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39
1 6 6 6 한반도 통일과 미국

Upload: others

Post on 04-Sep-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1

제제제 666회회회

한한한반반반도도도 미미미래래래비비비전전전과과과 동동동북북북아아아 평평평화화화구구구축축축

전전전문문문가가가 정정정책책책포포포럼럼럼

한반도 통일과 미국

2

제6회 한반도 미래비전과 동북아 평화구축

전문가 정책포럼

목 차

행사일정 및 참석자 명단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3

발표문(김현욱 박사)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4

지정 토론자 토론문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15

참석자 프로필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34

3

행사일정 및 참석자 명단

230-300 환영 다과회

300-615 한반도 통일과 미국

사회 곽태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

발표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지정토론 (가나다 순)

1 곽태환 (경남대 석좌교수)

2 강종일 (한반도중립화 통일협의회 회장)

3 김동현 (고려대 방문교수)

4 김준형 (한동 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5 문성묵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6 서주석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7 장용석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8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9 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630-800 만찬

4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 발제문 한반도 통일과 미국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I 서론

최근 통일논의가 불거지는 상황에서 주변강대국들의 입장이 주요 논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한국과 미국 양국은 이명박 정부 시절 한반도 통일의 원칙으로 시장경제체제와

자유민주주의체제에 기반한 평화적 통일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어 박근혜 정부도

미국과의 정상회담에서 통일의 원칙으로 시장경제체제 자유민주주의체제 비핵화에

의한 평화적 통일을 언급한 바 있다

이와 같은 공식적인 미국의 통일지지에도 불구하고 최근 워싱턴 분위기는 다소

싸늘하다 중국의 부상과 함께 미국은 아시아 재균형 정책에 있어서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한미일 3각 공조의 균열에 우려하고 있다 최근 경색된

한일관계에서 미국은 공식적인 중재의사를 거부한 가운데 일본의 전략적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으며 오히려 한중 관계 강화에 대한 우려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와 같은 미중 간의 세력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의 통일과정은 더욱더

고차방정식이 되어가고 있다 강대국들은 현상유지를 선호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과거 한미동맹을 중심으로 통일을 지지해왔던 미국의 목소리에도 미심쩍은 구석이

생기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글은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먼저 현실적인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미국이 한반도

통일에서 얻을 수 있는 이익과 우려사안 한미동맹의 미래상을 짚어본다 마지막으로

앞으로 한국정부가 고려해야 할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한국은 역사적으로 연합제 통일방안을 지지해왔다 1972년 74남북공동성명을

발표함으로써 자주 평화 민족대단결이라는 통일의 대원칙을 제시하였으며 전두환

정부 시절인 1982년에는 민족화합민주통일방안을 발표하여 ldquo통일은 민족자결의 원칙에

의거하여 겨레 전체의 의사가 골고루 반영되는 민주적 절차와 평화적 방법으로

성취되어야 한다rdquo고 밝혔다 1989년 9월에는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제시하였고

통일원칙으로 자주 평화 민주를 제시하였다 통일과정은 남북정상회담을 통한

민족공동체헌장의 제정 남북연합체제로서 과도적 체제를 형성한 후 남북연합체제에서

통일헌법과 통일을 위한 구체적 절차와 방법을 마련하고 총선거에 따라 통일국가를

이루어 간다는 것이었다 김영삼 대통령은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의 기초 위에서

5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을 제안하였는데 화해협력단계 남북연합단계 통일국가단계가

그것이었다 김대중 대통령의 통일방안은 공화국연방제 혹은 3단계통일방안으로

불리는데 1단계로서 남북연합단계 2단계로서 공화국연방제 3단계로서 통일국가라는

단계적 설정과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에 기반한 통일국가상을 그리고 있다1

연방제 방안은 북한이 역사적으로 주장해온 방안으로써 정치적 군사적 차원에서 먼저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정치 군사적 안건이 해결되어야 통일프로세스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와 같은 방안에 의하면 1국가 2체제를 먼저 구축한 다음

추후에 정치적 통합을 이루겠다는 것이다 북한은 1980년 조선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이라는 완성된 형태의 통일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방안은

ldquo북과 남이 서로 상대방에 존재하는 사상과 제도를 그대로 인정하고 용납하는 기초

우에서 북과 남이 동등하게 참가하는 민족통일정부를 내오고 그 밑에서 북과 남이 같은

권한과 의무를 지니고 각각 지역자치를 실시하는 연방공화국을 창립하여 조국을 통일할

것rdquo이라고 밝히고 있다

한국의 통일정책의 특징은 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남한체제를

궁극적인 통일의 상으로 설정하고 있다는 데 있다 연합제 방안은 과도기적 체제로써

2국가 2체제를 지속시킨 이후 궁극적으로 통일을 이루겠다는 것이다 즉 2개의

정치체제 하에서 경제적 통합을 먼저 이루자는 논리이다 또 하나는 기능주의적

접근이다 기능주의적 접근방안은 양 국가의 비정치적 이익에 기반하여 경제적 통합을

추진하자는 것인데 이것이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으로 연결된다는(spillover) 전제를

두고 있다 물론 이것이 유럽통합의 경우 어느 정도 밑거름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으나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 노력은 개별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2

북한통일정책의 특징은 첫째 정치군사적인 문제해결에 우선을 두는 연방주의적

방식이다 통일의 기본조건으로 주한미군철수 북미평화협정 등을 제시하고 있다 즉

북한의 연방주의적 접근은 정치군사적 문제해결을 먼저 진행한 이후 경제사회문화적

제반 교류를 확대해나가자는 것이다 둘째로 일원론적인 1체제국가로의 통일을

상정하지 않고 있으며 연방제를 완성된 형태의 통일로 인정하고 체제문제는 후세대의

과제로 미뤄놓고 있다

3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위원장은 정상회담에서 남한의 연합제 방안과 북한의 느슨한

연방제 방안 간에는 공통요소가 존재한다는 데 합의한 바 있다 연방제와 연합제 방안

모두 점진적이고 단계적인 통일을 추구한다는 데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두

방안은 모두 정치적 통합 측면에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북한의 연방제 방안은 1국가

2체제 통일 이후의 정치적 통합에 대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다 체제가

1 임현진 정영철 21세기 통일한국을 향한 모색 분단과 통일의 변증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pp 32-

46 2 ldquo제6차 대회 중앙위원회 사업총화보고(1980)rdquo 조선노동당대회 자료집 제3집 서울 국토통일원 3 임현진 정영철 21세기 통일한국을 향한 모색 분단과 통일의 변증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pp 72-

75

6

다른 두 개의 나라 간의 연방이 어떻게 국가를 운영해 나갈지에 대해 과제를 안고 있다

한국의 연합제 방안 역시 궁극적인 통일의 목표를 1국가1체제로 상정하고는 있으나

기능주의적 접근방식에 입각한 통일방안으로는 정치적 통합이 용이하지 않다

2 북한 급변사태로 인한 통일

북한급변사태로 인해 북한을 흡수통일하는 방안은 탈냉전 초기에나 가능했던

시나리오이다 당시 미국은 초강대국의 지위를 누리고 있었고 따라서 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중국의 세력이 미미한 상황에서 한국군과 함께 개입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이 경우 흡수통일 달성이 가능했다 그러나 현재 한반도를 사이에 두고 미중

양국의 세력이 비등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의 개입은 그다지 쉽지 않다

이 같은 상황에서 북한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게 하고 자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4 또한 북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며

이에 반해 중국은 탈북자들의 통제 목적 이외의 경우에도 북한에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하려 할 것이다 5

한국의 개입은 국제적으로 쉽게 용인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 즉 유엔에 남북한

양국이 동시 가입한 사실은 남북한이 별도의 국가라는 근거로 사용될 수가 있으며 이

경우 북한의 급변상황에 한국이 개입하는 것은 유엔헌장에 위배된다

이와 같이 미국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하려는 상황 속에서 한국이 독단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여지 역시 줄어들게 된다

6

이 같이 적극적인 중국의 개입 가능성이 존재할 경우 미중 양국은 모종의 타협을 할

가능성이 있는데 양국은 북한급변상황이 어느 한 국가에게도 유리하지 않는 현상유지에

대한 타협을 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 상황수습을 국제연합으로 넘길 가능성이

유엔헌장 제2조

4항은 ldquo모든 회원국은 국제관계에 있어 다른 국가의 영토보전이나 정치적 독립에

반하거나 또는 국제연합의 목적과 양립할 수 없는 다른 어떠한 형태의 무력위협 또는

무력행사를 삼간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다

개입에 적극적인 국가는 중국인데 중국은 탈북자들을 관리하기 위한 명분으로

접경북한영토에 탈북자보호시설을 만들려 할 것이다 이미 국경지대에 상당한 규모의

중국군사력을 배치해 놓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북중 간에는 동맹조약에 의하여

자동개입이 보장되어 있으며 북한이 중국의 개입을 요청하지 않더라도 중국은

UN상임이사국 지위를 이용하여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다 급변상황을 안정화한다는 명분

하에 중국인민군은 평양지역까지 진출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4 Bruce KlingnerldquoNew Leaders Old Dangers What North Korean Succession Means for the USrdquo

Backgrounder No 2397 Heritage Foundation Apr 7 2010 p 13 5 Bruce W Bennett Preparing for the Possibility of a North Korean Collapse RAND Corporation

2013 6 박휘락 ldquo북한급변사태와 통일에 대한 현실성 분석과 과제rdquo 국가전략 164 2010 p 72

7

있다 하나 우려스러운 것은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박휘락 박사에 의하면 2004년 한미 양국이 개최한 pol-mil 게임에서 한 전직

미 고위당국자가 이와 같은 발언을 했다고 한다 ldquo미국은 북한의 어떠한 사태에서도

중국이 영향력을 행사하려 할 것이라는 점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이것이 미국의

입장에서 반드시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북한이 중국의 말만 제대로 들어도 핵을

포기하고 개혁∙개방을 할 것이니까rdquo7

현재 한국과 북한의 공식 통일방안인 연합제나 연방제 방안에 의하면 궁극적으로 가장

우려되는 것은 정치통합이다 실제 이는 예멘통일의 과정에서 증명되었는데 예멘통일은

북예멘과 남예멘 간의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 교류로 인해 이루어졌다기 보다는

아랍연맹국가들의 중재로 인해 성사되었다 이로 인해 예멘은 1차 통일을 이루게 되는데

비례대표제에 의해 연방제적 통일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결국 사회문화적 유대감의

부족으로 인해 결국 양국은 군사적 정치적 사회적 대립을 노출시켰고 결국 무력을

동원한 2차통일에 의해 궁극적인 통일을 이루게 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북한급변사태는 한반도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다 미중 양 강대국이

한반도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고 어느 한 쪽이 북한에 대해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기를 바라지 않는다 현 동북아시아의 역학구도 상에서 북한급변사태는

현상유지로 갈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북한 주민들이 친한국 성향을 강하게 소유하게

된다면 따라서 북한급변사태가 발생했을 경우나 이 경우 중국이 개입하여 친중국

정권을 수립하려 든다면 이에 대한 북한주민들의 반발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북한주민들의 충분한 경제력이 존재해야 하고 남한과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이 존재해야 한다

3 남한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통일 하는 방안

이 방안은 독일통일이 이루어진 것과 유사한 방안이다 이 방안에 따르면 남북한

국민들이 문화적 동질성을 가지고 북한주민들이 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을

가지는 데서 출발한다 독일의 경우처럼 통일의 과정 중에서 총선거에 의해 남한의

체제에 의한 통일이 이루어지는 것이 이 시나리오에 의한 통일 방안이다 즉 남한의

평화적인 북한 흡수통일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북한주민들의 친 한국 정체성은 북한급변사태가 발생했을 경우에도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했을 경우에

중국은 북한에 개입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북한이 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을

가지고 있거나 민족적 동질성을 가지고 있게 될 경우에 북한 주민들은 중국의 진입에

반감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 방안은 미국의 이익에 가장 많이 기여하는 방안이 될

것이며 통일 후 한미동맹의 유지 발전과도 가장 잘 어울릴 수 있는 통일방안이다

8

7 박휘락 ldquo북한급변사태와 통일에 대한 현실성 분석과 과제rdquo 국가전략 16 4 2010 pp 45-47

8 임현진 정영철 21세기 통일한국을 향한 모색 분단과 통일의 변증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pp 293-

8

따라서 한반도 통일을 위해서는 정치통합이라는 난제를 극복해야 하며 이를 이루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실제 서독의

신동방정책의 핵심은 이에 있었으며 베를린 장벽의 붕괴로 인해 통일에 대한 열기가

달아오를 무렵 동독의 라이프치히에서는 1990년 1월 20만 명의 동독시민이 참가한

가운데 대규모 반공 및 통일 요구시위가 발생한 바 있다 9 또한 1990년 동독에서

자유총선거가 실시되었을 때 유권자들의 9322의 투표결과는 ldquo다시는 사회주의가

아니라 자유와 번영을rdquo이라는 구호를 내걸고 동독의 서독으로의 신속한 편입을 주장한

독일연합의 승리였다10

III 독일 사례와 미국

독일의 경우 동서독 간 통합에 의한 통일을 추진했었으나 동시에 경제협력과 교류를

통해 동독주민들이 서독체제에 대해 동경심을 갖도록 하였다 즉 빌리 브란트 총리의

신동방정책은 동독주민들의 정체성을 서독지향적으로 이끄는 데 기여하였다 그 결과

통일독일을 위한 총선거에서 대다수의 동독주민들은 서독의 정치체제와 정당에

투표하였으며 자연스럽게 통일독일은 서독중심의 국가로 형성되었다

독일통일이 이루어질 당시 유럽정세는 베를린장벽의 붕괴와 함께 구 소련의 세력이

위축되고 미국의 세력이 증가하고 있을 때였다 이와 같은 정세는 미국으로 하여금

독일통일을 지지하게끔 하는 요인이 되었는데 통일독일의 지위가 미국의 이익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유럽정상회담 연설에서 부시

대통령은 독일통일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하면서 독일민족의 자결권 존중 등 독일통일의

4원칙을 언명하였다 첫째로 어떤 특정한 통일을 상정하지 않는 독일민족의 자결권을

존중한다는 것이었으며 둘째로 독일의 NATO잔류와 유럽통합의 지속 동맹국의 법적

역할과 책임을 존중하고 셋째로 통일은 전반적인 유럽의 안정에 도움이 되도록 평화적

점진적 단계적으로 추진하며 마지막으로 국경문제는 헬싱키 최종의정서의 원칙에

따르고 유럽변경의 불가침성을 인정한다는 것이었다11

4 9 황병덕 외 독일의 평화통일과 통일독일 20년 발전상 통일연구원 2011 p 173

10 황병덕 외 독일의 평화통일과 통일독일 20년 발전상 통일연구원 2011 p 179 11 Philip Zelikow and Condoleezza Rice Germany Unified and Europe Transformed A Study in Statecraft 1997 p 113

1990년도 독일 콜 수상은 고르바초프와도 만나 6가지 사안에 대해 합의를 이루었다

1) 통일 이후 독일의 군사력이 37만 이하로 유지할 것

2) 핵무기와 생화학무기의 생산 및 소유를 금지할 것

3) 소련군은 동독지역에 1994년 말까지 머무른다는 것

4) 나토군은 독일 동쪽 영토에서 소련군이 철군하기 전에 머물 수 없다는 것

5) 소련군의 철수 비용을 지원할 것

9

6) 독일과 소련 간 경제적 협조관계 조약을 맺을 것12

당시 미국은 독일의 통일을 지지했는데 독일이 나토와 EC에 머무른다는 조건

하에서였다 미국은 독일이 나토에 머물지 않으면 중립화 독일이 될 것이며 이는

핵무기 보유를 시도하게 될 것이라고 소련에게 주장했다 미국은 소련에게 나토군이

1994년까지 독일의 동쪽 영토에 머무르지 않을 것을 약속하였다 독일통일에 대해

미국이 생각하고 있던 구체적인 이익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로 동부독일의 경제적

요인으로 인해 미국의 대독일 수출이 증가할 것이며 미국의 투자 역시 증대할 것이다

둘째로 2+4조약은 독일군을 제외한 나토군이 구 동독지역에 주둔하지 못한다고

기술하고 있으며 주둔은 소련군의 철수 이후에나 가능하다 독일은 또한 핵무기와

생화학무기의 제조 소유 그리고 통제를 포기한다 따라서 독일통일로 인해 NATO에서

미국의 영향력 확대가 가능하다 셋째는 독일의 CSCE 지역기구화와 동 기구의

안보역할 확대는 미국의 입장과 충돌할 수 있다 미국은 CSCE와 NATO중 NATO의

역할 확대를 원한다

13

당시 독일통일에 대한 미국의 태도는 독일을 NATO에 유지시키는 것을 우선순위로

두고 있었다 멸망하는 구 소련의 경우 독일통일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이었으나 냉전의

종식과 강대국인 미국의 통일지지 앞에 적극적으로 반대하기 힘든 상황이었다 이

상황에서 소련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원조에 있었다 현재 중국의 부상과 미국의 쇠퇴

가능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과연 미국이 독일통일의 경우처럼 한반도 통일을

지지해줄지는 미지수이다 또한 중국이 한국의 통일을 적극적으로 반대할지 여부도

불확실하다 당시 독일은 소련군의 철수를 위해 1994년까지 구 동독지역에 서방군대를

배치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했으며 NATO회원국으로서의 독일이 소련에 직접적인

위협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약속을 하여 소련군의 반대를 무마시켰다

14

IV 미국과 한반도 통일

이와 같은

우리의 외교적 노력이 미중 양국에 대해서 추진될 필요가 있다

1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해왔다 부시 대통령과 클린턴 대통령은

lsquo한국국민이 수용할 수 있는 조건에 기반한 평화적 통일rsquo을 지지했다 2012년 박근혜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 간의 정상회담에서 한미 양측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그리고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적 통일을 지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 대해 독일통일의 경우처럼 적극적으로

12

박영호 한국의 대미통일외교전략 민족통일연구원 1998 p 28 13 Paul E Gallis and Steven J Woehrel Germany after Unification Implications for US Interests CRS Issue Brief CRS Feb 20 1991 14

김규륜 외 한반도통일의 미래와 주변4국의 기대 통일연구원 2013 p 62

10

지지할 지는 미지수이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에 따르면 미국의 대 한반도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다 1) 수평적 핵확산 방지 2) 수직적 핵확산 방지 3) 비핵화 4)

급변사태 계획 5) 북한에 대한 개입정책 6) 북한주민들의 상황 개선 즉 미국은 한반도

통일의 경우 현 북한이 소유하고 있는 핵무기를 폐기하고 핵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익을 가지고 있으며 이 문제가 해결된다면 더 이상 한반도 통일에 적극적일 이유가

없는 것이다

이는 현재 동북아시아의 역학구도를 보면 더욱 설득력이 있는데 독일통일의 경우 구

소련의 멸망과 함께 독일통일은 NATO의 확대와 함께 미국의 세력권을 확대시키는

이익을 가져다 주었다 그러나 현재 동북아시아는 중국의 부상과 함께 통일한국이

미국의 동아시아 패권에 도움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확신을 가져다주지 못한다 또한

최근 한중관계 강화로 인해 미국 내부에서는 통일한국이 친미가 아닌 친중 국가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미국이 향후 한반도 통일을 지지하기 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는 통일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연합제연방제에 의해 통일이 이루어지는 경우 한미동맹은 폐기될 수 있고 주한미군은

미국으로 철수할 수 있다 이 경우 한미동맹의 미래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연합제연방제에 의해 통일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한미동맹이 존재할 수 있으나 이

경우 한미동맹의 역할은 매우 제한적이게 되며 동맹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메카니즘이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필자는 한국주도의 통일이 달성되는 경우에

중점을 두고 한미동맹의 미래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한국주도의 통일이 달성될 경우에도 한미동맹에는 많은 변화가 생기게

된다 동맹에는 비전적 측면(attitudinal)과 운용적 측면(behavioral)이 존재한다 비전적

측면에는 동맹의 존재이유(rationale) 위협인식(threat perception) 목적(objective)

등이 해당되며 운용적 측면에는 군사지휘체계 구성 방위비 분담문제 기지배치 문제

군사전술 등이 해당된다 통일 이후 한국은 미국과 함께 새로운 한미동맹의 로드맵을

작성해야 하며 이는 또 다른 동맹변환의 작업이 될 것이다 즉 한미 양국은 한미동맹의

공동의 전략적 목적(common strategic objective)에 대해 논의해야 하며 그 이후에

양국 군의 역할 임무 능력 (roles missions and capabilities)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

먼저 한국과 미국의 위협인식은 지역적 글로벌 차원에서의 위협이 그 대상이 된다

북한의 위협이 사라지게 될 경우 한미 양국은 지역적 안보위협에 대해 대처하여야 하며

이 경우 중국에 대한 대처는 포함되지 않게 될 것이다 이에 기반하여 양국은 동맹의

전략적 목적을 결정하게 된다 결국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주요 전략적 목적은 지역적

안보질서의 유지가 될 것이다

중요한 것은 운용적 측면에서 동맹의 로드맵을 어떻게 작성하느냐인데 이 경우

11

주한미군의 규모와 배치 전략적 유연성 문제 군사지휘체계 문제 등이 주요이슈이다

먼저 군사지휘체계에 있어서 한국은 더 이상 미군에게 전시작전통제권을 위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미일동맹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미 양국 군은 개별적인 지휘체계를

유지하며 유사시에 협조할 수 있는 협조체제를 구축하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해

주한미군은 더 이상 북한 위협이 존재하지 않는 한반도에 현재와 같은 병력이 상주할

필요가 없게 되며 전략적 유연성을 강화하여 한국군과 함께 지역적 글로벌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보다 유연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중요한 것은 주한미군의 규모와 배치이다 한반도에 주둔하고 있는 주한미군의

지상군(ground force)의 규모는 줄어들게 될 것이다 중국을 의식하여 주한미군의

위치도 현 남한 영토에 한정되어야 하며 38선 이북에는 주한미군을 제외한 한국군이

주둔하게 될 수 있다 한미동맹이 지역적 운용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이것이 중국을

겨냥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미국중심의 미사일방어체계는 한반도에서의 운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최근 논의되고 있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역시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즉 통일 한국의 주한미군은 주로 해군이나

공군을 위주로 형성되어야 하며 지상군을 비롯한 전체 군사력은 삭감되어야 할 것이다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여러 자료에 의거하면 통일한국에 대한 미국의 이익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15

5) 통일로 인해 한반도 전면전 상황(all-out warfare situation) 가능성이 사라지면서

미국은 이에 대비하기 위한 작계를 만들 필요성 및 부담감이 사라지게 된다 현재

미국의 국방비 삭감 및 시퀘스터 상황으로 인해 국방전략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1)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주요 이익은 핵무기와 미사일의 개발을 제거하거나 방지하는

것이다 급변사태가 발생하게 되면 미국의 주요 우려사안은 북한의 대량살상무기가

한반도 지역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다 통일은 북한의 핵확산방지를 달성할

수 있다 즉 통일은 NPT체제강화에 기여하게 된다

2) 시장경제체제 지향적인 통일한국은 미국의 이익에 기여하게 된다 구 북한영토는

미국의 투자를 필요로 하게 되며 이는 미국의 경제적 이익을 증가시키게 된다

3) 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 체제에 의거한 통일한국은 미국으로 하여금 주요가치의

세계적 확산을 위한 모멘텀 역할을 하게 된다

4) 한미동맹은 통일 이후 새로운 역할과 임무를 맡게 될 것이며 이는 지역질서와 안정

유지이다 이것은 미국이 추구하고 있는 아시아 재균형 정책의 주요한 자산이 될 것이며

미국으로 하여금 국제적 강대국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이다

15 Americarsquos National Interests The Commission on Americarsquos National Security 2000 US Department of Defense A Strategic Framework for the Asia Pacific Rim Report to Congress 1992 A Blueprint for US Policy towards a Unified Korea CSIS Working Group Report August 2002 Peter Murphy Lewis ldquoUS Foreign Policy towards the Korean Peninsula An Anti-Unification Policy or Just Too Many Uncertainties to Account For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62 December 2007 차두현 ldquo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시각 기회와 도전rdquo 글로벌정치연구 32 2010 pp 43-44

12

이미 2개의 전쟁이 종료된 이후 2개 전쟁 동시수행 전략은 2012년 defense strategic

guidance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반도 전면전 상황은 미국에게는

부담스러운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 대한 몇 가지 우려사안을 가지고 있다 먼저

미국은 통일한국으로 인해 한미동맹이 약화될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현재

미국은 경제력 약화와 국방비 삭감으로 인해 아시아 재균형 전략에 차질을 빚고 있다

2014년 4년 주기 국방검토 보고서 (QDR)에 따르면 미국은 2개의 전쟁을 종식하고

국방비를 삭감하고 있는 상황이며 아시아 재균형 정책을 장기적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즉 국방비 삭감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장기적으로 아시아지역에 미

해군병력의 60를 배치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동맹국들의

역할을 매우 중시하고 있으며 이런 차원에서 통일이 가져다 주는 한미동맹의 약화

가능성은 미국에게 큰 우려사안이 될 수 있다

두 번째로 한미동맹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매우 치명적이다 현재

아시아정책의 중심축인 미일동맹과 달리 한미동맹은 미군의 전방배치(forward

deployment)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즉 현재 주한미군은 북한이라는

대리국가(proxy state)를 통해 중국을 가장 근접에서 억지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10년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포격사건의 경우에도 미국은 한반도에 항공모함을

출격시켰는데 이는 중국에게 매우 치명적인 위협으로 다가왔었다 즉 미국에게 북한의

군사적 행위는 중국을 견제할 수 있는 좋은 구실이며 주한미군은 중국을 가장

근거리에서 견제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만일 통일로 인해 북한이 사라지고

한미동맹이 약화되거나 역할이 변경되면 미국의 대중국 견제전략에는 차질을 빚게 된다

세 번째로 미국은 한국이 주한미군을 철수시키고 미∙중 양국 사이에서 중립국 지위를

유지하는 경우를 우려한다 통일이 이루어질 경우 미∙중 간의 경쟁에 의해 통일한국은

중립화 노선을 추진할 수 있다 이 경우 미국의 핵우산 제공이 어려워지게 되며 이는

중국과 일본의 군사력 강화 사이에서 통일한국의 안보불안을 야기시키게 된다 과거

통일독일의 중립화에 대해 미국이 우려를 표명했던 것처럼 통일한국은 자체적인 군사력

강화를 추진할 수 있으며 이에는 핵개발도 포함될 수 있다

V 결론 - 정책적 고려사안

현재 동북아지역의 국가들은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입장이다 기술한 바와 같이 미국

역시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한반도 통일에 대해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입장은

기타 동북아국가들 예를 들어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서 통일에 우호적이다 미국의

이익이 한반도의 이익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은 미국이 통일을 반대하거나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미국이 가지는 지정학적 위치로 인함이다 한반도에서 멀리 떨어져

13

있는 미국의 위치 상 미국은 한반도 통일이 미국에게 직접적으로 이익을 가져다 주지

않더라도 주변국들에 비해 강하게 반대하지 않는 입장이다16

관련하여 빅터 차는 이와 같이 말했다 ldquo모든 강대국들은 한반도의 통일이 지역적

세력균형에 변화를 가져 올까봐 통일에 반대하는 입장이다hellip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한국이 당장 통일절차를 추진하게 될 경우 주변 강대국들은 모두 통일에 찬성하는

입장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 새롭게 통일되는 강대국 한국이 탄생할 경우 통일에 대한

반대입장을 보였던 국가들은 통일한국에게 적대국가로 인식될 것이기 때문이다hellip

한국민들은 일단 통일절차를 시작하게 되면 주변국가들이 이에 찬성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게 될 것 이다helliprdquo

중국의 한반도 통일에 대해 lsquo평화적이고 독자적이며 점진적인 비핵화 통일rsquo을

지지하는 입장이다 즉 평화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이 중국의 경제적 발전에

해를 끼쳐서는 안되기 때문이고 독자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한국이 미국

쪽으로 경사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며 점진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이 지역적

안정을 헤쳐서는 안되기 때문이며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한국에

미국의 핵우산이 유지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결국 독립적인 통일과 비핵화에 기반한

통일 지지 입장은 모두 한미동맹과 관련되어 있다 중국은 친미 성향의 통일한국에

반대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국정부는 보다 세심한 통일준비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몇 가지 정책적 고려사안을 제시한다 첫 번째로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한국은 독일과 달리 패전국 지위가 없으며 따라서 통일을 이루기 위해

4 개 조약당사국들로부터의 승인이 필요했던 독일과는 달리 주변국들로부터 아무런

승인을 받을 필요가 없다 독일은 포츠담회담에서 승전 4 개국이 분할점령하기로

합의하였으며 이것이 냉전과 함께 분단으로 이어졌기 때문에 통일국가를 이루기

위해서는 분할점령을 합의했던 4 개국들의 승인이 필요했다 게다가 독일통일의 경우에

이미 2+4 회의에서 독일통일을 승인하기 이전에 동독의 독일연방 가입이 결정되었기

때문에 후속적 승인에 불과하였다 한국과 북한 양국이 통일과정에 대해 합의하고

추진하여 통일을 달성하면 주변국가들은 이에 동의할 수 밖에 없다

17

두 번째로 평화협정은 휴전중인 한국전쟁을 종식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지 통일의

전제조건은 아니다 한국정부는 그 동안 통일이 아닌 분단적 평화유지에 지나치게

집착해왔다 이는 통일을 위한 본격적인 정책추진이 아닌 단지 정전상태를 평화상태로

바꾸는 것에 불과하며 이를 위해서 지불해야 할 비용 역시 지나치게 높다 즉 북한은

평화협정 체결을 위해 주한미군의 철수 등을 주장하고 있으며 이는 현 한국의 안보상황

16 Peter Murphy Lewis US Foreign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An Anti-Unification Policy or Just Too Many Uncertainties to Account For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62 December 2007 p 107 17 Victor Cha The Contiuity behind the Change in Korea Orbis No44 (Fall 2000)

14

속에서는 불가능한 조치들이다 이제는 한반도 평화가 아닌 통일을 정책적 목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평화협정

문제를 논의하는 것은 결국 입장차이를 확인할 뿐 실제 평화체제가 확립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미국은 평화협정 체결이 북한 비핵화를 먼저 이룬 이후에 가능하다는

입장이며 중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하게 되면 북한비핵화 등 제반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따라서 남북한 양국은 이제 소모적인 평화협정 논의 이외에 본격적인

통일논의를 통해 남북한 당사국들의 이익에 보다 충실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 한∙미∙중 3 자회의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미 한∙미∙중 3 개국은 작년에

1 차 전략대화를 개최하였다 주요 이슈는 북한 핵문제였는데 이와 같이 북한

핵문제에서 이슈를 확대하여 한반도 통일 북한급변사태 등 다양한 문제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남북통일은 미∙중 양국의 이익 및 세력균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3 국 전략대화에서 한반도 통일에 관한 입장을 조율하고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역할과

임무에 대한 각기 다른 이해관계를 조율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은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 남북한 통일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한국

내부의 통일정책을 하나로 수렴시키는 일이다 현 대통령제 하에서는 연속적인

통일정책이 중장기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고 정책적인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 또한 통일과정에서 북한리더십을 통일한국의

정치체제로 통합할 필요성이 있다 독일통일과정에서도 총선거를 통해 동독 지도부가

독일연방으로 통합되었듯이 남북한 정치통합을 위해서는 내각제 체제가 더 적합하다

15

제6회 정책포럼 토론문 (무순 제출순서대로 편집)

1 김동현 교수 (고려대 일민국제관계연구원 방문학자 북한대학원대 초빙교수 전 존스

홉킨스 국제대학원 겸임교수 및 방문학자)

총평 한반도 통일을 주제로 창의적인 노력을 보여준 발제자에게 우선 찬사를 보낸다

발제자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 부분이 많이 있지만 김현욱 박사가 과시한 학술적

접근방식과 독창적인 의견들은 높이 평가한다

- 우선 여러 가지 통일 시나리오를 가상하고 그와 관련된 논의를 흥미 있게 전개하지만

지금까지 국제 정치사상 어떤 시나리오가 상정한대로 어느 문제가 해결된 것이 없디

역사에 가정이 없듯이 국제정치의 현실에서 ldquoScenariordquo의 가정도 설 땅이 없다

시나리오를 추구하는 학자들은 바둑놀이를 계속하는 것과 같다 바둑을 둬서 어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지만 두뇌기능을 진척시키고 치매 방지 등 건강에 도움이

되는 정도라고나 할까 학자들의 장기중의 하나는 간단한 문제를 복잡하게 해석하고

신조어를 만들어 내며 독자들을 헷갈리게 하는 재주다

발제자 주장에 대한 토론

- 615 정상선언은 남한의 국가연합 방안과 북한의 느슨한 연방체 간에 공통점이

존재하며 앞으로 ldquo그런 방향으로 (통일을) 추진한다rdquo고 합의 했을 뿐 그 후에 어떻게

정치체제를 통합하겠다는 언급이 없었던 사실을 발제자가 정확하게 지적했다 그러나

당시 한국측 주역들은 연합과 연방단계를 묶어서 Federation 이 아닌 Confederation 의

형식으로 교류와 협력이 무르익는 ldquo사실상의 통일 ndash De Facto or Virtual Unificationrdquo

을 이룬 다음에 완벽한 법적 통일 ndash ldquo De Jure Unificationrdquo 로 간다는 것이다 DJ 의 3

단계가 연합 ndash 연방 ndash 완전통일 이었다면 임동원은 화해 협력 ndash 사실상의 통일인 연합

그 후에 법적 통일의 3 단계였는데 이 점은 615 선언협상과정을 통해서 DJ도 동의

했다는 것이다 (ldquo피스메이커rdquo에서 - 이 통일 과정에 소요 되는 시간을 DJ 는 10 년

김정일은 40mdash50 년으로 예상했다)

- 발제자가 논의한 ldquo급변사태로 인한 통일에 대해서 ldquo급변사태rdquo에 대한 정의는

무엇인가 중국의 개입가능성이 높고 미국의 개입가능성을 낮다고 하는데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논의 되어 온 것 이상의 논리가 없다 미국의

역할을 예측하는 문헌으로 Bruce Klinger 와 Bruce Bennett 의 글을 주석으로 달고

있는데 이 두 사람은 북한의 붕괴를 이념적으로 바라면서 근거가 미약한 붕괴론을

확산 시켜온 인물들이다 다만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남북한이 둘 다 유엔회원국이기

때문에 만약 북한에 권력공백 상태가 생겼을 때 누가 들어 가서 평정 및 관리를 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유엔차원에서는 아직 한 번도 논의된 적이 없는 문제다 유엔 임시

한국위원회에서 대한민국정부 수립에 앞선 선거 감시를 했고 625 때 38 선 이북으로

북진 할 때도 당시 유엔군 사령부는 수복지구에 대한 행정권을 정식으로 한국에 넘기지

않았다

16

- 한국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 하는 방안에 대해서 우선 발제자가 말하는

ldquo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rdquo의 뜻은 우호적 태도 호감 영어로 말하는 Identity

라면 북한 주민들이 ldquo우리는 남한 사람들과 같다rdquo는 뜻인가 정체성이 정치적 동질성을

말한다면 이를 이룩하기 위한 노력이 장기간 섬세하게 선행 되야 할 것이다 예멘의

사례도 학술적인 참고는 되지만 정책상의 참고는 될 것 같지 않다 물론 최종적인

정치 사회 통합은 현재의 정부 방식으로는 통일의 최종적 과제이다 그러나 평화를

보장하는 사실상의 통일 단계에만 돌입해도 궁극적인 통일로 향하는 엄청난 성과가 될

것이다 그래서 통일은 과정이란 말이 나왔다

- 독일의 사례 대해서 한국통일 논의에서 독일통일의 모델이 약의 감초처럼

등장하는 데 독일에 가서 독일 통일 과정을 공부한 한국인들을 제외하면 독일인

독일통일 전문가들은 한국과 독일 여러 가지 여건이 (역사 경제 문화 국제환경)

다르기 때문에 독일통일방법을 모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을 많이 하고 있다

토론자의 생각도 같다 물론 독일과정에서 있었던 일들 중 한국이 배우고 참고로 해야

할 점이 많이 있음은 부인치 않는다 (예 정권교체와 관계없는 일관된 정책의 지속성

같은 것 ndash 발제자는 이를 위해 내각제 개헌을 제안) 독일 통일과 관련된 미국의

이해관계를 소상하게 기술했는데 이 것도 본 발제문 주제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지 않는다

-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에 대해서 해방 이후 미국은 유엔결의문 등을

통해서 평화적으로 한반도에 자유 민주 통일 정부가 수립되기를 바란다 고 언급해 왔고

아버지 부시 클린턴은 ldquo한국국민 (the Korean people) 이 원하는 통일rdquo그리고 아들

부시와 오바마 때와서는 ldquo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체제의 통일rdquo을 지지한다고 공언했다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은 한국 헌법에 부합하지만 북한에 입장에서는

ldquo흡수통일rdquo로 받아 들린다 당연히 북한이 반발한다 2000 년 10월 김정일은 이렇게

말했다 ldquo우리는 제도에 의한 통일은 반대다 평화통일 하면 우리는 우리 식으로

통일하는 것을 말하고 민주 통일은 남조선 원하는 통일이다 평화통일이 되면 중국이

좋아하고 민주통일이 되면 일본이 좋아할 것이다rdquo

1991 년 6월 토론자가 평양에 갔을 때 당시 북한 군축평화 연구 소장 송호경 (후에

아태위 부위원장) 은 이렇게 말했다 ldquo 1민족 1 국가 2 체제 고려연방제는 한쪽이 다른

한쪽을 먹을 수 없는 상태로 공존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상태를 해소할 수 있는

쌍방간의 합의나 체제통일이 없으면 이 상태가 마냥 계속될 수 있다 영구히 갈런지도

모른다rdquo

- 지금까지 미국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한국 통일에 대한 수사적 지지만∙ 했을 뿐

한국통일을 위해 노력한 흔적이 없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현재 미중은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 속에서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각각의 전략적 이익 때문에 한반도에서

무탈 무사 현상유지를 원하고 있다 발제자가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간행물을

인용했는데 토론자는 이 것도 못 마땅하게 생각한다 그 간행물에 관여 한 소위

미국인 전문가들 중에 한국통일 전문가는 별로 없다 Victor Cha가 미국의 거물학자로

여겨지는 것도 못 마땅하다 (나는 이런 것을 미국에 대한 학문적 사대주의 ndash

Academic Sycophancy 라 부른다) 미국문제는 미국인들이 잘 알고 한국문제는

한국인들이 잘 안다 다른 한가지를 지적한다 미국은 지금 한국 통일에 대한

우선순위가 없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북핵 문제도 우선순위를 두지 않고 있다 심지어

17

아시아 재 균형 문제도 이라크와 시리아의 ISIL or ISIS 문제 때문에 신경을 제대로 쓰지

못한다는 우려가 나온다 (Kurt Campbell in Seoul on September 25 2014)

- 통일 이후의 한미동맹 통일에 대한 전망도 아득하지만 그 후의 한미동맹 관계는

더욱 아득하다 통일에 상대가 있듯이 (As W Bush said in Seoul this spring at a

conference hosted by the Chosun Ilbo) 동맹은 전통적으로 군사적인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동맹 이 함께 싸워야 할 상대 (Potential foe or adversary)를 전제로

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중미간의 경쟁이 계속된다면 미국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한미동맹을 아시아 재 균형의 도구로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 입장에서

그것이 그 때가서 한국국익에 맞는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서 발제자가 친절하게 미국의 이익과

우려를 열거했는데 남북이 통일을 원한다면 미국이 자기 이익 때문에 통일을

반대해서도 안되고 한국이 미국의 우려 때문에 할 일을 못하거나 안 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미∙중 사이의 중립 또는 전세계를 상대로 하는 중립이 한국 국익에

합당하고 국민의 다수가 이를 원한다면 한국은 그 길을 택해야 한다

미국의 걱정은 미국에 맡기고 한국은 한국 걱정에 치중해야 한다 걱정은 시대와

환경에 따라서 달라진다

정책건의

- 첫째 황병서 최룡해 김양건 3 인의 인천 방문을 계기로 다음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진일보한 과감한 자세로 이산 가족 524 조치 금강산 관광 등 현안을 타결하고

신뢰프로세스를 부활해야 한다 남측도 구태의 틀에서 벗어나 놀랄만한 자세를 보여야

한다 통근 결단은 북한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 둘째 6자회담 재개 등 북핵문제 해결을 노력을 한국이 주도해야 한다 미중과 함께

한국마저 손 놓고 있는 상태는 더 이상 방관해서는 아니된다

- 셋째 대북정책에 대한 국내 보수 진보간의 시각차이를 융합하여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탈냉전식 통일정책을 개발함으로써 통일준비의 기초를 확립해야 한다

2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김현욱 박사의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을 읽고

국내의 손꼽히는 미국전문가인 김현욱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을 맡게 되어 영광으로

생각한다 김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자의 생각과 비교할 때 공감이 가는 부분이 많다

하지만 김 박사가 다루는 주제가 단순히 미국의 대외정책이나 한미관계가 아니라

lsquo한반도 통일rsquo이라는 점에서 몇 가지 오류가 눈에 띄기 때문에 여기서부터 토론을

시작해야 할 것 같다

I 서론

한middot미 정상이 합의한 통일관련 언급은 「한미동맹 공동비전」(2009616)은

ldquopeaceful reunification on the principles of free democracy and a market

economyrdquo으로 「한미동맹 60주년 공동선언」(201357)은 ldquoits peaceful reunific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denuclearization democracy and a free market

economyrdquo으로 되어 있다 전자의 free democracy는 liberal democracy와 구별되어야

18

하며 후자에는 그냥 democracy로 표기한 의미를 되새길 필요가 있다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o 우리 정부는 lsquo연합제 통일방안rsquo을 지지한 바 없으며 무엇보다 lsquo연합제rsquo는 통일방안이

아니다 또한 우리 정부가 북한과 함께 lsquo74남북공동성명rsquo을 발표하고 lsquo자주 평화

민족대단결rsquo이라는 통일의 대원칙을 발표한 것은 맞으나 그 뒤 lsquo민족대단결rsquo을 삭제하고

lsquo민주rsquo를 넣었다

o 1989년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은 전두환이 아닌 노태우 정부 때 발표된 것이다

o 김대중 대통령이 대통령이 되기 전에 개인적인 통일방안으로 lsquo남북연합제 rarr

공화국연방체 rarr 통일국가rsquo의 3단계를 주장했었으나 대통령이 되고 나서는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수용했다

o 한국의 통일정책의 특징이 ldquo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남한체제를

궁극적인 통일의 상으로 설정하고 있다rdquo고 주장하나 우리 정부의 공식 통일방안인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은 먼저 민족공동체를 만들어가고 나중에 통일국가를 이루되

통일국가의 형태는 미래세대에게 맡긴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2 북한급변사태로 인한 통일

o 북한의 급변상황에 한국이 개입하는 것이 유엔헌장에 위배된다는 지적은 옳다 그런데

아무리 중국이 UN상임이사국이라도 중국 군이 평양까지 진출해 친중 정권을 수립할

근거를 갖고 있는가

o 박휘락 박사의 인용문은 미국이 북한의 WMD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중국의 도움을

받기 위해 중국의 개입을 반대하지 않는다는 의미이지 북한 급변사태가 발생할 때 이를

중국에게 떠맡긴다는 의미는 아닌 것이다

o 필자는 ldquo미∙중 양 강대국이 한반도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고rdquo라고 언급하고 있는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가 있는가

3 남한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하는 방안

o 남북예멘이 통일 후 무력통일로까지 간 것은 사회문화적 유대감의 부족 때문이

아니라 11 대등한 권력분배가 몇 년 뒤 실시된 선거결과에 의해 북예멘에 유리하게

정치지형이 바뀌자 남예멘 측 인사들이 이에 반발해 무력을 동원했다가 진압당한 것이다

o 동독유권자의 9322가 서독으로의 신속한 편입을 주장했다고 언급했는데 이 수치는

투표율이다 조기통일을 주장했던 독일연합의 득표율은 4804 국가연합을 거쳐

점진적 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의 득표율은 2188였고 옛동독공산당이었던

민사당이 164 새로운 사회주의 건설을 내걸었던 연합90이 291였다 그 결과

독일연합과 동독사민당이 연립정부를 구성해 서독과 통일협상에 나섰던 것이다

III 독일 사례와 미국

o 동독 총선거에서 동독주민들이 서독의 정치체제와 정당에 투표하였다고 하였는데

이것이 무슨 말인가 그들은 조기통일(동독기민당 중심 국민연합) 점진통일(동독사민당

민사당) 제3의 길(연합90) 등을 내건 동독정당에 투표했는데 결과적으로 조기통일을

19

주장한 국민연합이 승리하여 점진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과 연립하여 조기 통일을

추진 달성한 것이다

o 독일통일의 상황에서 소련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원조라고 언급하고 있는바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엄밀하게 말한다면 對소련 차관 50억 DM(약 25억 euro) 동독주둔

소련군 36만 명의 철수에 따른 비용 부담 125억 DM(약 64억 euro)이다

IV 미국과 한반도 통일

1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o 미국이 통일과 같은 현상변경보다는 분단이라는 현상유지를 선호한다는 의견에

동감을 표한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의 정확한 출처를 밝혀주었으면 도움이

되겠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o 필자는 lsquo연합제연방제 통일rsquo과 lsquo한국주도의 통일rsquo을 대립적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연방제란 정부구성원리의 하나로서 1국가 2체제(일국양제)만 있는 것이 아니라 1국가

1체제의 연방제도 존재한다 따라서 한국 주도의 통일일지라도 단방제(單邦制) 방식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연방제(聯邦制) 방식이 될 수도 있다

o 통일된 이후가 아니라 전작권 전환 이후에 2013년 한미 양국은 한국군 합참 내에

미래사령부의 구성 계획을 통해 연합지휘체제(한국군 사령관 미군 부사령관)를

구축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o 최근 논의되고 있는 THAAD는 지금도 배치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인가 아니면

통일되면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아니게 되므로 지금 배치했더라도 철수해야 한다는

의미인가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o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우려사안 중 한국 주도의 통일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한미동맹의 약화를 우려한다는 점이 충분히 이해되지 않는다 특히 당장 통일될 것도

아닌데 우려의 근거로 미국의 현실적 상황을 제시한 것들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o 나머지 두 번째 세 번째도 왜 한미동맹이 약화되고 주한미군을 철수하게 될지 하는

원인을 설명하지 않고 그렇다고 전제해 놓고 미국의 대아시아 전략에 미칠 영향과

미∙중 사이의 중립국 지위 유지하는 것은 앞뒤가 바뀐 것이다

V 결론 ndash 정책적 고려사안

o 미국이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했다고 볼 수 있는가 미국이 통일에 대해 처음으로 입장표명을

한 것은 2009년 6월 이명박-부시 대통령의 한미 공동비전이 처음이다 최근 미국

조야의 분위기는 북핵 문제를 풀기 위해 통일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고 오히려 한국

측이 통일에 소극적이라고 질책하기도 하지 않은가

o 중국이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가 통일한국의 핵무기 보유가 아니라

단지 미국의 핵우산 유지를 우려했기 때문인가

o 평화협정이 단지 한국전쟁의 종식만을 위한 것일까 필자가 제시한 첫 번째

20

정책고려사안은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런데 평화협정이

체결되지 않고 정전상태에서 곧바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첫째 우발적 충돌이라도

전쟁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있고 둘째 통일과정에서 정전협정의 당사자인 미국과 중국이

국제법적으로 개입할 가능성이 열려있다

o 본문을 보면 필자는 분단적 평화유지와 평화체제평화협정을 동일시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마저 든다 그리고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다고 했는데 그 근거가 무엇인가 특히 비핵화-평화협정의 순서를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의 입장이 상반된다고 언급했는데 과연 그런가 919공동성명에서 미국과 중국은

동시행동 원칙에 합의한 바 있지 않은가

o 과연 남북한 통일을 위해 내각제가 필요한가는 좀 더 논의해봐야 할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통일을 달성할 때까지는 효율성을 위해 대통령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필자의 주장과 달리 내각제의 경우 잦은 내각교체로 인해 통일정책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수 없는 것 아닌가 lt끝gt

3 문성묵 박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발제문에 대한 논평 우선 김현욱 교수님의 발제문은 한반도 통일의 가능한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독일 사례를 통해 우리의 통일미래를 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접근이라고 봄 특히 남북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매우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제시하고 있는 정책적 제안은 적절하다고 판단되며 대체로 공감함 다만

통일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한 두 가지 추가 제언을 드리고자 함 우선 미국의

우려사항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일한국이 지향하는 한미동맹에 대한 분명한 의지를 미

측에 밝힐 필요가 있음 아울러 통일의 성취를 위해서는 반드시 중국의 협조를

유도해야 하는 바 이를 위해서는 통일한국의 한미동맹이 중국의 국익에도 부합될 수

있다는 논리를 적극 개발하고 중국을 설득하는 노력이 강구되어야 함 이러한 입장을

미국이 중국과 직접 조율해 나가도록 협조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봄 그런 차원에서

본문에서 제시한 한∙미∙중 3자 협의는 유용한 협의기제로 보임

다음은 곽태환원장님께서 제시해 주신 토의중점 주제들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정리하였음

1 한반도 통일을 위해 먼저 극도로 경색된 남북관계부터 풀어나가야 하는데

출구전략은

10월4일 황병서 등 북한고위급인사의 전격 방남으로 대화의 물꼬가 트인 만큼 이달

말 또는 11월초로 예정된 2차 고위급접촉을 통해 남북간 쟁점사항들을 대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풀어나가는 지혜가 필요함

첫째 무엇보다 대화의 지속이 중요함 일회성 대화가 아니라 고위급접촉이든 다른

대화채널이든 대화가 정례화 되는 것 즉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통로는 늘 열려 있어야

할 것임

둘째 사안별 접점 마련이 필요함 즉 상호가 입장차이가 극명한 사안은 일단

21

접어두고 접점 마련이 가능한 사안부터 협의하고 이행을 해 나가는 것임

2 현안이슈인 THAAD 한국배치에 대한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 측면 고려하여 사드

한국배치가 바람직한가 전시작전통제권을 2015년에 받아야 하나 연기 해야 하나

첫째 사드의 한국 배치는 정치적 관점이 아니라 안보적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중국(러시아)과 북한이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있지만 북한위협에 직면한 우리

입장에서는 한미동맹차원에서도 미국의 사드 배치 구상에 협력하는 것이 필요함 따라서

한국과 미국이 중국을 잘 설득할 필요가 있음

둘째 전작권문제 역시 주권 자존심이라는 측면 보다는 국익의 관점에서 판단해야 할

사안임 북 핵문제 등 북한의 위협이 상존하는 현 상황에서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억제력을 확고하게 유지하는 일임 한미연합사는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체제임 따라서 시기에 기초한 접근 보다는 조건에 기초한 접근이 바람직함

3 한반도 통일은 평화적으로 이뤄져야 하는데 남과 북이 합의에 의한 통일이

이뤄지려면 공동통일방안에 대한 합의가 가능한가 6자 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는

평화체제구축은 어떻게 이룰까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통일방안에 대한 남북 간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는 현 상황에서

통일방안부터 협의를 시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봄 우선 대화와 교류확대 등을 통한

화해협력을 추진하면서 향후 북한정권과 체제의 변화가 이루어질 때 통일방안에 대해

본격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함

둘째 핵 문제는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임 이로 인한 무력충돌은

공멸을 의미하기 때문임 따라서 북핵 문제는 우선 강력한 억제로 북핵 사용 자체를

무력화하고 나아가 대화를 통한 외교적 해법을 병행해야 함 즉 6자 회담을 재개하여

919공동성명의 합의정신에 입각하여 풀어나가는 것 이외 다른 적절한 대안은 없어

보임

셋째 평화체제 문제는 6자 회담이 재개되고 북핵 문제에 있어 일정분야 진전이 있을

경우 919 성명에 합의된 별도의 평화포럼을 통해 논의해 나갈 필요가 있음 평화체제는

협정의 체결이 아니라 실질적인 평화상태를 만들어 나가는데 중점을 두고 추진해 나가야

4 4자(미 중 남북한)회담을 통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인가 북이 주장하는 북미간

평화협정이 바람 직 한지 한반도 정전체제를 대체하는 다자 평화체제는 어떤 형태가

바람 직 한가 등

첫째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논의하는 협상은 남북한과 미국 중국이

참여하는 4자회담이 적절하다고 봄 1997~1998년 사이 제네바에서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는 문제를 논의하는 4자회담이 6차례 개최된 바도 있음

둘째 평화체제는 남북간에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미국과 중국이 이를 보장하며 협정은

유엔에 기탁하는 방안이 적절하다고 봄

5 6자 회담을 복원하여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ldquo행동대행동rdquo으로

동시에 해결하자는 제안에 대한 견해는

22

이는 북한이 핵 문제에 대해 한국과 미국 등이 요구하는 수준으로 성의 있는 조치를

취하고 이를 바탕으로 6자회담이 재개된다면 동시에 별도의 포럼을 열어 평화협정

논의를 개시할 수 있을 것임 실질적 평화상태 구축을 위한 남북간 군사적 신뢰구축 및

운용적 군비통제 등을 추진해야 함 평화협정의 체결 시점은 북한 핵이 완전히 폐기되는

시점과 맞추어야 할 것임

6 이러한 통일프로세스에서 과연 미국은 어떤 역할이 바람 직한가

독일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듯이 미국도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함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을 설득하여 한반도 통일에 동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공고한 한미동맹을 유지하여 북한이 변화하도록 유도하며 통일 이후에도 통일한국의

안보환경과 국익에 부합되게 동맹의 형태와 목표 기타 필요한 사항들을 협의하여

합의할 필요가 있음 통일한국이 중국과의 관계에서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는 방법은

미국과의 동맹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생각됨

7 평화적 합의통일방안에 하나의 대안으로 중립화를 통한 한반도 중립화 통일방안에

대한 견해는 미국은 지지 할까 등입니다

중립화 통일방안을 추구한다고 해서 통일이 촉진될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음

중국은 다소 긍정적일지 모르나 우리의 동맹인 미국이 가장 우려하는 사안일 것임 그런

차원에서 중립화 방안은 부적절함 이는 우리 국익이나 안보상 적절치 않은 방안이라고

봄 lt끝gt

4 김준형 박사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교수)

발제 논문에 관한 의견

다음 사항들에서 기본적으로 공감함

한반도통일의 고차방정식에 대한 의미 있는 분석 주변강대국들의 이해관계

특히 통일을 추구함에 있어 미국과 중국의 이해관계를 분석한 부분

냉전붕괴직후 독일의 상황과 당시 미국 및 소련의 입장이 가지는 함의에 대한

분석

북한급변사태가 곧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며 통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북한

주민들의 친한국 성향이나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남북이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

최근 미국이 통일에 대해 기껏해야 소극적 지지입장이며 통일로 인한

한미동맹의 약화가능성에 우려를 가지고 있다는 분석

한미동맹의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치명적이라는 주장도(치명적이라는

표현은 좀 과도한 측면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공감

주변강대국이 한반도통일이 현 동북아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지지하지 않으나 남북한이 원해서 주도적으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반대할 수 없다는

주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사항들에서 문제 제기하고자 함

23

서론에서 밝힌 본문내용 소개가 본문의 실제 내용전개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음 특히 현실적인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를 살펴본다고 했는데 오히려 그간의 남북한

통일안의 한계와 약점을 지적하고 특히 남북한 공히 정치적 통합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진다는 분석 위주임

북한에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 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 미국이 먼저 나서서 개입하지 않을 가능성은

있다 하더라도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해도 미국이 행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는 동의할

수 없음

북한 급변사태의 경우 중국이 자국민 및 재산보호를 명분 삼아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그것이 북중동맹에 의한 자동개입과 UN 상임이사국의

지위를 이용해서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라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려움

북한의 급변사태에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논지와 중국이 북한에 친중 정권을 세울 가능성이 높다는 논지는 자칫 통일보다 동맹을

선택하는 한미동맹 신화론자들의 논리를 강화시킬 수 있는 위험성 내재 박휘락박사가

인용한 미고위당국자의 발언은 context도 다른 것으로 보이고18

한국주도의 통일 역시 한미동맹약화로 이어지고 이는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에

치명적일 것이라고 단정하는 것 역시 같은 식으로 호도될 여지 있음

이 논리가 절대적 친미

보수진영의 동맹강화의 긴급성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논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평화협정이 통일의 전제조건이 아니라는 것에 동의하고 분단적 평화유지에 대한

반대에 동감하지만 평화보다 통일이 우선되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려움

통일을 위해 통일정책의 연속성을 위해 내각제 개헌을 해야 한다는 논리는

지나친 단순화 또는 비약으로 보임

현 정국에 대한 토론자의 견해

지난 7년간의 대북정책 및 통일정책의 한반도의 운명과 관련된 4가지 핵심 변수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① 한미동맹의 근본 성격 변화(대북억지-gt동북아지역군)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을 위해 일본과 한국에 아웃소싱 추진하고 있으며 그 핵심이 지역미사일방어체제

구축

- 전작권환수 시기보다 조건을 우선 고려

- 전작권에 대한 효용성 변화 과거 전략적 유연성은 분담의 차원이었으나 현재는

한미일 군사협력네트워크 통합의 차원으로 변모 따라서 미국이 전작권을 계속 보유하는

것의 효용성이 높아짐(미국의 꽃놀이패)

② 북핵문제의 근본 성격 변화 핵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음

- 미국은 북한에 대한 de facto 보유국 내부적으로 인정19

18 이 발언은 북한의 핵개발 중단 도발가능성 북한개혁 등 중국이 행사할 수 있는 대북 레버리지를 미국이

기대한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됨

19 수년 전 힐러리 클린턴의 발언부터 최근 오바마의 유엔연설 직전에 행한 국가안전보장회의 부의장 벤 로

24

- 발제논문에서 주장하는 통일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미국의 입장과 연결됨

- Permanent crisis 양상 분명 위기이고 해결이 난망한데 아무도 나서서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며 심지어 현 위기국면을 국내정치에 이용하는 측면이 커지는 일종의

북한 핵위기의 default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③ 한반도 통일론의 변화 신뢰프로세스 동평구 통일대박론 드레스덴 선언 등의

많은 제안들이 후속조치 없이 동력을 잃었으며 최근 UN연설에서 재확인되듯이

흡수통일론으로 귀결 남북교류의 제도화 수준은 대단히 높으나 실행수준은 대단히

낮음으로 인해 통일논의에 대한 국민들의 피로감을 확산시키고 이는 국내

안보포퓰리즘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동

④ 북중관계 변화 남북관계의 단절로 인해 긴밀해짐으로 해서 북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하고 있는데 중국의 대북 지분을 향상시켜 유사시 개입의 빌미가 될

가능성이 높음(발제논문도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음-탈북자 관리명분)

미국의 입장에 대한 견해

오바마는 대북정책에 있어 부시 전임정부와는 정반대되는 경향 1기에서의

강경함에서 2기에는 협상무드로 갔던 부시와는 반대로 초기의 온건입장이 시간이

갈수록 강경기조로 넘어가고 있으며 인권압박까지 병행

더 큰 문제는 강경책이든 온건책이든 문제해결을 위한 움직임이 없는 매우

수동적 태도로 일관한다는 것인데 이는 북한문제가 여전히 오바마행정부의

정책우선순위의 상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고 또 북한핵개발

국면을 빌미로 대중국 견제와 미일동맹을 비롯한 아시아동맹네트워크 강화에 활용한다는

것임

오바마의 소위 lsquoDDSSrsquo Doctrine의 근간은 임기 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한반도는 큰 현안 없이 현상유지로 흘러갈 가능성이 큼

미국의 MD 압박 강화될 것임

- 미국이 현재는 한국내 여론을 의식해서 한국정부와 보조를 맞추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MD 편입을 원하고 있기에 압박은 증가할 것임

- 한국과 일본이 참여하는 지역 미사일방어체제 구축은 미국의 아시아재균형전략의

핵심이며 한국의 MD 참여가 중국의 입장에서는 레드라인이지만 미국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한중의 접근을 억제할 수 있는 카드로서의 효용성이 있음

- 한국정부의 태도 변화 사드의 한국도입에 대해 최근에는 수용적 자세로 변화20

미국의 MD 참여 압박에 대해 정부가 진정으로 미국 MD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면 확실한 입장표명을 하거나 공개적으로 국민의 의견을 묻는 것이

필요함(double edge diplomacy 활용)

한국의 과제

즈 발언까지 일관됨 20 10월 7일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한민구장관은 북한 핵middot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사드를 배치하면 우리 안

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함 또한 MD의 핵심 자산을 동원하는 새로운 작전개념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같은 방안을 이달 말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연례 안보협의회에서 공식화할 방침이라고 밝힘

25

남북관계 해결을 위해 한국정부가 선제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시도해야 함

미국이 여러 복잡한 문제로 인해 여유가 없는 상황을 오히려 역이용하는 발상의 전환

필요

미국정부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대북접근에 있어 한미공조 이탈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견제해왔던 것에 비하면 한국의 운신의 폭은 역설적으로 커졌다고 볼 여지

있음 미국이 대북정책에 있어 마땅한 해법도 없고 정책순위는 점점 하락하는 상황에서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주도가 가능할 수도 있음

출구전략

- 6자회담과 919성명의 복원을 통한 문제해결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을 병행

- 524조치에 대한 언급 없이 실질적인 유연화

- 박근혜대통령의 결심이 관건 대화재개조건의 유연화에 대한 한미간 정책조율을

주도할 필요가 있음

5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

한국GPF재단이 주최하는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김현욱 교수께서 발제한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의 주제는 통일을

시급하게 달성해야 하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통일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반세기 이상 한국과 안보동맹을 체결하고 있는 미국의

한반도 통일정책을 논의하는 것은 아주 시의적절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자는 먼저

발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의견을 제시하고 발제자와 토론자 간의 약간의 상이한

견해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하고 곽교수의 질문에 대해 간략하게 답한 후

정책제안의 순서로 기술하고자 합니다

1 발제문에 대한 일반적 평가

발제자의 논문 내용과 접근방법에 대해 토론자는 전적으로 찬성하고 동의합니다

한반도 통일방안의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공감하면서 남북정상이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에 공통점이 있다고 이미 합의하였기

때문에 남북은 장차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 중 하나의 통일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람직한 통일접근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한국이

경계해야 할 것은 발제자도 지적한 바와 같이 북한의 붕괴통일보다는 독일과 같이

평화적 흡수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며 더 좋은 방안은 평화통일을 목표로 하되 점진적

접근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만약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하여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고 가정할 때 한국에게는

lsquo통일의 대박rsquo이 아니라 통일의 쪽박이 될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남북이

평화통일 협상을 통해 점진적 통일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미국의 국가이익과 우려사항에 대한 자세한 분석에 전적으로

동의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많이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서

기대하는 것은 미국의 국익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미국의 대한반도 통일정책이

결정되리라 전망됨으로 통일의 당사자인 남북은 통일의 과정에서 미국의 국익도

고려하면서 남북이 통일의 이니셔티브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6

2 발제 문에 대한 몇 가지 이견

토론자는 발제문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를 하지만 미시적 측면에서 토론자의 이견을

몇 가지 부언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연방제와 연합제를 설명하는 2쪽 문단에서 북한의 연방제를 1980년

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김일성이 발표한 내용을 기준으로 설명했으나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이 한국의 연합제와 좀더 가까운 것은 김일성이 1991년 1월

1일 발표한 lsquo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rsquo이므로 이를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비교분석 하는 것이 좀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980연대 연방제는

남과 북이 lsquo연방상설위원회rsquo를 조직하여 지역정부를 지도하는 중앙정부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1991년의 연방제는 지방정부에 모든 외교권과 군사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국의

연합제 즉 국가연합 형태의 통일방안으로 수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둘째 1991년 북한의 연방제는 남과 북이 어떠한 정치군사적 블록에도 가담하지 않는

중립국가의 외교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남북이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에 공통점을 인정하고 있으나 북한은 연방제가 되었을 때 외교정책은

반드시 비동맹 중립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나 한국은 북한의 그러한 중립정책을

수용하기 어려운 입장이므로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선 듯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셋째 북한의 연방제 실시 조건에서 남한이 수용하기 어려운 또 다른 것은 북한이

주한미군의 철수와 국가보안법을 철폐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장차 남북이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를 실시한다 해도 남한정부의 입장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보안법 철폐는 가장 민감한 문제들이므로 난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끝으로 발제자는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ldquo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케 하고 미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rdquo는 분석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됩니다 미국의 계획에 의하면 lsquo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군은 한국군과

한국인은 북한에 입북하는 것을 금지하고 미군과 일본의 자위대가 북한의 치안을

유지한다rsquo는 주장이 제기되어 이를 확인하고 있습니다(오크랜드 대학교 박문재 박사

주장) 또 다른 주장에 의하면 북한의 급변사태 시 중국군과 미군은 동시에 북한에

상륙하여 일정한 지역을 분할 하여 WMD와 북한 질서를 공동으로 유지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계획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경우 미국에는 분명히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미국의 이익과 우려가 병존하리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어느 것이 미국의 국익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가에 따라 미국의 외교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이며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한반도 정책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과 관련하여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 발제자는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어

대부분의 내용에 동의를 하면서 상이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토론을 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ldquo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으며 2012년 오바마

27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 체제와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통일을 지지했다rdquo는

내용에 대해 미국은 한반도의 통일을 원천적으로 원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토론자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1971년 7월과 2005년 8월 북경에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비밀회담을 갖고 ldquo미국이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양국은 한반도 분단의

현장유지를 계속하자고 합의rdquo한 내용이 미국의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습니다(2005년 9월

7일 Washington Post)

또 다른 예로 한국전쟁을 종결하는 휴전협정 제4조에는 ldquo정전협정 서명 후 3개월

이내에 서명 당사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한다rdquo고 합의했으나 미국은 북한이 핵을 만들기

전에도 북한의 평화협정 요구를 거절해 왔으며 이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해야

평화협정을 체결해 주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의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은 외교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둘째 과거 독일통일의 과정에서 고르바초프는 독일의 중립화를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미국은 통일된 독일이 NATO에 잔류해야 한다는 조건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결국

고르비가 양보하고 미국의 안이 채택되었으나 거기에는 서독이 소련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수용한 대가라고 합니다(주섭일 기자의 『1990년 독일통일과 2017년 한반도

통일』)

셋째 미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문제에 대해 크게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미국은

한반도가 통일이 된 뒤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주한 미군의

역할은 북한의 위협보다는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주한 미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미국의 재

균형정책도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넷째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미국의 동북아시아 국가에 대한 군수산업이 대폭

축소될 것이며 통일된 한반도가 미-중 간에 균형외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대중 견제는 급속하게 감소될 전망입니다

끝으로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은 감소된 반면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되어 미국의

장기적 전략인 미국의 군사비 감축과 국내외 여건으로 주한미군의 유지가 어렵게 될

경우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감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므로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4 한국의 당면 과제

한국은 대북정책의 출구전략으로 10월 3일 북한 실세의 한국방문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려 북한이 필요로 하는 경제지원과 5ㆍ24조치 해제를 전제로 북한의 양보를 얻어 내

남북관계의 출구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한국정부는 미국이 요청한 THAAD

구입이나 배치를 허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남북간의 평화체제 구축은 1단계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기 보다는 남북이 이미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를 비롯하여 6 ㆍ 15선언과 10 ㆍ 4선언의 내용 중 실천이 용이한

문제부터 실천하면서 남북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북한과 미국의

관계에서 미국이 현재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한국은

북한과 먼저 신뢰를 회복한 후 기본합의서에 이미 명시되어 있는 남북한의 불가침조약을

먼저 체결하고 서울과 평양에 대표부를 설치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한반도

28

비핵화를 위해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으로 핵

문제는 북미간의 문제로 유지하면서 남북한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요구를

하면서 남북의 해빙무드를 먼저 조성하는데 한국은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은 현재도 비동맹 중립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북한의 연방제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조심스럽게 중립화 문제를 거론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검토를 해야 할 것입니다

5 정책제안

한반도 주변 4강은 현재 그들의 국가이익과 한반도 통일이 그들에게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한반도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므로 한국정부는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북한에 비핵화 요구보다 협상을 통해 단계적으로 북한이 한국의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제안이나 구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서

북한이 시급하게 원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524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북한의 양보와 협력을 받아 내야 할

것입니다lt끝gt

6 장용석 박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1 통일과 관련하여 발표자의 다음 지적은 매우 중요함

- ① 기능주의적 접근의 한계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 필요성 ② 북한

주민들의 선택이 지닌 중요성과 그에 대한 고려 필요성 ③ 통일 대북정책의 연속성과

북한 리더십 포용을 위한 내각제 개헌의 필요성

2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과 관련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함

- 동서독은 유럽차원에서 NATO와 WTO간 세력균형 이를 바탕으로 한 동서 간

긴장완화와 특히 헬싱키 프로세스와 CSCE 등을 통한 공동안보 틀 구축 등으로 인해

교류협력에서 안보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특히 동독이 경우 패전의

여파겠지만 북한과는 달리 자국의 안보를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음

- 반면 남북을 둘러싼 지역 안보 환경은 미∙중 간의 긴장과 갈등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고 있고 특히 북한의 경우 지정학적 요충지론에 입각하여 자주-존엄-

선군의 기치 하에 핵보유까지 천명하고 비대칭적 전력의 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으로써 동서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교류협력의 직접적인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 따라서 동북아 지역차원에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협력적 안보 틀이나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공존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rArr 이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ldquo작고 쉬운 것부터rdquo 논리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를 외면하는 기능주의의 또 다른 버전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발표자의 평가는

무엇인지

rArr 아울러 평화협정은 평화적 공존의 제도화와 군비통제를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분단관리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게 아닌지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2: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2

제6회 한반도 미래비전과 동북아 평화구축

전문가 정책포럼

목 차

행사일정 및 참석자 명단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3

발표문(김현욱 박사)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4

지정 토론자 토론문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15

참석자 프로필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34

3

행사일정 및 참석자 명단

230-300 환영 다과회

300-615 한반도 통일과 미국

사회 곽태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

발표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지정토론 (가나다 순)

1 곽태환 (경남대 석좌교수)

2 강종일 (한반도중립화 통일협의회 회장)

3 김동현 (고려대 방문교수)

4 김준형 (한동 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5 문성묵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6 서주석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7 장용석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8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9 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630-800 만찬

4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 발제문 한반도 통일과 미국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I 서론

최근 통일논의가 불거지는 상황에서 주변강대국들의 입장이 주요 논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한국과 미국 양국은 이명박 정부 시절 한반도 통일의 원칙으로 시장경제체제와

자유민주주의체제에 기반한 평화적 통일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어 박근혜 정부도

미국과의 정상회담에서 통일의 원칙으로 시장경제체제 자유민주주의체제 비핵화에

의한 평화적 통일을 언급한 바 있다

이와 같은 공식적인 미국의 통일지지에도 불구하고 최근 워싱턴 분위기는 다소

싸늘하다 중국의 부상과 함께 미국은 아시아 재균형 정책에 있어서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한미일 3각 공조의 균열에 우려하고 있다 최근 경색된

한일관계에서 미국은 공식적인 중재의사를 거부한 가운데 일본의 전략적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으며 오히려 한중 관계 강화에 대한 우려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와 같은 미중 간의 세력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의 통일과정은 더욱더

고차방정식이 되어가고 있다 강대국들은 현상유지를 선호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과거 한미동맹을 중심으로 통일을 지지해왔던 미국의 목소리에도 미심쩍은 구석이

생기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글은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먼저 현실적인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미국이 한반도

통일에서 얻을 수 있는 이익과 우려사안 한미동맹의 미래상을 짚어본다 마지막으로

앞으로 한국정부가 고려해야 할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한국은 역사적으로 연합제 통일방안을 지지해왔다 1972년 74남북공동성명을

발표함으로써 자주 평화 민족대단결이라는 통일의 대원칙을 제시하였으며 전두환

정부 시절인 1982년에는 민족화합민주통일방안을 발표하여 ldquo통일은 민족자결의 원칙에

의거하여 겨레 전체의 의사가 골고루 반영되는 민주적 절차와 평화적 방법으로

성취되어야 한다rdquo고 밝혔다 1989년 9월에는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제시하였고

통일원칙으로 자주 평화 민주를 제시하였다 통일과정은 남북정상회담을 통한

민족공동체헌장의 제정 남북연합체제로서 과도적 체제를 형성한 후 남북연합체제에서

통일헌법과 통일을 위한 구체적 절차와 방법을 마련하고 총선거에 따라 통일국가를

이루어 간다는 것이었다 김영삼 대통령은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의 기초 위에서

5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을 제안하였는데 화해협력단계 남북연합단계 통일국가단계가

그것이었다 김대중 대통령의 통일방안은 공화국연방제 혹은 3단계통일방안으로

불리는데 1단계로서 남북연합단계 2단계로서 공화국연방제 3단계로서 통일국가라는

단계적 설정과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에 기반한 통일국가상을 그리고 있다1

연방제 방안은 북한이 역사적으로 주장해온 방안으로써 정치적 군사적 차원에서 먼저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정치 군사적 안건이 해결되어야 통일프로세스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와 같은 방안에 의하면 1국가 2체제를 먼저 구축한 다음

추후에 정치적 통합을 이루겠다는 것이다 북한은 1980년 조선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이라는 완성된 형태의 통일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방안은

ldquo북과 남이 서로 상대방에 존재하는 사상과 제도를 그대로 인정하고 용납하는 기초

우에서 북과 남이 동등하게 참가하는 민족통일정부를 내오고 그 밑에서 북과 남이 같은

권한과 의무를 지니고 각각 지역자치를 실시하는 연방공화국을 창립하여 조국을 통일할

것rdquo이라고 밝히고 있다

한국의 통일정책의 특징은 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남한체제를

궁극적인 통일의 상으로 설정하고 있다는 데 있다 연합제 방안은 과도기적 체제로써

2국가 2체제를 지속시킨 이후 궁극적으로 통일을 이루겠다는 것이다 즉 2개의

정치체제 하에서 경제적 통합을 먼저 이루자는 논리이다 또 하나는 기능주의적

접근이다 기능주의적 접근방안은 양 국가의 비정치적 이익에 기반하여 경제적 통합을

추진하자는 것인데 이것이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으로 연결된다는(spillover) 전제를

두고 있다 물론 이것이 유럽통합의 경우 어느 정도 밑거름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으나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 노력은 개별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2

북한통일정책의 특징은 첫째 정치군사적인 문제해결에 우선을 두는 연방주의적

방식이다 통일의 기본조건으로 주한미군철수 북미평화협정 등을 제시하고 있다 즉

북한의 연방주의적 접근은 정치군사적 문제해결을 먼저 진행한 이후 경제사회문화적

제반 교류를 확대해나가자는 것이다 둘째로 일원론적인 1체제국가로의 통일을

상정하지 않고 있으며 연방제를 완성된 형태의 통일로 인정하고 체제문제는 후세대의

과제로 미뤄놓고 있다

3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위원장은 정상회담에서 남한의 연합제 방안과 북한의 느슨한

연방제 방안 간에는 공통요소가 존재한다는 데 합의한 바 있다 연방제와 연합제 방안

모두 점진적이고 단계적인 통일을 추구한다는 데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두

방안은 모두 정치적 통합 측면에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북한의 연방제 방안은 1국가

2체제 통일 이후의 정치적 통합에 대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다 체제가

1 임현진 정영철 21세기 통일한국을 향한 모색 분단과 통일의 변증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pp 32-

46 2 ldquo제6차 대회 중앙위원회 사업총화보고(1980)rdquo 조선노동당대회 자료집 제3집 서울 국토통일원 3 임현진 정영철 21세기 통일한국을 향한 모색 분단과 통일의 변증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pp 72-

75

6

다른 두 개의 나라 간의 연방이 어떻게 국가를 운영해 나갈지에 대해 과제를 안고 있다

한국의 연합제 방안 역시 궁극적인 통일의 목표를 1국가1체제로 상정하고는 있으나

기능주의적 접근방식에 입각한 통일방안으로는 정치적 통합이 용이하지 않다

2 북한 급변사태로 인한 통일

북한급변사태로 인해 북한을 흡수통일하는 방안은 탈냉전 초기에나 가능했던

시나리오이다 당시 미국은 초강대국의 지위를 누리고 있었고 따라서 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중국의 세력이 미미한 상황에서 한국군과 함께 개입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이 경우 흡수통일 달성이 가능했다 그러나 현재 한반도를 사이에 두고 미중

양국의 세력이 비등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의 개입은 그다지 쉽지 않다

이 같은 상황에서 북한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게 하고 자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4 또한 북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며

이에 반해 중국은 탈북자들의 통제 목적 이외의 경우에도 북한에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하려 할 것이다 5

한국의 개입은 국제적으로 쉽게 용인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 즉 유엔에 남북한

양국이 동시 가입한 사실은 남북한이 별도의 국가라는 근거로 사용될 수가 있으며 이

경우 북한의 급변상황에 한국이 개입하는 것은 유엔헌장에 위배된다

이와 같이 미국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하려는 상황 속에서 한국이 독단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여지 역시 줄어들게 된다

6

이 같이 적극적인 중국의 개입 가능성이 존재할 경우 미중 양국은 모종의 타협을 할

가능성이 있는데 양국은 북한급변상황이 어느 한 국가에게도 유리하지 않는 현상유지에

대한 타협을 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 상황수습을 국제연합으로 넘길 가능성이

유엔헌장 제2조

4항은 ldquo모든 회원국은 국제관계에 있어 다른 국가의 영토보전이나 정치적 독립에

반하거나 또는 국제연합의 목적과 양립할 수 없는 다른 어떠한 형태의 무력위협 또는

무력행사를 삼간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다

개입에 적극적인 국가는 중국인데 중국은 탈북자들을 관리하기 위한 명분으로

접경북한영토에 탈북자보호시설을 만들려 할 것이다 이미 국경지대에 상당한 규모의

중국군사력을 배치해 놓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북중 간에는 동맹조약에 의하여

자동개입이 보장되어 있으며 북한이 중국의 개입을 요청하지 않더라도 중국은

UN상임이사국 지위를 이용하여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다 급변상황을 안정화한다는 명분

하에 중국인민군은 평양지역까지 진출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4 Bruce KlingnerldquoNew Leaders Old Dangers What North Korean Succession Means for the USrdquo

Backgrounder No 2397 Heritage Foundation Apr 7 2010 p 13 5 Bruce W Bennett Preparing for the Possibility of a North Korean Collapse RAND Corporation

2013 6 박휘락 ldquo북한급변사태와 통일에 대한 현실성 분석과 과제rdquo 국가전략 164 2010 p 72

7

있다 하나 우려스러운 것은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박휘락 박사에 의하면 2004년 한미 양국이 개최한 pol-mil 게임에서 한 전직

미 고위당국자가 이와 같은 발언을 했다고 한다 ldquo미국은 북한의 어떠한 사태에서도

중국이 영향력을 행사하려 할 것이라는 점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이것이 미국의

입장에서 반드시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북한이 중국의 말만 제대로 들어도 핵을

포기하고 개혁∙개방을 할 것이니까rdquo7

현재 한국과 북한의 공식 통일방안인 연합제나 연방제 방안에 의하면 궁극적으로 가장

우려되는 것은 정치통합이다 실제 이는 예멘통일의 과정에서 증명되었는데 예멘통일은

북예멘과 남예멘 간의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 교류로 인해 이루어졌다기 보다는

아랍연맹국가들의 중재로 인해 성사되었다 이로 인해 예멘은 1차 통일을 이루게 되는데

비례대표제에 의해 연방제적 통일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결국 사회문화적 유대감의

부족으로 인해 결국 양국은 군사적 정치적 사회적 대립을 노출시켰고 결국 무력을

동원한 2차통일에 의해 궁극적인 통일을 이루게 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북한급변사태는 한반도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다 미중 양 강대국이

한반도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고 어느 한 쪽이 북한에 대해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기를 바라지 않는다 현 동북아시아의 역학구도 상에서 북한급변사태는

현상유지로 갈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북한 주민들이 친한국 성향을 강하게 소유하게

된다면 따라서 북한급변사태가 발생했을 경우나 이 경우 중국이 개입하여 친중국

정권을 수립하려 든다면 이에 대한 북한주민들의 반발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북한주민들의 충분한 경제력이 존재해야 하고 남한과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이 존재해야 한다

3 남한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통일 하는 방안

이 방안은 독일통일이 이루어진 것과 유사한 방안이다 이 방안에 따르면 남북한

국민들이 문화적 동질성을 가지고 북한주민들이 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을

가지는 데서 출발한다 독일의 경우처럼 통일의 과정 중에서 총선거에 의해 남한의

체제에 의한 통일이 이루어지는 것이 이 시나리오에 의한 통일 방안이다 즉 남한의

평화적인 북한 흡수통일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북한주민들의 친 한국 정체성은 북한급변사태가 발생했을 경우에도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했을 경우에

중국은 북한에 개입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북한이 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을

가지고 있거나 민족적 동질성을 가지고 있게 될 경우에 북한 주민들은 중국의 진입에

반감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 방안은 미국의 이익에 가장 많이 기여하는 방안이 될

것이며 통일 후 한미동맹의 유지 발전과도 가장 잘 어울릴 수 있는 통일방안이다

8

7 박휘락 ldquo북한급변사태와 통일에 대한 현실성 분석과 과제rdquo 국가전략 16 4 2010 pp 45-47

8 임현진 정영철 21세기 통일한국을 향한 모색 분단과 통일의 변증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pp 293-

8

따라서 한반도 통일을 위해서는 정치통합이라는 난제를 극복해야 하며 이를 이루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실제 서독의

신동방정책의 핵심은 이에 있었으며 베를린 장벽의 붕괴로 인해 통일에 대한 열기가

달아오를 무렵 동독의 라이프치히에서는 1990년 1월 20만 명의 동독시민이 참가한

가운데 대규모 반공 및 통일 요구시위가 발생한 바 있다 9 또한 1990년 동독에서

자유총선거가 실시되었을 때 유권자들의 9322의 투표결과는 ldquo다시는 사회주의가

아니라 자유와 번영을rdquo이라는 구호를 내걸고 동독의 서독으로의 신속한 편입을 주장한

독일연합의 승리였다10

III 독일 사례와 미국

독일의 경우 동서독 간 통합에 의한 통일을 추진했었으나 동시에 경제협력과 교류를

통해 동독주민들이 서독체제에 대해 동경심을 갖도록 하였다 즉 빌리 브란트 총리의

신동방정책은 동독주민들의 정체성을 서독지향적으로 이끄는 데 기여하였다 그 결과

통일독일을 위한 총선거에서 대다수의 동독주민들은 서독의 정치체제와 정당에

투표하였으며 자연스럽게 통일독일은 서독중심의 국가로 형성되었다

독일통일이 이루어질 당시 유럽정세는 베를린장벽의 붕괴와 함께 구 소련의 세력이

위축되고 미국의 세력이 증가하고 있을 때였다 이와 같은 정세는 미국으로 하여금

독일통일을 지지하게끔 하는 요인이 되었는데 통일독일의 지위가 미국의 이익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유럽정상회담 연설에서 부시

대통령은 독일통일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하면서 독일민족의 자결권 존중 등 독일통일의

4원칙을 언명하였다 첫째로 어떤 특정한 통일을 상정하지 않는 독일민족의 자결권을

존중한다는 것이었으며 둘째로 독일의 NATO잔류와 유럽통합의 지속 동맹국의 법적

역할과 책임을 존중하고 셋째로 통일은 전반적인 유럽의 안정에 도움이 되도록 평화적

점진적 단계적으로 추진하며 마지막으로 국경문제는 헬싱키 최종의정서의 원칙에

따르고 유럽변경의 불가침성을 인정한다는 것이었다11

4 9 황병덕 외 독일의 평화통일과 통일독일 20년 발전상 통일연구원 2011 p 173

10 황병덕 외 독일의 평화통일과 통일독일 20년 발전상 통일연구원 2011 p 179 11 Philip Zelikow and Condoleezza Rice Germany Unified and Europe Transformed A Study in Statecraft 1997 p 113

1990년도 독일 콜 수상은 고르바초프와도 만나 6가지 사안에 대해 합의를 이루었다

1) 통일 이후 독일의 군사력이 37만 이하로 유지할 것

2) 핵무기와 생화학무기의 생산 및 소유를 금지할 것

3) 소련군은 동독지역에 1994년 말까지 머무른다는 것

4) 나토군은 독일 동쪽 영토에서 소련군이 철군하기 전에 머물 수 없다는 것

5) 소련군의 철수 비용을 지원할 것

9

6) 독일과 소련 간 경제적 협조관계 조약을 맺을 것12

당시 미국은 독일의 통일을 지지했는데 독일이 나토와 EC에 머무른다는 조건

하에서였다 미국은 독일이 나토에 머물지 않으면 중립화 독일이 될 것이며 이는

핵무기 보유를 시도하게 될 것이라고 소련에게 주장했다 미국은 소련에게 나토군이

1994년까지 독일의 동쪽 영토에 머무르지 않을 것을 약속하였다 독일통일에 대해

미국이 생각하고 있던 구체적인 이익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로 동부독일의 경제적

요인으로 인해 미국의 대독일 수출이 증가할 것이며 미국의 투자 역시 증대할 것이다

둘째로 2+4조약은 독일군을 제외한 나토군이 구 동독지역에 주둔하지 못한다고

기술하고 있으며 주둔은 소련군의 철수 이후에나 가능하다 독일은 또한 핵무기와

생화학무기의 제조 소유 그리고 통제를 포기한다 따라서 독일통일로 인해 NATO에서

미국의 영향력 확대가 가능하다 셋째는 독일의 CSCE 지역기구화와 동 기구의

안보역할 확대는 미국의 입장과 충돌할 수 있다 미국은 CSCE와 NATO중 NATO의

역할 확대를 원한다

13

당시 독일통일에 대한 미국의 태도는 독일을 NATO에 유지시키는 것을 우선순위로

두고 있었다 멸망하는 구 소련의 경우 독일통일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이었으나 냉전의

종식과 강대국인 미국의 통일지지 앞에 적극적으로 반대하기 힘든 상황이었다 이

상황에서 소련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원조에 있었다 현재 중국의 부상과 미국의 쇠퇴

가능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과연 미국이 독일통일의 경우처럼 한반도 통일을

지지해줄지는 미지수이다 또한 중국이 한국의 통일을 적극적으로 반대할지 여부도

불확실하다 당시 독일은 소련군의 철수를 위해 1994년까지 구 동독지역에 서방군대를

배치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했으며 NATO회원국으로서의 독일이 소련에 직접적인

위협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약속을 하여 소련군의 반대를 무마시켰다

14

IV 미국과 한반도 통일

이와 같은

우리의 외교적 노력이 미중 양국에 대해서 추진될 필요가 있다

1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해왔다 부시 대통령과 클린턴 대통령은

lsquo한국국민이 수용할 수 있는 조건에 기반한 평화적 통일rsquo을 지지했다 2012년 박근혜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 간의 정상회담에서 한미 양측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그리고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적 통일을 지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 대해 독일통일의 경우처럼 적극적으로

12

박영호 한국의 대미통일외교전략 민족통일연구원 1998 p 28 13 Paul E Gallis and Steven J Woehrel Germany after Unification Implications for US Interests CRS Issue Brief CRS Feb 20 1991 14

김규륜 외 한반도통일의 미래와 주변4국의 기대 통일연구원 2013 p 62

10

지지할 지는 미지수이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에 따르면 미국의 대 한반도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다 1) 수평적 핵확산 방지 2) 수직적 핵확산 방지 3) 비핵화 4)

급변사태 계획 5) 북한에 대한 개입정책 6) 북한주민들의 상황 개선 즉 미국은 한반도

통일의 경우 현 북한이 소유하고 있는 핵무기를 폐기하고 핵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익을 가지고 있으며 이 문제가 해결된다면 더 이상 한반도 통일에 적극적일 이유가

없는 것이다

이는 현재 동북아시아의 역학구도를 보면 더욱 설득력이 있는데 독일통일의 경우 구

소련의 멸망과 함께 독일통일은 NATO의 확대와 함께 미국의 세력권을 확대시키는

이익을 가져다 주었다 그러나 현재 동북아시아는 중국의 부상과 함께 통일한국이

미국의 동아시아 패권에 도움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확신을 가져다주지 못한다 또한

최근 한중관계 강화로 인해 미국 내부에서는 통일한국이 친미가 아닌 친중 국가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미국이 향후 한반도 통일을 지지하기 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는 통일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연합제연방제에 의해 통일이 이루어지는 경우 한미동맹은 폐기될 수 있고 주한미군은

미국으로 철수할 수 있다 이 경우 한미동맹의 미래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연합제연방제에 의해 통일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한미동맹이 존재할 수 있으나 이

경우 한미동맹의 역할은 매우 제한적이게 되며 동맹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메카니즘이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필자는 한국주도의 통일이 달성되는 경우에

중점을 두고 한미동맹의 미래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한국주도의 통일이 달성될 경우에도 한미동맹에는 많은 변화가 생기게

된다 동맹에는 비전적 측면(attitudinal)과 운용적 측면(behavioral)이 존재한다 비전적

측면에는 동맹의 존재이유(rationale) 위협인식(threat perception) 목적(objective)

등이 해당되며 운용적 측면에는 군사지휘체계 구성 방위비 분담문제 기지배치 문제

군사전술 등이 해당된다 통일 이후 한국은 미국과 함께 새로운 한미동맹의 로드맵을

작성해야 하며 이는 또 다른 동맹변환의 작업이 될 것이다 즉 한미 양국은 한미동맹의

공동의 전략적 목적(common strategic objective)에 대해 논의해야 하며 그 이후에

양국 군의 역할 임무 능력 (roles missions and capabilities)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

먼저 한국과 미국의 위협인식은 지역적 글로벌 차원에서의 위협이 그 대상이 된다

북한의 위협이 사라지게 될 경우 한미 양국은 지역적 안보위협에 대해 대처하여야 하며

이 경우 중국에 대한 대처는 포함되지 않게 될 것이다 이에 기반하여 양국은 동맹의

전략적 목적을 결정하게 된다 결국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주요 전략적 목적은 지역적

안보질서의 유지가 될 것이다

중요한 것은 운용적 측면에서 동맹의 로드맵을 어떻게 작성하느냐인데 이 경우

11

주한미군의 규모와 배치 전략적 유연성 문제 군사지휘체계 문제 등이 주요이슈이다

먼저 군사지휘체계에 있어서 한국은 더 이상 미군에게 전시작전통제권을 위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미일동맹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미 양국 군은 개별적인 지휘체계를

유지하며 유사시에 협조할 수 있는 협조체제를 구축하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해

주한미군은 더 이상 북한 위협이 존재하지 않는 한반도에 현재와 같은 병력이 상주할

필요가 없게 되며 전략적 유연성을 강화하여 한국군과 함께 지역적 글로벌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보다 유연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중요한 것은 주한미군의 규모와 배치이다 한반도에 주둔하고 있는 주한미군의

지상군(ground force)의 규모는 줄어들게 될 것이다 중국을 의식하여 주한미군의

위치도 현 남한 영토에 한정되어야 하며 38선 이북에는 주한미군을 제외한 한국군이

주둔하게 될 수 있다 한미동맹이 지역적 운용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이것이 중국을

겨냥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미국중심의 미사일방어체계는 한반도에서의 운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최근 논의되고 있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역시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즉 통일 한국의 주한미군은 주로 해군이나

공군을 위주로 형성되어야 하며 지상군을 비롯한 전체 군사력은 삭감되어야 할 것이다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여러 자료에 의거하면 통일한국에 대한 미국의 이익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15

5) 통일로 인해 한반도 전면전 상황(all-out warfare situation) 가능성이 사라지면서

미국은 이에 대비하기 위한 작계를 만들 필요성 및 부담감이 사라지게 된다 현재

미국의 국방비 삭감 및 시퀘스터 상황으로 인해 국방전략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1)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주요 이익은 핵무기와 미사일의 개발을 제거하거나 방지하는

것이다 급변사태가 발생하게 되면 미국의 주요 우려사안은 북한의 대량살상무기가

한반도 지역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다 통일은 북한의 핵확산방지를 달성할

수 있다 즉 통일은 NPT체제강화에 기여하게 된다

2) 시장경제체제 지향적인 통일한국은 미국의 이익에 기여하게 된다 구 북한영토는

미국의 투자를 필요로 하게 되며 이는 미국의 경제적 이익을 증가시키게 된다

3) 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 체제에 의거한 통일한국은 미국으로 하여금 주요가치의

세계적 확산을 위한 모멘텀 역할을 하게 된다

4) 한미동맹은 통일 이후 새로운 역할과 임무를 맡게 될 것이며 이는 지역질서와 안정

유지이다 이것은 미국이 추구하고 있는 아시아 재균형 정책의 주요한 자산이 될 것이며

미국으로 하여금 국제적 강대국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이다

15 Americarsquos National Interests The Commission on Americarsquos National Security 2000 US Department of Defense A Strategic Framework for the Asia Pacific Rim Report to Congress 1992 A Blueprint for US Policy towards a Unified Korea CSIS Working Group Report August 2002 Peter Murphy Lewis ldquoUS Foreign Policy towards the Korean Peninsula An Anti-Unification Policy or Just Too Many Uncertainties to Account For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62 December 2007 차두현 ldquo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시각 기회와 도전rdquo 글로벌정치연구 32 2010 pp 43-44

12

이미 2개의 전쟁이 종료된 이후 2개 전쟁 동시수행 전략은 2012년 defense strategic

guidance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반도 전면전 상황은 미국에게는

부담스러운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 대한 몇 가지 우려사안을 가지고 있다 먼저

미국은 통일한국으로 인해 한미동맹이 약화될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현재

미국은 경제력 약화와 국방비 삭감으로 인해 아시아 재균형 전략에 차질을 빚고 있다

2014년 4년 주기 국방검토 보고서 (QDR)에 따르면 미국은 2개의 전쟁을 종식하고

국방비를 삭감하고 있는 상황이며 아시아 재균형 정책을 장기적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즉 국방비 삭감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장기적으로 아시아지역에 미

해군병력의 60를 배치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동맹국들의

역할을 매우 중시하고 있으며 이런 차원에서 통일이 가져다 주는 한미동맹의 약화

가능성은 미국에게 큰 우려사안이 될 수 있다

두 번째로 한미동맹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매우 치명적이다 현재

아시아정책의 중심축인 미일동맹과 달리 한미동맹은 미군의 전방배치(forward

deployment)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즉 현재 주한미군은 북한이라는

대리국가(proxy state)를 통해 중국을 가장 근접에서 억지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10년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포격사건의 경우에도 미국은 한반도에 항공모함을

출격시켰는데 이는 중국에게 매우 치명적인 위협으로 다가왔었다 즉 미국에게 북한의

군사적 행위는 중국을 견제할 수 있는 좋은 구실이며 주한미군은 중국을 가장

근거리에서 견제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만일 통일로 인해 북한이 사라지고

한미동맹이 약화되거나 역할이 변경되면 미국의 대중국 견제전략에는 차질을 빚게 된다

세 번째로 미국은 한국이 주한미군을 철수시키고 미∙중 양국 사이에서 중립국 지위를

유지하는 경우를 우려한다 통일이 이루어질 경우 미∙중 간의 경쟁에 의해 통일한국은

중립화 노선을 추진할 수 있다 이 경우 미국의 핵우산 제공이 어려워지게 되며 이는

중국과 일본의 군사력 강화 사이에서 통일한국의 안보불안을 야기시키게 된다 과거

통일독일의 중립화에 대해 미국이 우려를 표명했던 것처럼 통일한국은 자체적인 군사력

강화를 추진할 수 있으며 이에는 핵개발도 포함될 수 있다

V 결론 - 정책적 고려사안

현재 동북아지역의 국가들은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입장이다 기술한 바와 같이 미국

역시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한반도 통일에 대해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입장은

기타 동북아국가들 예를 들어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서 통일에 우호적이다 미국의

이익이 한반도의 이익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은 미국이 통일을 반대하거나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미국이 가지는 지정학적 위치로 인함이다 한반도에서 멀리 떨어져

13

있는 미국의 위치 상 미국은 한반도 통일이 미국에게 직접적으로 이익을 가져다 주지

않더라도 주변국들에 비해 강하게 반대하지 않는 입장이다16

관련하여 빅터 차는 이와 같이 말했다 ldquo모든 강대국들은 한반도의 통일이 지역적

세력균형에 변화를 가져 올까봐 통일에 반대하는 입장이다hellip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한국이 당장 통일절차를 추진하게 될 경우 주변 강대국들은 모두 통일에 찬성하는

입장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 새롭게 통일되는 강대국 한국이 탄생할 경우 통일에 대한

반대입장을 보였던 국가들은 통일한국에게 적대국가로 인식될 것이기 때문이다hellip

한국민들은 일단 통일절차를 시작하게 되면 주변국가들이 이에 찬성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게 될 것 이다helliprdquo

중국의 한반도 통일에 대해 lsquo평화적이고 독자적이며 점진적인 비핵화 통일rsquo을

지지하는 입장이다 즉 평화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이 중국의 경제적 발전에

해를 끼쳐서는 안되기 때문이고 독자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한국이 미국

쪽으로 경사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며 점진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이 지역적

안정을 헤쳐서는 안되기 때문이며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한국에

미국의 핵우산이 유지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결국 독립적인 통일과 비핵화에 기반한

통일 지지 입장은 모두 한미동맹과 관련되어 있다 중국은 친미 성향의 통일한국에

반대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국정부는 보다 세심한 통일준비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몇 가지 정책적 고려사안을 제시한다 첫 번째로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한국은 독일과 달리 패전국 지위가 없으며 따라서 통일을 이루기 위해

4 개 조약당사국들로부터의 승인이 필요했던 독일과는 달리 주변국들로부터 아무런

승인을 받을 필요가 없다 독일은 포츠담회담에서 승전 4 개국이 분할점령하기로

합의하였으며 이것이 냉전과 함께 분단으로 이어졌기 때문에 통일국가를 이루기

위해서는 분할점령을 합의했던 4 개국들의 승인이 필요했다 게다가 독일통일의 경우에

이미 2+4 회의에서 독일통일을 승인하기 이전에 동독의 독일연방 가입이 결정되었기

때문에 후속적 승인에 불과하였다 한국과 북한 양국이 통일과정에 대해 합의하고

추진하여 통일을 달성하면 주변국가들은 이에 동의할 수 밖에 없다

17

두 번째로 평화협정은 휴전중인 한국전쟁을 종식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지 통일의

전제조건은 아니다 한국정부는 그 동안 통일이 아닌 분단적 평화유지에 지나치게

집착해왔다 이는 통일을 위한 본격적인 정책추진이 아닌 단지 정전상태를 평화상태로

바꾸는 것에 불과하며 이를 위해서 지불해야 할 비용 역시 지나치게 높다 즉 북한은

평화협정 체결을 위해 주한미군의 철수 등을 주장하고 있으며 이는 현 한국의 안보상황

16 Peter Murphy Lewis US Foreign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An Anti-Unification Policy or Just Too Many Uncertainties to Account For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62 December 2007 p 107 17 Victor Cha The Contiuity behind the Change in Korea Orbis No44 (Fall 2000)

14

속에서는 불가능한 조치들이다 이제는 한반도 평화가 아닌 통일을 정책적 목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평화협정

문제를 논의하는 것은 결국 입장차이를 확인할 뿐 실제 평화체제가 확립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미국은 평화협정 체결이 북한 비핵화를 먼저 이룬 이후에 가능하다는

입장이며 중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하게 되면 북한비핵화 등 제반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따라서 남북한 양국은 이제 소모적인 평화협정 논의 이외에 본격적인

통일논의를 통해 남북한 당사국들의 이익에 보다 충실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 한∙미∙중 3 자회의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미 한∙미∙중 3 개국은 작년에

1 차 전략대화를 개최하였다 주요 이슈는 북한 핵문제였는데 이와 같이 북한

핵문제에서 이슈를 확대하여 한반도 통일 북한급변사태 등 다양한 문제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남북통일은 미∙중 양국의 이익 및 세력균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3 국 전략대화에서 한반도 통일에 관한 입장을 조율하고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역할과

임무에 대한 각기 다른 이해관계를 조율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은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 남북한 통일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한국

내부의 통일정책을 하나로 수렴시키는 일이다 현 대통령제 하에서는 연속적인

통일정책이 중장기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고 정책적인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 또한 통일과정에서 북한리더십을 통일한국의

정치체제로 통합할 필요성이 있다 독일통일과정에서도 총선거를 통해 동독 지도부가

독일연방으로 통합되었듯이 남북한 정치통합을 위해서는 내각제 체제가 더 적합하다

15

제6회 정책포럼 토론문 (무순 제출순서대로 편집)

1 김동현 교수 (고려대 일민국제관계연구원 방문학자 북한대학원대 초빙교수 전 존스

홉킨스 국제대학원 겸임교수 및 방문학자)

총평 한반도 통일을 주제로 창의적인 노력을 보여준 발제자에게 우선 찬사를 보낸다

발제자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 부분이 많이 있지만 김현욱 박사가 과시한 학술적

접근방식과 독창적인 의견들은 높이 평가한다

- 우선 여러 가지 통일 시나리오를 가상하고 그와 관련된 논의를 흥미 있게 전개하지만

지금까지 국제 정치사상 어떤 시나리오가 상정한대로 어느 문제가 해결된 것이 없디

역사에 가정이 없듯이 국제정치의 현실에서 ldquoScenariordquo의 가정도 설 땅이 없다

시나리오를 추구하는 학자들은 바둑놀이를 계속하는 것과 같다 바둑을 둬서 어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지만 두뇌기능을 진척시키고 치매 방지 등 건강에 도움이

되는 정도라고나 할까 학자들의 장기중의 하나는 간단한 문제를 복잡하게 해석하고

신조어를 만들어 내며 독자들을 헷갈리게 하는 재주다

발제자 주장에 대한 토론

- 615 정상선언은 남한의 국가연합 방안과 북한의 느슨한 연방체 간에 공통점이

존재하며 앞으로 ldquo그런 방향으로 (통일을) 추진한다rdquo고 합의 했을 뿐 그 후에 어떻게

정치체제를 통합하겠다는 언급이 없었던 사실을 발제자가 정확하게 지적했다 그러나

당시 한국측 주역들은 연합과 연방단계를 묶어서 Federation 이 아닌 Confederation 의

형식으로 교류와 협력이 무르익는 ldquo사실상의 통일 ndash De Facto or Virtual Unificationrdquo

을 이룬 다음에 완벽한 법적 통일 ndash ldquo De Jure Unificationrdquo 로 간다는 것이다 DJ 의 3

단계가 연합 ndash 연방 ndash 완전통일 이었다면 임동원은 화해 협력 ndash 사실상의 통일인 연합

그 후에 법적 통일의 3 단계였는데 이 점은 615 선언협상과정을 통해서 DJ도 동의

했다는 것이다 (ldquo피스메이커rdquo에서 - 이 통일 과정에 소요 되는 시간을 DJ 는 10 년

김정일은 40mdash50 년으로 예상했다)

- 발제자가 논의한 ldquo급변사태로 인한 통일에 대해서 ldquo급변사태rdquo에 대한 정의는

무엇인가 중국의 개입가능성이 높고 미국의 개입가능성을 낮다고 하는데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논의 되어 온 것 이상의 논리가 없다 미국의

역할을 예측하는 문헌으로 Bruce Klinger 와 Bruce Bennett 의 글을 주석으로 달고

있는데 이 두 사람은 북한의 붕괴를 이념적으로 바라면서 근거가 미약한 붕괴론을

확산 시켜온 인물들이다 다만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남북한이 둘 다 유엔회원국이기

때문에 만약 북한에 권력공백 상태가 생겼을 때 누가 들어 가서 평정 및 관리를 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유엔차원에서는 아직 한 번도 논의된 적이 없는 문제다 유엔 임시

한국위원회에서 대한민국정부 수립에 앞선 선거 감시를 했고 625 때 38 선 이북으로

북진 할 때도 당시 유엔군 사령부는 수복지구에 대한 행정권을 정식으로 한국에 넘기지

않았다

16

- 한국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 하는 방안에 대해서 우선 발제자가 말하는

ldquo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rdquo의 뜻은 우호적 태도 호감 영어로 말하는 Identity

라면 북한 주민들이 ldquo우리는 남한 사람들과 같다rdquo는 뜻인가 정체성이 정치적 동질성을

말한다면 이를 이룩하기 위한 노력이 장기간 섬세하게 선행 되야 할 것이다 예멘의

사례도 학술적인 참고는 되지만 정책상의 참고는 될 것 같지 않다 물론 최종적인

정치 사회 통합은 현재의 정부 방식으로는 통일의 최종적 과제이다 그러나 평화를

보장하는 사실상의 통일 단계에만 돌입해도 궁극적인 통일로 향하는 엄청난 성과가 될

것이다 그래서 통일은 과정이란 말이 나왔다

- 독일의 사례 대해서 한국통일 논의에서 독일통일의 모델이 약의 감초처럼

등장하는 데 독일에 가서 독일 통일 과정을 공부한 한국인들을 제외하면 독일인

독일통일 전문가들은 한국과 독일 여러 가지 여건이 (역사 경제 문화 국제환경)

다르기 때문에 독일통일방법을 모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을 많이 하고 있다

토론자의 생각도 같다 물론 독일과정에서 있었던 일들 중 한국이 배우고 참고로 해야

할 점이 많이 있음은 부인치 않는다 (예 정권교체와 관계없는 일관된 정책의 지속성

같은 것 ndash 발제자는 이를 위해 내각제 개헌을 제안) 독일 통일과 관련된 미국의

이해관계를 소상하게 기술했는데 이 것도 본 발제문 주제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지 않는다

-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에 대해서 해방 이후 미국은 유엔결의문 등을

통해서 평화적으로 한반도에 자유 민주 통일 정부가 수립되기를 바란다 고 언급해 왔고

아버지 부시 클린턴은 ldquo한국국민 (the Korean people) 이 원하는 통일rdquo그리고 아들

부시와 오바마 때와서는 ldquo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체제의 통일rdquo을 지지한다고 공언했다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은 한국 헌법에 부합하지만 북한에 입장에서는

ldquo흡수통일rdquo로 받아 들린다 당연히 북한이 반발한다 2000 년 10월 김정일은 이렇게

말했다 ldquo우리는 제도에 의한 통일은 반대다 평화통일 하면 우리는 우리 식으로

통일하는 것을 말하고 민주 통일은 남조선 원하는 통일이다 평화통일이 되면 중국이

좋아하고 민주통일이 되면 일본이 좋아할 것이다rdquo

1991 년 6월 토론자가 평양에 갔을 때 당시 북한 군축평화 연구 소장 송호경 (후에

아태위 부위원장) 은 이렇게 말했다 ldquo 1민족 1 국가 2 체제 고려연방제는 한쪽이 다른

한쪽을 먹을 수 없는 상태로 공존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상태를 해소할 수 있는

쌍방간의 합의나 체제통일이 없으면 이 상태가 마냥 계속될 수 있다 영구히 갈런지도

모른다rdquo

- 지금까지 미국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한국 통일에 대한 수사적 지지만∙ 했을 뿐

한국통일을 위해 노력한 흔적이 없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현재 미중은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 속에서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각각의 전략적 이익 때문에 한반도에서

무탈 무사 현상유지를 원하고 있다 발제자가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간행물을

인용했는데 토론자는 이 것도 못 마땅하게 생각한다 그 간행물에 관여 한 소위

미국인 전문가들 중에 한국통일 전문가는 별로 없다 Victor Cha가 미국의 거물학자로

여겨지는 것도 못 마땅하다 (나는 이런 것을 미국에 대한 학문적 사대주의 ndash

Academic Sycophancy 라 부른다) 미국문제는 미국인들이 잘 알고 한국문제는

한국인들이 잘 안다 다른 한가지를 지적한다 미국은 지금 한국 통일에 대한

우선순위가 없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북핵 문제도 우선순위를 두지 않고 있다 심지어

17

아시아 재 균형 문제도 이라크와 시리아의 ISIL or ISIS 문제 때문에 신경을 제대로 쓰지

못한다는 우려가 나온다 (Kurt Campbell in Seoul on September 25 2014)

- 통일 이후의 한미동맹 통일에 대한 전망도 아득하지만 그 후의 한미동맹 관계는

더욱 아득하다 통일에 상대가 있듯이 (As W Bush said in Seoul this spring at a

conference hosted by the Chosun Ilbo) 동맹은 전통적으로 군사적인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동맹 이 함께 싸워야 할 상대 (Potential foe or adversary)를 전제로

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중미간의 경쟁이 계속된다면 미국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한미동맹을 아시아 재 균형의 도구로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 입장에서

그것이 그 때가서 한국국익에 맞는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서 발제자가 친절하게 미국의 이익과

우려를 열거했는데 남북이 통일을 원한다면 미국이 자기 이익 때문에 통일을

반대해서도 안되고 한국이 미국의 우려 때문에 할 일을 못하거나 안 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미∙중 사이의 중립 또는 전세계를 상대로 하는 중립이 한국 국익에

합당하고 국민의 다수가 이를 원한다면 한국은 그 길을 택해야 한다

미국의 걱정은 미국에 맡기고 한국은 한국 걱정에 치중해야 한다 걱정은 시대와

환경에 따라서 달라진다

정책건의

- 첫째 황병서 최룡해 김양건 3 인의 인천 방문을 계기로 다음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진일보한 과감한 자세로 이산 가족 524 조치 금강산 관광 등 현안을 타결하고

신뢰프로세스를 부활해야 한다 남측도 구태의 틀에서 벗어나 놀랄만한 자세를 보여야

한다 통근 결단은 북한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 둘째 6자회담 재개 등 북핵문제 해결을 노력을 한국이 주도해야 한다 미중과 함께

한국마저 손 놓고 있는 상태는 더 이상 방관해서는 아니된다

- 셋째 대북정책에 대한 국내 보수 진보간의 시각차이를 융합하여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탈냉전식 통일정책을 개발함으로써 통일준비의 기초를 확립해야 한다

2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김현욱 박사의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을 읽고

국내의 손꼽히는 미국전문가인 김현욱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을 맡게 되어 영광으로

생각한다 김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자의 생각과 비교할 때 공감이 가는 부분이 많다

