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ue monitor 중국 전자결제의 이노베이터 알리페이€¦ ·...

15
중국 전자결제의 이노베이터, 알리페이 Issue Monitor 삼정KPMG 경제연구원 June 2014

Upload: others

Post on 30-May-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중국 전자결제의 이노베이터,알리페이

Issue Monitor

삼정KPMG 경제연구원

June 2014

2© 2014 Samjong KPMG ERI Inc., the Korean member firm of the KPMG network of independent member firms affiliated with KPMGInternational Cooperative (“KPMG International”), a Swiss entity. All rights reserved.

Content

The contacts at KPMG

in connection with this

report are:

이광열경제연구원Partner, 삼정KPMG

Tel: + 82 2 2112 [email protected]

이효정경제연구원S. Manager, 삼정KPMG

Tel: + 82 2 2112 [email protected]

박도휘경제연구원Analyst, 삼정KPMG

Tel: + 82 2 2112 [email protected]

김수경경제연구원Analyst, 삼정KPMG

Tel: + 82 2 2112 [email protected]

Page

Executive summary 3

중국인의 전자 지갑이 되다 4

알리페이(Alipay)란 무엇인가? 4

중국에서의 알리페이 영향력 5

중국 시장 내 알리페이의 확산 배경 6

알리페이의 MMF 상품 ‘위어바오’ 8

중국을 넘어 세계로 9

알리페이의 한국 진출 현황 및 전망 9

알리페이의 해외 진출 현황 및 전망 10

시사점 13

본 보고서는 삼정KPMG 경제연구원(주)과 관계회사(이하"삼정")가 수

집한 자료 및 정보를 바탕으로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되

었으며 특정 시장, 회사, 자산, 또는 사업에 대한 삼정의 공식적인 견해를

나타내지 않습니다. 본 보고서는 독립적인 제3자에 의해 검토되지 않았

으며, 삼정은 자료의 정확성과 완전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삼정은 본 보고서에 포함된 어떠한 정보에 대하여 직접적 또는 간접적

으로 보증이나 보장을 제공하지 않으며, 제3자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원래 목적과 다른 목적 또는 의도에 따라 본 보고서

의 일부 또는 전체의 사용은 엄격히 금지됩니다. 본 보고서는 삼정의 사

전 서면 동의 없이 무단배포, 인용, 발간, 복제될 수 없습니다.

삼정KPMG 경제연구원 Issue Monitor

중국 전자결제의 이노베이터, 알리페이

3© 2014 Samjong KPMG ERI Inc., the Korean member firm of the KPMG network of independent member firms affiliated with KPMGInternational Cooperative (“KPMG International”), a Swiss entity. All rights reserved.

2014년 기준 약 8억2,000만 명의 가입자를 보유하며 중국 시장에서 제1의 전자화폐로 자리매김한알리페이(Alipay)는 세계 1위 업체인 페이팔(Paypal)의 자리를 넘볼 정도로 가속도를 내며 성장하고있다. 이제는 중국 온라인 쇼핑 시장을 넘어 한국, 일본, 미국, 홍콩 등 세계 온라인 쇼핑 시장으로진출하고 있는 알리페이의 행보에 우리 기업과 정부는 주목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알리페이의 지속적인 도약이 예상되는 가운데, 삼정KPMG 경제연구원은 알리페이의 중국 온라인쇼핑 시장 내 확산 배경과 영향력, 한국을 포함한 해외 진출 현황 및 전망을 분석했다. 향후 알리페이의성장과 관련하여 우리 기업과 정부가 어떻게 전략을 수립해야 할 지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 중국인의 전자지갑이 되다

알리페이는 오프라인 상의 화폐를 온라인으로 옮겨놓은 ‘전자화폐’의 형태이며, 이는 제3자 온라인

결제 시스템이라고 불리기도 함. 2003년 10월 중국 알리바바가 중국어로는 즈푸바오(支付宝)라고

불리는 알리페이를 출범시킨 후 소비자는 온라인 상에서 보다 편리하게 결제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게 됨

알리페이는 개인 계좌에 있는 돈을 가상의 전자지갑에 충전한 후, 전자지갑에 있는 돈으로 온라인

상에서 물건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됨

알리페이가 출시되면서 제3자 온라인 결제 시스템이 중국 온라인 쇼핑 시장에서 활성화 되었으며,

현재 알리페이는 약 8억2,000만 명의 고객을 보유하고 있는 중국 제1의 전자화폐로 거듭남

– 알리페이는 ‘에스크로 플랫폼 서비스’ 전략으로 의심 많기로 유명한 중국인을 전자 상거래

시장으로 끌어들일 수 있었으며, 중국 내 신용카드 보급률이 낮다는 점을 간파하고 신용카드 외

은행계좌, 휴대전화 등을 온라인 거래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 그 결과, 온라인 결제

서비스 시장 내에서 가입자를 단기간 내에 대거 확보할 수 있었음

한편, 알리페이는 쇼핑 후 전자지갑에 남아 있는 돈을 머니마켓펀드(MMF)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위어바오(余额宝)’라는 인터넷 금융상품을 출시하며 비즈니스의 영역을 확장해나가고 있음

■ 중국을 넘어 세계로

중국을 이미 장악한 알리페이는 2013년 한국정보통신, KG이니시스와의 제휴를 시작으로 2014년

5월부터는 롯데면세점, 롯데닷컴과 제휴를 하는 등 한국 온라인 쇼핑 시장뿐만 아니라 한국

오프라인 시장에도 적극적인 진출을 도모하고 있음

알리페이 도입을 통해 한국 온라인 쇼핑 시장에 중화권 역직구족을 공략할 수 있는 큰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이 됨. 동시에 알리페이의 안전과 보안에 대한 위험요소에 대응할 만한 적절한 규정이나

