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26
- 69 -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2011. 12)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55) Liability on GMOs' Potential Risk in Supplementary Protocol 김 은 진 ** Kim, Eun - Jin Ⅰ. 서 론 Ⅱ. GMO의 위험 Ⅲ. 의정서 상의 책임에 관한 논의 동향 Ⅳ. 국내 입법 시의 고려사항 Ⅴ. 결 론 Ⅰ. 서 론 지난 2010년 10월 일본 나고야에서는 그동안 계속 합의를 이루지 못했 * 본 논문은 인제대학교 과학기술과 법 연구소 2011 학술심포지엄 「생태위기와 사법의 과 제」에 발표한 논문을 수정 보완한 것임. ** 원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연구위원, 법학박사.

Upload: others

Post on 17-Jul-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cmsorgan.wku.ac.kr/reslaw/wp-content/uploads/sites/60/... · 2016-12-02 ·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

- 69 -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985172의생명과학과 법985173 제6권 (2011 12)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55)

Liability on GMOs Potential Risk in Supplementary

Protocol

김 은 진

Kim Eun - Jin

《 목 차 》

Ⅰ 서 론

Ⅱ GMO의 위험

Ⅲ 의정서 상의 책임에 관한 논의 동향

Ⅳ 국내 입법 시의 고려사항

Ⅴ 결 론

Ⅰ 서 론

지난 2010년 10월 일본 나고야에서는 그동안 계속 합의를 이루지 못했

본 논문은 인제대학교 과학기술과 법 연구소 2011 학술심포지엄 「생태위기와 사법의 과

제」에 발표한 논문을 수정 보완한 것임

원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연구위원 법학박사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0 -

던 GMO에 관한 책임과 구제에 대한 추가의정서가 채택되었다 1992년 지

속가능성을 목표로 생물다양성협약이 채택되고 10년 가까운 기간의 논의를

거쳐 2000년 1월 lsquo바이오안전성에 관한 카르타헤나의정서(이하 의정서)rsquo가

채택되었다 그러나 이 의정서를 채택하는 과정에서 최종합의를 보지 못하

고 유예한 조항이 lsquo책임 및 구제rsquo였다 결국 의정서에서는 제1차 당사국회

의에서 논의절차를 정하고 그 후 4년 내에 lsquo책임 및 구제rsquo에 관한 합의를

이루도록 정했을 뿐1) 구체적인 내용을 결정하지 못하였다

의정서가 2003년 9월 발효되면서 2004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된 제1차 당사국총회에서 lsquo의정서에 따른 책임 및 구제와 관련한 법적기술적 전문가 작업반(Open-ended Ad hoc Group of Legal and

Te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이하 전문가 작업반)rsquo을 구

성하고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하였다 의정서에 따르면 2008년 독일 본에서

개최된 제4차 당사국총회에서 lsquo책임 및 구제rsquo에 관한 합의가 이루어져야 했

으나 여전히 합의를 이루지 못했고 결국 합의는 일본 나고야에서 개최될

제5차 당사국총회로 미루게 되었다 그러나 제5차 당사국총회에서도 좀처

럼 합의를 이루지 못하여 결국 제한적인 형태의 lsquo책임 및 구제rsquo에 관한 합

의만을 이루었다 이렇게 이루어진 합의의 결과가 lsquo바이오안전성에 관한 카

르타헤나의정서의 책임 및 구제에 관한 나고야-쿠알라룸푸르 추가의정서

(Nagoya ndash Kuala Lumpur Supplementary Protocol on Liability and

Redres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이하 추가의정서)rsquo이

책임 및 구제에 관한 규정이 이토록 합의를 이루기 어려웠던 가장 큰

이유는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간의 이해관계의 대립 때문이다 유전자원 부

국인 개발도상국가들에게 GMO는 예상치 못한 큰 위험이 될 수 있다 따라

서 되도록 일반민사책임의 범위 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선진국 및 초국적

생명공학기업과 엄격한 규정을 통한 법적 구속력까지 기대하는 개발도상국

간의 격차는 좀처럼 줄어들지 않았다2) 그러나 이를 단순히 개발도상국과

1) 의정서 제27조

2) 김은진 ldquoGMO책임 및 복구 추가의정서 채택의 의미 및 대응방안rdquo(농업농민정책연구소 녀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1 -

선진국 간의 이해관계의 대립만으로 보는 것은 GMO로 인한 우려의 본질을

지나치게 경제적 관점에서만 해결하는 우를 범할 수 있다 lsquo책임 및 구제rsquo제

도의 본질은 경제적 효과가 아니라 lsquo원상회복rsquo에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추가의정서에서 다루고자 했던 lsquo책임 및 구제rsquo에 관련하

여 GMO의 잠재적 또는 구체적 위험과 그에 따른 책임의 범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Ⅱ GMO의 위험

1996년 재배 이후 GMO로 인한 피해사례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 국제 그린피스(Greenpeace

International)가 GMO 오염사례 등록(GM Contamination Register)에 관

한 활동을 시작하였다3) 이는 바이오안전성의정서에 의해 회원국가가 부담

해야 하는 GMO로 인한 오염에 대한 모니터링이 실제 효과가 있는지 현재

의 모니터링 방식으로 충분한지에 관한 의문에서 시작한 것이다 다음 세

가지를 오염사례로 보고 이를 중심으로 사례를 수집하였다 첫째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으로 GMO가 Non-GMO를 오염시킨 사례이다 이는 연구개발단계에서부터 재배 유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단계에서 발생하는 환경방

출로 인한 피해사례를 말한다 둘째 불법적 환경방출이다 즉 다양한 단계

에서 법적 승인 없이 행해진 재배사례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GMO가 일

반 농업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이다

1997년부터 2011년 12월까지 보고된 바에 따르면 총 340건의 GMO

오염사례가 발생하였다 유럽이 206건으로 가장 많고 북아메리카 42건 아

시아 34건 오세아니아 22건 남아메리카 18건 중아메리카 13건 순으로

발생건수가 등록되었다 가장 최근에 등록된 비의도적 방출로 인한 피해는

독일에서 발생하였다4)

름 2010 10) 5쪽

3)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gt(최종방문일 2011 11 18)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2 -

1 GMO에 의한 Non-GMO의 오염

2011년 2월 독일 정부는 중국에서 수입한 쌀국수에서 수입승인이 되지

않은 Bt63 쌀이 발견되었다고 EU의 lsquo식량과 사료에 관한 신속경보시스템

(The Rapid Alert System for Food and Feed 이하RASFF)rsquo에 보고하였

다 3월에 또다시 발견되어 제2차 보고를 하였으며 6월에 제3차 보고를 하

였다

유럽에서 중국산 쌀 속에 GM쌀이 혼입된 채로 유통되고 있다는 보고는

지난 2006년부터 발생하였다 그보다 먼저 2005년 4월에 이미 그린피스

중국지부가 중국 내에서 GM쌀이 유통되고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5) 당시

중국 정부는 자국에서 연구개발한 GM쌀의 안전성평가를 위하여 노지에 시

험재배 중이지만 그러나 상업적 재배는 없다고 밝혔다 결국 2005년 이후

GM쌀에 관한 상업적인 재배 승인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의도하지 않은 상

태에서 재배되거나 유통되고 있다는 시살이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 현재로

서 예측 가능한 것은 시험재배 중인 GM벼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Non-GM벼를 오염시킴으로써 이런 결과가 나타났다는 것이다

지난 2010년 11월 국립환경과학원은 조사 결과 식용가공용사료용으로

수입된 GM작물들이 전국적으로 26곳에서 자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

다6) 국내 식품middot사료 공장 등 228곳을 조사한 결과로 이는 조사지역의

10 이상이 오염되었음을 말한다 구체적인 장소는 (표1)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7) 결국 GMO로 인한 오염사례는 그 재배여부와는 무관하고 유통된

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생겨나는 위험임을 확인한 것이다

이처럼 GMO에 의한 Non-GMO의 오염은 연구개발부터 상업화 이후에

4) 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indexphpcontent=re_detailampgw_id=353ampreg=

0ampinc=0ampcon=0ampcof=0ampyear=2011amphandle2_page=gt(최종방문일 2011 11 18)

5) 자세한 내용은 김은진 ldquo생명공학기술의 상업화에 따른 책임rdquo(「경영법률」제17집 제1호 2

006 10) 1103-1104쪽 참조

6) lt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ampgCode=kmiamparcid=0004384282ampcp=

nvgt(최종방문일 2011 11 18)

7) lthttpwwwecoseoulorkr1835234gt(최종방문일 2011 11 18)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3 -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가장 빈번하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발견도 힘

들뿐만 아니라 발견을 했다 하더라도 그 원인을 찾기 어렵다

(표1) 우리나라 GMO 유출 사례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4 -

2 불법적인 환경방출

2011년 3월 우루과이 국립대학교의 과학자들은 옥수수밭 3곳에서 GM

품종을 발견했다고 발표하였다8) 우루과이는 GM농작물 가운데 일부에 대

하여 재배를 허용하고 있다 대신 GM농작물로부터의 교차수분 등을 방지

하기 위하여 GM작물과 Non-GM작물 간에 250미터의 거리를 두고 GM작

물을 심은 밭은 이를 위해 자신의 밭의 최소한 10에는 Non-GM작물을

심어 교차수분을 막는 피난처를 두도록 정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 결과에 따르면 250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도 불법적인 환경

방출 사례가 발견되고 있으며 12미터 높이의 유칼립투스 나무로 30미터 너

비의 장벽을 만든 곳에서조차도 이 장벽을 넘어 GM품종이 발견되었다 즉

의도적이건 비의도적이건 간에 법이 정한 기준에 따르지 않은 GM옥수수가

발견된 셈이다

이와 같은 환경방출의 문제는 이미 여러 차례 보고된 바 있다 특히

2004년 미국에서조차 상업적 재배가 승인되지 않은 Bt10 옥수수가 미국

전역에서 재배가 되고 있음이 확인된 사례는 이미 언론을 통해서도 잘 알

려져 있다 당시 이 불법 유출에 대한 대책으로 2005년 미국과 Bt10의 개

발사인 신젠타사는 해당 종자의 생산을 중지하고 유출된 것을 모두 수거하

였지만 2006년에도 여전히 01 정도의 Bt10이 계속 발견되었다9)

결국 GM작물의 재배가 이루어지는 곳에서는 아무리 안전성을 위한 기

준을 강화한다 하더라도 이 기준을 지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조건일 수

밖에 없음을 보여준다 또한 일단 개발하거나 재배가 된 후에는 이에 대한

완전한 수거 자체가 불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3 농업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

8)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indexphpcontent=re_detailampgw_id=367ampreg=0amp

inc=2ampcon=0ampcof=0ampyear=2011amphandle2_page=gt(최종방문일 2011 11 18)

9) 김은진 (주 5) 1100쪽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5 -

2005년 미국에서는 라운드업 제초제내성 GM콩을 재배한 결과 해당 제

초제에 내성을 지닌 잡초가 늘어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10) 그

결과 해당 GM콩을 재배하기 시작한 지 3년 이내에 제초제 사용량이 4배에

서 많이는 13배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라운드업 제초제에 대한 내

성으로 인하여 또다른 제초제를 더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초제 사용량은

늘어날 수밖에 없다

실제 제초제내성 GM작물의 재배를 유도하기 위하여 GM작물 개발사는

항상 제초제 사용량이 현저하게 준다는 것을 강조해 왔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동안 우려해 왔던 유전자전이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계속 사용

함으로써 제초제에 대한 일반적인 내성 자체로 인해 제초제 사용량이 오히

려 늘어날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III 의정서 상의 책임에 관한 논의 동향

1 제1차 당사국총회

의정서 협상 초기부터 논란의 대상이 된 의제가 바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조항이다 선진국들은 일반적인 손해배상 책임제도로 충분히 GMO로

인한 예기치 못한 손해에 대처할 수 있고 의정서 자체는 국가간 이동 과정

에서의 절차적 측면만을 정하면 된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개발도상국은

선진국의 초국적생명공학기업에 의해 개발된 GMO를 주로 수입하는 입장이

기 때문에 이런 손해가 생겼을 경우 구제를 위한 책임체계가 의정서 내에

포함되기를 기대하였다

의정서가 채택되고 시행되기 전에 세 차례에 걸친 정부간 회의에서 책

10)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

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pp 301ndash311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indexphpcontent=re_ detailampgw_id=76ampre

g=0ampinc=3ampcon=0ampcof=0ampyear=2005amphandle2_page=gt(최종방문일 2011 11 18)에서

재인용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6 -

임 및 구제체계의 구축을 위하여 책임에 관한 관련협약의 동향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제1차 총회에 제출하였다 2004년 2월 말레

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된 제1차 당사국총회에서는 전문가 작업반을

구성하고 이 전문가 작업반의 회의 준비를 위하여 lsquo책임 및 구제에 관한 전

문가기술그룹(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rsquo회

의도 개최하였다 또한 전문가그룹에게 다음의 권한을 위임하고 4년 안에

이를 완수하도록 하였다11)

우선 GMO의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손해와 관련하여 당사국 국제기구

및 이해당사자들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심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관련 국제

절차규칙의 성격과 내용에 관한 이해와 합의를 도출하도록 한다 또한 손해

에 관한 쟁점으로 손해의 정의와 성질 생물다양성 및 인체건강에 대한 손

해의 평가 손해의 최소조건 인과관계 책임배상의 집중 수출입당사자의

역할 책임배상의 기준 재정보증체계 원고적격제소권 등에 관하여 논의하

도록 하였다12)

2 제2차 당사국총회

2005년 5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된 제2차 당사국총회에서는 전문

가 작업반의 보고서를 채택하였다13) 보고서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14)

11)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

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UNEPCBDBSCOP-MOP115 2004

4) pp 22-24 lthttpwwwcbdintdocmeetingsbsmop-01officialmop-01-15-end

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12) Decision BS-I8

13)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pp 23-24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2officialmop-02-15-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14)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

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

BDBSWG-LampR12 - UNEPCBDCOP-MOP2INF5 2005 2)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7 -

① 피해의 정의와 범위

피해의 정의에는 환경 인체 및 사회경제적 피해 등을 고려할 수 있다

피해의 범위에 대해서는 GMO의 통과 및 운송 중에 발생한 피해와 운송

통과 취급 이용 중에 발생한 모든 피해 및 비의도적 국가간 이동까지 포

함한 피해를 범위로 정하자는 안 등 시기적 범위와 지리적 범위 등에 대한

다양한 피해가 제시되었다

② 피해의 평가

피해의 평가의 전제로서의 위해성 평가와 분석을 통한 위험 발생 가능

성을 평가하고 이에 따른 관리 및 용인 가능성을 평가해야 한다 또한 평가

의 기준으로 피해발생 이전의 상태에 대한 평가도 필수적이다

③ 인과관계

인과관계의 심사를 위하여 피해의 예측가능성 직간접피해의 구별 직접

적 원인 등을 고려할 수 있다 그 외 입증책임 등도 논의의 대상이다

④ 책임배상의 집중

책임배상의 주체를 누구로 할 것인가의 문제로 일차적 국가책임배상 운

영자의 일차책임과 국가의 잔존책임배상 국가책임을 인정하지 않고 민사

및 행정적 접근방식을 취해야 한다는 세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⑤ 책임배상의 기준

과실책임과 무과실책임(엄격책임)의 견해가 대립되었다 주로 수출국은

과실책임 수입국 또는 개발도상국 및 환경단체 등은 무과실책임을 주장하

였다

⑥ 재정보증 체계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2informationmop-02-inf-05-endocgt(최종

방문일 2011 11 18)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8 -

구제비용 마련을 위한 재원 마련 방안으로 생명공학기업의 출연금으로

조성된 기금 공공기금 및 공공기금과 사적기금의 결합 등의 세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또한 보험제도의 활용가능성 또한 제시되었다

⑦ 분쟁해결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방식으로 국가간 소송 민사소송 행정소송 및 특

별재판소 설치 등의 네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⑧ 원고적격제소권

당사자의 범위에 피해에 영향은 받은 당사자 환경단체 등에 의한 민중

소송 국가의 당사자 자격 인정 등의 안이 제시되었다

⑨ 기타

그 외에 비당사국에게 책임을 지우기 위해 의정서의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가의 여부에 대해 논의가 있었으며 그 대안으로 책임 및 구제에 대한

양자협정을 체결해야 할 필요성도 제시되었다 또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최종합의문에 대해 법적 구속력을 부여하기 위해 가능한 방안에 대한 논의

도 이루어졌다

3 제3차 당사국총회

2006년 3월 브라질 꾸리찌바에서 개최된 제3차 당사국총회는 전문가그

룹회의의 진전을 환영하고 시간계획에 따라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향후 2

년간 총3회의 회의를 소집할 것을 결의하였다15) 또한 참여를 확보하기 위

15)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pp 22 66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3officialmop-03-15-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9 -

한 적절한 재정 지원의 필요성 및 자발적 참여를 촉구하였다 제3차 총회에

서 별다른 논의가 없었던 것은 전문가그룹의 권한 자체가 제4차 총회까지

이뤄지기 때문에 기간의 작업에 대한 확인 및 필요한 부분에 대한 지원방

안 모색 등의 논의 외에 별다른 논의는 없이 진행되었다

4 제4차 당사국총회

2008년 5월 독일 본에서 개최된 제4차 당사국총회는 총회 개최 전부터

책임 및 구제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부담을 안고 시작되었다

그러나 피해의 정의가 생태계 인체 및 사회경제적 피해까지도 고려하고

있는 상황에서 금전적인 문제와 밀접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논의에 합의

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특히 바스프 바이엘크롭사이언스 다우애그로사이

언스 듀퐁파이오니아 몬산토 신젠타 등 6개의 초국적생명공학기업이 자

신들의 안으로 제시한 계약서(Contractual Compensation Agreement)16)는

GMO로 인한 피해의 배상을 당사자 간의 계약으로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나

타낸 것이었다 이에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80개국으로 구성된

lsquoLike-Minded Friends(이하 LMF)rsquo 그룹은 다음의 세 가지를 포함하여 법

적 구속력이 있는 규정을 제안했다17) 첫째 협상 중인 가이드라인에 규정

된 내용을 포함한 국내법이나 정책을 정할 권리를 회원국에게 부여할 것

둘째 타국의 판결에 대해 상호인정과 실행을 위한 준비를 할 것 셋째 가

이드라인은 책임 및 구제 체계가 발효된 후 3년 이내에 재검토할 것 등이

그것이다 이후 이 제안을 중심으로 다양한 논의가 지속된 결과 몇 가지 잠

16)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

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

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

NEPCBDBSWG-LampR53 2008 3) p 7

lthttpwwwcbdintdocmeetingsbsbswglr-05officialbswglr-05-03-enpdfgt(최종방문

일 2011 9 18)

17)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lthttpwwwbiosafety-infonetarticlephpaid=520gt(최종방문일 2011 11 18)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0 -

정적인 합의를 이루고 나머지는 의장단 그룹(Group of the Friends of the

Co-Chairs)이 협상을 지속하여 제5차 총회에서 최종논의를 하기로 하였

다18)

5 제5차 당사국총회

제5차 총회에서의 논의 내용은 사실상 의장단그룹에 의해 최종적으로

채택된 사항에 대한 확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의장단그룹은 네 차례의 회의

를 거쳐 제4차 총회에서의 합의에 따른 법적 구속력을 가진 lsquo책임 및 구제

추가의정서 초안rsquo과 법적 구속력 없는 lsquo민사책임에 관한 가이드라인 초안rsquo

및 보충적 보상체계로 구성된 보고서를 제5차 총회에 제출하였으나 lsquo책임

및 구제 추가의정서 초안rsquo만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19) 이 의정서(안)은

2011년 3월 11일부터 2012년 3월 6일까지 1년 간 회원국의 서명을 받아

40개국이 서명한 90일 후부터 발효할 예정이다

6 추가의정서의 핵심내용

① 전문 사전주의 원칙과 피해가 있거나 충분한 피해가능성이 있는 경

우에 적절한 대응조치를 제공할 필요성을 인정한다

18)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pp 25 85-85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4officialmop-04-18-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19)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21쪽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5officialmop-05-17-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1 -

② 제1조(목적)

GMO에 관한 책임구제 분야의 국제규칙 및 절차를 제공함으로써 생물다

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기여하고 인체건강에 대한 위해를 고려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③ 제2조(용어의 정의)

lsquo피해rsquo란 인체건강에 대한 위해를 고려를 포함한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인간이 야기한

다른 변이나 자연적 변이를 고려하여 책임기관에 의해 인정된 과학적으로

확립된 기준을 고려하여 측정가능하거나 달리 관찰될 수 있어야 한다

lsquo중대한rsquo 부정적 영향에서의 lsquo중대한rsquo이란 합리적 기간 내에 자연적 회복

을 통해서는 구제되지 않을 장기적 또는 영구적 변화 생물다양성의 구성요

소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질적 또는 양적 변화의 정도 재화와 용역

을 제공하는 생물다양성 구성요소 능력의 감소 또는 의정서의 문맥 상 인

체건강에 미칠 부정적 영향의 정도와 같은 요소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④ 제3조(적용범위)

이 의정서는 국가 간 이동에서 유래하는 LMO(Living Modified

Organism)20)로 인한 피해에 적용한다 여기서 LMO는 식품 또는 사료로

직접 이용되거나 가공을 목적으로 하는 LMO 밀폐사용용 LMO 의도적인

환경방출용 LMO를 의미한다 의도적인 국가간 이동에서는 승인된 이용으

로 인한 피해 뿐만 아니라 비의도적인 국가간 이동이나 불법적인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피해에도 적용한다 국내법은 관할권이 있는 지역 범위 내에

서만 적용한다 비당사국 LMO의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피해에도 마찬가지

로 적용한다

⑤ 제4조(인과관계)

20) 여기에서 GMO라고 하지 않고 굳이 LMO라고 한 것은 이 의정서 상에서 살아있는 형태의

GMO만을 대상으로 하고 GMO로 만든 제품(products thereof)은 제외하고 있기 때문이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2 -

인과관계의 입증에 관해서는 국내법에 따른다

⑥ 제5조(대응조치)

당사국은 피해발생 시 국가책임기관의 요건에 따라 적절한 운영자로 하

여금 국가책임기관에게 지체없이 통보하고 피해를 평가하고 적절한 대응

조치를 취하도록 해야 한다 국가책임기관은 피해를 야기한 운영자를 확인

하고 피해를 평가하고 운영자가 취해야 할 대응조치를 결정해야 한다 이

용가능한 과학적 정보와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포함

한 정보에 따르면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피해가 발생할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운영자는 그러한 피해를 피하기 위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해야 한다 국가책임기관은 특히 운영자가 취하지 못한 조치

를 포함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다 국가책임기관은 국내법에서 달

리 정하지 않는 한 피해의 평가와 적절한 조치 및 그에 수반되는 비용을

운영자에게 청구할 권리를 가진다 운영자에게 대응조치를 요구하는 국가책

임기관의 결정은 합리적이어야 하며 운영자에게 통보해야 한다

국내법은 그러한 결정에 대한 사법적ㆍ행정적 심사를 위한 기회를 포함

한 구제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구제방안에 대한 정보를 운영자에게 알려야

한다 국내법에 달리 정하지 않는 한 구제방안이 국가책임기관이 대응조치

를 취하는 것을 방해하지 아니한다 본 조항을 이행함에 있어 그리고 국가

책임기관이 취하는 또는 취하도록 요구되는 특정 대응조치를 정의할 목적

으로 적절한 경우 당사국은 대응조치가 민사책임에 관한 자국 국내법에 이

미 규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대응조치는 국내법에 따라

이행된다

⑦ 제6조(면제)

당사국은 자국의 국내법에 자연재해 또는 불가항력 전쟁 또는 내란의

경우에 이라는 두 가지 면제사유를 정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하다고 간주하

는 기타 면제 및 경감사유를 국내법에 정할 수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3 -

⑧ 제7조(시효)

국내법에 따라 시효를 정할 수 있다

⑨ 제8조(재정적 한계)

국내법에 따라 대응조치에 따른 소요비용의 상한을 정할 수 있다

⑩ 제9조(구상권)

운영자의 제3자에 대한 구상권은 인정된다

⑪ 제10조(재정보증)

당사국은 국내법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또한 국제법

상의 권리와 의무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 첫 총회에서 사무국은 재정보증체계의 양식 보

증체계가 특히 개발도상국에 미치는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영향의 평가

재정보증을 제공하기에 적절한 실체의 확인을 포함한 포괄적인 연구를 수

행해야 한다

⑫ 제11조(국제불법행위에 대한 국가의 책임)

국제불법행위에 의한 책임에 대한 일반적인 국제법규에 따른 국가의 권

리와 의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⑬ 제12조(이행과 민사책임)

당사국은 피해를 규율하는 절차규칙을 국내법으로 정해야 한다 이 의무

를 이행하기 위하여 당사국은 이 의정서에 따른 대응조치를 제공하고 적절

한 경우 민사책임에 관한 적용할 수 있는 일반규칙과 절차를 포함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절차규칙을 적용 또

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할 수 있다 당사국은

민사책임에 관한 국내법에 이 의정서 제2조 제2항 호의 피해에 연루된

물적 또는 인적 피해에 관한 적절한 절차와 규칙을 제공할 목적으로 민사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4 -

책임에 관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법

을 적용 또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해야 한다

민사책임에 관한 법을 개발할 경우에는 피해 엄격 또는 과실책임을 포함한

민사책임기준 적절한 경우 책임의 집중 제소권(제12조 제3항)을 적절하게

정해야 한다

⑭ 제13조(평가 및 재검토)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에는 5년 마다 평가 및 재검토를 해야 한다

⑮ 기타조항

제14조에서 제21조는 사무국 등의 행정관련 조항이다

7 추가의정서의 특징

추가의정서가 채택되었다고는 하나 책임에 관한 규정은 그 원래 목적을

달성하는데 많은 난관이 따른다

우선 추가의정서는 형식적으로 법적 구속력을 가진다고는 하나 그 내용

상으로는 거의 효력이 없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중요한 사항은 모두 국내법에 위임을 했기 때문이다 당사국은 각각 자신들

의 상황에 맞는 책임제도를 GMO에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애초에

개발도상국에서 제안했던 바가 반영된 것이다 GMO 수입국의 입장에서는

GMO로 인해 야기되는 피해에 따른 수출국의 책임을 물릴 수 있는 가능성

을 확보한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GMO 수출국이나 개발사 등이 안전성에 관한 심사

이후의 수입 승인을 근거로 GMO의 안전성을 주장함으로써 국제적인 다툼

이 상당수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국내입법 시에는 이런 문제를 충분히 고

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5 -

Ⅵ 국내 입법 시의 고려사항

1 GMO 특별책임제도 도입의 필요성

추가의정서에서는 주요조항들이 국내법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입증책임이나 대응조치에 따른 운영자의 구제방안 면제사유 시효

소요비용의 상한선 및 민사책임관련법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GMO에 대한

특수성을 인정하여 별도의 법을 만들 것인지 아니면 기존의 민사책임법제

를 그대로 적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고려해야 한다

현재 우리 법상 개발자나 수출자에게 책임을 지울 근거는 만법 상의 손

해배상 책임과 제조물 책임이다 그러나 우리 법은 제조물의 범위에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을 포함시키고 있지 않기 때문에 GM작물에 적용함에 한

계가 따를 수밖에 없다 EU는 1999년 lsquo개정제조물책임지침(Directive

199934EC )rsquo21)에서 미가공인지를 불문하고 일체의 동산에 적용되는 것

으로 개정하여 농산물 등을 모두 포함하도록 하였다22) 이 개정의 근거는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 첫째 제조물의 범위에 1차 농산물을 포함하는

것이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충족시킨다는 것이었다23)

둘째 EU 역내 시장기능의 활성화 등을 고려하여 농산물의 무역이 더 이상

제조자책임에 관한 각국의 상이한 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24) 셋째 무과실책임이 모든 형태의 제조물에 적

용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25) 우리나라도 농축수산물에 대해 이를 제조물

21) Directive 199934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0 May 19

99 Amending Council Directive 85374EEC on the Approximation of the Laws Regu

lations and Administrative Provisions of the Member States Concerning Liability for

Defective Products OL L141 1999 pp20-21

22) 개정제조물책임지침 제1조

23)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5) (6)

lthttpeuropaeuintsmartapicgisga_docsmartapicelexapiprodCELEXnumdocamplg=en

ampnumdoc=31999L0034ampmodel=guichettgt(최종방문일 2011 11 18)

24)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7) (주 21) 원래 제조물책임지침은 제2조에서 농산물을

제외하였으나 제15조 제1항 a에서 각국이 농산물에 대해서는 독자적 입법이 가능하도록 하

였다 이 규정 역시 1999년의 개정으로 삭제되었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6 -

의 범위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제조물책임법의 적용에서 또다른 한계에 봉착한다 바

로 제조물책임법 제4조 제1항의 제조물책임의 면책사유가운데 제2호의 개

발위험의 항변이 그것이다 개발위험이란 제조자가 제조물을 개발하여 유통

시장에 내놓을 당시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에 비추어 인식할 수 없었던 결함

이 존재함으로써 나타나는 위험을 말한다 문제는 과학적기술적 수준이라

는 개념을 확실하게 정의할 수 없다는 점이다 예컨대 GM식품표시에서

DNA나 단백질이 파괴된 경우에는 현대 과학기술 수준으로는 이를 추적할

수 없기 때문에 표시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즉 GMO는 현재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으로는 아직 그 존재조차도 입증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GMO의

위험성 자체가 잠재적인 것이기 때문에 과학적기술적 수준이 개발 당시에

입수가능한 최고 수준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하더라도 한계가 있

기 때문이다 결국 제조물책임법 자체만으로는 GM작물의 피해에 대한 구

제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민사상의 책임을 지우는 데도 일정한 한계가 있다 첫째 GM종

자를 사서 직접 재배한 농민이 피해를 입은 경우는 GM종자를 판매한 기업

에 대하여 계약책임을 물을 수 있다 그러나 GM종자를 재배한 농민으로

인하여 인근 농민이 작물에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계약책임을 물을 수 없

다 개발자와 피해농민 또는 GM종자 재배농민과 피해농민 양자 사이에 계

약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불법행위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는

데 이미 캐나다의 슈마이저 사례를 비롯하여 미국에서의 수많은 GMO관련

소송에서 농민이나 소비자가 자신의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

다는 것을 경험한 바 있다 따라서 GMO의 피해에 관하여 입증책임을 피해

를 입은 자가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 운영자가 GMO로 인한 피해가

아님을 입증하지 못하면 배상책임을 지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시효의 경우에도 손해배상은 손해나 가해자를 알았을 경우에는 3년 불

법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10년이면 청구권은 사라진다 GMO는 그 특성상

25)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8) (주 21)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7 -

문제점이 10년 이내에 나타날 수도 있지만 10년이 지나서 나타날 수도 있

다 그런데 10년이 지났다는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근거가 없어진다면

그 피해를 입은 사람을 구제할 길이 없다 따라서 GMO에 대해서는 그 시

효를 달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은 제조물책임법의 적용도 받

지 않기 때문에 입증책임이나 시효의 면에서 유리한 제조물책임법을 GMO

에 적용할 수도 없다26) 유럽처럼 제조물책임의 범위 내에 농산물 등을 포

함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GMO의 피해에 따른 책임에 대한 별도의 입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2 추가의정서 적용범위의 확대

추가의정서는 그 대상이 살아있는 GMO에 한정되었다 즉 GM작물이

작물의 형태로 수입되는 경우에는 이 의정서 상의 책임에 관한 적용을 받

지만 그것이 1차 가공된 형태로 수입될 경우 예컨대 가루로 수입될 경우

또는 사료용으로 수입되는 대두박 등과 같은 경우에는 그로 인한 피해는

이 의정서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의정서 초안을 마련할 당

시부터 의장단그룹의 회의에 이르기까지 가장 논란이 많았던 조항 가운데

하나이다 의장단그룹의 최종회의인 제4차 회의에서도 닷새 간 논란이 지속

되었다 GMO제품을 넣어야 한다는 의견에서부터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부속

서II의 일반원칙에 나오는 범위27)만큼만 하자는 의견 아예 빼야 한다는 의

견 등이 매일 서로 다른 그룹이 찬성과 반대로 얽히면서 결국 마지막에 삭

제되었다 문제는 농산물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살아있는

GMO만을 대상으로 하면 불리하다는 점이다28) 따라서 의정서 상에 포함되

26) 제조물책임법 제7조 제2항 단서는 lsquo신체에 누적되어 사람의 건강을 해하는 물질에 의하여

발생한 손해 또는 일정한 잠복기간이 경과한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손해에 대하여는 그 손

해가 발생한 날부터 기산한다rsquo고 정하고 있다

27) 유전자변형생물체 또는 그 산물 즉 유전자변형생물체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현대생명공학

의 사용에 의하여 얻어진 복제능력이 있는 유전물질의 검출 가능한 수준의 조합을 지닌 가

공물질과 관련된(이하 생략)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8 -

지 않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는 다른 GMO와 동일하게 책임에 관한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이행법이라

할 수 있는 lsquo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하 GMO

법)rsquo에서 우리나라는 국가 간 이동에 관한 것만 규율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

에서의 연구middot개발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일정 정도 포함하도록 그 적용범위

를 확대하였다 따라서 이 추가의정서에 따른 이행법을 제정할 경우에도 그

적용범위를 확대하여 GMO제품에 의한 피해에도 책임제도를 적용할 수 있

도록 할 필요가 있다

3 배상책임의 주체 및 재원마련 방안

책임 및 복구 제도에서의 핵심은 피해가 생겼을 경우에 부담해야 할 배

상액을 어떻게 마련하느냐에 있다 우리나라는 의정서의 이행법인 GMO법

을 만들 당시부터 책임 및 복구에 관한 재원마련에 대해 기금 공제제도

보험 등의 제도 도입과 관련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다29) 예컨대 처음 GMO

법을 만들 당시에는 재원마련의 방안으로 공제제도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법이 통과될 당시에는 공제제도를 비롯한 여타의 안들

은 다 삭제되고 단지 GMO법 제34조에서 국가책임기관의 장은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수출입 등과 관련하여 국민의 건강과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

가능한 이용에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재원

확보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을 뿐이다

추가의정서는 피해가 생겼을 경우의 책임에 대하여 재정보증 규정을 두

었다 제3차 의장단그룹회의까지만 하더라도 보험 등 구체적인 재정보증방

안이 제시되었으나 제4차 의장단그룹회의에서는 사흘에 걸친 회의 끝에 보

험 등의 실제적인 방안을 삭제하고 대신 발효 후의 당사국 총회에서 사무

국이 재정보증체계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책임 및 복구에서

28) 물론 우리나라는 제4차 의장단그룹 회의에서 GMO제품을 넣자는 의견에 동의하였다

29)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교 법학논문

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32-34쪽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9 -

가장 중요한 조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구체적인 방안은 각국에게 위

임된 셈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재정보증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야 한다 초기의 공제제도뿐만 아니라 보험 등 다양한 기존의 제도를 중심

으로 다른 나라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제도를 만들 필요

가 있다 특히 독일 환경책임법과 유전공학법에 정하고 있는 담보제공의

무30)에 대한 국내법에의 도입방안을 고려해 볼 만하다 독일은 담보제공의

방법으로서 책임보험 연방이나 주(州)의 면제나 보증 또는 책임보험에 의

한 담보제공이나 금융기관의 면제나 보증 등으로 가능하다31) 우리도 이와

같은 제도 등을 통하여 피해에 대한 배상의 재원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Ⅴ 결 론

GMO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하면서 GMO의 재배에 따른 위험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논란이 되어 왔다 그러나 그 책임에 관한 구제척인 국

제기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의정서 당사국들도 구체적인 책임제도를 만드

는 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런 논란 끝에 만들어진 책임제도는

결국 논란을 이겨내지 못했다 각 당사국이 국내입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

도록 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법으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을 확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책임주체의 문제에서부터 배상액에 이르기까지 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추가의정서에서 국내 입법으로 위임하고 있는 대표

적인 것이 책임제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인과관계의 입증 면제사유 시

효 등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현행 책임제도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대

응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GMO를 위한 특별한 책임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이 특별책임제도의 대상은 GM작물뿐만 아니라 이를 원료로 생산한

30) 환경책임법 제19조 제1항 유전공학법 제36조 제1항

31)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0 -

다양한 상품까지도 포함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실제 유통되거

나 최종상품화하는 것은 작물 그 자체보다는 가공식품 등이기 때문이다 마

지막으로 GMO 책임제도를 현실화하기 위한 재정마련 방안이 필요하다 가

해 당사자가 책임을 질 수 있는 제도로서 담보제공의무 등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투고일 2011 12 14 심사일 2011 12 22 게재확정일 2011 12 26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1 -

참 고 문 헌

김은진 ldquo생명공학기술의 상업화에 따른 책임rdquo「경영법률」제17집 제1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06 10

김은진 ldquoGMO책임 및 복구 추가의정서 채택의 의미 및 대응방안rdquo「농업농

민정책연구소 녀름 이슈보고서」 2010 10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

교 법학논문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UNEPCBD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115 2004 4)

UNEPCBD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UNEPCBD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

WG-LampR12 - UNEPCBDCOP-MOP2INF 5 2005 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2 -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UNEPCBD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NEPCBDBSWG-LampR53 2008 3)

UNEPCBD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lthttpeuropaeuintgt

lthttpwwwcbdintgt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gt

주 제 어

추가의정서 GMO위험 책임제도 배상제도 환경책임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3 -

[ABSTRACT]

Liability on GMOs Potential Risk in Supplementary

Protocol

Kim Eun - Jin

GMO has been issued on its potential risk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GMOs However there is no international legal

system on liability and remedies Developed conturies did not want

to have a strong regulation on GMOs potential risk while developing

countries tried to make a strict liability on GMOs risk

As a result of 10 years discussions the Supplementary Protocol

was adapted Main issue of this protocol is liability and remedies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First the Protocol did not present the legal system of liability and

remedies Instead the protocol delegates the legal system of

national laws

Secondly this protocol covers only living GMO However living

GMOs are very few in market and most of all GMOs are processed

Thirdly there is no regulation for finance which is huge in GMOs

damages on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For implementation act we have to consider how to solve them

For example whether the new law which covers GMOs special

liability is established

Key Words

Supplementary Protocol GMo Risk Liability Remedies Environment

Liability

Page 2: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cmsorgan.wku.ac.kr/reslaw/wp-content/uploads/sites/60/... · 2016-12-02 ·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0 -

던 GMO에 관한 책임과 구제에 대한 추가의정서가 채택되었다 1992년 지

속가능성을 목표로 생물다양성협약이 채택되고 10년 가까운 기간의 논의를

거쳐 2000년 1월 lsquo바이오안전성에 관한 카르타헤나의정서(이하 의정서)rsquo가

채택되었다 그러나 이 의정서를 채택하는 과정에서 최종합의를 보지 못하

고 유예한 조항이 lsquo책임 및 구제rsquo였다 결국 의정서에서는 제1차 당사국회

의에서 논의절차를 정하고 그 후 4년 내에 lsquo책임 및 구제rsquo에 관한 합의를

이루도록 정했을 뿐1) 구체적인 내용을 결정하지 못하였다

의정서가 2003년 9월 발효되면서 2004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된 제1차 당사국총회에서 lsquo의정서에 따른 책임 및 구제와 관련한 법적기술적 전문가 작업반(Open-ended Ad hoc Group of Legal and

Te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이하 전문가 작업반)rsquo을 구

성하고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하였다 의정서에 따르면 2008년 독일 본에서

개최된 제4차 당사국총회에서 lsquo책임 및 구제rsquo에 관한 합의가 이루어져야 했

으나 여전히 합의를 이루지 못했고 결국 합의는 일본 나고야에서 개최될

제5차 당사국총회로 미루게 되었다 그러나 제5차 당사국총회에서도 좀처

럼 합의를 이루지 못하여 결국 제한적인 형태의 lsquo책임 및 구제rsquo에 관한 합

의만을 이루었다 이렇게 이루어진 합의의 결과가 lsquo바이오안전성에 관한 카

르타헤나의정서의 책임 및 구제에 관한 나고야-쿠알라룸푸르 추가의정서

(Nagoya ndash Kuala Lumpur Supplementary Protocol on Liability and

Redres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이하 추가의정서)rsquo이

책임 및 구제에 관한 규정이 이토록 합의를 이루기 어려웠던 가장 큰

이유는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간의 이해관계의 대립 때문이다 유전자원 부

국인 개발도상국가들에게 GMO는 예상치 못한 큰 위험이 될 수 있다 따라

서 되도록 일반민사책임의 범위 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선진국 및 초국적

생명공학기업과 엄격한 규정을 통한 법적 구속력까지 기대하는 개발도상국

간의 격차는 좀처럼 줄어들지 않았다2) 그러나 이를 단순히 개발도상국과

1) 의정서 제27조

2) 김은진 ldquoGMO책임 및 복구 추가의정서 채택의 의미 및 대응방안rdquo(농업농민정책연구소 녀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1 -

선진국 간의 이해관계의 대립만으로 보는 것은 GMO로 인한 우려의 본질을

지나치게 경제적 관점에서만 해결하는 우를 범할 수 있다 lsquo책임 및 구제rsquo제

도의 본질은 경제적 효과가 아니라 lsquo원상회복rsquo에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추가의정서에서 다루고자 했던 lsquo책임 및 구제rsquo에 관련하

여 GMO의 잠재적 또는 구체적 위험과 그에 따른 책임의 범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Ⅱ GMO의 위험

1996년 재배 이후 GMO로 인한 피해사례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 국제 그린피스(Greenpeace

International)가 GMO 오염사례 등록(GM Contamination Register)에 관

한 활동을 시작하였다3) 이는 바이오안전성의정서에 의해 회원국가가 부담

해야 하는 GMO로 인한 오염에 대한 모니터링이 실제 효과가 있는지 현재

의 모니터링 방식으로 충분한지에 관한 의문에서 시작한 것이다 다음 세

가지를 오염사례로 보고 이를 중심으로 사례를 수집하였다 첫째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으로 GMO가 Non-GMO를 오염시킨 사례이다 이는 연구개발단계에서부터 재배 유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단계에서 발생하는 환경방

출로 인한 피해사례를 말한다 둘째 불법적 환경방출이다 즉 다양한 단계

에서 법적 승인 없이 행해진 재배사례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GMO가 일

반 농업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이다

1997년부터 2011년 12월까지 보고된 바에 따르면 총 340건의 GMO

오염사례가 발생하였다 유럽이 206건으로 가장 많고 북아메리카 42건 아

시아 34건 오세아니아 22건 남아메리카 18건 중아메리카 13건 순으로

발생건수가 등록되었다 가장 최근에 등록된 비의도적 방출로 인한 피해는

독일에서 발생하였다4)

름 2010 10) 5쪽

3)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gt(최종방문일 2011 11 18)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2 -

1 GMO에 의한 Non-GMO의 오염

2011년 2월 독일 정부는 중국에서 수입한 쌀국수에서 수입승인이 되지

않은 Bt63 쌀이 발견되었다고 EU의 lsquo식량과 사료에 관한 신속경보시스템

(The Rapid Alert System for Food and Feed 이하RASFF)rsquo에 보고하였

다 3월에 또다시 발견되어 제2차 보고를 하였으며 6월에 제3차 보고를 하

였다

유럽에서 중국산 쌀 속에 GM쌀이 혼입된 채로 유통되고 있다는 보고는

지난 2006년부터 발생하였다 그보다 먼저 2005년 4월에 이미 그린피스

중국지부가 중국 내에서 GM쌀이 유통되고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5) 당시

중국 정부는 자국에서 연구개발한 GM쌀의 안전성평가를 위하여 노지에 시

험재배 중이지만 그러나 상업적 재배는 없다고 밝혔다 결국 2005년 이후

GM쌀에 관한 상업적인 재배 승인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의도하지 않은 상

태에서 재배되거나 유통되고 있다는 시살이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 현재로

서 예측 가능한 것은 시험재배 중인 GM벼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Non-GM벼를 오염시킴으로써 이런 결과가 나타났다는 것이다

지난 2010년 11월 국립환경과학원은 조사 결과 식용가공용사료용으로

수입된 GM작물들이 전국적으로 26곳에서 자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

다6) 국내 식품middot사료 공장 등 228곳을 조사한 결과로 이는 조사지역의

10 이상이 오염되었음을 말한다 구체적인 장소는 (표1)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7) 결국 GMO로 인한 오염사례는 그 재배여부와는 무관하고 유통된

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생겨나는 위험임을 확인한 것이다

이처럼 GMO에 의한 Non-GMO의 오염은 연구개발부터 상업화 이후에

4) 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indexphpcontent=re_detailampgw_id=353ampreg=

0ampinc=0ampcon=0ampcof=0ampyear=2011amphandle2_page=gt(최종방문일 2011 11 18)

5) 자세한 내용은 김은진 ldquo생명공학기술의 상업화에 따른 책임rdquo(「경영법률」제17집 제1호 2

006 10) 1103-1104쪽 참조

6) lt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ampgCode=kmiamparcid=0004384282ampcp=

nvgt(최종방문일 2011 11 18)

7) lthttpwwwecoseoulorkr1835234gt(최종방문일 2011 11 18)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3 -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가장 빈번하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발견도 힘

들뿐만 아니라 발견을 했다 하더라도 그 원인을 찾기 어렵다

(표1) 우리나라 GMO 유출 사례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4 -

2 불법적인 환경방출

2011년 3월 우루과이 국립대학교의 과학자들은 옥수수밭 3곳에서 GM

품종을 발견했다고 발표하였다8) 우루과이는 GM농작물 가운데 일부에 대

하여 재배를 허용하고 있다 대신 GM농작물로부터의 교차수분 등을 방지

하기 위하여 GM작물과 Non-GM작물 간에 250미터의 거리를 두고 GM작

물을 심은 밭은 이를 위해 자신의 밭의 최소한 10에는 Non-GM작물을

심어 교차수분을 막는 피난처를 두도록 정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 결과에 따르면 250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도 불법적인 환경

방출 사례가 발견되고 있으며 12미터 높이의 유칼립투스 나무로 30미터 너

비의 장벽을 만든 곳에서조차도 이 장벽을 넘어 GM품종이 발견되었다 즉

의도적이건 비의도적이건 간에 법이 정한 기준에 따르지 않은 GM옥수수가

발견된 셈이다

이와 같은 환경방출의 문제는 이미 여러 차례 보고된 바 있다 특히

2004년 미국에서조차 상업적 재배가 승인되지 않은 Bt10 옥수수가 미국

전역에서 재배가 되고 있음이 확인된 사례는 이미 언론을 통해서도 잘 알

려져 있다 당시 이 불법 유출에 대한 대책으로 2005년 미국과 Bt10의 개

발사인 신젠타사는 해당 종자의 생산을 중지하고 유출된 것을 모두 수거하

였지만 2006년에도 여전히 01 정도의 Bt10이 계속 발견되었다9)

결국 GM작물의 재배가 이루어지는 곳에서는 아무리 안전성을 위한 기

준을 강화한다 하더라도 이 기준을 지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조건일 수

밖에 없음을 보여준다 또한 일단 개발하거나 재배가 된 후에는 이에 대한

완전한 수거 자체가 불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3 농업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

8)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indexphpcontent=re_detailampgw_id=367ampreg=0amp

inc=2ampcon=0ampcof=0ampyear=2011amphandle2_page=gt(최종방문일 2011 11 18)

9) 김은진 (주 5) 1100쪽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5 -

2005년 미국에서는 라운드업 제초제내성 GM콩을 재배한 결과 해당 제

초제에 내성을 지닌 잡초가 늘어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10) 그

결과 해당 GM콩을 재배하기 시작한 지 3년 이내에 제초제 사용량이 4배에

서 많이는 13배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라운드업 제초제에 대한 내

성으로 인하여 또다른 제초제를 더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초제 사용량은

늘어날 수밖에 없다

실제 제초제내성 GM작물의 재배를 유도하기 위하여 GM작물 개발사는

항상 제초제 사용량이 현저하게 준다는 것을 강조해 왔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동안 우려해 왔던 유전자전이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계속 사용

함으로써 제초제에 대한 일반적인 내성 자체로 인해 제초제 사용량이 오히

려 늘어날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III 의정서 상의 책임에 관한 논의 동향

1 제1차 당사국총회

의정서 협상 초기부터 논란의 대상이 된 의제가 바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조항이다 선진국들은 일반적인 손해배상 책임제도로 충분히 GMO로

인한 예기치 못한 손해에 대처할 수 있고 의정서 자체는 국가간 이동 과정

에서의 절차적 측면만을 정하면 된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개발도상국은

선진국의 초국적생명공학기업에 의해 개발된 GMO를 주로 수입하는 입장이

기 때문에 이런 손해가 생겼을 경우 구제를 위한 책임체계가 의정서 내에

포함되기를 기대하였다

의정서가 채택되고 시행되기 전에 세 차례에 걸친 정부간 회의에서 책

10)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

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pp 301ndash311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indexphpcontent=re_ detailampgw_id=76ampre

g=0ampinc=3ampcon=0ampcof=0ampyear=2005amphandle2_page=gt(최종방문일 2011 11 18)에서

재인용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6 -

임 및 구제체계의 구축을 위하여 책임에 관한 관련협약의 동향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제1차 총회에 제출하였다 2004년 2월 말레

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된 제1차 당사국총회에서는 전문가 작업반을

구성하고 이 전문가 작업반의 회의 준비를 위하여 lsquo책임 및 구제에 관한 전

문가기술그룹(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rsquo회

의도 개최하였다 또한 전문가그룹에게 다음의 권한을 위임하고 4년 안에

이를 완수하도록 하였다11)

우선 GMO의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손해와 관련하여 당사국 국제기구

및 이해당사자들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심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관련 국제

절차규칙의 성격과 내용에 관한 이해와 합의를 도출하도록 한다 또한 손해

에 관한 쟁점으로 손해의 정의와 성질 생물다양성 및 인체건강에 대한 손

해의 평가 손해의 최소조건 인과관계 책임배상의 집중 수출입당사자의

역할 책임배상의 기준 재정보증체계 원고적격제소권 등에 관하여 논의하

도록 하였다12)

2 제2차 당사국총회

2005년 5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된 제2차 당사국총회에서는 전문

가 작업반의 보고서를 채택하였다13) 보고서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14)

11)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

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UNEPCBDBSCOP-MOP115 2004

4) pp 22-24 lthttpwwwcbdintdocmeetingsbsmop-01officialmop-01-15-end

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12) Decision BS-I8

13)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pp 23-24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2officialmop-02-15-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14)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

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

BDBSWG-LampR12 - UNEPCBDCOP-MOP2INF5 2005 2)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7 -

① 피해의 정의와 범위

피해의 정의에는 환경 인체 및 사회경제적 피해 등을 고려할 수 있다

피해의 범위에 대해서는 GMO의 통과 및 운송 중에 발생한 피해와 운송

통과 취급 이용 중에 발생한 모든 피해 및 비의도적 국가간 이동까지 포

함한 피해를 범위로 정하자는 안 등 시기적 범위와 지리적 범위 등에 대한

다양한 피해가 제시되었다

② 피해의 평가

피해의 평가의 전제로서의 위해성 평가와 분석을 통한 위험 발생 가능

성을 평가하고 이에 따른 관리 및 용인 가능성을 평가해야 한다 또한 평가

의 기준으로 피해발생 이전의 상태에 대한 평가도 필수적이다

③ 인과관계

인과관계의 심사를 위하여 피해의 예측가능성 직간접피해의 구별 직접

적 원인 등을 고려할 수 있다 그 외 입증책임 등도 논의의 대상이다

④ 책임배상의 집중

책임배상의 주체를 누구로 할 것인가의 문제로 일차적 국가책임배상 운

영자의 일차책임과 국가의 잔존책임배상 국가책임을 인정하지 않고 민사

및 행정적 접근방식을 취해야 한다는 세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⑤ 책임배상의 기준

과실책임과 무과실책임(엄격책임)의 견해가 대립되었다 주로 수출국은

과실책임 수입국 또는 개발도상국 및 환경단체 등은 무과실책임을 주장하

였다

⑥ 재정보증 체계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2informationmop-02-inf-05-endocgt(최종

방문일 2011 11 18)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8 -

구제비용 마련을 위한 재원 마련 방안으로 생명공학기업의 출연금으로

조성된 기금 공공기금 및 공공기금과 사적기금의 결합 등의 세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또한 보험제도의 활용가능성 또한 제시되었다

⑦ 분쟁해결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방식으로 국가간 소송 민사소송 행정소송 및 특

별재판소 설치 등의 네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⑧ 원고적격제소권

당사자의 범위에 피해에 영향은 받은 당사자 환경단체 등에 의한 민중

소송 국가의 당사자 자격 인정 등의 안이 제시되었다

⑨ 기타

그 외에 비당사국에게 책임을 지우기 위해 의정서의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가의 여부에 대해 논의가 있었으며 그 대안으로 책임 및 구제에 대한

양자협정을 체결해야 할 필요성도 제시되었다 또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최종합의문에 대해 법적 구속력을 부여하기 위해 가능한 방안에 대한 논의

도 이루어졌다

3 제3차 당사국총회

2006년 3월 브라질 꾸리찌바에서 개최된 제3차 당사국총회는 전문가그

룹회의의 진전을 환영하고 시간계획에 따라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향후 2

년간 총3회의 회의를 소집할 것을 결의하였다15) 또한 참여를 확보하기 위

15)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pp 22 66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3officialmop-03-15-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9 -

한 적절한 재정 지원의 필요성 및 자발적 참여를 촉구하였다 제3차 총회에

서 별다른 논의가 없었던 것은 전문가그룹의 권한 자체가 제4차 총회까지

이뤄지기 때문에 기간의 작업에 대한 확인 및 필요한 부분에 대한 지원방

안 모색 등의 논의 외에 별다른 논의는 없이 진행되었다

4 제4차 당사국총회

2008년 5월 독일 본에서 개최된 제4차 당사국총회는 총회 개최 전부터

책임 및 구제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부담을 안고 시작되었다

그러나 피해의 정의가 생태계 인체 및 사회경제적 피해까지도 고려하고

있는 상황에서 금전적인 문제와 밀접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논의에 합의

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특히 바스프 바이엘크롭사이언스 다우애그로사이

언스 듀퐁파이오니아 몬산토 신젠타 등 6개의 초국적생명공학기업이 자

신들의 안으로 제시한 계약서(Contractual Compensation Agreement)16)는

GMO로 인한 피해의 배상을 당사자 간의 계약으로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나

타낸 것이었다 이에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80개국으로 구성된

lsquoLike-Minded Friends(이하 LMF)rsquo 그룹은 다음의 세 가지를 포함하여 법

적 구속력이 있는 규정을 제안했다17) 첫째 협상 중인 가이드라인에 규정

된 내용을 포함한 국내법이나 정책을 정할 권리를 회원국에게 부여할 것

둘째 타국의 판결에 대해 상호인정과 실행을 위한 준비를 할 것 셋째 가

이드라인은 책임 및 구제 체계가 발효된 후 3년 이내에 재검토할 것 등이

그것이다 이후 이 제안을 중심으로 다양한 논의가 지속된 결과 몇 가지 잠

16)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

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

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

NEPCBDBSWG-LampR53 2008 3) p 7

lthttpwwwcbdintdocmeetingsbsbswglr-05officialbswglr-05-03-enpdfgt(최종방문

일 2011 9 18)

17)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lthttpwwwbiosafety-infonetarticlephpaid=520gt(최종방문일 2011 11 18)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0 -

정적인 합의를 이루고 나머지는 의장단 그룹(Group of the Friends of the

Co-Chairs)이 협상을 지속하여 제5차 총회에서 최종논의를 하기로 하였

다18)

5 제5차 당사국총회

제5차 총회에서의 논의 내용은 사실상 의장단그룹에 의해 최종적으로

채택된 사항에 대한 확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의장단그룹은 네 차례의 회의

를 거쳐 제4차 총회에서의 합의에 따른 법적 구속력을 가진 lsquo책임 및 구제

추가의정서 초안rsquo과 법적 구속력 없는 lsquo민사책임에 관한 가이드라인 초안rsquo

및 보충적 보상체계로 구성된 보고서를 제5차 총회에 제출하였으나 lsquo책임

및 구제 추가의정서 초안rsquo만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19) 이 의정서(안)은

2011년 3월 11일부터 2012년 3월 6일까지 1년 간 회원국의 서명을 받아

40개국이 서명한 90일 후부터 발효할 예정이다

6 추가의정서의 핵심내용

① 전문 사전주의 원칙과 피해가 있거나 충분한 피해가능성이 있는 경

우에 적절한 대응조치를 제공할 필요성을 인정한다

18)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pp 25 85-85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4officialmop-04-18-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19)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21쪽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5officialmop-05-17-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1 -