하지만 김 박사가 다루는 주제가 단순히 미국의 대외정책이나 한미관계가 아니라

lsquo한반도 통일rsquo이라는 점에서 몇 가지 오류가 눈에 띄기 때문에 여기서부터 토론을

시작해야 할 것 같다

I 서론

한middot미 정상이 합의한 통일관련 언급은 「한미동맹 공동비전」(2009616)은

ldquopeaceful reunification on the principles of free democracy and a market

economyrdquo으로 「한미동맹 60주년 공동선언」(201357)은 ldquoits peaceful reunific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denuclearization democracy and a free market

economyrdquo으로 되어 있다 전자의 free democracy는 liberal democracy와 구별되어야

18

하며 후자에는 그냥 democracy로 표기한 의미를 되새길 필요가 있다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o 우리 정부는 lsquo연합제 통일방안rsquo을 지지한 바 없으며 무엇보다 lsquo연합제rsquo는 통일방안이

아니다 또한 우리 정부가 북한과 함께 lsquo74남북공동성명rsquo을 발표하고 lsquo자주 평화

민족대단결rsquo이라는 통일의 대원칙을 발표한 것은 맞으나 그 뒤 lsquo민족대단결rsquo을 삭제하고

lsquo민주rsquo를 넣었다

o 1989년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은 전두환이 아닌 노태우 정부 때 발표된 것이다

o 김대중 대통령이 대통령이 되기 전에 개인적인 통일방안으로 lsquo남북연합제 rarr

공화국연방체 rarr 통일국가rsquo의 3단계를 주장했었으나 대통령이 되고 나서는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수용했다

o 한국의 통일정책의 특징이 ldquo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남한체제를

궁극적인 통일의 상으로 설정하고 있다rdquo고 주장하나 우리 정부의 공식 통일방안인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은 먼저 민족공동체를 만들어가고 나중에 통일국가를 이루되

통일국가의 형태는 미래세대에게 맡긴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2 북한급변사태로 인한 통일

o 북한의 급변상황에 한국이 개입하는 것이 유엔헌장에 위배된다는 지적은 옳다 그런데

아무리 중국이 UN상임이사국이라도 중국 군이 평양까지 진출해 친중 정권을 수립할

근거를 갖고 있는가

o 박휘락 박사의 인용문은 미국이 북한의 WMD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중국의 도움을

받기 위해 중국의 개입을 반대하지 않는다는 의미이지 북한 급변사태가 발생할 때 이를

중국에게 떠맡긴다는 의미는 아닌 것이다

o 필자는 ldquo미∙중 양 강대국이 한반도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고rdquo라고 언급하고 있는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가 있는가

3 남한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하는 방안

o 남북예멘이 통일 후 무력통일로까지 간 것은 사회문화적 유대감의 부족 때문이

아니라 11 대등한 권력분배가 몇 년 뒤 실시된 선거결과에 의해 북예멘에 유리하게

정치지형이 바뀌자 남예멘 측 인사들이 이에 반발해 무력을 동원했다가 진압당한 것이다

o 동독유권자의 9322가 서독으로의 신속한 편입을 주장했다고 언급했는데 이 수치는

투표율이다 조기통일을 주장했던 독일연합의 득표율은 4804 국가연합을 거쳐

점진적 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의 득표율은 2188였고 옛동독공산당이었던

민사당이 164 새로운 사회주의 건설을 내걸었던 연합90이 291였다 그 결과

독일연합과 동독사민당이 연립정부를 구성해 서독과 통일협상에 나섰던 것이다

III 독일 사례와 미국

o 동독 총선거에서 동독주민들이 서독의 정치체제와 정당에 투표하였다고 하였는데

이것이 무슨 말인가 그들은 조기통일(동독기민당 중심 국민연합) 점진통일(동독사민당

민사당) 제3의 길(연합90) 등을 내건 동독정당에 투표했는데 결과적으로 조기통일을

19

주장한 국민연합이 승리하여 점진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과 연립하여 조기 통일을

추진 달성한 것이다

o 독일통일의 상황에서 소련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원조라고 언급하고 있는바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엄밀하게 말한다면 對소련 차관 50억 DM(약 25억 euro) 동독주둔

소련군 36만 명의 철수에 따른 비용 부담 125억 DM(약 64억 euro)이다

IV 미국과 한반도 통일

1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o 미국이 통일과 같은 현상변경보다는 분단이라는 현상유지를 선호한다는 의견에

동감을 표한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의 정확한 출처를 밝혀주었으면 도움이

되겠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o 필자는 lsquo연합제연방제 통일rsquo과 lsquo한국주도의 통일rsquo을 대립적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연방제란 정부구성원리의 하나로서 1국가 2체제(일국양제)만 있는 것이 아니라 1국가

1체제의 연방제도 존재한다 따라서 한국 주도의 통일일지라도 단방제(單邦制) 방식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연방제(聯邦制) 방식이 될 수도 있다

o 통일된 이후가 아니라 전작권 전환 이후에 2013년 한미 양국은 한국군 합참 내에

미래사령부의 구성 계획을 통해 연합지휘체제(한국군 사령관 미군 부사령관)를

구축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o 최근 논의되고 있는 THAAD는 지금도 배치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인가 아니면

통일되면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아니게 되므로 지금 배치했더라도 철수해야 한다는

의미인가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o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우려사안 중 한국 주도의 통일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한미동맹의 약화를 우려한다는 점이 충분히 이해되지 않는다 특히 당장 통일될 것도

아닌데 우려의 근거로 미국의 현실적 상황을 제시한 것들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o 나머지 두 번째 세 번째도 왜 한미동맹이 약화되고 주한미군을 철수하게 될지 하는

원인을 설명하지 않고 그렇다고 전제해 놓고 미국의 대아시아 전략에 미칠 영향과

미∙중 사이의 중립국 지위 유지하는 것은 앞뒤가 바뀐 것이다

V 결론 ndash 정책적 고려사안

o 미국이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했다고 볼 수 있는가 미국이 통일에 대해 처음으로 입장표명을

한 것은 2009년 6월 이명박-부시 대통령의 한미 공동비전이 처음이다 최근 미국

조야의 분위기는 북핵 문제를 풀기 위해 통일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고 오히려 한국

측이 통일에 소극적이라고 질책하기도 하지 않은가

o 중국이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가 통일한국의 핵무기 보유가 아니라

단지 미국의 핵우산 유지를 우려했기 때문인가

o 평화협정이 단지 한국전쟁의 종식만을 위한 것일까 필자가 제시한 첫 번째

20

정책고려사안은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런데 평화협정이

체결되지 않고 정전상태에서 곧바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첫째 우발적 충돌이라도

전쟁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있고 둘째 통일과정에서 정전협정의 당사자인 미국과 중국이

국제법적으로 개입할 가능성이 열려있다

o 본문을 보면 필자는 분단적 평화유지와 평화체제평화협정을 동일시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마저 든다 그리고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다고 했는데 그 근거가 무엇인가 특히 비핵화-평화협정의 순서를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의 입장이 상반된다고 언급했는데 과연 그런가 919공동성명에서 미국과 중국은

동시행동 원칙에 합의한 바 있지 않은가

o 과연 남북한 통일을 위해 내각제가 필요한가는 좀 더 논의해봐야 할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통일을 달성할 때까지는 효율성을 위해 대통령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필자의 주장과 달리 내각제의 경우 잦은 내각교체로 인해 통일정책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수 없는 것 아닌가 lt끝gt

3 문성묵 박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발제문에 대한 논평 우선 김현욱 교수님의 발제문은 한반도 통일의 가능한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독일 사례를 통해 우리의 통일미래를 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접근이라고 봄 특히 남북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매우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제시하고 있는 정책적 제안은 적절하다고 판단되며 대체로 공감함 다만

통일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한 두 가지 추가 제언을 드리고자 함 우선 미국의

우려사항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일한국이 지향하는 한미동맹에 대한 분명한 의지를 미

측에 밝힐 필요가 있음 아울러 통일의 성취를 위해서는 반드시 중국의 협조를

유도해야 하는 바 이를 위해서는 통일한국의 한미동맹이 중국의 국익에도 부합될 수

있다는 논리를 적극 개발하고 중국을 설득하는 노력이 강구되어야 함 이러한 입장을

미국이 중국과 직접 조율해 나가도록 협조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봄 그런 차원에서

본문에서 제시한 한∙미∙중 3자 협의는 유용한 협의기제로 보임

다음은 곽태환원장님께서 제시해 주신 토의중점 주제들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정리하였음

1 한반도 통일을 위해 먼저 극도로 경색된 남북관계부터 풀어나가야 하는데

출구전략은

10월4일 황병서 등 북한고위급인사의 전격 방남으로 대화의 물꼬가 트인 만큼 이달

말 또는 11월초로 예정된 2차 고위급접촉을 통해 남북간 쟁점사항들을 대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풀어나가는 지혜가 필요함

첫째 무엇보다 대화의 지속이 중요함 일회성 대화가 아니라 고위급접촉이든 다른

대화채널이든 대화가 정례화 되는 것 즉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통로는 늘 열려 있어야

할 것임

둘째 사안별 접점 마련이 필요함 즉 상호가 입장차이가 극명한 사안은 일단

21

접어두고 접점 마련이 가능한 사안부터 협의하고 이행을 해 나가는 것임

2 현안이슈인 THAAD 한국배치에 대한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 측면 고려하여 사드

한국배치가 바람직한가 전시작전통제권을 2015년에 받아야 하나 연기 해야 하나

첫째 사드의 한국 배치는 정치적 관점이 아니라 안보적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중국(러시아)과 북한이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있지만 북한위협에 직면한 우리

입장에서는 한미동맹차원에서도 미국의 사드 배치 구상에 협력하는 것이 필요함 따라서

한국과 미국이 중국을 잘 설득할 필요가 있음

둘째 전작권문제 역시 주권 자존심이라는 측면 보다는 국익의 관점에서 판단해야 할

사안임 북 핵문제 등 북한의 위협이 상존하는 현 상황에서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억제력을 확고하게 유지하는 일임 한미연합사는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체제임 따라서 시기에 기초한 접근 보다는 조건에 기초한 접근이 바람직함

3 한반도 통일은 평화적으로 이뤄져야 하는데 남과 북이 합의에 의한 통일이

이뤄지려면 공동통일방안에 대한 합의가 가능한가 6자 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는

평화체제구축은 어떻게 이룰까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통일방안에 대한 남북 간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는 현 상황에서

통일방안부터 협의를 시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봄 우선 대화와 교류확대 등을 통한

화해협력을 추진하면서 향후 북한정권과 체제의 변화가 이루어질 때 통일방안에 대해

본격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함

둘째 핵 문제는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임 이로 인한 무력충돌은

공멸을 의미하기 때문임 따라서 북핵 문제는 우선 강력한 억제로 북핵 사용 자체를

무력화하고 나아가 대화를 통한 외교적 해법을 병행해야 함 즉 6자 회담을 재개하여

919공동성명의 합의정신에 입각하여 풀어나가는 것 이외 다른 적절한 대안은 없어

보임

셋째 평화체제 문제는 6자 회담이 재개되고 북핵 문제에 있어 일정분야 진전이 있을

경우 919 성명에 합의된 별도의 평화포럼을 통해 논의해 나갈 필요가 있음 평화체제는

협정의 체결이 아니라 실질적인 평화상태를 만들어 나가는데 중점을 두고 추진해 나가야

4 4자(미 중 남북한)회담을 통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인가 북이 주장하는 북미간

평화협정이 바람 직 한지 한반도 정전체제를 대체하는 다자 평화체제는 어떤 형태가

바람 직 한가 등

첫째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논의하는 협상은 남북한과 미국 중국이

참여하는 4자회담이 적절하다고 봄 1997~1998년 사이 제네바에서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는 문제를 논의하는 4자회담이 6차례 개최된 바도 있음

둘째 평화체제는 남북간에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미국과 중국이 이를 보장하며 협정은

유엔에 기탁하는 방안이 적절하다고 봄

5 6자 회담을 복원하여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ldquo행동대행동rdquo으로

동시에 해결하자는 제안에 대한 견해는

22

이는 북한이 핵 문제에 대해 한국과 미국 등이 요구하는 수준으로 성의 있는 조치를

취하고 이를 바탕으로 6자회담이 재개된다면 동시에 별도의 포럼을 열어 평화협정

논의를 개시할 수 있을 것임 실질적 평화상태 구축을 위한 남북간 군사적 신뢰구축 및

운용적 군비통제 등을 추진해야 함 평화협정의 체결 시점은 북한 핵이 완전히 폐기되는

시점과 맞추어야 할 것임

6 이러한 통일프로세스에서 과연 미국은 어떤 역할이 바람 직한가

독일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듯이 미국도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함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을 설득하여 한반도 통일에 동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공고한 한미동맹을 유지하여 북한이 변화하도록 유도하며 통일 이후에도 통일한국의

안보환경과 국익에 부합되게 동맹의 형태와 목표 기타 필요한 사항들을 협의하여

합의할 필요가 있음 통일한국이 중국과의 관계에서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는 방법은

미국과의 동맹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생각됨

7 평화적 합의통일방안에 하나의 대안으로 중립화를 통한 한반도 중립화 통일방안에

대한 견해는 미국은 지지 할까 등입니다

중립화 통일방안을 추구한다고 해서 통일이 촉진될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음

중국은 다소 긍정적일지 모르나 우리의 동맹인 미국이 가장 우려하는 사안일 것임 그런

차원에서 중립화 방안은 부적절함 이는 우리 국익이나 안보상 적절치 않은 방안이라고

봄 lt끝gt

4 김준형 박사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교수)

발제 논문에 관한 의견

다음 사항들에서 기본적으로 공감함

한반도통일의 고차방정식에 대한 의미 있는 분석 주변강대국들의 이해관계

특히 통일을 추구함에 있어 미국과 중국의 이해관계를 분석한 부분

냉전붕괴직후 독일의 상황과 당시 미국 및 소련의 입장이 가지는 함의에 대한

분석

북한급변사태가 곧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며 통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북한

주민들의 친한국 성향이나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남북이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

최근 미국이 통일에 대해 기껏해야 소극적 지지입장이며 통일로 인한

한미동맹의 약화가능성에 우려를 가지고 있다는 분석

한미동맹의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치명적이라는 주장도(치명적이라는

표현은 좀 과도한 측면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공감

주변강대국이 한반도통일이 현 동북아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지지하지 않으나 남북한이 원해서 주도적으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반대할 수 없다는

주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사항들에서 문제 제기하고자 함

23

서론에서 밝힌 본문내용 소개가 본문의 실제 내용전개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음 특히 현실적인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를 살펴본다고 했는데 오히려 그간의 남북한

통일안의 한계와 약점을 지적하고 특히 남북한 공히 정치적 통합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진다는 분석 위주임

북한에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 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 미국이 먼저 나서서 개입하지 않을 가능성은

있다 하더라도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해도 미국이 행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는 동의할

수 없음

북한 급변사태의 경우 중국이 자국민 및 재산보호를 명분 삼아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그것이 북중동맹에 의한 자동개입과 UN 상임이사국의

지위를 이용해서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라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려움

북한의 급변사태에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논지와 중국이 북한에 친중 정권을 세울 가능성이 높다는 논지는 자칫 통일보다 동맹을

선택하는 한미동맹 신화론자들의 논리를 강화시킬 수 있는 위험성 내재 박휘락박사가

인용한 미고위당국자의 발언은 context도 다른 것으로 보이고18

한국주도의 통일 역시 한미동맹약화로 이어지고 이는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에

치명적일 것이라고 단정하는 것 역시 같은 식으로 호도될 여지 있음

이 논리가 절대적 친미

보수진영의 동맹강화의 긴급성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논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평화협정이 통일의 전제조건이 아니라는 것에 동의하고 분단적 평화유지에 대한

반대에 동감하지만 평화보다 통일이 우선되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려움

통일을 위해 통일정책의 연속성을 위해 내각제 개헌을 해야 한다는 논리는

지나친 단순화 또는 비약으로 보임

현 정국에 대한 토론자의 견해

지난 7년간의 대북정책 및 통일정책의 한반도의 운명과 관련된 4가지 핵심 변수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① 한미동맹의 근본 성격 변화(대북억지-gt동북아지역군)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을 위해 일본과 한국에 아웃소싱 추진하고 있으며 그 핵심이 지역미사일방어체제

구축

- 전작권환수 시기보다 조건을 우선 고려

- 전작권에 대한 효용성 변화 과거 전략적 유연성은 분담의 차원이었으나 현재는

한미일 군사협력네트워크 통합의 차원으로 변모 따라서 미국이 전작권을 계속 보유하는

것의 효용성이 높아짐(미국의 꽃놀이패)

② 북핵문제의 근본 성격 변화 핵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음

- 미국은 북한에 대한 de facto 보유국 내부적으로 인정19

18 이 발언은 북한의 핵개발 중단 도발가능성 북한개혁 등 중국이 행사할 수 있는 대북 레버리지를 미국이

기대한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됨

19 수년 전 힐러리 클린턴의 발언부터 최근 오바마의 유엔연설 직전에 행한 국가안전보장회의 부의장 벤 로

24

- 발제논문에서 주장하는 통일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미국의 입장과 연결됨

- Permanent crisis 양상 분명 위기이고 해결이 난망한데 아무도 나서서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며 심지어 현 위기국면을 국내정치에 이용하는 측면이 커지는 일종의

북한 핵위기의 default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③ 한반도 통일론의 변화 신뢰프로세스 동평구 통일대박론 드레스덴 선언 등의

많은 제안들이 후속조치 없이 동력을 잃었으며 최근 UN연설에서 재확인되듯이

흡수통일론으로 귀결 남북교류의 제도화 수준은 대단히 높으나 실행수준은 대단히

낮음으로 인해 통일논의에 대한 국민들의 피로감을 확산시키고 이는 국내

안보포퓰리즘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동

④ 북중관계 변화 남북관계의 단절로 인해 긴밀해짐으로 해서 북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하고 있는데 중국의 대북 지분을 향상시켜 유사시 개입의 빌미가 될

가능성이 높음(발제논문도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음-탈북자 관리명분)

미국의 입장에 대한 견해

오바마는 대북정책에 있어 부시 전임정부와는 정반대되는 경향 1기에서의

강경함에서 2기에는 협상무드로 갔던 부시와는 반대로 초기의 온건입장이 시간이

갈수록 강경기조로 넘어가고 있으며 인권압박까지 병행

더 큰 문제는 강경책이든 온건책이든 문제해결을 위한 움직임이 없는 매우

수동적 태도로 일관한다는 것인데 이는 북한문제가 여전히 오바마행정부의

정책우선순위의 상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고 또 북한핵개발

국면을 빌미로 대중국 견제와 미일동맹을 비롯한 아시아동맹네트워크 강화에 활용한다는

것임

오바마의 소위 lsquoDDSSrsquo Doctrine의 근간은 임기 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한반도는 큰 현안 없이 현상유지로 흘러갈 가능성이 큼

미국의 MD 압박 강화될 것임

- 미국이 현재는 한국내 여론을 의식해서 한국정부와 보조를 맞추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MD 편입을 원하고 있기에 압박은 증가할 것임

- 한국과 일본이 참여하는 지역 미사일방어체제 구축은 미국의 아시아재균형전략의

핵심이며 한국의 MD 참여가 중국의 입장에서는 레드라인이지만 미국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한중의 접근을 억제할 수 있는 카드로서의 효용성이 있음

- 한국정부의 태도 변화 사드의 한국도입에 대해 최근에는 수용적 자세로 변화20

미국의 MD 참여 압박에 대해 정부가 진정으로 미국 MD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면 확실한 입장표명을 하거나 공개적으로 국민의 의견을 묻는 것이

필요함(double edge diplomacy 활용)

한국의 과제

즈 발언까지 일관됨 20 10월 7일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한민구장관은 북한 핵middot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사드를 배치하면 우리 안

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함 또한 MD의 핵심 자산을 동원하는 새로운 작전개념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같은 방안을 이달 말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연례 안보협의회에서 공식화할 방침이라고 밝힘

25

남북관계 해결을 위해 한국정부가 선제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시도해야 함

미국이 여러 복잡한 문제로 인해 여유가 없는 상황을 오히려 역이용하는 발상의 전환

필요

미국정부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대북접근에 있어 한미공조 이탈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견제해왔던 것에 비하면 한국의 운신의 폭은 역설적으로 커졌다고 볼 여지

있음 미국이 대북정책에 있어 마땅한 해법도 없고 정책순위는 점점 하락하는 상황에서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주도가 가능할 수도 있음

출구전략

- 6자회담과 919성명의 복원을 통한 문제해결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을 병행

- 524조치에 대한 언급 없이 실질적인 유연화

- 박근혜대통령의 결심이 관건 대화재개조건의 유연화에 대한 한미간 정책조율을

주도할 필요가 있음

5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

한국GPF재단이 주최하는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김현욱 교수께서 발제한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의 주제는 통일을

시급하게 달성해야 하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통일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반세기 이상 한국과 안보동맹을 체결하고 있는 미국의

한반도 통일정책을 논의하는 것은 아주 시의적절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자는 먼저

발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의견을 제시하고 발제자와 토론자 간의 약간의 상이한

견해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하고 곽교수의 질문에 대해 간략하게 답한 후

정책제안의 순서로 기술하고자 합니다

1 발제문에 대한 일반적 평가

발제자의 논문 내용과 접근방법에 대해 토론자는 전적으로 찬성하고 동의합니다

한반도 통일방안의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공감하면서 남북정상이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에 공통점이 있다고 이미 합의하였기

때문에 남북은 장차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 중 하나의 통일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람직한 통일접근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한국이

경계해야 할 것은 발제자도 지적한 바와 같이 북한의 붕괴통일보다는 독일과 같이

평화적 흡수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며 더 좋은 방안은 평화통일을 목표로 하되 점진적

접근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만약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하여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고 가정할 때 한국에게는

lsquo통일의 대박rsquo이 아니라 통일의 쪽박이 될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남북이

평화통일 협상을 통해 점진적 통일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미국의 국가이익과 우려사항에 대한 자세한 분석에 전적으로

동의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많이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서

기대하는 것은 미국의 국익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미국의 대한반도 통일정책이

결정되리라 전망됨으로 통일의 당사자인 남북은 통일의 과정에서 미국의 국익도

고려하면서 남북이 통일의 이니셔티브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6

2 발제 문에 대한 몇 가지 이견

토론자는 발제문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를 하지만 미시적 측면에서 토론자의 이견을

몇 가지 부언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연방제와 연합제를 설명하는 2쪽 문단에서 북한의 연방제를 1980년

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김일성이 발표한 내용을 기준으로 설명했으나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이 한국의 연합제와 좀더 가까운 것은 김일성이 1991년 1월

1일 발표한 lsquo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rsquo이므로 이를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비교분석 하는 것이 좀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980연대 연방제는

남과 북이 lsquo연방상설위원회rsquo를 조직하여 지역정부를 지도하는 중앙정부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1991년의 연방제는 지방정부에 모든 외교권과 군사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국의

연합제 즉 국가연합 형태의 통일방안으로 수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둘째 1991년 북한의 연방제는 남과 북이 어떠한 정치군사적 블록에도 가담하지 않는

중립국가의 외교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남북이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에 공통점을 인정하고 있으나 북한은 연방제가 되었을 때 외교정책은

반드시 비동맹 중립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나 한국은 북한의 그러한 중립정책을

수용하기 어려운 입장이므로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선 듯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셋째 북한의 연방제 실시 조건에서 남한이 수용하기 어려운 또 다른 것은 북한이

주한미군의 철수와 국가보안법을 철폐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장차 남북이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를 실시한다 해도 남한정부의 입장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보안법 철폐는 가장 민감한 문제들이므로 난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끝으로 발제자는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ldquo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케 하고 미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rdquo는 분석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됩니다 미국의 계획에 의하면 lsquo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군은 한국군과

한국인은 북한에 입북하는 것을 금지하고 미군과 일본의 자위대가 북한의 치안을

유지한다rsquo는 주장이 제기되어 이를 확인하고 있습니다(오크랜드 대학교 박문재 박사

주장) 또 다른 주장에 의하면 북한의 급변사태 시 중국군과 미군은 동시에 북한에

상륙하여 일정한 지역을 분할 하여 WMD와 북한 질서를 공동으로 유지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계획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경우 미국에는 분명히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미국의 이익과 우려가 병존하리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어느 것이 미국의 국익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가에 따라 미국의 외교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이며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한반도 정책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과 관련하여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 발제자는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어

대부분의 내용에 동의를 하면서 상이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토론을 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ldquo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으며 2012년 오바마

27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 체제와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통일을 지지했다rdquo는

내용에 대해 미국은 한반도의 통일을 원천적으로 원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토론자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1971년 7월과 2005년 8월 북경에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비밀회담을 갖고 ldquo미국이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양국은 한반도 분단의

현장유지를 계속하자고 합의rdquo한 내용이 미국의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습니다(2005년 9월

7일 Washington Post)

또 다른 예로 한국전쟁을 종결하는 휴전협정 제4조에는 ldquo정전협정 서명 후 3개월

이내에 서명 당사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한다rdquo고 합의했으나 미국은 북한이 핵을 만들기

전에도 북한의 평화협정 요구를 거절해 왔으며 이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해야

평화협정을 체결해 주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의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은 외교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둘째 과거 독일통일의 과정에서 고르바초프는 독일의 중립화를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미국은 통일된 독일이 NATO에 잔류해야 한다는 조건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결국

고르비가 양보하고 미국의 안이 채택되었으나 거기에는 서독이 소련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수용한 대가라고 합니다(주섭일 기자의 『1990년 독일통일과 2017년 한반도

통일』)

셋째 미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문제에 대해 크게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미국은

한반도가 통일이 된 뒤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주한 미군의

역할은 북한의 위협보다는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주한 미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미국의 재

균형정책도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넷째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미국의 동북아시아 국가에 대한 군수산업이 대폭

축소될 것이며 통일된 한반도가 미-중 간에 균형외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대중 견제는 급속하게 감소될 전망입니다

끝으로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은 감소된 반면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되어 미국의

장기적 전략인 미국의 군사비 감축과 국내외 여건으로 주한미군의 유지가 어렵게 될

경우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감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므로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4 한국의 당면 과제

한국은 대북정책의 출구전략으로 10월 3일 북한 실세의 한국방문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려 북한이 필요로 하는 경제지원과 5ㆍ24조치 해제를 전제로 북한의 양보를 얻어 내

남북관계의 출구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한국정부는 미국이 요청한 THAAD

구입이나 배치를 허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남북간의 평화체제 구축은 1단계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기 보다는 남북이 이미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를 비롯하여 6 ㆍ 15선언과 10 ㆍ 4선언의 내용 중 실천이 용이한

문제부터 실천하면서 남북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북한과 미국의

관계에서 미국이 현재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한국은

북한과 먼저 신뢰를 회복한 후 기본합의서에 이미 명시되어 있는 남북한의 불가침조약을

먼저 체결하고 서울과 평양에 대표부를 설치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한반도

28

비핵화를 위해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으로 핵

문제는 북미간의 문제로 유지하면서 남북한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요구를

하면서 남북의 해빙무드를 먼저 조성하는데 한국은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은 현재도 비동맹 중립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북한의 연방제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조심스럽게 중립화 문제를 거론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검토를 해야 할 것입니다

5 정책제안

한반도 주변 4강은 현재 그들의 국가이익과 한반도 통일이 그들에게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한반도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므로 한국정부는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북한에 비핵화 요구보다 협상을 통해 단계적으로 북한이 한국의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제안이나 구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서

북한이 시급하게 원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524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북한의 양보와 협력을 받아 내야 할

것입니다lt끝gt

6 장용석 박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1 통일과 관련하여 발표자의 다음 지적은 매우 중요함

- ① 기능주의적 접근의 한계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 필요성 ② 북한

주민들의 선택이 지닌 중요성과 그에 대한 고려 필요성 ③ 통일 대북정책의 연속성과

북한 리더십 포용을 위한 내각제 개헌의 필요성

2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과 관련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함

- 동서독은 유럽차원에서 NATO와 WTO간 세력균형 이를 바탕으로 한 동서 간

긴장완화와 특히 헬싱키 프로세스와 CSCE 등을 통한 공동안보 틀 구축 등으로 인해

교류협력에서 안보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특히 동독이 경우 패전의

여파겠지만 북한과는 달리 자국의 안보를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음

- 반면 남북을 둘러싼 지역 안보 환경은 미∙중 간의 긴장과 갈등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고 있고 특히 북한의 경우 지정학적 요충지론에 입각하여 자주-존엄-

선군의 기치 하에 핵보유까지 천명하고 비대칭적 전력의 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으로써 동서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교류협력의 직접적인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 따라서 동북아 지역차원에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협력적 안보 틀이나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공존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rArr 이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ldquo작고 쉬운 것부터rdquo 논리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를 외면하는 기능주의의 또 다른 버전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발표자의 평가는

무엇인지

rArr 아울러 평화협정은 평화적 공존의 제도화와 군비통제를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분단관리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게 아닌지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3: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3

행사일정 및 참석자 명단

230-300 환영 다과회

300-615 한반도 통일과 미국

사회 곽태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

발표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지정토론 (가나다 순)

1 곽태환 (경남대 석좌교수)

2 강종일 (한반도중립화 통일협의회 회장)

3 김동현 (고려대 방문교수)

4 김준형 (한동 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5 문성묵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6 서주석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7 장용석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8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9 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630-800 만찬

4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 발제문 한반도 통일과 미국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I 서론

최근 통일논의가 불거지는 상황에서 주변강대국들의 입장이 주요 논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한국과 미국 양국은 이명박 정부 시절 한반도 통일의 원칙으로 시장경제체제와

자유민주주의체제에 기반한 평화적 통일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어 박근혜 정부도

미국과의 정상회담에서 통일의 원칙으로 시장경제체제 자유민주주의체제 비핵화에

의한 평화적 통일을 언급한 바 있다

이와 같은 공식적인 미국의 통일지지에도 불구하고 최근 워싱턴 분위기는 다소

싸늘하다 중국의 부상과 함께 미국은 아시아 재균형 정책에 있어서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한미일 3각 공조의 균열에 우려하고 있다 최근 경색된

한일관계에서 미국은 공식적인 중재의사를 거부한 가운데 일본의 전략적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으며 오히려 한중 관계 강화에 대한 우려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와 같은 미중 간의 세력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의 통일과정은 더욱더

고차방정식이 되어가고 있다 강대국들은 현상유지를 선호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과거 한미동맹을 중심으로 통일을 지지해왔던 미국의 목소리에도 미심쩍은 구석이

생기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글은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먼저 현실적인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미국이 한반도

통일에서 얻을 수 있는 이익과 우려사안 한미동맹의 미래상을 짚어본다 마지막으로

앞으로 한국정부가 고려해야 할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한국은 역사적으로 연합제 통일방안을 지지해왔다 1972년 74남북공동성명을

발표함으로써 자주 평화 민족대단결이라는 통일의 대원칙을 제시하였으며 전두환

정부 시절인 1982년에는 민족화합민주통일방안을 발표하여 ldquo통일은 민족자결의 원칙에

의거하여 겨레 전체의 의사가 골고루 반영되는 민주적 절차와 평화적 방법으로

성취되어야 한다rdquo고 밝혔다 1989년 9월에는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제시하였고

통일원칙으로 자주 평화 민주를 제시하였다 통일과정은 남북정상회담을 통한

민족공동체헌장의 제정 남북연합체제로서 과도적 체제를 형성한 후 남북연합체제에서

통일헌법과 통일을 위한 구체적 절차와 방법을 마련하고 총선거에 따라 통일국가를

이루어 간다는 것이었다 김영삼 대통령은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의 기초 위에서

5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을 제안하였는데 화해협력단계 남북연합단계 통일국가단계가

그것이었다 김대중 대통령의 통일방안은 공화국연방제 혹은 3단계통일방안으로

불리는데 1단계로서 남북연합단계 2단계로서 공화국연방제 3단계로서 통일국가라는

단계적 설정과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에 기반한 통일국가상을 그리고 있다1

연방제 방안은 북한이 역사적으로 주장해온 방안으로써 정치적 군사적 차원에서 먼저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정치 군사적 안건이 해결되어야 통일프로세스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와 같은 방안에 의하면 1국가 2체제를 먼저 구축한 다음

추후에 정치적 통합을 이루겠다는 것이다 북한은 1980년 조선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이라는 완성된 형태의 통일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방안은

ldquo북과 남이 서로 상대방에 존재하는 사상과 제도를 그대로 인정하고 용납하는 기초

우에서 북과 남이 동등하게 참가하는 민족통일정부를 내오고 그 밑에서 북과 남이 같은

권한과 의무를 지니고 각각 지역자치를 실시하는 연방공화국을 창립하여 조국을 통일할

것rdquo이라고 밝히고 있다

한국의 통일정책의 특징은 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남한체제를

궁극적인 통일의 상으로 설정하고 있다는 데 있다 연합제 방안은 과도기적 체제로써

2국가 2체제를 지속시킨 이후 궁극적으로 통일을 이루겠다는 것이다 즉 2개의

정치체제 하에서 경제적 통합을 먼저 이루자는 논리이다 또 하나는 기능주의적

접근이다 기능주의적 접근방안은 양 국가의 비정치적 이익에 기반하여 경제적 통합을

추진하자는 것인데 이것이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으로 연결된다는(spillover) 전제를

두고 있다 물론 이것이 유럽통합의 경우 어느 정도 밑거름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으나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 노력은 개별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2

북한통일정책의 특징은 첫째 정치군사적인 문제해결에 우선을 두는 연방주의적

방식이다 통일의 기본조건으로 주한미군철수 북미평화협정 등을 제시하고 있다 즉

북한의 연방주의적 접근은 정치군사적 문제해결을 먼저 진행한 이후 경제사회문화적

제반 교류를 확대해나가자는 것이다 둘째로 일원론적인 1체제국가로의 통일을

상정하지 않고 있으며 연방제를 완성된 형태의 통일로 인정하고 체제문제는 후세대의

과제로 미뤄놓고 있다

3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위원장은 정상회담에서 남한의 연합제 방안과 북한의 느슨한

연방제 방안 간에는 공통요소가 존재한다는 데 합의한 바 있다 연방제와 연합제 방안

모두 점진적이고 단계적인 통일을 추구한다는 데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두

방안은 모두 정치적 통합 측면에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북한의 연방제 방안은 1국가

2체제 통일 이후의 정치적 통합에 대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다 체제가

1 임현진 정영철 21세기 통일한국을 향한 모색 분단과 통일의 변증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pp 32-

46 2 ldquo제6차 대회 중앙위원회 사업총화보고(1980)rdquo 조선노동당대회 자료집 제3집 서울 국토통일원 3 임현진 정영철 21세기 통일한국을 향한 모색 분단과 통일의 변증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pp 72-

75

6

다른 두 개의 나라 간의 연방이 어떻게 국가를 운영해 나갈지에 대해 과제를 안고 있다

한국의 연합제 방안 역시 궁극적인 통일의 목표를 1국가1체제로 상정하고는 있으나

기능주의적 접근방식에 입각한 통일방안으로는 정치적 통합이 용이하지 않다

2 북한 급변사태로 인한 통일

북한급변사태로 인해 북한을 흡수통일하는 방안은 탈냉전 초기에나 가능했던

시나리오이다 당시 미국은 초강대국의 지위를 누리고 있었고 따라서 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중국의 세력이 미미한 상황에서 한국군과 함께 개입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이 경우 흡수통일 달성이 가능했다 그러나 현재 한반도를 사이에 두고 미중

양국의 세력이 비등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의 개입은 그다지 쉽지 않다

이 같은 상황에서 북한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게 하고 자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4 또한 북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며

이에 반해 중국은 탈북자들의 통제 목적 이외의 경우에도 북한에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하려 할 것이다 5

한국의 개입은 국제적으로 쉽게 용인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 즉 유엔에 남북한

양국이 동시 가입한 사실은 남북한이 별도의 국가라는 근거로 사용될 수가 있으며 이

경우 북한의 급변상황에 한국이 개입하는 것은 유엔헌장에 위배된다

이와 같이 미국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하려는 상황 속에서 한국이 독단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여지 역시 줄어들게 된다

6

이 같이 적극적인 중국의 개입 가능성이 존재할 경우 미중 양국은 모종의 타협을 할

가능성이 있는데 양국은 북한급변상황이 어느 한 국가에게도 유리하지 않는 현상유지에

대한 타협을 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 상황수습을 국제연합으로 넘길 가능성이

유엔헌장 제2조

4항은 ldquo모든 회원국은 국제관계에 있어 다른 국가의 영토보전이나 정치적 독립에

반하거나 또는 국제연합의 목적과 양립할 수 없는 다른 어떠한 형태의 무력위협 또는

무력행사를 삼간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다

개입에 적극적인 국가는 중국인데 중국은 탈북자들을 관리하기 위한 명분으로

접경북한영토에 탈북자보호시설을 만들려 할 것이다 이미 국경지대에 상당한 규모의

중국군사력을 배치해 놓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북중 간에는 동맹조약에 의하여

자동개입이 보장되어 있으며 북한이 중국의 개입을 요청하지 않더라도 중국은

UN상임이사국 지위를 이용하여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다 급변상황을 안정화한다는 명분

하에 중국인민군은 평양지역까지 진출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4 Bruce KlingnerldquoNew Leaders Old Dangers What North Korean Succession Means for the USrdquo

Backgrounder No 2397 Heritage Foundation Apr 7 2010 p 13 5 Bruce W Bennett Preparing for the Possibility of a North Korean Collapse RAND Corporation

2013 6 박휘락 ldquo북한급변사태와 통일에 대한 현실성 분석과 과제rdquo 국가전략 164 2010 p 72

7

있다 하나 우려스러운 것은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박휘락 박사에 의하면 2004년 한미 양국이 개최한 pol-mil 게임에서 한 전직

미 고위당국자가 이와 같은 발언을 했다고 한다 ldquo미국은 북한의 어떠한 사태에서도

중국이 영향력을 행사하려 할 것이라는 점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이것이 미국의

입장에서 반드시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북한이 중국의 말만 제대로 들어도 핵을

포기하고 개혁∙개방을 할 것이니까rdquo7

현재 한국과 북한의 공식 통일방안인 연합제나 연방제 방안에 의하면 궁극적으로 가장

우려되는 것은 정치통합이다 실제 이는 예멘통일의 과정에서 증명되었는데 예멘통일은

북예멘과 남예멘 간의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 교류로 인해 이루어졌다기 보다는

아랍연맹국가들의 중재로 인해 성사되었다 이로 인해 예멘은 1차 통일을 이루게 되는데

비례대표제에 의해 연방제적 통일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결국 사회문화적 유대감의

부족으로 인해 결국 양국은 군사적 정치적 사회적 대립을 노출시켰고 결국 무력을

동원한 2차통일에 의해 궁극적인 통일을 이루게 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북한급변사태는 한반도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다 미중 양 강대국이

한반도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고 어느 한 쪽이 북한에 대해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기를 바라지 않는다 현 동북아시아의 역학구도 상에서 북한급변사태는

현상유지로 갈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북한 주민들이 친한국 성향을 강하게 소유하게

된다면 따라서 북한급변사태가 발생했을 경우나 이 경우 중국이 개입하여 친중국

정권을 수립하려 든다면 이에 대한 북한주민들의 반발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북한주민들의 충분한 경제력이 존재해야 하고 남한과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이 존재해야 한다

3 남한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통일 하는 방안

이 방안은 독일통일이 이루어진 것과 유사한 방안이다 이 방안에 따르면 남북한

국민들이 문화적 동질성을 가지고 북한주민들이 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을

가지는 데서 출발한다 독일의 경우처럼 통일의 과정 중에서 총선거에 의해 남한의

체제에 의한 통일이 이루어지는 것이 이 시나리오에 의한 통일 방안이다 즉 남한의

평화적인 북한 흡수통일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북한주민들의 친 한국 정체성은 북한급변사태가 발생했을 경우에도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했을 경우에

중국은 북한에 개입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북한이 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을

가지고 있거나 민족적 동질성을 가지고 있게 될 경우에 북한 주민들은 중국의 진입에

반감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 방안은 미국의 이익에 가장 많이 기여하는 방안이 될

것이며 통일 후 한미동맹의 유지 발전과도 가장 잘 어울릴 수 있는 통일방안이다

8

7 박휘락 ldquo북한급변사태와 통일에 대한 현실성 분석과 과제rdquo 국가전략 16 4 2010 pp 45-47

8 임현진 정영철 21세기 통일한국을 향한 모색 분단과 통일의 변증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pp 293-

8

따라서 한반도 통일을 위해서는 정치통합이라는 난제를 극복해야 하며 이를 이루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실제 서독의

신동방정책의 핵심은 이에 있었으며 베를린 장벽의 붕괴로 인해 통일에 대한 열기가

달아오를 무렵 동독의 라이프치히에서는 1990년 1월 20만 명의 동독시민이 참가한

가운데 대규모 반공 및 통일 요구시위가 발생한 바 있다 9 또한 1990년 동독에서

자유총선거가 실시되었을 때 유권자들의 9322의 투표결과는 ldquo다시는 사회주의가

아니라 자유와 번영을rdquo이라는 구호를 내걸고 동독의 서독으로의 신속한 편입을 주장한

독일연합의 승리였다10

III 독일 사례와 미국

독일의 경우 동서독 간 통합에 의한 통일을 추진했었으나 동시에 경제협력과 교류를

통해 동독주민들이 서독체제에 대해 동경심을 갖도록 하였다 즉 빌리 브란트 총리의

신동방정책은 동독주민들의 정체성을 서독지향적으로 이끄는 데 기여하였다 그 결과

통일독일을 위한 총선거에서 대다수의 동독주민들은 서독의 정치체제와 정당에

투표하였으며 자연스럽게 통일독일은 서독중심의 국가로 형성되었다

독일통일이 이루어질 당시 유럽정세는 베를린장벽의 붕괴와 함께 구 소련의 세력이

위축되고 미국의 세력이 증가하고 있을 때였다 이와 같은 정세는 미국으로 하여금

독일통일을 지지하게끔 하는 요인이 되었는데 통일독일의 지위가 미국의 이익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유럽정상회담 연설에서 부시

대통령은 독일통일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하면서 독일민족의 자결권 존중 등 독일통일의

4원칙을 언명하였다 첫째로 어떤 특정한 통일을 상정하지 않는 독일민족의 자결권을

존중한다는 것이었으며 둘째로 독일의 NATO잔류와 유럽통합의 지속 동맹국의 법적

역할과 책임을 존중하고 셋째로 통일은 전반적인 유럽의 안정에 도움이 되도록 평화적

점진적 단계적으로 추진하며 마지막으로 국경문제는 헬싱키 최종의정서의 원칙에

따르고 유럽변경의 불가침성을 인정한다는 것이었다11

4 9 황병덕 외 독일의 평화통일과 통일독일 20년 발전상 통일연구원 2011 p 173

10 황병덕 외 독일의 평화통일과 통일독일 20년 발전상 통일연구원 2011 p 179 11 Philip Zelikow and Condoleezza Rice Germany Unified and Europe Transformed A Study in Statecraft 1997 p 113

1990년도 독일 콜 수상은 고르바초프와도 만나 6가지 사안에 대해 합의를 이루었다

1) 통일 이후 독일의 군사력이 37만 이하로 유지할 것

2) 핵무기와 생화학무기의 생산 및 소유를 금지할 것

3) 소련군은 동독지역에 1994년 말까지 머무른다는 것

4) 나토군은 독일 동쪽 영토에서 소련군이 철군하기 전에 머물 수 없다는 것

5) 소련군의 철수 비용을 지원할 것

9

6) 독일과 소련 간 경제적 협조관계 조약을 맺을 것12

당시 미국은 독일의 통일을 지지했는데 독일이 나토와 EC에 머무른다는 조건

하에서였다 미국은 독일이 나토에 머물지 않으면 중립화 독일이 될 것이며 이는

핵무기 보유를 시도하게 될 것이라고 소련에게 주장했다 미국은 소련에게 나토군이

1994년까지 독일의 동쪽 영토에 머무르지 않을 것을 약속하였다 독일통일에 대해

미국이 생각하고 있던 구체적인 이익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로 동부독일의 경제적

요인으로 인해 미국의 대독일 수출이 증가할 것이며 미국의 투자 역시 증대할 것이다

둘째로 2+4조약은 독일군을 제외한 나토군이 구 동독지역에 주둔하지 못한다고

기술하고 있으며 주둔은 소련군의 철수 이후에나 가능하다 독일은 또한 핵무기와

생화학무기의 제조 소유 그리고 통제를 포기한다 따라서 독일통일로 인해 NATO에서

미국의 영향력 확대가 가능하다 셋째는 독일의 CSCE 지역기구화와 동 기구의

안보역할 확대는 미국의 입장과 충돌할 수 있다 미국은 CSCE와 NATO중 NATO의

역할 확대를 원한다

13

당시 독일통일에 대한 미국의 태도는 독일을 NATO에 유지시키는 것을 우선순위로

두고 있었다 멸망하는 구 소련의 경우 독일통일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이었으나 냉전의

종식과 강대국인 미국의 통일지지 앞에 적극적으로 반대하기 힘든 상황이었다 이

상황에서 소련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원조에 있었다 현재 중국의 부상과 미국의 쇠퇴

가능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과연 미국이 독일통일의 경우처럼 한반도 통일을

지지해줄지는 미지수이다 또한 중국이 한국의 통일을 적극적으로 반대할지 여부도

불확실하다 당시 독일은 소련군의 철수를 위해 1994년까지 구 동독지역에 서방군대를

배치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했으며 NATO회원국으로서의 독일이 소련에 직접적인

위협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약속을 하여 소련군의 반대를 무마시켰다

14

IV 미국과 한반도 통일

이와 같은

우리의 외교적 노력이 미중 양국에 대해서 추진될 필요가 있다

1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해왔다 부시 대통령과 클린턴 대통령은

lsquo한국국민이 수용할 수 있는 조건에 기반한 평화적 통일rsquo을 지지했다 2012년 박근혜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 간의 정상회담에서 한미 양측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그리고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적 통일을 지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 대해 독일통일의 경우처럼 적극적으로

12

박영호 한국의 대미통일외교전략 민족통일연구원 1998 p 28 13 Paul E Gallis and Steven J Woehrel Germany after Unification Implications for US Interests CRS Issue Brief CRS Feb 20 1991 14

김규륜 외 한반도통일의 미래와 주변4국의 기대 통일연구원 2013 p 62

10

지지할 지는 미지수이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에 따르면 미국의 대 한반도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다 1) 수평적 핵확산 방지 2) 수직적 핵확산 방지 3) 비핵화 4)

급변사태 계획 5) 북한에 대한 개입정책 6) 북한주민들의 상황 개선 즉 미국은 한반도

통일의 경우 현 북한이 소유하고 있는 핵무기를 폐기하고 핵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익을 가지고 있으며 이 문제가 해결된다면 더 이상 한반도 통일에 적극적일 이유가

없는 것이다

이는 현재 동북아시아의 역학구도를 보면 더욱 설득력이 있는데 독일통일의 경우 구

소련의 멸망과 함께 독일통일은 NATO의 확대와 함께 미국의 세력권을 확대시키는

이익을 가져다 주었다 그러나 현재 동북아시아는 중국의 부상과 함께 통일한국이

미국의 동아시아 패권에 도움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확신을 가져다주지 못한다 또한

최근 한중관계 강화로 인해 미국 내부에서는 통일한국이 친미가 아닌 친중 국가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미국이 향후 한반도 통일을 지지하기 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는 통일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연합제연방제에 의해 통일이 이루어지는 경우 한미동맹은 폐기될 수 있고 주한미군은

미국으로 철수할 수 있다 이 경우 한미동맹의 미래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연합제연방제에 의해 통일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한미동맹이 존재할 수 있으나 이

경우 한미동맹의 역할은 매우 제한적이게 되며 동맹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메카니즘이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필자는 한국주도의 통일이 달성되는 경우에

중점을 두고 한미동맹의 미래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한국주도의 통일이 달성될 경우에도 한미동맹에는 많은 변화가 생기게

된다 동맹에는 비전적 측면(attitudinal)과 운용적 측면(behavioral)이 존재한다 비전적

측면에는 동맹의 존재이유(rationale) 위협인식(threat perception) 목적(objective)

등이 해당되며 운용적 측면에는 군사지휘체계 구성 방위비 분담문제 기지배치 문제

군사전술 등이 해당된다 통일 이후 한국은 미국과 함께 새로운 한미동맹의 로드맵을

작성해야 하며 이는 또 다른 동맹변환의 작업이 될 것이다 즉 한미 양국은 한미동맹의

공동의 전략적 목적(common strategic objective)에 대해 논의해야 하며 그 이후에

양국 군의 역할 임무 능력 (roles missions and capabilities)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

먼저 한국과 미국의 위협인식은 지역적 글로벌 차원에서의 위협이 그 대상이 된다

북한의 위협이 사라지게 될 경우 한미 양국은 지역적 안보위협에 대해 대처하여야 하며

이 경우 중국에 대한 대처는 포함되지 않게 될 것이다 이에 기반하여 양국은 동맹의

전략적 목적을 결정하게 된다 결국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주요 전략적 목적은 지역적

안보질서의 유지가 될 것이다

중요한 것은 운용적 측면에서 동맹의 로드맵을 어떻게 작성하느냐인데 이 경우

11

주한미군의 규모와 배치 전략적 유연성 문제 군사지휘체계 문제 등이 주요이슈이다

먼저 군사지휘체계에 있어서 한국은 더 이상 미군에게 전시작전통제권을 위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미일동맹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미 양국 군은 개별적인 지휘체계를

유지하며 유사시에 협조할 수 있는 협조체제를 구축하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해

주한미군은 더 이상 북한 위협이 존재하지 않는 한반도에 현재와 같은 병력이 상주할

필요가 없게 되며 전략적 유연성을 강화하여 한국군과 함께 지역적 글로벌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보다 유연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중요한 것은 주한미군의 규모와 배치이다 한반도에 주둔하고 있는 주한미군의

지상군(ground force)의 규모는 줄어들게 될 것이다 중국을 의식하여 주한미군의

위치도 현 남한 영토에 한정되어야 하며 38선 이북에는 주한미군을 제외한 한국군이

주둔하게 될 수 있다 한미동맹이 지역적 운용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이것이 중국을

겨냥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미국중심의 미사일방어체계는 한반도에서의 운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최근 논의되고 있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역시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즉 통일 한국의 주한미군은 주로 해군이나

공군을 위주로 형성되어야 하며 지상군을 비롯한 전체 군사력은 삭감되어야 할 것이다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여러 자료에 의거하면 통일한국에 대한 미국의 이익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15

5) 통일로 인해 한반도 전면전 상황(all-out warfare situation) 가능성이 사라지면서

미국은 이에 대비하기 위한 작계를 만들 필요성 및 부담감이 사라지게 된다 현재

미국의 국방비 삭감 및 시퀘스터 상황으로 인해 국방전략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1)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주요 이익은 핵무기와 미사일의 개발을 제거하거나 방지하는

것이다 급변사태가 발생하게 되면 미국의 주요 우려사안은 북한의 대량살상무기가

한반도 지역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다 통일은 북한의 핵확산방지를 달성할

수 있다 즉 통일은 NPT체제강화에 기여하게 된다

2) 시장경제체제 지향적인 통일한국은 미국의 이익에 기여하게 된다 구 북한영토는

미국의 투자를 필요로 하게 되며 이는 미국의 경제적 이익을 증가시키게 된다

3) 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 체제에 의거한 통일한국은 미국으로 하여금 주요가치의

세계적 확산을 위한 모멘텀 역할을 하게 된다

4) 한미동맹은 통일 이후 새로운 역할과 임무를 맡게 될 것이며 이는 지역질서와 안정

유지이다 이것은 미국이 추구하고 있는 아시아 재균형 정책의 주요한 자산이 될 것이며

미국으로 하여금 국제적 강대국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이다

15 Americarsquos National Interests The Commission on Americarsquos National Security 2000 US Department of Defense A Strategic Framework for the Asia Pacific Rim Report to Congress 1992 A Blueprint for US Policy towards a Unified Korea CSIS Working Group Report August 2002 Peter Murphy Lewis ldquoUS Foreign Policy towards the Korean Peninsula An Anti-Unification Policy or Just Too Many Uncertainties to Account For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62 December 2007 차두현 ldquo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시각 기회와 도전rdquo 글로벌정치연구 32 2010 pp 43-44

12

이미 2개의 전쟁이 종료된 이후 2개 전쟁 동시수행 전략은 2012년 defense strategic

guidance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반도 전면전 상황은 미국에게는

부담스러운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 대한 몇 가지 우려사안을 가지고 있다 먼저

미국은 통일한국으로 인해 한미동맹이 약화될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현재

미국은 경제력 약화와 국방비 삭감으로 인해 아시아 재균형 전략에 차질을 빚고 있다

2014년 4년 주기 국방검토 보고서 (QDR)에 따르면 미국은 2개의 전쟁을 종식하고

국방비를 삭감하고 있는 상황이며 아시아 재균형 정책을 장기적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즉 국방비 삭감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장기적으로 아시아지역에 미

해군병력의 60를 배치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동맹국들의

역할을 매우 중시하고 있으며 이런 차원에서 통일이 가져다 주는 한미동맹의 약화

가능성은 미국에게 큰 우려사안이 될 수 있다

두 번째로 한미동맹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매우 치명적이다 현재

아시아정책의 중심축인 미일동맹과 달리 한미동맹은 미군의 전방배치(forward

deployment)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즉 현재 주한미군은 북한이라는

대리국가(proxy state)를 통해 중국을 가장 근접에서 억지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10년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포격사건의 경우에도 미국은 한반도에 항공모함을

출격시켰는데 이는 중국에게 매우 치명적인 위협으로 다가왔었다 즉 미국에게 북한의

군사적 행위는 중국을 견제할 수 있는 좋은 구실이며 주한미군은 중국을 가장

근거리에서 견제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만일 통일로 인해 북한이 사라지고

한미동맹이 약화되거나 역할이 변경되면 미국의 대중국 견제전략에는 차질을 빚게 된다

세 번째로 미국은 한국이 주한미군을 철수시키고 미∙중 양국 사이에서 중립국 지위를

유지하는 경우를 우려한다 통일이 이루어질 경우 미∙중 간의 경쟁에 의해 통일한국은

중립화 노선을 추진할 수 있다 이 경우 미국의 핵우산 제공이 어려워지게 되며 이는

중국과 일본의 군사력 강화 사이에서 통일한국의 안보불안을 야기시키게 된다 과거

통일독일의 중립화에 대해 미국이 우려를 표명했던 것처럼 통일한국은 자체적인 군사력

강화를 추진할 수 있으며 이에는 핵개발도 포함될 수 있다

V 결론 - 정책적 고려사안

현재 동북아지역의 국가들은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입장이다 기술한 바와 같이 미국

역시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한반도 통일에 대해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입장은

기타 동북아국가들 예를 들어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서 통일에 우호적이다 미국의

이익이 한반도의 이익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은 미국이 통일을 반대하거나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미국이 가지는 지정학적 위치로 인함이다 한반도에서 멀리 떨어져

13

있는 미국의 위치 상 미국은 한반도 통일이 미국에게 직접적으로 이익을 가져다 주지

않더라도 주변국들에 비해 강하게 반대하지 않는 입장이다16

관련하여 빅터 차는 이와 같이 말했다 ldquo모든 강대국들은 한반도의 통일이 지역적

세력균형에 변화를 가져 올까봐 통일에 반대하는 입장이다hellip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한국이 당장 통일절차를 추진하게 될 경우 주변 강대국들은 모두 통일에 찬성하는

입장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 새롭게 통일되는 강대국 한국이 탄생할 경우 통일에 대한

반대입장을 보였던 국가들은 통일한국에게 적대국가로 인식될 것이기 때문이다hellip

한국민들은 일단 통일절차를 시작하게 되면 주변국가들이 이에 찬성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게 될 것 이다helliprdquo

중국의 한반도 통일에 대해 lsquo평화적이고 독자적이며 점진적인 비핵화 통일rsquo을

지지하는 입장이다 즉 평화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이 중국의 경제적 발전에

해를 끼쳐서는 안되기 때문이고 독자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한국이 미국

쪽으로 경사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며 점진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이 지역적

안정을 헤쳐서는 안되기 때문이며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한국에

미국의 핵우산이 유지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결국 독립적인 통일과 비핵화에 기반한

통일 지지 입장은 모두 한미동맹과 관련되어 있다 중국은 친미 성향의 통일한국에

반대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국정부는 보다 세심한 통일준비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몇 가지 정책적 고려사안을 제시한다 첫 번째로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한국은 독일과 달리 패전국 지위가 없으며 따라서 통일을 이루기 위해

4 개 조약당사국들로부터의 승인이 필요했던 독일과는 달리 주변국들로부터 아무런

승인을 받을 필요가 없다 독일은 포츠담회담에서 승전 4 개국이 분할점령하기로

합의하였으며 이것이 냉전과 함께 분단으로 이어졌기 때문에 통일국가를 이루기

위해서는 분할점령을 합의했던 4 개국들의 승인이 필요했다 게다가 독일통일의 경우에

이미 2+4 회의에서 독일통일을 승인하기 이전에 동독의 독일연방 가입이 결정되었기

때문에 후속적 승인에 불과하였다 한국과 북한 양국이 통일과정에 대해 합의하고

추진하여 통일을 달성하면 주변국가들은 이에 동의할 수 밖에 없다

17

두 번째로 평화협정은 휴전중인 한국전쟁을 종식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지 통일의

전제조건은 아니다 한국정부는 그 동안 통일이 아닌 분단적 평화유지에 지나치게

집착해왔다 이는 통일을 위한 본격적인 정책추진이 아닌 단지 정전상태를 평화상태로

바꾸는 것에 불과하며 이를 위해서 지불해야 할 비용 역시 지나치게 높다 즉 북한은

평화협정 체결을 위해 주한미군의 철수 등을 주장하고 있으며 이는 현 한국의 안보상황

16 Peter Murphy Lewis US Foreign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An Anti-Unification Policy or Just Too Many Uncertainties to Account For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62 December 2007 p 107 17 Victor Cha The Contiuity behind the Change in Korea Orbis No44 (Fall 2000)

14

속에서는 불가능한 조치들이다 이제는 한반도 평화가 아닌 통일을 정책적 목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평화협정

문제를 논의하는 것은 결국 입장차이를 확인할 뿐 실제 평화체제가 확립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미국은 평화협정 체결이 북한 비핵화를 먼저 이룬 이후에 가능하다는

입장이며 중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하게 되면 북한비핵화 등 제반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따라서 남북한 양국은 이제 소모적인 평화협정 논의 이외에 본격적인

통일논의를 통해 남북한 당사국들의 이익에 보다 충실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 한∙미∙중 3 자회의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미 한∙미∙중 3 개국은 작년에

1 차 전략대화를 개최하였다 주요 이슈는 북한 핵문제였는데 이와 같이 북한

핵문제에서 이슈를 확대하여 한반도 통일 북한급변사태 등 다양한 문제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남북통일은 미∙중 양국의 이익 및 세력균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3 국 전략대화에서 한반도 통일에 관한 입장을 조율하고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역할과

임무에 대한 각기 다른 이해관계를 조율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은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 남북한 통일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한국

내부의 통일정책을 하나로 수렴시키는 일이다 현 대통령제 하에서는 연속적인

통일정책이 중장기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고 정책적인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 또한 통일과정에서 북한리더십을 통일한국의

정치체제로 통합할 필요성이 있다 독일통일과정에서도 총선거를 통해 동독 지도부가

독일연방으로 통합되었듯이 남북한 정치통합을 위해서는 내각제 체제가 더 적합하다

15

제6회 정책포럼 토론문 (무순 제출순서대로 편집)

1 김동현 교수 (고려대 일민국제관계연구원 방문학자 북한대학원대 초빙교수 전 존스

홉킨스 국제대학원 겸임교수 및 방문학자)

총평 한반도 통일을 주제로 창의적인 노력을 보여준 발제자에게 우선 찬사를 보낸다

발제자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 부분이 많이 있지만 김현욱 박사가 과시한 학술적

접근방식과 독창적인 의견들은 높이 평가한다

- 우선 여러 가지 통일 시나리오를 가상하고 그와 관련된 논의를 흥미 있게 전개하지만

지금까지 국제 정치사상 어떤 시나리오가 상정한대로 어느 문제가 해결된 것이 없디

역사에 가정이 없듯이 국제정치의 현실에서 ldquoScenariordquo의 가정도 설 땅이 없다

시나리오를 추구하는 학자들은 바둑놀이를 계속하는 것과 같다 바둑을 둬서 어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지만 두뇌기능을 진척시키고 치매 방지 등 건강에 도움이

되는 정도라고나 할까 학자들의 장기중의 하나는 간단한 문제를 복잡하게 해석하고

신조어를 만들어 내며 독자들을 헷갈리게 하는 재주다

발제자 주장에 대한 토론

- 615 정상선언은 남한의 국가연합 방안과 북한의 느슨한 연방체 간에 공통점이

존재하며 앞으로 ldquo그런 방향으로 (통일을) 추진한다rdquo고 합의 했을 뿐 그 후에 어떻게

정치체제를 통합하겠다는 언급이 없었던 사실을 발제자가 정확하게 지적했다 그러나

당시 한국측 주역들은 연합과 연방단계를 묶어서 Federation 이 아닌 Confederation 의

형식으로 교류와 협력이 무르익는 ldquo사실상의 통일 ndash De Facto or Virtual Unificationrdquo

을 이룬 다음에 완벽한 법적 통일 ndash ldquo De Jure Unificationrdquo 로 간다는 것이다 DJ 의 3

단계가 연합 ndash 연방 ndash 완전통일 이었다면 임동원은 화해 협력 ndash 사실상의 통일인 연합

그 후에 법적 통일의 3 단계였는데 이 점은 615 선언협상과정을 통해서 DJ도 동의

했다는 것이다 (ldquo피스메이커rdquo에서 - 이 통일 과정에 소요 되는 시간을 DJ 는 10 년

김정일은 40mdash50 년으로 예상했다)

- 발제자가 논의한 ldquo급변사태로 인한 통일에 대해서 ldquo급변사태rdquo에 대한 정의는

무엇인가 중국의 개입가능성이 높고 미국의 개입가능성을 낮다고 하는데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논의 되어 온 것 이상의 논리가 없다 미국의

역할을 예측하는 문헌으로 Bruce Klinger 와 Bruce Bennett 의 글을 주석으로 달고

있는데 이 두 사람은 북한의 붕괴를 이념적으로 바라면서 근거가 미약한 붕괴론을

확산 시켜온 인물들이다 다만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남북한이 둘 다 유엔회원국이기

때문에 만약 북한에 권력공백 상태가 생겼을 때 누가 들어 가서 평정 및 관리를 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유엔차원에서는 아직 한 번도 논의된 적이 없는 문제다 유엔 임시

한국위원회에서 대한민국정부 수립에 앞선 선거 감시를 했고 625 때 38 선 이북으로

북진 할 때도 당시 유엔군 사령부는 수복지구에 대한 행정권을 정식으로 한국에 넘기지

않았다

16

- 한국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 하는 방안에 대해서 우선 발제자가 말하는

ldquo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rdquo의 뜻은 우호적 태도 호감 영어로 말하는 Identity

라면 북한 주민들이 ldquo우리는 남한 사람들과 같다rdquo는 뜻인가 정체성이 정치적 동질성을

말한다면 이를 이룩하기 위한 노력이 장기간 섬세하게 선행 되야 할 것이다 예멘의

사례도 학술적인 참고는 되지만 정책상의 참고는 될 것 같지 않다 물론 최종적인

정치 사회 통합은 현재의 정부 방식으로는 통일의 최종적 과제이다 그러나 평화를

보장하는 사실상의 통일 단계에만 돌입해도 궁극적인 통일로 향하는 엄청난 성과가 될

것이다 그래서 통일은 과정이란 말이 나왔다

- 독일의 사례 대해서 한국통일 논의에서 독일통일의 모델이 약의 감초처럼

등장하는 데 독일에 가서 독일 통일 과정을 공부한 한국인들을 제외하면 독일인

독일통일 전문가들은 한국과 독일 여러 가지 여건이 (역사 경제 문화 국제환경)

다르기 때문에 독일통일방법을 모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을 많이 하고 있다

토론자의 생각도 같다 물론 독일과정에서 있었던 일들 중 한국이 배우고 참고로 해야

할 점이 많이 있음은 부인치 않는다 (예 정권교체와 관계없는 일관된 정책의 지속성

같은 것 ndash 발제자는 이를 위해 내각제 개헌을 제안) 독일 통일과 관련된 미국의

이해관계를 소상하게 기술했는데 이 것도 본 발제문 주제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지 않는다

-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에 대해서 해방 이후 미국은 유엔결의문 등을

통해서 평화적으로 한반도에 자유 민주 통일 정부가 수립되기를 바란다 고 언급해 왔고

아버지 부시 클린턴은 ldquo한국국민 (the Korean people) 이 원하는 통일rdquo그리고 아들

부시와 오바마 때와서는 ldquo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체제의 통일rdquo을 지지한다고 공언했다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은 한국 헌법에 부합하지만 북한에 입장에서는

ldquo흡수통일rdquo로 받아 들린다 당연히 북한이 반발한다 2000 년 10월 김정일은 이렇게

말했다 ldquo우리는 제도에 의한 통일은 반대다 평화통일 하면 우리는 우리 식으로

통일하는 것을 말하고 민주 통일은 남조선 원하는 통일이다 평화통일이 되면 중국이

좋아하고 민주통일이 되면 일본이 좋아할 것이다rdquo

1991 년 6월 토론자가 평양에 갔을 때 당시 북한 군축평화 연구 소장 송호경 (후에

아태위 부위원장) 은 이렇게 말했다 ldquo 1민족 1 국가 2 체제 고려연방제는 한쪽이 다른

한쪽을 먹을 수 없는 상태로 공존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상태를 해소할 수 있는

쌍방간의 합의나 체제통일이 없으면 이 상태가 마냥 계속될 수 있다 영구히 갈런지도

모른다rdquo

- 지금까지 미국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한국 통일에 대한 수사적 지지만∙ 했을 뿐

한국통일을 위해 노력한 흔적이 없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현재 미중은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 속에서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각각의 전략적 이익 때문에 한반도에서

무탈 무사 현상유지를 원하고 있다 발제자가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간행물을

인용했는데 토론자는 이 것도 못 마땅하게 생각한다 그 간행물에 관여 한 소위

미국인 전문가들 중에 한국통일 전문가는 별로 없다 Victor Cha가 미국의 거물학자로

여겨지는 것도 못 마땅하다 (나는 이런 것을 미국에 대한 학문적 사대주의 ndash

Academic Sycophancy 라 부른다) 미국문제는 미국인들이 잘 알고 한국문제는

한국인들이 잘 안다 다른 한가지를 지적한다 미국은 지금 한국 통일에 대한

우선순위가 없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북핵 문제도 우선순위를 두지 않고 있다 심지어

17

아시아 재 균형 문제도 이라크와 시리아의 ISIL or ISIS 문제 때문에 신경을 제대로 쓰지

못한다는 우려가 나온다 (Kurt Campbell in Seoul on September 25 2014)

- 통일 이후의 한미동맹 통일에 대한 전망도 아득하지만 그 후의 한미동맹 관계는

더욱 아득하다 통일에 상대가 있듯이 (As W Bush said in Seoul this spring at a

conference hosted by the Chosun Ilbo) 동맹은 전통적으로 군사적인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동맹 이 함께 싸워야 할 상대 (Potential foe or adversary)를 전제로

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중미간의 경쟁이 계속된다면 미국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한미동맹을 아시아 재 균형의 도구로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 입장에서

그것이 그 때가서 한국국익에 맞는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서 발제자가 친절하게 미국의 이익과

우려를 열거했는데 남북이 통일을 원한다면 미국이 자기 이익 때문에 통일을

반대해서도 안되고 한국이 미국의 우려 때문에 할 일을 못하거나 안 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미∙중 사이의 중립 또는 전세계를 상대로 하는 중립이 한국 국익에

합당하고 국민의 다수가 이를 원한다면 한국은 그 길을 택해야 한다

미국의 걱정은 미국에 맡기고 한국은 한국 걱정에 치중해야 한다 걱정은 시대와

환경에 따라서 달라진다

정책건의

- 첫째 황병서 최룡해 김양건 3 인의 인천 방문을 계기로 다음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진일보한 과감한 자세로 이산 가족 524 조치 금강산 관광 등 현안을 타결하고

신뢰프로세스를 부활해야 한다 남측도 구태의 틀에서 벗어나 놀랄만한 자세를 보여야

한다 통근 결단은 북한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 둘째 6자회담 재개 등 북핵문제 해결을 노력을 한국이 주도해야 한다 미중과 함께

한국마저 손 놓고 있는 상태는 더 이상 방관해서는 아니된다

- 셋째 대북정책에 대한 국내 보수 진보간의 시각차이를 융합하여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탈냉전식 통일정책을 개발함으로써 통일준비의 기초를 확립해야 한다

2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김현욱 박사의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을 읽고

국내의 손꼽히는 미국전문가인 김현욱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을 맡게 되어 영광으로

생각한다 김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자의 생각과 비교할 때 공감이 가는 부분이 많다

하지만 김 박사가 다루는 주제가 단순히 미국의 대외정책이나 한미관계가 아니라

lsquo한반도 통일rsquo이라는 점에서 몇 가지 오류가 눈에 띄기 때문에 여기서부터 토론을

시작해야 할 것 같다

I 서론

한middot미 정상이 합의한 통일관련 언급은 「한미동맹 공동비전」(2009616)은

ldquopeaceful reunification on the principles of free democracy and a market

economyrdquo으로 「한미동맹 60주년 공동선언」(201357)은 ldquoits peaceful reunific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denuclearization democracy and a free market

economyrdquo으로 되어 있다 전자의 free democracy는 liberal democracy와 구별되어야

18

하며 후자에는 그냥 democracy로 표기한 의미를 되새길 필요가 있다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o 우리 정부는 lsquo연합제 통일방안rsquo을 지지한 바 없으며 무엇보다 lsquo연합제rsquo는 통일방안이

아니다 또한 우리 정부가 북한과 함께 lsquo74남북공동성명rsquo을 발표하고 lsquo자주 평화

민족대단결rsquo이라는 통일의 대원칙을 발표한 것은 맞으나 그 뒤 lsquo민족대단결rsquo을 삭제하고

lsquo민주rsquo를 넣었다

o 1989년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은 전두환이 아닌 노태우 정부 때 발표된 것이다

o 김대중 대통령이 대통령이 되기 전에 개인적인 통일방안으로 lsquo남북연합제 rarr

공화국연방체 rarr 통일국가rsquo의 3단계를 주장했었으나 대통령이 되고 나서는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수용했다

o 한국의 통일정책의 특징이 ldquo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남한체제를

궁극적인 통일의 상으로 설정하고 있다rdquo고 주장하나 우리 정부의 공식 통일방안인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은 먼저 민족공동체를 만들어가고 나중에 통일국가를 이루되

통일국가의 형태는 미래세대에게 맡긴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2 북한급변사태로 인한 통일

o 북한의 급변상황에 한국이 개입하는 것이 유엔헌장에 위배된다는 지적은 옳다 그런데

아무리 중국이 UN상임이사국이라도 중국 군이 평양까지 진출해 친중 정권을 수립할

근거를 갖고 있는가

o 박휘락 박사의 인용문은 미국이 북한의 WMD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중국의 도움을

받기 위해 중국의 개입을 반대하지 않는다는 의미이지 북한 급변사태가 발생할 때 이를

중국에게 떠맡긴다는 의미는 아닌 것이다

o 필자는 ldquo미∙중 양 강대국이 한반도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고rdquo라고 언급하고 있는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가 있는가

3 남한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하는 방안

o 남북예멘이 통일 후 무력통일로까지 간 것은 사회문화적 유대감의 부족 때문이

아니라 11 대등한 권력분배가 몇 년 뒤 실시된 선거결과에 의해 북예멘에 유리하게

정치지형이 바뀌자 남예멘 측 인사들이 이에 반발해 무력을 동원했다가 진압당한 것이다

o 동독유권자의 9322가 서독으로의 신속한 편입을 주장했다고 언급했는데 이 수치는

투표율이다 조기통일을 주장했던 독일연합의 득표율은 4804 국가연합을 거쳐

점진적 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의 득표율은 2188였고 옛동독공산당이었던

민사당이 164 새로운 사회주의 건설을 내걸었던 연합90이 291였다 그 결과

독일연합과 동독사민당이 연립정부를 구성해 서독과 통일협상에 나섰던 것이다

III 독일 사례와 미국

o 동독 총선거에서 동독주민들이 서독의 정치체제와 정당에 투표하였다고 하였는데

이것이 무슨 말인가 그들은 조기통일(동독기민당 중심 국민연합) 점진통일(동독사민당

민사당) 제3의 길(연합90) 등을 내건 동독정당에 투표했는데 결과적으로 조기통일을

19

주장한 국민연합이 승리하여 점진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과 연립하여 조기 통일을

추진 달성한 것이다

o 독일통일의 상황에서 소련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원조라고 언급하고 있는바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엄밀하게 말한다면 對소련 차관 50억 DM(약 25억 euro) 동독주둔

소련군 36만 명의 철수에 따른 비용 부담 125억 DM(약 64억 euro)이다

IV 미국과 한반도 통일

1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o 미국이 통일과 같은 현상변경보다는 분단이라는 현상유지를 선호한다는 의견에

동감을 표한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의 정확한 출처를 밝혀주었으면 도움이

되겠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o 필자는 lsquo연합제연방제 통일rsquo과 lsquo한국주도의 통일rsquo을 대립적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연방제란 정부구성원리의 하나로서 1국가 2체제(일국양제)만 있는 것이 아니라 1국가

1체제의 연방제도 존재한다 따라서 한국 주도의 통일일지라도 단방제(單邦制) 방식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연방제(聯邦制) 방식이 될 수도 있다

o 통일된 이후가 아니라 전작권 전환 이후에 2013년 한미 양국은 한국군 합참 내에

미래사령부의 구성 계획을 통해 연합지휘체제(한국군 사령관 미군 부사령관)를

구축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o 최근 논의되고 있는 THAAD는 지금도 배치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인가 아니면

통일되면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아니게 되므로 지금 배치했더라도 철수해야 한다는

의미인가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o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우려사안 중 한국 주도의 통일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한미동맹의 약화를 우려한다는 점이 충분히 이해되지 않는다 특히 당장 통일될 것도

아닌데 우려의 근거로 미국의 현실적 상황을 제시한 것들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o 나머지 두 번째 세 번째도 왜 한미동맹이 약화되고 주한미군을 철수하게 될지 하는

원인을 설명하지 않고 그렇다고 전제해 놓고 미국의 대아시아 전략에 미칠 영향과

미∙중 사이의 중립국 지위 유지하는 것은 앞뒤가 바뀐 것이다

V 결론 ndash 정책적 고려사안

o 미국이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했다고 볼 수 있는가 미국이 통일에 대해 처음으로 입장표명을

한 것은 2009년 6월 이명박-부시 대통령의 한미 공동비전이 처음이다 최근 미국

조야의 분위기는 북핵 문제를 풀기 위해 통일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고 오히려 한국

측이 통일에 소극적이라고 질책하기도 하지 않은가

o 중국이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가 통일한국의 핵무기 보유가 아니라

단지 미국의 핵우산 유지를 우려했기 때문인가

o 평화협정이 단지 한국전쟁의 종식만을 위한 것일까 필자가 제시한 첫 번째

20

정책고려사안은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런데 평화협정이

체결되지 않고 정전상태에서 곧바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첫째 우발적 충돌이라도

전쟁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있고 둘째 통일과정에서 정전협정의 당사자인 미국과 중국이

국제법적으로 개입할 가능성이 열려있다

o 본문을 보면 필자는 분단적 평화유지와 평화체제평화협정을 동일시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마저 든다 그리고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다고 했는데 그 근거가 무엇인가 특히 비핵화-평화협정의 순서를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의 입장이 상반된다고 언급했는데 과연 그런가 919공동성명에서 미국과 중국은

동시행동 원칙에 합의한 바 있지 않은가

o 과연 남북한 통일을 위해 내각제가 필요한가는 좀 더 논의해봐야 할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통일을 달성할 때까지는 효율성을 위해 대통령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필자의 주장과 달리 내각제의 경우 잦은 내각교체로 인해 통일정책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수 없는 것 아닌가 lt끝gt

3 문성묵 박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발제문에 대한 논평 우선 김현욱 교수님의 발제문은 한반도 통일의 가능한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독일 사례를 통해 우리의 통일미래를 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접근이라고 봄 특히 남북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매우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제시하고 있는 정책적 제안은 적절하다고 판단되며 대체로 공감함 다만

통일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한 두 가지 추가 제언을 드리고자 함 우선 미국의

우려사항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일한국이 지향하는 한미동맹에 대한 분명한 의지를 미

측에 밝힐 필요가 있음 아울러 통일의 성취를 위해서는 반드시 중국의 협조를

유도해야 하는 바 이를 위해서는 통일한국의 한미동맹이 중국의 국익에도 부합될 수

있다는 논리를 적극 개발하고 중국을 설득하는 노력이 강구되어야 함 이러한 입장을

미국이 중국과 직접 조율해 나가도록 협조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봄 그런 차원에서

본문에서 제시한 한∙미∙중 3자 협의는 유용한 협의기제로 보임

다음은 곽태환원장님께서 제시해 주신 토의중점 주제들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정리하였음

1 한반도 통일을 위해 먼저 극도로 경색된 남북관계부터 풀어나가야 하는데

출구전략은

10월4일 황병서 등 북한고위급인사의 전격 방남으로 대화의 물꼬가 트인 만큼 이달

말 또는 11월초로 예정된 2차 고위급접촉을 통해 남북간 쟁점사항들을 대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풀어나가는 지혜가 필요함

첫째 무엇보다 대화의 지속이 중요함 일회성 대화가 아니라 고위급접촉이든 다른

대화채널이든 대화가 정례화 되는 것 즉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통로는 늘 열려 있어야

할 것임

둘째 사안별 접점 마련이 필요함 즉 상호가 입장차이가 극명한 사안은 일단

21

접어두고 접점 마련이 가능한 사안부터 협의하고 이행을 해 나가는 것임

2 현안이슈인 THAAD 한국배치에 대한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 측면 고려하여 사드

한국배치가 바람직한가 전시작전통제권을 2015년에 받아야 하나 연기 해야 하나

첫째 사드의 한국 배치는 정치적 관점이 아니라 안보적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중국(러시아)과 북한이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있지만 북한위협에 직면한 우리

입장에서는 한미동맹차원에서도 미국의 사드 배치 구상에 협력하는 것이 필요함 따라서

한국과 미국이 중국을 잘 설득할 필요가 있음

둘째 전작권문제 역시 주권 자존심이라는 측면 보다는 국익의 관점에서 판단해야 할

사안임 북 핵문제 등 북한의 위협이 상존하는 현 상황에서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억제력을 확고하게 유지하는 일임 한미연합사는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체제임 따라서 시기에 기초한 접근 보다는 조건에 기초한 접근이 바람직함

3 한반도 통일은 평화적으로 이뤄져야 하는데 남과 북이 합의에 의한 통일이

이뤄지려면 공동통일방안에 대한 합의가 가능한가 6자 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는

평화체제구축은 어떻게 이룰까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통일방안에 대한 남북 간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는 현 상황에서

통일방안부터 협의를 시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봄 우선 대화와 교류확대 등을 통한

화해협력을 추진하면서 향후 북한정권과 체제의 변화가 이루어질 때 통일방안에 대해

본격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함

둘째 핵 문제는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임 이로 인한 무력충돌은

공멸을 의미하기 때문임 따라서 북핵 문제는 우선 강력한 억제로 북핵 사용 자체를

무력화하고 나아가 대화를 통한 외교적 해법을 병행해야 함 즉 6자 회담을 재개하여

919공동성명의 합의정신에 입각하여 풀어나가는 것 이외 다른 적절한 대안은 없어

보임

셋째 평화체제 문제는 6자 회담이 재개되고 북핵 문제에 있어 일정분야 진전이 있을

경우 919 성명에 합의된 별도의 평화포럼을 통해 논의해 나갈 필요가 있음 평화체제는

협정의 체결이 아니라 실질적인 평화상태를 만들어 나가는데 중점을 두고 추진해 나가야

4 4자(미 중 남북한)회담을 통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인가 북이 주장하는 북미간

평화협정이 바람 직 한지 한반도 정전체제를 대체하는 다자 평화체제는 어떤 형태가

바람 직 한가 등

첫째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논의하는 협상은 남북한과 미국 중국이

참여하는 4자회담이 적절하다고 봄 1997~1998년 사이 제네바에서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는 문제를 논의하는 4자회담이 6차례 개최된 바도 있음

둘째 평화체제는 남북간에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미국과 중국이 이를 보장하며 협정은

유엔에 기탁하는 방안이 적절하다고 봄

5 6자 회담을 복원하여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ldquo행동대행동rdquo으로

동시에 해결하자는 제안에 대한 견해는

22

이는 북한이 핵 문제에 대해 한국과 미국 등이 요구하는 수준으로 성의 있는 조치를

취하고 이를 바탕으로 6자회담이 재개된다면 동시에 별도의 포럼을 열어 평화협정

논의를 개시할 수 있을 것임 실질적 평화상태 구축을 위한 남북간 군사적 신뢰구축 및

운용적 군비통제 등을 추진해야 함 평화협정의 체결 시점은 북한 핵이 완전히 폐기되는

시점과 맞추어야 할 것임

6 이러한 통일프로세스에서 과연 미국은 어떤 역할이 바람 직한가

독일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듯이 미국도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함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을 설득하여 한반도 통일에 동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공고한 한미동맹을 유지하여 북한이 변화하도록 유도하며 통일 이후에도 통일한국의

안보환경과 국익에 부합되게 동맹의 형태와 목표 기타 필요한 사항들을 협의하여

합의할 필요가 있음 통일한국이 중국과의 관계에서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는 방법은

미국과의 동맹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생각됨

7 평화적 합의통일방안에 하나의 대안으로 중립화를 통한 한반도 중립화 통일방안에

대한 견해는 미국은 지지 할까 등입니다

중립화 통일방안을 추구한다고 해서 통일이 촉진될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음

중국은 다소 긍정적일지 모르나 우리의 동맹인 미국이 가장 우려하는 사안일 것임 그런

차원에서 중립화 방안은 부적절함 이는 우리 국익이나 안보상 적절치 않은 방안이라고

봄 lt끝gt

4 김준형 박사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교수)

발제 논문에 관한 의견

다음 사항들에서 기본적으로 공감함

한반도통일의 고차방정식에 대한 의미 있는 분석 주변강대국들의 이해관계

특히 통일을 추구함에 있어 미국과 중국의 이해관계를 분석한 부분

냉전붕괴직후 독일의 상황과 당시 미국 및 소련의 입장이 가지는 함의에 대한

분석

북한급변사태가 곧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며 통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북한

주민들의 친한국 성향이나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남북이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

최근 미국이 통일에 대해 기껏해야 소극적 지지입장이며 통일로 인한

한미동맹의 약화가능성에 우려를 가지고 있다는 분석

한미동맹의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치명적이라는 주장도(치명적이라는

표현은 좀 과도한 측면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공감

주변강대국이 한반도통일이 현 동북아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지지하지 않으나 남북한이 원해서 주도적으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반대할 수 없다는

주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사항들에서 문제 제기하고자 함

23

서론에서 밝힌 본문내용 소개가 본문의 실제 내용전개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음 특히 현실적인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를 살펴본다고 했는데 오히려 그간의 남북한

통일안의 한계와 약점을 지적하고 특히 남북한 공히 정치적 통합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진다는 분석 위주임

북한에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 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 미국이 먼저 나서서 개입하지 않을 가능성은

있다 하더라도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해도 미국이 행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는 동의할

수 없음

북한 급변사태의 경우 중국이 자국민 및 재산보호를 명분 삼아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그것이 북중동맹에 의한 자동개입과 UN 상임이사국의

지위를 이용해서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라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려움

북한의 급변사태에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논지와 중국이 북한에 친중 정권을 세울 가능성이 높다는 논지는 자칫 통일보다 동맹을

선택하는 한미동맹 신화론자들의 논리를 강화시킬 수 있는 위험성 내재 박휘락박사가

인용한 미고위당국자의 발언은 context도 다른 것으로 보이고18

한국주도의 통일 역시 한미동맹약화로 이어지고 이는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에

치명적일 것이라고 단정하는 것 역시 같은 식으로 호도될 여지 있음

이 논리가 절대적 친미

보수진영의 동맹강화의 긴급성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논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평화협정이 통일의 전제조건이 아니라는 것에 동의하고 분단적 평화유지에 대한

반대에 동감하지만 평화보다 통일이 우선되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려움

통일을 위해 통일정책의 연속성을 위해 내각제 개헌을 해야 한다는 논리는

지나친 단순화 또는 비약으로 보임

현 정국에 대한 토론자의 견해

지난 7년간의 대북정책 및 통일정책의 한반도의 운명과 관련된 4가지 핵심 변수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① 한미동맹의 근본 성격 변화(대북억지-gt동북아지역군)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을 위해 일본과 한국에 아웃소싱 추진하고 있으며 그 핵심이 지역미사일방어체제

구축

- 전작권환수 시기보다 조건을 우선 고려

- 전작권에 대한 효용성 변화 과거 전략적 유연성은 분담의 차원이었으나 현재는

한미일 군사협력네트워크 통합의 차원으로 변모 따라서 미국이 전작권을 계속 보유하는

것의 효용성이 높아짐(미국의 꽃놀이패)

② 북핵문제의 근본 성격 변화 핵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음

- 미국은 북한에 대한 de facto 보유국 내부적으로 인정19

18 이 발언은 북한의 핵개발 중단 도발가능성 북한개혁 등 중국이 행사할 수 있는 대북 레버리지를 미국이

기대한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됨

19 수년 전 힐러리 클린턴의 발언부터 최근 오바마의 유엔연설 직전에 행한 국가안전보장회의 부의장 벤 로

24

- 발제논문에서 주장하는 통일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미국의 입장과 연결됨

- Permanent crisis 양상 분명 위기이고 해결이 난망한데 아무도 나서서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며 심지어 현 위기국면을 국내정치에 이용하는 측면이 커지는 일종의

북한 핵위기의 default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③ 한반도 통일론의 변화 신뢰프로세스 동평구 통일대박론 드레스덴 선언 등의

많은 제안들이 후속조치 없이 동력을 잃었으며 최근 UN연설에서 재확인되듯이

흡수통일론으로 귀결 남북교류의 제도화 수준은 대단히 높으나 실행수준은 대단히

낮음으로 인해 통일논의에 대한 국민들의 피로감을 확산시키고 이는 국내

안보포퓰리즘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동

④ 북중관계 변화 남북관계의 단절로 인해 긴밀해짐으로 해서 북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하고 있는데 중국의 대북 지분을 향상시켜 유사시 개입의 빌미가 될

가능성이 높음(발제논문도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음-탈북자 관리명분)

미국의 입장에 대한 견해

오바마는 대북정책에 있어 부시 전임정부와는 정반대되는 경향 1기에서의

강경함에서 2기에는 협상무드로 갔던 부시와는 반대로 초기의 온건입장이 시간이

갈수록 강경기조로 넘어가고 있으며 인권압박까지 병행

더 큰 문제는 강경책이든 온건책이든 문제해결을 위한 움직임이 없는 매우

수동적 태도로 일관한다는 것인데 이는 북한문제가 여전히 오바마행정부의

정책우선순위의 상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고 또 북한핵개발

국면을 빌미로 대중국 견제와 미일동맹을 비롯한 아시아동맹네트워크 강화에 활용한다는

것임

오바마의 소위 lsquoDDSSrsquo Doctrine의 근간은 임기 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한반도는 큰 현안 없이 현상유지로 흘러갈 가능성이 큼

미국의 MD 압박 강화될 것임

- 미국이 현재는 한국내 여론을 의식해서 한국정부와 보조를 맞추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MD 편입을 원하고 있기에 압박은 증가할 것임

- 한국과 일본이 참여하는 지역 미사일방어체제 구축은 미국의 아시아재균형전략의

핵심이며 한국의 MD 참여가 중국의 입장에서는 레드라인이지만 미국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한중의 접근을 억제할 수 있는 카드로서의 효용성이 있음

- 한국정부의 태도 변화 사드의 한국도입에 대해 최근에는 수용적 자세로 변화20

미국의 MD 참여 압박에 대해 정부가 진정으로 미국 MD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면 확실한 입장표명을 하거나 공개적으로 국민의 의견을 묻는 것이

필요함(double edge diplomacy 활용)

한국의 과제

즈 발언까지 일관됨 20 10월 7일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한민구장관은 북한 핵middot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사드를 배치하면 우리 안

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함 또한 MD의 핵심 자산을 동원하는 새로운 작전개념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같은 방안을 이달 말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연례 안보협의회에서 공식화할 방침이라고 밝힘

25

남북관계 해결을 위해 한국정부가 선제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시도해야 함

미국이 여러 복잡한 문제로 인해 여유가 없는 상황을 오히려 역이용하는 발상의 전환

필요

미국정부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대북접근에 있어 한미공조 이탈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견제해왔던 것에 비하면 한국의 운신의 폭은 역설적으로 커졌다고 볼 여지

있음 미국이 대북정책에 있어 마땅한 해법도 없고 정책순위는 점점 하락하는 상황에서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주도가 가능할 수도 있음

출구전략

- 6자회담과 919성명의 복원을 통한 문제해결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을 병행

- 524조치에 대한 언급 없이 실질적인 유연화

- 박근혜대통령의 결심이 관건 대화재개조건의 유연화에 대한 한미간 정책조율을

주도할 필요가 있음

5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

한국GPF재단이 주최하는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김현욱 교수께서 발제한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의 주제는 통일을

시급하게 달성해야 하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통일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반세기 이상 한국과 안보동맹을 체결하고 있는 미국의

한반도 통일정책을 논의하는 것은 아주 시의적절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자는 먼저

발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의견을 제시하고 발제자와 토론자 간의 약간의 상이한

견해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하고 곽교수의 질문에 대해 간략하게 답한 후

정책제안의 순서로 기술하고자 합니다

1 발제문에 대한 일반적 평가

발제자의 논문 내용과 접근방법에 대해 토론자는 전적으로 찬성하고 동의합니다

한반도 통일방안의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공감하면서 남북정상이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에 공통점이 있다고 이미 합의하였기

때문에 남북은 장차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 중 하나의 통일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람직한 통일접근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한국이

경계해야 할 것은 발제자도 지적한 바와 같이 북한의 붕괴통일보다는 독일과 같이

평화적 흡수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며 더 좋은 방안은 평화통일을 목표로 하되 점진적

접근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만약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하여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고 가정할 때 한국에게는

lsquo통일의 대박rsquo이 아니라 통일의 쪽박이 될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남북이

평화통일 협상을 통해 점진적 통일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미국의 국가이익과 우려사항에 대한 자세한 분석에 전적으로

동의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많이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서

기대하는 것은 미국의 국익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미국의 대한반도 통일정책이

결정되리라 전망됨으로 통일의 당사자인 남북은 통일의 과정에서 미국의 국익도

고려하면서 남북이 통일의 이니셔티브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6

2 발제 문에 대한 몇 가지 이견

토론자는 발제문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를 하지만 미시적 측면에서 토론자의 이견을

몇 가지 부언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연방제와 연합제를 설명하는 2쪽 문단에서 북한의 연방제를 1980년

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김일성이 발표한 내용을 기준으로 설명했으나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이 한국의 연합제와 좀더 가까운 것은 김일성이 1991년 1월

1일 발표한 lsquo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rsquo이므로 이를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비교분석 하는 것이 좀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980연대 연방제는

남과 북이 lsquo연방상설위원회rsquo를 조직하여 지역정부를 지도하는 중앙정부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1991년의 연방제는 지방정부에 모든 외교권과 군사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국의

연합제 즉 국가연합 형태의 통일방안으로 수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둘째 1991년 북한의 연방제는 남과 북이 어떠한 정치군사적 블록에도 가담하지 않는

중립국가의 외교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남북이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에 공통점을 인정하고 있으나 북한은 연방제가 되었을 때 외교정책은

반드시 비동맹 중립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나 한국은 북한의 그러한 중립정책을

수용하기 어려운 입장이므로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선 듯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셋째 북한의 연방제 실시 조건에서 남한이 수용하기 어려운 또 다른 것은 북한이

주한미군의 철수와 국가보안법을 철폐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장차 남북이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를 실시한다 해도 남한정부의 입장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보안법 철폐는 가장 민감한 문제들이므로 난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끝으로 발제자는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ldquo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케 하고 미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rdquo는 분석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됩니다 미국의 계획에 의하면 lsquo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군은 한국군과

한국인은 북한에 입북하는 것을 금지하고 미군과 일본의 자위대가 북한의 치안을

유지한다rsquo는 주장이 제기되어 이를 확인하고 있습니다(오크랜드 대학교 박문재 박사

주장) 또 다른 주장에 의하면 북한의 급변사태 시 중국군과 미군은 동시에 북한에

상륙하여 일정한 지역을 분할 하여 WMD와 북한 질서를 공동으로 유지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계획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경우 미국에는 분명히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미국의 이익과 우려가 병존하리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어느 것이 미국의 국익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가에 따라 미국의 외교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이며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한반도 정책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과 관련하여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 발제자는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어

대부분의 내용에 동의를 하면서 상이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토론을 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ldquo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으며 2012년 오바마

27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 체제와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통일을 지지했다rdquo는

내용에 대해 미국은 한반도의 통일을 원천적으로 원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토론자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1971년 7월과 2005년 8월 북경에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비밀회담을 갖고 ldquo미국이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양국은 한반도 분단의

현장유지를 계속하자고 합의rdquo한 내용이 미국의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습니다(2005년 9월

7일 Washington Post)

또 다른 예로 한국전쟁을 종결하는 휴전협정 제4조에는 ldquo정전협정 서명 후 3개월

이내에 서명 당사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한다rdquo고 합의했으나 미국은 북한이 핵을 만들기

전에도 북한의 평화협정 요구를 거절해 왔으며 이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해야

평화협정을 체결해 주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의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은 외교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둘째 과거 독일통일의 과정에서 고르바초프는 독일의 중립화를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미국은 통일된 독일이 NATO에 잔류해야 한다는 조건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결국

고르비가 양보하고 미국의 안이 채택되었으나 거기에는 서독이 소련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수용한 대가라고 합니다(주섭일 기자의 『1990년 독일통일과 2017년 한반도

통일』)

셋째 미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문제에 대해 크게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미국은

한반도가 통일이 된 뒤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주한 미군의

역할은 북한의 위협보다는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주한 미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미국의 재

균형정책도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넷째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미국의 동북아시아 국가에 대한 군수산업이 대폭

축소될 것이며 통일된 한반도가 미-중 간에 균형외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대중 견제는 급속하게 감소될 전망입니다

끝으로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은 감소된 반면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되어 미국의

장기적 전략인 미국의 군사비 감축과 국내외 여건으로 주한미군의 유지가 어렵게 될

경우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감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므로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4 한국의 당면 과제

한국은 대북정책의 출구전략으로 10월 3일 북한 실세의 한국방문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려 북한이 필요로 하는 경제지원과 5ㆍ24조치 해제를 전제로 북한의 양보를 얻어 내

남북관계의 출구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한국정부는 미국이 요청한 THAAD

구입이나 배치를 허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남북간의 평화체제 구축은 1단계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기 보다는 남북이 이미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를 비롯하여 6 ㆍ 15선언과 10 ㆍ 4선언의 내용 중 실천이 용이한

문제부터 실천하면서 남북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북한과 미국의

관계에서 미국이 현재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한국은

북한과 먼저 신뢰를 회복한 후 기본합의서에 이미 명시되어 있는 남북한의 불가침조약을

먼저 체결하고 서울과 평양에 대표부를 설치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한반도

28

비핵화를 위해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으로 핵

문제는 북미간의 문제로 유지하면서 남북한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요구를

하면서 남북의 해빙무드를 먼저 조성하는데 한국은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은 현재도 비동맹 중립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북한의 연방제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조심스럽게 중립화 문제를 거론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검토를 해야 할 것입니다

5 정책제안

한반도 주변 4강은 현재 그들의 국가이익과 한반도 통일이 그들에게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한반도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므로 한국정부는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북한에 비핵화 요구보다 협상을 통해 단계적으로 북한이 한국의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제안이나 구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서

북한이 시급하게 원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524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북한의 양보와 협력을 받아 내야 할

것입니다lt끝gt

6 장용석 박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1 통일과 관련하여 발표자의 다음 지적은 매우 중요함

- ① 기능주의적 접근의 한계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 필요성 ② 북한

주민들의 선택이 지닌 중요성과 그에 대한 고려 필요성 ③ 통일 대북정책의 연속성과

북한 리더십 포용을 위한 내각제 개헌의 필요성

2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과 관련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함

- 동서독은 유럽차원에서 NATO와 WTO간 세력균형 이를 바탕으로 한 동서 간

긴장완화와 특히 헬싱키 프로세스와 CSCE 등을 통한 공동안보 틀 구축 등으로 인해

교류협력에서 안보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특히 동독이 경우 패전의

여파겠지만 북한과는 달리 자국의 안보를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음

- 반면 남북을 둘러싼 지역 안보 환경은 미∙중 간의 긴장과 갈등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고 있고 특히 북한의 경우 지정학적 요충지론에 입각하여 자주-존엄-

선군의 기치 하에 핵보유까지 천명하고 비대칭적 전력의 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으로써 동서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교류협력의 직접적인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 따라서 동북아 지역차원에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협력적 안보 틀이나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공존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rArr 이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ldquo작고 쉬운 것부터rdquo 논리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를 외면하는 기능주의의 또 다른 버전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발표자의 평가는

무엇인지

rArr 아울러 평화협정은 평화적 공존의 제도화와 군비통제를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분단관리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게 아닌지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4: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4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 발제문 한반도 통일과 미국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I 서론

최근 통일논의가 불거지는 상황에서 주변강대국들의 입장이 주요 논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한국과 미국 양국은 이명박 정부 시절 한반도 통일의 원칙으로 시장경제체제와

자유민주주의체제에 기반한 평화적 통일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어 박근혜 정부도

미국과의 정상회담에서 통일의 원칙으로 시장경제체제 자유민주주의체제 비핵화에

의한 평화적 통일을 언급한 바 있다

이와 같은 공식적인 미국의 통일지지에도 불구하고 최근 워싱턴 분위기는 다소

싸늘하다 중국의 부상과 함께 미국은 아시아 재균형 정책에 있어서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한미일 3각 공조의 균열에 우려하고 있다 최근 경색된

한일관계에서 미국은 공식적인 중재의사를 거부한 가운데 일본의 전략적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으며 오히려 한중 관계 강화에 대한 우려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와 같은 미중 간의 세력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의 통일과정은 더욱더

고차방정식이 되어가고 있다 강대국들은 현상유지를 선호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과거 한미동맹을 중심으로 통일을 지지해왔던 미국의 목소리에도 미심쩍은 구석이

생기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글은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먼저 현실적인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미국이 한반도

통일에서 얻을 수 있는 이익과 우려사안 한미동맹의 미래상을 짚어본다 마지막으로

앞으로 한국정부가 고려해야 할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한국은 역사적으로 연합제 통일방안을 지지해왔다 1972년 74남북공동성명을

발표함으로써 자주 평화 민족대단결이라는 통일의 대원칙을 제시하였으며 전두환

정부 시절인 1982년에는 민족화합민주통일방안을 발표하여 ldquo통일은 민족자결의 원칙에

의거하여 겨레 전체의 의사가 골고루 반영되는 민주적 절차와 평화적 방법으로

성취되어야 한다rdquo고 밝혔다 1989년 9월에는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제시하였고

통일원칙으로 자주 평화 민주를 제시하였다 통일과정은 남북정상회담을 통한

민족공동체헌장의 제정 남북연합체제로서 과도적 체제를 형성한 후 남북연합체제에서

통일헌법과 통일을 위한 구체적 절차와 방법을 마련하고 총선거에 따라 통일국가를

이루어 간다는 것이었다 김영삼 대통령은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의 기초 위에서

5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을 제안하였는데 화해협력단계 남북연합단계 통일국가단계가

그것이었다 김대중 대통령의 통일방안은 공화국연방제 혹은 3단계통일방안으로

불리는데 1단계로서 남북연합단계 2단계로서 공화국연방제 3단계로서 통일국가라는

단계적 설정과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에 기반한 통일국가상을 그리고 있다1

연방제 방안은 북한이 역사적으로 주장해온 방안으로써 정치적 군사적 차원에서 먼저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정치 군사적 안건이 해결되어야 통일프로세스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와 같은 방안에 의하면 1국가 2체제를 먼저 구축한 다음

추후에 정치적 통합을 이루겠다는 것이다 북한은 1980년 조선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이라는 완성된 형태의 통일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방안은

ldquo북과 남이 서로 상대방에 존재하는 사상과 제도를 그대로 인정하고 용납하는 기초

우에서 북과 남이 동등하게 참가하는 민족통일정부를 내오고 그 밑에서 북과 남이 같은

권한과 의무를 지니고 각각 지역자치를 실시하는 연방공화국을 창립하여 조국을 통일할

것rdquo이라고 밝히고 있다

한국의 통일정책의 특징은 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남한체제를

궁극적인 통일의 상으로 설정하고 있다는 데 있다 연합제 방안은 과도기적 체제로써

2국가 2체제를 지속시킨 이후 궁극적으로 통일을 이루겠다는 것이다 즉 2개의

정치체제 하에서 경제적 통합을 먼저 이루자는 논리이다 또 하나는 기능주의적

접근이다 기능주의적 접근방안은 양 국가의 비정치적 이익에 기반하여 경제적 통합을

추진하자는 것인데 이것이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으로 연결된다는(spillover) 전제를

두고 있다 물론 이것이 유럽통합의 경우 어느 정도 밑거름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으나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 노력은 개별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2

북한통일정책의 특징은 첫째 정치군사적인 문제해결에 우선을 두는 연방주의적

방식이다 통일의 기본조건으로 주한미군철수 북미평화협정 등을 제시하고 있다 즉

북한의 연방주의적 접근은 정치군사적 문제해결을 먼저 진행한 이후 경제사회문화적

제반 교류를 확대해나가자는 것이다 둘째로 일원론적인 1체제국가로의 통일을

상정하지 않고 있으며 연방제를 완성된 형태의 통일로 인정하고 체제문제는 후세대의

과제로 미뤄놓고 있다

3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위원장은 정상회담에서 남한의 연합제 방안과 북한의 느슨한

연방제 방안 간에는 공통요소가 존재한다는 데 합의한 바 있다 연방제와 연합제 방안

모두 점진적이고 단계적인 통일을 추구한다는 데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두

방안은 모두 정치적 통합 측면에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북한의 연방제 방안은 1국가

2체제 통일 이후의 정치적 통합에 대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다 체제가

1 임현진 정영철 21세기 통일한국을 향한 모색 분단과 통일의 변증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pp 32-

46 2 ldquo제6차 대회 중앙위원회 사업총화보고(1980)rdquo 조선노동당대회 자료집 제3집 서울 국토통일원 3 임현진 정영철 21세기 통일한국을 향한 모색 분단과 통일의 변증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pp 72-

75

6

다른 두 개의 나라 간의 연방이 어떻게 국가를 운영해 나갈지에 대해 과제를 안고 있다

한국의 연합제 방안 역시 궁극적인 통일의 목표를 1국가1체제로 상정하고는 있으나

기능주의적 접근방식에 입각한 통일방안으로는 정치적 통합이 용이하지 않다

2 북한 급변사태로 인한 통일

북한급변사태로 인해 북한을 흡수통일하는 방안은 탈냉전 초기에나 가능했던

시나리오이다 당시 미국은 초강대국의 지위를 누리고 있었고 따라서 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중국의 세력이 미미한 상황에서 한국군과 함께 개입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이 경우 흡수통일 달성이 가능했다 그러나 현재 한반도를 사이에 두고 미중

양국의 세력이 비등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의 개입은 그다지 쉽지 않다

이 같은 상황에서 북한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게 하고 자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4 또한 북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며

이에 반해 중국은 탈북자들의 통제 목적 이외의 경우에도 북한에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하려 할 것이다 5

한국의 개입은 국제적으로 쉽게 용인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 즉 유엔에 남북한

양국이 동시 가입한 사실은 남북한이 별도의 국가라는 근거로 사용될 수가 있으며 이

경우 북한의 급변상황에 한국이 개입하는 것은 유엔헌장에 위배된다

이와 같이 미국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하려는 상황 속에서 한국이 독단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여지 역시 줄어들게 된다

6

이 같이 적극적인 중국의 개입 가능성이 존재할 경우 미중 양국은 모종의 타협을 할

가능성이 있는데 양국은 북한급변상황이 어느 한 국가에게도 유리하지 않는 현상유지에

대한 타협을 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 상황수습을 국제연합으로 넘길 가능성이

유엔헌장 제2조

4항은 ldquo모든 회원국은 국제관계에 있어 다른 국가의 영토보전이나 정치적 독립에

반하거나 또는 국제연합의 목적과 양립할 수 없는 다른 어떠한 형태의 무력위협 또는

무력행사를 삼간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다

개입에 적극적인 국가는 중국인데 중국은 탈북자들을 관리하기 위한 명분으로

접경북한영토에 탈북자보호시설을 만들려 할 것이다 이미 국경지대에 상당한 규모의

중국군사력을 배치해 놓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북중 간에는 동맹조약에 의하여

자동개입이 보장되어 있으며 북한이 중국의 개입을 요청하지 않더라도 중국은

UN상임이사국 지위를 이용하여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다 급변상황을 안정화한다는 명분

하에 중국인민군은 평양지역까지 진출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4 Bruce KlingnerldquoNew Leaders Old Dangers What North Korean Succession Means for the USrdquo

Backgrounder No 2397 Heritage Foundation Apr 7 2010 p 13 5 Bruce W Bennett Preparing for the Possibility of a North Korean Collapse RAND Corporation

2013 6 박휘락 ldquo북한급변사태와 통일에 대한 현실성 분석과 과제rdquo 국가전략 164 2010 p 72

7

있다 하나 우려스러운 것은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박휘락 박사에 의하면 2004년 한미 양국이 개최한 pol-mil 게임에서 한 전직

미 고위당국자가 이와 같은 발언을 했다고 한다 ldquo미국은 북한의 어떠한 사태에서도

중국이 영향력을 행사하려 할 것이라는 점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이것이 미국의

입장에서 반드시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북한이 중국의 말만 제대로 들어도 핵을

포기하고 개혁∙개방을 할 것이니까rdquo7

현재 한국과 북한의 공식 통일방안인 연합제나 연방제 방안에 의하면 궁극적으로 가장

우려되는 것은 정치통합이다 실제 이는 예멘통일의 과정에서 증명되었는데 예멘통일은

북예멘과 남예멘 간의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 교류로 인해 이루어졌다기 보다는

아랍연맹국가들의 중재로 인해 성사되었다 이로 인해 예멘은 1차 통일을 이루게 되는데

비례대표제에 의해 연방제적 통일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결국 사회문화적 유대감의

부족으로 인해 결국 양국은 군사적 정치적 사회적 대립을 노출시켰고 결국 무력을

동원한 2차통일에 의해 궁극적인 통일을 이루게 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북한급변사태는 한반도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다 미중 양 강대국이

한반도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고 어느 한 쪽이 북한에 대해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기를 바라지 않는다 현 동북아시아의 역학구도 상에서 북한급변사태는

현상유지로 갈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북한 주민들이 친한국 성향을 강하게 소유하게

된다면 따라서 북한급변사태가 발생했을 경우나 이 경우 중국이 개입하여 친중국

정권을 수립하려 든다면 이에 대한 북한주민들의 반발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북한주민들의 충분한 경제력이 존재해야 하고 남한과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이 존재해야 한다

3 남한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통일 하는 방안

이 방안은 독일통일이 이루어진 것과 유사한 방안이다 이 방안에 따르면 남북한

국민들이 문화적 동질성을 가지고 북한주민들이 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을

가지는 데서 출발한다 독일의 경우처럼 통일의 과정 중에서 총선거에 의해 남한의

체제에 의한 통일이 이루어지는 것이 이 시나리오에 의한 통일 방안이다 즉 남한의

평화적인 북한 흡수통일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북한주민들의 친 한국 정체성은 북한급변사태가 발생했을 경우에도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했을 경우에

중국은 북한에 개입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북한이 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을

가지고 있거나 민족적 동질성을 가지고 있게 될 경우에 북한 주민들은 중국의 진입에

반감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 방안은 미국의 이익에 가장 많이 기여하는 방안이 될

것이며 통일 후 한미동맹의 유지 발전과도 가장 잘 어울릴 수 있는 통일방안이다

8

7 박휘락 ldquo북한급변사태와 통일에 대한 현실성 분석과 과제rdquo 국가전략 16 4 2010 pp 45-47

8 임현진 정영철 21세기 통일한국을 향한 모색 분단과 통일의 변증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pp 293-

8

따라서 한반도 통일을 위해서는 정치통합이라는 난제를 극복해야 하며 이를 이루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실제 서독의

신동방정책의 핵심은 이에 있었으며 베를린 장벽의 붕괴로 인해 통일에 대한 열기가

달아오를 무렵 동독의 라이프치히에서는 1990년 1월 20만 명의 동독시민이 참가한

가운데 대규모 반공 및 통일 요구시위가 발생한 바 있다 9 또한 1990년 동독에서

자유총선거가 실시되었을 때 유권자들의 9322의 투표결과는 ldquo다시는 사회주의가

아니라 자유와 번영을rdquo이라는 구호를 내걸고 동독의 서독으로의 신속한 편입을 주장한

독일연합의 승리였다10

III 독일 사례와 미국

독일의 경우 동서독 간 통합에 의한 통일을 추진했었으나 동시에 경제협력과 교류를

통해 동독주민들이 서독체제에 대해 동경심을 갖도록 하였다 즉 빌리 브란트 총리의

신동방정책은 동독주민들의 정체성을 서독지향적으로 이끄는 데 기여하였다 그 결과

통일독일을 위한 총선거에서 대다수의 동독주민들은 서독의 정치체제와 정당에

투표하였으며 자연스럽게 통일독일은 서독중심의 국가로 형성되었다

독일통일이 이루어질 당시 유럽정세는 베를린장벽의 붕괴와 함께 구 소련의 세력이

위축되고 미국의 세력이 증가하고 있을 때였다 이와 같은 정세는 미국으로 하여금

독일통일을 지지하게끔 하는 요인이 되었는데 통일독일의 지위가 미국의 이익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유럽정상회담 연설에서 부시

대통령은 독일통일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하면서 독일민족의 자결권 존중 등 독일통일의

