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74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 Newsletter

Upload: others

Post on 17-Jul-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

Newsletter

Page 2: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소식

BioEM2014 참관기

발암물질과 병용처리에 의한 극저주파 전자계의 세포발암성 연구

RF 전자파 최근 연구동향 및 이슈

저주파 대역의 수치 해석적 조사량 측정법과 전기장의 영향

EMF Weekly Brief 2014년 1~2분기

03

08

19

25

35

41

Page 3: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소식

03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Page 4: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1. E

MF 소

1. EMF 소식

김남 충북대 교수, 생체전자파학회 차기 회장 선출

김남 충북대 교수(정보통신공학부)가 전자파의 인체영향에 대한 연구 분야에서 세계 최

고 권위의 국제학회인 생체전자파학회(BEMS. The Bioelectromagnetics Society)

차기 회장으로 선출되었습니다.

김 교수는 그동안 국제암연구소 RF 전자파에 대한 발암등급 평가위원과 BEMS 이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전자파학회 산하 전자기장과 생체관계 연구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번 김 교수의 BEMS 회장 당선은 지난 2010년도 32차 BEMS Annual Meeting 서

울 개최 이후 전자파 인체영향 분야에서 한국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또 하나의 수확으

로 평가되었습니다.

※ BEMS(www.bems.org) : 미국, 캐나다, 유럽, 아시아, 뉴질랜드, 아프리카

등 전 세계 전자파 인체영향 관련 700여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학회로 전자파와

생체시스템과의 상호작용 분야에 관심 있는 생체물리학, 생물학, 의학, 공학 등

의 연구자들이 주축이 된 독립기구

04EMF Newsletter Vol.19

Page 5: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13:20 ~14:20

Poster Session

Session 2 전자파 생체 및 공학 연구 (I) 좌장: 이윤실 교수 (이화여대)

14:20 ~14:40

휴대전화 사용 특성과 두통 증상간의 연관성 조용민 박사 (고려대학교)

14:40 ~15:00

OO시 OO읍 OO리 주변 전자계 역학조사 홍승철 교수 (인제대학교)

15:00 ~15:20

Mobi-Kids Study: 휴대전화의 전자파흡수 평가 이애경 책임 (ETRI)

15:20 ~15:40

1950 MHz Electromagnetic Fields Ameliorate Memory Impairment in Alzheimer’s Disease Mice

이해준 박사 (한국원자력의학원)

15:40 ~16:00

전자파 노출이 생체 체온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안영환 교수 (아주대학교)

16:00 ~16:20

Coffee Break

Session 3 전자파 생체 및 공학 연구 (II) 좌장: 권종화 박사 (ETRI)

16:20 ~16:40

Probe 배열 시스템에 의한 이동통신기기의 SAR 측정

김준희 석사, 김윤명 교수

(단국대학교)

16:40 ~17:00

표면 등가 이론을 이용한 저주파 대역 FDTD 방법

박상욱 박사 (자동차부품연구원)

17:00 ~17:20

전자파흡수율(SAR)의 유효성 측정에 대한 불확정도 개선 연구

김기회 연구사 (국립전파연구원)

17:20 ~17:40

전자파 유방암 진단 시스템용 배열 센싱 프로브 이광재 선임 (ETRI)

17:40 ~18:00

질의 및 토론

18:00 폐 회

■ 초청논문 및 구두발표

시간 제목 발표자/좌장(소속)

09:30 ~10:00

등 록

10:00 ~10:20

개회사: 전자기장과생체관계연구회 위원장 김 남 교수 (충북대학교)인사말: 한국전자파학회 회장 이택경 교수 (한국항공대학교)격려사: 미래창조과학부 조규조 전파정책국장

Session 1 초청 강연 (Invited Speech) 좌장: 안영환 교수 (아주대학교)

10:20 ~10:50

전자파 인체보호 연구 최형도 부장 (ETRI)

10:50 ~11:20

휴대전화 전자파가 청신경 종양에 미치는 영향 문인석 교수 (연세대학교)

11:20 ~11:50

ELF EMF에 대한 한전의 Risk Communication 추진 방향

김태용 부장 (한국전력)

11:50 ~12:20

EMF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추진 방향 이은미 서기관 (국립전파연구원)

12:20 ~13:20

점 심

제18회 전자기장의 생체 영향 워크숍

| 일 시 | 2014년 8월 28일(목) 09:30 ~ 18:00

| 장 소 | 더케이서울호텔 (구 서울교육문화회관), 거문고 C홀 (본관 3층)

| 주 최 | 미래창조과학부

| 주 관 | 한국전자파학회 전자장과 생체관계 연구회

| 후 원 | 국립전파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KCA, SKT, KT, LGU+, EMF Safety

05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Page 6: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1. EMF 소식

1. E

MF 소

■ 포스터 논문 – 생체 관련 (10 편)

분야 제목 저자 소속

생체-1

Continuous exposure of HeLa and IMR90 cells to uniform non-gradient 60 Hz electromagnetic field increase cell proliferation

윤여준, 송기원 연세대학교

생체-2

Effect of combined radiofrequency fields exposure on amyloid-beta-induced cytotoxic effect in HT22 cells

이종선, 김정엽, 박명진 한국원자력의학원

생체-3

Effects on G2/M phase cell cycle distribution and aneuploidy formation by 60-Hz electromagnetic field exposure in combination with ionizing radiation or hydrogen peroxide in L132 non-tumorigenic L132 human lung epithelial cells

진희1, 윤혜은 1, 이재선 2, 김재경 3, 명성호 4, 이윤실 1

이화여자대학교 1,인하대학교 2,한국원자력의학원 3,한국전기연구원 4

생체-460Hz 자기장 지속노출에서 세대별 생쥐의 생식 영향

박성만 1, 김희성 1, 김민우 1, 김지훈 1, 이상곤 1, 김 남 2, 김윤명 3, 김윤원 1

한림대학교 1,충북대학교 2,단국대학교 3

생체-5정자기장에 의한 초파리 양주지성 조절 기전과 전자기생물학적 함의

배지은 1, 권순환 1, 이상협 1, 이용호 2, 채권석 1

경북대학교 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2

생체-6915 MHz RFID 전자파가 신생 쥐의 미세아교세포에 미치는 영향

김혜선 1, 이유희 1, 최형도 2, 이윤실 3, 백정기 4, 김 남 5, 안영환 1

아주대학교 1,한국전자통신연구원 2,이화여자대학교 3, 충남대학교 4,충북대학교 5

생체-7일측성 난청에 대한 경두개저 자기장 치료법의 장기적 효과

문인석 연세대학교

생체-8어린이 활동공간 내 에서의 전자파 노출 실태

김윤신 1, 남궁선주 1, 홍승철 2, 김윤명 3, 박수진 1, 이다정 1

한양대학교 1,인제대학교 2,단국대학교 3

생체-9

3개월간의 전자파 조사에 의한 생쥐의 청각뇌줄기에서 신경세포영양인자(BDNF), 아교세포영양인자(GDNF) 및 글리신 수용체 면역염색성의 변화

김학림, 이진구, 디라즈 마스키, 이지은, 김명주

단국대학교

생체-10한국인의 직업별 극저주파 자기장 노출량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정준식 1,2, 최성호 2, 이우석 2, 김윤신 1, 홍승철 3

한양대학교 1, 국립환경과학원 2, 인제대학교 3

06EMF Newsletter Vol.19

Page 7: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 포스터 논문 – 공학 및 기준·정책 관련 (17 편)

분야 제목 저자 소속

공학-1전자파 유방암 진단 시스템의 측정 데이터 및 영상 복원

김장렬, 김보라, 이광재, 손성호, 이종문, 김혁제, 전순익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학-2임피던스법을 이용한 극저주파 자기장 하에서의 유도전계 계산

이병윤 한국전기연구원

공학-3835 MHz 고주파 출력에 의한 0.9 % 염수의 체적 SAR 측정

이광식, 김윤명, 김학림, 김명주

단국대학교

공학-4광대역 특성을 갖는 전기적 인체등가물질 제조 연구

이성규, 최재훈 한양대학교

공학-5MRI SAR 해석을 통한 인체 안전성 및 자계 분포 사례 분석

박 훈, 성 일 삼성전자

공학-6100W급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 대한 전자파흡수율의 거리별 분석

이승우 1, 박장원 2, 김 남 1 충북대학교 1,미래창조과학부 2

공학-7버스 내 환경에서의 전자파 노출량 측정 및 분석

채희준 1, 안준오 1, 이승우 2, 김 남 2

미래전파공학연구소 1,충북대학교 2

07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Page 8: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08EMF Newsletter Vol.19

충북대학교_이 승 우 박사

BioEM2014를 다녀와서...

Page 9: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09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예전에는 BEMS 연례회(Annual Meeting)로 알고 있었는데,

갑자기 BioEM으로 불리어 많은 사람들이 그 이유를 가장 궁금

해 할 것 같아 그 역사를 먼저 간단히 적어본다. BEMS는 전자

장과 생체 영향 연구에 대한 국제적으로 대표적인 학회이다. 학

회에서는 매년 학술대회(conference)를 열어 그동안 연구한 내

용들을 서로 공유하고 논의를 하는 BEMS 연례회를 개최하였

다. 하지만, 전자파의 인체영향에 대한 메커니즘이 명확히 발견

되지 못하고, 연구에 대한 이슈가 감소하면서 연구 지원이 점차

감소하였다. 연구비 감소는 학술대회에 참석하는 석학들의 수

를 함께 감소시켰다. 보통 BEMS 연례회는 대륙별로 순회하며

개최하는데, 유럽에서는 2005년 아일랜드에서 개최하면서 유

럽의 생체 전자기 학회인 EBEA(European BioElectromagnetics

Association)와 연합으로 개최하였다. 이후 2009년에 스위스에

서 개최할 때에도 EBEA와 연합으로 개최하면서, 참석자수를

늘려나갔다. 하지만 다른 대륙에서 할 때에는 여전히 참석률이

저조하였고, 2013년 그리스에서 개최할 때부터 본격적으로

BioEM으로 학술대회 이름을 변경하여 BEMS와 EBEA 연합으

로 개최하기 시작하였다.

금년도 BioEM은 아프리카의 작은 유럽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열렸다. 케이프타운은 세계에서 가장 가보고

싶은 도시, 죽기 전에 가봐야 할 도시, 세계에게 가장 사랑받는

도시 등의 찬사를 받는 곳이다. 사실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지금

으로부터 정확히 4년 전 FIFA 월드컵이 열린 곳으로 더욱 유명

할 것이다. 그때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아프리카의 최남단 국

가이며, 우리나라에서 매우 멀다는 생각뿐이었다. 실제로 최소

24시간 비행기를 타야하니 가까운 국가는 아닌 듯하다. 이러한

곳을 가야 한다니, 사실 출발하기 전에는 학회에 참석하는 즐거

움 보다는 오랜 시간 비행기를 타야 한다는 중압감이 더 컸었

다. 우리나라에서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 직접 가는 비행기가

없기 때문에 출발 전부터 어느 나라를 경유해야 가장 빠르고

안전한지 정보 조사가 필요했다. 결국 정확히 24시간이 소요되

는 싱가포르를 경유해서 가는 루트(route)가 최적의 코스

(course)라는 것을 찾아냈다.

금년도 BioEM은 6월 8일부터 13일까지 케이프타운의 테이

블 베이 호텔(The table bay hotel)에서 개최되었다. 여행 기간

이 길고, 힘든 탓인지 국내 참석자수는 총 10명이었다. 서두에

잠시 언급하였듯이 비행시간이 24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6월 7

일에 출국해야 6월 8일에 도착할 수 있다. 6월 7일 비행기를

타고 싱가포르에 6시간 30분 만에 도착을 하여, 공항에서 약 3

시간 정도 쉬다가 다시 남아공행 비행기를 탔다. 장작 12시간

을 날라 다시 요하네스버그에 도착하고, 비행기 내에서 약 1시

간 정도 대기를 하고 다시 2시간 정도 더 타고 나서야 케이프

타운에 도착할 수 있었다. 지금 생각해도 정말 아찔한 비행시

간이다.

케이프타운은 우리나라보다 7시간 시차가 늦기 때문에 도착

해서 시차적응은 크게 어렵지 않았다. 6월 8일 오전 9시쯤 공항

에 도착하여 택시를 타고 호텔로 향했다. 너무 이른 아침이라

체크인이 되지 않아, 우선은 짐을 맡기고 한국의 다른 참석자

분들과 주변 관광에 나섰다. 케이프타운의 첫인상은 이미 많이

알려져 있듯이 마치 아프리카 속의 작은 유럽 같았다. 그러한

케이프타운 땅을 밟자마자 가장 처음으로 향한 곳은 거대한 식

물원인 KirstenBosch Botanic Garden이다. 사실 우리나라의

잘 꾸며진 식물원과는 다르게 자연 그대로를 유지하며 더 이상

훼손하지 않게 하기 위해 만들어진 자연 속 식물원이다. 오랜

여행과 시차로 몸도 피곤하지만 시원한 공기와 자연의 내음이

피로를 싹 가시게 하였다. 그런데 여행 전 큰 착각을 하였다는

것을 도착해서야 알았다.

Page 10: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2. BioEM2014를 다녀와서...

2. B

ioEM

2014를

다녀

와서

...

10EMF Newsletter Vol.19

아프리카는 항상 매우 무덥다고 생각하여, 대부분 반팔 또는

얇은 긴팔 옷을 가져왔는데 매우 추웠다. 그 이유는 아프리카에

도 겨울은 있었다. 호주와 만찬가지로 6월부터 8월까지가 겨울

이며, 그 기간 동안 눈은 오지 않으나 비가 많이 오는 우기(雨

期)이다. 그래도 비가 오지 않고 햇볕이 쬐는 날이면, 활동하기

매우 좋다.

식물원을 관람하고, 우리는 한적하게 점심 겸 저녁을 먹을

수 있는 레스토랑을 수소문하여 찾아갔다. 케이프타운에는 수

많은 와이너리(winery)가 있으며, 레스토랑을 함께 운영하고

있었다. 질 좋은 와인 한 병과 먹음직스러운 스테이크 한 접시

가 100∼150ZAR(랜드화, 원화로 환산하면 약 10,000∼15,000원

정도) 수준이었다. 정말 저렴하고, 한국인 입맛에 딱 맞는 음식

들이다.

그림 1. 케이프타운에서의 첫 번째 만찬 자리

6월 8일은 특별한 일정이 있기 보다는 학술대회의 시작을

알리는 Welcome Reception이 있었다. 첫날이니 만큼 종종

만나게 되는 외국인 친구들과 편안하게 얘기하며 즐기는 자

리였다.

BioEM의 본격적인 학술활동은 6월 9일부터 시작되었다.

Opening ceremony 이후 d’Arsonval Lecture가 있었으며,

“Scientific career in EMF research as influenced by courses,

chiefs, colleagues, collaborators, critics, circumstances,

conundrums and cash”라는 제목으로 Carl Blackman의 발표

로 시작하였다. 다음 세션은 메커니즘 연구 분야와 아이들 영향

연구 분야로 분류하여 세션이 진행되었다. 관심분야가 RF-

EMF 분야이고, 어린이에 대한 인체영향 연구 결과 내용을 파

악하기 위해 어린이 영향 연구 분야의 발표를 들었다. Mary

Redmayne 박사가 “International policy and advisory response

regarding children’s exposure to RF-EMF”에 대해 발표하였고,

Martin Roosli 교수팀의 Anna Schoeni 학생이 “Mobile phone

use during night and its impact on health and cognitive

functions in adolescents”를 발표하였다. 또한, Anke Huss 박

사가 “Environmental RF-EMF exposure at home and sleep

quality in 7 year old children” 연구, Bouvier Ghislaine 박사의

“RF and ELF electromagnetic field exposure of children in

the French ELFE birth cohort” 연구, Mary Redmayne 박사의

“Use of mobile phones and cognitive effects in Australian

primary school children” 연구, Martin Roosli 박사팀의

Benjamin Struchen 박사과정이 “Children’s Exposure to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s: A Personal

Exposure Measurement Study” 연구를 발표하였다.

오후에는 신경 영향에 대한 연구와 인체영향 계산에 대한 연

구 분야를 발표하였다. 다양한 주제에 대해 발표가 있었으며,

관심이 있었던 몇 가지 연구를 소개하려고 한다. 우선은 미국의

Maria Iacono 박사 등이 발표한 “Multimodal imaging-based

detailed head model for EMF-neuron interaction related

applications”이다. 115개의 다른 해부학적 구조를 갖는 정확한

Page 11: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11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두부 모델을 다양한 방식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하고,

귀, 눈, 뇌 등의 구조는 의료기기에 의해 생성된 전자기장에 대

한 신경의 작용을 이용하여 모델의 정확성을 높였다. 통합된

DTI(diffusion tensor imaging) 정보는 상세 위치 이방성 뇌 조직

파라미터를 할당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또한, 개발된 모델을 이

용하여 전류를 인가할 경우 뇌혈류가 변화되는 것을 모의실험

을 통해 보여주었다.

그림 2. 다양한 MRI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해부학적 두부 모델

그림 3. 전류 자극에 따른 뇌혈류 변화

또한, 남아공의 Roy Hubbard 박사는 765 kV 전송선로로부

터 자기장의 인체노출에 대하여 측정 및 3D 인체 모델을 이용

하여 선량측정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연구 결과 1998 및 2010

ICNIRP 가이드라인을 모두 만족하는 결과를 보였고, 향후 전기

장 노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발표하였다.

이후 포스터 발표가 이루어졌다. 포스터 발표 이전에 학생

포스터 발표가 약 20분간 있었으며, RF 방사와 활성산소족 및

산화스트레스 간의 연관관계에 대한 연구, 스위스와 벨기에 지

역에서 극저주파 자계에 대한 노출 연구, CAD 기반의 휴대전

화 모델을 사용한 SAR 분석 연구, EMF 노출 측정 연구, 산업

및 의료 분야의 직업인 환경 노출에서 AIMD(active implantable

medical devices) 사용자의 위험성 연구 등 다양한 주제로 학

생들의 연구 발표가 있었다. 포스터 발표는 A, B 세션으로 나뉘

어 진행하는데, 총 약 120편 중 60편을 A세션에서 발표하였다.

RF 전자파의 인체영향, 전자파의 치료 등 분야로 응용, 전자파

인체영향의 계산 방법, 인체 모델 개발, 전자파 측정 연구 등 많

은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이 중 주요 논문 일부를 소개하고자

한다.

최근 국내에서도 재난통신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많은

준비를 하고 있다. 아직까지는 TETRA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데, 영국의 Richard Findlay 박사는 TETRA 핸드셋에서 노출로

부터 MAXWEL 인체 모델을 사용하여 SAR 분석한 결과를 발

표하였다. 안구의 경우 TETRA 핸드셋으로 인하여 내부의 투명

한 부분에 혈액 공급 부족으로 부분적으로 민감함을 보였고, 회

복을 위한 능력이 제한적이었다.

Page 12: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2. BioEM2014를 다녀와서...

2. B

ioEM

2014를

다녀

와서

...

12EMF Newsletter Vol.19

그림 4. 개발된 TETRA 핸드셋 장비

그림 5. TETRA 핸드셋을 사용하는 MAXWEL 인체 모델의 SAR 분석

그림 6. MAXWEL 안구 모델의 단층면 및 SAR 분석

또한, 스마트폰 사용이 늘어난 이후 공공장소에서도 WLAN

(또는 WiFi) 사용이 늘어나면서, 무선랜에 대한 인체영향도 큰

관심을 갖고 있다. 이탈리아 Serena Fiocchi 박사팀은 무선랜

시스템으로부터 다른 모델과 자세에서의 SAR 평가에 대한 연

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노출 시스템은 AP(access point)와 수신자로 구성된 노출

환경에서 인체 모델에 따른 SAR 분포 및 사용자 자세

(position)에 따른 SAR 분포를 SEMCAD-X를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가장 노출된 조직은 노출원으로부터 가깝거나 가

장 전도성이 높은 조직(예를 들면, 이마쪽 피부, 안구, CSF와

회질/백질 문제 등)과 일치하였다. 하지만, 자세와 모델 간의

SAR 값의 차이는 고려할 만큼 있었다. 표에서 제시된 값과 같

이 모델 간에는 최대 peak SAR는 약 3 dB 차이가 있었으며,

위치에 따라서는 1.6 dB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그림 7. 인체모델(Ella, Duke)과 자세에 따른 SAR 분포(10 g 평균)

Page 13: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13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표 1. 두부 조직의 10 g 평균 peak SAR 값(1 W 입력 전력으로 정규화)

골접합판을 체내 삽입한 인체 모델의 SAR 평가를 위한 분석

결과도 매우 흥미로웠다. 2 GHz의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를 사

용하여 근거리장에서 골접합판에 따른 10 g 평균 SAR을 계산

한 결과 약 26.4% 증가하였으며, 다이폴 안테나의 위치에 따라

증가율이 변하였다.

그림 8. 골접합판을 삽입한 경우의 SAR 평가에 대한 포스터 발표

노출량 평가를 위하여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근처에서 자기

장 측정 검사에 대한 연구 결과도 상당히 흥미로웠다. 최근 들

어 무선전력전송을 이용한 다양한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도 응용하고 있다. 주로 응용되는 100 kHz와

6.78 MHz 대역을 측정할 수 있는 2개의 3축 루프 코일로 되어

있는 필드센서를 사용하여 측정한 자기장 값을 모의실험과 측

정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림 9.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자기장 노출량 평가에 대한 포스터 발표

이외에도 밀리미터파에 대한 인체영향 연구도 다수 발표되

었으며, 공공장소에서의 전자파 노출량에 대한 평가 연구 결과,

임플란트 기기의 영향에 대한 연구 등 다양한 주제가 발표되었

다. 포스터 발표 이후에는 국제 EMF 연구에 대한 BEMS 세미

나가 열렸으며, 미국의 James Lin 교수, 인도의 Ananta

Vashisth 교수, 중국의 Yao-Xiong Huang 교수와 Zhenping

Xu 교수, Guangdi Chen 교수, 말레이시아의 Kwan-Hoong

Ng 교수가 다양한 주제로 발표를 하였다.

Page 14: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2. BioEM2014를 다녀와서...

2. B

ioEM

2014를

다녀

와서

...

