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rm.gg.go.kr › wp-content › uploads › sites › 2 › 2015 › 06 › 1... . 주 요 성 과g...

23
. 주 요 성 과

Upload: others

Post on 27-Feb-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farm.gg.go.kr › wp-content › uploads › sites › 2 › 2015 › 06 › 1... . 주 요 성 과G 1 H 농촌지도기반구축 및 지도역량 강화 지역농업 여건에 적합한

- 10 -

Ⅰ. 주 요 성 과

Page 2: farm.gg.go.kr › wp-content › uploads › sites › 2 › 2015 › 06 › 1... . 주 요 성 과G 1 H 농촌지도기반구축 및 지도역량 강화 지역농업 여건에 적합한

- 11 -

1. 지원기획분야 성과 가. 지역농업 기술개발보급 사업 인프라 구축지원○ 지역농업 기술지도 기반조성 사업 지원 : 19개소(시설 3, 장비 16)

○ 시군농업기술센터 평가를 통한 경쟁력 향상 촉진 : 7개센터

※ 대상(화성), 최우수(여주), 우수( 양주시, 포천시), 분야별우수(남양주,안성,양평)○ 4개년(’11∼’14) 기술보급 고객만족도 평가「가」등급 달성

○ 3개년(’12∼’14)전국 농촌진흥 우수기관 선정

○ 수도권 농촌진흥기관 업무협력 추진 : 26개 기관

○ 지역농업특성화사업 추진 활력화 : 국비 2,379백만원 확보

- 2년차 추진사업 : 4개소(안산, 김포, 이천, 양주), 1,500백만원

․사업추진평가 우수기관 : 우수(이천, 김포)

- 1년차추진사업 : 7개소(양평, 남양주, 평택, 용인, 포천, 시흥, 가평) 2,660백만원

○ 비교우위품목경쟁력제고사업추진: 6개소(평택, 포천, 여주, 양평, 김포, 광주), 1,200백만원

※ 2015 공모사업(특성화, 비교우위사업) 최다확보 : 10개소(국비 1,500백만원)

나. 우수경기 농축산물 홍보 및 새로개발된 농업기술 신속홍보○ 농업과학교육관을 연중개방하여 농업의 산교육장으로 활용 : 32천명

○ 월간 농업정보지『경기농업 21』발간 : 120,000부

- 농업인․단체․관계기관․소비자․학교 등 배부

○ 농촌진흥사업 기획 취재 및 신문․방송 등 765회

○ 경기농산물 우수성 알리기 및 농업기술원 정보 제공

- 경기농업 공감 농업교실 운영 : 18회 932명

- 농촌진흥사업 홍보 화보 및 우수사례집 제작 등 : 4종 24,850부

○ 경기도 홍보베스트 우수부서 선정 : 상반기(장려), 하반기(우수)

○ 농촌진흥사업 UCC (대상), 영상교재 (최우수상) 수상

다. 수요자 맞춤형 농업인 교육 및 농업전문인력 양성○ 새해농업인 실용교육(34천명), 품목별 상설교육(17천명), 농산물 우수

관리제도 교육(19천명)

○ 도·시군농업인대학 운영 : 18개시군 1,757명(도원 포함)

- 경기농업대학 운영 : 3개과정 80명

○ 2014 농업인교육 우수기관 수상(최우수상)

○ 농산업기계교육 : 기계화영농사교육 등 4개과정 249명

○ 시군 농업기계 현장이용기술 및 순회수리교육 : 16개시군 13,940명

○ 귀농․귀촌 희망자 영농기술교육 : 5개 과정 10기수 378명 교육

○ 시군 귀농․귀촌 교육 및 현장실습 : 6개시군 176명 교육

○ 미래농업「4-H회」와「농촌지도자회」등 전문 농업인 단체 육성

- 창조적 농업후계인력육성을 위한 경기도4-H경진대회 732명

- 제16회 도지사기 4-H농촌민속경연대회 : 17개팀 608명

- 농촌지도자 한마음연찬교육 : 480명

○ 선진 농업국 해외연수 추진

- 농촌지도자 14명(미국), 농업전문경영인 7명(유럽), 우수 4-H회원 및 지도자 14명(대만)

Page 3: farm.gg.go.kr › wp-content › uploads › sites › 2 › 2015 › 06 › 1... . 주 요 성 과G 1 H 농촌지도기반구축 및 지도역량 강화 지역농업 여건에 적합한

- 12 -

라. 농업기술 개발성과 마케팅 지원 ○ 연구성과 기술이전 : 26건(신기술5, 신품종21)

○ 신기술, 신품종 전시․홍보 : G-fair 신기술전시 등 4회

○ 농업기술원 개발 농식품 바이어 수출상담 : 52만불 규모 수출상담

○ 농업기술 마케팅지원 기반구축

- 농업기술실용화재단과 협무협약, 특허기술 설명자료제작

- 특허기술 및 기술이전업체 고객관리시스템 구축 등

2. 기술보급분야 성과 가. 경기 명품쌀 안전생산 기술보급○ 벼 보급 및 우량 종자 공급 확대 : 3,530톤

- 전면적대비 82%보급 (보급종 3,230톤, 채종포산 300톤)

