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은행식예상문제cpedua.com/2.qme/2.2_qme2/5.qme2-adn-tests/qme2_3.qm_set.pdf · 2018....

76
품질경영산업기사 수험용 예상문제집 2015년 최신판, 품질경영기사기출문제 수록!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기술 자격시험 대비 품질경영산업기사 필기·실기 예상문제집 문제은행식 예상문제 품질경영산업기사 대비 편저자 권오운 산업공박사/품질기술사/기술지도사 CPEDU 아카데미 산업응용자격취득 인터넷강의 전문 2015. 2. 05 www.cpedua.com 인터넷강의 저자 직강 www.cpedua.com 인터넷강의 저자 직강 www.cpedua.com

Upload: others

Post on 08-Oct-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품질경영산업기사 수험용 예상문제집2015년 최신판, 품질경영기사기출문제 수록!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기술 자격시험 대비

품질경영산업기사 필기·실기 예상문제집

문제은행식 예상문제품질경영산업기사 대비

편저자

권오운 산업공박사/품질기술사/기술지도사

CPEDU 아카데미

산업응용자격취득 인터넷강의 전문2015. 2. 05

www.cpedua.com

인터넷강의

저자 직강

www.cpedua.com

인터넷강의

저자 직강

www.cpedua.com

■ 품질경영산업기사 문제은행식 예상문제 수험정보 A/S 안내

도서출판 ATPM컨설팅[부설 CPEDU아카데미 운영]에서 발간하는 품질경영기사

수험정보용 도서는 독자와 저자 그리고 출판사가 삼위일체가 되어 보다 좋은 수

험정보제공 도서를 만들어 나갑니다.

독자 여러분들의 건설적인 충고와 혹시 발견되는 오탈자 또는 편집, 디자인 및

전자출판 인쇄 등에 대해 의견을 주시면 신속히 수정보완하여 내용이 좋은 수험

정보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저자와 연락 방법

137-04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1-11 한서빌딩 1309호

㈜에이티피엠컨설팅 www.atpm.co.kr

부설 CPEDU아카데미 운영 www.cpedua.com

[편저자] 연구소 : [email protected], 권오운 : [email protected]

☞ 저작권 안내

국제표준도서번호 978-89-960938-23-4-98500로 등재되어 저작권 보호를 받

으며 저작권 침해가 되지 않도록 하시며, 회원 학습용으로만 사용을 제한합니다.

◈ 품질경영산업기사 대비 문제은행식 예상문제 목차 ◈

제 1 편 통계적품질관리 1-01

1. 확률과 확률분포 ................................................................................... 1-02

1.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1-02

1.2 문제은행식 실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1-12

2. 통계적 검정 및 추정 ............................................................................ 1-19

2.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1-19

2.2 문제은행식 실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1-40

3.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 .......................................................................... 1-57

3.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1-57

3.2 문제은행식 실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1-61

4. 샘플링검사 ........................................................................................... 1-68

4.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1-68

4.2 문제은행식 실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1-86

5. 관리도 ................................................................................................ 1-104

5.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1-104

5.2 문제은행식 실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1-122

[안내] 본문 중 교재 : 품질경영기사 최신 통계적품질관리 (개정2판, 권오운 편저)

제 2 편 실험계획법 2-01

1. 실험계획법 기초 ................................................................................... 2-02

1.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2-02

2. 1원배치법 .............................................................................................. 2-04

2.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2-04

2.2 문제은행식 실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2-14

3. 2원배치법 ............................................................................................. 2-17

3.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2-17

3.2 문제은행식 실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2-25

4. 계수치 데이터 분석 .............................................................................. 2-31

4.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2-31

4.2 문제은행식 실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2-37

목차 소개 / 01

5. 분할법 .................................................................................................. 2-40

5.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2-40

5.2 문제은행식 실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2-49

6. 라틴방격법 ............................................................................................ 2-51

6.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2-51

6.2 문제은행식 실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2-54

7. k n 형 요인배치법 ................................................................................ 2-58

7.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2-58

8. 교락법 및 일부실시법 .......................................................................... 2-65

8.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2-65

8.2 문제은행식 실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2-72

9. 직교배열표 ............................................................................................ 2-74

9.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2-74

9.2 문제은행식 실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2-79

10. 회귀분석 및 직교다항식 ..................................................................... 2-83

10.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2-83

10.2 문제은행식 실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2-91

[안내] 본문 중 교재 ☞ 품질경영기사 최신 실험계획법 (개정2판, 권오운 편저)

제 3 편 품질경영 3-01

1. 품질경영 ............................................................................................... 3-02

1.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3-02

1.2 문제은행식 실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3-15

2. 품질코스트 .......................................................................................... 3-18

2.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3-18

2.2 문제은행식 실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3-22

3. 표준화 .................................................................................................. 3-23

3.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3-23

3.2 문제은행식 실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3-37

4. 규격·공차 및 공정능력 ......................................................................... 3-40

4.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3-40

4.2 문제은행식 실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3-48

02 / 품질경영산업기사 문제은행식 예상문제편

5. 측정시스템 ............................................................................................ 3-52

5.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3-52

5.2 문제은행식 실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3-56

6. 품질혁신활동 및 기타 ........................................................................... 3-57

6.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3-57

6.2 문제은행식 실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3-68

[안내] 본문 중 교재 ☞ 품질경영기사 최신 품질경영 (개정2판, 권오운 편저)

제 4 편 생산시스템 4-01

1. 생산시스템 ............................................................................................ 4-02

1.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4-02

2. 생산 전략·유형·조직 ............................................................................. 4-04

2.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4-04

3. 생산시스템 설계 ................................................................................... 4-06

3.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4-06

4. 생산시스템 관리 ................................................................................... 4-11

4.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4-11

5. 자재관리 ............................................................................................... 4-23

5.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4-23

6. 일정관리 ............................................................................................... 4-31

6.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4-31

7. 작업관리 ............................................................................................... 4-36

7.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4-36

8. 설비보전 ............................................................................................... 4-53

8.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4-53

9. 생산관리 관련 문제 .............................................................................. 4-60

9.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4-60

[안내] 본문 중 교재 : 품질경영기사 최신 생산시스템 (개정2판, 권오운 편저)

[참고] 품질경영산업기사 시험문제는 문제은행식으로서 품질경영기사 필기 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는 품질경영산업기사 문제에도 나올 수 있는 문제입니다.

02 / 과년도 품질경영산업기사 필기문제

이 면은 공백입니다.

1. 품질경영 : 필기·실기 예상문제 / 1-02

2. 품질코스트 : 필기·실기 예상문제 / 1-18

3. 표준화 : 필기·실기 예상문제 / 1-23

4. 규격·공차 및 공정능력 : 필기·실기 예상문제 / 1-40

5. 측정시스템 : 필기·실기 예상문제 / 1-52

6. 품질혁신활동 및 기타 : 필기·실기 예상문제 / 1-57

제 3 편

퓸 질 경 영

1. 품질경영

1.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품질경영의 개념 ◈

01 품질은 주관적 특성과 객관적 특성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다음 중 품질의 주관적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안전성 ㉯ 소유의 우윌감 ㉰ 신뢰성 ㉱ 사용에 대한 적합성

해설 2010(기사1회차) 기사교재 P.1-101

㉰ 신뢰성은 객관적 품질특성 중 유용성 특성에 해당한다.

☞ 품질 분류 : 주관적 품질, 객관적 품질

품질

주관적

품질(특성)

실용적 특성 사용에 대한 적합성, 안전성, 무공해

심리적 특성 취향 기호에 대한 합치성, 소유의 우월감, 만족

객관적

품질(특성)

유용성 특성 기능, 성능, 신뢰성

유해성 특성 불안전, 공해

05 실제로 제조된 물품이 설계품질에 어느 정도 합치하고 있는가를 의미하는 품질은?

㉮ 기획품질 ㉯ 시장품질 ㉰ 설계품질 ㉱ 제조품질

해설 2005(기사3회차) 기사교재 P.1-102

☞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품질을 형성과정에 따라 분류하면, 시장품질→설계품질→제조품질

(적합품질)→사용품질→시장품질로 feedback)로 나누어진다.

09 고객만족에 대하여 일본의 품질학자 카노는 매력 품질이란 말을 사용하였다. 다음 중에

서 카노의 매력 품질에 대하여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 카노의 매력품질은 고객이 미처 생각하지 못한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켜 주는 것이다. 매력

품질은 클수록 고객이 감동한다.

㉯ 카노는 매력품질과 더불어 당연품질을 정의하였다. 당연품질을 고객에게 제공할 때 고객이

감동한다.

㉰ 당연품질의 요소를 고급화시키면 매력품질로 바뀐다.

㉱ 매력품질과 당연품질은 제품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고객에 따라 결정된다.

해설 2005(기사1회차), 2007(기사1회차) 기사교재 P.1-102

㉯ 매력품질을 고객에게 제공시 고객이 감동할 수 있으며, 당연품질을 고객에게 제공할 때 고객

은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감동하지는 않는다. 당연품질을 만족시키지 못한다면 불만

(VOC)나 클레임을 유발시킨다.

㉰ 당연품질의 요소를 고급화시켜도 당연품질에 해당하고, 매력품질로 바꿔지지는 않으며, 기본

품질로 된다.

㉱ 매력품질과 당연품질은 서비스품질과 같이 고객의 주관적인 측면의 대면적, 정신적 품질이

아니고, 제품이 제공하는 품질특성이 당연한 것인가 아니면 미처 생각지 못한 감동적인 것인

가에 따라 결정된다.

3-02 / 제3편 품질경영

해답 01. ㉰ 05. ㉱ 09. ㉮

11 설계품질의 수준을 결정함에 있어서 경영방침이 고급품을 파는 방침일 때 그림에서 가장

적당한 수준은?

금액 원가

가격

설계품질a b c d

㉮ a ㉯ b ㉰ c ㉱ d

해설 2009(기사2회차) 기사교재 P.1-103

㉰ 일반적인 제품은 단위당 이익이 가장 큰, 즉 품질가치(가격)와 품질비용(원가) 차이가 가장

큰 b점에서의 설계품질이 적정수준이나, 고급품은 c의 위치에서 결정되고, 저급품은 a 점이 적정수준이다.

13 품질특성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올바른 것은?

㉮ 품질특성은 수명, 색상, 재질 등과 같이 고객이 요구하는 것을 제품의 특성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 품질특성은 일반적으로 추상적으로 표현되므로 측정할 수 없다.

㉰ 품질특성은 제품마다 하나씩만 정의하는 것이 개선효과가 높다.

㉱ 품질특성은 학문적 영역에서 다루어지며, 가장 정확하게 알고 있는 사람은 품질학자들이

다.

해설 2003(기사2회차), 2004(산기3회차) 기사교재 P.1-104

㉮ 수명, 색상, 재질 등과 같이 고객이 요구하는 것(참특성)을 제품의 특성(실용특성 또는 대용

특성)으로 나타내는 것을 "품질기능전개(QFD)"라고 한다.

16 다음과 같이 품질관리를 정의한 것은?

"품질관리란 수요자의 요구에 맞는 품질의 제품을 경제적으로 만들어 내기 위한 모든

수단의 체계"

㉮ KS ㉯ W. E. Deming ㉰ J. M. Juran ㉱ A. V. Feigenbaum

해설 2003(기사3회차) 기사교재 P.1-105

㉯ 데밍(W. E. Deming)의 정의 → 품질관리란 가장 소용이 있으며 구매자가 요구하는 제품을

가장 경제적으로 생산하는 방법이고, 통계적 품질관리란 최대한으로 유용하며 시장성 있는

제품을 가장 경제적으로 생산할 것을 목표로 생산의 모든 단계에 통계학의 원리와 수법을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 J. M. Juran의 정의 → 품질의 표준을 설정하고 이것을 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모든 수

단의 체계이다.

1. 품질경영 : 필기 예상문제 / 3-03

해답 11. ㉰ 13. ㉮ 16. ㉮

㉱ 파이겐바움(A. V. Feigenbaum)의 정의 → 참으로 효과적인 품질관리란 설계에서 시작하여

제품이 고객의 손에 들어가 고객의 만족을 얻었을 때 끝난다. 총합적 품질관리란 소비자에게

충분히 만족되는 품질의 제품을 가장 경제적 수준으로 생산될 수 있도록 사내 각 부문이 품

질개발, 품질유지, 품질개선 노력을 조정·통합하는 효과적인 체계를 말한다.

18 다구찌 방법은 품질개선을 위한 접근방법이다. 다음 중 다구찌 방법에서 사용되는 수단

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off-line QC ㉯ 손실함수 ㉰ 파라미터설계 ㉱ SPC

해설 2007(기사2회차) 기사교재 P.1-106

☞ 품질개선을 위한 다구찌 방법은 품질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손실함수로 관리하는 동시에

off-line(설계개발부서) QC를 통하여 파라미터 설계에서 제품에서 채택하고자 하는 파라미터

(제어인자)의 최적수준(목표치)을 결정한다.

㉱ SPC(Statistical Process Control)는 통계적 공정관리로서 모토롤라의 6σ 품질혁신의 주요

도구이다.

19 품질관리 기능은 크게 4가지로 대별된다. 이들은 사이클을 형성하고 있는데, 그림의 빈

칸에 들어가야 할 것은?

품질조사 품질설계

품질보증 ( )

㉮ 설비관리 ㉯ 공정관리 ㉰ 작업관리 ㉱ 재고관리

해설 2003(기사2회차) 기사교재 P.1-106

☞ 품질관리 기능 (=데밍사이클)

① 데밍(W. E. Deming ; 1900∼)은 공업생산·판매의 전 과정에 대해 ㉠ 설계, ㉡ 제조, ㉢ 검

사·판매, ㉣ 조사·서비스의 4단계가 순환하는 사이클[데밍사이클]을 그린다고 보았다.

② 품질관리의 기능을 데밍사이클에 따라 재분류하면 ㉠ 품질설계(P)→㉡ 공정관리(D)→㉢ 품질

보증(C)→㉣ 품질조사 및 개선(A)이고, 이들은 순환된다고 보는 것이다.

22 품질관리의 업무 중 신설계관리에서 하는 일은?

㉮ 부적합품의 원인을 규명, 품질특성의 개량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한 조사 및 시험

㉯ 제품에 대한 바람직한 코스트, 기능 및 신뢰성에 대한 품질표준 확립

㉰ 시방의 요구에 알맞은 부품을 경제적인 품질수준으로 수입 및 보관

㉱ 부적합품이 만들어지기 전에 품질시방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시정

해설 2005(기사1회차) 기사교재 P.1-107

☞ 파이겐바움(A. V. Feigenbaum)은 생산단계 품질관리업무를 제시함에 있어 4가지인 신설계

관리(new design control), 조달품질의 관리를 수입자재관리(incoming material control),

3-04 / 제3편 품질경영

해답 18. ㉱ 19. ㉯ 22. ㉯

제조품질과 사용품질의 관리를 제품관리(product control)로 제시하는 한편 전반적인 품질개

선활동을 특별공정조사(special process studies)로 보았다.

23 품질관리 업무 중에서 제품관리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 부적합(불량)품의 원인을 규명한다든지 품질특성의 개량가능을 결정하기 위한 조사나 시험

을 말한다.

㉯ 제품에 대한 알맞은 가격, 기능·신뢰성에 대한 품질표준을 확립하여 시행하는 것을 말한다.

㉰ 부적합(불량)품이 발생하기 전에 품질시방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시정하고, 서비스를 통

해 제품을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 시방의 요구에 알맞은 부품, 재료만을 가장 경제적인 품질수준으로 수입, 보관하는 것을

말한다.

해설 2005(기사2회차) 기사교재 P.1-107

㉮ 특별공정조사 ㉯ 신설계관리, ㉱ 수입자재관리

24 품질관리업무를 명확히 하는데 있어 기능전개방법이 매우 유효한데 미즈노 박사가 주장

하는 4가지 관리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생산의 관리항목 ㉯ 기능의 관리항목 ㉰ 업무의 관리항목 ㉱ 공정의 관리항목

해설 2009(기사1회차) 기사교재 P.1-107

☞ 미즈노 시게루 박사가 제시한 4가지 관리항목은 ㉯, ㉰, ㉱ 및 신규업무 계획사항(프로젝트)

에 대한 관리항목이다.

25 일반적으로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4M(Man, Machine, Material, Method)으로 구

분한다. 다음 중 가장 적합한 구분 이유는?

㉮ 오랜 전통적 요인의 분류방법이기 때문이다.

㉯ 파레토(Pareto)그림에서 구분하여 사용하기 때문이다.

㉰ 브레인스토밍(Brain Storming)방법에서 구분하여 사용하기 때문이다.

㉱ 입력(input)에서 출력(output)까지 가장 큰 품질상의 영향을 주는 층별 대상의 인자이기 때

문이다.

해설 2010(기사1회차), 2005(기사2회차) 기사교재 P.1-108

☞ 공정품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대별한 것이 4M의 분류방식이며, 4M을 공정의 4요

소라고 하며, 공정능력을 결정하는 요소가 된다.

27 파이겐바움이 제시한 품질에 영향을 주는 요소 9M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Markets ㉯ Motivation ㉰ Money ㉱ Maintenance

해설 2009(기사1회차) 기사교재 P.1-108

☞ 파이겐바움(A. V. Feigenbaum)은 품질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다음의 9M인 ① Markets,

② Money, ③ Management, ④ Man, ⑤ Motivation, ⑥ Materials, ⑦ Machines and

Mechanization, ⑧ Modern information method, ⑨ Mounting product requirements 등

을 제시했다.

1. 품질경영 : 필기 예상문제 / 3-05

해답 23. ㉰ 24. ㉮ 25. ㉱ 27. ㉱

28 품질시스템 내에서 품질경영의 실행 내용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 품질계획 ㉯ 품질관리 ㉰ 품질계약 ㉱ 품질개선

해설 2007(기사3회차) 기사교재 P.1-108

☞ 품질경영(QM)은 품질기획(QP)→품질관리(QC)→품질보증(QA)→품질개선(QI)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품질경영시스템은 이러한 품질경영의 기능을 PDCA 관리사이클을 통하여 수행된다.

31 품질경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 품질경영이란 최고경영자의 품질방침에 따른 고객 만족을 위한 모든 부문의 전사적 활동

이다.

㉯ 품질경영이란 공정 및 제품의 불량감소를 위해 품질표준을 설정하고 이의 적합성을 추구

하는 수단이다.

㉰ 품질경영은 고객지향의 기업문화와 조직행동적 사고 및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 품질경영은 QC, IE, VE, TPM, JIT 등의 모든 관리기술을 총체적으로 활용한다.

해설 2004(기사3회차) 기사교재 P.1-109

☞ 품질경영은 공정 및 제품의 질 뿐만 아니라 설계업무, 사람의 질까지 포함하는 총체적 품질

향상활동이다.

㉯ 공정 및 제품의 불량감소를 위해 품질표준을 설정하고 이의 적합성을 추구하는 수단은 품질

경영의 하위개념인 품질관리(Quality control)에 해당한다.

36 품질관리 실시의 기대효과라고 볼 수 없는 것은?

㉮ 품질이 균일해지고 개선된다.

㉯ 부적합품률이 감소하여 수율이 향상되고 제품의 원가가 절감된다.

㉰ 분임조활동을 통하여 작업자의 의식이 높아진다.

㉱ Top-down에 의한 관리의 정착이 이루어진다.

해설 2007(기사1회차) 기사교재 P.1-110

㉱ Top-down(하향식 의사전달)과 Bottom-up(상향식 의사전달)의 조화에 의한 관리의 정착이

이루어진다.

◈ 품질경영과 고객만족 ◈

02 품질전략을 수립할 때 계획단계(전략의 형성단계)에서 SWOT분석을 많이 활용하고 있다.

여기서 S는 무엇을 뜻하는가?

㉮ 성장기회 ㉯ 근심 ㉰ 강점 ㉱ 약점

해설 과년도(기사기출) 기사교재 P.1-111

☞ SWOT란 S(Strength, 강점), W(Weakness, 약점), O(Opportunity, 성장기회), T(Threats,

위협)의 두문자를 따서 만들어진 용어이며, 장래의 기업환경의 변화를 예측하고 이러한 변화

에 따른 자사의 S, W, O, T가 되는 요소를 분석한다. 이들 S, W, O, T 요소에 의해 대응전

략이 모색될 수 있다.

3-06 / 제3편 품질경영

해답 28. ㉰ 31. ㉯ 36. ㉱ ┃ 02. ㉰

05 다음 중 벤치마킹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외부에 초점을 맞추어 비건설적인 내부경쟁을 회피한다.

㉯ 경쟁자와 대등하거나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시장 경쟁에 유리하다.

㉰ 벤치마킹을 통하여 경쟁에 유리한 입지를 계속 유지한다.

㉱ 최우수기업의 성과를 구성원에게 알려주어 내부경쟁을 강화한다.

해설 2006(기사3회차) 기사교재 P.1-112

☞ TQM활동에서 최상 품질을 추구에 흔히 벤치마킹(benchmarking, 창조적 모방)이 활용된다.

㉱ 최우수기업의 성과(Best Practice)를 구성원에 알려서 구성원들의 창의력을 자극한다.

07 권한부여(empowerment)는 일선 작업자나 종업원에 권한을 주어 이니셔티브와 상상력을

실행에 옮길 수 있도록 독려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권한부여의 함수가 되는 4가지 변수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 권한 ㉯ 자원 ㉰ 교육 ㉱ 결과에 대한 책임

해설 2010(기사1회차) 기사교재 P.1-112

☞ 권한부여 = f (권한, 자원, 정보, 책임)

09 고객만족을 결정하는 구성요소로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 광고 ㉯ 상품 ㉰ 기업 이미지 ㉱ 서비스

해설 2007(기사3회차) 기사교재 P.1-113

☞ 고객만족경영(CSM)의 4대 기본요소로는 ① 고객지향적인 기업문화, ② 고객만족(CS)을 창

출하는 제품 및 서비스, ③ 고객만족(CS)을 창출하는 판매활동, ④ 애프터서비스(A/S)이다.

11 고객만족도 조사의 3원칙이 아닌 것은?

㉮ 계속성의 원칙 ㉯ 정량성의 원칙 ㉰ 신속성의 원칙 ㉱ 정확성의 원칙

해설 2004(기사3회차), 2006(기사3회차) 기사교재 P.1-113

☞ 판매·서비스단계의 품질보증을 위해서는 품질조사, 즉 고객만족도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고

객만족도 조사 3원칙으로서는 ㉮, ㉯, ㉱항을 들고 있다.

◈ 품질조직 및 운영 ◈

03 품질관리위원회의 심의사항이 아닌 것은?

㉮ 각 부문의 트러블 조정 ㉯ 공정의 이상원인의 추구

㉰ 품질표준 및 목표의 심의 ㉱ 품질관리 추진계획의 결정

해설 2006(기사2회차), 2008(기사3회차), 2011(기사2회차) 기사교재 P.1-114

☞ 품질경영위원회의 심의사항으로는 ① 연구·개발에 관한 사항, ② 사내표준화에 관한 사항,

③ 품질관리활동에 대한 감사, ④ 주요 고객불만 처리사항 및 사내대책 등이 있다

㉯항은 생산기술부문의 업무이다.