14EMF Newsletter Vol.19

두 번째 날인 6월 10일에는 Thomas Vernuer 박사의 “An

introduction to electroporation and its applications”를 주제로

tutorial 발표가 있었다. electroporation에 대한 소개와 앞으로

무궁무진할 응용분야에 대해 발표하였다. 다음으로는 plenary

session이 있었으며, 동물군에서의 전자기장 영향이라는 주제

로 Hynek Burda 박사가 “Making sense of nonsense: The

study of magnetic alignment in vertebrates” 를 발표하였고,

Uwe Greggers 박사가 “Reception and learning of electric

fields in bees”에 대해 발표하였다. 가끔 휴대전화 전자파가 꿀

벌의 비행에 영향을 주어 집을 찾지 못한다는 인터넷 풍문이

있는데 ESF(electrostatic field) 신호가 dance communication

에서 중요한 요소가 되며, 꿀벌의 다른 종류의 통신에 아마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후 두 번째 포스터 발표가 있었으며, 전날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주제에 대해 발표하고 논의하는 자리였다. 특히, 전자파

를 이용하여 치료에 사용하는 연구 결과가 다수 발표되었으며,

대표적으로 일본의 Kazuyuki Saito 박사가 발표한

“Intracavitary microwave heating for treatment of bile duct

carcinoma-Numerical calculations in consideration of

practical treatments”가 흥미로웠다. 마이크로파 열 치료는 암

치료를 위한 물리치료의 일환으로 다양한 마이크로파 열 치료

법이 있다. 저자는 얇은 동축 안테나를 이용하여 담관암의 치료

에 사용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치료의 실제 상황을 고려하기

위하여 안테나의 열 특성이 몇 가지 다른 모델로 계산되었고,

계산 결과 마이크로파 열 치료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담관까지 안테나가 연결된 케이블을 삽입하여 케이블 끝단의

안테나 부분에서 높은 SAR를 분포하게 되면 열이 발생하여 암

을 치료할 수 있다는 연구이다.

그림 10. 담관암의 강내근접치료의 설계

그림 11. 마이크로파 안테나 주위의 계산된 SAR 분포

그림 12. 담관암의 강내근접치료에 대한 포스터 발표

Page 15: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15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이외에도 다양한 환경에서 선량측정에 대한 연구, 쥐와 태

아에 대한 실제와 유사한 모델 개발 연구, 실제 환경에서 RF-

EMF에 대한 근거리장과 원거리장 특성 연구, 무선통신기기

의 RF 계산 선량측정에서 SAR에 영향을 주는 유전체 파라미

터 연구, 다양한 인체 모델 개발 연구, 다양한 이동통신 환경

(LTE, WiFi 등)에서의 영향 분석 연구 등 많은 분야에 대해 발

표하였다.

특히, 3G 시스템에서 LTE 시스템으로 변화하는 시점 때문인

지 LTE 시스템 및 주파수 대역에서의 영향 연구가 다수 발표되

었다. 또 다른 흥미로운 발표 중 하나는 밀리미터파가 안구의

각막과 수정체에 노출될 경우 손상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

일본의 Masami Kojima 박사가 발표한 “Millimeter wave

exposure induces cornea and lens epithelium damage” 논

문이며, 75 GHz의 밀리미터파를 토끼 눈에 쪼일 경우 각막과

수정체가 손상을 입는 한계치를 찾는 연구이다. 200 mW/cm2

의 강도로 약 30분 동안 노출할 경우 노출 후 바로 각막 상피

셀에 손상을 입고, 노출 후 1일 이후에는 결함 및 부종이 발생하

였다. 일부에서는 100 mW/cm2에서도 손상이 발견되었으며, 50

mW/cm2의 경우에는 손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75 GHz

에서 각막 손상의 한계치는 50 ∼ 100 mW/cm2의 강도로 약

30분 동안 노출할 경우 발생한다고 결론 내렸다. 수정체 상피

세포 손상은 200 mW/cm2에 노출될 때 동공에서 발생하였으

며, 손상은 3가지 특징이 발생하였다.

첫 번째는 분열기세포와 함께 상피세포에서 발생하고, 두 번

째는 낮은 세포밀도 영역에서 발생하고, 세 번째는 일반 세포밀

도에서 발생하였다.

그림 13. 75 GHz에서 200, 100, 50 mW/cm2를 30분 동안 노출할 경우 각막 손상 한계치

그림 14. 75 GHz에서 200 mW/cm2의 강도로 30분 동안 노출할 경우 수정체 상피 세포 손상

포스터 발표 이후에는 유전자 불안(genomic instability)에 대

한 연구를 발표하였으며, 극저주파 대역에서의 DNA 손상 연구,

낮은 전자파 노출량으로 인한 다른 영향 연구, 60 GHz의 밀리

미터파의 장기 노출에 의한 안구 세포의 영향 연구 등 다양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또한, MRI와 의료기기에 대한 연구 결과도

다수 발표하였으며, MRI로 인한 인체영향 연구, 코일의 구조에

따른 영향 연구, MRI 측정 동안 인체 삽입 의료기기의 국부 RF

유도 가열에 대한 연구, 두부와 목에서 마이크로파 발열로 인

한 뇌의 SAR 평가 연구 등 의료기기와 인체영향에 대한 많은

Page 16: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2. BioEM2014를 다녀와서...

2. B

ioEM

2014를

다녀

와서

...

16EMF Newsletter Vol.19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마지막으로 Dariusz Leszczynski 박

사가 “Ethics and conflict of interest in bioelectromagnetics”

주제로 discussion workshop이 있었다. BEMS의 연구 주제

에 있어 논쟁 거리와 윤리의식 등에 대해 수많은 논쟁이 있었

다. 화요일은 공식적인 Social event가 있는 날이라서 저녁 만

찬과 함께 여러 외국 친구들을 비롯하여 한국 사람들과 흥겹게

보냈다.

수요일인 7월 11일은 공식적인 행사가 오전에만 있으며, 오후

에는 투어(tour)가 있는 날이다. 오전에는 Bernard Veyret 교수

가 “France-overview of 50 years of laboratory, animal and

human studies” 주제로 tutorial 발표가 있었다. 그 다음으로

imaging and tomography 주제로 plenary session과 practical

approaches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EMF directive 주제

로 워크숍이 있었다. 특히 tomography는 우리나라 ETRI에서

개발하고 있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유방암 진단 장치와 관련

되어 매우 흥미롭게 국제동향을 파악하였다.

목요일인 7월 12일에는 John Bolte 박사가 “Sources, levels

of exposure & standards”를 주제로 발표하는 tutorial으로 시

작하였다.

이후에 “Endogenous voltage gradients as mediators of

cell-cell communication”이라는 주제의 plenary session이 있

었다. 미국의 Wendy Beane 박사가 재생 동안의 세포의 세포

막 전위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이후에는 메커니즘 분야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첫째날에 메커니즘 세션이 있었는데, 금번도 학

회에는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가 많기 때문인지 세션이 두 개로

나뉘어 다수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이탈리아 Agnese Denzi 박

사팀은 나노초 펄스 전기장을 이용하여 세포질 도전율에 대한

평가 개선 방법에 대한 연구를 발표하였고, 미국의 Richard

Nuccitelli 박사팀은 “Nanoelectroablation of tumor cells leads

to the translocation of calreticulin to the cell surface and the

initiation of immunogenic apoptosis”라는 내용을 발표하였다.

그 외에도 액틴 세포골격과 나노초 펄스 전기장(nsPEF)의 세

포성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와 펄스 전기장의 금속 단백질 영

향에 대한 연구 결과 등 다수의 펄스 전기장에 의한 영향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이후에는 직업인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세션이었다.

최근 들어 국제적으로 직업인 기준의 타당성과 기준에 대한 고

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럽에서는 직업인 기준을 낮추기로

하였다. 그래서 이번 세션이 크게 관심이 갔다. 몇 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는데, 그 중 50 Hz의 극저주파 자기장에 임신한 여성

(3, 7, 9개월) 모델이 직업인 기준에 노출될 경우 영향을 수치적

으로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연구 결과 전기장이 유도된 산모 신체의 99 백분위는 전체

임신 기간에 인체영향 노출 제한값을 항상 만족하며, 산모 두부

조직의 99 백분위는 3개월 임신기간에 측면 노출 이외에는 감

각기관 영향 노출 제한값 보다 항상 낮았다. 또한, 모든 경우에

서 태아 신체에서 전기장은 50 Hz에서 인체영향 및 감각기관

영향 노출 제한값 보다 항상 낮았다.

Page 17: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17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그림 15. 임신한 여성 신체의 유도 전기장 그래프

그림 16. 각 임신 기간 및 노출 시나리오에서 태아 신체에서 유도 전기장 변화 그래프

그리고 MRI 스캐너로부터 정자기장에 노출되는 직업인과 보

건 간의 극심한 단기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와 MRI 기기에서 자

기장에 노출되는 직업인의 복지에 대한 평가를 위한 선진화 방

법에 대한 연구 결과 발표도 있었다. 의료기기 중 X-ray, CT 등

의 전리방사성 기기를 대신하여 많이 사용하는 MRI에 대한 인

체영향 문제가 다수 제기되어 연구가 진행되는 추세이며, 환자

의 경우 진료의 목적으로 사용하지만, 직업적으로 장비를 가동

시키는 직업인의 경우 막대한 영향이 있을 수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폭넓게 진행 중이다. 오후 세션은 신경 영향에 대한 두

번째 세션이 있었다. RF 전자파 노출로 인한 각종 DNA 손상에

대한 연구를 비롯하여 파키슨병이 유전자에 대한 영향, 휴대전

화 노출 이후에 발생하는 신경생성 및 신경염증에 대한 연구

등 다양한 주제의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그 다음 세션은 일

반인 노출과 RF 측정 분야였다. 개인 노출량 측정기를 사용하

여 전신 평균 SAR를 평가하는 연구, 지리적 영역에서 송신 및

수신 전력의 감도 분석에 대한 연구, 학교, 가정, 공공장소에서

실제 RF 노출, 복잡한 통신환경에서의 정확한 측정을 위한 측

정 센서의 정확한 선형화에 대한 연구, 휴대전화의 실생활 성능

에서 손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 무선 주파수 전자기장에 인체

노출에서 실내 소형 세포의 영향 연구 등이 발표되었다. 목요일

의 마지막 세션은 역학 노출 평가에서로 새로운 방법에 대한

워크샵이 열렸다.

첫 번째로 Martin Roosli 박사께서 역학 노출 평가 컨셉의 이

론을 발표하였으며, 두 번째로 Marco Zahner 박사께서 개인

RF 전자기장 노출 측정기기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세 번째는

노출 평가를 위한 정보 수집의 사용에 대해 Joe Wiart 박사께

서 발표하셨고, 다음으로 Wout Joseph 박사께서 새로운 모델

링에 대한 접근을 주제로 발표하였다. 그 외에도 기지국 노출

의 RF 전자파 모델링에서 유효성 및 불확도에 대한 연구 결과,

Page 18: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2. BioEM2014를 다녀와서...

2. B

ioEM

2014를

다녀

와서

...

18EMF Newsletter Vol.19

개인 측정 및 운영자 데이터를 사용한 모델링으로부터 역학 연

구를 위한 방법 개발, 공기오염, 잡음, RF 전자파 등 환경 노출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등 많은 중요한 주제의 논문이 발표되

었다.

마지막 날인 6월 13일에는 오전세션만 있으며, 학회 마지막

날인 만큼 우수한 논문 발표를 한 학생에게 주어지는 student

award와 학회의 끝을 알리는 closing ceremony가 있었다. 마

지막 세션은 Marin Roosli 교수께서 역학 연구의 지침에 대한

주제로 tutorial 발표가 있었다. 이후 치료(clinical)에 대한 연구

주제 발표가 있었으며, 열적 영향이 비열 전기치료의 영향 개선

에 대한 연구, in-vivo electroporation 연구 분야로 치료 영향

이 단지 약(drug)과 유전자(gene) 전달에만 영향을 주지 않는

다는 내용이었다. 또한, 전기 자극에 의한 혈관 형성 억제에 대

한 연구 발표, 종양에 영향이 있는 주파수에 대한 연구, 펄스 전

기장의 약물 방출의 효과 증대에 대한 연구 등 다수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다른 세션에서는 표준, 정책, 규정에 대한 연구 발

표가 있었다. 국가별로 추진하고 있는 전자파 인지에 대한 연

구, 건강 악영향과 가능한 생물학적 영향에 대한 전자파 노출

표준에 대한 연구, 조직에서 온도를 직접 측정할 수 있는 방법

에 대한 연구, RF와 마이크로파 방사 기기의 안전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 RF 노출제한이 좋지 못한 환경 상태나 전자파 방호

장비를 입은 경우 적합성에 대한 연구 등 흥미로운 주제의 연

구 결과가 마지막까지 다수 발표되었다. 학술대회 마지막까지

도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갖고 발표를 경청하였으며, 마지막

으로 student award를 발표하고 학술대회를 최종 정리하는 시

간을 가졌다.

길고도 짧은 일주일이라는 시간을 “어머니의 도시” 케이프

타운에서 즐겁게 보냈다. 학회에 참석하여 다양한 연구 동향이

나 중요한 연구 결과를 습득하고 논의하는 시간도 즐거웠고, 다

양한 분야의 석학들과 만나 많은 얘기를 나눈 것도 개인적으로

매우 도움이 되는 시간이었다. 또한, 케이프타운의 천혜의 자연

속에서 얻는 눈의 즐거움과 풍부한 맛있는 음식들이 선사하는

입의 즐거움도 이번 학회의 묘미가 아닐까 생각한다.

내년의 BioEM2015는 미국의 서부 몬테레이(Monterey)에서

개최된다. 몬테레이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차로 약 2시간 거리의

해변 도시이다. 2016년도 BioEM은 벨기에에서 개최될 예정이

다. 내년에는 미국에서 열리는 만큼 많은 석학들이 참석할 것으

로 예상되며,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참석하여 연구 성과를 논의

할 것으로 기대한다.

Page 19: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_?????

이화여자대학교_이 윤 실 교수

발암물질과 병용처리에 의한 극저주파 전자계의 세포발암성 연구

19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Page 20: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3. 발암물질과 병용처리에 의한 극저주파 전자계의 세포발암성 연구

3. 발

암물

질과

병용

처리

에 의

한 극

저주

파 전

자계

의 세

포발

암성

연구

20EMF Newsletter Vol.19

Ⅰ. 서 론

2001년도 극저주파 (Extremely Low Frequency, ELF) 전자

계는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협회(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부터 발암성 분류의 5 단계에서

인간에 대한 발암성이 아마도 있는 물질 그룹 2A의 다음 단계

인 인간에게 발암성이 있을지도 모르는 물질인 2B 그룹으로 분

류되었고 아직까지도 인간과 동물에게 전자계가 발암원으로서

의 증거는 불충분한 상태이다. 하지만 극저주파 전자계가 2B로

판정된 이후 많은 연구의 주제가 극저주파 전자계가 암을 유발

할 수 있느냐 였다. 하지만 아직까지 몇몇의 역학조사 결과를

제외하고는 아직까지 극저주파 전자계가 분명히 암을 유발하

는 발암인자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는 과학적 결과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2007년도 WHO에서 발행한 Agenda에

서는 극저주파 전자계 단독으로는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과학

적 근거가 부족하지만 인간은 극저주파 전자계외의 다른 많은

발암물질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고 이러한 다른 발암물질과 같

이 인간이 극저주파 전자계에 노출되었을 때의 발암 관련성 영

향을 확인하는 연구를 최우선시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2008년부터 본인의 연구팀에서 다른 발암

물질과 극저주파 전자계가 같이 노출되었을 때의 극저주파 전

자계 공동발암성(Co-Carcinogenecity) 규명에 대한 연구를 진

행하였고 그에 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세포를 이용하여 발암성을 확인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겠으나 본 연구에서는 4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첫 번째 시도한 방법은 세포변이 (Transformation) 유도 여부

인데 세포가 발암원 또는 돌연변이원에 의해 돌연변이등 변형

이 되면 암과 같은 성향을 나타난다. 그것을 세포변이라 하는데

정상세포는 접촉 (Anchorage)이 있어야만 성장이 되는 Anchorage

dependent growth룰 나타내는데 비해 변이된 세포는 접촉이

없어도 성장을 지속하는 Anchorage independent growth 하

는 특징을 나타낸다. 변이된 세포는 이러한 Anchorage

independent growth를 하게 되어 세미아가로즈 젤에 키웠을

때 정상세포와는 달리 군집 (Colony)을 형성한다. 두 번째 방법

으로 소핵 (Micronucleus) 형성능을 관찰하였는데 소핵은 발암

물질 및 돌연변이물질에 의해 유전자가 절단되면 염색체에 영

향을 미치고 이러한 염색체이상이 정상적인 핵에서부터 분리

되어 소핵을 형성한다. 소핵의 형성은 염색체의 비가역적 절단

을 의미한다. 세 번째로 수행한 연구는 유전자손상에 미치는 영

향이다. 발암물질 또는 돌연변이물질에 의해 유전자가 손상되

면 이러한 유전자 조각들을 전기영동법으로 측정가능 한데 혜

성의 꼬리처럼 조각들이 보인다고 해서 이러한 유전자손상 측

정법을 Comet tail 측정법이라고 한다. 네 번째는 가장 민감한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는 gammaH2AX 단백질을 측정하는 방

법이다. gammaH2AX 단백질은 DNA 이중나선이 절단되었을

때 이를 복구하고자 절단된 부위를 회복시키는데 중요한 단백

질이다.

인산화된 Histon 단백질이 관여하는데 이를 gammaH2AX라

고 한다. 따라서 발암성이 이미 확인된 감마선 방사선, 활성산

소로 대표되는 H2O2, 세포내에 존재하는 발암유전자인 c-Myc

발암유전자의 활성화를 세포에서 유도한 후 극저주파 전자계

와 병용 처리하여 이러한 발암성의 변화를 위의 4가지 방법으

로 관찰하였다. 극저주파 전자계의 강도는 2010년 국제방사선

방호위원회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Radiation Protection,

IARC)에서 제시한 일반인 노출한도 200마이크로테슬라 (uT)의

10배, 직업인 노출한도인 1밀리테슬라의 2배에 해당하는 2밀리

테슬라까지 노출하였다.

Page 21: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21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그림 1. 발암물질에 의한 세포변이 (Transformation)의 관찰

그림 2. 발암물질에 의한 소핵 (Micronuclei)의 관찰

그림 3. 발암물질에 의한 유전자손상 (Comet tail) 형성의 관찰

그림 4. 발암물질에 의한 gammaH2AX의 발현 관찰

Ⅱ. 본 론

1. 발암물질과 극저주파 전자계 병용처리에 의한 세포변이에 미치는 영향

발암물질등에 의해 세포의 돌연변이등이 유발되면 정상세포가

암화세포로 변이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세포변이 (Transformation)

이라한다. 방사선 (Ionizing Radiation) 및 대표적인 활성산소로

알려진 H2O2, 세포내에 암유전자로 알려진 c-Myc 유전자가

이러한 세포변이를 유도함은 잘 알려져 있으나 극저주파 전자

계의 영향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고 더구나 발암인자들과의 병

용처리에 의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정상세포는 접촉

(Anchorage)이 있어야만 성장이 되는 Anchorage dependent

growth룰 나타내는데 비해 변이된 세포는 접촉이 없어도 성장

을 지속하는 Anchorage independent growth 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변이된 세포는 이러한 Anchorage independent

growth를 하게 되어 세미아가로즈 젤에 키웠을 때 정상세포와

는 달리 군집 (Colony)을 형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H2O2 또는 c-Myc 암유전자의 활성화에 의해 마우스섬유화세

포 (NIH3T3 세포)에 세포사를 유도하지 않은 특정 농도에서 이

러한 세포변이를 유도하여 군락을 형성시켰다. 하지만 1밀리세

슬라의 극저주파 전자계 단독은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지 않았

다. 또한 극저주파 전자계를 발암인자인 방사선, H2O2 또는

c-Myc 암유전자와 병용하여 노출하였을 때에도 발암인자들

이 유도한 세포변이의 강도에 변화를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1밀리세슬라 극저주파 전자계는 특정

마우스섬유화세포에서 단독으로도 세포변이를 유도하지 않았

고 방사선, H2O2 또는 c-Myc 암유전자의 활성화에 의해 유도

된 세포변이의 정도를 변화시키지 않음을 확인하였다.1

Page 22: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3. 발암물질과 병용처리에 의한 극저주파 전자계의 세포발암성 연구

3. 발

암물

질과

병용

처리

에 의

한 극

저주

파 전

자계

의 세

포발

암성

연구

22EMF Newsletter Vol.19

2. 발암물질과 극저주파 전자계 병용처리에 의한 소핵 형성에 미치는 영향

방사선 및 활성산소등에 의해 DNA 손상을 유도한 경우 손

상이 큰 경우 염색체까지 절단되어 소핵 (Micronuclei)이 형성

됨이 잘 알려져 있다. 소핵의 형성은 유전자손상의 전형적인 형

태로 향후 암생성과 관련됨이 이미 임증 된 바 있다. 극저주파

전자계의 경우 단독 처리에 의해 소핵이 형성된다는 과학적 근

거가 현재로서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두 번째 연구로 방사

선, 활성산호, 암유전자의 활성화가 있는 조건에서 이러한 발암

인자들에 의해 유도된 소핵형성에 극저주파 전자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였다.

이번에는 마우스섬유화세포 (NIH3T3) 세포외에 인간폐섬유

화세포 (WI38)를 추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세포에 특정 농

도의 방사선 또는 H2O2를 처리하거나 c-Myc 암유전자 활성

화를 유도하였다. 이러한 인자들은 세포 염색체의 절단을 유도

하여 소핵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극저주파 전자계 1밀리테슬라의 경우 이러한 소핵증가현상

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방사선, H2O2 또는 암유전자 활성화

에 의해 유도된 소핵의 증가가 극저주파 전자계 1밀리테슬라의

병용처리에 의해 더 증가되는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1밀리테슬라 극저주파 전자계는 특정 마우스섬유화세포 및 인

간폐섬유화세포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단독으로도 소핵형성

을 유도하지 않았고 방사선, H2O2 또는 c-Myc 암유전자의 활

성화에 의해 유도된 소핵형성의 정도를 변화시키지 않음을 확

인하였다.2

3. 발암물질과 극저주파 전자계 병용처리에 의한 유전자손상에 미치는 영향

상대적으로 유전자손상이 큰 경우 측정 가능한 소핵형성에

극저주파 전자계가 영향을 미치지 않았기 때문에 좀 더 작은

유전자손상을 관찰할 수 있는 Comet tail 측정법을 시행하였다.