② 제1조(목적)

GMO에 관한 책임구제 분야의 국제규칙 및 절차를 제공함으로써 생물다

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기여하고 인체건강에 대한 위해를 고려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③ 제2조(용어의 정의)

lsquo피해rsquo란 인체건강에 대한 위해를 고려를 포함한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인간이 야기한

다른 변이나 자연적 변이를 고려하여 책임기관에 의해 인정된 과학적으로

확립된 기준을 고려하여 측정가능하거나 달리 관찰될 수 있어야 한다

lsquo중대한rsquo 부정적 영향에서의 lsquo중대한rsquo이란 합리적 기간 내에 자연적 회복

을 통해서는 구제되지 않을 장기적 또는 영구적 변화 생물다양성의 구성요

소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질적 또는 양적 변화의 정도 재화와 용역

을 제공하는 생물다양성 구성요소 능력의 감소 또는 의정서의 문맥 상 인

체건강에 미칠 부정적 영향의 정도와 같은 요소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④ 제3조(적용범위)

이 의정서는 국가 간 이동에서 유래하는 LMO(Living Modified

Organism)20)로 인한 피해에 적용한다 여기서 LMO는 식품 또는 사료로

직접 이용되거나 가공을 목적으로 하는 LMO 밀폐사용용 LMO 의도적인

환경방출용 LMO를 의미한다 의도적인 국가간 이동에서는 승인된 이용으

로 인한 피해 뿐만 아니라 비의도적인 국가간 이동이나 불법적인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피해에도 적용한다 국내법은 관할권이 있는 지역 범위 내에

서만 적용한다 비당사국 LMO의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피해에도 마찬가지

로 적용한다

⑤ 제4조(인과관계)

20) 여기에서 GMO라고 하지 않고 굳이 LMO라고 한 것은 이 의정서 상에서 살아있는 형태의

GMO만을 대상으로 하고 GMO로 만든 제품(products thereof)은 제외하고 있기 때문이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2 -

인과관계의 입증에 관해서는 국내법에 따른다

⑥ 제5조(대응조치)

당사국은 피해발생 시 국가책임기관의 요건에 따라 적절한 운영자로 하

여금 국가책임기관에게 지체없이 통보하고 피해를 평가하고 적절한 대응

조치를 취하도록 해야 한다 국가책임기관은 피해를 야기한 운영자를 확인

하고 피해를 평가하고 운영자가 취해야 할 대응조치를 결정해야 한다 이

용가능한 과학적 정보와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포함

한 정보에 따르면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피해가 발생할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운영자는 그러한 피해를 피하기 위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해야 한다 국가책임기관은 특히 운영자가 취하지 못한 조치

를 포함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다 국가책임기관은 국내법에서 달

리 정하지 않는 한 피해의 평가와 적절한 조치 및 그에 수반되는 비용을

운영자에게 청구할 권리를 가진다 운영자에게 대응조치를 요구하는 국가책

임기관의 결정은 합리적이어야 하며 운영자에게 통보해야 한다

국내법은 그러한 결정에 대한 사법적ㆍ행정적 심사를 위한 기회를 포함

한 구제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구제방안에 대한 정보를 운영자에게 알려야

한다 국내법에 달리 정하지 않는 한 구제방안이 국가책임기관이 대응조치

를 취하는 것을 방해하지 아니한다 본 조항을 이행함에 있어 그리고 국가

책임기관이 취하는 또는 취하도록 요구되는 특정 대응조치를 정의할 목적

으로 적절한 경우 당사국은 대응조치가 민사책임에 관한 자국 국내법에 이

미 규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대응조치는 국내법에 따라

이행된다

⑦ 제6조(면제)

당사국은 자국의 국내법에 자연재해 또는 불가항력 전쟁 또는 내란의

경우에 이라는 두 가지 면제사유를 정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하다고 간주하

는 기타 면제 및 경감사유를 국내법에 정할 수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3 -

⑧ 제7조(시효)

국내법에 따라 시효를 정할 수 있다

⑨ 제8조(재정적 한계)

국내법에 따라 대응조치에 따른 소요비용의 상한을 정할 수 있다

⑩ 제9조(구상권)

운영자의 제3자에 대한 구상권은 인정된다

⑪ 제10조(재정보증)

당사국은 국내법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또한 국제법

상의 권리와 의무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 첫 총회에서 사무국은 재정보증체계의 양식 보

증체계가 특히 개발도상국에 미치는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영향의 평가

재정보증을 제공하기에 적절한 실체의 확인을 포함한 포괄적인 연구를 수

행해야 한다

⑫ 제11조(국제불법행위에 대한 국가의 책임)

국제불법행위에 의한 책임에 대한 일반적인 국제법규에 따른 국가의 권

리와 의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⑬ 제12조(이행과 민사책임)

당사국은 피해를 규율하는 절차규칙을 국내법으로 정해야 한다 이 의무

를 이행하기 위하여 당사국은 이 의정서에 따른 대응조치를 제공하고 적절

한 경우 민사책임에 관한 적용할 수 있는 일반규칙과 절차를 포함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절차규칙을 적용 또

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할 수 있다 당사국은

민사책임에 관한 국내법에 이 의정서 제2조 제2항 호의 피해에 연루된

물적 또는 인적 피해에 관한 적절한 절차와 규칙을 제공할 목적으로 민사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4 -

책임에 관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법

을 적용 또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해야 한다

민사책임에 관한 법을 개발할 경우에는 피해 엄격 또는 과실책임을 포함한

민사책임기준 적절한 경우 책임의 집중 제소권(제12조 제3항)을 적절하게

정해야 한다

⑭ 제13조(평가 및 재검토)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에는 5년 마다 평가 및 재검토를 해야 한다

⑮ 기타조항

제14조에서 제21조는 사무국 등의 행정관련 조항이다

7 추가의정서의 특징

추가의정서가 채택되었다고는 하나 책임에 관한 규정은 그 원래 목적을

달성하는데 많은 난관이 따른다

우선 추가의정서는 형식적으로 법적 구속력을 가진다고는 하나 그 내용

상으로는 거의 효력이 없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중요한 사항은 모두 국내법에 위임을 했기 때문이다 당사국은 각각 자신들

의 상황에 맞는 책임제도를 GMO에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애초에

개발도상국에서 제안했던 바가 반영된 것이다 GMO 수입국의 입장에서는

GMO로 인해 야기되는 피해에 따른 수출국의 책임을 물릴 수 있는 가능성

을 확보한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GMO 수출국이나 개발사 등이 안전성에 관한 심사

이후의 수입 승인을 근거로 GMO의 안전성을 주장함으로써 국제적인 다툼

이 상당수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국내입법 시에는 이런 문제를 충분히 고

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5 -

Ⅵ 국내 입법 시의 고려사항

1 GMO 특별책임제도 도입의 필요성

추가의정서에서는 주요조항들이 국내법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입증책임이나 대응조치에 따른 운영자의 구제방안 면제사유 시효

소요비용의 상한선 및 민사책임관련법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GMO에 대한

특수성을 인정하여 별도의 법을 만들 것인지 아니면 기존의 민사책임법제

를 그대로 적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고려해야 한다

현재 우리 법상 개발자나 수출자에게 책임을 지울 근거는 만법 상의 손

해배상 책임과 제조물 책임이다 그러나 우리 법은 제조물의 범위에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을 포함시키고 있지 않기 때문에 GM작물에 적용함에 한

계가 따를 수밖에 없다 EU는 1999년 lsquo개정제조물책임지침(Directive

199934EC )rsquo21)에서 미가공인지를 불문하고 일체의 동산에 적용되는 것

으로 개정하여 농산물 등을 모두 포함하도록 하였다22) 이 개정의 근거는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 첫째 제조물의 범위에 1차 농산물을 포함하는

것이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충족시킨다는 것이었다23)

둘째 EU 역내 시장기능의 활성화 등을 고려하여 농산물의 무역이 더 이상

제조자책임에 관한 각국의 상이한 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24) 셋째 무과실책임이 모든 형태의 제조물에 적

용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25) 우리나라도 농축수산물에 대해 이를 제조물

21) Directive 199934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0 May 19

99 Amending Council Directive 85374EEC on the Approximation of the Laws Regu

lations and Administrative Provisions of the Member States Concerning Liability for

Defective Products OL L141 1999 pp20-21

22) 개정제조물책임지침 제1조

23)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5) (6)

lthttpeuropaeuintsmartapicgisga_docsmartapicelexapiprodCELEXnumdocamplg=en

ampnumdoc=31999L0034ampmodel=guichettgt(최종방문일 2011 11 18)

24)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7) (주 21) 원래 제조물책임지침은 제2조에서 농산물을

제외하였으나 제15조 제1항 a에서 각국이 농산물에 대해서는 독자적 입법이 가능하도록 하

였다 이 규정 역시 1999년의 개정으로 삭제되었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6 -

의 범위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제조물책임법의 적용에서 또다른 한계에 봉착한다 바

로 제조물책임법 제4조 제1항의 제조물책임의 면책사유가운데 제2호의 개

발위험의 항변이 그것이다 개발위험이란 제조자가 제조물을 개발하여 유통

시장에 내놓을 당시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에 비추어 인식할 수 없었던 결함

이 존재함으로써 나타나는 위험을 말한다 문제는 과학적기술적 수준이라

는 개념을 확실하게 정의할 수 없다는 점이다 예컨대 GM식품표시에서

DNA나 단백질이 파괴된 경우에는 현대 과학기술 수준으로는 이를 추적할

수 없기 때문에 표시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즉 GMO는 현재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으로는 아직 그 존재조차도 입증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GMO의

위험성 자체가 잠재적인 것이기 때문에 과학적기술적 수준이 개발 당시에

입수가능한 최고 수준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하더라도 한계가 있

기 때문이다 결국 제조물책임법 자체만으로는 GM작물의 피해에 대한 구

제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민사상의 책임을 지우는 데도 일정한 한계가 있다 첫째 GM종

자를 사서 직접 재배한 농민이 피해를 입은 경우는 GM종자를 판매한 기업

에 대하여 계약책임을 물을 수 있다 그러나 GM종자를 재배한 농민으로

인하여 인근 농민이 작물에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계약책임을 물을 수 없

다 개발자와 피해농민 또는 GM종자 재배농민과 피해농민 양자 사이에 계

약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불법행위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는

데 이미 캐나다의 슈마이저 사례를 비롯하여 미국에서의 수많은 GMO관련

소송에서 농민이나 소비자가 자신의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

다는 것을 경험한 바 있다 따라서 GMO의 피해에 관하여 입증책임을 피해

를 입은 자가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 운영자가 GMO로 인한 피해가

아님을 입증하지 못하면 배상책임을 지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시효의 경우에도 손해배상은 손해나 가해자를 알았을 경우에는 3년 불

법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10년이면 청구권은 사라진다 GMO는 그 특성상

25)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8) (주 21)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7 -

문제점이 10년 이내에 나타날 수도 있지만 10년이 지나서 나타날 수도 있

다 그런데 10년이 지났다는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근거가 없어진다면

그 피해를 입은 사람을 구제할 길이 없다 따라서 GMO에 대해서는 그 시

효를 달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은 제조물책임법의 적용도 받

지 않기 때문에 입증책임이나 시효의 면에서 유리한 제조물책임법을 GMO

에 적용할 수도 없다26) 유럽처럼 제조물책임의 범위 내에 농산물 등을 포

함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GMO의 피해에 따른 책임에 대한 별도의 입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2 추가의정서 적용범위의 확대

추가의정서는 그 대상이 살아있는 GMO에 한정되었다 즉 GM작물이

작물의 형태로 수입되는 경우에는 이 의정서 상의 책임에 관한 적용을 받

지만 그것이 1차 가공된 형태로 수입될 경우 예컨대 가루로 수입될 경우

또는 사료용으로 수입되는 대두박 등과 같은 경우에는 그로 인한 피해는

이 의정서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의정서 초안을 마련할 당

시부터 의장단그룹의 회의에 이르기까지 가장 논란이 많았던 조항 가운데

하나이다 의장단그룹의 최종회의인 제4차 회의에서도 닷새 간 논란이 지속

되었다 GMO제품을 넣어야 한다는 의견에서부터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부속

서II의 일반원칙에 나오는 범위27)만큼만 하자는 의견 아예 빼야 한다는 의

견 등이 매일 서로 다른 그룹이 찬성과 반대로 얽히면서 결국 마지막에 삭

제되었다 문제는 농산물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살아있는

GMO만을 대상으로 하면 불리하다는 점이다28) 따라서 의정서 상에 포함되

26) 제조물책임법 제7조 제2항 단서는 lsquo신체에 누적되어 사람의 건강을 해하는 물질에 의하여

발생한 손해 또는 일정한 잠복기간이 경과한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손해에 대하여는 그 손

해가 발생한 날부터 기산한다rsquo고 정하고 있다

27) 유전자변형생물체 또는 그 산물 즉 유전자변형생물체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현대생명공학

의 사용에 의하여 얻어진 복제능력이 있는 유전물질의 검출 가능한 수준의 조합을 지닌 가

공물질과 관련된(이하 생략)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8 -

지 않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는 다른 GMO와 동일하게 책임에 관한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이행법이라

할 수 있는 lsquo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하 GMO

법)rsquo에서 우리나라는 국가 간 이동에 관한 것만 규율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

에서의 연구middot개발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일정 정도 포함하도록 그 적용범위

를 확대하였다 따라서 이 추가의정서에 따른 이행법을 제정할 경우에도 그

적용범위를 확대하여 GMO제품에 의한 피해에도 책임제도를 적용할 수 있

도록 할 필요가 있다

3 배상책임의 주체 및 재원마련 방안

책임 및 복구 제도에서의 핵심은 피해가 생겼을 경우에 부담해야 할 배

상액을 어떻게 마련하느냐에 있다 우리나라는 의정서의 이행법인 GMO법

을 만들 당시부터 책임 및 복구에 관한 재원마련에 대해 기금 공제제도

보험 등의 제도 도입과 관련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다29) 예컨대 처음 GMO

법을 만들 당시에는 재원마련의 방안으로 공제제도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법이 통과될 당시에는 공제제도를 비롯한 여타의 안들

은 다 삭제되고 단지 GMO법 제34조에서 국가책임기관의 장은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수출입 등과 관련하여 국민의 건강과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

가능한 이용에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재원

확보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을 뿐이다

추가의정서는 피해가 생겼을 경우의 책임에 대하여 재정보증 규정을 두

었다 제3차 의장단그룹회의까지만 하더라도 보험 등 구체적인 재정보증방

안이 제시되었으나 제4차 의장단그룹회의에서는 사흘에 걸친 회의 끝에 보

험 등의 실제적인 방안을 삭제하고 대신 발효 후의 당사국 총회에서 사무

국이 재정보증체계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책임 및 복구에서

28) 물론 우리나라는 제4차 의장단그룹 회의에서 GMO제품을 넣자는 의견에 동의하였다

29)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교 법학논문

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32-34쪽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9 -

가장 중요한 조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구체적인 방안은 각국에게 위

임된 셈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재정보증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야 한다 초기의 공제제도뿐만 아니라 보험 등 다양한 기존의 제도를 중심

으로 다른 나라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제도를 만들 필요

가 있다 특히 독일 환경책임법과 유전공학법에 정하고 있는 담보제공의

무30)에 대한 국내법에의 도입방안을 고려해 볼 만하다 독일은 담보제공의

방법으로서 책임보험 연방이나 주(州)의 면제나 보증 또는 책임보험에 의

한 담보제공이나 금융기관의 면제나 보증 등으로 가능하다31) 우리도 이와

같은 제도 등을 통하여 피해에 대한 배상의 재원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Ⅴ 결 론

GMO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하면서 GMO의 재배에 따른 위험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논란이 되어 왔다 그러나 그 책임에 관한 구제척인 국

제기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의정서 당사국들도 구체적인 책임제도를 만드

는 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런 논란 끝에 만들어진 책임제도는

결국 논란을 이겨내지 못했다 각 당사국이 국내입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

도록 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법으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을 확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책임주체의 문제에서부터 배상액에 이르기까지 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추가의정서에서 국내 입법으로 위임하고 있는 대표

적인 것이 책임제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인과관계의 입증 면제사유 시

효 등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현행 책임제도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대

응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GMO를 위한 특별한 책임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이 특별책임제도의 대상은 GM작물뿐만 아니라 이를 원료로 생산한

30) 환경책임법 제19조 제1항 유전공학법 제36조 제1항

31)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0 -

다양한 상품까지도 포함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실제 유통되거

나 최종상품화하는 것은 작물 그 자체보다는 가공식품 등이기 때문이다 마

지막으로 GMO 책임제도를 현실화하기 위한 재정마련 방안이 필요하다 가

해 당사자가 책임을 질 수 있는 제도로서 담보제공의무 등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투고일 2011 12 14 심사일 2011 12 22 게재확정일 2011 12 26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1 -

참 고 문 헌

김은진 ldquo생명공학기술의 상업화에 따른 책임rdquo「경영법률」제17집 제1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06 10

김은진 ldquoGMO책임 및 복구 추가의정서 채택의 의미 및 대응방안rdquo「농업농

민정책연구소 녀름 이슈보고서」 2010 10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

교 법학논문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UNEPCBD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115 2004 4)

UNEPCBD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UNEPCBD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

WG-LampR12 - UNEPCBDCOP-MOP2INF 5 2005 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2 -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UNEPCBD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NEPCBDBSWG-LampR53 2008 3)

UNEPCBD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lthttpeuropaeuintgt

lthttpwwwcbdintgt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gt

주 제 어

추가의정서 GMO위험 책임제도 배상제도 환경책임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3 -

[ABSTRACT]

Liability on GMOs Potential Risk in Supplementary

Protocol

Kim Eun - Jin

GMO has been issued on its potential risk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GMOs However there is no international legal

system on liability and remedies Developed conturies did not want

to have a strong regulation on GMOs potential risk while developing

countries tried to make a strict liability on GMOs risk

As a result of 10 years discussions the Supplementary Protocol

was adapted Main issue of this protocol is liability and remedies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First the Protocol did not present the legal system of liability and

remedies Instead the protocol delegates the legal system of

national laws

Secondly this protocol covers only living GMO However living

GMOs are very few in market and most of all GMOs are processed

Thirdly there is no regulation for finance which is huge in GMOs

damages on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For implementation act we have to consider how to solve them

For example whether the new law which covers GMOs special

liability is established

Key Words

Supplementary Protocol GMo Risk Liability Remedies Environment

Liability

Page 3: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cmsorgan.wku.ac.kr/reslaw/wp-content/uploads/sites/60/... · 2016-12-02 ·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1 -

선진국 간의 이해관계의 대립만으로 보는 것은 GMO로 인한 우려의 본질을

지나치게 경제적 관점에서만 해결하는 우를 범할 수 있다 lsquo책임 및 구제rsquo제

도의 본질은 경제적 효과가 아니라 lsquo원상회복rsquo에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추가의정서에서 다루고자 했던 lsquo책임 및 구제rsquo에 관련하

여 GMO의 잠재적 또는 구체적 위험과 그에 따른 책임의 범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Ⅱ GMO의 위험

1996년 재배 이후 GMO로 인한 피해사례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 국제 그린피스(Greenpeace

International)가 GMO 오염사례 등록(GM Contamination Register)에 관

한 활동을 시작하였다3) 이는 바이오안전성의정서에 의해 회원국가가 부담

해야 하는 GMO로 인한 오염에 대한 모니터링이 실제 효과가 있는지 현재

의 모니터링 방식으로 충분한지에 관한 의문에서 시작한 것이다 다음 세

가지를 오염사례로 보고 이를 중심으로 사례를 수집하였다 첫째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으로 GMO가 Non-GMO를 오염시킨 사례이다 이는 연구개발단계에서부터 재배 유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단계에서 발생하는 환경방

출로 인한 피해사례를 말한다 둘째 불법적 환경방출이다 즉 다양한 단계

에서 법적 승인 없이 행해진 재배사례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GMO가 일

반 농업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이다

1997년부터 2011년 12월까지 보고된 바에 따르면 총 340건의 GMO

오염사례가 발생하였다 유럽이 206건으로 가장 많고 북아메리카 42건 아

시아 34건 오세아니아 22건 남아메리카 18건 중아메리카 13건 순으로

발생건수가 등록되었다 가장 최근에 등록된 비의도적 방출로 인한 피해는

독일에서 발생하였다4)

름 2010 10) 5쪽

3)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gt(최종방문일 2011 11 18)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2 -

1 GMO에 의한 Non-GMO의 오염

2011년 2월 독일 정부는 중국에서 수입한 쌀국수에서 수입승인이 되지

않은 Bt63 쌀이 발견되었다고 EU의 lsquo식량과 사료에 관한 신속경보시스템

(The Rapid Alert System for Food and Feed 이하RASFF)rsquo에 보고하였

다 3월에 또다시 발견되어 제2차 보고를 하였으며 6월에 제3차 보고를 하

였다

유럽에서 중국산 쌀 속에 GM쌀이 혼입된 채로 유통되고 있다는 보고는

지난 2006년부터 발생하였다 그보다 먼저 2005년 4월에 이미 그린피스

중국지부가 중국 내에서 GM쌀이 유통되고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5) 당시

중국 정부는 자국에서 연구개발한 GM쌀의 안전성평가를 위하여 노지에 시

험재배 중이지만 그러나 상업적 재배는 없다고 밝혔다 결국 2005년 이후

GM쌀에 관한 상업적인 재배 승인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의도하지 않은 상

태에서 재배되거나 유통되고 있다는 시살이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 현재로

서 예측 가능한 것은 시험재배 중인 GM벼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Non-GM벼를 오염시킴으로써 이런 결과가 나타났다는 것이다

지난 2010년 11월 국립환경과학원은 조사 결과 식용가공용사료용으로

수입된 GM작물들이 전국적으로 26곳에서 자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

다6) 국내 식품middot사료 공장 등 228곳을 조사한 결과로 이는 조사지역의

10 이상이 오염되었음을 말한다 구체적인 장소는 (표1)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7) 결국 GMO로 인한 오염사례는 그 재배여부와는 무관하고 유통된

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생겨나는 위험임을 확인한 것이다

이처럼 GMO에 의한 Non-GMO의 오염은 연구개발부터 상업화 이후에

4) 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indexphpcontent=re_detailampgw_id=353ampreg=

0ampinc=0ampcon=0ampcof=0ampyear=2011amphandle2_page=gt(최종방문일 2011 11 18)

5) 자세한 내용은 김은진 ldquo생명공학기술의 상업화에 따른 책임rdquo(「경영법률」제17집 제1호 2

006 10) 1103-1104쪽 참조

6) lt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ampgCode=kmiamparcid=0004384282ampcp=

nvgt(최종방문일 2011 11 18)

7) lthttpwwwecoseoulorkr1835234gt(최종방문일 2011 11 18)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3 -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가장 빈번하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발견도 힘

들뿐만 아니라 발견을 했다 하더라도 그 원인을 찾기 어렵다

(표1) 우리나라 GMO 유출 사례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4 -

2 불법적인 환경방출

2011년 3월 우루과이 국립대학교의 과학자들은 옥수수밭 3곳에서 GM

품종을 발견했다고 발표하였다8) 우루과이는 GM농작물 가운데 일부에 대

하여 재배를 허용하고 있다 대신 GM농작물로부터의 교차수분 등을 방지

하기 위하여 GM작물과 Non-GM작물 간에 250미터의 거리를 두고 GM작

물을 심은 밭은 이를 위해 자신의 밭의 최소한 10에는 Non-GM작물을

심어 교차수분을 막는 피난처를 두도록 정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 결과에 따르면 250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도 불법적인 환경

방출 사례가 발견되고 있으며 12미터 높이의 유칼립투스 나무로 30미터 너

비의 장벽을 만든 곳에서조차도 이 장벽을 넘어 GM품종이 발견되었다 즉

의도적이건 비의도적이건 간에 법이 정한 기준에 따르지 않은 GM옥수수가

발견된 셈이다

이와 같은 환경방출의 문제는 이미 여러 차례 보고된 바 있다 특히

2004년 미국에서조차 상업적 재배가 승인되지 않은 Bt10 옥수수가 미국

전역에서 재배가 되고 있음이 확인된 사례는 이미 언론을 통해서도 잘 알

려져 있다 당시 이 불법 유출에 대한 대책으로 2005년 미국과 Bt10의 개

발사인 신젠타사는 해당 종자의 생산을 중지하고 유출된 것을 모두 수거하

였지만 2006년에도 여전히 01 정도의 Bt10이 계속 발견되었다9)

결국 GM작물의 재배가 이루어지는 곳에서는 아무리 안전성을 위한 기

준을 강화한다 하더라도 이 기준을 지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조건일 수

밖에 없음을 보여준다 또한 일단 개발하거나 재배가 된 후에는 이에 대한

완전한 수거 자체가 불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3 농업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

8)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indexphpcontent=re_detailampgw_id=367ampreg=0amp

inc=2ampcon=0ampcof=0ampyear=2011amphandle2_page=gt(최종방문일 2011 11 18)

9) 김은진 (주 5) 1100쪽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5 -

2005년 미국에서는 라운드업 제초제내성 GM콩을 재배한 결과 해당 제

초제에 내성을 지닌 잡초가 늘어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10) 그

결과 해당 GM콩을 재배하기 시작한 지 3년 이내에 제초제 사용량이 4배에

서 많이는 13배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라운드업 제초제에 대한 내

성으로 인하여 또다른 제초제를 더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초제 사용량은

늘어날 수밖에 없다

실제 제초제내성 GM작물의 재배를 유도하기 위하여 GM작물 개발사는

항상 제초제 사용량이 현저하게 준다는 것을 강조해 왔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동안 우려해 왔던 유전자전이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계속 사용

함으로써 제초제에 대한 일반적인 내성 자체로 인해 제초제 사용량이 오히

려 늘어날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III 의정서 상의 책임에 관한 논의 동향

1 제1차 당사국총회

의정서 협상 초기부터 논란의 대상이 된 의제가 바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조항이다 선진국들은 일반적인 손해배상 책임제도로 충분히 GMO로

인한 예기치 못한 손해에 대처할 수 있고 의정서 자체는 국가간 이동 과정

에서의 절차적 측면만을 정하면 된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개발도상국은

선진국의 초국적생명공학기업에 의해 개발된 GMO를 주로 수입하는 입장이

기 때문에 이런 손해가 생겼을 경우 구제를 위한 책임체계가 의정서 내에

포함되기를 기대하였다

의정서가 채택되고 시행되기 전에 세 차례에 걸친 정부간 회의에서 책

10)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

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pp 301ndash311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indexphpcontent=re_ detailampgw_id=76ampre

g=0ampinc=3ampcon=0ampcof=0ampyear=2005amphandle2_page=gt(최종방문일 2011 11 18)에서

재인용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6 -

임 및 구제체계의 구축을 위하여 책임에 관한 관련협약의 동향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제1차 총회에 제출하였다 2004년 2월 말레

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된 제1차 당사국총회에서는 전문가 작업반을

구성하고 이 전문가 작업반의 회의 준비를 위하여 lsquo책임 및 구제에 관한 전

문가기술그룹(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rsquo회

의도 개최하였다 또한 전문가그룹에게 다음의 권한을 위임하고 4년 안에

이를 완수하도록 하였다11)

우선 GMO의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손해와 관련하여 당사국 국제기구

및 이해당사자들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심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관련 국제

절차규칙의 성격과 내용에 관한 이해와 합의를 도출하도록 한다 또한 손해

에 관한 쟁점으로 손해의 정의와 성질 생물다양성 및 인체건강에 대한 손

해의 평가 손해의 최소조건 인과관계 책임배상의 집중 수출입당사자의

역할 책임배상의 기준 재정보증체계 원고적격제소권 등에 관하여 논의하

도록 하였다12)

2 제2차 당사국총회

2005년 5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된 제2차 당사국총회에서는 전문

가 작업반의 보고서를 채택하였다13) 보고서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14)

11)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

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UNEPCBDBSCOP-MOP115 2004

4) pp 22-24 lthttpwwwcbdintdocmeetingsbsmop-01officialmop-01-15-end

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12) Decision BS-I8

13)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pp 23-24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2officialmop-02-15-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14)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

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

BDBSWG-LampR12 - UNEPCBDCOP-MOP2INF5 2005 2)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7 -

① 피해의 정의와 범위

피해의 정의에는 환경 인체 및 사회경제적 피해 등을 고려할 수 있다

피해의 범위에 대해서는 GMO의 통과 및 운송 중에 발생한 피해와 운송

통과 취급 이용 중에 발생한 모든 피해 및 비의도적 국가간 이동까지 포

함한 피해를 범위로 정하자는 안 등 시기적 범위와 지리적 범위 등에 대한

다양한 피해가 제시되었다

② 피해의 평가

피해의 평가의 전제로서의 위해성 평가와 분석을 통한 위험 발생 가능

성을 평가하고 이에 따른 관리 및 용인 가능성을 평가해야 한다 또한 평가

의 기준으로 피해발생 이전의 상태에 대한 평가도 필수적이다

③ 인과관계

인과관계의 심사를 위하여 피해의 예측가능성 직간접피해의 구별 직접

적 원인 등을 고려할 수 있다 그 외 입증책임 등도 논의의 대상이다

④ 책임배상의 집중

책임배상의 주체를 누구로 할 것인가의 문제로 일차적 국가책임배상 운

영자의 일차책임과 국가의 잔존책임배상 국가책임을 인정하지 않고 민사

및 행정적 접근방식을 취해야 한다는 세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⑤ 책임배상의 기준

과실책임과 무과실책임(엄격책임)의 견해가 대립되었다 주로 수출국은

과실책임 수입국 또는 개발도상국 및 환경단체 등은 무과실책임을 주장하

였다

⑥ 재정보증 체계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2informationmop-02-inf-05-endocgt(최종

방문일 2011 11 18)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8 -

구제비용 마련을 위한 재원 마련 방안으로 생명공학기업의 출연금으로

조성된 기금 공공기금 및 공공기금과 사적기금의 결합 등의 세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또한 보험제도의 활용가능성 또한 제시되었다

⑦ 분쟁해결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방식으로 국가간 소송 민사소송 행정소송 및 특

별재판소 설치 등의 네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⑧ 원고적격제소권

당사자의 범위에 피해에 영향은 받은 당사자 환경단체 등에 의한 민중

소송 국가의 당사자 자격 인정 등의 안이 제시되었다

⑨ 기타

그 외에 비당사국에게 책임을 지우기 위해 의정서의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가의 여부에 대해 논의가 있었으며 그 대안으로 책임 및 구제에 대한

양자협정을 체결해야 할 필요성도 제시되었다 또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최종합의문에 대해 법적 구속력을 부여하기 위해 가능한 방안에 대한 논의

도 이루어졌다

3 제3차 당사국총회

2006년 3월 브라질 꾸리찌바에서 개최된 제3차 당사국총회는 전문가그

룹회의의 진전을 환영하고 시간계획에 따라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향후 2

년간 총3회의 회의를 소집할 것을 결의하였다15) 또한 참여를 확보하기 위

15)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pp 22 66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3officialmop-03-15-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9 -

한 적절한 재정 지원의 필요성 및 자발적 참여를 촉구하였다 제3차 총회에

서 별다른 논의가 없었던 것은 전문가그룹의 권한 자체가 제4차 총회까지

이뤄지기 때문에 기간의 작업에 대한 확인 및 필요한 부분에 대한 지원방

안 모색 등의 논의 외에 별다른 논의는 없이 진행되었다

4 제4차 당사국총회

2008년 5월 독일 본에서 개최된 제4차 당사국총회는 총회 개최 전부터

책임 및 구제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부담을 안고 시작되었다

그러나 피해의 정의가 생태계 인체 및 사회경제적 피해까지도 고려하고

있는 상황에서 금전적인 문제와 밀접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논의에 합의

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특히 바스프 바이엘크롭사이언스 다우애그로사이

언스 듀퐁파이오니아 몬산토 신젠타 등 6개의 초국적생명공학기업이 자

신들의 안으로 제시한 계약서(Contractual Compensation Agreement)16)는

GMO로 인한 피해의 배상을 당사자 간의 계약으로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나

타낸 것이었다 이에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80개국으로 구성된

lsquoLike-Minded Friends(이하 LMF)rsquo 그룹은 다음의 세 가지를 포함하여 법

적 구속력이 있는 규정을 제안했다17) 첫째 협상 중인 가이드라인에 규정

된 내용을 포함한 국내법이나 정책을 정할 권리를 회원국에게 부여할 것

둘째 타국의 판결에 대해 상호인정과 실행을 위한 준비를 할 것 셋째 가

이드라인은 책임 및 구제 체계가 발효된 후 3년 이내에 재검토할 것 등이

그것이다 이후 이 제안을 중심으로 다양한 논의가 지속된 결과 몇 가지 잠

16)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

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

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

NEPCBDBSWG-LampR53 2008 3) p 7

lthttpwwwcbdintdocmeetingsbsbswglr-05officialbswglr-05-03-enpdfgt(최종방문

일 2011 9 18)

17)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lthttpwwwbiosafety-infonetarticlephpaid=520gt(최종방문일 2011 11 18)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0 -

정적인 합의를 이루고 나머지는 의장단 그룹(Group of the Friends of the

Co-Chairs)이 협상을 지속하여 제5차 총회에서 최종논의를 하기로 하였

다18)

5 제5차 당사국총회

제5차 총회에서의 논의 내용은 사실상 의장단그룹에 의해 최종적으로

채택된 사항에 대한 확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의장단그룹은 네 차례의 회의

를 거쳐 제4차 총회에서의 합의에 따른 법적 구속력을 가진 lsquo책임 및 구제

추가의정서 초안rsquo과 법적 구속력 없는 lsquo민사책임에 관한 가이드라인 초안rsquo

및 보충적 보상체계로 구성된 보고서를 제5차 총회에 제출하였으나 lsquo책임

및 구제 추가의정서 초안rsquo만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19) 이 의정서(안)은

2011년 3월 11일부터 2012년 3월 6일까지 1년 간 회원국의 서명을 받아

40개국이 서명한 90일 후부터 발효할 예정이다

6 추가의정서의 핵심내용

① 전문 사전주의 원칙과 피해가 있거나 충분한 피해가능성이 있는 경

우에 적절한 대응조치를 제공할 필요성을 인정한다

18)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pp 25 85-85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4officialmop-04-18-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19)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21쪽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5officialmop-05-17-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1 -

② 제1조(목적)

GMO에 관한 책임구제 분야의 국제규칙 및 절차를 제공함으로써 생물다

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기여하고 인체건강에 대한 위해를 고려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③ 제2조(용어의 정의)

lsquo피해rsquo란 인체건강에 대한 위해를 고려를 포함한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인간이 야기한

다른 변이나 자연적 변이를 고려하여 책임기관에 의해 인정된 과학적으로

확립된 기준을 고려하여 측정가능하거나 달리 관찰될 수 있어야 한다

lsquo중대한rsquo 부정적 영향에서의 lsquo중대한rsquo이란 합리적 기간 내에 자연적 회복

을 통해서는 구제되지 않을 장기적 또는 영구적 변화 생물다양성의 구성요

소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질적 또는 양적 변화의 정도 재화와 용역

을 제공하는 생물다양성 구성요소 능력의 감소 또는 의정서의 문맥 상 인

체건강에 미칠 부정적 영향의 정도와 같은 요소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④ 제3조(적용범위)

이 의정서는 국가 간 이동에서 유래하는 LMO(Living Modified

Organism)20)로 인한 피해에 적용한다 여기서 LMO는 식품 또는 사료로

직접 이용되거나 가공을 목적으로 하는 LMO 밀폐사용용 LMO 의도적인

환경방출용 LMO를 의미한다 의도적인 국가간 이동에서는 승인된 이용으

로 인한 피해 뿐만 아니라 비의도적인 국가간 이동이나 불법적인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피해에도 적용한다 국내법은 관할권이 있는 지역 범위 내에

서만 적용한다 비당사국 LMO의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피해에도 마찬가지

로 적용한다

⑤ 제4조(인과관계)

20) 여기에서 GMO라고 하지 않고 굳이 LMO라고 한 것은 이 의정서 상에서 살아있는 형태의

GMO만을 대상으로 하고 GMO로 만든 제품(products thereof)은 제외하고 있기 때문이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2 -

인과관계의 입증에 관해서는 국내법에 따른다

⑥ 제5조(대응조치)

당사국은 피해발생 시 국가책임기관의 요건에 따라 적절한 운영자로 하

여금 국가책임기관에게 지체없이 통보하고 피해를 평가하고 적절한 대응

조치를 취하도록 해야 한다 국가책임기관은 피해를 야기한 운영자를 확인

하고 피해를 평가하고 운영자가 취해야 할 대응조치를 결정해야 한다 이

용가능한 과학적 정보와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포함

한 정보에 따르면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피해가 발생할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운영자는 그러한 피해를 피하기 위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해야 한다 국가책임기관은 특히 운영자가 취하지 못한 조치

를 포함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다 국가책임기관은 국내법에서 달

리 정하지 않는 한 피해의 평가와 적절한 조치 및 그에 수반되는 비용을

운영자에게 청구할 권리를 가진다 운영자에게 대응조치를 요구하는 국가책

임기관의 결정은 합리적이어야 하며 운영자에게 통보해야 한다

국내법은 그러한 결정에 대한 사법적ㆍ행정적 심사를 위한 기회를 포함

한 구제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구제방안에 대한 정보를 운영자에게 알려야

한다 국내법에 달리 정하지 않는 한 구제방안이 국가책임기관이 대응조치

를 취하는 것을 방해하지 아니한다 본 조항을 이행함에 있어 그리고 국가

책임기관이 취하는 또는 취하도록 요구되는 특정 대응조치를 정의할 목적

으로 적절한 경우 당사국은 대응조치가 민사책임에 관한 자국 국내법에 이

미 규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대응조치는 국내법에 따라

이행된다

⑦ 제6조(면제)

당사국은 자국의 국내법에 자연재해 또는 불가항력 전쟁 또는 내란의

경우에 이라는 두 가지 면제사유를 정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하다고 간주하

는 기타 면제 및 경감사유를 국내법에 정할 수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3 -

⑧ 제7조(시효)

국내법에 따라 시효를 정할 수 있다

⑨ 제8조(재정적 한계)

국내법에 따라 대응조치에 따른 소요비용의 상한을 정할 수 있다

⑩ 제9조(구상권)

운영자의 제3자에 대한 구상권은 인정된다

⑪ 제10조(재정보증)

당사국은 국내법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또한 국제법

상의 권리와 의무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 첫 총회에서 사무국은 재정보증체계의 양식 보

증체계가 특히 개발도상국에 미치는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영향의 평가

재정보증을 제공하기에 적절한 실체의 확인을 포함한 포괄적인 연구를 수

행해야 한다

⑫ 제11조(국제불법행위에 대한 국가의 책임)

국제불법행위에 의한 책임에 대한 일반적인 국제법규에 따른 국가의 권

리와 의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⑬ 제12조(이행과 민사책임)

당사국은 피해를 규율하는 절차규칙을 국내법으로 정해야 한다 이 의무

를 이행하기 위하여 당사국은 이 의정서에 따른 대응조치를 제공하고 적절

한 경우 민사책임에 관한 적용할 수 있는 일반규칙과 절차를 포함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절차규칙을 적용 또

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할 수 있다 당사국은

민사책임에 관한 국내법에 이 의정서 제2조 제2항 호의 피해에 연루된

물적 또는 인적 피해에 관한 적절한 절차와 규칙을 제공할 목적으로 민사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4 -

책임에 관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법

을 적용 또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해야 한다

민사책임에 관한 법을 개발할 경우에는 피해 엄격 또는 과실책임을 포함한

민사책임기준 적절한 경우 책임의 집중 제소권(제12조 제3항)을 적절하게

정해야 한다

⑭ 제13조(평가 및 재검토)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에는 5년 마다 평가 및 재검토를 해야 한다

⑮ 기타조항

제14조에서 제21조는 사무국 등의 행정관련 조항이다

7 추가의정서의 특징

추가의정서가 채택되었다고는 하나 책임에 관한 규정은 그 원래 목적을

달성하는데 많은 난관이 따른다

우선 추가의정서는 형식적으로 법적 구속력을 가진다고는 하나 그 내용

상으로는 거의 효력이 없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중요한 사항은 모두 국내법에 위임을 했기 때문이다 당사국은 각각 자신들

의 상황에 맞는 책임제도를 GMO에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애초에

개발도상국에서 제안했던 바가 반영된 것이다 GMO 수입국의 입장에서는

GMO로 인해 야기되는 피해에 따른 수출국의 책임을 물릴 수 있는 가능성

을 확보한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GMO 수출국이나 개발사 등이 안전성에 관한 심사

이후의 수입 승인을 근거로 GMO의 안전성을 주장함으로써 국제적인 다툼

이 상당수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국내입법 시에는 이런 문제를 충분히 고

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5 -

Ⅵ 국내 입법 시의 고려사항

1 GMO 특별책임제도 도입의 필요성

추가의정서에서는 주요조항들이 국내법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입증책임이나 대응조치에 따른 운영자의 구제방안 면제사유 시효

소요비용의 상한선 및 민사책임관련법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GMO에 대한

특수성을 인정하여 별도의 법을 만들 것인지 아니면 기존의 민사책임법제

를 그대로 적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고려해야 한다

현재 우리 법상 개발자나 수출자에게 책임을 지울 근거는 만법 상의 손

해배상 책임과 제조물 책임이다 그러나 우리 법은 제조물의 범위에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을 포함시키고 있지 않기 때문에 GM작물에 적용함에 한

계가 따를 수밖에 없다 EU는 1999년 lsquo개정제조물책임지침(Directive

199934EC )rsquo21)에서 미가공인지를 불문하고 일체의 동산에 적용되는 것

으로 개정하여 농산물 등을 모두 포함하도록 하였다22) 이 개정의 근거는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 첫째 제조물의 범위에 1차 농산물을 포함하는

것이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충족시킨다는 것이었다23)

둘째 EU 역내 시장기능의 활성화 등을 고려하여 농산물의 무역이 더 이상

제조자책임에 관한 각국의 상이한 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24) 셋째 무과실책임이 모든 형태의 제조물에 적

용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25) 우리나라도 농축수산물에 대해 이를 제조물

21) Directive 199934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0 May 19

99 Amending Council Directive 85374EEC on the Approximation of the Laws Regu

lations and Administrative Provisions of the Member States Concerning Liability for

Defective Products OL L141 1999 pp20-21

22) 개정제조물책임지침 제1조

23)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5) (6)

lthttpeuropaeuintsmartapicgisga_docsmartapicelexapiprodCELEXnumdocamplg=en

ampnumdoc=31999L0034ampmodel=guichettgt(최종방문일 2011 11 18)

24)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7) (주 21) 원래 제조물책임지침은 제2조에서 농산물을

제외하였으나 제15조 제1항 a에서 각국이 농산물에 대해서는 독자적 입법이 가능하도록 하

였다 이 규정 역시 1999년의 개정으로 삭제되었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6 -

의 범위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제조물책임법의 적용에서 또다른 한계에 봉착한다 바

로 제조물책임법 제4조 제1항의 제조물책임의 면책사유가운데 제2호의 개

발위험의 항변이 그것이다 개발위험이란 제조자가 제조물을 개발하여 유통

시장에 내놓을 당시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에 비추어 인식할 수 없었던 결함

이 존재함으로써 나타나는 위험을 말한다 문제는 과학적기술적 수준이라

는 개념을 확실하게 정의할 수 없다는 점이다 예컨대 GM식품표시에서

DNA나 단백질이 파괴된 경우에는 현대 과학기술 수준으로는 이를 추적할

수 없기 때문에 표시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즉 GMO는 현재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으로는 아직 그 존재조차도 입증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GMO의

위험성 자체가 잠재적인 것이기 때문에 과학적기술적 수준이 개발 당시에

입수가능한 최고 수준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하더라도 한계가 있

기 때문이다 결국 제조물책임법 자체만으로는 GM작물의 피해에 대한 구

제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민사상의 책임을 지우는 데도 일정한 한계가 있다 첫째 GM종

자를 사서 직접 재배한 농민이 피해를 입은 경우는 GM종자를 판매한 기업

에 대하여 계약책임을 물을 수 있다 그러나 GM종자를 재배한 농민으로

인하여 인근 농민이 작물에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계약책임을 물을 수 없

다 개발자와 피해농민 또는 GM종자 재배농민과 피해농민 양자 사이에 계

약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불법행위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는

데 이미 캐나다의 슈마이저 사례를 비롯하여 미국에서의 수많은 GMO관련

소송에서 농민이나 소비자가 자신의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

다는 것을 경험한 바 있다 따라서 GMO의 피해에 관하여 입증책임을 피해

를 입은 자가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 운영자가 GMO로 인한 피해가

아님을 입증하지 못하면 배상책임을 지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시효의 경우에도 손해배상은 손해나 가해자를 알았을 경우에는 3년 불

법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10년이면 청구권은 사라진다 GMO는 그 특성상

25)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8) (주 21)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7 -

문제점이 10년 이내에 나타날 수도 있지만 10년이 지나서 나타날 수도 있

다 그런데 10년이 지났다는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근거가 없어진다면

그 피해를 입은 사람을 구제할 길이 없다 따라서 GMO에 대해서는 그 시

효를 달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은 제조물책임법의 적용도 받

지 않기 때문에 입증책임이나 시효의 면에서 유리한 제조물책임법을 GMO

에 적용할 수도 없다26) 유럽처럼 제조물책임의 범위 내에 농산물 등을 포

함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GMO의 피해에 따른 책임에 대한 별도의 입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2 추가의정서 적용범위의 확대

추가의정서는 그 대상이 살아있는 GMO에 한정되었다 즉 GM작물이

작물의 형태로 수입되는 경우에는 이 의정서 상의 책임에 관한 적용을 받

지만 그것이 1차 가공된 형태로 수입될 경우 예컨대 가루로 수입될 경우

또는 사료용으로 수입되는 대두박 등과 같은 경우에는 그로 인한 피해는

이 의정서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의정서 초안을 마련할 당

시부터 의장단그룹의 회의에 이르기까지 가장 논란이 많았던 조항 가운데

하나이다 의장단그룹의 최종회의인 제4차 회의에서도 닷새 간 논란이 지속

되었다 GMO제품을 넣어야 한다는 의견에서부터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부속

서II의 일반원칙에 나오는 범위27)만큼만 하자는 의견 아예 빼야 한다는 의

견 등이 매일 서로 다른 그룹이 찬성과 반대로 얽히면서 결국 마지막에 삭

제되었다 문제는 농산물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살아있는

GMO만을 대상으로 하면 불리하다는 점이다28) 따라서 의정서 상에 포함되

26) 제조물책임법 제7조 제2항 단서는 lsquo신체에 누적되어 사람의 건강을 해하는 물질에 의하여

발생한 손해 또는 일정한 잠복기간이 경과한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손해에 대하여는 그 손

해가 발생한 날부터 기산한다rsquo고 정하고 있다

27) 유전자변형생물체 또는 그 산물 즉 유전자변형생물체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현대생명공학

의 사용에 의하여 얻어진 복제능력이 있는 유전물질의 검출 가능한 수준의 조합을 지닌 가

공물질과 관련된(이하 생략)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8 -

지 않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는 다른 GMO와 동일하게 책임에 관한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이행법이라

할 수 있는 lsquo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하 GMO

법)rsquo에서 우리나라는 국가 간 이동에 관한 것만 규율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

에서의 연구middot개발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일정 정도 포함하도록 그 적용범위

를 확대하였다 따라서 이 추가의정서에 따른 이행법을 제정할 경우에도 그

적용범위를 확대하여 GMO제품에 의한 피해에도 책임제도를 적용할 수 있

도록 할 필요가 있다

3 배상책임의 주체 및 재원마련 방안

책임 및 복구 제도에서의 핵심은 피해가 생겼을 경우에 부담해야 할 배

상액을 어떻게 마련하느냐에 있다 우리나라는 의정서의 이행법인 GMO법

을 만들 당시부터 책임 및 복구에 관한 재원마련에 대해 기금 공제제도

보험 등의 제도 도입과 관련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다29) 예컨대 처음 GMO

법을 만들 당시에는 재원마련의 방안으로 공제제도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법이 통과될 당시에는 공제제도를 비롯한 여타의 안들

은 다 삭제되고 단지 GMO법 제34조에서 국가책임기관의 장은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수출입 등과 관련하여 국민의 건강과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

가능한 이용에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재원

확보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을 뿐이다

추가의정서는 피해가 생겼을 경우의 책임에 대하여 재정보증 규정을 두

었다 제3차 의장단그룹회의까지만 하더라도 보험 등 구체적인 재정보증방

안이 제시되었으나 제4차 의장단그룹회의에서는 사흘에 걸친 회의 끝에 보

험 등의 실제적인 방안을 삭제하고 대신 발효 후의 당사국 총회에서 사무

국이 재정보증체계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책임 및 복구에서

28) 물론 우리나라는 제4차 의장단그룹 회의에서 GMO제품을 넣자는 의견에 동의하였다

29)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교 법학논문

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32-34쪽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9 -

가장 중요한 조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구체적인 방안은 각국에게 위

임된 셈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재정보증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야 한다 초기의 공제제도뿐만 아니라 보험 등 다양한 기존의 제도를 중심

으로 다른 나라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제도를 만들 필요

가 있다 특히 독일 환경책임법과 유전공학법에 정하고 있는 담보제공의

무30)에 대한 국내법에의 도입방안을 고려해 볼 만하다 독일은 담보제공의

방법으로서 책임보험 연방이나 주(州)의 면제나 보증 또는 책임보험에 의

한 담보제공이나 금융기관의 면제나 보증 등으로 가능하다31) 우리도 이와

같은 제도 등을 통하여 피해에 대한 배상의 재원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Ⅴ 결 론

GMO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하면서 GMO의 재배에 따른 위험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논란이 되어 왔다 그러나 그 책임에 관한 구제척인 국

제기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의정서 당사국들도 구체적인 책임제도를 만드

는 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런 논란 끝에 만들어진 책임제도는

결국 논란을 이겨내지 못했다 각 당사국이 국내입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

도록 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법으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을 확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책임주체의 문제에서부터 배상액에 이르기까지 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추가의정서에서 국내 입법으로 위임하고 있는 대표

적인 것이 책임제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인과관계의 입증 면제사유 시

효 등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현행 책임제도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대

응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GMO를 위한 특별한 책임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이 특별책임제도의 대상은 GM작물뿐만 아니라 이를 원료로 생산한

30) 환경책임법 제19조 제1항 유전공학법 제36조 제1항

31)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0 -

다양한 상품까지도 포함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실제 유통되거

나 최종상품화하는 것은 작물 그 자체보다는 가공식품 등이기 때문이다 마

지막으로 GMO 책임제도를 현실화하기 위한 재정마련 방안이 필요하다 가

해 당사자가 책임을 질 수 있는 제도로서 담보제공의무 등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투고일 2011 12 14 심사일 2011 12 22 게재확정일 2011 12 26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1 -

참 고 문 헌

김은진 ldquo생명공학기술의 상업화에 따른 책임rdquo「경영법률」제17집 제1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06 10

김은진 ldquoGMO책임 및 복구 추가의정서 채택의 의미 및 대응방안rdquo「농업농

민정책연구소 녀름 이슈보고서」 2010 10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

교 법학논문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UNEPCBD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115 2004 4)

UNEPCBD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UNEPCBD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

WG-LampR12 - UNEPCBDCOP-MOP2INF 5 2005 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2 -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UNEPCBD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NEPCBDBSWG-LampR53 2008 3)

UNEPCBD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lthttpeuropaeuintgt

lthttpwwwcbdintgt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gt

주 제 어

추가의정서 GMO위험 책임제도 배상제도 환경책임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3 -

[ABSTRACT]

Liability on GMOs Potential Risk in Supplementary

Protocol

Kim Eun - Jin

GMO has been issued on its potential risk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GMOs However there is no international legal

system on liability and remedies Developed conturies did not want

to have a strong regulation on GMOs potential risk while developing

countries tried to make a strict liability on GMOs risk

As a result of 10 years discussions the Supplementary Protocol

was adapted Main issue of this protocol is liability and remedies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First the Protocol did not present the legal system of liability and

remedies Instead the protocol delegates the legal system of

national laws

Secondly this protocol covers only living GMO However living

GMOs are very few in market and most of all GMOs are processed

Thirdly there is no regulation for finance which is huge in GMOs

damages on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For implementation act we have to consider how to solve them

For example whether the new law which covers GMOs special

liability is established

Key Words

Supplementary Protocol GMo Risk Liability Remedies Environment

Liability

Page 4: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cmsorgan.wku.ac.kr/reslaw/wp-content/uploads/sites/60/... · 2016-12-02 ·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2 -

1 GMO에 의한 Non-GMO의 오염

2011년 2월 독일 정부는 중국에서 수입한 쌀국수에서 수입승인이 되지

않은 Bt63 쌀이 발견되었다고 EU의 lsquo식량과 사료에 관한 신속경보시스템

(The Rapid Alert System for Food and Feed 이하RASFF)rsquo에 보고하였

다 3월에 또다시 발견되어 제2차 보고를 하였으며 6월에 제3차 보고를 하

였다

유럽에서 중국산 쌀 속에 GM쌀이 혼입된 채로 유통되고 있다는 보고는

지난 2006년부터 발생하였다 그보다 먼저 2005년 4월에 이미 그린피스

중국지부가 중국 내에서 GM쌀이 유통되고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5) 당시

중국 정부는 자국에서 연구개발한 GM쌀의 안전성평가를 위하여 노지에 시

험재배 중이지만 그러나 상업적 재배는 없다고 밝혔다 결국 2005년 이후

GM쌀에 관한 상업적인 재배 승인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의도하지 않은 상

태에서 재배되거나 유통되고 있다는 시살이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 현재로

서 예측 가능한 것은 시험재배 중인 GM벼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Non-GM벼를 오염시킴으로써 이런 결과가 나타났다는 것이다

지난 2010년 11월 국립환경과학원은 조사 결과 식용가공용사료용으로

수입된 GM작물들이 전국적으로 26곳에서 자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

다6) 국내 식품middot사료 공장 등 228곳을 조사한 결과로 이는 조사지역의

10 이상이 오염되었음을 말한다 구체적인 장소는 (표1)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7) 결국 GMO로 인한 오염사례는 그 재배여부와는 무관하고 유통된

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생겨나는 위험임을 확인한 것이다

이처럼 GMO에 의한 Non-GMO의 오염은 연구개발부터 상업화 이후에

4) 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indexphpcontent=re_detailampgw_id=353ampreg=

0ampinc=0ampcon=0ampcof=0ampyear=2011amphandle2_page=gt(최종방문일 2011 11 18)

5) 자세한 내용은 김은진 ldquo생명공학기술의 상업화에 따른 책임rdquo(「경영법률」제17집 제1호 2

006 10) 1103-1104쪽 참조

6) lt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ampgCode=kmiamparcid=0004384282ampcp=

nvgt(최종방문일 2011 11 18)

7) lthttpwwwecoseoulorkr1835234gt(최종방문일 2011 11 18)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3 -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가장 빈번하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발견도 힘

들뿐만 아니라 발견을 했다 하더라도 그 원인을 찾기 어렵다

(표1) 우리나라 GMO 유출 사례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4 -

2 불법적인 환경방출

2011년 3월 우루과이 국립대학교의 과학자들은 옥수수밭 3곳에서 GM

품종을 발견했다고 발표하였다8) 우루과이는 GM농작물 가운데 일부에 대

하여 재배를 허용하고 있다 대신 GM농작물로부터의 교차수분 등을 방지

하기 위하여 GM작물과 Non-GM작물 간에 250미터의 거리를 두고 GM작

물을 심은 밭은 이를 위해 자신의 밭의 최소한 10에는 Non-GM작물을

심어 교차수분을 막는 피난처를 두도록 정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 결과에 따르면 250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도 불법적인 환경

방출 사례가 발견되고 있으며 12미터 높이의 유칼립투스 나무로 30미터 너

비의 장벽을 만든 곳에서조차도 이 장벽을 넘어 GM품종이 발견되었다 즉

의도적이건 비의도적이건 간에 법이 정한 기준에 따르지 않은 GM옥수수가

발견된 셈이다

이와 같은 환경방출의 문제는 이미 여러 차례 보고된 바 있다 특히

2004년 미국에서조차 상업적 재배가 승인되지 않은 Bt10 옥수수가 미국

전역에서 재배가 되고 있음이 확인된 사례는 이미 언론을 통해서도 잘 알

려져 있다 당시 이 불법 유출에 대한 대책으로 2005년 미국과 Bt10의 개

발사인 신젠타사는 해당 종자의 생산을 중지하고 유출된 것을 모두 수거하

였지만 2006년에도 여전히 01 정도의 Bt10이 계속 발견되었다9)