1. 품질경영 : 필기 예상문제 / 3-07

해답 05. ㉱ 07. ㉰ 09. ㉮ 11. ㉰ ┃ 03. ㉯

05 파이겐바움(Feigenbaum)이 분류한 품질관리부서의 하위기능부문 3가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품질관리기술부문 ㉯ 공정관리기술부문

㉰ 품질정보기술부문 ㉱ 원가관리기술부문

해설 2008(기사1회차), 2011(기사3회차) 기사교재 P.1-115

☞ 파이겐바움(Feigenbaum)은 품질관리부서의 하위기능 부문을 ㉮, ㉯, ㉰의 3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07 TQC 실시의 주체를 라인에 두게 하는 데 있어서의 중요 항목과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 관리계획과 관리항목의 명확화 ㉯ 표준화

㉰ 평가척도의 명확화 ㉱ 품질방침, 목표, 계획의 확립 명시

해설 과년도(기사기출) 기사교재 P.1-115

☞ TQC를 종업원이 주체가 되도록 추진함에 있어서는 ① 최고경영자에서 일선 작업자까지 참

여하여 전사적 전원참가로 추진하기 위한 조직화가 필요하며, ② 품질보증시스템의 체계화와

개선, ③ 표준화, ④ 관리계획과 관리항목의 명확화, ⑤ 평가척도의 명확화, ⑥ 품질관리기법

의 개발 등에 유의하여 추진한다.

㉱ 최고경영층에 의해 제시되는 것으로서, 전 조직에 공통적으로 해당될 수 있는 항목이며, 생

산부문(라인)에 관련성은 어느 일정 부분만 있는 것이다.

09 파이겐바움(Feigenbaum)이 주장한 QC부문의 기능에 대한 부차적 기능부문 중 "공정관

리를 위한 검사, 시험장치를 설계, 개발" 하는 기능 부문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 품질관리 기술부문 ㉯ 공정관리 기술부문

㉰ 품질정보 기술부문 ㉱ 원가관리 기술부문

해설 2005(기사2회차) 기사교재 P.1-116

㉮ 품질관리기술부문에서는 기업 품질시스템의 기본이 되는 품질계획을 비롯해서 ① 품질목표

설정, ② 품질(신뢰성·안전성·관련 품질특성 등)의 정의, ③ 품질관리 계획, ④ 품질관리 교

육, ⑤ 품질정보 제공, ⑥ 품질코스트 분석, ⑦ 품질문제 진단 등의 업무들이 수행된다.

㉯ 공정관리기술부문에서는 검사 및 시험부문이 포함되는데, 이 부문은 공장에서의 품질관리 활

동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비롯하여 ① 품질관리 계획 실행, ② 공정능력 조사, ③ 계측기기

유지·보전, ④ 품질감사, ⑤ 수입원자재 검사, ⑥ 중간검사 및 시험, ⑦ 최종 제품검사,

⑧ 데이터 기록, ⑨ 업무보고 등의 업무들이 수행된다.

㉰ 품질정보기술부문에서는 품질측정에 필요한 검사 및 시험장치를 설계·개발하는 것을 비롯하

여 ① 품질정보시스템의 설계와 운영, ② 품질측정 설비의 기계화 내지 자동화, ③ 측정기술

의 개발 등의 업무가 수행된다.

11 구매자가 구매처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품질감사를 무엇이라 하는가?

㉮ 내부품질감사 ㉯ 외주업체 품질감사

㉰ ISO인증기관에 의한 품질감사 ㉱ 제3자에 의한 품질감사

해설 2002(기사2회차) 기사교재 P.1-116

3-08 / 제3편 품질경영

해답 05. ㉱ 07. ㉱ 09. ㉰ 11. ㉯

㉯ 구매자가 하는 품질감사는 제2자 감사로서 외주업체 품질감사이다.

13 품질방침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사항 중 틀린 것은?

㉮ 제품의 판매대상 ㉯ 품질리더십의 정도 ㉰ 이익실현 정도 ㉱ 제품전략의 중점

해설 2006(기사1회차) 기사교재 P.1-117

☞ ㉮, ㉯, ㉱는 품질리더십의 관점에서 품질방침에서 다룰 수 있는 사항이다.

㉰는 품질목표 관련 항목이다.

15 다음 중에서 어느 회사의 다음 연도 품질목표 중 품질개선을 위한 목표가 아닌 것은?

㉮ 부적합품(불량)률을 현재의 0.5%수준으로 유지한다. ㉯ 품질코스트를 5%로 줄인다.

㉰ 자재손실은 5백만원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 제품의 로스율은 1%로 줄인다.

해설 2005(기사2회차), 2007(기사3회차) 기사교재 P.1-117

☞ 품질목표는 ① 현상유지를 위한 목표와 ② 개선(현상타파)을 위한 목표로 나누어진다.

㉮ 품질개선이 아닌 품질유지를 위한 것으로서, 현상유지를 위한 목표이다.

16 부문이 담당하는 업무가 목적대로 실시되고 있는가를 판단하여 필요한 조처를 취하기 위

해서 정해 놓은 항목을 무엇이라 하는가?

㉮ 관리항목 ㉯ 수치항목 ㉰ 특성항목 ㉱ 전개항목

해설 2009(기사3회차) 기사교재 P.1-117

☞ 방침관리를 위해서는 방침, 목표, 방책(시책), 관리항목 등이 정해질 필요가 있다.

㉮ 관리항목은 각 부문이 자기 부문에 부여된 업무를 그 목적대로 달성하고 있는가 어떤가를

판단하여 필요한 액션을 취하기 위한 척도이다.

18 다음 중 TQC의 3가지 기능별 관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일정관리 ㉯ 자재관리 ㉰ 품질보증 ㉱ 원가관리

해설 2009(기사3회차) 기사교재 P.1-118

☞ 기능별 관리의 필요성은 종전의 Q(품질)중심 관리에서 탈피하여 C(원가), D(납기)로 확대하

여 관리하는데 있다.

Q·C·D를 총합관리를 하는 이유는 품질경영에 있어서는 기능별 관리로 품질(Q)을 확보하기

위한 활동과 그 관리, 즉 QA가 중심이 되는 것은 당연하나 user의 메리트를 확보한다는 점

에서는 품질(Q) 이외에 원가(C), 생산량·납기(D)에 대한 관리, 즉 원가관리, 생산량관리(납기

관리도 포함)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20 품질관리업무를 명확히 하는 데 있어 기능전개방법이 매우 유효한데 미즈노 박사가 주장

하는 4가지 관리항목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 공정의 관리항목 ㉯ 기능의 관리항목 ㉰ 업무의 관리항목 ㉱ 생산의 관리항목

해설 2007(기사2회차) 기사교재 P.1-118

1. 품질경영 : 필기 예상문제 / 3-09

해답 13. ㉰ 15. ㉮ 16. ㉮ 18. ㉯ 20. ㉱

☞ 일본 학자인 미즈노 시게루는 협의의 품질기능전개(QFD)는 품질보증업무에 대한 업무기능전

개를 가리키며, 이를 통해 설정할 관리항목으로는 ㉮, ㉯, ㉰항 및 부문의 관리항목의 4가지

가 타당하다고 보았다.

◈ 품질경영 시스템 ◈

03 품질시스템의 내용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방침 ㉯ 조직구조 ㉰ 절차 ㉱ 공정

해설 2002(기사1회차), 2006(기사3회차) 기사교재 P.1-119

☞ 품질시스템이란 구체적으로 품질경영시스템을 말하며, 품질목표를 충족시키는 데 필요한 유

기체로서 조직구조, 절차, 프로세스(공정) 및 자원 등의 network로 정의된다.

04 하나의 조직을 Systems Approach 관점에서 어떻게 디자인하고 운영함이 가장 능률적이

고, 효과적인 조직이 될 것인가를 분석할 때의 4가지 기본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모든 Systems경영은 목표 중심체제이어야 한다.

㉯ 모든 Systems경영은 전체 Systems 중심체제이어야 한다.

㉰ 모든 Systems경영은 책임 중심체제이어야 한다.

㉱ 모든 Systems경영은 기능 중심체제이어야 한다.

해설 2003(기사2회차), 2005(기사3회차) 기사교재 P.1-119

☞ Systems경영의 4가지 기본원칙으로는 ① 목표 중심체제, ② 책임 중심체제, ③ 인간 중심체

제, ④ 전체 Systems 중심체제 등이다.

07 품질시스템의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 품질제안과 분임조활동이 활성화되어 있다. ㉯ 품질관련 조직이 구성되었다.

㉰ 품질에 관련된 업무가 규정화되어 있다. ㉱ 품질개선이 체계적으로 진행된다.

해설 2004(기사3회차), 2006(기사2회차) 기사교재 P.1-120

☞ 품질시스템은 구체적으로는 품질경영시스템을 말하며, 품질경영(QM)활동에는 품질방침 및

품질목표의 수립과 품질기획(QP), 품질관리(QC), 품질보증(QA) 및 품질개선(QI)이 포함된다.

㉮항은 품질시스템 구축 측면이 아닌 품질경영 활성화 측면에 해당하고, ㉯항은 QP, ㉰항은

QP, ㉱항은 QI에 해당한다.

09 품질관리활동을 전개하기 위하여 품질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운영·관리

하는 데 필요한 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라인지원의 원칙 ㉯ 예방의 원칙 ㉰ 전원참가의 원칙 ㉱ 종합조정의 원칙

해설 2007(기사3회차), 2009(기사2회차) 기사교재 P.1-121

☞ 품질관리/품질경영시스템의 운영원칙은 품질관리시스템의 원칙이라고도 하며, 여기에는 ①

예방의 원칙, ② 과학적 접근방법의 원칙, ③ staff원조의 원칙, ④ 전원참가의 원칙, ⑤ 종합

조정의 원칙 등이 있다.

3-10 / 제3편 품질경영

해답 03. ㉮ 04. ㉱ 07. ㉮ 09. ㉮

◈ 품질보증 ◈

02 제품 또는 서비스가 소정의 품질요구를 갖추고 있다는 타당한 신뢰감을 주기 위해 필요

한 계획적, 체계적 활동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제품책임 ㉯ 품질보증 ㉰ 품질검사 ㉱ 품질개선

해설 2008(기사3회차) 기사교재 P.1-121

㉯ 문제의 설문은 미국연방규격(ANSI-Z1.7)의 품질보증에 대한 정의이다.

☞ KS Q ISO 3534 → 품질보증이란 소비자의 요구품질이 완전히 만족되어 있다는 것을 보증

하기 위해 생산자가 행하는 품질관리 활동의 체계

04 다음 중 품질보증의 뜻을 가장 적당하게 표현한 것은?

㉮ 판매된 제품의 품질에 대하여 책임을 진다는 것

㉯ 품질하자(瑕疵)보수를 책임지고 제공한다는 것

㉰ 고객요구품질과 판매된 제품의 품질을 일치시키기 위한 노력

㉱ 불량품 발생과 출하를 절대로 안 한다는 것

해설 2005(기사2회차) 기사교재 P.1-122

☞ 품질보증의 요건으로서 필요조건(고객위주의 품질보증)과 충분조건(생산자 스스로 행하는 품

질보증)의 2가시가 있다. ㉱항은 품질보증을 위한 충분조건에 해당한다.

05 품질보증의 주요기능 중에서 가장 나중에 실시해야 할 내용은 어떤 것인가?

㉮ 품질정보의 수집, 해석, 활용 ㉯ 설계품질의 확보

㉰ 품질방침의 설정 ㉱ 품질조사와 클레임처리

해설 2004(기사2회차) 기사교재 P.1-122

☞ ㉰→㉯→㉱→㉮의 순이다.

08 다음 중 품질보증의 사후대책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 시장조사 ㉯ 기술연구 ㉰ 품질감사 ㉱ 고객에 대한 PR

해설 2007(기사2회차) 기사교재 P.1-122

☞ ㉮, ㉯ 및 ㉱항은 품질보증의 사전대책 사항이다.

㉰ 품질감사는 QC업무의 감사, 타사 제품과의 비교, 자사 제품을 시장에서 구입하여 출하시의

품위와 비교 등으로 수행된다.

10 품질보증시스템의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품질보증업무시스템 ㉯ 품질평가시스템 ㉰ 품질정보시스템 ㉱ 환경경영시스템

해설 2008(기사3회차), 2011(기사2회차) 기사교재 P.1-123

☞ 품질보증시스템의 전체상은 품질보증업무시스템, 품질평가시스템, 품질정보시스템의 3가지로

구성된다.

13 QA활동 중 제품기획의 단계에 속하지 않는 것은?

㉮ 시장단계에서 파악한 고객의 요구를 일상용어로 변환시키는 단계이다.

1. 품질경영 : 필기 예상문제 / 3-11

해답 02. ㉯ 04. ㉰ 05. ㉮ 08. ㉰ 10. ㉱ 13. ㉮

㉯ 신제품을 기획하고 있는 동안 기획 이후의 단계에서 발생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을 찾아내

는 단계이다.

㉰ 최소한 그 문제점의 근원을 충분히 파악해야 하는 단계이다.

㉱ 기획은 QA의 원류에 위치하므로 품질에 관해서 예상되는 기술적인 문제점은 될 수 있는

대로 많이 찾아내도록 한다.

해설 2004(기사1회차), 2006(기사2회차) 기사교재 P.1-124

㉮ 시장단계에서 파악한 고객의 요구(참특성)를 품질기능전개(QFD)를 통하여 제품설계가 가능

한 대용특성으로 변환시키는 일은 제품기획의 다음 단계인 설계단계의 품질보증활동에서 이

루어진다.

14 설계가 진행되는 적당한 시기에 설계된 도면에 대해 설계, 연구, 개발부문 등이 참가하여

실시하는 설계심사를 무엇이라 하는가?

㉮ 예비 설계심사(preliminary D.R) ㉯ 중간 설계심사(intermediate D.R)

㉰ 제품 설계심사(product D.R) ㉱ 최종 설계심사(final D.R)

해설 2008(기사1회차) 기사교재 P.1-124

☞ 설계심사(DR)의 3단계 구분

구 분DR의 구분 목적(대상) 참가부문 실시시기

예비설계심사(preliminary design review)

기획과 예상되는 품질문제

영업, 기획, 연구,설계부문 등

기획이 끝날 때(설계구상단계)

중간설계심사(intermediate design review)

설계된 도면설계, 연구, 개발부문 등

설계가 진행되는적당한 시기

최종설계심사(final design review)

설계도면과생산성

생산기술, 설계,제조부문 등

설계가 끝난 후(試作이 끝난 후)

19 품질감사의 중점분야 선정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 수감분위기 ㉯ 현재의 문제점 및 그 우선순위

㉰ 기초계획 수립시 고려된 사항 ㉱ 이전 감사결과 및 해결사항

해설 2006(기사1회차) 기사교재 P.1-125

㉱ 이전 감사결과는 이전 감사보고서에 의거 계획기간에 조치가 완료되도록 하고 있다.

20 정부로부터 품질을 보증받는 효과를 지니며, 소비자 입장에서는 안심하고 제품을 살 수

있도록 하는 품질보증표시에서 국가별로 표시가 적합하지 않는 것은?

㉮ 한국 : KS ㉯ 미국 : UL ㉰ 영국 : BSI ㉱ 일본 : JIS

해설 2007(기사3회차) 기사교재 P.1-126

☞ 미국의 국가규격은 ANSI로 표기된다. UL(Underwriter's Laboratories)은 단체규격이다.

3-12 / 제3편 품질경영

해답 14. ㉯ 19. ㉱ 20. ㉯

◈ 제조물 책임 ◈

10 기업입장에서 PL법에 대한 대책으로 결함이 있는 제품을 만들지 않기 위한 대책(PLP,

Product Liability Prevention)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 제품사용설명서에 책임을 명확하게 명시한다.

㉯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충분한 안전시험을 실시한다.

㉰ 문제가 발생되었을 때,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직원들을 훈련한다.

㉱ 만약에 대비하여 PL보험에 가입한다.

해설 2007(기사2회차), 2008(산기3회차) 기사교재 P.1-128

㉮ 책임의 한정, ㉰ 초동대책, ㉱ 손실의 분산은 제품책임(PL)이 발생할 것에 대비하거나 발생

한 후의 제품책임방어(PLD)대잭에 해당되는 사항이다.

㉯ 제품안전 확보는 제품책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제품책임예방(PLP) 대책에 해당한다.

14 제조물책임법에 명시된 결함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제조상의 결함 ㉯ 설계상의 결함 ㉰ 표시상의 결함 ㉱ 보수유지의 결함

해설 2010(기사1회차) 기사교재 P.1-129

☞ 과실책임이 따르는 제품의 결함으로는 ① 제조·가공상의 결함, ② 설계상의 결함, ③ 사용

표시상의 결함, 상품사용상의 위험 및 그 위험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방법에 대해서 사용자

에게 충분히 경고하지 않은 경우 등이 있다.

◈ 교육훈련과 모티베이션 ◈

02 산업표준화 및 품질경영 교육의 내용 중 품질관리 담당자의 교육내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통계적인 품질관리 기법 ㉯ 사내표준화 추진절차 및 방법

㉰ 품질경영 조직 및 인사에 대한 내용 ㉱ 품질관리 개선을 위한 산업공학

해설 2003(기사1회차) 기사교재 P.1-131

☞ 산업표준화법에서 규정하는 품질관리 담당자의 교육내용은 ㉮, ㉯, ㉱항과 산업표준화 제도

및 품질경영의 개요, 표준화의 요소(산업표준화법 시행규칙 제27조 별표 14 참조)가 있다.

03 산업표준화 및 품질경영 교육의 내용 중 품질관리담당자의 교육내용에 해당되지 않는 것

은?

㉮ 통계적 품질관리 기법 ㉯ 사내표준화 및 품질경영의 추진 실시

㉰ 사내표준화 및 품질경영 추진기법 사례

㉱ 한국산업표준(KS)인증제도 및 사후관리 실무

해설 2009(기사1회차), 2010(기사3회차) 기사교재 P.1-131

☞ 산업표준화법에 따른 품질관리담당자의 교육내용 :

㉮, ㉯, ㉱ 및 산업표준화 법규, 산업표준화와 품질경영의 개요, 품질관리담당자의 역할, 그

밖에 산업표준화 촉진과 품질경영혁신을 위해 필요한 사항(산업표준화법 시행령 별표 2)

1. 품질경영 : 필기 예상문제 / 3-13

해답 10. ㉯ 14. ㉱ ┃ 02. ㉰ 03. ㉰

05 품질에 대해 구성원들의 품질개선의욕을 불러일으키는 작용·과정을 뜻하는 용어는?

㉮ 품질 인프라(Infra) ㉯ 품질 피드백(Feedback)

㉰ 품질 퍼포먼스(Performance) ㉱ 품질 모티베이션(Motivation)

해설 2013(기사1회차) 기사교재 P.1-131

㉱ 품질모티베이션이란 품질에 대한 동기부여, 즉 품질개선에 관한 품질방침과 목표를 정하고

품질개선활동의 방향과 정도에 대하여 의도적으로 적극지원을 함으로써 구성원들이 품질개

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품질개선 의욕을 불러 일으키게 하는 작용 또는 과정을 말한다.

☞ 품질모티베이션 프로그램은 ㉠ 동기부여형(motivation package)과 ㉡ 불량예방형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작업자 책임의 불량을 줄이도록 작업자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고, 후자

는 관리자책임의 불량을 줄이도록 작업자가 지원, 협력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다.

품질모티베이션 프로그램에는 ㉠ 품질분임조활동, ㉡ ZD(zero defects)운동, ㉢자율경영(작

업)팀(self-directed work or self managing teams)활동, ㉣ 제안제도, ㉤ 품질프로젝트팀,

㉥ 종업원품질회의(employee quality council), ㉦ QWL(quality work of life) 등이 있다.

◈ 3차산업(서비스업) 품질경영 ◈

01 파라슈라만 등(Parasuraman, Berry & Zeithaml)에 의해 제시된 서비스 품질 측정도구

인 "SERVQUAL 모형" 의 5가지 품질특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유용성(usefulness) ㉯ 유형성(tangibles)

㉰ 신뢰성(reliability) ㉱ 반응성(responsiveness)

해설 2009(기사2회차), 2012(기사1회차) 기사교재 P.1-132

☞ PZB(Parasuraman, Zeithaml and Berry)(1985)에 의한 SERVQUAL 모형의 5가지 품질특성

으로는 신뢰성, 확신성, 유형성(Tangibles), 공감성(Empathy), 대응성(Responsiveness) 등이

다.

3-14 / 제3편 품질경영

해답 05. ㉱ ┃ 01. ㉮

1.2 문제은행식 실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품질경영의 개념 ◈

01 카노(Kano)의 이원적 품질모델에서 그림의 (A), (B), (C)는 각각 어떤 품질 요소를 나타

내는지 쓰시오.

High

(A)(B)

(C)

High품질수준Low

Low

해설 2009(기사1회차) 기사교재 P.1-132

(A) 매력적 품질요소 : 충족되는 경우 만족을 주지만 충족이 되지 않더라고 크게 불이익이 없는

품질요소

(B) 일차원적 품질요소 : 충족이 되면 만족하고 충족이 되지 않으면 고객들의 불만을 일으키는

품질요소

(C) 당연적 품질요소 : 반드시 있어야만 만족하는 품질요소

02 품질관리업무를 크게 4가지로 분류하고 간단히 설명하시오.

(1) 신설계관리 (2) 수입자재관리 (3) 제품관리 (4) 특별공정조사

해설 과년도(기사기출) 기사교재 P.1-132

☞ 파이겐바움(A. V. Feigenbaum)은 생산단계 품질관리업무를 제시함에 있어 4가지인 신설계

관리(new design control), 조달품질의 관리를 수입자재관리(incoming material control),

제조품질과 사용품질의 관리를 제품관리(product control)로 제시하는 한편 전반적인 품질개

선활동을 특별공정조사(special process studies)로 보았다

(1) 신설계관리 : 제품의 기능 및 신뢰성에 대한 설계와 품질표준을 설정하고, 양산전에 예상

되는 품질상의 문제의 원인을 제거하거나 또는 그 소재를 확인한다

(2) 수입(受入)자재관리 : 구매시방에 적합한 재료, 부품을 가장 경제적인 품질수준으로 구입·

보관한다.

(3) 제품관리 : 불량이 발생하기 전에 제품특성이 품질시방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시정하고,

제품·서비스를 관리하여 제품공급 또는 서비스제공을 원활하게 한다.

(4) 특별공정조사 : 불량품의 원인을 규명하고 품질특성의 개량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해 조사

또는 시험한다.

1. 품질경영 : 실기 예상문제 / 3-15

◈ 품질조직 및 운영 ◈

01 방침관리와 목표관리의 차이점을 간단히 설명하시오. (1) 방침관리 (2) 목표관리

해설 과년도(기사기출) 기사교재 P.1-133

(1) 방침관리란『조직체에서 경영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정된 중·장기 경영계획, 또

는 년도 경영방침을 체계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방침관리는 방침, 목표, 방책(시책), 관리항목 등을 활동요소로서 필요하다.

(2) 목표관리는『기업에서 어떤 기간동안의 중점목표 혹은 기대되는 성과를 자체에서 설정

하여(목표의 자기설정), 그것의 달성과정에서 해당 부문에 자유재량을 줌으로써 인간적 욕

구를 충족시키는 조건을 조성하고, 그 관리과정, 즉「목표설정→실시→결과의 평가」에 있

어서 조직구성원의 의욕과 능력을 발휘토록 하는 행동과학적 관리방식』이다.

(3) 방침관리와 목표관리의 공통점과 차이점

① 방침관리와 목표관리는 경영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한다는 궁극적 목적에서는 동일하나,

기본적 사고와 수단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다.

