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항 섭 - kisdi · 2009-08-17 · 최 항 섭 ․[email protected], 02-570-4090 ․프랑스...

30

Upload: others

Post on 02-Ju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최 항 섭 - KISDI · 2009-08-17 · 최 항 섭 ․jesuishs@kisdi.re.kr, 02-570-4090 ․프랑스 파리 5대학 사회학부 박사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초빙전문위원

최 항 섭

jesuishskisdirekr 02-570-4090

랑스 리 5 학 사회학부 박사

통령자문정책기획 원회 빙 문 원 역임

미래융합 략연구실 연구 원

서 「디지털사회론」

「감정과 이미지의 사회학」

「IT와 인 연결망의 변화 연구」 등

본 의 내용은 필자의 개인 견해로서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공식입장과는 무 합니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3

요 약

정보사회의 빠른 기술변화 속도는 사회성원들에게 미래에 한 불안감을 안겨주고 있다 이

불안감의 증 는 정보사회에서 신뢰의 요성을 더욱 부각시킨다 신뢰의 상으로는 먼 lsquo사

람rsquo이 있다 lsquo사람rsquo에 한 신뢰는 어느 사회를 불문하고 사회 계의 기 가 된다 한 정보사회

가 산업사회와 구별되는 특성 하나인 lsquo정보rsquo의 요성은 정보에 한 신뢰를 주요한 사회이

슈로 부각시키게 되었다 사회의 제반시스템이 정보기술에 의존하고 있는 정보사회에서는 시스

템에 한 신뢰의 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사회의 신뢰의 상을 lsquo사람rsquo

lsquo정보rsquo lsquo시스템rsquo으로 분류하여 특히 온라인에서의 신뢰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온라인에서의 사

람에 한 신뢰는 익명 공간에서 감성 공유를 토 로 이루어지지만 궁극 으로 오 라인

과 연계되어야 지속성을 지니게 된다 온라인에서 정보에 한 신뢰는 객 정보와 가치정보에

한 신뢰로 나 어볼 수 있으며 자에 한 신뢰도는 일반 으로 높은 반면 후자에 한 신

뢰도는 정보를 제공하는 사람와 사이트의 인지도에 따라 결정된다 온라인에서 시스템에 한

신뢰 문제는 표 으로 온라인 상거래에서 논의된다 온라인 상거래가 일상화된 시 에서 그

시스템에 한 신뢰는 사이트의 규모보다는 사이트의 명성 개인의 인터넷 신뢰 경향 등에 따

라 결정된다

Ⅰ 들어가면서

5

Ⅰ 들어가면서

신뢰는 인간이 공동체 생활을 하기 시작하면서 언제나 그 공동체의 기반으로 기

능하여 왔다 농경사회든 산업사회든 공동체의 성원들이 서로 신뢰를 하지 못하면

언제나 그 사회는 혼란에 빠지게 마련이었고 반면 서로 신뢰를 하게 되면 그 사회

는 다른 사회보다 더 나은 경쟁력을 지니게 되는 동시에 그 안의 성원들 역시 높은

수 의 행복감을 맛보았다 한국의 경우에는 분단의 상처와 압축 근 화과정에서

겪은 비정상 경쟁으로 인해 민족간 사회집단간 서로 불신의 정도가 크며 상호

신뢰를 다시 회복하기 해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한국사회에 정보사회

로의 특성을 지니게 된 재로서도 여 히 신뢰는 사회질서유지와 사회통합을 해

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정보기술의 발 속도가

놀라울 정도로 빨라지게 되면서 사회가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할지 모른다는 것은

사회성원들의 상호신뢰에 지 않은 변화를 가져다 주고 있다 거 한 정보사회의

흐름 속에서 개인은 익명의 개인으로 존재하면서 내가 모르는 타인들에 해 얼마

만큼 신뢰해야 하는 가에 한 문제에 매일 같이 착하고 있다 과연 나는 내가 모

르는 사람들을 얼마만큼 신뢰할 수 있을 것인가 특히 정보사회의 특징 공간인

사이버공간에서 면 면 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익명의 타인들을 신뢰할 수 있

을 것인가 그들과 의미있는 계의 형성은 가능한 것인가 과연 정보사회에서 신

뢰의 형성은 무엇을 기 로 이루어지는가 한 정보사회에서 신뢰는 어떠한 모습

으로 나타나고 있는가 과거와 유사한 모습인가 상이한 모습인가 이를 해서 사

회문화 특성은 어떻게 고려될 수 있는가 과거 신뢰의 상으로 여겨졌던 것들은

정보사회로 들어서면서 여 히 신뢰의 상으로 존재하는가 아니면 그 신뢰의 정

보가 변하고 있는가 신뢰의 배반행 에 한 응은 정보사회에서 어떠한 방식으

로 논의될 수 있는가

필자는 이러한 의문들을 심으로 본 논문을 다음과 같은 형태로 구성하고자 한

다 먼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와 이 사회 특히 산업사회에서의 신뢰를 비교해가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6

면서 신뢰의 형성과정의 변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다음으로는 형성된 신뢰가 어떠

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지 그 형태의 표출에 있어서 지속성을 논해야 하는 지 변

화를 논해야 하는 지를 설명할 것이다 셋째 신뢰의 상의 문제를 다룸에 있어서

과거 신뢰의 상이 되었던 것들이 정보사회로 들어오면서 그 상이 변화

됨과 더불어 새로운 신뢰의 상이 되는 것들의 기 에 깔려 있는 것들을 무엇인지

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신뢰의 괴 문제를 다루면서 신뢰의 괴가 이

시 에서는 어떻게 나타났으며 이에 응은 어떠했는지 신뢰의 괴는 정보

사회에서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한 응은 어떠한 양상을 띄고 있는 지

를 알아볼 것이다 이에 앞서 본문에서는 먼 신뢰의 개념과 형성조건에 한 이론

논의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Ⅱ 신뢰의 이해

7

Ⅱ 신뢰의 이해

1 신뢰의 개념

신뢰에 해서는 다양한 정의가 존재지만 일반 으로 신뢰는 어떤 개인이나 집단

의 미래의 행 에 해 나의 기 에 맞게 그 행 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측할 수

있는 것을 뜻한다 사 인 의미에서 본다면 신뢰는 lsquo진술의 진리나 사물이나 사람

의 속성을 믿는 것rsquo으로 정의된다(윤민재 2004에서 인용) 나의 친구는 약속 로 나

의 비 을 지켜주겠지 나의 회사는 계약한 로 나의 퇴직 을 보장해주겠지라고

믿는 것이 신뢰이다 신뢰의 다른 정의로는 lsquo상 방이 기회주의 으로 행동하는

것에 한 우려로부터 기인하는 이 의 기 rsquo가 있다(Bradach and Eccles 1989 장

형유 2004에서 재인용) 이는 나와 계를 맺고 있는 상 방이 나를 배신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 의 정도가 바로 그 상 방에 내가 보내는 신뢰의 정도와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근본 으로 볼 때 신뢰는 한 사회가 유지되는 데 꼭 필요한 요소이며 여러

학자들에 의해서 신뢰는 사회가 가져야할 표 인 자본으로 인식되어 왔다 퍼트

남에 의하면 신뢰는 사회자본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 인 요소로 개인과 단체생활

공공활동에 있어서의 행태 태도 성향에 기 가 되는 통합된 개념이다(Putnam 1993a

박희 2000에서 재인용) 사람이 사람을 믿고 사람이 조직을 믿고 조직이 조직을

믿는 lsquo신뢰rsquo는 한 사회를 존속시키는 핵심이다 이러한 신뢰는 일반 으로 한 사회의

공공이익에 이바지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개인간의 계에서 서로가 서로를 믿는

계가 되면 그들 간에는 상호정보공유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러한 정보 공유

는 각 개인들이 더욱 효율 으로 사회생활을 해 나갈 수 있게 해 다 이러한 개인

이익의 합이 공공이익으로 발 하게 된다는 것이다 어느 곳에서 싼 상품이 있는 지

에 한 정보를 친한 친구들끼리 공유를 하게 되면 그들은 효율 인 소비를 할 수

있을 것이며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이러한 일들이 많이 벌어지게 되면 사회 체로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8

도 도움이 될 것이다 사람과 사람간의 끈끈한 정과 신뢰의 계 자체도 한 사회가

갖고 있는 자본이 된다 퍼트남은 이러한 개인간의 정과 신뢰의 계가 사회 체에

퍼지게 되면 될 수록 그 사회는 근 화된 시민사회 민주화된 시민사회로 발 해나

갈 것이며 한 마디로 더 행복한 사회가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박찬웅(1998) 역시

신뢰는 개인들간의 감시와 통제 비용을 일 수 있게 해주는 에서 보다 효율 으

로 일을 하게 해주는 에서 사회 자본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서로 신뢰를 하고 거래를 한다 하더라도 그 거래가 다른 이들의 이

익을 담보로 하는 것이라면 얘기는 달라진다 를 들어 믿을 수 있는 친구들끼리

시험에 한 정보를 몰래 공유를 한다면 그들의 성 은 오르겠지만 다른 학생들은

이로 인해 불이익을 받게 된다 이와 련 박희 (2002)는 한 지 을 한다 즉

퍼트남의 주장 로라면 개인들이 단체 활동을 많이 하게 되면 그 과정에서 생기는

개인 계들이 더 공고해지고 한 개인이 갖게 되는 신뢰의 양도 늘어난다는 것인데

문제는 꼭 그러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를 들어 종친회 동창회 친목회 등에서

양산되는 신뢰의 제고가 꼭 국가 체의 신뢰의 제고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것이

다(박희 2002204) 연고주의에 한 비 에서도 알 수 있듯이 연 학연 지연

등에 기반한 단체활동에 있어서 그 단체내의 이익은 증가하겠지만 단체내의 외

폐쇄성으로 말미암아 사회 체로 보아서는 불이익이 증가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신뢰는 사람에 따라 다른 것인가 어떤 사람은 무 쉽게 사람을 믿어버

리는 반면 어떤 사람은 일단 의심부터 하기도 한다 사람을 무 믿어 사기를 당해

경제 피해를 입는 사람이 있는 반면 사람과 제도를 무 불신하여 오히려 사회

계에서 소외된 사람도 있다 이 게 사람에 따라 어떤 상에 보내는 신뢰는 달라진

다 이 논의를 해서는 한 개인의 행 와 인식에 향을 미치는 사회화 경험에

한 이론을 끌어올 수 있다 구조주의이론에 따르면 한 개인이 어떠한 지 를 갖고

있으며 재산은 얼마를 갖고 있고 어떠한 학력을 가지고 있는 지 어떠한 사회화 과

정을 거쳐왔는 지는 그 개인이 사회를 보는 에 직 인 향을 미친다 신뢰에서

도 마찬가지이다 한 개인이 다른 개인들 집단들을 신뢰하는 정도는 그 개인의 사

Ⅱ 신뢰의 이해

9

회경제 배경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우리는 일반 으로 인식하기를 사회에 높은

지 에 있는 사람들은 그 지 않은 사람들보다 타인에 해 신뢰도가 낮다고 생각

한다 그 이유는 그 지 에 올라가기까지 많은 사람들과의 경쟁을 거쳤기 때문에 사

람들을 믿어야 할 상이라기 보다는 자신과 경쟁하고 언제나 자신의 자리를 노리

는 믿을 수 없는 상이라고 여길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한편 사람의 능력에

한 신뢰를 생각해보면 학력 역시 신뢰의 수 에 향을 미친다 명문 졸업을 한

이들의 특성 하나는 비명문 출신의 사람들의 능력을 쉽게 믿지를 못한다는 것

이다 이는 명문 에 들어오기 이 고교 생활에서 성 순으로 능력을 평가하는

교육시스템속에서 자라왔기 때문이다 즉 고교 때 공부 못했던 이들은 사회에

나와서도 여 히 능력이 부족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사회화 과정에서 주

에 믿을만한 친구들이나 친지들이 은 사람은 일반인들이나 사회제도에 보내는

신뢰도가 낮을 것이다

2 신뢰의 형성 조건

신뢰는 그 다면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형성되는가 내가 다른 사람과 다른 집단

에게 신뢰를 보내기까지의 과정은 어떠한가 나는 다른 사람과 다른 집단을 무턱

고 신뢰 할 수는 없으며 그 사람과 집단에 한 직 경험과 간 경험에 기

해서 신뢰를 주고 안주고를 결정한다 주커에 의하면 신뢰는 그것이 생기는 과정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나 어 생각할 수 있다(윤민재 200417에서 재인용) 첫째 주체

간의 상호교류과정에서 생기는 신뢰가 있다 오랜 이웃간의 계나 오랜 거래처 사

람간의 계가 좋은 이다 둘째 주체들이 동일한 집단에 속하여 생기는 신뢰가

있다 종교집단 성원들 사이에서 생기는 신뢰가 좋은 이다 그런데 이 두 종류의

신뢰는 완 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동일한 집단에 있게 되면 상호교류가 늘어나

게 될 가능성이 크며 상호교류가 잦게 되면 동일한 집단을 구성할 가능성도 크기

때문이다 셋째의 유형은 주체가 아니라 제도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신뢰이다 를

들어 온라인으로 물건을 구매할 때 외 으로 인지도가 있는 사이트에서 구매를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0

하는 것은 그 사이트가 실명인증제도 안심거래제도 등 고객의 정보를 안 하게 처

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우리가 신뢰를 보내기 때문이다

이 두 번째 종류의 신뢰 즉 동일한 집단 혹은 같은 편에 속해 있으므로 그 집

단의 성원에게 가지는 신뢰에 해서 최상진(2002)은 그것이 신뢰에서 가장 요하

게 취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에 의하면 신뢰는 사람간의 믿을 수 있는 행 의

반복으로 인해 생기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보다 요한 것은 가족으로 태어났거나

같은 종교집단에 속하거나 하는 lsquo우리집단rsquo에 속해 있음으로 마음으로서 우러나오는

신뢰이다

최상진(2002)에 의하면 신뢰에서 가장 요한 것은 lsquo마음rsquo이다 내가 나의 아내에

게 보내는 신뢰는 아내가 나를 믿게하는 특별한 행동을 하지 않더라도 그녀의 마음

에 한 신뢰이다 즉 그녀가 나를 배신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특별한

행동을 하지 않아도 그녀의 마음을 믿는다는 것이다 한국인의 신뢰에 있어서 특히

요한 것은 사람들간의 오고가는 계약 계가 아니라 사람들간에 오고가는 정이다

즉 어떤 사람을 믿는가 안 믿는가는 그 사람과 내가 얼마나 친한가의 여부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서구에서는 약속을 얼마나 잘 지키는 가와 같은 합리 행 의 여부

가 그 사람의 신뢰도에 결정 인 향을 미친다면 한국에서는 그러한 합리성보다

는 그 사람이 얼마나 나하고 친한가 나와 얼마나 가까운 사이인가가 그 사람의 신

뢰도에 결정 인 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윤민재(2004) 역시 사회에서 신뢰를

키우는 데는 친 성이 요하다고 주장한다 그에 의하면 사회에 들어서 개인

주의가 이기주의로 변질되고 서로가 서로를 경쟁상 로만 생각하는 풍토 속에서

우리가 보다 인간답게 살고 보다 발 하는 공동체를 건설하기 해서는 서로의 친

감의 강화를 통해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선무이다 기든스(1994) 역시 lsquo친 감

은 신뢰에 한 골자rsquo라고 주장하 다(199481 윤민재 2004에서 재인용)

이러한 맥락에서 어떤 사람을 신뢰하려면 그 사람의 lsquo마음rsquo을 알아야 한다 갑이

을에게 신뢰를 보내고 있다면 갑이 을에게 신뢰하는 것은 을의 행동이라기보다는

Ⅱ 신뢰의 이해

11

을의 정직한 마음이다 심리학 이론은 이와 련 행동은 마음에서 나온다고 보고 있

다(최상진 20022) 물론 약속을 지키고 싶은 마음이 있어도 약속을 못 지킬 수도

있고 약속을 별로 지키고 싶지 않지만 약속을 지키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부분의 사람은 자신의 마음이 말하는 것과 역행하는 행 를 하기 보다는 마음이

말하는 바에 따라 행 를 한다 하지만 마음이 없는 데 행동만 하거나 마음이 있어

도 행동을 못하는 경우가 지속될 경우에는 그 사람 역시 신뢰를 상실하게 된다

로부터 가장 믿을만한 사람으로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사람을 꼽았고 반면 가장 조심

해야할 사람으로 말과 행동이 다른 사람을 꼽아왔지 않은가 한 사람이 다른 사람으

로부터 신뢰를 얻기 해서는 자기가 한 말에 책임을 질 수 있는 행동을 해야 한다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3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 신뢰의 형성 구조 강한 연 에서 약한 연

정보사회 이 신뢰의 형성 구조는 가까운 사람들간의 연 와 일체감의 구조 즉

강한 연 의 구조 다 신뢰는 최상진(20024)에 의하면 lsquo가족 아주 가까운 친구

계 함께 운명을 같이하는 집단과 같은 특수한 착 계에 있는 사람들 사이에 서

로 믿고 편하게 의지할 수 있는 마음의 연 와 일체감rsquo의 구조를 기 로 형성된다

쉽게 풀이하면 이미 친하게 알고 지내는 사람들 간에 생기는 서로에 한 믿음이라

는 것이다 이는 그 사람은 나를 배신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보는 믿음이다 최상진

의 개념에 따르면 lsquo우리성rsquo을 지니고 있는 이들이 서로간에 가지는 믿음이다 여기서

우리성이란 말은 lsquo우리편의 계rsquo를 의미한다 한 조직이 강한 통합성을 지니려면 그

조직의 경계를 공고히 해야 한다 조직의 경계를 공고히 하기 해서는 다른 조직과

의 차별을 뚜렷하게 해야 한다 그래야 그 조직내의 성원들 사이에는 강한 신뢰와

동질감이 생성된다 한 조직내에 있다는 느낌은 조직내의 타 성원들에게 높은 수

의 신뢰를 갖게 한다 특정 종교 신자들이 단지 같은 종교 신자라는 이유로 일단 상

방에게 신뢰를 보내곤 하는 것이 표 인 이다 이때 다른 종교의 신자에게는

같은 수 의 익명의 사람이라도 같은 수 의 신뢰를 보내지 않는다 이는 어떻게

보면 비합리 인 행 인데 이와 련 최상진은 lsquo한국인의 우리성 계는 모르는 사

람을 포용하는 자기 확 우리성 이라기 보다는 이들을 우리 편에서 배제시키는

우리성의 성향을 갖는다rsquo라고 지 한다 이는 유스래 (2002)에 의하면 특수화된 신

뢰이다 그에 의하면 lsquo특수화된 신뢰란 자신이 믿는 가치를 공유하는 사람들만 믿는

것을 의미하며 외부의 집단의 성원에 해서는 먼 불신부터 하고 보는 것을 의미

한다rsquo(윤민재 2004에서 재인용) 우리성의 신뢰 특수화된 신뢰는 모두 강한 연 를

기반으로 함은 물론이다

강한 연 의 신뢰는 사 신뢰의 공 신뢰에 한 상 우 로도 해석할 수 있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4

다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한국인은 사 신뢰는 높은 반면 공 신뢰는 약하게 나타

난다 즉 나와 가까운 친지들이나 친구들에게는 폭 인 신뢰를 보내는 반면 정부

국회 혹은 내가 모르는 익명의 타인들에게는 불신을 보내고 있다는 것이다(이재

1998 박찬웅 1999 김신동 2001에서 재인용) 한편 사 신뢰의 지나친 의존도와

약한 공 신뢰는 한국사회의 발 을 해하는 요소로 여겨진다 연 지연 학연을

기 로 한 소규모 연고집단에서 표 으로 나타나는 사 신뢰는 한국사회의 공공

선을 해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한 약한 공 신뢰는 사회 체에 불신

풍조를 갖게 하여 사회가 효율 으로 돌아가는 데 제동을 걸게 한다 특히 정부와

국회 제도에 한 높은 불신도는 신뢰의 상 측에 원인에 있으며 국민들이 가지

고 있는 선입 역시 사회 발 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때로 정부가 효율

인 정책을 가지고 나와 이를 강하게 추진하고자 할 때에도 일단 불신의 부터

보내는 언론과 국민들에 의해서 이 시도가 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서 사람들간의 신뢰의 형성 구조는 새로운 양상을 보인다 즉

꼭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이 아니라도 계를 형성하며 익명의 상과도 서로 호혜

인 행 를 하는 즉 약한 연 를 통해서도 신뢰가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정보사회의

표 인 공간인 사이버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호혜 행 ( 지식

검색)는 새로운 의미로 신뢰를 형성시킨다 지 않은 학자들은 사이버공간에서의

신뢰형성에 부정 이었다 특히 신뢰라는 것은 면 면 계의 지속 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인데 익명성과 상호작용의 비지속성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공

간에서 신뢰가 제 로 형성되겠느냐는 것이다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사이버공간에서 형성되는 약한 연 의 계는 지속

으로 증가했고 그 과정에서 여러 가지 부정 인 상들도 발생하 지만 과거에는

생각할 수 없었던 즉 모르는 이들에 한 신뢰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 때 모르는

이들은 완 히 모르는 이들이 아니다 내가 그 사람의 아이디를 알고 있고 그 사람

과 채 등을 통해서 화를 나 경험이 있거나 내가 요청한 도움에 그 역시 나를

잘 모르는 상태에서 기꺼이 응해주었던 경험이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5

사이버공간에서 신뢰가 형성되는 것은 호혜성 계를 통해서도 이해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감정과 취향의 공유를 통해서도 이해될 수 있다 나와 같은 것을

좋아하는 내가 느끼는 감정을 같이 느끼는 이들이라면 인간은 그 사람에게 신뢰

를 보내게 된다 이는 기든스가 얘기했던 lsquo친 성의 신뢰rsquo와 같은 맥락이다 이 때 사

람들간의 계는 여 히 그 사람이 구인지 잘 모르는 언제 헤어질 지 모르는 헤

어져도 그만인 약한 연 의 계이지만 감정과 취향의 공유를 통해서 신뢰가 형성

되어지는 것이다 강한 연 의 계에 있지만 나와 완 히 취향이 달라 친 감을 느

끼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반면 약한 연 의 계에 있지만 나와 취향이 같아 친

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후자의 경우가 정보사회에서의 논의될 수 있는 의미있는

형태로의 신뢰이다

정보사회에서의 신뢰는 비단 사이버공간에만 국한해서 논의될 필요는 없다 정보

사회에서도 여 히 이 사회에서의 강한 연 의 신뢰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지

만 시간과 공간의 제약 때문에 이 강한 연 의 지속이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그 연 의 유지를 해 사이버공간을 활용하고 있기도 하다 즉 사이버공

간에서의 계는 내가 모르고 있는 사람과의 계만이 있는 것이 아니다 내가 이미

알고 있는 사람과의 계 역시 존재한다 장원호(2004)의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많

은 경우 실공간에서의 계는 사이버공간으로 옮겨져 연장된다 이는 기존의 신

뢰 계를 재생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학교의 친구들 동창들 옛날 동네친구들 떨어

져 사는 가족들에게 있어 사이버 공간은 시간과 공간을 월해서 서로의 안부를 확

인하고 서로의 정을 나 며 상호신뢰를 지속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공간이다 최근 필

자(2004)의 연구결과를 보면 인터넷과 같은 정보통신기술은 사회성원들이 맺고 있

는 계의 인 연결망의 도를 높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터넷으로 인

해 이미 친한 이들과 더욱 친해지고 있는 것이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6

2 신뢰의 표출형태 극단성의 지속

정보사회에서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가 새롭게 형성되고는 있지만 그 표출형태

에 있어서는 이 사회의 신뢰 표출형태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즉 극단 신

뢰와 극단 불신이라는 형태로 표출되는 것을 말한다 그 이유는 사회문화 특성

에서 찾아져야할 것이다 이미 여러 조사를 통해서 한국사회의 신뢰의 특성은 내집

단에 한 극단 신뢰 타집단에 한 극단 불신이 밝 진 바 있다 박희

(2002)은 신뢰의 상으로 개인 단체 공공기 등 다양한 상들을 설정하여 국민

들이 이 상들에 갖고 있는 신뢰도는 어떠한 지 국민들의 개인 지 와 성향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연구하 다 이 조사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

들의 신뢰도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학교친구 고향친구 등 개인 으로 이미 친분

이 있는 사람들에 한 신뢰도는 매우 높은 반면 모르는 사람 알더라도 약간

아는 사람들에 한 신뢰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한마디로 말해 아는 사람은

으로 믿고 모르는 사람은 우선 의심하고 본다는 것이다 친한 사람에게는 차용증없

이도 돈을 빌려주는 사람이 모르는 사람이 길거리에서 1000원을 빌려달라고 하면

단호히 거 하는 것이 한국사회이다 사 신뢰에서도 가족 친구 친척 등 연 학

연 지연 등으로 얽 있는 인 계에 있어서의 신뢰도가 직장동료 사회동료 등

도구 계로 얽 있는 인 계에서의 신뢰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때 공 신

뢰의 낮은 수 은 압축 근 화를 거치면서 생긴 소 lsquo체계rsquo 역에 한 총체

인 불신에 기인한다 의 조사결과 특히 정부 국회 등 공공 역에 한 신뢰가

단히 낮게 나타났다 끊임없이 터져 나오는 공직자 부패사건들을 경험하면서 국민

들이 공직자와 그 조직에 해 지니고 있는 불신은 이미 최고조에 달해있는 상태이

다 공 역에 한 배신감 불신은 내가 아는 사람들에 한 극단 인 신뢰로 이

어졌다 즉 친한 사람은 무조건 믿고 모르는 사람은 일단 의심부터 하고 보는 경향

이 강하다는 것이다 이는 내편의 사람은 바로 lsquo내편이기 때문에rsquo 믿고 다른 편의 사

람은 바로 lsquo내편이 아니기 때문에rsquo 의심한다는 의미이다

정보사회와 련 사이버공간에서도 이러한 극단 신뢰와 극단 불신은 그 로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7

나타나고 있다 를 들어 자신과 같은 입장을 지닌 사람의 말은 화의 주제와

련 없는 말도 믿으면서 자신과 입장이 다른 사람은 다른 집단으로 가라고 하면서

그 사람의 말을 불신하는 것이다 그 다면 왜 이 게 한국인들은 내편 네편을 나

기를 좋아하고 내편을 끔 이 아끼고 사랑하고 무조건 믿지만 네편은 심할 정도

로 배척하고 불신하는가 최상진(2002)은 이는 내편에 속하여 얻는 심리 이고 실

질 인 만족이 서구에 비해서 단히 크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20029) 즉 사이

버공간에 한국사회의 편가르기의 특성이 투여되며 실공간의 수 을 넘어서는 상

호간의 불신이 생길 수도 있다 이와 련 사이버공간에서의 토론을 보면 간 성향

의 논의가 존재하지 않는 경향이 뚜렷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김은미(2004)의 최

근 조사에서 ldquo사이버공간에서의 의사소통에서는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편과 내가

틀리다고 생각하는 편만 존재한다rdquo고 주장한 바 있다 이 두 편은 확연하게 나 어

져 자신들의 의견이 옳음을 입증하려고 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객 인 의견개

진보다는 상 방이 틀림을 비난하는 감정 들이 오고 가며 이 과정에 계속됨에

따라 애 의 이슈는 사라지고 서로를 비난하는 감정만 남게 된다 이때 이 토론에

참여한 이는 내가 알지도 못하는 얼굴도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미움을 사게 되며

그 한 익명의 타자에게 불신과 미움의 감정을 품게 된다 이러한 상은 사이버공

간이 불신을 생산하는 장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다 최상진이 말한 우

리성의 부정 효과가 사이버공간에서의 신뢰의 하로 나타나는 것이다

3 신뢰의 상 성의 약화와 다수성의 신뢰

정보사회의 특성 하나는 바로 이 사회에서 인 신뢰의 상들의 상

이 하되고 있다는 것이다 표 인 것이 바로 소 문가에 한 신뢰의

약화이다 이는 지식의 상변화에 기인한다 즉 근 이후 지식의 가치를

드높 던 문가들이 그 실용성에 있어서 더 이상 평가를 제 로 받지 못하고 있으

며 오히려 나에게 정말 필요한 지식들을 생산하여 달해주는 수천 수만의 비 문

가들의 지식의 가치가 더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소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8

에 한 신뢰 상이다

정보사회 이 의 지식의 상을 먼 살펴보자 지식은 생성되는 과정에서의 과

학 이론 지 능력을 요구하 으며 따라서 일반인들에게는 습득하기 어려운 것

이었으며 소수의 지배계층은 이러한 지 능력을 부여받기 한 교육을 받을 수 있

는 특권을 렸다 지배계층은 지식만이 세상을 이롭게 할 수 있다는 생각을 리

유포했으며 스스로도 그 게 확신하 다 즉 지식만이 일반인들의 무지 야만 노

성을 극복하게 해주어 세계를 구할 것이라는 계몽주의 사고방식을 가졌던 것

이다 반면 일반인들이 일상의 경험에서 축 한 지 가치들은 과학 으로 증명된

바가 없고 논리성 한 갖추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지식에 비해 그 가치가 단히

떨어지는 것으로 인식하 다 과학 지식은 보편 방법을 통해 증명되고 보편

법칙들을 추구하기 때문에 만인에게 도움을 다고 보는 반면(Condorset [1794]

1973 803805) 들의 경험은 보편 법칙을 추구한다기 보다는 일상의 개인에

게 도움을 주는 것을 주 목 으로 하기 때문에 그 가치가 지식에 비해 못 미친다고

보았던 것이다 지식은 근 시기에 최고의 지 가치로 인정받았으며 이는 지식만이

lsquo사실rsquo을 담아내고 과학 으로 증명되었기 때문에 lsquo불변 rsquo이고 사회와 역사의 변화

에 향을 받지 않는 lsquo rsquo으로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 상을 정립하 다

하지만 정보사회로 어들면서 지식은 그 신뢰에 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통 시각에서의 지식은 그것이 불확실하거나 이 게도 혹은 게도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아니라 확실하고 어떤 경우에도 lsquo거짓이 아니고 참rsquo인 것으

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문제는 무엇이 lsquo진실rsquo인 것이냐는 것

이다 lsquo진실rsquo은 원히 불변 인 것인지 아니면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이기도

한 것인지에 한 의문 한 제기되어 왔다 만하임 역시 과거에 진리로 군

림했던 lsquo정 과학rsquo(exact science)에 한 신뢰성이 오늘날 심하게 흔들리고 있다고

지 한 바 있다(Mannheim 1936271)

만하임에 의하면 우리 인간이 일상생활에서 맺고 있는 사회 계 그 계 속에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9

서의 역할 그 역할을 수행하면서 갖는 존재의식 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사회속에

형성된 지식들을 제 로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Mannheim 1936267-8) 만하

임의 이러한 역사주의 에서 골드만 한 지식은 믿음을 내포하고 있는 데 이

믿음이라는 것이 사실은 lsquo사회 으로 구축된 것rsquo(socially constructed)이라고 주장한

다 그에 의하면 지식은 언제나 lsquo지엽 rsquo(local)인 것이며 상황에 따라 규정되는 것

(contextual situated)이다(Goldman 199921) 그는 특히 하나의 지식이 지엽 이

고 상황결정 인 이유로서 지식은 언제나 특정한 개인이나 특정한 이해그룹에 의해

서 지식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 다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라는 것은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하

나의 단수의 지식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 상이 발생

한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인 복수의 지식들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Burke

2000 13) 하 역시 지식은 하나의 단수 인 것이 아니며 지식을 받아들일 때도

그 지식이 형성된 과정을 이해하면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 다(Hakken

200313) 만하임에 의하면 인간의 생각과 아이디어들은 몇몇 한 인물들이 내

놓은 업 물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집합 경험에 의해서 탄생되는 것이다 그리

고 이 집합 경험은 공통의 분모를 가지는 동시에 상이성 한 가진다 존재하는

것은 하나의 상에 한 하나의 지식이 아니라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서로 충돌하고 경합을 끊임없이 하는 복수의 지식들이다(Mannheim 1936

269) 이 스타는 lsquo지식은 복수로 존재하면서 다른 지식들과 복합 상호 계속에

서 존재하며 그 기 때문에 지식은 생태 (ecologic)이다rsquo라고 보았다(Star 1995)

이 게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고 복수로 존재한다는 사실은 지식에 한

신뢰에 있어서도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한다 즉 지식에 한 신뢰는 맹목 일 수 없

다는 것이다 세 근 의 시각에서 보면 지식에 한 신뢰는 지식을 보유하고 생

성하는 권력집단의 정당성에 한 수동 수용에 기인하 다 그러나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주체 다양한 집단들이 지식생산과 비 에 참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 사회에서 형성되었던 지식들의 신뢰성이 약화가 되었고 지식을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0

생성하는 유일한 집단으로 믿어졌던 문가군에 한 신뢰 역시 약화되고 있다

지식의 성에 한 신뢰의 변화가 정보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주장의

다른 근거는 정보사회의 핵심콘텐츠인 lsquo정보rsquo의 상 변화를 통해서도 뒷받침될 수

있다 70년 에 사회학자 투 과 벨은 탈산업사회의 도래를 견하면서 탈산업사회

에서 요하게 되는 것은 노동의 힘과 자연에 지가 아니라 바로 lsquo정보rsquo일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 정보사회에 들어서는 lsquo정보rsquo를 어떻게 수집하고 활용하는가가 부의

원천이 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arny 20046) 일본의 미래학자 마슈다는 2000년

에는 정보사회가 산업사회를 체할 것이며 이 시기에는 물질 가치의 생산이

덜 요해지고 신 정보의 량생산과 공유가 단히 요해질 것이라고 내다보

았다(Barny 20048) 최근 각 을 받고 있는 정보사회학자 카스텔스에 의하면

재 우리가 사는 세계의 사회 정치 경제 행 의 지 않은 부분이 lsquo정보의 흐름rsquo

(flows of information)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든 역에 걸쳐 정보가

구에게서 출발하여 어떤 경로로 구에게 도착하는가 어떤 정보들이 공유 독

되는가가 요한 사회 이슈로 두되고 있는 것이다(Castells 19981) 리오따르 역

시 과거에 국가들은 토와 원자재 그리고 노동력을 쟁취하기 해서 쟁을 하

으나 앞으로는 보다 가치있는 정보를 쟁취하기 해 치열하게 경쟁할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Lyotard 1979) 버크는 정보의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정보를 사고

는 상품으로 취 해야 하는가 아니면 정보를 사회성원들의 공공이익을 하여

구나 공유해야할 것으로 취 해야 하는가가 요한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고 말하

다 그는 21세기를 후하여 두되고 있는 정보와 정보기술의 요성에 비추어볼

때 후 의 역사학자들이 이 시기를 lsquo정보의 시 rsquo(age of information)라고 명명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urke 20001)

그런데 이 정보는 지식과는 달리 문가들이 아닌 일반인들에게서도 쉽게 공유되

고 확산될 수 있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공유행 의 증은 지 가치들의 유통을

빠르게 효율 으로 가능하게 하는 정보기술에 기반한다 이제 지 가치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되고 실제 실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한 빠르게 획득할 수 있을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1

때 그 가치를 인정받기에 이르 다 여러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것은 문 인

것보다는 일반 이론 이기 보다는 실용 인 지 가치인데 정보가 바로 이러한

요구에 가장 잘 부응하고 있는 것이다

통 의미에서의 지식은 문가들에 의해 형성되고 증명되어진 지 가치이며

정보는 비 문가들도 얼마든지 생성 유통시킬 수 있는 그러나 아직 완 히 증명되

어지지 않은 지 가치 다 그러나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정보의 공유가 폭증하고

정보의 제공자들에 있어서 문가와 비 문가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무엇보다 사회

성원들에 필요한 지 가치로서의 정보의 상이 격히 높아지게 되었다 특히 한

명의 문가가 생산한 지식보다는 다수의 비 문가들이 함께 모여 편집하고 가공한

정보가 더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서의 상을 지니게 되는 조짐이 보이고 있다

이를 설명해 수 있는 표 인 사례가 바로 인터넷의 lsquo지식검색rsquo서비스이다 이 서

비스가 시작된 후에는 우리는 학교에서 궁 한 것 직장에서 궁 한 것 일상에서

문득 떠오르는 궁 한 것들을 인터넷만 있으면 바로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궁 한 것들에 해 다른 이들이 답변을 한 것에 한 신뢰도가 단히 높다

는 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필자의 조사(2004)에 따르면 lsquo지식검색rsquo에서 답변

된 정보들에 한 신뢰도는 단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다수의 사람

들이 lsquo맞다rsquo고 답한 정보는 신뢰할만 하다는 것이다 즉 지 가치에 한 신뢰의 정

도가 그 지 가치를 생산한 사람이 구인가( 문가인가 아닌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얼마나 많은 사람이 그 지 가치의 생산에 참여했느냐에 따라 결정된

다는 것이다 표 인 집단지성의 지 가치 생산의 로 언 되는 키피디아의

경우 신뢰도는 리타니카 백과사 에 버 가는 신뢰를 확보하고 있다

4 신뢰의 괴와 응

신뢰의 괴는 쉽게 말해 배신으로 표 된다 배신행 의 부분의 원인은 개인

의 이기심이다 즉 신뢰를 어기면서도 어떠한 행동을 하게 되면 그 신뢰를 어겨서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2

겪는 피해보다 자신이 얻는 것이 더 많을 때 배신행 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극단

인 로 한 폭력조직에서 조직성원들의 신뢰를 버리고 조직의 비 을 설하게

해야 할지 고민이 될 때 조직의 보복은 두려우나 그로 인해 자신에게 엄청난 이익

이 생기게 되면 결국 조직의 비 을 설한다는 것이다 이보다 더 일상 인 를

하나 들어보자 친구가 lsquo다른 친구들에게 로 말하지마rsquo라고 그 친구의 비 을 나

에게 얘기해주었다 그 친구는 나의 친한 친구 기 때문에 자신의 비 을 나에게

몰래 털어놓았다 하지만 그 비 을 다른 친구에게 나는 lsquo다른 이에게는 로 말

하지마 그 친구가 알면 나 큰일나rsquo라고 말하면서 그 친구의 비 을 알린다 이 때의

이기심은 경우에 따라 다르겠으나 비 정보를 나만이 알고 있다는 것을 다른 이에

게 알리고 과시하고 싶은 욕구의 이기심이다 이러한 배신 행 에 해서는 어느 사

회 어느 인간을 막론하고 냉엄하게 응한다 최상진에 의하면 배신자라는 말 자체

의 사 의미가 lsquo등을 돌린다rsquo라는 것으로 이는 완 히 자신에게 등을 돌린 사람

남남인 사람을 의미한다(20027) 신뢰를 버려야했던 행 로 인해 얻어지는 이익

에 기뻐하지만 신뢰를 버린 행 가 도덕 으로 규탄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자신 스스로 괴로워한다 친한 친구들에게 돈 사기를 친 이들이 자수를 하는

경우에는 이 양심의 소리가 주는 고통이 단히 컸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치의 감정

은 스스로 양심의 가책을 느껴 생기는 자괴성(self-shamed)이다 한국사회는 이기

심에서 발 된 배신행 에 해서 그 처벌을 엄격하게 하여 사회에서 완 소외되

게 하거나 스스로 극도의 자괴감을 가지도록 하는 사회담론을 형성해 왔다 이는

사회에서의 신뢰를 무엇보다 시해온 한국사회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정보사회에서 신뢰의 괴는 그 다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 먼

익명성에 자신을 숨기고 다른 이들의 사생활정보를 헤쳐 이를 악용하는 것이

표 인 사례다 사이버공간에서는 자신의 사생활정보를 나의 동의없이 다른 이에게

공개하지 못할 것이라는 lsquo시스템안 에 한 신뢰rsquo가 작동된다 그 기에 인터넷 쇼

핑 인터넷 뱅킹 등이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단히 험한 일이기도 하다 경

제 이윤으로 직결되는 사생활정보를 외부로 팔아넘겨 얼마든지 이윤을 챙길 가능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3

성이 항상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8년 옥션사태 SK사태에서 잘 나타났듯이 우

리의 사생활정보는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기업 혹은 해커들에 의해 노출될 험

이 있다 이때 신뢰는 개인과 개인 사이에서의 문제를 넘어서 개인과 체계의 문제가

된다 개인 수 에서도 신뢰의 괴는 쉽게 이루어진다 역시 익명성이라는 속성

상 나의 본체가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내가 신뢰를 괴하더라도 그 책임으로부

터 숨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 다면 사이버공간에서 신뢰의 괴가 생길 때 이에 한 응은 어떻게 이루

어지는가 이 사회에서는 신뢰의 괴를 한 이를 색출하여 이를 공동체에서 배제

를 시킴으로써 체조직의 신뢰를 유지하 다 이를 해 엄격한 법 체제가 마련

되었음은 물론이다 개인 한 이러한 신뢰 괴 행 에 해 자괴성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하지만 사이버공간에서는 이러한 배제행 와 자괴성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이 군지를 숨길 수 있는 익명성이라는 사이버공간의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신뢰를 괴하는 행 가 특히 개인간의 차원에서 벌어졌을 때 신뢰

를 괴한 이를 찾아내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사이버공간에서 축출을 한다고 해도

그는 다른 익명성 혹은 가명성으로 새롭게 신뢰 괴행 에 나설수 있다 재 사

이버테러에 응하는 사법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사이버공간의 본질 속성상

그 논의 자체가 쉽지 않는 상태이다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25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 자본 축 을 해

지 까지 정보사회의 신뢰에 있어서 신뢰의 형성구조 신뢰의 표출형태 신뢰의

상 신뢰의 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심으로 그 변화의 측면을 논해보았다 먼

이 사회에서는 연 지연 학연 등을 심으로 하는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

뢰가 형성되었던 반면 정보사회에서는 연고 보다는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하

면서 그 계의 끈이 비교 느슨한 lsquo약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뢰가 형성되는 상

이 발생하고 있다 이때 약한 연 에서 경험되는 것은 익명의 존재들 간에 호혜 으

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며 이 호혜성의 경험이 상 방에 한 신뢰를 갖게 한다

이때 신뢰는 물질 이익을 주고 받으면서 생기는 것이라가 보다는 함께 무엇인가

를 즐기고 공유하면서 생기는 lsquo친 감rsquo에 기 한 신뢰의 의미가 강하다 한편 기존의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한 신뢰 역시 정보사회의 표 공간인 사이버공간을 통해서 재

생산되는 측면이 있다 문제는 신뢰의 표출형태이다 약한 계에서 형성된 신뢰라

면 보다 개방 인 신뢰의 모습을 지녀야 하지만 한국사회에 있어서는 그 지 못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즉 기존의 사회에서 뚜렷이 나타났던 lsquo자기 집단에 한 극

단 신뢰rsquo와 lsquo타 집단에 한 극단 불신rsquo이 그것이다 설령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한 신뢰 계가 그 집단내에서는 형성되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취향과 감정을

공유하는 타집단에 해서는 극단 불신을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한국사회

의 공론장 형성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다원 가치에

한 인정의 결핍은 한국사회의 아킬 스건이다 신뢰의 상의 문제에 있어서 이

사회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상은 공식 으로 인정받은(학 등을 통해) 문

가들이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소수의 문가들에 한 신뢰의 수 이

떨어지고 오히려 다수의 비 문가들이 집단 으로 생산해낸 지 가치에 한 신뢰

의 수 이 높아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뢰를 괴하는 행 가 정보사회에서는 그

익명 공간 안에서 손쉽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을 지 하 다 한 이 배신의 행

에 해 과거에는 배신자를 공동체에서 축출하는 것으로 응하 는데 정보사회

에서는 이 배신자 자체를 찾아내기가 단히 어렵다는 난제를 지니고 있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6

한 사회가 보다 인간다운 사회의 모습을 지니기 해서는 사회 자본의 축 이

필수 이며 이 사회 자본의 핵심이 사회 성원들 간의 신뢰이다 사회 자본의

축 을 통한 기회비용의 감소 뿐만이 아니라 공동체성의 회복의 가능성을 제기한

콜만과 퍼트남의 을 받아들이면서 우리는 이제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모습을

통해 새로운 사회 자본의 가능성을 논할 수 있다 개인들이 고립되어 있는 상태를

벗어나 계를 복원시켜야 한다는 퍼트남의 논의는 재 한국사회의 상황에서는 아

쉽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미 개인주의가 확산될 로 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 계가 분명 사이버공간에서 생성되고 있음은 사회

자본의 축 가능성을 다시 제기하게 한다 과거와 같은 형태의 공동체가 아닌

마페졸리(Maffesoli) 등이 제기하는 lsquo부족rsquo 형태에 기반한 사회 자본을 논할 수 있

게 된 것이다 하지만 여 히 lsquo편 가르기rsquo라는 한국의 사회문화 특성으로 인해 이

신뢰 계가 극단 편나 기 양상으로 번지곤 하는 것은 안타까운 실이다 황우

석 사태에서도 잘 나타났듯이 자신들 편의 말만 믿으면서 다른 이들에 한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성 토론 보다는 감정 비난이 앞서는 의사소통 형

태가 사이버공간에서 그 로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사회 자본

을 축 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의 장인 공론장의 형성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정보

사회에서의 공론장은 특히 사이버공간으로 확장되어 있는 특성을 지니는데 이때

사이버공간의 익명성이라는 특성상 이성 의사소통이 더욱 어려워지는 한계를 지

니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무엇보다 의사소통하는 상 방에 한

감을 보다 높이고 의사소통을 원만하게 해주는 재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

으로 응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27

참 고 문 헌

김신동 2001 lsquo정보와 사회 신뢰rsquo 「신뢰연구」 제 11권 통합호 한림과학원

박찬웅 1998 lsquo신뢰의 기와 사회 자본rsquo 1998년 후기사회학 회 발표집

박희 이희창김동욱김철수박병래 2002 한국인의 신뢰 수 향 요인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3호

윤민재 2004 lsquo신뢰와 사회자본에 한 사회 이해rsquo 「신뢰연구」 한림과학원

장원호 2004 985172사이버커뮤니티와 사회 계의 변화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장형유정기한 2004 lsquo인터넷 쇼핑몰에서 고객신뢰 태도 계몰입과 구매의도의

구조 계에 한 연구rsquo 「한국마 」 한국마 학회

최상진김의철김기범 2003 lsquo한국사회에서의 인 계속의 신뢰와 불신의 기반

으로서의 마음에 한 문화심리학 근rsquo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최항섭 2004 985172IT가 인 연결망과 공공선(public interest)에 미치는 향연구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Barney Darin 2004 The Network Society Cambridge Polity Press

Burke Peter 2000 A Social History of Knowledge Cambridge Polity Press

Castells Manuel 2001 The Internet Galaxy Reflections on the Internet Business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Condorcet Antonie-Nicolas Marquis de 1794 Sketch of the Progress of the

Human Mind Except trans by J Barra Clough 1955 pp800-10 in Peter

Gay The Enlightment A Comprehensive Anthology New York Schocken

Books

Goldman Alvin I 1999 Knowledge in a Social world New York Oxford Uni-

versity Press amp Clarendon Press

Hakken David 2003 The Knowledge landscape of Cyberspace New York Routledge

Lyotard JF 1979 La condition postmoderne Paris Minuit 이 복 역 「정보사

회에서의 지식의 상」 1992 서 사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8

Mannheim Karl 1936 Ideology and Utopia Harcourt Brace amp World

Star Susan Leigh 1995 The Cultures of Computing Oxford Blackwell

Page 2: 최 항 섭 - KISDI · 2009-08-17 · 최 항 섭 ․jesuishs@kisdi.re.kr, 02-570-4090 ․프랑스 파리 5대학 사회학부 박사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초빙전문위원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3

요 약

정보사회의 빠른 기술변화 속도는 사회성원들에게 미래에 한 불안감을 안겨주고 있다 이

불안감의 증 는 정보사회에서 신뢰의 요성을 더욱 부각시킨다 신뢰의 상으로는 먼 lsquo사

람rsquo이 있다 lsquo사람rsquo에 한 신뢰는 어느 사회를 불문하고 사회 계의 기 가 된다 한 정보사회

가 산업사회와 구별되는 특성 하나인 lsquo정보rsquo의 요성은 정보에 한 신뢰를 주요한 사회이

슈로 부각시키게 되었다 사회의 제반시스템이 정보기술에 의존하고 있는 정보사회에서는 시스

템에 한 신뢰의 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사회의 신뢰의 상을 lsquo사람rsquo

lsquo정보rsquo lsquo시스템rsquo으로 분류하여 특히 온라인에서의 신뢰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온라인에서의 사

람에 한 신뢰는 익명 공간에서 감성 공유를 토 로 이루어지지만 궁극 으로 오 라인

과 연계되어야 지속성을 지니게 된다 온라인에서 정보에 한 신뢰는 객 정보와 가치정보에

한 신뢰로 나 어볼 수 있으며 자에 한 신뢰도는 일반 으로 높은 반면 후자에 한 신

뢰도는 정보를 제공하는 사람와 사이트의 인지도에 따라 결정된다 온라인에서 시스템에 한

신뢰 문제는 표 으로 온라인 상거래에서 논의된다 온라인 상거래가 일상화된 시 에서 그

시스템에 한 신뢰는 사이트의 규모보다는 사이트의 명성 개인의 인터넷 신뢰 경향 등에 따

라 결정된다

Ⅰ 들어가면서

5

Ⅰ 들어가면서

신뢰는 인간이 공동체 생활을 하기 시작하면서 언제나 그 공동체의 기반으로 기

능하여 왔다 농경사회든 산업사회든 공동체의 성원들이 서로 신뢰를 하지 못하면

언제나 그 사회는 혼란에 빠지게 마련이었고 반면 서로 신뢰를 하게 되면 그 사회

는 다른 사회보다 더 나은 경쟁력을 지니게 되는 동시에 그 안의 성원들 역시 높은

수 의 행복감을 맛보았다 한국의 경우에는 분단의 상처와 압축 근 화과정에서

겪은 비정상 경쟁으로 인해 민족간 사회집단간 서로 불신의 정도가 크며 상호

신뢰를 다시 회복하기 해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한국사회에 정보사회

로의 특성을 지니게 된 재로서도 여 히 신뢰는 사회질서유지와 사회통합을 해

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정보기술의 발 속도가

놀라울 정도로 빨라지게 되면서 사회가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할지 모른다는 것은

사회성원들의 상호신뢰에 지 않은 변화를 가져다 주고 있다 거 한 정보사회의

흐름 속에서 개인은 익명의 개인으로 존재하면서 내가 모르는 타인들에 해 얼마

만큼 신뢰해야 하는 가에 한 문제에 매일 같이 착하고 있다 과연 나는 내가 모

르는 사람들을 얼마만큼 신뢰할 수 있을 것인가 특히 정보사회의 특징 공간인

사이버공간에서 면 면 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익명의 타인들을 신뢰할 수 있

을 것인가 그들과 의미있는 계의 형성은 가능한 것인가 과연 정보사회에서 신

뢰의 형성은 무엇을 기 로 이루어지는가 한 정보사회에서 신뢰는 어떠한 모습

으로 나타나고 있는가 과거와 유사한 모습인가 상이한 모습인가 이를 해서 사

회문화 특성은 어떻게 고려될 수 있는가 과거 신뢰의 상으로 여겨졌던 것들은

정보사회로 들어서면서 여 히 신뢰의 상으로 존재하는가 아니면 그 신뢰의 정

보가 변하고 있는가 신뢰의 배반행 에 한 응은 정보사회에서 어떠한 방식으

로 논의될 수 있는가

필자는 이러한 의문들을 심으로 본 논문을 다음과 같은 형태로 구성하고자 한

다 먼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와 이 사회 특히 산업사회에서의 신뢰를 비교해가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6

면서 신뢰의 형성과정의 변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다음으로는 형성된 신뢰가 어떠

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지 그 형태의 표출에 있어서 지속성을 논해야 하는 지 변

화를 논해야 하는 지를 설명할 것이다 셋째 신뢰의 상의 문제를 다룸에 있어서

과거 신뢰의 상이 되었던 것들이 정보사회로 들어오면서 그 상이 변화

됨과 더불어 새로운 신뢰의 상이 되는 것들의 기 에 깔려 있는 것들을 무엇인지

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신뢰의 괴 문제를 다루면서 신뢰의 괴가 이

시 에서는 어떻게 나타났으며 이에 응은 어떠했는지 신뢰의 괴는 정보

사회에서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한 응은 어떠한 양상을 띄고 있는 지

를 알아볼 것이다 이에 앞서 본문에서는 먼 신뢰의 개념과 형성조건에 한 이론

논의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Ⅱ 신뢰의 이해

7

Ⅱ 신뢰의 이해

1 신뢰의 개념

신뢰에 해서는 다양한 정의가 존재지만 일반 으로 신뢰는 어떤 개인이나 집단

의 미래의 행 에 해 나의 기 에 맞게 그 행 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측할 수

있는 것을 뜻한다 사 인 의미에서 본다면 신뢰는 lsquo진술의 진리나 사물이나 사람

의 속성을 믿는 것rsquo으로 정의된다(윤민재 2004에서 인용) 나의 친구는 약속 로 나

의 비 을 지켜주겠지 나의 회사는 계약한 로 나의 퇴직 을 보장해주겠지라고

믿는 것이 신뢰이다 신뢰의 다른 정의로는 lsquo상 방이 기회주의 으로 행동하는

것에 한 우려로부터 기인하는 이 의 기 rsquo가 있다(Bradach and Eccles 1989 장

형유 2004에서 재인용) 이는 나와 계를 맺고 있는 상 방이 나를 배신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 의 정도가 바로 그 상 방에 내가 보내는 신뢰의 정도와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근본 으로 볼 때 신뢰는 한 사회가 유지되는 데 꼭 필요한 요소이며 여러

학자들에 의해서 신뢰는 사회가 가져야할 표 인 자본으로 인식되어 왔다 퍼트

남에 의하면 신뢰는 사회자본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 인 요소로 개인과 단체생활

공공활동에 있어서의 행태 태도 성향에 기 가 되는 통합된 개념이다(Putnam 1993a

박희 2000에서 재인용) 사람이 사람을 믿고 사람이 조직을 믿고 조직이 조직을

믿는 lsquo신뢰rsquo는 한 사회를 존속시키는 핵심이다 이러한 신뢰는 일반 으로 한 사회의

공공이익에 이바지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개인간의 계에서 서로가 서로를 믿는

계가 되면 그들 간에는 상호정보공유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러한 정보 공유

는 각 개인들이 더욱 효율 으로 사회생활을 해 나갈 수 있게 해 다 이러한 개인

이익의 합이 공공이익으로 발 하게 된다는 것이다 어느 곳에서 싼 상품이 있는 지

에 한 정보를 친한 친구들끼리 공유를 하게 되면 그들은 효율 인 소비를 할 수

있을 것이며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이러한 일들이 많이 벌어지게 되면 사회 체로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8

도 도움이 될 것이다 사람과 사람간의 끈끈한 정과 신뢰의 계 자체도 한 사회가

갖고 있는 자본이 된다 퍼트남은 이러한 개인간의 정과 신뢰의 계가 사회 체에

퍼지게 되면 될 수록 그 사회는 근 화된 시민사회 민주화된 시민사회로 발 해나

갈 것이며 한 마디로 더 행복한 사회가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박찬웅(1998) 역시

신뢰는 개인들간의 감시와 통제 비용을 일 수 있게 해주는 에서 보다 효율 으

로 일을 하게 해주는 에서 사회 자본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서로 신뢰를 하고 거래를 한다 하더라도 그 거래가 다른 이들의 이

익을 담보로 하는 것이라면 얘기는 달라진다 를 들어 믿을 수 있는 친구들끼리

시험에 한 정보를 몰래 공유를 한다면 그들의 성 은 오르겠지만 다른 학생들은

이로 인해 불이익을 받게 된다 이와 련 박희 (2002)는 한 지 을 한다 즉

퍼트남의 주장 로라면 개인들이 단체 활동을 많이 하게 되면 그 과정에서 생기는

개인 계들이 더 공고해지고 한 개인이 갖게 되는 신뢰의 양도 늘어난다는 것인데

문제는 꼭 그러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를 들어 종친회 동창회 친목회 등에서

양산되는 신뢰의 제고가 꼭 국가 체의 신뢰의 제고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것이

다(박희 2002204) 연고주의에 한 비 에서도 알 수 있듯이 연 학연 지연

등에 기반한 단체활동에 있어서 그 단체내의 이익은 증가하겠지만 단체내의 외

폐쇄성으로 말미암아 사회 체로 보아서는 불이익이 증가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신뢰는 사람에 따라 다른 것인가 어떤 사람은 무 쉽게 사람을 믿어버

리는 반면 어떤 사람은 일단 의심부터 하기도 한다 사람을 무 믿어 사기를 당해

경제 피해를 입는 사람이 있는 반면 사람과 제도를 무 불신하여 오히려 사회

계에서 소외된 사람도 있다 이 게 사람에 따라 어떤 상에 보내는 신뢰는 달라진

다 이 논의를 해서는 한 개인의 행 와 인식에 향을 미치는 사회화 경험에

한 이론을 끌어올 수 있다 구조주의이론에 따르면 한 개인이 어떠한 지 를 갖고

있으며 재산은 얼마를 갖고 있고 어떠한 학력을 가지고 있는 지 어떠한 사회화 과

정을 거쳐왔는 지는 그 개인이 사회를 보는 에 직 인 향을 미친다 신뢰에서

도 마찬가지이다 한 개인이 다른 개인들 집단들을 신뢰하는 정도는 그 개인의 사

Ⅱ 신뢰의 이해

9

회경제 배경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우리는 일반 으로 인식하기를 사회에 높은

지 에 있는 사람들은 그 지 않은 사람들보다 타인에 해 신뢰도가 낮다고 생각

한다 그 이유는 그 지 에 올라가기까지 많은 사람들과의 경쟁을 거쳤기 때문에 사

람들을 믿어야 할 상이라기 보다는 자신과 경쟁하고 언제나 자신의 자리를 노리

는 믿을 수 없는 상이라고 여길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한편 사람의 능력에

한 신뢰를 생각해보면 학력 역시 신뢰의 수 에 향을 미친다 명문 졸업을 한

이들의 특성 하나는 비명문 출신의 사람들의 능력을 쉽게 믿지를 못한다는 것

이다 이는 명문 에 들어오기 이 고교 생활에서 성 순으로 능력을 평가하는

교육시스템속에서 자라왔기 때문이다 즉 고교 때 공부 못했던 이들은 사회에

나와서도 여 히 능력이 부족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사회화 과정에서 주

에 믿을만한 친구들이나 친지들이 은 사람은 일반인들이나 사회제도에 보내는

신뢰도가 낮을 것이다

2 신뢰의 형성 조건

신뢰는 그 다면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형성되는가 내가 다른 사람과 다른 집단

에게 신뢰를 보내기까지의 과정은 어떠한가 나는 다른 사람과 다른 집단을 무턱

고 신뢰 할 수는 없으며 그 사람과 집단에 한 직 경험과 간 경험에 기

해서 신뢰를 주고 안주고를 결정한다 주커에 의하면 신뢰는 그것이 생기는 과정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나 어 생각할 수 있다(윤민재 200417에서 재인용) 첫째 주체

간의 상호교류과정에서 생기는 신뢰가 있다 오랜 이웃간의 계나 오랜 거래처 사

람간의 계가 좋은 이다 둘째 주체들이 동일한 집단에 속하여 생기는 신뢰가

있다 종교집단 성원들 사이에서 생기는 신뢰가 좋은 이다 그런데 이 두 종류의

신뢰는 완 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동일한 집단에 있게 되면 상호교류가 늘어나

게 될 가능성이 크며 상호교류가 잦게 되면 동일한 집단을 구성할 가능성도 크기

때문이다 셋째의 유형은 주체가 아니라 제도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신뢰이다 를

들어 온라인으로 물건을 구매할 때 외 으로 인지도가 있는 사이트에서 구매를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0

하는 것은 그 사이트가 실명인증제도 안심거래제도 등 고객의 정보를 안 하게 처

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우리가 신뢰를 보내기 때문이다

이 두 번째 종류의 신뢰 즉 동일한 집단 혹은 같은 편에 속해 있으므로 그 집

단의 성원에게 가지는 신뢰에 해서 최상진(2002)은 그것이 신뢰에서 가장 요하

게 취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에 의하면 신뢰는 사람간의 믿을 수 있는 행 의

반복으로 인해 생기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보다 요한 것은 가족으로 태어났거나

같은 종교집단에 속하거나 하는 lsquo우리집단rsquo에 속해 있음으로 마음으로서 우러나오는

신뢰이다

최상진(2002)에 의하면 신뢰에서 가장 요한 것은 lsquo마음rsquo이다 내가 나의 아내에

게 보내는 신뢰는 아내가 나를 믿게하는 특별한 행동을 하지 않더라도 그녀의 마음

에 한 신뢰이다 즉 그녀가 나를 배신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특별한

행동을 하지 않아도 그녀의 마음을 믿는다는 것이다 한국인의 신뢰에 있어서 특히

요한 것은 사람들간의 오고가는 계약 계가 아니라 사람들간에 오고가는 정이다

즉 어떤 사람을 믿는가 안 믿는가는 그 사람과 내가 얼마나 친한가의 여부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서구에서는 약속을 얼마나 잘 지키는 가와 같은 합리 행 의 여부

가 그 사람의 신뢰도에 결정 인 향을 미친다면 한국에서는 그러한 합리성보다

는 그 사람이 얼마나 나하고 친한가 나와 얼마나 가까운 사이인가가 그 사람의 신

뢰도에 결정 인 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윤민재(2004) 역시 사회에서 신뢰를

키우는 데는 친 성이 요하다고 주장한다 그에 의하면 사회에 들어서 개인

주의가 이기주의로 변질되고 서로가 서로를 경쟁상 로만 생각하는 풍토 속에서

우리가 보다 인간답게 살고 보다 발 하는 공동체를 건설하기 해서는 서로의 친

감의 강화를 통해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선무이다 기든스(1994) 역시 lsquo친 감

은 신뢰에 한 골자rsquo라고 주장하 다(199481 윤민재 2004에서 재인용)

이러한 맥락에서 어떤 사람을 신뢰하려면 그 사람의 lsquo마음rsquo을 알아야 한다 갑이

을에게 신뢰를 보내고 있다면 갑이 을에게 신뢰하는 것은 을의 행동이라기보다는

Ⅱ 신뢰의 이해

11

을의 정직한 마음이다 심리학 이론은 이와 련 행동은 마음에서 나온다고 보고 있

다(최상진 20022) 물론 약속을 지키고 싶은 마음이 있어도 약속을 못 지킬 수도

있고 약속을 별로 지키고 싶지 않지만 약속을 지키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부분의 사람은 자신의 마음이 말하는 것과 역행하는 행 를 하기 보다는 마음이

말하는 바에 따라 행 를 한다 하지만 마음이 없는 데 행동만 하거나 마음이 있어

도 행동을 못하는 경우가 지속될 경우에는 그 사람 역시 신뢰를 상실하게 된다

로부터 가장 믿을만한 사람으로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사람을 꼽았고 반면 가장 조심

해야할 사람으로 말과 행동이 다른 사람을 꼽아왔지 않은가 한 사람이 다른 사람으

로부터 신뢰를 얻기 해서는 자기가 한 말에 책임을 질 수 있는 행동을 해야 한다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3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 신뢰의 형성 구조 강한 연 에서 약한 연

정보사회 이 신뢰의 형성 구조는 가까운 사람들간의 연 와 일체감의 구조 즉

강한 연 의 구조 다 신뢰는 최상진(20024)에 의하면 lsquo가족 아주 가까운 친구

계 함께 운명을 같이하는 집단과 같은 특수한 착 계에 있는 사람들 사이에 서

로 믿고 편하게 의지할 수 있는 마음의 연 와 일체감rsquo의 구조를 기 로 형성된다

쉽게 풀이하면 이미 친하게 알고 지내는 사람들 간에 생기는 서로에 한 믿음이라

는 것이다 이는 그 사람은 나를 배신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보는 믿음이다 최상진

의 개념에 따르면 lsquo우리성rsquo을 지니고 있는 이들이 서로간에 가지는 믿음이다 여기서

우리성이란 말은 lsquo우리편의 계rsquo를 의미한다 한 조직이 강한 통합성을 지니려면 그

조직의 경계를 공고히 해야 한다 조직의 경계를 공고히 하기 해서는 다른 조직과

의 차별을 뚜렷하게 해야 한다 그래야 그 조직내의 성원들 사이에는 강한 신뢰와

동질감이 생성된다 한 조직내에 있다는 느낌은 조직내의 타 성원들에게 높은 수

의 신뢰를 갖게 한다 특정 종교 신자들이 단지 같은 종교 신자라는 이유로 일단 상

방에게 신뢰를 보내곤 하는 것이 표 인 이다 이때 다른 종교의 신자에게는

같은 수 의 익명의 사람이라도 같은 수 의 신뢰를 보내지 않는다 이는 어떻게

보면 비합리 인 행 인데 이와 련 최상진은 lsquo한국인의 우리성 계는 모르는 사

람을 포용하는 자기 확 우리성 이라기 보다는 이들을 우리 편에서 배제시키는

우리성의 성향을 갖는다rsquo라고 지 한다 이는 유스래 (2002)에 의하면 특수화된 신

뢰이다 그에 의하면 lsquo특수화된 신뢰란 자신이 믿는 가치를 공유하는 사람들만 믿는

것을 의미하며 외부의 집단의 성원에 해서는 먼 불신부터 하고 보는 것을 의미

한다rsquo(윤민재 2004에서 재인용) 우리성의 신뢰 특수화된 신뢰는 모두 강한 연 를

기반으로 함은 물론이다

강한 연 의 신뢰는 사 신뢰의 공 신뢰에 한 상 우 로도 해석할 수 있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4

다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한국인은 사 신뢰는 높은 반면 공 신뢰는 약하게 나타

난다 즉 나와 가까운 친지들이나 친구들에게는 폭 인 신뢰를 보내는 반면 정부

국회 혹은 내가 모르는 익명의 타인들에게는 불신을 보내고 있다는 것이다(이재

1998 박찬웅 1999 김신동 2001에서 재인용) 한편 사 신뢰의 지나친 의존도와

약한 공 신뢰는 한국사회의 발 을 해하는 요소로 여겨진다 연 지연 학연을

기 로 한 소규모 연고집단에서 표 으로 나타나는 사 신뢰는 한국사회의 공공

선을 해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한 약한 공 신뢰는 사회 체에 불신

풍조를 갖게 하여 사회가 효율 으로 돌아가는 데 제동을 걸게 한다 특히 정부와

국회 제도에 한 높은 불신도는 신뢰의 상 측에 원인에 있으며 국민들이 가지

고 있는 선입 역시 사회 발 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때로 정부가 효율

인 정책을 가지고 나와 이를 강하게 추진하고자 할 때에도 일단 불신의 부터

보내는 언론과 국민들에 의해서 이 시도가 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서 사람들간의 신뢰의 형성 구조는 새로운 양상을 보인다 즉

꼭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이 아니라도 계를 형성하며 익명의 상과도 서로 호혜

인 행 를 하는 즉 약한 연 를 통해서도 신뢰가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정보사회의

표 인 공간인 사이버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호혜 행 ( 지식

검색)는 새로운 의미로 신뢰를 형성시킨다 지 않은 학자들은 사이버공간에서의

신뢰형성에 부정 이었다 특히 신뢰라는 것은 면 면 계의 지속 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인데 익명성과 상호작용의 비지속성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공

간에서 신뢰가 제 로 형성되겠느냐는 것이다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사이버공간에서 형성되는 약한 연 의 계는 지속

으로 증가했고 그 과정에서 여러 가지 부정 인 상들도 발생하 지만 과거에는

생각할 수 없었던 즉 모르는 이들에 한 신뢰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 때 모르는

이들은 완 히 모르는 이들이 아니다 내가 그 사람의 아이디를 알고 있고 그 사람

과 채 등을 통해서 화를 나 경험이 있거나 내가 요청한 도움에 그 역시 나를

잘 모르는 상태에서 기꺼이 응해주었던 경험이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5

사이버공간에서 신뢰가 형성되는 것은 호혜성 계를 통해서도 이해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감정과 취향의 공유를 통해서도 이해될 수 있다 나와 같은 것을

좋아하는 내가 느끼는 감정을 같이 느끼는 이들이라면 인간은 그 사람에게 신뢰

를 보내게 된다 이는 기든스가 얘기했던 lsquo친 성의 신뢰rsquo와 같은 맥락이다 이 때 사

람들간의 계는 여 히 그 사람이 구인지 잘 모르는 언제 헤어질 지 모르는 헤

어져도 그만인 약한 연 의 계이지만 감정과 취향의 공유를 통해서 신뢰가 형성

되어지는 것이다 강한 연 의 계에 있지만 나와 완 히 취향이 달라 친 감을 느

끼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반면 약한 연 의 계에 있지만 나와 취향이 같아 친

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후자의 경우가 정보사회에서의 논의될 수 있는 의미있는

형태로의 신뢰이다

정보사회에서의 신뢰는 비단 사이버공간에만 국한해서 논의될 필요는 없다 정보

사회에서도 여 히 이 사회에서의 강한 연 의 신뢰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지

만 시간과 공간의 제약 때문에 이 강한 연 의 지속이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그 연 의 유지를 해 사이버공간을 활용하고 있기도 하다 즉 사이버공

간에서의 계는 내가 모르고 있는 사람과의 계만이 있는 것이 아니다 내가 이미

알고 있는 사람과의 계 역시 존재한다 장원호(2004)의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많

은 경우 실공간에서의 계는 사이버공간으로 옮겨져 연장된다 이는 기존의 신

뢰 계를 재생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학교의 친구들 동창들 옛날 동네친구들 떨어

져 사는 가족들에게 있어 사이버 공간은 시간과 공간을 월해서 서로의 안부를 확

인하고 서로의 정을 나 며 상호신뢰를 지속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공간이다 최근 필

자(2004)의 연구결과를 보면 인터넷과 같은 정보통신기술은 사회성원들이 맺고 있

는 계의 인 연결망의 도를 높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터넷으로 인

해 이미 친한 이들과 더욱 친해지고 있는 것이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6

2 신뢰의 표출형태 극단성의 지속

정보사회에서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가 새롭게 형성되고는 있지만 그 표출형태

에 있어서는 이 사회의 신뢰 표출형태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즉 극단 신

뢰와 극단 불신이라는 형태로 표출되는 것을 말한다 그 이유는 사회문화 특성

에서 찾아져야할 것이다 이미 여러 조사를 통해서 한국사회의 신뢰의 특성은 내집

단에 한 극단 신뢰 타집단에 한 극단 불신이 밝 진 바 있다 박희

(2002)은 신뢰의 상으로 개인 단체 공공기 등 다양한 상들을 설정하여 국민

들이 이 상들에 갖고 있는 신뢰도는 어떠한 지 국민들의 개인 지 와 성향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연구하 다 이 조사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

들의 신뢰도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학교친구 고향친구 등 개인 으로 이미 친분

이 있는 사람들에 한 신뢰도는 매우 높은 반면 모르는 사람 알더라도 약간

아는 사람들에 한 신뢰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한마디로 말해 아는 사람은

으로 믿고 모르는 사람은 우선 의심하고 본다는 것이다 친한 사람에게는 차용증없

이도 돈을 빌려주는 사람이 모르는 사람이 길거리에서 1000원을 빌려달라고 하면

단호히 거 하는 것이 한국사회이다 사 신뢰에서도 가족 친구 친척 등 연 학

연 지연 등으로 얽 있는 인 계에 있어서의 신뢰도가 직장동료 사회동료 등

도구 계로 얽 있는 인 계에서의 신뢰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때 공 신

뢰의 낮은 수 은 압축 근 화를 거치면서 생긴 소 lsquo체계rsquo 역에 한 총체

인 불신에 기인한다 의 조사결과 특히 정부 국회 등 공공 역에 한 신뢰가

단히 낮게 나타났다 끊임없이 터져 나오는 공직자 부패사건들을 경험하면서 국민

들이 공직자와 그 조직에 해 지니고 있는 불신은 이미 최고조에 달해있는 상태이

다 공 역에 한 배신감 불신은 내가 아는 사람들에 한 극단 인 신뢰로 이

어졌다 즉 친한 사람은 무조건 믿고 모르는 사람은 일단 의심부터 하고 보는 경향

이 강하다는 것이다 이는 내편의 사람은 바로 lsquo내편이기 때문에rsquo 믿고 다른 편의 사

람은 바로 lsquo내편이 아니기 때문에rsquo 의심한다는 의미이다

정보사회와 련 사이버공간에서도 이러한 극단 신뢰와 극단 불신은 그 로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7

나타나고 있다 를 들어 자신과 같은 입장을 지닌 사람의 말은 화의 주제와

련 없는 말도 믿으면서 자신과 입장이 다른 사람은 다른 집단으로 가라고 하면서

그 사람의 말을 불신하는 것이다 그 다면 왜 이 게 한국인들은 내편 네편을 나

기를 좋아하고 내편을 끔 이 아끼고 사랑하고 무조건 믿지만 네편은 심할 정도

로 배척하고 불신하는가 최상진(2002)은 이는 내편에 속하여 얻는 심리 이고 실

질 인 만족이 서구에 비해서 단히 크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20029) 즉 사이

버공간에 한국사회의 편가르기의 특성이 투여되며 실공간의 수 을 넘어서는 상

호간의 불신이 생길 수도 있다 이와 련 사이버공간에서의 토론을 보면 간 성향

의 논의가 존재하지 않는 경향이 뚜렷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김은미(2004)의 최

근 조사에서 ldquo사이버공간에서의 의사소통에서는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편과 내가

틀리다고 생각하는 편만 존재한다rdquo고 주장한 바 있다 이 두 편은 확연하게 나 어

져 자신들의 의견이 옳음을 입증하려고 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객 인 의견개

진보다는 상 방이 틀림을 비난하는 감정 들이 오고 가며 이 과정에 계속됨에

따라 애 의 이슈는 사라지고 서로를 비난하는 감정만 남게 된다 이때 이 토론에

참여한 이는 내가 알지도 못하는 얼굴도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미움을 사게 되며