Comet tail은 DNA 이중나선의 손상으로 DNA 작은 조각들이

생기고 이러한 조각들을 알칼리조건에서 전기적 힘에 의해 분

리하면 혜성의 꼬리 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지칭한다. 소핵

의 형성이 회복 불가능한데에 비해 Comet tail은 세포의 여건에

따라 회복가능하다.

하지만 Comet tail이 생겼다는 것은 유전자 손상이 있었다는

것이므로 회복의 유무를 떠나 손상이 있는지에 대한 마커로 사

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세포변이실험이나 소핵형성실험에서

보다 더 많은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기존에 사용했던 마우스섬

유화세포 (NIH3T3) 및 인간폐섬유화세포 (WI38)를 포함하여 인

간폐상피세포 (L312) 및 인간유방상피세포 (MCF10A)를 보완하

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마찬가지고 방사선, H2O2 및 c-Myc 발

암물질 활성화는 Comet tail의 생성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극저

주파 전자계 1밀리테슬라의 병용처리는 이러한 발암인자에 의

해 생성된 Comet tail의 더 이상의 증가를 유도하지 않았다.

따라서 1밀리테슬라 극저주파 전자계는 특정마우스섬유화세

포 및 인간폐섬유화세포, 인간폐상피세포, 인간유방상피세포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단독으로도 Comet tail 형성에 영향을 주

지 않을 뿐 아니라 방사선, H2O2 또는 c-Myc 암유전자의 활성

화에 의해 유도된 Comet tail 형성의 정도를 변화시키지도 않았

음을 확인하였다.3

Page 23: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23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4. 발암물질과 극저주파 전자계 병용처리에 의한 유전자손상회복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세포변이실험, 소핵형성실험, Comet tail 형성실험에서 1밀리

테슬라 극저주파 전자계 단독처리 또는 방사선, H2O2, c-Myc

암유전자 활성화에 병용 처리하였을 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

다. 따라서 현재 수행되고 있는 방법 중 유전자손상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가장 민감성이 크다고 알려진 유전자손상회복단백

질 (gammaH2AX)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gammaH2AX는 인산

화된 histonH2AX를 지칭하는 것으로 DNA 이중가닥에 손상이

생기면 이중가닥에 붙어서 절단된 이중가닥을 수선하는 기능

을 한다.

이러한 수선을 위해서는 이 단백질의 인산화 (Phosphorylation)

이 중요하고 인산화된 gammaH2AX가 절단된 DNA 이중나선

에 붙어있으면 세포에서 형광이 붙어있는 항체를 사용하여 foci

형태로 형광현미경으로 측정이 가능하다. 즉 histonH2AX의 인

산화정도와 세포 핵내의 foci 형성능 정도가 DNA 손상의 회복

(또는 유전자 손상능)을 측정하는 마커로 사용 가능하다. 이를

위해 인간폐상피세포 (L132)세포 및 인간폐섬유화세포 (WI38)세

포를 사용하였고 일정양의 방사선 또는 H2O2를 병용처리 또는

극저주파 전자계 단독 처리등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1밀리테슬

라의 극저주파 전자계 단독은 gammaH2AX의및 foci 형성에 영

향을 주지 않았고 일정양의 방사선 또는 H2O2에 의해 유도된

gammaH2AX 및 foci 형성에도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하지만 2

밀리테슬라의 극저주파 전자계는 gammaH2AX를 유도하였고

foci형성에도 증가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방사선 또는 H2O2

와 병용 처리하였을 때 방사선에 의한 gammaH2AX 및 foci형

성을 증진시킴을 확인하였으나 이러한 효과는 H2O2와 병용처

리 하였을 때에는 관찰되지 않았다.

극저주파 전자계와 방사선 또는 H2O2 처리에 의한 병용효

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은 H2O2와 방사선의 gammaH2AX

의 발현기전 차이에서 오는 것으로 파악되는데 방사선의 경우

직접적으로 DNA 이중나선을 절단하는 작용이 있어 극저주파

전자계가 이러한 작용을 상승적으로 효능을 미치는 것으로 추

축되며 이러한 현상은 극저주파 전자계의 2밀리테슬라 이상의

강도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이러한 차이에 규명은

좀 더 다양한 연구에 의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4

Ⅲ. 결 론

본 연구는 2007년도 WHO에서 제시한 Agenda에 근거하여

다양한 발암인자 (방사선, 활성산소 및 암유전자의 활성화)와

극저주파 전자계를 병용 처리하였을 때 세포에서 측정 가능한

발암성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극저주파 전자계의 공동발암성

유무를 확인하였다. 이미 다양한 논문에서 아주 강한 강도가 아

닌 조건에서 극저주파 전자계 단독으로는 영향이 없을 가능성

이 많다고 제시하였고 WHO에서도 이러한 단독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2007년도에 극저주파 전자계 단독으로의 연구보

다는 다른 환경성 발암인자와의 병용처리시의 영향에 대한 연

구에 우선순위를 권고한바 있다.

본 연구에서도 발암물질로 알려진 방사선, 활성산소, 생체내

암유전자의 활성화와 유사한 조건등에 의한 세포 발암성을

ELF 전자계가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다양한 방법 (세포

변이, 소핵형성능, Comet tail 형성능, gammaH2AX 생성능)으

로 관찰하였다.

Page 24: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3. 발암물질과 병용처리에 의한 극저주파 전자계의 세포발암성 연구

3. 발

암물

질과

병용

처리

에 의

한 극

저주

파 전

자계

의 세

포발

암성

연구

24EMF Newsletter Vol.19

그 결과 1밀리테슬라의 극저주파 전자계에서는 어떠한 영향

을 주지 않았지만 2밀리테슬라의 강도에서는 gammaH2AX 발

현능을 유도하였고 또한 방사선에 의한 gammaH2AX의 생성

능을 더 촉진함을 관찰하였다.

2밀리테슬라의 ELF 전자계는 오직 gammaH2AX 발현능만

을 관찰했으므로 이 강도에서 세포변이, 소핵형성능, Comet tail

생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gammaH2AX 발현능은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민감한 유전

자손상 측정법이다. 따라서 향후 이에 대한 좀 더 보강된 연구

결과가 더해진다면 극저주파 전자계의 단독 또는 다른 발암물

질과의 병용에 의한 발암성에 대한 구체적 결과가 확보될 것이

며 극저주파 전자계의 소아백혈병을 비롯한 발암성을 결정하

는데 중요한 자료로 제시될 것이라 확신한다.

[참 고 문 헌]

1. Lee HJ, Jin YB, Lee JS, Choi JI, Lee JW, Myung SH, Lee YS: Combined Effects of 60-Hz Electromagnetic Field Exposure with Various Stress Factors on Cellular Transformation in NIH3T3 cells. Bioelectromagnetics, 33: 207-214, 2012

2. Jin YB, Kang GY, Lee JS, Choi JI, Lee JW, Hong SC, Myung SH, Lee YS: Effects on micronuclei formation of 60 Hz electromagnetic field exposure with ionizing radiation, hydrogen peroxide, or c-Myc overexpression. Int J Radiat Biol, 88:374-380, 2012.

3. Jin YB, Choi SH, Lee JS, Kim JK, Lee JW, Hong SC, Myung SH, Lee YS: Absence of DNA damage after 60-Hz electromagnetic field exposure combined with ionizing radiation, hydrogen peroxide, or c-Myc overexpression. Radaiat Environ Biophys 53: 93:101, 2014

4. Yoon HE, Lee JS, Myung SH, Lee YS: Increased gamma-H2AX by 60-Hz electromagnetic field exposure in combination with ionizing radiation, but not with hydrogen peroxide, in non-tumorigenic human cell lines. Int J Radiat Biol, 90(4): 291–298, 2014

Page 25: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25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충북대학교_김 남 교수

전자파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 및 이슈

Page 26: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4. 전자파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 및 이슈

4. 전

자파

에 대

한 최

근 연

구동

향 및

이슈

26EMF Newsletter Vol.19

1. 서론

현대 생활에서 전파는 사람과 사람을 잇는 매우 중요한 매개

체이다. 과거 특정 정보를 습득하거나 공유하기 위해서는 TV,

라디오 등의 방송이나 신문, 잡지 등의 매스컴을 통하여 단방향

정보 전달이 이루어졌다면, 현대 사회는 인터넷과 무선통신 기

반을 기반으로 양방향 정보 전달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에

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을 사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

지 않고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수많은 전자기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전파를 사용하는 다양한 무선기기도 개발되

고 있다. 전자기기, 무선기기 등의 개발로 인하여 전파 환경은

매우 복잡해 졌으며, 과거에 비해 전자파에 노출되는 시간과 양

이 많아졌다. 이러한 전자파로 인하여 인체 위해성 문제가 불거

졌고, 국제적으로 무분별한 전파사용과 전자파에 대해 기준을

정립하여 관리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현재까지도 전자파의

인체 위해성에 대해서는 큰 이슈가 되고 있으며, 전자파의 생체

영향에 대한 메커니즘을 찾기 위해 다각도로 연구하고 있다.

본 기고에서는 국내에서 수행되고 있는 전자파 관련된 연구

의 질적 향상과 새로운 연구 내용 발굴을 위하여 RF와 ELF 대

역의 전자파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과 이슈를 정리하고자 한다.

국제적으로 주목받는 연구 결과 및 국가별 정책사항 등에 대해

중요한 메시지를 포함하는 내용을 정리하여 제시할 것이며, 이

러한 내용을 토대로 국내에서 향후 진행할 연구 방향, 정책 결

정 등에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2. 병원의 전자파 간섭 발생 연구

2014년 6월 Gutierrez 박사팀은 Journal of Electromagnetic

Analysis and Application에 병원 환경에서 전자파 적합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논문에 따르면, 아르헨티나, 콜

롬비아, 스페인의 병원에서 전자파 기준의 필요성을 논증하기

위하여 해당 국가의 연구원들은 55개의 병원 내 의료기기 간의

간섭과 3개의 병원에서 전자파 강도를 조사하였다. 조사는 선

정된 병원의 직원들에게 과거 전자파 적합성의 연구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지, 병원 직원들이 전자파 적합성 문제를 잘 알고

있는지, 장치의 방사 레벨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는지, 장치의

내성 레벨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는지, RF 신호로부터 격리해

야 하는 장소를 파악하고 있는지, 해당 장소에서 선로 여과기를

설치했는지, 간섭으로 인하여 의료기기가 손상을 입거나 파손

된 경험이 있는지, 알 수 없는 이유로 인하여 의료기기가 손상

을 입거나 파손된 경험이 있는지, 여과 또는 절연을 필요로 하

는 장비 또는 컴퓨터 손상에 직면한 경험이 있는지에 대해 질

문하였다.

그림 1. 진료실 내 측정 위치 및 측정 모습

표 1. 병원 별 진료실 개수

Page 27: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27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먼저 ELF와 RF 전자파 측정이 3개 병원(콜롬비아의 부에노

스아이레스 병원과 산자비어 병원, 스페인의 아스투리아스 왕

립 병원)에서 실시되었다. 휴대용 스펙트럼 분석기를 사용하였

으며, 각각의 장소에서 분석기는 진료실 내의 중심에 위치시키

고 800 MHz부터 5.5 GHz까지 주파수를 변화시켜 안테나의 수

평 및 수평편파에 대해 측정하였다. 측정 안테나는 바닥으로부

터 1 m 높이에 위치시켰다. 측정은 콜롬비아의 부에노스아이레

스 병원에서 52개, 산자비어 병원에서 69개, 스페인 아스투리아

스 왕립 병원에서 30개의 진료실에서 실시하였다. 진료실은 컨

설팅룸, 입원실, 산부인과실, 치과실, 임상병리실, 응급치료실,

X-ray실, 방사선실, 근전도검사실 등을 포함한다. 측정은 국제

문서인 IEC60601-1-2(의료기기 EMC)에서 제시한 내용을 따라

실시하고, 측정 결과는 해당 문서에서 제시한 기준과 비교·분

석하였다.

논문에서의 결과 분석에 따르면, 거의 모든 병원에서 전자파

적합성과 관련된 내용을 정확히 인지하고 있지 못하였다. 스페

인 병원의 81%, 아르헨티나 병원의 89%는 전자파 적합성과 관

련된 연구가 전혀 없었으며, 두 국가 병원의 60% 이상이 정보

에 대해 잘 아는 직원을 보유하고 있지 않거나, 기기의 방사레

벨 및 내성레벨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알지 못하였다. 또한, 간

섭으로 인하여 의료기기의 고장이나 오작동의 경험이 있는 경

우가 28~38%였고, 설명할 수 없는 고장이나 오작동을 경험한

경우가 63~64%였다고 보고하였다. 스페인 병원의 38%와 아

르헨티나 병원의 4%만 RF 전자파로부터 격리된 장소를 보유

하고 있었다. 저자는 ‘병원 직원들은 전자파 간섭으로 인해 문

제가 발생되었다고 하더라도 상황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다.

이 문제는 중요 장치 및 생명유지 장치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문제를 피하기 위한 측정이나 방법의 개발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라고 언급하였다. 측정을 실시한 3개 병원의 모든 부서에

서 RF 레벨은 IEC 표준 이하였지만, 특정 병원에서는 매우 유

사한 값이 나오기도 하였다. 각각의 병원에서 최대 측정 레벨은

93.9 dBμV/m(부에노스아이레스 병원 응급실), 90.57 dBμV/

m(산자비어 병원 치료실), 121.14 dBμV/m(아스투리아스 왕립 병

원 응급실)으로 나타났다. 저자는 병원 환경에서 전자파 적합성

에 대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한 표준을 제정해야 하며, 이에 대

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결론을 내렸다.

그림 2. 부에노스아이레스 병원의 저주파 대역 측정 결과 (점선은 IEC 표준 기준)

그림 3. 부에노스 아이레 병원의 고주파 대역 측정 결과(점선은 IEC 표준 기준)

Page 28: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4. 전자파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 및 이슈

4. 전

자파

에 대

한 최

근 연

구동

향 및

이슈

28EMF Newsletter Vol.19

그림 4. 산자비어 병원의 저주파 대역 측정 결과(점선은 IEC 표준 기준)

그림 5. 산자비어 병원의 고주파 대역 측정 결과(점선은 IEC 표준 기준)

그림 6. 아스투리아스 왕립 병원의 저주파 대역 측정 결과(점선은 IEC 표준 기준)

그림 7. 아스투리아스 왕립 병원의 고주파 대역 측정 결과(점선은 IEC 표준 기준)

3. RF 노출의 시간적 변화 연구

RF 전자파 노출의 시간 변화에 따른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

여 벨기에 Ghent 대학의 Leen Verloock 박사팀은 아이들이

시간을 보내는 학교와 가정에서 24시간 동안 전자파 노출량을

측정하였다. 연구자들은 다섯 학교와 Wi-Fi를 사용하고 있는

다섯 가구를 선택하였다. 각각의 장소에서 광대역 프로브를 사

용하여 최대값이 확인되는 지점을 찾았다. 측정 장비는 해당 지

점 또는 해당 지점 근처로 설치하였으며, 등방성 안테나(80

MHz ~ 3 GHz의 주파수 대역에서 1 ~ 100 V/m 측정, 2 GHz

~ 6 GHz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2.5 mV/m ~ 200 V/m 측정)와

스펙트럼 분석기(9 kHz ~ 6 GHz 측정)를 사용하였다. 협대역

측정은 LTE 신호 등 모든 중요한 신호를 측정하였으며, 불확도

는 ±3 dB였다. 논문에서 언급한 용어 중 Emax는 최대 측정 전

기장이며, ER은 노출 계수, DR은 다이내믹 레인지를 나타낸다.

Page 29: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29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표 2. 학교 및 가정에서 다른 신호 형태에 대한 최대 측정 전기장(Emax), 노출 계수(ER), DRE,max와 DRE,99의 평균치, 순간 측정치(Emom)의 표준 편차(σE)

표 3. 시간대별 DRE,max, DRE,99의 평균치와 표준편차

표 4. 전파 환경에 대한 Wi-Fi 사용율과 시간대별 DRE,max, DRE,99의 평균치와 표준편차

모든 위치별 평균치에서 가장 큰 최대 변화는 DECT 신호

(10.6 dB)와 2.4 GHz Wi-Fi 신호(12.7 dB)에서 나타났다. 이에 비

해, 방송과 이동통신 신호는 최대 변화가 2.9 dB와 3.3 dB로 나

타났다. 또한, 내부 신호는 가장 큰 변화가 실내에서 나타났으

며, 공간 평가 및 노출 가이드라인과 비교하여 가장 중요한 사

항이다. 방송, 이동통신, DECT, Wi-Fi 신호에 대한 DRE,99는 각

각 2.3, 2.6, 8.7, 8.5 dB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의 값이

사람이 더 많고(,) 많은 노출원을 사용하는 학교보다 낮았다.

DECT와 외부 노출원은 학교의 낮 시간에 가장 컸으며, Wi-Fi

의 변화는 저녁에 가장 컸다. Wi-Fi 사용률은 학교의 낮 시간에

가장 높았다. 모든 측정 결과는 ICNIRP 제한치 이내를 만족하

였으며, DECT에서 측정한 최대치는 제한치(3.1 V/m)의 5.2 %

수준이었다.

4. 유럽 3개국의 고전압 전력선 신뢰성 연구

유럽의 노르웨이, 스웨덴, 영국에서 5107명의 성인을 대상으

로 고전압 전력선에 대한 의견을 묻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2011년 11월부터 2012년 3월까지 노르웨이 60,000명, 스웨덴

55,000명, 영국 350,000명의 소비자 패널을 대상으로 웹을 통

해 실시하였으며, 응답자는 총 5107명으로 노르웨이 1972명, 스

웨덴 1616명, 영국 1519명으로 집계되었다. 설문 조사에 참여한

남녀 비율은 반반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3세로 통계되었다. 질

문 내용은 총 9개 항목으로 다음과 같다.

① In general, I accept overhead power lines.

② I am in favor of overhead power lines.

③ To what extent would you accept the construction of a

new high-voltage power line near your community?

④ To what extent would you support the building of a

new high-voltage overhead power line in the area

near to where you live?

⑤ How familiar are you with the electricity power line

system?

⑥ How familiar are you with the organization (Statnett SF/

Svenska Kraftnat/National Grid)?

⑦ To what extent do you think local residents are

involved in decision making about new power lines?

⑧ To what extent do you think (Statnett SF/Svenska

Kraftnat/National Grid) is involved in decision making

about new power lines?

⑨ How much trust do you have in (Statnett SF/Svenska

Kraftnat/National Grid)?

Page 30: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4. 전자파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 및 이슈

4. 전

자파

에 대

한 최

근 연

구동

향 및

이슈

30EMF Newsletter Vol.19

표 5. 영국, 노르웨이, 스웨덴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피어스 상관계수 행렬 기본 변수

1~4번 질문에 대한 결론은 대중의 수용(public acceptance)은

항상 대중의 지지(public support)보다 상당히 높으며, 지역적 수

용(local acceptance)은 항상 일반적 수용(general acceptance)

보다 상당히 낮다고 분석되었다. 또한, 영국 국민은 고전압 전

력선(HVPL)에 대해 시종일관 다소 긍정적이었으며, 노르웨이

나 스웨덴과는 다른 형태의 응답이 참작되었다. 영국과 다른 2

개국 간의 차이는 '전송선 건설 결정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이루

어지며, 인구 밀도는 높아지고, 자연 보호 협회는 더욱 활동적

이다'라는 영국의 현실을 반영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5, 6, 9번 질문에 대한 결론은 친밀도와 신뢰성에 대한 질문으

로 친밀도는 전력시스템과 전송시스템 운영자 모두 낮았으며,

신뢰성은 영국에서는 평균 이하였으며, 스웨덴은 상당히 낮고,

노르웨이에서는 다소 높은 결과를 보였다. 7, 8번 질문에 대한

결론은 모든 국가에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지역 주민은 의사

결정(decision-making)에서 그다지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으며, 모든 국가에서 사람들은 전송시스템 운영자

의 의견이 의사결정 단계에서 많이 포함된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었다고 결론 내렸다.

5. RF 전자파에 어린이 노출 연구 결과

슬로베니아의 연구팀이 17세 이하 21명의 어린이에 대한 RF

와 ELF 전자파 노출을 규명하기 위한 개인 노출측정을 실시하

였다. Blaz Valic과 INIR(Institute of Non-Ionizing Radiation) 및

류블자냐 대학의 다른 연구원들은 GSM 기지국에서 0.09 V/m,

Wi-Fi에서 0.10 V/m의 평균 RF 노출 측정 결과를 도출하였다.

측정 방법은 21명의 자원자(남성 16명, 여성 5명, 평균 연령 12세,

5~17세 사이)를 일간지와 웹사이트를 통하여 선정하였으며, 자

원자는 ELF 측정기(3명), RF 측정기(5명) 또는 두 가지 측정기

모두(13명)를 휴대하도록 하였다. RF 측정기는 거의 총 1100시간

동안 착용하였으며, 연구는 2010년 2월부터 2011년 3월까지 진

행하였다.

RF 측정에서는 실험 참여자가 측정 범위 0.05 ~ 5 V/m를

갖는 다중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Antenessa EME SPY 120

측정기를 착용하였다. 노출량이 검출 제한 이하일 때 0.05 V/m

의 값을 보였다. 측정에서 인체 영향을 계산하기 위하여 Bolte

박사가 개발한 보정계수를 사용하였다. 보정계수는 FM에 대해

1.0, GSM에 대해 1.3, UMTS에 대해 1.1, Wi-Fi에 대해 1.6을 갖는

다. DECT에 대한 계수가 없기 때문에 저자는 이 주파수에서 1.6

의 보정계수를 사용하였다. 휴대전화에 대한 노출은 본 연구에

서 평가되지 않았다. Roosli 박사가 제안한 프로토콜에 따르면

실험 참여자는 어린이들을 위해 충분히 쉽게 만들어진 일일 시

간별 활동 내역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실험 참여자는 가정, 직

장/학교, 교통수단, 수면 중 등을 선택하고 도심 환경인지 시골

환경인지 선택하도록 하였다. 저자는 그 결과를 ICNIRP 기준

레벨( reference level)과 비교하였으며, SEMCAD X 소프트웨

어에서 사용하는 Virtual Family로부터 어린이 모델(Billie)을 선

정하여 SAR를 계산하여 ICNIRP 기본 제한(basic restriction)과

Page 31: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31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결과를 비교하였다.

