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행 및 장애요인 ·...

99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행 및 장애요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 호 학 과

Upload: others

Post on 19-Jan-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행 및 장애요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 호 학 과

    유 재 용

  •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행 및 장애요인

    지도 오 의 금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10년 1월 일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 호 학 과

    유 재 용

  • 유재용의 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년 1월 일

  • 감사의 글

    본 논문이 완성되기까지 많은 관심과 격려를 베풀어 주신 주위의 많은 분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논문 초기부터 마무리까지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틀을 잡아주시고, 늘 아낌없

    는 격려와 관심으로 저를 지도해 주신 오의금 교수님, 조교로서 부족한 점이 많은

    저에게 매순간 지적 자극과 자신감을 불어넣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학부과정에

    서부터 지도교수님으로 맺은 인연에서 지금까지 학문적 도움과 따뜻한 응원을 아

    낌없이 주신 허혜경 교수님, 제겐 큰 힘이 되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정확하고 예

    리한 조언과 함께, 애정 어린 관심으로 논문진행을 지도해주신 최모나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또한 조교로서 새로운 환경에서 잘 적응할 수 있도록 관

    심과 사랑으로 염려해주신 김소선 학장님과 간호대학의 모든 교수님들께 진심으

    로 머리 숙여 감사드립니다.

    자료수집 과정 중에 자신의 일처럼 염려해주고 도움을 주신 강남세브란스병원

    송말순 국장님, 강경소 파트장님, 서울성모병원 윤선희 선생님, 서울아산병원 최애

    란, 서울대병원 이송이, 삼성의료원 유소령 선생님과 흔쾌히 자료수집을 허락해주

    신 파트장 선생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항상 따뜻한 미소로 용기를

    북돋아주시는 강남세브란스병원 이정숙 팀장님, 열정과 최선의 의미를 가르쳐주신

    신성애 팀장님께도 특별히 감사함을 전합니다. 그리고 찾아갈 때마다 늘 반갑게

    맞이해주는 강남세브란스 중환자실 식구들에게도 고마운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

    배움의 길을 가는 동안 어려움이 있을 때마다 늘 기도해주시고 격려해주시는

    최상순 교수님과 언제나 한결처럼 응원해주시는 원주의대 간호학부 임영미 교수

    님, 안양희 교수님, 박소미 교수님, 신윤희 교수님, 김기연 교수님, 김기경 교수님,

    송희영 교수님께도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전합니다.

  • 마음속에 언제나 든든한 지원군이 되어준 이다해, 최소현, 최연주, 제채린, 유안

    나, 사랑스런 조카들 선호와 유진이, 늘 웃게 해줬던 엔돌핀 같은 목재균, 유현정

    선생님, 그리고 바쁘다는 이유로 연락을 자주 하지 못했던 나의 친구들과 선, 후

    배님들께도 감사함을 전합니다. 그리고 부족한 저를 언제나 응원해주신 양만석 선

    생님, 명궁스님, 김수득, 김영희 실장님 내외분, 신필향 원장님, 류상일, 박영준 선

    생님, 전몽월 목사님과 녹경이모, 태허스님, 진명스님, 원충스님, 법연스님, 명가원

    김경우 사장님, 김삼종 회장님께 특별한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조교 생활과 논문 진행 동안 어려움이 있을 때마다 큰 도움을 준 간호대학 조

    교 정하윤, 천주영, 김두리, 안지현, 우소라, 문선혜, 박소현, 한나래, 박수인, 윤현

    정, 신희건 선생님께 감사드리며, 특히 2년간의 학위과정 동안 배움을 같이 하며

    고민과 즐거움을 함께 나누었던 동기 홍혜정, 고지숙, 김혜현 선생님에게도 고마

    움을 전합니다.

    무한한 사랑과 응원을 해주시는 존경하는 부모님, 특히 부족한 아들을 위해 헌

    신하시는 어머니 조숙자 여사께 사랑과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언제나 나를 위

    해 기도하며 믿어준 영아누나, 멀리서 응원하고 챙겨주는 성원누나와 매형, 힘든

    군 생활을 건강하게 무사히 마치고온 사랑하는 동생 재위에게 고마움을 전합니다.

    마지막으로, 논문을 핑계로 잘 챙겨주지 못했지만 묵묵히 옆에서 응원해준 사랑

    하는 정아와 늘 좋은 말씀과 격려를 아끼지 않으시는 정아 부모님께도 감사의 마

    음을 전합니다. 이 모든 분들께 감사와 사랑의 마음을 담아 이 논문을 바칩니다.

    마지막으로 소중한 시간을 내어 자료수집에 협조해 주신 239명의 중환자실 간

    호사 선생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이 논문이 국내 중환자실 임상 현장에서

    근거기반 실무의 활성화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면서 글을 마칩니다.

    2010년 1월

    유재용 올림

  • - i -

    차 례

    차례 ·········································································································································ⅰ

    표 차례 ···································································································································ⅲ

    부록 차례 ·······························································································································ⅲ

    국문 요약 ·······························································································································ⅳ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고찰 ····················································································································6

    1. 중환자실 병원감염과 근거기반 간호지식 ····························································6

    2. 근거기반 실무 개념과 장애요인 ··········································································10

    Ⅲ. 연구방법 ··················································································································16

    1. 연구설계 ····················································································································16

    2. 연구대상 ····················································································································16

    3. 연구도구 ····················································································································17

    4. 자료수집방법 및 절차 ····························································································21

    5. 자료분석방법 ············································································································22

  • - ii -

    Ⅳ. 연구결과 ··················································································································23

    1. 연구 대상자의 특성 ································································································23

    2.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행, 장애정도 ········································26

    3. 대상자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행,

    장애정도 ·····················································································································38

    4.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근거기반 실무 인식, 수행,

    장애정도 간의 상관관계 ·························································································49

    5.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행, 장애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50

    Ⅴ. 논의 ·····························································································································53

    Ⅵ. 결론 및 제언 ········································································································63

    1. 결론 ····························································································································63

    2. 제언 ····························································································································65

    참고문헌 ·································································································································67

    부록 ·········································································································································76

    영문요약 ·································································································································86

  • - iii -

    표 차례

    표 1-1. 대상자의 일반적 및 임상적 특성 ·······································································24

    표 1-2. 대상자의 전문직 만족도 ·······················································································25

    표 2-1. VAP 예방을 위한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27

    표 2-2. CVCs-BSI 예방을 위한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29

    표 3-1.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실무에 대한 인식과 수행 ·······································31

    표 3-2.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실무 수행 정도 ·························································32

    표 3-3.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실무 수행 활동 ·························································34

    표 3-4. 감염관리 관련 정보자원 이용 ·············································································35

    표 4-1. 연구결과의 간호실무 적용 장애정도 ·································································37

    표 5-1. 대상자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준 ·····················40

    표 5-2. 대상자 특성에 따른 근거기반 실무 수행 정도 ···············································43

    표 5-3. 대상자 특성에 따른 연구결과 간호실무 적용 장애정도 ·······························46

    표 6-1. 감염관리 근거기반 간호지식, EBP인식, 수행, 장애정도 간의 상관관계 ···49

    표 7-1.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50

    표 7-2.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실무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51

    표 7-3. 연구결과 간호실무 적용 장애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52

    부록 차례

    부록 1. 인공호흡기 폐렴 예방을 위한 근거기반 간호지식 ········································76

    부록 2.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예방을 위한 근거기반 간호지식 ······················77

    부록 3. 연구대상자의 근거기반 간호지식 요구도 ························································78

    부록 4. 연구윤리심의위원회 승인 ····················································································79

    부록 5. 질문지 ······················································································································80

  • - iv -

    국 문 요 약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행 및 장애요인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준, 근거기반

    실무 수행 활동 정도 및 연구결과의 간호실무 적용 장애정도를 조사하여, 근거기

    반 실무 활성화 전략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

    관계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09년 10월 15일부터 11월 30일까지 서울 및 경기 소재 500병상

    이상의 7개 종합병원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239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

    식 설문지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을 위한

    감염관리 근거기반 간호지식 측정도구(Labeau, et al., 2007), 중심정맥관 관련 혈

    류 감염 예방을 위한 감염관리 근거기반 간호지식 측정도구(Labeau, et al., 2008),

    근거기반 실무 수행 활동 측정도구(오의금, 2004), 연구결과 활용의 장애요인 측정

    도구(Oh, 2008)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 T 검정, 피어슨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연

    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의 총 평균은 19점 만점

    에 9.15(±2.0)점으로, 인공호흡기 폐렴 예방 관련 지식은 9점 만점에 평균

    4.78(±1.25)점,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 감염 예방 관련 지식은 10점 만점에 평균

    4.36(±1.49)점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지식 수준은 교육 수준이 높고(t=2.196), 총

    임상 경력이 3년 이상(t=2.195), 중환자실 임상경력이 3년 이상이며(t=2.539),

  • - v -

    근거기반 실무에 대한 인식(F=5.040)과 수행 정도가 높고(F=3.404), 학회 및 학

    술대회, 감염관리 관련 수업이수, 정기적 논문 읽기, 웹 데이터베이스 활용과

    같은 학술관련 활동을 많이 할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

  • - vi -

    6.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의 영향요인으로는 정기적 논문 읽기(R2=.064),

    중환자실 임상 경력(R2=.022), 근거기반 실무 수행(R2=.016)등으로 나타났다

    (R2=.102, p

  • - 1 -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병원감염(Nosocomial infection)은 병원입원과 관련하여 입원기간 동안 발생하거

    나, 퇴원 후에 발생하는 감염증을 말한다(Brauman, 1998). 미국에서는 매년 200만

    건 이상의 병원감염이 발생하고 이는 입원환자의 5~10%에 해당되며, 연간 250억

    달러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Aragon & Sole, 2006).