그 한 익명의 타자에게 불신과 미움의 감정을 품게 된다 이러한 상은 사이버공

간이 불신을 생산하는 장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다 최상진이 말한 우

리성의 부정 효과가 사이버공간에서의 신뢰의 하로 나타나는 것이다

3 신뢰의 상 성의 약화와 다수성의 신뢰

정보사회의 특성 하나는 바로 이 사회에서 인 신뢰의 상들의 상

이 하되고 있다는 것이다 표 인 것이 바로 소 문가에 한 신뢰의

약화이다 이는 지식의 상변화에 기인한다 즉 근 이후 지식의 가치를

드높 던 문가들이 그 실용성에 있어서 더 이상 평가를 제 로 받지 못하고 있으

며 오히려 나에게 정말 필요한 지식들을 생산하여 달해주는 수천 수만의 비 문

가들의 지식의 가치가 더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소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8

에 한 신뢰 상이다

정보사회 이 의 지식의 상을 먼 살펴보자 지식은 생성되는 과정에서의 과

학 이론 지 능력을 요구하 으며 따라서 일반인들에게는 습득하기 어려운 것

이었으며 소수의 지배계층은 이러한 지 능력을 부여받기 한 교육을 받을 수 있

는 특권을 렸다 지배계층은 지식만이 세상을 이롭게 할 수 있다는 생각을 리

유포했으며 스스로도 그 게 확신하 다 즉 지식만이 일반인들의 무지 야만 노

성을 극복하게 해주어 세계를 구할 것이라는 계몽주의 사고방식을 가졌던 것

이다 반면 일반인들이 일상의 경험에서 축 한 지 가치들은 과학 으로 증명된

바가 없고 논리성 한 갖추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지식에 비해 그 가치가 단히

떨어지는 것으로 인식하 다 과학 지식은 보편 방법을 통해 증명되고 보편

법칙들을 추구하기 때문에 만인에게 도움을 다고 보는 반면(Condorset [1794]

1973 803805) 들의 경험은 보편 법칙을 추구한다기 보다는 일상의 개인에

게 도움을 주는 것을 주 목 으로 하기 때문에 그 가치가 지식에 비해 못 미친다고

보았던 것이다 지식은 근 시기에 최고의 지 가치로 인정받았으며 이는 지식만이

lsquo사실rsquo을 담아내고 과학 으로 증명되었기 때문에 lsquo불변 rsquo이고 사회와 역사의 변화

에 향을 받지 않는 lsquo rsquo으로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 상을 정립하 다

하지만 정보사회로 어들면서 지식은 그 신뢰에 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통 시각에서의 지식은 그것이 불확실하거나 이 게도 혹은 게도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아니라 확실하고 어떤 경우에도 lsquo거짓이 아니고 참rsquo인 것으

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문제는 무엇이 lsquo진실rsquo인 것이냐는 것

이다 lsquo진실rsquo은 원히 불변 인 것인지 아니면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이기도

한 것인지에 한 의문 한 제기되어 왔다 만하임 역시 과거에 진리로 군

림했던 lsquo정 과학rsquo(exact science)에 한 신뢰성이 오늘날 심하게 흔들리고 있다고

지 한 바 있다(Mannheim 1936271)

만하임에 의하면 우리 인간이 일상생활에서 맺고 있는 사회 계 그 계 속에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9

서의 역할 그 역할을 수행하면서 갖는 존재의식 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사회속에

형성된 지식들을 제 로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Mannheim 1936267-8) 만하

임의 이러한 역사주의 에서 골드만 한 지식은 믿음을 내포하고 있는 데 이

믿음이라는 것이 사실은 lsquo사회 으로 구축된 것rsquo(socially constructed)이라고 주장한

다 그에 의하면 지식은 언제나 lsquo지엽 rsquo(local)인 것이며 상황에 따라 규정되는 것

(contextual situated)이다(Goldman 199921) 그는 특히 하나의 지식이 지엽 이

고 상황결정 인 이유로서 지식은 언제나 특정한 개인이나 특정한 이해그룹에 의해

서 지식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 다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라는 것은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하

나의 단수의 지식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 상이 발생

한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인 복수의 지식들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Burke

2000 13) 하 역시 지식은 하나의 단수 인 것이 아니며 지식을 받아들일 때도

그 지식이 형성된 과정을 이해하면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 다(Hakken

200313) 만하임에 의하면 인간의 생각과 아이디어들은 몇몇 한 인물들이 내

놓은 업 물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집합 경험에 의해서 탄생되는 것이다 그리

고 이 집합 경험은 공통의 분모를 가지는 동시에 상이성 한 가진다 존재하는

것은 하나의 상에 한 하나의 지식이 아니라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서로 충돌하고 경합을 끊임없이 하는 복수의 지식들이다(Mannheim 1936

269) 이 스타는 lsquo지식은 복수로 존재하면서 다른 지식들과 복합 상호 계속에

서 존재하며 그 기 때문에 지식은 생태 (ecologic)이다rsquo라고 보았다(Star 1995)

이 게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고 복수로 존재한다는 사실은 지식에 한

신뢰에 있어서도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한다 즉 지식에 한 신뢰는 맹목 일 수 없

다는 것이다 세 근 의 시각에서 보면 지식에 한 신뢰는 지식을 보유하고 생

성하는 권력집단의 정당성에 한 수동 수용에 기인하 다 그러나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주체 다양한 집단들이 지식생산과 비 에 참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 사회에서 형성되었던 지식들의 신뢰성이 약화가 되었고 지식을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0

생성하는 유일한 집단으로 믿어졌던 문가군에 한 신뢰 역시 약화되고 있다

지식의 성에 한 신뢰의 변화가 정보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주장의

다른 근거는 정보사회의 핵심콘텐츠인 lsquo정보rsquo의 상 변화를 통해서도 뒷받침될 수

있다 70년 에 사회학자 투 과 벨은 탈산업사회의 도래를 견하면서 탈산업사회

에서 요하게 되는 것은 노동의 힘과 자연에 지가 아니라 바로 lsquo정보rsquo일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 정보사회에 들어서는 lsquo정보rsquo를 어떻게 수집하고 활용하는가가 부의

원천이 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arny 20046) 일본의 미래학자 마슈다는 2000년

에는 정보사회가 산업사회를 체할 것이며 이 시기에는 물질 가치의 생산이

덜 요해지고 신 정보의 량생산과 공유가 단히 요해질 것이라고 내다보

았다(Barny 20048) 최근 각 을 받고 있는 정보사회학자 카스텔스에 의하면

재 우리가 사는 세계의 사회 정치 경제 행 의 지 않은 부분이 lsquo정보의 흐름rsquo

(flows of information)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든 역에 걸쳐 정보가

구에게서 출발하여 어떤 경로로 구에게 도착하는가 어떤 정보들이 공유 독

되는가가 요한 사회 이슈로 두되고 있는 것이다(Castells 19981) 리오따르 역

시 과거에 국가들은 토와 원자재 그리고 노동력을 쟁취하기 해서 쟁을 하

으나 앞으로는 보다 가치있는 정보를 쟁취하기 해 치열하게 경쟁할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Lyotard 1979) 버크는 정보의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정보를 사고

는 상품으로 취 해야 하는가 아니면 정보를 사회성원들의 공공이익을 하여

구나 공유해야할 것으로 취 해야 하는가가 요한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고 말하

다 그는 21세기를 후하여 두되고 있는 정보와 정보기술의 요성에 비추어볼

때 후 의 역사학자들이 이 시기를 lsquo정보의 시 rsquo(age of information)라고 명명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urke 20001)

그런데 이 정보는 지식과는 달리 문가들이 아닌 일반인들에게서도 쉽게 공유되

고 확산될 수 있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공유행 의 증은 지 가치들의 유통을

빠르게 효율 으로 가능하게 하는 정보기술에 기반한다 이제 지 가치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되고 실제 실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한 빠르게 획득할 수 있을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1

때 그 가치를 인정받기에 이르 다 여러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것은 문 인

것보다는 일반 이론 이기 보다는 실용 인 지 가치인데 정보가 바로 이러한

요구에 가장 잘 부응하고 있는 것이다

통 의미에서의 지식은 문가들에 의해 형성되고 증명되어진 지 가치이며

정보는 비 문가들도 얼마든지 생성 유통시킬 수 있는 그러나 아직 완 히 증명되

어지지 않은 지 가치 다 그러나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정보의 공유가 폭증하고

정보의 제공자들에 있어서 문가와 비 문가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무엇보다 사회

성원들에 필요한 지 가치로서의 정보의 상이 격히 높아지게 되었다 특히 한

명의 문가가 생산한 지식보다는 다수의 비 문가들이 함께 모여 편집하고 가공한

정보가 더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서의 상을 지니게 되는 조짐이 보이고 있다

이를 설명해 수 있는 표 인 사례가 바로 인터넷의 lsquo지식검색rsquo서비스이다 이 서

비스가 시작된 후에는 우리는 학교에서 궁 한 것 직장에서 궁 한 것 일상에서

문득 떠오르는 궁 한 것들을 인터넷만 있으면 바로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궁 한 것들에 해 다른 이들이 답변을 한 것에 한 신뢰도가 단히 높다

는 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필자의 조사(2004)에 따르면 lsquo지식검색rsquo에서 답변

된 정보들에 한 신뢰도는 단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다수의 사람

들이 lsquo맞다rsquo고 답한 정보는 신뢰할만 하다는 것이다 즉 지 가치에 한 신뢰의 정

도가 그 지 가치를 생산한 사람이 구인가( 문가인가 아닌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얼마나 많은 사람이 그 지 가치의 생산에 참여했느냐에 따라 결정된

다는 것이다 표 인 집단지성의 지 가치 생산의 로 언 되는 키피디아의

경우 신뢰도는 리타니카 백과사 에 버 가는 신뢰를 확보하고 있다

4 신뢰의 괴와 응

신뢰의 괴는 쉽게 말해 배신으로 표 된다 배신행 의 부분의 원인은 개인

의 이기심이다 즉 신뢰를 어기면서도 어떠한 행동을 하게 되면 그 신뢰를 어겨서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2

겪는 피해보다 자신이 얻는 것이 더 많을 때 배신행 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극단

인 로 한 폭력조직에서 조직성원들의 신뢰를 버리고 조직의 비 을 설하게

해야 할지 고민이 될 때 조직의 보복은 두려우나 그로 인해 자신에게 엄청난 이익

이 생기게 되면 결국 조직의 비 을 설한다는 것이다 이보다 더 일상 인 를

하나 들어보자 친구가 lsquo다른 친구들에게 로 말하지마rsquo라고 그 친구의 비 을 나

에게 얘기해주었다 그 친구는 나의 친한 친구 기 때문에 자신의 비 을 나에게

몰래 털어놓았다 하지만 그 비 을 다른 친구에게 나는 lsquo다른 이에게는 로 말

하지마 그 친구가 알면 나 큰일나rsquo라고 말하면서 그 친구의 비 을 알린다 이 때의

이기심은 경우에 따라 다르겠으나 비 정보를 나만이 알고 있다는 것을 다른 이에

게 알리고 과시하고 싶은 욕구의 이기심이다 이러한 배신 행 에 해서는 어느 사

회 어느 인간을 막론하고 냉엄하게 응한다 최상진에 의하면 배신자라는 말 자체

의 사 의미가 lsquo등을 돌린다rsquo라는 것으로 이는 완 히 자신에게 등을 돌린 사람

남남인 사람을 의미한다(20027) 신뢰를 버려야했던 행 로 인해 얻어지는 이익

에 기뻐하지만 신뢰를 버린 행 가 도덕 으로 규탄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자신 스스로 괴로워한다 친한 친구들에게 돈 사기를 친 이들이 자수를 하는

경우에는 이 양심의 소리가 주는 고통이 단히 컸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치의 감정

은 스스로 양심의 가책을 느껴 생기는 자괴성(self-shamed)이다 한국사회는 이기

심에서 발 된 배신행 에 해서 그 처벌을 엄격하게 하여 사회에서 완 소외되

게 하거나 스스로 극도의 자괴감을 가지도록 하는 사회담론을 형성해 왔다 이는

사회에서의 신뢰를 무엇보다 시해온 한국사회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정보사회에서 신뢰의 괴는 그 다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 먼

익명성에 자신을 숨기고 다른 이들의 사생활정보를 헤쳐 이를 악용하는 것이

표 인 사례다 사이버공간에서는 자신의 사생활정보를 나의 동의없이 다른 이에게

공개하지 못할 것이라는 lsquo시스템안 에 한 신뢰rsquo가 작동된다 그 기에 인터넷 쇼

핑 인터넷 뱅킹 등이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단히 험한 일이기도 하다 경

제 이윤으로 직결되는 사생활정보를 외부로 팔아넘겨 얼마든지 이윤을 챙길 가능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3

성이 항상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8년 옥션사태 SK사태에서 잘 나타났듯이 우

리의 사생활정보는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기업 혹은 해커들에 의해 노출될 험

이 있다 이때 신뢰는 개인과 개인 사이에서의 문제를 넘어서 개인과 체계의 문제가

된다 개인 수 에서도 신뢰의 괴는 쉽게 이루어진다 역시 익명성이라는 속성

상 나의 본체가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내가 신뢰를 괴하더라도 그 책임으로부

터 숨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 다면 사이버공간에서 신뢰의 괴가 생길 때 이에 한 응은 어떻게 이루

어지는가 이 사회에서는 신뢰의 괴를 한 이를 색출하여 이를 공동체에서 배제

를 시킴으로써 체조직의 신뢰를 유지하 다 이를 해 엄격한 법 체제가 마련

되었음은 물론이다 개인 한 이러한 신뢰 괴 행 에 해 자괴성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하지만 사이버공간에서는 이러한 배제행 와 자괴성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이 군지를 숨길 수 있는 익명성이라는 사이버공간의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신뢰를 괴하는 행 가 특히 개인간의 차원에서 벌어졌을 때 신뢰

를 괴한 이를 찾아내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사이버공간에서 축출을 한다고 해도

그는 다른 익명성 혹은 가명성으로 새롭게 신뢰 괴행 에 나설수 있다 재 사

이버테러에 응하는 사법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사이버공간의 본질 속성상

그 논의 자체가 쉽지 않는 상태이다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25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 자본 축 을 해

지 까지 정보사회의 신뢰에 있어서 신뢰의 형성구조 신뢰의 표출형태 신뢰의

상 신뢰의 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심으로 그 변화의 측면을 논해보았다 먼

이 사회에서는 연 지연 학연 등을 심으로 하는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

뢰가 형성되었던 반면 정보사회에서는 연고 보다는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하

면서 그 계의 끈이 비교 느슨한 lsquo약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뢰가 형성되는 상

이 발생하고 있다 이때 약한 연 에서 경험되는 것은 익명의 존재들 간에 호혜 으

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며 이 호혜성의 경험이 상 방에 한 신뢰를 갖게 한다

이때 신뢰는 물질 이익을 주고 받으면서 생기는 것이라가 보다는 함께 무엇인가

를 즐기고 공유하면서 생기는 lsquo친 감rsquo에 기 한 신뢰의 의미가 강하다 한편 기존의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한 신뢰 역시 정보사회의 표 공간인 사이버공간을 통해서 재

생산되는 측면이 있다 문제는 신뢰의 표출형태이다 약한 계에서 형성된 신뢰라

면 보다 개방 인 신뢰의 모습을 지녀야 하지만 한국사회에 있어서는 그 지 못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즉 기존의 사회에서 뚜렷이 나타났던 lsquo자기 집단에 한 극

단 신뢰rsquo와 lsquo타 집단에 한 극단 불신rsquo이 그것이다 설령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한 신뢰 계가 그 집단내에서는 형성되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취향과 감정을

공유하는 타집단에 해서는 극단 불신을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한국사회

의 공론장 형성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다원 가치에

한 인정의 결핍은 한국사회의 아킬 스건이다 신뢰의 상의 문제에 있어서 이

사회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상은 공식 으로 인정받은(학 등을 통해) 문

가들이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소수의 문가들에 한 신뢰의 수 이

떨어지고 오히려 다수의 비 문가들이 집단 으로 생산해낸 지 가치에 한 신뢰

의 수 이 높아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뢰를 괴하는 행 가 정보사회에서는 그

익명 공간 안에서 손쉽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을 지 하 다 한 이 배신의 행

에 해 과거에는 배신자를 공동체에서 축출하는 것으로 응하 는데 정보사회

에서는 이 배신자 자체를 찾아내기가 단히 어렵다는 난제를 지니고 있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6

한 사회가 보다 인간다운 사회의 모습을 지니기 해서는 사회 자본의 축 이

필수 이며 이 사회 자본의 핵심이 사회 성원들 간의 신뢰이다 사회 자본의

축 을 통한 기회비용의 감소 뿐만이 아니라 공동체성의 회복의 가능성을 제기한

콜만과 퍼트남의 을 받아들이면서 우리는 이제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모습을

통해 새로운 사회 자본의 가능성을 논할 수 있다 개인들이 고립되어 있는 상태를

벗어나 계를 복원시켜야 한다는 퍼트남의 논의는 재 한국사회의 상황에서는 아

쉽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미 개인주의가 확산될 로 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 계가 분명 사이버공간에서 생성되고 있음은 사회

자본의 축 가능성을 다시 제기하게 한다 과거와 같은 형태의 공동체가 아닌

마페졸리(Maffesoli) 등이 제기하는 lsquo부족rsquo 형태에 기반한 사회 자본을 논할 수 있

게 된 것이다 하지만 여 히 lsquo편 가르기rsquo라는 한국의 사회문화 특성으로 인해 이

신뢰 계가 극단 편나 기 양상으로 번지곤 하는 것은 안타까운 실이다 황우

석 사태에서도 잘 나타났듯이 자신들 편의 말만 믿으면서 다른 이들에 한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성 토론 보다는 감정 비난이 앞서는 의사소통 형

태가 사이버공간에서 그 로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사회 자본

을 축 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의 장인 공론장의 형성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정보

사회에서의 공론장은 특히 사이버공간으로 확장되어 있는 특성을 지니는데 이때

사이버공간의 익명성이라는 특성상 이성 의사소통이 더욱 어려워지는 한계를 지

니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무엇보다 의사소통하는 상 방에 한

감을 보다 높이고 의사소통을 원만하게 해주는 재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

으로 응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27

참 고 문 헌

김신동 2001 lsquo정보와 사회 신뢰rsquo 「신뢰연구」 제 11권 통합호 한림과학원

박찬웅 1998 lsquo신뢰의 기와 사회 자본rsquo 1998년 후기사회학 회 발표집

박희 이희창김동욱김철수박병래 2002 한국인의 신뢰 수 향 요인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3호

윤민재 2004 lsquo신뢰와 사회자본에 한 사회 이해rsquo 「신뢰연구」 한림과학원

장원호 2004 985172사이버커뮤니티와 사회 계의 변화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장형유정기한 2004 lsquo인터넷 쇼핑몰에서 고객신뢰 태도 계몰입과 구매의도의

구조 계에 한 연구rsquo 「한국마 」 한국마 학회

최상진김의철김기범 2003 lsquo한국사회에서의 인 계속의 신뢰와 불신의 기반

으로서의 마음에 한 문화심리학 근rsquo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최항섭 2004 985172IT가 인 연결망과 공공선(public interest)에 미치는 향연구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Barney Darin 2004 The Network Society Cambridge Polity Press

Burke Peter 2000 A Social History of Knowledge Cambridge Polity Press

Castells Manuel 2001 The Internet Galaxy Reflections on the Internet Business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Condorcet Antonie-Nicolas Marquis de 1794 Sketch of the Progress of the

Human Mind Except trans by J Barra Clough 1955 pp800-10 in Peter

Gay The Enlightment A Comprehensive Anthology New York Schocken

Books

Goldman Alvin I 1999 Knowledge in a Social world New York Oxford Uni-

versity Press amp Clarendon Press

Hakken David 2003 The Knowledge landscape of Cyberspace New York Routledge

Lyotard JF 1979 La condition postmoderne Paris Minuit 이 복 역 「정보사

회에서의 지식의 상」 1992 서 사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8

Mannheim Karl 1936 Ideology and Utopia Harcourt Brace amp World

Star Susan Leigh 1995 The Cultures of Computing Oxford Blackwell

Page 3: 최 항 섭 - KISDI · 2009-08-17 · 최 항 섭 ․jesuishs@kisdi.re.kr, 02-570-4090 ․프랑스 파리 5대학 사회학부 박사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초빙전문위원

Ⅰ 들어가면서

5

Ⅰ 들어가면서

신뢰는 인간이 공동체 생활을 하기 시작하면서 언제나 그 공동체의 기반으로 기

능하여 왔다 농경사회든 산업사회든 공동체의 성원들이 서로 신뢰를 하지 못하면

언제나 그 사회는 혼란에 빠지게 마련이었고 반면 서로 신뢰를 하게 되면 그 사회

는 다른 사회보다 더 나은 경쟁력을 지니게 되는 동시에 그 안의 성원들 역시 높은

수 의 행복감을 맛보았다 한국의 경우에는 분단의 상처와 압축 근 화과정에서

겪은 비정상 경쟁으로 인해 민족간 사회집단간 서로 불신의 정도가 크며 상호

신뢰를 다시 회복하기 해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한국사회에 정보사회

로의 특성을 지니게 된 재로서도 여 히 신뢰는 사회질서유지와 사회통합을 해

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정보기술의 발 속도가

놀라울 정도로 빨라지게 되면서 사회가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할지 모른다는 것은

사회성원들의 상호신뢰에 지 않은 변화를 가져다 주고 있다 거 한 정보사회의

흐름 속에서 개인은 익명의 개인으로 존재하면서 내가 모르는 타인들에 해 얼마

만큼 신뢰해야 하는 가에 한 문제에 매일 같이 착하고 있다 과연 나는 내가 모

르는 사람들을 얼마만큼 신뢰할 수 있을 것인가 특히 정보사회의 특징 공간인

사이버공간에서 면 면 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익명의 타인들을 신뢰할 수 있

을 것인가 그들과 의미있는 계의 형성은 가능한 것인가 과연 정보사회에서 신

뢰의 형성은 무엇을 기 로 이루어지는가 한 정보사회에서 신뢰는 어떠한 모습

으로 나타나고 있는가 과거와 유사한 모습인가 상이한 모습인가 이를 해서 사

회문화 특성은 어떻게 고려될 수 있는가 과거 신뢰의 상으로 여겨졌던 것들은

정보사회로 들어서면서 여 히 신뢰의 상으로 존재하는가 아니면 그 신뢰의 정

보가 변하고 있는가 신뢰의 배반행 에 한 응은 정보사회에서 어떠한 방식으

로 논의될 수 있는가

필자는 이러한 의문들을 심으로 본 논문을 다음과 같은 형태로 구성하고자 한

다 먼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와 이 사회 특히 산업사회에서의 신뢰를 비교해가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6

면서 신뢰의 형성과정의 변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다음으로는 형성된 신뢰가 어떠

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지 그 형태의 표출에 있어서 지속성을 논해야 하는 지 변

화를 논해야 하는 지를 설명할 것이다 셋째 신뢰의 상의 문제를 다룸에 있어서

과거 신뢰의 상이 되었던 것들이 정보사회로 들어오면서 그 상이 변화

됨과 더불어 새로운 신뢰의 상이 되는 것들의 기 에 깔려 있는 것들을 무엇인지

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신뢰의 괴 문제를 다루면서 신뢰의 괴가 이

시 에서는 어떻게 나타났으며 이에 응은 어떠했는지 신뢰의 괴는 정보

사회에서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한 응은 어떠한 양상을 띄고 있는 지

를 알아볼 것이다 이에 앞서 본문에서는 먼 신뢰의 개념과 형성조건에 한 이론

논의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Ⅱ 신뢰의 이해

7

Ⅱ 신뢰의 이해

1 신뢰의 개념

신뢰에 해서는 다양한 정의가 존재지만 일반 으로 신뢰는 어떤 개인이나 집단

의 미래의 행 에 해 나의 기 에 맞게 그 행 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측할 수

있는 것을 뜻한다 사 인 의미에서 본다면 신뢰는 lsquo진술의 진리나 사물이나 사람

의 속성을 믿는 것rsquo으로 정의된다(윤민재 2004에서 인용) 나의 친구는 약속 로 나

의 비 을 지켜주겠지 나의 회사는 계약한 로 나의 퇴직 을 보장해주겠지라고

믿는 것이 신뢰이다 신뢰의 다른 정의로는 lsquo상 방이 기회주의 으로 행동하는

것에 한 우려로부터 기인하는 이 의 기 rsquo가 있다(Bradach and Eccles 1989 장

형유 2004에서 재인용) 이는 나와 계를 맺고 있는 상 방이 나를 배신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 의 정도가 바로 그 상 방에 내가 보내는 신뢰의 정도와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근본 으로 볼 때 신뢰는 한 사회가 유지되는 데 꼭 필요한 요소이며 여러

학자들에 의해서 신뢰는 사회가 가져야할 표 인 자본으로 인식되어 왔다 퍼트

남에 의하면 신뢰는 사회자본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 인 요소로 개인과 단체생활

공공활동에 있어서의 행태 태도 성향에 기 가 되는 통합된 개념이다(Putnam 1993a

박희 2000에서 재인용) 사람이 사람을 믿고 사람이 조직을 믿고 조직이 조직을

믿는 lsquo신뢰rsquo는 한 사회를 존속시키는 핵심이다 이러한 신뢰는 일반 으로 한 사회의

공공이익에 이바지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개인간의 계에서 서로가 서로를 믿는

계가 되면 그들 간에는 상호정보공유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러한 정보 공유

는 각 개인들이 더욱 효율 으로 사회생활을 해 나갈 수 있게 해 다 이러한 개인

이익의 합이 공공이익으로 발 하게 된다는 것이다 어느 곳에서 싼 상품이 있는 지

에 한 정보를 친한 친구들끼리 공유를 하게 되면 그들은 효율 인 소비를 할 수

있을 것이며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이러한 일들이 많이 벌어지게 되면 사회 체로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8

도 도움이 될 것이다 사람과 사람간의 끈끈한 정과 신뢰의 계 자체도 한 사회가

갖고 있는 자본이 된다 퍼트남은 이러한 개인간의 정과 신뢰의 계가 사회 체에

퍼지게 되면 될 수록 그 사회는 근 화된 시민사회 민주화된 시민사회로 발 해나

갈 것이며 한 마디로 더 행복한 사회가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박찬웅(1998) 역시

신뢰는 개인들간의 감시와 통제 비용을 일 수 있게 해주는 에서 보다 효율 으

로 일을 하게 해주는 에서 사회 자본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서로 신뢰를 하고 거래를 한다 하더라도 그 거래가 다른 이들의 이

익을 담보로 하는 것이라면 얘기는 달라진다 를 들어 믿을 수 있는 친구들끼리

시험에 한 정보를 몰래 공유를 한다면 그들의 성 은 오르겠지만 다른 학생들은

이로 인해 불이익을 받게 된다 이와 련 박희 (2002)는 한 지 을 한다 즉

퍼트남의 주장 로라면 개인들이 단체 활동을 많이 하게 되면 그 과정에서 생기는

개인 계들이 더 공고해지고 한 개인이 갖게 되는 신뢰의 양도 늘어난다는 것인데

문제는 꼭 그러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를 들어 종친회 동창회 친목회 등에서

양산되는 신뢰의 제고가 꼭 국가 체의 신뢰의 제고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것이

다(박희 2002204) 연고주의에 한 비 에서도 알 수 있듯이 연 학연 지연

등에 기반한 단체활동에 있어서 그 단체내의 이익은 증가하겠지만 단체내의 외

폐쇄성으로 말미암아 사회 체로 보아서는 불이익이 증가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신뢰는 사람에 따라 다른 것인가 어떤 사람은 무 쉽게 사람을 믿어버

리는 반면 어떤 사람은 일단 의심부터 하기도 한다 사람을 무 믿어 사기를 당해

경제 피해를 입는 사람이 있는 반면 사람과 제도를 무 불신하여 오히려 사회

계에서 소외된 사람도 있다 이 게 사람에 따라 어떤 상에 보내는 신뢰는 달라진

다 이 논의를 해서는 한 개인의 행 와 인식에 향을 미치는 사회화 경험에

한 이론을 끌어올 수 있다 구조주의이론에 따르면 한 개인이 어떠한 지 를 갖고

있으며 재산은 얼마를 갖고 있고 어떠한 학력을 가지고 있는 지 어떠한 사회화 과

정을 거쳐왔는 지는 그 개인이 사회를 보는 에 직 인 향을 미친다 신뢰에서

도 마찬가지이다 한 개인이 다른 개인들 집단들을 신뢰하는 정도는 그 개인의 사

Ⅱ 신뢰의 이해

9

회경제 배경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우리는 일반 으로 인식하기를 사회에 높은

지 에 있는 사람들은 그 지 않은 사람들보다 타인에 해 신뢰도가 낮다고 생각

한다 그 이유는 그 지 에 올라가기까지 많은 사람들과의 경쟁을 거쳤기 때문에 사

람들을 믿어야 할 상이라기 보다는 자신과 경쟁하고 언제나 자신의 자리를 노리

는 믿을 수 없는 상이라고 여길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한편 사람의 능력에

한 신뢰를 생각해보면 학력 역시 신뢰의 수 에 향을 미친다 명문 졸업을 한

이들의 특성 하나는 비명문 출신의 사람들의 능력을 쉽게 믿지를 못한다는 것

이다 이는 명문 에 들어오기 이 고교 생활에서 성 순으로 능력을 평가하는

교육시스템속에서 자라왔기 때문이다 즉 고교 때 공부 못했던 이들은 사회에

나와서도 여 히 능력이 부족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사회화 과정에서 주

에 믿을만한 친구들이나 친지들이 은 사람은 일반인들이나 사회제도에 보내는

신뢰도가 낮을 것이다

2 신뢰의 형성 조건

신뢰는 그 다면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형성되는가 내가 다른 사람과 다른 집단

에게 신뢰를 보내기까지의 과정은 어떠한가 나는 다른 사람과 다른 집단을 무턱

고 신뢰 할 수는 없으며 그 사람과 집단에 한 직 경험과 간 경험에 기

해서 신뢰를 주고 안주고를 결정한다 주커에 의하면 신뢰는 그것이 생기는 과정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나 어 생각할 수 있다(윤민재 200417에서 재인용) 첫째 주체

간의 상호교류과정에서 생기는 신뢰가 있다 오랜 이웃간의 계나 오랜 거래처 사

람간의 계가 좋은 이다 둘째 주체들이 동일한 집단에 속하여 생기는 신뢰가

있다 종교집단 성원들 사이에서 생기는 신뢰가 좋은 이다 그런데 이 두 종류의

신뢰는 완 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동일한 집단에 있게 되면 상호교류가 늘어나

게 될 가능성이 크며 상호교류가 잦게 되면 동일한 집단을 구성할 가능성도 크기

때문이다 셋째의 유형은 주체가 아니라 제도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신뢰이다 를

들어 온라인으로 물건을 구매할 때 외 으로 인지도가 있는 사이트에서 구매를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0

하는 것은 그 사이트가 실명인증제도 안심거래제도 등 고객의 정보를 안 하게 처

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우리가 신뢰를 보내기 때문이다

이 두 번째 종류의 신뢰 즉 동일한 집단 혹은 같은 편에 속해 있으므로 그 집

단의 성원에게 가지는 신뢰에 해서 최상진(2002)은 그것이 신뢰에서 가장 요하

게 취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에 의하면 신뢰는 사람간의 믿을 수 있는 행 의

반복으로 인해 생기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보다 요한 것은 가족으로 태어났거나

같은 종교집단에 속하거나 하는 lsquo우리집단rsquo에 속해 있음으로 마음으로서 우러나오는

신뢰이다

최상진(2002)에 의하면 신뢰에서 가장 요한 것은 lsquo마음rsquo이다 내가 나의 아내에

게 보내는 신뢰는 아내가 나를 믿게하는 특별한 행동을 하지 않더라도 그녀의 마음

에 한 신뢰이다 즉 그녀가 나를 배신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특별한

행동을 하지 않아도 그녀의 마음을 믿는다는 것이다 한국인의 신뢰에 있어서 특히

요한 것은 사람들간의 오고가는 계약 계가 아니라 사람들간에 오고가는 정이다

즉 어떤 사람을 믿는가 안 믿는가는 그 사람과 내가 얼마나 친한가의 여부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서구에서는 약속을 얼마나 잘 지키는 가와 같은 합리 행 의 여부

가 그 사람의 신뢰도에 결정 인 향을 미친다면 한국에서는 그러한 합리성보다

는 그 사람이 얼마나 나하고 친한가 나와 얼마나 가까운 사이인가가 그 사람의 신

뢰도에 결정 인 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윤민재(2004) 역시 사회에서 신뢰를

키우는 데는 친 성이 요하다고 주장한다 그에 의하면 사회에 들어서 개인

주의가 이기주의로 변질되고 서로가 서로를 경쟁상 로만 생각하는 풍토 속에서

우리가 보다 인간답게 살고 보다 발 하는 공동체를 건설하기 해서는 서로의 친

감의 강화를 통해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선무이다 기든스(1994) 역시 lsquo친 감

은 신뢰에 한 골자rsquo라고 주장하 다(199481 윤민재 2004에서 재인용)

이러한 맥락에서 어떤 사람을 신뢰하려면 그 사람의 lsquo마음rsquo을 알아야 한다 갑이

을에게 신뢰를 보내고 있다면 갑이 을에게 신뢰하는 것은 을의 행동이라기보다는

Ⅱ 신뢰의 이해

11

을의 정직한 마음이다 심리학 이론은 이와 련 행동은 마음에서 나온다고 보고 있

다(최상진 20022) 물론 약속을 지키고 싶은 마음이 있어도 약속을 못 지킬 수도

있고 약속을 별로 지키고 싶지 않지만 약속을 지키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부분의 사람은 자신의 마음이 말하는 것과 역행하는 행 를 하기 보다는 마음이

말하는 바에 따라 행 를 한다 하지만 마음이 없는 데 행동만 하거나 마음이 있어

도 행동을 못하는 경우가 지속될 경우에는 그 사람 역시 신뢰를 상실하게 된다

로부터 가장 믿을만한 사람으로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사람을 꼽았고 반면 가장 조심

해야할 사람으로 말과 행동이 다른 사람을 꼽아왔지 않은가 한 사람이 다른 사람으

로부터 신뢰를 얻기 해서는 자기가 한 말에 책임을 질 수 있는 행동을 해야 한다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3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 신뢰의 형성 구조 강한 연 에서 약한 연

정보사회 이 신뢰의 형성 구조는 가까운 사람들간의 연 와 일체감의 구조 즉

강한 연 의 구조 다 신뢰는 최상진(20024)에 의하면 lsquo가족 아주 가까운 친구

계 함께 운명을 같이하는 집단과 같은 특수한 착 계에 있는 사람들 사이에 서

로 믿고 편하게 의지할 수 있는 마음의 연 와 일체감rsquo의 구조를 기 로 형성된다

쉽게 풀이하면 이미 친하게 알고 지내는 사람들 간에 생기는 서로에 한 믿음이라

는 것이다 이는 그 사람은 나를 배신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보는 믿음이다 최상진

의 개념에 따르면 lsquo우리성rsquo을 지니고 있는 이들이 서로간에 가지는 믿음이다 여기서

우리성이란 말은 lsquo우리편의 계rsquo를 의미한다 한 조직이 강한 통합성을 지니려면 그

조직의 경계를 공고히 해야 한다 조직의 경계를 공고히 하기 해서는 다른 조직과

의 차별을 뚜렷하게 해야 한다 그래야 그 조직내의 성원들 사이에는 강한 신뢰와

동질감이 생성된다 한 조직내에 있다는 느낌은 조직내의 타 성원들에게 높은 수

의 신뢰를 갖게 한다 특정 종교 신자들이 단지 같은 종교 신자라는 이유로 일단 상

방에게 신뢰를 보내곤 하는 것이 표 인 이다 이때 다른 종교의 신자에게는

같은 수 의 익명의 사람이라도 같은 수 의 신뢰를 보내지 않는다 이는 어떻게

보면 비합리 인 행 인데 이와 련 최상진은 lsquo한국인의 우리성 계는 모르는 사

람을 포용하는 자기 확 우리성 이라기 보다는 이들을 우리 편에서 배제시키는

우리성의 성향을 갖는다rsquo라고 지 한다 이는 유스래 (2002)에 의하면 특수화된 신

뢰이다 그에 의하면 lsquo특수화된 신뢰란 자신이 믿는 가치를 공유하는 사람들만 믿는

것을 의미하며 외부의 집단의 성원에 해서는 먼 불신부터 하고 보는 것을 의미

한다rsquo(윤민재 2004에서 재인용) 우리성의 신뢰 특수화된 신뢰는 모두 강한 연 를

기반으로 함은 물론이다

강한 연 의 신뢰는 사 신뢰의 공 신뢰에 한 상 우 로도 해석할 수 있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4

다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한국인은 사 신뢰는 높은 반면 공 신뢰는 약하게 나타

난다 즉 나와 가까운 친지들이나 친구들에게는 폭 인 신뢰를 보내는 반면 정부

국회 혹은 내가 모르는 익명의 타인들에게는 불신을 보내고 있다는 것이다(이재

1998 박찬웅 1999 김신동 2001에서 재인용) 한편 사 신뢰의 지나친 의존도와

약한 공 신뢰는 한국사회의 발 을 해하는 요소로 여겨진다 연 지연 학연을

기 로 한 소규모 연고집단에서 표 으로 나타나는 사 신뢰는 한국사회의 공공

선을 해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한 약한 공 신뢰는 사회 체에 불신

풍조를 갖게 하여 사회가 효율 으로 돌아가는 데 제동을 걸게 한다 특히 정부와

국회 제도에 한 높은 불신도는 신뢰의 상 측에 원인에 있으며 국민들이 가지

고 있는 선입 역시 사회 발 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때로 정부가 효율

인 정책을 가지고 나와 이를 강하게 추진하고자 할 때에도 일단 불신의 부터

보내는 언론과 국민들에 의해서 이 시도가 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서 사람들간의 신뢰의 형성 구조는 새로운 양상을 보인다 즉

꼭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이 아니라도 계를 형성하며 익명의 상과도 서로 호혜

인 행 를 하는 즉 약한 연 를 통해서도 신뢰가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정보사회의

표 인 공간인 사이버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호혜 행 ( 지식

검색)는 새로운 의미로 신뢰를 형성시킨다 지 않은 학자들은 사이버공간에서의

신뢰형성에 부정 이었다 특히 신뢰라는 것은 면 면 계의 지속 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인데 익명성과 상호작용의 비지속성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공

간에서 신뢰가 제 로 형성되겠느냐는 것이다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사이버공간에서 형성되는 약한 연 의 계는 지속

으로 증가했고 그 과정에서 여러 가지 부정 인 상들도 발생하 지만 과거에는

생각할 수 없었던 즉 모르는 이들에 한 신뢰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 때 모르는

이들은 완 히 모르는 이들이 아니다 내가 그 사람의 아이디를 알고 있고 그 사람

과 채 등을 통해서 화를 나 경험이 있거나 내가 요청한 도움에 그 역시 나를

잘 모르는 상태에서 기꺼이 응해주었던 경험이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5

사이버공간에서 신뢰가 형성되는 것은 호혜성 계를 통해서도 이해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감정과 취향의 공유를 통해서도 이해될 수 있다 나와 같은 것을

좋아하는 내가 느끼는 감정을 같이 느끼는 이들이라면 인간은 그 사람에게 신뢰

를 보내게 된다 이는 기든스가 얘기했던 lsquo친 성의 신뢰rsquo와 같은 맥락이다 이 때 사

람들간의 계는 여 히 그 사람이 구인지 잘 모르는 언제 헤어질 지 모르는 헤

어져도 그만인 약한 연 의 계이지만 감정과 취향의 공유를 통해서 신뢰가 형성

되어지는 것이다 강한 연 의 계에 있지만 나와 완 히 취향이 달라 친 감을 느

끼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반면 약한 연 의 계에 있지만 나와 취향이 같아 친

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후자의 경우가 정보사회에서의 논의될 수 있는 의미있는

형태로의 신뢰이다

정보사회에서의 신뢰는 비단 사이버공간에만 국한해서 논의될 필요는 없다 정보

사회에서도 여 히 이 사회에서의 강한 연 의 신뢰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지

만 시간과 공간의 제약 때문에 이 강한 연 의 지속이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그 연 의 유지를 해 사이버공간을 활용하고 있기도 하다 즉 사이버공

간에서의 계는 내가 모르고 있는 사람과의 계만이 있는 것이 아니다 내가 이미

알고 있는 사람과의 계 역시 존재한다 장원호(2004)의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많

은 경우 실공간에서의 계는 사이버공간으로 옮겨져 연장된다 이는 기존의 신

뢰 계를 재생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학교의 친구들 동창들 옛날 동네친구들 떨어

져 사는 가족들에게 있어 사이버 공간은 시간과 공간을 월해서 서로의 안부를 확

인하고 서로의 정을 나 며 상호신뢰를 지속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공간이다 최근 필

자(2004)의 연구결과를 보면 인터넷과 같은 정보통신기술은 사회성원들이 맺고 있

는 계의 인 연결망의 도를 높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터넷으로 인

해 이미 친한 이들과 더욱 친해지고 있는 것이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6

2 신뢰의 표출형태 극단성의 지속

정보사회에서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가 새롭게 형성되고는 있지만 그 표출형태

에 있어서는 이 사회의 신뢰 표출형태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즉 극단 신

뢰와 극단 불신이라는 형태로 표출되는 것을 말한다 그 이유는 사회문화 특성

에서 찾아져야할 것이다 이미 여러 조사를 통해서 한국사회의 신뢰의 특성은 내집

단에 한 극단 신뢰 타집단에 한 극단 불신이 밝 진 바 있다 박희

(2002)은 신뢰의 상으로 개인 단체 공공기 등 다양한 상들을 설정하여 국민

들이 이 상들에 갖고 있는 신뢰도는 어떠한 지 국민들의 개인 지 와 성향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연구하 다 이 조사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

들의 신뢰도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학교친구 고향친구 등 개인 으로 이미 친분

이 있는 사람들에 한 신뢰도는 매우 높은 반면 모르는 사람 알더라도 약간

아는 사람들에 한 신뢰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한마디로 말해 아는 사람은

으로 믿고 모르는 사람은 우선 의심하고 본다는 것이다 친한 사람에게는 차용증없

이도 돈을 빌려주는 사람이 모르는 사람이 길거리에서 1000원을 빌려달라고 하면

단호히 거 하는 것이 한국사회이다 사 신뢰에서도 가족 친구 친척 등 연 학

연 지연 등으로 얽 있는 인 계에 있어서의 신뢰도가 직장동료 사회동료 등

도구 계로 얽 있는 인 계에서의 신뢰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때 공 신

뢰의 낮은 수 은 압축 근 화를 거치면서 생긴 소 lsquo체계rsquo 역에 한 총체

인 불신에 기인한다 의 조사결과 특히 정부 국회 등 공공 역에 한 신뢰가

단히 낮게 나타났다 끊임없이 터져 나오는 공직자 부패사건들을 경험하면서 국민

들이 공직자와 그 조직에 해 지니고 있는 불신은 이미 최고조에 달해있는 상태이

다 공 역에 한 배신감 불신은 내가 아는 사람들에 한 극단 인 신뢰로 이

어졌다 즉 친한 사람은 무조건 믿고 모르는 사람은 일단 의심부터 하고 보는 경향

이 강하다는 것이다 이는 내편의 사람은 바로 lsquo내편이기 때문에rsquo 믿고 다른 편의 사

람은 바로 lsquo내편이 아니기 때문에rsquo 의심한다는 의미이다

정보사회와 련 사이버공간에서도 이러한 극단 신뢰와 극단 불신은 그 로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7

나타나고 있다 를 들어 자신과 같은 입장을 지닌 사람의 말은 화의 주제와

련 없는 말도 믿으면서 자신과 입장이 다른 사람은 다른 집단으로 가라고 하면서

그 사람의 말을 불신하는 것이다 그 다면 왜 이 게 한국인들은 내편 네편을 나

기를 좋아하고 내편을 끔 이 아끼고 사랑하고 무조건 믿지만 네편은 심할 정도

로 배척하고 불신하는가 최상진(2002)은 이는 내편에 속하여 얻는 심리 이고 실

질 인 만족이 서구에 비해서 단히 크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20029) 즉 사이

버공간에 한국사회의 편가르기의 특성이 투여되며 실공간의 수 을 넘어서는 상

호간의 불신이 생길 수도 있다 이와 련 사이버공간에서의 토론을 보면 간 성향

의 논의가 존재하지 않는 경향이 뚜렷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김은미(2004)의 최

근 조사에서 ldquo사이버공간에서의 의사소통에서는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편과 내가

틀리다고 생각하는 편만 존재한다rdquo고 주장한 바 있다 이 두 편은 확연하게 나 어

져 자신들의 의견이 옳음을 입증하려고 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객 인 의견개

진보다는 상 방이 틀림을 비난하는 감정 들이 오고 가며 이 과정에 계속됨에

따라 애 의 이슈는 사라지고 서로를 비난하는 감정만 남게 된다 이때 이 토론에

참여한 이는 내가 알지도 못하는 얼굴도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미움을 사게 되며

그 한 익명의 타자에게 불신과 미움의 감정을 품게 된다 이러한 상은 사이버공

간이 불신을 생산하는 장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다 최상진이 말한 우

리성의 부정 효과가 사이버공간에서의 신뢰의 하로 나타나는 것이다

3 신뢰의 상 성의 약화와 다수성의 신뢰

정보사회의 특성 하나는 바로 이 사회에서 인 신뢰의 상들의 상

이 하되고 있다는 것이다 표 인 것이 바로 소 문가에 한 신뢰의

약화이다 이는 지식의 상변화에 기인한다 즉 근 이후 지식의 가치를

드높 던 문가들이 그 실용성에 있어서 더 이상 평가를 제 로 받지 못하고 있으

며 오히려 나에게 정말 필요한 지식들을 생산하여 달해주는 수천 수만의 비 문

가들의 지식의 가치가 더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소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8

에 한 신뢰 상이다

정보사회 이 의 지식의 상을 먼 살펴보자 지식은 생성되는 과정에서의 과

학 이론 지 능력을 요구하 으며 따라서 일반인들에게는 습득하기 어려운 것

이었으며 소수의 지배계층은 이러한 지 능력을 부여받기 한 교육을 받을 수 있

는 특권을 렸다 지배계층은 지식만이 세상을 이롭게 할 수 있다는 생각을 리

유포했으며 스스로도 그 게 확신하 다 즉 지식만이 일반인들의 무지 야만 노

성을 극복하게 해주어 세계를 구할 것이라는 계몽주의 사고방식을 가졌던 것

이다 반면 일반인들이 일상의 경험에서 축 한 지 가치들은 과학 으로 증명된

바가 없고 논리성 한 갖추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지식에 비해 그 가치가 단히

떨어지는 것으로 인식하 다 과학 지식은 보편 방법을 통해 증명되고 보편

법칙들을 추구하기 때문에 만인에게 도움을 다고 보는 반면(Condorset [1794]

1973 803805) 들의 경험은 보편 법칙을 추구한다기 보다는 일상의 개인에

게 도움을 주는 것을 주 목 으로 하기 때문에 그 가치가 지식에 비해 못 미친다고

보았던 것이다 지식은 근 시기에 최고의 지 가치로 인정받았으며 이는 지식만이

lsquo사실rsquo을 담아내고 과학 으로 증명되었기 때문에 lsquo불변 rsquo이고 사회와 역사의 변화

에 향을 받지 않는 lsquo rsquo으로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 상을 정립하 다

하지만 정보사회로 어들면서 지식은 그 신뢰에 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통 시각에서의 지식은 그것이 불확실하거나 이 게도 혹은 게도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아니라 확실하고 어떤 경우에도 lsquo거짓이 아니고 참rsquo인 것으

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문제는 무엇이 lsquo진실rsquo인 것이냐는 것

이다 lsquo진실rsquo은 원히 불변 인 것인지 아니면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이기도

한 것인지에 한 의문 한 제기되어 왔다 만하임 역시 과거에 진리로 군

림했던 lsquo정 과학rsquo(exact science)에 한 신뢰성이 오늘날 심하게 흔들리고 있다고

지 한 바 있다(Mannheim 1936271)

만하임에 의하면 우리 인간이 일상생활에서 맺고 있는 사회 계 그 계 속에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9

서의 역할 그 역할을 수행하면서 갖는 존재의식 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사회속에

형성된 지식들을 제 로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Mannheim 1936267-8) 만하

임의 이러한 역사주의 에서 골드만 한 지식은 믿음을 내포하고 있는 데 이

믿음이라는 것이 사실은 lsquo사회 으로 구축된 것rsquo(socially constructed)이라고 주장한

다 그에 의하면 지식은 언제나 lsquo지엽 rsquo(local)인 것이며 상황에 따라 규정되는 것

(contextual situated)이다(Goldman 199921) 그는 특히 하나의 지식이 지엽 이

고 상황결정 인 이유로서 지식은 언제나 특정한 개인이나 특정한 이해그룹에 의해

서 지식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 다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라는 것은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하

나의 단수의 지식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 상이 발생

한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인 복수의 지식들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Burke

2000 13) 하 역시 지식은 하나의 단수 인 것이 아니며 지식을 받아들일 때도

그 지식이 형성된 과정을 이해하면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 다(Hakken

200313) 만하임에 의하면 인간의 생각과 아이디어들은 몇몇 한 인물들이 내

놓은 업 물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집합 경험에 의해서 탄생되는 것이다 그리

고 이 집합 경험은 공통의 분모를 가지는 동시에 상이성 한 가진다 존재하는

것은 하나의 상에 한 하나의 지식이 아니라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서로 충돌하고 경합을 끊임없이 하는 복수의 지식들이다(Mannheim 1936

269) 이 스타는 lsquo지식은 복수로 존재하면서 다른 지식들과 복합 상호 계속에

서 존재하며 그 기 때문에 지식은 생태 (ecologic)이다rsquo라고 보았다(Star 1995)

이 게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고 복수로 존재한다는 사실은 지식에 한

신뢰에 있어서도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한다 즉 지식에 한 신뢰는 맹목 일 수 없

다는 것이다 세 근 의 시각에서 보면 지식에 한 신뢰는 지식을 보유하고 생

성하는 권력집단의 정당성에 한 수동 수용에 기인하 다 그러나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주체 다양한 집단들이 지식생산과 비 에 참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 사회에서 형성되었던 지식들의 신뢰성이 약화가 되었고 지식을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0

생성하는 유일한 집단으로 믿어졌던 문가군에 한 신뢰 역시 약화되고 있다

지식의 성에 한 신뢰의 변화가 정보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주장의

다른 근거는 정보사회의 핵심콘텐츠인 lsquo정보rsquo의 상 변화를 통해서도 뒷받침될 수

있다 70년 에 사회학자 투 과 벨은 탈산업사회의 도래를 견하면서 탈산업사회

에서 요하게 되는 것은 노동의 힘과 자연에 지가 아니라 바로 lsquo정보rsquo일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 정보사회에 들어서는 lsquo정보rsquo를 어떻게 수집하고 활용하는가가 부의

원천이 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arny 20046) 일본의 미래학자 마슈다는 2000년

에는 정보사회가 산업사회를 체할 것이며 이 시기에는 물질 가치의 생산이

덜 요해지고 신 정보의 량생산과 공유가 단히 요해질 것이라고 내다보

았다(Barny 20048) 최근 각 을 받고 있는 정보사회학자 카스텔스에 의하면

재 우리가 사는 세계의 사회 정치 경제 행 의 지 않은 부분이 lsquo정보의 흐름rsquo

(flows of information)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든 역에 걸쳐 정보가

구에게서 출발하여 어떤 경로로 구에게 도착하는가 어떤 정보들이 공유 독

되는가가 요한 사회 이슈로 두되고 있는 것이다(Castells 19981) 리오따르 역

시 과거에 국가들은 토와 원자재 그리고 노동력을 쟁취하기 해서 쟁을 하

으나 앞으로는 보다 가치있는 정보를 쟁취하기 해 치열하게 경쟁할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Lyotard 1979) 버크는 정보의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정보를 사고

는 상품으로 취 해야 하는가 아니면 정보를 사회성원들의 공공이익을 하여

구나 공유해야할 것으로 취 해야 하는가가 요한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고 말하

다 그는 21세기를 후하여 두되고 있는 정보와 정보기술의 요성에 비추어볼

때 후 의 역사학자들이 이 시기를 lsquo정보의 시 rsquo(age of information)라고 명명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urke 20001)

그런데 이 정보는 지식과는 달리 문가들이 아닌 일반인들에게서도 쉽게 공유되

고 확산될 수 있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공유행 의 증은 지 가치들의 유통을

빠르게 효율 으로 가능하게 하는 정보기술에 기반한다 이제 지 가치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되고 실제 실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한 빠르게 획득할 수 있을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1

때 그 가치를 인정받기에 이르 다 여러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것은 문 인

것보다는 일반 이론 이기 보다는 실용 인 지 가치인데 정보가 바로 이러한

요구에 가장 잘 부응하고 있는 것이다

통 의미에서의 지식은 문가들에 의해 형성되고 증명되어진 지 가치이며

정보는 비 문가들도 얼마든지 생성 유통시킬 수 있는 그러나 아직 완 히 증명되

어지지 않은 지 가치 다 그러나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정보의 공유가 폭증하고

정보의 제공자들에 있어서 문가와 비 문가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무엇보다 사회

성원들에 필요한 지 가치로서의 정보의 상이 격히 높아지게 되었다 특히 한

명의 문가가 생산한 지식보다는 다수의 비 문가들이 함께 모여 편집하고 가공한

정보가 더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서의 상을 지니게 되는 조짐이 보이고 있다

이를 설명해 수 있는 표 인 사례가 바로 인터넷의 lsquo지식검색rsquo서비스이다 이 서

비스가 시작된 후에는 우리는 학교에서 궁 한 것 직장에서 궁 한 것 일상에서

문득 떠오르는 궁 한 것들을 인터넷만 있으면 바로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궁 한 것들에 해 다른 이들이 답변을 한 것에 한 신뢰도가 단히 높다

는 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필자의 조사(2004)에 따르면 lsquo지식검색rsquo에서 답변

된 정보들에 한 신뢰도는 단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다수의 사람

들이 lsquo맞다rsquo고 답한 정보는 신뢰할만 하다는 것이다 즉 지 가치에 한 신뢰의 정

도가 그 지 가치를 생산한 사람이 구인가( 문가인가 아닌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얼마나 많은 사람이 그 지 가치의 생산에 참여했느냐에 따라 결정된

다는 것이다 표 인 집단지성의 지 가치 생산의 로 언 되는 키피디아의

경우 신뢰도는 리타니카 백과사 에 버 가는 신뢰를 확보하고 있다

4 신뢰의 괴와 응

신뢰의 괴는 쉽게 말해 배신으로 표 된다 배신행 의 부분의 원인은 개인

의 이기심이다 즉 신뢰를 어기면서도 어떠한 행동을 하게 되면 그 신뢰를 어겨서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2

겪는 피해보다 자신이 얻는 것이 더 많을 때 배신행 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극단

인 로 한 폭력조직에서 조직성원들의 신뢰를 버리고 조직의 비 을 설하게

해야 할지 고민이 될 때 조직의 보복은 두려우나 그로 인해 자신에게 엄청난 이익

이 생기게 되면 결국 조직의 비 을 설한다는 것이다 이보다 더 일상 인 를

하나 들어보자 친구가 lsquo다른 친구들에게 로 말하지마rsquo라고 그 친구의 비 을 나

에게 얘기해주었다 그 친구는 나의 친한 친구 기 때문에 자신의 비 을 나에게

몰래 털어놓았다 하지만 그 비 을 다른 친구에게 나는 lsquo다른 이에게는 로 말

하지마 그 친구가 알면 나 큰일나rsquo라고 말하면서 그 친구의 비 을 알린다 이 때의

이기심은 경우에 따라 다르겠으나 비 정보를 나만이 알고 있다는 것을 다른 이에

게 알리고 과시하고 싶은 욕구의 이기심이다 이러한 배신 행 에 해서는 어느 사

회 어느 인간을 막론하고 냉엄하게 응한다 최상진에 의하면 배신자라는 말 자체

의 사 의미가 lsquo등을 돌린다rsquo라는 것으로 이는 완 히 자신에게 등을 돌린 사람

남남인 사람을 의미한다(20027) 신뢰를 버려야했던 행 로 인해 얻어지는 이익

에 기뻐하지만 신뢰를 버린 행 가 도덕 으로 규탄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자신 스스로 괴로워한다 친한 친구들에게 돈 사기를 친 이들이 자수를 하는

경우에는 이 양심의 소리가 주는 고통이 단히 컸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치의 감정

은 스스로 양심의 가책을 느껴 생기는 자괴성(self-shamed)이다 한국사회는 이기

심에서 발 된 배신행 에 해서 그 처벌을 엄격하게 하여 사회에서 완 소외되

게 하거나 스스로 극도의 자괴감을 가지도록 하는 사회담론을 형성해 왔다 이는

사회에서의 신뢰를 무엇보다 시해온 한국사회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정보사회에서 신뢰의 괴는 그 다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 먼

익명성에 자신을 숨기고 다른 이들의 사생활정보를 헤쳐 이를 악용하는 것이

표 인 사례다 사이버공간에서는 자신의 사생활정보를 나의 동의없이 다른 이에게

공개하지 못할 것이라는 lsquo시스템안 에 한 신뢰rsquo가 작동된다 그 기에 인터넷 쇼

핑 인터넷 뱅킹 등이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단히 험한 일이기도 하다 경

제 이윤으로 직결되는 사생활정보를 외부로 팔아넘겨 얼마든지 이윤을 챙길 가능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3

성이 항상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8년 옥션사태 SK사태에서 잘 나타났듯이 우

리의 사생활정보는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기업 혹은 해커들에 의해 노출될 험

이 있다 이때 신뢰는 개인과 개인 사이에서의 문제를 넘어서 개인과 체계의 문제가

된다 개인 수 에서도 신뢰의 괴는 쉽게 이루어진다 역시 익명성이라는 속성

상 나의 본체가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내가 신뢰를 괴하더라도 그 책임으로부

터 숨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 다면 사이버공간에서 신뢰의 괴가 생길 때 이에 한 응은 어떻게 이루

어지는가 이 사회에서는 신뢰의 괴를 한 이를 색출하여 이를 공동체에서 배제

를 시킴으로써 체조직의 신뢰를 유지하 다 이를 해 엄격한 법 체제가 마련

되었음은 물론이다 개인 한 이러한 신뢰 괴 행 에 해 자괴성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하지만 사이버공간에서는 이러한 배제행 와 자괴성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이 군지를 숨길 수 있는 익명성이라는 사이버공간의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신뢰를 괴하는 행 가 특히 개인간의 차원에서 벌어졌을 때 신뢰

를 괴한 이를 찾아내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사이버공간에서 축출을 한다고 해도

그는 다른 익명성 혹은 가명성으로 새롭게 신뢰 괴행 에 나설수 있다 재 사

이버테러에 응하는 사법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사이버공간의 본질 속성상

그 논의 자체가 쉽지 않는 상태이다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25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 자본 축 을 해

지 까지 정보사회의 신뢰에 있어서 신뢰의 형성구조 신뢰의 표출형태 신뢰의

상 신뢰의 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심으로 그 변화의 측면을 논해보았다 먼

이 사회에서는 연 지연 학연 등을 심으로 하는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

뢰가 형성되었던 반면 정보사회에서는 연고 보다는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하

면서 그 계의 끈이 비교 느슨한 lsquo약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뢰가 형성되는 상

이 발생하고 있다 이때 약한 연 에서 경험되는 것은 익명의 존재들 간에 호혜 으

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며 이 호혜성의 경험이 상 방에 한 신뢰를 갖게 한다

이때 신뢰는 물질 이익을 주고 받으면서 생기는 것이라가 보다는 함께 무엇인가

를 즐기고 공유하면서 생기는 lsquo친 감rsquo에 기 한 신뢰의 의미가 강하다 한편 기존의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한 신뢰 역시 정보사회의 표 공간인 사이버공간을 통해서 재

생산되는 측면이 있다 문제는 신뢰의 표출형태이다 약한 계에서 형성된 신뢰라

면 보다 개방 인 신뢰의 모습을 지녀야 하지만 한국사회에 있어서는 그 지 못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즉 기존의 사회에서 뚜렷이 나타났던 lsquo자기 집단에 한 극

단 신뢰rsquo와 lsquo타 집단에 한 극단 불신rsquo이 그것이다 설령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한 신뢰 계가 그 집단내에서는 형성되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취향과 감정을

공유하는 타집단에 해서는 극단 불신을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한국사회

의 공론장 형성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다원 가치에

한 인정의 결핍은 한국사회의 아킬 스건이다 신뢰의 상의 문제에 있어서 이

사회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상은 공식 으로 인정받은(학 등을 통해) 문

가들이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소수의 문가들에 한 신뢰의 수 이

떨어지고 오히려 다수의 비 문가들이 집단 으로 생산해낸 지 가치에 한 신뢰

의 수 이 높아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뢰를 괴하는 행 가 정보사회에서는 그

익명 공간 안에서 손쉽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을 지 하 다 한 이 배신의 행

에 해 과거에는 배신자를 공동체에서 축출하는 것으로 응하 는데 정보사회

에서는 이 배신자 자체를 찾아내기가 단히 어렵다는 난제를 지니고 있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6

한 사회가 보다 인간다운 사회의 모습을 지니기 해서는 사회 자본의 축 이

필수 이며 이 사회 자본의 핵심이 사회 성원들 간의 신뢰이다 사회 자본의

축 을 통한 기회비용의 감소 뿐만이 아니라 공동체성의 회복의 가능성을 제기한

콜만과 퍼트남의 을 받아들이면서 우리는 이제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모습을

통해 새로운 사회 자본의 가능성을 논할 수 있다 개인들이 고립되어 있는 상태를

벗어나 계를 복원시켜야 한다는 퍼트남의 논의는 재 한국사회의 상황에서는 아

쉽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미 개인주의가 확산될 로 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 계가 분명 사이버공간에서 생성되고 있음은 사회

자본의 축 가능성을 다시 제기하게 한다 과거와 같은 형태의 공동체가 아닌

마페졸리(Maffesoli) 등이 제기하는 lsquo부족rsquo 형태에 기반한 사회 자본을 논할 수 있

게 된 것이다 하지만 여 히 lsquo편 가르기rsquo라는 한국의 사회문화 특성으로 인해 이

신뢰 계가 극단 편나 기 양상으로 번지곤 하는 것은 안타까운 실이다 황우

석 사태에서도 잘 나타났듯이 자신들 편의 말만 믿으면서 다른 이들에 한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성 토론 보다는 감정 비난이 앞서는 의사소통 형

태가 사이버공간에서 그 로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사회 자본

을 축 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의 장인 공론장의 형성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정보

사회에서의 공론장은 특히 사이버공간으로 확장되어 있는 특성을 지니는데 이때

사이버공간의 익명성이라는 특성상 이성 의사소통이 더욱 어려워지는 한계를 지

니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무엇보다 의사소통하는 상 방에 한

감을 보다 높이고 의사소통을 원만하게 해주는 재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

으로 응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27

참 고 문 헌

김신동 2001 lsquo정보와 사회 신뢰rsquo 「신뢰연구」 제 11권 통합호 한림과학원

박찬웅 1998 lsquo신뢰의 기와 사회 자본rsquo 1998년 후기사회학 회 발표집

박희 이희창김동욱김철수박병래 2002 한국인의 신뢰 수 향 요인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3호

윤민재 2004 lsquo신뢰와 사회자본에 한 사회 이해rsquo 「신뢰연구」 한림과학원

장원호 2004 985172사이버커뮤니티와 사회 계의 변화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장형유정기한 2004 lsquo인터넷 쇼핑몰에서 고객신뢰 태도 계몰입과 구매의도의

구조 계에 한 연구rsquo 「한국마 」 한국마 학회

최상진김의철김기범 2003 lsquo한국사회에서의 인 계속의 신뢰와 불신의 기반

으로서의 마음에 한 문화심리학 근rsquo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최항섭 2004 985172IT가 인 연결망과 공공선(public interest)에 미치는 향연구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Barney Darin 2004 The Network Society Cambridge Polity Press

Burke Peter 2000 A Social History of Knowledge Cambridge Polity Press

Castells Manuel 2001 The Internet Galaxy Reflections on the Internet Business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Condorcet Antonie-Nicolas Marquis de 1794 Sketch of the Progress of the

Human Mind Except trans by J Barra Clough 1955 pp800-10 in Peter

Gay The Enlightment A Comprehensive Anthology New York Schocken

Books

Goldman Alvin I 1999 Knowledge in a Social world New York Oxford Uni-

versity Press amp Clarendon Press

Hakken David 2003 The Knowledge landscape of Cyberspace New York Routledge

Lyotard JF 1979 La condition postmoderne Paris Minuit 이 복 역 「정보사

회에서의 지식의 상」 1992 서 사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8

Mannheim Karl 1936 Ideology and Utopia Harcourt Brace amp World

Star Susan Leigh 1995 The Cultures of Computing Oxford Blackwell

Page 4: 최 항 섭 - KISDI · 2009-08-17 · 최 항 섭 ․jesuishs@kisdi.re.kr, 02-570-4090 ․프랑스 파리 5대학 사회학부 박사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초빙전문위원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6

면서 신뢰의 형성과정의 변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다음으로는 형성된 신뢰가 어떠

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지 그 형태의 표출에 있어서 지속성을 논해야 하는 지 변

화를 논해야 하는 지를 설명할 것이다 셋째 신뢰의 상의 문제를 다룸에 있어서

과거 신뢰의 상이 되었던 것들이 정보사회로 들어오면서 그 상이 변화

됨과 더불어 새로운 신뢰의 상이 되는 것들의 기 에 깔려 있는 것들을 무엇인지

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신뢰의 괴 문제를 다루면서 신뢰의 괴가 이

시 에서는 어떻게 나타났으며 이에 응은 어떠했는지 신뢰의 괴는 정보

사회에서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한 응은 어떠한 양상을 띄고 있는 지

를 알아볼 것이다 이에 앞서 본문에서는 먼 신뢰의 개념과 형성조건에 한 이론

논의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Ⅱ 신뢰의 이해

7

Ⅱ 신뢰의 이해

1 신뢰의 개념

신뢰에 해서는 다양한 정의가 존재지만 일반 으로 신뢰는 어떤 개인이나 집단

의 미래의 행 에 해 나의 기 에 맞게 그 행 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측할 수

있는 것을 뜻한다 사 인 의미에서 본다면 신뢰는 lsquo진술의 진리나 사물이나 사람

의 속성을 믿는 것rsquo으로 정의된다(윤민재 2004에서 인용) 나의 친구는 약속 로 나

의 비 을 지켜주겠지 나의 회사는 계약한 로 나의 퇴직 을 보장해주겠지라고

믿는 것이 신뢰이다 신뢰의 다른 정의로는 lsquo상 방이 기회주의 으로 행동하는

것에 한 우려로부터 기인하는 이 의 기 rsquo가 있다(Bradach and Eccles 1989 장

형유 2004에서 재인용) 이는 나와 계를 맺고 있는 상 방이 나를 배신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 의 정도가 바로 그 상 방에 내가 보내는 신뢰의 정도와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근본 으로 볼 때 신뢰는 한 사회가 유지되는 데 꼭 필요한 요소이며 여러

학자들에 의해서 신뢰는 사회가 가져야할 표 인 자본으로 인식되어 왔다 퍼트

남에 의하면 신뢰는 사회자본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 인 요소로 개인과 단체생활

공공활동에 있어서의 행태 태도 성향에 기 가 되는 통합된 개념이다(Putnam 1993a

박희 2000에서 재인용) 사람이 사람을 믿고 사람이 조직을 믿고 조직이 조직을

믿는 lsquo신뢰rsquo는 한 사회를 존속시키는 핵심이다 이러한 신뢰는 일반 으로 한 사회의

공공이익에 이바지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개인간의 계에서 서로가 서로를 믿는

계가 되면 그들 간에는 상호정보공유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러한 정보 공유

는 각 개인들이 더욱 효율 으로 사회생활을 해 나갈 수 있게 해 다 이러한 개인

이익의 합이 공공이익으로 발 하게 된다는 것이다 어느 곳에서 싼 상품이 있는 지

에 한 정보를 친한 친구들끼리 공유를 하게 되면 그들은 효율 인 소비를 할 수

있을 것이며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이러한 일들이 많이 벌어지게 되면 사회 체로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8

도 도움이 될 것이다 사람과 사람간의 끈끈한 정과 신뢰의 계 자체도 한 사회가

갖고 있는 자본이 된다 퍼트남은 이러한 개인간의 정과 신뢰의 계가 사회 체에

퍼지게 되면 될 수록 그 사회는 근 화된 시민사회 민주화된 시민사회로 발 해나

갈 것이며 한 마디로 더 행복한 사회가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박찬웅(1998) 역시

신뢰는 개인들간의 감시와 통제 비용을 일 수 있게 해주는 에서 보다 효율 으

로 일을 하게 해주는 에서 사회 자본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서로 신뢰를 하고 거래를 한다 하더라도 그 거래가 다른 이들의 이

익을 담보로 하는 것이라면 얘기는 달라진다 를 들어 믿을 수 있는 친구들끼리

시험에 한 정보를 몰래 공유를 한다면 그들의 성 은 오르겠지만 다른 학생들은

이로 인해 불이익을 받게 된다 이와 련 박희 (2002)는 한 지 을 한다 즉

퍼트남의 주장 로라면 개인들이 단체 활동을 많이 하게 되면 그 과정에서 생기는

개인 계들이 더 공고해지고 한 개인이 갖게 되는 신뢰의 양도 늘어난다는 것인데

문제는 꼭 그러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를 들어 종친회 동창회 친목회 등에서

양산되는 신뢰의 제고가 꼭 국가 체의 신뢰의 제고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것이

다(박희 2002204) 연고주의에 한 비 에서도 알 수 있듯이 연 학연 지연

등에 기반한 단체활동에 있어서 그 단체내의 이익은 증가하겠지만 단체내의 외

폐쇄성으로 말미암아 사회 체로 보아서는 불이익이 증가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신뢰는 사람에 따라 다른 것인가 어떤 사람은 무 쉽게 사람을 믿어버

리는 반면 어떤 사람은 일단 의심부터 하기도 한다 사람을 무 믿어 사기를 당해

경제 피해를 입는 사람이 있는 반면 사람과 제도를 무 불신하여 오히려 사회

계에서 소외된 사람도 있다 이 게 사람에 따라 어떤 상에 보내는 신뢰는 달라진

다 이 논의를 해서는 한 개인의 행 와 인식에 향을 미치는 사회화 경험에

한 이론을 끌어올 수 있다 구조주의이론에 따르면 한 개인이 어떠한 지 를 갖고

있으며 재산은 얼마를 갖고 있고 어떠한 학력을 가지고 있는 지 어떠한 사회화 과

정을 거쳐왔는 지는 그 개인이 사회를 보는 에 직 인 향을 미친다 신뢰에서

도 마찬가지이다 한 개인이 다른 개인들 집단들을 신뢰하는 정도는 그 개인의 사

Ⅱ 신뢰의 이해

9

회경제 배경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우리는 일반 으로 인식하기를 사회에 높은

지 에 있는 사람들은 그 지 않은 사람들보다 타인에 해 신뢰도가 낮다고 생각

한다 그 이유는 그 지 에 올라가기까지 많은 사람들과의 경쟁을 거쳤기 때문에 사

람들을 믿어야 할 상이라기 보다는 자신과 경쟁하고 언제나 자신의 자리를 노리

는 믿을 수 없는 상이라고 여길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한편 사람의 능력에

한 신뢰를 생각해보면 학력 역시 신뢰의 수 에 향을 미친다 명문 졸업을 한

이들의 특성 하나는 비명문 출신의 사람들의 능력을 쉽게 믿지를 못한다는 것

이다 이는 명문 에 들어오기 이 고교 생활에서 성 순으로 능력을 평가하는

교육시스템속에서 자라왔기 때문이다 즉 고교 때 공부 못했던 이들은 사회에

나와서도 여 히 능력이 부족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사회화 과정에서 주

에 믿을만한 친구들이나 친지들이 은 사람은 일반인들이나 사회제도에 보내는

신뢰도가 낮을 것이다

2 신뢰의 형성 조건

신뢰는 그 다면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형성되는가 내가 다른 사람과 다른 집단

에게 신뢰를 보내기까지의 과정은 어떠한가 나는 다른 사람과 다른 집단을 무턱

고 신뢰 할 수는 없으며 그 사람과 집단에 한 직 경험과 간 경험에 기

해서 신뢰를 주고 안주고를 결정한다 주커에 의하면 신뢰는 그것이 생기는 과정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나 어 생각할 수 있다(윤민재 200417에서 재인용) 첫째 주체

간의 상호교류과정에서 생기는 신뢰가 있다 오랜 이웃간의 계나 오랜 거래처 사

람간의 계가 좋은 이다 둘째 주체들이 동일한 집단에 속하여 생기는 신뢰가

있다 종교집단 성원들 사이에서 생기는 신뢰가 좋은 이다 그런데 이 두 종류의

신뢰는 완 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동일한 집단에 있게 되면 상호교류가 늘어나

게 될 가능성이 크며 상호교류가 잦게 되면 동일한 집단을 구성할 가능성도 크기

때문이다 셋째의 유형은 주체가 아니라 제도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신뢰이다 를

들어 온라인으로 물건을 구매할 때 외 으로 인지도가 있는 사이트에서 구매를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0

하는 것은 그 사이트가 실명인증제도 안심거래제도 등 고객의 정보를 안 하게 처

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우리가 신뢰를 보내기 때문이다

이 두 번째 종류의 신뢰 즉 동일한 집단 혹은 같은 편에 속해 있으므로 그 집

단의 성원에게 가지는 신뢰에 해서 최상진(2002)은 그것이 신뢰에서 가장 요하

게 취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에 의하면 신뢰는 사람간의 믿을 수 있는 행 의

반복으로 인해 생기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보다 요한 것은 가족으로 태어났거나