평균 RF 노출은 ICNIRP 기준 레벨과 비교하여 매우 낮았으

며, 최대값은 DECT(유럽형 무선 전화)에 대해 측정기의 최대

검출값(5 V/m) 이상이었다. 이 장비는 인체에 근접하여 착용하

였고, 생활 공간에 설치된 장비(Wi-Fi, 2.47 V/m)보다 훨씬 높

았다. 그리고 기지국에 대해서는 라디오(0.68 V/m) 및 TV 방송

국(<0.3 V/m)보다 훨씬 낮았다. 평균 노출값은 GSM 기지국,

DECT 시스템, Wi-Fi에 대한 낮은 검출 제한치보다 약간 높았

다. 최근에는 DECT 전화기와 Wi-Fi를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

며, 이렇게 널리 사용되는 노출원이 어떠한 어린이 노출에 대한

분석에서라도 간과되지 않아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RF 측정기

를 착용한 18명의 참가자는 최대 노출에서 매우 변하는 것을 보

여주었으나 평균 노출보다는 작았다. 최대 노출과 평균 노출 간

의 상관관계는 찾을 수 없었다.

그림 8. ELF 자계에서 최대 평균 노출을 보인 참가자의 일일 노출

표 6. RF 측정기를 착용한 모든 18명의 참가자에 대한 측정 결과

그림 9. 아파트 지하에 설치된 변압기의 개략도(좌)와 변압기 위의 아파트에서 계산된 자속밀도(우).

표 7. 다른 노출에 대한 전신 평균 SAR 값

SAR 계산에 대해서는 저자는 보정계수를 포함하여 GSM 기

지국에 대해서 0.09 V/m, DECT에 대해서는 0.11 V/m, Wi-Fi에

대해서는 0.10 V/m의 일반 노출값을 추정하였다. 최악의 상황

에 대한 조건은 한명의 참가자에 대해 가장 높은 평균 측정값

(DECT 0.38 V/m, Wi-Fi 0.13 V/m)을 적용하고, 다른 참가자로

부터 가장 높은 GSM 값(0.26 V/m)을 적용하는 것이다. 계산은

3개의 주파수와 3개의 다른 입사 방향에 대해 수행하였다. 계

산 결과, 전신 평균 SAR 값은 일반 노출과 최악의 노출 모두에

서 ICNIRP 기본 제한과 비교하여 매우 낮았다. 일반 노출에서

어린이 참가자의 평균 노출은 기본 제한의 0.001% 미만이었으

며, 최악의 상황에서는 0.007 % 미만이었다. 유사하게 10 g 평균

Page 32: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4. 전자파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 및 이슈

4. 전

자파

에 대

한 최

근 연

구동

향 및

이슈

32EMF Newsletter Vol.19

SAR 값에 대한 결과는 ICNIRP 기본 제한과 비교하여 매우 낮

았다. 전체 노출에 대한 기본 제한의 백분율에서 일반 노출에

대한 최대값은 0.0005% 미만이었고, 최악의 노출에 대해서는

0.003% 미만이었다.

6. 무선국에서 직업인 노출 평가

미국 국립직업안전위생연구소(NIOSH)의 건강위해평가프로

그램은 RF 전자파에 잠재적인 직업인 노출의 평가에 대하여

하와이에 있는 원자시 무선국(atomic time radio station)에 있는

건강 및 안전 관리자로부터 요청받았다. 대상 무선국은 시간 알

림, 표준 시간 간격, 표준 주파수, 지형적인 경고, 해양 폭풍 주

의, GPS 현상 보고가 이루어지며, 2.5 MHz 안테나 배열에서 5

kW 방사하고, 5, 10, 15 MHz 안테나 배열에서 10 kW를 방사한

다. 각각의 주파수는 분리된 송신기로부터 방송되고, 기상국은

45 피트 높이 탑의 꼭대기에 있으며, 모든 안테나는 무선국 건

물과 해변 사이에 있다. 측정에 사용된 기기는 9~30 MHz의

대역을 측정할 수 있는 Narda EHP-200과 섬유유리 삼각대에

설치된 등방성 프로브를 사용하였다. 모든 측정은 접지면에서

3피트(약 90 cm) 높이에서 측정되었으며, 특별한 경우에는 4

피트(120 cm) 또는 5.5피트(170 cm)에서 측정되었다. 측정은 무

선국 건물의 내부, 외부, 옥상에서 2.5, 5, 10, 15 MHz 안테나에

대한 값을 측정하고, 대부분은 거의 모든 표준에서 명시된 6분

평균 대신 30초 평균을 사용하였는데, 30초 평균을 사용한 이

유는 고정된 위치에서 전기장과 자기장이 일반적으로 일정하

기 때문이다.

측정 결과를 가장 보편화된 직업인 노출 한계와 비교하였는데,

이번 평가에서는 CGIH(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 한계 수준(action level)이 가장 보편화된 15

MHz에서의 전기장 강도를 제외하고 ICNIRP 기준 레벨을 사용

하였다. 다중 주파수를 고려하기 위하여 연구자들은 모든 주파

수에 대한 비를 더하는 대신 각각의 주파수의 기준의 제곱에

대해 각각 측정된 주파수별 강도의 제곱에 대한 비로 계산하였

다.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고하였다.

- 사무실, 무선국 건물의 송신룸의 지붕에서 측정된 전기장과

자기장 강도는 직업인 노출 한도와 한계 수준 이하였다.

- 10~15 MHz 안테나에 대한 전기장과 자기장 강도는 노출 제

한치와 한계 수준 이하였다.

- 전기장과 자기장 강도는 안테나 영역이라고 불리는 안테나

근처에서 한계 수준을 초과하였다.

- 전기장과 자기장 강도는 5, 10, 15 MHz 안테나 주위의 울타리

근처에서 노출 제한을 초과하였다.

- 자기장 강도는 기상국 철탑 중간 이상에서 노출 제한치를 초

과하였다.

-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10, 15 MHz 안테나 근처의 자기장 강

도는 노출 제한치를 초과하였다.

- 전원이 꺼져있는 주 안테나 또는 백업 안테나를 포함한 활동

동안 또는 기상국이 서비스 될 때 직업인들은 송신 안테나

근처로부터 유도되는 자기장에 기준을 초과하여 노출될 수

있다.

연구원들은 무선국에 근무하는 4명의 근로자와 인터뷰를 하

였으며, 그들이 거의 모든 시간을 무선국 건물에서 보낸다는 것

을 확인하였다. 근로자들이 일상적인 생활에서 청소, 보수, 안

테나 페인트칠, 기상국 유지보수, 안테나 영역에서의 풀베기를

포함하여 특별한 행동은 노출을 초과할 수 있다. 근로자들이 안

테나 근처에서 일할 때 전원은 꺼져있고 백업 안테나는 송신을

Page 33: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33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유지하기 위하여 켜져 있다. 하지만 연구원들은 안테나의 전원

이 껴져 있어도 자기장 강도 제한은 근처의 송신 안테나로 인

하여 초과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연구원들은 더욱 안전

한 일자리를 만들기 위하여 열 가지 권고사항을 제안하였다.

- 쉽게 이해할 수 있는 RF 안전 프로그램을 개발하라.

- 모든 연구 위치를 위해 RF 안전 계획을 개발하고 감독하기

위한 프로그램 RF 안전 관리인을 임명하라.

- 제한치 근처 또는 이상인 필드 강도를 만들어 내는 잠재성을

갖고 있는 RF 노출원의 목록 작성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라.

- 한계 수준 또는 제한치가 초과하는 지역에서는 IEEE 가이드

라인을 따라라.

- 근로자가 기상국에서의 EMF 노출을 감소킬 때 대기 중인 5

MHz 안테나는 꺼야 한다.

- 근로자가 전원이 꺼진 안테나 근처에서 일할 때 유도되는 전

자기장 강도를 줄이기 위하여 제어 측정 등으로 송신 안테나

전력 감소의 영향을 확인한다.

- 근로자가 기상국을 정비할 때 유도되는 전자기장 강도를 감

소시키기 위해 제어 측정 등으로 버켓 리프트나 시저 리프트

사용의 영향을 확인한다.

- 정기적으로 RF 안전 인식 교육을 제공한다.

- 가능성 있는 RF 초과노출 사고를 포함한 사건 보고 시스템을

변경한다.

- RF 안전 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검사한다.

7. 스웨덴 방사보호협회의 EMF와 건강에 대한 보고서

스웨덴 방사보호협회(Swedish Radiation Safety Authority)

의 지시로 Sweden's Scientific Council on EMF에서 EMF와 건

강에 대한 9차 보고서를 2014년 3월에 발간하였다. 보고서는

2013년 9월에 발표된 연구의 결과를 포함하여 발간하였으며,

보고서 내용에 따르면 역학연구에서 극저주파 자계(전력선 등)

와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소아 백혈병(childhood leukemia)의

위험성이 약간 증가함을 보였다. ELF MF로 인하여 양성 림프

구 백혈병(acute lymphoblastic leukemia)의 잠재적인 위험성

이 증가한다고 발표하였으나, 다른 환경적인 요건에 의한 영향

으로 연관관계를 설명하기에는 부족하였다. 직업인 연구에서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발표된 알츠하이머병과 루게릭병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에 대해서는 전기적인 쇼

크가 자계보다 루게릭병으로 발전된다는 것은 명확하지 않다

고 언급하고, 여전히 ELF MF 노출이 두 병의 원인이 된다는 것

을 해결하지 못하였다고 발표하였다.

그림 10. 스웨덴 방사보호협회에서 발간한 보고서 표지

Page 34: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4. 전자파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 및 이슈

4. 전

자파

에 대

한 최

근 연

구동

향 및

이슈

34EMF Newsletter Vol.19

8. 결론

본 기고문에서는 최신 연구 동향을 비롯하여, 정책 동향 등

을 살펴보았다. 최근에 발표된 연구동향을 정리하고, 이를 통해

국제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연구 주제는 무엇인지, 어느 정도

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향후 국내의 연구진

들이 수행할 연구 방향이나 주요한 이슈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기고에서 살펴본 6가지 주제는 전자파의 생체영향을

비롯하여 전자파 적합성에 대한 것으로 병원 내의 전자파 레벨

의 규정에 대해서는 국내에서도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이

다. 특히 전자기기의 사용으로 인해 병원 내 의료기기에 대한

간섭이 기존의 이슈였다면, 현재는 다양한 기능을 내장하고 있

는 의료기기 간의 전자파 간섭으로 인하여 오동작이나 기기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환자의 생명과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연구 분야로 분류되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의료기기 간

의 전자파 영향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구체

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RF 노출의 시간적 변화에 대한 연구는

기존 RF 노출이 단기 노출에 대한 영향 연구를 주로 다루었다

면, 현재는 장기적으로 전자파에 노출될 때 어린아이들이나 어

른들, 또는 직업인에게 어떠한 생리적 변화를 보이는지, 얼마만

큼의 양에 노출이 되는지 등을 파악하여 역학적으로 조사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유럽의 일부 국가에서 진행한 고전압 전력

선에 대한 신뢰도에 대한 연구는 최근 국내에서도 많은 주목을

받는 연구 분야이다. 한전의 전력망 건설에 반대하는 일이 많아

지고 있으며, 이러한 원인과 문제점이 무엇인지, 실제 거주지역

주민을 비롯하여 일반 사람들의 생각은 어떠한지 파악할 수 있

는 연구이다. 이는 향후 한전 등의 기관에서 정책을 세우고 결

정하는데 매우 중요하며, 이와 유사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는 입장이다. RF 전자파의 어린이 노출에 대한 연구는 국제적

으로 진행되고 있는 Mobi-Kids 연구와 일맥상통하며, 국내에

서도 이와 유사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향후 노출원에 대한 분

석 영역을 넓혀 다양한 전자파 노출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무선국에 대한 직업인 노출 평가 연구는 현재의

규정을 재검토 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연구로 생각된다. 전자파

에 노출되어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인에 대한 기준도 재정비 될

필요가 있으며, 직업인의 경우에도 업무 이외의 생활에서는 일

반인과 동일하게 노출되기 때문에 정확한 기준 정립이 필요하

다고 본다. 국내에서도 직업인에 대한 전자파 영향 연구가 포괄

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앞으로 전자파에 대한 연구

영역을 확장하여 국내 전자파의 생체영향 연구가 글로벌 리더

가 되기를 희망한다.

[참 고 문 헌]

1. O. Gutierrez, M. Navarro, F. Saez de Adana, A. Escobar, M.E. Moncada, and C.M. Munoz, “Study of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in hospital environments,”Journal of Electromagnetic Analysis and Applications, pp. 141-155, June 2014.(online published)

2. L. Verloock, W. Joseph, F. Goeminne, L. Martens, M. Verlaek, and K. Constandt, “Temporal 24-hour assessment of radio frequency exposure in schools and homes,”Measurement, Vol 56, pp. 50-57, 2014.

3. P. Aas, P. Devine-Wright, T. Tangeland, S. Batel, A. Ruud, “Public beliefs about high-voltage powerlines in Norway, Sweden and the United Kingdom: A comparative survey,”Energy Research & Social Science, Vo. 2, pp. 30-37, June 2014.

4. B. Valic, B. Kos, and P. Gajsek, “Typical exposure of children to EMF: exposimetry and dosimetry,”Radiation Protection Dosimetry, pp. 1-11, 2014.

5. SSM’s Scientific Council on Electromagnetic Fields, 2014:16 Recent Research on EMF and Health Risk. Ninth report from SSM’s Scientific Council on Electromagnetic Fields, 2014.

6. K.D. Feldmann, K.W. Fent. “Evaluation of radiofrequency radiation exposures at an atomic time radio station,”US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port No. 2011-0097-3200, Dec. 2013.

7. M. Hours, I. Khati, J. Hamelin, “Interference between active implanted medical devices and electromagnetic field emitting devices is rare but real: Results of an incidence study in a population of physicians in France,”Pacing and Clinical Electrophysiology, Vol. 37, Iss. 3, pp. 290–296, Mar. 2014.

Page 35: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35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저주파 대역의 수치 해석적 조사량 측정법과 전기장의 영향

자동차부품연구원_박 상 욱 박사

Page 36: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5. 저주파 대역의 수치 해석적 조사량 측정법과 전기장의 영향

5. 저

주파

대역

의 수

치 해

석적

조사

량 측

정법

과 전

기장

의 영

36EMF Newsletter Vol.19

1. 연구배경

인체가 전파에 노출되었을 때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치

해석에 의한 조사량 측정법(Dosimetry)1)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

히, 저주파대역의 수치해석은 아래와 같은 가정 하에 준정적 근

사(Quasi-static approximation)에 기반을 두고 있다.

• 인체의 크기에 비하여 파장이 충분히 길다.

• 변위전류(displacement current)와 비교하여 유도전류가 지

배적이다.

• 표피 깊이(skin depth)가 충분히 깊다.

• 유도전류로부터 발생되는 2차 자기장은 무시 가능하다.

이와 같은 준정적 근사가 성립되면 전자기장을 전압과 전류

를 유일하게 정의 할 수 있으며 전자기장에 대한 해석을 회로

이론적 수법으로 쉽게 해석이 가능하다. 이러한 수법으로 개발

된 수치해석법으로는 Impedance method[1]나 SPFD(Scalar-

Potential Finite-Difference) method[2] 등이 있다. 또한, 준정적

근사를 이용하면 전기장과 자기장 문제를 각각 독립된 문제로

취급할 수 있다. 자기적 성질을 갖고 있지 않는 인체는 자기장

을 변형시키지 않으며 입사 자기장은 인체를 투과한다. 입사 자

기장에 의한 인체 내부로의 유도량2)은 Faraday 법칙으로 쉽게

평가할 수 있다. 반면에 인체는 전기적 특성을 갖고 있어 전기

장에 인체가 들어오는 경우 그 전기장에 왜곡을 일으킨다. 입사

전기장에 의한 인체 내부로의 유도량은 입사된 전기장에 의해

서 인체 표면에 대전된 전하로부터 계산이 가능하다.

이처럼, 입사 자기장에 의한 인체 내로의 유도량은 계산이

손쉬운 반면에 입사 전기장에 의한 영향은 계산이 쉽지 않다.

아울러, ‘저주파 대역에서는 인체의 복소 도전율(complex

conductivity)가 크므로 인체를 도체로 간주할 수 있고 입사 전

기장에 의한 영향은 무시 가능하다‘라는 것이 전자파 인체 영

향 분야의 통설이다.

위의 수치해석법을 이용하여 전자조리기(Induction hubs),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도난경보시스템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system), 무선전력전송시스템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등의 중간주파수대역(300

Hz ~ 10 MHz)의 자기장이 지배적인 전자기장을 발생하는 기

기에 대해서 Dosimetry가 보고되어 있다[3]-[6]. 이들 문헌에서

는 입사 자기장만을 고려하여 계산을 하고 있다. 하지만, 입사

전기장의 무시 가능여부에 관하여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저주파 및 중간주파수 대역에서 인체에 입

사되는 전기장의 영향에 관한 조사를 위해, 구 모델 내부의 유

도 전기장을 계산하였다. 우선, 준정적 근사를 이용하여 유도전

기장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정확한 해(exact solution)와 비교

하여 준정적 근사가 사용가능한 주파수범위를 검토하였다. 다

음으로, 준정적 근사를 이용하여 구 모델에 전기장과 자기장이

입사되는 경우와 자기장만 입사되는 경우에 대한 유도 전기장

을 구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1) Dosimetry는 인체 내부의 어느 부위에 얼마만큼의 전자기 에너지가 흡수되는지를

평가하는 의미로서, EMF 용어 사전에 의해 조사량 측정법으로 표기하였으나 본 보고

서에서는 실제 측정이 아닌 수치 해석적 계산에 의한 평가임을 의미함.

2) 인체로 입사되는 전기장 및 자기장에 의해 인체 내부로 유기되는 유도전기장 혹은

유도전류를 의미.

Page 37: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37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2. 이론식

z 축 방향으로 진행하는 x 편파의 평면파가 구에 입사될 때

구 내부에 유도되는 전기장의 정확한 해는 Mie 이론[7]을 이용

하여 식 (1)처럼 얻어진다.

(1)

준정적 근사가 성립하는 경우, 식 (1)은 간략화 되어 식 (2)처

럼 간단히 표현 할 수 있다[8].

(2)

여기서, 와 은 구 내부의 도전율과 상대 유전율이다.

는 각주파수, 는 진공에서의 유전율이다. 우측 수식의 첫 번

째 항은 입사 전기장에 의한 성분이며 두 번째 항은 입사 자기

장에 의한 성분이다.

3. 결과

3. 1 정확한 해와 근사해 간의 오차

근사해(수식 (2))는 주파수가 올라감에 따라 준정적 근사가

성립하지 않게 되어 정확한 해(수식 (1))와 점점 오차가 커진다.

반경이 0.1 m인 근육 조직의 전기상수를 갖는 구 모델에 평면

파가 입사하는 경우에 근사해가 사용가능한 주파수 범위를 조

사하기 위해, 1 V/m의 전기장 강도를 갖는 평면파가 구 모델에

입사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유도 전기장을 계산하였다. 구 모델

의 전기적 상수는 근육 조직의 도전율과 유전율의 2/3 값인

0.41과 103으로서 설정하였으며, 이는 Gabriel의 Cole-Cole

model로부터 도출된 수치를 이용하였다[8]. 그림 1은 주파수에

따른 정확한 해와 근사해의 상대적인 오차를 보이고 있다. 실선

은 유도 전기장의 평균값의 상대오차( )를, 점선은 최대

값의 상대오차( )를 의미한다. 상대오차는 주파수와 함

께 증가하여 25 MHz, 68 MHz, 105 MHz에서 각각 약 1%, 5%,

10%이다. 이 결과로부터 중간주파수 대역은 인체의 머리 크기

의 구 모델에 대해서는 준정적 근사가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1. 주파수에 따른 정확한 해와 근사해의 상대오차.

Page 38: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5. 저주파 대역의 수치 해석적 조사량 측정법과 전기장의 영향

5. 저

주파

대역

의 수

치 해

석적

조사

량 측

정법

과 전

기장

의 영

38EMF Newsletter Vol.19

3. 2 입사 전기장의 영향

근사 수식 (2)를 이용하여 입사 전기장과 입사 자기장 모두를

고려한 결과와 입사 자기장만을 고려한 결과를 비교함으로서

입사 전기장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림 2는 10 MHz의 평면파

가 구에 입사할 때 xz 단면의 유도 전기장 분포와 두 결과 사이

의 오차에 대한 분포를 보이고 있다.

그림 2 (a)는 입사 전기장과 입사 자기장 모두를 고려하여 얻

어진 유도 전기장의 분포이며 그림 2 (b)는 입사 자기장만을 고

려하여 얻어진 유도 전기장의 분포이다. 두 결과로부터 입사 전

기장의 고려 여부에 따라 유도 전기장의 분포가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2 (c)는 각 지점에서 (a)의 값과 (b)의 값에 대

한 상대적 차3)에 대한 분포를 보이고 있다. 이때 각 지점에서의

상대적 차이 값 중 최대값과 평균값은 각각 541%와 24%로 나

타났다. 또한, 입사 자기장과 입사 전기장 모두를 고려하여 얻

어진 유도 전기장의 최대값과 자기장만을 고려하여 얻어진 유

도 전기장의 최대값 간의 상대적 차이( )와 평균값 간의

상대적 차이( )에 대한 주파수에 따른 변화는 그림 3에 보

이고 있다. 10 MHz에서는 와 는 28%와 13%로서 주

파수가 낮아질수록 상대오차가 커져서 10 Hz에서는 와

가 각각 54.1%, 53.6%가 됨을 알 수 있다.