○ 경기 명품쌀 안정 생산 : 426천톤(전년대비 4.2%증)

○ 벼 직파재배기술 확대보급 : 1,513ha(전년대비 44.5%증)

- 무논점파, 코팅볍씨직파 등

○ 최고급쌀(G+라이스) 생산단지 육성 : 9시군 1,059ha(소득증대 10%)

○ 기능성 쌀 생산 가공상품화로 부가가치 향상 : 384ha(소득증대 12%)

- 기능성 쌀 : 홍진주, 설향찰, 아랑향찰, 신농흑찰 등 12종 1,899톤

나. 밭작물 생산비 절감 및 소득향상 기술보급○ 밭작물 작부체계(심기차례)를 이용한 소득 향상 기술보급 : 60ha

- 2모작, 2기작 재배로 소득향상 : 소득 54% ↑

- 작부체계 개선 : 콩+감자, 콩+양파, 콩+수수, (초당)옥수수 2기작

○ 밭작물 생산비 절감을 위한 기술보급 및 지역특산화 : 262ha

- 농촌진흥청 개발 일관 파종, 수확 기계화 생산비 38% 절감

- 지역특산화 : 잡곡(양평), 콩(화성), 고구마(여주, 이천), 감자(안성)

○ 고구마 이용 가공상품화를 통한 부가가치 향상 : 소득 34% ↑

- 고구마 이용 가공상품화 : 고구마 말랭이, 전분 등

○ 고품질 콩 생산기술 확대 보급 및 유통체계화 : 34ha

- 콩 신품종 증식 및 보급 : 1.5톤, 대원콩 대비 수량 6~13% ↑

다. 친환경농업 정착을 위한 기반기술 보급○ 친환경농업관리실 운영 : 21개소(질소분석기 등 지원 : 5대)

- 쌀․밭농업직불제 토양검사 이행점검(엽분석포함) : 6,460점

※ 쌀소득등보전직불제 : 5,020점(토양검사 4,720, 엽분석 300)

밭농업직불제 : 1,440점

- 농산물 인증기관 지정운영 : 친환경농산물인증기관(가평)

GAP인증기관(용인)

※ 친환경인증 : 유기농(9.3ha, 250톤), 무농약(347ha, 3,159톤)

GAP 인증 : 1,017ha, 9,275톤

Page 4: farm.gg.go.kr › wp-content › uploads › sites › 2 › 2015 › 06 › 1... . 주 요 성 과G 1 H 농촌지도기반구축 및 지도역량 강화 지역농업 여건에 적합한

- 13 -

○ 농산물 안전성 확보를 통한 소비자 신뢰성 향상 및 농업인 소득증대

- 유기농 클린벨트 모델시범 추진 : 친환경인증 확대 70ha→126ha,

평균소득 24% 증대

※ 친환경인증 : 가평(1년차) 51ha, 여주(3년차) 75ha

소득 : 가평 14% 증, 여주 : 34% 증

○ 돌발병해충 등 농작물 예찰 및 방제기술 지원

- 농작물 병해충 예찰․관찰포 조사 : 176개소

○ 병해충 예찰․진단장비 지원(2개소) 및 친환경 병해충방제 시범(1개소)

○ 농작물 병해충 발생정보 발표 : 12회(주의보 7, 예보 5)

○ 과학농업 실현을 위한 농업기상 관측장비 현대화사업 추진(1개소)

라. 에너지절감 및 고품질 농산물 생산기술 확대

○ 고유가시대 시설원예농가 경쟁력 제고

- 시설하우스 에너지절감 패키지 시범사업 : 인근농가 대비 난방비

평균 27% 절감 및 소득 42.5% 증대

- 화훼류 품질향상 기술 시범사업 : 인근농가대비 난방비 평균 27.8%

절감 및 소득 50% 증대

○ 안전한 고품질 농산물 생산 및 생산비 절감

- 시금치노력절감 및 품질향상 시범사업 : 수량 14.5%, 소득 27.6% 증대

- 기후변화 대응 시설채소 생력자동화 패키지사업 : 수량 8%, 소득

7.5% 증대

- 딸기 저면관수 시범사업 : 수량 9%, 소득 9% 증대,

- 지역맞춤형 시설채소 토양관리 시범사업 : 수량 15.7%, 소득 19.1%증대

- 채소 시설재배 환경개선 시범사업 : 수량 15.6%, 소득 25.6% 증대,

약제방제 횟수 35.8% 감소

- 분화류 생산비 절감 기술 시범사업 : 노력비 57% 절감 및 소득

15% 증대

마. 최고품질 과실 생산을 위한 기술보급

○ 탑프루트 생산단지 육성 : ’13) 1,133 → ’14) 1,225ha(8.4%증)