같은 종교집단에 속하거나 하는 lsquo우리집단rsquo에 속해 있음으로 마음으로서 우러나오는

신뢰이다

최상진(2002)에 의하면 신뢰에서 가장 요한 것은 lsquo마음rsquo이다 내가 나의 아내에

게 보내는 신뢰는 아내가 나를 믿게하는 특별한 행동을 하지 않더라도 그녀의 마음

에 한 신뢰이다 즉 그녀가 나를 배신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특별한

행동을 하지 않아도 그녀의 마음을 믿는다는 것이다 한국인의 신뢰에 있어서 특히

요한 것은 사람들간의 오고가는 계약 계가 아니라 사람들간에 오고가는 정이다

즉 어떤 사람을 믿는가 안 믿는가는 그 사람과 내가 얼마나 친한가의 여부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서구에서는 약속을 얼마나 잘 지키는 가와 같은 합리 행 의 여부

가 그 사람의 신뢰도에 결정 인 향을 미친다면 한국에서는 그러한 합리성보다

는 그 사람이 얼마나 나하고 친한가 나와 얼마나 가까운 사이인가가 그 사람의 신

뢰도에 결정 인 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윤민재(2004) 역시 사회에서 신뢰를

키우는 데는 친 성이 요하다고 주장한다 그에 의하면 사회에 들어서 개인

주의가 이기주의로 변질되고 서로가 서로를 경쟁상 로만 생각하는 풍토 속에서

우리가 보다 인간답게 살고 보다 발 하는 공동체를 건설하기 해서는 서로의 친

감의 강화를 통해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선무이다 기든스(1994) 역시 lsquo친 감

은 신뢰에 한 골자rsquo라고 주장하 다(199481 윤민재 2004에서 재인용)

이러한 맥락에서 어떤 사람을 신뢰하려면 그 사람의 lsquo마음rsquo을 알아야 한다 갑이

을에게 신뢰를 보내고 있다면 갑이 을에게 신뢰하는 것은 을의 행동이라기보다는

Ⅱ 신뢰의 이해

11

을의 정직한 마음이다 심리학 이론은 이와 련 행동은 마음에서 나온다고 보고 있

다(최상진 20022) 물론 약속을 지키고 싶은 마음이 있어도 약속을 못 지킬 수도

있고 약속을 별로 지키고 싶지 않지만 약속을 지키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부분의 사람은 자신의 마음이 말하는 것과 역행하는 행 를 하기 보다는 마음이

말하는 바에 따라 행 를 한다 하지만 마음이 없는 데 행동만 하거나 마음이 있어

도 행동을 못하는 경우가 지속될 경우에는 그 사람 역시 신뢰를 상실하게 된다

로부터 가장 믿을만한 사람으로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사람을 꼽았고 반면 가장 조심

해야할 사람으로 말과 행동이 다른 사람을 꼽아왔지 않은가 한 사람이 다른 사람으

로부터 신뢰를 얻기 해서는 자기가 한 말에 책임을 질 수 있는 행동을 해야 한다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3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 신뢰의 형성 구조 강한 연 에서 약한 연

정보사회 이 신뢰의 형성 구조는 가까운 사람들간의 연 와 일체감의 구조 즉

강한 연 의 구조 다 신뢰는 최상진(20024)에 의하면 lsquo가족 아주 가까운 친구

계 함께 운명을 같이하는 집단과 같은 특수한 착 계에 있는 사람들 사이에 서

로 믿고 편하게 의지할 수 있는 마음의 연 와 일체감rsquo의 구조를 기 로 형성된다

쉽게 풀이하면 이미 친하게 알고 지내는 사람들 간에 생기는 서로에 한 믿음이라

는 것이다 이는 그 사람은 나를 배신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보는 믿음이다 최상진

의 개념에 따르면 lsquo우리성rsquo을 지니고 있는 이들이 서로간에 가지는 믿음이다 여기서

우리성이란 말은 lsquo우리편의 계rsquo를 의미한다 한 조직이 강한 통합성을 지니려면 그

조직의 경계를 공고히 해야 한다 조직의 경계를 공고히 하기 해서는 다른 조직과

의 차별을 뚜렷하게 해야 한다 그래야 그 조직내의 성원들 사이에는 강한 신뢰와

동질감이 생성된다 한 조직내에 있다는 느낌은 조직내의 타 성원들에게 높은 수

의 신뢰를 갖게 한다 특정 종교 신자들이 단지 같은 종교 신자라는 이유로 일단 상

방에게 신뢰를 보내곤 하는 것이 표 인 이다 이때 다른 종교의 신자에게는

같은 수 의 익명의 사람이라도 같은 수 의 신뢰를 보내지 않는다 이는 어떻게

보면 비합리 인 행 인데 이와 련 최상진은 lsquo한국인의 우리성 계는 모르는 사

람을 포용하는 자기 확 우리성 이라기 보다는 이들을 우리 편에서 배제시키는

우리성의 성향을 갖는다rsquo라고 지 한다 이는 유스래 (2002)에 의하면 특수화된 신

뢰이다 그에 의하면 lsquo특수화된 신뢰란 자신이 믿는 가치를 공유하는 사람들만 믿는

것을 의미하며 외부의 집단의 성원에 해서는 먼 불신부터 하고 보는 것을 의미

한다rsquo(윤민재 2004에서 재인용) 우리성의 신뢰 특수화된 신뢰는 모두 강한 연 를

기반으로 함은 물론이다

강한 연 의 신뢰는 사 신뢰의 공 신뢰에 한 상 우 로도 해석할 수 있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4

다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한국인은 사 신뢰는 높은 반면 공 신뢰는 약하게 나타

난다 즉 나와 가까운 친지들이나 친구들에게는 폭 인 신뢰를 보내는 반면 정부

국회 혹은 내가 모르는 익명의 타인들에게는 불신을 보내고 있다는 것이다(이재

1998 박찬웅 1999 김신동 2001에서 재인용) 한편 사 신뢰의 지나친 의존도와

약한 공 신뢰는 한국사회의 발 을 해하는 요소로 여겨진다 연 지연 학연을

기 로 한 소규모 연고집단에서 표 으로 나타나는 사 신뢰는 한국사회의 공공

선을 해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한 약한 공 신뢰는 사회 체에 불신

풍조를 갖게 하여 사회가 효율 으로 돌아가는 데 제동을 걸게 한다 특히 정부와

국회 제도에 한 높은 불신도는 신뢰의 상 측에 원인에 있으며 국민들이 가지

고 있는 선입 역시 사회 발 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때로 정부가 효율

인 정책을 가지고 나와 이를 강하게 추진하고자 할 때에도 일단 불신의 부터

보내는 언론과 국민들에 의해서 이 시도가 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서 사람들간의 신뢰의 형성 구조는 새로운 양상을 보인다 즉

꼭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이 아니라도 계를 형성하며 익명의 상과도 서로 호혜

인 행 를 하는 즉 약한 연 를 통해서도 신뢰가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정보사회의

표 인 공간인 사이버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호혜 행 ( 지식

검색)는 새로운 의미로 신뢰를 형성시킨다 지 않은 학자들은 사이버공간에서의

신뢰형성에 부정 이었다 특히 신뢰라는 것은 면 면 계의 지속 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인데 익명성과 상호작용의 비지속성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공

간에서 신뢰가 제 로 형성되겠느냐는 것이다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사이버공간에서 형성되는 약한 연 의 계는 지속

으로 증가했고 그 과정에서 여러 가지 부정 인 상들도 발생하 지만 과거에는

생각할 수 없었던 즉 모르는 이들에 한 신뢰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 때 모르는

이들은 완 히 모르는 이들이 아니다 내가 그 사람의 아이디를 알고 있고 그 사람

과 채 등을 통해서 화를 나 경험이 있거나 내가 요청한 도움에 그 역시 나를

잘 모르는 상태에서 기꺼이 응해주었던 경험이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5

사이버공간에서 신뢰가 형성되는 것은 호혜성 계를 통해서도 이해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감정과 취향의 공유를 통해서도 이해될 수 있다 나와 같은 것을

좋아하는 내가 느끼는 감정을 같이 느끼는 이들이라면 인간은 그 사람에게 신뢰

를 보내게 된다 이는 기든스가 얘기했던 lsquo친 성의 신뢰rsquo와 같은 맥락이다 이 때 사

람들간의 계는 여 히 그 사람이 구인지 잘 모르는 언제 헤어질 지 모르는 헤

어져도 그만인 약한 연 의 계이지만 감정과 취향의 공유를 통해서 신뢰가 형성

되어지는 것이다 강한 연 의 계에 있지만 나와 완 히 취향이 달라 친 감을 느

끼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반면 약한 연 의 계에 있지만 나와 취향이 같아 친

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후자의 경우가 정보사회에서의 논의될 수 있는 의미있는

형태로의 신뢰이다

정보사회에서의 신뢰는 비단 사이버공간에만 국한해서 논의될 필요는 없다 정보

사회에서도 여 히 이 사회에서의 강한 연 의 신뢰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지

만 시간과 공간의 제약 때문에 이 강한 연 의 지속이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그 연 의 유지를 해 사이버공간을 활용하고 있기도 하다 즉 사이버공

간에서의 계는 내가 모르고 있는 사람과의 계만이 있는 것이 아니다 내가 이미

알고 있는 사람과의 계 역시 존재한다 장원호(2004)의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많

은 경우 실공간에서의 계는 사이버공간으로 옮겨져 연장된다 이는 기존의 신

뢰 계를 재생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학교의 친구들 동창들 옛날 동네친구들 떨어

져 사는 가족들에게 있어 사이버 공간은 시간과 공간을 월해서 서로의 안부를 확

인하고 서로의 정을 나 며 상호신뢰를 지속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공간이다 최근 필

자(2004)의 연구결과를 보면 인터넷과 같은 정보통신기술은 사회성원들이 맺고 있

는 계의 인 연결망의 도를 높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터넷으로 인

해 이미 친한 이들과 더욱 친해지고 있는 것이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6

2 신뢰의 표출형태 극단성의 지속

정보사회에서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가 새롭게 형성되고는 있지만 그 표출형태

에 있어서는 이 사회의 신뢰 표출형태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즉 극단 신

뢰와 극단 불신이라는 형태로 표출되는 것을 말한다 그 이유는 사회문화 특성

에서 찾아져야할 것이다 이미 여러 조사를 통해서 한국사회의 신뢰의 특성은 내집

단에 한 극단 신뢰 타집단에 한 극단 불신이 밝 진 바 있다 박희

(2002)은 신뢰의 상으로 개인 단체 공공기 등 다양한 상들을 설정하여 국민

들이 이 상들에 갖고 있는 신뢰도는 어떠한 지 국민들의 개인 지 와 성향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연구하 다 이 조사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

들의 신뢰도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학교친구 고향친구 등 개인 으로 이미 친분

이 있는 사람들에 한 신뢰도는 매우 높은 반면 모르는 사람 알더라도 약간

아는 사람들에 한 신뢰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한마디로 말해 아는 사람은

으로 믿고 모르는 사람은 우선 의심하고 본다는 것이다 친한 사람에게는 차용증없

이도 돈을 빌려주는 사람이 모르는 사람이 길거리에서 1000원을 빌려달라고 하면

단호히 거 하는 것이 한국사회이다 사 신뢰에서도 가족 친구 친척 등 연 학

연 지연 등으로 얽 있는 인 계에 있어서의 신뢰도가 직장동료 사회동료 등

도구 계로 얽 있는 인 계에서의 신뢰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때 공 신

뢰의 낮은 수 은 압축 근 화를 거치면서 생긴 소 lsquo체계rsquo 역에 한 총체

인 불신에 기인한다 의 조사결과 특히 정부 국회 등 공공 역에 한 신뢰가

단히 낮게 나타났다 끊임없이 터져 나오는 공직자 부패사건들을 경험하면서 국민

들이 공직자와 그 조직에 해 지니고 있는 불신은 이미 최고조에 달해있는 상태이

다 공 역에 한 배신감 불신은 내가 아는 사람들에 한 극단 인 신뢰로 이

어졌다 즉 친한 사람은 무조건 믿고 모르는 사람은 일단 의심부터 하고 보는 경향

이 강하다는 것이다 이는 내편의 사람은 바로 lsquo내편이기 때문에rsquo 믿고 다른 편의 사

람은 바로 lsquo내편이 아니기 때문에rsquo 의심한다는 의미이다

정보사회와 련 사이버공간에서도 이러한 극단 신뢰와 극단 불신은 그 로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7

나타나고 있다 를 들어 자신과 같은 입장을 지닌 사람의 말은 화의 주제와

련 없는 말도 믿으면서 자신과 입장이 다른 사람은 다른 집단으로 가라고 하면서

그 사람의 말을 불신하는 것이다 그 다면 왜 이 게 한국인들은 내편 네편을 나

기를 좋아하고 내편을 끔 이 아끼고 사랑하고 무조건 믿지만 네편은 심할 정도

로 배척하고 불신하는가 최상진(2002)은 이는 내편에 속하여 얻는 심리 이고 실

질 인 만족이 서구에 비해서 단히 크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20029) 즉 사이

버공간에 한국사회의 편가르기의 특성이 투여되며 실공간의 수 을 넘어서는 상

호간의 불신이 생길 수도 있다 이와 련 사이버공간에서의 토론을 보면 간 성향

의 논의가 존재하지 않는 경향이 뚜렷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김은미(2004)의 최

근 조사에서 ldquo사이버공간에서의 의사소통에서는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편과 내가

틀리다고 생각하는 편만 존재한다rdquo고 주장한 바 있다 이 두 편은 확연하게 나 어

져 자신들의 의견이 옳음을 입증하려고 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객 인 의견개

진보다는 상 방이 틀림을 비난하는 감정 들이 오고 가며 이 과정에 계속됨에

따라 애 의 이슈는 사라지고 서로를 비난하는 감정만 남게 된다 이때 이 토론에

참여한 이는 내가 알지도 못하는 얼굴도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미움을 사게 되며

그 한 익명의 타자에게 불신과 미움의 감정을 품게 된다 이러한 상은 사이버공

간이 불신을 생산하는 장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다 최상진이 말한 우

리성의 부정 효과가 사이버공간에서의 신뢰의 하로 나타나는 것이다

3 신뢰의 상 성의 약화와 다수성의 신뢰

정보사회의 특성 하나는 바로 이 사회에서 인 신뢰의 상들의 상

이 하되고 있다는 것이다 표 인 것이 바로 소 문가에 한 신뢰의

약화이다 이는 지식의 상변화에 기인한다 즉 근 이후 지식의 가치를

드높 던 문가들이 그 실용성에 있어서 더 이상 평가를 제 로 받지 못하고 있으

며 오히려 나에게 정말 필요한 지식들을 생산하여 달해주는 수천 수만의 비 문

가들의 지식의 가치가 더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소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8

에 한 신뢰 상이다

정보사회 이 의 지식의 상을 먼 살펴보자 지식은 생성되는 과정에서의 과

학 이론 지 능력을 요구하 으며 따라서 일반인들에게는 습득하기 어려운 것

이었으며 소수의 지배계층은 이러한 지 능력을 부여받기 한 교육을 받을 수 있

는 특권을 렸다 지배계층은 지식만이 세상을 이롭게 할 수 있다는 생각을 리

유포했으며 스스로도 그 게 확신하 다 즉 지식만이 일반인들의 무지 야만 노

성을 극복하게 해주어 세계를 구할 것이라는 계몽주의 사고방식을 가졌던 것

이다 반면 일반인들이 일상의 경험에서 축 한 지 가치들은 과학 으로 증명된

바가 없고 논리성 한 갖추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지식에 비해 그 가치가 단히

떨어지는 것으로 인식하 다 과학 지식은 보편 방법을 통해 증명되고 보편

법칙들을 추구하기 때문에 만인에게 도움을 다고 보는 반면(Condorset [1794]

1973 803805) 들의 경험은 보편 법칙을 추구한다기 보다는 일상의 개인에

게 도움을 주는 것을 주 목 으로 하기 때문에 그 가치가 지식에 비해 못 미친다고

보았던 것이다 지식은 근 시기에 최고의 지 가치로 인정받았으며 이는 지식만이

lsquo사실rsquo을 담아내고 과학 으로 증명되었기 때문에 lsquo불변 rsquo이고 사회와 역사의 변화

에 향을 받지 않는 lsquo rsquo으로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 상을 정립하 다

하지만 정보사회로 어들면서 지식은 그 신뢰에 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통 시각에서의 지식은 그것이 불확실하거나 이 게도 혹은 게도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아니라 확실하고 어떤 경우에도 lsquo거짓이 아니고 참rsquo인 것으

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문제는 무엇이 lsquo진실rsquo인 것이냐는 것

이다 lsquo진실rsquo은 원히 불변 인 것인지 아니면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이기도

한 것인지에 한 의문 한 제기되어 왔다 만하임 역시 과거에 진리로 군

림했던 lsquo정 과학rsquo(exact science)에 한 신뢰성이 오늘날 심하게 흔들리고 있다고

지 한 바 있다(Mannheim 1936271)

만하임에 의하면 우리 인간이 일상생활에서 맺고 있는 사회 계 그 계 속에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9

서의 역할 그 역할을 수행하면서 갖는 존재의식 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사회속에

형성된 지식들을 제 로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Mannheim 1936267-8) 만하

임의 이러한 역사주의 에서 골드만 한 지식은 믿음을 내포하고 있는 데 이

믿음이라는 것이 사실은 lsquo사회 으로 구축된 것rsquo(socially constructed)이라고 주장한

다 그에 의하면 지식은 언제나 lsquo지엽 rsquo(local)인 것이며 상황에 따라 규정되는 것

(contextual situated)이다(Goldman 199921) 그는 특히 하나의 지식이 지엽 이

고 상황결정 인 이유로서 지식은 언제나 특정한 개인이나 특정한 이해그룹에 의해

서 지식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 다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라는 것은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하

나의 단수의 지식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 상이 발생

한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인 복수의 지식들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Burke

2000 13) 하 역시 지식은 하나의 단수 인 것이 아니며 지식을 받아들일 때도

그 지식이 형성된 과정을 이해하면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 다(Hakken

200313) 만하임에 의하면 인간의 생각과 아이디어들은 몇몇 한 인물들이 내

놓은 업 물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집합 경험에 의해서 탄생되는 것이다 그리

고 이 집합 경험은 공통의 분모를 가지는 동시에 상이성 한 가진다 존재하는

것은 하나의 상에 한 하나의 지식이 아니라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서로 충돌하고 경합을 끊임없이 하는 복수의 지식들이다(Mannheim 1936

269) 이 스타는 lsquo지식은 복수로 존재하면서 다른 지식들과 복합 상호 계속에

서 존재하며 그 기 때문에 지식은 생태 (ecologic)이다rsquo라고 보았다(Star 1995)

이 게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고 복수로 존재한다는 사실은 지식에 한

신뢰에 있어서도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한다 즉 지식에 한 신뢰는 맹목 일 수 없

다는 것이다 세 근 의 시각에서 보면 지식에 한 신뢰는 지식을 보유하고 생

성하는 권력집단의 정당성에 한 수동 수용에 기인하 다 그러나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주체 다양한 집단들이 지식생산과 비 에 참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 사회에서 형성되었던 지식들의 신뢰성이 약화가 되었고 지식을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0

생성하는 유일한 집단으로 믿어졌던 문가군에 한 신뢰 역시 약화되고 있다

지식의 성에 한 신뢰의 변화가 정보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주장의

다른 근거는 정보사회의 핵심콘텐츠인 lsquo정보rsquo의 상 변화를 통해서도 뒷받침될 수

있다 70년 에 사회학자 투 과 벨은 탈산업사회의 도래를 견하면서 탈산업사회

에서 요하게 되는 것은 노동의 힘과 자연에 지가 아니라 바로 lsquo정보rsquo일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 정보사회에 들어서는 lsquo정보rsquo를 어떻게 수집하고 활용하는가가 부의

원천이 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arny 20046) 일본의 미래학자 마슈다는 2000년

에는 정보사회가 산업사회를 체할 것이며 이 시기에는 물질 가치의 생산이

덜 요해지고 신 정보의 량생산과 공유가 단히 요해질 것이라고 내다보

았다(Barny 20048) 최근 각 을 받고 있는 정보사회학자 카스텔스에 의하면

재 우리가 사는 세계의 사회 정치 경제 행 의 지 않은 부분이 lsquo정보의 흐름rsquo

(flows of information)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든 역에 걸쳐 정보가

구에게서 출발하여 어떤 경로로 구에게 도착하는가 어떤 정보들이 공유 독

되는가가 요한 사회 이슈로 두되고 있는 것이다(Castells 19981) 리오따르 역

시 과거에 국가들은 토와 원자재 그리고 노동력을 쟁취하기 해서 쟁을 하

으나 앞으로는 보다 가치있는 정보를 쟁취하기 해 치열하게 경쟁할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Lyotard 1979) 버크는 정보의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정보를 사고

는 상품으로 취 해야 하는가 아니면 정보를 사회성원들의 공공이익을 하여

구나 공유해야할 것으로 취 해야 하는가가 요한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고 말하

다 그는 21세기를 후하여 두되고 있는 정보와 정보기술의 요성에 비추어볼

때 후 의 역사학자들이 이 시기를 lsquo정보의 시 rsquo(age of information)라고 명명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urke 20001)

그런데 이 정보는 지식과는 달리 문가들이 아닌 일반인들에게서도 쉽게 공유되

고 확산될 수 있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공유행 의 증은 지 가치들의 유통을

빠르게 효율 으로 가능하게 하는 정보기술에 기반한다 이제 지 가치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되고 실제 실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한 빠르게 획득할 수 있을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1

때 그 가치를 인정받기에 이르 다 여러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것은 문 인

것보다는 일반 이론 이기 보다는 실용 인 지 가치인데 정보가 바로 이러한

요구에 가장 잘 부응하고 있는 것이다

통 의미에서의 지식은 문가들에 의해 형성되고 증명되어진 지 가치이며

정보는 비 문가들도 얼마든지 생성 유통시킬 수 있는 그러나 아직 완 히 증명되

어지지 않은 지 가치 다 그러나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정보의 공유가 폭증하고

정보의 제공자들에 있어서 문가와 비 문가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무엇보다 사회

성원들에 필요한 지 가치로서의 정보의 상이 격히 높아지게 되었다 특히 한

명의 문가가 생산한 지식보다는 다수의 비 문가들이 함께 모여 편집하고 가공한

정보가 더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서의 상을 지니게 되는 조짐이 보이고 있다

이를 설명해 수 있는 표 인 사례가 바로 인터넷의 lsquo지식검색rsquo서비스이다 이 서

비스가 시작된 후에는 우리는 학교에서 궁 한 것 직장에서 궁 한 것 일상에서

문득 떠오르는 궁 한 것들을 인터넷만 있으면 바로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궁 한 것들에 해 다른 이들이 답변을 한 것에 한 신뢰도가 단히 높다

는 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필자의 조사(2004)에 따르면 lsquo지식검색rsquo에서 답변

된 정보들에 한 신뢰도는 단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다수의 사람

들이 lsquo맞다rsquo고 답한 정보는 신뢰할만 하다는 것이다 즉 지 가치에 한 신뢰의 정

도가 그 지 가치를 생산한 사람이 구인가( 문가인가 아닌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얼마나 많은 사람이 그 지 가치의 생산에 참여했느냐에 따라 결정된

다는 것이다 표 인 집단지성의 지 가치 생산의 로 언 되는 키피디아의

경우 신뢰도는 리타니카 백과사 에 버 가는 신뢰를 확보하고 있다

4 신뢰의 괴와 응

신뢰의 괴는 쉽게 말해 배신으로 표 된다 배신행 의 부분의 원인은 개인

의 이기심이다 즉 신뢰를 어기면서도 어떠한 행동을 하게 되면 그 신뢰를 어겨서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2

겪는 피해보다 자신이 얻는 것이 더 많을 때 배신행 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극단

인 로 한 폭력조직에서 조직성원들의 신뢰를 버리고 조직의 비 을 설하게

해야 할지 고민이 될 때 조직의 보복은 두려우나 그로 인해 자신에게 엄청난 이익

이 생기게 되면 결국 조직의 비 을 설한다는 것이다 이보다 더 일상 인 를

하나 들어보자 친구가 lsquo다른 친구들에게 로 말하지마rsquo라고 그 친구의 비 을 나

에게 얘기해주었다 그 친구는 나의 친한 친구 기 때문에 자신의 비 을 나에게

몰래 털어놓았다 하지만 그 비 을 다른 친구에게 나는 lsquo다른 이에게는 로 말

하지마 그 친구가 알면 나 큰일나rsquo라고 말하면서 그 친구의 비 을 알린다 이 때의

이기심은 경우에 따라 다르겠으나 비 정보를 나만이 알고 있다는 것을 다른 이에

게 알리고 과시하고 싶은 욕구의 이기심이다 이러한 배신 행 에 해서는 어느 사

회 어느 인간을 막론하고 냉엄하게 응한다 최상진에 의하면 배신자라는 말 자체

의 사 의미가 lsquo등을 돌린다rsquo라는 것으로 이는 완 히 자신에게 등을 돌린 사람

남남인 사람을 의미한다(20027) 신뢰를 버려야했던 행 로 인해 얻어지는 이익

에 기뻐하지만 신뢰를 버린 행 가 도덕 으로 규탄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자신 스스로 괴로워한다 친한 친구들에게 돈 사기를 친 이들이 자수를 하는

경우에는 이 양심의 소리가 주는 고통이 단히 컸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치의 감정

은 스스로 양심의 가책을 느껴 생기는 자괴성(self-shamed)이다 한국사회는 이기

심에서 발 된 배신행 에 해서 그 처벌을 엄격하게 하여 사회에서 완 소외되

게 하거나 스스로 극도의 자괴감을 가지도록 하는 사회담론을 형성해 왔다 이는

사회에서의 신뢰를 무엇보다 시해온 한국사회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정보사회에서 신뢰의 괴는 그 다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 먼

익명성에 자신을 숨기고 다른 이들의 사생활정보를 헤쳐 이를 악용하는 것이

표 인 사례다 사이버공간에서는 자신의 사생활정보를 나의 동의없이 다른 이에게

공개하지 못할 것이라는 lsquo시스템안 에 한 신뢰rsquo가 작동된다 그 기에 인터넷 쇼

핑 인터넷 뱅킹 등이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단히 험한 일이기도 하다 경

제 이윤으로 직결되는 사생활정보를 외부로 팔아넘겨 얼마든지 이윤을 챙길 가능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3

성이 항상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8년 옥션사태 SK사태에서 잘 나타났듯이 우

리의 사생활정보는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기업 혹은 해커들에 의해 노출될 험

이 있다 이때 신뢰는 개인과 개인 사이에서의 문제를 넘어서 개인과 체계의 문제가

된다 개인 수 에서도 신뢰의 괴는 쉽게 이루어진다 역시 익명성이라는 속성

상 나의 본체가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내가 신뢰를 괴하더라도 그 책임으로부

터 숨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 다면 사이버공간에서 신뢰의 괴가 생길 때 이에 한 응은 어떻게 이루

어지는가 이 사회에서는 신뢰의 괴를 한 이를 색출하여 이를 공동체에서 배제

를 시킴으로써 체조직의 신뢰를 유지하 다 이를 해 엄격한 법 체제가 마련

되었음은 물론이다 개인 한 이러한 신뢰 괴 행 에 해 자괴성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하지만 사이버공간에서는 이러한 배제행 와 자괴성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이 군지를 숨길 수 있는 익명성이라는 사이버공간의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신뢰를 괴하는 행 가 특히 개인간의 차원에서 벌어졌을 때 신뢰

를 괴한 이를 찾아내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사이버공간에서 축출을 한다고 해도

그는 다른 익명성 혹은 가명성으로 새롭게 신뢰 괴행 에 나설수 있다 재 사

이버테러에 응하는 사법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사이버공간의 본질 속성상

그 논의 자체가 쉽지 않는 상태이다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25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 자본 축 을 해

지 까지 정보사회의 신뢰에 있어서 신뢰의 형성구조 신뢰의 표출형태 신뢰의

상 신뢰의 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심으로 그 변화의 측면을 논해보았다 먼

이 사회에서는 연 지연 학연 등을 심으로 하는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

뢰가 형성되었던 반면 정보사회에서는 연고 보다는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하

면서 그 계의 끈이 비교 느슨한 lsquo약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뢰가 형성되는 상

이 발생하고 있다 이때 약한 연 에서 경험되는 것은 익명의 존재들 간에 호혜 으

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며 이 호혜성의 경험이 상 방에 한 신뢰를 갖게 한다

이때 신뢰는 물질 이익을 주고 받으면서 생기는 것이라가 보다는 함께 무엇인가

를 즐기고 공유하면서 생기는 lsquo친 감rsquo에 기 한 신뢰의 의미가 강하다 한편 기존의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한 신뢰 역시 정보사회의 표 공간인 사이버공간을 통해서 재

생산되는 측면이 있다 문제는 신뢰의 표출형태이다 약한 계에서 형성된 신뢰라

면 보다 개방 인 신뢰의 모습을 지녀야 하지만 한국사회에 있어서는 그 지 못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즉 기존의 사회에서 뚜렷이 나타났던 lsquo자기 집단에 한 극

단 신뢰rsquo와 lsquo타 집단에 한 극단 불신rsquo이 그것이다 설령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한 신뢰 계가 그 집단내에서는 형성되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취향과 감정을

공유하는 타집단에 해서는 극단 불신을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한국사회

의 공론장 형성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다원 가치에

한 인정의 결핍은 한국사회의 아킬 스건이다 신뢰의 상의 문제에 있어서 이

사회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상은 공식 으로 인정받은(학 등을 통해) 문

가들이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소수의 문가들에 한 신뢰의 수 이

떨어지고 오히려 다수의 비 문가들이 집단 으로 생산해낸 지 가치에 한 신뢰

의 수 이 높아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뢰를 괴하는 행 가 정보사회에서는 그

익명 공간 안에서 손쉽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을 지 하 다 한 이 배신의 행

에 해 과거에는 배신자를 공동체에서 축출하는 것으로 응하 는데 정보사회

에서는 이 배신자 자체를 찾아내기가 단히 어렵다는 난제를 지니고 있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6

한 사회가 보다 인간다운 사회의 모습을 지니기 해서는 사회 자본의 축 이

필수 이며 이 사회 자본의 핵심이 사회 성원들 간의 신뢰이다 사회 자본의

축 을 통한 기회비용의 감소 뿐만이 아니라 공동체성의 회복의 가능성을 제기한

콜만과 퍼트남의 을 받아들이면서 우리는 이제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모습을

통해 새로운 사회 자본의 가능성을 논할 수 있다 개인들이 고립되어 있는 상태를

벗어나 계를 복원시켜야 한다는 퍼트남의 논의는 재 한국사회의 상황에서는 아

쉽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미 개인주의가 확산될 로 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 계가 분명 사이버공간에서 생성되고 있음은 사회

자본의 축 가능성을 다시 제기하게 한다 과거와 같은 형태의 공동체가 아닌

마페졸리(Maffesoli) 등이 제기하는 lsquo부족rsquo 형태에 기반한 사회 자본을 논할 수 있

게 된 것이다 하지만 여 히 lsquo편 가르기rsquo라는 한국의 사회문화 특성으로 인해 이

신뢰 계가 극단 편나 기 양상으로 번지곤 하는 것은 안타까운 실이다 황우

석 사태에서도 잘 나타났듯이 자신들 편의 말만 믿으면서 다른 이들에 한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성 토론 보다는 감정 비난이 앞서는 의사소통 형

태가 사이버공간에서 그 로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사회 자본

을 축 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의 장인 공론장의 형성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정보

사회에서의 공론장은 특히 사이버공간으로 확장되어 있는 특성을 지니는데 이때

사이버공간의 익명성이라는 특성상 이성 의사소통이 더욱 어려워지는 한계를 지

니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무엇보다 의사소통하는 상 방에 한

감을 보다 높이고 의사소통을 원만하게 해주는 재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

으로 응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27

참 고 문 헌

김신동 2001 lsquo정보와 사회 신뢰rsquo 「신뢰연구」 제 11권 통합호 한림과학원

박찬웅 1998 lsquo신뢰의 기와 사회 자본rsquo 1998년 후기사회학 회 발표집

박희 이희창김동욱김철수박병래 2002 한국인의 신뢰 수 향 요인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3호

윤민재 2004 lsquo신뢰와 사회자본에 한 사회 이해rsquo 「신뢰연구」 한림과학원

장원호 2004 985172사이버커뮤니티와 사회 계의 변화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장형유정기한 2004 lsquo인터넷 쇼핑몰에서 고객신뢰 태도 계몰입과 구매의도의

구조 계에 한 연구rsquo 「한국마 」 한국마 학회

최상진김의철김기범 2003 lsquo한국사회에서의 인 계속의 신뢰와 불신의 기반

으로서의 마음에 한 문화심리학 근rsquo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최항섭 2004 985172IT가 인 연결망과 공공선(public interest)에 미치는 향연구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Barney Darin 2004 The Network Society Cambridge Polity Press

Burke Peter 2000 A Social History of Knowledge Cambridge Polity Press

Castells Manuel 2001 The Internet Galaxy Reflections on the Internet Business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Condorcet Antonie-Nicolas Marquis de 1794 Sketch of the Progress of the

Human Mind Except trans by J Barra Clough 1955 pp800-10 in Peter

Gay The Enlightment A Comprehensive Anthology New York Schocken

Books

Goldman Alvin I 1999 Knowledge in a Social world New York Oxford Uni-

versity Press amp Clarendon Press

Hakken David 2003 The Knowledge landscape of Cyberspace New York Routledge

Lyotard JF 1979 La condition postmoderne Paris Minuit 이 복 역 「정보사

회에서의 지식의 상」 1992 서 사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8

Mannheim Karl 1936 Ideology and Utopia Harcourt Brace amp World

Star Susan Leigh 1995 The Cultures of Computing Oxford Blackwell

Page 5: 최 항 섭 - KISDI · 2009-08-17 · 최 항 섭 ․jesuishs@kisdi.re.kr, 02-570-4090 ․프랑스 파리 5대학 사회학부 박사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초빙전문위원

Ⅱ 신뢰의 이해

7

Ⅱ 신뢰의 이해

1 신뢰의 개념

신뢰에 해서는 다양한 정의가 존재지만 일반 으로 신뢰는 어떤 개인이나 집단

의 미래의 행 에 해 나의 기 에 맞게 그 행 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측할 수

있는 것을 뜻한다 사 인 의미에서 본다면 신뢰는 lsquo진술의 진리나 사물이나 사람

의 속성을 믿는 것rsquo으로 정의된다(윤민재 2004에서 인용) 나의 친구는 약속 로 나

의 비 을 지켜주겠지 나의 회사는 계약한 로 나의 퇴직 을 보장해주겠지라고

믿는 것이 신뢰이다 신뢰의 다른 정의로는 lsquo상 방이 기회주의 으로 행동하는

것에 한 우려로부터 기인하는 이 의 기 rsquo가 있다(Bradach and Eccles 1989 장

형유 2004에서 재인용) 이는 나와 계를 맺고 있는 상 방이 나를 배신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 의 정도가 바로 그 상 방에 내가 보내는 신뢰의 정도와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근본 으로 볼 때 신뢰는 한 사회가 유지되는 데 꼭 필요한 요소이며 여러

학자들에 의해서 신뢰는 사회가 가져야할 표 인 자본으로 인식되어 왔다 퍼트

남에 의하면 신뢰는 사회자본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 인 요소로 개인과 단체생활

공공활동에 있어서의 행태 태도 성향에 기 가 되는 통합된 개념이다(Putnam 1993a

박희 2000에서 재인용) 사람이 사람을 믿고 사람이 조직을 믿고 조직이 조직을

믿는 lsquo신뢰rsquo는 한 사회를 존속시키는 핵심이다 이러한 신뢰는 일반 으로 한 사회의

공공이익에 이바지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개인간의 계에서 서로가 서로를 믿는

계가 되면 그들 간에는 상호정보공유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러한 정보 공유

는 각 개인들이 더욱 효율 으로 사회생활을 해 나갈 수 있게 해 다 이러한 개인

이익의 합이 공공이익으로 발 하게 된다는 것이다 어느 곳에서 싼 상품이 있는 지

에 한 정보를 친한 친구들끼리 공유를 하게 되면 그들은 효율 인 소비를 할 수

있을 것이며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이러한 일들이 많이 벌어지게 되면 사회 체로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8

도 도움이 될 것이다 사람과 사람간의 끈끈한 정과 신뢰의 계 자체도 한 사회가

갖고 있는 자본이 된다 퍼트남은 이러한 개인간의 정과 신뢰의 계가 사회 체에

퍼지게 되면 될 수록 그 사회는 근 화된 시민사회 민주화된 시민사회로 발 해나

갈 것이며 한 마디로 더 행복한 사회가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박찬웅(1998) 역시

신뢰는 개인들간의 감시와 통제 비용을 일 수 있게 해주는 에서 보다 효율 으

로 일을 하게 해주는 에서 사회 자본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서로 신뢰를 하고 거래를 한다 하더라도 그 거래가 다른 이들의 이

익을 담보로 하는 것이라면 얘기는 달라진다 를 들어 믿을 수 있는 친구들끼리

시험에 한 정보를 몰래 공유를 한다면 그들의 성 은 오르겠지만 다른 학생들은

이로 인해 불이익을 받게 된다 이와 련 박희 (2002)는 한 지 을 한다 즉

퍼트남의 주장 로라면 개인들이 단체 활동을 많이 하게 되면 그 과정에서 생기는

개인 계들이 더 공고해지고 한 개인이 갖게 되는 신뢰의 양도 늘어난다는 것인데

문제는 꼭 그러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를 들어 종친회 동창회 친목회 등에서

양산되는 신뢰의 제고가 꼭 국가 체의 신뢰의 제고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것이

다(박희 2002204) 연고주의에 한 비 에서도 알 수 있듯이 연 학연 지연

등에 기반한 단체활동에 있어서 그 단체내의 이익은 증가하겠지만 단체내의 외

폐쇄성으로 말미암아 사회 체로 보아서는 불이익이 증가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신뢰는 사람에 따라 다른 것인가 어떤 사람은 무 쉽게 사람을 믿어버

리는 반면 어떤 사람은 일단 의심부터 하기도 한다 사람을 무 믿어 사기를 당해

경제 피해를 입는 사람이 있는 반면 사람과 제도를 무 불신하여 오히려 사회

계에서 소외된 사람도 있다 이 게 사람에 따라 어떤 상에 보내는 신뢰는 달라진

다 이 논의를 해서는 한 개인의 행 와 인식에 향을 미치는 사회화 경험에

한 이론을 끌어올 수 있다 구조주의이론에 따르면 한 개인이 어떠한 지 를 갖고

있으며 재산은 얼마를 갖고 있고 어떠한 학력을 가지고 있는 지 어떠한 사회화 과

정을 거쳐왔는 지는 그 개인이 사회를 보는 에 직 인 향을 미친다 신뢰에서

도 마찬가지이다 한 개인이 다른 개인들 집단들을 신뢰하는 정도는 그 개인의 사

Ⅱ 신뢰의 이해

9

회경제 배경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우리는 일반 으로 인식하기를 사회에 높은

지 에 있는 사람들은 그 지 않은 사람들보다 타인에 해 신뢰도가 낮다고 생각

한다 그 이유는 그 지 에 올라가기까지 많은 사람들과의 경쟁을 거쳤기 때문에 사

람들을 믿어야 할 상이라기 보다는 자신과 경쟁하고 언제나 자신의 자리를 노리

는 믿을 수 없는 상이라고 여길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한편 사람의 능력에

한 신뢰를 생각해보면 학력 역시 신뢰의 수 에 향을 미친다 명문 졸업을 한

이들의 특성 하나는 비명문 출신의 사람들의 능력을 쉽게 믿지를 못한다는 것

이다 이는 명문 에 들어오기 이 고교 생활에서 성 순으로 능력을 평가하는

교육시스템속에서 자라왔기 때문이다 즉 고교 때 공부 못했던 이들은 사회에

나와서도 여 히 능력이 부족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사회화 과정에서 주

에 믿을만한 친구들이나 친지들이 은 사람은 일반인들이나 사회제도에 보내는

신뢰도가 낮을 것이다

2 신뢰의 형성 조건

신뢰는 그 다면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형성되는가 내가 다른 사람과 다른 집단

에게 신뢰를 보내기까지의 과정은 어떠한가 나는 다른 사람과 다른 집단을 무턱

고 신뢰 할 수는 없으며 그 사람과 집단에 한 직 경험과 간 경험에 기

해서 신뢰를 주고 안주고를 결정한다 주커에 의하면 신뢰는 그것이 생기는 과정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나 어 생각할 수 있다(윤민재 200417에서 재인용) 첫째 주체

간의 상호교류과정에서 생기는 신뢰가 있다 오랜 이웃간의 계나 오랜 거래처 사

람간의 계가 좋은 이다 둘째 주체들이 동일한 집단에 속하여 생기는 신뢰가

있다 종교집단 성원들 사이에서 생기는 신뢰가 좋은 이다 그런데 이 두 종류의

신뢰는 완 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동일한 집단에 있게 되면 상호교류가 늘어나

게 될 가능성이 크며 상호교류가 잦게 되면 동일한 집단을 구성할 가능성도 크기

때문이다 셋째의 유형은 주체가 아니라 제도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신뢰이다 를

들어 온라인으로 물건을 구매할 때 외 으로 인지도가 있는 사이트에서 구매를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0

하는 것은 그 사이트가 실명인증제도 안심거래제도 등 고객의 정보를 안 하게 처

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우리가 신뢰를 보내기 때문이다

이 두 번째 종류의 신뢰 즉 동일한 집단 혹은 같은 편에 속해 있으므로 그 집

단의 성원에게 가지는 신뢰에 해서 최상진(2002)은 그것이 신뢰에서 가장 요하

게 취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에 의하면 신뢰는 사람간의 믿을 수 있는 행 의

반복으로 인해 생기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보다 요한 것은 가족으로 태어났거나

같은 종교집단에 속하거나 하는 lsquo우리집단rsquo에 속해 있음으로 마음으로서 우러나오는

신뢰이다

최상진(2002)에 의하면 신뢰에서 가장 요한 것은 lsquo마음rsquo이다 내가 나의 아내에

게 보내는 신뢰는 아내가 나를 믿게하는 특별한 행동을 하지 않더라도 그녀의 마음

에 한 신뢰이다 즉 그녀가 나를 배신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특별한

행동을 하지 않아도 그녀의 마음을 믿는다는 것이다 한국인의 신뢰에 있어서 특히

요한 것은 사람들간의 오고가는 계약 계가 아니라 사람들간에 오고가는 정이다

즉 어떤 사람을 믿는가 안 믿는가는 그 사람과 내가 얼마나 친한가의 여부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서구에서는 약속을 얼마나 잘 지키는 가와 같은 합리 행 의 여부

가 그 사람의 신뢰도에 결정 인 향을 미친다면 한국에서는 그러한 합리성보다

는 그 사람이 얼마나 나하고 친한가 나와 얼마나 가까운 사이인가가 그 사람의 신

뢰도에 결정 인 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윤민재(2004) 역시 사회에서 신뢰를

키우는 데는 친 성이 요하다고 주장한다 그에 의하면 사회에 들어서 개인

주의가 이기주의로 변질되고 서로가 서로를 경쟁상 로만 생각하는 풍토 속에서

우리가 보다 인간답게 살고 보다 발 하는 공동체를 건설하기 해서는 서로의 친

감의 강화를 통해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선무이다 기든스(1994) 역시 lsquo친 감

은 신뢰에 한 골자rsquo라고 주장하 다(199481 윤민재 2004에서 재인용)

이러한 맥락에서 어떤 사람을 신뢰하려면 그 사람의 lsquo마음rsquo을 알아야 한다 갑이

을에게 신뢰를 보내고 있다면 갑이 을에게 신뢰하는 것은 을의 행동이라기보다는

Ⅱ 신뢰의 이해

11

을의 정직한 마음이다 심리학 이론은 이와 련 행동은 마음에서 나온다고 보고 있

다(최상진 20022) 물론 약속을 지키고 싶은 마음이 있어도 약속을 못 지킬 수도

있고 약속을 별로 지키고 싶지 않지만 약속을 지키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부분의 사람은 자신의 마음이 말하는 것과 역행하는 행 를 하기 보다는 마음이

말하는 바에 따라 행 를 한다 하지만 마음이 없는 데 행동만 하거나 마음이 있어

도 행동을 못하는 경우가 지속될 경우에는 그 사람 역시 신뢰를 상실하게 된다

로부터 가장 믿을만한 사람으로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사람을 꼽았고 반면 가장 조심

해야할 사람으로 말과 행동이 다른 사람을 꼽아왔지 않은가 한 사람이 다른 사람으

로부터 신뢰를 얻기 해서는 자기가 한 말에 책임을 질 수 있는 행동을 해야 한다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3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 신뢰의 형성 구조 강한 연 에서 약한 연

정보사회 이 신뢰의 형성 구조는 가까운 사람들간의 연 와 일체감의 구조 즉

강한 연 의 구조 다 신뢰는 최상진(20024)에 의하면 lsquo가족 아주 가까운 친구

계 함께 운명을 같이하는 집단과 같은 특수한 착 계에 있는 사람들 사이에 서

로 믿고 편하게 의지할 수 있는 마음의 연 와 일체감rsquo의 구조를 기 로 형성된다

쉽게 풀이하면 이미 친하게 알고 지내는 사람들 간에 생기는 서로에 한 믿음이라

는 것이다 이는 그 사람은 나를 배신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보는 믿음이다 최상진

의 개념에 따르면 lsquo우리성rsquo을 지니고 있는 이들이 서로간에 가지는 믿음이다 여기서

우리성이란 말은 lsquo우리편의 계rsquo를 의미한다 한 조직이 강한 통합성을 지니려면 그

조직의 경계를 공고히 해야 한다 조직의 경계를 공고히 하기 해서는 다른 조직과

의 차별을 뚜렷하게 해야 한다 그래야 그 조직내의 성원들 사이에는 강한 신뢰와

동질감이 생성된다 한 조직내에 있다는 느낌은 조직내의 타 성원들에게 높은 수

의 신뢰를 갖게 한다 특정 종교 신자들이 단지 같은 종교 신자라는 이유로 일단 상

방에게 신뢰를 보내곤 하는 것이 표 인 이다 이때 다른 종교의 신자에게는

같은 수 의 익명의 사람이라도 같은 수 의 신뢰를 보내지 않는다 이는 어떻게

보면 비합리 인 행 인데 이와 련 최상진은 lsquo한국인의 우리성 계는 모르는 사

람을 포용하는 자기 확 우리성 이라기 보다는 이들을 우리 편에서 배제시키는

우리성의 성향을 갖는다rsquo라고 지 한다 이는 유스래 (2002)에 의하면 특수화된 신

뢰이다 그에 의하면 lsquo특수화된 신뢰란 자신이 믿는 가치를 공유하는 사람들만 믿는

것을 의미하며 외부의 집단의 성원에 해서는 먼 불신부터 하고 보는 것을 의미

한다rsquo(윤민재 2004에서 재인용) 우리성의 신뢰 특수화된 신뢰는 모두 강한 연 를

기반으로 함은 물론이다

강한 연 의 신뢰는 사 신뢰의 공 신뢰에 한 상 우 로도 해석할 수 있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4

다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한국인은 사 신뢰는 높은 반면 공 신뢰는 약하게 나타

난다 즉 나와 가까운 친지들이나 친구들에게는 폭 인 신뢰를 보내는 반면 정부

국회 혹은 내가 모르는 익명의 타인들에게는 불신을 보내고 있다는 것이다(이재

1998 박찬웅 1999 김신동 2001에서 재인용) 한편 사 신뢰의 지나친 의존도와

약한 공 신뢰는 한국사회의 발 을 해하는 요소로 여겨진다 연 지연 학연을

기 로 한 소규모 연고집단에서 표 으로 나타나는 사 신뢰는 한국사회의 공공

선을 해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한 약한 공 신뢰는 사회 체에 불신

풍조를 갖게 하여 사회가 효율 으로 돌아가는 데 제동을 걸게 한다 특히 정부와

국회 제도에 한 높은 불신도는 신뢰의 상 측에 원인에 있으며 국민들이 가지

고 있는 선입 역시 사회 발 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때로 정부가 효율

인 정책을 가지고 나와 이를 강하게 추진하고자 할 때에도 일단 불신의 부터

보내는 언론과 국민들에 의해서 이 시도가 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서 사람들간의 신뢰의 형성 구조는 새로운 양상을 보인다 즉

꼭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이 아니라도 계를 형성하며 익명의 상과도 서로 호혜

인 행 를 하는 즉 약한 연 를 통해서도 신뢰가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정보사회의

표 인 공간인 사이버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호혜 행 ( 지식

검색)는 새로운 의미로 신뢰를 형성시킨다 지 않은 학자들은 사이버공간에서의

신뢰형성에 부정 이었다 특히 신뢰라는 것은 면 면 계의 지속 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인데 익명성과 상호작용의 비지속성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공

간에서 신뢰가 제 로 형성되겠느냐는 것이다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사이버공간에서 형성되는 약한 연 의 계는 지속

으로 증가했고 그 과정에서 여러 가지 부정 인 상들도 발생하 지만 과거에는

생각할 수 없었던 즉 모르는 이들에 한 신뢰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 때 모르는

이들은 완 히 모르는 이들이 아니다 내가 그 사람의 아이디를 알고 있고 그 사람

과 채 등을 통해서 화를 나 경험이 있거나 내가 요청한 도움에 그 역시 나를

잘 모르는 상태에서 기꺼이 응해주었던 경험이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5

사이버공간에서 신뢰가 형성되는 것은 호혜성 계를 통해서도 이해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감정과 취향의 공유를 통해서도 이해될 수 있다 나와 같은 것을

좋아하는 내가 느끼는 감정을 같이 느끼는 이들이라면 인간은 그 사람에게 신뢰

를 보내게 된다 이는 기든스가 얘기했던 lsquo친 성의 신뢰rsquo와 같은 맥락이다 이 때 사

람들간의 계는 여 히 그 사람이 구인지 잘 모르는 언제 헤어질 지 모르는 헤

어져도 그만인 약한 연 의 계이지만 감정과 취향의 공유를 통해서 신뢰가 형성

되어지는 것이다 강한 연 의 계에 있지만 나와 완 히 취향이 달라 친 감을 느

끼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반면 약한 연 의 계에 있지만 나와 취향이 같아 친

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후자의 경우가 정보사회에서의 논의될 수 있는 의미있는

형태로의 신뢰이다

정보사회에서의 신뢰는 비단 사이버공간에만 국한해서 논의될 필요는 없다 정보

사회에서도 여 히 이 사회에서의 강한 연 의 신뢰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지

만 시간과 공간의 제약 때문에 이 강한 연 의 지속이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그 연 의 유지를 해 사이버공간을 활용하고 있기도 하다 즉 사이버공

간에서의 계는 내가 모르고 있는 사람과의 계만이 있는 것이 아니다 내가 이미

알고 있는 사람과의 계 역시 존재한다 장원호(2004)의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많

은 경우 실공간에서의 계는 사이버공간으로 옮겨져 연장된다 이는 기존의 신

뢰 계를 재생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학교의 친구들 동창들 옛날 동네친구들 떨어

져 사는 가족들에게 있어 사이버 공간은 시간과 공간을 월해서 서로의 안부를 확

인하고 서로의 정을 나 며 상호신뢰를 지속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공간이다 최근 필

자(2004)의 연구결과를 보면 인터넷과 같은 정보통신기술은 사회성원들이 맺고 있

는 계의 인 연결망의 도를 높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터넷으로 인

해 이미 친한 이들과 더욱 친해지고 있는 것이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6

2 신뢰의 표출형태 극단성의 지속

정보사회에서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가 새롭게 형성되고는 있지만 그 표출형태

에 있어서는 이 사회의 신뢰 표출형태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즉 극단 신

뢰와 극단 불신이라는 형태로 표출되는 것을 말한다 그 이유는 사회문화 특성

에서 찾아져야할 것이다 이미 여러 조사를 통해서 한국사회의 신뢰의 특성은 내집

단에 한 극단 신뢰 타집단에 한 극단 불신이 밝 진 바 있다 박희

(2002)은 신뢰의 상으로 개인 단체 공공기 등 다양한 상들을 설정하여 국민

들이 이 상들에 갖고 있는 신뢰도는 어떠한 지 국민들의 개인 지 와 성향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연구하 다 이 조사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

들의 신뢰도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학교친구 고향친구 등 개인 으로 이미 친분

이 있는 사람들에 한 신뢰도는 매우 높은 반면 모르는 사람 알더라도 약간

아는 사람들에 한 신뢰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한마디로 말해 아는 사람은

으로 믿고 모르는 사람은 우선 의심하고 본다는 것이다 친한 사람에게는 차용증없

이도 돈을 빌려주는 사람이 모르는 사람이 길거리에서 1000원을 빌려달라고 하면

단호히 거 하는 것이 한국사회이다 사 신뢰에서도 가족 친구 친척 등 연 학

연 지연 등으로 얽 있는 인 계에 있어서의 신뢰도가 직장동료 사회동료 등

도구 계로 얽 있는 인 계에서의 신뢰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때 공 신

뢰의 낮은 수 은 압축 근 화를 거치면서 생긴 소 lsquo체계rsquo 역에 한 총체

인 불신에 기인한다 의 조사결과 특히 정부 국회 등 공공 역에 한 신뢰가

단히 낮게 나타났다 끊임없이 터져 나오는 공직자 부패사건들을 경험하면서 국민

들이 공직자와 그 조직에 해 지니고 있는 불신은 이미 최고조에 달해있는 상태이

다 공 역에 한 배신감 불신은 내가 아는 사람들에 한 극단 인 신뢰로 이

어졌다 즉 친한 사람은 무조건 믿고 모르는 사람은 일단 의심부터 하고 보는 경향

이 강하다는 것이다 이는 내편의 사람은 바로 lsquo내편이기 때문에rsquo 믿고 다른 편의 사

람은 바로 lsquo내편이 아니기 때문에rsquo 의심한다는 의미이다

정보사회와 련 사이버공간에서도 이러한 극단 신뢰와 극단 불신은 그 로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7

나타나고 있다 를 들어 자신과 같은 입장을 지닌 사람의 말은 화의 주제와

련 없는 말도 믿으면서 자신과 입장이 다른 사람은 다른 집단으로 가라고 하면서

그 사람의 말을 불신하는 것이다 그 다면 왜 이 게 한국인들은 내편 네편을 나

기를 좋아하고 내편을 끔 이 아끼고 사랑하고 무조건 믿지만 네편은 심할 정도

로 배척하고 불신하는가 최상진(2002)은 이는 내편에 속하여 얻는 심리 이고 실

질 인 만족이 서구에 비해서 단히 크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20029) 즉 사이

버공간에 한국사회의 편가르기의 특성이 투여되며 실공간의 수 을 넘어서는 상

호간의 불신이 생길 수도 있다 이와 련 사이버공간에서의 토론을 보면 간 성향

의 논의가 존재하지 않는 경향이 뚜렷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김은미(2004)의 최

근 조사에서 ldquo사이버공간에서의 의사소통에서는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편과 내가

틀리다고 생각하는 편만 존재한다rdquo고 주장한 바 있다 이 두 편은 확연하게 나 어

져 자신들의 의견이 옳음을 입증하려고 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객 인 의견개

진보다는 상 방이 틀림을 비난하는 감정 들이 오고 가며 이 과정에 계속됨에

따라 애 의 이슈는 사라지고 서로를 비난하는 감정만 남게 된다 이때 이 토론에

참여한 이는 내가 알지도 못하는 얼굴도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미움을 사게 되며

그 한 익명의 타자에게 불신과 미움의 감정을 품게 된다 이러한 상은 사이버공

간이 불신을 생산하는 장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다 최상진이 말한 우

리성의 부정 효과가 사이버공간에서의 신뢰의 하로 나타나는 것이다

3 신뢰의 상 성의 약화와 다수성의 신뢰

정보사회의 특성 하나는 바로 이 사회에서 인 신뢰의 상들의 상

이 하되고 있다는 것이다 표 인 것이 바로 소 문가에 한 신뢰의

약화이다 이는 지식의 상변화에 기인한다 즉 근 이후 지식의 가치를

드높 던 문가들이 그 실용성에 있어서 더 이상 평가를 제 로 받지 못하고 있으

며 오히려 나에게 정말 필요한 지식들을 생산하여 달해주는 수천 수만의 비 문

가들의 지식의 가치가 더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소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8

에 한 신뢰 상이다

정보사회 이 의 지식의 상을 먼 살펴보자 지식은 생성되는 과정에서의 과

학 이론 지 능력을 요구하 으며 따라서 일반인들에게는 습득하기 어려운 것

이었으며 소수의 지배계층은 이러한 지 능력을 부여받기 한 교육을 받을 수 있

는 특권을 렸다 지배계층은 지식만이 세상을 이롭게 할 수 있다는 생각을 리

유포했으며 스스로도 그 게 확신하 다 즉 지식만이 일반인들의 무지 야만 노

성을 극복하게 해주어 세계를 구할 것이라는 계몽주의 사고방식을 가졌던 것

이다 반면 일반인들이 일상의 경험에서 축 한 지 가치들은 과학 으로 증명된

바가 없고 논리성 한 갖추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지식에 비해 그 가치가 단히

떨어지는 것으로 인식하 다 과학 지식은 보편 방법을 통해 증명되고 보편

법칙들을 추구하기 때문에 만인에게 도움을 다고 보는 반면(Condorset [1794]

1973 803805) 들의 경험은 보편 법칙을 추구한다기 보다는 일상의 개인에

게 도움을 주는 것을 주 목 으로 하기 때문에 그 가치가 지식에 비해 못 미친다고

보았던 것이다 지식은 근 시기에 최고의 지 가치로 인정받았으며 이는 지식만이

lsquo사실rsquo을 담아내고 과학 으로 증명되었기 때문에 lsquo불변 rsquo이고 사회와 역사의 변화

에 향을 받지 않는 lsquo rsquo으로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 상을 정립하 다

하지만 정보사회로 어들면서 지식은 그 신뢰에 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통 시각에서의 지식은 그것이 불확실하거나 이 게도 혹은 게도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아니라 확실하고 어떤 경우에도 lsquo거짓이 아니고 참rsquo인 것으

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문제는 무엇이 lsquo진실rsquo인 것이냐는 것

이다 lsquo진실rsquo은 원히 불변 인 것인지 아니면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이기도

한 것인지에 한 의문 한 제기되어 왔다 만하임 역시 과거에 진리로 군

림했던 lsquo정 과학rsquo(exact science)에 한 신뢰성이 오늘날 심하게 흔들리고 있다고

지 한 바 있다(Mannheim 1936271)

만하임에 의하면 우리 인간이 일상생활에서 맺고 있는 사회 계 그 계 속에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9

서의 역할 그 역할을 수행하면서 갖는 존재의식 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사회속에

형성된 지식들을 제 로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Mannheim 1936267-8) 만하

임의 이러한 역사주의 에서 골드만 한 지식은 믿음을 내포하고 있는 데 이

믿음이라는 것이 사실은 lsquo사회 으로 구축된 것rsquo(socially constructed)이라고 주장한

다 그에 의하면 지식은 언제나 lsquo지엽 rsquo(local)인 것이며 상황에 따라 규정되는 것

(contextual situated)이다(Goldman 199921) 그는 특히 하나의 지식이 지엽 이

고 상황결정 인 이유로서 지식은 언제나 특정한 개인이나 특정한 이해그룹에 의해

서 지식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 다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라는 것은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하

나의 단수의 지식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 상이 발생

한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인 복수의 지식들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Burke

2000 13) 하 역시 지식은 하나의 단수 인 것이 아니며 지식을 받아들일 때도

그 지식이 형성된 과정을 이해하면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 다(Hakken

200313) 만하임에 의하면 인간의 생각과 아이디어들은 몇몇 한 인물들이 내

놓은 업 물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집합 경험에 의해서 탄생되는 것이다 그리

고 이 집합 경험은 공통의 분모를 가지는 동시에 상이성 한 가진다 존재하는

것은 하나의 상에 한 하나의 지식이 아니라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서로 충돌하고 경합을 끊임없이 하는 복수의 지식들이다(Mannheim 1936

269) 이 스타는 lsquo지식은 복수로 존재하면서 다른 지식들과 복합 상호 계속에

서 존재하며 그 기 때문에 지식은 생태 (ecologic)이다rsquo라고 보았다(Star 1995)

이 게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고 복수로 존재한다는 사실은 지식에 한

신뢰에 있어서도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한다 즉 지식에 한 신뢰는 맹목 일 수 없

다는 것이다 세 근 의 시각에서 보면 지식에 한 신뢰는 지식을 보유하고 생

성하는 권력집단의 정당성에 한 수동 수용에 기인하 다 그러나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주체 다양한 집단들이 지식생산과 비 에 참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 사회에서 형성되었던 지식들의 신뢰성이 약화가 되었고 지식을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0

생성하는 유일한 집단으로 믿어졌던 문가군에 한 신뢰 역시 약화되고 있다

지식의 성에 한 신뢰의 변화가 정보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주장의

다른 근거는 정보사회의 핵심콘텐츠인 lsquo정보rsquo의 상 변화를 통해서도 뒷받침될 수

있다 70년 에 사회학자 투 과 벨은 탈산업사회의 도래를 견하면서 탈산업사회

에서 요하게 되는 것은 노동의 힘과 자연에 지가 아니라 바로 lsquo정보rsquo일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 정보사회에 들어서는 lsquo정보rsquo를 어떻게 수집하고 활용하는가가 부의

원천이 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arny 20046) 일본의 미래학자 마슈다는 2000년

에는 정보사회가 산업사회를 체할 것이며 이 시기에는 물질 가치의 생산이

덜 요해지고 신 정보의 량생산과 공유가 단히 요해질 것이라고 내다보

았다(Barny 20048) 최근 각 을 받고 있는 정보사회학자 카스텔스에 의하면

재 우리가 사는 세계의 사회 정치 경제 행 의 지 않은 부분이 lsquo정보의 흐름rsquo

(flows of information)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든 역에 걸쳐 정보가

구에게서 출발하여 어떤 경로로 구에게 도착하는가 어떤 정보들이 공유 독

되는가가 요한 사회 이슈로 두되고 있는 것이다(Castells 19981) 리오따르 역

시 과거에 국가들은 토와 원자재 그리고 노동력을 쟁취하기 해서 쟁을 하

으나 앞으로는 보다 가치있는 정보를 쟁취하기 해 치열하게 경쟁할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Lyotard 1979) 버크는 정보의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정보를 사고

는 상품으로 취 해야 하는가 아니면 정보를 사회성원들의 공공이익을 하여

구나 공유해야할 것으로 취 해야 하는가가 요한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고 말하

다 그는 21세기를 후하여 두되고 있는 정보와 정보기술의 요성에 비추어볼

때 후 의 역사학자들이 이 시기를 lsquo정보의 시 rsquo(age of information)라고 명명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urke 20001)

그런데 이 정보는 지식과는 달리 문가들이 아닌 일반인들에게서도 쉽게 공유되

고 확산될 수 있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공유행 의 증은 지 가치들의 유통을

빠르게 효율 으로 가능하게 하는 정보기술에 기반한다 이제 지 가치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되고 실제 실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한 빠르게 획득할 수 있을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1

때 그 가치를 인정받기에 이르 다 여러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것은 문 인

것보다는 일반 이론 이기 보다는 실용 인 지 가치인데 정보가 바로 이러한

요구에 가장 잘 부응하고 있는 것이다

통 의미에서의 지식은 문가들에 의해 형성되고 증명되어진 지 가치이며

정보는 비 문가들도 얼마든지 생성 유통시킬 수 있는 그러나 아직 완 히 증명되

어지지 않은 지 가치 다 그러나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정보의 공유가 폭증하고

정보의 제공자들에 있어서 문가와 비 문가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무엇보다 사회

성원들에 필요한 지 가치로서의 정보의 상이 격히 높아지게 되었다 특히 한

명의 문가가 생산한 지식보다는 다수의 비 문가들이 함께 모여 편집하고 가공한

정보가 더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서의 상을 지니게 되는 조짐이 보이고 있다

이를 설명해 수 있는 표 인 사례가 바로 인터넷의 lsquo지식검색rsquo서비스이다 이 서

비스가 시작된 후에는 우리는 학교에서 궁 한 것 직장에서 궁 한 것 일상에서

문득 떠오르는 궁 한 것들을 인터넷만 있으면 바로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궁 한 것들에 해 다른 이들이 답변을 한 것에 한 신뢰도가 단히 높다

는 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필자의 조사(2004)에 따르면 lsquo지식검색rsquo에서 답변

된 정보들에 한 신뢰도는 단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다수의 사람

들이 lsquo맞다rsquo고 답한 정보는 신뢰할만 하다는 것이다 즉 지 가치에 한 신뢰의 정

도가 그 지 가치를 생산한 사람이 구인가( 문가인가 아닌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얼마나 많은 사람이 그 지 가치의 생산에 참여했느냐에 따라 결정된

다는 것이다 표 인 집단지성의 지 가치 생산의 로 언 되는 키피디아의

경우 신뢰도는 리타니카 백과사 에 버 가는 신뢰를 확보하고 있다

4 신뢰의 괴와 응

신뢰의 괴는 쉽게 말해 배신으로 표 된다 배신행 의 부분의 원인은 개인

의 이기심이다 즉 신뢰를 어기면서도 어떠한 행동을 하게 되면 그 신뢰를 어겨서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2

겪는 피해보다 자신이 얻는 것이 더 많을 때 배신행 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극단

인 로 한 폭력조직에서 조직성원들의 신뢰를 버리고 조직의 비 을 설하게

해야 할지 고민이 될 때 조직의 보복은 두려우나 그로 인해 자신에게 엄청난 이익

이 생기게 되면 결국 조직의 비 을 설한다는 것이다 이보다 더 일상 인 를

하나 들어보자 친구가 lsquo다른 친구들에게 로 말하지마rsquo라고 그 친구의 비 을 나

에게 얘기해주었다 그 친구는 나의 친한 친구 기 때문에 자신의 비 을 나에게

몰래 털어놓았다 하지만 그 비 을 다른 친구에게 나는 lsquo다른 이에게는 로 말

하지마 그 친구가 알면 나 큰일나rsquo라고 말하면서 그 친구의 비 을 알린다 이 때의

이기심은 경우에 따라 다르겠으나 비 정보를 나만이 알고 있다는 것을 다른 이에

게 알리고 과시하고 싶은 욕구의 이기심이다 이러한 배신 행 에 해서는 어느 사

회 어느 인간을 막론하고 냉엄하게 응한다 최상진에 의하면 배신자라는 말 자체

의 사 의미가 lsquo등을 돌린다rsquo라는 것으로 이는 완 히 자신에게 등을 돌린 사람

남남인 사람을 의미한다(20027) 신뢰를 버려야했던 행 로 인해 얻어지는 이익

에 기뻐하지만 신뢰를 버린 행 가 도덕 으로 규탄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자신 스스로 괴로워한다 친한 친구들에게 돈 사기를 친 이들이 자수를 하는

경우에는 이 양심의 소리가 주는 고통이 단히 컸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치의 감정

은 스스로 양심의 가책을 느껴 생기는 자괴성(self-shamed)이다 한국사회는 이기

심에서 발 된 배신행 에 해서 그 처벌을 엄격하게 하여 사회에서 완 소외되

게 하거나 스스로 극도의 자괴감을 가지도록 하는 사회담론을 형성해 왔다 이는

사회에서의 신뢰를 무엇보다 시해온 한국사회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정보사회에서 신뢰의 괴는 그 다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 먼

익명성에 자신을 숨기고 다른 이들의 사생활정보를 헤쳐 이를 악용하는 것이

표 인 사례다 사이버공간에서는 자신의 사생활정보를 나의 동의없이 다른 이에게

공개하지 못할 것이라는 lsquo시스템안 에 한 신뢰rsquo가 작동된다 그 기에 인터넷 쇼

핑 인터넷 뱅킹 등이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단히 험한 일이기도 하다 경

제 이윤으로 직결되는 사생활정보를 외부로 팔아넘겨 얼마든지 이윤을 챙길 가능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3

성이 항상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8년 옥션사태 SK사태에서 잘 나타났듯이 우

리의 사생활정보는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기업 혹은 해커들에 의해 노출될 험

이 있다 이때 신뢰는 개인과 개인 사이에서의 문제를 넘어서 개인과 체계의 문제가

된다 개인 수 에서도 신뢰의 괴는 쉽게 이루어진다 역시 익명성이라는 속성

상 나의 본체가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내가 신뢰를 괴하더라도 그 책임으로부

터 숨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 다면 사이버공간에서 신뢰의 괴가 생길 때 이에 한 응은 어떻게 이루

어지는가 이 사회에서는 신뢰의 괴를 한 이를 색출하여 이를 공동체에서 배제

를 시킴으로써 체조직의 신뢰를 유지하 다 이를 해 엄격한 법 체제가 마련

되었음은 물론이다 개인 한 이러한 신뢰 괴 행 에 해 자괴성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하지만 사이버공간에서는 이러한 배제행 와 자괴성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이 군지를 숨길 수 있는 익명성이라는 사이버공간의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신뢰를 괴하는 행 가 특히 개인간의 차원에서 벌어졌을 때 신뢰

를 괴한 이를 찾아내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사이버공간에서 축출을 한다고 해도

그는 다른 익명성 혹은 가명성으로 새롭게 신뢰 괴행 에 나설수 있다 재 사

이버테러에 응하는 사법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사이버공간의 본질 속성상

그 논의 자체가 쉽지 않는 상태이다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25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 자본 축 을 해

지 까지 정보사회의 신뢰에 있어서 신뢰의 형성구조 신뢰의 표출형태 신뢰의

상 신뢰의 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심으로 그 변화의 측면을 논해보았다 먼

이 사회에서는 연 지연 학연 등을 심으로 하는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

뢰가 형성되었던 반면 정보사회에서는 연고 보다는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하

면서 그 계의 끈이 비교 느슨한 lsquo약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뢰가 형성되는 상

이 발생하고 있다 이때 약한 연 에서 경험되는 것은 익명의 존재들 간에 호혜 으

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며 이 호혜성의 경험이 상 방에 한 신뢰를 갖게 한다

이때 신뢰는 물질 이익을 주고 받으면서 생기는 것이라가 보다는 함께 무엇인가

를 즐기고 공유하면서 생기는 lsquo친 감rsquo에 기 한 신뢰의 의미가 강하다 한편 기존의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한 신뢰 역시 정보사회의 표 공간인 사이버공간을 통해서 재

생산되는 측면이 있다 문제는 신뢰의 표출형태이다 약한 계에서 형성된 신뢰라

면 보다 개방 인 신뢰의 모습을 지녀야 하지만 한국사회에 있어서는 그 지 못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즉 기존의 사회에서 뚜렷이 나타났던 lsquo자기 집단에 한 극

단 신뢰rsquo와 lsquo타 집단에 한 극단 불신rsquo이 그것이다 설령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한 신뢰 계가 그 집단내에서는 형성되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취향과 감정을

공유하는 타집단에 해서는 극단 불신을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한국사회

의 공론장 형성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다원 가치에

한 인정의 결핍은 한국사회의 아킬 스건이다 신뢰의 상의 문제에 있어서 이

사회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상은 공식 으로 인정받은(학 등을 통해) 문

가들이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소수의 문가들에 한 신뢰의 수 이

떨어지고 오히려 다수의 비 문가들이 집단 으로 생산해낸 지 가치에 한 신뢰

의 수 이 높아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뢰를 괴하는 행 가 정보사회에서는 그

익명 공간 안에서 손쉽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을 지 하 다 한 이 배신의 행

에 해 과거에는 배신자를 공동체에서 축출하는 것으로 응하 는데 정보사회

에서는 이 배신자 자체를 찾아내기가 단히 어렵다는 난제를 지니고 있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6

한 사회가 보다 인간다운 사회의 모습을 지니기 해서는 사회 자본의 축 이

필수 이며 이 사회 자본의 핵심이 사회 성원들 간의 신뢰이다 사회 자본의

축 을 통한 기회비용의 감소 뿐만이 아니라 공동체성의 회복의 가능성을 제기한

콜만과 퍼트남의 을 받아들이면서 우리는 이제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모습을

통해 새로운 사회 자본의 가능성을 논할 수 있다 개인들이 고립되어 있는 상태를

벗어나 계를 복원시켜야 한다는 퍼트남의 논의는 재 한국사회의 상황에서는 아

쉽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미 개인주의가 확산될 로 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 계가 분명 사이버공간에서 생성되고 있음은 사회

자본의 축 가능성을 다시 제기하게 한다 과거와 같은 형태의 공동체가 아닌

마페졸리(Maffesoli) 등이 제기하는 lsquo부족rsquo 형태에 기반한 사회 자본을 논할 수 있

게 된 것이다 하지만 여 히 lsquo편 가르기rsquo라는 한국의 사회문화 특성으로 인해 이

신뢰 계가 극단 편나 기 양상으로 번지곤 하는 것은 안타까운 실이다 황우

석 사태에서도 잘 나타났듯이 자신들 편의 말만 믿으면서 다른 이들에 한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성 토론 보다는 감정 비난이 앞서는 의사소통 형

태가 사이버공간에서 그 로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사회 자본

을 축 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의 장인 공론장의 형성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정보

사회에서의 공론장은 특히 사이버공간으로 확장되어 있는 특성을 지니는데 이때

사이버공간의 익명성이라는 특성상 이성 의사소통이 더욱 어려워지는 한계를 지

니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무엇보다 의사소통하는 상 방에 한

감을 보다 높이고 의사소통을 원만하게 해주는 재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

으로 응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27

참 고 문 헌

김신동 2001 lsquo정보와 사회 신뢰rsquo 「신뢰연구」 제 11권 통합호 한림과학원

박찬웅 1998 lsquo신뢰의 기와 사회 자본rsquo 1998년 후기사회학 회 발표집

박희 이희창김동욱김철수박병래 2002 한국인의 신뢰 수 향 요인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3호

윤민재 2004 lsquo신뢰와 사회자본에 한 사회 이해rsquo 「신뢰연구」 한림과학원

장원호 2004 985172사이버커뮤니티와 사회 계의 변화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장형유정기한 2004 lsquo인터넷 쇼핑몰에서 고객신뢰 태도 계몰입과 구매의도의