4원칙을 언명하였다 첫째로 어떤 특정한 통일을 상정하지 않는 독일민족의 자결권을

존중한다는 것이었으며 둘째로 독일의 NATO잔류와 유럽통합의 지속 동맹국의 법적

역할과 책임을 존중하고 셋째로 통일은 전반적인 유럽의 안정에 도움이 되도록 평화적

점진적 단계적으로 추진하며 마지막으로 국경문제는 헬싱키 최종의정서의 원칙에

따르고 유럽변경의 불가침성을 인정한다는 것이었다11

4 9 황병덕 외 독일의 평화통일과 통일독일 20년 발전상 통일연구원 2011 p 173

10 황병덕 외 독일의 평화통일과 통일독일 20년 발전상 통일연구원 2011 p 179 11 Philip Zelikow and Condoleezza Rice Germany Unified and Europe Transformed A Study in Statecraft 1997 p 113

1990년도 독일 콜 수상은 고르바초프와도 만나 6가지 사안에 대해 합의를 이루었다

1) 통일 이후 독일의 군사력이 37만 이하로 유지할 것

2) 핵무기와 생화학무기의 생산 및 소유를 금지할 것

3) 소련군은 동독지역에 1994년 말까지 머무른다는 것

4) 나토군은 독일 동쪽 영토에서 소련군이 철군하기 전에 머물 수 없다는 것

5) 소련군의 철수 비용을 지원할 것

9

6) 독일과 소련 간 경제적 협조관계 조약을 맺을 것12

당시 미국은 독일의 통일을 지지했는데 독일이 나토와 EC에 머무른다는 조건

하에서였다 미국은 독일이 나토에 머물지 않으면 중립화 독일이 될 것이며 이는

핵무기 보유를 시도하게 될 것이라고 소련에게 주장했다 미국은 소련에게 나토군이

1994년까지 독일의 동쪽 영토에 머무르지 않을 것을 약속하였다 독일통일에 대해

미국이 생각하고 있던 구체적인 이익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로 동부독일의 경제적

요인으로 인해 미국의 대독일 수출이 증가할 것이며 미국의 투자 역시 증대할 것이다

둘째로 2+4조약은 독일군을 제외한 나토군이 구 동독지역에 주둔하지 못한다고

기술하고 있으며 주둔은 소련군의 철수 이후에나 가능하다 독일은 또한 핵무기와

생화학무기의 제조 소유 그리고 통제를 포기한다 따라서 독일통일로 인해 NATO에서

미국의 영향력 확대가 가능하다 셋째는 독일의 CSCE 지역기구화와 동 기구의

안보역할 확대는 미국의 입장과 충돌할 수 있다 미국은 CSCE와 NATO중 NATO의

역할 확대를 원한다

13

당시 독일통일에 대한 미국의 태도는 독일을 NATO에 유지시키는 것을 우선순위로

두고 있었다 멸망하는 구 소련의 경우 독일통일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이었으나 냉전의

종식과 강대국인 미국의 통일지지 앞에 적극적으로 반대하기 힘든 상황이었다 이

상황에서 소련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원조에 있었다 현재 중국의 부상과 미국의 쇠퇴

가능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과연 미국이 독일통일의 경우처럼 한반도 통일을

지지해줄지는 미지수이다 또한 중국이 한국의 통일을 적극적으로 반대할지 여부도

불확실하다 당시 독일은 소련군의 철수를 위해 1994년까지 구 동독지역에 서방군대를

배치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했으며 NATO회원국으로서의 독일이 소련에 직접적인

위협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약속을 하여 소련군의 반대를 무마시켰다

14

IV 미국과 한반도 통일

이와 같은

우리의 외교적 노력이 미중 양국에 대해서 추진될 필요가 있다

1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해왔다 부시 대통령과 클린턴 대통령은

lsquo한국국민이 수용할 수 있는 조건에 기반한 평화적 통일rsquo을 지지했다 2012년 박근혜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 간의 정상회담에서 한미 양측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그리고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적 통일을 지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 대해 독일통일의 경우처럼 적극적으로

12

박영호 한국의 대미통일외교전략 민족통일연구원 1998 p 28 13 Paul E Gallis and Steven J Woehrel Germany after Unification Implications for US Interests CRS Issue Brief CRS Feb 20 1991 14

김규륜 외 한반도통일의 미래와 주변4국의 기대 통일연구원 2013 p 62

10

지지할 지는 미지수이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에 따르면 미국의 대 한반도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다 1) 수평적 핵확산 방지 2) 수직적 핵확산 방지 3) 비핵화 4)

급변사태 계획 5) 북한에 대한 개입정책 6) 북한주민들의 상황 개선 즉 미국은 한반도

통일의 경우 현 북한이 소유하고 있는 핵무기를 폐기하고 핵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익을 가지고 있으며 이 문제가 해결된다면 더 이상 한반도 통일에 적극적일 이유가

없는 것이다

이는 현재 동북아시아의 역학구도를 보면 더욱 설득력이 있는데 독일통일의 경우 구

소련의 멸망과 함께 독일통일은 NATO의 확대와 함께 미국의 세력권을 확대시키는

이익을 가져다 주었다 그러나 현재 동북아시아는 중국의 부상과 함께 통일한국이

미국의 동아시아 패권에 도움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확신을 가져다주지 못한다 또한

최근 한중관계 강화로 인해 미국 내부에서는 통일한국이 친미가 아닌 친중 국가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미국이 향후 한반도 통일을 지지하기 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는 통일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연합제연방제에 의해 통일이 이루어지는 경우 한미동맹은 폐기될 수 있고 주한미군은

미국으로 철수할 수 있다 이 경우 한미동맹의 미래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연합제연방제에 의해 통일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한미동맹이 존재할 수 있으나 이

경우 한미동맹의 역할은 매우 제한적이게 되며 동맹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메카니즘이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필자는 한국주도의 통일이 달성되는 경우에

중점을 두고 한미동맹의 미래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한국주도의 통일이 달성될 경우에도 한미동맹에는 많은 변화가 생기게

된다 동맹에는 비전적 측면(attitudinal)과 운용적 측면(behavioral)이 존재한다 비전적

측면에는 동맹의 존재이유(rationale) 위협인식(threat perception) 목적(objective)

등이 해당되며 운용적 측면에는 군사지휘체계 구성 방위비 분담문제 기지배치 문제

군사전술 등이 해당된다 통일 이후 한국은 미국과 함께 새로운 한미동맹의 로드맵을

작성해야 하며 이는 또 다른 동맹변환의 작업이 될 것이다 즉 한미 양국은 한미동맹의

공동의 전략적 목적(common strategic objective)에 대해 논의해야 하며 그 이후에

양국 군의 역할 임무 능력 (roles missions and capabilities)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

먼저 한국과 미국의 위협인식은 지역적 글로벌 차원에서의 위협이 그 대상이 된다

북한의 위협이 사라지게 될 경우 한미 양국은 지역적 안보위협에 대해 대처하여야 하며

이 경우 중국에 대한 대처는 포함되지 않게 될 것이다 이에 기반하여 양국은 동맹의

전략적 목적을 결정하게 된다 결국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주요 전략적 목적은 지역적

안보질서의 유지가 될 것이다

중요한 것은 운용적 측면에서 동맹의 로드맵을 어떻게 작성하느냐인데 이 경우

11

주한미군의 규모와 배치 전략적 유연성 문제 군사지휘체계 문제 등이 주요이슈이다

먼저 군사지휘체계에 있어서 한국은 더 이상 미군에게 전시작전통제권을 위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미일동맹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미 양국 군은 개별적인 지휘체계를

유지하며 유사시에 협조할 수 있는 협조체제를 구축하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해

주한미군은 더 이상 북한 위협이 존재하지 않는 한반도에 현재와 같은 병력이 상주할

필요가 없게 되며 전략적 유연성을 강화하여 한국군과 함께 지역적 글로벌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보다 유연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중요한 것은 주한미군의 규모와 배치이다 한반도에 주둔하고 있는 주한미군의

지상군(ground force)의 규모는 줄어들게 될 것이다 중국을 의식하여 주한미군의

위치도 현 남한 영토에 한정되어야 하며 38선 이북에는 주한미군을 제외한 한국군이

주둔하게 될 수 있다 한미동맹이 지역적 운용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이것이 중국을

겨냥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미국중심의 미사일방어체계는 한반도에서의 운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최근 논의되고 있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역시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즉 통일 한국의 주한미군은 주로 해군이나

공군을 위주로 형성되어야 하며 지상군을 비롯한 전체 군사력은 삭감되어야 할 것이다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여러 자료에 의거하면 통일한국에 대한 미국의 이익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15

5) 통일로 인해 한반도 전면전 상황(all-out warfare situation) 가능성이 사라지면서

미국은 이에 대비하기 위한 작계를 만들 필요성 및 부담감이 사라지게 된다 현재

미국의 국방비 삭감 및 시퀘스터 상황으로 인해 국방전략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1)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주요 이익은 핵무기와 미사일의 개발을 제거하거나 방지하는

것이다 급변사태가 발생하게 되면 미국의 주요 우려사안은 북한의 대량살상무기가

한반도 지역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다 통일은 북한의 핵확산방지를 달성할

수 있다 즉 통일은 NPT체제강화에 기여하게 된다

2) 시장경제체제 지향적인 통일한국은 미국의 이익에 기여하게 된다 구 북한영토는

미국의 투자를 필요로 하게 되며 이는 미국의 경제적 이익을 증가시키게 된다

3) 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 체제에 의거한 통일한국은 미국으로 하여금 주요가치의

세계적 확산을 위한 모멘텀 역할을 하게 된다

4) 한미동맹은 통일 이후 새로운 역할과 임무를 맡게 될 것이며 이는 지역질서와 안정

유지이다 이것은 미국이 추구하고 있는 아시아 재균형 정책의 주요한 자산이 될 것이며

미국으로 하여금 국제적 강대국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이다

15 Americarsquos National Interests The Commission on Americarsquos National Security 2000 US Department of Defense A Strategic Framework for the Asia Pacific Rim Report to Congress 1992 A Blueprint for US Policy towards a Unified Korea CSIS Working Group Report August 2002 Peter Murphy Lewis ldquoUS Foreign Policy towards the Korean Peninsula An Anti-Unification Policy or Just Too Many Uncertainties to Account For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62 December 2007 차두현 ldquo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시각 기회와 도전rdquo 글로벌정치연구 32 2010 pp 43-44

12

이미 2개의 전쟁이 종료된 이후 2개 전쟁 동시수행 전략은 2012년 defense strategic

guidance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반도 전면전 상황은 미국에게는

부담스러운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 대한 몇 가지 우려사안을 가지고 있다 먼저

미국은 통일한국으로 인해 한미동맹이 약화될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현재

미국은 경제력 약화와 국방비 삭감으로 인해 아시아 재균형 전략에 차질을 빚고 있다

2014년 4년 주기 국방검토 보고서 (QDR)에 따르면 미국은 2개의 전쟁을 종식하고

국방비를 삭감하고 있는 상황이며 아시아 재균형 정책을 장기적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즉 국방비 삭감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장기적으로 아시아지역에 미

해군병력의 60를 배치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동맹국들의

역할을 매우 중시하고 있으며 이런 차원에서 통일이 가져다 주는 한미동맹의 약화

가능성은 미국에게 큰 우려사안이 될 수 있다

두 번째로 한미동맹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매우 치명적이다 현재

아시아정책의 중심축인 미일동맹과 달리 한미동맹은 미군의 전방배치(forward

deployment)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즉 현재 주한미군은 북한이라는

대리국가(proxy state)를 통해 중국을 가장 근접에서 억지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10년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포격사건의 경우에도 미국은 한반도에 항공모함을

출격시켰는데 이는 중국에게 매우 치명적인 위협으로 다가왔었다 즉 미국에게 북한의

군사적 행위는 중국을 견제할 수 있는 좋은 구실이며 주한미군은 중국을 가장

근거리에서 견제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만일 통일로 인해 북한이 사라지고

한미동맹이 약화되거나 역할이 변경되면 미국의 대중국 견제전략에는 차질을 빚게 된다

세 번째로 미국은 한국이 주한미군을 철수시키고 미∙중 양국 사이에서 중립국 지위를

유지하는 경우를 우려한다 통일이 이루어질 경우 미∙중 간의 경쟁에 의해 통일한국은

중립화 노선을 추진할 수 있다 이 경우 미국의 핵우산 제공이 어려워지게 되며 이는

중국과 일본의 군사력 강화 사이에서 통일한국의 안보불안을 야기시키게 된다 과거

통일독일의 중립화에 대해 미국이 우려를 표명했던 것처럼 통일한국은 자체적인 군사력

강화를 추진할 수 있으며 이에는 핵개발도 포함될 수 있다

V 결론 - 정책적 고려사안

현재 동북아지역의 국가들은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입장이다 기술한 바와 같이 미국

역시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한반도 통일에 대해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입장은

기타 동북아국가들 예를 들어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서 통일에 우호적이다 미국의

이익이 한반도의 이익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은 미국이 통일을 반대하거나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미국이 가지는 지정학적 위치로 인함이다 한반도에서 멀리 떨어져

13

있는 미국의 위치 상 미국은 한반도 통일이 미국에게 직접적으로 이익을 가져다 주지

않더라도 주변국들에 비해 강하게 반대하지 않는 입장이다16

관련하여 빅터 차는 이와 같이 말했다 ldquo모든 강대국들은 한반도의 통일이 지역적

세력균형에 변화를 가져 올까봐 통일에 반대하는 입장이다hellip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한국이 당장 통일절차를 추진하게 될 경우 주변 강대국들은 모두 통일에 찬성하는

입장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 새롭게 통일되는 강대국 한국이 탄생할 경우 통일에 대한

반대입장을 보였던 국가들은 통일한국에게 적대국가로 인식될 것이기 때문이다hellip

한국민들은 일단 통일절차를 시작하게 되면 주변국가들이 이에 찬성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게 될 것 이다helliprdquo

중국의 한반도 통일에 대해 lsquo평화적이고 독자적이며 점진적인 비핵화 통일rsquo을

지지하는 입장이다 즉 평화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이 중국의 경제적 발전에

해를 끼쳐서는 안되기 때문이고 독자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한국이 미국

쪽으로 경사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며 점진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이 지역적

안정을 헤쳐서는 안되기 때문이며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한국에

미국의 핵우산이 유지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결국 독립적인 통일과 비핵화에 기반한

통일 지지 입장은 모두 한미동맹과 관련되어 있다 중국은 친미 성향의 통일한국에

반대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국정부는 보다 세심한 통일준비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몇 가지 정책적 고려사안을 제시한다 첫 번째로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한국은 독일과 달리 패전국 지위가 없으며 따라서 통일을 이루기 위해

4 개 조약당사국들로부터의 승인이 필요했던 독일과는 달리 주변국들로부터 아무런

승인을 받을 필요가 없다 독일은 포츠담회담에서 승전 4 개국이 분할점령하기로

합의하였으며 이것이 냉전과 함께 분단으로 이어졌기 때문에 통일국가를 이루기

위해서는 분할점령을 합의했던 4 개국들의 승인이 필요했다 게다가 독일통일의 경우에

이미 2+4 회의에서 독일통일을 승인하기 이전에 동독의 독일연방 가입이 결정되었기

때문에 후속적 승인에 불과하였다 한국과 북한 양국이 통일과정에 대해 합의하고

추진하여 통일을 달성하면 주변국가들은 이에 동의할 수 밖에 없다

17

두 번째로 평화협정은 휴전중인 한국전쟁을 종식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지 통일의

전제조건은 아니다 한국정부는 그 동안 통일이 아닌 분단적 평화유지에 지나치게

집착해왔다 이는 통일을 위한 본격적인 정책추진이 아닌 단지 정전상태를 평화상태로

바꾸는 것에 불과하며 이를 위해서 지불해야 할 비용 역시 지나치게 높다 즉 북한은

평화협정 체결을 위해 주한미군의 철수 등을 주장하고 있으며 이는 현 한국의 안보상황

16 Peter Murphy Lewis US Foreign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An Anti-Unification Policy or Just Too Many Uncertainties to Account For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62 December 2007 p 107 17 Victor Cha The Contiuity behind the Change in Korea Orbis No44 (Fall 2000)

14

속에서는 불가능한 조치들이다 이제는 한반도 평화가 아닌 통일을 정책적 목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평화협정

문제를 논의하는 것은 결국 입장차이를 확인할 뿐 실제 평화체제가 확립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미국은 평화협정 체결이 북한 비핵화를 먼저 이룬 이후에 가능하다는

입장이며 중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하게 되면 북한비핵화 등 제반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따라서 남북한 양국은 이제 소모적인 평화협정 논의 이외에 본격적인

통일논의를 통해 남북한 당사국들의 이익에 보다 충실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 한∙미∙중 3 자회의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미 한∙미∙중 3 개국은 작년에

1 차 전략대화를 개최하였다 주요 이슈는 북한 핵문제였는데 이와 같이 북한

핵문제에서 이슈를 확대하여 한반도 통일 북한급변사태 등 다양한 문제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남북통일은 미∙중 양국의 이익 및 세력균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3 국 전략대화에서 한반도 통일에 관한 입장을 조율하고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역할과

임무에 대한 각기 다른 이해관계를 조율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은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 남북한 통일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한국

내부의 통일정책을 하나로 수렴시키는 일이다 현 대통령제 하에서는 연속적인

통일정책이 중장기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고 정책적인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 또한 통일과정에서 북한리더십을 통일한국의

정치체제로 통합할 필요성이 있다 독일통일과정에서도 총선거를 통해 동독 지도부가

독일연방으로 통합되었듯이 남북한 정치통합을 위해서는 내각제 체제가 더 적합하다

15

제6회 정책포럼 토론문 (무순 제출순서대로 편집)

1 김동현 교수 (고려대 일민국제관계연구원 방문학자 북한대학원대 초빙교수 전 존스

홉킨스 국제대학원 겸임교수 및 방문학자)

총평 한반도 통일을 주제로 창의적인 노력을 보여준 발제자에게 우선 찬사를 보낸다

발제자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 부분이 많이 있지만 김현욱 박사가 과시한 학술적

접근방식과 독창적인 의견들은 높이 평가한다

- 우선 여러 가지 통일 시나리오를 가상하고 그와 관련된 논의를 흥미 있게 전개하지만

지금까지 국제 정치사상 어떤 시나리오가 상정한대로 어느 문제가 해결된 것이 없디

역사에 가정이 없듯이 국제정치의 현실에서 ldquoScenariordquo의 가정도 설 땅이 없다

시나리오를 추구하는 학자들은 바둑놀이를 계속하는 것과 같다 바둑을 둬서 어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지만 두뇌기능을 진척시키고 치매 방지 등 건강에 도움이

되는 정도라고나 할까 학자들의 장기중의 하나는 간단한 문제를 복잡하게 해석하고

신조어를 만들어 내며 독자들을 헷갈리게 하는 재주다

발제자 주장에 대한 토론

- 615 정상선언은 남한의 국가연합 방안과 북한의 느슨한 연방체 간에 공통점이

존재하며 앞으로 ldquo그런 방향으로 (통일을) 추진한다rdquo고 합의 했을 뿐 그 후에 어떻게

정치체제를 통합하겠다는 언급이 없었던 사실을 발제자가 정확하게 지적했다 그러나

당시 한국측 주역들은 연합과 연방단계를 묶어서 Federation 이 아닌 Confederation 의

형식으로 교류와 협력이 무르익는 ldquo사실상의 통일 ndash De Facto or Virtual Unificationrdquo

을 이룬 다음에 완벽한 법적 통일 ndash ldquo De Jure Unificationrdquo 로 간다는 것이다 DJ 의 3

단계가 연합 ndash 연방 ndash 완전통일 이었다면 임동원은 화해 협력 ndash 사실상의 통일인 연합

그 후에 법적 통일의 3 단계였는데 이 점은 615 선언협상과정을 통해서 DJ도 동의

했다는 것이다 (ldquo피스메이커rdquo에서 - 이 통일 과정에 소요 되는 시간을 DJ 는 10 년

김정일은 40mdash50 년으로 예상했다)

- 발제자가 논의한 ldquo급변사태로 인한 통일에 대해서 ldquo급변사태rdquo에 대한 정의는

무엇인가 중국의 개입가능성이 높고 미국의 개입가능성을 낮다고 하는데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논의 되어 온 것 이상의 논리가 없다 미국의

역할을 예측하는 문헌으로 Bruce Klinger 와 Bruce Bennett 의 글을 주석으로 달고

있는데 이 두 사람은 북한의 붕괴를 이념적으로 바라면서 근거가 미약한 붕괴론을

확산 시켜온 인물들이다 다만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남북한이 둘 다 유엔회원국이기

때문에 만약 북한에 권력공백 상태가 생겼을 때 누가 들어 가서 평정 및 관리를 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유엔차원에서는 아직 한 번도 논의된 적이 없는 문제다 유엔 임시

한국위원회에서 대한민국정부 수립에 앞선 선거 감시를 했고 625 때 38 선 이북으로

북진 할 때도 당시 유엔군 사령부는 수복지구에 대한 행정권을 정식으로 한국에 넘기지

않았다

16

- 한국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 하는 방안에 대해서 우선 발제자가 말하는

ldquo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rdquo의 뜻은 우호적 태도 호감 영어로 말하는 Identity

라면 북한 주민들이 ldquo우리는 남한 사람들과 같다rdquo는 뜻인가 정체성이 정치적 동질성을

말한다면 이를 이룩하기 위한 노력이 장기간 섬세하게 선행 되야 할 것이다 예멘의

사례도 학술적인 참고는 되지만 정책상의 참고는 될 것 같지 않다 물론 최종적인

정치 사회 통합은 현재의 정부 방식으로는 통일의 최종적 과제이다 그러나 평화를

보장하는 사실상의 통일 단계에만 돌입해도 궁극적인 통일로 향하는 엄청난 성과가 될

것이다 그래서 통일은 과정이란 말이 나왔다

- 독일의 사례 대해서 한국통일 논의에서 독일통일의 모델이 약의 감초처럼

등장하는 데 독일에 가서 독일 통일 과정을 공부한 한국인들을 제외하면 독일인

독일통일 전문가들은 한국과 독일 여러 가지 여건이 (역사 경제 문화 국제환경)

다르기 때문에 독일통일방법을 모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을 많이 하고 있다

토론자의 생각도 같다 물론 독일과정에서 있었던 일들 중 한국이 배우고 참고로 해야

할 점이 많이 있음은 부인치 않는다 (예 정권교체와 관계없는 일관된 정책의 지속성

같은 것 ndash 발제자는 이를 위해 내각제 개헌을 제안) 독일 통일과 관련된 미국의

이해관계를 소상하게 기술했는데 이 것도 본 발제문 주제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지 않는다

-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에 대해서 해방 이후 미국은 유엔결의문 등을

통해서 평화적으로 한반도에 자유 민주 통일 정부가 수립되기를 바란다 고 언급해 왔고

아버지 부시 클린턴은 ldquo한국국민 (the Korean people) 이 원하는 통일rdquo그리고 아들

부시와 오바마 때와서는 ldquo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체제의 통일rdquo을 지지한다고 공언했다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은 한국 헌법에 부합하지만 북한에 입장에서는

ldquo흡수통일rdquo로 받아 들린다 당연히 북한이 반발한다 2000 년 10월 김정일은 이렇게

말했다 ldquo우리는 제도에 의한 통일은 반대다 평화통일 하면 우리는 우리 식으로

통일하는 것을 말하고 민주 통일은 남조선 원하는 통일이다 평화통일이 되면 중국이

좋아하고 민주통일이 되면 일본이 좋아할 것이다rdquo

1991 년 6월 토론자가 평양에 갔을 때 당시 북한 군축평화 연구 소장 송호경 (후에

아태위 부위원장) 은 이렇게 말했다 ldquo 1민족 1 국가 2 체제 고려연방제는 한쪽이 다른

한쪽을 먹을 수 없는 상태로 공존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상태를 해소할 수 있는

쌍방간의 합의나 체제통일이 없으면 이 상태가 마냥 계속될 수 있다 영구히 갈런지도

모른다rdquo

- 지금까지 미국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한국 통일에 대한 수사적 지지만∙ 했을 뿐

한국통일을 위해 노력한 흔적이 없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현재 미중은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 속에서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각각의 전략적 이익 때문에 한반도에서

무탈 무사 현상유지를 원하고 있다 발제자가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간행물을

인용했는데 토론자는 이 것도 못 마땅하게 생각한다 그 간행물에 관여 한 소위

미국인 전문가들 중에 한국통일 전문가는 별로 없다 Victor Cha가 미국의 거물학자로

여겨지는 것도 못 마땅하다 (나는 이런 것을 미국에 대한 학문적 사대주의 ndash

Academic Sycophancy 라 부른다) 미국문제는 미국인들이 잘 알고 한국문제는

한국인들이 잘 안다 다른 한가지를 지적한다 미국은 지금 한국 통일에 대한

우선순위가 없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북핵 문제도 우선순위를 두지 않고 있다 심지어

17

아시아 재 균형 문제도 이라크와 시리아의 ISIL or ISIS 문제 때문에 신경을 제대로 쓰지

못한다는 우려가 나온다 (Kurt Campbell in Seoul on September 25 2014)

- 통일 이후의 한미동맹 통일에 대한 전망도 아득하지만 그 후의 한미동맹 관계는

더욱 아득하다 통일에 상대가 있듯이 (As W Bush said in Seoul this spring at a

conference hosted by the Chosun Ilbo) 동맹은 전통적으로 군사적인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동맹 이 함께 싸워야 할 상대 (Potential foe or adversary)를 전제로

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중미간의 경쟁이 계속된다면 미국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한미동맹을 아시아 재 균형의 도구로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 입장에서

그것이 그 때가서 한국국익에 맞는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서 발제자가 친절하게 미국의 이익과

우려를 열거했는데 남북이 통일을 원한다면 미국이 자기 이익 때문에 통일을

반대해서도 안되고 한국이 미국의 우려 때문에 할 일을 못하거나 안 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미∙중 사이의 중립 또는 전세계를 상대로 하는 중립이 한국 국익에

합당하고 국민의 다수가 이를 원한다면 한국은 그 길을 택해야 한다

미국의 걱정은 미국에 맡기고 한국은 한국 걱정에 치중해야 한다 걱정은 시대와

환경에 따라서 달라진다

정책건의

- 첫째 황병서 최룡해 김양건 3 인의 인천 방문을 계기로 다음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진일보한 과감한 자세로 이산 가족 524 조치 금강산 관광 등 현안을 타결하고

신뢰프로세스를 부활해야 한다 남측도 구태의 틀에서 벗어나 놀랄만한 자세를 보여야

한다 통근 결단은 북한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 둘째 6자회담 재개 등 북핵문제 해결을 노력을 한국이 주도해야 한다 미중과 함께

한국마저 손 놓고 있는 상태는 더 이상 방관해서는 아니된다

- 셋째 대북정책에 대한 국내 보수 진보간의 시각차이를 융합하여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탈냉전식 통일정책을 개발함으로써 통일준비의 기초를 확립해야 한다

2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김현욱 박사의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을 읽고

국내의 손꼽히는 미국전문가인 김현욱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을 맡게 되어 영광으로

생각한다 김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자의 생각과 비교할 때 공감이 가는 부분이 많다

하지만 김 박사가 다루는 주제가 단순히 미국의 대외정책이나 한미관계가 아니라

lsquo한반도 통일rsquo이라는 점에서 몇 가지 오류가 눈에 띄기 때문에 여기서부터 토론을

시작해야 할 것 같다

I 서론

한middot미 정상이 합의한 통일관련 언급은 「한미동맹 공동비전」(2009616)은

ldquopeaceful reunification on the principles of free democracy and a market

economyrdquo으로 「한미동맹 60주년 공동선언」(201357)은 ldquoits peaceful reunific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denuclearization democracy and a free market

economyrdquo으로 되어 있다 전자의 free democracy는 liberal democracy와 구별되어야

18

하며 후자에는 그냥 democracy로 표기한 의미를 되새길 필요가 있다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o 우리 정부는 lsquo연합제 통일방안rsquo을 지지한 바 없으며 무엇보다 lsquo연합제rsquo는 통일방안이

아니다 또한 우리 정부가 북한과 함께 lsquo74남북공동성명rsquo을 발표하고 lsquo자주 평화

민족대단결rsquo이라는 통일의 대원칙을 발표한 것은 맞으나 그 뒤 lsquo민족대단결rsquo을 삭제하고

lsquo민주rsquo를 넣었다

o 1989년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은 전두환이 아닌 노태우 정부 때 발표된 것이다

o 김대중 대통령이 대통령이 되기 전에 개인적인 통일방안으로 lsquo남북연합제 rarr

공화국연방체 rarr 통일국가rsquo의 3단계를 주장했었으나 대통령이 되고 나서는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수용했다

o 한국의 통일정책의 특징이 ldquo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남한체제를

궁극적인 통일의 상으로 설정하고 있다rdquo고 주장하나 우리 정부의 공식 통일방안인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은 먼저 민족공동체를 만들어가고 나중에 통일국가를 이루되

통일국가의 형태는 미래세대에게 맡긴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2 북한급변사태로 인한 통일

o 북한의 급변상황에 한국이 개입하는 것이 유엔헌장에 위배된다는 지적은 옳다 그런데

아무리 중국이 UN상임이사국이라도 중국 군이 평양까지 진출해 친중 정권을 수립할

근거를 갖고 있는가

o 박휘락 박사의 인용문은 미국이 북한의 WMD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중국의 도움을

받기 위해 중국의 개입을 반대하지 않는다는 의미이지 북한 급변사태가 발생할 때 이를

중국에게 떠맡긴다는 의미는 아닌 것이다

o 필자는 ldquo미∙중 양 강대국이 한반도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고rdquo라고 언급하고 있는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가 있는가

3 남한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하는 방안

o 남북예멘이 통일 후 무력통일로까지 간 것은 사회문화적 유대감의 부족 때문이

아니라 11 대등한 권력분배가 몇 년 뒤 실시된 선거결과에 의해 북예멘에 유리하게

정치지형이 바뀌자 남예멘 측 인사들이 이에 반발해 무력을 동원했다가 진압당한 것이다

o 동독유권자의 9322가 서독으로의 신속한 편입을 주장했다고 언급했는데 이 수치는

투표율이다 조기통일을 주장했던 독일연합의 득표율은 4804 국가연합을 거쳐

점진적 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의 득표율은 2188였고 옛동독공산당이었던

민사당이 164 새로운 사회주의 건설을 내걸었던 연합90이 291였다 그 결과

독일연합과 동독사민당이 연립정부를 구성해 서독과 통일협상에 나섰던 것이다

III 독일 사례와 미국

o 동독 총선거에서 동독주민들이 서독의 정치체제와 정당에 투표하였다고 하였는데

이것이 무슨 말인가 그들은 조기통일(동독기민당 중심 국민연합) 점진통일(동독사민당

민사당) 제3의 길(연합90) 등을 내건 동독정당에 투표했는데 결과적으로 조기통일을

19

주장한 국민연합이 승리하여 점진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과 연립하여 조기 통일을

추진 달성한 것이다

o 독일통일의 상황에서 소련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원조라고 언급하고 있는바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엄밀하게 말한다면 對소련 차관 50억 DM(약 25억 euro) 동독주둔

소련군 36만 명의 철수에 따른 비용 부담 125억 DM(약 64억 euro)이다

IV 미국과 한반도 통일

1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o 미국이 통일과 같은 현상변경보다는 분단이라는 현상유지를 선호한다는 의견에

동감을 표한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의 정확한 출처를 밝혀주었으면 도움이

되겠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o 필자는 lsquo연합제연방제 통일rsquo과 lsquo한국주도의 통일rsquo을 대립적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연방제란 정부구성원리의 하나로서 1국가 2체제(일국양제)만 있는 것이 아니라 1국가

1체제의 연방제도 존재한다 따라서 한국 주도의 통일일지라도 단방제(單邦制) 방식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연방제(聯邦制) 방식이 될 수도 있다

o 통일된 이후가 아니라 전작권 전환 이후에 2013년 한미 양국은 한국군 합참 내에

미래사령부의 구성 계획을 통해 연합지휘체제(한국군 사령관 미군 부사령관)를

구축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o 최근 논의되고 있는 THAAD는 지금도 배치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인가 아니면

통일되면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아니게 되므로 지금 배치했더라도 철수해야 한다는

의미인가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o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우려사안 중 한국 주도의 통일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한미동맹의 약화를 우려한다는 점이 충분히 이해되지 않는다 특히 당장 통일될 것도

아닌데 우려의 근거로 미국의 현실적 상황을 제시한 것들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o 나머지 두 번째 세 번째도 왜 한미동맹이 약화되고 주한미군을 철수하게 될지 하는

원인을 설명하지 않고 그렇다고 전제해 놓고 미국의 대아시아 전략에 미칠 영향과

미∙중 사이의 중립국 지위 유지하는 것은 앞뒤가 바뀐 것이다

V 결론 ndash 정책적 고려사안

o 미국이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했다고 볼 수 있는가 미국이 통일에 대해 처음으로 입장표명을

한 것은 2009년 6월 이명박-부시 대통령의 한미 공동비전이 처음이다 최근 미국

조야의 분위기는 북핵 문제를 풀기 위해 통일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고 오히려 한국

측이 통일에 소극적이라고 질책하기도 하지 않은가

o 중국이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가 통일한국의 핵무기 보유가 아니라

단지 미국의 핵우산 유지를 우려했기 때문인가

o 평화협정이 단지 한국전쟁의 종식만을 위한 것일까 필자가 제시한 첫 번째

20

정책고려사안은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런데 평화협정이

체결되지 않고 정전상태에서 곧바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첫째 우발적 충돌이라도

전쟁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있고 둘째 통일과정에서 정전협정의 당사자인 미국과 중국이

국제법적으로 개입할 가능성이 열려있다

o 본문을 보면 필자는 분단적 평화유지와 평화체제평화협정을 동일시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마저 든다 그리고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다고 했는데 그 근거가 무엇인가 특히 비핵화-평화협정의 순서를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의 입장이 상반된다고 언급했는데 과연 그런가 919공동성명에서 미국과 중국은

동시행동 원칙에 합의한 바 있지 않은가

o 과연 남북한 통일을 위해 내각제가 필요한가는 좀 더 논의해봐야 할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통일을 달성할 때까지는 효율성을 위해 대통령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필자의 주장과 달리 내각제의 경우 잦은 내각교체로 인해 통일정책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수 없는 것 아닌가 lt끝gt

3 문성묵 박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발제문에 대한 논평 우선 김현욱 교수님의 발제문은 한반도 통일의 가능한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독일 사례를 통해 우리의 통일미래를 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접근이라고 봄 특히 남북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매우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제시하고 있는 정책적 제안은 적절하다고 판단되며 대체로 공감함 다만

통일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한 두 가지 추가 제언을 드리고자 함 우선 미국의

우려사항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일한국이 지향하는 한미동맹에 대한 분명한 의지를 미

측에 밝힐 필요가 있음 아울러 통일의 성취를 위해서는 반드시 중국의 협조를

유도해야 하는 바 이를 위해서는 통일한국의 한미동맹이 중국의 국익에도 부합될 수

있다는 논리를 적극 개발하고 중국을 설득하는 노력이 강구되어야 함 이러한 입장을

미국이 중국과 직접 조율해 나가도록 협조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봄 그런 차원에서

본문에서 제시한 한∙미∙중 3자 협의는 유용한 협의기제로 보임

다음은 곽태환원장님께서 제시해 주신 토의중점 주제들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정리하였음

1 한반도 통일을 위해 먼저 극도로 경색된 남북관계부터 풀어나가야 하는데

출구전략은

10월4일 황병서 등 북한고위급인사의 전격 방남으로 대화의 물꼬가 트인 만큼 이달

말 또는 11월초로 예정된 2차 고위급접촉을 통해 남북간 쟁점사항들을 대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풀어나가는 지혜가 필요함

첫째 무엇보다 대화의 지속이 중요함 일회성 대화가 아니라 고위급접촉이든 다른

대화채널이든 대화가 정례화 되는 것 즉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통로는 늘 열려 있어야

할 것임

둘째 사안별 접점 마련이 필요함 즉 상호가 입장차이가 극명한 사안은 일단

21

접어두고 접점 마련이 가능한 사안부터 협의하고 이행을 해 나가는 것임

2 현안이슈인 THAAD 한국배치에 대한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 측면 고려하여 사드

한국배치가 바람직한가 전시작전통제권을 2015년에 받아야 하나 연기 해야 하나

첫째 사드의 한국 배치는 정치적 관점이 아니라 안보적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중국(러시아)과 북한이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있지만 북한위협에 직면한 우리

입장에서는 한미동맹차원에서도 미국의 사드 배치 구상에 협력하는 것이 필요함 따라서

한국과 미국이 중국을 잘 설득할 필요가 있음

둘째 전작권문제 역시 주권 자존심이라는 측면 보다는 국익의 관점에서 판단해야 할

사안임 북 핵문제 등 북한의 위협이 상존하는 현 상황에서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억제력을 확고하게 유지하는 일임 한미연합사는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체제임 따라서 시기에 기초한 접근 보다는 조건에 기초한 접근이 바람직함

3 한반도 통일은 평화적으로 이뤄져야 하는데 남과 북이 합의에 의한 통일이

이뤄지려면 공동통일방안에 대한 합의가 가능한가 6자 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는

평화체제구축은 어떻게 이룰까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통일방안에 대한 남북 간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는 현 상황에서

통일방안부터 협의를 시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봄 우선 대화와 교류확대 등을 통한

화해협력을 추진하면서 향후 북한정권과 체제의 변화가 이루어질 때 통일방안에 대해

본격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함

둘째 핵 문제는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임 이로 인한 무력충돌은

공멸을 의미하기 때문임 따라서 북핵 문제는 우선 강력한 억제로 북핵 사용 자체를

무력화하고 나아가 대화를 통한 외교적 해법을 병행해야 함 즉 6자 회담을 재개하여

919공동성명의 합의정신에 입각하여 풀어나가는 것 이외 다른 적절한 대안은 없어

보임

셋째 평화체제 문제는 6자 회담이 재개되고 북핵 문제에 있어 일정분야 진전이 있을

경우 919 성명에 합의된 별도의 평화포럼을 통해 논의해 나갈 필요가 있음 평화체제는

협정의 체결이 아니라 실질적인 평화상태를 만들어 나가는데 중점을 두고 추진해 나가야

4 4자(미 중 남북한)회담을 통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인가 북이 주장하는 북미간

평화협정이 바람 직 한지 한반도 정전체제를 대체하는 다자 평화체제는 어떤 형태가

바람 직 한가 등

첫째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논의하는 협상은 남북한과 미국 중국이

참여하는 4자회담이 적절하다고 봄 1997~1998년 사이 제네바에서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는 문제를 논의하는 4자회담이 6차례 개최된 바도 있음

둘째 평화체제는 남북간에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미국과 중국이 이를 보장하며 협정은

유엔에 기탁하는 방안이 적절하다고 봄

5 6자 회담을 복원하여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ldquo행동대행동rdquo으로

동시에 해결하자는 제안에 대한 견해는

22

이는 북한이 핵 문제에 대해 한국과 미국 등이 요구하는 수준으로 성의 있는 조치를

취하고 이를 바탕으로 6자회담이 재개된다면 동시에 별도의 포럼을 열어 평화협정

논의를 개시할 수 있을 것임 실질적 평화상태 구축을 위한 남북간 군사적 신뢰구축 및

운용적 군비통제 등을 추진해야 함 평화협정의 체결 시점은 북한 핵이 완전히 폐기되는

시점과 맞추어야 할 것임

6 이러한 통일프로세스에서 과연 미국은 어떤 역할이 바람 직한가

독일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듯이 미국도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함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을 설득하여 한반도 통일에 동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공고한 한미동맹을 유지하여 북한이 변화하도록 유도하며 통일 이후에도 통일한국의

안보환경과 국익에 부합되게 동맹의 형태와 목표 기타 필요한 사항들을 협의하여

합의할 필요가 있음 통일한국이 중국과의 관계에서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는 방법은

미국과의 동맹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생각됨

7 평화적 합의통일방안에 하나의 대안으로 중립화를 통한 한반도 중립화 통일방안에

대한 견해는 미국은 지지 할까 등입니다

중립화 통일방안을 추구한다고 해서 통일이 촉진될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음

중국은 다소 긍정적일지 모르나 우리의 동맹인 미국이 가장 우려하는 사안일 것임 그런

차원에서 중립화 방안은 부적절함 이는 우리 국익이나 안보상 적절치 않은 방안이라고

봄 lt끝gt

4 김준형 박사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교수)

발제 논문에 관한 의견

다음 사항들에서 기본적으로 공감함

한반도통일의 고차방정식에 대한 의미 있는 분석 주변강대국들의 이해관계

특히 통일을 추구함에 있어 미국과 중국의 이해관계를 분석한 부분

냉전붕괴직후 독일의 상황과 당시 미국 및 소련의 입장이 가지는 함의에 대한

분석

북한급변사태가 곧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며 통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북한

주민들의 친한국 성향이나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남북이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

최근 미국이 통일에 대해 기껏해야 소극적 지지입장이며 통일로 인한

한미동맹의 약화가능성에 우려를 가지고 있다는 분석

한미동맹의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치명적이라는 주장도(치명적이라는

표현은 좀 과도한 측면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공감

주변강대국이 한반도통일이 현 동북아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지지하지 않으나 남북한이 원해서 주도적으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반대할 수 없다는

주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사항들에서 문제 제기하고자 함

23

서론에서 밝힌 본문내용 소개가 본문의 실제 내용전개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음 특히 현실적인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를 살펴본다고 했는데 오히려 그간의 남북한

통일안의 한계와 약점을 지적하고 특히 남북한 공히 정치적 통합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진다는 분석 위주임

북한에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 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 미국이 먼저 나서서 개입하지 않을 가능성은

있다 하더라도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해도 미국이 행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는 동의할

수 없음

북한 급변사태의 경우 중국이 자국민 및 재산보호를 명분 삼아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그것이 북중동맹에 의한 자동개입과 UN 상임이사국의

지위를 이용해서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라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려움

북한의 급변사태에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논지와 중국이 북한에 친중 정권을 세울 가능성이 높다는 논지는 자칫 통일보다 동맹을

선택하는 한미동맹 신화론자들의 논리를 강화시킬 수 있는 위험성 내재 박휘락박사가

인용한 미고위당국자의 발언은 context도 다른 것으로 보이고18

한국주도의 통일 역시 한미동맹약화로 이어지고 이는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에

치명적일 것이라고 단정하는 것 역시 같은 식으로 호도될 여지 있음

이 논리가 절대적 친미

보수진영의 동맹강화의 긴급성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논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평화협정이 통일의 전제조건이 아니라는 것에 동의하고 분단적 평화유지에 대한

반대에 동감하지만 평화보다 통일이 우선되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려움

통일을 위해 통일정책의 연속성을 위해 내각제 개헌을 해야 한다는 논리는

지나친 단순화 또는 비약으로 보임

현 정국에 대한 토론자의 견해

지난 7년간의 대북정책 및 통일정책의 한반도의 운명과 관련된 4가지 핵심 변수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① 한미동맹의 근본 성격 변화(대북억지-gt동북아지역군)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을 위해 일본과 한국에 아웃소싱 추진하고 있으며 그 핵심이 지역미사일방어체제

구축

- 전작권환수 시기보다 조건을 우선 고려

- 전작권에 대한 효용성 변화 과거 전략적 유연성은 분담의 차원이었으나 현재는

한미일 군사협력네트워크 통합의 차원으로 변모 따라서 미국이 전작권을 계속 보유하는

것의 효용성이 높아짐(미국의 꽃놀이패)

② 북핵문제의 근본 성격 변화 핵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음

- 미국은 북한에 대한 de facto 보유국 내부적으로 인정19

18 이 발언은 북한의 핵개발 중단 도발가능성 북한개혁 등 중국이 행사할 수 있는 대북 레버리지를 미국이

기대한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됨

19 수년 전 힐러리 클린턴의 발언부터 최근 오바마의 유엔연설 직전에 행한 국가안전보장회의 부의장 벤 로

24

- 발제논문에서 주장하는 통일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미국의 입장과 연결됨

- Permanent crisis 양상 분명 위기이고 해결이 난망한데 아무도 나서서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며 심지어 현 위기국면을 국내정치에 이용하는 측면이 커지는 일종의

북한 핵위기의 default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③ 한반도 통일론의 변화 신뢰프로세스 동평구 통일대박론 드레스덴 선언 등의

많은 제안들이 후속조치 없이 동력을 잃었으며 최근 UN연설에서 재확인되듯이

흡수통일론으로 귀결 남북교류의 제도화 수준은 대단히 높으나 실행수준은 대단히

낮음으로 인해 통일논의에 대한 국민들의 피로감을 확산시키고 이는 국내

안보포퓰리즘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동

④ 북중관계 변화 남북관계의 단절로 인해 긴밀해짐으로 해서 북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하고 있는데 중국의 대북 지분을 향상시켜 유사시 개입의 빌미가 될

가능성이 높음(발제논문도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음-탈북자 관리명분)

미국의 입장에 대한 견해

오바마는 대북정책에 있어 부시 전임정부와는 정반대되는 경향 1기에서의

강경함에서 2기에는 협상무드로 갔던 부시와는 반대로 초기의 온건입장이 시간이

갈수록 강경기조로 넘어가고 있으며 인권압박까지 병행

더 큰 문제는 강경책이든 온건책이든 문제해결을 위한 움직임이 없는 매우

수동적 태도로 일관한다는 것인데 이는 북한문제가 여전히 오바마행정부의

정책우선순위의 상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고 또 북한핵개발

국면을 빌미로 대중국 견제와 미일동맹을 비롯한 아시아동맹네트워크 강화에 활용한다는

것임

오바마의 소위 lsquoDDSSrsquo Doctrine의 근간은 임기 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한반도는 큰 현안 없이 현상유지로 흘러갈 가능성이 큼

미국의 MD 압박 강화될 것임

- 미국이 현재는 한국내 여론을 의식해서 한국정부와 보조를 맞추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MD 편입을 원하고 있기에 압박은 증가할 것임

- 한국과 일본이 참여하는 지역 미사일방어체제 구축은 미국의 아시아재균형전략의

핵심이며 한국의 MD 참여가 중국의 입장에서는 레드라인이지만 미국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한중의 접근을 억제할 수 있는 카드로서의 효용성이 있음

- 한국정부의 태도 변화 사드의 한국도입에 대해 최근에는 수용적 자세로 변화20

미국의 MD 참여 압박에 대해 정부가 진정으로 미국 MD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면 확실한 입장표명을 하거나 공개적으로 국민의 의견을 묻는 것이

필요함(double edge diplomacy 활용)

한국의 과제

즈 발언까지 일관됨 20 10월 7일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한민구장관은 북한 핵middot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사드를 배치하면 우리 안

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함 또한 MD의 핵심 자산을 동원하는 새로운 작전개념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같은 방안을 이달 말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연례 안보협의회에서 공식화할 방침이라고 밝힘

25

남북관계 해결을 위해 한국정부가 선제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시도해야 함

미국이 여러 복잡한 문제로 인해 여유가 없는 상황을 오히려 역이용하는 발상의 전환

필요

미국정부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대북접근에 있어 한미공조 이탈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견제해왔던 것에 비하면 한국의 운신의 폭은 역설적으로 커졌다고 볼 여지

있음 미국이 대북정책에 있어 마땅한 해법도 없고 정책순위는 점점 하락하는 상황에서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주도가 가능할 수도 있음

출구전략

- 6자회담과 919성명의 복원을 통한 문제해결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을 병행

- 524조치에 대한 언급 없이 실질적인 유연화

- 박근혜대통령의 결심이 관건 대화재개조건의 유연화에 대한 한미간 정책조율을

주도할 필요가 있음

5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

한국GPF재단이 주최하는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김현욱 교수께서 발제한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의 주제는 통일을

시급하게 달성해야 하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통일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반세기 이상 한국과 안보동맹을 체결하고 있는 미국의

한반도 통일정책을 논의하는 것은 아주 시의적절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자는 먼저

발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의견을 제시하고 발제자와 토론자 간의 약간의 상이한

견해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하고 곽교수의 질문에 대해 간략하게 답한 후

정책제안의 순서로 기술하고자 합니다

1 발제문에 대한 일반적 평가

발제자의 논문 내용과 접근방법에 대해 토론자는 전적으로 찬성하고 동의합니다

한반도 통일방안의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공감하면서 남북정상이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에 공통점이 있다고 이미 합의하였기

때문에 남북은 장차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 중 하나의 통일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람직한 통일접근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한국이

경계해야 할 것은 발제자도 지적한 바와 같이 북한의 붕괴통일보다는 독일과 같이

평화적 흡수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며 더 좋은 방안은 평화통일을 목표로 하되 점진적

접근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만약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하여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고 가정할 때 한국에게는

lsquo통일의 대박rsquo이 아니라 통일의 쪽박이 될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남북이

평화통일 협상을 통해 점진적 통일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미국의 국가이익과 우려사항에 대한 자세한 분석에 전적으로

동의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많이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서

기대하는 것은 미국의 국익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미국의 대한반도 통일정책이

결정되리라 전망됨으로 통일의 당사자인 남북은 통일의 과정에서 미국의 국익도

고려하면서 남북이 통일의 이니셔티브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6

2 발제 문에 대한 몇 가지 이견

토론자는 발제문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를 하지만 미시적 측면에서 토론자의 이견을

몇 가지 부언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연방제와 연합제를 설명하는 2쪽 문단에서 북한의 연방제를 1980년

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김일성이 발표한 내용을 기준으로 설명했으나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이 한국의 연합제와 좀더 가까운 것은 김일성이 1991년 1월

1일 발표한 lsquo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rsquo이므로 이를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비교분석 하는 것이 좀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980연대 연방제는

남과 북이 lsquo연방상설위원회rsquo를 조직하여 지역정부를 지도하는 중앙정부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1991년의 연방제는 지방정부에 모든 외교권과 군사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국의

연합제 즉 국가연합 형태의 통일방안으로 수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둘째 1991년 북한의 연방제는 남과 북이 어떠한 정치군사적 블록에도 가담하지 않는

중립국가의 외교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남북이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에 공통점을 인정하고 있으나 북한은 연방제가 되었을 때 외교정책은

반드시 비동맹 중립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나 한국은 북한의 그러한 중립정책을

수용하기 어려운 입장이므로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선 듯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셋째 북한의 연방제 실시 조건에서 남한이 수용하기 어려운 또 다른 것은 북한이

주한미군의 철수와 국가보안법을 철폐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장차 남북이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를 실시한다 해도 남한정부의 입장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보안법 철폐는 가장 민감한 문제들이므로 난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끝으로 발제자는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ldquo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케 하고 미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rdquo는 분석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됩니다 미국의 계획에 의하면 lsquo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군은 한국군과

한국인은 북한에 입북하는 것을 금지하고 미군과 일본의 자위대가 북한의 치안을

유지한다rsquo는 주장이 제기되어 이를 확인하고 있습니다(오크랜드 대학교 박문재 박사

주장) 또 다른 주장에 의하면 북한의 급변사태 시 중국군과 미군은 동시에 북한에

상륙하여 일정한 지역을 분할 하여 WMD와 북한 질서를 공동으로 유지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계획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경우 미국에는 분명히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미국의 이익과 우려가 병존하리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어느 것이 미국의 국익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가에 따라 미국의 외교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이며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한반도 정책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과 관련하여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 발제자는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어

대부분의 내용에 동의를 하면서 상이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토론을 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ldquo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으며 2012년 오바마

27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 체제와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통일을 지지했다rdquo는

내용에 대해 미국은 한반도의 통일을 원천적으로 원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토론자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1971년 7월과 2005년 8월 북경에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비밀회담을 갖고 ldquo미국이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양국은 한반도 분단의

현장유지를 계속하자고 합의rdquo한 내용이 미국의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습니다(2005년 9월

7일 Washington Post)

또 다른 예로 한국전쟁을 종결하는 휴전협정 제4조에는 ldquo정전협정 서명 후 3개월

이내에 서명 당사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한다rdquo고 합의했으나 미국은 북한이 핵을 만들기

전에도 북한의 평화협정 요구를 거절해 왔으며 이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해야

평화협정을 체결해 주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의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은 외교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둘째 과거 독일통일의 과정에서 고르바초프는 독일의 중립화를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미국은 통일된 독일이 NATO에 잔류해야 한다는 조건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결국

고르비가 양보하고 미국의 안이 채택되었으나 거기에는 서독이 소련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수용한 대가라고 합니다(주섭일 기자의 『1990년 독일통일과 2017년 한반도

통일』)

셋째 미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문제에 대해 크게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미국은

한반도가 통일이 된 뒤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주한 미군의

역할은 북한의 위협보다는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주한 미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미국의 재

균형정책도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넷째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미국의 동북아시아 국가에 대한 군수산업이 대폭

축소될 것이며 통일된 한반도가 미-중 간에 균형외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대중 견제는 급속하게 감소될 전망입니다

끝으로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은 감소된 반면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되어 미국의

장기적 전략인 미국의 군사비 감축과 국내외 여건으로 주한미군의 유지가 어렵게 될

경우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감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므로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4 한국의 당면 과제

한국은 대북정책의 출구전략으로 10월 3일 북한 실세의 한국방문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려 북한이 필요로 하는 경제지원과 5ㆍ24조치 해제를 전제로 북한의 양보를 얻어 내

남북관계의 출구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한국정부는 미국이 요청한 THAAD

구입이나 배치를 허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남북간의 평화체제 구축은 1단계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기 보다는 남북이 이미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를 비롯하여 6 ㆍ 15선언과 10 ㆍ 4선언의 내용 중 실천이 용이한

문제부터 실천하면서 남북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북한과 미국의

관계에서 미국이 현재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한국은

북한과 먼저 신뢰를 회복한 후 기본합의서에 이미 명시되어 있는 남북한의 불가침조약을

먼저 체결하고 서울과 평양에 대표부를 설치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한반도

28

비핵화를 위해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으로 핵

문제는 북미간의 문제로 유지하면서 남북한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요구를

하면서 남북의 해빙무드를 먼저 조성하는데 한국은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은 현재도 비동맹 중립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북한의 연방제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조심스럽게 중립화 문제를 거론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검토를 해야 할 것입니다

5 정책제안

한반도 주변 4강은 현재 그들의 국가이익과 한반도 통일이 그들에게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한반도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므로 한국정부는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북한에 비핵화 요구보다 협상을 통해 단계적으로 북한이 한국의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제안이나 구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서

북한이 시급하게 원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524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북한의 양보와 협력을 받아 내야 할

것입니다lt끝gt

6 장용석 박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1 통일과 관련하여 발표자의 다음 지적은 매우 중요함

- ① 기능주의적 접근의 한계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 필요성 ② 북한

주민들의 선택이 지닌 중요성과 그에 대한 고려 필요성 ③ 통일 대북정책의 연속성과

북한 리더십 포용을 위한 내각제 개헌의 필요성

2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과 관련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함

- 동서독은 유럽차원에서 NATO와 WTO간 세력균형 이를 바탕으로 한 동서 간

긴장완화와 특히 헬싱키 프로세스와 CSCE 등을 통한 공동안보 틀 구축 등으로 인해

교류협력에서 안보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특히 동독이 경우 패전의

여파겠지만 북한과는 달리 자국의 안보를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음

- 반면 남북을 둘러싼 지역 안보 환경은 미∙중 간의 긴장과 갈등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고 있고 특히 북한의 경우 지정학적 요충지론에 입각하여 자주-존엄-

선군의 기치 하에 핵보유까지 천명하고 비대칭적 전력의 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으로써 동서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교류협력의 직접적인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 따라서 동북아 지역차원에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협력적 안보 틀이나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공존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rArr 이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ldquo작고 쉬운 것부터rdquo 논리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를 외면하는 기능주의의 또 다른 버전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발표자의 평가는

무엇인지

rArr 아울러 평화협정은 평화적 공존의 제도화와 군비통제를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분단관리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게 아닌지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5: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5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을 제안하였는데 화해협력단계 남북연합단계 통일국가단계가

그것이었다 김대중 대통령의 통일방안은 공화국연방제 혹은 3단계통일방안으로

불리는데 1단계로서 남북연합단계 2단계로서 공화국연방제 3단계로서 통일국가라는

단계적 설정과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에 기반한 통일국가상을 그리고 있다1

연방제 방안은 북한이 역사적으로 주장해온 방안으로써 정치적 군사적 차원에서 먼저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정치 군사적 안건이 해결되어야 통일프로세스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와 같은 방안에 의하면 1국가 2체제를 먼저 구축한 다음

추후에 정치적 통합을 이루겠다는 것이다 북한은 1980년 조선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이라는 완성된 형태의 통일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방안은

ldquo북과 남이 서로 상대방에 존재하는 사상과 제도를 그대로 인정하고 용납하는 기초

우에서 북과 남이 동등하게 참가하는 민족통일정부를 내오고 그 밑에서 북과 남이 같은

권한과 의무를 지니고 각각 지역자치를 실시하는 연방공화국을 창립하여 조국을 통일할

것rdquo이라고 밝히고 있다

한국의 통일정책의 특징은 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남한체제를

궁극적인 통일의 상으로 설정하고 있다는 데 있다 연합제 방안은 과도기적 체제로써

2국가 2체제를 지속시킨 이후 궁극적으로 통일을 이루겠다는 것이다 즉 2개의

정치체제 하에서 경제적 통합을 먼저 이루자는 논리이다 또 하나는 기능주의적

접근이다 기능주의적 접근방안은 양 국가의 비정치적 이익에 기반하여 경제적 통합을

추진하자는 것인데 이것이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으로 연결된다는(spillover) 전제를

두고 있다 물론 이것이 유럽통합의 경우 어느 정도 밑거름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으나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 노력은 개별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2

북한통일정책의 특징은 첫째 정치군사적인 문제해결에 우선을 두는 연방주의적

방식이다 통일의 기본조건으로 주한미군철수 북미평화협정 등을 제시하고 있다 즉

북한의 연방주의적 접근은 정치군사적 문제해결을 먼저 진행한 이후 경제사회문화적

제반 교류를 확대해나가자는 것이다 둘째로 일원론적인 1체제국가로의 통일을

상정하지 않고 있으며 연방제를 완성된 형태의 통일로 인정하고 체제문제는 후세대의

과제로 미뤄놓고 있다

3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위원장은 정상회담에서 남한의 연합제 방안과 북한의 느슨한

연방제 방안 간에는 공통요소가 존재한다는 데 합의한 바 있다 연방제와 연합제 방안

모두 점진적이고 단계적인 통일을 추구한다는 데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두

방안은 모두 정치적 통합 측면에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북한의 연방제 방안은 1국가

2체제 통일 이후의 정치적 통합에 대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다 체제가

1 임현진 정영철 21세기 통일한국을 향한 모색 분단과 통일의 변증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pp 32-

46 2 ldquo제6차 대회 중앙위원회 사업총화보고(1980)rdquo 조선노동당대회 자료집 제3집 서울 국토통일원 3 임현진 정영철 21세기 통일한국을 향한 모색 분단과 통일의 변증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pp 72-

75

6

다른 두 개의 나라 간의 연방이 어떻게 국가를 운영해 나갈지에 대해 과제를 안고 있다

한국의 연합제 방안 역시 궁극적인 통일의 목표를 1국가1체제로 상정하고는 있으나

기능주의적 접근방식에 입각한 통일방안으로는 정치적 통합이 용이하지 않다

2 북한 급변사태로 인한 통일

북한급변사태로 인해 북한을 흡수통일하는 방안은 탈냉전 초기에나 가능했던

시나리오이다 당시 미국은 초강대국의 지위를 누리고 있었고 따라서 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중국의 세력이 미미한 상황에서 한국군과 함께 개입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이 경우 흡수통일 달성이 가능했다 그러나 현재 한반도를 사이에 두고 미중

양국의 세력이 비등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의 개입은 그다지 쉽지 않다

이 같은 상황에서 북한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게 하고 자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4 또한 북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며

이에 반해 중국은 탈북자들의 통제 목적 이외의 경우에도 북한에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하려 할 것이다 5

한국의 개입은 국제적으로 쉽게 용인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 즉 유엔에 남북한

양국이 동시 가입한 사실은 남북한이 별도의 국가라는 근거로 사용될 수가 있으며 이

경우 북한의 급변상황에 한국이 개입하는 것은 유엔헌장에 위배된다

이와 같이 미국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하려는 상황 속에서 한국이 독단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여지 역시 줄어들게 된다

6

이 같이 적극적인 중국의 개입 가능성이 존재할 경우 미중 양국은 모종의 타협을 할

가능성이 있는데 양국은 북한급변상황이 어느 한 국가에게도 유리하지 않는 현상유지에

대한 타협을 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 상황수습을 국제연합으로 넘길 가능성이

유엔헌장 제2조

4항은 ldquo모든 회원국은 국제관계에 있어 다른 국가의 영토보전이나 정치적 독립에

반하거나 또는 국제연합의 목적과 양립할 수 없는 다른 어떠한 형태의 무력위협 또는

무력행사를 삼간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다

개입에 적극적인 국가는 중국인데 중국은 탈북자들을 관리하기 위한 명분으로

접경북한영토에 탈북자보호시설을 만들려 할 것이다 이미 국경지대에 상당한 규모의

중국군사력을 배치해 놓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북중 간에는 동맹조약에 의하여

자동개입이 보장되어 있으며 북한이 중국의 개입을 요청하지 않더라도 중국은

UN상임이사국 지위를 이용하여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다 급변상황을 안정화한다는 명분

하에 중국인민군은 평양지역까지 진출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4 Bruce KlingnerldquoNew Leaders Old Dangers What North Korean Succession Means for the USrdquo

Backgrounder No 2397 Heritage Foundation Apr 7 2010 p 13 5 Bruce W Bennett Preparing for the Possibility of a North Korean Collapse RAND Corporation

2013 6 박휘락 ldquo북한급변사태와 통일에 대한 현실성 분석과 과제rdquo 국가전략 164 2010 p 72

7

있다 하나 우려스러운 것은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박휘락 박사에 의하면 2004년 한미 양국이 개최한 pol-mil 게임에서 한 전직

미 고위당국자가 이와 같은 발언을 했다고 한다 ldquo미국은 북한의 어떠한 사태에서도

중국이 영향력을 행사하려 할 것이라는 점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이것이 미국의

입장에서 반드시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북한이 중국의 말만 제대로 들어도 핵을

포기하고 개혁∙개방을 할 것이니까rdquo7

현재 한국과 북한의 공식 통일방안인 연합제나 연방제 방안에 의하면 궁극적으로 가장

우려되는 것은 정치통합이다 실제 이는 예멘통일의 과정에서 증명되었는데 예멘통일은

북예멘과 남예멘 간의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 교류로 인해 이루어졌다기 보다는

아랍연맹국가들의 중재로 인해 성사되었다 이로 인해 예멘은 1차 통일을 이루게 되는데

비례대표제에 의해 연방제적 통일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결국 사회문화적 유대감의

부족으로 인해 결국 양국은 군사적 정치적 사회적 대립을 노출시켰고 결국 무력을

동원한 2차통일에 의해 궁극적인 통일을 이루게 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북한급변사태는 한반도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다 미중 양 강대국이

한반도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고 어느 한 쪽이 북한에 대해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기를 바라지 않는다 현 동북아시아의 역학구도 상에서 북한급변사태는

현상유지로 갈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북한 주민들이 친한국 성향을 강하게 소유하게

된다면 따라서 북한급변사태가 발생했을 경우나 이 경우 중국이 개입하여 친중국

정권을 수립하려 든다면 이에 대한 북한주민들의 반발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북한주민들의 충분한 경제력이 존재해야 하고 남한과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이 존재해야 한다

3 남한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통일 하는 방안

이 방안은 독일통일이 이루어진 것과 유사한 방안이다 이 방안에 따르면 남북한

국민들이 문화적 동질성을 가지고 북한주민들이 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을

가지는 데서 출발한다 독일의 경우처럼 통일의 과정 중에서 총선거에 의해 남한의

체제에 의한 통일이 이루어지는 것이 이 시나리오에 의한 통일 방안이다 즉 남한의

평화적인 북한 흡수통일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북한주민들의 친 한국 정체성은 북한급변사태가 발생했을 경우에도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했을 경우에

중국은 북한에 개입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북한이 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을

가지고 있거나 민족적 동질성을 가지고 있게 될 경우에 북한 주민들은 중국의 진입에

반감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 방안은 미국의 이익에 가장 많이 기여하는 방안이 될

것이며 통일 후 한미동맹의 유지 발전과도 가장 잘 어울릴 수 있는 통일방안이다

8

7 박휘락 ldquo북한급변사태와 통일에 대한 현실성 분석과 과제rdquo 국가전략 16 4 2010 pp 45-47

8 임현진 정영철 21세기 통일한국을 향한 모색 분단과 통일의 변증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pp 293-

8

따라서 한반도 통일을 위해서는 정치통합이라는 난제를 극복해야 하며 이를 이루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실제 서독의

신동방정책의 핵심은 이에 있었으며 베를린 장벽의 붕괴로 인해 통일에 대한 열기가

달아오를 무렵 동독의 라이프치히에서는 1990년 1월 20만 명의 동독시민이 참가한

가운데 대규모 반공 및 통일 요구시위가 발생한 바 있다 9 또한 1990년 동독에서

자유총선거가 실시되었을 때 유권자들의 9322의 투표결과는 ldquo다시는 사회주의가

아니라 자유와 번영을rdquo이라는 구호를 내걸고 동독의 서독으로의 신속한 편입을 주장한

독일연합의 승리였다10

III 독일 사례와 미국

독일의 경우 동서독 간 통합에 의한 통일을 추진했었으나 동시에 경제협력과 교류를

통해 동독주민들이 서독체제에 대해 동경심을 갖도록 하였다 즉 빌리 브란트 총리의

신동방정책은 동독주민들의 정체성을 서독지향적으로 이끄는 데 기여하였다 그 결과

통일독일을 위한 총선거에서 대다수의 동독주민들은 서독의 정치체제와 정당에

투표하였으며 자연스럽게 통일독일은 서독중심의 국가로 형성되었다

독일통일이 이루어질 당시 유럽정세는 베를린장벽의 붕괴와 함께 구 소련의 세력이

위축되고 미국의 세력이 증가하고 있을 때였다 이와 같은 정세는 미국으로 하여금

독일통일을 지지하게끔 하는 요인이 되었는데 통일독일의 지위가 미국의 이익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유럽정상회담 연설에서 부시

대통령은 독일통일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하면서 독일민족의 자결권 존중 등 독일통일의

4원칙을 언명하였다 첫째로 어떤 특정한 통일을 상정하지 않는 독일민족의 자결권을

존중한다는 것이었으며 둘째로 독일의 NATO잔류와 유럽통합의 지속 동맹국의 법적

역할과 책임을 존중하고 셋째로 통일은 전반적인 유럽의 안정에 도움이 되도록 평화적

점진적 단계적으로 추진하며 마지막으로 국경문제는 헬싱키 최종의정서의 원칙에

따르고 유럽변경의 불가침성을 인정한다는 것이었다11

4 9 황병덕 외 독일의 평화통일과 통일독일 20년 발전상 통일연구원 2011 p 173

10 황병덕 외 독일의 평화통일과 통일독일 20년 발전상 통일연구원 2011 p 179 11 Philip Zelikow and Condoleezza Rice Germany Unified and Europe Transformed A Study in Statecraft 1997 p 113

1990년도 독일 콜 수상은 고르바초프와도 만나 6가지 사안에 대해 합의를 이루었다

1) 통일 이후 독일의 군사력이 37만 이하로 유지할 것

2) 핵무기와 생화학무기의 생산 및 소유를 금지할 것

3) 소련군은 동독지역에 1994년 말까지 머무른다는 것

4) 나토군은 독일 동쪽 영토에서 소련군이 철군하기 전에 머물 수 없다는 것

5) 소련군의 철수 비용을 지원할 것

9

6) 독일과 소련 간 경제적 협조관계 조약을 맺을 것12

당시 미국은 독일의 통일을 지지했는데 독일이 나토와 EC에 머무른다는 조건

하에서였다 미국은 독일이 나토에 머물지 않으면 중립화 독일이 될 것이며 이는

핵무기 보유를 시도하게 될 것이라고 소련에게 주장했다 미국은 소련에게 나토군이

1994년까지 독일의 동쪽 영토에 머무르지 않을 것을 약속하였다 독일통일에 대해

미국이 생각하고 있던 구체적인 이익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로 동부독일의 경제적

요인으로 인해 미국의 대독일 수출이 증가할 것이며 미국의 투자 역시 증대할 것이다

둘째로 2+4조약은 독일군을 제외한 나토군이 구 동독지역에 주둔하지 못한다고

기술하고 있으며 주둔은 소련군의 철수 이후에나 가능하다 독일은 또한 핵무기와

생화학무기의 제조 소유 그리고 통제를 포기한다 따라서 독일통일로 인해 NATO에서

미국의 영향력 확대가 가능하다 셋째는 독일의 CSCE 지역기구화와 동 기구의

안보역할 확대는 미국의 입장과 충돌할 수 있다 미국은 CSCE와 NATO중 NATO의

역할 확대를 원한다

13

당시 독일통일에 대한 미국의 태도는 독일을 NATO에 유지시키는 것을 우선순위로

두고 있었다 멸망하는 구 소련의 경우 독일통일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이었으나 냉전의

종식과 강대국인 미국의 통일지지 앞에 적극적으로 반대하기 힘든 상황이었다 이

상황에서 소련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원조에 있었다 현재 중국의 부상과 미국의 쇠퇴

가능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과연 미국이 독일통일의 경우처럼 한반도 통일을

지지해줄지는 미지수이다 또한 중국이 한국의 통일을 적극적으로 반대할지 여부도

불확실하다 당시 독일은 소련군의 철수를 위해 1994년까지 구 동독지역에 서방군대를

배치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했으며 NATO회원국으로서의 독일이 소련에 직접적인

위협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약속을 하여 소련군의 반대를 무마시켰다

14

IV 미국과 한반도 통일

이와 같은

우리의 외교적 노력이 미중 양국에 대해서 추진될 필요가 있다

1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해왔다 부시 대통령과 클린턴 대통령은

lsquo한국국민이 수용할 수 있는 조건에 기반한 평화적 통일rsquo을 지지했다 2012년 박근혜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 간의 정상회담에서 한미 양측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그리고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적 통일을 지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 대해 독일통일의 경우처럼 적극적으로

12

박영호 한국의 대미통일외교전략 민족통일연구원 1998 p 28 13 Paul E Gallis and Steven J Woehrel Germany after Unification Implications for US Interests CRS Issue Brief CRS Feb 20 1991 14

김규륜 외 한반도통일의 미래와 주변4국의 기대 통일연구원 2013 p 62

10

지지할 지는 미지수이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에 따르면 미국의 대 한반도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다 1) 수평적 핵확산 방지 2) 수직적 핵확산 방지 3) 비핵화 4)

급변사태 계획 5) 북한에 대한 개입정책 6) 북한주민들의 상황 개선 즉 미국은 한반도

통일의 경우 현 북한이 소유하고 있는 핵무기를 폐기하고 핵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익을 가지고 있으며 이 문제가 해결된다면 더 이상 한반도 통일에 적극적일 이유가

없는 것이다

이는 현재 동북아시아의 역학구도를 보면 더욱 설득력이 있는데 독일통일의 경우 구

소련의 멸망과 함께 독일통일은 NATO의 확대와 함께 미국의 세력권을 확대시키는

이익을 가져다 주었다 그러나 현재 동북아시아는 중국의 부상과 함께 통일한국이

미국의 동아시아 패권에 도움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확신을 가져다주지 못한다 또한

최근 한중관계 강화로 인해 미국 내부에서는 통일한국이 친미가 아닌 친중 국가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미국이 향후 한반도 통일을 지지하기 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는 통일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연합제연방제에 의해 통일이 이루어지는 경우 한미동맹은 폐기될 수 있고 주한미군은

미국으로 철수할 수 있다 이 경우 한미동맹의 미래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연합제연방제에 의해 통일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한미동맹이 존재할 수 있으나 이

경우 한미동맹의 역할은 매우 제한적이게 되며 동맹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메카니즘이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필자는 한국주도의 통일이 달성되는 경우에

중점을 두고 한미동맹의 미래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한국주도의 통일이 달성될 경우에도 한미동맹에는 많은 변화가 생기게

된다 동맹에는 비전적 측면(attitudinal)과 운용적 측면(behavioral)이 존재한다 비전적

측면에는 동맹의 존재이유(rationale) 위협인식(threat perception) 목적(objective)

등이 해당되며 운용적 측면에는 군사지휘체계 구성 방위비 분담문제 기지배치 문제

군사전술 등이 해당된다 통일 이후 한국은 미국과 함께 새로운 한미동맹의 로드맵을

작성해야 하며 이는 또 다른 동맹변환의 작업이 될 것이다 즉 한미 양국은 한미동맹의

공동의 전략적 목적(common strategic objective)에 대해 논의해야 하며 그 이후에

양국 군의 역할 임무 능력 (roles missions and capabilities)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

먼저 한국과 미국의 위협인식은 지역적 글로벌 차원에서의 위협이 그 대상이 된다

북한의 위협이 사라지게 될 경우 한미 양국은 지역적 안보위협에 대해 대처하여야 하며

이 경우 중국에 대한 대처는 포함되지 않게 될 것이다 이에 기반하여 양국은 동맹의

전략적 목적을 결정하게 된다 결국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주요 전략적 목적은 지역적

안보질서의 유지가 될 것이다

중요한 것은 운용적 측면에서 동맹의 로드맵을 어떻게 작성하느냐인데 이 경우

11

주한미군의 규모와 배치 전략적 유연성 문제 군사지휘체계 문제 등이 주요이슈이다

먼저 군사지휘체계에 있어서 한국은 더 이상 미군에게 전시작전통제권을 위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미일동맹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미 양국 군은 개별적인 지휘체계를

유지하며 유사시에 협조할 수 있는 협조체제를 구축하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해

주한미군은 더 이상 북한 위협이 존재하지 않는 한반도에 현재와 같은 병력이 상주할

필요가 없게 되며 전략적 유연성을 강화하여 한국군과 함께 지역적 글로벌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보다 유연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중요한 것은 주한미군의 규모와 배치이다 한반도에 주둔하고 있는 주한미군의

지상군(ground force)의 규모는 줄어들게 될 것이다 중국을 의식하여 주한미군의

위치도 현 남한 영토에 한정되어야 하며 38선 이북에는 주한미군을 제외한 한국군이

주둔하게 될 수 있다 한미동맹이 지역적 운용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이것이 중국을

겨냥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미국중심의 미사일방어체계는 한반도에서의 운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최근 논의되고 있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역시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즉 통일 한국의 주한미군은 주로 해군이나

공군을 위주로 형성되어야 하며 지상군을 비롯한 전체 군사력은 삭감되어야 할 것이다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여러 자료에 의거하면 통일한국에 대한 미국의 이익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15

5) 통일로 인해 한반도 전면전 상황(all-out warfare situation) 가능성이 사라지면서

미국은 이에 대비하기 위한 작계를 만들 필요성 및 부담감이 사라지게 된다 현재

미국의 국방비 삭감 및 시퀘스터 상황으로 인해 국방전략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1)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주요 이익은 핵무기와 미사일의 개발을 제거하거나 방지하는

것이다 급변사태가 발생하게 되면 미국의 주요 우려사안은 북한의 대량살상무기가

한반도 지역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다 통일은 북한의 핵확산방지를 달성할

수 있다 즉 통일은 NPT체제강화에 기여하게 된다

2) 시장경제체제 지향적인 통일한국은 미국의 이익에 기여하게 된다 구 북한영토는

미국의 투자를 필요로 하게 되며 이는 미국의 경제적 이익을 증가시키게 된다

3) 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 체제에 의거한 통일한국은 미국으로 하여금 주요가치의

세계적 확산을 위한 모멘텀 역할을 하게 된다

4) 한미동맹은 통일 이후 새로운 역할과 임무를 맡게 될 것이며 이는 지역질서와 안정

유지이다 이것은 미국이 추구하고 있는 아시아 재균형 정책의 주요한 자산이 될 것이며

미국으로 하여금 국제적 강대국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이다

15 Americarsquos National Interests The Commission on Americarsquos National Security 2000 US Department of Defense A Strategic Framework for the Asia Pacific Rim Report to Congress 1992 A Blueprint for US Policy towards a Unified Korea CSIS Working Group Report August 2002 Peter Murphy Lewis ldquoUS Foreign Policy towards the Korean Peninsula An Anti-Unification Policy or Just Too Many Uncertainties to Account For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62 December 2007 차두현 ldquo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시각 기회와 도전rdquo 글로벌정치연구 32 2010 pp 43-44

12

이미 2개의 전쟁이 종료된 이후 2개 전쟁 동시수행 전략은 2012년 defense strategic

guidance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반도 전면전 상황은 미국에게는

부담스러운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 대한 몇 가지 우려사안을 가지고 있다 먼저

미국은 통일한국으로 인해 한미동맹이 약화될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현재

미국은 경제력 약화와 국방비 삭감으로 인해 아시아 재균형 전략에 차질을 빚고 있다

2014년 4년 주기 국방검토 보고서 (QDR)에 따르면 미국은 2개의 전쟁을 종식하고

국방비를 삭감하고 있는 상황이며 아시아 재균형 정책을 장기적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즉 국방비 삭감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장기적으로 아시아지역에 미

해군병력의 60를 배치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동맹국들의

역할을 매우 중시하고 있으며 이런 차원에서 통일이 가져다 주는 한미동맹의 약화

가능성은 미국에게 큰 우려사안이 될 수 있다

두 번째로 한미동맹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매우 치명적이다 현재

아시아정책의 중심축인 미일동맹과 달리 한미동맹은 미군의 전방배치(forward

deployment)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즉 현재 주한미군은 북한이라는

대리국가(proxy state)를 통해 중국을 가장 근접에서 억지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10년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포격사건의 경우에도 미국은 한반도에 항공모함을

출격시켰는데 이는 중국에게 매우 치명적인 위협으로 다가왔었다 즉 미국에게 북한의

군사적 행위는 중국을 견제할 수 있는 좋은 구실이며 주한미군은 중국을 가장

근거리에서 견제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만일 통일로 인해 북한이 사라지고

한미동맹이 약화되거나 역할이 변경되면 미국의 대중국 견제전략에는 차질을 빚게 된다

세 번째로 미국은 한국이 주한미군을 철수시키고 미∙중 양국 사이에서 중립국 지위를

유지하는 경우를 우려한다 통일이 이루어질 경우 미∙중 간의 경쟁에 의해 통일한국은

중립화 노선을 추진할 수 있다 이 경우 미국의 핵우산 제공이 어려워지게 되며 이는

중국과 일본의 군사력 강화 사이에서 통일한국의 안보불안을 야기시키게 된다 과거

통일독일의 중립화에 대해 미국이 우려를 표명했던 것처럼 통일한국은 자체적인 군사력

강화를 추진할 수 있으며 이에는 핵개발도 포함될 수 있다

V 결론 - 정책적 고려사안

현재 동북아지역의 국가들은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입장이다 기술한 바와 같이 미국

역시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한반도 통일에 대해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입장은

기타 동북아국가들 예를 들어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서 통일에 우호적이다 미국의

이익이 한반도의 이익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은 미국이 통일을 반대하거나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미국이 가지는 지정학적 위치로 인함이다 한반도에서 멀리 떨어져

13

있는 미국의 위치 상 미국은 한반도 통일이 미국에게 직접적으로 이익을 가져다 주지

않더라도 주변국들에 비해 강하게 반대하지 않는 입장이다16

관련하여 빅터 차는 이와 같이 말했다 ldquo모든 강대국들은 한반도의 통일이 지역적

세력균형에 변화를 가져 올까봐 통일에 반대하는 입장이다hellip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한국이 당장 통일절차를 추진하게 될 경우 주변 강대국들은 모두 통일에 찬성하는

입장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 새롭게 통일되는 강대국 한국이 탄생할 경우 통일에 대한

반대입장을 보였던 국가들은 통일한국에게 적대국가로 인식될 것이기 때문이다hellip

한국민들은 일단 통일절차를 시작하게 되면 주변국가들이 이에 찬성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게 될 것 이다helliprdquo

중국의 한반도 통일에 대해 lsquo평화적이고 독자적이며 점진적인 비핵화 통일rsquo을

지지하는 입장이다 즉 평화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이 중국의 경제적 발전에

해를 끼쳐서는 안되기 때문이고 독자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한국이 미국

쪽으로 경사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며 점진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이 지역적

안정을 헤쳐서는 안되기 때문이며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한국에

미국의 핵우산이 유지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결국 독립적인 통일과 비핵화에 기반한

통일 지지 입장은 모두 한미동맹과 관련되어 있다 중국은 친미 성향의 통일한국에

반대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국정부는 보다 세심한 통일준비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몇 가지 정책적 고려사안을 제시한다 첫 번째로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한국은 독일과 달리 패전국 지위가 없으며 따라서 통일을 이루기 위해

4 개 조약당사국들로부터의 승인이 필요했던 독일과는 달리 주변국들로부터 아무런

승인을 받을 필요가 없다 독일은 포츠담회담에서 승전 4 개국이 분할점령하기로

합의하였으며 이것이 냉전과 함께 분단으로 이어졌기 때문에 통일국가를 이루기

위해서는 분할점령을 합의했던 4 개국들의 승인이 필요했다 게다가 독일통일의 경우에

이미 2+4 회의에서 독일통일을 승인하기 이전에 동독의 독일연방 가입이 결정되었기

때문에 후속적 승인에 불과하였다 한국과 북한 양국이 통일과정에 대해 합의하고

추진하여 통일을 달성하면 주변국가들은 이에 동의할 수 밖에 없다

17

두 번째로 평화협정은 휴전중인 한국전쟁을 종식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지 통일의

전제조건은 아니다 한국정부는 그 동안 통일이 아닌 분단적 평화유지에 지나치게

집착해왔다 이는 통일을 위한 본격적인 정책추진이 아닌 단지 정전상태를 평화상태로

바꾸는 것에 불과하며 이를 위해서 지불해야 할 비용 역시 지나치게 높다 즉 북한은

평화협정 체결을 위해 주한미군의 철수 등을 주장하고 있으며 이는 현 한국의 안보상황

16 Peter Murphy Lewis US Foreign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An Anti-Unification Policy or Just Too Many Uncertainties to Account For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62 December 2007 p 107 17 Victor Cha The Contiuity behind the Change in Korea Orbis No44 (Fall 2000)

14

속에서는 불가능한 조치들이다 이제는 한반도 평화가 아닌 통일을 정책적 목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평화협정

문제를 논의하는 것은 결국 입장차이를 확인할 뿐 실제 평화체제가 확립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미국은 평화협정 체결이 북한 비핵화를 먼저 이룬 이후에 가능하다는

입장이며 중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하게 되면 북한비핵화 등 제반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따라서 남북한 양국은 이제 소모적인 평화협정 논의 이외에 본격적인

통일논의를 통해 남북한 당사국들의 이익에 보다 충실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 한∙미∙중 3 자회의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미 한∙미∙중 3 개국은 작년에

1 차 전략대화를 개최하였다 주요 이슈는 북한 핵문제였는데 이와 같이 북한

핵문제에서 이슈를 확대하여 한반도 통일 북한급변사태 등 다양한 문제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남북통일은 미∙중 양국의 이익 및 세력균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3 국 전략대화에서 한반도 통일에 관한 입장을 조율하고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역할과

임무에 대한 각기 다른 이해관계를 조율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은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 남북한 통일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한국

내부의 통일정책을 하나로 수렴시키는 일이다 현 대통령제 하에서는 연속적인

통일정책이 중장기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고 정책적인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 또한 통일과정에서 북한리더십을 통일한국의

정치체제로 통합할 필요성이 있다 독일통일과정에서도 총선거를 통해 동독 지도부가

독일연방으로 통합되었듯이 남북한 정치통합을 위해서는 내각제 체제가 더 적합하다

15

제6회 정책포럼 토론문 (무순 제출순서대로 편집)

1 김동현 교수 (고려대 일민국제관계연구원 방문학자 북한대학원대 초빙교수 전 존스

홉킨스 국제대학원 겸임교수 및 방문학자)

총평 한반도 통일을 주제로 창의적인 노력을 보여준 발제자에게 우선 찬사를 보낸다

발제자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 부분이 많이 있지만 김현욱 박사가 과시한 학술적

접근방식과 독창적인 의견들은 높이 평가한다

- 우선 여러 가지 통일 시나리오를 가상하고 그와 관련된 논의를 흥미 있게 전개하지만

지금까지 국제 정치사상 어떤 시나리오가 상정한대로 어느 문제가 해결된 것이 없디

역사에 가정이 없듯이 국제정치의 현실에서 ldquoScenariordquo의 가정도 설 땅이 없다

시나리오를 추구하는 학자들은 바둑놀이를 계속하는 것과 같다 바둑을 둬서 어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지만 두뇌기능을 진척시키고 치매 방지 등 건강에 도움이

되는 정도라고나 할까 학자들의 장기중의 하나는 간단한 문제를 복잡하게 해석하고

신조어를 만들어 내며 독자들을 헷갈리게 하는 재주다

발제자 주장에 대한 토론

- 615 정상선언은 남한의 국가연합 방안과 북한의 느슨한 연방체 간에 공통점이

존재하며 앞으로 ldquo그런 방향으로 (통일을) 추진한다rdquo고 합의 했을 뿐 그 후에 어떻게

정치체제를 통합하겠다는 언급이 없었던 사실을 발제자가 정확하게 지적했다 그러나

당시 한국측 주역들은 연합과 연방단계를 묶어서 Federation 이 아닌 Confederation 의

형식으로 교류와 협력이 무르익는 ldquo사실상의 통일 ndash De Facto or Virtual Unificationrdquo

을 이룬 다음에 완벽한 법적 통일 ndash ldquo De Jure Unificationrdquo 로 간다는 것이다 DJ 의 3

단계가 연합 ndash 연방 ndash 완전통일 이었다면 임동원은 화해 협력 ndash 사실상의 통일인 연합

그 후에 법적 통일의 3 단계였는데 이 점은 615 선언협상과정을 통해서 DJ도 동의

했다는 것이다 (ldquo피스메이커rdquo에서 - 이 통일 과정에 소요 되는 시간을 DJ 는 10 년

김정일은 40mdash50 년으로 예상했다)

- 발제자가 논의한 ldquo급변사태로 인한 통일에 대해서 ldquo급변사태rdquo에 대한 정의는

무엇인가 중국의 개입가능성이 높고 미국의 개입가능성을 낮다고 하는데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논의 되어 온 것 이상의 논리가 없다 미국의

역할을 예측하는 문헌으로 Bruce Klinger 와 Bruce Bennett 의 글을 주석으로 달고

있는데 이 두 사람은 북한의 붕괴를 이념적으로 바라면서 근거가 미약한 붕괴론을

확산 시켜온 인물들이다 다만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남북한이 둘 다 유엔회원국이기

때문에 만약 북한에 권력공백 상태가 생겼을 때 누가 들어 가서 평정 및 관리를 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유엔차원에서는 아직 한 번도 논의된 적이 없는 문제다 유엔 임시

한국위원회에서 대한민국정부 수립에 앞선 선거 감시를 했고 625 때 38 선 이북으로

북진 할 때도 당시 유엔군 사령부는 수복지구에 대한 행정권을 정식으로 한국에 넘기지

않았다

16

- 한국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 하는 방안에 대해서 우선 발제자가 말하는

ldquo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rdquo의 뜻은 우호적 태도 호감 영어로 말하는 Identity

라면 북한 주민들이 ldquo우리는 남한 사람들과 같다rdquo는 뜻인가 정체성이 정치적 동질성을

말한다면 이를 이룩하기 위한 노력이 장기간 섬세하게 선행 되야 할 것이다 예멘의

사례도 학술적인 참고는 되지만 정책상의 참고는 될 것 같지 않다 물론 최종적인

정치 사회 통합은 현재의 정부 방식으로는 통일의 최종적 과제이다 그러나 평화를

보장하는 사실상의 통일 단계에만 돌입해도 궁극적인 통일로 향하는 엄청난 성과가 될

것이다 그래서 통일은 과정이란 말이 나왔다

- 독일의 사례 대해서 한국통일 논의에서 독일통일의 모델이 약의 감초처럼

등장하는 데 독일에 가서 독일 통일 과정을 공부한 한국인들을 제외하면 독일인

독일통일 전문가들은 한국과 독일 여러 가지 여건이 (역사 경제 문화 국제환경)

다르기 때문에 독일통일방법을 모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을 많이 하고 있다

토론자의 생각도 같다 물론 독일과정에서 있었던 일들 중 한국이 배우고 참고로 해야

할 점이 많이 있음은 부인치 않는다 (예 정권교체와 관계없는 일관된 정책의 지속성

같은 것 ndash 발제자는 이를 위해 내각제 개헌을 제안) 독일 통일과 관련된 미국의

이해관계를 소상하게 기술했는데 이 것도 본 발제문 주제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지 않는다

-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에 대해서 해방 이후 미국은 유엔결의문 등을

통해서 평화적으로 한반도에 자유 민주 통일 정부가 수립되기를 바란다 고 언급해 왔고

아버지 부시 클린턴은 ldquo한국국민 (the Korean people) 이 원하는 통일rdquo그리고 아들

부시와 오바마 때와서는 ldquo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체제의 통일rdquo을 지지한다고 공언했다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은 한국 헌법에 부합하지만 북한에 입장에서는

ldquo흡수통일rdquo로 받아 들린다 당연히 북한이 반발한다 2000 년 10월 김정일은 이렇게

말했다 ldquo우리는 제도에 의한 통일은 반대다 평화통일 하면 우리는 우리 식으로

통일하는 것을 말하고 민주 통일은 남조선 원하는 통일이다 평화통일이 되면 중국이

좋아하고 민주통일이 되면 일본이 좋아할 것이다rdquo

1991 년 6월 토론자가 평양에 갔을 때 당시 북한 군축평화 연구 소장 송호경 (후에

아태위 부위원장) 은 이렇게 말했다 ldquo 1민족 1 국가 2 체제 고려연방제는 한쪽이 다른

한쪽을 먹을 수 없는 상태로 공존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상태를 해소할 수 있는

쌍방간의 합의나 체제통일이 없으면 이 상태가 마냥 계속될 수 있다 영구히 갈런지도

모른다rdquo

- 지금까지 미국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한국 통일에 대한 수사적 지지만∙ 했을 뿐

한국통일을 위해 노력한 흔적이 없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현재 미중은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 속에서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각각의 전략적 이익 때문에 한반도에서

무탈 무사 현상유지를 원하고 있다 발제자가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간행물을

인용했는데 토론자는 이 것도 못 마땅하게 생각한다 그 간행물에 관여 한 소위

미국인 전문가들 중에 한국통일 전문가는 별로 없다 Victor Cha가 미국의 거물학자로

여겨지는 것도 못 마땅하다 (나는 이런 것을 미국에 대한 학문적 사대주의 ndash

Academic Sycophancy 라 부른다) 미국문제는 미국인들이 잘 알고 한국문제는

한국인들이 잘 안다 다른 한가지를 지적한다 미국은 지금 한국 통일에 대한

우선순위가 없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북핵 문제도 우선순위를 두지 않고 있다 심지어

17

아시아 재 균형 문제도 이라크와 시리아의 ISIL or ISIS 문제 때문에 신경을 제대로 쓰지

못한다는 우려가 나온다 (Kurt Campbell in Seoul on September 25 2014)

- 통일 이후의 한미동맹 통일에 대한 전망도 아득하지만 그 후의 한미동맹 관계는

더욱 아득하다 통일에 상대가 있듯이 (As W Bush said in Seoul this spring at a

conference hosted by the Chosun Ilbo) 동맹은 전통적으로 군사적인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동맹 이 함께 싸워야 할 상대 (Potential foe or adversary)를 전제로

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중미간의 경쟁이 계속된다면 미국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한미동맹을 아시아 재 균형의 도구로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 입장에서

그것이 그 때가서 한국국익에 맞는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서 발제자가 친절하게 미국의 이익과

우려를 열거했는데 남북이 통일을 원한다면 미국이 자기 이익 때문에 통일을

반대해서도 안되고 한국이 미국의 우려 때문에 할 일을 못하거나 안 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미∙중 사이의 중립 또는 전세계를 상대로 하는 중립이 한국 국익에

합당하고 국민의 다수가 이를 원한다면 한국은 그 길을 택해야 한다

미국의 걱정은 미국에 맡기고 한국은 한국 걱정에 치중해야 한다 걱정은 시대와

환경에 따라서 달라진다

정책건의

- 첫째 황병서 최룡해 김양건 3 인의 인천 방문을 계기로 다음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진일보한 과감한 자세로 이산 가족 524 조치 금강산 관광 등 현안을 타결하고

신뢰프로세스를 부활해야 한다 남측도 구태의 틀에서 벗어나 놀랄만한 자세를 보여야

한다 통근 결단은 북한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 둘째 6자회담 재개 등 북핵문제 해결을 노력을 한국이 주도해야 한다 미중과 함께

한국마저 손 놓고 있는 상태는 더 이상 방관해서는 아니된다

- 셋째 대북정책에 대한 국내 보수 진보간의 시각차이를 융합하여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탈냉전식 통일정책을 개발함으로써 통일준비의 기초를 확립해야 한다

2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김현욱 박사의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을 읽고

국내의 손꼽히는 미국전문가인 김현욱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을 맡게 되어 영광으로

생각한다 김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자의 생각과 비교할 때 공감이 가는 부분이 많다

하지만 김 박사가 다루는 주제가 단순히 미국의 대외정책이나 한미관계가 아니라

lsquo한반도 통일rsquo이라는 점에서 몇 가지 오류가 눈에 띄기 때문에 여기서부터 토론을

시작해야 할 것 같다

I 서론

한middot미 정상이 합의한 통일관련 언급은 「한미동맹 공동비전」(2009616)은

ldquopeaceful reunification on the principles of free democracy and a market

economyrdquo으로 「한미동맹 60주년 공동선언」(201357)은 ldquoits peaceful reunific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denuclearization democracy and a free market

economyrdquo으로 되어 있다 전자의 free democracy는 liberal democracy와 구별되어야

18

하며 후자에는 그냥 democracy로 표기한 의미를 되새길 필요가 있다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o 우리 정부는 lsquo연합제 통일방안rsquo을 지지한 바 없으며 무엇보다 lsquo연합제rsquo는 통일방안이

아니다 또한 우리 정부가 북한과 함께 lsquo74남북공동성명rsquo을 발표하고 lsquo자주 평화

민족대단결rsquo이라는 통일의 대원칙을 발표한 것은 맞으나 그 뒤 lsquo민족대단결rsquo을 삭제하고

lsquo민주rsquo를 넣었다

o 1989년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은 전두환이 아닌 노태우 정부 때 발표된 것이다

o 김대중 대통령이 대통령이 되기 전에 개인적인 통일방안으로 lsquo남북연합제 rarr

공화국연방체 rarr 통일국가rsquo의 3단계를 주장했었으나 대통령이 되고 나서는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수용했다

o 한국의 통일정책의 특징이 ldquo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남한체제를

궁극적인 통일의 상으로 설정하고 있다rdquo고 주장하나 우리 정부의 공식 통일방안인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은 먼저 민족공동체를 만들어가고 나중에 통일국가를 이루되

통일국가의 형태는 미래세대에게 맡긴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2 북한급변사태로 인한 통일

o 북한의 급변상황에 한국이 개입하는 것이 유엔헌장에 위배된다는 지적은 옳다 그런데

아무리 중국이 UN상임이사국이라도 중국 군이 평양까지 진출해 친중 정권을 수립할

근거를 갖고 있는가

o 박휘락 박사의 인용문은 미국이 북한의 WMD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중국의 도움을

받기 위해 중국의 개입을 반대하지 않는다는 의미이지 북한 급변사태가 발생할 때 이를

중국에게 떠맡긴다는 의미는 아닌 것이다

o 필자는 ldquo미∙중 양 강대국이 한반도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고rdquo라고 언급하고 있는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가 있는가

3 남한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하는 방안

o 남북예멘이 통일 후 무력통일로까지 간 것은 사회문화적 유대감의 부족 때문이

아니라 11 대등한 권력분배가 몇 년 뒤 실시된 선거결과에 의해 북예멘에 유리하게

정치지형이 바뀌자 남예멘 측 인사들이 이에 반발해 무력을 동원했다가 진압당한 것이다

o 동독유권자의 9322가 서독으로의 신속한 편입을 주장했다고 언급했는데 이 수치는

투표율이다 조기통일을 주장했던 독일연합의 득표율은 4804 국가연합을 거쳐

점진적 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의 득표율은 2188였고 옛동독공산당이었던

민사당이 164 새로운 사회주의 건설을 내걸었던 연합90이 291였다 그 결과

독일연합과 동독사민당이 연립정부를 구성해 서독과 통일협상에 나섰던 것이다

III 독일 사례와 미국

o 동독 총선거에서 동독주민들이 서독의 정치체제와 정당에 투표하였다고 하였는데

이것이 무슨 말인가 그들은 조기통일(동독기민당 중심 국민연합) 점진통일(동독사민당

민사당) 제3의 길(연합90) 등을 내건 동독정당에 투표했는데 결과적으로 조기통일을

19

주장한 국민연합이 승리하여 점진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과 연립하여 조기 통일을

추진 달성한 것이다

o 독일통일의 상황에서 소련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원조라고 언급하고 있는바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엄밀하게 말한다면 對소련 차관 50억 DM(약 25억 euro) 동독주둔

소련군 36만 명의 철수에 따른 비용 부담 125억 DM(약 64억 euro)이다

IV 미국과 한반도 통일

1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o 미국이 통일과 같은 현상변경보다는 분단이라는 현상유지를 선호한다는 의견에

동감을 표한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의 정확한 출처를 밝혀주었으면 도움이

되겠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o 필자는 lsquo연합제연방제 통일rsquo과 lsquo한국주도의 통일rsquo을 대립적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연방제란 정부구성원리의 하나로서 1국가 2체제(일국양제)만 있는 것이 아니라 1국가

1체제의 연방제도 존재한다 따라서 한국 주도의 통일일지라도 단방제(單邦制) 방식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연방제(聯邦制) 방식이 될 수도 있다

o 통일된 이후가 아니라 전작권 전환 이후에 2013년 한미 양국은 한국군 합참 내에

미래사령부의 구성 계획을 통해 연합지휘체제(한국군 사령관 미군 부사령관)를

구축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o 최근 논의되고 있는 THAAD는 지금도 배치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인가 아니면

통일되면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아니게 되므로 지금 배치했더라도 철수해야 한다는

의미인가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o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우려사안 중 한국 주도의 통일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한미동맹의 약화를 우려한다는 점이 충분히 이해되지 않는다 특히 당장 통일될 것도

아닌데 우려의 근거로 미국의 현실적 상황을 제시한 것들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o 나머지 두 번째 세 번째도 왜 한미동맹이 약화되고 주한미군을 철수하게 될지 하는

원인을 설명하지 않고 그렇다고 전제해 놓고 미국의 대아시아 전략에 미칠 영향과

미∙중 사이의 중립국 지위 유지하는 것은 앞뒤가 바뀐 것이다

V 결론 ndash 정책적 고려사안

o 미국이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했다고 볼 수 있는가 미국이 통일에 대해 처음으로 입장표명을

한 것은 2009년 6월 이명박-부시 대통령의 한미 공동비전이 처음이다 최근 미국

조야의 분위기는 북핵 문제를 풀기 위해 통일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고 오히려 한국

측이 통일에 소극적이라고 질책하기도 하지 않은가

o 중국이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가 통일한국의 핵무기 보유가 아니라

단지 미국의 핵우산 유지를 우려했기 때문인가

o 평화협정이 단지 한국전쟁의 종식만을 위한 것일까 필자가 제시한 첫 번째

20

정책고려사안은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런데 평화협정이

체결되지 않고 정전상태에서 곧바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첫째 우발적 충돌이라도

전쟁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있고 둘째 통일과정에서 정전협정의 당사자인 미국과 중국이

국제법적으로 개입할 가능성이 열려있다

o 본문을 보면 필자는 분단적 평화유지와 평화체제평화협정을 동일시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마저 든다 그리고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다고 했는데 그 근거가 무엇인가 특히 비핵화-평화협정의 순서를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의 입장이 상반된다고 언급했는데 과연 그런가 919공동성명에서 미국과 중국은

동시행동 원칙에 합의한 바 있지 않은가

o 과연 남북한 통일을 위해 내각제가 필요한가는 좀 더 논의해봐야 할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통일을 달성할 때까지는 효율성을 위해 대통령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필자의 주장과 달리 내각제의 경우 잦은 내각교체로 인해 통일정책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수 없는 것 아닌가 lt끝gt

3 문성묵 박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발제문에 대한 논평 우선 김현욱 교수님의 발제문은 한반도 통일의 가능한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독일 사례를 통해 우리의 통일미래를 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접근이라고 봄 특히 남북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매우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제시하고 있는 정책적 제안은 적절하다고 판단되며 대체로 공감함 다만

통일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한 두 가지 추가 제언을 드리고자 함 우선 미국의

우려사항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일한국이 지향하는 한미동맹에 대한 분명한 의지를 미

측에 밝힐 필요가 있음 아울러 통일의 성취를 위해서는 반드시 중국의 협조를

유도해야 하는 바 이를 위해서는 통일한국의 한미동맹이 중국의 국익에도 부합될 수

있다는 논리를 적극 개발하고 중국을 설득하는 노력이 강구되어야 함 이러한 입장을

미국이 중국과 직접 조율해 나가도록 협조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봄 그런 차원에서

본문에서 제시한 한∙미∙중 3자 협의는 유용한 협의기제로 보임

다음은 곽태환원장님께서 제시해 주신 토의중점 주제들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정리하였음

1 한반도 통일을 위해 먼저 극도로 경색된 남북관계부터 풀어나가야 하는데

출구전략은

10월4일 황병서 등 북한고위급인사의 전격 방남으로 대화의 물꼬가 트인 만큼 이달

말 또는 11월초로 예정된 2차 고위급접촉을 통해 남북간 쟁점사항들을 대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풀어나가는 지혜가 필요함

첫째 무엇보다 대화의 지속이 중요함 일회성 대화가 아니라 고위급접촉이든 다른

대화채널이든 대화가 정례화 되는 것 즉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통로는 늘 열려 있어야

할 것임

둘째 사안별 접점 마련이 필요함 즉 상호가 입장차이가 극명한 사안은 일단

21

접어두고 접점 마련이 가능한 사안부터 협의하고 이행을 해 나가는 것임

2 현안이슈인 THAAD 한국배치에 대한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 측면 고려하여 사드

한국배치가 바람직한가 전시작전통제권을 2015년에 받아야 하나 연기 해야 하나

첫째 사드의 한국 배치는 정치적 관점이 아니라 안보적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중국(러시아)과 북한이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있지만 북한위협에 직면한 우리

입장에서는 한미동맹차원에서도 미국의 사드 배치 구상에 협력하는 것이 필요함 따라서

한국과 미국이 중국을 잘 설득할 필요가 있음

둘째 전작권문제 역시 주권 자존심이라는 측면 보다는 국익의 관점에서 판단해야 할

사안임 북 핵문제 등 북한의 위협이 상존하는 현 상황에서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억제력을 확고하게 유지하는 일임 한미연합사는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체제임 따라서 시기에 기초한 접근 보다는 조건에 기초한 접근이 바람직함

3 한반도 통일은 평화적으로 이뤄져야 하는데 남과 북이 합의에 의한 통일이

이뤄지려면 공동통일방안에 대한 합의가 가능한가 6자 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는

평화체제구축은 어떻게 이룰까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통일방안에 대한 남북 간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는 현 상황에서

통일방안부터 협의를 시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봄 우선 대화와 교류확대 등을 통한

화해협력을 추진하면서 향후 북한정권과 체제의 변화가 이루어질 때 통일방안에 대해

본격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함

둘째 핵 문제는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임 이로 인한 무력충돌은

공멸을 의미하기 때문임 따라서 북핵 문제는 우선 강력한 억제로 북핵 사용 자체를

무력화하고 나아가 대화를 통한 외교적 해법을 병행해야 함 즉 6자 회담을 재개하여

919공동성명의 합의정신에 입각하여 풀어나가는 것 이외 다른 적절한 대안은 없어

보임

셋째 평화체제 문제는 6자 회담이 재개되고 북핵 문제에 있어 일정분야 진전이 있을

경우 919 성명에 합의된 별도의 평화포럼을 통해 논의해 나갈 필요가 있음 평화체제는

협정의 체결이 아니라 실질적인 평화상태를 만들어 나가는데 중점을 두고 추진해 나가야

4 4자(미 중 남북한)회담을 통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인가 북이 주장하는 북미간

평화협정이 바람 직 한지 한반도 정전체제를 대체하는 다자 평화체제는 어떤 형태가

바람 직 한가 등

첫째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논의하는 협상은 남북한과 미국 중국이

참여하는 4자회담이 적절하다고 봄 1997~1998년 사이 제네바에서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는 문제를 논의하는 4자회담이 6차례 개최된 바도 있음

둘째 평화체제는 남북간에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미국과 중국이 이를 보장하며 협정은

유엔에 기탁하는 방안이 적절하다고 봄

5 6자 회담을 복원하여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ldquo행동대행동rdquo으로

동시에 해결하자는 제안에 대한 견해는

22

이는 북한이 핵 문제에 대해 한국과 미국 등이 요구하는 수준으로 성의 있는 조치를

취하고 이를 바탕으로 6자회담이 재개된다면 동시에 별도의 포럼을 열어 평화협정

논의를 개시할 수 있을 것임 실질적 평화상태 구축을 위한 남북간 군사적 신뢰구축 및

운용적 군비통제 등을 추진해야 함 평화협정의 체결 시점은 북한 핵이 완전히 폐기되는

시점과 맞추어야 할 것임

6 이러한 통일프로세스에서 과연 미국은 어떤 역할이 바람 직한가

독일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듯이 미국도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함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을 설득하여 한반도 통일에 동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공고한 한미동맹을 유지하여 북한이 변화하도록 유도하며 통일 이후에도 통일한국의

안보환경과 국익에 부합되게 동맹의 형태와 목표 기타 필요한 사항들을 협의하여

합의할 필요가 있음 통일한국이 중국과의 관계에서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는 방법은

미국과의 동맹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생각됨

7 평화적 합의통일방안에 하나의 대안으로 중립화를 통한 한반도 중립화 통일방안에

대한 견해는 미국은 지지 할까 등입니다

중립화 통일방안을 추구한다고 해서 통일이 촉진될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음

중국은 다소 긍정적일지 모르나 우리의 동맹인 미국이 가장 우려하는 사안일 것임 그런

차원에서 중립화 방안은 부적절함 이는 우리 국익이나 안보상 적절치 않은 방안이라고

봄 lt끝gt

4 김준형 박사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교수)

발제 논문에 관한 의견

다음 사항들에서 기본적으로 공감함

한반도통일의 고차방정식에 대한 의미 있는 분석 주변강대국들의 이해관계

특히 통일을 추구함에 있어 미국과 중국의 이해관계를 분석한 부분

냉전붕괴직후 독일의 상황과 당시 미국 및 소련의 입장이 가지는 함의에 대한

분석

북한급변사태가 곧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며 통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북한

주민들의 친한국 성향이나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남북이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

최근 미국이 통일에 대해 기껏해야 소극적 지지입장이며 통일로 인한

한미동맹의 약화가능성에 우려를 가지고 있다는 분석

한미동맹의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치명적이라는 주장도(치명적이라는

표현은 좀 과도한 측면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공감

주변강대국이 한반도통일이 현 동북아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지지하지 않으나 남북한이 원해서 주도적으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반대할 수 없다는

주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사항들에서 문제 제기하고자 함

23

서론에서 밝힌 본문내용 소개가 본문의 실제 내용전개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음 특히 현실적인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를 살펴본다고 했는데 오히려 그간의 남북한

통일안의 한계와 약점을 지적하고 특히 남북한 공히 정치적 통합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진다는 분석 위주임

북한에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 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 미국이 먼저 나서서 개입하지 않을 가능성은

있다 하더라도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해도 미국이 행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는 동의할

수 없음

북한 급변사태의 경우 중국이 자국민 및 재산보호를 명분 삼아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그것이 북중동맹에 의한 자동개입과 UN 상임이사국의

지위를 이용해서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라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려움

북한의 급변사태에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논지와 중국이 북한에 친중 정권을 세울 가능성이 높다는 논지는 자칫 통일보다 동맹을

선택하는 한미동맹 신화론자들의 논리를 강화시킬 수 있는 위험성 내재 박휘락박사가

인용한 미고위당국자의 발언은 context도 다른 것으로 보이고18

한국주도의 통일 역시 한미동맹약화로 이어지고 이는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에

치명적일 것이라고 단정하는 것 역시 같은 식으로 호도될 여지 있음

이 논리가 절대적 친미

보수진영의 동맹강화의 긴급성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논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평화협정이 통일의 전제조건이 아니라는 것에 동의하고 분단적 평화유지에 대한

반대에 동감하지만 평화보다 통일이 우선되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려움

통일을 위해 통일정책의 연속성을 위해 내각제 개헌을 해야 한다는 논리는

지나친 단순화 또는 비약으로 보임

현 정국에 대한 토론자의 견해

지난 7년간의 대북정책 및 통일정책의 한반도의 운명과 관련된 4가지 핵심 변수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① 한미동맹의 근본 성격 변화(대북억지-gt동북아지역군)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을 위해 일본과 한국에 아웃소싱 추진하고 있으며 그 핵심이 지역미사일방어체제

구축

- 전작권환수 시기보다 조건을 우선 고려

- 전작권에 대한 효용성 변화 과거 전략적 유연성은 분담의 차원이었으나 현재는

한미일 군사협력네트워크 통합의 차원으로 변모 따라서 미국이 전작권을 계속 보유하는

것의 효용성이 높아짐(미국의 꽃놀이패)

② 북핵문제의 근본 성격 변화 핵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음

- 미국은 북한에 대한 de facto 보유국 내부적으로 인정19

18 이 발언은 북한의 핵개발 중단 도발가능성 북한개혁 등 중국이 행사할 수 있는 대북 레버리지를 미국이

기대한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됨

19 수년 전 힐러리 클린턴의 발언부터 최근 오바마의 유엔연설 직전에 행한 국가안전보장회의 부의장 벤 로

24

- 발제논문에서 주장하는 통일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미국의 입장과 연결됨

- Permanent crisis 양상 분명 위기이고 해결이 난망한데 아무도 나서서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며 심지어 현 위기국면을 국내정치에 이용하는 측면이 커지는 일종의

북한 핵위기의 default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③ 한반도 통일론의 변화 신뢰프로세스 동평구 통일대박론 드레스덴 선언 등의