이제까지의 검토는 평면파(E/H가 약 377 )에 노출되는 경

우였지만, 실제의 기기 근방의 전자기장은 평면파가 아닌 경우

가 많다. 따라서 E/H 값의 변화에 따른 편차를 10 Hz, 10 kHz,

10 MHz에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그림 4에 보인다. 이 결과로

부터 와 가 모두 1%, 5%, 10% 이하가 되기 위한 E/

H의 값을 표 1에 표시하였다. 즉, 을 기준으로 할 때 1%, 5%,

10% 이하로 입사 전기장의 영향을 무시하기 위해서는 각각 E/

H의 값이 3 , 17 , 36 이하로 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표 1. 입사 전기장을 무시한 경우와의 상대적 차이가 1%, 5%, 10% 이하가 되기 위한 E/H의 값

편차 1% 5% 10%

32 73 107

3 17 36

그림 2. 구 내부의 유도 전기장 분포 (10 MHz): (a) 전기장과 자기장 모두를 고려한 경우, (b) 자기장만을 고려한 경우.

(c) (a)와 (b)의 각 지점에서의 차이에 대한 분포.

3) 상대적 차는 입사 전기장과 입사 자기장 모두를 고려하여 얻어진 구 내부의 유도

전기장의 값과 입사 자기장만을 고려하여 얻어진 구 내부의 유도 전기장의 값과의 상

대적 차이를 의미. 두 경우 모두 입사 전기장의 고려 여부와는 상관없이 수식으로 얻

어진 해이므로 오차라는 표현을 피함.

Page 39: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39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그림 3. 주파수에 따른 입사 전기장을 무시한 경우에 의한 유도 전기장의 상대적 차이.

그림 4. 입사 전기장과 입사 자기장의 비 (E/H)에 따른 상대적 차이.

3. 결론

본 보고서에서는 체내의 유도 전기장을 구할 때, 입사 전기

장을 무시함에 따라 발생하는 차이에 대해 검토하였다. 근육 조

직의 전기상수를 갖는 머리 크기의 구 모델에 자기장 및 전기

장이 입사할 경우와 자기장만 입사할 경우의 유도 전기장을 구

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먼저, 계산모델에 대해 중간주파수

대역에서 준정적인 근사가 성립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평

면파의 경우는 입사 전기장의 고려 여부에 따른 유도 전기장

값의 최대값 및 평균값의 차이가 10 MHz에서 각각 28%, 13%으

로 10 Hz에서는 각각 54.1%, 53.6%으로 나타났다. 또한, 10 MHz

까지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대적 차가 5% 이하로 떨어지기 위

해서는 E/H가 대략 17 이하로 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물

론, 본 보고서의 결과들은 수식 (2)에서 알 수 있듯이 주파수, 인

체의 크기, 인체의 전기적 특성 등에 따라 달라진다. 하지만, 준

정적 근사가 사용가능한 저주파수 대역일지라도 입사 전기장

의 영향은 입사 자기장의 영향에 대한 상대적인 것으로서 정확

한 Dosimetry를 위해서는 해석하고자 하는 영역의 E/H를 고려

하여 입사 전기장의 무시 여부를 신중히 판단할 필요가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생략한 인체의 머리 모델에 대한 결과 등의

좀 더 자세한 내용은 문헌 [9]를 참고하길 바란다.

Page 40: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5. 저주파 대역의 수치 해석적 조사량 측정법과 전기장의 영향

5. 저

주파

대역

의 수

치 해

석적

조사

량 측

정법

과 전

기장

의 영

40EMF Newsletter Vol.19

[참 고 문 헌]

[1] J. DeFord and O. P. Gandhi, “An impedance method to calculate currents induced in biological bodies exposed to quasi-stat ic electromagnetic fields,”IEEE Trans. Electromagn. Compat., vol. EMC-27, no. 3, pp. 168–173, Aug. 1985.

[2] T. W. Dawson, J. D. Moerloose, and M. A. Stuchly, “Comparison of magnetically induced ELF fields in humans computed by FDTD and scalar potential FD codes,”Appl. Comput. Electromagn. Soc. J., vol. 11, no. 3, pp. 63–71, 1996.

[3] M. Grandolfo, P. Vecchia, and O. P. Gandhi, “Magnetic Resonance Imaging: Calculation of Rates of Energy Absorption by a Human- Torso Model,”Bioelectromagnetics, vol. 11, pp.117-128, 1990.

[4] O. P. Gandhi, and J. F. De Ford, “Calculation of EM power deposition for operator exposure to RF induction heaters,”IEEE Trans. Electromagn.Compat., vol. EMC-30, pp.63-68, 1988.

[5] O. P. Gandhi, and G. Kang, “Calculation of induced current densities for humans by magnetic fields of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devices.,”Phys. Med. Biol., vol. 46, pp.2759-2771, 2001.

[6] I. Laakso, S. Tsuchida, A. Hirata, and Y. Kamimura, “Evaluation of SAR in a human body model due to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n the 10 MHz band,”Phys. Med. Biol., vol. 57, pp. 4991–5002, 2011.

[7] J. A. Stratton, Electromagnetic Theory. New York, NY, USA: McGraw-Hill, 1941.

[8] C. Gabriel and S. Gabriel, “Compilation of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body tissues at RF and microwave frequencies,”Brooks Air Force Base, Brooks City Base, TX, USA, retrieved Apr. 2006. Available: http://www.brooks.af.mil/AFRL/HED/hedr/reports/dielectric/home.html

[9] S. W. Park, K. Wake, and S. Watanabe, “Calculation errors of the electric field induced in a human body under the quasi-static approximation conditions,”IEEE Trans. Microw. Theory Techn., vol. 61, no. 5, pp. 2153–2160, May 2013.

Page 41: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41

EMF Weekly Brief (2014년 1~6월)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Page 42: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6. EMF Weekly Brief (2014년 1~6월)

6. E

MF W

eekly B

rief (2

014년

1~

6월

)

42EMF Newsletter Vol.19

출생 시 고압전력선과 거주지간의 거리 : 1962~2008년 영국에서의 소아암 위험

2014.6.24.(출처 : EMF-Portal, NCBI)키워드 : high-voltage powerline, childhood leukaemia, childhood cancer

● 연구 배경

- 연구진은 132kV 전력선뿐만 아니라 274kV 및 400kV도 고려,

전력선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을 포함하여, 스코틀랜드에서의

최근의 데이터와 스코틀랜드에서의 사례 및 대조를 포함하여

소아 백혈병과 고압전력선간의 관계에 대한 이전의 연구를 연

장함

● 연구의 방법

- 1962~2008년 사이에 소아암으로 국가에 등록된 53,515명의

어린이 및 매칭된 대조군으로 환자-대조군 연구

- 잉글랜드, 웨일즈, 스코틀랜드에서 아기를 출산할 당시의 어

머니의 주소와 132, 275, 400kV 전력선과의 거리를 계산

● 연구 결과

- 이전의 연구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600m 밖의 거리에서

백혈병 초과 위험이 감소함

- 백혈병에 대한 상대 위험도와 95% 신뢰구간 산출 결과

(1,000m와 비교하여 0~199m에서, 모든 전압에서), 1960년대

4.50(0.97~20.83), 2000년대 0.71(0.49~1.03), 전체 기간 1.12(0.90~1.38)

- 위험 증가는 덜 강하긴 하지만, 132kV의 전력선에서 존재할

수 있음

- 어떠한 전압선에서도 600m 이상의 거리에서는 위험의 증가

가 늘어나지 않음

● 결론

-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위험도가 감소하는 것은, 전력선의 물리

적 영향으로 발생하는 것 같지는 않으며, 전력선 근처에 사는

사람들 가운데 인구특성 변화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음

출처 : http://www.ncbi.nlm.nih.gov/pubmed/24504371?dopt=Abstract http://www.emf-portal.de/viewer.php?l=e&aid=25187

50Hz 전자기장의 집중 노출이 임신상태 및 신생 쥐의 운동협응능력에 주는 영향

2014.6.25(출처 : EMF-Portal)키워드 : extremely low 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 motor

coordination, balance

● 연구의 목적

- 극저주파수 자기장 노출이 임신상태 및 신생 쥐의 운동협응

능력에 주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함

※ 운동협응능력(motor coordination) : 효율적인 동작 패턴을 위해 개별 운동 시스템

을 통합하는 능력으로, 운동협응능력은 신체와 사지 중추신경과 말초신경체계 간의

지속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 나타남

● 종말점

- 인지/행동의 종말점 : 운동협응능력 및 균형

Page 43: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43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 노출

- 일반 범주 : 자기장, 50/60Hz(AC)

필드 특성 매개변수

50Hz노출 기간 : 연속적인 7일

자속 밀도 : 1mT

- 노출 시스템

•동물(종/계통) : 쥐

•몸통 전체 노출

● 노출 그룹

구분 그룹

123

출생 후 7일간 노출임신기간 중 7일간 노출

대조군

- 그룹당 7~18마리의 쥐

- 운동협응능력 실험은 출생 후 12~13주의 시기에 수행됨

● 방법

- 종말점/측정 파라미터/방법

•인지/행동의 종말점 : 운동협응능력 및 균형(주어진 속도

로 회전하는 쳇바퀴에서 떨어질 때까지의 시간 측정(rotarod

performance test))

- 살아있는 기관 조사

- 조사 시기 : 노출 후

● 연구의 주요 결과

- 출생 뒤 노출된 그룹은 대조군 그룹에 비하여 운동협응능력

이 현저하게 약화되었으나,

- 임신기간 중 노출된 그룹과 대조군 그룹과는 현저한 차이는

없었음

출처 : http://www.emf-portal.de/viewer.php?l=e&aid=23014

전자기장에 노출 된 쥐에서 세르톨리 세포의 세포사멸 및 혈청 산화 억제 수준에 대한 로스마리산의 영향

2014.6.18.(출처 : EMF-Portal)키워드 : rosmarinic acid, sertoli cells, electromagnetic field exposure,

apoptosis, antioxidant

● 연구의 목적

- 전자기장 노출과 로즈마리산 투여가 세르톨리 세포에 미치

는 영향을 연구

● 배경 / 추가 정보

40마리의 쥐를 4그룹 (각 그룹 N = 10)으로 나눔

1. 대조군

2. 로즈마리산 투여 그룹(6주 동안 매일 쥐 한 마리 당 5㎎)

3. 전자기장 노출 그룹

4. 전자기장 노출 + 로즈마리산 투여 그룹

● 연구의 종말점

- 생식 시스템에 영향 : 세르톨리 세포에 영향

Page 44: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6. EMF Weekly Brief (2014년 1~6월)

6. E

MF W

eekly B

rief (2

014년

1~

6월

)

44EMF Newsletter Vol.19

● 노출

- 일반 범주 : 자기장, 50/60Hz(AC)

필드 특성 매개변수

50Hz노출 기간 : 42일간 (6주간)

자속 밀도 : 8mT

- 노출 시스템 :

•동물(종/계통) : 쥐/위스터종(Wistar)

•전신 노출

● 연구 방법

- 종말점/측정 파라미터/방법

• 생식 기관에 대한 영향, 세르톨리 세포에 대한 영향, 세포

사멸(TUNEL 분석) : 고환 무게

•내분비 변화, 테스토스테론 수준(방사선 면역 측정법)

• 기타 : 산화 스트레스, 항산화 능력(상용 kit), 말론디알데히

드 수준

- 조사 물질 : 조직 슬라이드(시험관), 분리된 장기(시험관), 혈액

샘플

- 조사 기관 : 생식기관

- 조사 시기 : 노출 후

● 연구의 주요 결과

- 말론디알데히드 수준은 대조군에 비해 로즈마리산 투여그룹

(그룹 2)에서 현저하게 감소했으며, 전자기장 노출그룹(그룹 3)

에서는 증가함

- 세르톨리 세포 사멸은 대조군에 비해 모든 그룹에서 증가했

지만, 노출 그룹 3, 4만 유의 한 증가를 보임

- 테스토스테론 및 총 항산화능력의 수준은 로즈마리산만 투

여 받은 그룹 2에서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함

- 반면, 테스토스테론 수준은 대조군에 비해 노출 그룹 3에서

현저히 감소함

- 연구진은 식품 첨가물로서의 로즈마리산이 유해전자파 속에

서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효과적 일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림

출처 : http://www.emf-portal.de/viewer.php?l=e&aid=21664

스웨덴 방사선안전원(SSM)의 「전자기장에 관한 과학평의회」보고서 발간

2014.5.29(출처 :JEIC)키워드 : EMF, Health Risk, ELF, childhood leukaemia, mobile phone,

transmitters, electromagnetic hypersensitivity

●스웨덴 방사선안전원(SSM)의 「전자기장에 관한 과학위

원회」는, 전자기장(EMF)의 보건 영향에 관한 현재의 연구

및 지식에 대한 9번째 연간 보고를 공표

- 이 과학위원회는 연구 상황을 모니터하여, 리스크의 평가·

인정·최적화에 대해서 SSM에 조언하는 역할을 함

●본 보고는 2013년 9월까지 공표된 EMF(정자기장, 저주

파·중간주파·고주파 전자기장) 연구(생물학적 연구, 인체

연구 및 역학연구)를 포함하며, 특히 4가지 중요한 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요약하고 있음

Page 45: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45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 중요 과제와 그 결론 요약

① 초저주파(ELF) 자기장과 소아백혈병 및 다른 건강위험

- IARC은 ELF자기장과 소아백혈병의 관련을 나타낸 역학연

구 결과에 근거하여 ELF자기장을 「사람에 대해서 발암성이

있을 지도 모름」으로 분류했지만, 실험연구, 메커니즘 연구에

서는 관련 확증을 얻을 수 없었고, 둘 사이에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은 상태임

- ELF 자기장 노출에 관련한 알츠하이머병, 근위축성측색경

화증의 위험 상승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주로 직업연구에서

약간의 시사가 보고되어 있음

② 휴대전화 사용에 의한 영향

- IARC은 휴대전화 사용과 관련한 신경교종 및 청신경종의

위험 상승을 나타낸 역학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무선 주파

수(RF) 전자기장을 「사람에 대해서 발암성이 있을 지도 모

름」으로 분류했지만, SSM은 지난 번 보고서에서 「스웨덴 및

여러 나라의 암 통계연구에서 휴대전화 사용이 성인두부 종

양의 발병에 관련된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고 인정할 수 없

다」고 결론내림

- 단, 15년 이상의 장기 사용에 대해서는 불확실성이 남아있

으며, 소아 및 청소년층의 뇌종양 위험에 대해 결론내리는

것은 시기상조이지만, 지금까지의 정보는 위험 상승을 보이

고 있지 않음

③ 송신기에 의한 건강 위험

- 휴대전화 기지국, 라디오 및 텔레비전 송신기, 학교 및 가

정의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의 RF 전자기장 노출에 관

계되는 일반 공중의 건강 위험의 시사는 지난 번 보고서와

마찬가지로 새로운 연구에서도 나타나지 않음

④ 자기보고 된 전자과민증

- 전자기장 노출이 자각적 전자과민증(EHS)의 원인이라는

증거는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일절 나타나지 않았음

- 일부 연구가 노세보 효과를 시사하고 있으며, 지난 번 보

고서 이후 EHS의 원인에 관한 새로운 연구는 거의 없음

● 공표 된 문서는 다음 URL에서 확인할 수 있음

http://www.stralsakerhetsmyndigheten.se/Global/Publikationer/Rapport/Stralskydd/2014/SSM-Rapport-2014-16.pdf

출처 : http://www.jeic-emf.jp/whats_new/20140529.html

극저주파수 전자기장 노출이 중추신경흥분제로 유도된 쥐의 발작에 대한 영향

2014.6.13(출처 : EMF-Portal)키워드 : extremely low 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 seizure,

pentylenetetrazol

● 연구의 목적

- 극저주파수 자기장 노출이 쥐의 유도된 발작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함

● 종말점

- 신경계에 대한 영향: 발작에 대한 민감성

● 노출

- 일반 범주 : 자기장, 50/60Hz(AC)

Page 46: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6. EMF Weekly Brief (2014년 1~6월)

6. E

MF W

eekly B

rief (2

014년

1~

6월

)

46EMF Newsletter Vol.19

구분 필드 특성 매개변수

필드 1

50Hz노출 기간 : 연속적인 2시간

자속 밀도 : 100μT

필드 2

50Hz노출 기간 : 3일간 연속적인 2시간/일

자속 밀도 : 100μT

필드 3

50Hz노출 기간 : 2주간 연속적인 2시간/일

자속 밀도 : 100μT

필드 4

50Hz노출 기간 : 1달간 연속적인 2시간/일

자속 밀도 : 100μT

- 노출 시스템

•동물(종/계통) : 쥐

•몸통 전체 노출

● 노출 그룹

그룹 n(노출) n(가짜노출)

1일간 노출3일간 노출2주간 노출1달간 노출

8888

8888

- 노출/가짜 노출 후, 쥐에 중추신경흥분제(pentylenetetrazol)

를 주입

- 발작을 유도하기 위하여 필요한 주입량을 측정

● 방법

- 종말점/측정 파라미터/방법

• 신경계에 대한 영향 : 발작에 대한 민감성(발작이 시작 때

까지 중추신경 흥분제 주입)

- 살아있는 기관 조사

- 조사 시기 : 노출 후

● 연구의 주요 결과

- 1일, 3일, 2주간 자기장 노출 또는 가짜노출 그룹간 현저한 차

이점은 없었음

- 1달간 자기장에 노출된 그룹은 1달간 가짜노출 그룹과 비교

하여 현저하게 높은 중추신경흥분제 주입량이 필요하였음

- 연구자는 극저주파수 자기장의 장기간의 노출은 생쥐의 발

작 유도 한계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림

출처 : http://www.emf-portal.de/viewer.php?l=e&aid=21316

극저주파수 자기장 노출과 척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강직성 통증 및 이와 관련된 뇌속 신경 전달물질 농도 회복

2014.6.6(출처 : EMF-Portal)키워드 :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 spinal cord injury, tonic

pain, neurotransmitter, locomotor behavior, nociception

● 연구의 목적

- 자기장 노출이 척수 손상으로 발생하는 강직성 통증(tonic

pain) 행동 및 관련된 뇌속 신경 전달물질(neurotransmitter)에

주는 영향을 조사

● 종말점

- 신경계에 대한 영향: 뇌속 신경 전달물질 농도, 척수의 형태

(morphology)

- 인지/행동의 종말점: 전위행동(locomotor behavior), 통각수

용(nociception)

Page 47: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47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 노출

- 일반 범주 : 자기장, 50/60Hz(AC), LF, 치료/의학 장비

필드 특성 매개변수

50Hz노출 기간 : 8주간 매일 2시간/일

자속 밀도 : 17.96μT

- 노출 시스템

•동물(종/계통) : 쥐/Wistar

•몸통 전체 노출

● 노출 그룹

그룹 n

가짜 운용 그룹(대조군: 척수 미손상) 척수 손상 그룹

척수 손상 + 자기장 노출 그룹

866

- 쥐들은 척수 손상 후 8주 동안 노출 없이 지낸 후, 노출되었음

- 전위행동은 조직구조 및 신경 전달물질 농도의 시험을 위해

죽기 전 통각수용이 기록된 8주 동안 평가되었음

● 방법

- 종말점/측정 파라미터/방법

•조직 병리학적/ 형태학적 변화 : 척수의 형태(현미경)

•신경 시스템에 영향 : 뇌속 신경 전달 물질 세로토닌

(serotonin), 감마 아미노부티르산(gamma aminobutyric

acid), 글루타메이트(glutamate), 도파민(dorpamine),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글리신(glycine) (고

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법)

•인지/행동의 종말점 : 전위행동(open field test); 통각수용

(등의 왼쪽 뒷발에 포르말린 주입, 0(통증없음)에서 3(과도한 통

증)의 통증 범주 분류, 움찔거림(flinch) 및 물고 핥는 수)

- 조사 물질 : 독립된 생/화학 물질(시험관 안), 조직 박막(시험

관 안), 뇌균질 현탁액(피질, 뇌간, 뇌 휴식)

- 살아있는 기관(organ) 조사

- 기관계(organ system) 조사 : 신경계, 뇌/CNS

- 조사 시기 : 노출 중 및 노출 후

● 연구 결과

- 척수가 손상된 그룹은 대조군보다 전위행동이 현저하게 감

소하였으나, 척수 손상 및 자기장에 노출된 그룹은 척수만 손상

된 그룹보다 전위행동이 현저하게 높게 나왔음

- 포르말린 주입 후 통증은 척수 손상 그룹이 대조군보다 현저

하게 감소하였으나, 척수 손상 및 자기장에 노출된 그룹은 척수

만 손상된 그룹보다 통증의 정도가 증가하였음

- 척수 손상된 쥐들은 피질 및 뇌 휴식동안에 세로토닌의 농도

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뇌간의 감마 아

미노부티르산과 노르에피네프린의 농도는 현저하게 증가하였

으며, 자기장 노출은 이러한 영향들을 감소시킴

- 형태학적 분석은 자기장 노출 유무 두 경우 모두 척수 손상

된 쥐의 분명한 손상을 보여주었으나, 손상의 부피는 자기장에

노출된 그룹은 현저하게 감소하였음

- 연구자는 장기간 극저주파수 자기장 노출은 신경 전달물질

의 변화를 이끌고, 이는 척수가 손상된 쥐들의 고통을 감소시키

는데 기여한다고 결론 내림

출처 : http://www.emf-portal.de/viewer.php?l=e&aid=22392

Page 48: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6. EMF Weekly Brief (2014년 1~6월)

6. E

MF W

eekly B

rief (2

014년

1~

6월

)

