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경력단계별 근거기반 - yonsei university · 팀워크, 대상자의 선호도 통합,...

141
임상경력단계별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 호 학 과

Upload: others

Post on 29-Jan-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임상경력단계별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 호 학 과

    이 윤 주

  • 임상경력단계별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 개발

    지도교수 오 의 금

    이 논문을 박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12년 12월 일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 호 학 과

    이 윤 주

  • 감사의 글

    돌아보면 어려웠던 시간도 있었지만 무사히 논문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축복해 주

    신 하나님께 먼저 감사를 드리며 논문이 완성되기까지 깊은 관심과 격려를 아끼지 않

    으신 주위의 많은 분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주제를 선정하는 초기부터 마무리까지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틀을 잡아주시고,

    임상에 가치 있는 연구가 되어야 한다며, 좁은 틀에 갇혀 있는 저에게 큰 숲을 볼 수

    있게 이끌어주시며 늘 아낌없는 격려와 관심으로 저를 지도해 주신 오의금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바쁘신 와중에도 많이 부족한 논문에 예리한 조언

    으로 놓치기 쉬운 부분까지 세심하게 지도해 주신 김소선 교수님께도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힘드신 가운데서도 늘 논문의 방향을 되짚어주시고, 자료를 추천해주시며

    진심으로 격려해주시고 지지하여 주신 김인숙 교수님, 정말 감사드립니다. 논문의 방

    법론적 틀을 찾는데 큰 도움을 주시고 새로운 시각으로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신 양은

    배 교수님께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또한, 자료수집과 임상에서의 활용 방안에 대

    하여 조언해주시고 편안하게 논문을 이끌어갈 수 있도록 격려하고 도와주신 부은희

    팀장님께도 깊은 감사를 전합니다. 또한, 조교로서 새로운 환경에서 잘 적응할 수 있

    도록 관심과 사랑으로 염려해주시고 배려해주신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의 모든 교수님

    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전심으로 간호를 사랑하시는 마음과 이 세상 모든 일을 다 알고 계신 것만 같은

    통찰력과 지혜를 가지신, 저의 롤모델이신 김조자 교수님, 많은 말씀을 하지 않으셔도

    항상 든든한 지원군으로 저를 믿고 격려해주신 스승님께 깊은 감사와 사랑을 전합니

    다. 첫 출근 날 제 손을 잡고 함께 기도해주시며 하나님의 뜻을 좇아 사는 방법을 일

    깨워 주신 유지수 교수님, 학자로서 또 간호사로서 간호의 본질에 대해 되돌아볼 수

    있도록 질문을 던져주시고 해답을 찾아가는 방법을 제시해 주신 이원희 교수님, 사랑

    하고 또 감사드립니다.

    흔쾌히 자료수집을 허락하여 주신 박영우 간호부원장님, 송말순 간호국장님, 심희숙

    간호부장님, 김인자 간호부장님, 조의영 간호부장님, 그리고 자신의 일처럼 적극적으

  • 로 도움을 주신 박현희 선생님, 서영민 선생님, 김경자 선생님, 유현정 선생님, 우소라

    선생님과 자료수집에 참여하여 주신 540명의 간호사와 30명의 전문가 선생님들, 퇴근

    후에도 인터뷰를 위해 기꺼이 시간을 내어 주신 선생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논문을 진행하는 동안 지칠 때마다 용기를 북돋아주고 도움을 아끼지 않은 유재

    용, 공새롬, 김호곤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특히, 처음 학교에 와 적응하느라 힘들었

    을텐데도 늘 먼저 걱정해주고 배려해주며 활력을 불어넣어준 이세나 선생님에게 고마

    움과 사랑을 전합니다.

    박사과정 입학동기로 수업에서 또 일상에서 늘 차분하게 숙고할 수 있는 태도를 가

    르쳐 주신 오인옥 선생님, 함께 논문을 쓰는 힘든 상황에서도 도움을 청할 때 언제나

    기꺼이 손을 내밀어 주는 후배 배선형 선생님에게 고마움과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늦게 시작한 박사과정 동안 그리고 논문을 쓰면서 누구보다 큰 힘이 되어주며 여

    기까지 올 수 있는 원동력이 되어준 가족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특히, 아직

    은 엄마 손길이 많이 필요한 초등학생이지만, 공부하는 엄마를 이해해주고 걱정해주

    며 의젓하게 생활해 준 아들 민준이에게 미안한 마음과 고마움을 전합니다.

    이렇게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지나온 이 과정이 앞으로 제가 걸어갈 길에 좋은 양

    분으로 쓰여질 것임을 믿으며, 마지막으로 이 논문이 임상에서 근거기반 간호실무가

    정착하고 활성화되는 데 미미하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글을 맺습니다.

    2012년 12월

    이윤주 올림

  • - i -

    차 례

    차 례 ···················································································································· ⅰ

    표 차 례 ··················································································································· ⅲ

    그 림 차 례 ··················································································································· ⅲ

    국 문 요 약 ··················································································································· ⅳ

    Ⅰ. 서 론 ······················································································································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 ·················································································································· 4

    C. 용어정의 ·················································································································· 5

    Ⅱ. 문 헌 고 찰 ················································································································

    A. 근거기반 간호실무 ······························································································· 6

    B. 역량 및 역량모델링 ···························································································· 18

    Ⅲ. 개념적 틀 ················································································································ 27

    Ⅳ. 연 구 방 법 ················································································································

    A. 연구설계 ··············································································································· 32

    B. 연구추진 단계 및 전략 ······················································································ 32

    C. 윤리적인 고려 ······································································································ 46

  • - ii -

    Ⅴ. 연 구 결 과 ················································································································

    A.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 도출 ········································································· 47

    B. 타당도 검증 ·········································································································· 52

    C. 임상경력단계별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 도출 ············································ 55

    D. 임상경력단계별 근거기반 간호실무 집중개발 역량 ··································· 67

    Ⅵ. 논 의 ························································································································ 73

    Ⅶ. 결론 및 제언 ·········································································································· 84

    참 고 문 헌 ··················································································································· 89

    부 록 ················································································································· 101

    영 문 요 약 ················································································································· 129

  • - iii -

    표 차 례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군과 하위 역량 ·························································· 50

    전체 역량군의 요인부하량 및 하위 역량 간 상관계수 ·································· 53

    각 역량군별 하위 역량 구조 적합도 ······························································· 54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군 별 요인부하량 및 하위 역량 간 상관계수 ········· 55

    임상경력단계별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 ························································ 60

    그 림 차 례

    역량 구조의 내면과 표면 ············································································ 28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의 개념적 틀 ······················································· 31

    연구진행절차 ································································································· 33

    체계적 문헌고찰을 위한 문헌선정 과정 ··················································· 35

    중요도-수행도 분석 매트릭스 ···································································· 45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도출 과정 ···························································· 48

    임상경력단계별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군의 중요도가중치 분포도 ········ 56

    임상경력단계별 하위 역량의 중요도가중치 분포도 ································ 58

    초보단계의 행동지표 중요도-수행도 분석 ··············································· 68

    유능한 단계의 행동지표 중요도-수행도 분석 ······································· 69

    숙련된 단계의 행동지표 중요도-수행도 분석 ······································· 70

    전문가 단계의 행동지표 중요도-수행도 분석 ······································· 71

  • - iv -

    국 문 요 약

    임 상 경 력 단 계 별 근 거 기 반 간 호 실 무 역 량 개 발

    본 연구는 근거기반 간호실무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교육 및 간호인적 자원관리

    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된 연구로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첫째, 체계적

    인 역량모델링 과정을 통하여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을 도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였

    고, 둘째, 임상경력단계에 따라 요구되는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 모델을 개발하며,

    마지막으로 현재 임상에서 집중적으로 개발되어져야 할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을 확

    인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방법론적 연구로서,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 도출을 위해 체계적 문헌분

    석, 행동사건면접, 전문가 의견 조사를 통해 일차적인 역량모델을 개발하고 전문가들로

    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받고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적으로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을 도출하였다. 임상경력단계별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 도출

    을 위해서는 전문가 19명을 대상으로 계층적 구조분석법에 의해 산출된 역량군 및 하

    위 역량의 중요도 가중치 상위 50%를 선택하였다. 또한, 집중적인 개발이 요구되는 역

    량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근거기반 간호실무를 수행하는 서울, 경기, 인천, 대전 소재지

    병원 총 6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538명을 대상으로 행동지표에 대한 자가보고 설문지법

    에 의한 중요도 및 수행도를 조사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으로 근거기반 간호실무 중요성 인식, 간호지식체 활용,

    혁신적 실무에 대한 유연성, 전문직 정체성, 근거기반 간호실무 리더십(챔피언십),

    팀워크, 대상자의 선호도 통합, 숙련된 근거기반 간호실무 수행기술의 8개 역량

    군과 25개 하위 역량 및 82개 행동지표를 도출하였다.

