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68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 TM )이용한 resin bonded prostheses 임상적 적용 원장 콜럼비아대학교 보철과 수료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 Fellow, International College of Dentist < 연제 순서 > 1. 최소침습 보철의 개요 & clinical background 2. parallel Vs Non-parallel pin technique, Segmented Vs Non-segmented type 3. Intracoronal pin 이용한 pin retention 다양한 임상적용 . 결손치 회복 . 임상치관의 높이가 낮아 보철물의 유지력이 약하다고 판단될 경우 . Inlay 혹은 Onlay 유지력이 약하다고 판단될 경우 . 국소의치의 지대치를 splinting 필요가 있을 경우 . 동요도가 있는 치아들을 splinting 경우 . 임플란트 실폐증례에서의 응용

Upload: others

Post on 18-Mar-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을

이용한 resin bonded prostheses 의 임상적 적용

이 상 직 원장

콜럼비아대학교 보철과 수료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

Fellow, International College of Dentist

< 연제 순서 >

1. 최소침습 보철의 개요 & clinical background

2. parallel Vs Non-parallel pin technique, Segmented Vs Non-segmented type

3. Intracoronal pin 을 이용한 pin retention 의 다양한 임상적용

ㄱ. 결손치 회복

ㄴ. 임상치관의 높이가 낮아 보철물의 유지력이 약하다고 판단될 경우

ㄷ. Inlay 혹은 Onlay 의 유지력이 약하다고 판단될 경우

ㄹ. 국소의치의 지대치를 splinting 해 줄 필요가 있을 경우

ㅁ. 동요도가 있는 치아들을 splinting 해 줄 경우

ㅂ. 임플란트 실폐증례에서의 응용

Page 2: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상실된 치아를 수복하는데에 있어 오랫동안 bridge 를 이용한 수복법이 사용되어 왔으나, 인접치

의 삭제가 불가피하다는 단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Implant 보철이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환자의 경제적, 시간적 사정이나 치조골의 부족 등으로 Implant 보철이 여의치 않은 상황

에서는 아직도 기존의 bridge 보철법 말고는 별다른 수복 방법이 없는 현실이다.

대부분의 임상가가 bridge 보철, 전치부 심미보철, 치질파괴가 심한 치아의 보철 등의 여러 경우

에 통상적으로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아래의 증례에서 보시다시피 임상 현장에서 환자들과 상담해보면 자기 치아를 삭제하기를

원하는 환자는 거의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a. b. c.

( Fig 1 ) Human bridge 에 의한 결손치의 회복

상기의 사진은( Fig 1-a) 환자분이 무삭제 보철에 관해 인터넷 검색을 해보고 필자의 치과에,

필자는 이때 당시에 무삭제 보철에 관해 어떠한 광고도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빠진 상악

좌측 중절치를 위해서 “ Human Bridge” 라는 것을 하고 싶다고 내원한 증례이다.

그러나 치아의 undercut 과 metal 의 탄성을 이용한다는 Human brige 의 특성상 이 증례에서는

치아의 cervical constriction 이 심하여 metal wing 이 보이는 것을 피할 수가 없었고 결손치

부위의 공간도 인접 지대치에 비해 커서 pontic 이 크게 제작이 되었지만 환자는 자신의 치아가

삭제되지 않고 결손치가 수복되었다면서 만족해 하였다.( Fig 1-b,c )

이 증례를 통해서 치아 삭제량을 줄이면서 결손치 혹은 치질의 손상이 심한 치아를 수복하는

방법이 없을까를 고민하던 중 필자가 보철학에 관한 공부를 할 때 “ 핀에 의해 보철물을

유지하는 방법”이 있었다는 것을 기억하게 되었고 아래의 증례에서 볼 수 있는 “ pin retained

resin bonded system”을 개발하게 된 시발점이 되었다.

a. b. c.

( Fig. 2 ) intracoronal pin 에 의해 유지되는 resin bonded prostheses

Page 3: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상기 Fig 2.를 보면 상악 좌측 제 1 소구치, 하악 좌측 제 1 대구치의 부위의 상실치를 회복하기 위

해서 resin bonded prostheses 가 이용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런데 x-ray 사진을 보면 보철물 하방

에 치질속으로 intracoronal pin 이 달려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보철물의 탈락 저항성

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써 지금부터 그 임상적 배경과 시술 증례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A. Clinical background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점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60-70% 가량의 삭제가 불가피하다는 단점이 있고 심지어 치아의 경사가 심

할 경우 “vital pulp extirpation”이 필요한 경우도 있을 정도로 치질 삭제를 많이 해야 할 수

있다. 그림 3 은 상악 제 1 대구치에서 여러 가지 preparation design 에 따른 치아 삭제 량을 보

여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가급적 치질 삭제를 최소로 하면서 결손부의 기능과 심미성이 회복되고

치수조직과 치주조직에도 나쁜 영향을 주지 않으며 탈락저항성도 높여줄 수 있는 보철방법이 있

다면 바람직하다 하지 않을 수 없다. ( Fig. 3 )

( Fig 3.) 상악 제 1 대구치에서의 여러 가지 preparation design 에 따른 치아 삭제량

A2: proximal box,

A3: wing & 2 grooves,

I2: MO inlay,

O: MOD onlay,

HC: Half-crown,

PC: Partial-crown,

F1: Full crown with chamfer,

F2: Full crown with rounded shoulder,

F3: Full crown with buccal shoulder lingual chamfer

최소 침습을 통한 conservative treatment 는 아마도 치과의사와 환자 모두가 원하는 것일 것이다.

Page 4: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관련 논문을 통해 살펴보면 conservative approach 에 의해 결손치를 회복하거나 mobility 가 있는

치아를 고정하기 위한 시도는 아주 오래 전부터 있어왔다. 그러나 현재 가장 널리 이용되는 방법

은 1970 년도 초기에 Rochette 에 의해 소개된, metal 면을 resin cement 로 치아에 bonding 시키

는 방법인, resin bonded prostheses 일 것이다. ( Fig. 4 )

( Fig. 4 ) Conventional resin bonded fixed dental prostheses

이러한 resin bonded prostheses 는 아래의 여러 가지 방법, 예를 들면, 치아에 접촉하는 금속 표

면의 electrolytic 혹은 chemical etching, aluminum oxide 로 air abrasion, silicoating 등의 방법으로

micromechanical retention 을 증가 시키려는 시도, 금속표면과 resin cement 간의 접착력을 증가시

켜 주기 위한 mesh framework 의 적용으로 macromechanical retention 을 증가시키려는 시도,

resin cement 자체의 괄목할만한 발전등을 통해 resin bonded prostheses 의 탈락저항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 왔었다. 이러한 다양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resin bonded prostheses

의 예후는 물론 연구자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기대 이하였다고 할 수 있다. ( Table 1 )

( Table 1 ) variable success rate with conventional RBFDP.

고정성 보철물의 complication 에 관한 다른 연구 ( Clinical Complications in Fixed prosthodontics-

J. Prosthet Dent 2003; 90: 31-41 )에서도 resin bonded prostheses 에서 많이 발생하는 debonding,

tooth discoloration, caries 등의 complication 중에서 debonding 이 21%로 가장 많은 실패의 원인

이었다고 보고되었다.

이러한 debonding rate 를 최소로 하기 위해서 초창기에는 지대치를 최소한으로 삭제하여서

framework design 을 했던 것에 반해 framework 과 etching 된 치면의 접촉면적을 늘리기 위해

proximal groove, occlusal 혹은 lingual rest seat, wrap-around design 도입 등 점차 aggressive 하

Page 5: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게 변해왔지만 임상의 들은 상기의 방법에 만족해하지 못해왔었다고 할 수 있다.

아마도 필자는 이런 불만족스러운 resin bonded prosthses 의 예후는 지대치간의 서로 다른

mobility 때문이 아닌가 하고 생각된다.

이러한 resin bonded prostheses 의 실패율을 줄이려는 다양한 시도로 수년 전 국내에서 “ Human

bridge” ( Fig. 5 ), “ two-key bridge” ( Fig. 6 ) 등의 방법이 소개되기도 하였다.

Human bridge 는 사용되는 금속의 elasticity 와 치아의 undercut 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써 그러기

위해서는 segmented type 으로 제작되어야 하며 사용되는 금속도 어느 정도 elasticity 를 허용하

는 gold 을 사용하여야 한다. 반면 Two-Key bridge 는 pin bridge 의 일종으로 tapered fissure bur

로 pin hole 을 형성한 후 pin hole 을 인상 채득하여 복제해 내야 하기 때문에 기공과정도 복잡하

지만 구강 내에서 pin hole 들을 평행하게 형성해야 하므로 정확성 측면에서도 의문이 생길 수 있

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들은 segmented type 으로 제작되어야 하므로 pontic 부분에서 탈락이 발

생할 확률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또한 Human bridge 는 치아의 넓은 면을 cover 하면서 undercut 을 이용해야 하므로 bulky 한

metal framework 로 인해 치주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고 치아우식이 생기기도 쉽다고 볼 수

있다. ( Fig. 7 )

( Fig. 5 ) Human bridge – 이 테크닉은 금속의 elasticity 와 치아의 undercut 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 Fig. 6 ) Two Key bridge – 치아의 인접면에 tapered fissure bur 로 pin hole 을 형성한 후 pin

hole 을 인상 채득하여 segmented type 으로 제작하는 two key bridge

Page 6: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7 ) Bulky metal framework and undercut for Human bridge can cause periodontal problems

and caries.

이처럼 치질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충분한 유지를 얻는다는 것은 사실 무척 상충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고 보철물의 design 을 어렵게 만드는 요소이다.