결국 GM작물의 재배가 이루어지는 곳에서는 아무리 안전성을 위한 기

준을 강화한다 하더라도 이 기준을 지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조건일 수

밖에 없음을 보여준다 또한 일단 개발하거나 재배가 된 후에는 이에 대한

완전한 수거 자체가 불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3 농업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

8)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indexphpcontent=re_detailampgw_id=367ampreg=0amp

inc=2ampcon=0ampcof=0ampyear=2011amphandle2_page=gt(최종방문일 2011 11 18)

9) 김은진 (주 5) 1100쪽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5 -

2005년 미국에서는 라운드업 제초제내성 GM콩을 재배한 결과 해당 제

초제에 내성을 지닌 잡초가 늘어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10) 그

결과 해당 GM콩을 재배하기 시작한 지 3년 이내에 제초제 사용량이 4배에

서 많이는 13배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라운드업 제초제에 대한 내

성으로 인하여 또다른 제초제를 더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초제 사용량은

늘어날 수밖에 없다

실제 제초제내성 GM작물의 재배를 유도하기 위하여 GM작물 개발사는

항상 제초제 사용량이 현저하게 준다는 것을 강조해 왔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동안 우려해 왔던 유전자전이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계속 사용

함으로써 제초제에 대한 일반적인 내성 자체로 인해 제초제 사용량이 오히

려 늘어날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III 의정서 상의 책임에 관한 논의 동향

1 제1차 당사국총회

의정서 협상 초기부터 논란의 대상이 된 의제가 바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조항이다 선진국들은 일반적인 손해배상 책임제도로 충분히 GMO로

인한 예기치 못한 손해에 대처할 수 있고 의정서 자체는 국가간 이동 과정

에서의 절차적 측면만을 정하면 된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개발도상국은

선진국의 초국적생명공학기업에 의해 개발된 GMO를 주로 수입하는 입장이

기 때문에 이런 손해가 생겼을 경우 구제를 위한 책임체계가 의정서 내에

포함되기를 기대하였다

의정서가 채택되고 시행되기 전에 세 차례에 걸친 정부간 회의에서 책

10)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

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pp 301ndash311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indexphpcontent=re_ detailampgw_id=76ampre

g=0ampinc=3ampcon=0ampcof=0ampyear=2005amphandle2_page=gt(최종방문일 2011 11 18)에서

재인용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6 -

임 및 구제체계의 구축을 위하여 책임에 관한 관련협약의 동향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제1차 총회에 제출하였다 2004년 2월 말레

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된 제1차 당사국총회에서는 전문가 작업반을

구성하고 이 전문가 작업반의 회의 준비를 위하여 lsquo책임 및 구제에 관한 전

문가기술그룹(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rsquo회

의도 개최하였다 또한 전문가그룹에게 다음의 권한을 위임하고 4년 안에

이를 완수하도록 하였다11)

우선 GMO의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손해와 관련하여 당사국 국제기구

및 이해당사자들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심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관련 국제

절차규칙의 성격과 내용에 관한 이해와 합의를 도출하도록 한다 또한 손해

에 관한 쟁점으로 손해의 정의와 성질 생물다양성 및 인체건강에 대한 손

해의 평가 손해의 최소조건 인과관계 책임배상의 집중 수출입당사자의

역할 책임배상의 기준 재정보증체계 원고적격제소권 등에 관하여 논의하

도록 하였다12)

2 제2차 당사국총회

2005년 5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된 제2차 당사국총회에서는 전문

가 작업반의 보고서를 채택하였다13) 보고서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14)

11)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

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UNEPCBDBSCOP-MOP115 2004

4) pp 22-24 lthttpwwwcbdintdocmeetingsbsmop-01officialmop-01-15-end

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12) Decision BS-I8

13)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pp 23-24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2officialmop-02-15-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14)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

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

BDBSWG-LampR12 - UNEPCBDCOP-MOP2INF5 2005 2)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7 -

① 피해의 정의와 범위

피해의 정의에는 환경 인체 및 사회경제적 피해 등을 고려할 수 있다

피해의 범위에 대해서는 GMO의 통과 및 운송 중에 발생한 피해와 운송

통과 취급 이용 중에 발생한 모든 피해 및 비의도적 국가간 이동까지 포

함한 피해를 범위로 정하자는 안 등 시기적 범위와 지리적 범위 등에 대한

다양한 피해가 제시되었다

② 피해의 평가

피해의 평가의 전제로서의 위해성 평가와 분석을 통한 위험 발생 가능

성을 평가하고 이에 따른 관리 및 용인 가능성을 평가해야 한다 또한 평가

의 기준으로 피해발생 이전의 상태에 대한 평가도 필수적이다

③ 인과관계

인과관계의 심사를 위하여 피해의 예측가능성 직간접피해의 구별 직접

적 원인 등을 고려할 수 있다 그 외 입증책임 등도 논의의 대상이다

④ 책임배상의 집중

책임배상의 주체를 누구로 할 것인가의 문제로 일차적 국가책임배상 운

영자의 일차책임과 국가의 잔존책임배상 국가책임을 인정하지 않고 민사

및 행정적 접근방식을 취해야 한다는 세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⑤ 책임배상의 기준

과실책임과 무과실책임(엄격책임)의 견해가 대립되었다 주로 수출국은

과실책임 수입국 또는 개발도상국 및 환경단체 등은 무과실책임을 주장하

였다

⑥ 재정보증 체계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2informationmop-02-inf-05-endocgt(최종

방문일 2011 11 18)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8 -

구제비용 마련을 위한 재원 마련 방안으로 생명공학기업의 출연금으로

조성된 기금 공공기금 및 공공기금과 사적기금의 결합 등의 세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또한 보험제도의 활용가능성 또한 제시되었다

⑦ 분쟁해결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방식으로 국가간 소송 민사소송 행정소송 및 특

별재판소 설치 등의 네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⑧ 원고적격제소권

당사자의 범위에 피해에 영향은 받은 당사자 환경단체 등에 의한 민중

소송 국가의 당사자 자격 인정 등의 안이 제시되었다

⑨ 기타

그 외에 비당사국에게 책임을 지우기 위해 의정서의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가의 여부에 대해 논의가 있었으며 그 대안으로 책임 및 구제에 대한

양자협정을 체결해야 할 필요성도 제시되었다 또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최종합의문에 대해 법적 구속력을 부여하기 위해 가능한 방안에 대한 논의

도 이루어졌다

3 제3차 당사국총회

2006년 3월 브라질 꾸리찌바에서 개최된 제3차 당사국총회는 전문가그

룹회의의 진전을 환영하고 시간계획에 따라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향후 2

년간 총3회의 회의를 소집할 것을 결의하였다15) 또한 참여를 확보하기 위

15)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pp 22 66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3officialmop-03-15-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9 -

한 적절한 재정 지원의 필요성 및 자발적 참여를 촉구하였다 제3차 총회에

서 별다른 논의가 없었던 것은 전문가그룹의 권한 자체가 제4차 총회까지

이뤄지기 때문에 기간의 작업에 대한 확인 및 필요한 부분에 대한 지원방

안 모색 등의 논의 외에 별다른 논의는 없이 진행되었다

4 제4차 당사국총회

2008년 5월 독일 본에서 개최된 제4차 당사국총회는 총회 개최 전부터

책임 및 구제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부담을 안고 시작되었다

그러나 피해의 정의가 생태계 인체 및 사회경제적 피해까지도 고려하고

있는 상황에서 금전적인 문제와 밀접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논의에 합의

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특히 바스프 바이엘크롭사이언스 다우애그로사이

언스 듀퐁파이오니아 몬산토 신젠타 등 6개의 초국적생명공학기업이 자

신들의 안으로 제시한 계약서(Contractual Compensation Agreement)16)는

GMO로 인한 피해의 배상을 당사자 간의 계약으로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나

타낸 것이었다 이에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80개국으로 구성된

lsquoLike-Minded Friends(이하 LMF)rsquo 그룹은 다음의 세 가지를 포함하여 법

적 구속력이 있는 규정을 제안했다17) 첫째 협상 중인 가이드라인에 규정

된 내용을 포함한 국내법이나 정책을 정할 권리를 회원국에게 부여할 것

둘째 타국의 판결에 대해 상호인정과 실행을 위한 준비를 할 것 셋째 가

이드라인은 책임 및 구제 체계가 발효된 후 3년 이내에 재검토할 것 등이

그것이다 이후 이 제안을 중심으로 다양한 논의가 지속된 결과 몇 가지 잠

16)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

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

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

NEPCBDBSWG-LampR53 2008 3) p 7

lthttpwwwcbdintdocmeetingsbsbswglr-05officialbswglr-05-03-enpdfgt(최종방문

일 2011 9 18)

17)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lthttpwwwbiosafety-infonetarticlephpaid=520gt(최종방문일 2011 11 18)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0 -

정적인 합의를 이루고 나머지는 의장단 그룹(Group of the Friends of the

Co-Chairs)이 협상을 지속하여 제5차 총회에서 최종논의를 하기로 하였

다18)

5 제5차 당사국총회

제5차 총회에서의 논의 내용은 사실상 의장단그룹에 의해 최종적으로

채택된 사항에 대한 확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의장단그룹은 네 차례의 회의

를 거쳐 제4차 총회에서의 합의에 따른 법적 구속력을 가진 lsquo책임 및 구제

추가의정서 초안rsquo과 법적 구속력 없는 lsquo민사책임에 관한 가이드라인 초안rsquo

및 보충적 보상체계로 구성된 보고서를 제5차 총회에 제출하였으나 lsquo책임

및 구제 추가의정서 초안rsquo만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19) 이 의정서(안)은

2011년 3월 11일부터 2012년 3월 6일까지 1년 간 회원국의 서명을 받아

40개국이 서명한 90일 후부터 발효할 예정이다

6 추가의정서의 핵심내용

① 전문 사전주의 원칙과 피해가 있거나 충분한 피해가능성이 있는 경

우에 적절한 대응조치를 제공할 필요성을 인정한다

18)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pp 25 85-85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4officialmop-04-18-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19)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21쪽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5officialmop-05-17-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1 -

② 제1조(목적)

GMO에 관한 책임구제 분야의 국제규칙 및 절차를 제공함으로써 생물다

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기여하고 인체건강에 대한 위해를 고려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③ 제2조(용어의 정의)

lsquo피해rsquo란 인체건강에 대한 위해를 고려를 포함한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인간이 야기한

다른 변이나 자연적 변이를 고려하여 책임기관에 의해 인정된 과학적으로

확립된 기준을 고려하여 측정가능하거나 달리 관찰될 수 있어야 한다

lsquo중대한rsquo 부정적 영향에서의 lsquo중대한rsquo이란 합리적 기간 내에 자연적 회복

을 통해서는 구제되지 않을 장기적 또는 영구적 변화 생물다양성의 구성요

소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질적 또는 양적 변화의 정도 재화와 용역

을 제공하는 생물다양성 구성요소 능력의 감소 또는 의정서의 문맥 상 인

체건강에 미칠 부정적 영향의 정도와 같은 요소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④ 제3조(적용범위)

이 의정서는 국가 간 이동에서 유래하는 LMO(Living Modified

Organism)20)로 인한 피해에 적용한다 여기서 LMO는 식품 또는 사료로

직접 이용되거나 가공을 목적으로 하는 LMO 밀폐사용용 LMO 의도적인

환경방출용 LMO를 의미한다 의도적인 국가간 이동에서는 승인된 이용으

로 인한 피해 뿐만 아니라 비의도적인 국가간 이동이나 불법적인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피해에도 적용한다 국내법은 관할권이 있는 지역 범위 내에

서만 적용한다 비당사국 LMO의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피해에도 마찬가지

로 적용한다

⑤ 제4조(인과관계)

20) 여기에서 GMO라고 하지 않고 굳이 LMO라고 한 것은 이 의정서 상에서 살아있는 형태의

GMO만을 대상으로 하고 GMO로 만든 제품(products thereof)은 제외하고 있기 때문이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2 -

인과관계의 입증에 관해서는 국내법에 따른다

⑥ 제5조(대응조치)

당사국은 피해발생 시 국가책임기관의 요건에 따라 적절한 운영자로 하

여금 국가책임기관에게 지체없이 통보하고 피해를 평가하고 적절한 대응

조치를 취하도록 해야 한다 국가책임기관은 피해를 야기한 운영자를 확인

하고 피해를 평가하고 운영자가 취해야 할 대응조치를 결정해야 한다 이

용가능한 과학적 정보와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포함

한 정보에 따르면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피해가 발생할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운영자는 그러한 피해를 피하기 위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해야 한다 국가책임기관은 특히 운영자가 취하지 못한 조치

를 포함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다 국가책임기관은 국내법에서 달

리 정하지 않는 한 피해의 평가와 적절한 조치 및 그에 수반되는 비용을

운영자에게 청구할 권리를 가진다 운영자에게 대응조치를 요구하는 국가책

임기관의 결정은 합리적이어야 하며 운영자에게 통보해야 한다

국내법은 그러한 결정에 대한 사법적ㆍ행정적 심사를 위한 기회를 포함

한 구제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구제방안에 대한 정보를 운영자에게 알려야

한다 국내법에 달리 정하지 않는 한 구제방안이 국가책임기관이 대응조치

를 취하는 것을 방해하지 아니한다 본 조항을 이행함에 있어 그리고 국가

책임기관이 취하는 또는 취하도록 요구되는 특정 대응조치를 정의할 목적

으로 적절한 경우 당사국은 대응조치가 민사책임에 관한 자국 국내법에 이

미 규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대응조치는 국내법에 따라

이행된다

⑦ 제6조(면제)

당사국은 자국의 국내법에 자연재해 또는 불가항력 전쟁 또는 내란의

경우에 이라는 두 가지 면제사유를 정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하다고 간주하

는 기타 면제 및 경감사유를 국내법에 정할 수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3 -

⑧ 제7조(시효)

국내법에 따라 시효를 정할 수 있다

⑨ 제8조(재정적 한계)

국내법에 따라 대응조치에 따른 소요비용의 상한을 정할 수 있다

⑩ 제9조(구상권)

운영자의 제3자에 대한 구상권은 인정된다

⑪ 제10조(재정보증)

당사국은 국내법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또한 국제법

상의 권리와 의무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 첫 총회에서 사무국은 재정보증체계의 양식 보

증체계가 특히 개발도상국에 미치는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영향의 평가

재정보증을 제공하기에 적절한 실체의 확인을 포함한 포괄적인 연구를 수

행해야 한다

⑫ 제11조(국제불법행위에 대한 국가의 책임)

국제불법행위에 의한 책임에 대한 일반적인 국제법규에 따른 국가의 권

리와 의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⑬ 제12조(이행과 민사책임)

당사국은 피해를 규율하는 절차규칙을 국내법으로 정해야 한다 이 의무

를 이행하기 위하여 당사국은 이 의정서에 따른 대응조치를 제공하고 적절

한 경우 민사책임에 관한 적용할 수 있는 일반규칙과 절차를 포함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절차규칙을 적용 또

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할 수 있다 당사국은

민사책임에 관한 국내법에 이 의정서 제2조 제2항 호의 피해에 연루된

물적 또는 인적 피해에 관한 적절한 절차와 규칙을 제공할 목적으로 민사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4 -

책임에 관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법

을 적용 또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해야 한다

민사책임에 관한 법을 개발할 경우에는 피해 엄격 또는 과실책임을 포함한

민사책임기준 적절한 경우 책임의 집중 제소권(제12조 제3항)을 적절하게

정해야 한다

⑭ 제13조(평가 및 재검토)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에는 5년 마다 평가 및 재검토를 해야 한다

⑮ 기타조항

제14조에서 제21조는 사무국 등의 행정관련 조항이다

7 추가의정서의 특징

추가의정서가 채택되었다고는 하나 책임에 관한 규정은 그 원래 목적을

달성하는데 많은 난관이 따른다

우선 추가의정서는 형식적으로 법적 구속력을 가진다고는 하나 그 내용

상으로는 거의 효력이 없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중요한 사항은 모두 국내법에 위임을 했기 때문이다 당사국은 각각 자신들

의 상황에 맞는 책임제도를 GMO에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애초에

개발도상국에서 제안했던 바가 반영된 것이다 GMO 수입국의 입장에서는

GMO로 인해 야기되는 피해에 따른 수출국의 책임을 물릴 수 있는 가능성

을 확보한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GMO 수출국이나 개발사 등이 안전성에 관한 심사

이후의 수입 승인을 근거로 GMO의 안전성을 주장함으로써 국제적인 다툼

이 상당수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국내입법 시에는 이런 문제를 충분히 고

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5 -

Ⅵ 국내 입법 시의 고려사항

1 GMO 특별책임제도 도입의 필요성

추가의정서에서는 주요조항들이 국내법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입증책임이나 대응조치에 따른 운영자의 구제방안 면제사유 시효

소요비용의 상한선 및 민사책임관련법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GMO에 대한

특수성을 인정하여 별도의 법을 만들 것인지 아니면 기존의 민사책임법제

를 그대로 적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고려해야 한다

현재 우리 법상 개발자나 수출자에게 책임을 지울 근거는 만법 상의 손

해배상 책임과 제조물 책임이다 그러나 우리 법은 제조물의 범위에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을 포함시키고 있지 않기 때문에 GM작물에 적용함에 한

계가 따를 수밖에 없다 EU는 1999년 lsquo개정제조물책임지침(Directive

199934EC )rsquo21)에서 미가공인지를 불문하고 일체의 동산에 적용되는 것

으로 개정하여 농산물 등을 모두 포함하도록 하였다22) 이 개정의 근거는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 첫째 제조물의 범위에 1차 농산물을 포함하는

것이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충족시킨다는 것이었다23)

둘째 EU 역내 시장기능의 활성화 등을 고려하여 농산물의 무역이 더 이상

제조자책임에 관한 각국의 상이한 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24) 셋째 무과실책임이 모든 형태의 제조물에 적

용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25) 우리나라도 농축수산물에 대해 이를 제조물

21) Directive 199934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0 May 19

99 Amending Council Directive 85374EEC on the Approximation of the Laws Regu

lations and Administrative Provisions of the Member States Concerning Liability for

Defective Products OL L141 1999 pp20-21

22) 개정제조물책임지침 제1조

23)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5) (6)

lthttpeuropaeuintsmartapicgisga_docsmartapicelexapiprodCELEXnumdocamplg=en

ampnumdoc=31999L0034ampmodel=guichettgt(최종방문일 2011 11 18)

24)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7) (주 21) 원래 제조물책임지침은 제2조에서 농산물을

제외하였으나 제15조 제1항 a에서 각국이 농산물에 대해서는 독자적 입법이 가능하도록 하

였다 이 규정 역시 1999년의 개정으로 삭제되었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6 -

의 범위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제조물책임법의 적용에서 또다른 한계에 봉착한다 바

로 제조물책임법 제4조 제1항의 제조물책임의 면책사유가운데 제2호의 개

발위험의 항변이 그것이다 개발위험이란 제조자가 제조물을 개발하여 유통

시장에 내놓을 당시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에 비추어 인식할 수 없었던 결함

이 존재함으로써 나타나는 위험을 말한다 문제는 과학적기술적 수준이라

는 개념을 확실하게 정의할 수 없다는 점이다 예컨대 GM식품표시에서

DNA나 단백질이 파괴된 경우에는 현대 과학기술 수준으로는 이를 추적할

수 없기 때문에 표시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즉 GMO는 현재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으로는 아직 그 존재조차도 입증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GMO의

위험성 자체가 잠재적인 것이기 때문에 과학적기술적 수준이 개발 당시에

입수가능한 최고 수준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하더라도 한계가 있

기 때문이다 결국 제조물책임법 자체만으로는 GM작물의 피해에 대한 구

제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민사상의 책임을 지우는 데도 일정한 한계가 있다 첫째 GM종

자를 사서 직접 재배한 농민이 피해를 입은 경우는 GM종자를 판매한 기업

에 대하여 계약책임을 물을 수 있다 그러나 GM종자를 재배한 농민으로

인하여 인근 농민이 작물에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계약책임을 물을 수 없

다 개발자와 피해농민 또는 GM종자 재배농민과 피해농민 양자 사이에 계

약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불법행위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는

데 이미 캐나다의 슈마이저 사례를 비롯하여 미국에서의 수많은 GMO관련

소송에서 농민이나 소비자가 자신의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

다는 것을 경험한 바 있다 따라서 GMO의 피해에 관하여 입증책임을 피해

를 입은 자가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 운영자가 GMO로 인한 피해가

아님을 입증하지 못하면 배상책임을 지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시효의 경우에도 손해배상은 손해나 가해자를 알았을 경우에는 3년 불

법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10년이면 청구권은 사라진다 GMO는 그 특성상

25)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8) (주 21)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7 -

문제점이 10년 이내에 나타날 수도 있지만 10년이 지나서 나타날 수도 있

다 그런데 10년이 지났다는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근거가 없어진다면

그 피해를 입은 사람을 구제할 길이 없다 따라서 GMO에 대해서는 그 시

효를 달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은 제조물책임법의 적용도 받

지 않기 때문에 입증책임이나 시효의 면에서 유리한 제조물책임법을 GMO

에 적용할 수도 없다26) 유럽처럼 제조물책임의 범위 내에 농산물 등을 포

함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GMO의 피해에 따른 책임에 대한 별도의 입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2 추가의정서 적용범위의 확대

추가의정서는 그 대상이 살아있는 GMO에 한정되었다 즉 GM작물이

작물의 형태로 수입되는 경우에는 이 의정서 상의 책임에 관한 적용을 받

지만 그것이 1차 가공된 형태로 수입될 경우 예컨대 가루로 수입될 경우

또는 사료용으로 수입되는 대두박 등과 같은 경우에는 그로 인한 피해는

이 의정서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의정서 초안을 마련할 당

시부터 의장단그룹의 회의에 이르기까지 가장 논란이 많았던 조항 가운데

하나이다 의장단그룹의 최종회의인 제4차 회의에서도 닷새 간 논란이 지속

되었다 GMO제품을 넣어야 한다는 의견에서부터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부속

서II의 일반원칙에 나오는 범위27)만큼만 하자는 의견 아예 빼야 한다는 의

견 등이 매일 서로 다른 그룹이 찬성과 반대로 얽히면서 결국 마지막에 삭

제되었다 문제는 농산물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살아있는

GMO만을 대상으로 하면 불리하다는 점이다28) 따라서 의정서 상에 포함되

26) 제조물책임법 제7조 제2항 단서는 lsquo신체에 누적되어 사람의 건강을 해하는 물질에 의하여

발생한 손해 또는 일정한 잠복기간이 경과한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손해에 대하여는 그 손

해가 발생한 날부터 기산한다rsquo고 정하고 있다

27) 유전자변형생물체 또는 그 산물 즉 유전자변형생물체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현대생명공학

의 사용에 의하여 얻어진 복제능력이 있는 유전물질의 검출 가능한 수준의 조합을 지닌 가

공물질과 관련된(이하 생략)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8 -

지 않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는 다른 GMO와 동일하게 책임에 관한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이행법이라

할 수 있는 lsquo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하 GMO

법)rsquo에서 우리나라는 국가 간 이동에 관한 것만 규율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

에서의 연구middot개발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일정 정도 포함하도록 그 적용범위

를 확대하였다 따라서 이 추가의정서에 따른 이행법을 제정할 경우에도 그

적용범위를 확대하여 GMO제품에 의한 피해에도 책임제도를 적용할 수 있

도록 할 필요가 있다

3 배상책임의 주체 및 재원마련 방안

책임 및 복구 제도에서의 핵심은 피해가 생겼을 경우에 부담해야 할 배

상액을 어떻게 마련하느냐에 있다 우리나라는 의정서의 이행법인 GMO법

을 만들 당시부터 책임 및 복구에 관한 재원마련에 대해 기금 공제제도

보험 등의 제도 도입과 관련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다29) 예컨대 처음 GMO

법을 만들 당시에는 재원마련의 방안으로 공제제도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법이 통과될 당시에는 공제제도를 비롯한 여타의 안들

은 다 삭제되고 단지 GMO법 제34조에서 국가책임기관의 장은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수출입 등과 관련하여 국민의 건강과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

가능한 이용에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재원

확보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을 뿐이다

추가의정서는 피해가 생겼을 경우의 책임에 대하여 재정보증 규정을 두

었다 제3차 의장단그룹회의까지만 하더라도 보험 등 구체적인 재정보증방

안이 제시되었으나 제4차 의장단그룹회의에서는 사흘에 걸친 회의 끝에 보

험 등의 실제적인 방안을 삭제하고 대신 발효 후의 당사국 총회에서 사무

국이 재정보증체계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책임 및 복구에서

28) 물론 우리나라는 제4차 의장단그룹 회의에서 GMO제품을 넣자는 의견에 동의하였다

29)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교 법학논문

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32-34쪽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9 -

가장 중요한 조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구체적인 방안은 각국에게 위

임된 셈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재정보증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야 한다 초기의 공제제도뿐만 아니라 보험 등 다양한 기존의 제도를 중심

으로 다른 나라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제도를 만들 필요

가 있다 특히 독일 환경책임법과 유전공학법에 정하고 있는 담보제공의

무30)에 대한 국내법에의 도입방안을 고려해 볼 만하다 독일은 담보제공의

방법으로서 책임보험 연방이나 주(州)의 면제나 보증 또는 책임보험에 의

한 담보제공이나 금융기관의 면제나 보증 등으로 가능하다31) 우리도 이와

같은 제도 등을 통하여 피해에 대한 배상의 재원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Ⅴ 결 론

GMO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하면서 GMO의 재배에 따른 위험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논란이 되어 왔다 그러나 그 책임에 관한 구제척인 국

제기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의정서 당사국들도 구체적인 책임제도를 만드

는 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런 논란 끝에 만들어진 책임제도는

결국 논란을 이겨내지 못했다 각 당사국이 국내입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

도록 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법으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을 확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책임주체의 문제에서부터 배상액에 이르기까지 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추가의정서에서 국내 입법으로 위임하고 있는 대표

적인 것이 책임제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인과관계의 입증 면제사유 시

효 등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현행 책임제도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대

응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GMO를 위한 특별한 책임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이 특별책임제도의 대상은 GM작물뿐만 아니라 이를 원료로 생산한

30) 환경책임법 제19조 제1항 유전공학법 제36조 제1항

31)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0 -

다양한 상품까지도 포함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실제 유통되거

나 최종상품화하는 것은 작물 그 자체보다는 가공식품 등이기 때문이다 마

지막으로 GMO 책임제도를 현실화하기 위한 재정마련 방안이 필요하다 가

해 당사자가 책임을 질 수 있는 제도로서 담보제공의무 등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투고일 2011 12 14 심사일 2011 12 22 게재확정일 2011 12 26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1 -

참 고 문 헌

김은진 ldquo생명공학기술의 상업화에 따른 책임rdquo「경영법률」제17집 제1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06 10

김은진 ldquoGMO책임 및 복구 추가의정서 채택의 의미 및 대응방안rdquo「농업농

민정책연구소 녀름 이슈보고서」 2010 10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

교 법학논문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UNEPCBD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115 2004 4)

UNEPCBD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UNEPCBD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

WG-LampR12 - UNEPCBDCOP-MOP2INF 5 2005 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2 -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UNEPCBD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NEPCBDBSWG-LampR53 2008 3)

UNEPCBD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lthttpeuropaeuintgt

lthttpwwwcbdintgt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gt

주 제 어

추가의정서 GMO위험 책임제도 배상제도 환경책임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3 -

[ABSTRACT]

Liability on GMOs Potential Risk in Supplementary

Protocol

Kim Eun - Jin

GMO has been issued on its potential risk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GMOs However there is no international legal

system on liability and remedies Developed conturies did not want

to have a strong regulation on GMOs potential risk while developing

countries tried to make a strict liability on GMOs risk

As a result of 10 years discussions the Supplementary Protocol

was adapted Main issue of this protocol is liability and remedies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First the Protocol did not present the legal system of liability and

remedies Instead the protocol delegates the legal system of

national laws

Secondly this protocol covers only living GMO However living

GMOs are very few in market and most of all GMOs are processed

Thirdly there is no regulation for finance which is huge in GMOs

damages on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For implementation act we have to consider how to solve them

For example whether the new law which covers GMOs special

liability is established

Key Words

Supplementary Protocol GMo Risk Liability Remedies Environment

Liability

Page 5: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cmsorgan.wku.ac.kr/reslaw/wp-content/uploads/sites/60/... · 2016-12-02 ·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3 -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가장 빈번하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발견도 힘

들뿐만 아니라 발견을 했다 하더라도 그 원인을 찾기 어렵다

(표1) 우리나라 GMO 유출 사례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4 -

2 불법적인 환경방출

2011년 3월 우루과이 국립대학교의 과학자들은 옥수수밭 3곳에서 GM

품종을 발견했다고 발표하였다8) 우루과이는 GM농작물 가운데 일부에 대

하여 재배를 허용하고 있다 대신 GM농작물로부터의 교차수분 등을 방지

하기 위하여 GM작물과 Non-GM작물 간에 250미터의 거리를 두고 GM작

물을 심은 밭은 이를 위해 자신의 밭의 최소한 10에는 Non-GM작물을

심어 교차수분을 막는 피난처를 두도록 정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 결과에 따르면 250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도 불법적인 환경

방출 사례가 발견되고 있으며 12미터 높이의 유칼립투스 나무로 30미터 너

비의 장벽을 만든 곳에서조차도 이 장벽을 넘어 GM품종이 발견되었다 즉

의도적이건 비의도적이건 간에 법이 정한 기준에 따르지 않은 GM옥수수가

발견된 셈이다

이와 같은 환경방출의 문제는 이미 여러 차례 보고된 바 있다 특히

2004년 미국에서조차 상업적 재배가 승인되지 않은 Bt10 옥수수가 미국

전역에서 재배가 되고 있음이 확인된 사례는 이미 언론을 통해서도 잘 알

려져 있다 당시 이 불법 유출에 대한 대책으로 2005년 미국과 Bt10의 개

발사인 신젠타사는 해당 종자의 생산을 중지하고 유출된 것을 모두 수거하

였지만 2006년에도 여전히 01 정도의 Bt10이 계속 발견되었다9)

결국 GM작물의 재배가 이루어지는 곳에서는 아무리 안전성을 위한 기

준을 강화한다 하더라도 이 기준을 지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조건일 수

밖에 없음을 보여준다 또한 일단 개발하거나 재배가 된 후에는 이에 대한

완전한 수거 자체가 불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3 농업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

8)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indexphpcontent=re_detailampgw_id=367ampreg=0amp

inc=2ampcon=0ampcof=0ampyear=2011amphandle2_page=gt(최종방문일 2011 11 18)

9) 김은진 (주 5) 1100쪽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5 -

2005년 미국에서는 라운드업 제초제내성 GM콩을 재배한 결과 해당 제

초제에 내성을 지닌 잡초가 늘어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10) 그

결과 해당 GM콩을 재배하기 시작한 지 3년 이내에 제초제 사용량이 4배에

서 많이는 13배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라운드업 제초제에 대한 내

성으로 인하여 또다른 제초제를 더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초제 사용량은

늘어날 수밖에 없다

실제 제초제내성 GM작물의 재배를 유도하기 위하여 GM작물 개발사는

항상 제초제 사용량이 현저하게 준다는 것을 강조해 왔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동안 우려해 왔던 유전자전이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계속 사용

함으로써 제초제에 대한 일반적인 내성 자체로 인해 제초제 사용량이 오히

려 늘어날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III 의정서 상의 책임에 관한 논의 동향

1 제1차 당사국총회

의정서 협상 초기부터 논란의 대상이 된 의제가 바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조항이다 선진국들은 일반적인 손해배상 책임제도로 충분히 GMO로

인한 예기치 못한 손해에 대처할 수 있고 의정서 자체는 국가간 이동 과정

에서의 절차적 측면만을 정하면 된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개발도상국은

선진국의 초국적생명공학기업에 의해 개발된 GMO를 주로 수입하는 입장이

기 때문에 이런 손해가 생겼을 경우 구제를 위한 책임체계가 의정서 내에

포함되기를 기대하였다

의정서가 채택되고 시행되기 전에 세 차례에 걸친 정부간 회의에서 책

10)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

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pp 301ndash311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indexphpcontent=re_ detailampgw_id=76ampre

g=0ampinc=3ampcon=0ampcof=0ampyear=2005amphandle2_page=gt(최종방문일 2011 11 18)에서

재인용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6 -

임 및 구제체계의 구축을 위하여 책임에 관한 관련협약의 동향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제1차 총회에 제출하였다 2004년 2월 말레

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된 제1차 당사국총회에서는 전문가 작업반을

구성하고 이 전문가 작업반의 회의 준비를 위하여 lsquo책임 및 구제에 관한 전

문가기술그룹(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rsquo회

의도 개최하였다 또한 전문가그룹에게 다음의 권한을 위임하고 4년 안에

이를 완수하도록 하였다11)

우선 GMO의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손해와 관련하여 당사국 국제기구

및 이해당사자들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심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관련 국제

절차규칙의 성격과 내용에 관한 이해와 합의를 도출하도록 한다 또한 손해

에 관한 쟁점으로 손해의 정의와 성질 생물다양성 및 인체건강에 대한 손

해의 평가 손해의 최소조건 인과관계 책임배상의 집중 수출입당사자의

역할 책임배상의 기준 재정보증체계 원고적격제소권 등에 관하여 논의하

도록 하였다12)

2 제2차 당사국총회

2005년 5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된 제2차 당사국총회에서는 전문

가 작업반의 보고서를 채택하였다13) 보고서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14)

11)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

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UNEPCBDBSCOP-MOP115 2004

4) pp 22-24 lthttpwwwcbdintdocmeetingsbsmop-01officialmop-01-15-end

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12) Decision BS-I8

13)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pp 23-24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2officialmop-02-15-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14)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

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

BDBSWG-LampR12 - UNEPCBDCOP-MOP2INF5 2005 2)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7 -

① 피해의 정의와 범위

피해의 정의에는 환경 인체 및 사회경제적 피해 등을 고려할 수 있다

피해의 범위에 대해서는 GMO의 통과 및 운송 중에 발생한 피해와 운송

통과 취급 이용 중에 발생한 모든 피해 및 비의도적 국가간 이동까지 포

함한 피해를 범위로 정하자는 안 등 시기적 범위와 지리적 범위 등에 대한

다양한 피해가 제시되었다

② 피해의 평가

피해의 평가의 전제로서의 위해성 평가와 분석을 통한 위험 발생 가능

성을 평가하고 이에 따른 관리 및 용인 가능성을 평가해야 한다 또한 평가

의 기준으로 피해발생 이전의 상태에 대한 평가도 필수적이다

③ 인과관계

인과관계의 심사를 위하여 피해의 예측가능성 직간접피해의 구별 직접

적 원인 등을 고려할 수 있다 그 외 입증책임 등도 논의의 대상이다

④ 책임배상의 집중

책임배상의 주체를 누구로 할 것인가의 문제로 일차적 국가책임배상 운

영자의 일차책임과 국가의 잔존책임배상 국가책임을 인정하지 않고 민사

및 행정적 접근방식을 취해야 한다는 세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⑤ 책임배상의 기준

과실책임과 무과실책임(엄격책임)의 견해가 대립되었다 주로 수출국은

과실책임 수입국 또는 개발도상국 및 환경단체 등은 무과실책임을 주장하

였다

⑥ 재정보증 체계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2informationmop-02-inf-05-endocgt(최종

방문일 2011 11 18)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8 -

구제비용 마련을 위한 재원 마련 방안으로 생명공학기업의 출연금으로

조성된 기금 공공기금 및 공공기금과 사적기금의 결합 등의 세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또한 보험제도의 활용가능성 또한 제시되었다

⑦ 분쟁해결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방식으로 국가간 소송 민사소송 행정소송 및 특

별재판소 설치 등의 네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⑧ 원고적격제소권

당사자의 범위에 피해에 영향은 받은 당사자 환경단체 등에 의한 민중

소송 국가의 당사자 자격 인정 등의 안이 제시되었다

⑨ 기타

그 외에 비당사국에게 책임을 지우기 위해 의정서의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가의 여부에 대해 논의가 있었으며 그 대안으로 책임 및 구제에 대한

양자협정을 체결해야 할 필요성도 제시되었다 또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최종합의문에 대해 법적 구속력을 부여하기 위해 가능한 방안에 대한 논의

도 이루어졌다

3 제3차 당사국총회

2006년 3월 브라질 꾸리찌바에서 개최된 제3차 당사국총회는 전문가그

룹회의의 진전을 환영하고 시간계획에 따라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향후 2

년간 총3회의 회의를 소집할 것을 결의하였다15) 또한 참여를 확보하기 위

15)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pp 22 66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3officialmop-03-15-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9 -

한 적절한 재정 지원의 필요성 및 자발적 참여를 촉구하였다 제3차 총회에

서 별다른 논의가 없었던 것은 전문가그룹의 권한 자체가 제4차 총회까지

이뤄지기 때문에 기간의 작업에 대한 확인 및 필요한 부분에 대한 지원방

안 모색 등의 논의 외에 별다른 논의는 없이 진행되었다

4 제4차 당사국총회

2008년 5월 독일 본에서 개최된 제4차 당사국총회는 총회 개최 전부터

책임 및 구제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부담을 안고 시작되었다

그러나 피해의 정의가 생태계 인체 및 사회경제적 피해까지도 고려하고

있는 상황에서 금전적인 문제와 밀접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논의에 합의

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특히 바스프 바이엘크롭사이언스 다우애그로사이

언스 듀퐁파이오니아 몬산토 신젠타 등 6개의 초국적생명공학기업이 자

신들의 안으로 제시한 계약서(Contractual Compensation Agreement)16)는

GMO로 인한 피해의 배상을 당사자 간의 계약으로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나

타낸 것이었다 이에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80개국으로 구성된

lsquoLike-Minded Friends(이하 LMF)rsquo 그룹은 다음의 세 가지를 포함하여 법

적 구속력이 있는 규정을 제안했다17) 첫째 협상 중인 가이드라인에 규정

된 내용을 포함한 국내법이나 정책을 정할 권리를 회원국에게 부여할 것

둘째 타국의 판결에 대해 상호인정과 실행을 위한 준비를 할 것 셋째 가

이드라인은 책임 및 구제 체계가 발효된 후 3년 이내에 재검토할 것 등이

그것이다 이후 이 제안을 중심으로 다양한 논의가 지속된 결과 몇 가지 잠

16)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

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

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

NEPCBDBSWG-LampR53 2008 3) p 7

lthttpwwwcbdintdocmeetingsbsbswglr-05officialbswglr-05-03-enpdfgt(최종방문

일 2011 9 18)

17)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lthttpwwwbiosafety-infonetarticlephpaid=520gt(최종방문일 2011 11 18)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0 -

정적인 합의를 이루고 나머지는 의장단 그룹(Group of the Friends of the

Co-Chairs)이 협상을 지속하여 제5차 총회에서 최종논의를 하기로 하였

다18)

5 제5차 당사국총회

제5차 총회에서의 논의 내용은 사실상 의장단그룹에 의해 최종적으로

채택된 사항에 대한 확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의장단그룹은 네 차례의 회의

를 거쳐 제4차 총회에서의 합의에 따른 법적 구속력을 가진 lsquo책임 및 구제

추가의정서 초안rsquo과 법적 구속력 없는 lsquo민사책임에 관한 가이드라인 초안rsquo

및 보충적 보상체계로 구성된 보고서를 제5차 총회에 제출하였으나 lsquo책임

및 구제 추가의정서 초안rsquo만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19) 이 의정서(안)은

2011년 3월 11일부터 2012년 3월 6일까지 1년 간 회원국의 서명을 받아

40개국이 서명한 90일 후부터 발효할 예정이다

6 추가의정서의 핵심내용

① 전문 사전주의 원칙과 피해가 있거나 충분한 피해가능성이 있는 경

우에 적절한 대응조치를 제공할 필요성을 인정한다

18)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pp 25 85-85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4officialmop-04-18-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19)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21쪽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5officialmop-05-17-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1 -

② 제1조(목적)

GMO에 관한 책임구제 분야의 국제규칙 및 절차를 제공함으로써 생물다

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기여하고 인체건강에 대한 위해를 고려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③ 제2조(용어의 정의)

lsquo피해rsquo란 인체건강에 대한 위해를 고려를 포함한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인간이 야기한

다른 변이나 자연적 변이를 고려하여 책임기관에 의해 인정된 과학적으로

확립된 기준을 고려하여 측정가능하거나 달리 관찰될 수 있어야 한다

lsquo중대한rsquo 부정적 영향에서의 lsquo중대한rsquo이란 합리적 기간 내에 자연적 회복

을 통해서는 구제되지 않을 장기적 또는 영구적 변화 생물다양성의 구성요

소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질적 또는 양적 변화의 정도 재화와 용역

을 제공하는 생물다양성 구성요소 능력의 감소 또는 의정서의 문맥 상 인

체건강에 미칠 부정적 영향의 정도와 같은 요소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④ 제3조(적용범위)

이 의정서는 국가 간 이동에서 유래하는 LMO(Living Modified

Organism)20)로 인한 피해에 적용한다 여기서 LMO는 식품 또는 사료로

직접 이용되거나 가공을 목적으로 하는 LMO 밀폐사용용 LMO 의도적인

환경방출용 LMO를 의미한다 의도적인 국가간 이동에서는 승인된 이용으

로 인한 피해 뿐만 아니라 비의도적인 국가간 이동이나 불법적인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피해에도 적용한다 국내법은 관할권이 있는 지역 범위 내에

서만 적용한다 비당사국 LMO의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피해에도 마찬가지

로 적용한다

⑤ 제4조(인과관계)

20) 여기에서 GMO라고 하지 않고 굳이 LMO라고 한 것은 이 의정서 상에서 살아있는 형태의

GMO만을 대상으로 하고 GMO로 만든 제품(products thereof)은 제외하고 있기 때문이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2 -

인과관계의 입증에 관해서는 국내법에 따른다

⑥ 제5조(대응조치)

당사국은 피해발생 시 국가책임기관의 요건에 따라 적절한 운영자로 하

여금 국가책임기관에게 지체없이 통보하고 피해를 평가하고 적절한 대응

조치를 취하도록 해야 한다 국가책임기관은 피해를 야기한 운영자를 확인

하고 피해를 평가하고 운영자가 취해야 할 대응조치를 결정해야 한다 이

용가능한 과학적 정보와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포함

한 정보에 따르면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피해가 발생할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운영자는 그러한 피해를 피하기 위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해야 한다 국가책임기관은 특히 운영자가 취하지 못한 조치

를 포함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다 국가책임기관은 국내법에서 달

리 정하지 않는 한 피해의 평가와 적절한 조치 및 그에 수반되는 비용을

운영자에게 청구할 권리를 가진다 운영자에게 대응조치를 요구하는 국가책

임기관의 결정은 합리적이어야 하며 운영자에게 통보해야 한다

국내법은 그러한 결정에 대한 사법적ㆍ행정적 심사를 위한 기회를 포함

한 구제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구제방안에 대한 정보를 운영자에게 알려야

한다 국내법에 달리 정하지 않는 한 구제방안이 국가책임기관이 대응조치

를 취하는 것을 방해하지 아니한다 본 조항을 이행함에 있어 그리고 국가

책임기관이 취하는 또는 취하도록 요구되는 특정 대응조치를 정의할 목적

으로 적절한 경우 당사국은 대응조치가 민사책임에 관한 자국 국내법에 이

미 규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대응조치는 국내법에 따라

이행된다

⑦ 제6조(면제)

당사국은 자국의 국내법에 자연재해 또는 불가항력 전쟁 또는 내란의

경우에 이라는 두 가지 면제사유를 정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하다고 간주하

는 기타 면제 및 경감사유를 국내법에 정할 수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3 -

⑧ 제7조(시효)

국내법에 따라 시효를 정할 수 있다

⑨ 제8조(재정적 한계)

국내법에 따라 대응조치에 따른 소요비용의 상한을 정할 수 있다

⑩ 제9조(구상권)

운영자의 제3자에 대한 구상권은 인정된다

⑪ 제10조(재정보증)

당사국은 국내법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또한 국제법

상의 권리와 의무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 첫 총회에서 사무국은 재정보증체계의 양식 보

증체계가 특히 개발도상국에 미치는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영향의 평가

재정보증을 제공하기에 적절한 실체의 확인을 포함한 포괄적인 연구를 수

행해야 한다

⑫ 제11조(국제불법행위에 대한 국가의 책임)

국제불법행위에 의한 책임에 대한 일반적인 국제법규에 따른 국가의 권

리와 의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⑬ 제12조(이행과 민사책임)

당사국은 피해를 규율하는 절차규칙을 국내법으로 정해야 한다 이 의무

를 이행하기 위하여 당사국은 이 의정서에 따른 대응조치를 제공하고 적절

한 경우 민사책임에 관한 적용할 수 있는 일반규칙과 절차를 포함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절차규칙을 적용 또

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할 수 있다 당사국은

민사책임에 관한 국내법에 이 의정서 제2조 제2항 호의 피해에 연루된

물적 또는 인적 피해에 관한 적절한 절차와 규칙을 제공할 목적으로 민사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4 -

책임에 관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법

을 적용 또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해야 한다

민사책임에 관한 법을 개발할 경우에는 피해 엄격 또는 과실책임을 포함한

민사책임기준 적절한 경우 책임의 집중 제소권(제12조 제3항)을 적절하게

정해야 한다

⑭ 제13조(평가 및 재검토)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에는 5년 마다 평가 및 재검토를 해야 한다

⑮ 기타조항

제14조에서 제21조는 사무국 등의 행정관련 조항이다

7 추가의정서의 특징

추가의정서가 채택되었다고는 하나 책임에 관한 규정은 그 원래 목적을

달성하는데 많은 난관이 따른다

우선 추가의정서는 형식적으로 법적 구속력을 가진다고는 하나 그 내용

상으로는 거의 효력이 없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중요한 사항은 모두 국내법에 위임을 했기 때문이다 당사국은 각각 자신들

의 상황에 맞는 책임제도를 GMO에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애초에

개발도상국에서 제안했던 바가 반영된 것이다 GMO 수입국의 입장에서는

GMO로 인해 야기되는 피해에 따른 수출국의 책임을 물릴 수 있는 가능성

을 확보한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GMO 수출국이나 개발사 등이 안전성에 관한 심사

이후의 수입 승인을 근거로 GMO의 안전성을 주장함으로써 국제적인 다툼

이 상당수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국내입법 시에는 이런 문제를 충분히 고

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5 -

Ⅵ 국내 입법 시의 고려사항

1 GMO 특별책임제도 도입의 필요성

추가의정서에서는 주요조항들이 국내법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입증책임이나 대응조치에 따른 운영자의 구제방안 면제사유 시효

소요비용의 상한선 및 민사책임관련법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GMO에 대한

특수성을 인정하여 별도의 법을 만들 것인지 아니면 기존의 민사책임법제

를 그대로 적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고려해야 한다

현재 우리 법상 개발자나 수출자에게 책임을 지울 근거는 만법 상의 손

해배상 책임과 제조물 책임이다 그러나 우리 법은 제조물의 범위에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을 포함시키고 있지 않기 때문에 GM작물에 적용함에 한

계가 따를 수밖에 없다 EU는 1999년 lsquo개정제조물책임지침(Directive

199934EC )rsquo21)에서 미가공인지를 불문하고 일체의 동산에 적용되는 것

으로 개정하여 농산물 등을 모두 포함하도록 하였다22) 이 개정의 근거는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 첫째 제조물의 범위에 1차 농산물을 포함하는

것이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충족시킨다는 것이었다23)

둘째 EU 역내 시장기능의 활성화 등을 고려하여 농산물의 무역이 더 이상

제조자책임에 관한 각국의 상이한 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24) 셋째 무과실책임이 모든 형태의 제조물에 적

용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25) 우리나라도 농축수산물에 대해 이를 제조물

21) Directive 199934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0 May 19

99 Amending Council Directive 85374EEC on the Approximation of the Laws Regu

lations and Administrative Provisions of the Member States Concerning Liability for

Defective Products OL L141 1999 pp20-21

22) 개정제조물책임지침 제1조

23)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5) (6)

lthttpeuropaeuintsmartapicgisga_docsmartapicelexapiprodCELEXnumdocamplg=en

ampnumdoc=31999L0034ampmodel=guichettgt(최종방문일 2011 11 18)

24)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7) (주 21) 원래 제조물책임지침은 제2조에서 농산물을

제외하였으나 제15조 제1항 a에서 각국이 농산물에 대해서는 독자적 입법이 가능하도록 하

였다 이 규정 역시 1999년의 개정으로 삭제되었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6 -

의 범위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제조물책임법의 적용에서 또다른 한계에 봉착한다 바

로 제조물책임법 제4조 제1항의 제조물책임의 면책사유가운데 제2호의 개

발위험의 항변이 그것이다 개발위험이란 제조자가 제조물을 개발하여 유통

시장에 내놓을 당시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에 비추어 인식할 수 없었던 결함

이 존재함으로써 나타나는 위험을 말한다 문제는 과학적기술적 수준이라

는 개념을 확실하게 정의할 수 없다는 점이다 예컨대 GM식품표시에서

DNA나 단백질이 파괴된 경우에는 현대 과학기술 수준으로는 이를 추적할

수 없기 때문에 표시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즉 GMO는 현재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으로는 아직 그 존재조차도 입증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GMO의

위험성 자체가 잠재적인 것이기 때문에 과학적기술적 수준이 개발 당시에

입수가능한 최고 수준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하더라도 한계가 있

기 때문이다 결국 제조물책임법 자체만으로는 GM작물의 피해에 대한 구

제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민사상의 책임을 지우는 데도 일정한 한계가 있다 첫째 GM종

자를 사서 직접 재배한 농민이 피해를 입은 경우는 GM종자를 판매한 기업

에 대하여 계약책임을 물을 수 있다 그러나 GM종자를 재배한 농민으로

인하여 인근 농민이 작물에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계약책임을 물을 수 없

다 개발자와 피해농민 또는 GM종자 재배농민과 피해농민 양자 사이에 계

약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불법행위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는

데 이미 캐나다의 슈마이저 사례를 비롯하여 미국에서의 수많은 GMO관련

소송에서 농민이나 소비자가 자신의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

다는 것을 경험한 바 있다 따라서 GMO의 피해에 관하여 입증책임을 피해

를 입은 자가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 운영자가 GMO로 인한 피해가

아님을 입증하지 못하면 배상책임을 지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시효의 경우에도 손해배상은 손해나 가해자를 알았을 경우에는 3년 불

법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10년이면 청구권은 사라진다 GMO는 그 특성상

25)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8) (주 21)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7 -

문제점이 10년 이내에 나타날 수도 있지만 10년이 지나서 나타날 수도 있

다 그런데 10년이 지났다는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근거가 없어진다면

그 피해를 입은 사람을 구제할 길이 없다 따라서 GMO에 대해서는 그 시

효를 달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은 제조물책임법의 적용도 받

지 않기 때문에 입증책임이나 시효의 면에서 유리한 제조물책임법을 GMO

에 적용할 수도 없다26) 유럽처럼 제조물책임의 범위 내에 농산물 등을 포

함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GMO의 피해에 따른 책임에 대한 별도의 입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2 추가의정서 적용범위의 확대

추가의정서는 그 대상이 살아있는 GMO에 한정되었다 즉 GM작물이

작물의 형태로 수입되는 경우에는 이 의정서 상의 책임에 관한 적용을 받

지만 그것이 1차 가공된 형태로 수입될 경우 예컨대 가루로 수입될 경우

또는 사료용으로 수입되는 대두박 등과 같은 경우에는 그로 인한 피해는

이 의정서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의정서 초안을 마련할 당

시부터 의장단그룹의 회의에 이르기까지 가장 논란이 많았던 조항 가운데

하나이다 의장단그룹의 최종회의인 제4차 회의에서도 닷새 간 논란이 지속

되었다 GMO제품을 넣어야 한다는 의견에서부터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부속

서II의 일반원칙에 나오는 범위27)만큼만 하자는 의견 아예 빼야 한다는 의

견 등이 매일 서로 다른 그룹이 찬성과 반대로 얽히면서 결국 마지막에 삭

제되었다 문제는 농산물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살아있는

GMO만을 대상으로 하면 불리하다는 점이다28) 따라서 의정서 상에 포함되

26) 제조물책임법 제7조 제2항 단서는 lsquo신체에 누적되어 사람의 건강을 해하는 물질에 의하여

발생한 손해 또는 일정한 잠복기간이 경과한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손해에 대하여는 그 손

해가 발생한 날부터 기산한다rsquo고 정하고 있다

27) 유전자변형생물체 또는 그 산물 즉 유전자변형생물체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현대생명공학

의 사용에 의하여 얻어진 복제능력이 있는 유전물질의 검출 가능한 수준의 조합을 지닌 가

공물질과 관련된(이하 생략)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8 -

지 않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는 다른 GMO와 동일하게 책임에 관한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이행법이라

할 수 있는 lsquo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하 GMO

법)rsquo에서 우리나라는 국가 간 이동에 관한 것만 규율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

에서의 연구middot개발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일정 정도 포함하도록 그 적용범위

를 확대하였다 따라서 이 추가의정서에 따른 이행법을 제정할 경우에도 그

적용범위를 확대하여 GMO제품에 의한 피해에도 책임제도를 적용할 수 있

도록 할 필요가 있다

3 배상책임의 주체 및 재원마련 방안

책임 및 복구 제도에서의 핵심은 피해가 생겼을 경우에 부담해야 할 배

상액을 어떻게 마련하느냐에 있다 우리나라는 의정서의 이행법인 GMO법

을 만들 당시부터 책임 및 복구에 관한 재원마련에 대해 기금 공제제도

보험 등의 제도 도입과 관련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다29) 예컨대 처음 GMO

법을 만들 당시에는 재원마련의 방안으로 공제제도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법이 통과될 당시에는 공제제도를 비롯한 여타의 안들

은 다 삭제되고 단지 GMO법 제34조에서 국가책임기관의 장은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수출입 등과 관련하여 국민의 건강과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

가능한 이용에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재원

확보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을 뿐이다

추가의정서는 피해가 생겼을 경우의 책임에 대하여 재정보증 규정을 두

었다 제3차 의장단그룹회의까지만 하더라도 보험 등 구체적인 재정보증방

안이 제시되었으나 제4차 의장단그룹회의에서는 사흘에 걸친 회의 끝에 보

험 등의 실제적인 방안을 삭제하고 대신 발효 후의 당사국 총회에서 사무

국이 재정보증체계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책임 및 복구에서

28) 물론 우리나라는 제4차 의장단그룹 회의에서 GMO제품을 넣자는 의견에 동의하였다

29)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교 법학논문

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32-34쪽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9 -

가장 중요한 조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구체적인 방안은 각국에게 위

임된 셈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재정보증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야 한다 초기의 공제제도뿐만 아니라 보험 등 다양한 기존의 제도를 중심

으로 다른 나라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제도를 만들 필요

가 있다 특히 독일 환경책임법과 유전공학법에 정하고 있는 담보제공의

무30)에 대한 국내법에의 도입방안을 고려해 볼 만하다 독일은 담보제공의

방법으로서 책임보험 연방이나 주(州)의 면제나 보증 또는 책임보험에 의

한 담보제공이나 금융기관의 면제나 보증 등으로 가능하다31) 우리도 이와

같은 제도 등을 통하여 피해에 대한 배상의 재원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Ⅴ 결 론

GMO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하면서 GMO의 재배에 따른 위험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논란이 되어 왔다 그러나 그 책임에 관한 구제척인 국

제기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의정서 당사국들도 구체적인 책임제도를 만드

는 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런 논란 끝에 만들어진 책임제도는

결국 논란을 이겨내지 못했다 각 당사국이 국내입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

도록 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법으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을 확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책임주체의 문제에서부터 배상액에 이르기까지 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추가의정서에서 국내 입법으로 위임하고 있는 대표

적인 것이 책임제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인과관계의 입증 면제사유 시

효 등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현행 책임제도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대

응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GMO를 위한 특별한 책임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이 특별책임제도의 대상은 GM작물뿐만 아니라 이를 원료로 생산한

30) 환경책임법 제19조 제1항 유전공학법 제36조 제1항

31)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0 -

다양한 상품까지도 포함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실제 유통되거

나 최종상품화하는 것은 작물 그 자체보다는 가공식품 등이기 때문이다 마

지막으로 GMO 책임제도를 현실화하기 위한 재정마련 방안이 필요하다 가

해 당사자가 책임을 질 수 있는 제도로서 담보제공의무 등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투고일 2011 12 14 심사일 2011 12 22 게재확정일 2011 12 26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1 -

