즈랜드 거주 장애인만 대상이 됨

교육프로그램- 장애인 당사자 가족 간병인 그리고 지역 내 다른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교육을

실시함- 후천적 뇌손상 이해 뇌손상으로 인한 인지적middot행동적 장애 도발적인 행동관리 뇌

손상 장애인 지원을 위한 일반적인 가이드라인 후천적 뇌손상 장애인을 위한 효과적인 생활양식 지원 지역사회 연계 케어 스트레스 사례관리 뇌손상장애인을 위한 목표설정에 관한 주제로 진행됨

STEPS(The Skills To Enable People and Communities)- 뇌졸중 및 뇌손상을 가지고 있는 18~64세 성인과 가족 친구 간병인들과 함께 참

여하고 실제 장애인이 살고 있는 지역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함

- The STEPS Skills Program은 프로그램은 6주간 제공되며 자신을 돌보는 방법 지역사회에서 살아가는 방법 서비스를 받는 방법 등에 대한 지기관리법에 대해 배우며 그룹의 다른 사람들과 경험과 사고를 공유함

- STEPS Network Groups은 지역사회의 지속적인 네트워크가 되며 프로그램의 핵심은 네트워크 구성으로 지원그룹 파트너쉽 등을 형성하며 그룹활동으로 점심 먹기 공원에 소풍가기 모닝차 마시기 패션쇼 경매참여 카드 등 게임하기 볼링

- 55 -

등 레포츠 영화 및 연극보기 시낭송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함

TRP는 재활의 다음 단계로 퀸즐랜드 척수손상병동에 있던 사람들에게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로 대부분의 TRP 프로그램은 4~8주 정도 진행되나 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며 그 이루는 Outreach 서비스로 연계됨- 이동 휠체어 기술 보행 옥외이동기술 등 신체적 기술의 강화 일상생활활동 지

역사회접근 직업 상담 보조기구 운전 및 주택 개조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직업과 직업 전 기술 등에 대해 다룸

척수 손상환자들이 병원 재활에서 지역사회 생활로의 전환을 도와줌으로써 지역사회 재통합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이 있으며 병원으로부터 좀 더 빨리 퇴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줌 프로그램은 전문가들의 다학제적 팀 접근으로 개인의 요구도와 목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며 적극적으로 이러한 프로그램에 가족 파트너 및 친구의 참여를 권장함

SPOT는 기존서비스와의 중복되지 않도록 교육과 상담에 중점을 두며 서비스 내용으로는 스킨케어 보조기구 주택개조 직업 및 교육정보 통증관리 상담과 지원 일상생활활동 관절과 근육문제 자세와 앉기 대소변 관리 다른 관련 건강과 간호문제 등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를 제공함

서비스는 브리즈번에서 200km이내인 경우거나 지역방문의 정규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하는 경우 가정이나 지역방문을 통해 제공되며 또한 전화나 화상회의와 같은 멀티미디어를 사용하여 조언과 교육도 제공됨

장애인에 대한 직접적인 서비스 외에 척수손상에 대한 2차 합병증 예방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장애인 당사자와 주변인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짐 주제는 욕창치료 및 관리 척수손상으로 인한 2차합병증 예방 자세유지 의수족 고령화 등으로 구성됨

- 56 -

자 호주 Royal Rehabilitation centre Sydney

Brain Injury Rehabilitation team(BICRT)- BICRT는 외상성 뇌 손상을 가지고 지역 사회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로 팀원들은 외상성 뇌손상 장애인들이 만족스러운 생활로 돌아가고 독립적인 생활을 격려하며 정서적 사회적 신체적 지적 기능의 수준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도와줌

- 관계(relationships) 건강(health) 학습(learning) 재정(finances) 직장 및 레저 활동(work and leisure)에 관한 지원을 제공함

환자의 의학적 상태에 따라 ldquo재활 밖의 삶(life outside rehab)rdquo을 경험하기 가족과 함께 Transitional Living Unit에 머물도록 장려함 척수손상병동 퇴원 후 프로그램으로 플랫형 공동 주택으로 되어 있으며 3일 동안 지낼 수 있음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체육관 가이드는 지역사회 기반의 헬스 클럽과 피트니스 센터 참석으로 건강 및 피트니스 활동을 추구하기 위한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있는 재활 환자에게 레크리에이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함

홈 기반 재활 서비스 (HBRS)는 북부 시드니 지역 보건 서비스의 거주하고 있으며 최근 부상 또는 질병을 입었거나 받은 수술을 하거나 만성 근골격계 또는 신경학적인 상태의 악화를 경험하신 고객을 대상으로 집중적으로 짧은 기간 가정에서 자신의 재활을 수행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함 환자는 의사나 입원팀에 의해 연계되며 병원 퇴원 전 HBRS 매니저로부터 평가를 받음

운전 평가 및 재활 센터는 장애인이나 의료적 문제가 있는 사람들에게 독립적이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도와줌 DARC는 운전 평가 및 재교육(re-training)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면허를 회복하거나 운전면허 취득을 위해 조언과 도움이 필요한 특별한 요구가 있는 사람들을 지원함

- 57 -

장애인과 그들이 배우자에게 비밀이 보장되는 환경에서 성에 대한 고민과 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배우도록 지원함

변형된 신체상 성에 영향을 주는 감각 이동 대소변 기능에 변화 의사소통문제 여러 가지 성기능의 변화 관계문제 부적절한 성적행동 성에 대한 잘못된 인식 장애 후 다시 시작된 성생활 등 성적 및 성에 대한 고민이 있는 후천적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함

서비스 내용은 성기능 평가 개인의 요구도에 기반한 개별 치료 개별 및 부부상담 장애인과 배우자 부모 및 간병인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전화상담 및 조언 전문가와 지역사회 단체를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작 및 보급 등이 있음

홈페이지 지원

장애와 상관없이 레저 예술 스포츠 레크리에이션 여행 라이프 스타일 등 세계 각지의 개인 단체 및 관련 제품에 대한 필요한 정보가 링크되어 있어 가이드를 제공함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지원 전략

가 재활의료 전달체계 및 사회복귀 연계체계 확립을 위한 국가정책 수립 지원

교육 및 연구 활동을 통한 국가정책 수립 지원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확산을 위하여 권역재활병원 및 재활전문병원의 사회복귀 담당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정 개설

현행 비급여 재활치료서비스의 수가화 기반 마련을 위한 표준 서비스 안 개발- 성재활 언어치료 운동 처방middot상담middot교육- 사회적응훈련치료 사회복귀훈련- 가족상담 보호자교육 환자교육 질병교육

- 58 -

나 서울시 중심 지역사회복귀 지원사업 수행을 통한 확산 모형 개발

직접 포괄적 서비스 제공- 입원재활치료 퇴원 전 사정 외래재활치료 직업훈련 및 사회적응프로그램 지역

사회 자원 확보 및 연계-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서울시 거점보건소와 함께 하는 시범사업 진행 검토

사업모형 확산- 개발된 모형을 권역재활병원 및 거점보건소 등으로 확산 모색

도시형 보건지소를 사회복귀지원프로그램의 지역거점으로 활용- 현재 정부 지원 도시보건지소 5개소 중 일부에서 방문재활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

는 것과 별도로 lsquo서울형 보건지소rsquo를 향후 약 50개소 추가 건립예정임- 보건지소의 역할 중 방문 재활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으나 역할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국립재활원에서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도시형 보건지소의 역할 수립 및 지역 사회 복귀 거점 기관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함

다 사회복귀지원 사업의 효과22)

한국 중증장애인 재활의료이용 현황

2006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로 신규 등록한 장애인의 2005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22) 이 절의 내용은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실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10

참조

- 59 -

진료비 청구내역 자료를 전수 분석하였음

지체장애로 입원한 중증환자의 총재원기간은 578일이었음 지체장애 중 중증이라고 볼 수 있는 척수손상의 경우 미국23)은 2001년 기준 재원기간이 14일로 나타났고 호주24)는 2006년 기준 331일로 나타났음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우리나라의 재원기간이 외국에 비해서는 긴 것으로 나타남

최초입원기간 동안에 소요되는 진료비용은 전체는 약 243만 원 정도가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증의 경우 614만 원 정도가 소요됨 최초입원 에피소드에서 입원횟수는 전체 15회 중증 25회로 장애의 정도가 심한 경우 재원기간도 길어 반복적인 입퇴원이 늘어나는 것으로 판단됨 입원 간격은 전체 139일 중증 113일이었고 건당 재원일은 전체 139일 중증장애 234일로 나타남 중증 장애에서 건당 재원기간도 길고 퇴원 후 입원하는 간격이 짧은 것을 알 수 있음

중증도 환자 수 총재원기간

총진료비용

총입원횟수

입원간격

건당재원일

전체 17345 198 2427985 15 139 139중증 696 578 6144615 25 113 234경증 16649 183 2272614 14 141 135

표 10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지체장애)

(단위 명 일 원 회)

뇌병변장애의 경우 총재원기간이 평균 1008일로 지체장애에 비해 긴 것으로 나타남 특히 중증장애의 총재원기간은 평균 1382일로 4달 이상을 최초입원기간 동안 입원해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이와 같은 결과는 외국과 비교하였을 때 매우 긴 것으로 뇌졸중의 경우 미국25)은 2001년 기준 16일 호주26)는 2006년 기준 280일로 우리나라에 비해 매우 짧은 것으로 나타남

한편 뇌병변장애 최초입원에 들어가는 총진료비용은 전체 1076만원 중증

23) Ottenbager et al Trends in length of stay living setting functional outcome and mortality following

medical rehabilitation JAMA 2004 292(14) 1687-1695

24) Simmonds and Stevermuer The AROC annual report the state of rehabilitation in Australia 2008

Australian Health Review 2008 32(1) 85-110

25) Ottenbager et al Trends in length of stay living setting functional outcome and mortality following

medical rehabilitation JAMA 2004 292(14) 1687-1695

26) Simmonds and Stevermuer The AROC annual report the state of rehabilitation in Australia 2008

Australian Health Review 2008 32(1) 85-110

- 60 -

1451만원으로 초기치료비용이 상당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총 입원횟수는 전체 28회 중증장애 34회였고 최초입원 에피소드 중 입원간격은 전체 76일 중증 71일로 지체장애에 비해 짧았음 한번 입원한 경우 재원기간은 전체는 394일 중증장애는 491일이었음

중증도 환자 수 총재원기간

총진료비용

총입원횟수

입원간격

건당재원일

전체 7325 1008 10760785 28 76 394중증 4430 1382 14507511 34 71 491경증 2895 436 5027454 2 87 245

표 11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뇌병변장애)

(단위 명 일 원 회)

한편 지체장애의 경우 전체 17345명 가운데 9128명이 재입원하여 526의 재입원률을 보임 이 가운데 중증장애 환자는 629가 재입원하였음 척수손상의 경우 미국27)에서 2년 재입원률은 326 10년 재입원률은 52로 나타남 호주28)의 경우 척수손상 환자의 10년 재입원률을 586로 보고하였음 이와 같은 결과와 비교하여 볼 때 우리나라의 재입원률이 외국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재입원 환자의 총재원기간은 전체 179일 중증장애 703일이었음 총진료비용은 전체 159만원 중증장애 643만원이었고 총입원횟수는 전체 19회 중증장애 47회로 중증장애 환자가 재입원횟수가 더 많음을 알 수 있음 재입원 간당 입원일수는 전체 57일 중증장애 168일로 나타남

27) Dersett amp Geraghty Health-related outcomes of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a 10 year

longitudinal study Spinal cord 2008 46 386-391

28) Middleton et al Patterns of morbidity and rehospitalisation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Spinal cord

2004 42 359-367

- 61 -

중증도 환자 수(재입원률)

총재원기간

총진료비용

총입원횟수 입원간격 건당

재원일

전체 9128(526) 179 1588881 19 42 57

중증 438(629) 703 6427675 47 527 168

경증 8690(522) 157 1386598 18 416 52

표 12 재입원 의료이용 현황(지체장애)

(단위 명 일 원 회)

뇌병변장애 환자 7325명 중 뇌병변장애 관련 합병증으로 재입원한 환자는 총 3575명으로 이는 전체의 488를 차지함 중증장애의 경우 553의 재입원률을 보여 지체장애와 마찬가지로 중증에서 높은 재입원률을 보임 미국의 연구들29)30)에 따르면 뇌졸중 환자의 1년 재입원률은 1998-2000년 사이에는 37-47 2000-2001년 사이에는 311로 나왔는데 우리나라와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의 재입원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재입원 환자의 총재원기간은 전체 722일 중증장애 1040일이었음 총진료비용은 전체 546만원 중증장애 789만원이었고 총입원횟수는 전체 25회 중증장애 31회로 중증장애 환자들이 비용도 많이 들고 입원횟수 및 기간도 긺을 알 수 있음 건당 재원일은 전체 222일 중증장애 317일로 나타남

중증도 환자 수(재입원률)

총재원기간

총진료비용

총입원횟수 입원간격 건당

재원일

전체 3575(488) 722 5460980 25 288 222

중증 2451(553) 104 7889880 31 317 317

경증 1124(388) 235 1744217 16 244 76

표 13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뇌병변장애)

(단위 명 일 원 회)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의 반복적인 입퇴원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첫 입원시점부터 3년까지의 입원양상을 분석함 각 환자의 최초입원 시점을 0일로 하고

29) Smith et al Rehospitalization and survival for survival for stroke patients in managed care and

traditional medicare plans Med care 2005 43(9) 902-910

30) Jia et al Multiple system utilization and mortality for veterans with stroke Stroke 2007 38

355-360

- 62 -

3년까지 매일 입원상태를 파악하여 모든 환자의 입퇴원 양상을 파악함

분석결과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 모두 반복적으로 입퇴원하는 양상을 보임 지체장애의 경우 17000여명의 환자 가운데 대부분은 입원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았지만 입원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이용하는 500여명은 입퇴원을 반복적으로 하고 있었음 이러한 모습은 중증에서 보다 두드러졌는데 전체 700여명의 환자 가운데 300여명이 반복적인 입퇴원을 하고 있었음 입원기간은 대략 한 달 정도였고 퇴원과 다음 입원 사이에도 약 한 달의 간격이 존재함

- 63 -

뇌병변장애의 경우 이러한 양상이 더욱 두드러졌음 전체 7000여명 가운데 2000여 명 가량이 반복적인 입퇴원을 하고 있었고 중증장애의 경우 전체 4500여명 가운데 1500여명 이상이 반복적인 입퇴원을 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음

이러한 반복적인 입퇴원은 보험료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 현행 건강보험 수가에서는 재활 환자가 입원한지 15일이 경과하였을 경우 10의 보험

- 64 -

료 삭감이 이루어지고 30일 이후에는 15의 보험료 삭감이 이루어짐 그렇기 때문에 재활서비스를 받아야할 필요가 있는 환자일지라도 한 달 정도 입원하면 의료기관에서 퇴원을 시키게 되고 환자는 다시금 재활서비스를 받기위해 동일 의료기관 혹은 다른 의료기관에 재입원할 수밖에 없음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경우 지역사회 복귀가 지연될 우려가 있음

사회복귀지원 사업을 통한 재원기간 감소 효과

재활의료기관에서 부적절한 재활의료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재활 성과가 불충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반복적인 입원 및 의료비용 증가의 문제가 발생함 서비스 강도가 약할 경우 서비스 제공 기간의 길이와 상관없이 추가적인 의료이용량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음

초기 장애발생 직후부터 의료기관에서 환자에게 적극적인 사회복귀지원 사업을 제공한다면 적절한 재활의료서비스 제공을 통해 보다 많은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의료이용 관련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현재의 불안정한 사회복귀 재정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재정기전의 마련이 필요함 이를 위해 적절한 사회복귀프로그램의 부재로 인하여 발생하는 장기입원 사회복귀 지연으로 야기되는 개인적 사회적 비용을 추계하여 이를 근거로 사회복귀 재정 기전을 확립해 나가야 할 것임

2008년 장애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체 및 뇌병변장애인 의료서비스 미치료율이 지체장애 534 뇌병변장애 180로 나타났음 이들 대부분이 치료해도 나을 것 같지 않거나(지체 364 뇌병변 349) 치료해도 효과가 없다(지체 445 뇌병변 309)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 우리나라의 재활의료서비스가 서비스 대상자에 기대에 못 미치는 수준으로 제공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음

한편 반복적인 입퇴원을 줄이기 위해 표준산정일수를 도입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음 국내 다수의 재활의료 전문가들은 표준산정일수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추산된 일수는 180일로 일본의 보수지불사례와 유사하였음

필요하다 필요하지 않다표준산정일수 필요성 760 240

표 14 표준산정일수 필요성

- 65 -

Mean CV Median표준산정일수 추산 180일 019 180일

표 15 필요하다고 응답한 전문가들의 표준산정일수 추산

라 재원 확보 방안

수가화 모색

현재에도 운동치료 재활사회사업(개인력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문) 등은 수가로 인정되는 항목임 이를 기준으로 성재활 언어치료 운동 처방middot상담middot교육 사회적응훈련치료 middot 사회복귀훈련 방문재활 가족상담 보호자교육 환자교육 질병교육 등에 대한 수가화 방안을 모색

재활전문의료기관 인증기관에 재활수가를 별도로 인정하는 방안

가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재활인증 의료기관

현재 근로복지공단이 주관하여 산재보험재활인증 의료기관을 선정하고 다음과 같은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음- 이학요법료 수가(급여항목)의 20 별도 인정- 시범실시 재활수가 29개 항목 추가 인정 18개 비급여 항목 11개 급여항목 기준

완화 적용- 정기 현지조사 면제 및 재활치료 대상자의 전원 지원 등

- 66 -

인증기관에 대한 평가 항목은 다음과 같음

구분 평가기준 평가내용필수항목 재활전문인력의 충족성 인력구성 부문 평가

평가항목

(100점)

시설 및 장비의 적절성 (50점)

시설구비재활치료장비

재활의료서비스제공체계 (50점)

재활전문인력 다직종간 팀 구성 및 활동내역

(25점)

다직종간 팀 구성 여부팀 단위 평가회의 여부

팀 단위 회의록 작성 및 보관여부재활간호서비스 제공여부

보장구 처방검수 제공 체계

질적 서비스의 제공(25점)

입원시 재활치료 계획 수립여부기능상태 평가 및 정기적 재평가 여부

퇴원전 퇴원계획 수립여부재활치료계획에 환자 또는 보호자 교육 및 설명여부

기타항목

(10점)

권고사항

언어치료사(4점) 임상심리사(4점) 여부

산재근로자 상담공간 보유 여부(2점)

표 16 인증기관 평가 항목

추가인정 재활수가 항목은 다음과 같음

비급여 항목 급여적용 요양급여 적용기준 완화 언어전반진단검사 발음 및 발성검사 체온열 검사 보스톤 사물이름 대기검사 장비를 이용한 근력검사 체외충격파치료(근골격계 질환) 기립경사훈련(단순재활치료) 집단운동치료(단순재활치료) 집단상담치료(단순재활치료) 전산화인지재활치료(전문재활치료) 연하재활 기능적전기자극치료(전문재활치료) 증식치료(사지관절부위 및 척추부위 전문재활치

료) 근육내자극술(단순 전문재활치료) 언어치료(전문재활치료) 수기요법(단순재활치료) 수중운동평가 수중운동치료(11 전문재활치료) 수중운동치료(그룹치료 단순재활치료)

나-610-가 신경학적검사 나-661 도수근력검사 너-771 일상생활동작검사 너-772 수지기능검사 너-773 관절가동범위검사 사-105 맛사지치료 사-116 운동치료 사-130 재활기능치료 사-121 풀치료 사-128-나 재활사회사업(사회사업상담)

표 17 추가인정 재활수가 항목

- 67 -

나 보건복지부의 재활전문병원

보건복지부는 환자구성비율 진료량 필수진료과목 의료인력 및 병상 등의 지정기준을 평가하여 2011년 10개 의료기관을 재활전문병원으로 지정하였음- 국립재활원재활병원- 서울재활병원- 파크사이드재활의학병원- 남산병원- 브래덤기념병원- 유성웰니스요양병원- 카이저병원- 러스크분당병원- 행복한병원- 늘봄재활요양병원

현재 보건복지부의 재활전문병원 지정에 따른 인센티브는 3년 간 lsquo보건복지부 지정 전문병원rsquo 명칭을 사용할 수 있는 것뿐임

향후 보건복지부 지정 재활전문병원에 제한적으로 운동치료 재활사회사업(개인력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문) 성재활 언어치료 운동 처방middot상담middot교육 사회적응훈련치료 middot 사회복귀훈련 방문재활 가족상담 보호자교육 환자교육 질병교육 등에 대한 수가를 별도로 인정하는 방안을 모색

이와 더불어 현재도 인정되고 있는 수가들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현실에 맞게 조정하고 정리하는 것이 필요함

공익기금 활용

가 교통사고 및 보험 관련

미국 버지니아 주 Community rehabilitation program 재정의 15는 CNI trust fund (운전면허취소자가 면허 재취득시 내는 요금)으로 부담함

한국에서도 교통범칙금 일부를 활용할 수 있을 것임- 현재 한국의 자동차교통관리개선특별회계법에는 교통범칙금의 이용에 관한 별도의

규정이 없어 교통범칙금의 20sim25 정도만이 교통관련 예산으로 사용되고 나머지는 일반회계에 편입되면서 대부분 교통과는 무관한 데 사용돼 왔음

- 68 -

또한 민간 보험업체들도 각각 사회공헌기금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이 기금을 활용하는 방안도 모색될 수 있음- 2011년 11월 손해보험협회는 약 200억 원의 기금 조성 계획을 밝혔음 - 생명보험사가 소속된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는 2011년 약 274억 원의 사회공헌

재원을 조성하여 기금을 조성하여 희귀난치성 질환자 지원 자살예방 지원 저소득 치매노인 지원 저출산 해소 및 미숙아 지원 사회적 의인 지원 금융보험교육 및 학술연구활동 지원 사회공익 및 복지활동 소비자 권익증진 기타 대국민 복지 지원 등에 사용해왔음

나 음주 관련

한국 음주문화연구센터는 주류 및 주정 회사가 주류 소비자의 보호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위하여 출연한 재원으로 운영되며 알코올상담센터 등의 활동을 수행함

주류 건강증진부담금 부과된다면 그 일부를 활용할 수 있을 것임

다 담배부담금 일부 활용

국민건강증진법 제25조(기금의 사용등)에 의하면 ldquo보건복지부장관은 기금을 제1항 각호의 사업에 사용함에 있어서 아동middot청소년middot여성middot노인middot장애인 등에 대하여 특별히 배려middot지원할 수 있다rdquo고 규정되어 있음

이러한 규정을 활용하여 담배부담금 일부를 활용할 수 있을 것임

요약 및 소결

다양한 사회복귀 프로그램 중 국립재활원이 중점적으로 추구해야 하는 사업은 병원 기반 사회복귀 지원체계임 - 병원 기반 사회복귀 지원체계는 환자 입원 후 사례관리회의 때부터 시작하여 맞

춤형 사회복귀프로그램 제공 퇴원 전 사정회의와 지역사회 자원 연계 사후관리로 이어지는 일련의 프로그램들임

- 병원 기반 사회복귀 프로그램은 일상생활훈련(실생활 훈련)을 비롯하여 운전교육 컴퓨터 교육 학업(직장) 복귀지원 주택개조 정보 제공 및 연계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멘토링(동료상담) 프로그램 정서적 지원 성재활 지역사회자원 연계 가족지지상담 및 프로그램 법률지원서비스 독립생활체험 활동보조인 이용체험 보조기 평가 및 대여이용체험 등으로 구성됨

- 69 -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 방안 모색을 위해 기존 연구 및 타 기관 사례를 검토하고 현재 국립재활원 사회복귀 지원 현황을 검토하였음 - 그간 국립재활원에서 수행해 온 사회복귀프로그램은 주간재활센터프로그램 등으로

일상생활훈련 운전교육 직업 및 학업복귀 사회참여활동 및 지역자원 연계 독립생활체험 재활스포츠 활동 성재활 상담 음악치료 치료레크리에이션 실생활재활치료 가족프로그램 등의 사업을 수행하였음

- 조직개편 이후 신설된 사회복귀지원과에서도 일상생활훈련 의료지원 및 상담 정보제공 운동 운전교욱 사회체험 직업적응 취미활동 등의 사업을 수행해왔음

- 국내 일부 재활병원과 산재병원에서도 유사한 사회재활프로그램과 환자 및 보호자 지원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음

-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는 병원 연구소 학원 훈련센터로 구성되어 있어서 연구-재활치료-교육-사회복귀가 모두 한 공간에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성이 있음 그 외 미국 및 호주 재활병원의 사회복귀지원프로그램들을 검토하였음

이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지원 전략은 다음과 같음- 재활의료 전달체계 및 사회복귀 연계체계 확립을 위한 국가정책 수립 지원으로

교육 및 연구 활동과 성재활 운동처방 등 현행 비급여 재활치료서비스의 수가화 기반 마련을 위한 표준 서비스 안을 개발함

- 서울시 중심 지역사회복귀 지원사업 수행을 통한 확산 모형 개발로 입원재활치료 퇴원 전 사정 외래재활치료 직업훈련 및 사회적응프로그램 지역사회 자원 확보 및 연계직접 포괄적 서비스 제공하면서 개발된 모형을 권역재활병원 및 거점보건소 등으로 확산시킴

- 사회복귀 지원을 통해 부적저한 재활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발생하는 불충분한 재활 성과와 반복적인 입원 및 의료비용의 증가문제를 줄일 수 있음

- 초기 장애발생 직후부터 의료기관에서 환자에게 적극적인 사회복귀지원 사업을 제공한다면 적절한 재활의료서비스 제공을 통해 보다 많은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의료이용 관련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사회복귀 지원 사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재원 확보 방안은 다음의 방법들을 고려할 수 있음- 현재 수가로 인정받는 운동치료 재활사회사업(개인력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

문) 등을 기준으로 성재활 언어치료 운동 처방middot상담middot교육 사회적응훈련치료 middot 사회복귀훈련 방문재활 가족상담 보호자교육 환자교육 질병교육 등에 대한 수가화 방안을 모색

-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재활인증 의료기관 수가 지원을 참고하여 보건복지부의 재활전문병원 지정에 따른 인센티브로서 별도 수가 인정 방안 모색

- 70 -

- 교통범칙금 민간 보험업체들의 사회공헌기금 등 교통사고 및 보험관련 기금들을 활용하는 방안 모색

- 담배 및 주류로 인한 건강증진부담금 일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

- 71 -

제4장 (가칭)장애인재활교육훈련시설(체육관) 운영 방안

개요

국제연합(UN)에 의하면 21세기의 특징은 아래와 같음 - 첫째 인구지진(Age-quake)으로 저출산고령화라는 인구학적 변화가 사회 경제

문화는 물론 보건의료체계에 개혁적인 변화를 요구- 둘째 만성 비전염성 질환 증가로 건강관리 체계를 기존 치료(cure)에서 관리

(care)로의 변화를 요구

이를 종합해 보면 현 시대는 인구수는 증가하지 않으면서 평균 수명은 증가하고 각 종 만성 퇴행성 질환으로 건강 수명(Disability-adjusted life expectancy)은 오히려 감소하는 시대적 특징을 대변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음

따라서 21세기를 사는 현대인들은 인간의 꿈이라 할 수 있는 건강 장수를 위해 건강 수명 증가를 위한 국민 개인의 노력이 필요한 실정임

이에 부응 하여 우리나라에서도 과거 그 어느 때 보다도 많은 사람들이 규칙적 운동(체육 스포츠 포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제로 일상에서 개인의 건강관리를 위해 각 종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음

신체활동을 하는 사람이 다르면 사람마다 신체활동의 목표가 다르듯 운동의 방법 즉 체육 스포츠의 형태 및 활동량도 다를 수 있으며 특히 각종 만성퇴행성 질환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달라야 할 것임

지체 장애 및 뇌병변 장애로 신체 기능의 제한이 있는 장애인들의 경우 재활 치료 외에 본인에게 적합한 운동에 대한 정보를 얻기 힘든 것이 현재 실정임

노령 인구 뿐 아니라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경우 심장마비(심근 경색 심정지) 및 각 종 근골격계 손상(염좌 낙상 골절 등)이 더 쉽게 발생 할 수 있어 이에 대한 방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

그러므로 고령화가 지속되고 만성질환 유병률이 증가되고 있는 시대적 상황에서 건강 수명 증가를 목적으로 체육 및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람들(일정 수준의 만성질환 위험인자 보유자 및 질환자)은 기본적으로 본인의

- 72 -

건강도(medical condition)와 기능적 능력(functional abilties) 들이 평가된 후 실행가능성(feasibilty)과 효과성(efficacy)이 검증된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함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중에 안정 시에 나타나지 않았던 내재된 심혈관계 관련 이상 증상 및 징후를 조기발견하거나 추적관찰하는 것도 안전하고 지속적인 프로그램 참여를 위해 필요함

따라서 국립재활원 장애인 건강증진센터에서는 원내 입원한 환자들 및 지역사회 장애인(만성질환 위험인자 보유자 및 질환자 장애인)을 대상으로 개인별 운동 목적에 부합되는 운동 프로그램을 체계적이고 개별적으로 처방 및 지도관리하기 위해 운동 처방 시스템을 운영하고자 함

필요성 및 현황

가 필요성

현재 우리나라의 평균수명은 786세인 반면 건강수명은 686세로 평균 수명은 과거 그 어느 때보다도 증가되었으나 건강 수명은 평균 수명 보다 무려 10여년이나 짧게 나타나고 있음(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31)

이는 국가의 의료비 부담은 물론 국민의 삶의 질에 막대한 문제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이와 같은 시대적 특성은 국가는 물론 국민 모두에게 보다 적극적인 대처 방안의 모색을 요구하고 있음

여러 가지 방안 중에서 규칙적인 운동의 실천은 개인의 의료비 절감과 건강 수명 연장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으로 잘 알려져 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국민의 운동 실천율은 선진국 보다 매우 낮은 수준인 341(예 미국 55)로 나타나 있음(보건복지부 2006)32)

건강관리를 위해 일정 수준의 운동을 실천하지 않는 운동 부족으로 인한 비용은 총 건강관리 비용의 약 6를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전 세계적으로 1900만 명의 사망 원인이 되는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또한 운동 부족은 각종 만성 질환(심혈관질환 허혈성 뇌졸중 제 2형 당뇨병 결장암 및 유방암

31) 건강수명의 사회계층간 형평성 및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32) 새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수립 보건복지부 2006

- 73 -

등)의 독립적 주요 위험 인자이며 더불어 비만이나 낙상 및 정신 건강 등의 다른 건강 수준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규칙적인 운동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률을 감소시키고 심혈관 질환 대장암 및 제 2형 당뇨병 고혈압 비만 등을 예방 및 개선시키며 골다공증 예방 및 감소와 그에 따른 골절 위험 감소 요통 통증 완화 등의 근골격계 건강을 유지향상시킴(Astrand PO 등 2003)33)

운동은 심리적 효과(심리적 안녕감 증진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 감소) 고 위험 행위(흡연 음주 약불 복용 건강하지 못한 식이 폭력) 예방 및 조절이라는 효과 또한 갖고 있음 또한 그 어느 건강관리를 위한 중재 방안에서도 얻을 수 없는 건강관리에 가장 중요한 독립적 기능 수행 능력을 유지향상시킬 수 있어 질적 수명 향상에도 효과가 있음

그러므로 고령화 속도 세계 1위이면서 각 종 만성질환 유병률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시대적 특성을 고려해 볼 때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건강관리 방안은 운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스스로 규칙적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음

위와 같은 운동의 중요성에 따라 국립재활원은 건강증진센터를 소외되기 쉬운 장애인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운영하고자 함- 첫째 재활병원 내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용이하여 원내 입원 환자와 지역 사회 장

애인들이 입원초기부터 신체기능 향상을 위한 재활치료와 더불어 심폐기능 등의 기초체력 향상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이 병행가능하게 되어 규칙적인 운동을 위한 동기화를 촉진함

- 둘째 의료진 및 전문 치료사 특수 체육 교사에 의한 운동 프로그램을 처방 및 지속적인 지도를 받음으로써 안전하고 효과적인 체육활동을 가능하게 함

- 셋째 개인의 신체활동 상태 및 진행 사항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실시간으로 운동 정도를 조절하고 관리 할 수 있음

- 넷째 등록된 의료기관에 수집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진료 시 필요한 개인별 건강생활습관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어 의료비 절감과 효과적인 진료서비스를 제공 가능함

- 다섯째 국립재활체육센터에서도 개인별 자료를 확인 할 수 있으므로 체육 지도자 및 개인이 보다 안전하고 목적에 부합되는 운동을 할 수 있어 참여자들이 개인의

33) Metabolism during Exercise ndash Energy Expenditure and Hormonal Change Astrand PO Michael

Kjaer Michael Krogsgaard Peter Magnusson Lars Engebretsen etc 2003

- 74 -

건강관리에 대한 안정감과 자신감을 갖고 동시에 일상에서 웰빙감과 개선된 삶의 질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질적 수명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

나 운영 목적

장애인 건강 증진 센터에 등록된 장애인들에게 개인별 신체병력 자료를 기초로 심폐기능 및 지구력 등의 운동 기능 검사 및 건강 체력 수준을 평가하여 이를 기반으로 과학적으로 검증되고 수요자에게 안전하고 선호하는 실행 가능하고 효과성 있는 운동 프로그램을 처방하여 퇴원이후에 자가 건강관리가 가능하도록 함

일정 기간(3~6 개월) 재활체육을 처방 및 지도하여 운동 프로그램을 경험한 참여자에게 스스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을 지속적으로 유지 및 관리하도록 함

다 현황

일반현황

장애인을 위한 체육 시설은 전국적으로 22개소로 이는 비장애인 체육시설의 0044 수준임

일반체육 시설 내 장애인 활용을 위한 편의시설이 미흡하며 프로그램도 부재함

시설 운영비 문제로 장애인 체육시설 조차 장애인 이용 극도로 제한적임

한계점

일반 체육시설에 있어 장애인 이용 편의 설비 규정 부재 체육시설의 설치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관련 항목 부재

장애인 체육시설의 경우 예산 부족을 이유로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수익사업에 치중

시설 내 장애인체육 프로그램 비활성화

- 75 -

국립재활원 건강증진센터 운영 현황 년 월

병원동 신관 2층 심폐재활실에서 운영

운동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 보유

장 비 명 용 도 수 량운동검사기 트레드밀 운동 장비 트레드밀

각력계 (Cybex) 상ㆍ하지용

체간용

심ㆍ폐 지구력 측정 및 평가용

심ㆍ폐 지구력 증진용

근력 측정 및 평가용

2 대

1 대

2 대1 대

표 18 장비 목록

필요시 타 부서 소속의 장비를 임대하여 사용

장 비 명 (소속) 용 도 수 량운동 장비

트레드밀 (연구소) 스텝퍼 (연구소)

Ergometer (신관 병동)체지방 측정기 (검사실)

응급치료장비 (병동) 수동 제세동기 이송용 침대 응급 키트

심ㆍ폐 지구력 증진용

체지방량 측정 및 평가용응급상황 처치용

1대1대3대1대

1대1대1대

표 19 임시 장비 목록

운영 인력은 4인으로 구성

직 위 인 원 업 무 재활의학과 전문의

물리치료사

간호사

2 인

1 인

1 인

운동부하 검사 처방 및 결과 분석개인별 운동 상담개인별 운동 처방

근력 평가 및 운동부하검사 시행심폐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 지도

근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운동 지도체지방 측정

운동 검사 및 운동 지도 보조심폐 소생술 교육 보조

표 20 인력 현황

- 76 -

운영방법

대상자- 입원 환자- 뇌병변 환자 - 고관절 굴근과 신근 및 무릎관절 신근의 근력이 근력등급 3이상- 동적 균형 조절능력이 양호- 보행 동작이 독립적으로 가능 (보조기 사용 여부와 무관)- 인지 기능 양호(간이정신진단 검사 점수gt19)하며 의사소통이 원활한 자 - 운동부하검사의 금기사항이 없는 자 (미국 스포츠 의학회 지침에 의거)

검사 및 처방 시행 운영 방법- 운동 부하 검사 주 2회 (화목 오후)- 한 명의 환자에게 심폐부하검사와 근력 검사를 시행한 후 그 결과를 근거로 운동

처방- 한 주기동안 운동이 가능한 환자 대상- 종합적 체력 단련 방식(circuit training) 총 40분 혹은 60분- 등속성 근력 운동(CYBEX) + 트레드밀 보행 + 에르고미터 (상ㆍ하지) 운동을 통합

하여 한 주기로 만들어 시행

운동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신체병력 상태에 따라 차등 적용

주 2회 (60분회) - 화 목 주 3회 (40분회) - 월 수 금대상자

구성

기간

중위험군 저위험군(비혈관성 뇌병변 질환)

Cybex 15-20분

(8-12회 반복 8-10세트)고정형 자전거 15분

트레드밀 20분

6주 (총 12회)

고위험군(혈관성 뇌병변 질환 위주)

Cybex 15-20분

(8-12회 반복 8-10세트)고정형 자전거 15분 혹은트레드밀 15분 중 택 1

6주 (총 18회)

표 21 운동 프로그램

심폐재활실의 운영 대상- 입원 환자 적용 범위 확대 뇌병변 장애인 척수 손상 장애인 지체 장애인 - 국립재활체육센터 방문자 중 의료진의 일차 면담을 통하여 심폐 기능 평가 및 근

력 평가 등 운동 부하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자

- 77 -

현재 소유 혹은 임대하고 있는 장비만으로는 장애인 개개인의 운동능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추가적인 장비가 필요

이용 목적 업무 필요 장비

심폐 재활실

입원환자의 운동 처방 및 운동 프로그램 운영운동 검사 및 건강 체력 수준 평가

심ㆍ폐 지구력 측정 및 평가 및 근력 측정 모니터링하에 운동 프로그램 운영 국립재활체육센터와 연계

운동검사기 심ㆍ폐 지구력 측정 및 평가용 - 트레드밀 - 정지형 자전거  - 휠체어 트레드밀 악력계 근력 측정 및 평가용(전완) 배근력계근력 측정 및 평가용(체간) 각력계근력 측정 및 평가용(하지) 윗몸일으키기계 근지구력 측정 및 평가용(체간) 팔굽혀펴기계 근지구력 측정 및 평가용(상완) 체지방 측정기 체지방량 측정 및 평가용 체전굴계유연성 측정 및 평가용 평형성 측정기평형성 측정 및 평가용 기타 장비 자동 제세동기 응급 키드 환자 이동용 침대 체중계

표 22 추가 필요 장비

현재 있는 인력이외에 추가적인 인력이 필요- 근력 평가 및 운동 지도 1명- 심폐 기능 검사 및 운동 모니터링 1명

타기관 운영 사례

가 국내 스포츠 센터

상계백병원 심장재활센터

진료과 재활의학과

인력 재활의학과 전문의(1명) 전공의(1명) 간호사(2명) 치료사(1명)- 주중 운동부하 검사와 개별 환자운동은 상시 운영(상주 인원 간호사 1명 치료사

1명)되며 수금(오전)에는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개별 진료 및 상담하고 재활의학과 전공의 1명과 간호사 1명 업무지원

- 진료내용 운동부하 검사 시행 운동처방 개별운동 시행

- 78 -

운영 현황- 검사 혹은 운동 시 발생할 수 있는 응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시

설 구비- 근무 인력의 업무 분담으로 보다 많은 환자의 수용(평가(간호사 1인)와 개별운동

모니터(치료사 1인))- 개별운동 환자를 위한 서비스(개별 운동복과 운동화 비치 탈의실과 샤워실 구비)

타과 환자의 재활프로그램 운영- 의뢰에 따라 운동부하검사 실시 rarr 결과에 맞춘 운동처방 rarr 처방에 따른 개별운동

지도(6주) rarr 6주 후 재평가(환자에 따라 3개월 6개월 1년 후 정기적인 검사 시행)

운동 프로그램 구성- 본격적인 개별운동 전후의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매트에서 환자 스스로 자율운동

으로 시작하여 일반적으로 트레드밀 운동(12분~16분)과 에르고미터(10분~12분)운동으로 이루어지고 소요시간은 준비운동정리운동 포함하여 일회당 대략 40분 정도이고 비용은 2만5천원회

- 운동 중 심박수와 심전도를 모니터할 수 있는 장비를 착용하고 운동시행

서울아산병원 스포츠건강의학센터

- 79 -

정형외과에서 운영

인력 정형외과 전문의 등 스포츠의학 관련 의사(7명) 운동지도사(11명) 간호사(1명)- 병원 내에 검사 및 운동 지도하는 스포츠건강의학센터 병동 내에 관절 수술 전후