그러므로 어떤 술식을 적용할 때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과연 술자가 사용하는 술식이 임상적으

로 혹은 학문적으로 검증된 술식 인가를 충분히 고려한 후 임상에 적용하여야 한다. 또한 술식

자체도 임상적으로 적용하기 쉬워야 하며 보철물로 인해 주변조직에 어떤 해를 끼치지 않아야 한

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최소 침습 보철물을 만들기 위한 노력은 아주 오래 전부터 있어왔다. 가장 최초의 시도는

1897 년에 Finley 에 의해 처음으로 시도 되었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그는 결손치 공간을 수복하기

위해 지대치의 교합면 삭제와 parallel pin 을 이용한 pinlay attachment 를 이용하였다. ( Fig. 8 )

그 이후 이와 같이 parallel intracoronal pin 을 retention aid 로 사용한 방법은 conservative

approach 로써 많은 다른 적응증에 적용되어 왔다가 현재도 널리 적용되고 있는 resin bonded

prostheses 의 도입과 더불어 임상에서 그 적용 빈도가 줄어들게 되었다.

Page 7: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8 ) Parallel pins provided the main retention of the pinlays used as bridge abutments in a

technique described in 1897.

B. History of pin retention

앞서 언급한대로 parallel intracoronal pin 을 retention aid 로 사용하는 방법은 1897 년 “Finley”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었는데 이때는 casting process 가 대중화되기 전 이었다고 한다.

이러한 Pinlay 혹은 pin ledge technique 은 1908 년에 Hinmann 에 의해 자세하게 설명되어져 있

는데 그때 당시에는 tooth preparation 후 No. 3 round bur 로 pin hole 을 형성하고 platinum foil

이나 sheet gold 를 삭제된 치면에 burnishing 한 다음 iridoplatinum pin 을 burnishing 한 coping

을 통해 삽입한 후 modeling compound 로 고정시킨 후 조심스럽게 제거해서 pin 을 gold 나

platinum base 에 납착시킴으로써 완성하였다.

그 후 주조과정을 발전과 No.700 tapered fissure bur 이 pinhole 을 정확하게 할 수 있음으로써

pinledge attachment 가 테크닉적으로 조금 더 실용적이 되었다고 할 수 있고 후에 twist drill,

plastic pin, paralleling device 등이 도입되면서 더욱 체계적으로 발전 하였고 1960 년대 중반까지

오랜 기간 여러 분야에 적용되어왔으나 paralleling device 의 사용을 필요함으로써 사용상의 제약

이 많았던 것도 피할 수 없는 사실이었다.

필자도 상악 측절치가 상실된 증례에서 parallel pin technique 을 시도해 보았으나 paralleling

device 없이 pin hole 을 형성했던 터라 pin 들끼리 평행을 맞추기가 무척 힘들었던 기억이 난다.

( Fig. 9 )

Page 8: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9 ) parallel pin technique 으로 완성된 pin retained resin bonded fixed partial denture 이다.

Pin hole 이 4 개뿐이었지만 hole 을 서로 평행하게 형성하기가 굉장히 어려웠던 증례였던 것 같다.

이런 pin retention 의 도입으로 “ Black”에 의해 고전적으로 주장되어온 전통적인 치질삭제를 최소

화 함으로써 치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치질삭제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음은 큰 장점이라 할

수 있겠다. 사실 우리가 학교에서 교육받아온, “ Black” cavity preparation 에서 볼 수 있는, 보철물

혹은 충전물의 유지를 증가시키기 위한 isthmus, dovetail 혹은 box form 등은 여러 가지 관점에서

맞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Gold inlay 의 경우를 보면 알 수 있듯이 gold 의 physical

property 가 그러한 bulk 를 필요로 하지 않음에서 와 같이 Black cavity preparation 은 amalgam

에 bulk 를 부여하기 위해 디자인된 것이라는 것을 상기할 필요가 있겠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pin retention 은 최소한의 coronal coverage 만으로도 충분한 유지를 얻을 수 있고 보철물의

margin 을, 소위 caries immune area 에 둘 수 있는 등 많은 장점이 있다..

이러한 parallel pin 테크닉은 1960 년대 초반까지 널리 사용되다가 1965 년 “Weissman”에 의해

paralleling device 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nonparallel pin technique 이 소개된 이후로 적용범위가

더욱 넓어져서 더욱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었는데 paralleling pin technique 에서는 pin 들이 coping

base 와 붙어 있었지만 nonparallel technique 에서는 pin 이 coping 과 붙어있지 않았기 때문에 삽

입되는 pin 이 평행할 필요가 없어서 pin hole 형성 시 치수침범이 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었고

pin 들이 서로 평행하지 않음으로써 더욱 큰 유지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었다 ( 그림 10 ).

Page 9: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그림 10 ) 상악 제 1 소구치와 제 1 대구치가 상실된 증례로서 매식된 pin 들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런 non-parallel pin retention technique 도 기공과정이 매우 복잡하였고 또한 그 시대

보철물의 합착에 사용되었던 cement 로 인해서 발생하는 문제점등이 있었다. 그 후 resin cement

의 발전과 함께 1973 년 ‘Rochette' 에 의해 mobility 가 있는 치아를 resin cement 를 이용해서

splinting 하는 방법이 소개되면서 pin 을 사용하지 않은 resin bonded prostheses 의 시대로 넘어

가게 되었다.

그러나 앞서도 설명했지만 resin bonded prostheses 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complication 인

debonding 을 줄이기 위해 앞으로 필자에 의해 소개될 technique 과는 차이가 있지만

intracoronal pin retention 에 의한 resin-bonded fixed partial denture 가 소개되기도 했다.

( Lankford-Pin retained resin bonded fixed partial denture ; J Prosthetic Dent 1991;65: 469-70 )

하지만 Resin cement 의 발전으로 형성해야 할 전체적인 pin hole 의 수는 줄일 수 있었으나 여전

히 pin hole 을 먼저 평행하게 형성해야 하고 형성된 pin hole 을 정확하게 duplicate 해야 하는 문

제가 생길 수 있어 널리 통용되지 못했었던 것 같다.

이에 필자는 복잡한 기공과정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변형된 modified pin-retained

resin bonded prostheses 를 개발하게 되었고 지금부터 지면을 빌려 소개하고자 한다.

새로 개발된 테크닉을 소개하기에 앞서 본 technique 의 시발점이 되었던 “ Weissman”에 의해

소개되었던 vertical non-parallel pin splinting technique 방법부터 설명을 한다면 두 테크닉의 차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conventional non-paralleling pin technique >

Page 10: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11 ) conventional non-paralleling pin technique

1. Tooth preparation 후 치수를 피하여 0.027 inch twist drill 을 이용해서 3mm 깊이로

( 예전에는 3mm 의 pin hold depth 를 추천하였다) pin hole 을 형성한 후 인상용 plastic

pin 을 이용하여 인상을 채득하여 master mould 를 제작한 후 기공과정으로 넘어가게 된다.

2. 기공과정

ㄱ. 스톤 모형상의 핀홀에 기공용 Nickel-silver pin 을 위치시키고 stiky wax 를 pin 주위에

흘려넣는다. (Fig. 11-1)

ㄴ. wax up 을 완성한 후 pin 을 제거한 후 모형상에서 교합을 check 한 후 다시 핀을 die 에

위치시켜서 핀이 잘 지지될 수 있도록 wax 를 조금 첨가한다. ( Fig. 11-2 )

ㄷ. pin 이 parallel 하지 않기 때문에 wax up 한 것을 주조하기 위해서는 다시 핀을 제거하

고 주조용 sprue 를 달아서 die 에서 분리해야 하고 이 후 다시 pin hole 에 기공용 핀을

위치시킨 후 주조를 하게 된다. ( Fig. 11-3)

ㄹ. 주조 후 보철물을 Nitric acid 에 담그게 되면 Nickel-Silver pin 이 용해되어 pin hole 만

남게 된다. 주조체를 working cast 에 위치시킨 후 교합기상에서 교합조정 등의 과정을

거친다. ( Fig. 11-4 )

ㅅ. 주조체를 구강내 치아에 위치시키고 margin burnishing, 교합조정 등을 시행한다.

( Fig. 11-5)

ㅇ. direction probe 로 주조체의 pin hole 과 치아에 형성된 pin hole 의 방향이 일치하는 지

체크한다. ( Fig. 11-6 )

ㅈ. 0.027 inch twist drill 를 이용해서 pin hole 이 3mm 깊이까지 들어가는 지 확인한다.

( Fig. 11-7)

ㅊ. threaded pin 을 이용해 pin hole 을 관통하여 치아에 고정시켜 준다. ( Fig 9,10,11)

< Modified pin-retention technique >

반면 필자에 의해 새로 소개될 modified pin retentive resin bonded prostheses 의 기본 술식을 살

펴보면 위에 소개되었던 conventional non-paralleling pin technique 에서와는 다르게 인상채득 전

에 pin hole 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서 전자의 경우와 같은 복잡한 기공과정을 거쳐야 할 필요가

없다.

Page 11: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a. b. c.

d. e. f.

g. h. I

j. K. l.

m. n.

( Fig. 12 ) Modified pin-retention technique ( 전치부 )

Modified pin-retention technique 을 적용할 때는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된다.

1. 대합치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필요하다면 치질 삭제를 시행한 후 기공사와의 communication 을

Page 12: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원할히하기 위해 pin hole 이 위치할 부위를 No. ¼ round bur 를 이용해서 살짝 indention 을

만들어 준다.. 치질삭제를 할 필요가 없을 경우라도 twist drill 로는 법랑질을 삭제할 수 없기 때

문에 No. ¼ round bur 를 이용해서 법랑질을 제거해 주어야 한다. 이렇게 해줌으로써 나중에

pin 이 삽입될 부위에 어느 정도의 두께를 부여해 줄 수 있는 효과도 가지게 된다. ( Fig. 12-

a~d )

Cingulum 부위에는 casting 을 치아에 위치시킬 때 제 위치에 위치시키는데 도움이 되고 bulky

Contour 가 방지될 수 있도록 ledge 를 형성해 주는 것이 좋다

2. working cast 제작한 후 기공과정으로 넘어간다. ( Fig. 12e)

3. 기공소에서 0.68mm twist drill 로 치수침범을 피할 수 있는 방향으로 모형상에서 pin hole 을

형성한 후 0.7mm wire 을 넣고 sticky wax 로 살짝 고정한 후 pattern resin 과 wax 를 이용해

wax-up 을 끝낸 다음에는 wire 를 제거한 후 주조체를 완성한다. ( Fig. 12-f~j )

기공사마다 경험치가 다르기 때문에 retainer 에 locking hole 을 만드는 방법도 천차만별일 것

으로 생각된다. 여기서 서술된 방법으로 retainer 의 locking hole 을 제작하게되면 가장 정확

하게 locking hole 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이지만 실제로 어떤 기공소에서는 이 과정도 번거롭

게 생각하여 그냥 0.68mm twist drill 의 끝을 불에 살짝 달궈서 wax up 상에 locking hole 을

만든다고 한다.