참 고 문 헌

김은진 ldquo생명공학기술의 상업화에 따른 책임rdquo「경영법률」제17집 제1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06 10

김은진 ldquoGMO책임 및 복구 추가의정서 채택의 의미 및 대응방안rdquo「농업농

민정책연구소 녀름 이슈보고서」 2010 10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

교 법학논문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UNEPCBD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115 2004 4)

UNEPCBD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UNEPCBD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

WG-LampR12 - UNEPCBDCOP-MOP2INF 5 2005 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2 -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UNEPCBD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NEPCBDBSWG-LampR53 2008 3)

UNEPCBD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lthttpeuropaeuintgt

lthttpwwwcbdintgt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gt

주 제 어

추가의정서 GMO위험 책임제도 배상제도 환경책임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3 -

[ABSTRACT]

Liability on GMOs Potential Risk in Supplementary

Protocol

Kim Eun - Jin

GMO has been issued on its potential risk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GMOs However there is no international legal

system on liability and remedies Developed conturies did not want

to have a strong regulation on GMOs potential risk while developing

countries tried to make a strict liability on GMOs risk

As a result of 10 years discussions the Supplementary Protocol

was adapted Main issue of this protocol is liability and remedies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First the Protocol did not present the legal system of liability and

remedies Instead the protocol delegates the legal system of

national laws

Secondly this protocol covers only living GMO However living

GMOs are very few in market and most of all GMOs are processed

Thirdly there is no regulation for finance which is huge in GMOs

damages on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For implementation act we have to consider how to solve them

For example whether the new law which covers GMOs special

liability is established

Key Words

Supplementary Protocol GMo Risk Liability Remedies Environment

Liability

Page 6: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cmsorgan.wku.ac.kr/reslaw/wp-content/uploads/sites/60/... · 2016-12-02 ·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4 -

2 불법적인 환경방출

2011년 3월 우루과이 국립대학교의 과학자들은 옥수수밭 3곳에서 GM

품종을 발견했다고 발표하였다8) 우루과이는 GM농작물 가운데 일부에 대

하여 재배를 허용하고 있다 대신 GM농작물로부터의 교차수분 등을 방지

하기 위하여 GM작물과 Non-GM작물 간에 250미터의 거리를 두고 GM작

물을 심은 밭은 이를 위해 자신의 밭의 최소한 10에는 Non-GM작물을

심어 교차수분을 막는 피난처를 두도록 정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 결과에 따르면 250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도 불법적인 환경

방출 사례가 발견되고 있으며 12미터 높이의 유칼립투스 나무로 30미터 너

비의 장벽을 만든 곳에서조차도 이 장벽을 넘어 GM품종이 발견되었다 즉

의도적이건 비의도적이건 간에 법이 정한 기준에 따르지 않은 GM옥수수가

발견된 셈이다

이와 같은 환경방출의 문제는 이미 여러 차례 보고된 바 있다 특히

2004년 미국에서조차 상업적 재배가 승인되지 않은 Bt10 옥수수가 미국

전역에서 재배가 되고 있음이 확인된 사례는 이미 언론을 통해서도 잘 알

려져 있다 당시 이 불법 유출에 대한 대책으로 2005년 미국과 Bt10의 개

발사인 신젠타사는 해당 종자의 생산을 중지하고 유출된 것을 모두 수거하

였지만 2006년에도 여전히 01 정도의 Bt10이 계속 발견되었다9)

결국 GM작물의 재배가 이루어지는 곳에서는 아무리 안전성을 위한 기

준을 강화한다 하더라도 이 기준을 지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조건일 수

밖에 없음을 보여준다 또한 일단 개발하거나 재배가 된 후에는 이에 대한

완전한 수거 자체가 불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3 농업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

8)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indexphpcontent=re_detailampgw_id=367ampreg=0amp

inc=2ampcon=0ampcof=0ampyear=2011amphandle2_page=gt(최종방문일 2011 11 18)

9) 김은진 (주 5) 1100쪽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5 -

2005년 미국에서는 라운드업 제초제내성 GM콩을 재배한 결과 해당 제

초제에 내성을 지닌 잡초가 늘어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10) 그

결과 해당 GM콩을 재배하기 시작한 지 3년 이내에 제초제 사용량이 4배에

서 많이는 13배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라운드업 제초제에 대한 내

성으로 인하여 또다른 제초제를 더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초제 사용량은

늘어날 수밖에 없다

실제 제초제내성 GM작물의 재배를 유도하기 위하여 GM작물 개발사는

항상 제초제 사용량이 현저하게 준다는 것을 강조해 왔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동안 우려해 왔던 유전자전이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계속 사용

함으로써 제초제에 대한 일반적인 내성 자체로 인해 제초제 사용량이 오히

려 늘어날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III 의정서 상의 책임에 관한 논의 동향

1 제1차 당사국총회

의정서 협상 초기부터 논란의 대상이 된 의제가 바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조항이다 선진국들은 일반적인 손해배상 책임제도로 충분히 GMO로

인한 예기치 못한 손해에 대처할 수 있고 의정서 자체는 국가간 이동 과정

에서의 절차적 측면만을 정하면 된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개발도상국은

선진국의 초국적생명공학기업에 의해 개발된 GMO를 주로 수입하는 입장이

기 때문에 이런 손해가 생겼을 경우 구제를 위한 책임체계가 의정서 내에

포함되기를 기대하였다

의정서가 채택되고 시행되기 전에 세 차례에 걸친 정부간 회의에서 책

10)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

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pp 301ndash311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indexphpcontent=re_ detailampgw_id=76ampre

g=0ampinc=3ampcon=0ampcof=0ampyear=2005amphandle2_page=gt(최종방문일 2011 11 18)에서

재인용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6 -

임 및 구제체계의 구축을 위하여 책임에 관한 관련협약의 동향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제1차 총회에 제출하였다 2004년 2월 말레

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된 제1차 당사국총회에서는 전문가 작업반을

구성하고 이 전문가 작업반의 회의 준비를 위하여 lsquo책임 및 구제에 관한 전

문가기술그룹(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rsquo회

의도 개최하였다 또한 전문가그룹에게 다음의 권한을 위임하고 4년 안에

이를 완수하도록 하였다11)

우선 GMO의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손해와 관련하여 당사국 국제기구

및 이해당사자들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심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관련 국제

절차규칙의 성격과 내용에 관한 이해와 합의를 도출하도록 한다 또한 손해

에 관한 쟁점으로 손해의 정의와 성질 생물다양성 및 인체건강에 대한 손

해의 평가 손해의 최소조건 인과관계 책임배상의 집중 수출입당사자의

역할 책임배상의 기준 재정보증체계 원고적격제소권 등에 관하여 논의하

도록 하였다12)

2 제2차 당사국총회

2005년 5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된 제2차 당사국총회에서는 전문

가 작업반의 보고서를 채택하였다13) 보고서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14)

11)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

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UNEPCBDBSCOP-MOP115 2004

4) pp 22-24 lthttpwwwcbdintdocmeetingsbsmop-01officialmop-01-15-end

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12) Decision BS-I8

13)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pp 23-24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2officialmop-02-15-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14)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

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

BDBSWG-LampR12 - UNEPCBDCOP-MOP2INF5 2005 2)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7 -

① 피해의 정의와 범위

피해의 정의에는 환경 인체 및 사회경제적 피해 등을 고려할 수 있다

피해의 범위에 대해서는 GMO의 통과 및 운송 중에 발생한 피해와 운송

통과 취급 이용 중에 발생한 모든 피해 및 비의도적 국가간 이동까지 포

함한 피해를 범위로 정하자는 안 등 시기적 범위와 지리적 범위 등에 대한

다양한 피해가 제시되었다

② 피해의 평가

피해의 평가의 전제로서의 위해성 평가와 분석을 통한 위험 발생 가능

성을 평가하고 이에 따른 관리 및 용인 가능성을 평가해야 한다 또한 평가

의 기준으로 피해발생 이전의 상태에 대한 평가도 필수적이다

③ 인과관계

인과관계의 심사를 위하여 피해의 예측가능성 직간접피해의 구별 직접

적 원인 등을 고려할 수 있다 그 외 입증책임 등도 논의의 대상이다

④ 책임배상의 집중

책임배상의 주체를 누구로 할 것인가의 문제로 일차적 국가책임배상 운

영자의 일차책임과 국가의 잔존책임배상 국가책임을 인정하지 않고 민사

및 행정적 접근방식을 취해야 한다는 세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⑤ 책임배상의 기준

과실책임과 무과실책임(엄격책임)의 견해가 대립되었다 주로 수출국은

과실책임 수입국 또는 개발도상국 및 환경단체 등은 무과실책임을 주장하

였다

⑥ 재정보증 체계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2informationmop-02-inf-05-endocgt(최종

방문일 2011 11 18)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8 -

구제비용 마련을 위한 재원 마련 방안으로 생명공학기업의 출연금으로

조성된 기금 공공기금 및 공공기금과 사적기금의 결합 등의 세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또한 보험제도의 활용가능성 또한 제시되었다

⑦ 분쟁해결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방식으로 국가간 소송 민사소송 행정소송 및 특

별재판소 설치 등의 네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⑧ 원고적격제소권

당사자의 범위에 피해에 영향은 받은 당사자 환경단체 등에 의한 민중

소송 국가의 당사자 자격 인정 등의 안이 제시되었다

⑨ 기타

그 외에 비당사국에게 책임을 지우기 위해 의정서의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가의 여부에 대해 논의가 있었으며 그 대안으로 책임 및 구제에 대한

양자협정을 체결해야 할 필요성도 제시되었다 또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최종합의문에 대해 법적 구속력을 부여하기 위해 가능한 방안에 대한 논의

도 이루어졌다

3 제3차 당사국총회

2006년 3월 브라질 꾸리찌바에서 개최된 제3차 당사국총회는 전문가그

룹회의의 진전을 환영하고 시간계획에 따라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향후 2

년간 총3회의 회의를 소집할 것을 결의하였다15) 또한 참여를 확보하기 위

15)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pp 22 66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3officialmop-03-15-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9 -

한 적절한 재정 지원의 필요성 및 자발적 참여를 촉구하였다 제3차 총회에

서 별다른 논의가 없었던 것은 전문가그룹의 권한 자체가 제4차 총회까지

이뤄지기 때문에 기간의 작업에 대한 확인 및 필요한 부분에 대한 지원방

안 모색 등의 논의 외에 별다른 논의는 없이 진행되었다

4 제4차 당사국총회

2008년 5월 독일 본에서 개최된 제4차 당사국총회는 총회 개최 전부터

책임 및 구제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부담을 안고 시작되었다

그러나 피해의 정의가 생태계 인체 및 사회경제적 피해까지도 고려하고

있는 상황에서 금전적인 문제와 밀접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논의에 합의

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특히 바스프 바이엘크롭사이언스 다우애그로사이

언스 듀퐁파이오니아 몬산토 신젠타 등 6개의 초국적생명공학기업이 자

신들의 안으로 제시한 계약서(Contractual Compensation Agreement)16)는

GMO로 인한 피해의 배상을 당사자 간의 계약으로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나

타낸 것이었다 이에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80개국으로 구성된

lsquoLike-Minded Friends(이하 LMF)rsquo 그룹은 다음의 세 가지를 포함하여 법

적 구속력이 있는 규정을 제안했다17) 첫째 협상 중인 가이드라인에 규정

된 내용을 포함한 국내법이나 정책을 정할 권리를 회원국에게 부여할 것

둘째 타국의 판결에 대해 상호인정과 실행을 위한 준비를 할 것 셋째 가

이드라인은 책임 및 구제 체계가 발효된 후 3년 이내에 재검토할 것 등이

그것이다 이후 이 제안을 중심으로 다양한 논의가 지속된 결과 몇 가지 잠

16)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

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

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

NEPCBDBSWG-LampR53 2008 3) p 7

lthttpwwwcbdintdocmeetingsbsbswglr-05officialbswglr-05-03-enpdfgt(최종방문

일 2011 9 18)

17)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lthttpwwwbiosafety-infonetarticlephpaid=520gt(최종방문일 2011 11 18)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0 -

정적인 합의를 이루고 나머지는 의장단 그룹(Group of the Friends of the

Co-Chairs)이 협상을 지속하여 제5차 총회에서 최종논의를 하기로 하였

다18)

5 제5차 당사국총회

제5차 총회에서의 논의 내용은 사실상 의장단그룹에 의해 최종적으로

채택된 사항에 대한 확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의장단그룹은 네 차례의 회의

를 거쳐 제4차 총회에서의 합의에 따른 법적 구속력을 가진 lsquo책임 및 구제

추가의정서 초안rsquo과 법적 구속력 없는 lsquo민사책임에 관한 가이드라인 초안rsquo

및 보충적 보상체계로 구성된 보고서를 제5차 총회에 제출하였으나 lsquo책임

및 구제 추가의정서 초안rsquo만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19) 이 의정서(안)은

2011년 3월 11일부터 2012년 3월 6일까지 1년 간 회원국의 서명을 받아

40개국이 서명한 90일 후부터 발효할 예정이다

6 추가의정서의 핵심내용

① 전문 사전주의 원칙과 피해가 있거나 충분한 피해가능성이 있는 경

우에 적절한 대응조치를 제공할 필요성을 인정한다

18)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pp 25 85-85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4officialmop-04-18-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19)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21쪽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5officialmop-05-17-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1 -

② 제1조(목적)

GMO에 관한 책임구제 분야의 국제규칙 및 절차를 제공함으로써 생물다

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기여하고 인체건강에 대한 위해를 고려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③ 제2조(용어의 정의)

lsquo피해rsquo란 인체건강에 대한 위해를 고려를 포함한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인간이 야기한

다른 변이나 자연적 변이를 고려하여 책임기관에 의해 인정된 과학적으로

확립된 기준을 고려하여 측정가능하거나 달리 관찰될 수 있어야 한다

lsquo중대한rsquo 부정적 영향에서의 lsquo중대한rsquo이란 합리적 기간 내에 자연적 회복

을 통해서는 구제되지 않을 장기적 또는 영구적 변화 생물다양성의 구성요

소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질적 또는 양적 변화의 정도 재화와 용역

을 제공하는 생물다양성 구성요소 능력의 감소 또는 의정서의 문맥 상 인

체건강에 미칠 부정적 영향의 정도와 같은 요소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④ 제3조(적용범위)

이 의정서는 국가 간 이동에서 유래하는 LMO(Living Modified

Organism)20)로 인한 피해에 적용한다 여기서 LMO는 식품 또는 사료로

직접 이용되거나 가공을 목적으로 하는 LMO 밀폐사용용 LMO 의도적인

환경방출용 LMO를 의미한다 의도적인 국가간 이동에서는 승인된 이용으

로 인한 피해 뿐만 아니라 비의도적인 국가간 이동이나 불법적인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피해에도 적용한다 국내법은 관할권이 있는 지역 범위 내에

서만 적용한다 비당사국 LMO의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피해에도 마찬가지

로 적용한다

⑤ 제4조(인과관계)

20) 여기에서 GMO라고 하지 않고 굳이 LMO라고 한 것은 이 의정서 상에서 살아있는 형태의

GMO만을 대상으로 하고 GMO로 만든 제품(products thereof)은 제외하고 있기 때문이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2 -

인과관계의 입증에 관해서는 국내법에 따른다

⑥ 제5조(대응조치)

당사국은 피해발생 시 국가책임기관의 요건에 따라 적절한 운영자로 하

여금 국가책임기관에게 지체없이 통보하고 피해를 평가하고 적절한 대응

조치를 취하도록 해야 한다 국가책임기관은 피해를 야기한 운영자를 확인

하고 피해를 평가하고 운영자가 취해야 할 대응조치를 결정해야 한다 이

용가능한 과학적 정보와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포함

한 정보에 따르면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피해가 발생할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운영자는 그러한 피해를 피하기 위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해야 한다 국가책임기관은 특히 운영자가 취하지 못한 조치

를 포함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다 국가책임기관은 국내법에서 달

리 정하지 않는 한 피해의 평가와 적절한 조치 및 그에 수반되는 비용을

운영자에게 청구할 권리를 가진다 운영자에게 대응조치를 요구하는 국가책

임기관의 결정은 합리적이어야 하며 운영자에게 통보해야 한다

국내법은 그러한 결정에 대한 사법적ㆍ행정적 심사를 위한 기회를 포함

한 구제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구제방안에 대한 정보를 운영자에게 알려야

한다 국내법에 달리 정하지 않는 한 구제방안이 국가책임기관이 대응조치

를 취하는 것을 방해하지 아니한다 본 조항을 이행함에 있어 그리고 국가

책임기관이 취하는 또는 취하도록 요구되는 특정 대응조치를 정의할 목적

으로 적절한 경우 당사국은 대응조치가 민사책임에 관한 자국 국내법에 이

미 규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대응조치는 국내법에 따라

이행된다

⑦ 제6조(면제)

당사국은 자국의 국내법에 자연재해 또는 불가항력 전쟁 또는 내란의

경우에 이라는 두 가지 면제사유를 정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하다고 간주하

는 기타 면제 및 경감사유를 국내법에 정할 수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3 -

⑧ 제7조(시효)

국내법에 따라 시효를 정할 수 있다

⑨ 제8조(재정적 한계)

국내법에 따라 대응조치에 따른 소요비용의 상한을 정할 수 있다

⑩ 제9조(구상권)

운영자의 제3자에 대한 구상권은 인정된다

⑪ 제10조(재정보증)

당사국은 국내법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또한 국제법

상의 권리와 의무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 첫 총회에서 사무국은 재정보증체계의 양식 보

증체계가 특히 개발도상국에 미치는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영향의 평가

재정보증을 제공하기에 적절한 실체의 확인을 포함한 포괄적인 연구를 수

행해야 한다

⑫ 제11조(국제불법행위에 대한 국가의 책임)

국제불법행위에 의한 책임에 대한 일반적인 국제법규에 따른 국가의 권

리와 의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⑬ 제12조(이행과 민사책임)

당사국은 피해를 규율하는 절차규칙을 국내법으로 정해야 한다 이 의무

를 이행하기 위하여 당사국은 이 의정서에 따른 대응조치를 제공하고 적절

한 경우 민사책임에 관한 적용할 수 있는 일반규칙과 절차를 포함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절차규칙을 적용 또

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할 수 있다 당사국은

민사책임에 관한 국내법에 이 의정서 제2조 제2항 호의 피해에 연루된

물적 또는 인적 피해에 관한 적절한 절차와 규칙을 제공할 목적으로 민사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4 -

책임에 관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법

을 적용 또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해야 한다

민사책임에 관한 법을 개발할 경우에는 피해 엄격 또는 과실책임을 포함한

민사책임기준 적절한 경우 책임의 집중 제소권(제12조 제3항)을 적절하게

정해야 한다

⑭ 제13조(평가 및 재검토)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에는 5년 마다 평가 및 재검토를 해야 한다

⑮ 기타조항

제14조에서 제21조는 사무국 등의 행정관련 조항이다

7 추가의정서의 특징

추가의정서가 채택되었다고는 하나 책임에 관한 규정은 그 원래 목적을

달성하는데 많은 난관이 따른다

우선 추가의정서는 형식적으로 법적 구속력을 가진다고는 하나 그 내용

상으로는 거의 효력이 없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중요한 사항은 모두 국내법에 위임을 했기 때문이다 당사국은 각각 자신들

의 상황에 맞는 책임제도를 GMO에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애초에

개발도상국에서 제안했던 바가 반영된 것이다 GMO 수입국의 입장에서는

GMO로 인해 야기되는 피해에 따른 수출국의 책임을 물릴 수 있는 가능성

을 확보한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GMO 수출국이나 개발사 등이 안전성에 관한 심사

이후의 수입 승인을 근거로 GMO의 안전성을 주장함으로써 국제적인 다툼

이 상당수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국내입법 시에는 이런 문제를 충분히 고

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5 -

Ⅵ 국내 입법 시의 고려사항

1 GMO 특별책임제도 도입의 필요성

추가의정서에서는 주요조항들이 국내법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입증책임이나 대응조치에 따른 운영자의 구제방안 면제사유 시효

소요비용의 상한선 및 민사책임관련법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GMO에 대한

특수성을 인정하여 별도의 법을 만들 것인지 아니면 기존의 민사책임법제

를 그대로 적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고려해야 한다

현재 우리 법상 개발자나 수출자에게 책임을 지울 근거는 만법 상의 손

해배상 책임과 제조물 책임이다 그러나 우리 법은 제조물의 범위에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을 포함시키고 있지 않기 때문에 GM작물에 적용함에 한

계가 따를 수밖에 없다 EU는 1999년 lsquo개정제조물책임지침(Directive

199934EC )rsquo21)에서 미가공인지를 불문하고 일체의 동산에 적용되는 것

으로 개정하여 농산물 등을 모두 포함하도록 하였다22) 이 개정의 근거는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 첫째 제조물의 범위에 1차 농산물을 포함하는

것이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충족시킨다는 것이었다23)

둘째 EU 역내 시장기능의 활성화 등을 고려하여 농산물의 무역이 더 이상

제조자책임에 관한 각국의 상이한 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24) 셋째 무과실책임이 모든 형태의 제조물에 적

용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25) 우리나라도 농축수산물에 대해 이를 제조물

21) Directive 199934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0 May 19

99 Amending Council Directive 85374EEC on the Approximation of the Laws Regu

lations and Administrative Provisions of the Member States Concerning Liability for

Defective Products OL L141 1999 pp20-21

22) 개정제조물책임지침 제1조

23)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5) (6)

lthttpeuropaeuintsmartapicgisga_docsmartapicelexapiprodCELEXnumdocamplg=en

ampnumdoc=31999L0034ampmodel=guichettgt(최종방문일 2011 11 18)

24)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7) (주 21) 원래 제조물책임지침은 제2조에서 농산물을

제외하였으나 제15조 제1항 a에서 각국이 농산물에 대해서는 독자적 입법이 가능하도록 하

였다 이 규정 역시 1999년의 개정으로 삭제되었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6 -

의 범위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제조물책임법의 적용에서 또다른 한계에 봉착한다 바

로 제조물책임법 제4조 제1항의 제조물책임의 면책사유가운데 제2호의 개

발위험의 항변이 그것이다 개발위험이란 제조자가 제조물을 개발하여 유통

시장에 내놓을 당시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에 비추어 인식할 수 없었던 결함

이 존재함으로써 나타나는 위험을 말한다 문제는 과학적기술적 수준이라

는 개념을 확실하게 정의할 수 없다는 점이다 예컨대 GM식품표시에서

DNA나 단백질이 파괴된 경우에는 현대 과학기술 수준으로는 이를 추적할

수 없기 때문에 표시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즉 GMO는 현재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으로는 아직 그 존재조차도 입증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GMO의

위험성 자체가 잠재적인 것이기 때문에 과학적기술적 수준이 개발 당시에

입수가능한 최고 수준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하더라도 한계가 있

기 때문이다 결국 제조물책임법 자체만으로는 GM작물의 피해에 대한 구

제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민사상의 책임을 지우는 데도 일정한 한계가 있다 첫째 GM종

자를 사서 직접 재배한 농민이 피해를 입은 경우는 GM종자를 판매한 기업

에 대하여 계약책임을 물을 수 있다 그러나 GM종자를 재배한 농민으로

인하여 인근 농민이 작물에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계약책임을 물을 수 없

다 개발자와 피해농민 또는 GM종자 재배농민과 피해농민 양자 사이에 계

약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불법행위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는

데 이미 캐나다의 슈마이저 사례를 비롯하여 미국에서의 수많은 GMO관련

소송에서 농민이나 소비자가 자신의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

다는 것을 경험한 바 있다 따라서 GMO의 피해에 관하여 입증책임을 피해

를 입은 자가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 운영자가 GMO로 인한 피해가

아님을 입증하지 못하면 배상책임을 지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시효의 경우에도 손해배상은 손해나 가해자를 알았을 경우에는 3년 불

법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10년이면 청구권은 사라진다 GMO는 그 특성상

25)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8) (주 21)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7 -

문제점이 10년 이내에 나타날 수도 있지만 10년이 지나서 나타날 수도 있

다 그런데 10년이 지났다는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근거가 없어진다면

그 피해를 입은 사람을 구제할 길이 없다 따라서 GMO에 대해서는 그 시

효를 달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은 제조물책임법의 적용도 받

지 않기 때문에 입증책임이나 시효의 면에서 유리한 제조물책임법을 GMO

에 적용할 수도 없다26) 유럽처럼 제조물책임의 범위 내에 농산물 등을 포

함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GMO의 피해에 따른 책임에 대한 별도의 입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2 추가의정서 적용범위의 확대

추가의정서는 그 대상이 살아있는 GMO에 한정되었다 즉 GM작물이

작물의 형태로 수입되는 경우에는 이 의정서 상의 책임에 관한 적용을 받

지만 그것이 1차 가공된 형태로 수입될 경우 예컨대 가루로 수입될 경우

또는 사료용으로 수입되는 대두박 등과 같은 경우에는 그로 인한 피해는

이 의정서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의정서 초안을 마련할 당

시부터 의장단그룹의 회의에 이르기까지 가장 논란이 많았던 조항 가운데

하나이다 의장단그룹의 최종회의인 제4차 회의에서도 닷새 간 논란이 지속

되었다 GMO제품을 넣어야 한다는 의견에서부터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부속

서II의 일반원칙에 나오는 범위27)만큼만 하자는 의견 아예 빼야 한다는 의

견 등이 매일 서로 다른 그룹이 찬성과 반대로 얽히면서 결국 마지막에 삭

제되었다 문제는 농산물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살아있는

GMO만을 대상으로 하면 불리하다는 점이다28) 따라서 의정서 상에 포함되

26) 제조물책임법 제7조 제2항 단서는 lsquo신체에 누적되어 사람의 건강을 해하는 물질에 의하여

발생한 손해 또는 일정한 잠복기간이 경과한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손해에 대하여는 그 손

해가 발생한 날부터 기산한다rsquo고 정하고 있다

27) 유전자변형생물체 또는 그 산물 즉 유전자변형생물체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현대생명공학

의 사용에 의하여 얻어진 복제능력이 있는 유전물질의 검출 가능한 수준의 조합을 지닌 가

공물질과 관련된(이하 생략)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8 -

지 않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는 다른 GMO와 동일하게 책임에 관한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이행법이라

할 수 있는 lsquo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하 GMO

법)rsquo에서 우리나라는 국가 간 이동에 관한 것만 규율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

에서의 연구middot개발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일정 정도 포함하도록 그 적용범위

를 확대하였다 따라서 이 추가의정서에 따른 이행법을 제정할 경우에도 그

적용범위를 확대하여 GMO제품에 의한 피해에도 책임제도를 적용할 수 있

도록 할 필요가 있다

3 배상책임의 주체 및 재원마련 방안

책임 및 복구 제도에서의 핵심은 피해가 생겼을 경우에 부담해야 할 배

상액을 어떻게 마련하느냐에 있다 우리나라는 의정서의 이행법인 GMO법

을 만들 당시부터 책임 및 복구에 관한 재원마련에 대해 기금 공제제도

보험 등의 제도 도입과 관련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다29) 예컨대 처음 GMO

법을 만들 당시에는 재원마련의 방안으로 공제제도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법이 통과될 당시에는 공제제도를 비롯한 여타의 안들

은 다 삭제되고 단지 GMO법 제34조에서 국가책임기관의 장은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수출입 등과 관련하여 국민의 건강과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

가능한 이용에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재원

확보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을 뿐이다

추가의정서는 피해가 생겼을 경우의 책임에 대하여 재정보증 규정을 두

었다 제3차 의장단그룹회의까지만 하더라도 보험 등 구체적인 재정보증방

안이 제시되었으나 제4차 의장단그룹회의에서는 사흘에 걸친 회의 끝에 보

험 등의 실제적인 방안을 삭제하고 대신 발효 후의 당사국 총회에서 사무

국이 재정보증체계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책임 및 복구에서

28) 물론 우리나라는 제4차 의장단그룹 회의에서 GMO제품을 넣자는 의견에 동의하였다

29)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교 법학논문

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32-34쪽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9 -

가장 중요한 조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구체적인 방안은 각국에게 위

임된 셈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재정보증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야 한다 초기의 공제제도뿐만 아니라 보험 등 다양한 기존의 제도를 중심

으로 다른 나라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제도를 만들 필요

가 있다 특히 독일 환경책임법과 유전공학법에 정하고 있는 담보제공의

무30)에 대한 국내법에의 도입방안을 고려해 볼 만하다 독일은 담보제공의

방법으로서 책임보험 연방이나 주(州)의 면제나 보증 또는 책임보험에 의

한 담보제공이나 금융기관의 면제나 보증 등으로 가능하다31) 우리도 이와

같은 제도 등을 통하여 피해에 대한 배상의 재원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Ⅴ 결 론

GMO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하면서 GMO의 재배에 따른 위험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논란이 되어 왔다 그러나 그 책임에 관한 구제척인 국

제기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의정서 당사국들도 구체적인 책임제도를 만드

는 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런 논란 끝에 만들어진 책임제도는

결국 논란을 이겨내지 못했다 각 당사국이 국내입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

도록 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법으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을 확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책임주체의 문제에서부터 배상액에 이르기까지 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추가의정서에서 국내 입법으로 위임하고 있는 대표

적인 것이 책임제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인과관계의 입증 면제사유 시

효 등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현행 책임제도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대

응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GMO를 위한 특별한 책임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이 특별책임제도의 대상은 GM작물뿐만 아니라 이를 원료로 생산한

30) 환경책임법 제19조 제1항 유전공학법 제36조 제1항

31)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0 -

다양한 상품까지도 포함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실제 유통되거

나 최종상품화하는 것은 작물 그 자체보다는 가공식품 등이기 때문이다 마

지막으로 GMO 책임제도를 현실화하기 위한 재정마련 방안이 필요하다 가

해 당사자가 책임을 질 수 있는 제도로서 담보제공의무 등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투고일 2011 12 14 심사일 2011 12 22 게재확정일 2011 12 26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1 -

참 고 문 헌

김은진 ldquo생명공학기술의 상업화에 따른 책임rdquo「경영법률」제17집 제1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06 10

김은진 ldquoGMO책임 및 복구 추가의정서 채택의 의미 및 대응방안rdquo「농업농

민정책연구소 녀름 이슈보고서」 2010 10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

교 법학논문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UNEPCBD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115 2004 4)

UNEPCBD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UNEPCBD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

WG-LampR12 - UNEPCBDCOP-MOP2INF 5 2005 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2 -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UNEPCBD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NEPCBDBSWG-LampR53 2008 3)

UNEPCBD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lthttpeuropaeuintgt

lthttpwwwcbdintgt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gt

주 제 어

추가의정서 GMO위험 책임제도 배상제도 환경책임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3 -

[ABSTRACT]

Liability on GMOs Potential Risk in Supplementary

Protocol

Kim Eun - Jin

GMO has been issued on its potential risk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GMOs However there is no international legal

system on liability and remedies Developed conturies did not want

to have a strong regulation on GMOs potential risk while developing

countries tried to make a strict liability on GMOs risk

As a result of 10 years discussions the Supplementary Protocol

was adapted Main issue of this protocol is liability and remedies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First the Protocol did not present the legal system of liability and

remedies Instead the protocol delegates the legal system of

national laws

Secondly this protocol covers only living GMO However living

GMOs are very few in market and most of all GMOs are processed

Thirdly there is no regulation for finance which is huge in GMOs

damages on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For implementation act we have to consider how to solve them

For example whether the new law which covers GMOs special

liability is established

Key Words

Supplementary Protocol GMo Risk Liability Remedies Environment

Liability

Page 7: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cmsorgan.wku.ac.kr/reslaw/wp-content/uploads/sites/60/... · 2016-12-02 ·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5 -

2005년 미국에서는 라운드업 제초제내성 GM콩을 재배한 결과 해당 제

초제에 내성을 지닌 잡초가 늘어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10) 그

결과 해당 GM콩을 재배하기 시작한 지 3년 이내에 제초제 사용량이 4배에

서 많이는 13배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라운드업 제초제에 대한 내

성으로 인하여 또다른 제초제를 더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초제 사용량은

늘어날 수밖에 없다

실제 제초제내성 GM작물의 재배를 유도하기 위하여 GM작물 개발사는

항상 제초제 사용량이 현저하게 준다는 것을 강조해 왔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동안 우려해 왔던 유전자전이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계속 사용

함으로써 제초제에 대한 일반적인 내성 자체로 인해 제초제 사용량이 오히

려 늘어날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III 의정서 상의 책임에 관한 논의 동향

1 제1차 당사국총회

의정서 협상 초기부터 논란의 대상이 된 의제가 바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조항이다 선진국들은 일반적인 손해배상 책임제도로 충분히 GMO로

인한 예기치 못한 손해에 대처할 수 있고 의정서 자체는 국가간 이동 과정

에서의 절차적 측면만을 정하면 된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개발도상국은

선진국의 초국적생명공학기업에 의해 개발된 GMO를 주로 수입하는 입장이

기 때문에 이런 손해가 생겼을 경우 구제를 위한 책임체계가 의정서 내에

포함되기를 기대하였다

의정서가 채택되고 시행되기 전에 세 차례에 걸친 정부간 회의에서 책

10)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

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pp 301ndash311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indexphpcontent=re_ detailampgw_id=76ampre

g=0ampinc=3ampcon=0ampcof=0ampyear=2005amphandle2_page=gt(최종방문일 2011 11 18)에서

재인용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6 -

임 및 구제체계의 구축을 위하여 책임에 관한 관련협약의 동향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제1차 총회에 제출하였다 2004년 2월 말레

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된 제1차 당사국총회에서는 전문가 작업반을

구성하고 이 전문가 작업반의 회의 준비를 위하여 lsquo책임 및 구제에 관한 전

문가기술그룹(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rsquo회

의도 개최하였다 또한 전문가그룹에게 다음의 권한을 위임하고 4년 안에

이를 완수하도록 하였다11)

우선 GMO의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손해와 관련하여 당사국 국제기구

및 이해당사자들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심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관련 국제

절차규칙의 성격과 내용에 관한 이해와 합의를 도출하도록 한다 또한 손해

에 관한 쟁점으로 손해의 정의와 성질 생물다양성 및 인체건강에 대한 손

해의 평가 손해의 최소조건 인과관계 책임배상의 집중 수출입당사자의

역할 책임배상의 기준 재정보증체계 원고적격제소권 등에 관하여 논의하

도록 하였다12)

2 제2차 당사국총회

2005년 5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된 제2차 당사국총회에서는 전문

가 작업반의 보고서를 채택하였다13) 보고서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14)

11)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

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UNEPCBDBSCOP-MOP115 2004

4) pp 22-24 lthttpwwwcbdintdocmeetingsbsmop-01officialmop-01-15-end

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12) Decision BS-I8

13)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pp 23-24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2officialmop-02-15-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14)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

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

BDBSWG-LampR12 - UNEPCBDCOP-MOP2INF5 2005 2)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7 -

① 피해의 정의와 범위

피해의 정의에는 환경 인체 및 사회경제적 피해 등을 고려할 수 있다

피해의 범위에 대해서는 GMO의 통과 및 운송 중에 발생한 피해와 운송

통과 취급 이용 중에 발생한 모든 피해 및 비의도적 국가간 이동까지 포

함한 피해를 범위로 정하자는 안 등 시기적 범위와 지리적 범위 등에 대한

다양한 피해가 제시되었다

② 피해의 평가

피해의 평가의 전제로서의 위해성 평가와 분석을 통한 위험 발생 가능

성을 평가하고 이에 따른 관리 및 용인 가능성을 평가해야 한다 또한 평가

의 기준으로 피해발생 이전의 상태에 대한 평가도 필수적이다

③ 인과관계

인과관계의 심사를 위하여 피해의 예측가능성 직간접피해의 구별 직접

적 원인 등을 고려할 수 있다 그 외 입증책임 등도 논의의 대상이다

④ 책임배상의 집중

책임배상의 주체를 누구로 할 것인가의 문제로 일차적 국가책임배상 운

영자의 일차책임과 국가의 잔존책임배상 국가책임을 인정하지 않고 민사

및 행정적 접근방식을 취해야 한다는 세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⑤ 책임배상의 기준

과실책임과 무과실책임(엄격책임)의 견해가 대립되었다 주로 수출국은

과실책임 수입국 또는 개발도상국 및 환경단체 등은 무과실책임을 주장하

였다

⑥ 재정보증 체계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2informationmop-02-inf-05-endocgt(최종

방문일 2011 11 18)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8 -

구제비용 마련을 위한 재원 마련 방안으로 생명공학기업의 출연금으로

조성된 기금 공공기금 및 공공기금과 사적기금의 결합 등의 세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또한 보험제도의 활용가능성 또한 제시되었다

⑦ 분쟁해결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방식으로 국가간 소송 민사소송 행정소송 및 특

별재판소 설치 등의 네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⑧ 원고적격제소권

당사자의 범위에 피해에 영향은 받은 당사자 환경단체 등에 의한 민중

소송 국가의 당사자 자격 인정 등의 안이 제시되었다

⑨ 기타

그 외에 비당사국에게 책임을 지우기 위해 의정서의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가의 여부에 대해 논의가 있었으며 그 대안으로 책임 및 구제에 대한

양자협정을 체결해야 할 필요성도 제시되었다 또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최종합의문에 대해 법적 구속력을 부여하기 위해 가능한 방안에 대한 논의

도 이루어졌다

3 제3차 당사국총회

2006년 3월 브라질 꾸리찌바에서 개최된 제3차 당사국총회는 전문가그

룹회의의 진전을 환영하고 시간계획에 따라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향후 2

년간 총3회의 회의를 소집할 것을 결의하였다15) 또한 참여를 확보하기 위

15)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pp 22 66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3officialmop-03-15-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9 -

한 적절한 재정 지원의 필요성 및 자발적 참여를 촉구하였다 제3차 총회에

서 별다른 논의가 없었던 것은 전문가그룹의 권한 자체가 제4차 총회까지

이뤄지기 때문에 기간의 작업에 대한 확인 및 필요한 부분에 대한 지원방

안 모색 등의 논의 외에 별다른 논의는 없이 진행되었다

4 제4차 당사국총회

2008년 5월 독일 본에서 개최된 제4차 당사국총회는 총회 개최 전부터

책임 및 구제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부담을 안고 시작되었다

그러나 피해의 정의가 생태계 인체 및 사회경제적 피해까지도 고려하고

있는 상황에서 금전적인 문제와 밀접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논의에 합의

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특히 바스프 바이엘크롭사이언스 다우애그로사이

언스 듀퐁파이오니아 몬산토 신젠타 등 6개의 초국적생명공학기업이 자

신들의 안으로 제시한 계약서(Contractual Compensation Agreement)16)는

GMO로 인한 피해의 배상을 당사자 간의 계약으로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나

타낸 것이었다 이에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80개국으로 구성된

lsquoLike-Minded Friends(이하 LMF)rsquo 그룹은 다음의 세 가지를 포함하여 법

적 구속력이 있는 규정을 제안했다17) 첫째 협상 중인 가이드라인에 규정

된 내용을 포함한 국내법이나 정책을 정할 권리를 회원국에게 부여할 것

둘째 타국의 판결에 대해 상호인정과 실행을 위한 준비를 할 것 셋째 가

이드라인은 책임 및 구제 체계가 발효된 후 3년 이내에 재검토할 것 등이

그것이다 이후 이 제안을 중심으로 다양한 논의가 지속된 결과 몇 가지 잠

16)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

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

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

NEPCBDBSWG-LampR53 2008 3) p 7

lthttpwwwcbdintdocmeetingsbsbswglr-05officialbswglr-05-03-enpdfgt(최종방문

일 2011 9 18)

17)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lthttpwwwbiosafety-infonetarticlephpaid=520gt(최종방문일 2011 11 18)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0 -

정적인 합의를 이루고 나머지는 의장단 그룹(Group of the Friends of the

Co-Chairs)이 협상을 지속하여 제5차 총회에서 최종논의를 하기로 하였

다18)

5 제5차 당사국총회

제5차 총회에서의 논의 내용은 사실상 의장단그룹에 의해 최종적으로

채택된 사항에 대한 확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의장단그룹은 네 차례의 회의

를 거쳐 제4차 총회에서의 합의에 따른 법적 구속력을 가진 lsquo책임 및 구제

추가의정서 초안rsquo과 법적 구속력 없는 lsquo민사책임에 관한 가이드라인 초안rsquo

및 보충적 보상체계로 구성된 보고서를 제5차 총회에 제출하였으나 lsquo책임

및 구제 추가의정서 초안rsquo만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19) 이 의정서(안)은

2011년 3월 11일부터 2012년 3월 6일까지 1년 간 회원국의 서명을 받아

40개국이 서명한 90일 후부터 발효할 예정이다

6 추가의정서의 핵심내용

① 전문 사전주의 원칙과 피해가 있거나 충분한 피해가능성이 있는 경

우에 적절한 대응조치를 제공할 필요성을 인정한다

18)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pp 25 85-85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4officialmop-04-18-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19)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21쪽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5officialmop-05-17-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1 -

② 제1조(목적)

GMO에 관한 책임구제 분야의 국제규칙 및 절차를 제공함으로써 생물다

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기여하고 인체건강에 대한 위해를 고려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③ 제2조(용어의 정의)

lsquo피해rsquo란 인체건강에 대한 위해를 고려를 포함한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인간이 야기한

다른 변이나 자연적 변이를 고려하여 책임기관에 의해 인정된 과학적으로

확립된 기준을 고려하여 측정가능하거나 달리 관찰될 수 있어야 한다

lsquo중대한rsquo 부정적 영향에서의 lsquo중대한rsquo이란 합리적 기간 내에 자연적 회복

을 통해서는 구제되지 않을 장기적 또는 영구적 변화 생물다양성의 구성요

소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질적 또는 양적 변화의 정도 재화와 용역

을 제공하는 생물다양성 구성요소 능력의 감소 또는 의정서의 문맥 상 인

체건강에 미칠 부정적 영향의 정도와 같은 요소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④ 제3조(적용범위)

이 의정서는 국가 간 이동에서 유래하는 LMO(Living Modified

Organism)20)로 인한 피해에 적용한다 여기서 LMO는 식품 또는 사료로

직접 이용되거나 가공을 목적으로 하는 LMO 밀폐사용용 LMO 의도적인

환경방출용 LMO를 의미한다 의도적인 국가간 이동에서는 승인된 이용으

로 인한 피해 뿐만 아니라 비의도적인 국가간 이동이나 불법적인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피해에도 적용한다 국내법은 관할권이 있는 지역 범위 내에

서만 적용한다 비당사국 LMO의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피해에도 마찬가지

로 적용한다

⑤ 제4조(인과관계)

20) 여기에서 GMO라고 하지 않고 굳이 LMO라고 한 것은 이 의정서 상에서 살아있는 형태의

GMO만을 대상으로 하고 GMO로 만든 제품(products thereof)은 제외하고 있기 때문이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2 -

인과관계의 입증에 관해서는 국내법에 따른다

⑥ 제5조(대응조치)

당사국은 피해발생 시 국가책임기관의 요건에 따라 적절한 운영자로 하

여금 국가책임기관에게 지체없이 통보하고 피해를 평가하고 적절한 대응

조치를 취하도록 해야 한다 국가책임기관은 피해를 야기한 운영자를 확인

하고 피해를 평가하고 운영자가 취해야 할 대응조치를 결정해야 한다 이

용가능한 과학적 정보와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포함

한 정보에 따르면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피해가 발생할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운영자는 그러한 피해를 피하기 위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해야 한다 국가책임기관은 특히 운영자가 취하지 못한 조치

를 포함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다 국가책임기관은 국내법에서 달

리 정하지 않는 한 피해의 평가와 적절한 조치 및 그에 수반되는 비용을

운영자에게 청구할 권리를 가진다 운영자에게 대응조치를 요구하는 국가책

임기관의 결정은 합리적이어야 하며 운영자에게 통보해야 한다

국내법은 그러한 결정에 대한 사법적ㆍ행정적 심사를 위한 기회를 포함

한 구제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구제방안에 대한 정보를 운영자에게 알려야

한다 국내법에 달리 정하지 않는 한 구제방안이 국가책임기관이 대응조치

를 취하는 것을 방해하지 아니한다 본 조항을 이행함에 있어 그리고 국가

책임기관이 취하는 또는 취하도록 요구되는 특정 대응조치를 정의할 목적

으로 적절한 경우 당사국은 대응조치가 민사책임에 관한 자국 국내법에 이

미 규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대응조치는 국내법에 따라

이행된다

⑦ 제6조(면제)

당사국은 자국의 국내법에 자연재해 또는 불가항력 전쟁 또는 내란의

경우에 이라는 두 가지 면제사유를 정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하다고 간주하

는 기타 면제 및 경감사유를 국내법에 정할 수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3 -

⑧ 제7조(시효)

국내법에 따라 시효를 정할 수 있다

⑨ 제8조(재정적 한계)

국내법에 따라 대응조치에 따른 소요비용의 상한을 정할 수 있다

⑩ 제9조(구상권)

운영자의 제3자에 대한 구상권은 인정된다

⑪ 제10조(재정보증)

당사국은 국내법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또한 국제법

상의 권리와 의무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 첫 총회에서 사무국은 재정보증체계의 양식 보

증체계가 특히 개발도상국에 미치는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영향의 평가

재정보증을 제공하기에 적절한 실체의 확인을 포함한 포괄적인 연구를 수

행해야 한다

⑫ 제11조(국제불법행위에 대한 국가의 책임)

국제불법행위에 의한 책임에 대한 일반적인 국제법규에 따른 국가의 권

리와 의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⑬ 제12조(이행과 민사책임)

당사국은 피해를 규율하는 절차규칙을 국내법으로 정해야 한다 이 의무

를 이행하기 위하여 당사국은 이 의정서에 따른 대응조치를 제공하고 적절

한 경우 민사책임에 관한 적용할 수 있는 일반규칙과 절차를 포함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절차규칙을 적용 또

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할 수 있다 당사국은

민사책임에 관한 국내법에 이 의정서 제2조 제2항 호의 피해에 연루된

물적 또는 인적 피해에 관한 적절한 절차와 규칙을 제공할 목적으로 민사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4 -

책임에 관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법

을 적용 또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해야 한다

민사책임에 관한 법을 개발할 경우에는 피해 엄격 또는 과실책임을 포함한

민사책임기준 적절한 경우 책임의 집중 제소권(제12조 제3항)을 적절하게

정해야 한다

⑭ 제13조(평가 및 재검토)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에는 5년 마다 평가 및 재검토를 해야 한다

⑮ 기타조항

제14조에서 제21조는 사무국 등의 행정관련 조항이다

7 추가의정서의 특징

추가의정서가 채택되었다고는 하나 책임에 관한 규정은 그 원래 목적을

달성하는데 많은 난관이 따른다

우선 추가의정서는 형식적으로 법적 구속력을 가진다고는 하나 그 내용

상으로는 거의 효력이 없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중요한 사항은 모두 국내법에 위임을 했기 때문이다 당사국은 각각 자신들

의 상황에 맞는 책임제도를 GMO에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애초에

개발도상국에서 제안했던 바가 반영된 것이다 GMO 수입국의 입장에서는

GMO로 인해 야기되는 피해에 따른 수출국의 책임을 물릴 수 있는 가능성

을 확보한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GMO 수출국이나 개발사 등이 안전성에 관한 심사

이후의 수입 승인을 근거로 GMO의 안전성을 주장함으로써 국제적인 다툼

이 상당수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국내입법 시에는 이런 문제를 충분히 고

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5 -

Ⅵ 국내 입법 시의 고려사항

1 GMO 특별책임제도 도입의 필요성

추가의정서에서는 주요조항들이 국내법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입증책임이나 대응조치에 따른 운영자의 구제방안 면제사유 시효

소요비용의 상한선 및 민사책임관련법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GMO에 대한

특수성을 인정하여 별도의 법을 만들 것인지 아니면 기존의 민사책임법제

를 그대로 적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고려해야 한다

현재 우리 법상 개발자나 수출자에게 책임을 지울 근거는 만법 상의 손

해배상 책임과 제조물 책임이다 그러나 우리 법은 제조물의 범위에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을 포함시키고 있지 않기 때문에 GM작물에 적용함에 한

계가 따를 수밖에 없다 EU는 1999년 lsquo개정제조물책임지침(Directive

199934EC )rsquo21)에서 미가공인지를 불문하고 일체의 동산에 적용되는 것

으로 개정하여 농산물 등을 모두 포함하도록 하였다22) 이 개정의 근거는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 첫째 제조물의 범위에 1차 농산물을 포함하는

것이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충족시킨다는 것이었다23)

둘째 EU 역내 시장기능의 활성화 등을 고려하여 농산물의 무역이 더 이상

제조자책임에 관한 각국의 상이한 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24) 셋째 무과실책임이 모든 형태의 제조물에 적

용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25) 우리나라도 농축수산물에 대해 이를 제조물

21) Directive 199934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0 May 19

99 Amending Council Directive 85374EEC on the Approximation of the Laws Regu

lations and Administrative Provisions of the Member States Concerning Liability for

Defective Products OL L141 1999 pp20-21

22) 개정제조물책임지침 제1조

23)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5) (6)

lthttpeuropaeuintsmartapicgisga_docsmartapicelexapiprodCELEXnumdocamplg=en

ampnumdoc=31999L0034ampmodel=guichettgt(최종방문일 2011 11 18)

24)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7) (주 21) 원래 제조물책임지침은 제2조에서 농산물을

제외하였으나 제15조 제1항 a에서 각국이 농산물에 대해서는 독자적 입법이 가능하도록 하

였다 이 규정 역시 1999년의 개정으로 삭제되었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6 -

의 범위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제조물책임법의 적용에서 또다른 한계에 봉착한다 바

로 제조물책임법 제4조 제1항의 제조물책임의 면책사유가운데 제2호의 개

발위험의 항변이 그것이다 개발위험이란 제조자가 제조물을 개발하여 유통

시장에 내놓을 당시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에 비추어 인식할 수 없었던 결함

이 존재함으로써 나타나는 위험을 말한다 문제는 과학적기술적 수준이라

는 개념을 확실하게 정의할 수 없다는 점이다 예컨대 GM식품표시에서

DNA나 단백질이 파괴된 경우에는 현대 과학기술 수준으로는 이를 추적할

수 없기 때문에 표시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즉 GMO는 현재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으로는 아직 그 존재조차도 입증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GMO의

위험성 자체가 잠재적인 것이기 때문에 과학적기술적 수준이 개발 당시에

입수가능한 최고 수준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하더라도 한계가 있

기 때문이다 결국 제조물책임법 자체만으로는 GM작물의 피해에 대한 구

제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민사상의 책임을 지우는 데도 일정한 한계가 있다 첫째 GM종

자를 사서 직접 재배한 농민이 피해를 입은 경우는 GM종자를 판매한 기업

에 대하여 계약책임을 물을 수 있다 그러나 GM종자를 재배한 농민으로

인하여 인근 농민이 작물에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계약책임을 물을 수 없

다 개발자와 피해농민 또는 GM종자 재배농민과 피해농민 양자 사이에 계

약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불법행위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는

데 이미 캐나다의 슈마이저 사례를 비롯하여 미국에서의 수많은 GMO관련

소송에서 농민이나 소비자가 자신의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

다는 것을 경험한 바 있다 따라서 GMO의 피해에 관하여 입증책임을 피해

를 입은 자가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 운영자가 GMO로 인한 피해가

아님을 입증하지 못하면 배상책임을 지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시효의 경우에도 손해배상은 손해나 가해자를 알았을 경우에는 3년 불

법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10년이면 청구권은 사라진다 GMO는 그 특성상

25)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8) (주 21)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7 -

문제점이 10년 이내에 나타날 수도 있지만 10년이 지나서 나타날 수도 있

다 그런데 10년이 지났다는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근거가 없어진다면

그 피해를 입은 사람을 구제할 길이 없다 따라서 GMO에 대해서는 그 시

효를 달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은 제조물책임법의 적용도 받

지 않기 때문에 입증책임이나 시효의 면에서 유리한 제조물책임법을 GMO

에 적용할 수도 없다26) 유럽처럼 제조물책임의 범위 내에 농산물 등을 포

함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GMO의 피해에 따른 책임에 대한 별도의 입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2 추가의정서 적용범위의 확대

추가의정서는 그 대상이 살아있는 GMO에 한정되었다 즉 GM작물이

작물의 형태로 수입되는 경우에는 이 의정서 상의 책임에 관한 적용을 받

지만 그것이 1차 가공된 형태로 수입될 경우 예컨대 가루로 수입될 경우

또는 사료용으로 수입되는 대두박 등과 같은 경우에는 그로 인한 피해는

이 의정서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의정서 초안을 마련할 당

시부터 의장단그룹의 회의에 이르기까지 가장 논란이 많았던 조항 가운데

하나이다 의장단그룹의 최종회의인 제4차 회의에서도 닷새 간 논란이 지속

되었다 GMO제품을 넣어야 한다는 의견에서부터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부속

서II의 일반원칙에 나오는 범위27)만큼만 하자는 의견 아예 빼야 한다는 의

견 등이 매일 서로 다른 그룹이 찬성과 반대로 얽히면서 결국 마지막에 삭

제되었다 문제는 농산물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살아있는

GMO만을 대상으로 하면 불리하다는 점이다28) 따라서 의정서 상에 포함되

26) 제조물책임법 제7조 제2항 단서는 lsquo신체에 누적되어 사람의 건강을 해하는 물질에 의하여

발생한 손해 또는 일정한 잠복기간이 경과한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손해에 대하여는 그 손

해가 발생한 날부터 기산한다rsquo고 정하고 있다

27) 유전자변형생물체 또는 그 산물 즉 유전자변형생물체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현대생명공학

의 사용에 의하여 얻어진 복제능력이 있는 유전물질의 검출 가능한 수준의 조합을 지닌 가

공물질과 관련된(이하 생략)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8 -

지 않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는 다른 GMO와 동일하게 책임에 관한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이행법이라

할 수 있는 lsquo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하 GMO

법)rsquo에서 우리나라는 국가 간 이동에 관한 것만 규율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

에서의 연구middot개발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일정 정도 포함하도록 그 적용범위

를 확대하였다 따라서 이 추가의정서에 따른 이행법을 제정할 경우에도 그

적용범위를 확대하여 GMO제품에 의한 피해에도 책임제도를 적용할 수 있

도록 할 필요가 있다

3 배상책임의 주체 및 재원마련 방안

책임 및 복구 제도에서의 핵심은 피해가 생겼을 경우에 부담해야 할 배

상액을 어떻게 마련하느냐에 있다 우리나라는 의정서의 이행법인 GMO법

을 만들 당시부터 책임 및 복구에 관한 재원마련에 대해 기금 공제제도

보험 등의 제도 도입과 관련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다29) 예컨대 처음 GMO

법을 만들 당시에는 재원마련의 방안으로 공제제도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법이 통과될 당시에는 공제제도를 비롯한 여타의 안들

은 다 삭제되고 단지 GMO법 제34조에서 국가책임기관의 장은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수출입 등과 관련하여 국민의 건강과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

가능한 이용에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재원

확보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을 뿐이다

추가의정서는 피해가 생겼을 경우의 책임에 대하여 재정보증 규정을 두

었다 제3차 의장단그룹회의까지만 하더라도 보험 등 구체적인 재정보증방

안이 제시되었으나 제4차 의장단그룹회의에서는 사흘에 걸친 회의 끝에 보

험 등의 실제적인 방안을 삭제하고 대신 발효 후의 당사국 총회에서 사무

국이 재정보증체계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책임 및 복구에서

28) 물론 우리나라는 제4차 의장단그룹 회의에서 GMO제품을 넣자는 의견에 동의하였다

29)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교 법학논문

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32-34쪽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9 -

가장 중요한 조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구체적인 방안은 각국에게 위

임된 셈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재정보증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야 한다 초기의 공제제도뿐만 아니라 보험 등 다양한 기존의 제도를 중심

으로 다른 나라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제도를 만들 필요

가 있다 특히 독일 환경책임법과 유전공학법에 정하고 있는 담보제공의

무30)에 대한 국내법에의 도입방안을 고려해 볼 만하다 독일은 담보제공의

방법으로서 책임보험 연방이나 주(州)의 면제나 보증 또는 책임보험에 의

한 담보제공이나 금융기관의 면제나 보증 등으로 가능하다31) 우리도 이와

같은 제도 등을 통하여 피해에 대한 배상의 재원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Ⅴ 결 론

GMO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하면서 GMO의 재배에 따른 위험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논란이 되어 왔다 그러나 그 책임에 관한 구제척인 국

제기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의정서 당사국들도 구체적인 책임제도를 만드

는 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런 논란 끝에 만들어진 책임제도는

결국 논란을 이겨내지 못했다 각 당사국이 국내입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

도록 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법으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을 확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책임주체의 문제에서부터 배상액에 이르기까지 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추가의정서에서 국내 입법으로 위임하고 있는 대표