    국내의 경우 연구마다 다소 차이를 보이나 대략 3.7~15%에서 병원감염이 발생하

    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김준명, 1999).

    특히 중환자실은 환자의 질병의 중증도가 높고 기저질환이 많으며, 여러 가지

    침습적 시술의 보편화와 신체의 저항력을 감소시키는 약제의 사용과 같은 환경적

    특수성으로 인해 환자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들이 많아 병원감염이 지속적으로 증

    가하고 있다(Jain, Miller, Belt, King, & Berwick, 2006).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의

    25-30%에서 병원감염이 발생하며, 일반 병동에 비해 병원감염이 약 3배 가량 높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준명 외, 1997;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CDC], 2001).

    중환자실 병원감염 발생은 환자의 기저질환과 같은 환자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

    기도 하지만, 인공호흡기나 중심정맥관과 같은 침습적 장치가 병원감염의 주요한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CDC, 2002).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의 50~76% 가

    량이 인공호흡기 보조와 다양한 혈관 내 카테터의 사용이 요구되고, 이로 인해 인

    공호흡기 관련 폐렴(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VAP])과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 감염(Central Venous Catheters-associated Blood Stream Infection, [CVCs-BSI])

    에 노출되는데, 이들은 다른 감염에 비해 치사율이 27~30%로 상대적으로 높아 임

    상적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Blot, Peleman, & Vandewoude, 2007;

    CDC, 2002; Dodek, et al., 2004). 이러한 중환자실 병원감염은 재원기간의 연장 및

  • - 2 -

    사망률의 증가와 함께 환자 개인과 국가 차원의 막대한 의료비 지출 증가의 결과

    를 가져오기 때문에, 중환자실의 질 평가의 중요한 척도가 되고 있다(대한병원감염

    관리학회, 1999; 이상오 외, 2008; Hatler, et al., 2006; Labeau, Vereecke, Vandijck,

    Claes, & Blot, 2008).

    병원감염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 CDC와 미국 병원감염 자문위원회(American

    Hospital Association's Advisory Committee on Infections within Hospitals)에서

    는 모든 의료기관에서 병원감염관리를 하도록 적극적으로 권고하고 있으며, CDC

    와 미국보건의료연구소(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AHRQ]),

    영국의 Cochrane library, 호주의 Joanna Briggs Institute 등의 기관에서는 잘 설

    계된 무작위 임상실험연구의 결과에 근거한 실무지침들을 개발하여 웹기반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미국 의학 협회(Institute of Medicine,

    [IOM])와 미국 의료기관 신임위원회(The Joint Commission on the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s, [JCAHO])에서는 근거기반 실무(evidence-based

    practice) 수행이 병원감염을 포함한 보건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해 핵심적인 단계임

    을 알리고, 의료 기관의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강조하고 있다

    (Fineout-Overholt, Levin, & Melnyk, 2004).

    근거기반 실무란 의료진이 대상자 건강 문제에 대한 임상적 의사 결정을 내릴 때,

    체계적 연구로부터 도출된 최선의 유용한 외적 임상 근거(best available external

    clinical evidence)를 의료진의 임상 숙련성(clinicians’ expertise)과 대상자의 선호도

    와 가치(patient's preferences and values)를 통합하여 적용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Sackett, Gray, Haynes, Richardson, & Rosenberg, 1996), 최근 질적 의료에 대한

    소비자 권리 확대와 의료 비용의 효율성이 강조되면서 그 역할이 커지고 있다. 특

    히 중환자실은 생존 위기에 처해 있는 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기본적인 위생부터

    높은 수준의 지적 판단이 필요한 간호가 요구되며, 간호사와 환자와의 접촉이 가장

    많은 특수 간호영역으로서(American Association of Critical-Care Nurses, 2004),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와 관련된 근거기반 간호지식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실무 수행의 중요성은 더욱 크다.

  • - 3 -

    실제로 중환자실 감염관리를 위해서 중환자실 간호사 교육을 포함한 근거기반

    실무지침의 수행 결과를 보고한 선행연구들에서,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발생률이

    36~54% 감소하고,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 감염 발생률이 48~78%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인공호흡기 적용 기간 및 재원 기간 단축과 함께 막대한 의료비 지

    출이 절감되는 효과를 얻는 등 중환자 치료성과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나타

    났다(반금옥, 2009; Bonello, et al., 2008; Hatler, et al., 2006; O'Keefe-McCarthy,

    2008; Ruffell & Adamcova, 2008; Sinuff, Muscedere, Cook, Dodek, & Heyland,

    2008).

    그러나 근거기반 간호지식에 대한 이해와 적극적인 수행이 환자 성과에 긍정적

    인 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외 모두의 실제 간호 임상현장에서의 그 인식

    과 수행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임상 간호사 대상 연구에서 약

    60% 이상의 간호사가 근거기반 실무에 대해 잘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고, 매우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도 약 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오의금, 오현주, &

    이윤정, 2004).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표준지침이라고 통용되는 CDC의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실무지침에 관한 지식의 경우, 중환자실 간호사의 정답률은 약

    40%에 불과하였고, 실무지침의 수행률 역시 60% 수준으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

    다(Labeau, et al., 2008; Labeau, et al, 2009; Plost & Nelson, 2007). 또한 근거 검

    색을 위한 웹기반 데이터베이스인 Medline이나 Pubmed, CINAHL을 거의 활용하

    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다(Pravikoff, Tanner, & Pierce, 2005). 간호실무 현장에

    근거기반 실무지침과 연구결과들이 적용되지 못하는 장애요인으로는 근거기반 실

    무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의 부족과 연구결과들의 평가 및 활용에 관한 지식

    부족, 새로운 근거를 적용할 시간 부족, 간호사 개인의 근거에 대한 인식 및 동기

    부족, 간호 조직의 낮은 자율성 및 제한된 권한, 조직 차원의 지원 부족, 조직 문

    화와 환경의 제약, 정보 접근의 편의성 부족, 실무 적용이 어려운 연구 자체의 문

    제 등이 있다(오의금 외, 2004; Brown, Wickline, Ecoff, & Glaser, 2009; Granger,

    2008; Oh, 2008; Strickland & O'Leary-Kelley, 2009). 특히, 이러한 장애정도는 임

    상적 의사 결정의 순간이 많은 특수 간호 환경의 중환자실 간호사들에게서 더 높

    은 것으로 보고되었다(Oh, 2008; Pirret, 2007).

  • - 4 -

    중환자실의 병원감염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최선의 근거에 기반한 감염관리

    관련 간호지식을 정확히 알고 수행하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고,

    감염관리를 위한 근거기반 실무 수행에의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되며, 이러한 노력

    은 개인적 차원은 물론 간호 조직 차원에서의 적극적 전략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준 및 실무 수행 활동 정도를 파악하고, 연구결과의 간호실무 적용 장애정도를

    조사함으로써 중환자 감염관리를 위한 근거기반 실무의 활성화 전략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준,

    근거기반 실무 수행 활동 정도 및 연구결과의 간호실무 적용 장애정도를 파악하

    여, 중환자 감염관리를 위한 근거기반 실무 활성화 전략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

    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임상적 특성을 파악한다.

    2)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준, 근거기반 실무 수

    행 활동 정도, 연구결과의 간호실무 적용 장애정도를 파악한다.

    3) 중환자실 간호사의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준, 근거

    기반 실무 수행 활동 정도, 연구결과의 간호실무 적용 장애정도를 파악한다.

    4)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준, 근거기반 실무에 대

    한 인식, 수행 정도, 연구결과 간호실무 적용 장애정도 간의 관련성을 파악 한다.