중요한 것은 계획된 방향대로 정확하게, 그리고 직경이 twist drill 의 직경보다 커지지 않도록

locking hole 을 만드는 것이다.

4. 완성된 주조체를 구강내 위치시킨 후 교합조정등을 시행한 후 미리 형성되어 있는 locking

hole 을 통해 구강내에서 0.68mm twist drill 로 1.5 – 3mm 깊이로 pin hole 을 형성한다 이때

twist drill 로 pin hole 을 형성할 때 pin hole 의 방향을 바꾸려고 하게되면 retainer 부위의

두께로 인해 twist drill 이 쉽게 부러질 수 있다.

또한 twist drill 로 pin hole 형성 시 과도하게 in & out 을 하게되면 pin hole 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pin 의 retention 에 좋지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 Fig. K, l )

5. 형성된 pin hole 은 canal irrigation needle 등을 이용해서 깨끗하게 씻어내고 보철물의 내면

은 50 μm alumina particle 을 이용해서 air abrasion 해주고 치아표면을 35% phosphoric acid

로 etching 한 다음 adhesive resin cement 를 이용해서 cementation 한다. 이때 형성된 pin

hole 에는 CR syringe 를 이용해 resin cement 를 넣어주는 것이 추천된다. ( Fig. m )

6. Resin bonded prosthesis 를 치아에 위치시키고 0.6mm 직경의 threaded pin 을 locking hole 을

통해 밀어넣어서 보철물을 고정시킨 후 retainer 밖으로 남은 pin 은 bur 를 이용해 잘라내고 마

무리 하게된다. ( Fig. n )

Page 13: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a. b. c.

d. e. f.

g. h.

( Fig. 13 ) Modified pin-retention technique ( 구치부 )

구치부에서 Modified pin retention technique 을 적용할 때는 아래와 같다.

1. 지대치로 사용할 치아상에 치아우식이 존재한다면 inlay 혹은 onlay 형태의 cavity 를 형성하고

치아우식이 없는 치아에는 occlusal rest 와 wrap around design 을 활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Fig. a,b )

2. 제공된 0.68mm twist drill 로 기공소에서 치수침범을 피할 수 있도록 working cast 상에 pin

hole 을 형성하여 전치부 제작시와 같은 방법으로 pin retained prostheses 를 제작하게 된다.

( Fig. c~h )

구치부에서 pinlay attachment 로 고정되는 pin-retained resin bonded prostheses 를

제작할 경우는 twist drill 과 동일한 size 의 wire 를 이용하는 것이 정확한 pin hole 을 가진

보철물제작에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Conventional non-parallel pin technique 과 필자에 의한 modified pin technique 의 가장 큰 차이

는 pin hole 을 미리 형성하는 것과 하지 않는 것의 차이인데 이 작은 차이만으로도 기공과정이

매우 간단해 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한번 요약을 해보면 최소침습 치료의 발전단계는 아래와 같다.

parallel pin technique

Page 14: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Nonparallel pin technique.( Weissman, 1965)

Resin-bonded FPD

Modified Pin retained resin-bonded FPD

아래의 사진은 pin retained technique 을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 ㈜ 보나텍에 의해 개발된 Perma

Pin system 인데 5 가지의 구성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Fig. 14 ) 이 제품들을 이용한다면 술자의

기호에 따라 아래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임상에 적용이 가능하다.

1. 모든 pin hole 을 미리 형성해서 인상채득을 한 후 parallel pin retention technique 을 적용할

수 도 있겠으며 ( Fig. 15-a ),

2. 제작되는 보철물이 구강내에서 잘 안착되어 나중에 pin hole 이 형성될 때 고정이 잘 되게 할

목적으로 pin hole 중 하나만 미리 형성해서 plastic pin 을 이용해 인상채득 할 수 있겠고 ( Fig.

15-b ),

3. 모든 pin hole 을 보철물 완성 후 형성하는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 Fig. 15-c,d )

( Fig. 14) Perma Pin system for modified pin retention technique

1. black plastic pin – 인상채득용

2. Temporary pin

3. gold plated threaded pin – 직접법용

4. Drill – 2 size ( Ø 0.60, 0.68mm )

5. EZ-grip tweezer

Page 15: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a. b.

c. d.

( Fig. 15 ) Perma Pin system 을 이용해 적용할 수 있는 서로 다른 방법들

C. location and number of pins

Pin 을 나중에 삽입, 고정하는 방법이므로 pin 고정은 sound dentin 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 가능하

다. ( Fig. 16 ) 또한 치아 우식이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 pin 의 개수는 지대치 임상지관의 길이 등

의 해부학적인 고려사항, 받게 될 교합력의 양 등 여러 가지 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 Fig. 17, 18 )

일반적으로 pin 의 개수가 많으면 보철물의 유지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실제로

1960 년도 중반에는 pin 은 3-4 개 정도, 3mm 깊이면 좋다고 알려져 왔으나 현재는 resin cement

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예전과는 달리 교합면 전체를 삭제할 필요는 없고 conventional resin

bonded fixed partial denture 의 teeth preparation 방법으로 치질삭제가 이루어지면 충분하다고

생각되며 필자의 견해로는 구치부에도 2 개정도 이면 충분하다고 생각되며 치수침범이 예상된다

면 굳이 2 개의 pin 을 고집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된다.

2005 년에 대한 치과보철학회지에 발표된 “ Bio-pin 을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의 탈락저항강도의

비교연구”의 결과를 인용하자면 저자는 3-unit bridge, adhesion bridge ( conventional resin

bonded prosthesis) 와 Bio-Pin bridge 간의 탈락저항강도을 비교연구 하였고 Bio-pin 1 개를 사용

한 보철물이 일반적인 금속관과 유사한 탈락저항강도를 보이고 adhesion bridge 와는 탈락저항강

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고 보고했으며 pin 을 1 개 사용한 보철물과 2 개 사용한 보철물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보고했다.

Page 16: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a. b. c.

( Fig. 16 ) 제 1 대구치의 근,원심 치질의 손상이 심해서 협,설측 치질에다 pin hole 을 형성한 우

삽입, 고정 하였다. 사진 b 는 pin hole 의 위치와 방향에 관해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모형상

에서 pin hole 을 형성한 것이고 실제로는 사진 c 에서 보다시피 협,설측의 법랑질은 perforation

되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사실 심미적인 문제만 없다면 법랑질을 뚫어도 문제될 것은 없으나

low speed 용 twist drill 로는 법랑질이 삭제가 되지 않는다 .

( Fig. 17 ) 일반적인 방법은 이와 같은 long span bridge 가 필요할 경우는 지대치를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을 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 증례에서는 측절치를 한 개의 pin 으로

연결 고정하는 방법을 선택했다.

( Fig. 18- a, b ) 하악 우측 구치부의 결손부 span 이 길고 # 43 치아의 치주상태가 좋지 않아 발

치가 필요한 증례였다.

( Fig. 18- c, d ) RPD 하기를 거부하여 # 43 발치 후 기다리는 동안 # 36 missing 부위는 pin-

Page 17: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retained fixed partial denture 로 결손부를 회복하였고 우측 결손부는 missing span 과 하악전치의

길이, root exposure 등을 고려한 결과 전치부는 pin-retention, 구치부는 full crown 으로 결손부를

회복하기로 했다.

( Fig. 18- e, f, g, h ) 이 증례에서는 전치에 가해질 occlusal force 를 고려하여 치아당 3 개의 pin

hole 을 계획하였으며 그 중 하나는 framework try-in 시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악전치부

cingulum 부위에 guide pin hole 을 형성하고 framework 에 pin 을 casting 하였다.

( Fig. 18- i, j ) 그러나 소구치,대구치의 삽입로와 pin 의 삽입로가 평행해야 하였으나 구강 내에서

framework try-in 시 치아에 안착이 되지 않아서 소구치 원심부위에 key& keyway 를 사용하여

segmented type 으로 재 제작을 해야만 했다.

Page 18: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18-k ) 상악 좌, 우 제 1 대구치 결손부도 pin-retained prostheses 로 회복하였으나 치질삭제

후 남아있는 치질에 따라 적용되는 pin 의 개수를 달리하여야 한다. 치질 삭제 후 인상채득된 작

업모형을 보게되면 # 15 치아의 원심면의 치아우식이 있어 삭제량이 많은 관계로 1 개의 pin 유

지만 계획되었고 반대편은 치아당 각기 2 개의 pin 들이 계획되었다.

( Fig. 18-l ) # 16 결손치 회복부위 ( Fig. 18-m) # 26 결손치 회복부위

( Fig. 18-n ) # 36 결손치 회복부위

Page 19: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18-o, p, q ) 한 환자에서 서로 다른 부위의 결손 증례에서 치질삭제 후 남게 되는 건전 상

아질의 상태와 치아의 해부학적 형태에 따라 적용된 pin 의 개수가 다름을 알 수 있다 .