    2. 임상경력 단계별 역량으로 초보단계에서는 근거기반 간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무의 변화를 수용하며 전문직으로서 근거기반 간호실무 수행을 위한 책임을

    인식하여 자기개발에 노력하고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역량이 요구되

  • - v -

    어 총 31개의 행동지표가 제시되었다. 유능한 단계에서는 근거기반 간호의 중요

    성을 인식하고 전문직 발전을 위해 열정과 헌신하는 태도를 갖추고 대상자의

    선호도를 통합하는 역량이 요구되어 전 단계에 15개의 행동지표가 추가되어 총

    46개의 행동지표가 제시되었다. 숙련된 단계에서는 팀워크가 가장 중요하게 요

    구되어지고 근거기반 간호실무 수행을 위한 기술을 갖추고 자원관리, 교육 및

    지지 역량이 요구되어 전 단계의 역량에 19개의 행동지표가 추가되어 총 65개

    의 행동지표가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전문가 단계에서는 근거기반 간호실무

    리더십(챔피언십)이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지식체를 활용하고

    근거를 확산 및 유지하는 역량도 중요하게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나 총 82개의

    행동지표를 모두 갖추게 된다.

    3. 임상경력단계별로 집중적으로 개발해야 할 역량으로는 초보단계 7개, 유능한 단

    계 12개, 숙련된 단계 8개, 전문가 단계 14개의 행동지표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지식, 기술, 태도, 동기 및 특질 등의 개인의 내재적 특성으로서의 역량

    개념을 바탕으로 문헌분석을 통한 이론적 접근과 전문가 및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 과정을 거친 체계적인 역량모델링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역량을 포괄적으

    로 제시하지 못한 기존 연구에 비해 역량의 모든 요소와 근거기반간호 전 과정을 포

    괄하는 역량으로서 의미가 있다. 또한, 임상경력단계별로 역량을 제시함으로써 추후

    간호사를 대상으로 근거기반 간호실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근거기반 간호수행

    을 위한 인프라 및 시스템 개발의 기초자료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각 병원 및 간호조직에서 근거기반 간호실무를 활성화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

    램 개발 및 수행전략 수립 시 본 연구의 결과를 적극 활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해 볼

    것을 제언한다.

    핵심되는 말 :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모델링, 역량, 임상경력단계, 체계적 문헌고찰,

    행동면접기법, 계층적구조분석, 중요도 수행도 분석

  • - 1 -

    Ⅰ . 서 론

    A . 연 구 의 필 요 성

    오늘날 보건의료 현장은 급속도로 발달하는 과학기술에 의한 인간 수명 증가

    로 의료비용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으며, 정보전달체계의 발전으로 대상자의 건강

    한 삶에 대한 지식 수준과 요구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용효과적이면서 양질의 서

    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보건의료전문직의 책임이 더욱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근거기반실무는 전 세계적으로 보건의료전문인의 교육, 실무 및

    정책에서 중요한 패러다임이 되고 있다.

    근거기반실무란 임상현장에서 환자를 위한 의사결정시 체계적인 고찰을 통해

    도출된 활용 가능한 최상의 근거를 전문가의 임상경험과 통합하고, 환자의 선호도

    를 고려하여 양심적이고 분명하게 그 근거를 실무에 사용함을 의미한다(Sackett,

    Rosenberg, Gray, Haynes, & Richardson, 1996). 근거기반실무와 관련한 활동은

    1990년대 초부터 유럽과 북미에서 시작된 이후 Cochrane collaboration, Campbell

    collaboration, Joanna Briggs Institute[JBI] 등 전 세계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였

    으며, 각 분야에서 근거기반실무를 전문적으로 다룬 학술지(Evidence-Based

    Medicine, Evidence-Based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Evidence-Based

    Nursing 등) 가 발행되고 있다. 미국의 Institute of Medicine[IOM](2007) 은 21세

    기 건강관리시스템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모든 보건의료전문직이 갖추어야 할

    5개의 핵심 역량 중 하나로 ‘근거기반실무역량’을 제시하였고, 2020년까지 모든 임

    상결정의 90%에서 정확하고, 시의적절하며, 최신의 임상정보에 의해 지지되는 최

    상의 근거를 반영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간호계에서도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 of Nursing[AACN](2008) 이 'The essentials of

  • - 2 -

    baccalaureate education' 에서 전문직 간호실무의 필수 요소 9개 중 하나로

    ‘scholarship for evidence based practice’ 를 교육성과로 제시하였고, National

    League for Nursing Accrediting Commission[NLNAC](2008) 은 'NLNAC standards

    and criteria: Baccalaureate'에서 교수의 성과에 근거기반실무를 반영할 것을 권장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간호교육표준을 제정하고 이를 확산시켜 교육의 질적 제고를

    목적으로 하는 한국간호교육평가원(2012) 의 간호교육 인증평가기준에 졸업간호사

    의 핵심역량으로 ‘간호실무의 과학적 발전을 위한 연구수행 능력’을, 간호교육 프

    로그램의 학습성과로 ‘간호연구를 기획하고 직접 수행한다’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

    나, ‘근거기반간호’라는 용어를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근거기반간호’ 개념의

    일부분인 연구수행 측면만 제시한 것으로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을 함양하기 위

    한 체계적인 교육을 가이드하기에는 미흡하다.

    또한, 현재 일부 대학에서 ‘근거기반간호’ 와 관련한 교과목을 개설하여 교육을

    시행하고 있으나, 교수자 준비에 시간과 노력이 투자되어야 하는 만큼 확산되는데

    어려움이 있는 현실이다. 임상현장에서는 일부 상급종합병원을 중심으로 근거기반

    간호실무를 위한 조직을 구성하고 교육을 시행하여 임상간호 실무지침 개발 사례

    를 보고하고 있을 뿐 전국 3차 병원 간호사 중 58%의 간호사가 최상의 근거에

    따라 실무를 수행하지 않거나 극히 일부에서만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오

    의금, 오현주, 이윤정, 2004) 간호현장에서도 근거기반 간호실무가 정착되지 못하

    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근거기반실무가 발전한 외국에서도 지난 30년간 근거기반간호를 위한

    교육과 훈련, 다양한 활성화 전략들과 연구들이 개발되는 등 이론적 준비의 성장

    에 비하여 실제 적용에서는 여전히 낮은 실행률을 보이고 있다(Chau, Lopez, &

    Thompson, 2008; Estabrooks, Chong, & Brigidear, 2005; Pravikoff, Tanner, &

    Pierce, 2005; Rutledge & Skelton, 2011). 근거기반 간호실무 수행의 장애요인으

    로는 조직의 역할, 의사소통의 문제, 연구 자체의 문제 및 간호사의 개인적 문제

  • - 3 -

    가 주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으나(오의금 등, 2004; 유연희, 배수정, 김진선,

    2006; Funk, Champagne, Wiese, & Tornquist, 1991), 최근의 연구에서는 간호사

    의 연구방법 및 통계방법에 대한 지식, 교육수준, 연구/통계 수강 경험 등이 간호

    사의 근거기반 간호실무 수행의 중요한 예측요인이며, 임상실무에서 문헌에 대한

    접근과 구독, 비평과 실무적용, 의사결정과 시행 등에 이르는 간호사 개인에 의한

    일련의 근거기반실무 수행과정이 전반적으로 미흡함을 지적하고 있다(임경춘 등,

    2011).

    근거기반 간호실무는 이제 그 적용 여부를 판단하고 선택하는 단계를 넘어 어

    떻게 잘 할 것이냐는 문제에 직면해 있다. 근거기반 간호실무는 직접적으로 실무

    를 수행하는 사람에게서 시작되어야 하므로(Sackett et al., 1996), 환자를 가장 가

    까이에서 간호하는 간호사들이 과학적 근거의 생산자 및 소비자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할 때 성공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오의금, 2005). 그러나, 역동적이고 급속하

    게 변화 발전하는 임상현장에서 최상의 과학적 근거를 찾아 이를 자신의 전문성

    과 환자의 선호도에 통합하는 능력은 간호사 개개인의 전문성에 따라 다르고 단

    계적으로 상당한 훈련 과정을 요하므로(Cullen & Titler, 2004; Riley, Hill,

    Krause, Leach, & Lowe, 2011)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서는 먼저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교육 및 전략 내용이자 목표로서의 역량에 대한

    정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국내외 연구는 근거기반실무를 위

    한 지식, 기술, 태도, 인식, 장애요인 및 촉진요인 등을 단편적으로 탐색하였고(임

    경춘 등, 2011; Melnyk et al., 2004; Mott et al., 2005), 이지은과 박명화(2011) 가

    Academic Center for Evidence-Based Practice[ACE] 에서 개발한 근거기반 간호

    실무 핵심역량을 수정 및 보완하여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사용하였으나, 이들로써

    근거기반 간호실무 수행과정 전반에 필요한 역량과 구체적인 행동지표를 제시하

    기에는 상당히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근거기반 간호실무 수행을 위한 첫 단계로 근거기반 간호실

    무 역량을 개발하고 이를 임상경력 단계별로 제시함으로써 향후 근거기반 간호실

  • - 4 -

    무의 빠른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교육 및 간호인적 자원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B . 연 구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인 역량모델링 과정을 통해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

    을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추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팀 구성 등 근거

    기반 간호실무를 위한 인적자원개발 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

    함이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랑을 도출한다.

    2) 도출된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의 타당도를 검증한다.

    3) 임상경력단계별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을 도출한다.