② 목표관리는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여 자주적인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동기유발을 하는데

특색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방침관리는 결과를 낳는 과정에 더 치중할 필요성에 의하여

생겨난 관리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③ 방침관리가 이와 같은 특징을 갖고 있는 데 반해, 목표관리는 그와 비교할 만한 특징이

없는 것이 하나의 결점이라고 지적되고 있다.

◈ 품질경영 시스템 ◈

01 품질경영(품질관리)부문의 피드백 사이클의 3단계가 무엇인지 간단히 기술하시오.

해설 과년도(기사기출) 기사교재 P.1-134

☞ 품질관리 업무의 피드백 사이클

① 파이겐바움(A. V. Feigenbaum)은 품질관리부문의 피드백 시스템과 관련하여 피드백 사이

클은 품질의 계획, 품질의 평가, 품질의 해석의 3단계로 연결되어 있다고 보았다.

㉮ 품질계획(quality planning)은 품질관리기술부문에서 이루어지며 이것에 의해 제품에 대

한 품질관리조직의 기본체제가 확립된다. 여기에는 품질측정장치의 계획도 포함된다.

㉯ 품질평가(quality appraising)는 공정관리기술부문(검사, 시험을 포함)에서 행한다. 그것

은 품질계획에 따라 부품이나 제품의 기술시방에 대한 적합성과 성능을 평가한다.

㉰ 품질해석(quality analysis)을 위해서는 공정관리기술부문에 의한 신속한 피드백이 이

루어져야 한다(그림 1 참조).

품질의 계획

품질의 평가품질의 해석피

[그림 1] 품질관리의 피드백 시스템

3-16 / 제3편 품질경영

② 따라서 시정조처를 취할 수 있으며 신속한 피드백 시스템과 피드백 사이클이 단절됨이 없

이 연속적인 피드백 시스템이 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또 피드백 사이클은 그것이 단절되었을 때에 그 부서의 책임자가 이를 빨리 발견하고 조

처를 취할 수 있는 자체시정조치의 적절한 수단이 그 안에 포함되도록 해야 한다.

③ 책임의 분산이 너무 심하면 그 기능의 근본목적을 저해하기 쉽다(그림 2).

공장장

품질관리부 기술부 생산1부 생산2부

계획

측정 측정

품질관리기술 검사 시험 시험 시험

해석

[그림 2] 분산된 품질관리 업무의 피드백 사이클

파이겐바움은 품질관리조직에 있어서의 많은 실패이유는 품질관리기능의 기본인 피드백

및 계획관리에 대한 이해부족 때문이라고 하였다.

④ 한편, [그림 3]은 적절한 조직구조의 예로서 피드백의 루프(loop)가 짧고 직접 연결이 되

어 있다. 따라서 품질정보를 신속하게 피드백을 시킬 수 있으며, 보다 빠른 시정조처를 가

능하게 할 수 있다.

품질관리부 기술부

계획

품질관리기술 검사

해석측정

시험

공장장

생산1부 생산2부

[그림 3] 집중된 품질관리 업무의 피드백 사이클

1. 품질경영 : 실기 예상문제 / 3-17

2. 품질코스트

2.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품질의 경제적 관리 ◈

02 품질코스트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 품질코스트에는 직접노무비와 재료비도 포함된다.

㉯ 품질코스트는 요구된 설계품질을 실현하기 위한 원가라 할 수 있다.

㉰ 평가코스트와 예방코스트가 실패코스트보다 크면 QC활동의 성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고객에 대한 불만처리에 필요한 비용은 평가코스트에 속한다.

해설 2002(기사2회차), 2006(기사1회차) 기사교재 P.2-25

㉮ 품질코스트는 주로 제조경비로 구성되며, 품질코스트에는 직접노무비와 재료비는 포함되지

않는다.

㉯ 품질코스트는 요구된 설계품질을 실현하기 위한 제조원가의 부분원가로 볼 수 있다.

㉰ 품질적합도가 높은 경우(부적합 발생이 적은 경우) 실패코스트는 평가코스트와 예방코스트보

다 작으며, 만일 실패코스트가 평가코스트와 예방코스트보다 크다면 QC활동의 성과가 크다

고 할 수 없다.

㉱ 고객불만 처리비용은 외적 실패코스트에 속한다.

03 품질코스트의 효용을 설명한 것 중 잘못된 것은?

㉮ 품질코스트는 평가의 기준으로 이용 ㉯ 품질코스트는 공정품질의 해석기준으로서 이용

㉰ 품질코스트는 계획수립 기준으로 이용 ㉱ 품질코스트는 예산평가의 주자료로 이용

해설 2004(기사2회차) 기사교재 P.2-25

☞ 품질코스트는 ㉮, ㉯, ㉰항 및 예산편성의 기초자료로 이용된다.

08 평가코스트의 항목에서 PM코스트는?

㉮ 시험기, 측정기, 치공구의 조정수리 및 정기검사비용

㉯ 특정 프로젝트의 시험코스트 ㉰ 부적합품 손실코스트 ㉱ 외주 부적합품코스트

해설 2002(기사2회차) 기사교재 P.2-26

☞ PM코스트는 시험 및 검사 기기의 예방보전(preventive maintenance)에 따른 코스트로서

평가비용이다.

㉯ 평가비용 중 시험코스트, ㉰ 및 ㉱ : 실패비용.

11 다음 데이터의 품질코스트 중에서 평가코스트(Appraisal Cost)의 비율을 계산하면?

[데이터] (단위 : 원)

- PM 코스트(l,000) - 재가공 코스트(l,500) - 시험 코스트(500)

- 외주불량 코스트(4,000) - 불량대책 코스트(3,000) - 수입검사 코스트(l,000)

- QC계획 코스트(150) - 완제품검사 코스트(5.000) - 공정검사 코스트(l,500)

- QC교육 코스트(250) - QC사무 코스트(100)

3-18 / 제3편 품질경영

해답 02. ㉰ 03. ㉱ 08. ㉮ 11. ㉱

㉮ 25% ㉯ 36% ㉰ 43% ㉱ 50%

해설 2003(기사2회차), 2009(기사1회차) 기사교재 P.2-27

☞ ① 평가코스트= PM코스트+시험코스트+수입검사코스트+완제품검사코스트+공정검사코스트

=9,000원

② 총품질코스트=18.000원, ③ 평가코스트÷총품질코스트=9,000÷18,000=0.5 (50%)

15 품질코스트(Q cost)와 해당내역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 P코스트 - 품질기술 코스트 ㉯ A코스트 - 공정불균형 유실시간

㉰ F코스트 - 풀질문제 대책 코스트 ㉱ A코스트 - 계측기 검·교정 코스트

해설 2010(기사1회차) 기사교재 P.2-28

㉯항은 IF(내부실패) 코스트이다.

21 사외실패코스트(EFC)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A/S수리코스트 ㉯ User공정손실코스트 ㉰ 자재불량·유실코스트 ㉱ 클레임코스트

해설 2005(기사2회차) 기사교재 P.2-29

㉰ 자재불량·유실코스트는 사내실패코스트(IFC)이다.

◈ 품질코스트의 경제적 배분 및 최적화 ◈

01 다음 그림은 원가와 적합품질에 관한 것이다. A, B 비용곡선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A

BC

적합품질 100%

㉮ A-실패비용, B-평가비용 ㉯ A-실패비용, B-예방비용

㉰ A-예방비용, B-평가비용 ㉱ A-예방비용, B-실패비용

해설 2002(기사1회차) 기사교재 P.2-29

☞ 문제의 그림은 커크패트릭의 품질비용 모형으로서, A는 예방비용, B는 실패비용, C는 평가

비용을 나타낸 것이다.

02 다음의 품질코스트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 제조공정이 안정되면 평가코스트가 증가된다.

㉯ QC활동의 초기단계에서는 평가코스트가 가장 큰 비율을 점한다.

㉰ 예방코스트를 증가시키면 평가코스트도 증가된다.

㉱ 평가코스트가 실패코스트보다 크게 된다면 QC활동의 성과가 높아졌다고 할 수 없다.

해설 2004(기사1회차) 기사교재 P.2-30

2. 품질코스트 : 필기 예상문제 / 3-19

해답 15. ㉯ 21. ㉰ ┃ 01. ㉱ 02. ㉱

㉮ 제조공정이 안정되면 평가코스트는 일반적으로 감소되나, 감소되는 경우(커크패트릭 모형)와

증가하는 경우(쥬란, 샤르본노 모형)가 있는 만큼 논자에 따라 견해 차이는 있다.

㉯ QC활동의 초기단계에서는 불량률이 높으므로 실패코스트가 가장 큰 비율을 점한다.

㉰ 예방코스트를 증가시키면 평가코스트와 실패코스트는 감소되는 경우(커크패트릭)와 예방코스

트 및 평가코스트의 합의 증가로 실패코스트가 감소되는 경우(쥬란, 샤르본노)가 있듯이 논

자별로 차이점은 있다.

㉱ 평가코스트가 실패코스트보다 크다면 이것만으로 QC활동의 성과가 높아졌다고는 할 수 없

고, 예방코스트와 평가코스트의 합계액이 실패코스트보다 클 경우에 QC활동의 성과가 높아

졌다고 할 수 있다(쥬란, 샤르본노).

03 제품책임(PL) 발생 비용에 해당되는 코스트를 그림에서 선택할 때 가장 올바른 것은?

적합품질형성

A

B

CD

㉮ A ㉯ B ㉰ C ㉱ D

해설 2005(기사1회차), 2007(기사3회차) 기사교재 P.2-30

☞ 그림은 커크패트릭의 품질코스트 모형이며, PL(제품책임)발생비용은 실패했을 때 발생하는

비용이므로 C로 볼 수 있다. A는 총 품질비용, B는 예방비용, D는 평가비용을 가리킨다.

◈ 품질코스트의 집계와 분석 ◈

01 A부서의 직접작업비는 500원/시간, 간접비는 800원/시간이라고 한다. 손실시간이 40분

인 경우, 이 부서의 실패비용은 약 얼마인가?

㉮ 333원 ㉯ 533원 ㉰ 680원 ㉱ 867원

해설 2009(기사2회차) 기사교재 P.2-31

㉱ 이 경우 실패비용은 품질비용 측면이 아닌 생산손실비용이다.

손실비용= ( )500 800 4060

867+ × = 원

02 검사준비시간이 10분, 검사작업시간이 50분 소요되며, 직접 임금 및 부품비의 합계가

8,000원/시간일 때 평가비용에 해당하는 수입검사비용은 얼마인가?

㉮ 2,000원 ㉯ 4,500원 ㉰ 6,000윈 ㉱ 8,000원

해설 2009(기사3회차) 기사교재 P.2-31

㉱ 수입검사비용 =+ ×

=( ) , ,10 50 8 000

608 000원

3-20 / 제3편 품질경영

해답 03. ㉰ ┃ 01. ㉱ 02. ㉱

04 품질비용의 주요 자료원이 될 수 없는 것은?

㉮ 급여명세서 ㉯ 폐각손실보고서 ㉰ 작업표준서 ㉱ 제조원가보고서

해설 2004(기사1회차) 기사교재 P.2-32

㉰ 작업표준서는 품질비용 자료원과는 관계가 없다.

☞ 품질코스트의 주요 자료원이 되는 것으로는 ① 품질관련 활동에 종사한 작업원의 급여명세

서, ② 가격명세서, ③ 제조경비철, ④ 폐각손실 보고서, ⑤ 재작업 보고서, ⑥ 여비·출장비

명세서, ⑦ 제조원가 보고서, ⑧ 수리일보, ⑨ 애프터서비스 및 제품보증비용 명세서, ⑩ 검

사·시험기록(보고서), ⑪ 생산작업 분석기록, ⑫ QC부서의 예산집행서류 등이다.

05 품질비용 자료로 사용하기에 가장 어려운 데이터는?

㉮ 폐기, 재생산 등과 같은 품질비용을 나타내는 항목에 관한 데이터

㉯ 전통적인 비용계산방법으로 불량품질과 관련된 비용 데이터

㉰ 품질관련 활동에 종사한 직원들의 급여에 관한 데이터

㉱ 제품수리에 소요되는 시간, 품질과 관련된 활동에 직원이 소요한 시간 등에 관한 데이터

해설 2003(기사3회차) 기사교재 P.2-32

㉯ 전통적인 회계처리방식으로(제조경비의 비용항목으로) 계산된 비용 데이터(예 : 노무비, 수리

비 등)는 품질코스트의 분류 및 집계가 어렵기 때문에 제외한다.

2. 품질코스트 : 필기 예상문제 / 3-21

해답 04. ㉰ 05. ㉯

2.2 문제은행식 실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품질의 경제적 관리 ◈

03 주어진 (보기)의 품질코스트 세부내용을 P, A, F cost로 구분하시오.

① QC사무코스트, ② 시험코스트, ③ 현지서비스코스트, ④ QC교육코스트

⑤ PM코스트, ⑥ 설계변경코스트

(1) P Cost : (2) A Cost : (3) F Cost :

해설 2010(기사1회차) 기사교재 P.2-34

(1) P Cost(예방비용) : ①, ④, (2) A Cost(평가비용) : ②, ⑤, (3) F Cost(실패비용) : ③, ⑥

3-22 / 제3편 품질경영

3. 표준화

3.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산업표준화 ◈

02 표준의 개념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물건에 관한 표준은 규격이라고 한다.

㉯ 물건 이외의 관리방법 등에 관한 표준은 규정이라고 한다.

㉰ 광의의 표준은 규격과 규정을 포함한 의미이다.

㉱ 한국산업규격이라고 할 때의 규격은 물건에 관한 규정을 의미한다.

해설 2002(기사1회차), 2006(기사2회차) 기사교재 P.3-72

㉱ 한국산업규격(KS)이라고 할 때의 규격(standard)은 광의의 표준을 의미한다. 즉, 한국산업규

격(KS)은 물질, 행위 및 이들에 관련된 기초적 사항에 관한 표준으로서 기술표준인 규격과

관리표준인 규정을 포함한다.

08 산업표준화의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광공업품의 생산방법, 제도방법 등 ㉯ 광공업품의 작업방법, 안전조건 등

㉰ 광공업품의 종류, 형상, 구조 등 ㉱ 광공업품의 사용용도, 품질표시 등

해설 2004(기사1회차), 2006(기사3회차) 기사교재 P.3-73

☞ 산업표준화법상 ㉱항은 산업표준화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11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제품의 성능, 성분, 구조, 형상, 치수, 제조방법, 사용방

법 등의 차이에서 제품을 구분하는 것은?

㉮ 종류 ㉯ 치수 ㉰ 등급 ㉱ 형식

해설 2004(기사1회차) 기사교재 P.3-74

㉮ 종류 →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제품의 성능, 성분, 구조, 형상, 치수, 크기, 제조

방법, 사용방법 등의 차이로 제품을 구분하는 것.

㉰ 등급(grade) → 한 종류에 대하여 제품의 중요한 품질특성에 있어서 요구품질수준의 고저(기

준치의 고저, 공차 또는 허용차의 대소, 순도의 고저 등)에 따라서 또는 규정하는 품질특성

항목의 다소에 따라서 제품을 다시 구분하는 것.

㉱ 형식 → 제품의 일반목적과 구조는 유사하나 어떤 특정한 용도에 따라 식별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형식이란 용어를 씀.

15 표준화의 원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표준화란 단순화의 행위이다. ㉯ 규격은 실시되지 않으면 진의 가치가 없다.

㉰ 규격제정은 총체적인 합의에 입각한 것이어야 한다.

㉱ 국가규격의 법적 강제의 필요성은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해설 2010(기사1회차), 2011(기사3회차) 기사교재 P.3-75

3. 표준화 : 필기 예상문제 / 3-23

해답 02. ㉱ 08. ㉱ 11. ㉮ 15. ㉱

㉱ 국가규격의 법적 강제의 필요성은 고려되어야 한다.

☞ 표준화의 원리로서 ISO/STACO에서는 7가지 원리로서 ① 단순화의 원리, ② 관련자 합의의

원리, ③ 다수이익의 원리, ④ 고정의 원리, ⑤ 진보의 원리, ⑥ 객관성의 원리, ⑦ 보편타당

성의 원리 등을 제시하였다.

18 버어만이 제시한 표준화 공간에서 표준화의 구조 중 국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시방 ㉯ 품종의 제한 ㉰ 공업기술 ㉱ 샘플링검사

해설 2009(기사1회차) 기사교재 P.3-75

㉰ 표준화 주제에 해당한다.

☞ 표준화 공간은 X축인 주제(영역), Y축인 국면, Z축인 수준으로 구성된다.

X축인 주제(영역)로는 공업기술, 운수, 건설, 농업, 섬유공업, 화학공업, 정보, 과학, 법률 등

Y축인 국면으로는 용어, 시방, 샘플링검사, 시험, 분석, 등급선정, 작업기준 등

Z축인 수준으로는 국제, 지역, 국가, 단체, 회사 등

20 다음 중 제품규격에 속하는 것은?

㉮ 기술적 용어, 기호, 단위 등 ㉯ 시험분석, 검사, 측정방법 등

㉰ 설계, 제조, 사용, 포장방법 등 ㉱ 광공업품의 종류, 현상, 품질, 성능 등

해설 2010(기사2회차) 기사교재 P.3-76

㉮ 전달규격, ㉯ 및 ㉰ 방법규격

☞ 표준화의 기능에 따른 분류는 다음의 3가지이다.

① 제품규격 → 제품의 형태, 치수, 품질 등을 규정한 것

② 방법규격 → 시험, 분석, 검사 및 측정방법, 작업표준 등을 규정한 것

③ 전달규격(기본규격) → 용어, 기술, 단위, 수열 등을 규정한 것

23 다음 중 기능에 따른 표준화 분류의 내용으로서 틀린 것은?

㉮ 제품규격 : 제품의 형태, 치수, 재질 등 완제품에 사용되는 규격

㉯ 방법규격 : 성분분석 및 시험방법, 제품의 검사방법, 사용방법에 대한 규격

㉰ 전달규격 : 표준의 제정, 운용, 개폐절차 등에 대한 규격

㉱ 기본규격 : 계량단위, 제품의 용어, 기호 및 단위 등 물질과 행위에 관한 규격

해설 2002(기사2회차), 2007(기사1회차) 기사교재 P.3-76

㉰ 표준의 제정, 운용, 개폐절차 등에 대한 규격은 한국산업규격의 경우 규격서의 서식(KS A

0001)이며, 회사규격의 경우 회사규격관리규정이라 한다.

㉱ 기본규격은 전달규격이라고도 하며, 계량단위, 용어, 기호 및 단위 등 물질의 행위에 관한 규

격이다.

25 한국산업규격의 부문 분류기호가 틀리게 짝지어 진 것은?

㉮ E-광산 ㉯ K-섬유 ㉰ P-의료 ㉱ W-선박

해설 2006(기사1회차), 2008(기사2회차) 기사교재 P.3-77

㉱ W는 항공우주이다.

3-24 / 제3편 품질경영

해답 18. ㉰ 20. ㉱ 23. ㉰ 25. ㉱

☞ KS규격 분류[2010년 3월 현재]로는 기본(A), 기계(B), 전기(C), 금속(D), 광산(E), 건설(F),

일용품(G), 식료품(H), 환경(I), 생물(J), 섬유(K), 요업(L), 화학(M), 의료(P), 품질경영(Q), 수

송기계(R), 서비스(S), 물류(T), 조선(V), 항공우주(W), 정보(X)의 21개 부분으로 구성됨.

28 규격서의 서식 중에서 규격의 일부로 볼 수 없는 것은?

㉮ 부속서 ㉯ 해설 ㉰ 비고 ㉱ 보기

해설 2005(기사2회차) 기사교재 P.3-78

㉯ 해설, 참고는 규격(한국산업규격, KS)에 포함되지 않는다.

30 다음 중 산업표준화법에서 지정하고 있는 산업표준화의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광공업품의 제도방법, 생산방법, 설계방법

㉯ 광공업품의 시험, 분석, 감정, 기호품의 등급

㉰ 광공업품의 포장의 종류, 형상, 치수, 포장방법

㉱ 구축물과 기타 공작물의 설계, 시공방법 또는 안전조건

해설 2010(기사1회차) 기사교재 P.3-78

㉯ '광공업품의 시험, 분석, 교정, 검사, 측정방법'이 산업표준화 대상이다.

34 광공업에서 시험을 실시하는 장소의 표준상태의 온도는 시험목적에 따라서 다르다. 다음

중 표준상태의 온도로 사용하지 않는 것은?

㉮ 17 0 C ㉯ 20 0 C ㉰ 23 0 C ㉱ 25 0 C

해설 2010(기사3회차), 2012(기사1회차) 기사교재 P.3-79

☞ 시험장소의 표준상태의 정의로서, 표준상태의 온도는 20 0 C, 23 0 C 또는 25 0 C, 표준상태의

습도는 상대습도 50% 또는 65%, 표준상태의 기압은 86 KPa이상 106 KPa이하, 표준상태

란 표준상태의 기압 하에서 표준상태의 온도 및 표준상태의 습도의 각 1개를 조합한 상태를

각각 말한다.

35 KS A 0001(규격서의 서식 및 작성방법)에서 한정, 접속 등에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설

명으로 옳은 것은?

㉮ "때"는 한정조건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 "경우"는 선택의 의미로 나눌 때 사용한다.

㉰ "혹은"은 병합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한다.

㉱ "시"는 예외적 조건을 규정하는 데 사용한다.

해설 2008(기사3회차) 기사교재 P.3-79

㉮ 및 ㉯ : "때"와 "경우"는 한정조건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 "혹은"은 선택의 의미에서 "또는"을 사용하여 나열한 어구를 다시 선택의 의미로 나눌 때 사

용한다.

㉱ "시"는 시기 또는 시각을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사용한다.

3. 표준화 : 필기 예상문제 / 3-25

해답 28. ㉯ 30. ㉯ 34. ㉮ 35. ㉮

36 수치맺음법에 의하여 1.2501를 유효숫자 두 자리에서 처리하면7

㉮ 1.3 ㉯ 1.25 ㉰ 1.2 ㉱ 1.250

해설 2002(기사1회차), 2004(기사3회차) 기사교재 P.3-79

☞ 어떤 수치를 유효숫자 n자리의 수치로 맺음하는 방법으로서, 만일, 주어진 수치에 가장 가까

운 정수배가 하나 밖에 없는 경우에는 그것을 맺음한 수로 한다.

[보기] 맺음 간격 : 0.1 (정수배는 0.1, 0.2, 0.3, …)

주어진 수치 맺음한 수치

12.223

12.251

12.275

12.2

12.3

12.3

39 표준수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 등비수열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 증가율이 큰 수열부터 선택하여 사용한다.

㉰ 표준수의 곱과 몫 그리고 정수멱은 모두 표준수가 된다.

㉱ 정해진 수치의 범위를 넓히거나 최대치를 추가하는 것은 간단히 할 수 있다.

해설 2002(기사1회차) 기사교재 P.3-80

㉰ 표준수의 곱과 몫도 표준수가 된다. 다만, 표준수에는 10의 정수멱이 포함되지만 10의 정수

멱을 제외한 나머지 정수멱은 표준수가 될 수 없다. 참고로 멱은 거듭제곱이란 의미이다.