D. Depth of pin hole

resin bonded prostheses 가 소개되기 전인 1960 년대 까지는 3mm 깊이 정도가 좋은 것으로 알

려져 있었으나 2005 년에 행해진 “ Bio-pin 을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의 탈락저항강도의 비교연구”

에서 보면 1.3mm 깊이의 pin hole 로도 conventional bridge 에 필적할 만한 탈락저항 강도를 보

였다고 보고되어있다. ( Fig. 20 )

물론 pin 의 깊이가 3mm 로 더 깊으면 좋을 것이나 더 이상 깊은 것은 유지력의 증가에 크게 영

향을 미치지는 않는다고 한다. 그리고 pin 은 두꺼울수록, smooth pin 보다는 threaded pin 이 훨씬

훌륭한 retention 을 보인다고 한다. 형성된 pin hole 과 pin 사이의 cement space 는 0.05mm 가

가장 강한 결합력을 제공한다고 알려져 있다 ( Fig. 19 ).

( Fig. 19 )

Page 20: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20 ) In this experiment, 1.3mm depth of pin holes showed comparable resistance against

dislodgement which is similar to conventional bridge and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single and two pins on the abutment teeth.

E. Directions of pin hole preparation

pin hole 들의 평행을 맞출 필요가 없고 보철물이 완성된 후 pin hole 이 형성되는 것이므로 앞

서 설명한대로 건전한 상아질만 있다면 치수침범이 되지 않은 방향으로는 어느 방향으로든지

삽입이 가능하다. 그러나 DE junction 과 치수 사이에 pin hole 을 형성해야 할 경우는 twist drill

의 방향이 치아외형을 따라서는 안되고 DE juntion 과 평행하도록 해야한다. ( Fig. 21 )

또한 pin hole 의 방향을 정할 때는 기공의뢰서에 그림을 그려준다든지 하는 방법으로 기공소와

의 의사소통을 원할히 이루어져야 한다. ( Fig. 22 )

( Fig. 21 ) Twist drill 의 방향은 DE juntion 과 평행하도록 해야한다.

Page 21: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a. b. c.

( Fig. 22 ) 사실 이런 증례는 pin retained inlay 를 해서는 안되는 증례이나 잘못된 pin hole 을 방

향과 기공소와의 의사소통이 중요하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게재한다. Inlay 의 유지력이 좋지않

을 것이라고 생각되어 pin 에서 유지를 얻기위해서 기공소에 방향을 제시해 주기위해서 모형상에

pin hole 의 방향을 정해서 사진 찍어 보내주었지만 기공소에서는 central fossa 근처에 수직으로

치수를 향하도록 pin hole 을 형성하여 보내준 것을 볼 수 있다. 이 처럼 치과의사가 확실하게 방

향을 잡아주지 않는다면 뜻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G. Intracoronal pin 을 이용한 pin retained prostheses 의 장점

Pin-retained resin bonded prostheses 는 coronal coverage 를 최소로 하면서도 지대치 혹은

mobility 가 심한 치아에 충분한 유지력을 부여할 수 있는 conservative approach 로써 적용할 수

있는 분야가 매우 다양하다.

단지 약간의 치질만 삭제하면 되므로 자연치아의 심미적인 치아의 형태의 그대로 유지가능하고

치질삭제 동안 치수에 가해지는 trauma 도 적고 보철물 margin 을 치은 연상에 둘 수 있으므로

치주 문제를 야기하지도 않을 것이며 더욱이 상기에 기술한 방법은 parallel pin technique 과는 달

리 치수침범을 피하기 위해 pin 을 삽입할 수 있으므로 더 우수한 유지력을 얻을 수 있다.

H. Intracoronal pin 을 이용한 pin retained prostheses 의 단점

치아 우식이 심해서 pin 삽입을 위한 건전 치질이 부족한 경우, 심미적인 이유로 치아 형태의

변형이 필요할 경우는 적응증이 될 수 없다.

Page 22: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I. parallel Vs Non-parallel pin technique, Segmented Vs Non-

segmented type

( Fig. 23 ) Pin retained prostheses 에 사용되는 plastic pin, temporary pin, gold plated threaded

pin, twist drill

그림 23 은 pin retained resin bonded prostheses 제작에 사용되는 기구들이다. 제일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인상용 plastic pin, temporary pin, 0.61mm drill, gold plated threaded pin, 0.68mm drill

로 구성되어 있다.

지금부터는 이 제품을 이용한 다양한 활용법에 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 제품은 parallel

technqiue, non-parallel technique, segmented type, non-segmented type 등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먼저 가장 고전전인 인상채득용 plastic pin 을 이용한 parallel pin technique 에 관해 살펴보도록

하겠고 결손치 회복을 위해 Human bridge, Two key bridge 등의 다른 테크닉에서 처럼 분리형

( segmented type)으로 제작하는 것이 좋을지 일체형( non-segmented type)으로 제작하는 것이

좋을지에 관해 논해 보도록 하겠다.

1. Casted parallel pin technique – non segmented ( one unit ) type

( Fig. 24 a, b ) 기존 상악 partial denture 를 착용하고 있던 환자의 상악 좌측 측절치를 발치하게

Page 23: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된 경우이다. 통상적으로 이 경우 제공할 수 있는 치료 option 은 single implant 혹은 3-unit

bridge 가 될 것이다. 그러나 이 증례의 경우는 # 23 치아의 순측 contour 를 변형시킬 필요가 없

는 pin retained resin bonded bridge 로 치료하기로 하였다.

( Fig. 24 c, d ) 먼저 0.61mm 검은색 twist 드릴을 이용해서 pin hole 을 평행하게 형성한 후 인상

용 플라스틱 pin 을 이용해 인상을 채득하였다. 이 인상용 pin 은 기공용으로도 사용하게 된다.

( Fig. 24 e, f ) 인상을 채득한 후에는 temporary pin 을 치아의 pin hole 에 넣어 형성된 pin hole

이 오염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것이 추천된다.

( Fig. 24 g ) 완성된 pin retained resin bonded prosthesis 이다. 사진에서 보듯이 4 개의 pin hole

을 paralleling device 없이 평행하게 형성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 Fig. 24 h, i ) 이 technique 을 적용함으로써 denture clasp 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고 결손부

를 회복할 수 있었다.

2. Casted parallel pin technique – segmented type

Page 24: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25 a, b ) 상악 제 1 소구치 상실증례로써 이 증례에서는 소위 human bridge 라고 불리는 보

철물 처럼 견치 원심과 제 2 소구치 근심의 undercut 을 이용하기로 하였으나 견치에는 retention

을 증가시켜 주기 위해서 pin retention 을 이용하기로 하였다.

제품 사용법은 1 번 방법과 같으나 이 방법은 2 개의 pin hole 만 평행하게 형성하면 되었기 때문

에 1 번 방법을 사용시 모든 pin 의 Path 을 맞추어야 하는 것 보다는 유리한 측면이 있었다.

( Fig. 25 c, d ) 견치에는 2 개의 casting pin 이 주조되었고 제 2 소구치에는 심미적인 이유로 협측

metal wing 을 제거하고 치아의 cervical constriction 만을 이용하였다. 지금 생각해보면 제 2 소구

치에도 pin retention 을 이용했으면 좋았을 걸 이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 Fig. 25 e, f, g ) 결손치 부위에는 porcelain fused to metal crown 을 제작하였고 완성된 보철물은

견치와 소구치의 순면을 건드리지 않았으므로 심미적인 측면에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

었다.

3. Modified pin retained resin bonded prostheses– segmented type: cementation 시 pin hole

형성하고 pin 을 삽입해서 고정하는 방법 1

Page 25: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26 a, b ) 상악 우측 제 1 소구치 상실 증례이다.

( Fig. 26 c, d, e ) 이 방법은 치아에 미리 pin hole 을 형성한 후 인상용 pin 을 이용해서 인상채득

후 pin 을 casting 해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기공작업 시 보철물에 핀이 삽입될 locking hole 을

형성해서 제작한 다음 cementation 전 0.68mm twist drill 을 이용해서 치아에 pin hole 을 형성하

고 resin bonded prostheses 를 threaded pin 으로 삽입, 고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의 장점은 치수를 피해서 pin 을 고정시킬 수 있어 pin 의 path 에 신경 쓸 필요가 없고 자

연스럽게 pin 이 non-parallel 하게 삽입 고정 되므로 parallel pin 테크닉보다 보철물의 탈락저항성

이 훨씬 높게 된다.

( Fig. 26 f, g ) 이 증례에서는 견치와 소구치 모두 pin retention 을 이용하였다.

4. Modified pin retained resin bonded prostheses – segmented type; cementation 시 pin 으로

고정하는 방법 2

- 보철방식이 치아의 undercut 을 이용하는 방식인 경우 전치부 치아의 형태가 cervical

constriction 이 심한 경우 keyway 쪽 metal 이 보이는 것을 피할 수 없다. ( Fig. 28 )

Page 26: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27 a,b,c )

그러나 pin retention 을 사용하게 될 경우 Composite resin 으로 치경부의 undercut 을 최소한으

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심미적인 문제가 생기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 그림 28 ).

( Fig. 28 a ) Before composite resin build up ( Fig. 29 b ) After resin build up

( Fig. 28 c, d ) 보철물 제작시 치아에 pin hole 을 형성할 때 사용될 locking hole 을 미리 만들어

두고 구강내에서 try-in 해본다.

Page 27: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28 e ) locking hole 을 통해 치아에 pin hole 을 형성하고 threaded pin 을 넣어 삽입 고정한

후 여분의 pin 은 carbide bur 를 이용해서 잘라낸다.

( Fig. 28 f ) 여분의 threaded pin 을 잘라낸 후 locking hole 과 pin 사이에 gap 이 없음을 보여준다.

( Fig. 28 g ) cementation 후 순면 모습

5. Modified Pin retained resin bonded prostheses – segmented type; cementation 시 pin 으로

고정하는 방법 3

- 위의 증례와 마찬가지로 전치부 치경부의 constriction 이 심하게 있어 먼저 Composite resin 으

로 치경부의 undercut 을 최소한으로 줄여준 후 segmented type 으로 resin bonded prothesis 를

제작했지만 non-segmented type 으로 제작하는 것이 더 좋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드는 증례이다.

( Fig. 29 a ) # 11, 21, 22 치아상실 증례

( Fig. 29 b ) # 12, 23 치아의 cervical constriction 이 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composite resin

으로 concavity 를 없애주었다.

