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cus 2 focus 위치정보의 서비스 동향과 패러다임의 변화 · 24 internet &...

17
Internet & Security Focus 2013 5월호 24 FOCUS 위치정보의 서비스 동향과 패러다임의 변화 -Wi-Fi AP 정보를 활용한 위치정보 플랫폼 구축 FOCUS 2 박창민 Ⅰ. 서론 Ⅱ. 위치기반서비스(LBS)의 개념 및 주요동향 1. 개요 2. 위치기반서비스(LBS)의 개념 3. 휴대전화의 위치측위 지원 4. 실내 위치측위 및 지도 서비스 동향 Ⅲ. Wi-Fi AP를 활용한 위치정보 플랫폼 1. 위치정보 플랫폼 구축기술 2. 위치정보 플랫폼의 긴급구조 활용 3. 위치정보 플랫폼의 개방확대 Ⅳ. 결론 위치정보를 활용한 산업은 高부가가치 미래형 서비스로 GPS 탑재 단말기의 확산, 모바일 통신환경의 고도화, 어플리케이션의 빠른 발전 등으로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왔다. 본 고에서는 위치기반서비스의 동향과 위치정보 측위 기술의 발전에 따른 패러다임의 변화를 정리하고, 향후 발전방향에 대하여 살펴본다. 한국인터넷진흥원 산업기획팀 책임연구원([email protected])

Upload: ledien

Post on 02-Apr-2019

22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Internet & Security Focus 2013 5월호24

FOCUS

위치정보의 서비스 동향과 패러다임의 변화

-Wi-Fi AP 정보를 활용한 위치정보 플랫폼 구축

FOCUS 2

박창민

Ⅰ. 서론

Ⅱ. 위치기반서비스(LBS)의 개념 및 주요동향

1. 개요

2. 위치기반서비스(LBS)의 개념

3. 휴대전화의 위치측위 지원

4. 실내 위치측위 및 지도 서비스 동향

Ⅲ. Wi-Fi AP를 활용한 위치정보 플랫폼

1. 위치정보 플랫폼 구축기술

2. 위치정보 플랫폼의 긴급구조 활용

3. 위치정보 플랫폼의 개방확대

Ⅳ. 결론

위치정보를 활용한 산업은 高부가가치 미래형 서비스로 GPS 탑재 단말기의 확산,

모바일 통신환경의 고도화, 어플리케이션의 빠른 발전 등으로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왔다.

본 고에서는 위치기반서비스의 동향과 위치정보 측위 기술의 발전에 따른

패러다임의 변화를 정리하고, 향후 발전방향에 대하여 살펴본다.

한국인터넷진흥원 산업기획팀 책임연구원([email protected])

Internet & Security Focus 2013 5월호 25

FOCUS

1) 119위치정보 시스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윤성근, 채 진, 2012. 10

Ⅰ. 서론

위치기반서비스(LBS)는 2010년 이후 급속한 성장을 하고 있는 스마트폰 시장과 맞물려

성장하고 있으며, 위치정보와 커머스, 엔터테인먼트가 결합한 하나의 플랫폼으로 진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조사업체인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 Strategy Analytics)에 따르면 지난해

스마트폰과 피처폰을 합한 전세계 휴대폰 판매량은 17억4,480만대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또다른 시장조사기관 IDC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 스마트폰의 비중은 약 12억대로 이 중

7억7,000만대가 GPS기반의 단말기일 만큼 엄청난 확산이 이뤄졌다고 보고 있다. 위치측위가

가능한 단말의 보급확산과 스마트폰의 위치측위 플랫폼 개방으로 위치기반서비스(LBS)빠르게

발전하는 기폭제가 된 것이다.

스마트폰은 기지국(Cell-ID), GPS, Wi-Fi 등을 기반으로 한 위치측위 기술과 모션센서기반의

정밀 추측항법을 이용한 위치측위 메커니즘, Google Map, Apple Map 등의 지도와 결합하여

종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서비스 관점으로는 위치측위기술 지원을 기반으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모바일

게임, 모바일 광고 등 다양한 서비스들과 연계한 위치기반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고,

위치정보를 활용한 긴급구조 등 사회 안전망으로서도 그 활용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보급 확산과 다양한 위치측위기술의 발전으로 많은 분야에서 서비스의

활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국내의 위치정보는 도심지에서 300m 이상, 교외에서 수

km에 달하는 등 위치측위 오차가 비교적 큰 기지국(Cell-ID) 방식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실외에서 위치정보의 정확도가 10m~50m 이내의 비교적 정확도가 높은