42 표준화에 의한 이점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 균일한 제품의 염가제공 ㉯ 경제적 생산의 실현

㉰ 상거래의 단순화 및 공정화 실현 ㉱ 고객 요구사항의 즉각적인 수용

해설 2003(기사1회차), 2006(기사1회차) 기사교재 P.3-81

☞ (산업)표준화에 의한 표준화 이점으로는 ① 경제적 생산의 실현(작업능률의 향상, 생산능률의

증진, 생산원가의 절감), ② 균일한 제품의 염가제공(품질의 향상과 균일성 유지), ③ 상거래

의 단순화 및 공정화 실현(사용·소비의 합리화), ④ 기술의 보편화와 기술수준의 향상, ⑤ 관

리업무의 효율화 등이다.

◈ 사내표준화 ◈

02 사내표준화 목적의 하나는 단순화에 있다. 지금 규격상 품종을 3종류에서 4종류로 표준

화하였다면 단순화에 역행된다고 볼 수 있는데 어떤 효과를 얻고자 표준화를 하는 것인가?

㉮ 양산화에 따른 효과 ㉯ 다양화에 따른 원가절감효과

㉰ 선행적(先行的) 예방효과 ㉱ 설비의 가동률 제고효과

해설 2005(기사2회차) 기사교재 P.3-82

㉰ (사내표준화를 포함하여) 표준화란 단순화의 행위이다(단순화의 원리). 따라서 표준화는 현존

하는 복잡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으며, 나아가 장래에도 불필요하게 복잡하게 될 것을 예

방하는 효과(선행적 복잡성의 예방효과)를 얻게 된다.

3-26 / 제3편 품질경영

해답 36. ㉮ 39. ㉰ 42. ㉱ ┃ 02. ㉰

07 표준을 적용기간에 따라 분류할 때 "시한표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일반적인 표준은 모두 이것에 속하며 적용개시의 시기만 명시한 것이다.

㉯ 어떤 표준을 기획할 때 잠정적임을 전제로 하며 잠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작성한 것이다.

㉰ 특정활동을 추진함을 목적으로 하며, 적용의 개시시기 및 종료기한을 명시한 표준이다.

㉱ 정식표준을 제정하기에는 아직 조건이 갖추어져 있지 않지만 방치하면 혼란이 예상되는

경우 작성한다.

해설 2004(기사3회차), 2008(기사3회차), 2011(기사1회차) 기사교재 P.3-83

☞ 표준을 적용기간에 따라 분류하면 ① 통상표준, ② 시한표준, ③ 잠정표준의 3가지가 있다.

㉮는 통상표준에 대한 설명이고, ㉯와 ㉱는 잠정표준에 대한 설명이다.

08 표준화는 적용기간에 따라 통상표준, 시한표준, 잠정표준으로 분류되는데 다음 중 시한표

준(時限標準)을 이용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 특정 활동의 추진을 목적으로 할 때 ㉯ 과도적인 상태에서의 취급을 할 때

㉰ 일정시기가 지나면 의미가 없어지는 경우

㉱ 규정하려고 하는 내용에 대한 실험, 연구 등이 아직 끝나지 않았을 경우

해설 2003(기사1회차), 2005(기사1회차) 기사교재 P.3-83

☞ 시한표준은 적용개시 및 종료시한이 명시된 표준이다.

㉱ 규정하려고 하는 내용에 대한 실험, 연구 등이 아직 끝나지 않았지만 국내의 기술발전 및 환

경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경우에는 잠정표준을 둘 수 있다.

09 다음 산업표준화 유형 중 기능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 품질규격 ㉯ 제품규격 ㉰ 방법규격 ㉱ 전달규격

해설 2005(기사3회차) 기사교재 P.3-83

㉮는 규격의 대상에 의한 분류인 ① 품질규격, ② 방법규격, ③ 기본규격 중 하나이다.

☞ 표준의 기능에 따른 분류는 다음의 3가지의 경우와 같이 된다.

① 제품규격 → 제품의 형태, 치수, 품질 등을 규정한 것

② 방법규격 → 시험, 분석, 검사 및 측정방법, 작업표준 등을 규정한 것

③ 전달규격(기본규격) → 용어, 기술, 단위, 수열 등을 규정한 것

KS는 기본부문(A)에서 정보부문(X)까지 21개 부문은 크게 위의 3가지 중 하나임.

10 정식의 표준을 제정하기에는 아직 조건이 갖추어져 있지 않지만 그대로 방치하다가는 혼

란이나 그 밖의 불이익이 예상될 때 작성하는 표준은?

㉮ 시한표준 ㉯ 잠정표준 ㉰ 통상표준 ㉱ 임의표준

해설 2004(기사1회차) 기사교재 P.3-83

☞ 적용기간에 따른 표준의 분류로는 ㉠ 통상표준, ㉡ 시한표준, ㉢ 잠정표준의 3가지가 있다.

㉯ 잠정표준은 특정기간에 한하여 잠정적으로 시행할 목적으로 정한 표준이다. 적용기간 동안에

는 확정표준이다.

15 사내표준화 규격을 규격대상에 의해 분류할 때 해당되지 않는 것은?

㉮ 기본규격 ㉯ 방법규격 ㉰ 잠정규격 ㉱ 제품규격

3. 표준화 : 필기 예상문제 / 3-27

해답 07. ㉰ 08. ㉱ 09. ㉮ 10. ㉯ 15. ㉰

해설 2003(기사3회차), 2006(기사1회차) 기사교재 P.3-85

☞ 회사규격을 규격의 대상에 따라 분류하면 ① 제품규격(또는 품질규격), ② 방법규격, ③ 전달

규격(기본규격)의 3가지로 나뉜다.

㉰ 잠정규격은 강제력발효의 정도에 따른 분류인 ① 기술기준(법령에 의거), ② 강제규격, ③ 임

의규격, ④ 가규격, ⑤ 잠정규격 중의 하나이다.

18 사내규격은 규정과 규격으로 대별된다. 이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 규정은 개조식으로 쓴 문장, 그림, 표, 견본에 의해 표현된다.

㉯ 규격 안에서 작업의 조건, 순서, 방법 등에 의하여 정한 것을 표준이라 할 때도 있다.

㉰ 작업방식이나 시험방법 등의 기술적인 사항에 대하여 정한 것을 규정이라 한다.

㉱ 시방서는 규정에 표현된다.

해설 과년도(기사기출) 기사교재 P.3-85

☞ 형식상 규정하는 내용에 대해 규격은 물건에 관한 것이고, 규정은 물건 이외의 관리방법 등

에 관한 것이다.

㉮ 견본 등에 의해 표현되지는 않는다.

㉰ 작업방식이나 시험방법 등의 기술적 사항에 대하여 정한 것을 규격이라 하고, 기술문서에 속

한다.

㉱ 시방서는 구매물품에 대한 기술적인 요구사항을 기술한 문서로서 규격에 해당하는 기술표준

이다.

19 제품의 성능에 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 실용특성이란 제품의 실제 사용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질적 특성을 말한다.

㉯ 대용특성이란 실용특성을 간접적으로 보증하기 위한 것이다.

㉰ 성능은 실용특성을 간접적으로 보증하기 위한 것이다.

㉱ 성능의 규격치는 그것을 구하는 방법, 조건, 측정기기의 정밀도 및 정확도를 고려하여 규

정한다.

해설 2005(기사3회차) 기사교재 P.3-85

㉰ 성능은 실용특성을 계량적인 표현에 의해 구체적, 직접적으로 규정한 것으로, 제품규격에 반

드시 규정해야 한다.

29 제조작업을 올바르게 수행하기 위해서 작성된 지침서로서 작업표준이 있다. 이 작업표준

작성시 구성되어야 할 항목으로 적당하지 않는 것은?

㉮ 제품의 합부판정기준 ㉯ 사용원료 및 부품

㉰ 사용설비 및 치공구 ㉱ 작업방법, 순서 및 조건

해설 2002(기사2회차) 기사교재 P.3-87

㉮ 검사규격(수입검사규격, 중간검사규격, 제품검사규격)에 필요한 사항이다.

☞ 작업표준의 요소별 구성 항목으로는 ① 적용범위, ② 가공품의 품질, ③ 사용재료, ④ 사용설

비 및 치공구, ⑤ 작업순서, 방법 및 조건, ⑥ 작업시 주의사항, ⑦ 표준작업량, ⑧ 이상발생

시 조치요령, ⑨ 공정관리(항목, 기준, 주기, 방법, 기록), ⑩ 작업인원 및 자격, ⑪ 작업보고

등이다.

3-28 / 제3편 품질경영

해답 18. ㉯ 19. ㉰ 29. ㉮

31 제품검사 규격의 내용이 아닌 것은?

㉮ 검사순서, 검사항목 및 검사조건 ㉯ 검사원의 자격 및 임무

㉰ 시료채취 방법 ㉱ 시험 및 검사방법

해설 2003(기사2회차) 기사교재 P.3-88

㉯ 검사원의 자격 및 임무는 검사업무규정 등에 기술된다.

☞ 검사업무 관련 사내표준 작성요소

구 분 주요 표준명 주요 작성요소

관리표준 검사업무규정검사의 분류, 검사의 의뢰절차, 검사담당, 검사장소, 검사설비관

리, 검사기록관리, 검사원 유의사항 등

기술표준

검사규격

(受入, 중간,

제품, 출하)

적용범위, 항목·순서·방법 및 조건, 로트구성 및 검사단위체, 시료

채취방법, 합부판정기준, 검사후 로트의 처리, 검사기록, 검사결과

보고, 시험방법 등

33 제품규격에서 재료를 규정할 때의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 재료는 제품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선택하며 재료의 시장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

여 규정한다.

㉯ 제품의 재료를 KS나 기타 자료에 규정된 것만을 규제할 필요가 없다면 "L , 또는 이와 동

등이상의 것"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여 규정한다.

㉰ 규정하는 재료의 선정기준이 법령의 기술, 기준 등에 따를 경우에는 되도록 준용한 기준을

명백히 하는 것이 좋다.

㉱ 최종 특성항목의 규정에 따라서 제품품질이 보증될 경우에 규정한다.

해설 2003(기사1회차) 기사교재 P.3-88

☞ 제품규격에서 재료를 규정할 때의 고려사항은 ㉮, ㉯, ㉰의 3가지이다.

㉱와 메이커의 창의적인 기술진보를 저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제품규격에서 재료를 규정하

지 않는 것이 좋다.

34 제품규격에 제조방법을 규정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경우를 설명한 것 중 적당하지 않은 것

은?

㉮ 기술의 진보면에서 보아 좋지 않을 때 ㉯ 품질기준을 명확히 표현하기 힘든 경우

㉰ 품질기준을 규정할 수 있는 경우 ㉱ 제조자의 자주성을 존중하는 것이 좋을 때

해설 2003(기사3회차) 기사교재 P.3-89

☞ 제품규격에 제조방법을 규정하지 않는 것이 좋은 경우는 다음의 4가지이다.

① 기술의 진보면에서 보아 좋지 않을 때

② 품질기준을 규정할 수 있는 경우

③ 재료의 항목에서 규정하는 것이 보다 필요한 품질보증을 할 수 있는 경우

④ 제조자의 자주성을 존중하는 것이 좋을 때

3. 표준화 : 필기 예상문제 / 3-29

해답 31. ㉯ 33. ㉱ 34. ㉯

36 QC공정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 이 표는 공정관리의 준비단계나 공정관리를 실시해 나가는데 있어서 공정관리 표준의 하

나로 이용된다.

㉯ 이 표는 제조공정 순으로 제조부문 및 검사부 문이 어떤 품질특성을 어떻게 관리하여 최

종제품의 품질을 어떻게 결정하는지를 결정하는 약속이다.

㉰ 이 표는 관리공정표라고도 한다.

㉱ 이 표를 작성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검사특성(검사항목)에 대하여 요점을 살려 빈틈없

이 선정하는 것이다.

해설 2003(기사2회차) 기사교재 P.3-89

☞ QC공정표는 제조공정관리의 기본 Rule로서, 제조공정의 요인계 조건관리와 결과계인 검사

등이 집약되어 관리되도록 하는 제품의 품질보증 체제를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QC공정표에는 검사특성(검사항목) 및 공정품질특성(관리항목)께 대하여 요점을 살려 빈틈없

이 선정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 KS 인증, ISO 인증 및 QS 인증, QM 포상 제도 ◈

02 KS표시인증 신청공장에 대한 심사항목이 아닌 것은?

㉮ 사내표준화 현황 ㉯ 검사 및 제조설비 현황

㉰ 제품규격에 관한 사항 ㉱ 자재관리에 관한 사항

해설 2002(기사1회차), 2007(기사3회차) 기사교재 P.3-90

☞ KS 인증심사 및 관련 심사기준 항목으로는 ① 표준화 일반, ② 자재관리, ③ 공정관리, ④

제품의 품질관리, ⑤ 제조설비의 관리, ⑥ 검사설비의 관리의 6개 항목이다.

여기서 ①항 사내표준화 일반은 "㉠ 표준화 및 품질경영의 추진, ㉡ 사내표준화와 품질경영

의 도입, 확산 활동, ㉢ 표준화 및 품질경영에 관한 교육·훈련의 정도, ㉣ 품질경영담당자 및

기술계 인력 확보, ㉤ 불만처리 및 로트 추적, ㉥ 작업환경 및 안전시설 등 관리 상태"로 구

성되어 있다.

㉰ KS규격으로 대체될 수 있으므로 심사항목에 지정이 되지 않는다.

03 산업표준화법에서 규정한 시판품 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소비자 단체의 요구가 있는 경우 시판품 조사를 할 수 있다.

㉯ 인증제품의 품질저하로 인하여 다수의 소비자에게 피해가 발생한 경우 시판품 조사를 할

수 있다.

㉰ 시판품 조사 결과 인증제품이 인증심사기준에 맞지 아니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그 사실

을 해당업체에 즉시 통보하여야 한다.

㉱ 현장조사를 하는 경우에는 조사 7일 전까지 조사일시, 조사이유 및 조사내용 등에 대한 조

사계획을 조사를 받을 자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해설 2010(기사2회차) 기사교재 P.3-90

㉰ 시판품 조사 결과 인증제품이 인증심사기준에 맞지 아니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5단계 처분

(개선명령→표시정지→판매정지→인증취소→시판품 표시제거) 중 하나의 처분을 받게 된다.

3-30 / 제3편 품질경영

해답 36. ㉱ ┃ 02. ㉰ 03. ㉰

☞ KS표시품에 대하여 소비자단체의 요구가 있거나 KS표시품의 품질저하로 인하여 다수의 소

비자에게 피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유통중인 제품을 수거하여 시판품 조사를 실시하거나 제

품 제조공장에서 제품, 원자재 및 기술적 생산조건을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시판품 조사 및 특별조사는 기술표준원장이 수행하고 있다.

06 품질경영시스템-요구사항(KS Q ISO 9001: 2009)에서 규정하고 있는 경영대리인의 역할

이 아닌 것은?

㉮ 품질경영시스템의 실행 및 유지

㉯ 품질경영시스템의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보고

㉰ 부적합 또는 부적합품이 고객에 전달되지 않음을 보장

㉱ 조직 전체에 걸쳐서 고객요구사항에 대한 인식 증진을 보장

해설 2010(기사3회차) 기사교재 P.3-91

☞ 품질경영시스템 내에서의 최고경영자(경영대리인)의 기본역할

① 조직의 품질방침 및 품질목표를 수립

② 인식, 동기부여 및 참여증대를 위해 조직 전체에 품질방침 및 품질목표의 촉진

③ 전 조직에 걸쳐 고객요구사항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보장

③ 고객 및 기타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이 충족되고 품질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적절한

프로세스가 실행됨을 보장

⑤ 품질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품질경영시스템이 수립, 실행 및 유지

됨을 보장

⑥ 필요한 자원, 인력의 지원

⑦ 품질경영시스템을 주기적으로 검토

⑧ 품질방침 및 품질 목표에 관련된 활동(품질경영에 필요한 교육·훈련방침의 설정, 품질성

과에 대한 인정 및 포상 등)의 결정

⑨ 품질경영시스템의 개선을 위한 활동(품질혁신 및 개선에 대한 동기부여 포함)의 결정

07 ISO 9000: 2000 품질경영시스템 규격의 기초가 되는 품질경영원칙이 아닌 것은?

㉮ 고객중심 ㉯ 리더십 ㉰ 종합조정 ㉱ 지속적인 개선

해설 2006(기사1회차) 기사교재 P.3-92

☞ 품질경영 8대 원칙(ISO 9000: 2009)으로는 ① 고객 중심, ② 리더십, ③ 전원 참여, ④ 프

로세스 접근방법, ⑤ 경영에 대한 시스템 접근방법, ⑥ 지속적 개선, ⑦ 의사결정에 대한 사

실적 접근방법, ⑧ 상호유익한 공급자 관계 등이다.

08 KS Q ISO 9000: 2007(품질경영시스템-기본사항 및 용어)에서 품질경영시스템이 어떻게

특정제품, 프로젝트 또는 계약에 적용되는지를 기술한 문서를 지칭하는 것은?

㉮ 시방서 ㉯ 품질매뉴얼 ㉰ 지침서 ㉱ 품질계획서

해설 2010(기사2회차), 2009(기사2회차) 기사교재 P.3-92

☞ 문서의 형태 및 체계 (KS Q ISO 9001: 2009의 2.7.2항) 5가지

① 품질매뉴얼 → 조직의 품질경영시스템에 대하여 내부 및 외부적으로 일관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문서

3. 표준화 : 필기 예상문제 / 3-31

해답 06. ㉰ 07. ㉰ 08. ㉱

② 품질계획서 → 품질경영시스템이 어떻게 특정 제품, 특정 프로젝트 또는 특정 계약에 적

용되는지를 기술한 문서

③ 절차서, 업무지침서, 도면 등 → 활동 및 프로세스를 일관되게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대

한 정보를 제공하는 문서

④ 시방서 → 요구사항을 명시한 문서

⑤ 기록 → 수행된 활동 또는 달성된 결과에 대한 객관적 증거를 제공하는 문서

09 품질매뉴얼(Quality manual)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 품질경영시스템의 범위 ㉯ 품질목표의 수립 및 검토를 위한 틀을 제공

㉰ 문서화된 절차서 혹은 관련기준의 포함 또는 인용

㉱ 파악된 프로세스 및 프로세스의 상호관계

해설 2004(기사3회차) 기사교재 P.3-92

☞ 품질매뉴얼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에는 ㉮, ㉰, ㉱의 3가지이다(KS Q ISO 9001 4.2.2항).

12 KS Q ISO 9001: 2009의 품질매뉴얼에서 언급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 품질경영시스템 프로세스의 상호작용에 대한 기술

㉯ 품질경영시스템 문서의 검토 및 갱신, 그리고 재승인

㉰ 품질경영시스템을 위하여 수립된 문서화된 절차를 포함하거나 이를 인용

㉱ 적용의 제외에 대한 상세한 내용 및 정당성을 포함한 품질경영시스템의 적용범위

해설 2009(기사2회차) 기사교재 P.3-93

☞ 품질매뉴얼 → 조직의 품질경영시스템에 대하여 내부 및 외부적으로 일관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문서로서, 다음 사항을 포함한다(KS Q ISO 9001: 2009의 2.7.2항).

㉠ 적용의 제외에 대한 상세한 내용 및 정당성을 포함한 품질경영시스템의 적용범위

㉡ 품질경영시스템을 위하여 수립된 문서화된 절차를 포함하거나 이를 인용

㉢ 품질경영시스템 프로세스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기술

㉯항은 품질경영시스템의 평가를 위한 '심사보고서'에 언급된다.

16 품질경영시스템-기본사항 및 용어(KS Q ISO 9000: 2007)에 따른 정의 중 예방조치에

해당하는 것은?

㉮ 의도되거나 규정된 용도/사용에 관련된 요구사항의 불충족

㉯ 부적합 제품에 대해 의도된 용도로 쓰일 수 있도록 하는 조치

㉰ 발견된 부적합 또는 기타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조치

㉱ 잠재적인 부적합 또는 기타 바람직하지 않은 잠재적 상황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조치

해설 2010(기사3회차) 기사교재 P.3-94

㉮ 부적합(nonconformity) → 요구사항의 불충족

㉯ 시정(correction) → 발견된 부적합을 제거하기 위한 행위.

시정과 시정조치는 구별된다. 그리고 재작업, 재등급은 시정의 보기이다.

㉰ 시정조치(corrective action) → 발견된 부적합 또는 기타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조치.

3-32 / 제3편 품질경영

해답 09. ㉯ 12. ㉯ 16. ㉱

17 ISO 9000: 2009의 경영검토의 출력사항으로서 가장 올바른 것은?

㉮ 고객의 피드백 ㉯ 고객 요구사항과 관련된 제품개선

㉰ 심사결과 ㉱ 예방조치 및 시정조치의 상태

해설 2005(기사3회차) 기사교재 P.3-94

☞ ㉮, ㉰ 및 ㉱는 경영검토의 입력사항이다.

18 다음의 용어 설명 중 가장 올바른 것은7

㉮ 재작업(rework)은 부적합 제품에 대해 요구사항에 적합하도록 하는 조치를 말한다.

㉯ 재등급(regrade)은 부적합 제품에 대해 의도된 용도에 쓰일 수 있도록 하는 조치를 말한

다.

㉰ 수리(repair)는 부적합 제품에 대해 원래의 의도된 용도로 쓰이지 않도록 하는 조치를 말

한다.

㉱ 폐기(scrap)는 최초 요구사항과 다른 요구사항에 적합하도록 부적합 제품에 대한 등급을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해설 2005(기사3회차) 기사교재 P.3-94

㉯ 재등급(regrade)은 최초 요구사항과 다른 요구사항에 적합하도록 부적합 제품에 대한 등급

을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 수리(repair)는 부적합 제품에 대해 의도된 용도에 쓰일 수 있도록 하는 조치를 말한다.

19 ISO 9001: 2009의 조사관련 용어 중에서 특별하게 의도된 용도 또는 적용에 대한 요구

사항이 충족되었음을 객관적 증거의 제시를 통하여 확인하는 것은?

㉮ 시험(test) ㉯ 검증(verification) ㉰ 타당성 확인(validation) ㉱ 검토(review)

해설 2006(기사2회차) 기사교재 P.3-94

㉮ 시험(test) : 절차에 따라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검사하는 것

㉯ 검증(verification) : 규정된 요구사항이 충족되었음을 객관적 증거 제시를 통해 확인하는 것

㉱ 검토(review) : 수립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해당 주제의 적절성, 충족성 및 효과성을 결

정하기 위하여 시행되는 활동

20 KS Q ISO 9001(2009) 품질경영시스템 문서화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 품질매뉴얼 ㉯ 영업목표 및 기업이익에 관한 계획서

㉰ 문서화하여 표명된 품질방침 및 품질목표

㉱ 프로세스의 효과적인 기획, 운영 및 관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조직이 필요로 하는 문서

해설 2008(기사3회차) 기사교재 P.3-95

☞ KS Q ISO 9001(2009) : 문서화를 해야 하는 사항 (4.2.1항)

① 문서화하여 표명된 품질방침 및 품질목표, ② 품질매뉴얼

③ ISO 9001 규격에서 요구하는 문서화된 절차(6가지 항목)

㉠ 문서관리, ㉡ 기록관리, ㉢ 내부심사, ㉣ 부적합제품관리, ㉤ 시정조치, ㉥ 예방조치

④ 프로세스의 기획, 운영 및 관리에 필요로 하는 문서

⑤ ISO 9001 규격에서 요구하는 기록(21종류)

3. 표준화 : 필기 예상문제 / 3-33

해답 17. ㉯ 18. ㉮ 19. ㉰ 20. ㉯

21 ISO 9001: 2009 품질경영시스템의 필수적인 문서화된 절차 요구사항은?

㉮ 설계관리 ㉯ 공정관리 ㉰ 품질기록관리 ㉱ 고객검토

해설 과년도(기사기출) 기사교재 P.3-95

☞ ISO 9001 규격에서 요구하는 문서화된 절차(6가지 항목)

㉠ 문서관리, ㉡ 기록관리, ㉢ 내부심사, ㉣ 부적합제품관리, ㉤ 시정조치, ㉥ 예방조치

22 제품이라는 용어는 활동 또는 공정의 결과로, 유형 또는 무형이거나 혹은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현재의 ISO 품질경영 용어 정의에서 일반적인 제품 범주를 분류하는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하드웨어(Hardware) ㉯ 소프트웨어(Software)

㉰ 서비스(Service) ㉱ 원재료(Raw material)

해설 2002(기사1회차), 2011(기사1회차) 기사교재 P.3-95

☞ ISO 9001에서 제품(product)은 ① 서비스(예 : 운송), ② 소프트웨어(예 : 컴퓨터 프로그램,

사전), ③ 하드웨어(예 : 엔진 기계부품), ④ 가공물질(예 윤활유)의 4가지로 구분된다.