( Fig. 29 c,d ) Segmented type 으로 pin 이 삽입될 locking hole 이 형성된 채로 retainer 를 제작했

Page 28: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고 그 locking hole 을 통해 0.68mm drill 로 pin hole 을 형성한 후 pin 을 삽입고정 고정했다.

( Fig. 29 e, f, g ) Pontic 체결 후 retainer 의 metal 이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증례에

서는 3 개의 pontic 이 retainer 의 male part 에 의해서만 유지가 되므로 탈락의 우려가 있을 듯

하다. 상악전치부이고 attchment 의 male 과 female 이 서로 평행하고 밀접하므로 쉽게 탈락은

일어나지 않을 듯하나 이런 증례에서는 굳이 segmented type 으로 제작할 필요 없이 다음 증례

처럼 non-segmented type 으로 제작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

6. Modified pin retained resin bonded prostheses – non segmented type

( Fig 30 a, b, c ) 상악 중절치 결손 증례로써 conventional resin bonded fixed partial denture 제작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그러나 pin 이 삽입될 위치에 locking hole 이 미리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30 d, e , f ) cementation 전 0.68mmtwist drill 로 locking hole 을 통해 pin hole 형성한 후

cementation 시 threaded pin 을 넣어서 삽입 고정하였다.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이런 증례에서는

pontic 탈락의 위험성이 없는 non-segmented type 올 제작하는 것이 여러 측면에서 좋을 것 같다.

7. Modified pin retained resin bonded prostheses – 구치부 segmented type 의 실폐 증례를

non segmented type 으로 교체한 증례

Page 29: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31 a, b ) # 46 missing 증례이고 # 47 치아는 mesial tilting 이 있었고 # 45 는 발치가 필요한

증례였으며 # 44 치아에도 mobility 가 있었으나 최소침습 보철의 의의를 살리고자 견치까지 연

장하지는 않았었다.

( Fig. 31 c, d ) # 47 치아의 삭제량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segmented type 의 pin retained

bridge 를 계획하였고 # 47 은 full crown w/ key, # 44 에는 pin retentive retainer w/ key 를 계획하

였다.

( Fig. 31 e, f ) cementation 후의 사진이다 하지만 몇 달 지나지 않아 보철물이 끄덕인다고 내원하

여서 검사결과 #47 crown 의 male 과 # 46 pontic 의 female 사이의 cement 결합이 떨어져있었다.

( Fig. 31 g,h,i ) 보철물을 제거하고 # 47 의 mesial 면을 조금 더 삭제하고 # 44 치아에도 mobility

가 있었기 때문에 # 43 치아까지 포함해서 non-segmented type 으로 resin bonded prosthesis 를

제작하였다. 사실 이렇게 segmented type 으로 pin retained bridge 를 계획하게 된 이유가 단순히

# 47 의 mesial tilting 때문이었으나 male part 와 female part 사이의 cement 결합에 문제가 생길

소지가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후로는 가능한 non-segmented type 으로 보철물을 완성하려

고 노력하게 되었다. 차후에 설명되겠지만 지대치의 tilting 이 있는 경우에도 rotational path 를

Page 30: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이용한다면 많은 치질삭제 없이 해결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8. parallel & non-parallel technique, segmented & non-segmented type 의 비교

보철물의 탈락저항성 측면에서 parallel technique 보다는 non-parallel technique 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상기의 증례들을 살펴보면 치아상실 증례에서 치아의 tilting 이

심하여서 non-segmented type ( 일체형) 으로 제작하게 되면 삽입로 문제로 인해 많은 치질

삭제가 예상되는 증례가 아니면 굳이 key & keyway attachment 를 사용함으로 인한 기공료의

증가, key & keyway 부분 cement looseness 로 pontic 이 탈락되는 문제등이 발생할 수 있는

segmented type 으로 만들 필요가 없다고 생각된다.

J. Intracoronal pin 을 이용한 pin retention 의 다양한 임상적용

ㄱ. 결손치 회복

ㄴ. 임상치관의 높이가 낮아 보철물의 유지력이 약하다고 판단될 경우

ㄷ. Inlay 혹은 Onlay 의 유지력이 약하다고 판단될 경우

ㄹ. 국소의치의 지대치를 splinting 해 줄 필요가 있을 경우

ㅁ. 동요도가 있는 치아들을 splinting 해 줄 경우

ㅂ. 임플란트 실폐증례에서의 응용

1. 결손치 회복 증례

1) 증례 1

a. 54 years old man with congenital missing of lateral incisors

b. # 15, 21 extraction due to advanced periodontitis

Page 31: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32 )

이 증례에서는 상악 측절치 2 개가 congenital missing 인 상태였으므로 아래와 같은 여러가지

치료 option 이 제공되었다. i) 교정치료 후 6 unit 고정성 보철, ii) 교정치료 후 3 single implant,

iii) 교정치료 후 6 unit conventional resin bonded prosthesis, iv) 교정치료 없이 견치와 중절치

사이의 기존 space 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pin retained prosthesis 를 이용해서 상실된 중절치를

회복하는 방법등이 제공된 치료 option 이었으나 환자분은 가장 conservative 하고 덜 복잡한

치료계획을 선택하였다.

( Fig.33)

이 증례에서는 pin hole 형성 시 보철물의 seating 이 용이하도록 지대치 한쪽에만 미리 pin

hole 을 형성한 후 인상을 채득하여 하나의 pin 을 casting 하였고 나머지는 locking hole 만 형

성해 두었다. 이처럼 이 술식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따라야 하는 법칙은 없으며 증례에

따라 mix & match 시키면 된다.

Page 32: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34 ) 설측에 metal bar 를 연장시켜 pontic 을 유지하도록 하였고 # 15 missing 부위도 pin

retained prosthesis 로 수복하여 주었다.

2) 증례 2

( Fig. 35 ) 술 전 사진으로써 이미 제 1 대구치 결손부위를 위해 소위 Inlay retained resin bonded

prosthesis 가 되어있는 상태로 내원하였고 보철물 하방에 cement looseness 가 와서 약간의 이차

우식도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이렇게 되는 이유는 지대치간의 mobility 의 차이

로 인한 것이라 생각된다.

Page 33: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36 ) 술 후 사진으로 전체적인 보철물의 outline 은 내원하기 전과 같으나 각 retainer 가

threaded pin 에 의해 삽입고정 되어있다.

3) 증례 3 – 제 1 소구치와 제 1 대구치가 상실된 증례.

( Fig. 37 ) 견치와 제 2 소구치의 치경부 constriction 이 심하여 composite resin 으로 filling 하였고

각 지대치당 2 개의 pin hole 이 형성될 수 있도록 retainer 에 2 개씩의 locking hole 을 가진 resin

bonded prosthesis 를 만들었다.

Page 34: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38 ) locking hole 을 통해 각 지대치에 pin hole 이 형성되었고 threaded pin 들로 삽입고정

되었다. panoramic X-ray 에서 볼 수 있듯이 삽입된 pin 들이 필요이상으로 깊게 삽입된 듯 하나

이렇게 cervical constriction 이 심한 증례에서 full coverage crown and bridge 를 제작하게 되면

거의 대부분 치수노출을 야기할 수 있고 또한 치아의 cervical undercut 을 이용한답시고

segmented type 으로 보철물을 제작하게 되면 보철물 자체가 얼마나 복잡해 질지를 생각해본다

면 이런 증례에서는 여기서 소개된 modified pin retentive prosthesis 이 그 대안이라 할 수 있겠

다.

4) 증례 4 – 하악 우측 측절치 결손 증례

( Fig. 39 ) 측절치가 치주염으로 인해 발거되어 implant 식립을 위해서는 bone graft 를 시행하여

야 했고 conventional 3-unit bridge 를 하기에는 지대치로 사용되어야 할 중절치의 cervical

constriction 이 심하고 clinical crown 이 긴 상태였기 때문에 pin retained resin bonded prosthesis

로 회복된 증례이다.

Page 35: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40 ) 이 증례에서는 cervial constriction 부위를 그대로 둔 채로 pin retained bridge 를 제작

하였으며 이러한 증례에서는 modified pin retained prosthesis 가 treatment of choice 라고 감히

말할 수 있다

6) 증례 6 & 7 - 후방지대치가 tilting 된 경우 삭제량을 최소로 하기 위해

rotational path 를 이용하는 방법

( Fig. 41 a ) # 38 치아가 근심쪽으로 매우 많이 기울어져 있다. 통상적인 방법으로 삭제한 후 보

철물을 제작한다면 근심쪽 삭제량이 많아져서 신경이 노출될 가능성이 많고 삭제 후 최종적인

형태가 cone shape 이 되어 retention 을 쉽게 잃어버릴 경우이다.

( Fig. 41 b ) 이런 경우 앞서 설명 드린 대로 segmented type 으로 제작할 수 도 있겠으나 구치

부에서 pontic 부위의 cement looseness 를 경험해본 터라 # 38 치아의 근심쪽 undercut 을 이용

하고 pin retained inlay 를 이용해서 rotational path 로 non segmented type 의 보철물을 제작하

였다.

Page 36: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41 c, d ) 완성된 pin retained resin bonded prosthesis 이다. # 38 치아에 2 개의 pin 이 삽입고

정 된 것을 볼 수 있다.

( Fig 42. a,b ) 다른 환자의 증례로써 # 47 의 결손과 # 48 치아가 근심으로 경사진 것을 볼 수 있

다. 이 증례 역시 최후방 지대치의 삭제량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rotational path 를 이용한 보

철물을 제작하였다. Rotational path 를 이용할 때 주위 해야 할 점은 앞쪽 지대치의 원심면의 삭

제를 회전삽입로와 일치하도록 삭제하여야 한다.

( Fig 42 c, d ) rotational path 에 의해 장착된 보철물이 2 개의 pin 에 의해서 삽입 고정되었다.