의 입원 중인 환자에게 검사와 운동을 시행하는 병동 내 센터 지속적인 운동과 관리를 원하는 외래 환자를 위한 스포츠센터 등으로 운영

- 진료내용 다양한 질환에 맞는 운동부하검사근력균형감각유연성 등 전반적인 체력검사 시행 운동처방 운동지도(병동 내 센터) 및 개별운동(병동 외 스포츠센터) 으로 진행

운영 현황- 응급상황에 대비한 응급의료장비 설치- 근무 인력의 업무 분담으로 보다 많은 환자의 수용(코디네이터(간호사 1인)와 운동

교육 및 개별운동(운동지도사 11인))

개별운동 환자를 위한 서비스(개별운동복과 운동화 비치 탈의실과 샤워실 구비)

환자의뢰에 따라 필요한 검사 실시 rarr 결과에 맞춘 운동처방 rarr 처방에 따른 개별운동지도(1일 지도 2주 1개월 그 이상)

스포츠건강의학센터 내에서는 심박수와 심전도를 모니터할 수 있는 장비 착용 후 운동시행

11로 질환에 맞는 운동방법지도 후 종료하는 경우도 있음(비용- 4만 8천원)

지속적인 운동을 원하는 경우 의사의 처방 하에 스포츠센터에서 자유로이 운동 가능(비용-월 20여 만원)

삼성서울병원 스포츠 의학 센터

진료과 스포츠의학과 심장내과 (심장재활팀과 연계)

인력 스포츠 의학 전문의 운동지도사 간호사

진료내용 건강검진 혹은 심장질환자에 대한 심폐부하검사와 몸통과 팔다리의 근력 및 균형감각유연성 등 전반적인 운동능력평가 시행 스포츠의학 전문의

- 80 -

와의 상담을 거쳐 운동처방을 받은 후 운동지도사의 지도하에 개별 혹은 단체 운동 수행

운영 현황- 응급상황에 대비한 의료인(내과의사 간호사) 배치 및 응급의료장비 설치- 시간별 개별 업무 내용이 나누어짐(일반 환자 심폐능력 평가시간과 심장질환 혹은

타 혈관질환의 평가시간을 다르게 배정)- 심혈관계 환자의 평가 혹은 운동시간에는 심전도와 맥박 텔레모니터링 체계하에

시행- 운동은 스트레칭과 걷기 운동으로 시작하여 트레드밀 싸이클을 시행한 후 마무리

운동- 개별운동복과 운동화 비치 탈의실과 샤워실 구비- 정기적으로 심폐기능 평가 시행 후 전후 비교

고양시 재활스포츠센터

체육관 운영 현황- 운영 201011월~- 연면적 585294(지하 2층 지상 3층) 건축면적 237589

주요시설현황- 3층 관람석- 2층 체육관(97565) 다목적실(123실 9752)- 1층 헬스장(25823) 접수안내실 매점 사무실- 지하1층 수영장 쉼터- 지하2층 기계실 등

운영 인력 총 57명(정규직26 강사31)

구분 센터장 팀장특수체육교사

헬스트레이너

수영교사

사무원

안내원

전기기사

운전기사

탈의실보조

경비 청소 계

정규직 1 3 3 2 8 2 2 2 3 - - 26

강사 - - 4 5 13 2 - - - 4 3 31

표 23 고양시 재활스포츠센터 인력구성

- 81 -

운영 예산 19억원(시 지원 50)

체육장비 보유금액 7억(수영용품 196백만원 포함) 사무용비품 9천5백 일반비품 5천5백 등 별도

운영방법- 운영시간 매일 운영(오전9시 ~ 오후9시)- 이용료 장애인은 비장애인의 50- 운영방식

① 11(강사 장애인) 프로그램 운영 자폐성장애인 뇌병변장애인 ② 그룹지도 지체 및 지적 장애인은 4명에 강사 1인

이용 현황 장애인 50 비장애인 50- 일일평균이용인원(900여명)

일일평균 장애인 이용률 체력단련실 다목적체육관 230명

다양한 장애인 체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재활체육프로그램

구분 프로그램 대 상 시 간 요 일 회 비(원)

체육관

재활농구지적장애 초등부 1030~1200 토

48000지적장애 중ㆍ고등부 0900~1030 토

재활운동 성인 1100~1150 월 수 금 20000

헬스장 재활헬스 성인청소년

0600~2100 월~금20000

0800~1700 토일일입장 월~토 2000

재활체육실

특수체육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A B F반)

1500~1550월 수 560001600~1650

1600~165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청소년성인 1700~1830 월 수 9600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청소년 1700~1750 월 수 5600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

1500~1550화 목 560001600~1650

1700~175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청소년 1630~1800 화 목 96000

표 24 재활 체육 프로그램 목록

- 82 -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무료

- 생활체육프로그램

부산시설공단 한마음스포츠센터

체육관 운영 현황- 운영 20071227~- 연면적 77081(지하 1층 지상 4층)- 주요시설현황

① 4층 조깅트랙(130m) ② 3층 체육관(배드민턴 농구대 배구대 샤워실) ③ 2층 헬스장 ④ 1층 수영장 에어로빅실 안내데스크 관리사무실 휠체어 무상수리센터 ⑤ 지하1층 주차장

운영인력은 총 59명(정규직8 무기계약직13 강사38)으로 세부인원은 아래와 같음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성인 1800~1930 화 목 9600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 주1회 2800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청소년 주2회 56000

특수체육(인라인스케이트)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아동청소년

1500~1600

금 400001600~1700

1700~1800

특수체육(태권도) 지적장애 청소년성인 1300~1400 화 금 80000

프로그램 대 상 시 간 요 일 회 비탁구 장애인 1100~1800 월 수 금

상담 후 결정

휠체어 럭비지체성인

1300~1600 화 목죄식 배구 1500~1800 일

휠체어 댄스스포츠 1800~2000 월휠체어 농구 지체성인(여자) 1700~2000 수 금

농구 지적성인 1000~1200 화 목청각장애성인 1000~1200 수

보치아 뇌병변 청소년성인 1300~1500 수1300~1500 금

골볼 시각장애성인 1500~1700 금

표 25 생활체육프로그램 목록

- 83 -

① 정규직(8) 파트장 행정3 시설4 ② 무기계약직(13) 안내4 트레이너 9 ③ 강사(38) 체육관 27 수영11

수입금 실적현황 1065백만원(입장료 1053백만원 시설사용료 11백만원 잡수입 1백만원)

운영시간 및 방식은 아래와 같음- 운영시간 월~토(9시 ~ 22시)- 이용료 장애인은 비장애인의 50

시조례 기준 20년전 기준 유지

- 운영방식 장애인 10명당 강사 2명 기준 운영- 이용 현황 장애인 38 비장애인 62

① 일일평균이용인원(600명) 장애인 240명 비장애인 360명

다양한 장애인 체육프로그램을 운영

프로그램 대 상 교육일 시 간 교육비 장소

건강헬스 청소년 월~토 0600~2200 19250성인 22000

한마음배드민턴교실(A B C D반)

성인(복지카드소지자) 월 수 금

0600~07300730~09001900~20302030~2200

15000

체육관(3층)

휠체어 배드민턴 장애인 화 목 토 1100~1200 13750

어린이체육교실 6세~초등생(발달 지체) 화 목 1400~1500 9200

김동수의 신나는 체육교실

청소년(복지카드소지자) 수 0930~1130 9200

청소년 체육교실(A B반)

청소년(발달 지체)

월수금1600~1700 13750화목금

HㆍM 배드민턴 지적장애(선수양성) 월~금 1600~1800 46000

청소년 인라인교실 청소년(발달 지체) 화 목 1800~1900 20000

탁구(5개반)

청소년 성인(비장애인등록가능) 월~금

0900~10001000~11001100~12001800~19001900~2000

17500(비장애인35000) 탁구

교실한마음탁구 발달ㆍ지적장애 월수금 1500~1600 13750

어린이탁구AB 초등부 월수금 1600~17001700~1800

13750(비장애인 27500)

표 26 부산시설공단 한마음스포츠센터 장애인 프로그램

- 84 -

나 해외 사례 ndash 장애인 스포츠 센터 중심으로

일본 개 시설

- 85 -

도 시 명 시 설 명 시 찰 사 유

오사카(大阪)

마이시마 장애인

스포츠센터

체육관 수영장 호텔 등 운영 타켓 골프rdquo 프로그램 운영 - 실내에서 장애인 및 노약자가 큰 체력소모 없이 유희놀이로 할 수 있음 클럽 및 동호회운영 실내수영장에서는 ldquo스쿠버다이빙rdquo 및 ldquo카누rdquo 프로그램 운영 유도장 및 에어로빅실 평상시는 장애아동 놀이방으로 활용 연회장은 가라오케 기능 겸용 모든 근무자는 유니폼(츄리닝) 착용 인력 운영 - 직원 80명 중 일일 50명씩 교대 근무 - 자원봉사원은 평상시에는 없고 행사시에만 활용 운영비 확보 - 운영비 년간 58억원 - 재 원 전액 오사카 시부 부담 - 수입금 전액 오사카 시에 귀속 오사카 지역민은 무료 타 지역민은 유료

도쿄(東京)

도쿄국립재활원

3만여평의 부지에 각종 시설 완비 노동(장애인고용촉진)+보건(재활병원)+교육 (직업재활시설)+체육(운동시설) 등의 일체화된 종합시설임 체육시설과 연수시설의 연계 프로그램 운영 재활원에서는 스포츠를 다음과 같이 기능면으로 분류하여 활용하고 있음 - 재활체육 신체장애자의 사회복귀를 위한 준비체육 - 일반체육 신체장애의 요소가 있는 자(병원 입원자 포함)를 위한 체육 재활훈련은 단기 1년에서 장기 5년의 기간으로 시행 스포츠동호회 지원은 기록향상보다는 단순 재활활동 지원에 목적이 있음 이용현황은 - 병원 정원 200명 평균 이용자는 일일 160명 - 숙소 정원 550명 평균 이용자는 일일 350명 장애인 또는 장애인시설 종사자 및 연수생 입소 직원현황은 - 정 규 직 320명 - 비정규직 100명 - 기 타 설비보수직 위탁직(청소 조경 등) 숙소 (4인실기준 4층 규모 2개동) - 시설이용료 ¥32000 1개월 단 영세민(후생연금자)는 무료 운영비 - 운영비는 전액 국고로 지원 약 ¥50억 - 수익금은 전액 국고에 귀속 약 ¥10~15억

요코하마(橫浜)

라포르 장애인

스포츠시설

최신 시설이며 규모가 큼 장애인용 극장 및 영상시설에 대한 시설 설비 및 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조사 등록절차 이용 희망자는 상담실에서 체육지도자와 상담하여 운동종 목을 선정한 후 등록카드를 발급 받은 후 이용 이용료 장애인은 무료 일반인은 ¥500 볼링은 장애인 ¥200 일반인 ¥400 추가

- 86 -

독일 개 시설

도 시 명 시 설 명 시 찰 사 유

도이스버그

도이스버그장애인종합시설

제1 체육관 - 플로어 충격흡수장치가 된 ldquo뉴빙빈rdquo 플로어(리놀리움 바닥) - 방음천막을 이용하여 3등분 구분 사용 가능 - 수납식 관중석 설치 - 좌식배구 각종 실내종목 양궁 제2 체육관 - 플로어 휠체어장애인을 위하여 나무 플로어 설치 - 탁구 휠체어 하키 휠체어 농구 일반인도 휠체어종목을 즐기고 있으며 관련 클럽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 노하우에 의하여 지도력을 갖추게 됨 - 유도 매트는 2면이며 시각장애인용 매트를 설치함 숙소 독일 축구협회 소속 시설로서 노드라인팔레스 축구협회에서 시설을 임대하여 독일 장애인체육회가 운영 중임 운영비 자체 수익금과 축구협회 지원금으로 충당

본 독일장애인체육협회

건립 동기 ldquo바이엘rdquo사가 기업 이윤의 사회환원 차원에서 건립 하였으며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음 운영 목적 레버쿠젠 지역의 비장애인 및 장애인 체육 육성 운영 형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사용을 혼용하여 자체 클럽형 태로 운영 대상 경증장애인 400명이 넘는 일반 육상선수 때문에 휠체어 장애인을 위한 종목 (프로그램)은 없음 운영 종목 좌식배구수영육상시각유도 총 4개 종목만 운영함 클럽내 장애인 분과에서는 학교를 통하여 장애인체육선수를 발굴하고 있음 또한 각종 사업비 조달을 위하여 스폰서 발굴에 노력을 경주함

미국

장애인들의 전용시설인 유타 주의 국립 장애인 레저센터(National Ability Center)와 비장애인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딤플 델 체육 레크리에이션 센터(Dimple Dell Fitness and Recreation Center)등이 있음- 장애인레저센터의 명칭에서도 보이는 것과 같이 장애인 전용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장애라는 단어 대신 능력(ability)라는 단어를 쓰고 있음

장애인 레저센터는 주정부가 부지를 기증하고 주 예산 일부와 후원금으로 건립되었음- 장애인들과 보호자를 위하여 스키 수영 카누 승마 등산 등 전문 레저 스포츠와

그룹캠프 연수 등을 실시- 운동에 필요한 모든 장비와 기구는 대부분 후원에 의해 조달됨

34) 정책보고서-장애인 올림픽 유치를 위한 전문체육 육성방안 이광재 2006

- 87 -

- 운영비 또한 대부분 주정부의 지원과 일반인들의 후원금으로 충당되며 이용료는 장애인들과 보호자 모두에게 실비를 받고 있으며 수익 사업을 위해 기숙사 임대 장애인 교육 레저 교육에 사용함

딤플 델 체육 레크레이션 센터는 미국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체육시설임- 수영장 헬스장 사우나 시설 다용도 체육관 놀이시설 등이 갖추어진 상당한 규

모의 센터이며 장애인들의 이용률이 전체 약 5로 낮으나 장애인들이 사용하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이 모든 시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시설을 갖춤

이 센터는 장애인 생활체육 개념을 모토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됨 장애인 레저센터를 통하여 장애인들이 원하는 스포츠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 한편으로는 일반 체육 시설에서도 장애인들의 이용률이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들이 이용하기에 불편함이 없도록 시설을 갖추어 놓았음 이런 예는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미국의 많은 대학 체육시설에서도 찾아볼 수 있음 미국 대학의 체육시설은 장애인 체육시설을 갖추어놓은 곳이 대부분이어서 미국에서 장애인에 관한 체육대회 등을 개최할 때 별다른 문제 없이 대학의 시설을 빌려서 하는 경우가 많음

재활원의 체육 센터도 이와 같이 국립재활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지 않은 장애인이나 기타 장애인 단체 등에게도 개방하여 장애인들이 원하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해나가야 할 것으로 생각함

향후 운영 계획 국립재활체육센터 프로그램과 연계 중심

가 운영 전략

근거-기반(Evidence-based)의 장애인에게 적절한 운동처방 및 재활체육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실행 가능하고 효과적인 운동을 수행

수혜자 중심(Population-centered)의 재활체육 프로그램 공급을 통하여 활동량 증가와 적절한 생활체육으로의 연결

- 88 -

나 운영 목적

국립 재활원은 장애인 체육을 재활치료 재활 체육 장애인 스포츠로 구분하여 지원하고 있음

공급자 장소 운영비 프로그램

재활치료 의사 처방치료사 치료

병원 물리치료실 작업치료실 등

진료비 의료보험 수가 적용

물리치료 작업치료 열전기 치료 등

재활 체육의사 지도 치료사 및 특수체육교사 교육 및 감독

국립 재활 체육 센터

회비발생(의료 수가 적용되지 않음)

단체 운동 체력강화 트레이닝 유산소 운동 근력 강화 운동 유연성 및 순발력 강화 운동

장애인 스포츠

생활 체육장애인 자발적 참여 장애인 체육회 장애인 스포츠 단체

지역 장애인 스포츠 센터 회비 및 참가비

단체운동 유산소 운동 근력 강화 운동 유연성 및 순발력 강화 운동

엘리트 체육 장애인 체육회 장애인 스포츠 단체

장애인 스포츠 훈련원 선수촌 선수 지원금

종목별 장애인 스포츠 선수 양성 지도자 교육 등

표 27 국립재활원 장애인 체육 지원 구분

재활체육35)은 장애인이 지속적이며 자발적으로 체육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의사의 지도를 받아 전문지도자의 지도아래 그룹 체육활동을 통해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인 총체적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돕는 치료 활동임 재활 치료와 생활 체육의 중간단계의 역할을 함으로서 장애인들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체육활동을 수행하여 더나은 삶의 질을 얻을 수 있도록 함

생활체육36)은 건강과 체력의 증진을 통해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는데 목적을 두고 개인의 일상생활 영역 안에서 각자의 취미와 여건에 다라 여가 시간을 이용해 자발적으로 행해지는 신체적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음 장애인 생활체육37)은 장애인이 인간답게 살 수 있는 기본적 권리로서 운동발달을 촉진하고 기능의 유지 및 회복의 단계를 넘어 체력과 건강의 증진은 물론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건강을 증진하며 삶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활동으로 정의됨

국립재활원 입원 환자 및 지역 사회 장애인을 대상으로 기존의 의사 처방 하

35) 최영순 장애인 재활체육 재활간호학회지 제12권 1호 2009

36) 금창용 생활체육활동 참여 노인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석사 논문

2010

37) 노은이 장애인 생활체육 현황과 과제 서울시정개별연구원 2007

- 89 -

에 치료사가 환자의 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 치료와 더불어 운동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병행하고자 함 이를 통해 장애인들 스스로 더 나은 삶을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신체 활동의 시작인 재활 체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장애인 스포츠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함

다 운영 체계

운영 주체 국립재활원 건강증진센터

역할- 운동처방과 관련된 건강 증진 센터 운영 및 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 - 운동처방 관련 상품 및 장비 개발 및 자문- 운동처방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연구 및 자문- 장애인 전용 특수체육인력 양성 및 지속적 보수 교육 담당 - 재활체육 프로그램 적극적 병행-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지역사회 장애인 스포츠와의 연계

운영 부서 - 심폐재활실 국립재활원 병원동 신관 2층 - 생활 체육관 국립재활체육센터 1층- 재활 체육실 I II 국립재활체육센터 1층

- 90 -

국립재활체육센터 인력 배치 프로그램 및 구성 장비

인 력 이용 목적 업무 필요 장비

생활 체육관

특수체육 지도 2-3명

단체 운동

장애인 스포츠-농구 배구 탁구 보치아 피구 배드민턴 등 필요시 장애인 체육회와 연계

농구대 탁구대 배구 코트 기타 농구공 배구공 탁구공 배드민턴 라켓 보치아 공 보치아 표적구 등

재활 체육실 I

운동 지도 4명

체력강화 트레이닝 근력 증진 운동

심폐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 부위별 근력 운동

심폐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 장비 - 트레드밀 - 정지형 자전거 - 휠체어 트레드밀 - 스텝퍼 부위별 근력 운동 장비 - Leg extension - Leg curl - Leg press - Multi hip - Shoulder press - Arm curl - Abdominal Muscle - Back Muscle 체지방 측정기

재활 체육실 II

코디네이터 1명 운동 지도 2명

유연성과 순발력 증진운동 근력 강화 운동

요가 스트레칭 에어로빅 프리웨이트 스텝박스 근력 증진 장애인 건강증진센터 사무 업무 및 상담실 운영

요가 및 스트레칭용 매트 전신 거울 설치 짐볼 스텝박스 아령 테라밴드 슬링 치료 기구 사무용 가구 및 사무 용품

표 28 국립재활체육센터 인력 프로그램 및 장비

심폐재활실 및 재활체육실 주요 업무- 개인별 운동 상담 - 건강 체력 평가- 운동 기능 평가- 심폐 지구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운동 처방 및 운동 지도- 근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운동 처방 및 운동 지도- 장애인 건강 증진 사업 연계 기관 관련자 교육 - 운영자 운동지도 인력 및 사용

자 대상 - 장애인 건강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 개발 사업 - 운동 전 건강 위험도 평가 프로그램 개발 사업

- 91 -

- 장애유형별 운동 지침 개발 및 보급 - 원내외 관련 기관과 연계- 사회복귀지원과와의 연계로 입원 환자의 원활한 사회복귀 촉진 유도- 지역사회재활추진단과의 연계로 지역 보건소에서의 장애인 건강 프로그램 운영 지원- 권역별 재활병원과의 연계로 병원기반 재활체육 프로그램 활성화 지원

운영 흐름도

일차 면담시 평가 내용- 병력건강습관 질문 (건강 병력 질문지)

- 92 -

- 신체적 활동 준비 질문서 (PAR-Q 형식)

- 의학적건강 검진 ACSM risk stratification

운동 프로그램 참여 전 현재의 의학적 검진과 운동 검사 그리고 운동 검사를 위한 의료 감

독에 대한 ACSM의 권고

낮은 위험요소 중등도 위험요소 높은 위험 요소 A

중등도 운동 필요없음 필요없음 권고고강도 운동 필요없음 권고 권고

B최대하 검사 필요없음 필요없음 권고 최대 검사 필요없음 권고 권고

표 29 ACSM 권고

세부적인 운영 내용은 아래와 같음- 운동 전 검사 및 개인별 운동 처방

개인별 신체활동 목적에 부합되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체계적이고 개별적으로 처 방 및 지도관리하기 위해 건강 체력 검사 및 필요한 경우 운동 부하 검사를 시행 함 그 후 심폐 지구력과 근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운동 처방 및 운동 지도

- 건강 증진 운동 교육 과정 운영 장애인 건강 증진 사업 연계 기관 운영자 운동지도 인력 및 사용자를 대상으로985170장 애인건강증진운동교육과정985171을 운영

- 운동 프로그램 개발 사업 각종 장애별(지체장애 뇌병변 장애 등) 생애주기별(어린이청소년 성인 및 노인 대상) 및 건강 체력 요인별(심폐 지구력 강화용 근력 강화용 낙상 예방용) 운동

- 93 -

프로그램 개발 - 각종 설문지 및 기록지 개발 사업

연구 및 자문을 제공 할 목적으로 개인별 운동실태 운동정서 운동 장애 요인을 파악 할 수 있는 설문지를 개발하고 운동처방 내용 건강 체력실태 및 운동 내용 을 확인 할 수 있는 기록지 개발

- 운동 전 건강 위험도 평가 프로그램 개발 사업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 전에 개인별 건강 상태(예 연령 심혈관 및 폐질환 관련 증 상 및 징후 관상동맥 위험인자 수준 진단된 질환 명)를 근거로 운동검사 필요 유 무 확인 운동 강도(중강도 또는 고강도) 적용 시 또는 운동 검사(최대 하 또는 최 대 운동 검사) 시 의료진 및 장애인 체육 전문가의 감독 권장 여부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도록 함 이를통해 본 사업의 대상자 중 각 종 만성 질환을 갖고 있거나 고령 자인 경우 안전성과 운동 프로그램의 참여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

- 장애별 운동 처방 시스템 구축 주요 대상 장애별로 운동처방 원칙을 시스템화 시키고 운동 중 질환별 특성을 고 려한 주요 모니터링 항목을 포함시켜 환자들이 지역사회에서 운동 처방 수 행시 안전성을 높임 운동처방 시스템 구축에 포함 될 구체적인 내용들로는 질환별 운동 금기 조건 질환 정도 및 기간 약물 처방 여부 및 처방 약물 종류 운동 종 류 및 기간에 따른 약불 투여량 조절 방법 합병증 여부 및 정도에 따른 운동 시 주의 사항 운동 검사 시행 여부 운동 형태 및 운동량 등이 있음

- 장애별 운동 매뉴얼 개발 및 보급 주요 대상 장애인을 위한 운동 매뉴얼을 개발하여 환자들이 주민자치센터 피트니 스 센터 및 가정에서 운동을 할 때 운영자 및 운동 지도자 등록된 일반인들에게 운동 매뉴얼을 보급하기 위한 것임 운동 매뉴얼에는 각 질환의 간단한 특성과 운 동 효과 및 운동 방법 운동 시 주의사항 및 응급 상황에서의 대처 요령(예 심폐 소생술 등) 등이 포함

- 지역 장애인 체육회 연계사업 추진 지역 장애인 체육회와 연계하여 장애인 생활체육 교실 등의 공동프로그램을 적극 개최하여 장애인 체육 전문가의 부족을 메울 수 있도록 하여 일상생활에서도 체육 을 즐길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교육이 가능함 필요시 체육관을 대여하거나 지역 체육회의 장애인 체육 센터로의 지정을 통해 부족한 장애인 체육시설을 보충 가능

- 장애인 체육 활동 실태 조사 전반적인 장애인 체육 활동 실태조사를 통하여 퇴원 후 체육 활동 지속율 지역 사 회 체육 프로그램 이용율 체육 활동시 불편 요인 보완되어야 할 프로그램 내용 등을 파악하여 정책적 제안의 기반 및 체육관 운영방안 설정의 기반을 획득

라 기대 효과

근거-기반 운동 프로그램 수혜자 증가 - 의학적 검사와 기능 평가를 근거로 장애인 개인별 맞춤형 운동처방을 통한 지속적

으로 실행 가능 하고 개인 건강 유지에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 제공- 입원 재활치료와 재활체육 사회재활훈련을 병행 실시함에 따라 선진 사회복귀 모

델 제시 가능 장애인의 조기 퇴원 및 조속한 사회복귀에 긍정적 효과 rarr 장기적인 의료비 절감 효과

- 94 -

- 수혜자 중심의 운동 프로그램 공급(공급자가 아닌 수혜자 위주의 운동 형태 및 운동량을 제공함으로써 운동 지속성 증가)

- 장애인의 건강수명 연장-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 - 장애인 체육시설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 마련

재정 확충 방안

장애인 체육시설은 장애인 엘리트 체육시설을 제외하고 생활체육이나 재활체육을 실현할 수 있는 공간은 부족한 실정임

부족한 장애인 체육시설을 확충해 나가기 위해서는 건립 예정인 국립재활원의 체육관이 합리적이고 이상적인 재정 모델을 개발 및 운영하여 점차 전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 이를 위한 방안은 아래와 같음

가 수가화 모색

현재에도 운동치료 재활사회사업(개인력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문) 등은 수가로 인정되는 항목임 이를 기반으로 의료기관 내의 장애인 체육시설 인증을 통하여 인증된 체육시설에서 의사의 처방 혹은 지도로 시행되는 장애인 체육 활동에 대한 수가화를 모색함

나 공익기금 활용

가 국민체육진흥기금

정부 출연금 광고 사업 수입금 골프장 시설 입장료 부가금 복권기금 등에 의해 조성되는 국민체육 진흥기금은 국민체육진흥법 제22조에 따라 사용이 정해짐

22조 10항에 따라 국민체육진흥기금은 대한장애인체육회을 포함한 생활체육 관련 체육단체와 체육 과학 연구 기관의 운영지원 국민체육시설 확충을 위한 사업에 사용될 수 있음 따라서 국민체육진흥기금을 활용하여 장애인 체육시설을 운영가능 할 것임

국민체육진흥공단에 따르면 2013년 장애인체육 육성 기금은 총 464억이며 이중 장애인 생활체육이 83억 장애인 전문체육이 332억 대한장애인체육회 지원이 49억으로 책정되어있으며 구체적 내역은 아래와 같음

- 95 -

장애인 생활 체육 장애인 전문 체육 장애인 생활체육 34 억 장애인전문체육 61 억

장애인 생활체육대회 20 억 장애인 전국체전 시도 지원 19 억장애인활체육지도자배치 24 억 2013 스폐셜올림픽 지원 68 억시도 주최 생활체육대회 4 억 장애인 종합체육시설 건립 및 운영 115 억

장애인 실업팀 창단 지원 8 억2014 인천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지원 61 억

표 30 2013년 장애인체육 육성 기금 예산안

자료원 국민체육진흥공단 홈페이지

따라서 국립재활원의 체육관 및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국민체육진흥공단의 장애인 체육육성 기금의 활용이 가능할 것임

나 스포츠토토 공익기금

스포츠토토 공익기금은 규정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지정 문화 체육 사업 지원이 가능함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지정할 수 있는 체육 사업에 비인기 운동종목 지원 및 문화예술 취약 분야 육성 사업 그 밖에 체육문화예술 진흥을 위하여 특별히 지원이 필요한 사업 등이 가능함

따라서 이런 교정을 활용하여 스포츠토토 공익기금의 일부도 사용가능 할 것임

다 담배부담금 일부 활용

국민건강증진법 제25조(기금의 사용등)에 의하면 ldquo보건복지부장관은 기금을 제1항 각호의 사업에 사용함에 있어서 아동middot청소년middot여성middot노인middot장애인 등에 대하여 특별히 배려middot지원할 수 있다rdquo고 규정되어 있음

이러한 규정을 활용하여 담배부담금 일부를 체육시설 운영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임

요약 및 결론

현재 국립재활원에 있는 이전 체육관 시설이 없어지고 사회복귀를 중시하는 쪽으로 재활의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신설되는 장애인재활교육훈련시설(체육관)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이 필요함- 운영 목적은 장애인 건강 증진 센터에 등록된 장애인들에게 개인별 신체병력 자료

를 기초로 검사를 통하여 일정 기간(3~6개월) 재활체육을 처방 및 지도하여 운동

- 96 -

프로그램을 경험한 참여자에게 스스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을 지속적으로 유지 및 관리하도록 하는 것임

이를 위해 타기관 운영사례들을 검토하였음- 상계백병원 심장재활센터 아산병원 스포츠 건강의학센터 삼성병원 스포츠 의학

센터 고양시 재활스포츠 센터 부산시 한마음스포츠 센터- 일본 미국 독일의 체육관 운영 사례

이를 통해 운영전략을 설정하였음- 근거-기반(Evidence-based)의 장애인에게 적절한 운동처방 및 재활체육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실행 가능하고 효과적인 운동 수행- 수혜자 중심(Population-centered)의 재활체육 프로그램 공급을 통하여 활동량

증가와 적절한 생활체육으로의 연결- 국립재활원 입원 환자 및 지역 사회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기존의 의사 처방 하에

치료사가 환자의 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 치료와 더불어 운동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병행

체육관 시설을 통한 기대효과는 아래와 같음- 학적 검사와 기능 평가를 근거로 장애인 개인별 맞춤형 운동처방을 통한 지속적으

로 실행 가능 하고 개인 건강 유지에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 제공- 입원 재활치료와 재활체육 사회재활훈련을 병행 실시함에 따라 선진 사회복귀 모

델 제시 가능 장애인의 조기 퇴원 및 조속한 사회복귀에 긍정적 효과 rarr 장기적인 의료비 절감 효과

- 수혜자 중심의 운동 프로그램 공급(공급자가 아닌 수혜자 위주의 운동 형태 및 운동량을 제공함으로써 운동 지속성 증가)

- 장애인의 건강수명 연장-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 - 장애인 체육시설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 마련

부족한 장애인 체육시설을 효과적으로 확충시키기 위해서는 현재 시행하려는 국립재활원의 체육관이 장애인 체육시설의 효과적인 재정 운영 방안 모델을 수립 운영하여 전국으로 모델을 퍼뜨릴 수 있도록 해야함 이를 위한 방안은 아래와 같음- 장애인 체육시설 인증을 통한 재활 체육의 수가화를 모색- 국민체육진흥기금 스포츠토토 공익기금 등의 공익기금들을 활용하는 방안 모색- 담배 등으로 인한 건강증진부담금 일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

- 97 -

제5장 재활교육체계 구축 방안

국립재활원 교육현황

가 국립재활원 교육 체계

현재 국립재활원은 총무과 장애인운전지원과 교육홍보과 등 3개 과 재활병원부 내에 15개 과 그리고 재활연구소 내에 3개 과로 구성되어 있음

이 중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부서는 총무과 간호과 교육홍보과 사회복귀지원과 공공재활의료지원과 장애인운전지원과 등 6개 과와 재활연구소임

나 2012년 국립재활원 교육현황 조사

조사 대상

2012년 동안 내부 직원 혹은 외부 인력에 대한 재활교육을 수행해왔던 총무과 간호과 교육홍보과 사회복귀지원과 공공재활의료지원과 장애인운전지

- 98 -

원과 등 6개 과와 재활연구소를 조사 대상으로 하였음

QI실은 과정 내용이 본 연구의 범위에서 벗어났고 장애예방사업은 대국민 교육을 중심으로 하고 있기에 조사 대상에서 제외하였음

공공재활의료지원과는 교육과정만 제공하고 프로그램은 제공하지 않았음

조사 내용

조사 내용은 2012년 동안 해당 과 혹은 연구소가 내부 직원 혹은 외부 직원을 대상으로 수행한 교육들의 다음과 같은 내용들임- 교육과정- 교육프로그램- 연간교육경험자(재활원 내외)- 직종별 교육경험자- 유료교육 여부- 법적 보수교육 인정여부- 교육과정 단계 여부- 연간 교육횟수- 강사구성- 연간 총 소요예산- 국립재활원 외부지원 예산

교육과정 및 교육프로그램은 진행 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분류하였음- 공공재활(정책)-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인원 측면에서 연간 교육경험자는 교육과정별 참석인원에 교육횟수를 곱한 연인원으로 계산하였고 직종별 교육경험자 수 중 의사는 정규직 전공의 공중보건의사를 포함한 것임

교육프로그램을 수행한 경우 커리큘럼을 별도로 제공 받았음

- 99 -

조사 결과

가 일반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총 교육과정은 27과정이었고 총 프로그램 수는 138 프로그램이었음 그리고 총 교육시간(순환 교육과정의 경우 횟수를 곱하여 산출함)은 467시간이었음

교육내용별로는 사회복귀 임상재활 분야가 전체 교육시간의 81를 차지하고 있음

2012년 조사 시점까지 총 교육경험자 수는 4667명으로 내부 직원이 2732명이었고 외부 인력이 1935명이었음

2012년 조사 시점까지 총 소요 예산은 124억 원이었음

나 부서별 교육과정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수행된 교육과정은 총 27개였음 교육내용별로 임상재활과 사회복귀 분야가 가장 많았음

교육홍보과에서 수행한 교육과정이 11개로 가장 많았음 교육내용은 사회복귀 임상재활 분야가 많았음 다음으로 공공재활의료지원과에서 수행한 교육과정이 6개였고 임상재활 사회복귀 분야의 내용이 교육되었음

- 100 -

  공공재활(정책)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총무과         5 5

교육홍보과   4 5 2   11간호과   2       2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2     2

연구소   1       1공공재활의료지원   3 2 1   6

총계 0  10 9 3 5 27

표 31 부서별 교육과정 현황

다 부서별 교육 프로그램 현황

각 교육과정별 실제 수행된 교육 프로그램을 기준으로 볼 때 총 138개의 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되었음 임상재활 분야 프로그램이 절반 정도를 차지하였음

부서별로는 교육홍보과에서 주관한 교육 프로그램이 전체 프로그램 중 557를 차지하고 있음 교육홍보과에서 주관한 프로그램은 사회복귀 분야 내용이 가장 많았음

  공공재활(정책)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총무과 5 5

교육홍보과 6 24 31 13 3 77간호과 32 32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10 10

연구소 1 11 2 14공공재활의료지원

총계 7 67 43 13 8 138

표 32 부서별 교육 프로그램 현황

라 부서별 교육시간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수행된 교육시간은 총 467시간이었음 교육내용별로 사회복귀와 임상재활 분야가 많았음

- 101 -

교육홍보과에서 수행한 교육시간이 401시간으로 전체의 859를 차지하고 있음 교육내용은 사회복귀 임상재활 분야가 많았음

  공공재활(정책)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총무과 9 9

교육홍보과 118 203 80 401간호과 32 32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11 11

연구소 14 14공공재활의료지원 0

총계 0 164 214 80 9 467

표 33 부서별 교육 시간 현황

마 부서별 교육대상 인력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교육받은 인력은 연인원 4667명이었음 국립재활원 내부 직원 대상이 585로 외부 인력보다 약간 많았음

부서별로 볼 때 총무과 및 재활연구소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모두 국립재활원 내부 직원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반면 교육홍보과 공공재활의료지원과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모두 외부 인력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재활원 내부 재활원 외부 합계총무과 2221   2221

교육홍보과   1471 1471간호과 98 75 173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12 27 39

연구소 401 4 405공공재활의료지원   358 358

합계 2732 1935 4667

표 34 부서별 교육대상 인력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교육받은 인력 중 직종이 구분된 인원은

- 102 -

연인원 4184명이었음 기타 직종을 제외하면 사회복지사가 1431명으로 가장 많았고 간호사가 747명이었음

직종 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사회복지사 기타직종 합계임상재활 23 305 95 35 371 317 1146사회복귀 0 72 32 2 754 99 959시설운영 0 13 15 4 297 12 341

기타 113 357 0 0 9 1259 1738합계 136 747 142 41 1431 1687 4184

표 35 교육과정 종류별 교육 경험자 직종

교육과정 종류별로 볼 때 임상재활 분야 교육 대상자는 사회복지사가 32 간호사가 27를 차지하고 있었음 사회복귀 분야 및 시설운영 분야 교육 대상자는 사회복지사가 각각 79 8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음

- 103 -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교육받은 인력의 소속기관은 국립재활원이 가장 많았고 외부 인력 중에서는 복지관 및 기타기관이 가장 많았음

부서별로 볼 때 총무과 및 재활연구소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모두 국립재활원 내부 직원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부서별 교육 대상자 중 외부 인력의 소속기관은 다음과 같음 - 교육홍보과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모두 복지관 및 기타기관 소속 인력을 대상으

로 수행되었음 - 공공재활의료지원과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대부분 보건소 및 보건지소 소속 인력

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 간호과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국립재활원과 민간병원 소속 인력을 대상으로 수행

되었음

  국립재활원 보건(지)소 공공병원 민간병원 복지관기타기관 합계총무과 2221         2221

교육홍보과         1471 1471간호과 98     75   173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12       27 39

연구소 401       4 405공공재활의료지원   342     16 358

합계 2732 342 0 75 1518 4667

표 36 부서별 교육 대상자 소속 분류

바 법정 보수교육 인정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수행한 교육과정 중 법정 보수교육으로 인정받는 과정은 총 4개였음 임상재활 분야 2 과정 사회복귀 분야 1 과정 시설운영 분야 1 과정임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인정 2 1 1   4

불인정 5 6 1 5 17

표 37 보수교육 인정 현황

- 104 -

사 연간 교육과정 순환 횟수

대부분의 교육과정은 연간 1회 혹은 2회만 수행되고 있음

아 교육과정 강사 인력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수행한 교육과정 중 내부 강사와 외부 강사는 절반 정도씩 차지하고 있음

교육과정 분야별로 볼 때 임상재활 및 사회복귀 분야는 내부 강사와 외부 강사 비율이 비슷하며 시설운영 분야는 외부 강사가 더 많음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내부강사 35 22 3 4 64외부강사 30 18 12 2 62

표 38 교육과정 강사 인력 현황

- 105 -

자 부서별 주요 교육 내용

부서별 주요 교육 내용은 다음과 같음

  교육 내용

교육홍보과

케어기술(기본) 장애인 성재활 케이기술(심화) 직업재활 고령장애케어 물리작업치료 사례관리(기본) 욕창 재활간호 영유아케어기술 장애행동수정 사례관리(심화)

공공재활지원과

지역사회중심재활 기본실무 방문재활의 실제 노년기 재활을 통한 건강관리 장애아동재활의 핵심파악 노년기 재활을 통한 건강관리 쉽게 따라 하는 재활실무 건강한 일상을 위한 여성 장애인 재활

간호과 재활간호 3일 과정 재활병원에서의 가족 프로그램과 성재활 간호

장애인운전지원과 장애인 운전강사 역량강화 교육 자동차 운전강사 양성교육

재활훈련과(2011)

사회복귀지원과정 복지시설 장애인 자립특성화과정 자립생활실무자과정 보조기구 관리지원교육 민간재활병원 가족교육

표 39 부서별 주요 교육 내용

국립재활원 교육현황 요약 및 문제점

부서별 교육대상 인력은 주로 소속기관별로 구분되고 있음- 간호과 병원 간호사- 교육홍보과 복지관 직원- 공공재활지원과 보건소직원- 사회복귀지원과 장애인 가족 활동보조인 등

- 106 -

단기간의 일회적 교육과정이 많고 장기간 운영되는 체계적 전문교육과정이 미흡함- 교육과정의 기본심화 단계 과정이 부족- 케어기술(기본심화) 사례관리 (기본심화)외 부재- 교육과정 당 시간 1시간~24시간

공공병원 교육참여자가 없음

간호사 사회복지사 외의 직종에 대한 전문교육과정 없음- 물리작업치료사 1과정- 언어재활사 수화통역사 의지보조기기사 점역교정사 등의 교육과정 없음

기타- 이용자가 교육요금을 부담하는 유상 교육이 많음- 법정 보수교육 인정 과정이 적음(간호사 2 과정 및 사회복지사 2과정)- 교육 예산이 부족함

타 기관 교육 현황

가 교육체계

국립암센터는 교육훈련부에서 내부 직원과 외부 인력에 대한 모든 교육 과정 총괄 관리함 실제 교육프로그램은 각 부서별로 이루어지나 교육훈련부에서 과정목표 교육대상 시간 형태 과정운영방향특징 등을 총괄하여 동일한