    4) 임상경력단계별 근거기반 간호실무 집중개발 역량을 확인한다.

  • - 5 -

    C . 용 어 정 의

    1 . 근 거 기 반 간 호 실 무

    근거기반 간호실무란 임상에서 의사결정을 위해 최상의 과학적 근거와 환자의

    선호도를 건강관련 환경 및 자원의 맥락을 고려하여 임상적 전문성으로 이들을

    통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Dicenso, Cilisca, & Guyatt, 2004) 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Melnyk 과 Fineout-Overholt(2011) 가 제시한 7단계의 근거기반

    간호실무 과정 전반에 걸쳐 간호사가 수행하는 활동을 말한다.

    2 . 근 거 기 반 간 호 실 무 역 량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은 간호사가 임상현장에서 의사결정을 할 때 지식, 기

    술 및 행동을 통합하여 사용하는 능력(Ilic, 2009) 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

    서는 역량모델링 과정의 산출물로서 근거기반 간호실무 수행을 위해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특질 및 동기 등의 요소를 포함한 역량(역량군, 하위

    역량) 및 정의와 행동지표로 기술된 일련의 목록을 말한다.

  • - 6 -

    Ⅱ . 문 헌 고 찰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먼저 근거기반 간호실무에 대한

    고찰과 역량개발 방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근거기반간호

    의 개념과 구성요소, 근거기반 간호실무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과 관련한 최신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간호를 포함하여 보건의료분

    야에서 역량개발을 위해 주로 사용해 온 역량모델링 방법을 확인하고자 한다.

    A . 근 거 기 반 간 호 실 무

    1 . 근 거 기 반 간 호 실 무 의 개 념

    역사적으로 환자 간호에서의 의사결정은 관습적이거나 전통에 따라, 다른 간호

    사들 또는 의사들과의 의사소통을 통하여, 학교에서 습득한 지식 또는 의료 제공자

    의 선호에 의하여 이루어져 왔다(Dee & Stanley, 2005; Estabrooks, 1998;

    McKnight, 2006; Pravikoff et al., 2005; Thompson, McCaughan, Cullum, Sheldon,

    Mulhall, & Thompson, 2001). 반면에 근거기반실무의 개념은 근거기반의학의 개

    념에서 시작된 것으로 임상적 의사결정을 촉진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연구로부터

    도출된 최상의 유용한 근거를 임상적 전문성과 환자의 가치와 통합하는 것으로

    (Sackett et al., 1996), 지금은 보건의료전문직 전반에 걸쳐 건강관리 제공자들이

    실무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체계적인 접근방법이 되고 있다. 이러

    한 맥락에서 근거기반 간호실무란 최상의 연구 결과와 환자의 선호도를 건강관련

    환경 및 자원의 맥락을 고려하여 간호사의 임상 전문성으로 이들을 통합하여 의

    사결정을 내리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Dicenso et al., 2004). 근거기반 간호실

  • - 7 -

    무의 3가지 핵심 요소는 과학적 근거, 임상 전문성과 환자의 선호도로 이 세 가지

    요소간의 균형이 매우 중요하다. 임상 전문성이란 환자의 곁에서 수년간에 걸쳐

    개발되며, 과학적 근거는 환자에게 일반화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환자의

    선호도란 문화, 인종, 건강과 안녕에 대한 생각, 이외에도 환자 개인의 존재를 결

    정하는 고유의 여러 가지 특성을 포함하는데, 최근에는 적합성, 위해의 위험성과

    비용도 근거기반 간호실무의 정의에 포함되고 있다(Strout, Lancaster, & Schultz,

    2009).

    근거기반 간호실무를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연구와 근거기반 간호실무와

    의 관계와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는 특정 문제에 대한 해답을 구

    하거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체계적인 절차로 새로운 지식체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Polit & Beck, 2008). 1800년대 Florence Nightingale 시대에 군인들의 사망

    률과 이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으로부터 간호연구가 시작된

    이래 간호연구는 그 내용과 방법에서 많은 발전을 이루었지만 사실상 간호실무

    를 명확하게 규정하지 못함에 따라 연구결과와 간호실무 사이에는 큰 갭이 존재

    해 왔다. 이로 인해 간호계는 연구활용에 관한 많은 시도를 해 왔지만, 하나의

    연구결과만으로는 실무의 근거에 대한 충분한 지침을 제공하지는 못한다(Bays

    & Hermann, 2010). 즉, 연구활용은 연구결과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임상실무에

    적용하여 간호를 수행하고 수행에 대한 결과를 평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근거기

    반의 구성요소로 정의할 수 있으며(Lyons, Brown, Tseng, Casey, & McDonald,

    2011), 연구 역량을 개발함으로써 근거기반 간호실무를 지지할 수 있다(Burke,

    Beilin, Cutt, Mansour, Wilson, & Mori, 2005). 물론 최상의 연구 근거가 간호에

    사용될 때 환자의 성과가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으나(Heater, Becker, & Olson,

    1988) 근거기반 간호실무는 연구활용보다 더 넓은 개념을 통합하는 것이다. 따라

    서, 근거기반 간호실무는 연구를 실무에 적용하거나 실무를 지속적으로 평가하

    기 위한 성과 평가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단순한 연구활용과는 구분하여 접근해

    야 한다.

  • - 8 -

    근거기반 간호실무는 특정한 임상 상황에서 해답이 있는 질문을 하는 것으로

    부터 시작하여 가장 의미 있는 근거를 얻고 비판적으로 근거를 평가하여 임상에

    서 의사 결정을 하는 데 있어 환자의 선호도와 근거를 통합하여 적용하는 단계를

    거친다(Ciliska, 2005; Shaneyfelt et al. 2006). 구체적인 근거기반 간호실무 과정에

    대하여 학자들마다 조금씩 다르게 표현하고 있지만(Fineout-Overholt, Melnyk, &

    Schultz, 2005; Melnyk & Fineout-Overholt, 2011; Smith & Donze, 2010) 공통적

    으로 다음과 같은 다섯 단계의 과정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 단계를 신중하게 수행

    할 때 근거기반 간호실무를 성공적으로 성취할 수 있다.

    1단계는 임상질문 만들기이다. 임상질문은 PICO(P=patient population,

    I=intervention or area of interest, C=comparison intervention or comparison

    group, O=outcome) 형식으로 작성한다. Sackett 등(2000, Melnyk & Fineout-Overholt,

    2011에서 인용됨) 은 이 단계가 근거기반 간호실무에서 가장 중요하고 가장 도전

    적인 단계로 이는 연구 가능하고 해답 가능한 질문이 없이는 최상의 근거를 찾을

    수 없음을 의미한다.

    2단계는 최상의 근거를 찾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적절한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고 검색을 위한 주제어를 결정하고, 임상질문에 대한 해답을 구하는 데 가

    장 적절한 연구 설계를 결정한다. 체계적 문헌고찰 또는 메타분석 결과가 가장 강

    력한 근거이지만, 임상질문이 개념적 의미나 현상에 대한 경험일 때에는 질적 연

    구나 다른 수준의 연구 또한 중요하다.

    3단계는 검색을 통하여 찾은 근거를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단계로 실무에 대한

    연구의 가치를 결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연구 결과가 타당한

    지(진실성), 결과는 무엇인지(유의미성 또는 신뢰성), 내 환자와 관련이 있는 것인

    지(적합성)를 반드시 확인하여야 한다.

    4단계는 근거를 실무에 통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즉, 임상 전문성

    과 환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환자 간호에 대한 결정을 하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

    는 임상적 판단이 중요한데, 이는 환자의 선호도와 가치를 사정하고 통합함으로써

  • - 9 -

    의사결정과정에 영향을 준다. 만일 임상 질문에 대해 답을 줄 수 있는 근거가 없

    는 경우 이 단계에서 근거를 생산해야 한다.

    마지막 단계는 근거 적용에 대하여 전반적인 평가를 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서 근거 적용의 성공을 가장 잘 반영해 줄 수 있는 성과가 무엇인지 신중하게 선택

    하여 편이나 혼동변인을 고려하여 성과를 측정한다. 간호사의 반응뿐만 아니라 환

    자의 경험도 평가에 포함되어야 한다. 근거기반 간호실무는 간호사들이 최상의 근

    거에 의해 간호를 제공하게 함으로써 대상자의 결과를 개선시키고, 비용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게 하므로 근거기반 간호실무는 환자와 그 가족에게 미치는 결과까지

    연계하여 수행되고 평가되어야 한다(Fineout-Overholt, Levin, & Melnyk, 2005).

    근거기반 간호실무를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모델이 활용되고 있는데 크게 멘

    토십 모델과 과정 모델로 구분할 수 있다. 멘토십 모델로는 ‘ARCC(advancing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through close collaboration) 모델’ 과 ‘clinical

    scholar 모델’이 있고 과정 모델로는 ‘Stetler 모델’, ‘DiCenso 모델’, ‘Iowa 모델’ 과

    ‘Rosswurm and Larrabee 모델'이 해당된다(Fineout-Overholt, Melnyk, & Schultz,

    2005).