법규가 국내에 없는 실정이므로 금융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과 국내 금융당국의 감독 규정,

소비자 보호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알리페이의 해외 시장 진출의 행보를 살펴보면 첫 번째 타깃으로 중국 언어와 문화에 익숙한 홍콩,

대만, 싱가포르 등 동남아시아 지역의 중화권 국가로 정하고 진출을 추진하였음. 최근에는 중화권

국가뿐만 아니라 일본과 미국으로까지 확장해 가는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음

■ 시사점

알리페이의 영향력이 전 세계적으로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한국 유통·소비재 기업 및

정부가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되는 사항으로는 1) 중국 소비자 확보를 위해 알리페이의 도입은 필수,

2) 정부의 알리페이 관련 제도 수립 필요, 3) 급변하는 중국 유통의 결제 시장 모니터링 강화를 꼽을

수 있음

삼정KPMG 경제연구원 Issue Monitor

중국 전자결제의 이노베이터, 알리페이

4© 2014 Samjong KPMG ERI Inc., the Korean member firm of the KPMG network of independent member firms affiliated with KPMGInternational Cooperative (“KPMG International”), a Swiss entity. All rights reserved.

중국 제1의 전자화폐 ‘알리페이’

‘약 8억2,000만 명 가입, 중국 제1의 전자화폐’

이는 알리페이(Alipay: 즈푸바오, 支付宝)의 2014년 현주소이다.

기존에 오프라인에서 상품을 구매하던 사람들이 온라인으로 넘어올 때 흔히 겪는

어려움 중 하나가 바로 온라인 ‘결제’이다. 오프라인에서 물건 값을 지불할 때와

비교하면 온라인에서는 절차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온라인을 통해 결제하는 것에 대해

믿어도 될 지 확신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한 이유로 선뜻 온라인으로 상품을 구매하는

것을 꺼리기도 한다 . 이에 잘 갖추어진 온라인 결제 시스템 확보는 온라인 쇼핑

기업에게 한 단계 성장하기 위한 기회가 될 수 있다.

“e-커머스의 지불 문제가 해결되기만을 기다린다면 우리에게 기회가 있을 것이라

생각하는가? 아니다. 우리에게 기회는 영원히 없을 것이다.”

오늘날 중국의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Alibaba, 阿里巴巴)를 설립한 마윈(馬雲)

회장이 2003년 C2C 사이트 타오바오왕(淘宝网)을 출범시킨 후 언급한 말이다. 당시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에는 소비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결제 시스템이 딱히 없었기에

마윈은 중국인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했다. 마윈은 장기적인

시각에서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결제 시스템 구축도 동반되어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다는 사실을 일찌감치 포착한 선견지명을 지닌

기업인이었다.

마윈은 연구에 연구를 거듭한 끝에 2003년 10월 중국어로는 즈푸바오(支付宝)라 불리는

알리페이라는 온라인 결제 방식을 내놓았다. 이를 통해 중국 전자상거래에서 장애

요인이 되었던 전자결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알리바바의 판매자와 구매자는 안전하고

편리한 거래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참고로 알리페이의 중국어 버전인 즈푸바오를

한국어로 직역하면 ‘지불 서비스 보물’이라는 뜻이다. 알리바바라는 기업명은 잘 알려져

있듯이 ‘알리바바와 40인의 도둑’ 이야기에서 착안하여 마윈이 작명했다. 이야기 속의

주인공 알리바바가 보물이 쌓인 동굴의 문을 열었듯이, 마윈이 창립한 알리바바는 자사

브랜드명에 ‘보물 ’이라는 말의 중국어인 ‘바오 (宝 )’를 붙이곤 한다 . C2C 사이트

‘타오바오왕’ 또한 ‘보물을 걸러내다’, 즉 ‘보물찾기’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알리페이는 중국 최초의 전자화폐다. 전자화폐란 오프라인 상에서의 화폐를 온라인으로

옮겨놓은 형태로 이해할 수 있다. 본인 계좌에 있는 돈을 가상의 전자지갑에 충전한다.

그리고 전자지갑에 있는 돈으로 온라인 상에서 물건을 구매하는 시스템이다. 이는 다른

말로 제3자 온라인 결제 시스템으로 불리기도 한다. 현재 중국 온라인 쇼핑 시장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결제 수단 역시 전자화폐다. 마윈이 알리페이를 출범시킨 이후

전자화폐라는 시스템이 중국의 온라인 쇼핑 시장에서 활성화 되었으며, 소비자는

온라인 상으로 보다 쉽고 빠르게 물건을 구입할 수 있게 되었다.

알리페이는중국 최초의 전자화폐 …알리페이 출범 이후, 중국 온라인 쇼핑시장에서 주요 결제수단으로 자리 잡아

알리페이(Alipay)란무엇인가?

삼정KPMG 경제연구원 Issue Monitor

중국 전자결제의 이노베이터, 알리페이: 중국인의 전자지갑이 되다

5© 2014 Samjong KPMG ERI Inc., the Korean member firm of the KPMG network of independent member firms affiliated with KPMGInternational Cooperative (“KPMG International”), a Swiss entity. All rights reserved.

알리페이의 성장이 곧 중국 온라인 쇼핑 시장의 성장

이제 알리페이는 중국 최고의 온라인 및 모바일 결제 기업으로 우뚝 섰다. 중국의 최대

통신사인 신화사가 발간하는 경제전문지 경제참고보(经济参考报)에 따르면 2014년

춘절 연휴 동안 알리페이의 결제 건수는 2억여 건을 초과했다고 밝혔다.