많은 제안들이 후속조치 없이 동력을 잃었으며 최근 UN연설에서 재확인되듯이

흡수통일론으로 귀결 남북교류의 제도화 수준은 대단히 높으나 실행수준은 대단히

낮음으로 인해 통일논의에 대한 국민들의 피로감을 확산시키고 이는 국내

안보포퓰리즘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동

④ 북중관계 변화 남북관계의 단절로 인해 긴밀해짐으로 해서 북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하고 있는데 중국의 대북 지분을 향상시켜 유사시 개입의 빌미가 될

가능성이 높음(발제논문도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음-탈북자 관리명분)

미국의 입장에 대한 견해

오바마는 대북정책에 있어 부시 전임정부와는 정반대되는 경향 1기에서의

강경함에서 2기에는 협상무드로 갔던 부시와는 반대로 초기의 온건입장이 시간이

갈수록 강경기조로 넘어가고 있으며 인권압박까지 병행

더 큰 문제는 강경책이든 온건책이든 문제해결을 위한 움직임이 없는 매우

수동적 태도로 일관한다는 것인데 이는 북한문제가 여전히 오바마행정부의

정책우선순위의 상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고 또 북한핵개발

국면을 빌미로 대중국 견제와 미일동맹을 비롯한 아시아동맹네트워크 강화에 활용한다는

것임

오바마의 소위 lsquoDDSSrsquo Doctrine의 근간은 임기 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한반도는 큰 현안 없이 현상유지로 흘러갈 가능성이 큼

미국의 MD 압박 강화될 것임

- 미국이 현재는 한국내 여론을 의식해서 한국정부와 보조를 맞추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MD 편입을 원하고 있기에 압박은 증가할 것임

- 한국과 일본이 참여하는 지역 미사일방어체제 구축은 미국의 아시아재균형전략의

핵심이며 한국의 MD 참여가 중국의 입장에서는 레드라인이지만 미국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한중의 접근을 억제할 수 있는 카드로서의 효용성이 있음

- 한국정부의 태도 변화 사드의 한국도입에 대해 최근에는 수용적 자세로 변화20

미국의 MD 참여 압박에 대해 정부가 진정으로 미국 MD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면 확실한 입장표명을 하거나 공개적으로 국민의 의견을 묻는 것이

필요함(double edge diplomacy 활용)

한국의 과제

즈 발언까지 일관됨 20 10월 7일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한민구장관은 북한 핵middot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사드를 배치하면 우리 안

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함 또한 MD의 핵심 자산을 동원하는 새로운 작전개념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같은 방안을 이달 말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연례 안보협의회에서 공식화할 방침이라고 밝힘

25

남북관계 해결을 위해 한국정부가 선제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시도해야 함

미국이 여러 복잡한 문제로 인해 여유가 없는 상황을 오히려 역이용하는 발상의 전환

필요

미국정부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대북접근에 있어 한미공조 이탈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견제해왔던 것에 비하면 한국의 운신의 폭은 역설적으로 커졌다고 볼 여지

있음 미국이 대북정책에 있어 마땅한 해법도 없고 정책순위는 점점 하락하는 상황에서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주도가 가능할 수도 있음

출구전략

- 6자회담과 919성명의 복원을 통한 문제해결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을 병행

- 524조치에 대한 언급 없이 실질적인 유연화

- 박근혜대통령의 결심이 관건 대화재개조건의 유연화에 대한 한미간 정책조율을

주도할 필요가 있음

5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

한국GPF재단이 주최하는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김현욱 교수께서 발제한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의 주제는 통일을

시급하게 달성해야 하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통일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반세기 이상 한국과 안보동맹을 체결하고 있는 미국의

한반도 통일정책을 논의하는 것은 아주 시의적절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자는 먼저

발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의견을 제시하고 발제자와 토론자 간의 약간의 상이한

견해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하고 곽교수의 질문에 대해 간략하게 답한 후

정책제안의 순서로 기술하고자 합니다

1 발제문에 대한 일반적 평가

발제자의 논문 내용과 접근방법에 대해 토론자는 전적으로 찬성하고 동의합니다

한반도 통일방안의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공감하면서 남북정상이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에 공통점이 있다고 이미 합의하였기

때문에 남북은 장차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 중 하나의 통일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람직한 통일접근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한국이

경계해야 할 것은 발제자도 지적한 바와 같이 북한의 붕괴통일보다는 독일과 같이

평화적 흡수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며 더 좋은 방안은 평화통일을 목표로 하되 점진적

접근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만약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하여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고 가정할 때 한국에게는

lsquo통일의 대박rsquo이 아니라 통일의 쪽박이 될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남북이

평화통일 협상을 통해 점진적 통일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미국의 국가이익과 우려사항에 대한 자세한 분석에 전적으로

동의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많이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서

기대하는 것은 미국의 국익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미국의 대한반도 통일정책이

결정되리라 전망됨으로 통일의 당사자인 남북은 통일의 과정에서 미국의 국익도

고려하면서 남북이 통일의 이니셔티브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6

2 발제 문에 대한 몇 가지 이견

토론자는 발제문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를 하지만 미시적 측면에서 토론자의 이견을

몇 가지 부언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연방제와 연합제를 설명하는 2쪽 문단에서 북한의 연방제를 1980년

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김일성이 발표한 내용을 기준으로 설명했으나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이 한국의 연합제와 좀더 가까운 것은 김일성이 1991년 1월

1일 발표한 lsquo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rsquo이므로 이를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비교분석 하는 것이 좀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980연대 연방제는

남과 북이 lsquo연방상설위원회rsquo를 조직하여 지역정부를 지도하는 중앙정부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1991년의 연방제는 지방정부에 모든 외교권과 군사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국의

연합제 즉 국가연합 형태의 통일방안으로 수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둘째 1991년 북한의 연방제는 남과 북이 어떠한 정치군사적 블록에도 가담하지 않는

중립국가의 외교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남북이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에 공통점을 인정하고 있으나 북한은 연방제가 되었을 때 외교정책은

반드시 비동맹 중립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나 한국은 북한의 그러한 중립정책을

수용하기 어려운 입장이므로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선 듯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셋째 북한의 연방제 실시 조건에서 남한이 수용하기 어려운 또 다른 것은 북한이

주한미군의 철수와 국가보안법을 철폐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장차 남북이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를 실시한다 해도 남한정부의 입장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보안법 철폐는 가장 민감한 문제들이므로 난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끝으로 발제자는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ldquo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케 하고 미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rdquo는 분석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됩니다 미국의 계획에 의하면 lsquo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군은 한국군과

한국인은 북한에 입북하는 것을 금지하고 미군과 일본의 자위대가 북한의 치안을

유지한다rsquo는 주장이 제기되어 이를 확인하고 있습니다(오크랜드 대학교 박문재 박사

주장) 또 다른 주장에 의하면 북한의 급변사태 시 중국군과 미군은 동시에 북한에

상륙하여 일정한 지역을 분할 하여 WMD와 북한 질서를 공동으로 유지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계획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경우 미국에는 분명히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미국의 이익과 우려가 병존하리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어느 것이 미국의 국익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가에 따라 미국의 외교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이며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한반도 정책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과 관련하여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 발제자는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어

대부분의 내용에 동의를 하면서 상이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토론을 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ldquo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으며 2012년 오바마

27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 체제와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통일을 지지했다rdquo는

내용에 대해 미국은 한반도의 통일을 원천적으로 원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토론자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1971년 7월과 2005년 8월 북경에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비밀회담을 갖고 ldquo미국이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양국은 한반도 분단의

현장유지를 계속하자고 합의rdquo한 내용이 미국의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습니다(2005년 9월

7일 Washington Post)

또 다른 예로 한국전쟁을 종결하는 휴전협정 제4조에는 ldquo정전협정 서명 후 3개월

이내에 서명 당사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한다rdquo고 합의했으나 미국은 북한이 핵을 만들기

전에도 북한의 평화협정 요구를 거절해 왔으며 이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해야

평화협정을 체결해 주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의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은 외교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둘째 과거 독일통일의 과정에서 고르바초프는 독일의 중립화를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미국은 통일된 독일이 NATO에 잔류해야 한다는 조건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결국

고르비가 양보하고 미국의 안이 채택되었으나 거기에는 서독이 소련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수용한 대가라고 합니다(주섭일 기자의 『1990년 독일통일과 2017년 한반도

통일』)

셋째 미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문제에 대해 크게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미국은

한반도가 통일이 된 뒤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주한 미군의

역할은 북한의 위협보다는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주한 미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미국의 재

균형정책도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넷째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미국의 동북아시아 국가에 대한 군수산업이 대폭

축소될 것이며 통일된 한반도가 미-중 간에 균형외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대중 견제는 급속하게 감소될 전망입니다

끝으로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은 감소된 반면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되어 미국의

장기적 전략인 미국의 군사비 감축과 국내외 여건으로 주한미군의 유지가 어렵게 될

경우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감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므로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4 한국의 당면 과제

한국은 대북정책의 출구전략으로 10월 3일 북한 실세의 한국방문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려 북한이 필요로 하는 경제지원과 5ㆍ24조치 해제를 전제로 북한의 양보를 얻어 내

남북관계의 출구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한국정부는 미국이 요청한 THAAD

구입이나 배치를 허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남북간의 평화체제 구축은 1단계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기 보다는 남북이 이미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를 비롯하여 6 ㆍ 15선언과 10 ㆍ 4선언의 내용 중 실천이 용이한

문제부터 실천하면서 남북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북한과 미국의

관계에서 미국이 현재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한국은

북한과 먼저 신뢰를 회복한 후 기본합의서에 이미 명시되어 있는 남북한의 불가침조약을

먼저 체결하고 서울과 평양에 대표부를 설치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한반도

28

비핵화를 위해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으로 핵

문제는 북미간의 문제로 유지하면서 남북한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요구를

하면서 남북의 해빙무드를 먼저 조성하는데 한국은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은 현재도 비동맹 중립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북한의 연방제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조심스럽게 중립화 문제를 거론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검토를 해야 할 것입니다

5 정책제안

한반도 주변 4강은 현재 그들의 국가이익과 한반도 통일이 그들에게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한반도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므로 한국정부는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북한에 비핵화 요구보다 협상을 통해 단계적으로 북한이 한국의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제안이나 구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서

북한이 시급하게 원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524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북한의 양보와 협력을 받아 내야 할

것입니다lt끝gt

6 장용석 박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1 통일과 관련하여 발표자의 다음 지적은 매우 중요함

- ① 기능주의적 접근의 한계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 필요성 ② 북한

주민들의 선택이 지닌 중요성과 그에 대한 고려 필요성 ③ 통일 대북정책의 연속성과

북한 리더십 포용을 위한 내각제 개헌의 필요성

2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과 관련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함

- 동서독은 유럽차원에서 NATO와 WTO간 세력균형 이를 바탕으로 한 동서 간

긴장완화와 특히 헬싱키 프로세스와 CSCE 등을 통한 공동안보 틀 구축 등으로 인해

교류협력에서 안보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특히 동독이 경우 패전의

여파겠지만 북한과는 달리 자국의 안보를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음

- 반면 남북을 둘러싼 지역 안보 환경은 미∙중 간의 긴장과 갈등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고 있고 특히 북한의 경우 지정학적 요충지론에 입각하여 자주-존엄-

선군의 기치 하에 핵보유까지 천명하고 비대칭적 전력의 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으로써 동서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교류협력의 직접적인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 따라서 동북아 지역차원에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협력적 안보 틀이나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공존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rArr 이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ldquo작고 쉬운 것부터rdquo 논리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를 외면하는 기능주의의 또 다른 버전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발표자의 평가는

무엇인지

rArr 아울러 평화협정은 평화적 공존의 제도화와 군비통제를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분단관리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게 아닌지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6: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6

다른 두 개의 나라 간의 연방이 어떻게 국가를 운영해 나갈지에 대해 과제를 안고 있다

한국의 연합제 방안 역시 궁극적인 통일의 목표를 1국가1체제로 상정하고는 있으나

기능주의적 접근방식에 입각한 통일방안으로는 정치적 통합이 용이하지 않다

2 북한 급변사태로 인한 통일

북한급변사태로 인해 북한을 흡수통일하는 방안은 탈냉전 초기에나 가능했던

시나리오이다 당시 미국은 초강대국의 지위를 누리고 있었고 따라서 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중국의 세력이 미미한 상황에서 한국군과 함께 개입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이 경우 흡수통일 달성이 가능했다 그러나 현재 한반도를 사이에 두고 미중

양국의 세력이 비등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의 개입은 그다지 쉽지 않다

이 같은 상황에서 북한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게 하고 자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4 또한 북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며

이에 반해 중국은 탈북자들의 통제 목적 이외의 경우에도 북한에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하려 할 것이다 5

한국의 개입은 국제적으로 쉽게 용인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 즉 유엔에 남북한

양국이 동시 가입한 사실은 남북한이 별도의 국가라는 근거로 사용될 수가 있으며 이

경우 북한의 급변상황에 한국이 개입하는 것은 유엔헌장에 위배된다

이와 같이 미국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하려는 상황 속에서 한국이 독단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여지 역시 줄어들게 된다

6

이 같이 적극적인 중국의 개입 가능성이 존재할 경우 미중 양국은 모종의 타협을 할

가능성이 있는데 양국은 북한급변상황이 어느 한 국가에게도 유리하지 않는 현상유지에

대한 타협을 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 상황수습을 국제연합으로 넘길 가능성이

유엔헌장 제2조

4항은 ldquo모든 회원국은 국제관계에 있어 다른 국가의 영토보전이나 정치적 독립에

반하거나 또는 국제연합의 목적과 양립할 수 없는 다른 어떠한 형태의 무력위협 또는

무력행사를 삼간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다

개입에 적극적인 국가는 중국인데 중국은 탈북자들을 관리하기 위한 명분으로

접경북한영토에 탈북자보호시설을 만들려 할 것이다 이미 국경지대에 상당한 규모의

중국군사력을 배치해 놓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북중 간에는 동맹조약에 의하여

자동개입이 보장되어 있으며 북한이 중국의 개입을 요청하지 않더라도 중국은

UN상임이사국 지위를 이용하여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다 급변상황을 안정화한다는 명분

하에 중국인민군은 평양지역까지 진출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4 Bruce KlingnerldquoNew Leaders Old Dangers What North Korean Succession Means for the USrdquo

Backgrounder No 2397 Heritage Foundation Apr 7 2010 p 13 5 Bruce W Bennett Preparing for the Possibility of a North Korean Collapse RAND Corporation

2013 6 박휘락 ldquo북한급변사태와 통일에 대한 현실성 분석과 과제rdquo 국가전략 164 2010 p 72

7

있다 하나 우려스러운 것은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박휘락 박사에 의하면 2004년 한미 양국이 개최한 pol-mil 게임에서 한 전직

미 고위당국자가 이와 같은 발언을 했다고 한다 ldquo미국은 북한의 어떠한 사태에서도

중국이 영향력을 행사하려 할 것이라는 점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이것이 미국의

입장에서 반드시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북한이 중국의 말만 제대로 들어도 핵을

포기하고 개혁∙개방을 할 것이니까rdquo7

현재 한국과 북한의 공식 통일방안인 연합제나 연방제 방안에 의하면 궁극적으로 가장

우려되는 것은 정치통합이다 실제 이는 예멘통일의 과정에서 증명되었는데 예멘통일은

북예멘과 남예멘 간의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 교류로 인해 이루어졌다기 보다는

아랍연맹국가들의 중재로 인해 성사되었다 이로 인해 예멘은 1차 통일을 이루게 되는데

비례대표제에 의해 연방제적 통일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결국 사회문화적 유대감의

부족으로 인해 결국 양국은 군사적 정치적 사회적 대립을 노출시켰고 결국 무력을

동원한 2차통일에 의해 궁극적인 통일을 이루게 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북한급변사태는 한반도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다 미중 양 강대국이

한반도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고 어느 한 쪽이 북한에 대해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기를 바라지 않는다 현 동북아시아의 역학구도 상에서 북한급변사태는

현상유지로 갈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북한 주민들이 친한국 성향을 강하게 소유하게

된다면 따라서 북한급변사태가 발생했을 경우나 이 경우 중국이 개입하여 친중국

정권을 수립하려 든다면 이에 대한 북한주민들의 반발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북한주민들의 충분한 경제력이 존재해야 하고 남한과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이 존재해야 한다

3 남한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통일 하는 방안

이 방안은 독일통일이 이루어진 것과 유사한 방안이다 이 방안에 따르면 남북한

국민들이 문화적 동질성을 가지고 북한주민들이 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을

가지는 데서 출발한다 독일의 경우처럼 통일의 과정 중에서 총선거에 의해 남한의

체제에 의한 통일이 이루어지는 것이 이 시나리오에 의한 통일 방안이다 즉 남한의

평화적인 북한 흡수통일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북한주민들의 친 한국 정체성은 북한급변사태가 발생했을 경우에도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했을 경우에

중국은 북한에 개입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북한이 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을

가지고 있거나 민족적 동질성을 가지고 있게 될 경우에 북한 주민들은 중국의 진입에

반감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 방안은 미국의 이익에 가장 많이 기여하는 방안이 될

것이며 통일 후 한미동맹의 유지 발전과도 가장 잘 어울릴 수 있는 통일방안이다

8

7 박휘락 ldquo북한급변사태와 통일에 대한 현실성 분석과 과제rdquo 국가전략 16 4 2010 pp 45-47

8 임현진 정영철 21세기 통일한국을 향한 모색 분단과 통일의 변증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pp 293-

8

따라서 한반도 통일을 위해서는 정치통합이라는 난제를 극복해야 하며 이를 이루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실제 서독의

신동방정책의 핵심은 이에 있었으며 베를린 장벽의 붕괴로 인해 통일에 대한 열기가

달아오를 무렵 동독의 라이프치히에서는 1990년 1월 20만 명의 동독시민이 참가한

가운데 대규모 반공 및 통일 요구시위가 발생한 바 있다 9 또한 1990년 동독에서

자유총선거가 실시되었을 때 유권자들의 9322의 투표결과는 ldquo다시는 사회주의가

아니라 자유와 번영을rdquo이라는 구호를 내걸고 동독의 서독으로의 신속한 편입을 주장한

독일연합의 승리였다10

III 독일 사례와 미국

독일의 경우 동서독 간 통합에 의한 통일을 추진했었으나 동시에 경제협력과 교류를

통해 동독주민들이 서독체제에 대해 동경심을 갖도록 하였다 즉 빌리 브란트 총리의

신동방정책은 동독주민들의 정체성을 서독지향적으로 이끄는 데 기여하였다 그 결과

통일독일을 위한 총선거에서 대다수의 동독주민들은 서독의 정치체제와 정당에

투표하였으며 자연스럽게 통일독일은 서독중심의 국가로 형성되었다

독일통일이 이루어질 당시 유럽정세는 베를린장벽의 붕괴와 함께 구 소련의 세력이

위축되고 미국의 세력이 증가하고 있을 때였다 이와 같은 정세는 미국으로 하여금

독일통일을 지지하게끔 하는 요인이 되었는데 통일독일의 지위가 미국의 이익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유럽정상회담 연설에서 부시

대통령은 독일통일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하면서 독일민족의 자결권 존중 등 독일통일의

4원칙을 언명하였다 첫째로 어떤 특정한 통일을 상정하지 않는 독일민족의 자결권을

존중한다는 것이었으며 둘째로 독일의 NATO잔류와 유럽통합의 지속 동맹국의 법적

역할과 책임을 존중하고 셋째로 통일은 전반적인 유럽의 안정에 도움이 되도록 평화적

점진적 단계적으로 추진하며 마지막으로 국경문제는 헬싱키 최종의정서의 원칙에

따르고 유럽변경의 불가침성을 인정한다는 것이었다11

4 9 황병덕 외 독일의 평화통일과 통일독일 20년 발전상 통일연구원 2011 p 173

10 황병덕 외 독일의 평화통일과 통일독일 20년 발전상 통일연구원 2011 p 179 11 Philip Zelikow and Condoleezza Rice Germany Unified and Europe Transformed A Study in Statecraft 1997 p 113

1990년도 독일 콜 수상은 고르바초프와도 만나 6가지 사안에 대해 합의를 이루었다

1) 통일 이후 독일의 군사력이 37만 이하로 유지할 것

2) 핵무기와 생화학무기의 생산 및 소유를 금지할 것

3) 소련군은 동독지역에 1994년 말까지 머무른다는 것

4) 나토군은 독일 동쪽 영토에서 소련군이 철군하기 전에 머물 수 없다는 것

5) 소련군의 철수 비용을 지원할 것

9

6) 독일과 소련 간 경제적 협조관계 조약을 맺을 것12

당시 미국은 독일의 통일을 지지했는데 독일이 나토와 EC에 머무른다는 조건

하에서였다 미국은 독일이 나토에 머물지 않으면 중립화 독일이 될 것이며 이는

핵무기 보유를 시도하게 될 것이라고 소련에게 주장했다 미국은 소련에게 나토군이

1994년까지 독일의 동쪽 영토에 머무르지 않을 것을 약속하였다 독일통일에 대해

미국이 생각하고 있던 구체적인 이익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로 동부독일의 경제적

요인으로 인해 미국의 대독일 수출이 증가할 것이며 미국의 투자 역시 증대할 것이다

둘째로 2+4조약은 독일군을 제외한 나토군이 구 동독지역에 주둔하지 못한다고

기술하고 있으며 주둔은 소련군의 철수 이후에나 가능하다 독일은 또한 핵무기와

생화학무기의 제조 소유 그리고 통제를 포기한다 따라서 독일통일로 인해 NATO에서

미국의 영향력 확대가 가능하다 셋째는 독일의 CSCE 지역기구화와 동 기구의

안보역할 확대는 미국의 입장과 충돌할 수 있다 미국은 CSCE와 NATO중 NATO의

역할 확대를 원한다

13

당시 독일통일에 대한 미국의 태도는 독일을 NATO에 유지시키는 것을 우선순위로

두고 있었다 멸망하는 구 소련의 경우 독일통일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이었으나 냉전의

종식과 강대국인 미국의 통일지지 앞에 적극적으로 반대하기 힘든 상황이었다 이

상황에서 소련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원조에 있었다 현재 중국의 부상과 미국의 쇠퇴

가능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과연 미국이 독일통일의 경우처럼 한반도 통일을

지지해줄지는 미지수이다 또한 중국이 한국의 통일을 적극적으로 반대할지 여부도

불확실하다 당시 독일은 소련군의 철수를 위해 1994년까지 구 동독지역에 서방군대를

배치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했으며 NATO회원국으로서의 독일이 소련에 직접적인

위협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약속을 하여 소련군의 반대를 무마시켰다

14

IV 미국과 한반도 통일

이와 같은

우리의 외교적 노력이 미중 양국에 대해서 추진될 필요가 있다

1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해왔다 부시 대통령과 클린턴 대통령은

lsquo한국국민이 수용할 수 있는 조건에 기반한 평화적 통일rsquo을 지지했다 2012년 박근혜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 간의 정상회담에서 한미 양측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그리고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적 통일을 지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 대해 독일통일의 경우처럼 적극적으로

12

박영호 한국의 대미통일외교전략 민족통일연구원 1998 p 28 13 Paul E Gallis and Steven J Woehrel Germany after Unification Implications for US Interests CRS Issue Brief CRS Feb 20 1991 14

김규륜 외 한반도통일의 미래와 주변4국의 기대 통일연구원 2013 p 62

10

지지할 지는 미지수이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에 따르면 미국의 대 한반도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다 1) 수평적 핵확산 방지 2) 수직적 핵확산 방지 3) 비핵화 4)

급변사태 계획 5) 북한에 대한 개입정책 6) 북한주민들의 상황 개선 즉 미국은 한반도

통일의 경우 현 북한이 소유하고 있는 핵무기를 폐기하고 핵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익을 가지고 있으며 이 문제가 해결된다면 더 이상 한반도 통일에 적극적일 이유가

없는 것이다

이는 현재 동북아시아의 역학구도를 보면 더욱 설득력이 있는데 독일통일의 경우 구

소련의 멸망과 함께 독일통일은 NATO의 확대와 함께 미국의 세력권을 확대시키는

이익을 가져다 주었다 그러나 현재 동북아시아는 중국의 부상과 함께 통일한국이

미국의 동아시아 패권에 도움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확신을 가져다주지 못한다 또한

최근 한중관계 강화로 인해 미국 내부에서는 통일한국이 친미가 아닌 친중 국가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미국이 향후 한반도 통일을 지지하기 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는 통일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연합제연방제에 의해 통일이 이루어지는 경우 한미동맹은 폐기될 수 있고 주한미군은

미국으로 철수할 수 있다 이 경우 한미동맹의 미래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연합제연방제에 의해 통일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한미동맹이 존재할 수 있으나 이

경우 한미동맹의 역할은 매우 제한적이게 되며 동맹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메카니즘이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필자는 한국주도의 통일이 달성되는 경우에

중점을 두고 한미동맹의 미래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한국주도의 통일이 달성될 경우에도 한미동맹에는 많은 변화가 생기게

된다 동맹에는 비전적 측면(attitudinal)과 운용적 측면(behavioral)이 존재한다 비전적

측면에는 동맹의 존재이유(rationale) 위협인식(threat perception) 목적(objective)

등이 해당되며 운용적 측면에는 군사지휘체계 구성 방위비 분담문제 기지배치 문제

군사전술 등이 해당된다 통일 이후 한국은 미국과 함께 새로운 한미동맹의 로드맵을

작성해야 하며 이는 또 다른 동맹변환의 작업이 될 것이다 즉 한미 양국은 한미동맹의

공동의 전략적 목적(common strategic objective)에 대해 논의해야 하며 그 이후에

양국 군의 역할 임무 능력 (roles missions and capabilities)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

먼저 한국과 미국의 위협인식은 지역적 글로벌 차원에서의 위협이 그 대상이 된다

북한의 위협이 사라지게 될 경우 한미 양국은 지역적 안보위협에 대해 대처하여야 하며

이 경우 중국에 대한 대처는 포함되지 않게 될 것이다 이에 기반하여 양국은 동맹의

전략적 목적을 결정하게 된다 결국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주요 전략적 목적은 지역적

안보질서의 유지가 될 것이다

중요한 것은 운용적 측면에서 동맹의 로드맵을 어떻게 작성하느냐인데 이 경우

11

주한미군의 규모와 배치 전략적 유연성 문제 군사지휘체계 문제 등이 주요이슈이다

먼저 군사지휘체계에 있어서 한국은 더 이상 미군에게 전시작전통제권을 위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미일동맹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미 양국 군은 개별적인 지휘체계를

유지하며 유사시에 협조할 수 있는 협조체제를 구축하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해

주한미군은 더 이상 북한 위협이 존재하지 않는 한반도에 현재와 같은 병력이 상주할

필요가 없게 되며 전략적 유연성을 강화하여 한국군과 함께 지역적 글로벌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보다 유연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중요한 것은 주한미군의 규모와 배치이다 한반도에 주둔하고 있는 주한미군의

지상군(ground force)의 규모는 줄어들게 될 것이다 중국을 의식하여 주한미군의

위치도 현 남한 영토에 한정되어야 하며 38선 이북에는 주한미군을 제외한 한국군이

주둔하게 될 수 있다 한미동맹이 지역적 운용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이것이 중국을

겨냥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미국중심의 미사일방어체계는 한반도에서의 운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최근 논의되고 있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역시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즉 통일 한국의 주한미군은 주로 해군이나

공군을 위주로 형성되어야 하며 지상군을 비롯한 전체 군사력은 삭감되어야 할 것이다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여러 자료에 의거하면 통일한국에 대한 미국의 이익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15

5) 통일로 인해 한반도 전면전 상황(all-out warfare situation) 가능성이 사라지면서

미국은 이에 대비하기 위한 작계를 만들 필요성 및 부담감이 사라지게 된다 현재

미국의 국방비 삭감 및 시퀘스터 상황으로 인해 국방전략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1)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주요 이익은 핵무기와 미사일의 개발을 제거하거나 방지하는

것이다 급변사태가 발생하게 되면 미국의 주요 우려사안은 북한의 대량살상무기가

한반도 지역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다 통일은 북한의 핵확산방지를 달성할

수 있다 즉 통일은 NPT체제강화에 기여하게 된다

2) 시장경제체제 지향적인 통일한국은 미국의 이익에 기여하게 된다 구 북한영토는

미국의 투자를 필요로 하게 되며 이는 미국의 경제적 이익을 증가시키게 된다

3) 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 체제에 의거한 통일한국은 미국으로 하여금 주요가치의

세계적 확산을 위한 모멘텀 역할을 하게 된다

4) 한미동맹은 통일 이후 새로운 역할과 임무를 맡게 될 것이며 이는 지역질서와 안정

유지이다 이것은 미국이 추구하고 있는 아시아 재균형 정책의 주요한 자산이 될 것이며

미국으로 하여금 국제적 강대국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이다

15 Americarsquos National Interests The Commission on Americarsquos National Security 2000 US Department of Defense A Strategic Framework for the Asia Pacific Rim Report to Congress 1992 A Blueprint for US Policy towards a Unified Korea CSIS Working Group Report August 2002 Peter Murphy Lewis ldquoUS Foreign Policy towards the Korean Peninsula An Anti-Unification Policy or Just Too Many Uncertainties to Account For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62 December 2007 차두현 ldquo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시각 기회와 도전rdquo 글로벌정치연구 32 2010 pp 43-44

12

이미 2개의 전쟁이 종료된 이후 2개 전쟁 동시수행 전략은 2012년 defense strategic

guidance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반도 전면전 상황은 미국에게는

부담스러운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 대한 몇 가지 우려사안을 가지고 있다 먼저

미국은 통일한국으로 인해 한미동맹이 약화될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현재

미국은 경제력 약화와 국방비 삭감으로 인해 아시아 재균형 전략에 차질을 빚고 있다

2014년 4년 주기 국방검토 보고서 (QDR)에 따르면 미국은 2개의 전쟁을 종식하고

국방비를 삭감하고 있는 상황이며 아시아 재균형 정책을 장기적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즉 국방비 삭감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장기적으로 아시아지역에 미

해군병력의 60를 배치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동맹국들의

역할을 매우 중시하고 있으며 이런 차원에서 통일이 가져다 주는 한미동맹의 약화

가능성은 미국에게 큰 우려사안이 될 수 있다

두 번째로 한미동맹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매우 치명적이다 현재

아시아정책의 중심축인 미일동맹과 달리 한미동맹은 미군의 전방배치(forward

deployment)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즉 현재 주한미군은 북한이라는

대리국가(proxy state)를 통해 중국을 가장 근접에서 억지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10년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포격사건의 경우에도 미국은 한반도에 항공모함을

출격시켰는데 이는 중국에게 매우 치명적인 위협으로 다가왔었다 즉 미국에게 북한의

군사적 행위는 중국을 견제할 수 있는 좋은 구실이며 주한미군은 중국을 가장

근거리에서 견제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만일 통일로 인해 북한이 사라지고

한미동맹이 약화되거나 역할이 변경되면 미국의 대중국 견제전략에는 차질을 빚게 된다

세 번째로 미국은 한국이 주한미군을 철수시키고 미∙중 양국 사이에서 중립국 지위를

유지하는 경우를 우려한다 통일이 이루어질 경우 미∙중 간의 경쟁에 의해 통일한국은

중립화 노선을 추진할 수 있다 이 경우 미국의 핵우산 제공이 어려워지게 되며 이는

중국과 일본의 군사력 강화 사이에서 통일한국의 안보불안을 야기시키게 된다 과거

통일독일의 중립화에 대해 미국이 우려를 표명했던 것처럼 통일한국은 자체적인 군사력

강화를 추진할 수 있으며 이에는 핵개발도 포함될 수 있다

V 결론 - 정책적 고려사안

현재 동북아지역의 국가들은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입장이다 기술한 바와 같이 미국

역시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한반도 통일에 대해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입장은

기타 동북아국가들 예를 들어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서 통일에 우호적이다 미국의

이익이 한반도의 이익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은 미국이 통일을 반대하거나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미국이 가지는 지정학적 위치로 인함이다 한반도에서 멀리 떨어져

13

있는 미국의 위치 상 미국은 한반도 통일이 미국에게 직접적으로 이익을 가져다 주지

않더라도 주변국들에 비해 강하게 반대하지 않는 입장이다16

관련하여 빅터 차는 이와 같이 말했다 ldquo모든 강대국들은 한반도의 통일이 지역적

세력균형에 변화를 가져 올까봐 통일에 반대하는 입장이다hellip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한국이 당장 통일절차를 추진하게 될 경우 주변 강대국들은 모두 통일에 찬성하는

입장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 새롭게 통일되는 강대국 한국이 탄생할 경우 통일에 대한

반대입장을 보였던 국가들은 통일한국에게 적대국가로 인식될 것이기 때문이다hellip

한국민들은 일단 통일절차를 시작하게 되면 주변국가들이 이에 찬성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게 될 것 이다helliprdquo

중국의 한반도 통일에 대해 lsquo평화적이고 독자적이며 점진적인 비핵화 통일rsquo을

지지하는 입장이다 즉 평화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이 중국의 경제적 발전에

해를 끼쳐서는 안되기 때문이고 독자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한국이 미국

쪽으로 경사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며 점진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이 지역적

안정을 헤쳐서는 안되기 때문이며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한국에

미국의 핵우산이 유지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결국 독립적인 통일과 비핵화에 기반한

통일 지지 입장은 모두 한미동맹과 관련되어 있다 중국은 친미 성향의 통일한국에

반대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국정부는 보다 세심한 통일준비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몇 가지 정책적 고려사안을 제시한다 첫 번째로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한국은 독일과 달리 패전국 지위가 없으며 따라서 통일을 이루기 위해

4 개 조약당사국들로부터의 승인이 필요했던 독일과는 달리 주변국들로부터 아무런

승인을 받을 필요가 없다 독일은 포츠담회담에서 승전 4 개국이 분할점령하기로

합의하였으며 이것이 냉전과 함께 분단으로 이어졌기 때문에 통일국가를 이루기

위해서는 분할점령을 합의했던 4 개국들의 승인이 필요했다 게다가 독일통일의 경우에

이미 2+4 회의에서 독일통일을 승인하기 이전에 동독의 독일연방 가입이 결정되었기

때문에 후속적 승인에 불과하였다 한국과 북한 양국이 통일과정에 대해 합의하고

추진하여 통일을 달성하면 주변국가들은 이에 동의할 수 밖에 없다

17

두 번째로 평화협정은 휴전중인 한국전쟁을 종식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지 통일의

전제조건은 아니다 한국정부는 그 동안 통일이 아닌 분단적 평화유지에 지나치게

집착해왔다 이는 통일을 위한 본격적인 정책추진이 아닌 단지 정전상태를 평화상태로

바꾸는 것에 불과하며 이를 위해서 지불해야 할 비용 역시 지나치게 높다 즉 북한은

평화협정 체결을 위해 주한미군의 철수 등을 주장하고 있으며 이는 현 한국의 안보상황

16 Peter Murphy Lewis US Foreign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An Anti-Unification Policy or Just Too Many Uncertainties to Account For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62 December 2007 p 107 17 Victor Cha The Contiuity behind the Change in Korea Orbis No44 (Fall 2000)

14

속에서는 불가능한 조치들이다 이제는 한반도 평화가 아닌 통일을 정책적 목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평화협정

문제를 논의하는 것은 결국 입장차이를 확인할 뿐 실제 평화체제가 확립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미국은 평화협정 체결이 북한 비핵화를 먼저 이룬 이후에 가능하다는

입장이며 중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하게 되면 북한비핵화 등 제반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따라서 남북한 양국은 이제 소모적인 평화협정 논의 이외에 본격적인

통일논의를 통해 남북한 당사국들의 이익에 보다 충실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 한∙미∙중 3 자회의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미 한∙미∙중 3 개국은 작년에

1 차 전략대화를 개최하였다 주요 이슈는 북한 핵문제였는데 이와 같이 북한

핵문제에서 이슈를 확대하여 한반도 통일 북한급변사태 등 다양한 문제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남북통일은 미∙중 양국의 이익 및 세력균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3 국 전략대화에서 한반도 통일에 관한 입장을 조율하고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역할과

임무에 대한 각기 다른 이해관계를 조율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은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 남북한 통일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한국

내부의 통일정책을 하나로 수렴시키는 일이다 현 대통령제 하에서는 연속적인

통일정책이 중장기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고 정책적인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 또한 통일과정에서 북한리더십을 통일한국의

정치체제로 통합할 필요성이 있다 독일통일과정에서도 총선거를 통해 동독 지도부가

독일연방으로 통합되었듯이 남북한 정치통합을 위해서는 내각제 체제가 더 적합하다

15

제6회 정책포럼 토론문 (무순 제출순서대로 편집)

1 김동현 교수 (고려대 일민국제관계연구원 방문학자 북한대학원대 초빙교수 전 존스

홉킨스 국제대학원 겸임교수 및 방문학자)

총평 한반도 통일을 주제로 창의적인 노력을 보여준 발제자에게 우선 찬사를 보낸다

발제자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 부분이 많이 있지만 김현욱 박사가 과시한 학술적

접근방식과 독창적인 의견들은 높이 평가한다

- 우선 여러 가지 통일 시나리오를 가상하고 그와 관련된 논의를 흥미 있게 전개하지만

지금까지 국제 정치사상 어떤 시나리오가 상정한대로 어느 문제가 해결된 것이 없디

역사에 가정이 없듯이 국제정치의 현실에서 ldquoScenariordquo의 가정도 설 땅이 없다

시나리오를 추구하는 학자들은 바둑놀이를 계속하는 것과 같다 바둑을 둬서 어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지만 두뇌기능을 진척시키고 치매 방지 등 건강에 도움이

되는 정도라고나 할까 학자들의 장기중의 하나는 간단한 문제를 복잡하게 해석하고

신조어를 만들어 내며 독자들을 헷갈리게 하는 재주다

발제자 주장에 대한 토론

- 615 정상선언은 남한의 국가연합 방안과 북한의 느슨한 연방체 간에 공통점이

존재하며 앞으로 ldquo그런 방향으로 (통일을) 추진한다rdquo고 합의 했을 뿐 그 후에 어떻게

정치체제를 통합하겠다는 언급이 없었던 사실을 발제자가 정확하게 지적했다 그러나

당시 한국측 주역들은 연합과 연방단계를 묶어서 Federation 이 아닌 Confederation 의

형식으로 교류와 협력이 무르익는 ldquo사실상의 통일 ndash De Facto or Virtual Unificationrdquo

을 이룬 다음에 완벽한 법적 통일 ndash ldquo De Jure Unificationrdquo 로 간다는 것이다 DJ 의 3

단계가 연합 ndash 연방 ndash 완전통일 이었다면 임동원은 화해 협력 ndash 사실상의 통일인 연합

그 후에 법적 통일의 3 단계였는데 이 점은 615 선언협상과정을 통해서 DJ도 동의

했다는 것이다 (ldquo피스메이커rdquo에서 - 이 통일 과정에 소요 되는 시간을 DJ 는 10 년

김정일은 40mdash50 년으로 예상했다)

- 발제자가 논의한 ldquo급변사태로 인한 통일에 대해서 ldquo급변사태rdquo에 대한 정의는

무엇인가 중국의 개입가능성이 높고 미국의 개입가능성을 낮다고 하는데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논의 되어 온 것 이상의 논리가 없다 미국의

역할을 예측하는 문헌으로 Bruce Klinger 와 Bruce Bennett 의 글을 주석으로 달고

있는데 이 두 사람은 북한의 붕괴를 이념적으로 바라면서 근거가 미약한 붕괴론을

확산 시켜온 인물들이다 다만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남북한이 둘 다 유엔회원국이기

때문에 만약 북한에 권력공백 상태가 생겼을 때 누가 들어 가서 평정 및 관리를 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유엔차원에서는 아직 한 번도 논의된 적이 없는 문제다 유엔 임시

한국위원회에서 대한민국정부 수립에 앞선 선거 감시를 했고 625 때 38 선 이북으로

북진 할 때도 당시 유엔군 사령부는 수복지구에 대한 행정권을 정식으로 한국에 넘기지

않았다

16

- 한국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 하는 방안에 대해서 우선 발제자가 말하는

ldquo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rdquo의 뜻은 우호적 태도 호감 영어로 말하는 Identity

라면 북한 주민들이 ldquo우리는 남한 사람들과 같다rdquo는 뜻인가 정체성이 정치적 동질성을

말한다면 이를 이룩하기 위한 노력이 장기간 섬세하게 선행 되야 할 것이다 예멘의

사례도 학술적인 참고는 되지만 정책상의 참고는 될 것 같지 않다 물론 최종적인

정치 사회 통합은 현재의 정부 방식으로는 통일의 최종적 과제이다 그러나 평화를

보장하는 사실상의 통일 단계에만 돌입해도 궁극적인 통일로 향하는 엄청난 성과가 될

것이다 그래서 통일은 과정이란 말이 나왔다

- 독일의 사례 대해서 한국통일 논의에서 독일통일의 모델이 약의 감초처럼

등장하는 데 독일에 가서 독일 통일 과정을 공부한 한국인들을 제외하면 독일인

독일통일 전문가들은 한국과 독일 여러 가지 여건이 (역사 경제 문화 국제환경)

다르기 때문에 독일통일방법을 모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을 많이 하고 있다

토론자의 생각도 같다 물론 독일과정에서 있었던 일들 중 한국이 배우고 참고로 해야

할 점이 많이 있음은 부인치 않는다 (예 정권교체와 관계없는 일관된 정책의 지속성

같은 것 ndash 발제자는 이를 위해 내각제 개헌을 제안) 독일 통일과 관련된 미국의

이해관계를 소상하게 기술했는데 이 것도 본 발제문 주제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지 않는다

-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에 대해서 해방 이후 미국은 유엔결의문 등을

통해서 평화적으로 한반도에 자유 민주 통일 정부가 수립되기를 바란다 고 언급해 왔고

아버지 부시 클린턴은 ldquo한국국민 (the Korean people) 이 원하는 통일rdquo그리고 아들

부시와 오바마 때와서는 ldquo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체제의 통일rdquo을 지지한다고 공언했다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은 한국 헌법에 부합하지만 북한에 입장에서는

ldquo흡수통일rdquo로 받아 들린다 당연히 북한이 반발한다 2000 년 10월 김정일은 이렇게

말했다 ldquo우리는 제도에 의한 통일은 반대다 평화통일 하면 우리는 우리 식으로

통일하는 것을 말하고 민주 통일은 남조선 원하는 통일이다 평화통일이 되면 중국이

좋아하고 민주통일이 되면 일본이 좋아할 것이다rdquo

1991 년 6월 토론자가 평양에 갔을 때 당시 북한 군축평화 연구 소장 송호경 (후에

아태위 부위원장) 은 이렇게 말했다 ldquo 1민족 1 국가 2 체제 고려연방제는 한쪽이 다른

한쪽을 먹을 수 없는 상태로 공존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상태를 해소할 수 있는

쌍방간의 합의나 체제통일이 없으면 이 상태가 마냥 계속될 수 있다 영구히 갈런지도

모른다rdquo

- 지금까지 미국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한국 통일에 대한 수사적 지지만∙ 했을 뿐

한국통일을 위해 노력한 흔적이 없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현재 미중은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 속에서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각각의 전략적 이익 때문에 한반도에서

무탈 무사 현상유지를 원하고 있다 발제자가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간행물을

인용했는데 토론자는 이 것도 못 마땅하게 생각한다 그 간행물에 관여 한 소위

미국인 전문가들 중에 한국통일 전문가는 별로 없다 Victor Cha가 미국의 거물학자로

여겨지는 것도 못 마땅하다 (나는 이런 것을 미국에 대한 학문적 사대주의 ndash

Academic Sycophancy 라 부른다) 미국문제는 미국인들이 잘 알고 한국문제는

한국인들이 잘 안다 다른 한가지를 지적한다 미국은 지금 한국 통일에 대한

우선순위가 없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북핵 문제도 우선순위를 두지 않고 있다 심지어

17

아시아 재 균형 문제도 이라크와 시리아의 ISIL or ISIS 문제 때문에 신경을 제대로 쓰지

못한다는 우려가 나온다 (Kurt Campbell in Seoul on September 25 2014)

- 통일 이후의 한미동맹 통일에 대한 전망도 아득하지만 그 후의 한미동맹 관계는

더욱 아득하다 통일에 상대가 있듯이 (As W Bush said in Seoul this spring at a

conference hosted by the Chosun Ilbo) 동맹은 전통적으로 군사적인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동맹 이 함께 싸워야 할 상대 (Potential foe or adversary)를 전제로

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중미간의 경쟁이 계속된다면 미국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한미동맹을 아시아 재 균형의 도구로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 입장에서

그것이 그 때가서 한국국익에 맞는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서 발제자가 친절하게 미국의 이익과

우려를 열거했는데 남북이 통일을 원한다면 미국이 자기 이익 때문에 통일을

반대해서도 안되고 한국이 미국의 우려 때문에 할 일을 못하거나 안 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미∙중 사이의 중립 또는 전세계를 상대로 하는 중립이 한국 국익에

합당하고 국민의 다수가 이를 원한다면 한국은 그 길을 택해야 한다

미국의 걱정은 미국에 맡기고 한국은 한국 걱정에 치중해야 한다 걱정은 시대와

환경에 따라서 달라진다

정책건의

- 첫째 황병서 최룡해 김양건 3 인의 인천 방문을 계기로 다음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진일보한 과감한 자세로 이산 가족 524 조치 금강산 관광 등 현안을 타결하고

신뢰프로세스를 부활해야 한다 남측도 구태의 틀에서 벗어나 놀랄만한 자세를 보여야

한다 통근 결단은 북한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 둘째 6자회담 재개 등 북핵문제 해결을 노력을 한국이 주도해야 한다 미중과 함께

한국마저 손 놓고 있는 상태는 더 이상 방관해서는 아니된다

- 셋째 대북정책에 대한 국내 보수 진보간의 시각차이를 융합하여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탈냉전식 통일정책을 개발함으로써 통일준비의 기초를 확립해야 한다

2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김현욱 박사의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을 읽고

국내의 손꼽히는 미국전문가인 김현욱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을 맡게 되어 영광으로

생각한다 김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자의 생각과 비교할 때 공감이 가는 부분이 많다

하지만 김 박사가 다루는 주제가 단순히 미국의 대외정책이나 한미관계가 아니라

lsquo한반도 통일rsquo이라는 점에서 몇 가지 오류가 눈에 띄기 때문에 여기서부터 토론을

시작해야 할 것 같다

I 서론

한middot미 정상이 합의한 통일관련 언급은 「한미동맹 공동비전」(2009616)은

ldquopeaceful reunification on the principles of free democracy and a market

economyrdquo으로 「한미동맹 60주년 공동선언」(201357)은 ldquoits peaceful reunific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denuclearization democracy and a free market

economyrdquo으로 되어 있다 전자의 free democracy는 liberal democracy와 구별되어야

18

하며 후자에는 그냥 democracy로 표기한 의미를 되새길 필요가 있다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o 우리 정부는 lsquo연합제 통일방안rsquo을 지지한 바 없으며 무엇보다 lsquo연합제rsquo는 통일방안이

아니다 또한 우리 정부가 북한과 함께 lsquo74남북공동성명rsquo을 발표하고 lsquo자주 평화

민족대단결rsquo이라는 통일의 대원칙을 발표한 것은 맞으나 그 뒤 lsquo민족대단결rsquo을 삭제하고

lsquo민주rsquo를 넣었다

o 1989년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은 전두환이 아닌 노태우 정부 때 발표된 것이다

o 김대중 대통령이 대통령이 되기 전에 개인적인 통일방안으로 lsquo남북연합제 rarr

공화국연방체 rarr 통일국가rsquo의 3단계를 주장했었으나 대통령이 되고 나서는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수용했다

o 한국의 통일정책의 특징이 ldquo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남한체제를

궁극적인 통일의 상으로 설정하고 있다rdquo고 주장하나 우리 정부의 공식 통일방안인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은 먼저 민족공동체를 만들어가고 나중에 통일국가를 이루되

통일국가의 형태는 미래세대에게 맡긴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2 북한급변사태로 인한 통일

o 북한의 급변상황에 한국이 개입하는 것이 유엔헌장에 위배된다는 지적은 옳다 그런데

아무리 중국이 UN상임이사국이라도 중국 군이 평양까지 진출해 친중 정권을 수립할

근거를 갖고 있는가

o 박휘락 박사의 인용문은 미국이 북한의 WMD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중국의 도움을

받기 위해 중국의 개입을 반대하지 않는다는 의미이지 북한 급변사태가 발생할 때 이를

중국에게 떠맡긴다는 의미는 아닌 것이다

o 필자는 ldquo미∙중 양 강대국이 한반도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고rdquo라고 언급하고 있는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가 있는가

3 남한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하는 방안

o 남북예멘이 통일 후 무력통일로까지 간 것은 사회문화적 유대감의 부족 때문이

아니라 11 대등한 권력분배가 몇 년 뒤 실시된 선거결과에 의해 북예멘에 유리하게

정치지형이 바뀌자 남예멘 측 인사들이 이에 반발해 무력을 동원했다가 진압당한 것이다

o 동독유권자의 9322가 서독으로의 신속한 편입을 주장했다고 언급했는데 이 수치는

투표율이다 조기통일을 주장했던 독일연합의 득표율은 4804 국가연합을 거쳐

점진적 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의 득표율은 2188였고 옛동독공산당이었던

민사당이 164 새로운 사회주의 건설을 내걸었던 연합90이 291였다 그 결과

독일연합과 동독사민당이 연립정부를 구성해 서독과 통일협상에 나섰던 것이다

III 독일 사례와 미국

o 동독 총선거에서 동독주민들이 서독의 정치체제와 정당에 투표하였다고 하였는데

이것이 무슨 말인가 그들은 조기통일(동독기민당 중심 국민연합) 점진통일(동독사민당

민사당) 제3의 길(연합90) 등을 내건 동독정당에 투표했는데 결과적으로 조기통일을

19

주장한 국민연합이 승리하여 점진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과 연립하여 조기 통일을

추진 달성한 것이다

o 독일통일의 상황에서 소련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원조라고 언급하고 있는바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엄밀하게 말한다면 對소련 차관 50억 DM(약 25억 euro) 동독주둔

소련군 36만 명의 철수에 따른 비용 부담 125억 DM(약 64억 euro)이다

IV 미국과 한반도 통일

1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o 미국이 통일과 같은 현상변경보다는 분단이라는 현상유지를 선호한다는 의견에

동감을 표한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의 정확한 출처를 밝혀주었으면 도움이

되겠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o 필자는 lsquo연합제연방제 통일rsquo과 lsquo한국주도의 통일rsquo을 대립적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연방제란 정부구성원리의 하나로서 1국가 2체제(일국양제)만 있는 것이 아니라 1국가

1체제의 연방제도 존재한다 따라서 한국 주도의 통일일지라도 단방제(單邦制) 방식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연방제(聯邦制) 방식이 될 수도 있다

o 통일된 이후가 아니라 전작권 전환 이후에 2013년 한미 양국은 한국군 합참 내에

미래사령부의 구성 계획을 통해 연합지휘체제(한국군 사령관 미군 부사령관)를

구축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o 최근 논의되고 있는 THAAD는 지금도 배치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인가 아니면

통일되면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아니게 되므로 지금 배치했더라도 철수해야 한다는

의미인가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o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우려사안 중 한국 주도의 통일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한미동맹의 약화를 우려한다는 점이 충분히 이해되지 않는다 특히 당장 통일될 것도

아닌데 우려의 근거로 미국의 현실적 상황을 제시한 것들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o 나머지 두 번째 세 번째도 왜 한미동맹이 약화되고 주한미군을 철수하게 될지 하는

원인을 설명하지 않고 그렇다고 전제해 놓고 미국의 대아시아 전략에 미칠 영향과

미∙중 사이의 중립국 지위 유지하는 것은 앞뒤가 바뀐 것이다

V 결론 ndash 정책적 고려사안

o 미국이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했다고 볼 수 있는가 미국이 통일에 대해 처음으로 입장표명을

한 것은 2009년 6월 이명박-부시 대통령의 한미 공동비전이 처음이다 최근 미국

조야의 분위기는 북핵 문제를 풀기 위해 통일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고 오히려 한국

측이 통일에 소극적이라고 질책하기도 하지 않은가

o 중국이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가 통일한국의 핵무기 보유가 아니라

단지 미국의 핵우산 유지를 우려했기 때문인가

o 평화협정이 단지 한국전쟁의 종식만을 위한 것일까 필자가 제시한 첫 번째

20

정책고려사안은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런데 평화협정이

체결되지 않고 정전상태에서 곧바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첫째 우발적 충돌이라도

전쟁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있고 둘째 통일과정에서 정전협정의 당사자인 미국과 중국이

국제법적으로 개입할 가능성이 열려있다

o 본문을 보면 필자는 분단적 평화유지와 평화체제평화협정을 동일시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마저 든다 그리고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다고 했는데 그 근거가 무엇인가 특히 비핵화-평화협정의 순서를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의 입장이 상반된다고 언급했는데 과연 그런가 919공동성명에서 미국과 중국은

동시행동 원칙에 합의한 바 있지 않은가

o 과연 남북한 통일을 위해 내각제가 필요한가는 좀 더 논의해봐야 할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통일을 달성할 때까지는 효율성을 위해 대통령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필자의 주장과 달리 내각제의 경우 잦은 내각교체로 인해 통일정책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수 없는 것 아닌가 lt끝gt

3 문성묵 박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발제문에 대한 논평 우선 김현욱 교수님의 발제문은 한반도 통일의 가능한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독일 사례를 통해 우리의 통일미래를 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접근이라고 봄 특히 남북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매우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제시하고 있는 정책적 제안은 적절하다고 판단되며 대체로 공감함 다만

통일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한 두 가지 추가 제언을 드리고자 함 우선 미국의

우려사항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일한국이 지향하는 한미동맹에 대한 분명한 의지를 미

측에 밝힐 필요가 있음 아울러 통일의 성취를 위해서는 반드시 중국의 협조를

유도해야 하는 바 이를 위해서는 통일한국의 한미동맹이 중국의 국익에도 부합될 수

있다는 논리를 적극 개발하고 중국을 설득하는 노력이 강구되어야 함 이러한 입장을

미국이 중국과 직접 조율해 나가도록 협조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봄 그런 차원에서

본문에서 제시한 한∙미∙중 3자 협의는 유용한 협의기제로 보임

다음은 곽태환원장님께서 제시해 주신 토의중점 주제들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정리하였음

1 한반도 통일을 위해 먼저 극도로 경색된 남북관계부터 풀어나가야 하는데

출구전략은

10월4일 황병서 등 북한고위급인사의 전격 방남으로 대화의 물꼬가 트인 만큼 이달

말 또는 11월초로 예정된 2차 고위급접촉을 통해 남북간 쟁점사항들을 대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풀어나가는 지혜가 필요함

첫째 무엇보다 대화의 지속이 중요함 일회성 대화가 아니라 고위급접촉이든 다른

대화채널이든 대화가 정례화 되는 것 즉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통로는 늘 열려 있어야

할 것임

둘째 사안별 접점 마련이 필요함 즉 상호가 입장차이가 극명한 사안은 일단

21

접어두고 접점 마련이 가능한 사안부터 협의하고 이행을 해 나가는 것임

2 현안이슈인 THAAD 한국배치에 대한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 측면 고려하여 사드

한국배치가 바람직한가 전시작전통제권을 2015년에 받아야 하나 연기 해야 하나

첫째 사드의 한국 배치는 정치적 관점이 아니라 안보적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중국(러시아)과 북한이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있지만 북한위협에 직면한 우리

입장에서는 한미동맹차원에서도 미국의 사드 배치 구상에 협력하는 것이 필요함 따라서

한국과 미국이 중국을 잘 설득할 필요가 있음

둘째 전작권문제 역시 주권 자존심이라는 측면 보다는 국익의 관점에서 판단해야 할

사안임 북 핵문제 등 북한의 위협이 상존하는 현 상황에서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억제력을 확고하게 유지하는 일임 한미연합사는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체제임 따라서 시기에 기초한 접근 보다는 조건에 기초한 접근이 바람직함

3 한반도 통일은 평화적으로 이뤄져야 하는데 남과 북이 합의에 의한 통일이

이뤄지려면 공동통일방안에 대한 합의가 가능한가 6자 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는

평화체제구축은 어떻게 이룰까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통일방안에 대한 남북 간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는 현 상황에서

통일방안부터 협의를 시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봄 우선 대화와 교류확대 등을 통한

화해협력을 추진하면서 향후 북한정권과 체제의 변화가 이루어질 때 통일방안에 대해

본격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함

둘째 핵 문제는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임 이로 인한 무력충돌은

공멸을 의미하기 때문임 따라서 북핵 문제는 우선 강력한 억제로 북핵 사용 자체를

무력화하고 나아가 대화를 통한 외교적 해법을 병행해야 함 즉 6자 회담을 재개하여

919공동성명의 합의정신에 입각하여 풀어나가는 것 이외 다른 적절한 대안은 없어

보임

셋째 평화체제 문제는 6자 회담이 재개되고 북핵 문제에 있어 일정분야 진전이 있을

경우 919 성명에 합의된 별도의 평화포럼을 통해 논의해 나갈 필요가 있음 평화체제는

협정의 체결이 아니라 실질적인 평화상태를 만들어 나가는데 중점을 두고 추진해 나가야

4 4자(미 중 남북한)회담을 통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인가 북이 주장하는 북미간

평화협정이 바람 직 한지 한반도 정전체제를 대체하는 다자 평화체제는 어떤 형태가

바람 직 한가 등

첫째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논의하는 협상은 남북한과 미국 중국이

참여하는 4자회담이 적절하다고 봄 1997~1998년 사이 제네바에서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는 문제를 논의하는 4자회담이 6차례 개최된 바도 있음

둘째 평화체제는 남북간에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미국과 중국이 이를 보장하며 협정은

유엔에 기탁하는 방안이 적절하다고 봄

5 6자 회담을 복원하여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ldquo행동대행동rdquo으로

동시에 해결하자는 제안에 대한 견해는

22

이는 북한이 핵 문제에 대해 한국과 미국 등이 요구하는 수준으로 성의 있는 조치를

취하고 이를 바탕으로 6자회담이 재개된다면 동시에 별도의 포럼을 열어 평화협정

논의를 개시할 수 있을 것임 실질적 평화상태 구축을 위한 남북간 군사적 신뢰구축 및

운용적 군비통제 등을 추진해야 함 평화협정의 체결 시점은 북한 핵이 완전히 폐기되는

시점과 맞추어야 할 것임

6 이러한 통일프로세스에서 과연 미국은 어떤 역할이 바람 직한가

독일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듯이 미국도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함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을 설득하여 한반도 통일에 동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공고한 한미동맹을 유지하여 북한이 변화하도록 유도하며 통일 이후에도 통일한국의

안보환경과 국익에 부합되게 동맹의 형태와 목표 기타 필요한 사항들을 협의하여

합의할 필요가 있음 통일한국이 중국과의 관계에서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는 방법은

미국과의 동맹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생각됨

7 평화적 합의통일방안에 하나의 대안으로 중립화를 통한 한반도 중립화 통일방안에

대한 견해는 미국은 지지 할까 등입니다

중립화 통일방안을 추구한다고 해서 통일이 촉진될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음

중국은 다소 긍정적일지 모르나 우리의 동맹인 미국이 가장 우려하는 사안일 것임 그런

차원에서 중립화 방안은 부적절함 이는 우리 국익이나 안보상 적절치 않은 방안이라고

봄 lt끝gt

4 김준형 박사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교수)

발제 논문에 관한 의견

다음 사항들에서 기본적으로 공감함

한반도통일의 고차방정식에 대한 의미 있는 분석 주변강대국들의 이해관계

특히 통일을 추구함에 있어 미국과 중국의 이해관계를 분석한 부분

냉전붕괴직후 독일의 상황과 당시 미국 및 소련의 입장이 가지는 함의에 대한

분석

북한급변사태가 곧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며 통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북한

주민들의 친한국 성향이나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남북이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

최근 미국이 통일에 대해 기껏해야 소극적 지지입장이며 통일로 인한

한미동맹의 약화가능성에 우려를 가지고 있다는 분석

한미동맹의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치명적이라는 주장도(치명적이라는

표현은 좀 과도한 측면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공감

주변강대국이 한반도통일이 현 동북아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지지하지 않으나 남북한이 원해서 주도적으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반대할 수 없다는

주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사항들에서 문제 제기하고자 함

23

서론에서 밝힌 본문내용 소개가 본문의 실제 내용전개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음 특히 현실적인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를 살펴본다고 했는데 오히려 그간의 남북한

통일안의 한계와 약점을 지적하고 특히 남북한 공히 정치적 통합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진다는 분석 위주임

북한에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 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 미국이 먼저 나서서 개입하지 않을 가능성은

있다 하더라도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해도 미국이 행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는 동의할

수 없음

북한 급변사태의 경우 중국이 자국민 및 재산보호를 명분 삼아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그것이 북중동맹에 의한 자동개입과 UN 상임이사국의

지위를 이용해서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라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려움

북한의 급변사태에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논지와 중국이 북한에 친중 정권을 세울 가능성이 높다는 논지는 자칫 통일보다 동맹을

선택하는 한미동맹 신화론자들의 논리를 강화시킬 수 있는 위험성 내재 박휘락박사가

인용한 미고위당국자의 발언은 context도 다른 것으로 보이고18

한국주도의 통일 역시 한미동맹약화로 이어지고 이는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에

치명적일 것이라고 단정하는 것 역시 같은 식으로 호도될 여지 있음

이 논리가 절대적 친미

보수진영의 동맹강화의 긴급성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논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평화협정이 통일의 전제조건이 아니라는 것에 동의하고 분단적 평화유지에 대한

반대에 동감하지만 평화보다 통일이 우선되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려움

통일을 위해 통일정책의 연속성을 위해 내각제 개헌을 해야 한다는 논리는

지나친 단순화 또는 비약으로 보임

현 정국에 대한 토론자의 견해

지난 7년간의 대북정책 및 통일정책의 한반도의 운명과 관련된 4가지 핵심 변수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① 한미동맹의 근본 성격 변화(대북억지-gt동북아지역군)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을 위해 일본과 한국에 아웃소싱 추진하고 있으며 그 핵심이 지역미사일방어체제

구축

- 전작권환수 시기보다 조건을 우선 고려

- 전작권에 대한 효용성 변화 과거 전략적 유연성은 분담의 차원이었으나 현재는

한미일 군사협력네트워크 통합의 차원으로 변모 따라서 미국이 전작권을 계속 보유하는

것의 효용성이 높아짐(미국의 꽃놀이패)

② 북핵문제의 근본 성격 변화 핵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음

- 미국은 북한에 대한 de facto 보유국 내부적으로 인정19

18 이 발언은 북한의 핵개발 중단 도발가능성 북한개혁 등 중국이 행사할 수 있는 대북 레버리지를 미국이

기대한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됨

19 수년 전 힐러리 클린턴의 발언부터 최근 오바마의 유엔연설 직전에 행한 국가안전보장회의 부의장 벤 로

24

- 발제논문에서 주장하는 통일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미국의 입장과 연결됨

- Permanent crisis 양상 분명 위기이고 해결이 난망한데 아무도 나서서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며 심지어 현 위기국면을 국내정치에 이용하는 측면이 커지는 일종의

북한 핵위기의 default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③ 한반도 통일론의 변화 신뢰프로세스 동평구 통일대박론 드레스덴 선언 등의

많은 제안들이 후속조치 없이 동력을 잃었으며 최근 UN연설에서 재확인되듯이

흡수통일론으로 귀결 남북교류의 제도화 수준은 대단히 높으나 실행수준은 대단히

낮음으로 인해 통일논의에 대한 국민들의 피로감을 확산시키고 이는 국내

안보포퓰리즘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동

④ 북중관계 변화 남북관계의 단절로 인해 긴밀해짐으로 해서 북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하고 있는데 중국의 대북 지분을 향상시켜 유사시 개입의 빌미가 될

가능성이 높음(발제논문도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음-탈북자 관리명분)

미국의 입장에 대한 견해

오바마는 대북정책에 있어 부시 전임정부와는 정반대되는 경향 1기에서의

강경함에서 2기에는 협상무드로 갔던 부시와는 반대로 초기의 온건입장이 시간이

갈수록 강경기조로 넘어가고 있으며 인권압박까지 병행

더 큰 문제는 강경책이든 온건책이든 문제해결을 위한 움직임이 없는 매우

수동적 태도로 일관한다는 것인데 이는 북한문제가 여전히 오바마행정부의

정책우선순위의 상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고 또 북한핵개발

국면을 빌미로 대중국 견제와 미일동맹을 비롯한 아시아동맹네트워크 강화에 활용한다는

것임

오바마의 소위 lsquoDDSSrsquo Doctrine의 근간은 임기 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한반도는 큰 현안 없이 현상유지로 흘러갈 가능성이 큼

미국의 MD 압박 강화될 것임

- 미국이 현재는 한국내 여론을 의식해서 한국정부와 보조를 맞추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MD 편입을 원하고 있기에 압박은 증가할 것임

- 한국과 일본이 참여하는 지역 미사일방어체제 구축은 미국의 아시아재균형전략의

핵심이며 한국의 MD 참여가 중국의 입장에서는 레드라인이지만 미국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한중의 접근을 억제할 수 있는 카드로서의 효용성이 있음

- 한국정부의 태도 변화 사드의 한국도입에 대해 최근에는 수용적 자세로 변화20

미국의 MD 참여 압박에 대해 정부가 진정으로 미국 MD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면 확실한 입장표명을 하거나 공개적으로 국민의 의견을 묻는 것이

필요함(double edge diplomacy 활용)

한국의 과제

즈 발언까지 일관됨 20 10월 7일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한민구장관은 북한 핵middot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사드를 배치하면 우리 안

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함 또한 MD의 핵심 자산을 동원하는 새로운 작전개념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같은 방안을 이달 말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연례 안보협의회에서 공식화할 방침이라고 밝힘

25

남북관계 해결을 위해 한국정부가 선제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시도해야 함

미국이 여러 복잡한 문제로 인해 여유가 없는 상황을 오히려 역이용하는 발상의 전환

필요

미국정부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대북접근에 있어 한미공조 이탈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견제해왔던 것에 비하면 한국의 운신의 폭은 역설적으로 커졌다고 볼 여지

있음 미국이 대북정책에 있어 마땅한 해법도 없고 정책순위는 점점 하락하는 상황에서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주도가 가능할 수도 있음

출구전략

- 6자회담과 919성명의 복원을 통한 문제해결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을 병행

- 524조치에 대한 언급 없이 실질적인 유연화

- 박근혜대통령의 결심이 관건 대화재개조건의 유연화에 대한 한미간 정책조율을

주도할 필요가 있음

5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

한국GPF재단이 주최하는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김현욱 교수께서 발제한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의 주제는 통일을

시급하게 달성해야 하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통일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반세기 이상 한국과 안보동맹을 체결하고 있는 미국의

한반도 통일정책을 논의하는 것은 아주 시의적절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자는 먼저

발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의견을 제시하고 발제자와 토론자 간의 약간의 상이한

견해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하고 곽교수의 질문에 대해 간략하게 답한 후

정책제안의 순서로 기술하고자 합니다

1 발제문에 대한 일반적 평가

발제자의 논문 내용과 접근방법에 대해 토론자는 전적으로 찬성하고 동의합니다

한반도 통일방안의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공감하면서 남북정상이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에 공통점이 있다고 이미 합의하였기

때문에 남북은 장차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 중 하나의 통일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람직한 통일접근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한국이

경계해야 할 것은 발제자도 지적한 바와 같이 북한의 붕괴통일보다는 독일과 같이

평화적 흡수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며 더 좋은 방안은 평화통일을 목표로 하되 점진적

접근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만약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하여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고 가정할 때 한국에게는

lsquo통일의 대박rsquo이 아니라 통일의 쪽박이 될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남북이

평화통일 협상을 통해 점진적 통일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미국의 국가이익과 우려사항에 대한 자세한 분석에 전적으로

동의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많이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서

기대하는 것은 미국의 국익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미국의 대한반도 통일정책이

결정되리라 전망됨으로 통일의 당사자인 남북은 통일의 과정에서 미국의 국익도

고려하면서 남북이 통일의 이니셔티브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6

2 발제 문에 대한 몇 가지 이견

토론자는 발제문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를 하지만 미시적 측면에서 토론자의 이견을

몇 가지 부언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연방제와 연합제를 설명하는 2쪽 문단에서 북한의 연방제를 1980년

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김일성이 발표한 내용을 기준으로 설명했으나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이 한국의 연합제와 좀더 가까운 것은 김일성이 1991년 1월

1일 발표한 lsquo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rsquo이므로 이를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비교분석 하는 것이 좀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980연대 연방제는

남과 북이 lsquo연방상설위원회rsquo를 조직하여 지역정부를 지도하는 중앙정부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1991년의 연방제는 지방정부에 모든 외교권과 군사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국의

연합제 즉 국가연합 형태의 통일방안으로 수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둘째 1991년 북한의 연방제는 남과 북이 어떠한 정치군사적 블록에도 가담하지 않는

중립국가의 외교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남북이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에 공통점을 인정하고 있으나 북한은 연방제가 되었을 때 외교정책은

반드시 비동맹 중립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나 한국은 북한의 그러한 중립정책을

수용하기 어려운 입장이므로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선 듯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셋째 북한의 연방제 실시 조건에서 남한이 수용하기 어려운 또 다른 것은 북한이

주한미군의 철수와 국가보안법을 철폐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장차 남북이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를 실시한다 해도 남한정부의 입장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보안법 철폐는 가장 민감한 문제들이므로 난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끝으로 발제자는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ldquo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케 하고 미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rdquo는 분석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됩니다 미국의 계획에 의하면 lsquo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군은 한국군과

한국인은 북한에 입북하는 것을 금지하고 미군과 일본의 자위대가 북한의 치안을

유지한다rsquo는 주장이 제기되어 이를 확인하고 있습니다(오크랜드 대학교 박문재 박사

주장) 또 다른 주장에 의하면 북한의 급변사태 시 중국군과 미군은 동시에 북한에

상륙하여 일정한 지역을 분할 하여 WMD와 북한 질서를 공동으로 유지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계획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경우 미국에는 분명히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미국의 이익과 우려가 병존하리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어느 것이 미국의 국익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가에 따라 미국의 외교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이며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한반도 정책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과 관련하여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 발제자는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어

대부분의 내용에 동의를 하면서 상이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토론을 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ldquo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으며 2012년 오바마

27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 체제와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통일을 지지했다rdquo는

내용에 대해 미국은 한반도의 통일을 원천적으로 원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토론자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1971년 7월과 2005년 8월 북경에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비밀회담을 갖고 ldquo미국이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양국은 한반도 분단의

현장유지를 계속하자고 합의rdquo한 내용이 미국의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습니다(2005년 9월

7일 Washington Post)

또 다른 예로 한국전쟁을 종결하는 휴전협정 제4조에는 ldquo정전협정 서명 후 3개월

이내에 서명 당사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한다rdquo고 합의했으나 미국은 북한이 핵을 만들기

전에도 북한의 평화협정 요구를 거절해 왔으며 이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해야

평화협정을 체결해 주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의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은 외교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둘째 과거 독일통일의 과정에서 고르바초프는 독일의 중립화를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미국은 통일된 독일이 NATO에 잔류해야 한다는 조건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결국

고르비가 양보하고 미국의 안이 채택되었으나 거기에는 서독이 소련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수용한 대가라고 합니다(주섭일 기자의 『1990년 독일통일과 2017년 한반도

통일』)

셋째 미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문제에 대해 크게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미국은

한반도가 통일이 된 뒤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주한 미군의

역할은 북한의 위협보다는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주한 미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미국의 재

균형정책도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넷째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미국의 동북아시아 국가에 대한 군수산업이 대폭

축소될 것이며 통일된 한반도가 미-중 간에 균형외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대중 견제는 급속하게 감소될 전망입니다

끝으로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은 감소된 반면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되어 미국의

장기적 전략인 미국의 군사비 감축과 국내외 여건으로 주한미군의 유지가 어렵게 될

경우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감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므로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4 한국의 당면 과제

한국은 대북정책의 출구전략으로 10월 3일 북한 실세의 한국방문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려 북한이 필요로 하는 경제지원과 5ㆍ24조치 해제를 전제로 북한의 양보를 얻어 내

남북관계의 출구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한국정부는 미국이 요청한 THAAD

구입이나 배치를 허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남북간의 평화체제 구축은 1단계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기 보다는 남북이 이미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를 비롯하여 6 ㆍ 15선언과 10 ㆍ 4선언의 내용 중 실천이 용이한

문제부터 실천하면서 남북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북한과 미국의

관계에서 미국이 현재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한국은

북한과 먼저 신뢰를 회복한 후 기본합의서에 이미 명시되어 있는 남북한의 불가침조약을

먼저 체결하고 서울과 평양에 대표부를 설치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한반도

28

비핵화를 위해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으로 핵

문제는 북미간의 문제로 유지하면서 남북한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요구를

하면서 남북의 해빙무드를 먼저 조성하는데 한국은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은 현재도 비동맹 중립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북한의 연방제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조심스럽게 중립화 문제를 거론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검토를 해야 할 것입니다

5 정책제안

한반도 주변 4강은 현재 그들의 국가이익과 한반도 통일이 그들에게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한반도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므로 한국정부는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북한에 비핵화 요구보다 협상을 통해 단계적으로 북한이 한국의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제안이나 구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서

북한이 시급하게 원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524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북한의 양보와 협력을 받아 내야 할

것입니다lt끝gt

6 장용석 박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1 통일과 관련하여 발표자의 다음 지적은 매우 중요함

- ① 기능주의적 접근의 한계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 필요성 ② 북한

주민들의 선택이 지닌 중요성과 그에 대한 고려 필요성 ③ 통일 대북정책의 연속성과

북한 리더십 포용을 위한 내각제 개헌의 필요성

2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과 관련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함

- 동서독은 유럽차원에서 NATO와 WTO간 세력균형 이를 바탕으로 한 동서 간

긴장완화와 특히 헬싱키 프로세스와 CSCE 등을 통한 공동안보 틀 구축 등으로 인해

교류협력에서 안보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특히 동독이 경우 패전의

여파겠지만 북한과는 달리 자국의 안보를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음

- 반면 남북을 둘러싼 지역 안보 환경은 미∙중 간의 긴장과 갈등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고 있고 특히 북한의 경우 지정학적 요충지론에 입각하여 자주-존엄-

선군의 기치 하에 핵보유까지 천명하고 비대칭적 전력의 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으로써 동서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교류협력의 직접적인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 따라서 동북아 지역차원에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협력적 안보 틀이나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공존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rArr 이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ldquo작고 쉬운 것부터rdquo 논리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를 외면하는 기능주의의 또 다른 버전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발표자의 평가는

무엇인지

rArr 아울러 평화협정은 평화적 공존의 제도화와 군비통제를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분단관리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게 아닌지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7: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7

있다 하나 우려스러운 것은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박휘락 박사에 의하면 2004년 한미 양국이 개최한 pol-mil 게임에서 한 전직

미 고위당국자가 이와 같은 발언을 했다고 한다 ldquo미국은 북한의 어떠한 사태에서도

중국이 영향력을 행사하려 할 것이라는 점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이것이 미국의

입장에서 반드시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북한이 중국의 말만 제대로 들어도 핵을

포기하고 개혁∙개방을 할 것이니까rdquo7

현재 한국과 북한의 공식 통일방안인 연합제나 연방제 방안에 의하면 궁극적으로 가장

우려되는 것은 정치통합이다 실제 이는 예멘통일의 과정에서 증명되었는데 예멘통일은

북예멘과 남예멘 간의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 교류로 인해 이루어졌다기 보다는

아랍연맹국가들의 중재로 인해 성사되었다 이로 인해 예멘은 1차 통일을 이루게 되는데

비례대표제에 의해 연방제적 통일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결국 사회문화적 유대감의

부족으로 인해 결국 양국은 군사적 정치적 사회적 대립을 노출시켰고 결국 무력을

동원한 2차통일에 의해 궁극적인 통일을 이루게 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북한급변사태는 한반도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다 미중 양 강대국이

한반도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고 어느 한 쪽이 북한에 대해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기를 바라지 않는다 현 동북아시아의 역학구도 상에서 북한급변사태는

현상유지로 갈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북한 주민들이 친한국 성향을 강하게 소유하게

된다면 따라서 북한급변사태가 발생했을 경우나 이 경우 중국이 개입하여 친중국

정권을 수립하려 든다면 이에 대한 북한주민들의 반발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북한주민들의 충분한 경제력이 존재해야 하고 남한과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이 존재해야 한다

3 남한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통일 하는 방안

이 방안은 독일통일이 이루어진 것과 유사한 방안이다 이 방안에 따르면 남북한

국민들이 문화적 동질성을 가지고 북한주민들이 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을

가지는 데서 출발한다 독일의 경우처럼 통일의 과정 중에서 총선거에 의해 남한의

체제에 의한 통일이 이루어지는 것이 이 시나리오에 의한 통일 방안이다 즉 남한의

평화적인 북한 흡수통일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북한주민들의 친 한국 정체성은 북한급변사태가 발생했을 경우에도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했을 경우에

중국은 북한에 개입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북한이 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을

가지고 있거나 민족적 동질성을 가지고 있게 될 경우에 북한 주민들은 중국의 진입에

반감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 방안은 미국의 이익에 가장 많이 기여하는 방안이 될

것이며 통일 후 한미동맹의 유지 발전과도 가장 잘 어울릴 수 있는 통일방안이다

8

7 박휘락 ldquo북한급변사태와 통일에 대한 현실성 분석과 과제rdquo 국가전략 16 4 2010 pp 45-47

8 임현진 정영철 21세기 통일한국을 향한 모색 분단과 통일의 변증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pp 293-

8

따라서 한반도 통일을 위해서는 정치통합이라는 난제를 극복해야 하며 이를 이루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실제 서독의

신동방정책의 핵심은 이에 있었으며 베를린 장벽의 붕괴로 인해 통일에 대한 열기가

달아오를 무렵 동독의 라이프치히에서는 1990년 1월 20만 명의 동독시민이 참가한

가운데 대규모 반공 및 통일 요구시위가 발생한 바 있다 9 또한 1990년 동독에서

자유총선거가 실시되었을 때 유권자들의 9322의 투표결과는 ldquo다시는 사회주의가

아니라 자유와 번영을rdquo이라는 구호를 내걸고 동독의 서독으로의 신속한 편입을 주장한

독일연합의 승리였다10

III 독일 사례와 미국

독일의 경우 동서독 간 통합에 의한 통일을 추진했었으나 동시에 경제협력과 교류를

통해 동독주민들이 서독체제에 대해 동경심을 갖도록 하였다 즉 빌리 브란트 총리의

신동방정책은 동독주민들의 정체성을 서독지향적으로 이끄는 데 기여하였다 그 결과

통일독일을 위한 총선거에서 대다수의 동독주민들은 서독의 정치체제와 정당에

투표하였으며 자연스럽게 통일독일은 서독중심의 국가로 형성되었다

독일통일이 이루어질 당시 유럽정세는 베를린장벽의 붕괴와 함께 구 소련의 세력이

위축되고 미국의 세력이 증가하고 있을 때였다 이와 같은 정세는 미국으로 하여금

독일통일을 지지하게끔 하는 요인이 되었는데 통일독일의 지위가 미국의 이익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유럽정상회담 연설에서 부시

대통령은 독일통일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하면서 독일민족의 자결권 존중 등 독일통일의

4원칙을 언명하였다 첫째로 어떤 특정한 통일을 상정하지 않는 독일민족의 자결권을

존중한다는 것이었으며 둘째로 독일의 NATO잔류와 유럽통합의 지속 동맹국의 법적

역할과 책임을 존중하고 셋째로 통일은 전반적인 유럽의 안정에 도움이 되도록 평화적

점진적 단계적으로 추진하며 마지막으로 국경문제는 헬싱키 최종의정서의 원칙에

따르고 유럽변경의 불가침성을 인정한다는 것이었다11

4 9 황병덕 외 독일의 평화통일과 통일독일 20년 발전상 통일연구원 2011 p 173

10 황병덕 외 독일의 평화통일과 통일독일 20년 발전상 통일연구원 2011 p 179 11 Philip Zelikow and Condoleezza Rice Germany Unified and Europe Transformed A Study in Statecraft 1997 p 113

1990년도 독일 콜 수상은 고르바초프와도 만나 6가지 사안에 대해 합의를 이루었다

1) 통일 이후 독일의 군사력이 37만 이하로 유지할 것

2) 핵무기와 생화학무기의 생산 및 소유를 금지할 것

3) 소련군은 동독지역에 1994년 말까지 머무른다는 것

4) 나토군은 독일 동쪽 영토에서 소련군이 철군하기 전에 머물 수 없다는 것

5) 소련군의 철수 비용을 지원할 것

9

6) 독일과 소련 간 경제적 협조관계 조약을 맺을 것12

당시 미국은 독일의 통일을 지지했는데 독일이 나토와 EC에 머무른다는 조건

하에서였다 미국은 독일이 나토에 머물지 않으면 중립화 독일이 될 것이며 이는

핵무기 보유를 시도하게 될 것이라고 소련에게 주장했다 미국은 소련에게 나토군이

1994년까지 독일의 동쪽 영토에 머무르지 않을 것을 약속하였다 독일통일에 대해

미국이 생각하고 있던 구체적인 이익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로 동부독일의 경제적

요인으로 인해 미국의 대독일 수출이 증가할 것이며 미국의 투자 역시 증대할 것이다

둘째로 2+4조약은 독일군을 제외한 나토군이 구 동독지역에 주둔하지 못한다고

기술하고 있으며 주둔은 소련군의 철수 이후에나 가능하다 독일은 또한 핵무기와

생화학무기의 제조 소유 그리고 통제를 포기한다 따라서 독일통일로 인해 NATO에서

미국의 영향력 확대가 가능하다 셋째는 독일의 CSCE 지역기구화와 동 기구의

안보역할 확대는 미국의 입장과 충돌할 수 있다 미국은 CSCE와 NATO중 NATO의

역할 확대를 원한다

13

당시 독일통일에 대한 미국의 태도는 독일을 NATO에 유지시키는 것을 우선순위로

두고 있었다 멸망하는 구 소련의 경우 독일통일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이었으나 냉전의

종식과 강대국인 미국의 통일지지 앞에 적극적으로 반대하기 힘든 상황이었다 이

상황에서 소련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원조에 있었다 현재 중국의 부상과 미국의 쇠퇴

가능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과연 미국이 독일통일의 경우처럼 한반도 통일을

지지해줄지는 미지수이다 또한 중국이 한국의 통일을 적극적으로 반대할지 여부도

불확실하다 당시 독일은 소련군의 철수를 위해 1994년까지 구 동독지역에 서방군대를

배치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했으며 NATO회원국으로서의 독일이 소련에 직접적인

위협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약속을 하여 소련군의 반대를 무마시켰다

14

IV 미국과 한반도 통일

이와 같은

우리의 외교적 노력이 미중 양국에 대해서 추진될 필요가 있다

1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해왔다 부시 대통령과 클린턴 대통령은

lsquo한국국민이 수용할 수 있는 조건에 기반한 평화적 통일rsquo을 지지했다 2012년 박근혜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 간의 정상회담에서 한미 양측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그리고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적 통일을 지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 대해 독일통일의 경우처럼 적극적으로

12

박영호 한국의 대미통일외교전략 민족통일연구원 1998 p 28 13 Paul E Gallis and Steven J Woehrel Germany after Unification Implications for US Interests CRS Issue Brief CRS Feb 20 1991 14

김규륜 외 한반도통일의 미래와 주변4국의 기대 통일연구원 2013 p 62

10

지지할 지는 미지수이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에 따르면 미국의 대 한반도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다 1) 수평적 핵확산 방지 2) 수직적 핵확산 방지 3) 비핵화 4)

급변사태 계획 5) 북한에 대한 개입정책 6) 북한주민들의 상황 개선 즉 미국은 한반도

통일의 경우 현 북한이 소유하고 있는 핵무기를 폐기하고 핵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익을 가지고 있으며 이 문제가 해결된다면 더 이상 한반도 통일에 적극적일 이유가

없는 것이다

이는 현재 동북아시아의 역학구도를 보면 더욱 설득력이 있는데 독일통일의 경우 구

소련의 멸망과 함께 독일통일은 NATO의 확대와 함께 미국의 세력권을 확대시키는

이익을 가져다 주었다 그러나 현재 동북아시아는 중국의 부상과 함께 통일한국이

미국의 동아시아 패권에 도움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확신을 가져다주지 못한다 또한

최근 한중관계 강화로 인해 미국 내부에서는 통일한국이 친미가 아닌 친중 국가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미국이 향후 한반도 통일을 지지하기 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는 통일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연합제연방제에 의해 통일이 이루어지는 경우 한미동맹은 폐기될 수 있고 주한미군은

미국으로 철수할 수 있다 이 경우 한미동맹의 미래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연합제연방제에 의해 통일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한미동맹이 존재할 수 있으나 이

경우 한미동맹의 역할은 매우 제한적이게 되며 동맹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메카니즘이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필자는 한국주도의 통일이 달성되는 경우에

중점을 두고 한미동맹의 미래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한국주도의 통일이 달성될 경우에도 한미동맹에는 많은 변화가 생기게

된다 동맹에는 비전적 측면(attitudinal)과 운용적 측면(behavioral)이 존재한다 비전적

측면에는 동맹의 존재이유(rationale) 위협인식(threat perception) 목적(objective)

등이 해당되며 운용적 측면에는 군사지휘체계 구성 방위비 분담문제 기지배치 문제

군사전술 등이 해당된다 통일 이후 한국은 미국과 함께 새로운 한미동맹의 로드맵을

작성해야 하며 이는 또 다른 동맹변환의 작업이 될 것이다 즉 한미 양국은 한미동맹의

공동의 전략적 목적(common strategic objective)에 대해 논의해야 하며 그 이후에

양국 군의 역할 임무 능력 (roles missions and capabilities)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

먼저 한국과 미국의 위협인식은 지역적 글로벌 차원에서의 위협이 그 대상이 된다

북한의 위협이 사라지게 될 경우 한미 양국은 지역적 안보위협에 대해 대처하여야 하며

이 경우 중국에 대한 대처는 포함되지 않게 될 것이다 이에 기반하여 양국은 동맹의

전략적 목적을 결정하게 된다 결국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주요 전략적 목적은 지역적

안보질서의 유지가 될 것이다

중요한 것은 운용적 측면에서 동맹의 로드맵을 어떻게 작성하느냐인데 이 경우

11

주한미군의 규모와 배치 전략적 유연성 문제 군사지휘체계 문제 등이 주요이슈이다

먼저 군사지휘체계에 있어서 한국은 더 이상 미군에게 전시작전통제권을 위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미일동맹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미 양국 군은 개별적인 지휘체계를

유지하며 유사시에 협조할 수 있는 협조체제를 구축하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해

주한미군은 더 이상 북한 위협이 존재하지 않는 한반도에 현재와 같은 병력이 상주할

필요가 없게 되며 전략적 유연성을 강화하여 한국군과 함께 지역적 글로벌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보다 유연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중요한 것은 주한미군의 규모와 배치이다 한반도에 주둔하고 있는 주한미군의

지상군(ground force)의 규모는 줄어들게 될 것이다 중국을 의식하여 주한미군의

위치도 현 남한 영토에 한정되어야 하며 38선 이북에는 주한미군을 제외한 한국군이

주둔하게 될 수 있다 한미동맹이 지역적 운용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이것이 중국을

겨냥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미국중심의 미사일방어체계는 한반도에서의 운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최근 논의되고 있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역시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즉 통일 한국의 주한미군은 주로 해군이나

공군을 위주로 형성되어야 하며 지상군을 비롯한 전체 군사력은 삭감되어야 할 것이다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여러 자료에 의거하면 통일한국에 대한 미국의 이익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15

5) 통일로 인해 한반도 전면전 상황(all-out warfare situation) 가능성이 사라지면서

미국은 이에 대비하기 위한 작계를 만들 필요성 및 부담감이 사라지게 된다 현재

미국의 국방비 삭감 및 시퀘스터 상황으로 인해 국방전략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1)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주요 이익은 핵무기와 미사일의 개발을 제거하거나 방지하는

것이다 급변사태가 발생하게 되면 미국의 주요 우려사안은 북한의 대량살상무기가

한반도 지역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다 통일은 북한의 핵확산방지를 달성할

수 있다 즉 통일은 NPT체제강화에 기여하게 된다

2) 시장경제체제 지향적인 통일한국은 미국의 이익에 기여하게 된다 구 북한영토는

미국의 투자를 필요로 하게 되며 이는 미국의 경제적 이익을 증가시키게 된다

3) 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 체제에 의거한 통일한국은 미국으로 하여금 주요가치의

세계적 확산을 위한 모멘텀 역할을 하게 된다

4) 한미동맹은 통일 이후 새로운 역할과 임무를 맡게 될 것이며 이는 지역질서와 안정

유지이다 이것은 미국이 추구하고 있는 아시아 재균형 정책의 주요한 자산이 될 것이며

미국으로 하여금 국제적 강대국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이다

15 Americarsquos National Interests The Commission on Americarsquos National Security 2000 US Department of Defense A Strategic Framework for the Asia Pacific Rim Report to Congress 1992 A Blueprint for US Policy towards a Unified Korea CSIS Working Group Report August 2002 Peter Murphy Lewis ldquoUS Foreign Policy towards the Korean Peninsula An Anti-Unification Policy or Just Too Many Uncertainties to Account For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62 December 2007 차두현 ldquo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시각 기회와 도전rdquo 글로벌정치연구 32 2010 pp 43-44

12

이미 2개의 전쟁이 종료된 이후 2개 전쟁 동시수행 전략은 2012년 defense strategic

guidance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반도 전면전 상황은 미국에게는

부담스러운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 대한 몇 가지 우려사안을 가지고 있다 먼저

미국은 통일한국으로 인해 한미동맹이 약화될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현재

미국은 경제력 약화와 국방비 삭감으로 인해 아시아 재균형 전략에 차질을 빚고 있다

2014년 4년 주기 국방검토 보고서 (QDR)에 따르면 미국은 2개의 전쟁을 종식하고

국방비를 삭감하고 있는 상황이며 아시아 재균형 정책을 장기적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즉 국방비 삭감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장기적으로 아시아지역에 미

해군병력의 60를 배치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동맹국들의

역할을 매우 중시하고 있으며 이런 차원에서 통일이 가져다 주는 한미동맹의 약화

가능성은 미국에게 큰 우려사안이 될 수 있다

두 번째로 한미동맹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매우 치명적이다 현재

아시아정책의 중심축인 미일동맹과 달리 한미동맹은 미군의 전방배치(forward

deployment)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즉 현재 주한미군은 북한이라는

대리국가(proxy state)를 통해 중국을 가장 근접에서 억지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10년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포격사건의 경우에도 미국은 한반도에 항공모함을

출격시켰는데 이는 중국에게 매우 치명적인 위협으로 다가왔었다 즉 미국에게 북한의

군사적 행위는 중국을 견제할 수 있는 좋은 구실이며 주한미군은 중국을 가장

근거리에서 견제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만일 통일로 인해 북한이 사라지고

한미동맹이 약화되거나 역할이 변경되면 미국의 대중국 견제전략에는 차질을 빚게 된다

세 번째로 미국은 한국이 주한미군을 철수시키고 미∙중 양국 사이에서 중립국 지위를

유지하는 경우를 우려한다 통일이 이루어질 경우 미∙중 간의 경쟁에 의해 통일한국은

중립화 노선을 추진할 수 있다 이 경우 미국의 핵우산 제공이 어려워지게 되며 이는

중국과 일본의 군사력 강화 사이에서 통일한국의 안보불안을 야기시키게 된다 과거

통일독일의 중립화에 대해 미국이 우려를 표명했던 것처럼 통일한국은 자체적인 군사력

강화를 추진할 수 있으며 이에는 핵개발도 포함될 수 있다

V 결론 - 정책적 고려사안

현재 동북아지역의 국가들은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입장이다 기술한 바와 같이 미국

역시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한반도 통일에 대해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입장은

기타 동북아국가들 예를 들어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서 통일에 우호적이다 미국의

이익이 한반도의 이익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은 미국이 통일을 반대하거나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미국이 가지는 지정학적 위치로 인함이다 한반도에서 멀리 떨어져

13

있는 미국의 위치 상 미국은 한반도 통일이 미국에게 직접적으로 이익을 가져다 주지

않더라도 주변국들에 비해 강하게 반대하지 않는 입장이다16

관련하여 빅터 차는 이와 같이 말했다 ldquo모든 강대국들은 한반도의 통일이 지역적

세력균형에 변화를 가져 올까봐 통일에 반대하는 입장이다hellip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한국이 당장 통일절차를 추진하게 될 경우 주변 강대국들은 모두 통일에 찬성하는

입장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 새롭게 통일되는 강대국 한국이 탄생할 경우 통일에 대한

반대입장을 보였던 국가들은 통일한국에게 적대국가로 인식될 것이기 때문이다hellip

한국민들은 일단 통일절차를 시작하게 되면 주변국가들이 이에 찬성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게 될 것 이다helliprdquo

중국의 한반도 통일에 대해 lsquo평화적이고 독자적이며 점진적인 비핵화 통일rsquo을

지지하는 입장이다 즉 평화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이 중국의 경제적 발전에

해를 끼쳐서는 안되기 때문이고 독자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한국이 미국

쪽으로 경사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며 점진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이 지역적

안정을 헤쳐서는 안되기 때문이며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한국에

미국의 핵우산이 유지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결국 독립적인 통일과 비핵화에 기반한

통일 지지 입장은 모두 한미동맹과 관련되어 있다 중국은 친미 성향의 통일한국에

반대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국정부는 보다 세심한 통일준비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몇 가지 정책적 고려사안을 제시한다 첫 번째로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한국은 독일과 달리 패전국 지위가 없으며 따라서 통일을 이루기 위해

4 개 조약당사국들로부터의 승인이 필요했던 독일과는 달리 주변국들로부터 아무런

승인을 받을 필요가 없다 독일은 포츠담회담에서 승전 4 개국이 분할점령하기로

합의하였으며 이것이 냉전과 함께 분단으로 이어졌기 때문에 통일국가를 이루기

위해서는 분할점령을 합의했던 4 개국들의 승인이 필요했다 게다가 독일통일의 경우에

이미 2+4 회의에서 독일통일을 승인하기 이전에 동독의 독일연방 가입이 결정되었기

때문에 후속적 승인에 불과하였다 한국과 북한 양국이 통일과정에 대해 합의하고

추진하여 통일을 달성하면 주변국가들은 이에 동의할 수 밖에 없다

17

두 번째로 평화협정은 휴전중인 한국전쟁을 종식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지 통일의

전제조건은 아니다 한국정부는 그 동안 통일이 아닌 분단적 평화유지에 지나치게

집착해왔다 이는 통일을 위한 본격적인 정책추진이 아닌 단지 정전상태를 평화상태로

바꾸는 것에 불과하며 이를 위해서 지불해야 할 비용 역시 지나치게 높다 즉 북한은

평화협정 체결을 위해 주한미군의 철수 등을 주장하고 있으며 이는 현 한국의 안보상황

16 Peter Murphy Lewis US Foreign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An Anti-Unification Policy or Just Too Many Uncertainties to Account For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62 December 2007 p 107 17 Victor Cha The Contiuity behind the Change in Korea Orbis No44 (Fall 2000)

14

속에서는 불가능한 조치들이다 이제는 한반도 평화가 아닌 통일을 정책적 목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평화협정

문제를 논의하는 것은 결국 입장차이를 확인할 뿐 실제 평화체제가 확립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미국은 평화협정 체결이 북한 비핵화를 먼저 이룬 이후에 가능하다는

입장이며 중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하게 되면 북한비핵화 등 제반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따라서 남북한 양국은 이제 소모적인 평화협정 논의 이외에 본격적인

통일논의를 통해 남북한 당사국들의 이익에 보다 충실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 한∙미∙중 3 자회의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미 한∙미∙중 3 개국은 작년에

1 차 전략대화를 개최하였다 주요 이슈는 북한 핵문제였는데 이와 같이 북한

핵문제에서 이슈를 확대하여 한반도 통일 북한급변사태 등 다양한 문제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남북통일은 미∙중 양국의 이익 및 세력균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3 국 전략대화에서 한반도 통일에 관한 입장을 조율하고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역할과

임무에 대한 각기 다른 이해관계를 조율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은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 남북한 통일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한국

내부의 통일정책을 하나로 수렴시키는 일이다 현 대통령제 하에서는 연속적인

통일정책이 중장기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고 정책적인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 또한 통일과정에서 북한리더십을 통일한국의

정치체제로 통합할 필요성이 있다 독일통일과정에서도 총선거를 통해 동독 지도부가

독일연방으로 통합되었듯이 남북한 정치통합을 위해서는 내각제 체제가 더 적합하다

15

제6회 정책포럼 토론문 (무순 제출순서대로 편집)

1 김동현 교수 (고려대 일민국제관계연구원 방문학자 북한대학원대 초빙교수 전 존스

홉킨스 국제대학원 겸임교수 및 방문학자)

총평 한반도 통일을 주제로 창의적인 노력을 보여준 발제자에게 우선 찬사를 보낸다

발제자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 부분이 많이 있지만 김현욱 박사가 과시한 학술적

접근방식과 독창적인 의견들은 높이 평가한다

- 우선 여러 가지 통일 시나리오를 가상하고 그와 관련된 논의를 흥미 있게 전개하지만

지금까지 국제 정치사상 어떤 시나리오가 상정한대로 어느 문제가 해결된 것이 없디

역사에 가정이 없듯이 국제정치의 현실에서 ldquoScenariordquo의 가정도 설 땅이 없다

시나리오를 추구하는 학자들은 바둑놀이를 계속하는 것과 같다 바둑을 둬서 어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지만 두뇌기능을 진척시키고 치매 방지 등 건강에 도움이

되는 정도라고나 할까 학자들의 장기중의 하나는 간단한 문제를 복잡하게 해석하고

신조어를 만들어 내며 독자들을 헷갈리게 하는 재주다

발제자 주장에 대한 토론

- 615 정상선언은 남한의 국가연합 방안과 북한의 느슨한 연방체 간에 공통점이

존재하며 앞으로 ldquo그런 방향으로 (통일을) 추진한다rdquo고 합의 했을 뿐 그 후에 어떻게

정치체제를 통합하겠다는 언급이 없었던 사실을 발제자가 정확하게 지적했다 그러나

당시 한국측 주역들은 연합과 연방단계를 묶어서 Federation 이 아닌 Confederation 의

형식으로 교류와 협력이 무르익는 ldquo사실상의 통일 ndash De Facto or Virtual Unificationrdquo

을 이룬 다음에 완벽한 법적 통일 ndash ldquo De Jure Unificationrdquo 로 간다는 것이다 DJ 의 3

단계가 연합 ndash 연방 ndash 완전통일 이었다면 임동원은 화해 협력 ndash 사실상의 통일인 연합

그 후에 법적 통일의 3 단계였는데 이 점은 615 선언협상과정을 통해서 DJ도 동의

했다는 것이다 (ldquo피스메이커rdquo에서 - 이 통일 과정에 소요 되는 시간을 DJ 는 10 년

김정일은 40mdash50 년으로 예상했다)

- 발제자가 논의한 ldquo급변사태로 인한 통일에 대해서 ldquo급변사태rdquo에 대한 정의는

무엇인가 중국의 개입가능성이 높고 미국의 개입가능성을 낮다고 하는데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논의 되어 온 것 이상의 논리가 없다 미국의

역할을 예측하는 문헌으로 Bruce Klinger 와 Bruce Bennett 의 글을 주석으로 달고

있는데 이 두 사람은 북한의 붕괴를 이념적으로 바라면서 근거가 미약한 붕괴론을

확산 시켜온 인물들이다 다만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남북한이 둘 다 유엔회원국이기

때문에 만약 북한에 권력공백 상태가 생겼을 때 누가 들어 가서 평정 및 관리를 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유엔차원에서는 아직 한 번도 논의된 적이 없는 문제다 유엔 임시

한국위원회에서 대한민국정부 수립에 앞선 선거 감시를 했고 625 때 38 선 이북으로

북진 할 때도 당시 유엔군 사령부는 수복지구에 대한 행정권을 정식으로 한국에 넘기지

않았다

16

- 한국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 하는 방안에 대해서 우선 발제자가 말하는

ldquo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rdquo의 뜻은 우호적 태도 호감 영어로 말하는 Identity

라면 북한 주민들이 ldquo우리는 남한 사람들과 같다rdquo는 뜻인가 정체성이 정치적 동질성을

말한다면 이를 이룩하기 위한 노력이 장기간 섬세하게 선행 되야 할 것이다 예멘의

사례도 학술적인 참고는 되지만 정책상의 참고는 될 것 같지 않다 물론 최종적인

정치 사회 통합은 현재의 정부 방식으로는 통일의 최종적 과제이다 그러나 평화를

보장하는 사실상의 통일 단계에만 돌입해도 궁극적인 통일로 향하는 엄청난 성과가 될

것이다 그래서 통일은 과정이란 말이 나왔다

- 독일의 사례 대해서 한국통일 논의에서 독일통일의 모델이 약의 감초처럼

등장하는 데 독일에 가서 독일 통일 과정을 공부한 한국인들을 제외하면 독일인

독일통일 전문가들은 한국과 독일 여러 가지 여건이 (역사 경제 문화 국제환경)

다르기 때문에 독일통일방법을 모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을 많이 하고 있다

토론자의 생각도 같다 물론 독일과정에서 있었던 일들 중 한국이 배우고 참고로 해야

할 점이 많이 있음은 부인치 않는다 (예 정권교체와 관계없는 일관된 정책의 지속성

같은 것 ndash 발제자는 이를 위해 내각제 개헌을 제안) 독일 통일과 관련된 미국의

이해관계를 소상하게 기술했는데 이 것도 본 발제문 주제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지 않는다

-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에 대해서 해방 이후 미국은 유엔결의문 등을

통해서 평화적으로 한반도에 자유 민주 통일 정부가 수립되기를 바란다 고 언급해 왔고

아버지 부시 클린턴은 ldquo한국국민 (the Korean people) 이 원하는 통일rdquo그리고 아들

부시와 오바마 때와서는 ldquo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체제의 통일rdquo을 지지한다고 공언했다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은 한국 헌법에 부합하지만 북한에 입장에서는

ldquo흡수통일rdquo로 받아 들린다 당연히 북한이 반발한다 2000 년 10월 김정일은 이렇게

말했다 ldquo우리는 제도에 의한 통일은 반대다 평화통일 하면 우리는 우리 식으로

통일하는 것을 말하고 민주 통일은 남조선 원하는 통일이다 평화통일이 되면 중국이

좋아하고 민주통일이 되면 일본이 좋아할 것이다rdquo

1991 년 6월 토론자가 평양에 갔을 때 당시 북한 군축평화 연구 소장 송호경 (후에

아태위 부위원장) 은 이렇게 말했다 ldquo 1민족 1 국가 2 체제 고려연방제는 한쪽이 다른

한쪽을 먹을 수 없는 상태로 공존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상태를 해소할 수 있는

쌍방간의 합의나 체제통일이 없으면 이 상태가 마냥 계속될 수 있다 영구히 갈런지도

모른다rdquo

- 지금까지 미국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한국 통일에 대한 수사적 지지만∙ 했을 뿐

한국통일을 위해 노력한 흔적이 없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현재 미중은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 속에서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각각의 전략적 이익 때문에 한반도에서

무탈 무사 현상유지를 원하고 있다 발제자가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간행물을

인용했는데 토론자는 이 것도 못 마땅하게 생각한다 그 간행물에 관여 한 소위

미국인 전문가들 중에 한국통일 전문가는 별로 없다 Victor Cha가 미국의 거물학자로

여겨지는 것도 못 마땅하다 (나는 이런 것을 미국에 대한 학문적 사대주의 ndash

Academic Sycophancy 라 부른다) 미국문제는 미국인들이 잘 알고 한국문제는

한국인들이 잘 안다 다른 한가지를 지적한다 미국은 지금 한국 통일에 대한

우선순위가 없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북핵 문제도 우선순위를 두지 않고 있다 심지어

17

아시아 재 균형 문제도 이라크와 시리아의 ISIL or ISIS 문제 때문에 신경을 제대로 쓰지

못한다는 우려가 나온다 (Kurt Campbell in Seoul on September 25 2014)

- 통일 이후의 한미동맹 통일에 대한 전망도 아득하지만 그 후의 한미동맹 관계는

더욱 아득하다 통일에 상대가 있듯이 (As W Bush said in Seoul this spring at a

conference hosted by the Chosun Ilbo) 동맹은 전통적으로 군사적인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동맹 이 함께 싸워야 할 상대 (Potential foe or adversary)를 전제로

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중미간의 경쟁이 계속된다면 미국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한미동맹을 아시아 재 균형의 도구로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 입장에서

그것이 그 때가서 한국국익에 맞는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서 발제자가 친절하게 미국의 이익과

우려를 열거했는데 남북이 통일을 원한다면 미국이 자기 이익 때문에 통일을

반대해서도 안되고 한국이 미국의 우려 때문에 할 일을 못하거나 안 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미∙중 사이의 중립 또는 전세계를 상대로 하는 중립이 한국 국익에

합당하고 국민의 다수가 이를 원한다면 한국은 그 길을 택해야 한다

미국의 걱정은 미국에 맡기고 한국은 한국 걱정에 치중해야 한다 걱정은 시대와

환경에 따라서 달라진다

정책건의

- 첫째 황병서 최룡해 김양건 3 인의 인천 방문을 계기로 다음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진일보한 과감한 자세로 이산 가족 524 조치 금강산 관광 등 현안을 타결하고

신뢰프로세스를 부활해야 한다 남측도 구태의 틀에서 벗어나 놀랄만한 자세를 보여야

한다 통근 결단은 북한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 둘째 6자회담 재개 등 북핵문제 해결을 노력을 한국이 주도해야 한다 미중과 함께

한국마저 손 놓고 있는 상태는 더 이상 방관해서는 아니된다

- 셋째 대북정책에 대한 국내 보수 진보간의 시각차이를 융합하여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탈냉전식 통일정책을 개발함으로써 통일준비의 기초를 확립해야 한다

2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김현욱 박사의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을 읽고

국내의 손꼽히는 미국전문가인 김현욱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을 맡게 되어 영광으로

생각한다 김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자의 생각과 비교할 때 공감이 가는 부분이 많다

하지만 김 박사가 다루는 주제가 단순히 미국의 대외정책이나 한미관계가 아니라

lsquo한반도 통일rsquo이라는 점에서 몇 가지 오류가 눈에 띄기 때문에 여기서부터 토론을

시작해야 할 것 같다

I 서론

한middot미 정상이 합의한 통일관련 언급은 「한미동맹 공동비전」(2009616)은

ldquopeaceful reunification on the principles of free democracy and a market

economyrdquo으로 「한미동맹 60주년 공동선언」(201357)은 ldquoits peaceful reunific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denuclearization democracy and a free market

economyrdquo으로 되어 있다 전자의 free democracy는 liberal democracy와 구별되어야

18

하며 후자에는 그냥 democracy로 표기한 의미를 되새길 필요가 있다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o 우리 정부는 lsquo연합제 통일방안rsquo을 지지한 바 없으며 무엇보다 lsquo연합제rsquo는 통일방안이

아니다 또한 우리 정부가 북한과 함께 lsquo74남북공동성명rsquo을 발표하고 lsquo자주 평화

민족대단결rsquo이라는 통일의 대원칙을 발표한 것은 맞으나 그 뒤 lsquo민족대단결rsquo을 삭제하고

lsquo민주rsquo를 넣었다

o 1989년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은 전두환이 아닌 노태우 정부 때 발표된 것이다

o 김대중 대통령이 대통령이 되기 전에 개인적인 통일방안으로 lsquo남북연합제 rarr

공화국연방체 rarr 통일국가rsquo의 3단계를 주장했었으나 대통령이 되고 나서는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수용했다

o 한국의 통일정책의 특징이 ldquo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남한체제를

궁극적인 통일의 상으로 설정하고 있다rdquo고 주장하나 우리 정부의 공식 통일방안인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은 먼저 민족공동체를 만들어가고 나중에 통일국가를 이루되

통일국가의 형태는 미래세대에게 맡긴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2 북한급변사태로 인한 통일

o 북한의 급변상황에 한국이 개입하는 것이 유엔헌장에 위배된다는 지적은 옳다 그런데

아무리 중국이 UN상임이사국이라도 중국 군이 평양까지 진출해 친중 정권을 수립할

근거를 갖고 있는가

o 박휘락 박사의 인용문은 미국이 북한의 WMD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중국의 도움을

받기 위해 중국의 개입을 반대하지 않는다는 의미이지 북한 급변사태가 발생할 때 이를

중국에게 떠맡긴다는 의미는 아닌 것이다

o 필자는 ldquo미∙중 양 강대국이 한반도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고rdquo라고 언급하고 있는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가 있는가

3 남한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하는 방안

o 남북예멘이 통일 후 무력통일로까지 간 것은 사회문화적 유대감의 부족 때문이

아니라 11 대등한 권력분배가 몇 년 뒤 실시된 선거결과에 의해 북예멘에 유리하게

정치지형이 바뀌자 남예멘 측 인사들이 이에 반발해 무력을 동원했다가 진압당한 것이다

o 동독유권자의 9322가 서독으로의 신속한 편입을 주장했다고 언급했는데 이 수치는

투표율이다 조기통일을 주장했던 독일연합의 득표율은 4804 국가연합을 거쳐

점진적 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의 득표율은 2188였고 옛동독공산당이었던

민사당이 164 새로운 사회주의 건설을 내걸었던 연합90이 291였다 그 결과

독일연합과 동독사민당이 연립정부를 구성해 서독과 통일협상에 나섰던 것이다

III 독일 사례와 미국

o 동독 총선거에서 동독주민들이 서독의 정치체제와 정당에 투표하였다고 하였는데

이것이 무슨 말인가 그들은 조기통일(동독기민당 중심 국민연합) 점진통일(동독사민당

민사당) 제3의 길(연합90) 등을 내건 동독정당에 투표했는데 결과적으로 조기통일을

19

주장한 국민연합이 승리하여 점진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과 연립하여 조기 통일을

추진 달성한 것이다

o 독일통일의 상황에서 소련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원조라고 언급하고 있는바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엄밀하게 말한다면 對소련 차관 50억 DM(약 25억 euro) 동독주둔

소련군 36만 명의 철수에 따른 비용 부담 125억 DM(약 64억 euro)이다

IV 미국과 한반도 통일

1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o 미국이 통일과 같은 현상변경보다는 분단이라는 현상유지를 선호한다는 의견에