구조 계에 한 연구rsquo 「한국마 」 한국마 학회

최상진김의철김기범 2003 lsquo한국사회에서의 인 계속의 신뢰와 불신의 기반

으로서의 마음에 한 문화심리학 근rsquo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최항섭 2004 985172IT가 인 연결망과 공공선(public interest)에 미치는 향연구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Barney Darin 2004 The Network Society Cambridge Polity Press

Burke Peter 2000 A Social History of Knowledge Cambridge Polity Press

Castells Manuel 2001 The Internet Galaxy Reflections on the Internet Business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Condorcet Antonie-Nicolas Marquis de 1794 Sketch of the Progress of the

Human Mind Except trans by J Barra Clough 1955 pp800-10 in Peter

Gay The Enlightment A Comprehensive Anthology New York Schocken

Books

Goldman Alvin I 1999 Knowledge in a Social world New York Oxford Uni-

versity Press amp Clarendon Press

Hakken David 2003 The Knowledge landscape of Cyberspace New York Routledge

Lyotard JF 1979 La condition postmoderne Paris Minuit 이 복 역 「정보사

회에서의 지식의 상」 1992 서 사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8

Mannheim Karl 1936 Ideology and Utopia Harcourt Brace amp World

Star Susan Leigh 1995 The Cultures of Computing Oxford Blackwell

Page 6: 최 항 섭 - KISDI · 2009-08-17 · 최 항 섭 ․jesuishs@kisdi.re.kr, 02-570-4090 ․프랑스 파리 5대학 사회학부 박사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초빙전문위원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8

도 도움이 될 것이다 사람과 사람간의 끈끈한 정과 신뢰의 계 자체도 한 사회가

갖고 있는 자본이 된다 퍼트남은 이러한 개인간의 정과 신뢰의 계가 사회 체에

퍼지게 되면 될 수록 그 사회는 근 화된 시민사회 민주화된 시민사회로 발 해나

갈 것이며 한 마디로 더 행복한 사회가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박찬웅(1998) 역시

신뢰는 개인들간의 감시와 통제 비용을 일 수 있게 해주는 에서 보다 효율 으

로 일을 하게 해주는 에서 사회 자본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서로 신뢰를 하고 거래를 한다 하더라도 그 거래가 다른 이들의 이

익을 담보로 하는 것이라면 얘기는 달라진다 를 들어 믿을 수 있는 친구들끼리

시험에 한 정보를 몰래 공유를 한다면 그들의 성 은 오르겠지만 다른 학생들은

이로 인해 불이익을 받게 된다 이와 련 박희 (2002)는 한 지 을 한다 즉

퍼트남의 주장 로라면 개인들이 단체 활동을 많이 하게 되면 그 과정에서 생기는

개인 계들이 더 공고해지고 한 개인이 갖게 되는 신뢰의 양도 늘어난다는 것인데

문제는 꼭 그러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를 들어 종친회 동창회 친목회 등에서

양산되는 신뢰의 제고가 꼭 국가 체의 신뢰의 제고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것이

다(박희 2002204) 연고주의에 한 비 에서도 알 수 있듯이 연 학연 지연

등에 기반한 단체활동에 있어서 그 단체내의 이익은 증가하겠지만 단체내의 외

폐쇄성으로 말미암아 사회 체로 보아서는 불이익이 증가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신뢰는 사람에 따라 다른 것인가 어떤 사람은 무 쉽게 사람을 믿어버

리는 반면 어떤 사람은 일단 의심부터 하기도 한다 사람을 무 믿어 사기를 당해

경제 피해를 입는 사람이 있는 반면 사람과 제도를 무 불신하여 오히려 사회

계에서 소외된 사람도 있다 이 게 사람에 따라 어떤 상에 보내는 신뢰는 달라진

다 이 논의를 해서는 한 개인의 행 와 인식에 향을 미치는 사회화 경험에

한 이론을 끌어올 수 있다 구조주의이론에 따르면 한 개인이 어떠한 지 를 갖고

있으며 재산은 얼마를 갖고 있고 어떠한 학력을 가지고 있는 지 어떠한 사회화 과

정을 거쳐왔는 지는 그 개인이 사회를 보는 에 직 인 향을 미친다 신뢰에서

도 마찬가지이다 한 개인이 다른 개인들 집단들을 신뢰하는 정도는 그 개인의 사

Ⅱ 신뢰의 이해

9

회경제 배경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우리는 일반 으로 인식하기를 사회에 높은

지 에 있는 사람들은 그 지 않은 사람들보다 타인에 해 신뢰도가 낮다고 생각

한다 그 이유는 그 지 에 올라가기까지 많은 사람들과의 경쟁을 거쳤기 때문에 사

람들을 믿어야 할 상이라기 보다는 자신과 경쟁하고 언제나 자신의 자리를 노리

는 믿을 수 없는 상이라고 여길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한편 사람의 능력에

한 신뢰를 생각해보면 학력 역시 신뢰의 수 에 향을 미친다 명문 졸업을 한

이들의 특성 하나는 비명문 출신의 사람들의 능력을 쉽게 믿지를 못한다는 것

이다 이는 명문 에 들어오기 이 고교 생활에서 성 순으로 능력을 평가하는

교육시스템속에서 자라왔기 때문이다 즉 고교 때 공부 못했던 이들은 사회에

나와서도 여 히 능력이 부족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사회화 과정에서 주

에 믿을만한 친구들이나 친지들이 은 사람은 일반인들이나 사회제도에 보내는

신뢰도가 낮을 것이다

2 신뢰의 형성 조건

신뢰는 그 다면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형성되는가 내가 다른 사람과 다른 집단

에게 신뢰를 보내기까지의 과정은 어떠한가 나는 다른 사람과 다른 집단을 무턱

고 신뢰 할 수는 없으며 그 사람과 집단에 한 직 경험과 간 경험에 기

해서 신뢰를 주고 안주고를 결정한다 주커에 의하면 신뢰는 그것이 생기는 과정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나 어 생각할 수 있다(윤민재 200417에서 재인용) 첫째 주체

간의 상호교류과정에서 생기는 신뢰가 있다 오랜 이웃간의 계나 오랜 거래처 사

람간의 계가 좋은 이다 둘째 주체들이 동일한 집단에 속하여 생기는 신뢰가

있다 종교집단 성원들 사이에서 생기는 신뢰가 좋은 이다 그런데 이 두 종류의

신뢰는 완 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동일한 집단에 있게 되면 상호교류가 늘어나

게 될 가능성이 크며 상호교류가 잦게 되면 동일한 집단을 구성할 가능성도 크기

때문이다 셋째의 유형은 주체가 아니라 제도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신뢰이다 를

들어 온라인으로 물건을 구매할 때 외 으로 인지도가 있는 사이트에서 구매를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0

하는 것은 그 사이트가 실명인증제도 안심거래제도 등 고객의 정보를 안 하게 처

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우리가 신뢰를 보내기 때문이다

이 두 번째 종류의 신뢰 즉 동일한 집단 혹은 같은 편에 속해 있으므로 그 집

단의 성원에게 가지는 신뢰에 해서 최상진(2002)은 그것이 신뢰에서 가장 요하

게 취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에 의하면 신뢰는 사람간의 믿을 수 있는 행 의

반복으로 인해 생기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보다 요한 것은 가족으로 태어났거나

같은 종교집단에 속하거나 하는 lsquo우리집단rsquo에 속해 있음으로 마음으로서 우러나오는

신뢰이다

최상진(2002)에 의하면 신뢰에서 가장 요한 것은 lsquo마음rsquo이다 내가 나의 아내에

게 보내는 신뢰는 아내가 나를 믿게하는 특별한 행동을 하지 않더라도 그녀의 마음

에 한 신뢰이다 즉 그녀가 나를 배신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특별한

행동을 하지 않아도 그녀의 마음을 믿는다는 것이다 한국인의 신뢰에 있어서 특히

요한 것은 사람들간의 오고가는 계약 계가 아니라 사람들간에 오고가는 정이다

즉 어떤 사람을 믿는가 안 믿는가는 그 사람과 내가 얼마나 친한가의 여부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서구에서는 약속을 얼마나 잘 지키는 가와 같은 합리 행 의 여부

가 그 사람의 신뢰도에 결정 인 향을 미친다면 한국에서는 그러한 합리성보다

는 그 사람이 얼마나 나하고 친한가 나와 얼마나 가까운 사이인가가 그 사람의 신

뢰도에 결정 인 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윤민재(2004) 역시 사회에서 신뢰를

키우는 데는 친 성이 요하다고 주장한다 그에 의하면 사회에 들어서 개인

주의가 이기주의로 변질되고 서로가 서로를 경쟁상 로만 생각하는 풍토 속에서

우리가 보다 인간답게 살고 보다 발 하는 공동체를 건설하기 해서는 서로의 친

감의 강화를 통해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선무이다 기든스(1994) 역시 lsquo친 감

은 신뢰에 한 골자rsquo라고 주장하 다(199481 윤민재 2004에서 재인용)

이러한 맥락에서 어떤 사람을 신뢰하려면 그 사람의 lsquo마음rsquo을 알아야 한다 갑이

을에게 신뢰를 보내고 있다면 갑이 을에게 신뢰하는 것은 을의 행동이라기보다는

Ⅱ 신뢰의 이해

11

을의 정직한 마음이다 심리학 이론은 이와 련 행동은 마음에서 나온다고 보고 있

다(최상진 20022) 물론 약속을 지키고 싶은 마음이 있어도 약속을 못 지킬 수도

있고 약속을 별로 지키고 싶지 않지만 약속을 지키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부분의 사람은 자신의 마음이 말하는 것과 역행하는 행 를 하기 보다는 마음이

말하는 바에 따라 행 를 한다 하지만 마음이 없는 데 행동만 하거나 마음이 있어

도 행동을 못하는 경우가 지속될 경우에는 그 사람 역시 신뢰를 상실하게 된다

로부터 가장 믿을만한 사람으로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사람을 꼽았고 반면 가장 조심

해야할 사람으로 말과 행동이 다른 사람을 꼽아왔지 않은가 한 사람이 다른 사람으

로부터 신뢰를 얻기 해서는 자기가 한 말에 책임을 질 수 있는 행동을 해야 한다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3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 신뢰의 형성 구조 강한 연 에서 약한 연

정보사회 이 신뢰의 형성 구조는 가까운 사람들간의 연 와 일체감의 구조 즉

강한 연 의 구조 다 신뢰는 최상진(20024)에 의하면 lsquo가족 아주 가까운 친구

계 함께 운명을 같이하는 집단과 같은 특수한 착 계에 있는 사람들 사이에 서

로 믿고 편하게 의지할 수 있는 마음의 연 와 일체감rsquo의 구조를 기 로 형성된다

쉽게 풀이하면 이미 친하게 알고 지내는 사람들 간에 생기는 서로에 한 믿음이라

는 것이다 이는 그 사람은 나를 배신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보는 믿음이다 최상진

의 개념에 따르면 lsquo우리성rsquo을 지니고 있는 이들이 서로간에 가지는 믿음이다 여기서

우리성이란 말은 lsquo우리편의 계rsquo를 의미한다 한 조직이 강한 통합성을 지니려면 그

조직의 경계를 공고히 해야 한다 조직의 경계를 공고히 하기 해서는 다른 조직과

의 차별을 뚜렷하게 해야 한다 그래야 그 조직내의 성원들 사이에는 강한 신뢰와

동질감이 생성된다 한 조직내에 있다는 느낌은 조직내의 타 성원들에게 높은 수

의 신뢰를 갖게 한다 특정 종교 신자들이 단지 같은 종교 신자라는 이유로 일단 상

방에게 신뢰를 보내곤 하는 것이 표 인 이다 이때 다른 종교의 신자에게는

같은 수 의 익명의 사람이라도 같은 수 의 신뢰를 보내지 않는다 이는 어떻게

보면 비합리 인 행 인데 이와 련 최상진은 lsquo한국인의 우리성 계는 모르는 사

람을 포용하는 자기 확 우리성 이라기 보다는 이들을 우리 편에서 배제시키는

우리성의 성향을 갖는다rsquo라고 지 한다 이는 유스래 (2002)에 의하면 특수화된 신

뢰이다 그에 의하면 lsquo특수화된 신뢰란 자신이 믿는 가치를 공유하는 사람들만 믿는

것을 의미하며 외부의 집단의 성원에 해서는 먼 불신부터 하고 보는 것을 의미

한다rsquo(윤민재 2004에서 재인용) 우리성의 신뢰 특수화된 신뢰는 모두 강한 연 를

기반으로 함은 물론이다

강한 연 의 신뢰는 사 신뢰의 공 신뢰에 한 상 우 로도 해석할 수 있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4

다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한국인은 사 신뢰는 높은 반면 공 신뢰는 약하게 나타

난다 즉 나와 가까운 친지들이나 친구들에게는 폭 인 신뢰를 보내는 반면 정부

국회 혹은 내가 모르는 익명의 타인들에게는 불신을 보내고 있다는 것이다(이재

1998 박찬웅 1999 김신동 2001에서 재인용) 한편 사 신뢰의 지나친 의존도와

약한 공 신뢰는 한국사회의 발 을 해하는 요소로 여겨진다 연 지연 학연을

기 로 한 소규모 연고집단에서 표 으로 나타나는 사 신뢰는 한국사회의 공공

선을 해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한 약한 공 신뢰는 사회 체에 불신

풍조를 갖게 하여 사회가 효율 으로 돌아가는 데 제동을 걸게 한다 특히 정부와

국회 제도에 한 높은 불신도는 신뢰의 상 측에 원인에 있으며 국민들이 가지

고 있는 선입 역시 사회 발 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때로 정부가 효율

인 정책을 가지고 나와 이를 강하게 추진하고자 할 때에도 일단 불신의 부터

보내는 언론과 국민들에 의해서 이 시도가 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서 사람들간의 신뢰의 형성 구조는 새로운 양상을 보인다 즉

꼭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이 아니라도 계를 형성하며 익명의 상과도 서로 호혜

인 행 를 하는 즉 약한 연 를 통해서도 신뢰가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정보사회의

표 인 공간인 사이버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호혜 행 ( 지식

검색)는 새로운 의미로 신뢰를 형성시킨다 지 않은 학자들은 사이버공간에서의

신뢰형성에 부정 이었다 특히 신뢰라는 것은 면 면 계의 지속 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인데 익명성과 상호작용의 비지속성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공

간에서 신뢰가 제 로 형성되겠느냐는 것이다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사이버공간에서 형성되는 약한 연 의 계는 지속

으로 증가했고 그 과정에서 여러 가지 부정 인 상들도 발생하 지만 과거에는

생각할 수 없었던 즉 모르는 이들에 한 신뢰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 때 모르는

이들은 완 히 모르는 이들이 아니다 내가 그 사람의 아이디를 알고 있고 그 사람

과 채 등을 통해서 화를 나 경험이 있거나 내가 요청한 도움에 그 역시 나를

잘 모르는 상태에서 기꺼이 응해주었던 경험이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5

사이버공간에서 신뢰가 형성되는 것은 호혜성 계를 통해서도 이해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감정과 취향의 공유를 통해서도 이해될 수 있다 나와 같은 것을

좋아하는 내가 느끼는 감정을 같이 느끼는 이들이라면 인간은 그 사람에게 신뢰

를 보내게 된다 이는 기든스가 얘기했던 lsquo친 성의 신뢰rsquo와 같은 맥락이다 이 때 사

람들간의 계는 여 히 그 사람이 구인지 잘 모르는 언제 헤어질 지 모르는 헤

어져도 그만인 약한 연 의 계이지만 감정과 취향의 공유를 통해서 신뢰가 형성

되어지는 것이다 강한 연 의 계에 있지만 나와 완 히 취향이 달라 친 감을 느

끼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반면 약한 연 의 계에 있지만 나와 취향이 같아 친

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후자의 경우가 정보사회에서의 논의될 수 있는 의미있는

형태로의 신뢰이다

정보사회에서의 신뢰는 비단 사이버공간에만 국한해서 논의될 필요는 없다 정보

사회에서도 여 히 이 사회에서의 강한 연 의 신뢰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지

만 시간과 공간의 제약 때문에 이 강한 연 의 지속이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그 연 의 유지를 해 사이버공간을 활용하고 있기도 하다 즉 사이버공

간에서의 계는 내가 모르고 있는 사람과의 계만이 있는 것이 아니다 내가 이미

알고 있는 사람과의 계 역시 존재한다 장원호(2004)의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많

은 경우 실공간에서의 계는 사이버공간으로 옮겨져 연장된다 이는 기존의 신

뢰 계를 재생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학교의 친구들 동창들 옛날 동네친구들 떨어

져 사는 가족들에게 있어 사이버 공간은 시간과 공간을 월해서 서로의 안부를 확

인하고 서로의 정을 나 며 상호신뢰를 지속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공간이다 최근 필

자(2004)의 연구결과를 보면 인터넷과 같은 정보통신기술은 사회성원들이 맺고 있

는 계의 인 연결망의 도를 높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터넷으로 인

해 이미 친한 이들과 더욱 친해지고 있는 것이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6

2 신뢰의 표출형태 극단성의 지속

정보사회에서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가 새롭게 형성되고는 있지만 그 표출형태

에 있어서는 이 사회의 신뢰 표출형태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즉 극단 신

뢰와 극단 불신이라는 형태로 표출되는 것을 말한다 그 이유는 사회문화 특성

에서 찾아져야할 것이다 이미 여러 조사를 통해서 한국사회의 신뢰의 특성은 내집

단에 한 극단 신뢰 타집단에 한 극단 불신이 밝 진 바 있다 박희

(2002)은 신뢰의 상으로 개인 단체 공공기 등 다양한 상들을 설정하여 국민

들이 이 상들에 갖고 있는 신뢰도는 어떠한 지 국민들의 개인 지 와 성향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연구하 다 이 조사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

들의 신뢰도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학교친구 고향친구 등 개인 으로 이미 친분

이 있는 사람들에 한 신뢰도는 매우 높은 반면 모르는 사람 알더라도 약간

아는 사람들에 한 신뢰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한마디로 말해 아는 사람은

으로 믿고 모르는 사람은 우선 의심하고 본다는 것이다 친한 사람에게는 차용증없

이도 돈을 빌려주는 사람이 모르는 사람이 길거리에서 1000원을 빌려달라고 하면

단호히 거 하는 것이 한국사회이다 사 신뢰에서도 가족 친구 친척 등 연 학

연 지연 등으로 얽 있는 인 계에 있어서의 신뢰도가 직장동료 사회동료 등

도구 계로 얽 있는 인 계에서의 신뢰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때 공 신

뢰의 낮은 수 은 압축 근 화를 거치면서 생긴 소 lsquo체계rsquo 역에 한 총체

인 불신에 기인한다 의 조사결과 특히 정부 국회 등 공공 역에 한 신뢰가

단히 낮게 나타났다 끊임없이 터져 나오는 공직자 부패사건들을 경험하면서 국민

들이 공직자와 그 조직에 해 지니고 있는 불신은 이미 최고조에 달해있는 상태이

다 공 역에 한 배신감 불신은 내가 아는 사람들에 한 극단 인 신뢰로 이

어졌다 즉 친한 사람은 무조건 믿고 모르는 사람은 일단 의심부터 하고 보는 경향

이 강하다는 것이다 이는 내편의 사람은 바로 lsquo내편이기 때문에rsquo 믿고 다른 편의 사

람은 바로 lsquo내편이 아니기 때문에rsquo 의심한다는 의미이다

정보사회와 련 사이버공간에서도 이러한 극단 신뢰와 극단 불신은 그 로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7

나타나고 있다 를 들어 자신과 같은 입장을 지닌 사람의 말은 화의 주제와

련 없는 말도 믿으면서 자신과 입장이 다른 사람은 다른 집단으로 가라고 하면서

그 사람의 말을 불신하는 것이다 그 다면 왜 이 게 한국인들은 내편 네편을 나

기를 좋아하고 내편을 끔 이 아끼고 사랑하고 무조건 믿지만 네편은 심할 정도

로 배척하고 불신하는가 최상진(2002)은 이는 내편에 속하여 얻는 심리 이고 실

질 인 만족이 서구에 비해서 단히 크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20029) 즉 사이

버공간에 한국사회의 편가르기의 특성이 투여되며 실공간의 수 을 넘어서는 상

호간의 불신이 생길 수도 있다 이와 련 사이버공간에서의 토론을 보면 간 성향

의 논의가 존재하지 않는 경향이 뚜렷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김은미(2004)의 최

근 조사에서 ldquo사이버공간에서의 의사소통에서는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편과 내가

틀리다고 생각하는 편만 존재한다rdquo고 주장한 바 있다 이 두 편은 확연하게 나 어

져 자신들의 의견이 옳음을 입증하려고 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객 인 의견개

진보다는 상 방이 틀림을 비난하는 감정 들이 오고 가며 이 과정에 계속됨에

따라 애 의 이슈는 사라지고 서로를 비난하는 감정만 남게 된다 이때 이 토론에

참여한 이는 내가 알지도 못하는 얼굴도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미움을 사게 되며

그 한 익명의 타자에게 불신과 미움의 감정을 품게 된다 이러한 상은 사이버공

간이 불신을 생산하는 장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다 최상진이 말한 우

리성의 부정 효과가 사이버공간에서의 신뢰의 하로 나타나는 것이다

3 신뢰의 상 성의 약화와 다수성의 신뢰

정보사회의 특성 하나는 바로 이 사회에서 인 신뢰의 상들의 상

이 하되고 있다는 것이다 표 인 것이 바로 소 문가에 한 신뢰의

약화이다 이는 지식의 상변화에 기인한다 즉 근 이후 지식의 가치를

드높 던 문가들이 그 실용성에 있어서 더 이상 평가를 제 로 받지 못하고 있으

며 오히려 나에게 정말 필요한 지식들을 생산하여 달해주는 수천 수만의 비 문

가들의 지식의 가치가 더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소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8

에 한 신뢰 상이다

정보사회 이 의 지식의 상을 먼 살펴보자 지식은 생성되는 과정에서의 과

학 이론 지 능력을 요구하 으며 따라서 일반인들에게는 습득하기 어려운 것

이었으며 소수의 지배계층은 이러한 지 능력을 부여받기 한 교육을 받을 수 있

는 특권을 렸다 지배계층은 지식만이 세상을 이롭게 할 수 있다는 생각을 리

유포했으며 스스로도 그 게 확신하 다 즉 지식만이 일반인들의 무지 야만 노

성을 극복하게 해주어 세계를 구할 것이라는 계몽주의 사고방식을 가졌던 것

이다 반면 일반인들이 일상의 경험에서 축 한 지 가치들은 과학 으로 증명된

바가 없고 논리성 한 갖추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지식에 비해 그 가치가 단히

떨어지는 것으로 인식하 다 과학 지식은 보편 방법을 통해 증명되고 보편

법칙들을 추구하기 때문에 만인에게 도움을 다고 보는 반면(Condorset [1794]

1973 803805) 들의 경험은 보편 법칙을 추구한다기 보다는 일상의 개인에

게 도움을 주는 것을 주 목 으로 하기 때문에 그 가치가 지식에 비해 못 미친다고

보았던 것이다 지식은 근 시기에 최고의 지 가치로 인정받았으며 이는 지식만이

lsquo사실rsquo을 담아내고 과학 으로 증명되었기 때문에 lsquo불변 rsquo이고 사회와 역사의 변화

에 향을 받지 않는 lsquo rsquo으로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 상을 정립하 다

하지만 정보사회로 어들면서 지식은 그 신뢰에 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통 시각에서의 지식은 그것이 불확실하거나 이 게도 혹은 게도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아니라 확실하고 어떤 경우에도 lsquo거짓이 아니고 참rsquo인 것으

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문제는 무엇이 lsquo진실rsquo인 것이냐는 것

이다 lsquo진실rsquo은 원히 불변 인 것인지 아니면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이기도

한 것인지에 한 의문 한 제기되어 왔다 만하임 역시 과거에 진리로 군

림했던 lsquo정 과학rsquo(exact science)에 한 신뢰성이 오늘날 심하게 흔들리고 있다고

지 한 바 있다(Mannheim 1936271)

만하임에 의하면 우리 인간이 일상생활에서 맺고 있는 사회 계 그 계 속에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9

서의 역할 그 역할을 수행하면서 갖는 존재의식 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사회속에

형성된 지식들을 제 로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Mannheim 1936267-8) 만하

임의 이러한 역사주의 에서 골드만 한 지식은 믿음을 내포하고 있는 데 이

믿음이라는 것이 사실은 lsquo사회 으로 구축된 것rsquo(socially constructed)이라고 주장한

다 그에 의하면 지식은 언제나 lsquo지엽 rsquo(local)인 것이며 상황에 따라 규정되는 것

(contextual situated)이다(Goldman 199921) 그는 특히 하나의 지식이 지엽 이

고 상황결정 인 이유로서 지식은 언제나 특정한 개인이나 특정한 이해그룹에 의해

서 지식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 다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라는 것은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하

나의 단수의 지식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 상이 발생

한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인 복수의 지식들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Burke

2000 13) 하 역시 지식은 하나의 단수 인 것이 아니며 지식을 받아들일 때도

그 지식이 형성된 과정을 이해하면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 다(Hakken

200313) 만하임에 의하면 인간의 생각과 아이디어들은 몇몇 한 인물들이 내

놓은 업 물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집합 경험에 의해서 탄생되는 것이다 그리

고 이 집합 경험은 공통의 분모를 가지는 동시에 상이성 한 가진다 존재하는

것은 하나의 상에 한 하나의 지식이 아니라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서로 충돌하고 경합을 끊임없이 하는 복수의 지식들이다(Mannheim 1936

269) 이 스타는 lsquo지식은 복수로 존재하면서 다른 지식들과 복합 상호 계속에

서 존재하며 그 기 때문에 지식은 생태 (ecologic)이다rsquo라고 보았다(Star 1995)

이 게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고 복수로 존재한다는 사실은 지식에 한

신뢰에 있어서도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한다 즉 지식에 한 신뢰는 맹목 일 수 없

다는 것이다 세 근 의 시각에서 보면 지식에 한 신뢰는 지식을 보유하고 생

성하는 권력집단의 정당성에 한 수동 수용에 기인하 다 그러나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주체 다양한 집단들이 지식생산과 비 에 참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 사회에서 형성되었던 지식들의 신뢰성이 약화가 되었고 지식을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0

생성하는 유일한 집단으로 믿어졌던 문가군에 한 신뢰 역시 약화되고 있다

지식의 성에 한 신뢰의 변화가 정보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주장의

다른 근거는 정보사회의 핵심콘텐츠인 lsquo정보rsquo의 상 변화를 통해서도 뒷받침될 수

있다 70년 에 사회학자 투 과 벨은 탈산업사회의 도래를 견하면서 탈산업사회

에서 요하게 되는 것은 노동의 힘과 자연에 지가 아니라 바로 lsquo정보rsquo일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 정보사회에 들어서는 lsquo정보rsquo를 어떻게 수집하고 활용하는가가 부의

원천이 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arny 20046) 일본의 미래학자 마슈다는 2000년

에는 정보사회가 산업사회를 체할 것이며 이 시기에는 물질 가치의 생산이

덜 요해지고 신 정보의 량생산과 공유가 단히 요해질 것이라고 내다보

았다(Barny 20048) 최근 각 을 받고 있는 정보사회학자 카스텔스에 의하면

재 우리가 사는 세계의 사회 정치 경제 행 의 지 않은 부분이 lsquo정보의 흐름rsquo

(flows of information)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든 역에 걸쳐 정보가

구에게서 출발하여 어떤 경로로 구에게 도착하는가 어떤 정보들이 공유 독

되는가가 요한 사회 이슈로 두되고 있는 것이다(Castells 19981) 리오따르 역

시 과거에 국가들은 토와 원자재 그리고 노동력을 쟁취하기 해서 쟁을 하

으나 앞으로는 보다 가치있는 정보를 쟁취하기 해 치열하게 경쟁할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Lyotard 1979) 버크는 정보의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정보를 사고

는 상품으로 취 해야 하는가 아니면 정보를 사회성원들의 공공이익을 하여

구나 공유해야할 것으로 취 해야 하는가가 요한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고 말하

다 그는 21세기를 후하여 두되고 있는 정보와 정보기술의 요성에 비추어볼

때 후 의 역사학자들이 이 시기를 lsquo정보의 시 rsquo(age of information)라고 명명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urke 20001)

그런데 이 정보는 지식과는 달리 문가들이 아닌 일반인들에게서도 쉽게 공유되

고 확산될 수 있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공유행 의 증은 지 가치들의 유통을

빠르게 효율 으로 가능하게 하는 정보기술에 기반한다 이제 지 가치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되고 실제 실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한 빠르게 획득할 수 있을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1

때 그 가치를 인정받기에 이르 다 여러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것은 문 인

것보다는 일반 이론 이기 보다는 실용 인 지 가치인데 정보가 바로 이러한

요구에 가장 잘 부응하고 있는 것이다

통 의미에서의 지식은 문가들에 의해 형성되고 증명되어진 지 가치이며

정보는 비 문가들도 얼마든지 생성 유통시킬 수 있는 그러나 아직 완 히 증명되

어지지 않은 지 가치 다 그러나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정보의 공유가 폭증하고

정보의 제공자들에 있어서 문가와 비 문가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무엇보다 사회

성원들에 필요한 지 가치로서의 정보의 상이 격히 높아지게 되었다 특히 한

명의 문가가 생산한 지식보다는 다수의 비 문가들이 함께 모여 편집하고 가공한

정보가 더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서의 상을 지니게 되는 조짐이 보이고 있다

이를 설명해 수 있는 표 인 사례가 바로 인터넷의 lsquo지식검색rsquo서비스이다 이 서

비스가 시작된 후에는 우리는 학교에서 궁 한 것 직장에서 궁 한 것 일상에서

문득 떠오르는 궁 한 것들을 인터넷만 있으면 바로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궁 한 것들에 해 다른 이들이 답변을 한 것에 한 신뢰도가 단히 높다

는 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필자의 조사(2004)에 따르면 lsquo지식검색rsquo에서 답변

된 정보들에 한 신뢰도는 단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다수의 사람

들이 lsquo맞다rsquo고 답한 정보는 신뢰할만 하다는 것이다 즉 지 가치에 한 신뢰의 정

도가 그 지 가치를 생산한 사람이 구인가( 문가인가 아닌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얼마나 많은 사람이 그 지 가치의 생산에 참여했느냐에 따라 결정된

다는 것이다 표 인 집단지성의 지 가치 생산의 로 언 되는 키피디아의

경우 신뢰도는 리타니카 백과사 에 버 가는 신뢰를 확보하고 있다

4 신뢰의 괴와 응

신뢰의 괴는 쉽게 말해 배신으로 표 된다 배신행 의 부분의 원인은 개인

의 이기심이다 즉 신뢰를 어기면서도 어떠한 행동을 하게 되면 그 신뢰를 어겨서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2

겪는 피해보다 자신이 얻는 것이 더 많을 때 배신행 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극단

인 로 한 폭력조직에서 조직성원들의 신뢰를 버리고 조직의 비 을 설하게

해야 할지 고민이 될 때 조직의 보복은 두려우나 그로 인해 자신에게 엄청난 이익

이 생기게 되면 결국 조직의 비 을 설한다는 것이다 이보다 더 일상 인 를

하나 들어보자 친구가 lsquo다른 친구들에게 로 말하지마rsquo라고 그 친구의 비 을 나

에게 얘기해주었다 그 친구는 나의 친한 친구 기 때문에 자신의 비 을 나에게

몰래 털어놓았다 하지만 그 비 을 다른 친구에게 나는 lsquo다른 이에게는 로 말

하지마 그 친구가 알면 나 큰일나rsquo라고 말하면서 그 친구의 비 을 알린다 이 때의

이기심은 경우에 따라 다르겠으나 비 정보를 나만이 알고 있다는 것을 다른 이에

게 알리고 과시하고 싶은 욕구의 이기심이다 이러한 배신 행 에 해서는 어느 사

회 어느 인간을 막론하고 냉엄하게 응한다 최상진에 의하면 배신자라는 말 자체

의 사 의미가 lsquo등을 돌린다rsquo라는 것으로 이는 완 히 자신에게 등을 돌린 사람

남남인 사람을 의미한다(20027) 신뢰를 버려야했던 행 로 인해 얻어지는 이익

에 기뻐하지만 신뢰를 버린 행 가 도덕 으로 규탄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자신 스스로 괴로워한다 친한 친구들에게 돈 사기를 친 이들이 자수를 하는

경우에는 이 양심의 소리가 주는 고통이 단히 컸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치의 감정

은 스스로 양심의 가책을 느껴 생기는 자괴성(self-shamed)이다 한국사회는 이기

심에서 발 된 배신행 에 해서 그 처벌을 엄격하게 하여 사회에서 완 소외되

게 하거나 스스로 극도의 자괴감을 가지도록 하는 사회담론을 형성해 왔다 이는

사회에서의 신뢰를 무엇보다 시해온 한국사회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정보사회에서 신뢰의 괴는 그 다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 먼

익명성에 자신을 숨기고 다른 이들의 사생활정보를 헤쳐 이를 악용하는 것이

표 인 사례다 사이버공간에서는 자신의 사생활정보를 나의 동의없이 다른 이에게

공개하지 못할 것이라는 lsquo시스템안 에 한 신뢰rsquo가 작동된다 그 기에 인터넷 쇼

핑 인터넷 뱅킹 등이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단히 험한 일이기도 하다 경

제 이윤으로 직결되는 사생활정보를 외부로 팔아넘겨 얼마든지 이윤을 챙길 가능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3

성이 항상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8년 옥션사태 SK사태에서 잘 나타났듯이 우

리의 사생활정보는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기업 혹은 해커들에 의해 노출될 험

이 있다 이때 신뢰는 개인과 개인 사이에서의 문제를 넘어서 개인과 체계의 문제가

된다 개인 수 에서도 신뢰의 괴는 쉽게 이루어진다 역시 익명성이라는 속성

상 나의 본체가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내가 신뢰를 괴하더라도 그 책임으로부

터 숨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 다면 사이버공간에서 신뢰의 괴가 생길 때 이에 한 응은 어떻게 이루

어지는가 이 사회에서는 신뢰의 괴를 한 이를 색출하여 이를 공동체에서 배제

를 시킴으로써 체조직의 신뢰를 유지하 다 이를 해 엄격한 법 체제가 마련

되었음은 물론이다 개인 한 이러한 신뢰 괴 행 에 해 자괴성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하지만 사이버공간에서는 이러한 배제행 와 자괴성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이 군지를 숨길 수 있는 익명성이라는 사이버공간의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신뢰를 괴하는 행 가 특히 개인간의 차원에서 벌어졌을 때 신뢰

를 괴한 이를 찾아내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사이버공간에서 축출을 한다고 해도

그는 다른 익명성 혹은 가명성으로 새롭게 신뢰 괴행 에 나설수 있다 재 사

이버테러에 응하는 사법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사이버공간의 본질 속성상

그 논의 자체가 쉽지 않는 상태이다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25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 자본 축 을 해

지 까지 정보사회의 신뢰에 있어서 신뢰의 형성구조 신뢰의 표출형태 신뢰의

상 신뢰의 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심으로 그 변화의 측면을 논해보았다 먼

이 사회에서는 연 지연 학연 등을 심으로 하는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

뢰가 형성되었던 반면 정보사회에서는 연고 보다는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하

면서 그 계의 끈이 비교 느슨한 lsquo약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뢰가 형성되는 상

이 발생하고 있다 이때 약한 연 에서 경험되는 것은 익명의 존재들 간에 호혜 으

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며 이 호혜성의 경험이 상 방에 한 신뢰를 갖게 한다

이때 신뢰는 물질 이익을 주고 받으면서 생기는 것이라가 보다는 함께 무엇인가

를 즐기고 공유하면서 생기는 lsquo친 감rsquo에 기 한 신뢰의 의미가 강하다 한편 기존의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한 신뢰 역시 정보사회의 표 공간인 사이버공간을 통해서 재

생산되는 측면이 있다 문제는 신뢰의 표출형태이다 약한 계에서 형성된 신뢰라

면 보다 개방 인 신뢰의 모습을 지녀야 하지만 한국사회에 있어서는 그 지 못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즉 기존의 사회에서 뚜렷이 나타났던 lsquo자기 집단에 한 극

단 신뢰rsquo와 lsquo타 집단에 한 극단 불신rsquo이 그것이다 설령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한 신뢰 계가 그 집단내에서는 형성되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취향과 감정을

공유하는 타집단에 해서는 극단 불신을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한국사회

의 공론장 형성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다원 가치에

한 인정의 결핍은 한국사회의 아킬 스건이다 신뢰의 상의 문제에 있어서 이

사회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상은 공식 으로 인정받은(학 등을 통해) 문

가들이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소수의 문가들에 한 신뢰의 수 이

떨어지고 오히려 다수의 비 문가들이 집단 으로 생산해낸 지 가치에 한 신뢰

의 수 이 높아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뢰를 괴하는 행 가 정보사회에서는 그

익명 공간 안에서 손쉽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을 지 하 다 한 이 배신의 행

에 해 과거에는 배신자를 공동체에서 축출하는 것으로 응하 는데 정보사회

에서는 이 배신자 자체를 찾아내기가 단히 어렵다는 난제를 지니고 있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6

한 사회가 보다 인간다운 사회의 모습을 지니기 해서는 사회 자본의 축 이

필수 이며 이 사회 자본의 핵심이 사회 성원들 간의 신뢰이다 사회 자본의

축 을 통한 기회비용의 감소 뿐만이 아니라 공동체성의 회복의 가능성을 제기한

콜만과 퍼트남의 을 받아들이면서 우리는 이제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모습을

통해 새로운 사회 자본의 가능성을 논할 수 있다 개인들이 고립되어 있는 상태를

벗어나 계를 복원시켜야 한다는 퍼트남의 논의는 재 한국사회의 상황에서는 아

쉽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미 개인주의가 확산될 로 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 계가 분명 사이버공간에서 생성되고 있음은 사회

자본의 축 가능성을 다시 제기하게 한다 과거와 같은 형태의 공동체가 아닌

마페졸리(Maffesoli) 등이 제기하는 lsquo부족rsquo 형태에 기반한 사회 자본을 논할 수 있

게 된 것이다 하지만 여 히 lsquo편 가르기rsquo라는 한국의 사회문화 특성으로 인해 이

신뢰 계가 극단 편나 기 양상으로 번지곤 하는 것은 안타까운 실이다 황우

석 사태에서도 잘 나타났듯이 자신들 편의 말만 믿으면서 다른 이들에 한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성 토론 보다는 감정 비난이 앞서는 의사소통 형

태가 사이버공간에서 그 로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사회 자본

을 축 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의 장인 공론장의 형성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정보

사회에서의 공론장은 특히 사이버공간으로 확장되어 있는 특성을 지니는데 이때

사이버공간의 익명성이라는 특성상 이성 의사소통이 더욱 어려워지는 한계를 지

니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무엇보다 의사소통하는 상 방에 한

감을 보다 높이고 의사소통을 원만하게 해주는 재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

으로 응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27

참 고 문 헌

김신동 2001 lsquo정보와 사회 신뢰rsquo 「신뢰연구」 제 11권 통합호 한림과학원

박찬웅 1998 lsquo신뢰의 기와 사회 자본rsquo 1998년 후기사회학 회 발표집

박희 이희창김동욱김철수박병래 2002 한국인의 신뢰 수 향 요인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3호

윤민재 2004 lsquo신뢰와 사회자본에 한 사회 이해rsquo 「신뢰연구」 한림과학원

장원호 2004 985172사이버커뮤니티와 사회 계의 변화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장형유정기한 2004 lsquo인터넷 쇼핑몰에서 고객신뢰 태도 계몰입과 구매의도의

구조 계에 한 연구rsquo 「한국마 」 한국마 학회

최상진김의철김기범 2003 lsquo한국사회에서의 인 계속의 신뢰와 불신의 기반

으로서의 마음에 한 문화심리학 근rsquo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최항섭 2004 985172IT가 인 연결망과 공공선(public interest)에 미치는 향연구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Barney Darin 2004 The Network Society Cambridge Polity Press

Burke Peter 2000 A Social History of Knowledge Cambridge Polity Press

Castells Manuel 2001 The Internet Galaxy Reflections on the Internet Business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Condorcet Antonie-Nicolas Marquis de 1794 Sketch of the Progress of the

Human Mind Except trans by J Barra Clough 1955 pp800-10 in Peter

Gay The Enlightment A Comprehensive Anthology New York Schocken

Books

Goldman Alvin I 1999 Knowledge in a Social world New York Oxford Uni-

versity Press amp Clarendon Press

Hakken David 2003 The Knowledge landscape of Cyberspace New York Routledge

Lyotard JF 1979 La condition postmoderne Paris Minuit 이 복 역 「정보사

회에서의 지식의 상」 1992 서 사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8

Mannheim Karl 1936 Ideology and Utopia Harcourt Brace amp World

Star Susan Leigh 1995 The Cultures of Computing Oxford Blackwell

Page 7: 최 항 섭 - KISDI · 2009-08-17 · 최 항 섭 ․jesuishs@kisdi.re.kr, 02-570-4090 ․프랑스 파리 5대학 사회학부 박사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초빙전문위원

Ⅱ 신뢰의 이해

9

회경제 배경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우리는 일반 으로 인식하기를 사회에 높은

지 에 있는 사람들은 그 지 않은 사람들보다 타인에 해 신뢰도가 낮다고 생각

한다 그 이유는 그 지 에 올라가기까지 많은 사람들과의 경쟁을 거쳤기 때문에 사

람들을 믿어야 할 상이라기 보다는 자신과 경쟁하고 언제나 자신의 자리를 노리

는 믿을 수 없는 상이라고 여길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한편 사람의 능력에

한 신뢰를 생각해보면 학력 역시 신뢰의 수 에 향을 미친다 명문 졸업을 한

이들의 특성 하나는 비명문 출신의 사람들의 능력을 쉽게 믿지를 못한다는 것

이다 이는 명문 에 들어오기 이 고교 생활에서 성 순으로 능력을 평가하는

교육시스템속에서 자라왔기 때문이다 즉 고교 때 공부 못했던 이들은 사회에

나와서도 여 히 능력이 부족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사회화 과정에서 주

에 믿을만한 친구들이나 친지들이 은 사람은 일반인들이나 사회제도에 보내는

신뢰도가 낮을 것이다

2 신뢰의 형성 조건

신뢰는 그 다면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형성되는가 내가 다른 사람과 다른 집단

에게 신뢰를 보내기까지의 과정은 어떠한가 나는 다른 사람과 다른 집단을 무턱

고 신뢰 할 수는 없으며 그 사람과 집단에 한 직 경험과 간 경험에 기

해서 신뢰를 주고 안주고를 결정한다 주커에 의하면 신뢰는 그것이 생기는 과정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나 어 생각할 수 있다(윤민재 200417에서 재인용) 첫째 주체

간의 상호교류과정에서 생기는 신뢰가 있다 오랜 이웃간의 계나 오랜 거래처 사

람간의 계가 좋은 이다 둘째 주체들이 동일한 집단에 속하여 생기는 신뢰가

있다 종교집단 성원들 사이에서 생기는 신뢰가 좋은 이다 그런데 이 두 종류의

신뢰는 완 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동일한 집단에 있게 되면 상호교류가 늘어나

게 될 가능성이 크며 상호교류가 잦게 되면 동일한 집단을 구성할 가능성도 크기

때문이다 셋째의 유형은 주체가 아니라 제도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신뢰이다 를

들어 온라인으로 물건을 구매할 때 외 으로 인지도가 있는 사이트에서 구매를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0

하는 것은 그 사이트가 실명인증제도 안심거래제도 등 고객의 정보를 안 하게 처

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우리가 신뢰를 보내기 때문이다

이 두 번째 종류의 신뢰 즉 동일한 집단 혹은 같은 편에 속해 있으므로 그 집

단의 성원에게 가지는 신뢰에 해서 최상진(2002)은 그것이 신뢰에서 가장 요하

게 취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에 의하면 신뢰는 사람간의 믿을 수 있는 행 의

반복으로 인해 생기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보다 요한 것은 가족으로 태어났거나

같은 종교집단에 속하거나 하는 lsquo우리집단rsquo에 속해 있음으로 마음으로서 우러나오는

신뢰이다

최상진(2002)에 의하면 신뢰에서 가장 요한 것은 lsquo마음rsquo이다 내가 나의 아내에

게 보내는 신뢰는 아내가 나를 믿게하는 특별한 행동을 하지 않더라도 그녀의 마음

에 한 신뢰이다 즉 그녀가 나를 배신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특별한

행동을 하지 않아도 그녀의 마음을 믿는다는 것이다 한국인의 신뢰에 있어서 특히

요한 것은 사람들간의 오고가는 계약 계가 아니라 사람들간에 오고가는 정이다

즉 어떤 사람을 믿는가 안 믿는가는 그 사람과 내가 얼마나 친한가의 여부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서구에서는 약속을 얼마나 잘 지키는 가와 같은 합리 행 의 여부

가 그 사람의 신뢰도에 결정 인 향을 미친다면 한국에서는 그러한 합리성보다

는 그 사람이 얼마나 나하고 친한가 나와 얼마나 가까운 사이인가가 그 사람의 신

뢰도에 결정 인 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윤민재(2004) 역시 사회에서 신뢰를

키우는 데는 친 성이 요하다고 주장한다 그에 의하면 사회에 들어서 개인

주의가 이기주의로 변질되고 서로가 서로를 경쟁상 로만 생각하는 풍토 속에서

우리가 보다 인간답게 살고 보다 발 하는 공동체를 건설하기 해서는 서로의 친

감의 강화를 통해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선무이다 기든스(1994) 역시 lsquo친 감

은 신뢰에 한 골자rsquo라고 주장하 다(199481 윤민재 2004에서 재인용)

이러한 맥락에서 어떤 사람을 신뢰하려면 그 사람의 lsquo마음rsquo을 알아야 한다 갑이

을에게 신뢰를 보내고 있다면 갑이 을에게 신뢰하는 것은 을의 행동이라기보다는

Ⅱ 신뢰의 이해

11

을의 정직한 마음이다 심리학 이론은 이와 련 행동은 마음에서 나온다고 보고 있

다(최상진 20022) 물론 약속을 지키고 싶은 마음이 있어도 약속을 못 지킬 수도

있고 약속을 별로 지키고 싶지 않지만 약속을 지키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부분의 사람은 자신의 마음이 말하는 것과 역행하는 행 를 하기 보다는 마음이

말하는 바에 따라 행 를 한다 하지만 마음이 없는 데 행동만 하거나 마음이 있어

도 행동을 못하는 경우가 지속될 경우에는 그 사람 역시 신뢰를 상실하게 된다

로부터 가장 믿을만한 사람으로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사람을 꼽았고 반면 가장 조심

해야할 사람으로 말과 행동이 다른 사람을 꼽아왔지 않은가 한 사람이 다른 사람으

로부터 신뢰를 얻기 해서는 자기가 한 말에 책임을 질 수 있는 행동을 해야 한다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3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 신뢰의 형성 구조 강한 연 에서 약한 연

정보사회 이 신뢰의 형성 구조는 가까운 사람들간의 연 와 일체감의 구조 즉

강한 연 의 구조 다 신뢰는 최상진(20024)에 의하면 lsquo가족 아주 가까운 친구

계 함께 운명을 같이하는 집단과 같은 특수한 착 계에 있는 사람들 사이에 서

로 믿고 편하게 의지할 수 있는 마음의 연 와 일체감rsquo의 구조를 기 로 형성된다

쉽게 풀이하면 이미 친하게 알고 지내는 사람들 간에 생기는 서로에 한 믿음이라

는 것이다 이는 그 사람은 나를 배신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보는 믿음이다 최상진

의 개념에 따르면 lsquo우리성rsquo을 지니고 있는 이들이 서로간에 가지는 믿음이다 여기서

우리성이란 말은 lsquo우리편의 계rsquo를 의미한다 한 조직이 강한 통합성을 지니려면 그

조직의 경계를 공고히 해야 한다 조직의 경계를 공고히 하기 해서는 다른 조직과

의 차별을 뚜렷하게 해야 한다 그래야 그 조직내의 성원들 사이에는 강한 신뢰와

동질감이 생성된다 한 조직내에 있다는 느낌은 조직내의 타 성원들에게 높은 수

의 신뢰를 갖게 한다 특정 종교 신자들이 단지 같은 종교 신자라는 이유로 일단 상

방에게 신뢰를 보내곤 하는 것이 표 인 이다 이때 다른 종교의 신자에게는

같은 수 의 익명의 사람이라도 같은 수 의 신뢰를 보내지 않는다 이는 어떻게

보면 비합리 인 행 인데 이와 련 최상진은 lsquo한국인의 우리성 계는 모르는 사

람을 포용하는 자기 확 우리성 이라기 보다는 이들을 우리 편에서 배제시키는

우리성의 성향을 갖는다rsquo라고 지 한다 이는 유스래 (2002)에 의하면 특수화된 신

뢰이다 그에 의하면 lsquo특수화된 신뢰란 자신이 믿는 가치를 공유하는 사람들만 믿는

것을 의미하며 외부의 집단의 성원에 해서는 먼 불신부터 하고 보는 것을 의미

한다rsquo(윤민재 2004에서 재인용) 우리성의 신뢰 특수화된 신뢰는 모두 강한 연 를

기반으로 함은 물론이다

강한 연 의 신뢰는 사 신뢰의 공 신뢰에 한 상 우 로도 해석할 수 있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4

다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한국인은 사 신뢰는 높은 반면 공 신뢰는 약하게 나타

난다 즉 나와 가까운 친지들이나 친구들에게는 폭 인 신뢰를 보내는 반면 정부

국회 혹은 내가 모르는 익명의 타인들에게는 불신을 보내고 있다는 것이다(이재

1998 박찬웅 1999 김신동 2001에서 재인용) 한편 사 신뢰의 지나친 의존도와

약한 공 신뢰는 한국사회의 발 을 해하는 요소로 여겨진다 연 지연 학연을

기 로 한 소규모 연고집단에서 표 으로 나타나는 사 신뢰는 한국사회의 공공

선을 해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한 약한 공 신뢰는 사회 체에 불신

풍조를 갖게 하여 사회가 효율 으로 돌아가는 데 제동을 걸게 한다 특히 정부와

국회 제도에 한 높은 불신도는 신뢰의 상 측에 원인에 있으며 국민들이 가지

고 있는 선입 역시 사회 발 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때로 정부가 효율

인 정책을 가지고 나와 이를 강하게 추진하고자 할 때에도 일단 불신의 부터

보내는 언론과 국민들에 의해서 이 시도가 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서 사람들간의 신뢰의 형성 구조는 새로운 양상을 보인다 즉

꼭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이 아니라도 계를 형성하며 익명의 상과도 서로 호혜

인 행 를 하는 즉 약한 연 를 통해서도 신뢰가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정보사회의

표 인 공간인 사이버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호혜 행 ( 지식

검색)는 새로운 의미로 신뢰를 형성시킨다 지 않은 학자들은 사이버공간에서의

신뢰형성에 부정 이었다 특히 신뢰라는 것은 면 면 계의 지속 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인데 익명성과 상호작용의 비지속성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공

간에서 신뢰가 제 로 형성되겠느냐는 것이다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사이버공간에서 형성되는 약한 연 의 계는 지속

으로 증가했고 그 과정에서 여러 가지 부정 인 상들도 발생하 지만 과거에는

생각할 수 없었던 즉 모르는 이들에 한 신뢰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 때 모르는

이들은 완 히 모르는 이들이 아니다 내가 그 사람의 아이디를 알고 있고 그 사람

과 채 등을 통해서 화를 나 경험이 있거나 내가 요청한 도움에 그 역시 나를

잘 모르는 상태에서 기꺼이 응해주었던 경험이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5

사이버공간에서 신뢰가 형성되는 것은 호혜성 계를 통해서도 이해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감정과 취향의 공유를 통해서도 이해될 수 있다 나와 같은 것을

좋아하는 내가 느끼는 감정을 같이 느끼는 이들이라면 인간은 그 사람에게 신뢰

를 보내게 된다 이는 기든스가 얘기했던 lsquo친 성의 신뢰rsquo와 같은 맥락이다 이 때 사

람들간의 계는 여 히 그 사람이 구인지 잘 모르는 언제 헤어질 지 모르는 헤

어져도 그만인 약한 연 의 계이지만 감정과 취향의 공유를 통해서 신뢰가 형성

되어지는 것이다 강한 연 의 계에 있지만 나와 완 히 취향이 달라 친 감을 느

끼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반면 약한 연 의 계에 있지만 나와 취향이 같아 친

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후자의 경우가 정보사회에서의 논의될 수 있는 의미있는

형태로의 신뢰이다

정보사회에서의 신뢰는 비단 사이버공간에만 국한해서 논의될 필요는 없다 정보

사회에서도 여 히 이 사회에서의 강한 연 의 신뢰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지

만 시간과 공간의 제약 때문에 이 강한 연 의 지속이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그 연 의 유지를 해 사이버공간을 활용하고 있기도 하다 즉 사이버공

간에서의 계는 내가 모르고 있는 사람과의 계만이 있는 것이 아니다 내가 이미

알고 있는 사람과의 계 역시 존재한다 장원호(2004)의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많

은 경우 실공간에서의 계는 사이버공간으로 옮겨져 연장된다 이는 기존의 신

뢰 계를 재생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학교의 친구들 동창들 옛날 동네친구들 떨어

져 사는 가족들에게 있어 사이버 공간은 시간과 공간을 월해서 서로의 안부를 확

인하고 서로의 정을 나 며 상호신뢰를 지속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공간이다 최근 필

자(2004)의 연구결과를 보면 인터넷과 같은 정보통신기술은 사회성원들이 맺고 있

는 계의 인 연결망의 도를 높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터넷으로 인

해 이미 친한 이들과 더욱 친해지고 있는 것이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6

2 신뢰의 표출형태 극단성의 지속

정보사회에서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가 새롭게 형성되고는 있지만 그 표출형태

에 있어서는 이 사회의 신뢰 표출형태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즉 극단 신

뢰와 극단 불신이라는 형태로 표출되는 것을 말한다 그 이유는 사회문화 특성

에서 찾아져야할 것이다 이미 여러 조사를 통해서 한국사회의 신뢰의 특성은 내집

단에 한 극단 신뢰 타집단에 한 극단 불신이 밝 진 바 있다 박희

(2002)은 신뢰의 상으로 개인 단체 공공기 등 다양한 상들을 설정하여 국민

들이 이 상들에 갖고 있는 신뢰도는 어떠한 지 국민들의 개인 지 와 성향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연구하 다 이 조사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

들의 신뢰도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학교친구 고향친구 등 개인 으로 이미 친분

이 있는 사람들에 한 신뢰도는 매우 높은 반면 모르는 사람 알더라도 약간

아는 사람들에 한 신뢰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한마디로 말해 아는 사람은

으로 믿고 모르는 사람은 우선 의심하고 본다는 것이다 친한 사람에게는 차용증없

이도 돈을 빌려주는 사람이 모르는 사람이 길거리에서 1000원을 빌려달라고 하면

단호히 거 하는 것이 한국사회이다 사 신뢰에서도 가족 친구 친척 등 연 학

연 지연 등으로 얽 있는 인 계에 있어서의 신뢰도가 직장동료 사회동료 등

도구 계로 얽 있는 인 계에서의 신뢰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때 공 신

뢰의 낮은 수 은 압축 근 화를 거치면서 생긴 소 lsquo체계rsquo 역에 한 총체

인 불신에 기인한다 의 조사결과 특히 정부 국회 등 공공 역에 한 신뢰가

단히 낮게 나타났다 끊임없이 터져 나오는 공직자 부패사건들을 경험하면서 국민

들이 공직자와 그 조직에 해 지니고 있는 불신은 이미 최고조에 달해있는 상태이

다 공 역에 한 배신감 불신은 내가 아는 사람들에 한 극단 인 신뢰로 이

어졌다 즉 친한 사람은 무조건 믿고 모르는 사람은 일단 의심부터 하고 보는 경향

이 강하다는 것이다 이는 내편의 사람은 바로 lsquo내편이기 때문에rsquo 믿고 다른 편의 사

람은 바로 lsquo내편이 아니기 때문에rsquo 의심한다는 의미이다

정보사회와 련 사이버공간에서도 이러한 극단 신뢰와 극단 불신은 그 로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7

나타나고 있다 를 들어 자신과 같은 입장을 지닌 사람의 말은 화의 주제와

련 없는 말도 믿으면서 자신과 입장이 다른 사람은 다른 집단으로 가라고 하면서

그 사람의 말을 불신하는 것이다 그 다면 왜 이 게 한국인들은 내편 네편을 나

기를 좋아하고 내편을 끔 이 아끼고 사랑하고 무조건 믿지만 네편은 심할 정도

로 배척하고 불신하는가 최상진(2002)은 이는 내편에 속하여 얻는 심리 이고 실

질 인 만족이 서구에 비해서 단히 크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20029) 즉 사이

버공간에 한국사회의 편가르기의 특성이 투여되며 실공간의 수 을 넘어서는 상

호간의 불신이 생길 수도 있다 이와 련 사이버공간에서의 토론을 보면 간 성향

의 논의가 존재하지 않는 경향이 뚜렷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김은미(2004)의 최

근 조사에서 ldquo사이버공간에서의 의사소통에서는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편과 내가

틀리다고 생각하는 편만 존재한다rdquo고 주장한 바 있다 이 두 편은 확연하게 나 어

져 자신들의 의견이 옳음을 입증하려고 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객 인 의견개

진보다는 상 방이 틀림을 비난하는 감정 들이 오고 가며 이 과정에 계속됨에

따라 애 의 이슈는 사라지고 서로를 비난하는 감정만 남게 된다 이때 이 토론에

참여한 이는 내가 알지도 못하는 얼굴도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미움을 사게 되며

그 한 익명의 타자에게 불신과 미움의 감정을 품게 된다 이러한 상은 사이버공

간이 불신을 생산하는 장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다 최상진이 말한 우

리성의 부정 효과가 사이버공간에서의 신뢰의 하로 나타나는 것이다

3 신뢰의 상 성의 약화와 다수성의 신뢰

정보사회의 특성 하나는 바로 이 사회에서 인 신뢰의 상들의 상

이 하되고 있다는 것이다 표 인 것이 바로 소 문가에 한 신뢰의

약화이다 이는 지식의 상변화에 기인한다 즉 근 이후 지식의 가치를

드높 던 문가들이 그 실용성에 있어서 더 이상 평가를 제 로 받지 못하고 있으

며 오히려 나에게 정말 필요한 지식들을 생산하여 달해주는 수천 수만의 비 문

가들의 지식의 가치가 더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소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8

에 한 신뢰 상이다

정보사회 이 의 지식의 상을 먼 살펴보자 지식은 생성되는 과정에서의 과

학 이론 지 능력을 요구하 으며 따라서 일반인들에게는 습득하기 어려운 것

이었으며 소수의 지배계층은 이러한 지 능력을 부여받기 한 교육을 받을 수 있

는 특권을 렸다 지배계층은 지식만이 세상을 이롭게 할 수 있다는 생각을 리

유포했으며 스스로도 그 게 확신하 다 즉 지식만이 일반인들의 무지 야만 노

성을 극복하게 해주어 세계를 구할 것이라는 계몽주의 사고방식을 가졌던 것

이다 반면 일반인들이 일상의 경험에서 축 한 지 가치들은 과학 으로 증명된

바가 없고 논리성 한 갖추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지식에 비해 그 가치가 단히

떨어지는 것으로 인식하 다 과학 지식은 보편 방법을 통해 증명되고 보편

법칙들을 추구하기 때문에 만인에게 도움을 다고 보는 반면(Condorset [1794]

1973 803805) 들의 경험은 보편 법칙을 추구한다기 보다는 일상의 개인에

게 도움을 주는 것을 주 목 으로 하기 때문에 그 가치가 지식에 비해 못 미친다고

보았던 것이다 지식은 근 시기에 최고의 지 가치로 인정받았으며 이는 지식만이

lsquo사실rsquo을 담아내고 과학 으로 증명되었기 때문에 lsquo불변 rsquo이고 사회와 역사의 변화

에 향을 받지 않는 lsquo rsquo으로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 상을 정립하 다

하지만 정보사회로 어들면서 지식은 그 신뢰에 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통 시각에서의 지식은 그것이 불확실하거나 이 게도 혹은 게도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아니라 확실하고 어떤 경우에도 lsquo거짓이 아니고 참rsquo인 것으

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문제는 무엇이 lsquo진실rsquo인 것이냐는 것

이다 lsquo진실rsquo은 원히 불변 인 것인지 아니면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이기도

한 것인지에 한 의문 한 제기되어 왔다 만하임 역시 과거에 진리로 군

림했던 lsquo정 과학rsquo(exact science)에 한 신뢰성이 오늘날 심하게 흔들리고 있다고

지 한 바 있다(Mannheim 1936271)

만하임에 의하면 우리 인간이 일상생활에서 맺고 있는 사회 계 그 계 속에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9

서의 역할 그 역할을 수행하면서 갖는 존재의식 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사회속에

형성된 지식들을 제 로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Mannheim 1936267-8) 만하

임의 이러한 역사주의 에서 골드만 한 지식은 믿음을 내포하고 있는 데 이

믿음이라는 것이 사실은 lsquo사회 으로 구축된 것rsquo(socially constructed)이라고 주장한

다 그에 의하면 지식은 언제나 lsquo지엽 rsquo(local)인 것이며 상황에 따라 규정되는 것

(contextual situated)이다(Goldman 199921) 그는 특히 하나의 지식이 지엽 이

고 상황결정 인 이유로서 지식은 언제나 특정한 개인이나 특정한 이해그룹에 의해

서 지식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 다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라는 것은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하

나의 단수의 지식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 상이 발생

한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인 복수의 지식들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Burke

2000 13) 하 역시 지식은 하나의 단수 인 것이 아니며 지식을 받아들일 때도

그 지식이 형성된 과정을 이해하면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 다(Hakken

200313) 만하임에 의하면 인간의 생각과 아이디어들은 몇몇 한 인물들이 내

놓은 업 물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집합 경험에 의해서 탄생되는 것이다 그리

고 이 집합 경험은 공통의 분모를 가지는 동시에 상이성 한 가진다 존재하는

것은 하나의 상에 한 하나의 지식이 아니라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서로 충돌하고 경합을 끊임없이 하는 복수의 지식들이다(Mannheim 1936

269) 이 스타는 lsquo지식은 복수로 존재하면서 다른 지식들과 복합 상호 계속에

서 존재하며 그 기 때문에 지식은 생태 (ecologic)이다rsquo라고 보았다(Star 1995)

이 게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고 복수로 존재한다는 사실은 지식에 한

신뢰에 있어서도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한다 즉 지식에 한 신뢰는 맹목 일 수 없

다는 것이다 세 근 의 시각에서 보면 지식에 한 신뢰는 지식을 보유하고 생

성하는 권력집단의 정당성에 한 수동 수용에 기인하 다 그러나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주체 다양한 집단들이 지식생산과 비 에 참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 사회에서 형성되었던 지식들의 신뢰성이 약화가 되었고 지식을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0

생성하는 유일한 집단으로 믿어졌던 문가군에 한 신뢰 역시 약화되고 있다

지식의 성에 한 신뢰의 변화가 정보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주장의

다른 근거는 정보사회의 핵심콘텐츠인 lsquo정보rsquo의 상 변화를 통해서도 뒷받침될 수

있다 70년 에 사회학자 투 과 벨은 탈산업사회의 도래를 견하면서 탈산업사회

에서 요하게 되는 것은 노동의 힘과 자연에 지가 아니라 바로 lsquo정보rsquo일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 정보사회에 들어서는 lsquo정보rsquo를 어떻게 수집하고 활용하는가가 부의

원천이 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arny 20046) 일본의 미래학자 마슈다는 2000년

에는 정보사회가 산업사회를 체할 것이며 이 시기에는 물질 가치의 생산이

덜 요해지고 신 정보의 량생산과 공유가 단히 요해질 것이라고 내다보

았다(Barny 20048) 최근 각 을 받고 있는 정보사회학자 카스텔스에 의하면

재 우리가 사는 세계의 사회 정치 경제 행 의 지 않은 부분이 lsquo정보의 흐름rsquo

(flows of information)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든 역에 걸쳐 정보가

구에게서 출발하여 어떤 경로로 구에게 도착하는가 어떤 정보들이 공유 독

되는가가 요한 사회 이슈로 두되고 있는 것이다(Castells 19981) 리오따르 역

시 과거에 국가들은 토와 원자재 그리고 노동력을 쟁취하기 해서 쟁을 하

으나 앞으로는 보다 가치있는 정보를 쟁취하기 해 치열하게 경쟁할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Lyotard 1979) 버크는 정보의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정보를 사고

는 상품으로 취 해야 하는가 아니면 정보를 사회성원들의 공공이익을 하여

구나 공유해야할 것으로 취 해야 하는가가 요한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고 말하

다 그는 21세기를 후하여 두되고 있는 정보와 정보기술의 요성에 비추어볼

때 후 의 역사학자들이 이 시기를 lsquo정보의 시 rsquo(age of information)라고 명명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urke 20001)

그런데 이 정보는 지식과는 달리 문가들이 아닌 일반인들에게서도 쉽게 공유되

고 확산될 수 있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공유행 의 증은 지 가치들의 유통을

빠르게 효율 으로 가능하게 하는 정보기술에 기반한다 이제 지 가치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되고 실제 실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한 빠르게 획득할 수 있을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1

때 그 가치를 인정받기에 이르 다 여러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것은 문 인

것보다는 일반 이론 이기 보다는 실용 인 지 가치인데 정보가 바로 이러한

요구에 가장 잘 부응하고 있는 것이다

통 의미에서의 지식은 문가들에 의해 형성되고 증명되어진 지 가치이며

정보는 비 문가들도 얼마든지 생성 유통시킬 수 있는 그러나 아직 완 히 증명되

어지지 않은 지 가치 다 그러나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정보의 공유가 폭증하고

정보의 제공자들에 있어서 문가와 비 문가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무엇보다 사회

성원들에 필요한 지 가치로서의 정보의 상이 격히 높아지게 되었다 특히 한

명의 문가가 생산한 지식보다는 다수의 비 문가들이 함께 모여 편집하고 가공한

정보가 더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서의 상을 지니게 되는 조짐이 보이고 있다

이를 설명해 수 있는 표 인 사례가 바로 인터넷의 lsquo지식검색rsquo서비스이다 이 서

비스가 시작된 후에는 우리는 학교에서 궁 한 것 직장에서 궁 한 것 일상에서

문득 떠오르는 궁 한 것들을 인터넷만 있으면 바로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궁 한 것들에 해 다른 이들이 답변을 한 것에 한 신뢰도가 단히 높다

는 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필자의 조사(2004)에 따르면 lsquo지식검색rsquo에서 답변

된 정보들에 한 신뢰도는 단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다수의 사람

들이 lsquo맞다rsquo고 답한 정보는 신뢰할만 하다는 것이다 즉 지 가치에 한 신뢰의 정

도가 그 지 가치를 생산한 사람이 구인가( 문가인가 아닌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얼마나 많은 사람이 그 지 가치의 생산에 참여했느냐에 따라 결정된

다는 것이다 표 인 집단지성의 지 가치 생산의 로 언 되는 키피디아의

경우 신뢰도는 리타니카 백과사 에 버 가는 신뢰를 확보하고 있다

4 신뢰의 괴와 응

신뢰의 괴는 쉽게 말해 배신으로 표 된다 배신행 의 부분의 원인은 개인

의 이기심이다 즉 신뢰를 어기면서도 어떠한 행동을 하게 되면 그 신뢰를 어겨서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2

겪는 피해보다 자신이 얻는 것이 더 많을 때 배신행 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극단

인 로 한 폭력조직에서 조직성원들의 신뢰를 버리고 조직의 비 을 설하게

해야 할지 고민이 될 때 조직의 보복은 두려우나 그로 인해 자신에게 엄청난 이익

이 생기게 되면 결국 조직의 비 을 설한다는 것이다 이보다 더 일상 인 를

하나 들어보자 친구가 lsquo다른 친구들에게 로 말하지마rsquo라고 그 친구의 비 을 나

에게 얘기해주었다 그 친구는 나의 친한 친구 기 때문에 자신의 비 을 나에게

몰래 털어놓았다 하지만 그 비 을 다른 친구에게 나는 lsquo다른 이에게는 로 말

하지마 그 친구가 알면 나 큰일나rsquo라고 말하면서 그 친구의 비 을 알린다 이 때의

이기심은 경우에 따라 다르겠으나 비 정보를 나만이 알고 있다는 것을 다른 이에

게 알리고 과시하고 싶은 욕구의 이기심이다 이러한 배신 행 에 해서는 어느 사

회 어느 인간을 막론하고 냉엄하게 응한다 최상진에 의하면 배신자라는 말 자체

의 사 의미가 lsquo등을 돌린다rsquo라는 것으로 이는 완 히 자신에게 등을 돌린 사람

남남인 사람을 의미한다(20027) 신뢰를 버려야했던 행 로 인해 얻어지는 이익

에 기뻐하지만 신뢰를 버린 행 가 도덕 으로 규탄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자신 스스로 괴로워한다 친한 친구들에게 돈 사기를 친 이들이 자수를 하는

경우에는 이 양심의 소리가 주는 고통이 단히 컸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치의 감정

은 스스로 양심의 가책을 느껴 생기는 자괴성(self-shamed)이다 한국사회는 이기

심에서 발 된 배신행 에 해서 그 처벌을 엄격하게 하여 사회에서 완 소외되

게 하거나 스스로 극도의 자괴감을 가지도록 하는 사회담론을 형성해 왔다 이는

사회에서의 신뢰를 무엇보다 시해온 한국사회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정보사회에서 신뢰의 괴는 그 다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 먼

익명성에 자신을 숨기고 다른 이들의 사생활정보를 헤쳐 이를 악용하는 것이

표 인 사례다 사이버공간에서는 자신의 사생활정보를 나의 동의없이 다른 이에게

공개하지 못할 것이라는 lsquo시스템안 에 한 신뢰rsquo가 작동된다 그 기에 인터넷 쇼

핑 인터넷 뱅킹 등이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단히 험한 일이기도 하다 경

제 이윤으로 직결되는 사생활정보를 외부로 팔아넘겨 얼마든지 이윤을 챙길 가능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3

성이 항상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8년 옥션사태 SK사태에서 잘 나타났듯이 우

리의 사생활정보는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기업 혹은 해커들에 의해 노출될 험

이 있다 이때 신뢰는 개인과 개인 사이에서의 문제를 넘어서 개인과 체계의 문제가

된다 개인 수 에서도 신뢰의 괴는 쉽게 이루어진다 역시 익명성이라는 속성

상 나의 본체가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내가 신뢰를 괴하더라도 그 책임으로부

터 숨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 다면 사이버공간에서 신뢰의 괴가 생길 때 이에 한 응은 어떻게 이루

어지는가 이 사회에서는 신뢰의 괴를 한 이를 색출하여 이를 공동체에서 배제

를 시킴으로써 체조직의 신뢰를 유지하 다 이를 해 엄격한 법 체제가 마련

되었음은 물론이다 개인 한 이러한 신뢰 괴 행 에 해 자괴성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하지만 사이버공간에서는 이러한 배제행 와 자괴성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이 군지를 숨길 수 있는 익명성이라는 사이버공간의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신뢰를 괴하는 행 가 특히 개인간의 차원에서 벌어졌을 때 신뢰

를 괴한 이를 찾아내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사이버공간에서 축출을 한다고 해도

그는 다른 익명성 혹은 가명성으로 새롭게 신뢰 괴행 에 나설수 있다 재 사

이버테러에 응하는 사법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사이버공간의 본질 속성상

그 논의 자체가 쉽지 않는 상태이다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25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 자본 축 을 해

지 까지 정보사회의 신뢰에 있어서 신뢰의 형성구조 신뢰의 표출형태 신뢰의

상 신뢰의 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심으로 그 변화의 측면을 논해보았다 먼

이 사회에서는 연 지연 학연 등을 심으로 하는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

뢰가 형성되었던 반면 정보사회에서는 연고 보다는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하

면서 그 계의 끈이 비교 느슨한 lsquo약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뢰가 형성되는 상

이 발생하고 있다 이때 약한 연 에서 경험되는 것은 익명의 존재들 간에 호혜 으

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며 이 호혜성의 경험이 상 방에 한 신뢰를 갖게 한다

이때 신뢰는 물질 이익을 주고 받으면서 생기는 것이라가 보다는 함께 무엇인가

를 즐기고 공유하면서 생기는 lsquo친 감rsquo에 기 한 신뢰의 의미가 강하다 한편 기존의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한 신뢰 역시 정보사회의 표 공간인 사이버공간을 통해서 재

생산되는 측면이 있다 문제는 신뢰의 표출형태이다 약한 계에서 형성된 신뢰라

면 보다 개방 인 신뢰의 모습을 지녀야 하지만 한국사회에 있어서는 그 지 못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즉 기존의 사회에서 뚜렷이 나타났던 lsquo자기 집단에 한 극

단 신뢰rsquo와 lsquo타 집단에 한 극단 불신rsquo이 그것이다 설령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한 신뢰 계가 그 집단내에서는 형성되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취향과 감정을

공유하는 타집단에 해서는 극단 불신을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한국사회

의 공론장 형성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다원 가치에

한 인정의 결핍은 한국사회의 아킬 스건이다 신뢰의 상의 문제에 있어서 이

사회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상은 공식 으로 인정받은(학 등을 통해) 문

가들이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소수의 문가들에 한 신뢰의 수 이

떨어지고 오히려 다수의 비 문가들이 집단 으로 생산해낸 지 가치에 한 신뢰

의 수 이 높아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뢰를 괴하는 행 가 정보사회에서는 그

익명 공간 안에서 손쉽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을 지 하 다 한 이 배신의 행

에 해 과거에는 배신자를 공동체에서 축출하는 것으로 응하 는데 정보사회

에서는 이 배신자 자체를 찾아내기가 단히 어렵다는 난제를 지니고 있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6

한 사회가 보다 인간다운 사회의 모습을 지니기 해서는 사회 자본의 축 이

필수 이며 이 사회 자본의 핵심이 사회 성원들 간의 신뢰이다 사회 자본의

축 을 통한 기회비용의 감소 뿐만이 아니라 공동체성의 회복의 가능성을 제기한

콜만과 퍼트남의 을 받아들이면서 우리는 이제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모습을

통해 새로운 사회 자본의 가능성을 논할 수 있다 개인들이 고립되어 있는 상태를

벗어나 계를 복원시켜야 한다는 퍼트남의 논의는 재 한국사회의 상황에서는 아

쉽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미 개인주의가 확산될 로 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 계가 분명 사이버공간에서 생성되고 있음은 사회