중국 온라인 시장이 급격히 확대됨에 따라 온라인 쇼핑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알리바바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동시에 그 동안 중국의 온라인 쇼핑 시장 발전에

기여해 온 알리페이에 대한 관심도 점점 커지고 있다.

사실 알리페이는 이미 10여년 전에 출범되었고, 온라인 결제 시장에서 1인자로 거듭난

지 오래다. 최근 중국에서 제3자 온라인 결제 시스템을 통한 거래액이 급속히 증가하며,

알리페이 역시 눈부신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중국 인터넷정보 컨설팅업체인 이꽌궈지(易观国际)가 발표한 2013년 4분기 기준 중국

제3자 온라인 결제 시장의 점유율을 살펴보면, 알리페이는 전체 시장의 약 47%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중국 인터넷 서비스 기업 텐센트(Tencent,

腾讯 )가 운영하는 텐페이 (Tenpay, 财付通 )(18.7%), 중국 최대 이동통신업체

차이나모바일 (中国移动 )과 차이나유니온페이(中国银联 )가 공동으로 제공하는

차이나페이(ChinaPay, 银联在线)(9.0%)가 그 뒤를 잇고 있다. 한편 미국에서 출발한 뒤

세계 최대 온라인 결제 서비스로 자리잡은 페이팔 (Paypal, 快钱 )의 중국 내

시장점유율은 6.5%를 차지하며 4위에 머물렀다.

알리페이는중국 제3자온라인 결제 시장의약 47%의 점유율로1위를 차지

중국에서의알리페이 영향력

삼정KPMG 경제연구원 Issue Monitor

중국 전자결제의 이노베이터, 알리페이: 중국인의 전자지갑이 되다

<중국 제3자 온라인 결제 시장 연간 거래규모> <중국 제3자 온라인 결제 기업 시장점유율(%)>(2013년 4분기 거래액 기준)

Source: 이꽌궈지(易观国际), EnfoDesk

20 742

1,445

13,010

67.894.7

800.3

0

200

400

600

800

1000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2010 2011 2012 2013

거래액(억 위안)

성장률(%)

46.9

18.7

9.0

6.5

5.8

5.5

3.0 2.1 2.5

알리페이(支付宝) 텐페이(财付通)차이나페이(银联在线) 페이팔(快钱)후이푸티엔시아(汇付天下) 하오이리엔(好易联)이바오즈푸(易宝支付) 환쉰즈푸(环迅支付)기타

Source: 이꽌궈지(易观国际), EnfoDesk

(억 위안) (%)

6© 2014 Samjong KPMG ERI Inc., the Korean member firm of the KPMG network of independent member firms affiliated with KPMGInternational Cooperative (“KPMG International”), a Swiss entity. All rights reserved.

알리페이의 하루 결제 건수는 4,500만 건에 달하며, 하루 결제 금액은 약 11억3,000만

위안(2014년 6월 기준 약 1,850억 원) 수준에 이른다. 중국에서 매년 11월 11일은

‘광군제(光棍节, 솔로의 날)’로 불리며 중국에서 연중 가장 큰 온라인 결제 규모를 보이는

날인 가운데, 지난 2013년 11월 11일 하루 동안 알리페이의 거래건수는 1억 8,800만

건에 육박하며 연중 일평균 결제 건수의 4배 이상을 기록하기도 했다.

한편 알리페이 관련 최근 자료에 따르면 알리페이의 모바일 고객은 1억 명에 이른다.

모바일 알리페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1억 명의 사용자는 2013년 한 해 동안

27억8,000건을 결제했고, 그 규모는 9,000억 원(약 54억6,000만 위안)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리페이의 성장세는 2014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IT 기업의 온라인

금융 서비스 중 하나로서 다양한 산업으로의 영향력은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후발 주자의 매서운 추격, 알리페이 vs. 페이팔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중국의 알리페이와 미국 페이팔의 중국

전자결제 시장에서의 경쟁 상황을 표현하는 적합한 문장일 것이다. 현재는 중국에서

1위의 시장점유율을 자랑하는 알리페이도 설립 초기에는 세계 전자결제 시장을

선도하던 페이팔을 벤치마킹했다는 사실은 이미 업계에서는 기정 사실로 통한다.

하지만 후발주자인 알리페이의 이용자 수는 불과 설립 6년만인 2009년 2억2,000만

명을 기록했다 . 특히 2013년 4분기 기준 중국 시장에서 46.9%(페이팔 6.5%)라는

압도적인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알리페이가 중국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끼치게 된 배경에는 페이팔 등 글로벌 결제 시스템에서 벤치마킹한 포인트를 창조적,

혁신적으로 승화한 전략이 놓여있다.

그 첫 번째 전략은 ‘에스크로 플랫폼’을 도입하여 중국 고객에게 신용을 얻었다는

점이다. 소비자는 온라인 쇼핑몰 상품 구매에 앞서 상품이 제대로 배송될 것인지 ,

상품이 하자가 있는 건 아닌지, 혹시 가품(假品)은 아닌지에 대한 걱정을 하게 마련이다.

특히 알리페이가 서비스를 시작할 2003년 당시 중국의 전자상거래에서의 거래

안정장치는 전무한 상황이었다.