7) 증례 8 & 9 – 후방지대치가 심하게 tilting 되었을 경우에 rotational path 를

이용하기 어려울 때

종종 아래의 증례와 같이 후방 지대치가 심하게 tilting 되어 있는 환자들이 치과에 임플란트 치

료를 위해 내원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implant 식립을 위해서는 공간이 부족해서 교정을 통해

tilted 된 치아를 upright 시킨 후 임플란트를 심어야 한다고 하거나 그것이 싫을 경우 일반적인

3-unit full crown bridge 를 선택하시면 치아삭제량이 많아진다고 하면 거의 대부분의 환자분들이

난감해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필자의 견해로는 이 경우 pin bridge 가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고 실제 이런 증례의 환자분들 거

Page 37: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의 100%가 pin bridge 를 선택하였다.

( Fig. 43, 44 ) 2 증례가 거의 유사한 상태로써 후방 제 2 대구치가 제 1 대구치의 조기상실로 심하

게 tilting 되어있다. 치질에 손상을 많이 주지 않으면서도 tilt 되어 대합치와 교합되지 않는 문제

까지도 해결해 줄 수 있었다.

( Fig. 45, 46 ) # 38 의 mesial tilting 이 심하고 amalgam filling 이 되어있었으며 # 36 치아의 근원

심에 caries 가 있는 증례였다. intracoronal pin 들이 필요이상으로 깊게 삽입되어 있는 것 같다.

7) 증례 8 & 9 - combination of full coverage crown and pin retention

- 발치가 필요한 인접 치아에 이미 crown 이 되어있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물

론 implant 를 하나 식립하는 것이 treatment of choice 이겠지만 해당치아의 bone loss 가 심해

서 bone graft 를 동반하지 않고는 임플란트 시술이 어려운 경우를 흔히 만날 수 있다.

필자의 경우 이러한 경우에 환자분들에게 임플란트 + bone graft 의 치료 option 과 pin bridge

의 option 을 제공했을 때 대부분의 환자분들이 pin bridge 를 선택하는 것을 경험하였다.

Page 38: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47 ) 기존 full crown 이 되어있던 지대치는 full crown 으로 다른 지대치에는 pin retention

을 이용해 상실치 부위를 회복시켜 주었다.

2. Short Clinical Crown

- 일반적으로 치질 삭제 후의 clinical crown height 가 3mm 이하일 경우는 치관연장술을 하는

것이 추천되지만 single crown 을 만들기 위해서 이렇게까지 하는 것이 때로는 쉽지 않을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pin retention 을 이용한다면 치관연장술 없이 간단히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1) 증례 1

-신경치료가 끝난 # 48 치아가 매우 짧은 clinical crown height 를 보이고 있어 치관연장술이 고

려되었으나 치아의 위치와 치관연장술 후 치근이개부가 노출될 것을 우려하여 crown 의 탈락저항

성을 높이기 위해 협설측에 pin hole 을 형성할 수 있는 locking hole 이 뚫린 형태로 crown 을 만

든 후 이들 locking hole 을 통해 pin hole 을 형성한 후 threaded pin 을 넣어 삽입고정 하였다.

( Fig. 48, 49 )

.

Page 39: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48 ) 2 pin holes were preformed on the buccal and lingual side of # 48 gold crown.

( Fig. 49 ) Pin holes were prepared through preformed locking hole and pins were placed at the

time of cementation.

2) 증례 2 - Preformed locking holes on the occlusal surface

#36, 37 치아가 대합치 때문에 심하게 닳아서 지각과민증과 통증을 호소하여 pulpotomy 를

시행한 후 # 37 crown 의 교합면을 통해 2 개의 pin hole 을 형성한 후 pin 을 삽입 고정하여

crown 의 탈락저항을 높여주었다.

이 경우는 pulpotomy 가 시행되었으나 이런 concept 은 pin hole 의 방향을 사전에 잘 설정만

한다면 생활치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Fig. 46, 47 )

Page 40: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50 ) # 37 crown 에 pin hole 형성을 위한 2 개의 locking hole 이 만들어져 있다.

( Fig. 51 ) cementation 전 locking hole 을 통해 pin hole 이 non-parallel 하게 형성한 후 pin 을

삽입고정 하였으므로 우수한 탈락저항을 기대할 수 있다.

3) 증례 3

# 47 치아에 시술되었던 큰 resin filling 이 유지가 불량해서 빠지고 부서진 상태로 내원하였고

남아있는 치질량을 고려하여 full crown 을 하기로 결정하였다. 치질삭제 전 사진이 없으나 치질삭

제 후의 사진에서 알 수 있듯이 협측에 충분한 clinical crown height 가 없었다. 이 경우 일반적으

로는 치질이 많이 소실된 부위에 self-threading pin 을 세우고 core build up 을 한 후 crown

preparation 을 하게 되나 아래의 증례와 같이 crown 내면에 pin 을 casting 해서 cementation 한

다면 crown 의 유지력에 별 문제가 없을 것이다.

Page 41: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52 ) 2 개의 pin hole 이 parallel 하게 형성된 후 인상용 plastic pin 을 이용해 핀 홀 인상과

crown 인상을 같이 채득하였다.

( Fig. 53 ) crown 내면에 pin 이 casting 된 채로 치아에 cementation 되었다.

3. Inlay 혹은 onlay 의 유지력이 약하다고 생각될 때

종종 임상에서 치아우식 부위의 크기가 커서 Inlay 혹은 Onlay 치료를 해야할 지 full crown 치

료를 해야 할 지 망설여지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modified pin retention 의 개념을 도입하게

되면 full crown 을 하지 않도록 해줌으로써 건전치질을 보존 할 수 있는 아주 좋은 치료 option

이 될 수 있겠다

1) 증례 1

Page 42: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54 ) a. 형성된 cavity 가 retention 에 필요한 dovetail form 이 부족한 것을 보여준다.

b,c. Locking hole 이 있는 Inlay 를 제작해서 이를 통해 치수가 침범되지 않을 방향으로 pin hole

을 형성해서 threaded pin 으로 삽입고정 해주게 되면 우수한 탈락저항성을 가질 수 있다.

주의하여야 할 점은 Inlay 의 두께가 어느 정도 되므로 pin hole 이 형성될 방향을 잘 설정해서

locking hole 을 만들어야 한다.

2) 증례 2

# 27 치아가 치아우식으로 인해 반 이상 상실된 증례이다. 일반적으로 이런 증례는 self

threading pin 을 식립하고 core build up 을 한 다음 crown 을 하는 것이 통상적인 방법일 것이

다. 그러나 이 증례에서는 간단히 threaded pin 으로 유지가 부족한 것을 보강해줌으로써 건전

치질을 보존하면서도 치아 기능을 회복시켜 줄 수 있었다.

Page 43: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55 ) 반 이상 치아가 상실되었고 근심쪽에 가까스로 dovetail form 을 만들어 주었으나

워낙 상실부위가 컸기 때문에 유지력 부족이 의심되어 threaded pin 을 하나 삽입해주어 Inlay 의

유지를 보강해 주었다.

3) 증례 3; Pin-retained inlay using Crycera®

환자가 치아색의 충전물을 원하지만 composite resin 등으로 직접 충전하기에 부담이 큰 경우

에는 Crycera®, IPS e-max®, 3M LAVA 등이 많이 이용된다. 그러나 pin 이 삽입될 locking hole

을 만들기 위해서는 Crycera® 나 IPS e-max®를 적용하여야 한다.

Page 44: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56 ) 다른 부가적인 유지가 없이 Inlay 를 하기에는 부담스러운 증례이나 협측에 pin 을

하나 추가로 삽입고정 함으로써 충분한 유지를 얻을 수 있었고 치질도 최대한 보존하면서 심미

적인 Crycera Inlay 를 제작할 수 있었다. a.

4) 증례 4: 2 pins were placed through lingual locking hole to fix Crycera®

onlay.

( Fig. 57 ) 설측에 광법위한 치질 상실이 있었으나 non-functional cusp 인 점을 고려하여 full

crown 을 하지않고 pin-retained Crycera onlay 로 수복하였다.

Page 45: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5) 증례 5; Pin-retained IPS e-max onlay - 2 non parallel pins were used

( Fig. 58 ) # 35, 36 치아가 full crown 이 요구될 정도로 치질손실이 컸지만 환자가 자신의 치아

를 많이 삭제하는 것을 원하지 않아 # 35 치아에 2 개의 threaded pin 을 넣어 IPS e-max onlay

를 삽입 고정하였다.

6) 증례 6; Pin retained onlay

아래 두 증례는 신기하게도 거의 같은 시기에 하악 대구치의 협측 부분에 광범위한 치질 손실

이 생겨 내원하였던 증례들이다. 두 증례 모두 통상적으로는 self threading pin 을 식립하고

core build up 을 한 다음 full crown 을 제작해야 했지만 pin 으로 보철물을 고정시켜 줌으로써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Fig. 59, 60 ) 사진에서 알 수 있듯이 pin 이 삽입되는 방향은 치수를 피할 수 있다면 튼튼한 치

질이 있는 곳에는 어디에나 어떤 방향으로도 삽입 고정이 가능하다.

Page 46: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4. Denture 지대치에의 응용

- 때때로 partial denture 의 지대치를 인접치와 splinting 할 필요가 있는데 단지 splinting 목적

으로 멀쩡한 치아를 삭제해서 full coverage crown 을 만드는 것은 그리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

된다.

1) 증례 1

# 24, 34 치아의 치근이 충분히 길지 않아서 인접치와 splinting 하기로 결정하였고 # 23, 33

에는 Pin-retained partial crown 을 디자인 하였다.

( Fig. 61 ) Before -

Page 47: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62 ) After - # 23, 33 치아의 retainer 가 각각 2 개의 pin 에 의해 삽입고정 되었다.

2) 증례 2

( Fig. 63 ) # 33-32-0-0-0-43 pin retained bridge – 양쪽 견치부위에 cingulum rest seat 가 디자인

되어있다.

Page 48: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5. mobility 가 있는 치아들을 splinting 해주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

Horizontal pin-retained splinting

1) 증례 1

- 교정치료 후 상악전치부에 심한 mobility 를 보였던 증례이다.