- 107 -

구성으로 모든 교육과정에 대한 연간 교육 훈련 계획서를 관리하고 실행함

또한 일본국립재활원은 병원 연구소와 같은 위상의 전문교육기관인 대학이 존재함 일본 국립장애인 재활 센터는 대학 병원 연구소 훈련센터 관리부로 구성되어 유기적으로 운영되며 대학을 통해 의료 인력을 위한 교육을 진행하고 있음- 연구-재활치료-교육-사회복귀가 모두 한 공간에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WHO 지정 연구기관임 - 재활에 관한 기술자 양성 및 현재 종사 인력의 기술 향상을 목적으로 교육을 진행

하고 있음

일본국립재활대학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음

1971년 4월 옛 국립 청각 언어 장애 센터에 부속 언어 전문 인력 양성소가 설치되어 첫 언어 전문 인력의 양성 (1년제)가 시작된다

1979년 7월 옛 국립 청각 언어 장애 센터가 신설 국립 장애인 재활 센터에 통합됨에 따라 학원 언어 전문 인력 양성 과정 (1년제)가된다

1979년 9월 언어 전문 인력 양성 과정 업무 개시 연수 업무 시작 1982년 3월 직업 현임 교육을 목적으로 학원 동 및 학원 기숙사 1 호동의 준공 1982년 4월 처음의 의지 보조기 전문 인력 양성 과정 (3년제) 개설 1988년 4월 의지 보조기 사법의 제정 시행에 따라 의족 보조기 전문가 양성소로 후생 대신의 지정을

받는다 1989년 4월 후생 대신 공인 수화 통역사 인증 제도가 발족 수화 통역사 시험이 시작된다 1990년 4월 첫 시각 장애인 생활 훈련 전문 인력 양성 과정 (1년제) 개설 1990년 4월 본방 처음 수화 통역 전문 인력 양성 과정 (1년제) 개설 1991년 4월 본방 처음 개화 체육 전문 인력 양성 과정 (2년제) 개설 1992년 4월 언어 전문 인력 양성 과정의 2년제로 전환 1995년 1월 전수 학교 전문 과정 수료자에 대한 전문사 칭호 부여에 관한 규정에 따라 의족 보조기

전문 인력 양성 과정 수료자 전문사 칭호를 수여 1995년 9월 학원 기숙사 2 호동 준공 1998년 10월 언어 청각 사법의 제정 시행에 따라 언어 청각 전문가 양성소로 후생 대신의 지정을 받

는다 1998년 12월 새로운 양성 연수 동 준공 1999년 4월 전문 인력 양성 과정에서학과 제로 명칭 변경 언어청각학과 의지 보조기학과 시각장애

학과 수화통역학과 재활체육학과 5학과 됨 시각 장애학과의 2 년제로 전환 2001년 4월 수화 통역학과 2년제로 전환 2003년 4월 수화 통역학과의 정원 증가 2008년 10월 명칭을 국립 장애인 재활 센터로 변경 2011년 10월 뇌졸중 재활 간호 인정 간호사 교육 과정 개강 2012년 4월 치치 학원 부속 보호지도 직원 양성소가 조직 통합함으로써 아동 지도원과의 업무 개시

- 108 -

나 재활전문인력 대상 교육 과정

국립암센터 사례

국립암센터의 직종별 전문교육 과정은 의사 간호사 약사 영양사 사회복지사 공무원 암 진료기관 종사자 호스피스 및 재가암환자 관리 인력 등으로 나누어 수행되고 있음

 대상 교육 내용

의사를 위한 전문화 과정(1년 ~ 2년 과정)

혈액종양 내과 전문의 (2명) 대장내시경 소화기내과 외과전문의(3명) 부인종양 산부인과 방사선종양학과 영상의학과 전문의(2명)

간호사 교육 과정 국제장루창상실금 전문간호과정 전문간호분야 실무자 교수(8명 2개월) 종양전문간호과정 전문간호분야 실무자 책임자 교수 등(100명 6개월)

국립암센터의 암에 특화된 직종별 수련체계 과정

전공약사과정(약사면허증 취득자 1년) 전공영양사과정(영양사 면허증취득자 1년) 수련사회복지사과정(사회복지사 면허 취득자 1년)

최고위 과정 보건복지정책 고위과정 국회의원 의료기관 고위관리자 대상

공무원 대상 교육

암관리사업 관리자과정 시middot도 5급 이상 암관리 사업담당 보건소장 및 5급 이상 관리자

암검진 및 의료비 지원 사업 과정 보건복지부 보건(지)소 직원 6~9급 재가암환자관리과정(이론과정실무과정) 보건(지)소 방문간호 담당 6~9

급 완화 의료 전문기관 가정간호 담당자 지역암센터 암등록

진료기관 종사자 대상 교육 지역암센터 실무과정 지역암센터 암관리사업담당자 암등록의무기록사과정 암환자 진료 의료기관 지역암센터 근무자 등

호스피스 및 재가암환자 관리 인력 교육

말기암 및 재가암환자 관리사업전문인력 양성 호스피스 middot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실무 간호사

호스피스전문과정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 종사자

표 40 국립 암센터 교육과정

공공기관 근무자 대상 교육과정은 국립암센터뿐만 아니라 국립중앙의료원에서도 수행되고 있음

- 109 -

 대상 교육 내용

최고위 과정

국립암센터 보건복지정책고위 과정 국회의원 의료기관 고위관리자 대상 국립중앙의료원 응급의료 최고위정책 과정 보건복지부 공무원 의료진

대상 국립중앙의료원 공공간호 최고지도자 과정 보건복지부 관계자 공공의료

관련 연구진 간호사

지역암센터공공병원 대상 교육 과정

국립암센터의 지역암센터 실무과정 시 middot 도 및 지역암센터 암 관리 사업 담당자 등 80명

국립중앙의료원 춘계 공공의료아카데미 전국 국공립병원 부서장 실무자

표 41 국립중앙의료원 공공기관 근무자 교육과정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 사례

일본국립장애인재활 센터의 재활전문가 양성과정은 6종류의 직종에 대해 운영됨 각 대상 직종별로 언어청각학과 의지middot보장구학과 시각장애학과 수화통역학과 재활체육학과 아동지도원과와 같은 학과로 구성됨

이 중 언어청각학과 의지middot보장구학과 시각장애학과 수화통역학과 재활체육학과는 교육법에 의거하여 설립 운영됨 교육과정은 학과에 따라 1-3년 과정으로 운영되고 있음

이는 우리나라의 장애인복지 전문인력 중 수화통역사 언어재활사 의지보장구기사와 직종이 겹침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의 시각장애학과는 우리나라의 점역middot교정사 보다 넓은 개념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함

이 중 의지보장구학과를 졸업할 경우 전문사(전문대학사)자격을 취득할 수 있으며 언어재활학과와 의지보장구학과를 졸업하면 국가자격 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받음

수화통역사의 경우 후생성 장관이 인정하는 민간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음

이 외에 일본간호사협회가 지정하는 뇌졸중전문간호사 지정 교육기관으로 뇌졸중 전문간호사 과정을 운영함

- 110 -

각 과정의 직종 및 기관 입학 조건은 아래와 같음

학과명 설치년도 정원 입학 자격 과정

언어청각학과 1972 60 학교 교육법 제 102 조 제 1 항 본문의 규정에 따라 대학원에 입학 할 수 있는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2년

의지middot보장구학과 1983 30 학교 교육법 제 90 조제 1 항의 규정에 의하여 대학에 입학 할 수있는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3년

시각장애학과 1990 40 학교 교육법 제 102 조 제 1 항 본문의 규정에 따라 대학원에 입학 할 수 있는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2년

수화통역학과 1990 60학교 교육법 제 90 조제 1 항의 규정에 의하여 대학에 입학 할 수 있고 또한 20 세 이상의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2년

재활체육학과 1991 40

① 교육 직원 면허 법에 의한 보건 체육 고등학교 교사 면허증 또는 일종의 면허증을 가진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② ①과 동등 이상의 자격을 가진 자 총장이 인정한 것으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2년

아동지도원과 1963 40

학교 교육법 제 102 조 제 1 항 본문의 규정에 따라 대학원에 입학 할 수있는 자 또는 아동 복지법 제 18 조의 6에 따라 보육사 자격을 가진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1년

표 42 일본 국립장애인 재활센터 직종별 입학 조건

언어청각학과는 2년간 2340시간을 이수해야 졸업할 수 있으며 졸업 시 국가시험 응시자격을 획득함 언어청각사가 국가자격으로 도입되기 전 전국에서 처음으로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음

현재 전국의 여러 전문학교 대학교에서 학과가 개설되어 인력을 양성하고 있음 일본 장애인재활센터의 경우 학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며 국가시험자격이 부여되어 경쟁률이 상당히 높은 편임

의지middot보장구학과는 3년간 3315시간을 이수해야 졸업할 수 있으며 졸업 시 전문사 자격과 함께 국가시험 응시 자격을 획득함 의지보조기사가 국가자격으로 도입되기 전 학과가 설치되어 교육 진행함

현재 일본 내 의지보조기 인력양성은 3개의 대학과 7개의 전문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음 언어청각학과와 마찬가지로 학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양질

- 111 -

의 교육을 제공하며 국가시험 자격이 부여되어 경쟁률이 높음

수화통역학과는 2년간 2400시간을 이수해야 졸업 할 수 있으며 졸업 시 후생성 장관이 인정하는 민간 자격 시험에 응시할 수 있음(우리나라 역시 수화통역사는 민간자격으로 운영되고 있음)

시각장애학과는 2년간 3134시간을 이수해야 졸업 할 수 있으며 관련 자격증은 없음 졸업 후 시각장애인 시설 등에 주로 취업함

재활체육학과는 2년간 2385시간을 이수해야 졸업 할 수 있으며 졸업 시 민간협회자격증(2가지종류)에 응시할 수 있음 졸업 후 장애인스포츠센터나 복지시설등에 취업함

아동지도원과는 1년간 1800시간을 이수해야 졸업 할 수 있으며 다른 학과와 다르게 국립장애인센터 자체적으로 운영함 관련 자격증은 없지만 국가기관 중 아동지도원이 필요한 곳에 인력을 공급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졸업시 임용권을 부여하여 장애아동관련 교직으로 진출할 수 있음

뇌졸중 전문간호사는 일본간호사협회가 인정하는 21개 전문자격증 하나임 뇌졸중 전문간호사는 일본간호사협회가 전국에 지정한 6군데 기관에서 교육을 진행하고 있음 전문간호사 인정은 대학원 졸업자만 가능하며 프로그램 및 커리큘럼 작성시 일본간호협회의 확인을 받아야 함

- 112 -

다 내부 직원 대상 교육과정

국립암센터의 내부 직원 대상 교육은 직종별로 관리직 의사직 연구 의사직 연구직 일반직 등으로 구분되어 있음

또한 교육 목표별로는 공통역량 직무역량 계층역량 자기개발 등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공통역량은 조직 활성화 법정교육 고객만족 역량 등으로 직무역량은 공통 및 세부 직무역량과 사이버연수원으로 세분되어 있음

- 113 -

국립중앙의료원은 내부 직원에 대한 교육으로서 공공의료아카데미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음 - 대상 전문의 간호사 기획 관련부서 실무자 공공보건의료계획 담당부서 실무자

등 국립의료원 구성원 20명- 주요 내용 공공성 공공의료 우수한 적정진료 제공 국가차원의 새로운 공공의료

모색 등- 참여적 워크숍 방식으로 진행(40시간)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관련 법조항

가 재활의학 전문의

의사의 연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의료법 제 30조 제2항 제3항 및 동 시행규칙 제20조 제21조 제23조- 대한의사협회 정관 3조- 대한의사협회 연수교육 시행규칙

의료법에서 의사는 연간 8평점 이상 이수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의사협회의 연수교육 시행규칙에는 연간 12평점의 보수교육을 진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음(20103월 기준) 의사협회 연수교육 시행규칙에서는 연수교육의 시행기관과 교과목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음

- 114 -

대한재활의학회 회칙 4조에서 재활의학에 관한 보수교육 및 재활의학 보급에 관한 사항을 학회의 사업으로 규정하였으나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재활의학 교

연수교육 시행 기관

제5조(연수교육시행기관)각 시middot도의사회

의과대학middot의학전문대학원레지던트수련병원 및 인턴수련병원

학회(단 의학회에 등록된 학회에 한함)기타 교육위원회에서 인정하는 기관 및 단체

교과목

제13조(교과목) ⓵연수교육에 있어서는 가급적 임상교육과 기초교육을 병행해야 하며 10 이내의 의사윤리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⓶연수교육기관은 제1항의 윤리교육 이외에 10이내의 교양과목 의료정책 의료사회학 의료정보학 등을 교육과목으로 개설할 수 있다

평점

제14조(연수교육 인정한계 및 평점)

교육종목 평점 연상한본회 승인 프로그램

1)강 좌 1시간당1평점 -2)실 습 1시간당1평점 -

3)시청각(비디오 슬라이드) 1시간당1평점 - 4)대한의사협회지 자율학습 1시간당1평점 3

5)위크숍 1시간당1평점 - 6)심포지엄 1시간당1평점 -

2 국내외 학술대회 및 본회 종합학술대회

1강좌당 1평점을 원칙으로 하되 교육위원장이

별도로 정한 사항은 예외로 할 수 있다

1일 6평점

3 사이버 연수교육

1강좌당 1평점을 원칙으로 하되 교육위원장이

별도로 정한 사항은 예외로 할 수 있다

5

4의과대학교수 지도전문의 연수교육 강사 1시간당1평점 7

5 논문게재

제1저자 및 교신저자 1편당

5평점제2저자이하1편당

3평점

10

6기타 교육위원장이 인정하는 사항

표 43 연수교육 시행기관과 교과목

- 115 -

육을 반드시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님

나 간호사

간호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의료법 제 30조 제2항 제3항 및 동 시행규칙 제20조 제21조 제23조- 대한간호협회 정관 6조- 대한간호협회 보수교육 시행규정 보수교육지침 온라인보수교육지침

의료법에서 간호사는 연간 8시간 이상 이수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간호협회의 연수교육 시행규정에는 연간 8평점의 보수교육을 진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단 전문간호사38)는 전문간호사를 위한 보수교육을 받아야한다고 규정하고 있음 온라인 오프라인의 교육이 모두 가능하며 오프라인 보수교육 하한 점수는 4평점 온라인 보수교육 하한평점은 4평점임

대한간호협회 보수교육 시행규정 및 교육지침은 다음과 같음

국립재활원에서는 간호부에서는 간호사보수교육으로 인정되는 교육과정 및 재활간호 3일 과정을 진행하고 있음

추후 보건복지부령에 의한 장애인 재활전문간호사 과정 도입 및 교육을 위한 대학원 과정을 생각해 볼 수 있음

38) 보건복지부령인 lsquo전문간호사 자격인정 등에 대한 규칙rsquo에 의해 정의된 전문간호사는 보건복지부장관에 의해

발급되는 자격증으로 보건middot마취middot정신middot가정middot감염관리middot산업middot응급middot노인middot중환자middot호스피스middot종양middot임상 및 아동분야의

전문간호사가 있음 장애인 재활 부분의 전문간호사 자격은 현재 없음

39) 보건간호사회 병원간호사회 마취전문간호사회 보건진료원회 보건교사회 산업간호사회 보험심사간호사회

가정간호사회 정신간호사회 노인간호사회(신설 20104

연수교육 시행 기관

제6조(연수교육실시기관)1 본회의 17개 시middot도 간호사회 및 산하단체39)

2 3 4년제 간호교육기관3 대학의 부속병원4 보수교육 지정기관으로 인정받은 기관

전문간호사 보수교육 실시기관

대한간호협회한국간호평가원전문간호사과정 교육 및 실습기관기타 본회가 인정한 단체 단 전문간호사과정 교육 및 실습기관 또는 본회가 인정한 단체는 해당 전문분야로 한정하여 보수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표 44 대한간호협회 보수교육 시행규정 및 교육 지침

- 116 -

다 물리치료사

물리치료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20조 의료기사등에 대한 법률 시행규칙 18조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서 믈리치료사는 연간 8시간 이상 이수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라 작업치료사

작업치료사의 보수교육 규정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20조 의료기사등에 대한 법률 시행규칙 18조- 대한작업치료사협회 규정 57조 58조 59조 60조 64조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서 작업치료사는 연간 8시간 이상 이수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대한작업치료사협회 규정에는 연간 8평점이상의 보수교육을 진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이중 협회의 보수교육을 3평점 나머지 5평점은 각 지회에 의무이수 평점으로 받아야 함 대한작업치료사협회 규정에는 보수교육의 종류와 교육내용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음

보수교육 종류

제58조(보수교육의 종류)1 지회보수교육 연간 10평점 이상 보수교육 개설2 중앙회보수교육 연간 6평점 이상 보수교육 개설3 대학의 부속병원4 보수교육 지정기관으로 인정받은 기관

보수교육 교육내용제64조(교육내용) 교육내용은 작업치료학의 임상분야에서 실제 활용되고 있는 내용이나 해외 최신 학술정보에 관한 내용 기타 작업치료사로서 갖추어야 할 윤리에 관한 교양강좌(20)로 한다

표 45 대한작업치료사협회 보수교육 종류 및 교육 내용

마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사회복지사업법 13조 2항 동 시행규칙 제 5조-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보수교육 안내(대상자 매뉴얼)

사회복지사업법에서 사회복지법인 또는 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는 정기적으로 인권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 보수교육을 받아야 함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대상자 매뉴얼에서는 연간 8평점(8시간) 이상 이수할 것을 규정함 필수영역은 각 1평점 이상을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함

- 117 -

필수영역 선택영역사회복지 윤리와

가치 사회복지 실천 사회복지 정책과제와 법 사회복지 행정 사회복지

조사연구

표 46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과목

사이버교육은 4평점까지 인정하며 나머지 4평점은 반드시 집합교육을 통해 이수해야함

바 수화통역사

수화통역사는 국가공인 민간자격임 수화통역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자격기본법 제35조(보수교육) 국가자격관리자 및 공인자격관리자는 해당 국가자격

및 공인자격을 취득한 자의 직무능력의 유지middot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보수교육을 실시할 수 있음

- 한국농아인협회 보수교육 내용 규정

한국 농아인 협회에서는 보수교육에 대해 자격을 취득한 날로부터 5년 이내에 50시간 이상의 보수교육을 이수할 것을 규정함 보수교육은 한국 농아인 협회 중앙회교육과 외부기관교육(시도협회 외부유관기관 및 단체)이 있음 이 중 최소 30시간 이상은 중앙회에서 운영하는 교육에 참여해야 함 5년 이내에 50시간의 보수교육을 미이수하였을 경우 자격정지 3회 이상의 자격정지시 자격이 취소됨- 수화 연구의 동행과 언어운용에 관한 내용- 수화 통역 이론의 동향과 과제에 관한 내용- 지역사회 통역의 연습을 중심으로 하는 내용- 상황별 사례발표 및 토의를 중심으로 하는 내용- 청각 장애인 복지 정책과 과제에 관한 내용- 농사회 농문화 관련 내용- 그밖에 관련 내용

유형 세부기준 평점

집합교육-교육정원 80명 이하 1시간1평점-교육정원 80명 초과

이수평점(총 8평점)중 연간 2평점까지 인정가능 4시간1평점

사이버교육 온라인 교육이수평점(총 8평점)중 연간 4평점까지 인정가능 1차시05평점

표 47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규정

- 118 -

사 점역교정사

점역교정사는 국가공인 민간자격임 점역교정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자격기본법 제35조(보수교육) 국가자격관리자 및 공인자격관리자는 해당 국가자격

및 공인자격을 취득한 자의 직무능력의 유지middot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보수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 한국시각장애인협회 점역middot교정사 민간자격관리에 관한 규정 제31조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에서는 자격증의 유효기관을 5년으로 하고 유효기관 내에 1회 이상 보수교육을 이수할 것을 규정하고 있음

아 언어재활사

언어재활사는 국가자격임 언어재활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 시행령 61조 2항

보수교육은 한국언어재활사협회가 실시하며 교육시간은 연간 10시간 이상으로 함

자 의지보조기기사

의지보조기기사 국가자격임 의지보조기기사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 시행령 61조 1항

보수교육은 국립재활원장이 실시하며 교육시간은 2년간 8시간 이상으로 함 국립재활원 교육홍보과에서 실시하고 있음

차 요약 및 문제점

보수교육 규정 요약

이상의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현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 119 -

재활영역

전문인력 보수교육 법령 및 규정 보수교육

시간 보수교육 시행기관 교육과목 및 특징

의료재활인력

의사

의료법 제 30조 제2항 제 3항 및 동 시행규칙 제 20조 제 21조 제 23조대한의사협회 정관 3조대한의사협회 연수교육 시행규칙

8평점 이상년

-중앙회-해당 시middot도 의사회-의과대학 및 대학원-레지던트 교육병원-각 학회 및 지회(단 의학회에 등록된 학회에 한함)-기타 교육 위원회에서 인정하는 기관 및 단체

-임상교육과 기초교육을 병행- 10 이내의 의사윤리교육을 실시 - 윤리교육 외에 10이내의 교양과목 의료정책의료사회학 의료정보학 등을 교육과목으로 개설 가능- 재활의학과목을 이수해야 하는 것 아님

간호사

의료법 제 30조 제2항 제 3항 및 동 시행규칙 제 20조 제 21조 제 23조대한간호협회 정관 6조대한간호협회보수교육 시행규정 보수교육지침 온라인보수교육지침

8평점 이상년

- 지부 및 산화단체보수교육인정기관간호대학(학과)대한간호사협회 사이버교육센터

전문 간호사는 반드시 전문간호사 보수교육을 시행받아야 함오프라인 보수교육 하한은 4평점

물리치료사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제20조 및 동법 시행세칙 제 18조

8평점 이상년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작업치료사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20조 의료기사등에 대한 법률 시행규칙 18조대한작업치료사협회 규정 57조 58조 59조 60조 64조

8시간 이상년 대한작업치료사 협회

-협회 보수교육 3평점-지회보수교육5평점-임상분야에서 실제 활용되고 있는 내용이나 해외 최신 학술정보에 관한 내용 기타 작업치료사로서 갖추어야 할 윤리에 관한 교양강좌(20)

사회복지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업법 13조 2항 동 시행규칙 제 5조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보수교육 안내(대상자 매뉴얼)

8시간 이상년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위탁한 협회나 협의회

-필수영역 사회복지윤리와 가치 사회복지 실천-선택영역 사회복지 정책과제와 법 사회복지행정 사회복지 조사연구

장애인

복지 전문인력

언어재활사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 시행령 61조 2항

10시간 이상년 - 한국언어재활사협회 현재 자격 및 제도 도입 중 (구) 언

어치료사

의지middot보조기

기사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 시행령 61조 1항

8시간 이상2년-국립재활원

국립재활원 교육홍보과에서 시행 자격증이 분야별 세분화되어 있지 않음

수화통역사

자격기본법 제35조한국농아인협회 보수교육 내용 규정

50시간 이상5년

-중앙회(한국농아인협회)-외부유관기관 및 단체

-최소 30시간은 중앙회에서 교육을 받아야 함

점역middot교정사

점역middot교정사 국가공인 민간자격의 관리middot운영에 관한 규정 31조

1회 이상5년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시간 및 규정이 규체적이지 않음

표 48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현황

- 120 -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문제점 및 대안

재활의료 인력에 특화된 보수교육 의무규정이 없음- 재활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 및 사회복지사에 대한 재활 관련 교육영역과 내용에

대한 보수교육 규정 부재- 점역교정사 언어재활사 보수교육에 대한 과목 규정 등이 취약

국립재활원에서 재활 분야 간호사 및 사회복지사에 대한 보수교육에 적극 참여해야 함

또한 보수교육규정 상 의지보조기사를 제외한 직종에서 국립재활원의 역할이 없음- 의지보조기사 규정(장애인복지법 시행령 61조 1항) 국립재활원장이 실시하고 교

육시간은 2년간 8시간 이상으로 한다

국립재활원에서 보수교육 중 재활영역 가이드라인 및 프로그램을 생산하여 권역재활병원 등으로 확산시킴

국립재활원에서 보수교육 중 재활영역 가이드라인 및 프로그램을 생산하여 권역재활병원에서도 보수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확산시킴

각 직종별 보수교육 규정 중 시행기관에 국립재활원 및 권역재활병원을 포함시키도록 함

각 직종별 보수교육 규정 중 병원 및 장애인재활시설에서 근무하는 인력은 국립재활원 및 권역재활병원에서 개설하는 임상실기 전문이론 공공재활 등을 필수적으로 이수하도록 명시함

재활전문인력 양성규정 현황

가 재활전문인력 양성 규정

현재 재활전문인력의 자격증 종류 자격취득경로 인력 수 등 현황은 다음과 같음

- 121 -

재활영역 전문인력 자격증 종류 자격취득 수

(2012년)

의료재활

재활의학과의사 국가자격증

의과대학middot전문대학원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면허를 수여 받은 자중 재활의학 레지던트 수련을 받고

전문의 시험에 합격한 자

1386명

간호사 국가면허증 간호대학 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수여받은자 120491명

물리치료사 국가면허증4년제 또는 3년제 대학의

물리치료학과를 졸업한 후 국가 자격시험에 통과한 자

25475명

작업치료사 국가면허증 4년제 또는 3년제 대학을 졸업한 후 작업치료사 국가시험에 통과한 자 3594명

사회복지 사회복지사 국가자격증 2급 대학에서 14과목을 이수한 자

1급 국가자격시험에 통과해야 함

2642명

장애인복지전문인력

언어재활사 국가자격증

2급 대학원 대학 전문대학의 언어재활 관련 교과목을 이수하고

학위를 취득한 자 중 국가시험 통과자1급 2급 자격자 중 박사학위 또는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 중 언어재활기관에 1년 근무했거나 학사학위자 중 3년 근무한 경우

-

의지보조기기사 국가자격증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서 의지 보조기

관련 과목을 이수하고 국가시험에 통과한 자

944명(20131)

점역교정사 국가공인 민간자격증

3급 20세이상 고절이상 3년이상 경험자

2급 3급취득후 1년 혹은 4년제 대학 졸업자 4년이상 경험자

1급 2급 자격취득후 1년이상 경과 혹은 4년제 대학졸업자 5년이상

경험자

3급 484명 2급 72명 1급 40명(20131)

수화통역사 국가공인 만 19세 이상의 대한민국 남녀

표 49 재활전문인력 자격증 현황

- 122 -

의료재활 및 사회복지인력은 보건의료기관 내 근무인력임

자료원 국가통계포탈 국시원 내부자료 한국시각장애인협회 내부자료 한국농아인협회 내부자료

나 재활 전문인력 양성 규정의 문제점

학교와 민간단체가 혼재되어 있는 인력 양성 과정

의료재활 인력과 사회복지 인력은 대학교와 병원을 통해 인력이 양성됨

장애인 복지 전문 인력 중 국가공인 민간자격증을 부여하는 점역교정사 수화통역사의 양성은 민간 기관양성과 학교를 통한 양성과정이 혼재되어 있음

재활에 특화된 전문인력 양성 과정의 부재

간호사의 경우 장애인 재활 전문 간호사 자격 및 양성 과정이 부재함

사회복지사의 경우 재활과 관련된 교육 과정이 부족함

재활인력 공급의 양적인 불균형

물리치료사 공급은 많으나 작업치료사는 공급은 부족함

장애인 복지 전문인력 중 점역교정사 수화통역사 언어재활사 의지보조기기사 연도별 배출인력이 편차가 큼

재활인력 전문교육 수요도 조사

가 조사기간 및 대상

2012년 12월 10일 ~ 2012년 12월 17일(약 일주일간)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재활간호학회 대한사회복지사협회 대한직업치료사협회 소속 재활인력 총 225명

나 조사내용

- 근무 기관의 종류(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 보건(지)소보건의료원 복지관

민간자격증 1049명(20131)

- 123 -

기타- 공공기관민간기관 근무 - 재활 관련 근무 연수- 최종학위- 장애인 재활과 관련하여 받은 교육 여부 내용 및 만족도- 장애인 재활과 관련하여 전문적인 교육과정의 필요성 여부와 필요한 내용 국립재

활원에 개설 시 참여 여부

다 조사결과

일반적 현황

사회복지사를 제외한 나머지 직종은 전반적으로 설문에 참여한 사람 중 종합병원과 병원에 근무하는 사람이 많았으며 사회복지사의 경우는 대부분 복지관 등 장애인 복지시설에 근무하고 있음

구분직종

응답자수

종합병원 병원 요양

병원 의원 보건기관 장애인 복지시설 기타

물리치료사 25 280 320 160 80 120 00 40작업치료사 81 284 210 86 62 37 123 198재활간호사 19 105 895 00 00 00 00 00사회복지사 100 10 00 00 00 20 940 30

표 50 응답자 일반적 현황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 사회복지사는 민간기관에 근무하는 경우가 많았고 조사에 응한 재활간호사는 모두 공공기관에 근무하고 있음

구분직종 응답자 수 공공기관 민간기관

물리치료사 24 292 708작업치료사 81 370 630재활간호사 17 1000 00사회복지사 95 358 642

표 51 응답자 공공민간 기관 근무 현황

모든 직종에서 5년 이상 재활분야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가장 많았음

- 124 -

구분직종

응답자 수 1년 미만 1년 이상 1년 이상

3년 미만3년 이상5년 미만 5년 이상

물리치료사 25 00 40 80 160 720작업치료사 81 74 25 136 210 556재활간호사 19 53 00 421 53 474사회복지사 98 184 112 133 92 480

표 52 응답자의 재활분야 근무연수

재활간호사는 석사 이상 학위를 가진 군이 더 많았고 나머지 직종은 학사 학위를 가진 군이 더 많았음

구분직종 응답자 수 학사 석사 박사

물리치료사 24 667 333 00작업치료사 80 577 352 70재활간호사 19 316 684 00사회복지사 100 634 323 43

표 53 응답자의 최종학위

재활 관련 교육 경험 현황

직종별로 장애인 재활 관련 교육을 전혀 받지 못했던 군도 작업치료사 중 222 사회복지사 중 170 물리치료사 중 160 정도 존재함 재활간호사 중 재활 관련 교육을 전혀 받지 못했던 군은 53로 직종 중 가장 낮음

응답자 수 있음 없음물리치료사 25 840 160작업치료사 81 778 222재활간호사 19 947 53사회복지사 100 830 170

표 54 응답자의 재활관련 교육 경험

모든 직종에서 보수교육을 통한 재활 교육 경험이 가장 많았음 주목할 만한 부분으로서 사회복지사는 직원교육을 통한 재활 교육을 거의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125 -

구분직종 응답 수 보수교육 직원교육 관련 학회 소그룹

세미나 기타

물리치료사 59 305 203 288 203 00작업치료사 155 348 174 310 129 39재활간호사 53 340 264 170 208 19사회복지사 144 486 35 243 167 69

표 55 응답자의 교육 경험 경로

교육의 내용은 모든 직종에 걸쳐 이론 교육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임상실기 교육이 그 다음이고 공공재활 교육은 가장 낮음

구분직종 응답 수 임상 실기교육 이론 교육 공공 재활 교육 기타

물리치료사 42 452 452 95 00작업치료사 113 398 496 106 00재활간호사 41 341 415 244 00사회복지사 107 271 598 56 75

표 56 응답자의 교육 경험 내용

기존에 받았던 재활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재활간호사가 767 정도로 높지만 나머지 직종들은 5점을 조금 넘는 수준임 특히 사회복지사의 만족도가 가장 낮음

응답자 수 만족도(10점 만점)

물리치료사 24 625

작업치료사 81 596

재활간호사 18 767

사회복지사 97 567

표 57 응답자의 교육 만족도

전문재활교육 수요도

전문재활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모든 직종에서 464-489까지의 높은 요구를 나타냄

- 126 -

응답자 수 필요성(5점 만점)

물리치료사 25 484

작업치료사 80 464

재활간호사 19 489

사회복지사 98 480

표 58 전문재활교육 수요도

국립재활원에서 개설하기 원하는 전문재활교육의 내용에 대해서는 모든 직종에서 임상실기 교육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음 반면 학위 취득을 위한 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가장 낮았음

구분직종 응답자 수 임상실기 교육

(5점 만점)이론 교육(5점 만점)

공공재활 교육(5점 만점)

석사 이상의 학위 취득(5점 만점)

물리치료사 24 433 432 267 233작업치료사 81 460 375 325 188재활간호사 19 484 416 289 189사회복지사 100 416 398 321 218

표 59 원하는 전문재활교육의 내용

- 127 -

혼란변수를 고려하여 학사 학위를 가진 군만으로 분석했을 때도 결과는 동일함

구분직종 응답자 수 임상실기 교육

(5점 만점)이론 교육(5점 만점)

공공재활 교육(5점 만점)

석사 이상의 학위 취득(5점 만점)

물리치료사 15 420 431 267 253작업치료사 41 466 383 322 185재활간호사 6 483 417 267 183사회복지사 59 408 395 324 217

표 60 학사 학위자들이 원하는 전문재활교육 내용

국립재활원에서 교육과정을 개설했을 때 참여 의사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재활간호사의 의사가 463으로 가장 높았음 반면 나머지 직종은 368-398 정도의 의사를 보였음

응답자 수 참여 의사(5점 만점)

물리치료사 25 368작업치료사 81 379재활간호사 19 463사회복지사 100 398

표 61 국립재활원 교육과정 참여

라 조사 결과 요약

장애인 재활 관련 교육을 전혀 받지 못했던 군도 직종별로 최소 53에서 최대 222까지 존재함

재활전문인력들이 재활교육을 받는 가장 흔한 경로는 보수교육임 한편 사회복지사의 경우 직원교육을 통한 재활교육을 거의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재활교육의 내용은 모든 직종에 걸쳐 이론 교육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임상실기 교육이 그 다음이고 공공재활 교육은 가장 낮음

기존에 받았던 재활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재활간호사가 767 정도로 높지만 나머지 직종들은 평균을 조금 넘는 수준임 특히 사회복지사의 만족도가 가장 낮음

- 128 -

전문재활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모든 직종에서 매우 높음

국립재활원에서 개설하기 원하는 전문재활교육의 내용에 대해서는 모든 직종에서 임상실기 교육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음 반면 학위 취득을 위한 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가장 낮았음

국립재활원에서 교육과정을 개설했을 때 참여하겠다는 의사는 재활간호사에서 매우 높았고 나머지 직종은 높은 편이었음

대학원대학 설립에 대한 법적 타당성 검토

가 타 기관 사례

구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1958년 국립의료원 부설 간호학교가 설립되었고 1999년 국립의료원 간호대학으로 직제가 개편되었음- 1958 6 27 대한민국과 스칸디나비아 제국과의 협정으로 국립의료원 부설간호학

교 설립 보건사회부에서 관리운영(대통령령제1377호)- 1959 2 23 국립의료원 간호학교 직제 제정 (대통령령 제1454호)- 1959 7 06 국립의료원 간호학교 개교(초급대학 과정)- 1977 9 01 국립의료원 간호전문학교로 직제개편 (대통령령 제8672호)- 1979 1 01 국립의료원 간호전문대학으로 직제 개편- 1999 3 01 국립의료원 간호대학으로 직제 개편 (대통령령제16039호)- 2000 8 04 제16대 학장 송지호 박사 취임- 2005 2 05 제17대 학장 김애리 박사 취임- 2006 2 09 제45회 졸업 (졸업생 총1925名)- 2007 2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폐지

- 129 -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시행날짜 법령명 주요내용1958627 중앙의료원직제 제10조 중앙의료원에 간호학교를 부설 할 수 있음

1959223 중앙의료원 간호학교직제

제1조 중앙의료원에 간호학교 부설함제3조 간호학교의 수업 년한은3년으로하고 이에 입학할 수 있는 자는 고등학교를 졸업한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문교부장관이 인정한 자로 함제4조 교장은 의료원부원장이 교감은 의료원 간호과장이 겸하고 사감은 간호부장 중에서 겸무함

197791 국립의료원 간호학교직제 폐지

197791 국립학교설치령

제2조 문교부장관소관제36조 ⓻ 간호전문학교 입학금과 수업료 면제 실습비middot기숙사비middot피복비middot기타학비 국고 지급제37조 ⓶ 졸업 후 3년간 보건복지부 장광이 지정한 직무에 복무제40조 국립의료원 간호전문학교의 운영에 필요한 경비는 국고(국립의료원 특별회계)에서 지급제41조 공무원임용시 문교부장관은 보건사회부장관과 협의

199331 국립학교설치령제2조 교육부장관 소관제41조 공무원 임용시 교육부장관은 보건복지부 장관과 협의부칙 2조 국립의료원 간호대학으로 명칭변경

표 62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법제 연혁

국립암센터 대학원대학

2010년 5월 국립암센터법이 폐지되고 lsquo암관리법rsquo 으로 통합되었음 이때 대학원대학의 법적 근거도 함께 마련됨- 암관리법29조 (부속기관의 설치) ①국립암센터에 암연구소 부속병원 국가암관리

사업본부 및 그 밖에 필요한 기구를 둔다② 국립암센터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고등교육법」 제30조에 따른 대학원대학(이하 대학원대학이라 한다)을 설치할 수 있다③ 대학원대학의 조직 교원 학위 과정 운영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2012년 현재 대학원대학 설립이 진행 중임 - 2012년 5월 교과부의 lsquo국가-특수법인 대학설립 심의위원회rsquo 통과- 2012년 8월 lsquo대학설립인가신청서rsquo 교과부에 제출 국제암대학교대학원(정원 총 70

명 (석사 20명 박사 10명))- 2012년 11월 2일 현장 점검 시행- 2012년 12월 초 현장 점검 예정- 2013년 2학기부터 신입생 모집 예정

- 130 -

일본국립장애인재활학원

시대에 따라 보건복지인력에 대한 일본사회의 요구도는 꾸준히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일본사회의 요구에 선도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국립기관에서 인력을 양성함

이렇게 필수적으로 필요한 인력의 양성은 국립에서부터 시작하여 민간영역으로 확산시키는 것이 중요함 왜냐하면 민간에서 충분한 양의 인력을 공급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임 또한 이미 민간의 양성기관이 많은 경우 양성과정의 질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음 이를 통해 양질의 재활인력을 공급할 수 있음

일본재활원내의 인력양성 학원의 법적 지위는 학교교육법 124조에 의거한 전수학교임40) 설립 및 운영은 후생노동부가 주관하고 법률적으로는 문부과학성에 소속됨

법적으로 지정된 전수학원으로 교원 수 및 학교운영에 대해서 학교교육법의 통제를 받음

법적으로 자격증이 도입되기 전에 필요한 인력을 선도적으로 양성하고 민간으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며 전체적인 민간 교육기관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역할을 진행함

일본 재활원내의 대학의 경우 학비가 같은 직종의 전수학원에 비해 학비가 저렴하며 공공기관이 필요로 하는 인재 양성에 주력하는 역할을 함 학생 1인당 입학금 및 학비는 대략 350000엔~560000엔으로 다른 사립학교에 비해 학비가 저렴함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 학원 재정은 학생이 내는 금액이 모두 국가 재정으로 포함되고 모인 후에 학원의 운영비와 시설비가 국고지원 형식으로 지원됨 따라서 운영 및 시설 소요 재정은 전부 국비로 지원받고 있는 셈임

이 중 학원의 연간 운영비는 약 75억 엔 정도이며 이 중 70 이상 인건비로

40) 전수학교는 우리나라의 전문학교와 유사한 개념으로 일본의 경우 직업교육의 일환으로 간호 미용 양재

속기 타자 자동차 통신 편물 등과 관련된 직업교육을 진행하는 민간 전수학교가 존재함

- 131 -

사용함 시설비 외에 운영비 역시 국비로 지원되어 운영됨으로써 운영에 대한 재정적 어려움이 크지 않음 이는 운영비를 자체적으로 조달하여야 하는 국내 국공립기관들과 큰 차이를 가짐

현재 6개 학과의 경우 강사진이 대략 센터 50 외부강사 50로 구성되어 있으며 향후 센터내의 강사 비율을 높일 계획임 현재 연수교육의 경우 내부강사 60 외부강사 40로 구성되어 있음