당시 중국 내 페이팔의 결제 서비스 방식은 P2P(peer to peer) 방식으로 상품구매자의

대금이 판매자의 계좌로 송금되는 방식으로 제공되었다. 이와 같은 방식은 송금된 돈은

되돌려 받을 수 없으므로 구매자의 안전을 보장 받을 수 없었다. 알리바바는 만약

페이팔과 같은 모델을 중국 시장에 적용한다면 고객들이 알리페이를 신임하지 못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알리페이의이용자 수는불과 설립 6년만인2009년 2억2,000만 명을기록

2013년 11월 11일하루 동안알리페이 당일 거래건수1억8,800만 건 기록, 연중 일평균결제 건수의 3배 이상

중국 시장 내알리페이의 확산 배경

삼정KPMG 경제연구원 Issue Monitor

중국 전자결제의 이노베이터, 알리페이: 중국인의 전자지갑이 되다

7© 2014 Samjong KPMG ERI Inc., the Korean member firm of the KPMG network of independent member firms affiliated with KPMGInternational Cooperative (“KPMG International”), a Swiss entity. All rights reserved.

이에 알리페이는 상품구매자가 알리페이에 먼저 대금을 송금하면 판매자가 입금 내역을

확인 후 구매 상품을 발송하고, 구매자가 받은 상품을 확인하여 구매 확정을 통지하면

알리페이가 판매자 계좌에 대금을 송금해 결제가 성립하는 ‘에스크로 플랫폼’을

선보였다.

알리페이의 ‘에스크로 플랫폼 서비스’ 전략은 중국 시장에서 적중했다 . 고객에게

전자거래에 대한 신용을 확보했을 뿐만 아니라 판매자 또한 안심하고 고객과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을 환영했다. 결과적으로 알리페이의 에스크로 플랫폼은 의심이 많기로

유명한 중국인을 현금을 주고받는 오프라인 직접 매매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전자

매매로 끌어들이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 또한 알리페이는 서비스 안정성을

기반으로 한 이용자 규모와 인지도에 따라 성패가 좌우되는 결제 서비스 시장 안에서

강력한 선점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최근 알리페이는 자국 내 온라인 거래 고객 확보에 머물지 않고 해외에서 물건을 직접

구입하는 중국인의 온라인 쇼핑 트렌드의 부상에 따라 해외 백화점과 대형마트, 인터넷

쇼핑몰 등과 제휴를 맺고 전자결제 시스템을 구축해 나가고 있다. 이와 같은 에스크로

플랫폼 서비스의 글로벌화를 통해 중국 소비자는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직접

해외구매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중국 시장에서 알리페이가 페이팔을 누르고 시장을 선점할 수 있었던 두 번째 전략은

‘전자화폐’ 서비스이다. 2005년 7월 페이팔이 중국 시장에 진출할 당시 선진국에서

보편화된 신용카드 중심의 결제 시스템을 적용했다. 하지만 중국은 빠른 경제 발전에도

불구하고 신용카드의 보급률이 현저히 낮다는 점을 간과했던 것이다. 신용카드에

익숙하지 않았던 중국 소비자는 결국 페이팔 사용을 기피하게 되었고, 이는 결정적으로

페이팔이 중국 시장에서 스스로 자멸하는 결과를 낳았다.

<알리페이의에스크로플랫폼>

Source: 중국인터넷정보센터(CNNIC,中国互联网络信息中心)

구매자

주문/결제

판매자

배송/승인

알리페이

물품확인

상품구매 배송확인 및 등록

상품배송 승인결과

승인 및 물품 확인

대금지급

알리페이는‘에스크로 플랫폼서비스’를 통해고객과 판매자에게신용을 확보

삼정KPMG 경제연구원 Issue Monitor

중국 전자결제의 이노베이터, 알리페이: 중국인의 전자지갑이 되다

8© 2014 Samjong KPMG ERI Inc., the Korean member firm of the KPMG network of independent member firms affiliated with KPMGInternational Cooperative (“KPMG International”), a Swiss entity. All rights reserved.

반면 알리페이의 경우 이와 같은 상황을 일찌감치 간파하고 신용카드 이외에도 은행

계좌, 휴대전화 등을 통해 알리페이 계좌에 돈을 적립해 두고 전자화폐로 변환하여

필요할 때마다 온라인 거래로 사용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이와 같은 중국

고객 맞춤형 서비스는 큰 호응을 받았고, 알리페이의 보급 확대로 이어질 수 있었다.

심지어 2012년 2월 알리페이는 공식적으로 신용카드를 이용한 알리페이 충전 서비스를

전면 중단했다. 이는 중국 소비자의 신용카드의 저조한 보급에 대한 알리페이의 전략이

성공했음을 다시 한번 증명하는 사례라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알리페이는 고객을 위한, 고객에 의한 맞춤형 전자 결제 시스템 서비스를

통해 중국은 물론 홍콩, 대만, 한국, 일본, 미국 등 전세계로 사업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중국 시장을 무대로 벌어진 시합에서 페이팔에게 1승을 거둔 알리페이가 향후

세계 시장을 무대로 페이팔과 벌어질 경쟁에서 어떤 성적을 거둘지 귀추가 주목된다.

알리페이, 위어바오(余额宝)를 통해 금융업 진출

2013년 6월 12일 중국 금융권에 폭풍이 몰아쳤다. 온라인 쇼핑 업체인 알리바바가

알리페이의 성공의 여세를 몰아 위어바오(余额宝, ‘잔액 보물’이라는 의미)라는 인터넷

금융상품을 출시한 것이다. 위어바오는 타오바오왕(淘宝网)이나 톈마오(Tmall, 天猫) 등

온라인 쇼핑몰 내 결제시스템인 알리페이에 돈을 충전하면, 소비자는 쇼핑 후 남은

충전금액을 위어바오에 이체하고 이를 중국의 톈홍(天弘) 자산운용사가 단기 집중

투자를 하여 수익을 얻는 온라인 MMF(머니마켓펀드) 상품이다.