GPS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이또한 실내나 GPS 신호 음영지역에서는 측위가 불가능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위치정보의 낮은 정확도는 긴급구조, 실내 길찾기, 주변정보 제공 등 사회

안전망으로서의 기능부터 생활 편익서비스 등의 제약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사회적

비용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 긴급구조의 경우, 생명을 위급받는 상황에서 수색인력에 투입되는

인원은 평균 4~8명으로 수색시간은 1~3시간이 소요1)된다고 한다. 만약 위치정보의 정확도가

높아질 경우 수색인력, 수색시간 감소에 따른 비용절감 문제를 차치하더라도, 이에 따른 연간

구조생명은 3,200명에 달할 것이란 전망도 있다. 또한 위치측위 고도화와 위치정보를 활용한

모바일 응용서비스 활성화로 국가 물류비, 국민들의 교통 및 이동비용 절감 등 매년 약 3조

위치정보의 서비스 동향과 패러다임의 변화

-Wi-Fi AP 정보를 활용한 위치정보 플랫폼 구축

Internet & Security Focus 2013 5월호26

FOCUS

3천억원에 가까운 사회적 비용 절감도 기대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위치정확도에 따른 사회적 기회비용이 큰 위치측위 기술 동향과 이에 따른

서비스의 변화 등 관련된 주요 이슈를 분석하고자 한다.

Ⅱ. 위치기반서비스(LBS) 개념 및 주요동향

1. 위치기반서비스(LBS)의 개념

위치정보란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에 의한 “이동성이 있는 물건 또는

개인이 특정한 시간에 존재하거나 존재했던 장소에 관한 정보로서 전기통신설비 및

전기통신회선설비를 이용하여 수집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물건 및 개인에 대한 위치정보의

수집, 제공 및 이용 등과 연계된 위치정보 기반의 서비스를 말한다.

위치정보 기반의 사업 유형2)으로서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위치기반서비스사업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사업으로 영위하는 위치정보사업과 위치정보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사업으로 영위하는 위치기반서비스사업으로 나뉠 수 있다.

구분 사업내용 법적요건 사업자

위치정보사업 o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위치기반서비스사업자에게 제공

정부에 허가KT, SKT, LGU+ 등

위치기반서비스사업 o 위치정보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정부에 신고 시온, 우아한 형제들 등

2)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제2조(정의)

6. "위치정보사업"이라 함은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위치기반서비스사업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사업으로 영위하는 것을 말한다.

7. "위치기반서비스사업"이라 함은 위치정보를 이용한 서비스(이하 "위치기반서비스"라 한다)를 제공하는 것을 사업으로

영위하는 것을 말한다.

[그림 1] 위치정보의 사업영역에 따른 구분

Internet & Security Focus 2013 5월호 27

FOCUS

현재 104개의 위치정보사업자와 579개의 위치기반서비스사업자가 있으며 매년 허가 및 신고

사업자가 증가추세에 있다.

구 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4

위치정보사업자 19 29 36 49 59 79 91 104 104

위치기반서비스 사업자 66 88 107 119 148 202 414 551 579

합 계 85 117 143 168 207 281 505 655 683

[그림 2] 연도별 사업자 증가추이

2. 위치정보 측위기술

위치정보를 측위하는 기술은 측위에 사용하는 인프라의 유형에 따라 네트워크 기반, 위성신호

기반, Wi-Fi신호 기반, 혼합측위 기반의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림 3] 위치정보 측위기술 분류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측위는 이동통신사의 기지국 위치를 활용하여 서비스

요청단말기(휴대전화 등)의 위치를 측정하는 기술로서 기지국과 단말기 간의 신호의 방향이나

도달시간 등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식이다.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정보

Internet & Security Focus 2013 5월호28

FOCUS

측위오차는 기지국이 비교적 많이 설치되어 있는 도심지에서는 300m 이상, 교외지역에서는 수

Km에 달할 정도로 오차범위가 크다.