나 국립재활원 대학원대학 설립

Page 7: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그림 차례그림 1 재활의료서비스 전달체계 모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그림 2 국립재활원의 비전과 본 연구 주제와의 관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그림 3 지체장애 재활의료서비스 지역별 자체 충족률(중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그림 4 뇌병변장애 재활의료서비스 지역별 자체 충족률(중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그림 5 재활의학전문의 1인당 인구수 및 지체뇌병변장애인 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그림 6 포괄적 재활의료 서비스 연계체계 모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그림 7 OECD 회원국의 2000년대 장애인 가구 빈곤율 및 상대빈곤 위험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그림 8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의 기능과 역할(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그림 9 국립재활원 교육훈련 체계 강화 방안 연구수행 체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그림 10 공공재활의료 지원체계 모식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그림 11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의 기능과 역할(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그림 12 권역재활병원의 기능과 역할(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그림 13 국립 암센터 지정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그림 14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체계 제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그림 15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 기준(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그림 16 재활전문병원 인센티브 방안(전문가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그림 17 국립재활원과 타기관의 현재 관계 모식도(As i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그림 18 국립재활원과 타기관의 관계 제안 모식도(To b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그림 19 사회복귀 프로그램의 운영 흐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그림 20 사회복귀지원과 사업추진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6그림 21 서울시 지역사회복귀 지원 사업 확산 모식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그림 22 지체장애 최초입원-3년 사이 입원양상(전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그림 23 지체장애 최초입원-3년 사이 입원양상(중증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그림 24 뇌병변장애 최초입원-3년 사이 입원양상(전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그림 25 뇌병변장애 최초입원-3년 사이 입원양상(중증장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그림 26 재원 확보 방안 단계 모식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그림 27 아산병원 스포츠의학센터 진료흐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그림 28 체육센터 운영 흐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그림 29 건강 병력 질문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그림 30 신체적 활동 준비 질문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그림 31 국립재활원 조직구성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그림 32 교육과정 종류별 총시간 구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9그림 33 교육과정 연간 순환횟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4그림 34 국립암센터 일본 국립재활원 조직도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6그림 35 일본장애인재활 센터 학원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2그림 36 국립 암센터 내부 직원 대상 교육 목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3그림 37 일본 국립재활원의 학원 재정 운영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1그림 38 국립재활원 교육 담당 조직 정비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9

- 1 -

제1장 서론

연구의 필요성

가 국립재활원의 역할과 조직개편

재활의료서비스 전달 모형과 국립재활원의 역할

장애 발생 이후 재활의료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환자의 이용경로는 lt그림 1gt과 같음 - 사고나 질병 등으로 장애가 발생하고 환자의 생체징후 등 의학적 상태가 불안정하

면 의학적 상태를 안정화시키는 내과신경과신경외과정형외과적인 집중적 치료에 병행하여 기능적 회복을 증진시키는 초기 재활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게 됨

- 환자가 의학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내원하거나 치료서비스 및 초기재활서비스를 제공 받고 의학적으로 안정된 상태에 이르게 되면 기능회복 가능성과 제공되어야 할 재활서비스의 복잡성을 평가하여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직업재활 보장구 심리치료 사회서비스 등이 포함된 포괄적인 입원재활서비스를 제공하게 됨

- 또한 환자의 기능회복 가능성이 낮거나 제공되어야 할 재활서비스의 복잡성이 낮은 경우 외래 혹은 방문재활서비스 장기요양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사회 재활 단계로 환자를 의뢰하게 됨

- 2 -

국립재활원은 권역재활병원과 함께 재활의료 교육 연구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가 중앙재활센터 기능을 수행해야 함 1994년 제정된 국립재활원운영규칙(보건사회부령 제930호)에서는 국립재활원의 기능으로서 다음 네 가지를 규정하고 있음- 장애인에 대한 의료재활- 장애인의 자립재활- 장애인재활전문요원의 양성 및 훈련- 장애발생의 예방과 장애인의 재활훈련 등 그 복지의 증진에 관한 조사연구

2005년 12월 공공보건의료 확충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권역재활병원이 단계적으로 건립되었고 2008년 보건복지가족부령 제84호로 국립재활원 내 재활연구소가 설치되는 등 국립재활원에 새로운 역할들이 부여되고 있음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실의 2010년 연구1)에 따르면 실용적 재활보조기술 연구 국가 장애인 정책 수립 방안 제시 재활 연구를 위한 연구센터로서의 역할 권역재활병원의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사항 등이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의 기능으로 새롭게 추가 규정되어야 할 역할로서 제안되고 있으며 장애인 재활정보센터 역할 담당 최상의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표준 제시 등은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됨

이에 따라 국립재활원의 새로운 역할로 제안된 내용들은 다음과 같음 - 광역 수준의 재활의료기관을 관리하고 권역재활병원과 함께 재활의료 교육 연구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가 중앙재활센터 기능을 수행함 - 권역재활병원의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표준을 제시하고 재활연구 활성화를

유도하며 국가차원의 장애인 재활관련 통계자료를 관리하고 정보를 제공함- 장애인 재활정책 연구를 전문적으로 수행하여 국가의 장애인 정책 수립을 뒷받침함 -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연구 및 기술개발사업 그리고 선진 임상재활 연구를 위한

임상연구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재활서비스의 프로그램 인력 시설 등의 표준화된 인증 주관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함

국립재활원 조직개편

2009년 보건복지부는 국립재활원의 발전적인 기능개편을 목적으로 「국립재활원 발전 민middot관 TF」를 구성하여 운영하였음 - 2009 12 31 「국립재활원 발전 민middot관 TF」 구성 운영계획 수립- 2010 2 24 「국립재활원 발전 민middot관 TF」 제1차 전체회의 개최 기획총괄 재활

1)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실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10

- 3 -

교육훈련 재활의료 재활연구 등 4개 분과회의 구성- 2011 9 7 「국립재활원 발전 민middot관 TF」 제3차 전체회의 개최 국립재활원의 발

전적인 기능개편을 위한 기본방향(안) 마련- 2012 2-3월 국립재활원의 발전 기본방향 개편내용 운영프로그램에 대하여 보건

복지부와 협의

이러한 과정을 거쳐 2012 5 1 국립재활원 조직개편이 이루어짐 - 한방내과 장애인건강증진센터 신설- 장애인운전지원과 공공재활의료지원과 사회복귀지원과 개편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12 5 1 조직개편에 따라 신설되거나 개편된 부서의 기능 및 역할을 재정립하고 이를 통해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음

- 4 -

나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구축의 필요성

재활의료 시설의 불균형적인 분포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근접 지역 내에 재활시설이 없을 경우 재활서비스를 이용하기가 매우 어려움

현재 지역별로 불균형적인 재활의료서비스 공급은 장애인들이 자신의 거주지에서 재활의료서비스를 받는 것을 제한함 결론적으로 지역별 재활의료서비스 이용의 불평등을 야기함- 2006년 재활의료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지역별 자체 충족률을 살펴보면 입원

및 외래에서 지역별로 자체 충족률에 상당한 불평등이 존재하고 있음 특히 광역시 주변 시도의 자체 충족률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이 지역 장애인들이 재활의료서비스에 관한 필요가 충족 못하고 있다고 판단됨

자료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09)

- 5 -

자료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09)

장애인 재활서비스 제공기관들이 지역적으로 불균등하게 분포됨으로 인해 장애인의 서비스 이용지와 주거지가 일치하지 않음 이로 인해 긴급한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고 지속적인 재활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으며 환자 및 보호자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음

따라서 장애인의 지리적middot경제적 재활의료서비스 이용의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재활의료서비스가 취약한 지역에 대한 재활의료서비스 시설의 확충이 필요함

그러나 재활을 포함한 우리나라 의료는 대다수가 민간중심으로 공급되고 있어 이에 공공재활의료 지원에 대한 대책이 필요함

재활의료 인력의 불균형적 분포

현재 재활의료 서비스의 인력 공급은 지역 간 불균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2008년 재활의학과 전문의의 지역별 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서울(281)과 경기도(219)에 근무하는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전체의 절반에 이르고 울산이 11로 가장 낮았음2)

2) 보건복지부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향 연구 2009년

- 6 -

지역별 재활의학전문의 1인당 인구 및 지체뇌병변 장애인 수를 비교해보면 대전이 재활의학과 전문의 1인당 인구 2794백 명 지체뇌병변 장애인 78백 명으로 가장 낮았음 전문의 1인당 인구는 울산이 10113백 명으로 가장 높았고 1인당 지체뇌병변 장애인 수는 전남이 338백 명으로 가장 높았음

지역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의원 보건기관 총계종합

전문종합병원 병원 요양

병원 소계

서울 67 30 35 38 170 113 1 284 부산 7 14 12 6 39 16 0 55 대구 13 5 9 5 32 3 1 36 인천 5 3 18 6 32 14 0 46 광주 5 10 7 3 25 12 0 37 대전 3 10 3 10 26 27 0 53 울산   2 4 2 8 3 0 11 경기 4 53 58 37 152 67 2 221 강원 5 5 3 1 14 11 0 25 충북 2 4 3 5 14 14 0 28 충남 4 3 4 10 21 21 2 44 전북 5 6 5 9 25 14 2 41 전남   4 9 5 18 5 2 25 경북   6 10 10 26 8 1 35 경남 4 15 16 13 48 5 0 53 제주   3 3 3 9 7 0 16 총계 124 173 199 163 659 340 11 1010

표 1 재활의학과 전문의 현황

(단위 명)

- 7 -

취약한 공공재활 의료 현황

장애인의 재활의료서비스의 불균형적인 공급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권역재활병원 건립(6개 예정 경인 강원 제주 영남 충청 호남)과 지역사회 중심 재활사업을 전국 60개(시범사업까지 70개) 거점 보건소를 중심으로 시행하고 있음

그러나 권역재활병원은 기능 수행이 미흡한 실정이며 장애인이 자신의 거주 지역에서 진료 받을 수 있는 지역거점 장애인 진료병원은 양적으로 매우 취약한 실정임

공공재활의료 연계체계에 대한 다양한 모형이 제시되었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관 확충이 진행 중 이지만 현재 국립재활원 ndash 권역재활병원- 지역사회재활 거점 보건소 간 연계 체계는 매우 미흡한 상황이며 이를 뒷받침해줄 법제도적 지원 역시 미흡한 상황임

2012년 국립재활원에서는 공공재활의료 지원을 위해 공공재활의료 지원과를 신설하였음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구축을 통해 취약한 공공재활 의료지원을 활성화하고 국립재활원의 리더십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함

- 8 -

다 사회복귀 지원에 대한 필요성

재활의료란 의학적 치료 후 환자가 장애를 갖게 되었을 때 남아있는 기능으로 일상생활은 물론이며 직장생활도 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재활치료의 목적은 환자의 건강 및 생명을 최선의 상태로 회복하고 이를 유지하는데 있다고 정의할 수 있음3)

따라서 장애인들이 사회에 복귀하여 최대한 독립적인 삶을 살 수 있게 해주는 것은 재활의료서비스의 최종 목적이라고 할 수 있음

2011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장애연금수급자 재활서비스 실태 및 욕구』에 따르면4) 의료재활서비스를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경험이 있는 사람은 장애인연금 수급자 중 82로 나타났으나 직업재활서비스를 현재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경험이 있는 사람은 12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음 또한 사회재활서비스를 이용 중이거나 경험해본 사람은 15정도임

사회재활서비스 욕구에 관한 조사에서는 스포츠재활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전체의 40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활동보조 등 서비스 31 심리치료서비스 24의 순으로 나타났음 따라서 운동 재활과 관련하여 체육관을 이용한 재활 프로그램의 확산 및 법적middot제도적 지원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2010년 OECD 보고에 따르면 우리나라 장애인의 월평균 소득은 전체 인구 평균 소득보다 20p 정도 낮았으며 이는 OECD 회원국의 평균보다 더 낮은 수준임 장애인 가구 상대빈곤율 역시 35로 OECD 회원군 평균보다 13p 높음

3) Howard A Rusk MD (1901-1989) the Rusk Institute of Rehabilitation의 설립자로서 lsquocomprehensiverehabilitation medicinersquo 제시 httpwwwmednyueduruskabouthruskhtml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애연금수급자 재활서비스 실태 및 욕구 2011

- 9 -

장애인들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립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사회재활지원 및 확대가 필요함

현재 국립재활원에서는 장애인의 빠른 사회복귀를 지원하기 위하여 장애인의 욕구 및 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개별 프로그램 제공을 목적으로 lsquo병원기반 사회복귀 지원 프로그램(H-CRsP)를 운영하고 있음

구분 내용장애인 운전교육 운전면허취득 실기교육 운전적응교육

의료지원 및 보조기 평가 심리상담 성재활 보조기 평가 및 지원사회체험 및 지역자원 연계 대중교통이용훈련 사회문화활동 지역자원연계

일상(독립)생활 훈련 스마트홈 체험 샤워 및 세탁 쇼핑 요리실습 등상담지원 동료상담 가족상담 등

학업직업 복귀탐색 학업복귀 지원 직업훈련 연계 취업준비 지원정보제공 컴퓨터교육 장애인복지시책 안내 주택개조 지원

레포츠 및 취미활동 레포츠(수영 탁구 보치아 파크골프 등)미술활동(원예 음악 미술 도자기 등)

자료 국립재활원 홈페이지

표 2 중도장애인 사회복귀지원과정 프로그램

그러나 전체 장애인의 필요의 사회복귀를 위해서는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프로그램을 확산시킬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

국립재활원에서는 장애인의 사회복귀지원을 돕기 위하여 사회복귀지원과를 구성하였음 향후 장애인의 사회복귀와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스포츠 재활을 포함

- 10 -

한 다양한 사회재활서비스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법 제도 개선 및 사회복귀지원 체계구축이 필요함

라 장애인재활 교육훈련시설의 필요성

장애 패러다임 변화 재활욕구의 다양화 및 증가 등에 따른 장애인 자립 등 재활교육훈련 기능강화를 위한 시설 필요함

후천적 장애예방 및 체험교육훈련시스템 전문화 기존의 노후 체육관 철거 등에 따라 종합적인 재활교육훈련시설 건립 필요함

마 국립재활원 교육체계 강화의 필요성

재활의료 인력에 대한 교육 현황

재활의료서비스 공급체계의 강화를 위해서는 시설 확립 전달체계 구축과 더불어 재활의료를 제공할 양질의 전문 인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교육훈련 체계가 필요함

그러나 우리나라의 재활 의료 공급은 양과 질적으로 부족한 상태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08년 요양기관현황에 의하면 의료기관의 26에만 재활의학 전문의가 배정되어 있으며 지역사회 기반 재활의료를 제공하는 보건소 역시 253개 시군구 보건소 중 60여개 소에 불과함

보건의료서비스는 기본적으로 대인서비스이므로 인력의 양과 질에 의해 서비스의 질적 수준이 결정됨

현재 재활의료분야의 전문적인 교육훈련체계는 수요에 비해 매우 취약함 임상영역의 경우 교육이 협회학회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부분 첨단의료최신지견을 위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가 많음 또한 분절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어 재활전달체계의 측면에서 필요한 임상적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의문임

또한 재활과 관련된 비임상영역의 교육은 부재함 재활의료서비스는 다양한 직종의 인력이 연계해서 제공해야 하지만 재활 관련 교육은 직종에 따라 분절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11 -

직종에 따라 의무적으로 받아야하는 보수교육 내용들 역시 대부분 의료기술과 최신지견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정시간의 교육만을 이수해야 한다는 양적인 규정만 존재함 따라서 지정된 시간의 보수교육만을 통해서 재활의료분야에서 얼마만큼 전문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 의문임

재활전문인력의 보수교육과 관련한 내용은 다음과 같음

재활영역 전문인력 보수교육

법령근거보수교육 시행규정 보수교육 시행기관 자격 요건

의료재활

의사

의료법 제38조 제 2항 제 3항 및 동 시행규칙제21조 2middot3middot4middot5

항의사협회 정관

제 3조

12평점 이상년

-중앙회-해당 시middot도 의사회

-의과대학 및 대학원-레지던트

교육병원(단과레지던트 교육병원 포함

-각 학회 및 지회(단 의학회에 등록된

학회에 한함)-기타 교육 위원회에서 인정하는 기관 및 단체

의학 대학middot전문대학원

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의 면허를 수여 받은

물리치료사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제20조 및 동법 시행세칙 제

18조

8평점 이상년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작업치료사협회

물리middot작업치료 대학 졸업 후

언어치료사 - 60시간이상 5년

한국언어치료사협회 및 지정학회

언어치료관련 대학 및 대학원 졸업 후 자격증 시험 합격자

청능사 - 60시간 이상3년

-청능사자격검정원 및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청능사 관련 대학 및 대학원 졸업 후 자격증 시험 합격자

간호사

의료법 제28조 제2항 제3항 및

동 시행규칙 제21조의 2에

의거

8평점 이상년

- 지부 및 산화단체보수교육인정기관

간호대학(학과)대한간호사협회 사이버교육센터

간호 대학 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의 면허를 수여 받은자

사회심리재활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업법 제13조 2항 8시간 이상년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위탁한 협회나

협의회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 대학

석사 또는 박사학위 취득자(석사middot박사 학위 취득자는 사회복지관련

필수과목 6과목 이상 이수해야함)

정신보건사회복지사 - 20평점년 -(사)한국정신보건사회

복지사협회사회복지사 1급 자격소지자로서

표 3 재활 전문의료인력 보수교육 현황

- 12 -

자료원 관련법-의료법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장애인복지법사회복지사업법자격기본법

기관-한국언어치료사협회청능사자격검정원 및 청각언어재활학회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사협회

한국미술치료학회 한국장애인직업생활상담원협회

국립재활원의 교육 기능에 대한 높은 요구도

2010년에 폐지된 lsquo국립재활원운영규칙(보건사회부령 제930호)rsquo에서는 국립재활원의 기능으로써 장애인에 대한 의료재활 장애인의 자립재활 장애인의 재활 전문요원의 양성 및 재훈련 장애발생의 예방과 장애인의 재활middot훈련 등 그 복지의 증진에 관한 조사연구로 규정하고 있음

보건복지부와 그 소속직제(대통령령 제23764호)rsquo에서는 국립재활원의 직무로 장애인의 복지증진을 위한 진료middot상담지도middot재활훈련 재활전문요원의 훈련 보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한 전문요원

수련기관에서 1년이상 수련을

마친자

수화통역사 자격기본법 제35조

50시간 이상년

-중앙회(한국농아인협회)-외부유관기관 및 단체

만19세 이상의 대한민국 남녀

점역middot교정사

점역middot교정사 국가공인

민간자격의 관리middot운영에

관한 규정 31조

1회 이상년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만19세 이상으로 고졸 이상의 학력을

소지한자 또는 시각장애인 관련

기관의 점역middot교정업무

3년이상의 경력자

미술치료사 - 60시간 이상5년 -(사)한국미술치료학회

미술치료사 미술치료전문가

수련감독미술치료전문가 자격취득자

직업재활

직업생활상담원 - 1회(8시간)1

년-(사)한국장애인직업새

활상담원협회장애인직업생활상담원 양성과정 수료자

재활보조공학

의지middot보조기 기사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법시행규칙 제 61middot62middot63조

8시간 이상2년 -국립재활원

의지middot보조기 대학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 가족부 장관의

면허를 수여받은 자

- 13 -

장구의 연구개선 재활조사연구사업 및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에 관한 업무를 관장한다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음

2010년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의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향』연구에서 시행한 전문가 조사에 따르면 국립재활원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결과에서 전문재활 인력 교육 및 강화를 국립재활원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로 응답하였음

국립재활원은 국가재활의료의 중추기관으로서 역할을 감당하기 위해 재활의료전문인력을 안정적이고 체계적으로 교육하고 공급하기 위한 교육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

또한 내부 교육 체계 강화를 통해서 국립재활원 내부 인력의 역량강화 및 근무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음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립재활원의 2012 5 1 조직개편에 따라 신설되거나 개편된 부서의 기능 및 역할을 재정립하고 현재 불균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재활서비스에 대해 국가 중추 기관으로서 국립재활원의 조직 발전방향과 미래상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음

- 14 -

- 첫째 국립재활원의 공공재활의료 지원체계 구축방안 제안- 둘째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방안 제안- 셋째 국립재활원의 장애인재활교육훈련시설 운영방안 제안- 넷째 향후 국립재활원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 전문 인력의 체계적 전문적 교육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새로운 재활 교육 체계 구축방안 제시

연구 내용 및 범위

가 공공재활의료 지원체계 구축

국립재활원에서 진행 중이거나 진행예정인 공공재활의료 지원 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함

권역재활병원에 대한 법적 규정 재활의료 연계 체계 등 공공재활의료 지원 업무와 관련된 법제도규정 등을 조사 분석함

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 지역암센터 지원 사업 등 다른 의료분야의 공공의료지원 체계에 대하여 조사 분석함

해외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를 조사하고 비교 고찰함

법 제도 규정 재원 등에 대한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개선안을 제시함

나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

국립재활원에서 진행 중이거나 진행예정인 사회복귀 지원 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함

사회복귀지원 업무와 관련된 법 제도 규정 등을 조사 분석함

국립재활원의 병원기반의 운동재활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하고 확산 방법을 모색함

해외 장애인 사회복귀 지원 정책 현황 및 실태분석을 진행함

법 제도 규정 재원 등에 대한 사회복귀지원 체계 개선안을 제시함

- 15 -

다 장애인 재활교육시설 운영방안 제시

현재 장애인 재활교육시설의 현황과 실태분석을 진행

국내에 운영중인 장애인 재활교육시설의 운영 및 프로그램을 조사

해외 재활교육시설 운영 리뷰

재활교육시설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시

라 국립재활원 교육훈련 체계 강화 방안 연구

재활분야의 교육훈련 체계 현황 파악

의료법 의료기사 등에 대한 법률 사회복지법 등 재활분야의 교육훈련과 관련된 법령을 조사하고 분석함

대한의사협회 대한물리치료사협회 대한작업치료사협회 한국사회복지사 협회 등 재활분야와 관련하여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학회협회의 교육 관련 규정을 분석하고 내용을 조사함

국립재활원 권역 재활병원 공공병원 지역사회 기반 재활 거점 보건소에 근무하는 인력을 대상으로 진행한 재활인력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함

임상분야(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등)와 재활사업분야(사회복지사 등)의 직종별 교육내용과 운영 방식 교육과정 운영규정 등 교육현황을 조사 분석함

전문가 자문을 통해 재활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함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대상 수요파악

재활의료서비스 분야의 교육 훈련 수요를 조사함 기관별로 국립재활원 권역재활병원 공공병원 지역사회재활 거점 보건소등에 근무하는 인력을 대상으로 교육훈련 수요를 조사함

임상분야(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등)와 재활사업분야(사회복지사 등)의 직종별 교육 수요를 분석함

- 16 -

재활 교육 대상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재활 관련 교육경험률 재활관련 교육 만족도 필요한 교육훈련 내용 등에 관한 수요조사를 시행함

다른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 비교 고찰

국립특수교육원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의 재활 교육훈련 체계를 조사 분석함

국립암센터의 교육훈련 체계를 조사 분석함

교육훈련체계는 교육훈련 운영방식 교육 내용 교육 대상(내외부인력) 교육과정 법적규정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함

각 기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장middot단점에 대하여 비교 고찰함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체계 구축 방안제시

현재 국립재활원의 현재 교육훈련체계에 대하여 조사 분석함 조사 내용으로는 운영방식 교육내용 교육대상(내외부인력) 교육 과정 법적 규정 등을 포함함

재활인력교육훈련 현황 파악 재활 교육훈련 대상 수요도 조사 다른 국립기관의 교육훈련체계 비교 고찰 등의 내용을 종합하여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체계 강화 방안을 개발함

국립재활원 내외부의 인력을 포괄하는 교육체계 구축방안을 모색함

- 17 -

연구방법

가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분석 및 개선안 제시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분석 및 개선안 제시를 위해 다음의 항목을 시행할 것임- 국립재활원에서 진행 또는 예정인 공공재활의료 지원 프로그램 현황조사 - 공공재활의료 지원 업무와 관련된 법middot제도 규정 조사- 다른 의료 분야의 공공의료 지원체계 조사- 해외 공공 재활의료지원 체계 조사 및 비교- 공공재활의료 지원 체계 개선안 제시

나 사회복귀지원 체계 분석 및 개선안 제시

사회복귀지원 체계 분석 및 개선안 제시를 위해 다음의 항목을 시행할 것임- 국립재활원에서 진행 또는 예정인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현황조사- 사회복귀지원 업무와 관련된 법middot제도 규정 조사- 국립재활원의 운동재활프로그램 현황 조사- 운동재활과 관련된 지원할 법middot제도 규정 조사- 해외 장애인 사회복귀 지원정책 현황 및 실태분석- 운동재활 확산 방안 및 사회복귀지원 체계 개선안 제시

- 18 -

다 장애인 재활교육시설 운영방안 제시

장애인 재활교육시설 운영방안 제시를 위하여 다음의 항목을 시행할 것임- 장애인 재활교육시설의 현황과 실태분석- 국내에 운영 중인 장애인 재활교육시설의 운영 및 프로그램을 조사- 장애인 체육시설의 수요와 수요 충족도 조사- 해외 재활교육시설 운영 프로그램 리뷰

라 재활의료분야 인력의 교육훈련 체계 개발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현황 파악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분석할 것임- 의료법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사회복지사업법 등 재활의료 인력의 교육과 관

련된 법률 및 규정 - 의사협회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작업치료사 협회 한국사회복지사 협회 등의 관련

학회를 통한 직종별 교육 규정 및 내용-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 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권역 재활병원의 교육훈련 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공공병원의 교육훈련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지역사회재활 거점 보건소의 교육훈련체계(대상 운영 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수요파악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대상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분석할 것임- 건강보험심사평가원등의 자료를 이용한 재활의료전문인력의 직종별 현황- 건강보험심사평가원등의 자료를 이용한 재활의료서비스 기관별 인력 현황- 국립재활원 권역재활병원 공공병원 지역사회 기반 재활 거점 보건소에 근무하는

직종별 인력 현황

재활의료분야의 교육훈련 대상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시행할 것임- 설문을 이용한 재활 관련 교육 경험률 교육 만족도 필요한 교육훈련 내용 등

다른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 비교 고찰

다른 재활관련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분

- 19 -

석할 것임- 일본국립장애인재활 센터 교육훈련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다른 의료분야의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분석할 것임- 국립암센터 교육훈련 체계(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다른 국립기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시행할 것임- 각 기관의 교육 체계 문헌조사- 기관 방문 및 교육 담당자 인터뷰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체계 구축 방안제시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 체계를 구축 방안을 개발 제시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시행할 것임- 국립재활원의 교육훈련체계 분석((대상 운영주체 교육내용 운영규정 등)

- 20 -

제2장 공공재활의료지원체계 구축 방안

공공재활의료 문헌 검토

공공재활의료지원을 통해 공공재활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양질의 재활의료서비스를 공급

국립재활원은 국가재활중추 기관으로 권역재활병원과 보건소의 기술적 지원 및 재활인력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

- 21 -

국립재활원 역할에 대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는 권역재활병원과 함께 재활의료 교육 연구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가중앙재활센터 기능을 수행해야 함

보건복지부 인증 재활 전문의료기관 인증을 주관해야 함

- 22 -

재활연구소를 주축으로 권역재활병원의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표준을 제시하고 재활연구 활성화를 유도 함

국가차원의 장애인 재활관련 통계자료를 관리하고 정보를 제공함- 교육 훈련을 매개로 한 국립재활원과 권역재활병원의 리더쉽 체계를 구축함

- 23 -

국립재활원 공공재활서비스 현황

1차 현황 서면 조사표 4 서면 조사 결과

- 24 -

공공재활의료지원 프로그램 구분 및 참여 현황

프로그램 구분 참가기관 참가자 수(장애인)

교육프로그램 및 설명회(9가지 프로그램)

보건(지)소 659

권역재활병원 6

기타 병middot의원 13

복지관 12

기타(시도청) 13

총계 703명

표 5 프로그램 참여 현황

- 보건소 인원이 프로그램 참여 인원의 937를 차지함- 프로그램 중 의사가 참여한 프로그램 없음

공공재활의료지원 프로그램 예산(2012년 기준)- 56100000원

주요내용- 지역사회중신재활 기본실무- 방문재활의 실제- 노년기 재활을 통한 건강관리- 장애 아동 재활의 핵심파악- 쉽게 따라 하는 재활실무- 건강한 일상을 위한 여성 장애인 재활- 지역사회 중심 재활 사업 성과대회- 공공재활 프로그램 설명회- 지역사회 재활사업 운영실제(예정)

현 프로그램의 문제- 공공재활 의료팀에서는 주로 보건(지)소 근무자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권역 재활 병원 및 2차 병원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함- 교육 프로그램 외 기술적 지원 및 협력체계 기반이 미흡함- 다양한 직종이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미흡함

- 25 -

타 기관 공공의료 지원 현황

가 국립 암센터

국립암센터와 지역암센터 연계체계

- 12개의 지역암센터가 지정되어 있음- 국가 암관리사업의 경우에는 지역단위까지 연계하여 수행하는 거점기관임- 국리암센터와의 연계체계를 구축하고 국가 암관리사업에 적극 활용 중- 국립암센터와 MOU 등을 통한 활발한 연계 지원을 시행 중

나 중앙정신보건 사업 지원단

법적근거

정신보건법 제13조 6항 동법 시행규칙 제 7조-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집중적이고 전문적인 지원을 위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은

- 26 -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을 시 도지사는 지방정신보건사업지원단을 각각 설치 운영할 수 있음

직무범위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기획 및 조정에 대한 지원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 및 정신보건시설에 대한 평가

정신보건관련기관 단체 또는 정신보건시설 간의 연계체계 구축 지원

정신보건사업의 현황 파악 및 통계

기타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시하는 사항

국립재활원의 공공재활의료 지원 전략

가 공공재활의료 체계 내 국립재활원의 역할 강화

권역 재활병원과 상호 협력- 진료 지원 및 협진(환자이송체계 구축)- 통계산출 및 정보제공을 위한 각종 자료 공유- 권역재활병원의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표준을 제시- 공동연구수행- 전문 인력 교육 및 교류- 국가재활사업 상호협력 수행

재활 전문병원 평가 및 인증- 보건복지부 인증 재활 전문병원의 평가 지침 개발- 보건복지부로부터 재활 전문 병원 인증 권한 위임

국가정책수립 기능- 국가 장애인 정책수립방안 제시- 장애인 및 재활의료서비스 통계 산출- 적정 재활 의료서비스 제공 표준 제시

- 27 -

교육 및 연구 기능- 권역재활병원 및 공공병원의 재활 인력 교육 및 훈련- 지역사회 중심 재활 인력의 교육 및 훈련- 재활연구 활성화를 유도 장애인 재활정책 연구를 전문적으로 수행- 매년 전국단위의 포럼 혹은 세미나를 개최하여 인적 학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학문적 역량 및 리더쉽을 확보

국제보건- 국제기구 혹은 국내 국제보건 단체들과의 지속적 협력을 통하여 개발도상국 저개

발 국가의 재활의료 원조를 지원- WHO 협력센터 지정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 방안

가 필요성

의료기관 평가의 목적은 의료의 질 향상 및 의료의 질에 대한 사회적 책임 증대임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해서 개별 의료기관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고 평가 기준을 준수하도록 함으로써 환자 진료 및 서비스의 질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임 의료의 질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평가 결과를 공표하고 병원 간 평가결과를 비교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비자의 병원 선택에 도움을 줌

2010년 의료기관평가 인증원이 의료법 제 58조에 근거하여 세워졌음 인증원의 병원 인증은 병원급 이상의 모든 병원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재활전문 의료기관에 대한 전문성이 떨어짐 따라서 인증원에서 적절한 재활의료에 대한 평가 기준을 세우고 이를 전국에 확산시켜 전 국민이 적절한 재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에는 힘듬

인증원에서 인증을 받아도 보건복지부 인증기관이라는 명칭을 부여받을 뿐 수가나 다른 인증에 대한 인센티브가 없는 실정임

또한 산재보험공단과 재활의학회에서도 각각 재활전문병원을 인증하고 있어 혼란이 가중되고 있음

5) 김윤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용역과제 2010

- 28 -

나 의료기관 인증평가 관련 선행연구 검토

의료기관 평가제도 장기적 발전방안 연구

연구에서 제시된 평가기준의 원칙은 다음과 같음- 첫째 환자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환자중심의 평가기준을 개발하여 궁극적으로

환자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킴 제공자의 부서 직종 구분이 아니라 환자가 병원에서 받게 되는 서비스의 흐름과 종류에 맞추어 평가의 부문과 영역을 설정하며 특정 서비스의 제공과 연계 관련된 기능 부서를 통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함

- 둘째 평가기준이 측정하는 영역이 중복되거나 편중되지 않으면서 포괄적인 기준을 마련함

- 셋째 평가기준이 의료의 질을 반영할 수 있도록 평가기준의 질적 측면을 포괄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하여야 함

- 넷째 평가지표의 특성이 너무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평가기준보다는 목적을 정립하고 이에 부합하는 기준이 되도록 함 즉 명목적(explicit) 평가기준보다는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에 초점을 맞추면서 묵시적(implicit)인 평가기준으로 유도해감

의료기관평가의 안정적인 발전뿐만 아니라 앞으로 평가 대상 기관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갈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독립적인 전담 기구가 필요함(현재의 의료기관평가의 대상 기관은 종합병원 및 300병상 이상의 병원으로 현재 약 360여개 병원이 이에 속하고 있음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전반적인 질적 수준의 제고라는 측면에서 볼 때 앞으로 평가 대상 병원을 소규모 병원으로까지 확대할 필요성이 있으며 많은 나라들에서 1차 진료를 평가 대상에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다면 장기적으로 볼 때 평가 대상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산재보험 의료재활항목 수가개발보완 및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제 도

입 방안 연구

산재전문병원 인증제도의 도입은 현재의 4단계 종별분류에서 3단계의 새로운 분류체계와 개념상 일치한다고 생각함 현행의 4단계 종별분류는 의원 병원 종합병원 종합전문병원(대개 대학병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병원 종합병원과 종합전문병원간의 시설규모나 인력 장비 수준이 너무 차이가 생겨 상급병원으로서의 병원 종합병원의 역할이 과거에 비해 약화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6)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2005

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2006

- 29 -

이에 새로운 3단계 분류로서 ldquo전문병원rdquo이란 개념을 도입하게 되었음 병상 수 등의 규모보다는 내적인 시설 인력구조 진료상병의 집중화 등을 토대로 전문적인 진료가 가능한 병원을 인증하여 이곳에는 여러 가지의 지원을 하자는 것임 이를 통해 종합전문병원으로 집중되는 환자를 분산시키고 다양한 의료의 전문화를 구축하자는 것임

인증 기준은 다음과 같음- 인력구성의 적절성 의사(전체의사 재활의학전문의) 간호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

사 언어치료사 임상심리사 의료사회복지사 직원 교육 및 연수프로그램- 시설 및 장비의 적절성 시설구비(병동 및 진료관련시설) 재활치료장비 응급장비

시설 및 장비 안전관리 장애인 편의시설- 질적 서비스의 제공 입퇴원 기준의 구비 및 준수 환자 평가 치료계획의 수립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및 평가 수행 여부 팀 접근 재활간호서비스 보장구 처방 검수 및 훈련 능력 입원환자의 진단명 구성 및 중증도

- 질 향상 활동 질 향상 위원회 환자 시설 인력의 질 평가 자료의 활용 여부

다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 방안 개발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가 구축middot개선되는 과정에서 새롭게 설립되거나 역할을 부여 받은 서비스 제공자가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 내에서의 역할과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음 이러한 경우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의 운영에 장애가 될 수 있음 이를 예방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적절한 인증기준과 인센티브 방안 등이 포함된 재활의료기관 인증제가 활용될 수 있을 것임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10)8)의 전문가 조사 결과와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재활전문 의료기관 인증체계를 구성하여 그림 14와 같이 정리하였음

8)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안 연구 2010

- 30 -

현재 산업재해공단 재활의학회 보건복지부 산하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서 각각 재활전문병원 인증을 시행하고 있음 이는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들에게도 혼란을 줄 뿐만 아니라 병원에도 부담과 혼란만 가중시킬 뿐임 국가적으로도 의료자원의 낭비임 따라서 현행의 재활전문병원 인증을 하나로 통합하여 인증할 수 있도록 함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이 현재 모든 병원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재활전문병원에 대한 전문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는 국립재활원과 재활의학회에서 평가 및 인증기준을 설립하여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서 설립된 기준을 바탕으로 평가 및 인증을 시행 해야함

재활전문병원 인증기준과 관련하여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5)9) 연구에서는 재활의료서비스 대상자에 대한 직접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치료사(물리치료사 및 작업치료사 등) 재활의학전문의 간호사 등의 재활 인력 재활의료서비스 진료실적의 질적 측면 진료관련 편의시설 및 장애시설 구비정도에 대한 인증 기준의 필요도가 35 이상으로 높게 제시된 바 있음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10) 연구에서는 재활전문병원 인증기준을 시설 및 장비 기준 인력 기준 재활서비스 기준 등으로 분류하였고 이 중에서 전문가들은 장애인 편의시설 구비 정도와 재활의료서비스 진료실적에 대한 질적 평가에 높은 중요성을 부여하였음(그림 14)

9)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5 이 연구에서는 재활의학전문의 270명 물리치료사 74명 작업치료사 3명 등 총

347명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한 바 있음

- 31 -

재활의료서비스의 질적 평가를 위한 지표와 관련하여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5) 연구에서는 재활계획(입원 시 치료계획) 수립 환자 및 보호자 대상 정보제공 및 교육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사용 기능상태 사정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및 평가 수행 등이 중요하게 제시된 바 있음

대한재활의학회는 2008년부터 전문재활병원 인증제 평가를 수행해오고 있음 이 때 평가 기준들은 다음과 같음- 인력 부문 의사 인력 간호 인력 물리치료사 인력 작업치료사 인력 언어치료사

인력 사회복지사 인력 임상심리사 인력- 시설 및 장비 부문 운동치료실 작업치료실 언어치료실 사회사업실 이동성 장

애인용 화장실 물리치료 기구 운동치료 기구 작업치료 기구- 전문재활서비스 부문 기능의 평가 팀접근에 의한 재활서비스 집으로 퇴원한 환

자의 비율 발병 후(장애 발생 또는 악화 후) 2년이 경화하지 않은 환자의 비율- 전문적인 재활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의 비율

한국보건사업진흥원의 연구와 대한재활의학회의 평가기준을 참고하여 2010년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2010)의 연구 보고서에서는 재활전문병원 인증 기준을 다음과 같이 예시함- 인력 기준 의사 수 재활의학전문의 수 간호사 수 치료사(물리치료사 등) 수 사

회복지사 수 등- 시설 및 장비 기준 병상 수 진료관련시설 구비 정도 장애인 편의시설 구비 정

도 장비 기준 준수 등- 재활의료서비스 진료실적에 대한 양적 기준- 재활의료서비스 진료실적에 대한 질적 기준 재활계획(입원시 치료계획) 수립 여부

- 32 -

퇴원 전 퇴원계획(기관 연계 등) 수립 여부 재활전문 인력 면허자격 비율 다학제적 팀접근 여부 재활프로그램의 다양성 환자 및 보호자 대상 정보제공 및 교육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사용 여부 기능상태 사정 여부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및 평가수행 여부 사례회의 실시 정도 직원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

재활전문병원으로 인증된 의료기관에 대한 인센티브 방안으로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 교실의 2010년 연구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취약지 시설 건립을 위한 건축비 지원 지역사회 재활사업 지원 등 공적 사업에 대한 재정 지원 인증기관에 대한 차등수가제 적용 등의 방안을 제시함

국제보건의 필요성 및 진행 방향

가 세계장애현황10)

장애인 인구

장애 인구는 전 세계적으로 10억명 이상 혹은 세계 인구의 15이상으로 추정되고 있음(2010 global population estimate 기준)

WHO에서 2011년 발간한 World Report on Disability에 따르면 장애를 15년 이상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은 7억 8천 5백만 명이며 세계 인구에 156를 차지함

10) World report on disability 2011 WHO

- 33 -

이 중 1억 1천만 명(22)이 심각한 장애를 안고 있는 것으로 추정됨

장애는 심각한 우울증 시력상실 사지마비 등과 같은 수준의 심각성을 가지고 있음

현재 장애인의 숫자는 인구가 노령화되면서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임

재활분야의 수요와 미충족 수요

현재 재활분야에서는 몇몇 국가에 대한 자료만 있을 뿐 전 세계적으로 통합하여 미충족 수요를 추정한 자료는 없음- 재활분야의 데이터들은 완전치 않거나 분절화 되어 있는 경우가 많음

재활분야의 미충적 수요는 퇴원을 늦추고 활동을 제한하며 건강을 악화시키고 삶의 질을 낮출 수 있음 - 이런 부정적 결과는 개인을 넘어 가족 지역사회 까지도 사회적으로 재정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음

미충족 수요의 대한 데이터는 일부 국가의 특정 장애에 관한 조사만 사용 가능함11)

- 말라위 모잠비크 나미비아 잠비아 짐바브웨에서 시행된 국가적 장애인 삶의 실태조사에서 재활치료와 보조장비의 심각한 부족과 성의 불평등을 나타내었음

- 크로아티아 체코 헝가리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에서 진행된 재활의료 조사에서 일차 이차 삼차 재활에 접근성의 부족을 보였음