위어바오는 소액 투자가 가능하고 수시입출금이 가능한 데다 연 3.3%에 불과한

시중은행 예금 금리의 두 배에 가까운 6%대 수익률 보장이라는 혜택이 입소문으로

퍼지면서 출시 9개월 만인 2014년 4월 말까지 5,000억 위안(약 83조 원)의 투자금과

8,100만 명의 투자자를 모았다. 이 숫자는 중국 주식 시장 개장 이래 중국 증권사들이

23년간 확보한 주식 투자자 6,700만 명을 웃도는 수치이다. 2014년 들어 알리바바는

위어바오의 성공에 머물지 않고, 2014년 3월 영화와 게임 등의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투자할 수 있는 새로운 MMF 상품 워러바오(娱乐宝, ‘오락 보물’이라는 의미)를 출시하여

출시 5일만에 10만 명의 투자자 확보라는 경의적인 기록을 세웠다.

위어바오는단기 집중 투자로수익을 얻는온라인MMF(머니마켓펀드) 상품

알리페이의MMF 상품 ‘위어바오’

삼정KPMG 경제연구원 Issue Monitor

중국 전자결제의 이노베이터, 알리페이: 중국인의 전자지갑이 되다

<위어바오(余额宝) 자금 운용 흐름도>

위어바오(余额宝)

타오바오왕(淘宝网)

톈홍펀드(天弘基金)

알리페이(Alipay)

고객

수익

자금투자자금이체

실시간 환매, 계좌입금

Source: 人民网, People.cn

전자 결제

9© 2014 Samjong KPMG ERI Inc., the Korean member firm of the KPMG network of independent member firms affiliated with KPMGInternational Cooperative (“KPMG International”), a Swiss entity. All rights reserved.

위어바오의후속 상품인워러바오(娱乐宝), 자오차이바오(招财宝) 중국 시장에서연이어 히트

또한 은행, 보험, 자산운용사 등 각종 금융기관의 상품을 한 데 모아 놓고 판매하는

개방형 투자자산관리 플랫폼인 자오차이바오(招财宝, ‘재물을 부르는 보물’이라는

의미)를 2014년 4월 선보여 출시 직후 6개 펀드상품의 당일 매진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위어바오는 가입자로 하여금 인터넷을 통해 편리하게 금융상품에 투자할 수 있도록

유도 했다는 점과 알리바바의 온라인 쇼핑 결제 시스템인 알리페이와 연동을 통해

비즈니스 영역을 확장했다는 점에서 혁신적인 사업모델로 평가 받고 있다. 한 때

2007년 페이팔 또한 페이팔 계정 내 예치된 적립금을 MMF에 투자해 페이팔의 자회사

PayPal Asset Management Inc.가 운용하게 되는 MMF 상품을 출시한 적이 있다 .

당시의 수익률은 5% 정도로 낮지 않은 편이었으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수익률이

0.05%로 정기예금 금리보다도 낮아져 결국 페이팔은 2011년 7월 MMF 상품 서비스를

중단했다. 과연 위어바오는 성공 요인 중 하나로 꼽히는 비교적 높은 MMF의 수익률을

향후 어떻게 유지·강화해 나갈 지 관련 전략을 관심 있게 지켜봐야 할 필요가 있다.

알리페이의 한국 진출, 약(藥)과 독(毒)은?

중국을 이미 장악한 알리페이는 한국의 온라인 쇼핑 시장에도 눈길을 보내고 있다.

2013년 한국 온라인 결제 시장에 진출한 데 이어 2014년 5월부터 본격적으로 오프라인

시장에도 진출하고 있다.

알리페이는 2013년 8월부터 한국정보통신과 제휴를 맺고 중국관광객이 한국에서

오프라인으로 구매한 상품의 부가세 환급금을 알리페이 계좌를 통해 손쉽게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했다. 따라서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국 관광객은 한국 관광 이후

출구시 한국 공항의 부가세 환급 코너에 직접 방문할 필요가 없어졌다. 또한 2014년

1월부터 한국의 전자결제기업 KG이니시스와 제휴를 통해 한국의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는 중국 내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결제 서비스를 시작했다. 알리페이와의

제휴의 움직임은 한국의 온라인 쇼핑 업체에서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2014년 5월

롯데닷컴은 알리페이 결제시스템을 도입하여 중국 고객이 롯데닷컴에서 손쉽게 결제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진행하며 중화권 온라인 쇼핑족을 잡는 데 총력을 다하고 있다.

알리페이의한국 진출 현황 및 전망

삼정KPMG 경제연구원 Issue Monitor

중국 전자결제의 이노베이터, 알리페이: 중국을 넘어 세계로

<알리페이의 한국 업체 제휴 현황>

한국정보통신제휴

중국 관광객대상 부가세환급 지원서비스 제공

KG이니시스제휴

국경 간 지불결제 서비스

제공

롯데닷컴제휴

알리페이결제시스템

도입

롯데면세점제휴

바코드 및QR코드를

통한 오프라인결제 서비스 제공

Source: 국내외 언론사 보도 종합

하나은행제휴 예정

알리페이 회원의상품구매 금액을가맹점에 선지급

하는서비스제공예정

’13.08 ’14.01 ’14.05’14.05 ’14.06

10© 2014 Samjong KPMG ERI Inc., the Korean member firm of the KPMG network of independent member firms affiliated with KPMGInternational Cooperative (“KPMG International”), a Swiss entity. All rights reserved.

