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gazette d'agora 11월호

4
2014년 11월 28일 - 제 9호 - Les acheteurs de tabac sur internet seront bientôt sanctionnés 온라인 담배 구매 제재 Le gouvernement français veut interdire les achats en ligne de tabac, a annoncé le secrétaire d’État au Budget, Christian Eckert. Cette interdiction, déjà prévue par la loi, va être assortie de sanctions pour les acheteurs, explique-t-il. Le gouvernement poursuit ses mesures pour lutter contre le tabagisme. Jeudi 6 novembre, lors du congrès national des buralistes à Paris, le secrétaire d’État au Budget Christian Eckert a annoncé que les acheteurs de tabac sur internet seront bientôt sanctionnés. Ils risqueront des “sanctions pénales”, comme des amendes, une confiscation de la marchandise, précise-t-il. En France, la vente de tabac sur internet est déjà interdite, comme le rappelle le site des Douanes. “Nous allons aller plus loin et interdire les achats en ligne dans les semaines qui viennent, en assortissant cette interdiction de sanctions pour les acheteurs”, assure le secrétaire d’État. Dans l’Hexagone, le commerce du tabac relève du monopole des buralistes, mais au moins une cigarette fumée sur cinq n’a pas été achetée dans le réseau officiel et échappe donc aux taxes de l’État. 프랑스 예산 정무차관 크리스티앙 에커는 정부의 온라 인 담배 구입 제재 의사를 밝혔다. 이미 공표된 이 법으 로 온라인 담배 구매자들에 제재가 따를 것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정부의 목적은 담배 중독을 막기 위함이다. 11월 6일 파리에서 열린 담배 판매상들의 전국 집회에서 에커 차관 은 인터넷 상 담배 구매에 곧 제재가 가해질 것이라고 발 표했다. 온라인으로 담배를 구매하는 사람들에게는 벌금 또는 상품 압수와 같은 “형사 처벌“이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프랑스 세관사이트에 명시되어 있듯이, 프랑스에서 온 라인 담배 판매는 이미 금지됐다. 에커 차관은 “곧 판매 자 뿐 아니라 구매자에게까지 이 법을 적용시켜, 몇 주 후에는 온라인상에서 담배 구매를 완전히 금지시킬 것” 이라고 단언했다. 프랑스에서 담배는 국가에서 지정된 담배 판매상들에 한해 독점적으로 판매되도록 정해져 있지만 거래되는 담 배의 20%는 암거래 되어 결국 세금 징수가 불가능하다. 13 김지수 <[email protected] > 참고 : France24 "Les acheteurs de tabac sur internet seront bientôt sanctionnés" La Gazette d’Agora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학과 내 프랑스학술학회 아고라에서 발행하는 소식지입니다. 바쁜 일상 중에 접하기 쉽지 않은 프랑스어권의 시사 및 생활문화 소식을 한국어와 프랑스어로 정리하여 학과 내 구성원들이 간편하게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발행 목적입니다. Qui Sommes-Nous ? La Gazette d’Agora est un petit journal d’Agora(un groupe qui se réunit pour connaître la culture française). Notre but est de classer et de résumer l’actualité francophone pour que les étudiants puissent comprendre mieux la situation de la francophonie et ses cultures. la Gazette d’Agora L’Algérie, nouvelle base industrielle de Renault 르노 자동차, 알제리에 공장 신설 Le constructeur français a inauguré en grande pompe son usine en Algérie. De taille modeste pour l’instant, ce site accélère encore l’internationalisation de la marque au Losange. L’inauguration de l’usine Renault d’Oued Tlelat, près d’Oran, en présence du PDG de Renault Carlos Ghosn, du ministre des affaires étrangères, Laurent Fabius, du ministre de l’Economie, Emmanuel Macron, et du Premier ministre algérien Abdelmalek Sellal, ne bouleversera pas le panorama industriel du constructeur français. L'usine, dont l'Etat algérien détiendra 51% et Renault 49%, aura en 2014, une capacité de production initiale de 25,000 véhicules, qui pourra ensuite être portée à 75,000 unités en 2019. Elle sera centrée sur la production de la Renault Symbol, une voiture dérivée de la Logan. Un schéma différent de celui de l’usine voisine de Tanger, au Maroc, qui affiche une capacité de 340,000 voitures, et dont la production alimente à 90% les marchés européens. Pour l’Algérie, « la question de l’export se posera plutôt à moyen terme, dans deux-trois ans » juge Bernard Sonilhac, PDG de Renault Algérie Production. Une perspective plutôt tournée vers l’Afrique, puisque l’Europe a été exclue par le pacte d’actionnaires de la joint-venture. Avec 423,000 voitures vendues en 2013, l’Algérie s’impose comme le deuxième débouché du continent africain derrière l’Afrique du Sud. 프랑스 자동차 회사 르노가 알제리에 제조공장을 개소했다. 르 노는 이 공장을 발판으로 아프리카와 세계 시장 재패를 노린다. 11월 10일 공장 개소식에는 르노 CEO 카를로스 곤을 비롯 하여 프랑스 외무부장관 로랑 파비우스, 경제산업부 장관 엠 마뉴엘 마크롱 및 알제리 총리 압델말레크 셀랄이 참석했다. 알제리 서부 오란 근처에 위치한 공장의 지분은 르노가 49%, 알제리 정부가 51% 보유하고 있다. 연 생산 대수는 2 만 5000대이고, 수요에 따라 2019년에는 75,000 대까지 늘릴 계획이다. 공장에서 생산되는 첫 모델은 ‘르노 심볼’이다. 한편 르노는 지난 2012년 이웃나라 모로코에서도 공장 가 동을 시작했다. 모로코 북부 탕제에 위치한 르노 공장은 연간 34만 대를 생산하는데, 이 중 90%가 유럽 시장에 수출된다. 그러나 르노 알제리의 CEO 베르나르 소닐락은 ≪알제리제 르노 자동차 수출 여부는 2-3년 정도 일정기간 지켜본 후 결 정할 것 ≫ 이라 밝히며, 모로코 르노 공장과는 다른 전략을 펼칠 것이라 밝혔다. 알제리 르노 공장은 유럽 시장을 주 고 객으로 하는 모로코의 르노 공장과는 달리, 르노 자동차의 아 프리카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알제리는 아프리카에서 두 번째로 큰 자동차 시장이고 높 은 잠재력을 갖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알제리의 작년 신차 판매량은 42만 3천 대를 기록했고 꾸준히 증가하고 있 는 추세이기 때문에 르노의 활약이 기대되는 바이다. 10 강현정 <[email protected] > 참고 : LesEchos.fr "L’Algérie, nouvelle base industrielle de Renault"