    5)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준, 근거기반 실무 수행

    정도, 연구결과 간호실무 적용 장애정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각각 파악한다.

  • - 5 -

    3. 용어의 정의

    1) 근거기반 실무(evidence-based practice)

    - 이론적 정의 : 간호사가 대상자의 건강문제에 대한 임상적 의사결정을 하는

    데 있어, 최선의 활용 가능한 과학적 근거를 간호사 개인의

    임상 숙련성과 대상자의 선호도와 가치를 통합하여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DiCenso, Cullum, & Ciliska, 1998).

    2)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실 감염관리(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

    감염 예방)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의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는 정도를 의미

    하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측정된 점수를 말한다.

    (1)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을 위해 필요한 근거기반 간호지식 정도를 묻는

    Labeau et al.(2007)이 개발한 총 9문항에 대한 점수로서, 점수가 높을수록

    지식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2)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예방을 위해 필요한 근거기반 간호지식 정도를

    묻는 Labeau et al.(2008)이 개발한 총 10문항에 대한 점수로서, 점수가 높

    을수록 지식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3) 본 연구에서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의 총점은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 관련 지식 점수와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 감염 예방 관련 지식

    점수를 합한 점수로서, 점수가 높을수록 지식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 - 6 -

    Ⅱ. 문 헌 고 찰

    1. 중환자실 병원감염과 근거기반 간호지식

    1) 중환자실 병원감염

    중환자실 병원감염은 중환자실 입원 당시에는 감염의 증거가 없고 감염증의 잠

    복상태가 아니면서, 중환자실에 입원 후 48시간 이후부터 퇴원 후 48시간 이내에

    발생한 것을 말한다(이상오 외, 2008).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은 대부분 심각한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어 중증도가 높고, 면역력이 저하되어 있으며, 각종 침습적

    처치 및 다제내성 병원균에 노출되어 병원감염에 이환될 가능성이 높다. 중환자실

    에서의 병원 감염은 재원 환자의 25~33%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주로 유치도뇨관

    삽입관 관련된 요로감염이 30~40%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인공호흡기 적용과 관

    련된 폐렴 25% 내외, 혈류감염 15% 내외, 수술 창상의 감염이 5~10% 정도로 나타

    났다(Eggimann & Pittet, 2001; CDC, 2001). 국내의 전국 15개의 대학 및 종합병원

    대상의 조사에서 중환자실이 100명당 10.74건으로 일반병동의 3.29건에 비하여 약

    3배 가량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으며(김준명 외, 1997), 다른 연구들에서도 일반병동

    에 비해 중환자실에서의 병원감염 발생 위험이 높았으며, 부위별 병원감염률에서는

    폐렴, 혈류감염, 요로감염, 심혈관계감염 등이 자주 발생하였고, 특히 폐렴과 혈류

    감염은 각각 약 8배, 4배가량 높게 나타났다(김준명 외, 1997; 김양수 & 김영숙,

    1997; 권준옥, 2009). 중환자실이 차지하는 병상은 전체의 약 5%에 불과하지만 감

    염률은 전체 병원감염의 20% 이상을 차지하며, 병원 감염 발생률이 일반 병동에

    비해 1~7배가량 높아 그에 따른 중환자실 재원 기간의 연장, 이환율 및 사망률의

    증가, 막대한 의료비 지출을 유발하게 되므로 환자 안전과 의료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서 중환자실 병원감염 관리는 필수적이다(김준명 외, 1997; Eggimann & Pittet,

    2001; Jain, et al., 2006; Hatler, et al., 2006; Kanouff, DeHaven, & Kaplan, 2008).

  • - 7 -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의 50~76% 가량이 인공호흡기 보조가 필요하며, 다양

    한 혈관 내 카테터를 보유하고 있어,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VAP)과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 감염(CVCs-BSI)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들은 다른 감염에 비해 치사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임상적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Blot, Peleman, &

    Vandewoude, 2007; Dodek, et al., 2004).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VAP)은 입원 48

    시간 이후에 기관 내 삽관 및 기계환기와 관련해서 일어나는 폐 실질의 염증을

    말하며, 중환자실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병원감염으로 인공호흡기 적용이 길

    어질수록 그 위험성은 증가하고, 재원 기간의 연장과 사망률의 증가와 함께 막대한

    의료비 증가를 유발한다(Ruffell & Adamcova, 2008; Safdar, Dezfulian, Collard, &

    Saint, 2005). 중심정맥관은 다양한 약물과 수액 등을 신속히 공급하기 위하여 삽

    입하는 중환자의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장치이지만, 사용과 관련되어 감염 위험

    성이 높아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은 병원 감염의 10~2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또한 이환율과 사망률 및 의료비 지출을 증가시킨다(Eggimann & Pittet, 2001;

    Eggimann, 2007; O'Grady, et al., 2002).

    많은 연구들에서 병원 감염의 10~70%는 예방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예방을 위해서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활동이 매우 중요하다고 보

    고되고 있다(Harbarth, Sax, & Gastmeier, 2003). 중환자실 간호사 교육을 포함한

    감염관리를 위한 근거기반 실무 수행을 통해 중환자실 환자들의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발생률이 36~54% 감소하였고,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 감염 발생률이 48~78%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인공호흡기 적용 기간은 50% 이상 단축되었으며, 중

    환자실 재원 기간도 15~18% 가량 짧아져 막대한 의료비가 절감되는 효과를 얻는

    등 긍정적 효과가 보고되었다(반금옥, 2009; Bonello, et al., 2008; Hatler, et al.,

    2006; Jain, et al., 2006; O'Keefe-McCarthy, 2008; Sinuff, et al., 2008). 즉, 중환자

    실의 감염관리는 치료보다는 예방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필요하며(Ruffell &

    Adamcova, 2008), 특히 환자와의 접촉이 가장 빈번한 중환자실 간호사는 환자의

    건강 유지와 안전 확보를 위해서 감염관리와 관련된 최신의 근거기반 간호지식을

    정확히 알고 간호를 수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감염관리를 위한 근거기반 간

    호실무 수행에의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 - 8 -

    2) 중환자실 병원감염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근거기반 실무지침은 가장 타당한 과학적 근거의 체계적 평가와 합성에 기초하

    여 개발하는 것으로, 의료진의 임상적 의사결정을 내릴 때 합리적이고 효과적이며

    최선의 중재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Thomson, Angus, & Scott, 2000). 대부

    분의 선진국에서는 의료의 질적 제공과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국가차원의 근거기

    반 실무지침의 개발과 확산에 힘쓰고 있다. 그 예로 미국의 CDC, AHRQ의

    National Guideline Clearinghouse[NGC], 영국의 Cochran Library, The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s[SIGN],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NICE], 호주의 Joanna Briggs Institute[JBI] 등과 같은 기관에서

    과학적인 근거기반 간호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임상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

    도록 웹기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보급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활용되고, 표준 실무지침(gold standard guideline)이라고

    통용되고 있는 CDC의 감염관리 지침의 내용은 1960년대의 병원감염 예방을 위한

    표준주의지침을 시작으로, 현재는 의료기관 관련 폐렴, 혈관내 장치 관련 감염, 수

    술부위 창상, 유치도뇨관 관련 감염 예방과 손 위생, 환경 및 시설, 격리 지침 등

    과 같이 다양하고 세분화된 근거기반 감염관리 지침들을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다.

    CDC에서는 Guideline for Preventing Healthcare-Associated Pneumonia(2003)을

    발표하였고, VAP 예방을 위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Labeau

    et al.(2007)의 연구도구는 CDC(2003)의 VAP 예방을 위한 감염관리 지침과 VAP

    예방과 관련된 무작위 통제 임상실험연구(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RCTs])들과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s)을 분석한 연구결과(Dodek, et

    al., 2004)에 근거하여 개발되었으며, 지침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반복적인 기관 내 삽관은 되도록 피하고, 비강 삽관 보다는 구강 삽관을 권장하

    고 있다. 인공호흡기 회로는 환자마다 개별적으로 사용하되, 주기적으로 소독은

    하지 않고 눈에 보이는 오염이나 임상적으로 필요한 경우에 시행한다. 인공 기도

    의 가습 방식으로는 CDC에서는 가온형 가습기와 열-습기 교환기 사용의 우선적

  • - 9 -

    인 권고사항을 제시하지 않았지만, Dodeck et al.(2004)은 7개의 RCTs 연구결과에

    따라 열-습기 교환기 사용을 권고하고 있다. 가습기는 한 환자에게 사용하는 경우

    육안으로 오염된 것이 보이거나 기능이 좋지 않을 때에만 가습기 튜브를 교환하

    며(CDC, 2002), 최소한 일주일마다 교환하도록 한다(Dodeck, et al., 2004). 기도흡

    인 체계로 폐쇄형 흡인체계 사용을 권고하고, 주기적 교환에 따른 VAP 발생 감소

    효과는 없으므로 새로운 환자에 적용하거나 임상적으로 필요한 경우에만 교체한

    다. 성문하부 분비물 배액(subglottic drainage tube)이 되는 기관 튜브와 kinetic

    bed의 사용은 VAP 발생률을 낮추므로 사용이 권고되나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

    이 있다. 그리고 기도분비물의 흡인을 예방하기 위해서 환자의 체위는 45도 이상

    상체를 세우는 것을 권고하고 있다.