또한 알리페이는 한국의 오프라인 시장으로도 사업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알리페이는

롯데면세점과 손잡고 2014년 5월부터 중국인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중국 소비자는 알리페이 계좌에 예치된 금액으로 바코드나 QR코드

정보를 통해 롯데면세점에서 상품 구입 할 수 있게 되었다 . 또한 2014년 6월

하나은행도 알리페이와 제휴를 통해 중국 여행객이 스마트폰만으로도 한국 가맹점에서

손쉽게 상품 결제를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 하나은행은 중국

여행객의 상품결제대금을 가맹점에 선지급하고 이후 알리페이에서 하나은행에

결제대금을 갚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진행할 예정이다.

롯데닷컴에 따르면 2014년 2월 해외고객 대상 사이트인 글로벌관의 주문 건수가 오픈

1달 만에 1,000건을 넘어섰다. 고객의 국가 비중이 중국 38%, 홍콩 15%, 미국 11%를

기록하며 해외 온라인 직구 고객으로부터의 매출 중 50% 이상이 중화권 고객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외 고객의 주문 금액은 평균 22만 원 선으로 국내

고객(평균 10만 원)의 두 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유통 기업 입장에서는

알리페이 도입을 통해 중화권 고객의 접근성과 편리성을 강화한다면 한국 온라인 쇼핑

시장에 중화권 역직구족을 끌어들일 수 있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알리페이의 국내 진출에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그 우려의 중심에는

안전과 보안에 대한 문제가 있다. 아직까지는 한국 시장에서 알리페이가 가지고 있는

위험 요소를 저지할 만한 적절한 규정이나 법규가 없는 실정이다. 현재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만 서비스 하는 알리페이가 향후 한국 소비자로 확대되기 위해서는

금융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과 국내 금융당국의 감독 규정, 소비자 보호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로 알리페이가 한국보다 먼저 진출한 대만과 홍콩에서도 알리페이가 감독기관의

심사를 받지 않았다는 이유로 벌금을 부과 받은 적이 있다. 또한 바코드 결제 등

지급결제 수단에 대해 관리감독 규정을 준비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바코드 결제의

리스크에 예의 주시해야 한다. 중국 자국 내에서도 알리페이의 바코드 결제 방식에

대한 검증과 규제가 제대로 마련되지 않은 상태며, 알리페이 바코드 결제방식을 잠정

중단시킨 상태이다.

‘아시아의 페이팔’ 알리페이, 세계로 향해 뻗어나가다

‘중국에 하루에 이쑤시개 한 개만 팔아도 13억 개‘

한때 중국 시장을 쉽게 봤던 사람들 사이에 회자되던 말이다. 이렇듯 과거 중국 시장에

대해 막연한 환상을 가지고 차이나 드림을 꿈꾸며 진출했던 많은 기업은 고배를 마시고

중국 시장에서 철수했다. 하지만 차이나 드림이 보다 많은 한국 기업에게 현실화 되는

것이 머지않아 보인다. 중국 시장에서 8억2,000만 명의 고객과 중국 온라인 결제

시장에서 46.9%의 점유율을 자랑하는 알리페이를 이용해서 말이다.

알리페이도입을 통해중화권 역직구족고객확보 가능…

하지만 알리페이의안전과 보안에 대한문제는 해결해야 할 과제

알리페이의 해외 진출 현황및 전망

삼정KPMG 경제연구원 Issue Monitor

중국 전자결제의 이노베이터, 알리페이: 중국을 넘어 세계로

11© 2014 Samjong KPMG ERI Inc., the Korean member firm of the KPMG network of independent member firms affiliated with KPMGInternational Cooperative (“KPMG International”), a Swiss entity. All rights reserved.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었던 중국은 이제 ‘세계의 소비 시장’으로 부상했다. 전세계

유통기업에게 중국 소비자의 확보는 선택 조건이 아닌 생존을 위한 필수적 요소가

되었다. 특히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빠른 보급으로 인해 과거의 중국 현지 공장 설립,

매장 진출 등 직접적인 진출 방법과는 다른 온라인을 통한 간접적 시장 진출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에 세계 대형 유통기업은 알리페이와의 제휴를 통해 중국 온라인 시장을

선점하려고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알리페이 또한 중국 시장을 넘어 세계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해 해외 진출에 노력하고 있다.

알리페이는 해외 시장 진출의 첫 번째 타깃을 중국 언어와 문화에 익숙한 홍콩, 대만,

싱가포르 등 동남아시아 지역의 중화권 국가로 정하고 진출을 추진했다. 2012년 5월

알리페이는 홍콩과 마카오 지역의 중국은행(Bank of China, 中国银行)이 발급한

신용카드의 소지자가 알리바바의 타오바오왕과 톈마오(Tmall)에서 상품을 구매 시

알리페이를 통해 편리하게 결제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했다 . 또한 2013년

10월에는 싱가포르에서도 알리페이 결제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이와 같은 노력은 향후

동남아 시장 확대에 중추적인 기반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외에도 알리페이는 해외 제휴사와의 연결을 통해 중국 소비자가 손쉽게 결제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 2013년 9월 알리페이는 싱가포르

항공사 (Singapore Airlines)에 제휴해서 중국인이 싱가포르 항공 웹사이트에서

알리페이를 이용해 항공티켓을 구매할 수 있도록 했다. 그밖에 홍콩의 캐세이패시픽

항공(Cathay Pacific) 등 15개의 해외 항공사에 알리페이 서비스를 제공하여 중국

여행객에게 호응을 얻고 있다.