Upload: hufsfrance

Post on 20-Jul-2015

159 views

Category:

Education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La Gazette d'Agora 11월호

2014년 11월 28일 - 제 9호 -

Les acheteurs de tabac sur internet seront bientôt sanctionnés온라인 담배 구매 제재

Le gouvernement français veut interdire les achats en

ligne de tabac, a annoncé le secrétaire d’État au

Budget, Christian Eckert. Cette interdiction, déjà prévue

par la loi, va être assortie de sanctions pour les

acheteurs, explique-t-il.

Le gouvernement poursuit ses mesures pour lutter

contre le tabagisme. Jeudi 6 novembre, lors du congrès

national des buralistes à Paris, le secrétaire d’État au

Budget Christian Eckert a annoncé que les acheteurs de

tabac sur internet seront bientôt sanctionnés. Ils

risqueront des “sanctions pénales”, comme des amendes,

une confiscation de la marchandise, précise-t-il.

En France, la vente de tabac sur internet est déjà

interdite, comme le rappelle le site des Douanes. “Nous

allons aller plus loin et interdire les achats en ligne

dans les semaines qui viennent, en assortissant cette

interdiction de sanctions pour les acheteurs”, assure le

secrétaire d’État.

Dans l’Hexagone, le commerce du tabac relève du

monopole des buralistes, mais au moins une cigarette

fumée sur cinq n’a pas été achetée dans le réseau

officiel et échappe donc aux taxes de l’État.

프랑스 예산 정무차관 크리스티앙 에커는 정부의 온라

인 담배 구입 제재 의사를 밝혔다. 이미 공표된 이 법으

로 온라인 담배 구매자들에 제재가 따를 것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정부의 목적은 담배 중독을 막기 위함이다. 11월 6일

파리에서 열린 담배 판매상들의 전국 집회에서 에커 차관

은 인터넷 상 담배 구매에 곧 제재가 가해질 것이라고 발

표했다. 온라인으로 담배를 구매하는 사람들에게는 벌금

또는 상품 압수와 같은 “형사 처벌“이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프랑스 세관사이트에 명시되어 있듯이, 프랑스에서 온

라인 담배 판매는 이미 금지됐다. 에커 차관은 “곧 판매

자 뿐 아니라 구매자에게까지 이 법을 적용시켜, 몇 주

후에는 온라인상에서 담배 구매를 완전히 금지시킬 것”

이라고 단언했다.

프랑스에서 담배는 국가에서 지정된 담배 판매상들에

한해 독점적으로 판매되도록 정해져 있지만 거래되는 담

배의 20%는 암거래 되어 결국 세금 징수가 불가능하다.