적인 것이 책임제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인과관계의 입증 면제사유 시

효 등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현행 책임제도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대

응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GMO를 위한 특별한 책임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이 특별책임제도의 대상은 GM작물뿐만 아니라 이를 원료로 생산한

30) 환경책임법 제19조 제1항 유전공학법 제36조 제1항

31)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0 -

다양한 상품까지도 포함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실제 유통되거

나 최종상품화하는 것은 작물 그 자체보다는 가공식품 등이기 때문이다 마

지막으로 GMO 책임제도를 현실화하기 위한 재정마련 방안이 필요하다 가

해 당사자가 책임을 질 수 있는 제도로서 담보제공의무 등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투고일 2011 12 14 심사일 2011 12 22 게재확정일 2011 12 26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1 -

참 고 문 헌

김은진 ldquo생명공학기술의 상업화에 따른 책임rdquo「경영법률」제17집 제1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06 10

김은진 ldquoGMO책임 및 복구 추가의정서 채택의 의미 및 대응방안rdquo「농업농

민정책연구소 녀름 이슈보고서」 2010 10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

교 법학논문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UNEPCBD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115 2004 4)

UNEPCBD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UNEPCBD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

WG-LampR12 - UNEPCBDCOP-MOP2INF 5 2005 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2 -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UNEPCBD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NEPCBDBSWG-LampR53 2008 3)

UNEPCBD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lthttpeuropaeuintgt

lthttpwwwcbdintgt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gt

주 제 어

추가의정서 GMO위험 책임제도 배상제도 환경책임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3 -

[ABSTRACT]

Liability on GMOs Potential Risk in Supplementary

Protocol

Kim Eun - Jin

GMO has been issued on its potential risk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GMOs However there is no international legal

system on liability and remedies Developed conturies did not want

to have a strong regulation on GMOs potential risk while developing

countries tried to make a strict liability on GMOs risk

As a result of 10 years discussions the Supplementary Protocol

was adapted Main issue of this protocol is liability and remedies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First the Protocol did not present the legal system of liability and

remedies Instead the protocol delegates the legal system of

national laws

Secondly this protocol covers only living GMO However living

GMOs are very few in market and most of all GMOs are processed

Thirdly there is no regulation for finance which is huge in GMOs

damages on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For implementation act we have to consider how to solve them

For example whether the new law which covers GMOs special

liability is established

Key Words

Supplementary Protocol GMo Risk Liability Remedies Environment

Liability

Page 8: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cmsorgan.wku.ac.kr/reslaw/wp-content/uploads/sites/60/... · 2016-12-02 ·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6 -

임 및 구제체계의 구축을 위하여 책임에 관한 관련협약의 동향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제1차 총회에 제출하였다 2004년 2월 말레

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된 제1차 당사국총회에서는 전문가 작업반을

구성하고 이 전문가 작업반의 회의 준비를 위하여 lsquo책임 및 구제에 관한 전

문가기술그룹(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rsquo회

의도 개최하였다 또한 전문가그룹에게 다음의 권한을 위임하고 4년 안에

이를 완수하도록 하였다11)

우선 GMO의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손해와 관련하여 당사국 국제기구

및 이해당사자들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심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관련 국제

절차규칙의 성격과 내용에 관한 이해와 합의를 도출하도록 한다 또한 손해

에 관한 쟁점으로 손해의 정의와 성질 생물다양성 및 인체건강에 대한 손

해의 평가 손해의 최소조건 인과관계 책임배상의 집중 수출입당사자의

역할 책임배상의 기준 재정보증체계 원고적격제소권 등에 관하여 논의하

도록 하였다12)

2 제2차 당사국총회

2005년 5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된 제2차 당사국총회에서는 전문

가 작업반의 보고서를 채택하였다13) 보고서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14)

11)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

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UNEPCBDBSCOP-MOP115 2004

4) pp 22-24 lthttpwwwcbdintdocmeetingsbsmop-01officialmop-01-15-end

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12) Decision BS-I8

13)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pp 23-24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2officialmop-02-15-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14)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

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

BDBSWG-LampR12 - UNEPCBDCOP-MOP2INF5 2005 2)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7 -

① 피해의 정의와 범위

피해의 정의에는 환경 인체 및 사회경제적 피해 등을 고려할 수 있다

피해의 범위에 대해서는 GMO의 통과 및 운송 중에 발생한 피해와 운송

통과 취급 이용 중에 발생한 모든 피해 및 비의도적 국가간 이동까지 포

함한 피해를 범위로 정하자는 안 등 시기적 범위와 지리적 범위 등에 대한

다양한 피해가 제시되었다

② 피해의 평가

피해의 평가의 전제로서의 위해성 평가와 분석을 통한 위험 발생 가능

성을 평가하고 이에 따른 관리 및 용인 가능성을 평가해야 한다 또한 평가

의 기준으로 피해발생 이전의 상태에 대한 평가도 필수적이다

③ 인과관계

인과관계의 심사를 위하여 피해의 예측가능성 직간접피해의 구별 직접

적 원인 등을 고려할 수 있다 그 외 입증책임 등도 논의의 대상이다

④ 책임배상의 집중

책임배상의 주체를 누구로 할 것인가의 문제로 일차적 국가책임배상 운

영자의 일차책임과 국가의 잔존책임배상 국가책임을 인정하지 않고 민사

및 행정적 접근방식을 취해야 한다는 세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⑤ 책임배상의 기준

과실책임과 무과실책임(엄격책임)의 견해가 대립되었다 주로 수출국은

과실책임 수입국 또는 개발도상국 및 환경단체 등은 무과실책임을 주장하

였다

⑥ 재정보증 체계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2informationmop-02-inf-05-endocgt(최종

방문일 2011 11 18)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8 -

구제비용 마련을 위한 재원 마련 방안으로 생명공학기업의 출연금으로

조성된 기금 공공기금 및 공공기금과 사적기금의 결합 등의 세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또한 보험제도의 활용가능성 또한 제시되었다

⑦ 분쟁해결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방식으로 국가간 소송 민사소송 행정소송 및 특

별재판소 설치 등의 네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⑧ 원고적격제소권

당사자의 범위에 피해에 영향은 받은 당사자 환경단체 등에 의한 민중

소송 국가의 당사자 자격 인정 등의 안이 제시되었다

⑨ 기타

그 외에 비당사국에게 책임을 지우기 위해 의정서의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가의 여부에 대해 논의가 있었으며 그 대안으로 책임 및 구제에 대한

양자협정을 체결해야 할 필요성도 제시되었다 또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최종합의문에 대해 법적 구속력을 부여하기 위해 가능한 방안에 대한 논의

도 이루어졌다

3 제3차 당사국총회

2006년 3월 브라질 꾸리찌바에서 개최된 제3차 당사국총회는 전문가그

룹회의의 진전을 환영하고 시간계획에 따라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향후 2

년간 총3회의 회의를 소집할 것을 결의하였다15) 또한 참여를 확보하기 위

15)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pp 22 66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3officialmop-03-15-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9 -

한 적절한 재정 지원의 필요성 및 자발적 참여를 촉구하였다 제3차 총회에

서 별다른 논의가 없었던 것은 전문가그룹의 권한 자체가 제4차 총회까지

이뤄지기 때문에 기간의 작업에 대한 확인 및 필요한 부분에 대한 지원방

안 모색 등의 논의 외에 별다른 논의는 없이 진행되었다

4 제4차 당사국총회

2008년 5월 독일 본에서 개최된 제4차 당사국총회는 총회 개최 전부터

책임 및 구제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부담을 안고 시작되었다

그러나 피해의 정의가 생태계 인체 및 사회경제적 피해까지도 고려하고

있는 상황에서 금전적인 문제와 밀접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논의에 합의

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특히 바스프 바이엘크롭사이언스 다우애그로사이

언스 듀퐁파이오니아 몬산토 신젠타 등 6개의 초국적생명공학기업이 자

신들의 안으로 제시한 계약서(Contractual Compensation Agreement)16)는

GMO로 인한 피해의 배상을 당사자 간의 계약으로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나

타낸 것이었다 이에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80개국으로 구성된

lsquoLike-Minded Friends(이하 LMF)rsquo 그룹은 다음의 세 가지를 포함하여 법

적 구속력이 있는 규정을 제안했다17) 첫째 협상 중인 가이드라인에 규정

된 내용을 포함한 국내법이나 정책을 정할 권리를 회원국에게 부여할 것

둘째 타국의 판결에 대해 상호인정과 실행을 위한 준비를 할 것 셋째 가

이드라인은 책임 및 구제 체계가 발효된 후 3년 이내에 재검토할 것 등이

그것이다 이후 이 제안을 중심으로 다양한 논의가 지속된 결과 몇 가지 잠

16)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

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

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

NEPCBDBSWG-LampR53 2008 3) p 7

lthttpwwwcbdintdocmeetingsbsbswglr-05officialbswglr-05-03-enpdfgt(최종방문

일 2011 9 18)

17)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lthttpwwwbiosafety-infonetarticlephpaid=520gt(최종방문일 2011 11 18)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0 -

정적인 합의를 이루고 나머지는 의장단 그룹(Group of the Friends of the

Co-Chairs)이 협상을 지속하여 제5차 총회에서 최종논의를 하기로 하였

다18)

5 제5차 당사국총회

제5차 총회에서의 논의 내용은 사실상 의장단그룹에 의해 최종적으로

채택된 사항에 대한 확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의장단그룹은 네 차례의 회의

를 거쳐 제4차 총회에서의 합의에 따른 법적 구속력을 가진 lsquo책임 및 구제

추가의정서 초안rsquo과 법적 구속력 없는 lsquo민사책임에 관한 가이드라인 초안rsquo

및 보충적 보상체계로 구성된 보고서를 제5차 총회에 제출하였으나 lsquo책임

및 구제 추가의정서 초안rsquo만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19) 이 의정서(안)은

2011년 3월 11일부터 2012년 3월 6일까지 1년 간 회원국의 서명을 받아

40개국이 서명한 90일 후부터 발효할 예정이다

6 추가의정서의 핵심내용

① 전문 사전주의 원칙과 피해가 있거나 충분한 피해가능성이 있는 경

우에 적절한 대응조치를 제공할 필요성을 인정한다

18)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pp 25 85-85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4officialmop-04-18-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19)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21쪽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5officialmop-05-17-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1 -

② 제1조(목적)

GMO에 관한 책임구제 분야의 국제규칙 및 절차를 제공함으로써 생물다

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기여하고 인체건강에 대한 위해를 고려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③ 제2조(용어의 정의)

lsquo피해rsquo란 인체건강에 대한 위해를 고려를 포함한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인간이 야기한

다른 변이나 자연적 변이를 고려하여 책임기관에 의해 인정된 과학적으로

확립된 기준을 고려하여 측정가능하거나 달리 관찰될 수 있어야 한다

lsquo중대한rsquo 부정적 영향에서의 lsquo중대한rsquo이란 합리적 기간 내에 자연적 회복

을 통해서는 구제되지 않을 장기적 또는 영구적 변화 생물다양성의 구성요

소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질적 또는 양적 변화의 정도 재화와 용역

을 제공하는 생물다양성 구성요소 능력의 감소 또는 의정서의 문맥 상 인

체건강에 미칠 부정적 영향의 정도와 같은 요소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④ 제3조(적용범위)

이 의정서는 국가 간 이동에서 유래하는 LMO(Living Modified

Organism)20)로 인한 피해에 적용한다 여기서 LMO는 식품 또는 사료로

직접 이용되거나 가공을 목적으로 하는 LMO 밀폐사용용 LMO 의도적인

환경방출용 LMO를 의미한다 의도적인 국가간 이동에서는 승인된 이용으

로 인한 피해 뿐만 아니라 비의도적인 국가간 이동이나 불법적인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피해에도 적용한다 국내법은 관할권이 있는 지역 범위 내에

서만 적용한다 비당사국 LMO의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피해에도 마찬가지

로 적용한다

⑤ 제4조(인과관계)

20) 여기에서 GMO라고 하지 않고 굳이 LMO라고 한 것은 이 의정서 상에서 살아있는 형태의

GMO만을 대상으로 하고 GMO로 만든 제품(products thereof)은 제외하고 있기 때문이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2 -

인과관계의 입증에 관해서는 국내법에 따른다

⑥ 제5조(대응조치)

당사국은 피해발생 시 국가책임기관의 요건에 따라 적절한 운영자로 하

여금 국가책임기관에게 지체없이 통보하고 피해를 평가하고 적절한 대응

조치를 취하도록 해야 한다 국가책임기관은 피해를 야기한 운영자를 확인

하고 피해를 평가하고 운영자가 취해야 할 대응조치를 결정해야 한다 이

용가능한 과학적 정보와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포함

한 정보에 따르면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피해가 발생할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운영자는 그러한 피해를 피하기 위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해야 한다 국가책임기관은 특히 운영자가 취하지 못한 조치

를 포함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다 국가책임기관은 국내법에서 달

리 정하지 않는 한 피해의 평가와 적절한 조치 및 그에 수반되는 비용을

운영자에게 청구할 권리를 가진다 운영자에게 대응조치를 요구하는 국가책

임기관의 결정은 합리적이어야 하며 운영자에게 통보해야 한다

국내법은 그러한 결정에 대한 사법적ㆍ행정적 심사를 위한 기회를 포함

한 구제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구제방안에 대한 정보를 운영자에게 알려야

한다 국내법에 달리 정하지 않는 한 구제방안이 국가책임기관이 대응조치

를 취하는 것을 방해하지 아니한다 본 조항을 이행함에 있어 그리고 국가

책임기관이 취하는 또는 취하도록 요구되는 특정 대응조치를 정의할 목적

으로 적절한 경우 당사국은 대응조치가 민사책임에 관한 자국 국내법에 이

미 규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대응조치는 국내법에 따라

이행된다

⑦ 제6조(면제)

당사국은 자국의 국내법에 자연재해 또는 불가항력 전쟁 또는 내란의

경우에 이라는 두 가지 면제사유를 정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하다고 간주하

는 기타 면제 및 경감사유를 국내법에 정할 수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3 -

⑧ 제7조(시효)

국내법에 따라 시효를 정할 수 있다

⑨ 제8조(재정적 한계)

국내법에 따라 대응조치에 따른 소요비용의 상한을 정할 수 있다

⑩ 제9조(구상권)

운영자의 제3자에 대한 구상권은 인정된다

⑪ 제10조(재정보증)

당사국은 국내법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또한 국제법

상의 권리와 의무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 첫 총회에서 사무국은 재정보증체계의 양식 보

증체계가 특히 개발도상국에 미치는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영향의 평가

재정보증을 제공하기에 적절한 실체의 확인을 포함한 포괄적인 연구를 수

행해야 한다

⑫ 제11조(국제불법행위에 대한 국가의 책임)

국제불법행위에 의한 책임에 대한 일반적인 국제법규에 따른 국가의 권

리와 의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⑬ 제12조(이행과 민사책임)

당사국은 피해를 규율하는 절차규칙을 국내법으로 정해야 한다 이 의무

를 이행하기 위하여 당사국은 이 의정서에 따른 대응조치를 제공하고 적절

한 경우 민사책임에 관한 적용할 수 있는 일반규칙과 절차를 포함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절차규칙을 적용 또

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할 수 있다 당사국은

민사책임에 관한 국내법에 이 의정서 제2조 제2항 호의 피해에 연루된

물적 또는 인적 피해에 관한 적절한 절차와 규칙을 제공할 목적으로 민사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4 -

책임에 관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법

을 적용 또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해야 한다

민사책임에 관한 법을 개발할 경우에는 피해 엄격 또는 과실책임을 포함한

민사책임기준 적절한 경우 책임의 집중 제소권(제12조 제3항)을 적절하게

정해야 한다

⑭ 제13조(평가 및 재검토)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에는 5년 마다 평가 및 재검토를 해야 한다

⑮ 기타조항

제14조에서 제21조는 사무국 등의 행정관련 조항이다

7 추가의정서의 특징

추가의정서가 채택되었다고는 하나 책임에 관한 규정은 그 원래 목적을

달성하는데 많은 난관이 따른다

우선 추가의정서는 형식적으로 법적 구속력을 가진다고는 하나 그 내용

상으로는 거의 효력이 없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중요한 사항은 모두 국내법에 위임을 했기 때문이다 당사국은 각각 자신들

의 상황에 맞는 책임제도를 GMO에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애초에

개발도상국에서 제안했던 바가 반영된 것이다 GMO 수입국의 입장에서는

GMO로 인해 야기되는 피해에 따른 수출국의 책임을 물릴 수 있는 가능성

을 확보한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GMO 수출국이나 개발사 등이 안전성에 관한 심사

이후의 수입 승인을 근거로 GMO의 안전성을 주장함으로써 국제적인 다툼

이 상당수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국내입법 시에는 이런 문제를 충분히 고

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5 -

Ⅵ 국내 입법 시의 고려사항

1 GMO 특별책임제도 도입의 필요성

추가의정서에서는 주요조항들이 국내법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입증책임이나 대응조치에 따른 운영자의 구제방안 면제사유 시효

소요비용의 상한선 및 민사책임관련법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GMO에 대한

특수성을 인정하여 별도의 법을 만들 것인지 아니면 기존의 민사책임법제

를 그대로 적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고려해야 한다

현재 우리 법상 개발자나 수출자에게 책임을 지울 근거는 만법 상의 손

해배상 책임과 제조물 책임이다 그러나 우리 법은 제조물의 범위에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을 포함시키고 있지 않기 때문에 GM작물에 적용함에 한

계가 따를 수밖에 없다 EU는 1999년 lsquo개정제조물책임지침(Directive

199934EC )rsquo21)에서 미가공인지를 불문하고 일체의 동산에 적용되는 것

으로 개정하여 농산물 등을 모두 포함하도록 하였다22) 이 개정의 근거는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 첫째 제조물의 범위에 1차 농산물을 포함하는

것이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충족시킨다는 것이었다23)

둘째 EU 역내 시장기능의 활성화 등을 고려하여 농산물의 무역이 더 이상

제조자책임에 관한 각국의 상이한 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24) 셋째 무과실책임이 모든 형태의 제조물에 적

용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25) 우리나라도 농축수산물에 대해 이를 제조물

21) Directive 199934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0 May 19

99 Amending Council Directive 85374EEC on the Approximation of the Laws Regu

lations and Administrative Provisions of the Member States Concerning Liability for

Defective Products OL L141 1999 pp20-21

22) 개정제조물책임지침 제1조

23)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5) (6)

lthttpeuropaeuintsmartapicgisga_docsmartapicelexapiprodCELEXnumdocamplg=en

ampnumdoc=31999L0034ampmodel=guichettgt(최종방문일 2011 11 18)

24)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7) (주 21) 원래 제조물책임지침은 제2조에서 농산물을

제외하였으나 제15조 제1항 a에서 각국이 농산물에 대해서는 독자적 입법이 가능하도록 하

였다 이 규정 역시 1999년의 개정으로 삭제되었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6 -

의 범위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제조물책임법의 적용에서 또다른 한계에 봉착한다 바

로 제조물책임법 제4조 제1항의 제조물책임의 면책사유가운데 제2호의 개

발위험의 항변이 그것이다 개발위험이란 제조자가 제조물을 개발하여 유통

시장에 내놓을 당시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에 비추어 인식할 수 없었던 결함

이 존재함으로써 나타나는 위험을 말한다 문제는 과학적기술적 수준이라

는 개념을 확실하게 정의할 수 없다는 점이다 예컨대 GM식품표시에서

DNA나 단백질이 파괴된 경우에는 현대 과학기술 수준으로는 이를 추적할

수 없기 때문에 표시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즉 GMO는 현재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으로는 아직 그 존재조차도 입증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GMO의

위험성 자체가 잠재적인 것이기 때문에 과학적기술적 수준이 개발 당시에

입수가능한 최고 수준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하더라도 한계가 있

기 때문이다 결국 제조물책임법 자체만으로는 GM작물의 피해에 대한 구

제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민사상의 책임을 지우는 데도 일정한 한계가 있다 첫째 GM종

자를 사서 직접 재배한 농민이 피해를 입은 경우는 GM종자를 판매한 기업

에 대하여 계약책임을 물을 수 있다 그러나 GM종자를 재배한 농민으로

인하여 인근 농민이 작물에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계약책임을 물을 수 없

다 개발자와 피해농민 또는 GM종자 재배농민과 피해농민 양자 사이에 계

약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불법행위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는

데 이미 캐나다의 슈마이저 사례를 비롯하여 미국에서의 수많은 GMO관련

소송에서 농민이나 소비자가 자신의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

다는 것을 경험한 바 있다 따라서 GMO의 피해에 관하여 입증책임을 피해

를 입은 자가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 운영자가 GMO로 인한 피해가

아님을 입증하지 못하면 배상책임을 지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시효의 경우에도 손해배상은 손해나 가해자를 알았을 경우에는 3년 불

법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10년이면 청구권은 사라진다 GMO는 그 특성상

25)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8) (주 21)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7 -

문제점이 10년 이내에 나타날 수도 있지만 10년이 지나서 나타날 수도 있

다 그런데 10년이 지났다는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근거가 없어진다면

그 피해를 입은 사람을 구제할 길이 없다 따라서 GMO에 대해서는 그 시

효를 달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은 제조물책임법의 적용도 받

지 않기 때문에 입증책임이나 시효의 면에서 유리한 제조물책임법을 GMO

에 적용할 수도 없다26) 유럽처럼 제조물책임의 범위 내에 농산물 등을 포

함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GMO의 피해에 따른 책임에 대한 별도의 입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2 추가의정서 적용범위의 확대

추가의정서는 그 대상이 살아있는 GMO에 한정되었다 즉 GM작물이

작물의 형태로 수입되는 경우에는 이 의정서 상의 책임에 관한 적용을 받

지만 그것이 1차 가공된 형태로 수입될 경우 예컨대 가루로 수입될 경우

또는 사료용으로 수입되는 대두박 등과 같은 경우에는 그로 인한 피해는

이 의정서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의정서 초안을 마련할 당

시부터 의장단그룹의 회의에 이르기까지 가장 논란이 많았던 조항 가운데

하나이다 의장단그룹의 최종회의인 제4차 회의에서도 닷새 간 논란이 지속

되었다 GMO제품을 넣어야 한다는 의견에서부터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부속

서II의 일반원칙에 나오는 범위27)만큼만 하자는 의견 아예 빼야 한다는 의

견 등이 매일 서로 다른 그룹이 찬성과 반대로 얽히면서 결국 마지막에 삭

제되었다 문제는 농산물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살아있는

GMO만을 대상으로 하면 불리하다는 점이다28) 따라서 의정서 상에 포함되

26) 제조물책임법 제7조 제2항 단서는 lsquo신체에 누적되어 사람의 건강을 해하는 물질에 의하여

발생한 손해 또는 일정한 잠복기간이 경과한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손해에 대하여는 그 손

해가 발생한 날부터 기산한다rsquo고 정하고 있다

27) 유전자변형생물체 또는 그 산물 즉 유전자변형생물체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현대생명공학

의 사용에 의하여 얻어진 복제능력이 있는 유전물질의 검출 가능한 수준의 조합을 지닌 가

공물질과 관련된(이하 생략)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8 -

지 않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는 다른 GMO와 동일하게 책임에 관한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이행법이라

할 수 있는 lsquo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하 GMO

법)rsquo에서 우리나라는 국가 간 이동에 관한 것만 규율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

에서의 연구middot개발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일정 정도 포함하도록 그 적용범위

를 확대하였다 따라서 이 추가의정서에 따른 이행법을 제정할 경우에도 그

적용범위를 확대하여 GMO제품에 의한 피해에도 책임제도를 적용할 수 있

도록 할 필요가 있다

3 배상책임의 주체 및 재원마련 방안

책임 및 복구 제도에서의 핵심은 피해가 생겼을 경우에 부담해야 할 배

상액을 어떻게 마련하느냐에 있다 우리나라는 의정서의 이행법인 GMO법

을 만들 당시부터 책임 및 복구에 관한 재원마련에 대해 기금 공제제도

보험 등의 제도 도입과 관련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다29) 예컨대 처음 GMO

법을 만들 당시에는 재원마련의 방안으로 공제제도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법이 통과될 당시에는 공제제도를 비롯한 여타의 안들

은 다 삭제되고 단지 GMO법 제34조에서 국가책임기관의 장은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수출입 등과 관련하여 국민의 건강과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

가능한 이용에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재원

확보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을 뿐이다

추가의정서는 피해가 생겼을 경우의 책임에 대하여 재정보증 규정을 두

었다 제3차 의장단그룹회의까지만 하더라도 보험 등 구체적인 재정보증방

안이 제시되었으나 제4차 의장단그룹회의에서는 사흘에 걸친 회의 끝에 보

험 등의 실제적인 방안을 삭제하고 대신 발효 후의 당사국 총회에서 사무

국이 재정보증체계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책임 및 복구에서

28) 물론 우리나라는 제4차 의장단그룹 회의에서 GMO제품을 넣자는 의견에 동의하였다

29)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교 법학논문

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32-34쪽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9 -

가장 중요한 조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구체적인 방안은 각국에게 위

임된 셈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재정보증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야 한다 초기의 공제제도뿐만 아니라 보험 등 다양한 기존의 제도를 중심

으로 다른 나라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제도를 만들 필요

가 있다 특히 독일 환경책임법과 유전공학법에 정하고 있는 담보제공의

무30)에 대한 국내법에의 도입방안을 고려해 볼 만하다 독일은 담보제공의

방법으로서 책임보험 연방이나 주(州)의 면제나 보증 또는 책임보험에 의

한 담보제공이나 금융기관의 면제나 보증 등으로 가능하다31) 우리도 이와

같은 제도 등을 통하여 피해에 대한 배상의 재원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Ⅴ 결 론

GMO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하면서 GMO의 재배에 따른 위험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논란이 되어 왔다 그러나 그 책임에 관한 구제척인 국

제기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의정서 당사국들도 구체적인 책임제도를 만드

는 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런 논란 끝에 만들어진 책임제도는

결국 논란을 이겨내지 못했다 각 당사국이 국내입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

도록 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법으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을 확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책임주체의 문제에서부터 배상액에 이르기까지 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추가의정서에서 국내 입법으로 위임하고 있는 대표

적인 것이 책임제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인과관계의 입증 면제사유 시

효 등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현행 책임제도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대

응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GMO를 위한 특별한 책임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이 특별책임제도의 대상은 GM작물뿐만 아니라 이를 원료로 생산한

30) 환경책임법 제19조 제1항 유전공학법 제36조 제1항

31)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0 -

다양한 상품까지도 포함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실제 유통되거

나 최종상품화하는 것은 작물 그 자체보다는 가공식품 등이기 때문이다 마

지막으로 GMO 책임제도를 현실화하기 위한 재정마련 방안이 필요하다 가

해 당사자가 책임을 질 수 있는 제도로서 담보제공의무 등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투고일 2011 12 14 심사일 2011 12 22 게재확정일 2011 12 26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1 -

참 고 문 헌

김은진 ldquo생명공학기술의 상업화에 따른 책임rdquo「경영법률」제17집 제1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06 10

김은진 ldquoGMO책임 및 복구 추가의정서 채택의 의미 및 대응방안rdquo「농업농

민정책연구소 녀름 이슈보고서」 2010 10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

교 법학논문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UNEPCBD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115 2004 4)

UNEPCBD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UNEPCBD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

WG-LampR12 - UNEPCBDCOP-MOP2INF 5 2005 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2 -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UNEPCBD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NEPCBDBSWG-LampR53 2008 3)

UNEPCBD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lthttpeuropaeuintgt

lthttpwwwcbdintgt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gt

주 제 어

추가의정서 GMO위험 책임제도 배상제도 환경책임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3 -

[ABSTRACT]

Liability on GMOs Potential Risk in Supplementary

Protocol

Kim Eun - Jin

GMO has been issued on its potential risk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GMOs However there is no international legal

system on liability and remedies Developed conturies did not want

to have a strong regulation on GMOs potential risk while developing

countries tried to make a strict liability on GMOs risk

As a result of 10 years discussions the Supplementary Protocol

was adapted Main issue of this protocol is liability and remedies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First the Protocol did not present the legal system of liability and

remedies Instead the protocol delegates the legal system of

national laws

Secondly this protocol covers only living GMO However living

GMOs are very few in market and most of all GMOs are processed

Thirdly there is no regulation for finance which is huge in GMOs

damages on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For implementation act we have to consider how to solve them

For example whether the new law which covers GMOs special

liability is established

Key Words

Supplementary Protocol GMo Risk Liability Remedies Environment

Liability

Page 9: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cmsorgan.wku.ac.kr/reslaw/wp-content/uploads/sites/60/... · 2016-12-02 ·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7 -

① 피해의 정의와 범위

피해의 정의에는 환경 인체 및 사회경제적 피해 등을 고려할 수 있다

피해의 범위에 대해서는 GMO의 통과 및 운송 중에 발생한 피해와 운송

통과 취급 이용 중에 발생한 모든 피해 및 비의도적 국가간 이동까지 포

함한 피해를 범위로 정하자는 안 등 시기적 범위와 지리적 범위 등에 대한

다양한 피해가 제시되었다

② 피해의 평가

피해의 평가의 전제로서의 위해성 평가와 분석을 통한 위험 발생 가능

성을 평가하고 이에 따른 관리 및 용인 가능성을 평가해야 한다 또한 평가

의 기준으로 피해발생 이전의 상태에 대한 평가도 필수적이다

③ 인과관계

인과관계의 심사를 위하여 피해의 예측가능성 직간접피해의 구별 직접

적 원인 등을 고려할 수 있다 그 외 입증책임 등도 논의의 대상이다

④ 책임배상의 집중

책임배상의 주체를 누구로 할 것인가의 문제로 일차적 국가책임배상 운

영자의 일차책임과 국가의 잔존책임배상 국가책임을 인정하지 않고 민사

및 행정적 접근방식을 취해야 한다는 세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⑤ 책임배상의 기준

과실책임과 무과실책임(엄격책임)의 견해가 대립되었다 주로 수출국은

과실책임 수입국 또는 개발도상국 및 환경단체 등은 무과실책임을 주장하

였다

⑥ 재정보증 체계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2informationmop-02-inf-05-endocgt(최종

방문일 2011 11 18)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8 -

구제비용 마련을 위한 재원 마련 방안으로 생명공학기업의 출연금으로

조성된 기금 공공기금 및 공공기금과 사적기금의 결합 등의 세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또한 보험제도의 활용가능성 또한 제시되었다

⑦ 분쟁해결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방식으로 국가간 소송 민사소송 행정소송 및 특

별재판소 설치 등의 네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⑧ 원고적격제소권

당사자의 범위에 피해에 영향은 받은 당사자 환경단체 등에 의한 민중

소송 국가의 당사자 자격 인정 등의 안이 제시되었다

⑨ 기타

그 외에 비당사국에게 책임을 지우기 위해 의정서의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가의 여부에 대해 논의가 있었으며 그 대안으로 책임 및 구제에 대한

양자협정을 체결해야 할 필요성도 제시되었다 또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최종합의문에 대해 법적 구속력을 부여하기 위해 가능한 방안에 대한 논의

도 이루어졌다

3 제3차 당사국총회

2006년 3월 브라질 꾸리찌바에서 개최된 제3차 당사국총회는 전문가그

룹회의의 진전을 환영하고 시간계획에 따라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향후 2

년간 총3회의 회의를 소집할 것을 결의하였다15) 또한 참여를 확보하기 위

15)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pp 22 66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3officialmop-03-15-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9 -

한 적절한 재정 지원의 필요성 및 자발적 참여를 촉구하였다 제3차 총회에

서 별다른 논의가 없었던 것은 전문가그룹의 권한 자체가 제4차 총회까지

이뤄지기 때문에 기간의 작업에 대한 확인 및 필요한 부분에 대한 지원방

안 모색 등의 논의 외에 별다른 논의는 없이 진행되었다

4 제4차 당사국총회

2008년 5월 독일 본에서 개최된 제4차 당사국총회는 총회 개최 전부터

책임 및 구제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부담을 안고 시작되었다

그러나 피해의 정의가 생태계 인체 및 사회경제적 피해까지도 고려하고

있는 상황에서 금전적인 문제와 밀접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논의에 합의

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특히 바스프 바이엘크롭사이언스 다우애그로사이

언스 듀퐁파이오니아 몬산토 신젠타 등 6개의 초국적생명공학기업이 자

신들의 안으로 제시한 계약서(Contractual Compensation Agreement)16)는

GMO로 인한 피해의 배상을 당사자 간의 계약으로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나

타낸 것이었다 이에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80개국으로 구성된

lsquoLike-Minded Friends(이하 LMF)rsquo 그룹은 다음의 세 가지를 포함하여 법

적 구속력이 있는 규정을 제안했다17) 첫째 협상 중인 가이드라인에 규정

된 내용을 포함한 국내법이나 정책을 정할 권리를 회원국에게 부여할 것

둘째 타국의 판결에 대해 상호인정과 실행을 위한 준비를 할 것 셋째 가

이드라인은 책임 및 구제 체계가 발효된 후 3년 이내에 재검토할 것 등이

그것이다 이후 이 제안을 중심으로 다양한 논의가 지속된 결과 몇 가지 잠

16)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

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

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

NEPCBDBSWG-LampR53 2008 3) p 7

lthttpwwwcbdintdocmeetingsbsbswglr-05officialbswglr-05-03-enpdfgt(최종방문

일 2011 9 18)

17)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lthttpwwwbiosafety-infonetarticlephpaid=520gt(최종방문일 2011 11 18)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0 -

정적인 합의를 이루고 나머지는 의장단 그룹(Group of the Friends of the

Co-Chairs)이 협상을 지속하여 제5차 총회에서 최종논의를 하기로 하였

다18)

5 제5차 당사국총회

제5차 총회에서의 논의 내용은 사실상 의장단그룹에 의해 최종적으로

채택된 사항에 대한 확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의장단그룹은 네 차례의 회의

를 거쳐 제4차 총회에서의 합의에 따른 법적 구속력을 가진 lsquo책임 및 구제

추가의정서 초안rsquo과 법적 구속력 없는 lsquo민사책임에 관한 가이드라인 초안rsquo

및 보충적 보상체계로 구성된 보고서를 제5차 총회에 제출하였으나 lsquo책임

및 구제 추가의정서 초안rsquo만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19) 이 의정서(안)은

2011년 3월 11일부터 2012년 3월 6일까지 1년 간 회원국의 서명을 받아

40개국이 서명한 90일 후부터 발효할 예정이다

6 추가의정서의 핵심내용

① 전문 사전주의 원칙과 피해가 있거나 충분한 피해가능성이 있는 경

우에 적절한 대응조치를 제공할 필요성을 인정한다

18)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pp 25 85-85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4officialmop-04-18-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19)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21쪽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5officialmop-05-17-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1 -

② 제1조(목적)

GMO에 관한 책임구제 분야의 국제규칙 및 절차를 제공함으로써 생물다

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기여하고 인체건강에 대한 위해를 고려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③ 제2조(용어의 정의)

lsquo피해rsquo란 인체건강에 대한 위해를 고려를 포함한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인간이 야기한

다른 변이나 자연적 변이를 고려하여 책임기관에 의해 인정된 과학적으로

확립된 기준을 고려하여 측정가능하거나 달리 관찰될 수 있어야 한다

lsquo중대한rsquo 부정적 영향에서의 lsquo중대한rsquo이란 합리적 기간 내에 자연적 회복

을 통해서는 구제되지 않을 장기적 또는 영구적 변화 생물다양성의 구성요

소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질적 또는 양적 변화의 정도 재화와 용역

을 제공하는 생물다양성 구성요소 능력의 감소 또는 의정서의 문맥 상 인

체건강에 미칠 부정적 영향의 정도와 같은 요소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④ 제3조(적용범위)

이 의정서는 국가 간 이동에서 유래하는 LMO(Living Modified

Organism)20)로 인한 피해에 적용한다 여기서 LMO는 식품 또는 사료로

직접 이용되거나 가공을 목적으로 하는 LMO 밀폐사용용 LMO 의도적인

환경방출용 LMO를 의미한다 의도적인 국가간 이동에서는 승인된 이용으

로 인한 피해 뿐만 아니라 비의도적인 국가간 이동이나 불법적인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피해에도 적용한다 국내법은 관할권이 있는 지역 범위 내에

서만 적용한다 비당사국 LMO의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피해에도 마찬가지

로 적용한다

⑤ 제4조(인과관계)

20) 여기에서 GMO라고 하지 않고 굳이 LMO라고 한 것은 이 의정서 상에서 살아있는 형태의

GMO만을 대상으로 하고 GMO로 만든 제품(products thereof)은 제외하고 있기 때문이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2 -

인과관계의 입증에 관해서는 국내법에 따른다

⑥ 제5조(대응조치)

당사국은 피해발생 시 국가책임기관의 요건에 따라 적절한 운영자로 하

여금 국가책임기관에게 지체없이 통보하고 피해를 평가하고 적절한 대응

조치를 취하도록 해야 한다 국가책임기관은 피해를 야기한 운영자를 확인

하고 피해를 평가하고 운영자가 취해야 할 대응조치를 결정해야 한다 이

용가능한 과학적 정보와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포함

한 정보에 따르면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피해가 발생할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운영자는 그러한 피해를 피하기 위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해야 한다 국가책임기관은 특히 운영자가 취하지 못한 조치

를 포함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다 국가책임기관은 국내법에서 달

리 정하지 않는 한 피해의 평가와 적절한 조치 및 그에 수반되는 비용을

운영자에게 청구할 권리를 가진다 운영자에게 대응조치를 요구하는 국가책

임기관의 결정은 합리적이어야 하며 운영자에게 통보해야 한다

국내법은 그러한 결정에 대한 사법적ㆍ행정적 심사를 위한 기회를 포함

한 구제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구제방안에 대한 정보를 운영자에게 알려야

한다 국내법에 달리 정하지 않는 한 구제방안이 국가책임기관이 대응조치

를 취하는 것을 방해하지 아니한다 본 조항을 이행함에 있어 그리고 국가

책임기관이 취하는 또는 취하도록 요구되는 특정 대응조치를 정의할 목적

으로 적절한 경우 당사국은 대응조치가 민사책임에 관한 자국 국내법에 이

미 규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대응조치는 국내법에 따라

이행된다

⑦ 제6조(면제)

당사국은 자국의 국내법에 자연재해 또는 불가항력 전쟁 또는 내란의

경우에 이라는 두 가지 면제사유를 정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하다고 간주하

는 기타 면제 및 경감사유를 국내법에 정할 수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3 -

⑧ 제7조(시효)

국내법에 따라 시효를 정할 수 있다

⑨ 제8조(재정적 한계)

국내법에 따라 대응조치에 따른 소요비용의 상한을 정할 수 있다

⑩ 제9조(구상권)

운영자의 제3자에 대한 구상권은 인정된다

⑪ 제10조(재정보증)

당사국은 국내법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또한 국제법

상의 권리와 의무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 첫 총회에서 사무국은 재정보증체계의 양식 보

증체계가 특히 개발도상국에 미치는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영향의 평가

재정보증을 제공하기에 적절한 실체의 확인을 포함한 포괄적인 연구를 수

행해야 한다

⑫ 제11조(국제불법행위에 대한 국가의 책임)

국제불법행위에 의한 책임에 대한 일반적인 국제법규에 따른 국가의 권

리와 의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⑬ 제12조(이행과 민사책임)

당사국은 피해를 규율하는 절차규칙을 국내법으로 정해야 한다 이 의무

를 이행하기 위하여 당사국은 이 의정서에 따른 대응조치를 제공하고 적절

한 경우 민사책임에 관한 적용할 수 있는 일반규칙과 절차를 포함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절차규칙을 적용 또

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할 수 있다 당사국은

민사책임에 관한 국내법에 이 의정서 제2조 제2항 호의 피해에 연루된

물적 또는 인적 피해에 관한 적절한 절차와 규칙을 제공할 목적으로 민사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4 -

책임에 관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법

을 적용 또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해야 한다

민사책임에 관한 법을 개발할 경우에는 피해 엄격 또는 과실책임을 포함한

민사책임기준 적절한 경우 책임의 집중 제소권(제12조 제3항)을 적절하게

정해야 한다

⑭ 제13조(평가 및 재검토)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에는 5년 마다 평가 및 재검토를 해야 한다

⑮ 기타조항

제14조에서 제21조는 사무국 등의 행정관련 조항이다

7 추가의정서의 특징

추가의정서가 채택되었다고는 하나 책임에 관한 규정은 그 원래 목적을

달성하는데 많은 난관이 따른다

우선 추가의정서는 형식적으로 법적 구속력을 가진다고는 하나 그 내용

상으로는 거의 효력이 없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중요한 사항은 모두 국내법에 위임을 했기 때문이다 당사국은 각각 자신들

의 상황에 맞는 책임제도를 GMO에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애초에

개발도상국에서 제안했던 바가 반영된 것이다 GMO 수입국의 입장에서는

GMO로 인해 야기되는 피해에 따른 수출국의 책임을 물릴 수 있는 가능성

을 확보한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GMO 수출국이나 개발사 등이 안전성에 관한 심사

이후의 수입 승인을 근거로 GMO의 안전성을 주장함으로써 국제적인 다툼

이 상당수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국내입법 시에는 이런 문제를 충분히 고

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5 -

Ⅵ 국내 입법 시의 고려사항

1 GMO 특별책임제도 도입의 필요성

추가의정서에서는 주요조항들이 국내법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입증책임이나 대응조치에 따른 운영자의 구제방안 면제사유 시효

소요비용의 상한선 및 민사책임관련법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GMO에 대한

특수성을 인정하여 별도의 법을 만들 것인지 아니면 기존의 민사책임법제

를 그대로 적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고려해야 한다

현재 우리 법상 개발자나 수출자에게 책임을 지울 근거는 만법 상의 손

해배상 책임과 제조물 책임이다 그러나 우리 법은 제조물의 범위에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을 포함시키고 있지 않기 때문에 GM작물에 적용함에 한

계가 따를 수밖에 없다 EU는 1999년 lsquo개정제조물책임지침(Directive

199934EC )rsquo21)에서 미가공인지를 불문하고 일체의 동산에 적용되는 것

으로 개정하여 농산물 등을 모두 포함하도록 하였다22) 이 개정의 근거는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 첫째 제조물의 범위에 1차 농산물을 포함하는

것이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충족시킨다는 것이었다23)

둘째 EU 역내 시장기능의 활성화 등을 고려하여 농산물의 무역이 더 이상

제조자책임에 관한 각국의 상이한 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24) 셋째 무과실책임이 모든 형태의 제조물에 적

용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25) 우리나라도 농축수산물에 대해 이를 제조물

21) Directive 199934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0 May 19

99 Amending Council Directive 85374EEC on the Approximation of the Laws Regu

lations and Administrative Provisions of the Member States Concerning Liability for

Defective Products OL L141 1999 pp20-21

22) 개정제조물책임지침 제1조

23)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5) (6)

lthttpeuropaeuintsmartapicgisga_docsmartapicelexapiprodCELEXnumdocamplg=en

ampnumdoc=31999L0034ampmodel=guichettgt(최종방문일 2011 11 18)

24)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7) (주 21) 원래 제조물책임지침은 제2조에서 농산물을

제외하였으나 제15조 제1항 a에서 각국이 농산물에 대해서는 독자적 입법이 가능하도록 하

였다 이 규정 역시 1999년의 개정으로 삭제되었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6 -

의 범위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제조물책임법의 적용에서 또다른 한계에 봉착한다 바

로 제조물책임법 제4조 제1항의 제조물책임의 면책사유가운데 제2호의 개

발위험의 항변이 그것이다 개발위험이란 제조자가 제조물을 개발하여 유통

시장에 내놓을 당시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에 비추어 인식할 수 없었던 결함

이 존재함으로써 나타나는 위험을 말한다 문제는 과학적기술적 수준이라

는 개념을 확실하게 정의할 수 없다는 점이다 예컨대 GM식품표시에서

DNA나 단백질이 파괴된 경우에는 현대 과학기술 수준으로는 이를 추적할

수 없기 때문에 표시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즉 GMO는 현재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으로는 아직 그 존재조차도 입증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GMO의

위험성 자체가 잠재적인 것이기 때문에 과학적기술적 수준이 개발 당시에

입수가능한 최고 수준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하더라도 한계가 있

기 때문이다 결국 제조물책임법 자체만으로는 GM작물의 피해에 대한 구

제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민사상의 책임을 지우는 데도 일정한 한계가 있다 첫째 GM종

자를 사서 직접 재배한 농민이 피해를 입은 경우는 GM종자를 판매한 기업

에 대하여 계약책임을 물을 수 있다 그러나 GM종자를 재배한 농민으로

인하여 인근 농민이 작물에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계약책임을 물을 수 없

다 개발자와 피해농민 또는 GM종자 재배농민과 피해농민 양자 사이에 계

약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불법행위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는

데 이미 캐나다의 슈마이저 사례를 비롯하여 미국에서의 수많은 GMO관련

소송에서 농민이나 소비자가 자신의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

다는 것을 경험한 바 있다 따라서 GMO의 피해에 관하여 입증책임을 피해

를 입은 자가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 운영자가 GMO로 인한 피해가

아님을 입증하지 못하면 배상책임을 지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시효의 경우에도 손해배상은 손해나 가해자를 알았을 경우에는 3년 불

법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10년이면 청구권은 사라진다 GMO는 그 특성상

25)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8) (주 21)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7 -

문제점이 10년 이내에 나타날 수도 있지만 10년이 지나서 나타날 수도 있

다 그런데 10년이 지났다는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근거가 없어진다면

그 피해를 입은 사람을 구제할 길이 없다 따라서 GMO에 대해서는 그 시

효를 달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은 제조물책임법의 적용도 받

지 않기 때문에 입증책임이나 시효의 면에서 유리한 제조물책임법을 GMO

에 적용할 수도 없다26) 유럽처럼 제조물책임의 범위 내에 농산물 등을 포

함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GMO의 피해에 따른 책임에 대한 별도의 입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2 추가의정서 적용범위의 확대

추가의정서는 그 대상이 살아있는 GMO에 한정되었다 즉 GM작물이

작물의 형태로 수입되는 경우에는 이 의정서 상의 책임에 관한 적용을 받

지만 그것이 1차 가공된 형태로 수입될 경우 예컨대 가루로 수입될 경우

또는 사료용으로 수입되는 대두박 등과 같은 경우에는 그로 인한 피해는

이 의정서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의정서 초안을 마련할 당

시부터 의장단그룹의 회의에 이르기까지 가장 논란이 많았던 조항 가운데

하나이다 의장단그룹의 최종회의인 제4차 회의에서도 닷새 간 논란이 지속

되었다 GMO제품을 넣어야 한다는 의견에서부터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부속

서II의 일반원칙에 나오는 범위27)만큼만 하자는 의견 아예 빼야 한다는 의

견 등이 매일 서로 다른 그룹이 찬성과 반대로 얽히면서 결국 마지막에 삭

제되었다 문제는 농산물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살아있는

GMO만을 대상으로 하면 불리하다는 점이다28) 따라서 의정서 상에 포함되

26) 제조물책임법 제7조 제2항 단서는 lsquo신체에 누적되어 사람의 건강을 해하는 물질에 의하여

발생한 손해 또는 일정한 잠복기간이 경과한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손해에 대하여는 그 손

해가 발생한 날부터 기산한다rsquo고 정하고 있다

27) 유전자변형생물체 또는 그 산물 즉 유전자변형생물체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현대생명공학

의 사용에 의하여 얻어진 복제능력이 있는 유전물질의 검출 가능한 수준의 조합을 지닌 가

공물질과 관련된(이하 생략)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8 -

지 않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는 다른 GMO와 동일하게 책임에 관한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이행법이라

할 수 있는 lsquo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하 GMO

법)rsquo에서 우리나라는 국가 간 이동에 관한 것만 규율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

에서의 연구middot개발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일정 정도 포함하도록 그 적용범위

를 확대하였다 따라서 이 추가의정서에 따른 이행법을 제정할 경우에도 그

적용범위를 확대하여 GMO제품에 의한 피해에도 책임제도를 적용할 수 있

도록 할 필요가 있다

3 배상책임의 주체 및 재원마련 방안

책임 및 복구 제도에서의 핵심은 피해가 생겼을 경우에 부담해야 할 배

상액을 어떻게 마련하느냐에 있다 우리나라는 의정서의 이행법인 GMO법

을 만들 당시부터 책임 및 복구에 관한 재원마련에 대해 기금 공제제도

보험 등의 제도 도입과 관련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다29) 예컨대 처음 GMO

법을 만들 당시에는 재원마련의 방안으로 공제제도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법이 통과될 당시에는 공제제도를 비롯한 여타의 안들

은 다 삭제되고 단지 GMO법 제34조에서 국가책임기관의 장은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수출입 등과 관련하여 국민의 건강과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

가능한 이용에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재원

확보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을 뿐이다

추가의정서는 피해가 생겼을 경우의 책임에 대하여 재정보증 규정을 두

었다 제3차 의장단그룹회의까지만 하더라도 보험 등 구체적인 재정보증방

안이 제시되었으나 제4차 의장단그룹회의에서는 사흘에 걸친 회의 끝에 보

험 등의 실제적인 방안을 삭제하고 대신 발효 후의 당사국 총회에서 사무

국이 재정보증체계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책임 및 복구에서

28) 물론 우리나라는 제4차 의장단그룹 회의에서 GMO제품을 넣자는 의견에 동의하였다

29)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교 법학논문

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32-34쪽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9 -

가장 중요한 조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구체적인 방안은 각국에게 위

임된 셈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재정보증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야 한다 초기의 공제제도뿐만 아니라 보험 등 다양한 기존의 제도를 중심

으로 다른 나라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제도를 만들 필요

가 있다 특히 독일 환경책임법과 유전공학법에 정하고 있는 담보제공의

무30)에 대한 국내법에의 도입방안을 고려해 볼 만하다 독일은 담보제공의

방법으로서 책임보험 연방이나 주(州)의 면제나 보증 또는 책임보험에 의

한 담보제공이나 금융기관의 면제나 보증 등으로 가능하다31) 우리도 이와

같은 제도 등을 통하여 피해에 대한 배상의 재원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Ⅴ 결 론

GMO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하면서 GMO의 재배에 따른 위험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논란이 되어 왔다 그러나 그 책임에 관한 구제척인 국

제기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의정서 당사국들도 구체적인 책임제도를 만드

는 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런 논란 끝에 만들어진 책임제도는

결국 논란을 이겨내지 못했다 각 당사국이 국내입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

도록 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법으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을 확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책임주체의 문제에서부터 배상액에 이르기까지 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추가의정서에서 국내 입법으로 위임하고 있는 대표

적인 것이 책임제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인과관계의 입증 면제사유 시

효 등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현행 책임제도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대

응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GMO를 위한 특별한 책임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이 특별책임제도의 대상은 GM작물뿐만 아니라 이를 원료로 생산한

30) 환경책임법 제19조 제1항 유전공학법 제36조 제1항

31)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0 -

다양한 상품까지도 포함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실제 유통되거

나 최종상품화하는 것은 작물 그 자체보다는 가공식품 등이기 때문이다 마

지막으로 GMO 책임제도를 현실화하기 위한 재정마련 방안이 필요하다 가

해 당사자가 책임을 질 수 있는 제도로서 담보제공의무 등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투고일 2011 12 14 심사일 2011 12 22 게재확정일 2011 12 26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1 -

참 고 문 헌

김은진 ldquo생명공학기술의 상업화에 따른 책임rdquo「경영법률」제17집 제1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06 10

김은진 ldquoGMO책임 및 복구 추가의정서 채택의 의미 및 대응방안rdquo「농업농

민정책연구소 녀름 이슈보고서」 2010 10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

교 법학논문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UNEPCBD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115 2004 4)

UNEPCBD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UNEPCBD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

WG-LampR12 - UNEPCBDCOP-MOP2INF 5 2005 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2 -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UNEPCBD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NEPCBDBSWG-LampR53 2008 3)

UNEPCBD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lthttpeuropaeuintgt

lthttpwwwcbdintgt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gt

주 제 어

추가의정서 GMO위험 책임제도 배상제도 환경책임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3 -

[ABSTRACT]

Liability on GMOs Potential Risk in Supplementary

Protocol

Kim Eun - Jin

GMO has been issued on its potential risk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GMOs However there is no international legal

system on liability and remedies Developed conturies did not want

to have a strong regulation on GMOs potential risk while developing

countries tried to make a strict liability on GMOs risk

As a result of 10 years discussions the Supplementary Protocol

was adapted Main issue of this protocol is liability and remedies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First the Protocol did not present the legal system of liability and

remedies Instead the protocol delegates the legal system of

national laws

Secondly this protocol covers only living GMO However living

GMOs are very few in market and most of all GMOs are processed

Thirdly there is no regulation for finance which is huge in GMOs

damages on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For implementation act we have to consider how to solve them

For example whether the new law which covers GMOs special

liability is established

Key Words

Supplementary Protocol GMo Risk Liability Remedies Environment

Liability

Page 10: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cmsorgan.wku.ac.kr/reslaw/wp-content/uploads/sites/60/... · 2016-12-02 ·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78 -

구제비용 마련을 위한 재원 마련 방안으로 생명공학기업의 출연금으로

조성된 기금 공공기금 및 공공기금과 사적기금의 결합 등의 세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또한 보험제도의 활용가능성 또한 제시되었다

⑦ 분쟁해결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방식으로 국가간 소송 민사소송 행정소송 및 특

별재판소 설치 등의 네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⑧ 원고적격제소권

당사자의 범위에 피해에 영향은 받은 당사자 환경단체 등에 의한 민중

소송 국가의 당사자 자격 인정 등의 안이 제시되었다

⑨ 기타

그 외에 비당사국에게 책임을 지우기 위해 의정서의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가의 여부에 대해 논의가 있었으며 그 대안으로 책임 및 구제에 대한

양자협정을 체결해야 할 필요성도 제시되었다 또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최종합의문에 대해 법적 구속력을 부여하기 위해 가능한 방안에 대한 논의

도 이루어졌다

3 제3차 당사국총회

2006년 3월 브라질 꾸리찌바에서 개최된 제3차 당사국총회는 전문가그

룹회의의 진전을 환영하고 시간계획에 따라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향후 2

년간 총3회의 회의를 소집할 것을 결의하였다15) 또한 참여를 확보하기 위

15)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pp 22 66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3officialmop-03-15-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9 -

한 적절한 재정 지원의 필요성 및 자발적 참여를 촉구하였다 제3차 총회에

서 별다른 논의가 없었던 것은 전문가그룹의 권한 자체가 제4차 총회까지

이뤄지기 때문에 기간의 작업에 대한 확인 및 필요한 부분에 대한 지원방

안 모색 등의 논의 외에 별다른 논의는 없이 진행되었다

4 제4차 당사국총회

2008년 5월 독일 본에서 개최된 제4차 당사국총회는 총회 개최 전부터

책임 및 구제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부담을 안고 시작되었다

그러나 피해의 정의가 생태계 인체 및 사회경제적 피해까지도 고려하고

있는 상황에서 금전적인 문제와 밀접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논의에 합의

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특히 바스프 바이엘크롭사이언스 다우애그로사이

언스 듀퐁파이오니아 몬산토 신젠타 등 6개의 초국적생명공학기업이 자

신들의 안으로 제시한 계약서(Contractual Compensation Agreement)16)는

GMO로 인한 피해의 배상을 당사자 간의 계약으로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나

타낸 것이었다 이에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80개국으로 구성된

lsquoLike-Minded Friends(이하 LMF)rsquo 그룹은 다음의 세 가지를 포함하여 법

적 구속력이 있는 규정을 제안했다17) 첫째 협상 중인 가이드라인에 규정

된 내용을 포함한 국내법이나 정책을 정할 권리를 회원국에게 부여할 것

둘째 타국의 판결에 대해 상호인정과 실행을 위한 준비를 할 것 셋째 가

이드라인은 책임 및 구제 체계가 발효된 후 3년 이내에 재검토할 것 등이

그것이다 이후 이 제안을 중심으로 다양한 논의가 지속된 결과 몇 가지 잠

16)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

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

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

NEPCBDBSWG-LampR53 2008 3) p 7

lthttpwwwcbdintdocmeetingsbsbswglr-05officialbswglr-05-03-enpdfgt(최종방문

일 2011 9 18)

17)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lthttpwwwbiosafety-infonetarticlephpaid=520gt(최종방문일 2011 11 18)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0 -

정적인 합의를 이루고 나머지는 의장단 그룹(Group of the Friends of the

Co-Chairs)이 협상을 지속하여 제5차 총회에서 최종논의를 하기로 하였

다18)