동감을 표한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의 정확한 출처를 밝혀주었으면 도움이

되겠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o 필자는 lsquo연합제연방제 통일rsquo과 lsquo한국주도의 통일rsquo을 대립적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연방제란 정부구성원리의 하나로서 1국가 2체제(일국양제)만 있는 것이 아니라 1국가

1체제의 연방제도 존재한다 따라서 한국 주도의 통일일지라도 단방제(單邦制) 방식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연방제(聯邦制) 방식이 될 수도 있다

o 통일된 이후가 아니라 전작권 전환 이후에 2013년 한미 양국은 한국군 합참 내에

미래사령부의 구성 계획을 통해 연합지휘체제(한국군 사령관 미군 부사령관)를

구축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o 최근 논의되고 있는 THAAD는 지금도 배치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인가 아니면

통일되면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아니게 되므로 지금 배치했더라도 철수해야 한다는

의미인가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o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우려사안 중 한국 주도의 통일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한미동맹의 약화를 우려한다는 점이 충분히 이해되지 않는다 특히 당장 통일될 것도

아닌데 우려의 근거로 미국의 현실적 상황을 제시한 것들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o 나머지 두 번째 세 번째도 왜 한미동맹이 약화되고 주한미군을 철수하게 될지 하는

원인을 설명하지 않고 그렇다고 전제해 놓고 미국의 대아시아 전략에 미칠 영향과

미∙중 사이의 중립국 지위 유지하는 것은 앞뒤가 바뀐 것이다

V 결론 ndash 정책적 고려사안

o 미국이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했다고 볼 수 있는가 미국이 통일에 대해 처음으로 입장표명을

한 것은 2009년 6월 이명박-부시 대통령의 한미 공동비전이 처음이다 최근 미국

조야의 분위기는 북핵 문제를 풀기 위해 통일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고 오히려 한국

측이 통일에 소극적이라고 질책하기도 하지 않은가

o 중국이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가 통일한국의 핵무기 보유가 아니라

단지 미국의 핵우산 유지를 우려했기 때문인가

o 평화협정이 단지 한국전쟁의 종식만을 위한 것일까 필자가 제시한 첫 번째

20

정책고려사안은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런데 평화협정이

체결되지 않고 정전상태에서 곧바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첫째 우발적 충돌이라도

전쟁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있고 둘째 통일과정에서 정전협정의 당사자인 미국과 중국이

국제법적으로 개입할 가능성이 열려있다

o 본문을 보면 필자는 분단적 평화유지와 평화체제평화협정을 동일시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마저 든다 그리고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다고 했는데 그 근거가 무엇인가 특히 비핵화-평화협정의 순서를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의 입장이 상반된다고 언급했는데 과연 그런가 919공동성명에서 미국과 중국은

동시행동 원칙에 합의한 바 있지 않은가

o 과연 남북한 통일을 위해 내각제가 필요한가는 좀 더 논의해봐야 할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통일을 달성할 때까지는 효율성을 위해 대통령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필자의 주장과 달리 내각제의 경우 잦은 내각교체로 인해 통일정책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수 없는 것 아닌가 lt끝gt

3 문성묵 박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발제문에 대한 논평 우선 김현욱 교수님의 발제문은 한반도 통일의 가능한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독일 사례를 통해 우리의 통일미래를 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접근이라고 봄 특히 남북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매우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제시하고 있는 정책적 제안은 적절하다고 판단되며 대체로 공감함 다만

통일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한 두 가지 추가 제언을 드리고자 함 우선 미국의

우려사항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일한국이 지향하는 한미동맹에 대한 분명한 의지를 미

측에 밝힐 필요가 있음 아울러 통일의 성취를 위해서는 반드시 중국의 협조를

유도해야 하는 바 이를 위해서는 통일한국의 한미동맹이 중국의 국익에도 부합될 수

있다는 논리를 적극 개발하고 중국을 설득하는 노력이 강구되어야 함 이러한 입장을

미국이 중국과 직접 조율해 나가도록 협조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봄 그런 차원에서

본문에서 제시한 한∙미∙중 3자 협의는 유용한 협의기제로 보임

다음은 곽태환원장님께서 제시해 주신 토의중점 주제들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정리하였음

1 한반도 통일을 위해 먼저 극도로 경색된 남북관계부터 풀어나가야 하는데

출구전략은

10월4일 황병서 등 북한고위급인사의 전격 방남으로 대화의 물꼬가 트인 만큼 이달

말 또는 11월초로 예정된 2차 고위급접촉을 통해 남북간 쟁점사항들을 대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풀어나가는 지혜가 필요함

첫째 무엇보다 대화의 지속이 중요함 일회성 대화가 아니라 고위급접촉이든 다른

대화채널이든 대화가 정례화 되는 것 즉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통로는 늘 열려 있어야

할 것임

둘째 사안별 접점 마련이 필요함 즉 상호가 입장차이가 극명한 사안은 일단

21

접어두고 접점 마련이 가능한 사안부터 협의하고 이행을 해 나가는 것임

2 현안이슈인 THAAD 한국배치에 대한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 측면 고려하여 사드

한국배치가 바람직한가 전시작전통제권을 2015년에 받아야 하나 연기 해야 하나

첫째 사드의 한국 배치는 정치적 관점이 아니라 안보적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중국(러시아)과 북한이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있지만 북한위협에 직면한 우리

입장에서는 한미동맹차원에서도 미국의 사드 배치 구상에 협력하는 것이 필요함 따라서

한국과 미국이 중국을 잘 설득할 필요가 있음

둘째 전작권문제 역시 주권 자존심이라는 측면 보다는 국익의 관점에서 판단해야 할

사안임 북 핵문제 등 북한의 위협이 상존하는 현 상황에서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억제력을 확고하게 유지하는 일임 한미연합사는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체제임 따라서 시기에 기초한 접근 보다는 조건에 기초한 접근이 바람직함

3 한반도 통일은 평화적으로 이뤄져야 하는데 남과 북이 합의에 의한 통일이

이뤄지려면 공동통일방안에 대한 합의가 가능한가 6자 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는

평화체제구축은 어떻게 이룰까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통일방안에 대한 남북 간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는 현 상황에서

통일방안부터 협의를 시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봄 우선 대화와 교류확대 등을 통한

화해협력을 추진하면서 향후 북한정권과 체제의 변화가 이루어질 때 통일방안에 대해

본격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함

둘째 핵 문제는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임 이로 인한 무력충돌은

공멸을 의미하기 때문임 따라서 북핵 문제는 우선 강력한 억제로 북핵 사용 자체를

무력화하고 나아가 대화를 통한 외교적 해법을 병행해야 함 즉 6자 회담을 재개하여

919공동성명의 합의정신에 입각하여 풀어나가는 것 이외 다른 적절한 대안은 없어

보임

셋째 평화체제 문제는 6자 회담이 재개되고 북핵 문제에 있어 일정분야 진전이 있을

경우 919 성명에 합의된 별도의 평화포럼을 통해 논의해 나갈 필요가 있음 평화체제는

협정의 체결이 아니라 실질적인 평화상태를 만들어 나가는데 중점을 두고 추진해 나가야

4 4자(미 중 남북한)회담을 통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인가 북이 주장하는 북미간

평화협정이 바람 직 한지 한반도 정전체제를 대체하는 다자 평화체제는 어떤 형태가

바람 직 한가 등

첫째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논의하는 협상은 남북한과 미국 중국이

참여하는 4자회담이 적절하다고 봄 1997~1998년 사이 제네바에서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는 문제를 논의하는 4자회담이 6차례 개최된 바도 있음

둘째 평화체제는 남북간에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미국과 중국이 이를 보장하며 협정은

유엔에 기탁하는 방안이 적절하다고 봄

5 6자 회담을 복원하여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ldquo행동대행동rdquo으로

동시에 해결하자는 제안에 대한 견해는

22

이는 북한이 핵 문제에 대해 한국과 미국 등이 요구하는 수준으로 성의 있는 조치를

취하고 이를 바탕으로 6자회담이 재개된다면 동시에 별도의 포럼을 열어 평화협정

논의를 개시할 수 있을 것임 실질적 평화상태 구축을 위한 남북간 군사적 신뢰구축 및

운용적 군비통제 등을 추진해야 함 평화협정의 체결 시점은 북한 핵이 완전히 폐기되는

시점과 맞추어야 할 것임

6 이러한 통일프로세스에서 과연 미국은 어떤 역할이 바람 직한가

독일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듯이 미국도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함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을 설득하여 한반도 통일에 동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공고한 한미동맹을 유지하여 북한이 변화하도록 유도하며 통일 이후에도 통일한국의

안보환경과 국익에 부합되게 동맹의 형태와 목표 기타 필요한 사항들을 협의하여

합의할 필요가 있음 통일한국이 중국과의 관계에서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는 방법은

미국과의 동맹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생각됨

7 평화적 합의통일방안에 하나의 대안으로 중립화를 통한 한반도 중립화 통일방안에

대한 견해는 미국은 지지 할까 등입니다

중립화 통일방안을 추구한다고 해서 통일이 촉진될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음

중국은 다소 긍정적일지 모르나 우리의 동맹인 미국이 가장 우려하는 사안일 것임 그런

차원에서 중립화 방안은 부적절함 이는 우리 국익이나 안보상 적절치 않은 방안이라고

봄 lt끝gt

4 김준형 박사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교수)

발제 논문에 관한 의견

다음 사항들에서 기본적으로 공감함

한반도통일의 고차방정식에 대한 의미 있는 분석 주변강대국들의 이해관계

특히 통일을 추구함에 있어 미국과 중국의 이해관계를 분석한 부분

냉전붕괴직후 독일의 상황과 당시 미국 및 소련의 입장이 가지는 함의에 대한

분석

북한급변사태가 곧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며 통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북한

주민들의 친한국 성향이나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남북이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

최근 미국이 통일에 대해 기껏해야 소극적 지지입장이며 통일로 인한

한미동맹의 약화가능성에 우려를 가지고 있다는 분석

한미동맹의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치명적이라는 주장도(치명적이라는

표현은 좀 과도한 측면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공감

주변강대국이 한반도통일이 현 동북아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지지하지 않으나 남북한이 원해서 주도적으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반대할 수 없다는

주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사항들에서 문제 제기하고자 함

23

서론에서 밝힌 본문내용 소개가 본문의 실제 내용전개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음 특히 현실적인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를 살펴본다고 했는데 오히려 그간의 남북한

통일안의 한계와 약점을 지적하고 특히 남북한 공히 정치적 통합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진다는 분석 위주임

북한에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 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 미국이 먼저 나서서 개입하지 않을 가능성은

있다 하더라도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해도 미국이 행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는 동의할

수 없음

북한 급변사태의 경우 중국이 자국민 및 재산보호를 명분 삼아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그것이 북중동맹에 의한 자동개입과 UN 상임이사국의

지위를 이용해서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라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려움

북한의 급변사태에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논지와 중국이 북한에 친중 정권을 세울 가능성이 높다는 논지는 자칫 통일보다 동맹을

선택하는 한미동맹 신화론자들의 논리를 강화시킬 수 있는 위험성 내재 박휘락박사가

인용한 미고위당국자의 발언은 context도 다른 것으로 보이고18

한국주도의 통일 역시 한미동맹약화로 이어지고 이는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에

치명적일 것이라고 단정하는 것 역시 같은 식으로 호도될 여지 있음

이 논리가 절대적 친미

보수진영의 동맹강화의 긴급성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논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평화협정이 통일의 전제조건이 아니라는 것에 동의하고 분단적 평화유지에 대한

반대에 동감하지만 평화보다 통일이 우선되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려움

통일을 위해 통일정책의 연속성을 위해 내각제 개헌을 해야 한다는 논리는

지나친 단순화 또는 비약으로 보임

현 정국에 대한 토론자의 견해

지난 7년간의 대북정책 및 통일정책의 한반도의 운명과 관련된 4가지 핵심 변수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① 한미동맹의 근본 성격 변화(대북억지-gt동북아지역군)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을 위해 일본과 한국에 아웃소싱 추진하고 있으며 그 핵심이 지역미사일방어체제

구축

- 전작권환수 시기보다 조건을 우선 고려

- 전작권에 대한 효용성 변화 과거 전략적 유연성은 분담의 차원이었으나 현재는

한미일 군사협력네트워크 통합의 차원으로 변모 따라서 미국이 전작권을 계속 보유하는

것의 효용성이 높아짐(미국의 꽃놀이패)

② 북핵문제의 근본 성격 변화 핵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음

- 미국은 북한에 대한 de facto 보유국 내부적으로 인정19

18 이 발언은 북한의 핵개발 중단 도발가능성 북한개혁 등 중국이 행사할 수 있는 대북 레버리지를 미국이

기대한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됨

19 수년 전 힐러리 클린턴의 발언부터 최근 오바마의 유엔연설 직전에 행한 국가안전보장회의 부의장 벤 로

24

- 발제논문에서 주장하는 통일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미국의 입장과 연결됨

- Permanent crisis 양상 분명 위기이고 해결이 난망한데 아무도 나서서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며 심지어 현 위기국면을 국내정치에 이용하는 측면이 커지는 일종의

북한 핵위기의 default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③ 한반도 통일론의 변화 신뢰프로세스 동평구 통일대박론 드레스덴 선언 등의

많은 제안들이 후속조치 없이 동력을 잃었으며 최근 UN연설에서 재확인되듯이

흡수통일론으로 귀결 남북교류의 제도화 수준은 대단히 높으나 실행수준은 대단히

낮음으로 인해 통일논의에 대한 국민들의 피로감을 확산시키고 이는 국내

안보포퓰리즘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동

④ 북중관계 변화 남북관계의 단절로 인해 긴밀해짐으로 해서 북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하고 있는데 중국의 대북 지분을 향상시켜 유사시 개입의 빌미가 될

가능성이 높음(발제논문도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음-탈북자 관리명분)

미국의 입장에 대한 견해

오바마는 대북정책에 있어 부시 전임정부와는 정반대되는 경향 1기에서의

강경함에서 2기에는 협상무드로 갔던 부시와는 반대로 초기의 온건입장이 시간이

갈수록 강경기조로 넘어가고 있으며 인권압박까지 병행

더 큰 문제는 강경책이든 온건책이든 문제해결을 위한 움직임이 없는 매우

수동적 태도로 일관한다는 것인데 이는 북한문제가 여전히 오바마행정부의

정책우선순위의 상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고 또 북한핵개발

국면을 빌미로 대중국 견제와 미일동맹을 비롯한 아시아동맹네트워크 강화에 활용한다는

것임

오바마의 소위 lsquoDDSSrsquo Doctrine의 근간은 임기 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한반도는 큰 현안 없이 현상유지로 흘러갈 가능성이 큼

미국의 MD 압박 강화될 것임

- 미국이 현재는 한국내 여론을 의식해서 한국정부와 보조를 맞추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MD 편입을 원하고 있기에 압박은 증가할 것임

- 한국과 일본이 참여하는 지역 미사일방어체제 구축은 미국의 아시아재균형전략의

핵심이며 한국의 MD 참여가 중국의 입장에서는 레드라인이지만 미국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한중의 접근을 억제할 수 있는 카드로서의 효용성이 있음

- 한국정부의 태도 변화 사드의 한국도입에 대해 최근에는 수용적 자세로 변화20

미국의 MD 참여 압박에 대해 정부가 진정으로 미국 MD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면 확실한 입장표명을 하거나 공개적으로 국민의 의견을 묻는 것이

필요함(double edge diplomacy 활용)

한국의 과제

즈 발언까지 일관됨 20 10월 7일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한민구장관은 북한 핵middot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사드를 배치하면 우리 안

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함 또한 MD의 핵심 자산을 동원하는 새로운 작전개념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같은 방안을 이달 말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연례 안보협의회에서 공식화할 방침이라고 밝힘

25

남북관계 해결을 위해 한국정부가 선제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시도해야 함

미국이 여러 복잡한 문제로 인해 여유가 없는 상황을 오히려 역이용하는 발상의 전환

필요

미국정부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대북접근에 있어 한미공조 이탈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견제해왔던 것에 비하면 한국의 운신의 폭은 역설적으로 커졌다고 볼 여지

있음 미국이 대북정책에 있어 마땅한 해법도 없고 정책순위는 점점 하락하는 상황에서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주도가 가능할 수도 있음

출구전략

- 6자회담과 919성명의 복원을 통한 문제해결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을 병행

- 524조치에 대한 언급 없이 실질적인 유연화

- 박근혜대통령의 결심이 관건 대화재개조건의 유연화에 대한 한미간 정책조율을

주도할 필요가 있음

5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

한국GPF재단이 주최하는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김현욱 교수께서 발제한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의 주제는 통일을

시급하게 달성해야 하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통일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반세기 이상 한국과 안보동맹을 체결하고 있는 미국의

한반도 통일정책을 논의하는 것은 아주 시의적절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자는 먼저

발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의견을 제시하고 발제자와 토론자 간의 약간의 상이한

견해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하고 곽교수의 질문에 대해 간략하게 답한 후

정책제안의 순서로 기술하고자 합니다

1 발제문에 대한 일반적 평가

발제자의 논문 내용과 접근방법에 대해 토론자는 전적으로 찬성하고 동의합니다

한반도 통일방안의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공감하면서 남북정상이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에 공통점이 있다고 이미 합의하였기

때문에 남북은 장차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 중 하나의 통일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람직한 통일접근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한국이

경계해야 할 것은 발제자도 지적한 바와 같이 북한의 붕괴통일보다는 독일과 같이

평화적 흡수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며 더 좋은 방안은 평화통일을 목표로 하되 점진적

접근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만약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하여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고 가정할 때 한국에게는

lsquo통일의 대박rsquo이 아니라 통일의 쪽박이 될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남북이

평화통일 협상을 통해 점진적 통일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미국의 국가이익과 우려사항에 대한 자세한 분석에 전적으로

동의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많이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서

기대하는 것은 미국의 국익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미국의 대한반도 통일정책이

결정되리라 전망됨으로 통일의 당사자인 남북은 통일의 과정에서 미국의 국익도

고려하면서 남북이 통일의 이니셔티브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6

2 발제 문에 대한 몇 가지 이견

토론자는 발제문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를 하지만 미시적 측면에서 토론자의 이견을

몇 가지 부언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연방제와 연합제를 설명하는 2쪽 문단에서 북한의 연방제를 1980년

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김일성이 발표한 내용을 기준으로 설명했으나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이 한국의 연합제와 좀더 가까운 것은 김일성이 1991년 1월

1일 발표한 lsquo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rsquo이므로 이를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비교분석 하는 것이 좀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980연대 연방제는

남과 북이 lsquo연방상설위원회rsquo를 조직하여 지역정부를 지도하는 중앙정부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1991년의 연방제는 지방정부에 모든 외교권과 군사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국의

연합제 즉 국가연합 형태의 통일방안으로 수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둘째 1991년 북한의 연방제는 남과 북이 어떠한 정치군사적 블록에도 가담하지 않는

중립국가의 외교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남북이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에 공통점을 인정하고 있으나 북한은 연방제가 되었을 때 외교정책은

반드시 비동맹 중립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나 한국은 북한의 그러한 중립정책을

수용하기 어려운 입장이므로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선 듯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셋째 북한의 연방제 실시 조건에서 남한이 수용하기 어려운 또 다른 것은 북한이

주한미군의 철수와 국가보안법을 철폐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장차 남북이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를 실시한다 해도 남한정부의 입장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보안법 철폐는 가장 민감한 문제들이므로 난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끝으로 발제자는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ldquo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케 하고 미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rdquo는 분석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됩니다 미국의 계획에 의하면 lsquo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군은 한국군과

한국인은 북한에 입북하는 것을 금지하고 미군과 일본의 자위대가 북한의 치안을

유지한다rsquo는 주장이 제기되어 이를 확인하고 있습니다(오크랜드 대학교 박문재 박사

주장) 또 다른 주장에 의하면 북한의 급변사태 시 중국군과 미군은 동시에 북한에

상륙하여 일정한 지역을 분할 하여 WMD와 북한 질서를 공동으로 유지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계획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경우 미국에는 분명히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미국의 이익과 우려가 병존하리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어느 것이 미국의 국익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가에 따라 미국의 외교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이며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한반도 정책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과 관련하여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 발제자는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어

대부분의 내용에 동의를 하면서 상이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토론을 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ldquo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으며 2012년 오바마

27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 체제와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통일을 지지했다rdquo는

내용에 대해 미국은 한반도의 통일을 원천적으로 원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토론자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1971년 7월과 2005년 8월 북경에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비밀회담을 갖고 ldquo미국이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양국은 한반도 분단의

현장유지를 계속하자고 합의rdquo한 내용이 미국의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습니다(2005년 9월

7일 Washington Post)

또 다른 예로 한국전쟁을 종결하는 휴전협정 제4조에는 ldquo정전협정 서명 후 3개월

이내에 서명 당사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한다rdquo고 합의했으나 미국은 북한이 핵을 만들기

전에도 북한의 평화협정 요구를 거절해 왔으며 이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해야

평화협정을 체결해 주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의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은 외교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둘째 과거 독일통일의 과정에서 고르바초프는 독일의 중립화를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미국은 통일된 독일이 NATO에 잔류해야 한다는 조건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결국

고르비가 양보하고 미국의 안이 채택되었으나 거기에는 서독이 소련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수용한 대가라고 합니다(주섭일 기자의 『1990년 독일통일과 2017년 한반도

통일』)

셋째 미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문제에 대해 크게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미국은

한반도가 통일이 된 뒤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주한 미군의

역할은 북한의 위협보다는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주한 미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미국의 재

균형정책도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넷째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미국의 동북아시아 국가에 대한 군수산업이 대폭

축소될 것이며 통일된 한반도가 미-중 간에 균형외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대중 견제는 급속하게 감소될 전망입니다

끝으로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은 감소된 반면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되어 미국의

장기적 전략인 미국의 군사비 감축과 국내외 여건으로 주한미군의 유지가 어렵게 될

경우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감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므로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4 한국의 당면 과제

한국은 대북정책의 출구전략으로 10월 3일 북한 실세의 한국방문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려 북한이 필요로 하는 경제지원과 5ㆍ24조치 해제를 전제로 북한의 양보를 얻어 내

남북관계의 출구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한국정부는 미국이 요청한 THAAD

구입이나 배치를 허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남북간의 평화체제 구축은 1단계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기 보다는 남북이 이미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를 비롯하여 6 ㆍ 15선언과 10 ㆍ 4선언의 내용 중 실천이 용이한

문제부터 실천하면서 남북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북한과 미국의

관계에서 미국이 현재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한국은

북한과 먼저 신뢰를 회복한 후 기본합의서에 이미 명시되어 있는 남북한의 불가침조약을

먼저 체결하고 서울과 평양에 대표부를 설치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한반도

28

비핵화를 위해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으로 핵

문제는 북미간의 문제로 유지하면서 남북한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요구를

하면서 남북의 해빙무드를 먼저 조성하는데 한국은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은 현재도 비동맹 중립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북한의 연방제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조심스럽게 중립화 문제를 거론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검토를 해야 할 것입니다

5 정책제안

한반도 주변 4강은 현재 그들의 국가이익과 한반도 통일이 그들에게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한반도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므로 한국정부는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북한에 비핵화 요구보다 협상을 통해 단계적으로 북한이 한국의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제안이나 구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서

북한이 시급하게 원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524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북한의 양보와 협력을 받아 내야 할

것입니다lt끝gt

6 장용석 박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1 통일과 관련하여 발표자의 다음 지적은 매우 중요함

- ① 기능주의적 접근의 한계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 필요성 ② 북한

주민들의 선택이 지닌 중요성과 그에 대한 고려 필요성 ③ 통일 대북정책의 연속성과

북한 리더십 포용을 위한 내각제 개헌의 필요성

2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과 관련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함

- 동서독은 유럽차원에서 NATO와 WTO간 세력균형 이를 바탕으로 한 동서 간

긴장완화와 특히 헬싱키 프로세스와 CSCE 등을 통한 공동안보 틀 구축 등으로 인해

교류협력에서 안보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특히 동독이 경우 패전의

여파겠지만 북한과는 달리 자국의 안보를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음

- 반면 남북을 둘러싼 지역 안보 환경은 미∙중 간의 긴장과 갈등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고 있고 특히 북한의 경우 지정학적 요충지론에 입각하여 자주-존엄-

선군의 기치 하에 핵보유까지 천명하고 비대칭적 전력의 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으로써 동서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교류협력의 직접적인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 따라서 동북아 지역차원에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협력적 안보 틀이나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공존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rArr 이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ldquo작고 쉬운 것부터rdquo 논리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를 외면하는 기능주의의 또 다른 버전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발표자의 평가는

무엇인지

rArr 아울러 평화협정은 평화적 공존의 제도화와 군비통제를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분단관리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게 아닌지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8: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8

따라서 한반도 통일을 위해서는 정치통합이라는 난제를 극복해야 하며 이를 이루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실제 서독의

신동방정책의 핵심은 이에 있었으며 베를린 장벽의 붕괴로 인해 통일에 대한 열기가

달아오를 무렵 동독의 라이프치히에서는 1990년 1월 20만 명의 동독시민이 참가한

가운데 대규모 반공 및 통일 요구시위가 발생한 바 있다 9 또한 1990년 동독에서

자유총선거가 실시되었을 때 유권자들의 9322의 투표결과는 ldquo다시는 사회주의가

아니라 자유와 번영을rdquo이라는 구호를 내걸고 동독의 서독으로의 신속한 편입을 주장한

독일연합의 승리였다10

III 독일 사례와 미국

독일의 경우 동서독 간 통합에 의한 통일을 추진했었으나 동시에 경제협력과 교류를

통해 동독주민들이 서독체제에 대해 동경심을 갖도록 하였다 즉 빌리 브란트 총리의

신동방정책은 동독주민들의 정체성을 서독지향적으로 이끄는 데 기여하였다 그 결과

통일독일을 위한 총선거에서 대다수의 동독주민들은 서독의 정치체제와 정당에

투표하였으며 자연스럽게 통일독일은 서독중심의 국가로 형성되었다

독일통일이 이루어질 당시 유럽정세는 베를린장벽의 붕괴와 함께 구 소련의 세력이

위축되고 미국의 세력이 증가하고 있을 때였다 이와 같은 정세는 미국으로 하여금

독일통일을 지지하게끔 하는 요인이 되었는데 통일독일의 지위가 미국의 이익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유럽정상회담 연설에서 부시

대통령은 독일통일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하면서 독일민족의 자결권 존중 등 독일통일의

4원칙을 언명하였다 첫째로 어떤 특정한 통일을 상정하지 않는 독일민족의 자결권을

존중한다는 것이었으며 둘째로 독일의 NATO잔류와 유럽통합의 지속 동맹국의 법적

역할과 책임을 존중하고 셋째로 통일은 전반적인 유럽의 안정에 도움이 되도록 평화적

점진적 단계적으로 추진하며 마지막으로 국경문제는 헬싱키 최종의정서의 원칙에

따르고 유럽변경의 불가침성을 인정한다는 것이었다11

4 9 황병덕 외 독일의 평화통일과 통일독일 20년 발전상 통일연구원 2011 p 173

10 황병덕 외 독일의 평화통일과 통일독일 20년 발전상 통일연구원 2011 p 179 11 Philip Zelikow and Condoleezza Rice Germany Unified and Europe Transformed A Study in Statecraft 1997 p 113

1990년도 독일 콜 수상은 고르바초프와도 만나 6가지 사안에 대해 합의를 이루었다

1) 통일 이후 독일의 군사력이 37만 이하로 유지할 것

2) 핵무기와 생화학무기의 생산 및 소유를 금지할 것

3) 소련군은 동독지역에 1994년 말까지 머무른다는 것

4) 나토군은 독일 동쪽 영토에서 소련군이 철군하기 전에 머물 수 없다는 것

5) 소련군의 철수 비용을 지원할 것

9

6) 독일과 소련 간 경제적 협조관계 조약을 맺을 것12

당시 미국은 독일의 통일을 지지했는데 독일이 나토와 EC에 머무른다는 조건

하에서였다 미국은 독일이 나토에 머물지 않으면 중립화 독일이 될 것이며 이는

핵무기 보유를 시도하게 될 것이라고 소련에게 주장했다 미국은 소련에게 나토군이

1994년까지 독일의 동쪽 영토에 머무르지 않을 것을 약속하였다 독일통일에 대해

미국이 생각하고 있던 구체적인 이익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로 동부독일의 경제적

요인으로 인해 미국의 대독일 수출이 증가할 것이며 미국의 투자 역시 증대할 것이다

둘째로 2+4조약은 독일군을 제외한 나토군이 구 동독지역에 주둔하지 못한다고

기술하고 있으며 주둔은 소련군의 철수 이후에나 가능하다 독일은 또한 핵무기와

생화학무기의 제조 소유 그리고 통제를 포기한다 따라서 독일통일로 인해 NATO에서

미국의 영향력 확대가 가능하다 셋째는 독일의 CSCE 지역기구화와 동 기구의

안보역할 확대는 미국의 입장과 충돌할 수 있다 미국은 CSCE와 NATO중 NATO의

역할 확대를 원한다

13

당시 독일통일에 대한 미국의 태도는 독일을 NATO에 유지시키는 것을 우선순위로

두고 있었다 멸망하는 구 소련의 경우 독일통일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이었으나 냉전의

종식과 강대국인 미국의 통일지지 앞에 적극적으로 반대하기 힘든 상황이었다 이

상황에서 소련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원조에 있었다 현재 중국의 부상과 미국의 쇠퇴

가능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과연 미국이 독일통일의 경우처럼 한반도 통일을

지지해줄지는 미지수이다 또한 중국이 한국의 통일을 적극적으로 반대할지 여부도

불확실하다 당시 독일은 소련군의 철수를 위해 1994년까지 구 동독지역에 서방군대를

배치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했으며 NATO회원국으로서의 독일이 소련에 직접적인

위협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약속을 하여 소련군의 반대를 무마시켰다

14

IV 미국과 한반도 통일

이와 같은

우리의 외교적 노력이 미중 양국에 대해서 추진될 필요가 있다

1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해왔다 부시 대통령과 클린턴 대통령은

lsquo한국국민이 수용할 수 있는 조건에 기반한 평화적 통일rsquo을 지지했다 2012년 박근혜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 간의 정상회담에서 한미 양측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그리고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적 통일을 지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 대해 독일통일의 경우처럼 적극적으로

12

박영호 한국의 대미통일외교전략 민족통일연구원 1998 p 28 13 Paul E Gallis and Steven J Woehrel Germany after Unification Implications for US Interests CRS Issue Brief CRS Feb 20 1991 14

김규륜 외 한반도통일의 미래와 주변4국의 기대 통일연구원 2013 p 62

10

지지할 지는 미지수이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에 따르면 미국의 대 한반도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다 1) 수평적 핵확산 방지 2) 수직적 핵확산 방지 3) 비핵화 4)

급변사태 계획 5) 북한에 대한 개입정책 6) 북한주민들의 상황 개선 즉 미국은 한반도

통일의 경우 현 북한이 소유하고 있는 핵무기를 폐기하고 핵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익을 가지고 있으며 이 문제가 해결된다면 더 이상 한반도 통일에 적극적일 이유가

없는 것이다

이는 현재 동북아시아의 역학구도를 보면 더욱 설득력이 있는데 독일통일의 경우 구

소련의 멸망과 함께 독일통일은 NATO의 확대와 함께 미국의 세력권을 확대시키는

이익을 가져다 주었다 그러나 현재 동북아시아는 중국의 부상과 함께 통일한국이

미국의 동아시아 패권에 도움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확신을 가져다주지 못한다 또한

최근 한중관계 강화로 인해 미국 내부에서는 통일한국이 친미가 아닌 친중 국가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미국이 향후 한반도 통일을 지지하기 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는 통일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연합제연방제에 의해 통일이 이루어지는 경우 한미동맹은 폐기될 수 있고 주한미군은

미국으로 철수할 수 있다 이 경우 한미동맹의 미래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연합제연방제에 의해 통일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한미동맹이 존재할 수 있으나 이

경우 한미동맹의 역할은 매우 제한적이게 되며 동맹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메카니즘이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필자는 한국주도의 통일이 달성되는 경우에

중점을 두고 한미동맹의 미래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한국주도의 통일이 달성될 경우에도 한미동맹에는 많은 변화가 생기게

된다 동맹에는 비전적 측면(attitudinal)과 운용적 측면(behavioral)이 존재한다 비전적

측면에는 동맹의 존재이유(rationale) 위협인식(threat perception) 목적(objective)

등이 해당되며 운용적 측면에는 군사지휘체계 구성 방위비 분담문제 기지배치 문제

군사전술 등이 해당된다 통일 이후 한국은 미국과 함께 새로운 한미동맹의 로드맵을

작성해야 하며 이는 또 다른 동맹변환의 작업이 될 것이다 즉 한미 양국은 한미동맹의

공동의 전략적 목적(common strategic objective)에 대해 논의해야 하며 그 이후에

양국 군의 역할 임무 능력 (roles missions and capabilities)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

먼저 한국과 미국의 위협인식은 지역적 글로벌 차원에서의 위협이 그 대상이 된다

북한의 위협이 사라지게 될 경우 한미 양국은 지역적 안보위협에 대해 대처하여야 하며

이 경우 중국에 대한 대처는 포함되지 않게 될 것이다 이에 기반하여 양국은 동맹의

전략적 목적을 결정하게 된다 결국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주요 전략적 목적은 지역적

안보질서의 유지가 될 것이다

중요한 것은 운용적 측면에서 동맹의 로드맵을 어떻게 작성하느냐인데 이 경우

11

주한미군의 규모와 배치 전략적 유연성 문제 군사지휘체계 문제 등이 주요이슈이다

먼저 군사지휘체계에 있어서 한국은 더 이상 미군에게 전시작전통제권을 위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미일동맹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미 양국 군은 개별적인 지휘체계를

유지하며 유사시에 협조할 수 있는 협조체제를 구축하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해

주한미군은 더 이상 북한 위협이 존재하지 않는 한반도에 현재와 같은 병력이 상주할

필요가 없게 되며 전략적 유연성을 강화하여 한국군과 함께 지역적 글로벌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보다 유연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중요한 것은 주한미군의 규모와 배치이다 한반도에 주둔하고 있는 주한미군의

지상군(ground force)의 규모는 줄어들게 될 것이다 중국을 의식하여 주한미군의

위치도 현 남한 영토에 한정되어야 하며 38선 이북에는 주한미군을 제외한 한국군이

주둔하게 될 수 있다 한미동맹이 지역적 운용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이것이 중국을

겨냥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미국중심의 미사일방어체계는 한반도에서의 운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최근 논의되고 있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역시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즉 통일 한국의 주한미군은 주로 해군이나

공군을 위주로 형성되어야 하며 지상군을 비롯한 전체 군사력은 삭감되어야 할 것이다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여러 자료에 의거하면 통일한국에 대한 미국의 이익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15

5) 통일로 인해 한반도 전면전 상황(all-out warfare situation) 가능성이 사라지면서

미국은 이에 대비하기 위한 작계를 만들 필요성 및 부담감이 사라지게 된다 현재

미국의 국방비 삭감 및 시퀘스터 상황으로 인해 국방전략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1)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주요 이익은 핵무기와 미사일의 개발을 제거하거나 방지하는

것이다 급변사태가 발생하게 되면 미국의 주요 우려사안은 북한의 대량살상무기가

한반도 지역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다 통일은 북한의 핵확산방지를 달성할

수 있다 즉 통일은 NPT체제강화에 기여하게 된다

2) 시장경제체제 지향적인 통일한국은 미국의 이익에 기여하게 된다 구 북한영토는

미국의 투자를 필요로 하게 되며 이는 미국의 경제적 이익을 증가시키게 된다

3) 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 체제에 의거한 통일한국은 미국으로 하여금 주요가치의

세계적 확산을 위한 모멘텀 역할을 하게 된다

4) 한미동맹은 통일 이후 새로운 역할과 임무를 맡게 될 것이며 이는 지역질서와 안정

유지이다 이것은 미국이 추구하고 있는 아시아 재균형 정책의 주요한 자산이 될 것이며

미국으로 하여금 국제적 강대국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이다

15 Americarsquos National Interests The Commission on Americarsquos National Security 2000 US Department of Defense A Strategic Framework for the Asia Pacific Rim Report to Congress 1992 A Blueprint for US Policy towards a Unified Korea CSIS Working Group Report August 2002 Peter Murphy Lewis ldquoUS Foreign Policy towards the Korean Peninsula An Anti-Unification Policy or Just Too Many Uncertainties to Account For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62 December 2007 차두현 ldquo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시각 기회와 도전rdquo 글로벌정치연구 32 2010 pp 43-44

12

이미 2개의 전쟁이 종료된 이후 2개 전쟁 동시수행 전략은 2012년 defense strategic

guidance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반도 전면전 상황은 미국에게는

부담스러운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 대한 몇 가지 우려사안을 가지고 있다 먼저

미국은 통일한국으로 인해 한미동맹이 약화될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현재

미국은 경제력 약화와 국방비 삭감으로 인해 아시아 재균형 전략에 차질을 빚고 있다

2014년 4년 주기 국방검토 보고서 (QDR)에 따르면 미국은 2개의 전쟁을 종식하고

국방비를 삭감하고 있는 상황이며 아시아 재균형 정책을 장기적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즉 국방비 삭감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장기적으로 아시아지역에 미

해군병력의 60를 배치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동맹국들의

역할을 매우 중시하고 있으며 이런 차원에서 통일이 가져다 주는 한미동맹의 약화

가능성은 미국에게 큰 우려사안이 될 수 있다

두 번째로 한미동맹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매우 치명적이다 현재

아시아정책의 중심축인 미일동맹과 달리 한미동맹은 미군의 전방배치(forward

deployment)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즉 현재 주한미군은 북한이라는

대리국가(proxy state)를 통해 중국을 가장 근접에서 억지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10년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포격사건의 경우에도 미국은 한반도에 항공모함을

출격시켰는데 이는 중국에게 매우 치명적인 위협으로 다가왔었다 즉 미국에게 북한의

군사적 행위는 중국을 견제할 수 있는 좋은 구실이며 주한미군은 중국을 가장

근거리에서 견제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만일 통일로 인해 북한이 사라지고

한미동맹이 약화되거나 역할이 변경되면 미국의 대중국 견제전략에는 차질을 빚게 된다

세 번째로 미국은 한국이 주한미군을 철수시키고 미∙중 양국 사이에서 중립국 지위를

유지하는 경우를 우려한다 통일이 이루어질 경우 미∙중 간의 경쟁에 의해 통일한국은

중립화 노선을 추진할 수 있다 이 경우 미국의 핵우산 제공이 어려워지게 되며 이는

중국과 일본의 군사력 강화 사이에서 통일한국의 안보불안을 야기시키게 된다 과거

통일독일의 중립화에 대해 미국이 우려를 표명했던 것처럼 통일한국은 자체적인 군사력

강화를 추진할 수 있으며 이에는 핵개발도 포함될 수 있다

V 결론 - 정책적 고려사안

현재 동북아지역의 국가들은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입장이다 기술한 바와 같이 미국

역시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한반도 통일에 대해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입장은

기타 동북아국가들 예를 들어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서 통일에 우호적이다 미국의

이익이 한반도의 이익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은 미국이 통일을 반대하거나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미국이 가지는 지정학적 위치로 인함이다 한반도에서 멀리 떨어져

13

있는 미국의 위치 상 미국은 한반도 통일이 미국에게 직접적으로 이익을 가져다 주지

않더라도 주변국들에 비해 강하게 반대하지 않는 입장이다16

관련하여 빅터 차는 이와 같이 말했다 ldquo모든 강대국들은 한반도의 통일이 지역적

세력균형에 변화를 가져 올까봐 통일에 반대하는 입장이다hellip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한국이 당장 통일절차를 추진하게 될 경우 주변 강대국들은 모두 통일에 찬성하는

입장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 새롭게 통일되는 강대국 한국이 탄생할 경우 통일에 대한

반대입장을 보였던 국가들은 통일한국에게 적대국가로 인식될 것이기 때문이다hellip

한국민들은 일단 통일절차를 시작하게 되면 주변국가들이 이에 찬성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게 될 것 이다helliprdquo

중국의 한반도 통일에 대해 lsquo평화적이고 독자적이며 점진적인 비핵화 통일rsquo을

지지하는 입장이다 즉 평화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이 중국의 경제적 발전에

해를 끼쳐서는 안되기 때문이고 독자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한국이 미국

쪽으로 경사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며 점진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이 지역적

안정을 헤쳐서는 안되기 때문이며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한국에

미국의 핵우산이 유지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결국 독립적인 통일과 비핵화에 기반한

통일 지지 입장은 모두 한미동맹과 관련되어 있다 중국은 친미 성향의 통일한국에

반대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국정부는 보다 세심한 통일준비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몇 가지 정책적 고려사안을 제시한다 첫 번째로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한국은 독일과 달리 패전국 지위가 없으며 따라서 통일을 이루기 위해

4 개 조약당사국들로부터의 승인이 필요했던 독일과는 달리 주변국들로부터 아무런

승인을 받을 필요가 없다 독일은 포츠담회담에서 승전 4 개국이 분할점령하기로

합의하였으며 이것이 냉전과 함께 분단으로 이어졌기 때문에 통일국가를 이루기

위해서는 분할점령을 합의했던 4 개국들의 승인이 필요했다 게다가 독일통일의 경우에

이미 2+4 회의에서 독일통일을 승인하기 이전에 동독의 독일연방 가입이 결정되었기

때문에 후속적 승인에 불과하였다 한국과 북한 양국이 통일과정에 대해 합의하고

추진하여 통일을 달성하면 주변국가들은 이에 동의할 수 밖에 없다

17

두 번째로 평화협정은 휴전중인 한국전쟁을 종식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지 통일의

전제조건은 아니다 한국정부는 그 동안 통일이 아닌 분단적 평화유지에 지나치게

집착해왔다 이는 통일을 위한 본격적인 정책추진이 아닌 단지 정전상태를 평화상태로

바꾸는 것에 불과하며 이를 위해서 지불해야 할 비용 역시 지나치게 높다 즉 북한은

평화협정 체결을 위해 주한미군의 철수 등을 주장하고 있으며 이는 현 한국의 안보상황

16 Peter Murphy Lewis US Foreign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An Anti-Unification Policy or Just Too Many Uncertainties to Account For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62 December 2007 p 107 17 Victor Cha The Contiuity behind the Change in Korea Orbis No44 (Fall 2000)

14

속에서는 불가능한 조치들이다 이제는 한반도 평화가 아닌 통일을 정책적 목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평화협정

문제를 논의하는 것은 결국 입장차이를 확인할 뿐 실제 평화체제가 확립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미국은 평화협정 체결이 북한 비핵화를 먼저 이룬 이후에 가능하다는

입장이며 중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하게 되면 북한비핵화 등 제반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따라서 남북한 양국은 이제 소모적인 평화협정 논의 이외에 본격적인

통일논의를 통해 남북한 당사국들의 이익에 보다 충실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 한∙미∙중 3 자회의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미 한∙미∙중 3 개국은 작년에

1 차 전략대화를 개최하였다 주요 이슈는 북한 핵문제였는데 이와 같이 북한

핵문제에서 이슈를 확대하여 한반도 통일 북한급변사태 등 다양한 문제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남북통일은 미∙중 양국의 이익 및 세력균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3 국 전략대화에서 한반도 통일에 관한 입장을 조율하고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역할과

임무에 대한 각기 다른 이해관계를 조율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은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 남북한 통일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한국

내부의 통일정책을 하나로 수렴시키는 일이다 현 대통령제 하에서는 연속적인

통일정책이 중장기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고 정책적인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 또한 통일과정에서 북한리더십을 통일한국의

정치체제로 통합할 필요성이 있다 독일통일과정에서도 총선거를 통해 동독 지도부가

독일연방으로 통합되었듯이 남북한 정치통합을 위해서는 내각제 체제가 더 적합하다

15

제6회 정책포럼 토론문 (무순 제출순서대로 편집)

1 김동현 교수 (고려대 일민국제관계연구원 방문학자 북한대학원대 초빙교수 전 존스

홉킨스 국제대학원 겸임교수 및 방문학자)

총평 한반도 통일을 주제로 창의적인 노력을 보여준 발제자에게 우선 찬사를 보낸다

발제자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 부분이 많이 있지만 김현욱 박사가 과시한 학술적

접근방식과 독창적인 의견들은 높이 평가한다

- 우선 여러 가지 통일 시나리오를 가상하고 그와 관련된 논의를 흥미 있게 전개하지만

지금까지 국제 정치사상 어떤 시나리오가 상정한대로 어느 문제가 해결된 것이 없디

역사에 가정이 없듯이 국제정치의 현실에서 ldquoScenariordquo의 가정도 설 땅이 없다

시나리오를 추구하는 학자들은 바둑놀이를 계속하는 것과 같다 바둑을 둬서 어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지만 두뇌기능을 진척시키고 치매 방지 등 건강에 도움이

되는 정도라고나 할까 학자들의 장기중의 하나는 간단한 문제를 복잡하게 해석하고

신조어를 만들어 내며 독자들을 헷갈리게 하는 재주다

발제자 주장에 대한 토론

- 615 정상선언은 남한의 국가연합 방안과 북한의 느슨한 연방체 간에 공통점이

존재하며 앞으로 ldquo그런 방향으로 (통일을) 추진한다rdquo고 합의 했을 뿐 그 후에 어떻게

정치체제를 통합하겠다는 언급이 없었던 사실을 발제자가 정확하게 지적했다 그러나

당시 한국측 주역들은 연합과 연방단계를 묶어서 Federation 이 아닌 Confederation 의

형식으로 교류와 협력이 무르익는 ldquo사실상의 통일 ndash De Facto or Virtual Unificationrdquo

을 이룬 다음에 완벽한 법적 통일 ndash ldquo De Jure Unificationrdquo 로 간다는 것이다 DJ 의 3

단계가 연합 ndash 연방 ndash 완전통일 이었다면 임동원은 화해 협력 ndash 사실상의 통일인 연합

그 후에 법적 통일의 3 단계였는데 이 점은 615 선언협상과정을 통해서 DJ도 동의

했다는 것이다 (ldquo피스메이커rdquo에서 - 이 통일 과정에 소요 되는 시간을 DJ 는 10 년

김정일은 40mdash50 년으로 예상했다)

- 발제자가 논의한 ldquo급변사태로 인한 통일에 대해서 ldquo급변사태rdquo에 대한 정의는

무엇인가 중국의 개입가능성이 높고 미국의 개입가능성을 낮다고 하는데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논의 되어 온 것 이상의 논리가 없다 미국의

역할을 예측하는 문헌으로 Bruce Klinger 와 Bruce Bennett 의 글을 주석으로 달고

있는데 이 두 사람은 북한의 붕괴를 이념적으로 바라면서 근거가 미약한 붕괴론을

확산 시켜온 인물들이다 다만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남북한이 둘 다 유엔회원국이기

때문에 만약 북한에 권력공백 상태가 생겼을 때 누가 들어 가서 평정 및 관리를 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유엔차원에서는 아직 한 번도 논의된 적이 없는 문제다 유엔 임시

한국위원회에서 대한민국정부 수립에 앞선 선거 감시를 했고 625 때 38 선 이북으로

북진 할 때도 당시 유엔군 사령부는 수복지구에 대한 행정권을 정식으로 한국에 넘기지

않았다

16

- 한국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 하는 방안에 대해서 우선 발제자가 말하는

ldquo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rdquo의 뜻은 우호적 태도 호감 영어로 말하는 Identity

라면 북한 주민들이 ldquo우리는 남한 사람들과 같다rdquo는 뜻인가 정체성이 정치적 동질성을

말한다면 이를 이룩하기 위한 노력이 장기간 섬세하게 선행 되야 할 것이다 예멘의

사례도 학술적인 참고는 되지만 정책상의 참고는 될 것 같지 않다 물론 최종적인

정치 사회 통합은 현재의 정부 방식으로는 통일의 최종적 과제이다 그러나 평화를

보장하는 사실상의 통일 단계에만 돌입해도 궁극적인 통일로 향하는 엄청난 성과가 될

것이다 그래서 통일은 과정이란 말이 나왔다

- 독일의 사례 대해서 한국통일 논의에서 독일통일의 모델이 약의 감초처럼

등장하는 데 독일에 가서 독일 통일 과정을 공부한 한국인들을 제외하면 독일인

독일통일 전문가들은 한국과 독일 여러 가지 여건이 (역사 경제 문화 국제환경)

다르기 때문에 독일통일방법을 모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을 많이 하고 있다

토론자의 생각도 같다 물론 독일과정에서 있었던 일들 중 한국이 배우고 참고로 해야

할 점이 많이 있음은 부인치 않는다 (예 정권교체와 관계없는 일관된 정책의 지속성

같은 것 ndash 발제자는 이를 위해 내각제 개헌을 제안) 독일 통일과 관련된 미국의

이해관계를 소상하게 기술했는데 이 것도 본 발제문 주제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지 않는다

-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에 대해서 해방 이후 미국은 유엔결의문 등을

통해서 평화적으로 한반도에 자유 민주 통일 정부가 수립되기를 바란다 고 언급해 왔고

아버지 부시 클린턴은 ldquo한국국민 (the Korean people) 이 원하는 통일rdquo그리고 아들

부시와 오바마 때와서는 ldquo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체제의 통일rdquo을 지지한다고 공언했다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은 한국 헌법에 부합하지만 북한에 입장에서는

ldquo흡수통일rdquo로 받아 들린다 당연히 북한이 반발한다 2000 년 10월 김정일은 이렇게

말했다 ldquo우리는 제도에 의한 통일은 반대다 평화통일 하면 우리는 우리 식으로

통일하는 것을 말하고 민주 통일은 남조선 원하는 통일이다 평화통일이 되면 중국이

좋아하고 민주통일이 되면 일본이 좋아할 것이다rdquo

1991 년 6월 토론자가 평양에 갔을 때 당시 북한 군축평화 연구 소장 송호경 (후에

아태위 부위원장) 은 이렇게 말했다 ldquo 1민족 1 국가 2 체제 고려연방제는 한쪽이 다른

한쪽을 먹을 수 없는 상태로 공존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상태를 해소할 수 있는

쌍방간의 합의나 체제통일이 없으면 이 상태가 마냥 계속될 수 있다 영구히 갈런지도

모른다rdquo

- 지금까지 미국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한국 통일에 대한 수사적 지지만∙ 했을 뿐

한국통일을 위해 노력한 흔적이 없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현재 미중은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 속에서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각각의 전략적 이익 때문에 한반도에서

무탈 무사 현상유지를 원하고 있다 발제자가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간행물을

인용했는데 토론자는 이 것도 못 마땅하게 생각한다 그 간행물에 관여 한 소위

미국인 전문가들 중에 한국통일 전문가는 별로 없다 Victor Cha가 미국의 거물학자로

여겨지는 것도 못 마땅하다 (나는 이런 것을 미국에 대한 학문적 사대주의 ndash

Academic Sycophancy 라 부른다) 미국문제는 미국인들이 잘 알고 한국문제는

한국인들이 잘 안다 다른 한가지를 지적한다 미국은 지금 한국 통일에 대한

우선순위가 없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북핵 문제도 우선순위를 두지 않고 있다 심지어

17

아시아 재 균형 문제도 이라크와 시리아의 ISIL or ISIS 문제 때문에 신경을 제대로 쓰지

못한다는 우려가 나온다 (Kurt Campbell in Seoul on September 25 2014)

- 통일 이후의 한미동맹 통일에 대한 전망도 아득하지만 그 후의 한미동맹 관계는

더욱 아득하다 통일에 상대가 있듯이 (As W Bush said in Seoul this spring at a

conference hosted by the Chosun Ilbo) 동맹은 전통적으로 군사적인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동맹 이 함께 싸워야 할 상대 (Potential foe or adversary)를 전제로

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중미간의 경쟁이 계속된다면 미국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한미동맹을 아시아 재 균형의 도구로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 입장에서

그것이 그 때가서 한국국익에 맞는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서 발제자가 친절하게 미국의 이익과

우려를 열거했는데 남북이 통일을 원한다면 미국이 자기 이익 때문에 통일을

반대해서도 안되고 한국이 미국의 우려 때문에 할 일을 못하거나 안 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미∙중 사이의 중립 또는 전세계를 상대로 하는 중립이 한국 국익에

합당하고 국민의 다수가 이를 원한다면 한국은 그 길을 택해야 한다

미국의 걱정은 미국에 맡기고 한국은 한국 걱정에 치중해야 한다 걱정은 시대와

환경에 따라서 달라진다

정책건의

- 첫째 황병서 최룡해 김양건 3 인의 인천 방문을 계기로 다음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진일보한 과감한 자세로 이산 가족 524 조치 금강산 관광 등 현안을 타결하고

신뢰프로세스를 부활해야 한다 남측도 구태의 틀에서 벗어나 놀랄만한 자세를 보여야

한다 통근 결단은 북한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 둘째 6자회담 재개 등 북핵문제 해결을 노력을 한국이 주도해야 한다 미중과 함께

한국마저 손 놓고 있는 상태는 더 이상 방관해서는 아니된다

- 셋째 대북정책에 대한 국내 보수 진보간의 시각차이를 융합하여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탈냉전식 통일정책을 개발함으로써 통일준비의 기초를 확립해야 한다

2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김현욱 박사의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을 읽고

국내의 손꼽히는 미국전문가인 김현욱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을 맡게 되어 영광으로

생각한다 김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자의 생각과 비교할 때 공감이 가는 부분이 많다

하지만 김 박사가 다루는 주제가 단순히 미국의 대외정책이나 한미관계가 아니라

lsquo한반도 통일rsquo이라는 점에서 몇 가지 오류가 눈에 띄기 때문에 여기서부터 토론을

시작해야 할 것 같다

I 서론

한middot미 정상이 합의한 통일관련 언급은 「한미동맹 공동비전」(2009616)은

ldquopeaceful reunification on the principles of free democracy and a market

economyrdquo으로 「한미동맹 60주년 공동선언」(201357)은 ldquoits peaceful reunific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denuclearization democracy and a free market

economyrdquo으로 되어 있다 전자의 free democracy는 liberal democracy와 구별되어야

18

하며 후자에는 그냥 democracy로 표기한 의미를 되새길 필요가 있다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o 우리 정부는 lsquo연합제 통일방안rsquo을 지지한 바 없으며 무엇보다 lsquo연합제rsquo는 통일방안이

아니다 또한 우리 정부가 북한과 함께 lsquo74남북공동성명rsquo을 발표하고 lsquo자주 평화

민족대단결rsquo이라는 통일의 대원칙을 발표한 것은 맞으나 그 뒤 lsquo민족대단결rsquo을 삭제하고

lsquo민주rsquo를 넣었다

o 1989년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은 전두환이 아닌 노태우 정부 때 발표된 것이다

o 김대중 대통령이 대통령이 되기 전에 개인적인 통일방안으로 lsquo남북연합제 rarr

공화국연방체 rarr 통일국가rsquo의 3단계를 주장했었으나 대통령이 되고 나서는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수용했다

o 한국의 통일정책의 특징이 ldquo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남한체제를

궁극적인 통일의 상으로 설정하고 있다rdquo고 주장하나 우리 정부의 공식 통일방안인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은 먼저 민족공동체를 만들어가고 나중에 통일국가를 이루되

통일국가의 형태는 미래세대에게 맡긴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2 북한급변사태로 인한 통일

o 북한의 급변상황에 한국이 개입하는 것이 유엔헌장에 위배된다는 지적은 옳다 그런데

아무리 중국이 UN상임이사국이라도 중국 군이 평양까지 진출해 친중 정권을 수립할

근거를 갖고 있는가

o 박휘락 박사의 인용문은 미국이 북한의 WMD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중국의 도움을

받기 위해 중국의 개입을 반대하지 않는다는 의미이지 북한 급변사태가 발생할 때 이를

중국에게 떠맡긴다는 의미는 아닌 것이다

o 필자는 ldquo미∙중 양 강대국이 한반도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고rdquo라고 언급하고 있는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가 있는가

3 남한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하는 방안

o 남북예멘이 통일 후 무력통일로까지 간 것은 사회문화적 유대감의 부족 때문이

아니라 11 대등한 권력분배가 몇 년 뒤 실시된 선거결과에 의해 북예멘에 유리하게

정치지형이 바뀌자 남예멘 측 인사들이 이에 반발해 무력을 동원했다가 진압당한 것이다

o 동독유권자의 9322가 서독으로의 신속한 편입을 주장했다고 언급했는데 이 수치는

투표율이다 조기통일을 주장했던 독일연합의 득표율은 4804 국가연합을 거쳐

점진적 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의 득표율은 2188였고 옛동독공산당이었던

민사당이 164 새로운 사회주의 건설을 내걸었던 연합90이 291였다 그 결과

독일연합과 동독사민당이 연립정부를 구성해 서독과 통일협상에 나섰던 것이다

III 독일 사례와 미국

o 동독 총선거에서 동독주민들이 서독의 정치체제와 정당에 투표하였다고 하였는데

이것이 무슨 말인가 그들은 조기통일(동독기민당 중심 국민연합) 점진통일(동독사민당

민사당) 제3의 길(연합90) 등을 내건 동독정당에 투표했는데 결과적으로 조기통일을

19

주장한 국민연합이 승리하여 점진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과 연립하여 조기 통일을

추진 달성한 것이다

o 독일통일의 상황에서 소련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원조라고 언급하고 있는바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엄밀하게 말한다면 對소련 차관 50억 DM(약 25억 euro) 동독주둔

소련군 36만 명의 철수에 따른 비용 부담 125억 DM(약 64억 euro)이다

IV 미국과 한반도 통일

1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o 미국이 통일과 같은 현상변경보다는 분단이라는 현상유지를 선호한다는 의견에

동감을 표한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의 정확한 출처를 밝혀주었으면 도움이

되겠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o 필자는 lsquo연합제연방제 통일rsquo과 lsquo한국주도의 통일rsquo을 대립적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연방제란 정부구성원리의 하나로서 1국가 2체제(일국양제)만 있는 것이 아니라 1국가

1체제의 연방제도 존재한다 따라서 한국 주도의 통일일지라도 단방제(單邦制) 방식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연방제(聯邦制) 방식이 될 수도 있다

o 통일된 이후가 아니라 전작권 전환 이후에 2013년 한미 양국은 한국군 합참 내에

미래사령부의 구성 계획을 통해 연합지휘체제(한국군 사령관 미군 부사령관)를

구축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o 최근 논의되고 있는 THAAD는 지금도 배치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인가 아니면

통일되면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아니게 되므로 지금 배치했더라도 철수해야 한다는

의미인가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o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우려사안 중 한국 주도의 통일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한미동맹의 약화를 우려한다는 점이 충분히 이해되지 않는다 특히 당장 통일될 것도

아닌데 우려의 근거로 미국의 현실적 상황을 제시한 것들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o 나머지 두 번째 세 번째도 왜 한미동맹이 약화되고 주한미군을 철수하게 될지 하는

원인을 설명하지 않고 그렇다고 전제해 놓고 미국의 대아시아 전략에 미칠 영향과

미∙중 사이의 중립국 지위 유지하는 것은 앞뒤가 바뀐 것이다

V 결론 ndash 정책적 고려사안

o 미국이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했다고 볼 수 있는가 미국이 통일에 대해 처음으로 입장표명을

한 것은 2009년 6월 이명박-부시 대통령의 한미 공동비전이 처음이다 최근 미국

조야의 분위기는 북핵 문제를 풀기 위해 통일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고 오히려 한국

측이 통일에 소극적이라고 질책하기도 하지 않은가

o 중국이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가 통일한국의 핵무기 보유가 아니라

단지 미국의 핵우산 유지를 우려했기 때문인가

o 평화협정이 단지 한국전쟁의 종식만을 위한 것일까 필자가 제시한 첫 번째

20

정책고려사안은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런데 평화협정이

체결되지 않고 정전상태에서 곧바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첫째 우발적 충돌이라도

전쟁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있고 둘째 통일과정에서 정전협정의 당사자인 미국과 중국이

국제법적으로 개입할 가능성이 열려있다

o 본문을 보면 필자는 분단적 평화유지와 평화체제평화협정을 동일시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마저 든다 그리고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다고 했는데 그 근거가 무엇인가 특히 비핵화-평화협정의 순서를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의 입장이 상반된다고 언급했는데 과연 그런가 919공동성명에서 미국과 중국은

동시행동 원칙에 합의한 바 있지 않은가

o 과연 남북한 통일을 위해 내각제가 필요한가는 좀 더 논의해봐야 할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통일을 달성할 때까지는 효율성을 위해 대통령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필자의 주장과 달리 내각제의 경우 잦은 내각교체로 인해 통일정책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수 없는 것 아닌가 lt끝gt

3 문성묵 박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발제문에 대한 논평 우선 김현욱 교수님의 발제문은 한반도 통일의 가능한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독일 사례를 통해 우리의 통일미래를 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접근이라고 봄 특히 남북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매우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제시하고 있는 정책적 제안은 적절하다고 판단되며 대체로 공감함 다만

통일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한 두 가지 추가 제언을 드리고자 함 우선 미국의

우려사항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일한국이 지향하는 한미동맹에 대한 분명한 의지를 미

측에 밝힐 필요가 있음 아울러 통일의 성취를 위해서는 반드시 중국의 협조를

유도해야 하는 바 이를 위해서는 통일한국의 한미동맹이 중국의 국익에도 부합될 수

있다는 논리를 적극 개발하고 중국을 설득하는 노력이 강구되어야 함 이러한 입장을

미국이 중국과 직접 조율해 나가도록 협조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봄 그런 차원에서

본문에서 제시한 한∙미∙중 3자 협의는 유용한 협의기제로 보임

다음은 곽태환원장님께서 제시해 주신 토의중점 주제들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정리하였음

1 한반도 통일을 위해 먼저 극도로 경색된 남북관계부터 풀어나가야 하는데

출구전략은

10월4일 황병서 등 북한고위급인사의 전격 방남으로 대화의 물꼬가 트인 만큼 이달

말 또는 11월초로 예정된 2차 고위급접촉을 통해 남북간 쟁점사항들을 대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풀어나가는 지혜가 필요함

첫째 무엇보다 대화의 지속이 중요함 일회성 대화가 아니라 고위급접촉이든 다른

대화채널이든 대화가 정례화 되는 것 즉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통로는 늘 열려 있어야

할 것임

둘째 사안별 접점 마련이 필요함 즉 상호가 입장차이가 극명한 사안은 일단

21

접어두고 접점 마련이 가능한 사안부터 협의하고 이행을 해 나가는 것임

2 현안이슈인 THAAD 한국배치에 대한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 측면 고려하여 사드

한국배치가 바람직한가 전시작전통제권을 2015년에 받아야 하나 연기 해야 하나

첫째 사드의 한국 배치는 정치적 관점이 아니라 안보적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중국(러시아)과 북한이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있지만 북한위협에 직면한 우리

입장에서는 한미동맹차원에서도 미국의 사드 배치 구상에 협력하는 것이 필요함 따라서

한국과 미국이 중국을 잘 설득할 필요가 있음

둘째 전작권문제 역시 주권 자존심이라는 측면 보다는 국익의 관점에서 판단해야 할

사안임 북 핵문제 등 북한의 위협이 상존하는 현 상황에서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억제력을 확고하게 유지하는 일임 한미연합사는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체제임 따라서 시기에 기초한 접근 보다는 조건에 기초한 접근이 바람직함

3 한반도 통일은 평화적으로 이뤄져야 하는데 남과 북이 합의에 의한 통일이

이뤄지려면 공동통일방안에 대한 합의가 가능한가 6자 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는

평화체제구축은 어떻게 이룰까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통일방안에 대한 남북 간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는 현 상황에서

통일방안부터 협의를 시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봄 우선 대화와 교류확대 등을 통한

화해협력을 추진하면서 향후 북한정권과 체제의 변화가 이루어질 때 통일방안에 대해

본격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함

둘째 핵 문제는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임 이로 인한 무력충돌은

공멸을 의미하기 때문임 따라서 북핵 문제는 우선 강력한 억제로 북핵 사용 자체를

무력화하고 나아가 대화를 통한 외교적 해법을 병행해야 함 즉 6자 회담을 재개하여

919공동성명의 합의정신에 입각하여 풀어나가는 것 이외 다른 적절한 대안은 없어

보임

셋째 평화체제 문제는 6자 회담이 재개되고 북핵 문제에 있어 일정분야 진전이 있을

경우 919 성명에 합의된 별도의 평화포럼을 통해 논의해 나갈 필요가 있음 평화체제는

협정의 체결이 아니라 실질적인 평화상태를 만들어 나가는데 중점을 두고 추진해 나가야

4 4자(미 중 남북한)회담을 통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인가 북이 주장하는 북미간

평화협정이 바람 직 한지 한반도 정전체제를 대체하는 다자 평화체제는 어떤 형태가

바람 직 한가 등

첫째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논의하는 협상은 남북한과 미국 중국이

참여하는 4자회담이 적절하다고 봄 1997~1998년 사이 제네바에서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는 문제를 논의하는 4자회담이 6차례 개최된 바도 있음

둘째 평화체제는 남북간에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미국과 중국이 이를 보장하며 협정은

유엔에 기탁하는 방안이 적절하다고 봄

5 6자 회담을 복원하여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ldquo행동대행동rdquo으로

동시에 해결하자는 제안에 대한 견해는

22

이는 북한이 핵 문제에 대해 한국과 미국 등이 요구하는 수준으로 성의 있는 조치를

취하고 이를 바탕으로 6자회담이 재개된다면 동시에 별도의 포럼을 열어 평화협정

논의를 개시할 수 있을 것임 실질적 평화상태 구축을 위한 남북간 군사적 신뢰구축 및

운용적 군비통제 등을 추진해야 함 평화협정의 체결 시점은 북한 핵이 완전히 폐기되는

시점과 맞추어야 할 것임

6 이러한 통일프로세스에서 과연 미국은 어떤 역할이 바람 직한가

독일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듯이 미국도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함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을 설득하여 한반도 통일에 동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공고한 한미동맹을 유지하여 북한이 변화하도록 유도하며 통일 이후에도 통일한국의

안보환경과 국익에 부합되게 동맹의 형태와 목표 기타 필요한 사항들을 협의하여

합의할 필요가 있음 통일한국이 중국과의 관계에서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는 방법은

미국과의 동맹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생각됨

7 평화적 합의통일방안에 하나의 대안으로 중립화를 통한 한반도 중립화 통일방안에

대한 견해는 미국은 지지 할까 등입니다

중립화 통일방안을 추구한다고 해서 통일이 촉진될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음

중국은 다소 긍정적일지 모르나 우리의 동맹인 미국이 가장 우려하는 사안일 것임 그런

차원에서 중립화 방안은 부적절함 이는 우리 국익이나 안보상 적절치 않은 방안이라고

봄 lt끝gt

4 김준형 박사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교수)

발제 논문에 관한 의견

다음 사항들에서 기본적으로 공감함

한반도통일의 고차방정식에 대한 의미 있는 분석 주변강대국들의 이해관계

특히 통일을 추구함에 있어 미국과 중국의 이해관계를 분석한 부분

냉전붕괴직후 독일의 상황과 당시 미국 및 소련의 입장이 가지는 함의에 대한

분석

북한급변사태가 곧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며 통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북한

주민들의 친한국 성향이나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남북이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

최근 미국이 통일에 대해 기껏해야 소극적 지지입장이며 통일로 인한

한미동맹의 약화가능성에 우려를 가지고 있다는 분석

한미동맹의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치명적이라는 주장도(치명적이라는

표현은 좀 과도한 측면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공감

주변강대국이 한반도통일이 현 동북아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지지하지 않으나 남북한이 원해서 주도적으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반대할 수 없다는

주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사항들에서 문제 제기하고자 함

23

서론에서 밝힌 본문내용 소개가 본문의 실제 내용전개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음 특히 현실적인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를 살펴본다고 했는데 오히려 그간의 남북한

통일안의 한계와 약점을 지적하고 특히 남북한 공히 정치적 통합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진다는 분석 위주임

북한에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 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 미국이 먼저 나서서 개입하지 않을 가능성은

있다 하더라도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해도 미국이 행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는 동의할

수 없음

북한 급변사태의 경우 중국이 자국민 및 재산보호를 명분 삼아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그것이 북중동맹에 의한 자동개입과 UN 상임이사국의

지위를 이용해서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라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려움

북한의 급변사태에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논지와 중국이 북한에 친중 정권을 세울 가능성이 높다는 논지는 자칫 통일보다 동맹을

선택하는 한미동맹 신화론자들의 논리를 강화시킬 수 있는 위험성 내재 박휘락박사가

인용한 미고위당국자의 발언은 context도 다른 것으로 보이고18

한국주도의 통일 역시 한미동맹약화로 이어지고 이는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에

치명적일 것이라고 단정하는 것 역시 같은 식으로 호도될 여지 있음

이 논리가 절대적 친미

보수진영의 동맹강화의 긴급성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논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평화협정이 통일의 전제조건이 아니라는 것에 동의하고 분단적 평화유지에 대한

반대에 동감하지만 평화보다 통일이 우선되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려움

통일을 위해 통일정책의 연속성을 위해 내각제 개헌을 해야 한다는 논리는

지나친 단순화 또는 비약으로 보임

현 정국에 대한 토론자의 견해

지난 7년간의 대북정책 및 통일정책의 한반도의 운명과 관련된 4가지 핵심 변수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① 한미동맹의 근본 성격 변화(대북억지-gt동북아지역군)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을 위해 일본과 한국에 아웃소싱 추진하고 있으며 그 핵심이 지역미사일방어체제

구축

- 전작권환수 시기보다 조건을 우선 고려

- 전작권에 대한 효용성 변화 과거 전략적 유연성은 분담의 차원이었으나 현재는

한미일 군사협력네트워크 통합의 차원으로 변모 따라서 미국이 전작권을 계속 보유하는

것의 효용성이 높아짐(미국의 꽃놀이패)

② 북핵문제의 근본 성격 변화 핵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음

- 미국은 북한에 대한 de facto 보유국 내부적으로 인정19

18 이 발언은 북한의 핵개발 중단 도발가능성 북한개혁 등 중국이 행사할 수 있는 대북 레버리지를 미국이

기대한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됨

19 수년 전 힐러리 클린턴의 발언부터 최근 오바마의 유엔연설 직전에 행한 국가안전보장회의 부의장 벤 로

24

- 발제논문에서 주장하는 통일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미국의 입장과 연결됨

- Permanent crisis 양상 분명 위기이고 해결이 난망한데 아무도 나서서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며 심지어 현 위기국면을 국내정치에 이용하는 측면이 커지는 일종의

북한 핵위기의 default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③ 한반도 통일론의 변화 신뢰프로세스 동평구 통일대박론 드레스덴 선언 등의

많은 제안들이 후속조치 없이 동력을 잃었으며 최근 UN연설에서 재확인되듯이

흡수통일론으로 귀결 남북교류의 제도화 수준은 대단히 높으나 실행수준은 대단히

낮음으로 인해 통일논의에 대한 국민들의 피로감을 확산시키고 이는 국내

안보포퓰리즘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동

④ 북중관계 변화 남북관계의 단절로 인해 긴밀해짐으로 해서 북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하고 있는데 중국의 대북 지분을 향상시켜 유사시 개입의 빌미가 될

가능성이 높음(발제논문도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음-탈북자 관리명분)

미국의 입장에 대한 견해

오바마는 대북정책에 있어 부시 전임정부와는 정반대되는 경향 1기에서의

강경함에서 2기에는 협상무드로 갔던 부시와는 반대로 초기의 온건입장이 시간이

갈수록 강경기조로 넘어가고 있으며 인권압박까지 병행

더 큰 문제는 강경책이든 온건책이든 문제해결을 위한 움직임이 없는 매우

수동적 태도로 일관한다는 것인데 이는 북한문제가 여전히 오바마행정부의

정책우선순위의 상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고 또 북한핵개발

국면을 빌미로 대중국 견제와 미일동맹을 비롯한 아시아동맹네트워크 강화에 활용한다는

것임

오바마의 소위 lsquoDDSSrsquo Doctrine의 근간은 임기 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한반도는 큰 현안 없이 현상유지로 흘러갈 가능성이 큼

미국의 MD 압박 강화될 것임

- 미국이 현재는 한국내 여론을 의식해서 한국정부와 보조를 맞추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MD 편입을 원하고 있기에 압박은 증가할 것임

- 한국과 일본이 참여하는 지역 미사일방어체제 구축은 미국의 아시아재균형전략의

핵심이며 한국의 MD 참여가 중국의 입장에서는 레드라인이지만 미국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한중의 접근을 억제할 수 있는 카드로서의 효용성이 있음

- 한국정부의 태도 변화 사드의 한국도입에 대해 최근에는 수용적 자세로 변화20

미국의 MD 참여 압박에 대해 정부가 진정으로 미국 MD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면 확실한 입장표명을 하거나 공개적으로 국민의 의견을 묻는 것이

필요함(double edge diplomacy 활용)

한국의 과제

즈 발언까지 일관됨 20 10월 7일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한민구장관은 북한 핵middot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사드를 배치하면 우리 안

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함 또한 MD의 핵심 자산을 동원하는 새로운 작전개념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같은 방안을 이달 말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연례 안보협의회에서 공식화할 방침이라고 밝힘

25

남북관계 해결을 위해 한국정부가 선제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시도해야 함

미국이 여러 복잡한 문제로 인해 여유가 없는 상황을 오히려 역이용하는 발상의 전환

필요

미국정부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대북접근에 있어 한미공조 이탈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견제해왔던 것에 비하면 한국의 운신의 폭은 역설적으로 커졌다고 볼 여지

있음 미국이 대북정책에 있어 마땅한 해법도 없고 정책순위는 점점 하락하는 상황에서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주도가 가능할 수도 있음

출구전략

- 6자회담과 919성명의 복원을 통한 문제해결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을 병행

- 524조치에 대한 언급 없이 실질적인 유연화

- 박근혜대통령의 결심이 관건 대화재개조건의 유연화에 대한 한미간 정책조율을

주도할 필요가 있음

5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

한국GPF재단이 주최하는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김현욱 교수께서 발제한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의 주제는 통일을

시급하게 달성해야 하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통일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반세기 이상 한국과 안보동맹을 체결하고 있는 미국의

한반도 통일정책을 논의하는 것은 아주 시의적절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자는 먼저

발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의견을 제시하고 발제자와 토론자 간의 약간의 상이한

견해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하고 곽교수의 질문에 대해 간략하게 답한 후

정책제안의 순서로 기술하고자 합니다

1 발제문에 대한 일반적 평가

발제자의 논문 내용과 접근방법에 대해 토론자는 전적으로 찬성하고 동의합니다

한반도 통일방안의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공감하면서 남북정상이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에 공통점이 있다고 이미 합의하였기

때문에 남북은 장차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 중 하나의 통일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람직한 통일접근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한국이

경계해야 할 것은 발제자도 지적한 바와 같이 북한의 붕괴통일보다는 독일과 같이

평화적 흡수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며 더 좋은 방안은 평화통일을 목표로 하되 점진적

접근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만약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하여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고 가정할 때 한국에게는

lsquo통일의 대박rsquo이 아니라 통일의 쪽박이 될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남북이

평화통일 협상을 통해 점진적 통일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미국의 국가이익과 우려사항에 대한 자세한 분석에 전적으로

동의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많이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서

기대하는 것은 미국의 국익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미국의 대한반도 통일정책이

결정되리라 전망됨으로 통일의 당사자인 남북은 통일의 과정에서 미국의 국익도

고려하면서 남북이 통일의 이니셔티브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6

2 발제 문에 대한 몇 가지 이견

토론자는 발제문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를 하지만 미시적 측면에서 토론자의 이견을

몇 가지 부언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연방제와 연합제를 설명하는 2쪽 문단에서 북한의 연방제를 1980년

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김일성이 발표한 내용을 기준으로 설명했으나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이 한국의 연합제와 좀더 가까운 것은 김일성이 1991년 1월

1일 발표한 lsquo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rsquo이므로 이를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비교분석 하는 것이 좀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980연대 연방제는

남과 북이 lsquo연방상설위원회rsquo를 조직하여 지역정부를 지도하는 중앙정부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1991년의 연방제는 지방정부에 모든 외교권과 군사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국의

연합제 즉 국가연합 형태의 통일방안으로 수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둘째 1991년 북한의 연방제는 남과 북이 어떠한 정치군사적 블록에도 가담하지 않는

중립국가의 외교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남북이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에 공통점을 인정하고 있으나 북한은 연방제가 되었을 때 외교정책은

반드시 비동맹 중립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나 한국은 북한의 그러한 중립정책을

수용하기 어려운 입장이므로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선 듯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셋째 북한의 연방제 실시 조건에서 남한이 수용하기 어려운 또 다른 것은 북한이

주한미군의 철수와 국가보안법을 철폐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장차 남북이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를 실시한다 해도 남한정부의 입장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보안법 철폐는 가장 민감한 문제들이므로 난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끝으로 발제자는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ldquo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케 하고 미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rdquo는 분석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됩니다 미국의 계획에 의하면 lsquo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군은 한국군과

한국인은 북한에 입북하는 것을 금지하고 미군과 일본의 자위대가 북한의 치안을

유지한다rsquo는 주장이 제기되어 이를 확인하고 있습니다(오크랜드 대학교 박문재 박사

주장) 또 다른 주장에 의하면 북한의 급변사태 시 중국군과 미군은 동시에 북한에

상륙하여 일정한 지역을 분할 하여 WMD와 북한 질서를 공동으로 유지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계획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경우 미국에는 분명히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미국의 이익과 우려가 병존하리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어느 것이 미국의 국익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가에 따라 미국의 외교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이며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한반도 정책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과 관련하여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 발제자는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어

대부분의 내용에 동의를 하면서 상이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토론을 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ldquo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으며 2012년 오바마

27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 체제와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통일을 지지했다rdquo는

내용에 대해 미국은 한반도의 통일을 원천적으로 원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토론자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1971년 7월과 2005년 8월 북경에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비밀회담을 갖고 ldquo미국이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양국은 한반도 분단의

현장유지를 계속하자고 합의rdquo한 내용이 미국의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습니다(2005년 9월

7일 Washington Post)

또 다른 예로 한국전쟁을 종결하는 휴전협정 제4조에는 ldquo정전협정 서명 후 3개월

이내에 서명 당사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한다rdquo고 합의했으나 미국은 북한이 핵을 만들기

전에도 북한의 평화협정 요구를 거절해 왔으며 이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해야

평화협정을 체결해 주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의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은 외교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둘째 과거 독일통일의 과정에서 고르바초프는 독일의 중립화를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미국은 통일된 독일이 NATO에 잔류해야 한다는 조건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결국

고르비가 양보하고 미국의 안이 채택되었으나 거기에는 서독이 소련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수용한 대가라고 합니다(주섭일 기자의 『1990년 독일통일과 2017년 한반도

통일』)

셋째 미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문제에 대해 크게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미국은

한반도가 통일이 된 뒤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주한 미군의

역할은 북한의 위협보다는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주한 미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미국의 재

균형정책도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넷째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미국의 동북아시아 국가에 대한 군수산업이 대폭

축소될 것이며 통일된 한반도가 미-중 간에 균형외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대중 견제는 급속하게 감소될 전망입니다

끝으로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은 감소된 반면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되어 미국의

장기적 전략인 미국의 군사비 감축과 국내외 여건으로 주한미군의 유지가 어렵게 될

경우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감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므로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4 한국의 당면 과제

한국은 대북정책의 출구전략으로 10월 3일 북한 실세의 한국방문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려 북한이 필요로 하는 경제지원과 5ㆍ24조치 해제를 전제로 북한의 양보를 얻어 내

남북관계의 출구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한국정부는 미국이 요청한 THAAD

구입이나 배치를 허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남북간의 평화체제 구축은 1단계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기 보다는 남북이 이미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를 비롯하여 6 ㆍ 15선언과 10 ㆍ 4선언의 내용 중 실천이 용이한

문제부터 실천하면서 남북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북한과 미국의

관계에서 미국이 현재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한국은

북한과 먼저 신뢰를 회복한 후 기본합의서에 이미 명시되어 있는 남북한의 불가침조약을

먼저 체결하고 서울과 평양에 대표부를 설치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한반도

28

비핵화를 위해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으로 핵

문제는 북미간의 문제로 유지하면서 남북한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요구를

하면서 남북의 해빙무드를 먼저 조성하는데 한국은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은 현재도 비동맹 중립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북한의 연방제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조심스럽게 중립화 문제를 거론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검토를 해야 할 것입니다

5 정책제안

한반도 주변 4강은 현재 그들의 국가이익과 한반도 통일이 그들에게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한반도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므로 한국정부는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북한에 비핵화 요구보다 협상을 통해 단계적으로 북한이 한국의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제안이나 구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서

북한이 시급하게 원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524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북한의 양보와 협력을 받아 내야 할

것입니다lt끝gt

6 장용석 박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1 통일과 관련하여 발표자의 다음 지적은 매우 중요함

- ① 기능주의적 접근의 한계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 필요성 ② 북한

주민들의 선택이 지닌 중요성과 그에 대한 고려 필요성 ③ 통일 대북정책의 연속성과

북한 리더십 포용을 위한 내각제 개헌의 필요성

2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과 관련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함

- 동서독은 유럽차원에서 NATO와 WTO간 세력균형 이를 바탕으로 한 동서 간

긴장완화와 특히 헬싱키 프로세스와 CSCE 등을 통한 공동안보 틀 구축 등으로 인해

교류협력에서 안보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특히 동독이 경우 패전의

여파겠지만 북한과는 달리 자국의 안보를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음

- 반면 남북을 둘러싼 지역 안보 환경은 미∙중 간의 긴장과 갈등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고 있고 특히 북한의 경우 지정학적 요충지론에 입각하여 자주-존엄-

선군의 기치 하에 핵보유까지 천명하고 비대칭적 전력의 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으로써 동서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교류협력의 직접적인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 따라서 동북아 지역차원에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협력적 안보 틀이나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공존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rArr 이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ldquo작고 쉬운 것부터rdquo 논리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를 외면하는 기능주의의 또 다른 버전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발표자의 평가는

무엇인지

rArr 아울러 평화협정은 평화적 공존의 제도화와 군비통제를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분단관리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게 아닌지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9: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9

6) 독일과 소련 간 경제적 협조관계 조약을 맺을 것12

당시 미국은 독일의 통일을 지지했는데 독일이 나토와 EC에 머무른다는 조건

하에서였다 미국은 독일이 나토에 머물지 않으면 중립화 독일이 될 것이며 이는

핵무기 보유를 시도하게 될 것이라고 소련에게 주장했다 미국은 소련에게 나토군이

1994년까지 독일의 동쪽 영토에 머무르지 않을 것을 약속하였다 독일통일에 대해

미국이 생각하고 있던 구체적인 이익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로 동부독일의 경제적

요인으로 인해 미국의 대독일 수출이 증가할 것이며 미국의 투자 역시 증대할 것이다

둘째로 2+4조약은 독일군을 제외한 나토군이 구 동독지역에 주둔하지 못한다고

기술하고 있으며 주둔은 소련군의 철수 이후에나 가능하다 독일은 또한 핵무기와

생화학무기의 제조 소유 그리고 통제를 포기한다 따라서 독일통일로 인해 NATO에서

미국의 영향력 확대가 가능하다 셋째는 독일의 CSCE 지역기구화와 동 기구의

안보역할 확대는 미국의 입장과 충돌할 수 있다 미국은 CSCE와 NATO중 NATO의

역할 확대를 원한다

13

당시 독일통일에 대한 미국의 태도는 독일을 NATO에 유지시키는 것을 우선순위로

두고 있었다 멸망하는 구 소련의 경우 독일통일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이었으나 냉전의

종식과 강대국인 미국의 통일지지 앞에 적극적으로 반대하기 힘든 상황이었다 이

상황에서 소련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원조에 있었다 현재 중국의 부상과 미국의 쇠퇴

가능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과연 미국이 독일통일의 경우처럼 한반도 통일을

지지해줄지는 미지수이다 또한 중국이 한국의 통일을 적극적으로 반대할지 여부도

불확실하다 당시 독일은 소련군의 철수를 위해 1994년까지 구 동독지역에 서방군대를

배치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했으며 NATO회원국으로서의 독일이 소련에 직접적인

위협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약속을 하여 소련군의 반대를 무마시켰다

14

IV 미국과 한반도 통일

이와 같은

우리의 외교적 노력이 미중 양국에 대해서 추진될 필요가 있다

1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해왔다 부시 대통령과 클린턴 대통령은

lsquo한국국민이 수용할 수 있는 조건에 기반한 평화적 통일rsquo을 지지했다 2012년 박근혜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 간의 정상회담에서 한미 양측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그리고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적 통일을 지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 대해 독일통일의 경우처럼 적극적으로

12

박영호 한국의 대미통일외교전략 민족통일연구원 1998 p 28 13 Paul E Gallis and Steven J Woehrel Germany after Unification Implications for US Interests CRS Issue Brief CRS Feb 20 1991 14

김규륜 외 한반도통일의 미래와 주변4국의 기대 통일연구원 2013 p 62

10

지지할 지는 미지수이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에 따르면 미국의 대 한반도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다 1) 수평적 핵확산 방지 2) 수직적 핵확산 방지 3) 비핵화 4)

급변사태 계획 5) 북한에 대한 개입정책 6) 북한주민들의 상황 개선 즉 미국은 한반도

통일의 경우 현 북한이 소유하고 있는 핵무기를 폐기하고 핵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익을 가지고 있으며 이 문제가 해결된다면 더 이상 한반도 통일에 적극적일 이유가

없는 것이다

이는 현재 동북아시아의 역학구도를 보면 더욱 설득력이 있는데 독일통일의 경우 구

소련의 멸망과 함께 독일통일은 NATO의 확대와 함께 미국의 세력권을 확대시키는

이익을 가져다 주었다 그러나 현재 동북아시아는 중국의 부상과 함께 통일한국이

미국의 동아시아 패권에 도움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확신을 가져다주지 못한다 또한

최근 한중관계 강화로 인해 미국 내부에서는 통일한국이 친미가 아닌 친중 국가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미국이 향후 한반도 통일을 지지하기 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는 통일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연합제연방제에 의해 통일이 이루어지는 경우 한미동맹은 폐기될 수 있고 주한미군은

미국으로 철수할 수 있다 이 경우 한미동맹의 미래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연합제연방제에 의해 통일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한미동맹이 존재할 수 있으나 이

경우 한미동맹의 역할은 매우 제한적이게 되며 동맹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메카니즘이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필자는 한국주도의 통일이 달성되는 경우에

중점을 두고 한미동맹의 미래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한국주도의 통일이 달성될 경우에도 한미동맹에는 많은 변화가 생기게

된다 동맹에는 비전적 측면(attitudinal)과 운용적 측면(behavioral)이 존재한다 비전적

측면에는 동맹의 존재이유(rationale) 위협인식(threat perception) 목적(objective)

등이 해당되며 운용적 측면에는 군사지휘체계 구성 방위비 분담문제 기지배치 문제

군사전술 등이 해당된다 통일 이후 한국은 미국과 함께 새로운 한미동맹의 로드맵을

작성해야 하며 이는 또 다른 동맹변환의 작업이 될 것이다 즉 한미 양국은 한미동맹의

공동의 전략적 목적(common strategic objective)에 대해 논의해야 하며 그 이후에

양국 군의 역할 임무 능력 (roles missions and capabilities)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

먼저 한국과 미국의 위협인식은 지역적 글로벌 차원에서의 위협이 그 대상이 된다

북한의 위협이 사라지게 될 경우 한미 양국은 지역적 안보위협에 대해 대처하여야 하며

이 경우 중국에 대한 대처는 포함되지 않게 될 것이다 이에 기반하여 양국은 동맹의

전략적 목적을 결정하게 된다 결국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주요 전략적 목적은 지역적

안보질서의 유지가 될 것이다

중요한 것은 운용적 측면에서 동맹의 로드맵을 어떻게 작성하느냐인데 이 경우

11

주한미군의 규모와 배치 전략적 유연성 문제 군사지휘체계 문제 등이 주요이슈이다

먼저 군사지휘체계에 있어서 한국은 더 이상 미군에게 전시작전통제권을 위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미일동맹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미 양국 군은 개별적인 지휘체계를

유지하며 유사시에 협조할 수 있는 협조체제를 구축하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해

주한미군은 더 이상 북한 위협이 존재하지 않는 한반도에 현재와 같은 병력이 상주할

필요가 없게 되며 전략적 유연성을 강화하여 한국군과 함께 지역적 글로벌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보다 유연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중요한 것은 주한미군의 규모와 배치이다 한반도에 주둔하고 있는 주한미군의

지상군(ground force)의 규모는 줄어들게 될 것이다 중국을 의식하여 주한미군의

위치도 현 남한 영토에 한정되어야 하며 38선 이북에는 주한미군을 제외한 한국군이

주둔하게 될 수 있다 한미동맹이 지역적 운용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이것이 중국을

겨냥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미국중심의 미사일방어체계는 한반도에서의 운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최근 논의되고 있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역시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즉 통일 한국의 주한미군은 주로 해군이나

공군을 위주로 형성되어야 하며 지상군을 비롯한 전체 군사력은 삭감되어야 할 것이다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여러 자료에 의거하면 통일한국에 대한 미국의 이익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15

5) 통일로 인해 한반도 전면전 상황(all-out warfare situation) 가능성이 사라지면서

미국은 이에 대비하기 위한 작계를 만들 필요성 및 부담감이 사라지게 된다 현재

미국의 국방비 삭감 및 시퀘스터 상황으로 인해 국방전략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1)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주요 이익은 핵무기와 미사일의 개발을 제거하거나 방지하는

것이다 급변사태가 발생하게 되면 미국의 주요 우려사안은 북한의 대량살상무기가

한반도 지역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다 통일은 북한의 핵확산방지를 달성할

수 있다 즉 통일은 NPT체제강화에 기여하게 된다

2) 시장경제체제 지향적인 통일한국은 미국의 이익에 기여하게 된다 구 북한영토는

미국의 투자를 필요로 하게 되며 이는 미국의 경제적 이익을 증가시키게 된다

3) 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 체제에 의거한 통일한국은 미국으로 하여금 주요가치의

세계적 확산을 위한 모멘텀 역할을 하게 된다

4) 한미동맹은 통일 이후 새로운 역할과 임무를 맡게 될 것이며 이는 지역질서와 안정

유지이다 이것은 미국이 추구하고 있는 아시아 재균형 정책의 주요한 자산이 될 것이며

미국으로 하여금 국제적 강대국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이다

15 Americarsquos National Interests The Commission on Americarsquos National Security 2000 US Department of Defense A Strategic Framework for the Asia Pacific Rim Report to Congress 1992 A Blueprint for US Policy towards a Unified Korea CSIS Working Group Report August 2002 Peter Murphy Lewis ldquoUS Foreign Policy towards the Korean Peninsula An Anti-Unification Policy or Just Too Many Uncertainties to Account For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62 December 2007 차두현 ldquo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시각 기회와 도전rdquo 글로벌정치연구 32 2010 pp 43-44

12

이미 2개의 전쟁이 종료된 이후 2개 전쟁 동시수행 전략은 2012년 defense strategic

guidance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반도 전면전 상황은 미국에게는

부담스러운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 대한 몇 가지 우려사안을 가지고 있다 먼저

미국은 통일한국으로 인해 한미동맹이 약화될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현재

미국은 경제력 약화와 국방비 삭감으로 인해 아시아 재균형 전략에 차질을 빚고 있다

2014년 4년 주기 국방검토 보고서 (QDR)에 따르면 미국은 2개의 전쟁을 종식하고

국방비를 삭감하고 있는 상황이며 아시아 재균형 정책을 장기적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즉 국방비 삭감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장기적으로 아시아지역에 미

해군병력의 60를 배치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동맹국들의

역할을 매우 중시하고 있으며 이런 차원에서 통일이 가져다 주는 한미동맹의 약화

가능성은 미국에게 큰 우려사안이 될 수 있다

두 번째로 한미동맹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매우 치명적이다 현재

아시아정책의 중심축인 미일동맹과 달리 한미동맹은 미군의 전방배치(forward

deployment)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즉 현재 주한미군은 북한이라는

대리국가(proxy state)를 통해 중국을 가장 근접에서 억지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10년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포격사건의 경우에도 미국은 한반도에 항공모함을

출격시켰는데 이는 중국에게 매우 치명적인 위협으로 다가왔었다 즉 미국에게 북한의

군사적 행위는 중국을 견제할 수 있는 좋은 구실이며 주한미군은 중국을 가장

근거리에서 견제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만일 통일로 인해 북한이 사라지고

한미동맹이 약화되거나 역할이 변경되면 미국의 대중국 견제전략에는 차질을 빚게 된다

세 번째로 미국은 한국이 주한미군을 철수시키고 미∙중 양국 사이에서 중립국 지위를

유지하는 경우를 우려한다 통일이 이루어질 경우 미∙중 간의 경쟁에 의해 통일한국은

중립화 노선을 추진할 수 있다 이 경우 미국의 핵우산 제공이 어려워지게 되며 이는

중국과 일본의 군사력 강화 사이에서 통일한국의 안보불안을 야기시키게 된다 과거

통일독일의 중립화에 대해 미국이 우려를 표명했던 것처럼 통일한국은 자체적인 군사력

강화를 추진할 수 있으며 이에는 핵개발도 포함될 수 있다

V 결론 - 정책적 고려사안

현재 동북아지역의 국가들은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입장이다 기술한 바와 같이 미국

역시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한반도 통일에 대해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입장은

기타 동북아국가들 예를 들어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서 통일에 우호적이다 미국의

이익이 한반도의 이익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은 미국이 통일을 반대하거나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미국이 가지는 지정학적 위치로 인함이다 한반도에서 멀리 떨어져

13

있는 미국의 위치 상 미국은 한반도 통일이 미국에게 직접적으로 이익을 가져다 주지

않더라도 주변국들에 비해 강하게 반대하지 않는 입장이다16

관련하여 빅터 차는 이와 같이 말했다 ldquo모든 강대국들은 한반도의 통일이 지역적

세력균형에 변화를 가져 올까봐 통일에 반대하는 입장이다hellip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한국이 당장 통일절차를 추진하게 될 경우 주변 강대국들은 모두 통일에 찬성하는

입장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 새롭게 통일되는 강대국 한국이 탄생할 경우 통일에 대한

반대입장을 보였던 국가들은 통일한국에게 적대국가로 인식될 것이기 때문이다hellip

한국민들은 일단 통일절차를 시작하게 되면 주변국가들이 이에 찬성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게 될 것 이다helliprdquo

중국의 한반도 통일에 대해 lsquo평화적이고 독자적이며 점진적인 비핵화 통일rsquo을

지지하는 입장이다 즉 평화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이 중국의 경제적 발전에

해를 끼쳐서는 안되기 때문이고 독자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한국이 미국

쪽으로 경사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며 점진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이 지역적

안정을 헤쳐서는 안되기 때문이며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한국에

미국의 핵우산이 유지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결국 독립적인 통일과 비핵화에 기반한

통일 지지 입장은 모두 한미동맹과 관련되어 있다 중국은 친미 성향의 통일한국에

반대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국정부는 보다 세심한 통일준비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몇 가지 정책적 고려사안을 제시한다 첫 번째로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한국은 독일과 달리 패전국 지위가 없으며 따라서 통일을 이루기 위해

4 개 조약당사국들로부터의 승인이 필요했던 독일과는 달리 주변국들로부터 아무런

승인을 받을 필요가 없다 독일은 포츠담회담에서 승전 4 개국이 분할점령하기로

합의하였으며 이것이 냉전과 함께 분단으로 이어졌기 때문에 통일국가를 이루기

위해서는 분할점령을 합의했던 4 개국들의 승인이 필요했다 게다가 독일통일의 경우에

이미 2+4 회의에서 독일통일을 승인하기 이전에 동독의 독일연방 가입이 결정되었기

때문에 후속적 승인에 불과하였다 한국과 북한 양국이 통일과정에 대해 합의하고

추진하여 통일을 달성하면 주변국가들은 이에 동의할 수 밖에 없다

17

두 번째로 평화협정은 휴전중인 한국전쟁을 종식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지 통일의

전제조건은 아니다 한국정부는 그 동안 통일이 아닌 분단적 평화유지에 지나치게

집착해왔다 이는 통일을 위한 본격적인 정책추진이 아닌 단지 정전상태를 평화상태로

바꾸는 것에 불과하며 이를 위해서 지불해야 할 비용 역시 지나치게 높다 즉 북한은

평화협정 체결을 위해 주한미군의 철수 등을 주장하고 있으며 이는 현 한국의 안보상황

16 Peter Murphy Lewis US Foreign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An Anti-Unification Policy or Just Too Many Uncertainties to Account For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62 December 2007 p 107 17 Victor Cha The Contiuity behind the Change in Korea Orbis No44 (Fall 2000)

14

속에서는 불가능한 조치들이다 이제는 한반도 평화가 아닌 통일을 정책적 목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평화협정

문제를 논의하는 것은 결국 입장차이를 확인할 뿐 실제 평화체제가 확립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미국은 평화협정 체결이 북한 비핵화를 먼저 이룬 이후에 가능하다는

입장이며 중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하게 되면 북한비핵화 등 제반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따라서 남북한 양국은 이제 소모적인 평화협정 논의 이외에 본격적인

통일논의를 통해 남북한 당사국들의 이익에 보다 충실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 한∙미∙중 3 자회의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미 한∙미∙중 3 개국은 작년에

1 차 전략대화를 개최하였다 주요 이슈는 북한 핵문제였는데 이와 같이 북한

핵문제에서 이슈를 확대하여 한반도 통일 북한급변사태 등 다양한 문제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남북통일은 미∙중 양국의 이익 및 세력균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3 국 전략대화에서 한반도 통일에 관한 입장을 조율하고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역할과

임무에 대한 각기 다른 이해관계를 조율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은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 남북한 통일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한국

내부의 통일정책을 하나로 수렴시키는 일이다 현 대통령제 하에서는 연속적인

통일정책이 중장기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고 정책적인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 또한 통일과정에서 북한리더십을 통일한국의

정치체제로 통합할 필요성이 있다 독일통일과정에서도 총선거를 통해 동독 지도부가

독일연방으로 통합되었듯이 남북한 정치통합을 위해서는 내각제 체제가 더 적합하다

15

제6회 정책포럼 토론문 (무순 제출순서대로 편집)

1 김동현 교수 (고려대 일민국제관계연구원 방문학자 북한대학원대 초빙교수 전 존스

홉킨스 국제대학원 겸임교수 및 방문학자)

총평 한반도 통일을 주제로 창의적인 노력을 보여준 발제자에게 우선 찬사를 보낸다

발제자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 부분이 많이 있지만 김현욱 박사가 과시한 학술적

접근방식과 독창적인 의견들은 높이 평가한다

- 우선 여러 가지 통일 시나리오를 가상하고 그와 관련된 논의를 흥미 있게 전개하지만

지금까지 국제 정치사상 어떤 시나리오가 상정한대로 어느 문제가 해결된 것이 없디

역사에 가정이 없듯이 국제정치의 현실에서 ldquoScenariordquo의 가정도 설 땅이 없다

시나리오를 추구하는 학자들은 바둑놀이를 계속하는 것과 같다 바둑을 둬서 어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지만 두뇌기능을 진척시키고 치매 방지 등 건강에 도움이

되는 정도라고나 할까 학자들의 장기중의 하나는 간단한 문제를 복잡하게 해석하고

신조어를 만들어 내며 독자들을 헷갈리게 하는 재주다

발제자 주장에 대한 토론

- 615 정상선언은 남한의 국가연합 방안과 북한의 느슨한 연방체 간에 공통점이

존재하며 앞으로 ldquo그런 방향으로 (통일을) 추진한다rdquo고 합의 했을 뿐 그 후에 어떻게

정치체제를 통합하겠다는 언급이 없었던 사실을 발제자가 정확하게 지적했다 그러나

당시 한국측 주역들은 연합과 연방단계를 묶어서 Federation 이 아닌 Confederation 의

형식으로 교류와 협력이 무르익는 ldquo사실상의 통일 ndash De Facto or Virtual Unificationrdquo

을 이룬 다음에 완벽한 법적 통일 ndash ldquo De Jure Unificationrdquo 로 간다는 것이다 DJ 의 3

단계가 연합 ndash 연방 ndash 완전통일 이었다면 임동원은 화해 협력 ndash 사실상의 통일인 연합

그 후에 법적 통일의 3 단계였는데 이 점은 615 선언협상과정을 통해서 DJ도 동의

했다는 것이다 (ldquo피스메이커rdquo에서 - 이 통일 과정에 소요 되는 시간을 DJ 는 10 년

김정일은 40mdash50 년으로 예상했다)

- 발제자가 논의한 ldquo급변사태로 인한 통일에 대해서 ldquo급변사태rdquo에 대한 정의는

무엇인가 중국의 개입가능성이 높고 미국의 개입가능성을 낮다고 하는데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논의 되어 온 것 이상의 논리가 없다 미국의

역할을 예측하는 문헌으로 Bruce Klinger 와 Bruce Bennett 의 글을 주석으로 달고

있는데 이 두 사람은 북한의 붕괴를 이념적으로 바라면서 근거가 미약한 붕괴론을

확산 시켜온 인물들이다 다만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남북한이 둘 다 유엔회원국이기

때문에 만약 북한에 권력공백 상태가 생겼을 때 누가 들어 가서 평정 및 관리를 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유엔차원에서는 아직 한 번도 논의된 적이 없는 문제다 유엔 임시

한국위원회에서 대한민국정부 수립에 앞선 선거 감시를 했고 625 때 38 선 이북으로

북진 할 때도 당시 유엔군 사령부는 수복지구에 대한 행정권을 정식으로 한국에 넘기지

않았다

16

- 한국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 하는 방안에 대해서 우선 발제자가 말하는

ldquo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rdquo의 뜻은 우호적 태도 호감 영어로 말하는 Identity

라면 북한 주민들이 ldquo우리는 남한 사람들과 같다rdquo는 뜻인가 정체성이 정치적 동질성을

말한다면 이를 이룩하기 위한 노력이 장기간 섬세하게 선행 되야 할 것이다 예멘의

사례도 학술적인 참고는 되지만 정책상의 참고는 될 것 같지 않다 물론 최종적인

정치 사회 통합은 현재의 정부 방식으로는 통일의 최종적 과제이다 그러나 평화를

보장하는 사실상의 통일 단계에만 돌입해도 궁극적인 통일로 향하는 엄청난 성과가 될

것이다 그래서 통일은 과정이란 말이 나왔다

- 독일의 사례 대해서 한국통일 논의에서 독일통일의 모델이 약의 감초처럼

등장하는 데 독일에 가서 독일 통일 과정을 공부한 한국인들을 제외하면 독일인

독일통일 전문가들은 한국과 독일 여러 가지 여건이 (역사 경제 문화 국제환경)

다르기 때문에 독일통일방법을 모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을 많이 하고 있다

토론자의 생각도 같다 물론 독일과정에서 있었던 일들 중 한국이 배우고 참고로 해야

할 점이 많이 있음은 부인치 않는다 (예 정권교체와 관계없는 일관된 정책의 지속성

같은 것 ndash 발제자는 이를 위해 내각제 개헌을 제안) 독일 통일과 관련된 미국의

이해관계를 소상하게 기술했는데 이 것도 본 발제문 주제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지 않는다

-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에 대해서 해방 이후 미국은 유엔결의문 등을

통해서 평화적으로 한반도에 자유 민주 통일 정부가 수립되기를 바란다 고 언급해 왔고

아버지 부시 클린턴은 ldquo한국국민 (the Korean people) 이 원하는 통일rdquo그리고 아들

부시와 오바마 때와서는 ldquo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체제의 통일rdquo을 지지한다고 공언했다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은 한국 헌법에 부합하지만 북한에 입장에서는

ldquo흡수통일rdquo로 받아 들린다 당연히 북한이 반발한다 2000 년 10월 김정일은 이렇게

말했다 ldquo우리는 제도에 의한 통일은 반대다 평화통일 하면 우리는 우리 식으로

통일하는 것을 말하고 민주 통일은 남조선 원하는 통일이다 평화통일이 되면 중국이

좋아하고 민주통일이 되면 일본이 좋아할 것이다rdquo

1991 년 6월 토론자가 평양에 갔을 때 당시 북한 군축평화 연구 소장 송호경 (후에

아태위 부위원장) 은 이렇게 말했다 ldquo 1민족 1 국가 2 체제 고려연방제는 한쪽이 다른

한쪽을 먹을 수 없는 상태로 공존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상태를 해소할 수 있는

쌍방간의 합의나 체제통일이 없으면 이 상태가 마냥 계속될 수 있다 영구히 갈런지도

모른다rdquo

- 지금까지 미국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한국 통일에 대한 수사적 지지만∙ 했을 뿐

한국통일을 위해 노력한 흔적이 없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현재 미중은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 속에서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각각의 전략적 이익 때문에 한반도에서

무탈 무사 현상유지를 원하고 있다 발제자가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간행물을

인용했는데 토론자는 이 것도 못 마땅하게 생각한다 그 간행물에 관여 한 소위

미국인 전문가들 중에 한국통일 전문가는 별로 없다 Victor Cha가 미국의 거물학자로

여겨지는 것도 못 마땅하다 (나는 이런 것을 미국에 대한 학문적 사대주의 ndash

Academic Sycophancy 라 부른다) 미국문제는 미국인들이 잘 알고 한국문제는

한국인들이 잘 안다 다른 한가지를 지적한다 미국은 지금 한국 통일에 대한

우선순위가 없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북핵 문제도 우선순위를 두지 않고 있다 심지어

17

아시아 재 균형 문제도 이라크와 시리아의 ISIL or ISIS 문제 때문에 신경을 제대로 쓰지

못한다는 우려가 나온다 (Kurt Campbell in Seoul on September 25 2014)

- 통일 이후의 한미동맹 통일에 대한 전망도 아득하지만 그 후의 한미동맹 관계는

더욱 아득하다 통일에 상대가 있듯이 (As W Bush said in Seoul this spring at a

conference hosted by the Chosun Ilbo) 동맹은 전통적으로 군사적인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동맹 이 함께 싸워야 할 상대 (Potential foe or adversary)를 전제로

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중미간의 경쟁이 계속된다면 미국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한미동맹을 아시아 재 균형의 도구로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 입장에서

그것이 그 때가서 한국국익에 맞는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서 발제자가 친절하게 미국의 이익과

우려를 열거했는데 남북이 통일을 원한다면 미국이 자기 이익 때문에 통일을

반대해서도 안되고 한국이 미국의 우려 때문에 할 일을 못하거나 안 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미∙중 사이의 중립 또는 전세계를 상대로 하는 중립이 한국 국익에

합당하고 국민의 다수가 이를 원한다면 한국은 그 길을 택해야 한다

미국의 걱정은 미국에 맡기고 한국은 한국 걱정에 치중해야 한다 걱정은 시대와

환경에 따라서 달라진다

정책건의

- 첫째 황병서 최룡해 김양건 3 인의 인천 방문을 계기로 다음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진일보한 과감한 자세로 이산 가족 524 조치 금강산 관광 등 현안을 타결하고

신뢰프로세스를 부활해야 한다 남측도 구태의 틀에서 벗어나 놀랄만한 자세를 보여야

한다 통근 결단은 북한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 둘째 6자회담 재개 등 북핵문제 해결을 노력을 한국이 주도해야 한다 미중과 함께

한국마저 손 놓고 있는 상태는 더 이상 방관해서는 아니된다

- 셋째 대북정책에 대한 국내 보수 진보간의 시각차이를 융합하여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탈냉전식 통일정책을 개발함으로써 통일준비의 기초를 확립해야 한다

2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김현욱 박사의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을 읽고

국내의 손꼽히는 미국전문가인 김현욱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을 맡게 되어 영광으로

생각한다 김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자의 생각과 비교할 때 공감이 가는 부분이 많다

하지만 김 박사가 다루는 주제가 단순히 미국의 대외정책이나 한미관계가 아니라

lsquo한반도 통일rsquo이라는 점에서 몇 가지 오류가 눈에 띄기 때문에 여기서부터 토론을

시작해야 할 것 같다

I 서론

한middot미 정상이 합의한 통일관련 언급은 「한미동맹 공동비전」(2009616)은

ldquopeaceful reunification on the principles of free democracy and a market

economyrdquo으로 「한미동맹 60주년 공동선언」(201357)은 ldquoits peaceful reunific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denuclearization democracy and a free market

economyrdquo으로 되어 있다 전자의 free democracy는 liberal democracy와 구별되어야

18

하며 후자에는 그냥 democracy로 표기한 의미를 되새길 필요가 있다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o 우리 정부는 lsquo연합제 통일방안rsquo을 지지한 바 없으며 무엇보다 lsquo연합제rsquo는 통일방안이

아니다 또한 우리 정부가 북한과 함께 lsquo74남북공동성명rsquo을 발표하고 lsquo자주 평화

민족대단결rsquo이라는 통일의 대원칙을 발표한 것은 맞으나 그 뒤 lsquo민족대단결rsquo을 삭제하고

lsquo민주rsquo를 넣었다

o 1989년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은 전두환이 아닌 노태우 정부 때 발표된 것이다

o 김대중 대통령이 대통령이 되기 전에 개인적인 통일방안으로 lsquo남북연합제 rarr

공화국연방체 rarr 통일국가rsquo의 3단계를 주장했었으나 대통령이 되고 나서는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수용했다

o 한국의 통일정책의 특징이 ldquo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남한체제를

궁극적인 통일의 상으로 설정하고 있다rdquo고 주장하나 우리 정부의 공식 통일방안인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은 먼저 민족공동체를 만들어가고 나중에 통일국가를 이루되

통일국가의 형태는 미래세대에게 맡긴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2 북한급변사태로 인한 통일

o 북한의 급변상황에 한국이 개입하는 것이 유엔헌장에 위배된다는 지적은 옳다 그런데

아무리 중국이 UN상임이사국이라도 중국 군이 평양까지 진출해 친중 정권을 수립할

근거를 갖고 있는가

o 박휘락 박사의 인용문은 미국이 북한의 WMD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중국의 도움을

받기 위해 중국의 개입을 반대하지 않는다는 의미이지 북한 급변사태가 발생할 때 이를

중국에게 떠맡긴다는 의미는 아닌 것이다

o 필자는 ldquo미∙중 양 강대국이 한반도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고rdquo라고 언급하고 있는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가 있는가