13 김지수 <[email protected]>

참고 : France24 "Les acheteurs de tabac sur internet seront

bientôt sanctionnés"

La Gazette d’Agora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학과 내 프랑스학술학회 아고라에서 발행하는 소식지입니다.

바쁜 일상 중에 접하기 쉽지 않은 프랑스어권의 시사 및 생활문화 소식을 한국어와 프랑스어로 정리하여 학과 내

구성원들이 간편하게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발행 목적입니다.

Qui Sommes-Nous ?

La Gazette d’Agora est un petit journal d’Agora(un groupe qui se réunit pour connaître la culture française).

Notre but est de classer et de résumer l’actualité francophone pour que les étudiants puissent comprendre

mieux la situation de la francophonie et ses cultures.

la Gazette d’AgoraL’Algérie, nouvelle base industrielle de Renault

르노 자동차, 알제리에 공장 신설

Le constructeur français a inauguré en grande pompe son

usine en Algérie. De taille modeste pour l’instant, ce site

accélère encore l’internationalisation de la marque au

Losange.

L’inauguration de l’usine Renault d’Oued Tlelat, près

d’Oran, en présence du PDG de Renault Carlos Ghosn, du

ministre des affaires étrangères, Laurent Fabius, du ministre

de l’Economie, Emmanuel Macron, et du Premier ministre

algérien Abdelmalek Sellal, ne bouleversera pas le panorama

industriel du constructeur français.

L'usine, dont l'Etat algérien détiendra 51% et Renault 49%,

aura en 2014, une capacité de production initiale de 25,000

véhicules, qui pourra ensuite être portée à 75,000 unités en

2019. Elle sera centrée sur la production de la Renault

Symbol, une voiture dérivée de la Logan.

Un schéma différent de celui de l’usine voisine de Tanger,

au Maroc, qui affiche une capacité de 340,000 voitures, et

dont la production alimente à 90% les marchés européens.

Pour l’Algérie, « la question de l’export se posera plutôt à

moyen terme, dans deux-trois ans » juge Bernard Sonilhac,

PDG de Renault Algérie Production. Une perspective plutôt

tournée vers l’Afrique, puisque l’Europe a été exclue par le

pacte d’actionnaires de la joint-venture.

Avec 423,000 voitures vendues en 2013, l’Algérie s’impose

comme le deuxième débouché du continent africain derrière

l’Afrique du Sud.

프랑스 자동차 회사 르노가 알제리에 제조공장을 개소했다. 르

노는 이 공장을 발판으로 아프리카와 세계 시장 재패를 노린다.

11월 10일 공장 개소식에는 르노 CEO 카를로스 곤을 비롯

하여 프랑스 외무부장관 로랑 파비우스, 경제산업부 장관 엠

마뉴엘 마크롱 및 알제리 총리 압델말레크 셀랄이 참석했다.

알제리 서부 오란 근처에 위치한 공장의 지분은 르노가

49%, 알제리 정부가 51% 보유하고 있다. 연 생산 대수는 2

만 5000대이고, 수요에 따라 2019년에는 75,000 대까지 늘릴

계획이다. 공장에서 생산되는 첫 모델은 ‘르노 심볼’이다.

한편 르노는 지난 2012년 이웃나라 모로코에서도 공장 가

동을 시작했다. 모로코 북부 탕제에 위치한 르노 공장은 연간

34만 대를 생산하는데, 이 중 90%가 유럽 시장에 수출된다.

그러나 르노 알제리의 CEO 베르나르 소닐락은 ≪알제리제

르노 자동차 수출 여부는 2-3년 정도 일정기간 지켜본 후 결

정할 것 ≫ 이라 밝히며, 모로코 르노 공장과는 다른 전략을

펼칠 것이라 밝혔다. 알제리 르노 공장은 유럽 시장을 주 고

객으로 하는 모로코의 르노 공장과는 달리, 르노 자동차의 아

프리카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알제리는 아프리카에서 두 번째로 큰 자동차 시장이고 높

은 잠재력을 갖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알제리의 작년

신차 판매량은 42만 3천 대를 기록했고 꾸준히 증가하고 있

는 추세이기 때문에 르노의 활약이 기대되는 바이다.

10 강현정 <[email protected]>

참고 : LesEchos.fr "L’Algérie, nouvelle base industrielle de

Renault"

Page 2: La Gazette d'Agora 11월호

2014년 11월 28일 - 제 9호 -

Travail du dimanche : les syndicats remontent au front일요일 근무, 다시 시위에 나선 노조들

Vendredi 14 novembre, quelques centaines de salariés des

grands magasins (Galeries Lafayette, Printemps, BHV, Bon

marché), mais aussi de la Fnac, de Monoprix ou de la librairie

Gibert Joseph, manifesteront contre le travail du dimanche et

le travail de nuit. Ils ont prévu de défiler du boulevard

Haussmann jusqu’à l’Hôtel de Ville, à Paris.