<표 1>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측위 기술 현황

구분 설명

Cell ID/Sector ID o 기지국의 위치값과 기지국과 단말기 간의 거리 등을 측정하여 위치를 계산

AoA

(Angle of Arrival)

o 2개의 이상의 기지국 위치값과 각 기지국과 단말기 간의 도달각 정보를

측정하여 위치 계산

TDoA

(Time difference of Arrival)

o 3개 이상의 기지국 위치값과 각 기지국과 단말기 간의 도달시간 정보를

측정하여 위치 계산

Fingerprint/

Pattern Matching

o 기지국 신호의 전파강도와 기지국의 위치값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

위성 신호 기반 위치정보 측위는 지구를 도는 인공위성으로부터 단말기(휴대전화 등) 까지

전파 도달시간을 측정하여 위성과 수신기간 거리를 파악하는 기술로서 미국에서 쏘아올린 GPS,

유럽 Galileo, 러시아 GLONASS 그리고 중국의 COMPASS 등이 위치측위에 이용 중에 있다. 위성

신호 기반의 위치측위 기술은 GPS 위성을 기준으로 Standalone GPS, MS-Based GPS,

MS-Assisted GPS 및 Hybrid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측위오차는 약 50m ~ 150m로 네트워크

기반의 측위 오차보다 정밀하지만 실내에서는 위성신호가 닿지 않아 사용할 수가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표 2> 위성신호(GPS) 기반의 위치측위 기술현황

구분 설명

Standalone GPS

o GPS 단말기가 위치를 측위할 때, 단말기 독자적으로 위성 신호를 받아 위치를

측위하는 방식

※ 최초 위성정보를 수신하는데 약 1분 이상 소요

MS-Based GPS o GPS 단말기가 위치를 측위할 때, 최초 GPS 위성정보를 서버에서 수신받아 단말기

독자적으로 위치를 측위하는 방식

MS-Assisted GPS o GPS 단말기가 위치를 측위할 때, 최초 GPS 위성정보와 이를 기반으로 위치측위

정보까지 서버를 통해 전달받는 방식

MS-Assisted GPS/

Hybrid 모드

o GPS 단말기가 위치를 측위할 때, 네트워크 기반 측위나 다른 측위기법과 MS-

Assisted GPS 기술을 결합한 방식

Wi-Fi 신호 기반 위치정보 측위는 단말기(휴대전화 등) 주변의 Wi-Fi 정보(AP MAC 주소,

전파세기 등)를 Wi-Fi AP의 위치정보 DB(AP MAC 주소, 위치값 등)를 활용하여 위치를 측위

Internet & Security Focus 2013 5월호 29

FOCUS

하는 방식으로 Wi-Fi AP의 설치가 많은 도심지, 실내 등에서 비교적 정확한 위치를 측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대신, 사전에 Wi-Fi AP의 위치정보 DB 구축을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위치측위시 AP의 신호세기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단점이 있다. 혼합 위치정보

측위는 네트워크 기반・위성신호 기반・Wi-Fi 신호 기반 등의 위치측위 값을 조합하여

단말기(휴대전화 등)의 위치를 측위하는 방식이다.

3. 휴대전화(iOS, Android)의 위치측위 지원

iPhone에 탑재된 iOS는 Hybrid Positioning System방식으로 위치측위를 지원하며 OS 단에서

API를 통하여 위치정보를 쉽게 사용가능하다. 측위 순서는 GPS 측위 → Wi-Fi 측위(WPS, Wi-Fi

Positioning System) → 기지국 측위(Cell-ID) 순으로 측정한다. 안드로이드 OS의 경우 GPS 측위,

Wi-Fi 측위, 기지국 측위 모두 지원하나 개발자가 직접 선택하여 적용하는 Optional API를

제공하고 있다. 다만 Wi-Fi 측위는 LAP 단에서 개발자가 새로운 방식으로 직접 구현이 가능하다.

iOS Android

[그림 4] iOS 및 Android의 위치측위 지원방식

4. 실내 위치측위 및 지도 서비스 동향

(1) 구글(Google)

Google은 지난 2011년 11월부터 자체 지도 서비스인 Google Maps를 통해 미국과 일본 지역

등에 한해 건물의 실내 구조와 위치를 찾을 수 있는 실내 지도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Internet & Security Focus 2013 5월호30

FOCUS

PC버전 모바일 버전

[그림 5] 구글의 실내지도 서비스 예시

Google의 실내 지도 서비스는 3G 네트워크와 Wi-Fi 접속 포인트를 통한 삼각 측량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쇼핑몰, 대형 유통점, 공항 등 대형 건물 및 시설 내부가

묘사된 평면도 위에 사용자의 위치가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한눈에 자신의 위치와 이동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다층 건물에 대해서는 화면 오른쪽에 층수가 표시되어 원하는 층의

지도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용자가 다른층으로 이동 시에는 평면도가 자동으로