23 ISO 9001(2000)에서 제품요구사항에 관련된 설계 및 개발의 입력요구사항이 아닌 것은?

㉮ 기능 및 성능/성과 요구사항 ㉯ 적용되는 법적 및 규제 요구사항

㉰ 제품합격 판정기준 ㉱ 설계 및 개발에 필수적인 기타 요구사항

해설 2007(기사3회차) 기사교재 P.3-95

☞ 설계 및 개발의 입력요구사항(4가지)에는 ㉮, ㉯, ㉱ 및 적용 가능한 경우, 이전의 유사한 설

계로부터 도출된 정보가 있다.

25 ISO 9001: 2000년판 규격의 개정 내용이 아닌 것은?

㉮ ISO 9001, 9002, 9003의 규격이 ISO 9001로 통합되었다.

㉯ 서비스업종에서도 적용하기 용이하도록 골격, 용어를 변경하였다.

㉰ ISO 14000 환경시스템의 구조와는 차별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 종전의 우리회사라는 의미의 공급자가 조직이라는 용어로 변경되었다.

해설 2004(기사2회차) 기사교재 P.3-96

㉰ ISO 9001(2000) 규격은 ISO 14000 규격과의 병용성 증대를 도모하였다.

26 ISO 9001: 2000 품질경영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문서 형태의 설명 중 가장 올바른 것은?

㉮ 지침 : 요구사항을 명시한 문서 ㉯ 시방서 : 권고 또는 제안을 명시한 문서

㉰ 품질매뉴얼 : 활동과 프로세스를 일관되게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정보제공용 문서

㉱ 특채 : 규정된 요구사항에 적합하지 않는 제품을 사용하거나 불출하는 것에 대한 허가

해설 2005(기사1회차) 기사교재 P.3-96

㉯ 시방서 : 요구사항을 명시한 문서, ㉸ 지침 : 권고 또는 제안을 명시한 문서

㉰ 절차서, 업무 지침서 : 활동과 프로세스의 일관된 수행을 위한 방법에 대한 정보제공 문서

㉱ 특채(concession) : 규정된 요구사항에 적합하지 않은 제품을 사용하거나 불출하는 것에

대한 허가. 특채는 일반적으로 부적합 특성을 갖는 제품이 합의된 시기 또는 합의된 양에

대하여 규정된 제한조건 내에서 인도되는 것에 국한한다.

3-34 / 제3편 품질경영

해답 21. ㉰ 22. ㉱ 23. ㉰ 25. ㉰ 26. ㉱

27 ISO 9001: 2000에서 프로세스 결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하드웨어(hardware) ㉯ 소프트웨어(software)

㉰ 반제품(jnprocessed product) ㉱ 가공물질(processed material)

해설 2005(기사1회차) 기사교재 P.3-96

☞ 프로세스 결과는 product(제품)를 말하며, 이는 ① 하드웨어, ② 소프트웨어, ③ 가공물질,

④ 서비스(service)의 4가지로 분류된다.

28 ISO 9001: 2008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내용이다. 틀린 것은?

㉮ 문서(document)는 정보 및 정보지원 매체를 말한다.

㉯ 기록(record)은 개정 관리할 필요가 있다.

㉰ 시방서(specification)는 요구사항을 명시한 문서로 활동 또는 제품과 관련될 수 있다.

㉱ 폐기(scrap)는 부적합·불일치 제품에 취하는 조치로 리사이클. 파기 등이 이에 속한다.

해설 2003(기사1회차), 2005(기사2회차) 기사교재 P.3-96

㉯ 문서(document)에는 기록(record)을 포함하되, 기록을 제외한 문서는 개정관리의 대상이다.

29 ISO 9001: 2000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것이다. 틀린 것은?

㉮ 의도되거나 규정된 사용에 관련된 요구사항의 불충족을 부적합·불일치(nonconformity)라

한다.

㉯ 재작업 또는 재등급은 시정(correction)의 보기가 될 수 있다.

㉰ 의미있는 데이터를 정보(information)라 한다.

㉱ 부적합/불일치 제품을 요구사항에 적합하도록 취하는 조치를 재작업(rework)이라 한다.

해설 2003(기사2회차) 기사교재 P.3-96

㉮ 결함(defect)은 의도되거나 규정된 사용에 관련된 요구사항의 불충족을 가리키며, 부적합/불

일치(nonconformity)는 요구사항의 불충족이다.

41 QS 9000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올바른 것은?

㉮ QS 9000의 기본 요구사항은 ISO 9000과 똑 같다.

㉯ QS 9000의 고객지정 요구사항은 미국 자동차 빅 3사 만으로 되어 있다.

㉰ QS 9000의 평가는 사전평가, 평가, 감독으로 구성되어 있다.

㉱ QS 9000은 제3자 인증만 가능하다.

해설 2005(기사2회차) 기사교재 P.3-99

㉮ QS 9000 기본요구사항은 ISO 9000을 준용하지만 꼭 같은 것은 아니다.

㉯ Big 3사와 모든 내부 및 외부 공급자들에게 적용된다.

㉰ QS 9000의 평가는 제2자 평가와 제3자 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42 말콤 볼드리지상에 관한 설명이 아닌 것은?

㉮ 3개 요소 7개 범주로 구분하고 있다 . ㉯ 데밍상을 벤치마킹하여 제정한 것이다.

㉰ 기업경영 전체의 프로그램으로 전략에서 실행까지를 전개한다.

㉱ 품질향상을 위해 실천적인 'How to do'를 추구하는 프로세스 지향형이다.

3. 표준화 : 필기 예상문제 / 3-35

해답 27. ㉰ 28. ㉯ 29. ㉮ 41. ㉰ 42. ㉱

해설 2008(기사3회차), 2011(기사1회차) 기사교재 P.3-99

☞ 말콤 볼드리지(Baldrige)상은 미국의 국가품질상으로서, ㉱항의 고객만족 지향의 실천적인

'How to do`를 추구하는 프로세스 지향형이다.

3-36 / 제3편 품질경영

3.2 문제은행식 실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산업표준화 ◈

01 우리나라의 표준화 관련 기관에 대한 설명이다, 해당되는 기관명을 기술하시오.

(1) 산업규격의 제·개정 및 국제표준화 관련 기구와 교류 및 협력하며, 국가측정표준의 확립

및 보급을 목적으로 하는 정부기관

(2) 산업표준의 제정, 개정, 폐지에 관한 사항을 조사, 심의하는 회의기구

(3) 정부의 품질경영체제 및 환경경영체제 관련 ISO 인증제도의 민간운영 방침에 따라 설립된

단체

(4) 측정표준기술을 연구개발하고 성과를 보급하는 기관

해설 2010(기사2회차) 기사교재 P.3-100

(1) 기술표준원, (2) 산업표준심의회, (3) 한국인증원, (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03 한국산업규격 부문 기호는 총 21개로 나누어져 있다. 이 중 아래에 해당되는 부문기호의

산업부문을 기입하시오.

(1) KS B, (2) KS Q, (3) KS S, (4) KS X

해설 2009(기사2회차) 기사교재 P.3-100

(1) KS B(기계), (2) KS Q(품질경영), (3) KS S(서비스산업), (4) KS X(정보산업)

☞ 한국산업규격은 기본(A), 기계(B), 전기(C), 금속(D), 광산(E), 건설(F), 일용품(G), 식료품

(H), 환경(I), 생물(J), 섬유(K), 요업(L), 화학(M), 의료(P), 품질경영(Q), 수송기계(R), 서비스

(S), 물류(T), 조선(V), 항공우주(W), 정보(X)의 21개 부문으로 분류된다(2010년 3월 현재).

04 십진법에 따른 다음 수치에 대하여 답하시오.

(1) 2.35(이 수치는 보기를 들면 2.347을 올려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고 한다.)를 유효숫

자 2자리로 맺음하시오.

(2) 0.0625(이 수치는 소수점 이하 4자리가 반드시 5인 것을 알고 있든가 또 버려진 것인가,

올려진 것인가를 모른다고 한다.)를 규칙 A에 따라 소수점 이하 3자리로 맺음하시오.

해설 과년도(기사기출) 기사교재 P.3-101

(1) 2.3 (2) 0.062

☞ 수치맺음법 : 주어진 수치와 똑같이 가까운 이웃하는 2개의 정수배가 있는 경우 규칙 A와

규칙 B 중 어느 한쪽을 따른다. 규칙 A : 맺음한 수치로 짝수의 정수배를 고른다.

◈ KS 인증, ISO 인증 및 QS 인증 제도 ◈

02 KS Q ISO 9001에서 품질경영시스템의 문서화를 요구하는 사항 4가지를 기술하시오.

해설 과년도(기사기출) 기사교재 P.3-101

(1) 문서화하여 표명된 품질방침 및 품질목표 (2) 품질매뉴얼

(3) KS Q ISO 9001 규격에서 문서화를 요구하는 다음 항목의 6가지 절차 및 기록

① 문서관리, ② 기록관리, ③ 내부심사, ④ 부적합제품관리, ⑤ 시정조치, ⑥ 예방조치

(4) 프로세스의 효과적인 기획, 운영 및 관리를 보장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문서 및 기록

3. 표준화 : 실기 예상문제 / 3-37

03 보기는 ISO 9001 인증절차에 관한 내용이다. 일반적인 인증절차를 올바르게 나열하시오.

① 예비방문, ② 현장조사, ③ 계약체결, ④ 제안서 제출, ⑤ 상담, ⑥ 제안요청

⑦ 인증신청, ⑧ 품질매뉴얼 작성, ⑨ 심사팀 및 심사일정 확립, ⑩ 인증서 발행,

⑪ 인증업체 공고, ⑫ 사후관리 심사

해설 과년도(기사기출) 기사교재 P.3-101

⑧ → ⑥ → ⑤ → ④ → ⑦ → ③ → ⑨ → ① → ② → ⑩ → ⑪ → ⑫

07 KS Q ISO 9000(2009)의 품질경영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문서에는 여러 가지의 형태가

있다. 다음은 어느 형태의 문서에 해당하는지 적합한 문서 명칭을 나타내는 용어를 기술하시오.

(1) 조직의 명시된 품질방침과 적용하는 품질경영시스템에 대하여 내부 및 외부적으로 일관

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문서

(2) 활동 또는 프로세스를 일관되게 수행하기 위한 절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문서

(3) 특정의 제품이나 특정의 프로젝트 또는 특정의 계약에 대하여 품질경영시스템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어떤 절차와 관련된 자원이 누구에 의해 언제 적용되는지 등을 기술한 문서

(4) 권고 또는 제안을 명시하는 절차상의 하위문서

(5) 요구사항을 명시한 문서

(6) 수행된 활동이나 달성된 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증거를 제공하는 문서

해설 과년도(기사기출) 기사교재 P.3-103

(1) 품질매뉴얼 (2) 절차서 (3) 품질계획서 (4) 지침서 (5) 시방서 (6) 기록

08 다음은 KS Q ISO 9001(2009) 규격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설명이다. 해당되는 적합

한 용어를 적으시오.

(1) 재등급이나 재작업과 같이 발견된 부적합을 제거하기 위한 행위

(2) 요구사항에 적합하도록 부적합제품에 대하여 취하는 조치

(3) 규정된 요구사항에 적합하지 않는 제품을 사용하거나 불출하는 것에 대한 허가

(4) 의도된 사용상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도록 부적합제품에 대하여 취하는 조치

(5) 의미있는 데이터 (6) 정보 및 정보지원매체

해설 과년도(기사기출) 기사교재 P.3-103

(1) 시정 (2) 재작업 (3) 특채 (4) 수리 (5) 정보 (6) 문서

09 ISO 9001(2009) 규격에서 다음은 어느 항목에 해당하는가?

(1) 조직은 생산 및 서비스제공을 관리조건하에서 계획하고 수행하여야 한다.

(2) 조직은 제품에 관련된 요구사항을 검토하여야 한다. 이 검토는 고객에게 제품을 공급한다

고 조직이 약속하기 전에 수행되어야 한다.

해설 과년도(기사기출) 기사교재 P.3-103

(1) 1SO 9001 규격의 7.5 생산 및 서비스제공 중 7.5.1 생산 및 서비스제공의 관리

(2) ISO 9001 규격의 7.2 고객관련 프로세스 중 7.2.2 제품에 관련된 요구사항 검토

11 다음은 ISO 9001: 2009 용어에 대한 설명이다. 해당되는 용어는?

(1) 프로세스의 결과

3-38 / 제3편 품질경영

(2) 최고 경영자에 의해 공식적으로 표명된 품질에 관한 조직의 전반적인 의도 및 방향

해설 2007(기사3회차) 기사교재 P.3-104

(1) 제품 (2) 품질방침

13 KS Q ISO 9000 : 2009(품질경영시스템-기본사항 및 용어)에서는 일반적으로 품질경영

시스템에 사용되는 문서를 몇 가지 형태로 분류하고 있다. 다음 각 항이 의미하는 문서의 명칭

을 쓰시오.

(1) 요구사항을 명시한 문서

(2) 권고 또는 제안사항을 명시하는 문서

(3) 수행된 활동 또는 달성된 결과에 대한 객관적 증거를 제공하는 문서

(4) 품질경영시스템이 어떻게 특정 제품, 특정 프로젝트 또는 특정 계약에 적용되는지 기술한

문서

(5) 조직의 품질경영시스템에 대하여 내부 및 외부적으로 일관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문서

해설 2009(기사1회차) 기사교재 P.3-104

(1) 시방서, (2) 지침서, (3) 기록, (4) 품질계획서, (5) 품질매뉴얼

3. 표준화 : 실기 예상문제 / 3-39

4. 규격·공차 및 공정능력

4.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규격 ◈

01 공정의 산포가 규격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와 같을 때 조처방법으로 틀린 것은?

㉮ 공정변화를 계속 체크하면서 공정의 중심이 규격의 중심에 오도록 할 것

㉯ 실험계획을 통해 공정산포를 감소시킬 것 ㉰ 변동이 커졌을 때는 선별검사를 할 것

㉱ 소비자와 합의하여 규격 폭을 넓힐 수 있으면 넓힐 것

해설 2005(기사1회차) 기사교재 P.4-21

☞ 공정의 산포(6σ )가 규격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공차)와 같을 때의 조처방법은 ㉮, ㉯, ㉱

및 ㉰ 변동이 커졌을 때는 전수검사를 할 것 등이다.

02 공정의 산포가 규격의 최대, 최소치의 차보다 작고 중심이 안정된 경우의 조치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 현행 제조공정의 관리를 계속한다.

㉯ 관리한계선을 벗어나는 제품은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여야 한다.

㉰ 실험을 계획하여 공정의 산포를 감소시킨다.

㉱ 체크검사를 실시하여 검사를 줄일 것을 고려한다.

해설 2003(기사2회차), 2012(기사1회차) 기사교재 P.4-21

☞ T S SU L( )= − > 6σ , 즉 CP >10. 인 때의 조치사항은 ㉮, ㉯, ㉱항이다.

㉰ T ≤ 6σ 일 때는 실험을 계획하여 공정의 산포를 감소시킨다.

◈ 공차 ◈

01 공차의 수리 표현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 최대치수-최소치수 ㉯ 최대허용치수+최소허용치수

㉰ 기준치수+아래치수허용차 ㉱ 최대허용치수-기준치수

해설 2006(기사2회차) 기사교재 P.4-21

☞ 공차=규격상한-규격하한=최대치수-최소치수=(+허용차)-(-허용차)=±허용차

02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공차란 규정된 최대치와 최소치와의 차이이다.

㉯ 허용차란 규정된 기준치와 한계치와의 차이이다.

㉰ 공차는 허용차의 의미로 쓰일 수 없다.

㉱ 끼워맞춤방식의 최대치수와 최소치수와의 차이도 공차라고 한다.

해설 2002(기사2회차) 기사교재 P.4-21

㉱ 끼워맞춤방식의 최대치수와 최소치수의 차이는 죔새 또는 틈새라 한다.

3-40 / 제3편 품질경영

해답 01. ㉰ 02. ㉰ ┃ 01. ㉮ 02. ㉱

03 강판두께의 기준치가 3mm일 때 그 공차를 0.2mm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면. 이에 대한

표현으로 가장 옳은 것은?

㉮ 3mm에 대하여 +0.2mm까지 허용하고, 3mm이하는 허용하지 않는다.

㉯ 3mm±0.2mm로 표시한다. ㉰ 3mm±0.4mm로 표시한다.

㉱ 3mm를 전·후해서 두께 치수의 최대치와 최소치와의 차이다.

해설 2004(기사3회차) 기사교재 P.4-22

㉱ 공차=규격상한-규격하한= S SU L− =±허용차 → 3±0.1mm로 표시된다.

05 치수공차 또는 공차의 설명에 가장 적합한 것은?

㉮ (최대허용치수-최소허용치수) ㉯ (최대허용치수-기준치수)

㉰ (기준치수-최소허용치수) ㉱ (UCL-LCL)

해설 2005(기사2회차) 기사교재 P.4-22

☞ 공차의 공식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① 치수공차 또는 공차 = 최대허용치수-최소허용치수

② 허용차 = 허용한계치수-기준치수

(단, +허용차=최대허용치수-기준치수, -허용차=최소허용치수-기준치수)

③ 공차 = ±허용차 (예 : 공차=±3인 경우 공차=6)

07 다음 중 치수공차에 대한 설명으로서 맞는 것은?

㉮ 허용한계치수의 기준이 되는 치수 ㉯ 두 점 간의 거리를 표시하는 수치

㉰ 허용한계치수에서 기준치수를 뺀 치수 ㉱ 최대허용치수에서 최소허용치수를 뺀 치수

해설 과년도(기사기출) 기사교재 P.4-23

☞ 치수공차 또는 공차 = 최대허용치수-최소허용치수

허용차 = 허용한계치수-기준치수

(단, +허용차=최대허용치수-기준치수, -허용차=최소허용치수-기준치수)

08 두께 3±0.002mm인 4개의 부품을 임의 조립방법에 의해 겹쳐서 조립할 경우 조립공차

는 몇 mm인가?

㉮ ±0.040 ㉯ ±0.080 ㉰ ±0.008 ㉱ ±0.004

해설 2010(기사3회차) 기사교재 P.4-23

☞ 조립공차=± T n =±0.002 4 =±0.004

09 공차가 똑같은 16개의 부품을 조립할 때 공차가 10/300이 된다면 개개 부품의 공차는

얼마인가?

㉮ 1/120 ㉯ 1/1,200 ㉰ 1/60 ㉱ 1/600

해설 2006(기사3회차) 기사교재 P.4-23

☞ 조립공차 산출의 2가지 방법

① 조립품의 공차(조립공차)=10/300=각 부품의 공차× 16 ∴ 각 부품의 공차 = 1/120

4. 규격·공차 및 공정능력 : 필기 예상문제 / 3-41

해답 03. ㉱ 05. ㉮ 07. ㉱ 08. ㉱ 09. ㉮

② 조립공차=± T n (단, T =개개 부품의 허용차)의 관계식으로부터

± =⎛⎝⎜

⎞⎠⎟= ± ×

5300

10300

16T → ±T (조립공차)= ± × = ± =5

30014

1240

1120

10 그림과 같이 길이가 동일한 4개의 부품으로 조립된 제품의 규격은 10±0.03cm이다. 각

부품의 규격은 얼마이어야 되는가?

A B C D

10±0.03

㉮ 2.5075±0.015 ㉯ 2.5±0.075 ㉰ 2.5±0.015 ㉱ 2.4925±0.0075

해설 2002(기사1회차) 기사교재 P.4-23

☞ 개개 부품의 공칭치수=10/4=2.5

개개 부품의 허용차를 T라 두면, 조립공차=± T n =± T 4 =±0.03 → ∴ T = 0 015.

∴ 개개 부품의 규격=공칭치수±허용차=2.5±0.015cm

12 길이가 각각 x1∼ N ( . , . )500 0 252 , x2∼ N( . , . )7 00 0362 및 x3∼ N( . , . )9 00 0492 인 3부품

을 임의의 조립방법에 의해 길이로 직렬 연결할 때 ( x x x1 2 3+ + )의 공차는 ± 2σ 로 잡고, 조립

시 오차는 없는 것으로 한다면 이 조립 완제품의 규격은 약 얼마가 되는가?

㉮ 21±3.146 ㉯ 21±2.098 ㉰ 21±1.315 ㉱ 21±1.049

해설 2007(기사3회차) 기사교재 P.4-24

☞ 조립품의 기준치수 = x x x1 2 3+ + =5.00+7.00+9.00=21.00

조림품의 공차 = ±2σ T =±2 σ σ σ12

22

32+ + =±2 0 25 0 36 0 492 2 2. . .+ + =±1.315

13 다음의 A, B, C 3가지 부품을 B+C-A와 같이 조립할 경우 이 조립품의 허용차는 약 얼

마인가?

[데이터] * A부품의 규격 : 2.5±0.03, * B부품의 규격 : 4.5±0.04

* C부품의 규격 : 6.5±0.05

㉮ ±0.057 ㉯ ±0.060 ㉰ ±0.071 ㉱ ±0.120

해설 2007(기사1회차), 2009(기사1회차), 2010(기사1회차) 기사교재 P.4-24

☞ 조립품의 공차(±허용차) = ± 0 03 0 04 0052 2 2. . .+ + = ±0.0707

3-42 / 제3편 품질경영

해답 10. ㉰ 12. ㉰ 13. ㉰

18 부품 A는 N ( . , . )2 5 0 032, 부품 B는 N ( . , . )2 4 0 022

, 부품 C는 N ( . , . )2 4 0 042, 부품 D는

N ( . , . )30 0 012인 정규분포에 따른다. 이 4개 부품이 직렬로 결합되는 경우 조립품의 표준편차는

약 얼마인가? (단, 부품 A, B, C, D는 서로 독립이다.)

㉮ 0.003 ㉯ 0.055 ㉰ 0.1 ㉱ 0.316

해설 2011(기사1회차) 기사교재 P.4-25

☞ 조립품의 표준편차= ( ) ( )부품 의 표준편차 부품 의 표준편차A D2 2+ +L

= + + + =0 03 0 02 0 04 0 01 0 05482 2 2 2. . . . .