○ 탑프루트 품질평가회 및 시범단지 평가 입상

- 탑프루트 품평회 입상 : 대상(안산-포도, 포천-사과), 우수상(여주-

복숭아2, 양평-배, 김포-배, 안성-배, 양주-배, 포천-사과, 파주-사과)

- 탑프루트 우수단지 선정 : 여주 복숭아공선회, 양주배영농조합법인

- 탑프루트 종합평가 : 유공표창3(장관-여주, 청장-안성, 김포)

○ 탑프루트생산량 : 총 24,500톤중 6,300톤(26%), 소득증대 : 관행대비 25%증가

Page 5: farm.gg.go.kr › wp-content › uploads › sites › 2 › 2015 › 06 › 1... . 주 요 성 과G 1 H 농촌지도기반구축 및 지도역량 강화 지역농업 여건에 적합한

- 14 -

바. 특용작물 경쟁력 향상으로 농가소득 증대○ 인삼(천풍, 연풍, 금풍) 신품종 보급 : 9.8ha

○ 약용작물 단지조성(20ha) 및 GAP 인증(1농가 1.6ha)

○ 아로니아 가공 상품개발(5종) : 생과, 과즙, 와인, 식초, 효소

○ 버섯 살균용 전기보일러활용 에너지비용 20% 절감, 소득 46% 증대

○ 민속산채류 상품화 개발 9종, 포천로컬푸드파머스마켓 설치 운영

사. 유용미생물제 생산기반 시스템 구축 및 생산○ 사 업 량 : 18개 시군센터

○ 악취감소 등 축사환경개선 및 가축 사료효율 향상 생산성 증대

○ 유용미생물 생산 보급 확대로 친환경농업 확산(생산, 공급량 8,800톤)

3. 농촌자원분야 성과 가. 지역 농산물 이용 식품자원 소득화로 농가 소득 기여○ 지역 주산작목의 가공기술 개발 및 창업기술지원 : 9개사업 13개소

- 농업인 창업 기술지원 및 기반조성 : 오이절임, 질경이즙, 민들레즙 등 9품목

○ 농산물 생산․가공․유통․외식․체험분야 개발기술과 지역자원을 연계한

6차 산업화

- 커뮤니티 활동 : 12개 조직 320명, 교육 5차 실시, 컨설팅 3회

- 경영체연대 : 기관사회단체 38, 기술접목 4건

- 농가소득 증가율 : 월 132,720천원(소득증가67.3%)

- 일자리 창출 : 일자리 60명(직접7명, 간접53명)

- 만족도(주관적) : 생산자 75%, 소비자 90%

- 기타 : 홍보활동 5건 (현재 52.8% ⇒ 연말가능)

○ 향토음식의 발굴 및 메뉴화에 따른 상품화 개발 보급 : 2개사업 3개소

- 식용꽃을 이용한 향토음식 발굴 15종

- 알타리 묵은지 조림, 달래된장찌개 등 28종 발굴

○ 소비자, 차세대, 담당공무원 대상 향토음식 아카데미 운영 : 6과정 524명

나.『농촌다움자원』활용 농촌현장학습 확대○ 정규수업과정을 농촌으로 유치하는「농촌체험시범학교」운영 : 10개학교 1,066명

○ 학교로 찾아가는 농촌현장학습 운영 : 58개학교 7,400명

○ 교장, 교사, 대학생, 학부모 등 농촌체험 팸투어 : 6회 300명

○ 고교생 대상 1년정규 동아리수업「농촌생태교실」: 화성안화고 30명

○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과 인증관련 업무협약 : 2014. 4. 30

※ 한국청소년활동 인증 운영담당자 교육 실시 : 4회 200명

○ 농촌교육농장 교사양성과정 운영(기초, 심화) : 2회 83명

○ 2014년 교육농장 프로그램 인증 획득 : 33농가(농촌진흥청 20, 청소년활동진흥원 13)

○ 농촌진흥청,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인증 농가 홍보책자 제작 배부 : 2,000부

○ 농촌체험농가 대상 안전메뉴얼 제작 보급 : 1종 300부

Page 6: farm.gg.go.kr › wp-content › uploads › sites › 2 › 2015 › 06 › 1... . 주 요 성 과G 1 H 농촌지도기반구축 및 지도역량 강화 지역농업 여건에 적합한

- 15 -

다. 농촌노인 노년생활 활력화 및 농작업 환경개선○ 생산적인 여가활동과 행복한 삶 영위를 위한 노년활동 지원 : 14개소

- 노래교실, 짚풀공예, 제과제빵 등 분과별 모임 활동 : 48개반 591회 488명

- 홍보건수 : 용인시 농촌건강장수마을 사업 추진 등 106건

- 농촌노인 사회활동 역량 개발 : 110회 237명

- 농촌노인 소일거리 지원 : 164회 331명

○ 농작업 안전의식 개선을 위한 안전모델 시범 사업 추진 : 6개소

- 건강검진 및 조사 : 315명(검진 159, 조사 156)