5 제5차 당사국총회

제5차 총회에서의 논의 내용은 사실상 의장단그룹에 의해 최종적으로

채택된 사항에 대한 확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의장단그룹은 네 차례의 회의

를 거쳐 제4차 총회에서의 합의에 따른 법적 구속력을 가진 lsquo책임 및 구제

추가의정서 초안rsquo과 법적 구속력 없는 lsquo민사책임에 관한 가이드라인 초안rsquo

및 보충적 보상체계로 구성된 보고서를 제5차 총회에 제출하였으나 lsquo책임

및 구제 추가의정서 초안rsquo만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19) 이 의정서(안)은

2011년 3월 11일부터 2012년 3월 6일까지 1년 간 회원국의 서명을 받아

40개국이 서명한 90일 후부터 발효할 예정이다

6 추가의정서의 핵심내용

① 전문 사전주의 원칙과 피해가 있거나 충분한 피해가능성이 있는 경

우에 적절한 대응조치를 제공할 필요성을 인정한다

18)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pp 25 85-85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4officialmop-04-18-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19)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21쪽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5officialmop-05-17-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1 -

② 제1조(목적)

GMO에 관한 책임구제 분야의 국제규칙 및 절차를 제공함으로써 생물다

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기여하고 인체건강에 대한 위해를 고려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③ 제2조(용어의 정의)

lsquo피해rsquo란 인체건강에 대한 위해를 고려를 포함한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인간이 야기한

다른 변이나 자연적 변이를 고려하여 책임기관에 의해 인정된 과학적으로

확립된 기준을 고려하여 측정가능하거나 달리 관찰될 수 있어야 한다

lsquo중대한rsquo 부정적 영향에서의 lsquo중대한rsquo이란 합리적 기간 내에 자연적 회복

을 통해서는 구제되지 않을 장기적 또는 영구적 변화 생물다양성의 구성요

소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질적 또는 양적 변화의 정도 재화와 용역

을 제공하는 생물다양성 구성요소 능력의 감소 또는 의정서의 문맥 상 인

체건강에 미칠 부정적 영향의 정도와 같은 요소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④ 제3조(적용범위)

이 의정서는 국가 간 이동에서 유래하는 LMO(Living Modified

Organism)20)로 인한 피해에 적용한다 여기서 LMO는 식품 또는 사료로

직접 이용되거나 가공을 목적으로 하는 LMO 밀폐사용용 LMO 의도적인

환경방출용 LMO를 의미한다 의도적인 국가간 이동에서는 승인된 이용으

로 인한 피해 뿐만 아니라 비의도적인 국가간 이동이나 불법적인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피해에도 적용한다 국내법은 관할권이 있는 지역 범위 내에

서만 적용한다 비당사국 LMO의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피해에도 마찬가지

로 적용한다

⑤ 제4조(인과관계)

20) 여기에서 GMO라고 하지 않고 굳이 LMO라고 한 것은 이 의정서 상에서 살아있는 형태의

GMO만을 대상으로 하고 GMO로 만든 제품(products thereof)은 제외하고 있기 때문이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2 -

인과관계의 입증에 관해서는 국내법에 따른다

⑥ 제5조(대응조치)

당사국은 피해발생 시 국가책임기관의 요건에 따라 적절한 운영자로 하

여금 국가책임기관에게 지체없이 통보하고 피해를 평가하고 적절한 대응

조치를 취하도록 해야 한다 국가책임기관은 피해를 야기한 운영자를 확인

하고 피해를 평가하고 운영자가 취해야 할 대응조치를 결정해야 한다 이

용가능한 과학적 정보와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포함

한 정보에 따르면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피해가 발생할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운영자는 그러한 피해를 피하기 위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해야 한다 국가책임기관은 특히 운영자가 취하지 못한 조치

를 포함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다 국가책임기관은 국내법에서 달

리 정하지 않는 한 피해의 평가와 적절한 조치 및 그에 수반되는 비용을

운영자에게 청구할 권리를 가진다 운영자에게 대응조치를 요구하는 국가책

임기관의 결정은 합리적이어야 하며 운영자에게 통보해야 한다

국내법은 그러한 결정에 대한 사법적ㆍ행정적 심사를 위한 기회를 포함

한 구제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구제방안에 대한 정보를 운영자에게 알려야

한다 국내법에 달리 정하지 않는 한 구제방안이 국가책임기관이 대응조치

를 취하는 것을 방해하지 아니한다 본 조항을 이행함에 있어 그리고 국가

책임기관이 취하는 또는 취하도록 요구되는 특정 대응조치를 정의할 목적

으로 적절한 경우 당사국은 대응조치가 민사책임에 관한 자국 국내법에 이

미 규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대응조치는 국내법에 따라

이행된다

⑦ 제6조(면제)

당사국은 자국의 국내법에 자연재해 또는 불가항력 전쟁 또는 내란의

경우에 이라는 두 가지 면제사유를 정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하다고 간주하

는 기타 면제 및 경감사유를 국내법에 정할 수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3 -

⑧ 제7조(시효)

국내법에 따라 시효를 정할 수 있다

⑨ 제8조(재정적 한계)

국내법에 따라 대응조치에 따른 소요비용의 상한을 정할 수 있다

⑩ 제9조(구상권)

운영자의 제3자에 대한 구상권은 인정된다

⑪ 제10조(재정보증)

당사국은 국내법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또한 국제법

상의 권리와 의무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 첫 총회에서 사무국은 재정보증체계의 양식 보

증체계가 특히 개발도상국에 미치는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영향의 평가

재정보증을 제공하기에 적절한 실체의 확인을 포함한 포괄적인 연구를 수

행해야 한다

⑫ 제11조(국제불법행위에 대한 국가의 책임)

국제불법행위에 의한 책임에 대한 일반적인 국제법규에 따른 국가의 권

리와 의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⑬ 제12조(이행과 민사책임)

당사국은 피해를 규율하는 절차규칙을 국내법으로 정해야 한다 이 의무

를 이행하기 위하여 당사국은 이 의정서에 따른 대응조치를 제공하고 적절

한 경우 민사책임에 관한 적용할 수 있는 일반규칙과 절차를 포함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절차규칙을 적용 또

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할 수 있다 당사국은

민사책임에 관한 국내법에 이 의정서 제2조 제2항 호의 피해에 연루된

물적 또는 인적 피해에 관한 적절한 절차와 규칙을 제공할 목적으로 민사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4 -

책임에 관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법

을 적용 또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해야 한다

민사책임에 관한 법을 개발할 경우에는 피해 엄격 또는 과실책임을 포함한

민사책임기준 적절한 경우 책임의 집중 제소권(제12조 제3항)을 적절하게

정해야 한다

⑭ 제13조(평가 및 재검토)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에는 5년 마다 평가 및 재검토를 해야 한다

⑮ 기타조항

제14조에서 제21조는 사무국 등의 행정관련 조항이다

7 추가의정서의 특징

추가의정서가 채택되었다고는 하나 책임에 관한 규정은 그 원래 목적을

달성하는데 많은 난관이 따른다

우선 추가의정서는 형식적으로 법적 구속력을 가진다고는 하나 그 내용

상으로는 거의 효력이 없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중요한 사항은 모두 국내법에 위임을 했기 때문이다 당사국은 각각 자신들

의 상황에 맞는 책임제도를 GMO에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애초에

개발도상국에서 제안했던 바가 반영된 것이다 GMO 수입국의 입장에서는

GMO로 인해 야기되는 피해에 따른 수출국의 책임을 물릴 수 있는 가능성

을 확보한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GMO 수출국이나 개발사 등이 안전성에 관한 심사

이후의 수입 승인을 근거로 GMO의 안전성을 주장함으로써 국제적인 다툼

이 상당수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국내입법 시에는 이런 문제를 충분히 고

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5 -

Ⅵ 국내 입법 시의 고려사항

1 GMO 특별책임제도 도입의 필요성

추가의정서에서는 주요조항들이 국내법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입증책임이나 대응조치에 따른 운영자의 구제방안 면제사유 시효

소요비용의 상한선 및 민사책임관련법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GMO에 대한

특수성을 인정하여 별도의 법을 만들 것인지 아니면 기존의 민사책임법제

를 그대로 적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고려해야 한다

현재 우리 법상 개발자나 수출자에게 책임을 지울 근거는 만법 상의 손

해배상 책임과 제조물 책임이다 그러나 우리 법은 제조물의 범위에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을 포함시키고 있지 않기 때문에 GM작물에 적용함에 한

계가 따를 수밖에 없다 EU는 1999년 lsquo개정제조물책임지침(Directive

199934EC )rsquo21)에서 미가공인지를 불문하고 일체의 동산에 적용되는 것

으로 개정하여 농산물 등을 모두 포함하도록 하였다22) 이 개정의 근거는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 첫째 제조물의 범위에 1차 농산물을 포함하는

것이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충족시킨다는 것이었다23)

둘째 EU 역내 시장기능의 활성화 등을 고려하여 농산물의 무역이 더 이상

제조자책임에 관한 각국의 상이한 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24) 셋째 무과실책임이 모든 형태의 제조물에 적

용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25) 우리나라도 농축수산물에 대해 이를 제조물

21) Directive 199934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0 May 19

99 Amending Council Directive 85374EEC on the Approximation of the Laws Regu

lations and Administrative Provisions of the Member States Concerning Liability for

Defective Products OL L141 1999 pp20-21

22) 개정제조물책임지침 제1조

23)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5) (6)

lthttpeuropaeuintsmartapicgisga_docsmartapicelexapiprodCELEXnumdocamplg=en

ampnumdoc=31999L0034ampmodel=guichettgt(최종방문일 2011 11 18)

24)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7) (주 21) 원래 제조물책임지침은 제2조에서 농산물을

제외하였으나 제15조 제1항 a에서 각국이 농산물에 대해서는 독자적 입법이 가능하도록 하

였다 이 규정 역시 1999년의 개정으로 삭제되었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6 -

의 범위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제조물책임법의 적용에서 또다른 한계에 봉착한다 바

로 제조물책임법 제4조 제1항의 제조물책임의 면책사유가운데 제2호의 개

발위험의 항변이 그것이다 개발위험이란 제조자가 제조물을 개발하여 유통

시장에 내놓을 당시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에 비추어 인식할 수 없었던 결함

이 존재함으로써 나타나는 위험을 말한다 문제는 과학적기술적 수준이라

는 개념을 확실하게 정의할 수 없다는 점이다 예컨대 GM식품표시에서

DNA나 단백질이 파괴된 경우에는 현대 과학기술 수준으로는 이를 추적할

수 없기 때문에 표시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즉 GMO는 현재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으로는 아직 그 존재조차도 입증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GMO의

위험성 자체가 잠재적인 것이기 때문에 과학적기술적 수준이 개발 당시에

입수가능한 최고 수준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하더라도 한계가 있

기 때문이다 결국 제조물책임법 자체만으로는 GM작물의 피해에 대한 구

제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민사상의 책임을 지우는 데도 일정한 한계가 있다 첫째 GM종

자를 사서 직접 재배한 농민이 피해를 입은 경우는 GM종자를 판매한 기업

에 대하여 계약책임을 물을 수 있다 그러나 GM종자를 재배한 농민으로

인하여 인근 농민이 작물에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계약책임을 물을 수 없

다 개발자와 피해농민 또는 GM종자 재배농민과 피해농민 양자 사이에 계

약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불법행위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는

데 이미 캐나다의 슈마이저 사례를 비롯하여 미국에서의 수많은 GMO관련

소송에서 농민이나 소비자가 자신의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

다는 것을 경험한 바 있다 따라서 GMO의 피해에 관하여 입증책임을 피해

를 입은 자가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 운영자가 GMO로 인한 피해가

아님을 입증하지 못하면 배상책임을 지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시효의 경우에도 손해배상은 손해나 가해자를 알았을 경우에는 3년 불

법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10년이면 청구권은 사라진다 GMO는 그 특성상

25)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8) (주 21)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7 -

문제점이 10년 이내에 나타날 수도 있지만 10년이 지나서 나타날 수도 있

다 그런데 10년이 지났다는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근거가 없어진다면

그 피해를 입은 사람을 구제할 길이 없다 따라서 GMO에 대해서는 그 시

효를 달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은 제조물책임법의 적용도 받

지 않기 때문에 입증책임이나 시효의 면에서 유리한 제조물책임법을 GMO

에 적용할 수도 없다26) 유럽처럼 제조물책임의 범위 내에 농산물 등을 포

함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GMO의 피해에 따른 책임에 대한 별도의 입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2 추가의정서 적용범위의 확대

추가의정서는 그 대상이 살아있는 GMO에 한정되었다 즉 GM작물이

작물의 형태로 수입되는 경우에는 이 의정서 상의 책임에 관한 적용을 받

지만 그것이 1차 가공된 형태로 수입될 경우 예컨대 가루로 수입될 경우

또는 사료용으로 수입되는 대두박 등과 같은 경우에는 그로 인한 피해는

이 의정서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의정서 초안을 마련할 당

시부터 의장단그룹의 회의에 이르기까지 가장 논란이 많았던 조항 가운데

하나이다 의장단그룹의 최종회의인 제4차 회의에서도 닷새 간 논란이 지속

되었다 GMO제품을 넣어야 한다는 의견에서부터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부속

서II의 일반원칙에 나오는 범위27)만큼만 하자는 의견 아예 빼야 한다는 의

견 등이 매일 서로 다른 그룹이 찬성과 반대로 얽히면서 결국 마지막에 삭

제되었다 문제는 농산물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살아있는

GMO만을 대상으로 하면 불리하다는 점이다28) 따라서 의정서 상에 포함되

26) 제조물책임법 제7조 제2항 단서는 lsquo신체에 누적되어 사람의 건강을 해하는 물질에 의하여

발생한 손해 또는 일정한 잠복기간이 경과한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손해에 대하여는 그 손

해가 발생한 날부터 기산한다rsquo고 정하고 있다

27) 유전자변형생물체 또는 그 산물 즉 유전자변형생물체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현대생명공학

의 사용에 의하여 얻어진 복제능력이 있는 유전물질의 검출 가능한 수준의 조합을 지닌 가

공물질과 관련된(이하 생략)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8 -

지 않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는 다른 GMO와 동일하게 책임에 관한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이행법이라

할 수 있는 lsquo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하 GMO

법)rsquo에서 우리나라는 국가 간 이동에 관한 것만 규율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

에서의 연구middot개발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일정 정도 포함하도록 그 적용범위

를 확대하였다 따라서 이 추가의정서에 따른 이행법을 제정할 경우에도 그

적용범위를 확대하여 GMO제품에 의한 피해에도 책임제도를 적용할 수 있

도록 할 필요가 있다

3 배상책임의 주체 및 재원마련 방안

책임 및 복구 제도에서의 핵심은 피해가 생겼을 경우에 부담해야 할 배

상액을 어떻게 마련하느냐에 있다 우리나라는 의정서의 이행법인 GMO법

을 만들 당시부터 책임 및 복구에 관한 재원마련에 대해 기금 공제제도

보험 등의 제도 도입과 관련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다29) 예컨대 처음 GMO

법을 만들 당시에는 재원마련의 방안으로 공제제도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법이 통과될 당시에는 공제제도를 비롯한 여타의 안들

은 다 삭제되고 단지 GMO법 제34조에서 국가책임기관의 장은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수출입 등과 관련하여 국민의 건강과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

가능한 이용에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재원

확보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을 뿐이다

추가의정서는 피해가 생겼을 경우의 책임에 대하여 재정보증 규정을 두

었다 제3차 의장단그룹회의까지만 하더라도 보험 등 구체적인 재정보증방

안이 제시되었으나 제4차 의장단그룹회의에서는 사흘에 걸친 회의 끝에 보

험 등의 실제적인 방안을 삭제하고 대신 발효 후의 당사국 총회에서 사무

국이 재정보증체계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책임 및 복구에서

28) 물론 우리나라는 제4차 의장단그룹 회의에서 GMO제품을 넣자는 의견에 동의하였다

29)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교 법학논문

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32-34쪽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9 -

가장 중요한 조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구체적인 방안은 각국에게 위

임된 셈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재정보증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야 한다 초기의 공제제도뿐만 아니라 보험 등 다양한 기존의 제도를 중심

으로 다른 나라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제도를 만들 필요

가 있다 특히 독일 환경책임법과 유전공학법에 정하고 있는 담보제공의

무30)에 대한 국내법에의 도입방안을 고려해 볼 만하다 독일은 담보제공의

방법으로서 책임보험 연방이나 주(州)의 면제나 보증 또는 책임보험에 의

한 담보제공이나 금융기관의 면제나 보증 등으로 가능하다31) 우리도 이와

같은 제도 등을 통하여 피해에 대한 배상의 재원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Ⅴ 결 론

GMO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하면서 GMO의 재배에 따른 위험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논란이 되어 왔다 그러나 그 책임에 관한 구제척인 국

제기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의정서 당사국들도 구체적인 책임제도를 만드

는 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런 논란 끝에 만들어진 책임제도는

결국 논란을 이겨내지 못했다 각 당사국이 국내입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

도록 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법으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을 확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책임주체의 문제에서부터 배상액에 이르기까지 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추가의정서에서 국내 입법으로 위임하고 있는 대표

적인 것이 책임제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인과관계의 입증 면제사유 시

효 등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현행 책임제도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대

응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GMO를 위한 특별한 책임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이 특별책임제도의 대상은 GM작물뿐만 아니라 이를 원료로 생산한

30) 환경책임법 제19조 제1항 유전공학법 제36조 제1항

31)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0 -

다양한 상품까지도 포함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실제 유통되거

나 최종상품화하는 것은 작물 그 자체보다는 가공식품 등이기 때문이다 마

지막으로 GMO 책임제도를 현실화하기 위한 재정마련 방안이 필요하다 가

해 당사자가 책임을 질 수 있는 제도로서 담보제공의무 등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투고일 2011 12 14 심사일 2011 12 22 게재확정일 2011 12 26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1 -

참 고 문 헌

김은진 ldquo생명공학기술의 상업화에 따른 책임rdquo「경영법률」제17집 제1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06 10

김은진 ldquoGMO책임 및 복구 추가의정서 채택의 의미 및 대응방안rdquo「농업농

민정책연구소 녀름 이슈보고서」 2010 10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

교 법학논문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UNEPCBD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115 2004 4)

UNEPCBD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UNEPCBD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

WG-LampR12 - UNEPCBDCOP-MOP2INF 5 2005 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2 -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UNEPCBD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NEPCBDBSWG-LampR53 2008 3)

UNEPCBD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lthttpeuropaeuintgt

lthttpwwwcbdintgt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gt

주 제 어

추가의정서 GMO위험 책임제도 배상제도 환경책임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3 -

[ABSTRACT]

Liability on GMOs Potential Risk in Supplementary

Protocol

Kim Eun - Jin

GMO has been issued on its potential risk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GMOs However there is no international legal

system on liability and remedies Developed conturies did not want

to have a strong regulation on GMOs potential risk while developing

countries tried to make a strict liability on GMOs risk

As a result of 10 years discussions the Supplementary Protocol

was adapted Main issue of this protocol is liability and remedies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First the Protocol did not present the legal system of liability and

remedies Instead the protocol delegates the legal system of

national laws

Secondly this protocol covers only living GMO However living

GMOs are very few in market and most of all GMOs are processed

Thirdly there is no regulation for finance which is huge in GMOs

damages on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For implementation act we have to consider how to solve them

For example whether the new law which covers GMOs special

liability is established

Key Words

Supplementary Protocol GMo Risk Liability Remedies Environment

Liability

Page 11: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cmsorgan.wku.ac.kr/reslaw/wp-content/uploads/sites/60/... · 2016-12-02 ·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79 -

한 적절한 재정 지원의 필요성 및 자발적 참여를 촉구하였다 제3차 총회에

서 별다른 논의가 없었던 것은 전문가그룹의 권한 자체가 제4차 총회까지

이뤄지기 때문에 기간의 작업에 대한 확인 및 필요한 부분에 대한 지원방

안 모색 등의 논의 외에 별다른 논의는 없이 진행되었다

4 제4차 당사국총회

2008년 5월 독일 본에서 개최된 제4차 당사국총회는 총회 개최 전부터

책임 및 구제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부담을 안고 시작되었다

그러나 피해의 정의가 생태계 인체 및 사회경제적 피해까지도 고려하고

있는 상황에서 금전적인 문제와 밀접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논의에 합의

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특히 바스프 바이엘크롭사이언스 다우애그로사이

언스 듀퐁파이오니아 몬산토 신젠타 등 6개의 초국적생명공학기업이 자

신들의 안으로 제시한 계약서(Contractual Compensation Agreement)16)는

GMO로 인한 피해의 배상을 당사자 간의 계약으로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나

타낸 것이었다 이에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80개국으로 구성된

lsquoLike-Minded Friends(이하 LMF)rsquo 그룹은 다음의 세 가지를 포함하여 법

적 구속력이 있는 규정을 제안했다17) 첫째 협상 중인 가이드라인에 규정

된 내용을 포함한 국내법이나 정책을 정할 권리를 회원국에게 부여할 것

둘째 타국의 판결에 대해 상호인정과 실행을 위한 준비를 할 것 셋째 가

이드라인은 책임 및 구제 체계가 발효된 후 3년 이내에 재검토할 것 등이

그것이다 이후 이 제안을 중심으로 다양한 논의가 지속된 결과 몇 가지 잠

16)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

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

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

NEPCBDBSWG-LampR53 2008 3) p 7

lthttpwwwcbdintdocmeetingsbsbswglr-05officialbswglr-05-03-enpdfgt(최종방문

일 2011 9 18)

17)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lthttpwwwbiosafety-infonetarticlephpaid=520gt(최종방문일 2011 11 18)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0 -

정적인 합의를 이루고 나머지는 의장단 그룹(Group of the Friends of the

Co-Chairs)이 협상을 지속하여 제5차 총회에서 최종논의를 하기로 하였

다18)

5 제5차 당사국총회

제5차 총회에서의 논의 내용은 사실상 의장단그룹에 의해 최종적으로

채택된 사항에 대한 확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의장단그룹은 네 차례의 회의

를 거쳐 제4차 총회에서의 합의에 따른 법적 구속력을 가진 lsquo책임 및 구제

추가의정서 초안rsquo과 법적 구속력 없는 lsquo민사책임에 관한 가이드라인 초안rsquo

및 보충적 보상체계로 구성된 보고서를 제5차 총회에 제출하였으나 lsquo책임

및 구제 추가의정서 초안rsquo만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19) 이 의정서(안)은

2011년 3월 11일부터 2012년 3월 6일까지 1년 간 회원국의 서명을 받아

40개국이 서명한 90일 후부터 발효할 예정이다

6 추가의정서의 핵심내용

① 전문 사전주의 원칙과 피해가 있거나 충분한 피해가능성이 있는 경

우에 적절한 대응조치를 제공할 필요성을 인정한다

18)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pp 25 85-85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4officialmop-04-18-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19)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21쪽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5officialmop-05-17-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1 -

② 제1조(목적)

GMO에 관한 책임구제 분야의 국제규칙 및 절차를 제공함으로써 생물다

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기여하고 인체건강에 대한 위해를 고려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③ 제2조(용어의 정의)

lsquo피해rsquo란 인체건강에 대한 위해를 고려를 포함한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인간이 야기한

다른 변이나 자연적 변이를 고려하여 책임기관에 의해 인정된 과학적으로

확립된 기준을 고려하여 측정가능하거나 달리 관찰될 수 있어야 한다

lsquo중대한rsquo 부정적 영향에서의 lsquo중대한rsquo이란 합리적 기간 내에 자연적 회복

을 통해서는 구제되지 않을 장기적 또는 영구적 변화 생물다양성의 구성요

소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질적 또는 양적 변화의 정도 재화와 용역

을 제공하는 생물다양성 구성요소 능력의 감소 또는 의정서의 문맥 상 인

체건강에 미칠 부정적 영향의 정도와 같은 요소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④ 제3조(적용범위)

이 의정서는 국가 간 이동에서 유래하는 LMO(Living Modified

Organism)20)로 인한 피해에 적용한다 여기서 LMO는 식품 또는 사료로

직접 이용되거나 가공을 목적으로 하는 LMO 밀폐사용용 LMO 의도적인

환경방출용 LMO를 의미한다 의도적인 국가간 이동에서는 승인된 이용으

로 인한 피해 뿐만 아니라 비의도적인 국가간 이동이나 불법적인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피해에도 적용한다 국내법은 관할권이 있는 지역 범위 내에

서만 적용한다 비당사국 LMO의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피해에도 마찬가지

로 적용한다

⑤ 제4조(인과관계)

20) 여기에서 GMO라고 하지 않고 굳이 LMO라고 한 것은 이 의정서 상에서 살아있는 형태의

GMO만을 대상으로 하고 GMO로 만든 제품(products thereof)은 제외하고 있기 때문이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2 -

인과관계의 입증에 관해서는 국내법에 따른다

⑥ 제5조(대응조치)

당사국은 피해발생 시 국가책임기관의 요건에 따라 적절한 운영자로 하

여금 국가책임기관에게 지체없이 통보하고 피해를 평가하고 적절한 대응

조치를 취하도록 해야 한다 국가책임기관은 피해를 야기한 운영자를 확인

하고 피해를 평가하고 운영자가 취해야 할 대응조치를 결정해야 한다 이

용가능한 과학적 정보와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포함

한 정보에 따르면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피해가 발생할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운영자는 그러한 피해를 피하기 위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해야 한다 국가책임기관은 특히 운영자가 취하지 못한 조치

를 포함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다 국가책임기관은 국내법에서 달

리 정하지 않는 한 피해의 평가와 적절한 조치 및 그에 수반되는 비용을

운영자에게 청구할 권리를 가진다 운영자에게 대응조치를 요구하는 국가책

임기관의 결정은 합리적이어야 하며 운영자에게 통보해야 한다

국내법은 그러한 결정에 대한 사법적ㆍ행정적 심사를 위한 기회를 포함

한 구제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구제방안에 대한 정보를 운영자에게 알려야

한다 국내법에 달리 정하지 않는 한 구제방안이 국가책임기관이 대응조치

를 취하는 것을 방해하지 아니한다 본 조항을 이행함에 있어 그리고 국가

책임기관이 취하는 또는 취하도록 요구되는 특정 대응조치를 정의할 목적

으로 적절한 경우 당사국은 대응조치가 민사책임에 관한 자국 국내법에 이

미 규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대응조치는 국내법에 따라

이행된다

⑦ 제6조(면제)

당사국은 자국의 국내법에 자연재해 또는 불가항력 전쟁 또는 내란의

경우에 이라는 두 가지 면제사유를 정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하다고 간주하

는 기타 면제 및 경감사유를 국내법에 정할 수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3 -

⑧ 제7조(시효)

국내법에 따라 시효를 정할 수 있다

⑨ 제8조(재정적 한계)

국내법에 따라 대응조치에 따른 소요비용의 상한을 정할 수 있다

⑩ 제9조(구상권)

운영자의 제3자에 대한 구상권은 인정된다

⑪ 제10조(재정보증)

당사국은 국내법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또한 국제법

상의 권리와 의무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 첫 총회에서 사무국은 재정보증체계의 양식 보

증체계가 특히 개발도상국에 미치는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영향의 평가

재정보증을 제공하기에 적절한 실체의 확인을 포함한 포괄적인 연구를 수

행해야 한다

⑫ 제11조(국제불법행위에 대한 국가의 책임)

국제불법행위에 의한 책임에 대한 일반적인 국제법규에 따른 국가의 권

리와 의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⑬ 제12조(이행과 민사책임)

당사국은 피해를 규율하는 절차규칙을 국내법으로 정해야 한다 이 의무

를 이행하기 위하여 당사국은 이 의정서에 따른 대응조치를 제공하고 적절

한 경우 민사책임에 관한 적용할 수 있는 일반규칙과 절차를 포함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절차규칙을 적용 또

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할 수 있다 당사국은

민사책임에 관한 국내법에 이 의정서 제2조 제2항 호의 피해에 연루된

물적 또는 인적 피해에 관한 적절한 절차와 규칙을 제공할 목적으로 민사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4 -

책임에 관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법

을 적용 또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해야 한다

민사책임에 관한 법을 개발할 경우에는 피해 엄격 또는 과실책임을 포함한

민사책임기준 적절한 경우 책임의 집중 제소권(제12조 제3항)을 적절하게

정해야 한다

⑭ 제13조(평가 및 재검토)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에는 5년 마다 평가 및 재검토를 해야 한다

⑮ 기타조항

제14조에서 제21조는 사무국 등의 행정관련 조항이다

7 추가의정서의 특징

추가의정서가 채택되었다고는 하나 책임에 관한 규정은 그 원래 목적을

달성하는데 많은 난관이 따른다

우선 추가의정서는 형식적으로 법적 구속력을 가진다고는 하나 그 내용

상으로는 거의 효력이 없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중요한 사항은 모두 국내법에 위임을 했기 때문이다 당사국은 각각 자신들

의 상황에 맞는 책임제도를 GMO에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애초에

개발도상국에서 제안했던 바가 반영된 것이다 GMO 수입국의 입장에서는

GMO로 인해 야기되는 피해에 따른 수출국의 책임을 물릴 수 있는 가능성

을 확보한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GMO 수출국이나 개발사 등이 안전성에 관한 심사

이후의 수입 승인을 근거로 GMO의 안전성을 주장함으로써 국제적인 다툼

이 상당수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국내입법 시에는 이런 문제를 충분히 고

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5 -

Ⅵ 국내 입법 시의 고려사항

1 GMO 특별책임제도 도입의 필요성

추가의정서에서는 주요조항들이 국내법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입증책임이나 대응조치에 따른 운영자의 구제방안 면제사유 시효

소요비용의 상한선 및 민사책임관련법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GMO에 대한

특수성을 인정하여 별도의 법을 만들 것인지 아니면 기존의 민사책임법제

를 그대로 적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고려해야 한다

현재 우리 법상 개발자나 수출자에게 책임을 지울 근거는 만법 상의 손

해배상 책임과 제조물 책임이다 그러나 우리 법은 제조물의 범위에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을 포함시키고 있지 않기 때문에 GM작물에 적용함에 한

계가 따를 수밖에 없다 EU는 1999년 lsquo개정제조물책임지침(Directive

199934EC )rsquo21)에서 미가공인지를 불문하고 일체의 동산에 적용되는 것

으로 개정하여 농산물 등을 모두 포함하도록 하였다22) 이 개정의 근거는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 첫째 제조물의 범위에 1차 농산물을 포함하는

것이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충족시킨다는 것이었다23)

둘째 EU 역내 시장기능의 활성화 등을 고려하여 농산물의 무역이 더 이상

제조자책임에 관한 각국의 상이한 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24) 셋째 무과실책임이 모든 형태의 제조물에 적

용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25) 우리나라도 농축수산물에 대해 이를 제조물

21) Directive 199934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0 May 19

99 Amending Council Directive 85374EEC on the Approximation of the Laws Regu

lations and Administrative Provisions of the Member States Concerning Liability for

Defective Products OL L141 1999 pp20-21

22) 개정제조물책임지침 제1조

23)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5) (6)

lthttpeuropaeuintsmartapicgisga_docsmartapicelexapiprodCELEXnumdocamplg=en

ampnumdoc=31999L0034ampmodel=guichettgt(최종방문일 2011 11 18)

24)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7) (주 21) 원래 제조물책임지침은 제2조에서 농산물을

제외하였으나 제15조 제1항 a에서 각국이 농산물에 대해서는 독자적 입법이 가능하도록 하

였다 이 규정 역시 1999년의 개정으로 삭제되었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6 -

의 범위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제조물책임법의 적용에서 또다른 한계에 봉착한다 바

로 제조물책임법 제4조 제1항의 제조물책임의 면책사유가운데 제2호의 개

발위험의 항변이 그것이다 개발위험이란 제조자가 제조물을 개발하여 유통

시장에 내놓을 당시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에 비추어 인식할 수 없었던 결함

이 존재함으로써 나타나는 위험을 말한다 문제는 과학적기술적 수준이라

는 개념을 확실하게 정의할 수 없다는 점이다 예컨대 GM식품표시에서

DNA나 단백질이 파괴된 경우에는 현대 과학기술 수준으로는 이를 추적할

수 없기 때문에 표시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즉 GMO는 현재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으로는 아직 그 존재조차도 입증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GMO의

위험성 자체가 잠재적인 것이기 때문에 과학적기술적 수준이 개발 당시에

입수가능한 최고 수준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하더라도 한계가 있

기 때문이다 결국 제조물책임법 자체만으로는 GM작물의 피해에 대한 구

제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민사상의 책임을 지우는 데도 일정한 한계가 있다 첫째 GM종

자를 사서 직접 재배한 농민이 피해를 입은 경우는 GM종자를 판매한 기업

에 대하여 계약책임을 물을 수 있다 그러나 GM종자를 재배한 농민으로

인하여 인근 농민이 작물에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계약책임을 물을 수 없

다 개발자와 피해농민 또는 GM종자 재배농민과 피해농민 양자 사이에 계

약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불법행위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는

데 이미 캐나다의 슈마이저 사례를 비롯하여 미국에서의 수많은 GMO관련

소송에서 농민이나 소비자가 자신의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

다는 것을 경험한 바 있다 따라서 GMO의 피해에 관하여 입증책임을 피해

를 입은 자가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 운영자가 GMO로 인한 피해가

아님을 입증하지 못하면 배상책임을 지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시효의 경우에도 손해배상은 손해나 가해자를 알았을 경우에는 3년 불

법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10년이면 청구권은 사라진다 GMO는 그 특성상

25)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8) (주 21)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7 -

문제점이 10년 이내에 나타날 수도 있지만 10년이 지나서 나타날 수도 있

다 그런데 10년이 지났다는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근거가 없어진다면

그 피해를 입은 사람을 구제할 길이 없다 따라서 GMO에 대해서는 그 시

효를 달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은 제조물책임법의 적용도 받

지 않기 때문에 입증책임이나 시효의 면에서 유리한 제조물책임법을 GMO

에 적용할 수도 없다26) 유럽처럼 제조물책임의 범위 내에 농산물 등을 포

함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GMO의 피해에 따른 책임에 대한 별도의 입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2 추가의정서 적용범위의 확대

추가의정서는 그 대상이 살아있는 GMO에 한정되었다 즉 GM작물이

작물의 형태로 수입되는 경우에는 이 의정서 상의 책임에 관한 적용을 받

지만 그것이 1차 가공된 형태로 수입될 경우 예컨대 가루로 수입될 경우

또는 사료용으로 수입되는 대두박 등과 같은 경우에는 그로 인한 피해는

이 의정서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의정서 초안을 마련할 당

시부터 의장단그룹의 회의에 이르기까지 가장 논란이 많았던 조항 가운데

하나이다 의장단그룹의 최종회의인 제4차 회의에서도 닷새 간 논란이 지속

되었다 GMO제품을 넣어야 한다는 의견에서부터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부속

서II의 일반원칙에 나오는 범위27)만큼만 하자는 의견 아예 빼야 한다는 의

견 등이 매일 서로 다른 그룹이 찬성과 반대로 얽히면서 결국 마지막에 삭

제되었다 문제는 농산물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살아있는

GMO만을 대상으로 하면 불리하다는 점이다28) 따라서 의정서 상에 포함되

26) 제조물책임법 제7조 제2항 단서는 lsquo신체에 누적되어 사람의 건강을 해하는 물질에 의하여

발생한 손해 또는 일정한 잠복기간이 경과한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손해에 대하여는 그 손

해가 발생한 날부터 기산한다rsquo고 정하고 있다

27) 유전자변형생물체 또는 그 산물 즉 유전자변형생물체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현대생명공학

의 사용에 의하여 얻어진 복제능력이 있는 유전물질의 검출 가능한 수준의 조합을 지닌 가

공물질과 관련된(이하 생략)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8 -

지 않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는 다른 GMO와 동일하게 책임에 관한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이행법이라

할 수 있는 lsquo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하 GMO

법)rsquo에서 우리나라는 국가 간 이동에 관한 것만 규율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

에서의 연구middot개발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일정 정도 포함하도록 그 적용범위

를 확대하였다 따라서 이 추가의정서에 따른 이행법을 제정할 경우에도 그

적용범위를 확대하여 GMO제품에 의한 피해에도 책임제도를 적용할 수 있

도록 할 필요가 있다

3 배상책임의 주체 및 재원마련 방안

책임 및 복구 제도에서의 핵심은 피해가 생겼을 경우에 부담해야 할 배

상액을 어떻게 마련하느냐에 있다 우리나라는 의정서의 이행법인 GMO법

을 만들 당시부터 책임 및 복구에 관한 재원마련에 대해 기금 공제제도

보험 등의 제도 도입과 관련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다29) 예컨대 처음 GMO

법을 만들 당시에는 재원마련의 방안으로 공제제도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법이 통과될 당시에는 공제제도를 비롯한 여타의 안들

은 다 삭제되고 단지 GMO법 제34조에서 국가책임기관의 장은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수출입 등과 관련하여 국민의 건강과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

가능한 이용에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재원

확보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을 뿐이다

추가의정서는 피해가 생겼을 경우의 책임에 대하여 재정보증 규정을 두

었다 제3차 의장단그룹회의까지만 하더라도 보험 등 구체적인 재정보증방

안이 제시되었으나 제4차 의장단그룹회의에서는 사흘에 걸친 회의 끝에 보

험 등의 실제적인 방안을 삭제하고 대신 발효 후의 당사국 총회에서 사무

국이 재정보증체계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책임 및 복구에서

28) 물론 우리나라는 제4차 의장단그룹 회의에서 GMO제품을 넣자는 의견에 동의하였다

29)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교 법학논문

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32-34쪽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9 -

가장 중요한 조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구체적인 방안은 각국에게 위

임된 셈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재정보증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야 한다 초기의 공제제도뿐만 아니라 보험 등 다양한 기존의 제도를 중심

으로 다른 나라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제도를 만들 필요

가 있다 특히 독일 환경책임법과 유전공학법에 정하고 있는 담보제공의

무30)에 대한 국내법에의 도입방안을 고려해 볼 만하다 독일은 담보제공의

방법으로서 책임보험 연방이나 주(州)의 면제나 보증 또는 책임보험에 의

한 담보제공이나 금융기관의 면제나 보증 등으로 가능하다31) 우리도 이와

같은 제도 등을 통하여 피해에 대한 배상의 재원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Ⅴ 결 론

GMO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하면서 GMO의 재배에 따른 위험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논란이 되어 왔다 그러나 그 책임에 관한 구제척인 국

제기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의정서 당사국들도 구체적인 책임제도를 만드

는 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런 논란 끝에 만들어진 책임제도는

결국 논란을 이겨내지 못했다 각 당사국이 국내입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

도록 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법으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을 확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책임주체의 문제에서부터 배상액에 이르기까지 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추가의정서에서 국내 입법으로 위임하고 있는 대표

적인 것이 책임제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인과관계의 입증 면제사유 시

효 등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현행 책임제도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대

응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GMO를 위한 특별한 책임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이 특별책임제도의 대상은 GM작물뿐만 아니라 이를 원료로 생산한

30) 환경책임법 제19조 제1항 유전공학법 제36조 제1항

31)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0 -

다양한 상품까지도 포함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실제 유통되거

나 최종상품화하는 것은 작물 그 자체보다는 가공식품 등이기 때문이다 마

지막으로 GMO 책임제도를 현실화하기 위한 재정마련 방안이 필요하다 가

해 당사자가 책임을 질 수 있는 제도로서 담보제공의무 등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투고일 2011 12 14 심사일 2011 12 22 게재확정일 2011 12 26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1 -

참 고 문 헌

김은진 ldquo생명공학기술의 상업화에 따른 책임rdquo「경영법률」제17집 제1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06 10

김은진 ldquoGMO책임 및 복구 추가의정서 채택의 의미 및 대응방안rdquo「농업농

민정책연구소 녀름 이슈보고서」 2010 10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

교 법학논문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UNEPCBD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115 2004 4)

UNEPCBD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UNEPCBD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

WG-LampR12 - UNEPCBDCOP-MOP2INF 5 2005 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2 -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UNEPCBD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NEPCBDBSWG-LampR53 2008 3)

UNEPCBD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lthttpeuropaeuintgt

lthttpwwwcbdintgt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gt

주 제 어

추가의정서 GMO위험 책임제도 배상제도 환경책임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3 -

[ABSTRACT]

Liability on GMOs Potential Risk in Supplementary

Protocol

Kim Eun - Jin

GMO has been issued on its potential risk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GMOs However there is no international legal

system on liability and remedies Developed conturies did not want

to have a strong regulation on GMOs potential risk while developing

countries tried to make a strict liability on GMOs risk

As a result of 10 years discussions the Supplementary Protocol

was adapted Main issue of this protocol is liability and remedies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First the Protocol did not present the legal system of liability and

remedies Instead the protocol delegates the legal system of

national laws

Secondly this protocol covers only living GMO However living

GMOs are very few in market and most of all GMOs are processed

Thirdly there is no regulation for finance which is huge in GMOs

damages on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For implementation act we have to consider how to solve them

For example whether the new law which covers GMOs special

liability is established

Key Words

Supplementary Protocol GMo Risk Liability Remedies Environment

Liability

Page 12: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cmsorgan.wku.ac.kr/reslaw/wp-content/uploads/sites/60/... · 2016-12-02 ·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0 -

정적인 합의를 이루고 나머지는 의장단 그룹(Group of the Friends of the

Co-Chairs)이 협상을 지속하여 제5차 총회에서 최종논의를 하기로 하였

다18)

5 제5차 당사국총회

제5차 총회에서의 논의 내용은 사실상 의장단그룹에 의해 최종적으로

채택된 사항에 대한 확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의장단그룹은 네 차례의 회의

를 거쳐 제4차 총회에서의 합의에 따른 법적 구속력을 가진 lsquo책임 및 구제

추가의정서 초안rsquo과 법적 구속력 없는 lsquo민사책임에 관한 가이드라인 초안rsquo

및 보충적 보상체계로 구성된 보고서를 제5차 총회에 제출하였으나 lsquo책임

및 구제 추가의정서 초안rsquo만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19) 이 의정서(안)은

2011년 3월 11일부터 2012년 3월 6일까지 1년 간 회원국의 서명을 받아

40개국이 서명한 90일 후부터 발효할 예정이다

6 추가의정서의 핵심내용

① 전문 사전주의 원칙과 피해가 있거나 충분한 피해가능성이 있는 경

우에 적절한 대응조치를 제공할 필요성을 인정한다

18)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pp 25 85-85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4officialmop-04-18-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19)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21쪽

lthttpswwwcbdintdocmeetingsbsmop-05officialmop-05-17-endocgt(최종방문일

2011 11 18)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1 -

② 제1조(목적)

GMO에 관한 책임구제 분야의 국제규칙 및 절차를 제공함으로써 생물다

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기여하고 인체건강에 대한 위해를 고려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③ 제2조(용어의 정의)

lsquo피해rsquo란 인체건강에 대한 위해를 고려를 포함한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인간이 야기한

다른 변이나 자연적 변이를 고려하여 책임기관에 의해 인정된 과학적으로

확립된 기준을 고려하여 측정가능하거나 달리 관찰될 수 있어야 한다

lsquo중대한rsquo 부정적 영향에서의 lsquo중대한rsquo이란 합리적 기간 내에 자연적 회복

을 통해서는 구제되지 않을 장기적 또는 영구적 변화 생물다양성의 구성요

소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질적 또는 양적 변화의 정도 재화와 용역

을 제공하는 생물다양성 구성요소 능력의 감소 또는 의정서의 문맥 상 인

체건강에 미칠 부정적 영향의 정도와 같은 요소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④ 제3조(적용범위)

이 의정서는 국가 간 이동에서 유래하는 LMO(Living Modified

Organism)20)로 인한 피해에 적용한다 여기서 LMO는 식품 또는 사료로

직접 이용되거나 가공을 목적으로 하는 LMO 밀폐사용용 LMO 의도적인

환경방출용 LMO를 의미한다 의도적인 국가간 이동에서는 승인된 이용으

로 인한 피해 뿐만 아니라 비의도적인 국가간 이동이나 불법적인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피해에도 적용한다 국내법은 관할권이 있는 지역 범위 내에

서만 적용한다 비당사국 LMO의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피해에도 마찬가지

로 적용한다

⑤ 제4조(인과관계)

20) 여기에서 GMO라고 하지 않고 굳이 LMO라고 한 것은 이 의정서 상에서 살아있는 형태의

GMO만을 대상으로 하고 GMO로 만든 제품(products thereof)은 제외하고 있기 때문이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2 -

인과관계의 입증에 관해서는 국내법에 따른다

⑥ 제5조(대응조치)

당사국은 피해발생 시 국가책임기관의 요건에 따라 적절한 운영자로 하

여금 국가책임기관에게 지체없이 통보하고 피해를 평가하고 적절한 대응

조치를 취하도록 해야 한다 국가책임기관은 피해를 야기한 운영자를 확인

하고 피해를 평가하고 운영자가 취해야 할 대응조치를 결정해야 한다 이

용가능한 과학적 정보와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포함

한 정보에 따르면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피해가 발생할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운영자는 그러한 피해를 피하기 위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해야 한다 국가책임기관은 특히 운영자가 취하지 못한 조치

를 포함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다 국가책임기관은 국내법에서 달

리 정하지 않는 한 피해의 평가와 적절한 조치 및 그에 수반되는 비용을

운영자에게 청구할 권리를 가진다 운영자에게 대응조치를 요구하는 국가책

임기관의 결정은 합리적이어야 하며 운영자에게 통보해야 한다

국내법은 그러한 결정에 대한 사법적ㆍ행정적 심사를 위한 기회를 포함

한 구제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구제방안에 대한 정보를 운영자에게 알려야

한다 국내법에 달리 정하지 않는 한 구제방안이 국가책임기관이 대응조치

를 취하는 것을 방해하지 아니한다 본 조항을 이행함에 있어 그리고 국가

책임기관이 취하는 또는 취하도록 요구되는 특정 대응조치를 정의할 목적

으로 적절한 경우 당사국은 대응조치가 민사책임에 관한 자국 국내법에 이

미 규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대응조치는 국내법에 따라

이행된다

⑦ 제6조(면제)

당사국은 자국의 국내법에 자연재해 또는 불가항력 전쟁 또는 내란의

경우에 이라는 두 가지 면제사유를 정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하다고 간주하

는 기타 면제 및 경감사유를 국내법에 정할 수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3 -

⑧ 제7조(시효)

국내법에 따라 시효를 정할 수 있다

⑨ 제8조(재정적 한계)

국내법에 따라 대응조치에 따른 소요비용의 상한을 정할 수 있다

⑩ 제9조(구상권)

운영자의 제3자에 대한 구상권은 인정된다

⑪ 제10조(재정보증)

당사국은 국내법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또한 국제법

상의 권리와 의무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 첫 총회에서 사무국은 재정보증체계의 양식 보

증체계가 특히 개발도상국에 미치는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영향의 평가

재정보증을 제공하기에 적절한 실체의 확인을 포함한 포괄적인 연구를 수

행해야 한다

⑫ 제11조(국제불법행위에 대한 국가의 책임)

국제불법행위에 의한 책임에 대한 일반적인 국제법규에 따른 국가의 권

리와 의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⑬ 제12조(이행과 민사책임)

당사국은 피해를 규율하는 절차규칙을 국내법으로 정해야 한다 이 의무

를 이행하기 위하여 당사국은 이 의정서에 따른 대응조치를 제공하고 적절

한 경우 민사책임에 관한 적용할 수 있는 일반규칙과 절차를 포함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절차규칙을 적용 또

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할 수 있다 당사국은

민사책임에 관한 국내법에 이 의정서 제2조 제2항 호의 피해에 연루된

물적 또는 인적 피해에 관한 적절한 절차와 규칙을 제공할 목적으로 민사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4 -

책임에 관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법

을 적용 또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해야 한다

민사책임에 관한 법을 개발할 경우에는 피해 엄격 또는 과실책임을 포함한

민사책임기준 적절한 경우 책임의 집중 제소권(제12조 제3항)을 적절하게

정해야 한다

⑭ 제13조(평가 및 재검토)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에는 5년 마다 평가 및 재검토를 해야 한다

⑮ 기타조항

제14조에서 제21조는 사무국 등의 행정관련 조항이다

7 추가의정서의 특징

추가의정서가 채택되었다고는 하나 책임에 관한 규정은 그 원래 목적을

달성하는데 많은 난관이 따른다

우선 추가의정서는 형식적으로 법적 구속력을 가진다고는 하나 그 내용

상으로는 거의 효력이 없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중요한 사항은 모두 국내법에 위임을 했기 때문이다 당사국은 각각 자신들

의 상황에 맞는 책임제도를 GMO에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애초에

개발도상국에서 제안했던 바가 반영된 것이다 GMO 수입국의 입장에서는

GMO로 인해 야기되는 피해에 따른 수출국의 책임을 물릴 수 있는 가능성

을 확보한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GMO 수출국이나 개발사 등이 안전성에 관한 심사

이후의 수입 승인을 근거로 GMO의 안전성을 주장함으로써 국제적인 다툼

이 상당수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국내입법 시에는 이런 문제를 충분히 고

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5 -

Ⅵ 국내 입법 시의 고려사항

1 GMO 특별책임제도 도입의 필요성

추가의정서에서는 주요조항들이 국내법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입증책임이나 대응조치에 따른 운영자의 구제방안 면제사유 시효

소요비용의 상한선 및 민사책임관련법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GMO에 대한

특수성을 인정하여 별도의 법을 만들 것인지 아니면 기존의 민사책임법제

를 그대로 적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고려해야 한다

현재 우리 법상 개발자나 수출자에게 책임을 지울 근거는 만법 상의 손

해배상 책임과 제조물 책임이다 그러나 우리 법은 제조물의 범위에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을 포함시키고 있지 않기 때문에 GM작물에 적용함에 한

계가 따를 수밖에 없다 EU는 1999년 lsquo개정제조물책임지침(Directive

199934EC )rsquo21)에서 미가공인지를 불문하고 일체의 동산에 적용되는 것

으로 개정하여 농산물 등을 모두 포함하도록 하였다22) 이 개정의 근거는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 첫째 제조물의 범위에 1차 농산물을 포함하는

것이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충족시킨다는 것이었다23)

둘째 EU 역내 시장기능의 활성화 등을 고려하여 농산물의 무역이 더 이상

제조자책임에 관한 각국의 상이한 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24) 셋째 무과실책임이 모든 형태의 제조물에 적

용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25) 우리나라도 농축수산물에 대해 이를 제조물

21) Directive 199934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0 May 19

99 Amending Council Directive 85374EEC on the Approximation of the Laws Regu

lations and Administrative Provisions of the Member States Concerning Liability for

Defective Products OL L141 1999 pp20-21

22) 개정제조물책임지침 제1조

23)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5) (6)

lthttpeuropaeuintsmartapicgisga_docsmartapicelexapiprodCELEXnumdocamplg=en

ampnumdoc=31999L0034ampmodel=guichettgt(최종방문일 2011 11 18)

24)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7) (주 21) 원래 제조물책임지침은 제2조에서 농산물을

제외하였으나 제15조 제1항 a에서 각국이 농산물에 대해서는 독자적 입법이 가능하도록 하

였다 이 규정 역시 1999년의 개정으로 삭제되었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6 -

의 범위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제조물책임법의 적용에서 또다른 한계에 봉착한다 바

로 제조물책임법 제4조 제1항의 제조물책임의 면책사유가운데 제2호의 개

발위험의 항변이 그것이다 개발위험이란 제조자가 제조물을 개발하여 유통

시장에 내놓을 당시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에 비추어 인식할 수 없었던 결함

이 존재함으로써 나타나는 위험을 말한다 문제는 과학적기술적 수준이라

는 개념을 확실하게 정의할 수 없다는 점이다 예컨대 GM식품표시에서

DNA나 단백질이 파괴된 경우에는 현대 과학기술 수준으로는 이를 추적할

수 없기 때문에 표시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즉 GMO는 현재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으로는 아직 그 존재조차도 입증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GMO의

위험성 자체가 잠재적인 것이기 때문에 과학적기술적 수준이 개발 당시에

입수가능한 최고 수준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하더라도 한계가 있

기 때문이다 결국 제조물책임법 자체만으로는 GM작물의 피해에 대한 구

제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민사상의 책임을 지우는 데도 일정한 한계가 있다 첫째 GM종

자를 사서 직접 재배한 농민이 피해를 입은 경우는 GM종자를 판매한 기업

에 대하여 계약책임을 물을 수 있다 그러나 GM종자를 재배한 농민으로

인하여 인근 농민이 작물에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계약책임을 물을 수 없

다 개발자와 피해농민 또는 GM종자 재배농민과 피해농민 양자 사이에 계

약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불법행위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는

데 이미 캐나다의 슈마이저 사례를 비롯하여 미국에서의 수많은 GMO관련

소송에서 농민이나 소비자가 자신의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

다는 것을 경험한 바 있다 따라서 GMO의 피해에 관하여 입증책임을 피해

를 입은 자가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 운영자가 GMO로 인한 피해가

아님을 입증하지 못하면 배상책임을 지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시효의 경우에도 손해배상은 손해나 가해자를 알았을 경우에는 3년 불

법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10년이면 청구권은 사라진다 GMO는 그 특성상

25)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8) (주 21)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7 -

문제점이 10년 이내에 나타날 수도 있지만 10년이 지나서 나타날 수도 있

다 그런데 10년이 지났다는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근거가 없어진다면

그 피해를 입은 사람을 구제할 길이 없다 따라서 GMO에 대해서는 그 시

효를 달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은 제조물책임법의 적용도 받

지 않기 때문에 입증책임이나 시효의 면에서 유리한 제조물책임법을 GMO

에 적용할 수도 없다26) 유럽처럼 제조물책임의 범위 내에 농산물 등을 포

함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GMO의 피해에 따른 책임에 대한 별도의 입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2 추가의정서 적용범위의 확대

추가의정서는 그 대상이 살아있는 GMO에 한정되었다 즉 GM작물이

작물의 형태로 수입되는 경우에는 이 의정서 상의 책임에 관한 적용을 받

지만 그것이 1차 가공된 형태로 수입될 경우 예컨대 가루로 수입될 경우

또는 사료용으로 수입되는 대두박 등과 같은 경우에는 그로 인한 피해는

이 의정서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의정서 초안을 마련할 당

시부터 의장단그룹의 회의에 이르기까지 가장 논란이 많았던 조항 가운데

하나이다 의장단그룹의 최종회의인 제4차 회의에서도 닷새 간 논란이 지속

되었다 GMO제품을 넣어야 한다는 의견에서부터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부속

서II의 일반원칙에 나오는 범위27)만큼만 하자는 의견 아예 빼야 한다는 의

견 등이 매일 서로 다른 그룹이 찬성과 반대로 얽히면서 결국 마지막에 삭

제되었다 문제는 농산물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살아있는

GMO만을 대상으로 하면 불리하다는 점이다28) 따라서 의정서 상에 포함되

26) 제조물책임법 제7조 제2항 단서는 lsquo신체에 누적되어 사람의 건강을 해하는 물질에 의하여

발생한 손해 또는 일정한 잠복기간이 경과한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손해에 대하여는 그 손

해가 발생한 날부터 기산한다rsquo고 정하고 있다

27) 유전자변형생물체 또는 그 산물 즉 유전자변형생물체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현대생명공학

의 사용에 의하여 얻어진 복제능력이 있는 유전물질의 검출 가능한 수준의 조합을 지닌 가

공물질과 관련된(이하 생략)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8 -

지 않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는 다른 GMO와 동일하게 책임에 관한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이행법이라

할 수 있는 lsquo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하 GMO

법)rsquo에서 우리나라는 국가 간 이동에 관한 것만 규율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

에서의 연구middot개발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일정 정도 포함하도록 그 적용범위

를 확대하였다 따라서 이 추가의정서에 따른 이행법을 제정할 경우에도 그

적용범위를 확대하여 GMO제품에 의한 피해에도 책임제도를 적용할 수 있

도록 할 필요가 있다

3 배상책임의 주체 및 재원마련 방안

책임 및 복구 제도에서의 핵심은 피해가 생겼을 경우에 부담해야 할 배

상액을 어떻게 마련하느냐에 있다 우리나라는 의정서의 이행법인 GMO법

을 만들 당시부터 책임 및 복구에 관한 재원마련에 대해 기금 공제제도

보험 등의 제도 도입과 관련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다29) 예컨대 처음 GMO

법을 만들 당시에는 재원마련의 방안으로 공제제도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법이 통과될 당시에는 공제제도를 비롯한 여타의 안들

은 다 삭제되고 단지 GMO법 제34조에서 국가책임기관의 장은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수출입 등과 관련하여 국민의 건강과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