또 다른 방법으로 재활분야의 미충족 수요를 추정한 방법은 재활 서비스를 받기까지의 기간으로 추정하는 방법임- 최근의 국제 조사(2006-2008)에서 도시지역에 재활의료를 받는데 까지 걸리는 대

기시간은 평균 한 달 미만으로 조사되었음 그러나 시골지역에서는 6개월에서 1년까지 걸리는 것으로 조사됨12)

11) Maclachian M et al Disability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Dordrecht Netherlands Sringer

2009(World report on disabiltiy WHO 2011에서 재인용)

12) Chiang PPC The Global mapping of low vision services Melbourne University of Melbourne

2010(World report on disabiltiy WHO 2011에서 재인용)

- 34 -

나 필요성13)

전술한 국제사회의 광범위한 보건부문의 미충족 수요(unmet need)는 보건 ODA수요를 발생시키고 있으나 국제적인 보건 ODA는 이런 수요에 충분히 부합하지 못하고 있음

이런 상황 속에서 50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수원국에서 공여국이 된 전 세계에 몇 안 되는 사례 중 하나인 우리나라의 발전경험이 개도국 발전의 모범적인 성공사례로 주목받고 있으며 국제기구들과 개도국들로부터 한국의 개발경험 전수에 대한 요청이 늘어나고 있음

재활 분야에서도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우리나라 재활의료에 대해 제3세계 등지에서 경험 전수에 대한 요청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임

다 국립재활원 현황

콜롬비아 중앙재활센터 건립사업

2008년 국립재활원은 한국국제협력과 협력하여 콜롬비아 무상협력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콜롬비아 보고타 지역의 중앙재활센터 건립사업을 수행하였음

국립재활원은 콜롬비아에 선진재활프로그램 전수 재활센터 설계 등 마스터플랜 수립을 지원하고 재활장비 선정 및 자문을 하였음- 콜롬비아 병원건립 프로젝트 책임자 병원 설계자 대학교수 및 중앙재활 센터 담

당자 등이 한국을 방문하여 재활센터의 방향 및 개념 정립 재활병원 건축 및 설계 한국의 재활 기술 및 재활모델 한국의 의료시스템 전반 의료정보 활용 사회적 직업적 재활 전략 등에 관한 연수를 국립재활원에서 진행하였음

한국국제협력단 와의 체결

2010년 국립재활원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보건의료분야 대외무상 원조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 함- 협력내용은 기관의 고유사업 중 협력을 통해 성과를 제고 시킬 수 있는 업무분야

에 대한 기획 의사결정 수행- 개발도상국의 보건의료 관련 신규 상호협력과제 마련 및 추진 등

13) 오주환 한국형 ODA 프로그램 선정 연구 2012 총리실 연구용역과제

- 35 -

라 향후 방향

효과적으로 국제보건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WHO 협력센터 지정을 받는 것이 필요함- WHO 협력기관은 WHO가 수행하는 각종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해 WHO 사무총

장이 지정하는 국제적인 협력네트워크임- 매 4년 마다 재지정 평가 절차를 거친 후 협력센터의 기능을 유지함- WHO 협력센터 지정을 통해 수행하는 업무에 국내외적 관심을 높일 수 있으며

생산된 결과물에 대한 국내외 관계자들의 신뢰를 끌어올릴 수 있고 국제 보건관계 기관간의 협력관계 구축에 용이해지며 국제사회에서 협력을 추진하는데 큰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음

WHO 협력기관의 조건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은 다음과 같음14)

- 국내외적으로 높은 과학적 기술적 지위를 가지고 있을 것- 국내의 의료적 과학 혹은 교육 구조에서 두드러진 위치에 있을 것- 높은 질의 과학적 기술적 리더쉽을 가지고 있으며 높은 질의 직원을 충분히 확보

하고 있을 것- 개인 활동 펀드 모두 안정적인 상황일 것- 국내외의 다른 기관들과 강한 협력관계를 맺고 있을 것- 특정 국가의 원조 프로그램이나 국제 협력 활동에 참여하여 WHO의 프로그램들을

단일기관으로 혹은 네트워크의 하나로서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함- 적어도 WHO와 지난 2년간 협력관계를 가진 경험이 있어야 함

위의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준비를 지속해 나가야 할 것임

국립재활원과 권역재활병원의 협력 방안

가 권역 재활원 관리 모델

보건복지부로부터 권역재활병원의 관리권한을 위임 받아 병원의 재활 센터의 질관리 등 전반적인 관리를 책임짐

권역재활병원의 관리를 위하여 재활병원 평가 기준을 개발하여 점차 전국의 재활 연관 병원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

장애인 재활 지침을 마련하여 진료의 표준화를 확립 재활 연관 직종의 보수교육의 전부 혹은 일부를 담당하여 국립재활원이 재활

14) Guide for WHO collaborating centres WHO 2012

- 36 -

연관 직종에서도 리더쉽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

- 37 -

나 권역재활병원 협력 모델

국립재활원은 1년 단위로 각 권역재활병원과의 협의를 통하여 각 지역의 이전 공공 재활 계획과 그 결과를 평가하고 다음해의 계획을 세우는데 조언을 함

복지부와의 협의를 통하여 공공재활을 지원할 재원을 확보하여 각 권역 병원의 공공재활 프로그램에 재원을 분배하여 지원함

권역 재활병원과의 MOU를 통하여 적극적으로 인력 및 기술을 지원함

법 제도적 개선 방향

위에 기술한 공공재활서비스 발전 방안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가칭)장애인보건법의 제정 혹은 제도 정비 등 몇 가지 법적 제도적 개선이 필요함

가 국립재활원 및 권역재활병원 운영규칙 및 설립근거

1994년 제정된 lsquo국립재활원운영규칙(보건사회부령 제930호)rsquo은 폐지됨 대신 보건복지부의 소속기관으로 lsquo책임운영기관의 설치 운영에 관한 법률rsquo lsquo책임운영기관의 설치 및 구분rsquo과 예규의 형식으로 발령된 lsquo국립재활원 기본 운영 규정rsquo에 의해 규율을 받고 있음

현재 국립재활원의 법적위치는 lsquo책임운영기관의 설치 운영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보건복지부소속 책임운영기관으로 되어 있음

따라서 앞서 제시한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의 새로운 기능으로 제시한 국가 재활연구센터로서의 역할과 국가 장애인정책 수립방안을 제시하는 재활정책 수립 기능 재활의료기관 인증을 수행하고 권역재활병원의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사항을 조정하는 인증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가칭)장애인 보건법 등 법 제도 신설 혹은 정비 시 국립재활원의 설립근거와 운영규칙을 확립해야함

권역재활병원의 기능으로는 포괄적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권역 내 재활사업 주관 권역 내 재활전문 교육훈련 및 임상연구 등 재활연구센터로서의 역할 담당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와 함께 교육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국가

15)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 체계 개선방안 연구 김윤 보건복지가족부 용역과제 2009

- 38 -

중앙재활센터로서의 기능 등이 포함되어야 함 또한 권역재활원 선정 및 심사 평가 체계로서 보건복지부 및 지방자치체 국립재활원 및 재활연구소 민간 학회 등 연구기관이 각각 담당하는 역할과 권역재활병원 지정 절차 지정조건 및 기간 지원 내용 등도 규정되어야 함

나 재활전문병원 인증 관련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

의료법 제3조의 5 전문병원 지정 항목에 의거하여 재활전문병원의 요건을 보건복지부령으로 규정함 또한 특정 질환의 경우로서 을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함

재활전문병원 지정을 위한 요건에는 시설 및 장비 기준 인력 기준 재활서비스 기준 등이 포함되어야 하며 특히 재활계획(입원시 치료계획) 수립 환자 및 보호자 대상 정보제공 및 교육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사용 기능상태 사정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및 평가 수행 등 진료실적에 대한 질적 평가의 비중이 강조되어야 함

현행 의료법 제3조 5 전문병원 지정 항목에는 전문병원 지정 이후 인센티브 제공 내용이 언급되어 있지 않으나 취약지 시설 건립을 위한 건축비 지원 지역사회 재활사업 지원 등 공적 사업에 대한 재정 지원 인증기관에 대한 차등수가제 적용 등의 방안들이 규정될 필요가 있음

- 39 -

다 개선사항 제안

국립재활원의 설립근거 및 운영규칙

-국립재활원의 설립근거와 운영규칙을 법에 명시하도록 함예시) 보건복지부장관은 장애인의 보건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와 장애인의 진료 등을 위하여 국립재활원을 설치운영하여야 한다-권역재활병원의 기능과 역할을 명시예시) 지역사회 장애보건 및 재활의료사업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하여 권역재활병원으로 하여금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1 해당지역 장애발생율 등 장애보건관련 통계산출을 위한 자료의 수집분석관리 2 해당지역 장애보건관리사업의 기획 및 재활의료서비스 연계체계 구축 3 해당지역 장애보건 관련 조사연구사업 4 해당지역 장애보건 관련 인력교육훈련 및 국제협력 5 해당지역 장애건강등록사업에 관한 사항 6 해당지역 장애인 가족지원에 관한 사항 7 지역거점재활의료센터 지원 8 그 밖에 지역사회 장애보건 및 재활의료사업과 관련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

재활전문기관 평가 및 인증

-의료기관인증평가원의 재활전문병원 인증시 국립재활원의 역할을 명시

예시) ➀ 보건복지부장관은 재활의료기관에 대하여 특화 및 전문치료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는 기관에 대하여 재활의료전문기관으로 인증취소할 수 있다 ➁ 제1항의 재활의료전문기관 인증취소에 관한 업무는 중앙장애보건관리본부(현 국립재활원) 등 관련 단체 및 전문기관에서 수행할 수 있다 ➂ 재활의료전문기관 인증취소에 관한 범위와 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지역거점재활의료센터

-지역사회 장애보건 및 재활의료사업의 전문적 수행을 위해 보건소나 국공립 및 권역재활의료기관에 (가칭)지역거점재활의료센터를 설치 위탁 할 수 있도록 함예시)지역사회 장애보건 및 재활의료사업을 전문적으로 수행하게 하기 위하여 보건소 또는 국middot공립 및 권역재활의료기관에 권역장애보건관리본부 및 지역거점재활의료센터를 설치하거나 그 사업을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관 또는 단체에 위탁할 수 있다

표 6 법 제도적 개선사항 제안 정리

- 40 -

요약 및 소결

현재 국립재활원 공공재활 의료팀에서 시행중인 공공재활의료 관련 사업을 검토하였음 - 위에서 서술한 현재 공공재활의료 관련 사업의 문제는 아래와 같음- 공공재활 의료팀에서는 대부분 보건(지)소 근무자 교육 프로그램만 운영하고 있음- 권역 재활 병원 및 2차 병원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함- 교육 프로그램을 제외한 기술적 지원 및 협력체계 기반이 미흡함- 다양한 직종이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미흡함

위에 제시한 문제점과 2009년 재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델파이 조사를 바탕으로 국립재활원의 공공재활의료 발전 방향에 대한 전략을 구상하였음

권역 재활병원과의 상호 협력 증진- 보건소에서부터 권역재활병원 국립재활원으로 이어지는 공공재활의료 전달체계 구축- 적정 재활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진료 지원 및 협진 등

의 재활의료서비스를 지원함

재활 전문병원 평가기준마련 및 인증제 실시- 장애인 보건법 제정 등의 제도적 정비가 필요함

국가정책수립 기능- 장애인 보건법 등의 법적 제도적 정비 방향을 제시함- 장애인 및 재활의료서비스 통계를 산출함

교육 및 연구 기능- 권역재활병원 및 공공재활의료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권역재활병원 실무과정 공

공재활의료 아카데미교육과정 등과 같은 공공재활체계교육을 수행함- 재활정책 고위과정을 교육을 수행하여 정책형성의 기반을 형성함

국제보건- 국제기구 혹은 국내의 국제보건 단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국제적 재활의료 부분에

대한 원조를 지원함- 효과적인 국제보건 지원을 위해서는 WHO 협력기관 지정을 받는 것이 필요함

- 41 -

제3장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 방안

사회복귀지원의 개념

가 문헌 검토

lsquo사회복귀rsquo 용어는 일반적으로 미국에서 lsquocommunity (re)integration(사회복귀)rsquo와 lsquosocial integration(사회통합)rsquo를 사용하고 있고 그 외 lsquocommunity reentryrsquo lsquocommunity livingrsquo lsquogetting back to real livingrsquo 등으로 다양하게 지칭하고 있음

lsquo사회복귀rsquo 관련 개념은 명확하게 개념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임 단지 장애인 부상자 범죄자 등 사회적 취약 계층의 사회로 복위 갱생 회복 등을 의미하며 대상자별로 조작적 정의를 통해 개념이 정립화되어 있음- Kenneth Lam (1994) 사회복귀란 가족과 지역 내 일상생활 일상적인 역할과 책

임 사회 구성원의 일원으로 동참하는 것을 의미함17)

- Marcel Dijkers (1998) (물리적 손상이나 장애 후) 사회복귀란 연령성별문화적 적절한 역할상태기능을 돌이키는 요구 의사결정을 통해 독립적상호의존적 그리고 지역사회에서 가족과 친구 등 다양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완성된 행동을 수행하는 것을 말함18)

- Mank amp Buckley (1989) 장애인의 사회통합은 비장애인이 영위하는 수준과 동등하게 장애인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존재(presence)하고 참여(participation)하는 정도를 의미함19)

- Ely amp Peter (1991) 사회통합은 lsquo사회적 동반rsquo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장애인이 실제 살아가는 곳에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상적인 활동에 참여하는 것임20)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장애인 대상의 사회복귀는 장애 발생 이후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기능이 재조직화 되어 개인의 가정생활 사회활동 직업활동에 복귀하여 안녕감을 갖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음

16) 사회복귀지원의 개념 및 프로그램 운영 사례에 대해서는 lsquo국립재활연구소 장애인의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재활서비스 모형 개발 2010rsquo 및 lsquo국립재활연구소 장애인의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ICF 기반의 재활서비스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 2011rsquo을 참고하였음

17) Kenneth Lam Community reintegration Life after stroke 1994 세미나 발표 자료

18) Marcel Dijkers Community Integration Conceptual Issues and Measurement Approaches in

Rehabilitation Research Top Spinal Cord Inj Rehabil 19984(1)1ndash15

19) Mank D M amp Buckley J Strategy for integrated employment in W E Kierman amp R L Schlock

(Eds) Econimoic industry and disability A look ahead baltimore Paul Books Publishing 1989

20) Ely Peter W Quality of life and social integration of psychiatrically disabled citizens in community

residences MI University Microfilms International 1991

- 42 -

나 병원 기반 사회복귀지원프로그램

질병 및 손상으로 인한 장애가 발생한 환자에게 제공되는 환자병원 기반 사회복귀지원 과정은 다음과 같음

병원 기반 사회복귀지원프로그램은 일상생활훈련(실생활 훈련)을 비롯하여 운전교육 컴퓨터 교육 학업(직장) 복귀지원 주택개조 정보 제공 및 연계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멘토링(동료상담) 프로그램 정서적 지원 성재활 지역사회자원 연계 가족지지상담 및 프로그램 법률지원서비스 독립생활체험 활동보조인 이용체험 보조기 평가 및 대여이용체험 등으로 구성됨- 일상생활훈련(실생활) 훈련은 장보기 요리실습 및 세탁 청소 샤워 등 기본적인

- 43 -

일상생활 및 가정관리 훈련 쇼핑 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 이용 및 이동훈련 시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음

- 운전교육에는 운전클리닉 운전면허 취득 운전적응훈련이 포함되어 있음- 학업 및 직장 복귀 지원은 학업 복귀와 취업준비 지원 및 직업 훈련 연계가 포함됨-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은 재활스포츠와 문화활동이 포함되어 있음- 정서적 지원부분에서는 인지middot정서에 대한 심리학적 평가를 기반으로 정서적 어려

움에 대한 상담과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음

구분 내용

일상생활(실생활)

훈련

요리 메뉴 짜기 및 시장보기 실습실을 이용한 요리 실습 시행

쇼핑 대중교통 이용하여 백화점 할인마트 시장 방문하여 쇼핑하기 계산하기 등 일상적인 가정관리 훈련제공

금융이용 훈련 통장 및 현금카드 만들기 현금인출기 이용 세금 납부하기 인터넷 뱅킹 등 금융이용 훈련 제공

대중교통 이용 지하철

지하철 내 편의시설 이해 엘리베이터 장애인 개찰구 및 출입구 이용 등 사전 모의 체험 및 실제 지하철 이용하기

대중교통 이용 시내버스

저상버스 이용법 리프트 승하차 휠체어장애인용 좌석 이용 등 사전 모의체험 및 실제 저상버스 이용하기

운전교육운전클리닉 자동차 운전을 원하는 환자에게 전문적인 자동차 운전 평가와

가상현실운전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훈련 제공 운전면허취득 운전면허 취득을 위한 운전기능교육 및 도로주행교육 시행운전적응훈련 장애 발생 전 운전면허 소지 장애인을 위한 도로주행 교육 시행

컴퓨터 교육 타자연습 등 기초교육 문서작성 인터넷 포토샵 등 개인 수준에 따른 정보활용 교육 시행

학업직장복귀 지원

학업복귀지원 입(복)학 관련 정보 제공 장애인 편의시설 조사 담당자 면담 등 진학 및 복학을 위한 지원

취업준비지원 장애인고용공단 직업평가 및 상담 연계 장애인일자리 관련 단체 안내 등 장애발생 전의 직장복귀 및 취업연계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

직업훈련연계 장애인 직업전문학교 상담 및 장애인직업능력개발센터 장애인복지관 직업훈련 등 훈련 연계

주택개조정보제공 및 연계장애인의 주거환경을 진단하고 편의시설 및 주택개조에 대한 정보제공

주택개조 지원연계 등의 서비스를 지원함 (지역구별 집수리 신청 주거개선 업체정보 관련 후원단체 연결 등)

레저 및레크리에이

재활스포츠수중운동체험 및 농구 럭비 볼링 배드민턴 탁구 사격 게이트볼

수영 펜싱 파크골프 등 다양한 원내middot외 연계스포츠를 통해 지역사회에서 이용할 수 있는 레저스포츠 개발 및 참여기회 제공

문화활동 박물관 민속촌 등 다양한 문화활동 체험 및 영화관 미술관 관람

멘토링(동료상담) 프로그램

입원환자에게 여러 가지 조언과 치료완료 후 사회에 적응하고 직장복귀 취업안내 등을 컨설팅 할 수 있도록 잠재력을 키워가도록

도와줌 사회복귀 성공사례 및 정보 제공 동료상담 활동가 및 사회복귀 코디네이터 연계

정서적 심리치료 인지middot정서에 대한 심리학적 평가를 기반으로 정서적 어려움에 대한

표 7 H-CRsP 프로그램 구성 및 내용

- 44 -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지원 현황

가 주간재활센터 프로그램

주간재활센터는 각종 질병이나 사고로 뇌손상을 입은 장애인을 대상으로 독립적인 생활 및 사회적응을 돕고 가족의 부담을 경감시키고자 낮 시간동안 포괄적인 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임

대상은 급성기 치료가 끝나고 의학적으로 안정된 뇌손상 장애인으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기능증진을 위해 적극적인 재활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이며 매주5일(월~금)동안 하루 8시간 총 3개월 동안 이용할 수 있음

재활스포츠 활동 게이트볼 골프 배드민턴 탁구 볼링 배구 등 환자의 장애에 맞는 응용스포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신체적 활동 및 운동경기를 통해 운동능력을 향상시키고 즐거움 만족감을 느끼게 하며 환자간의 협동력을 높여줌

집단 간호 상담 장애로 인해 환자와 가족들이 겪게 되는 심리적 충격 및 고

지 원

상담과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제공

미술치료 그리기 만들기 등 다양한 미술활동을 통한 내면의 정서상태 표현 및 역량 강화

음악치료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 율동 등 음악활동 및 치료 레크리에이션을 통한 정서순화

원예치료 식물심기 및 기르기 꽃꽂이 창작품 만들기 등 원예활동을 통한 정서순화 및 취미개발

성재활성재활 상담 교육 치료를 통하여 장애인의 올바른 성에 대한 인식과

성생활이 가능하도록 도와주어 행복한 가정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는 재활치료

지역사회자원 연계 자립생활센터 복지관 등 거주지에서 이용 가능한 지역자원 및 재활운동 취미활동 자조모임 등 프로그램 연계

가족지지 상담 및 프로그램 가정방문 및 가족상담

법률지원서비스 장애인 관련 법 및 장애인 복지시책 관련 정보 제공과 법률상담 연계 지원

독립생활체험 첨단 보조기구 및 환경제어 시스템이 설치된 실거주형 원룸(침실 욕실 주방 등)에서 생활할 수 있는 기회 제공

활동보조인 이용체험 활동보조지원 사업 및 이용법에 대한 안내 활동보조서비스 신청 지원 필요시 실제 활용 기회 제공

보조기 평가 및 대여이용체험 장애인의 특성과 기능에 맞춘 보조기구 활용을 위해 보조기구 상담 및 제작 개조 및 대여 등의 서비스 제공

- 45 -

충을 같은 입장에 있는 사람들이 함께 모여 이야기를 나누고 서로에게 주어지는 피드백을 통해 보다 긍정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장애수용을 돕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임

성재활 상담 뇌졸중 재발의 두려움과 신체적 불편감으로 인한 부부간의 성생활 결여로 야기되는 갈등을 해소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며 뇌졸중 후 성생활시 주의점 및 전문적인 지식을 제공함

음악치료 음악활동을 체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사람의 신체와 정신기능을 향상시켜 개인의 삶의 질을 추구하고 보다 나은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프로그램임

치료 레크리에이션 병원생활과 기능손상으로 인한 무기력감과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기능 증진을 위한 다양한 여가프로그램을 통해 환자의 적절한 여가활용 및 사회복귀를 촉진함

원예치료 식물을 이용한 원예활동을 통해 사회적 심리적 신체적 적응력을 기르고 녹색의 쾌적함을 얻고자 하는 활동 프로그램임

미술치료 색채 및 미술도구를 이용하여 심신의 안정과 흥미를 유발함으로서 손의 감각자극이나 동작기능을 향상시킴으로서 사회복귀를 촉진함

가정방문 가정에서 생활환경 및 기능상의 어려움을 파악하여 이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고 대상자의 치료 및 훈련을 보다 효과적이며 실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임

실생활재활치료 사회복귀에 대한 두려움 해소 재활의욕 고취에 긍정적인 도움으로 주는 프로그램으로 옥외활동 문화체험 및 관람활동 교통수단 이용해보기 등의 3가지 테마로 구성되어 있고 월1회 실시하고 있으면 환자기능에 맞는 과제를 제시해 줌으로써 동기부여와 목적을 재인식시켜줌

가족프로그램 보호자와 함께하는 프로그램으로 요리하기 요가 등이 있음

- 46 -

나 사회복귀지원과 2012년 사업추진 현황21)

국립재활원 사회복귀지원과의 2012년 사회복귀지원사업 추진 현황은 다음과 같음

21) 국립재활원 사회복귀지원사업 현황 국립재활원 사회복귀지원과 2012

구 분 내 용 비 고

일상생활훈련

가정관리 세탁 샤워 장보기 및 요리실습 등 의식주 활동

이동훈련 수동 및 전동휠체어 이용훈련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시설 이용하기

활동보조서비스 활동보조서비스 안내 및 지원활동보조인 연계 무료 실습기회 제공(25시간)

의료지원

의료평가 원내 재활의학의 진료 및 평가원내재활병원연계치료 및 교육 필요시물리ㆍ작업치료 교육제공

심리상담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진료 및 상담

보조기 사례관리 휠체어 등 보조기 상담 및 평가훈련 중 보조기 맞춤 및 대여 체험

재활연구소연계

상담동료상담 동료장애인 경험 및 사례모델링

가족상담 및 교육 성재활 가족갈등 해소를 위한 가족상담 및 교육

정보제공

컴퓨터(정보활용) 한글 인터넷 등 기초과정엑셀 파워포인트 등 고급과정

장애인복지정보 장애인복지시책 등 각종 정보안내 거주기 지역자원 복지관ㆍ지원센터 등 지역자원 안내 및 연계

주택개조지원 주택개조에 대한 정보제공 및 연계

운동 재활운동 재활운동실을 이용한 개별운동레저스포츠 탁구ㆍ펜싱ㆍ수영ㆍ볼링 등 원내ㆍ외 레포츠 활동

표 8 사회복귀 프로그램 목록

- 47 -

2012년 프로그램 참가자 수는 총 798명이며 집행된 예산은 수용비 86819000원 재료비 3500000원 운영비 49500000원 등 총 139819000원임

프로그램 구분 참가자 수(명)상담 404운동 76교육 9(회)

멘토링 2심리정서지원 87

여가문화 19진로지원 1가족지원 37

스마트홈체험 15자원연계 157

총원 798

표 9 프로그램 구분 및 참가자 현황

타 기관의 사회복귀 지원 현황

가 서울재활병원

낮병원 프로그램

낮병원 프로그램은 입원치료와 외래치료의 장점을 극대화시킨 새로운 재활치료의 모델로서 발병 후 입원재활치료를 마친 후 가정과 사회로 복귀를 준비하기 위한 재활프로그램임 대상은 뇌졸중 척수손상 뇌손상 등 집중 재활치료가 필요한 성인으로 치료기간은 3개월로 필요시 연장이 가능하며 주 5일 주 3일 주 2일로 운영함 - 각 재활 영역별 전문적이고 세밀한 초기평가를 실시 후 각 환자별 특성에 따라 계

획된 맞춤형 집중 재활치료 프로그램 (물리치료 수중재활치료 통증치료 작업치

운전교육운전면허취득훈련 원내 연습장을 이용한 기능ㆍ도로주행 교육

운전적응훈련 면허 있는 중도장애인을 위한 도로주행 과정

사회체험 방문체험 복지관ㆍ자립생활센터ㆍ체험 홈 등 방문지역 공공기관 방문 및 체험

직업적응 학업 및 직업복귀 학업ㆍ직업복귀를 위한 직업평가 및 정보제공장애인공단 등과 연계서비스

취미활동 생활공예 점토를 이용한 다양한 도자기 소품 만들기한지공예ㆍ지점토 등 생활공예품 만들기

- 48 -

료 언어치료 음악치료 재활심리치료)과 그룹 프로그램(그룹 체조 미술치료 도예) 사회적응치료로 제공하며 뇌졸중 학교를 통해 스스로 장애를 이해하고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음

레크리에이션 재활프로그램

레크리에이션 재활프로그램은 장애인들도 레크리에이션(음악 미술 스포츠 여행 등)을 즐길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재활 및 심리적 치료를 꾀하고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임 대상은 입원 및 낮병원 외래를 이용하는 뇌졸중 척수손상 뇌성마비 등의 환자임- 사회적응치료 문화체험 대중교통이용훈련 대인관계훈련 영화관람 마트 이용 등

을 통해 병원을 벗어나 지역사회를 직접 체험하여 병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퇴원을 위한 실제적인 준비와 지역사회로의 적응을 돕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함

- 원예치료 소아 낮병동 환자 및 보호자 입원중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정서적 안정과 신체적 건강을 위해 식물 기르기 꽃장식 등 다양한 원예활동을 통한 협응능력향상 사회성 향상 손근육강화를 위한 치료로 꽃꽂이 디쉬가든 테라리움 포푸리 수경재배 등이 있음

- 미술치료 미술활동을 통해 심리적 정서적 갈등을 완화시킴으로서 원만하고 창조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심리치료법으로 미술을 통해 고통스런 경험을 동화 통합시키며 적개심이나 공격성을 안전하게 표현할 수 있고 자신을 신뢰하고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기회 제공을 함

재활스포츠 프로그램

재활스포츠 프로그램은 다양한 스포츠 활동으로 인한 심한 손상이나 관절 인대 근육의 손상이 있는 경우 손상 초기부터 정확한 진단 및 안정 통증과 염증의 조절 관절 구축의 방지 근력과 지구력의 증진을 통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재활치료를 목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함

기타 지원프로그램

환자 및 보호자 상담- 환자와 보호자가 가지고 있는 심리사회적 문제를 해결하여 환자의 재활의지를 높

이고 지역사회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개인력 조사 사회사업상담(심리상담 경제적 상담 가족상담 퇴원계획 복지정보제공)을 실시함

환자지원 프로그램- 환자적응치료 지역사회로 외출경험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변화를 직접 경험함

- 49 -

으로 지역사회로의 복귀할 수 있는 의지를 심어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집단활동 프로그램 미술치료 도예치료 놀이치료 구연동화 등 사회성 향상 및

양손 협응력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집단활동을 지원함- 학습놀이 프로그램 입원기간 동안 취학을 앞두고 있거나 학업이 중단된 아동 그

외 학습 및 놀이가 필요한 아동에게 학습 및 놀이 프로그램을 지원함

가족지원 프로그램- 어머니 여가활동지원 가사 간병으로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어머니들에게 여

가활동(토피어리 종이접기 풍선아트 등)을 지원하여 친목도모 및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 아빠교실 재활치료에 아버지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자조모임을 통해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정보를 공유할 기회를 제공함

나 삼육재활병원

사회재활프로그램

사회재활프로그램은 장애인이 사회생활과 가정생활에 적응을 돕기 위해 물리적 사회middot 문화적 심리적 환경 등에서 활동능력을 획득하여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산재 환자프로그램 사회적응프로그램 미술치료 원예치료 그룹 활동 집단 활동 프로그램 피아노교실 사랑의 듀엣 노래자랑 송년잔치 등을 제공함

장애인 정보화 교육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주관으로 운영되는 교육시설로 입원환자 뿐만 아니라 직계가족 지역거주 장애인 및 직계가족 모두가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윈도우 인터넷 한글 엑셀 등 컴퓨터 초middot중급 과정의 강의를 실시하고 있으며 교육비나 교재는 무료로 지원함

무료간병연계

저소득 계층의 의료보호 환자 중 가족이 돌볼 형편이 어려운 환자들에게 광주자활센터와 연계하여 낮시간 동안 복지간병서비스를 제공함

상담

경제문제 상담 및 지원 가족교육 및 가족상담 보장구 지급에 대한 상담 재

- 50 -

활정보 제공 직업상담 가정방문 및 주택개조 지원 상담 등을 시행함

다 파크사이드 병원

집으로 프로젝트

집으로 프로젝트 프로그램은 환자가 병원 퇴원 후 집으로 가서 일상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협력하는 프로젝트로 재활의학과 전문의 재활치료팀(물리 작업 언어) 재활간호팀 뿐만 아니라 의료장비업체 인테리어업체 의료공학자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환자가 퇴원 후 집에서 통원치료를 할 수 있도록 직접 방문하여 여러 방안을 모색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함

펀 쿡 프로그램

펀amp쿡이라는 카페 같은 공간을 이용하여 환자가 직접 시장을 보고 직접 요리를 함으로써 자신감을 고취시킬 수 있으며 요리를 통해 일상생활생활동작 훈련을 하는데 도움을 줌 가족과 함께하는 요리경연대회 다양한 퍼즐 및 보드게임을 통해 기능향상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함

펀 플레이 프로그램

환자를 즐겁게 한 후에 치료로 연결하는 프로그램으로 환자들이 웃고 쉬고 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줌 슬링을 이용한 놀이와 음악을 들으며 춤추기 다양한 게임 등을 통해 즐겁게 움직임을 유도하고 환자들이 평소에 좋아했던 운동을 확인하여 스포츠 활동까지 할 수 있도록 지원함

직업복귀 프로그램

손상전의 직업으로 복귀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으며 의료진이 개입하여 회사 관계자와의 접촉을 통해 환자가 이전 직업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도와줌

자동차 면허취득 프로그램

병원입원기간 환자들을 대상으로 장애인 자동차 면허취득을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함

- 51 -

라 인천산재병원

특수재활요법

특수재활요법은 환자의 심리 정서적 상태를 기록하여 심리재활치료에 반영 및 작업치료의 일환으로 신체적인 잔존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제공됨- 프로그램은 기존에 제공하던 7개 훈련공과를 의료재활의 일부분으로 전면 개편하

여 물리치료실과 함께 재활 의학전문의의 처방에 따라 귀금속디자인 전통공예 목조형디자인 원예 컴퓨터 멀티미디어 회화교실로 변경 시행하여 작업치료와 연결되는 심리재활 프로그램으로 제공됨

수중운동재활

수중운동재활관은 중추신경계 손상 산재환자의 조기재활을 통한 기능회복 재활사업 중 전문재활 급성기환자의 재활 System 확보 전인재활을 통한 사회참여 산재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임- 대상은 뇌손상 척수손상 골절 및 절단 장애 근육병 스포츠상해 등을 가지고 있

는 지체장애인이며 세부 프로그램에 따라 주 2-3회 1회당 30-50분 11 또는 소그룹이나 대그룹으로 운영됨

- 프로그램은 수중물리치료 수중재활운동으로 구분되어 제공되는데 수중물리치료는 수중에서 적응력 균형유지 불필요한 반응 억제 신체조절능력을 증진시키는 HALLIWICK 치료와 미온의 수중에서 등척성 등장성 등속성 운동을 통하여 중추성 신경손상 등으로 인한 근신경 및 골격근을 재활시키는 BRRM 치료 미온의 수중에서 스트레칭 마사지를 통하여 신체의 근신경계 및 관절의 경직 마비된 신체를 이완시키고 심리적으로 안정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WATSU 치료로 제공되며 수중재활운동은 HALLIWICK 방법 BadRagaz 방법 Aquatic Exercise를 적용하여 정상적인 신체이동 패턴과 근력 지구력 심폐 지구력 유연성 관절가동범위증진 및 향상으로 자세유지 능력향상과 일상생활 동작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공됨

야외운동재활센터

야외운동재활센터는 환자들을 위한 스포츠 시설로서 운동을 통해 환자분들의 재활을 돕고 있으며 탁구장 테니스장 농구장 론볼장을 갖추고 있어 환우 여러분들의 병상생활에 활력을 불어 넣어주고 있는 프로그램임- 프로그램은 흰색 표적구를 먼저 굴려 그 표적구에 목적구를 가까이 붙여 점수를

획득하는 경기로 남녀노소 즐길 수 있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서로 페널티 없이 어울릴 수 있는 론볼 다목적 구장을 이용해 제공하는 농구 테니스 배드민턴 실

- 52 -

내에서 4계절 이용 가능한 탁구 프로그램을 제공함

재활공학서비스 연계

국내에서 유일하게 재활공학연구소와 연계한 종합재활서비스를 제공함 - 다양한 첨단 재활보조기구를 연구 middot 공급하는 재활공학연구소가 병원 내에 위치해

재활치료 후 첨단 보장구 지급 생활적응 훈련(ADL) 및 장애인 보장구 적응훈련(ATAD)의 효율성을 높이고 산재 근로자들이 조기에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도모함

마 일본 국립장애인재활센터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는 병원 연구소 학원 훈련센터로 구성되어 있어서 연구-재활치료-교육-사회복귀가 모두 한 공간에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훈련센터에서는 작업치료부터 직업교육 사회생활 적응교육까지 직업훈련사 1인당 5~6명의 장애인을 전담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약 2년 정도 교육이 진행됨 교육 진행 중 취업이 되는 경우도 많이 있음

직업훈련장에서는 실제 장애인 센터에서 요구되는 세탁 장비 수리 등의 작업을 부여 받아 진행하고 있으며 초기 교육부터 마지막 사회적응과정까지 단계별로 교육을 시행함 직업교육의 직능교육 외에도 직장상사와 잘 지내는 법 직장 동료들과 약속을 지키는 것과 같은 관계에 대한 교육도 함께 이루어짐- 일본의 장애인 직업훈련은 공공직업훈련과 사업주가 행하는 직업훈련으로 구분됨 - 공공직업훈련은 국가 도도부현 및 시정촌에 설치하여 운영함 이들 훈련은 무상훈

련을 원칙으로 하며 훈련수당 등이 지급됨- 사업주가 실시하는 직업훈련은 지방자치단체장의 인정을 받아 실시함 - 일본의 장애인 취업은 후생노동성 산하 공공직업안정소에서 관리함 공공직업안정

소는 장애인 취업알선 및 직업상담과 평가 취업을 위한 지원 취직 후의 사후지도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 일본의 장애인 직업훈련과 관련된 인적자원은 직업훈련지도원(훈련교사)이 주된 인원이며 고용과 관련된 요원은 직업생활상담원 잡코치 장애인 카운슬러 등이 있음

스포츠재활의 경우 재활의학 의사의 운동 처방이 존재함 국립장애인센터 내에 장애인 전용 체육관이 있으며 이곳에서 장애인들이 수영 등 스포츠 활동을 진행함 원칙적으로 국립재활원 주변의 의사들도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처방을 할 수 있고 운동처방을 받은 장애인은 국립재활원 내의 체육관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나 아직 시범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단계임

- 53 -

바 마국 시카고 재활원(RIC Rehabilitation Institute of Chicago)의 LIFE Center

2001년 시카고 재활원 1층에 위치한 LIFE센터는 L학습(Learing) I혁신(Innovation) F가족(Family) E권한(Empowerment)상징함 방문자들은 잡지나 책 그리고 비디오와 같은 많은 정보를 얻기를 원하고 음악감상 예술작품 감상뿐만 아니라 다른 방문객들과의 만남을 원함 LIFE센터는 보호자 자원봉사자 등의 인터뷰를 통한 철저한 필요도 평가에 의해 고안됨 따라서 위 센터는 8개 영역에 따라 조직화됨- 의료정보 (Medical information amp care) 기능장애 피부 대소변 호흡 그리고

다른 일상생활활동에 대해 교육제공- 간병과 보조기기 (Caregiving amp equipment) 간병인 적합한 기기 그리고 보조기

기의 정보제공 연계- 가정과 교통수단 (Housing amp Transportation) 집의 접근방법 가정간호를 위한

주정부 정보제공 연계- 지지와 건강관리 (Support amp Wellness) 장애인에게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사립 기관- 여가와 레크레이션 (Leisure amp Recreation) 여행 스포츠 예술 댄스 실내외

레크레이션 활동 경험- 재정관리와 법 (Finance amp Law) 장애법 이해- 영감과 희망 (Inspiration amp Hope) 장애를 극복하고 도전적인 삶을 사는 이야기

발견

사 미국 케슬러 재활원 (Kessler Institute for Rehabilitation)의 사회재활

Return-to-Work strategy Services는 고용자와 고용인 그리고 보험회사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되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임- 기능적 역량 평가(Functional Capacity Evaluations FCEs)- 이전 직업의 인지평가(Pre-Vocational Cognitive Evaluations)- 작업상태 평가(Work conditioning)- 인간공학평가(Ergonomic assessments)- 직업재활과 직업가이드 서비스(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Career Guidance

Services)

장애인에게 경쟁력 있는 고용 학교 혹은 자원봉사 하도록 도와주거나 그들에게 사회의 생산적인 일원이 되도록 복돋아줌 위의 결과지향적인 프로그램은

- 54 -

개개인이 실제적인 커리어에 필요한 기술과 전략을 개발하도록 도움- 상담 배경정보 의학적 치유력 교육 및 직업경력 가족관계 개인적인 관심- 직업평가 적성 개성 학업 문제해결능력 조직력 컴퓨터 사무 능력- 직장체험 재활원과 지역사회 병행하며 직장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 커리어 상담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사는 그들의 강점을 인식하도록 도움- 추가 서비스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휠체어 클리닉 운전재활 인지재활

아 호주 Princess Alexandra Hospital (PA Hospital)

ABIOS는 전문가 지역사회기반 재활서비스로 독립성 향상 참여 및 기회제공 적절한 서비스를 통해 뇌손상 장애인과 그들의 가족 및 간병인에게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 통합을 목적을 위해 지원하는 서비스임

외상성 뇌손상 뇌졸중 뇌종양 약물중독 감염 및 질병 산소결핍 알콜middot약물중독 등 후천적 원인에 의한 뇌손상 장애인으로 PHA 퇴원환자 타병원 의뢰환자 기타 재가 장애인 등으로 퀸즈랜드 거주 장애인만 대상이 됨

교육프로그램- 장애인 당사자 가족 간병인 그리고 지역 내 다른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교육을

실시함- 후천적 뇌손상 이해 뇌손상으로 인한 인지적middot행동적 장애 도발적인 행동관리 뇌

손상 장애인 지원을 위한 일반적인 가이드라인 후천적 뇌손상 장애인을 위한 효과적인 생활양식 지원 지역사회 연계 케어 스트레스 사례관리 뇌손상장애인을 위한 목표설정에 관한 주제로 진행됨

STEPS(The Skills To Enable People and Communities)- 뇌졸중 및 뇌손상을 가지고 있는 18~64세 성인과 가족 친구 간병인들과 함께 참

여하고 실제 장애인이 살고 있는 지역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함

- The STEPS Skills Program은 프로그램은 6주간 제공되며 자신을 돌보는 방법 지역사회에서 살아가는 방법 서비스를 받는 방법 등에 대한 지기관리법에 대해 배우며 그룹의 다른 사람들과 경험과 사고를 공유함