업데이트된다. Google은 실내 지도의 정확성을 보완하기 위해, ‘Google Maps Floor Plan

Maker’라는 앱을 출시했으며, 이 앱은 건물주나 상점 주인 등이 직접 수정한 평면도를 Google

Maps에 업로드함으로써 Google 측에 피드백을 보내는 일종의 크라우드 소싱(Crowd Sourcing)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Google은 7월부터 영국과 스위스의 박물관, 기차역, 공항 등 유럽 일부

지역에 대한 서비스를 런칭하고, 런던의 유명 백화점과 제휴를 체결하는 등 점차 서비스 제공

지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2) 애플(Apple)

애플은 초기 구글 맵스 애플리케이션을 채택하여 위치정보를 손쉽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고, 특히 기존 GPS 의 취약지역에서도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위치정보 뿐만 아니라 스카이훅 와이어리스에서 제공하는 와이파이 핫스팟 정보,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높은 정확도를 보장하였다. 이후, 애플은 자체 지도서비스를 위해

C3테크놀러지(3C Technology), 폴리나인(Poly9) 등과 같은 LBS 전문 사업자들을 연이어

인수하였으며, 2012년 구글의 지도 서비스인 '구글 맵스(Google Maps)'를 대신해 자체 개발한

Internet & Security Focus 2013 5월호 31

FOCUS

지도 서비스인 'iOS 맵스(iOS Maps)'를 공개하였으나 디지털 지도 서비스 제공 경험이 축적되지

않고 위치정보의 낮은 정확도로 인해 이용자들의 비판을 받으면서 애플의 팀국(Tim Cook)

CEO가 직접 사과하는 등 고전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난 3월 애플(Apple)은 와이파이(Wi-Fi) 기반의 실내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생 업체 ’와이파이슬램(WiFiSlam)’을 2,000만달러(약223억원)에 전격 인수하였다.

’와이파이슬램’은 모바일 단말의 와이파이신호를 이용해 실내에서도 위치를 추적하는 ’실내

GPS 기술(Indoor GPS Technology)’을 개발한 설립 2년차의 스타트업 기업이다.

IT 전문지 테크크런치(TechCrunch)에 따르면 ’와이파이슬램’의 기술을 활용해 실내위치를

측정할 경우 2.5m의 오차 범위 내에서 실시간 위치 추적이 가능하며, 기술 전문지 MIT 테크

리뷰(MIT Tech Review)는 ’와이파이슬램’이 주변 와이파이 네트워크 신호 강도 분석과

스마트폰 인터넷 상의 주변 지역 관련 과거 레퍼런스 데이터 셋(Reference Data Set)을 결합하는

기술을 활용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와이파이슬램’ 측은 해당 기술을 통해 유통 분야에서 상점

위치 제공이나 SNS가 결합된 실내 내비게이션 서비스 등으로 활용해 나갈 계획임을 언급한바

있으며, 업계에서는 애플의 이번 인수를 구글(Google)에 대응해, 자사 지도 서비스 사업을 강화

및 확장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하고 있다.

<표 3> 애플의 지도 솔루션 확보를 위한 주요 활동

연도 주요내용

2009년o 작지만 혁신적 지도 서비스 업체인 Placebase를 인수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애플 내에 GEO

Team을 조직

2010년o 구글 어스의 경쟁사인 Poly9을 2010년 7월에 인수o 3D 지도 서비스 업체인 C3 Technologies를 2010년 8월에 인수

2011년 o 애플의 아이폰 위치추적이 이슈가 되었으며, 애플은 향상된 트래픽 서비스를 위해 익명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고 설명

2012년

o iOS6에서 독자적인 새로운 지도 서비스(Apple Maps)를 런칭하였으나 부정확성으로 이용자들의 질타를 받음

o 지도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애플 직영 매장 직원들에게 매장 소재 지역의 지도 데이터를 확인하거나 수정하기 위한 지리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하도록 함

o Apple Maps 앱에서 ‘문제점 보고하기’ 메뉴를 두어 크라우드 소싱 방식으로 지도의 정확도를 높이고 있음

2013년 o 실내 위치탐지 기술 보유 스타트업인 WiFiSLAM을 인수

출처: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애플의 실내 위치찾기 기술업체 WiFiSLAM 인수 배경

(3) 노키아(Nokia)

노키아는 구글보다 조금 앞선 2011년 4월에 블루투스 4.0을 이용한 실내 지도 서비스의

Internet & Security Focus 2013 5월호32

FOCUS

프로토타입을 공개했다. 이 서비스는 HAIP(High Accuracy Indoor Positioning) 솔루션이라는

자체 개발 실내 위치 측정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HAIP 솔루션은 블루투스 칩이 탑재된

단말기를 추적하는 블루투스 저전력 안테나 장치를 건물 내 천장에 설치해 삼각 측량 방식으로

위치를 측정하고 단말에 표시함으로써 실내에서의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Nokia는 개발한 기술을 실제 상용 서비스화하는 데 필요한 건물 및 각종 시설물

평면도를 확보하기 위해, 2011년 6월 지도 DB 및 네비게이션 시스템 개발 전문

업체인‘NAVTEQ’를 인수했다. 이를통해 Nokia는 ‘Destination Maps’라는 명칭으로 불리는 지도

콘텐츠 제작을 개시했으며, 현재까지 38개 국가 4,605개 건물 및 시설물의 지도화 작업을

완료했다고 했다.