« L’heure n’est plus à l’échange d’arguments mais au

rapport de force », assène Karl Ghazi, représentant de la CGT

au sein de l’intersyndicale, connue pour ses actions coups de

poings contre les enseignes.

Le travail du dimanche a été remis sur le devant de la scène

en avril par Laurent Fabius. Le tout nouveau ministre du

tourisme lance alors une offensive pour relancer l’attrait de la

capitale pour les visiteurs étrangers. Il préconise l’ouverture

des commerces le dimanche dans les zones prisées des

touristes. Et notamment sur le boulevard Haussmann à Paris,

où les Galeries Lafayette et le Printemps le réclament de

longue date.

Loin des promesses du candidat Hollande qui, en 2012,

réaffirmait « le principe du repos dominical »… En septembre,

le Medef monte à son tour au créneau : il chiffre entre 40

000 et 100 000 le nombre d’emplois qui seraient créés dans

le commerce et la distribution en ouvrant le soir et le

dimanche. Dans la capitale – qui a toujours été en première

ligne sur la question, en raison de son poids économique et

des modes de consommation –, la maire (PS) Anne Hidalgo,

opposée au projet, a choisi d’acheter du temps. En juin, elle a

mis sur pied une mission d’information et d’évaluation dont le

rapport doit être remis mi-décembre.

Mais entre-temps, le gouvernement a repris la main, avec le

projet de loi sur l’activité et l’égalité des chances

économiques d’Emmanuel Macron, le ministre de l’économie.

Il devrait passer en conseil des ministres… mi-décembre.

11월 14일 금요일, 몇몇 대형 상점 (라파예트, 프랭땅, 베아슈베

백화점, 봉막쉐)과 프낙, 모노프리, 그리고 대형 서점인 지베르 조

제프의 노조들이 일요일 근무와 야간 근무에 반대하는 시위에 참

가했다. 노조들은 오스만대로부터 파리 시청까지 행진하기로 계획

했다.

"정부와 논쟁을 나눌 시기는 지났고, 이제는 거세게 반발해야

할 때입니다." 라고 조합 연합 집회의 내부 기관인 노동 총 연맹

의 대표자인 카를 가지가 주장했다. 강력한 시위를 통해 노조들은

프랑스 정부 당국과 파리 시에 강한 압력을 가하고 있다.

이 문제는 어제 오늘만의 일이 아니다. 지난 4월 외무부 장관인

로랑 파비우스가 이미 일요일 근무를 쟁점으로 제기한 바 있다.

프랑스 관광부에서는 외국인 관광객들을 파리에 유치하기 위해

이와 같은 정책을 시행하기로 결정하였다. 특히 오래 전부터 일요

일 영업을 요구했던 라파예트 백화점과 프랭땅 백화점이 있는 오

스만대로 부근 및 파리의 관광구역에 입점해 있는 상점들은 일요

일에 영업이 가능해진다. 그렇지만 이러한 정책은 2012년 올랑드

후보가 노동자의 일요일 휴식권을 보장하기로 했던 약속과는 다

소 먼 정책이다.

한편, 지난 9월, 프랑스 산업 연맹(MEDEF)이 일요일 근무와 야간

근무로 상업과 유통업 부분에서 약 4만 명에서 10만 명 정도의 고

용 창출이 있을 것이라고 집계하면서 첨예한 논쟁에 참여했다.

경제적 위치의 중요성과 소비 양상으로 인해 이 쟁점의 최전선

에 놓여있는 파리의 경우, 안느 이달고 파리 시장(사회당 소속)은

이에 반대하는 입장이지만 결정에 앞서 시간을 갖기로 결정 했다.

따라서 지난 6월 파리 시장은 일요일 가게 영업 허용에 대한 정

보 조사 및 평가단을 꾸렸으며, 이 단체의 보고는 12월 중순 쯤

이루어질 예정이다.

한편 프랑스 정부는 엠마누엘 마크롱 경제부 장관이 제안한 경

제 활성화법과 경제적 기회의 평등에 관한 법안을 다시 상정했고

12월 중순 쯤 통과될 예정이다.

11 김하정 <[email protected]>

참고 : LeMonde "Travail du dimanche : les syndicats remontent au front"

François Hollande défend l'avantage des étudiants français au Québec프랑수아 올랑드, 퀘벡의 프랑스 대학생들의 혜택을 위해 앞장서다

Dans un périple de trois jours au Québec, François

Hollande a voulu défendre la relation privilégiée de la

France et de la Belle Province. Il a notamment abordé

l’épineux sujet des droits étudiants pour les Français au

Québec.