가능한 이용에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재원

확보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을 뿐이다

추가의정서는 피해가 생겼을 경우의 책임에 대하여 재정보증 규정을 두

었다 제3차 의장단그룹회의까지만 하더라도 보험 등 구체적인 재정보증방

안이 제시되었으나 제4차 의장단그룹회의에서는 사흘에 걸친 회의 끝에 보

험 등의 실제적인 방안을 삭제하고 대신 발효 후의 당사국 총회에서 사무

국이 재정보증체계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책임 및 복구에서

28) 물론 우리나라는 제4차 의장단그룹 회의에서 GMO제품을 넣자는 의견에 동의하였다

29)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교 법학논문

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32-34쪽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9 -

가장 중요한 조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구체적인 방안은 각국에게 위

임된 셈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재정보증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야 한다 초기의 공제제도뿐만 아니라 보험 등 다양한 기존의 제도를 중심

으로 다른 나라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제도를 만들 필요

가 있다 특히 독일 환경책임법과 유전공학법에 정하고 있는 담보제공의

무30)에 대한 국내법에의 도입방안을 고려해 볼 만하다 독일은 담보제공의

방법으로서 책임보험 연방이나 주(州)의 면제나 보증 또는 책임보험에 의

한 담보제공이나 금융기관의 면제나 보증 등으로 가능하다31) 우리도 이와

같은 제도 등을 통하여 피해에 대한 배상의 재원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Ⅴ 결 론

GMO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하면서 GMO의 재배에 따른 위험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논란이 되어 왔다 그러나 그 책임에 관한 구제척인 국

제기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의정서 당사국들도 구체적인 책임제도를 만드

는 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런 논란 끝에 만들어진 책임제도는

결국 논란을 이겨내지 못했다 각 당사국이 국내입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

도록 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법으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을 확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책임주체의 문제에서부터 배상액에 이르기까지 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추가의정서에서 국내 입법으로 위임하고 있는 대표

적인 것이 책임제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인과관계의 입증 면제사유 시

효 등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현행 책임제도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대

응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GMO를 위한 특별한 책임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이 특별책임제도의 대상은 GM작물뿐만 아니라 이를 원료로 생산한

30) 환경책임법 제19조 제1항 유전공학법 제36조 제1항

31)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0 -

다양한 상품까지도 포함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실제 유통되거

나 최종상품화하는 것은 작물 그 자체보다는 가공식품 등이기 때문이다 마

지막으로 GMO 책임제도를 현실화하기 위한 재정마련 방안이 필요하다 가

해 당사자가 책임을 질 수 있는 제도로서 담보제공의무 등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투고일 2011 12 14 심사일 2011 12 22 게재확정일 2011 12 26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1 -

참 고 문 헌

김은진 ldquo생명공학기술의 상업화에 따른 책임rdquo「경영법률」제17집 제1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06 10

김은진 ldquoGMO책임 및 복구 추가의정서 채택의 의미 및 대응방안rdquo「농업농

민정책연구소 녀름 이슈보고서」 2010 10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

교 법학논문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UNEPCBD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115 2004 4)

UNEPCBD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UNEPCBD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

WG-LampR12 - UNEPCBDCOP-MOP2INF 5 2005 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2 -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UNEPCBD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NEPCBDBSWG-LampR53 2008 3)

UNEPCBD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lthttpeuropaeuintgt

lthttpwwwcbdintgt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gt

주 제 어

추가의정서 GMO위험 책임제도 배상제도 환경책임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3 -

[ABSTRACT]

Liability on GMOs Potential Risk in Supplementary

Protocol

Kim Eun - Jin

GMO has been issued on its potential risk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GMOs However there is no international legal

system on liability and remedies Developed conturies did not want

to have a strong regulation on GMOs potential risk while developing

countries tried to make a strict liability on GMOs risk

As a result of 10 years discussions the Supplementary Protocol

was adapted Main issue of this protocol is liability and remedies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First the Protocol did not present the legal system of liability and

remedies Instead the protocol delegates the legal system of

national laws

Secondly this protocol covers only living GMO However living

GMOs are very few in market and most of all GMOs are processed

Thirdly there is no regulation for finance which is huge in GMOs

damages on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For implementation act we have to consider how to solve them

For example whether the new law which covers GMOs special

liability is established

Key Words

Supplementary Protocol GMo Risk Liability Remedies Environment

Liability

Page 13: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cmsorgan.wku.ac.kr/reslaw/wp-content/uploads/sites/60/... · 2016-12-02 ·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1 -

② 제1조(목적)

GMO에 관한 책임구제 분야의 국제규칙 및 절차를 제공함으로써 생물다

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기여하고 인체건강에 대한 위해를 고려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③ 제2조(용어의 정의)

lsquo피해rsquo란 인체건강에 대한 위해를 고려를 포함한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인간이 야기한

다른 변이나 자연적 변이를 고려하여 책임기관에 의해 인정된 과학적으로

확립된 기준을 고려하여 측정가능하거나 달리 관찰될 수 있어야 한다

lsquo중대한rsquo 부정적 영향에서의 lsquo중대한rsquo이란 합리적 기간 내에 자연적 회복

을 통해서는 구제되지 않을 장기적 또는 영구적 변화 생물다양성의 구성요

소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질적 또는 양적 변화의 정도 재화와 용역

을 제공하는 생물다양성 구성요소 능력의 감소 또는 의정서의 문맥 상 인

체건강에 미칠 부정적 영향의 정도와 같은 요소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④ 제3조(적용범위)

이 의정서는 국가 간 이동에서 유래하는 LMO(Living Modified

Organism)20)로 인한 피해에 적용한다 여기서 LMO는 식품 또는 사료로

직접 이용되거나 가공을 목적으로 하는 LMO 밀폐사용용 LMO 의도적인

환경방출용 LMO를 의미한다 의도적인 국가간 이동에서는 승인된 이용으

로 인한 피해 뿐만 아니라 비의도적인 국가간 이동이나 불법적인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피해에도 적용한다 국내법은 관할권이 있는 지역 범위 내에

서만 적용한다 비당사국 LMO의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피해에도 마찬가지

로 적용한다

⑤ 제4조(인과관계)

20) 여기에서 GMO라고 하지 않고 굳이 LMO라고 한 것은 이 의정서 상에서 살아있는 형태의

GMO만을 대상으로 하고 GMO로 만든 제품(products thereof)은 제외하고 있기 때문이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2 -

인과관계의 입증에 관해서는 국내법에 따른다

⑥ 제5조(대응조치)

당사국은 피해발생 시 국가책임기관의 요건에 따라 적절한 운영자로 하

여금 국가책임기관에게 지체없이 통보하고 피해를 평가하고 적절한 대응

조치를 취하도록 해야 한다 국가책임기관은 피해를 야기한 운영자를 확인

하고 피해를 평가하고 운영자가 취해야 할 대응조치를 결정해야 한다 이

용가능한 과학적 정보와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포함

한 정보에 따르면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피해가 발생할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운영자는 그러한 피해를 피하기 위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해야 한다 국가책임기관은 특히 운영자가 취하지 못한 조치

를 포함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다 국가책임기관은 국내법에서 달

리 정하지 않는 한 피해의 평가와 적절한 조치 및 그에 수반되는 비용을

운영자에게 청구할 권리를 가진다 운영자에게 대응조치를 요구하는 국가책

임기관의 결정은 합리적이어야 하며 운영자에게 통보해야 한다

국내법은 그러한 결정에 대한 사법적ㆍ행정적 심사를 위한 기회를 포함

한 구제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구제방안에 대한 정보를 운영자에게 알려야

한다 국내법에 달리 정하지 않는 한 구제방안이 국가책임기관이 대응조치

를 취하는 것을 방해하지 아니한다 본 조항을 이행함에 있어 그리고 국가

책임기관이 취하는 또는 취하도록 요구되는 특정 대응조치를 정의할 목적

으로 적절한 경우 당사국은 대응조치가 민사책임에 관한 자국 국내법에 이

미 규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대응조치는 국내법에 따라

이행된다

⑦ 제6조(면제)

당사국은 자국의 국내법에 자연재해 또는 불가항력 전쟁 또는 내란의

경우에 이라는 두 가지 면제사유를 정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하다고 간주하

는 기타 면제 및 경감사유를 국내법에 정할 수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3 -

⑧ 제7조(시효)

국내법에 따라 시효를 정할 수 있다

⑨ 제8조(재정적 한계)

국내법에 따라 대응조치에 따른 소요비용의 상한을 정할 수 있다

⑩ 제9조(구상권)

운영자의 제3자에 대한 구상권은 인정된다

⑪ 제10조(재정보증)

당사국은 국내법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또한 국제법

상의 권리와 의무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 첫 총회에서 사무국은 재정보증체계의 양식 보

증체계가 특히 개발도상국에 미치는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영향의 평가

재정보증을 제공하기에 적절한 실체의 확인을 포함한 포괄적인 연구를 수

행해야 한다

⑫ 제11조(국제불법행위에 대한 국가의 책임)

국제불법행위에 의한 책임에 대한 일반적인 국제법규에 따른 국가의 권

리와 의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⑬ 제12조(이행과 민사책임)

당사국은 피해를 규율하는 절차규칙을 국내법으로 정해야 한다 이 의무

를 이행하기 위하여 당사국은 이 의정서에 따른 대응조치를 제공하고 적절

한 경우 민사책임에 관한 적용할 수 있는 일반규칙과 절차를 포함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절차규칙을 적용 또

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할 수 있다 당사국은

민사책임에 관한 국내법에 이 의정서 제2조 제2항 호의 피해에 연루된

물적 또는 인적 피해에 관한 적절한 절차와 규칙을 제공할 목적으로 민사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4 -

책임에 관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법

을 적용 또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해야 한다

민사책임에 관한 법을 개발할 경우에는 피해 엄격 또는 과실책임을 포함한

민사책임기준 적절한 경우 책임의 집중 제소권(제12조 제3항)을 적절하게

정해야 한다

⑭ 제13조(평가 및 재검토)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에는 5년 마다 평가 및 재검토를 해야 한다

⑮ 기타조항

제14조에서 제21조는 사무국 등의 행정관련 조항이다

7 추가의정서의 특징

추가의정서가 채택되었다고는 하나 책임에 관한 규정은 그 원래 목적을

달성하는데 많은 난관이 따른다

우선 추가의정서는 형식적으로 법적 구속력을 가진다고는 하나 그 내용

상으로는 거의 효력이 없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중요한 사항은 모두 국내법에 위임을 했기 때문이다 당사국은 각각 자신들

의 상황에 맞는 책임제도를 GMO에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애초에

개발도상국에서 제안했던 바가 반영된 것이다 GMO 수입국의 입장에서는

GMO로 인해 야기되는 피해에 따른 수출국의 책임을 물릴 수 있는 가능성

을 확보한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GMO 수출국이나 개발사 등이 안전성에 관한 심사

이후의 수입 승인을 근거로 GMO의 안전성을 주장함으로써 국제적인 다툼

이 상당수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국내입법 시에는 이런 문제를 충분히 고

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5 -

Ⅵ 국내 입법 시의 고려사항

1 GMO 특별책임제도 도입의 필요성

추가의정서에서는 주요조항들이 국내법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입증책임이나 대응조치에 따른 운영자의 구제방안 면제사유 시효

소요비용의 상한선 및 민사책임관련법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GMO에 대한

특수성을 인정하여 별도의 법을 만들 것인지 아니면 기존의 민사책임법제

를 그대로 적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고려해야 한다

현재 우리 법상 개발자나 수출자에게 책임을 지울 근거는 만법 상의 손

해배상 책임과 제조물 책임이다 그러나 우리 법은 제조물의 범위에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을 포함시키고 있지 않기 때문에 GM작물에 적용함에 한

계가 따를 수밖에 없다 EU는 1999년 lsquo개정제조물책임지침(Directive

199934EC )rsquo21)에서 미가공인지를 불문하고 일체의 동산에 적용되는 것

으로 개정하여 농산물 등을 모두 포함하도록 하였다22) 이 개정의 근거는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 첫째 제조물의 범위에 1차 농산물을 포함하는

것이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충족시킨다는 것이었다23)

둘째 EU 역내 시장기능의 활성화 등을 고려하여 농산물의 무역이 더 이상

제조자책임에 관한 각국의 상이한 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24) 셋째 무과실책임이 모든 형태의 제조물에 적

용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25) 우리나라도 농축수산물에 대해 이를 제조물

21) Directive 199934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0 May 19

99 Amending Council Directive 85374EEC on the Approximation of the Laws Regu

lations and Administrative Provisions of the Member States Concerning Liability for

Defective Products OL L141 1999 pp20-21

22) 개정제조물책임지침 제1조

23)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5) (6)

lthttpeuropaeuintsmartapicgisga_docsmartapicelexapiprodCELEXnumdocamplg=en

ampnumdoc=31999L0034ampmodel=guichettgt(최종방문일 2011 11 18)

24)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7) (주 21) 원래 제조물책임지침은 제2조에서 농산물을

제외하였으나 제15조 제1항 a에서 각국이 농산물에 대해서는 독자적 입법이 가능하도록 하

였다 이 규정 역시 1999년의 개정으로 삭제되었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6 -

의 범위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제조물책임법의 적용에서 또다른 한계에 봉착한다 바

로 제조물책임법 제4조 제1항의 제조물책임의 면책사유가운데 제2호의 개

발위험의 항변이 그것이다 개발위험이란 제조자가 제조물을 개발하여 유통

시장에 내놓을 당시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에 비추어 인식할 수 없었던 결함

이 존재함으로써 나타나는 위험을 말한다 문제는 과학적기술적 수준이라

는 개념을 확실하게 정의할 수 없다는 점이다 예컨대 GM식품표시에서

DNA나 단백질이 파괴된 경우에는 현대 과학기술 수준으로는 이를 추적할

수 없기 때문에 표시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즉 GMO는 현재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으로는 아직 그 존재조차도 입증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GMO의

위험성 자체가 잠재적인 것이기 때문에 과학적기술적 수준이 개발 당시에

입수가능한 최고 수준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하더라도 한계가 있

기 때문이다 결국 제조물책임법 자체만으로는 GM작물의 피해에 대한 구

제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민사상의 책임을 지우는 데도 일정한 한계가 있다 첫째 GM종

자를 사서 직접 재배한 농민이 피해를 입은 경우는 GM종자를 판매한 기업

에 대하여 계약책임을 물을 수 있다 그러나 GM종자를 재배한 농민으로

인하여 인근 농민이 작물에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계약책임을 물을 수 없

다 개발자와 피해농민 또는 GM종자 재배농민과 피해농민 양자 사이에 계

약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불법행위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는

데 이미 캐나다의 슈마이저 사례를 비롯하여 미국에서의 수많은 GMO관련

소송에서 농민이나 소비자가 자신의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

다는 것을 경험한 바 있다 따라서 GMO의 피해에 관하여 입증책임을 피해

를 입은 자가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 운영자가 GMO로 인한 피해가

아님을 입증하지 못하면 배상책임을 지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시효의 경우에도 손해배상은 손해나 가해자를 알았을 경우에는 3년 불

법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10년이면 청구권은 사라진다 GMO는 그 특성상

25)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8) (주 21)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7 -

문제점이 10년 이내에 나타날 수도 있지만 10년이 지나서 나타날 수도 있

다 그런데 10년이 지났다는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근거가 없어진다면

그 피해를 입은 사람을 구제할 길이 없다 따라서 GMO에 대해서는 그 시

효를 달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은 제조물책임법의 적용도 받

지 않기 때문에 입증책임이나 시효의 면에서 유리한 제조물책임법을 GMO

에 적용할 수도 없다26) 유럽처럼 제조물책임의 범위 내에 농산물 등을 포

함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GMO의 피해에 따른 책임에 대한 별도의 입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2 추가의정서 적용범위의 확대

추가의정서는 그 대상이 살아있는 GMO에 한정되었다 즉 GM작물이

작물의 형태로 수입되는 경우에는 이 의정서 상의 책임에 관한 적용을 받

지만 그것이 1차 가공된 형태로 수입될 경우 예컨대 가루로 수입될 경우

또는 사료용으로 수입되는 대두박 등과 같은 경우에는 그로 인한 피해는

이 의정서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의정서 초안을 마련할 당

시부터 의장단그룹의 회의에 이르기까지 가장 논란이 많았던 조항 가운데

하나이다 의장단그룹의 최종회의인 제4차 회의에서도 닷새 간 논란이 지속

되었다 GMO제품을 넣어야 한다는 의견에서부터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부속

서II의 일반원칙에 나오는 범위27)만큼만 하자는 의견 아예 빼야 한다는 의

견 등이 매일 서로 다른 그룹이 찬성과 반대로 얽히면서 결국 마지막에 삭

제되었다 문제는 농산물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살아있는

GMO만을 대상으로 하면 불리하다는 점이다28) 따라서 의정서 상에 포함되

26) 제조물책임법 제7조 제2항 단서는 lsquo신체에 누적되어 사람의 건강을 해하는 물질에 의하여

발생한 손해 또는 일정한 잠복기간이 경과한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손해에 대하여는 그 손

해가 발생한 날부터 기산한다rsquo고 정하고 있다

27) 유전자변형생물체 또는 그 산물 즉 유전자변형생물체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현대생명공학

의 사용에 의하여 얻어진 복제능력이 있는 유전물질의 검출 가능한 수준의 조합을 지닌 가

공물질과 관련된(이하 생략)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8 -

지 않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는 다른 GMO와 동일하게 책임에 관한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이행법이라

할 수 있는 lsquo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하 GMO

법)rsquo에서 우리나라는 국가 간 이동에 관한 것만 규율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

에서의 연구middot개발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일정 정도 포함하도록 그 적용범위

를 확대하였다 따라서 이 추가의정서에 따른 이행법을 제정할 경우에도 그

적용범위를 확대하여 GMO제품에 의한 피해에도 책임제도를 적용할 수 있

도록 할 필요가 있다

3 배상책임의 주체 및 재원마련 방안

책임 및 복구 제도에서의 핵심은 피해가 생겼을 경우에 부담해야 할 배

상액을 어떻게 마련하느냐에 있다 우리나라는 의정서의 이행법인 GMO법

을 만들 당시부터 책임 및 복구에 관한 재원마련에 대해 기금 공제제도

보험 등의 제도 도입과 관련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다29) 예컨대 처음 GMO

법을 만들 당시에는 재원마련의 방안으로 공제제도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법이 통과될 당시에는 공제제도를 비롯한 여타의 안들

은 다 삭제되고 단지 GMO법 제34조에서 국가책임기관의 장은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수출입 등과 관련하여 국민의 건강과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

가능한 이용에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재원

확보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을 뿐이다

추가의정서는 피해가 생겼을 경우의 책임에 대하여 재정보증 규정을 두

었다 제3차 의장단그룹회의까지만 하더라도 보험 등 구체적인 재정보증방

안이 제시되었으나 제4차 의장단그룹회의에서는 사흘에 걸친 회의 끝에 보

험 등의 실제적인 방안을 삭제하고 대신 발효 후의 당사국 총회에서 사무

국이 재정보증체계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책임 및 복구에서

28) 물론 우리나라는 제4차 의장단그룹 회의에서 GMO제품을 넣자는 의견에 동의하였다

29)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교 법학논문

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32-34쪽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9 -

가장 중요한 조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구체적인 방안은 각국에게 위

임된 셈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재정보증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야 한다 초기의 공제제도뿐만 아니라 보험 등 다양한 기존의 제도를 중심

으로 다른 나라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제도를 만들 필요

가 있다 특히 독일 환경책임법과 유전공학법에 정하고 있는 담보제공의

무30)에 대한 국내법에의 도입방안을 고려해 볼 만하다 독일은 담보제공의

방법으로서 책임보험 연방이나 주(州)의 면제나 보증 또는 책임보험에 의

한 담보제공이나 금융기관의 면제나 보증 등으로 가능하다31) 우리도 이와

같은 제도 등을 통하여 피해에 대한 배상의 재원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Ⅴ 결 론

GMO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하면서 GMO의 재배에 따른 위험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논란이 되어 왔다 그러나 그 책임에 관한 구제척인 국

제기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의정서 당사국들도 구체적인 책임제도를 만드

는 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런 논란 끝에 만들어진 책임제도는

결국 논란을 이겨내지 못했다 각 당사국이 국내입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

도록 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법으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을 확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책임주체의 문제에서부터 배상액에 이르기까지 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추가의정서에서 국내 입법으로 위임하고 있는 대표

적인 것이 책임제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인과관계의 입증 면제사유 시

효 등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현행 책임제도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대

응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GMO를 위한 특별한 책임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이 특별책임제도의 대상은 GM작물뿐만 아니라 이를 원료로 생산한

30) 환경책임법 제19조 제1항 유전공학법 제36조 제1항

31)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0 -

다양한 상품까지도 포함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실제 유통되거

나 최종상품화하는 것은 작물 그 자체보다는 가공식품 등이기 때문이다 마

지막으로 GMO 책임제도를 현실화하기 위한 재정마련 방안이 필요하다 가

해 당사자가 책임을 질 수 있는 제도로서 담보제공의무 등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투고일 2011 12 14 심사일 2011 12 22 게재확정일 2011 12 26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1 -

참 고 문 헌

김은진 ldquo생명공학기술의 상업화에 따른 책임rdquo「경영법률」제17집 제1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06 10

김은진 ldquoGMO책임 및 복구 추가의정서 채택의 의미 및 대응방안rdquo「농업농

민정책연구소 녀름 이슈보고서」 2010 10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

교 법학논문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UNEPCBD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115 2004 4)

UNEPCBD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UNEPCBD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

WG-LampR12 - UNEPCBDCOP-MOP2INF 5 2005 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2 -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UNEPCBD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NEPCBDBSWG-LampR53 2008 3)

UNEPCBD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lthttpeuropaeuintgt

lthttpwwwcbdintgt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gt

주 제 어

추가의정서 GMO위험 책임제도 배상제도 환경책임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3 -

[ABSTRACT]

Liability on GMOs Potential Risk in Supplementary

Protocol

Kim Eun - Jin

GMO has been issued on its potential risk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GMOs However there is no international legal

system on liability and remedies Developed conturies did not want

to have a strong regulation on GMOs potential risk while developing

countries tried to make a strict liability on GMOs risk

As a result of 10 years discussions the Supplementary Protocol

was adapted Main issue of this protocol is liability and remedies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First the Protocol did not present the legal system of liability and

remedies Instead the protocol delegates the legal system of

national laws

Secondly this protocol covers only living GMO However living

GMOs are very few in market and most of all GMOs are processed

Thirdly there is no regulation for finance which is huge in GMOs

damages on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For implementation act we have to consider how to solve them

For example whether the new law which covers GMOs special

liability is established

Key Words

Supplementary Protocol GMo Risk Liability Remedies Environment

Liability

Page 14: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cmsorgan.wku.ac.kr/reslaw/wp-content/uploads/sites/60/... · 2016-12-02 ·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2 -

인과관계의 입증에 관해서는 국내법에 따른다

⑥ 제5조(대응조치)

당사국은 피해발생 시 국가책임기관의 요건에 따라 적절한 운영자로 하

여금 국가책임기관에게 지체없이 통보하고 피해를 평가하고 적절한 대응

조치를 취하도록 해야 한다 국가책임기관은 피해를 야기한 운영자를 확인

하고 피해를 평가하고 운영자가 취해야 할 대응조치를 결정해야 한다 이

용가능한 과학적 정보와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포함

한 정보에 따르면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피해가 발생할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운영자는 그러한 피해를 피하기 위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해야 한다 국가책임기관은 특히 운영자가 취하지 못한 조치

를 포함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다 국가책임기관은 국내법에서 달

리 정하지 않는 한 피해의 평가와 적절한 조치 및 그에 수반되는 비용을

운영자에게 청구할 권리를 가진다 운영자에게 대응조치를 요구하는 국가책

임기관의 결정은 합리적이어야 하며 운영자에게 통보해야 한다

국내법은 그러한 결정에 대한 사법적ㆍ행정적 심사를 위한 기회를 포함

한 구제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구제방안에 대한 정보를 운영자에게 알려야

한다 국내법에 달리 정하지 않는 한 구제방안이 국가책임기관이 대응조치

를 취하는 것을 방해하지 아니한다 본 조항을 이행함에 있어 그리고 국가

책임기관이 취하는 또는 취하도록 요구되는 특정 대응조치를 정의할 목적

으로 적절한 경우 당사국은 대응조치가 민사책임에 관한 자국 국내법에 이

미 규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대응조치는 국내법에 따라

이행된다

⑦ 제6조(면제)

당사국은 자국의 국내법에 자연재해 또는 불가항력 전쟁 또는 내란의

경우에 이라는 두 가지 면제사유를 정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하다고 간주하

는 기타 면제 및 경감사유를 국내법에 정할 수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3 -

⑧ 제7조(시효)

국내법에 따라 시효를 정할 수 있다

⑨ 제8조(재정적 한계)

국내법에 따라 대응조치에 따른 소요비용의 상한을 정할 수 있다

⑩ 제9조(구상권)

운영자의 제3자에 대한 구상권은 인정된다

⑪ 제10조(재정보증)

당사국은 국내법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또한 국제법

상의 권리와 의무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 첫 총회에서 사무국은 재정보증체계의 양식 보

증체계가 특히 개발도상국에 미치는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영향의 평가

재정보증을 제공하기에 적절한 실체의 확인을 포함한 포괄적인 연구를 수

행해야 한다

⑫ 제11조(국제불법행위에 대한 국가의 책임)

국제불법행위에 의한 책임에 대한 일반적인 국제법규에 따른 국가의 권

리와 의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⑬ 제12조(이행과 민사책임)

당사국은 피해를 규율하는 절차규칙을 국내법으로 정해야 한다 이 의무

를 이행하기 위하여 당사국은 이 의정서에 따른 대응조치를 제공하고 적절

한 경우 민사책임에 관한 적용할 수 있는 일반규칙과 절차를 포함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절차규칙을 적용 또

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할 수 있다 당사국은

민사책임에 관한 국내법에 이 의정서 제2조 제2항 호의 피해에 연루된

물적 또는 인적 피해에 관한 적절한 절차와 규칙을 제공할 목적으로 민사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4 -

책임에 관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법

을 적용 또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해야 한다

민사책임에 관한 법을 개발할 경우에는 피해 엄격 또는 과실책임을 포함한

민사책임기준 적절한 경우 책임의 집중 제소권(제12조 제3항)을 적절하게

정해야 한다

⑭ 제13조(평가 및 재검토)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에는 5년 마다 평가 및 재검토를 해야 한다

⑮ 기타조항

제14조에서 제21조는 사무국 등의 행정관련 조항이다

7 추가의정서의 특징

추가의정서가 채택되었다고는 하나 책임에 관한 규정은 그 원래 목적을

달성하는데 많은 난관이 따른다

우선 추가의정서는 형식적으로 법적 구속력을 가진다고는 하나 그 내용

상으로는 거의 효력이 없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중요한 사항은 모두 국내법에 위임을 했기 때문이다 당사국은 각각 자신들

의 상황에 맞는 책임제도를 GMO에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애초에

개발도상국에서 제안했던 바가 반영된 것이다 GMO 수입국의 입장에서는

GMO로 인해 야기되는 피해에 따른 수출국의 책임을 물릴 수 있는 가능성

을 확보한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GMO 수출국이나 개발사 등이 안전성에 관한 심사

이후의 수입 승인을 근거로 GMO의 안전성을 주장함으로써 국제적인 다툼

이 상당수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국내입법 시에는 이런 문제를 충분히 고

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5 -

Ⅵ 국내 입법 시의 고려사항

1 GMO 특별책임제도 도입의 필요성

추가의정서에서는 주요조항들이 국내법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입증책임이나 대응조치에 따른 운영자의 구제방안 면제사유 시효

소요비용의 상한선 및 민사책임관련법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GMO에 대한

특수성을 인정하여 별도의 법을 만들 것인지 아니면 기존의 민사책임법제

를 그대로 적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고려해야 한다

현재 우리 법상 개발자나 수출자에게 책임을 지울 근거는 만법 상의 손

해배상 책임과 제조물 책임이다 그러나 우리 법은 제조물의 범위에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을 포함시키고 있지 않기 때문에 GM작물에 적용함에 한

계가 따를 수밖에 없다 EU는 1999년 lsquo개정제조물책임지침(Directive

199934EC )rsquo21)에서 미가공인지를 불문하고 일체의 동산에 적용되는 것

으로 개정하여 농산물 등을 모두 포함하도록 하였다22) 이 개정의 근거는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 첫째 제조물의 범위에 1차 농산물을 포함하는

것이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충족시킨다는 것이었다23)

둘째 EU 역내 시장기능의 활성화 등을 고려하여 농산물의 무역이 더 이상

제조자책임에 관한 각국의 상이한 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24) 셋째 무과실책임이 모든 형태의 제조물에 적

용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25) 우리나라도 농축수산물에 대해 이를 제조물

21) Directive 199934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0 May 19

99 Amending Council Directive 85374EEC on the Approximation of the Laws Regu

lations and Administrative Provisions of the Member States Concerning Liability for

Defective Products OL L141 1999 pp20-21

22) 개정제조물책임지침 제1조

23)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5) (6)

lthttpeuropaeuintsmartapicgisga_docsmartapicelexapiprodCELEXnumdocamplg=en

ampnumdoc=31999L0034ampmodel=guichettgt(최종방문일 2011 11 18)

24)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7) (주 21) 원래 제조물책임지침은 제2조에서 농산물을

제외하였으나 제15조 제1항 a에서 각국이 농산물에 대해서는 독자적 입법이 가능하도록 하

였다 이 규정 역시 1999년의 개정으로 삭제되었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6 -

의 범위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제조물책임법의 적용에서 또다른 한계에 봉착한다 바

로 제조물책임법 제4조 제1항의 제조물책임의 면책사유가운데 제2호의 개

발위험의 항변이 그것이다 개발위험이란 제조자가 제조물을 개발하여 유통

시장에 내놓을 당시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에 비추어 인식할 수 없었던 결함

이 존재함으로써 나타나는 위험을 말한다 문제는 과학적기술적 수준이라

는 개념을 확실하게 정의할 수 없다는 점이다 예컨대 GM식품표시에서

DNA나 단백질이 파괴된 경우에는 현대 과학기술 수준으로는 이를 추적할

수 없기 때문에 표시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즉 GMO는 현재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으로는 아직 그 존재조차도 입증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GMO의

위험성 자체가 잠재적인 것이기 때문에 과학적기술적 수준이 개발 당시에

입수가능한 최고 수준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하더라도 한계가 있

기 때문이다 결국 제조물책임법 자체만으로는 GM작물의 피해에 대한 구

제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민사상의 책임을 지우는 데도 일정한 한계가 있다 첫째 GM종

자를 사서 직접 재배한 농민이 피해를 입은 경우는 GM종자를 판매한 기업

에 대하여 계약책임을 물을 수 있다 그러나 GM종자를 재배한 농민으로

인하여 인근 농민이 작물에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계약책임을 물을 수 없

다 개발자와 피해농민 또는 GM종자 재배농민과 피해농민 양자 사이에 계

약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불법행위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는

데 이미 캐나다의 슈마이저 사례를 비롯하여 미국에서의 수많은 GMO관련

소송에서 농민이나 소비자가 자신의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

다는 것을 경험한 바 있다 따라서 GMO의 피해에 관하여 입증책임을 피해

를 입은 자가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 운영자가 GMO로 인한 피해가

아님을 입증하지 못하면 배상책임을 지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시효의 경우에도 손해배상은 손해나 가해자를 알았을 경우에는 3년 불

법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10년이면 청구권은 사라진다 GMO는 그 특성상

25)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8) (주 21)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7 -

문제점이 10년 이내에 나타날 수도 있지만 10년이 지나서 나타날 수도 있

다 그런데 10년이 지났다는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근거가 없어진다면

그 피해를 입은 사람을 구제할 길이 없다 따라서 GMO에 대해서는 그 시

효를 달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은 제조물책임법의 적용도 받

지 않기 때문에 입증책임이나 시효의 면에서 유리한 제조물책임법을 GMO

에 적용할 수도 없다26) 유럽처럼 제조물책임의 범위 내에 농산물 등을 포

함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GMO의 피해에 따른 책임에 대한 별도의 입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2 추가의정서 적용범위의 확대

추가의정서는 그 대상이 살아있는 GMO에 한정되었다 즉 GM작물이

작물의 형태로 수입되는 경우에는 이 의정서 상의 책임에 관한 적용을 받

지만 그것이 1차 가공된 형태로 수입될 경우 예컨대 가루로 수입될 경우

또는 사료용으로 수입되는 대두박 등과 같은 경우에는 그로 인한 피해는

이 의정서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의정서 초안을 마련할 당

시부터 의장단그룹의 회의에 이르기까지 가장 논란이 많았던 조항 가운데

하나이다 의장단그룹의 최종회의인 제4차 회의에서도 닷새 간 논란이 지속

되었다 GMO제품을 넣어야 한다는 의견에서부터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부속

서II의 일반원칙에 나오는 범위27)만큼만 하자는 의견 아예 빼야 한다는 의

견 등이 매일 서로 다른 그룹이 찬성과 반대로 얽히면서 결국 마지막에 삭

제되었다 문제는 농산물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살아있는

GMO만을 대상으로 하면 불리하다는 점이다28) 따라서 의정서 상에 포함되

26) 제조물책임법 제7조 제2항 단서는 lsquo신체에 누적되어 사람의 건강을 해하는 물질에 의하여

발생한 손해 또는 일정한 잠복기간이 경과한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손해에 대하여는 그 손

해가 발생한 날부터 기산한다rsquo고 정하고 있다

27) 유전자변형생물체 또는 그 산물 즉 유전자변형생물체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현대생명공학

의 사용에 의하여 얻어진 복제능력이 있는 유전물질의 검출 가능한 수준의 조합을 지닌 가

공물질과 관련된(이하 생략)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8 -

지 않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는 다른 GMO와 동일하게 책임에 관한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이행법이라

할 수 있는 lsquo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하 GMO

법)rsquo에서 우리나라는 국가 간 이동에 관한 것만 규율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

에서의 연구middot개발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일정 정도 포함하도록 그 적용범위

를 확대하였다 따라서 이 추가의정서에 따른 이행법을 제정할 경우에도 그

적용범위를 확대하여 GMO제품에 의한 피해에도 책임제도를 적용할 수 있

도록 할 필요가 있다

3 배상책임의 주체 및 재원마련 방안

책임 및 복구 제도에서의 핵심은 피해가 생겼을 경우에 부담해야 할 배

상액을 어떻게 마련하느냐에 있다 우리나라는 의정서의 이행법인 GMO법

을 만들 당시부터 책임 및 복구에 관한 재원마련에 대해 기금 공제제도

보험 등의 제도 도입과 관련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다29) 예컨대 처음 GMO

법을 만들 당시에는 재원마련의 방안으로 공제제도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법이 통과될 당시에는 공제제도를 비롯한 여타의 안들

은 다 삭제되고 단지 GMO법 제34조에서 국가책임기관의 장은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수출입 등과 관련하여 국민의 건강과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

가능한 이용에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재원

확보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을 뿐이다

추가의정서는 피해가 생겼을 경우의 책임에 대하여 재정보증 규정을 두

었다 제3차 의장단그룹회의까지만 하더라도 보험 등 구체적인 재정보증방

안이 제시되었으나 제4차 의장단그룹회의에서는 사흘에 걸친 회의 끝에 보

험 등의 실제적인 방안을 삭제하고 대신 발효 후의 당사국 총회에서 사무

국이 재정보증체계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책임 및 복구에서

28) 물론 우리나라는 제4차 의장단그룹 회의에서 GMO제품을 넣자는 의견에 동의하였다

29)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교 법학논문

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32-34쪽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9 -

가장 중요한 조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구체적인 방안은 각국에게 위

임된 셈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재정보증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야 한다 초기의 공제제도뿐만 아니라 보험 등 다양한 기존의 제도를 중심

으로 다른 나라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제도를 만들 필요

가 있다 특히 독일 환경책임법과 유전공학법에 정하고 있는 담보제공의

무30)에 대한 국내법에의 도입방안을 고려해 볼 만하다 독일은 담보제공의

방법으로서 책임보험 연방이나 주(州)의 면제나 보증 또는 책임보험에 의

한 담보제공이나 금융기관의 면제나 보증 등으로 가능하다31) 우리도 이와

같은 제도 등을 통하여 피해에 대한 배상의 재원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Ⅴ 결 론

GMO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하면서 GMO의 재배에 따른 위험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논란이 되어 왔다 그러나 그 책임에 관한 구제척인 국

제기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의정서 당사국들도 구체적인 책임제도를 만드

는 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런 논란 끝에 만들어진 책임제도는

결국 논란을 이겨내지 못했다 각 당사국이 국내입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

도록 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법으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을 확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책임주체의 문제에서부터 배상액에 이르기까지 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추가의정서에서 국내 입법으로 위임하고 있는 대표

적인 것이 책임제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인과관계의 입증 면제사유 시

효 등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현행 책임제도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대

응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GMO를 위한 특별한 책임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이 특별책임제도의 대상은 GM작물뿐만 아니라 이를 원료로 생산한

30) 환경책임법 제19조 제1항 유전공학법 제36조 제1항

31)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0 -

다양한 상품까지도 포함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실제 유통되거

나 최종상품화하는 것은 작물 그 자체보다는 가공식품 등이기 때문이다 마

지막으로 GMO 책임제도를 현실화하기 위한 재정마련 방안이 필요하다 가

해 당사자가 책임을 질 수 있는 제도로서 담보제공의무 등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투고일 2011 12 14 심사일 2011 12 22 게재확정일 2011 12 26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1 -

참 고 문 헌

김은진 ldquo생명공학기술의 상업화에 따른 책임rdquo「경영법률」제17집 제1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06 10

김은진 ldquoGMO책임 및 복구 추가의정서 채택의 의미 및 대응방안rdquo「농업농

민정책연구소 녀름 이슈보고서」 2010 10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

교 법학논문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UNEPCBD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115 2004 4)

UNEPCBD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UNEPCBD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

WG-LampR12 - UNEPCBDCOP-MOP2INF 5 2005 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2 -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UNEPCBD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NEPCBDBSWG-LampR53 2008 3)

UNEPCBD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lthttpeuropaeuintgt

lthttpwwwcbdintgt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gt

주 제 어

추가의정서 GMO위험 책임제도 배상제도 환경책임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3 -

[ABSTRACT]

Liability on GMOs Potential Risk in Supplementary

Protocol

Kim Eun - Jin

GMO has been issued on its potential risk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GMOs However there is no international legal

system on liability and remedies Developed conturies did not want

to have a strong regulation on GMOs potential risk while developing

countries tried to make a strict liability on GMOs risk

As a result of 10 years discussions the Supplementary Protocol

was adapted Main issue of this protocol is liability and remedies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First the Protocol did not present the legal system of liability and

remedies Instead the protocol delegates the legal system of

national laws

Secondly this protocol covers only living GMO However living

GMOs are very few in market and most of all GMOs are processed

Thirdly there is no regulation for finance which is huge in GMOs

damages on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For implementation act we have to consider how to solve them

For example whether the new law which covers GMOs special

liability is established

Key Words

Supplementary Protocol GMo Risk Liability Remedies Environment

Liability

Page 15: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cmsorgan.wku.ac.kr/reslaw/wp-content/uploads/sites/60/... · 2016-12-02 ·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3 -

⑧ 제7조(시효)

국내법에 따라 시효를 정할 수 있다

⑨ 제8조(재정적 한계)

국내법에 따라 대응조치에 따른 소요비용의 상한을 정할 수 있다

⑩ 제9조(구상권)

운영자의 제3자에 대한 구상권은 인정된다

⑪ 제10조(재정보증)

당사국은 국내법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또한 국제법

상의 권리와 의무에 따라 재정보증을 제공할 권리가 있다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 첫 총회에서 사무국은 재정보증체계의 양식 보

증체계가 특히 개발도상국에 미치는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영향의 평가

재정보증을 제공하기에 적절한 실체의 확인을 포함한 포괄적인 연구를 수

행해야 한다

⑫ 제11조(국제불법행위에 대한 국가의 책임)

국제불법행위에 의한 책임에 대한 일반적인 국제법규에 따른 국가의 권

리와 의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⑬ 제12조(이행과 민사책임)

당사국은 피해를 규율하는 절차규칙을 국내법으로 정해야 한다 이 의무

를 이행하기 위하여 당사국은 이 의정서에 따른 대응조치를 제공하고 적절

한 경우 민사책임에 관한 적용할 수 있는 일반규칙과 절차를 포함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절차규칙을 적용 또

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할 수 있다 당사국은

민사책임에 관한 국내법에 이 의정서 제2조 제2항 호의 피해에 연루된

물적 또는 인적 피해에 관한 적절한 절차와 규칙을 제공할 목적으로 민사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4 -

책임에 관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법

을 적용 또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해야 한다

민사책임에 관한 법을 개발할 경우에는 피해 엄격 또는 과실책임을 포함한

민사책임기준 적절한 경우 책임의 집중 제소권(제12조 제3항)을 적절하게

정해야 한다

⑭ 제13조(평가 및 재검토)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에는 5년 마다 평가 및 재검토를 해야 한다

⑮ 기타조항

제14조에서 제21조는 사무국 등의 행정관련 조항이다

7 추가의정서의 특징

추가의정서가 채택되었다고는 하나 책임에 관한 규정은 그 원래 목적을

달성하는데 많은 난관이 따른다

우선 추가의정서는 형식적으로 법적 구속력을 가진다고는 하나 그 내용

상으로는 거의 효력이 없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중요한 사항은 모두 국내법에 위임을 했기 때문이다 당사국은 각각 자신들

의 상황에 맞는 책임제도를 GMO에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애초에

개발도상국에서 제안했던 바가 반영된 것이다 GMO 수입국의 입장에서는

GMO로 인해 야기되는 피해에 따른 수출국의 책임을 물릴 수 있는 가능성

을 확보한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GMO 수출국이나 개발사 등이 안전성에 관한 심사

이후의 수입 승인을 근거로 GMO의 안전성을 주장함으로써 국제적인 다툼

이 상당수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국내입법 시에는 이런 문제를 충분히 고

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5 -

Ⅵ 국내 입법 시의 고려사항

1 GMO 특별책임제도 도입의 필요성

추가의정서에서는 주요조항들이 국내법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입증책임이나 대응조치에 따른 운영자의 구제방안 면제사유 시효

소요비용의 상한선 및 민사책임관련법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GMO에 대한

특수성을 인정하여 별도의 법을 만들 것인지 아니면 기존의 민사책임법제

를 그대로 적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고려해야 한다

현재 우리 법상 개발자나 수출자에게 책임을 지울 근거는 만법 상의 손

해배상 책임과 제조물 책임이다 그러나 우리 법은 제조물의 범위에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을 포함시키고 있지 않기 때문에 GM작물에 적용함에 한

계가 따를 수밖에 없다 EU는 1999년 lsquo개정제조물책임지침(Directive

199934EC )rsquo21)에서 미가공인지를 불문하고 일체의 동산에 적용되는 것

으로 개정하여 농산물 등을 모두 포함하도록 하였다22) 이 개정의 근거는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 첫째 제조물의 범위에 1차 농산물을 포함하는

것이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충족시킨다는 것이었다23)

둘째 EU 역내 시장기능의 활성화 등을 고려하여 농산물의 무역이 더 이상

제조자책임에 관한 각국의 상이한 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24) 셋째 무과실책임이 모든 형태의 제조물에 적

용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25) 우리나라도 농축수산물에 대해 이를 제조물

21) Directive 199934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0 May 19

99 Amending Council Directive 85374EEC on the Approximation of the Laws Regu

lations and Administrative Provisions of the Member States Concerning Liability for

Defective Products OL L141 1999 pp20-21

22) 개정제조물책임지침 제1조

23)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5) (6)

lthttpeuropaeuintsmartapicgisga_docsmartapicelexapiprodCELEXnumdocamplg=en

ampnumdoc=31999L0034ampmodel=guichettgt(최종방문일 2011 11 18)

24)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7) (주 21) 원래 제조물책임지침은 제2조에서 농산물을

제외하였으나 제15조 제1항 a에서 각국이 농산물에 대해서는 독자적 입법이 가능하도록 하

였다 이 규정 역시 1999년의 개정으로 삭제되었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6 -

의 범위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제조물책임법의 적용에서 또다른 한계에 봉착한다 바

로 제조물책임법 제4조 제1항의 제조물책임의 면책사유가운데 제2호의 개

발위험의 항변이 그것이다 개발위험이란 제조자가 제조물을 개발하여 유통

시장에 내놓을 당시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에 비추어 인식할 수 없었던 결함

이 존재함으로써 나타나는 위험을 말한다 문제는 과학적기술적 수준이라

는 개념을 확실하게 정의할 수 없다는 점이다 예컨대 GM식품표시에서

DNA나 단백질이 파괴된 경우에는 현대 과학기술 수준으로는 이를 추적할

수 없기 때문에 표시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즉 GMO는 현재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으로는 아직 그 존재조차도 입증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GMO의

위험성 자체가 잠재적인 것이기 때문에 과학적기술적 수준이 개발 당시에

입수가능한 최고 수준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하더라도 한계가 있

기 때문이다 결국 제조물책임법 자체만으로는 GM작물의 피해에 대한 구

제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민사상의 책임을 지우는 데도 일정한 한계가 있다 첫째 GM종

자를 사서 직접 재배한 농민이 피해를 입은 경우는 GM종자를 판매한 기업

에 대하여 계약책임을 물을 수 있다 그러나 GM종자를 재배한 농민으로

인하여 인근 농민이 작물에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계약책임을 물을 수 없

다 개발자와 피해농민 또는 GM종자 재배농민과 피해농민 양자 사이에 계

약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불법행위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는

데 이미 캐나다의 슈마이저 사례를 비롯하여 미국에서의 수많은 GMO관련

소송에서 농민이나 소비자가 자신의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

다는 것을 경험한 바 있다 따라서 GMO의 피해에 관하여 입증책임을 피해

를 입은 자가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 운영자가 GMO로 인한 피해가

아님을 입증하지 못하면 배상책임을 지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시효의 경우에도 손해배상은 손해나 가해자를 알았을 경우에는 3년 불

법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10년이면 청구권은 사라진다 GMO는 그 특성상

25)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8) (주 21)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7 -

문제점이 10년 이내에 나타날 수도 있지만 10년이 지나서 나타날 수도 있

다 그런데 10년이 지났다는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근거가 없어진다면

그 피해를 입은 사람을 구제할 길이 없다 따라서 GMO에 대해서는 그 시

효를 달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은 제조물책임법의 적용도 받

지 않기 때문에 입증책임이나 시효의 면에서 유리한 제조물책임법을 GMO

에 적용할 수도 없다26) 유럽처럼 제조물책임의 범위 내에 농산물 등을 포

함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GMO의 피해에 따른 책임에 대한 별도의 입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2 추가의정서 적용범위의 확대

추가의정서는 그 대상이 살아있는 GMO에 한정되었다 즉 GM작물이

작물의 형태로 수입되는 경우에는 이 의정서 상의 책임에 관한 적용을 받

지만 그것이 1차 가공된 형태로 수입될 경우 예컨대 가루로 수입될 경우

또는 사료용으로 수입되는 대두박 등과 같은 경우에는 그로 인한 피해는

이 의정서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의정서 초안을 마련할 당

시부터 의장단그룹의 회의에 이르기까지 가장 논란이 많았던 조항 가운데

하나이다 의장단그룹의 최종회의인 제4차 회의에서도 닷새 간 논란이 지속

되었다 GMO제품을 넣어야 한다는 의견에서부터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부속

서II의 일반원칙에 나오는 범위27)만큼만 하자는 의견 아예 빼야 한다는 의

견 등이 매일 서로 다른 그룹이 찬성과 반대로 얽히면서 결국 마지막에 삭

제되었다 문제는 농산물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살아있는

GMO만을 대상으로 하면 불리하다는 점이다28) 따라서 의정서 상에 포함되

26) 제조물책임법 제7조 제2항 단서는 lsquo신체에 누적되어 사람의 건강을 해하는 물질에 의하여

발생한 손해 또는 일정한 잠복기간이 경과한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손해에 대하여는 그 손

해가 발생한 날부터 기산한다rsquo고 정하고 있다

27) 유전자변형생물체 또는 그 산물 즉 유전자변형생물체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현대생명공학

의 사용에 의하여 얻어진 복제능력이 있는 유전물질의 검출 가능한 수준의 조합을 지닌 가

공물질과 관련된(이하 생략)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8 -

지 않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는 다른 GMO와 동일하게 책임에 관한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이행법이라

할 수 있는 lsquo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하 GMO

법)rsquo에서 우리나라는 국가 간 이동에 관한 것만 규율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

에서의 연구middot개발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일정 정도 포함하도록 그 적용범위

를 확대하였다 따라서 이 추가의정서에 따른 이행법을 제정할 경우에도 그

적용범위를 확대하여 GMO제품에 의한 피해에도 책임제도를 적용할 수 있

도록 할 필요가 있다

3 배상책임의 주체 및 재원마련 방안

책임 및 복구 제도에서의 핵심은 피해가 생겼을 경우에 부담해야 할 배

상액을 어떻게 마련하느냐에 있다 우리나라는 의정서의 이행법인 GMO법

을 만들 당시부터 책임 및 복구에 관한 재원마련에 대해 기금 공제제도

보험 등의 제도 도입과 관련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다29) 예컨대 처음 GMO

법을 만들 당시에는 재원마련의 방안으로 공제제도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법이 통과될 당시에는 공제제도를 비롯한 여타의 안들

은 다 삭제되고 단지 GMO법 제34조에서 국가책임기관의 장은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수출입 등과 관련하여 국민의 건강과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

가능한 이용에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재원

확보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을 뿐이다

추가의정서는 피해가 생겼을 경우의 책임에 대하여 재정보증 규정을 두

었다 제3차 의장단그룹회의까지만 하더라도 보험 등 구체적인 재정보증방

안이 제시되었으나 제4차 의장단그룹회의에서는 사흘에 걸친 회의 끝에 보

험 등의 실제적인 방안을 삭제하고 대신 발효 후의 당사국 총회에서 사무

국이 재정보증체계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책임 및 복구에서

28) 물론 우리나라는 제4차 의장단그룹 회의에서 GMO제품을 넣자는 의견에 동의하였다

29)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교 법학논문

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32-34쪽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9 -

가장 중요한 조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구체적인 방안은 각국에게 위

임된 셈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재정보증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야 한다 초기의 공제제도뿐만 아니라 보험 등 다양한 기존의 제도를 중심

으로 다른 나라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제도를 만들 필요

가 있다 특히 독일 환경책임법과 유전공학법에 정하고 있는 담보제공의

무30)에 대한 국내법에의 도입방안을 고려해 볼 만하다 독일은 담보제공의

방법으로서 책임보험 연방이나 주(州)의 면제나 보증 또는 책임보험에 의

한 담보제공이나 금융기관의 면제나 보증 등으로 가능하다31) 우리도 이와

같은 제도 등을 통하여 피해에 대한 배상의 재원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Ⅴ 결 론

GMO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하면서 GMO의 재배에 따른 위험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논란이 되어 왔다 그러나 그 책임에 관한 구제척인 국

제기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의정서 당사국들도 구체적인 책임제도를 만드

는 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런 논란 끝에 만들어진 책임제도는

결국 논란을 이겨내지 못했다 각 당사국이 국내입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

도록 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법으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을 확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책임주체의 문제에서부터 배상액에 이르기까지 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추가의정서에서 국내 입법으로 위임하고 있는 대표

적인 것이 책임제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인과관계의 입증 면제사유 시

효 등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현행 책임제도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대

응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GMO를 위한 특별한 책임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이 특별책임제도의 대상은 GM작물뿐만 아니라 이를 원료로 생산한

30) 환경책임법 제19조 제1항 유전공학법 제36조 제1항

31)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0 -

다양한 상품까지도 포함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실제 유통되거

나 최종상품화하는 것은 작물 그 자체보다는 가공식품 등이기 때문이다 마

지막으로 GMO 책임제도를 현실화하기 위한 재정마련 방안이 필요하다 가

해 당사자가 책임을 질 수 있는 제도로서 담보제공의무 등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투고일 2011 12 14 심사일 2011 12 22 게재확정일 2011 12 26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1 -

참 고 문 헌

김은진 ldquo생명공학기술의 상업화에 따른 책임rdquo「경영법률」제17집 제1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06 10

김은진 ldquoGMO책임 및 복구 추가의정서 채택의 의미 및 대응방안rdquo「농업농

민정책연구소 녀름 이슈보고서」 2010 10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

교 법학논문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UNEPCBD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115 2004 4)

UNEPCBD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UNEPCBD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

WG-LampR12 - UNEPCBDCOP-MOP2INF 5 2005 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2 -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UNEPCBD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NEPCBDBSWG-LampR53 2008 3)

UNEPCBD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lthttpeuropaeuintgt

lthttpwwwcbdintgt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gt

주 제 어

추가의정서 GMO위험 책임제도 배상제도 환경책임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3 -

[ABSTRACT]

Liability on GMOs Potential Risk in Supplementary

Protocol

Kim Eun - Jin

GMO has been issued on its potential risk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GMOs However there is no international legal

system on liability and remedies Developed conturies did not want

to have a strong regulation on GMOs potential risk while developing

countries tried to make a strict liability on GMOs risk

As a result of 10 years discussions the Supplementary Protocol

was adapted Main issue of this protocol is liability and remedies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First the Protocol did not present the legal system of liability and

remedies Instead the protocol delegates the legal system of

national laws

Secondly this protocol covers only living GMO However living

GMOs are very few in market and most of all GMOs are processed

Thirdly there is no regulation for finance which is huge in GMOs

damages on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For implementation act we have to consider how to solve them

For example whether the new law which covers GMOs special

liability is established

Key Words

Supplementary Protocol GMo Risk Liability Remedies Environment

Liability

Page 16: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cmsorgan.wku.ac.kr/reslaw/wp-content/uploads/sites/60/... · 2016-12-02 ·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4 -

책임에 관한 기존 국내법을 적용하거나 특별히 이 목적을 위한 민사책임법

을 적용 또는 개발하거나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적용 또는 개발해야 한다

민사책임에 관한 법을 개발할 경우에는 피해 엄격 또는 과실책임을 포함한

민사책임기준 적절한 경우 책임의 집중 제소권(제12조 제3항)을 적절하게

정해야 한다

⑭ 제13조(평가 및 재검토)

이 의정서가 발효된 후에는 5년 마다 평가 및 재검토를 해야 한다

⑮ 기타조항

제14조에서 제21조는 사무국 등의 행정관련 조항이다

7 추가의정서의 특징

추가의정서가 채택되었다고는 하나 책임에 관한 규정은 그 원래 목적을

달성하는데 많은 난관이 따른다

우선 추가의정서는 형식적으로 법적 구속력을 가진다고는 하나 그 내용

상으로는 거의 효력이 없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중요한 사항은 모두 국내법에 위임을 했기 때문이다 당사국은 각각 자신들

의 상황에 맞는 책임제도를 GMO에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애초에

개발도상국에서 제안했던 바가 반영된 것이다 GMO 수입국의 입장에서는

GMO로 인해 야기되는 피해에 따른 수출국의 책임을 물릴 수 있는 가능성

을 확보한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GMO 수출국이나 개발사 등이 안전성에 관한 심사

이후의 수입 승인을 근거로 GMO의 안전성을 주장함으로써 국제적인 다툼

이 상당수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국내입법 시에는 이런 문제를 충분히 고

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5 -

Ⅵ 국내 입법 시의 고려사항

1 GMO 특별책임제도 도입의 필요성

추가의정서에서는 주요조항들이 국내법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입증책임이나 대응조치에 따른 운영자의 구제방안 면제사유 시효

소요비용의 상한선 및 민사책임관련법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GMO에 대한

특수성을 인정하여 별도의 법을 만들 것인지 아니면 기존의 민사책임법제

를 그대로 적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고려해야 한다

현재 우리 법상 개발자나 수출자에게 책임을 지울 근거는 만법 상의 손

해배상 책임과 제조물 책임이다 그러나 우리 법은 제조물의 범위에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을 포함시키고 있지 않기 때문에 GM작물에 적용함에 한

계가 따를 수밖에 없다 EU는 1999년 lsquo개정제조물책임지침(Directive

199934EC )rsquo21)에서 미가공인지를 불문하고 일체의 동산에 적용되는 것

으로 개정하여 농산물 등을 모두 포함하도록 하였다22) 이 개정의 근거는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 첫째 제조물의 범위에 1차 농산물을 포함하는

것이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충족시킨다는 것이었다23)

둘째 EU 역내 시장기능의 활성화 등을 고려하여 농산물의 무역이 더 이상

제조자책임에 관한 각국의 상이한 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24) 셋째 무과실책임이 모든 형태의 제조물에 적