    또한 CDC에서는 혈관 내 카테터 관련 감염을 줄이기 위해 Guideline for

    Prevention of Intravascular Device-Related Infections(2002)를 발표하였고, 중심정

    맥관 관련 혈류감염 예방을 위한 내용이 이에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 사용한

    Labeau et al.(2008)의 연구도구는 CDC(2002)의 지침 중 중환자실에서 사용 빈도

    가 높은 중심정맥관 관련 항목을 중심으로 개발되었으며, 지침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중심정맥관 관리에 대한 의료진에 대한 주기적인 교육과 평

    가, 감염 발생 감시를 해야 하며, 중심정맥관을 만지거나 삽입 전, 소독하기 전,

    후에 철저한 손씻기를 시행한다. 가능한 내관의 수가 적은 중심정맥관을 사용하

    고. 항생제가 코팅된 중심정맥관은 5일 이상 유지하는 경우 사용한다. 삽입 부위

    는 합병증 발생이 적은 곳을 선정하고, 경정맥이나 대퇴정맥보다는 쇄골하정맥에

    삽입을 권고하고 있다. 삽입 전 모자, 마스크, 멸균 가운, 장갑을 착용하고 삽입

    예정 부위에는 소독포를 이용하도록 한다. 중심정맥관의 정기적 교체는 하지 않으

    며, 임상적으로 필요할 때 실시하고, 가이드와이어를 이용한 교체는 가능한 하지

    않되, 필요시에만 제한적으로 시행한다. 삽입부위 소독은 2% 클로르헥시딘 성분의

    소독액 사용이 권고되며, 투명한 필름 드레싱이나 거즈 드레싱을 사용한다. 삽입

    부위의 드레싱은 헐거워졌거나, 젖었거나, 육안상 오염되었을 때 교체하며, 거즈

    드레싱의 경우 2일마다, 투명필름 드레싱은 최소 7일마다 시행한다. 수액세트 교

    환은 일반 수액의 경우 72시간 보다 자주 교환할 필요는 없으며, 지질수액이나 혈

  • - 10 -

    액제재 주입의 경우에는 24시간마다 교환해야한다. 중심정맥압 측정 세트

    (transducer)의 경우 가능한 일회용을 사용하며, 매 96시간마다 교환하도록 권고하

    고 있다.

    또한 NGC나 JBI에서도 중환자실 병원 감염 예방 및 관리를 위한 표준화된 근

    거기반 실무지침을 지속적으로 개발 및 보급하여 현재 온라인상에서 전자문서 형

    태로 손쉽게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예방을 위해

    서 도관 삽입 전 피부 간호, 도관 삽입시 표준주의지침, 도관 유지를 위한 소독

    및 드레싱 관리, 도관 제거 및 상처 간호와 관련된 근거기반의 간호실무 지침들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질병관리본부 산하의 임상진료지침 정보시스템(Korean

    Guideline Clearinghouse, [KGC])을 운영하고 있지만, 소수의 질환 위주의 진료지

    침을 제시하고 있는 실정이고, 중환자실 감염관리 영역을 포함하여 간호실무 전반

    에서 표준화된 근거기반 실무지침의 개발과 활용이 미비하다. 그래서 각 의료기관

    및 부서별로 임상 전문가들 사이의 합의 수준에서 개발된 간호실무 지침을 활용

    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침들이 체계적인 평가기준에 의한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개발되지 않는 문제를 안고 있다(박명화, 2004).

    2. 근거기반 실무 개념과 장애요인

    의료 정보의 급속한 증가로 건강 증진에 대한 인식과 관심의 증대, 의료 소비자

    로서의 환자 권리의 신장과 함께 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 의료의 효율성이

    모두 강조되는 의료 환경의 변화에 따라 간호실무 현장에서의 근거기반 실무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Melnyk & Fineout-Overholt, 2004). 근거기반 실무

    는 1970년대 중반부터 유럽에서 ‘근거기반 진료(evidence-based medicine)’의 개념

    으로 시작되었으나, 점차 환자 관리에 관여하는 모든 의료 전문직에 확대되면서

    간호 실무 현장에서도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오의금 외, 2004). 근거기

    반 간호실무(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는 간호사가 대상자의 건강문제에 대

  • - 11 -

    하여 임상적 의사 결정을 내릴 때, 타당성 있고 신뢰성 있는 연구 결과로부터 얻

    어진 활용 가능한 최선의 근거를 활용하여, 전문가로서 임상 숙련성과 함께, 대상

    자 개인의 환경 및 특성과 같은 선호도와 가치를 활용하는 접근법을 말한다

    (DiCenso, Cullum, & Ciliska, 1998).

    미국 의학 협회(IOM)에서는 2020년까지 의료서비스 제공자들이 필수적으로 갖

    추어야할 요소로 근거기반 실무의 수행을 선정하여 임상 현장에서의 근거 활용을

    강조하고 있고, 미국 간호사 자격 인증센터(ANCC)와 미국 의료기관 신임위원회

    (JCAHO) 등 보건 관련 단체에서 근거기반 실무수행을 모든 의료기관에서의 정책

    에서 근거기반 실무 수행을 우선순위를 두도록 하고 있어, 근거기반 실무는 간호

    현장에서도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Fineout-Overholt & Melnyk, 2004).

    근거기반 실무의 수행은 다음과 같은 5단계를 거쳐 이루어지게 된다. 첫 번째

    단계로 임상에서 특정한 간호 문제나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임상 질문을 만들고,

    두 번째 단계로는 그 임상 질문에 대한 해결을 위하여 가장 타당성 있고 신뢰성

    있는 연구 결과물, 근거들을 체계적으로 찾는 과정을 거친다. 근거를 찾는 과정은

    전문가의 의견이나, 교과서 내용, 각 전문직 단체의 학술지 활용, 공인된 문헌 검

    색 데이터베이스 검색 등이 있다. 그 다음으로 찾은 근거들에 대하여 타당성, 관

    련성, 유용성을 비평적으로 평가한다. 근거 수준에 대한 다양한 위계 설정과 논의

    가 진행되고 있지만, 다양한 근거들 중에서 최선의 근거를 찾아내기 위해서는, 임

    상에 활용될 수 있을만한 높은 질적 수준과 신뢰도, 타당성을 가지고 있는 근거인

    지 비평적으로 평가하고 판단하는 과정이 중요하다(Mantzoukas, 2008).

    근거기반 실무에서의 최선의 근거는 근거 위계에서의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하

    고 있으며, 질적으로 수준 높은 무작위 통제 임상실험연구(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RCTs])들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s)의 결과가 이

    에 해당되며, 그 다음으로는 무작위 통제 임상실험연구(RCTs)의 결과이고, 그 외

    의 비무작위 통제 연구, 비무작위 사례 및 코호트 연구, 단순 조사 연구 및 질적

    연구, 기타 전문가 의견 등은 상대적으로 근거의 신뢰성과 타당성 측면에서 낮다

    고 평가된다(Melnyk, 2004). 네 번째 단계로는 임상 질문 해결에 영향을 주는 간

    호사의 임상 숙련성과 대상자의 선호도 및 가치를 통합한 후에 실제 임상현장에

  • - 12 -

    서 수행하고, 마지막으로 근거기반 실무 적용에 대한 결과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공유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Melnyk & Fineout-Overholt, 2002, 2004). 이

    러한 근거기반 실무의 성공적인 수행은 신뢰도와 타당성 높은 근거들을 대상자에

    게 얼마나 잘 적용하는가에 따라 결정되므로(오의금 외, 2004), 중환자실 간호사가

    임상현장에서 가능한 한 최선의 근거를 활용하여, 임상 숙련성과 대상자의 선호도

    및 가치를 고려한 실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최선의 근거를 활용한 임상 지침에 따라 근거기반 실무를 수행하면 중환자 간

    호의 질을 높이고 환자 결과를 향상시키며, 실무에서의 과학적 접근을 통한 비용

    절감 효과를 볼 수 있어 의료의 질 향상과 함께 효율성 측면에서 더욱 강조되고

    있지만(Melnyk & Fineout-Overholt, 2004; Plost & Nelson, 2007), 최선의 근거로

    서의 연구결과들과 중환자 간호의 임상현장에서의 적극적인 활용 사이에는 큰 격

    차가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 국내의 경우 Richis, Koreamed, Riss4u, 그리고 국

    외의 경우 Medline, Pubmed, CINHAL, EMBASE, Cochrane library, Joanna

    Briggs institute 등의 웹기반 근거검색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 매년 수 천, 수 만

    건의 높은 수준의 체계적 문헌고찰 논문들과 새로운 임상 실험 연구들의 결과와

    임상실무 표준 지침과 같은 다양한 정보들이 의료진에게 제공되고 있음에도 불구

    하고, 실제 간호 임상현장에서의 의사 결정 과정에 국, 내외 모두에서 그 활용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Melnyk & Fineout-Overholt, 2004; Oh, 2008;

    Pravikoff, et al., 2005).