3 남한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하는 방안

o 남북예멘이 통일 후 무력통일로까지 간 것은 사회문화적 유대감의 부족 때문이

아니라 11 대등한 권력분배가 몇 년 뒤 실시된 선거결과에 의해 북예멘에 유리하게

정치지형이 바뀌자 남예멘 측 인사들이 이에 반발해 무력을 동원했다가 진압당한 것이다

o 동독유권자의 9322가 서독으로의 신속한 편입을 주장했다고 언급했는데 이 수치는

투표율이다 조기통일을 주장했던 독일연합의 득표율은 4804 국가연합을 거쳐

점진적 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의 득표율은 2188였고 옛동독공산당이었던

민사당이 164 새로운 사회주의 건설을 내걸었던 연합90이 291였다 그 결과

독일연합과 동독사민당이 연립정부를 구성해 서독과 통일협상에 나섰던 것이다

III 독일 사례와 미국

o 동독 총선거에서 동독주민들이 서독의 정치체제와 정당에 투표하였다고 하였는데

이것이 무슨 말인가 그들은 조기통일(동독기민당 중심 국민연합) 점진통일(동독사민당

민사당) 제3의 길(연합90) 등을 내건 동독정당에 투표했는데 결과적으로 조기통일을

19

주장한 국민연합이 승리하여 점진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과 연립하여 조기 통일을

추진 달성한 것이다

o 독일통일의 상황에서 소련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원조라고 언급하고 있는바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엄밀하게 말한다면 對소련 차관 50억 DM(약 25억 euro) 동독주둔

소련군 36만 명의 철수에 따른 비용 부담 125억 DM(약 64억 euro)이다

IV 미국과 한반도 통일

1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o 미국이 통일과 같은 현상변경보다는 분단이라는 현상유지를 선호한다는 의견에

동감을 표한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의 정확한 출처를 밝혀주었으면 도움이

되겠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o 필자는 lsquo연합제연방제 통일rsquo과 lsquo한국주도의 통일rsquo을 대립적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연방제란 정부구성원리의 하나로서 1국가 2체제(일국양제)만 있는 것이 아니라 1국가

1체제의 연방제도 존재한다 따라서 한국 주도의 통일일지라도 단방제(單邦制) 방식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연방제(聯邦制) 방식이 될 수도 있다

o 통일된 이후가 아니라 전작권 전환 이후에 2013년 한미 양국은 한국군 합참 내에

미래사령부의 구성 계획을 통해 연합지휘체제(한국군 사령관 미군 부사령관)를

구축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o 최근 논의되고 있는 THAAD는 지금도 배치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인가 아니면

통일되면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아니게 되므로 지금 배치했더라도 철수해야 한다는

의미인가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o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우려사안 중 한국 주도의 통일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한미동맹의 약화를 우려한다는 점이 충분히 이해되지 않는다 특히 당장 통일될 것도

아닌데 우려의 근거로 미국의 현실적 상황을 제시한 것들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o 나머지 두 번째 세 번째도 왜 한미동맹이 약화되고 주한미군을 철수하게 될지 하는

원인을 설명하지 않고 그렇다고 전제해 놓고 미국의 대아시아 전략에 미칠 영향과

미∙중 사이의 중립국 지위 유지하는 것은 앞뒤가 바뀐 것이다

V 결론 ndash 정책적 고려사안

o 미국이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했다고 볼 수 있는가 미국이 통일에 대해 처음으로 입장표명을

한 것은 2009년 6월 이명박-부시 대통령의 한미 공동비전이 처음이다 최근 미국

조야의 분위기는 북핵 문제를 풀기 위해 통일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고 오히려 한국

측이 통일에 소극적이라고 질책하기도 하지 않은가

o 중국이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가 통일한국의 핵무기 보유가 아니라

단지 미국의 핵우산 유지를 우려했기 때문인가

o 평화협정이 단지 한국전쟁의 종식만을 위한 것일까 필자가 제시한 첫 번째

20

정책고려사안은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런데 평화협정이

체결되지 않고 정전상태에서 곧바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첫째 우발적 충돌이라도

전쟁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있고 둘째 통일과정에서 정전협정의 당사자인 미국과 중국이

국제법적으로 개입할 가능성이 열려있다

o 본문을 보면 필자는 분단적 평화유지와 평화체제평화협정을 동일시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마저 든다 그리고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다고 했는데 그 근거가 무엇인가 특히 비핵화-평화협정의 순서를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의 입장이 상반된다고 언급했는데 과연 그런가 919공동성명에서 미국과 중국은

동시행동 원칙에 합의한 바 있지 않은가

o 과연 남북한 통일을 위해 내각제가 필요한가는 좀 더 논의해봐야 할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통일을 달성할 때까지는 효율성을 위해 대통령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필자의 주장과 달리 내각제의 경우 잦은 내각교체로 인해 통일정책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수 없는 것 아닌가 lt끝gt

3 문성묵 박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발제문에 대한 논평 우선 김현욱 교수님의 발제문은 한반도 통일의 가능한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독일 사례를 통해 우리의 통일미래를 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접근이라고 봄 특히 남북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매우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제시하고 있는 정책적 제안은 적절하다고 판단되며 대체로 공감함 다만

통일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한 두 가지 추가 제언을 드리고자 함 우선 미국의

우려사항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일한국이 지향하는 한미동맹에 대한 분명한 의지를 미

측에 밝힐 필요가 있음 아울러 통일의 성취를 위해서는 반드시 중국의 협조를

유도해야 하는 바 이를 위해서는 통일한국의 한미동맹이 중국의 국익에도 부합될 수

있다는 논리를 적극 개발하고 중국을 설득하는 노력이 강구되어야 함 이러한 입장을

미국이 중국과 직접 조율해 나가도록 협조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봄 그런 차원에서

본문에서 제시한 한∙미∙중 3자 협의는 유용한 협의기제로 보임

다음은 곽태환원장님께서 제시해 주신 토의중점 주제들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정리하였음

1 한반도 통일을 위해 먼저 극도로 경색된 남북관계부터 풀어나가야 하는데

출구전략은

10월4일 황병서 등 북한고위급인사의 전격 방남으로 대화의 물꼬가 트인 만큼 이달

말 또는 11월초로 예정된 2차 고위급접촉을 통해 남북간 쟁점사항들을 대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풀어나가는 지혜가 필요함

첫째 무엇보다 대화의 지속이 중요함 일회성 대화가 아니라 고위급접촉이든 다른

대화채널이든 대화가 정례화 되는 것 즉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통로는 늘 열려 있어야

할 것임

둘째 사안별 접점 마련이 필요함 즉 상호가 입장차이가 극명한 사안은 일단

21

접어두고 접점 마련이 가능한 사안부터 협의하고 이행을 해 나가는 것임

2 현안이슈인 THAAD 한국배치에 대한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 측면 고려하여 사드

한국배치가 바람직한가 전시작전통제권을 2015년에 받아야 하나 연기 해야 하나

첫째 사드의 한국 배치는 정치적 관점이 아니라 안보적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중국(러시아)과 북한이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있지만 북한위협에 직면한 우리

입장에서는 한미동맹차원에서도 미국의 사드 배치 구상에 협력하는 것이 필요함 따라서

한국과 미국이 중국을 잘 설득할 필요가 있음

둘째 전작권문제 역시 주권 자존심이라는 측면 보다는 국익의 관점에서 판단해야 할

사안임 북 핵문제 등 북한의 위협이 상존하는 현 상황에서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억제력을 확고하게 유지하는 일임 한미연합사는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체제임 따라서 시기에 기초한 접근 보다는 조건에 기초한 접근이 바람직함

3 한반도 통일은 평화적으로 이뤄져야 하는데 남과 북이 합의에 의한 통일이

이뤄지려면 공동통일방안에 대한 합의가 가능한가 6자 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는

평화체제구축은 어떻게 이룰까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통일방안에 대한 남북 간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는 현 상황에서

통일방안부터 협의를 시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봄 우선 대화와 교류확대 등을 통한

화해협력을 추진하면서 향후 북한정권과 체제의 변화가 이루어질 때 통일방안에 대해

본격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함

둘째 핵 문제는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임 이로 인한 무력충돌은

공멸을 의미하기 때문임 따라서 북핵 문제는 우선 강력한 억제로 북핵 사용 자체를

무력화하고 나아가 대화를 통한 외교적 해법을 병행해야 함 즉 6자 회담을 재개하여

919공동성명의 합의정신에 입각하여 풀어나가는 것 이외 다른 적절한 대안은 없어

보임

셋째 평화체제 문제는 6자 회담이 재개되고 북핵 문제에 있어 일정분야 진전이 있을

경우 919 성명에 합의된 별도의 평화포럼을 통해 논의해 나갈 필요가 있음 평화체제는

협정의 체결이 아니라 실질적인 평화상태를 만들어 나가는데 중점을 두고 추진해 나가야

4 4자(미 중 남북한)회담을 통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인가 북이 주장하는 북미간

평화협정이 바람 직 한지 한반도 정전체제를 대체하는 다자 평화체제는 어떤 형태가

바람 직 한가 등

첫째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논의하는 협상은 남북한과 미국 중국이

참여하는 4자회담이 적절하다고 봄 1997~1998년 사이 제네바에서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는 문제를 논의하는 4자회담이 6차례 개최된 바도 있음

둘째 평화체제는 남북간에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미국과 중국이 이를 보장하며 협정은

유엔에 기탁하는 방안이 적절하다고 봄

5 6자 회담을 복원하여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ldquo행동대행동rdquo으로

동시에 해결하자는 제안에 대한 견해는

22

이는 북한이 핵 문제에 대해 한국과 미국 등이 요구하는 수준으로 성의 있는 조치를

취하고 이를 바탕으로 6자회담이 재개된다면 동시에 별도의 포럼을 열어 평화협정

논의를 개시할 수 있을 것임 실질적 평화상태 구축을 위한 남북간 군사적 신뢰구축 및

운용적 군비통제 등을 추진해야 함 평화협정의 체결 시점은 북한 핵이 완전히 폐기되는

시점과 맞추어야 할 것임

6 이러한 통일프로세스에서 과연 미국은 어떤 역할이 바람 직한가

독일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듯이 미국도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함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을 설득하여 한반도 통일에 동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공고한 한미동맹을 유지하여 북한이 변화하도록 유도하며 통일 이후에도 통일한국의

안보환경과 국익에 부합되게 동맹의 형태와 목표 기타 필요한 사항들을 협의하여

합의할 필요가 있음 통일한국이 중국과의 관계에서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는 방법은

미국과의 동맹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생각됨

7 평화적 합의통일방안에 하나의 대안으로 중립화를 통한 한반도 중립화 통일방안에

대한 견해는 미국은 지지 할까 등입니다

중립화 통일방안을 추구한다고 해서 통일이 촉진될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음

중국은 다소 긍정적일지 모르나 우리의 동맹인 미국이 가장 우려하는 사안일 것임 그런

차원에서 중립화 방안은 부적절함 이는 우리 국익이나 안보상 적절치 않은 방안이라고

봄 lt끝gt

4 김준형 박사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교수)

발제 논문에 관한 의견

다음 사항들에서 기본적으로 공감함

한반도통일의 고차방정식에 대한 의미 있는 분석 주변강대국들의 이해관계

특히 통일을 추구함에 있어 미국과 중국의 이해관계를 분석한 부분

냉전붕괴직후 독일의 상황과 당시 미국 및 소련의 입장이 가지는 함의에 대한

분석

북한급변사태가 곧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며 통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북한

주민들의 친한국 성향이나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남북이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

최근 미국이 통일에 대해 기껏해야 소극적 지지입장이며 통일로 인한

한미동맹의 약화가능성에 우려를 가지고 있다는 분석

한미동맹의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치명적이라는 주장도(치명적이라는

표현은 좀 과도한 측면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공감

주변강대국이 한반도통일이 현 동북아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지지하지 않으나 남북한이 원해서 주도적으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반대할 수 없다는

주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사항들에서 문제 제기하고자 함

23

서론에서 밝힌 본문내용 소개가 본문의 실제 내용전개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음 특히 현실적인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를 살펴본다고 했는데 오히려 그간의 남북한

통일안의 한계와 약점을 지적하고 특히 남북한 공히 정치적 통합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진다는 분석 위주임

북한에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 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 미국이 먼저 나서서 개입하지 않을 가능성은

있다 하더라도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해도 미국이 행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는 동의할

수 없음

북한 급변사태의 경우 중국이 자국민 및 재산보호를 명분 삼아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그것이 북중동맹에 의한 자동개입과 UN 상임이사국의

지위를 이용해서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라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려움

북한의 급변사태에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논지와 중국이 북한에 친중 정권을 세울 가능성이 높다는 논지는 자칫 통일보다 동맹을

선택하는 한미동맹 신화론자들의 논리를 강화시킬 수 있는 위험성 내재 박휘락박사가

인용한 미고위당국자의 발언은 context도 다른 것으로 보이고18

한국주도의 통일 역시 한미동맹약화로 이어지고 이는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에

치명적일 것이라고 단정하는 것 역시 같은 식으로 호도될 여지 있음

이 논리가 절대적 친미

보수진영의 동맹강화의 긴급성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논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평화협정이 통일의 전제조건이 아니라는 것에 동의하고 분단적 평화유지에 대한

반대에 동감하지만 평화보다 통일이 우선되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려움

통일을 위해 통일정책의 연속성을 위해 내각제 개헌을 해야 한다는 논리는

지나친 단순화 또는 비약으로 보임

현 정국에 대한 토론자의 견해

지난 7년간의 대북정책 및 통일정책의 한반도의 운명과 관련된 4가지 핵심 변수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① 한미동맹의 근본 성격 변화(대북억지-gt동북아지역군)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을 위해 일본과 한국에 아웃소싱 추진하고 있으며 그 핵심이 지역미사일방어체제

구축

- 전작권환수 시기보다 조건을 우선 고려

- 전작권에 대한 효용성 변화 과거 전략적 유연성은 분담의 차원이었으나 현재는

한미일 군사협력네트워크 통합의 차원으로 변모 따라서 미국이 전작권을 계속 보유하는

것의 효용성이 높아짐(미국의 꽃놀이패)

② 북핵문제의 근본 성격 변화 핵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음

- 미국은 북한에 대한 de facto 보유국 내부적으로 인정19

18 이 발언은 북한의 핵개발 중단 도발가능성 북한개혁 등 중국이 행사할 수 있는 대북 레버리지를 미국이

기대한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됨

19 수년 전 힐러리 클린턴의 발언부터 최근 오바마의 유엔연설 직전에 행한 국가안전보장회의 부의장 벤 로

24

- 발제논문에서 주장하는 통일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미국의 입장과 연결됨

- Permanent crisis 양상 분명 위기이고 해결이 난망한데 아무도 나서서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며 심지어 현 위기국면을 국내정치에 이용하는 측면이 커지는 일종의

북한 핵위기의 default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③ 한반도 통일론의 변화 신뢰프로세스 동평구 통일대박론 드레스덴 선언 등의

많은 제안들이 후속조치 없이 동력을 잃었으며 최근 UN연설에서 재확인되듯이

흡수통일론으로 귀결 남북교류의 제도화 수준은 대단히 높으나 실행수준은 대단히

낮음으로 인해 통일논의에 대한 국민들의 피로감을 확산시키고 이는 국내

안보포퓰리즘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동

④ 북중관계 변화 남북관계의 단절로 인해 긴밀해짐으로 해서 북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하고 있는데 중국의 대북 지분을 향상시켜 유사시 개입의 빌미가 될

가능성이 높음(발제논문도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음-탈북자 관리명분)

미국의 입장에 대한 견해

오바마는 대북정책에 있어 부시 전임정부와는 정반대되는 경향 1기에서의

강경함에서 2기에는 협상무드로 갔던 부시와는 반대로 초기의 온건입장이 시간이

갈수록 강경기조로 넘어가고 있으며 인권압박까지 병행

더 큰 문제는 강경책이든 온건책이든 문제해결을 위한 움직임이 없는 매우

수동적 태도로 일관한다는 것인데 이는 북한문제가 여전히 오바마행정부의

정책우선순위의 상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고 또 북한핵개발

국면을 빌미로 대중국 견제와 미일동맹을 비롯한 아시아동맹네트워크 강화에 활용한다는

것임

오바마의 소위 lsquoDDSSrsquo Doctrine의 근간은 임기 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한반도는 큰 현안 없이 현상유지로 흘러갈 가능성이 큼

미국의 MD 압박 강화될 것임

- 미국이 현재는 한국내 여론을 의식해서 한국정부와 보조를 맞추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MD 편입을 원하고 있기에 압박은 증가할 것임

- 한국과 일본이 참여하는 지역 미사일방어체제 구축은 미국의 아시아재균형전략의

핵심이며 한국의 MD 참여가 중국의 입장에서는 레드라인이지만 미국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한중의 접근을 억제할 수 있는 카드로서의 효용성이 있음

- 한국정부의 태도 변화 사드의 한국도입에 대해 최근에는 수용적 자세로 변화20

미국의 MD 참여 압박에 대해 정부가 진정으로 미국 MD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면 확실한 입장표명을 하거나 공개적으로 국민의 의견을 묻는 것이

필요함(double edge diplomacy 활용)

한국의 과제

즈 발언까지 일관됨 20 10월 7일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한민구장관은 북한 핵middot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사드를 배치하면 우리 안

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함 또한 MD의 핵심 자산을 동원하는 새로운 작전개념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같은 방안을 이달 말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연례 안보협의회에서 공식화할 방침이라고 밝힘

25

남북관계 해결을 위해 한국정부가 선제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시도해야 함

미국이 여러 복잡한 문제로 인해 여유가 없는 상황을 오히려 역이용하는 발상의 전환

필요

미국정부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대북접근에 있어 한미공조 이탈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견제해왔던 것에 비하면 한국의 운신의 폭은 역설적으로 커졌다고 볼 여지

있음 미국이 대북정책에 있어 마땅한 해법도 없고 정책순위는 점점 하락하는 상황에서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주도가 가능할 수도 있음

출구전략

- 6자회담과 919성명의 복원을 통한 문제해결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을 병행

- 524조치에 대한 언급 없이 실질적인 유연화

- 박근혜대통령의 결심이 관건 대화재개조건의 유연화에 대한 한미간 정책조율을

주도할 필요가 있음

5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

한국GPF재단이 주최하는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김현욱 교수께서 발제한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의 주제는 통일을

시급하게 달성해야 하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통일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반세기 이상 한국과 안보동맹을 체결하고 있는 미국의

한반도 통일정책을 논의하는 것은 아주 시의적절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자는 먼저

발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의견을 제시하고 발제자와 토론자 간의 약간의 상이한

견해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하고 곽교수의 질문에 대해 간략하게 답한 후

정책제안의 순서로 기술하고자 합니다

1 발제문에 대한 일반적 평가

발제자의 논문 내용과 접근방법에 대해 토론자는 전적으로 찬성하고 동의합니다

한반도 통일방안의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공감하면서 남북정상이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에 공통점이 있다고 이미 합의하였기

때문에 남북은 장차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 중 하나의 통일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람직한 통일접근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한국이

경계해야 할 것은 발제자도 지적한 바와 같이 북한의 붕괴통일보다는 독일과 같이

평화적 흡수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며 더 좋은 방안은 평화통일을 목표로 하되 점진적

접근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만약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하여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고 가정할 때 한국에게는

lsquo통일의 대박rsquo이 아니라 통일의 쪽박이 될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남북이

평화통일 협상을 통해 점진적 통일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미국의 국가이익과 우려사항에 대한 자세한 분석에 전적으로

동의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많이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서

기대하는 것은 미국의 국익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미국의 대한반도 통일정책이

결정되리라 전망됨으로 통일의 당사자인 남북은 통일의 과정에서 미국의 국익도

고려하면서 남북이 통일의 이니셔티브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6

2 발제 문에 대한 몇 가지 이견

토론자는 발제문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를 하지만 미시적 측면에서 토론자의 이견을

몇 가지 부언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연방제와 연합제를 설명하는 2쪽 문단에서 북한의 연방제를 1980년

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김일성이 발표한 내용을 기준으로 설명했으나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이 한국의 연합제와 좀더 가까운 것은 김일성이 1991년 1월

1일 발표한 lsquo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rsquo이므로 이를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비교분석 하는 것이 좀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980연대 연방제는

남과 북이 lsquo연방상설위원회rsquo를 조직하여 지역정부를 지도하는 중앙정부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1991년의 연방제는 지방정부에 모든 외교권과 군사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국의

연합제 즉 국가연합 형태의 통일방안으로 수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둘째 1991년 북한의 연방제는 남과 북이 어떠한 정치군사적 블록에도 가담하지 않는

중립국가의 외교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남북이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에 공통점을 인정하고 있으나 북한은 연방제가 되었을 때 외교정책은

반드시 비동맹 중립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나 한국은 북한의 그러한 중립정책을

수용하기 어려운 입장이므로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선 듯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셋째 북한의 연방제 실시 조건에서 남한이 수용하기 어려운 또 다른 것은 북한이

주한미군의 철수와 국가보안법을 철폐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장차 남북이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를 실시한다 해도 남한정부의 입장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보안법 철폐는 가장 민감한 문제들이므로 난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끝으로 발제자는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ldquo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케 하고 미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rdquo는 분석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됩니다 미국의 계획에 의하면 lsquo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군은 한국군과

한국인은 북한에 입북하는 것을 금지하고 미군과 일본의 자위대가 북한의 치안을

유지한다rsquo는 주장이 제기되어 이를 확인하고 있습니다(오크랜드 대학교 박문재 박사

주장) 또 다른 주장에 의하면 북한의 급변사태 시 중국군과 미군은 동시에 북한에

상륙하여 일정한 지역을 분할 하여 WMD와 북한 질서를 공동으로 유지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계획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경우 미국에는 분명히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미국의 이익과 우려가 병존하리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어느 것이 미국의 국익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가에 따라 미국의 외교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이며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한반도 정책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과 관련하여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 발제자는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어

대부분의 내용에 동의를 하면서 상이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토론을 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ldquo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으며 2012년 오바마

27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 체제와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통일을 지지했다rdquo는

내용에 대해 미국은 한반도의 통일을 원천적으로 원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토론자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1971년 7월과 2005년 8월 북경에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비밀회담을 갖고 ldquo미국이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양국은 한반도 분단의

현장유지를 계속하자고 합의rdquo한 내용이 미국의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습니다(2005년 9월

7일 Washington Post)

또 다른 예로 한국전쟁을 종결하는 휴전협정 제4조에는 ldquo정전협정 서명 후 3개월

이내에 서명 당사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한다rdquo고 합의했으나 미국은 북한이 핵을 만들기

전에도 북한의 평화협정 요구를 거절해 왔으며 이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해야

평화협정을 체결해 주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의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은 외교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둘째 과거 독일통일의 과정에서 고르바초프는 독일의 중립화를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미국은 통일된 독일이 NATO에 잔류해야 한다는 조건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결국

고르비가 양보하고 미국의 안이 채택되었으나 거기에는 서독이 소련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수용한 대가라고 합니다(주섭일 기자의 『1990년 독일통일과 2017년 한반도

통일』)

셋째 미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문제에 대해 크게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미국은

한반도가 통일이 된 뒤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주한 미군의

역할은 북한의 위협보다는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주한 미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미국의 재

균형정책도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넷째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미국의 동북아시아 국가에 대한 군수산업이 대폭

축소될 것이며 통일된 한반도가 미-중 간에 균형외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대중 견제는 급속하게 감소될 전망입니다

끝으로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은 감소된 반면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되어 미국의

장기적 전략인 미국의 군사비 감축과 국내외 여건으로 주한미군의 유지가 어렵게 될

경우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감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므로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4 한국의 당면 과제

한국은 대북정책의 출구전략으로 10월 3일 북한 실세의 한국방문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려 북한이 필요로 하는 경제지원과 5ㆍ24조치 해제를 전제로 북한의 양보를 얻어 내

남북관계의 출구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한국정부는 미국이 요청한 THAAD

구입이나 배치를 허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남북간의 평화체제 구축은 1단계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기 보다는 남북이 이미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를 비롯하여 6 ㆍ 15선언과 10 ㆍ 4선언의 내용 중 실천이 용이한

문제부터 실천하면서 남북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북한과 미국의

관계에서 미국이 현재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한국은

북한과 먼저 신뢰를 회복한 후 기본합의서에 이미 명시되어 있는 남북한의 불가침조약을

먼저 체결하고 서울과 평양에 대표부를 설치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한반도

28

비핵화를 위해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으로 핵

문제는 북미간의 문제로 유지하면서 남북한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요구를

하면서 남북의 해빙무드를 먼저 조성하는데 한국은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은 현재도 비동맹 중립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북한의 연방제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조심스럽게 중립화 문제를 거론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검토를 해야 할 것입니다

5 정책제안

한반도 주변 4강은 현재 그들의 국가이익과 한반도 통일이 그들에게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한반도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므로 한국정부는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북한에 비핵화 요구보다 협상을 통해 단계적으로 북한이 한국의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제안이나 구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서

북한이 시급하게 원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524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북한의 양보와 협력을 받아 내야 할

것입니다lt끝gt

6 장용석 박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1 통일과 관련하여 발표자의 다음 지적은 매우 중요함

- ① 기능주의적 접근의 한계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 필요성 ② 북한

주민들의 선택이 지닌 중요성과 그에 대한 고려 필요성 ③ 통일 대북정책의 연속성과

북한 리더십 포용을 위한 내각제 개헌의 필요성

2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과 관련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함

- 동서독은 유럽차원에서 NATO와 WTO간 세력균형 이를 바탕으로 한 동서 간

긴장완화와 특히 헬싱키 프로세스와 CSCE 등을 통한 공동안보 틀 구축 등으로 인해

교류협력에서 안보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특히 동독이 경우 패전의

여파겠지만 북한과는 달리 자국의 안보를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음

- 반면 남북을 둘러싼 지역 안보 환경은 미∙중 간의 긴장과 갈등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고 있고 특히 북한의 경우 지정학적 요충지론에 입각하여 자주-존엄-

선군의 기치 하에 핵보유까지 천명하고 비대칭적 전력의 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으로써 동서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교류협력의 직접적인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 따라서 동북아 지역차원에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협력적 안보 틀이나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공존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rArr 이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ldquo작고 쉬운 것부터rdquo 논리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를 외면하는 기능주의의 또 다른 버전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발표자의 평가는

무엇인지

rArr 아울러 평화협정은 평화적 공존의 제도화와 군비통제를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분단관리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게 아닌지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10: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10

지지할 지는 미지수이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에 따르면 미국의 대 한반도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다 1) 수평적 핵확산 방지 2) 수직적 핵확산 방지 3) 비핵화 4)

급변사태 계획 5) 북한에 대한 개입정책 6) 북한주민들의 상황 개선 즉 미국은 한반도

통일의 경우 현 북한이 소유하고 있는 핵무기를 폐기하고 핵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익을 가지고 있으며 이 문제가 해결된다면 더 이상 한반도 통일에 적극적일 이유가

없는 것이다

이는 현재 동북아시아의 역학구도를 보면 더욱 설득력이 있는데 독일통일의 경우 구

소련의 멸망과 함께 독일통일은 NATO의 확대와 함께 미국의 세력권을 확대시키는

이익을 가져다 주었다 그러나 현재 동북아시아는 중국의 부상과 함께 통일한국이

미국의 동아시아 패권에 도움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확신을 가져다주지 못한다 또한

최근 한중관계 강화로 인해 미국 내부에서는 통일한국이 친미가 아닌 친중 국가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미국이 향후 한반도 통일을 지지하기 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는 통일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연합제연방제에 의해 통일이 이루어지는 경우 한미동맹은 폐기될 수 있고 주한미군은

미국으로 철수할 수 있다 이 경우 한미동맹의 미래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연합제연방제에 의해 통일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한미동맹이 존재할 수 있으나 이

경우 한미동맹의 역할은 매우 제한적이게 되며 동맹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메카니즘이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필자는 한국주도의 통일이 달성되는 경우에

중점을 두고 한미동맹의 미래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한국주도의 통일이 달성될 경우에도 한미동맹에는 많은 변화가 생기게

된다 동맹에는 비전적 측면(attitudinal)과 운용적 측면(behavioral)이 존재한다 비전적

측면에는 동맹의 존재이유(rationale) 위협인식(threat perception) 목적(objective)

등이 해당되며 운용적 측면에는 군사지휘체계 구성 방위비 분담문제 기지배치 문제

군사전술 등이 해당된다 통일 이후 한국은 미국과 함께 새로운 한미동맹의 로드맵을

작성해야 하며 이는 또 다른 동맹변환의 작업이 될 것이다 즉 한미 양국은 한미동맹의

공동의 전략적 목적(common strategic objective)에 대해 논의해야 하며 그 이후에

양국 군의 역할 임무 능력 (roles missions and capabilities)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

먼저 한국과 미국의 위협인식은 지역적 글로벌 차원에서의 위협이 그 대상이 된다

북한의 위협이 사라지게 될 경우 한미 양국은 지역적 안보위협에 대해 대처하여야 하며

이 경우 중국에 대한 대처는 포함되지 않게 될 것이다 이에 기반하여 양국은 동맹의

전략적 목적을 결정하게 된다 결국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주요 전략적 목적은 지역적

안보질서의 유지가 될 것이다

중요한 것은 운용적 측면에서 동맹의 로드맵을 어떻게 작성하느냐인데 이 경우

11

주한미군의 규모와 배치 전략적 유연성 문제 군사지휘체계 문제 등이 주요이슈이다

먼저 군사지휘체계에 있어서 한국은 더 이상 미군에게 전시작전통제권을 위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미일동맹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미 양국 군은 개별적인 지휘체계를

유지하며 유사시에 협조할 수 있는 협조체제를 구축하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해

주한미군은 더 이상 북한 위협이 존재하지 않는 한반도에 현재와 같은 병력이 상주할

필요가 없게 되며 전략적 유연성을 강화하여 한국군과 함께 지역적 글로벌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보다 유연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중요한 것은 주한미군의 규모와 배치이다 한반도에 주둔하고 있는 주한미군의

지상군(ground force)의 규모는 줄어들게 될 것이다 중국을 의식하여 주한미군의

위치도 현 남한 영토에 한정되어야 하며 38선 이북에는 주한미군을 제외한 한국군이

주둔하게 될 수 있다 한미동맹이 지역적 운용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이것이 중국을

겨냥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미국중심의 미사일방어체계는 한반도에서의 운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최근 논의되고 있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역시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즉 통일 한국의 주한미군은 주로 해군이나

공군을 위주로 형성되어야 하며 지상군을 비롯한 전체 군사력은 삭감되어야 할 것이다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여러 자료에 의거하면 통일한국에 대한 미국의 이익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15

5) 통일로 인해 한반도 전면전 상황(all-out warfare situation) 가능성이 사라지면서

미국은 이에 대비하기 위한 작계를 만들 필요성 및 부담감이 사라지게 된다 현재

미국의 국방비 삭감 및 시퀘스터 상황으로 인해 국방전략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1)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주요 이익은 핵무기와 미사일의 개발을 제거하거나 방지하는

것이다 급변사태가 발생하게 되면 미국의 주요 우려사안은 북한의 대량살상무기가

한반도 지역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다 통일은 북한의 핵확산방지를 달성할

수 있다 즉 통일은 NPT체제강화에 기여하게 된다

2) 시장경제체제 지향적인 통일한국은 미국의 이익에 기여하게 된다 구 북한영토는

미국의 투자를 필요로 하게 되며 이는 미국의 경제적 이익을 증가시키게 된다

3) 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 체제에 의거한 통일한국은 미국으로 하여금 주요가치의

세계적 확산을 위한 모멘텀 역할을 하게 된다

4) 한미동맹은 통일 이후 새로운 역할과 임무를 맡게 될 것이며 이는 지역질서와 안정

유지이다 이것은 미국이 추구하고 있는 아시아 재균형 정책의 주요한 자산이 될 것이며

미국으로 하여금 국제적 강대국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이다

15 Americarsquos National Interests The Commission on Americarsquos National Security 2000 US Department of Defense A Strategic Framework for the Asia Pacific Rim Report to Congress 1992 A Blueprint for US Policy towards a Unified Korea CSIS Working Group Report August 2002 Peter Murphy Lewis ldquoUS Foreign Policy towards the Korean Peninsula An Anti-Unification Policy or Just Too Many Uncertainties to Account For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62 December 2007 차두현 ldquo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시각 기회와 도전rdquo 글로벌정치연구 32 2010 pp 43-44

12

이미 2개의 전쟁이 종료된 이후 2개 전쟁 동시수행 전략은 2012년 defense strategic

guidance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반도 전면전 상황은 미국에게는

부담스러운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 대한 몇 가지 우려사안을 가지고 있다 먼저

미국은 통일한국으로 인해 한미동맹이 약화될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현재

미국은 경제력 약화와 국방비 삭감으로 인해 아시아 재균형 전략에 차질을 빚고 있다

2014년 4년 주기 국방검토 보고서 (QDR)에 따르면 미국은 2개의 전쟁을 종식하고

국방비를 삭감하고 있는 상황이며 아시아 재균형 정책을 장기적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즉 국방비 삭감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장기적으로 아시아지역에 미

해군병력의 60를 배치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동맹국들의

역할을 매우 중시하고 있으며 이런 차원에서 통일이 가져다 주는 한미동맹의 약화

가능성은 미국에게 큰 우려사안이 될 수 있다

두 번째로 한미동맹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매우 치명적이다 현재

아시아정책의 중심축인 미일동맹과 달리 한미동맹은 미군의 전방배치(forward

deployment)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즉 현재 주한미군은 북한이라는

대리국가(proxy state)를 통해 중국을 가장 근접에서 억지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10년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포격사건의 경우에도 미국은 한반도에 항공모함을

출격시켰는데 이는 중국에게 매우 치명적인 위협으로 다가왔었다 즉 미국에게 북한의

군사적 행위는 중국을 견제할 수 있는 좋은 구실이며 주한미군은 중국을 가장

근거리에서 견제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만일 통일로 인해 북한이 사라지고

한미동맹이 약화되거나 역할이 변경되면 미국의 대중국 견제전략에는 차질을 빚게 된다

세 번째로 미국은 한국이 주한미군을 철수시키고 미∙중 양국 사이에서 중립국 지위를

유지하는 경우를 우려한다 통일이 이루어질 경우 미∙중 간의 경쟁에 의해 통일한국은

중립화 노선을 추진할 수 있다 이 경우 미국의 핵우산 제공이 어려워지게 되며 이는

중국과 일본의 군사력 강화 사이에서 통일한국의 안보불안을 야기시키게 된다 과거

통일독일의 중립화에 대해 미국이 우려를 표명했던 것처럼 통일한국은 자체적인 군사력

강화를 추진할 수 있으며 이에는 핵개발도 포함될 수 있다

V 결론 - 정책적 고려사안

현재 동북아지역의 국가들은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입장이다 기술한 바와 같이 미국

역시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한반도 통일에 대해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입장은

기타 동북아국가들 예를 들어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서 통일에 우호적이다 미국의

이익이 한반도의 이익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은 미국이 통일을 반대하거나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미국이 가지는 지정학적 위치로 인함이다 한반도에서 멀리 떨어져

13

있는 미국의 위치 상 미국은 한반도 통일이 미국에게 직접적으로 이익을 가져다 주지

않더라도 주변국들에 비해 강하게 반대하지 않는 입장이다16

관련하여 빅터 차는 이와 같이 말했다 ldquo모든 강대국들은 한반도의 통일이 지역적

세력균형에 변화를 가져 올까봐 통일에 반대하는 입장이다hellip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한국이 당장 통일절차를 추진하게 될 경우 주변 강대국들은 모두 통일에 찬성하는

입장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 새롭게 통일되는 강대국 한국이 탄생할 경우 통일에 대한

반대입장을 보였던 국가들은 통일한국에게 적대국가로 인식될 것이기 때문이다hellip

한국민들은 일단 통일절차를 시작하게 되면 주변국가들이 이에 찬성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게 될 것 이다helliprdquo

중국의 한반도 통일에 대해 lsquo평화적이고 독자적이며 점진적인 비핵화 통일rsquo을

지지하는 입장이다 즉 평화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이 중국의 경제적 발전에

해를 끼쳐서는 안되기 때문이고 독자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한국이 미국

쪽으로 경사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며 점진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이 지역적

안정을 헤쳐서는 안되기 때문이며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한국에

미국의 핵우산이 유지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결국 독립적인 통일과 비핵화에 기반한

통일 지지 입장은 모두 한미동맹과 관련되어 있다 중국은 친미 성향의 통일한국에

반대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국정부는 보다 세심한 통일준비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몇 가지 정책적 고려사안을 제시한다 첫 번째로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한국은 독일과 달리 패전국 지위가 없으며 따라서 통일을 이루기 위해

4 개 조약당사국들로부터의 승인이 필요했던 독일과는 달리 주변국들로부터 아무런

승인을 받을 필요가 없다 독일은 포츠담회담에서 승전 4 개국이 분할점령하기로

합의하였으며 이것이 냉전과 함께 분단으로 이어졌기 때문에 통일국가를 이루기

위해서는 분할점령을 합의했던 4 개국들의 승인이 필요했다 게다가 독일통일의 경우에

이미 2+4 회의에서 독일통일을 승인하기 이전에 동독의 독일연방 가입이 결정되었기

때문에 후속적 승인에 불과하였다 한국과 북한 양국이 통일과정에 대해 합의하고

추진하여 통일을 달성하면 주변국가들은 이에 동의할 수 밖에 없다

17

두 번째로 평화협정은 휴전중인 한국전쟁을 종식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지 통일의

전제조건은 아니다 한국정부는 그 동안 통일이 아닌 분단적 평화유지에 지나치게

집착해왔다 이는 통일을 위한 본격적인 정책추진이 아닌 단지 정전상태를 평화상태로

바꾸는 것에 불과하며 이를 위해서 지불해야 할 비용 역시 지나치게 높다 즉 북한은

평화협정 체결을 위해 주한미군의 철수 등을 주장하고 있으며 이는 현 한국의 안보상황

16 Peter Murphy Lewis US Foreign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An Anti-Unification Policy or Just Too Many Uncertainties to Account For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62 December 2007 p 107 17 Victor Cha The Contiuity behind the Change in Korea Orbis No44 (Fall 2000)

14

속에서는 불가능한 조치들이다 이제는 한반도 평화가 아닌 통일을 정책적 목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평화협정

문제를 논의하는 것은 결국 입장차이를 확인할 뿐 실제 평화체제가 확립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미국은 평화협정 체결이 북한 비핵화를 먼저 이룬 이후에 가능하다는

입장이며 중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하게 되면 북한비핵화 등 제반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따라서 남북한 양국은 이제 소모적인 평화협정 논의 이외에 본격적인

통일논의를 통해 남북한 당사국들의 이익에 보다 충실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 한∙미∙중 3 자회의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미 한∙미∙중 3 개국은 작년에

1 차 전략대화를 개최하였다 주요 이슈는 북한 핵문제였는데 이와 같이 북한

핵문제에서 이슈를 확대하여 한반도 통일 북한급변사태 등 다양한 문제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남북통일은 미∙중 양국의 이익 및 세력균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3 국 전략대화에서 한반도 통일에 관한 입장을 조율하고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역할과

임무에 대한 각기 다른 이해관계를 조율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은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 남북한 통일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한국

내부의 통일정책을 하나로 수렴시키는 일이다 현 대통령제 하에서는 연속적인

통일정책이 중장기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고 정책적인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 또한 통일과정에서 북한리더십을 통일한국의

정치체제로 통합할 필요성이 있다 독일통일과정에서도 총선거를 통해 동독 지도부가

독일연방으로 통합되었듯이 남북한 정치통합을 위해서는 내각제 체제가 더 적합하다

15

제6회 정책포럼 토론문 (무순 제출순서대로 편집)

1 김동현 교수 (고려대 일민국제관계연구원 방문학자 북한대학원대 초빙교수 전 존스

홉킨스 국제대학원 겸임교수 및 방문학자)

총평 한반도 통일을 주제로 창의적인 노력을 보여준 발제자에게 우선 찬사를 보낸다

발제자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 부분이 많이 있지만 김현욱 박사가 과시한 학술적

접근방식과 독창적인 의견들은 높이 평가한다

- 우선 여러 가지 통일 시나리오를 가상하고 그와 관련된 논의를 흥미 있게 전개하지만

지금까지 국제 정치사상 어떤 시나리오가 상정한대로 어느 문제가 해결된 것이 없디

역사에 가정이 없듯이 국제정치의 현실에서 ldquoScenariordquo의 가정도 설 땅이 없다

시나리오를 추구하는 학자들은 바둑놀이를 계속하는 것과 같다 바둑을 둬서 어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지만 두뇌기능을 진척시키고 치매 방지 등 건강에 도움이

되는 정도라고나 할까 학자들의 장기중의 하나는 간단한 문제를 복잡하게 해석하고

신조어를 만들어 내며 독자들을 헷갈리게 하는 재주다

발제자 주장에 대한 토론

- 615 정상선언은 남한의 국가연합 방안과 북한의 느슨한 연방체 간에 공통점이

존재하며 앞으로 ldquo그런 방향으로 (통일을) 추진한다rdquo고 합의 했을 뿐 그 후에 어떻게

정치체제를 통합하겠다는 언급이 없었던 사실을 발제자가 정확하게 지적했다 그러나

당시 한국측 주역들은 연합과 연방단계를 묶어서 Federation 이 아닌 Confederation 의

형식으로 교류와 협력이 무르익는 ldquo사실상의 통일 ndash De Facto or Virtual Unificationrdquo

을 이룬 다음에 완벽한 법적 통일 ndash ldquo De Jure Unificationrdquo 로 간다는 것이다 DJ 의 3

단계가 연합 ndash 연방 ndash 완전통일 이었다면 임동원은 화해 협력 ndash 사실상의 통일인 연합

그 후에 법적 통일의 3 단계였는데 이 점은 615 선언협상과정을 통해서 DJ도 동의

했다는 것이다 (ldquo피스메이커rdquo에서 - 이 통일 과정에 소요 되는 시간을 DJ 는 10 년

김정일은 40mdash50 년으로 예상했다)

- 발제자가 논의한 ldquo급변사태로 인한 통일에 대해서 ldquo급변사태rdquo에 대한 정의는

무엇인가 중국의 개입가능성이 높고 미국의 개입가능성을 낮다고 하는데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논의 되어 온 것 이상의 논리가 없다 미국의

역할을 예측하는 문헌으로 Bruce Klinger 와 Bruce Bennett 의 글을 주석으로 달고

있는데 이 두 사람은 북한의 붕괴를 이념적으로 바라면서 근거가 미약한 붕괴론을

확산 시켜온 인물들이다 다만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남북한이 둘 다 유엔회원국이기

때문에 만약 북한에 권력공백 상태가 생겼을 때 누가 들어 가서 평정 및 관리를 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유엔차원에서는 아직 한 번도 논의된 적이 없는 문제다 유엔 임시

한국위원회에서 대한민국정부 수립에 앞선 선거 감시를 했고 625 때 38 선 이북으로

북진 할 때도 당시 유엔군 사령부는 수복지구에 대한 행정권을 정식으로 한국에 넘기지

않았다

16

- 한국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 하는 방안에 대해서 우선 발제자가 말하는

ldquo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rdquo의 뜻은 우호적 태도 호감 영어로 말하는 Identity

라면 북한 주민들이 ldquo우리는 남한 사람들과 같다rdquo는 뜻인가 정체성이 정치적 동질성을

말한다면 이를 이룩하기 위한 노력이 장기간 섬세하게 선행 되야 할 것이다 예멘의

사례도 학술적인 참고는 되지만 정책상의 참고는 될 것 같지 않다 물론 최종적인

정치 사회 통합은 현재의 정부 방식으로는 통일의 최종적 과제이다 그러나 평화를

보장하는 사실상의 통일 단계에만 돌입해도 궁극적인 통일로 향하는 엄청난 성과가 될

것이다 그래서 통일은 과정이란 말이 나왔다

- 독일의 사례 대해서 한국통일 논의에서 독일통일의 모델이 약의 감초처럼

등장하는 데 독일에 가서 독일 통일 과정을 공부한 한국인들을 제외하면 독일인

독일통일 전문가들은 한국과 독일 여러 가지 여건이 (역사 경제 문화 국제환경)

다르기 때문에 독일통일방법을 모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을 많이 하고 있다

토론자의 생각도 같다 물론 독일과정에서 있었던 일들 중 한국이 배우고 참고로 해야

할 점이 많이 있음은 부인치 않는다 (예 정권교체와 관계없는 일관된 정책의 지속성

같은 것 ndash 발제자는 이를 위해 내각제 개헌을 제안) 독일 통일과 관련된 미국의

이해관계를 소상하게 기술했는데 이 것도 본 발제문 주제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지 않는다

-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에 대해서 해방 이후 미국은 유엔결의문 등을

통해서 평화적으로 한반도에 자유 민주 통일 정부가 수립되기를 바란다 고 언급해 왔고

아버지 부시 클린턴은 ldquo한국국민 (the Korean people) 이 원하는 통일rdquo그리고 아들

부시와 오바마 때와서는 ldquo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체제의 통일rdquo을 지지한다고 공언했다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은 한국 헌법에 부합하지만 북한에 입장에서는

ldquo흡수통일rdquo로 받아 들린다 당연히 북한이 반발한다 2000 년 10월 김정일은 이렇게

말했다 ldquo우리는 제도에 의한 통일은 반대다 평화통일 하면 우리는 우리 식으로

통일하는 것을 말하고 민주 통일은 남조선 원하는 통일이다 평화통일이 되면 중국이

좋아하고 민주통일이 되면 일본이 좋아할 것이다rdquo

1991 년 6월 토론자가 평양에 갔을 때 당시 북한 군축평화 연구 소장 송호경 (후에

아태위 부위원장) 은 이렇게 말했다 ldquo 1민족 1 국가 2 체제 고려연방제는 한쪽이 다른

한쪽을 먹을 수 없는 상태로 공존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상태를 해소할 수 있는

쌍방간의 합의나 체제통일이 없으면 이 상태가 마냥 계속될 수 있다 영구히 갈런지도

모른다rdquo

- 지금까지 미국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한국 통일에 대한 수사적 지지만∙ 했을 뿐

한국통일을 위해 노력한 흔적이 없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현재 미중은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 속에서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각각의 전략적 이익 때문에 한반도에서

무탈 무사 현상유지를 원하고 있다 발제자가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간행물을

인용했는데 토론자는 이 것도 못 마땅하게 생각한다 그 간행물에 관여 한 소위

미국인 전문가들 중에 한국통일 전문가는 별로 없다 Victor Cha가 미국의 거물학자로

여겨지는 것도 못 마땅하다 (나는 이런 것을 미국에 대한 학문적 사대주의 ndash

Academic Sycophancy 라 부른다) 미국문제는 미국인들이 잘 알고 한국문제는

한국인들이 잘 안다 다른 한가지를 지적한다 미국은 지금 한국 통일에 대한

우선순위가 없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북핵 문제도 우선순위를 두지 않고 있다 심지어

17

아시아 재 균형 문제도 이라크와 시리아의 ISIL or ISIS 문제 때문에 신경을 제대로 쓰지

못한다는 우려가 나온다 (Kurt Campbell in Seoul on September 25 2014)

- 통일 이후의 한미동맹 통일에 대한 전망도 아득하지만 그 후의 한미동맹 관계는

더욱 아득하다 통일에 상대가 있듯이 (As W Bush said in Seoul this spring at a

conference hosted by the Chosun Ilbo) 동맹은 전통적으로 군사적인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동맹 이 함께 싸워야 할 상대 (Potential foe or adversary)를 전제로

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중미간의 경쟁이 계속된다면 미국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한미동맹을 아시아 재 균형의 도구로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 입장에서

그것이 그 때가서 한국국익에 맞는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서 발제자가 친절하게 미국의 이익과

우려를 열거했는데 남북이 통일을 원한다면 미국이 자기 이익 때문에 통일을

반대해서도 안되고 한국이 미국의 우려 때문에 할 일을 못하거나 안 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미∙중 사이의 중립 또는 전세계를 상대로 하는 중립이 한국 국익에

합당하고 국민의 다수가 이를 원한다면 한국은 그 길을 택해야 한다

미국의 걱정은 미국에 맡기고 한국은 한국 걱정에 치중해야 한다 걱정은 시대와

환경에 따라서 달라진다

정책건의

- 첫째 황병서 최룡해 김양건 3 인의 인천 방문을 계기로 다음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진일보한 과감한 자세로 이산 가족 524 조치 금강산 관광 등 현안을 타결하고

신뢰프로세스를 부활해야 한다 남측도 구태의 틀에서 벗어나 놀랄만한 자세를 보여야

한다 통근 결단은 북한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 둘째 6자회담 재개 등 북핵문제 해결을 노력을 한국이 주도해야 한다 미중과 함께

한국마저 손 놓고 있는 상태는 더 이상 방관해서는 아니된다

- 셋째 대북정책에 대한 국내 보수 진보간의 시각차이를 융합하여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탈냉전식 통일정책을 개발함으로써 통일준비의 기초를 확립해야 한다

2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김현욱 박사의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을 읽고

국내의 손꼽히는 미국전문가인 김현욱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을 맡게 되어 영광으로

생각한다 김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자의 생각과 비교할 때 공감이 가는 부분이 많다

하지만 김 박사가 다루는 주제가 단순히 미국의 대외정책이나 한미관계가 아니라

lsquo한반도 통일rsquo이라는 점에서 몇 가지 오류가 눈에 띄기 때문에 여기서부터 토론을

시작해야 할 것 같다

I 서론

한middot미 정상이 합의한 통일관련 언급은 「한미동맹 공동비전」(2009616)은

ldquopeaceful reunification on the principles of free democracy and a market

economyrdquo으로 「한미동맹 60주년 공동선언」(201357)은 ldquoits peaceful reunific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denuclearization democracy and a free market

economyrdquo으로 되어 있다 전자의 free democracy는 liberal democracy와 구별되어야

18

하며 후자에는 그냥 democracy로 표기한 의미를 되새길 필요가 있다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o 우리 정부는 lsquo연합제 통일방안rsquo을 지지한 바 없으며 무엇보다 lsquo연합제rsquo는 통일방안이

아니다 또한 우리 정부가 북한과 함께 lsquo74남북공동성명rsquo을 발표하고 lsquo자주 평화

민족대단결rsquo이라는 통일의 대원칙을 발표한 것은 맞으나 그 뒤 lsquo민족대단결rsquo을 삭제하고

lsquo민주rsquo를 넣었다

o 1989년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은 전두환이 아닌 노태우 정부 때 발표된 것이다

o 김대중 대통령이 대통령이 되기 전에 개인적인 통일방안으로 lsquo남북연합제 rarr

공화국연방체 rarr 통일국가rsquo의 3단계를 주장했었으나 대통령이 되고 나서는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수용했다

o 한국의 통일정책의 특징이 ldquo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남한체제를

궁극적인 통일의 상으로 설정하고 있다rdquo고 주장하나 우리 정부의 공식 통일방안인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은 먼저 민족공동체를 만들어가고 나중에 통일국가를 이루되

통일국가의 형태는 미래세대에게 맡긴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2 북한급변사태로 인한 통일

o 북한의 급변상황에 한국이 개입하는 것이 유엔헌장에 위배된다는 지적은 옳다 그런데

아무리 중국이 UN상임이사국이라도 중국 군이 평양까지 진출해 친중 정권을 수립할

근거를 갖고 있는가

o 박휘락 박사의 인용문은 미국이 북한의 WMD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중국의 도움을

받기 위해 중국의 개입을 반대하지 않는다는 의미이지 북한 급변사태가 발생할 때 이를

중국에게 떠맡긴다는 의미는 아닌 것이다

o 필자는 ldquo미∙중 양 강대국이 한반도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고rdquo라고 언급하고 있는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가 있는가

3 남한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하는 방안

o 남북예멘이 통일 후 무력통일로까지 간 것은 사회문화적 유대감의 부족 때문이

아니라 11 대등한 권력분배가 몇 년 뒤 실시된 선거결과에 의해 북예멘에 유리하게

정치지형이 바뀌자 남예멘 측 인사들이 이에 반발해 무력을 동원했다가 진압당한 것이다

o 동독유권자의 9322가 서독으로의 신속한 편입을 주장했다고 언급했는데 이 수치는

투표율이다 조기통일을 주장했던 독일연합의 득표율은 4804 국가연합을 거쳐

점진적 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의 득표율은 2188였고 옛동독공산당이었던

민사당이 164 새로운 사회주의 건설을 내걸었던 연합90이 291였다 그 결과

독일연합과 동독사민당이 연립정부를 구성해 서독과 통일협상에 나섰던 것이다

III 독일 사례와 미국

o 동독 총선거에서 동독주민들이 서독의 정치체제와 정당에 투표하였다고 하였는데

이것이 무슨 말인가 그들은 조기통일(동독기민당 중심 국민연합) 점진통일(동독사민당

민사당) 제3의 길(연합90) 등을 내건 동독정당에 투표했는데 결과적으로 조기통일을

19

주장한 국민연합이 승리하여 점진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과 연립하여 조기 통일을

추진 달성한 것이다

o 독일통일의 상황에서 소련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원조라고 언급하고 있는바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엄밀하게 말한다면 對소련 차관 50억 DM(약 25억 euro) 동독주둔

소련군 36만 명의 철수에 따른 비용 부담 125억 DM(약 64억 euro)이다

IV 미국과 한반도 통일

1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o 미국이 통일과 같은 현상변경보다는 분단이라는 현상유지를 선호한다는 의견에

동감을 표한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의 정확한 출처를 밝혀주었으면 도움이

되겠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o 필자는 lsquo연합제연방제 통일rsquo과 lsquo한국주도의 통일rsquo을 대립적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연방제란 정부구성원리의 하나로서 1국가 2체제(일국양제)만 있는 것이 아니라 1국가

1체제의 연방제도 존재한다 따라서 한국 주도의 통일일지라도 단방제(單邦制) 방식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연방제(聯邦制) 방식이 될 수도 있다

o 통일된 이후가 아니라 전작권 전환 이후에 2013년 한미 양국은 한국군 합참 내에

미래사령부의 구성 계획을 통해 연합지휘체제(한국군 사령관 미군 부사령관)를

구축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o 최근 논의되고 있는 THAAD는 지금도 배치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인가 아니면

통일되면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아니게 되므로 지금 배치했더라도 철수해야 한다는

의미인가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o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우려사안 중 한국 주도의 통일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한미동맹의 약화를 우려한다는 점이 충분히 이해되지 않는다 특히 당장 통일될 것도

아닌데 우려의 근거로 미국의 현실적 상황을 제시한 것들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o 나머지 두 번째 세 번째도 왜 한미동맹이 약화되고 주한미군을 철수하게 될지 하는

원인을 설명하지 않고 그렇다고 전제해 놓고 미국의 대아시아 전략에 미칠 영향과

미∙중 사이의 중립국 지위 유지하는 것은 앞뒤가 바뀐 것이다

V 결론 ndash 정책적 고려사안

o 미국이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했다고 볼 수 있는가 미국이 통일에 대해 처음으로 입장표명을

한 것은 2009년 6월 이명박-부시 대통령의 한미 공동비전이 처음이다 최근 미국

조야의 분위기는 북핵 문제를 풀기 위해 통일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고 오히려 한국

측이 통일에 소극적이라고 질책하기도 하지 않은가

o 중국이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가 통일한국의 핵무기 보유가 아니라

단지 미국의 핵우산 유지를 우려했기 때문인가

o 평화협정이 단지 한국전쟁의 종식만을 위한 것일까 필자가 제시한 첫 번째

20

정책고려사안은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런데 평화협정이

체결되지 않고 정전상태에서 곧바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첫째 우발적 충돌이라도

전쟁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있고 둘째 통일과정에서 정전협정의 당사자인 미국과 중국이

국제법적으로 개입할 가능성이 열려있다

o 본문을 보면 필자는 분단적 평화유지와 평화체제평화협정을 동일시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마저 든다 그리고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다고 했는데 그 근거가 무엇인가 특히 비핵화-평화협정의 순서를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의 입장이 상반된다고 언급했는데 과연 그런가 919공동성명에서 미국과 중국은

동시행동 원칙에 합의한 바 있지 않은가

o 과연 남북한 통일을 위해 내각제가 필요한가는 좀 더 논의해봐야 할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통일을 달성할 때까지는 효율성을 위해 대통령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필자의 주장과 달리 내각제의 경우 잦은 내각교체로 인해 통일정책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수 없는 것 아닌가 lt끝gt

3 문성묵 박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발제문에 대한 논평 우선 김현욱 교수님의 발제문은 한반도 통일의 가능한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독일 사례를 통해 우리의 통일미래를 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접근이라고 봄 특히 남북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매우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제시하고 있는 정책적 제안은 적절하다고 판단되며 대체로 공감함 다만

통일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한 두 가지 추가 제언을 드리고자 함 우선 미국의

우려사항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일한국이 지향하는 한미동맹에 대한 분명한 의지를 미

측에 밝힐 필요가 있음 아울러 통일의 성취를 위해서는 반드시 중국의 협조를

유도해야 하는 바 이를 위해서는 통일한국의 한미동맹이 중국의 국익에도 부합될 수

있다는 논리를 적극 개발하고 중국을 설득하는 노력이 강구되어야 함 이러한 입장을

미국이 중국과 직접 조율해 나가도록 협조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봄 그런 차원에서

본문에서 제시한 한∙미∙중 3자 협의는 유용한 협의기제로 보임

다음은 곽태환원장님께서 제시해 주신 토의중점 주제들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정리하였음

1 한반도 통일을 위해 먼저 극도로 경색된 남북관계부터 풀어나가야 하는데

출구전략은

10월4일 황병서 등 북한고위급인사의 전격 방남으로 대화의 물꼬가 트인 만큼 이달

말 또는 11월초로 예정된 2차 고위급접촉을 통해 남북간 쟁점사항들을 대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풀어나가는 지혜가 필요함

첫째 무엇보다 대화의 지속이 중요함 일회성 대화가 아니라 고위급접촉이든 다른

대화채널이든 대화가 정례화 되는 것 즉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통로는 늘 열려 있어야

할 것임

둘째 사안별 접점 마련이 필요함 즉 상호가 입장차이가 극명한 사안은 일단

21

접어두고 접점 마련이 가능한 사안부터 협의하고 이행을 해 나가는 것임

2 현안이슈인 THAAD 한국배치에 대한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 측면 고려하여 사드

한국배치가 바람직한가 전시작전통제권을 2015년에 받아야 하나 연기 해야 하나

첫째 사드의 한국 배치는 정치적 관점이 아니라 안보적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중국(러시아)과 북한이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있지만 북한위협에 직면한 우리

입장에서는 한미동맹차원에서도 미국의 사드 배치 구상에 협력하는 것이 필요함 따라서

한국과 미국이 중국을 잘 설득할 필요가 있음

둘째 전작권문제 역시 주권 자존심이라는 측면 보다는 국익의 관점에서 판단해야 할

사안임 북 핵문제 등 북한의 위협이 상존하는 현 상황에서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억제력을 확고하게 유지하는 일임 한미연합사는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체제임 따라서 시기에 기초한 접근 보다는 조건에 기초한 접근이 바람직함

3 한반도 통일은 평화적으로 이뤄져야 하는데 남과 북이 합의에 의한 통일이

이뤄지려면 공동통일방안에 대한 합의가 가능한가 6자 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는

평화체제구축은 어떻게 이룰까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통일방안에 대한 남북 간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는 현 상황에서

통일방안부터 협의를 시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봄 우선 대화와 교류확대 등을 통한

화해협력을 추진하면서 향후 북한정권과 체제의 변화가 이루어질 때 통일방안에 대해

본격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함

둘째 핵 문제는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임 이로 인한 무력충돌은

공멸을 의미하기 때문임 따라서 북핵 문제는 우선 강력한 억제로 북핵 사용 자체를

무력화하고 나아가 대화를 통한 외교적 해법을 병행해야 함 즉 6자 회담을 재개하여

919공동성명의 합의정신에 입각하여 풀어나가는 것 이외 다른 적절한 대안은 없어

보임

셋째 평화체제 문제는 6자 회담이 재개되고 북핵 문제에 있어 일정분야 진전이 있을

경우 919 성명에 합의된 별도의 평화포럼을 통해 논의해 나갈 필요가 있음 평화체제는

협정의 체결이 아니라 실질적인 평화상태를 만들어 나가는데 중점을 두고 추진해 나가야

4 4자(미 중 남북한)회담을 통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인가 북이 주장하는 북미간

평화협정이 바람 직 한지 한반도 정전체제를 대체하는 다자 평화체제는 어떤 형태가

바람 직 한가 등

첫째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논의하는 협상은 남북한과 미국 중국이

참여하는 4자회담이 적절하다고 봄 1997~1998년 사이 제네바에서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는 문제를 논의하는 4자회담이 6차례 개최된 바도 있음

둘째 평화체제는 남북간에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미국과 중국이 이를 보장하며 협정은

유엔에 기탁하는 방안이 적절하다고 봄

5 6자 회담을 복원하여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ldquo행동대행동rdquo으로

동시에 해결하자는 제안에 대한 견해는

22

이는 북한이 핵 문제에 대해 한국과 미국 등이 요구하는 수준으로 성의 있는 조치를

취하고 이를 바탕으로 6자회담이 재개된다면 동시에 별도의 포럼을 열어 평화협정

논의를 개시할 수 있을 것임 실질적 평화상태 구축을 위한 남북간 군사적 신뢰구축 및

운용적 군비통제 등을 추진해야 함 평화협정의 체결 시점은 북한 핵이 완전히 폐기되는

시점과 맞추어야 할 것임

6 이러한 통일프로세스에서 과연 미국은 어떤 역할이 바람 직한가

독일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듯이 미국도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함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을 설득하여 한반도 통일에 동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공고한 한미동맹을 유지하여 북한이 변화하도록 유도하며 통일 이후에도 통일한국의

안보환경과 국익에 부합되게 동맹의 형태와 목표 기타 필요한 사항들을 협의하여

합의할 필요가 있음 통일한국이 중국과의 관계에서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는 방법은

미국과의 동맹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생각됨

7 평화적 합의통일방안에 하나의 대안으로 중립화를 통한 한반도 중립화 통일방안에

대한 견해는 미국은 지지 할까 등입니다

중립화 통일방안을 추구한다고 해서 통일이 촉진될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음

중국은 다소 긍정적일지 모르나 우리의 동맹인 미국이 가장 우려하는 사안일 것임 그런

차원에서 중립화 방안은 부적절함 이는 우리 국익이나 안보상 적절치 않은 방안이라고

봄 lt끝gt

4 김준형 박사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교수)

발제 논문에 관한 의견

다음 사항들에서 기본적으로 공감함

한반도통일의 고차방정식에 대한 의미 있는 분석 주변강대국들의 이해관계

특히 통일을 추구함에 있어 미국과 중국의 이해관계를 분석한 부분

냉전붕괴직후 독일의 상황과 당시 미국 및 소련의 입장이 가지는 함의에 대한

분석

북한급변사태가 곧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며 통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북한

주민들의 친한국 성향이나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남북이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

최근 미국이 통일에 대해 기껏해야 소극적 지지입장이며 통일로 인한

한미동맹의 약화가능성에 우려를 가지고 있다는 분석

한미동맹의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치명적이라는 주장도(치명적이라는

표현은 좀 과도한 측면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공감

주변강대국이 한반도통일이 현 동북아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지지하지 않으나 남북한이 원해서 주도적으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반대할 수 없다는

주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사항들에서 문제 제기하고자 함

23

서론에서 밝힌 본문내용 소개가 본문의 실제 내용전개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음 특히 현실적인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를 살펴본다고 했는데 오히려 그간의 남북한

통일안의 한계와 약점을 지적하고 특히 남북한 공히 정치적 통합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진다는 분석 위주임

북한에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 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 미국이 먼저 나서서 개입하지 않을 가능성은

있다 하더라도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해도 미국이 행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는 동의할

수 없음

북한 급변사태의 경우 중국이 자국민 및 재산보호를 명분 삼아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그것이 북중동맹에 의한 자동개입과 UN 상임이사국의

지위를 이용해서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라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려움

북한의 급변사태에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논지와 중국이 북한에 친중 정권을 세울 가능성이 높다는 논지는 자칫 통일보다 동맹을

선택하는 한미동맹 신화론자들의 논리를 강화시킬 수 있는 위험성 내재 박휘락박사가

인용한 미고위당국자의 발언은 context도 다른 것으로 보이고18

한국주도의 통일 역시 한미동맹약화로 이어지고 이는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에

치명적일 것이라고 단정하는 것 역시 같은 식으로 호도될 여지 있음

이 논리가 절대적 친미

보수진영의 동맹강화의 긴급성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논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평화협정이 통일의 전제조건이 아니라는 것에 동의하고 분단적 평화유지에 대한

반대에 동감하지만 평화보다 통일이 우선되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려움

통일을 위해 통일정책의 연속성을 위해 내각제 개헌을 해야 한다는 논리는

지나친 단순화 또는 비약으로 보임

현 정국에 대한 토론자의 견해

지난 7년간의 대북정책 및 통일정책의 한반도의 운명과 관련된 4가지 핵심 변수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① 한미동맹의 근본 성격 변화(대북억지-gt동북아지역군)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을 위해 일본과 한국에 아웃소싱 추진하고 있으며 그 핵심이 지역미사일방어체제

구축

- 전작권환수 시기보다 조건을 우선 고려

- 전작권에 대한 효용성 변화 과거 전략적 유연성은 분담의 차원이었으나 현재는

한미일 군사협력네트워크 통합의 차원으로 변모 따라서 미국이 전작권을 계속 보유하는

것의 효용성이 높아짐(미국의 꽃놀이패)

② 북핵문제의 근본 성격 변화 핵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음

- 미국은 북한에 대한 de facto 보유국 내부적으로 인정19

18 이 발언은 북한의 핵개발 중단 도발가능성 북한개혁 등 중국이 행사할 수 있는 대북 레버리지를 미국이

기대한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됨

19 수년 전 힐러리 클린턴의 발언부터 최근 오바마의 유엔연설 직전에 행한 국가안전보장회의 부의장 벤 로

24

- 발제논문에서 주장하는 통일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미국의 입장과 연결됨

- Permanent crisis 양상 분명 위기이고 해결이 난망한데 아무도 나서서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며 심지어 현 위기국면을 국내정치에 이용하는 측면이 커지는 일종의

북한 핵위기의 default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③ 한반도 통일론의 변화 신뢰프로세스 동평구 통일대박론 드레스덴 선언 등의

많은 제안들이 후속조치 없이 동력을 잃었으며 최근 UN연설에서 재확인되듯이

흡수통일론으로 귀결 남북교류의 제도화 수준은 대단히 높으나 실행수준은 대단히

낮음으로 인해 통일논의에 대한 국민들의 피로감을 확산시키고 이는 국내

안보포퓰리즘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동

④ 북중관계 변화 남북관계의 단절로 인해 긴밀해짐으로 해서 북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하고 있는데 중국의 대북 지분을 향상시켜 유사시 개입의 빌미가 될

가능성이 높음(발제논문도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음-탈북자 관리명분)

미국의 입장에 대한 견해

오바마는 대북정책에 있어 부시 전임정부와는 정반대되는 경향 1기에서의

강경함에서 2기에는 협상무드로 갔던 부시와는 반대로 초기의 온건입장이 시간이

갈수록 강경기조로 넘어가고 있으며 인권압박까지 병행

더 큰 문제는 강경책이든 온건책이든 문제해결을 위한 움직임이 없는 매우

수동적 태도로 일관한다는 것인데 이는 북한문제가 여전히 오바마행정부의

정책우선순위의 상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고 또 북한핵개발

국면을 빌미로 대중국 견제와 미일동맹을 비롯한 아시아동맹네트워크 강화에 활용한다는

것임

오바마의 소위 lsquoDDSSrsquo Doctrine의 근간은 임기 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한반도는 큰 현안 없이 현상유지로 흘러갈 가능성이 큼

미국의 MD 압박 강화될 것임

- 미국이 현재는 한국내 여론을 의식해서 한국정부와 보조를 맞추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MD 편입을 원하고 있기에 압박은 증가할 것임

- 한국과 일본이 참여하는 지역 미사일방어체제 구축은 미국의 아시아재균형전략의

핵심이며 한국의 MD 참여가 중국의 입장에서는 레드라인이지만 미국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한중의 접근을 억제할 수 있는 카드로서의 효용성이 있음

- 한국정부의 태도 변화 사드의 한국도입에 대해 최근에는 수용적 자세로 변화20

미국의 MD 참여 압박에 대해 정부가 진정으로 미국 MD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면 확실한 입장표명을 하거나 공개적으로 국민의 의견을 묻는 것이

필요함(double edge diplomacy 활용)

한국의 과제

즈 발언까지 일관됨 20 10월 7일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한민구장관은 북한 핵middot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사드를 배치하면 우리 안

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함 또한 MD의 핵심 자산을 동원하는 새로운 작전개념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같은 방안을 이달 말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연례 안보협의회에서 공식화할 방침이라고 밝힘

25

남북관계 해결을 위해 한국정부가 선제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시도해야 함

미국이 여러 복잡한 문제로 인해 여유가 없는 상황을 오히려 역이용하는 발상의 전환

필요

미국정부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대북접근에 있어 한미공조 이탈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견제해왔던 것에 비하면 한국의 운신의 폭은 역설적으로 커졌다고 볼 여지

있음 미국이 대북정책에 있어 마땅한 해법도 없고 정책순위는 점점 하락하는 상황에서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주도가 가능할 수도 있음

출구전략

- 6자회담과 919성명의 복원을 통한 문제해결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을 병행

- 524조치에 대한 언급 없이 실질적인 유연화

- 박근혜대통령의 결심이 관건 대화재개조건의 유연화에 대한 한미간 정책조율을

주도할 필요가 있음

5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

한국GPF재단이 주최하는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김현욱 교수께서 발제한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의 주제는 통일을

시급하게 달성해야 하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통일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반세기 이상 한국과 안보동맹을 체결하고 있는 미국의

한반도 통일정책을 논의하는 것은 아주 시의적절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자는 먼저

발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의견을 제시하고 발제자와 토론자 간의 약간의 상이한

견해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하고 곽교수의 질문에 대해 간략하게 답한 후

정책제안의 순서로 기술하고자 합니다

1 발제문에 대한 일반적 평가

발제자의 논문 내용과 접근방법에 대해 토론자는 전적으로 찬성하고 동의합니다

한반도 통일방안의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공감하면서 남북정상이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에 공통점이 있다고 이미 합의하였기

때문에 남북은 장차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 중 하나의 통일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람직한 통일접근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한국이

경계해야 할 것은 발제자도 지적한 바와 같이 북한의 붕괴통일보다는 독일과 같이

평화적 흡수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며 더 좋은 방안은 평화통일을 목표로 하되 점진적

접근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만약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하여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고 가정할 때 한국에게는

lsquo통일의 대박rsquo이 아니라 통일의 쪽박이 될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남북이

평화통일 협상을 통해 점진적 통일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미국의 국가이익과 우려사항에 대한 자세한 분석에 전적으로

동의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많이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서

기대하는 것은 미국의 국익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미국의 대한반도 통일정책이

결정되리라 전망됨으로 통일의 당사자인 남북은 통일의 과정에서 미국의 국익도

고려하면서 남북이 통일의 이니셔티브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6

2 발제 문에 대한 몇 가지 이견

토론자는 발제문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를 하지만 미시적 측면에서 토론자의 이견을

몇 가지 부언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연방제와 연합제를 설명하는 2쪽 문단에서 북한의 연방제를 1980년

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김일성이 발표한 내용을 기준으로 설명했으나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이 한국의 연합제와 좀더 가까운 것은 김일성이 1991년 1월

1일 발표한 lsquo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rsquo이므로 이를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비교분석 하는 것이 좀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980연대 연방제는

남과 북이 lsquo연방상설위원회rsquo를 조직하여 지역정부를 지도하는 중앙정부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1991년의 연방제는 지방정부에 모든 외교권과 군사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국의

연합제 즉 국가연합 형태의 통일방안으로 수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둘째 1991년 북한의 연방제는 남과 북이 어떠한 정치군사적 블록에도 가담하지 않는

중립국가의 외교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남북이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에 공통점을 인정하고 있으나 북한은 연방제가 되었을 때 외교정책은

반드시 비동맹 중립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나 한국은 북한의 그러한 중립정책을

수용하기 어려운 입장이므로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선 듯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셋째 북한의 연방제 실시 조건에서 남한이 수용하기 어려운 또 다른 것은 북한이

주한미군의 철수와 국가보안법을 철폐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장차 남북이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를 실시한다 해도 남한정부의 입장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보안법 철폐는 가장 민감한 문제들이므로 난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끝으로 발제자는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ldquo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케 하고 미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rdquo는 분석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됩니다 미국의 계획에 의하면 lsquo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군은 한국군과

한국인은 북한에 입북하는 것을 금지하고 미군과 일본의 자위대가 북한의 치안을

유지한다rsquo는 주장이 제기되어 이를 확인하고 있습니다(오크랜드 대학교 박문재 박사

주장) 또 다른 주장에 의하면 북한의 급변사태 시 중국군과 미군은 동시에 북한에

상륙하여 일정한 지역을 분할 하여 WMD와 북한 질서를 공동으로 유지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계획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경우 미국에는 분명히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미국의 이익과 우려가 병존하리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어느 것이 미국의 국익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가에 따라 미국의 외교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이며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한반도 정책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과 관련하여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 발제자는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어

대부분의 내용에 동의를 하면서 상이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토론을 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ldquo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으며 2012년 오바마

27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 체제와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통일을 지지했다rdquo는

내용에 대해 미국은 한반도의 통일을 원천적으로 원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토론자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1971년 7월과 2005년 8월 북경에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비밀회담을 갖고 ldquo미국이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양국은 한반도 분단의

현장유지를 계속하자고 합의rdquo한 내용이 미국의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습니다(2005년 9월

7일 Washington Post)

또 다른 예로 한국전쟁을 종결하는 휴전협정 제4조에는 ldquo정전협정 서명 후 3개월

이내에 서명 당사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한다rdquo고 합의했으나 미국은 북한이 핵을 만들기

전에도 북한의 평화협정 요구를 거절해 왔으며 이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해야

평화협정을 체결해 주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의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은 외교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둘째 과거 독일통일의 과정에서 고르바초프는 독일의 중립화를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미국은 통일된 독일이 NATO에 잔류해야 한다는 조건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결국

고르비가 양보하고 미국의 안이 채택되었으나 거기에는 서독이 소련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수용한 대가라고 합니다(주섭일 기자의 『1990년 독일통일과 2017년 한반도

통일』)

셋째 미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문제에 대해 크게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미국은

한반도가 통일이 된 뒤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주한 미군의

역할은 북한의 위협보다는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주한 미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미국의 재

균형정책도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넷째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미국의 동북아시아 국가에 대한 군수산업이 대폭

축소될 것이며 통일된 한반도가 미-중 간에 균형외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대중 견제는 급속하게 감소될 전망입니다

끝으로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은 감소된 반면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되어 미국의

장기적 전략인 미국의 군사비 감축과 국내외 여건으로 주한미군의 유지가 어렵게 될

경우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감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므로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4 한국의 당면 과제

한국은 대북정책의 출구전략으로 10월 3일 북한 실세의 한국방문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려 북한이 필요로 하는 경제지원과 5ㆍ24조치 해제를 전제로 북한의 양보를 얻어 내

남북관계의 출구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한국정부는 미국이 요청한 THAAD

구입이나 배치를 허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남북간의 평화체제 구축은 1단계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기 보다는 남북이 이미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를 비롯하여 6 ㆍ 15선언과 10 ㆍ 4선언의 내용 중 실천이 용이한

문제부터 실천하면서 남북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북한과 미국의

관계에서 미국이 현재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한국은

북한과 먼저 신뢰를 회복한 후 기본합의서에 이미 명시되어 있는 남북한의 불가침조약을

먼저 체결하고 서울과 평양에 대표부를 설치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한반도

28

비핵화를 위해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으로 핵

문제는 북미간의 문제로 유지하면서 남북한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요구를

하면서 남북의 해빙무드를 먼저 조성하는데 한국은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은 현재도 비동맹 중립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북한의 연방제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조심스럽게 중립화 문제를 거론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검토를 해야 할 것입니다

5 정책제안

한반도 주변 4강은 현재 그들의 국가이익과 한반도 통일이 그들에게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한반도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므로 한국정부는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북한에 비핵화 요구보다 협상을 통해 단계적으로 북한이 한국의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제안이나 구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서

북한이 시급하게 원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524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북한의 양보와 협력을 받아 내야 할

것입니다lt끝gt

6 장용석 박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1 통일과 관련하여 발표자의 다음 지적은 매우 중요함

- ① 기능주의적 접근의 한계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 필요성 ② 북한

주민들의 선택이 지닌 중요성과 그에 대한 고려 필요성 ③ 통일 대북정책의 연속성과

북한 리더십 포용을 위한 내각제 개헌의 필요성

2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과 관련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함

- 동서독은 유럽차원에서 NATO와 WTO간 세력균형 이를 바탕으로 한 동서 간

긴장완화와 특히 헬싱키 프로세스와 CSCE 등을 통한 공동안보 틀 구축 등으로 인해

교류협력에서 안보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특히 동독이 경우 패전의

여파겠지만 북한과는 달리 자국의 안보를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음

- 반면 남북을 둘러싼 지역 안보 환경은 미∙중 간의 긴장과 갈등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고 있고 특히 북한의 경우 지정학적 요충지론에 입각하여 자주-존엄-

선군의 기치 하에 핵보유까지 천명하고 비대칭적 전력의 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으로써 동서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교류협력의 직접적인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 따라서 동북아 지역차원에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협력적 안보 틀이나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공존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rArr 이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ldquo작고 쉬운 것부터rdquo 논리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를 외면하는 기능주의의 또 다른 버전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발표자의 평가는

무엇인지

rArr 아울러 평화협정은 평화적 공존의 제도화와 군비통제를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분단관리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게 아닌지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11: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11

주한미군의 규모와 배치 전략적 유연성 문제 군사지휘체계 문제 등이 주요이슈이다

먼저 군사지휘체계에 있어서 한국은 더 이상 미군에게 전시작전통제권을 위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미일동맹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미 양국 군은 개별적인 지휘체계를

유지하며 유사시에 협조할 수 있는 협조체제를 구축하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해

주한미군은 더 이상 북한 위협이 존재하지 않는 한반도에 현재와 같은 병력이 상주할

필요가 없게 되며 전략적 유연성을 강화하여 한국군과 함께 지역적 글로벌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보다 유연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중요한 것은 주한미군의 규모와 배치이다 한반도에 주둔하고 있는 주한미군의

지상군(ground force)의 규모는 줄어들게 될 것이다 중국을 의식하여 주한미군의

위치도 현 남한 영토에 한정되어야 하며 38선 이북에는 주한미군을 제외한 한국군이

주둔하게 될 수 있다 한미동맹이 지역적 운용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이것이 중국을

겨냥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미국중심의 미사일방어체계는 한반도에서의 운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최근 논의되고 있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역시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즉 통일 한국의 주한미군은 주로 해군이나

공군을 위주로 형성되어야 하며 지상군을 비롯한 전체 군사력은 삭감되어야 할 것이다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여러 자료에 의거하면 통일한국에 대한 미국의 이익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15

5) 통일로 인해 한반도 전면전 상황(all-out warfare situation) 가능성이 사라지면서

미국은 이에 대비하기 위한 작계를 만들 필요성 및 부담감이 사라지게 된다 현재

미국의 국방비 삭감 및 시퀘스터 상황으로 인해 국방전략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1)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주요 이익은 핵무기와 미사일의 개발을 제거하거나 방지하는

것이다 급변사태가 발생하게 되면 미국의 주요 우려사안은 북한의 대량살상무기가

한반도 지역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다 통일은 북한의 핵확산방지를 달성할

수 있다 즉 통일은 NPT체제강화에 기여하게 된다

2) 시장경제체제 지향적인 통일한국은 미국의 이익에 기여하게 된다 구 북한영토는

미국의 투자를 필요로 하게 되며 이는 미국의 경제적 이익을 증가시키게 된다

3) 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 체제에 의거한 통일한국은 미국으로 하여금 주요가치의

세계적 확산을 위한 모멘텀 역할을 하게 된다

4) 한미동맹은 통일 이후 새로운 역할과 임무를 맡게 될 것이며 이는 지역질서와 안정

유지이다 이것은 미국이 추구하고 있는 아시아 재균형 정책의 주요한 자산이 될 것이며

미국으로 하여금 국제적 강대국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이다

15 Americarsquos National Interests The Commission on Americarsquos National Security 2000 US Department of Defense A Strategic Framework for the Asia Pacific Rim Report to Congress 1992 A Blueprint for US Policy towards a Unified Korea CSIS Working Group Report August 2002 Peter Murphy Lewis ldquoUS Foreign Policy towards the Korean Peninsula An Anti-Unification Policy or Just Too Many Uncertainties to Account For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62 December 2007 차두현 ldquo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시각 기회와 도전rdquo 글로벌정치연구 32 2010 pp 43-44

12

이미 2개의 전쟁이 종료된 이후 2개 전쟁 동시수행 전략은 2012년 defense strategic

guidance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반도 전면전 상황은 미국에게는

부담스러운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 대한 몇 가지 우려사안을 가지고 있다 먼저

미국은 통일한국으로 인해 한미동맹이 약화될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현재

미국은 경제력 약화와 국방비 삭감으로 인해 아시아 재균형 전략에 차질을 빚고 있다

2014년 4년 주기 국방검토 보고서 (QDR)에 따르면 미국은 2개의 전쟁을 종식하고

국방비를 삭감하고 있는 상황이며 아시아 재균형 정책을 장기적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즉 국방비 삭감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장기적으로 아시아지역에 미

해군병력의 60를 배치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동맹국들의

역할을 매우 중시하고 있으며 이런 차원에서 통일이 가져다 주는 한미동맹의 약화

가능성은 미국에게 큰 우려사안이 될 수 있다

두 번째로 한미동맹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매우 치명적이다 현재

아시아정책의 중심축인 미일동맹과 달리 한미동맹은 미군의 전방배치(forward

deployment)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즉 현재 주한미군은 북한이라는

대리국가(proxy state)를 통해 중국을 가장 근접에서 억지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10년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포격사건의 경우에도 미국은 한반도에 항공모함을

출격시켰는데 이는 중국에게 매우 치명적인 위협으로 다가왔었다 즉 미국에게 북한의

군사적 행위는 중국을 견제할 수 있는 좋은 구실이며 주한미군은 중국을 가장

근거리에서 견제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만일 통일로 인해 북한이 사라지고

한미동맹이 약화되거나 역할이 변경되면 미국의 대중국 견제전략에는 차질을 빚게 된다

세 번째로 미국은 한국이 주한미군을 철수시키고 미∙중 양국 사이에서 중립국 지위를

유지하는 경우를 우려한다 통일이 이루어질 경우 미∙중 간의 경쟁에 의해 통일한국은

중립화 노선을 추진할 수 있다 이 경우 미국의 핵우산 제공이 어려워지게 되며 이는

중국과 일본의 군사력 강화 사이에서 통일한국의 안보불안을 야기시키게 된다 과거

통일독일의 중립화에 대해 미국이 우려를 표명했던 것처럼 통일한국은 자체적인 군사력

강화를 추진할 수 있으며 이에는 핵개발도 포함될 수 있다

V 결론 - 정책적 고려사안

현재 동북아지역의 국가들은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입장이다 기술한 바와 같이 미국

역시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한반도 통일에 대해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입장은

기타 동북아국가들 예를 들어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서 통일에 우호적이다 미국의

이익이 한반도의 이익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은 미국이 통일을 반대하거나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미국이 가지는 지정학적 위치로 인함이다 한반도에서 멀리 떨어져

13

있는 미국의 위치 상 미국은 한반도 통일이 미국에게 직접적으로 이익을 가져다 주지

않더라도 주변국들에 비해 강하게 반대하지 않는 입장이다16

관련하여 빅터 차는 이와 같이 말했다 ldquo모든 강대국들은 한반도의 통일이 지역적

세력균형에 변화를 가져 올까봐 통일에 반대하는 입장이다hellip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한국이 당장 통일절차를 추진하게 될 경우 주변 강대국들은 모두 통일에 찬성하는

입장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 새롭게 통일되는 강대국 한국이 탄생할 경우 통일에 대한

반대입장을 보였던 국가들은 통일한국에게 적대국가로 인식될 것이기 때문이다hellip

한국민들은 일단 통일절차를 시작하게 되면 주변국가들이 이에 찬성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게 될 것 이다helliprdquo

중국의 한반도 통일에 대해 lsquo평화적이고 독자적이며 점진적인 비핵화 통일rsquo을

지지하는 입장이다 즉 평화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이 중국의 경제적 발전에

해를 끼쳐서는 안되기 때문이고 독자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한국이 미국

쪽으로 경사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며 점진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이 지역적

안정을 헤쳐서는 안되기 때문이며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한국에

미국의 핵우산이 유지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결국 독립적인 통일과 비핵화에 기반한

통일 지지 입장은 모두 한미동맹과 관련되어 있다 중국은 친미 성향의 통일한국에

반대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국정부는 보다 세심한 통일준비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몇 가지 정책적 고려사안을 제시한다 첫 번째로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한국은 독일과 달리 패전국 지위가 없으며 따라서 통일을 이루기 위해

4 개 조약당사국들로부터의 승인이 필요했던 독일과는 달리 주변국들로부터 아무런

승인을 받을 필요가 없다 독일은 포츠담회담에서 승전 4 개국이 분할점령하기로

합의하였으며 이것이 냉전과 함께 분단으로 이어졌기 때문에 통일국가를 이루기

위해서는 분할점령을 합의했던 4 개국들의 승인이 필요했다 게다가 독일통일의 경우에

이미 2+4 회의에서 독일통일을 승인하기 이전에 동독의 독일연방 가입이 결정되었기

때문에 후속적 승인에 불과하였다 한국과 북한 양국이 통일과정에 대해 합의하고

추진하여 통일을 달성하면 주변국가들은 이에 동의할 수 밖에 없다

17

두 번째로 평화협정은 휴전중인 한국전쟁을 종식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지 통일의

전제조건은 아니다 한국정부는 그 동안 통일이 아닌 분단적 평화유지에 지나치게

집착해왔다 이는 통일을 위한 본격적인 정책추진이 아닌 단지 정전상태를 평화상태로

바꾸는 것에 불과하며 이를 위해서 지불해야 할 비용 역시 지나치게 높다 즉 북한은

평화협정 체결을 위해 주한미군의 철수 등을 주장하고 있으며 이는 현 한국의 안보상황

16 Peter Murphy Lewis US Foreign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An Anti-Unification Policy or Just Too Many Uncertainties to Account For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62 December 2007 p 107 17 Victor Cha The Contiuity behind the Change in Korea Orbis No44 (Fall 2000)

14

속에서는 불가능한 조치들이다 이제는 한반도 평화가 아닌 통일을 정책적 목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평화협정

문제를 논의하는 것은 결국 입장차이를 확인할 뿐 실제 평화체제가 확립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미국은 평화협정 체결이 북한 비핵화를 먼저 이룬 이후에 가능하다는

입장이며 중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하게 되면 북한비핵화 등 제반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따라서 남북한 양국은 이제 소모적인 평화협정 논의 이외에 본격적인

통일논의를 통해 남북한 당사국들의 이익에 보다 충실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 한∙미∙중 3 자회의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미 한∙미∙중 3 개국은 작년에

1 차 전략대화를 개최하였다 주요 이슈는 북한 핵문제였는데 이와 같이 북한

핵문제에서 이슈를 확대하여 한반도 통일 북한급변사태 등 다양한 문제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남북통일은 미∙중 양국의 이익 및 세력균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3 국 전략대화에서 한반도 통일에 관한 입장을 조율하고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역할과

임무에 대한 각기 다른 이해관계를 조율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은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 남북한 통일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한국

내부의 통일정책을 하나로 수렴시키는 일이다 현 대통령제 하에서는 연속적인

통일정책이 중장기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고 정책적인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 또한 통일과정에서 북한리더십을 통일한국의

정치체제로 통합할 필요성이 있다 독일통일과정에서도 총선거를 통해 동독 지도부가

독일연방으로 통합되었듯이 남북한 정치통합을 위해서는 내각제 체제가 더 적합하다

15

제6회 정책포럼 토론문 (무순 제출순서대로 편집)

1 김동현 교수 (고려대 일민국제관계연구원 방문학자 북한대학원대 초빙교수 전 존스

홉킨스 국제대학원 겸임교수 및 방문학자)

총평 한반도 통일을 주제로 창의적인 노력을 보여준 발제자에게 우선 찬사를 보낸다

발제자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 부분이 많이 있지만 김현욱 박사가 과시한 학술적

접근방식과 독창적인 의견들은 높이 평가한다

- 우선 여러 가지 통일 시나리오를 가상하고 그와 관련된 논의를 흥미 있게 전개하지만

지금까지 국제 정치사상 어떤 시나리오가 상정한대로 어느 문제가 해결된 것이 없디

역사에 가정이 없듯이 국제정치의 현실에서 ldquoScenariordquo의 가정도 설 땅이 없다

시나리오를 추구하는 학자들은 바둑놀이를 계속하는 것과 같다 바둑을 둬서 어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지만 두뇌기능을 진척시키고 치매 방지 등 건강에 도움이

되는 정도라고나 할까 학자들의 장기중의 하나는 간단한 문제를 복잡하게 해석하고

신조어를 만들어 내며 독자들을 헷갈리게 하는 재주다

발제자 주장에 대한 토론

- 615 정상선언은 남한의 국가연합 방안과 북한의 느슨한 연방체 간에 공통점이

존재하며 앞으로 ldquo그런 방향으로 (통일을) 추진한다rdquo고 합의 했을 뿐 그 후에 어떻게

정치체제를 통합하겠다는 언급이 없었던 사실을 발제자가 정확하게 지적했다 그러나

당시 한국측 주역들은 연합과 연방단계를 묶어서 Federation 이 아닌 Confederation 의

형식으로 교류와 협력이 무르익는 ldquo사실상의 통일 ndash De Facto or Virtual Unificationrdquo

을 이룬 다음에 완벽한 법적 통일 ndash ldquo De Jure Unificationrdquo 로 간다는 것이다 DJ 의 3

단계가 연합 ndash 연방 ndash 완전통일 이었다면 임동원은 화해 협력 ndash 사실상의 통일인 연합

그 후에 법적 통일의 3 단계였는데 이 점은 615 선언협상과정을 통해서 DJ도 동의

했다는 것이다 (ldquo피스메이커rdquo에서 - 이 통일 과정에 소요 되는 시간을 DJ 는 10 년

김정일은 40mdash50 년으로 예상했다)

- 발제자가 논의한 ldquo급변사태로 인한 통일에 대해서 ldquo급변사태rdquo에 대한 정의는

무엇인가 중국의 개입가능성이 높고 미국의 개입가능성을 낮다고 하는데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논의 되어 온 것 이상의 논리가 없다 미국의

역할을 예측하는 문헌으로 Bruce Klinger 와 Bruce Bennett 의 글을 주석으로 달고

있는데 이 두 사람은 북한의 붕괴를 이념적으로 바라면서 근거가 미약한 붕괴론을

확산 시켜온 인물들이다 다만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남북한이 둘 다 유엔회원국이기

때문에 만약 북한에 권력공백 상태가 생겼을 때 누가 들어 가서 평정 및 관리를 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유엔차원에서는 아직 한 번도 논의된 적이 없는 문제다 유엔 임시

한국위원회에서 대한민국정부 수립에 앞선 선거 감시를 했고 625 때 38 선 이북으로

북진 할 때도 당시 유엔군 사령부는 수복지구에 대한 행정권을 정식으로 한국에 넘기지

않았다

16

- 한국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 하는 방안에 대해서 우선 발제자가 말하는

ldquo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rdquo의 뜻은 우호적 태도 호감 영어로 말하는 Identity

라면 북한 주민들이 ldquo우리는 남한 사람들과 같다rdquo는 뜻인가 정체성이 정치적 동질성을

말한다면 이를 이룩하기 위한 노력이 장기간 섬세하게 선행 되야 할 것이다 예멘의

사례도 학술적인 참고는 되지만 정책상의 참고는 될 것 같지 않다 물론 최종적인

정치 사회 통합은 현재의 정부 방식으로는 통일의 최종적 과제이다 그러나 평화를

보장하는 사실상의 통일 단계에만 돌입해도 궁극적인 통일로 향하는 엄청난 성과가 될

것이다 그래서 통일은 과정이란 말이 나왔다

- 독일의 사례 대해서 한국통일 논의에서 독일통일의 모델이 약의 감초처럼

등장하는 데 독일에 가서 독일 통일 과정을 공부한 한국인들을 제외하면 독일인

독일통일 전문가들은 한국과 독일 여러 가지 여건이 (역사 경제 문화 국제환경)

다르기 때문에 독일통일방법을 모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을 많이 하고 있다

토론자의 생각도 같다 물론 독일과정에서 있었던 일들 중 한국이 배우고 참고로 해야

할 점이 많이 있음은 부인치 않는다 (예 정권교체와 관계없는 일관된 정책의 지속성

같은 것 ndash 발제자는 이를 위해 내각제 개헌을 제안) 독일 통일과 관련된 미국의

이해관계를 소상하게 기술했는데 이 것도 본 발제문 주제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지 않는다

-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에 대해서 해방 이후 미국은 유엔결의문 등을

통해서 평화적으로 한반도에 자유 민주 통일 정부가 수립되기를 바란다 고 언급해 왔고

아버지 부시 클린턴은 ldquo한국국민 (the Korean people) 이 원하는 통일rdquo그리고 아들

부시와 오바마 때와서는 ldquo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체제의 통일rdquo을 지지한다고 공언했다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은 한국 헌법에 부합하지만 북한에 입장에서는

ldquo흡수통일rdquo로 받아 들린다 당연히 북한이 반발한다 2000 년 10월 김정일은 이렇게

말했다 ldquo우리는 제도에 의한 통일은 반대다 평화통일 하면 우리는 우리 식으로

통일하는 것을 말하고 민주 통일은 남조선 원하는 통일이다 평화통일이 되면 중국이

좋아하고 민주통일이 되면 일본이 좋아할 것이다rdquo

1991 년 6월 토론자가 평양에 갔을 때 당시 북한 군축평화 연구 소장 송호경 (후에

아태위 부위원장) 은 이렇게 말했다 ldquo 1민족 1 국가 2 체제 고려연방제는 한쪽이 다른

한쪽을 먹을 수 없는 상태로 공존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상태를 해소할 수 있는

쌍방간의 합의나 체제통일이 없으면 이 상태가 마냥 계속될 수 있다 영구히 갈런지도

모른다rdquo

- 지금까지 미국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한국 통일에 대한 수사적 지지만∙ 했을 뿐

한국통일을 위해 노력한 흔적이 없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현재 미중은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 속에서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각각의 전략적 이익 때문에 한반도에서

무탈 무사 현상유지를 원하고 있다 발제자가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간행물을

인용했는데 토론자는 이 것도 못 마땅하게 생각한다 그 간행물에 관여 한 소위

미국인 전문가들 중에 한국통일 전문가는 별로 없다 Victor Cha가 미국의 거물학자로

여겨지는 것도 못 마땅하다 (나는 이런 것을 미국에 대한 학문적 사대주의 ndash

Academic Sycophancy 라 부른다) 미국문제는 미국인들이 잘 알고 한국문제는

한국인들이 잘 안다 다른 한가지를 지적한다 미국은 지금 한국 통일에 대한

우선순위가 없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북핵 문제도 우선순위를 두지 않고 있다 심지어

17

아시아 재 균형 문제도 이라크와 시리아의 ISIL or ISIS 문제 때문에 신경을 제대로 쓰지

못한다는 우려가 나온다 (Kurt Campbell in Seoul on September 25 2014)

- 통일 이후의 한미동맹 통일에 대한 전망도 아득하지만 그 후의 한미동맹 관계는

더욱 아득하다 통일에 상대가 있듯이 (As W Bush said in Seoul this spring at a

conference hosted by the Chosun Ilbo) 동맹은 전통적으로 군사적인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동맹 이 함께 싸워야 할 상대 (Potential foe or adversary)를 전제로

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중미간의 경쟁이 계속된다면 미국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한미동맹을 아시아 재 균형의 도구로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 입장에서

그것이 그 때가서 한국국익에 맞는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서 발제자가 친절하게 미국의 이익과

우려를 열거했는데 남북이 통일을 원한다면 미국이 자기 이익 때문에 통일을

반대해서도 안되고 한국이 미국의 우려 때문에 할 일을 못하거나 안 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미∙중 사이의 중립 또는 전세계를 상대로 하는 중립이 한국 국익에

합당하고 국민의 다수가 이를 원한다면 한국은 그 길을 택해야 한다

미국의 걱정은 미국에 맡기고 한국은 한국 걱정에 치중해야 한다 걱정은 시대와

환경에 따라서 달라진다

정책건의

- 첫째 황병서 최룡해 김양건 3 인의 인천 방문을 계기로 다음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진일보한 과감한 자세로 이산 가족 524 조치 금강산 관광 등 현안을 타결하고

신뢰프로세스를 부활해야 한다 남측도 구태의 틀에서 벗어나 놀랄만한 자세를 보여야

한다 통근 결단은 북한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 둘째 6자회담 재개 등 북핵문제 해결을 노력을 한국이 주도해야 한다 미중과 함께

한국마저 손 놓고 있는 상태는 더 이상 방관해서는 아니된다

- 셋째 대북정책에 대한 국내 보수 진보간의 시각차이를 융합하여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탈냉전식 통일정책을 개발함으로써 통일준비의 기초를 확립해야 한다

2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김현욱 박사의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을 읽고

국내의 손꼽히는 미국전문가인 김현욱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을 맡게 되어 영광으로

생각한다 김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자의 생각과 비교할 때 공감이 가는 부분이 많다

하지만 김 박사가 다루는 주제가 단순히 미국의 대외정책이나 한미관계가 아니라

lsquo한반도 통일rsquo이라는 점에서 몇 가지 오류가 눈에 띄기 때문에 여기서부터 토론을

시작해야 할 것 같다

I 서론

한middot미 정상이 합의한 통일관련 언급은 「한미동맹 공동비전」(2009616)은

ldquopeaceful reunification on the principles of free democracy and a market

economyrdquo으로 「한미동맹 60주년 공동선언」(201357)은 ldquoits peaceful reunific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denuclearization democracy and a free market

economyrdquo으로 되어 있다 전자의 free democracy는 liberal democracy와 구별되어야

18

하며 후자에는 그냥 democracy로 표기한 의미를 되새길 필요가 있다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o 우리 정부는 lsquo연합제 통일방안rsquo을 지지한 바 없으며 무엇보다 lsquo연합제rsquo는 통일방안이

아니다 또한 우리 정부가 북한과 함께 lsquo74남북공동성명rsquo을 발표하고 lsquo자주 평화

민족대단결rsquo이라는 통일의 대원칙을 발표한 것은 맞으나 그 뒤 lsquo민족대단결rsquo을 삭제하고

lsquo민주rsquo를 넣었다

o 1989년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은 전두환이 아닌 노태우 정부 때 발표된 것이다

o 김대중 대통령이 대통령이 되기 전에 개인적인 통일방안으로 lsquo남북연합제 rarr

공화국연방체 rarr 통일국가rsquo의 3단계를 주장했었으나 대통령이 되고 나서는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수용했다

o 한국의 통일정책의 특징이 ldquo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남한체제를

궁극적인 통일의 상으로 설정하고 있다rdquo고 주장하나 우리 정부의 공식 통일방안인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은 먼저 민족공동체를 만들어가고 나중에 통일국가를 이루되

통일국가의 형태는 미래세대에게 맡긴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2 북한급변사태로 인한 통일

o 북한의 급변상황에 한국이 개입하는 것이 유엔헌장에 위배된다는 지적은 옳다 그런데

아무리 중국이 UN상임이사국이라도 중국 군이 평양까지 진출해 친중 정권을 수립할

근거를 갖고 있는가

o 박휘락 박사의 인용문은 미국이 북한의 WMD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중국의 도움을

받기 위해 중국의 개입을 반대하지 않는다는 의미이지 북한 급변사태가 발생할 때 이를

중국에게 떠맡긴다는 의미는 아닌 것이다

o 필자는 ldquo미∙중 양 강대국이 한반도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고rdquo라고 언급하고 있는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가 있는가

3 남한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하는 방안

o 남북예멘이 통일 후 무력통일로까지 간 것은 사회문화적 유대감의 부족 때문이

아니라 11 대등한 권력분배가 몇 년 뒤 실시된 선거결과에 의해 북예멘에 유리하게

정치지형이 바뀌자 남예멘 측 인사들이 이에 반발해 무력을 동원했다가 진압당한 것이다

o 동독유권자의 9322가 서독으로의 신속한 편입을 주장했다고 언급했는데 이 수치는

투표율이다 조기통일을 주장했던 독일연합의 득표율은 4804 국가연합을 거쳐

점진적 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의 득표율은 2188였고 옛동독공산당이었던

민사당이 164 새로운 사회주의 건설을 내걸었던 연합90이 291였다 그 결과

독일연합과 동독사민당이 연립정부를 구성해 서독과 통일협상에 나섰던 것이다

III 독일 사례와 미국

o 동독 총선거에서 동독주민들이 서독의 정치체제와 정당에 투표하였다고 하였는데

이것이 무슨 말인가 그들은 조기통일(동독기민당 중심 국민연합) 점진통일(동독사민당

민사당) 제3의 길(연합90) 등을 내건 동독정당에 투표했는데 결과적으로 조기통일을

19

주장한 국민연합이 승리하여 점진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과 연립하여 조기 통일을

추진 달성한 것이다

o 독일통일의 상황에서 소련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원조라고 언급하고 있는바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엄밀하게 말한다면 對소련 차관 50억 DM(약 25억 euro) 동독주둔

소련군 36만 명의 철수에 따른 비용 부담 125억 DM(약 64억 euro)이다

IV 미국과 한반도 통일

1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o 미국이 통일과 같은 현상변경보다는 분단이라는 현상유지를 선호한다는 의견에

동감을 표한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의 정확한 출처를 밝혀주었으면 도움이

되겠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o 필자는 lsquo연합제연방제 통일rsquo과 lsquo한국주도의 통일rsquo을 대립적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연방제란 정부구성원리의 하나로서 1국가 2체제(일국양제)만 있는 것이 아니라 1국가

1체제의 연방제도 존재한다 따라서 한국 주도의 통일일지라도 단방제(單邦制) 방식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연방제(聯邦制) 방식이 될 수도 있다

o 통일된 이후가 아니라 전작권 전환 이후에 2013년 한미 양국은 한국군 합참 내에

미래사령부의 구성 계획을 통해 연합지휘체제(한국군 사령관 미군 부사령관)를

구축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o 최근 논의되고 있는 THAAD는 지금도 배치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인가 아니면

통일되면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아니게 되므로 지금 배치했더라도 철수해야 한다는

의미인가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o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우려사안 중 한국 주도의 통일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한미동맹의 약화를 우려한다는 점이 충분히 이해되지 않는다 특히 당장 통일될 것도

아닌데 우려의 근거로 미국의 현실적 상황을 제시한 것들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o 나머지 두 번째 세 번째도 왜 한미동맹이 약화되고 주한미군을 철수하게 될지 하는

원인을 설명하지 않고 그렇다고 전제해 놓고 미국의 대아시아 전략에 미칠 영향과

미∙중 사이의 중립국 지위 유지하는 것은 앞뒤가 바뀐 것이다

V 결론 ndash 정책적 고려사안

o 미국이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했다고 볼 수 있는가 미국이 통일에 대해 처음으로 입장표명을

한 것은 2009년 6월 이명박-부시 대통령의 한미 공동비전이 처음이다 최근 미국

조야의 분위기는 북핵 문제를 풀기 위해 통일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고 오히려 한국

측이 통일에 소극적이라고 질책하기도 하지 않은가

o 중국이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가 통일한국의 핵무기 보유가 아니라

단지 미국의 핵우산 유지를 우려했기 때문인가

o 평화협정이 단지 한국전쟁의 종식만을 위한 것일까 필자가 제시한 첫 번째

20

정책고려사안은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런데 평화협정이

체결되지 않고 정전상태에서 곧바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첫째 우발적 충돌이라도

전쟁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있고 둘째 통일과정에서 정전협정의 당사자인 미국과 중국이

국제법적으로 개입할 가능성이 열려있다

o 본문을 보면 필자는 분단적 평화유지와 평화체제평화협정을 동일시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마저 든다 그리고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다고 했는데 그 근거가 무엇인가 특히 비핵화-평화협정의 순서를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의 입장이 상반된다고 언급했는데 과연 그런가 919공동성명에서 미국과 중국은

동시행동 원칙에 합의한 바 있지 않은가

o 과연 남북한 통일을 위해 내각제가 필요한가는 좀 더 논의해봐야 할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통일을 달성할 때까지는 효율성을 위해 대통령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필자의 주장과 달리 내각제의 경우 잦은 내각교체로 인해 통일정책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수 없는 것 아닌가 lt끝gt

3 문성묵 박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발제문에 대한 논평 우선 김현욱 교수님의 발제문은 한반도 통일의 가능한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독일 사례를 통해 우리의 통일미래를 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접근이라고 봄 특히 남북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매우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제시하고 있는 정책적 제안은 적절하다고 판단되며 대체로 공감함 다만

통일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한 두 가지 추가 제언을 드리고자 함 우선 미국의

우려사항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일한국이 지향하는 한미동맹에 대한 분명한 의지를 미

측에 밝힐 필요가 있음 아울러 통일의 성취를 위해서는 반드시 중국의 협조를

유도해야 하는 바 이를 위해서는 통일한국의 한미동맹이 중국의 국익에도 부합될 수

있다는 논리를 적극 개발하고 중국을 설득하는 노력이 강구되어야 함 이러한 입장을

미국이 중국과 직접 조율해 나가도록 협조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봄 그런 차원에서

본문에서 제시한 한∙미∙중 3자 협의는 유용한 협의기제로 보임

다음은 곽태환원장님께서 제시해 주신 토의중점 주제들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정리하였음

1 한반도 통일을 위해 먼저 극도로 경색된 남북관계부터 풀어나가야 하는데

출구전략은

10월4일 황병서 등 북한고위급인사의 전격 방남으로 대화의 물꼬가 트인 만큼 이달

말 또는 11월초로 예정된 2차 고위급접촉을 통해 남북간 쟁점사항들을 대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풀어나가는 지혜가 필요함

첫째 무엇보다 대화의 지속이 중요함 일회성 대화가 아니라 고위급접촉이든 다른

대화채널이든 대화가 정례화 되는 것 즉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통로는 늘 열려 있어야

할 것임

둘째 사안별 접점 마련이 필요함 즉 상호가 입장차이가 극명한 사안은 일단

21

접어두고 접점 마련이 가능한 사안부터 협의하고 이행을 해 나가는 것임

2 현안이슈인 THAAD 한국배치에 대한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 측면 고려하여 사드

한국배치가 바람직한가 전시작전통제권을 2015년에 받아야 하나 연기 해야 하나

첫째 사드의 한국 배치는 정치적 관점이 아니라 안보적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중국(러시아)과 북한이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있지만 북한위협에 직면한 우리

입장에서는 한미동맹차원에서도 미국의 사드 배치 구상에 협력하는 것이 필요함 따라서

한국과 미국이 중국을 잘 설득할 필요가 있음

둘째 전작권문제 역시 주권 자존심이라는 측면 보다는 국익의 관점에서 판단해야 할

사안임 북 핵문제 등 북한의 위협이 상존하는 현 상황에서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억제력을 확고하게 유지하는 일임 한미연합사는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체제임 따라서 시기에 기초한 접근 보다는 조건에 기초한 접근이 바람직함

3 한반도 통일은 평화적으로 이뤄져야 하는데 남과 북이 합의에 의한 통일이

이뤄지려면 공동통일방안에 대한 합의가 가능한가 6자 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는

평화체제구축은 어떻게 이룰까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통일방안에 대한 남북 간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는 현 상황에서

통일방안부터 협의를 시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봄 우선 대화와 교류확대 등을 통한

화해협력을 추진하면서 향후 북한정권과 체제의 변화가 이루어질 때 통일방안에 대해

본격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함

둘째 핵 문제는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임 이로 인한 무력충돌은

공멸을 의미하기 때문임 따라서 북핵 문제는 우선 강력한 억제로 북핵 사용 자체를

무력화하고 나아가 대화를 통한 외교적 해법을 병행해야 함 즉 6자 회담을 재개하여

919공동성명의 합의정신에 입각하여 풀어나가는 것 이외 다른 적절한 대안은 없어

보임

셋째 평화체제 문제는 6자 회담이 재개되고 북핵 문제에 있어 일정분야 진전이 있을

경우 919 성명에 합의된 별도의 평화포럼을 통해 논의해 나갈 필요가 있음 평화체제는

협정의 체결이 아니라 실질적인 평화상태를 만들어 나가는데 중점을 두고 추진해 나가야

4 4자(미 중 남북한)회담을 통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인가 북이 주장하는 북미간

평화협정이 바람 직 한지 한반도 정전체제를 대체하는 다자 평화체제는 어떤 형태가

바람 직 한가 등

첫째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논의하는 협상은 남북한과 미국 중국이

참여하는 4자회담이 적절하다고 봄 1997~1998년 사이 제네바에서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는 문제를 논의하는 4자회담이 6차례 개최된 바도 있음

둘째 평화체제는 남북간에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미국과 중국이 이를 보장하며 협정은

유엔에 기탁하는 방안이 적절하다고 봄

5 6자 회담을 복원하여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ldquo행동대행동rdquo으로

동시에 해결하자는 제안에 대한 견해는

22

이는 북한이 핵 문제에 대해 한국과 미국 등이 요구하는 수준으로 성의 있는 조치를

취하고 이를 바탕으로 6자회담이 재개된다면 동시에 별도의 포럼을 열어 평화협정

논의를 개시할 수 있을 것임 실질적 평화상태 구축을 위한 남북간 군사적 신뢰구축 및

운용적 군비통제 등을 추진해야 함 평화협정의 체결 시점은 북한 핵이 완전히 폐기되는

시점과 맞추어야 할 것임

6 이러한 통일프로세스에서 과연 미국은 어떤 역할이 바람 직한가

독일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듯이 미국도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함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을 설득하여 한반도 통일에 동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공고한 한미동맹을 유지하여 북한이 변화하도록 유도하며 통일 이후에도 통일한국의

안보환경과 국익에 부합되게 동맹의 형태와 목표 기타 필요한 사항들을 협의하여

합의할 필요가 있음 통일한국이 중국과의 관계에서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는 방법은