- 컨설팅 : 108회 2,276명

○ 농작업 환경개선 편이장비 보급으로 농작업 능률 및 만족도 향상 : 19개소

- 노동력 절감(시간) : 1,024 → 670시간/연(연간 시간 35% 감소)

- 사업 만족도 : 4.56(5.0점 척도)

라. 농촌여성 지도자 육성○ 농촌여성 역량강화를 위한 과제 교육 : 3개소 44회 1,531명

○ 지역활력화 주체로서의 농촌여성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한 학습활동 지원 : 16개소

○ 지역특성을 기반으로 한 특색 있는 농촌여성 조직(생활개선연합회) 육성 : 29개회 10,953명

- 생활과제분과 활동 : 119개 4,322명

- 5-S 운동 : 4,291회 71,345명

- 여성지도자 전문능력 배양 교육 : 2,113회 42,035명

- 도․농 교류행사 : 59회 11,412명

- 다문화가족 교류 : 23회 138명, 다문화회원 35명

마. 작지만 강한 농업인 “강소농” 육성○ 강한 농업경영체 육성 등록 및 컨설팅 지원 : 1,311호

- 도단위 컨설팅 333회, 시군 컨설팅 10,497농가, 처방서 발급 1,425농가

○ 강소농 현장기술지원단 운영 : 10분야 민간전문가 13명

바. 농가 경영개선을 통한 고수익 농업인 양성

○ 강소농 모델농가 컨설팅 추진 : 1,027농가

○ 농가경영진단․처방 후 소득 증가율 : 14%

○ e-비즈니스 프로그램을 통한 리더양성 : 167회, 367명

사. 도시농업, 곤충산업에 대한 도민의 인식제고와 붐 조성

○ 소비자 중심 교육 및 체험활동 등 다양한 과정운영

- 생활원예 콘테스트, 농사체험장 및 체험텃밭 운영, 생활농업 교육 등

○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도시농업전문가(마스터가드너) 양성 : 39명

○ 곤충농가 경쟁력 향상을 위한 아카데미 운영 : 5. 13 ~ 5. 25 (13일간)

Page 7: farm.gg.go.kr › wp-content › uploads › sites › 2 › 2015 › 06 › 1... . 주 요 성 과G 1 H 농촌지도기반구축 및 지도역량 강화 지역농업 여건에 적합한

- 22 -

4. 기술보급 주요성과 사진

농촌지도기반구축 및 지도역량 강화

지역농업 여건에 적합한 교육시설 및 장비지원으로 농업인 만족형 지도사업전개

❍ 농촌지도기반시설 및 장비 지원

<홍보장비> <교육장비> <농업인교육시설리모델링>

<미생물배양장비> <순회지도차량> <종합검정장비>

지역특색사업 개발을 선도할 농촌지도공무원 전문역량개발

❍ ’11∼’14정부합동평가 가등급(기술만족도), 수도권 농촌진흥기관 업무협력

❍ 지역농업특성화 사업 및 비교우위 경쟁력 제고사업, 전문지도연구, 국제협력연수

<국제협력연수> <지역농업특성화사업(남양주)> <비교우위경쟁력제고사업(포천)>

Page 8: farm.gg.go.kr › wp-content › uploads › sites › 2 › 2015 › 06 › 1... . 주 요 성 과G 1 H 농촌지도기반구축 및 지도역량 강화 지역농업 여건에 적합한

- 23 -

농업・농촌의 가치향상을 위한 기획 홍보

방송, 신문 등 언론매체를 통한 전략적 농촌진흥사업 홍보

❍ 지방농촌진흥기관 홍보우수기관 선정

<농업기술홍보 고정 출연> <중앙,지역지면활용홍보> <지상파 방송 홍보>

농업인 소비자에게 농업정보 자료 제공

❍ 경기농업21제작 및 경기농업 우수사례 책자, 영상정보제공 등

<월간 경기농업21제작> <영상 인터넷 서비스> <홍보 책자 제작>

농업과학교육관 운영으로 경기농업 알리기

❍ 도시민, 유치원․학생대상 체험행사 확대로 우리농업 이해 증진

<경기농업 공감교실> <꿈나무기자단 교육> <농업과학교육관 전경>

Page 9: farm.gg.go.kr › wp-content › uploads › sites › 2 › 2015 › 06 › 1... . 주 요 성 과G 1 H 농촌지도기반구축 및 지도역량 강화 지역농업 여건에 적합한