.

( Fig. 64 ) 교정치료 시작 전부터 상악 전치부의 치근이 짧고 치주상태가 좋지 않았지만 교정치

료 완료 후 치근의 흡수가 조금 더 있어 보였으며 mobility 가 너무 심해 상악 좌측 견치에서부

터 우측 견치까지 splinting 하였다.

Page 49: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65 ) 이 증례에서는 상,하악 전치간에 약간의 overjet 이 남아있어 교합간섭을 피하기 위해

굳이 상악전치 설면을 삭제하지 않아도 되었고 각 치아당 1 개의 pin 에 의해 고정이 되도록 디

자인 하였다.

( Fig. 66 ) Pin holes 들은 cementation 직전 보철물에 미리 형성되어 있던 locking hole 을 통해

형성되었다.

Page 50: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2) 증례 2

- 증례 1 과 마찬가지로 교정치료 전부터 짧은 치근을 가지고 있었고 교정치료 후 상악전치부의

mobility 가 심해 각 치아당 1 개씩의 pin 에 의해 고정되도록 horizontal pin-retained splint 를

제작하였다.

( Fig. 67 ) 교정치료 전, 후 – 상악 전치 치근이 치료 전부터 짧았던 것을 볼 수 있다.

( Fig. 68 ) 상악 전돌증을 교정치료 한 증례여서 relapse 를 방지하 위해 소구치까지 pin retiention

을 연장하였다.

Page 51: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6. some other clinical tips

1) 증례 1 - tooth wear 가 심한 경우

- # 22, 23 치아가 대합치에 의해 심하게 닳아있었고 심한 deep overbite 여서 일반적인 full

crown 을 만들게 되면 유지력 저하가 걱정되었다.

( Fig. 69 ) ( a.b.) 3 개의 pin 에 의해 유지되는 partial crown 을 계획하였고 그 중 하나의 pin 은

미리 형성한 후 casting 하여 나머지 2 개의 pin hole 을 형성하는 동안 보철물이 잘 안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 c.d.) ; partial crown 이 핀에 의해 삽입 고정되어 있다.

2) 증례 2 - 인접치가 post & core 에 의해 수복된 경우

Page 52: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70 ) # 13 치아가 신경치료 후 post & core 에 의해 수복된 증례로써 견치에 오는 lateral

force 를 줄여주기 위해 # 14 치아에 mesial occlusal rest seat 를 형성하여 pin 으로 삽입 고정하

였다.

3) 증례 3 – Post 가 짧은 경우 유지력을 향상을 위해서

( Fig. 71 ) 치근 길이도 짧았고 canal constriction 도 있어 post 의 길이가 충분치 못해서 탈락저항

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pin 을 하나 더 casting 하였다.

Page 53: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4) 증례 4

기존 보철물이 탈락되어 내원하였던 증례이다. 상악 우측 견치에 post 가 아주 깊게 박혀있고

치근이 매우 좋아보여 발치하기가 아까워 magnetic attachment 의 지대치로 이용하기로 결정하

였다.

기존에 박혀있는 post 를 피해서 pin hole 을 형성한 후 pin 이 casting 된 keeper body 을 완성

하였다. ( Fig. 72 ) 이때 2 개의 pin 이 non-parallel 하게 만들어 유지력을 극대화 하기위해 형

성된 2 개의 pin hole 중 하나만 casting 해내었고 나머지 하나의 pin hole 은 cementation 시

threaded pin 을 넣어 삽입고정 하였다. ( Fig. 73 )

( Fig. 72 )

Page 54: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73 )

5) 증례 5 – 파절된 Konus crown repair

# 23 konus crown 이 파절되어 내원하였던 증례이다. Konus denture 에 파절된 crown 이 붙어있

는 것을 볼 수 있다. ( 그림 b ) 신경치료 후 post 없이 resin filling 만 되어있었고 다행이 이차

우식은 관찰되지 않았다. 물론 이 같은 증례에서 post 를 넣고 Konus crown 을 denture 에

retrofit 시키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이 증례에서는 threaded pin 을 이용해 보기로 하

였다. High speed bur 를 이용해 조심스럽게 threaded pin 직경보다 커지지 않게 locking hole 을

형성한 후 3 개의 pin 을 넣어 konus crown 을 원위치에 고정하였다. (그림 c )

( Fig. 74 )

6) 증례 6 – Inlay 가 유지력 부족으로 탈락되었을 때

간혹 Inlay 가 유지력 부족으로 탈락되어 오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도 high speed bur 를 이

용해서 threaded pin 의 직경과 같게 locking hole 을 형성할 수 있다면 얼마든지 modified pin

retention technique 을 이용할 수 있다 .

Page 55: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75 ) a. 탈락된 gold inlay 에 high speed bur 를 이용해 locking hole 을 만들었다.

b. 0.68mm 직경의 drill 을 넣어 path 를 확인하고 있다.

c. Inlay 를 원위치 시킨 후 threaded pin 으로 삽입 고정 하였다.

7. Implant failure 증례에서 modified pin retention concept 적용

1) 증례 1

- 심근경색증으로 인한 심장수술의 이력이 있는 환자분이 상악 좌측 missing 부위 때문에 내

원하였고 임상검사와 방사선 검사도중 하악우측 임플란트 보철물이 흔들리고 주변으로 bone

loss 가 관찰되었다. ( Fig. 76 )

( Fig. 76 )

Page 56: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77 ) 임플란트 보철 제거후 촬영한 X-ray 는 implant neck 주변이 부서진 것을 보인다.

( Fig. 78 ) X-ray after reposition of implant prosthesis.

환자분이 심장수술의 전력이 있고 담당주치의가 절대 수술하면 안된다고 하여서 일단 한쪽으로

만이라도 저작가능하게 만들어 주기위해서 # 47 임플란트는 sleep 시키기로 결정하였고 # 46

임플란트 보철만 연결시켜 주기로 하였다. 그러나 # 46 임플란트도 neck 부분의 파절로 인해

anti-rotation 기능이 상실된 상태였기 때문에 임플란트 crown 을 인접치아와 modified pin

retained inlay 로 연결하기로 하였다.

Page 57: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79 ) a. 임플란트 크라운에 high speed bur 로 조심스럽게 2 개의 pin hole 을 형성하고

# 45 치아에는 inlay cavity 형성 후 하나의 pin hole 을 먼저 형성하여서 인상채득하였다.

b.c.d. 제작된 locking hole 이 형성된 inlay 인데 지금 생각해보면 미리 implant crown 의 metal

부분을 삭제하고 resin 이 나오도록 perforation 시켜둔다고는 하지만 locking hole 을 통해

implant crown 쪽으로 pin hole 을 형성하는 것이 쉽지 않고 metal 이 binding 되어 twist drill 이

부러지기 쉬우므로 차라리 post 굵기의 hole 을 먼저 형성해서 인상채득하여 casting 하고 # 45

치아쪽에 locking hole 을 형성하여 cementation 시에 pin hole 을 형성한 후 threaded pin 으로

삽입 고정하는 것이 더 좋았을 걸 하는 생각이 드는 증례이다.

( Fig. 80 ) 기공사의 부주의로 locking hole 이 threaded pin 직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를 resin cement 가 채우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럴 경우 절대 그대로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2) 증례 2

- 임플란트 크라운이 흔들린다고 내원하였으나 검사결과 증례 1 과 같은 상황이 발생한 것으

로 판명되었다. 필자가 사용하는 임플란트 중 유독 Astra implant 에서만 fixture neck 부분에

파절이 발생하여 판매 회사에 문의하였으나 별 다른 답변이 없었다.

이렇게 fixture 가 파절이 된 경우는 건강상의 문제가 없다면 fixture 를 제거하고 새로운 임플

Page 58: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란트를 심어야 했으나 환자분이 일단 다른 방법으로 고정시켜 보고 그 방법이 안되면 그때

그렇게 하자고 해서 modified pin retained metal inlay 를 사용해 보기로 하였다.

( Fig. 81 ) a. 임플란트 보철이 흔들린다고 내원했을 때의 x-ray

b. 임플란트 보철 제거 후, C. 부서진 fixture neck 부분 제거 후 다시 임플란트 보철 연결 후 x-ray

( Fig. 82 ) 임플란트 크라운 쪽에 pin hole 1 개, # 46 보철물쪽에 2 개의 pin hole 을 형성할 목

적으로 일단 metal crown 에 구멍을 낸 후 상술 한 방법대로 locking hole 을 가진 metal inlay

제작 한 후 cementation 시 pin hole 을 형성하고 삽입 고정 하였다. 이 증례에서도 locking

Page 59: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hole 이 크게 제작되었던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는 기공사와의 의사소통이 얼마나 중요한 지를

보여주는 좋은 예라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이 증례도 역시 가는 직경의 핀을 사용하는 것 보다

는 양쪽 모두 post 직경의 hole 을 형성한 후 modified pin retention 의 개념을 적용하는 것이

좋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3) 증례 3

( Fig. 83 ) abutment hex 가 파절되어 임플란트 크라운이 빠진 증례이다.

( Fig. 84 )

a. Abutment hex 가 fixture 의 internal hex 부분에 cold welding 이 되어 불행히도 부서진

abutment 의 hex 부분을 제거할 수 없었다. 별수없이 fixture screw hole 을 이용해 post & core

를 제작한 후 새로운 크라운을 제작해 주었으나 임플란트 크라운이 C/R ration 가 좋지 않음을

깨닫고 인접치와 연결하기로 하였다.

Page 60: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b. # 26 임플란트 크라운의 근심쪽과 # 25 크라운 원심쪽에 occlusal rest seat 와 post hole 을 형

성한 후 인상을 채득하였다.

( Fig. 85 ) 2 개의 post hole 이 서롤 평행하지 않았으므로 그 중 하나는 metal inlay 와 함께

casting 하였고 1 군데는 그냥 locking hole 만 형성해 두고 cementation 시 post 로 삽입고정 하

였다.