(4)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마이크로소프트는 NAVTEQ의 지도 콘텐츠를 활용해 2011년부터 Bing Maps에서 실내 지도

서비스를 제공해오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서비스는 빌딩 내부에서 이동 시 위치 찾기나 층

변화 감지 기능은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되고 있으나, 지난 12년 6월 말에 실내

지도 정보 제공 시설물 수를 2,700개로 늘리고, Windows Phone의 Bing 앱과 iPhone 앱을 통해

스마트폰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실내 지도 서비스 시장에서 꾸준히 영향력을 확장해가고 있다.

(5) In-Locations Alliance

실내 지도 서비스는 정보 전달은 물론 전자상거래, 광고, 마케팅 등과의 접목을 통해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양산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차세대 모바일 서비스 시장의 킬러 서비스로

주목받고 있는 트랜드 변화에 대응하여 지난 2012년 8월, 삼성전자, 노키아 등 22개의 글로벌 IT

사업자들이 실내 위치 정보 서비스 개발을 위한 연합체 ‘In-Locations Alliance’가 공식 발족했다.

인로케이션 연합체는 와이파이와 블루투스4.0 기술을 활용해 위치정보의 정확성, 낮은

소비전력, 높은 이용편의성까지 충족시키는 실내지도 서비스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표 4> In-Locations Alliance 참여 사업자 현황

구분 업체명

단말기 제조사노키아(Nokia), 삼성, 소니(Sony), 프리맥스 일렉트로닉스(Primax Electronics)

반도체 및 칩셋 제조사브로드컴(Broadcom), 퀄컴(Qualcomm), 다이얼로그 세미컨덕터(Dialog Semiconductor), CSR, 노르딕 세미컨덕터(Nordic Semiconductor)

Internet & Security Focus 2013 5월호 33

FOCUS

소프트웨어, 솔루션, 애플리케이션 개발사

엔티사(Eptisa), 지오모바일(Geomobile), 제나시스(Genasys), 인드라(Indra), 인사이트오(Insiteo), 노매딕 솔루션(Nomadic Solutions), 노르딕 테크놀러지 그룹(Nordic Technology Group), 나우온(NowOn), 라피드블루 솔루션(RapidBlue Solutions), 솔레인 이노베이션(Seolane Innovation), 팀액션존(Team Action Zone), 비져글로브(Visioglobe)

기타 탬퍼실(TamperSeal)

출처 : THE MOBILE – Mobile trend and insight for global market, MOIBA, 2012.11

연합체는 2013년까지 개발한 솔루션을 연합체에 참여하고 있는 단말벤더가 제조한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하고 시범 서비스를 전개할 예정이며, 글로벌 실내 지도 서비스 시장 선점을 위해

전 세계 주요 건물에 대한 적용 확대 및 실내 측위 기술에 기반한 사업 기회를 모색하는 기업에

솔루션을 제공할 방침이라고도 밝힌바 있다.

Ⅲ. Wi-Fi AP를 활용한 위치정보 플랫폼

1. 위치정보 플랫폼 구축기술

실내・외에서 비교적 정확한 위치측위를 할 수 있는 방법으로 통신사와 개인들이 설치하여

운영중인 Wi-Fi AP의 위치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Wi-Fi AP는 공공장소, 사무실, 가정집

등 도심 등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폭넓게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Wi-Fi AP의 위치정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선행되어야 할 기술적 요구사항들이 있는데 첫째로 전국적으로 흩어져 있는

Wi-Fi AP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기술이고, 둘째로 수집한 Wi-Fi AP 정보를 DB에 규격화하여

저장하는 기술이며, 마지막으로는 단말기에서 위치를 추정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Wi-Fi AP 정보의 수집・저장・활용을 위한 여러 가지 기술들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으나 가장 보편적인 방법을 소개하면 아래와 같다.