    ARCC 모델의 중심 개념은 근거기반 간호실무 멘토이다. 멘토는 근거기반 간

    호실무와 임상적 지식과 기술에 능숙한 상급실무 간호사로 근거기반 간호실무 과

    정에서 멘토링을 제공함으로써 근거기반 간호실무 수행 및 성과 관리 프로젝트를

    통해 임상 중재의 질과 환자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촉진한다. ARCC 모델의

    구체적 목표는 (1) 지역적으로나 전국적으로 상급실무 간호사와 일반 간호사 모두

    를 촉진하고 (2) 의료 기관에서 근거기반 간호실무를 촉진하기 위하여 근거기반

    간호실무 멘토의 틀을 설정하고 (3) 임상실무에서 최상의 근거를 사용하도록 확산

    하고 촉진하며 (4) 매년 근거기반 간호실무 컨퍼런스를 개최하며 (5) 과정과 결과

    측면의 임상실무에 대한 ARCC 모델의 효과평가 연구를 수행하고 (6) 근거기반

    간호실무 수행 전략의 효과평가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Fineout-Overholt, Levin,

    & Melnyk, 2005; Melnyk et al., 2004).

  • - 10 -

    Clinical scholar 모델은 일반 간호사들이 끊임없이 임상 질문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환경을 촉진하는 멘토링의 틀을 만들어 근거기반 간호실무의 인지 과

    정을 강화하는 것으로 이 모델의 최종단계는 프로젝트 및 연구로부터 얻은 결과

    를 팀 멤버와 보건의료인에게 확산하는 것이다. 이 때 임상 학자는 롤모델로 역

    할하며 실무를 교육하고 관리하기 위해 지식 중심으로 과정과 결과로서의 연구

    를 활용한다. 따라서 임상 학자가 효율적으로 근거를 사용하고 효과적으로 근거

    를 생산하는 과정을 이끌어 나가는데 있어 다른 팀 멤버들을 돕기 위해서는 광

    범위한 근거기반 간호실무 지식과 기술 및 임상 리더로서의 태도(창의성, 용기,

    열정, 체력과 활력 등)를 갖추어야 한다(Fineout-Overholt, Melnyk, & Schultz,

    2005).

    과정 모델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Stetler 모델은 실무에 정통한 간호

    사들의 비판적 사고와 연구 활용에 초점을 둔다(Stetler, 2001). 이 모델은 특정한

    환자 간호문제를 다루는 개인 또는 그룹이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DiCenso 등(2005) 은 임상 간호사들을 위해 근거기반 간호실무 과정을 단계적으

    로 따라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Iowa 모델(Titler et al., 2001) 은 실무의

    질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조직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델로 연역적 추론 방법으

    로 실무와 관련된 문제 또는 새로운 지식을 자극으로 확인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결과를 평가하고 확산하는 것으로 완성된다. Rosswurm 과 Larrabee(1999,

    Melnyk & Fineout-Overholt, 2011에 인용됨) 는 간호사 개인이나 조직 차원에서

    모두 활용할 수 있는 6단계의 근거기반 간호실무 과정 모델을 개발하였다.

    비록 이 모델들을 실증적으로 지지하는 몇 가지 사례들이 제시되고는 있지만

    아직 활성화되지 못한 상태이므로 추후 완전무작위실험연구를 통해 검증이 더 이

    루어져야 이들 개념 모델을 중재 전략으로 보다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

    다(Fineout-Overholt, Melnyk, & Schultz, 2005).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근

    거기반 간호실무는 최상의 외적 근거와 임상 전문성과 환자의 선택을 통합하여

    직접적으로 실무를 수행하는 사람에게서 시작되어야 하고, 강압적인 상의하달식

  • - 11 -

    및 요리 레시피처럼 고정된 접근방법으로는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없다(Sackett

    et al., 1996)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2 . 근 거 기 반 간 호 실 무 영 향 요 인

    연구활용에 대한 장애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된 많은 연구에서 정서적 소

    진, 연구에 대한 부정적 태도, 실무를 변화시키기 위한 권위 부족, 행정적 지원 부

    족, 시간 부족, 자원에 대한 접근 수단 부족, 통계에 대한 이해 부족, 연구에 대한

    기본지식과 경험의 불일치 등을 장애요인으로 보고하고 있다(Bryar et al., 2003;

    Estabrooks, O'Leary, Ricker, & Humphrey, 2003; Funk et al., 1991; Glacken &

    Chaney, 2004; Hutchinson & Johnston, 2004; Kajermo, Nordström, Krusebrant,

    & Björvell, 1998; Parahoo, 2000; Thompson, Chau, & Lopez, 2006). 이와 유사하

    게 1991년부터 2004년까지 출판된 11개국의 총 10,407명의 대상자에 대한 메타분

    석 결과에서도 우선순위가 높은 연구활용의 장애요인으로 시간부족, 통계에 대한

    이해부족, 실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권위 부족, 문헌을 읽을 시간 부족, 부적절한

    시설로 나타났다(Ashley, 2005).

    한편, 근거기반간호에 대한 오해(예, 시간 소모가 많다), 연구에 대한 부정적

    태도, 행정적 지원 부족, 멘토의 부족, 간호사들의 지식과 기술 및 신념 부족, 강

    의 위주의 보수교육, 실무발전을 위해 연구를 효과적으로 접근하고 비판적으로 평

    가하는 방법보다는 연구생산 중심의 간호교육 프로그램 등이 임상에서 근거기반

    간호실무를 발전시켜나가는 데 있어 주요한 장애로 제시되었다(Melnyk et al.,

    2004; Melnyk, Fineout-Overholt, Stetler, & Allan, 2005). 이와 유사하게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 여러 문헌들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근거기반 간호실무 적

    용의 장애요인은 시간부족, 근거기반 간호실무 과정과 연구 경험과 관련하여 제한

    적이거나 부적절한 지식, 비용이 많이 들고, 자원에 접근하기 어렵고, 사용가능한

  • - 12 -

    연구 문헌을 인지하기 어렵고, 실무 변화에 대한 권위 부족, 근거기반 간호실무가

    일상 업무에 부담이 되는 조직 문화, 간호는 직무기술 중심의 실무라고 생각하는

    간호 문화, 근거기반 간호실무에 대한 잘못된 신념, 행정적 지원 부족과 간호 리

    더들의 무관심, 멘토십 부족, 통계 및 비판적 평가에 대한 이해 부족 등으로 나타

    났다(Smith & Donze, 2010). 연구 결과를 탐색하고, 해석하고, 이해하는 것이 어

    렵기 때문에 간호사들은 대부분 그들이 학교에서 배운 것 또는 실무 경험을 기반

    으로 실무를 수행하며(Valente, 2010), 비록 근거기반간호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

    식하고 있다 할지라도 시간 부족, 통계용어에 대한 이해 부족, 학술논문에서 사용

    하는 특수 용어에 대한 이해 부족 등이 장애요인의 우선순위로 나타나 간호사들

    이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을 갖추기 위한 면밀한 전략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Fineout-Overholt, Levin, & Melnyk, 2005).

    국내 연구에서도 근거기반 간호실무를 위한 연구 수행에 필요한 재정적, 행정

    적 지원 부족,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가진 간호 인력 부족을 근거기반 간호실무

    를 수행하는 데 주된 장애요인으로 지적하고 있다(최명애, 방경숙, 박연환, 강현주,

    2011). 오의금 등(2004) 의 연구에서도 근거기반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률과

    수행률은 모두 5% 이하로 낮았고 장애 요인별 우선순위로는 조직, 의사소통, 간

    호사, 연구 요인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활용 장애는 직위, 전문직 만족

    도, 병동 관리자의 태도, 수행 및 교육 경험 등의 요인에 따라 그 정도가 달라지

    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연구결과를 실무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대상자

    가, 연구를 위해 자료수집을 해본 대상자가, 연구방법에 대해 교육을 받은 대상자

    가, 문헌검색에 대해 교육을 받은 대상자가 그렇지 않은 대상자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장애점수가 낮게 나타났다(유연희 등, 2006).

    연구활용 및 근거기반 간호실무 수행의 장애요인 측정도구로 주로 사용되어

    온 BARRIERS 도구의 이론적 틀은 Rogers 의 ‘혁신의 확산’ 이론으로 연구활용

    에 있어서의 장애를 이해하고 그런 장애를 줄이려는 노력은 간호사들의 근거기반

    간호실무 수행을 강화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있다(Carlson & Plonczynski, 2008).

  • - 13 -

    그러나, BARRIERS 를 사용하여 장애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된 45개 연구에

    대한 통합적 고찰 결과 이 중 어떤 연구도 연구활용과 근거기반 간호실무의 적용

    에 대한 장애요인간의 관계를 검증하지 않고 있어 장애요인을 감소시키는 것이

    근거기반 간호실무 적용을 향상시키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후 완전무작위통

    제실험과 같은 엄격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Carlson & Plonczynski, 2008).

    한편에서는 중재 연구를 시행하기에 앞서 간호사들이 인지한 장애와 근거기반 간

    호실무 적용간의 관계의 강도를 결정하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기도

    하였다(Brown et al., 2010).