- 24 -

농업 핵심인력 양성

전문기술과 경영능력을 겸비한 농업전문인력 양성 교육 실시

❍ (3개학과)경기농업대학, 새해농업인실용교육, 농산업기계교육 등

<경기농업대학> <새해농업인실용교육> <농산업기계교육>

농촌진흥공무원 역량향상을 위한 전문교육 실시

❍ 강의코칭, 스킬, 발표능력, 리더십, 품목기술, 농기계 등

<강사기법교육> < 전문강사요원 육성> <농기계 담당자 현장견학>

귀농․귀촌 희망자 영농기술교육 실시

❍ 농업이해, 귀농계획, 농기계, 성공사례, 영농현장체험 등

<귀농․귀촌 정책교육> <농가현장체험> <농기계 실습>

Page 10: farm.gg.go.kr › wp-content › uploads › sites › 2 › 2015 › 06 › 1... . 주 요 성 과G 1 H 농촌지도기반구축 및 지도역량 강화 지역농업 여건에 적합한

- 25 -

경기농업․농촌 활력화를 위한 농업인단체 육성

농촌지도자를 농업․농촌을 선도할 농업경쟁력 핵심주체로 육성❍ 조직현황 : 32개회 10,638명❍ 지도력 배양교육 및 한마음연찬교육 등

<선진농업 비교연찬교육> <농산물 유통교육> <한마음연찬교육>

4-H를 창조적 농촌후계인력육성의 표준모델로 육성❍ 조직현황 : 326개회 10,894명(영농 485명, 학생 10,409명)

❍ 경기도4-H경진대회, 농심함양 과제교육, 농촌민속문화경연대회 등

<제55회경기도4-H경진대회> <농심함양 과제교육> <제16회농촌민속문화경연대회>

글로벌 지식․기술․정보시대에 한국농업을 선도할 CEO육성❍ 농업CEO육성현황(1992~2014) : 156명 –도조례4790호(2014.10.21.)호에 의거 1992년부터 매년 10명이내 선발

❍ 연찬교육, 선진국 농업시찰, CEO전진대회 개최 등

〈2015 선발 인준패 수여> <선진국 농업시찰> <경기도농업CEO전진대회>

Page 11: farm.gg.go.kr › wp-content › uploads › sites › 2 › 2015 › 06 › 1... . 주 요 성 과G 1 H 농촌지도기반구축 및 지도역량 강화 지역농업 여건에 적합한

- 26 -

농업기술 개발성과 마케팅 지원

□ 신기술, 신품종 기술이전 및 업무협약 추진

❍ 연구성과 기술이전 : 26건(신기술5, 신품종 21)

❍ 상호업무협력 협약체결 :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업무협약체결> <신품종,신기술 기술이전> <기술이전 협약식>

□ 연구성과물 전시홍보, 박람회 참가 및 지원

❍ 고양국제화훼박람회 마케팅지원(’14.4.25~4.28)

- 6개국 7개업체 수출상담 및 신품종 설명회 개최 ❍ 상해국제식품박람회 마케팅지원(’14.5.13∼5.15)

- 바이어 상담 46건, 방문자(시음․시식 등) 약 3,500명❍ G-fair KOREA 전시부스 운영 및 바이어 상담(’14.10.1.~10.4)

- 총 35개 업체 대상 수출상담(수출상담액 52만$)

<박람회 부스 운영> <바이어 상담> <전통주 시음행사>

□ 농업기술 실용화 기반 기반구축

❍ 우수기술 설명회, 전문가 초청세미나, 신품종 보급확대를 위한 워크샵 등 개최

<특허기술설명회 개최> <전문가초청 세미나> <화훼신품종보급확대워크샵>

Page 12: farm.gg.go.kr › wp-content › uploads › sites › 2 › 2015 › 06 › 1... . 주 요 성 과G 1 H 농촌지도기반구축 및 지도역량 강화 지역농업 여건에 적합한

- 27 -

고품질 경기쌀 안정생산 기술보급 사례

최고급쌀 생산단지 사업으로 경기명품쌀 생산체계 정립

❍ 표준재배 매뉴얼 적용 최고급화 생산단지 조성 : 1,159ha

- 완전미율 96%이상, 단백질 함량 6.0%, 품종혼입율 최소화

- 199가지의 농약 및 중금속을 차단한 G+Rice 생산 : 6,000톤

<재배단지> <포장심사> <199Rice 포장재>

특수 기능성 가공용쌀 생산 상품화로 부가가치 향상

❍ 유색벼, 찰벼 등 기능성쌀 생산 : 384ha, 1,899톤

- 안토시안 찰흑미 등 기능성쌀 생산기반 구축 : 838톤(여주)

- 현미용 브랜드 개발 및 가공용쌀 생산 : 287톤(안성, 고양, 양평)

- 누룽지쌀 및 특수미 브랜드 개발 및 생산 : 86톤(양주)

- 가공용쌀(보람찬) 생산 및 협약 체결 : 우리술 등 400톤(안성)

- 농업연계 떡산업 육성 떡가공품 개발 및 생산 : 288톤(김포)

<현미(특수미) 제품> <안토시안쌀> <가공용벼계약협약식> <현미가공제품>

Page 13: farm.gg.go.kr › wp-content › uploads › sites › 2 › 2015 › 06 › 1... . 주 요 성 과G 1 H 농촌지도기반구축 및 지도역량 강화 지역농업 여건에 적합한