[그림 6] Wi-Fi AP 정보 수집・저장・활용 개요도

Internet & Security Focus 2013 5월호34

FOCUS

첫째로 Wi-Fi AP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수집하고자 하는 Wi-Fi AP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실외의 경우 Wi-Fi AP를 수집할 수 있는 장치를 차량을

탑재하여 도로위를 주행하는 동안 하나의 Wi-Fi AP에 대해 다수의 측위위치에서 신호를

탐지하고 신호가 탐지된 각각의 위치에서 GPS 위치와 Wi-Fi AP 수신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역

삼각측량 기법(Reverse Triangulation) 이나 Weighed Centroiding 기법으로 Wi-Fi AP의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이 가장 보편적이라 할 수 있다. 실내의 경우 현재의 주소를 가리키는 위치데이터

포맷을 건물 내 지역적으로 주요한 공공주소, 기준점 또는 지역들을 가리키는 형태로 확장한 AP

위치를 사용하는 방법도 활용 할 수 있다.

[그림 7] 실측차량을 이용한 Wi-Fi AP 수집

둘째로 필요한 기술은 Wi-Fi AP 정보를 규격화하여 DB에 저장하는 것이다. 실외에서 차량을

이용하여 수집한 Wi-Fi AP 들의 정보를 공동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DB를 설계하고 데이터를

저장, 갱신할 수 있도록 구축해야 한다. 특정 사용자가 탐지한 Wi-Fi AP 가 DB에 없거나 등록된

위치로부터 임계거리 이상이라면 해당 사용자의 고유 ID, MAC Address, 신호세기, AP

추론위치를 해당 사용자의 지역 AP 위치 DB에 첨가하거나 해당 AP 위치를 갱신하는

메커니즘도 활용된다. 실내의 경우는 현재의 공공 위치데이터 포맷을 지역적으로 주요한 공공

주소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확장한 건물 내 Wi-Fi AP 위치를 AP 내부에 설정하거나 AP MAC

Address 와 건물 내 위치를 목록화한 별도의 Wi-Fi AP 위치 DB를 서버에 구축하는 방법도 있다.

Internet & Security Focus 2013 5월호 35

FOCUS

[그림 8] Wi-Fi AP 위치DB 모델링 예시

마지막으로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한 가장 보편적 기술은 Wi-Fi AP 정보를

수집하고자 하는 단말기로부터 가장 가까운 AP의 지리적인 위치를 선택하는 방법이다. 이를

좀더 정교화 하여 단말기에 수신되는 AP의 신호세기로 AP 위치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는

Centroiding 방법과 다수의 Wi-Fi AP로부터 단말기의 거리를 측정하는 삼각측량(Triangulation)

방법으로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실내 위치추정의 경우, 지리적인

위치 대신 실내주소로 표시된 AP의 공공 위치나 실내의 주요 지역들을 표시하는 확장된

공공주소를 사용하여 모바일 기기의 위치를 추정할 수도 있다.

2. 위치정보 플랫폼의 긴급구조 활용

[그림 9] 이동통신사와 긴급구조기관의 위치정보 활용

Internet & Security Focus 2013 5월호36

FOCUS

우리나라는 지난 2012년 5월 긴급구조 상황 발생시 소방방재청, 해양경찰청과 더불어

경찰관서가 개인위치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취지의 위치정보법 개정ㆍ공포되고, 그해

11월부터 시행된 바 있다. 보통 화재나 조난, 부상을 당하는 경우는 119에 신고하지만 성폭행,

폭력 등 강력 범죄는 112에 신고를 하게 된다. 따라서, 112신고는 실외보다는 실내에서,

치안취약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번 위치정보법 개정을 통해 경찰관서가 개인위치정보를

활용하여 납치・유괴 등 위급상황에 처한자의 소재를 파악,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강력 범죄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등 국민 생명 보호를 위한 사회안전망 구축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하지만 긴급구조를 위해 위치정보를 폭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되었으나, 위치정보의 정확도에는 아직 문제가 남아 있다. 기지국 기반의 위치정보는

오차범위가 너무 커서 효용성이 떨어지고, GPS를 활용한 위치정보는 실외에서만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면 우리나라는 고층건물과 지하시설 등이 많은

국내 건물구조상 실내에서 위치를 측위할 수 있는 기술과 인프라가 보다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림 10] 긴급구조 신고시 위치측위 인프라별 위치정확도

Internet & Security Focus 2013 5월호 37

FOCUS

< 위치정보법 개정('12.11.15 시행) 주요내용 >

◦ 경찰관서에 개인위치정보 조회권한을 부여(법 제29조제2항)

