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patitis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gachon/boo... · 2014....

23
Hepatitis (간염) 부선주 1

Upload: others

Post on 10-Feb-2021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Hepatitis (간염)

    부선주

    1

  • Hepatitis

    정의 : 간세포의 염증 간세포의 죽음

    원인; 바이러스(바이러스성 간염; viral hepatitis), 독성물질(독성

    간염; toxic hepatitis), 알코올 (알코올성 간염; alcoholic hepatitis)

    등에 의해 일어날 수 있으며 주원인은 바이러스

    2

  • 3

    간세포가 죽은 후: 죽음-- 섬유화 – 재생

  • 1. Viral Hepatitis

    간염 바이러스의 특징

    1) 간세포에 강한 친화성

    2) 간세포를 직접 파괴하지는 않음 (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된 간세포는 세포성 면역에 의해 죽는 것)

    4

  • 간염 바이러스: A, B, C, D, E

    5

  • 1) Acute hepatitis

    ♠Hepatitis A

    - 경로: oral/fecal route- 오염된 음식

    - 전파: 대변을 통하여 배설

    -진단

    급성기- IgM anti-HAV: HAV에 대한 IgM 항체.

    최근 HAV 감염을 나타냄. 감염 후 6개월까지

    양성으로 나옴. (일생: IgG anti-HAV)

    백신: Immunoglobulin

    - 만성으로의 진행이 거의 없음

    6

  • A형 간염 예방

    - 전염력: 황달이 나타나서 1주일까지는 전염력이 있으므로,

    환자의 모든 분비물 처리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 환자의 방을 떠나기 전에 간호사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한다.

    - 환자도 화장실을 다녀온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도록 교육한다.

    - 백신접종

    7

  • B형간염 예방

    - 예방접종(특히 보균자 가족)

    - 수혈이나 주사 시 철저한 검사 및 소독을 시행

    - 출산 전 산전관리에서 보균자 산모를 알아내어 (HBs Ag)

    출산 시 신생아는 12시간 이내 면역글로블린과

    1차 간염예방접종

    - 면도기, 칫솔, 목욕수건 등을 공용하지 않음

    8

  • ♠ Hepatitis C

    - 경로: B형과 동일- 혈액(수혈)

    - 증상은 B형과 비슷하나 바이러스의 종류는 전혀 다르다 (RNA 바이러스).

    - 잠복기: 15-160일, 평균 50일

    - 진단: anti-HCV (+) (HCV Ag은 아직 분리되지 않아 항체를 통해 진단)

    - 만성화 되기 쉽다.

    - 백신: 없다; 전파경로 및 예방은 B형과 유사

    - 발암: 많다

    - 치료: Interferon or Pegylated Interferon + ribavirin(경구용 Rebetol)

    (cf) Interferon의 기능: 바이러스 복제 억제, 세포성 면역의 증강

    9

  • Pathophysiology

    - 바이러스의 침입 diffuse inflammatory infiltration of hepatic tissue

    간세포의 심한 부종 염증, 재생이 동시에 진행되면서 scar tissue로

    인한 담관폐쇄 발생: ALT, AST 상승, prothrombin time 지연,

    alkaline phosphatase (ALP)의 상승, bilirubin의 상승

    10

  • Sign & Symptom

    (1) 잠복기 : 아무런 증상발현이 없다.

    (2) 전구 증상기 (Preicteric phase): 피곤, 식욕부진,

    관절통, 오심, 구토, 구역, 상복부 통증, 설사 ,

    발열 및 감기증상 등.

    ALT, AST 상승

    (3) 황달기 (Icteric phase): 소변색깔이 갈색에서

    흑색으로 변함, 점토색의 변, 눈의 공막이나

    피부색깔이 노랗게 변함

    (4) 회복기 (Posticteric phase): 환자는 편안해 지고

    모든 증상이 소실됨. 식욕이 돌아옴.

    11

  • Medical management

    급성간염의 치료의 원칙은 증상에 따른 대증요법과 간세포 재생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휴식 + 식이 요법 중요

    - Pharmacological Treatment

    : 약물사용시 주의 요! (hepatotoxic)

    사용할 수 없는 약- aspirin, acetaminophen

    sedatives , chlorpromazine

    - Dietary Management

    : 고열량, 고탄수화물, 고단백, 고비타민, 저지방

    소량을 자주 제공(하루에 4-6회)

    모든 알코올성 음료는 피한다.

    12

  • - 활동정도의 관리

    : 안정요법

    - 간의 활동을 줄임으로써 간의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데 목적이 있다.

    - 안정이 필요한 시기 : 전구증상이 나타나서 황달이 최고치에 도달하였다가 회

    복이 되어가는 시기까지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대개 2-3주)

    -소양증의 감소: cholestyramine의 투여

    - 감염진행정도 관리

    : 간기능 회복에 대한 관찰: A형 간염(9주 정도면 정상회복), B형 간염(16주)

    ALT, AST, Bilirubin, Prothrombin time(PT) check

    출혈경향: Vit. K의 투여

    공막, 피부, 대변, 소변의 색 사정

    13

  • Nursing Management (p.530)

    1) 대사성 에너지 생성감소와 관련된 피로

    - 대상자의 활동수준을 사정하고 적당한 활동수준 유지.