- STEPS Network Groups은 지역사회의 지속적인 네트워크가 되며 프로그램의 핵심은 네트워크 구성으로 지원그룹 파트너쉽 등을 형성하며 그룹활동으로 점심 먹기 공원에 소풍가기 모닝차 마시기 패션쇼 경매참여 카드 등 게임하기 볼링

- 55 -

등 레포츠 영화 및 연극보기 시낭송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함

TRP는 재활의 다음 단계로 퀸즐랜드 척수손상병동에 있던 사람들에게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로 대부분의 TRP 프로그램은 4~8주 정도 진행되나 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며 그 이루는 Outreach 서비스로 연계됨- 이동 휠체어 기술 보행 옥외이동기술 등 신체적 기술의 강화 일상생활활동 지

역사회접근 직업 상담 보조기구 운전 및 주택 개조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직업과 직업 전 기술 등에 대해 다룸

척수 손상환자들이 병원 재활에서 지역사회 생활로의 전환을 도와줌으로써 지역사회 재통합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이 있으며 병원으로부터 좀 더 빨리 퇴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줌 프로그램은 전문가들의 다학제적 팀 접근으로 개인의 요구도와 목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며 적극적으로 이러한 프로그램에 가족 파트너 및 친구의 참여를 권장함

SPOT는 기존서비스와의 중복되지 않도록 교육과 상담에 중점을 두며 서비스 내용으로는 스킨케어 보조기구 주택개조 직업 및 교육정보 통증관리 상담과 지원 일상생활활동 관절과 근육문제 자세와 앉기 대소변 관리 다른 관련 건강과 간호문제 등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를 제공함

서비스는 브리즈번에서 200km이내인 경우거나 지역방문의 정규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하는 경우 가정이나 지역방문을 통해 제공되며 또한 전화나 화상회의와 같은 멀티미디어를 사용하여 조언과 교육도 제공됨

장애인에 대한 직접적인 서비스 외에 척수손상에 대한 2차 합병증 예방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장애인 당사자와 주변인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짐 주제는 욕창치료 및 관리 척수손상으로 인한 2차합병증 예방 자세유지 의수족 고령화 등으로 구성됨

- 56 -

자 호주 Royal Rehabilitation centre Sydney

Brain Injury Rehabilitation team(BICRT)- BICRT는 외상성 뇌 손상을 가지고 지역 사회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로 팀원들은 외상성 뇌손상 장애인들이 만족스러운 생활로 돌아가고 독립적인 생활을 격려하며 정서적 사회적 신체적 지적 기능의 수준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도와줌

- 관계(relationships) 건강(health) 학습(learning) 재정(finances) 직장 및 레저 활동(work and leisure)에 관한 지원을 제공함

환자의 의학적 상태에 따라 ldquo재활 밖의 삶(life outside rehab)rdquo을 경험하기 가족과 함께 Transitional Living Unit에 머물도록 장려함 척수손상병동 퇴원 후 프로그램으로 플랫형 공동 주택으로 되어 있으며 3일 동안 지낼 수 있음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체육관 가이드는 지역사회 기반의 헬스 클럽과 피트니스 센터 참석으로 건강 및 피트니스 활동을 추구하기 위한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있는 재활 환자에게 레크리에이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함

홈 기반 재활 서비스 (HBRS)는 북부 시드니 지역 보건 서비스의 거주하고 있으며 최근 부상 또는 질병을 입었거나 받은 수술을 하거나 만성 근골격계 또는 신경학적인 상태의 악화를 경험하신 고객을 대상으로 집중적으로 짧은 기간 가정에서 자신의 재활을 수행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함 환자는 의사나 입원팀에 의해 연계되며 병원 퇴원 전 HBRS 매니저로부터 평가를 받음

운전 평가 및 재활 센터는 장애인이나 의료적 문제가 있는 사람들에게 독립적이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도와줌 DARC는 운전 평가 및 재교육(re-training)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면허를 회복하거나 운전면허 취득을 위해 조언과 도움이 필요한 특별한 요구가 있는 사람들을 지원함

- 57 -

장애인과 그들이 배우자에게 비밀이 보장되는 환경에서 성에 대한 고민과 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배우도록 지원함

변형된 신체상 성에 영향을 주는 감각 이동 대소변 기능에 변화 의사소통문제 여러 가지 성기능의 변화 관계문제 부적절한 성적행동 성에 대한 잘못된 인식 장애 후 다시 시작된 성생활 등 성적 및 성에 대한 고민이 있는 후천적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함

서비스 내용은 성기능 평가 개인의 요구도에 기반한 개별 치료 개별 및 부부상담 장애인과 배우자 부모 및 간병인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전화상담 및 조언 전문가와 지역사회 단체를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작 및 보급 등이 있음

홈페이지 지원

장애와 상관없이 레저 예술 스포츠 레크리에이션 여행 라이프 스타일 등 세계 각지의 개인 단체 및 관련 제품에 대한 필요한 정보가 링크되어 있어 가이드를 제공함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지원 전략

가 재활의료 전달체계 및 사회복귀 연계체계 확립을 위한 국가정책 수립 지원

교육 및 연구 활동을 통한 국가정책 수립 지원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확산을 위하여 권역재활병원 및 재활전문병원의 사회복귀 담당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정 개설

현행 비급여 재활치료서비스의 수가화 기반 마련을 위한 표준 서비스 안 개발- 성재활 언어치료 운동 처방middot상담middot교육- 사회적응훈련치료 사회복귀훈련- 가족상담 보호자교육 환자교육 질병교육

- 58 -

나 서울시 중심 지역사회복귀 지원사업 수행을 통한 확산 모형 개발

직접 포괄적 서비스 제공- 입원재활치료 퇴원 전 사정 외래재활치료 직업훈련 및 사회적응프로그램 지역

사회 자원 확보 및 연계-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서울시 거점보건소와 함께 하는 시범사업 진행 검토

사업모형 확산- 개발된 모형을 권역재활병원 및 거점보건소 등으로 확산 모색

도시형 보건지소를 사회복귀지원프로그램의 지역거점으로 활용- 현재 정부 지원 도시보건지소 5개소 중 일부에서 방문재활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

는 것과 별도로 lsquo서울형 보건지소rsquo를 향후 약 50개소 추가 건립예정임- 보건지소의 역할 중 방문 재활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으나 역할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국립재활원에서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도시형 보건지소의 역할 수립 및 지역 사회 복귀 거점 기관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함

다 사회복귀지원 사업의 효과22)

한국 중증장애인 재활의료이용 현황

2006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로 신규 등록한 장애인의 2005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22) 이 절의 내용은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실 장애인 재활의료서비스체계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10

참조

- 59 -

진료비 청구내역 자료를 전수 분석하였음

지체장애로 입원한 중증환자의 총재원기간은 578일이었음 지체장애 중 중증이라고 볼 수 있는 척수손상의 경우 미국23)은 2001년 기준 재원기간이 14일로 나타났고 호주24)는 2006년 기준 331일로 나타났음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우리나라의 재원기간이 외국에 비해서는 긴 것으로 나타남

최초입원기간 동안에 소요되는 진료비용은 전체는 약 243만 원 정도가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증의 경우 614만 원 정도가 소요됨 최초입원 에피소드에서 입원횟수는 전체 15회 중증 25회로 장애의 정도가 심한 경우 재원기간도 길어 반복적인 입퇴원이 늘어나는 것으로 판단됨 입원 간격은 전체 139일 중증 113일이었고 건당 재원일은 전체 139일 중증장애 234일로 나타남 중증 장애에서 건당 재원기간도 길고 퇴원 후 입원하는 간격이 짧은 것을 알 수 있음

중증도 환자 수 총재원기간

총진료비용

총입원횟수

입원간격

건당재원일

전체 17345 198 2427985 15 139 139중증 696 578 6144615 25 113 234경증 16649 183 2272614 14 141 135

표 10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지체장애)

(단위 명 일 원 회)

뇌병변장애의 경우 총재원기간이 평균 1008일로 지체장애에 비해 긴 것으로 나타남 특히 중증장애의 총재원기간은 평균 1382일로 4달 이상을 최초입원기간 동안 입원해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이와 같은 결과는 외국과 비교하였을 때 매우 긴 것으로 뇌졸중의 경우 미국25)은 2001년 기준 16일 호주26)는 2006년 기준 280일로 우리나라에 비해 매우 짧은 것으로 나타남

한편 뇌병변장애 최초입원에 들어가는 총진료비용은 전체 1076만원 중증

23) Ottenbager et al Trends in length of stay living setting functional outcome and mortality following

medical rehabilitation JAMA 2004 292(14) 1687-1695

24) Simmonds and Stevermuer The AROC annual report the state of rehabilitation in Australia 2008

Australian Health Review 2008 32(1) 85-110

25) Ottenbager et al Trends in length of stay living setting functional outcome and mortality following

medical rehabilitation JAMA 2004 292(14) 1687-1695

26) Simmonds and Stevermuer The AROC annual report the state of rehabilitation in Australia 2008

Australian Health Review 2008 32(1) 85-110

- 60 -

1451만원으로 초기치료비용이 상당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총 입원횟수는 전체 28회 중증장애 34회였고 최초입원 에피소드 중 입원간격은 전체 76일 중증 71일로 지체장애에 비해 짧았음 한번 입원한 경우 재원기간은 전체는 394일 중증장애는 491일이었음

중증도 환자 수 총재원기간

총진료비용

총입원횟수

입원간격

건당재원일

전체 7325 1008 10760785 28 76 394중증 4430 1382 14507511 34 71 491경증 2895 436 5027454 2 87 245

표 11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뇌병변장애)

(단위 명 일 원 회)

한편 지체장애의 경우 전체 17345명 가운데 9128명이 재입원하여 526의 재입원률을 보임 이 가운데 중증장애 환자는 629가 재입원하였음 척수손상의 경우 미국27)에서 2년 재입원률은 326 10년 재입원률은 52로 나타남 호주28)의 경우 척수손상 환자의 10년 재입원률을 586로 보고하였음 이와 같은 결과와 비교하여 볼 때 우리나라의 재입원률이 외국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재입원 환자의 총재원기간은 전체 179일 중증장애 703일이었음 총진료비용은 전체 159만원 중증장애 643만원이었고 총입원횟수는 전체 19회 중증장애 47회로 중증장애 환자가 재입원횟수가 더 많음을 알 수 있음 재입원 간당 입원일수는 전체 57일 중증장애 168일로 나타남

27) Dersett amp Geraghty Health-related outcomes of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a 10 year

longitudinal study Spinal cord 2008 46 386-391

28) Middleton et al Patterns of morbidity and rehospitalisation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Spinal cord

2004 42 359-367

- 61 -

중증도 환자 수(재입원률)

총재원기간

총진료비용

총입원횟수 입원간격 건당

재원일

전체 9128(526) 179 1588881 19 42 57

중증 438(629) 703 6427675 47 527 168

경증 8690(522) 157 1386598 18 416 52

표 12 재입원 의료이용 현황(지체장애)

(단위 명 일 원 회)

뇌병변장애 환자 7325명 중 뇌병변장애 관련 합병증으로 재입원한 환자는 총 3575명으로 이는 전체의 488를 차지함 중증장애의 경우 553의 재입원률을 보여 지체장애와 마찬가지로 중증에서 높은 재입원률을 보임 미국의 연구들29)30)에 따르면 뇌졸중 환자의 1년 재입원률은 1998-2000년 사이에는 37-47 2000-2001년 사이에는 311로 나왔는데 우리나라와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의 재입원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재입원 환자의 총재원기간은 전체 722일 중증장애 1040일이었음 총진료비용은 전체 546만원 중증장애 789만원이었고 총입원횟수는 전체 25회 중증장애 31회로 중증장애 환자들이 비용도 많이 들고 입원횟수 및 기간도 긺을 알 수 있음 건당 재원일은 전체 222일 중증장애 317일로 나타남

중증도 환자 수(재입원률)

총재원기간

총진료비용

총입원횟수 입원간격 건당

재원일

전체 3575(488) 722 5460980 25 288 222

중증 2451(553) 104 7889880 31 317 317

경증 1124(388) 235 1744217 16 244 76

표 13 최초입원 의료이용 현황(뇌병변장애)

(단위 명 일 원 회)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의 반복적인 입퇴원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첫 입원시점부터 3년까지의 입원양상을 분석함 각 환자의 최초입원 시점을 0일로 하고

29) Smith et al Rehospitalization and survival for survival for stroke patients in managed care and

traditional medicare plans Med care 2005 43(9) 902-910

30) Jia et al Multiple system utilization and mortality for veterans with stroke Stroke 2007 38

355-360

- 62 -

3년까지 매일 입원상태를 파악하여 모든 환자의 입퇴원 양상을 파악함

분석결과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 모두 반복적으로 입퇴원하는 양상을 보임 지체장애의 경우 17000여명의 환자 가운데 대부분은 입원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았지만 입원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이용하는 500여명은 입퇴원을 반복적으로 하고 있었음 이러한 모습은 중증에서 보다 두드러졌는데 전체 700여명의 환자 가운데 300여명이 반복적인 입퇴원을 하고 있었음 입원기간은 대략 한 달 정도였고 퇴원과 다음 입원 사이에도 약 한 달의 간격이 존재함

- 63 -

뇌병변장애의 경우 이러한 양상이 더욱 두드러졌음 전체 7000여명 가운데 2000여 명 가량이 반복적인 입퇴원을 하고 있었고 중증장애의 경우 전체 4500여명 가운데 1500여명 이상이 반복적인 입퇴원을 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음

이러한 반복적인 입퇴원은 보험료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 현행 건강보험 수가에서는 재활 환자가 입원한지 15일이 경과하였을 경우 10의 보험

- 64 -

료 삭감이 이루어지고 30일 이후에는 15의 보험료 삭감이 이루어짐 그렇기 때문에 재활서비스를 받아야할 필요가 있는 환자일지라도 한 달 정도 입원하면 의료기관에서 퇴원을 시키게 되고 환자는 다시금 재활서비스를 받기위해 동일 의료기관 혹은 다른 의료기관에 재입원할 수밖에 없음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경우 지역사회 복귀가 지연될 우려가 있음

사회복귀지원 사업을 통한 재원기간 감소 효과

재활의료기관에서 부적절한 재활의료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재활 성과가 불충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반복적인 입원 및 의료비용 증가의 문제가 발생함 서비스 강도가 약할 경우 서비스 제공 기간의 길이와 상관없이 추가적인 의료이용량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음

초기 장애발생 직후부터 의료기관에서 환자에게 적극적인 사회복귀지원 사업을 제공한다면 적절한 재활의료서비스 제공을 통해 보다 많은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의료이용 관련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현재의 불안정한 사회복귀 재정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재정기전의 마련이 필요함 이를 위해 적절한 사회복귀프로그램의 부재로 인하여 발생하는 장기입원 사회복귀 지연으로 야기되는 개인적 사회적 비용을 추계하여 이를 근거로 사회복귀 재정 기전을 확립해 나가야 할 것임

2008년 장애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체 및 뇌병변장애인 의료서비스 미치료율이 지체장애 534 뇌병변장애 180로 나타났음 이들 대부분이 치료해도 나을 것 같지 않거나(지체 364 뇌병변 349) 치료해도 효과가 없다(지체 445 뇌병변 309)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 우리나라의 재활의료서비스가 서비스 대상자에 기대에 못 미치는 수준으로 제공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음

한편 반복적인 입퇴원을 줄이기 위해 표준산정일수를 도입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음 국내 다수의 재활의료 전문가들은 표준산정일수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추산된 일수는 180일로 일본의 보수지불사례와 유사하였음

필요하다 필요하지 않다표준산정일수 필요성 760 240

표 14 표준산정일수 필요성

- 65 -

Mean CV Median표준산정일수 추산 180일 019 180일

표 15 필요하다고 응답한 전문가들의 표준산정일수 추산

라 재원 확보 방안

수가화 모색

현재에도 운동치료 재활사회사업(개인력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문) 등은 수가로 인정되는 항목임 이를 기준으로 성재활 언어치료 운동 처방middot상담middot교육 사회적응훈련치료 middot 사회복귀훈련 방문재활 가족상담 보호자교육 환자교육 질병교육 등에 대한 수가화 방안을 모색

재활전문의료기관 인증기관에 재활수가를 별도로 인정하는 방안

가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재활인증 의료기관

현재 근로복지공단이 주관하여 산재보험재활인증 의료기관을 선정하고 다음과 같은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음- 이학요법료 수가(급여항목)의 20 별도 인정- 시범실시 재활수가 29개 항목 추가 인정 18개 비급여 항목 11개 급여항목 기준

완화 적용- 정기 현지조사 면제 및 재활치료 대상자의 전원 지원 등

- 66 -

인증기관에 대한 평가 항목은 다음과 같음

구분 평가기준 평가내용필수항목 재활전문인력의 충족성 인력구성 부문 평가

평가항목

(100점)

시설 및 장비의 적절성 (50점)

시설구비재활치료장비

재활의료서비스제공체계 (50점)

재활전문인력 다직종간 팀 구성 및 활동내역

(25점)

다직종간 팀 구성 여부팀 단위 평가회의 여부

팀 단위 회의록 작성 및 보관여부재활간호서비스 제공여부

보장구 처방검수 제공 체계

질적 서비스의 제공(25점)

입원시 재활치료 계획 수립여부기능상태 평가 및 정기적 재평가 여부

퇴원전 퇴원계획 수립여부재활치료계획에 환자 또는 보호자 교육 및 설명여부

기타항목

(10점)

권고사항

언어치료사(4점) 임상심리사(4점) 여부

산재근로자 상담공간 보유 여부(2점)

표 16 인증기관 평가 항목

추가인정 재활수가 항목은 다음과 같음

비급여 항목 급여적용 요양급여 적용기준 완화 언어전반진단검사 발음 및 발성검사 체온열 검사 보스톤 사물이름 대기검사 장비를 이용한 근력검사 체외충격파치료(근골격계 질환) 기립경사훈련(단순재활치료) 집단운동치료(단순재활치료) 집단상담치료(단순재활치료) 전산화인지재활치료(전문재활치료) 연하재활 기능적전기자극치료(전문재활치료) 증식치료(사지관절부위 및 척추부위 전문재활치

료) 근육내자극술(단순 전문재활치료) 언어치료(전문재활치료) 수기요법(단순재활치료) 수중운동평가 수중운동치료(11 전문재활치료) 수중운동치료(그룹치료 단순재활치료)

나-610-가 신경학적검사 나-661 도수근력검사 너-771 일상생활동작검사 너-772 수지기능검사 너-773 관절가동범위검사 사-105 맛사지치료 사-116 운동치료 사-130 재활기능치료 사-121 풀치료 사-128-나 재활사회사업(사회사업상담)

표 17 추가인정 재활수가 항목

- 67 -

나 보건복지부의 재활전문병원

보건복지부는 환자구성비율 진료량 필수진료과목 의료인력 및 병상 등의 지정기준을 평가하여 2011년 10개 의료기관을 재활전문병원으로 지정하였음- 국립재활원재활병원- 서울재활병원- 파크사이드재활의학병원- 남산병원- 브래덤기념병원- 유성웰니스요양병원- 카이저병원- 러스크분당병원- 행복한병원- 늘봄재활요양병원

현재 보건복지부의 재활전문병원 지정에 따른 인센티브는 3년 간 lsquo보건복지부 지정 전문병원rsquo 명칭을 사용할 수 있는 것뿐임

향후 보건복지부 지정 재활전문병원에 제한적으로 운동치료 재활사회사업(개인력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문) 성재활 언어치료 운동 처방middot상담middot교육 사회적응훈련치료 middot 사회복귀훈련 방문재활 가족상담 보호자교육 환자교육 질병교육 등에 대한 수가를 별도로 인정하는 방안을 모색

이와 더불어 현재도 인정되고 있는 수가들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현실에 맞게 조정하고 정리하는 것이 필요함

공익기금 활용

가 교통사고 및 보험 관련

미국 버지니아 주 Community rehabilitation program 재정의 15는 CNI trust fund (운전면허취소자가 면허 재취득시 내는 요금)으로 부담함

한국에서도 교통범칙금 일부를 활용할 수 있을 것임- 현재 한국의 자동차교통관리개선특별회계법에는 교통범칙금의 이용에 관한 별도의

규정이 없어 교통범칙금의 20sim25 정도만이 교통관련 예산으로 사용되고 나머지는 일반회계에 편입되면서 대부분 교통과는 무관한 데 사용돼 왔음

- 68 -

또한 민간 보험업체들도 각각 사회공헌기금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이 기금을 활용하는 방안도 모색될 수 있음- 2011년 11월 손해보험협회는 약 200억 원의 기금 조성 계획을 밝혔음 - 생명보험사가 소속된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는 2011년 약 274억 원의 사회공헌

재원을 조성하여 기금을 조성하여 희귀난치성 질환자 지원 자살예방 지원 저소득 치매노인 지원 저출산 해소 및 미숙아 지원 사회적 의인 지원 금융보험교육 및 학술연구활동 지원 사회공익 및 복지활동 소비자 권익증진 기타 대국민 복지 지원 등에 사용해왔음

나 음주 관련

한국 음주문화연구센터는 주류 및 주정 회사가 주류 소비자의 보호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위하여 출연한 재원으로 운영되며 알코올상담센터 등의 활동을 수행함

주류 건강증진부담금 부과된다면 그 일부를 활용할 수 있을 것임

다 담배부담금 일부 활용

국민건강증진법 제25조(기금의 사용등)에 의하면 ldquo보건복지부장관은 기금을 제1항 각호의 사업에 사용함에 있어서 아동middot청소년middot여성middot노인middot장애인 등에 대하여 특별히 배려middot지원할 수 있다rdquo고 규정되어 있음

이러한 규정을 활용하여 담배부담금 일부를 활용할 수 있을 것임

요약 및 소결

다양한 사회복귀 프로그램 중 국립재활원이 중점적으로 추구해야 하는 사업은 병원 기반 사회복귀 지원체계임 - 병원 기반 사회복귀 지원체계는 환자 입원 후 사례관리회의 때부터 시작하여 맞

춤형 사회복귀프로그램 제공 퇴원 전 사정회의와 지역사회 자원 연계 사후관리로 이어지는 일련의 프로그램들임

- 병원 기반 사회복귀 프로그램은 일상생활훈련(실생활 훈련)을 비롯하여 운전교육 컴퓨터 교육 학업(직장) 복귀지원 주택개조 정보 제공 및 연계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멘토링(동료상담) 프로그램 정서적 지원 성재활 지역사회자원 연계 가족지지상담 및 프로그램 법률지원서비스 독립생활체험 활동보조인 이용체험 보조기 평가 및 대여이용체험 등으로 구성됨

- 69 -

사회복귀 지원체계 구축 방안 모색을 위해 기존 연구 및 타 기관 사례를 검토하고 현재 국립재활원 사회복귀 지원 현황을 검토하였음 - 그간 국립재활원에서 수행해 온 사회복귀프로그램은 주간재활센터프로그램 등으로

일상생활훈련 운전교육 직업 및 학업복귀 사회참여활동 및 지역자원 연계 독립생활체험 재활스포츠 활동 성재활 상담 음악치료 치료레크리에이션 실생활재활치료 가족프로그램 등의 사업을 수행하였음

- 조직개편 이후 신설된 사회복귀지원과에서도 일상생활훈련 의료지원 및 상담 정보제공 운동 운전교욱 사회체험 직업적응 취미활동 등의 사업을 수행해왔음

- 국내 일부 재활병원과 산재병원에서도 유사한 사회재활프로그램과 환자 및 보호자 지원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음

-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는 병원 연구소 학원 훈련센터로 구성되어 있어서 연구-재활치료-교육-사회복귀가 모두 한 공간에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성이 있음 그 외 미국 및 호주 재활병원의 사회복귀지원프로그램들을 검토하였음

이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사회복귀 지원 전략은 다음과 같음- 재활의료 전달체계 및 사회복귀 연계체계 확립을 위한 국가정책 수립 지원으로

교육 및 연구 활동과 성재활 운동처방 등 현행 비급여 재활치료서비스의 수가화 기반 마련을 위한 표준 서비스 안을 개발함

- 서울시 중심 지역사회복귀 지원사업 수행을 통한 확산 모형 개발로 입원재활치료 퇴원 전 사정 외래재활치료 직업훈련 및 사회적응프로그램 지역사회 자원 확보 및 연계직접 포괄적 서비스 제공하면서 개발된 모형을 권역재활병원 및 거점보건소 등으로 확산시킴

- 사회복귀 지원을 통해 부적저한 재활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발생하는 불충분한 재활 성과와 반복적인 입원 및 의료비용의 증가문제를 줄일 수 있음

- 초기 장애발생 직후부터 의료기관에서 환자에게 적극적인 사회복귀지원 사업을 제공한다면 적절한 재활의료서비스 제공을 통해 보다 많은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의료이용 관련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사회복귀 지원 사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재원 확보 방안은 다음의 방법들을 고려할 수 있음- 현재 수가로 인정받는 운동치료 재활사회사업(개인력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

문) 등을 기준으로 성재활 언어치료 운동 처방middot상담middot교육 사회적응훈련치료 middot 사회복귀훈련 방문재활 가족상담 보호자교육 환자교육 질병교육 등에 대한 수가화 방안을 모색

-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재활인증 의료기관 수가 지원을 참고하여 보건복지부의 재활전문병원 지정에 따른 인센티브로서 별도 수가 인정 방안 모색

- 70 -

- 교통범칙금 민간 보험업체들의 사회공헌기금 등 교통사고 및 보험관련 기금들을 활용하는 방안 모색

- 담배 및 주류로 인한 건강증진부담금 일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

- 71 -

제4장 (가칭)장애인재활교육훈련시설(체육관) 운영 방안

개요

국제연합(UN)에 의하면 21세기의 특징은 아래와 같음 - 첫째 인구지진(Age-quake)으로 저출산고령화라는 인구학적 변화가 사회 경제

문화는 물론 보건의료체계에 개혁적인 변화를 요구- 둘째 만성 비전염성 질환 증가로 건강관리 체계를 기존 치료(cure)에서 관리

(care)로의 변화를 요구

이를 종합해 보면 현 시대는 인구수는 증가하지 않으면서 평균 수명은 증가하고 각 종 만성 퇴행성 질환으로 건강 수명(Disability-adjusted life expectancy)은 오히려 감소하는 시대적 특징을 대변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음

따라서 21세기를 사는 현대인들은 인간의 꿈이라 할 수 있는 건강 장수를 위해 건강 수명 증가를 위한 국민 개인의 노력이 필요한 실정임

이에 부응 하여 우리나라에서도 과거 그 어느 때 보다도 많은 사람들이 규칙적 운동(체육 스포츠 포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제로 일상에서 개인의 건강관리를 위해 각 종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음

신체활동을 하는 사람이 다르면 사람마다 신체활동의 목표가 다르듯 운동의 방법 즉 체육 스포츠의 형태 및 활동량도 다를 수 있으며 특히 각종 만성퇴행성 질환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달라야 할 것임

지체 장애 및 뇌병변 장애로 신체 기능의 제한이 있는 장애인들의 경우 재활 치료 외에 본인에게 적합한 운동에 대한 정보를 얻기 힘든 것이 현재 실정임

노령 인구 뿐 아니라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경우 심장마비(심근 경색 심정지) 및 각 종 근골격계 손상(염좌 낙상 골절 등)이 더 쉽게 발생 할 수 있어 이에 대한 방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

그러므로 고령화가 지속되고 만성질환 유병률이 증가되고 있는 시대적 상황에서 건강 수명 증가를 목적으로 체육 및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람들(일정 수준의 만성질환 위험인자 보유자 및 질환자)은 기본적으로 본인의

- 72 -

건강도(medical condition)와 기능적 능력(functional abilties) 들이 평가된 후 실행가능성(feasibilty)과 효과성(efficacy)이 검증된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함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중에 안정 시에 나타나지 않았던 내재된 심혈관계 관련 이상 증상 및 징후를 조기발견하거나 추적관찰하는 것도 안전하고 지속적인 프로그램 참여를 위해 필요함

따라서 국립재활원 장애인 건강증진센터에서는 원내 입원한 환자들 및 지역사회 장애인(만성질환 위험인자 보유자 및 질환자 장애인)을 대상으로 개인별 운동 목적에 부합되는 운동 프로그램을 체계적이고 개별적으로 처방 및 지도관리하기 위해 운동 처방 시스템을 운영하고자 함

필요성 및 현황

가 필요성

현재 우리나라의 평균수명은 786세인 반면 건강수명은 686세로 평균 수명은 과거 그 어느 때보다도 증가되었으나 건강 수명은 평균 수명 보다 무려 10여년이나 짧게 나타나고 있음(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31)

이는 국가의 의료비 부담은 물론 국민의 삶의 질에 막대한 문제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이와 같은 시대적 특성은 국가는 물론 국민 모두에게 보다 적극적인 대처 방안의 모색을 요구하고 있음

여러 가지 방안 중에서 규칙적인 운동의 실천은 개인의 의료비 절감과 건강 수명 연장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으로 잘 알려져 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국민의 운동 실천율은 선진국 보다 매우 낮은 수준인 341(예 미국 55)로 나타나 있음(보건복지부 2006)32)

건강관리를 위해 일정 수준의 운동을 실천하지 않는 운동 부족으로 인한 비용은 총 건강관리 비용의 약 6를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전 세계적으로 1900만 명의 사망 원인이 되는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또한 운동 부족은 각종 만성 질환(심혈관질환 허혈성 뇌졸중 제 2형 당뇨병 결장암 및 유방암

31) 건강수명의 사회계층간 형평성 및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32) 새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수립 보건복지부 2006

- 73 -

등)의 독립적 주요 위험 인자이며 더불어 비만이나 낙상 및 정신 건강 등의 다른 건강 수준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규칙적인 운동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률을 감소시키고 심혈관 질환 대장암 및 제 2형 당뇨병 고혈압 비만 등을 예방 및 개선시키며 골다공증 예방 및 감소와 그에 따른 골절 위험 감소 요통 통증 완화 등의 근골격계 건강을 유지향상시킴(Astrand PO 등 2003)33)

운동은 심리적 효과(심리적 안녕감 증진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 감소) 고 위험 행위(흡연 음주 약불 복용 건강하지 못한 식이 폭력) 예방 및 조절이라는 효과 또한 갖고 있음 또한 그 어느 건강관리를 위한 중재 방안에서도 얻을 수 없는 건강관리에 가장 중요한 독립적 기능 수행 능력을 유지향상시킬 수 있어 질적 수명 향상에도 효과가 있음

그러므로 고령화 속도 세계 1위이면서 각 종 만성질환 유병률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시대적 특성을 고려해 볼 때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건강관리 방안은 운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스스로 규칙적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음

위와 같은 운동의 중요성에 따라 국립재활원은 건강증진센터를 소외되기 쉬운 장애인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운영하고자 함- 첫째 재활병원 내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용이하여 원내 입원 환자와 지역 사회 장

애인들이 입원초기부터 신체기능 향상을 위한 재활치료와 더불어 심폐기능 등의 기초체력 향상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이 병행가능하게 되어 규칙적인 운동을 위한 동기화를 촉진함

- 둘째 의료진 및 전문 치료사 특수 체육 교사에 의한 운동 프로그램을 처방 및 지속적인 지도를 받음으로써 안전하고 효과적인 체육활동을 가능하게 함

- 셋째 개인의 신체활동 상태 및 진행 사항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실시간으로 운동 정도를 조절하고 관리 할 수 있음

- 넷째 등록된 의료기관에 수집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진료 시 필요한 개인별 건강생활습관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어 의료비 절감과 효과적인 진료서비스를 제공 가능함

- 다섯째 국립재활체육센터에서도 개인별 자료를 확인 할 수 있으므로 체육 지도자 및 개인이 보다 안전하고 목적에 부합되는 운동을 할 수 있어 참여자들이 개인의

33) Metabolism during Exercise ndash Energy Expenditure and Hormonal Change Astrand PO Michael

Kjaer Michael Krogsgaard Peter Magnusson Lars Engebretsen etc 2003

- 74 -

건강관리에 대한 안정감과 자신감을 갖고 동시에 일상에서 웰빙감과 개선된 삶의 질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질적 수명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

나 운영 목적

장애인 건강 증진 센터에 등록된 장애인들에게 개인별 신체병력 자료를 기초로 심폐기능 및 지구력 등의 운동 기능 검사 및 건강 체력 수준을 평가하여 이를 기반으로 과학적으로 검증되고 수요자에게 안전하고 선호하는 실행 가능하고 효과성 있는 운동 프로그램을 처방하여 퇴원이후에 자가 건강관리가 가능하도록 함

일정 기간(3~6 개월) 재활체육을 처방 및 지도하여 운동 프로그램을 경험한 참여자에게 스스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을 지속적으로 유지 및 관리하도록 함

다 현황

일반현황

장애인을 위한 체육 시설은 전국적으로 22개소로 이는 비장애인 체육시설의 0044 수준임

일반체육 시설 내 장애인 활용을 위한 편의시설이 미흡하며 프로그램도 부재함

시설 운영비 문제로 장애인 체육시설 조차 장애인 이용 극도로 제한적임

한계점

일반 체육시설에 있어 장애인 이용 편의 설비 규정 부재 체육시설의 설치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관련 항목 부재

장애인 체육시설의 경우 예산 부족을 이유로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수익사업에 치중

시설 내 장애인체육 프로그램 비활성화

- 75 -

국립재활원 건강증진센터 운영 현황 년 월

병원동 신관 2층 심폐재활실에서 운영

운동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 보유

장 비 명 용 도 수 량운동검사기 트레드밀 운동 장비 트레드밀

각력계 (Cybex) 상ㆍ하지용

체간용

심ㆍ폐 지구력 측정 및 평가용

심ㆍ폐 지구력 증진용

근력 측정 및 평가용

2 대

1 대

2 대1 대

표 18 장비 목록

필요시 타 부서 소속의 장비를 임대하여 사용

장 비 명 (소속) 용 도 수 량운동 장비

트레드밀 (연구소) 스텝퍼 (연구소)

Ergometer (신관 병동)체지방 측정기 (검사실)

응급치료장비 (병동) 수동 제세동기 이송용 침대 응급 키트

심ㆍ폐 지구력 증진용

체지방량 측정 및 평가용응급상황 처치용

1대1대3대1대

1대1대1대

표 19 임시 장비 목록

운영 인력은 4인으로 구성

직 위 인 원 업 무 재활의학과 전문의

물리치료사

간호사

2 인

1 인

1 인

운동부하 검사 처방 및 결과 분석개인별 운동 상담개인별 운동 처방

근력 평가 및 운동부하검사 시행심폐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 지도

근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운동 지도체지방 측정

운동 검사 및 운동 지도 보조심폐 소생술 교육 보조

표 20 인력 현황

- 76 -

운영방법

대상자- 입원 환자- 뇌병변 환자 - 고관절 굴근과 신근 및 무릎관절 신근의 근력이 근력등급 3이상- 동적 균형 조절능력이 양호- 보행 동작이 독립적으로 가능 (보조기 사용 여부와 무관)- 인지 기능 양호(간이정신진단 검사 점수gt19)하며 의사소통이 원활한 자 - 운동부하검사의 금기사항이 없는 자 (미국 스포츠 의학회 지침에 의거)

검사 및 처방 시행 운영 방법- 운동 부하 검사 주 2회 (화목 오후)- 한 명의 환자에게 심폐부하검사와 근력 검사를 시행한 후 그 결과를 근거로 운동

처방- 한 주기동안 운동이 가능한 환자 대상- 종합적 체력 단련 방식(circuit training) 총 40분 혹은 60분- 등속성 근력 운동(CYBEX) + 트레드밀 보행 + 에르고미터 (상ㆍ하지) 운동을 통합

하여 한 주기로 만들어 시행

운동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신체병력 상태에 따라 차등 적용

주 2회 (60분회) - 화 목 주 3회 (40분회) - 월 수 금대상자

구성

기간

중위험군 저위험군(비혈관성 뇌병변 질환)

Cybex 15-20분

(8-12회 반복 8-10세트)고정형 자전거 15분

트레드밀 20분

6주 (총 12회)

고위험군(혈관성 뇌병변 질환 위주)

Cybex 15-20분

(8-12회 반복 8-10세트)고정형 자전거 15분 혹은트레드밀 15분 중 택 1

6주 (총 18회)

표 21 운동 프로그램

심폐재활실의 운영 대상- 입원 환자 적용 범위 확대 뇌병변 장애인 척수 손상 장애인 지체 장애인 - 국립재활체육센터 방문자 중 의료진의 일차 면담을 통하여 심폐 기능 평가 및 근

력 평가 등 운동 부하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자

- 77 -

현재 소유 혹은 임대하고 있는 장비만으로는 장애인 개개인의 운동능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추가적인 장비가 필요

이용 목적 업무 필요 장비

심폐 재활실

입원환자의 운동 처방 및 운동 프로그램 운영운동 검사 및 건강 체력 수준 평가

심ㆍ폐 지구력 측정 및 평가 및 근력 측정 모니터링하에 운동 프로그램 운영 국립재활체육센터와 연계

운동검사기 심ㆍ폐 지구력 측정 및 평가용 - 트레드밀 - 정지형 자전거  - 휠체어 트레드밀 악력계 근력 측정 및 평가용(전완) 배근력계근력 측정 및 평가용(체간) 각력계근력 측정 및 평가용(하지) 윗몸일으키기계 근지구력 측정 및 평가용(체간) 팔굽혀펴기계 근지구력 측정 및 평가용(상완) 체지방 측정기 체지방량 측정 및 평가용 체전굴계유연성 측정 및 평가용 평형성 측정기평형성 측정 및 평가용 기타 장비 자동 제세동기 응급 키드 환자 이동용 침대 체중계

표 22 추가 필요 장비

현재 있는 인력이외에 추가적인 인력이 필요- 근력 평가 및 운동 지도 1명- 심폐 기능 검사 및 운동 모니터링 1명

타기관 운영 사례

가 국내 스포츠 센터

상계백병원 심장재활센터

진료과 재활의학과

인력 재활의학과 전문의(1명) 전공의(1명) 간호사(2명) 치료사(1명)- 주중 운동부하 검사와 개별 환자운동은 상시 운영(상주 인원 간호사 1명 치료사

1명)되며 수금(오전)에는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개별 진료 및 상담하고 재활의학과 전공의 1명과 간호사 1명 업무지원

- 진료내용 운동부하 검사 시행 운동처방 개별운동 시행

- 78 -

운영 현황- 검사 혹은 운동 시 발생할 수 있는 응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시

설 구비- 근무 인력의 업무 분담으로 보다 많은 환자의 수용(평가(간호사 1인)와 개별운동

모니터(치료사 1인))- 개별운동 환자를 위한 서비스(개별 운동복과 운동화 비치 탈의실과 샤워실 구비)

타과 환자의 재활프로그램 운영- 의뢰에 따라 운동부하검사 실시 rarr 결과에 맞춘 운동처방 rarr 처방에 따른 개별운동

지도(6주) rarr 6주 후 재평가(환자에 따라 3개월 6개월 1년 후 정기적인 검사 시행)

운동 프로그램 구성- 본격적인 개별운동 전후의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매트에서 환자 스스로 자율운동

으로 시작하여 일반적으로 트레드밀 운동(12분~16분)과 에르고미터(10분~12분)운동으로 이루어지고 소요시간은 준비운동정리운동 포함하여 일회당 대략 40분 정도이고 비용은 2만5천원회

- 운동 중 심박수와 심전도를 모니터할 수 있는 장비를 착용하고 운동시행

서울아산병원 스포츠건강의학센터

- 79 -

정형외과에서 운영

인력 정형외과 전문의 등 스포츠의학 관련 의사(7명) 운동지도사(11명) 간호사(1명)- 병원 내에 검사 및 운동 지도하는 스포츠건강의학센터 병동 내에 관절 수술 전후

의 입원 중인 환자에게 검사와 운동을 시행하는 병동 내 센터 지속적인 운동과 관리를 원하는 외래 환자를 위한 스포츠센터 등으로 운영

- 진료내용 다양한 질환에 맞는 운동부하검사근력균형감각유연성 등 전반적인 체력검사 시행 운동처방 운동지도(병동 내 센터) 및 개별운동(병동 외 스포츠센터) 으로 진행

운영 현황- 응급상황에 대비한 응급의료장비 설치- 근무 인력의 업무 분담으로 보다 많은 환자의 수용(코디네이터(간호사 1인)와 운동

교육 및 개별운동(운동지도사 11인))

개별운동 환자를 위한 서비스(개별운동복과 운동화 비치 탈의실과 샤워실 구비)

환자의뢰에 따라 필요한 검사 실시 rarr 결과에 맞춘 운동처방 rarr 처방에 따른 개별운동지도(1일 지도 2주 1개월 그 이상)

스포츠건강의학센터 내에서는 심박수와 심전도를 모니터할 수 있는 장비 착용 후 운동시행

11로 질환에 맞는 운동방법지도 후 종료하는 경우도 있음(비용- 4만 8천원)