19 두께 3±0.002mm인 4개 부품을 임의조립방법에 의해 겹쳐서 조립할 경우 조립공차는?

㉮ 0.006 ㉯ 0.080 ㉰ 0.040 ㉱ 0.008

해설 2006(기사1회차) 기사교재 P.4-25

☞ 조립공차=± 각부품허용차의제곱의합 =± 0 002 42. × =±2×0.002=±0.004=0.008

20 최대 틈새를 구하는 방법으로 가장 올바른 수식은?

㉮ 구멍의 최대한계-축의 최소한계 ㉯ 구멍의 최소한계-축의 최대한계

㉰ 구멍의 최대한계-축의 최대한계 ㉱ 구멍의 최소한계-축의 최소한계

해설 2003(기사2회차) 기사교재 P.4-26

㉯ 최소 틈새 또는 최대 쥠새를 의미한다.

22 아래와 같이 조립품의 구멍과 축의 치수가 주어졌을 때 평균틈새는 얼마인가?

(단위: 인치)

최대허용치수 최소허용치수

구멍 A=0.6200 B=0.6000

축 a =0.6050 b =0.6020

㉮ 0.0065 ㉯ 0.0085 ㉰ 0.0020 ㉱ 0.0045

해설 2005(기사3회차) 기사교재 P.4-26

☞ A b B a− > − <0 0, 이므로 중간끼워맞춤에 해당한다.

평균틈새최대틈새 최대죔새

= =− + −+

2 2( ) ( )A b B a

=− + −

=−

=( . . ) ( . . ) . . .0 6200 0 6020 0 6000 0 6050

20 0180 0 0050

20 0065

4. 규격·공차 및 공정능력 : 필기 예상문제 / 3-43

해답 18. ㉯ 19. ㉱ 20. ㉮ 22. ㉮

◈ 공정능력 ◈

01 공정능력의 정의와 관계가 가장 먼 것은?

㉮ 자연공차로서 보통 6배의 표준편차를 사용한다.

㉯ 공정이 관리상태에 있을 때 제품의 변동이 어느 정도인가를 나타내는 양이다.

㉰ 통계적 관리상태에 있을 때의 공정의 정상적인 움직임이다.

㉱ 피할 수 있는 요인을 포함한 상황에서 공정의 최선의 성과이다.

해설 2004(기사2회차) 기사교재 P.4-27

☞ 우연원인(피할 수 없는 요인)의 조건하에서의 공정의 최선의 성과지표이다.

04 공정능력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정적(static)공정능력은 문제의 대상물이 갖는 잠재능력이다.

㉯ 동적(dynamic)공정능력은 현실적인 면에서 실현되는 능력이다.

㉰ 단기공정능력은 임의의 일정 시점에 있어서의 공정의 정상적인 상태이다.

㉱ 장기공정능력은 정상적인 공구마모 영향과 서로 다른 큰 예기할 수 있는 변동을 포함한다.

해설 2003(기사1회차) 기사교재 P.4-27

㉱ 장기공정능력은 정상적인 공구마모의 영향과 재료의 로트 간의 미묘한 변동 등 서로 다른

작은 예기할 수 없는 변동을 포함한다.

05 공정능력에 대한 설명을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내용은?

㉮ 단기공정능력은 임의의 일정시점에 있어서 우발적으로 발생하는 공정상태를 나타내며, 통

계상의 급간변동을 나타낸다.

㉯ 장기공정능력은 설비나 공구의 정상적 마모로 인한 영향 등 예측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 정적공정능력은 현실적인 면에서 실현되는 능력을 나타낸다.

㉱ 동적공정능력은 제기된 문제의 대상이 가지고 있는 잠재능력을 나타낸다.

해설 2006(기사2회차) 기사교재 P.4-28

㉮ 단기공정능력은 임의의 일정시점에 있어서 우발적으로 발생하는 공정상태를 나타내며, 통계

상의 급내변동을 나타내며, 장기공정능력은 급내변동과 급간변동을 합한 것이다.

㉰ 동적공정능력은 현실적인 면에서 실현되는 능력을 나타낸다.

㉱ 정적공정능력은 제기된 문제의 대상이 가지고 있는 잠재능력을 나타낸다.

08 공정능력의 분류에서 동적공정능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 시간적 변화, 원재료의 대체, 작업자의 교체 등 현실적으로 실현되는 능력

㉯ 임의의 일정 시점의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공정능력

㉰ 공구 마모의 영향, 로트 간 재료의 변동 등을 포함한 공정능력

㉱ 설비의 정밀도검사 결과와 같이 문제의 대상물이 갖는 잠재능력

해설 과년도(기사기출) 기사교재 P.4-28

☞ ㉯ 단기공정능력, ㉰ 장기공정능력, ㉱ 정적공정능력을 의미한다.

3-44 / 제3편 품질경영

해답 01. ㉱ 04. ㉱ 05. ㉯ 08. ㉮

10 x R− 관리도에서 k = 25인 이동범위 관리도를 작성한 결과 R∑ =0.443일 때 ±3σ

공정능력치를 구하면 약 얼마인가? (단, n =2일 때 d2 =1.128)

㉮ ±0.0492 ㉯ ±0.0984 ㉰ ±0.0555 ㉱ ±0.111

해설 2007(기사3회차) 기사교재 P.4-29

☞ 공정능력(치)은 6 $σ (자연공차) 또는 ±3 $σ 로 나타낸다.

공정능력치=±3 $σ =±3Rd 2=±3

R k

d∑ −/ ( )1

2=±3

0443 25 11128

. / ( ).

−=±0.04909

11 도수분포표에서 h =0.5, f∑ =100, fu fu∑ ∑= =26 3572, 일 때 공정능력치를 구하

면?

㉮ ±1.7 ㉯ ±2.8 ㉰ ±3.0 ㉱ ±3.4

해설 2002(기사1회차) 기사교재 P.4-29

☞ 공정능력치( 6 $σ )= ± = ± ≈ ± = ± ×−

−⎛

⎜⎜

⎟⎟∑

∑∑∑3 3 3 3 1

12

2

$( )

σ s V hf

fufu

f

= ± ×−

−⎛

⎝⎜

⎠⎟ = ±3 0 5 1

100 1357 26

1002 821

2. .

12 전기조립품을 제조하는 공장에서 공정이 안정되어 있는가를 판단하기 위해 n k= =5 20,

의 x R− 관리도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x Ri i∑ ∑= =21320 318. , . 을 얻었으며 공정이 안정된

것으로 판정되었다. 이때 공정능력치를 구하면 약 얼마인가? (단, n = 5일 때 d2 2 326= . )

㉮ ±4.101 ㉯ ±2.052 ㉰ 1.590 ㉱ 0.795

해설 2007(기사2회차) 기사교재 P.4-29

☞ 공정능력(치)은 6 $σ (자연공차) 또는 ±3 $σ 로 나타낸다.

6 $σ =±3 $σ =±3·Rd2=±3·

R k

d∑ /

2=±3·

318 202 326. /.

=±2.051

13 Y제품의 두께 규격이 12.0±0.05cm이다. 이 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의 표준편차가 σ

=0.02이면 이 공정의 제품에 대한 공정능력지수(CP )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 공정상태가 매우 만족하다. ㉯ 현재의 규격치에 겨우 맞추고 있다.

㉰ 규격공차를 줄여야 한다. ㉱ 공정능력이 부족한 상태이다.

해설 2003(기사1회차) 기사교재 P.4-30

4. 규격·공차 및 공정능력 : 필기 예상문제 / 3-45

해답 10. ㉮ 11. ㉯ 12. ㉯ 13. ㉱

☞ CS S

PU L=−

=−

×= <

612 05 1195

6 0 020 83 100

$

. ..

. .σ

∴ 공정능력은 3등급으로서 공정능력이 부족한 상태이다.

15 어떤 제품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을 때 표준편차가 0.02이고, 공정능력지수가 1.20이었

다. 규격의 하한이 15.50이라면 규격상한은 얼마인가?

㉮ 15.64 ㉯ 16.54 ㉰ 16.10 ㉱ 15.57

해설 2005(기사2회차) 기사교재 P.4-30

㉮ CS S

PU L=−

6 $σ→ 1 2

15 56 0 02

..

.=

−×

S U → SU =15664.

20 치우침을 고려한 공정능력지수(Cpk )를 산출할 때, 치우침의 의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공차와 자연공차와의 비율 ㉯ 공정의 평균과 규격한계와의 거리

㉰ 목표치와 규격의 중앙값과의 거리 ㉱ 공정의 평균과 규격의 중앙값과의 거리

해설 2009(기사1회차), 2011(기사3회차) 기사교재 P.4-32

㉱ 분포의 중심이 규격중심으로부터 치우쳐 있는 정도 M x− 는 치우침도 K를 가지고 나타낼

때, KM xT

=−/ 2

에서 K T M x× = −( / ) ,2 즉 K T× ( / )2 의 크기만큼 치우쳐 있는 경우이다.

21 어떤 공정에서 가공되는 품질특성은 두께로서 규격이 5.0±0.05mm로 주어져 있다. 생산

제품의 평균두께가 4.98mm, 표준편차가 0.02mm이었다. 이때 치우침을 고려한 공정능력지수는

약 얼마인가?

㉮ 0.33 ㉯ 0.50 ㉰ 0.83 ㉱ 1.17

해설 2002(기사2회차), 2009(기사2회차) 기사교재 P.4-32

㉯ C K C K T KS S

PK PU L= − = − = −−

= −×

=( ) ( )$

( )$

( . ) ..

.1 16

16

1 04 016 002

05σ σ

여기서, 치우침도 KM xT

=−

=−

=/

. .. /

.2

5 0 4 980 1 2

0 4

M S S T S SU LU L= + = + = = − = − =

25 05 4 95

25 0 5 05 4 95 01. . . , . . .

22 어떤 제품의 규격이 0.785∼0.795이고, n = 5인 데이터를 취하여 x R− 관리도를 작성하

였다. 치우침을 고려한 공정능력지수(Cpk )는 약 얼마인가?

(단, 관리도는 관리상태이며, x R n= = =0 788 0 002 5. , . , 일 때 d2 2 326= . 이다.)

㉮ 1.16 ㉯ 1.34 ㉰ 1.66 ㉱ 1.94

해설 2010(기사2회차) 기사교재 P.4-32

3-46 / 제3편 품질경영

해답 15. ㉮ 20. ㉱ 21. ㉯ 22. ㉮

☞C K C K

S SK T

Rd

PK PU L= − = −−

= −×

= −×

=( ) ( )$

( ) ( . ) ...

.1 16

16

1 0 4 0 01

6 0 0022 326

1163

2

σ

여기서, 치우침도 KM xT

=−

=−

=/

. .. /

.2

0 79 0 7880 01 2

0 4

MS S

T S SU LU L=

+= + = = − = − =

20 795 0 785

20 79 0 795 0 785 0 01. . . , . . .

24 공정을 μ σ± 3 로 관리할 때 공정능력지수(C P )가 1.0이라면 몇 PPM의 부적합품률이

나타나는가?

㉮ 270PPM ㉯ 1,350PPM ㉰ 2,700PPM ㉱ 13,500PPM

해설 2010(기사3회차) 기사교재 P.4-33

☞ CS S T

PU L=−

=6 6$ $σ σ

→ CP = 1이면 T = 6σ , P X[ ] . ( .μ σ μ σ− ≤ ≤ + =3 3 0 9973 99 73%)

이므로 벗어날 확률은 1-0.9973=0.0027(0.27%). ∴ 0.0027×1,000,000=2,700ppm

26 공정능력 계산 설명 중 가장 옳지 못한 것은?

㉮ Cp는 산포에 대한 공정능력을 측정하나, 평균치의 치우친 정도는 알 수 없다.

㉯ Cpk는 치우침을 고려한 공정능력으로 품질이 안정상태일 때 근보다 값이 크다.

㉰ 품질특성에 대해 상한규격만 존재할 때는 CpU를 측정한다.

㉱ Dp는 공정능력비라 부르고, Cp의 역수이다.

해설 2012(기사2회차) 기사교재 P.4-33

㉯ Cpk는 치우침을 고려한 공정능력으로서 C k Cpk p= −( )1 가 되며, 품질이 안정상태일 때

Cp보다 값이 일반적으로 작다.

4. 규격·공차 및 공정능력 : 필기 예상문제 / 3-47

해답 24. ㉰ 26. ㉯

4.2 문제은행식 실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공차 ◈

03 아래 도면은 M자동화 부품의 일부이다. 도면을 보고 조립품의 공차가 얼마인지 계산하시

오.

1.25±0.02 1.75±0.05 1.325±0.01

해설 과년도(기사기출) 기사교재 P.4-34

☞ 조립공차를 구하는 방법은 3가지 방법이 있으나 문제에 해당되는 2가지를 모두 보이면

① 조립공차= ( ) ( . ) ( . ) ( . ) ( . ) ( . ) ( . )각부품공차 2 2 2 2 2 2 2002 005 001 004 010 002∑ = ± + ± + ± = + +

= 0.1096

② 조립공차= ± = ± + + = ± = ±∑ ( ) ( . ) ( . ) ( . ) . .각 부품허용차 2 2 2 20 02 0 05 0 01 0 003 0 0548

[참고] 상기 ①, ②의 방법은 동일한 것이다.

04 축과 베어링 사이의 틈새에 대하여 통계적 분석을 하려고 한다. 다음은 축(s : shaft)과

베어링(b : bearing)의 값이며, 부품의 생산시 축과 베어링의 분포는 각각 정규분포를 따르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 조립품의 끼워맞춤 공차는 어떻게 설정되는가?

(단, 축의 공차는 2.502±0.007이고, 베어링의 공차는 2.515±0.006이다.)

해설 과년도(기사기출) 기사교재 P.4-35

☞ ① 조립품의 평균= μ μB S− = − =2 515 2 502 0 013. . .

② 조립품의 공차= ± ∑ ( )각 부품허용차 2= ± + = ±0 006 0 007 0 00922 2. . .

③ 조립품의 끼워맞춤 공차 = 0.013±0.0092

◈ 공정능력 ◈

01 공정능력지수와 공정성능지수의 차이를 설명하고, 공정능력을 규격과 자연공차를 비교한

것이라면 자연공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나 인자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6가지를 나열하시오.

해설 과년도(기사기출) 기사교재 P.4-35

(1) 공정능력지수와 공정성능지수의 차이

① 공정능력지수는 Process capability index로서 PCI 또는 CP로 표기하고, 공정성능지수는

Process Performance index로서 PPI 또는 PP로 표기한다.

② 공정능력지수는 단기공정능력의 척도이고, 공정성능지수는 장기공정능력의 척도이다.

③ 공정능력지수는 양쪽규격 SU , S L을 고려하는 경우 CP (또는 PCI)=S SU L−

6 $σ이고, 이때

3-48 / 제3편 품질경영

x R− 관리도 사용의 경우 $ $σ σ= =wRd2이다. 공정성능지수는 PP (또는 PPI)=

S SU L−6 $σ

나, 이때 $ $ $ $( )

σ σ σ σ= = + =−

−∑

T w bix x

N2 2

2

1이다. 즉 공정능력지수의 계산에는 군내산

포를 나타내는 σ w를 사용하고, 공정성능지수의 계산시에는 전체 데이터의 산포인 σT를

사용하며, σT에는 군내산포와 군간산포를 포함한다.

(2) 자연공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요인)은 5M1E라 하며, ① 사람(man), ② 재료(material),

③ 기계(machine), ④ 방법(method), ⑤ 측정(measurement), ⑥ 환경(environment)이다.

02 n =5인 x 의 표준편차 σ x =5.57, 군간변동 σb =5.20이고, 규격이 120±15일 때 PCI와

PPI를 구하시오.

해설 과년도(기사기출) 기사교재 P.4-36

☞ PCI는 공정능력지수, PPI는 공정성능지수를 의미한다.

① σ σσ

x bw

n2 2

2

= + 으로부터 557 5205

2 22

. .= +σw → σ w = 0 797.

공정능력지수(PCI)=S S S SU L U L

w

−=

−=

×

×=

6 615 2

6 0 7975 601

$ ..

σ σ

② 개개 데이터의 산포 σ σ σT b w2 2 2 25 20 0 797 27 837= + = + =. . . .

공정성능지수(PPI)=S S S SU L U L

T

−=

−=

×

×=

6 615 2

6 27 8370 948

$ $ ..

σ σ

04 다음의 도수표를 가지고

(1) 산술평균( x )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 (2) 불편분산(V )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

(3) 공정능력지수(Cp )를 구하라 (단, 납품처의 규격으로 43~63을 요구하고 있다.)

급의 경계 중앙값( Mei ) 도수( f i ) 급의 경계 중앙값( Mei ) 도수( f i )

36.5~39.5 38 2 51.5~54.5 53 1539.5~42.5 41 6 54.5~57.5 56 1142.5~45.5 44 19 57.5~60.5 59 845.5~48.5 47 27 60.5~63.5 62 248.5~51.5 50 25

해설 과년도(기사기출) 기사교재 P.4-36

☞ 도수표의 작성

급번호 급의 경계 중앙값( Mei ) f i ui f ui i f ui i2

1 36.5~39.5 38 2 -3 -6 18

2 39.5~42.5 41 6 -2 -12 24

3 42.5~45.5 44 19 -1 -19 19

4 45.5~48.5 47 27 0 0 0

5 48.5~51.5 50 25 1 25 25

6 51.5~54.5 53 15 2 30 60

4. 규격·공차 및 공정능력 : 실기 예상문제 / 3-49

7 54.5~57.5 56 11 3 33 99

8 57.5~60.5 59 8 4 32 128

9 60.5~63.5 62 2 5 10 50

계 115 93 423

① x xf u

fh

i i

i

= + × = + × =∑∑0 47 93

1153 49 4.

② Vf

f uf u

fh

ii i

i i

i

=−

−⎡

⎢⎢

⎥⎥× =

−−

⎣⎢⎢

⎦⎥⎥× =

∑ ∑ ∑∑

11

1115 1

423 93115

3 27 522

22

2( ) ( ) .

③ C S S S SVp

U L U L=−

=−

=−

×=

6 663 43

6 27 50 64

$ ..

σ

Cp =0.64<0.67이므로 4등급에 속하며, 공정능력이 매우 부족하다고 판정된다.

05 제품 n =200개를 취하여 히스토그램을 그려 보았더니 x =132.8, s=12.3을 얻었다. 만

약 이 제품의 품질특성에 대하여 SU =140, S L =110이 주어졌을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공정능력지수로 Cp와 Cpk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2) 위의 (1)에서 옳다고 생각되는 공정능력지수의 값을 구하시오.

(단, 소수점 이하 두 자리까지 구하시오.)

해설 과년도(기사기출) 기사교재 P.4-37

(1) MS SU L=

+=

+=

2140 110

2125와 x =132.8을 비교할 때, 평균값의 조절이 곤란하고 산포

와 평균이 동시에 문제라고 생각되므로 C pk 를 사용한다.

(2) C K C KS S

spk PU L= − = −−×

= − ×−

×=( ) ( ) ( . )

..1 1

61 0 52 140 110

6 12 30 20

여기서, 치우침도 KM xT

=−

=−

−=

/.

( ) /.

2125 132 8

140 110 20 52

M S SU L=+

=+

=2

140 1102

125 , T S SU L= − = − =140 110 30

0<C pk =0.20<1.00이므로 Cp와 병용함이 바람직하다.

CS S S S

spU L U L=−

=−×

=−

×=

6 6140 1106 12 3

0 41$ .

06 어떤 제품의 계량치 품질특성은 정규분포를 따른다. 이 특성의 공정능력지수가 1.0일 때,

몇 PPM이 되는지를 정규분포를 이용하여 계산하시오.

해설 과년도(기사기출) 기사교재 P.4-38

☞ 제품의 계량치 품질특성의 부적합품률은 규격을 벗어나는 비율이다.

CS S

PU L=−

=6

1$σ

의 관계식으로부터 S SU L− = = ±6 3$ $σ σ 이며, 정규분포의 μ σ± 3 로 나타내

면 한계내에 포함하는 면적은 99.73%이다.. 공정능력지수 PCI(CP )=1.0일 때 부적합품률은

3-50 / 제3편 품질경영

1-0.9973=0.0027(0.27%)가 된다.

0.0027(0.27%)을 PPM으로 환산하면 0.0027×1,000.000=2,700PPM

08 Y회사의 품질보증 부서에서는 생산하는 제품 A의 길이(mm)에 대한 특성치를 조사하여

n =l00의 데이터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그린 결과 정규분포 모양이 되었으며 시료평균 x =

44.873mm, 시료분산 s2=0.584 2 mm가 얻어졌다. 이 회사의 제품 A에 대한 규격이 45.5±

2.0mm일 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공정능력을 5등급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시오.

(2) 치우침을 고려한 공정능력지수(CPK )를 구하시오.

해설 과년도(기사기출) 기사교재 P.4-38

(1) 공정능력의 5등급 구분 평가

CS S S S

sPU L U L=−

=−×

=−

×=

6 6475 4356 0584

114$

. ..

→ 1.00<CP =1.14<1.33이므로 공정능력 2등급

(2) 치우침을 고려한 공정능력지수(CPK )

C K C K S SsPK P

U L= − = −−×

= −×

=( ) ( ) ( . ) ..

.1 16

1 0 3135 4 06 0584

0 783

여기서, 치우침도 KM xT

=−

=−

=/

. .. /

.2

45 5 44 8734 0 2

0 3135

MS SU L=

+=

+=

247 5 435

2455. . . , T S SU L= − = − =475 435 40. . .

4. 규격·공차 및 공정능력 : 실기 예상문제 / 3-51

5. 측정시스템

5.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계측기관리 ◈

02 계측목적에 의한 분류 중 관리계측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환경조건에 관한 계측 ㉯ 자재, 에너지에 관한 계측

㉰ 생산능률에 관한 계측 ㉱ 시험, 연구를 위한 계측

해설 2006(기사1회차), 2011(기사3회차) 기사교재 P.5-16

☞ 계측목적에 의한 분류로는 ① 운전계측, ② 관리계측, ③ 시험·연구계측이 있다.

05 계측기능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로트의 품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 생산공정능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 설비의 생산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 측정과정의 정확도와 정밀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해설 2004(기사1회차), 2010(기사1회차) 기사교재 P.5-16

㉰ 개별 단위제품의 품질정보를 제공해 준다.

11 계량의 기본단위 및 현시가 옳게 짝지어진 것은?

㉮ 길이-mm ㉯ 질량-g ㉰ 물질량-mol ㉱ 시간-min

해설 2007(기사1회차) 기사교재 P.5-18

☞ 계량의 7가지 기본단위는 길이(미터, m), 질량(킬로그램, kg), 전류(암페어, A), 시간(초, s),

온도(켈빈, K), 물질량(몰. mol), 광도(칸델라, cd)이다.

14 계측기의 사용시 유의할 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계측기의 정밀도는 제품의 품질기준에 대응할 수 있는 정밀도라야 한다.

㉯ 최종검사에서 제품품질에 대해 만족할 만한 결과가 나오는 계측관리체제를 확립해야 한다.

㉰ 공작용의 한계게이지를 규격보다 엄밀히 하여 검사용과 구분한다.

㉱ 제품품질보다 제조규격을 완화하여 규격의 폭을 넓혀 주어야 한다.