자본의 축 가능성을 다시 제기하게 한다 과거와 같은 형태의 공동체가 아닌

마페졸리(Maffesoli) 등이 제기하는 lsquo부족rsquo 형태에 기반한 사회 자본을 논할 수 있

게 된 것이다 하지만 여 히 lsquo편 가르기rsquo라는 한국의 사회문화 특성으로 인해 이

신뢰 계가 극단 편나 기 양상으로 번지곤 하는 것은 안타까운 실이다 황우

석 사태에서도 잘 나타났듯이 자신들 편의 말만 믿으면서 다른 이들에 한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성 토론 보다는 감정 비난이 앞서는 의사소통 형

태가 사이버공간에서 그 로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사회 자본

을 축 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의 장인 공론장의 형성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정보

사회에서의 공론장은 특히 사이버공간으로 확장되어 있는 특성을 지니는데 이때

사이버공간의 익명성이라는 특성상 이성 의사소통이 더욱 어려워지는 한계를 지

니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무엇보다 의사소통하는 상 방에 한

감을 보다 높이고 의사소통을 원만하게 해주는 재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

으로 응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27

참 고 문 헌

김신동 2001 lsquo정보와 사회 신뢰rsquo 「신뢰연구」 제 11권 통합호 한림과학원

박찬웅 1998 lsquo신뢰의 기와 사회 자본rsquo 1998년 후기사회학 회 발표집

박희 이희창김동욱김철수박병래 2002 한국인의 신뢰 수 향 요인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3호

윤민재 2004 lsquo신뢰와 사회자본에 한 사회 이해rsquo 「신뢰연구」 한림과학원

장원호 2004 985172사이버커뮤니티와 사회 계의 변화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장형유정기한 2004 lsquo인터넷 쇼핑몰에서 고객신뢰 태도 계몰입과 구매의도의

구조 계에 한 연구rsquo 「한국마 」 한국마 학회

최상진김의철김기범 2003 lsquo한국사회에서의 인 계속의 신뢰와 불신의 기반

으로서의 마음에 한 문화심리학 근rsquo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최항섭 2004 985172IT가 인 연결망과 공공선(public interest)에 미치는 향연구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Barney Darin 2004 The Network Society Cambridge Polity Press

Burke Peter 2000 A Social History of Knowledge Cambridge Polity Press

Castells Manuel 2001 The Internet Galaxy Reflections on the Internet Business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Condorcet Antonie-Nicolas Marquis de 1794 Sketch of the Progress of the

Human Mind Except trans by J Barra Clough 1955 pp800-10 in Peter

Gay The Enlightment A Comprehensive Anthology New York Schocken

Books

Goldman Alvin I 1999 Knowledge in a Social world New York Oxford Uni-

versity Press amp Clarendon Press

Hakken David 2003 The Knowledge landscape of Cyberspace New York Routledge

Lyotard JF 1979 La condition postmoderne Paris Minuit 이 복 역 「정보사

회에서의 지식의 상」 1992 서 사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8

Mannheim Karl 1936 Ideology and Utopia Harcourt Brace amp World

Star Susan Leigh 1995 The Cultures of Computing Oxford Blackwell

Page 8: 최 항 섭 - KISDI · 2009-08-17 · 최 항 섭 ․jesuishs@kisdi.re.kr, 02-570-4090 ․프랑스 파리 5대학 사회학부 박사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초빙전문위원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0

하는 것은 그 사이트가 실명인증제도 안심거래제도 등 고객의 정보를 안 하게 처

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우리가 신뢰를 보내기 때문이다

이 두 번째 종류의 신뢰 즉 동일한 집단 혹은 같은 편에 속해 있으므로 그 집

단의 성원에게 가지는 신뢰에 해서 최상진(2002)은 그것이 신뢰에서 가장 요하

게 취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에 의하면 신뢰는 사람간의 믿을 수 있는 행 의

반복으로 인해 생기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보다 요한 것은 가족으로 태어났거나

같은 종교집단에 속하거나 하는 lsquo우리집단rsquo에 속해 있음으로 마음으로서 우러나오는

신뢰이다

최상진(2002)에 의하면 신뢰에서 가장 요한 것은 lsquo마음rsquo이다 내가 나의 아내에

게 보내는 신뢰는 아내가 나를 믿게하는 특별한 행동을 하지 않더라도 그녀의 마음

에 한 신뢰이다 즉 그녀가 나를 배신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특별한

행동을 하지 않아도 그녀의 마음을 믿는다는 것이다 한국인의 신뢰에 있어서 특히

요한 것은 사람들간의 오고가는 계약 계가 아니라 사람들간에 오고가는 정이다

즉 어떤 사람을 믿는가 안 믿는가는 그 사람과 내가 얼마나 친한가의 여부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서구에서는 약속을 얼마나 잘 지키는 가와 같은 합리 행 의 여부

가 그 사람의 신뢰도에 결정 인 향을 미친다면 한국에서는 그러한 합리성보다

는 그 사람이 얼마나 나하고 친한가 나와 얼마나 가까운 사이인가가 그 사람의 신

뢰도에 결정 인 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윤민재(2004) 역시 사회에서 신뢰를

키우는 데는 친 성이 요하다고 주장한다 그에 의하면 사회에 들어서 개인

주의가 이기주의로 변질되고 서로가 서로를 경쟁상 로만 생각하는 풍토 속에서

우리가 보다 인간답게 살고 보다 발 하는 공동체를 건설하기 해서는 서로의 친

감의 강화를 통해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선무이다 기든스(1994) 역시 lsquo친 감

은 신뢰에 한 골자rsquo라고 주장하 다(199481 윤민재 2004에서 재인용)

이러한 맥락에서 어떤 사람을 신뢰하려면 그 사람의 lsquo마음rsquo을 알아야 한다 갑이

을에게 신뢰를 보내고 있다면 갑이 을에게 신뢰하는 것은 을의 행동이라기보다는

Ⅱ 신뢰의 이해

11

을의 정직한 마음이다 심리학 이론은 이와 련 행동은 마음에서 나온다고 보고 있

다(최상진 20022) 물론 약속을 지키고 싶은 마음이 있어도 약속을 못 지킬 수도

있고 약속을 별로 지키고 싶지 않지만 약속을 지키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부분의 사람은 자신의 마음이 말하는 것과 역행하는 행 를 하기 보다는 마음이

말하는 바에 따라 행 를 한다 하지만 마음이 없는 데 행동만 하거나 마음이 있어

도 행동을 못하는 경우가 지속될 경우에는 그 사람 역시 신뢰를 상실하게 된다

로부터 가장 믿을만한 사람으로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사람을 꼽았고 반면 가장 조심

해야할 사람으로 말과 행동이 다른 사람을 꼽아왔지 않은가 한 사람이 다른 사람으

로부터 신뢰를 얻기 해서는 자기가 한 말에 책임을 질 수 있는 행동을 해야 한다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3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 신뢰의 형성 구조 강한 연 에서 약한 연

정보사회 이 신뢰의 형성 구조는 가까운 사람들간의 연 와 일체감의 구조 즉

강한 연 의 구조 다 신뢰는 최상진(20024)에 의하면 lsquo가족 아주 가까운 친구

계 함께 운명을 같이하는 집단과 같은 특수한 착 계에 있는 사람들 사이에 서

로 믿고 편하게 의지할 수 있는 마음의 연 와 일체감rsquo의 구조를 기 로 형성된다

쉽게 풀이하면 이미 친하게 알고 지내는 사람들 간에 생기는 서로에 한 믿음이라

는 것이다 이는 그 사람은 나를 배신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보는 믿음이다 최상진

의 개념에 따르면 lsquo우리성rsquo을 지니고 있는 이들이 서로간에 가지는 믿음이다 여기서

우리성이란 말은 lsquo우리편의 계rsquo를 의미한다 한 조직이 강한 통합성을 지니려면 그

조직의 경계를 공고히 해야 한다 조직의 경계를 공고히 하기 해서는 다른 조직과

의 차별을 뚜렷하게 해야 한다 그래야 그 조직내의 성원들 사이에는 강한 신뢰와

동질감이 생성된다 한 조직내에 있다는 느낌은 조직내의 타 성원들에게 높은 수

의 신뢰를 갖게 한다 특정 종교 신자들이 단지 같은 종교 신자라는 이유로 일단 상

방에게 신뢰를 보내곤 하는 것이 표 인 이다 이때 다른 종교의 신자에게는

같은 수 의 익명의 사람이라도 같은 수 의 신뢰를 보내지 않는다 이는 어떻게

보면 비합리 인 행 인데 이와 련 최상진은 lsquo한국인의 우리성 계는 모르는 사

람을 포용하는 자기 확 우리성 이라기 보다는 이들을 우리 편에서 배제시키는

우리성의 성향을 갖는다rsquo라고 지 한다 이는 유스래 (2002)에 의하면 특수화된 신

뢰이다 그에 의하면 lsquo특수화된 신뢰란 자신이 믿는 가치를 공유하는 사람들만 믿는

것을 의미하며 외부의 집단의 성원에 해서는 먼 불신부터 하고 보는 것을 의미

한다rsquo(윤민재 2004에서 재인용) 우리성의 신뢰 특수화된 신뢰는 모두 강한 연 를

기반으로 함은 물론이다

강한 연 의 신뢰는 사 신뢰의 공 신뢰에 한 상 우 로도 해석할 수 있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4

다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한국인은 사 신뢰는 높은 반면 공 신뢰는 약하게 나타

난다 즉 나와 가까운 친지들이나 친구들에게는 폭 인 신뢰를 보내는 반면 정부

국회 혹은 내가 모르는 익명의 타인들에게는 불신을 보내고 있다는 것이다(이재

1998 박찬웅 1999 김신동 2001에서 재인용) 한편 사 신뢰의 지나친 의존도와

약한 공 신뢰는 한국사회의 발 을 해하는 요소로 여겨진다 연 지연 학연을

기 로 한 소규모 연고집단에서 표 으로 나타나는 사 신뢰는 한국사회의 공공

선을 해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한 약한 공 신뢰는 사회 체에 불신

풍조를 갖게 하여 사회가 효율 으로 돌아가는 데 제동을 걸게 한다 특히 정부와

국회 제도에 한 높은 불신도는 신뢰의 상 측에 원인에 있으며 국민들이 가지

고 있는 선입 역시 사회 발 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때로 정부가 효율

인 정책을 가지고 나와 이를 강하게 추진하고자 할 때에도 일단 불신의 부터

보내는 언론과 국민들에 의해서 이 시도가 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서 사람들간의 신뢰의 형성 구조는 새로운 양상을 보인다 즉

꼭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이 아니라도 계를 형성하며 익명의 상과도 서로 호혜

인 행 를 하는 즉 약한 연 를 통해서도 신뢰가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정보사회의

표 인 공간인 사이버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호혜 행 ( 지식

검색)는 새로운 의미로 신뢰를 형성시킨다 지 않은 학자들은 사이버공간에서의

신뢰형성에 부정 이었다 특히 신뢰라는 것은 면 면 계의 지속 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인데 익명성과 상호작용의 비지속성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공

간에서 신뢰가 제 로 형성되겠느냐는 것이다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사이버공간에서 형성되는 약한 연 의 계는 지속

으로 증가했고 그 과정에서 여러 가지 부정 인 상들도 발생하 지만 과거에는

생각할 수 없었던 즉 모르는 이들에 한 신뢰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 때 모르는

이들은 완 히 모르는 이들이 아니다 내가 그 사람의 아이디를 알고 있고 그 사람

과 채 등을 통해서 화를 나 경험이 있거나 내가 요청한 도움에 그 역시 나를

잘 모르는 상태에서 기꺼이 응해주었던 경험이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5

사이버공간에서 신뢰가 형성되는 것은 호혜성 계를 통해서도 이해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감정과 취향의 공유를 통해서도 이해될 수 있다 나와 같은 것을

좋아하는 내가 느끼는 감정을 같이 느끼는 이들이라면 인간은 그 사람에게 신뢰

를 보내게 된다 이는 기든스가 얘기했던 lsquo친 성의 신뢰rsquo와 같은 맥락이다 이 때 사

람들간의 계는 여 히 그 사람이 구인지 잘 모르는 언제 헤어질 지 모르는 헤

어져도 그만인 약한 연 의 계이지만 감정과 취향의 공유를 통해서 신뢰가 형성

되어지는 것이다 강한 연 의 계에 있지만 나와 완 히 취향이 달라 친 감을 느

끼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반면 약한 연 의 계에 있지만 나와 취향이 같아 친

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후자의 경우가 정보사회에서의 논의될 수 있는 의미있는

형태로의 신뢰이다

정보사회에서의 신뢰는 비단 사이버공간에만 국한해서 논의될 필요는 없다 정보

사회에서도 여 히 이 사회에서의 강한 연 의 신뢰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지

만 시간과 공간의 제약 때문에 이 강한 연 의 지속이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그 연 의 유지를 해 사이버공간을 활용하고 있기도 하다 즉 사이버공

간에서의 계는 내가 모르고 있는 사람과의 계만이 있는 것이 아니다 내가 이미

알고 있는 사람과의 계 역시 존재한다 장원호(2004)의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많

은 경우 실공간에서의 계는 사이버공간으로 옮겨져 연장된다 이는 기존의 신

뢰 계를 재생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학교의 친구들 동창들 옛날 동네친구들 떨어

져 사는 가족들에게 있어 사이버 공간은 시간과 공간을 월해서 서로의 안부를 확

인하고 서로의 정을 나 며 상호신뢰를 지속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공간이다 최근 필

자(2004)의 연구결과를 보면 인터넷과 같은 정보통신기술은 사회성원들이 맺고 있

는 계의 인 연결망의 도를 높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터넷으로 인

해 이미 친한 이들과 더욱 친해지고 있는 것이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6

2 신뢰의 표출형태 극단성의 지속

정보사회에서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가 새롭게 형성되고는 있지만 그 표출형태

에 있어서는 이 사회의 신뢰 표출형태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즉 극단 신

뢰와 극단 불신이라는 형태로 표출되는 것을 말한다 그 이유는 사회문화 특성

에서 찾아져야할 것이다 이미 여러 조사를 통해서 한국사회의 신뢰의 특성은 내집

단에 한 극단 신뢰 타집단에 한 극단 불신이 밝 진 바 있다 박희

(2002)은 신뢰의 상으로 개인 단체 공공기 등 다양한 상들을 설정하여 국민

들이 이 상들에 갖고 있는 신뢰도는 어떠한 지 국민들의 개인 지 와 성향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연구하 다 이 조사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

들의 신뢰도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학교친구 고향친구 등 개인 으로 이미 친분

이 있는 사람들에 한 신뢰도는 매우 높은 반면 모르는 사람 알더라도 약간

아는 사람들에 한 신뢰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한마디로 말해 아는 사람은

으로 믿고 모르는 사람은 우선 의심하고 본다는 것이다 친한 사람에게는 차용증없

이도 돈을 빌려주는 사람이 모르는 사람이 길거리에서 1000원을 빌려달라고 하면

단호히 거 하는 것이 한국사회이다 사 신뢰에서도 가족 친구 친척 등 연 학

연 지연 등으로 얽 있는 인 계에 있어서의 신뢰도가 직장동료 사회동료 등

도구 계로 얽 있는 인 계에서의 신뢰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때 공 신

뢰의 낮은 수 은 압축 근 화를 거치면서 생긴 소 lsquo체계rsquo 역에 한 총체

인 불신에 기인한다 의 조사결과 특히 정부 국회 등 공공 역에 한 신뢰가

단히 낮게 나타났다 끊임없이 터져 나오는 공직자 부패사건들을 경험하면서 국민

들이 공직자와 그 조직에 해 지니고 있는 불신은 이미 최고조에 달해있는 상태이

다 공 역에 한 배신감 불신은 내가 아는 사람들에 한 극단 인 신뢰로 이

어졌다 즉 친한 사람은 무조건 믿고 모르는 사람은 일단 의심부터 하고 보는 경향

이 강하다는 것이다 이는 내편의 사람은 바로 lsquo내편이기 때문에rsquo 믿고 다른 편의 사

람은 바로 lsquo내편이 아니기 때문에rsquo 의심한다는 의미이다

정보사회와 련 사이버공간에서도 이러한 극단 신뢰와 극단 불신은 그 로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7

나타나고 있다 를 들어 자신과 같은 입장을 지닌 사람의 말은 화의 주제와

련 없는 말도 믿으면서 자신과 입장이 다른 사람은 다른 집단으로 가라고 하면서

그 사람의 말을 불신하는 것이다 그 다면 왜 이 게 한국인들은 내편 네편을 나

기를 좋아하고 내편을 끔 이 아끼고 사랑하고 무조건 믿지만 네편은 심할 정도

로 배척하고 불신하는가 최상진(2002)은 이는 내편에 속하여 얻는 심리 이고 실

질 인 만족이 서구에 비해서 단히 크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20029) 즉 사이

버공간에 한국사회의 편가르기의 특성이 투여되며 실공간의 수 을 넘어서는 상

호간의 불신이 생길 수도 있다 이와 련 사이버공간에서의 토론을 보면 간 성향

의 논의가 존재하지 않는 경향이 뚜렷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김은미(2004)의 최

근 조사에서 ldquo사이버공간에서의 의사소통에서는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편과 내가

틀리다고 생각하는 편만 존재한다rdquo고 주장한 바 있다 이 두 편은 확연하게 나 어

져 자신들의 의견이 옳음을 입증하려고 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객 인 의견개

진보다는 상 방이 틀림을 비난하는 감정 들이 오고 가며 이 과정에 계속됨에

따라 애 의 이슈는 사라지고 서로를 비난하는 감정만 남게 된다 이때 이 토론에

참여한 이는 내가 알지도 못하는 얼굴도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미움을 사게 되며

그 한 익명의 타자에게 불신과 미움의 감정을 품게 된다 이러한 상은 사이버공

간이 불신을 생산하는 장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다 최상진이 말한 우

리성의 부정 효과가 사이버공간에서의 신뢰의 하로 나타나는 것이다

3 신뢰의 상 성의 약화와 다수성의 신뢰

정보사회의 특성 하나는 바로 이 사회에서 인 신뢰의 상들의 상

이 하되고 있다는 것이다 표 인 것이 바로 소 문가에 한 신뢰의

약화이다 이는 지식의 상변화에 기인한다 즉 근 이후 지식의 가치를

드높 던 문가들이 그 실용성에 있어서 더 이상 평가를 제 로 받지 못하고 있으

며 오히려 나에게 정말 필요한 지식들을 생산하여 달해주는 수천 수만의 비 문

가들의 지식의 가치가 더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소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8

에 한 신뢰 상이다

정보사회 이 의 지식의 상을 먼 살펴보자 지식은 생성되는 과정에서의 과

학 이론 지 능력을 요구하 으며 따라서 일반인들에게는 습득하기 어려운 것

이었으며 소수의 지배계층은 이러한 지 능력을 부여받기 한 교육을 받을 수 있

는 특권을 렸다 지배계층은 지식만이 세상을 이롭게 할 수 있다는 생각을 리

유포했으며 스스로도 그 게 확신하 다 즉 지식만이 일반인들의 무지 야만 노

성을 극복하게 해주어 세계를 구할 것이라는 계몽주의 사고방식을 가졌던 것

이다 반면 일반인들이 일상의 경험에서 축 한 지 가치들은 과학 으로 증명된

바가 없고 논리성 한 갖추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지식에 비해 그 가치가 단히

떨어지는 것으로 인식하 다 과학 지식은 보편 방법을 통해 증명되고 보편

법칙들을 추구하기 때문에 만인에게 도움을 다고 보는 반면(Condorset [1794]

1973 803805) 들의 경험은 보편 법칙을 추구한다기 보다는 일상의 개인에

게 도움을 주는 것을 주 목 으로 하기 때문에 그 가치가 지식에 비해 못 미친다고

보았던 것이다 지식은 근 시기에 최고의 지 가치로 인정받았으며 이는 지식만이

lsquo사실rsquo을 담아내고 과학 으로 증명되었기 때문에 lsquo불변 rsquo이고 사회와 역사의 변화

에 향을 받지 않는 lsquo rsquo으로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 상을 정립하 다

하지만 정보사회로 어들면서 지식은 그 신뢰에 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통 시각에서의 지식은 그것이 불확실하거나 이 게도 혹은 게도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아니라 확실하고 어떤 경우에도 lsquo거짓이 아니고 참rsquo인 것으

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문제는 무엇이 lsquo진실rsquo인 것이냐는 것

이다 lsquo진실rsquo은 원히 불변 인 것인지 아니면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이기도

한 것인지에 한 의문 한 제기되어 왔다 만하임 역시 과거에 진리로 군

림했던 lsquo정 과학rsquo(exact science)에 한 신뢰성이 오늘날 심하게 흔들리고 있다고

지 한 바 있다(Mannheim 1936271)

만하임에 의하면 우리 인간이 일상생활에서 맺고 있는 사회 계 그 계 속에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9

서의 역할 그 역할을 수행하면서 갖는 존재의식 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사회속에

형성된 지식들을 제 로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Mannheim 1936267-8) 만하

임의 이러한 역사주의 에서 골드만 한 지식은 믿음을 내포하고 있는 데 이

믿음이라는 것이 사실은 lsquo사회 으로 구축된 것rsquo(socially constructed)이라고 주장한

다 그에 의하면 지식은 언제나 lsquo지엽 rsquo(local)인 것이며 상황에 따라 규정되는 것

(contextual situated)이다(Goldman 199921) 그는 특히 하나의 지식이 지엽 이

고 상황결정 인 이유로서 지식은 언제나 특정한 개인이나 특정한 이해그룹에 의해

서 지식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 다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라는 것은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하

나의 단수의 지식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 상이 발생

한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인 복수의 지식들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Burke

2000 13) 하 역시 지식은 하나의 단수 인 것이 아니며 지식을 받아들일 때도

그 지식이 형성된 과정을 이해하면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 다(Hakken

200313) 만하임에 의하면 인간의 생각과 아이디어들은 몇몇 한 인물들이 내

놓은 업 물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집합 경험에 의해서 탄생되는 것이다 그리

고 이 집합 경험은 공통의 분모를 가지는 동시에 상이성 한 가진다 존재하는

것은 하나의 상에 한 하나의 지식이 아니라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서로 충돌하고 경합을 끊임없이 하는 복수의 지식들이다(Mannheim 1936

269) 이 스타는 lsquo지식은 복수로 존재하면서 다른 지식들과 복합 상호 계속에

서 존재하며 그 기 때문에 지식은 생태 (ecologic)이다rsquo라고 보았다(Star 1995)

이 게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고 복수로 존재한다는 사실은 지식에 한

신뢰에 있어서도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한다 즉 지식에 한 신뢰는 맹목 일 수 없

다는 것이다 세 근 의 시각에서 보면 지식에 한 신뢰는 지식을 보유하고 생

성하는 권력집단의 정당성에 한 수동 수용에 기인하 다 그러나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주체 다양한 집단들이 지식생산과 비 에 참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 사회에서 형성되었던 지식들의 신뢰성이 약화가 되었고 지식을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0

생성하는 유일한 집단으로 믿어졌던 문가군에 한 신뢰 역시 약화되고 있다

지식의 성에 한 신뢰의 변화가 정보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주장의

다른 근거는 정보사회의 핵심콘텐츠인 lsquo정보rsquo의 상 변화를 통해서도 뒷받침될 수

있다 70년 에 사회학자 투 과 벨은 탈산업사회의 도래를 견하면서 탈산업사회

에서 요하게 되는 것은 노동의 힘과 자연에 지가 아니라 바로 lsquo정보rsquo일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 정보사회에 들어서는 lsquo정보rsquo를 어떻게 수집하고 활용하는가가 부의

원천이 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arny 20046) 일본의 미래학자 마슈다는 2000년

에는 정보사회가 산업사회를 체할 것이며 이 시기에는 물질 가치의 생산이

덜 요해지고 신 정보의 량생산과 공유가 단히 요해질 것이라고 내다보

았다(Barny 20048) 최근 각 을 받고 있는 정보사회학자 카스텔스에 의하면

재 우리가 사는 세계의 사회 정치 경제 행 의 지 않은 부분이 lsquo정보의 흐름rsquo

(flows of information)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든 역에 걸쳐 정보가

구에게서 출발하여 어떤 경로로 구에게 도착하는가 어떤 정보들이 공유 독

되는가가 요한 사회 이슈로 두되고 있는 것이다(Castells 19981) 리오따르 역

시 과거에 국가들은 토와 원자재 그리고 노동력을 쟁취하기 해서 쟁을 하

으나 앞으로는 보다 가치있는 정보를 쟁취하기 해 치열하게 경쟁할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Lyotard 1979) 버크는 정보의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정보를 사고

는 상품으로 취 해야 하는가 아니면 정보를 사회성원들의 공공이익을 하여

구나 공유해야할 것으로 취 해야 하는가가 요한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고 말하

다 그는 21세기를 후하여 두되고 있는 정보와 정보기술의 요성에 비추어볼

때 후 의 역사학자들이 이 시기를 lsquo정보의 시 rsquo(age of information)라고 명명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urke 20001)

그런데 이 정보는 지식과는 달리 문가들이 아닌 일반인들에게서도 쉽게 공유되

고 확산될 수 있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공유행 의 증은 지 가치들의 유통을

빠르게 효율 으로 가능하게 하는 정보기술에 기반한다 이제 지 가치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되고 실제 실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한 빠르게 획득할 수 있을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1

때 그 가치를 인정받기에 이르 다 여러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것은 문 인

것보다는 일반 이론 이기 보다는 실용 인 지 가치인데 정보가 바로 이러한

요구에 가장 잘 부응하고 있는 것이다

통 의미에서의 지식은 문가들에 의해 형성되고 증명되어진 지 가치이며

정보는 비 문가들도 얼마든지 생성 유통시킬 수 있는 그러나 아직 완 히 증명되

어지지 않은 지 가치 다 그러나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정보의 공유가 폭증하고

정보의 제공자들에 있어서 문가와 비 문가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무엇보다 사회

성원들에 필요한 지 가치로서의 정보의 상이 격히 높아지게 되었다 특히 한

명의 문가가 생산한 지식보다는 다수의 비 문가들이 함께 모여 편집하고 가공한

정보가 더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서의 상을 지니게 되는 조짐이 보이고 있다

이를 설명해 수 있는 표 인 사례가 바로 인터넷의 lsquo지식검색rsquo서비스이다 이 서

비스가 시작된 후에는 우리는 학교에서 궁 한 것 직장에서 궁 한 것 일상에서

문득 떠오르는 궁 한 것들을 인터넷만 있으면 바로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궁 한 것들에 해 다른 이들이 답변을 한 것에 한 신뢰도가 단히 높다

는 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필자의 조사(2004)에 따르면 lsquo지식검색rsquo에서 답변

된 정보들에 한 신뢰도는 단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다수의 사람

들이 lsquo맞다rsquo고 답한 정보는 신뢰할만 하다는 것이다 즉 지 가치에 한 신뢰의 정

도가 그 지 가치를 생산한 사람이 구인가( 문가인가 아닌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얼마나 많은 사람이 그 지 가치의 생산에 참여했느냐에 따라 결정된

다는 것이다 표 인 집단지성의 지 가치 생산의 로 언 되는 키피디아의

경우 신뢰도는 리타니카 백과사 에 버 가는 신뢰를 확보하고 있다

4 신뢰의 괴와 응

신뢰의 괴는 쉽게 말해 배신으로 표 된다 배신행 의 부분의 원인은 개인

의 이기심이다 즉 신뢰를 어기면서도 어떠한 행동을 하게 되면 그 신뢰를 어겨서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2

겪는 피해보다 자신이 얻는 것이 더 많을 때 배신행 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극단

인 로 한 폭력조직에서 조직성원들의 신뢰를 버리고 조직의 비 을 설하게

해야 할지 고민이 될 때 조직의 보복은 두려우나 그로 인해 자신에게 엄청난 이익

이 생기게 되면 결국 조직의 비 을 설한다는 것이다 이보다 더 일상 인 를

하나 들어보자 친구가 lsquo다른 친구들에게 로 말하지마rsquo라고 그 친구의 비 을 나

에게 얘기해주었다 그 친구는 나의 친한 친구 기 때문에 자신의 비 을 나에게

몰래 털어놓았다 하지만 그 비 을 다른 친구에게 나는 lsquo다른 이에게는 로 말

하지마 그 친구가 알면 나 큰일나rsquo라고 말하면서 그 친구의 비 을 알린다 이 때의

이기심은 경우에 따라 다르겠으나 비 정보를 나만이 알고 있다는 것을 다른 이에

게 알리고 과시하고 싶은 욕구의 이기심이다 이러한 배신 행 에 해서는 어느 사

회 어느 인간을 막론하고 냉엄하게 응한다 최상진에 의하면 배신자라는 말 자체

의 사 의미가 lsquo등을 돌린다rsquo라는 것으로 이는 완 히 자신에게 등을 돌린 사람

남남인 사람을 의미한다(20027) 신뢰를 버려야했던 행 로 인해 얻어지는 이익

에 기뻐하지만 신뢰를 버린 행 가 도덕 으로 규탄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자신 스스로 괴로워한다 친한 친구들에게 돈 사기를 친 이들이 자수를 하는

경우에는 이 양심의 소리가 주는 고통이 단히 컸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치의 감정

은 스스로 양심의 가책을 느껴 생기는 자괴성(self-shamed)이다 한국사회는 이기

심에서 발 된 배신행 에 해서 그 처벌을 엄격하게 하여 사회에서 완 소외되

게 하거나 스스로 극도의 자괴감을 가지도록 하는 사회담론을 형성해 왔다 이는

사회에서의 신뢰를 무엇보다 시해온 한국사회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정보사회에서 신뢰의 괴는 그 다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 먼

익명성에 자신을 숨기고 다른 이들의 사생활정보를 헤쳐 이를 악용하는 것이

표 인 사례다 사이버공간에서는 자신의 사생활정보를 나의 동의없이 다른 이에게

공개하지 못할 것이라는 lsquo시스템안 에 한 신뢰rsquo가 작동된다 그 기에 인터넷 쇼

핑 인터넷 뱅킹 등이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단히 험한 일이기도 하다 경

제 이윤으로 직결되는 사생활정보를 외부로 팔아넘겨 얼마든지 이윤을 챙길 가능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3

성이 항상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8년 옥션사태 SK사태에서 잘 나타났듯이 우

리의 사생활정보는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기업 혹은 해커들에 의해 노출될 험

이 있다 이때 신뢰는 개인과 개인 사이에서의 문제를 넘어서 개인과 체계의 문제가

된다 개인 수 에서도 신뢰의 괴는 쉽게 이루어진다 역시 익명성이라는 속성

상 나의 본체가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내가 신뢰를 괴하더라도 그 책임으로부

터 숨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 다면 사이버공간에서 신뢰의 괴가 생길 때 이에 한 응은 어떻게 이루

어지는가 이 사회에서는 신뢰의 괴를 한 이를 색출하여 이를 공동체에서 배제

를 시킴으로써 체조직의 신뢰를 유지하 다 이를 해 엄격한 법 체제가 마련

되었음은 물론이다 개인 한 이러한 신뢰 괴 행 에 해 자괴성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하지만 사이버공간에서는 이러한 배제행 와 자괴성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이 군지를 숨길 수 있는 익명성이라는 사이버공간의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신뢰를 괴하는 행 가 특히 개인간의 차원에서 벌어졌을 때 신뢰

를 괴한 이를 찾아내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사이버공간에서 축출을 한다고 해도

그는 다른 익명성 혹은 가명성으로 새롭게 신뢰 괴행 에 나설수 있다 재 사

이버테러에 응하는 사법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사이버공간의 본질 속성상

그 논의 자체가 쉽지 않는 상태이다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25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 자본 축 을 해

지 까지 정보사회의 신뢰에 있어서 신뢰의 형성구조 신뢰의 표출형태 신뢰의

상 신뢰의 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심으로 그 변화의 측면을 논해보았다 먼

이 사회에서는 연 지연 학연 등을 심으로 하는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

뢰가 형성되었던 반면 정보사회에서는 연고 보다는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하

면서 그 계의 끈이 비교 느슨한 lsquo약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뢰가 형성되는 상

이 발생하고 있다 이때 약한 연 에서 경험되는 것은 익명의 존재들 간에 호혜 으

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며 이 호혜성의 경험이 상 방에 한 신뢰를 갖게 한다

이때 신뢰는 물질 이익을 주고 받으면서 생기는 것이라가 보다는 함께 무엇인가

를 즐기고 공유하면서 생기는 lsquo친 감rsquo에 기 한 신뢰의 의미가 강하다 한편 기존의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한 신뢰 역시 정보사회의 표 공간인 사이버공간을 통해서 재

생산되는 측면이 있다 문제는 신뢰의 표출형태이다 약한 계에서 형성된 신뢰라

면 보다 개방 인 신뢰의 모습을 지녀야 하지만 한국사회에 있어서는 그 지 못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즉 기존의 사회에서 뚜렷이 나타났던 lsquo자기 집단에 한 극

단 신뢰rsquo와 lsquo타 집단에 한 극단 불신rsquo이 그것이다 설령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한 신뢰 계가 그 집단내에서는 형성되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취향과 감정을

공유하는 타집단에 해서는 극단 불신을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한국사회

의 공론장 형성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다원 가치에

한 인정의 결핍은 한국사회의 아킬 스건이다 신뢰의 상의 문제에 있어서 이

사회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상은 공식 으로 인정받은(학 등을 통해) 문

가들이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소수의 문가들에 한 신뢰의 수 이

떨어지고 오히려 다수의 비 문가들이 집단 으로 생산해낸 지 가치에 한 신뢰

의 수 이 높아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뢰를 괴하는 행 가 정보사회에서는 그

익명 공간 안에서 손쉽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을 지 하 다 한 이 배신의 행

에 해 과거에는 배신자를 공동체에서 축출하는 것으로 응하 는데 정보사회

에서는 이 배신자 자체를 찾아내기가 단히 어렵다는 난제를 지니고 있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6

한 사회가 보다 인간다운 사회의 모습을 지니기 해서는 사회 자본의 축 이

필수 이며 이 사회 자본의 핵심이 사회 성원들 간의 신뢰이다 사회 자본의

축 을 통한 기회비용의 감소 뿐만이 아니라 공동체성의 회복의 가능성을 제기한

콜만과 퍼트남의 을 받아들이면서 우리는 이제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모습을

통해 새로운 사회 자본의 가능성을 논할 수 있다 개인들이 고립되어 있는 상태를

벗어나 계를 복원시켜야 한다는 퍼트남의 논의는 재 한국사회의 상황에서는 아

쉽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미 개인주의가 확산될 로 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 계가 분명 사이버공간에서 생성되고 있음은 사회

자본의 축 가능성을 다시 제기하게 한다 과거와 같은 형태의 공동체가 아닌

마페졸리(Maffesoli) 등이 제기하는 lsquo부족rsquo 형태에 기반한 사회 자본을 논할 수 있

게 된 것이다 하지만 여 히 lsquo편 가르기rsquo라는 한국의 사회문화 특성으로 인해 이

신뢰 계가 극단 편나 기 양상으로 번지곤 하는 것은 안타까운 실이다 황우

석 사태에서도 잘 나타났듯이 자신들 편의 말만 믿으면서 다른 이들에 한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성 토론 보다는 감정 비난이 앞서는 의사소통 형

태가 사이버공간에서 그 로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사회 자본

을 축 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의 장인 공론장의 형성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정보

사회에서의 공론장은 특히 사이버공간으로 확장되어 있는 특성을 지니는데 이때

사이버공간의 익명성이라는 특성상 이성 의사소통이 더욱 어려워지는 한계를 지

니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무엇보다 의사소통하는 상 방에 한

감을 보다 높이고 의사소통을 원만하게 해주는 재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

으로 응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27

참 고 문 헌

김신동 2001 lsquo정보와 사회 신뢰rsquo 「신뢰연구」 제 11권 통합호 한림과학원

박찬웅 1998 lsquo신뢰의 기와 사회 자본rsquo 1998년 후기사회학 회 발표집

박희 이희창김동욱김철수박병래 2002 한국인의 신뢰 수 향 요인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3호

윤민재 2004 lsquo신뢰와 사회자본에 한 사회 이해rsquo 「신뢰연구」 한림과학원

장원호 2004 985172사이버커뮤니티와 사회 계의 변화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장형유정기한 2004 lsquo인터넷 쇼핑몰에서 고객신뢰 태도 계몰입과 구매의도의

구조 계에 한 연구rsquo 「한국마 」 한국마 학회

최상진김의철김기범 2003 lsquo한국사회에서의 인 계속의 신뢰와 불신의 기반

으로서의 마음에 한 문화심리학 근rsquo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최항섭 2004 985172IT가 인 연결망과 공공선(public interest)에 미치는 향연구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Barney Darin 2004 The Network Society Cambridge Polity Press

Burke Peter 2000 A Social History of Knowledge Cambridge Polity Press

Castells Manuel 2001 The Internet Galaxy Reflections on the Internet Business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Condorcet Antonie-Nicolas Marquis de 1794 Sketch of the Progress of the

Human Mind Except trans by J Barra Clough 1955 pp800-10 in Peter

Gay The Enlightment A Comprehensive Anthology New York Schocken

Books

Goldman Alvin I 1999 Knowledge in a Social world New York Oxford Uni-

versity Press amp Clarendon Press

Hakken David 2003 The Knowledge landscape of Cyberspace New York Routledge

Lyotard JF 1979 La condition postmoderne Paris Minuit 이 복 역 「정보사

회에서의 지식의 상」 1992 서 사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8

Mannheim Karl 1936 Ideology and Utopia Harcourt Brace amp World

Star Susan Leigh 1995 The Cultures of Computing Oxford Blackwell

Page 9: 최 항 섭 - KISDI · 2009-08-17 · 최 항 섭 ․jesuishs@kisdi.re.kr, 02-570-4090 ․프랑스 파리 5대학 사회학부 박사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초빙전문위원

Ⅱ 신뢰의 이해

11

을의 정직한 마음이다 심리학 이론은 이와 련 행동은 마음에서 나온다고 보고 있

다(최상진 20022) 물론 약속을 지키고 싶은 마음이 있어도 약속을 못 지킬 수도

있고 약속을 별로 지키고 싶지 않지만 약속을 지키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부분의 사람은 자신의 마음이 말하는 것과 역행하는 행 를 하기 보다는 마음이

말하는 바에 따라 행 를 한다 하지만 마음이 없는 데 행동만 하거나 마음이 있어

도 행동을 못하는 경우가 지속될 경우에는 그 사람 역시 신뢰를 상실하게 된다

로부터 가장 믿을만한 사람으로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사람을 꼽았고 반면 가장 조심

해야할 사람으로 말과 행동이 다른 사람을 꼽아왔지 않은가 한 사람이 다른 사람으

로부터 신뢰를 얻기 해서는 자기가 한 말에 책임을 질 수 있는 행동을 해야 한다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3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 신뢰의 형성 구조 강한 연 에서 약한 연

정보사회 이 신뢰의 형성 구조는 가까운 사람들간의 연 와 일체감의 구조 즉

강한 연 의 구조 다 신뢰는 최상진(20024)에 의하면 lsquo가족 아주 가까운 친구

계 함께 운명을 같이하는 집단과 같은 특수한 착 계에 있는 사람들 사이에 서

로 믿고 편하게 의지할 수 있는 마음의 연 와 일체감rsquo의 구조를 기 로 형성된다

쉽게 풀이하면 이미 친하게 알고 지내는 사람들 간에 생기는 서로에 한 믿음이라

는 것이다 이는 그 사람은 나를 배신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보는 믿음이다 최상진

의 개념에 따르면 lsquo우리성rsquo을 지니고 있는 이들이 서로간에 가지는 믿음이다 여기서

우리성이란 말은 lsquo우리편의 계rsquo를 의미한다 한 조직이 강한 통합성을 지니려면 그

조직의 경계를 공고히 해야 한다 조직의 경계를 공고히 하기 해서는 다른 조직과

의 차별을 뚜렷하게 해야 한다 그래야 그 조직내의 성원들 사이에는 강한 신뢰와

동질감이 생성된다 한 조직내에 있다는 느낌은 조직내의 타 성원들에게 높은 수

의 신뢰를 갖게 한다 특정 종교 신자들이 단지 같은 종교 신자라는 이유로 일단 상

방에게 신뢰를 보내곤 하는 것이 표 인 이다 이때 다른 종교의 신자에게는

같은 수 의 익명의 사람이라도 같은 수 의 신뢰를 보내지 않는다 이는 어떻게

보면 비합리 인 행 인데 이와 련 최상진은 lsquo한국인의 우리성 계는 모르는 사

람을 포용하는 자기 확 우리성 이라기 보다는 이들을 우리 편에서 배제시키는

우리성의 성향을 갖는다rsquo라고 지 한다 이는 유스래 (2002)에 의하면 특수화된 신

뢰이다 그에 의하면 lsquo특수화된 신뢰란 자신이 믿는 가치를 공유하는 사람들만 믿는

것을 의미하며 외부의 집단의 성원에 해서는 먼 불신부터 하고 보는 것을 의미

한다rsquo(윤민재 2004에서 재인용) 우리성의 신뢰 특수화된 신뢰는 모두 강한 연 를

기반으로 함은 물론이다

강한 연 의 신뢰는 사 신뢰의 공 신뢰에 한 상 우 로도 해석할 수 있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4

다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한국인은 사 신뢰는 높은 반면 공 신뢰는 약하게 나타

난다 즉 나와 가까운 친지들이나 친구들에게는 폭 인 신뢰를 보내는 반면 정부

국회 혹은 내가 모르는 익명의 타인들에게는 불신을 보내고 있다는 것이다(이재

1998 박찬웅 1999 김신동 2001에서 재인용) 한편 사 신뢰의 지나친 의존도와

약한 공 신뢰는 한국사회의 발 을 해하는 요소로 여겨진다 연 지연 학연을

기 로 한 소규모 연고집단에서 표 으로 나타나는 사 신뢰는 한국사회의 공공

선을 해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한 약한 공 신뢰는 사회 체에 불신

풍조를 갖게 하여 사회가 효율 으로 돌아가는 데 제동을 걸게 한다 특히 정부와

국회 제도에 한 높은 불신도는 신뢰의 상 측에 원인에 있으며 국민들이 가지

고 있는 선입 역시 사회 발 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때로 정부가 효율

인 정책을 가지고 나와 이를 강하게 추진하고자 할 때에도 일단 불신의 부터

보내는 언론과 국민들에 의해서 이 시도가 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서 사람들간의 신뢰의 형성 구조는 새로운 양상을 보인다 즉

꼭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이 아니라도 계를 형성하며 익명의 상과도 서로 호혜

인 행 를 하는 즉 약한 연 를 통해서도 신뢰가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정보사회의

표 인 공간인 사이버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호혜 행 ( 지식

검색)는 새로운 의미로 신뢰를 형성시킨다 지 않은 학자들은 사이버공간에서의

신뢰형성에 부정 이었다 특히 신뢰라는 것은 면 면 계의 지속 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인데 익명성과 상호작용의 비지속성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공

간에서 신뢰가 제 로 형성되겠느냐는 것이다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사이버공간에서 형성되는 약한 연 의 계는 지속

으로 증가했고 그 과정에서 여러 가지 부정 인 상들도 발생하 지만 과거에는

생각할 수 없었던 즉 모르는 이들에 한 신뢰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 때 모르는

이들은 완 히 모르는 이들이 아니다 내가 그 사람의 아이디를 알고 있고 그 사람

과 채 등을 통해서 화를 나 경험이 있거나 내가 요청한 도움에 그 역시 나를

잘 모르는 상태에서 기꺼이 응해주었던 경험이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5

사이버공간에서 신뢰가 형성되는 것은 호혜성 계를 통해서도 이해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감정과 취향의 공유를 통해서도 이해될 수 있다 나와 같은 것을

좋아하는 내가 느끼는 감정을 같이 느끼는 이들이라면 인간은 그 사람에게 신뢰

를 보내게 된다 이는 기든스가 얘기했던 lsquo친 성의 신뢰rsquo와 같은 맥락이다 이 때 사

람들간의 계는 여 히 그 사람이 구인지 잘 모르는 언제 헤어질 지 모르는 헤

어져도 그만인 약한 연 의 계이지만 감정과 취향의 공유를 통해서 신뢰가 형성

되어지는 것이다 강한 연 의 계에 있지만 나와 완 히 취향이 달라 친 감을 느

끼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반면 약한 연 의 계에 있지만 나와 취향이 같아 친

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후자의 경우가 정보사회에서의 논의될 수 있는 의미있는

형태로의 신뢰이다

정보사회에서의 신뢰는 비단 사이버공간에만 국한해서 논의될 필요는 없다 정보

사회에서도 여 히 이 사회에서의 강한 연 의 신뢰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지

만 시간과 공간의 제약 때문에 이 강한 연 의 지속이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그 연 의 유지를 해 사이버공간을 활용하고 있기도 하다 즉 사이버공

간에서의 계는 내가 모르고 있는 사람과의 계만이 있는 것이 아니다 내가 이미

알고 있는 사람과의 계 역시 존재한다 장원호(2004)의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많

은 경우 실공간에서의 계는 사이버공간으로 옮겨져 연장된다 이는 기존의 신

뢰 계를 재생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학교의 친구들 동창들 옛날 동네친구들 떨어

져 사는 가족들에게 있어 사이버 공간은 시간과 공간을 월해서 서로의 안부를 확

인하고 서로의 정을 나 며 상호신뢰를 지속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공간이다 최근 필

자(2004)의 연구결과를 보면 인터넷과 같은 정보통신기술은 사회성원들이 맺고 있

는 계의 인 연결망의 도를 높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터넷으로 인

해 이미 친한 이들과 더욱 친해지고 있는 것이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6

2 신뢰의 표출형태 극단성의 지속

정보사회에서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가 새롭게 형성되고는 있지만 그 표출형태

에 있어서는 이 사회의 신뢰 표출형태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즉 극단 신

뢰와 극단 불신이라는 형태로 표출되는 것을 말한다 그 이유는 사회문화 특성

에서 찾아져야할 것이다 이미 여러 조사를 통해서 한국사회의 신뢰의 특성은 내집

단에 한 극단 신뢰 타집단에 한 극단 불신이 밝 진 바 있다 박희

(2002)은 신뢰의 상으로 개인 단체 공공기 등 다양한 상들을 설정하여 국민

들이 이 상들에 갖고 있는 신뢰도는 어떠한 지 국민들의 개인 지 와 성향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연구하 다 이 조사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

들의 신뢰도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학교친구 고향친구 등 개인 으로 이미 친분

이 있는 사람들에 한 신뢰도는 매우 높은 반면 모르는 사람 알더라도 약간

아는 사람들에 한 신뢰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한마디로 말해 아는 사람은

으로 믿고 모르는 사람은 우선 의심하고 본다는 것이다 친한 사람에게는 차용증없

이도 돈을 빌려주는 사람이 모르는 사람이 길거리에서 1000원을 빌려달라고 하면

단호히 거 하는 것이 한국사회이다 사 신뢰에서도 가족 친구 친척 등 연 학

연 지연 등으로 얽 있는 인 계에 있어서의 신뢰도가 직장동료 사회동료 등

도구 계로 얽 있는 인 계에서의 신뢰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때 공 신

뢰의 낮은 수 은 압축 근 화를 거치면서 생긴 소 lsquo체계rsquo 역에 한 총체

인 불신에 기인한다 의 조사결과 특히 정부 국회 등 공공 역에 한 신뢰가

단히 낮게 나타났다 끊임없이 터져 나오는 공직자 부패사건들을 경험하면서 국민

들이 공직자와 그 조직에 해 지니고 있는 불신은 이미 최고조에 달해있는 상태이

다 공 역에 한 배신감 불신은 내가 아는 사람들에 한 극단 인 신뢰로 이

어졌다 즉 친한 사람은 무조건 믿고 모르는 사람은 일단 의심부터 하고 보는 경향

이 강하다는 것이다 이는 내편의 사람은 바로 lsquo내편이기 때문에rsquo 믿고 다른 편의 사

람은 바로 lsquo내편이 아니기 때문에rsquo 의심한다는 의미이다

정보사회와 련 사이버공간에서도 이러한 극단 신뢰와 극단 불신은 그 로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7

나타나고 있다 를 들어 자신과 같은 입장을 지닌 사람의 말은 화의 주제와

련 없는 말도 믿으면서 자신과 입장이 다른 사람은 다른 집단으로 가라고 하면서

그 사람의 말을 불신하는 것이다 그 다면 왜 이 게 한국인들은 내편 네편을 나

기를 좋아하고 내편을 끔 이 아끼고 사랑하고 무조건 믿지만 네편은 심할 정도

로 배척하고 불신하는가 최상진(2002)은 이는 내편에 속하여 얻는 심리 이고 실

질 인 만족이 서구에 비해서 단히 크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20029) 즉 사이

버공간에 한국사회의 편가르기의 특성이 투여되며 실공간의 수 을 넘어서는 상

호간의 불신이 생길 수도 있다 이와 련 사이버공간에서의 토론을 보면 간 성향

의 논의가 존재하지 않는 경향이 뚜렷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김은미(2004)의 최

근 조사에서 ldquo사이버공간에서의 의사소통에서는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편과 내가

틀리다고 생각하는 편만 존재한다rdquo고 주장한 바 있다 이 두 편은 확연하게 나 어

져 자신들의 의견이 옳음을 입증하려고 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객 인 의견개

진보다는 상 방이 틀림을 비난하는 감정 들이 오고 가며 이 과정에 계속됨에

따라 애 의 이슈는 사라지고 서로를 비난하는 감정만 남게 된다 이때 이 토론에

참여한 이는 내가 알지도 못하는 얼굴도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미움을 사게 되며

그 한 익명의 타자에게 불신과 미움의 감정을 품게 된다 이러한 상은 사이버공

간이 불신을 생산하는 장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다 최상진이 말한 우

리성의 부정 효과가 사이버공간에서의 신뢰의 하로 나타나는 것이다

3 신뢰의 상 성의 약화와 다수성의 신뢰

정보사회의 특성 하나는 바로 이 사회에서 인 신뢰의 상들의 상

이 하되고 있다는 것이다 표 인 것이 바로 소 문가에 한 신뢰의

약화이다 이는 지식의 상변화에 기인한다 즉 근 이후 지식의 가치를

드높 던 문가들이 그 실용성에 있어서 더 이상 평가를 제 로 받지 못하고 있으

며 오히려 나에게 정말 필요한 지식들을 생산하여 달해주는 수천 수만의 비 문

가들의 지식의 가치가 더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소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8

에 한 신뢰 상이다

정보사회 이 의 지식의 상을 먼 살펴보자 지식은 생성되는 과정에서의 과

학 이론 지 능력을 요구하 으며 따라서 일반인들에게는 습득하기 어려운 것

이었으며 소수의 지배계층은 이러한 지 능력을 부여받기 한 교육을 받을 수 있

는 특권을 렸다 지배계층은 지식만이 세상을 이롭게 할 수 있다는 생각을 리

유포했으며 스스로도 그 게 확신하 다 즉 지식만이 일반인들의 무지 야만 노

성을 극복하게 해주어 세계를 구할 것이라는 계몽주의 사고방식을 가졌던 것

이다 반면 일반인들이 일상의 경험에서 축 한 지 가치들은 과학 으로 증명된

바가 없고 논리성 한 갖추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지식에 비해 그 가치가 단히

떨어지는 것으로 인식하 다 과학 지식은 보편 방법을 통해 증명되고 보편

법칙들을 추구하기 때문에 만인에게 도움을 다고 보는 반면(Condorset [1794]

1973 803805) 들의 경험은 보편 법칙을 추구한다기 보다는 일상의 개인에

게 도움을 주는 것을 주 목 으로 하기 때문에 그 가치가 지식에 비해 못 미친다고

보았던 것이다 지식은 근 시기에 최고의 지 가치로 인정받았으며 이는 지식만이

lsquo사실rsquo을 담아내고 과학 으로 증명되었기 때문에 lsquo불변 rsquo이고 사회와 역사의 변화

에 향을 받지 않는 lsquo rsquo으로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 상을 정립하 다

하지만 정보사회로 어들면서 지식은 그 신뢰에 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통 시각에서의 지식은 그것이 불확실하거나 이 게도 혹은 게도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아니라 확실하고 어떤 경우에도 lsquo거짓이 아니고 참rsquo인 것으

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문제는 무엇이 lsquo진실rsquo인 것이냐는 것

이다 lsquo진실rsquo은 원히 불변 인 것인지 아니면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이기도

한 것인지에 한 의문 한 제기되어 왔다 만하임 역시 과거에 진리로 군

림했던 lsquo정 과학rsquo(exact science)에 한 신뢰성이 오늘날 심하게 흔들리고 있다고

지 한 바 있다(Mannheim 1936271)

만하임에 의하면 우리 인간이 일상생활에서 맺고 있는 사회 계 그 계 속에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9

서의 역할 그 역할을 수행하면서 갖는 존재의식 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사회속에

형성된 지식들을 제 로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Mannheim 1936267-8) 만하

임의 이러한 역사주의 에서 골드만 한 지식은 믿음을 내포하고 있는 데 이

믿음이라는 것이 사실은 lsquo사회 으로 구축된 것rsquo(socially constructed)이라고 주장한

다 그에 의하면 지식은 언제나 lsquo지엽 rsquo(local)인 것이며 상황에 따라 규정되는 것

(contextual situated)이다(Goldman 199921) 그는 특히 하나의 지식이 지엽 이

고 상황결정 인 이유로서 지식은 언제나 특정한 개인이나 특정한 이해그룹에 의해

서 지식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 다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라는 것은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하

나의 단수의 지식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 상이 발생

한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인 복수의 지식들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Burke

2000 13) 하 역시 지식은 하나의 단수 인 것이 아니며 지식을 받아들일 때도

그 지식이 형성된 과정을 이해하면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 다(Hakken

200313) 만하임에 의하면 인간의 생각과 아이디어들은 몇몇 한 인물들이 내

놓은 업 물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집합 경험에 의해서 탄생되는 것이다 그리

고 이 집합 경험은 공통의 분모를 가지는 동시에 상이성 한 가진다 존재하는

것은 하나의 상에 한 하나의 지식이 아니라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서로 충돌하고 경합을 끊임없이 하는 복수의 지식들이다(Mannheim 1936

269) 이 스타는 lsquo지식은 복수로 존재하면서 다른 지식들과 복합 상호 계속에

서 존재하며 그 기 때문에 지식은 생태 (ecologic)이다rsquo라고 보았다(Star 1995)

이 게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고 복수로 존재한다는 사실은 지식에 한

신뢰에 있어서도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한다 즉 지식에 한 신뢰는 맹목 일 수 없

다는 것이다 세 근 의 시각에서 보면 지식에 한 신뢰는 지식을 보유하고 생

성하는 권력집단의 정당성에 한 수동 수용에 기인하 다 그러나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주체 다양한 집단들이 지식생산과 비 에 참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 사회에서 형성되었던 지식들의 신뢰성이 약화가 되었고 지식을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0

생성하는 유일한 집단으로 믿어졌던 문가군에 한 신뢰 역시 약화되고 있다

지식의 성에 한 신뢰의 변화가 정보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주장의

다른 근거는 정보사회의 핵심콘텐츠인 lsquo정보rsquo의 상 변화를 통해서도 뒷받침될 수

있다 70년 에 사회학자 투 과 벨은 탈산업사회의 도래를 견하면서 탈산업사회

에서 요하게 되는 것은 노동의 힘과 자연에 지가 아니라 바로 lsquo정보rsquo일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 정보사회에 들어서는 lsquo정보rsquo를 어떻게 수집하고 활용하는가가 부의

원천이 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arny 20046) 일본의 미래학자 마슈다는 2000년

에는 정보사회가 산업사회를 체할 것이며 이 시기에는 물질 가치의 생산이

덜 요해지고 신 정보의 량생산과 공유가 단히 요해질 것이라고 내다보

았다(Barny 20048) 최근 각 을 받고 있는 정보사회학자 카스텔스에 의하면

재 우리가 사는 세계의 사회 정치 경제 행 의 지 않은 부분이 lsquo정보의 흐름rsquo

(flows of information)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든 역에 걸쳐 정보가

구에게서 출발하여 어떤 경로로 구에게 도착하는가 어떤 정보들이 공유 독

되는가가 요한 사회 이슈로 두되고 있는 것이다(Castells 19981) 리오따르 역

시 과거에 국가들은 토와 원자재 그리고 노동력을 쟁취하기 해서 쟁을 하

으나 앞으로는 보다 가치있는 정보를 쟁취하기 해 치열하게 경쟁할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Lyotard 1979) 버크는 정보의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정보를 사고

는 상품으로 취 해야 하는가 아니면 정보를 사회성원들의 공공이익을 하여

구나 공유해야할 것으로 취 해야 하는가가 요한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고 말하

다 그는 21세기를 후하여 두되고 있는 정보와 정보기술의 요성에 비추어볼

때 후 의 역사학자들이 이 시기를 lsquo정보의 시 rsquo(age of information)라고 명명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urke 20001)

그런데 이 정보는 지식과는 달리 문가들이 아닌 일반인들에게서도 쉽게 공유되

고 확산될 수 있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공유행 의 증은 지 가치들의 유통을

빠르게 효율 으로 가능하게 하는 정보기술에 기반한다 이제 지 가치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되고 실제 실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한 빠르게 획득할 수 있을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1

때 그 가치를 인정받기에 이르 다 여러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것은 문 인

것보다는 일반 이론 이기 보다는 실용 인 지 가치인데 정보가 바로 이러한

요구에 가장 잘 부응하고 있는 것이다

통 의미에서의 지식은 문가들에 의해 형성되고 증명되어진 지 가치이며

정보는 비 문가들도 얼마든지 생성 유통시킬 수 있는 그러나 아직 완 히 증명되

어지지 않은 지 가치 다 그러나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정보의 공유가 폭증하고

정보의 제공자들에 있어서 문가와 비 문가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무엇보다 사회

성원들에 필요한 지 가치로서의 정보의 상이 격히 높아지게 되었다 특히 한

명의 문가가 생산한 지식보다는 다수의 비 문가들이 함께 모여 편집하고 가공한

정보가 더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서의 상을 지니게 되는 조짐이 보이고 있다

이를 설명해 수 있는 표 인 사례가 바로 인터넷의 lsquo지식검색rsquo서비스이다 이 서

비스가 시작된 후에는 우리는 학교에서 궁 한 것 직장에서 궁 한 것 일상에서

문득 떠오르는 궁 한 것들을 인터넷만 있으면 바로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궁 한 것들에 해 다른 이들이 답변을 한 것에 한 신뢰도가 단히 높다

는 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필자의 조사(2004)에 따르면 lsquo지식검색rsquo에서 답변

된 정보들에 한 신뢰도는 단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다수의 사람

들이 lsquo맞다rsquo고 답한 정보는 신뢰할만 하다는 것이다 즉 지 가치에 한 신뢰의 정

도가 그 지 가치를 생산한 사람이 구인가( 문가인가 아닌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얼마나 많은 사람이 그 지 가치의 생산에 참여했느냐에 따라 결정된

다는 것이다 표 인 집단지성의 지 가치 생산의 로 언 되는 키피디아의

경우 신뢰도는 리타니카 백과사 에 버 가는 신뢰를 확보하고 있다

4 신뢰의 괴와 응

신뢰의 괴는 쉽게 말해 배신으로 표 된다 배신행 의 부분의 원인은 개인

의 이기심이다 즉 신뢰를 어기면서도 어떠한 행동을 하게 되면 그 신뢰를 어겨서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2

겪는 피해보다 자신이 얻는 것이 더 많을 때 배신행 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극단

인 로 한 폭력조직에서 조직성원들의 신뢰를 버리고 조직의 비 을 설하게

해야 할지 고민이 될 때 조직의 보복은 두려우나 그로 인해 자신에게 엄청난 이익

이 생기게 되면 결국 조직의 비 을 설한다는 것이다 이보다 더 일상 인 를

하나 들어보자 친구가 lsquo다른 친구들에게 로 말하지마rsquo라고 그 친구의 비 을 나

에게 얘기해주었다 그 친구는 나의 친한 친구 기 때문에 자신의 비 을 나에게

몰래 털어놓았다 하지만 그 비 을 다른 친구에게 나는 lsquo다른 이에게는 로 말

하지마 그 친구가 알면 나 큰일나rsquo라고 말하면서 그 친구의 비 을 알린다 이 때의

이기심은 경우에 따라 다르겠으나 비 정보를 나만이 알고 있다는 것을 다른 이에

게 알리고 과시하고 싶은 욕구의 이기심이다 이러한 배신 행 에 해서는 어느 사

회 어느 인간을 막론하고 냉엄하게 응한다 최상진에 의하면 배신자라는 말 자체

의 사 의미가 lsquo등을 돌린다rsquo라는 것으로 이는 완 히 자신에게 등을 돌린 사람

남남인 사람을 의미한다(20027) 신뢰를 버려야했던 행 로 인해 얻어지는 이익

에 기뻐하지만 신뢰를 버린 행 가 도덕 으로 규탄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자신 스스로 괴로워한다 친한 친구들에게 돈 사기를 친 이들이 자수를 하는

경우에는 이 양심의 소리가 주는 고통이 단히 컸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치의 감정

은 스스로 양심의 가책을 느껴 생기는 자괴성(self-shamed)이다 한국사회는 이기

심에서 발 된 배신행 에 해서 그 처벌을 엄격하게 하여 사회에서 완 소외되

게 하거나 스스로 극도의 자괴감을 가지도록 하는 사회담론을 형성해 왔다 이는

사회에서의 신뢰를 무엇보다 시해온 한국사회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정보사회에서 신뢰의 괴는 그 다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 먼

익명성에 자신을 숨기고 다른 이들의 사생활정보를 헤쳐 이를 악용하는 것이

표 인 사례다 사이버공간에서는 자신의 사생활정보를 나의 동의없이 다른 이에게

공개하지 못할 것이라는 lsquo시스템안 에 한 신뢰rsquo가 작동된다 그 기에 인터넷 쇼

핑 인터넷 뱅킹 등이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단히 험한 일이기도 하다 경

제 이윤으로 직결되는 사생활정보를 외부로 팔아넘겨 얼마든지 이윤을 챙길 가능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3

성이 항상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8년 옥션사태 SK사태에서 잘 나타났듯이 우

리의 사생활정보는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기업 혹은 해커들에 의해 노출될 험

이 있다 이때 신뢰는 개인과 개인 사이에서의 문제를 넘어서 개인과 체계의 문제가

된다 개인 수 에서도 신뢰의 괴는 쉽게 이루어진다 역시 익명성이라는 속성

상 나의 본체가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내가 신뢰를 괴하더라도 그 책임으로부

터 숨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 다면 사이버공간에서 신뢰의 괴가 생길 때 이에 한 응은 어떻게 이루

어지는가 이 사회에서는 신뢰의 괴를 한 이를 색출하여 이를 공동체에서 배제

를 시킴으로써 체조직의 신뢰를 유지하 다 이를 해 엄격한 법 체제가 마련

되었음은 물론이다 개인 한 이러한 신뢰 괴 행 에 해 자괴성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하지만 사이버공간에서는 이러한 배제행 와 자괴성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이 군지를 숨길 수 있는 익명성이라는 사이버공간의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신뢰를 괴하는 행 가 특히 개인간의 차원에서 벌어졌을 때 신뢰

를 괴한 이를 찾아내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사이버공간에서 축출을 한다고 해도

그는 다른 익명성 혹은 가명성으로 새롭게 신뢰 괴행 에 나설수 있다 재 사

이버테러에 응하는 사법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사이버공간의 본질 속성상

그 논의 자체가 쉽지 않는 상태이다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25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 자본 축 을 해

지 까지 정보사회의 신뢰에 있어서 신뢰의 형성구조 신뢰의 표출형태 신뢰의

상 신뢰의 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심으로 그 변화의 측면을 논해보았다 먼

이 사회에서는 연 지연 학연 등을 심으로 하는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

뢰가 형성되었던 반면 정보사회에서는 연고 보다는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하

면서 그 계의 끈이 비교 느슨한 lsquo약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뢰가 형성되는 상

이 발생하고 있다 이때 약한 연 에서 경험되는 것은 익명의 존재들 간에 호혜 으

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며 이 호혜성의 경험이 상 방에 한 신뢰를 갖게 한다

이때 신뢰는 물질 이익을 주고 받으면서 생기는 것이라가 보다는 함께 무엇인가

를 즐기고 공유하면서 생기는 lsquo친 감rsquo에 기 한 신뢰의 의미가 강하다 한편 기존의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한 신뢰 역시 정보사회의 표 공간인 사이버공간을 통해서 재

생산되는 측면이 있다 문제는 신뢰의 표출형태이다 약한 계에서 형성된 신뢰라

면 보다 개방 인 신뢰의 모습을 지녀야 하지만 한국사회에 있어서는 그 지 못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즉 기존의 사회에서 뚜렷이 나타났던 lsquo자기 집단에 한 극

단 신뢰rsquo와 lsquo타 집단에 한 극단 불신rsquo이 그것이다 설령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한 신뢰 계가 그 집단내에서는 형성되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취향과 감정을

공유하는 타집단에 해서는 극단 불신을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한국사회

의 공론장 형성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다원 가치에

한 인정의 결핍은 한국사회의 아킬 스건이다 신뢰의 상의 문제에 있어서 이

사회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상은 공식 으로 인정받은(학 등을 통해) 문

가들이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소수의 문가들에 한 신뢰의 수 이

떨어지고 오히려 다수의 비 문가들이 집단 으로 생산해낸 지 가치에 한 신뢰

의 수 이 높아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뢰를 괴하는 행 가 정보사회에서는 그

익명 공간 안에서 손쉽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을 지 하 다 한 이 배신의 행

에 해 과거에는 배신자를 공동체에서 축출하는 것으로 응하 는데 정보사회

에서는 이 배신자 자체를 찾아내기가 단히 어렵다는 난제를 지니고 있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6

한 사회가 보다 인간다운 사회의 모습을 지니기 해서는 사회 자본의 축 이

필수 이며 이 사회 자본의 핵심이 사회 성원들 간의 신뢰이다 사회 자본의

축 을 통한 기회비용의 감소 뿐만이 아니라 공동체성의 회복의 가능성을 제기한

콜만과 퍼트남의 을 받아들이면서 우리는 이제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모습을

통해 새로운 사회 자본의 가능성을 논할 수 있다 개인들이 고립되어 있는 상태를

벗어나 계를 복원시켜야 한다는 퍼트남의 논의는 재 한국사회의 상황에서는 아

쉽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미 개인주의가 확산될 로 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 계가 분명 사이버공간에서 생성되고 있음은 사회

자본의 축 가능성을 다시 제기하게 한다 과거와 같은 형태의 공동체가 아닌

마페졸리(Maffesoli) 등이 제기하는 lsquo부족rsquo 형태에 기반한 사회 자본을 논할 수 있

게 된 것이다 하지만 여 히 lsquo편 가르기rsquo라는 한국의 사회문화 특성으로 인해 이

신뢰 계가 극단 편나 기 양상으로 번지곤 하는 것은 안타까운 실이다 황우

석 사태에서도 잘 나타났듯이 자신들 편의 말만 믿으면서 다른 이들에 한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성 토론 보다는 감정 비난이 앞서는 의사소통 형

태가 사이버공간에서 그 로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사회 자본

을 축 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의 장인 공론장의 형성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정보

사회에서의 공론장은 특히 사이버공간으로 확장되어 있는 특성을 지니는데 이때

사이버공간의 익명성이라는 특성상 이성 의사소통이 더욱 어려워지는 한계를 지

니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무엇보다 의사소통하는 상 방에 한

감을 보다 높이고 의사소통을 원만하게 해주는 재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

으로 응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27

참 고 문 헌

김신동 2001 lsquo정보와 사회 신뢰rsquo 「신뢰연구」 제 11권 통합호 한림과학원

박찬웅 1998 lsquo신뢰의 기와 사회 자본rsquo 1998년 후기사회학 회 발표집

박희 이희창김동욱김철수박병래 2002 한국인의 신뢰 수 향 요인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3호

윤민재 2004 lsquo신뢰와 사회자본에 한 사회 이해rsquo 「신뢰연구」 한림과학원

장원호 2004 985172사이버커뮤니티와 사회 계의 변화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장형유정기한 2004 lsquo인터넷 쇼핑몰에서 고객신뢰 태도 계몰입과 구매의도의

구조 계에 한 연구rsquo 「한국마 」 한국마 학회

최상진김의철김기범 2003 lsquo한국사회에서의 인 계속의 신뢰와 불신의 기반

으로서의 마음에 한 문화심리학 근rsquo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최항섭 2004 985172IT가 인 연결망과 공공선(public interest)에 미치는 향연구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Barney Darin 2004 The Network Society Cambridge Polity Press

Burke Peter 2000 A Social History of Knowledge Cambridge Polity Press

Castells Manuel 2001 The Internet Galaxy Reflections on the Internet Business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Condorcet Antonie-Nicolas Marquis de 1794 Sketch of the Progress of the

Human Mind Except trans by J Barra Clough 1955 pp800-10 in Peter

Gay The Enlightment A Comprehensive Anthology New York Schocken

Books

Goldman Alvin I 1999 Knowledge in a Social world New York Oxford Uni-

versity Press amp Clarendon Press

Hakken David 2003 The Knowledge landscape of Cyberspace New York Routledge

Lyotard JF 1979 La condition postmoderne Paris Minuit 이 복 역 「정보사

회에서의 지식의 상」 1992 서 사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8

Mannheim Karl 1936 Ideology and Utopia Harcourt Brace amp World

Star Susan Leigh 1995 The Cultures of Computing Oxford Blackwell

Page 10: 최 항 섭 - KISDI · 2009-08-17 · 최 항 섭 ․jesuishs@kisdi.re.kr, 02-570-4090 ․프랑스 파리 5대학 사회학부 박사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초빙전문위원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3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 신뢰의 형성 구조 강한 연 에서 약한 연

정보사회 이 신뢰의 형성 구조는 가까운 사람들간의 연 와 일체감의 구조 즉

강한 연 의 구조 다 신뢰는 최상진(20024)에 의하면 lsquo가족 아주 가까운 친구

계 함께 운명을 같이하는 집단과 같은 특수한 착 계에 있는 사람들 사이에 서

로 믿고 편하게 의지할 수 있는 마음의 연 와 일체감rsquo의 구조를 기 로 형성된다

쉽게 풀이하면 이미 친하게 알고 지내는 사람들 간에 생기는 서로에 한 믿음이라

는 것이다 이는 그 사람은 나를 배신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보는 믿음이다 최상진

의 개념에 따르면 lsquo우리성rsquo을 지니고 있는 이들이 서로간에 가지는 믿음이다 여기서

우리성이란 말은 lsquo우리편의 계rsquo를 의미한다 한 조직이 강한 통합성을 지니려면 그

조직의 경계를 공고히 해야 한다 조직의 경계를 공고히 하기 해서는 다른 조직과

의 차별을 뚜렷하게 해야 한다 그래야 그 조직내의 성원들 사이에는 강한 신뢰와

동질감이 생성된다 한 조직내에 있다는 느낌은 조직내의 타 성원들에게 높은 수

의 신뢰를 갖게 한다 특정 종교 신자들이 단지 같은 종교 신자라는 이유로 일단 상

방에게 신뢰를 보내곤 하는 것이 표 인 이다 이때 다른 종교의 신자에게는

같은 수 의 익명의 사람이라도 같은 수 의 신뢰를 보내지 않는다 이는 어떻게

보면 비합리 인 행 인데 이와 련 최상진은 lsquo한국인의 우리성 계는 모르는 사

람을 포용하는 자기 확 우리성 이라기 보다는 이들을 우리 편에서 배제시키는

우리성의 성향을 갖는다rsquo라고 지 한다 이는 유스래 (2002)에 의하면 특수화된 신

뢰이다 그에 의하면 lsquo특수화된 신뢰란 자신이 믿는 가치를 공유하는 사람들만 믿는

것을 의미하며 외부의 집단의 성원에 해서는 먼 불신부터 하고 보는 것을 의미

한다rsquo(윤민재 2004에서 재인용) 우리성의 신뢰 특수화된 신뢰는 모두 강한 연 를

기반으로 함은 물론이다

강한 연 의 신뢰는 사 신뢰의 공 신뢰에 한 상 우 로도 해석할 수 있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4

다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한국인은 사 신뢰는 높은 반면 공 신뢰는 약하게 나타

난다 즉 나와 가까운 친지들이나 친구들에게는 폭 인 신뢰를 보내는 반면 정부

국회 혹은 내가 모르는 익명의 타인들에게는 불신을 보내고 있다는 것이다(이재

1998 박찬웅 1999 김신동 2001에서 재인용) 한편 사 신뢰의 지나친 의존도와

약한 공 신뢰는 한국사회의 발 을 해하는 요소로 여겨진다 연 지연 학연을

기 로 한 소규모 연고집단에서 표 으로 나타나는 사 신뢰는 한국사회의 공공

선을 해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한 약한 공 신뢰는 사회 체에 불신

풍조를 갖게 하여 사회가 효율 으로 돌아가는 데 제동을 걸게 한다 특히 정부와

국회 제도에 한 높은 불신도는 신뢰의 상 측에 원인에 있으며 국민들이 가지

고 있는 선입 역시 사회 발 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때로 정부가 효율

인 정책을 가지고 나와 이를 강하게 추진하고자 할 때에도 일단 불신의 부터

보내는 언론과 국민들에 의해서 이 시도가 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서 사람들간의 신뢰의 형성 구조는 새로운 양상을 보인다 즉

꼭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이 아니라도 계를 형성하며 익명의 상과도 서로 호혜

인 행 를 하는 즉 약한 연 를 통해서도 신뢰가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정보사회의

표 인 공간인 사이버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호혜 행 ( 지식

검색)는 새로운 의미로 신뢰를 형성시킨다 지 않은 학자들은 사이버공간에서의

신뢰형성에 부정 이었다 특히 신뢰라는 것은 면 면 계의 지속 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인데 익명성과 상호작용의 비지속성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공