    이러한 최선의 연구결과들을 근거로서 간호실무에 적용하지 못하는 대표적인

    장애요인은 크게 연구 요인, 간호사 요인, 의사소통 요인 그리고 조직 요인으로

    나뉜다. 먼저 신뢰성과 타당성 있는 근거로서의 연구 결과물의 부족이나 연구 자

    체의 통계적 기법의 어려움, 실무 적용에 어려운 연구 자체의 한계 등의 연구 요

    인이 있으며, 근거기반 실무 과정에 대한 간호사의 전반적인 이해 부족과 함께 연

    구 결과들의 평가 및 활용에 관한 간호사들의 지식 및 간호사 개인의 자신감, 동

    기 부족 등의 간호사 요인, 그리고 근거의 임상 적용에 있어 의사소통의 부재와

    부서간의 협조의 어려움으로 인한 실무 적용의 어려움을 느낀다는 의사소통 요인

    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새로운 근거를 적용할 시간과 비용의 부족, 근거의 접근성

  • - 13 -

    저하, 간호 조직의 낮은 자율성 및 제한된 권한과 조직 차원의 지원 부족, 조직

    문화와 환경의 제약 등의 조직 요인으로 다양하게 존재하며(Brown, et al., 2009;

    Funk, Champagne, Wiese, & Tornquist, 1991a; Funk, Champagne, Wiese, &

    Tornquist, 1991b; Granger, 2008; Strickland & O'Leary-Kelley, 2009), 특히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국내의 경우에는 영어로 작성된 연구 결과들을 이해하는데 어려움

    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이은현 & 김혜숙, 2000; 오의금 외, 2004).

    실제로 임상 간호사들은 근거기반 실무에 대한 인식 자체가 5~10% 이하로 현저

    히 낮았고, 약 50% 가량이 1개월간 근거 문헌을 1편 이하로 읽고 있었으며, 대부

    분의 간호사가 근거기반 실무를 수행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은현 &

    김혜숙, 2000; 오의금 외, 2004). 특히 중환자실은 응급 상황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 결정을 해야 하는 환경의 특수성 때문에 근거기반 실무를 수행하는 것이 더

    욱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중환자실 간호사 대상 연구(Oh, 2008)에서는 최

    근 1개월간 환자 간호와 관련된 근거 문헌을 접한 중환자실 간호사가 30%로 저조

    했고, 거의 보지 않거나 전혀 문헌을 보지 않는 간호사가 약 67%로 보고되었다.

    국외의 경우에는 매달 정기적으로 논문을 읽고 있는 경우는 9%에 불과하였고, 대

    표적인 웹기반 근거검색 데이터베이스인 Medline이나 Pubmed, CINHAL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간호사가 각각 58%, 76%에 달했다(Pravikoff, et al., 2005; Yava, et

    al., 2009). 또한 유럽 중환자실 간호사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에서는 인공호흡기 관

    련 폐렴 예방을 위한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준이 40% 정도에 그쳤

    으며, 가장 최선의 임상 지침이라고 통용되는 CDC(2002)에서 발표한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의 예방을 위한 근거기반 간호지식을 35% 정도가 인지하지 못하고

    있어(Labeau, et al., 2008; Labeau, et al., 2009), 중환자실에서의 감염관리와 관련

    된 근거기반 간호지식 부족이 심각한 상태임이 나타났다. 이러한 중환자실 간호사

    의 지식 부족은 스스로에게 신뢰감을 부여하지 못하여 근거의 활용을 더욱 어렵

    게 하고, 감염관리를 위한 수준 높은 간호실무의 수행을 방해한다(Pirret, 2007).

    임상 간호사들은 환자 간호에 대한 임상적 의사 결정을 할 때 본인이 느끼는

    신뢰성을 높이고, 불확실성을 낮추고자 노력하는데(Cranley, Doran, Tourangeau,

    Kushniruk, & Nagle, 2009), 이를 위해서 중환자실 간호사들은 실무 현장에서 발

  • - 14 -

    생하고 있는 간호 문제들과 관련된 최선의 근거를 사용하기 보다는 개인의 과거

    의 지식이나 직관, 자신의 이전 환자 간호 경험 등에 의존하는 경우가 있으며, 의

    사를 포함한 주위 동료들이 주는 정보들, 그리고 해당 분야 전문가의 의견 등 인

    적 정보원을 가장 접근하기 쉽고 유용한 의사 결정 수단이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전자 자료 이용 시에는 근거검색 데이터베이스보다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검색

    창을 통한 간단한 검색을 더 자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McCaughan,

    Thompson, Cullum, Sheldon, & Raynor, 2005; Oh, 2008; Pravikoff, et al., 2005;

    Thompson, 2003; Thompson, et al., 2001). 그리고 의사 결정을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타당성이 확보된 정확한 정보들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연구 결과

    들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임상 현장에서의 가치를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

    았으며, 근무 시간 동안 출간된 최신 연구들을 읽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고, 중

    환자의 직접 간호 시간의 감소를 초래한다고 생각하여 윤리적으로 잘못된 일로

    인식하고 있었다(McKnight, 2006; Pravikoff, et al., 2005).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들로 인해 최선의 근거로서의 연구결과들과 중환자 간호

    임상현장에서의 실제적인 적용과 활용에는 큰 격차가 발생하였으며, 그 결과로 미

    국 의료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조사한 보고에 의하면 환자들의 약 30~40% 가량이

    최신의 근거에 의한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있었고, 20~30% 가량이 불필요하

    거나 위해를 입을 수 있는 의료 서비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Schuster,

    McGlynn, & Brook, 2005). 특히 중환자실 간호사들은 여러 보건 의료 전문가 집

    단 중에서 환자와 가장 긴 시간 동안, 가장 자주 접촉하는 의료인이기 때문에 전

    통적으로 해오던 간호 수행 방식이나 프로토콜, 습관처럼 익숙해진 기존의 간호

    중재들을 고수한다면 더 이상 환자의 다양한 가치에 대하여 부응을 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대상자의 건강에 상당한 위협을 주게 된다(Melnyk, 2004;

    Porter-O'Grady, 2007). 다시 말하면,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의 높은 수준과 근거기반 실무 수행 활동은 중환자의 건강 회복과 안전,

    의료의 효율적 이용과 간호 전문직의 발전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중환자실 병원감염의 성공적인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준의 파악과 지식 향상을 위한 교육을 시작

  • - 15 -

    으로, 단계별로 임상 실무의 변화를 이끌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Taylor-Piliae,

    1998). 이는 중환자실 병원감염 발생 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 결정에 필요한 근거

    들의 활용을 촉진시키고, 수준 높은 간호실무 수행에 필수적인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적 신뢰성을 강화시키므로(Pirret, 2007),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와 관련

    된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준 파악은 근거기반 실무의 활성화를 위해 최우선적으로

    진행해야 할 과정이라 할 수 있다(Melnyk, et al., 2004).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근거기반 실무 자체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이나 연구의 활용과 관련된 실태 조사가 이루어졌으나, 실제 임상

    현장에서 매일 수행되면서 중환자 간호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감염관리

    라는 세부적인 주제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는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준, 근거기반 실무 수행 활동 정도

    와 연구결과의 간호실무 적용 장애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 - 16 -

    Ⅲ. 연 구 방 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준, 근거기반

    실무 수행 활동 정도 및 연구결과의 간호실무 적용 장애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

    술적,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의 모집단은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중환자실 간호사로서, 근접 모집단은

    서울 및 경기 소재 500병상 이상 종합병원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09년 10월 15일부터 11월 30일까지 서울 및 경기 소재 교육,

    연구 중심의 500병상 이상 종합병원 7곳을 편의표집하였으며, 표집된 종합병원의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중 대상자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23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자 선정 및 제외 기준과 대상자 수 산출 근거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 선정 기준

    (1) 서울 및 경기 소재 종합병원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정규직 간호사

    (2) 중환자실 근무경력 3개월 이상이며, 독립적인 환자 전담 간호를 수행하는

    간호사

    (3)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자

    2) 대상자 제외 기준

  • - 17 -

    (1) 중환자 직접 간호에 참여하지 않는 중환자실 간호관리자(간호부서장)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2) 연구가 진행되는 기간 동안, 프리셉터에 의한 신규교육을 받고 있는 중환자실

    간호사는 독립적인 환자 전담 간호를 수행하지 않으므로 연구 대상에서 제

    외하였다.