    연구활용에 있어 시간 부족 이외에 간호사 개인 차원의 장애요인은 실무에서

    의 연구 가치에 대한 인식 부족, 전자데이터베이스의 구성에 대한 이해 부족, 연

    구물에 접근하기가 어려움, 컴퓨터 기술 부족, 연구 논문을 이해하기 어려움, 컴퓨

    터 활용 부족, 도서관 사용 부족, 검색 기술 부족, 연구에 대한 지식 부족, 문헌에

    대한 평가 및 합성 기술 부족의 순으로 나타났다(Pravikoff et al., 2005).

    Sciarra(2011) 의 연구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간호사가 인지하는 근거기반 간호실

    무 수행의 장애요인으로 문헌 평가 및 합성 기술 부족(42.9%), 연구 논문을 이해

    하기 어려움(42.9%), 전자데이터베이스의 구성에 대한 이해 부족(38.1%), 검색 기

    술 부족(38.1%)의 순으로 나타나 간호사들 스스로 근거기반 간호실무에 대한 지

    식과 기술 수준이 근거기반 간호실무 수행에 주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근거기반 간호실무의 촉진요인이란 근거를 실무에 중재하는 것을 더 쉽게 만

    드는 과정(Harvey et al., 2002) 으로 실무가 개선되어야 하고 지지적인 대인관

    계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맥락안에서 문제해결과 지원간에 상호작용이 일어나

    도록 하는 계획적이고 가치 있는 과정(Stetler et al. 2006) 으로 정의하였다. 여

    러 문헌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근거기반 간호실무 수행을 촉진하는 요

    인으로는 연구 결과를 읽고 수행할 수 있는 시간, 참여적인 관리자의 태도, 조직

    의 문화로 정립, 학사 수준 이상의 교육, 관련 연구의 적용 가능성과 간결성, 근

  • - 14 -

    거기반 간호실무와 연구 학습 기회 또는 기술 습득 교육, 근거기반 간호실무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신념, 동료들의 지지, 챔피언십, 팀웍 및 협력, 멘토십, 전문

    직 협회의 지지, 조직간 협력과 네트워크의 순서 등으로 나타났다(Melnyk et al.,

    2004; Melnyk & Fineout-Overholt, 2011; Omery & Williams, 1999; Smith &

    Donze, 2010). Dogherty, Harrison 과 Graham(2010) 은 다수의 연구결과로부터

    변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증가, 리더십과 프로젝트 관리, 관계 형성 및 의사소

    통, 맥락의 중요성,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평가가 근거기반 간호실무에 공통적인

    촉진요인임을 제시하였다. Taiwan 의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연구활용 촉진요인

    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실무현장에서의 컴퓨터와 인터넷 시설에 접근하기 용이하

    고 연구관련 지식 향상을 위한 교육, 연구보고서에 대한 이해 및 대학의 간호인

    력과 협력이 잘되는 것을 중요한 촉진요인으로 제시하고 있다(Chang, Russell,

    & Jones, 2010).

    이상으로 근거기반 간호실무 수행의 장애요인과 촉진요인을 살펴본 결과 많은

    연구에서 연구활용과 근거기반 간호실무의 개념을 혼용하여 사용하여 왔다는 것

    을 알 수 있고, 연구활용 또는 근거기반 간호실무를 수행하는데 공통적으로 영향

    을 미치는 장애요인과 촉진요인이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임

    상 간호사들을 위해 관리 및 지원 증가, 연구수행 기술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제

    공, 연구를 읽고 중재할 수 있는 시간 증가 등과 같은 다양한 중재 효과도 제시하

    고 있다(Kajermo et al., 1998; Parahoo, 2000; Thompson, Estabrooks, Scott-Findlay,

    Moore, & Wallin, 2007). 따라서, 근거기반간호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간호사 개인의 차원에서는 대학 및 임상교육에서 근

    거기반 간호실무와 관련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통해 장애요인

    을 제거하고 촉진요인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근거기반 간호실무에 대한

    조직의 긍정적인 태도로 전문성을 갖춘 리더에 의해 간호사들이 근거기반 간호

    를 수행할 수 있도록 촉진할 수 있는 양 측면의 접근방법이 모두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 15 -

    3 . 근 거 기 반 간 호 실 무 역 량

    역량 및 근거기반 간호실무의 정의를 기반으로 할 때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

    이란 임상에서 의사결정을 위해 최상의 과학적 근거와 환자의 선호도를 건강관련

    환경 및 자원의 맥락을 고려하여 간호사의 임상적 전문성으로 이들을 통합하여 문

    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우수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지식, 기술, 태도, 특질 및

    동기 등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이 무엇인가와 관련하여

    최명애 등(2010) 은 간호사들이 근거기반 간호실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과학적 지식체에 대해 민감성을 가지고 양산되는 연구결과에 대한 올바

    른 판단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고 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환자 간호에 필요

    한 최신의 연구결과나 보고서를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능력과 접근한 각종 정보에

    대해 객관적으로 타당한 시각을 갖고 이를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종합적인 능력

    이 필요하다(Koehn & Lehman, 2008; Upton & Upton, 2006)고 하였다.

    Stevens(2006) 는 학사교육, 석사교육 및 박사교육 등 교육 수준에 따라 근거기

    반 간호실무 핵심역량을 제시하였고, 이지은과 박명화(2011)가 우리나라 간호사의

    근거중심실무역량 수준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 중 학사수준의 핵심역량을 수정보완

    하여 임상문제 확인 2문항, 근거 검색 6문항, 실무적용을 위한 근거의 가공 8문항,

    근거의 실무적용 3문항, 실무적용 후 평가 1문항의 총 20문항으로 구성된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앞서 연구의 필요성에서 기술하였

    듯이 현재 국내외에서 체계적으로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이 개발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고, 근거기반 간호와 관련한 지식, 기술, 태도와 수행이 근거기반 간호실무에

    중요한 영역으로 여겨지면서(Estabrooks, 1999a, 1999b; Estabrooks et al. 2003;

    Shaneyfelt et al., 2006; Upton, 1999) 이들 영역과 관련된 측정도구들이 단편적으

    로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이에 역량은 지식, 기술, 태도, 특질, 동기 등의 집합체

    이므로 부분적으로나마 이러한 각각의 요소와 관련하여 타당도가 확보된 도구를

    중심으로 고찰해봄으로써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을 추정해보고자 한다.

  • - 16 -

    역량의 구성 요소 중 지식 및 기술 요소와 관련한 측정도구의 주요 내용은

    임상 문제 만들기부터 근거기반 간호실무 중재 평가하기에 이르는 근거기반 간호

    실무 과정에 초점을 두고 있다. 공통적으로 PICO 형식으로 질문만들기, 근거를

    검색하는 방법(데이터베이스의 종류 및 특성 이해, 적합한 데이터베이스 선택과

    사용 등 포함), 근거를 평가하는 방법(근거의 등급에 대한 이해, 근거의 평가 도구

    에 대한 이해, 근거의 강도 결정 등 포함), 근거를 선택하고 적용하기, 적용 후 근

    거를 평가하기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Cullen, Titler, & Rempel, 2011;

    Fliegel, Frohna, & Mangrulkar, 2002; Gerrish et al., 2007; Johnston, Leung,

    Fielding, Tin, & Ho, 2003; Melnyk et al., 2004; Mills, Field, & Cant, 2011;

    Rutledge & Skelton, 2011). 또한 연구활용 및 정보활용과 관련한 지식 또는 기술

    만을 별도로 제시하고 있는 연구도 있다. 연구활용의 내용으로는 직접 연구수행,

    연구보고서 읽기, 연구에 대하여 동료들과 상호작용,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실무,

    정책과 지침 등을 이행하거나 변경하는 것으로(Estabrooks et al., 2011; Fink,

    Thompson, & Bonnes, 2005; Milner, Estabrooks, & Humphrey, 2005) 연구활용

    과 근거기반 간호실무의 개념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정보활용과 관련한 내

    용으로는 정보출처, 정보검색 빈도, 정보활용 빈도, 정보검색 기술 등(Gerrish &

    Clayton, 2004; Ozsoy & Ardahan, 2008) 을 포함하고 있었다.

    근거기반 간호실무에 대한 인식/신념/태도 측정도구에서는 서로 유사한 내용들

    이 중복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는데, 근거기반 간호실무의 정의 및 목적에 대한 이

    해, 근거기반 간호실무의 필요성 및 중요성에 대한 인식, 실제 수행에 대한 의지,

    실무 변화에 대한 의지, 변화된 실무 지침 수행 수준, 조직의 지지 및 문화에 대

    해 긍정적인지 아니면 부정적인지를 확인하는 내용이 공통적이었다(Aarons, 2004;

    Brown, Johnson, & Appling, 2011; Jan, Anna, Lars, & Gustavsson, 2012;

    Johansson, Fogelberg-Dahm, & Wadensten, 2010; Kajermo, Bostrom,

    Thompson, Hutchinson, Estabrooks, & Wallin, 2010; Melnyk, Fineout-Overholt,

    & Mays, 2008; Milner et al., 2005; Olade, 2003; Riley et al., 2011).