( Fig. 86 ) 사전에 C/R ratio 에 대한 성찰이 있었다면 # 26 임플란트 크라운 제작시 # 25 원심쪽

으로 locking hole 이 있는 occlusal rest 를 가지도록 제작해서 post 로 삽입고정 하는 방법이 따

로 metal inlay 를 제작하는 것보다 더 나은 방법일 것이다.

4) 증례 4

Page 61: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87 )

( Fig. 88 )

a. b.; # 25 implant 주변으로 bone loss 가 관찰되어 제거하였다 .

c. # 26 임플란트 크라운 근심쪽에 post hole 과 occlusal rest seat 를 형성하였다.

d. cast post 와 occlusal rest 가 달려 있는 2-unit 의 임플란트 보철물이다.

e,f. Cementation 후

5) 증례 5

- # 36 발치가 필요하여서 # 34 부방을 잘라서 # 34 크라운은 그대로 사용하기로 하였다.

# 35,. 36 모두 임플란트르 심고 # 36 에 치조골 이식하거나 # 35 에만 임플란트 심고 # 35-0-37

3-unit 임플란트 보철을 만드는 방법 중 후자의 방법을 선택하였다.

Page 62: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89 )

( Fig. 90 ) # 37 임플란트 크라운도 함께 제거 후 3-unit 임플란트 보철을 제작했어야 하나 이 증

례에서는 # 37 임플란트 보철물도 그대로 사용하기로 하고 # 37 에 post hole 과 occlusal rest

seat 를 형성하였다 .

( Fig. 91 ) Preformed locking hole 이 형성된 distal occlusal rest 를 가진 2-unit 의 임플란트 보철

물이 제작되었다.

6) 증례 6

Page 63: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92 ) # 36 치아를 발치하였고 환자가 당뇨병을 앓고 있어서 bone graft 가 필요한 임플란트

수술은 하지 않기로 하였다.

( Fig. 93 )

a.b.; # 37 임플란트 크라운에 mesial occlusal rest seat 와 post hole 을 형성하였고 # 35 치아에도

rest seat 와 미래의 pin hole 이 위치될 곳을 marking 한 후 인상을 채득하였다.

c.d.; # 37 크라운은 post 로 고정시켰고 # 35 치아쪽은 thread pin 으로 고정하였다.

Page 64: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94 )

7) 증례 7

( Fig. 95 ) # 42, 45 발치하였고 환자분은 임플란트 치료를 원하지 않았다.

( Fig. 96 )

Page 65: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31, 41 에는 치아형태상 full crown 으로 하고 # 43 에는 modifed pin retained retainer 로 해서

# 42 missing space 를 수복시켜 주었고 # 45 missing space 를 위해서는 # 44, 46 에 occlusal

rest seat 를 형성한 후 modified pin-retained bridge 로 수복하였다.

8) 증례 8

- # 41 Cherchev implant 옆 치아가 급성치주염으로 인해 발치가 필요한 상태였다. 골 소실이 심

해서 임플란트를 심기에는 좋지않았고 통상적인 full coverage 3-unit bridge 를 하기에는 # 32

치아가 cervical constriction 이 심하고 long clinical crown 을 가지고 있어 modified pin retained

bridge 로 수복 하였다.

( Fig. 97 )

( Fig. 98 ) # 41 Cherchev implant 에는 full crown, # 32 치아에는 modified pin retainer retainer 를

이용하였다.

9. 증례 9

- 수년전에 식립했던 # 41 부위의 Cherchev implant 가 갑자기 부러진채 내원하였다. 부러진 임

플란트는 sleep 시키기로 하였고 3-unit bridge 로 수복시키기로 하였다.

Page 66: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 Fig. 99 ) 부러진 # 41 Cherchev implant

( Fig. 100 ) # 31 Cherchev impant 에는 새 full crown 을 만들고 # 32 에는 2 개의 threaded pin

으로 보철물을 삽입고정 하였다. 삽입된 pin 의 방향이 치수침범을 피하기 위해 non-parallel 하

게 서로 경사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K. 요약

현재까지 최소한의 치질삭제를 위하여 partial veneer crown, Maryland bridge 로 대표되는

adhesion bridge, Inlay or Onlay bridge, two-key bridge, bio-pin bridge 등의 pin retained bridge,

human bridge 등 여러 가지 방식이 소개되었다.

그러나 이들 방식이 full veneer crown & bridge 에 비해 탈락저항력이 떨어지거나 필적할

만하더라도 사용방법이 어려운 단점들이 있었다.

이 보고에서는 intracoronal pin 을 적용한 adhesion bridge ( resin bonded prosthesis)에 있어

기존에 소개되었던, 미리 pin hole 을 형성하고 인상 채득하여 작업모형으로 옮기는 복잡한 임상,

기공과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하자면 여기서 소개된 modified pin retained prosthesis ( adhesion bridge)의 주된

concept 은 pin 이 보철물과 일체화된 것이 아니고 cementation 직전에 보철물에 형성되어 있는

locking hole 을 통해 pin hole 을 형성하고 threaded pin 을 삽입하여 보철물을 고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도입함으로써 기존 방법에 필요하였던 paralleling device 를 사용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pin 이 non parallel 하게 삽입됨으로써 더 우수한 탈락저항성을 얻을 수 있었고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Page 67: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References

1. Prothero JH. Prosthetic Dentistry. 4th ed. Chicago: Medico-Dental Publishing Co; 1928. p. 980-1.

2. Bruce RW. Parallel-pin splints for periodontally involved splints for periodontally involved teeth.

J Prosthet Dent 1964;14:739-45.

3. Sobel SL. A technique for using parallel pins. J Prosthet Dent 1968;20:526-53.

4. Lorey RE, Embrell KA, Myers GE. Retentive factors in pin-retained castings. J Prosthet Dent

1967;17:271-6.

5. Nealon FH, Sheakley HG. An extraoral pin technique. J Prosthet Dent 1969;22:638-46.

6. Mann AW, Courtade AB, Sanell C. The use of pins in restorative dentistry. Part I. Parallel pin

retention obtained without using paralleling devices. J Prosthet Dent 1965;1:502-16.

7. Mann AW, Courtade AB, Sanell C. The use of pins in restorative dentistry. Part II. Paralleling

instruments. J Prosthet Dent 1965;1:691-703.

8. Mann AW, Courtade AB, Sanell C. The use of pins in restorative dentistry. Part III. The use of

paralleling instruments. J Prosthet Dent 1966;16:286-96.

9. Weissman B. A nonparallel horizontal pin splint. J Prosthet Dent 1965;15:339-50.

10. Timmermans J, Courtade GL. Nonparallel threaded pin retention of fixed prosthesis. J Prosthet

Dent 1968;19:381-92.

11. Weinberg LA. The vertical nonparallel pin splint. Part I. Preparations. J Prosthet Dent

1969;21:19-33.

12. Weinberg LA. The vertical nonparallel pin splint. Part II. Construction, cementation, and

troubleshooting. J Prosthet Dent 1969;21:143-53.

13. Weinberg LA. Vertical nonparallel pin-inlay fixed partial prosthesis. J Prosthet Dent

1970;23:420-33.

14. Rochette AL. Attachement of splint to enamel of lower anterior teeth. J Prosthet Dent

1973;30:418-23.

15. Livaditis GJ. Cast metal resin-bonded retainer for posterior teeth. J Am Dent Assoc

1980;101:926-9.

16. Thompson VP, Livaditis GS, Del-Castillo E. Resin bond to electrolytically etched nonprecious

alloys for resin bonded prostheses [abstract 265]. J Dent Res 1981(Special issue A).

17. Livadities GJ, Thompson VP. Etched castings; an improved retentive mechanism for resin-

bonded retainers. J Prosthet Dent 1982;47:52-8.

18. Livaditis GJ. A chemical etching system for creating micromechanical retention in resin-bonded

retaines. J Prosthet Dent 1986;56:181-8.

19. Isidor F, Stokholm R. Resin-bonded prostheses for posterior teeth. J Prosthet Dent

1992;68:239-43.

20. Talghani M, Gerbo LR. Using a mesh framework for resin-bonded retainers. Compendium

1987;8:166-8.

21. Simonsen R, Thompson V, Barrack G. Etched cast restorations: clinical and laboratory

Page 68: Intracoronal pin system (PermaPinTM 을 · Full coverage crown preparation 시에는 예후가 충분히 보장되는 장이 있지만, 치아삭제 량이 많아 crown 부분의

techniques. Chicago: Quintessence publishing Co. Inc; 1983. p. 41-56.

22. Burgess JO, McCartney JG. Anterior retainer design for resin-bonded acid-etched fixed partial

dentures. J Prosthet Dent 1989;61:433-6.

23. Simon JF, Gartrell RG, Grongono A. Improved retention of acid-etched fixed partial denture. J

Prosthet Dent 1992;68:611-5.

24. Imbery TA, Eshelman G. Resin-bonded fixed partial dentures: a review of three decades of

progress. J Am Dent Assoc 1996;127:85-96.

25. Barrack G. Recent advances in etched cast restorations. J Prosthet Dent 2005;93:1-7.

26. Besimo C. Resin-bonded fixed partial denture technique: results of a medium-term clinical

follow-up investigation. J Prosthet Dent 1993;69:144-9.

27. Priest GF, Donatelli HA. A four-year clinical evaluation of resin-bonded fixed partial dentures. J

Prosthet Dent 1988;59:542-6.

28. Hansson O, Bergström B. A longitudinal study of resin-bonded prostheses. J Prosthet Dent

1996;76:132-9.

29. Goodacre CJ. Bernal G. Rungcharassaeng K. Kan JYK. Clinical complications in fixed

prosthodontics. J Prosthet Dent 2003;90:31-41.

30. Lankford JR, Christensen LC. Pin-retained, resin-bonded fixed partial dentures. J Prosthet Dent

1991;65:469-70.

31. Bio-pin 을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의 탈락저항강도의 비교연구.

대한치과보철학회지:Vol. 43, No. 2, 2005 이종원∙조인호∙이종혁∙김승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