    3) 대상자 수 산출근거

    Cohen의 표본추출 공식에 따른 표본 크기 계산 프로그램인 G*power 3 프로

    그램(Faul, et al., 2007)을 이용해 5% 유의수준과 90% 검정력, 예측 요인을 20개

    로 하여 다중회귀분석 이용 시 효과크기 0.15일 때 표본 크기를 산출하면 최소 표

    본크기는 191명 이었다. 탈락률 20%를 고려하여 230명을 산출하였다.

    3. 연구도구

    본 연구의 자료수집 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로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8문항,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측정도구 19문항, 근거기반 실무 수행 활동 측

    정도구 22문항, 연구결과의 간호실무 적용 장애정도 측정도구 30문항, 근거기반

    간호지식 요구도 1문항을 포함하여, 총 8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도구를 사용하였다. 두 도구는 본 연구자와 영어와 한국어

    로 이중 언어가 가능한 간호학 관련 교수 2인과 함께 타당한 어휘가 되도록 1

    차 번역한 후, 상호 비교하여 수정 및 보완을 하였다. 간호대학 교수 2인과 감

    염관리실 간호사 1인, 간호학 전공 박사 과정 5인으로부터 내용 검토를 함으로

    써 안면타당도를 확보하였다.

  • - 18 -

    (1)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VAP) 예방을 위한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Labeau et al.(2007)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중환자실의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을 위한 간호실무와 관련

    된 무작위 통제 임상실험연구(RCTs)의 결과와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s)들의 분석을 통하여 선정된 문항을 전문가 그룹에 의해 내용타당도,

    안면타당도를 거친 총 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VAP 예방을 위한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문항의 세부 내용으로는 기관내 삽관 경로, 인공호흡

    기 회로 교환 주기, 인공 기도 가습 방식, 가습기 교환 주기, 흡인 체계의 종류

    와 교체 주기, 기관 삽관용 특수 튜브 사용의 효과, 특수 침대의 사용 효과, 환

    자 체위에 대하여 총 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4개의 선택지로 구

    성되어(‘잘 모르겠다’ 항목 포함) 정답에 표기한 경우 1점, 오답이거나 ‘잘 모르

    겠다’라고 응답한 경우에는 0점으로 측정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지식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잘 모르겠다'라고 응답자의 경우 그 수를 별도로 제시하

    였다.

    (2)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 감염(CVCs-BSI) 예방을 위한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Labeau et al.(2008)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

    였다. 이 도구는 CDC(2002)에서 발표한 혈관 내 카테터 관련 감염 예방을 위

    한 임상지침의 내용 중에서 중환자실과 관련성이 높은 중심정맥관과 관련된

    내용들을 선정하여 전문가 그룹에 의해 내용타당도, 안면타당도를 거친 총 10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CVCs-BSI 예방을 위한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

    지식 문항의 세부 내용으로는 중심정맥관 교체 주기, 교체 방법, 중심정맥압 측

    정 세트 교체 주기, 카테터 종류, 드레싱 교환 주기, 드레싱 재료, 소독액 종류,

    수액 종류에 따른 수액 세트 교환 주기에 대하여 총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

    며, 각 문항은 4개의 선택지로 구성되어(‘잘 모르겠다’ 항목 포함) 정답에 표기한

    경우 1점, 오답이거나 ‘잘 모르겠다’라고 응답한 경우에는 0점으로 측정하여, 점

    수가 높을수록 지식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잘 모르겠다'라고 응답자의 경우

    그 수를 별도로 제시하였다.

  • - 19 -

    (3)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의 총점은 VAP 예방 관련 지식과

    CVCs-BSI 예방 관련 지식의 점수를 합한 점수로서, 최저 0점에서 최고 19점의

    가능한 범위에서 점수가 높을수록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준이 높

    음을 의미한다.

    2) 근거기반 실무 수행 활동

    오의금(2004)이 개발한 도구를 선행 연구결과와 문헌 고찰을 토대로 중환자실

    근거기반 감염관리에 맞도록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항목으로 측정하였다.

    간호대학 교수 2인과 중환자실 간호사 5인, 간호학 전공 박사 과정 5인으로부터

    내용 검토를 함으로써 안면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측정 문항으로는 근거기반 실

    무에 대한 인식 및 수행 관련 8문항(1=전혀 모름/전혀 하지 않음, 2=약간 알고

    있음/약간 수행함, 3=어느 정도 알고 있음/어느 정도 수행함, 4=매우 잘 알고

    있음/매우 잘하고 있음), 관련 학회 및 연구 활동 참여 여부 5문항, 과거 중환자

    감염관리 교육이수 경험 여부 1문항, 문헌 및 논문 활용 여부 관련 4문항, 임상

    적 정보를 구하는 주 이유 1문항(1=환자 간호 수행 관련, 2=환자의 질병 및 치

    료에 관한 의학적 지식 관련), 임상적 의사 결정시 사용하는 정보 자원 및 신뢰

    하는 정보 자원 관련 2문항(이전 환자간호 경험, 문헌/연구 논문, 컴퓨터 정보,

    동료/선배 조언, 학교 때 배운 지식, 진료지침서/병동매뉴얼, 의사 조언, 기타),

    전문직으로서의 만족도 관련 1문항(1=매우 불만족, 2=약간 불만족, 3=보통, 4=

    어느 정도 만족, 5=매우 만족)을 포함하였으며, 각 항목 특성별로 서열 또는 명

    목 척도로 측정하였다.

    3) 연구결과의 간호실무 적용 장애정도

    연구결과의 간호실무 적용 장애척도의 동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Funk et.

    al (1991b)이 개발한 도구를 Oh(2008)이 국내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구결과 활

    용 장애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수정, 보완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문헌고찰을 통

    해 정보의 양과 관련된 1문항을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도구 개발 당시의 내용은

    4개의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연구 자체의 특성과 관련된 연구 요인(6항목), 연구

  • - 20 -

    결과에 대한 간호사 개인의 가치관, 인식, 지식 등과 관련된 간호사 요인(8항목),

    연구가 간호사에게 전달되는 과정과 관련된 의사소통 요인(6항목), 간호사가 속

    해있는 조직의 특성과 관련된 조직 요인(8항목)으로 총 28문항으로 이루어졌으

    나, Oh(2008)의 연구에서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나라의 간호사에게 영어가 언어

    적 장애 요인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어 '영어로 된 논문은 이해하기 어렵다' 1문

    항이 추가되었고, 정보의 과다한 양에 대한 장애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어

    (Retsas & Nolan, 1998), '연구된 정보의 양이 너무 많다‘ 한 개의 문항을 본 연

    구자가 추가하여 총 3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국외의 선행 연구와의 비교 분석을

    위해 추가된 2문항은 장애정도의 평균 계산에는 제외시켰다. 장애 척도는 4점

    Likert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 2=약간 그렇다, 3=상당히 그렇다, 4=매우

    그렇다)와 '잘 모르겠다'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영어의 언어적 장애

    요인 문항과 연구된 정보의 양이 너무 많다는 문항을 제외한 총 28문항의 전체

    점수는 '잘 모르겠다' 문항에 응답한 경우는 제외하고 응답한 점수들의 총합의

    평균을 구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장애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하며, 각각의 요인에

    대한 하부 척도는 '잘 모르겠다'라고 응답한 경우를 제외하고 각 의견에 표시

    한 항목별 점수의 평균을 구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연구결과의 간호실무 적용의

    장애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장애요인 항목의 세부 척도별 순위는 ’상당히 그렇다‘ 혹은 ’매우 그렇다‘라고

    응답한 대상자의 합이 큰 순서대로 제시하였다. 본 도구의 개발 당시 각각 요인

    에 대한 Cronbach’s alpha 계수는 각각 0.72(연구 요인), 0.80(간호사 요인), 0.65

    (의사소통 요인), 0.80(조직 요인)으로 나타났으며(Funk, et al., 1991b), 국내 중환

    자실 간호사 대상의 선행 연구(Oh, 2008)에서는 0.89(전체 항목), 0.71(연구 요

    인), 0.75(간호사 요인), 0.72(의사소통 요인), 0.84(조직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alpha 계수는 전체 항목 0.90으로 나타났고, 세부항목으

    로는 0.61(연구 요인), 0.80(간호사 요인), 0.75(의사소통 요인), 0.84(조직 요인)으

    로 나타났다.