- 경찰관서도 소방방재청, 해양경찰청과 마찬가지로 긴급구조를 위해 위치정보 조회 가능

※ ①피해자/목격자, ②실종아동의 보호자, ③피해자의 의사에 따른 제3자가 경찰에 ☎112에 신고 하는 경우

◦ 위치정보시스템을 통한 개인위치정보 요청 및 제공(법 제30조제1항)

- 조회이력이 남는 위치정보시스템을 통해서만 개인위치정보 요청 및 제공이 가능

◦ 경찰관서가 개인위치정보 조회 시 본인에게 통보(법 제29조제6항)

- 경찰관서가 개인위치정보 이용 시 이용사실을 본인에게 즉시 통보하되, 즉시 통보로 인해 구조대상자의

생명・신체에 대한 위험을 초래하는 경우에는 그 사유가 소멸한 때 통보

◦ 개인위치정보 조회 내역 확인 등(법 제29조제9항)

- 경찰관서는 조회내역을 기록・보관하고, 개인위치정보주체가 그 내역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함

반면 미국은 1994년 미연방통신위원회(FCC)의 위원회안건목록(CC Docket 94-102)을

법제화하고 1999년 10월부터 ‘무선통신 및 공공안전법(Wireless Communications and Public

Safety Act of 1999, 9-1-1Act)’이 시행에 들어가면서, 위치정보가 공공 안전 서비스를 중심으로

성장하였다. E911이라 불리는 본 법안은 화재, 범죄, 재난, 기타 긴급한 상황에서 공공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불필요한 과정을 생략하고 발신자의 위치를 즉각 확인해 보호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2011년에 미연방통신위원회 FCC는 구조요청 방법을 문자ㆍ음성ㆍ영상 메시지를 모두

처리할 수 있는 Next Generation 911 구축계획과 실내위치측위 및 위치정보 정확도 향상 강화규정을

발표하면서 보다 긴급구조를 위한 위치정보 활용을 보다 폭넓고 정확도를 요구하는 방향으로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국가 정책에 힘입어 다른 지역, 국가들 보다 위치정보 인프라가 일찍

갖추어졌으며, 이를 기반으로 전세계에서 위치정보 시장이 가장 먼저 발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그림 11] 미국의 911 서비스 발전과정 출처 : FCC, 알앤디비즈 재구성

Internet & Security Focus 2013 5월호38

FOCUS

우리나라도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등에 관한 법률에서 긴급구조기관으로 소방방재청,

해양경찰청과 더불어 경찰관서가 포함된 만큼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위치정보

정확도 향상을 위한 제도적 마련이 필요하리라 본다. 이를 기반으로 Wi-Fi AP를 활용한

위치정보 플랫폼은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위치정보관련 사업자 및

관련기관 등과 협력기반을 마련하고 사회안전망 등 공익적 활용을 위한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3. 위치정보 플랫폼의 개방확대

정밀한 위치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되면 긴급구조 등 공공 목적의 서비스뿐 아니라

부가적으로 위치기반의 맞춤형 광고, 위치기반 날씨 및 뉴스, 증강현실 등 민간 부문의 응용

서비스 또한 활성화되어 국내 위치정보 산업을 활성화시키는 역할도 함께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위치정보산업은 고도성장이 예상되는 모바일 인터넷 시대 핵심 동력임에도,

국내기업은 기술 및 인프라의 부족으로 현재 국내 위치정보 관련 사업자는 이동통신사의

기지국 측위를 제외하면, 구글, 애플의 스마트폰 단말기에 의한 GPS 측위와 구글 지도 등에

의존성이 매우 큰게 현실이다. 아직까지 실외측위 상 우위에 있는 글로벌 기업(구글, 애플 등)이

실내측위 인프라를 빠르게 구축하여 위치정보 시장 지배력을 확고히 하고자 하므로, Wi-Fi AP를

활용한 위치정보 플랫폼 개방을 통해 국내 위치정보 관련 기업의 세계적 경쟁력 확보를 위한

획기적 전환점을 마련하는 방안이 필요하겠다.