- 28 -

전․특용작물의 지역명품 브랜드화

밭작물 작부체계를 이용한 소득향상 기술보급

❍ 2모작(감자+콩, 양파+콩 등) 재배 : 50ha⇒ 콩 이용 이모작 재배로 농가소득 54% 향상

❍ 옥수수(찰옥수수, 초당옥수수) 2기작 재배 : 10ha⇒ 찰옥수수 2기작으로 단작대비 소득 50% 향상

<2모작재배(콩)> <2기작재배(옥수수)> <파종생력화평가회>

밭작물 생산비 절감을 위한 기술보급 및 지역특산화

❍ 서류(고구마, 감자) 가공상품화를 통한 부가가치 향상 : 187ha

❍ 잡곡(조, 기장 등) 생력재배 기술보급 : 75ha ※ 고구마, 감자이용하여가공상품화 : 고구마말랭이, 전분, 감자칩등

<작부체계이용소득향상> <고구마가공상품화> <콩 품종비교전시포>

특용작물 경쟁력 향상으로 농가소득 증대❍ 세척수삼 출하로 수삼 신선도 향상과 유통체계 다양화❍ 아로니아 가공 브랜드화 상품개발 : 와인 등 5종❍ 국내육성 신품종 버섯 보급 : 흑타리, 몽돌❍ 인삼 신품종 확대 보급 : 천풍 ․ 연풍․금풍 9.8ha

<세척수삼 출하> <아로니아사업홍보> <버섯 LED 광 설치>

Page 14: farm.gg.go.kr › wp-content › uploads › sites › 2 › 2015 › 06 › 1... . 주 요 성 과G 1 H 농촌지도기반구축 및 지도역량 강화 지역농업 여건에 적합한

- 29 -

기상재해대책 및 병해충 예찰․방제

각종 기상재해에 따른 피해예방 및 대책관련 자료 제공

❍ 풍수해재난 위기대응 실무매뉴얼, 대설․한파․강풍․호우․폭염․태풍 대비 농작물 및 시설물 관리요령 등 32회

❍ 관련기관 및 농업인 기상재해 대비 문자메세지 발송 : 12건 6,067명

<기상장비 현대화> <감자우박피해> <문자메세지 발송>

돌발병해충 등 농작물 예찰 및 방제기술 지원

❍ 농작물 병해충 예찰․관찰포 조사 : 187개소

- 벼병해충 관찰포 조사결과 : 11,577ha(전년 21,837, 평년 46,189)

❍ 병해충 예찰․진단장비 지원(2개소) 및 친환경 병해충방제 시범(1개소)

병해충전문가(시군합동) 수시 및 기동예찰로 농가피해 최소화

❍ 병해충 시군합동 예찰 4회, 수시예찰 10회 및 기동예찰 3회

❍ 농작물 병해충 발생정보 발표 : 12회(예보 7회, 주의보 5회)

<예·관찰포 운영> <병해충공동방제> <병해충 진단장비 >

<병해충 예찰교육> <돌발병해충예찰> <월동애멸구 예찰>

Page 15: farm.gg.go.kr › wp-content › uploads › sites › 2 › 2015 › 06 › 1... . 주 요 성 과G 1 H 농촌지도기반구축 및 지도역량 강화 지역농업 여건에 적합한

- 30 -

친환경농업 확대로 안전 농산물 생산

농업자원에 대한 분석 검정가능 강화 및 활성화

❍ 친환경농업관리실 운영 : 21개소(질소분석기 등 지원 : 5대)

❍ 토양, 식물체, 중금속 등 농업자원분석 : 49천점

<질소분석기-화성> <GC/MS HSS 포천> <친환경농업관리실-이천>

농산물 안전성 확보를 통한 소비자 신뢰성 향상 및 농업인소득증대

❍ 농산물 인증기관 운영

- 가평군농업기술센터(지정번호-제083호) : 356ha, 3,409톤 친환경인증

- 용인시농업기술센터(지정번호-제059호) : 1,017ha, 9,275톤 GAP인증

❍ 유기농클린벨트 모델조성 추진 : 친환경인증확대 77→149ha

<친환경농업 교육> <시설채소농가기술지도> <유기질비료-친환경자재>

Page 16: farm.gg.go.kr › wp-content › uploads › sites › 2 › 2015 › 06 › 1... . 주 요 성 과G 1 H 농촌지도기반구축 및 지도역량 강화 지역농업 여건에 적합한

- 31 -

최고 품질의 과일생산 기술 확산

탑프루트(최고과실) 생산 기반조성

❍ 규 모 : (’06) 57ha → ('13) 1,133ha → ('14) 1,225ha※ 2014년 신규 추진 : 3개소(지방단지), 92ha, 사업비 300백만원(지방비)

❍ 전문교육 및 현장컨설팅․평가회 추진(과종별 월1회)