48EMF Newsletter Vol.19

영국 국민보건서비스(NHS) 「최근 공표 휴대전화 역학연구」에 대한 보도발표

2014.5.22(출처 : JEIC)키워드 : NHS, brain cancer, cohort study

●영국 국민보건서비스(NHS)는 Occupational & Environ

mental Medicine 2014년 5월 9일자 전자판에 게재되

었던 논문「CERENAT 후향연구에서의 휴대전화 사용과

뇌종양」(Coureau G et al. Mobile phone use and

brain tumours in the CERENAT case-control

study. Occup Environ Med 2014. [in press])에 관한

보도자료 「뇌종양과 암을 연결시키는 연구는 결정적인 것이

아닙니다」를 5월 14일자로 발표함

●우선, 이 프랑스의 증상대조연구에서는 규칙적인 휴대전

화 사용(6개월 이상에 걸쳐 적어도 주 1회 이상 통화로 정

의)과, 가장 많은 타입의 뇌종양 위험도와의 관련은 인정되

지 않았고, 헤비유저의 사용(생애 누적통화 시간이 896시간

이상)에서 위험도 상승이 인정되었음

● NHS는 이번 휴대전화역학연구의 중요한 문제점을 아래

와 같이 지적

- 2004~2006년에 프랑스의 4개의 지역에서 뇌종양으로 진단

받은 사람들 및 그들과 매칭한 대조군을 조사한 것으로, 샘플

수가 적음

- 8~10년 전의 프랑스 중년층의 휴대전화 사용상황의 조사이

며 규칙적 사용자는 50%에 불과함. 현재의 관심은 특히 젊은

사람의 사용임

- 896시간 이상의 생애 누적통화 시간과 종양과의 관련은 인

정되었지만, 이와 같이 사용했다고 한 사람은, 신경교종 24명과

대조 22명, 수막종 13명과 대조 9명뿐이며, 그 같은 소수인원의

분석에서는 위험도 상승이 우연히 나타나는 일이 있음

● 전체적으로, 이 연구는 결정적인 해답에 이르는 길에 아

무런 공헌도 하지 않으며, 급속하게 혁신이 진행되는 휴대전

화 기술에 있어서 이 연구의 가치는 의문이라는 의견을 펼침

● 현재 요구되는 것은 휴대전화 사용에 관한 장기 코호트연

구인데, 이미 COSMOS연구가 진행 중이며, 현재 영국을 포

함한 유럽 5개국에서 29만명이 조사에 등록했다고 부언함

해당논문 abstract URL : http://oem.bmj.com/content/early/2014/05/09/oemed-2013-101754.short?g=w_oem_ahead_tab

보도자료 URL :http://www.nhs.uk/news/2014/05May/Pages/Study-linking-brain-cancer-and-mobiles-inconclusive.aspx

출처 : http://www.jeic-emf.jp/whats_new/20140522_2.html

극저주파수 전자기장 노출이 쥐 해마의 장시간 상승작용에 미치는 영향

2014.5.30. (출처 : EMF Portal)키워드 : hippocampus of rats, synaptic plasticity, excitatory postsynaptic

potential, compound action potential, paired-pulse ratio

● 연구의 목적

- 극저주파수 자기장 노출이 쥐 해마의 시냅스가소성(synaptic

plasticity)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함

Page 49: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49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 종료점

- 신경계에 영향 : 해마의 시냅스 가소성

● 노출

- 자기장 : 50/60Hz (AC)

필드 특성 매개변수

50Hz노출 기간 : 2시간/일(3달간)

ㅌ자속 밀도 : 100μT

- 노출 시스템

·동물(종/계통) : 쥐/Wistar albino

•몸통 전체 노출

- 노출 그룹

그룹 n

자기장 노출 그룹 가짜 노출 그룹

케이지 제어(cage control) 그룹

10910

- 노출 기간이 끝난 후 쥐들을 마취시켜 전극으로 자극한 다음,

쥐 뇌에 자극된 전극을 기록

- 400Hz(0.2 ms 동안 20 자극 중 10 버스트) 자극 프로토콜을

사용

● 방법

- 종료점/측정 파라미터/방법

•신경계에 대한 영향 : 해마(흥분시냅스후전위(excitatory

postsynaptic potential)와 복합활동전위(compound action

potential)의 장기간 상승작용)의 시냅스가소성과 paired-

pulse ratio(첫 반응과 두번째 반응의 응답크기의 비율)

- 살아있는 생물 조사

- 기관계(organ system) 조사 : 뇌/CNS

- 조사 시기 : 노출 후

● 연구의 주요 결과

- 노출된 쥐들은, 흥분시냅스후전위 경사와 복합활동전위가 가

짜 노출 및 케이지 제어 그룹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음

- 관찰된 가짜 노출 그룹과 케이지 제어 그룹 간 중요한 차이

점은 없었음

- 자기장에 노출된 쥐들은 쌍 펄스 비율은 자극 전과 후의 중

요한 차이점은 없었음

- 연구진은 극저주파수 자기장이 쥐 해마의 시냅스가소성에

변화를 줄 수 있다고 결론내림

출처 : http://www.emf-portal.de/viewer.php?l=e&aid=24650

프랑스 국립보건의학연구소(INSERM), 최근 공표한 휴대전화 역학연구에 대한 보도 발표

2014.5.22(출처 : JEIC)키워드 : Mobile phone use, brain tumours, gliomas, meningiomas

● 프랑스 국립보건의학연구소(INSERM)는,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2014년 5월 9일부 전자판에

게재된 논문 「CERENAT 후향연구에서의 휴대전화 사용과

뇌종양」(Coureau G et al. Mobile phone use and brain

Page 50: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6. EMF Weekly Brief (2014년 1~6월)

6. E

MF W

eekly B

rief (2

014년

1~

6월

)

50EMF Newsletter Vol.19

tumours in the CERENAT case-control study. Occup

Environ Med 2014. [in press])에 관한 보도자료 「휴대전

화의 집중적 사용과 뇌종양」을 5월13일부로 발표함

● 연구의 개요

- Bordeaux 대학의 “역학·생물통계학”그룹(Inserm Unit897)이

프랑스의 4개 지역에서 2004년에서 2006년에 걸쳐 1339명(신

경교종 253명, 수막종 194명, 대조군 892명)에게 휴대전화 사용

에 대해서 질문 조사함

● 조사 결과

- 휴대전화 비사용자와 일반적인 사용자를 비교한 경우, 뇌종

양과의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음

- 10년 이상 사용자는 전체의 12%이며, 생애 총 누적통화시간

이 896시간 이상인 헤비유저와 뇌종양의 연관성이 있을지도

모른다고 보고함

- 위험도는 신경교종, 측두엽종양, 직업적 사용 및 도시에서의

사용에서 더 높았음

● 단, 연구진은 이것은 하나의 관련이며, 인과관계가 아님을

강조할 필요가 있고, 이것은 휴대전화를 많이 사용하는 사람

이 뇌종양에 걸릴지도 모른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덧붙임

● 해당 논문 및 보도발표는 아래의 URL에서 확인 할 수 있음

논문 abstract : http://oem.bmj.com/content/early/2014/05/09/oemed-2013-101754.short?g=w_oem_ahead_tab

보도발표 : http://presse-inserm.fr/utilisation-massive-du-telephone-portable-tumeurs-cerebrales/12519/

출처 : http://www.jeic-emf.jp/whats_new/20140522_1.html

극저주파수 전자기장이 인간 지방에서 유래된 줄기세포의 생존과 증식에 미치는 영향

2014.5.21. (출처 : EMF Portal)키워드 : ELF-MF, cell viability, cell proliferation, stem cell

● 연구의 목적

- 극저주파수 전자기장이 인간 지방에서 유래된 줄기세포의

증식과 생존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함

● 종말점

- 세포 생존력/ 세포 분열/증식: 세포 증식, 세포 생존력

● 노출

- 자기장 : 50/60Hz (AC)

필드 특성 매개변수

50Hz노출 기간 : 20 또는 40분/일(7일간)

자속 밀도 : 0.5mT

50Hz노출 기간 : 20 또는 40분/일(7일간)

자속 밀도 : 1mT

- 노출 시스템

•온전한 세포/세포배양(시험관 안)

•인간 지방에서 유래된 줄기세포

Page 51: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51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 방법

- 세포 생존력/세포 분열/증식: 세포 증식(광밀도); 세포 생존력

(MTT assay)

※ MTT assay : 탈수소 효소작용에 의하여 노란색의 수용성 기질인 MTT tetrazolium

을 청자색을 띄는 비수용성의 MTT formazan으로 환원시키는 미토콘드리아의 능력

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력을 평가하는 비색분석법(colorimetric assay)

- 조사 물질 : 온전한 세포/세포배양(시험관 안)

- 조사 시기 : 노출 후

● 연구의 주요 결과

- 세포 증식 및 생존력은 1mT 자기장세기로 20분간 노출 시켰

을 경우와 0.5mT 자기장세기로 20분 및 40분 노출 시켰을 경

우, 가짜 노출과 비교해서 현저하게 증가하였음

- 연구진은 극저주파수 자기장 노출은 인간지방에서 유래된

줄기세포의 생존력 및 증식을 강화할 수 있다고 결론내림

출처 : http://www.emf-portal.de/viewer.php?l=e&aid=24380

2년간의 전향적 코호트 연구 : 50Hz 자기장의 주거 노출과 유산 위험의 연관

2014.5.15(출처 : EMF Portal)키워드 : 50Hz magnetic field, miscarriage risk

● 연구의 목적

- 50Hz 자기장 주거 노출과 유산 위험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

하기 위해 중국에서 코호트 연구가 실시됨

● 위험 추정의 종말점 / 유형

- 생식 영향과 임신 결과 : 유산

- 상대 위험도(RR)에 의한 발생의 추정

● 노출

- 자기장, 50/60Hz(AC) 전력 전송선, 변전소

- 노출의 유형 : 주거

- 측정에 의한 평가(집 현관문, 조사대상자의 집 앞 골목에서

자기장 강도의 측정)

- 노출 그룹 :

참조 그룹 1 :그룹 2 :

비노출, 자기장 강도 : < 0.1 μT노출, 자기장 강도 : ≥ 0.1 μT

그룹 3 : 그룹 4 :

그룹 A, 자기장 강도 : 0.1 - < 0.4μT그룹 B, 자기장 강도 : 0.4 μT - 4.26 μT

● 인구

- 연구 그룹 : 여성과 태아기에 노출된 어린이

- 그룹 특성 : 중국 한족의 임신한 여성

- 관찰 기간 : 2010년 5월 ~ 2012년 5월

- 연구 장소 : 중국 (주강삼각주에 있는 두 도시)

- 제외 기준 : 지중해 빈혈, 겸상적혈구증, G-6-PD 결핍증, 갑

상선 항진증, 당뇨병의 병력이 있는 임산부 및 해당 지역에 6개

월 미만 거주하거나 다른 곳으로 이주한 사람

- 설문 조사로 얻은 추가 매개 변수 : 사회인구통계학적 데이

터, 질병의 가족력, 임신 정보, 라이프 스타일 요소, 직업 데이터

•남편의 사회인구통계학적 데이터 및 직업 데이터

Page 52: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6. EMF Weekly Brief (2014년 1~6월)

6. E

MF W

eekly B

rief (2

014년

1~

6월

)

52EMF Newsletter Vol.19

- 콕스 비례위험 회귀분석을 사용한 통계 분석 : 나이, 거주 지

역, 교육, 우울증, 흡연, 비정상적인 임신 결과 및 여성 특정 질

병의 이력, X-레이, 엽산과 알코올의 사용에 대한 보정

● 연구의 결과

- 562개의 자기장 강도 측정 중에서, 33.6%는 0.05μT보다 낮았

고, 13.3%는 0.4μT보다 높았고, 4.6%는 1.0μT보다 높았으며, 중앙

값은 0.099μT였음

- 노출 그룹에서 평균 현관문 앞 노출(RR 1.4 ; CI 0.6-3.1)과 관

련된 유의미한 유산 위험도의 증가는 발견되지 않았음

- 그러나 노출 그룹에서 최대 골목 노출(RR 2.35 ; CI 1.18-4.71)

과 유산 위험 사이에는 현저한 연관이 나타남

- 연구진은 유산 발생률이 최대 골목 자기장 노출과 연관된 것

으로 나타났지만, 유산 위험과 자기장 노출간의 연관성은 이 연

구에서 확인되지 않았다고 결론내림

출처 : http://www.emf-portal.de/viewer.php?l=e&aid=23989

난모세포 분화와 여포세포 성장에 대한 저주파수 전자기장 노출의 영향

2014.5.13. (출처 : EMF Portal)키워드 : ELF-MF, reproductive system, oocyte differentiation, follicular

development, mice

● 연구의 목적

- 쥐의 난모세포 분화(oocyte differentiation)와 여포세포 성장

(follicular development)에 대한 극저주파수 자기장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함

● 종말점

- 생식계에 대한 영향 : 난소의 조직병리학 시험

● 노출

- 자기장 : 50/60Hz (AC)

필드 특성 매개변수

50Hz노출 기간 : 임신기간(21일)동안 4시간/일

자속 밀도 : 3mT

- 노출 시스템

•동물(종/계통) : 쥐 / Balb/c

•몸통 전체 노출 : 태아기

● 방법

- 생식계에 대한 영향 : 난소의 조직병리학 시험 : 난모세포의

형태와 정렬, 조직(헤마톡실린-에오신착색(hematoxylin-eosin

stain), 광학현미경 사용) 주변의 여포세포의 형태; 난모세포와

여포세포(톨루이딘 블루 또는 아세트산 우라닐과 납 시트레이

트에 의한 착색, 전자현미경)의 초미세구조

- 조사된 물질 : 조직 박편(생체 외), 신생 쥐와 성인 쥐의 난소

- 조사 시기 : 노출 후

● 연구의 주요 결과

- 노출된 쥐의 난소에서는 대부분 깨지거나 불규칙하게 정렬

된 난모세포가 관찰되었고, 반면 가짜 노출된 쥐들에게서는 온

전하고 규칙적으로 정렬된 난모세포가 관찰됨

Page 53: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53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 노출된 그룹의 원시난포들(primordial follicles)은 가짜노출

그룹보다 덜 발달하였고, 이질염색질(heterochromatin)로 착

색된 난모세포는 공포성 세포질(vacuolated cytoplasm)로 위

축되었음

- 연구진은 극저주파수 자기장이 쥐의 난모세포 분화와 여포

세포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이로 인해 번식력에 손상을 줄

수 있다고 결론 내림

출처 : http://www.emf-portal.de/viewer.php?l=e&aid=24433

극저주파 자기장(50Hz, 0.5mT)이 유럽 초파리의 건강 구성요소 및 운동활성에 미치는 영향

2014.5.8 (출처 : EMF Portal)키워드 :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 locomotor activity,

viability, 50Hz, exposure

● 연구의 목적

- 50Hz 자기장 노출이, 상이한 발달 단계의 유럽 초파리에 미

치는 영향을 조사함

● 배경 / 추가 정보

- 실험 그룹에서 유럽초파리는 유충(알-제1령충, n=유리병 당

75) 또는 갓 부화한 성충(n=35)이 노출되었음

- 또한, 어떠한 처리도 안한 대조군(n=20)과 가짜 노출그룹(알 :

n=75, 성충 : n=75)이 동일한 발달 단계에서 조사되었음

● 종말점

- 배아/태아에 대한 영향 : 애벌레의 발달과 생존능력

- 인지/행동 종말점 : 애벌레와 성충의 운동활성

● 노출

- 일반 범주 : 자기장, 50/60Hz(AC)

필드 특성 매개 변수

50Hz노출 기간 : 48시간 연속

자속 밀도 : 0.5mT(±0.01mT)

- 노출 시스템

•무척추동물(종/계통) : 유럽초파리(유충 및 갓 부화한 성충)

● 연구의 방법

- 배아/태아에 대한 영향 : 생존능력, 애벌레의 발달 시간

- 인지/행동 종말점 : 유충이나 성충(3일된)의 운동활성(10분간

및 30분간의 이동거리 및 모니터링 총 시간 동안의 이동성)

- 기타 : 성비

- 생물체에 대한 조사

- 조사 시간 : 노출 후

● 연구의 주요 결과

- 어떠한 처리도 안한 대조군과 가짜 노출그룹의 결과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이들을 합하여 하나의 대조군으

로 사용함

Page 54: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6. EMF Weekly Brief (2014년 1~6월)

6. E

MF W

eekly B

rief (2

014년

1~

6월

)

54EMF Newsletter Vol.19

- 노출그룹 및 대조군의 성비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음

- 파리의 발달에서는 현저한 차이가 있어, 부화의 시작과 끝이

모두 대조군에 비해 노출그룹이 하루 일찍 일어났으며, 노출된

파리의 생존능력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함

- 두 발달 단계에서 노출된 파리의 운동활성이 대조군에 비하

여 증가함

- 연구진은 50Hz 자기장 노출이 유럽초파리의 생존능력, 발달

과 운동활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결론 내림

출처 : http://www.emf-portal.de/viewer.php?l=e&aid=24217

극저주파수 자기장에 의한 쥐의 뇌에 산화 스트레스 유도

2014.5.2. (출처 : EMF Portal)키워드 : ELF-MF, oxidative stress, brain, hippocampus, cerebellum,

cortex

● 연구의 목적

- 50Hz 자기장의 장기간 노출과 쥐 뇌의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함

● 종말점

- 신경계에 대한 영향 : 뇌의 산화스트레스

● 노출

- 자기장 : 50/60Hz (AC)

필드 특성 매개 변수

field 1 : 50Hz노출 기간 : 연속적인 90일

자속 밀도 : 100μT

field 2 : 50Hz 노출 기간 : 연속적인 90일

자속 밀도 : 50μT

- 노출 시스템

•동물(종/계통) : 쥐/Wistar

•몸통 전체 노출

● 방법

- 신경계에 대한 영향 : 뇌의 산화스트레스 : 지질 과산화(티오바

비투르산 산 반응 물질에 의한 말론디알데히드(malondialdehyde)

레벨, 분광광도법), 감소된 글루타티온(glutathione) 레벨과 산화된

글루타티온(GSH/GSSG 비율)(형광 분광법), 초산화물 불균등화

효소(superoxide dismutase)의 효소 활동(분광광도법), 글루타

티온 과산화효의 효소 활동(형광 분광법)

- 기타 : 체중

- 조사된 물질 : 독립된 바이오/화학 물질(생체 외), 뇌세포현탁

액(해마, 소뇌, 대뇌 피질)

- 살아있는 유기체의 조사

- 조사 시기 : 노출 후

● 연구의 주요 결과

- 노출된 그룹들(50μT 와 100μT)의 해마와 소뇌 안에서 지질

과산화와 글루타티온 과산화효소의 효소활동이 비노출 그룹과

비교해서 현저하게 증가했고, 반면 100μT 노출된 그룹만의 대

뇌피질에서 현저한 증가를 보임

Page 55: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55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 해마, 소뇌, 대뇌피질에서 초산화물 불균등화효소의 효소활

동 100μT 노출그룹이 비노출그룹과 비교해서 현저하게 증가했

으나, 50μT는 그렇지 않았음

- 모든 시험된 뇌영역에서 GSH/GSSG 비율은 100μT 노출그

룹이 비노출그룹과 비교해서 현저하게 감소했고, 반면에 50μT

노출그룹의 GSH/GSSG 비율은 소뇌에서만 현저하게 감소하

였음

- 체중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점은 없었음

- 저자는 50Hz 자기장의 장기간 노출은 쥐의 뇌에 산화스트레

스를 유도한다고 결론내림

출처 : http://www.emf-portal.de/viewer.php?l=e&aid=24028

50Hz 회전자기장이 대장균과 황색포도상구균의 생존력에 미치는 영향

2014.4.7. (출처 : EMF Portal)키워드 : rotating magnetic field, 50Hz, cell viability, cell proliferation

● 연구의 목적

- 50Hz 회전자기장 노출기간에 따른 대장균과 황색포도상구

균 두 종의 박테리아의 세포증식과 세포 생존력을 조사

● 연구의 종말점

- 세포 생존력 / 세포분열 / 증식: 세포증식, 세포 생존력

● 노출

- 일반 범주 : 자기장, 50/60 Hz(AC)

필드 특성 매개 변수

50Hz노출기간 : 연속 최대 270분 (30, 60, 90,

120, 150, 180, 210, 240 또는 270분) 자속 밀도 : 30mT

- 노출 시스템 : 박테리아 (시험관)

•대장균 / O157:H7, E68II/0141

•황색포도상구균 / FRI 913, ATCC 25923, ATCC 43300

● 연구 방법

- 세포 생존력/세포 분열/증식 :

•세포증식

① 실험 1 : 노출기간 30~270분

② 실험 2 : 노출기간 60분과 배양 후, 그리고 270분 동안의

모니터링

③ 광밀도, 분광광도측정법

•세포 생존력 : 노출기간 30~150분 (MTT 테스트)

- 조사 자료 : 온전한 세포/세포 배양(시험관)

- 조사 시간 : 노출 후

● 연구 결과

- 노출된 세포 배양에서 세포 증식 및 세포 생존력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었으나, 영향은 150분까지로 제한되어 관찰됨

- 연구진은 50Hz 자기장 노출로 인한 대장균과 황색포도상구

균의 세포 증식 및 세포 생존력의 자극이 병원체 치료의 경우

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생명공학적 배양 방법에

는 유익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결론 내림

출처 : http://www.emf-portal.de/viewer.php?l=e&aid=22642

Page 56: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6. EMF Weekly Brief (2014년 1~6월)

6. E

MF W

eekly B

rief (2

014년

1~

6월

)

56EMF Newsletter Vol.19

자기장의 방해는 공간기억에 영향이 없음

2014.4.24. (출처 : EMF Portal)키워드 : ELF-MF, memory, learning, Morris water maze

● 연구의 목적

- 이전의 훈련과 극저주파수 노출로 인한 쥐의 기억 및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함

● 위험 추정의 종료점/종류

- 인지/행동 종료점 : 기억 및 학습

● 노출

- 자기장 : 50/60Hz (AC)

필드 특성 매개 변수

50Hz노출 기간 : 연속적인 90일

자속 밀도 : 100μT

- 노출 시스템

•동물(종/계통) : 쥐/Sprague-Dawley

•몸통 전체 노출

<노출 그룹>

- 4개의 그룹의 쥐들(그룹당 n=10)

- 노출/가짜노출 기간 전에 그룹 1과 3은 Morris water maze방

법으로 훈련이 수행됨

- 노출/가짜노출 90일 후에, 모든 그룹은 모든 그룹은 6일 동안

morris water maze 방법으로 훈련 및 테스트 대상이었음

참고 그룹 1그룹 2그룹 3그룹 4

Morris water maze 훈련 + 가짜 노출자기장 노출Morris water maze 훈련 + 자기장 노출가짜 노출

● 방법

- 인지/행동 종말점 : 살아있는 생물의 메모리 및 기억(Morris

water maze)

- 조사기간 : 노출 후

● 연구의 주요 결과

- 이전에 Morris water maze(그룹 1과 3) 방법으로 훈련받은 쥐

들은 훈련하지 않은 쥐들보다 현저하게 나은 기억 및 학습능력

을 보여주었음

- 기억 및 학습 능력은 자기장에 노출된 쥐들과 가짜 노출된

쥐들간에 차이가 없었음

- 이 결과는 극저주파수 자기장의 대한 노출이 쥐의 기억 및

학습 능력에 영향이 없음을 나타냄

출처 : http://www.emf-portal.de/viewer.php?l=e&aid=24360

캐나다 왕립학회 「무선주파수 전자기장 노출에 대한 캐나다 보건성의 안전한도」의 공표

2014.4.7. (출처 : RSC-SRC)키워드 : Radiofrequency Fields, Safety Limits, SC6 (2013)