간에서 신뢰가 제 로 형성되겠느냐는 것이다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사이버공간에서 형성되는 약한 연 의 계는 지속

으로 증가했고 그 과정에서 여러 가지 부정 인 상들도 발생하 지만 과거에는

생각할 수 없었던 즉 모르는 이들에 한 신뢰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 때 모르는

이들은 완 히 모르는 이들이 아니다 내가 그 사람의 아이디를 알고 있고 그 사람

과 채 등을 통해서 화를 나 경험이 있거나 내가 요청한 도움에 그 역시 나를

잘 모르는 상태에서 기꺼이 응해주었던 경험이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5

사이버공간에서 신뢰가 형성되는 것은 호혜성 계를 통해서도 이해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감정과 취향의 공유를 통해서도 이해될 수 있다 나와 같은 것을

좋아하는 내가 느끼는 감정을 같이 느끼는 이들이라면 인간은 그 사람에게 신뢰

를 보내게 된다 이는 기든스가 얘기했던 lsquo친 성의 신뢰rsquo와 같은 맥락이다 이 때 사

람들간의 계는 여 히 그 사람이 구인지 잘 모르는 언제 헤어질 지 모르는 헤

어져도 그만인 약한 연 의 계이지만 감정과 취향의 공유를 통해서 신뢰가 형성

되어지는 것이다 강한 연 의 계에 있지만 나와 완 히 취향이 달라 친 감을 느

끼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반면 약한 연 의 계에 있지만 나와 취향이 같아 친

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후자의 경우가 정보사회에서의 논의될 수 있는 의미있는

형태로의 신뢰이다

정보사회에서의 신뢰는 비단 사이버공간에만 국한해서 논의될 필요는 없다 정보

사회에서도 여 히 이 사회에서의 강한 연 의 신뢰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지

만 시간과 공간의 제약 때문에 이 강한 연 의 지속이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그 연 의 유지를 해 사이버공간을 활용하고 있기도 하다 즉 사이버공

간에서의 계는 내가 모르고 있는 사람과의 계만이 있는 것이 아니다 내가 이미

알고 있는 사람과의 계 역시 존재한다 장원호(2004)의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많

은 경우 실공간에서의 계는 사이버공간으로 옮겨져 연장된다 이는 기존의 신

뢰 계를 재생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학교의 친구들 동창들 옛날 동네친구들 떨어

져 사는 가족들에게 있어 사이버 공간은 시간과 공간을 월해서 서로의 안부를 확

인하고 서로의 정을 나 며 상호신뢰를 지속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공간이다 최근 필

자(2004)의 연구결과를 보면 인터넷과 같은 정보통신기술은 사회성원들이 맺고 있

는 계의 인 연결망의 도를 높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터넷으로 인

해 이미 친한 이들과 더욱 친해지고 있는 것이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6

2 신뢰의 표출형태 극단성의 지속

정보사회에서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가 새롭게 형성되고는 있지만 그 표출형태

에 있어서는 이 사회의 신뢰 표출형태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즉 극단 신

뢰와 극단 불신이라는 형태로 표출되는 것을 말한다 그 이유는 사회문화 특성

에서 찾아져야할 것이다 이미 여러 조사를 통해서 한국사회의 신뢰의 특성은 내집

단에 한 극단 신뢰 타집단에 한 극단 불신이 밝 진 바 있다 박희

(2002)은 신뢰의 상으로 개인 단체 공공기 등 다양한 상들을 설정하여 국민

들이 이 상들에 갖고 있는 신뢰도는 어떠한 지 국민들의 개인 지 와 성향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연구하 다 이 조사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

들의 신뢰도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학교친구 고향친구 등 개인 으로 이미 친분

이 있는 사람들에 한 신뢰도는 매우 높은 반면 모르는 사람 알더라도 약간

아는 사람들에 한 신뢰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한마디로 말해 아는 사람은

으로 믿고 모르는 사람은 우선 의심하고 본다는 것이다 친한 사람에게는 차용증없

이도 돈을 빌려주는 사람이 모르는 사람이 길거리에서 1000원을 빌려달라고 하면

단호히 거 하는 것이 한국사회이다 사 신뢰에서도 가족 친구 친척 등 연 학

연 지연 등으로 얽 있는 인 계에 있어서의 신뢰도가 직장동료 사회동료 등

도구 계로 얽 있는 인 계에서의 신뢰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때 공 신

뢰의 낮은 수 은 압축 근 화를 거치면서 생긴 소 lsquo체계rsquo 역에 한 총체

인 불신에 기인한다 의 조사결과 특히 정부 국회 등 공공 역에 한 신뢰가

단히 낮게 나타났다 끊임없이 터져 나오는 공직자 부패사건들을 경험하면서 국민

들이 공직자와 그 조직에 해 지니고 있는 불신은 이미 최고조에 달해있는 상태이

다 공 역에 한 배신감 불신은 내가 아는 사람들에 한 극단 인 신뢰로 이

어졌다 즉 친한 사람은 무조건 믿고 모르는 사람은 일단 의심부터 하고 보는 경향

이 강하다는 것이다 이는 내편의 사람은 바로 lsquo내편이기 때문에rsquo 믿고 다른 편의 사

람은 바로 lsquo내편이 아니기 때문에rsquo 의심한다는 의미이다

정보사회와 련 사이버공간에서도 이러한 극단 신뢰와 극단 불신은 그 로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7

나타나고 있다 를 들어 자신과 같은 입장을 지닌 사람의 말은 화의 주제와

련 없는 말도 믿으면서 자신과 입장이 다른 사람은 다른 집단으로 가라고 하면서

그 사람의 말을 불신하는 것이다 그 다면 왜 이 게 한국인들은 내편 네편을 나

기를 좋아하고 내편을 끔 이 아끼고 사랑하고 무조건 믿지만 네편은 심할 정도

로 배척하고 불신하는가 최상진(2002)은 이는 내편에 속하여 얻는 심리 이고 실

질 인 만족이 서구에 비해서 단히 크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20029) 즉 사이

버공간에 한국사회의 편가르기의 특성이 투여되며 실공간의 수 을 넘어서는 상

호간의 불신이 생길 수도 있다 이와 련 사이버공간에서의 토론을 보면 간 성향

의 논의가 존재하지 않는 경향이 뚜렷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김은미(2004)의 최

근 조사에서 ldquo사이버공간에서의 의사소통에서는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편과 내가

틀리다고 생각하는 편만 존재한다rdquo고 주장한 바 있다 이 두 편은 확연하게 나 어

져 자신들의 의견이 옳음을 입증하려고 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객 인 의견개

진보다는 상 방이 틀림을 비난하는 감정 들이 오고 가며 이 과정에 계속됨에

따라 애 의 이슈는 사라지고 서로를 비난하는 감정만 남게 된다 이때 이 토론에

참여한 이는 내가 알지도 못하는 얼굴도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미움을 사게 되며

그 한 익명의 타자에게 불신과 미움의 감정을 품게 된다 이러한 상은 사이버공

간이 불신을 생산하는 장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다 최상진이 말한 우

리성의 부정 효과가 사이버공간에서의 신뢰의 하로 나타나는 것이다

3 신뢰의 상 성의 약화와 다수성의 신뢰

정보사회의 특성 하나는 바로 이 사회에서 인 신뢰의 상들의 상

이 하되고 있다는 것이다 표 인 것이 바로 소 문가에 한 신뢰의

약화이다 이는 지식의 상변화에 기인한다 즉 근 이후 지식의 가치를

드높 던 문가들이 그 실용성에 있어서 더 이상 평가를 제 로 받지 못하고 있으

며 오히려 나에게 정말 필요한 지식들을 생산하여 달해주는 수천 수만의 비 문

가들의 지식의 가치가 더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소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8

에 한 신뢰 상이다

정보사회 이 의 지식의 상을 먼 살펴보자 지식은 생성되는 과정에서의 과

학 이론 지 능력을 요구하 으며 따라서 일반인들에게는 습득하기 어려운 것

이었으며 소수의 지배계층은 이러한 지 능력을 부여받기 한 교육을 받을 수 있

는 특권을 렸다 지배계층은 지식만이 세상을 이롭게 할 수 있다는 생각을 리

유포했으며 스스로도 그 게 확신하 다 즉 지식만이 일반인들의 무지 야만 노

성을 극복하게 해주어 세계를 구할 것이라는 계몽주의 사고방식을 가졌던 것

이다 반면 일반인들이 일상의 경험에서 축 한 지 가치들은 과학 으로 증명된

바가 없고 논리성 한 갖추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지식에 비해 그 가치가 단히

떨어지는 것으로 인식하 다 과학 지식은 보편 방법을 통해 증명되고 보편

법칙들을 추구하기 때문에 만인에게 도움을 다고 보는 반면(Condorset [1794]

1973 803805) 들의 경험은 보편 법칙을 추구한다기 보다는 일상의 개인에

게 도움을 주는 것을 주 목 으로 하기 때문에 그 가치가 지식에 비해 못 미친다고

보았던 것이다 지식은 근 시기에 최고의 지 가치로 인정받았으며 이는 지식만이

lsquo사실rsquo을 담아내고 과학 으로 증명되었기 때문에 lsquo불변 rsquo이고 사회와 역사의 변화

에 향을 받지 않는 lsquo rsquo으로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 상을 정립하 다

하지만 정보사회로 어들면서 지식은 그 신뢰에 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통 시각에서의 지식은 그것이 불확실하거나 이 게도 혹은 게도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아니라 확실하고 어떤 경우에도 lsquo거짓이 아니고 참rsquo인 것으

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문제는 무엇이 lsquo진실rsquo인 것이냐는 것

이다 lsquo진실rsquo은 원히 불변 인 것인지 아니면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이기도

한 것인지에 한 의문 한 제기되어 왔다 만하임 역시 과거에 진리로 군

림했던 lsquo정 과학rsquo(exact science)에 한 신뢰성이 오늘날 심하게 흔들리고 있다고

지 한 바 있다(Mannheim 1936271)

만하임에 의하면 우리 인간이 일상생활에서 맺고 있는 사회 계 그 계 속에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9

서의 역할 그 역할을 수행하면서 갖는 존재의식 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사회속에

형성된 지식들을 제 로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Mannheim 1936267-8) 만하

임의 이러한 역사주의 에서 골드만 한 지식은 믿음을 내포하고 있는 데 이

믿음이라는 것이 사실은 lsquo사회 으로 구축된 것rsquo(socially constructed)이라고 주장한

다 그에 의하면 지식은 언제나 lsquo지엽 rsquo(local)인 것이며 상황에 따라 규정되는 것

(contextual situated)이다(Goldman 199921) 그는 특히 하나의 지식이 지엽 이

고 상황결정 인 이유로서 지식은 언제나 특정한 개인이나 특정한 이해그룹에 의해

서 지식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 다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라는 것은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하

나의 단수의 지식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 상이 발생

한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인 복수의 지식들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Burke

2000 13) 하 역시 지식은 하나의 단수 인 것이 아니며 지식을 받아들일 때도

그 지식이 형성된 과정을 이해하면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 다(Hakken

200313) 만하임에 의하면 인간의 생각과 아이디어들은 몇몇 한 인물들이 내

놓은 업 물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집합 경험에 의해서 탄생되는 것이다 그리

고 이 집합 경험은 공통의 분모를 가지는 동시에 상이성 한 가진다 존재하는

것은 하나의 상에 한 하나의 지식이 아니라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서로 충돌하고 경합을 끊임없이 하는 복수의 지식들이다(Mannheim 1936

269) 이 스타는 lsquo지식은 복수로 존재하면서 다른 지식들과 복합 상호 계속에

서 존재하며 그 기 때문에 지식은 생태 (ecologic)이다rsquo라고 보았다(Star 1995)

이 게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고 복수로 존재한다는 사실은 지식에 한

신뢰에 있어서도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한다 즉 지식에 한 신뢰는 맹목 일 수 없

다는 것이다 세 근 의 시각에서 보면 지식에 한 신뢰는 지식을 보유하고 생

성하는 권력집단의 정당성에 한 수동 수용에 기인하 다 그러나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주체 다양한 집단들이 지식생산과 비 에 참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 사회에서 형성되었던 지식들의 신뢰성이 약화가 되었고 지식을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0

생성하는 유일한 집단으로 믿어졌던 문가군에 한 신뢰 역시 약화되고 있다

지식의 성에 한 신뢰의 변화가 정보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주장의

다른 근거는 정보사회의 핵심콘텐츠인 lsquo정보rsquo의 상 변화를 통해서도 뒷받침될 수

있다 70년 에 사회학자 투 과 벨은 탈산업사회의 도래를 견하면서 탈산업사회

에서 요하게 되는 것은 노동의 힘과 자연에 지가 아니라 바로 lsquo정보rsquo일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 정보사회에 들어서는 lsquo정보rsquo를 어떻게 수집하고 활용하는가가 부의

원천이 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arny 20046) 일본의 미래학자 마슈다는 2000년

에는 정보사회가 산업사회를 체할 것이며 이 시기에는 물질 가치의 생산이

덜 요해지고 신 정보의 량생산과 공유가 단히 요해질 것이라고 내다보

았다(Barny 20048) 최근 각 을 받고 있는 정보사회학자 카스텔스에 의하면

재 우리가 사는 세계의 사회 정치 경제 행 의 지 않은 부분이 lsquo정보의 흐름rsquo

(flows of information)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든 역에 걸쳐 정보가

구에게서 출발하여 어떤 경로로 구에게 도착하는가 어떤 정보들이 공유 독

되는가가 요한 사회 이슈로 두되고 있는 것이다(Castells 19981) 리오따르 역

시 과거에 국가들은 토와 원자재 그리고 노동력을 쟁취하기 해서 쟁을 하

으나 앞으로는 보다 가치있는 정보를 쟁취하기 해 치열하게 경쟁할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Lyotard 1979) 버크는 정보의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정보를 사고

는 상품으로 취 해야 하는가 아니면 정보를 사회성원들의 공공이익을 하여

구나 공유해야할 것으로 취 해야 하는가가 요한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고 말하

다 그는 21세기를 후하여 두되고 있는 정보와 정보기술의 요성에 비추어볼

때 후 의 역사학자들이 이 시기를 lsquo정보의 시 rsquo(age of information)라고 명명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urke 20001)

그런데 이 정보는 지식과는 달리 문가들이 아닌 일반인들에게서도 쉽게 공유되

고 확산될 수 있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공유행 의 증은 지 가치들의 유통을

빠르게 효율 으로 가능하게 하는 정보기술에 기반한다 이제 지 가치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되고 실제 실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한 빠르게 획득할 수 있을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1

때 그 가치를 인정받기에 이르 다 여러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것은 문 인

것보다는 일반 이론 이기 보다는 실용 인 지 가치인데 정보가 바로 이러한

요구에 가장 잘 부응하고 있는 것이다

통 의미에서의 지식은 문가들에 의해 형성되고 증명되어진 지 가치이며

정보는 비 문가들도 얼마든지 생성 유통시킬 수 있는 그러나 아직 완 히 증명되

어지지 않은 지 가치 다 그러나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정보의 공유가 폭증하고

정보의 제공자들에 있어서 문가와 비 문가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무엇보다 사회

성원들에 필요한 지 가치로서의 정보의 상이 격히 높아지게 되었다 특히 한

명의 문가가 생산한 지식보다는 다수의 비 문가들이 함께 모여 편집하고 가공한

정보가 더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서의 상을 지니게 되는 조짐이 보이고 있다

이를 설명해 수 있는 표 인 사례가 바로 인터넷의 lsquo지식검색rsquo서비스이다 이 서

비스가 시작된 후에는 우리는 학교에서 궁 한 것 직장에서 궁 한 것 일상에서

문득 떠오르는 궁 한 것들을 인터넷만 있으면 바로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궁 한 것들에 해 다른 이들이 답변을 한 것에 한 신뢰도가 단히 높다

는 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필자의 조사(2004)에 따르면 lsquo지식검색rsquo에서 답변

된 정보들에 한 신뢰도는 단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다수의 사람

들이 lsquo맞다rsquo고 답한 정보는 신뢰할만 하다는 것이다 즉 지 가치에 한 신뢰의 정

도가 그 지 가치를 생산한 사람이 구인가( 문가인가 아닌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얼마나 많은 사람이 그 지 가치의 생산에 참여했느냐에 따라 결정된

다는 것이다 표 인 집단지성의 지 가치 생산의 로 언 되는 키피디아의

경우 신뢰도는 리타니카 백과사 에 버 가는 신뢰를 확보하고 있다

4 신뢰의 괴와 응

신뢰의 괴는 쉽게 말해 배신으로 표 된다 배신행 의 부분의 원인은 개인

의 이기심이다 즉 신뢰를 어기면서도 어떠한 행동을 하게 되면 그 신뢰를 어겨서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2

겪는 피해보다 자신이 얻는 것이 더 많을 때 배신행 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극단

인 로 한 폭력조직에서 조직성원들의 신뢰를 버리고 조직의 비 을 설하게

해야 할지 고민이 될 때 조직의 보복은 두려우나 그로 인해 자신에게 엄청난 이익

이 생기게 되면 결국 조직의 비 을 설한다는 것이다 이보다 더 일상 인 를

하나 들어보자 친구가 lsquo다른 친구들에게 로 말하지마rsquo라고 그 친구의 비 을 나

에게 얘기해주었다 그 친구는 나의 친한 친구 기 때문에 자신의 비 을 나에게

몰래 털어놓았다 하지만 그 비 을 다른 친구에게 나는 lsquo다른 이에게는 로 말

하지마 그 친구가 알면 나 큰일나rsquo라고 말하면서 그 친구의 비 을 알린다 이 때의

이기심은 경우에 따라 다르겠으나 비 정보를 나만이 알고 있다는 것을 다른 이에

게 알리고 과시하고 싶은 욕구의 이기심이다 이러한 배신 행 에 해서는 어느 사

회 어느 인간을 막론하고 냉엄하게 응한다 최상진에 의하면 배신자라는 말 자체

의 사 의미가 lsquo등을 돌린다rsquo라는 것으로 이는 완 히 자신에게 등을 돌린 사람

남남인 사람을 의미한다(20027) 신뢰를 버려야했던 행 로 인해 얻어지는 이익

에 기뻐하지만 신뢰를 버린 행 가 도덕 으로 규탄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자신 스스로 괴로워한다 친한 친구들에게 돈 사기를 친 이들이 자수를 하는

경우에는 이 양심의 소리가 주는 고통이 단히 컸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치의 감정

은 스스로 양심의 가책을 느껴 생기는 자괴성(self-shamed)이다 한국사회는 이기

심에서 발 된 배신행 에 해서 그 처벌을 엄격하게 하여 사회에서 완 소외되

게 하거나 스스로 극도의 자괴감을 가지도록 하는 사회담론을 형성해 왔다 이는

사회에서의 신뢰를 무엇보다 시해온 한국사회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정보사회에서 신뢰의 괴는 그 다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 먼

익명성에 자신을 숨기고 다른 이들의 사생활정보를 헤쳐 이를 악용하는 것이

표 인 사례다 사이버공간에서는 자신의 사생활정보를 나의 동의없이 다른 이에게

공개하지 못할 것이라는 lsquo시스템안 에 한 신뢰rsquo가 작동된다 그 기에 인터넷 쇼

핑 인터넷 뱅킹 등이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단히 험한 일이기도 하다 경

제 이윤으로 직결되는 사생활정보를 외부로 팔아넘겨 얼마든지 이윤을 챙길 가능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3

성이 항상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8년 옥션사태 SK사태에서 잘 나타났듯이 우

리의 사생활정보는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기업 혹은 해커들에 의해 노출될 험

이 있다 이때 신뢰는 개인과 개인 사이에서의 문제를 넘어서 개인과 체계의 문제가

된다 개인 수 에서도 신뢰의 괴는 쉽게 이루어진다 역시 익명성이라는 속성

상 나의 본체가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내가 신뢰를 괴하더라도 그 책임으로부

터 숨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 다면 사이버공간에서 신뢰의 괴가 생길 때 이에 한 응은 어떻게 이루

어지는가 이 사회에서는 신뢰의 괴를 한 이를 색출하여 이를 공동체에서 배제

를 시킴으로써 체조직의 신뢰를 유지하 다 이를 해 엄격한 법 체제가 마련

되었음은 물론이다 개인 한 이러한 신뢰 괴 행 에 해 자괴성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하지만 사이버공간에서는 이러한 배제행 와 자괴성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이 군지를 숨길 수 있는 익명성이라는 사이버공간의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신뢰를 괴하는 행 가 특히 개인간의 차원에서 벌어졌을 때 신뢰

를 괴한 이를 찾아내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사이버공간에서 축출을 한다고 해도

그는 다른 익명성 혹은 가명성으로 새롭게 신뢰 괴행 에 나설수 있다 재 사

이버테러에 응하는 사법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사이버공간의 본질 속성상

그 논의 자체가 쉽지 않는 상태이다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25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 자본 축 을 해

지 까지 정보사회의 신뢰에 있어서 신뢰의 형성구조 신뢰의 표출형태 신뢰의

상 신뢰의 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심으로 그 변화의 측면을 논해보았다 먼

이 사회에서는 연 지연 학연 등을 심으로 하는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

뢰가 형성되었던 반면 정보사회에서는 연고 보다는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하

면서 그 계의 끈이 비교 느슨한 lsquo약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뢰가 형성되는 상

이 발생하고 있다 이때 약한 연 에서 경험되는 것은 익명의 존재들 간에 호혜 으

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며 이 호혜성의 경험이 상 방에 한 신뢰를 갖게 한다

이때 신뢰는 물질 이익을 주고 받으면서 생기는 것이라가 보다는 함께 무엇인가

를 즐기고 공유하면서 생기는 lsquo친 감rsquo에 기 한 신뢰의 의미가 강하다 한편 기존의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한 신뢰 역시 정보사회의 표 공간인 사이버공간을 통해서 재

생산되는 측면이 있다 문제는 신뢰의 표출형태이다 약한 계에서 형성된 신뢰라

면 보다 개방 인 신뢰의 모습을 지녀야 하지만 한국사회에 있어서는 그 지 못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즉 기존의 사회에서 뚜렷이 나타났던 lsquo자기 집단에 한 극

단 신뢰rsquo와 lsquo타 집단에 한 극단 불신rsquo이 그것이다 설령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한 신뢰 계가 그 집단내에서는 형성되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취향과 감정을

공유하는 타집단에 해서는 극단 불신을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한국사회

의 공론장 형성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다원 가치에

한 인정의 결핍은 한국사회의 아킬 스건이다 신뢰의 상의 문제에 있어서 이

사회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상은 공식 으로 인정받은(학 등을 통해) 문

가들이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소수의 문가들에 한 신뢰의 수 이

떨어지고 오히려 다수의 비 문가들이 집단 으로 생산해낸 지 가치에 한 신뢰

의 수 이 높아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뢰를 괴하는 행 가 정보사회에서는 그

익명 공간 안에서 손쉽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을 지 하 다 한 이 배신의 행

에 해 과거에는 배신자를 공동체에서 축출하는 것으로 응하 는데 정보사회

에서는 이 배신자 자체를 찾아내기가 단히 어렵다는 난제를 지니고 있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6

한 사회가 보다 인간다운 사회의 모습을 지니기 해서는 사회 자본의 축 이

필수 이며 이 사회 자본의 핵심이 사회 성원들 간의 신뢰이다 사회 자본의

축 을 통한 기회비용의 감소 뿐만이 아니라 공동체성의 회복의 가능성을 제기한

콜만과 퍼트남의 을 받아들이면서 우리는 이제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모습을

통해 새로운 사회 자본의 가능성을 논할 수 있다 개인들이 고립되어 있는 상태를

벗어나 계를 복원시켜야 한다는 퍼트남의 논의는 재 한국사회의 상황에서는 아

쉽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미 개인주의가 확산될 로 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 계가 분명 사이버공간에서 생성되고 있음은 사회

자본의 축 가능성을 다시 제기하게 한다 과거와 같은 형태의 공동체가 아닌

마페졸리(Maffesoli) 등이 제기하는 lsquo부족rsquo 형태에 기반한 사회 자본을 논할 수 있

게 된 것이다 하지만 여 히 lsquo편 가르기rsquo라는 한국의 사회문화 특성으로 인해 이

신뢰 계가 극단 편나 기 양상으로 번지곤 하는 것은 안타까운 실이다 황우

석 사태에서도 잘 나타났듯이 자신들 편의 말만 믿으면서 다른 이들에 한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성 토론 보다는 감정 비난이 앞서는 의사소통 형

태가 사이버공간에서 그 로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사회 자본

을 축 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의 장인 공론장의 형성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정보

사회에서의 공론장은 특히 사이버공간으로 확장되어 있는 특성을 지니는데 이때

사이버공간의 익명성이라는 특성상 이성 의사소통이 더욱 어려워지는 한계를 지

니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무엇보다 의사소통하는 상 방에 한

감을 보다 높이고 의사소통을 원만하게 해주는 재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

으로 응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27

참 고 문 헌

김신동 2001 lsquo정보와 사회 신뢰rsquo 「신뢰연구」 제 11권 통합호 한림과학원

박찬웅 1998 lsquo신뢰의 기와 사회 자본rsquo 1998년 후기사회학 회 발표집

박희 이희창김동욱김철수박병래 2002 한국인의 신뢰 수 향 요인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3호

윤민재 2004 lsquo신뢰와 사회자본에 한 사회 이해rsquo 「신뢰연구」 한림과학원

장원호 2004 985172사이버커뮤니티와 사회 계의 변화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장형유정기한 2004 lsquo인터넷 쇼핑몰에서 고객신뢰 태도 계몰입과 구매의도의

구조 계에 한 연구rsquo 「한국마 」 한국마 학회

최상진김의철김기범 2003 lsquo한국사회에서의 인 계속의 신뢰와 불신의 기반

으로서의 마음에 한 문화심리학 근rsquo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최항섭 2004 985172IT가 인 연결망과 공공선(public interest)에 미치는 향연구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Barney Darin 2004 The Network Society Cambridge Polity Press

Burke Peter 2000 A Social History of Knowledge Cambridge Polity Press

Castells Manuel 2001 The Internet Galaxy Reflections on the Internet Business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Condorcet Antonie-Nicolas Marquis de 1794 Sketch of the Progress of the

Human Mind Except trans by J Barra Clough 1955 pp800-10 in Peter

Gay The Enlightment A Comprehensive Anthology New York Schocken

Books

Goldman Alvin I 1999 Knowledge in a Social world New York Oxford Uni-

versity Press amp Clarendon Press

Hakken David 2003 The Knowledge landscape of Cyberspace New York Routledge

Lyotard JF 1979 La condition postmoderne Paris Minuit 이 복 역 「정보사

회에서의 지식의 상」 1992 서 사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8

Mannheim Karl 1936 Ideology and Utopia Harcourt Brace amp World

Star Susan Leigh 1995 The Cultures of Computing Oxford Blackwell

Page 11: 최 항 섭 - KISDI · 2009-08-17 · 최 항 섭 ․jesuishs@kisdi.re.kr, 02-570-4090 ․프랑스 파리 5대학 사회학부 박사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초빙전문위원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4

다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한국인은 사 신뢰는 높은 반면 공 신뢰는 약하게 나타

난다 즉 나와 가까운 친지들이나 친구들에게는 폭 인 신뢰를 보내는 반면 정부

국회 혹은 내가 모르는 익명의 타인들에게는 불신을 보내고 있다는 것이다(이재

1998 박찬웅 1999 김신동 2001에서 재인용) 한편 사 신뢰의 지나친 의존도와

약한 공 신뢰는 한국사회의 발 을 해하는 요소로 여겨진다 연 지연 학연을

기 로 한 소규모 연고집단에서 표 으로 나타나는 사 신뢰는 한국사회의 공공

선을 해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한 약한 공 신뢰는 사회 체에 불신

풍조를 갖게 하여 사회가 효율 으로 돌아가는 데 제동을 걸게 한다 특히 정부와

국회 제도에 한 높은 불신도는 신뢰의 상 측에 원인에 있으며 국민들이 가지

고 있는 선입 역시 사회 발 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때로 정부가 효율

인 정책을 가지고 나와 이를 강하게 추진하고자 할 때에도 일단 불신의 부터

보내는 언론과 국민들에 의해서 이 시도가 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서 사람들간의 신뢰의 형성 구조는 새로운 양상을 보인다 즉

꼭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이 아니라도 계를 형성하며 익명의 상과도 서로 호혜

인 행 를 하는 즉 약한 연 를 통해서도 신뢰가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정보사회의

표 인 공간인 사이버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호혜 행 ( 지식

검색)는 새로운 의미로 신뢰를 형성시킨다 지 않은 학자들은 사이버공간에서의

신뢰형성에 부정 이었다 특히 신뢰라는 것은 면 면 계의 지속 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인데 익명성과 상호작용의 비지속성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공

간에서 신뢰가 제 로 형성되겠느냐는 것이다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사이버공간에서 형성되는 약한 연 의 계는 지속

으로 증가했고 그 과정에서 여러 가지 부정 인 상들도 발생하 지만 과거에는

생각할 수 없었던 즉 모르는 이들에 한 신뢰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 때 모르는

이들은 완 히 모르는 이들이 아니다 내가 그 사람의 아이디를 알고 있고 그 사람

과 채 등을 통해서 화를 나 경험이 있거나 내가 요청한 도움에 그 역시 나를

잘 모르는 상태에서 기꺼이 응해주었던 경험이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5

사이버공간에서 신뢰가 형성되는 것은 호혜성 계를 통해서도 이해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감정과 취향의 공유를 통해서도 이해될 수 있다 나와 같은 것을

좋아하는 내가 느끼는 감정을 같이 느끼는 이들이라면 인간은 그 사람에게 신뢰

를 보내게 된다 이는 기든스가 얘기했던 lsquo친 성의 신뢰rsquo와 같은 맥락이다 이 때 사

람들간의 계는 여 히 그 사람이 구인지 잘 모르는 언제 헤어질 지 모르는 헤

어져도 그만인 약한 연 의 계이지만 감정과 취향의 공유를 통해서 신뢰가 형성

되어지는 것이다 강한 연 의 계에 있지만 나와 완 히 취향이 달라 친 감을 느

끼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반면 약한 연 의 계에 있지만 나와 취향이 같아 친

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후자의 경우가 정보사회에서의 논의될 수 있는 의미있는

형태로의 신뢰이다

정보사회에서의 신뢰는 비단 사이버공간에만 국한해서 논의될 필요는 없다 정보

사회에서도 여 히 이 사회에서의 강한 연 의 신뢰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지

만 시간과 공간의 제약 때문에 이 강한 연 의 지속이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그 연 의 유지를 해 사이버공간을 활용하고 있기도 하다 즉 사이버공

간에서의 계는 내가 모르고 있는 사람과의 계만이 있는 것이 아니다 내가 이미

알고 있는 사람과의 계 역시 존재한다 장원호(2004)의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많

은 경우 실공간에서의 계는 사이버공간으로 옮겨져 연장된다 이는 기존의 신

뢰 계를 재생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학교의 친구들 동창들 옛날 동네친구들 떨어

져 사는 가족들에게 있어 사이버 공간은 시간과 공간을 월해서 서로의 안부를 확

인하고 서로의 정을 나 며 상호신뢰를 지속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공간이다 최근 필

자(2004)의 연구결과를 보면 인터넷과 같은 정보통신기술은 사회성원들이 맺고 있

는 계의 인 연결망의 도를 높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터넷으로 인

해 이미 친한 이들과 더욱 친해지고 있는 것이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6

2 신뢰의 표출형태 극단성의 지속

정보사회에서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가 새롭게 형성되고는 있지만 그 표출형태

에 있어서는 이 사회의 신뢰 표출형태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즉 극단 신

뢰와 극단 불신이라는 형태로 표출되는 것을 말한다 그 이유는 사회문화 특성

에서 찾아져야할 것이다 이미 여러 조사를 통해서 한국사회의 신뢰의 특성은 내집

단에 한 극단 신뢰 타집단에 한 극단 불신이 밝 진 바 있다 박희

(2002)은 신뢰의 상으로 개인 단체 공공기 등 다양한 상들을 설정하여 국민

들이 이 상들에 갖고 있는 신뢰도는 어떠한 지 국민들의 개인 지 와 성향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연구하 다 이 조사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

들의 신뢰도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학교친구 고향친구 등 개인 으로 이미 친분

이 있는 사람들에 한 신뢰도는 매우 높은 반면 모르는 사람 알더라도 약간

아는 사람들에 한 신뢰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한마디로 말해 아는 사람은

으로 믿고 모르는 사람은 우선 의심하고 본다는 것이다 친한 사람에게는 차용증없

이도 돈을 빌려주는 사람이 모르는 사람이 길거리에서 1000원을 빌려달라고 하면

단호히 거 하는 것이 한국사회이다 사 신뢰에서도 가족 친구 친척 등 연 학

연 지연 등으로 얽 있는 인 계에 있어서의 신뢰도가 직장동료 사회동료 등

도구 계로 얽 있는 인 계에서의 신뢰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때 공 신

뢰의 낮은 수 은 압축 근 화를 거치면서 생긴 소 lsquo체계rsquo 역에 한 총체

인 불신에 기인한다 의 조사결과 특히 정부 국회 등 공공 역에 한 신뢰가

단히 낮게 나타났다 끊임없이 터져 나오는 공직자 부패사건들을 경험하면서 국민

들이 공직자와 그 조직에 해 지니고 있는 불신은 이미 최고조에 달해있는 상태이

다 공 역에 한 배신감 불신은 내가 아는 사람들에 한 극단 인 신뢰로 이

어졌다 즉 친한 사람은 무조건 믿고 모르는 사람은 일단 의심부터 하고 보는 경향

이 강하다는 것이다 이는 내편의 사람은 바로 lsquo내편이기 때문에rsquo 믿고 다른 편의 사

람은 바로 lsquo내편이 아니기 때문에rsquo 의심한다는 의미이다

정보사회와 련 사이버공간에서도 이러한 극단 신뢰와 극단 불신은 그 로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7

나타나고 있다 를 들어 자신과 같은 입장을 지닌 사람의 말은 화의 주제와

련 없는 말도 믿으면서 자신과 입장이 다른 사람은 다른 집단으로 가라고 하면서

그 사람의 말을 불신하는 것이다 그 다면 왜 이 게 한국인들은 내편 네편을 나

기를 좋아하고 내편을 끔 이 아끼고 사랑하고 무조건 믿지만 네편은 심할 정도

로 배척하고 불신하는가 최상진(2002)은 이는 내편에 속하여 얻는 심리 이고 실

질 인 만족이 서구에 비해서 단히 크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20029) 즉 사이

버공간에 한국사회의 편가르기의 특성이 투여되며 실공간의 수 을 넘어서는 상

호간의 불신이 생길 수도 있다 이와 련 사이버공간에서의 토론을 보면 간 성향

의 논의가 존재하지 않는 경향이 뚜렷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김은미(2004)의 최

근 조사에서 ldquo사이버공간에서의 의사소통에서는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편과 내가

틀리다고 생각하는 편만 존재한다rdquo고 주장한 바 있다 이 두 편은 확연하게 나 어

져 자신들의 의견이 옳음을 입증하려고 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객 인 의견개

진보다는 상 방이 틀림을 비난하는 감정 들이 오고 가며 이 과정에 계속됨에

따라 애 의 이슈는 사라지고 서로를 비난하는 감정만 남게 된다 이때 이 토론에

참여한 이는 내가 알지도 못하는 얼굴도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미움을 사게 되며

그 한 익명의 타자에게 불신과 미움의 감정을 품게 된다 이러한 상은 사이버공

간이 불신을 생산하는 장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다 최상진이 말한 우

리성의 부정 효과가 사이버공간에서의 신뢰의 하로 나타나는 것이다

3 신뢰의 상 성의 약화와 다수성의 신뢰

정보사회의 특성 하나는 바로 이 사회에서 인 신뢰의 상들의 상

이 하되고 있다는 것이다 표 인 것이 바로 소 문가에 한 신뢰의

약화이다 이는 지식의 상변화에 기인한다 즉 근 이후 지식의 가치를

드높 던 문가들이 그 실용성에 있어서 더 이상 평가를 제 로 받지 못하고 있으

며 오히려 나에게 정말 필요한 지식들을 생산하여 달해주는 수천 수만의 비 문

가들의 지식의 가치가 더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소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8

에 한 신뢰 상이다

정보사회 이 의 지식의 상을 먼 살펴보자 지식은 생성되는 과정에서의 과

학 이론 지 능력을 요구하 으며 따라서 일반인들에게는 습득하기 어려운 것

이었으며 소수의 지배계층은 이러한 지 능력을 부여받기 한 교육을 받을 수 있

는 특권을 렸다 지배계층은 지식만이 세상을 이롭게 할 수 있다는 생각을 리

유포했으며 스스로도 그 게 확신하 다 즉 지식만이 일반인들의 무지 야만 노

성을 극복하게 해주어 세계를 구할 것이라는 계몽주의 사고방식을 가졌던 것

이다 반면 일반인들이 일상의 경험에서 축 한 지 가치들은 과학 으로 증명된

바가 없고 논리성 한 갖추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지식에 비해 그 가치가 단히

떨어지는 것으로 인식하 다 과학 지식은 보편 방법을 통해 증명되고 보편

법칙들을 추구하기 때문에 만인에게 도움을 다고 보는 반면(Condorset [1794]

1973 803805) 들의 경험은 보편 법칙을 추구한다기 보다는 일상의 개인에

게 도움을 주는 것을 주 목 으로 하기 때문에 그 가치가 지식에 비해 못 미친다고

보았던 것이다 지식은 근 시기에 최고의 지 가치로 인정받았으며 이는 지식만이

lsquo사실rsquo을 담아내고 과학 으로 증명되었기 때문에 lsquo불변 rsquo이고 사회와 역사의 변화

에 향을 받지 않는 lsquo rsquo으로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 상을 정립하 다

하지만 정보사회로 어들면서 지식은 그 신뢰에 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통 시각에서의 지식은 그것이 불확실하거나 이 게도 혹은 게도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아니라 확실하고 어떤 경우에도 lsquo거짓이 아니고 참rsquo인 것으

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문제는 무엇이 lsquo진실rsquo인 것이냐는 것

이다 lsquo진실rsquo은 원히 불변 인 것인지 아니면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이기도

한 것인지에 한 의문 한 제기되어 왔다 만하임 역시 과거에 진리로 군

림했던 lsquo정 과학rsquo(exact science)에 한 신뢰성이 오늘날 심하게 흔들리고 있다고

지 한 바 있다(Mannheim 1936271)

만하임에 의하면 우리 인간이 일상생활에서 맺고 있는 사회 계 그 계 속에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9

서의 역할 그 역할을 수행하면서 갖는 존재의식 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사회속에

형성된 지식들을 제 로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Mannheim 1936267-8) 만하

임의 이러한 역사주의 에서 골드만 한 지식은 믿음을 내포하고 있는 데 이

믿음이라는 것이 사실은 lsquo사회 으로 구축된 것rsquo(socially constructed)이라고 주장한

다 그에 의하면 지식은 언제나 lsquo지엽 rsquo(local)인 것이며 상황에 따라 규정되는 것

(contextual situated)이다(Goldman 199921) 그는 특히 하나의 지식이 지엽 이

고 상황결정 인 이유로서 지식은 언제나 특정한 개인이나 특정한 이해그룹에 의해

서 지식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 다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라는 것은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하

나의 단수의 지식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 상이 발생

한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인 복수의 지식들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Burke

2000 13) 하 역시 지식은 하나의 단수 인 것이 아니며 지식을 받아들일 때도

그 지식이 형성된 과정을 이해하면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 다(Hakken

200313) 만하임에 의하면 인간의 생각과 아이디어들은 몇몇 한 인물들이 내

놓은 업 물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집합 경험에 의해서 탄생되는 것이다 그리

고 이 집합 경험은 공통의 분모를 가지는 동시에 상이성 한 가진다 존재하는

것은 하나의 상에 한 하나의 지식이 아니라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서로 충돌하고 경합을 끊임없이 하는 복수의 지식들이다(Mannheim 1936

269) 이 스타는 lsquo지식은 복수로 존재하면서 다른 지식들과 복합 상호 계속에

서 존재하며 그 기 때문에 지식은 생태 (ecologic)이다rsquo라고 보았다(Star 1995)

이 게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고 복수로 존재한다는 사실은 지식에 한

신뢰에 있어서도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한다 즉 지식에 한 신뢰는 맹목 일 수 없

다는 것이다 세 근 의 시각에서 보면 지식에 한 신뢰는 지식을 보유하고 생

성하는 권력집단의 정당성에 한 수동 수용에 기인하 다 그러나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주체 다양한 집단들이 지식생산과 비 에 참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 사회에서 형성되었던 지식들의 신뢰성이 약화가 되었고 지식을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0

생성하는 유일한 집단으로 믿어졌던 문가군에 한 신뢰 역시 약화되고 있다

지식의 성에 한 신뢰의 변화가 정보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주장의

다른 근거는 정보사회의 핵심콘텐츠인 lsquo정보rsquo의 상 변화를 통해서도 뒷받침될 수

있다 70년 에 사회학자 투 과 벨은 탈산업사회의 도래를 견하면서 탈산업사회

에서 요하게 되는 것은 노동의 힘과 자연에 지가 아니라 바로 lsquo정보rsquo일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 정보사회에 들어서는 lsquo정보rsquo를 어떻게 수집하고 활용하는가가 부의

원천이 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arny 20046) 일본의 미래학자 마슈다는 2000년

에는 정보사회가 산업사회를 체할 것이며 이 시기에는 물질 가치의 생산이

덜 요해지고 신 정보의 량생산과 공유가 단히 요해질 것이라고 내다보

았다(Barny 20048) 최근 각 을 받고 있는 정보사회학자 카스텔스에 의하면

재 우리가 사는 세계의 사회 정치 경제 행 의 지 않은 부분이 lsquo정보의 흐름rsquo

(flows of information)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든 역에 걸쳐 정보가

구에게서 출발하여 어떤 경로로 구에게 도착하는가 어떤 정보들이 공유 독

되는가가 요한 사회 이슈로 두되고 있는 것이다(Castells 19981) 리오따르 역

시 과거에 국가들은 토와 원자재 그리고 노동력을 쟁취하기 해서 쟁을 하

으나 앞으로는 보다 가치있는 정보를 쟁취하기 해 치열하게 경쟁할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Lyotard 1979) 버크는 정보의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정보를 사고

는 상품으로 취 해야 하는가 아니면 정보를 사회성원들의 공공이익을 하여

구나 공유해야할 것으로 취 해야 하는가가 요한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고 말하

다 그는 21세기를 후하여 두되고 있는 정보와 정보기술의 요성에 비추어볼

때 후 의 역사학자들이 이 시기를 lsquo정보의 시 rsquo(age of information)라고 명명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urke 20001)

그런데 이 정보는 지식과는 달리 문가들이 아닌 일반인들에게서도 쉽게 공유되

고 확산될 수 있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공유행 의 증은 지 가치들의 유통을

빠르게 효율 으로 가능하게 하는 정보기술에 기반한다 이제 지 가치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되고 실제 실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한 빠르게 획득할 수 있을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1

때 그 가치를 인정받기에 이르 다 여러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것은 문 인

것보다는 일반 이론 이기 보다는 실용 인 지 가치인데 정보가 바로 이러한

요구에 가장 잘 부응하고 있는 것이다

통 의미에서의 지식은 문가들에 의해 형성되고 증명되어진 지 가치이며

정보는 비 문가들도 얼마든지 생성 유통시킬 수 있는 그러나 아직 완 히 증명되

어지지 않은 지 가치 다 그러나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정보의 공유가 폭증하고

정보의 제공자들에 있어서 문가와 비 문가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무엇보다 사회

성원들에 필요한 지 가치로서의 정보의 상이 격히 높아지게 되었다 특히 한

명의 문가가 생산한 지식보다는 다수의 비 문가들이 함께 모여 편집하고 가공한

정보가 더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서의 상을 지니게 되는 조짐이 보이고 있다

이를 설명해 수 있는 표 인 사례가 바로 인터넷의 lsquo지식검색rsquo서비스이다 이 서

비스가 시작된 후에는 우리는 학교에서 궁 한 것 직장에서 궁 한 것 일상에서

문득 떠오르는 궁 한 것들을 인터넷만 있으면 바로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궁 한 것들에 해 다른 이들이 답변을 한 것에 한 신뢰도가 단히 높다

는 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필자의 조사(2004)에 따르면 lsquo지식검색rsquo에서 답변

된 정보들에 한 신뢰도는 단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다수의 사람

들이 lsquo맞다rsquo고 답한 정보는 신뢰할만 하다는 것이다 즉 지 가치에 한 신뢰의 정

도가 그 지 가치를 생산한 사람이 구인가( 문가인가 아닌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얼마나 많은 사람이 그 지 가치의 생산에 참여했느냐에 따라 결정된

다는 것이다 표 인 집단지성의 지 가치 생산의 로 언 되는 키피디아의

경우 신뢰도는 리타니카 백과사 에 버 가는 신뢰를 확보하고 있다

4 신뢰의 괴와 응

신뢰의 괴는 쉽게 말해 배신으로 표 된다 배신행 의 부분의 원인은 개인

의 이기심이다 즉 신뢰를 어기면서도 어떠한 행동을 하게 되면 그 신뢰를 어겨서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2

겪는 피해보다 자신이 얻는 것이 더 많을 때 배신행 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극단

인 로 한 폭력조직에서 조직성원들의 신뢰를 버리고 조직의 비 을 설하게

해야 할지 고민이 될 때 조직의 보복은 두려우나 그로 인해 자신에게 엄청난 이익

이 생기게 되면 결국 조직의 비 을 설한다는 것이다 이보다 더 일상 인 를

하나 들어보자 친구가 lsquo다른 친구들에게 로 말하지마rsquo라고 그 친구의 비 을 나

에게 얘기해주었다 그 친구는 나의 친한 친구 기 때문에 자신의 비 을 나에게

몰래 털어놓았다 하지만 그 비 을 다른 친구에게 나는 lsquo다른 이에게는 로 말

하지마 그 친구가 알면 나 큰일나rsquo라고 말하면서 그 친구의 비 을 알린다 이 때의

이기심은 경우에 따라 다르겠으나 비 정보를 나만이 알고 있다는 것을 다른 이에

게 알리고 과시하고 싶은 욕구의 이기심이다 이러한 배신 행 에 해서는 어느 사

회 어느 인간을 막론하고 냉엄하게 응한다 최상진에 의하면 배신자라는 말 자체

의 사 의미가 lsquo등을 돌린다rsquo라는 것으로 이는 완 히 자신에게 등을 돌린 사람

남남인 사람을 의미한다(20027) 신뢰를 버려야했던 행 로 인해 얻어지는 이익

에 기뻐하지만 신뢰를 버린 행 가 도덕 으로 규탄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자신 스스로 괴로워한다 친한 친구들에게 돈 사기를 친 이들이 자수를 하는

경우에는 이 양심의 소리가 주는 고통이 단히 컸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치의 감정

은 스스로 양심의 가책을 느껴 생기는 자괴성(self-shamed)이다 한국사회는 이기

심에서 발 된 배신행 에 해서 그 처벌을 엄격하게 하여 사회에서 완 소외되

게 하거나 스스로 극도의 자괴감을 가지도록 하는 사회담론을 형성해 왔다 이는

사회에서의 신뢰를 무엇보다 시해온 한국사회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정보사회에서 신뢰의 괴는 그 다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 먼

익명성에 자신을 숨기고 다른 이들의 사생활정보를 헤쳐 이를 악용하는 것이

표 인 사례다 사이버공간에서는 자신의 사생활정보를 나의 동의없이 다른 이에게

공개하지 못할 것이라는 lsquo시스템안 에 한 신뢰rsquo가 작동된다 그 기에 인터넷 쇼

핑 인터넷 뱅킹 등이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단히 험한 일이기도 하다 경

제 이윤으로 직결되는 사생활정보를 외부로 팔아넘겨 얼마든지 이윤을 챙길 가능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3

성이 항상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8년 옥션사태 SK사태에서 잘 나타났듯이 우

리의 사생활정보는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기업 혹은 해커들에 의해 노출될 험

이 있다 이때 신뢰는 개인과 개인 사이에서의 문제를 넘어서 개인과 체계의 문제가

된다 개인 수 에서도 신뢰의 괴는 쉽게 이루어진다 역시 익명성이라는 속성

상 나의 본체가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내가 신뢰를 괴하더라도 그 책임으로부

터 숨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 다면 사이버공간에서 신뢰의 괴가 생길 때 이에 한 응은 어떻게 이루

어지는가 이 사회에서는 신뢰의 괴를 한 이를 색출하여 이를 공동체에서 배제

를 시킴으로써 체조직의 신뢰를 유지하 다 이를 해 엄격한 법 체제가 마련

되었음은 물론이다 개인 한 이러한 신뢰 괴 행 에 해 자괴성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하지만 사이버공간에서는 이러한 배제행 와 자괴성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이 군지를 숨길 수 있는 익명성이라는 사이버공간의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신뢰를 괴하는 행 가 특히 개인간의 차원에서 벌어졌을 때 신뢰

를 괴한 이를 찾아내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사이버공간에서 축출을 한다고 해도

그는 다른 익명성 혹은 가명성으로 새롭게 신뢰 괴행 에 나설수 있다 재 사

이버테러에 응하는 사법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사이버공간의 본질 속성상

그 논의 자체가 쉽지 않는 상태이다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25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 자본 축 을 해

지 까지 정보사회의 신뢰에 있어서 신뢰의 형성구조 신뢰의 표출형태 신뢰의

상 신뢰의 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심으로 그 변화의 측면을 논해보았다 먼

이 사회에서는 연 지연 학연 등을 심으로 하는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

뢰가 형성되었던 반면 정보사회에서는 연고 보다는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하

면서 그 계의 끈이 비교 느슨한 lsquo약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뢰가 형성되는 상

이 발생하고 있다 이때 약한 연 에서 경험되는 것은 익명의 존재들 간에 호혜 으

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며 이 호혜성의 경험이 상 방에 한 신뢰를 갖게 한다

이때 신뢰는 물질 이익을 주고 받으면서 생기는 것이라가 보다는 함께 무엇인가

를 즐기고 공유하면서 생기는 lsquo친 감rsquo에 기 한 신뢰의 의미가 강하다 한편 기존의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한 신뢰 역시 정보사회의 표 공간인 사이버공간을 통해서 재

생산되는 측면이 있다 문제는 신뢰의 표출형태이다 약한 계에서 형성된 신뢰라

면 보다 개방 인 신뢰의 모습을 지녀야 하지만 한국사회에 있어서는 그 지 못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즉 기존의 사회에서 뚜렷이 나타났던 lsquo자기 집단에 한 극

단 신뢰rsquo와 lsquo타 집단에 한 극단 불신rsquo이 그것이다 설령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한 신뢰 계가 그 집단내에서는 형성되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취향과 감정을

공유하는 타집단에 해서는 극단 불신을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한국사회

의 공론장 형성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다원 가치에

한 인정의 결핍은 한국사회의 아킬 스건이다 신뢰의 상의 문제에 있어서 이

사회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상은 공식 으로 인정받은(학 등을 통해) 문

가들이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소수의 문가들에 한 신뢰의 수 이

떨어지고 오히려 다수의 비 문가들이 집단 으로 생산해낸 지 가치에 한 신뢰

의 수 이 높아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뢰를 괴하는 행 가 정보사회에서는 그

익명 공간 안에서 손쉽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을 지 하 다 한 이 배신의 행

에 해 과거에는 배신자를 공동체에서 축출하는 것으로 응하 는데 정보사회

에서는 이 배신자 자체를 찾아내기가 단히 어렵다는 난제를 지니고 있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6

한 사회가 보다 인간다운 사회의 모습을 지니기 해서는 사회 자본의 축 이

필수 이며 이 사회 자본의 핵심이 사회 성원들 간의 신뢰이다 사회 자본의

축 을 통한 기회비용의 감소 뿐만이 아니라 공동체성의 회복의 가능성을 제기한

콜만과 퍼트남의 을 받아들이면서 우리는 이제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모습을

통해 새로운 사회 자본의 가능성을 논할 수 있다 개인들이 고립되어 있는 상태를

벗어나 계를 복원시켜야 한다는 퍼트남의 논의는 재 한국사회의 상황에서는 아

쉽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미 개인주의가 확산될 로 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 계가 분명 사이버공간에서 생성되고 있음은 사회

자본의 축 가능성을 다시 제기하게 한다 과거와 같은 형태의 공동체가 아닌

마페졸리(Maffesoli) 등이 제기하는 lsquo부족rsquo 형태에 기반한 사회 자본을 논할 수 있

게 된 것이다 하지만 여 히 lsquo편 가르기rsquo라는 한국의 사회문화 특성으로 인해 이

신뢰 계가 극단 편나 기 양상으로 번지곤 하는 것은 안타까운 실이다 황우

석 사태에서도 잘 나타났듯이 자신들 편의 말만 믿으면서 다른 이들에 한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성 토론 보다는 감정 비난이 앞서는 의사소통 형

태가 사이버공간에서 그 로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사회 자본

을 축 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의 장인 공론장의 형성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정보

사회에서의 공론장은 특히 사이버공간으로 확장되어 있는 특성을 지니는데 이때

사이버공간의 익명성이라는 특성상 이성 의사소통이 더욱 어려워지는 한계를 지

니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무엇보다 의사소통하는 상 방에 한

감을 보다 높이고 의사소통을 원만하게 해주는 재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

으로 응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27

참 고 문 헌

김신동 2001 lsquo정보와 사회 신뢰rsquo 「신뢰연구」 제 11권 통합호 한림과학원

박찬웅 1998 lsquo신뢰의 기와 사회 자본rsquo 1998년 후기사회학 회 발표집

박희 이희창김동욱김철수박병래 2002 한국인의 신뢰 수 향 요인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3호

윤민재 2004 lsquo신뢰와 사회자본에 한 사회 이해rsquo 「신뢰연구」 한림과학원

장원호 2004 985172사이버커뮤니티와 사회 계의 변화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장형유정기한 2004 lsquo인터넷 쇼핑몰에서 고객신뢰 태도 계몰입과 구매의도의

구조 계에 한 연구rsquo 「한국마 」 한국마 학회

최상진김의철김기범 2003 lsquo한국사회에서의 인 계속의 신뢰와 불신의 기반

으로서의 마음에 한 문화심리학 근rsquo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최항섭 2004 985172IT가 인 연결망과 공공선(public interest)에 미치는 향연구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Barney Darin 2004 The Network Society Cambridge Polity Press

Burke Peter 2000 A Social History of Knowledge Cambridge Polity Press

Castells Manuel 2001 The Internet Galaxy Reflections on the Internet Business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Condorcet Antonie-Nicolas Marquis de 1794 Sketch of the Progress of the

Human Mind Except trans by J Barra Clough 1955 pp800-10 in Peter

Gay The Enlightment A Comprehensive Anthology New York Schocken

Books

Goldman Alvin I 1999 Knowledge in a Social world New York Oxford Uni-

versity Press amp Clarendon Press

Hakken David 2003 The Knowledge landscape of Cyberspace New York Routledge

Lyotard JF 1979 La condition postmoderne Paris Minuit 이 복 역 「정보사

회에서의 지식의 상」 1992 서 사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8

Mannheim Karl 1936 Ideology and Utopia Harcourt Brace amp World

Star Susan Leigh 1995 The Cultures of Computing Oxford Blackwell

Page 12: 최 항 섭 - KISDI · 2009-08-17 · 최 항 섭 ․jesuishs@kisdi.re.kr, 02-570-4090 ․프랑스 파리 5대학 사회학부 박사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초빙전문위원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5

사이버공간에서 신뢰가 형성되는 것은 호혜성 계를 통해서도 이해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감정과 취향의 공유를 통해서도 이해될 수 있다 나와 같은 것을

좋아하는 내가 느끼는 감정을 같이 느끼는 이들이라면 인간은 그 사람에게 신뢰

를 보내게 된다 이는 기든스가 얘기했던 lsquo친 성의 신뢰rsquo와 같은 맥락이다 이 때 사

람들간의 계는 여 히 그 사람이 구인지 잘 모르는 언제 헤어질 지 모르는 헤

어져도 그만인 약한 연 의 계이지만 감정과 취향의 공유를 통해서 신뢰가 형성

되어지는 것이다 강한 연 의 계에 있지만 나와 완 히 취향이 달라 친 감을 느

끼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반면 약한 연 의 계에 있지만 나와 취향이 같아 친

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후자의 경우가 정보사회에서의 논의될 수 있는 의미있는

형태로의 신뢰이다

정보사회에서의 신뢰는 비단 사이버공간에만 국한해서 논의될 필요는 없다 정보

사회에서도 여 히 이 사회에서의 강한 연 의 신뢰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지

만 시간과 공간의 제약 때문에 이 강한 연 의 지속이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그 연 의 유지를 해 사이버공간을 활용하고 있기도 하다 즉 사이버공

간에서의 계는 내가 모르고 있는 사람과의 계만이 있는 것이 아니다 내가 이미

알고 있는 사람과의 계 역시 존재한다 장원호(2004)의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많

은 경우 실공간에서의 계는 사이버공간으로 옮겨져 연장된다 이는 기존의 신

뢰 계를 재생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학교의 친구들 동창들 옛날 동네친구들 떨어

져 사는 가족들에게 있어 사이버 공간은 시간과 공간을 월해서 서로의 안부를 확

인하고 서로의 정을 나 며 상호신뢰를 지속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공간이다 최근 필

자(2004)의 연구결과를 보면 인터넷과 같은 정보통신기술은 사회성원들이 맺고 있

는 계의 인 연결망의 도를 높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터넷으로 인

해 이미 친한 이들과 더욱 친해지고 있는 것이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6

2 신뢰의 표출형태 극단성의 지속

정보사회에서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가 새롭게 형성되고는 있지만 그 표출형태

에 있어서는 이 사회의 신뢰 표출형태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즉 극단 신

뢰와 극단 불신이라는 형태로 표출되는 것을 말한다 그 이유는 사회문화 특성

에서 찾아져야할 것이다 이미 여러 조사를 통해서 한국사회의 신뢰의 특성은 내집

단에 한 극단 신뢰 타집단에 한 극단 불신이 밝 진 바 있다 박희

(2002)은 신뢰의 상으로 개인 단체 공공기 등 다양한 상들을 설정하여 국민

들이 이 상들에 갖고 있는 신뢰도는 어떠한 지 국민들의 개인 지 와 성향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연구하 다 이 조사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

들의 신뢰도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학교친구 고향친구 등 개인 으로 이미 친분

이 있는 사람들에 한 신뢰도는 매우 높은 반면 모르는 사람 알더라도 약간

아는 사람들에 한 신뢰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한마디로 말해 아는 사람은

으로 믿고 모르는 사람은 우선 의심하고 본다는 것이다 친한 사람에게는 차용증없

이도 돈을 빌려주는 사람이 모르는 사람이 길거리에서 1000원을 빌려달라고 하면

단호히 거 하는 것이 한국사회이다 사 신뢰에서도 가족 친구 친척 등 연 학

연 지연 등으로 얽 있는 인 계에 있어서의 신뢰도가 직장동료 사회동료 등

도구 계로 얽 있는 인 계에서의 신뢰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때 공 신

뢰의 낮은 수 은 압축 근 화를 거치면서 생긴 소 lsquo체계rsquo 역에 한 총체

인 불신에 기인한다 의 조사결과 특히 정부 국회 등 공공 역에 한 신뢰가

단히 낮게 나타났다 끊임없이 터져 나오는 공직자 부패사건들을 경험하면서 국민

들이 공직자와 그 조직에 해 지니고 있는 불신은 이미 최고조에 달해있는 상태이

다 공 역에 한 배신감 불신은 내가 아는 사람들에 한 극단 인 신뢰로 이

어졌다 즉 친한 사람은 무조건 믿고 모르는 사람은 일단 의심부터 하고 보는 경향

이 강하다는 것이다 이는 내편의 사람은 바로 lsquo내편이기 때문에rsquo 믿고 다른 편의 사

람은 바로 lsquo내편이 아니기 때문에rsquo 의심한다는 의미이다

정보사회와 련 사이버공간에서도 이러한 극단 신뢰와 극단 불신은 그 로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7

나타나고 있다 를 들어 자신과 같은 입장을 지닌 사람의 말은 화의 주제와

련 없는 말도 믿으면서 자신과 입장이 다른 사람은 다른 집단으로 가라고 하면서

그 사람의 말을 불신하는 것이다 그 다면 왜 이 게 한국인들은 내편 네편을 나

기를 좋아하고 내편을 끔 이 아끼고 사랑하고 무조건 믿지만 네편은 심할 정도

로 배척하고 불신하는가 최상진(2002)은 이는 내편에 속하여 얻는 심리 이고 실

질 인 만족이 서구에 비해서 단히 크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20029) 즉 사이

버공간에 한국사회의 편가르기의 특성이 투여되며 실공간의 수 을 넘어서는 상

호간의 불신이 생길 수도 있다 이와 련 사이버공간에서의 토론을 보면 간 성향

의 논의가 존재하지 않는 경향이 뚜렷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김은미(2004)의 최

근 조사에서 ldquo사이버공간에서의 의사소통에서는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편과 내가

틀리다고 생각하는 편만 존재한다rdquo고 주장한 바 있다 이 두 편은 확연하게 나 어

져 자신들의 의견이 옳음을 입증하려고 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객 인 의견개

진보다는 상 방이 틀림을 비난하는 감정 들이 오고 가며 이 과정에 계속됨에

따라 애 의 이슈는 사라지고 서로를 비난하는 감정만 남게 된다 이때 이 토론에

참여한 이는 내가 알지도 못하는 얼굴도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미움을 사게 되며

그 한 익명의 타자에게 불신과 미움의 감정을 품게 된다 이러한 상은 사이버공

간이 불신을 생산하는 장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다 최상진이 말한 우

리성의 부정 효과가 사이버공간에서의 신뢰의 하로 나타나는 것이다

3 신뢰의 상 성의 약화와 다수성의 신뢰

정보사회의 특성 하나는 바로 이 사회에서 인 신뢰의 상들의 상

이 하되고 있다는 것이다 표 인 것이 바로 소 문가에 한 신뢰의

약화이다 이는 지식의 상변화에 기인한다 즉 근 이후 지식의 가치를

드높 던 문가들이 그 실용성에 있어서 더 이상 평가를 제 로 받지 못하고 있으

며 오히려 나에게 정말 필요한 지식들을 생산하여 달해주는 수천 수만의 비 문

가들의 지식의 가치가 더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소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8

에 한 신뢰 상이다

정보사회 이 의 지식의 상을 먼 살펴보자 지식은 생성되는 과정에서의 과

학 이론 지 능력을 요구하 으며 따라서 일반인들에게는 습득하기 어려운 것

이었으며 소수의 지배계층은 이러한 지 능력을 부여받기 한 교육을 받을 수 있

는 특권을 렸다 지배계층은 지식만이 세상을 이롭게 할 수 있다는 생각을 리

유포했으며 스스로도 그 게 확신하 다 즉 지식만이 일반인들의 무지 야만 노

성을 극복하게 해주어 세계를 구할 것이라는 계몽주의 사고방식을 가졌던 것

이다 반면 일반인들이 일상의 경험에서 축 한 지 가치들은 과학 으로 증명된

바가 없고 논리성 한 갖추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지식에 비해 그 가치가 단히

떨어지는 것으로 인식하 다 과학 지식은 보편 방법을 통해 증명되고 보편

법칙들을 추구하기 때문에 만인에게 도움을 다고 보는 반면(Condorset [1794]

1973 803805) 들의 경험은 보편 법칙을 추구한다기 보다는 일상의 개인에

게 도움을 주는 것을 주 목 으로 하기 때문에 그 가치가 지식에 비해 못 미친다고

보았던 것이다 지식은 근 시기에 최고의 지 가치로 인정받았으며 이는 지식만이

lsquo사실rsquo을 담아내고 과학 으로 증명되었기 때문에 lsquo불변 rsquo이고 사회와 역사의 변화

에 향을 받지 않는 lsquo rsquo으로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 상을 정립하 다

하지만 정보사회로 어들면서 지식은 그 신뢰에 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통 시각에서의 지식은 그것이 불확실하거나 이 게도 혹은 게도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아니라 확실하고 어떤 경우에도 lsquo거짓이 아니고 참rsquo인 것으

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문제는 무엇이 lsquo진실rsquo인 것이냐는 것

이다 lsquo진실rsquo은 원히 불변 인 것인지 아니면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이기도

한 것인지에 한 의문 한 제기되어 왔다 만하임 역시 과거에 진리로 군

림했던 lsquo정 과학rsquo(exact science)에 한 신뢰성이 오늘날 심하게 흔들리고 있다고

지 한 바 있다(Mannheim 1936271)

만하임에 의하면 우리 인간이 일상생활에서 맺고 있는 사회 계 그 계 속에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9

서의 역할 그 역할을 수행하면서 갖는 존재의식 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사회속에

형성된 지식들을 제 로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Mannheim 1936267-8) 만하

임의 이러한 역사주의 에서 골드만 한 지식은 믿음을 내포하고 있는 데 이

믿음이라는 것이 사실은 lsquo사회 으로 구축된 것rsquo(socially constructed)이라고 주장한

다 그에 의하면 지식은 언제나 lsquo지엽 rsquo(local)인 것이며 상황에 따라 규정되는 것

(contextual situated)이다(Goldman 199921) 그는 특히 하나의 지식이 지엽 이

고 상황결정 인 이유로서 지식은 언제나 특정한 개인이나 특정한 이해그룹에 의해

서 지식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 다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라는 것은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하

나의 단수의 지식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 상이 발생

한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인 복수의 지식들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Burke

2000 13) 하 역시 지식은 하나의 단수 인 것이 아니며 지식을 받아들일 때도

그 지식이 형성된 과정을 이해하면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 다(Hakken

200313) 만하임에 의하면 인간의 생각과 아이디어들은 몇몇 한 인물들이 내

놓은 업 물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집합 경험에 의해서 탄생되는 것이다 그리

고 이 집합 경험은 공통의 분모를 가지는 동시에 상이성 한 가진다 존재하는

것은 하나의 상에 한 하나의 지식이 아니라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서로 충돌하고 경합을 끊임없이 하는 복수의 지식들이다(Mannheim 1936

269) 이 스타는 lsquo지식은 복수로 존재하면서 다른 지식들과 복합 상호 계속에

서 존재하며 그 기 때문에 지식은 생태 (ecologic)이다rsquo라고 보았다(Star 1995)

이 게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고 복수로 존재한다는 사실은 지식에 한

신뢰에 있어서도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한다 즉 지식에 한 신뢰는 맹목 일 수 없

다는 것이다 세 근 의 시각에서 보면 지식에 한 신뢰는 지식을 보유하고 생

성하는 권력집단의 정당성에 한 수동 수용에 기인하 다 그러나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주체 다양한 집단들이 지식생산과 비 에 참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 사회에서 형성되었던 지식들의 신뢰성이 약화가 되었고 지식을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0

생성하는 유일한 집단으로 믿어졌던 문가군에 한 신뢰 역시 약화되고 있다

지식의 성에 한 신뢰의 변화가 정보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주장의

다른 근거는 정보사회의 핵심콘텐츠인 lsquo정보rsquo의 상 변화를 통해서도 뒷받침될 수

있다 70년 에 사회학자 투 과 벨은 탈산업사회의 도래를 견하면서 탈산업사회

에서 요하게 되는 것은 노동의 힘과 자연에 지가 아니라 바로 lsquo정보rsquo일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 정보사회에 들어서는 lsquo정보rsquo를 어떻게 수집하고 활용하는가가 부의

원천이 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arny 20046) 일본의 미래학자 마슈다는 2000년

에는 정보사회가 산업사회를 체할 것이며 이 시기에는 물질 가치의 생산이

덜 요해지고 신 정보의 량생산과 공유가 단히 요해질 것이라고 내다보

았다(Barny 20048) 최근 각 을 받고 있는 정보사회학자 카스텔스에 의하면

재 우리가 사는 세계의 사회 정치 경제 행 의 지 않은 부분이 lsquo정보의 흐름rsquo

(flows of information)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든 역에 걸쳐 정보가

구에게서 출발하여 어떤 경로로 구에게 도착하는가 어떤 정보들이 공유 독

되는가가 요한 사회 이슈로 두되고 있는 것이다(Castells 19981) 리오따르 역

시 과거에 국가들은 토와 원자재 그리고 노동력을 쟁취하기 해서 쟁을 하

으나 앞으로는 보다 가치있는 정보를 쟁취하기 해 치열하게 경쟁할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Lyotard 1979) 버크는 정보의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정보를 사고

는 상품으로 취 해야 하는가 아니면 정보를 사회성원들의 공공이익을 하여

구나 공유해야할 것으로 취 해야 하는가가 요한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고 말하

다 그는 21세기를 후하여 두되고 있는 정보와 정보기술의 요성에 비추어볼

때 후 의 역사학자들이 이 시기를 lsquo정보의 시 rsquo(age of information)라고 명명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urke 20001)

그런데 이 정보는 지식과는 달리 문가들이 아닌 일반인들에게서도 쉽게 공유되

고 확산될 수 있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공유행 의 증은 지 가치들의 유통을

빠르게 효율 으로 가능하게 하는 정보기술에 기반한다 이제 지 가치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되고 실제 실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한 빠르게 획득할 수 있을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1

때 그 가치를 인정받기에 이르 다 여러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것은 문 인

것보다는 일반 이론 이기 보다는 실용 인 지 가치인데 정보가 바로 이러한

요구에 가장 잘 부응하고 있는 것이다

통 의미에서의 지식은 문가들에 의해 형성되고 증명되어진 지 가치이며

정보는 비 문가들도 얼마든지 생성 유통시킬 수 있는 그러나 아직 완 히 증명되

어지지 않은 지 가치 다 그러나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정보의 공유가 폭증하고

정보의 제공자들에 있어서 문가와 비 문가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무엇보다 사회

성원들에 필요한 지 가치로서의 정보의 상이 격히 높아지게 되었다 특히 한

명의 문가가 생산한 지식보다는 다수의 비 문가들이 함께 모여 편집하고 가공한

정보가 더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서의 상을 지니게 되는 조짐이 보이고 있다

이를 설명해 수 있는 표 인 사례가 바로 인터넷의 lsquo지식검색rsquo서비스이다 이 서

비스가 시작된 후에는 우리는 학교에서 궁 한 것 직장에서 궁 한 것 일상에서

문득 떠오르는 궁 한 것들을 인터넷만 있으면 바로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궁 한 것들에 해 다른 이들이 답변을 한 것에 한 신뢰도가 단히 높다

는 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필자의 조사(2004)에 따르면 lsquo지식검색rsquo에서 답변

된 정보들에 한 신뢰도는 단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다수의 사람

들이 lsquo맞다rsquo고 답한 정보는 신뢰할만 하다는 것이다 즉 지 가치에 한 신뢰의 정

도가 그 지 가치를 생산한 사람이 구인가( 문가인가 아닌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얼마나 많은 사람이 그 지 가치의 생산에 참여했느냐에 따라 결정된

다는 것이다 표 인 집단지성의 지 가치 생산의 로 언 되는 키피디아의

경우 신뢰도는 리타니카 백과사 에 버 가는 신뢰를 확보하고 있다

4 신뢰의 괴와 응

신뢰의 괴는 쉽게 말해 배신으로 표 된다 배신행 의 부분의 원인은 개인

의 이기심이다 즉 신뢰를 어기면서도 어떠한 행동을 하게 되면 그 신뢰를 어겨서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2

겪는 피해보다 자신이 얻는 것이 더 많을 때 배신행 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극단

인 로 한 폭력조직에서 조직성원들의 신뢰를 버리고 조직의 비 을 설하게

해야 할지 고민이 될 때 조직의 보복은 두려우나 그로 인해 자신에게 엄청난 이익

이 생기게 되면 결국 조직의 비 을 설한다는 것이다 이보다 더 일상 인 를

하나 들어보자 친구가 lsquo다른 친구들에게 로 말하지마rsquo라고 그 친구의 비 을 나

에게 얘기해주었다 그 친구는 나의 친한 친구 기 때문에 자신의 비 을 나에게

몰래 털어놓았다 하지만 그 비 을 다른 친구에게 나는 lsquo다른 이에게는 로 말

하지마 그 친구가 알면 나 큰일나rsquo라고 말하면서 그 친구의 비 을 알린다 이 때의

이기심은 경우에 따라 다르겠으나 비 정보를 나만이 알고 있다는 것을 다른 이에

게 알리고 과시하고 싶은 욕구의 이기심이다 이러한 배신 행 에 해서는 어느 사

회 어느 인간을 막론하고 냉엄하게 응한다 최상진에 의하면 배신자라는 말 자체

의 사 의미가 lsquo등을 돌린다rsquo라는 것으로 이는 완 히 자신에게 등을 돌린 사람

남남인 사람을 의미한다(20027) 신뢰를 버려야했던 행 로 인해 얻어지는 이익

에 기뻐하지만 신뢰를 버린 행 가 도덕 으로 규탄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자신 스스로 괴로워한다 친한 친구들에게 돈 사기를 친 이들이 자수를 하는

경우에는 이 양심의 소리가 주는 고통이 단히 컸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치의 감정

은 스스로 양심의 가책을 느껴 생기는 자괴성(self-shamed)이다 한국사회는 이기

심에서 발 된 배신행 에 해서 그 처벌을 엄격하게 하여 사회에서 완 소외되

게 하거나 스스로 극도의 자괴감을 가지도록 하는 사회담론을 형성해 왔다 이는

사회에서의 신뢰를 무엇보다 시해온 한국사회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정보사회에서 신뢰의 괴는 그 다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 먼

익명성에 자신을 숨기고 다른 이들의 사생활정보를 헤쳐 이를 악용하는 것이

표 인 사례다 사이버공간에서는 자신의 사생활정보를 나의 동의없이 다른 이에게

공개하지 못할 것이라는 lsquo시스템안 에 한 신뢰rsquo가 작동된다 그 기에 인터넷 쇼

핑 인터넷 뱅킹 등이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단히 험한 일이기도 하다 경

제 이윤으로 직결되는 사생활정보를 외부로 팔아넘겨 얼마든지 이윤을 챙길 가능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3

성이 항상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8년 옥션사태 SK사태에서 잘 나타났듯이 우