해설 2002(기사2회차) 기사교재 P.5-18

㉱ 여기서 제품품질은 설계품질을 의미하며, 제품품질(협의의 제품 설계규격)보다 제조규격을

엄격하게 하여 (제조)규격의 폭을 좁혀 주어야 종국적으로 설계품질을 만족할 수 있게 된다.

◈ 측정시스템의 평가 (MSA) ◈

01 좋은 측정시스템이 지녀야 하는 일반적인 통계적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 측정시스템은 통계적으로 안정된 관리상태에 있어야 한다.

3-52 / 제3편 품질경영

해답 02. ㉱ 05. ㉰ 11. ㉰ 14. ㉱ ┃ 01. ㉱

㉯ 측정시스템에서 파생된 산포는 제조공정에서 발생한 산포에 비해서 충분히 작아야 한다.

㉰ 측정시스템에서 파생된 산포는 제품의 규격에 비해서 충분히 작아야 한다.

㉱ 계측기는 규격과 동일한 눈금으로 읽을 수 있어야 한다.

해설 2007(기사2회차) 기사교재 P.5-18

㉱ 계측기는 규격보다 1단계 이상 낮은 눈금으로, 즉 규격치 단위의 1/2이상 읽을 수 있어야

한다. 이는 규격보다 더욱 세밀한 눈금으로 읽을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02 측정장비가 마모나 기온, 온도 등과 같은 환경변화에 의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동일 제

품의 계측 결과가 다른 경우를 의미하는 것은?

㉮ 안정성의 결여 ㉯ 재현성의 결여 ㉰ 정밀도의 결여 ㉱ 선형성의 결여

해설 2009(기사1회차) 기사교재 P.5-19

㉮ 안정성(stability, drift) → 동일한 마스터 또는 시료에 대하여 하나의 측정시스템을 사용해서

장기간에 걸쳐 단 하나의 특성을 측정하여 얻은 측정값의 총변동이다.

03 측정시스템에서 선형성, 편의, 정밀성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 선형성은 Gage R&R로 측정한다.

㉯ 편의가 기대 이상으로 크면 계측시스템은 바람직하다는 뜻이다.

㉰ 계측기의 측정범위 전 영역에서 편의값이 일정하면 정확성이 좋다는 뜻이다.

㉱ 편의는 측정값의 평균과 이 부품의 기준값(reference value)의 차이를 말한다.

해설 2010(기사1회차) 기사교재 P.5-19

☞ 측정시스템에 관련되는 오차 또는 변동의 유형에는 ① 편의(bias), ② 반복성, ③ 재현성,

④ 안정성, ⑤ 선형성의 5가지가 있다.

㉮ 반복성과 재현성은 Gage R&R로 측정한다.

㉯ 편의(偏倚, bias ; 치우침, 편향, 편기) → 기준값과 관측된 측정값의 평균과의 차이이다.

여기서 기준값은 승인된 기준값 또는 참값을 말한다. 편의는 작을수록 좋다.

㉰ 편의값이 작으면 정확성이 좋다는 의미이다.

06 동일한 측정자가 동일한 측정기를 이용하여 동일한 제품을 여러 번 측정하였을 때 파생

되는 측정변동을 의미하는 것은?

㉮ 정확성(accuracy) ㉯ 안정성(stability)

㉰ 반복성(repeatability) ㉱ 재현성(reproducibility)

해설 2008(기사3회차) 기사교재 P.5-20

☞ 반복성은 동일한 측정자일 때의 계측기변동을 말하고, 재현성은 여러 명의 측정자가 있을 때

의 측정자간 변동인 측정자변동을 말한다.

08 측정시스템에서 계측기의 산포(σ M )가 0.24, 계측자의 산포(σ 0 )가 0.9일 때 측정시스템

의 산포(Gage R&R)는 얼마인가?

㉮ 0.26 ㉯ 0.93 ㉰ 1.05 ㉱ 1.14

5. 측정시스템 : 필기 예상문제 / 3-53

해답 02. ㉮ 03. ㉱ 06. ㉰ 08. ㉯

해설 2004(기사1회차) 기사교재 P.5-20

☞ 측정시스템의 산포 Gage R&R= ( ) ( ) . . .EV AV M2 2 2

02 2 20 24 0 9 0 931+ = + = + =σ σ

여기서, EV : Equipment Variation(계측기 변동)

AV : Appraisal Variation(측정자 변동)

09 게이지 R&R 평가결과 %R&R이 18.5%로 나타났다. 이 계측기에 대한 평가와 조치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

㉮ 계측기의 관리가 매우 잘되고 있는 편이므로 그대로 적용하는데 큰 무리가 없다.

㉯ 계측기의 수리비용이나 계측오차의 심각성 등을 고려하여 조치여부를 선택적으로 결정해

야 한다.

㉰ 계측기관리가 미흡하며 반드시 계측기 오차의 원인을 규명하고 해소시켜 주어야만 한다.

㉱ 계측기관리가 전혀 되지 않고 있으므로 이 계측기는 폐기해야만 한다.

해설 2004(기사3회차), 2006(기사2회차) 기사교재 P.5-20

㉮ %R&R이 10%이하인 경우. ㉰ %R&R이 30%를 넘는 경우

10 다음 중 계측기의 선형성이 나쁠 경우 이에 대한 대책 및 점검 사항으로 보기에 가장 거

리가 먼 것은?

㉮ 계측기가 마모되었는지 확인한다. ㉯ SPC 관리도로 공정의 이상원인을 제거한다.

㉰ 기준값(reference value)이 정확한가를 점검한다.

㉱ 계측기의 측정범위 중 상담 및 하단부의 눈금이 적합한지를 조사한다.

해설 2010(기사3회차) 기사교재 P.5-21

☞ 선형성(Linearity, 직선성)이란 계측기의 예상되는 작동범위에 걸쳐 생기는 편의값들의 차이

로서, 선형성이 나쁜 원인으로서는 ㉮, ㉰, ㉱ 및 계측기 내부의 설계에 문제가 있는 경우 등

이다.

11 어떤 측정법으로 동일 샘플을 무한 횟수 측정하였을 때 평균값과 참값의 차이를 무엇이

라고 하는가?

㉮ 오차 ㉯ 편차 ㉰ 치우침 ㉱ 정밀도

해설 2002(기사2회차), 2012(기사1회차) 기사교재 P.5-21

㉮ 오차 : 참값과 측정치와의 차이

㉰ 치우침(bias, 편의, 편기) : 참값과 측정 평균값과의 차이, 정확도 평가를 의미.

12 측정시스템에서 측정오차를 설명한 것 중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 위치 - 정밀도, 안정성 ㉯ 퍼짐 - 재현성, 정밀도

㉰ 위치 - 안정성, 재현성 ㉱ 퍼짐 - 직선성, 안전성

해설 2007(기사3회차) 기사교재 P.5-21

3-54 / 제3편 품질경영

해답 09. ㉯ 10. ㉯ 11. ㉰ 12. ㉯

☞ 측정시스템의 변동(측정오차)에는 위치(location)에 관한 것인 ① 편의(bias, 치우침), ② 안

정성(stability), ③ 선형성(linearity)가 있고, 퍼짐(spread)에 관한 것인 ① 반복성

(repeatability), ② 재현성(reproducibility)이 있다.

13 측정조건이 나쁘거나 측정하는 사람의 주의력이 부족하여 나타나는 오차는?

㉮ 개인적 오차 ㉯ 우연오차 ㉰ 계통적 오차 ㉱ 측정오차

해설 2003(기사3회차) 기사교재 P.5-21

☞ 측정오차는 우연오차와 계통(적)오차(또는 교정오차)로 나누어진다.

① 우연오차는 확률오차와 과실오차(mistake error)로 나뉘어진다.

② 계통(적인)오차(교정오차, calibration error)는 계기오차, 이론오차, 개인오차로 나뉜다.

15 측정오차의 표준편차가 σ E =3.0으로 측정되는 계측기를 사용하여 어떤 특성치를 측정하

는 데 99% 신뢰수준에서 오차가 ±0.5이하가 되는 정도가 요구되는 경우의 관측횟수는?

㉮ 205.9 ㉯ 227.8 ㉰ 239.6 ㉱ 248.6

해설 2006(기사3회차) 기사교재 P.5-22

☞ 신뢰수준이 99%이므로 위험률 α = 001. 이고,

오차의 허용한계 E Kn

Kn

E= = ≤ασ

/ .. .2 0 005

30 05 , K u0 005 0 995 2576. . .= = 이므로

∴ nK

EKE≥

×⎛⎝⎜

⎞⎠⎟

=×⎛

⎝⎜⎞⎠⎟

=×⎛

⎝⎜⎞⎠⎟

=α σ/ . ..

. ..

.22

0 0052 23 0

0 52 576 30

0 5238 89 → n = 239

5. 측정시스템 : 필기 예상문제 / 3-55

해답 13. ㉯ 15. ㉰

5.2 문제은행식 실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측정시스템의 평가 (MSA) ◈

02 측정시스템의 5가지 변동을 위치(location) 및 퍼짐(spread)에 따라 구분하시오.

해설 과년도(기사기출) 기사교재 P.5-23

(1) 위치(location)에 따른 측정시스템의 변동

① 편의(bias, 치우침), ② 안정성(stability, drift), ③ 선형성(linearity)

(2) 퍼짐(spread)에 따른 측정시스템의 변동

① 반복성(repeatability), ② 재현성(reproducibility)

03 다음은 국가표준기본법에 규정된 내용이다. 이 법은 국가표준제도의 확립을 위한 기본적

인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과학기술의 혁신과 산업구조 고도화 및 정보화 사회의 촉진을 도모하

여 국가경쟁력 강화 및 국민복지 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 )안에 적합한 단어를 적으시오.

(1) 정부는 제7조의 규정에 의한 국가표준기본계획 및 국가표준관련부처간의 효율적인 업무조정

에 관한 중요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국무총리소속하에 ( ① )를 둔다.

(2) 국가표준기본계획은 ( ② )이 관련중앙행정기관별 계획을 종합하여 5년 단위로 수립하되,

( ① )의 심의를 거쳐 이를 확정한다.

(3) 국가측정표준원기의 유지·관리, 표준과학기술의 연구·개발 및 보급, 각국 표준과학기술기관

과의 교류 및 기타 정부가 위촉하는 사업은 법률에 의하여 설립된 ( ③ )이 수행하며,

( ③ )을 국가측정표준대표기관으로 한다.

해설 과년도(기사기출) 기사교재 P.5-23

① 국가표준심의회, ② 지식경제부장관, ③ 한국표준과학연구원

3-56 / 제3편 품질경영

6. 품질혁신활동 및 기타

6.1 문제은행식 필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6시그마 활동 ◈

02 다음 중 6시그마 품질수준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김포공항에서 연간 40건의 착륙오차가 발생했다고 한다. 연간 평균 6,000번 착륙이 일어

난다고 한다.

㉯ 어떤 지역에서 매주 약 0.1초간의 전화불통 또는 TV전송장애가 일어났다. 매주 평균 8.5

시간 정도로 전화를 사용한다.

㉰ 어느 대학에서 100년간 약 1통의 우편물이 분실된다고 한다. 이 대학은 연평균 2,942통

우편물이 이용된다.

㉱ 어떤 종합병원에서 40년에 1건 정도의 잘못된 수술을 했다. 이 병원은 연간 평균 7,353건

수술을 한다고 한다.

해설 2007(기사2회차) 기사교재 P.6-60

☞ DPMO(Defect Per Million Opportunities, 100만 기회당 결함수)는

DPMO = ×총결함수

총결함발생기회수1 000 000, , 의 관계식으로부터

㉮ DPMO,

DPMO= × =40

6 0001 000 000 6 666 67, , , .

㉯ DPMO DPMO=× ×

× =01

85 60 601000 000 327.

., , .

㉰ DPMO,

DPMO=×

× =1

2 942 1001 000 000 340, , .

㉱ DPMO,

DPMO=×

× =1

7 353 401 000 000 340, , .

03 다음 중 6σ 수준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 CP = 2 ㉯ 규격하한에서 규격상한까지의 거리가 표준편차의 12배가 되는 경우

㉰ 3.4ppm(±1.5σ 의 치우침을 고려했을 때) ㉱ Cpk = 1 (±1.5σ 의 치우침을 고려했을 때)

해설 2008(기사2회차) 기사교재 P.6-61

☞ 6σ 품질수준

① 6σ 품질수준은 분포에 치우침이 없을 경우 ㉮ 공정능력지수 CS S

PU L=−

= =6

126

σσ

서, ㉯ 규격하한에서 규격상한까지의 거리가 표준편차의 12배가 되는 경우, 즉 S SU L−

= 12σ 일 때이다.

6. 품질혁신활동 및 기타 : 필기 예상문제 / 3-57

해답 02. ㉮ 03. ㉱

② 분포가 어느 한쪽으로 1.5σ 만큼 치우쳐 있을 때의 치우침도는 KM xT

=−

= =/

. .2

156

0 25σσ

이므로 ㉱ 치우침을 고려한 공정능력지수 C K Cpk P= − = − × =( ) ( . ) .1 1 0 25 2 15가 되고,

㉰ C pk = 15. 일 때는 분포가 치우친 쪽의 규격한계를 벗어나는 부적합품률은 3.4ppm(±

1.5σ 의 치우침을 고려했을 때)이 된다.

04 6 sigma 품질을 불량률 3.4ppm과 연관시킬 때 목표치로부터 공정평균의 흔들림을 어느

정도까지 허용한 것인가?

㉮ ±0.5 sigma ㉯ ±1.5 sigma ㉰ ±3 sigma ㉱ ±6 sigma

해설 2004(기사3회차), 2006(기사3회차), 2011(기사3회차) 기사교재 P.6-61

☞ 모토롤라의 6 Sigma 활동은 목표치 6 sigma로부터 ±1.5 sigma까지 공정평균의 흔들림

(shift)을 허용함으로써 장기공정능력 4.5 sigma일 때의 불량률 3.4ppm을 목표로 하였다.

05 6시그마 품질혁신운동에서 사용하는 시그마 수준 측정과 공정능력지수(CP )의 관계를 바

르게 설명한 것은?

㉮ 시그마 수준과 공정능력지수는 차원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비교할 수 없다.

㉯ 시그마 수준은 공정능력지수에 3을 곱하여 계산할 수 있다. 즉 CP값이 1이면 3시그마 수

준이 된다.

㉰ 시그마 수준은 부적합품률에 대한 관계를 나타내고, 공정능력지수는 양품률을 나타내는 능

력이므로 시그마 수준과 공정능력지수는 반비례 관계이다.

㉱ 시그마 수준에서 사용하는 표준편차는 장기표준편차로 계산되고 공정능력지수의 표준편차

는 군내변동에 대한 단기표준편차로 계산되므로 공정능력지수는 기술적 능력을, 시그마 수

준은 생산수준을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해설 2010(기사2회차) 기사교재 P.6-61

㉯ 치우침이 없는 경우 공정능력지수 CS S

PU L=−

6 $σ이고, S SU L− = 6 $σ 이면 CP = 1로서 3σ

수준, S SU L− = 12 $σ 이면 CP = 2로서 6σ 수준이다.

06 모토롤라에서 시작된 6시그마활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 공정능력지수 PCI(CP )=2.0을 목표로 하는 활동이다.

㉯ 공정품질특성치의 평균값이 목표치에 위치하고 있다고 가정할 때 부적합품(불량)률 3.4

ppm을 목표로 한다.

㉰ 6시그마란 목표치에서 주어진 상·하한 규격한계까지의 σ 여유폭을 의미한다.

㉱ 6시그마활동은 품질 우연변동 요인을 고려하여 치우침을 고려한 공정능력지수 PCI(Cpk )

는 C pk ≥ 15. 를 실현하려는 노력이다.

해설 2004(기사2회차), 2011(기사2회차) 기사교재 P.6-62

3-58 / 제3편 품질경영

해답 04. ㉯ 05. ㉯ 06. ㉯

㉯ 6시그마활동은 공정평균이 목표치에서 ±1.5σ 만큼 치우쳐 있다고 가정할 때 목표는 장기공

정능력 4.5σ 일 때의 불량률(부적합품률) 3.4ppm(99.99966%)이다.

09 6σ 관리에서 현실적으로 공정의 중심을 ±1.5σ 만큼 이동되는 것을 허용한다면, 이때 6σ 와 같은 품질 수준은?

㉮ 0.002ppm, C P = 2 0. ㉯ 0.002ppm, C pk = 15.

㉰ 3.4ppm, C pk = 15. ㉱ 3.4ppm, CP = 2 0.

해설 2006(기사2회차) 기사교재 P.6-62

☞ 6σ 관리한계를 벗어나는 부적합품률이 3.4ppm이고, 6σ 중 1.5σ 만큼 이동되면 치우침도

는 K = =156

0 25. .σσ

이고, 치우침을 고려한 공정능력지수 C K Cpk P= − = − × =( ) ( . ) .1 1 0 25 2 15

가 된다.

10 공정의 치우침이 없을 경우 6시그마 품질수준에서의 공정 부적합률은 약 몇 ppm인가?

㉮ 0.002 ㉯ 1 ㉰ 3.4 ㉱ 233

해설 2009(기사2회차), 2012(기사1회차) 기사교재 P.6-63

㉮ 1.5σ 만큼 치우침이 있는 경우 3.4ppm 수준이나, 치우침이 없는 경우 0.002ppm이다.

13 6시그마 경영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 부적합품을 근원적으로 제거하여 예방비용을 혁신적으로 감소시킨다.

㉯ 품질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이익을 극대화시킨다.

㉰ 고객만족을 위해서 획기적으로 부적합품률을 감소시킨다.

㉱ 품질이 향상되어 기업의 경쟁력이 강화된다.

해설 2007(기사3회차) 기사교재 P.6-63

㉮ 부적합품을 제거하여 COPQ(저품질비용)를 비롯하여 실패비용을 혁신적으로 감소시킨다.

◈ 싱글 PPM 인증 제도 ◈

02 Single PPM 추진내용 중 원인파악 단계에서 추진할 내용이 아닌 것은?

㉮ 요구품질 파악 ㉯ 공정 현장조사 ㉰ 3차원 대책수립 ㉱ 부적합유형 분석

해설 2010(기사3회차) 기사교재 P.6-64

☞ 문제의 원인파악은 현상파악과 원인분석 중 어느 것인지 명확하지는 않으나 이를 묶어서 보

도록 한다.

㉰항은 대책수립과 대책실시가 이루어지는 개선단계(L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이다.

6. 품질혁신활동 및 기타 : 필기 예상문제 / 3-59

해답 09. ㉰ 10. ㉮ 13. ㉮ ┃ 02. ㉰

◈ 품질분임조활동 ◈

02 품질관련 소집단활동 유형이 아닌 것은?

㉮ ZD운동 ㉯ 품질분임조활동 ㉰ 품질위원회 ㉱ 품질프로젝트팀

해설 2005(기사1회차) 기사교재 P.6-65

㉰ 품질위원회는 품질경영위원회, 품질관리위원회를 말하며, 종합적 품질경영활동과 관련된 주

요 사항에 관하여 심의하는 기구로서, 최고경영자의 자문에 응하는 역할을 하되, 소집단활동

유형으로 보지는 않는다.

05 품질분임조활동에서 주제 선정의 원칙으로 틀린 것은?

㉮ 구체적인 주제이어야 한다. ㉯ 금액효과가 큰 것만을 테마로 한다.

㉰ 조원들 전원에게 공통적인 것이 좋다. ㉱ 단기간에 해결 가능한 것이 좋다.

해설 2008(기사3회차), 2012(기사1회차) 기사교재 P.6-66

☞ 품질분임조활동에서 개선주제 선정시의 주의사항으로서는 ① 해결이 쉬울 것, ② 공통적인

문제일 것, ③ 약 3개월 내에 해결될 수 있는 간단한 문제일 것, ④ 구체적일 것, ⑤ 해결가

능할 것, ⑥ 사무국에 등록 후 추진할 것, ⑦ 개선결과의 종료보고 등을 염두에 두고 선정한

다.

㉯ 금액효과가 큰 테마 선정은 부차적인 것이며, 금액효과가 작더라도 관련되는 주제를 선정하

도록 한다.

◈ 품질관리 수법 ◈

03 파레토(Pareto)도를 사용하여 고객클레임의 주요 항목이 무엇인가를 찾아내었다. 고객만

족을 위해 전체적인 클레임수를 줄이려고 한다. 다음 중 어떤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그 원인을

찾는 데 가장 효율적인가?

㉮ 히스토그램(histogram) ㉯ 체크시트(check-sheet)

㉰ 특성요인도(特性要因圖) ㉱ 산점도(scatter diagram)

해설 2006(기사3회차), 2006(산기1회차), 2011(기사2회차) 기사교재 P.6-68

㉰ 고객클레임(결과)의 원인을 찾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특성요인도이다. 즉, 특성요인도는 고

객클레임의 주요항목(결과로서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으로 요인 중에서 결과에

영향을 준 참요인(원인)을 찾고자 할 때 사용한다.

07 금속가공품의 제조공장에서 부적합품을 조사하여 보니 다음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손실금액의 파레토그림을 그릴 때 표면불량의 누적백분율은 약 몇 %인가?

3-60 / 제3편 품질경영

해답 02. ㉰ 05. ㉯ ┃ 03. ㉰ 07. ㉱

부적합 항목 부적합 개수 1개당 손실

재료 15 600

치수 35 2,000

표면 108 200

형상 63 400

기타 35 평균 300

㉮ 42.19 ㉯ 52.19 ㉰ 75.69 ㉱ 85.69

해설 2007(기사1회차) 기사교재 P.6-68

☞ 손실금액의 파레토그림에서 표면불량의 누적백분율

치수 형상 표면 재료 기타 계

손실금액 70,000 25,200 21,600 9,000 10,500 136,300

누적백분율(%) 51.36 69.85 85.69 92.30 100.00

09 다음 중 도수분포표를 작성할 때 일반적으로 계급의 수를 결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단, N 은 로트의 크기이다.)

㉮ N ㉯ N 1 3/ ㉰ 1 33+ . log N ㉱ 경험적 방법

해설 2010(기사1회차) 기사교재 P.6-69

㉰ H. A. Sturges 공식. kN

N= + = +12

1 3 3loglog

. log

12 부적합품이 나왔을 때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두 개 이상의 부분집단(재료별, 시간별 등)

으로 구분하여 데이터를 선정하면 부적합품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수법은?

㉮ 산점도 ㉯ 층별 ㉰ 관리도 ㉱ 파레토도

해설 2008(기사2회차) 기사교재 P.6-70

㉯ 층별(stratification)은 같은 공통점, 경향, 특징 등을 갖는 층으로 구분한 것을 말한다.

이는 문제에 대한 원인추구를 쉽게 한다. 그리고 층별은 QC기초수법들의 기초가 되고 있다.

13 도수분포표는 자료를 정리하는 방법으로써 자료들의 흩어진 모양이나 중심을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도수분포표는 수집된 자료 개개 수치들을 나타낼 수 없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보완한 자료정리 도구는 무엇인가?

㉮ 특성요인도 ㉯ 파레토도 ㉰ 줄기-잎그림 ㉱ 레이더그래프

해설 2006(기사1회차) 기사교재 P.6-70

㉰ 줄기-잎 그림(stem-and-leaf display)은 도수분포도와 가장 유사한 그림이다. 줄기를 기준

으로 하고 잎은 숫자로 표현한 히스토그림을 90 0 우측으로 회전한 그림이다.

데이터를 줄기-잎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 그림과 같다.