  • - 17 -

    Johnston 등(2003) 이 학부수준의 근거기반 간호실무 교육을 평가하기 위해 개

    발한 도구는 지식/기술, 태도/인식/신념 및 수행/행동 영역을 모두 포함하고 있고

    여러 연구를 통하여 도구의 타당도가 검증된 도구이다. 이 도구는 근거기반 간호

    실무의 미래 사용에 대한 인식, 근거기반 간호실무에 대한 태도, 근거기반 간호실

    무에 대한 지식, 근거기반 간호실무의 개인적 적용 및 사용 수준 등의 총 4개 요

    인을 포함한다. Upton 과 Upton(2006)은 간호사를 대상으로 근거기반 간호실무

    지식 및 기술, 근거기반 간호실무의 임상적 효과에 대한 태도, 근거기반 간호 실

    무 및 사용의 3개 영역으로 구성된 EBPQ(evidence-based practice questionnaire)

    도구를 개발하였다. Thiel 과 Ghosh(2008) 는 근거기반 간호실무 수행을 위한 간

    호사의 근거기반 간호실무 준비도, 근거기반 간호실무 지식체 인식, 근거기반 간

    호실무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였고, Melnyk 등(2008) 은 근거기반 간호실무 에 대

    한 신념과 근거기반 간호실무 수행을 측정할 수 있는 EBPBI(evidence-based

    practice beliefs and implementation) 도구를 개발하였다.

    의학에서도 근거기반의학의 수행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들이 개발되어 사용되

    고 있는데, 대부분이 근거 평가라는 특정 부분에 대한 역량 평가에 국한되어 있

    고, 지식 및 기술 영역에만 제한되어 있어 근거기반의학 수행 전체 과정에 걸친

    역량을 확인하기에는 부족하다고 지적되고 있다(Ilic, 2009). 우리나라에서는 인지

    적 측면 뿐 아니라 태도와 실천을 포함한 포괄적인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

    여 의대생들의 근거기반의학 수행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 근거기반의학에 대한 태

    도, 그리고 근거기반의학의 실천에 관한 항목들을 포함한 근거기반의학 수행역량

    평가도구를 개발하였으나(박재현, 윤태영, 고진경, 2009), 대상이 의대생으로 제한

    되어 있고 수준과 범위가 다양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평가도구를 중심으로

    고찰한 결과 크게 지식/기술, 태도/인식/신념, 수행/행동 등의 3가지 요소로 구분

    되어 있어 이는 역량의 구성 요소와 연계될 수 있다. 그러나, 연구자는 역량을 우

    수 수행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투입이며 성과를 달성하게 하는 지식,

  • - 18 -

    기술, 태도 또는 특성의 조합으로 성과와는 구별되는 행동역량모형의 관점을 견지

    하고 있으므로 성과 또는 측정도구가 역량과 동일하게 사용될 수는 없다는 입장

    이다. 따라서,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은 현 시점에서 근

    거기반 간호실무 역량을 추정해 보기 위해 측정도구를 살펴보기는 하였으나, 이를

    통해 역량을 확인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그 타당성에 대해서도 확신할 수는

    없는 현실이다. 이는 지금까지 개발된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 측정도구가 거의

    자가보고형 질문지의 형태를 보이고 있어 실제 근거기반 실무성과를 측정하는 데

    적합한 것인가에 대한 비판을 받고 있는 것(Ilic, 2009) 으로도 설명될 수 있다. 따

    라서, 역량을 측정하는 도구개발에 앞서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에 대한 정의, 하

    위 영역 및 행동지표가 체계적으로 개발되어야만 이를 반영하는 타당한 평가도구

    개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역량모델링 방

    법으로 근거기반 간호실무 역량을 개발하고자 한다.

    B . 역 량 및 역 량 모 델 링

    1 . 역 량 의 정 의

    역량(competency) 개념은 1970년대 초 미국의 심리학자인 McClelland(1973)

    가 직무의 성공적인 수행에 대한 예측 요인으로써 지능 검사의 적절성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즉, 그는 전통적 의미의 지능검사보다 개인이

    수행하는 직무에서 실제 성과로 나타나는 역량평가가 더 의미가 있다는 입장을

    밝힘으로써 지능검사에 대한 대안으로 ‘역량’을 제시하였다(Spencer & Spencer,

    1993/1998; Rothwell & Lindholm, 1999).

    McClelland(1973) 는 초기에는 업무 성과뿐만 아니라 삶과 관련된 심리적 또는

    행동적 특성을 포함하는 광의의 의미로 역량을 정의하였다가 우수 성과자와 평범

  • - 19 -

    한 성과자를 구분하는 행동 방식의 특성에 관심을 두게 되면서 특정 조직이나

    환경에서 필요로 하는 것을 이룰 수 있는 능력으로 역량을 정의하였다. 이후 특

    정 직무나 역할에 국한되지 않고 보편적인 역량에 대해서도 주장하였는데 이는

    Boyatzis 의 ‘일반 역량’ 개념의 기반이 되었다. Boyatzis(1982, 한상길, 2011에 인

    용됨) 는 어떤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효과적이고 우수한 성과와 관련된 개인의

    내재적 특성으로 역량을 정의하고 그 특성은 지식, 기술, 특질, 동기, 자아상 및

    사회적 역할이며 이로 인해 우수 수행자, 평균 수행자 및 낮은 수행자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McClelland 에 이어 조직이나 업무 특성에 관계

    없이 일관성 있게 나타나는 우수 관리자의 능력으로 일반역량이 존재한다는 점

    을 규명하였다. Jacobs(1989, 한상길, 2011에 인용됨) 는 직무수행을 성공적으로

    완수하는 데 필요한 관찰 가능한 기술이나 능력으로 역량을 정의하였고, 이와 유

    사하게 McLagan(1989) 은 특정 분야에서 성과를 산출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지식과 기술이라고 정의하였다. Corbin(1993, 오헌석, 2007에 인용됨) 은 기

    대하는 성과 또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것과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을 포함하는 능력으로 정의하였고, Dubois(1993) 는 조직 환경내에서 직무 목

    표를 달성할 수 있는 조직구성원의 능력으로 조직의 목표 및 직무 목표를 달성

    하는 구성원의 질적 수준에 초점을 맞추어 인력개발측면에서의 역량을 정의하였

    다. Spencer 와 Spencer(1993/1998) 는 역량을 특정한 상황이나 직무에서 구체적

    인 준거나 기준에 비추어 평가했을 때 효과적이고 우수한 성과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적특성이라고 정의하고, 내적 특성의 요소로 지식, 기술, 자기개념, 특

    질, 동기를 제시하였다. Parry(1996) 는 역량이란 개인이 수행하는 업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직의 성과 기준에 연계하여 측정할 수 있고 업무 성과

    와 연관성이 높으며, 교육 또는 훈련 및 개발을 통하여 개선이 가능한 지식, 기

    술 및 태도의 집합체라고 하였다. Green(1999, 오헌석, 2007에 인용됨) 은 직무목

    표를 달성하는데 사용되는 측정 가능한 업무 습성 및 개인적 기술에 대한 증거

    자료로 역량을 정의하였다.

  • - 20 -

    국내에서도 경영관리, 직업교육, 정부부처 등에서 점차 역량에 기반한 인사관

    리 및 교육프로그램이 확대되면서 역량에 대한 개념이 정립되고 있다. 천경희

    (2010) 는 직업교육이나 훈련, 성인교육 분야에서 숙달하고자 하는 직무나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내는 것과 관련되어 도출된 개념으로 소개하였고, 김진모

    (2001) 는 조직의 미션 및 전략을 달성하고 바람직한 기업문화를 창출하는데 요구

    되는 지식, 기술, 태도의 총체로 정의하였다. 유태용(2007) 은 개인과 조직의 성공

    적인 성과 달성에 핵심이 되고,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찰이 가능하고, 측정이

    가능하고, 교육 및 지도를 통해 개발이 가능한 개인의 내재적 특성으로 정의하였

    다. 임우섭(2007) 은 어떤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오기 위하

    여 일관되게 나타나며 관찰과 측정이 가능한 개인의 내적인 특성과 능력으로 역

    량을 정의하였다. 한상길(2011) 은 조직 환경속에서 직무의 질적 성과나 목표를

    달성해 낼 수 있는 조직구성원의 능력뿐만 아니라 나아가 조직의 미션 및 전략을

    달성하고 바람직한 기업문화를 창출하는데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의 총체적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장미(2011) 는 자신이 소속된 환경 속에서 직무 혹은 업무

    와 관련하여 성공적인 결과를 이루기 위해 개인의 동기, 특질, 지식, 기술, 태도

    등이 비교적 장기간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능력이며 우수성과자와 평균성과자를

    구별해 주는 차이로 정의하였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역량의 개념에 대한 국내외 학자들의 정의는 조금씩

    다르게 기술되고 있는데, 이는 역량을 정의하는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기본 철학이

    나 해당 학문의 특성 및 과학적 접근방법이 다른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역량에 대

    한 접근은 크게 행동역량모형과 직무성과모형으로 구분된다(Garavan & McGuire,

    2001). 행동역량모형은 주로 미국을 중심으로 한 역량의 개념이 우수한 수행자의 행

    동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투입이며 성과를 달성하게 하는 지식, 기술, 태도 또는

    특성의 조합으로 성과와는 구별되어야 하며 대표적으로 McClelland, Boyatzis 및

    Spencer 와 Spencer 가 행동역량모형에 근거하여 역량을 정의하였다(오헌석, 2007).