Un avantage pour les Français accordé de longue date

Depuis un accord signé en 1978, les étudiants venant de

l'hexagone pour étudier dans la Belle Province payent

autant que les étudiants québécois pour s’inscrire à

l’université. Ils profitent donc d’un prix avantageux, presque

trois fois moins élevé que pour le reste des Canadiens. Le

nouveau Premier ministre souhaite réaligner les tarifs offerts

aux Français sur ceux des Canadiens non francophones.

«Nous ne demandons pas un privilège»

Pour l’instant, Philippe Couillard campe sur ses positions.

Mais un compromis pourrait être prochainement trouvé. Le

président français a appelé l’Assemblée nationale du

Québec à faire les bons choix en fonction des priorités

communes des deux pays en matière d’éducation, de

recherche et de culture. «Nous ne demandons pas un

privilège, a t-il déclaré, nous demandons simplement une

spécificité et la spécificité, c’est la reconnaissance de notre

amitié».

La France exporte ses talents

Dans son débat télévisé de mi-mandat, le président a

jeudi soir (6 novembre) évoqué les nombreux étudiants

français qui choisissent de s’expatrier au Canada. Se

souvenant des jeunes rencontrés lors de son séjour en

début de semaine, il a vanté l’exportation des talents

hexagonaux. La France, parmi les pays les plus attractifs

pour les étudiants étrangers, attire grandement, mais

exporte également ses talents.

올랑드 대통령은 3일간 퀘벡을 방문해 프랑스와 퀘벡의

특권적 관계를 옹호 의사를 밝혔다. 그는 특히 퀘벡에서

공부하는 프랑스 대학생들을 위해 학생의 권리라는 민감

한 주제를 다루었다.

오랜 기간 프랑스인에게 부여된 특혜

1978년에 협정 서명 이후 학업을 위해 퀘벡에 온 프랑스

대학생들은 현지 학생들과 같은 가격의 등록금을 지불한다.

이는 캐나다 대학생이 이들보다 거의 3배에 가까운 등록금을

지불하는 상황에서 프랑스 대학생들이 특혜를 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퀘벡의 새로운 수상인 필립 코위랄드는 프랑스인들

이 지불해야 하는 등록금과 퀘벡 주 외의 캐나다 대학생들의

등록금을 재정비하기를 원한다고 밝혔다.

« 우리는 특혜를 요구하는 것이 아닙니다. »

퀘벡 수상은 자신의 입장을 견지하고 있지만 머지않아

타협점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 올랑드 대통령은 퀘벡 의회

에게 두 나라의 교육 분야와 문화연구의 공동우선순위를

고려해 올바른 선택을 하기를 요청했다. 그는 « 우리는 특

혜를 요구하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는 단지 특수성을 요구

하는 것이고 이는 우리의 우호적인 관계를 재확인하는 계

기가 될 것입니다 »라는 입장을 표명했다.

인재를 수출하는 프랑스

올랑드 대통령은 11월 6일 목요일 저녁, 그의 임기 중반

에 전파를 탄 토론에서 학업을 위해 캐나다행을 선택한

수많은 프랑스 대학생들을 언급했다. 그는 퀘벡에서 만난

청년들을 떠올리며 프랑스의 재능 수출을 자랑스럽게 여

겼다. 그는 프랑스가 외국 학생들에게 가장 매력적인 국가

들 중 하나이며 세계의 인재를 충분히 끌어들이기도 하지

만 마찬가지로 프랑스의 인재들을 내보내기도 한다고 설

명했다.

11 우도경 <[email protected]>

참고 : LeParisien “François Hollande défend l'avantage des

étudiants français au Québec"

Page 3: La Gazette d'Agora 11월호

2014년 11월 28일 - 제 9호 -

C'était un des derniers grands tableaux de Manet

encore en mains privées à apparaître sur le marché.

L'oeuvre avait été exposée en 1882 et encensée par la

critique alors que Manet était l'un des plus célèbres

artistes de son temps. La toile appartenait à la même

famille depuis plus d'un siècle et était prêtée ces 20

dernières années à la National Gallery of Art de

Washington.

La salle s'est enflammée, le 5 novembre, chez

Christie's pour ce portrait de l'actrice Jeanne Demarsy,

ravissante sous son chapeau de printemps et son

ombrelle, intitulé Le Printemps. C'est le marchand

new-yorkais Otto Naumann qui a acquis pour

65millions de dollars (49,13 millions d'euros) ce joyau

de l'impressionnisme, pour le J. Paul Getty Museum

de Los Angeles, après une rude bataille contre cinq

autres enchérisseurs. «Le musée vient ainsi enrichir

son fonds. Il possède déjà deux peintures, une

aquarelle et un pastel du même artiste», a souligné

son directeur Thimothy Potts à l'issue de la vente.