<알리페이 해외 시장 진출 관련 주요 제휴 현황>

아메리카아시아

홍콩·마카오

Cathay Pacific Airlines 제휴 (2012.10) Bank of China 신용카드 제휴 (2012.5)

일본

Rakuten 제휴 (2014.6) Yahoo Japan 제휴 (2014.4)

싱가포르

Singapore Airlines 제휴 (2013.9) Agoda 제휴 (2012.9)

싱가포르 타오바오왕 내알리페이 서비스 개시 (2013.10)

미국

Universal Air Payment(UAFP)제휴 (2013.11)

iHerb 제휴 (2013.9)

Source: 언론보도를 토대로 삼정KPMG 경제연구원 재구성

알리페이는중국 시장을 넘어세계 시장에서의영향력을강화하기 위해해외 진출에 노력

삼정KPMG 경제연구원 Issue Monitor

중국 전자결제의 이노베이터, 알리페이: 중국을 넘어 세계로

12© 2014 Samjong KPMG ERI Inc., the Korean member firm of the KPMG network of independent member firms affiliated with KPMGInternational Cooperative (“KPMG International”), a Swiss entity. All rights reserved.

알리페이는 중화권 국가뿐만 아니라 이제는 일본과 미국으로까지 진출하는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일본 기업도 알리페이의 중요성을 직시했다. 일본 거대 온라인

기업으로 손꼽히는 야후재팬 (Yahoo Japan)과 라쿠텐 (Rakuten, 楽天 )이 중국의

해외직구족을 끌어들이기 위해 알리페이와 제휴를 맺었다고 밝혔다. 이로써 이들

기업은 중국 소비자를 위해 알리페이의 전자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됐다.

야후재팬과 라쿠텐의 이러한 결정은 중국 온라인 쇼핑 인구가 급증하면서 일본

사이트를 통해 가전제품 등을 직접 구입하는 중국인 해외직구족이 늘었기 때문이다.

일본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라쿠텐은 알리페이와 제휴를 맺고 2014년 4월 17일부터

자사가 운영하는 해외 온라인 쇼핑 사이트 ‘라쿠텐 글로벌 마켓(Rakuten Global

Market)’에서 알리페이 전자결제 서비스를 개시했다. 아직까지는 라쿠텐 글로벌 마켓에

있는 전체 1만여 개 점포 중 250여 개 점포만이 알리페이를 우선적으로 도입했다.

그러나 중국 해외직구족의 영향력이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에 따라 이들을 공략하기

위해서 앞으로 더 많은 라쿠텐의 점포가 알리페이를 취급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야후재팬 역시 2014년 6월부터 알리페이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방침을

내세웠다. 야후재팬이 알리페이를 도입하겠다고 밝힌 후 일본 증시에서 야후재팬

주식은 4월 9일 당일 오전에만 4% 이상 급등하며 상승세를 보였다. 시장에서 바라보는

알리페이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해외 직배송 쇼핑몰업체로 유명한 미국의 아이허브 (iHerb.com)도 2013년 9월

알리페이와 파트너십을 맺고 중국 소비자에게 알리페이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아이허브는 알리페이와의 제휴를 통해 보다 많은 중국인 소비자를 상대로

비즈니스를 할 수 있게 됐다. 아이허브 마케팅 총괄 존 맥카시(John McCarthy)는 한

인터뷰에서 “아이허브가 알리페이 서비스를 개시함에 따라 중국은 아이허브가

주력하고 있는 톱10 시장 중 하나로 포함될 수 있게 됐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 동안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만 제공하던 대다수의 글로벌 온라인 쇼핑 사이트는

알리페이를 통해 중국인 입장에서 사용하기에 익숙하고 편리한 결제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더 많은 중국 소비자를 유인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셈이다. 이제껏

중국 소비자 중에서 비자나 마스터카드 등 해외 결제 수단을 가지고 있지 않아서 해외

사이트에서 물건을 구입하는 것에 제약을 겪었던 사람이 적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알리페이와 제휴를 맺은 다른 기업은 이러한 문제를 단번에 해결할 수 있게

됐다. 이와 같이 해외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마련 중인 글로벌 온라인

유통업체 간 경쟁에서 알리페이 도입은 새로운 경쟁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알리페이 또한 향후 더 많은 해외 온·오프라인 기업과의 제휴 혹은 직접 진출 형태로의

서비스 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알리페이, 중화권 국가를 넘어일본과 미국으로까지진출하는적극적 행보 보여

삼정KPMG 경제연구원 Issue Monitor

중국 전자결제의 이노베이터, 알리페이: 중국을 넘어 세계로

13© 2014 Samjong KPMG ERI Inc., the Korean member firm of the KPMG network of independent member firms affiliated with KPMGInternational Cooperative (“KPMG International”), a Swiss entity. All rights reserved.

중국 온라인 결제 시장에서 알리페이는 시장점유율 약 47%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알리페이는 중국을 넘어 세계로 도약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글로벌 대표

온라인 결제 시스템인 페이팔을 제치고 세계 1위로 발돋움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향후 알리페이의 영향력은 전 세계적으로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

우리나라 유통·소비재 기업이 생각해봐야 할 시사점 세 가지를 제시한다.

중국 소비자 확보를 위해 알리페이의 도입은 필수

중국 언론에 따르면 2013년 중국 온라인 쇼핑 시장 규모는 7,637억 위안 (약

125조3,8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중국인의 해외 직접 구매액은

약 2,200억 위안으로 추산되며 이는 전체 중국 온라인 쇼핑 시장의 30%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국에서의 해외 직구 이용자는 1,800만 명에 육박한다.