● 캐나다 왕립학회는 2014년 4월 1일, 전문가패널 보고서

「안전기준6(2013) 리뷰 : 무선주파수 전자기장 노출에 대한

캐나다 보건성의 안전한도」를 공표함

Page 57: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57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 전문가패널은 무선통신기술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규제를 담당하는 연방기관인 캐나다 보건성의 요청에 따라 왕

립학회에 의해 설립됨

● 전문가패널은 보고서에서 아래의 다섯 가지 핵심 질문을 다룸

- SC6(2013)에 지정된 기본 제한값은 무선주파수 전자기장이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에서 직업인과 일반인 모두에 대한 적절

한 방호를 제공하는지

- SC6(2013)의 기본 제한값 이하의 노출 수준에서 발생하는 다

른 잠재적인 건강 영향에 대해 고려하고 있는지

- 안구에 대해 기본 제한값 또는 권고의 설정을 구분하는 것에

대한 충분한 근거가 있는지

- SC6(2013)에 설정된 기본 제한값이 기본 제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대해 적절한 보호를 제공하는지

- SC6(2013)의 인간 노출 한도에 추가 예방조치를 도입해야 하

는지, 그렇다면 무엇이 권장되는지, 왜인지

● 이 패널은 “현시점에서는 안전기준에서 권고하는 한도치

이하의 RF 노출에 대한 부정적인 건강 영향은 없다”고 결론

내림

● 또한 동 패널은 보건부가 어린이, 임산부 및 신생아의 노

출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계속 주시해야 하며, RF와 암,

전자파 과민증 등에 대한 연구를 계속 할 것을 권고하고 있

으며, 더 나은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도 시사하고

있음

● 보고서 원문은 아래 URL에서 다운로드 가능

- 보고서 URL : https://rsc-src.ca/en/expert-panels/rsc-

reports

출처 : https://rsc-src.ca/sites/default/files/pdf/RSC_SAFETY%20CODE%206_PRESS%20RELEASE_EN_FINAL.pdf

직업적 극저주파 자기장 노출과 선택된 암 결과에 대한 네덜란드 전향적 코호트 연구

2014.4.16. (출처 : EMF Portal)키워드 : ELF-MF, cancer, follicular lymphoma, acute myeloid leukemia

● 연구의 목적

- 직업적 극저주파 자기장 노출과 사전에 선택된 암들에 대한

위험성 관계를 네덜란드 내 전향적 코호트 연구를 통해 조사함

● 위험 추정의 종말점/종류

- 백혈병 및 림프종 : 비호지킨 림프종,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B세포림프종, 여포성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백혈병, 골수성 백

혈병, 급성 골수성 백혈병

- 뇌종양

- 유방암

- 폐암

● 노출

- 자기장 : 50/60Hz (AC)

- 노출 종류 : 직업적 노출

- 설문에 의한 평가(직업 이력)

- 직업 노출 매트릭스에 의한 평가

- 계산에 의한 평가

Page 58: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6. EMF Weekly Brief (2014년 1~6월)

6. E

MF W

eekly B

rief (2

014년

1~

6월

)

58EMF Newsletter Vol.19

<노출 그룹>

참고 그룹 1그룹 2그룹 3

항상 노출 : 주변항상 노출 : 낮은항상 노출 : 높은

그룹 4 몇 년간의 노출 기간

그룹 5그룹 6그룹 7그룹 8

누적 노출 : 주변누적 노출 : 1. terzile누적 노출 : 2. terzile누적 노출 : 3. terzile

● 인구

- 연구그룹 : 55~69세의 남성과 여성

- 그룹특성 : 다이어트와 암에 대한 네덜란드 코호트 연구 참여

자들

- 관찰기간 : 1986~2003

- 연구지역 : 네덜란드

- 데이터 출처 : the Netherlands Cancer Registry and the

Netherlands Pathological Registry

- 설문조사를 통한 추가 매개변수 획득(나이, 성별, 흡연 상태,

병력, 식습관, 다른 잠재적 위험요인(예: 석면, 크롬, 니켈, 솔벤

트에 대한 노출))

● 결론

- 남성의 약 8%와 여성의 약 1%는 높은 양의 직업적 극저주파

자기장 노출 상태에서 근무 이력이 있음

- 여성과 남성의 조사그룹에서 유방암, 뇌종양, 폐암에 대한 위

험성 증가는 찾을 수 없었음

- 극저주파 자기장 노출 그룹 3에서 남성의 림프계 증식성 악

성 혈액종양(hemato- lymphoproliferative malignancies)은 급

성 골수성 백혈병(HR 2.15, CI 1.06~4.35)과 여포성 림프종(HR

2.78, CI 1.00~5.77)에 상당한 연관성을 보임

- 극저주파수 자기장 누적 노출 그룹 8의 남성들은 여포성 림

프종에 중대하고 분명한 연관성을 보였지만 급성 골수성 백혈

병은 그렇지 않음

- 저자는 직업적 극저주파수 자기장 노출로 인해서 남성들의

급성 골수성 백혈병과 여포성 림프종에 대한 위험성이 증가한

몇몇의 징후들이 발견되었다고 결론 내림

출처 : http://www.emf-portal.de/viewer.php?l=e&aid=23889

뉴질랜드 보건성, 학교에서의 Wi-Fi 무선 주파 전자계의 측정결과에 관한 보고서 공표

2014.4.7. (출처 : JEIC)키워드 : WiFi, radiofrequency fields, Schools,

● 뉴질랜드 보건성은, 보건성이 지정한 2개의 학교에서의

WiFi 액세스 포인트 및 기기의 무선 주파수(RF) 전자계 노

출 측정결과에 관한 보고서를 2014년 3월 20일에 공표함

● 모든 노출은 「뉴질랜드 표준 2772.1:1999 무선 주파수

전자계 Part1 : 3kHz~300GHz까지의 최대 노출 기준」의

공중 노출 한도와 비교하여 매우 낮았으며, 6분간에 걸친

평균 최대 노출은 동 기준의 공중에 대한 참고 레벨의

0.024%(약 4,000분의1)로 조사되었음

- WiFi 액세스 포인트를 벽에 설치한 교실에서의 시간당 평균

노출은 0.01% 미만(10,000분의 1)이었음

- 액세스 포인트를 설치하지 않은 교실에서의 노출은 더욱 낮

았음

Page 59: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59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 노트북으로부터 30센티 떨어진 지점에서 측정한 시간

평균 노출은 전체적으로 기준레벨의 0.001% 미만이었음

- 이 결과는 기기의 사용률이 일반적으로 0.005 미만, 즉 기기

는 1시간당 18초 미만만 송신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음

- 또한 이 결과는 영국 보건방호청(현재, 영국 공중위생국) 및

캐나다 산업성이 공표한 데이터와도 일치함

● 뉴질랜드 학교에서의 WiFi 신호 노출은 액세스 포인트

및 기기 모두 매우 낮으므로 어린이나 교직원의 건강 위험

성이 없다고 할 수 있음

● 보고서 원문은, 하기 URL에서 확인할 수 있음

URL:http://www.health.govt.nz/publication/snapshot-study-wifi-in-schools

출처 : http://www.jeic-emf.jp/whats_new/20140407_1.html

휴대폰 사용과 두개강내 종양(intracranial tumors)의 위험성

2014.4.11. (출처 : EMF Portal)키워드 : brain tumor, glioma, meningioma, acoustic neuroma

● 연구의 목적

- 2012년 말에 발표된 휴대전화 사용과 두개강내 종양의 메타

분석 조사결과의 전체적인 연관성을 평가

※ 두개강내 종양(intracranial tumors) : 뇌조직이나 뇌를 싸고 있는 막으로부터 발생

되는 종양과 이차성 종양을 총칭하여 일컫는 말

- 데이터 집합의 변화에 대한 결과의 민감성을 평가하고, 상호

연구의 이질성의 원인을 찾아내기 위함

- 다음과 같은 연구가 포함됨 : Muscat 외 2000, Muscat 외

2002, Inskip 외 2001, Auvinen 외 2002, Hardell 외 1999, Hardell

외 2002, Hardell 외 2003, Hardell 외 2005, Hardell 외 2006,

Hardell 외 2006, Hardell 외 2006, Christensen 외 2004,

Christensen 외 2005, Lonn 외 2004, Lonn 외 2005, Hepworth

외 2006, Schuz 외 2006, Schlehofer 외 2007, Takebayashi 외

2006, Takebayashi 외 2008, Klaeboe 외 2007, Hours 외 2007,

Schoemaker 외 2005, Lahkola 외 2007, Lahkola 외 2008,

Interphone Study Group 2010, Interphone Study Group 2011,

Schuz 외 2011, and Frei 외 2011.

● 위험 추정의 종료점/종류

- 뇌종양 : 신경교종, 뇌수막종, 청신경종

● 노출환경

- 이동통신 시스템, 휴대전화, 아날로그 휴대전화, 디지털 휴대

전화

- 노출의 종류 : 개인

- 설문에 의한 평가

<노출 그룹>

참고 그룹 1그룹 2그룹 3그룹 4그룹 5

전혀 규칙적으로 사용하지 않음가끔 규칙적으로 사용단기간 사용 : 0.5~6.5년중기간 사용 : 5~9년장기간 사용 : 10년 이상

Page 60: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6. EMF Weekly Brief (2014년 1~6월)

6. E

MF W

eekly B

rief (2

014년

1~

6월

)

60EMF Newsletter Vol.19

● 대상

- 연구그룹 : 남성과 여성

- 관찰기간 : 1994~2007

- 연구지역 : 스웨덴, 핀란드, 덴마크, 노르웨이, 독일, 영국, 프

랑스, 이스라엘, 미국, 일본

● 결론

- 장기간(10년 이상) 휴대폰 사용자들의 뇌수막종에 대한 상대적

위험도는 0.98(신뢰구간 0.75~1.28)에서 1.11(신뢰구간 0.86~1.44)

사이로, 연구그룹 간에 이질성은 적었음

- 장기간 사용자들의 신경교종과 청신경종의 상대적 위험도는

각각 1.19(신뢰구간 0.86 ~1.64)에서 1.40(신뢰구간 0.96~2.04) 사

이, 1.14(신뢰구간 0.65~1.99)에서 1.33(신뢰구간 0.65~2.73)사이

로, 높은 이질성이 발견되었음

- 주요 연구들(통합분석 제외)의 메타 회귀(meta-regression)

는 연구결과 다양한 연구그룹(디자인, 케이스 확인, 자료 통제,

노출 평가)이 전반적으로 이질성을 나타내는 방법론적인 차이

가 포함되었음을 보여줌

- 즉, 이질성 결과들에 기초한 위험도 평가는 과도하게 해석 되

어서는 안 됨

- 연구진은 종합적인 메타분석 결과 휴대전화 사용이 두개강

내 종양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질성을 줄일 것이라고

결론내림

출처 : http://www.emf-portal.de/viewer.php?l=e&aid=23904

영국 내 전력공급 종사자들의 뇌종양 위험성과 자기장의 관계

2014.4.3. (출처 : EMF Portal)키워드 : brain tumor, glioma, meningioma, Magnetic fields, occupational

● 연구의 목적- 영국 내에서 뇌종양 위험성과 저주파 자기

장의 직업적 노출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코호트 연

구함. 현재의 연구는 Soharan의 2001년 발표를 갱신한 것임

● 배경/세부사항- 직업인의 누적노출량은 10년 이상 전에

받았던 노출량과 10년 미만 전에 받았던 노출량을 모두 포함

하여 각 연구 참여자들과 개발하였음

● 노출

- 자기장, 50/60㎐(AC)

- 노출 종류: 직업적 노출

- 계산에 의한 평가(직업적 누적 노출량은 각 종사자들의 개

별 직업 이력과 자기장 세기의 시간평균값에 근거하여 계산되

었음)

<노출 그룹>

그룹 1그룹 2그룹 3그룹 4그룹 5

직업인의 자기장 누적 노출량: 0- <2.5μT 직업인의 자기장 누적 노출량: 2.5- <5.0 μT직업인의 자기장 누적 노출량: 5.0- <10.0 μT직업인의 자기장 누적 노출량: 10.0- <20.0 μT직업인의 자기장 누적 노출량: ≥ 20.0 μT

Page 61: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61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 인구

- 연구 그룹 : 남성, 여성

- 그룹 특성 : 영국과 웨일즈의 CEGB(Central Electricity

Generating Board)에서 1952~1958년 중 최소 6개월 이상

고용되었던 전직 근로자

- 관찰 기간: 1973~2010

- 연구 위치 : UK

- 데이터 출처 : National Health Service Central Register

- 통계적 분석은 푸아송 회기 모형(Poisson regression model:

나이, 성별, 사회경제적 지위, 기간을 반영)을 이용

● 결론

- 신경교종과 대부분의 뇌종양이 모든 종류의 전자파 노출에

서 위험성 증가가 없었고, 직업상의 누적 자기장 노출에 의해서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다는 암시도 없었음

※ 신경교종(glioma) : 중추신경의 신경교조직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뇌종양을 대표

하는 것이고 가장 빈도가 높은 것

- 뇌수막종 관찰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용량-반응 효과가

없었지만, 10년 이상 전에 받았던 세 개의 고노출군에서 위험성

이 증가된 몇몇의 증거는 있었음

※ 뇌수막종(meningioma) : 뇌를 둘러싸고 있는 지주막 세포(arachnoid cell)에서 기

원하는 종양으로, 주로 40~50대 성인에 많이 발생하고 2:1의 비율로 여자에게서 더

많이 발생하고, 생기는 위치는 90% 이상이 천막상부에 발생하고 후두개와에서 10%

미만, 그리고 뇌실 내에서도 드물게 발생함

- 자기장 노출이 신경교종의 위험요소라는 것을 뒷받침할 증

거가 없고, 과거와 현재의 자기장 노출이 신경교종과 원인관계

가 없다고 결론 내림

- 뇌수막종에 대한 제한된 긍정적 결과들은 뜻밖의 발견이 될

것임 : 암 등록 데이터와 국가간 비교는 인과적 해석에 대해 반

대 의견을 주장함

출처 : http://www.emf-portal.de/viewer.php?l=e&aid=24351

임신한 쥐의 휴대전화 노출에 따른 CA1 피라 미드 뉴런의 고유 전기생리학적 특성의 변화

2014.3.24. (출처 : emf portal)키워드 : mobile phone, electrophysiological properties, cognitive

performance, pyramidal cells

● 연구의 목적

- 임신한 쥐의 전자파 노출이 쥐의 인지능력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연구

- 임신 중 전자파 노출에 따른 해마의 CA1 피라미드 뉴런의 잠

재적 전기생리학적 변화를 조사

※ CA1 : 뇌의 기억중추인 해마의 세부영역 중 하나

● 배경 및 추가정보

- 그룹 당(노출그룹 및 대조그룹) 8마리의 임신한 쥐가 이용되

었으며, 그 새끼들을 조사함

● 연구의 종말점

- 신경계의 영향 : 피라미드 세포의 전기생리학적 변화

- 인지/행동의 종말점 : 학습과 기억

Page 62: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6. EMF Weekly Brief (2014년 1~6월)

6. E

MF W

eekly B

rief (2

014년

1~

6월

)

62EMF Newsletter Vol.19

● 노출

- 일반 카테고리 : 휴대전화

필드의 특성 매개 변수

900㎒펄스파형(pulsed wave)

노출기간 : 6시간/일(임신 기간)

SAR : 0.3W/kg (min value)SAR : 0.9W/kg (max value)

- 노출 시스템

•동물(종/계통) : 위즈타 종 쥐

•전신노출

● 방법

- 신경계에 대한 영향 :

• CA1 피라미드 뉴런의 전기생리학적 변화 : 평상시 및 전류

주입 시의 뉴런의 흥분성(활동전위 수와 특성, 평균 휴지

전위, 패치 클램프 기술)

•조직학적 평가 : 조직 염색(cresyl violet staining), 광학현미경

- 인지/행동의 종말점: 학습/회피 행위(전기적 쇼크를 통한 반

복 테스트)와 공간 기억(Morris water maze)

- 체온조절 : 직장의 온도

- 조사 물질 : 조직 슬라이스(시험관 내)

- 생물체에 대한 조사

- 조사 기관 : 뇌/중추신경계

- 조사 시간 : 노출 전 / 노출 중 / 노출 후

● 연구 결과

- 휴대전화 노출군에서 뉴런 흥분성이 감소함

• 노출은 암컷과 수컷 모두에서 자발적인 활동 및 전류 주입

반응에 따른 활동전위 수의 감소와 주로 연관이 있음

• 노출군의 쥐들은 대조군과 비교해서 후과분극(after-

hyperpolarization)이 증가함

- 수동회피와 Morris water maze 시험 결과, 전자파 노출군은

대조군에 비해 수컷과 암컷 모두 학습과 기억에 상당한 왜곡이

있었음

• 노출군과 대조군 쥐의 뇌세포 광학현미경 연구에서는 모

두 일반적인 형태를 보임

- 휴대전화 노출이 쥐의 새끼(암컷과 수컷 모두)의 인지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 내림

출처 : http://www.emf-portal.de/viewer.php?l=e&aid=24398

ARPANSA「무선주파수 전문가 패널 보고 : 무선주파수의 건강영향연구 리뷰」발표

2014.3.25. (출처 : JEIC)키워드 : ARPANSA, Radiofrequency, Health Effects,

● 오스트레일리아 방사선 방호 원자력 안전청(ARPANSA)

은, 2014년 3월 14일, 「ARPANSA무선주파수 전문가 패널

보고 : 무선주파수의 건강영향연구 리뷰- 과학문헌

2000~2012」를 발표함

Page 63: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63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 전문가 패널은 이 분야에서의 2000년 1월부터 2012년 8

월까지의 과학문헌 조사에 근거하여, 「ARPANSA의 RF 노

출기준을 지지하는 과학은 여전히 공고하며, 동 기준의 노출

한도는 RF 전자계의 이미 알려진 건강영향에 대해서 고도의

방호를 계속하여 제공하고 있다」고 결론 내림

● 또한, 「갱신된 지식에 근거하여, RF 노출 기준에서의 한도

치 중에는, 특정한 상황에서는 당초 생각되고 있던 만큼 보

수적이지 않은 것도 있다」고도 결론내림

● 단, 이 보수성의 차이가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는 없음

● 발표된 보고서의 자세한 내용은 하기 URL에서 확인할 수

있음

URL :http://www.arpansa.gov.au/pubs/technicalreports/tr164.pdf

출처 : http://www.jeic-emf.jp/whats_new/20140325.html

휴대전화의 사용과 발기기능

2014.3.14. (출처 : NCBI)키워드 : testosterone, erectile dysfunction, Cell phone

● 연구의 목적

- 휴대전화 사용에 따른 남성의 발기기능 영향에 대한 보고

● 배경/추가 정보

- 최근 6개월 이내에 발기부전을 호소한 20명의 남성을 그룹

A, 그리고 그렇지 않은 건강한 남성 10명을 그룹 B로 나누어 모

집하여 설문조사

● 연구의 종말점

- 생식기관에 영향 : 남성의 발기기능

● 노출

- 휴대전화

- 노출 시스템 : 인간

● 방법

- 내분비 변화 : 테스토스테론 수준

- 기타 : 회상, 기본적 실험실 연구, 임상시험

- 생물체에 대한 조사

- 조사기관 : 생식기관

- 조사시간 : 노출 동안과 노출 이후

● 연구의 주요 결과

- 일주일간 휴대전화 통화에 소비 한 총 시간은 B군에 비해 A

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은 아니었음

- 발기부전인 남성들은 발기부전이 없는 남성보다 훨씬 긴 시

간 동안 전원이 켜진 휴대전화를 가지고 다닌 것으로 나타남

- 휴대전화 사용과 발기부전 사이에 대한 잠재적인 상관관계

를 발견하였으며, 더 큰 규모의 연구가 권장됨

출처 :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921848/pdf/CEJU-66-00224.pdf

Page 64: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6. EMF Weekly Brief (2014년 1~6월)

6. E

MF W

eekly B

rief (2

014년

1~

6월

)

64EMF Newsletter Vol.19

휴대전화에서 방출된 1800MHz 전자파의 골절 치료에 대한 영향

2014.3.13. (출처 : EMF Portal)키워드 : Electromagnetic Radiation, Fracture Healing, mobile phone,

1800MHz

● 연구의 목적

- 1800MHz 주파수 전자기장의 뼈 치료에 대한 영향을 연구

● 배경/추가 정보

- 30마리의 쥐를 동일한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모든 쥐의

오른쪽 경골에 골절(손가락 압력에 의해 골절)을 만들고,

K-wire 고정술을 시행함

- 노출군의 7마리, 대조군의 6마리 쥐가 “악성”골절로 인하여

죽거나 조직학적 슬라이스 분석이 불가능하여 연구에서 제외됨

● 종말점

- 뼈 치료

● 노출

- 일반 카테고리 : 휴대전화

필드의 특성 매개 변수

1800MHz노출시간 : 하루에 30분, 주 5일

, 8주

SAR : 0.008 W/kg(몸 전체)전력속 밀도 : 1.04 mW/cm²

<노출 시스템>

•동물(종/주) : 쥐/위스타 알비노

•전신노출

● 방법

- 뼈 치료(경골 골절 치료) : 조직병리학적 검사(연골세포, 골세

포와 섬유아세포의 비율 ; 헤 마톡실린-에오신염색, 현미경), 방

사선학적 검사(가골형성), 기계적 평가(유연성)

- 조사자료 : 조직 조각(시험관 내)

- 생물체에 대한 조사

- 기관 시스템 조사 : 근육/골격 시스템

- 조사시간 : 노출동안과 이후

● 연구의 주요 결과

- 방사선학적, 조직학적 및 기계적 매개 변수는 두 그룹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1800MHz 전자기장은 골절 치료에 영향

을 미치지 않음

출처 :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921848/pdf/CEJU-66-00224.pdf