리의 사생활정보는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기업 혹은 해커들에 의해 노출될 험

이 있다 이때 신뢰는 개인과 개인 사이에서의 문제를 넘어서 개인과 체계의 문제가

된다 개인 수 에서도 신뢰의 괴는 쉽게 이루어진다 역시 익명성이라는 속성

상 나의 본체가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내가 신뢰를 괴하더라도 그 책임으로부

터 숨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 다면 사이버공간에서 신뢰의 괴가 생길 때 이에 한 응은 어떻게 이루

어지는가 이 사회에서는 신뢰의 괴를 한 이를 색출하여 이를 공동체에서 배제

를 시킴으로써 체조직의 신뢰를 유지하 다 이를 해 엄격한 법 체제가 마련

되었음은 물론이다 개인 한 이러한 신뢰 괴 행 에 해 자괴성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하지만 사이버공간에서는 이러한 배제행 와 자괴성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이 군지를 숨길 수 있는 익명성이라는 사이버공간의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신뢰를 괴하는 행 가 특히 개인간의 차원에서 벌어졌을 때 신뢰

를 괴한 이를 찾아내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사이버공간에서 축출을 한다고 해도

그는 다른 익명성 혹은 가명성으로 새롭게 신뢰 괴행 에 나설수 있다 재 사

이버테러에 응하는 사법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사이버공간의 본질 속성상

그 논의 자체가 쉽지 않는 상태이다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25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 자본 축 을 해

지 까지 정보사회의 신뢰에 있어서 신뢰의 형성구조 신뢰의 표출형태 신뢰의

상 신뢰의 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심으로 그 변화의 측면을 논해보았다 먼

이 사회에서는 연 지연 학연 등을 심으로 하는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

뢰가 형성되었던 반면 정보사회에서는 연고 보다는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하

면서 그 계의 끈이 비교 느슨한 lsquo약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뢰가 형성되는 상

이 발생하고 있다 이때 약한 연 에서 경험되는 것은 익명의 존재들 간에 호혜 으

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며 이 호혜성의 경험이 상 방에 한 신뢰를 갖게 한다

이때 신뢰는 물질 이익을 주고 받으면서 생기는 것이라가 보다는 함께 무엇인가

를 즐기고 공유하면서 생기는 lsquo친 감rsquo에 기 한 신뢰의 의미가 강하다 한편 기존의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한 신뢰 역시 정보사회의 표 공간인 사이버공간을 통해서 재

생산되는 측면이 있다 문제는 신뢰의 표출형태이다 약한 계에서 형성된 신뢰라

면 보다 개방 인 신뢰의 모습을 지녀야 하지만 한국사회에 있어서는 그 지 못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즉 기존의 사회에서 뚜렷이 나타났던 lsquo자기 집단에 한 극

단 신뢰rsquo와 lsquo타 집단에 한 극단 불신rsquo이 그것이다 설령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한 신뢰 계가 그 집단내에서는 형성되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취향과 감정을

공유하는 타집단에 해서는 극단 불신을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한국사회

의 공론장 형성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다원 가치에

한 인정의 결핍은 한국사회의 아킬 스건이다 신뢰의 상의 문제에 있어서 이

사회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상은 공식 으로 인정받은(학 등을 통해) 문

가들이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소수의 문가들에 한 신뢰의 수 이

떨어지고 오히려 다수의 비 문가들이 집단 으로 생산해낸 지 가치에 한 신뢰

의 수 이 높아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뢰를 괴하는 행 가 정보사회에서는 그

익명 공간 안에서 손쉽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을 지 하 다 한 이 배신의 행

에 해 과거에는 배신자를 공동체에서 축출하는 것으로 응하 는데 정보사회

에서는 이 배신자 자체를 찾아내기가 단히 어렵다는 난제를 지니고 있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6

한 사회가 보다 인간다운 사회의 모습을 지니기 해서는 사회 자본의 축 이

필수 이며 이 사회 자본의 핵심이 사회 성원들 간의 신뢰이다 사회 자본의

축 을 통한 기회비용의 감소 뿐만이 아니라 공동체성의 회복의 가능성을 제기한

콜만과 퍼트남의 을 받아들이면서 우리는 이제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모습을

통해 새로운 사회 자본의 가능성을 논할 수 있다 개인들이 고립되어 있는 상태를

벗어나 계를 복원시켜야 한다는 퍼트남의 논의는 재 한국사회의 상황에서는 아

쉽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미 개인주의가 확산될 로 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 계가 분명 사이버공간에서 생성되고 있음은 사회

자본의 축 가능성을 다시 제기하게 한다 과거와 같은 형태의 공동체가 아닌

마페졸리(Maffesoli) 등이 제기하는 lsquo부족rsquo 형태에 기반한 사회 자본을 논할 수 있

게 된 것이다 하지만 여 히 lsquo편 가르기rsquo라는 한국의 사회문화 특성으로 인해 이

신뢰 계가 극단 편나 기 양상으로 번지곤 하는 것은 안타까운 실이다 황우

석 사태에서도 잘 나타났듯이 자신들 편의 말만 믿으면서 다른 이들에 한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성 토론 보다는 감정 비난이 앞서는 의사소통 형

태가 사이버공간에서 그 로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사회 자본

을 축 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의 장인 공론장의 형성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정보

사회에서의 공론장은 특히 사이버공간으로 확장되어 있는 특성을 지니는데 이때

사이버공간의 익명성이라는 특성상 이성 의사소통이 더욱 어려워지는 한계를 지

니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무엇보다 의사소통하는 상 방에 한

감을 보다 높이고 의사소통을 원만하게 해주는 재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

으로 응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27

참 고 문 헌

김신동 2001 lsquo정보와 사회 신뢰rsquo 「신뢰연구」 제 11권 통합호 한림과학원

박찬웅 1998 lsquo신뢰의 기와 사회 자본rsquo 1998년 후기사회학 회 발표집

박희 이희창김동욱김철수박병래 2002 한국인의 신뢰 수 향 요인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3호

윤민재 2004 lsquo신뢰와 사회자본에 한 사회 이해rsquo 「신뢰연구」 한림과학원

장원호 2004 985172사이버커뮤니티와 사회 계의 변화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장형유정기한 2004 lsquo인터넷 쇼핑몰에서 고객신뢰 태도 계몰입과 구매의도의

구조 계에 한 연구rsquo 「한국마 」 한국마 학회

최상진김의철김기범 2003 lsquo한국사회에서의 인 계속의 신뢰와 불신의 기반

으로서의 마음에 한 문화심리학 근rsquo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최항섭 2004 985172IT가 인 연결망과 공공선(public interest)에 미치는 향연구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Barney Darin 2004 The Network Society Cambridge Polity Press

Burke Peter 2000 A Social History of Knowledge Cambridge Polity Press

Castells Manuel 2001 The Internet Galaxy Reflections on the Internet Business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Condorcet Antonie-Nicolas Marquis de 1794 Sketch of the Progress of the

Human Mind Except trans by J Barra Clough 1955 pp800-10 in Peter

Gay The Enlightment A Comprehensive Anthology New York Schocken

Books

Goldman Alvin I 1999 Knowledge in a Social world New York Oxford Uni-

versity Press amp Clarendon Press

Hakken David 2003 The Knowledge landscape of Cyberspace New York Routledge

Lyotard JF 1979 La condition postmoderne Paris Minuit 이 복 역 「정보사

회에서의 지식의 상」 1992 서 사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8

Mannheim Karl 1936 Ideology and Utopia Harcourt Brace amp World

Star Susan Leigh 1995 The Cultures of Computing Oxford Blackwell

Page 13: 최 항 섭 - KISDI · 2009-08-17 · 최 항 섭 ․jesuishs@kisdi.re.kr, 02-570-4090 ․프랑스 파리 5대학 사회학부 박사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초빙전문위원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6

2 신뢰의 표출형태 극단성의 지속

정보사회에서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가 새롭게 형성되고는 있지만 그 표출형태

에 있어서는 이 사회의 신뢰 표출형태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즉 극단 신

뢰와 극단 불신이라는 형태로 표출되는 것을 말한다 그 이유는 사회문화 특성

에서 찾아져야할 것이다 이미 여러 조사를 통해서 한국사회의 신뢰의 특성은 내집

단에 한 극단 신뢰 타집단에 한 극단 불신이 밝 진 바 있다 박희

(2002)은 신뢰의 상으로 개인 단체 공공기 등 다양한 상들을 설정하여 국민

들이 이 상들에 갖고 있는 신뢰도는 어떠한 지 국민들의 개인 지 와 성향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연구하 다 이 조사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

들의 신뢰도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학교친구 고향친구 등 개인 으로 이미 친분

이 있는 사람들에 한 신뢰도는 매우 높은 반면 모르는 사람 알더라도 약간

아는 사람들에 한 신뢰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한마디로 말해 아는 사람은

으로 믿고 모르는 사람은 우선 의심하고 본다는 것이다 친한 사람에게는 차용증없

이도 돈을 빌려주는 사람이 모르는 사람이 길거리에서 1000원을 빌려달라고 하면

단호히 거 하는 것이 한국사회이다 사 신뢰에서도 가족 친구 친척 등 연 학

연 지연 등으로 얽 있는 인 계에 있어서의 신뢰도가 직장동료 사회동료 등

도구 계로 얽 있는 인 계에서의 신뢰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때 공 신

뢰의 낮은 수 은 압축 근 화를 거치면서 생긴 소 lsquo체계rsquo 역에 한 총체

인 불신에 기인한다 의 조사결과 특히 정부 국회 등 공공 역에 한 신뢰가

단히 낮게 나타났다 끊임없이 터져 나오는 공직자 부패사건들을 경험하면서 국민

들이 공직자와 그 조직에 해 지니고 있는 불신은 이미 최고조에 달해있는 상태이

다 공 역에 한 배신감 불신은 내가 아는 사람들에 한 극단 인 신뢰로 이

어졌다 즉 친한 사람은 무조건 믿고 모르는 사람은 일단 의심부터 하고 보는 경향

이 강하다는 것이다 이는 내편의 사람은 바로 lsquo내편이기 때문에rsquo 믿고 다른 편의 사

람은 바로 lsquo내편이 아니기 때문에rsquo 의심한다는 의미이다

정보사회와 련 사이버공간에서도 이러한 극단 신뢰와 극단 불신은 그 로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7

나타나고 있다 를 들어 자신과 같은 입장을 지닌 사람의 말은 화의 주제와

련 없는 말도 믿으면서 자신과 입장이 다른 사람은 다른 집단으로 가라고 하면서

그 사람의 말을 불신하는 것이다 그 다면 왜 이 게 한국인들은 내편 네편을 나

기를 좋아하고 내편을 끔 이 아끼고 사랑하고 무조건 믿지만 네편은 심할 정도

로 배척하고 불신하는가 최상진(2002)은 이는 내편에 속하여 얻는 심리 이고 실

질 인 만족이 서구에 비해서 단히 크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20029) 즉 사이

버공간에 한국사회의 편가르기의 특성이 투여되며 실공간의 수 을 넘어서는 상

호간의 불신이 생길 수도 있다 이와 련 사이버공간에서의 토론을 보면 간 성향

의 논의가 존재하지 않는 경향이 뚜렷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김은미(2004)의 최

근 조사에서 ldquo사이버공간에서의 의사소통에서는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편과 내가

틀리다고 생각하는 편만 존재한다rdquo고 주장한 바 있다 이 두 편은 확연하게 나 어

져 자신들의 의견이 옳음을 입증하려고 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객 인 의견개

진보다는 상 방이 틀림을 비난하는 감정 들이 오고 가며 이 과정에 계속됨에

따라 애 의 이슈는 사라지고 서로를 비난하는 감정만 남게 된다 이때 이 토론에

참여한 이는 내가 알지도 못하는 얼굴도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미움을 사게 되며

그 한 익명의 타자에게 불신과 미움의 감정을 품게 된다 이러한 상은 사이버공

간이 불신을 생산하는 장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다 최상진이 말한 우

리성의 부정 효과가 사이버공간에서의 신뢰의 하로 나타나는 것이다

3 신뢰의 상 성의 약화와 다수성의 신뢰

정보사회의 특성 하나는 바로 이 사회에서 인 신뢰의 상들의 상

이 하되고 있다는 것이다 표 인 것이 바로 소 문가에 한 신뢰의

약화이다 이는 지식의 상변화에 기인한다 즉 근 이후 지식의 가치를

드높 던 문가들이 그 실용성에 있어서 더 이상 평가를 제 로 받지 못하고 있으

며 오히려 나에게 정말 필요한 지식들을 생산하여 달해주는 수천 수만의 비 문

가들의 지식의 가치가 더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소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8

에 한 신뢰 상이다

정보사회 이 의 지식의 상을 먼 살펴보자 지식은 생성되는 과정에서의 과

학 이론 지 능력을 요구하 으며 따라서 일반인들에게는 습득하기 어려운 것

이었으며 소수의 지배계층은 이러한 지 능력을 부여받기 한 교육을 받을 수 있

는 특권을 렸다 지배계층은 지식만이 세상을 이롭게 할 수 있다는 생각을 리

유포했으며 스스로도 그 게 확신하 다 즉 지식만이 일반인들의 무지 야만 노

성을 극복하게 해주어 세계를 구할 것이라는 계몽주의 사고방식을 가졌던 것

이다 반면 일반인들이 일상의 경험에서 축 한 지 가치들은 과학 으로 증명된

바가 없고 논리성 한 갖추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지식에 비해 그 가치가 단히

떨어지는 것으로 인식하 다 과학 지식은 보편 방법을 통해 증명되고 보편

법칙들을 추구하기 때문에 만인에게 도움을 다고 보는 반면(Condorset [1794]

1973 803805) 들의 경험은 보편 법칙을 추구한다기 보다는 일상의 개인에

게 도움을 주는 것을 주 목 으로 하기 때문에 그 가치가 지식에 비해 못 미친다고

보았던 것이다 지식은 근 시기에 최고의 지 가치로 인정받았으며 이는 지식만이

lsquo사실rsquo을 담아내고 과학 으로 증명되었기 때문에 lsquo불변 rsquo이고 사회와 역사의 변화

에 향을 받지 않는 lsquo rsquo으로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 상을 정립하 다

하지만 정보사회로 어들면서 지식은 그 신뢰에 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통 시각에서의 지식은 그것이 불확실하거나 이 게도 혹은 게도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아니라 확실하고 어떤 경우에도 lsquo거짓이 아니고 참rsquo인 것으

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문제는 무엇이 lsquo진실rsquo인 것이냐는 것

이다 lsquo진실rsquo은 원히 불변 인 것인지 아니면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이기도

한 것인지에 한 의문 한 제기되어 왔다 만하임 역시 과거에 진리로 군

림했던 lsquo정 과학rsquo(exact science)에 한 신뢰성이 오늘날 심하게 흔들리고 있다고

지 한 바 있다(Mannheim 1936271)

만하임에 의하면 우리 인간이 일상생활에서 맺고 있는 사회 계 그 계 속에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9

서의 역할 그 역할을 수행하면서 갖는 존재의식 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사회속에

형성된 지식들을 제 로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Mannheim 1936267-8) 만하

임의 이러한 역사주의 에서 골드만 한 지식은 믿음을 내포하고 있는 데 이

믿음이라는 것이 사실은 lsquo사회 으로 구축된 것rsquo(socially constructed)이라고 주장한

다 그에 의하면 지식은 언제나 lsquo지엽 rsquo(local)인 것이며 상황에 따라 규정되는 것

(contextual situated)이다(Goldman 199921) 그는 특히 하나의 지식이 지엽 이

고 상황결정 인 이유로서 지식은 언제나 특정한 개인이나 특정한 이해그룹에 의해

서 지식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 다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라는 것은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하

나의 단수의 지식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 상이 발생

한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인 복수의 지식들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Burke

2000 13) 하 역시 지식은 하나의 단수 인 것이 아니며 지식을 받아들일 때도

그 지식이 형성된 과정을 이해하면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 다(Hakken

200313) 만하임에 의하면 인간의 생각과 아이디어들은 몇몇 한 인물들이 내

놓은 업 물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집합 경험에 의해서 탄생되는 것이다 그리

고 이 집합 경험은 공통의 분모를 가지는 동시에 상이성 한 가진다 존재하는

것은 하나의 상에 한 하나의 지식이 아니라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서로 충돌하고 경합을 끊임없이 하는 복수의 지식들이다(Mannheim 1936

269) 이 스타는 lsquo지식은 복수로 존재하면서 다른 지식들과 복합 상호 계속에

서 존재하며 그 기 때문에 지식은 생태 (ecologic)이다rsquo라고 보았다(Star 1995)

이 게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고 복수로 존재한다는 사실은 지식에 한

신뢰에 있어서도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한다 즉 지식에 한 신뢰는 맹목 일 수 없

다는 것이다 세 근 의 시각에서 보면 지식에 한 신뢰는 지식을 보유하고 생

성하는 권력집단의 정당성에 한 수동 수용에 기인하 다 그러나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주체 다양한 집단들이 지식생산과 비 에 참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 사회에서 형성되었던 지식들의 신뢰성이 약화가 되었고 지식을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0

생성하는 유일한 집단으로 믿어졌던 문가군에 한 신뢰 역시 약화되고 있다

지식의 성에 한 신뢰의 변화가 정보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주장의

다른 근거는 정보사회의 핵심콘텐츠인 lsquo정보rsquo의 상 변화를 통해서도 뒷받침될 수

있다 70년 에 사회학자 투 과 벨은 탈산업사회의 도래를 견하면서 탈산업사회

에서 요하게 되는 것은 노동의 힘과 자연에 지가 아니라 바로 lsquo정보rsquo일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 정보사회에 들어서는 lsquo정보rsquo를 어떻게 수집하고 활용하는가가 부의

원천이 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arny 20046) 일본의 미래학자 마슈다는 2000년

에는 정보사회가 산업사회를 체할 것이며 이 시기에는 물질 가치의 생산이

덜 요해지고 신 정보의 량생산과 공유가 단히 요해질 것이라고 내다보

았다(Barny 20048) 최근 각 을 받고 있는 정보사회학자 카스텔스에 의하면

재 우리가 사는 세계의 사회 정치 경제 행 의 지 않은 부분이 lsquo정보의 흐름rsquo

(flows of information)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든 역에 걸쳐 정보가

구에게서 출발하여 어떤 경로로 구에게 도착하는가 어떤 정보들이 공유 독

되는가가 요한 사회 이슈로 두되고 있는 것이다(Castells 19981) 리오따르 역

시 과거에 국가들은 토와 원자재 그리고 노동력을 쟁취하기 해서 쟁을 하

으나 앞으로는 보다 가치있는 정보를 쟁취하기 해 치열하게 경쟁할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Lyotard 1979) 버크는 정보의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정보를 사고

는 상품으로 취 해야 하는가 아니면 정보를 사회성원들의 공공이익을 하여

구나 공유해야할 것으로 취 해야 하는가가 요한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고 말하

다 그는 21세기를 후하여 두되고 있는 정보와 정보기술의 요성에 비추어볼

때 후 의 역사학자들이 이 시기를 lsquo정보의 시 rsquo(age of information)라고 명명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urke 20001)

그런데 이 정보는 지식과는 달리 문가들이 아닌 일반인들에게서도 쉽게 공유되

고 확산될 수 있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공유행 의 증은 지 가치들의 유통을

빠르게 효율 으로 가능하게 하는 정보기술에 기반한다 이제 지 가치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되고 실제 실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한 빠르게 획득할 수 있을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1

때 그 가치를 인정받기에 이르 다 여러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것은 문 인

것보다는 일반 이론 이기 보다는 실용 인 지 가치인데 정보가 바로 이러한

요구에 가장 잘 부응하고 있는 것이다

통 의미에서의 지식은 문가들에 의해 형성되고 증명되어진 지 가치이며

정보는 비 문가들도 얼마든지 생성 유통시킬 수 있는 그러나 아직 완 히 증명되

어지지 않은 지 가치 다 그러나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정보의 공유가 폭증하고

정보의 제공자들에 있어서 문가와 비 문가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무엇보다 사회

성원들에 필요한 지 가치로서의 정보의 상이 격히 높아지게 되었다 특히 한

명의 문가가 생산한 지식보다는 다수의 비 문가들이 함께 모여 편집하고 가공한

정보가 더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서의 상을 지니게 되는 조짐이 보이고 있다

이를 설명해 수 있는 표 인 사례가 바로 인터넷의 lsquo지식검색rsquo서비스이다 이 서

비스가 시작된 후에는 우리는 학교에서 궁 한 것 직장에서 궁 한 것 일상에서

문득 떠오르는 궁 한 것들을 인터넷만 있으면 바로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궁 한 것들에 해 다른 이들이 답변을 한 것에 한 신뢰도가 단히 높다

는 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필자의 조사(2004)에 따르면 lsquo지식검색rsquo에서 답변

된 정보들에 한 신뢰도는 단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다수의 사람

들이 lsquo맞다rsquo고 답한 정보는 신뢰할만 하다는 것이다 즉 지 가치에 한 신뢰의 정

도가 그 지 가치를 생산한 사람이 구인가( 문가인가 아닌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얼마나 많은 사람이 그 지 가치의 생산에 참여했느냐에 따라 결정된

다는 것이다 표 인 집단지성의 지 가치 생산의 로 언 되는 키피디아의

경우 신뢰도는 리타니카 백과사 에 버 가는 신뢰를 확보하고 있다

4 신뢰의 괴와 응

신뢰의 괴는 쉽게 말해 배신으로 표 된다 배신행 의 부분의 원인은 개인

의 이기심이다 즉 신뢰를 어기면서도 어떠한 행동을 하게 되면 그 신뢰를 어겨서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2

겪는 피해보다 자신이 얻는 것이 더 많을 때 배신행 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극단

인 로 한 폭력조직에서 조직성원들의 신뢰를 버리고 조직의 비 을 설하게

해야 할지 고민이 될 때 조직의 보복은 두려우나 그로 인해 자신에게 엄청난 이익

이 생기게 되면 결국 조직의 비 을 설한다는 것이다 이보다 더 일상 인 를

하나 들어보자 친구가 lsquo다른 친구들에게 로 말하지마rsquo라고 그 친구의 비 을 나

에게 얘기해주었다 그 친구는 나의 친한 친구 기 때문에 자신의 비 을 나에게

몰래 털어놓았다 하지만 그 비 을 다른 친구에게 나는 lsquo다른 이에게는 로 말

하지마 그 친구가 알면 나 큰일나rsquo라고 말하면서 그 친구의 비 을 알린다 이 때의

이기심은 경우에 따라 다르겠으나 비 정보를 나만이 알고 있다는 것을 다른 이에

게 알리고 과시하고 싶은 욕구의 이기심이다 이러한 배신 행 에 해서는 어느 사

회 어느 인간을 막론하고 냉엄하게 응한다 최상진에 의하면 배신자라는 말 자체

의 사 의미가 lsquo등을 돌린다rsquo라는 것으로 이는 완 히 자신에게 등을 돌린 사람

남남인 사람을 의미한다(20027) 신뢰를 버려야했던 행 로 인해 얻어지는 이익

에 기뻐하지만 신뢰를 버린 행 가 도덕 으로 규탄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자신 스스로 괴로워한다 친한 친구들에게 돈 사기를 친 이들이 자수를 하는

경우에는 이 양심의 소리가 주는 고통이 단히 컸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치의 감정

은 스스로 양심의 가책을 느껴 생기는 자괴성(self-shamed)이다 한국사회는 이기

심에서 발 된 배신행 에 해서 그 처벌을 엄격하게 하여 사회에서 완 소외되

게 하거나 스스로 극도의 자괴감을 가지도록 하는 사회담론을 형성해 왔다 이는

사회에서의 신뢰를 무엇보다 시해온 한국사회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정보사회에서 신뢰의 괴는 그 다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 먼

익명성에 자신을 숨기고 다른 이들의 사생활정보를 헤쳐 이를 악용하는 것이

표 인 사례다 사이버공간에서는 자신의 사생활정보를 나의 동의없이 다른 이에게

공개하지 못할 것이라는 lsquo시스템안 에 한 신뢰rsquo가 작동된다 그 기에 인터넷 쇼

핑 인터넷 뱅킹 등이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단히 험한 일이기도 하다 경

제 이윤으로 직결되는 사생활정보를 외부로 팔아넘겨 얼마든지 이윤을 챙길 가능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3

성이 항상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8년 옥션사태 SK사태에서 잘 나타났듯이 우

리의 사생활정보는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기업 혹은 해커들에 의해 노출될 험

이 있다 이때 신뢰는 개인과 개인 사이에서의 문제를 넘어서 개인과 체계의 문제가

된다 개인 수 에서도 신뢰의 괴는 쉽게 이루어진다 역시 익명성이라는 속성

상 나의 본체가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내가 신뢰를 괴하더라도 그 책임으로부

터 숨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 다면 사이버공간에서 신뢰의 괴가 생길 때 이에 한 응은 어떻게 이루

어지는가 이 사회에서는 신뢰의 괴를 한 이를 색출하여 이를 공동체에서 배제

를 시킴으로써 체조직의 신뢰를 유지하 다 이를 해 엄격한 법 체제가 마련

되었음은 물론이다 개인 한 이러한 신뢰 괴 행 에 해 자괴성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하지만 사이버공간에서는 이러한 배제행 와 자괴성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이 군지를 숨길 수 있는 익명성이라는 사이버공간의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신뢰를 괴하는 행 가 특히 개인간의 차원에서 벌어졌을 때 신뢰

를 괴한 이를 찾아내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사이버공간에서 축출을 한다고 해도

그는 다른 익명성 혹은 가명성으로 새롭게 신뢰 괴행 에 나설수 있다 재 사

이버테러에 응하는 사법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사이버공간의 본질 속성상

그 논의 자체가 쉽지 않는 상태이다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25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 자본 축 을 해

지 까지 정보사회의 신뢰에 있어서 신뢰의 형성구조 신뢰의 표출형태 신뢰의

상 신뢰의 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심으로 그 변화의 측면을 논해보았다 먼

이 사회에서는 연 지연 학연 등을 심으로 하는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

뢰가 형성되었던 반면 정보사회에서는 연고 보다는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하

면서 그 계의 끈이 비교 느슨한 lsquo약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뢰가 형성되는 상

이 발생하고 있다 이때 약한 연 에서 경험되는 것은 익명의 존재들 간에 호혜 으

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며 이 호혜성의 경험이 상 방에 한 신뢰를 갖게 한다

이때 신뢰는 물질 이익을 주고 받으면서 생기는 것이라가 보다는 함께 무엇인가

를 즐기고 공유하면서 생기는 lsquo친 감rsquo에 기 한 신뢰의 의미가 강하다 한편 기존의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한 신뢰 역시 정보사회의 표 공간인 사이버공간을 통해서 재

생산되는 측면이 있다 문제는 신뢰의 표출형태이다 약한 계에서 형성된 신뢰라

면 보다 개방 인 신뢰의 모습을 지녀야 하지만 한국사회에 있어서는 그 지 못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즉 기존의 사회에서 뚜렷이 나타났던 lsquo자기 집단에 한 극

단 신뢰rsquo와 lsquo타 집단에 한 극단 불신rsquo이 그것이다 설령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한 신뢰 계가 그 집단내에서는 형성되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취향과 감정을

공유하는 타집단에 해서는 극단 불신을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한국사회

의 공론장 형성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다원 가치에

한 인정의 결핍은 한국사회의 아킬 스건이다 신뢰의 상의 문제에 있어서 이

사회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상은 공식 으로 인정받은(학 등을 통해) 문

가들이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소수의 문가들에 한 신뢰의 수 이

떨어지고 오히려 다수의 비 문가들이 집단 으로 생산해낸 지 가치에 한 신뢰

의 수 이 높아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뢰를 괴하는 행 가 정보사회에서는 그

익명 공간 안에서 손쉽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을 지 하 다 한 이 배신의 행

에 해 과거에는 배신자를 공동체에서 축출하는 것으로 응하 는데 정보사회

에서는 이 배신자 자체를 찾아내기가 단히 어렵다는 난제를 지니고 있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6

한 사회가 보다 인간다운 사회의 모습을 지니기 해서는 사회 자본의 축 이

필수 이며 이 사회 자본의 핵심이 사회 성원들 간의 신뢰이다 사회 자본의

축 을 통한 기회비용의 감소 뿐만이 아니라 공동체성의 회복의 가능성을 제기한

콜만과 퍼트남의 을 받아들이면서 우리는 이제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모습을

통해 새로운 사회 자본의 가능성을 논할 수 있다 개인들이 고립되어 있는 상태를

벗어나 계를 복원시켜야 한다는 퍼트남의 논의는 재 한국사회의 상황에서는 아

쉽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미 개인주의가 확산될 로 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 계가 분명 사이버공간에서 생성되고 있음은 사회

자본의 축 가능성을 다시 제기하게 한다 과거와 같은 형태의 공동체가 아닌

마페졸리(Maffesoli) 등이 제기하는 lsquo부족rsquo 형태에 기반한 사회 자본을 논할 수 있

게 된 것이다 하지만 여 히 lsquo편 가르기rsquo라는 한국의 사회문화 특성으로 인해 이

신뢰 계가 극단 편나 기 양상으로 번지곤 하는 것은 안타까운 실이다 황우

석 사태에서도 잘 나타났듯이 자신들 편의 말만 믿으면서 다른 이들에 한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성 토론 보다는 감정 비난이 앞서는 의사소통 형

태가 사이버공간에서 그 로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사회 자본

을 축 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의 장인 공론장의 형성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정보

사회에서의 공론장은 특히 사이버공간으로 확장되어 있는 특성을 지니는데 이때

사이버공간의 익명성이라는 특성상 이성 의사소통이 더욱 어려워지는 한계를 지

니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무엇보다 의사소통하는 상 방에 한

감을 보다 높이고 의사소통을 원만하게 해주는 재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

으로 응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27

참 고 문 헌

김신동 2001 lsquo정보와 사회 신뢰rsquo 「신뢰연구」 제 11권 통합호 한림과학원

박찬웅 1998 lsquo신뢰의 기와 사회 자본rsquo 1998년 후기사회학 회 발표집

박희 이희창김동욱김철수박병래 2002 한국인의 신뢰 수 향 요인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3호

윤민재 2004 lsquo신뢰와 사회자본에 한 사회 이해rsquo 「신뢰연구」 한림과학원

장원호 2004 985172사이버커뮤니티와 사회 계의 변화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장형유정기한 2004 lsquo인터넷 쇼핑몰에서 고객신뢰 태도 계몰입과 구매의도의

구조 계에 한 연구rsquo 「한국마 」 한국마 학회

최상진김의철김기범 2003 lsquo한국사회에서의 인 계속의 신뢰와 불신의 기반

으로서의 마음에 한 문화심리학 근rsquo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최항섭 2004 985172IT가 인 연결망과 공공선(public interest)에 미치는 향연구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Barney Darin 2004 The Network Society Cambridge Polity Press

Burke Peter 2000 A Social History of Knowledge Cambridge Polity Press

Castells Manuel 2001 The Internet Galaxy Reflections on the Internet Business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Condorcet Antonie-Nicolas Marquis de 1794 Sketch of the Progress of the

Human Mind Except trans by J Barra Clough 1955 pp800-10 in Peter

Gay The Enlightment A Comprehensive Anthology New York Schocken

Books

Goldman Alvin I 1999 Knowledge in a Social world New York Oxford Uni-

versity Press amp Clarendon Press

Hakken David 2003 The Knowledge landscape of Cyberspace New York Routledge

Lyotard JF 1979 La condition postmoderne Paris Minuit 이 복 역 「정보사

회에서의 지식의 상」 1992 서 사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8

Mannheim Karl 1936 Ideology and Utopia Harcourt Brace amp World

Star Susan Leigh 1995 The Cultures of Computing Oxford Blackwell

Page 14: 최 항 섭 - KISDI · 2009-08-17 · 최 항 섭 ․jesuishs@kisdi.re.kr, 02-570-4090 ․프랑스 파리 5대학 사회학부 박사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초빙전문위원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7

나타나고 있다 를 들어 자신과 같은 입장을 지닌 사람의 말은 화의 주제와

련 없는 말도 믿으면서 자신과 입장이 다른 사람은 다른 집단으로 가라고 하면서

그 사람의 말을 불신하는 것이다 그 다면 왜 이 게 한국인들은 내편 네편을 나

기를 좋아하고 내편을 끔 이 아끼고 사랑하고 무조건 믿지만 네편은 심할 정도

로 배척하고 불신하는가 최상진(2002)은 이는 내편에 속하여 얻는 심리 이고 실

질 인 만족이 서구에 비해서 단히 크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20029) 즉 사이

버공간에 한국사회의 편가르기의 특성이 투여되며 실공간의 수 을 넘어서는 상

호간의 불신이 생길 수도 있다 이와 련 사이버공간에서의 토론을 보면 간 성향

의 논의가 존재하지 않는 경향이 뚜렷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김은미(2004)의 최

근 조사에서 ldquo사이버공간에서의 의사소통에서는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편과 내가

틀리다고 생각하는 편만 존재한다rdquo고 주장한 바 있다 이 두 편은 확연하게 나 어

져 자신들의 의견이 옳음을 입증하려고 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객 인 의견개

진보다는 상 방이 틀림을 비난하는 감정 들이 오고 가며 이 과정에 계속됨에

따라 애 의 이슈는 사라지고 서로를 비난하는 감정만 남게 된다 이때 이 토론에

참여한 이는 내가 알지도 못하는 얼굴도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미움을 사게 되며

그 한 익명의 타자에게 불신과 미움의 감정을 품게 된다 이러한 상은 사이버공

간이 불신을 생산하는 장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다 최상진이 말한 우

리성의 부정 효과가 사이버공간에서의 신뢰의 하로 나타나는 것이다

3 신뢰의 상 성의 약화와 다수성의 신뢰

정보사회의 특성 하나는 바로 이 사회에서 인 신뢰의 상들의 상

이 하되고 있다는 것이다 표 인 것이 바로 소 문가에 한 신뢰의

약화이다 이는 지식의 상변화에 기인한다 즉 근 이후 지식의 가치를

드높 던 문가들이 그 실용성에 있어서 더 이상 평가를 제 로 받지 못하고 있으

며 오히려 나에게 정말 필요한 지식들을 생산하여 달해주는 수천 수만의 비 문

가들의 지식의 가치가 더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소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8

에 한 신뢰 상이다

정보사회 이 의 지식의 상을 먼 살펴보자 지식은 생성되는 과정에서의 과

학 이론 지 능력을 요구하 으며 따라서 일반인들에게는 습득하기 어려운 것

이었으며 소수의 지배계층은 이러한 지 능력을 부여받기 한 교육을 받을 수 있

는 특권을 렸다 지배계층은 지식만이 세상을 이롭게 할 수 있다는 생각을 리

유포했으며 스스로도 그 게 확신하 다 즉 지식만이 일반인들의 무지 야만 노

성을 극복하게 해주어 세계를 구할 것이라는 계몽주의 사고방식을 가졌던 것

이다 반면 일반인들이 일상의 경험에서 축 한 지 가치들은 과학 으로 증명된

바가 없고 논리성 한 갖추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지식에 비해 그 가치가 단히

떨어지는 것으로 인식하 다 과학 지식은 보편 방법을 통해 증명되고 보편

법칙들을 추구하기 때문에 만인에게 도움을 다고 보는 반면(Condorset [1794]

1973 803805) 들의 경험은 보편 법칙을 추구한다기 보다는 일상의 개인에

게 도움을 주는 것을 주 목 으로 하기 때문에 그 가치가 지식에 비해 못 미친다고

보았던 것이다 지식은 근 시기에 최고의 지 가치로 인정받았으며 이는 지식만이

lsquo사실rsquo을 담아내고 과학 으로 증명되었기 때문에 lsquo불변 rsquo이고 사회와 역사의 변화

에 향을 받지 않는 lsquo rsquo으로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 상을 정립하 다

하지만 정보사회로 어들면서 지식은 그 신뢰에 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통 시각에서의 지식은 그것이 불확실하거나 이 게도 혹은 게도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아니라 확실하고 어떤 경우에도 lsquo거짓이 아니고 참rsquo인 것으

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문제는 무엇이 lsquo진실rsquo인 것이냐는 것

이다 lsquo진실rsquo은 원히 불변 인 것인지 아니면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이기도

한 것인지에 한 의문 한 제기되어 왔다 만하임 역시 과거에 진리로 군

림했던 lsquo정 과학rsquo(exact science)에 한 신뢰성이 오늘날 심하게 흔들리고 있다고

지 한 바 있다(Mannheim 1936271)

만하임에 의하면 우리 인간이 일상생활에서 맺고 있는 사회 계 그 계 속에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9

서의 역할 그 역할을 수행하면서 갖는 존재의식 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사회속에

형성된 지식들을 제 로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Mannheim 1936267-8) 만하

임의 이러한 역사주의 에서 골드만 한 지식은 믿음을 내포하고 있는 데 이

믿음이라는 것이 사실은 lsquo사회 으로 구축된 것rsquo(socially constructed)이라고 주장한

다 그에 의하면 지식은 언제나 lsquo지엽 rsquo(local)인 것이며 상황에 따라 규정되는 것

(contextual situated)이다(Goldman 199921) 그는 특히 하나의 지식이 지엽 이

고 상황결정 인 이유로서 지식은 언제나 특정한 개인이나 특정한 이해그룹에 의해

서 지식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 다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라는 것은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하

나의 단수의 지식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 상이 발생

한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인 복수의 지식들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Burke

2000 13) 하 역시 지식은 하나의 단수 인 것이 아니며 지식을 받아들일 때도

그 지식이 형성된 과정을 이해하면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 다(Hakken

200313) 만하임에 의하면 인간의 생각과 아이디어들은 몇몇 한 인물들이 내

놓은 업 물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집합 경험에 의해서 탄생되는 것이다 그리

고 이 집합 경험은 공통의 분모를 가지는 동시에 상이성 한 가진다 존재하는

것은 하나의 상에 한 하나의 지식이 아니라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서로 충돌하고 경합을 끊임없이 하는 복수의 지식들이다(Mannheim 1936

269) 이 스타는 lsquo지식은 복수로 존재하면서 다른 지식들과 복합 상호 계속에

서 존재하며 그 기 때문에 지식은 생태 (ecologic)이다rsquo라고 보았다(Star 1995)

이 게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고 복수로 존재한다는 사실은 지식에 한

신뢰에 있어서도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한다 즉 지식에 한 신뢰는 맹목 일 수 없

다는 것이다 세 근 의 시각에서 보면 지식에 한 신뢰는 지식을 보유하고 생

성하는 권력집단의 정당성에 한 수동 수용에 기인하 다 그러나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주체 다양한 집단들이 지식생산과 비 에 참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 사회에서 형성되었던 지식들의 신뢰성이 약화가 되었고 지식을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0

생성하는 유일한 집단으로 믿어졌던 문가군에 한 신뢰 역시 약화되고 있다

지식의 성에 한 신뢰의 변화가 정보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주장의

다른 근거는 정보사회의 핵심콘텐츠인 lsquo정보rsquo의 상 변화를 통해서도 뒷받침될 수

있다 70년 에 사회학자 투 과 벨은 탈산업사회의 도래를 견하면서 탈산업사회

에서 요하게 되는 것은 노동의 힘과 자연에 지가 아니라 바로 lsquo정보rsquo일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 정보사회에 들어서는 lsquo정보rsquo를 어떻게 수집하고 활용하는가가 부의

원천이 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arny 20046) 일본의 미래학자 마슈다는 2000년

에는 정보사회가 산업사회를 체할 것이며 이 시기에는 물질 가치의 생산이

덜 요해지고 신 정보의 량생산과 공유가 단히 요해질 것이라고 내다보

았다(Barny 20048) 최근 각 을 받고 있는 정보사회학자 카스텔스에 의하면

재 우리가 사는 세계의 사회 정치 경제 행 의 지 않은 부분이 lsquo정보의 흐름rsquo

(flows of information)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든 역에 걸쳐 정보가

구에게서 출발하여 어떤 경로로 구에게 도착하는가 어떤 정보들이 공유 독

되는가가 요한 사회 이슈로 두되고 있는 것이다(Castells 19981) 리오따르 역

시 과거에 국가들은 토와 원자재 그리고 노동력을 쟁취하기 해서 쟁을 하

으나 앞으로는 보다 가치있는 정보를 쟁취하기 해 치열하게 경쟁할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Lyotard 1979) 버크는 정보의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정보를 사고

는 상품으로 취 해야 하는가 아니면 정보를 사회성원들의 공공이익을 하여

구나 공유해야할 것으로 취 해야 하는가가 요한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고 말하

다 그는 21세기를 후하여 두되고 있는 정보와 정보기술의 요성에 비추어볼

때 후 의 역사학자들이 이 시기를 lsquo정보의 시 rsquo(age of information)라고 명명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urke 20001)

그런데 이 정보는 지식과는 달리 문가들이 아닌 일반인들에게서도 쉽게 공유되

고 확산될 수 있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공유행 의 증은 지 가치들의 유통을

빠르게 효율 으로 가능하게 하는 정보기술에 기반한다 이제 지 가치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되고 실제 실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한 빠르게 획득할 수 있을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1

때 그 가치를 인정받기에 이르 다 여러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것은 문 인

것보다는 일반 이론 이기 보다는 실용 인 지 가치인데 정보가 바로 이러한

요구에 가장 잘 부응하고 있는 것이다

통 의미에서의 지식은 문가들에 의해 형성되고 증명되어진 지 가치이며

정보는 비 문가들도 얼마든지 생성 유통시킬 수 있는 그러나 아직 완 히 증명되

어지지 않은 지 가치 다 그러나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정보의 공유가 폭증하고

정보의 제공자들에 있어서 문가와 비 문가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무엇보다 사회

성원들에 필요한 지 가치로서의 정보의 상이 격히 높아지게 되었다 특히 한

명의 문가가 생산한 지식보다는 다수의 비 문가들이 함께 모여 편집하고 가공한

정보가 더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서의 상을 지니게 되는 조짐이 보이고 있다

이를 설명해 수 있는 표 인 사례가 바로 인터넷의 lsquo지식검색rsquo서비스이다 이 서

비스가 시작된 후에는 우리는 학교에서 궁 한 것 직장에서 궁 한 것 일상에서

문득 떠오르는 궁 한 것들을 인터넷만 있으면 바로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궁 한 것들에 해 다른 이들이 답변을 한 것에 한 신뢰도가 단히 높다

는 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필자의 조사(2004)에 따르면 lsquo지식검색rsquo에서 답변

된 정보들에 한 신뢰도는 단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다수의 사람

들이 lsquo맞다rsquo고 답한 정보는 신뢰할만 하다는 것이다 즉 지 가치에 한 신뢰의 정

도가 그 지 가치를 생산한 사람이 구인가( 문가인가 아닌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얼마나 많은 사람이 그 지 가치의 생산에 참여했느냐에 따라 결정된

다는 것이다 표 인 집단지성의 지 가치 생산의 로 언 되는 키피디아의

경우 신뢰도는 리타니카 백과사 에 버 가는 신뢰를 확보하고 있다

4 신뢰의 괴와 응

신뢰의 괴는 쉽게 말해 배신으로 표 된다 배신행 의 부분의 원인은 개인

의 이기심이다 즉 신뢰를 어기면서도 어떠한 행동을 하게 되면 그 신뢰를 어겨서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2

겪는 피해보다 자신이 얻는 것이 더 많을 때 배신행 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극단

인 로 한 폭력조직에서 조직성원들의 신뢰를 버리고 조직의 비 을 설하게

해야 할지 고민이 될 때 조직의 보복은 두려우나 그로 인해 자신에게 엄청난 이익

이 생기게 되면 결국 조직의 비 을 설한다는 것이다 이보다 더 일상 인 를

하나 들어보자 친구가 lsquo다른 친구들에게 로 말하지마rsquo라고 그 친구의 비 을 나

에게 얘기해주었다 그 친구는 나의 친한 친구 기 때문에 자신의 비 을 나에게

몰래 털어놓았다 하지만 그 비 을 다른 친구에게 나는 lsquo다른 이에게는 로 말

하지마 그 친구가 알면 나 큰일나rsquo라고 말하면서 그 친구의 비 을 알린다 이 때의

이기심은 경우에 따라 다르겠으나 비 정보를 나만이 알고 있다는 것을 다른 이에

게 알리고 과시하고 싶은 욕구의 이기심이다 이러한 배신 행 에 해서는 어느 사

회 어느 인간을 막론하고 냉엄하게 응한다 최상진에 의하면 배신자라는 말 자체

의 사 의미가 lsquo등을 돌린다rsquo라는 것으로 이는 완 히 자신에게 등을 돌린 사람

남남인 사람을 의미한다(20027) 신뢰를 버려야했던 행 로 인해 얻어지는 이익

에 기뻐하지만 신뢰를 버린 행 가 도덕 으로 규탄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자신 스스로 괴로워한다 친한 친구들에게 돈 사기를 친 이들이 자수를 하는

경우에는 이 양심의 소리가 주는 고통이 단히 컸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치의 감정

은 스스로 양심의 가책을 느껴 생기는 자괴성(self-shamed)이다 한국사회는 이기

심에서 발 된 배신행 에 해서 그 처벌을 엄격하게 하여 사회에서 완 소외되

게 하거나 스스로 극도의 자괴감을 가지도록 하는 사회담론을 형성해 왔다 이는

사회에서의 신뢰를 무엇보다 시해온 한국사회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정보사회에서 신뢰의 괴는 그 다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 먼

익명성에 자신을 숨기고 다른 이들의 사생활정보를 헤쳐 이를 악용하는 것이

표 인 사례다 사이버공간에서는 자신의 사생활정보를 나의 동의없이 다른 이에게

공개하지 못할 것이라는 lsquo시스템안 에 한 신뢰rsquo가 작동된다 그 기에 인터넷 쇼

핑 인터넷 뱅킹 등이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단히 험한 일이기도 하다 경

제 이윤으로 직결되는 사생활정보를 외부로 팔아넘겨 얼마든지 이윤을 챙길 가능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3

성이 항상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8년 옥션사태 SK사태에서 잘 나타났듯이 우

리의 사생활정보는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기업 혹은 해커들에 의해 노출될 험

이 있다 이때 신뢰는 개인과 개인 사이에서의 문제를 넘어서 개인과 체계의 문제가

된다 개인 수 에서도 신뢰의 괴는 쉽게 이루어진다 역시 익명성이라는 속성

상 나의 본체가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내가 신뢰를 괴하더라도 그 책임으로부

터 숨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 다면 사이버공간에서 신뢰의 괴가 생길 때 이에 한 응은 어떻게 이루

어지는가 이 사회에서는 신뢰의 괴를 한 이를 색출하여 이를 공동체에서 배제

를 시킴으로써 체조직의 신뢰를 유지하 다 이를 해 엄격한 법 체제가 마련

되었음은 물론이다 개인 한 이러한 신뢰 괴 행 에 해 자괴성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하지만 사이버공간에서는 이러한 배제행 와 자괴성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이 군지를 숨길 수 있는 익명성이라는 사이버공간의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신뢰를 괴하는 행 가 특히 개인간의 차원에서 벌어졌을 때 신뢰

를 괴한 이를 찾아내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사이버공간에서 축출을 한다고 해도

그는 다른 익명성 혹은 가명성으로 새롭게 신뢰 괴행 에 나설수 있다 재 사

이버테러에 응하는 사법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사이버공간의 본질 속성상

그 논의 자체가 쉽지 않는 상태이다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25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 자본 축 을 해

지 까지 정보사회의 신뢰에 있어서 신뢰의 형성구조 신뢰의 표출형태 신뢰의

상 신뢰의 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심으로 그 변화의 측면을 논해보았다 먼

이 사회에서는 연 지연 학연 등을 심으로 하는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

뢰가 형성되었던 반면 정보사회에서는 연고 보다는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하

면서 그 계의 끈이 비교 느슨한 lsquo약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뢰가 형성되는 상

이 발생하고 있다 이때 약한 연 에서 경험되는 것은 익명의 존재들 간에 호혜 으

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며 이 호혜성의 경험이 상 방에 한 신뢰를 갖게 한다

이때 신뢰는 물질 이익을 주고 받으면서 생기는 것이라가 보다는 함께 무엇인가

를 즐기고 공유하면서 생기는 lsquo친 감rsquo에 기 한 신뢰의 의미가 강하다 한편 기존의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한 신뢰 역시 정보사회의 표 공간인 사이버공간을 통해서 재

생산되는 측면이 있다 문제는 신뢰의 표출형태이다 약한 계에서 형성된 신뢰라

면 보다 개방 인 신뢰의 모습을 지녀야 하지만 한국사회에 있어서는 그 지 못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즉 기존의 사회에서 뚜렷이 나타났던 lsquo자기 집단에 한 극

단 신뢰rsquo와 lsquo타 집단에 한 극단 불신rsquo이 그것이다 설령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한 신뢰 계가 그 집단내에서는 형성되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취향과 감정을

공유하는 타집단에 해서는 극단 불신을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한국사회

의 공론장 형성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다원 가치에

한 인정의 결핍은 한국사회의 아킬 스건이다 신뢰의 상의 문제에 있어서 이

사회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상은 공식 으로 인정받은(학 등을 통해) 문

가들이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소수의 문가들에 한 신뢰의 수 이

떨어지고 오히려 다수의 비 문가들이 집단 으로 생산해낸 지 가치에 한 신뢰

의 수 이 높아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뢰를 괴하는 행 가 정보사회에서는 그

익명 공간 안에서 손쉽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을 지 하 다 한 이 배신의 행

에 해 과거에는 배신자를 공동체에서 축출하는 것으로 응하 는데 정보사회

에서는 이 배신자 자체를 찾아내기가 단히 어렵다는 난제를 지니고 있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6

한 사회가 보다 인간다운 사회의 모습을 지니기 해서는 사회 자본의 축 이

필수 이며 이 사회 자본의 핵심이 사회 성원들 간의 신뢰이다 사회 자본의

축 을 통한 기회비용의 감소 뿐만이 아니라 공동체성의 회복의 가능성을 제기한

콜만과 퍼트남의 을 받아들이면서 우리는 이제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모습을

통해 새로운 사회 자본의 가능성을 논할 수 있다 개인들이 고립되어 있는 상태를

벗어나 계를 복원시켜야 한다는 퍼트남의 논의는 재 한국사회의 상황에서는 아

쉽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미 개인주의가 확산될 로 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 계가 분명 사이버공간에서 생성되고 있음은 사회

자본의 축 가능성을 다시 제기하게 한다 과거와 같은 형태의 공동체가 아닌

마페졸리(Maffesoli) 등이 제기하는 lsquo부족rsquo 형태에 기반한 사회 자본을 논할 수 있

게 된 것이다 하지만 여 히 lsquo편 가르기rsquo라는 한국의 사회문화 특성으로 인해 이

신뢰 계가 극단 편나 기 양상으로 번지곤 하는 것은 안타까운 실이다 황우

석 사태에서도 잘 나타났듯이 자신들 편의 말만 믿으면서 다른 이들에 한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성 토론 보다는 감정 비난이 앞서는 의사소통 형

태가 사이버공간에서 그 로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사회 자본

을 축 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의 장인 공론장의 형성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정보

사회에서의 공론장은 특히 사이버공간으로 확장되어 있는 특성을 지니는데 이때

사이버공간의 익명성이라는 특성상 이성 의사소통이 더욱 어려워지는 한계를 지

니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무엇보다 의사소통하는 상 방에 한

감을 보다 높이고 의사소통을 원만하게 해주는 재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

으로 응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27

참 고 문 헌

김신동 2001 lsquo정보와 사회 신뢰rsquo 「신뢰연구」 제 11권 통합호 한림과학원

박찬웅 1998 lsquo신뢰의 기와 사회 자본rsquo 1998년 후기사회학 회 발표집

박희 이희창김동욱김철수박병래 2002 한국인의 신뢰 수 향 요인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3호

윤민재 2004 lsquo신뢰와 사회자본에 한 사회 이해rsquo 「신뢰연구」 한림과학원

장원호 2004 985172사이버커뮤니티와 사회 계의 변화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장형유정기한 2004 lsquo인터넷 쇼핑몰에서 고객신뢰 태도 계몰입과 구매의도의

구조 계에 한 연구rsquo 「한국마 」 한국마 학회

최상진김의철김기범 2003 lsquo한국사회에서의 인 계속의 신뢰와 불신의 기반

으로서의 마음에 한 문화심리학 근rsquo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최항섭 2004 985172IT가 인 연결망과 공공선(public interest)에 미치는 향연구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Barney Darin 2004 The Network Society Cambridge Polity Press

Burke Peter 2000 A Social History of Knowledge Cambridge Polity Press

Castells Manuel 2001 The Internet Galaxy Reflections on the Internet Business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Condorcet Antonie-Nicolas Marquis de 1794 Sketch of the Progress of the

Human Mind Except trans by J Barra Clough 1955 pp800-10 in Peter

Gay The Enlightment A Comprehensive Anthology New York Schocken

Books

Goldman Alvin I 1999 Knowledge in a Social world New York Oxford Uni-

versity Press amp Clarendon Press

Hakken David 2003 The Knowledge landscape of Cyberspace New York Routledge

Lyotard JF 1979 La condition postmoderne Paris Minuit 이 복 역 「정보사

회에서의 지식의 상」 1992 서 사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8

Mannheim Karl 1936 Ideology and Utopia Harcourt Brace amp World

Star Susan Leigh 1995 The Cultures of Computing Oxford Blackwell

Page 15: 최 항 섭 - KISDI · 2009-08-17 · 최 항 섭 ․jesuishs@kisdi.re.kr, 02-570-4090 ․프랑스 파리 5대학 사회학부 박사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초빙전문위원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18

에 한 신뢰 상이다

정보사회 이 의 지식의 상을 먼 살펴보자 지식은 생성되는 과정에서의 과

학 이론 지 능력을 요구하 으며 따라서 일반인들에게는 습득하기 어려운 것

이었으며 소수의 지배계층은 이러한 지 능력을 부여받기 한 교육을 받을 수 있

는 특권을 렸다 지배계층은 지식만이 세상을 이롭게 할 수 있다는 생각을 리

유포했으며 스스로도 그 게 확신하 다 즉 지식만이 일반인들의 무지 야만 노

성을 극복하게 해주어 세계를 구할 것이라는 계몽주의 사고방식을 가졌던 것

이다 반면 일반인들이 일상의 경험에서 축 한 지 가치들은 과학 으로 증명된

바가 없고 논리성 한 갖추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지식에 비해 그 가치가 단히

떨어지는 것으로 인식하 다 과학 지식은 보편 방법을 통해 증명되고 보편

법칙들을 추구하기 때문에 만인에게 도움을 다고 보는 반면(Condorset [1794]

1973 803805) 들의 경험은 보편 법칙을 추구한다기 보다는 일상의 개인에

게 도움을 주는 것을 주 목 으로 하기 때문에 그 가치가 지식에 비해 못 미친다고

보았던 것이다 지식은 근 시기에 최고의 지 가치로 인정받았으며 이는 지식만이

lsquo사실rsquo을 담아내고 과학 으로 증명되었기 때문에 lsquo불변 rsquo이고 사회와 역사의 변화

에 향을 받지 않는 lsquo rsquo으로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 상을 정립하 다

하지만 정보사회로 어들면서 지식은 그 신뢰에 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통 시각에서의 지식은 그것이 불확실하거나 이 게도 혹은 게도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아니라 확실하고 어떤 경우에도 lsquo거짓이 아니고 참rsquo인 것으

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문제는 무엇이 lsquo진실rsquo인 것이냐는 것

이다 lsquo진실rsquo은 원히 불변 인 것인지 아니면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이기도

한 것인지에 한 의문 한 제기되어 왔다 만하임 역시 과거에 진리로 군

림했던 lsquo정 과학rsquo(exact science)에 한 신뢰성이 오늘날 심하게 흔들리고 있다고

지 한 바 있다(Mannheim 1936271)

만하임에 의하면 우리 인간이 일상생활에서 맺고 있는 사회 계 그 계 속에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9

서의 역할 그 역할을 수행하면서 갖는 존재의식 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사회속에

형성된 지식들을 제 로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Mannheim 1936267-8) 만하

임의 이러한 역사주의 에서 골드만 한 지식은 믿음을 내포하고 있는 데 이

믿음이라는 것이 사실은 lsquo사회 으로 구축된 것rsquo(socially constructed)이라고 주장한

다 그에 의하면 지식은 언제나 lsquo지엽 rsquo(local)인 것이며 상황에 따라 규정되는 것

(contextual situated)이다(Goldman 199921) 그는 특히 하나의 지식이 지엽 이

고 상황결정 인 이유로서 지식은 언제나 특정한 개인이나 특정한 이해그룹에 의해

서 지식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 다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라는 것은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하

나의 단수의 지식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 상이 발생

한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인 복수의 지식들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Burke

2000 13) 하 역시 지식은 하나의 단수 인 것이 아니며 지식을 받아들일 때도

그 지식이 형성된 과정을 이해하면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 다(Hakken

200313) 만하임에 의하면 인간의 생각과 아이디어들은 몇몇 한 인물들이 내

놓은 업 물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집합 경험에 의해서 탄생되는 것이다 그리

고 이 집합 경험은 공통의 분모를 가지는 동시에 상이성 한 가진다 존재하는

것은 하나의 상에 한 하나의 지식이 아니라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서로 충돌하고 경합을 끊임없이 하는 복수의 지식들이다(Mannheim 1936

269) 이 스타는 lsquo지식은 복수로 존재하면서 다른 지식들과 복합 상호 계속에

서 존재하며 그 기 때문에 지식은 생태 (ecologic)이다rsquo라고 보았다(Star 1995)

이 게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고 복수로 존재한다는 사실은 지식에 한

신뢰에 있어서도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한다 즉 지식에 한 신뢰는 맹목 일 수 없

다는 것이다 세 근 의 시각에서 보면 지식에 한 신뢰는 지식을 보유하고 생

성하는 권력집단의 정당성에 한 수동 수용에 기인하 다 그러나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주체 다양한 집단들이 지식생산과 비 에 참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 사회에서 형성되었던 지식들의 신뢰성이 약화가 되었고 지식을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0

생성하는 유일한 집단으로 믿어졌던 문가군에 한 신뢰 역시 약화되고 있다

지식의 성에 한 신뢰의 변화가 정보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주장의

다른 근거는 정보사회의 핵심콘텐츠인 lsquo정보rsquo의 상 변화를 통해서도 뒷받침될 수

있다 70년 에 사회학자 투 과 벨은 탈산업사회의 도래를 견하면서 탈산업사회

에서 요하게 되는 것은 노동의 힘과 자연에 지가 아니라 바로 lsquo정보rsquo일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 정보사회에 들어서는 lsquo정보rsquo를 어떻게 수집하고 활용하는가가 부의

원천이 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arny 20046) 일본의 미래학자 마슈다는 2000년

에는 정보사회가 산업사회를 체할 것이며 이 시기에는 물질 가치의 생산이

덜 요해지고 신 정보의 량생산과 공유가 단히 요해질 것이라고 내다보

았다(Barny 20048) 최근 각 을 받고 있는 정보사회학자 카스텔스에 의하면

재 우리가 사는 세계의 사회 정치 경제 행 의 지 않은 부분이 lsquo정보의 흐름rsquo

(flows of information)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든 역에 걸쳐 정보가

구에게서 출발하여 어떤 경로로 구에게 도착하는가 어떤 정보들이 공유 독

되는가가 요한 사회 이슈로 두되고 있는 것이다(Castells 19981) 리오따르 역

시 과거에 국가들은 토와 원자재 그리고 노동력을 쟁취하기 해서 쟁을 하

으나 앞으로는 보다 가치있는 정보를 쟁취하기 해 치열하게 경쟁할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Lyotard 1979) 버크는 정보의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정보를 사고

는 상품으로 취 해야 하는가 아니면 정보를 사회성원들의 공공이익을 하여

구나 공유해야할 것으로 취 해야 하는가가 요한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고 말하

다 그는 21세기를 후하여 두되고 있는 정보와 정보기술의 요성에 비추어볼

때 후 의 역사학자들이 이 시기를 lsquo정보의 시 rsquo(age of information)라고 명명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urke 20001)

그런데 이 정보는 지식과는 달리 문가들이 아닌 일반인들에게서도 쉽게 공유되

고 확산될 수 있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공유행 의 증은 지 가치들의 유통을

빠르게 효율 으로 가능하게 하는 정보기술에 기반한다 이제 지 가치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되고 실제 실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한 빠르게 획득할 수 있을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1

때 그 가치를 인정받기에 이르 다 여러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것은 문 인

것보다는 일반 이론 이기 보다는 실용 인 지 가치인데 정보가 바로 이러한

요구에 가장 잘 부응하고 있는 것이다

통 의미에서의 지식은 문가들에 의해 형성되고 증명되어진 지 가치이며

정보는 비 문가들도 얼마든지 생성 유통시킬 수 있는 그러나 아직 완 히 증명되

어지지 않은 지 가치 다 그러나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정보의 공유가 폭증하고

정보의 제공자들에 있어서 문가와 비 문가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무엇보다 사회

성원들에 필요한 지 가치로서의 정보의 상이 격히 높아지게 되었다 특히 한

명의 문가가 생산한 지식보다는 다수의 비 문가들이 함께 모여 편집하고 가공한

정보가 더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서의 상을 지니게 되는 조짐이 보이고 있다

이를 설명해 수 있는 표 인 사례가 바로 인터넷의 lsquo지식검색rsquo서비스이다 이 서

비스가 시작된 후에는 우리는 학교에서 궁 한 것 직장에서 궁 한 것 일상에서

문득 떠오르는 궁 한 것들을 인터넷만 있으면 바로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궁 한 것들에 해 다른 이들이 답변을 한 것에 한 신뢰도가 단히 높다

는 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필자의 조사(2004)에 따르면 lsquo지식검색rsquo에서 답변

된 정보들에 한 신뢰도는 단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다수의 사람

들이 lsquo맞다rsquo고 답한 정보는 신뢰할만 하다는 것이다 즉 지 가치에 한 신뢰의 정

도가 그 지 가치를 생산한 사람이 구인가( 문가인가 아닌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얼마나 많은 사람이 그 지 가치의 생산에 참여했느냐에 따라 결정된

다는 것이다 표 인 집단지성의 지 가치 생산의 로 언 되는 키피디아의

경우 신뢰도는 리타니카 백과사 에 버 가는 신뢰를 확보하고 있다

4 신뢰의 괴와 응

신뢰의 괴는 쉽게 말해 배신으로 표 된다 배신행 의 부분의 원인은 개인

의 이기심이다 즉 신뢰를 어기면서도 어떠한 행동을 하게 되면 그 신뢰를 어겨서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2

겪는 피해보다 자신이 얻는 것이 더 많을 때 배신행 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극단

인 로 한 폭력조직에서 조직성원들의 신뢰를 버리고 조직의 비 을 설하게

해야 할지 고민이 될 때 조직의 보복은 두려우나 그로 인해 자신에게 엄청난 이익

이 생기게 되면 결국 조직의 비 을 설한다는 것이다 이보다 더 일상 인 를

하나 들어보자 친구가 lsquo다른 친구들에게 로 말하지마rsquo라고 그 친구의 비 을 나

에게 얘기해주었다 그 친구는 나의 친한 친구 기 때문에 자신의 비 을 나에게

몰래 털어놓았다 하지만 그 비 을 다른 친구에게 나는 lsquo다른 이에게는 로 말

하지마 그 친구가 알면 나 큰일나rsquo라고 말하면서 그 친구의 비 을 알린다 이 때의

이기심은 경우에 따라 다르겠으나 비 정보를 나만이 알고 있다는 것을 다른 이에

게 알리고 과시하고 싶은 욕구의 이기심이다 이러한 배신 행 에 해서는 어느 사

회 어느 인간을 막론하고 냉엄하게 응한다 최상진에 의하면 배신자라는 말 자체

의 사 의미가 lsquo등을 돌린다rsquo라는 것으로 이는 완 히 자신에게 등을 돌린 사람

남남인 사람을 의미한다(20027) 신뢰를 버려야했던 행 로 인해 얻어지는 이익

에 기뻐하지만 신뢰를 버린 행 가 도덕 으로 규탄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자신 스스로 괴로워한다 친한 친구들에게 돈 사기를 친 이들이 자수를 하는

경우에는 이 양심의 소리가 주는 고통이 단히 컸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치의 감정

은 스스로 양심의 가책을 느껴 생기는 자괴성(self-shamed)이다 한국사회는 이기

심에서 발 된 배신행 에 해서 그 처벌을 엄격하게 하여 사회에서 완 소외되

게 하거나 스스로 극도의 자괴감을 가지도록 하는 사회담론을 형성해 왔다 이는

사회에서의 신뢰를 무엇보다 시해온 한국사회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정보사회에서 신뢰의 괴는 그 다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 먼

익명성에 자신을 숨기고 다른 이들의 사생활정보를 헤쳐 이를 악용하는 것이

표 인 사례다 사이버공간에서는 자신의 사생활정보를 나의 동의없이 다른 이에게

공개하지 못할 것이라는 lsquo시스템안 에 한 신뢰rsquo가 작동된다 그 기에 인터넷 쇼

핑 인터넷 뱅킹 등이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단히 험한 일이기도 하다 경

제 이윤으로 직결되는 사생활정보를 외부로 팔아넘겨 얼마든지 이윤을 챙길 가능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3

성이 항상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8년 옥션사태 SK사태에서 잘 나타났듯이 우

리의 사생활정보는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기업 혹은 해커들에 의해 노출될 험

이 있다 이때 신뢰는 개인과 개인 사이에서의 문제를 넘어서 개인과 체계의 문제가

된다 개인 수 에서도 신뢰의 괴는 쉽게 이루어진다 역시 익명성이라는 속성

상 나의 본체가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내가 신뢰를 괴하더라도 그 책임으로부

터 숨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 다면 사이버공간에서 신뢰의 괴가 생길 때 이에 한 응은 어떻게 이루

어지는가 이 사회에서는 신뢰의 괴를 한 이를 색출하여 이를 공동체에서 배제

를 시킴으로써 체조직의 신뢰를 유지하 다 이를 해 엄격한 법 체제가 마련

되었음은 물론이다 개인 한 이러한 신뢰 괴 행 에 해 자괴성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하지만 사이버공간에서는 이러한 배제행 와 자괴성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이 군지를 숨길 수 있는 익명성이라는 사이버공간의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신뢰를 괴하는 행 가 특히 개인간의 차원에서 벌어졌을 때 신뢰

를 괴한 이를 찾아내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사이버공간에서 축출을 한다고 해도

그는 다른 익명성 혹은 가명성으로 새롭게 신뢰 괴행 에 나설수 있다 재 사

이버테러에 응하는 사법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사이버공간의 본질 속성상

그 논의 자체가 쉽지 않는 상태이다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25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 자본 축 을 해

지 까지 정보사회의 신뢰에 있어서 신뢰의 형성구조 신뢰의 표출형태 신뢰의

상 신뢰의 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심으로 그 변화의 측면을 논해보았다 먼

이 사회에서는 연 지연 학연 등을 심으로 하는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

뢰가 형성되었던 반면 정보사회에서는 연고 보다는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하

면서 그 계의 끈이 비교 느슨한 lsquo약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뢰가 형성되는 상

이 발생하고 있다 이때 약한 연 에서 경험되는 것은 익명의 존재들 간에 호혜 으

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며 이 호혜성의 경험이 상 방에 한 신뢰를 갖게 한다

이때 신뢰는 물질 이익을 주고 받으면서 생기는 것이라가 보다는 함께 무엇인가

를 즐기고 공유하면서 생기는 lsquo친 감rsquo에 기 한 신뢰의 의미가 강하다 한편 기존의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한 신뢰 역시 정보사회의 표 공간인 사이버공간을 통해서 재

생산되는 측면이 있다 문제는 신뢰의 표출형태이다 약한 계에서 형성된 신뢰라

면 보다 개방 인 신뢰의 모습을 지녀야 하지만 한국사회에 있어서는 그 지 못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즉 기존의 사회에서 뚜렷이 나타났던 lsquo자기 집단에 한 극

단 신뢰rsquo와 lsquo타 집단에 한 극단 불신rsquo이 그것이다 설령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한 신뢰 계가 그 집단내에서는 형성되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취향과 감정을

공유하는 타집단에 해서는 극단 불신을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한국사회

의 공론장 형성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다원 가치에

한 인정의 결핍은 한국사회의 아킬 스건이다 신뢰의 상의 문제에 있어서 이

사회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상은 공식 으로 인정받은(학 등을 통해) 문

가들이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소수의 문가들에 한 신뢰의 수 이

떨어지고 오히려 다수의 비 문가들이 집단 으로 생산해낸 지 가치에 한 신뢰

의 수 이 높아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뢰를 괴하는 행 가 정보사회에서는 그

익명 공간 안에서 손쉽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을 지 하 다 한 이 배신의 행

에 해 과거에는 배신자를 공동체에서 축출하는 것으로 응하 는데 정보사회

에서는 이 배신자 자체를 찾아내기가 단히 어렵다는 난제를 지니고 있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6

한 사회가 보다 인간다운 사회의 모습을 지니기 해서는 사회 자본의 축 이

필수 이며 이 사회 자본의 핵심이 사회 성원들 간의 신뢰이다 사회 자본의

축 을 통한 기회비용의 감소 뿐만이 아니라 공동체성의 회복의 가능성을 제기한

콜만과 퍼트남의 을 받아들이면서 우리는 이제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모습을

통해 새로운 사회 자본의 가능성을 논할 수 있다 개인들이 고립되어 있는 상태를

벗어나 계를 복원시켜야 한다는 퍼트남의 논의는 재 한국사회의 상황에서는 아

쉽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미 개인주의가 확산될 로 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 계가 분명 사이버공간에서 생성되고 있음은 사회

자본의 축 가능성을 다시 제기하게 한다 과거와 같은 형태의 공동체가 아닌

마페졸리(Maffesoli) 등이 제기하는 lsquo부족rsquo 형태에 기반한 사회 자본을 논할 수 있

게 된 것이다 하지만 여 히 lsquo편 가르기rsquo라는 한국의 사회문화 특성으로 인해 이

신뢰 계가 극단 편나 기 양상으로 번지곤 하는 것은 안타까운 실이다 황우

석 사태에서도 잘 나타났듯이 자신들 편의 말만 믿으면서 다른 이들에 한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성 토론 보다는 감정 비난이 앞서는 의사소통 형

태가 사이버공간에서 그 로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사회 자본

을 축 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의 장인 공론장의 형성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정보

사회에서의 공론장은 특히 사이버공간으로 확장되어 있는 특성을 지니는데 이때

사이버공간의 익명성이라는 특성상 이성 의사소통이 더욱 어려워지는 한계를 지

니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무엇보다 의사소통하는 상 방에 한

감을 보다 높이고 의사소통을 원만하게 해주는 재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

으로 응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27

참 고 문 헌

김신동 2001 lsquo정보와 사회 신뢰rsquo 「신뢰연구」 제 11권 통합호 한림과학원

박찬웅 1998 lsquo신뢰의 기와 사회 자본rsquo 1998년 후기사회학 회 발표집

박희 이희창김동욱김철수박병래 2002 한국인의 신뢰 수 향 요인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3호

윤민재 2004 lsquo신뢰와 사회자본에 한 사회 이해rsquo 「신뢰연구」 한림과학원

장원호 2004 985172사이버커뮤니티와 사회 계의 변화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장형유정기한 2004 lsquo인터넷 쇼핑몰에서 고객신뢰 태도 계몰입과 구매의도의

구조 계에 한 연구rsquo 「한국마 」 한국마 학회

최상진김의철김기범 2003 lsquo한국사회에서의 인 계속의 신뢰와 불신의 기반

으로서의 마음에 한 문화심리학 근rsquo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최항섭 2004 985172IT가 인 연결망과 공공선(public interest)에 미치는 향연구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Barney Darin 2004 The Network Society Cambridge Polity Press

Burke Peter 2000 A Social History of Knowledge Cambridge Polity Press

Castells Manuel 2001 The Internet Galaxy Reflections on the Internet Business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Condorcet Antonie-Nicolas Marquis de 1794 Sketch of the Progress of the

Human Mind Except trans by J Barra Clough 1955 pp800-10 in Peter

Gay The Enlightment A Comprehensive Anthology New York Schocken

Books

Goldman Alvin I 1999 Knowledge in a Social world New York Oxford Uni-

versity Press amp Clarendon Press

Hakken David 2003 The Knowledge landscape of Cyberspace New York Routledge

Lyotard JF 1979 La condition postmoderne Paris Minuit 이 복 역 「정보사

회에서의 지식의 상」 1992 서 사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8

Mannheim Karl 1936 Ideology and Utopia Harcourt Brace amp World

Star Susan Leigh 1995 The Cultures of Computing Oxford Blackwell

Page 16: 최 항 섭 - KISDI · 2009-08-17 · 최 항 섭 ․jesuishs@kisdi.re.kr, 02-570-4090 ․프랑스 파리 5대학 사회학부 박사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초빙전문위원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19

서의 역할 그 역할을 수행하면서 갖는 존재의식 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사회속에

형성된 지식들을 제 로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Mannheim 1936267-8) 만하

임의 이러한 역사주의 에서 골드만 한 지식은 믿음을 내포하고 있는 데 이

믿음이라는 것이 사실은 lsquo사회 으로 구축된 것rsquo(socially constructed)이라고 주장한

다 그에 의하면 지식은 언제나 lsquo지엽 rsquo(local)인 것이며 상황에 따라 규정되는 것

(contextual situated)이다(Goldman 199921) 그는 특히 하나의 지식이 지엽 이

고 상황결정 인 이유로서 지식은 언제나 특정한 개인이나 특정한 이해그룹에 의해

서 지식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 다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라는 것은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하

나의 단수의 지식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 상이 발생

한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 인 복수의 지식들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Burke

2000 13) 하 역시 지식은 하나의 단수 인 것이 아니며 지식을 받아들일 때도

그 지식이 형성된 과정을 이해하면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 다(Hakken

200313) 만하임에 의하면 인간의 생각과 아이디어들은 몇몇 한 인물들이 내

놓은 업 물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집합 경험에 의해서 탄생되는 것이다 그리