<탑프루트 홍보> <생육시기별 현장컨설팅> <현장 평가회>

최고품질 과실생산 매뉴얼 실천(농가소득 20% 향상)

❍ 최고품질 생산 비율 : (’14) 26% * 총 24,500톤 중 6,300톤 생산

⇒ 핵심기술 실천 : 당도 향상, 정형과율 증대, 친환경안전성 증대, 품질관리 및 유통개선

<재해대응 방조망 설치> <포도 현장 교육> <과제 교육 추진>

최고품질 프로젝트 평가 등 입상(15점) 및 대국민 인지도 제고

<사과 홍보시식회> <품평회 출품> <품평회 대상-사과>

※ 탑프루트 품평회 대상 2점 수상(포도-안산, 사과-포천)․우수상 8점,

우수단지 2개(배, 복숭아) 단지 선정, 유공자 3점 수정

Page 17: farm.gg.go.kr › wp-content › uploads › sites › 2 › 2015 › 06 › 1... . 주 요 성 과G 1 H 농촌지도기반구축 및 지도역량 강화 지역농업 여건에 적합한

- 32 -

시설원예 생산비절감 및 안정적 생산

안전한 원예작물 종합생산(4종 5개소 190백만원)

❍ 기후변화 대응 시설채소 생력자동화 패키지 시범(수량 8%증, 소득 7.5%증)

<개폐장치 설치> <천창환기 장비 설치>

재배시설 환경개선 및 품질향상 기술보급(9종 12개소 550백만원)

❍ 분화재배 생력화 기술시범( 소득15%증, 노력비57%절감)

<저면관수베드> <작업운반구및레일설치> <상토혼합화분자동분배기>

에너지 절감 및 부가가치 증대 녹색기술보급(8종 9개소 560백만원)

❍ 시설원예 에너지절감 패키지 사업성과(소득42.7% 증, 난방비 27%절감)

<유니트 휀 설치> <다겹보온커텐 설치> <내부보온덮개개폐장치>

Page 18: farm.gg.go.kr › wp-content › uploads › sites › 2 › 2015 › 06 › 1... . 주 요 성 과G 1 H 농촌지도기반구축 및 지도역량 강화 지역농업 여건에 적합한

- 33 -

안전축산물 생산 및 경쟁력 향상

미생물 생산 공급 확대 친환경 안전농축산물 생산

❍ 유용미생물 생산 공급 : 18개소 8,800톤

- 악취감소 50%, 사료효율향상 10%, 항생제 감소 50%

<미생물 생산시설> <미생물발효사료제조교육> <미생물 이용 교육>

양돈 종합관리 기술보급 MSY 향상

❍ MSY 증가로 양돈농가 생산성 향상 및 경쟁력 강화

- 환경개선 및 질병컨설팅으로 MSY 향상(17 → 19.9두)

* MSY(Marketted Pigs per Sow per Year, 어미돼지1두당 연간시장출하두수)

<양돈농가 교육> <자동급이 시설> <환기 개선>

신품종 동계사료작물 이탈리안라이그래스 보급

❍ 내한성 조생종 이탈리안라이그래스 입모중 파종 기술 보급

- 입모중 파종으로 벼 수확시기와 IRG 파종 시기 중첩 해소

<입모중 파종기술 교육> <입모중파종현장교육> <무인헬기 항공파종>

Page 19: farm.gg.go.kr › wp-content › uploads › sites › 2 › 2015 › 06 › 1... . 주 요 성 과G 1 H 농촌지도기반구축 및 지도역량 강화 지역농업 여건에 적합한

- 34 -

『농촌다움자원』활용 농촌현장학습 확대

학교교육과 연계한 농촌체험학습 확대

❍ 정규수업을 농촌으로 유치하는「농촌체험시범학교」운영 : 10개교 1,066명

❍ 교장, 교사, 대학생, 학부모 등 농촌체험 팸투어 : 6회 300명

❍ 교육부 주관 『대한민국교육기부 박람회』참가 : 체험객 25만명

※ 2014 대한민국교육기부 대상 기관상 수상

<농촌체험시범학교 운영> <농촌체험 팸투어 설명회> <대한민국교육기부박람회참가>

초, 중, 고등학생 대상 농촌체험학습 운영

❍ 초등학교로 찾아가는 농촌체험프로그램 운영 : 58개 학교 7,400명

❍ 고교생대상 1년정규 동아리 수업 과정 「농촌생태교실」 : 화성안화고 30명

<학교로 찾아가는 체험학습> <고교생 생태교육> <교육농장주 교육>

농촌체험프로그램 농업인 농촌체험 인증관련 교육 및 컨설팅

❍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과 인증관련 업무협약 : 2014. 4. 30

※한국청소년활동인증운영담당자교육실시 : 4회 200명

❍ 프로그램 인증관련 그룹 컨설팅 실시 : 3회 80명

❍ 농촌교육농장 교사양성과정 운영(기초, 심화) : 2회 83명

Page 20: farm.gg.go.kr › wp-content › uploads › sites › 2 › 2015 › 06 › 1... . 주 요 성 과G 1 H 농촌지도기반구축 및 지도역량 강화 지역농업 여건에 적합한