  • - 21 -

    4) 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및 임상적 특성

    중환자실 간호사의 성별, 연령, 교육 정도, 최종학위 취득 년도, 부서 내 직책,

    총 병원 근무 경력기간, 현재 근무지 경력 기간, 현재 근무병동 등이 포함되

    며 총 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4. 자료수집방법 및 절차

    본 연구의 자료는 2009년 10월 15일부터 2009년 11월 30일 기간에 걸쳐 수집

    되었다. 자료수집 전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의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승인번

    호 : 2009-1004)을 받고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편의 추출 및 표본

    확보를 위한 눈덩이 표출법으로 선정한 서울 및 경기도 소재 7개의 종합병원을

    방문하여 중환자실 부서장을 직접 만나거나, 전화상으로 연구 목적 및 협조에

    대한 동의를 구하였다.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접 연구의 목

    적을 설명하고, 연구 참여를 동의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자가 해당

    병원 중환자실에 방문하여 설문지를 배부하면서 설문지의 전반적인 내용과 주

    지사항을 전달하였고, 대상자가 직접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설문지 내용이 이해

    가 되지 않거나 연구에 대한 의문이 있을 때 연구자에게 문의할 수 있도록 설문

    지 표지에 연구자의 유선 연락처와 이메일 주소를 제공하였다. 중환자실내에 수거

    가방을 비치하여 대상자가 직접 설문지를 제출하도록 하였으며, 10일 이내에 연구

    자가 직접 회수하여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다. 연구에서의 탈락률을 고려하여 총

    250부를 배부하였으며, 그 중 5부(2.0%)가 미회수 되었고, 응답이 누락되거나 연구

    선정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6부(2.4%)의 설문지는 본 연구에 포함시키지 않아 최

    종 239부(95.6%)가 본 연구의 분석에 활용되었다.

  • - 22 -

    5. 자료분석방법

    자료 분석은 SPSS/WIN version 15.0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고, 구체적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및 임상적 특성은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

    균 및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2) 대상자의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준, 근거기반 실무 수행 활동

    정도, 연구결과의 간호실무 적용 장애정도는 기술 통계를 이용하여 각각 빈

    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 편차로 분석하였다.

    3)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준, 근거기반 실무

    수행 활동, 연구결과의 간호실무 적용 장애정도 분석은 연구 목적별로 독립

    T 검정과 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4)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준, 근거기반 실무에 대한 인식, 수행 정도,

    연구결과 간호실무 적용 장애정도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

    석으로 분석하였다.

    5) 대상자의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준, 근거기반 실무 수행 활동,

    연구결과의 간호실무 적용 장애정도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설명력을

    파악하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6) 도구의 내적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계수로 구하였다.

  • - 23 -

    Ⅳ. 연 구 결 과

    1. 연구 대상자의 특성

    1) 일반적 및 임상적 특성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 연령, 교육정도, 총 임상 근무경력, 현 근무

    지 경력, 직책, 현재 근무 병동을 조사하였다. 대상자의 성별은 239명

    (100%) 모두가 여성이었으며, 연령은 21세부터 44세까지 분포하였고, 20~30세의

    간호사가 185명으로 전체 대상자의 77%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28.02

    세로 나타났다. 교육정도는 3년제 졸업 57명(23.8%), 4년제 졸업 154명(64.4%), 석

    사과정/졸업 23명(9.6%), 박사과정/졸업 5명(2.1%)으로 석사 학위 이상 소지자가

    약 11%를 차지하였다. 대상자들의 병원에서의 총 임상 실무 경력은 평균 5.2년으

    로 최소 4개월에서 최대 21년까지의 경력분포를 보였으며, 중환자실 임상 경력은

    평균 4.29년으로 전체 대상자의 48%가 3년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현

    직책은 일반간호사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고, 22명(9.2%)이 책임간호사였으며,

    근무 병동은 내과계 14명(5.9%), 외과계 20명(8.4%), 내,외과 통합 일반중환자실 34

    명(14.2%), 심장 내,외과계 93명(38.9%), 신경외과 중환자실 78명(32.6%)으로 분포

    하였다.

  • - 24 -

    표 1-1. 대상자의 일반적 및 임상적 특성

    (N=239)

    항 목

    (평균±표준편차)구분 n %

    연령

    (28.02±4.71세)

    21-25세 85 35.6

    26-30세 100 41.8

    31-35세 32 13.4

    36-40세 19 7.9

    41-45세 3 1.3

    교육정도

    3년제 졸업 57 23.8

    4년제 졸업 154 64.4

    석사과정/졸업 23 9.6

    박사과정/졸업 5 2.1

    총 임상 근무경력

    (5.20±4.64년)

    1년 이하 26 10.9

    1년 초과-3년 이하 77 32.2

    3년 초과-5년 이하 49 20.5

    5년 초과-10년 이하 53 22.2

    10년 초과-15년 이하 21 8.8

    15년 초과 13 5.4

    현 근무지 경력

    (4.29±3.67년)

    1년 이하 31 13.0

    1년 초과-3년 이하 85 35.6

    3년 초과-5년 이하 52 21.8

    5년 초과-10년 이하 50 20.9

    10년 초과-15년 이하 17 7.1

    15년 초과 4 1.7

    직책일반간호사 217 90.8

    전담/책임 간호사 22 9.2

    현 근무 병동

    내과계 중환자실 14 5.9

    외과계 중환자실 20 8.4

    심장내외/과 중환자실 93 38.9

    신경외과 중환자실 78 32.6

    내외과통합 일반중환자실 34 14.2

  • - 25 -

    표 1-2. 대상자의 전문직 만족도

    (N=239)

    항 목 구 분 n %

    전문직 만족도

    매우 만족 5 2.1

    어느 정도 만족 53 22.2

    보통 119 49.8

    약간 불만족 57 23.8

    매우 불만족 5 2.1

    2) 전문직 만족도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전문직 간호사로서 매우 만족하고 있는 경우는 2.1%(5

    명)이었으며, 대부분이 어느 정도 만족하거나 보통 정도라고 응답하였다. 불만족하

    다고 응답한 경우는 전체의 25.9%(62명) 정도로 나타났다.

  • - 26 -

    2.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행, 장애정도

    1)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연구 대상자의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총점은 0점에서 19점의 가능

    한 점수 범위에서 최소 4점, 최대 14점이었으며, 평균 점수는 9.15(±2.00)점이었다.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VAP) 예방 및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CVCs-BSI) 예방을

    위한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준의 세부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VAP) 예방을 위한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대상자의 VAP 예방을 위한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총점은 0점에서

    9점의 가능한 점수 범위에서 최소 2점에서 최대 8점이었으며, 평균 점수는

    4.78(±1.25)점이었다. 세부 내용별 정답률 및 응답자는 와 같다.

    ‘VAP예방을 위한 환자의 자세’에 대한 문항이 100%(239명)로 가장 높은 정답률

    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기관내 삽관을 위해 권고되는 경로’에 대한 문항이

    77.8%(186명), ‘개방형 및 폐쇄형 흡인 체계 중 권고되는 방식‘에 대한 문항의 정

    답률이 69.0%(165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낮은 정답률을 보인 문항으로는

    ‘폐쇄형 흡인 체계의 교환 주기’ 4.6%(11명), ‘인공호흡기 회로의 정기적인 교환

    주기’ 13.0%(31명)에 대한 문항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37.2%(89명) 정답률의 ‘인

    공호흡기 가습기 교환 주기’과 ‘인공 기도 가습 방식’ 문항 40.6%(97명)의 순이었

    다. ‘잘 모르겠다’라고 응답한 혼동률이 가장 높은 문항은 ‘성문하부 분비물 배액

    이 가능한 기관 튜브 사용의 효과’ 25.1%(60명)였으며, 'Kinetic bed 사용의 효과‘

    23.4%(56명), ’인공호흡기 가습기 교환 주기‘ 15.9%(38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 - 27 -

    표 2-1. VAP 예방을 위한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N=239)