Estimé la moitié moins, ce portrait donnait vraiment

envie. «Il était la combinaison parfaite de ce que

recherchent, en ce moment, les amateurs de l'Asie,

ceux de la Vieille Europe et de l'Amérique, analyse

Thomas Seydou, grand spécialiste du domaine qui a

officié autrefois chez Christie's. Il n'y a plus beaucoup

d'opportunités d'acheter de grands tableaux de cette

qualité musée. ».

Les maisons de vente, Christie's en tête, ont bien

compris qu'il faut proposer aux amateurs ce qu'il leur

donne envie. Et dans ce secteur impressionniste et

moderne, seuls quelques grands noms comme Van

Gogh, Monet, Manet ou Pisssaro retiennent leur

attention.

크리스티 경매시장에 나온 이 작품은 개인이 소장하

고 있던 마네의 마지막 걸작들 중 하나이다. 1882년에

출품된 이 작품은 마네가 당대 유명한 화가로 명성을

떨치던 때 비평가에게 극찬을 받기도 했다. 이 작품은

100년이 넘도록 한 가문이 소장하고 있었으며 미국 워

싱턴 D.C의 국립미술관이 20년 가량 이 작품을 대여했

었다.

보닛(여성이나 어린아이들이 쓰는 모자)을 쓰고 양산

을 든 매혹적인 여배우 잔 드마르시를 묘사한 ‘봄’이라

는 이 작품은 지난 5일 저녁 뉴욕에서 열린 크리스티

경매장을 뜨겁게 달구었다. 다섯 명의 입찰자들 간의 열

띤 경쟁 후, 뉴욕 태생인 판매자 오토 노만은 6500만 달

러로(한화 약 715억 원) 이 인상주의 작품을 낙찰시켰

다. 낙찰자는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폴 게티 미술관으로

확인됐다. 경매가 끝난 후, 티모시 포츠 게티 미술관 관

장은 성명을 통해 “폴 게티 미술관은 이렇게 작품들을

수집하고 있으며, 이미 마네의 수채화와 파스텔화 두 점

을 소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낙찰가의 절반 이하로 예상되었던 이 작품은 소장 욕구

를 불러일으킨다. “이는 아시아 및 구 유럽, 아메리카의 수

집가들이 추구하던 완벽한 조합이다. 이제는 이러한 고품

격 미술관의 걸작들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없다”

며 토마스 세이두 전 크리스티 경매사의 전문가는 말했다.

경매회사들은, 크리스티 경매사를 선두로, 수집가들이 탐

낼만한 작품을 내놓아야함을 인식했다. 그리고 인상파와

근대미술 분야에서 반 고흐, 모네, 마네 그리고 피카소와

같이 몇 안 되는 유명화가들만이 수집가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Le Printemps" de Manet vendu 65 millions de $ 마네의 ‘봄’, 사상 최고가 6500만 달러에 낙찰

13 조난영 <[email protected]>

참고 : LeFigaro “Le Printemps de Manet, un achat muséal du Getty”

LeParisien "'Le Printemps’ de Manet vendu 65 millions de dollars à New York”

"Taxe rose" : ces prix plus chers pour les femmes여성세를 철폐하라!

Le ministère de l'Économie s'est saisi lundi de la

question des différences de prix entre les produits pour

hommes et pour femmes, soulevée par le collectif

féministe Georgette Sand. Une discrimination dans les

tarifs pour laquelle Monoprix est notamment visé ; la

"taxe rose" est une injustice de plus en plus mal

acceptée.

La question de l'existence d'une "taxe rose",

c'est-à-dire d'une différence de prix selon qu'un produit

s'adresse à un homme ou à une femme, est revenue

dans le débat. Le ministère de l'Économie a

officiellement demandé des relevés de prix, pour vérifier

si les femmes paient plus cher que les hommes, à

qualité de produit égale.

L'attente d'une étude complète

Le pavé dans la mare a été lancé il y a plusieurs

semaines par le collectif féministe Georgette Sand, qui

parle d'une "injustice inqualifiable" que l'on retrouve

dans nombre de secteurs : coiffure, grande distribution,

pressing... Au mois de septembre dernier, le collectif a

lancé un Tumblr, dans lequel il publie des photos de

ces écarts de prix constatés en magasin, ou en ligne.