    직무성과모형에서는 역량이 성과와 동일시되어 역량이 행동의 종속변인으로 규정되

  • - 21 -

    는데 이러한 관점은 주로 영국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다. 즉, 역량이 성과와 동일

    한 의미로 사용되어 역량 자체를 교육의 성과이자 결과로써 이해하는 것이다.

    이처럼 역량은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으나 공통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은 개인의 직무 또는 조직의 목표를 효과적이고 성공적으로 달성할 수 있

    도록 해주며, 단 하나의 요소로는 정의할 수 없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의 집합체로

    써 교육 및 훈련으로 개발 및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최근 간호실무

    의 준거로 대두되고 있는 근거기반 간호실무를 위한 역량도 이러한 요소 및 특징

    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2 . 역 량 모 델 링

    역량모델링은 역량을 체계적으로 만들어나가는 과정(정재삼, 장정훈, 1999) 으

    로 다양한 역량모델링 방법이 소개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학자들의 연구방

    법을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Dubois(1993) 는 직무역량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역량도출방법으로 직무역량

    평가방법, 변형된 직무역량 평가방법, 일반모델 덧씌우기 방법, 일반모델 맞춤화

    방법, 유연한 직무성과 설계 및 모델링(미래 지향적 접근법) 등 다섯 가지를 제안

    하였다. 첫째, 직무역량 평가방법은 직무 구성요소와 우수한 직무성과자의 요건을

    먼저 파악한 후 주로 인터뷰를 통해 우수한 성과자의 특성을 조사하는 과정을 거

    쳐 탁월한 직무 성과를 구분하는 핵심적인 직무역량을 도출한다. 추상적이거나 매

    우 포괄적인 역량 파악이 가능하나 인터뷰 수행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된다.

    둘째, 변형된 직무역량 평가방법은 일대일 인터뷰 대신 서면으로 인터뷰 대상자들

    에게 질문을 전달하여 행동스토리를 얻는 방법으로 면담자와의 상호작용이 이루

    어지지 않으므로 세밀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얻기 어려운 점이 있다. 셋째, 일반모

    델 덧씌우기 방법은 기존에 이미 만들어진 역량모델을 이용하여 전문가들로 구성

  • - 22 -

    된 포커스 그룹에서 역량모델의 초안을 만든 후 우수 성과자들을 대상으로 검증

    과정을 거친다.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는 있으나 조직 특성에 최적화된 역량모델

    을 얻기에는 부족하다. 넷째, 일반모델 맞춤화 방법은 일반역량모델을 수정보완하

    면서 특정 역량모델을 발전시켜 나가는 방법이다. 다섯째, 유연한 직무성과 설계

    및 모델링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 역량, 직무 산출물, 역할 등이 보다 포괄적이고

    일반적인 방식으로 제공되어 구성원들이 자신의 현실에 맞게 개별화하고 그 모델

    에 맞춰 성과계획을 세울 수 있기 때문에 빠르게 변화하는 상황 변화에 쉽게 변

    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방재현, 2012; 장미, 2011; 한상길, 2011).

    Spencer 와 Spencer(1993/1998) 는 역량모델 개발 방법으로 고전적 연구, 단축형

    연구, 미래형 직무 혹은 1인 직무에 대한 연구의 세가지 방법을 제시하였다. 고전적

    연구는 Dubois(1993) 가 제시한 ‘직무역량 평가방법’과 매우 유사하며 주로 핵심 직

    무에 대한 역량모델 개발에 이용한다. 이 방법은 먼저 직무 구성요소, 기준 또는 척

    도를 규명하고 우수성과자 집단과 평균 성과자 집단(준거집단)을 선정한 후 자료

    수집을 시행한다. 자료 수집 방법으로는 행동사건면접, 전문가 패널, 설문조사, 컴퓨

    터에 기초한 전문가 시스템, 과업/직능 분석 방법, 직접 관찰 등이 사용된다. 수집

    된 자료에 대한 분석과정을 통해 우수 성과자 집단과 평균 성과자 집단을 구분하는

    성격적 특성과 역량을 규명하고 역량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한 후 실제 적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을 세우는 과정을 거친다. 이 방법은 주로 핵심 직무에 대한 역량모델

    개발에 이용되는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전문가 패널을 이용하는 단

    축형 연구는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여 그들로부터 역량모델에 필요한 요소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역량모델을 만들고 타당성을 검증한다. 미래형 직무란 현재에는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준거집단을 구성하기 어려워 현존의 유사한 직무를 활

    용하거나 기존의 직무 요소와 역량의 관계에서 추정하거나 전문가 패널을 이용하여

    미래의 직무역량을 개발한다. 1인 직무란 해당 직무에 종사하는 인원이 단 한명인

    직무로 주로 해당 직무에 종사하는 사람과 그와 상호작용하는 사람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종합하여 역량을 개발한다(방재현, 2012; 장미, 2011; 한상길, 2011).

  • - 23 -

    Rothwell 과 Kazanas(한상길, 2011에 인용됨)는 차용하는 방법, 차용하여 제작

    하는 방법, 제작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차용하는 방법은 다른 조직이 개발한 역

    량모델을 가져와서 사용하는 것으로 가장 쉬우면서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

    으나 직무 특성을 정밀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차용하여 제작하는 방

    법은 다른 조직의 역량모델을 도입해서 해당 직무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수

    정한 것이며, 제작하는 방법은 연구에 대한 가장 높은 수준의 엄격함을 요구하는

    것으로 조직에 맞는 역량모델을 직접 개발하는 것을 말한다.

    Lucia 와 Lepsinger(1999/2001) 는 새로운 모델개발 방법과 검증된 역량모델

    활용방법을 제시하였다. 새로운 모델개발 방법은 특정 직무나 역할을 위한 역량을

    개발할 때 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대상 직무에 능숙한 전문가와의 인터뷰나 포

    커스 그룹, 직접 관찰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새로

    운 역량모델을 개발하는 방법이다. 검증된 역량모델 활용방법은 타당성이 검증된

    역량모델로부터 출발한다는 점이 전자와의 차이이다. 이 방법은 전문적인 기술과

    지식이 거의 필요하지 않는 몇 가지 직무와 직위에 걸쳐있는 리더십이나 관리 역

    량모델을 개발하는데 적합하다.

    따라서, 개발하고자 하는 역량의 대상이 되는 직무 특성과 범위, 자료수집 대

    상 및 비용, 기간 등을 고려한 수행가능성, 역량의 활용 방법 등을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역량개발 방법을 선택하여야 할 것이다. 역량모델링 과정은 논리적이고 과

    학적이며 창의적이고 예술적인 과정을 모두 포함하므로(천경희, 2010) 역량모델링

    방법에 대한 연구자의 철저한 준비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3 . 간 호 에 서 의 역 량 개 발

    간호에서도 지속적으로 역량개발 연구가 이루어져왔고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영역

    과 범위에서 간호역량을 정의하고 있다. 국외의 경우 주로 지역 및 국가단위의 위원

  • - 24 -

    회나 전문가 집단에 의해 역량개발이 이루어졌는데 대표적으로 National League for

    Nursing[NLN](2010) 이 'Education Competencies Model' 에서 간호교육수준에 따

    른 역량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 모델은 돌봄, 다양성, 윤리, 우수성, 전체론,

    통합 및 환자 중심의 7개의 핵심 가치를 모든 간호실무의 근본에 두고 있다. 이 핵

    심 가치는 교육을 통해 맥락과 환경, 지식체와 과학, 개인 및 전문직 개발, 질 보장

    및 안전 및 관계중심 돌봄, 팀워크 등의 통합된 개념으로 발전하여 학생들의 최종적

    인 성과로 인간적인 성장, 올바른 간호 판단, 전문직의 발전과 탐구심의 4가지를 제

    시하고 있다. Quality and safety education for nurses[QSEN] 은 환자중심 간호, 팀

    웍 및 협력, 근거기반실무, 질 개선 활동, 안전 및 정보화를 면허 간호사의 핵심역량

    으로 제시하고 있다(Cronenwett et al., 2007). Massachusetts department of higher

    education(2010) 은 성과기반 교육 및 실무를 위한 개념 틀 및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The nursing core competencies for the nurse of the future’ 을 개발하고 간호지식

    체, 환자중심 간호, 전문직 정체성, 리더십, 시스템기반 실무, 정보학, 의사소통, 팀워

    크 및 협력, 안전, 질 향상, 근거기반실무 등 총 11개의 핵심역량을 제시하였다. 호주

    간호협회(Australian nursing and midwifery council, 2010) 는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for the registered nurse' 를 통해 간호사의 역량을 전문직 실무수행, 비판

    적 사고와 분석, 돌봄 제공 및 조정, 협동적이고 치료적인 실무 등으로 제시하고 있

    는데, 근거기반 간호실무는 ‘돌봄 제공 및 조정’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간호교육평가원(2012) 이 제시한 간호사 핵심역량으로 전

    인간호제공을 위한 교양 및 전공지식과 간호술의 통합적용 능력, 대상자 건강개선

    을 위한 전문분야 간 의사소통과 협력 능력, 간호문제해결을 위한 비판적 사고 능

    력, 간호전문직 발전을 위한 법적․윤리적 책임인식 능력, 간호목표달성을 위한

    리더십 능력, 간호실무의 과학적 발전을 위한 연구수행 능력, 글로벌 보건의료 정

    책변화 대응 능력 등 총 7개 역량을 제시하고 있다.