하지만 대다수의 한국 업체는 이와 같이 급증하는 중국 온라인 해외 직구족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황금 같은 기회를 놓치고 있다. 대표적인 문제로 한국 사이트 내에

중국어 서비스나 실시간 온라인 상담 서비스 미비, 가입 절차의 복잡함 등을 꼽을 수

있다. 그 중 가장 시급한 문제로는 중국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결제 방법에 대한

명확한 해결 방안이 없다는 점이다. 앞서 이야기 했던 것처럼 신용카드 보급률이 낮은

중국 소비자에게 신용카드 결제가 중심이 된 한국 온라인 쇼핑 사이트의 상품은 사고

싶어도 살 수가 없는 그림의 떡인 경우가 적지 않다.

이와 같은 결제시스템 문제는 알리페이의 도입으로 해결될 수 있다. 이미 알리페이에

익숙한 중국 소비자에게 간편하고 편리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이는 곧 약

8억2,000만 명의 중국 잠재 고객을 확보할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시사점

알리페이의 도입으로약 8억2,000만 명의중국 잠재 고객을 확보

삼정KPMG 경제연구원 Issue Monitor

중국 전자결제의 이노베이터, 알리페이: 시사점

<알리페이를 통해 살펴본 한국 유통·소비재 기업 및 정부로의 시사점>

중국 소비자 확보를 위해 알리페이의 도입은 필수I

정부의 알리페이 관련 제도 수립 필요II

급변하는 중국 유통의 결제 시장 모니터링 강화IIISource: 삼정KPMG 경제연구원

14© 2014 Samjong KPMG ERI Inc., the Korean member firm of the KPMG network of independent member firms affiliated with KPMGInternational Cooperative (“KPMG International”), a Swiss entity. All rights reserved.

정부의 알리페이 관련 제도 수립 필요

향후 알리페이의 국내 도입 활성화를 위한 길이 순탄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앞으로

헤쳐 나가야 할 현안이 적지 않다. 그 대표적인 문제로 한국 정부의 알리페이 관련 제도

수립이 있다.

알리페이의 보안과 안전에 대한 국내 정부의 명확한 제도가 없는 현실은 리스크로

다가오고 있다. 실제로 2014년 1월 알리페이가 20기가바이트(GB)에 달하는 고객정보가

유출된 점에 대해 공식 사과 한바 있어 정보 보안에 대한 문제는 더 이슈화 되고 있다.

금융산업과 밀접한 알리페이 관련 금융사고가 발생했을 시 그에 대한 후폭풍은

시장에서 클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국 시장에서만의 문제가 아닌 중국 소비자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어 그 파장은 한국을 넘어 중국과의 복잡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우리 정부가 알리페이 관련 금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적절한 규정이나

관련 제도를 수립하는 것이 시급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소비자가 입은 손실에 대한 명확한 보상제도를 마련하여 한국 소비자, 한국 업체를

비롯한 중국 소비자도 안심하고 알리페이를 쓸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급변하는 중국 유통의 결제 시장 모니터링 강화

현재 중국 온라인 소매 시장의 폭발적 성장과 함께 중국 유통 시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전자결제 시장에 대한 관심이 증폭하고 있다. 알리페이가 서비스를 개시한

지 10년이 채 되지 않았고, 알리페이의 금융상품 위어바오는 출시된 지 1년에 지나지

않는 현황에서 중국의 전자결제 시장은 파죽지세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세계의 소비 시장’으로 거듭난 중국 시장이 전자결제 시장의 주요 격전지가 되어

글로벌 업체 간의 전쟁이 치열하게 벌어지는 상황이다. 중국의 거대 IT기업 중 하나인

텐센트(Tencent, 腾讯)가 출시한 텐페이(Tenpay, 财付通) 또한 알리페이를 쫓기 위해

추격하고 있으며, 전자결제 세계 1위의 기업 페이팔 또한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추세라면 향후 10년 후에는 중국 13억 명의

소비자 확보를 기반으로 어떤 기업이 글로벌 전자결제 시장의 1인자가 될 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와 같이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전자결제 시장에서 한국 기업의 대응전략 한 수가

글로벌 시장에서 승자로 성장할 지 패자로 몰락할 지 결정을 지을 수 있다. 특히 중국

소비자 확보가 필수적인 한국 업체의 입장에서는 중국 전자결제 시장 동향의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해나가야 할 것이다.

알리페이의 보안과안전에 대한국내 정부의명확한 제도 미흡…

소비자가 안심하고쓸 수 있는환경 구축을 위한제도 마련 시급

국내 유통·소비재 기업은급변하는 중국의전자결제 시장을지속 모니터링하며‘기회’를 탐색해야

삼정KPMG 경제연구원 Issue Monitor

중국 전자결제의 이노베이터, 알리페이: 시사점

www.kpmg.com/kr

삼정KPMG 경제연구원

이광열

상무이사

T: 02-2112-0062E: [email protected]

이효정

수석연구원

T: 02-2112-6744 E: [email protected]

© 2014 Samjong KPMG ERI Inc., the Korean member firm of the KPMG network of independent member firms affiliated with KPMG International Cooperative (“KPMG International”), a Swiss entity. All rights reserved. Printed in Korea.

The KPMG name, logo and "cutting through complexity" are registered trademarks or trademarks of KPMG International Cooperative ("KPMG International").

박도휘

연구원

T: 02-2112-0904E: [email protected]

김수경

연구원

T: 02-2112-3973E: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