    문 항 n %

    1. 기관내 삽관을 위한 구강, 비강 중 권고되는 경로

    구강 삽관 a 186 77.8

    비강 삽관 17 7.1

    구강, 비강 둘 다 32 13.4

    잘 모르겠다. 4 1.7

    2. 인공호흡기 회로의 정기적 교환 주기

    매 48시간마다(또는 임상적으로 필요시) 18 7.5

    매 주마다(또는 임상적으로 필요시) 189 79.1

    새로운 환자에 적용마다(또는 임상적으로 필요시) a 31 13.0

    잘 모르겠다. 1 0.4

    3. 인공 기도 가습 방식

    가온형 가습기 123 51.5

    열-습기 교환기 a 97 40.6

    둘 다 14 5.9

    잘 모르겠다. 5 2.1

    4. 가습기 교환 주기

    매 48시간마다(또는 임상적으로 필요시) 91 38.1

    매 72시간마다(또는 임상적으로 필요시) 21 8.8

    매 주마다(또는 임상적으로 필요시) a 89 37.2

    잘 모르겠다. 38 15.9

    5. 개방형, 폐쇄형 흡인 체계

    개방형 흡인 체계 37 15.5

    폐쇄형 흡인 체계 a 165 69.0

    개방형, 폐쇄형 둘 다 32 13.4

    잘 모르겠다. 5 2.1

    6. 폐쇄형 흡인 체계의 교환 주기

    매일 교환(또는 임상적으로 필요시) 55 23.0

    매 주 마다(또는 임상적으로 필요시) 166 69.5

    새로운 환자에 적용할 때마다(또는 임상적 필요시) a 11 4.6

    잘 모르겠다. 7 2.9

    a : 정답 (표 계속)

  • - 28 -

    표 2-1(계속). VAP 예방을 위한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N=239)

    문 항 n %

    7. 성문하부 분비물 배액이 가능한 기관 튜브 사용

    VAP 발생 위험을 감소시킨다. a 163 68.2

    VAP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11 4.6

    VAP 발생 위험에 아무런 영향 미치지 못한다. 5 2.1

    잘 모르겠다. 60 25.1

    8. Kinetic bed와 일반 침대의 차이

    Kinetic bed는 VAP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6 2.5

    Kinetic bed는 VAP 발생 위험을 감소시킨다. a 162 67.8

    Kinetic bed는 VAP 발생 위험과 무관하다. 15 6.3

    잘 모르겠다. 56 23.4

    9. 환자 자세

    반듯이 누운 자세 - -

    침상머리를 올린 자세 a 239 100.0

    아무 체위나 상관없다. - -

    잘 모르겠다. - -

    총 평 균(±표준 편차) 4.78(±1.25)/9점 만점

    a : 정답

    (2)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 감염(CVCs-BSI) 예방을 위한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대상자의 CVCs-BSI 예방을 위한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총점은 0

    점에서 10점의 가능한 점수 범위에서 최소 1점에서 최대 9점이었으며, 평균 점

    수는 4.36(±1.49)점이었다. 세부 내용별 정답률 및 응답자는 와 같다. 가

    장 높은 정답률을 보인 문항은 ‘중심정맥관으로 지질 수액 주입시 수액세트 교

    환 주기’에 대한 문항으로 92.9%(222명) 정답률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중심

  • - 29 -

    표 2-2. CVCs-BSI 예방을 위한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N=239)

    문 항 n %

    1. 중심정맥관의 정기적 교체 주기

    매 7일마다 시행 84 35.1

    매 3주마다 시행 87 36.4

    필요할 때만 시행 a 63 26.4

    잘 모르겠다. 5 2..1

    2. 가이드와이어를 이용한 중심정맥관 교체

    매 3일마다 시행 10 4.2

    매 7일마다 시행 64 26.8

    필요할 때만 시행 a 108 45.2

    잘 모르겠다. 57 23.8

    3. 중심정맥압 측정 세트의 정기적 교체 주기

    매 4일마다 시행 a 155 64.9

    매 8일마다 시행 37 15.5

    필요할 때만 시행 36 15.1

    잘 모르겠다. 11 4.6

    a : 정답 (표 계속)

    정맥압 측정 세트의 정기적 교체 주기’ 문항 64.9%(155명), ‘항생제 코팅 처리된

    중심정맥관 사용’ 문항 55.2%(132명) 순이었다. 가장 낮은 정답률을 보인 문항은

    ‘중심정맥관으로 지질 수액을 제외한 일반 수액 주입시 수액세트 교환 주기’

    17.6%(42명)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중심정맥관 삽입 부위의 드레싱 재료의 종류’

    20.1%(48명), ‘중심정맥관의 정기적 교체 주기’ 26.4%(63명), ‘중심정맥관 삽입 부

    위의 감염 예방을 위해 사용하는 소독액의 종류’ 28.0%(67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잘 모르겠다’라고 응답한 혼동률이 가장 높은 문항은 ‘가이드와이어를 이용한 중

    심정맥관 교체’ 23.8%(57명) 였으며, '중심정맥관 삽입 부위 항생제 연고 사용 여

    부‘ 18.8%(45명), ’항생제 코팅 처리된 중심정맥관 사용‘ 18.4%(44명)의 순으로 나

    타났다.

  • - 30 -

    표 2-2(계속). CVCs-BSI 예방을 위한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N=239)

    문 항 n %

    4. 항생제 코팅 중심정맥관 사용

    중심정맥관을 5일 이상 유지시에 사용함 a

    132 55.2

    비용 대비 효과 낮아 사용하지 않음 34 14.2

    감염의 위험성을 감소시키지 못함 29 12.1

    잘 모르겠다. 44 18.4

    5. 중심정맥관 삽입 부위 드레싱 교환 주기

    매일 33 13.8

    매 3일마다 80 33.5

    매주 1회 이상(젖거나 헐거워진 경우 추가 시행) a

    123 51.5

    잘 모르겠다. 3 1.3

    6. 중심정맥관 삽입 부위 드레싱 재료

    폴리우레탄 드레싱(투과성, 반투과성 필름 재료) 184 77.0

    거즈 드레싱 6 2.5

    둘 다(드레싱 방법에 따른 감염 발생 차이 없음) a

    48 20.1

    잘 모르겠다. 1 0.4

    7. 중심정맥관 삽입 부위 소독액 종류

    2% 수용성 클로르헥시딘(aqueous chlorhexidine) a

    67 28.0

    0.5% 알코올 클로르헥시딘(alcoholic chlorhexidine) 22 9.2

    10% 포비돈(povidone-iodine) 150 62.8

    잘 모르겠다. - -

    8. 중심정맥관 삽입 부위 항생제 연고 사용 여부

    그렇다. 카테터 관련 감염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7 2.9

    그렇지 않다. 항생제 내성 발생하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a

    83 34.7

    그렇지 않다. 감염의 위험성을 감소시키지 못한다. 104 43.5

    잘 모르겠다. 45 18.8

    9. 지질 수액 주입시 수액세트 교환 주기

    매 24시간(매일) a

    222 92.9

    매 72시간(매 3일) 14 5.9

    매 96시간(매 4일) - -

    잘 모르겠다. 3 1.3

    10. 일반 수액 주입시 수액세트 교환 주기

    매 24시간(매일) 99 41.4

    매 48시간(매 2일) 91 38.1

    매 96시간(매 4일) a

    42 17.6

    잘 모르겠다. 7 2.9

    총 평 균(±표준 편차) 4.36(±1.49)/ 10점 만점a : 정답

  • - 31 -

    표 3-1.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실무에 대한 인식과 수행

    (N=239)

    항 목 구 분

    n %

    근거기반실무 인식 매우 잘 알고 있음 4 1.7

    어느 정도 알고 있음 59 24.7

    약간 알고 있음 135 56.5

    전혀 모름 41 17.2

    근거기반실무 수행 매우 잘 수행함 2 0.8

    어느 정도 수행함 116 48.5

    약간 수행함 110 46.0

    전혀 수행하지 않음 11 4.6

    2)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실무 수행 활동

    (1)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실무에 대한 인식과 수행 정도

    대상자의 중환자실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실무에 대한 인식 및 수행 정도는

    에 제시되었다. 인식에 있어서는 ‘매우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1.7%(4명), ‘어느 정도 알고 있다’고 답한 대상자는 24.7%(59명) 이었다. 73%가 넘

    는 대부분의 대상자는 전혀 모르거나, 약간 정도 수준으로만 아는 것으로 파악되

    었다. 근거기반 간호실무의 수행 정도에 있어서는 ‘매우 잘 수행하고 있다’고 응

    답한 대상자는 0.8%(2명)이었고, 50.6%(121명)의 대상자들에서 전혀 수행하지 않

    거나 약간 정도로만 수행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 - 32 -

    표 3-2.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실무 수행 정도

    (N=239)

    항 목 평균 ± 표준편차

    구체적 임상 질문 만들기 1.85 ± 0.71

    임상 질문에 대한 관련 근거 검색 1.85 ± 0.74

    비판적 평가 기준에 의한 근거 평가 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