Une pétition a même été lancée, rassemblant à ce jour

plus de 20.000 signatures. C'est cette pression qui a

décidé Bercy à lancer une étude sur le sujet, à partir

de relevés de prix précis.

프랑스 경제부는 프랑스 여성단체인 ‘조르제트 상드

(Georgette Sand)’에 의해 논란이 제기된 남성용과 여성용

제품 간의 가격 격차 문제를 심의하였다. 특히 모노프리

마트 내 가격 격차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 단체는 이러

한 가격 격차를 ‘여성세’라고 지칭하며 용인되기 어려운

부당한 개념이라고 주장했다.

같은 제품임에도 여성용과 남성용의 가격이 다르게 팔

리는, 즉, 여성세가 존재하는 것에 대한 논쟁이 제기되었

다. 경제부는 동일한 품질의 여성용 제품이 남성용 제품보

다 더 높은 가격인지의 진위 여부를 밝히기 위해서 공식

적으로 견적 요청을 했다.

조르제트 상드는 일상적인 서비스 요금에도 성적 차별

이 있다고 주장했다. 미용실, 슈퍼마켓, 세탁소 요금도 여성

용이 더 비쌌고 이는 “여성만 내는 세금이 있는 셈”이라고

주장했다.

지난 9월, 조르제트 상드는 남녀 간 가격차별을 철폐해

달라는 인터넷 청원 운동을 벌였다. 이 서명운동을 통해

한 매장에서 판매하는 제품이고, 남녀 용품 간 재원에 차

이가 없다면 같은 가격을 받는 게 합당하다며 시정을 요

구했다. 청원 운동을 시작한지 며칠 만에 2만 명 이상이

서명했다. 논란은 프랑스 정부를 움직였다. 프랑스 경제부

는 여성단체가 주장한 남녀 간 가격 차이가 실제로 있는

지, 이유가 뭔지 확인하겠다고 밝혔다.

13 김여경 <[email protected]>

참고 : France Info “ "Taxe rose" : Bercy va enquêter sur ces

prix plus chers pour les femmes”

Page 4: La Gazette d'Agora 11월호

2014년 11월 28일 - 제 9호 -

Les agriculteurs mobilisés pour crier leur ras-le-bol규제에 지친 농민들

Les agriculteurs sont mobilisés le 5 novembre pour

exprimer leur ras-le-bol face aux contrôles et aux

réglementations. A l'appel de la FNSEA et des Jeunes

Agriculteurs, les exploitants veulent faire entendre leur

ras-le-bol. Ils entendent dénoncer les contrôles et les

règlementations qui les accablent. La tension dure

depuis des mois mais elle a été ravivée dernièrement

par la polémique autour du barrage de Sivens. La

mobilization s'annonce donc importante, en dépit des

gages donnés par le gouvernement : l'écotaxe a été

enterrée, Stéphane Le Foll a procédé au versement

par anticipation d'aides de la PAC et il a promis la

mise en place d'un guide pour favoriser l'achat de

produits français.

Du fumier déversé à Chartres

Certaines actions ont déjà débuté le 4 soir. A

Chartres, 300 agriculteurs ont déversé une tonne de

fumier, de lisier et de légumes pourris. En Lozère, une

centaine de personnes ont muré les locaux de la

direction départementale du territoire à Mende. Le

lendemain, dès potron-minet, une vingtaine de Jeunes

Agriculteurs ont commencé à contrôler les camions

alimentant les cantines de Bercy regrettant qu'il y ait

trop de produits étrangers.

"Tomates du Maroc, pommes d'Italie, produits sans

étiquette, le ministère de l'Economie devrait être

exemplaire dans le Made in France et ce n'est pas le

cas. On est peu exaspéré", a regretté Samuel Vandaele,

secrétaire général adjoint des Jeunes Agriculteurs.

지난 5일 프랑스 농민들이 정부의 규제에 반발해 대규

모 시위를 벌였다. 이 시위에는 프랑스 농업조합연맹과

청년농민조합 농민들이 참여했다. 농민들은 그들을 짓누

르는 규제 지침 및 제정안들을 규탄했다.

몇 달 전부터 지속된 긴장상태는 최근 시뱅 댐 주변에

서 불씨가 되살아나고 있다. 이에 대처 방안으로 정부는

환경세 적용을 무산시켰고 스테판 르 폴 농림부 장관은

보조금 지급을 제안했고 국산 농산물 구입을 장려하는

지침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하였다. 그러나 이 모든 제안

에도 불구하고 대규모의 시위가 예상된다.