용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25) 우리나라도 농축수산물에 대해 이를 제조물

21) Directive 199934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0 May 19

99 Amending Council Directive 85374EEC on the Approximation of the Laws Regu

lations and Administrative Provisions of the Member States Concerning Liability for

Defective Products OL L141 1999 pp20-21

22) 개정제조물책임지침 제1조

23)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5) (6)

lthttpeuropaeuintsmartapicgisga_docsmartapicelexapiprodCELEXnumdocamplg=en

ampnumdoc=31999L0034ampmodel=guichettgt(최종방문일 2011 11 18)

24)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7) (주 21) 원래 제조물책임지침은 제2조에서 농산물을

제외하였으나 제15조 제1항 a에서 각국이 농산물에 대해서는 독자적 입법이 가능하도록 하

였다 이 규정 역시 1999년의 개정으로 삭제되었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6 -

의 범위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제조물책임법의 적용에서 또다른 한계에 봉착한다 바

로 제조물책임법 제4조 제1항의 제조물책임의 면책사유가운데 제2호의 개

발위험의 항변이 그것이다 개발위험이란 제조자가 제조물을 개발하여 유통

시장에 내놓을 당시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에 비추어 인식할 수 없었던 결함

이 존재함으로써 나타나는 위험을 말한다 문제는 과학적기술적 수준이라

는 개념을 확실하게 정의할 수 없다는 점이다 예컨대 GM식품표시에서

DNA나 단백질이 파괴된 경우에는 현대 과학기술 수준으로는 이를 추적할

수 없기 때문에 표시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즉 GMO는 현재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으로는 아직 그 존재조차도 입증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GMO의

위험성 자체가 잠재적인 것이기 때문에 과학적기술적 수준이 개발 당시에

입수가능한 최고 수준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하더라도 한계가 있

기 때문이다 결국 제조물책임법 자체만으로는 GM작물의 피해에 대한 구

제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민사상의 책임을 지우는 데도 일정한 한계가 있다 첫째 GM종

자를 사서 직접 재배한 농민이 피해를 입은 경우는 GM종자를 판매한 기업

에 대하여 계약책임을 물을 수 있다 그러나 GM종자를 재배한 농민으로

인하여 인근 농민이 작물에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계약책임을 물을 수 없

다 개발자와 피해농민 또는 GM종자 재배농민과 피해농민 양자 사이에 계

약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불법행위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는

데 이미 캐나다의 슈마이저 사례를 비롯하여 미국에서의 수많은 GMO관련

소송에서 농민이나 소비자가 자신의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

다는 것을 경험한 바 있다 따라서 GMO의 피해에 관하여 입증책임을 피해

를 입은 자가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 운영자가 GMO로 인한 피해가

아님을 입증하지 못하면 배상책임을 지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시효의 경우에도 손해배상은 손해나 가해자를 알았을 경우에는 3년 불

법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10년이면 청구권은 사라진다 GMO는 그 특성상

25)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8) (주 21)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7 -

문제점이 10년 이내에 나타날 수도 있지만 10년이 지나서 나타날 수도 있

다 그런데 10년이 지났다는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근거가 없어진다면

그 피해를 입은 사람을 구제할 길이 없다 따라서 GMO에 대해서는 그 시

효를 달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은 제조물책임법의 적용도 받

지 않기 때문에 입증책임이나 시효의 면에서 유리한 제조물책임법을 GMO

에 적용할 수도 없다26) 유럽처럼 제조물책임의 범위 내에 농산물 등을 포

함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GMO의 피해에 따른 책임에 대한 별도의 입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2 추가의정서 적용범위의 확대

추가의정서는 그 대상이 살아있는 GMO에 한정되었다 즉 GM작물이

작물의 형태로 수입되는 경우에는 이 의정서 상의 책임에 관한 적용을 받

지만 그것이 1차 가공된 형태로 수입될 경우 예컨대 가루로 수입될 경우

또는 사료용으로 수입되는 대두박 등과 같은 경우에는 그로 인한 피해는

이 의정서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의정서 초안을 마련할 당

시부터 의장단그룹의 회의에 이르기까지 가장 논란이 많았던 조항 가운데

하나이다 의장단그룹의 최종회의인 제4차 회의에서도 닷새 간 논란이 지속

되었다 GMO제품을 넣어야 한다는 의견에서부터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부속

서II의 일반원칙에 나오는 범위27)만큼만 하자는 의견 아예 빼야 한다는 의

견 등이 매일 서로 다른 그룹이 찬성과 반대로 얽히면서 결국 마지막에 삭

제되었다 문제는 농산물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살아있는

GMO만을 대상으로 하면 불리하다는 점이다28) 따라서 의정서 상에 포함되

26) 제조물책임법 제7조 제2항 단서는 lsquo신체에 누적되어 사람의 건강을 해하는 물질에 의하여

발생한 손해 또는 일정한 잠복기간이 경과한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손해에 대하여는 그 손

해가 발생한 날부터 기산한다rsquo고 정하고 있다

27) 유전자변형생물체 또는 그 산물 즉 유전자변형생물체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현대생명공학

의 사용에 의하여 얻어진 복제능력이 있는 유전물질의 검출 가능한 수준의 조합을 지닌 가

공물질과 관련된(이하 생략)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8 -

지 않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는 다른 GMO와 동일하게 책임에 관한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이행법이라

할 수 있는 lsquo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하 GMO

법)rsquo에서 우리나라는 국가 간 이동에 관한 것만 규율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

에서의 연구middot개발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일정 정도 포함하도록 그 적용범위

를 확대하였다 따라서 이 추가의정서에 따른 이행법을 제정할 경우에도 그

적용범위를 확대하여 GMO제품에 의한 피해에도 책임제도를 적용할 수 있

도록 할 필요가 있다

3 배상책임의 주체 및 재원마련 방안

책임 및 복구 제도에서의 핵심은 피해가 생겼을 경우에 부담해야 할 배

상액을 어떻게 마련하느냐에 있다 우리나라는 의정서의 이행법인 GMO법

을 만들 당시부터 책임 및 복구에 관한 재원마련에 대해 기금 공제제도

보험 등의 제도 도입과 관련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다29) 예컨대 처음 GMO

법을 만들 당시에는 재원마련의 방안으로 공제제도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법이 통과될 당시에는 공제제도를 비롯한 여타의 안들

은 다 삭제되고 단지 GMO법 제34조에서 국가책임기관의 장은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수출입 등과 관련하여 국민의 건강과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

가능한 이용에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재원

확보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을 뿐이다

추가의정서는 피해가 생겼을 경우의 책임에 대하여 재정보증 규정을 두

었다 제3차 의장단그룹회의까지만 하더라도 보험 등 구체적인 재정보증방

안이 제시되었으나 제4차 의장단그룹회의에서는 사흘에 걸친 회의 끝에 보

험 등의 실제적인 방안을 삭제하고 대신 발효 후의 당사국 총회에서 사무

국이 재정보증체계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책임 및 복구에서

28) 물론 우리나라는 제4차 의장단그룹 회의에서 GMO제품을 넣자는 의견에 동의하였다

29)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교 법학논문

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32-34쪽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9 -

가장 중요한 조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구체적인 방안은 각국에게 위

임된 셈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재정보증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야 한다 초기의 공제제도뿐만 아니라 보험 등 다양한 기존의 제도를 중심

으로 다른 나라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제도를 만들 필요

가 있다 특히 독일 환경책임법과 유전공학법에 정하고 있는 담보제공의

무30)에 대한 국내법에의 도입방안을 고려해 볼 만하다 독일은 담보제공의

방법으로서 책임보험 연방이나 주(州)의 면제나 보증 또는 책임보험에 의

한 담보제공이나 금융기관의 면제나 보증 등으로 가능하다31) 우리도 이와

같은 제도 등을 통하여 피해에 대한 배상의 재원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Ⅴ 결 론

GMO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하면서 GMO의 재배에 따른 위험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논란이 되어 왔다 그러나 그 책임에 관한 구제척인 국

제기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의정서 당사국들도 구체적인 책임제도를 만드

는 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런 논란 끝에 만들어진 책임제도는

결국 논란을 이겨내지 못했다 각 당사국이 국내입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

도록 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법으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을 확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책임주체의 문제에서부터 배상액에 이르기까지 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추가의정서에서 국내 입법으로 위임하고 있는 대표

적인 것이 책임제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인과관계의 입증 면제사유 시

효 등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현행 책임제도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대

응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GMO를 위한 특별한 책임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이 특별책임제도의 대상은 GM작물뿐만 아니라 이를 원료로 생산한

30) 환경책임법 제19조 제1항 유전공학법 제36조 제1항

31)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0 -

다양한 상품까지도 포함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실제 유통되거

나 최종상품화하는 것은 작물 그 자체보다는 가공식품 등이기 때문이다 마

지막으로 GMO 책임제도를 현실화하기 위한 재정마련 방안이 필요하다 가

해 당사자가 책임을 질 수 있는 제도로서 담보제공의무 등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투고일 2011 12 14 심사일 2011 12 22 게재확정일 2011 12 26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1 -

참 고 문 헌

김은진 ldquo생명공학기술의 상업화에 따른 책임rdquo「경영법률」제17집 제1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06 10

김은진 ldquoGMO책임 및 복구 추가의정서 채택의 의미 및 대응방안rdquo「농업농

민정책연구소 녀름 이슈보고서」 2010 10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

교 법학논문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UNEPCBD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115 2004 4)

UNEPCBD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UNEPCBD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

WG-LampR12 - UNEPCBDCOP-MOP2INF 5 2005 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2 -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UNEPCBD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NEPCBDBSWG-LampR53 2008 3)

UNEPCBD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lthttpeuropaeuintgt

lthttpwwwcbdintgt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gt

주 제 어

추가의정서 GMO위험 책임제도 배상제도 환경책임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3 -

[ABSTRACT]

Liability on GMOs Potential Risk in Supplementary

Protocol

Kim Eun - Jin

GMO has been issued on its potential risk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GMOs However there is no international legal

system on liability and remedies Developed conturies did not want

to have a strong regulation on GMOs potential risk while developing

countries tried to make a strict liability on GMOs risk

As a result of 10 years discussions the Supplementary Protocol

was adapted Main issue of this protocol is liability and remedies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First the Protocol did not present the legal system of liability and

remedies Instead the protocol delegates the legal system of

national laws

Secondly this protocol covers only living GMO However living

GMOs are very few in market and most of all GMOs are processed

Thirdly there is no regulation for finance which is huge in GMOs

damages on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For implementation act we have to consider how to solve them

For example whether the new law which covers GMOs special

liability is established

Key Words

Supplementary Protocol GMo Risk Liability Remedies Environment

Liability

Page 17: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cmsorgan.wku.ac.kr/reslaw/wp-content/uploads/sites/60/... · 2016-12-02 ·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5 -

Ⅵ 국내 입법 시의 고려사항

1 GMO 특별책임제도 도입의 필요성

추가의정서에서는 주요조항들이 국내법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입증책임이나 대응조치에 따른 운영자의 구제방안 면제사유 시효

소요비용의 상한선 및 민사책임관련법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GMO에 대한

특수성을 인정하여 별도의 법을 만들 것인지 아니면 기존의 민사책임법제

를 그대로 적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고려해야 한다

현재 우리 법상 개발자나 수출자에게 책임을 지울 근거는 만법 상의 손

해배상 책임과 제조물 책임이다 그러나 우리 법은 제조물의 범위에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을 포함시키고 있지 않기 때문에 GM작물에 적용함에 한

계가 따를 수밖에 없다 EU는 1999년 lsquo개정제조물책임지침(Directive

199934EC )rsquo21)에서 미가공인지를 불문하고 일체의 동산에 적용되는 것

으로 개정하여 농산물 등을 모두 포함하도록 하였다22) 이 개정의 근거는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 첫째 제조물의 범위에 1차 농산물을 포함하는

것이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충족시킨다는 것이었다23)

둘째 EU 역내 시장기능의 활성화 등을 고려하여 농산물의 무역이 더 이상

제조자책임에 관한 각국의 상이한 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24) 셋째 무과실책임이 모든 형태의 제조물에 적

용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25) 우리나라도 농축수산물에 대해 이를 제조물

21) Directive 199934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0 May 19

99 Amending Council Directive 85374EEC on the Approximation of the Laws Regu

lations and Administrative Provisions of the Member States Concerning Liability for

Defective Products OL L141 1999 pp20-21

22) 개정제조물책임지침 제1조

23)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5) (6)

lthttpeuropaeuintsmartapicgisga_docsmartapicelexapiprodCELEXnumdocamplg=en

ampnumdoc=31999L0034ampmodel=guichettgt(최종방문일 2011 11 18)

24)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7) (주 21) 원래 제조물책임지침은 제2조에서 농산물을

제외하였으나 제15조 제1항 a에서 각국이 농산물에 대해서는 독자적 입법이 가능하도록 하

였다 이 규정 역시 1999년의 개정으로 삭제되었다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6 -

의 범위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제조물책임법의 적용에서 또다른 한계에 봉착한다 바

로 제조물책임법 제4조 제1항의 제조물책임의 면책사유가운데 제2호의 개

발위험의 항변이 그것이다 개발위험이란 제조자가 제조물을 개발하여 유통

시장에 내놓을 당시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에 비추어 인식할 수 없었던 결함

이 존재함으로써 나타나는 위험을 말한다 문제는 과학적기술적 수준이라

는 개념을 확실하게 정의할 수 없다는 점이다 예컨대 GM식품표시에서

DNA나 단백질이 파괴된 경우에는 현대 과학기술 수준으로는 이를 추적할

수 없기 때문에 표시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즉 GMO는 현재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으로는 아직 그 존재조차도 입증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GMO의

위험성 자체가 잠재적인 것이기 때문에 과학적기술적 수준이 개발 당시에

입수가능한 최고 수준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하더라도 한계가 있

기 때문이다 결국 제조물책임법 자체만으로는 GM작물의 피해에 대한 구

제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민사상의 책임을 지우는 데도 일정한 한계가 있다 첫째 GM종

자를 사서 직접 재배한 농민이 피해를 입은 경우는 GM종자를 판매한 기업

에 대하여 계약책임을 물을 수 있다 그러나 GM종자를 재배한 농민으로

인하여 인근 농민이 작물에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계약책임을 물을 수 없

다 개발자와 피해농민 또는 GM종자 재배농민과 피해농민 양자 사이에 계

약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불법행위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는

데 이미 캐나다의 슈마이저 사례를 비롯하여 미국에서의 수많은 GMO관련

소송에서 농민이나 소비자가 자신의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

다는 것을 경험한 바 있다 따라서 GMO의 피해에 관하여 입증책임을 피해

를 입은 자가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 운영자가 GMO로 인한 피해가

아님을 입증하지 못하면 배상책임을 지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시효의 경우에도 손해배상은 손해나 가해자를 알았을 경우에는 3년 불

법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10년이면 청구권은 사라진다 GMO는 그 특성상

25)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8) (주 21)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7 -

문제점이 10년 이내에 나타날 수도 있지만 10년이 지나서 나타날 수도 있

다 그런데 10년이 지났다는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근거가 없어진다면

그 피해를 입은 사람을 구제할 길이 없다 따라서 GMO에 대해서는 그 시

효를 달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은 제조물책임법의 적용도 받

지 않기 때문에 입증책임이나 시효의 면에서 유리한 제조물책임법을 GMO

에 적용할 수도 없다26) 유럽처럼 제조물책임의 범위 내에 농산물 등을 포

함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GMO의 피해에 따른 책임에 대한 별도의 입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2 추가의정서 적용범위의 확대

추가의정서는 그 대상이 살아있는 GMO에 한정되었다 즉 GM작물이

작물의 형태로 수입되는 경우에는 이 의정서 상의 책임에 관한 적용을 받

지만 그것이 1차 가공된 형태로 수입될 경우 예컨대 가루로 수입될 경우

또는 사료용으로 수입되는 대두박 등과 같은 경우에는 그로 인한 피해는

이 의정서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의정서 초안을 마련할 당

시부터 의장단그룹의 회의에 이르기까지 가장 논란이 많았던 조항 가운데

하나이다 의장단그룹의 최종회의인 제4차 회의에서도 닷새 간 논란이 지속

되었다 GMO제품을 넣어야 한다는 의견에서부터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부속

서II의 일반원칙에 나오는 범위27)만큼만 하자는 의견 아예 빼야 한다는 의

견 등이 매일 서로 다른 그룹이 찬성과 반대로 얽히면서 결국 마지막에 삭

제되었다 문제는 농산물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살아있는

GMO만을 대상으로 하면 불리하다는 점이다28) 따라서 의정서 상에 포함되

26) 제조물책임법 제7조 제2항 단서는 lsquo신체에 누적되어 사람의 건강을 해하는 물질에 의하여

발생한 손해 또는 일정한 잠복기간이 경과한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손해에 대하여는 그 손

해가 발생한 날부터 기산한다rsquo고 정하고 있다

27) 유전자변형생물체 또는 그 산물 즉 유전자변형생물체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현대생명공학

의 사용에 의하여 얻어진 복제능력이 있는 유전물질의 검출 가능한 수준의 조합을 지닌 가

공물질과 관련된(이하 생략)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8 -

지 않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는 다른 GMO와 동일하게 책임에 관한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이행법이라

할 수 있는 lsquo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하 GMO

법)rsquo에서 우리나라는 국가 간 이동에 관한 것만 규율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

에서의 연구middot개발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일정 정도 포함하도록 그 적용범위

를 확대하였다 따라서 이 추가의정서에 따른 이행법을 제정할 경우에도 그

적용범위를 확대하여 GMO제품에 의한 피해에도 책임제도를 적용할 수 있

도록 할 필요가 있다

3 배상책임의 주체 및 재원마련 방안

책임 및 복구 제도에서의 핵심은 피해가 생겼을 경우에 부담해야 할 배

상액을 어떻게 마련하느냐에 있다 우리나라는 의정서의 이행법인 GMO법

을 만들 당시부터 책임 및 복구에 관한 재원마련에 대해 기금 공제제도

보험 등의 제도 도입과 관련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다29) 예컨대 처음 GMO

법을 만들 당시에는 재원마련의 방안으로 공제제도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법이 통과될 당시에는 공제제도를 비롯한 여타의 안들

은 다 삭제되고 단지 GMO법 제34조에서 국가책임기관의 장은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수출입 등과 관련하여 국민의 건강과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

가능한 이용에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재원

확보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을 뿐이다

추가의정서는 피해가 생겼을 경우의 책임에 대하여 재정보증 규정을 두

었다 제3차 의장단그룹회의까지만 하더라도 보험 등 구체적인 재정보증방

안이 제시되었으나 제4차 의장단그룹회의에서는 사흘에 걸친 회의 끝에 보

험 등의 실제적인 방안을 삭제하고 대신 발효 후의 당사국 총회에서 사무

국이 재정보증체계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책임 및 복구에서

28) 물론 우리나라는 제4차 의장단그룹 회의에서 GMO제품을 넣자는 의견에 동의하였다

29)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교 법학논문

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32-34쪽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9 -

가장 중요한 조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구체적인 방안은 각국에게 위

임된 셈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재정보증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야 한다 초기의 공제제도뿐만 아니라 보험 등 다양한 기존의 제도를 중심

으로 다른 나라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제도를 만들 필요

가 있다 특히 독일 환경책임법과 유전공학법에 정하고 있는 담보제공의

무30)에 대한 국내법에의 도입방안을 고려해 볼 만하다 독일은 담보제공의

방법으로서 책임보험 연방이나 주(州)의 면제나 보증 또는 책임보험에 의

한 담보제공이나 금융기관의 면제나 보증 등으로 가능하다31) 우리도 이와

같은 제도 등을 통하여 피해에 대한 배상의 재원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Ⅴ 결 론

GMO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하면서 GMO의 재배에 따른 위험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논란이 되어 왔다 그러나 그 책임에 관한 구제척인 국

제기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의정서 당사국들도 구체적인 책임제도를 만드

는 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런 논란 끝에 만들어진 책임제도는

결국 논란을 이겨내지 못했다 각 당사국이 국내입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

도록 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법으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을 확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책임주체의 문제에서부터 배상액에 이르기까지 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추가의정서에서 국내 입법으로 위임하고 있는 대표

적인 것이 책임제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인과관계의 입증 면제사유 시

효 등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현행 책임제도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대

응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GMO를 위한 특별한 책임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이 특별책임제도의 대상은 GM작물뿐만 아니라 이를 원료로 생산한

30) 환경책임법 제19조 제1항 유전공학법 제36조 제1항

31)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0 -

다양한 상품까지도 포함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실제 유통되거

나 최종상품화하는 것은 작물 그 자체보다는 가공식품 등이기 때문이다 마

지막으로 GMO 책임제도를 현실화하기 위한 재정마련 방안이 필요하다 가

해 당사자가 책임을 질 수 있는 제도로서 담보제공의무 등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투고일 2011 12 14 심사일 2011 12 22 게재확정일 2011 12 26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1 -

참 고 문 헌

김은진 ldquo생명공학기술의 상업화에 따른 책임rdquo「경영법률」제17집 제1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06 10

김은진 ldquoGMO책임 및 복구 추가의정서 채택의 의미 및 대응방안rdquo「농업농

민정책연구소 녀름 이슈보고서」 2010 10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

교 법학논문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UNEPCBD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115 2004 4)

UNEPCBD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UNEPCBD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

WG-LampR12 - UNEPCBDCOP-MOP2INF 5 2005 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2 -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UNEPCBD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NEPCBDBSWG-LampR53 2008 3)

UNEPCBD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lthttpeuropaeuintgt

lthttpwwwcbdintgt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gt

주 제 어

추가의정서 GMO위험 책임제도 배상제도 환경책임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3 -

[ABSTRACT]

Liability on GMOs Potential Risk in Supplementary

Protocol

Kim Eun - Jin

GMO has been issued on its potential risk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GMOs However there is no international legal

system on liability and remedies Developed conturies did not want

to have a strong regulation on GMOs potential risk while developing

countries tried to make a strict liability on GMOs risk

As a result of 10 years discussions the Supplementary Protocol

was adapted Main issue of this protocol is liability and remedies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First the Protocol did not present the legal system of liability and

remedies Instead the protocol delegates the legal system of

national laws

Secondly this protocol covers only living GMO However living

GMOs are very few in market and most of all GMOs are processed

Thirdly there is no regulation for finance which is huge in GMOs

damages on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For implementation act we have to consider how to solve them

For example whether the new law which covers GMOs special

liability is established

Key Words

Supplementary Protocol GMo Risk Liability Remedies Environment

Liability

Page 18: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cmsorgan.wku.ac.kr/reslaw/wp-content/uploads/sites/60/... · 2016-12-02 ·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6 -

의 범위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제조물책임법의 적용에서 또다른 한계에 봉착한다 바

로 제조물책임법 제4조 제1항의 제조물책임의 면책사유가운데 제2호의 개

발위험의 항변이 그것이다 개발위험이란 제조자가 제조물을 개발하여 유통

시장에 내놓을 당시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에 비추어 인식할 수 없었던 결함

이 존재함으로써 나타나는 위험을 말한다 문제는 과학적기술적 수준이라

는 개념을 확실하게 정의할 수 없다는 점이다 예컨대 GM식품표시에서

DNA나 단백질이 파괴된 경우에는 현대 과학기술 수준으로는 이를 추적할

수 없기 때문에 표시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즉 GMO는 현재의 과학적기술적 수준으로는 아직 그 존재조차도 입증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GMO의

위험성 자체가 잠재적인 것이기 때문에 과학적기술적 수준이 개발 당시에

입수가능한 최고 수준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하더라도 한계가 있

기 때문이다 결국 제조물책임법 자체만으로는 GM작물의 피해에 대한 구

제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민사상의 책임을 지우는 데도 일정한 한계가 있다 첫째 GM종

자를 사서 직접 재배한 농민이 피해를 입은 경우는 GM종자를 판매한 기업

에 대하여 계약책임을 물을 수 있다 그러나 GM종자를 재배한 농민으로

인하여 인근 농민이 작물에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계약책임을 물을 수 없

다 개발자와 피해농민 또는 GM종자 재배농민과 피해농민 양자 사이에 계

약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불법행위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는

데 이미 캐나다의 슈마이저 사례를 비롯하여 미국에서의 수많은 GMO관련

소송에서 농민이나 소비자가 자신의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

다는 것을 경험한 바 있다 따라서 GMO의 피해에 관하여 입증책임을 피해

를 입은 자가 피해를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 운영자가 GMO로 인한 피해가

아님을 입증하지 못하면 배상책임을 지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시효의 경우에도 손해배상은 손해나 가해자를 알았을 경우에는 3년 불

법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10년이면 청구권은 사라진다 GMO는 그 특성상

25) 개정제조물책임지침 개정이유 (8) (주 21)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7 -

문제점이 10년 이내에 나타날 수도 있지만 10년이 지나서 나타날 수도 있

다 그런데 10년이 지났다는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근거가 없어진다면

그 피해를 입은 사람을 구제할 길이 없다 따라서 GMO에 대해서는 그 시

효를 달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은 제조물책임법의 적용도 받

지 않기 때문에 입증책임이나 시효의 면에서 유리한 제조물책임법을 GMO

에 적용할 수도 없다26) 유럽처럼 제조물책임의 범위 내에 농산물 등을 포

함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GMO의 피해에 따른 책임에 대한 별도의 입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2 추가의정서 적용범위의 확대

추가의정서는 그 대상이 살아있는 GMO에 한정되었다 즉 GM작물이

작물의 형태로 수입되는 경우에는 이 의정서 상의 책임에 관한 적용을 받

지만 그것이 1차 가공된 형태로 수입될 경우 예컨대 가루로 수입될 경우

또는 사료용으로 수입되는 대두박 등과 같은 경우에는 그로 인한 피해는

이 의정서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의정서 초안을 마련할 당

시부터 의장단그룹의 회의에 이르기까지 가장 논란이 많았던 조항 가운데

하나이다 의장단그룹의 최종회의인 제4차 회의에서도 닷새 간 논란이 지속

되었다 GMO제품을 넣어야 한다는 의견에서부터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부속

서II의 일반원칙에 나오는 범위27)만큼만 하자는 의견 아예 빼야 한다는 의

견 등이 매일 서로 다른 그룹이 찬성과 반대로 얽히면서 결국 마지막에 삭

제되었다 문제는 농산물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살아있는

GMO만을 대상으로 하면 불리하다는 점이다28) 따라서 의정서 상에 포함되

26) 제조물책임법 제7조 제2항 단서는 lsquo신체에 누적되어 사람의 건강을 해하는 물질에 의하여

발생한 손해 또는 일정한 잠복기간이 경과한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손해에 대하여는 그 손

해가 발생한 날부터 기산한다rsquo고 정하고 있다

27) 유전자변형생물체 또는 그 산물 즉 유전자변형생물체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현대생명공학

의 사용에 의하여 얻어진 복제능력이 있는 유전물질의 검출 가능한 수준의 조합을 지닌 가

공물질과 관련된(이하 생략)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8 -

지 않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는 다른 GMO와 동일하게 책임에 관한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이행법이라

할 수 있는 lsquo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하 GMO

법)rsquo에서 우리나라는 국가 간 이동에 관한 것만 규율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

에서의 연구middot개발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일정 정도 포함하도록 그 적용범위

를 확대하였다 따라서 이 추가의정서에 따른 이행법을 제정할 경우에도 그

적용범위를 확대하여 GMO제품에 의한 피해에도 책임제도를 적용할 수 있

도록 할 필요가 있다

3 배상책임의 주체 및 재원마련 방안

책임 및 복구 제도에서의 핵심은 피해가 생겼을 경우에 부담해야 할 배

상액을 어떻게 마련하느냐에 있다 우리나라는 의정서의 이행법인 GMO법

을 만들 당시부터 책임 및 복구에 관한 재원마련에 대해 기금 공제제도

보험 등의 제도 도입과 관련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다29) 예컨대 처음 GMO

법을 만들 당시에는 재원마련의 방안으로 공제제도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법이 통과될 당시에는 공제제도를 비롯한 여타의 안들

은 다 삭제되고 단지 GMO법 제34조에서 국가책임기관의 장은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수출입 등과 관련하여 국민의 건강과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

가능한 이용에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재원

확보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을 뿐이다

추가의정서는 피해가 생겼을 경우의 책임에 대하여 재정보증 규정을 두

었다 제3차 의장단그룹회의까지만 하더라도 보험 등 구체적인 재정보증방

안이 제시되었으나 제4차 의장단그룹회의에서는 사흘에 걸친 회의 끝에 보

험 등의 실제적인 방안을 삭제하고 대신 발효 후의 당사국 총회에서 사무

국이 재정보증체계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책임 및 복구에서

28) 물론 우리나라는 제4차 의장단그룹 회의에서 GMO제품을 넣자는 의견에 동의하였다

29)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교 법학논문

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32-34쪽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9 -

가장 중요한 조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구체적인 방안은 각국에게 위

임된 셈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재정보증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야 한다 초기의 공제제도뿐만 아니라 보험 등 다양한 기존의 제도를 중심

으로 다른 나라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제도를 만들 필요

가 있다 특히 독일 환경책임법과 유전공학법에 정하고 있는 담보제공의

무30)에 대한 국내법에의 도입방안을 고려해 볼 만하다 독일은 담보제공의

방법으로서 책임보험 연방이나 주(州)의 면제나 보증 또는 책임보험에 의

한 담보제공이나 금융기관의 면제나 보증 등으로 가능하다31) 우리도 이와

같은 제도 등을 통하여 피해에 대한 배상의 재원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Ⅴ 결 론

GMO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하면서 GMO의 재배에 따른 위험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논란이 되어 왔다 그러나 그 책임에 관한 구제척인 국

제기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의정서 당사국들도 구체적인 책임제도를 만드

는 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런 논란 끝에 만들어진 책임제도는

결국 논란을 이겨내지 못했다 각 당사국이 국내입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

도록 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법으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을 확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책임주체의 문제에서부터 배상액에 이르기까지 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추가의정서에서 국내 입법으로 위임하고 있는 대표

적인 것이 책임제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인과관계의 입증 면제사유 시

효 등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현행 책임제도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대

응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GMO를 위한 특별한 책임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이 특별책임제도의 대상은 GM작물뿐만 아니라 이를 원료로 생산한

30) 환경책임법 제19조 제1항 유전공학법 제36조 제1항

31)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0 -

다양한 상품까지도 포함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실제 유통되거

나 최종상품화하는 것은 작물 그 자체보다는 가공식품 등이기 때문이다 마

지막으로 GMO 책임제도를 현실화하기 위한 재정마련 방안이 필요하다 가

해 당사자가 책임을 질 수 있는 제도로서 담보제공의무 등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투고일 2011 12 14 심사일 2011 12 22 게재확정일 2011 12 26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1 -

참 고 문 헌

김은진 ldquo생명공학기술의 상업화에 따른 책임rdquo「경영법률」제17집 제1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06 10

김은진 ldquoGMO책임 및 복구 추가의정서 채택의 의미 및 대응방안rdquo「농업농

민정책연구소 녀름 이슈보고서」 2010 10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

교 법학논문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UNEPCBD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115 2004 4)

UNEPCBD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UNEPCBD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

WG-LampR12 - UNEPCBDCOP-MOP2INF 5 2005 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2 -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UNEPCBD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NEPCBDBSWG-LampR53 2008 3)

UNEPCBD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lthttpeuropaeuintgt

lthttpwwwcbdintgt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gt

주 제 어

추가의정서 GMO위험 책임제도 배상제도 환경책임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3 -

[ABSTRACT]

Liability on GMOs Potential Risk in Supplementary

Protocol

Kim Eun - Jin

GMO has been issued on its potential risk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GMOs However there is no international legal

system on liability and remedies Developed conturies did not want

to have a strong regulation on GMOs potential risk while developing

countries tried to make a strict liability on GMOs risk

As a result of 10 years discussions the Supplementary Protocol

was adapted Main issue of this protocol is liability and remedies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First the Protocol did not present the legal system of liability and

remedies Instead the protocol delegates the legal system of

national laws

Secondly this protocol covers only living GMO However living

GMOs are very few in market and most of all GMOs are processed

Thirdly there is no regulation for finance which is huge in GMOs

damages on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For implementation act we have to consider how to solve them

For example whether the new law which covers GMOs special

liability is established

Key Words

Supplementary Protocol GMo Risk Liability Remedies Environment

Liability

Page 19: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cmsorgan.wku.ac.kr/reslaw/wp-content/uploads/sites/60/... · 2016-12-02 ·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7 -

문제점이 10년 이내에 나타날 수도 있지만 10년이 지나서 나타날 수도 있

다 그런데 10년이 지났다는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근거가 없어진다면

그 피해를 입은 사람을 구제할 길이 없다 따라서 GMO에 대해서는 그 시

효를 달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농산물 등 살아있는 생물은 제조물책임법의 적용도 받

지 않기 때문에 입증책임이나 시효의 면에서 유리한 제조물책임법을 GMO

에 적용할 수도 없다26) 유럽처럼 제조물책임의 범위 내에 농산물 등을 포

함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GMO의 피해에 따른 책임에 대한 별도의 입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2 추가의정서 적용범위의 확대

추가의정서는 그 대상이 살아있는 GMO에 한정되었다 즉 GM작물이

작물의 형태로 수입되는 경우에는 이 의정서 상의 책임에 관한 적용을 받

지만 그것이 1차 가공된 형태로 수입될 경우 예컨대 가루로 수입될 경우

또는 사료용으로 수입되는 대두박 등과 같은 경우에는 그로 인한 피해는

이 의정서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의정서 초안을 마련할 당

시부터 의장단그룹의 회의에 이르기까지 가장 논란이 많았던 조항 가운데

하나이다 의장단그룹의 최종회의인 제4차 회의에서도 닷새 간 논란이 지속

되었다 GMO제품을 넣어야 한다는 의견에서부터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부속

서II의 일반원칙에 나오는 범위27)만큼만 하자는 의견 아예 빼야 한다는 의

견 등이 매일 서로 다른 그룹이 찬성과 반대로 얽히면서 결국 마지막에 삭

제되었다 문제는 농산물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살아있는

GMO만을 대상으로 하면 불리하다는 점이다28) 따라서 의정서 상에 포함되

26) 제조물책임법 제7조 제2항 단서는 lsquo신체에 누적되어 사람의 건강을 해하는 물질에 의하여

발생한 손해 또는 일정한 잠복기간이 경과한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손해에 대하여는 그 손

해가 발생한 날부터 기산한다rsquo고 정하고 있다

27) 유전자변형생물체 또는 그 산물 즉 유전자변형생물체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현대생명공학

의 사용에 의하여 얻어진 복제능력이 있는 유전물질의 검출 가능한 수준의 조합을 지닌 가

공물질과 관련된(이하 생략)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8 -

지 않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는 다른 GMO와 동일하게 책임에 관한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이행법이라

할 수 있는 lsquo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하 GMO

법)rsquo에서 우리나라는 국가 간 이동에 관한 것만 규율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

에서의 연구middot개발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일정 정도 포함하도록 그 적용범위

를 확대하였다 따라서 이 추가의정서에 따른 이행법을 제정할 경우에도 그

적용범위를 확대하여 GMO제품에 의한 피해에도 책임제도를 적용할 수 있

도록 할 필요가 있다

3 배상책임의 주체 및 재원마련 방안

책임 및 복구 제도에서의 핵심은 피해가 생겼을 경우에 부담해야 할 배

상액을 어떻게 마련하느냐에 있다 우리나라는 의정서의 이행법인 GMO법

을 만들 당시부터 책임 및 복구에 관한 재원마련에 대해 기금 공제제도

보험 등의 제도 도입과 관련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다29) 예컨대 처음 GMO

법을 만들 당시에는 재원마련의 방안으로 공제제도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법이 통과될 당시에는 공제제도를 비롯한 여타의 안들

은 다 삭제되고 단지 GMO법 제34조에서 국가책임기관의 장은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수출입 등과 관련하여 국민의 건강과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

가능한 이용에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재원

확보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을 뿐이다

추가의정서는 피해가 생겼을 경우의 책임에 대하여 재정보증 규정을 두

었다 제3차 의장단그룹회의까지만 하더라도 보험 등 구체적인 재정보증방

안이 제시되었으나 제4차 의장단그룹회의에서는 사흘에 걸친 회의 끝에 보

험 등의 실제적인 방안을 삭제하고 대신 발효 후의 당사국 총회에서 사무

국이 재정보증체계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책임 및 복구에서

28) 물론 우리나라는 제4차 의장단그룹 회의에서 GMO제품을 넣자는 의견에 동의하였다

29)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교 법학논문

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32-34쪽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9 -

가장 중요한 조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구체적인 방안은 각국에게 위

임된 셈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재정보증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야 한다 초기의 공제제도뿐만 아니라 보험 등 다양한 기존의 제도를 중심

으로 다른 나라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제도를 만들 필요

가 있다 특히 독일 환경책임법과 유전공학법에 정하고 있는 담보제공의

무30)에 대한 국내법에의 도입방안을 고려해 볼 만하다 독일은 담보제공의

방법으로서 책임보험 연방이나 주(州)의 면제나 보증 또는 책임보험에 의

한 담보제공이나 금융기관의 면제나 보증 등으로 가능하다31) 우리도 이와

같은 제도 등을 통하여 피해에 대한 배상의 재원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Ⅴ 결 론

GMO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하면서 GMO의 재배에 따른 위험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논란이 되어 왔다 그러나 그 책임에 관한 구제척인 국

제기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의정서 당사국들도 구체적인 책임제도를 만드

는 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런 논란 끝에 만들어진 책임제도는

결국 논란을 이겨내지 못했다 각 당사국이 국내입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

도록 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법으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을 확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책임주체의 문제에서부터 배상액에 이르기까지 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추가의정서에서 국내 입법으로 위임하고 있는 대표

적인 것이 책임제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인과관계의 입증 면제사유 시

효 등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현행 책임제도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대

응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GMO를 위한 특별한 책임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이 특별책임제도의 대상은 GM작물뿐만 아니라 이를 원료로 생산한

30) 환경책임법 제19조 제1항 유전공학법 제36조 제1항

31)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0 -

다양한 상품까지도 포함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실제 유통되거

나 최종상품화하는 것은 작물 그 자체보다는 가공식품 등이기 때문이다 마

지막으로 GMO 책임제도를 현실화하기 위한 재정마련 방안이 필요하다 가

해 당사자가 책임을 질 수 있는 제도로서 담보제공의무 등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투고일 2011 12 14 심사일 2011 12 22 게재확정일 2011 12 26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1 -

참 고 문 헌

김은진 ldquo생명공학기술의 상업화에 따른 책임rdquo「경영법률」제17집 제1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06 10

김은진 ldquoGMO책임 및 복구 추가의정서 채택의 의미 및 대응방안rdquo「농업농

민정책연구소 녀름 이슈보고서」 2010 10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

교 법학논문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UNEPCBD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115 2004 4)

UNEPCBD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UNEPCBD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

WG-LampR12 - UNEPCBDCOP-MOP2INF 5 2005 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2 -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UNEPCBD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NEPCBDBSWG-LampR53 2008 3)

UNEPCBD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lthttpeuropaeuintgt

lthttpwwwcbdintgt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gt

주 제 어

추가의정서 GMO위험 책임제도 배상제도 환경책임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3 -

[ABSTRACT]

Liability on GMOs Potential Risk in Supplementary

Protocol

Kim Eun - Jin

GMO has been issued on its potential risk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GMOs However there is no international legal

system on liability and remedies Developed conturies did not want

to have a strong regulation on GMOs potential risk while developing

countries tried to make a strict liability on GMOs risk

As a result of 10 years discussions the Supplementary Protocol

was adapted Main issue of this protocol is liability and remedies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First the Protocol did not present the legal system of liability and

remedies Instead the protocol delegates the legal system of

national laws

Secondly this protocol covers only living GMO However living

GMOs are very few in market and most of all GMOs are processed

Thirdly there is no regulation for finance which is huge in GMOs

damages on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For implementation act we have to consider how to solve them

For example whether the new law which covers GMOs special

liability is established

Key Words

Supplementary Protocol GMo Risk Liability Remedies Environment

Liability

Page 20: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cmsorgan.wku.ac.kr/reslaw/wp-content/uploads/sites/60/... · 2016-12-02 ·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88 -

지 않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는 다른 GMO와 동일하게 책임에 관한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이행법이라

할 수 있는 lsquo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하 GMO

법)rsquo에서 우리나라는 국가 간 이동에 관한 것만 규율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

에서의 연구middot개발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일정 정도 포함하도록 그 적용범위

를 확대하였다 따라서 이 추가의정서에 따른 이행법을 제정할 경우에도 그

적용범위를 확대하여 GMO제품에 의한 피해에도 책임제도를 적용할 수 있

도록 할 필요가 있다

3 배상책임의 주체 및 재원마련 방안

책임 및 복구 제도에서의 핵심은 피해가 생겼을 경우에 부담해야 할 배

상액을 어떻게 마련하느냐에 있다 우리나라는 의정서의 이행법인 GMO법

을 만들 당시부터 책임 및 복구에 관한 재원마련에 대해 기금 공제제도

보험 등의 제도 도입과 관련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다29) 예컨대 처음 GMO

법을 만들 당시에는 재원마련의 방안으로 공제제도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법이 통과될 당시에는 공제제도를 비롯한 여타의 안들

은 다 삭제되고 단지 GMO법 제34조에서 국가책임기관의 장은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수출입 등과 관련하여 국민의 건강과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

가능한 이용에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재원

확보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을 뿐이다

추가의정서는 피해가 생겼을 경우의 책임에 대하여 재정보증 규정을 두

었다 제3차 의장단그룹회의까지만 하더라도 보험 등 구체적인 재정보증방

안이 제시되었으나 제4차 의장단그룹회의에서는 사흘에 걸친 회의 끝에 보

험 등의 실제적인 방안을 삭제하고 대신 발효 후의 당사국 총회에서 사무

국이 재정보증체계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책임 및 복구에서

28) 물론 우리나라는 제4차 의장단그룹 회의에서 GMO제품을 넣자는 의견에 동의하였다

29)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교 법학논문

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32-34쪽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9 -

가장 중요한 조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구체적인 방안은 각국에게 위

임된 셈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재정보증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야 한다 초기의 공제제도뿐만 아니라 보험 등 다양한 기존의 제도를 중심

으로 다른 나라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제도를 만들 필요

가 있다 특히 독일 환경책임법과 유전공학법에 정하고 있는 담보제공의

무30)에 대한 국내법에의 도입방안을 고려해 볼 만하다 독일은 담보제공의

방법으로서 책임보험 연방이나 주(州)의 면제나 보증 또는 책임보험에 의

한 담보제공이나 금융기관의 면제나 보증 등으로 가능하다31) 우리도 이와

같은 제도 등을 통하여 피해에 대한 배상의 재원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Ⅴ 결 론

GMO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하면서 GMO의 재배에 따른 위험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논란이 되어 왔다 그러나 그 책임에 관한 구제척인 국

제기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의정서 당사국들도 구체적인 책임제도를 만드

는 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런 논란 끝에 만들어진 책임제도는

결국 논란을 이겨내지 못했다 각 당사국이 국내입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

도록 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법으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을 확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책임주체의 문제에서부터 배상액에 이르기까지 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추가의정서에서 국내 입법으로 위임하고 있는 대표

적인 것이 책임제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인과관계의 입증 면제사유 시

효 등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현행 책임제도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대

응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GMO를 위한 특별한 책임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이 특별책임제도의 대상은 GM작물뿐만 아니라 이를 원료로 생산한

30) 환경책임법 제19조 제1항 유전공학법 제36조 제1항

31)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0 -

다양한 상품까지도 포함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실제 유통되거

나 최종상품화하는 것은 작물 그 자체보다는 가공식품 등이기 때문이다 마

지막으로 GMO 책임제도를 현실화하기 위한 재정마련 방안이 필요하다 가

해 당사자가 책임을 질 수 있는 제도로서 담보제공의무 등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투고일 2011 12 14 심사일 2011 12 22 게재확정일 2011 12 26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1 -

참 고 문 헌

김은진 ldquo생명공학기술의 상업화에 따른 책임rdquo「경영법률」제17집 제1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06 10

김은진 ldquoGMO책임 및 복구 추가의정서 채택의 의미 및 대응방안rdquo「농업농

민정책연구소 녀름 이슈보고서」 2010 10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

교 법학논문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UNEPCBD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115 2004 4)

UNEPCBD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UNEPCBD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

WG-LampR12 - UNEPCBDCOP-MOP2INF 5 2005 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2 -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UNEPCBD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NEPCBDBSWG-LampR53 2008 3)

UNEPCBD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lthttpeuropaeuintgt

lthttpwwwcbdintgt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gt

주 제 어

추가의정서 GMO위험 책임제도 배상제도 환경책임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3 -

[ABSTRACT]

Liability on GMOs Potential Risk in Supplementary

Protocol

Kim Eun - Jin

GMO has been issued on its potential risk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GMOs However there is no international legal

system on liability and remedies Developed conturies did not want

to have a strong regulation on GMOs potential risk while developing

countries tried to make a strict liability on GMOs risk

As a result of 10 years discussions the Supplementary Protocol

was adapted Main issue of this protocol is liability and remedies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First the Protocol did not present the legal system of liability and

remedies Instead the protocol delegates the legal system of

national laws

Secondly this protocol covers only living GMO However living

GMOs are very few in market and most of all GMOs are processed

Thirdly there is no regulation for finance which is huge in GMOs

damages on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For implementation act we have to consider how to solve them

For example whether the new law which covers GMOs special

liability is established

Key Words

Supplementary Protocol GMo Risk Liability Remedies Environment

Liability

Page 21: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cmsorgan.wku.ac.kr/reslaw/wp-content/uploads/sites/60/... · 2016-12-02 ·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89 -

가장 중요한 조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구체적인 방안은 각국에게 위

임된 셈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재정보증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야 한다 초기의 공제제도뿐만 아니라 보험 등 다양한 기존의 제도를 중심

으로 다른 나라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제도를 만들 필요

가 있다 특히 독일 환경책임법과 유전공학법에 정하고 있는 담보제공의

무30)에 대한 국내법에의 도입방안을 고려해 볼 만하다 독일은 담보제공의

방법으로서 책임보험 연방이나 주(州)의 면제나 보증 또는 책임보험에 의

한 담보제공이나 금융기관의 면제나 보증 등으로 가능하다31) 우리도 이와

같은 제도 등을 통하여 피해에 대한 배상의 재원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Ⅴ 결 론

GMO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하면서 GMO의 재배에 따른 위험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논란이 되어 왔다 그러나 그 책임에 관한 구제척인 국

제기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의정서 당사국들도 구체적인 책임제도를 만드

는 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런 논란 끝에 만들어진 책임제도는

결국 논란을 이겨내지 못했다 각 당사국이 국내입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

도록 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법으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을 확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책임주체의 문제에서부터 배상액에 이르기까지 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추가의정서에서 국내 입법으로 위임하고 있는 대표

적인 것이 책임제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인과관계의 입증 면제사유 시

효 등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현행 책임제도로 GMO의 잠재적 위험에 대

응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GMO를 위한 특별한 책임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이 특별책임제도의 대상은 GM작물뿐만 아니라 이를 원료로 생산한

30) 환경책임법 제19조 제1항 유전공학법 제36조 제1항

31)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0 -

다양한 상품까지도 포함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실제 유통되거

나 최종상품화하는 것은 작물 그 자체보다는 가공식품 등이기 때문이다 마

지막으로 GMO 책임제도를 현실화하기 위한 재정마련 방안이 필요하다 가

해 당사자가 책임을 질 수 있는 제도로서 담보제공의무 등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투고일 2011 12 14 심사일 2011 12 22 게재확정일 2011 12 26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1 -

참 고 문 헌

김은진 ldquo생명공학기술의 상업화에 따른 책임rdquo「경영법률」제17집 제1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06 10

김은진 ldquoGMO책임 및 복구 추가의정서 채택의 의미 및 대응방안rdquo「농업농

민정책연구소 녀름 이슈보고서」 2010 10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

교 법학논문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UNEPCBD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115 2004 4)

UNEPCBD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UNEPCBD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

WG-LampR12 - UNEPCBDCOP-MOP2INF 5 2005 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2 -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UNEPCBD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NEPCBDBSWG-LampR53 2008 3)

UNEPCBD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lthttpeuropaeuintgt

lthttpwwwcbdintgt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gt

주 제 어

추가의정서 GMO위험 책임제도 배상제도 환경책임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3 -

[ABSTRACT]

Liability on GMOs Potential Risk in Supplementary

Protocol

Kim Eun - Jin

GMO has been issued on its potential risk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GMOs However there is no international legal

system on liability and remedies Developed conturies did not want

to have a strong regulation on GMOs potential risk while developing

countries tried to make a strict liability on GMOs risk

As a result of 10 years discussions the Supplementary Protocol

was adapted Main issue of this protocol is liability and remedies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First the Protocol did not present the legal system of liability and

remedies Instead the protocol delegates the legal system of

national laws

Secondly this protocol covers only living GMO However living

GMOs are very few in market and most of all GMOs are processed

Thirdly there is no regulation for finance which is huge in GMOs

damages on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For implementation act we have to consider how to solve them

For example whether the new law which covers GMOs special

liability is established

Key Words

Supplementary Protocol GMo Risk Liability Remedies Environment

Liability

Page 22: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cmsorgan.wku.ac.kr/reslaw/wp-content/uploads/sites/60/... · 2016-12-02 ·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0 -

다양한 상품까지도 포함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실제 유통되거

나 최종상품화하는 것은 작물 그 자체보다는 가공식품 등이기 때문이다 마

지막으로 GMO 책임제도를 현실화하기 위한 재정마련 방안이 필요하다 가

해 당사자가 책임을 질 수 있는 제도로서 담보제공의무 등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투고일 2011 12 14 심사일 2011 12 22 게재확정일 2011 12 26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1 -

참 고 문 헌

김은진 ldquo생명공학기술의 상업화에 따른 책임rdquo「경영법률」제17집 제1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06 10

김은진 ldquoGMO책임 및 복구 추가의정서 채택의 의미 및 대응방안rdquo「농업농

민정책연구소 녀름 이슈보고서」 2010 10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

교 법학논문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UNEPCBD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115 2004 4)

UNEPCBD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UNEPCBD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

WG-LampR12 - UNEPCBDCOP-MOP2INF 5 2005 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2 -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UNEPCBD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NEPCBDBSWG-LampR53 2008 3)

UNEPCBD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lthttpeuropaeuintgt

lthttpwwwcbdintgt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gt

주 제 어

추가의정서 GMO위험 책임제도 배상제도 환경책임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3 -

[ABSTRACT]

Liability on GMOs Potential Risk in Supplementary

Protocol

Kim Eun - Jin

GMO has been issued on its potential risk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GMOs However there is no international legal

system on liability and remedies Developed conturies did not want

to have a strong regulation on GMOs potential risk while developing

countries tried to make a strict liability on GMOs risk

As a result of 10 years discussions the Supplementary Protocol

was adapted Main issue of this protocol is liability and remedies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First the Protocol did not present the legal system of liability and

remedies Instead the protocol delegates the legal system of

national laws

Secondly this protocol covers only living GMO However living

GMOs are very few in market and most of all GMOs are processed

Thirdly there is no regulation for finance which is huge in GMOs

damages on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For implementation act we have to consider how to solve them

For example whether the new law which covers GMOs special

liability is established

Key Words

Supplementary Protocol GMo Risk Liability Remedies Environment

Liability

Page 23: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cmsorgan.wku.ac.kr/reslaw/wp-content/uploads/sites/60/... · 2016-12-02 ·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1 -

참 고 문 헌

김은진 ldquo생명공학기술의 상업화에 따른 책임rdquo「경영법률」제17집 제1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06 10

김은진 ldquoGMO책임 및 복구 추가의정서 채택의 의미 및 대응방안rdquo「농업농

민정책연구소 녀름 이슈보고서」 2010 10

이종영 ldquo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국내 이행법 체계와 개선방안rdquo 「중앙대학

교 법학논문집」제27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8)

전경운 「독일의 환경사법론」(법원사 1994) 274쪽

Lim Li Lin Progress after tough talks on liability regime for

GMOs(South-North Development Monitor (SUNS) 6481

2008 5 26)

Owen MDK amp Zelaya IA ldquoHerbicide-Resistant Crops and Weed

Resistance to Herbicidesrdquo Pest Managment Science 61

UNEPCBD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115 2004 4)

UNEPCBD REPORT OF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COP-MOP215 2005 6)

UNEPCBD REPORT OF THE TECHNICAL GROUP OF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UNEPCBDBS

WG-LampR12 - UNEPCBDCOP-MOP2INF 5 2005 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2 -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UNEPCBD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NEPCBDBSWG-LampR53 2008 3)

UNEPCBD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lthttpeuropaeuintgt

lthttpwwwcbdintgt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gt

주 제 어

추가의정서 GMO위험 책임제도 배상제도 환경책임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3 -

[ABSTRACT]

Liability on GMOs Potential Risk in Supplementary

Protocol

Kim Eun - Jin

GMO has been issued on its potential risk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GMOs However there is no international legal

system on liability and remedies Developed conturies did not want

to have a strong regulation on GMOs potential risk while developing

countries tried to make a strict liability on GMOs risk

As a result of 10 years discussions the Supplementary Protocol

was adapted Main issue of this protocol is liability and remedies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First the Protocol did not present the legal system of liability and

remedies Instead the protocol delegates the legal system of

national laws

Secondly this protocol covers only living GMO However living

GMOs are very few in market and most of all GMOs are processed

Thirdly there is no regulation for finance which is huge in GMOs

damages on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For implementation act we have to consider how to solve them

For example whether the new law which covers GMOs special

liability is established

Key Words

Supplementary Protocol GMo Risk Liability Remedies Environment

Liability

Page 24: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cmsorgan.wku.ac.kr/reslaw/wp-content/uploads/sites/60/... · 2016-12-02 ·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 92 -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517 2010 12)

UNEPCBD ldquoREPORT OF THE FOUR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418 2008 6)

UNEPCBD ldquoREPORT OF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F LEGAL AND TECHNICAL EXPERTS ON

LIABILITY AND REDRESS IN THE CONTEXT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THE WORK

OF ITS FIFTH

MEETINGrdquo(UNEPCBDBSWG-LampR53 2008 3)

UNEPCBD ldquoREPORT OF THE THIR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rdquo (UNEPCBDBSCOP-MOP315 2006 5)

lthttpeuropaeuintgt

lthttpwwwcbdintgt

lthttpwwwgmcontaminationregisterorggt

주 제 어

추가의정서 GMO위험 책임제도 배상제도 환경책임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3 -

[ABSTRACT]

Liability on GMOs Potential Risk in Supplementary

Protocol

Kim Eun - Jin

GMO has been issued on its potential risk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GMOs However there is no international legal

system on liability and remedies Developed conturies did not want

to have a strong regulation on GMOs potential risk while developing

countries tried to make a strict liability on GMOs risk

As a result of 10 years discussions the Supplementary Protocol

was adapted Main issue of this protocol is liability and remedies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First the Protocol did not present the legal system of liability and

remedies Instead the protocol delegates the legal system of

national laws

Secondly this protocol covers only living GMO However living

GMOs are very few in market and most of all GMOs are processed

Thirdly there is no regulation for finance which is huge in GMOs

damages on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For implementation act we have to consider how to solve them

For example whether the new law which covers GMOs special

liability is established

Key Words

Supplementary Protocol GMo Risk Liability Remedies Environment

Liability

Page 25: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cmsorgan.wku.ac.kr/reslaw/wp-content/uploads/sites/60/... · 2016-12-02 ·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

김은진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

- 93 -

[ABSTRACT]

Liability on GMOs Potential Risk in Supplementary

Protocol

Kim Eun - Jin

GMO has been issued on its potential risk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GMOs However there is no international legal

system on liability and remedies Developed conturies did not want

to have a strong regulation on GMOs potential risk while developing

countries tried to make a strict liability on GMOs risk

As a result of 10 years discussions the Supplementary Protocol

was adapted Main issue of this protocol is liability and remedies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First the Protocol did not present the legal system of liability and

remedies Instead the protocol delegates the legal system of

national laws

Secondly this protocol covers only living GMO However living

GMOs are very few in market and most of all GMOs are processed

Thirdly there is no regulation for finance which is huge in GMOs

damages on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For implementation act we have to consider how to solve them

For example whether the new law which covers GMOs special

liability is established

Key Words

Supplementary Protocol GMo Risk Liability Remedies Environment

Liability

Page 26: 추가의정서 상의 GMO의 잠재적 위험에 따른 책임제도cmsorgan.wku.ac.kr/reslaw/wp-content/uploads/sites/60/... · 2016-12-02 · 이에 2005년 영국의 진와치(GeneWatch)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