미국과의 동맹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생각됨

7 평화적 합의통일방안에 하나의 대안으로 중립화를 통한 한반도 중립화 통일방안에

대한 견해는 미국은 지지 할까 등입니다

중립화 통일방안을 추구한다고 해서 통일이 촉진될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음

중국은 다소 긍정적일지 모르나 우리의 동맹인 미국이 가장 우려하는 사안일 것임 그런

차원에서 중립화 방안은 부적절함 이는 우리 국익이나 안보상 적절치 않은 방안이라고

봄 lt끝gt

4 김준형 박사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교수)

발제 논문에 관한 의견

다음 사항들에서 기본적으로 공감함

한반도통일의 고차방정식에 대한 의미 있는 분석 주변강대국들의 이해관계

특히 통일을 추구함에 있어 미국과 중국의 이해관계를 분석한 부분

냉전붕괴직후 독일의 상황과 당시 미국 및 소련의 입장이 가지는 함의에 대한

분석

북한급변사태가 곧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며 통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북한

주민들의 친한국 성향이나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남북이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

최근 미국이 통일에 대해 기껏해야 소극적 지지입장이며 통일로 인한

한미동맹의 약화가능성에 우려를 가지고 있다는 분석

한미동맹의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치명적이라는 주장도(치명적이라는

표현은 좀 과도한 측면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공감

주변강대국이 한반도통일이 현 동북아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지지하지 않으나 남북한이 원해서 주도적으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반대할 수 없다는

주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사항들에서 문제 제기하고자 함

23

서론에서 밝힌 본문내용 소개가 본문의 실제 내용전개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음 특히 현실적인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를 살펴본다고 했는데 오히려 그간의 남북한

통일안의 한계와 약점을 지적하고 특히 남북한 공히 정치적 통합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진다는 분석 위주임

북한에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 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 미국이 먼저 나서서 개입하지 않을 가능성은

있다 하더라도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해도 미국이 행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는 동의할

수 없음

북한 급변사태의 경우 중국이 자국민 및 재산보호를 명분 삼아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그것이 북중동맹에 의한 자동개입과 UN 상임이사국의

지위를 이용해서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라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려움

북한의 급변사태에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논지와 중국이 북한에 친중 정권을 세울 가능성이 높다는 논지는 자칫 통일보다 동맹을

선택하는 한미동맹 신화론자들의 논리를 강화시킬 수 있는 위험성 내재 박휘락박사가

인용한 미고위당국자의 발언은 context도 다른 것으로 보이고18

한국주도의 통일 역시 한미동맹약화로 이어지고 이는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에

치명적일 것이라고 단정하는 것 역시 같은 식으로 호도될 여지 있음

이 논리가 절대적 친미

보수진영의 동맹강화의 긴급성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논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평화협정이 통일의 전제조건이 아니라는 것에 동의하고 분단적 평화유지에 대한

반대에 동감하지만 평화보다 통일이 우선되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려움

통일을 위해 통일정책의 연속성을 위해 내각제 개헌을 해야 한다는 논리는

지나친 단순화 또는 비약으로 보임

현 정국에 대한 토론자의 견해

지난 7년간의 대북정책 및 통일정책의 한반도의 운명과 관련된 4가지 핵심 변수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① 한미동맹의 근본 성격 변화(대북억지-gt동북아지역군)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을 위해 일본과 한국에 아웃소싱 추진하고 있으며 그 핵심이 지역미사일방어체제

구축

- 전작권환수 시기보다 조건을 우선 고려

- 전작권에 대한 효용성 변화 과거 전략적 유연성은 분담의 차원이었으나 현재는

한미일 군사협력네트워크 통합의 차원으로 변모 따라서 미국이 전작권을 계속 보유하는

것의 효용성이 높아짐(미국의 꽃놀이패)

② 북핵문제의 근본 성격 변화 핵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음

- 미국은 북한에 대한 de facto 보유국 내부적으로 인정19

18 이 발언은 북한의 핵개발 중단 도발가능성 북한개혁 등 중국이 행사할 수 있는 대북 레버리지를 미국이

기대한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됨

19 수년 전 힐러리 클린턴의 발언부터 최근 오바마의 유엔연설 직전에 행한 국가안전보장회의 부의장 벤 로

24

- 발제논문에서 주장하는 통일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미국의 입장과 연결됨

- Permanent crisis 양상 분명 위기이고 해결이 난망한데 아무도 나서서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며 심지어 현 위기국면을 국내정치에 이용하는 측면이 커지는 일종의

북한 핵위기의 default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③ 한반도 통일론의 변화 신뢰프로세스 동평구 통일대박론 드레스덴 선언 등의

많은 제안들이 후속조치 없이 동력을 잃었으며 최근 UN연설에서 재확인되듯이

흡수통일론으로 귀결 남북교류의 제도화 수준은 대단히 높으나 실행수준은 대단히

낮음으로 인해 통일논의에 대한 국민들의 피로감을 확산시키고 이는 국내

안보포퓰리즘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동

④ 북중관계 변화 남북관계의 단절로 인해 긴밀해짐으로 해서 북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하고 있는데 중국의 대북 지분을 향상시켜 유사시 개입의 빌미가 될

가능성이 높음(발제논문도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음-탈북자 관리명분)

미국의 입장에 대한 견해

오바마는 대북정책에 있어 부시 전임정부와는 정반대되는 경향 1기에서의

강경함에서 2기에는 협상무드로 갔던 부시와는 반대로 초기의 온건입장이 시간이

갈수록 강경기조로 넘어가고 있으며 인권압박까지 병행

더 큰 문제는 강경책이든 온건책이든 문제해결을 위한 움직임이 없는 매우

수동적 태도로 일관한다는 것인데 이는 북한문제가 여전히 오바마행정부의

정책우선순위의 상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고 또 북한핵개발

국면을 빌미로 대중국 견제와 미일동맹을 비롯한 아시아동맹네트워크 강화에 활용한다는

것임

오바마의 소위 lsquoDDSSrsquo Doctrine의 근간은 임기 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한반도는 큰 현안 없이 현상유지로 흘러갈 가능성이 큼

미국의 MD 압박 강화될 것임

- 미국이 현재는 한국내 여론을 의식해서 한국정부와 보조를 맞추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MD 편입을 원하고 있기에 압박은 증가할 것임

- 한국과 일본이 참여하는 지역 미사일방어체제 구축은 미국의 아시아재균형전략의

핵심이며 한국의 MD 참여가 중국의 입장에서는 레드라인이지만 미국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한중의 접근을 억제할 수 있는 카드로서의 효용성이 있음

- 한국정부의 태도 변화 사드의 한국도입에 대해 최근에는 수용적 자세로 변화20

미국의 MD 참여 압박에 대해 정부가 진정으로 미국 MD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면 확실한 입장표명을 하거나 공개적으로 국민의 의견을 묻는 것이

필요함(double edge diplomacy 활용)

한국의 과제

즈 발언까지 일관됨 20 10월 7일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한민구장관은 북한 핵middot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사드를 배치하면 우리 안

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함 또한 MD의 핵심 자산을 동원하는 새로운 작전개념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같은 방안을 이달 말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연례 안보협의회에서 공식화할 방침이라고 밝힘

25

남북관계 해결을 위해 한국정부가 선제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시도해야 함

미국이 여러 복잡한 문제로 인해 여유가 없는 상황을 오히려 역이용하는 발상의 전환

필요

미국정부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대북접근에 있어 한미공조 이탈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견제해왔던 것에 비하면 한국의 운신의 폭은 역설적으로 커졌다고 볼 여지

있음 미국이 대북정책에 있어 마땅한 해법도 없고 정책순위는 점점 하락하는 상황에서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주도가 가능할 수도 있음

출구전략

- 6자회담과 919성명의 복원을 통한 문제해결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을 병행

- 524조치에 대한 언급 없이 실질적인 유연화

- 박근혜대통령의 결심이 관건 대화재개조건의 유연화에 대한 한미간 정책조율을

주도할 필요가 있음

5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

한국GPF재단이 주최하는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김현욱 교수께서 발제한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의 주제는 통일을

시급하게 달성해야 하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통일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반세기 이상 한국과 안보동맹을 체결하고 있는 미국의

한반도 통일정책을 논의하는 것은 아주 시의적절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자는 먼저

발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의견을 제시하고 발제자와 토론자 간의 약간의 상이한

견해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하고 곽교수의 질문에 대해 간략하게 답한 후

정책제안의 순서로 기술하고자 합니다

1 발제문에 대한 일반적 평가

발제자의 논문 내용과 접근방법에 대해 토론자는 전적으로 찬성하고 동의합니다

한반도 통일방안의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공감하면서 남북정상이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에 공통점이 있다고 이미 합의하였기

때문에 남북은 장차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 중 하나의 통일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람직한 통일접근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한국이

경계해야 할 것은 발제자도 지적한 바와 같이 북한의 붕괴통일보다는 독일과 같이

평화적 흡수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며 더 좋은 방안은 평화통일을 목표로 하되 점진적

접근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만약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하여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고 가정할 때 한국에게는

lsquo통일의 대박rsquo이 아니라 통일의 쪽박이 될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남북이

평화통일 협상을 통해 점진적 통일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미국의 국가이익과 우려사항에 대한 자세한 분석에 전적으로

동의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많이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서

기대하는 것은 미국의 국익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미국의 대한반도 통일정책이

결정되리라 전망됨으로 통일의 당사자인 남북은 통일의 과정에서 미국의 국익도

고려하면서 남북이 통일의 이니셔티브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6

2 발제 문에 대한 몇 가지 이견

토론자는 발제문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를 하지만 미시적 측면에서 토론자의 이견을

몇 가지 부언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연방제와 연합제를 설명하는 2쪽 문단에서 북한의 연방제를 1980년

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김일성이 발표한 내용을 기준으로 설명했으나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이 한국의 연합제와 좀더 가까운 것은 김일성이 1991년 1월

1일 발표한 lsquo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rsquo이므로 이를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비교분석 하는 것이 좀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980연대 연방제는

남과 북이 lsquo연방상설위원회rsquo를 조직하여 지역정부를 지도하는 중앙정부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1991년의 연방제는 지방정부에 모든 외교권과 군사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국의

연합제 즉 국가연합 형태의 통일방안으로 수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둘째 1991년 북한의 연방제는 남과 북이 어떠한 정치군사적 블록에도 가담하지 않는

중립국가의 외교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남북이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에 공통점을 인정하고 있으나 북한은 연방제가 되었을 때 외교정책은

반드시 비동맹 중립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나 한국은 북한의 그러한 중립정책을

수용하기 어려운 입장이므로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선 듯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셋째 북한의 연방제 실시 조건에서 남한이 수용하기 어려운 또 다른 것은 북한이

주한미군의 철수와 국가보안법을 철폐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장차 남북이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를 실시한다 해도 남한정부의 입장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보안법 철폐는 가장 민감한 문제들이므로 난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끝으로 발제자는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ldquo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케 하고 미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rdquo는 분석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됩니다 미국의 계획에 의하면 lsquo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군은 한국군과

한국인은 북한에 입북하는 것을 금지하고 미군과 일본의 자위대가 북한의 치안을

유지한다rsquo는 주장이 제기되어 이를 확인하고 있습니다(오크랜드 대학교 박문재 박사

주장) 또 다른 주장에 의하면 북한의 급변사태 시 중국군과 미군은 동시에 북한에

상륙하여 일정한 지역을 분할 하여 WMD와 북한 질서를 공동으로 유지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계획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경우 미국에는 분명히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미국의 이익과 우려가 병존하리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어느 것이 미국의 국익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가에 따라 미국의 외교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이며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한반도 정책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과 관련하여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 발제자는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어

대부분의 내용에 동의를 하면서 상이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토론을 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ldquo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으며 2012년 오바마

27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 체제와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통일을 지지했다rdquo는

내용에 대해 미국은 한반도의 통일을 원천적으로 원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토론자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1971년 7월과 2005년 8월 북경에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비밀회담을 갖고 ldquo미국이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양국은 한반도 분단의

현장유지를 계속하자고 합의rdquo한 내용이 미국의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습니다(2005년 9월

7일 Washington Post)

또 다른 예로 한국전쟁을 종결하는 휴전협정 제4조에는 ldquo정전협정 서명 후 3개월

이내에 서명 당사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한다rdquo고 합의했으나 미국은 북한이 핵을 만들기

전에도 북한의 평화협정 요구를 거절해 왔으며 이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해야

평화협정을 체결해 주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의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은 외교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둘째 과거 독일통일의 과정에서 고르바초프는 독일의 중립화를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미국은 통일된 독일이 NATO에 잔류해야 한다는 조건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결국

고르비가 양보하고 미국의 안이 채택되었으나 거기에는 서독이 소련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수용한 대가라고 합니다(주섭일 기자의 『1990년 독일통일과 2017년 한반도

통일』)

셋째 미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문제에 대해 크게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미국은

한반도가 통일이 된 뒤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주한 미군의

역할은 북한의 위협보다는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주한 미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미국의 재

균형정책도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넷째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미국의 동북아시아 국가에 대한 군수산업이 대폭

축소될 것이며 통일된 한반도가 미-중 간에 균형외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대중 견제는 급속하게 감소될 전망입니다

끝으로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은 감소된 반면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되어 미국의

장기적 전략인 미국의 군사비 감축과 국내외 여건으로 주한미군의 유지가 어렵게 될

경우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감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므로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4 한국의 당면 과제

한국은 대북정책의 출구전략으로 10월 3일 북한 실세의 한국방문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려 북한이 필요로 하는 경제지원과 5ㆍ24조치 해제를 전제로 북한의 양보를 얻어 내

남북관계의 출구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한국정부는 미국이 요청한 THAAD

구입이나 배치를 허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남북간의 평화체제 구축은 1단계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기 보다는 남북이 이미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를 비롯하여 6 ㆍ 15선언과 10 ㆍ 4선언의 내용 중 실천이 용이한

문제부터 실천하면서 남북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북한과 미국의

관계에서 미국이 현재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한국은

북한과 먼저 신뢰를 회복한 후 기본합의서에 이미 명시되어 있는 남북한의 불가침조약을

먼저 체결하고 서울과 평양에 대표부를 설치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한반도

28

비핵화를 위해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으로 핵

문제는 북미간의 문제로 유지하면서 남북한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요구를

하면서 남북의 해빙무드를 먼저 조성하는데 한국은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은 현재도 비동맹 중립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북한의 연방제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조심스럽게 중립화 문제를 거론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검토를 해야 할 것입니다

5 정책제안

한반도 주변 4강은 현재 그들의 국가이익과 한반도 통일이 그들에게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한반도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므로 한국정부는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북한에 비핵화 요구보다 협상을 통해 단계적으로 북한이 한국의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제안이나 구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서

북한이 시급하게 원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524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북한의 양보와 협력을 받아 내야 할

것입니다lt끝gt

6 장용석 박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1 통일과 관련하여 발표자의 다음 지적은 매우 중요함

- ① 기능주의적 접근의 한계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 필요성 ② 북한

주민들의 선택이 지닌 중요성과 그에 대한 고려 필요성 ③ 통일 대북정책의 연속성과

북한 리더십 포용을 위한 내각제 개헌의 필요성

2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과 관련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함

- 동서독은 유럽차원에서 NATO와 WTO간 세력균형 이를 바탕으로 한 동서 간

긴장완화와 특히 헬싱키 프로세스와 CSCE 등을 통한 공동안보 틀 구축 등으로 인해

교류협력에서 안보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특히 동독이 경우 패전의

여파겠지만 북한과는 달리 자국의 안보를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음

- 반면 남북을 둘러싼 지역 안보 환경은 미∙중 간의 긴장과 갈등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고 있고 특히 북한의 경우 지정학적 요충지론에 입각하여 자주-존엄-

선군의 기치 하에 핵보유까지 천명하고 비대칭적 전력의 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으로써 동서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교류협력의 직접적인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 따라서 동북아 지역차원에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협력적 안보 틀이나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공존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rArr 이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ldquo작고 쉬운 것부터rdquo 논리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를 외면하는 기능주의의 또 다른 버전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발표자의 평가는

무엇인지

rArr 아울러 평화협정은 평화적 공존의 제도화와 군비통제를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분단관리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게 아닌지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12: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12

이미 2개의 전쟁이 종료된 이후 2개 전쟁 동시수행 전략은 2012년 defense strategic

guidance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반도 전면전 상황은 미국에게는

부담스러운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 대한 몇 가지 우려사안을 가지고 있다 먼저

미국은 통일한국으로 인해 한미동맹이 약화될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현재

미국은 경제력 약화와 국방비 삭감으로 인해 아시아 재균형 전략에 차질을 빚고 있다

2014년 4년 주기 국방검토 보고서 (QDR)에 따르면 미국은 2개의 전쟁을 종식하고

국방비를 삭감하고 있는 상황이며 아시아 재균형 정책을 장기적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즉 국방비 삭감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장기적으로 아시아지역에 미

해군병력의 60를 배치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동맹국들의

역할을 매우 중시하고 있으며 이런 차원에서 통일이 가져다 주는 한미동맹의 약화

가능성은 미국에게 큰 우려사안이 될 수 있다

두 번째로 한미동맹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매우 치명적이다 현재

아시아정책의 중심축인 미일동맹과 달리 한미동맹은 미군의 전방배치(forward

deployment)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즉 현재 주한미군은 북한이라는

대리국가(proxy state)를 통해 중국을 가장 근접에서 억지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10년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포격사건의 경우에도 미국은 한반도에 항공모함을

출격시켰는데 이는 중국에게 매우 치명적인 위협으로 다가왔었다 즉 미국에게 북한의

군사적 행위는 중국을 견제할 수 있는 좋은 구실이며 주한미군은 중국을 가장

근거리에서 견제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만일 통일로 인해 북한이 사라지고

한미동맹이 약화되거나 역할이 변경되면 미국의 대중국 견제전략에는 차질을 빚게 된다

세 번째로 미국은 한국이 주한미군을 철수시키고 미∙중 양국 사이에서 중립국 지위를

유지하는 경우를 우려한다 통일이 이루어질 경우 미∙중 간의 경쟁에 의해 통일한국은

중립화 노선을 추진할 수 있다 이 경우 미국의 핵우산 제공이 어려워지게 되며 이는

중국과 일본의 군사력 강화 사이에서 통일한국의 안보불안을 야기시키게 된다 과거

통일독일의 중립화에 대해 미국이 우려를 표명했던 것처럼 통일한국은 자체적인 군사력

강화를 추진할 수 있으며 이에는 핵개발도 포함될 수 있다

V 결론 - 정책적 고려사안

현재 동북아지역의 국가들은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입장이다 기술한 바와 같이 미국

역시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한반도 통일에 대해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입장은

기타 동북아국가들 예를 들어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서 통일에 우호적이다 미국의

이익이 한반도의 이익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은 미국이 통일을 반대하거나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미국이 가지는 지정학적 위치로 인함이다 한반도에서 멀리 떨어져

13

있는 미국의 위치 상 미국은 한반도 통일이 미국에게 직접적으로 이익을 가져다 주지

않더라도 주변국들에 비해 강하게 반대하지 않는 입장이다16

관련하여 빅터 차는 이와 같이 말했다 ldquo모든 강대국들은 한반도의 통일이 지역적

세력균형에 변화를 가져 올까봐 통일에 반대하는 입장이다hellip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한국이 당장 통일절차를 추진하게 될 경우 주변 강대국들은 모두 통일에 찬성하는

입장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 새롭게 통일되는 강대국 한국이 탄생할 경우 통일에 대한

반대입장을 보였던 국가들은 통일한국에게 적대국가로 인식될 것이기 때문이다hellip

한국민들은 일단 통일절차를 시작하게 되면 주변국가들이 이에 찬성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게 될 것 이다helliprdquo

중국의 한반도 통일에 대해 lsquo평화적이고 독자적이며 점진적인 비핵화 통일rsquo을

지지하는 입장이다 즉 평화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이 중국의 경제적 발전에

해를 끼쳐서는 안되기 때문이고 독자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한국이 미국

쪽으로 경사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며 점진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이 지역적

안정을 헤쳐서는 안되기 때문이며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한국에

미국의 핵우산이 유지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결국 독립적인 통일과 비핵화에 기반한

통일 지지 입장은 모두 한미동맹과 관련되어 있다 중국은 친미 성향의 통일한국에

반대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국정부는 보다 세심한 통일준비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몇 가지 정책적 고려사안을 제시한다 첫 번째로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한국은 독일과 달리 패전국 지위가 없으며 따라서 통일을 이루기 위해

4 개 조약당사국들로부터의 승인이 필요했던 독일과는 달리 주변국들로부터 아무런

승인을 받을 필요가 없다 독일은 포츠담회담에서 승전 4 개국이 분할점령하기로

합의하였으며 이것이 냉전과 함께 분단으로 이어졌기 때문에 통일국가를 이루기

위해서는 분할점령을 합의했던 4 개국들의 승인이 필요했다 게다가 독일통일의 경우에

이미 2+4 회의에서 독일통일을 승인하기 이전에 동독의 독일연방 가입이 결정되었기

때문에 후속적 승인에 불과하였다 한국과 북한 양국이 통일과정에 대해 합의하고

추진하여 통일을 달성하면 주변국가들은 이에 동의할 수 밖에 없다

17

두 번째로 평화협정은 휴전중인 한국전쟁을 종식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지 통일의

전제조건은 아니다 한국정부는 그 동안 통일이 아닌 분단적 평화유지에 지나치게

집착해왔다 이는 통일을 위한 본격적인 정책추진이 아닌 단지 정전상태를 평화상태로

바꾸는 것에 불과하며 이를 위해서 지불해야 할 비용 역시 지나치게 높다 즉 북한은

평화협정 체결을 위해 주한미군의 철수 등을 주장하고 있으며 이는 현 한국의 안보상황

16 Peter Murphy Lewis US Foreign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An Anti-Unification Policy or Just Too Many Uncertainties to Account For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62 December 2007 p 107 17 Victor Cha The Contiuity behind the Change in Korea Orbis No44 (Fall 2000)

14

속에서는 불가능한 조치들이다 이제는 한반도 평화가 아닌 통일을 정책적 목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평화협정

문제를 논의하는 것은 결국 입장차이를 확인할 뿐 실제 평화체제가 확립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미국은 평화협정 체결이 북한 비핵화를 먼저 이룬 이후에 가능하다는

입장이며 중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하게 되면 북한비핵화 등 제반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따라서 남북한 양국은 이제 소모적인 평화협정 논의 이외에 본격적인

통일논의를 통해 남북한 당사국들의 이익에 보다 충실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 한∙미∙중 3 자회의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미 한∙미∙중 3 개국은 작년에

1 차 전략대화를 개최하였다 주요 이슈는 북한 핵문제였는데 이와 같이 북한

핵문제에서 이슈를 확대하여 한반도 통일 북한급변사태 등 다양한 문제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남북통일은 미∙중 양국의 이익 및 세력균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3 국 전략대화에서 한반도 통일에 관한 입장을 조율하고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역할과

임무에 대한 각기 다른 이해관계를 조율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은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 남북한 통일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한국

내부의 통일정책을 하나로 수렴시키는 일이다 현 대통령제 하에서는 연속적인

통일정책이 중장기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고 정책적인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 또한 통일과정에서 북한리더십을 통일한국의

정치체제로 통합할 필요성이 있다 독일통일과정에서도 총선거를 통해 동독 지도부가

독일연방으로 통합되었듯이 남북한 정치통합을 위해서는 내각제 체제가 더 적합하다

15

제6회 정책포럼 토론문 (무순 제출순서대로 편집)

1 김동현 교수 (고려대 일민국제관계연구원 방문학자 북한대학원대 초빙교수 전 존스

홉킨스 국제대학원 겸임교수 및 방문학자)

총평 한반도 통일을 주제로 창의적인 노력을 보여준 발제자에게 우선 찬사를 보낸다

발제자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 부분이 많이 있지만 김현욱 박사가 과시한 학술적

접근방식과 독창적인 의견들은 높이 평가한다

- 우선 여러 가지 통일 시나리오를 가상하고 그와 관련된 논의를 흥미 있게 전개하지만

지금까지 국제 정치사상 어떤 시나리오가 상정한대로 어느 문제가 해결된 것이 없디

역사에 가정이 없듯이 국제정치의 현실에서 ldquoScenariordquo의 가정도 설 땅이 없다

시나리오를 추구하는 학자들은 바둑놀이를 계속하는 것과 같다 바둑을 둬서 어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지만 두뇌기능을 진척시키고 치매 방지 등 건강에 도움이

되는 정도라고나 할까 학자들의 장기중의 하나는 간단한 문제를 복잡하게 해석하고

신조어를 만들어 내며 독자들을 헷갈리게 하는 재주다

발제자 주장에 대한 토론

- 615 정상선언은 남한의 국가연합 방안과 북한의 느슨한 연방체 간에 공통점이

존재하며 앞으로 ldquo그런 방향으로 (통일을) 추진한다rdquo고 합의 했을 뿐 그 후에 어떻게

정치체제를 통합하겠다는 언급이 없었던 사실을 발제자가 정확하게 지적했다 그러나

당시 한국측 주역들은 연합과 연방단계를 묶어서 Federation 이 아닌 Confederation 의

형식으로 교류와 협력이 무르익는 ldquo사실상의 통일 ndash De Facto or Virtual Unificationrdquo

을 이룬 다음에 완벽한 법적 통일 ndash ldquo De Jure Unificationrdquo 로 간다는 것이다 DJ 의 3

단계가 연합 ndash 연방 ndash 완전통일 이었다면 임동원은 화해 협력 ndash 사실상의 통일인 연합

그 후에 법적 통일의 3 단계였는데 이 점은 615 선언협상과정을 통해서 DJ도 동의

했다는 것이다 (ldquo피스메이커rdquo에서 - 이 통일 과정에 소요 되는 시간을 DJ 는 10 년

김정일은 40mdash50 년으로 예상했다)

- 발제자가 논의한 ldquo급변사태로 인한 통일에 대해서 ldquo급변사태rdquo에 대한 정의는

무엇인가 중국의 개입가능성이 높고 미국의 개입가능성을 낮다고 하는데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논의 되어 온 것 이상의 논리가 없다 미국의

역할을 예측하는 문헌으로 Bruce Klinger 와 Bruce Bennett 의 글을 주석으로 달고

있는데 이 두 사람은 북한의 붕괴를 이념적으로 바라면서 근거가 미약한 붕괴론을

확산 시켜온 인물들이다 다만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남북한이 둘 다 유엔회원국이기

때문에 만약 북한에 권력공백 상태가 생겼을 때 누가 들어 가서 평정 및 관리를 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유엔차원에서는 아직 한 번도 논의된 적이 없는 문제다 유엔 임시

한국위원회에서 대한민국정부 수립에 앞선 선거 감시를 했고 625 때 38 선 이북으로

북진 할 때도 당시 유엔군 사령부는 수복지구에 대한 행정권을 정식으로 한국에 넘기지

않았다

16

- 한국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 하는 방안에 대해서 우선 발제자가 말하는

ldquo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rdquo의 뜻은 우호적 태도 호감 영어로 말하는 Identity

라면 북한 주민들이 ldquo우리는 남한 사람들과 같다rdquo는 뜻인가 정체성이 정치적 동질성을

말한다면 이를 이룩하기 위한 노력이 장기간 섬세하게 선행 되야 할 것이다 예멘의

사례도 학술적인 참고는 되지만 정책상의 참고는 될 것 같지 않다 물론 최종적인

정치 사회 통합은 현재의 정부 방식으로는 통일의 최종적 과제이다 그러나 평화를

보장하는 사실상의 통일 단계에만 돌입해도 궁극적인 통일로 향하는 엄청난 성과가 될

것이다 그래서 통일은 과정이란 말이 나왔다

- 독일의 사례 대해서 한국통일 논의에서 독일통일의 모델이 약의 감초처럼

등장하는 데 독일에 가서 독일 통일 과정을 공부한 한국인들을 제외하면 독일인

독일통일 전문가들은 한국과 독일 여러 가지 여건이 (역사 경제 문화 국제환경)

다르기 때문에 독일통일방법을 모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을 많이 하고 있다

토론자의 생각도 같다 물론 독일과정에서 있었던 일들 중 한국이 배우고 참고로 해야

할 점이 많이 있음은 부인치 않는다 (예 정권교체와 관계없는 일관된 정책의 지속성

같은 것 ndash 발제자는 이를 위해 내각제 개헌을 제안) 독일 통일과 관련된 미국의

이해관계를 소상하게 기술했는데 이 것도 본 발제문 주제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지 않는다

-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에 대해서 해방 이후 미국은 유엔결의문 등을

통해서 평화적으로 한반도에 자유 민주 통일 정부가 수립되기를 바란다 고 언급해 왔고

아버지 부시 클린턴은 ldquo한국국민 (the Korean people) 이 원하는 통일rdquo그리고 아들

부시와 오바마 때와서는 ldquo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체제의 통일rdquo을 지지한다고 공언했다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은 한국 헌법에 부합하지만 북한에 입장에서는

ldquo흡수통일rdquo로 받아 들린다 당연히 북한이 반발한다 2000 년 10월 김정일은 이렇게

말했다 ldquo우리는 제도에 의한 통일은 반대다 평화통일 하면 우리는 우리 식으로

통일하는 것을 말하고 민주 통일은 남조선 원하는 통일이다 평화통일이 되면 중국이

좋아하고 민주통일이 되면 일본이 좋아할 것이다rdquo

1991 년 6월 토론자가 평양에 갔을 때 당시 북한 군축평화 연구 소장 송호경 (후에

아태위 부위원장) 은 이렇게 말했다 ldquo 1민족 1 국가 2 체제 고려연방제는 한쪽이 다른

한쪽을 먹을 수 없는 상태로 공존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상태를 해소할 수 있는

쌍방간의 합의나 체제통일이 없으면 이 상태가 마냥 계속될 수 있다 영구히 갈런지도

모른다rdquo

- 지금까지 미국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한국 통일에 대한 수사적 지지만∙ 했을 뿐

한국통일을 위해 노력한 흔적이 없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현재 미중은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 속에서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각각의 전략적 이익 때문에 한반도에서

무탈 무사 현상유지를 원하고 있다 발제자가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간행물을

인용했는데 토론자는 이 것도 못 마땅하게 생각한다 그 간행물에 관여 한 소위

미국인 전문가들 중에 한국통일 전문가는 별로 없다 Victor Cha가 미국의 거물학자로

여겨지는 것도 못 마땅하다 (나는 이런 것을 미국에 대한 학문적 사대주의 ndash

Academic Sycophancy 라 부른다) 미국문제는 미국인들이 잘 알고 한국문제는

한국인들이 잘 안다 다른 한가지를 지적한다 미국은 지금 한국 통일에 대한

우선순위가 없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북핵 문제도 우선순위를 두지 않고 있다 심지어

17

아시아 재 균형 문제도 이라크와 시리아의 ISIL or ISIS 문제 때문에 신경을 제대로 쓰지

못한다는 우려가 나온다 (Kurt Campbell in Seoul on September 25 2014)

- 통일 이후의 한미동맹 통일에 대한 전망도 아득하지만 그 후의 한미동맹 관계는

더욱 아득하다 통일에 상대가 있듯이 (As W Bush said in Seoul this spring at a

conference hosted by the Chosun Ilbo) 동맹은 전통적으로 군사적인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동맹 이 함께 싸워야 할 상대 (Potential foe or adversary)를 전제로

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중미간의 경쟁이 계속된다면 미국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한미동맹을 아시아 재 균형의 도구로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 입장에서

그것이 그 때가서 한국국익에 맞는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서 발제자가 친절하게 미국의 이익과

우려를 열거했는데 남북이 통일을 원한다면 미국이 자기 이익 때문에 통일을

반대해서도 안되고 한국이 미국의 우려 때문에 할 일을 못하거나 안 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미∙중 사이의 중립 또는 전세계를 상대로 하는 중립이 한국 국익에

합당하고 국민의 다수가 이를 원한다면 한국은 그 길을 택해야 한다

미국의 걱정은 미국에 맡기고 한국은 한국 걱정에 치중해야 한다 걱정은 시대와

환경에 따라서 달라진다

정책건의

- 첫째 황병서 최룡해 김양건 3 인의 인천 방문을 계기로 다음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진일보한 과감한 자세로 이산 가족 524 조치 금강산 관광 등 현안을 타결하고

신뢰프로세스를 부활해야 한다 남측도 구태의 틀에서 벗어나 놀랄만한 자세를 보여야

한다 통근 결단은 북한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 둘째 6자회담 재개 등 북핵문제 해결을 노력을 한국이 주도해야 한다 미중과 함께

한국마저 손 놓고 있는 상태는 더 이상 방관해서는 아니된다

- 셋째 대북정책에 대한 국내 보수 진보간의 시각차이를 융합하여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탈냉전식 통일정책을 개발함으로써 통일준비의 기초를 확립해야 한다

2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김현욱 박사의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을 읽고

국내의 손꼽히는 미국전문가인 김현욱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을 맡게 되어 영광으로

생각한다 김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자의 생각과 비교할 때 공감이 가는 부분이 많다

하지만 김 박사가 다루는 주제가 단순히 미국의 대외정책이나 한미관계가 아니라

lsquo한반도 통일rsquo이라는 점에서 몇 가지 오류가 눈에 띄기 때문에 여기서부터 토론을

시작해야 할 것 같다

I 서론

한middot미 정상이 합의한 통일관련 언급은 「한미동맹 공동비전」(2009616)은

ldquopeaceful reunification on the principles of free democracy and a market

economyrdquo으로 「한미동맹 60주년 공동선언」(201357)은 ldquoits peaceful reunific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denuclearization democracy and a free market

economyrdquo으로 되어 있다 전자의 free democracy는 liberal democracy와 구별되어야

18

하며 후자에는 그냥 democracy로 표기한 의미를 되새길 필요가 있다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o 우리 정부는 lsquo연합제 통일방안rsquo을 지지한 바 없으며 무엇보다 lsquo연합제rsquo는 통일방안이

아니다 또한 우리 정부가 북한과 함께 lsquo74남북공동성명rsquo을 발표하고 lsquo자주 평화

민족대단결rsquo이라는 통일의 대원칙을 발표한 것은 맞으나 그 뒤 lsquo민족대단결rsquo을 삭제하고

lsquo민주rsquo를 넣었다

o 1989년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은 전두환이 아닌 노태우 정부 때 발표된 것이다

o 김대중 대통령이 대통령이 되기 전에 개인적인 통일방안으로 lsquo남북연합제 rarr

공화국연방체 rarr 통일국가rsquo의 3단계를 주장했었으나 대통령이 되고 나서는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수용했다

o 한국의 통일정책의 특징이 ldquo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남한체제를

궁극적인 통일의 상으로 설정하고 있다rdquo고 주장하나 우리 정부의 공식 통일방안인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은 먼저 민족공동체를 만들어가고 나중에 통일국가를 이루되

통일국가의 형태는 미래세대에게 맡긴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2 북한급변사태로 인한 통일

o 북한의 급변상황에 한국이 개입하는 것이 유엔헌장에 위배된다는 지적은 옳다 그런데

아무리 중국이 UN상임이사국이라도 중국 군이 평양까지 진출해 친중 정권을 수립할

근거를 갖고 있는가

o 박휘락 박사의 인용문은 미국이 북한의 WMD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중국의 도움을

받기 위해 중국의 개입을 반대하지 않는다는 의미이지 북한 급변사태가 발생할 때 이를

중국에게 떠맡긴다는 의미는 아닌 것이다

o 필자는 ldquo미∙중 양 강대국이 한반도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고rdquo라고 언급하고 있는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가 있는가

3 남한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하는 방안

o 남북예멘이 통일 후 무력통일로까지 간 것은 사회문화적 유대감의 부족 때문이

아니라 11 대등한 권력분배가 몇 년 뒤 실시된 선거결과에 의해 북예멘에 유리하게

정치지형이 바뀌자 남예멘 측 인사들이 이에 반발해 무력을 동원했다가 진압당한 것이다

o 동독유권자의 9322가 서독으로의 신속한 편입을 주장했다고 언급했는데 이 수치는

투표율이다 조기통일을 주장했던 독일연합의 득표율은 4804 국가연합을 거쳐

점진적 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의 득표율은 2188였고 옛동독공산당이었던

민사당이 164 새로운 사회주의 건설을 내걸었던 연합90이 291였다 그 결과

독일연합과 동독사민당이 연립정부를 구성해 서독과 통일협상에 나섰던 것이다

III 독일 사례와 미국

o 동독 총선거에서 동독주민들이 서독의 정치체제와 정당에 투표하였다고 하였는데

이것이 무슨 말인가 그들은 조기통일(동독기민당 중심 국민연합) 점진통일(동독사민당

민사당) 제3의 길(연합90) 등을 내건 동독정당에 투표했는데 결과적으로 조기통일을

19

주장한 국민연합이 승리하여 점진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과 연립하여 조기 통일을

추진 달성한 것이다

o 독일통일의 상황에서 소련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원조라고 언급하고 있는바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엄밀하게 말한다면 對소련 차관 50억 DM(약 25억 euro) 동독주둔

소련군 36만 명의 철수에 따른 비용 부담 125억 DM(약 64억 euro)이다

IV 미국과 한반도 통일

1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o 미국이 통일과 같은 현상변경보다는 분단이라는 현상유지를 선호한다는 의견에

동감을 표한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의 정확한 출처를 밝혀주었으면 도움이

되겠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o 필자는 lsquo연합제연방제 통일rsquo과 lsquo한국주도의 통일rsquo을 대립적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연방제란 정부구성원리의 하나로서 1국가 2체제(일국양제)만 있는 것이 아니라 1국가

1체제의 연방제도 존재한다 따라서 한국 주도의 통일일지라도 단방제(單邦制) 방식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연방제(聯邦制) 방식이 될 수도 있다

o 통일된 이후가 아니라 전작권 전환 이후에 2013년 한미 양국은 한국군 합참 내에

미래사령부의 구성 계획을 통해 연합지휘체제(한국군 사령관 미군 부사령관)를

구축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o 최근 논의되고 있는 THAAD는 지금도 배치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인가 아니면

통일되면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아니게 되므로 지금 배치했더라도 철수해야 한다는

의미인가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o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우려사안 중 한국 주도의 통일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한미동맹의 약화를 우려한다는 점이 충분히 이해되지 않는다 특히 당장 통일될 것도

아닌데 우려의 근거로 미국의 현실적 상황을 제시한 것들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o 나머지 두 번째 세 번째도 왜 한미동맹이 약화되고 주한미군을 철수하게 될지 하는

원인을 설명하지 않고 그렇다고 전제해 놓고 미국의 대아시아 전략에 미칠 영향과

미∙중 사이의 중립국 지위 유지하는 것은 앞뒤가 바뀐 것이다

V 결론 ndash 정책적 고려사안

o 미국이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했다고 볼 수 있는가 미국이 통일에 대해 처음으로 입장표명을

한 것은 2009년 6월 이명박-부시 대통령의 한미 공동비전이 처음이다 최근 미국

조야의 분위기는 북핵 문제를 풀기 위해 통일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고 오히려 한국

측이 통일에 소극적이라고 질책하기도 하지 않은가

o 중국이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가 통일한국의 핵무기 보유가 아니라

단지 미국의 핵우산 유지를 우려했기 때문인가

o 평화협정이 단지 한국전쟁의 종식만을 위한 것일까 필자가 제시한 첫 번째

20

정책고려사안은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런데 평화협정이

체결되지 않고 정전상태에서 곧바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첫째 우발적 충돌이라도

전쟁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있고 둘째 통일과정에서 정전협정의 당사자인 미국과 중국이

국제법적으로 개입할 가능성이 열려있다

o 본문을 보면 필자는 분단적 평화유지와 평화체제평화협정을 동일시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마저 든다 그리고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다고 했는데 그 근거가 무엇인가 특히 비핵화-평화협정의 순서를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의 입장이 상반된다고 언급했는데 과연 그런가 919공동성명에서 미국과 중국은

동시행동 원칙에 합의한 바 있지 않은가

o 과연 남북한 통일을 위해 내각제가 필요한가는 좀 더 논의해봐야 할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통일을 달성할 때까지는 효율성을 위해 대통령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필자의 주장과 달리 내각제의 경우 잦은 내각교체로 인해 통일정책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수 없는 것 아닌가 lt끝gt

3 문성묵 박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발제문에 대한 논평 우선 김현욱 교수님의 발제문은 한반도 통일의 가능한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독일 사례를 통해 우리의 통일미래를 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접근이라고 봄 특히 남북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매우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제시하고 있는 정책적 제안은 적절하다고 판단되며 대체로 공감함 다만

통일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한 두 가지 추가 제언을 드리고자 함 우선 미국의

우려사항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일한국이 지향하는 한미동맹에 대한 분명한 의지를 미

측에 밝힐 필요가 있음 아울러 통일의 성취를 위해서는 반드시 중국의 협조를

유도해야 하는 바 이를 위해서는 통일한국의 한미동맹이 중국의 국익에도 부합될 수

있다는 논리를 적극 개발하고 중국을 설득하는 노력이 강구되어야 함 이러한 입장을

미국이 중국과 직접 조율해 나가도록 협조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봄 그런 차원에서

본문에서 제시한 한∙미∙중 3자 협의는 유용한 협의기제로 보임

다음은 곽태환원장님께서 제시해 주신 토의중점 주제들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정리하였음

1 한반도 통일을 위해 먼저 극도로 경색된 남북관계부터 풀어나가야 하는데

출구전략은

10월4일 황병서 등 북한고위급인사의 전격 방남으로 대화의 물꼬가 트인 만큼 이달

말 또는 11월초로 예정된 2차 고위급접촉을 통해 남북간 쟁점사항들을 대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풀어나가는 지혜가 필요함

첫째 무엇보다 대화의 지속이 중요함 일회성 대화가 아니라 고위급접촉이든 다른

대화채널이든 대화가 정례화 되는 것 즉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통로는 늘 열려 있어야

할 것임

둘째 사안별 접점 마련이 필요함 즉 상호가 입장차이가 극명한 사안은 일단

21

접어두고 접점 마련이 가능한 사안부터 협의하고 이행을 해 나가는 것임

2 현안이슈인 THAAD 한국배치에 대한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 측면 고려하여 사드

한국배치가 바람직한가 전시작전통제권을 2015년에 받아야 하나 연기 해야 하나

첫째 사드의 한국 배치는 정치적 관점이 아니라 안보적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중국(러시아)과 북한이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있지만 북한위협에 직면한 우리

입장에서는 한미동맹차원에서도 미국의 사드 배치 구상에 협력하는 것이 필요함 따라서

한국과 미국이 중국을 잘 설득할 필요가 있음

둘째 전작권문제 역시 주권 자존심이라는 측면 보다는 국익의 관점에서 판단해야 할

사안임 북 핵문제 등 북한의 위협이 상존하는 현 상황에서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억제력을 확고하게 유지하는 일임 한미연합사는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체제임 따라서 시기에 기초한 접근 보다는 조건에 기초한 접근이 바람직함

3 한반도 통일은 평화적으로 이뤄져야 하는데 남과 북이 합의에 의한 통일이

이뤄지려면 공동통일방안에 대한 합의가 가능한가 6자 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는

평화체제구축은 어떻게 이룰까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통일방안에 대한 남북 간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는 현 상황에서

통일방안부터 협의를 시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봄 우선 대화와 교류확대 등을 통한

화해협력을 추진하면서 향후 북한정권과 체제의 변화가 이루어질 때 통일방안에 대해

본격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함

둘째 핵 문제는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임 이로 인한 무력충돌은

공멸을 의미하기 때문임 따라서 북핵 문제는 우선 강력한 억제로 북핵 사용 자체를

무력화하고 나아가 대화를 통한 외교적 해법을 병행해야 함 즉 6자 회담을 재개하여

919공동성명의 합의정신에 입각하여 풀어나가는 것 이외 다른 적절한 대안은 없어

보임

셋째 평화체제 문제는 6자 회담이 재개되고 북핵 문제에 있어 일정분야 진전이 있을

경우 919 성명에 합의된 별도의 평화포럼을 통해 논의해 나갈 필요가 있음 평화체제는

협정의 체결이 아니라 실질적인 평화상태를 만들어 나가는데 중점을 두고 추진해 나가야

4 4자(미 중 남북한)회담을 통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인가 북이 주장하는 북미간

평화협정이 바람 직 한지 한반도 정전체제를 대체하는 다자 평화체제는 어떤 형태가

바람 직 한가 등

첫째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논의하는 협상은 남북한과 미국 중국이

참여하는 4자회담이 적절하다고 봄 1997~1998년 사이 제네바에서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는 문제를 논의하는 4자회담이 6차례 개최된 바도 있음

둘째 평화체제는 남북간에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미국과 중국이 이를 보장하며 협정은

유엔에 기탁하는 방안이 적절하다고 봄

5 6자 회담을 복원하여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ldquo행동대행동rdquo으로

동시에 해결하자는 제안에 대한 견해는

22

이는 북한이 핵 문제에 대해 한국과 미국 등이 요구하는 수준으로 성의 있는 조치를

취하고 이를 바탕으로 6자회담이 재개된다면 동시에 별도의 포럼을 열어 평화협정

논의를 개시할 수 있을 것임 실질적 평화상태 구축을 위한 남북간 군사적 신뢰구축 및

운용적 군비통제 등을 추진해야 함 평화협정의 체결 시점은 북한 핵이 완전히 폐기되는

시점과 맞추어야 할 것임

6 이러한 통일프로세스에서 과연 미국은 어떤 역할이 바람 직한가

독일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듯이 미국도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함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을 설득하여 한반도 통일에 동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공고한 한미동맹을 유지하여 북한이 변화하도록 유도하며 통일 이후에도 통일한국의

안보환경과 국익에 부합되게 동맹의 형태와 목표 기타 필요한 사항들을 협의하여

합의할 필요가 있음 통일한국이 중국과의 관계에서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는 방법은

미국과의 동맹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생각됨

7 평화적 합의통일방안에 하나의 대안으로 중립화를 통한 한반도 중립화 통일방안에

대한 견해는 미국은 지지 할까 등입니다

중립화 통일방안을 추구한다고 해서 통일이 촉진될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음

중국은 다소 긍정적일지 모르나 우리의 동맹인 미국이 가장 우려하는 사안일 것임 그런

차원에서 중립화 방안은 부적절함 이는 우리 국익이나 안보상 적절치 않은 방안이라고

봄 lt끝gt

4 김준형 박사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교수)

발제 논문에 관한 의견

다음 사항들에서 기본적으로 공감함

한반도통일의 고차방정식에 대한 의미 있는 분석 주변강대국들의 이해관계

특히 통일을 추구함에 있어 미국과 중국의 이해관계를 분석한 부분

냉전붕괴직후 독일의 상황과 당시 미국 및 소련의 입장이 가지는 함의에 대한

분석

북한급변사태가 곧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며 통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북한

주민들의 친한국 성향이나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남북이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

최근 미국이 통일에 대해 기껏해야 소극적 지지입장이며 통일로 인한

한미동맹의 약화가능성에 우려를 가지고 있다는 분석

한미동맹의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치명적이라는 주장도(치명적이라는

표현은 좀 과도한 측면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공감

주변강대국이 한반도통일이 현 동북아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지지하지 않으나 남북한이 원해서 주도적으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반대할 수 없다는

주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사항들에서 문제 제기하고자 함

23

서론에서 밝힌 본문내용 소개가 본문의 실제 내용전개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음 특히 현실적인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를 살펴본다고 했는데 오히려 그간의 남북한

통일안의 한계와 약점을 지적하고 특히 남북한 공히 정치적 통합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진다는 분석 위주임

북한에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 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 미국이 먼저 나서서 개입하지 않을 가능성은

있다 하더라도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해도 미국이 행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는 동의할

수 없음

북한 급변사태의 경우 중국이 자국민 및 재산보호를 명분 삼아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그것이 북중동맹에 의한 자동개입과 UN 상임이사국의

지위를 이용해서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라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려움

북한의 급변사태에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논지와 중국이 북한에 친중 정권을 세울 가능성이 높다는 논지는 자칫 통일보다 동맹을

선택하는 한미동맹 신화론자들의 논리를 강화시킬 수 있는 위험성 내재 박휘락박사가

인용한 미고위당국자의 발언은 context도 다른 것으로 보이고18

한국주도의 통일 역시 한미동맹약화로 이어지고 이는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에

치명적일 것이라고 단정하는 것 역시 같은 식으로 호도될 여지 있음

이 논리가 절대적 친미

보수진영의 동맹강화의 긴급성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논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평화협정이 통일의 전제조건이 아니라는 것에 동의하고 분단적 평화유지에 대한

반대에 동감하지만 평화보다 통일이 우선되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려움

통일을 위해 통일정책의 연속성을 위해 내각제 개헌을 해야 한다는 논리는

지나친 단순화 또는 비약으로 보임

현 정국에 대한 토론자의 견해

지난 7년간의 대북정책 및 통일정책의 한반도의 운명과 관련된 4가지 핵심 변수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① 한미동맹의 근본 성격 변화(대북억지-gt동북아지역군)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을 위해 일본과 한국에 아웃소싱 추진하고 있으며 그 핵심이 지역미사일방어체제

구축

- 전작권환수 시기보다 조건을 우선 고려

- 전작권에 대한 효용성 변화 과거 전략적 유연성은 분담의 차원이었으나 현재는

한미일 군사협력네트워크 통합의 차원으로 변모 따라서 미국이 전작권을 계속 보유하는

것의 효용성이 높아짐(미국의 꽃놀이패)

② 북핵문제의 근본 성격 변화 핵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음

- 미국은 북한에 대한 de facto 보유국 내부적으로 인정19

18 이 발언은 북한의 핵개발 중단 도발가능성 북한개혁 등 중국이 행사할 수 있는 대북 레버리지를 미국이

기대한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됨

19 수년 전 힐러리 클린턴의 발언부터 최근 오바마의 유엔연설 직전에 행한 국가안전보장회의 부의장 벤 로

24

- 발제논문에서 주장하는 통일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미국의 입장과 연결됨

- Permanent crisis 양상 분명 위기이고 해결이 난망한데 아무도 나서서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며 심지어 현 위기국면을 국내정치에 이용하는 측면이 커지는 일종의

북한 핵위기의 default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③ 한반도 통일론의 변화 신뢰프로세스 동평구 통일대박론 드레스덴 선언 등의

많은 제안들이 후속조치 없이 동력을 잃었으며 최근 UN연설에서 재확인되듯이

흡수통일론으로 귀결 남북교류의 제도화 수준은 대단히 높으나 실행수준은 대단히

낮음으로 인해 통일논의에 대한 국민들의 피로감을 확산시키고 이는 국내

안보포퓰리즘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동

④ 북중관계 변화 남북관계의 단절로 인해 긴밀해짐으로 해서 북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하고 있는데 중국의 대북 지분을 향상시켜 유사시 개입의 빌미가 될

가능성이 높음(발제논문도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음-탈북자 관리명분)

미국의 입장에 대한 견해

오바마는 대북정책에 있어 부시 전임정부와는 정반대되는 경향 1기에서의

강경함에서 2기에는 협상무드로 갔던 부시와는 반대로 초기의 온건입장이 시간이

갈수록 강경기조로 넘어가고 있으며 인권압박까지 병행

더 큰 문제는 강경책이든 온건책이든 문제해결을 위한 움직임이 없는 매우

수동적 태도로 일관한다는 것인데 이는 북한문제가 여전히 오바마행정부의

정책우선순위의 상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고 또 북한핵개발

국면을 빌미로 대중국 견제와 미일동맹을 비롯한 아시아동맹네트워크 강화에 활용한다는

것임

오바마의 소위 lsquoDDSSrsquo Doctrine의 근간은 임기 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한반도는 큰 현안 없이 현상유지로 흘러갈 가능성이 큼

미국의 MD 압박 강화될 것임

- 미국이 현재는 한국내 여론을 의식해서 한국정부와 보조를 맞추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MD 편입을 원하고 있기에 압박은 증가할 것임

- 한국과 일본이 참여하는 지역 미사일방어체제 구축은 미국의 아시아재균형전략의

핵심이며 한국의 MD 참여가 중국의 입장에서는 레드라인이지만 미국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한중의 접근을 억제할 수 있는 카드로서의 효용성이 있음

- 한국정부의 태도 변화 사드의 한국도입에 대해 최근에는 수용적 자세로 변화20

미국의 MD 참여 압박에 대해 정부가 진정으로 미국 MD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면 확실한 입장표명을 하거나 공개적으로 국민의 의견을 묻는 것이

필요함(double edge diplomacy 활용)

한국의 과제

즈 발언까지 일관됨 20 10월 7일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한민구장관은 북한 핵middot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사드를 배치하면 우리 안

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함 또한 MD의 핵심 자산을 동원하는 새로운 작전개념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같은 방안을 이달 말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연례 안보협의회에서 공식화할 방침이라고 밝힘

25

남북관계 해결을 위해 한국정부가 선제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시도해야 함

미국이 여러 복잡한 문제로 인해 여유가 없는 상황을 오히려 역이용하는 발상의 전환

필요

미국정부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대북접근에 있어 한미공조 이탈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견제해왔던 것에 비하면 한국의 운신의 폭은 역설적으로 커졌다고 볼 여지

있음 미국이 대북정책에 있어 마땅한 해법도 없고 정책순위는 점점 하락하는 상황에서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주도가 가능할 수도 있음

출구전략

- 6자회담과 919성명의 복원을 통한 문제해결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을 병행

- 524조치에 대한 언급 없이 실질적인 유연화

- 박근혜대통령의 결심이 관건 대화재개조건의 유연화에 대한 한미간 정책조율을

주도할 필요가 있음

5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

한국GPF재단이 주최하는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김현욱 교수께서 발제한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의 주제는 통일을

시급하게 달성해야 하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통일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반세기 이상 한국과 안보동맹을 체결하고 있는 미국의

한반도 통일정책을 논의하는 것은 아주 시의적절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자는 먼저

발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의견을 제시하고 발제자와 토론자 간의 약간의 상이한

견해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하고 곽교수의 질문에 대해 간략하게 답한 후

정책제안의 순서로 기술하고자 합니다

1 발제문에 대한 일반적 평가

발제자의 논문 내용과 접근방법에 대해 토론자는 전적으로 찬성하고 동의합니다

한반도 통일방안의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공감하면서 남북정상이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에 공통점이 있다고 이미 합의하였기

때문에 남북은 장차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 중 하나의 통일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람직한 통일접근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한국이

경계해야 할 것은 발제자도 지적한 바와 같이 북한의 붕괴통일보다는 독일과 같이

평화적 흡수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며 더 좋은 방안은 평화통일을 목표로 하되 점진적

접근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만약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하여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고 가정할 때 한국에게는

lsquo통일의 대박rsquo이 아니라 통일의 쪽박이 될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남북이

평화통일 협상을 통해 점진적 통일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미국의 국가이익과 우려사항에 대한 자세한 분석에 전적으로

동의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많이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서

기대하는 것은 미국의 국익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미국의 대한반도 통일정책이

결정되리라 전망됨으로 통일의 당사자인 남북은 통일의 과정에서 미국의 국익도

고려하면서 남북이 통일의 이니셔티브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6

2 발제 문에 대한 몇 가지 이견

토론자는 발제문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를 하지만 미시적 측면에서 토론자의 이견을

몇 가지 부언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연방제와 연합제를 설명하는 2쪽 문단에서 북한의 연방제를 1980년

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김일성이 발표한 내용을 기준으로 설명했으나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이 한국의 연합제와 좀더 가까운 것은 김일성이 1991년 1월

1일 발표한 lsquo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rsquo이므로 이를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비교분석 하는 것이 좀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980연대 연방제는

남과 북이 lsquo연방상설위원회rsquo를 조직하여 지역정부를 지도하는 중앙정부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1991년의 연방제는 지방정부에 모든 외교권과 군사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국의

연합제 즉 국가연합 형태의 통일방안으로 수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둘째 1991년 북한의 연방제는 남과 북이 어떠한 정치군사적 블록에도 가담하지 않는

중립국가의 외교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남북이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에 공통점을 인정하고 있으나 북한은 연방제가 되었을 때 외교정책은

반드시 비동맹 중립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나 한국은 북한의 그러한 중립정책을

수용하기 어려운 입장이므로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선 듯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셋째 북한의 연방제 실시 조건에서 남한이 수용하기 어려운 또 다른 것은 북한이

주한미군의 철수와 국가보안법을 철폐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장차 남북이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를 실시한다 해도 남한정부의 입장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보안법 철폐는 가장 민감한 문제들이므로 난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끝으로 발제자는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ldquo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케 하고 미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rdquo는 분석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됩니다 미국의 계획에 의하면 lsquo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군은 한국군과

한국인은 북한에 입북하는 것을 금지하고 미군과 일본의 자위대가 북한의 치안을

유지한다rsquo는 주장이 제기되어 이를 확인하고 있습니다(오크랜드 대학교 박문재 박사

주장) 또 다른 주장에 의하면 북한의 급변사태 시 중국군과 미군은 동시에 북한에

상륙하여 일정한 지역을 분할 하여 WMD와 북한 질서를 공동으로 유지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계획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경우 미국에는 분명히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미국의 이익과 우려가 병존하리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어느 것이 미국의 국익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가에 따라 미국의 외교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이며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한반도 정책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과 관련하여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 발제자는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어

대부분의 내용에 동의를 하면서 상이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토론을 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ldquo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으며 2012년 오바마

27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 체제와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통일을 지지했다rdquo는

내용에 대해 미국은 한반도의 통일을 원천적으로 원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토론자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1971년 7월과 2005년 8월 북경에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비밀회담을 갖고 ldquo미국이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양국은 한반도 분단의

현장유지를 계속하자고 합의rdquo한 내용이 미국의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습니다(2005년 9월

7일 Washington Post)

또 다른 예로 한국전쟁을 종결하는 휴전협정 제4조에는 ldquo정전협정 서명 후 3개월

이내에 서명 당사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한다rdquo고 합의했으나 미국은 북한이 핵을 만들기

전에도 북한의 평화협정 요구를 거절해 왔으며 이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해야

평화협정을 체결해 주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의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은 외교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둘째 과거 독일통일의 과정에서 고르바초프는 독일의 중립화를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미국은 통일된 독일이 NATO에 잔류해야 한다는 조건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결국

고르비가 양보하고 미국의 안이 채택되었으나 거기에는 서독이 소련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수용한 대가라고 합니다(주섭일 기자의 『1990년 독일통일과 2017년 한반도

통일』)

셋째 미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문제에 대해 크게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미국은

한반도가 통일이 된 뒤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주한 미군의

역할은 북한의 위협보다는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주한 미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미국의 재

균형정책도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넷째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미국의 동북아시아 국가에 대한 군수산업이 대폭

축소될 것이며 통일된 한반도가 미-중 간에 균형외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대중 견제는 급속하게 감소될 전망입니다

끝으로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은 감소된 반면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되어 미국의

장기적 전략인 미국의 군사비 감축과 국내외 여건으로 주한미군의 유지가 어렵게 될

경우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감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므로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4 한국의 당면 과제

한국은 대북정책의 출구전략으로 10월 3일 북한 실세의 한국방문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려 북한이 필요로 하는 경제지원과 5ㆍ24조치 해제를 전제로 북한의 양보를 얻어 내

남북관계의 출구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한국정부는 미국이 요청한 THAAD

구입이나 배치를 허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남북간의 평화체제 구축은 1단계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기 보다는 남북이 이미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를 비롯하여 6 ㆍ 15선언과 10 ㆍ 4선언의 내용 중 실천이 용이한

문제부터 실천하면서 남북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북한과 미국의

관계에서 미국이 현재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한국은

북한과 먼저 신뢰를 회복한 후 기본합의서에 이미 명시되어 있는 남북한의 불가침조약을

먼저 체결하고 서울과 평양에 대표부를 설치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한반도

28

비핵화를 위해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으로 핵

문제는 북미간의 문제로 유지하면서 남북한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요구를

하면서 남북의 해빙무드를 먼저 조성하는데 한국은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은 현재도 비동맹 중립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북한의 연방제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조심스럽게 중립화 문제를 거론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검토를 해야 할 것입니다

5 정책제안

한반도 주변 4강은 현재 그들의 국가이익과 한반도 통일이 그들에게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한반도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므로 한국정부는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북한에 비핵화 요구보다 협상을 통해 단계적으로 북한이 한국의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제안이나 구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서

북한이 시급하게 원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524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북한의 양보와 협력을 받아 내야 할

것입니다lt끝gt

6 장용석 박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1 통일과 관련하여 발표자의 다음 지적은 매우 중요함

- ① 기능주의적 접근의 한계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 필요성 ② 북한

주민들의 선택이 지닌 중요성과 그에 대한 고려 필요성 ③ 통일 대북정책의 연속성과

북한 리더십 포용을 위한 내각제 개헌의 필요성

2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과 관련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함

- 동서독은 유럽차원에서 NATO와 WTO간 세력균형 이를 바탕으로 한 동서 간

긴장완화와 특히 헬싱키 프로세스와 CSCE 등을 통한 공동안보 틀 구축 등으로 인해

교류협력에서 안보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특히 동독이 경우 패전의

여파겠지만 북한과는 달리 자국의 안보를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음

- 반면 남북을 둘러싼 지역 안보 환경은 미∙중 간의 긴장과 갈등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고 있고 특히 북한의 경우 지정학적 요충지론에 입각하여 자주-존엄-

선군의 기치 하에 핵보유까지 천명하고 비대칭적 전력의 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으로써 동서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교류협력의 직접적인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 따라서 동북아 지역차원에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협력적 안보 틀이나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공존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rArr 이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ldquo작고 쉬운 것부터rdquo 논리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를 외면하는 기능주의의 또 다른 버전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발표자의 평가는

무엇인지

rArr 아울러 평화협정은 평화적 공존의 제도화와 군비통제를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분단관리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게 아닌지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13: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13

있는 미국의 위치 상 미국은 한반도 통일이 미국에게 직접적으로 이익을 가져다 주지

않더라도 주변국들에 비해 강하게 반대하지 않는 입장이다16

관련하여 빅터 차는 이와 같이 말했다 ldquo모든 강대국들은 한반도의 통일이 지역적

세력균형에 변화를 가져 올까봐 통일에 반대하는 입장이다hellip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한국이 당장 통일절차를 추진하게 될 경우 주변 강대국들은 모두 통일에 찬성하는

입장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 새롭게 통일되는 강대국 한국이 탄생할 경우 통일에 대한

반대입장을 보였던 국가들은 통일한국에게 적대국가로 인식될 것이기 때문이다hellip

한국민들은 일단 통일절차를 시작하게 되면 주변국가들이 이에 찬성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게 될 것 이다helliprdquo

중국의 한반도 통일에 대해 lsquo평화적이고 독자적이며 점진적인 비핵화 통일rsquo을

지지하는 입장이다 즉 평화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이 중국의 경제적 발전에

해를 끼쳐서는 안되기 때문이고 독자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한국이 미국

쪽으로 경사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며 점진적인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이 지역적

안정을 헤쳐서는 안되기 때문이며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는 통일한국에

미국의 핵우산이 유지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결국 독립적인 통일과 비핵화에 기반한

통일 지지 입장은 모두 한미동맹과 관련되어 있다 중국은 친미 성향의 통일한국에

반대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국정부는 보다 세심한 통일준비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몇 가지 정책적 고려사안을 제시한다 첫 번째로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한국은 독일과 달리 패전국 지위가 없으며 따라서 통일을 이루기 위해

4 개 조약당사국들로부터의 승인이 필요했던 독일과는 달리 주변국들로부터 아무런

승인을 받을 필요가 없다 독일은 포츠담회담에서 승전 4 개국이 분할점령하기로

합의하였으며 이것이 냉전과 함께 분단으로 이어졌기 때문에 통일국가를 이루기

위해서는 분할점령을 합의했던 4 개국들의 승인이 필요했다 게다가 독일통일의 경우에

이미 2+4 회의에서 독일통일을 승인하기 이전에 동독의 독일연방 가입이 결정되었기

때문에 후속적 승인에 불과하였다 한국과 북한 양국이 통일과정에 대해 합의하고

추진하여 통일을 달성하면 주변국가들은 이에 동의할 수 밖에 없다

17

두 번째로 평화협정은 휴전중인 한국전쟁을 종식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지 통일의

전제조건은 아니다 한국정부는 그 동안 통일이 아닌 분단적 평화유지에 지나치게

집착해왔다 이는 통일을 위한 본격적인 정책추진이 아닌 단지 정전상태를 평화상태로

바꾸는 것에 불과하며 이를 위해서 지불해야 할 비용 역시 지나치게 높다 즉 북한은

평화협정 체결을 위해 주한미군의 철수 등을 주장하고 있으며 이는 현 한국의 안보상황

16 Peter Murphy Lewis US Foreign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An Anti-Unification Policy or Just Too Many Uncertainties to Account For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62 December 2007 p 107 17 Victor Cha The Contiuity behind the Change in Korea Orbis No44 (Fall 2000)

14

속에서는 불가능한 조치들이다 이제는 한반도 평화가 아닌 통일을 정책적 목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평화협정

문제를 논의하는 것은 결국 입장차이를 확인할 뿐 실제 평화체제가 확립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미국은 평화협정 체결이 북한 비핵화를 먼저 이룬 이후에 가능하다는

입장이며 중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하게 되면 북한비핵화 등 제반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따라서 남북한 양국은 이제 소모적인 평화협정 논의 이외에 본격적인

통일논의를 통해 남북한 당사국들의 이익에 보다 충실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 한∙미∙중 3 자회의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미 한∙미∙중 3 개국은 작년에

1 차 전략대화를 개최하였다 주요 이슈는 북한 핵문제였는데 이와 같이 북한

핵문제에서 이슈를 확대하여 한반도 통일 북한급변사태 등 다양한 문제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남북통일은 미∙중 양국의 이익 및 세력균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3 국 전략대화에서 한반도 통일에 관한 입장을 조율하고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역할과

임무에 대한 각기 다른 이해관계를 조율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은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 남북한 통일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한국

내부의 통일정책을 하나로 수렴시키는 일이다 현 대통령제 하에서는 연속적인

통일정책이 중장기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고 정책적인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 또한 통일과정에서 북한리더십을 통일한국의

정치체제로 통합할 필요성이 있다 독일통일과정에서도 총선거를 통해 동독 지도부가

독일연방으로 통합되었듯이 남북한 정치통합을 위해서는 내각제 체제가 더 적합하다

15

제6회 정책포럼 토론문 (무순 제출순서대로 편집)

1 김동현 교수 (고려대 일민국제관계연구원 방문학자 북한대학원대 초빙교수 전 존스

홉킨스 국제대학원 겸임교수 및 방문학자)

총평 한반도 통일을 주제로 창의적인 노력을 보여준 발제자에게 우선 찬사를 보낸다

발제자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 부분이 많이 있지만 김현욱 박사가 과시한 학술적

접근방식과 독창적인 의견들은 높이 평가한다

- 우선 여러 가지 통일 시나리오를 가상하고 그와 관련된 논의를 흥미 있게 전개하지만

지금까지 국제 정치사상 어떤 시나리오가 상정한대로 어느 문제가 해결된 것이 없디

역사에 가정이 없듯이 국제정치의 현실에서 ldquoScenariordquo의 가정도 설 땅이 없다

시나리오를 추구하는 학자들은 바둑놀이를 계속하는 것과 같다 바둑을 둬서 어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지만 두뇌기능을 진척시키고 치매 방지 등 건강에 도움이

되는 정도라고나 할까 학자들의 장기중의 하나는 간단한 문제를 복잡하게 해석하고

신조어를 만들어 내며 독자들을 헷갈리게 하는 재주다

발제자 주장에 대한 토론

- 615 정상선언은 남한의 국가연합 방안과 북한의 느슨한 연방체 간에 공통점이

존재하며 앞으로 ldquo그런 방향으로 (통일을) 추진한다rdquo고 합의 했을 뿐 그 후에 어떻게

정치체제를 통합하겠다는 언급이 없었던 사실을 발제자가 정확하게 지적했다 그러나

당시 한국측 주역들은 연합과 연방단계를 묶어서 Federation 이 아닌 Confederation 의

형식으로 교류와 협력이 무르익는 ldquo사실상의 통일 ndash De Facto or Virtual Unificationrdquo

을 이룬 다음에 완벽한 법적 통일 ndash ldquo De Jure Unificationrdquo 로 간다는 것이다 DJ 의 3

단계가 연합 ndash 연방 ndash 완전통일 이었다면 임동원은 화해 협력 ndash 사실상의 통일인 연합

그 후에 법적 통일의 3 단계였는데 이 점은 615 선언협상과정을 통해서 DJ도 동의

했다는 것이다 (ldquo피스메이커rdquo에서 - 이 통일 과정에 소요 되는 시간을 DJ 는 10 년

김정일은 40mdash50 년으로 예상했다)

- 발제자가 논의한 ldquo급변사태로 인한 통일에 대해서 ldquo급변사태rdquo에 대한 정의는

무엇인가 중국의 개입가능성이 높고 미국의 개입가능성을 낮다고 하는데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논의 되어 온 것 이상의 논리가 없다 미국의

역할을 예측하는 문헌으로 Bruce Klinger 와 Bruce Bennett 의 글을 주석으로 달고

있는데 이 두 사람은 북한의 붕괴를 이념적으로 바라면서 근거가 미약한 붕괴론을

확산 시켜온 인물들이다 다만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남북한이 둘 다 유엔회원국이기

때문에 만약 북한에 권력공백 상태가 생겼을 때 누가 들어 가서 평정 및 관리를 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유엔차원에서는 아직 한 번도 논의된 적이 없는 문제다 유엔 임시

한국위원회에서 대한민국정부 수립에 앞선 선거 감시를 했고 625 때 38 선 이북으로

북진 할 때도 당시 유엔군 사령부는 수복지구에 대한 행정권을 정식으로 한국에 넘기지

않았다

16

- 한국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 하는 방안에 대해서 우선 발제자가 말하는

ldquo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rdquo의 뜻은 우호적 태도 호감 영어로 말하는 Identity

라면 북한 주민들이 ldquo우리는 남한 사람들과 같다rdquo는 뜻인가 정체성이 정치적 동질성을

말한다면 이를 이룩하기 위한 노력이 장기간 섬세하게 선행 되야 할 것이다 예멘의

사례도 학술적인 참고는 되지만 정책상의 참고는 될 것 같지 않다 물론 최종적인

정치 사회 통합은 현재의 정부 방식으로는 통일의 최종적 과제이다 그러나 평화를

보장하는 사실상의 통일 단계에만 돌입해도 궁극적인 통일로 향하는 엄청난 성과가 될

것이다 그래서 통일은 과정이란 말이 나왔다

- 독일의 사례 대해서 한국통일 논의에서 독일통일의 모델이 약의 감초처럼

등장하는 데 독일에 가서 독일 통일 과정을 공부한 한국인들을 제외하면 독일인

독일통일 전문가들은 한국과 독일 여러 가지 여건이 (역사 경제 문화 국제환경)

다르기 때문에 독일통일방법을 모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을 많이 하고 있다

토론자의 생각도 같다 물론 독일과정에서 있었던 일들 중 한국이 배우고 참고로 해야

할 점이 많이 있음은 부인치 않는다 (예 정권교체와 관계없는 일관된 정책의 지속성

같은 것 ndash 발제자는 이를 위해 내각제 개헌을 제안) 독일 통일과 관련된 미국의

이해관계를 소상하게 기술했는데 이 것도 본 발제문 주제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지 않는다

-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에 대해서 해방 이후 미국은 유엔결의문 등을

통해서 평화적으로 한반도에 자유 민주 통일 정부가 수립되기를 바란다 고 언급해 왔고

아버지 부시 클린턴은 ldquo한국국민 (the Korean people) 이 원하는 통일rdquo그리고 아들

부시와 오바마 때와서는 ldquo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체제의 통일rdquo을 지지한다고 공언했다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은 한국 헌법에 부합하지만 북한에 입장에서는

ldquo흡수통일rdquo로 받아 들린다 당연히 북한이 반발한다 2000 년 10월 김정일은 이렇게

말했다 ldquo우리는 제도에 의한 통일은 반대다 평화통일 하면 우리는 우리 식으로

통일하는 것을 말하고 민주 통일은 남조선 원하는 통일이다 평화통일이 되면 중국이

좋아하고 민주통일이 되면 일본이 좋아할 것이다rdquo

1991 년 6월 토론자가 평양에 갔을 때 당시 북한 군축평화 연구 소장 송호경 (후에

아태위 부위원장) 은 이렇게 말했다 ldquo 1민족 1 국가 2 체제 고려연방제는 한쪽이 다른

한쪽을 먹을 수 없는 상태로 공존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상태를 해소할 수 있는

쌍방간의 합의나 체제통일이 없으면 이 상태가 마냥 계속될 수 있다 영구히 갈런지도

모른다rdquo

- 지금까지 미국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한국 통일에 대한 수사적 지지만∙ 했을 뿐

한국통일을 위해 노력한 흔적이 없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현재 미중은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 속에서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각각의 전략적 이익 때문에 한반도에서

무탈 무사 현상유지를 원하고 있다 발제자가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간행물을

인용했는데 토론자는 이 것도 못 마땅하게 생각한다 그 간행물에 관여 한 소위

미국인 전문가들 중에 한국통일 전문가는 별로 없다 Victor Cha가 미국의 거물학자로

여겨지는 것도 못 마땅하다 (나는 이런 것을 미국에 대한 학문적 사대주의 ndash

Academic Sycophancy 라 부른다) 미국문제는 미국인들이 잘 알고 한국문제는

한국인들이 잘 안다 다른 한가지를 지적한다 미국은 지금 한국 통일에 대한

우선순위가 없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북핵 문제도 우선순위를 두지 않고 있다 심지어

17

아시아 재 균형 문제도 이라크와 시리아의 ISIL or ISIS 문제 때문에 신경을 제대로 쓰지

못한다는 우려가 나온다 (Kurt Campbell in Seoul on September 25 2014)

- 통일 이후의 한미동맹 통일에 대한 전망도 아득하지만 그 후의 한미동맹 관계는

더욱 아득하다 통일에 상대가 있듯이 (As W Bush said in Seoul this spring at a

conference hosted by the Chosun Ilbo) 동맹은 전통적으로 군사적인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동맹 이 함께 싸워야 할 상대 (Potential foe or adversary)를 전제로

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중미간의 경쟁이 계속된다면 미국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한미동맹을 아시아 재 균형의 도구로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 입장에서

그것이 그 때가서 한국국익에 맞는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서 발제자가 친절하게 미국의 이익과

우려를 열거했는데 남북이 통일을 원한다면 미국이 자기 이익 때문에 통일을

반대해서도 안되고 한국이 미국의 우려 때문에 할 일을 못하거나 안 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미∙중 사이의 중립 또는 전세계를 상대로 하는 중립이 한국 국익에

합당하고 국민의 다수가 이를 원한다면 한국은 그 길을 택해야 한다

미국의 걱정은 미국에 맡기고 한국은 한국 걱정에 치중해야 한다 걱정은 시대와

환경에 따라서 달라진다

정책건의

- 첫째 황병서 최룡해 김양건 3 인의 인천 방문을 계기로 다음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진일보한 과감한 자세로 이산 가족 524 조치 금강산 관광 등 현안을 타결하고

신뢰프로세스를 부활해야 한다 남측도 구태의 틀에서 벗어나 놀랄만한 자세를 보여야

한다 통근 결단은 북한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 둘째 6자회담 재개 등 북핵문제 해결을 노력을 한국이 주도해야 한다 미중과 함께

한국마저 손 놓고 있는 상태는 더 이상 방관해서는 아니된다

- 셋째 대북정책에 대한 국내 보수 진보간의 시각차이를 융합하여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탈냉전식 통일정책을 개발함으로써 통일준비의 기초를 확립해야 한다

2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김현욱 박사의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을 읽고

국내의 손꼽히는 미국전문가인 김현욱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을 맡게 되어 영광으로

생각한다 김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자의 생각과 비교할 때 공감이 가는 부분이 많다

하지만 김 박사가 다루는 주제가 단순히 미국의 대외정책이나 한미관계가 아니라

lsquo한반도 통일rsquo이라는 점에서 몇 가지 오류가 눈에 띄기 때문에 여기서부터 토론을

시작해야 할 것 같다

I 서론

한middot미 정상이 합의한 통일관련 언급은 「한미동맹 공동비전」(2009616)은

ldquopeaceful reunification on the principles of free democracy and a market

economyrdquo으로 「한미동맹 60주년 공동선언」(201357)은 ldquoits peaceful reunific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denuclearization democracy and a free market

economyrdquo으로 되어 있다 전자의 free democracy는 liberal democracy와 구별되어야

18

하며 후자에는 그냥 democracy로 표기한 의미를 되새길 필요가 있다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o 우리 정부는 lsquo연합제 통일방안rsquo을 지지한 바 없으며 무엇보다 lsquo연합제rsquo는 통일방안이

아니다 또한 우리 정부가 북한과 함께 lsquo74남북공동성명rsquo을 발표하고 lsquo자주 평화

민족대단결rsquo이라는 통일의 대원칙을 발표한 것은 맞으나 그 뒤 lsquo민족대단결rsquo을 삭제하고

lsquo민주rsquo를 넣었다

o 1989년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은 전두환이 아닌 노태우 정부 때 발표된 것이다

o 김대중 대통령이 대통령이 되기 전에 개인적인 통일방안으로 lsquo남북연합제 rarr

공화국연방체 rarr 통일국가rsquo의 3단계를 주장했었으나 대통령이 되고 나서는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수용했다

o 한국의 통일정책의 특징이 ldquo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남한체제를

궁극적인 통일의 상으로 설정하고 있다rdquo고 주장하나 우리 정부의 공식 통일방안인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은 먼저 민족공동체를 만들어가고 나중에 통일국가를 이루되

통일국가의 형태는 미래세대에게 맡긴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2 북한급변사태로 인한 통일

o 북한의 급변상황에 한국이 개입하는 것이 유엔헌장에 위배된다는 지적은 옳다 그런데

아무리 중국이 UN상임이사국이라도 중국 군이 평양까지 진출해 친중 정권을 수립할

근거를 갖고 있는가

o 박휘락 박사의 인용문은 미국이 북한의 WMD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중국의 도움을

받기 위해 중국의 개입을 반대하지 않는다는 의미이지 북한 급변사태가 발생할 때 이를

중국에게 떠맡긴다는 의미는 아닌 것이다

o 필자는 ldquo미∙중 양 강대국이 한반도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고rdquo라고 언급하고 있는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가 있는가

3 남한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하는 방안

o 남북예멘이 통일 후 무력통일로까지 간 것은 사회문화적 유대감의 부족 때문이

아니라 11 대등한 권력분배가 몇 년 뒤 실시된 선거결과에 의해 북예멘에 유리하게

정치지형이 바뀌자 남예멘 측 인사들이 이에 반발해 무력을 동원했다가 진압당한 것이다

o 동독유권자의 9322가 서독으로의 신속한 편입을 주장했다고 언급했는데 이 수치는

투표율이다 조기통일을 주장했던 독일연합의 득표율은 4804 국가연합을 거쳐

점진적 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의 득표율은 2188였고 옛동독공산당이었던

민사당이 164 새로운 사회주의 건설을 내걸었던 연합90이 291였다 그 결과

독일연합과 동독사민당이 연립정부를 구성해 서독과 통일협상에 나섰던 것이다

III 독일 사례와 미국

o 동독 총선거에서 동독주민들이 서독의 정치체제와 정당에 투표하였다고 하였는데

이것이 무슨 말인가 그들은 조기통일(동독기민당 중심 국민연합) 점진통일(동독사민당

민사당) 제3의 길(연합90) 등을 내건 동독정당에 투표했는데 결과적으로 조기통일을

19

주장한 국민연합이 승리하여 점진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과 연립하여 조기 통일을

추진 달성한 것이다

o 독일통일의 상황에서 소련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원조라고 언급하고 있는바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엄밀하게 말한다면 對소련 차관 50억 DM(약 25억 euro) 동독주둔

소련군 36만 명의 철수에 따른 비용 부담 125억 DM(약 64억 euro)이다

IV 미국과 한반도 통일

1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o 미국이 통일과 같은 현상변경보다는 분단이라는 현상유지를 선호한다는 의견에

동감을 표한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의 정확한 출처를 밝혀주었으면 도움이

되겠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o 필자는 lsquo연합제연방제 통일rsquo과 lsquo한국주도의 통일rsquo을 대립적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연방제란 정부구성원리의 하나로서 1국가 2체제(일국양제)만 있는 것이 아니라 1국가

1체제의 연방제도 존재한다 따라서 한국 주도의 통일일지라도 단방제(單邦制) 방식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연방제(聯邦制) 방식이 될 수도 있다

o 통일된 이후가 아니라 전작권 전환 이후에 2013년 한미 양국은 한국군 합참 내에

미래사령부의 구성 계획을 통해 연합지휘체제(한국군 사령관 미군 부사령관)를

구축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o 최근 논의되고 있는 THAAD는 지금도 배치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인가 아니면

통일되면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아니게 되므로 지금 배치했더라도 철수해야 한다는

의미인가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o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우려사안 중 한국 주도의 통일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한미동맹의 약화를 우려한다는 점이 충분히 이해되지 않는다 특히 당장 통일될 것도

아닌데 우려의 근거로 미국의 현실적 상황을 제시한 것들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o 나머지 두 번째 세 번째도 왜 한미동맹이 약화되고 주한미군을 철수하게 될지 하는

원인을 설명하지 않고 그렇다고 전제해 놓고 미국의 대아시아 전략에 미칠 영향과

미∙중 사이의 중립국 지위 유지하는 것은 앞뒤가 바뀐 것이다

V 결론 ndash 정책적 고려사안

o 미국이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했다고 볼 수 있는가 미국이 통일에 대해 처음으로 입장표명을

한 것은 2009년 6월 이명박-부시 대통령의 한미 공동비전이 처음이다 최근 미국

조야의 분위기는 북핵 문제를 풀기 위해 통일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고 오히려 한국

측이 통일에 소극적이라고 질책하기도 하지 않은가

o 중국이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가 통일한국의 핵무기 보유가 아니라

단지 미국의 핵우산 유지를 우려했기 때문인가

o 평화협정이 단지 한국전쟁의 종식만을 위한 것일까 필자가 제시한 첫 번째

20

정책고려사안은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런데 평화협정이

체결되지 않고 정전상태에서 곧바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첫째 우발적 충돌이라도

전쟁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있고 둘째 통일과정에서 정전협정의 당사자인 미국과 중국이

국제법적으로 개입할 가능성이 열려있다

o 본문을 보면 필자는 분단적 평화유지와 평화체제평화협정을 동일시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마저 든다 그리고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다고 했는데 그 근거가 무엇인가 특히 비핵화-평화협정의 순서를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의 입장이 상반된다고 언급했는데 과연 그런가 919공동성명에서 미국과 중국은

동시행동 원칙에 합의한 바 있지 않은가

o 과연 남북한 통일을 위해 내각제가 필요한가는 좀 더 논의해봐야 할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통일을 달성할 때까지는 효율성을 위해 대통령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필자의 주장과 달리 내각제의 경우 잦은 내각교체로 인해 통일정책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수 없는 것 아닌가 lt끝gt

3 문성묵 박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발제문에 대한 논평 우선 김현욱 교수님의 발제문은 한반도 통일의 가능한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독일 사례를 통해 우리의 통일미래를 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접근이라고 봄 특히 남북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매우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제시하고 있는 정책적 제안은 적절하다고 판단되며 대체로 공감함 다만

통일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한 두 가지 추가 제언을 드리고자 함 우선 미국의

우려사항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일한국이 지향하는 한미동맹에 대한 분명한 의지를 미

측에 밝힐 필요가 있음 아울러 통일의 성취를 위해서는 반드시 중국의 협조를

유도해야 하는 바 이를 위해서는 통일한국의 한미동맹이 중국의 국익에도 부합될 수

있다는 논리를 적극 개발하고 중국을 설득하는 노력이 강구되어야 함 이러한 입장을

미국이 중국과 직접 조율해 나가도록 협조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봄 그런 차원에서

본문에서 제시한 한∙미∙중 3자 협의는 유용한 협의기제로 보임

다음은 곽태환원장님께서 제시해 주신 토의중점 주제들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정리하였음

1 한반도 통일을 위해 먼저 극도로 경색된 남북관계부터 풀어나가야 하는데

출구전략은

10월4일 황병서 등 북한고위급인사의 전격 방남으로 대화의 물꼬가 트인 만큼 이달

말 또는 11월초로 예정된 2차 고위급접촉을 통해 남북간 쟁점사항들을 대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풀어나가는 지혜가 필요함

첫째 무엇보다 대화의 지속이 중요함 일회성 대화가 아니라 고위급접촉이든 다른

대화채널이든 대화가 정례화 되는 것 즉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통로는 늘 열려 있어야

할 것임

둘째 사안별 접점 마련이 필요함 즉 상호가 입장차이가 극명한 사안은 일단

21

접어두고 접점 마련이 가능한 사안부터 협의하고 이행을 해 나가는 것임

2 현안이슈인 THAAD 한국배치에 대한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 측면 고려하여 사드

한국배치가 바람직한가 전시작전통제권을 2015년에 받아야 하나 연기 해야 하나

첫째 사드의 한국 배치는 정치적 관점이 아니라 안보적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중국(러시아)과 북한이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있지만 북한위협에 직면한 우리

입장에서는 한미동맹차원에서도 미국의 사드 배치 구상에 협력하는 것이 필요함 따라서

한국과 미국이 중국을 잘 설득할 필요가 있음

둘째 전작권문제 역시 주권 자존심이라는 측면 보다는 국익의 관점에서 판단해야 할

사안임 북 핵문제 등 북한의 위협이 상존하는 현 상황에서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억제력을 확고하게 유지하는 일임 한미연합사는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체제임 따라서 시기에 기초한 접근 보다는 조건에 기초한 접근이 바람직함

3 한반도 통일은 평화적으로 이뤄져야 하는데 남과 북이 합의에 의한 통일이

이뤄지려면 공동통일방안에 대한 합의가 가능한가 6자 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는

평화체제구축은 어떻게 이룰까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통일방안에 대한 남북 간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는 현 상황에서

통일방안부터 협의를 시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봄 우선 대화와 교류확대 등을 통한

화해협력을 추진하면서 향후 북한정권과 체제의 변화가 이루어질 때 통일방안에 대해

본격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함

둘째 핵 문제는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임 이로 인한 무력충돌은

공멸을 의미하기 때문임 따라서 북핵 문제는 우선 강력한 억제로 북핵 사용 자체를

무력화하고 나아가 대화를 통한 외교적 해법을 병행해야 함 즉 6자 회담을 재개하여

919공동성명의 합의정신에 입각하여 풀어나가는 것 이외 다른 적절한 대안은 없어

보임

셋째 평화체제 문제는 6자 회담이 재개되고 북핵 문제에 있어 일정분야 진전이 있을

경우 919 성명에 합의된 별도의 평화포럼을 통해 논의해 나갈 필요가 있음 평화체제는

협정의 체결이 아니라 실질적인 평화상태를 만들어 나가는데 중점을 두고 추진해 나가야

4 4자(미 중 남북한)회담을 통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인가 북이 주장하는 북미간

평화협정이 바람 직 한지 한반도 정전체제를 대체하는 다자 평화체제는 어떤 형태가

바람 직 한가 등

첫째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논의하는 협상은 남북한과 미국 중국이

참여하는 4자회담이 적절하다고 봄 1997~1998년 사이 제네바에서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는 문제를 논의하는 4자회담이 6차례 개최된 바도 있음

둘째 평화체제는 남북간에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미국과 중국이 이를 보장하며 협정은

유엔에 기탁하는 방안이 적절하다고 봄

5 6자 회담을 복원하여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ldquo행동대행동rdquo으로

동시에 해결하자는 제안에 대한 견해는

22

이는 북한이 핵 문제에 대해 한국과 미국 등이 요구하는 수준으로 성의 있는 조치를

취하고 이를 바탕으로 6자회담이 재개된다면 동시에 별도의 포럼을 열어 평화협정

논의를 개시할 수 있을 것임 실질적 평화상태 구축을 위한 남북간 군사적 신뢰구축 및

운용적 군비통제 등을 추진해야 함 평화협정의 체결 시점은 북한 핵이 완전히 폐기되는

시점과 맞추어야 할 것임

6 이러한 통일프로세스에서 과연 미국은 어떤 역할이 바람 직한가

독일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듯이 미국도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함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을 설득하여 한반도 통일에 동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공고한 한미동맹을 유지하여 북한이 변화하도록 유도하며 통일 이후에도 통일한국의

안보환경과 국익에 부합되게 동맹의 형태와 목표 기타 필요한 사항들을 협의하여

합의할 필요가 있음 통일한국이 중국과의 관계에서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는 방법은

미국과의 동맹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생각됨

7 평화적 합의통일방안에 하나의 대안으로 중립화를 통한 한반도 중립화 통일방안에

대한 견해는 미국은 지지 할까 등입니다

중립화 통일방안을 추구한다고 해서 통일이 촉진될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음

중국은 다소 긍정적일지 모르나 우리의 동맹인 미국이 가장 우려하는 사안일 것임 그런

차원에서 중립화 방안은 부적절함 이는 우리 국익이나 안보상 적절치 않은 방안이라고

봄 lt끝gt

4 김준형 박사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교수)

발제 논문에 관한 의견

다음 사항들에서 기본적으로 공감함

한반도통일의 고차방정식에 대한 의미 있는 분석 주변강대국들의 이해관계

특히 통일을 추구함에 있어 미국과 중국의 이해관계를 분석한 부분

냉전붕괴직후 독일의 상황과 당시 미국 및 소련의 입장이 가지는 함의에 대한

분석

북한급변사태가 곧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며 통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북한

주민들의 친한국 성향이나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남북이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

최근 미국이 통일에 대해 기껏해야 소극적 지지입장이며 통일로 인한

한미동맹의 약화가능성에 우려를 가지고 있다는 분석

한미동맹의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치명적이라는 주장도(치명적이라는

표현은 좀 과도한 측면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공감

주변강대국이 한반도통일이 현 동북아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지지하지 않으나 남북한이 원해서 주도적으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반대할 수 없다는

주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사항들에서 문제 제기하고자 함

23

서론에서 밝힌 본문내용 소개가 본문의 실제 내용전개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음 특히 현실적인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를 살펴본다고 했는데 오히려 그간의 남북한

통일안의 한계와 약점을 지적하고 특히 남북한 공히 정치적 통합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진다는 분석 위주임

북한에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 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 미국이 먼저 나서서 개입하지 않을 가능성은

있다 하더라도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해도 미국이 행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는 동의할

수 없음

북한 급변사태의 경우 중국이 자국민 및 재산보호를 명분 삼아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그것이 북중동맹에 의한 자동개입과 UN 상임이사국의

지위를 이용해서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라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려움

북한의 급변사태에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논지와 중국이 북한에 친중 정권을 세울 가능성이 높다는 논지는 자칫 통일보다 동맹을

선택하는 한미동맹 신화론자들의 논리를 강화시킬 수 있는 위험성 내재 박휘락박사가

인용한 미고위당국자의 발언은 context도 다른 것으로 보이고18

한국주도의 통일 역시 한미동맹약화로 이어지고 이는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에

치명적일 것이라고 단정하는 것 역시 같은 식으로 호도될 여지 있음

이 논리가 절대적 친미

보수진영의 동맹강화의 긴급성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논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평화협정이 통일의 전제조건이 아니라는 것에 동의하고 분단적 평화유지에 대한

반대에 동감하지만 평화보다 통일이 우선되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려움

통일을 위해 통일정책의 연속성을 위해 내각제 개헌을 해야 한다는 논리는

지나친 단순화 또는 비약으로 보임

현 정국에 대한 토론자의 견해

지난 7년간의 대북정책 및 통일정책의 한반도의 운명과 관련된 4가지 핵심 변수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① 한미동맹의 근본 성격 변화(대북억지-gt동북아지역군)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을 위해 일본과 한국에 아웃소싱 추진하고 있으며 그 핵심이 지역미사일방어체제

구축

- 전작권환수 시기보다 조건을 우선 고려

- 전작권에 대한 효용성 변화 과거 전략적 유연성은 분담의 차원이었으나 현재는

한미일 군사협력네트워크 통합의 차원으로 변모 따라서 미국이 전작권을 계속 보유하는

것의 효용성이 높아짐(미국의 꽃놀이패)

② 북핵문제의 근본 성격 변화 핵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음

- 미국은 북한에 대한 de facto 보유국 내부적으로 인정19

18 이 발언은 북한의 핵개발 중단 도발가능성 북한개혁 등 중국이 행사할 수 있는 대북 레버리지를 미국이

기대한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됨

19 수년 전 힐러리 클린턴의 발언부터 최근 오바마의 유엔연설 직전에 행한 국가안전보장회의 부의장 벤 로

24

- 발제논문에서 주장하는 통일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미국의 입장과 연결됨

- Permanent crisis 양상 분명 위기이고 해결이 난망한데 아무도 나서서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며 심지어 현 위기국면을 국내정치에 이용하는 측면이 커지는 일종의

북한 핵위기의 default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③ 한반도 통일론의 변화 신뢰프로세스 동평구 통일대박론 드레스덴 선언 등의

많은 제안들이 후속조치 없이 동력을 잃었으며 최근 UN연설에서 재확인되듯이

흡수통일론으로 귀결 남북교류의 제도화 수준은 대단히 높으나 실행수준은 대단히

낮음으로 인해 통일논의에 대한 국민들의 피로감을 확산시키고 이는 국내

안보포퓰리즘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동

④ 북중관계 변화 남북관계의 단절로 인해 긴밀해짐으로 해서 북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하고 있는데 중국의 대북 지분을 향상시켜 유사시 개입의 빌미가 될

가능성이 높음(발제논문도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음-탈북자 관리명분)

미국의 입장에 대한 견해

오바마는 대북정책에 있어 부시 전임정부와는 정반대되는 경향 1기에서의

강경함에서 2기에는 협상무드로 갔던 부시와는 반대로 초기의 온건입장이 시간이

갈수록 강경기조로 넘어가고 있으며 인권압박까지 병행

더 큰 문제는 강경책이든 온건책이든 문제해결을 위한 움직임이 없는 매우

수동적 태도로 일관한다는 것인데 이는 북한문제가 여전히 오바마행정부의

정책우선순위의 상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고 또 북한핵개발

국면을 빌미로 대중국 견제와 미일동맹을 비롯한 아시아동맹네트워크 강화에 활용한다는

것임

오바마의 소위 lsquoDDSSrsquo Doctrine의 근간은 임기 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한반도는 큰 현안 없이 현상유지로 흘러갈 가능성이 큼

미국의 MD 압박 강화될 것임

- 미국이 현재는 한국내 여론을 의식해서 한국정부와 보조를 맞추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MD 편입을 원하고 있기에 압박은 증가할 것임

- 한국과 일본이 참여하는 지역 미사일방어체제 구축은 미국의 아시아재균형전략의

핵심이며 한국의 MD 참여가 중국의 입장에서는 레드라인이지만 미국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한중의 접근을 억제할 수 있는 카드로서의 효용성이 있음

- 한국정부의 태도 변화 사드의 한국도입에 대해 최근에는 수용적 자세로 변화20

미국의 MD 참여 압박에 대해 정부가 진정으로 미국 MD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면 확실한 입장표명을 하거나 공개적으로 국민의 의견을 묻는 것이

필요함(double edge diplomacy 활용)

한국의 과제

즈 발언까지 일관됨 20 10월 7일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한민구장관은 북한 핵middot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사드를 배치하면 우리 안

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함 또한 MD의 핵심 자산을 동원하는 새로운 작전개념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같은 방안을 이달 말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연례 안보협의회에서 공식화할 방침이라고 밝힘

25

남북관계 해결을 위해 한국정부가 선제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시도해야 함

미국이 여러 복잡한 문제로 인해 여유가 없는 상황을 오히려 역이용하는 발상의 전환

필요

미국정부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대북접근에 있어 한미공조 이탈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견제해왔던 것에 비하면 한국의 운신의 폭은 역설적으로 커졌다고 볼 여지

있음 미국이 대북정책에 있어 마땅한 해법도 없고 정책순위는 점점 하락하는 상황에서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주도가 가능할 수도 있음

출구전략

- 6자회담과 919성명의 복원을 통한 문제해결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을 병행

- 524조치에 대한 언급 없이 실질적인 유연화

- 박근혜대통령의 결심이 관건 대화재개조건의 유연화에 대한 한미간 정책조율을

주도할 필요가 있음

5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

한국GPF재단이 주최하는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김현욱 교수께서 발제한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의 주제는 통일을

시급하게 달성해야 하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통일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반세기 이상 한국과 안보동맹을 체결하고 있는 미국의

한반도 통일정책을 논의하는 것은 아주 시의적절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자는 먼저

발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의견을 제시하고 발제자와 토론자 간의 약간의 상이한

견해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하고 곽교수의 질문에 대해 간략하게 답한 후

정책제안의 순서로 기술하고자 합니다

1 발제문에 대한 일반적 평가

발제자의 논문 내용과 접근방법에 대해 토론자는 전적으로 찬성하고 동의합니다

한반도 통일방안의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공감하면서 남북정상이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에 공통점이 있다고 이미 합의하였기

때문에 남북은 장차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 중 하나의 통일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람직한 통일접근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한국이

경계해야 할 것은 발제자도 지적한 바와 같이 북한의 붕괴통일보다는 독일과 같이

평화적 흡수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며 더 좋은 방안은 평화통일을 목표로 하되 점진적

접근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만약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하여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고 가정할 때 한국에게는

lsquo통일의 대박rsquo이 아니라 통일의 쪽박이 될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남북이

평화통일 협상을 통해 점진적 통일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미국의 국가이익과 우려사항에 대한 자세한 분석에 전적으로

동의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많이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서

기대하는 것은 미국의 국익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미국의 대한반도 통일정책이

결정되리라 전망됨으로 통일의 당사자인 남북은 통일의 과정에서 미국의 국익도

고려하면서 남북이 통일의 이니셔티브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6

2 발제 문에 대한 몇 가지 이견

토론자는 발제문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를 하지만 미시적 측면에서 토론자의 이견을

몇 가지 부언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연방제와 연합제를 설명하는 2쪽 문단에서 북한의 연방제를 1980년

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김일성이 발표한 내용을 기준으로 설명했으나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이 한국의 연합제와 좀더 가까운 것은 김일성이 1991년 1월

1일 발표한 lsquo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rsquo이므로 이를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비교분석 하는 것이 좀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980연대 연방제는

남과 북이 lsquo연방상설위원회rsquo를 조직하여 지역정부를 지도하는 중앙정부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1991년의 연방제는 지방정부에 모든 외교권과 군사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국의

연합제 즉 국가연합 형태의 통일방안으로 수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둘째 1991년 북한의 연방제는 남과 북이 어떠한 정치군사적 블록에도 가담하지 않는

중립국가의 외교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남북이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에 공통점을 인정하고 있으나 북한은 연방제가 되었을 때 외교정책은

반드시 비동맹 중립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나 한국은 북한의 그러한 중립정책을

수용하기 어려운 입장이므로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선 듯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셋째 북한의 연방제 실시 조건에서 남한이 수용하기 어려운 또 다른 것은 북한이

주한미군의 철수와 국가보안법을 철폐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장차 남북이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를 실시한다 해도 남한정부의 입장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보안법 철폐는 가장 민감한 문제들이므로 난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끝으로 발제자는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ldquo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케 하고 미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rdquo는 분석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됩니다 미국의 계획에 의하면 lsquo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군은 한국군과

한국인은 북한에 입북하는 것을 금지하고 미군과 일본의 자위대가 북한의 치안을

유지한다rsquo는 주장이 제기되어 이를 확인하고 있습니다(오크랜드 대학교 박문재 박사

주장) 또 다른 주장에 의하면 북한의 급변사태 시 중국군과 미군은 동시에 북한에

상륙하여 일정한 지역을 분할 하여 WMD와 북한 질서를 공동으로 유지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계획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경우 미국에는 분명히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미국의 이익과 우려가 병존하리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어느 것이 미국의 국익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가에 따라 미국의 외교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이며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한반도 정책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과 관련하여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 발제자는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어

대부분의 내용에 동의를 하면서 상이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토론을 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ldquo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으며 2012년 오바마

27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 체제와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통일을 지지했다rdquo는

내용에 대해 미국은 한반도의 통일을 원천적으로 원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토론자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1971년 7월과 2005년 8월 북경에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비밀회담을 갖고 ldquo미국이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양국은 한반도 분단의

현장유지를 계속하자고 합의rdquo한 내용이 미국의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습니다(2005년 9월

7일 Washington Post)

또 다른 예로 한국전쟁을 종결하는 휴전협정 제4조에는 ldquo정전협정 서명 후 3개월

이내에 서명 당사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한다rdquo고 합의했으나 미국은 북한이 핵을 만들기

전에도 북한의 평화협정 요구를 거절해 왔으며 이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해야

평화협정을 체결해 주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의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은 외교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둘째 과거 독일통일의 과정에서 고르바초프는 독일의 중립화를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미국은 통일된 독일이 NATO에 잔류해야 한다는 조건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결국

고르비가 양보하고 미국의 안이 채택되었으나 거기에는 서독이 소련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수용한 대가라고 합니다(주섭일 기자의 『1990년 독일통일과 2017년 한반도

통일』)

셋째 미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문제에 대해 크게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미국은

한반도가 통일이 된 뒤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주한 미군의

역할은 북한의 위협보다는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주한 미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미국의 재

균형정책도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넷째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미국의 동북아시아 국가에 대한 군수산업이 대폭

축소될 것이며 통일된 한반도가 미-중 간에 균형외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대중 견제는 급속하게 감소될 전망입니다

끝으로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은 감소된 반면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되어 미국의

장기적 전략인 미국의 군사비 감축과 국내외 여건으로 주한미군의 유지가 어렵게 될

경우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감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므로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4 한국의 당면 과제

한국은 대북정책의 출구전략으로 10월 3일 북한 실세의 한국방문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려 북한이 필요로 하는 경제지원과 5ㆍ24조치 해제를 전제로 북한의 양보를 얻어 내

남북관계의 출구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한국정부는 미국이 요청한 THAAD

구입이나 배치를 허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남북간의 평화체제 구축은 1단계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기 보다는 남북이 이미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를 비롯하여 6 ㆍ 15선언과 10 ㆍ 4선언의 내용 중 실천이 용이한

문제부터 실천하면서 남북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북한과 미국의

관계에서 미국이 현재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한국은

북한과 먼저 신뢰를 회복한 후 기본합의서에 이미 명시되어 있는 남북한의 불가침조약을

먼저 체결하고 서울과 평양에 대표부를 설치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한반도

28

비핵화를 위해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으로 핵

문제는 북미간의 문제로 유지하면서 남북한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요구를

하면서 남북의 해빙무드를 먼저 조성하는데 한국은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은 현재도 비동맹 중립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북한의 연방제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조심스럽게 중립화 문제를 거론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검토를 해야 할 것입니다

5 정책제안

한반도 주변 4강은 현재 그들의 국가이익과 한반도 통일이 그들에게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한반도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므로 한국정부는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북한에 비핵화 요구보다 협상을 통해 단계적으로 북한이 한국의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제안이나 구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서

북한이 시급하게 원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524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북한의 양보와 협력을 받아 내야 할

것입니다lt끝gt

6 장용석 박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1 통일과 관련하여 발표자의 다음 지적은 매우 중요함

- ① 기능주의적 접근의 한계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 필요성 ② 북한

주민들의 선택이 지닌 중요성과 그에 대한 고려 필요성 ③ 통일 대북정책의 연속성과

북한 리더십 포용을 위한 내각제 개헌의 필요성

2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과 관련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함

- 동서독은 유럽차원에서 NATO와 WTO간 세력균형 이를 바탕으로 한 동서 간

긴장완화와 특히 헬싱키 프로세스와 CSCE 등을 통한 공동안보 틀 구축 등으로 인해

교류협력에서 안보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특히 동독이 경우 패전의

여파겠지만 북한과는 달리 자국의 안보를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음

- 반면 남북을 둘러싼 지역 안보 환경은 미∙중 간의 긴장과 갈등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고 있고 특히 북한의 경우 지정학적 요충지론에 입각하여 자주-존엄-

선군의 기치 하에 핵보유까지 천명하고 비대칭적 전력의 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으로써 동서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교류협력의 직접적인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 따라서 동북아 지역차원에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협력적 안보 틀이나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공존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rArr 이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ldquo작고 쉬운 것부터rdquo 논리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를 외면하는 기능주의의 또 다른 버전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발표자의 평가는

무엇인지

rArr 아울러 평화협정은 평화적 공존의 제도화와 군비통제를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분단관리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게 아닌지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14: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14

속에서는 불가능한 조치들이다 이제는 한반도 평화가 아닌 통일을 정책적 목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평화협정

문제를 논의하는 것은 결국 입장차이를 확인할 뿐 실제 평화체제가 확립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미국은 평화협정 체결이 북한 비핵화를 먼저 이룬 이후에 가능하다는

입장이며 중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하게 되면 북한비핵화 등 제반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따라서 남북한 양국은 이제 소모적인 평화협정 논의 이외에 본격적인

통일논의를 통해 남북한 당사국들의 이익에 보다 충실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 한∙미∙중 3 자회의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미 한∙미∙중 3 개국은 작년에

1 차 전략대화를 개최하였다 주요 이슈는 북한 핵문제였는데 이와 같이 북한

핵문제에서 이슈를 확대하여 한반도 통일 북한급변사태 등 다양한 문제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남북통일은 미∙중 양국의 이익 및 세력균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3 국 전략대화에서 한반도 통일에 관한 입장을 조율하고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역할과

임무에 대한 각기 다른 이해관계를 조율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은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 남북한 통일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한국

내부의 통일정책을 하나로 수렴시키는 일이다 현 대통령제 하에서는 연속적인

통일정책이 중장기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고 정책적인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 또한 통일과정에서 북한리더십을 통일한국의

정치체제로 통합할 필요성이 있다 독일통일과정에서도 총선거를 통해 동독 지도부가

독일연방으로 통합되었듯이 남북한 정치통합을 위해서는 내각제 체제가 더 적합하다

15

제6회 정책포럼 토론문 (무순 제출순서대로 편집)

1 김동현 교수 (고려대 일민국제관계연구원 방문학자 북한대학원대 초빙교수 전 존스

홉킨스 국제대학원 겸임교수 및 방문학자)

총평 한반도 통일을 주제로 창의적인 노력을 보여준 발제자에게 우선 찬사를 보낸다

발제자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 부분이 많이 있지만 김현욱 박사가 과시한 학술적

접근방식과 독창적인 의견들은 높이 평가한다

- 우선 여러 가지 통일 시나리오를 가상하고 그와 관련된 논의를 흥미 있게 전개하지만

지금까지 국제 정치사상 어떤 시나리오가 상정한대로 어느 문제가 해결된 것이 없디

역사에 가정이 없듯이 국제정치의 현실에서 ldquoScenariordquo의 가정도 설 땅이 없다

시나리오를 추구하는 학자들은 바둑놀이를 계속하는 것과 같다 바둑을 둬서 어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지만 두뇌기능을 진척시키고 치매 방지 등 건강에 도움이

되는 정도라고나 할까 학자들의 장기중의 하나는 간단한 문제를 복잡하게 해석하고

신조어를 만들어 내며 독자들을 헷갈리게 하는 재주다

발제자 주장에 대한 토론

- 615 정상선언은 남한의 국가연합 방안과 북한의 느슨한 연방체 간에 공통점이

존재하며 앞으로 ldquo그런 방향으로 (통일을) 추진한다rdquo고 합의 했을 뿐 그 후에 어떻게

정치체제를 통합하겠다는 언급이 없었던 사실을 발제자가 정확하게 지적했다 그러나

당시 한국측 주역들은 연합과 연방단계를 묶어서 Federation 이 아닌 Confederation 의

형식으로 교류와 협력이 무르익는 ldquo사실상의 통일 ndash De Facto or Virtual Unificationrdquo

을 이룬 다음에 완벽한 법적 통일 ndash ldquo De Jure Unificationrdquo 로 간다는 것이다 DJ 의 3

단계가 연합 ndash 연방 ndash 완전통일 이었다면 임동원은 화해 협력 ndash 사실상의 통일인 연합

그 후에 법적 통일의 3 단계였는데 이 점은 615 선언협상과정을 통해서 DJ도 동의

했다는 것이다 (ldquo피스메이커rdquo에서 - 이 통일 과정에 소요 되는 시간을 DJ 는 10 년

김정일은 40mdash50 년으로 예상했다)

- 발제자가 논의한 ldquo급변사태로 인한 통일에 대해서 ldquo급변사태rdquo에 대한 정의는

무엇인가 중국의 개입가능성이 높고 미국의 개입가능성을 낮다고 하는데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논의 되어 온 것 이상의 논리가 없다 미국의

역할을 예측하는 문헌으로 Bruce Klinger 와 Bruce Bennett 의 글을 주석으로 달고

있는데 이 두 사람은 북한의 붕괴를 이념적으로 바라면서 근거가 미약한 붕괴론을

확산 시켜온 인물들이다 다만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남북한이 둘 다 유엔회원국이기

때문에 만약 북한에 권력공백 상태가 생겼을 때 누가 들어 가서 평정 및 관리를 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유엔차원에서는 아직 한 번도 논의된 적이 없는 문제다 유엔 임시

한국위원회에서 대한민국정부 수립에 앞선 선거 감시를 했고 625 때 38 선 이북으로

북진 할 때도 당시 유엔군 사령부는 수복지구에 대한 행정권을 정식으로 한국에 넘기지

않았다

16

- 한국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 하는 방안에 대해서 우선 발제자가 말하는

ldquo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rdquo의 뜻은 우호적 태도 호감 영어로 말하는 Identity

라면 북한 주민들이 ldquo우리는 남한 사람들과 같다rdquo는 뜻인가 정체성이 정치적 동질성을

말한다면 이를 이룩하기 위한 노력이 장기간 섬세하게 선행 되야 할 것이다 예멘의

사례도 학술적인 참고는 되지만 정책상의 참고는 될 것 같지 않다 물론 최종적인

정치 사회 통합은 현재의 정부 방식으로는 통일의 최종적 과제이다 그러나 평화를

보장하는 사실상의 통일 단계에만 돌입해도 궁극적인 통일로 향하는 엄청난 성과가 될

것이다 그래서 통일은 과정이란 말이 나왔다

- 독일의 사례 대해서 한국통일 논의에서 독일통일의 모델이 약의 감초처럼

등장하는 데 독일에 가서 독일 통일 과정을 공부한 한국인들을 제외하면 독일인

독일통일 전문가들은 한국과 독일 여러 가지 여건이 (역사 경제 문화 국제환경)