6. 품질혁신활동 및 기타 : 필기 예상문제 / 3-61

해답 09. ㉯ 12. ㉯ 13. ㉰

3 2

4 6

5 3, 4, 6

6 1, 8

7 2

왼쪽이 줄기이고 오른쪽이 잎에 해당하는데, 32, 46,L , 72 숫자들을 표현한 것이다.

15 동적 품질정보의 관리를 위해 활용되는 품질관리도구로 가장 적합한 것은?

㉮ 관리도 ㉯ 산점도 ㉰ 파레토도 ㉱ 히스토그램

해설 2003(기사1회차) 기사교재 P.6-71

☞ 꺾은선 그래프는 데이터의 동적인 변화를 나타내 주며, 관리도가 대표적이다.

16 품질관리수법인 신QC 7가지 기법의 특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계획을 충실하게 하는 기법이다. ㉯ 주로 언어데이터를 사용하는 기법이다.

㉰ 산포의 원인을 조사해서 공정을 관리함을 목적으로 한다.

㉱ 관계자 전원이 협력해서 문제해결을 조직적·체계적으로 진척시키는 데에 도움이 된다.

해설 2009(기사1회차) 기사교재 P.6-71

㉰항은 QC 7가지 도구에 대한 설명이다.

18 다음의 내용은 신QC 7가지 도구 중 어디에 속하는가?

"미지, 미경험의 분야 등 혼돈된 상태 가운데서 사실, 의견, 발상 등을 언어 데이터에

의하여 유도하여 이들 데이터를 정리함으로써 문제의 본질을 파악하고 문제의 해결과

새로운 발상을 이끌어 내는 방법"

㉮ 계통도법 ㉯ 연관도법 ㉰ 친화도법 ㉱ 매트릭스도법

해설 2005(기사3회차), 2010(기사1회차) 기사교재 P.6-71

㉰ KJ법(친화도법)은『혼돈된 상태에서 수집한 언어 데이터를 상호의 친화성에 의해서 통합한

그림을 작성함으로써 해결해야 할 문제의 소재·형태를 명확히 하는 방법』으로 정의되며, 여

기서 KJ는 일본의 학자 이름인 가와끼다 지로오(Kawakita Jiro)의 두문자를 딴 것이다.

21 문제가 되는 사상(결과)에 대하여 요인(원인)이 복잡하게 엉켜있는 경우에, 인과관계나

요인 상호관계를 밝힘으로써 원인의 탐색과 구조를 명확히 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 친화도법 ㉯ 연관도법 ㉰ 매트릭스도법 ㉱ 애로우다이어그램

해설 2006(기사2회차) 기사교재 P.6-72

☞ 연관도법은「복잡한 요인(원인-결과, 목적-수단)이 얽혀 있는 문제에 대하여 각 요인의 인과

관계를 논리적으로 연결하여 명확히 함으로써 적절한 해결책을 찾아내는 방법」으로 정의된

다.

3-62 / 제3편 품질경영

해답 15. ㉮ 16. ㉰ 18. ㉰ 21. ㉯

23 신QC7가지 도구 중 계통도법의 용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 목표, 방침, 실시사항의 전개 ㉯ 다량 데이터의 부적합요인 해석

㉰ 공장 이전계획 및 정기보전 관리 ㉱ 시스템의 중대사고 예측과 대응책 결정

해설 2008(기사3회차) 기사교재 P.6-72

㉯는 연관도법, ㉰는 애로우다이어그램법, ㉱는 매트릭스데이터해석법이 유효하다.

24 문제가 되고 있는 사상 중 대응되는 요소를 찾아 내어 이것을 행과 열로 배치하고 그 교

점에 각 요소의 연관 유무나 관련 정도를 표시함으로 문제의 소재나 형태를 탐색할 때 이용되

는 기법은?

㉮ 특성요인도 ㉯ 계통도법 ㉰ 친화도법 ㉱ 매트릭스도법

해설 2008(기사2회차) 기사교재 P.6-72

㉱ 매트릭스도법은「문제가 되고 있는 항목 가운데서 짝이 되는 요소를 찾아내서 행과 열로 배

치하여 그 교점에 각 요소의 관련 유무 및 정도를 표시함으로써 착상의 포인트를 얻어 문제

해결을 효과적으로 추진하여 가는 방법」을 말한다.

25 품질계획에서 많이 활용되는 품질기능(QFD)에서 무엇(what)과 어떻게(how)의 관계를 나

타낼 때 사용하는 기법은?

㉮ 친화도법 ㉯ 계통도법 ㉰ 매트릭스도법 ㉱ PDPC법

해설 2006(기사3회차), 2011(기사2회차) 기사교재 P.6-73

㉯ 품질기능전개(QFD)에서 목적=무엇(what), 수단=어떻게(how)의 관계이다.

㉰ 매트릭스도법은「무엇과 어떻게」의 관계에서, 다만 상호관련성의 정도를 나타낼 뿐이다.

29 신제품 개발단계의 품질관리 추진에서 가장 효과적인 기법은?

㉮ 공정능력지수 ㉯ 관리도 ㉰ 품질기능전개 ㉱ QC공정도

해설 2007(기사2회차) 기사교재 P.6-73

㉰ 광의의 품질기능전개(quality function deployment)는「품질전개」와「품질기능전개」의 총

칭이며, 이는 신제품개발단계에서 특히 유효한 기법이다.

① 품질전개(QD ; quality deployment)란『user의 요구특성을 대용특성으로 하고, 완성품의

설계품질을 정하여, 이것을 각 구성유닛의 품질, 나아가 하나하나의 부품 품질이나 공정

의 요소에 이르기까지 이것들 사이의 관련을 계통적으로 전개해 나가는 일』로 정의된다.

② 품질기능전개(QFD ; quality function deployment)는『품질을 형성하는 직능 내지는 업

무를「목적-수단」의 체계에 따라 세부 단계적으로 전개해 나가는 것』으로 정의된다.

31 품질관리의 2가지 접근방법 중 설계적 접근방법의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부적합 또는 결함의 재발방지 ㉯ 부적합 또는 결함의 해석

㉰ 부적합 또는 결함의 예방 ㉱ 요구품질의 정확한 파악

해설 2004(기사1회차) 기사교재 P.6-74

6. 품질혁신활동 및 기타 : 필기 예상문제 / 3-63

해답 23. ㉮ 24. ㉱ 25. ㉯ 29. ㉰ 31. ㉰

☞ 품질기능전개(QFD)의 방법은 설계적 접근방법, 해석적 접근방법의 2가지가 있다.

① 설계적 접근방법 : 부적합 또는 결함의 발생방지(예방)에 초점을 두고 품질관리기능을 전

개하는 방법이다.

② 해석적 접근방법 : 부적합 또는 결함의 재발방지에 초점을 두고 품질관리기능을 전개하는

방법이다.

32 고객이 요구하는 참된 품질을 언어표현에 의해 체계화하여 이것과 품질특성과의 관련을

짓고, 고객의 요구를 대용특성으로 변화시키며 품질설계를 실행해 나가는 표가 최근 매우 유용

하게 사용되고 있는 데 이와 같은 품질표를 사용하는 기법은7

㉮ 친화도 ㉯ FMEA/FTA ㉰ QFD ㉱ 매트릭스 데이터 해석

해설 2003(기사1회차), 2011(기사3회차) 기사교재 P.6-74

㉰ QFD(품질기능전개)에서는 품질표(HOQ : House Of Quality, "품질의 집"이라고도 함)를 사

용하여 고객의 요구품질을 제품특성으로 변환 전개한다.

☞ 품질전개시스템(flow)에 따라서 ① 요구품질전개와 품질특성전개에 의한 matrix에 의해「품

질표」의 구성, ② 품질표에 의거 제품시방(또는 기획특성)의 도출, ③ 다시 서브시스템(부

품)전개에 의해 부품품질특성의 도출, ④ 부품전개의 실시, ⑤ 공정전개(QC공정계획표), ⑥

QC공정표의 작성 등 일련의 과정이 이루어진다.

33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에 대한 현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여

러 가지 도구가 활용된다. 다음 중 현상파악을 위해 사용되는 도구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친화도법 ㉯ 연관도법 ㉰ 애로우다이어그램 ㉱ 특성요인도

해설 2004(기사3회차) 기사교재 P.6-74

㉰ 애로우다이어그램(arrow diagram)은 대책단계(대책수립 및 관리)에서 최적의 일정계획을 세

워 효율적으로 진척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PERT나 CPM의 기초가 되는 도구이다.

34 품질기능전개의 핵심적 수단인 품질주택(House of Quality)을 작성할 때 필요한 구성요

소가 아닌 것은?

㉮ 고객의 요구 속성 ㉯ 기술특성

㉰ 고객요구 중요도와 기술특성 중요도 간의 비교 평가

㉱ 제품에 대한 고객 인지도 평가

해설 2008(기사2회차) 기사교재 P.6-75

㉰ '고객요구 중요도와 기술특성 중요도 간의 상호 관련성의 정도 평가'가 되어야 옳다.

◈ 5S(5행)활동 및 눈으로 보는 관리 ◈

01 품질경영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많은 공장에서는 5S운동을 전개한다. 다음 중 5S

에 속하지 않는 것은?

㉮ 정리 ㉯ 단순화 ㉰ 청결 ㉱ 습관화

3-64 / 제3편 품질경영

해답 32. ㉰ 33. ㉰ 34. ㉰ ┃ 01. ㉯

해설 2008(기사2회차) 기사교재 P.6-75

☞ 5S운동은 5S(행)활동이라고도 하며, ① 정리, ② 정돈, ③ 청소, ④ 청결, ⑤ 생활화(습관화)

의 5요소 활동을 말한다.

◈ 관능검사 ◈

02 관능검사에 있어서 판정자가 무의식적으로 심리적인 오류를 범하는 오차의 종류를 잘못

설명한 것은?

㉮ 기대오차란 판정자의 선입관에서 오는 심리적인 오차

㉯ 관습오차란 2가지의 시료 자체에는 차가 없는데도 용기, 절차. 기타 관련조건이 다르면 차

이가 있다고 오판하는 데서 오는 오차

㉰ 근사오차란 동일시료에 관계된 특성들을 비슷하게 평가하는 데서 오는 오차

㉱ 순위오차란 시료의 제시순서 또는 제시위치에 따라 판정자 선입관에 의해 일어나는 오차

해설 2004(기사2회차) 기사교재 P.6-76

㉯ 관련자극오차에 대한 설명이며, 관습오차 혹은 습관오차(error of habituation)는 자극강도의

계열이 아주 완만하게 증가하든가 감소할 때 마치 동일강도가 계속되는 것처럼 느껴지는 경

향에서 오는 오차이다.

03 차이식별 검사에서 샘플 A, B를 맹시료(盲試料)로 (A, A, B)(B, A, B)와 같은 짝으로 하

여 제시하고 홀수샘플 또는 짝수샘플을 선택하게 하는 방법은?

㉮ 1·2점시험법 ㉯ 단일시료법 ㉰ 2점 대비법 ㉱ 3점 시험법

해설 2002(기사1회차) 기사교재 P.6-76

㉮ 1·2점 시험법(due-trio test) → 먼저 표준품 또는 알려져 있는 대조시료를 제시하고, 다음

에 대조시료와 미지시료의 두 개를 제시하여 어느 것이 먼저 것과 동일한가를 지적하게 하

는 방법이다.

㉯ 단일시료법(single stimuli) → 한 개의 시료를 제시하여 자기의 기억표준과 비교하게 하는

것. 커피, 주류 등 기호품의 전문감정가는 이 방법으로 시료를 감별한다.

㉰ 2점 대비법(paired-comparison test) → 표준품 또는 대조시료와 시험하고자 하는 시료의

두 개를 동시에 제시하여 차이 유무를 비교 식별하게 하는 방법.

㉱ 3점 시험법(triangle test) → 두 개는 같고, 나머지 한 개는 다른 3점의 시료가 동시에 제시

시되어 어느 것이 홀수시료인가를 지적하게 하는 방법

04 신제품개발, 품질관리 등에 널리 사용되며 여러 가지 시료에 대하여 표준품과 비교시켜

그 차이비율을 점수로 채점하는 방법은?

㉮ 채점법 ㉯ 순위법 ㉰ 희석법 ㉱ 묘사법

해설 과년도(기사기출) 기사교재 P.6-76

☞ 관능검사방법으로는 ① 차이식별검사(difference tests)와 ② 질과 양의 검사가 있다.

6. 품질혁신활동 및 기타 : 필기 예상문제 / 3-65

해답 02. ㉯ 03. ㉱ 04. ㉮

㉮ 채점법(scoring test) → 여러 가지 시료에 대하여 표준품과 비교시켜 그 차이 비율을 점수

로 나타내는 방법. 이 방법을 실시함에는 훈련된 패널을 사용하고 여러 가지 준비 조건이 먼

저 이루어져야 한다.

◈ 품질경영 관련 용어 ◈

02 다음 중 게하니(R. Gehani)교수가 제창한 품질가치사슬에서 TQM의 전략목표인 고객만

족품질을 얻는데 융화되어야 할 3가지 품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검사품질 ㉯ 제품품질 ㉰ 경영종합품질 ㉱ 전략종합품질

해설 2007(기사1회차), 2011(기사2회차) 기사교재 P.6-77

☞ 제품품질은 공급자 종합품질, 공정관리 종합품질, 검사품질을 바탕으로 하는 품질가치 사슬

구조의 하층기반 품질이다. 고객만족품질은 ㉯항, 중심부는 ㉰항, 상층부는 ㉱항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04 가빈(D. A. Garvin) 교수가 제시한 것으로서 품질의 전략적 분석을 위한 프레임으로 활

용할 수 있는 품질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 성능(performance) ㉯ 내구성(durability)

㉰ 심미성(aesthetics) ㉱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해설 2009(기사3회차), 2011(기사1회차) 기사교재 P.6-77

☞ 미국 하버드대학 D. A. Garvin 교수가 제시한 품질의 8가지 범주(차원)

범 주 개 념

성능 제품이 가지고 있는 운영적인 특징

특징 특정의 제품이 가지고 있는 경쟁적 차별성

신뢰성 잘못되거나 실패할 가능성의 정도

적합성 고객들의 세분화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

지속성 제품이 고객에게 지속적으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기간

서비스 편의성기업이 고객을 통하여 가질 수 있는 경쟁력으로 속도, 친절,

경쟁력, 문제해결 능력

심미성 사용자 감각에 소구할 수 있는 내용

인지 품질 기업 혹은 브랜드의 명성

05 크로스비(P. B. Crosby)의 품질경영에 대한 사상을 정리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수행표준은 무결점이다. ㉯ 품질의 척도는 시장품질이다.

㉰ 품질은 고객요구사항에의 일치로 정의한다.

㉱ 고객의 요구사항을 위해 공급자가 갖추어야 되는 품질시스템은 당초부터 올바르게 일을

행하는 것이다.

해설 2010(기사2회차) 기사교재 P.6-78

☞ 크로스비(P. B. Crosby)의 품질에 대한 기본철학은 절대원칙이라고 지칭한 다음의 4가지 기

본적인 신념에 기초를 두고 있다.

3-66 / 제3편 품질경영

해답 02. ㉮ 04. ㉱ 05. ㉯

구 분품질의 절대원칙

전통적 견해 크로스비

1. 정의 양호함 요구에의 적합성

2. 시스템 평가 예방

3. 표준 충분히 근접 완전무결(ZD)

4. 척도 지표(indices) 부적합(결함)비용

06 허츠버그(Frederick Herzberg)의 동기부여-위생이론에서 만족(동기)요인에 해당되지 않

는 것은?

㉮ 인정 ㉯ 성취감 ㉰ 임금, 보수 ㉱ 성장, 자기실현

해설 2011(기사2회차), 2011(기사1회차) 기사교재 P.6-78

☞ 허츠버그(Frederick Herzberg)의 동기부여-위생이론 중에서

① 만족요인(동기요인)은 작업 자체로부터 도출되는 것으로, 성취감, 일에 대한 인정, 작업

자체, 책임감, 개인의 성장, 발전(자기실현) 등이 이에 해당된다.

② 불만족요인(직무에 불만족을 주는 요인 : 위생요인)은 작업환경에서 생기는 외적 물리적

인 것들로, 임금, 보수, 인간관계, 지위, 근무조건, 직업적 안정, 정책과 행정, 감독 등이

이에 해당된다.

6. 품질혁신활동 및 기타 : 필기 예상문제 / 3-67

해답 06. ㉰

6.2 문제은행식 실기기출문제 중 유형별 선별 예상문제

◈ 6시그마 활동 ◈

01 6시그마 활동에서 사용하는 방법은 기존에 존재하는 시스템이나 구성을 개선하여 평균의

이동과 산포를 줄이는 DMAIC와 기존에 없던 시스템을 필요에 의해 재설계하는 DFSS(Design

For Six Sigma)가 있다. DMAIC는 제조부문의 문제해결 프로젝트 접근방식으로 6개월 이내의

과제로 활동하는 경우에 사용하며, DFSS는 설계나 개발단계와 같은 초기단계부터 6시그마가

지향하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결함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하며, DFSS 추진시에는 보편적

으로 DMADOV라는 절차를 사용한다. DMAIC와 DMADOV는 무엇을 말하는지 기술하시오.

해설 과년도(기사기출)

(1) DMAIC : DMAIC는 6시그마 프로젝트를 해결하는 절차로, 기존의 PDCA 사이클에서 진보

된 프로세스 개선절차라고 볼 수 있다.

단계 정의 Step 추진내용 추진 Tool

Define 정의

Step 1

Step 2

Step 3

프로젝트 선정배경 기술

프로젝트 정의

프로젝트 승인

QFD, CTQ Drill Down

SIPOC(공급자-입력-프로세스-

출력-고객)

Measure 측정

Step 4

Step 5

Step 6

Y's의 확인

현수준 확인(파악)

잠재원인변수(X's) 발굴

MSA(gage R&R)

공정능력분석(Cp, Cpk)

Process Map, C&E Matrix

Analyze 분석

Step 7

Step 8

Step 9

데이터 수집

데이터 분석

Vital Few X's 선정

각종 Graphic Toos

상관분석, 가설검증

회귀분석

Improve 개선

Step 10

Step 11

Step 12

개선안(전략) 수립

Vital Few X's 선정 최적화

결과 검증

DOE(실험계획법)

Robust Design(다구찌기법)

EVOP

Control 관리

Step 13

Step 14

Step 15

관리계획 수립

관리계획 실행

문서화/공유

FMEA

SPC

Error Proofing

(2) DMADOV : DMADOV는 DMAIC와 마찬가지로 6시그마 프로젝트를 해결하는 절차 중의 하

나이다. DMADOV는 DFSS(Design for Six Sigma)를 위한 절차이다.

단계 정의 Step 추진내용 추진 Tool

Define 정의

Step 1

Step 2

Step 3

프로젝트 선정배경 기술

프로젝트 정의

프로젝트 승인

Market Research

SWOT Analysis

Product Portfolio

Measure 측정Step 4

Step 5

CTQ 도출, Y's의 확인

현수준 확인(파악)

QFD, Kano Analysis

CTQ Drill Down

MSA, 공정능력분석(Cp, Cpk)

Analyze 분석Step 6

Step 7

시스템 설계

설계인자 발굴

Benchmarking, TRIZ

Pugh Matrix, Regression

Design Scorecard

3-68 / 제3편 품질경영

단계 정의 Step 추진내용 추진 Tool

Design 설계

Step 8

Step 9

Step 10

설계인자 분석

Vital Few X's 분석

상세 설계

Simulation

DOE, EVOP

Reliability

Optimize 최적화Step 11

Step 12

상세설계 최적화

상세설계 평가Robust Design(다구찌기법)

Verify 검증

Step 13

Step 14

Step 15

결과 검증

관리계획 수립

문서화 이관

가설과 검증

MSA, 공정능력분석

◈ 품질분임조활동 ◈

01 분임조 활동시 분임토의 기법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집단착상법(brain storming)의 4가지

원칙을 드시오.

해설 2010(기사1회차)

☞ 브레인스토밍의 4원칙

① 비판금지 → 제시된 의견에 대해서 좋다, 나쁘다는 비판을 해서는 안 된다(비판을 하면

모처럼의 좋은 의견이 흐지부지되어 버린다).

② 자유분방한 분위기 조성 → 발언은 엉뚱하고 기발한 것 일수록 좋다(고정관념이나 상식을

넘어서지 않으면 문제의 벽은 깨뜨려지지 않는다).

③ 질보다 량의 중시 → 발언은 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다양한 의견을 구해서 문제를 푸

는 열쇠를 가능한 많이 얻는다. 량이 많으면 그 가운데 좋은 것이 있다. 백발일중을 노린

다.).

④ 편승환영(결합개선) → 타인의 의견이나 아이디어에 편승한다든지, 짝지워서 다른 아이디

어로 발전시킨다(타인의 의견에서 연상한 아이디어도 서슴없이 발언하여 이미 제시된 아

이디어와 결부시켜서 가공한다).

◈ 품질관리 수법 ◈

01 품질관리 활동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기본적인 QC수법의 7도구 및 신QC 7가지 도구를

열거하시오.

해설 2008(기사2회차) 기사교재 P.6-81

(1) 7가지 QC기초수법

① 히스토그램(histogram), ② 파레토그림(Pareto diagram), ③ 특성요인도(causes-and-

effects diagram), ④ 체크시트(check sheet), ⑤ 각종의 그래프(graph), ⑥ 산점도(scatter

diagram), ⑦ 층별(stratification) 등이다.

여기서 ⑦항의 층별 대신에 관리도를 7가지 QC기초수법의 하나로 보는 경우도 있다.

(2) 신QC 7가지 도구

① 연관도법, ② 친화도법, ③ 계통도법, ④ 매트릭스도법, ⑤ 매트릭스데이터해석법, ⑥

PDPC법, ⑦ 애로우다이어그램 등이다.

6. 품질혁신활동 및 기타 : 실기 예상문제 / 3-69

◈ 5S(5행)활동 및 눈으로 보는 관리 ◈

01 산업현장의 작업환경 개선의 규범으로 많이 사용되며 산업현장 내의 각 부문에서 제반

낭비요소를 제거하기 위해서 실행되는 3정 5S(행) 활동에 대하여 간단히 쓰시오.

해설 과년도(기사기출) 기사교재 P.6-81

(1) 3정(定) : 눈으로 보는 관리(Visual Management)를 위한 수단이며, 지정된 위치에, 지정된

품목이, 지정된 양만큼 있도록 하는 현장관리 수단이다.

① 정위치 : 정해진 곳에서 가져 올 수 있도록

② 정품 : 정해진 품목을 쓸 수 있도록

③ 정량 : 정해진 양을 얻을 수 있도록

3정은 5S에서의 눈으로 보는 정돈관리에 필수적이며, 이는 JIT 생산을 위해 토요타자동차

에서 시작된 것이다.

(2) 5S(행) :

① 정리(Seiri) : 필요한 것과 불필요한 것을 구분하고, 불필요한 것을 없애는 것.

② 정돈(Seidon) : 필요한 것을 필요한 때에 끄집어 내어 쓸 수 있는 상태로 놓아두는 것.

③ 청소(Seiso) : 더러움, 먼지, 찌꺼기 등이 없는 상태로 만드는 것.

④ 청결(Seiketz) : 정리, 정돈, 청소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

⑤ 생활화(Sitzuke) : 정해진 일을 올바르게 지키는 것이 습관이 되도록 생활화하는 것.

3-70 / 제3편 품질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