- 35 -

농산물 부가가치 창출로 농가소득원 개발

지역 주산작목의 가공기술 개발 및 창업기술지원

❍ 농업인 창업사업장 소득증가 : 69 → 137백만원

⇒ 경기농산물 가공제품관 운영, 신규 소규모 창업 지원 4개소

6차산업 코디네이터 과정 교육 10회 270명

<농산물 가공 사업장> <경기농산물가공제품관운영> <6차산업 코디네이터 교육>

향토음식 자원화를 통한 녹색식문화 정착

❍ 향토음식 발굴 및 상품화 추진 : 꽃설기 등 43종

⇒지역농특산물을이용한고유브랜드및포장개개발 3개소

❍ 향토음식에 담긴 우리 고유 식문화 교육 프로그램 운영 : 5과정

<포장 디자인 개발> <김치 더 담그기 캠페인> <전통식문화교육(절기음식)>

Page 21: farm.gg.go.kr › wp-content › uploads › sites › 2 › 2015 › 06 › 1... . 주 요 성 과G 1 H 농촌지도기반구축 및 지도역량 강화 지역농업 여건에 적합한

- 36 -

농작업 환경개선 및 농촌노인 생활 활력화 지원

지역별․작목별 맞춤형 농작업 환경개선

❍ 농작업 환경개선 보조기구 보급으로 농작업 능률 및 만족도 향상 : 19개소

- 노동력절감(시간) : 1,024 → 670시간/연(35% 감소)

- 사업만족도 : 4.56(5.0점 척도)

❍ 농작업 안전의식 개선을 위한 안전모델 시범사업 추진 : 6개소

- 건강검진 및 조사 : 315명(검진 159, 조사 156)

- 컨설팅 : 108회 2,276명

❍ 농업인 호흡기질환 예방 및 농작업 안전보건 환경조성

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한양대학교 농업안전보건센터와 MOU 체결(2014. 9. 4.)

<토마토선별기 사용> <농작업 의자 착용> <업무협약 체결>

농촌노인 여가활동 활성화 지원

❍ 생산적인 여가활동과 행복한 삶 영위를 위한 노년활동 지원 : 14개소

- 풍물교육, 제과제빵 등 분과별 모임 활동 : 48개반 591회 488명

- 농촌노인 사회활동 역량개발 : 110회 237명

- 농촌노인 소일거리 지원 : 164회 331명

<풍물교육> <요가교육> <맷방석 만들기>

Page 22: farm.gg.go.kr › wp-content › uploads › sites › 2 › 2015 › 06 › 1... . 주 요 성 과G 1 H 농촌지도기반구축 및 지도역량 강화 지역농업 여건에 적합한

- 37 -

강소농 육성 및 농업경영 추진사례

민간전문가 맞춤형 컨설팅으로 강소농 육성

❍ 현장밀착 농가경영 전문 컨설팅 실시

⇒ 컨설팅 만족도 조사 : (1월∼12월) 평균 92점

<강소농민간전문가발대식> <농가 전문현장컨설팅> <강소농현장역량강화교육>

컨설팅 및 전문교육에 의한 농가경영개선

❍ 도출된 문제점 경영개선으로 농가소득 10% 향상

⇒ 강소농 모델농가 108개소, 전자상거래 리더양성교육 49명

< 선물세트 포장개선 > < 농특산물 홍보관 설치> <전자상거래리더양성교육>

IT접목 우수경영체 육성

❍ 홈페이지 및 브랜드개발 4개소, 정보화경진 11분야 242명 참여

<홈페이지 운영> <브랜드 개발> <경기도농업인정보화경진대회>

Page 23: farm.gg.go.kr › wp-content › uploads › sites › 2 › 2015 › 06 › 1... . 주 요 성 과G 1 H 농촌지도기반구축 및 지도역량 강화 지역농업 여건에 적합한

- 38 -

도시농업 및 곤충산업 육성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전문 인력 양성 교육 운영 : 107명

❍ 경기도도시농업전문가(마스터가드너) 교육 : 39명

<개강식> <자치강의> <봉사활동>

도시농업 기반구축을 위한 시범사업 추진 : 4종 13개사업

❍ 도시농업육성지원시범, 도시농업 특성화사업, 원예활동 프로그램

<도시농부교육> <원예활동 체험> <초등학교 원예활동 평가>

곤충산업 활성화를 위한「곤충산업 아카데미」운영 및 시설 개선

❍ 소비자 이해증진을 위한 홍보전 개최 : 관람객 29,250명

❍ 곤충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한 지원 - 농가 노후시설 개선 및 곤충사육, 소비자 체험교육 장비 지원

<사육장완공> <소비자체험관운영> <곤충산업 기획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