    개인적 차원에서의 연구도 수행되어 왔는데, Benner(1982) 는 중요사건기록법

    을 이용하여 간호사와의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로부터 임상간호의 실무 영역을

  • - 25 -

    돕는 역할, 교육과 지도기능, 진단과 감시 기능, 급변하는 상황의 효과적 관리, 치

    료적 중재와 섭생법의 관리와 감시, 의료실무의 질 감시와 확보, 조직의 능력과

    업무 역할 능력의 7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그 하부에 총 31개의 간호역량을 개발

    하였다. Lenburg(1999) 는 핵심간호능력의 틀로 사정과 중재 기술, 의사소통 기술,

    비판적 사고 기술, 돌봄과 관계 기술, 관리 기술, 지도력, 교육 기술 및 지식통합

    능력을 제시하고 있다. Utley-Smith(2004) 는 신규학사 졸업생들에게 필요한 역량

    을 도출하기 위하여 병원, 가정간호기관, 요양원의 간호관리자를 대상으로 간호역

    량에 대한 요인분석을 시행하여 건강증진 역량, 감독역량, 상호 의사소통역량, 직

    접간호역량, 전산역량 및 담당사례 관리역량의 6개 역량군으로 나누었다.

    Meretoja, Isoaho 와 Leino-Kilpi(2004) 는 간호사와 간호관리자의 간호역량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조력자, 티칭-코칭, 진단 기능, 관리 상황, 치료적 중재, 질 보장 및

    실무의 7개 역할과 이에 대한 73개 문항으로 구성된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장금성(2000) 이 간호사의 역량은 과학적 지식, 윤리적 지식,

    인격적 지식, 심미적 지식을 통합적으로 실천하는 능력으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간호실무에서 간호사의 능력을 평가할 때 경험에 기반한 과학적 지식을 중심으로

    한 간호업무 수행능력 측정에 중점을 두는 것에서 벗어나 4가지 지식 영역에 해

    당하는 역량 모두가 균형 있게 발전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를 시작으로 간

    호사의 역량에 대한 몇몇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고, 다양한 용어로 간호역량이 정

    의되어 왔다(강윤숙, 이숙정, 김인자, 안금희, 2008; 김소선, 유옥수, 권인각, 문성

    미, 성영희, 2005; 성영희, 정정희, 2006; 육신영, 2003; 최진숙, 은영, 2006). 그러

    나, 개념 정의의 근거가 국외 문헌에 의존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관련개념 또는

    유사개념과의 경계를 명확하게 하지 못하며, 간호역량의 수준이 구체적이지 않고,

    일반적인 간호역량보다 근무특성에 따른 역량개발이 이루어졌다.

    장금성(2000) 이 개발한 간호역량은 간호지식체에 기반하여 간호사의 총체적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기틀이 되나, 이를 근거로 실제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평가도구는 개발하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연구자들이 간호업무 영역에 따라 사용

  • - 26 -

    가능하도록 이 틀을 바탕으로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손영의(2006) 는 13개의

    간호역량을 모두 포함하여 도구로 개발하였고, 박지은(2002) 과 육신영(2003) 은

    중환자실과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이해를 제외한 12개의 간호역량을 포

    함하여 도구를 개발하였다. 최진숙과 은영(2006) 은 수술실의 특징을 반영하여 환

    자 이해와 대상자지향성을 제외하고 안전관리를 포함하여 12개의 간호역량군을

    측정하였다. 국내 간호역량 개발연구 결과 도출된 구체적인 역량목록 및 역량모델

    링 방법은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간호역량개발 연구들에서 주로 활용한 모델링 방법을 살

    펴보면, 기존의 일반역량모델을 차용하여 전문가를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증하는 방

    법(강윤숙 등, 2008; 장금성, 2000; 최진숙, 은영, 2006) 과 역량모델을 직접 개발하

    는 방법(권인각 등, 2008; 김미원, 2006; 김소선 등, 2005; 성영희, 정정희, 2006; 육

    신영, 2003) 으로 나눌 수 있다. 역량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고찰을

    통해 역량초안을 개발하고 이에 대하여 전문가를 대상으로 타당도를 검증받는 방법

    이 가장 많았고(김미원, 2006; 성영희, 정정희 2006; 육신영, 2003; 최진숙, 은영,

    2006), 이외에 전문가 포커스 그룹 면담(김소선 등, 2005), 행동사건면담법(장금성,

    2000), 우수역량자 포커스 그룹 면담(권인각 등, 2008) 등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연

    구자마다 조금씩 다르기는 하나 기존 역량모델을 차용하여 활용하였든, 직접 개발

    하였든 개발방법에 관계없이 연구절차는 기존 역량모델 선정 또는 직접 역량모델

    개발, 내용타당도 검증, 역량 도출, 대상 집단에서의 역량 검증, 역량 확정 등 일정

    부분 유사한 단계를 거쳐 역량모델 개발 연구가 수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내용타당도 이외의 타당도 검증 절차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전문가 의

    견을 어떻게 합의해 나갔는지 명확하지 않으며, 역량의 대상이 되는 집단을 표본으

    로 한 검증에서도 중요도 인식 조사만을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실무현장에서 활용되는 사례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추후 간호역량개발 연

    구에서는 어떤 모델링 방법에 근거하였는지를 명확하게 제시하고, 구체적인 자료수

    집 방법과 분석 방법에서 좀 더 타당하고 신뢰로운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 27 -

    Ⅲ . 개 념 적 틀

    본 연구의 개념적 틀은 보편적 역량으로서의 구조적 틀과 근거기반 간호실무

    의 특수성을 제시하기 위한 내용적 틀로 설명할 수 있다. 구조적 틀은 다시 역량

    의 요소 및 내용으로 구성된 횡적 틀과 수준을 나타낼 수 있는 종적 틀로 구분

    할 수 있다.

    먼저, 본 연구에서 역량의 구조로서의 횡적 틀로는 Spencer 와 Spencer(1993/1998)

    가 제시한 역량구조모델(그림 1) 을 사용하였다. Spencer 와 Spencer(1993/1998)

    는 역량을 특정한 상황이나 직무에서 구체적인 준거나 기준에 비추어 평가했을

    때 효과적이고 우수한 성과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적 특성으로 정의하고 역량

    을 동기, 성격, 특성, 자기개념, 지식, 기술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설명하였

    다. 개인의 내적 특성이란 다양한 상황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며 비교적 장시간

    지속되는 행동 및 사고방식을 의미한다. 동기는 개인이 일관되게 품고 있거나 원

    하는 어떤 것으로 행동의 원인이 되며 특정한 행위나 목표를 향해 행동을 촉발시

    키고 방향을 지시하며 선택하도록 작용하는 것이며 성격 또는 특성은 신체의 특

    성, 상황 또는 정보에 대한 일관적 반응성을 의미한다. 또한, 자기개념은 태도, 가

    치관 또는 자기상을 말하며 주어진 상황에서 단기적으로 나타내는 반응적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지식은 특정 분야에 대해 가지고 있는 정보로써 그 사람이

    무엇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줄 수 있을 뿐 실제로 무엇을 할 것인지는 예측하

    지 못한다고 한다. 기술은 특정한 신체적 또는 정신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능

    력으로 정신적 또는 인지적 기술은 분석적 사고, 지식과 데이터를 처리하고 인과

    관계를 규명하며 데이터 및 계획을 조직화하는 능력과 개념적 사고, 복잡한 데이

    터의 패턴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한다.

    그런데 이런 역량의 내적 특성들을 개발가능성에 따라 3차원으로 구분함으로

    써 실제 수행으로 나타날 수 있는 행동적 측면을 강조하였다. 이는 역량 빙산모형

  • - 28 -

    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다섯 가지 개인의 내적 특성 중에서 지식과 기술은 비교

    적 가시적이며 표면적인 특징을 가지는 반면 자기개념이나 성격특성, 동기는 인간

    의 내면에 위치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Spencer & Spencer, 1993/1998). 이는 지

    식과 기술은 파악하거나 개발하기 쉬운 반면 자기개념이나 특질 또는 동기는 파

    악하거나 개발하기 어려운 부분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즉 지식과 기술은 교육훈련

    을 통해 어느 정도 개발, 육성이 가능하나 동기와 성격 및 특성, 자기개념은 인간

    내면의 밑바닥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쉽게 바꾸기가 어렵다(김진모, 2001). 그러

    나, 천경희(2010) 는 타고난 개인의 특질도 수정되고 개발될 수 있으며, 비록 측정

    이 불가능해 보이는 인성적 특질이라도 행동적인 용어로 전환되면 측정과 평가가

    가능하다는 의견들이 늘어나고 있음을 제시하면서 특히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는

    지표로 그 중요성이 있다고 하였다.

    역량 구조의 내면과 표면(Spencer & Spencer, 1993/1998)

    Spencer 와 Spencer(1993/1998) 는 이러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