극저주파 전자기장에 대한 주거 근접성과 부정적 출생 결과의 코호트 연구

2014.3.14. (출처 : EMF Portal)키워드 : preterm birth, spontaneous preterm birth, small for gestational

age, low birthweight, birth weight

● 목적 : 임산부의 극저주파 전자기장 노출 근접성과 부정

적 출생 결과의 연관성을 영국내 코호트 조사

● 노출

- 전기장, 자기장, 50/60Hz (AC), 전력선, 지하 케이블, 전기 변

전소, 275와 400kV

Page 65: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65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 노출 그룹

- 그룹 1 : 임산부 주거지와 전력선의 거리 : > 50 m

- 그룹 2 : 임산부 주거지와 전력선의 거리 : ≦ 50 m

- 그룹 3 : 임산부 주거지와 전력선의 거리 : > 100 m

- 그룹 4 : 임산부 주거지와 전력선의 거리 : ≦ 100 m

- 그룹 5 : 임산부 주거지와 전력선의 거리 : > 200 m

- 그룹 6 : 임산부 주거지와 전력선의 거리 : ≦ 200 m

● 인구

- 연구 그룹 : 노출상태의 임산부 총 140,356명

- 관측 기간 : 2004~2008

- 연구 위치 : 영국 (북서부 영국)

- 자료 출처 : North West Perinatal Survey Unit(NWPSU)

● 결론

- 고전압선, 전력선, 변전소, 타워 200m 이내에 1퍼센트 미만의

여성들이 거주하였음

- 극저주파 전기장에 대한 노출거리가 50m 또는 그보다 적은

거리에서 임산부 주거환경에서 임산 출산에 대한 통계적으로

중요한 위험증가가 없었음

- 노출원에 50m 이하로 근접할 경우 출생 시 아이의 평균 체

중은 212g으로 감소되었고, 여아의 경우 251g으로 나타남

- 연구진은 50m 이하의 거리에서 극저주파 전자기장에 대한

노출은 태아의 성장과 연관되어있다고 결론

- 소수의 임산부만이 고전압 전력선, 변전소, 타워 근처에 거주

하였으므로 공공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임

출처 : http://www.emf-portal.de/viewer.php?l=e&aid=24214

자기장 노출과 소아 백혈병 위험

2014.2.10. (출처 : EMF Portal)키워드 : childhood leukemia, magnetic field, exposure, power transmission

line

● 연구의 목적

- 전선의 자기장 노출과 소아 백혈병 위험 사이의 연관을 메타

분석(meta-analysis)으로 조사

- 다음과 같은 연구가 포함됨 : Michaelis 외 1997(독일), Linet

외 1997(미국), Dockerty 외 1998(뉴질랜드), McBride 외 1999(캐

나다), Green 외 1999(캐나다), Schüz 외 2001(독일), Kabuto 외

2006(일본), Kroll 외 2010(UK), Malagoli 외 2010(이탈리아)

● 위험 추정의 종말점/유형

- 소아 백혈병 : 모든 소아 백혈병 ,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 노출

- 자기장, 50/60Hz(AC), 전력 전송선

- 노출의 유형 : 주택지

- 측정에 의한 평가

Page 66: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6. EMF Weekly Brief (2014년 1~6월)

6. E

MF W

eekly B

rief (2

014년

1~

6월

)

66EMF Newsletter Vol.19

<노출 그룹>

참고 그룹 1 :그룹 2 :그룹 3 :그룹 4 :

자기장 세기 : < 0.1 μT자기장 세기 : 0.1 ~ 0.2 μT자기장 세기 : 0.2 ~ 0.4 μT자기장 세기 : ≥ 0.4 μT

참고 그룹 5 :그룹 6 :

자기장 세기 : < 0.2 μT자기장 세기 : ≥ 0.2 μT

참고 그룹 7 :그룹 8 :그룹 9 :그룹 10 :

자기장 세기 : < 0.1 μT자기장 세기 : 0.1 ~ 0.2 μT자기장 세기 : 0.2 ~ 0.3 μT자기장 세기 : ≥ 0.3 μT

● 개체군

- 연구그룹 : 0~15세의 어린이

- 관찰기간 : 1962년~2007년

- 연구지역 : 미국, 캐나다, 영국, 독일, 이탈리아, 일본, 뉴질랜드

- 연구크기 : 총 24,893명 (11,699 cases, 13,194 controls)

● 결론

- 자기장 세기 ≥ 0.4 μT(기준 레벨 < 0.1 μT)와 소아 백혈병

위험 사이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관찰됨 (총 백혈

병 : OR 1.57, CI 1.03~2.40,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 OR 2.43, CI

1.30-4.55)

- 기준레벨 < 0.2 μT의 조건에서, 자기장 세기 ≥ 0.2 μT와 소아

백혈병과의 분명한 연관성이 발견(OR 1.31, CI=1.06~1.61)됨

- 연구진은 자기장 노출 레벨이 소아 백혈병과 연관될 수 있다

는 결론을 내림 (연구 특성 : 역학 연구, 메타 분석)

출처 : http://www.emf-portal.de/viewer.php?l=e&aid=24082

국제암연구소(IARC)- 「세계암보고 2014」발행

2014.2.21. (출처 : JEIC)키워드 : IARC, World Cancer Report, Radiation

● 국제암연구소(IARC)는 암의 지리적 분포, 생물학, 병인,

예방(prevention), 대책의 모든 면에서의 연구에 근거한 전

문적·학제적인 평가를 제시하는 「세계암보고 2014

(World Cancer Report 2014)」를 공표함

● 이 보고는 전문직이 아닌 위생담당자 및 정책 결정자용

으로 균형을 맞춘 암 대책의 이해와, 암전문가용으로 최신

의 진전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도록 디자인되어 있음

● 전자계에 대해서는 「2.8절 방사 : 전리선, 자외선, 전자

기파(Radiat ion : ioniz ing, ul t raviolet , and

electromagnetic)」중에 다음과 같이 진술되어 있음

- 초저주파자계와 암과의 관련은 소아백혈병의 리스크 상승에

한정되며, 그 인과관계는 명확히 확립되어 있지 않음

- 휴대전화의 많은 사용과 뇌종양과의 관련이 관찰되고 있지

만, 인과적 해석에는 의논의 여지가 있음

- 보다 장기간의 휴대전화 사용에 대해서 더욱 많은 데이터가

필요함

● 상세한 자료는 하기의 URL의 원문을 참조

URL :http://www.iarc.fr/en/publications/books/wcr/index.php

출처 : http://www.jeic-emf.jp/whats_new/20140221.html

Page 67: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67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국제암연구소(IARC)의 격년보고서 2012~2013

2014.2.3. (출처 : JEIC)키워드 : IARC, Biennial Report, radiation, cancer, risk, ELF, RF, mobile

phone

● 국제암연구소(IARC)는 1월 28일자로 지난 2년간의 활동

내용을 정리한 「격년보고서 2012~2013(원문 제목 :

IARC Biennial Report 2012-2013)을 발표함

● 전자기장에 관해서는 「환경 및 방사선 부문」장에서 「전자

기장과 암의 리스크」(p.62~63)로 다음과 같이 소개됨

- 과학적 평가는 극저주파(ELF) 자기장과 무선주파수(RF) 전

자기장 모두, 인간에 대해 발암 가능성이 있을지도 모르는 [그

룹 2B]로 분류하고 있음. 이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

여줌

<ELF 자기장>

- ELF 자기장은 2001년에 [그룹 2B]로 분류되었는데, 역학적

증거에서 소아 백혈병에 대한 약한 관련이 시사되고 있으나, 실

험 연구에서는 작용 메커니즘을 찾지 못함

- ELF 자기장과 생존율 및 재발 위험과의 관련을 조사하기 위

해, 6개국에서 3,000명이 넘는 백혈병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다국간 협력이 개시되어 진단 후 10 년간에 걸쳐 추적 조사했

지만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고, 소아 백혈병 결과 예측 상에서

ELF 자기장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증거는 없었음

<휴대전화 사용>

- 휴대전화 사용과 관련된 뇌종양 위험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

구는 일관되지 않음

- 전체적인 위험 상승은 시사되고 있지 않으나, 휴대전화 헤비

유저에서의 위험 상승은 배제할 수 없음

- 휴대전화는 최근의 기술이므로 더욱 장기간의 관찰이 필요함

- 전반적으로 최근의 연구는 선행연구(주로 증례 대조연구)의

연구 결과를 약화시키는 것처럼 보이는데, 특히 휴대전화의 헤

비유저가 참여하는 추적 연구는 유용함

● 발표 된 보고서는 다음 URL에서 확인할 수 있음

URL : http://www.iarc.fr/en/publications/pdfs-online/breport/breport1213/index.php

출처 : http://www.jeic-emf.jp/whats_new/20130203_2.html

전자기장(EMF) 노출의 잠재적 건강 영향에 대한 사전 의견 공공협의

2014.2.5. (출처 : emfacts)키워드 : SCENIHR, Preliminary Opinion, electromagnetic fields, Public

consultation

● 유럽연합과 유럽연합의 SCENIHR(Scientific Committee

on Emerging and Newly Identified Health Risks)은 전자

기장 노출의 잠재적 건강 영향에 대한 사전 의견 공공협의를

시작함

– 협의는 2014년 4월 16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

● 온라인 협의에 더하여, 초안 의견은 2014년 3월 27일, 그

Page 68: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6. EMF Weekly Brief (2014년 1~6월)

6. E

MF W

eekly B

rief (2

014년

1~

6월

)

68EMF Newsletter Vol.19

리스 아테네에서 공청회의 주제가 되며, 뒤이어 EMF에 대

한 워크숍이 그 다음날 개최됨.

● 사전 의견은 휴대전화와 방송 송신기에서 방출되는 무선 주

파수 전자기장(RF EMF)뿐만 아니라 가정과 사무실의 전선, 가

전기기에서 발생하는 매우 낮은 주파수(ELF) 자기장에 의한

잠재적 건강 영향과 같은 대중의 관심을 받는 이슈를 다룸

● 이 공공협의는 최근의 정보(대게 2009년 이후 나온 500

개 이상의 연구)를 감안하여 2009년 1월 19일 및 2009년 7

월 6일의 SCENIHR의 의견을 업데이트하는 것이 목표임

● 이 사전 의견은 2009년 의견의 결정적 결론 및/또는 추

가 조사의 필요성 영역을 다룸

- 휴대전화 헤비유저의 뇌(신경 교종)와 귀(청신경송)의 암 위

험 가능성의 증가

- 방송 송신기 노출과 소아 백혈병을 포함한 소아암의 높은 발

병률 사이의 잠재적인 연관

- 생식문제, 인지기능 혹은 두통, 피로, 스트레스, 수면 장애, 피

부 문제의 증상 등

- 알츠하이머병 위험의 증가

● 공공 협의를 위해 제시되는 이 사전 의견은 현재의 최대

한계치에서의 자기장과 위에 열거한 건강에의 부작용 사이

의 인과 관계를 나타내지 못함

● 그러나, 이 영역의 일부, 특히 귀(청신종경)의 암과의 연

결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는 결론

출처 : http://www.emfacts.com/2014/02/public-consultation-on-the-preliminary-opinion-on-potential-health-effects-of-exposure-to-electromagnetic-fields-emf/

슬로베니아, 주변 환경에서의 전자기장을 모니터링하는 웹 및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2014.1.31. (출처 : wik-emf)키워드 : monitoring, electromagnetic fields, mobile application

● 슬로베니아의 비이온화방사선연구소(INIS)는 주변 환경

에서 전자기장(EMF)을 모니터링하기위한 웹 및 모바일 어

플리케이션을 개발함

- 현재로서는 슬로베니아의 영토에 대하여 슬로베니아어 언어

로만 사용할 수 있음

- 개발자에 따르면 이러한 모바일 또는 웹 기반 어플리케이션

은 EMF 소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어떠한 지역,

국가에서도 개발 될 수 있음

● 안드로이드 폰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수

있음

- https://play.google.com/store/apps

출처 : http://www.wik-emf.org/emfbrief.html?&L=1

2.4GHz WiFi 신호 전신 노출이 알츠하이머병(3xTg-AD)의 트리플 유전자 변형 성체 마우스 모델에서 인지 장애에 미치는 영향

2014.1.14. (출처 : EMF portal)키워드 : 2.4GHz WIFI signals, exposure, Alzheimer’s disease, whole body

● 연구 목적- 알츠하이머병에 연관된 변형을 불러오는 유

전자 변형 마우스에 2.45GHz의 WiFi 신호를 4주간 노출시

킨 후, 그 영향을 연구

Page 69: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69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 연구 배경- 알츠하이머병에 연관된 세 개의 인간 유전자

를 지닌 트리플 유전자 변형 마우스를 유전자 변형 마우스

두 그룹(노출군과 대조군)과, 야생형 마우스의 두 그룹(노출

군과 대조군)의 네 그룹으로 나누어 연구(각 그룹 N = 7)

● 노출

- 일반 범주 : 마이크로웨이브, W-LAN/WiFi, 2.45GHz의 일반

적 범위

- 노출 시스템 : 유전자 변형 마우스(3xTg-AD) 및 비 유전자

전환 마우스(한배새끼)를 이용한 전신 노출

● 방법

- 인지 / 행동 종말점 : 인지 기능(공간 학습과 기억, 반즈 미

로), 운동활성(플렉스필드 활동), 불안(다크/라이트 박스 테스

트, 빛으로 이동하는 반응 시간; 어둠상자에서 출입 횟수 및 소

요 시간)

- 측정 변수 : 체중, 체온

- 조사된 기관계 : 뇌 / CNS

- 조사의 시간 : 노출되는 시간 동안 조사

● 연구의 주요 결과

- 연구 데이터는 무선주파수 노출이 다크/라이트 박스 테스트

와 반즈 미로에서 유전자 변형 마우스의 인지 행동을 향상시킨

것을 보여줌

- 무선 신호에 노출되면 반응 시간이 감소하고 덜 불안했으며,

운동활성, 체중이나 체온에 아무런 영향이 발견되지 않음

- 연구진은 무선주파수 노출이 알츠하이머병의 기억력 향상에

효과적인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림

출처 : http://www.emf-portal.de/viewer.php?l=e&aid=21511

북유럽 방사선 안전 당국, 공동성명 발표

2013.12.20. (출처 : Swedish Radiation Safety Authority)키워드 : Nordic radiation safety authorities, radio wave, mobile phone,

health risk, exposure

● 북유럽의 방사선 안전 당국은 휴대전화, 휴대전화 기지국 및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전파 노출에 관한 공동성명을 발표함

- 당국에서는 그동안 수집된 연구들이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덴마크에서 사용되는 기준치(즉, 허용된 최대

수준) 이하의 전파와 관련하여 어떠한 건강 위험의 증거가 되

지 못한다는 결론을 내림

- 스웨덴 방사선 안전국의 수석전문가 Jimmy Estenberg는

“건강 위험과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전파 사이의 가능한 연계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는 없다. 무선 네트워크 가까이에 있는 사람

만 매우 낮은 정도의 전파에 노출되기 때문이다.”고 말함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동전화의 장시간 사용과 연계가 가

능한 위험을 완전히 배제하기 위해 추가연구가 필요함. 특

히 어린이와 청소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함

● 또한, Jimmy Estenberg는 “전자파 노출은 예방 조치로

감소시켜야 하지만, 사람들이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는 핸즈프리를 사용

하거나 통화 중에는 몸에서 휴대전화를 떨어트리는 것으로

실행할 수 있다. 우리는 지속적으로 이 지역에서 실시된 연

구를 모니터링할 것이다.”고 말함

Page 70: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6. EMF Weekly Brief (2014년 1~6월)

6. E

MF W

eekly B

rief (2

014년

1~

6월

)

70EMF Newsletter Vol.19

● 결론

- 휴대전화 사용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전자파 노출을 감소시

킬 수 있음.

- 스웨덴 방사선 안전국은 핸즈프리를 사용하고 통화 중에는

몸에서 휴대전화를 떨어트릴 것을 권장함

- 노출을 줄일 다른 방법으로는 스피커 설정 사용, 문자 메시지

전송, 수신 감도가 좋은 지역에서 송수신하는 것 등이 있음

출처 : http://www.stralsakerhetsmyndigheten.se/In-English/About-the-Swedish-Radiation-Safety-Authority1/News1/No-health-risks-from-radio-waves-below-reference-levels/

역학연구 : 집중적인 휴대전화 사용 10년 후, 악성 뇌종양의 발병률과 사망률

2014.1.9. (출처 : emf portal)키워드 : brain, brain tumors, cancer registry, exposure, mobile phone

● 목적 : 집중적인 휴대전화 사용 10년 후, 악성 뇌종양의

발병률과 사망률을 대만에서 분석

● 위험 추정의 종말점 및 유형

- 뇌종양 : 뇌의 악성 종양

- 발병률, 사망률의 추정

● 노출

- 휴대전화

- 노출 유형 : 개인

- 리스트에 의한 평가(대만 국가통신위원회(NCC))

● 인구

- 연구그룹 : 남성과 여성 총 23,000,000명

- 관측기간 : 2000년부터 2009년까지

- 연구위치 : 대만

- 자료출처 : 국립 암 등록센터 , 대만 암 등록센터

● 결론

- 대만은 휴대전화 사용자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 중의 하나이

며, 가입률이 116.6%임

- 10년의 관측 데이터는 대만에서 휴대전화의 집중적인 사용자

의 비율이 악성 뇌종양의 발생률이나 사망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줌

- 연구진은 악성 뇌종양의 유병율/사망률과 대만의 휴대전화

사용의 상관관계가 찾을 수 없다고 결론

출처 : http://www.emf-portal.de/viewer.php?l=e&aid=22161

단면연구 : 휴대전화 기지국 GSM 복사에 관한 자각증상

2014.1.10. (출처 : EMFacts)키워드 : GSM radiation, Subjective symptoms, mobile phone base

stations, exposure

● 목적 : 휴대전화 기지국(이하 기지국)으로부터의 노출 불

안에 대하여 소급조회한 데이터를 포함하여, 기지국에서의

마이크로파 노출에 관한 건강 증상을 연구한 Navarro 교수

등(2003)의 데이터의 재분석을 수행함

Page 71: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EMF Newsletter 2014

71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 배경 : La Ñora(무르시아), 스페인

● 참가자 : 2003년도의 88명의 참가자 대신 101명을 분석

하였고, 기상 환경이 노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유

사한 기상 조건에서 측정한 데이터로 제한함

● 결과 및 방법

- 이진 응답(예, 고통 피로(1) 또는 그렇지 아니함(0))을 모델링

즉, 이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고, 노출은 예측 변수로

도입됨.

● 결과

- 노출에 관하여 관련된 증상

•식욕부진 (OR=1.58, 95% CI 1.23 to 2.03)

•집중력 부족 (OR=1.54, 95% CI 1.25 to 1.89)

•과민성(OR=1.51, 95% CI 1.23 to 1.85)

•수면장애(OR=1.49, 95% CI 1.20 to 1.84)

● 결론

- 대부분의 증상 발생이 인구통계학적 변수 및 몇 가지 가능한

위험 요인과는 별개로, 노출 수준과 관련된 것을 관찰함

- 강력 수면장애와 강력한 연관에도 불구하고, 노출로 인한 부

작용에 대한 우려는 노출과 수면 사이의 직접적인 관계에 영향

을 주지 않음

출처 : http://bmjopen.bmj.com/content/3/12/e003836.full

낮은 강도의 무선 주파수 방사에 노출된 배아세포에서 활성산소종의 과잉 생산

2013.12.20. (출처 : EMF Portal)키워드 : free radical species, low intensity radiofrequency radiation, GSM

900 MHz, exposure, embryonal

● 목적 : 휴대전화에서 방출된 무선주파수 전자기장으로

인한 메추라기 알 속의 배아의 산화 스트레스 수준을 평가

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함

● 연구방법

- 노출군(N=10)과 대조군(N=10)은 상이한 노출 기간으로 시험함

- 메추라기 알은 900MHz의 매우 낮은 강도의 RF-EMR에 노

출시켰으며, 처음 120시간 동안은 실온에 노출시켰고, 그런 다

음, 인큐베이터(38℃)로 옮겨 38시간, 5일, 10일 동안 노출시킴

- 158시간과 240시간 동안 노출된 그룹은 전체 배아의 세포분

쇄액을 조사하고, 360시간 동안 노출된 그룹은 뇌, 간, 심장 조

직의 세포분쇄액을 조사함

● 결과

- 과산화물은 대조군에 비해 158시간 노출 그룹과 360시간 노

출 그룹의 간과 심장에서 현저히 증가하였음

- 모든 노출 그룹에서 질소산화물의 수준이 대조군에 비해 증

가하였으며, 240시간 노출 그룹과 360시간 노출 그룹의 심장에

서 지질과산화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함

- 158시간 노출 그룹과 240시간 노출그룹에서는 대조군에 비

해 높은 수준의 산화적 DNA 손상이 발견됨

- 240시간 노출 후, 과산화효소의 활동이 현저히 증가하면서

항산화효소의 활동은 현저히 감소함

Page 72: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6. EMF Weekly Brief (2014년 1~6월)

6. E

MF W

eekly B

rief (2

014년

1~

6월

)

72EMF Newsletter Vol.19

- 그러나, 360시간 노출 그룹의 간에서는 과산화효소의 활동이

현저히 감소하면서 항산화효소의 활동은 현저히 증가하였음

● 결론

- 연구진은 적어도 158시간 동안 GSM 900MHz의 매우 낮은

RF-EMR에 메추라기 배아의 노출은 활성산소/활성산소종의

현저한 과잉생산 및 배아의 산화적 DNA 손상에 이르게 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림

- 이러한 산화적 변화는 세포의 발암적 변형현상으로까지 이

어질 수 있음

출처 : http://www.emf-portal.de/viewer.php?aid=23628&l=e

‘EMF Weekly Brief’의 상세 내용은 www.emf.or.k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Page 73: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www.emf.or.kr

발행처 : 한국전자파학회 전자장과 생체 관계 연구회

발행인 : 김남

편집위원 : 권종화, 김기회, 박미선, 안영환, 이승우, 이윤실

출판사 : 미래전파공학연구소 부설 도서출판 지식제작소

ISSN : 2233-4912

EMF Newsletter

Page 74: EMFemf.or.kr/news_letters/news_letter_19.pdf · ISSN 2233-4912 2014년 통권 제19호 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Newsletter

www.emf.or.kr

깨끗한 전자파 환경...

전자파에 대한 이해가 우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