[그림 12] 위치정보 플랫폼의 활용 확대

Internet & Security Focus 2013 5월호 39

FOCUS

Ⅳ. 결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력의 발전과 니즈의 변화 따른 이동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위치측위 방식도 변화하여 왔다. 2G시대의 셀(Cell) 측위 에서 3G시대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위, 그리고 기지국의 높은 오차범위의 단점과, GPS의 장애물이 많은 지역 및

실내에서는 측위가 힘들다는 등의 단점을 보완하여 오차범위가 좁아 정확도가 가장 뛰어나고,

AP가 설치되어 있는 곳이라면 위치측위가 가능하기에 실내, 지하에서도 정확한 측위가 이루어

질 수 있는 4G시대의 Wi-Fi(Wireless - Fidelity) 순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실내 위치측위 기술발전으로 언제 어디서나 끊김없는 위치정보 제공할 수 있어 화재진화,

인명 긴급구조, 어린이・노약자 안전귀가 서비스 등에 정확하고 효율적인 위치정보 활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위치 정보 유통에서 통신사간 장벽이 없어지고 대형 업체들의 모바일에 대한

인지도가 더욱 향상되어, 관계성 높고 아주 개인적인 혜택들이 모바일 광고나 증강 현실로

제공될 수 있다. 실내・외 끊김없는 위치정보 플랫폼 이용을 통해 누구라도 적은 비용으로

고정밀의 위치정보를 취득할 수 있게 되는 경우, 1인 창업자 및 중소 벤처 기업의 증가가

예상되며 지역의 위치기반 타겟 광고와 마케팅 비용 대비 효과 측정이 용이해짐으로써 지역

소상공인의 경제활동 활성화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트랜드의 변화에 따라 현재

위치정보와 관련하여 세계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들은 단말, OS를 기반으로

위치정보 플랫폼 구축을 통해 국내 기업 등에 플랫폼 이용을 강제하는 등 실외측위와 관련된

선점효과를 실내측위로까지 전이시켜 나가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위치정보 관련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국내 위치정보 관련 사업자가 실내・외 위치정보 수집 데이터 베이스와 연동하여

융합형 위치측위 기술 및 메쉬업 기술 등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위치기반서비스 종합 플랫폼

인프라 확보가 시급하며, 여타 글로벌 기업의 실내 위치측위 플랫폼보다 한발 앞선 한국형

고정밀 위치정보 플랫폼 구축 및 확산을 통해 세계시장 선점도구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실내 위치측위 서비스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로 높은 정확성을 보장하는 시장 지배적 표준

기술이 등장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새로운 인프라를 필요로 하는 경우

단말제조사, 이통사, 솔루션 개발업체, 서비스 제공업체 등 주요 이해관계자간 비용 부담 등의

갈등도 존재한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각계의 이해당사자가 모여 위치정보 산업의

글로벌 트렌드 및 정책 지향성에 대해 논의하고, 위치정보 산업 활성화 및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정책・기술적 지원, 위치정보와 타 사업자간 위치정보를 활용한 산업 육성 방안 및 상생 협력을

Internet & Security Focus 2013 5월호40

FOCUS

통한 사업자간 선순환 생태계 기반 마련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위치정보는 잘 못 다뤄질 경우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매우 민감한 정보라는 것이다. 위치정보의 경우 개인 위치정보

유출・오용・남용시 개인의 생명 및 신체에 즉각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 안전한

보호조치와 이런한 환경을 고려하여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의 균형점을 찾을 수 있도록

법・제도적 토대 마련이 선행되어야 하겠다.

참고문헌

한국정보보호진흥원 (2009. 6). 위치정확도 제고에 따른 긴급구조 효율성 향상 및 산업적 파급효과 연구

방송통신위위원 (2010. 6). LBS 산업육성 및 사회안전망 고도화를 위한 위치정보 이용 활성화 계획. 서울:

방송통신위원회.

김정태 (2011. 1). WiFi 기반 무선측위기술 특허계통도.

윤성근, 채진 (2012). 119위치정보 시스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한국위기관리논집』제8권 제5호 2012. 10.

정구민, 최완식, 한규영, 서동권, 여종윤 (2011. 7). 스마트폰에 따른 LBS 패러다임 변화 및 서비스 동향.

한국무선인터넷산업연합회 (2012). THE MOBILE Mobile trend and insight for global market. 2012. 11.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3). 애플의 실내 위치찾기 기술업체 WiFiSLAM 인수배경.

정성훈 (2012. 8). 긴급구조 목적의 위치정보 활용과 남은 과제. http://blog.daum.net/kcc1335/5017.

한국인터넷진흥원 (2013. 4). 애플, 신생 모바일 지도 서비스 업체 ‘와이파이슬램’ 인수. 『Internet &

Security Weekly』.

이재구 (2013.4.30.). 하늘로 쏘아올린 나침반, GPS(15) 휴대폰속으로 『ZDNet Korea』.

http://www.zdnet.co.kr/column/column_view.asp?artice_id=20130307084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