고 이 집합 경험은 공통의 분모를 가지는 동시에 상이성 한 가진다 존재하는

것은 하나의 상에 한 하나의 지식이 아니라 하나의 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서로 충돌하고 경합을 끊임없이 하는 복수의 지식들이다(Mannheim 1936

269) 이 스타는 lsquo지식은 복수로 존재하면서 다른 지식들과 복합 상호 계속에

서 존재하며 그 기 때문에 지식은 생태 (ecologic)이다rsquo라고 보았다(Star 1995)

이 게 지식이 지엽 이고 상황결정 이고 복수로 존재한다는 사실은 지식에 한

신뢰에 있어서도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한다 즉 지식에 한 신뢰는 맹목 일 수 없

다는 것이다 세 근 의 시각에서 보면 지식에 한 신뢰는 지식을 보유하고 생

성하는 권력집단의 정당성에 한 수동 수용에 기인하 다 그러나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주체 다양한 집단들이 지식생산과 비 에 참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 사회에서 형성되었던 지식들의 신뢰성이 약화가 되었고 지식을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0

생성하는 유일한 집단으로 믿어졌던 문가군에 한 신뢰 역시 약화되고 있다

지식의 성에 한 신뢰의 변화가 정보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주장의

다른 근거는 정보사회의 핵심콘텐츠인 lsquo정보rsquo의 상 변화를 통해서도 뒷받침될 수

있다 70년 에 사회학자 투 과 벨은 탈산업사회의 도래를 견하면서 탈산업사회

에서 요하게 되는 것은 노동의 힘과 자연에 지가 아니라 바로 lsquo정보rsquo일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 정보사회에 들어서는 lsquo정보rsquo를 어떻게 수집하고 활용하는가가 부의

원천이 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arny 20046) 일본의 미래학자 마슈다는 2000년

에는 정보사회가 산업사회를 체할 것이며 이 시기에는 물질 가치의 생산이

덜 요해지고 신 정보의 량생산과 공유가 단히 요해질 것이라고 내다보

았다(Barny 20048) 최근 각 을 받고 있는 정보사회학자 카스텔스에 의하면

재 우리가 사는 세계의 사회 정치 경제 행 의 지 않은 부분이 lsquo정보의 흐름rsquo

(flows of information)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든 역에 걸쳐 정보가

구에게서 출발하여 어떤 경로로 구에게 도착하는가 어떤 정보들이 공유 독

되는가가 요한 사회 이슈로 두되고 있는 것이다(Castells 19981) 리오따르 역

시 과거에 국가들은 토와 원자재 그리고 노동력을 쟁취하기 해서 쟁을 하

으나 앞으로는 보다 가치있는 정보를 쟁취하기 해 치열하게 경쟁할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Lyotard 1979) 버크는 정보의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정보를 사고

는 상품으로 취 해야 하는가 아니면 정보를 사회성원들의 공공이익을 하여

구나 공유해야할 것으로 취 해야 하는가가 요한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고 말하

다 그는 21세기를 후하여 두되고 있는 정보와 정보기술의 요성에 비추어볼

때 후 의 역사학자들이 이 시기를 lsquo정보의 시 rsquo(age of information)라고 명명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urke 20001)

그런데 이 정보는 지식과는 달리 문가들이 아닌 일반인들에게서도 쉽게 공유되

고 확산될 수 있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공유행 의 증은 지 가치들의 유통을

빠르게 효율 으로 가능하게 하는 정보기술에 기반한다 이제 지 가치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되고 실제 실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한 빠르게 획득할 수 있을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1

때 그 가치를 인정받기에 이르 다 여러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것은 문 인

것보다는 일반 이론 이기 보다는 실용 인 지 가치인데 정보가 바로 이러한

요구에 가장 잘 부응하고 있는 것이다

통 의미에서의 지식은 문가들에 의해 형성되고 증명되어진 지 가치이며

정보는 비 문가들도 얼마든지 생성 유통시킬 수 있는 그러나 아직 완 히 증명되

어지지 않은 지 가치 다 그러나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정보의 공유가 폭증하고

정보의 제공자들에 있어서 문가와 비 문가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무엇보다 사회

성원들에 필요한 지 가치로서의 정보의 상이 격히 높아지게 되었다 특히 한

명의 문가가 생산한 지식보다는 다수의 비 문가들이 함께 모여 편집하고 가공한

정보가 더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서의 상을 지니게 되는 조짐이 보이고 있다

이를 설명해 수 있는 표 인 사례가 바로 인터넷의 lsquo지식검색rsquo서비스이다 이 서

비스가 시작된 후에는 우리는 학교에서 궁 한 것 직장에서 궁 한 것 일상에서

문득 떠오르는 궁 한 것들을 인터넷만 있으면 바로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궁 한 것들에 해 다른 이들이 답변을 한 것에 한 신뢰도가 단히 높다

는 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필자의 조사(2004)에 따르면 lsquo지식검색rsquo에서 답변

된 정보들에 한 신뢰도는 단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다수의 사람

들이 lsquo맞다rsquo고 답한 정보는 신뢰할만 하다는 것이다 즉 지 가치에 한 신뢰의 정

도가 그 지 가치를 생산한 사람이 구인가( 문가인가 아닌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얼마나 많은 사람이 그 지 가치의 생산에 참여했느냐에 따라 결정된

다는 것이다 표 인 집단지성의 지 가치 생산의 로 언 되는 키피디아의

경우 신뢰도는 리타니카 백과사 에 버 가는 신뢰를 확보하고 있다

4 신뢰의 괴와 응

신뢰의 괴는 쉽게 말해 배신으로 표 된다 배신행 의 부분의 원인은 개인

의 이기심이다 즉 신뢰를 어기면서도 어떠한 행동을 하게 되면 그 신뢰를 어겨서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2

겪는 피해보다 자신이 얻는 것이 더 많을 때 배신행 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극단

인 로 한 폭력조직에서 조직성원들의 신뢰를 버리고 조직의 비 을 설하게

해야 할지 고민이 될 때 조직의 보복은 두려우나 그로 인해 자신에게 엄청난 이익

이 생기게 되면 결국 조직의 비 을 설한다는 것이다 이보다 더 일상 인 를

하나 들어보자 친구가 lsquo다른 친구들에게 로 말하지마rsquo라고 그 친구의 비 을 나

에게 얘기해주었다 그 친구는 나의 친한 친구 기 때문에 자신의 비 을 나에게

몰래 털어놓았다 하지만 그 비 을 다른 친구에게 나는 lsquo다른 이에게는 로 말

하지마 그 친구가 알면 나 큰일나rsquo라고 말하면서 그 친구의 비 을 알린다 이 때의

이기심은 경우에 따라 다르겠으나 비 정보를 나만이 알고 있다는 것을 다른 이에

게 알리고 과시하고 싶은 욕구의 이기심이다 이러한 배신 행 에 해서는 어느 사

회 어느 인간을 막론하고 냉엄하게 응한다 최상진에 의하면 배신자라는 말 자체

의 사 의미가 lsquo등을 돌린다rsquo라는 것으로 이는 완 히 자신에게 등을 돌린 사람

남남인 사람을 의미한다(20027) 신뢰를 버려야했던 행 로 인해 얻어지는 이익

에 기뻐하지만 신뢰를 버린 행 가 도덕 으로 규탄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자신 스스로 괴로워한다 친한 친구들에게 돈 사기를 친 이들이 자수를 하는

경우에는 이 양심의 소리가 주는 고통이 단히 컸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치의 감정

은 스스로 양심의 가책을 느껴 생기는 자괴성(self-shamed)이다 한국사회는 이기

심에서 발 된 배신행 에 해서 그 처벌을 엄격하게 하여 사회에서 완 소외되

게 하거나 스스로 극도의 자괴감을 가지도록 하는 사회담론을 형성해 왔다 이는

사회에서의 신뢰를 무엇보다 시해온 한국사회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정보사회에서 신뢰의 괴는 그 다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 먼

익명성에 자신을 숨기고 다른 이들의 사생활정보를 헤쳐 이를 악용하는 것이

표 인 사례다 사이버공간에서는 자신의 사생활정보를 나의 동의없이 다른 이에게

공개하지 못할 것이라는 lsquo시스템안 에 한 신뢰rsquo가 작동된다 그 기에 인터넷 쇼

핑 인터넷 뱅킹 등이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단히 험한 일이기도 하다 경

제 이윤으로 직결되는 사생활정보를 외부로 팔아넘겨 얼마든지 이윤을 챙길 가능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3

성이 항상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8년 옥션사태 SK사태에서 잘 나타났듯이 우

리의 사생활정보는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기업 혹은 해커들에 의해 노출될 험

이 있다 이때 신뢰는 개인과 개인 사이에서의 문제를 넘어서 개인과 체계의 문제가

된다 개인 수 에서도 신뢰의 괴는 쉽게 이루어진다 역시 익명성이라는 속성

상 나의 본체가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내가 신뢰를 괴하더라도 그 책임으로부

터 숨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 다면 사이버공간에서 신뢰의 괴가 생길 때 이에 한 응은 어떻게 이루

어지는가 이 사회에서는 신뢰의 괴를 한 이를 색출하여 이를 공동체에서 배제

를 시킴으로써 체조직의 신뢰를 유지하 다 이를 해 엄격한 법 체제가 마련

되었음은 물론이다 개인 한 이러한 신뢰 괴 행 에 해 자괴성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하지만 사이버공간에서는 이러한 배제행 와 자괴성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이 군지를 숨길 수 있는 익명성이라는 사이버공간의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신뢰를 괴하는 행 가 특히 개인간의 차원에서 벌어졌을 때 신뢰

를 괴한 이를 찾아내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사이버공간에서 축출을 한다고 해도

그는 다른 익명성 혹은 가명성으로 새롭게 신뢰 괴행 에 나설수 있다 재 사

이버테러에 응하는 사법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사이버공간의 본질 속성상

그 논의 자체가 쉽지 않는 상태이다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25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 자본 축 을 해

지 까지 정보사회의 신뢰에 있어서 신뢰의 형성구조 신뢰의 표출형태 신뢰의

상 신뢰의 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심으로 그 변화의 측면을 논해보았다 먼

이 사회에서는 연 지연 학연 등을 심으로 하는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

뢰가 형성되었던 반면 정보사회에서는 연고 보다는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하

면서 그 계의 끈이 비교 느슨한 lsquo약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뢰가 형성되는 상

이 발생하고 있다 이때 약한 연 에서 경험되는 것은 익명의 존재들 간에 호혜 으

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며 이 호혜성의 경험이 상 방에 한 신뢰를 갖게 한다

이때 신뢰는 물질 이익을 주고 받으면서 생기는 것이라가 보다는 함께 무엇인가

를 즐기고 공유하면서 생기는 lsquo친 감rsquo에 기 한 신뢰의 의미가 강하다 한편 기존의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한 신뢰 역시 정보사회의 표 공간인 사이버공간을 통해서 재

생산되는 측면이 있다 문제는 신뢰의 표출형태이다 약한 계에서 형성된 신뢰라

면 보다 개방 인 신뢰의 모습을 지녀야 하지만 한국사회에 있어서는 그 지 못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즉 기존의 사회에서 뚜렷이 나타났던 lsquo자기 집단에 한 극

단 신뢰rsquo와 lsquo타 집단에 한 극단 불신rsquo이 그것이다 설령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한 신뢰 계가 그 집단내에서는 형성되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취향과 감정을

공유하는 타집단에 해서는 극단 불신을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한국사회

의 공론장 형성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다원 가치에

한 인정의 결핍은 한국사회의 아킬 스건이다 신뢰의 상의 문제에 있어서 이

사회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상은 공식 으로 인정받은(학 등을 통해) 문

가들이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소수의 문가들에 한 신뢰의 수 이

떨어지고 오히려 다수의 비 문가들이 집단 으로 생산해낸 지 가치에 한 신뢰

의 수 이 높아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뢰를 괴하는 행 가 정보사회에서는 그

익명 공간 안에서 손쉽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을 지 하 다 한 이 배신의 행

에 해 과거에는 배신자를 공동체에서 축출하는 것으로 응하 는데 정보사회

에서는 이 배신자 자체를 찾아내기가 단히 어렵다는 난제를 지니고 있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6

한 사회가 보다 인간다운 사회의 모습을 지니기 해서는 사회 자본의 축 이

필수 이며 이 사회 자본의 핵심이 사회 성원들 간의 신뢰이다 사회 자본의

축 을 통한 기회비용의 감소 뿐만이 아니라 공동체성의 회복의 가능성을 제기한

콜만과 퍼트남의 을 받아들이면서 우리는 이제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모습을

통해 새로운 사회 자본의 가능성을 논할 수 있다 개인들이 고립되어 있는 상태를

벗어나 계를 복원시켜야 한다는 퍼트남의 논의는 재 한국사회의 상황에서는 아

쉽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미 개인주의가 확산될 로 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 계가 분명 사이버공간에서 생성되고 있음은 사회

자본의 축 가능성을 다시 제기하게 한다 과거와 같은 형태의 공동체가 아닌

마페졸리(Maffesoli) 등이 제기하는 lsquo부족rsquo 형태에 기반한 사회 자본을 논할 수 있

게 된 것이다 하지만 여 히 lsquo편 가르기rsquo라는 한국의 사회문화 특성으로 인해 이

신뢰 계가 극단 편나 기 양상으로 번지곤 하는 것은 안타까운 실이다 황우

석 사태에서도 잘 나타났듯이 자신들 편의 말만 믿으면서 다른 이들에 한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성 토론 보다는 감정 비난이 앞서는 의사소통 형

태가 사이버공간에서 그 로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사회 자본

을 축 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의 장인 공론장의 형성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정보

사회에서의 공론장은 특히 사이버공간으로 확장되어 있는 특성을 지니는데 이때

사이버공간의 익명성이라는 특성상 이성 의사소통이 더욱 어려워지는 한계를 지

니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무엇보다 의사소통하는 상 방에 한

감을 보다 높이고 의사소통을 원만하게 해주는 재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

으로 응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27

참 고 문 헌

김신동 2001 lsquo정보와 사회 신뢰rsquo 「신뢰연구」 제 11권 통합호 한림과학원

박찬웅 1998 lsquo신뢰의 기와 사회 자본rsquo 1998년 후기사회학 회 발표집

박희 이희창김동욱김철수박병래 2002 한국인의 신뢰 수 향 요인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3호

윤민재 2004 lsquo신뢰와 사회자본에 한 사회 이해rsquo 「신뢰연구」 한림과학원

장원호 2004 985172사이버커뮤니티와 사회 계의 변화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장형유정기한 2004 lsquo인터넷 쇼핑몰에서 고객신뢰 태도 계몰입과 구매의도의

구조 계에 한 연구rsquo 「한국마 」 한국마 학회

최상진김의철김기범 2003 lsquo한국사회에서의 인 계속의 신뢰와 불신의 기반

으로서의 마음에 한 문화심리학 근rsquo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최항섭 2004 985172IT가 인 연결망과 공공선(public interest)에 미치는 향연구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Barney Darin 2004 The Network Society Cambridge Polity Press

Burke Peter 2000 A Social History of Knowledge Cambridge Polity Press

Castells Manuel 2001 The Internet Galaxy Reflections on the Internet Business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Condorcet Antonie-Nicolas Marquis de 1794 Sketch of the Progress of the

Human Mind Except trans by J Barra Clough 1955 pp800-10 in Peter

Gay The Enlightment A Comprehensive Anthology New York Schocken

Books

Goldman Alvin I 1999 Knowledge in a Social world New York Oxford Uni-

versity Press amp Clarendon Press

Hakken David 2003 The Knowledge landscape of Cyberspace New York Routledge

Lyotard JF 1979 La condition postmoderne Paris Minuit 이 복 역 「정보사

회에서의 지식의 상」 1992 서 사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8

Mannheim Karl 1936 Ideology and Utopia Harcourt Brace amp World

Star Susan Leigh 1995 The Cultures of Computing Oxford Blackwell

Page 17: 최 항 섭 - KISDI · 2009-08-17 · 최 항 섭 ․jesuishs@kisdi.re.kr, 02-570-4090 ․프랑스 파리 5대학 사회학부 박사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초빙전문위원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0

생성하는 유일한 집단으로 믿어졌던 문가군에 한 신뢰 역시 약화되고 있다

지식의 성에 한 신뢰의 변화가 정보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주장의

다른 근거는 정보사회의 핵심콘텐츠인 lsquo정보rsquo의 상 변화를 통해서도 뒷받침될 수

있다 70년 에 사회학자 투 과 벨은 탈산업사회의 도래를 견하면서 탈산업사회

에서 요하게 되는 것은 노동의 힘과 자연에 지가 아니라 바로 lsquo정보rsquo일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 정보사회에 들어서는 lsquo정보rsquo를 어떻게 수집하고 활용하는가가 부의

원천이 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arny 20046) 일본의 미래학자 마슈다는 2000년

에는 정보사회가 산업사회를 체할 것이며 이 시기에는 물질 가치의 생산이

덜 요해지고 신 정보의 량생산과 공유가 단히 요해질 것이라고 내다보

았다(Barny 20048) 최근 각 을 받고 있는 정보사회학자 카스텔스에 의하면

재 우리가 사는 세계의 사회 정치 경제 행 의 지 않은 부분이 lsquo정보의 흐름rsquo

(flows of information)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든 역에 걸쳐 정보가

구에게서 출발하여 어떤 경로로 구에게 도착하는가 어떤 정보들이 공유 독

되는가가 요한 사회 이슈로 두되고 있는 것이다(Castells 19981) 리오따르 역

시 과거에 국가들은 토와 원자재 그리고 노동력을 쟁취하기 해서 쟁을 하

으나 앞으로는 보다 가치있는 정보를 쟁취하기 해 치열하게 경쟁할 것이라고

견한 바 있다(Lyotard 1979) 버크는 정보의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정보를 사고

는 상품으로 취 해야 하는가 아니면 정보를 사회성원들의 공공이익을 하여

구나 공유해야할 것으로 취 해야 하는가가 요한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고 말하

다 그는 21세기를 후하여 두되고 있는 정보와 정보기술의 요성에 비추어볼

때 후 의 역사학자들이 이 시기를 lsquo정보의 시 rsquo(age of information)라고 명명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Burke 20001)

그런데 이 정보는 지식과는 달리 문가들이 아닌 일반인들에게서도 쉽게 공유되

고 확산될 수 있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공유행 의 증은 지 가치들의 유통을

빠르게 효율 으로 가능하게 하는 정보기술에 기반한다 이제 지 가치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되고 실제 실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한 빠르게 획득할 수 있을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1

때 그 가치를 인정받기에 이르 다 여러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것은 문 인

것보다는 일반 이론 이기 보다는 실용 인 지 가치인데 정보가 바로 이러한

요구에 가장 잘 부응하고 있는 것이다

통 의미에서의 지식은 문가들에 의해 형성되고 증명되어진 지 가치이며

정보는 비 문가들도 얼마든지 생성 유통시킬 수 있는 그러나 아직 완 히 증명되

어지지 않은 지 가치 다 그러나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정보의 공유가 폭증하고

정보의 제공자들에 있어서 문가와 비 문가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무엇보다 사회

성원들에 필요한 지 가치로서의 정보의 상이 격히 높아지게 되었다 특히 한

명의 문가가 생산한 지식보다는 다수의 비 문가들이 함께 모여 편집하고 가공한

정보가 더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서의 상을 지니게 되는 조짐이 보이고 있다

이를 설명해 수 있는 표 인 사례가 바로 인터넷의 lsquo지식검색rsquo서비스이다 이 서

비스가 시작된 후에는 우리는 학교에서 궁 한 것 직장에서 궁 한 것 일상에서

문득 떠오르는 궁 한 것들을 인터넷만 있으면 바로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궁 한 것들에 해 다른 이들이 답변을 한 것에 한 신뢰도가 단히 높다

는 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필자의 조사(2004)에 따르면 lsquo지식검색rsquo에서 답변

된 정보들에 한 신뢰도는 단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다수의 사람

들이 lsquo맞다rsquo고 답한 정보는 신뢰할만 하다는 것이다 즉 지 가치에 한 신뢰의 정

도가 그 지 가치를 생산한 사람이 구인가( 문가인가 아닌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얼마나 많은 사람이 그 지 가치의 생산에 참여했느냐에 따라 결정된

다는 것이다 표 인 집단지성의 지 가치 생산의 로 언 되는 키피디아의

경우 신뢰도는 리타니카 백과사 에 버 가는 신뢰를 확보하고 있다

4 신뢰의 괴와 응

신뢰의 괴는 쉽게 말해 배신으로 표 된다 배신행 의 부분의 원인은 개인

의 이기심이다 즉 신뢰를 어기면서도 어떠한 행동을 하게 되면 그 신뢰를 어겨서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2

겪는 피해보다 자신이 얻는 것이 더 많을 때 배신행 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극단

인 로 한 폭력조직에서 조직성원들의 신뢰를 버리고 조직의 비 을 설하게

해야 할지 고민이 될 때 조직의 보복은 두려우나 그로 인해 자신에게 엄청난 이익

이 생기게 되면 결국 조직의 비 을 설한다는 것이다 이보다 더 일상 인 를

하나 들어보자 친구가 lsquo다른 친구들에게 로 말하지마rsquo라고 그 친구의 비 을 나

에게 얘기해주었다 그 친구는 나의 친한 친구 기 때문에 자신의 비 을 나에게

몰래 털어놓았다 하지만 그 비 을 다른 친구에게 나는 lsquo다른 이에게는 로 말

하지마 그 친구가 알면 나 큰일나rsquo라고 말하면서 그 친구의 비 을 알린다 이 때의

이기심은 경우에 따라 다르겠으나 비 정보를 나만이 알고 있다는 것을 다른 이에

게 알리고 과시하고 싶은 욕구의 이기심이다 이러한 배신 행 에 해서는 어느 사

회 어느 인간을 막론하고 냉엄하게 응한다 최상진에 의하면 배신자라는 말 자체

의 사 의미가 lsquo등을 돌린다rsquo라는 것으로 이는 완 히 자신에게 등을 돌린 사람

남남인 사람을 의미한다(20027) 신뢰를 버려야했던 행 로 인해 얻어지는 이익

에 기뻐하지만 신뢰를 버린 행 가 도덕 으로 규탄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자신 스스로 괴로워한다 친한 친구들에게 돈 사기를 친 이들이 자수를 하는

경우에는 이 양심의 소리가 주는 고통이 단히 컸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치의 감정

은 스스로 양심의 가책을 느껴 생기는 자괴성(self-shamed)이다 한국사회는 이기

심에서 발 된 배신행 에 해서 그 처벌을 엄격하게 하여 사회에서 완 소외되

게 하거나 스스로 극도의 자괴감을 가지도록 하는 사회담론을 형성해 왔다 이는

사회에서의 신뢰를 무엇보다 시해온 한국사회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정보사회에서 신뢰의 괴는 그 다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 먼

익명성에 자신을 숨기고 다른 이들의 사생활정보를 헤쳐 이를 악용하는 것이

표 인 사례다 사이버공간에서는 자신의 사생활정보를 나의 동의없이 다른 이에게

공개하지 못할 것이라는 lsquo시스템안 에 한 신뢰rsquo가 작동된다 그 기에 인터넷 쇼

핑 인터넷 뱅킹 등이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단히 험한 일이기도 하다 경

제 이윤으로 직결되는 사생활정보를 외부로 팔아넘겨 얼마든지 이윤을 챙길 가능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3

성이 항상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8년 옥션사태 SK사태에서 잘 나타났듯이 우

리의 사생활정보는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기업 혹은 해커들에 의해 노출될 험

이 있다 이때 신뢰는 개인과 개인 사이에서의 문제를 넘어서 개인과 체계의 문제가

된다 개인 수 에서도 신뢰의 괴는 쉽게 이루어진다 역시 익명성이라는 속성

상 나의 본체가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내가 신뢰를 괴하더라도 그 책임으로부

터 숨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 다면 사이버공간에서 신뢰의 괴가 생길 때 이에 한 응은 어떻게 이루

어지는가 이 사회에서는 신뢰의 괴를 한 이를 색출하여 이를 공동체에서 배제

를 시킴으로써 체조직의 신뢰를 유지하 다 이를 해 엄격한 법 체제가 마련

되었음은 물론이다 개인 한 이러한 신뢰 괴 행 에 해 자괴성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하지만 사이버공간에서는 이러한 배제행 와 자괴성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이 군지를 숨길 수 있는 익명성이라는 사이버공간의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신뢰를 괴하는 행 가 특히 개인간의 차원에서 벌어졌을 때 신뢰

를 괴한 이를 찾아내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사이버공간에서 축출을 한다고 해도

그는 다른 익명성 혹은 가명성으로 새롭게 신뢰 괴행 에 나설수 있다 재 사

이버테러에 응하는 사법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사이버공간의 본질 속성상

그 논의 자체가 쉽지 않는 상태이다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25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 자본 축 을 해

지 까지 정보사회의 신뢰에 있어서 신뢰의 형성구조 신뢰의 표출형태 신뢰의

상 신뢰의 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심으로 그 변화의 측면을 논해보았다 먼

이 사회에서는 연 지연 학연 등을 심으로 하는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

뢰가 형성되었던 반면 정보사회에서는 연고 보다는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하

면서 그 계의 끈이 비교 느슨한 lsquo약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뢰가 형성되는 상

이 발생하고 있다 이때 약한 연 에서 경험되는 것은 익명의 존재들 간에 호혜 으

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며 이 호혜성의 경험이 상 방에 한 신뢰를 갖게 한다

이때 신뢰는 물질 이익을 주고 받으면서 생기는 것이라가 보다는 함께 무엇인가

를 즐기고 공유하면서 생기는 lsquo친 감rsquo에 기 한 신뢰의 의미가 강하다 한편 기존의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한 신뢰 역시 정보사회의 표 공간인 사이버공간을 통해서 재

생산되는 측면이 있다 문제는 신뢰의 표출형태이다 약한 계에서 형성된 신뢰라

면 보다 개방 인 신뢰의 모습을 지녀야 하지만 한국사회에 있어서는 그 지 못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즉 기존의 사회에서 뚜렷이 나타났던 lsquo자기 집단에 한 극

단 신뢰rsquo와 lsquo타 집단에 한 극단 불신rsquo이 그것이다 설령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한 신뢰 계가 그 집단내에서는 형성되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취향과 감정을

공유하는 타집단에 해서는 극단 불신을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한국사회

의 공론장 형성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다원 가치에

한 인정의 결핍은 한국사회의 아킬 스건이다 신뢰의 상의 문제에 있어서 이

사회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상은 공식 으로 인정받은(학 등을 통해) 문

가들이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소수의 문가들에 한 신뢰의 수 이

떨어지고 오히려 다수의 비 문가들이 집단 으로 생산해낸 지 가치에 한 신뢰

의 수 이 높아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뢰를 괴하는 행 가 정보사회에서는 그

익명 공간 안에서 손쉽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을 지 하 다 한 이 배신의 행

에 해 과거에는 배신자를 공동체에서 축출하는 것으로 응하 는데 정보사회

에서는 이 배신자 자체를 찾아내기가 단히 어렵다는 난제를 지니고 있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6

한 사회가 보다 인간다운 사회의 모습을 지니기 해서는 사회 자본의 축 이

필수 이며 이 사회 자본의 핵심이 사회 성원들 간의 신뢰이다 사회 자본의

축 을 통한 기회비용의 감소 뿐만이 아니라 공동체성의 회복의 가능성을 제기한

콜만과 퍼트남의 을 받아들이면서 우리는 이제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모습을

통해 새로운 사회 자본의 가능성을 논할 수 있다 개인들이 고립되어 있는 상태를

벗어나 계를 복원시켜야 한다는 퍼트남의 논의는 재 한국사회의 상황에서는 아

쉽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미 개인주의가 확산될 로 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 계가 분명 사이버공간에서 생성되고 있음은 사회

자본의 축 가능성을 다시 제기하게 한다 과거와 같은 형태의 공동체가 아닌

마페졸리(Maffesoli) 등이 제기하는 lsquo부족rsquo 형태에 기반한 사회 자본을 논할 수 있

게 된 것이다 하지만 여 히 lsquo편 가르기rsquo라는 한국의 사회문화 특성으로 인해 이

신뢰 계가 극단 편나 기 양상으로 번지곤 하는 것은 안타까운 실이다 황우

석 사태에서도 잘 나타났듯이 자신들 편의 말만 믿으면서 다른 이들에 한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성 토론 보다는 감정 비난이 앞서는 의사소통 형

태가 사이버공간에서 그 로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사회 자본

을 축 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의 장인 공론장의 형성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정보

사회에서의 공론장은 특히 사이버공간으로 확장되어 있는 특성을 지니는데 이때

사이버공간의 익명성이라는 특성상 이성 의사소통이 더욱 어려워지는 한계를 지

니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무엇보다 의사소통하는 상 방에 한

감을 보다 높이고 의사소통을 원만하게 해주는 재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

으로 응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27

참 고 문 헌

김신동 2001 lsquo정보와 사회 신뢰rsquo 「신뢰연구」 제 11권 통합호 한림과학원

박찬웅 1998 lsquo신뢰의 기와 사회 자본rsquo 1998년 후기사회학 회 발표집

박희 이희창김동욱김철수박병래 2002 한국인의 신뢰 수 향 요인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3호

윤민재 2004 lsquo신뢰와 사회자본에 한 사회 이해rsquo 「신뢰연구」 한림과학원

장원호 2004 985172사이버커뮤니티와 사회 계의 변화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장형유정기한 2004 lsquo인터넷 쇼핑몰에서 고객신뢰 태도 계몰입과 구매의도의

구조 계에 한 연구rsquo 「한국마 」 한국마 학회

최상진김의철김기범 2003 lsquo한국사회에서의 인 계속의 신뢰와 불신의 기반

으로서의 마음에 한 문화심리학 근rsquo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최항섭 2004 985172IT가 인 연결망과 공공선(public interest)에 미치는 향연구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Barney Darin 2004 The Network Society Cambridge Polity Press

Burke Peter 2000 A Social History of Knowledge Cambridge Polity Press

Castells Manuel 2001 The Internet Galaxy Reflections on the Internet Business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Condorcet Antonie-Nicolas Marquis de 1794 Sketch of the Progress of the

Human Mind Except trans by J Barra Clough 1955 pp800-10 in Peter

Gay The Enlightment A Comprehensive Anthology New York Schocken

Books

Goldman Alvin I 1999 Knowledge in a Social world New York Oxford Uni-

versity Press amp Clarendon Press

Hakken David 2003 The Knowledge landscape of Cyberspace New York Routledge

Lyotard JF 1979 La condition postmoderne Paris Minuit 이 복 역 「정보사

회에서의 지식의 상」 1992 서 사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8

Mannheim Karl 1936 Ideology and Utopia Harcourt Brace amp World

Star Susan Leigh 1995 The Cultures of Computing Oxford Blackwell

Page 18: 최 항 섭 - KISDI · 2009-08-17 · 최 항 섭 ․jesuishs@kisdi.re.kr, 02-570-4090 ․프랑스 파리 5대학 사회학부 박사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초빙전문위원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1

때 그 가치를 인정받기에 이르 다 여러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것은 문 인

것보다는 일반 이론 이기 보다는 실용 인 지 가치인데 정보가 바로 이러한

요구에 가장 잘 부응하고 있는 것이다

통 의미에서의 지식은 문가들에 의해 형성되고 증명되어진 지 가치이며

정보는 비 문가들도 얼마든지 생성 유통시킬 수 있는 그러나 아직 완 히 증명되

어지지 않은 지 가치 다 그러나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정보의 공유가 폭증하고

정보의 제공자들에 있어서 문가와 비 문가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무엇보다 사회

성원들에 필요한 지 가치로서의 정보의 상이 격히 높아지게 되었다 특히 한

명의 문가가 생산한 지식보다는 다수의 비 문가들이 함께 모여 편집하고 가공한

정보가 더 신뢰할 수 있는 지 가치로서의 상을 지니게 되는 조짐이 보이고 있다

이를 설명해 수 있는 표 인 사례가 바로 인터넷의 lsquo지식검색rsquo서비스이다 이 서

비스가 시작된 후에는 우리는 학교에서 궁 한 것 직장에서 궁 한 것 일상에서

문득 떠오르는 궁 한 것들을 인터넷만 있으면 바로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궁 한 것들에 해 다른 이들이 답변을 한 것에 한 신뢰도가 단히 높다

는 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필자의 조사(2004)에 따르면 lsquo지식검색rsquo에서 답변

된 정보들에 한 신뢰도는 단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다수의 사람

들이 lsquo맞다rsquo고 답한 정보는 신뢰할만 하다는 것이다 즉 지 가치에 한 신뢰의 정

도가 그 지 가치를 생산한 사람이 구인가( 문가인가 아닌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얼마나 많은 사람이 그 지 가치의 생산에 참여했느냐에 따라 결정된

다는 것이다 표 인 집단지성의 지 가치 생산의 로 언 되는 키피디아의

경우 신뢰도는 리타니카 백과사 에 버 가는 신뢰를 확보하고 있다

4 신뢰의 괴와 응

신뢰의 괴는 쉽게 말해 배신으로 표 된다 배신행 의 부분의 원인은 개인

의 이기심이다 즉 신뢰를 어기면서도 어떠한 행동을 하게 되면 그 신뢰를 어겨서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2

겪는 피해보다 자신이 얻는 것이 더 많을 때 배신행 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극단

인 로 한 폭력조직에서 조직성원들의 신뢰를 버리고 조직의 비 을 설하게

해야 할지 고민이 될 때 조직의 보복은 두려우나 그로 인해 자신에게 엄청난 이익

이 생기게 되면 결국 조직의 비 을 설한다는 것이다 이보다 더 일상 인 를

하나 들어보자 친구가 lsquo다른 친구들에게 로 말하지마rsquo라고 그 친구의 비 을 나

에게 얘기해주었다 그 친구는 나의 친한 친구 기 때문에 자신의 비 을 나에게

몰래 털어놓았다 하지만 그 비 을 다른 친구에게 나는 lsquo다른 이에게는 로 말

하지마 그 친구가 알면 나 큰일나rsquo라고 말하면서 그 친구의 비 을 알린다 이 때의

이기심은 경우에 따라 다르겠으나 비 정보를 나만이 알고 있다는 것을 다른 이에

게 알리고 과시하고 싶은 욕구의 이기심이다 이러한 배신 행 에 해서는 어느 사

회 어느 인간을 막론하고 냉엄하게 응한다 최상진에 의하면 배신자라는 말 자체

의 사 의미가 lsquo등을 돌린다rsquo라는 것으로 이는 완 히 자신에게 등을 돌린 사람

남남인 사람을 의미한다(20027) 신뢰를 버려야했던 행 로 인해 얻어지는 이익

에 기뻐하지만 신뢰를 버린 행 가 도덕 으로 규탄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자신 스스로 괴로워한다 친한 친구들에게 돈 사기를 친 이들이 자수를 하는

경우에는 이 양심의 소리가 주는 고통이 단히 컸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치의 감정

은 스스로 양심의 가책을 느껴 생기는 자괴성(self-shamed)이다 한국사회는 이기

심에서 발 된 배신행 에 해서 그 처벌을 엄격하게 하여 사회에서 완 소외되

게 하거나 스스로 극도의 자괴감을 가지도록 하는 사회담론을 형성해 왔다 이는

사회에서의 신뢰를 무엇보다 시해온 한국사회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정보사회에서 신뢰의 괴는 그 다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 먼

익명성에 자신을 숨기고 다른 이들의 사생활정보를 헤쳐 이를 악용하는 것이

표 인 사례다 사이버공간에서는 자신의 사생활정보를 나의 동의없이 다른 이에게

공개하지 못할 것이라는 lsquo시스템안 에 한 신뢰rsquo가 작동된다 그 기에 인터넷 쇼

핑 인터넷 뱅킹 등이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단히 험한 일이기도 하다 경

제 이윤으로 직결되는 사생활정보를 외부로 팔아넘겨 얼마든지 이윤을 챙길 가능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3

성이 항상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8년 옥션사태 SK사태에서 잘 나타났듯이 우

리의 사생활정보는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기업 혹은 해커들에 의해 노출될 험

이 있다 이때 신뢰는 개인과 개인 사이에서의 문제를 넘어서 개인과 체계의 문제가

된다 개인 수 에서도 신뢰의 괴는 쉽게 이루어진다 역시 익명성이라는 속성

상 나의 본체가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내가 신뢰를 괴하더라도 그 책임으로부

터 숨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 다면 사이버공간에서 신뢰의 괴가 생길 때 이에 한 응은 어떻게 이루

어지는가 이 사회에서는 신뢰의 괴를 한 이를 색출하여 이를 공동체에서 배제

를 시킴으로써 체조직의 신뢰를 유지하 다 이를 해 엄격한 법 체제가 마련

되었음은 물론이다 개인 한 이러한 신뢰 괴 행 에 해 자괴성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하지만 사이버공간에서는 이러한 배제행 와 자괴성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이 군지를 숨길 수 있는 익명성이라는 사이버공간의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신뢰를 괴하는 행 가 특히 개인간의 차원에서 벌어졌을 때 신뢰

를 괴한 이를 찾아내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사이버공간에서 축출을 한다고 해도

그는 다른 익명성 혹은 가명성으로 새롭게 신뢰 괴행 에 나설수 있다 재 사

이버테러에 응하는 사법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사이버공간의 본질 속성상

그 논의 자체가 쉽지 않는 상태이다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25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 자본 축 을 해

지 까지 정보사회의 신뢰에 있어서 신뢰의 형성구조 신뢰의 표출형태 신뢰의

상 신뢰의 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심으로 그 변화의 측면을 논해보았다 먼

이 사회에서는 연 지연 학연 등을 심으로 하는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

뢰가 형성되었던 반면 정보사회에서는 연고 보다는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하

면서 그 계의 끈이 비교 느슨한 lsquo약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뢰가 형성되는 상

이 발생하고 있다 이때 약한 연 에서 경험되는 것은 익명의 존재들 간에 호혜 으

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며 이 호혜성의 경험이 상 방에 한 신뢰를 갖게 한다

이때 신뢰는 물질 이익을 주고 받으면서 생기는 것이라가 보다는 함께 무엇인가

를 즐기고 공유하면서 생기는 lsquo친 감rsquo에 기 한 신뢰의 의미가 강하다 한편 기존의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한 신뢰 역시 정보사회의 표 공간인 사이버공간을 통해서 재

생산되는 측면이 있다 문제는 신뢰의 표출형태이다 약한 계에서 형성된 신뢰라

면 보다 개방 인 신뢰의 모습을 지녀야 하지만 한국사회에 있어서는 그 지 못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즉 기존의 사회에서 뚜렷이 나타났던 lsquo자기 집단에 한 극

단 신뢰rsquo와 lsquo타 집단에 한 극단 불신rsquo이 그것이다 설령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한 신뢰 계가 그 집단내에서는 형성되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취향과 감정을

공유하는 타집단에 해서는 극단 불신을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한국사회

의 공론장 형성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다원 가치에

한 인정의 결핍은 한국사회의 아킬 스건이다 신뢰의 상의 문제에 있어서 이

사회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상은 공식 으로 인정받은(학 등을 통해) 문

가들이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소수의 문가들에 한 신뢰의 수 이

떨어지고 오히려 다수의 비 문가들이 집단 으로 생산해낸 지 가치에 한 신뢰

의 수 이 높아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뢰를 괴하는 행 가 정보사회에서는 그

익명 공간 안에서 손쉽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을 지 하 다 한 이 배신의 행

에 해 과거에는 배신자를 공동체에서 축출하는 것으로 응하 는데 정보사회

에서는 이 배신자 자체를 찾아내기가 단히 어렵다는 난제를 지니고 있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6

한 사회가 보다 인간다운 사회의 모습을 지니기 해서는 사회 자본의 축 이

필수 이며 이 사회 자본의 핵심이 사회 성원들 간의 신뢰이다 사회 자본의

축 을 통한 기회비용의 감소 뿐만이 아니라 공동체성의 회복의 가능성을 제기한

콜만과 퍼트남의 을 받아들이면서 우리는 이제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모습을

통해 새로운 사회 자본의 가능성을 논할 수 있다 개인들이 고립되어 있는 상태를

벗어나 계를 복원시켜야 한다는 퍼트남의 논의는 재 한국사회의 상황에서는 아

쉽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미 개인주의가 확산될 로 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 계가 분명 사이버공간에서 생성되고 있음은 사회

자본의 축 가능성을 다시 제기하게 한다 과거와 같은 형태의 공동체가 아닌

마페졸리(Maffesoli) 등이 제기하는 lsquo부족rsquo 형태에 기반한 사회 자본을 논할 수 있

게 된 것이다 하지만 여 히 lsquo편 가르기rsquo라는 한국의 사회문화 특성으로 인해 이

신뢰 계가 극단 편나 기 양상으로 번지곤 하는 것은 안타까운 실이다 황우

석 사태에서도 잘 나타났듯이 자신들 편의 말만 믿으면서 다른 이들에 한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성 토론 보다는 감정 비난이 앞서는 의사소통 형

태가 사이버공간에서 그 로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사회 자본

을 축 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의 장인 공론장의 형성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정보

사회에서의 공론장은 특히 사이버공간으로 확장되어 있는 특성을 지니는데 이때

사이버공간의 익명성이라는 특성상 이성 의사소통이 더욱 어려워지는 한계를 지

니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무엇보다 의사소통하는 상 방에 한

감을 보다 높이고 의사소통을 원만하게 해주는 재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

으로 응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27

참 고 문 헌

김신동 2001 lsquo정보와 사회 신뢰rsquo 「신뢰연구」 제 11권 통합호 한림과학원

박찬웅 1998 lsquo신뢰의 기와 사회 자본rsquo 1998년 후기사회학 회 발표집

박희 이희창김동욱김철수박병래 2002 한국인의 신뢰 수 향 요인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3호

윤민재 2004 lsquo신뢰와 사회자본에 한 사회 이해rsquo 「신뢰연구」 한림과학원

장원호 2004 985172사이버커뮤니티와 사회 계의 변화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장형유정기한 2004 lsquo인터넷 쇼핑몰에서 고객신뢰 태도 계몰입과 구매의도의

구조 계에 한 연구rsquo 「한국마 」 한국마 학회

최상진김의철김기범 2003 lsquo한국사회에서의 인 계속의 신뢰와 불신의 기반

으로서의 마음에 한 문화심리학 근rsquo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최항섭 2004 985172IT가 인 연결망과 공공선(public interest)에 미치는 향연구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Barney Darin 2004 The Network Society Cambridge Polity Press

Burke Peter 2000 A Social History of Knowledge Cambridge Polity Press

Castells Manuel 2001 The Internet Galaxy Reflections on the Internet Business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Condorcet Antonie-Nicolas Marquis de 1794 Sketch of the Progress of the

Human Mind Except trans by J Barra Clough 1955 pp800-10 in Peter

Gay The Enlightment A Comprehensive Anthology New York Schocken

Books

Goldman Alvin I 1999 Knowledge in a Social world New York Oxford Uni-

versity Press amp Clarendon Press

Hakken David 2003 The Knowledge landscape of Cyberspace New York Routledge

Lyotard JF 1979 La condition postmoderne Paris Minuit 이 복 역 「정보사

회에서의 지식의 상」 1992 서 사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8

Mannheim Karl 1936 Ideology and Utopia Harcourt Brace amp World

Star Susan Leigh 1995 The Cultures of Computing Oxford Blackwell

Page 19: 최 항 섭 - KISDI · 2009-08-17 · 최 항 섭 ․jesuishs@kisdi.re.kr, 02-570-4090 ․프랑스 파리 5대학 사회학부 박사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초빙전문위원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2

겪는 피해보다 자신이 얻는 것이 더 많을 때 배신행 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극단

인 로 한 폭력조직에서 조직성원들의 신뢰를 버리고 조직의 비 을 설하게

해야 할지 고민이 될 때 조직의 보복은 두려우나 그로 인해 자신에게 엄청난 이익

이 생기게 되면 결국 조직의 비 을 설한다는 것이다 이보다 더 일상 인 를

하나 들어보자 친구가 lsquo다른 친구들에게 로 말하지마rsquo라고 그 친구의 비 을 나

에게 얘기해주었다 그 친구는 나의 친한 친구 기 때문에 자신의 비 을 나에게

몰래 털어놓았다 하지만 그 비 을 다른 친구에게 나는 lsquo다른 이에게는 로 말

하지마 그 친구가 알면 나 큰일나rsquo라고 말하면서 그 친구의 비 을 알린다 이 때의

이기심은 경우에 따라 다르겠으나 비 정보를 나만이 알고 있다는 것을 다른 이에

게 알리고 과시하고 싶은 욕구의 이기심이다 이러한 배신 행 에 해서는 어느 사

회 어느 인간을 막론하고 냉엄하게 응한다 최상진에 의하면 배신자라는 말 자체

의 사 의미가 lsquo등을 돌린다rsquo라는 것으로 이는 완 히 자신에게 등을 돌린 사람

남남인 사람을 의미한다(20027) 신뢰를 버려야했던 행 로 인해 얻어지는 이익

에 기뻐하지만 신뢰를 버린 행 가 도덕 으로 규탄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자신 스스로 괴로워한다 친한 친구들에게 돈 사기를 친 이들이 자수를 하는

경우에는 이 양심의 소리가 주는 고통이 단히 컸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치의 감정

은 스스로 양심의 가책을 느껴 생기는 자괴성(self-shamed)이다 한국사회는 이기

심에서 발 된 배신행 에 해서 그 처벌을 엄격하게 하여 사회에서 완 소외되

게 하거나 스스로 극도의 자괴감을 가지도록 하는 사회담론을 형성해 왔다 이는

사회에서의 신뢰를 무엇보다 시해온 한국사회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정보사회에서 신뢰의 괴는 그 다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 먼

익명성에 자신을 숨기고 다른 이들의 사생활정보를 헤쳐 이를 악용하는 것이

표 인 사례다 사이버공간에서는 자신의 사생활정보를 나의 동의없이 다른 이에게

공개하지 못할 것이라는 lsquo시스템안 에 한 신뢰rsquo가 작동된다 그 기에 인터넷 쇼

핑 인터넷 뱅킹 등이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단히 험한 일이기도 하다 경

제 이윤으로 직결되는 사생활정보를 외부로 팔아넘겨 얼마든지 이윤을 챙길 가능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3

성이 항상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8년 옥션사태 SK사태에서 잘 나타났듯이 우

리의 사생활정보는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기업 혹은 해커들에 의해 노출될 험

이 있다 이때 신뢰는 개인과 개인 사이에서의 문제를 넘어서 개인과 체계의 문제가

된다 개인 수 에서도 신뢰의 괴는 쉽게 이루어진다 역시 익명성이라는 속성

상 나의 본체가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내가 신뢰를 괴하더라도 그 책임으로부

터 숨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 다면 사이버공간에서 신뢰의 괴가 생길 때 이에 한 응은 어떻게 이루

어지는가 이 사회에서는 신뢰의 괴를 한 이를 색출하여 이를 공동체에서 배제

를 시킴으로써 체조직의 신뢰를 유지하 다 이를 해 엄격한 법 체제가 마련

되었음은 물론이다 개인 한 이러한 신뢰 괴 행 에 해 자괴성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하지만 사이버공간에서는 이러한 배제행 와 자괴성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이 군지를 숨길 수 있는 익명성이라는 사이버공간의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신뢰를 괴하는 행 가 특히 개인간의 차원에서 벌어졌을 때 신뢰

를 괴한 이를 찾아내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사이버공간에서 축출을 한다고 해도

그는 다른 익명성 혹은 가명성으로 새롭게 신뢰 괴행 에 나설수 있다 재 사

이버테러에 응하는 사법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사이버공간의 본질 속성상

그 논의 자체가 쉽지 않는 상태이다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25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 자본 축 을 해

지 까지 정보사회의 신뢰에 있어서 신뢰의 형성구조 신뢰의 표출형태 신뢰의

상 신뢰의 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심으로 그 변화의 측면을 논해보았다 먼

이 사회에서는 연 지연 학연 등을 심으로 하는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

뢰가 형성되었던 반면 정보사회에서는 연고 보다는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하

면서 그 계의 끈이 비교 느슨한 lsquo약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뢰가 형성되는 상

이 발생하고 있다 이때 약한 연 에서 경험되는 것은 익명의 존재들 간에 호혜 으

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며 이 호혜성의 경험이 상 방에 한 신뢰를 갖게 한다

이때 신뢰는 물질 이익을 주고 받으면서 생기는 것이라가 보다는 함께 무엇인가

를 즐기고 공유하면서 생기는 lsquo친 감rsquo에 기 한 신뢰의 의미가 강하다 한편 기존의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한 신뢰 역시 정보사회의 표 공간인 사이버공간을 통해서 재

생산되는 측면이 있다 문제는 신뢰의 표출형태이다 약한 계에서 형성된 신뢰라

면 보다 개방 인 신뢰의 모습을 지녀야 하지만 한국사회에 있어서는 그 지 못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즉 기존의 사회에서 뚜렷이 나타났던 lsquo자기 집단에 한 극

단 신뢰rsquo와 lsquo타 집단에 한 극단 불신rsquo이 그것이다 설령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한 신뢰 계가 그 집단내에서는 형성되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취향과 감정을

공유하는 타집단에 해서는 극단 불신을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한국사회

의 공론장 형성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다원 가치에

한 인정의 결핍은 한국사회의 아킬 스건이다 신뢰의 상의 문제에 있어서 이

사회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상은 공식 으로 인정받은(학 등을 통해) 문

가들이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소수의 문가들에 한 신뢰의 수 이

떨어지고 오히려 다수의 비 문가들이 집단 으로 생산해낸 지 가치에 한 신뢰

의 수 이 높아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뢰를 괴하는 행 가 정보사회에서는 그

익명 공간 안에서 손쉽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을 지 하 다 한 이 배신의 행

에 해 과거에는 배신자를 공동체에서 축출하는 것으로 응하 는데 정보사회

에서는 이 배신자 자체를 찾아내기가 단히 어렵다는 난제를 지니고 있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6

한 사회가 보다 인간다운 사회의 모습을 지니기 해서는 사회 자본의 축 이

필수 이며 이 사회 자본의 핵심이 사회 성원들 간의 신뢰이다 사회 자본의

축 을 통한 기회비용의 감소 뿐만이 아니라 공동체성의 회복의 가능성을 제기한

콜만과 퍼트남의 을 받아들이면서 우리는 이제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모습을

통해 새로운 사회 자본의 가능성을 논할 수 있다 개인들이 고립되어 있는 상태를

벗어나 계를 복원시켜야 한다는 퍼트남의 논의는 재 한국사회의 상황에서는 아

쉽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미 개인주의가 확산될 로 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 계가 분명 사이버공간에서 생성되고 있음은 사회

자본의 축 가능성을 다시 제기하게 한다 과거와 같은 형태의 공동체가 아닌

마페졸리(Maffesoli) 등이 제기하는 lsquo부족rsquo 형태에 기반한 사회 자본을 논할 수 있

게 된 것이다 하지만 여 히 lsquo편 가르기rsquo라는 한국의 사회문화 특성으로 인해 이

신뢰 계가 극단 편나 기 양상으로 번지곤 하는 것은 안타까운 실이다 황우

석 사태에서도 잘 나타났듯이 자신들 편의 말만 믿으면서 다른 이들에 한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성 토론 보다는 감정 비난이 앞서는 의사소통 형

태가 사이버공간에서 그 로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사회 자본

을 축 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의 장인 공론장의 형성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정보

사회에서의 공론장은 특히 사이버공간으로 확장되어 있는 특성을 지니는데 이때

사이버공간의 익명성이라는 특성상 이성 의사소통이 더욱 어려워지는 한계를 지

니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무엇보다 의사소통하는 상 방에 한

감을 보다 높이고 의사소통을 원만하게 해주는 재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

으로 응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27

참 고 문 헌

김신동 2001 lsquo정보와 사회 신뢰rsquo 「신뢰연구」 제 11권 통합호 한림과학원

박찬웅 1998 lsquo신뢰의 기와 사회 자본rsquo 1998년 후기사회학 회 발표집

박희 이희창김동욱김철수박병래 2002 한국인의 신뢰 수 향 요인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3호

윤민재 2004 lsquo신뢰와 사회자본에 한 사회 이해rsquo 「신뢰연구」 한림과학원

장원호 2004 985172사이버커뮤니티와 사회 계의 변화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장형유정기한 2004 lsquo인터넷 쇼핑몰에서 고객신뢰 태도 계몰입과 구매의도의

구조 계에 한 연구rsquo 「한국마 」 한국마 학회

최상진김의철김기범 2003 lsquo한국사회에서의 인 계속의 신뢰와 불신의 기반

으로서의 마음에 한 문화심리학 근rsquo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최항섭 2004 985172IT가 인 연결망과 공공선(public interest)에 미치는 향연구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Barney Darin 2004 The Network Society Cambridge Polity Press

Burke Peter 2000 A Social History of Knowledge Cambridge Polity Press

Castells Manuel 2001 The Internet Galaxy Reflections on the Internet Business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Condorcet Antonie-Nicolas Marquis de 1794 Sketch of the Progress of the

Human Mind Except trans by J Barra Clough 1955 pp800-10 in Peter

Gay The Enlightment A Comprehensive Anthology New York Schocken

Books

Goldman Alvin I 1999 Knowledge in a Social world New York Oxford Uni-

versity Press amp Clarendon Press

Hakken David 2003 The Knowledge landscape of Cyberspace New York Routledge

Lyotard JF 1979 La condition postmoderne Paris Minuit 이 복 역 「정보사

회에서의 지식의 상」 1992 서 사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8

Mannheim Karl 1936 Ideology and Utopia Harcourt Brace amp World

Star Susan Leigh 1995 The Cultures of Computing Oxford Blackwell

Page 20: 최 항 섭 - KISDI · 2009-08-17 · 최 항 섭 ․jesuishs@kisdi.re.kr, 02-570-4090 ․프랑스 파리 5대학 사회학부 박사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초빙전문위원

Ⅲ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변화

23

성이 항상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8년 옥션사태 SK사태에서 잘 나타났듯이 우

리의 사생활정보는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기업 혹은 해커들에 의해 노출될 험

이 있다 이때 신뢰는 개인과 개인 사이에서의 문제를 넘어서 개인과 체계의 문제가

된다 개인 수 에서도 신뢰의 괴는 쉽게 이루어진다 역시 익명성이라는 속성

상 나의 본체가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내가 신뢰를 괴하더라도 그 책임으로부

터 숨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 다면 사이버공간에서 신뢰의 괴가 생길 때 이에 한 응은 어떻게 이루

어지는가 이 사회에서는 신뢰의 괴를 한 이를 색출하여 이를 공동체에서 배제

를 시킴으로써 체조직의 신뢰를 유지하 다 이를 해 엄격한 법 체제가 마련

되었음은 물론이다 개인 한 이러한 신뢰 괴 행 에 해 자괴성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하지만 사이버공간에서는 이러한 배제행 와 자괴성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이 군지를 숨길 수 있는 익명성이라는 사이버공간의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신뢰를 괴하는 행 가 특히 개인간의 차원에서 벌어졌을 때 신뢰

를 괴한 이를 찾아내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사이버공간에서 축출을 한다고 해도

그는 다른 익명성 혹은 가명성으로 새롭게 신뢰 괴행 에 나설수 있다 재 사

이버테러에 응하는 사법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사이버공간의 본질 속성상

그 논의 자체가 쉽지 않는 상태이다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25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 자본 축 을 해

지 까지 정보사회의 신뢰에 있어서 신뢰의 형성구조 신뢰의 표출형태 신뢰의

상 신뢰의 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심으로 그 변화의 측면을 논해보았다 먼

이 사회에서는 연 지연 학연 등을 심으로 하는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

뢰가 형성되었던 반면 정보사회에서는 연고 보다는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하

면서 그 계의 끈이 비교 느슨한 lsquo약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뢰가 형성되는 상

이 발생하고 있다 이때 약한 연 에서 경험되는 것은 익명의 존재들 간에 호혜 으

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며 이 호혜성의 경험이 상 방에 한 신뢰를 갖게 한다

이때 신뢰는 물질 이익을 주고 받으면서 생기는 것이라가 보다는 함께 무엇인가

를 즐기고 공유하면서 생기는 lsquo친 감rsquo에 기 한 신뢰의 의미가 강하다 한편 기존의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한 신뢰 역시 정보사회의 표 공간인 사이버공간을 통해서 재

생산되는 측면이 있다 문제는 신뢰의 표출형태이다 약한 계에서 형성된 신뢰라

면 보다 개방 인 신뢰의 모습을 지녀야 하지만 한국사회에 있어서는 그 지 못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즉 기존의 사회에서 뚜렷이 나타났던 lsquo자기 집단에 한 극

단 신뢰rsquo와 lsquo타 집단에 한 극단 불신rsquo이 그것이다 설령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한 신뢰 계가 그 집단내에서는 형성되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취향과 감정을

공유하는 타집단에 해서는 극단 불신을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한국사회

의 공론장 형성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다원 가치에

한 인정의 결핍은 한국사회의 아킬 스건이다 신뢰의 상의 문제에 있어서 이

사회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상은 공식 으로 인정받은(학 등을 통해) 문

가들이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소수의 문가들에 한 신뢰의 수 이

떨어지고 오히려 다수의 비 문가들이 집단 으로 생산해낸 지 가치에 한 신뢰

의 수 이 높아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뢰를 괴하는 행 가 정보사회에서는 그

익명 공간 안에서 손쉽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을 지 하 다 한 이 배신의 행

에 해 과거에는 배신자를 공동체에서 축출하는 것으로 응하 는데 정보사회

에서는 이 배신자 자체를 찾아내기가 단히 어렵다는 난제를 지니고 있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6

한 사회가 보다 인간다운 사회의 모습을 지니기 해서는 사회 자본의 축 이

필수 이며 이 사회 자본의 핵심이 사회 성원들 간의 신뢰이다 사회 자본의

축 을 통한 기회비용의 감소 뿐만이 아니라 공동체성의 회복의 가능성을 제기한

콜만과 퍼트남의 을 받아들이면서 우리는 이제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모습을

통해 새로운 사회 자본의 가능성을 논할 수 있다 개인들이 고립되어 있는 상태를

벗어나 계를 복원시켜야 한다는 퍼트남의 논의는 재 한국사회의 상황에서는 아

쉽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미 개인주의가 확산될 로 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 계가 분명 사이버공간에서 생성되고 있음은 사회

자본의 축 가능성을 다시 제기하게 한다 과거와 같은 형태의 공동체가 아닌

마페졸리(Maffesoli) 등이 제기하는 lsquo부족rsquo 형태에 기반한 사회 자본을 논할 수 있

게 된 것이다 하지만 여 히 lsquo편 가르기rsquo라는 한국의 사회문화 특성으로 인해 이

신뢰 계가 극단 편나 기 양상으로 번지곤 하는 것은 안타까운 실이다 황우

석 사태에서도 잘 나타났듯이 자신들 편의 말만 믿으면서 다른 이들에 한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성 토론 보다는 감정 비난이 앞서는 의사소통 형

태가 사이버공간에서 그 로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사회 자본

을 축 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의 장인 공론장의 형성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정보

사회에서의 공론장은 특히 사이버공간으로 확장되어 있는 특성을 지니는데 이때

사이버공간의 익명성이라는 특성상 이성 의사소통이 더욱 어려워지는 한계를 지

니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무엇보다 의사소통하는 상 방에 한

감을 보다 높이고 의사소통을 원만하게 해주는 재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

으로 응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27

참 고 문 헌

김신동 2001 lsquo정보와 사회 신뢰rsquo 「신뢰연구」 제 11권 통합호 한림과학원

박찬웅 1998 lsquo신뢰의 기와 사회 자본rsquo 1998년 후기사회학 회 발표집

박희 이희창김동욱김철수박병래 2002 한국인의 신뢰 수 향 요인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3호

윤민재 2004 lsquo신뢰와 사회자본에 한 사회 이해rsquo 「신뢰연구」 한림과학원

장원호 2004 985172사이버커뮤니티와 사회 계의 변화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장형유정기한 2004 lsquo인터넷 쇼핑몰에서 고객신뢰 태도 계몰입과 구매의도의

구조 계에 한 연구rsquo 「한국마 」 한국마 학회

최상진김의철김기범 2003 lsquo한국사회에서의 인 계속의 신뢰와 불신의 기반

으로서의 마음에 한 문화심리학 근rsquo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최항섭 2004 985172IT가 인 연결망과 공공선(public interest)에 미치는 향연구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Barney Darin 2004 The Network Society Cambridge Polity Press

Burke Peter 2000 A Social History of Knowledge Cambridge Polity Press

Castells Manuel 2001 The Internet Galaxy Reflections on the Internet Business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Condorcet Antonie-Nicolas Marquis de 1794 Sketch of the Progress of the

Human Mind Except trans by J Barra Clough 1955 pp800-10 in Peter

Gay The Enlightment A Comprehensive Anthology New York Schocken

Books

Goldman Alvin I 1999 Knowledge in a Social world New York Oxford Uni-

versity Press amp Clarendon Press

Hakken David 2003 The Knowledge landscape of Cyberspace New York Routledge

Lyotard JF 1979 La condition postmoderne Paris Minuit 이 복 역 「정보사

회에서의 지식의 상」 1992 서 사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8

Mannheim Karl 1936 Ideology and Utopia Harcourt Brace amp World

Star Susan Leigh 1995 The Cultures of Computing Oxford Blackwell

Page 21: 최 항 섭 - KISDI · 2009-08-17 · 최 항 섭 ․jesuishs@kisdi.re.kr, 02-570-4090 ․프랑스 파리 5대학 사회학부 박사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초빙전문위원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25

Ⅳ 결론 정보사회의 사회 자본 축 을 해

지 까지 정보사회의 신뢰에 있어서 신뢰의 형성구조 신뢰의 표출형태 신뢰의

상 신뢰의 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심으로 그 변화의 측면을 논해보았다 먼

이 사회에서는 연 지연 학연 등을 심으로 하는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

뢰가 형성되었던 반면 정보사회에서는 연고 보다는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하

면서 그 계의 끈이 비교 느슨한 lsquo약한 연 rsquo에 기 하여 신뢰가 형성되는 상

이 발생하고 있다 이때 약한 연 에서 경험되는 것은 익명의 존재들 간에 호혜 으

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며 이 호혜성의 경험이 상 방에 한 신뢰를 갖게 한다

이때 신뢰는 물질 이익을 주고 받으면서 생기는 것이라가 보다는 함께 무엇인가

를 즐기고 공유하면서 생기는 lsquo친 감rsquo에 기 한 신뢰의 의미가 강하다 한편 기존의

lsquo강한 연 rsquo에 기 한 신뢰 역시 정보사회의 표 공간인 사이버공간을 통해서 재

생산되는 측면이 있다 문제는 신뢰의 표출형태이다 약한 계에서 형성된 신뢰라

면 보다 개방 인 신뢰의 모습을 지녀야 하지만 한국사회에 있어서는 그 지 못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즉 기존의 사회에서 뚜렷이 나타났던 lsquo자기 집단에 한 극

단 신뢰rsquo와 lsquo타 집단에 한 극단 불신rsquo이 그것이다 설령 취향과 감정의 공유에

기 한 신뢰 계가 그 집단내에서는 형성되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취향과 감정을

공유하는 타집단에 해서는 극단 불신을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한국사회

의 공론장 형성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다원 가치에

한 인정의 결핍은 한국사회의 아킬 스건이다 신뢰의 상의 문제에 있어서 이

사회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상은 공식 으로 인정받은(학 등을 통해) 문

가들이었다 하지만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소수의 문가들에 한 신뢰의 수 이

떨어지고 오히려 다수의 비 문가들이 집단 으로 생산해낸 지 가치에 한 신뢰

의 수 이 높아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뢰를 괴하는 행 가 정보사회에서는 그

익명 공간 안에서 손쉽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을 지 하 다 한 이 배신의 행

에 해 과거에는 배신자를 공동체에서 축출하는 것으로 응하 는데 정보사회

에서는 이 배신자 자체를 찾아내기가 단히 어렵다는 난제를 지니고 있다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6

한 사회가 보다 인간다운 사회의 모습을 지니기 해서는 사회 자본의 축 이

필수 이며 이 사회 자본의 핵심이 사회 성원들 간의 신뢰이다 사회 자본의

축 을 통한 기회비용의 감소 뿐만이 아니라 공동체성의 회복의 가능성을 제기한

콜만과 퍼트남의 을 받아들이면서 우리는 이제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모습을

통해 새로운 사회 자본의 가능성을 논할 수 있다 개인들이 고립되어 있는 상태를

벗어나 계를 복원시켜야 한다는 퍼트남의 논의는 재 한국사회의 상황에서는 아

쉽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미 개인주의가 확산될 로 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 계가 분명 사이버공간에서 생성되고 있음은 사회

자본의 축 가능성을 다시 제기하게 한다 과거와 같은 형태의 공동체가 아닌

마페졸리(Maffesoli) 등이 제기하는 lsquo부족rsquo 형태에 기반한 사회 자본을 논할 수 있

게 된 것이다 하지만 여 히 lsquo편 가르기rsquo라는 한국의 사회문화 특성으로 인해 이

신뢰 계가 극단 편나 기 양상으로 번지곤 하는 것은 안타까운 실이다 황우

석 사태에서도 잘 나타났듯이 자신들 편의 말만 믿으면서 다른 이들에 한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성 토론 보다는 감정 비난이 앞서는 의사소통 형

태가 사이버공간에서 그 로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사회 자본

을 축 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의 장인 공론장의 형성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정보

사회에서의 공론장은 특히 사이버공간으로 확장되어 있는 특성을 지니는데 이때

사이버공간의 익명성이라는 특성상 이성 의사소통이 더욱 어려워지는 한계를 지

니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무엇보다 의사소통하는 상 방에 한

감을 보다 높이고 의사소통을 원만하게 해주는 재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

으로 응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27

참 고 문 헌

김신동 2001 lsquo정보와 사회 신뢰rsquo 「신뢰연구」 제 11권 통합호 한림과학원

박찬웅 1998 lsquo신뢰의 기와 사회 자본rsquo 1998년 후기사회학 회 발표집

박희 이희창김동욱김철수박병래 2002 한국인의 신뢰 수 향 요인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3호

윤민재 2004 lsquo신뢰와 사회자본에 한 사회 이해rsquo 「신뢰연구」 한림과학원

장원호 2004 985172사이버커뮤니티와 사회 계의 변화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장형유정기한 2004 lsquo인터넷 쇼핑몰에서 고객신뢰 태도 계몰입과 구매의도의

구조 계에 한 연구rsquo 「한국마 」 한국마 학회

최상진김의철김기범 2003 lsquo한국사회에서의 인 계속의 신뢰와 불신의 기반

으로서의 마음에 한 문화심리학 근rsquo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최항섭 2004 985172IT가 인 연결망과 공공선(public interest)에 미치는 향연구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Barney Darin 2004 The Network Society Cambridge Polity Press

Burke Peter 2000 A Social History of Knowledge Cambridge Polity Press

Castells Manuel 2001 The Internet Galaxy Reflections on the Internet Business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Condorcet Antonie-Nicolas Marquis de 1794 Sketch of the Progress of the

Human Mind Except trans by J Barra Clough 1955 pp800-10 in Peter

Gay The Enlightment A Comprehensive Anthology New York Schocken

Books

Goldman Alvin I 1999 Knowledge in a Social world New York Oxford Uni-

versity Press amp Clarendon Press

Hakken David 2003 The Knowledge landscape of Cyberspace New York Routledge

Lyotard JF 1979 La condition postmoderne Paris Minuit 이 복 역 「정보사

회에서의 지식의 상」 1992 서 사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8

Mannheim Karl 1936 Ideology and Utopia Harcourt Brace amp World

Star Susan Leigh 1995 The Cultures of Computing Oxford Blackwell

Page 22: 최 항 섭 - KISDI · 2009-08-17 · 최 항 섭 ․jesuishs@kisdi.re.kr, 02-570-4090 ․프랑스 파리 5대학 사회학부 박사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초빙전문위원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6

한 사회가 보다 인간다운 사회의 모습을 지니기 해서는 사회 자본의 축 이

필수 이며 이 사회 자본의 핵심이 사회 성원들 간의 신뢰이다 사회 자본의

축 을 통한 기회비용의 감소 뿐만이 아니라 공동체성의 회복의 가능성을 제기한

콜만과 퍼트남의 을 받아들이면서 우리는 이제 정보사회에서의 신뢰의 모습을

통해 새로운 사회 자본의 가능성을 논할 수 있다 개인들이 고립되어 있는 상태를

벗어나 계를 복원시켜야 한다는 퍼트남의 논의는 재 한국사회의 상황에서는 아

쉽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미 개인주의가 확산될 로 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약한 연 에 기 한 신뢰 계가 분명 사이버공간에서 생성되고 있음은 사회

자본의 축 가능성을 다시 제기하게 한다 과거와 같은 형태의 공동체가 아닌

마페졸리(Maffesoli) 등이 제기하는 lsquo부족rsquo 형태에 기반한 사회 자본을 논할 수 있

게 된 것이다 하지만 여 히 lsquo편 가르기rsquo라는 한국의 사회문화 특성으로 인해 이

신뢰 계가 극단 편나 기 양상으로 번지곤 하는 것은 안타까운 실이다 황우

석 사태에서도 잘 나타났듯이 자신들 편의 말만 믿으면서 다른 이들에 한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성 토론 보다는 감정 비난이 앞서는 의사소통 형

태가 사이버공간에서 그 로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사회 자본

을 축 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의 장인 공론장의 형성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정보

사회에서의 공론장은 특히 사이버공간으로 확장되어 있는 특성을 지니는데 이때

사이버공간의 익명성이라는 특성상 이성 의사소통이 더욱 어려워지는 한계를 지

니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무엇보다 의사소통하는 상 방에 한

감을 보다 높이고 의사소통을 원만하게 해주는 재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

으로 응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27

참 고 문 헌

김신동 2001 lsquo정보와 사회 신뢰rsquo 「신뢰연구」 제 11권 통합호 한림과학원

박찬웅 1998 lsquo신뢰의 기와 사회 자본rsquo 1998년 후기사회학 회 발표집

박희 이희창김동욱김철수박병래 2002 한국인의 신뢰 수 향 요인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3호

윤민재 2004 lsquo신뢰와 사회자본에 한 사회 이해rsquo 「신뢰연구」 한림과학원

장원호 2004 985172사이버커뮤니티와 사회 계의 변화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장형유정기한 2004 lsquo인터넷 쇼핑몰에서 고객신뢰 태도 계몰입과 구매의도의

구조 계에 한 연구rsquo 「한국마 」 한국마 학회

최상진김의철김기범 2003 lsquo한국사회에서의 인 계속의 신뢰와 불신의 기반

으로서의 마음에 한 문화심리학 근rsquo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최항섭 2004 985172IT가 인 연결망과 공공선(public interest)에 미치는 향연구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Barney Darin 2004 The Network Society Cambridge Polity Press

Burke Peter 2000 A Social History of Knowledge Cambridge Polity Press

Castells Manuel 2001 The Internet Galaxy Reflections on the Internet Business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Condorcet Antonie-Nicolas Marquis de 1794 Sketch of the Progress of the

Human Mind Except trans by J Barra Clough 1955 pp800-10 in Peter

Gay The Enlightment A Comprehensive Anthology New York Schocken

Books

Goldman Alvin I 1999 Knowledge in a Social world New York Oxford Uni-

versity Press amp Clarendon Press

Hakken David 2003 The Knowledge landscape of Cyberspace New York Routledge

Lyotard JF 1979 La condition postmoderne Paris Minuit 이 복 역 「정보사

회에서의 지식의 상」 1992 서 사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8

Mannheim Karl 1936 Ideology and Utopia Harcourt Brace amp World

Star Susan Leigh 1995 The Cultures of Computing Oxford Blackwell

Page 23: 최 항 섭 - KISDI · 2009-08-17 · 최 항 섭 ․jesuishs@kisdi.re.kr, 02-570-4090 ․프랑스 파리 5대학 사회학부 박사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초빙전문위원

참고문헌

27

참 고 문 헌

김신동 2001 lsquo정보와 사회 신뢰rsquo 「신뢰연구」 제 11권 통합호 한림과학원

박찬웅 1998 lsquo신뢰의 기와 사회 자본rsquo 1998년 후기사회학 회 발표집

박희 이희창김동욱김철수박병래 2002 한국인의 신뢰 수 향 요인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3호

윤민재 2004 lsquo신뢰와 사회자본에 한 사회 이해rsquo 「신뢰연구」 한림과학원

장원호 2004 985172사이버커뮤니티와 사회 계의 변화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장형유정기한 2004 lsquo인터넷 쇼핑몰에서 고객신뢰 태도 계몰입과 구매의도의

구조 계에 한 연구rsquo 「한국마 」 한국마 학회

최상진김의철김기범 2003 lsquo한국사회에서의 인 계속의 신뢰와 불신의 기반

으로서의 마음에 한 문화심리학 근rsquo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최항섭 2004 985172IT가 인 연결망과 공공선(public interest)에 미치는 향연구98517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Barney Darin 2004 The Network Society Cambridge Polity Press

Burke Peter 2000 A Social History of Knowledge Cambridge Polity Press

Castells Manuel 2001 The Internet Galaxy Reflections on the Internet Business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Condorcet Antonie-Nicolas Marquis de 1794 Sketch of the Progress of the

Human Mind Except trans by J Barra Clough 1955 pp800-10 in Peter

Gay The Enlightment A Comprehensive Anthology New York Schocken

Books

Goldman Alvin I 1999 Knowledge in a Social world New York Oxford Uni-

versity Press amp Clarendon Press

Hakken David 2003 The Knowledge landscape of Cyberspace New York Routledge

Lyotard JF 1979 La condition postmoderne Paris Minuit 이 복 역 「정보사

회에서의 지식의 상」 1992 서 사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8

Mannheim Karl 1936 Ideology and Utopia Harcourt Brace amp World

Star Susan Leigh 1995 The Cultures of Computing Oxford Blackwell

Page 24: 최 항 섭 - KISDI · 2009-08-17 · 최 항 섭 ․jesuishs@kisdi.re.kr, 02-570-4090 ․프랑스 파리 5대학 사회학부 박사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초빙전문위원

정보사회의 신뢰의 변화

28

Mannheim Karl 1936 Ideology and Utopia Harcourt Brace amp World

Star Susan Leigh 1995 The Cultures of Computing Oxford Black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