지속적인 운동을 원하는 경우 의사의 처방 하에 스포츠센터에서 자유로이 운동 가능(비용-월 20여 만원)

삼성서울병원 스포츠 의학 센터

진료과 스포츠의학과 심장내과 (심장재활팀과 연계)

인력 스포츠 의학 전문의 운동지도사 간호사

진료내용 건강검진 혹은 심장질환자에 대한 심폐부하검사와 몸통과 팔다리의 근력 및 균형감각유연성 등 전반적인 운동능력평가 시행 스포츠의학 전문의

- 80 -

와의 상담을 거쳐 운동처방을 받은 후 운동지도사의 지도하에 개별 혹은 단체 운동 수행

운영 현황- 응급상황에 대비한 의료인(내과의사 간호사) 배치 및 응급의료장비 설치- 시간별 개별 업무 내용이 나누어짐(일반 환자 심폐능력 평가시간과 심장질환 혹은

타 혈관질환의 평가시간을 다르게 배정)- 심혈관계 환자의 평가 혹은 운동시간에는 심전도와 맥박 텔레모니터링 체계하에

시행- 운동은 스트레칭과 걷기 운동으로 시작하여 트레드밀 싸이클을 시행한 후 마무리

운동- 개별운동복과 운동화 비치 탈의실과 샤워실 구비- 정기적으로 심폐기능 평가 시행 후 전후 비교

고양시 재활스포츠센터

체육관 운영 현황- 운영 201011월~- 연면적 585294(지하 2층 지상 3층) 건축면적 237589

주요시설현황- 3층 관람석- 2층 체육관(97565) 다목적실(123실 9752)- 1층 헬스장(25823) 접수안내실 매점 사무실- 지하1층 수영장 쉼터- 지하2층 기계실 등

운영 인력 총 57명(정규직26 강사31)

구분 센터장 팀장특수체육교사

헬스트레이너

수영교사

사무원

안내원

전기기사

운전기사

탈의실보조

경비 청소 계

정규직 1 3 3 2 8 2 2 2 3 - - 26

강사 - - 4 5 13 2 - - - 4 3 31

표 23 고양시 재활스포츠센터 인력구성

- 81 -

운영 예산 19억원(시 지원 50)

체육장비 보유금액 7억(수영용품 196백만원 포함) 사무용비품 9천5백 일반비품 5천5백 등 별도

운영방법- 운영시간 매일 운영(오전9시 ~ 오후9시)- 이용료 장애인은 비장애인의 50- 운영방식

① 11(강사 장애인) 프로그램 운영 자폐성장애인 뇌병변장애인 ② 그룹지도 지체 및 지적 장애인은 4명에 강사 1인

이용 현황 장애인 50 비장애인 50- 일일평균이용인원(900여명)

일일평균 장애인 이용률 체력단련실 다목적체육관 230명

다양한 장애인 체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재활체육프로그램

구분 프로그램 대 상 시 간 요 일 회 비(원)

체육관

재활농구지적장애 초등부 1030~1200 토

48000지적장애 중ㆍ고등부 0900~1030 토

재활운동 성인 1100~1150 월 수 금 20000

헬스장 재활헬스 성인청소년

0600~2100 월~금20000

0800~1700 토일일입장 월~토 2000

재활체육실

특수체육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A B F반)

1500~1550월 수 560001600~1650

1600~165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청소년성인 1700~1830 월 수 9600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청소년 1700~1750 월 수 5600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

1500~1550화 목 560001600~1650

1700~175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청소년 1630~1800 화 목 96000

표 24 재활 체육 프로그램 목록

- 82 -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무료

- 생활체육프로그램

부산시설공단 한마음스포츠센터

체육관 운영 현황- 운영 20071227~- 연면적 77081(지하 1층 지상 4층)- 주요시설현황

① 4층 조깅트랙(130m) ② 3층 체육관(배드민턴 농구대 배구대 샤워실) ③ 2층 헬스장 ④ 1층 수영장 에어로빅실 안내데스크 관리사무실 휠체어 무상수리센터 ⑤ 지하1층 주차장

운영인력은 총 59명(정규직8 무기계약직13 강사38)으로 세부인원은 아래와 같음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성인 1800~1930 화 목 9600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 주1회 28000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청소년 주2회 56000

특수체육(인라인스케이트)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아동청소년

1500~1600

금 400001600~1700

1700~1800

특수체육(태권도) 지적장애 청소년성인 1300~1400 화 금 80000

프로그램 대 상 시 간 요 일 회 비탁구 장애인 1100~1800 월 수 금

상담 후 결정

휠체어 럭비지체성인

1300~1600 화 목죄식 배구 1500~1800 일

휠체어 댄스스포츠 1800~2000 월휠체어 농구 지체성인(여자) 1700~2000 수 금

농구 지적성인 1000~1200 화 목청각장애성인 1000~1200 수

보치아 뇌병변 청소년성인 1300~1500 수1300~1500 금

골볼 시각장애성인 1500~1700 금

표 25 생활체육프로그램 목록

- 83 -

① 정규직(8) 파트장 행정3 시설4 ② 무기계약직(13) 안내4 트레이너 9 ③ 강사(38) 체육관 27 수영11

수입금 실적현황 1065백만원(입장료 1053백만원 시설사용료 11백만원 잡수입 1백만원)

운영시간 및 방식은 아래와 같음- 운영시간 월~토(9시 ~ 22시)- 이용료 장애인은 비장애인의 50

시조례 기준 20년전 기준 유지

- 운영방식 장애인 10명당 강사 2명 기준 운영- 이용 현황 장애인 38 비장애인 62

① 일일평균이용인원(600명) 장애인 240명 비장애인 360명

다양한 장애인 체육프로그램을 운영

프로그램 대 상 교육일 시 간 교육비 장소

건강헬스 청소년 월~토 0600~2200 19250성인 22000

한마음배드민턴교실(A B C D반)

성인(복지카드소지자) 월 수 금

0600~07300730~09001900~20302030~2200

15000

체육관(3층)

휠체어 배드민턴 장애인 화 목 토 1100~1200 13750

어린이체육교실 6세~초등생(발달 지체) 화 목 1400~1500 9200

김동수의 신나는 체육교실

청소년(복지카드소지자) 수 0930~1130 9200

청소년 체육교실(A B반)

청소년(발달 지체)

월수금1600~1700 13750화목금

HㆍM 배드민턴 지적장애(선수양성) 월~금 1600~1800 46000

청소년 인라인교실 청소년(발달 지체) 화 목 1800~1900 20000

탁구(5개반)

청소년 성인(비장애인등록가능) 월~금

0900~10001000~11001100~12001800~19001900~2000

17500(비장애인35000) 탁구

교실한마음탁구 발달ㆍ지적장애 월수금 1500~1600 13750

어린이탁구AB 초등부 월수금 1600~17001700~1800

13750(비장애인 27500)

표 26 부산시설공단 한마음스포츠센터 장애인 프로그램

- 84 -

나 해외 사례 ndash 장애인 스포츠 센터 중심으로

일본 개 시설

- 85 -

도 시 명 시 설 명 시 찰 사 유

오사카(大阪)

마이시마 장애인

스포츠센터

체육관 수영장 호텔 등 운영 타켓 골프rdquo 프로그램 운영 - 실내에서 장애인 및 노약자가 큰 체력소모 없이 유희놀이로 할 수 있음 클럽 및 동호회운영 실내수영장에서는 ldquo스쿠버다이빙rdquo 및 ldquo카누rdquo 프로그램 운영 유도장 및 에어로빅실 평상시는 장애아동 놀이방으로 활용 연회장은 가라오케 기능 겸용 모든 근무자는 유니폼(츄리닝) 착용 인력 운영 - 직원 80명 중 일일 50명씩 교대 근무 - 자원봉사원은 평상시에는 없고 행사시에만 활용 운영비 확보 - 운영비 년간 58억원 - 재 원 전액 오사카 시부 부담 - 수입금 전액 오사카 시에 귀속 오사카 지역민은 무료 타 지역민은 유료

도쿄(東京)

도쿄국립재활원

3만여평의 부지에 각종 시설 완비 노동(장애인고용촉진)+보건(재활병원)+교육 (직업재활시설)+체육(운동시설) 등의 일체화된 종합시설임 체육시설과 연수시설의 연계 프로그램 운영 재활원에서는 스포츠를 다음과 같이 기능면으로 분류하여 활용하고 있음 - 재활체육 신체장애자의 사회복귀를 위한 준비체육 - 일반체육 신체장애의 요소가 있는 자(병원 입원자 포함)를 위한 체육 재활훈련은 단기 1년에서 장기 5년의 기간으로 시행 스포츠동호회 지원은 기록향상보다는 단순 재활활동 지원에 목적이 있음 이용현황은 - 병원 정원 200명 평균 이용자는 일일 160명 - 숙소 정원 550명 평균 이용자는 일일 350명 장애인 또는 장애인시설 종사자 및 연수생 입소 직원현황은 - 정 규 직 320명 - 비정규직 100명 - 기 타 설비보수직 위탁직(청소 조경 등) 숙소 (4인실기준 4층 규모 2개동) - 시설이용료 ¥32000 1개월 단 영세민(후생연금자)는 무료 운영비 - 운영비는 전액 국고로 지원 약 ¥50억 - 수익금은 전액 국고에 귀속 약 ¥10~15억

요코하마(橫浜)

라포르 장애인

스포츠시설

최신 시설이며 규모가 큼 장애인용 극장 및 영상시설에 대한 시설 설비 및 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조사 등록절차 이용 희망자는 상담실에서 체육지도자와 상담하여 운동종 목을 선정한 후 등록카드를 발급 받은 후 이용 이용료 장애인은 무료 일반인은 ¥500 볼링은 장애인 ¥200 일반인 ¥400 추가

- 86 -

독일 개 시설

도 시 명 시 설 명 시 찰 사 유

도이스버그

도이스버그장애인종합시설

제1 체육관 - 플로어 충격흡수장치가 된 ldquo뉴빙빈rdquo 플로어(리놀리움 바닥) - 방음천막을 이용하여 3등분 구분 사용 가능 - 수납식 관중석 설치 - 좌식배구 각종 실내종목 양궁 제2 체육관 - 플로어 휠체어장애인을 위하여 나무 플로어 설치 - 탁구 휠체어 하키 휠체어 농구 일반인도 휠체어종목을 즐기고 있으며 관련 클럽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 노하우에 의하여 지도력을 갖추게 됨 - 유도 매트는 2면이며 시각장애인용 매트를 설치함 숙소 독일 축구협회 소속 시설로서 노드라인팔레스 축구협회에서 시설을 임대하여 독일 장애인체육회가 운영 중임 운영비 자체 수익금과 축구협회 지원금으로 충당

본 독일장애인체육협회

건립 동기 ldquo바이엘rdquo사가 기업 이윤의 사회환원 차원에서 건립 하였으며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음 운영 목적 레버쿠젠 지역의 비장애인 및 장애인 체육 육성 운영 형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사용을 혼용하여 자체 클럽형 태로 운영 대상 경증장애인 400명이 넘는 일반 육상선수 때문에 휠체어 장애인을 위한 종목 (프로그램)은 없음 운영 종목 좌식배구수영육상시각유도 총 4개 종목만 운영함 클럽내 장애인 분과에서는 학교를 통하여 장애인체육선수를 발굴하고 있음 또한 각종 사업비 조달을 위하여 스폰서 발굴에 노력을 경주함

미국

장애인들의 전용시설인 유타 주의 국립 장애인 레저센터(National Ability Center)와 비장애인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딤플 델 체육 레크리에이션 센터(Dimple Dell Fitness and Recreation Center)등이 있음- 장애인레저센터의 명칭에서도 보이는 것과 같이 장애인 전용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장애라는 단어 대신 능력(ability)라는 단어를 쓰고 있음

장애인 레저센터는 주정부가 부지를 기증하고 주 예산 일부와 후원금으로 건립되었음- 장애인들과 보호자를 위하여 스키 수영 카누 승마 등산 등 전문 레저 스포츠와

그룹캠프 연수 등을 실시- 운동에 필요한 모든 장비와 기구는 대부분 후원에 의해 조달됨

34) 정책보고서-장애인 올림픽 유치를 위한 전문체육 육성방안 이광재 2006

- 87 -

- 운영비 또한 대부분 주정부의 지원과 일반인들의 후원금으로 충당되며 이용료는 장애인들과 보호자 모두에게 실비를 받고 있으며 수익 사업을 위해 기숙사 임대 장애인 교육 레저 교육에 사용함

딤플 델 체육 레크레이션 센터는 미국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체육시설임- 수영장 헬스장 사우나 시설 다용도 체육관 놀이시설 등이 갖추어진 상당한 규

모의 센터이며 장애인들의 이용률이 전체 약 5로 낮으나 장애인들이 사용하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이 모든 시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시설을 갖춤

이 센터는 장애인 생활체육 개념을 모토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됨 장애인 레저센터를 통하여 장애인들이 원하는 스포츠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 한편으로는 일반 체육 시설에서도 장애인들의 이용률이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들이 이용하기에 불편함이 없도록 시설을 갖추어 놓았음 이런 예는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미국의 많은 대학 체육시설에서도 찾아볼 수 있음 미국 대학의 체육시설은 장애인 체육시설을 갖추어놓은 곳이 대부분이어서 미국에서 장애인에 관한 체육대회 등을 개최할 때 별다른 문제 없이 대학의 시설을 빌려서 하는 경우가 많음

재활원의 체육 센터도 이와 같이 국립재활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지 않은 장애인이나 기타 장애인 단체 등에게도 개방하여 장애인들이 원하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해나가야 할 것으로 생각함

향후 운영 계획 국립재활체육센터 프로그램과 연계 중심

가 운영 전략

근거-기반(Evidence-based)의 장애인에게 적절한 운동처방 및 재활체육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실행 가능하고 효과적인 운동을 수행

수혜자 중심(Population-centered)의 재활체육 프로그램 공급을 통하여 활동량 증가와 적절한 생활체육으로의 연결

- 88 -

나 운영 목적

국립 재활원은 장애인 체육을 재활치료 재활 체육 장애인 스포츠로 구분하여 지원하고 있음

공급자 장소 운영비 프로그램

재활치료 의사 처방치료사 치료

병원 물리치료실 작업치료실 등

진료비 의료보험 수가 적용

물리치료 작업치료 열전기 치료 등

재활 체육의사 지도 치료사 및 특수체육교사 교육 및 감독

국립 재활 체육 센터

회비발생(의료 수가 적용되지 않음)

단체 운동 체력강화 트레이닝 유산소 운동 근력 강화 운동 유연성 및 순발력 강화 운동

장애인 스포츠

생활 체육장애인 자발적 참여 장애인 체육회 장애인 스포츠 단체

지역 장애인 스포츠 센터 회비 및 참가비

단체운동 유산소 운동 근력 강화 운동 유연성 및 순발력 강화 운동

엘리트 체육 장애인 체육회 장애인 스포츠 단체

장애인 스포츠 훈련원 선수촌 선수 지원금

종목별 장애인 스포츠 선수 양성 지도자 교육 등

표 27 국립재활원 장애인 체육 지원 구분

재활체육35)은 장애인이 지속적이며 자발적으로 체육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의사의 지도를 받아 전문지도자의 지도아래 그룹 체육활동을 통해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인 총체적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돕는 치료 활동임 재활 치료와 생활 체육의 중간단계의 역할을 함으로서 장애인들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체육활동을 수행하여 더나은 삶의 질을 얻을 수 있도록 함

생활체육36)은 건강과 체력의 증진을 통해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는데 목적을 두고 개인의 일상생활 영역 안에서 각자의 취미와 여건에 다라 여가 시간을 이용해 자발적으로 행해지는 신체적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음 장애인 생활체육37)은 장애인이 인간답게 살 수 있는 기본적 권리로서 운동발달을 촉진하고 기능의 유지 및 회복의 단계를 넘어 체력과 건강의 증진은 물론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건강을 증진하며 삶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활동으로 정의됨

국립재활원 입원 환자 및 지역 사회 장애인을 대상으로 기존의 의사 처방 하

35) 최영순 장애인 재활체육 재활간호학회지 제12권 1호 2009

36) 금창용 생활체육활동 참여 노인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석사 논문

2010

37) 노은이 장애인 생활체육 현황과 과제 서울시정개별연구원 2007

- 89 -

에 치료사가 환자의 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 치료와 더불어 운동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병행하고자 함 이를 통해 장애인들 스스로 더 나은 삶을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신체 활동의 시작인 재활 체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장애인 스포츠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함

다 운영 체계

운영 주체 국립재활원 건강증진센터

역할- 운동처방과 관련된 건강 증진 센터 운영 및 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 - 운동처방 관련 상품 및 장비 개발 및 자문- 운동처방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연구 및 자문- 장애인 전용 특수체육인력 양성 및 지속적 보수 교육 담당 - 재활체육 프로그램 적극적 병행-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지역사회 장애인 스포츠와의 연계

운영 부서 - 심폐재활실 국립재활원 병원동 신관 2층 - 생활 체육관 국립재활체육센터 1층- 재활 체육실 I II 국립재활체육센터 1층

- 90 -

국립재활체육센터 인력 배치 프로그램 및 구성 장비

인 력 이용 목적 업무 필요 장비

생활 체육관

특수체육 지도 2-3명

단체 운동

장애인 스포츠-농구 배구 탁구 보치아 피구 배드민턴 등 필요시 장애인 체육회와 연계

농구대 탁구대 배구 코트 기타 농구공 배구공 탁구공 배드민턴 라켓 보치아 공 보치아 표적구 등

재활 체육실 I

운동 지도 4명

체력강화 트레이닝 근력 증진 운동

심폐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 부위별 근력 운동

심폐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 장비 - 트레드밀 - 정지형 자전거 - 휠체어 트레드밀 - 스텝퍼 부위별 근력 운동 장비 - Leg extension - Leg curl - Leg press - Multi hip - Shoulder press - Arm curl - Abdominal Muscle - Back Muscle 체지방 측정기

재활 체육실 II

코디네이터 1명 운동 지도 2명

유연성과 순발력 증진운동 근력 강화 운동

요가 스트레칭 에어로빅 프리웨이트 스텝박스 근력 증진 장애인 건강증진센터 사무 업무 및 상담실 운영

요가 및 스트레칭용 매트 전신 거울 설치 짐볼 스텝박스 아령 테라밴드 슬링 치료 기구 사무용 가구 및 사무 용품

표 28 국립재활체육센터 인력 프로그램 및 장비

심폐재활실 및 재활체육실 주요 업무- 개인별 운동 상담 - 건강 체력 평가- 운동 기능 평가- 심폐 지구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운동 처방 및 운동 지도- 근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운동 처방 및 운동 지도- 장애인 건강 증진 사업 연계 기관 관련자 교육 - 운영자 운동지도 인력 및 사용

자 대상 - 장애인 건강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 개발 사업 - 운동 전 건강 위험도 평가 프로그램 개발 사업

- 91 -

- 장애유형별 운동 지침 개발 및 보급 - 원내외 관련 기관과 연계- 사회복귀지원과와의 연계로 입원 환자의 원활한 사회복귀 촉진 유도- 지역사회재활추진단과의 연계로 지역 보건소에서의 장애인 건강 프로그램 운영 지원- 권역별 재활병원과의 연계로 병원기반 재활체육 프로그램 활성화 지원

운영 흐름도

일차 면담시 평가 내용- 병력건강습관 질문 (건강 병력 질문지)

- 92 -

- 신체적 활동 준비 질문서 (PAR-Q 형식)

- 의학적건강 검진 ACSM risk stratification

운동 프로그램 참여 전 현재의 의학적 검진과 운동 검사 그리고 운동 검사를 위한 의료 감

독에 대한 ACSM의 권고

낮은 위험요소 중등도 위험요소 높은 위험 요소 A

중등도 운동 필요없음 필요없음 권고고강도 운동 필요없음 권고 권고

B최대하 검사 필요없음 필요없음 권고 최대 검사 필요없음 권고 권고

표 29 ACSM 권고

세부적인 운영 내용은 아래와 같음- 운동 전 검사 및 개인별 운동 처방

개인별 신체활동 목적에 부합되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체계적이고 개별적으로 처 방 및 지도관리하기 위해 건강 체력 검사 및 필요한 경우 운동 부하 검사를 시행 함 그 후 심폐 지구력과 근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운동 처방 및 운동 지도

- 건강 증진 운동 교육 과정 운영 장애인 건강 증진 사업 연계 기관 운영자 운동지도 인력 및 사용자를 대상으로985170장 애인건강증진운동교육과정985171을 운영

- 운동 프로그램 개발 사업 각종 장애별(지체장애 뇌병변 장애 등) 생애주기별(어린이청소년 성인 및 노인 대상) 및 건강 체력 요인별(심폐 지구력 강화용 근력 강화용 낙상 예방용) 운동

- 93 -

프로그램 개발 - 각종 설문지 및 기록지 개발 사업

연구 및 자문을 제공 할 목적으로 개인별 운동실태 운동정서 운동 장애 요인을 파악 할 수 있는 설문지를 개발하고 운동처방 내용 건강 체력실태 및 운동 내용 을 확인 할 수 있는 기록지 개발

- 운동 전 건강 위험도 평가 프로그램 개발 사업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 전에 개인별 건강 상태(예 연령 심혈관 및 폐질환 관련 증 상 및 징후 관상동맥 위험인자 수준 진단된 질환 명)를 근거로 운동검사 필요 유 무 확인 운동 강도(중강도 또는 고강도) 적용 시 또는 운동 검사(최대 하 또는 최 대 운동 검사) 시 의료진 및 장애인 체육 전문가의 감독 권장 여부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도록 함 이를통해 본 사업의 대상자 중 각 종 만성 질환을 갖고 있거나 고령 자인 경우 안전성과 운동 프로그램의 참여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

- 장애별 운동 처방 시스템 구축 주요 대상 장애별로 운동처방 원칙을 시스템화 시키고 운동 중 질환별 특성을 고 려한 주요 모니터링 항목을 포함시켜 환자들이 지역사회에서 운동 처방 수 행시 안전성을 높임 운동처방 시스템 구축에 포함 될 구체적인 내용들로는 질환별 운동 금기 조건 질환 정도 및 기간 약물 처방 여부 및 처방 약물 종류 운동 종 류 및 기간에 따른 약불 투여량 조절 방법 합병증 여부 및 정도에 따른 운동 시 주의 사항 운동 검사 시행 여부 운동 형태 및 운동량 등이 있음

- 장애별 운동 매뉴얼 개발 및 보급 주요 대상 장애인을 위한 운동 매뉴얼을 개발하여 환자들이 주민자치센터 피트니 스 센터 및 가정에서 운동을 할 때 운영자 및 운동 지도자 등록된 일반인들에게 운동 매뉴얼을 보급하기 위한 것임 운동 매뉴얼에는 각 질환의 간단한 특성과 운 동 효과 및 운동 방법 운동 시 주의사항 및 응급 상황에서의 대처 요령(예 심폐 소생술 등) 등이 포함

- 지역 장애인 체육회 연계사업 추진 지역 장애인 체육회와 연계하여 장애인 생활체육 교실 등의 공동프로그램을 적극 개최하여 장애인 체육 전문가의 부족을 메울 수 있도록 하여 일상생활에서도 체육 을 즐길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교육이 가능함 필요시 체육관을 대여하거나 지역 체육회의 장애인 체육 센터로의 지정을 통해 부족한 장애인 체육시설을 보충 가능

- 장애인 체육 활동 실태 조사 전반적인 장애인 체육 활동 실태조사를 통하여 퇴원 후 체육 활동 지속율 지역 사 회 체육 프로그램 이용율 체육 활동시 불편 요인 보완되어야 할 프로그램 내용 등을 파악하여 정책적 제안의 기반 및 체육관 운영방안 설정의 기반을 획득

라 기대 효과

근거-기반 운동 프로그램 수혜자 증가 - 의학적 검사와 기능 평가를 근거로 장애인 개인별 맞춤형 운동처방을 통한 지속적

으로 실행 가능 하고 개인 건강 유지에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 제공- 입원 재활치료와 재활체육 사회재활훈련을 병행 실시함에 따라 선진 사회복귀 모

델 제시 가능 장애인의 조기 퇴원 및 조속한 사회복귀에 긍정적 효과 rarr 장기적인 의료비 절감 효과

- 94 -

- 수혜자 중심의 운동 프로그램 공급(공급자가 아닌 수혜자 위주의 운동 형태 및 운동량을 제공함으로써 운동 지속성 증가)

- 장애인의 건강수명 연장-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 - 장애인 체육시설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 마련

재정 확충 방안

장애인 체육시설은 장애인 엘리트 체육시설을 제외하고 생활체육이나 재활체육을 실현할 수 있는 공간은 부족한 실정임

부족한 장애인 체육시설을 확충해 나가기 위해서는 건립 예정인 국립재활원의 체육관이 합리적이고 이상적인 재정 모델을 개발 및 운영하여 점차 전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 이를 위한 방안은 아래와 같음

가 수가화 모색

현재에도 운동치료 재활사회사업(개인력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문) 등은 수가로 인정되는 항목임 이를 기반으로 의료기관 내의 장애인 체육시설 인증을 통하여 인증된 체육시설에서 의사의 처방 혹은 지도로 시행되는 장애인 체육 활동에 대한 수가화를 모색함

나 공익기금 활용

가 국민체육진흥기금

정부 출연금 광고 사업 수입금 골프장 시설 입장료 부가금 복권기금 등에 의해 조성되는 국민체육 진흥기금은 국민체육진흥법 제22조에 따라 사용이 정해짐

22조 10항에 따라 국민체육진흥기금은 대한장애인체육회을 포함한 생활체육 관련 체육단체와 체육 과학 연구 기관의 운영지원 국민체육시설 확충을 위한 사업에 사용될 수 있음 따라서 국민체육진흥기금을 활용하여 장애인 체육시설을 운영가능 할 것임

국민체육진흥공단에 따르면 2013년 장애인체육 육성 기금은 총 464억이며 이중 장애인 생활체육이 83억 장애인 전문체육이 332억 대한장애인체육회 지원이 49억으로 책정되어있으며 구체적 내역은 아래와 같음

- 95 -

장애인 생활 체육 장애인 전문 체육 장애인 생활체육 34 억 장애인전문체육 61 억

장애인 생활체육대회 20 억 장애인 전국체전 시도 지원 19 억장애인활체육지도자배치 24 억 2013 스폐셜올림픽 지원 68 억시도 주최 생활체육대회 4 억 장애인 종합체육시설 건립 및 운영 115 억

장애인 실업팀 창단 지원 8 억2014 인천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지원 61 억

표 30 2013년 장애인체육 육성 기금 예산안

자료원 국민체육진흥공단 홈페이지

따라서 국립재활원의 체육관 및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국민체육진흥공단의 장애인 체육육성 기금의 활용이 가능할 것임

나 스포츠토토 공익기금

스포츠토토 공익기금은 규정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지정 문화 체육 사업 지원이 가능함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지정할 수 있는 체육 사업에 비인기 운동종목 지원 및 문화예술 취약 분야 육성 사업 그 밖에 체육문화예술 진흥을 위하여 특별히 지원이 필요한 사업 등이 가능함

따라서 이런 교정을 활용하여 스포츠토토 공익기금의 일부도 사용가능 할 것임

다 담배부담금 일부 활용

국민건강증진법 제25조(기금의 사용등)에 의하면 ldquo보건복지부장관은 기금을 제1항 각호의 사업에 사용함에 있어서 아동middot청소년middot여성middot노인middot장애인 등에 대하여 특별히 배려middot지원할 수 있다rdquo고 규정되어 있음

이러한 규정을 활용하여 담배부담금 일부를 체육시설 운영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임

요약 및 결론

현재 국립재활원에 있는 이전 체육관 시설이 없어지고 사회복귀를 중시하는 쪽으로 재활의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신설되는 장애인재활교육훈련시설(체육관)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이 필요함- 운영 목적은 장애인 건강 증진 센터에 등록된 장애인들에게 개인별 신체병력 자료

를 기초로 검사를 통하여 일정 기간(3~6개월) 재활체육을 처방 및 지도하여 운동

- 96 -

프로그램을 경험한 참여자에게 스스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을 지속적으로 유지 및 관리하도록 하는 것임

이를 위해 타기관 운영사례들을 검토하였음- 상계백병원 심장재활센터 아산병원 스포츠 건강의학센터 삼성병원 스포츠 의학

센터 고양시 재활스포츠 센터 부산시 한마음스포츠 센터- 일본 미국 독일의 체육관 운영 사례

이를 통해 운영전략을 설정하였음- 근거-기반(Evidence-based)의 장애인에게 적절한 운동처방 및 재활체육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실행 가능하고 효과적인 운동 수행- 수혜자 중심(Population-centered)의 재활체육 프로그램 공급을 통하여 활동량

증가와 적절한 생활체육으로의 연결- 국립재활원 입원 환자 및 지역 사회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기존의 의사 처방 하에

치료사가 환자의 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 치료와 더불어 운동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병행

체육관 시설을 통한 기대효과는 아래와 같음- 학적 검사와 기능 평가를 근거로 장애인 개인별 맞춤형 운동처방을 통한 지속적으

로 실행 가능 하고 개인 건강 유지에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 제공- 입원 재활치료와 재활체육 사회재활훈련을 병행 실시함에 따라 선진 사회복귀 모

델 제시 가능 장애인의 조기 퇴원 및 조속한 사회복귀에 긍정적 효과 rarr 장기적인 의료비 절감 효과

- 수혜자 중심의 운동 프로그램 공급(공급자가 아닌 수혜자 위주의 운동 형태 및 운동량을 제공함으로써 운동 지속성 증가)

- 장애인의 건강수명 연장-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 - 장애인 체육시설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 마련

부족한 장애인 체육시설을 효과적으로 확충시키기 위해서는 현재 시행하려는 국립재활원의 체육관이 장애인 체육시설의 효과적인 재정 운영 방안 모델을 수립 운영하여 전국으로 모델을 퍼뜨릴 수 있도록 해야함 이를 위한 방안은 아래와 같음- 장애인 체육시설 인증을 통한 재활 체육의 수가화를 모색- 국민체육진흥기금 스포츠토토 공익기금 등의 공익기금들을 활용하는 방안 모색- 담배 등으로 인한 건강증진부담금 일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

- 97 -

제5장 재활교육체계 구축 방안

국립재활원 교육현황

가 국립재활원 교육 체계

현재 국립재활원은 총무과 장애인운전지원과 교육홍보과 등 3개 과 재활병원부 내에 15개 과 그리고 재활연구소 내에 3개 과로 구성되어 있음

이 중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부서는 총무과 간호과 교육홍보과 사회복귀지원과 공공재활의료지원과 장애인운전지원과 등 6개 과와 재활연구소임

나 2012년 국립재활원 교육현황 조사

조사 대상

2012년 동안 내부 직원 혹은 외부 인력에 대한 재활교육을 수행해왔던 총무과 간호과 교육홍보과 사회복귀지원과 공공재활의료지원과 장애인운전지

- 98 -

원과 등 6개 과와 재활연구소를 조사 대상으로 하였음

QI실은 과정 내용이 본 연구의 범위에서 벗어났고 장애예방사업은 대국민 교육을 중심으로 하고 있기에 조사 대상에서 제외하였음

공공재활의료지원과는 교육과정만 제공하고 프로그램은 제공하지 않았음

조사 내용

조사 내용은 2012년 동안 해당 과 혹은 연구소가 내부 직원 혹은 외부 직원을 대상으로 수행한 교육들의 다음과 같은 내용들임- 교육과정- 교육프로그램- 연간교육경험자(재활원 내외)- 직종별 교육경험자- 유료교육 여부- 법적 보수교육 인정여부- 교육과정 단계 여부- 연간 교육횟수- 강사구성- 연간 총 소요예산- 국립재활원 외부지원 예산

교육과정 및 교육프로그램은 진행 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분류하였음- 공공재활(정책)-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인원 측면에서 연간 교육경험자는 교육과정별 참석인원에 교육횟수를 곱한 연인원으로 계산하였고 직종별 교육경험자 수 중 의사는 정규직 전공의 공중보건의사를 포함한 것임

교육프로그램을 수행한 경우 커리큘럼을 별도로 제공 받았음

- 99 -

조사 결과

가 일반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총 교육과정은 27과정이었고 총 프로그램 수는 138 프로그램이었음 그리고 총 교육시간(순환 교육과정의 경우 횟수를 곱하여 산출함)은 467시간이었음

교육내용별로는 사회복귀 임상재활 분야가 전체 교육시간의 81를 차지하고 있음

2012년 조사 시점까지 총 교육경험자 수는 4667명으로 내부 직원이 2732명이었고 외부 인력이 1935명이었음

2012년 조사 시점까지 총 소요 예산은 124억 원이었음

나 부서별 교육과정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수행된 교육과정은 총 27개였음 교육내용별로 임상재활과 사회복귀 분야가 가장 많았음

교육홍보과에서 수행한 교육과정이 11개로 가장 많았음 교육내용은 사회복귀 임상재활 분야가 많았음 다음으로 공공재활의료지원과에서 수행한 교육과정이 6개였고 임상재활 사회복귀 분야의 내용이 교육되었음

- 100 -

  공공재활(정책)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총무과         5 5

교육홍보과   4 5 2   11간호과   2       2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2     2

연구소   1       1공공재활의료지원   3 2 1   6

총계 0  10 9 3 5 27

표 31 부서별 교육과정 현황

다 부서별 교육 프로그램 현황

각 교육과정별 실제 수행된 교육 프로그램을 기준으로 볼 때 총 138개의 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되었음 임상재활 분야 프로그램이 절반 정도를 차지하였음

부서별로는 교육홍보과에서 주관한 교육 프로그램이 전체 프로그램 중 557를 차지하고 있음 교육홍보과에서 주관한 프로그램은 사회복귀 분야 내용이 가장 많았음

  공공재활(정책)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총무과 5 5

교육홍보과 6 24 31 13 3 77간호과 32 32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10 10

연구소 1 11 2 14공공재활의료지원

총계 7 67 43 13 8 138

표 32 부서별 교육 프로그램 현황

라 부서별 교육시간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수행된 교육시간은 총 467시간이었음 교육내용별로 사회복귀와 임상재활 분야가 많았음

- 101 -

교육홍보과에서 수행한 교육시간이 401시간으로 전체의 859를 차지하고 있음 교육내용은 사회복귀 임상재활 분야가 많았음

  공공재활(정책)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총무과 9 9

교육홍보과 118 203 80 401간호과 32 32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11 11

연구소 14 14공공재활의료지원 0

총계 0 164 214 80 9 467

표 33 부서별 교육 시간 현황

마 부서별 교육대상 인력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교육받은 인력은 연인원 4667명이었음 국립재활원 내부 직원 대상이 585로 외부 인력보다 약간 많았음

부서별로 볼 때 총무과 및 재활연구소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모두 국립재활원 내부 직원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반면 교육홍보과 공공재활의료지원과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모두 외부 인력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재활원 내부 재활원 외부 합계총무과 2221   2221

교육홍보과   1471 1471간호과 98 75 173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12 27 39

연구소 401 4 405공공재활의료지원   358 358

합계 2732 1935 4667

표 34 부서별 교육대상 인력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교육받은 인력 중 직종이 구분된 인원은

- 102 -

연인원 4184명이었음 기타 직종을 제외하면 사회복지사가 1431명으로 가장 많았고 간호사가 747명이었음

직종 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사회복지사 기타직종 합계임상재활 23 305 95 35 371 317 1146사회복귀 0 72 32 2 754 99 959시설운영 0 13 15 4 297 12 341

기타 113 357 0 0 9 1259 1738합계 136 747 142 41 1431 1687 4184

표 35 교육과정 종류별 교육 경험자 직종

교육과정 종류별로 볼 때 임상재활 분야 교육 대상자는 사회복지사가 32 간호사가 27를 차지하고 있었음 사회복귀 분야 및 시설운영 분야 교육 대상자는 사회복지사가 각각 79 8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음

- 103 -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교육받은 인력의 소속기관은 국립재활원이 가장 많았고 외부 인력 중에서는 복지관 및 기타기관이 가장 많았음

부서별로 볼 때 총무과 및 재활연구소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모두 국립재활원 내부 직원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부서별 교육 대상자 중 외부 인력의 소속기관은 다음과 같음 - 교육홍보과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모두 복지관 및 기타기관 소속 인력을 대상으

로 수행되었음 - 공공재활의료지원과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대부분 보건소 및 보건지소 소속 인력

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 간호과에서 주관한 교육과정은 국립재활원과 민간병원 소속 인력을 대상으로 수행

되었음

  국립재활원 보건(지)소 공공병원 민간병원 복지관기타기관 합계총무과 2221         2221

교육홍보과         1471 1471간호과 98     75   173

사회복귀지원           0장애인운전지원과 12       27 39

연구소 401       4 405공공재활의료지원   342     16 358

합계 2732 342 0 75 1518 4667

표 36 부서별 교육 대상자 소속 분류

바 법정 보수교육 인정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수행한 교육과정 중 법정 보수교육으로 인정받는 과정은 총 4개였음 임상재활 분야 2 과정 사회복귀 분야 1 과정 시설운영 분야 1 과정임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인정 2 1 1   4

불인정 5 6 1 5 17

표 37 보수교육 인정 현황

- 104 -

사 연간 교육과정 순환 횟수

대부분의 교육과정은 연간 1회 혹은 2회만 수행되고 있음

아 교육과정 강사 인력 현황

2012년 조사 시점까지 국립재활원에서 수행한 교육과정 중 내부 강사와 외부 강사는 절반 정도씩 차지하고 있음

교육과정 분야별로 볼 때 임상재활 및 사회복귀 분야는 내부 강사와 외부 강사 비율이 비슷하며 시설운영 분야는 외부 강사가 더 많음

  임상재활 사회복귀 시설운영 기타 합계내부강사 35 22 3 4 64외부강사 30 18 12 2 62

표 38 교육과정 강사 인력 현황

- 105 -

자 부서별 주요 교육 내용

부서별 주요 교육 내용은 다음과 같음

  교육 내용

교육홍보과

케어기술(기본) 장애인 성재활 케이기술(심화) 직업재활 고령장애케어 물리작업치료 사례관리(기본) 욕창 재활간호 영유아케어기술 장애행동수정 사례관리(심화)

공공재활지원과

지역사회중심재활 기본실무 방문재활의 실제 노년기 재활을 통한 건강관리 장애아동재활의 핵심파악 노년기 재활을 통한 건강관리 쉽게 따라 하는 재활실무 건강한 일상을 위한 여성 장애인 재활

간호과 재활간호 3일 과정 재활병원에서의 가족 프로그램과 성재활 간호

장애인운전지원과 장애인 운전강사 역량강화 교육 자동차 운전강사 양성교육

재활훈련과(2011)

사회복귀지원과정 복지시설 장애인 자립특성화과정 자립생활실무자과정 보조기구 관리지원교육 민간재활병원 가족교육

표 39 부서별 주요 교육 내용

국립재활원 교육현황 요약 및 문제점

부서별 교육대상 인력은 주로 소속기관별로 구분되고 있음- 간호과 병원 간호사- 교육홍보과 복지관 직원- 공공재활지원과 보건소직원- 사회복귀지원과 장애인 가족 활동보조인 등

- 106 -

단기간의 일회적 교육과정이 많고 장기간 운영되는 체계적 전문교육과정이 미흡함- 교육과정의 기본심화 단계 과정이 부족- 케어기술(기본심화) 사례관리 (기본심화)외 부재- 교육과정 당 시간 1시간~24시간

공공병원 교육참여자가 없음

간호사 사회복지사 외의 직종에 대한 전문교육과정 없음- 물리작업치료사 1과정- 언어재활사 수화통역사 의지보조기기사 점역교정사 등의 교육과정 없음

기타- 이용자가 교육요금을 부담하는 유상 교육이 많음- 법정 보수교육 인정 과정이 적음(간호사 2 과정 및 사회복지사 2과정)- 교육 예산이 부족함

타 기관 교육 현황

가 교육체계

국립암센터는 교육훈련부에서 내부 직원과 외부 인력에 대한 모든 교육 과정 총괄 관리함 실제 교육프로그램은 각 부서별로 이루어지나 교육훈련부에서 과정목표 교육대상 시간 형태 과정운영방향특징 등을 총괄하여 동일한

- 107 -

구성으로 모든 교육과정에 대한 연간 교육 훈련 계획서를 관리하고 실행함

또한 일본국립재활원은 병원 연구소와 같은 위상의 전문교육기관인 대학이 존재함 일본 국립장애인 재활 센터는 대학 병원 연구소 훈련센터 관리부로 구성되어 유기적으로 운영되며 대학을 통해 의료 인력을 위한 교육을 진행하고 있음- 연구-재활치료-교육-사회복귀가 모두 한 공간에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WHO 지정 연구기관임 - 재활에 관한 기술자 양성 및 현재 종사 인력의 기술 향상을 목적으로 교육을 진행