샤르트르에 쌓인 퇴비

이미 4일 저녁부터 시위는 시작됐다. 300명의 농민들

이 샤르트르에 퇴비, 축산분뇨와 썩은 야채 1톤을 쌓아

놓고 시위를 벌였다. 프랑스 남부의 로제르에서는, 백여

명의 시위대가 로제르의 수도 망드를 둘러쌓았다. 다음

날 새벽부터 파리 베르시에서 20대 청년농민조합은 값싼

수입 농산물의 증가로 인한 국산 농산물 가격의 하락에

항의해 수백 대의 트럭을 장악하였다.

청년농민단체의 사무국장 사무엘은 “모로코산 토마토,

이탈리아산 사과, 심지어는 원산지 표시가 없는 농산물

까지 시장에 유통되고 있다. 정부가 ‘국산 농산물을 애용

하는 모범이 되어야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며 현

상황을 안타까워했다.

13 임혜림 <[email protected]>

참고 : FranceInfo "Les agriculteurs mobilisés

pour crier leur ras-le-bol"

Les universités s’inquiètent des coupes budgétaires

예산 삭감으로 불안해진 프랑스 대학

Fait exceptionnel, les universités n’ont pas reçu le

dernier versement de leur dotation annuelle, soit 200

millions d’euros. Les fonctionnaires de l’enseignement

supérieur menacés de ne pas toucher leur salaire en

novembre et décembre. Bercy, qui a présenté le 11 le

projet de loi de finances rectificative pour 2014,

envisagerait 2,2 milliards de coupes budgétaires. Et

caresserait l’idée de faire quelques économies sur le

dos des universités. La quatrième et dernière part de

leur dotation annuelle, qui couvre la masse salariale

(120.000 personnels, dont 91.700 enseignants et

chercheurs) et le fonctionnement, n’a pas été versée

dans son intégralité en octobre. Une grande première.

Un «trou» de 200 millions constaté par les agents

comptables qui, s’il n’était pas comblé, mettrait dans le

rouge les deux tiers des établissements, selon Jean-Loup

Salzmann, président de la Conférence des présidents

d’université (CPU). «Les universités sont, comme tous les

autres opérateurs de l’État, sous le feu de Bercy»,

expliquait-il dans un courrier daté du 28 octobre aux

chefs d’établissement.

«Il n’y a jamais eu d’inquiétudes ou de menaces

concernant le versement de ces salaires. Nous avons

fait valoir auprès de Bercy, auprès du premier ministre

et du président de la République (…) que la jeunesse

(…), la recherche et l’éducation restaient les priorités

de ce gouvernement parce qu’ils conditionnent

l’avenir», a indiqué le 17 sur France Inter Geneviève

Fioraso, la secrétaire d’État à l’Enseignement supérieur.

«Les universités ont atteint leurs limites

budgétaires», résume Rachid El Guerjouma, président

de l’université du Maine.

«Nous ne pouvons plus tirer sur les ressources propres,

sauf à augmenter les droits d’inscription, comme dans

les pays anglo-saxons. Le gouvernement doit donc

faire ses choix. S’il veut conserver un modèle de

service public, il devra mettre les moyens», explique

l’universitaire.

매년 대학에 지급되던 보조금 2억 유로(한화 약 2764

억원)가 지급되지 않아 고등교육 공무원들이 11월과 12

월 월급을 받지 못할 위험에 처했다. 정부의 긴축 정책

때문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11일 경제부가 발표한 2014

년 예산수정안에 따르면 22억의 예산 삭감이 계획되었으

나 대학 측은 대학 예산 삭감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교직자 및 연구원들의 봉급 지급

과 학교 운영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대학 총장회 잘츠만 의장에 따르면, 기존에 지급되던 보

조금이 확보되지 않는다면, 대학들의 2/3가 적자를 보게

될 것이라고 한다. 의장은 서신을 통해 "다른 모든 공무원

과 마찬가지로 대학교까지 경제부로부터 타격을 입었다"고

밝혔다.

교육부 정무차관 제느비에브 피오라소는, 17일 방송을

통해 "급여 지급에 대한 걱정이나 타격은 이제껏 한 번도

없었다. 우리는 경제부, 국무총리 그리고 대통령과 함께

미래를 좌우할 청년들과 연구와 교육이 우리의 최우선 순

위임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대학 관계자들은 이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드러냈다. 멘 대학의 라시드 엘 구에르주마 총장은 "대학

들은 예산의 한계에 다다랐다"며 "우리는 이제 영국처럼

등록금을 인상하는 것 말고는 적절한 자원을 끌어올 길

이 없다. 정부는 선택을 해야 한다. 정부가 공공 서비스

체제를 유지하고 싶다면 그에 걸맞는 방안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13 김세경 <[email protected]>

참고 : Le Figaro.fr “Les universités s’inquiètent des coupes budgétai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