    - 침상안정.

    - 이완할 수 있도록 환경적 자극(빛과 소음 등)을 줄인다.

    2) 섭취부족과 소화 흡수 장애와 관련된 영양부족

    - 영양가가 풍부한 아침 식이 제공. (낮에 더 피곤해 지므로 아침식사 중요)

    - 지방성음식은 피한다.

    - 적절한 단백질의 제공과 탄수화물을 제공한다.(단백질의 제한이 없는 경우)

    - 적은 양을 자주 제공한다. (전체 2500-3000Cal. 제공)

    - 술은 절대 안된다.

    - 비타민 K 필요한지 확인

    - 진토제를 투여할 수 있으나 Phenothiazines (Compazine)은 사용할 수 없다.

    - 체중을 주기적으로 사정한다.

    14

  • Nursing Management

    3) 응고장애/소양증 관련된 손상 위험성

    - 출혈 증상과 징후를 관찰한다.

    - 소양증을 관리하여 피부손상을 예방한다.

    - cholestyramine, 항히스타민제 투여

    -미온수 샤워(또는 차거운 물), 비누사용금지, 손톱 짧게, 필요시 장갑.

    4) 정보부족과 관련된 지식부족

    - 질병의 병태생리를 설명한다. (합병증, 재감염, 감염경로)

    -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필요한 생활방식의 변화를 받아들이도록 한다

    (금주, 금연, 감염통제법 등)

    - 즉각적인 중재가 필요한 증상과 징후(잇몸출혈, 혈변 등)를 교육한다.

    15

  • 급성전격성 간염 (Fulminant Hepatitis)

    1) 정의 : 간염 증상 발현 후 8주이내에 중증 간기능

    장애에 의한 간성혼수를 유발하고 응고계

    이상을 동반하는 것

    (전격성 간염=급성간염 + 간성뇌증 +

    응고계 이상 + 8주이내)

    2) 증상이 급작스럽게 악화되어 간성혼수로

    진전되며 사망률이 높다.

    16

  • 2) Chronic Hepatitis

    : 간의 염증이 3개월에서 6개월 이상 지속될 때

    o Etiology

    (1) B형 간염, C형 간염

    (2) 약물

    (3) 원인불명

    o 증상

    (1) 자각 증상이 심하지 않고 소화기능과 식욕은 정상이다.

    (2) 피곤함, 몸이 무거움

    (3) 간 부위의 불편감, 복부 팽만감

    17

  • o 진단

    1) 반드시 간 기능 검사 실시

    2) 간 생검 실시를 통해 간세포의 괴사 정도,

    섬유화 정도, 염증세포의 침윤 정도를 관찰하여

    치료방침과 예후를 결정함.

    o 예후

    - 1~2년이내에 간 기능이 악화되어

    사망하는 경우부터 10년 이상 큰 변동 없이 지내는

    경우도 있다.

    18

  • o 치료와 간호

    바이러스 간염에 대한 치료제가 아직 개발되어있지 않아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

    자신의 병에 대한 저항력과 재생력을 회복 시키는데 초점을 맞춘다.

    - 식이요법과 안정

    - 정기적인 검진 (간경변, 간암으로 진행 가능)

    19

  • 2. Toxic hepatitis o Etiology : 간 독소(hepatotoxins)에 노출됨으로써 발생

    - 약물

    - 항생제, 항결핵제, 해열진통제, 호르몬제

    - 성분을 알 수 없는 한약제

    o Sign & Symptom

    1) Liver function test 시 비정상적인 소견을 나타냄

    2) 초기증상: 식욕부진, 피곤, 오심, 구토

    3) 과민한 환자에게서 호산구 증가증(eosinophilia), 열, 관절통 등이 나타난다.

    4) 후기증상: 황달, 간비대, hepatic tenderness, dark urine

    20

  • o Tx & Nsg care

    1) 원인이 되는 독물을 규명하여 제거하거나 배설시킴.

    2) 휴식

    3) 소양증: cholestyramine resin투여…

    4) 식이 – 고칼로리 식이

    고단백식이(간성뇌증의 증상이 있는 경우 단백질 제한)

    5) steroid 투여: 과민반응이 있는 경우(eosinophilia, 열, 관절통..)

    .

    21

  • 3. Alcoholic Hepatitis

    o Etiology : 과음으로 인한 간 세포의 괴사, 만성이거나 급성

    heavy alcohol drinking ---> 간세포 괴사 ---> 간경화

    o Sign & Symptom

    1) 식욕부진, 오심

    2) 복통

    3) 비장비대

    4) 간비대, 황달, 복수

    5) 발열

    6) 간성뇌증

    7) 혈액검사상– 빈혈, 백혈구 증가증, 빌리루빈 상승

    8) 간생검 - 지방간조직

    22

  • o Nursing Intervention

    1) diet : 고비타민, 고탄수화물, 엽산과 티아민제제

    기름이 있는 음식을 피한다

    alcohol의 섭취를 금한다

    2) sometimes use steroid

    3) 침상안정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