하고 있음

일본국립재활대학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음

1971년 4월 옛 국립 청각 언어 장애 센터에 부속 언어 전문 인력 양성소가 설치되어 첫 언어 전문 인력의 양성 (1년제)가 시작된다

1979년 7월 옛 국립 청각 언어 장애 센터가 신설 국립 장애인 재활 센터에 통합됨에 따라 학원 언어 전문 인력 양성 과정 (1년제)가된다

1979년 9월 언어 전문 인력 양성 과정 업무 개시 연수 업무 시작 1982년 3월 직업 현임 교육을 목적으로 학원 동 및 학원 기숙사 1 호동의 준공 1982년 4월 처음의 의지 보조기 전문 인력 양성 과정 (3년제) 개설 1988년 4월 의지 보조기 사법의 제정 시행에 따라 의족 보조기 전문가 양성소로 후생 대신의 지정을

받는다 1989년 4월 후생 대신 공인 수화 통역사 인증 제도가 발족 수화 통역사 시험이 시작된다 1990년 4월 첫 시각 장애인 생활 훈련 전문 인력 양성 과정 (1년제) 개설 1990년 4월 본방 처음 수화 통역 전문 인력 양성 과정 (1년제) 개설 1991년 4월 본방 처음 개화 체육 전문 인력 양성 과정 (2년제) 개설 1992년 4월 언어 전문 인력 양성 과정의 2년제로 전환 1995년 1월 전수 학교 전문 과정 수료자에 대한 전문사 칭호 부여에 관한 규정에 따라 의족 보조기

전문 인력 양성 과정 수료자 전문사 칭호를 수여 1995년 9월 학원 기숙사 2 호동 준공 1998년 10월 언어 청각 사법의 제정 시행에 따라 언어 청각 전문가 양성소로 후생 대신의 지정을 받

는다 1998년 12월 새로운 양성 연수 동 준공 1999년 4월 전문 인력 양성 과정에서학과 제로 명칭 변경 언어청각학과 의지 보조기학과 시각장애

학과 수화통역학과 재활체육학과 5학과 됨 시각 장애학과의 2 년제로 전환 2001년 4월 수화 통역학과 2년제로 전환 2003년 4월 수화 통역학과의 정원 증가 2008년 10월 명칭을 국립 장애인 재활 센터로 변경 2011년 10월 뇌졸중 재활 간호 인정 간호사 교육 과정 개강 2012년 4월 치치 학원 부속 보호지도 직원 양성소가 조직 통합함으로써 아동 지도원과의 업무 개시

- 108 -

나 재활전문인력 대상 교육 과정

국립암센터 사례

국립암센터의 직종별 전문교육 과정은 의사 간호사 약사 영양사 사회복지사 공무원 암 진료기관 종사자 호스피스 및 재가암환자 관리 인력 등으로 나누어 수행되고 있음

 대상 교육 내용

의사를 위한 전문화 과정(1년 ~ 2년 과정)

혈액종양 내과 전문의 (2명) 대장내시경 소화기내과 외과전문의(3명) 부인종양 산부인과 방사선종양학과 영상의학과 전문의(2명)

간호사 교육 과정 국제장루창상실금 전문간호과정 전문간호분야 실무자 교수(8명 2개월) 종양전문간호과정 전문간호분야 실무자 책임자 교수 등(100명 6개월)

국립암센터의 암에 특화된 직종별 수련체계 과정

전공약사과정(약사면허증 취득자 1년) 전공영양사과정(영양사 면허증취득자 1년) 수련사회복지사과정(사회복지사 면허 취득자 1년)

최고위 과정 보건복지정책 고위과정 국회의원 의료기관 고위관리자 대상

공무원 대상 교육

암관리사업 관리자과정 시middot도 5급 이상 암관리 사업담당 보건소장 및 5급 이상 관리자

암검진 및 의료비 지원 사업 과정 보건복지부 보건(지)소 직원 6~9급 재가암환자관리과정(이론과정실무과정) 보건(지)소 방문간호 담당 6~9

급 완화 의료 전문기관 가정간호 담당자 지역암센터 암등록

진료기관 종사자 대상 교육 지역암센터 실무과정 지역암센터 암관리사업담당자 암등록의무기록사과정 암환자 진료 의료기관 지역암센터 근무자 등

호스피스 및 재가암환자 관리 인력 교육

말기암 및 재가암환자 관리사업전문인력 양성 호스피스 middot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실무 간호사

호스피스전문과정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 종사자

표 40 국립 암센터 교육과정

공공기관 근무자 대상 교육과정은 국립암센터뿐만 아니라 국립중앙의료원에서도 수행되고 있음

- 109 -

 대상 교육 내용

최고위 과정

국립암센터 보건복지정책고위 과정 국회의원 의료기관 고위관리자 대상 국립중앙의료원 응급의료 최고위정책 과정 보건복지부 공무원 의료진

대상 국립중앙의료원 공공간호 최고지도자 과정 보건복지부 관계자 공공의료

관련 연구진 간호사

지역암센터공공병원 대상 교육 과정

국립암센터의 지역암센터 실무과정 시 middot 도 및 지역암센터 암 관리 사업 담당자 등 80명

국립중앙의료원 춘계 공공의료아카데미 전국 국공립병원 부서장 실무자

표 41 국립중앙의료원 공공기관 근무자 교육과정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 사례

일본국립장애인재활 센터의 재활전문가 양성과정은 6종류의 직종에 대해 운영됨 각 대상 직종별로 언어청각학과 의지middot보장구학과 시각장애학과 수화통역학과 재활체육학과 아동지도원과와 같은 학과로 구성됨

이 중 언어청각학과 의지middot보장구학과 시각장애학과 수화통역학과 재활체육학과는 교육법에 의거하여 설립 운영됨 교육과정은 학과에 따라 1-3년 과정으로 운영되고 있음

이는 우리나라의 장애인복지 전문인력 중 수화통역사 언어재활사 의지보장구기사와 직종이 겹침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의 시각장애학과는 우리나라의 점역middot교정사 보다 넓은 개념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함

이 중 의지보장구학과를 졸업할 경우 전문사(전문대학사)자격을 취득할 수 있으며 언어재활학과와 의지보장구학과를 졸업하면 국가자격 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받음

수화통역사의 경우 후생성 장관이 인정하는 민간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음

이 외에 일본간호사협회가 지정하는 뇌졸중전문간호사 지정 교육기관으로 뇌졸중 전문간호사 과정을 운영함

- 110 -

각 과정의 직종 및 기관 입학 조건은 아래와 같음

학과명 설치년도 정원 입학 자격 과정

언어청각학과 1972 60 학교 교육법 제 102 조 제 1 항 본문의 규정에 따라 대학원에 입학 할 수 있는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2년

의지middot보장구학과 1983 30 학교 교육법 제 90 조제 1 항의 규정에 의하여 대학에 입학 할 수있는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3년

시각장애학과 1990 40 학교 교육법 제 102 조 제 1 항 본문의 규정에 따라 대학원에 입학 할 수 있는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2년

수화통역학과 1990 60학교 교육법 제 90 조제 1 항의 규정에 의하여 대학에 입학 할 수 있고 또한 20 세 이상의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2년

재활체육학과 1991 40

① 교육 직원 면허 법에 의한 보건 체육 고등학교 교사 면허증 또는 일종의 면허증을 가진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② ①과 동등 이상의 자격을 가진 자 총장이 인정한 것으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2년

아동지도원과 1963 40

학교 교육법 제 102 조 제 1 항 본문의 규정에 따라 대학원에 입학 할 수있는 자 또는 아동 복지법 제 18 조의 6에 따라 보육사 자격을 가진 자로서 총장이 입학을 허가 한 자

1년

표 42 일본 국립장애인 재활센터 직종별 입학 조건

언어청각학과는 2년간 2340시간을 이수해야 졸업할 수 있으며 졸업 시 국가시험 응시자격을 획득함 언어청각사가 국가자격으로 도입되기 전 전국에서 처음으로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음

현재 전국의 여러 전문학교 대학교에서 학과가 개설되어 인력을 양성하고 있음 일본 장애인재활센터의 경우 학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며 국가시험자격이 부여되어 경쟁률이 상당히 높은 편임

의지middot보장구학과는 3년간 3315시간을 이수해야 졸업할 수 있으며 졸업 시 전문사 자격과 함께 국가시험 응시 자격을 획득함 의지보조기사가 국가자격으로 도입되기 전 학과가 설치되어 교육 진행함

현재 일본 내 의지보조기 인력양성은 3개의 대학과 7개의 전문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음 언어청각학과와 마찬가지로 학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양질

- 111 -

의 교육을 제공하며 국가시험 자격이 부여되어 경쟁률이 높음

수화통역학과는 2년간 2400시간을 이수해야 졸업 할 수 있으며 졸업 시 후생성 장관이 인정하는 민간 자격 시험에 응시할 수 있음(우리나라 역시 수화통역사는 민간자격으로 운영되고 있음)

시각장애학과는 2년간 3134시간을 이수해야 졸업 할 수 있으며 관련 자격증은 없음 졸업 후 시각장애인 시설 등에 주로 취업함

재활체육학과는 2년간 2385시간을 이수해야 졸업 할 수 있으며 졸업 시 민간협회자격증(2가지종류)에 응시할 수 있음 졸업 후 장애인스포츠센터나 복지시설등에 취업함

아동지도원과는 1년간 1800시간을 이수해야 졸업 할 수 있으며 다른 학과와 다르게 국립장애인센터 자체적으로 운영함 관련 자격증은 없지만 국가기관 중 아동지도원이 필요한 곳에 인력을 공급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졸업시 임용권을 부여하여 장애아동관련 교직으로 진출할 수 있음

뇌졸중 전문간호사는 일본간호사협회가 인정하는 21개 전문자격증 하나임 뇌졸중 전문간호사는 일본간호사협회가 전국에 지정한 6군데 기관에서 교육을 진행하고 있음 전문간호사 인정은 대학원 졸업자만 가능하며 프로그램 및 커리큘럼 작성시 일본간호협회의 확인을 받아야 함

- 112 -

다 내부 직원 대상 교육과정

국립암센터의 내부 직원 대상 교육은 직종별로 관리직 의사직 연구 의사직 연구직 일반직 등으로 구분되어 있음

또한 교육 목표별로는 공통역량 직무역량 계층역량 자기개발 등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공통역량은 조직 활성화 법정교육 고객만족 역량 등으로 직무역량은 공통 및 세부 직무역량과 사이버연수원으로 세분되어 있음

- 113 -

국립중앙의료원은 내부 직원에 대한 교육으로서 공공의료아카데미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음 - 대상 전문의 간호사 기획 관련부서 실무자 공공보건의료계획 담당부서 실무자

등 국립의료원 구성원 20명- 주요 내용 공공성 공공의료 우수한 적정진료 제공 국가차원의 새로운 공공의료

모색 등- 참여적 워크숍 방식으로 진행(40시간)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관련 법조항

가 재활의학 전문의

의사의 연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의료법 제 30조 제2항 제3항 및 동 시행규칙 제20조 제21조 제23조- 대한의사협회 정관 3조- 대한의사협회 연수교육 시행규칙

의료법에서 의사는 연간 8평점 이상 이수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의사협회의 연수교육 시행규칙에는 연간 12평점의 보수교육을 진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음(20103월 기준) 의사협회 연수교육 시행규칙에서는 연수교육의 시행기관과 교과목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음

- 114 -

대한재활의학회 회칙 4조에서 재활의학에 관한 보수교육 및 재활의학 보급에 관한 사항을 학회의 사업으로 규정하였으나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재활의학 교

연수교육 시행 기관

제5조(연수교육시행기관)각 시middot도의사회

의과대학middot의학전문대학원레지던트수련병원 및 인턴수련병원

학회(단 의학회에 등록된 학회에 한함)기타 교육위원회에서 인정하는 기관 및 단체

교과목

제13조(교과목) ⓵연수교육에 있어서는 가급적 임상교육과 기초교육을 병행해야 하며 10 이내의 의사윤리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⓶연수교육기관은 제1항의 윤리교육 이외에 10이내의 교양과목 의료정책 의료사회학 의료정보학 등을 교육과목으로 개설할 수 있다

평점

제14조(연수교육 인정한계 및 평점)

교육종목 평점 연상한본회 승인 프로그램

1)강 좌 1시간당1평점 -2)실 습 1시간당1평점 -

3)시청각(비디오 슬라이드) 1시간당1평점 - 4)대한의사협회지 자율학습 1시간당1평점 3

5)위크숍 1시간당1평점 - 6)심포지엄 1시간당1평점 -

2 국내외 학술대회 및 본회 종합학술대회

1강좌당 1평점을 원칙으로 하되 교육위원장이

별도로 정한 사항은 예외로 할 수 있다

1일 6평점

3 사이버 연수교육

1강좌당 1평점을 원칙으로 하되 교육위원장이

별도로 정한 사항은 예외로 할 수 있다

5

4의과대학교수 지도전문의 연수교육 강사 1시간당1평점 7

5 논문게재

제1저자 및 교신저자 1편당

5평점제2저자이하1편당

3평점

10

6기타 교육위원장이 인정하는 사항

표 43 연수교육 시행기관과 교과목

- 115 -

육을 반드시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님

나 간호사

간호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의료법 제 30조 제2항 제3항 및 동 시행규칙 제20조 제21조 제23조- 대한간호협회 정관 6조- 대한간호협회 보수교육 시행규정 보수교육지침 온라인보수교육지침

의료법에서 간호사는 연간 8시간 이상 이수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간호협회의 연수교육 시행규정에는 연간 8평점의 보수교육을 진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단 전문간호사38)는 전문간호사를 위한 보수교육을 받아야한다고 규정하고 있음 온라인 오프라인의 교육이 모두 가능하며 오프라인 보수교육 하한 점수는 4평점 온라인 보수교육 하한평점은 4평점임

대한간호협회 보수교육 시행규정 및 교육지침은 다음과 같음

국립재활원에서는 간호부에서는 간호사보수교육으로 인정되는 교육과정 및 재활간호 3일 과정을 진행하고 있음

추후 보건복지부령에 의한 장애인 재활전문간호사 과정 도입 및 교육을 위한 대학원 과정을 생각해 볼 수 있음

38) 보건복지부령인 lsquo전문간호사 자격인정 등에 대한 규칙rsquo에 의해 정의된 전문간호사는 보건복지부장관에 의해

발급되는 자격증으로 보건middot마취middot정신middot가정middot감염관리middot산업middot응급middot노인middot중환자middot호스피스middot종양middot임상 및 아동분야의

전문간호사가 있음 장애인 재활 부분의 전문간호사 자격은 현재 없음

39) 보건간호사회 병원간호사회 마취전문간호사회 보건진료원회 보건교사회 산업간호사회 보험심사간호사회

가정간호사회 정신간호사회 노인간호사회(신설 20104

연수교육 시행 기관

제6조(연수교육실시기관)1 본회의 17개 시middot도 간호사회 및 산하단체39)

2 3 4년제 간호교육기관3 대학의 부속병원4 보수교육 지정기관으로 인정받은 기관

전문간호사 보수교육 실시기관

대한간호협회한국간호평가원전문간호사과정 교육 및 실습기관기타 본회가 인정한 단체 단 전문간호사과정 교육 및 실습기관 또는 본회가 인정한 단체는 해당 전문분야로 한정하여 보수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표 44 대한간호협회 보수교육 시행규정 및 교육 지침

- 116 -

다 물리치료사

물리치료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20조 의료기사등에 대한 법률 시행규칙 18조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서 믈리치료사는 연간 8시간 이상 이수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라 작업치료사

작업치료사의 보수교육 규정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20조 의료기사등에 대한 법률 시행규칙 18조- 대한작업치료사협회 규정 57조 58조 59조 60조 64조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서 작업치료사는 연간 8시간 이상 이수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대한작업치료사협회 규정에는 연간 8평점이상의 보수교육을 진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이중 협회의 보수교육을 3평점 나머지 5평점은 각 지회에 의무이수 평점으로 받아야 함 대한작업치료사협회 규정에는 보수교육의 종류와 교육내용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음

보수교육 종류

제58조(보수교육의 종류)1 지회보수교육 연간 10평점 이상 보수교육 개설2 중앙회보수교육 연간 6평점 이상 보수교육 개설3 대학의 부속병원4 보수교육 지정기관으로 인정받은 기관

보수교육 교육내용제64조(교육내용) 교육내용은 작업치료학의 임상분야에서 실제 활용되고 있는 내용이나 해외 최신 학술정보에 관한 내용 기타 작업치료사로서 갖추어야 할 윤리에 관한 교양강좌(20)로 한다

표 45 대한작업치료사협회 보수교육 종류 및 교육 내용

마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사회복지사업법 13조 2항 동 시행규칙 제 5조-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보수교육 안내(대상자 매뉴얼)

사회복지사업법에서 사회복지법인 또는 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는 정기적으로 인권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 보수교육을 받아야 함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대상자 매뉴얼에서는 연간 8평점(8시간) 이상 이수할 것을 규정함 필수영역은 각 1평점 이상을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함

- 117 -

필수영역 선택영역사회복지 윤리와

가치 사회복지 실천 사회복지 정책과제와 법 사회복지 행정 사회복지

조사연구

표 46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과목

사이버교육은 4평점까지 인정하며 나머지 4평점은 반드시 집합교육을 통해 이수해야함

바 수화통역사

수화통역사는 국가공인 민간자격임 수화통역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자격기본법 제35조(보수교육) 국가자격관리자 및 공인자격관리자는 해당 국가자격

및 공인자격을 취득한 자의 직무능력의 유지middot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보수교육을 실시할 수 있음

- 한국농아인협회 보수교육 내용 규정

한국 농아인 협회에서는 보수교육에 대해 자격을 취득한 날로부터 5년 이내에 50시간 이상의 보수교육을 이수할 것을 규정함 보수교육은 한국 농아인 협회 중앙회교육과 외부기관교육(시도협회 외부유관기관 및 단체)이 있음 이 중 최소 30시간 이상은 중앙회에서 운영하는 교육에 참여해야 함 5년 이내에 50시간의 보수교육을 미이수하였을 경우 자격정지 3회 이상의 자격정지시 자격이 취소됨- 수화 연구의 동행과 언어운용에 관한 내용- 수화 통역 이론의 동향과 과제에 관한 내용- 지역사회 통역의 연습을 중심으로 하는 내용- 상황별 사례발표 및 토의를 중심으로 하는 내용- 청각 장애인 복지 정책과 과제에 관한 내용- 농사회 농문화 관련 내용- 그밖에 관련 내용

유형 세부기준 평점

집합교육-교육정원 80명 이하 1시간1평점-교육정원 80명 초과

이수평점(총 8평점)중 연간 2평점까지 인정가능 4시간1평점

사이버교육 온라인 교육이수평점(총 8평점)중 연간 4평점까지 인정가능 1차시05평점

표 47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규정

- 118 -

사 점역교정사

점역교정사는 국가공인 민간자격임 점역교정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자격기본법 제35조(보수교육) 국가자격관리자 및 공인자격관리자는 해당 국가자격

및 공인자격을 취득한 자의 직무능력의 유지middot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보수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 한국시각장애인협회 점역middot교정사 민간자격관리에 관한 규정 제31조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에서는 자격증의 유효기관을 5년으로 하고 유효기관 내에 1회 이상 보수교육을 이수할 것을 규정하고 있음

아 언어재활사

언어재활사는 국가자격임 언어재활사의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 시행령 61조 2항

보수교육은 한국언어재활사협회가 실시하며 교육시간은 연간 10시간 이상으로 함

자 의지보조기기사

의지보조기기사 국가자격임 의지보조기기사 보수교육은 다음 법령 및 규정에 의해 시행함-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 시행령 61조 1항

보수교육은 국립재활원장이 실시하며 교육시간은 2년간 8시간 이상으로 함 국립재활원 교육홍보과에서 실시하고 있음

차 요약 및 문제점

보수교육 규정 요약

이상의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현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 119 -

재활영역

전문인력 보수교육 법령 및 규정 보수교육

시간 보수교육 시행기관 교육과목 및 특징

의료재활인력

의사

의료법 제 30조 제2항 제 3항 및 동 시행규칙 제 20조 제 21조 제 23조대한의사협회 정관 3조대한의사협회 연수교육 시행규칙

8평점 이상년

-중앙회-해당 시middot도 의사회-의과대학 및 대학원-레지던트 교육병원-각 학회 및 지회(단 의학회에 등록된 학회에 한함)-기타 교육 위원회에서 인정하는 기관 및 단체

-임상교육과 기초교육을 병행- 10 이내의 의사윤리교육을 실시 - 윤리교육 외에 10이내의 교양과목 의료정책의료사회학 의료정보학 등을 교육과목으로 개설 가능- 재활의학과목을 이수해야 하는 것 아님

간호사

의료법 제 30조 제2항 제 3항 및 동 시행규칙 제 20조 제 21조 제 23조대한간호협회 정관 6조대한간호협회보수교육 시행규정 보수교육지침 온라인보수교육지침

8평점 이상년

- 지부 및 산화단체보수교육인정기관간호대학(학과)대한간호사협회 사이버교육센터

전문 간호사는 반드시 전문간호사 보수교육을 시행받아야 함오프라인 보수교육 하한은 4평점

물리치료사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제20조 및 동법 시행세칙 제 18조

8평점 이상년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작업치료사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20조 의료기사등에 대한 법률 시행규칙 18조대한작업치료사협회 규정 57조 58조 59조 60조 64조

8시간 이상년 대한작업치료사 협회

-협회 보수교육 3평점-지회보수교육5평점-임상분야에서 실제 활용되고 있는 내용이나 해외 최신 학술정보에 관한 내용 기타 작업치료사로서 갖추어야 할 윤리에 관한 교양강좌(20)

사회복지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업법 13조 2항 동 시행규칙 제 5조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보수교육 안내(대상자 매뉴얼)

8시간 이상년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위탁한 협회나 협의회

-필수영역 사회복지윤리와 가치 사회복지 실천-선택영역 사회복지 정책과제와 법 사회복지행정 사회복지 조사연구

장애인

복지 전문인력

언어재활사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 시행령 61조 2항

10시간 이상년 - 한국언어재활사협회 현재 자격 및 제도 도입 중 (구) 언

어치료사

의지middot보조기

기사

장애인복지법 제75조 동 시행령 61조 1항

8시간 이상2년-국립재활원

국립재활원 교육홍보과에서 시행 자격증이 분야별 세분화되어 있지 않음

수화통역사

자격기본법 제35조한국농아인협회 보수교육 내용 규정

50시간 이상5년

-중앙회(한국농아인협회)-외부유관기관 및 단체

-최소 30시간은 중앙회에서 교육을 받아야 함

점역middot교정사

점역middot교정사 국가공인 민간자격의 관리middot운영에 관한 규정 31조

1회 이상5년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시간 및 규정이 규체적이지 않음

표 48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현황

- 120 -

재활전문인력 보수교육 문제점 및 대안

재활의료 인력에 특화된 보수교육 의무규정이 없음- 재활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 및 사회복지사에 대한 재활 관련 교육영역과 내용에

대한 보수교육 규정 부재- 점역교정사 언어재활사 보수교육에 대한 과목 규정 등이 취약

국립재활원에서 재활 분야 간호사 및 사회복지사에 대한 보수교육에 적극 참여해야 함

또한 보수교육규정 상 의지보조기사를 제외한 직종에서 국립재활원의 역할이 없음- 의지보조기사 규정(장애인복지법 시행령 61조 1항) 국립재활원장이 실시하고 교

육시간은 2년간 8시간 이상으로 한다

국립재활원에서 보수교육 중 재활영역 가이드라인 및 프로그램을 생산하여 권역재활병원 등으로 확산시킴

국립재활원에서 보수교육 중 재활영역 가이드라인 및 프로그램을 생산하여 권역재활병원에서도 보수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확산시킴

각 직종별 보수교육 규정 중 시행기관에 국립재활원 및 권역재활병원을 포함시키도록 함

각 직종별 보수교육 규정 중 병원 및 장애인재활시설에서 근무하는 인력은 국립재활원 및 권역재활병원에서 개설하는 임상실기 전문이론 공공재활 등을 필수적으로 이수하도록 명시함

재활전문인력 양성규정 현황

가 재활전문인력 양성 규정

현재 재활전문인력의 자격증 종류 자격취득경로 인력 수 등 현황은 다음과 같음

- 121 -

재활영역 전문인력 자격증 종류 자격취득 수

(2012년)

의료재활

재활의학과의사 국가자격증

의과대학middot전문대학원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면허를 수여 받은 자중 재활의학 레지던트 수련을 받고

전문의 시험에 합격한 자

1386명

간호사 국가면허증 간호대학 졸업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수여받은자 120491명

물리치료사 국가면허증4년제 또는 3년제 대학의

물리치료학과를 졸업한 후 국가 자격시험에 통과한 자

25475명

작업치료사 국가면허증 4년제 또는 3년제 대학을 졸업한 후 작업치료사 국가시험에 통과한 자 3594명

사회복지 사회복지사 국가자격증 2급 대학에서 14과목을 이수한 자

1급 국가자격시험에 통과해야 함

2642명

장애인복지전문인력

언어재활사 국가자격증

2급 대학원 대학 전문대학의 언어재활 관련 교과목을 이수하고

학위를 취득한 자 중 국가시험 통과자1급 2급 자격자 중 박사학위 또는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 중 언어재활기관에 1년 근무했거나 학사학위자 중 3년 근무한 경우

-

의지보조기기사 국가자격증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서 의지 보조기

관련 과목을 이수하고 국가시험에 통과한 자

944명(20131)

점역교정사 국가공인 민간자격증

3급 20세이상 고절이상 3년이상 경험자

2급 3급취득후 1년 혹은 4년제 대학 졸업자 4년이상 경험자

1급 2급 자격취득후 1년이상 경과 혹은 4년제 대학졸업자 5년이상

경험자

3급 484명 2급 72명 1급 40명(20131)

수화통역사 국가공인 만 19세 이상의 대한민국 남녀

표 49 재활전문인력 자격증 현황

- 122 -

의료재활 및 사회복지인력은 보건의료기관 내 근무인력임

자료원 국가통계포탈 국시원 내부자료 한국시각장애인협회 내부자료 한국농아인협회 내부자료

나 재활 전문인력 양성 규정의 문제점

학교와 민간단체가 혼재되어 있는 인력 양성 과정

의료재활 인력과 사회복지 인력은 대학교와 병원을 통해 인력이 양성됨

장애인 복지 전문 인력 중 국가공인 민간자격증을 부여하는 점역교정사 수화통역사의 양성은 민간 기관양성과 학교를 통한 양성과정이 혼재되어 있음

재활에 특화된 전문인력 양성 과정의 부재

간호사의 경우 장애인 재활 전문 간호사 자격 및 양성 과정이 부재함

사회복지사의 경우 재활과 관련된 교육 과정이 부족함

재활인력 공급의 양적인 불균형

물리치료사 공급은 많으나 작업치료사는 공급은 부족함

장애인 복지 전문인력 중 점역교정사 수화통역사 언어재활사 의지보조기기사 연도별 배출인력이 편차가 큼

재활인력 전문교육 수요도 조사

가 조사기간 및 대상

2012년 12월 10일 ~ 2012년 12월 17일(약 일주일간)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재활간호학회 대한사회복지사협회 대한직업치료사협회 소속 재활인력 총 225명

나 조사내용

- 근무 기관의 종류(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 보건(지)소보건의료원 복지관

민간자격증 1049명(20131)

- 123 -

기타- 공공기관민간기관 근무 - 재활 관련 근무 연수- 최종학위- 장애인 재활과 관련하여 받은 교육 여부 내용 및 만족도- 장애인 재활과 관련하여 전문적인 교육과정의 필요성 여부와 필요한 내용 국립재

활원에 개설 시 참여 여부

다 조사결과

일반적 현황

사회복지사를 제외한 나머지 직종은 전반적으로 설문에 참여한 사람 중 종합병원과 병원에 근무하는 사람이 많았으며 사회복지사의 경우는 대부분 복지관 등 장애인 복지시설에 근무하고 있음

구분직종

응답자수

종합병원 병원 요양

병원 의원 보건기관 장애인 복지시설 기타

물리치료사 25 280 320 160 80 120 00 40작업치료사 81 284 210 86 62 37 123 198재활간호사 19 105 895 00 00 00 00 00사회복지사 100 10 00 00 00 20 940 30

표 50 응답자 일반적 현황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 사회복지사는 민간기관에 근무하는 경우가 많았고 조사에 응한 재활간호사는 모두 공공기관에 근무하고 있음

구분직종 응답자 수 공공기관 민간기관

물리치료사 24 292 708작업치료사 81 370 630재활간호사 17 1000 00사회복지사 95 358 642

표 51 응답자 공공민간 기관 근무 현황

모든 직종에서 5년 이상 재활분야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가장 많았음

- 124 -

구분직종

응답자 수 1년 미만 1년 이상 1년 이상

3년 미만3년 이상5년 미만 5년 이상

물리치료사 25 00 40 80 160 720작업치료사 81 74 25 136 210 556재활간호사 19 53 00 421 53 474사회복지사 98 184 112 133 92 480

표 52 응답자의 재활분야 근무연수

재활간호사는 석사 이상 학위를 가진 군이 더 많았고 나머지 직종은 학사 학위를 가진 군이 더 많았음

구분직종 응답자 수 학사 석사 박사

물리치료사 24 667 333 00작업치료사 80 577 352 70재활간호사 19 316 684 00사회복지사 100 634 323 43

표 53 응답자의 최종학위

재활 관련 교육 경험 현황

직종별로 장애인 재활 관련 교육을 전혀 받지 못했던 군도 작업치료사 중 222 사회복지사 중 170 물리치료사 중 160 정도 존재함 재활간호사 중 재활 관련 교육을 전혀 받지 못했던 군은 53로 직종 중 가장 낮음

응답자 수 있음 없음물리치료사 25 840 160작업치료사 81 778 222재활간호사 19 947 53사회복지사 100 830 170

표 54 응답자의 재활관련 교육 경험

모든 직종에서 보수교육을 통한 재활 교육 경험이 가장 많았음 주목할 만한 부분으로서 사회복지사는 직원교육을 통한 재활 교육을 거의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125 -

구분직종 응답 수 보수교육 직원교육 관련 학회 소그룹

세미나 기타

물리치료사 59 305 203 288 203 00작업치료사 155 348 174 310 129 39재활간호사 53 340 264 170 208 19사회복지사 144 486 35 243 167 69

표 55 응답자의 교육 경험 경로

교육의 내용은 모든 직종에 걸쳐 이론 교육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임상실기 교육이 그 다음이고 공공재활 교육은 가장 낮음

구분직종 응답 수 임상 실기교육 이론 교육 공공 재활 교육 기타

물리치료사 42 452 452 95 00작업치료사 113 398 496 106 00재활간호사 41 341 415 244 00사회복지사 107 271 598 56 75

표 56 응답자의 교육 경험 내용

기존에 받았던 재활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재활간호사가 767 정도로 높지만 나머지 직종들은 5점을 조금 넘는 수준임 특히 사회복지사의 만족도가 가장 낮음

응답자 수 만족도(10점 만점)

물리치료사 24 625

작업치료사 81 596

재활간호사 18 767

사회복지사 97 567

표 57 응답자의 교육 만족도

전문재활교육 수요도

전문재활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모든 직종에서 464-489까지의 높은 요구를 나타냄

- 126 -

응답자 수 필요성(5점 만점)

물리치료사 25 484

작업치료사 80 464

재활간호사 19 489

사회복지사 98 480

표 58 전문재활교육 수요도

국립재활원에서 개설하기 원하는 전문재활교육의 내용에 대해서는 모든 직종에서 임상실기 교육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음 반면 학위 취득을 위한 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가장 낮았음

구분직종 응답자 수 임상실기 교육

(5점 만점)이론 교육(5점 만점)

공공재활 교육(5점 만점)

석사 이상의 학위 취득(5점 만점)

물리치료사 24 433 432 267 233작업치료사 81 460 375 325 188재활간호사 19 484 416 289 189사회복지사 100 416 398 321 218

표 59 원하는 전문재활교육의 내용

- 127 -

혼란변수를 고려하여 학사 학위를 가진 군만으로 분석했을 때도 결과는 동일함

구분직종 응답자 수 임상실기 교육

(5점 만점)이론 교육(5점 만점)

공공재활 교육(5점 만점)

석사 이상의 학위 취득(5점 만점)

물리치료사 15 420 431 267 253작업치료사 41 466 383 322 185재활간호사 6 483 417 267 183사회복지사 59 408 395 324 217

표 60 학사 학위자들이 원하는 전문재활교육 내용

국립재활원에서 교육과정을 개설했을 때 참여 의사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재활간호사의 의사가 463으로 가장 높았음 반면 나머지 직종은 368-398 정도의 의사를 보였음

응답자 수 참여 의사(5점 만점)

물리치료사 25 368작업치료사 81 379재활간호사 19 463사회복지사 100 398

표 61 국립재활원 교육과정 참여

라 조사 결과 요약

장애인 재활 관련 교육을 전혀 받지 못했던 군도 직종별로 최소 53에서 최대 222까지 존재함

재활전문인력들이 재활교육을 받는 가장 흔한 경로는 보수교육임 한편 사회복지사의 경우 직원교육을 통한 재활교육을 거의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재활교육의 내용은 모든 직종에 걸쳐 이론 교육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임상실기 교육이 그 다음이고 공공재활 교육은 가장 낮음

기존에 받았던 재활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재활간호사가 767 정도로 높지만 나머지 직종들은 평균을 조금 넘는 수준임 특히 사회복지사의 만족도가 가장 낮음

- 128 -

전문재활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모든 직종에서 매우 높음

국립재활원에서 개설하기 원하는 전문재활교육의 내용에 대해서는 모든 직종에서 임상실기 교육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음 반면 학위 취득을 위한 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가장 낮았음

국립재활원에서 교육과정을 개설했을 때 참여하겠다는 의사는 재활간호사에서 매우 높았고 나머지 직종은 높은 편이었음

대학원대학 설립에 대한 법적 타당성 검토

가 타 기관 사례

구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1958년 국립의료원 부설 간호학교가 설립되었고 1999년 국립의료원 간호대학으로 직제가 개편되었음- 1958 6 27 대한민국과 스칸디나비아 제국과의 협정으로 국립의료원 부설간호학

교 설립 보건사회부에서 관리운영(대통령령제1377호)- 1959 2 23 국립의료원 간호학교 직제 제정 (대통령령 제1454호)- 1959 7 06 국립의료원 간호학교 개교(초급대학 과정)- 1977 9 01 국립의료원 간호전문학교로 직제개편 (대통령령 제8672호)- 1979 1 01 국립의료원 간호전문대학으로 직제 개편- 1999 3 01 국립의료원 간호대학으로 직제 개편 (대통령령제16039호)- 2000 8 04 제16대 학장 송지호 박사 취임- 2005 2 05 제17대 학장 김애리 박사 취임- 2006 2 09 제45회 졸업 (졸업생 총1925名)- 2007 2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폐지

- 129 -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시행날짜 법령명 주요내용1958627 중앙의료원직제 제10조 중앙의료원에 간호학교를 부설 할 수 있음

1959223 중앙의료원 간호학교직제

제1조 중앙의료원에 간호학교 부설함제3조 간호학교의 수업 년한은3년으로하고 이에 입학할 수 있는 자는 고등학교를 졸업한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문교부장관이 인정한 자로 함제4조 교장은 의료원부원장이 교감은 의료원 간호과장이 겸하고 사감은 간호부장 중에서 겸무함

197791 국립의료원 간호학교직제 폐지

197791 국립학교설치령

제2조 문교부장관소관제36조 ⓻ 간호전문학교 입학금과 수업료 면제 실습비middot기숙사비middot피복비middot기타학비 국고 지급제37조 ⓶ 졸업 후 3년간 보건복지부 장광이 지정한 직무에 복무제40조 국립의료원 간호전문학교의 운영에 필요한 경비는 국고(국립의료원 특별회계)에서 지급제41조 공무원임용시 문교부장관은 보건사회부장관과 협의

199331 국립학교설치령제2조 교육부장관 소관제41조 공무원 임용시 교육부장관은 보건복지부 장관과 협의부칙 2조 국립의료원 간호대학으로 명칭변경

표 62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법제 연혁

국립암센터 대학원대학

2010년 5월 국립암센터법이 폐지되고 lsquo암관리법rsquo 으로 통합되었음 이때 대학원대학의 법적 근거도 함께 마련됨- 암관리법29조 (부속기관의 설치) ①국립암센터에 암연구소 부속병원 국가암관리

사업본부 및 그 밖에 필요한 기구를 둔다② 국립암센터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고등교육법」 제30조에 따른 대학원대학(이하 대학원대학이라 한다)을 설치할 수 있다③ 대학원대학의 조직 교원 학위 과정 운영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2012년 현재 대학원대학 설립이 진행 중임 - 2012년 5월 교과부의 lsquo국가-특수법인 대학설립 심의위원회rsquo 통과- 2012년 8월 lsquo대학설립인가신청서rsquo 교과부에 제출 국제암대학교대학원(정원 총 70

명 (석사 20명 박사 10명))- 2012년 11월 2일 현장 점검 시행- 2012년 12월 초 현장 점검 예정- 2013년 2학기부터 신입생 모집 예정

- 130 -

일본국립장애인재활학원

시대에 따라 보건복지인력에 대한 일본사회의 요구도는 꾸준히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일본사회의 요구에 선도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국립기관에서 인력을 양성함

이렇게 필수적으로 필요한 인력의 양성은 국립에서부터 시작하여 민간영역으로 확산시키는 것이 중요함 왜냐하면 민간에서 충분한 양의 인력을 공급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임 또한 이미 민간의 양성기관이 많은 경우 양성과정의 질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음 이를 통해 양질의 재활인력을 공급할 수 있음

일본재활원내의 인력양성 학원의 법적 지위는 학교교육법 124조에 의거한 전수학교임40) 설립 및 운영은 후생노동부가 주관하고 법률적으로는 문부과학성에 소속됨

법적으로 지정된 전수학원으로 교원 수 및 학교운영에 대해서 학교교육법의 통제를 받음

법적으로 자격증이 도입되기 전에 필요한 인력을 선도적으로 양성하고 민간으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며 전체적인 민간 교육기관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역할을 진행함

일본 재활원내의 대학의 경우 학비가 같은 직종의 전수학원에 비해 학비가 저렴하며 공공기관이 필요로 하는 인재 양성에 주력하는 역할을 함 학생 1인당 입학금 및 학비는 대략 350000엔~560000엔으로 다른 사립학교에 비해 학비가 저렴함

일본국립장애인재활센터 학원 재정은 학생이 내는 금액이 모두 국가 재정으로 포함되고 모인 후에 학원의 운영비와 시설비가 국고지원 형식으로 지원됨 따라서 운영 및 시설 소요 재정은 전부 국비로 지원받고 있는 셈임

이 중 학원의 연간 운영비는 약 75억 엔 정도이며 이 중 70 이상 인건비로

40) 전수학교는 우리나라의 전문학교와 유사한 개념으로 일본의 경우 직업교육의 일환으로 간호 미용 양재

속기 타자 자동차 통신 편물 등과 관련된 직업교육을 진행하는 민간 전수학교가 존재함

- 131 -

사용함 시설비 외에 운영비 역시 국비로 지원되어 운영됨으로써 운영에 대한 재정적 어려움이 크지 않음 이는 운영비를 자체적으로 조달하여야 하는 국내 국공립기관들과 큰 차이를 가짐

현재 6개 학과의 경우 강사진이 대략 센터 50 외부강사 50로 구성되어 있으며 향후 센터내의 강사 비율을 높일 계획임 현재 연수교육의 경우 내부강사 60 외부강사 40로 구성되어 있음

나 국립재활원 대학원대학 설립

Page 8: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9: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1: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2: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3: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4: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5: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6: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7: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8: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9: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2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21: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22: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23: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24: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25: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26: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27: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28: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29: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3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31: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32: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33: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34: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35: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36: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37: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38: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39: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4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41: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42: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43: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44: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45: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46: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47: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48: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49: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5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51: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52: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53: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54: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55: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56: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57: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58: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59: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6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61: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62: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63: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64: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65: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66: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67: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68: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69: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7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71: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72: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73: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74: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75: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76: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77: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78: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79: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8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81: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82: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83: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84: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85: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86: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87: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88: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89: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9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91: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92: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93: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94: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95: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96: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97: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98: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99: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01: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02: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03: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04: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05: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06: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07: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08: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09: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1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11: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12: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13: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14: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15: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16: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17: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18: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19: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2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21: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22: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23: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24: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25: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26: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27: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28: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29: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3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31: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32: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33: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34: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35: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36: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37: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
Page 138: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방향 연구snu-dhpm.ac.kr/pds/files/121200 조직개편에 따른 국립재활원의 미래 발전...- 국내의 각종 재활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