다르기 때문에 독일통일방법을 모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을 많이 하고 있다

토론자의 생각도 같다 물론 독일과정에서 있었던 일들 중 한국이 배우고 참고로 해야

할 점이 많이 있음은 부인치 않는다 (예 정권교체와 관계없는 일관된 정책의 지속성

같은 것 ndash 발제자는 이를 위해 내각제 개헌을 제안) 독일 통일과 관련된 미국의

이해관계를 소상하게 기술했는데 이 것도 본 발제문 주제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지 않는다

-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에 대해서 해방 이후 미국은 유엔결의문 등을

통해서 평화적으로 한반도에 자유 민주 통일 정부가 수립되기를 바란다 고 언급해 왔고

아버지 부시 클린턴은 ldquo한국국민 (the Korean people) 이 원하는 통일rdquo그리고 아들

부시와 오바마 때와서는 ldquo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체제의 통일rdquo을 지지한다고 공언했다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은 한국 헌법에 부합하지만 북한에 입장에서는

ldquo흡수통일rdquo로 받아 들린다 당연히 북한이 반발한다 2000 년 10월 김정일은 이렇게

말했다 ldquo우리는 제도에 의한 통일은 반대다 평화통일 하면 우리는 우리 식으로

통일하는 것을 말하고 민주 통일은 남조선 원하는 통일이다 평화통일이 되면 중국이

좋아하고 민주통일이 되면 일본이 좋아할 것이다rdquo

1991 년 6월 토론자가 평양에 갔을 때 당시 북한 군축평화 연구 소장 송호경 (후에

아태위 부위원장) 은 이렇게 말했다 ldquo 1민족 1 국가 2 체제 고려연방제는 한쪽이 다른

한쪽을 먹을 수 없는 상태로 공존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상태를 해소할 수 있는

쌍방간의 합의나 체제통일이 없으면 이 상태가 마냥 계속될 수 있다 영구히 갈런지도

모른다rdquo

- 지금까지 미국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한국 통일에 대한 수사적 지지만∙ 했을 뿐

한국통일을 위해 노력한 흔적이 없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현재 미중은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 속에서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각각의 전략적 이익 때문에 한반도에서

무탈 무사 현상유지를 원하고 있다 발제자가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간행물을

인용했는데 토론자는 이 것도 못 마땅하게 생각한다 그 간행물에 관여 한 소위

미국인 전문가들 중에 한국통일 전문가는 별로 없다 Victor Cha가 미국의 거물학자로

여겨지는 것도 못 마땅하다 (나는 이런 것을 미국에 대한 학문적 사대주의 ndash

Academic Sycophancy 라 부른다) 미국문제는 미국인들이 잘 알고 한국문제는

한국인들이 잘 안다 다른 한가지를 지적한다 미국은 지금 한국 통일에 대한

우선순위가 없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북핵 문제도 우선순위를 두지 않고 있다 심지어

17

아시아 재 균형 문제도 이라크와 시리아의 ISIL or ISIS 문제 때문에 신경을 제대로 쓰지

못한다는 우려가 나온다 (Kurt Campbell in Seoul on September 25 2014)

- 통일 이후의 한미동맹 통일에 대한 전망도 아득하지만 그 후의 한미동맹 관계는

더욱 아득하다 통일에 상대가 있듯이 (As W Bush said in Seoul this spring at a

conference hosted by the Chosun Ilbo) 동맹은 전통적으로 군사적인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동맹 이 함께 싸워야 할 상대 (Potential foe or adversary)를 전제로

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중미간의 경쟁이 계속된다면 미국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한미동맹을 아시아 재 균형의 도구로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 입장에서

그것이 그 때가서 한국국익에 맞는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서 발제자가 친절하게 미국의 이익과

우려를 열거했는데 남북이 통일을 원한다면 미국이 자기 이익 때문에 통일을

반대해서도 안되고 한국이 미국의 우려 때문에 할 일을 못하거나 안 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미∙중 사이의 중립 또는 전세계를 상대로 하는 중립이 한국 국익에

합당하고 국민의 다수가 이를 원한다면 한국은 그 길을 택해야 한다

미국의 걱정은 미국에 맡기고 한국은 한국 걱정에 치중해야 한다 걱정은 시대와

환경에 따라서 달라진다

정책건의

- 첫째 황병서 최룡해 김양건 3 인의 인천 방문을 계기로 다음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진일보한 과감한 자세로 이산 가족 524 조치 금강산 관광 등 현안을 타결하고

신뢰프로세스를 부활해야 한다 남측도 구태의 틀에서 벗어나 놀랄만한 자세를 보여야

한다 통근 결단은 북한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 둘째 6자회담 재개 등 북핵문제 해결을 노력을 한국이 주도해야 한다 미중과 함께

한국마저 손 놓고 있는 상태는 더 이상 방관해서는 아니된다

- 셋째 대북정책에 대한 국내 보수 진보간의 시각차이를 융합하여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탈냉전식 통일정책을 개발함으로써 통일준비의 기초를 확립해야 한다

2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김현욱 박사의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을 읽고

국내의 손꼽히는 미국전문가인 김현욱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을 맡게 되어 영광으로

생각한다 김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자의 생각과 비교할 때 공감이 가는 부분이 많다

하지만 김 박사가 다루는 주제가 단순히 미국의 대외정책이나 한미관계가 아니라

lsquo한반도 통일rsquo이라는 점에서 몇 가지 오류가 눈에 띄기 때문에 여기서부터 토론을

시작해야 할 것 같다

I 서론

한middot미 정상이 합의한 통일관련 언급은 「한미동맹 공동비전」(2009616)은

ldquopeaceful reunification on the principles of free democracy and a market

economyrdquo으로 「한미동맹 60주년 공동선언」(201357)은 ldquoits peaceful reunific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denuclearization democracy and a free market

economyrdquo으로 되어 있다 전자의 free democracy는 liberal democracy와 구별되어야

18

하며 후자에는 그냥 democracy로 표기한 의미를 되새길 필요가 있다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o 우리 정부는 lsquo연합제 통일방안rsquo을 지지한 바 없으며 무엇보다 lsquo연합제rsquo는 통일방안이

아니다 또한 우리 정부가 북한과 함께 lsquo74남북공동성명rsquo을 발표하고 lsquo자주 평화

민족대단결rsquo이라는 통일의 대원칙을 발표한 것은 맞으나 그 뒤 lsquo민족대단결rsquo을 삭제하고

lsquo민주rsquo를 넣었다

o 1989년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은 전두환이 아닌 노태우 정부 때 발표된 것이다

o 김대중 대통령이 대통령이 되기 전에 개인적인 통일방안으로 lsquo남북연합제 rarr

공화국연방체 rarr 통일국가rsquo의 3단계를 주장했었으나 대통령이 되고 나서는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수용했다

o 한국의 통일정책의 특징이 ldquo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남한체제를

궁극적인 통일의 상으로 설정하고 있다rdquo고 주장하나 우리 정부의 공식 통일방안인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은 먼저 민족공동체를 만들어가고 나중에 통일국가를 이루되

통일국가의 형태는 미래세대에게 맡긴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2 북한급변사태로 인한 통일

o 북한의 급변상황에 한국이 개입하는 것이 유엔헌장에 위배된다는 지적은 옳다 그런데

아무리 중국이 UN상임이사국이라도 중국 군이 평양까지 진출해 친중 정권을 수립할

근거를 갖고 있는가

o 박휘락 박사의 인용문은 미국이 북한의 WMD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중국의 도움을

받기 위해 중국의 개입을 반대하지 않는다는 의미이지 북한 급변사태가 발생할 때 이를

중국에게 떠맡긴다는 의미는 아닌 것이다

o 필자는 ldquo미∙중 양 강대국이 한반도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고rdquo라고 언급하고 있는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가 있는가

3 남한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하는 방안

o 남북예멘이 통일 후 무력통일로까지 간 것은 사회문화적 유대감의 부족 때문이

아니라 11 대등한 권력분배가 몇 년 뒤 실시된 선거결과에 의해 북예멘에 유리하게

정치지형이 바뀌자 남예멘 측 인사들이 이에 반발해 무력을 동원했다가 진압당한 것이다

o 동독유권자의 9322가 서독으로의 신속한 편입을 주장했다고 언급했는데 이 수치는

투표율이다 조기통일을 주장했던 독일연합의 득표율은 4804 국가연합을 거쳐

점진적 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의 득표율은 2188였고 옛동독공산당이었던

민사당이 164 새로운 사회주의 건설을 내걸었던 연합90이 291였다 그 결과

독일연합과 동독사민당이 연립정부를 구성해 서독과 통일협상에 나섰던 것이다

III 독일 사례와 미국

o 동독 총선거에서 동독주민들이 서독의 정치체제와 정당에 투표하였다고 하였는데

이것이 무슨 말인가 그들은 조기통일(동독기민당 중심 국민연합) 점진통일(동독사민당

민사당) 제3의 길(연합90) 등을 내건 동독정당에 투표했는데 결과적으로 조기통일을

19

주장한 국민연합이 승리하여 점진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과 연립하여 조기 통일을

추진 달성한 것이다

o 독일통일의 상황에서 소련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원조라고 언급하고 있는바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엄밀하게 말한다면 對소련 차관 50억 DM(약 25억 euro) 동독주둔

소련군 36만 명의 철수에 따른 비용 부담 125억 DM(약 64억 euro)이다

IV 미국과 한반도 통일

1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o 미국이 통일과 같은 현상변경보다는 분단이라는 현상유지를 선호한다는 의견에

동감을 표한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의 정확한 출처를 밝혀주었으면 도움이

되겠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o 필자는 lsquo연합제연방제 통일rsquo과 lsquo한국주도의 통일rsquo을 대립적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연방제란 정부구성원리의 하나로서 1국가 2체제(일국양제)만 있는 것이 아니라 1국가

1체제의 연방제도 존재한다 따라서 한국 주도의 통일일지라도 단방제(單邦制) 방식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연방제(聯邦制) 방식이 될 수도 있다

o 통일된 이후가 아니라 전작권 전환 이후에 2013년 한미 양국은 한국군 합참 내에

미래사령부의 구성 계획을 통해 연합지휘체제(한국군 사령관 미군 부사령관)를

구축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o 최근 논의되고 있는 THAAD는 지금도 배치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인가 아니면

통일되면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아니게 되므로 지금 배치했더라도 철수해야 한다는

의미인가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o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우려사안 중 한국 주도의 통일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한미동맹의 약화를 우려한다는 점이 충분히 이해되지 않는다 특히 당장 통일될 것도

아닌데 우려의 근거로 미국의 현실적 상황을 제시한 것들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o 나머지 두 번째 세 번째도 왜 한미동맹이 약화되고 주한미군을 철수하게 될지 하는

원인을 설명하지 않고 그렇다고 전제해 놓고 미국의 대아시아 전략에 미칠 영향과

미∙중 사이의 중립국 지위 유지하는 것은 앞뒤가 바뀐 것이다

V 결론 ndash 정책적 고려사안

o 미국이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했다고 볼 수 있는가 미국이 통일에 대해 처음으로 입장표명을

한 것은 2009년 6월 이명박-부시 대통령의 한미 공동비전이 처음이다 최근 미국

조야의 분위기는 북핵 문제를 풀기 위해 통일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고 오히려 한국

측이 통일에 소극적이라고 질책하기도 하지 않은가

o 중국이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가 통일한국의 핵무기 보유가 아니라

단지 미국의 핵우산 유지를 우려했기 때문인가

o 평화협정이 단지 한국전쟁의 종식만을 위한 것일까 필자가 제시한 첫 번째

20

정책고려사안은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런데 평화협정이

체결되지 않고 정전상태에서 곧바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첫째 우발적 충돌이라도

전쟁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있고 둘째 통일과정에서 정전협정의 당사자인 미국과 중국이

국제법적으로 개입할 가능성이 열려있다

o 본문을 보면 필자는 분단적 평화유지와 평화체제평화협정을 동일시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마저 든다 그리고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다고 했는데 그 근거가 무엇인가 특히 비핵화-평화협정의 순서를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의 입장이 상반된다고 언급했는데 과연 그런가 919공동성명에서 미국과 중국은

동시행동 원칙에 합의한 바 있지 않은가

o 과연 남북한 통일을 위해 내각제가 필요한가는 좀 더 논의해봐야 할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통일을 달성할 때까지는 효율성을 위해 대통령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필자의 주장과 달리 내각제의 경우 잦은 내각교체로 인해 통일정책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수 없는 것 아닌가 lt끝gt

3 문성묵 박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발제문에 대한 논평 우선 김현욱 교수님의 발제문은 한반도 통일의 가능한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독일 사례를 통해 우리의 통일미래를 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접근이라고 봄 특히 남북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매우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제시하고 있는 정책적 제안은 적절하다고 판단되며 대체로 공감함 다만

통일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한 두 가지 추가 제언을 드리고자 함 우선 미국의

우려사항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일한국이 지향하는 한미동맹에 대한 분명한 의지를 미

측에 밝힐 필요가 있음 아울러 통일의 성취를 위해서는 반드시 중국의 협조를

유도해야 하는 바 이를 위해서는 통일한국의 한미동맹이 중국의 국익에도 부합될 수

있다는 논리를 적극 개발하고 중국을 설득하는 노력이 강구되어야 함 이러한 입장을

미국이 중국과 직접 조율해 나가도록 협조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봄 그런 차원에서

본문에서 제시한 한∙미∙중 3자 협의는 유용한 협의기제로 보임

다음은 곽태환원장님께서 제시해 주신 토의중점 주제들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정리하였음

1 한반도 통일을 위해 먼저 극도로 경색된 남북관계부터 풀어나가야 하는데

출구전략은

10월4일 황병서 등 북한고위급인사의 전격 방남으로 대화의 물꼬가 트인 만큼 이달

말 또는 11월초로 예정된 2차 고위급접촉을 통해 남북간 쟁점사항들을 대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풀어나가는 지혜가 필요함

첫째 무엇보다 대화의 지속이 중요함 일회성 대화가 아니라 고위급접촉이든 다른

대화채널이든 대화가 정례화 되는 것 즉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통로는 늘 열려 있어야

할 것임

둘째 사안별 접점 마련이 필요함 즉 상호가 입장차이가 극명한 사안은 일단

21

접어두고 접점 마련이 가능한 사안부터 협의하고 이행을 해 나가는 것임

2 현안이슈인 THAAD 한국배치에 대한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 측면 고려하여 사드

한국배치가 바람직한가 전시작전통제권을 2015년에 받아야 하나 연기 해야 하나

첫째 사드의 한국 배치는 정치적 관점이 아니라 안보적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중국(러시아)과 북한이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있지만 북한위협에 직면한 우리

입장에서는 한미동맹차원에서도 미국의 사드 배치 구상에 협력하는 것이 필요함 따라서

한국과 미국이 중국을 잘 설득할 필요가 있음

둘째 전작권문제 역시 주권 자존심이라는 측면 보다는 국익의 관점에서 판단해야 할

사안임 북 핵문제 등 북한의 위협이 상존하는 현 상황에서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억제력을 확고하게 유지하는 일임 한미연합사는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체제임 따라서 시기에 기초한 접근 보다는 조건에 기초한 접근이 바람직함

3 한반도 통일은 평화적으로 이뤄져야 하는데 남과 북이 합의에 의한 통일이

이뤄지려면 공동통일방안에 대한 합의가 가능한가 6자 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는

평화체제구축은 어떻게 이룰까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통일방안에 대한 남북 간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는 현 상황에서

통일방안부터 협의를 시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봄 우선 대화와 교류확대 등을 통한

화해협력을 추진하면서 향후 북한정권과 체제의 변화가 이루어질 때 통일방안에 대해

본격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함

둘째 핵 문제는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임 이로 인한 무력충돌은

공멸을 의미하기 때문임 따라서 북핵 문제는 우선 강력한 억제로 북핵 사용 자체를

무력화하고 나아가 대화를 통한 외교적 해법을 병행해야 함 즉 6자 회담을 재개하여

919공동성명의 합의정신에 입각하여 풀어나가는 것 이외 다른 적절한 대안은 없어

보임

셋째 평화체제 문제는 6자 회담이 재개되고 북핵 문제에 있어 일정분야 진전이 있을

경우 919 성명에 합의된 별도의 평화포럼을 통해 논의해 나갈 필요가 있음 평화체제는

협정의 체결이 아니라 실질적인 평화상태를 만들어 나가는데 중점을 두고 추진해 나가야

4 4자(미 중 남북한)회담을 통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인가 북이 주장하는 북미간

평화협정이 바람 직 한지 한반도 정전체제를 대체하는 다자 평화체제는 어떤 형태가

바람 직 한가 등

첫째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논의하는 협상은 남북한과 미국 중국이

참여하는 4자회담이 적절하다고 봄 1997~1998년 사이 제네바에서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는 문제를 논의하는 4자회담이 6차례 개최된 바도 있음

둘째 평화체제는 남북간에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미국과 중국이 이를 보장하며 협정은

유엔에 기탁하는 방안이 적절하다고 봄

5 6자 회담을 복원하여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ldquo행동대행동rdquo으로

동시에 해결하자는 제안에 대한 견해는

22

이는 북한이 핵 문제에 대해 한국과 미국 등이 요구하는 수준으로 성의 있는 조치를

취하고 이를 바탕으로 6자회담이 재개된다면 동시에 별도의 포럼을 열어 평화협정

논의를 개시할 수 있을 것임 실질적 평화상태 구축을 위한 남북간 군사적 신뢰구축 및

운용적 군비통제 등을 추진해야 함 평화협정의 체결 시점은 북한 핵이 완전히 폐기되는

시점과 맞추어야 할 것임

6 이러한 통일프로세스에서 과연 미국은 어떤 역할이 바람 직한가

독일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듯이 미국도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함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을 설득하여 한반도 통일에 동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공고한 한미동맹을 유지하여 북한이 변화하도록 유도하며 통일 이후에도 통일한국의

안보환경과 국익에 부합되게 동맹의 형태와 목표 기타 필요한 사항들을 협의하여

합의할 필요가 있음 통일한국이 중국과의 관계에서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는 방법은

미국과의 동맹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생각됨

7 평화적 합의통일방안에 하나의 대안으로 중립화를 통한 한반도 중립화 통일방안에

대한 견해는 미국은 지지 할까 등입니다

중립화 통일방안을 추구한다고 해서 통일이 촉진될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음

중국은 다소 긍정적일지 모르나 우리의 동맹인 미국이 가장 우려하는 사안일 것임 그런

차원에서 중립화 방안은 부적절함 이는 우리 국익이나 안보상 적절치 않은 방안이라고

봄 lt끝gt

4 김준형 박사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교수)

발제 논문에 관한 의견

다음 사항들에서 기본적으로 공감함

한반도통일의 고차방정식에 대한 의미 있는 분석 주변강대국들의 이해관계

특히 통일을 추구함에 있어 미국과 중국의 이해관계를 분석한 부분

냉전붕괴직후 독일의 상황과 당시 미국 및 소련의 입장이 가지는 함의에 대한

분석

북한급변사태가 곧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며 통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북한

주민들의 친한국 성향이나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남북이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

최근 미국이 통일에 대해 기껏해야 소극적 지지입장이며 통일로 인한

한미동맹의 약화가능성에 우려를 가지고 있다는 분석

한미동맹의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치명적이라는 주장도(치명적이라는

표현은 좀 과도한 측면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공감

주변강대국이 한반도통일이 현 동북아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지지하지 않으나 남북한이 원해서 주도적으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반대할 수 없다는

주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사항들에서 문제 제기하고자 함

23

서론에서 밝힌 본문내용 소개가 본문의 실제 내용전개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음 특히 현실적인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를 살펴본다고 했는데 오히려 그간의 남북한

통일안의 한계와 약점을 지적하고 특히 남북한 공히 정치적 통합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진다는 분석 위주임

북한에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 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 미국이 먼저 나서서 개입하지 않을 가능성은

있다 하더라도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해도 미국이 행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는 동의할

수 없음

북한 급변사태의 경우 중국이 자국민 및 재산보호를 명분 삼아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그것이 북중동맹에 의한 자동개입과 UN 상임이사국의

지위를 이용해서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라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려움

북한의 급변사태에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논지와 중국이 북한에 친중 정권을 세울 가능성이 높다는 논지는 자칫 통일보다 동맹을

선택하는 한미동맹 신화론자들의 논리를 강화시킬 수 있는 위험성 내재 박휘락박사가

인용한 미고위당국자의 발언은 context도 다른 것으로 보이고18

한국주도의 통일 역시 한미동맹약화로 이어지고 이는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에

치명적일 것이라고 단정하는 것 역시 같은 식으로 호도될 여지 있음

이 논리가 절대적 친미

보수진영의 동맹강화의 긴급성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논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평화협정이 통일의 전제조건이 아니라는 것에 동의하고 분단적 평화유지에 대한

반대에 동감하지만 평화보다 통일이 우선되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려움

통일을 위해 통일정책의 연속성을 위해 내각제 개헌을 해야 한다는 논리는

지나친 단순화 또는 비약으로 보임

현 정국에 대한 토론자의 견해

지난 7년간의 대북정책 및 통일정책의 한반도의 운명과 관련된 4가지 핵심 변수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① 한미동맹의 근본 성격 변화(대북억지-gt동북아지역군)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을 위해 일본과 한국에 아웃소싱 추진하고 있으며 그 핵심이 지역미사일방어체제

구축

- 전작권환수 시기보다 조건을 우선 고려

- 전작권에 대한 효용성 변화 과거 전략적 유연성은 분담의 차원이었으나 현재는

한미일 군사협력네트워크 통합의 차원으로 변모 따라서 미국이 전작권을 계속 보유하는

것의 효용성이 높아짐(미국의 꽃놀이패)

② 북핵문제의 근본 성격 변화 핵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음

- 미국은 북한에 대한 de facto 보유국 내부적으로 인정19

18 이 발언은 북한의 핵개발 중단 도발가능성 북한개혁 등 중국이 행사할 수 있는 대북 레버리지를 미국이

기대한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됨

19 수년 전 힐러리 클린턴의 발언부터 최근 오바마의 유엔연설 직전에 행한 국가안전보장회의 부의장 벤 로

24

- 발제논문에서 주장하는 통일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미국의 입장과 연결됨

- Permanent crisis 양상 분명 위기이고 해결이 난망한데 아무도 나서서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며 심지어 현 위기국면을 국내정치에 이용하는 측면이 커지는 일종의

북한 핵위기의 default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③ 한반도 통일론의 변화 신뢰프로세스 동평구 통일대박론 드레스덴 선언 등의

많은 제안들이 후속조치 없이 동력을 잃었으며 최근 UN연설에서 재확인되듯이

흡수통일론으로 귀결 남북교류의 제도화 수준은 대단히 높으나 실행수준은 대단히

낮음으로 인해 통일논의에 대한 국민들의 피로감을 확산시키고 이는 국내

안보포퓰리즘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동

④ 북중관계 변화 남북관계의 단절로 인해 긴밀해짐으로 해서 북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하고 있는데 중국의 대북 지분을 향상시켜 유사시 개입의 빌미가 될

가능성이 높음(발제논문도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음-탈북자 관리명분)

미국의 입장에 대한 견해

오바마는 대북정책에 있어 부시 전임정부와는 정반대되는 경향 1기에서의

강경함에서 2기에는 협상무드로 갔던 부시와는 반대로 초기의 온건입장이 시간이

갈수록 강경기조로 넘어가고 있으며 인권압박까지 병행

더 큰 문제는 강경책이든 온건책이든 문제해결을 위한 움직임이 없는 매우

수동적 태도로 일관한다는 것인데 이는 북한문제가 여전히 오바마행정부의

정책우선순위의 상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고 또 북한핵개발

국면을 빌미로 대중국 견제와 미일동맹을 비롯한 아시아동맹네트워크 강화에 활용한다는

것임

오바마의 소위 lsquoDDSSrsquo Doctrine의 근간은 임기 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한반도는 큰 현안 없이 현상유지로 흘러갈 가능성이 큼

미국의 MD 압박 강화될 것임

- 미국이 현재는 한국내 여론을 의식해서 한국정부와 보조를 맞추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MD 편입을 원하고 있기에 압박은 증가할 것임

- 한국과 일본이 참여하는 지역 미사일방어체제 구축은 미국의 아시아재균형전략의

핵심이며 한국의 MD 참여가 중국의 입장에서는 레드라인이지만 미국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한중의 접근을 억제할 수 있는 카드로서의 효용성이 있음

- 한국정부의 태도 변화 사드의 한국도입에 대해 최근에는 수용적 자세로 변화20

미국의 MD 참여 압박에 대해 정부가 진정으로 미국 MD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면 확실한 입장표명을 하거나 공개적으로 국민의 의견을 묻는 것이

필요함(double edge diplomacy 활용)

한국의 과제

즈 발언까지 일관됨 20 10월 7일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한민구장관은 북한 핵middot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사드를 배치하면 우리 안

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함 또한 MD의 핵심 자산을 동원하는 새로운 작전개념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같은 방안을 이달 말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연례 안보협의회에서 공식화할 방침이라고 밝힘

25

남북관계 해결을 위해 한국정부가 선제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시도해야 함

미국이 여러 복잡한 문제로 인해 여유가 없는 상황을 오히려 역이용하는 발상의 전환

필요

미국정부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대북접근에 있어 한미공조 이탈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견제해왔던 것에 비하면 한국의 운신의 폭은 역설적으로 커졌다고 볼 여지

있음 미국이 대북정책에 있어 마땅한 해법도 없고 정책순위는 점점 하락하는 상황에서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주도가 가능할 수도 있음

출구전략

- 6자회담과 919성명의 복원을 통한 문제해결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을 병행

- 524조치에 대한 언급 없이 실질적인 유연화

- 박근혜대통령의 결심이 관건 대화재개조건의 유연화에 대한 한미간 정책조율을

주도할 필요가 있음

5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

한국GPF재단이 주최하는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김현욱 교수께서 발제한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의 주제는 통일을

시급하게 달성해야 하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통일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반세기 이상 한국과 안보동맹을 체결하고 있는 미국의

한반도 통일정책을 논의하는 것은 아주 시의적절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자는 먼저

발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의견을 제시하고 발제자와 토론자 간의 약간의 상이한

견해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하고 곽교수의 질문에 대해 간략하게 답한 후

정책제안의 순서로 기술하고자 합니다

1 발제문에 대한 일반적 평가

발제자의 논문 내용과 접근방법에 대해 토론자는 전적으로 찬성하고 동의합니다

한반도 통일방안의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공감하면서 남북정상이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에 공통점이 있다고 이미 합의하였기

때문에 남북은 장차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 중 하나의 통일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람직한 통일접근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한국이

경계해야 할 것은 발제자도 지적한 바와 같이 북한의 붕괴통일보다는 독일과 같이

평화적 흡수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며 더 좋은 방안은 평화통일을 목표로 하되 점진적

접근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만약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하여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고 가정할 때 한국에게는

lsquo통일의 대박rsquo이 아니라 통일의 쪽박이 될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남북이

평화통일 협상을 통해 점진적 통일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미국의 국가이익과 우려사항에 대한 자세한 분석에 전적으로

동의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많이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서

기대하는 것은 미국의 국익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미국의 대한반도 통일정책이

결정되리라 전망됨으로 통일의 당사자인 남북은 통일의 과정에서 미국의 국익도

고려하면서 남북이 통일의 이니셔티브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6

2 발제 문에 대한 몇 가지 이견

토론자는 발제문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를 하지만 미시적 측면에서 토론자의 이견을

몇 가지 부언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연방제와 연합제를 설명하는 2쪽 문단에서 북한의 연방제를 1980년

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김일성이 발표한 내용을 기준으로 설명했으나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이 한국의 연합제와 좀더 가까운 것은 김일성이 1991년 1월

1일 발표한 lsquo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rsquo이므로 이를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비교분석 하는 것이 좀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980연대 연방제는

남과 북이 lsquo연방상설위원회rsquo를 조직하여 지역정부를 지도하는 중앙정부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1991년의 연방제는 지방정부에 모든 외교권과 군사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국의

연합제 즉 국가연합 형태의 통일방안으로 수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둘째 1991년 북한의 연방제는 남과 북이 어떠한 정치군사적 블록에도 가담하지 않는

중립국가의 외교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남북이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에 공통점을 인정하고 있으나 북한은 연방제가 되었을 때 외교정책은

반드시 비동맹 중립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나 한국은 북한의 그러한 중립정책을

수용하기 어려운 입장이므로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선 듯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셋째 북한의 연방제 실시 조건에서 남한이 수용하기 어려운 또 다른 것은 북한이

주한미군의 철수와 국가보안법을 철폐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장차 남북이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를 실시한다 해도 남한정부의 입장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보안법 철폐는 가장 민감한 문제들이므로 난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끝으로 발제자는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ldquo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케 하고 미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rdquo는 분석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됩니다 미국의 계획에 의하면 lsquo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군은 한국군과

한국인은 북한에 입북하는 것을 금지하고 미군과 일본의 자위대가 북한의 치안을

유지한다rsquo는 주장이 제기되어 이를 확인하고 있습니다(오크랜드 대학교 박문재 박사

주장) 또 다른 주장에 의하면 북한의 급변사태 시 중국군과 미군은 동시에 북한에

상륙하여 일정한 지역을 분할 하여 WMD와 북한 질서를 공동으로 유지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계획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경우 미국에는 분명히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미국의 이익과 우려가 병존하리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어느 것이 미국의 국익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가에 따라 미국의 외교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이며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한반도 정책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과 관련하여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 발제자는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어

대부분의 내용에 동의를 하면서 상이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토론을 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ldquo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으며 2012년 오바마

27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 체제와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통일을 지지했다rdquo는

내용에 대해 미국은 한반도의 통일을 원천적으로 원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토론자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1971년 7월과 2005년 8월 북경에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비밀회담을 갖고 ldquo미국이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양국은 한반도 분단의

현장유지를 계속하자고 합의rdquo한 내용이 미국의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습니다(2005년 9월

7일 Washington Post)

또 다른 예로 한국전쟁을 종결하는 휴전협정 제4조에는 ldquo정전협정 서명 후 3개월

이내에 서명 당사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한다rdquo고 합의했으나 미국은 북한이 핵을 만들기

전에도 북한의 평화협정 요구를 거절해 왔으며 이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해야

평화협정을 체결해 주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의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은 외교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둘째 과거 독일통일의 과정에서 고르바초프는 독일의 중립화를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미국은 통일된 독일이 NATO에 잔류해야 한다는 조건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결국

고르비가 양보하고 미국의 안이 채택되었으나 거기에는 서독이 소련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수용한 대가라고 합니다(주섭일 기자의 『1990년 독일통일과 2017년 한반도

통일』)

셋째 미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문제에 대해 크게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미국은

한반도가 통일이 된 뒤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주한 미군의

역할은 북한의 위협보다는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주한 미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미국의 재

균형정책도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넷째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미국의 동북아시아 국가에 대한 군수산업이 대폭

축소될 것이며 통일된 한반도가 미-중 간에 균형외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대중 견제는 급속하게 감소될 전망입니다

끝으로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은 감소된 반면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되어 미국의

장기적 전략인 미국의 군사비 감축과 국내외 여건으로 주한미군의 유지가 어렵게 될

경우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감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므로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4 한국의 당면 과제

한국은 대북정책의 출구전략으로 10월 3일 북한 실세의 한국방문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려 북한이 필요로 하는 경제지원과 5ㆍ24조치 해제를 전제로 북한의 양보를 얻어 내

남북관계의 출구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한국정부는 미국이 요청한 THAAD

구입이나 배치를 허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남북간의 평화체제 구축은 1단계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기 보다는 남북이 이미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를 비롯하여 6 ㆍ 15선언과 10 ㆍ 4선언의 내용 중 실천이 용이한

문제부터 실천하면서 남북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북한과 미국의

관계에서 미국이 현재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한국은

북한과 먼저 신뢰를 회복한 후 기본합의서에 이미 명시되어 있는 남북한의 불가침조약을

먼저 체결하고 서울과 평양에 대표부를 설치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한반도

28

비핵화를 위해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으로 핵

문제는 북미간의 문제로 유지하면서 남북한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요구를

하면서 남북의 해빙무드를 먼저 조성하는데 한국은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은 현재도 비동맹 중립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북한의 연방제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조심스럽게 중립화 문제를 거론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검토를 해야 할 것입니다

5 정책제안

한반도 주변 4강은 현재 그들의 국가이익과 한반도 통일이 그들에게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한반도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므로 한국정부는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북한에 비핵화 요구보다 협상을 통해 단계적으로 북한이 한국의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제안이나 구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서

북한이 시급하게 원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524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북한의 양보와 협력을 받아 내야 할

것입니다lt끝gt

6 장용석 박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1 통일과 관련하여 발표자의 다음 지적은 매우 중요함

- ① 기능주의적 접근의 한계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 필요성 ② 북한

주민들의 선택이 지닌 중요성과 그에 대한 고려 필요성 ③ 통일 대북정책의 연속성과

북한 리더십 포용을 위한 내각제 개헌의 필요성

2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과 관련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함

- 동서독은 유럽차원에서 NATO와 WTO간 세력균형 이를 바탕으로 한 동서 간

긴장완화와 특히 헬싱키 프로세스와 CSCE 등을 통한 공동안보 틀 구축 등으로 인해

교류협력에서 안보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특히 동독이 경우 패전의

여파겠지만 북한과는 달리 자국의 안보를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음

- 반면 남북을 둘러싼 지역 안보 환경은 미∙중 간의 긴장과 갈등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고 있고 특히 북한의 경우 지정학적 요충지론에 입각하여 자주-존엄-

선군의 기치 하에 핵보유까지 천명하고 비대칭적 전력의 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으로써 동서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교류협력의 직접적인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 따라서 동북아 지역차원에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협력적 안보 틀이나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공존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rArr 이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ldquo작고 쉬운 것부터rdquo 논리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를 외면하는 기능주의의 또 다른 버전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발표자의 평가는

무엇인지

rArr 아울러 평화협정은 평화적 공존의 제도화와 군비통제를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분단관리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게 아닌지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15: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15

제6회 정책포럼 토론문 (무순 제출순서대로 편집)

1 김동현 교수 (고려대 일민국제관계연구원 방문학자 북한대학원대 초빙교수 전 존스

홉킨스 국제대학원 겸임교수 및 방문학자)

총평 한반도 통일을 주제로 창의적인 노력을 보여준 발제자에게 우선 찬사를 보낸다

발제자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 부분이 많이 있지만 김현욱 박사가 과시한 학술적

접근방식과 독창적인 의견들은 높이 평가한다

- 우선 여러 가지 통일 시나리오를 가상하고 그와 관련된 논의를 흥미 있게 전개하지만

지금까지 국제 정치사상 어떤 시나리오가 상정한대로 어느 문제가 해결된 것이 없디

역사에 가정이 없듯이 국제정치의 현실에서 ldquoScenariordquo의 가정도 설 땅이 없다

시나리오를 추구하는 학자들은 바둑놀이를 계속하는 것과 같다 바둑을 둬서 어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지만 두뇌기능을 진척시키고 치매 방지 등 건강에 도움이

되는 정도라고나 할까 학자들의 장기중의 하나는 간단한 문제를 복잡하게 해석하고

신조어를 만들어 내며 독자들을 헷갈리게 하는 재주다

발제자 주장에 대한 토론

- 615 정상선언은 남한의 국가연합 방안과 북한의 느슨한 연방체 간에 공통점이

존재하며 앞으로 ldquo그런 방향으로 (통일을) 추진한다rdquo고 합의 했을 뿐 그 후에 어떻게

정치체제를 통합하겠다는 언급이 없었던 사실을 발제자가 정확하게 지적했다 그러나

당시 한국측 주역들은 연합과 연방단계를 묶어서 Federation 이 아닌 Confederation 의

형식으로 교류와 협력이 무르익는 ldquo사실상의 통일 ndash De Facto or Virtual Unificationrdquo

을 이룬 다음에 완벽한 법적 통일 ndash ldquo De Jure Unificationrdquo 로 간다는 것이다 DJ 의 3

단계가 연합 ndash 연방 ndash 완전통일 이었다면 임동원은 화해 협력 ndash 사실상의 통일인 연합

그 후에 법적 통일의 3 단계였는데 이 점은 615 선언협상과정을 통해서 DJ도 동의

했다는 것이다 (ldquo피스메이커rdquo에서 - 이 통일 과정에 소요 되는 시간을 DJ 는 10 년

김정일은 40mdash50 년으로 예상했다)

- 발제자가 논의한 ldquo급변사태로 인한 통일에 대해서 ldquo급변사태rdquo에 대한 정의는

무엇인가 중국의 개입가능성이 높고 미국의 개입가능성을 낮다고 하는데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논의 되어 온 것 이상의 논리가 없다 미국의

역할을 예측하는 문헌으로 Bruce Klinger 와 Bruce Bennett 의 글을 주석으로 달고

있는데 이 두 사람은 북한의 붕괴를 이념적으로 바라면서 근거가 미약한 붕괴론을

확산 시켜온 인물들이다 다만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남북한이 둘 다 유엔회원국이기

때문에 만약 북한에 권력공백 상태가 생겼을 때 누가 들어 가서 평정 및 관리를 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유엔차원에서는 아직 한 번도 논의된 적이 없는 문제다 유엔 임시

한국위원회에서 대한민국정부 수립에 앞선 선거 감시를 했고 625 때 38 선 이북으로

북진 할 때도 당시 유엔군 사령부는 수복지구에 대한 행정권을 정식으로 한국에 넘기지

않았다

16

- 한국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 하는 방안에 대해서 우선 발제자가 말하는

ldquo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rdquo의 뜻은 우호적 태도 호감 영어로 말하는 Identity

라면 북한 주민들이 ldquo우리는 남한 사람들과 같다rdquo는 뜻인가 정체성이 정치적 동질성을

말한다면 이를 이룩하기 위한 노력이 장기간 섬세하게 선행 되야 할 것이다 예멘의

사례도 학술적인 참고는 되지만 정책상의 참고는 될 것 같지 않다 물론 최종적인

정치 사회 통합은 현재의 정부 방식으로는 통일의 최종적 과제이다 그러나 평화를

보장하는 사실상의 통일 단계에만 돌입해도 궁극적인 통일로 향하는 엄청난 성과가 될

것이다 그래서 통일은 과정이란 말이 나왔다

- 독일의 사례 대해서 한국통일 논의에서 독일통일의 모델이 약의 감초처럼

등장하는 데 독일에 가서 독일 통일 과정을 공부한 한국인들을 제외하면 독일인

독일통일 전문가들은 한국과 독일 여러 가지 여건이 (역사 경제 문화 국제환경)

다르기 때문에 독일통일방법을 모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을 많이 하고 있다

토론자의 생각도 같다 물론 독일과정에서 있었던 일들 중 한국이 배우고 참고로 해야

할 점이 많이 있음은 부인치 않는다 (예 정권교체와 관계없는 일관된 정책의 지속성

같은 것 ndash 발제자는 이를 위해 내각제 개헌을 제안) 독일 통일과 관련된 미국의

이해관계를 소상하게 기술했는데 이 것도 본 발제문 주제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지 않는다

-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에 대해서 해방 이후 미국은 유엔결의문 등을

통해서 평화적으로 한반도에 자유 민주 통일 정부가 수립되기를 바란다 고 언급해 왔고

아버지 부시 클린턴은 ldquo한국국민 (the Korean people) 이 원하는 통일rdquo그리고 아들

부시와 오바마 때와서는 ldquo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체제의 통일rdquo을 지지한다고 공언했다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은 한국 헌법에 부합하지만 북한에 입장에서는

ldquo흡수통일rdquo로 받아 들린다 당연히 북한이 반발한다 2000 년 10월 김정일은 이렇게

말했다 ldquo우리는 제도에 의한 통일은 반대다 평화통일 하면 우리는 우리 식으로

통일하는 것을 말하고 민주 통일은 남조선 원하는 통일이다 평화통일이 되면 중국이

좋아하고 민주통일이 되면 일본이 좋아할 것이다rdquo

1991 년 6월 토론자가 평양에 갔을 때 당시 북한 군축평화 연구 소장 송호경 (후에

아태위 부위원장) 은 이렇게 말했다 ldquo 1민족 1 국가 2 체제 고려연방제는 한쪽이 다른

한쪽을 먹을 수 없는 상태로 공존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상태를 해소할 수 있는

쌍방간의 합의나 체제통일이 없으면 이 상태가 마냥 계속될 수 있다 영구히 갈런지도

모른다rdquo

- 지금까지 미국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한국 통일에 대한 수사적 지지만∙ 했을 뿐

한국통일을 위해 노력한 흔적이 없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현재 미중은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 속에서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각각의 전략적 이익 때문에 한반도에서

무탈 무사 현상유지를 원하고 있다 발제자가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간행물을

인용했는데 토론자는 이 것도 못 마땅하게 생각한다 그 간행물에 관여 한 소위

미국인 전문가들 중에 한국통일 전문가는 별로 없다 Victor Cha가 미국의 거물학자로

여겨지는 것도 못 마땅하다 (나는 이런 것을 미국에 대한 학문적 사대주의 ndash

Academic Sycophancy 라 부른다) 미국문제는 미국인들이 잘 알고 한국문제는

한국인들이 잘 안다 다른 한가지를 지적한다 미국은 지금 한국 통일에 대한

우선순위가 없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북핵 문제도 우선순위를 두지 않고 있다 심지어

17

아시아 재 균형 문제도 이라크와 시리아의 ISIL or ISIS 문제 때문에 신경을 제대로 쓰지

못한다는 우려가 나온다 (Kurt Campbell in Seoul on September 25 2014)

- 통일 이후의 한미동맹 통일에 대한 전망도 아득하지만 그 후의 한미동맹 관계는

더욱 아득하다 통일에 상대가 있듯이 (As W Bush said in Seoul this spring at a

conference hosted by the Chosun Ilbo) 동맹은 전통적으로 군사적인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동맹 이 함께 싸워야 할 상대 (Potential foe or adversary)를 전제로

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중미간의 경쟁이 계속된다면 미국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한미동맹을 아시아 재 균형의 도구로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 입장에서

그것이 그 때가서 한국국익에 맞는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서 발제자가 친절하게 미국의 이익과

우려를 열거했는데 남북이 통일을 원한다면 미국이 자기 이익 때문에 통일을

반대해서도 안되고 한국이 미국의 우려 때문에 할 일을 못하거나 안 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미∙중 사이의 중립 또는 전세계를 상대로 하는 중립이 한국 국익에

합당하고 국민의 다수가 이를 원한다면 한국은 그 길을 택해야 한다

미국의 걱정은 미국에 맡기고 한국은 한국 걱정에 치중해야 한다 걱정은 시대와

환경에 따라서 달라진다

정책건의

- 첫째 황병서 최룡해 김양건 3 인의 인천 방문을 계기로 다음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진일보한 과감한 자세로 이산 가족 524 조치 금강산 관광 등 현안을 타결하고

신뢰프로세스를 부활해야 한다 남측도 구태의 틀에서 벗어나 놀랄만한 자세를 보여야

한다 통근 결단은 북한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 둘째 6자회담 재개 등 북핵문제 해결을 노력을 한국이 주도해야 한다 미중과 함께

한국마저 손 놓고 있는 상태는 더 이상 방관해서는 아니된다

- 셋째 대북정책에 대한 국내 보수 진보간의 시각차이를 융합하여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탈냉전식 통일정책을 개발함으로써 통일준비의 기초를 확립해야 한다

2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김현욱 박사의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을 읽고

국내의 손꼽히는 미국전문가인 김현욱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을 맡게 되어 영광으로

생각한다 김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자의 생각과 비교할 때 공감이 가는 부분이 많다

하지만 김 박사가 다루는 주제가 단순히 미국의 대외정책이나 한미관계가 아니라

lsquo한반도 통일rsquo이라는 점에서 몇 가지 오류가 눈에 띄기 때문에 여기서부터 토론을

시작해야 할 것 같다

I 서론

한middot미 정상이 합의한 통일관련 언급은 「한미동맹 공동비전」(2009616)은

ldquopeaceful reunification on the principles of free democracy and a market

economyrdquo으로 「한미동맹 60주년 공동선언」(201357)은 ldquoits peaceful reunific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denuclearization democracy and a free market

economyrdquo으로 되어 있다 전자의 free democracy는 liberal democracy와 구별되어야

18

하며 후자에는 그냥 democracy로 표기한 의미를 되새길 필요가 있다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o 우리 정부는 lsquo연합제 통일방안rsquo을 지지한 바 없으며 무엇보다 lsquo연합제rsquo는 통일방안이

아니다 또한 우리 정부가 북한과 함께 lsquo74남북공동성명rsquo을 발표하고 lsquo자주 평화

민족대단결rsquo이라는 통일의 대원칙을 발표한 것은 맞으나 그 뒤 lsquo민족대단결rsquo을 삭제하고

lsquo민주rsquo를 넣었다

o 1989년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은 전두환이 아닌 노태우 정부 때 발표된 것이다

o 김대중 대통령이 대통령이 되기 전에 개인적인 통일방안으로 lsquo남북연합제 rarr

공화국연방체 rarr 통일국가rsquo의 3단계를 주장했었으나 대통령이 되고 나서는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수용했다

o 한국의 통일정책의 특징이 ldquo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남한체제를

궁극적인 통일의 상으로 설정하고 있다rdquo고 주장하나 우리 정부의 공식 통일방안인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은 먼저 민족공동체를 만들어가고 나중에 통일국가를 이루되

통일국가의 형태는 미래세대에게 맡긴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2 북한급변사태로 인한 통일

o 북한의 급변상황에 한국이 개입하는 것이 유엔헌장에 위배된다는 지적은 옳다 그런데

아무리 중국이 UN상임이사국이라도 중국 군이 평양까지 진출해 친중 정권을 수립할

근거를 갖고 있는가

o 박휘락 박사의 인용문은 미국이 북한의 WMD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중국의 도움을

받기 위해 중국의 개입을 반대하지 않는다는 의미이지 북한 급변사태가 발생할 때 이를

중국에게 떠맡긴다는 의미는 아닌 것이다

o 필자는 ldquo미∙중 양 강대국이 한반도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고rdquo라고 언급하고 있는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가 있는가

3 남한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하는 방안

o 남북예멘이 통일 후 무력통일로까지 간 것은 사회문화적 유대감의 부족 때문이

아니라 11 대등한 권력분배가 몇 년 뒤 실시된 선거결과에 의해 북예멘에 유리하게

정치지형이 바뀌자 남예멘 측 인사들이 이에 반발해 무력을 동원했다가 진압당한 것이다

o 동독유권자의 9322가 서독으로의 신속한 편입을 주장했다고 언급했는데 이 수치는

투표율이다 조기통일을 주장했던 독일연합의 득표율은 4804 국가연합을 거쳐

점진적 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의 득표율은 2188였고 옛동독공산당이었던

민사당이 164 새로운 사회주의 건설을 내걸었던 연합90이 291였다 그 결과

독일연합과 동독사민당이 연립정부를 구성해 서독과 통일협상에 나섰던 것이다

III 독일 사례와 미국

o 동독 총선거에서 동독주민들이 서독의 정치체제와 정당에 투표하였다고 하였는데

이것이 무슨 말인가 그들은 조기통일(동독기민당 중심 국민연합) 점진통일(동독사민당

민사당) 제3의 길(연합90) 등을 내건 동독정당에 투표했는데 결과적으로 조기통일을

19

주장한 국민연합이 승리하여 점진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과 연립하여 조기 통일을

추진 달성한 것이다

o 독일통일의 상황에서 소련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원조라고 언급하고 있는바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엄밀하게 말한다면 對소련 차관 50억 DM(약 25억 euro) 동독주둔

소련군 36만 명의 철수에 따른 비용 부담 125억 DM(약 64억 euro)이다

IV 미국과 한반도 통일

1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o 미국이 통일과 같은 현상변경보다는 분단이라는 현상유지를 선호한다는 의견에

동감을 표한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의 정확한 출처를 밝혀주었으면 도움이

되겠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o 필자는 lsquo연합제연방제 통일rsquo과 lsquo한국주도의 통일rsquo을 대립적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연방제란 정부구성원리의 하나로서 1국가 2체제(일국양제)만 있는 것이 아니라 1국가

1체제의 연방제도 존재한다 따라서 한국 주도의 통일일지라도 단방제(單邦制) 방식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연방제(聯邦制) 방식이 될 수도 있다

o 통일된 이후가 아니라 전작권 전환 이후에 2013년 한미 양국은 한국군 합참 내에

미래사령부의 구성 계획을 통해 연합지휘체제(한국군 사령관 미군 부사령관)를

구축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o 최근 논의되고 있는 THAAD는 지금도 배치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인가 아니면

통일되면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아니게 되므로 지금 배치했더라도 철수해야 한다는

의미인가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o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우려사안 중 한국 주도의 통일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한미동맹의 약화를 우려한다는 점이 충분히 이해되지 않는다 특히 당장 통일될 것도

아닌데 우려의 근거로 미국의 현실적 상황을 제시한 것들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o 나머지 두 번째 세 번째도 왜 한미동맹이 약화되고 주한미군을 철수하게 될지 하는

원인을 설명하지 않고 그렇다고 전제해 놓고 미국의 대아시아 전략에 미칠 영향과

미∙중 사이의 중립국 지위 유지하는 것은 앞뒤가 바뀐 것이다

V 결론 ndash 정책적 고려사안

o 미국이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했다고 볼 수 있는가 미국이 통일에 대해 처음으로 입장표명을

한 것은 2009년 6월 이명박-부시 대통령의 한미 공동비전이 처음이다 최근 미국

조야의 분위기는 북핵 문제를 풀기 위해 통일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고 오히려 한국

측이 통일에 소극적이라고 질책하기도 하지 않은가

o 중국이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가 통일한국의 핵무기 보유가 아니라

단지 미국의 핵우산 유지를 우려했기 때문인가

o 평화협정이 단지 한국전쟁의 종식만을 위한 것일까 필자가 제시한 첫 번째

20

정책고려사안은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런데 평화협정이

체결되지 않고 정전상태에서 곧바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첫째 우발적 충돌이라도

전쟁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있고 둘째 통일과정에서 정전협정의 당사자인 미국과 중국이

국제법적으로 개입할 가능성이 열려있다

o 본문을 보면 필자는 분단적 평화유지와 평화체제평화협정을 동일시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마저 든다 그리고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다고 했는데 그 근거가 무엇인가 특히 비핵화-평화협정의 순서를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의 입장이 상반된다고 언급했는데 과연 그런가 919공동성명에서 미국과 중국은

동시행동 원칙에 합의한 바 있지 않은가

o 과연 남북한 통일을 위해 내각제가 필요한가는 좀 더 논의해봐야 할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통일을 달성할 때까지는 효율성을 위해 대통령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필자의 주장과 달리 내각제의 경우 잦은 내각교체로 인해 통일정책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수 없는 것 아닌가 lt끝gt

3 문성묵 박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발제문에 대한 논평 우선 김현욱 교수님의 발제문은 한반도 통일의 가능한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독일 사례를 통해 우리의 통일미래를 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접근이라고 봄 특히 남북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매우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제시하고 있는 정책적 제안은 적절하다고 판단되며 대체로 공감함 다만

통일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한 두 가지 추가 제언을 드리고자 함 우선 미국의

우려사항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일한국이 지향하는 한미동맹에 대한 분명한 의지를 미

측에 밝힐 필요가 있음 아울러 통일의 성취를 위해서는 반드시 중국의 협조를

유도해야 하는 바 이를 위해서는 통일한국의 한미동맹이 중국의 국익에도 부합될 수

있다는 논리를 적극 개발하고 중국을 설득하는 노력이 강구되어야 함 이러한 입장을

미국이 중국과 직접 조율해 나가도록 협조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봄 그런 차원에서

본문에서 제시한 한∙미∙중 3자 협의는 유용한 협의기제로 보임

다음은 곽태환원장님께서 제시해 주신 토의중점 주제들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정리하였음

1 한반도 통일을 위해 먼저 극도로 경색된 남북관계부터 풀어나가야 하는데

출구전략은

10월4일 황병서 등 북한고위급인사의 전격 방남으로 대화의 물꼬가 트인 만큼 이달

말 또는 11월초로 예정된 2차 고위급접촉을 통해 남북간 쟁점사항들을 대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풀어나가는 지혜가 필요함

첫째 무엇보다 대화의 지속이 중요함 일회성 대화가 아니라 고위급접촉이든 다른

대화채널이든 대화가 정례화 되는 것 즉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통로는 늘 열려 있어야

할 것임

둘째 사안별 접점 마련이 필요함 즉 상호가 입장차이가 극명한 사안은 일단

21

접어두고 접점 마련이 가능한 사안부터 협의하고 이행을 해 나가는 것임

2 현안이슈인 THAAD 한국배치에 대한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 측면 고려하여 사드

한국배치가 바람직한가 전시작전통제권을 2015년에 받아야 하나 연기 해야 하나

첫째 사드의 한국 배치는 정치적 관점이 아니라 안보적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중국(러시아)과 북한이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있지만 북한위협에 직면한 우리

입장에서는 한미동맹차원에서도 미국의 사드 배치 구상에 협력하는 것이 필요함 따라서

한국과 미국이 중국을 잘 설득할 필요가 있음

둘째 전작권문제 역시 주권 자존심이라는 측면 보다는 국익의 관점에서 판단해야 할

사안임 북 핵문제 등 북한의 위협이 상존하는 현 상황에서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억제력을 확고하게 유지하는 일임 한미연합사는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체제임 따라서 시기에 기초한 접근 보다는 조건에 기초한 접근이 바람직함

3 한반도 통일은 평화적으로 이뤄져야 하는데 남과 북이 합의에 의한 통일이

이뤄지려면 공동통일방안에 대한 합의가 가능한가 6자 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는

평화체제구축은 어떻게 이룰까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통일방안에 대한 남북 간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는 현 상황에서

통일방안부터 협의를 시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봄 우선 대화와 교류확대 등을 통한

화해협력을 추진하면서 향후 북한정권과 체제의 변화가 이루어질 때 통일방안에 대해

본격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함

둘째 핵 문제는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임 이로 인한 무력충돌은

공멸을 의미하기 때문임 따라서 북핵 문제는 우선 강력한 억제로 북핵 사용 자체를

무력화하고 나아가 대화를 통한 외교적 해법을 병행해야 함 즉 6자 회담을 재개하여

919공동성명의 합의정신에 입각하여 풀어나가는 것 이외 다른 적절한 대안은 없어

보임

셋째 평화체제 문제는 6자 회담이 재개되고 북핵 문제에 있어 일정분야 진전이 있을

경우 919 성명에 합의된 별도의 평화포럼을 통해 논의해 나갈 필요가 있음 평화체제는

협정의 체결이 아니라 실질적인 평화상태를 만들어 나가는데 중점을 두고 추진해 나가야

4 4자(미 중 남북한)회담을 통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인가 북이 주장하는 북미간

평화협정이 바람 직 한지 한반도 정전체제를 대체하는 다자 평화체제는 어떤 형태가

바람 직 한가 등

첫째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논의하는 협상은 남북한과 미국 중국이

참여하는 4자회담이 적절하다고 봄 1997~1998년 사이 제네바에서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는 문제를 논의하는 4자회담이 6차례 개최된 바도 있음

둘째 평화체제는 남북간에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미국과 중국이 이를 보장하며 협정은

유엔에 기탁하는 방안이 적절하다고 봄

5 6자 회담을 복원하여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ldquo행동대행동rdquo으로

동시에 해결하자는 제안에 대한 견해는

22

이는 북한이 핵 문제에 대해 한국과 미국 등이 요구하는 수준으로 성의 있는 조치를

취하고 이를 바탕으로 6자회담이 재개된다면 동시에 별도의 포럼을 열어 평화협정

논의를 개시할 수 있을 것임 실질적 평화상태 구축을 위한 남북간 군사적 신뢰구축 및

운용적 군비통제 등을 추진해야 함 평화협정의 체결 시점은 북한 핵이 완전히 폐기되는

시점과 맞추어야 할 것임

6 이러한 통일프로세스에서 과연 미국은 어떤 역할이 바람 직한가

독일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듯이 미국도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함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을 설득하여 한반도 통일에 동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공고한 한미동맹을 유지하여 북한이 변화하도록 유도하며 통일 이후에도 통일한국의

안보환경과 국익에 부합되게 동맹의 형태와 목표 기타 필요한 사항들을 협의하여

합의할 필요가 있음 통일한국이 중국과의 관계에서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는 방법은

미국과의 동맹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생각됨

7 평화적 합의통일방안에 하나의 대안으로 중립화를 통한 한반도 중립화 통일방안에

대한 견해는 미국은 지지 할까 등입니다

중립화 통일방안을 추구한다고 해서 통일이 촉진될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음

중국은 다소 긍정적일지 모르나 우리의 동맹인 미국이 가장 우려하는 사안일 것임 그런

차원에서 중립화 방안은 부적절함 이는 우리 국익이나 안보상 적절치 않은 방안이라고

봄 lt끝gt

4 김준형 박사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교수)

발제 논문에 관한 의견

다음 사항들에서 기본적으로 공감함

한반도통일의 고차방정식에 대한 의미 있는 분석 주변강대국들의 이해관계

특히 통일을 추구함에 있어 미국과 중국의 이해관계를 분석한 부분

냉전붕괴직후 독일의 상황과 당시 미국 및 소련의 입장이 가지는 함의에 대한

분석

북한급변사태가 곧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며 통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북한

주민들의 친한국 성향이나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남북이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

최근 미국이 통일에 대해 기껏해야 소극적 지지입장이며 통일로 인한

한미동맹의 약화가능성에 우려를 가지고 있다는 분석

한미동맹의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치명적이라는 주장도(치명적이라는

표현은 좀 과도한 측면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공감

주변강대국이 한반도통일이 현 동북아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지지하지 않으나 남북한이 원해서 주도적으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반대할 수 없다는

주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사항들에서 문제 제기하고자 함

23

서론에서 밝힌 본문내용 소개가 본문의 실제 내용전개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음 특히 현실적인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를 살펴본다고 했는데 오히려 그간의 남북한

통일안의 한계와 약점을 지적하고 특히 남북한 공히 정치적 통합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진다는 분석 위주임

북한에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 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 미국이 먼저 나서서 개입하지 않을 가능성은

있다 하더라도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해도 미국이 행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는 동의할

수 없음

북한 급변사태의 경우 중국이 자국민 및 재산보호를 명분 삼아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그것이 북중동맹에 의한 자동개입과 UN 상임이사국의

지위를 이용해서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라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려움

북한의 급변사태에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논지와 중국이 북한에 친중 정권을 세울 가능성이 높다는 논지는 자칫 통일보다 동맹을

선택하는 한미동맹 신화론자들의 논리를 강화시킬 수 있는 위험성 내재 박휘락박사가

인용한 미고위당국자의 발언은 context도 다른 것으로 보이고18

한국주도의 통일 역시 한미동맹약화로 이어지고 이는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에

치명적일 것이라고 단정하는 것 역시 같은 식으로 호도될 여지 있음

이 논리가 절대적 친미

보수진영의 동맹강화의 긴급성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논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평화협정이 통일의 전제조건이 아니라는 것에 동의하고 분단적 평화유지에 대한

반대에 동감하지만 평화보다 통일이 우선되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려움

통일을 위해 통일정책의 연속성을 위해 내각제 개헌을 해야 한다는 논리는

지나친 단순화 또는 비약으로 보임

현 정국에 대한 토론자의 견해

지난 7년간의 대북정책 및 통일정책의 한반도의 운명과 관련된 4가지 핵심 변수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① 한미동맹의 근본 성격 변화(대북억지-gt동북아지역군)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을 위해 일본과 한국에 아웃소싱 추진하고 있으며 그 핵심이 지역미사일방어체제

구축

- 전작권환수 시기보다 조건을 우선 고려

- 전작권에 대한 효용성 변화 과거 전략적 유연성은 분담의 차원이었으나 현재는

한미일 군사협력네트워크 통합의 차원으로 변모 따라서 미국이 전작권을 계속 보유하는

것의 효용성이 높아짐(미국의 꽃놀이패)

② 북핵문제의 근본 성격 변화 핵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음

- 미국은 북한에 대한 de facto 보유국 내부적으로 인정19

18 이 발언은 북한의 핵개발 중단 도발가능성 북한개혁 등 중국이 행사할 수 있는 대북 레버리지를 미국이

기대한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됨

19 수년 전 힐러리 클린턴의 발언부터 최근 오바마의 유엔연설 직전에 행한 국가안전보장회의 부의장 벤 로

24

- 발제논문에서 주장하는 통일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미국의 입장과 연결됨

- Permanent crisis 양상 분명 위기이고 해결이 난망한데 아무도 나서서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며 심지어 현 위기국면을 국내정치에 이용하는 측면이 커지는 일종의

북한 핵위기의 default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③ 한반도 통일론의 변화 신뢰프로세스 동평구 통일대박론 드레스덴 선언 등의

많은 제안들이 후속조치 없이 동력을 잃었으며 최근 UN연설에서 재확인되듯이

흡수통일론으로 귀결 남북교류의 제도화 수준은 대단히 높으나 실행수준은 대단히

낮음으로 인해 통일논의에 대한 국민들의 피로감을 확산시키고 이는 국내

안보포퓰리즘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동

④ 북중관계 변화 남북관계의 단절로 인해 긴밀해짐으로 해서 북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하고 있는데 중국의 대북 지분을 향상시켜 유사시 개입의 빌미가 될

가능성이 높음(발제논문도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음-탈북자 관리명분)

미국의 입장에 대한 견해

오바마는 대북정책에 있어 부시 전임정부와는 정반대되는 경향 1기에서의

강경함에서 2기에는 협상무드로 갔던 부시와는 반대로 초기의 온건입장이 시간이

갈수록 강경기조로 넘어가고 있으며 인권압박까지 병행

더 큰 문제는 강경책이든 온건책이든 문제해결을 위한 움직임이 없는 매우

수동적 태도로 일관한다는 것인데 이는 북한문제가 여전히 오바마행정부의

정책우선순위의 상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고 또 북한핵개발

국면을 빌미로 대중국 견제와 미일동맹을 비롯한 아시아동맹네트워크 강화에 활용한다는

것임

오바마의 소위 lsquoDDSSrsquo Doctrine의 근간은 임기 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한반도는 큰 현안 없이 현상유지로 흘러갈 가능성이 큼

미국의 MD 압박 강화될 것임

- 미국이 현재는 한국내 여론을 의식해서 한국정부와 보조를 맞추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MD 편입을 원하고 있기에 압박은 증가할 것임

- 한국과 일본이 참여하는 지역 미사일방어체제 구축은 미국의 아시아재균형전략의

핵심이며 한국의 MD 참여가 중국의 입장에서는 레드라인이지만 미국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한중의 접근을 억제할 수 있는 카드로서의 효용성이 있음

- 한국정부의 태도 변화 사드의 한국도입에 대해 최근에는 수용적 자세로 변화20

미국의 MD 참여 압박에 대해 정부가 진정으로 미국 MD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면 확실한 입장표명을 하거나 공개적으로 국민의 의견을 묻는 것이

필요함(double edge diplomacy 활용)

한국의 과제

즈 발언까지 일관됨 20 10월 7일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한민구장관은 북한 핵middot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사드를 배치하면 우리 안

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함 또한 MD의 핵심 자산을 동원하는 새로운 작전개념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같은 방안을 이달 말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연례 안보협의회에서 공식화할 방침이라고 밝힘

25

남북관계 해결을 위해 한국정부가 선제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시도해야 함

미국이 여러 복잡한 문제로 인해 여유가 없는 상황을 오히려 역이용하는 발상의 전환

필요

미국정부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대북접근에 있어 한미공조 이탈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견제해왔던 것에 비하면 한국의 운신의 폭은 역설적으로 커졌다고 볼 여지

있음 미국이 대북정책에 있어 마땅한 해법도 없고 정책순위는 점점 하락하는 상황에서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주도가 가능할 수도 있음

출구전략

- 6자회담과 919성명의 복원을 통한 문제해결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을 병행

- 524조치에 대한 언급 없이 실질적인 유연화

- 박근혜대통령의 결심이 관건 대화재개조건의 유연화에 대한 한미간 정책조율을

주도할 필요가 있음

5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

한국GPF재단이 주최하는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김현욱 교수께서 발제한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의 주제는 통일을

시급하게 달성해야 하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통일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반세기 이상 한국과 안보동맹을 체결하고 있는 미국의

한반도 통일정책을 논의하는 것은 아주 시의적절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자는 먼저

발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의견을 제시하고 발제자와 토론자 간의 약간의 상이한

견해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하고 곽교수의 질문에 대해 간략하게 답한 후

정책제안의 순서로 기술하고자 합니다

1 발제문에 대한 일반적 평가

발제자의 논문 내용과 접근방법에 대해 토론자는 전적으로 찬성하고 동의합니다

한반도 통일방안의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공감하면서 남북정상이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에 공통점이 있다고 이미 합의하였기

때문에 남북은 장차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 중 하나의 통일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람직한 통일접근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한국이

경계해야 할 것은 발제자도 지적한 바와 같이 북한의 붕괴통일보다는 독일과 같이

평화적 흡수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며 더 좋은 방안은 평화통일을 목표로 하되 점진적

접근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만약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하여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고 가정할 때 한국에게는

lsquo통일의 대박rsquo이 아니라 통일의 쪽박이 될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남북이

평화통일 협상을 통해 점진적 통일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미국의 국가이익과 우려사항에 대한 자세한 분석에 전적으로

동의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많이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서

기대하는 것은 미국의 국익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미국의 대한반도 통일정책이

결정되리라 전망됨으로 통일의 당사자인 남북은 통일의 과정에서 미국의 국익도

고려하면서 남북이 통일의 이니셔티브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6

2 발제 문에 대한 몇 가지 이견

토론자는 발제문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를 하지만 미시적 측면에서 토론자의 이견을

몇 가지 부언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연방제와 연합제를 설명하는 2쪽 문단에서 북한의 연방제를 1980년

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김일성이 발표한 내용을 기준으로 설명했으나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이 한국의 연합제와 좀더 가까운 것은 김일성이 1991년 1월

1일 발표한 lsquo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rsquo이므로 이를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비교분석 하는 것이 좀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980연대 연방제는

남과 북이 lsquo연방상설위원회rsquo를 조직하여 지역정부를 지도하는 중앙정부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1991년의 연방제는 지방정부에 모든 외교권과 군사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국의

연합제 즉 국가연합 형태의 통일방안으로 수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둘째 1991년 북한의 연방제는 남과 북이 어떠한 정치군사적 블록에도 가담하지 않는

중립국가의 외교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남북이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에 공통점을 인정하고 있으나 북한은 연방제가 되었을 때 외교정책은

반드시 비동맹 중립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나 한국은 북한의 그러한 중립정책을

수용하기 어려운 입장이므로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선 듯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셋째 북한의 연방제 실시 조건에서 남한이 수용하기 어려운 또 다른 것은 북한이

주한미군의 철수와 국가보안법을 철폐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장차 남북이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를 실시한다 해도 남한정부의 입장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보안법 철폐는 가장 민감한 문제들이므로 난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끝으로 발제자는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ldquo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케 하고 미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rdquo는 분석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됩니다 미국의 계획에 의하면 lsquo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군은 한국군과

한국인은 북한에 입북하는 것을 금지하고 미군과 일본의 자위대가 북한의 치안을

유지한다rsquo는 주장이 제기되어 이를 확인하고 있습니다(오크랜드 대학교 박문재 박사

주장) 또 다른 주장에 의하면 북한의 급변사태 시 중국군과 미군은 동시에 북한에

상륙하여 일정한 지역을 분할 하여 WMD와 북한 질서를 공동으로 유지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계획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경우 미국에는 분명히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미국의 이익과 우려가 병존하리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어느 것이 미국의 국익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가에 따라 미국의 외교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이며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한반도 정책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과 관련하여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 발제자는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어

대부분의 내용에 동의를 하면서 상이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토론을 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ldquo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으며 2012년 오바마

27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 체제와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통일을 지지했다rdquo는

내용에 대해 미국은 한반도의 통일을 원천적으로 원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토론자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1971년 7월과 2005년 8월 북경에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비밀회담을 갖고 ldquo미국이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양국은 한반도 분단의

현장유지를 계속하자고 합의rdquo한 내용이 미국의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습니다(2005년 9월

7일 Washington Post)

또 다른 예로 한국전쟁을 종결하는 휴전협정 제4조에는 ldquo정전협정 서명 후 3개월

이내에 서명 당사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한다rdquo고 합의했으나 미국은 북한이 핵을 만들기

전에도 북한의 평화협정 요구를 거절해 왔으며 이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해야

평화협정을 체결해 주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의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은 외교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둘째 과거 독일통일의 과정에서 고르바초프는 독일의 중립화를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미국은 통일된 독일이 NATO에 잔류해야 한다는 조건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결국

고르비가 양보하고 미국의 안이 채택되었으나 거기에는 서독이 소련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수용한 대가라고 합니다(주섭일 기자의 『1990년 독일통일과 2017년 한반도

통일』)

셋째 미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문제에 대해 크게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미국은

한반도가 통일이 된 뒤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주한 미군의

역할은 북한의 위협보다는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주한 미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미국의 재

균형정책도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넷째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미국의 동북아시아 국가에 대한 군수산업이 대폭

축소될 것이며 통일된 한반도가 미-중 간에 균형외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대중 견제는 급속하게 감소될 전망입니다

끝으로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은 감소된 반면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되어 미국의

장기적 전략인 미국의 군사비 감축과 국내외 여건으로 주한미군의 유지가 어렵게 될

경우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감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므로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4 한국의 당면 과제

한국은 대북정책의 출구전략으로 10월 3일 북한 실세의 한국방문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려 북한이 필요로 하는 경제지원과 5ㆍ24조치 해제를 전제로 북한의 양보를 얻어 내

남북관계의 출구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한국정부는 미국이 요청한 THAAD

구입이나 배치를 허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남북간의 평화체제 구축은 1단계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기 보다는 남북이 이미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를 비롯하여 6 ㆍ 15선언과 10 ㆍ 4선언의 내용 중 실천이 용이한

문제부터 실천하면서 남북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북한과 미국의

관계에서 미국이 현재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한국은

북한과 먼저 신뢰를 회복한 후 기본합의서에 이미 명시되어 있는 남북한의 불가침조약을

먼저 체결하고 서울과 평양에 대표부를 설치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한반도

28

비핵화를 위해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으로 핵

문제는 북미간의 문제로 유지하면서 남북한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요구를

하면서 남북의 해빙무드를 먼저 조성하는데 한국은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은 현재도 비동맹 중립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북한의 연방제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조심스럽게 중립화 문제를 거론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검토를 해야 할 것입니다

5 정책제안

한반도 주변 4강은 현재 그들의 국가이익과 한반도 통일이 그들에게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한반도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므로 한국정부는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북한에 비핵화 요구보다 협상을 통해 단계적으로 북한이 한국의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제안이나 구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서

북한이 시급하게 원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524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북한의 양보와 협력을 받아 내야 할

것입니다lt끝gt

6 장용석 박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1 통일과 관련하여 발표자의 다음 지적은 매우 중요함

- ① 기능주의적 접근의 한계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 필요성 ② 북한

주민들의 선택이 지닌 중요성과 그에 대한 고려 필요성 ③ 통일 대북정책의 연속성과

북한 리더십 포용을 위한 내각제 개헌의 필요성

2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과 관련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함

- 동서독은 유럽차원에서 NATO와 WTO간 세력균형 이를 바탕으로 한 동서 간

긴장완화와 특히 헬싱키 프로세스와 CSCE 등을 통한 공동안보 틀 구축 등으로 인해

교류협력에서 안보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특히 동독이 경우 패전의

여파겠지만 북한과는 달리 자국의 안보를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음

- 반면 남북을 둘러싼 지역 안보 환경은 미∙중 간의 긴장과 갈등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고 있고 특히 북한의 경우 지정학적 요충지론에 입각하여 자주-존엄-

선군의 기치 하에 핵보유까지 천명하고 비대칭적 전력의 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으로써 동서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교류협력의 직접적인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 따라서 동북아 지역차원에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협력적 안보 틀이나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공존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rArr 이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ldquo작고 쉬운 것부터rdquo 논리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를 외면하는 기능주의의 또 다른 버전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발표자의 평가는

무엇인지

rArr 아울러 평화협정은 평화적 공존의 제도화와 군비통제를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분단관리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게 아닌지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16: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16

- 한국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 하는 방안에 대해서 우선 발제자가 말하는

ldquo남한의 체제에 우호적인 정체성rdquo의 뜻은 우호적 태도 호감 영어로 말하는 Identity

라면 북한 주민들이 ldquo우리는 남한 사람들과 같다rdquo는 뜻인가 정체성이 정치적 동질성을

말한다면 이를 이룩하기 위한 노력이 장기간 섬세하게 선행 되야 할 것이다 예멘의

사례도 학술적인 참고는 되지만 정책상의 참고는 될 것 같지 않다 물론 최종적인

정치 사회 통합은 현재의 정부 방식으로는 통일의 최종적 과제이다 그러나 평화를

보장하는 사실상의 통일 단계에만 돌입해도 궁극적인 통일로 향하는 엄청난 성과가 될

것이다 그래서 통일은 과정이란 말이 나왔다

- 독일의 사례 대해서 한국통일 논의에서 독일통일의 모델이 약의 감초처럼

등장하는 데 독일에 가서 독일 통일 과정을 공부한 한국인들을 제외하면 독일인

독일통일 전문가들은 한국과 독일 여러 가지 여건이 (역사 경제 문화 국제환경)

다르기 때문에 독일통일방법을 모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을 많이 하고 있다

토론자의 생각도 같다 물론 독일과정에서 있었던 일들 중 한국이 배우고 참고로 해야

할 점이 많이 있음은 부인치 않는다 (예 정권교체와 관계없는 일관된 정책의 지속성

같은 것 ndash 발제자는 이를 위해 내각제 개헌을 제안) 독일 통일과 관련된 미국의

이해관계를 소상하게 기술했는데 이 것도 본 발제문 주제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지 않는다

-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에 대해서 해방 이후 미국은 유엔결의문 등을

통해서 평화적으로 한반도에 자유 민주 통일 정부가 수립되기를 바란다 고 언급해 왔고

아버지 부시 클린턴은 ldquo한국국민 (the Korean people) 이 원하는 통일rdquo그리고 아들

부시와 오바마 때와서는 ldquo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체제의 통일rdquo을 지지한다고 공언했다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은 한국 헌법에 부합하지만 북한에 입장에서는

ldquo흡수통일rdquo로 받아 들린다 당연히 북한이 반발한다 2000 년 10월 김정일은 이렇게

말했다 ldquo우리는 제도에 의한 통일은 반대다 평화통일 하면 우리는 우리 식으로

통일하는 것을 말하고 민주 통일은 남조선 원하는 통일이다 평화통일이 되면 중국이

좋아하고 민주통일이 되면 일본이 좋아할 것이다rdquo

1991 년 6월 토론자가 평양에 갔을 때 당시 북한 군축평화 연구 소장 송호경 (후에

아태위 부위원장) 은 이렇게 말했다 ldquo 1민족 1 국가 2 체제 고려연방제는 한쪽이 다른

한쪽을 먹을 수 없는 상태로 공존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상태를 해소할 수 있는

쌍방간의 합의나 체제통일이 없으면 이 상태가 마냥 계속될 수 있다 영구히 갈런지도

모른다rdquo

- 지금까지 미국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한국 통일에 대한 수사적 지지만∙ 했을 뿐

한국통일을 위해 노력한 흔적이 없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현재 미중은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 속에서 발제자가 지적한 것처럼 각각의 전략적 이익 때문에 한반도에서

무탈 무사 현상유지를 원하고 있다 발제자가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간행물을

인용했는데 토론자는 이 것도 못 마땅하게 생각한다 그 간행물에 관여 한 소위

미국인 전문가들 중에 한국통일 전문가는 별로 없다 Victor Cha가 미국의 거물학자로

여겨지는 것도 못 마땅하다 (나는 이런 것을 미국에 대한 학문적 사대주의 ndash

Academic Sycophancy 라 부른다) 미국문제는 미국인들이 잘 알고 한국문제는

한국인들이 잘 안다 다른 한가지를 지적한다 미국은 지금 한국 통일에 대한

우선순위가 없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북핵 문제도 우선순위를 두지 않고 있다 심지어

17

아시아 재 균형 문제도 이라크와 시리아의 ISIL or ISIS 문제 때문에 신경을 제대로 쓰지

못한다는 우려가 나온다 (Kurt Campbell in Seoul on September 25 2014)

- 통일 이후의 한미동맹 통일에 대한 전망도 아득하지만 그 후의 한미동맹 관계는

더욱 아득하다 통일에 상대가 있듯이 (As W Bush said in Seoul this spring at a

conference hosted by the Chosun Ilbo) 동맹은 전통적으로 군사적인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동맹 이 함께 싸워야 할 상대 (Potential foe or adversary)를 전제로

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중미간의 경쟁이 계속된다면 미국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한미동맹을 아시아 재 균형의 도구로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 입장에서

그것이 그 때가서 한국국익에 맞는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서 발제자가 친절하게 미국의 이익과

우려를 열거했는데 남북이 통일을 원한다면 미국이 자기 이익 때문에 통일을

반대해서도 안되고 한국이 미국의 우려 때문에 할 일을 못하거나 안 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미∙중 사이의 중립 또는 전세계를 상대로 하는 중립이 한국 국익에

합당하고 국민의 다수가 이를 원한다면 한국은 그 길을 택해야 한다

미국의 걱정은 미국에 맡기고 한국은 한국 걱정에 치중해야 한다 걱정은 시대와

환경에 따라서 달라진다

정책건의

- 첫째 황병서 최룡해 김양건 3 인의 인천 방문을 계기로 다음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진일보한 과감한 자세로 이산 가족 524 조치 금강산 관광 등 현안을 타결하고

신뢰프로세스를 부활해야 한다 남측도 구태의 틀에서 벗어나 놀랄만한 자세를 보여야

한다 통근 결단은 북한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 둘째 6자회담 재개 등 북핵문제 해결을 노력을 한국이 주도해야 한다 미중과 함께

한국마저 손 놓고 있는 상태는 더 이상 방관해서는 아니된다

- 셋째 대북정책에 대한 국내 보수 진보간의 시각차이를 융합하여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탈냉전식 통일정책을 개발함으로써 통일준비의 기초를 확립해야 한다

2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김현욱 박사의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을 읽고

국내의 손꼽히는 미국전문가인 김현욱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을 맡게 되어 영광으로

생각한다 김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자의 생각과 비교할 때 공감이 가는 부분이 많다

하지만 김 박사가 다루는 주제가 단순히 미국의 대외정책이나 한미관계가 아니라

lsquo한반도 통일rsquo이라는 점에서 몇 가지 오류가 눈에 띄기 때문에 여기서부터 토론을

시작해야 할 것 같다

I 서론

한middot미 정상이 합의한 통일관련 언급은 「한미동맹 공동비전」(2009616)은

ldquopeaceful reunification on the principles of free democracy and a market

economyrdquo으로 「한미동맹 60주년 공동선언」(201357)은 ldquoits peaceful reunific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denuclearization democracy and a free market

economyrdquo으로 되어 있다 전자의 free democracy는 liberal democracy와 구별되어야

18

하며 후자에는 그냥 democracy로 표기한 의미를 되새길 필요가 있다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o 우리 정부는 lsquo연합제 통일방안rsquo을 지지한 바 없으며 무엇보다 lsquo연합제rsquo는 통일방안이

아니다 또한 우리 정부가 북한과 함께 lsquo74남북공동성명rsquo을 발표하고 lsquo자주 평화

민족대단결rsquo이라는 통일의 대원칙을 발표한 것은 맞으나 그 뒤 lsquo민족대단결rsquo을 삭제하고

lsquo민주rsquo를 넣었다

o 1989년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은 전두환이 아닌 노태우 정부 때 발표된 것이다

o 김대중 대통령이 대통령이 되기 전에 개인적인 통일방안으로 lsquo남북연합제 rarr

공화국연방체 rarr 통일국가rsquo의 3단계를 주장했었으나 대통령이 되고 나서는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수용했다

o 한국의 통일정책의 특징이 ldquo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남한체제를

궁극적인 통일의 상으로 설정하고 있다rdquo고 주장하나 우리 정부의 공식 통일방안인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은 먼저 민족공동체를 만들어가고 나중에 통일국가를 이루되

통일국가의 형태는 미래세대에게 맡긴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2 북한급변사태로 인한 통일

o 북한의 급변상황에 한국이 개입하는 것이 유엔헌장에 위배된다는 지적은 옳다 그런데

아무리 중국이 UN상임이사국이라도 중국 군이 평양까지 진출해 친중 정권을 수립할

근거를 갖고 있는가

o 박휘락 박사의 인용문은 미국이 북한의 WMD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중국의 도움을

받기 위해 중국의 개입을 반대하지 않는다는 의미이지 북한 급변사태가 발생할 때 이를

중국에게 떠맡긴다는 의미는 아닌 것이다

o 필자는 ldquo미∙중 양 강대국이 한반도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고rdquo라고 언급하고 있는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가 있는가

3 남한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하는 방안

o 남북예멘이 통일 후 무력통일로까지 간 것은 사회문화적 유대감의 부족 때문이

아니라 11 대등한 권력분배가 몇 년 뒤 실시된 선거결과에 의해 북예멘에 유리하게

정치지형이 바뀌자 남예멘 측 인사들이 이에 반발해 무력을 동원했다가 진압당한 것이다

o 동독유권자의 9322가 서독으로의 신속한 편입을 주장했다고 언급했는데 이 수치는

투표율이다 조기통일을 주장했던 독일연합의 득표율은 4804 국가연합을 거쳐

점진적 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의 득표율은 2188였고 옛동독공산당이었던

민사당이 164 새로운 사회주의 건설을 내걸었던 연합90이 291였다 그 결과

독일연합과 동독사민당이 연립정부를 구성해 서독과 통일협상에 나섰던 것이다

III 독일 사례와 미국

o 동독 총선거에서 동독주민들이 서독의 정치체제와 정당에 투표하였다고 하였는데

이것이 무슨 말인가 그들은 조기통일(동독기민당 중심 국민연합) 점진통일(동독사민당

민사당) 제3의 길(연합90) 등을 내건 동독정당에 투표했는데 결과적으로 조기통일을

19

주장한 국민연합이 승리하여 점진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과 연립하여 조기 통일을

추진 달성한 것이다

o 독일통일의 상황에서 소련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원조라고 언급하고 있는바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엄밀하게 말한다면 對소련 차관 50억 DM(약 25억 euro) 동독주둔

소련군 36만 명의 철수에 따른 비용 부담 125억 DM(약 64억 euro)이다

IV 미국과 한반도 통일

1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o 미국이 통일과 같은 현상변경보다는 분단이라는 현상유지를 선호한다는 의견에

동감을 표한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의 정확한 출처를 밝혀주었으면 도움이

되겠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o 필자는 lsquo연합제연방제 통일rsquo과 lsquo한국주도의 통일rsquo을 대립적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연방제란 정부구성원리의 하나로서 1국가 2체제(일국양제)만 있는 것이 아니라 1국가

1체제의 연방제도 존재한다 따라서 한국 주도의 통일일지라도 단방제(單邦制) 방식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연방제(聯邦制) 방식이 될 수도 있다

o 통일된 이후가 아니라 전작권 전환 이후에 2013년 한미 양국은 한국군 합참 내에

미래사령부의 구성 계획을 통해 연합지휘체제(한국군 사령관 미군 부사령관)를

구축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o 최근 논의되고 있는 THAAD는 지금도 배치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인가 아니면

통일되면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아니게 되므로 지금 배치했더라도 철수해야 한다는

의미인가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o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우려사안 중 한국 주도의 통일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한미동맹의 약화를 우려한다는 점이 충분히 이해되지 않는다 특히 당장 통일될 것도

아닌데 우려의 근거로 미국의 현실적 상황을 제시한 것들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o 나머지 두 번째 세 번째도 왜 한미동맹이 약화되고 주한미군을 철수하게 될지 하는

원인을 설명하지 않고 그렇다고 전제해 놓고 미국의 대아시아 전략에 미칠 영향과

미∙중 사이의 중립국 지위 유지하는 것은 앞뒤가 바뀐 것이다

V 결론 ndash 정책적 고려사안

o 미국이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했다고 볼 수 있는가 미국이 통일에 대해 처음으로 입장표명을

한 것은 2009년 6월 이명박-부시 대통령의 한미 공동비전이 처음이다 최근 미국

조야의 분위기는 북핵 문제를 풀기 위해 통일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고 오히려 한국

측이 통일에 소극적이라고 질책하기도 하지 않은가

o 중국이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가 통일한국의 핵무기 보유가 아니라

단지 미국의 핵우산 유지를 우려했기 때문인가

o 평화협정이 단지 한국전쟁의 종식만을 위한 것일까 필자가 제시한 첫 번째

20

정책고려사안은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런데 평화협정이

체결되지 않고 정전상태에서 곧바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첫째 우발적 충돌이라도

전쟁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있고 둘째 통일과정에서 정전협정의 당사자인 미국과 중국이

국제법적으로 개입할 가능성이 열려있다

o 본문을 보면 필자는 분단적 평화유지와 평화체제평화협정을 동일시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마저 든다 그리고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다고 했는데 그 근거가 무엇인가 특히 비핵화-평화협정의 순서를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의 입장이 상반된다고 언급했는데 과연 그런가 919공동성명에서 미국과 중국은

동시행동 원칙에 합의한 바 있지 않은가

o 과연 남북한 통일을 위해 내각제가 필요한가는 좀 더 논의해봐야 할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통일을 달성할 때까지는 효율성을 위해 대통령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필자의 주장과 달리 내각제의 경우 잦은 내각교체로 인해 통일정책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수 없는 것 아닌가 lt끝gt

3 문성묵 박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발제문에 대한 논평 우선 김현욱 교수님의 발제문은 한반도 통일의 가능한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독일 사례를 통해 우리의 통일미래를 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접근이라고 봄 특히 남북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매우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제시하고 있는 정책적 제안은 적절하다고 판단되며 대체로 공감함 다만

통일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한 두 가지 추가 제언을 드리고자 함 우선 미국의

우려사항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일한국이 지향하는 한미동맹에 대한 분명한 의지를 미

측에 밝힐 필요가 있음 아울러 통일의 성취를 위해서는 반드시 중국의 협조를

유도해야 하는 바 이를 위해서는 통일한국의 한미동맹이 중국의 국익에도 부합될 수

있다는 논리를 적극 개발하고 중국을 설득하는 노력이 강구되어야 함 이러한 입장을

미국이 중국과 직접 조율해 나가도록 협조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봄 그런 차원에서

본문에서 제시한 한∙미∙중 3자 협의는 유용한 협의기제로 보임

다음은 곽태환원장님께서 제시해 주신 토의중점 주제들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정리하였음

1 한반도 통일을 위해 먼저 극도로 경색된 남북관계부터 풀어나가야 하는데

출구전략은

10월4일 황병서 등 북한고위급인사의 전격 방남으로 대화의 물꼬가 트인 만큼 이달

말 또는 11월초로 예정된 2차 고위급접촉을 통해 남북간 쟁점사항들을 대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풀어나가는 지혜가 필요함

첫째 무엇보다 대화의 지속이 중요함 일회성 대화가 아니라 고위급접촉이든 다른

대화채널이든 대화가 정례화 되는 것 즉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통로는 늘 열려 있어야

할 것임

둘째 사안별 접점 마련이 필요함 즉 상호가 입장차이가 극명한 사안은 일단

21

접어두고 접점 마련이 가능한 사안부터 협의하고 이행을 해 나가는 것임

2 현안이슈인 THAAD 한국배치에 대한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 측면 고려하여 사드

한국배치가 바람직한가 전시작전통제권을 2015년에 받아야 하나 연기 해야 하나

첫째 사드의 한국 배치는 정치적 관점이 아니라 안보적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중국(러시아)과 북한이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있지만 북한위협에 직면한 우리

입장에서는 한미동맹차원에서도 미국의 사드 배치 구상에 협력하는 것이 필요함 따라서

한국과 미국이 중국을 잘 설득할 필요가 있음

둘째 전작권문제 역시 주권 자존심이라는 측면 보다는 국익의 관점에서 판단해야 할

사안임 북 핵문제 등 북한의 위협이 상존하는 현 상황에서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억제력을 확고하게 유지하는 일임 한미연합사는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체제임 따라서 시기에 기초한 접근 보다는 조건에 기초한 접근이 바람직함

3 한반도 통일은 평화적으로 이뤄져야 하는데 남과 북이 합의에 의한 통일이

이뤄지려면 공동통일방안에 대한 합의가 가능한가 6자 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는

평화체제구축은 어떻게 이룰까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통일방안에 대한 남북 간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는 현 상황에서

통일방안부터 협의를 시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봄 우선 대화와 교류확대 등을 통한

화해협력을 추진하면서 향후 북한정권과 체제의 변화가 이루어질 때 통일방안에 대해

본격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함

둘째 핵 문제는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임 이로 인한 무력충돌은

공멸을 의미하기 때문임 따라서 북핵 문제는 우선 강력한 억제로 북핵 사용 자체를

무력화하고 나아가 대화를 통한 외교적 해법을 병행해야 함 즉 6자 회담을 재개하여

919공동성명의 합의정신에 입각하여 풀어나가는 것 이외 다른 적절한 대안은 없어

보임

셋째 평화체제 문제는 6자 회담이 재개되고 북핵 문제에 있어 일정분야 진전이 있을

경우 919 성명에 합의된 별도의 평화포럼을 통해 논의해 나갈 필요가 있음 평화체제는

협정의 체결이 아니라 실질적인 평화상태를 만들어 나가는데 중점을 두고 추진해 나가야

4 4자(미 중 남북한)회담을 통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인가 북이 주장하는 북미간

평화협정이 바람 직 한지 한반도 정전체제를 대체하는 다자 평화체제는 어떤 형태가

바람 직 한가 등

첫째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논의하는 협상은 남북한과 미국 중국이

참여하는 4자회담이 적절하다고 봄 1997~1998년 사이 제네바에서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는 문제를 논의하는 4자회담이 6차례 개최된 바도 있음

둘째 평화체제는 남북간에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미국과 중국이 이를 보장하며 협정은

유엔에 기탁하는 방안이 적절하다고 봄

5 6자 회담을 복원하여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ldquo행동대행동rdquo으로

동시에 해결하자는 제안에 대한 견해는

22

이는 북한이 핵 문제에 대해 한국과 미국 등이 요구하는 수준으로 성의 있는 조치를

취하고 이를 바탕으로 6자회담이 재개된다면 동시에 별도의 포럼을 열어 평화협정

논의를 개시할 수 있을 것임 실질적 평화상태 구축을 위한 남북간 군사적 신뢰구축 및

운용적 군비통제 등을 추진해야 함 평화협정의 체결 시점은 북한 핵이 완전히 폐기되는

시점과 맞추어야 할 것임

6 이러한 통일프로세스에서 과연 미국은 어떤 역할이 바람 직한가

독일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듯이 미국도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함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을 설득하여 한반도 통일에 동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공고한 한미동맹을 유지하여 북한이 변화하도록 유도하며 통일 이후에도 통일한국의

안보환경과 국익에 부합되게 동맹의 형태와 목표 기타 필요한 사항들을 협의하여

합의할 필요가 있음 통일한국이 중국과의 관계에서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는 방법은

미국과의 동맹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생각됨

7 평화적 합의통일방안에 하나의 대안으로 중립화를 통한 한반도 중립화 통일방안에

대한 견해는 미국은 지지 할까 등입니다

중립화 통일방안을 추구한다고 해서 통일이 촉진될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음

중국은 다소 긍정적일지 모르나 우리의 동맹인 미국이 가장 우려하는 사안일 것임 그런

차원에서 중립화 방안은 부적절함 이는 우리 국익이나 안보상 적절치 않은 방안이라고

봄 lt끝gt

4 김준형 박사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교수)

발제 논문에 관한 의견

다음 사항들에서 기본적으로 공감함

한반도통일의 고차방정식에 대한 의미 있는 분석 주변강대국들의 이해관계

특히 통일을 추구함에 있어 미국과 중국의 이해관계를 분석한 부분

냉전붕괴직후 독일의 상황과 당시 미국 및 소련의 입장이 가지는 함의에 대한

분석

북한급변사태가 곧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며 통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북한

주민들의 친한국 성향이나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남북이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

최근 미국이 통일에 대해 기껏해야 소극적 지지입장이며 통일로 인한

한미동맹의 약화가능성에 우려를 가지고 있다는 분석

한미동맹의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치명적이라는 주장도(치명적이라는

표현은 좀 과도한 측면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공감

주변강대국이 한반도통일이 현 동북아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지지하지 않으나 남북한이 원해서 주도적으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반대할 수 없다는

주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사항들에서 문제 제기하고자 함

23

서론에서 밝힌 본문내용 소개가 본문의 실제 내용전개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음 특히 현실적인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를 살펴본다고 했는데 오히려 그간의 남북한

통일안의 한계와 약점을 지적하고 특히 남북한 공히 정치적 통합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진다는 분석 위주임

북한에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 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 미국이 먼저 나서서 개입하지 않을 가능성은

있다 하더라도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해도 미국이 행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는 동의할

수 없음

북한 급변사태의 경우 중국이 자국민 및 재산보호를 명분 삼아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그것이 북중동맹에 의한 자동개입과 UN 상임이사국의

지위를 이용해서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라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려움

북한의 급변사태에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논지와 중국이 북한에 친중 정권을 세울 가능성이 높다는 논지는 자칫 통일보다 동맹을

선택하는 한미동맹 신화론자들의 논리를 강화시킬 수 있는 위험성 내재 박휘락박사가

인용한 미고위당국자의 발언은 context도 다른 것으로 보이고18

한국주도의 통일 역시 한미동맹약화로 이어지고 이는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에

치명적일 것이라고 단정하는 것 역시 같은 식으로 호도될 여지 있음

이 논리가 절대적 친미

보수진영의 동맹강화의 긴급성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논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평화협정이 통일의 전제조건이 아니라는 것에 동의하고 분단적 평화유지에 대한

반대에 동감하지만 평화보다 통일이 우선되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려움

통일을 위해 통일정책의 연속성을 위해 내각제 개헌을 해야 한다는 논리는

지나친 단순화 또는 비약으로 보임

현 정국에 대한 토론자의 견해

지난 7년간의 대북정책 및 통일정책의 한반도의 운명과 관련된 4가지 핵심 변수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① 한미동맹의 근본 성격 변화(대북억지-gt동북아지역군)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을 위해 일본과 한국에 아웃소싱 추진하고 있으며 그 핵심이 지역미사일방어체제

구축

- 전작권환수 시기보다 조건을 우선 고려

- 전작권에 대한 효용성 변화 과거 전략적 유연성은 분담의 차원이었으나 현재는

한미일 군사협력네트워크 통합의 차원으로 변모 따라서 미국이 전작권을 계속 보유하는

것의 효용성이 높아짐(미국의 꽃놀이패)

② 북핵문제의 근본 성격 변화 핵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음

- 미국은 북한에 대한 de facto 보유국 내부적으로 인정19

18 이 발언은 북한의 핵개발 중단 도발가능성 북한개혁 등 중국이 행사할 수 있는 대북 레버리지를 미국이

기대한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됨

19 수년 전 힐러리 클린턴의 발언부터 최근 오바마의 유엔연설 직전에 행한 국가안전보장회의 부의장 벤 로

24

- 발제논문에서 주장하는 통일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미국의 입장과 연결됨

- Permanent crisis 양상 분명 위기이고 해결이 난망한데 아무도 나서서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며 심지어 현 위기국면을 국내정치에 이용하는 측면이 커지는 일종의

북한 핵위기의 default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③ 한반도 통일론의 변화 신뢰프로세스 동평구 통일대박론 드레스덴 선언 등의

많은 제안들이 후속조치 없이 동력을 잃었으며 최근 UN연설에서 재확인되듯이

흡수통일론으로 귀결 남북교류의 제도화 수준은 대단히 높으나 실행수준은 대단히

낮음으로 인해 통일논의에 대한 국민들의 피로감을 확산시키고 이는 국내

안보포퓰리즘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동

④ 북중관계 변화 남북관계의 단절로 인해 긴밀해짐으로 해서 북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하고 있는데 중국의 대북 지분을 향상시켜 유사시 개입의 빌미가 될

가능성이 높음(발제논문도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음-탈북자 관리명분)

미국의 입장에 대한 견해

오바마는 대북정책에 있어 부시 전임정부와는 정반대되는 경향 1기에서의

강경함에서 2기에는 협상무드로 갔던 부시와는 반대로 초기의 온건입장이 시간이

갈수록 강경기조로 넘어가고 있으며 인권압박까지 병행

더 큰 문제는 강경책이든 온건책이든 문제해결을 위한 움직임이 없는 매우

수동적 태도로 일관한다는 것인데 이는 북한문제가 여전히 오바마행정부의

정책우선순위의 상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고 또 북한핵개발

국면을 빌미로 대중국 견제와 미일동맹을 비롯한 아시아동맹네트워크 강화에 활용한다는

것임

오바마의 소위 lsquoDDSSrsquo Doctrine의 근간은 임기 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한반도는 큰 현안 없이 현상유지로 흘러갈 가능성이 큼

미국의 MD 압박 강화될 것임

- 미국이 현재는 한국내 여론을 의식해서 한국정부와 보조를 맞추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MD 편입을 원하고 있기에 압박은 증가할 것임

- 한국과 일본이 참여하는 지역 미사일방어체제 구축은 미국의 아시아재균형전략의

핵심이며 한국의 MD 참여가 중국의 입장에서는 레드라인이지만 미국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한중의 접근을 억제할 수 있는 카드로서의 효용성이 있음

- 한국정부의 태도 변화 사드의 한국도입에 대해 최근에는 수용적 자세로 변화20

미국의 MD 참여 압박에 대해 정부가 진정으로 미국 MD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면 확실한 입장표명을 하거나 공개적으로 국민의 의견을 묻는 것이

필요함(double edge diplomacy 활용)

한국의 과제

즈 발언까지 일관됨 20 10월 7일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한민구장관은 북한 핵middot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사드를 배치하면 우리 안

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함 또한 MD의 핵심 자산을 동원하는 새로운 작전개념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같은 방안을 이달 말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연례 안보협의회에서 공식화할 방침이라고 밝힘

25

남북관계 해결을 위해 한국정부가 선제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시도해야 함

미국이 여러 복잡한 문제로 인해 여유가 없는 상황을 오히려 역이용하는 발상의 전환

필요

미국정부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대북접근에 있어 한미공조 이탈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견제해왔던 것에 비하면 한국의 운신의 폭은 역설적으로 커졌다고 볼 여지

있음 미국이 대북정책에 있어 마땅한 해법도 없고 정책순위는 점점 하락하는 상황에서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주도가 가능할 수도 있음

출구전략

- 6자회담과 919성명의 복원을 통한 문제해결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을 병행

- 524조치에 대한 언급 없이 실질적인 유연화

- 박근혜대통령의 결심이 관건 대화재개조건의 유연화에 대한 한미간 정책조율을

주도할 필요가 있음

5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

한국GPF재단이 주최하는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김현욱 교수께서 발제한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의 주제는 통일을

시급하게 달성해야 하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통일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반세기 이상 한국과 안보동맹을 체결하고 있는 미국의

한반도 통일정책을 논의하는 것은 아주 시의적절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자는 먼저

발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의견을 제시하고 발제자와 토론자 간의 약간의 상이한

견해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하고 곽교수의 질문에 대해 간략하게 답한 후

정책제안의 순서로 기술하고자 합니다

1 발제문에 대한 일반적 평가

발제자의 논문 내용과 접근방법에 대해 토론자는 전적으로 찬성하고 동의합니다

한반도 통일방안의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공감하면서 남북정상이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에 공통점이 있다고 이미 합의하였기

때문에 남북은 장차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 중 하나의 통일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람직한 통일접근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한국이

경계해야 할 것은 발제자도 지적한 바와 같이 북한의 붕괴통일보다는 독일과 같이

평화적 흡수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며 더 좋은 방안은 평화통일을 목표로 하되 점진적

접근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만약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하여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고 가정할 때 한국에게는

lsquo통일의 대박rsquo이 아니라 통일의 쪽박이 될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남북이

평화통일 협상을 통해 점진적 통일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미국의 국가이익과 우려사항에 대한 자세한 분석에 전적으로

동의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많이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서

기대하는 것은 미국의 국익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미국의 대한반도 통일정책이

결정되리라 전망됨으로 통일의 당사자인 남북은 통일의 과정에서 미국의 국익도

고려하면서 남북이 통일의 이니셔티브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6

2 발제 문에 대한 몇 가지 이견

토론자는 발제문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를 하지만 미시적 측면에서 토론자의 이견을

몇 가지 부언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연방제와 연합제를 설명하는 2쪽 문단에서 북한의 연방제를 1980년

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김일성이 발표한 내용을 기준으로 설명했으나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이 한국의 연합제와 좀더 가까운 것은 김일성이 1991년 1월

1일 발표한 lsquo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rsquo이므로 이를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비교분석 하는 것이 좀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980연대 연방제는

남과 북이 lsquo연방상설위원회rsquo를 조직하여 지역정부를 지도하는 중앙정부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1991년의 연방제는 지방정부에 모든 외교권과 군사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국의

연합제 즉 국가연합 형태의 통일방안으로 수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둘째 1991년 북한의 연방제는 남과 북이 어떠한 정치군사적 블록에도 가담하지 않는

중립국가의 외교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남북이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에 공통점을 인정하고 있으나 북한은 연방제가 되었을 때 외교정책은

반드시 비동맹 중립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나 한국은 북한의 그러한 중립정책을

수용하기 어려운 입장이므로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선 듯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셋째 북한의 연방제 실시 조건에서 남한이 수용하기 어려운 또 다른 것은 북한이

주한미군의 철수와 국가보안법을 철폐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장차 남북이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를 실시한다 해도 남한정부의 입장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보안법 철폐는 가장 민감한 문제들이므로 난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끝으로 발제자는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ldquo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케 하고 미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rdquo는 분석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됩니다 미국의 계획에 의하면 lsquo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군은 한국군과

한국인은 북한에 입북하는 것을 금지하고 미군과 일본의 자위대가 북한의 치안을

유지한다rsquo는 주장이 제기되어 이를 확인하고 있습니다(오크랜드 대학교 박문재 박사

주장) 또 다른 주장에 의하면 북한의 급변사태 시 중국군과 미군은 동시에 북한에

상륙하여 일정한 지역을 분할 하여 WMD와 북한 질서를 공동으로 유지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계획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경우 미국에는 분명히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미국의 이익과 우려가 병존하리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어느 것이 미국의 국익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가에 따라 미국의 외교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이며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한반도 정책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과 관련하여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 발제자는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어

대부분의 내용에 동의를 하면서 상이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토론을 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ldquo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으며 2012년 오바마

27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 체제와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통일을 지지했다rdquo는

내용에 대해 미국은 한반도의 통일을 원천적으로 원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토론자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1971년 7월과 2005년 8월 북경에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비밀회담을 갖고 ldquo미국이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양국은 한반도 분단의

현장유지를 계속하자고 합의rdquo한 내용이 미국의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습니다(2005년 9월

7일 Washington Post)

또 다른 예로 한국전쟁을 종결하는 휴전협정 제4조에는 ldquo정전협정 서명 후 3개월

이내에 서명 당사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한다rdquo고 합의했으나 미국은 북한이 핵을 만들기

전에도 북한의 평화협정 요구를 거절해 왔으며 이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해야

평화협정을 체결해 주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의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은 외교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둘째 과거 독일통일의 과정에서 고르바초프는 독일의 중립화를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미국은 통일된 독일이 NATO에 잔류해야 한다는 조건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결국

고르비가 양보하고 미국의 안이 채택되었으나 거기에는 서독이 소련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수용한 대가라고 합니다(주섭일 기자의 『1990년 독일통일과 2017년 한반도

통일』)

셋째 미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문제에 대해 크게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미국은

한반도가 통일이 된 뒤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주한 미군의

역할은 북한의 위협보다는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주한 미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미국의 재

균형정책도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넷째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미국의 동북아시아 국가에 대한 군수산업이 대폭

축소될 것이며 통일된 한반도가 미-중 간에 균형외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대중 견제는 급속하게 감소될 전망입니다

끝으로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은 감소된 반면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되어 미국의

장기적 전략인 미국의 군사비 감축과 국내외 여건으로 주한미군의 유지가 어렵게 될

경우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감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므로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4 한국의 당면 과제

한국은 대북정책의 출구전략으로 10월 3일 북한 실세의 한국방문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려 북한이 필요로 하는 경제지원과 5ㆍ24조치 해제를 전제로 북한의 양보를 얻어 내

남북관계의 출구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한국정부는 미국이 요청한 THAAD

구입이나 배치를 허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남북간의 평화체제 구축은 1단계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기 보다는 남북이 이미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를 비롯하여 6 ㆍ 15선언과 10 ㆍ 4선언의 내용 중 실천이 용이한

문제부터 실천하면서 남북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북한과 미국의

관계에서 미국이 현재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한국은

북한과 먼저 신뢰를 회복한 후 기본합의서에 이미 명시되어 있는 남북한의 불가침조약을

먼저 체결하고 서울과 평양에 대표부를 설치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한반도

28

비핵화를 위해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으로 핵

문제는 북미간의 문제로 유지하면서 남북한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요구를

하면서 남북의 해빙무드를 먼저 조성하는데 한국은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은 현재도 비동맹 중립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북한의 연방제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조심스럽게 중립화 문제를 거론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검토를 해야 할 것입니다

5 정책제안

한반도 주변 4강은 현재 그들의 국가이익과 한반도 통일이 그들에게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한반도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므로 한국정부는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북한에 비핵화 요구보다 협상을 통해 단계적으로 북한이 한국의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제안이나 구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서

북한이 시급하게 원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524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북한의 양보와 협력을 받아 내야 할

것입니다lt끝gt

6 장용석 박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1 통일과 관련하여 발표자의 다음 지적은 매우 중요함

- ① 기능주의적 접근의 한계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 필요성 ② 북한

주민들의 선택이 지닌 중요성과 그에 대한 고려 필요성 ③ 통일 대북정책의 연속성과

북한 리더십 포용을 위한 내각제 개헌의 필요성

2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과 관련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함

- 동서독은 유럽차원에서 NATO와 WTO간 세력균형 이를 바탕으로 한 동서 간

긴장완화와 특히 헬싱키 프로세스와 CSCE 등을 통한 공동안보 틀 구축 등으로 인해

교류협력에서 안보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특히 동독이 경우 패전의

여파겠지만 북한과는 달리 자국의 안보를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음

- 반면 남북을 둘러싼 지역 안보 환경은 미∙중 간의 긴장과 갈등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고 있고 특히 북한의 경우 지정학적 요충지론에 입각하여 자주-존엄-

선군의 기치 하에 핵보유까지 천명하고 비대칭적 전력의 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으로써 동서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교류협력의 직접적인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 따라서 동북아 지역차원에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협력적 안보 틀이나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공존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rArr 이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ldquo작고 쉬운 것부터rdquo 논리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를 외면하는 기능주의의 또 다른 버전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발표자의 평가는

무엇인지

rArr 아울러 평화협정은 평화적 공존의 제도화와 군비통제를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분단관리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게 아닌지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17: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17

아시아 재 균형 문제도 이라크와 시리아의 ISIL or ISIS 문제 때문에 신경을 제대로 쓰지

못한다는 우려가 나온다 (Kurt Campbell in Seoul on September 25 2014)

- 통일 이후의 한미동맹 통일에 대한 전망도 아득하지만 그 후의 한미동맹 관계는

더욱 아득하다 통일에 상대가 있듯이 (As W Bush said in Seoul this spring at a

conference hosted by the Chosun Ilbo) 동맹은 전통적으로 군사적인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동맹 이 함께 싸워야 할 상대 (Potential foe or adversary)를 전제로

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중미간의 경쟁이 계속된다면 미국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한미동맹을 아시아 재 균형의 도구로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 입장에서

그것이 그 때가서 한국국익에 맞는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서 발제자가 친절하게 미국의 이익과

우려를 열거했는데 남북이 통일을 원한다면 미국이 자기 이익 때문에 통일을

반대해서도 안되고 한국이 미국의 우려 때문에 할 일을 못하거나 안 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미∙중 사이의 중립 또는 전세계를 상대로 하는 중립이 한국 국익에

합당하고 국민의 다수가 이를 원한다면 한국은 그 길을 택해야 한다

미국의 걱정은 미국에 맡기고 한국은 한국 걱정에 치중해야 한다 걱정은 시대와

환경에 따라서 달라진다

정책건의

- 첫째 황병서 최룡해 김양건 3 인의 인천 방문을 계기로 다음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진일보한 과감한 자세로 이산 가족 524 조치 금강산 관광 등 현안을 타결하고

신뢰프로세스를 부활해야 한다 남측도 구태의 틀에서 벗어나 놀랄만한 자세를 보여야

한다 통근 결단은 북한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 둘째 6자회담 재개 등 북핵문제 해결을 노력을 한국이 주도해야 한다 미중과 함께

한국마저 손 놓고 있는 상태는 더 이상 방관해서는 아니된다

- 셋째 대북정책에 대한 국내 보수 진보간의 시각차이를 융합하여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탈냉전식 통일정책을 개발함으로써 통일준비의 기초를 확립해야 한다

2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김현욱 박사의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을 읽고

국내의 손꼽히는 미국전문가인 김현욱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을 맡게 되어 영광으로

생각한다 김 박사의 글을 읽고 토론자의 생각과 비교할 때 공감이 가는 부분이 많다

하지만 김 박사가 다루는 주제가 단순히 미국의 대외정책이나 한미관계가 아니라

lsquo한반도 통일rsquo이라는 점에서 몇 가지 오류가 눈에 띄기 때문에 여기서부터 토론을

시작해야 할 것 같다

I 서론

한middot미 정상이 합의한 통일관련 언급은 「한미동맹 공동비전」(2009616)은

ldquopeaceful reunification on the principles of free democracy and a market

economyrdquo으로 「한미동맹 60주년 공동선언」(201357)은 ldquoits peaceful reunific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denuclearization democracy and a free market

economyrdquo으로 되어 있다 전자의 free democracy는 liberal democracy와 구별되어야

18

하며 후자에는 그냥 democracy로 표기한 의미를 되새길 필요가 있다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o 우리 정부는 lsquo연합제 통일방안rsquo을 지지한 바 없으며 무엇보다 lsquo연합제rsquo는 통일방안이

아니다 또한 우리 정부가 북한과 함께 lsquo74남북공동성명rsquo을 발표하고 lsquo자주 평화

민족대단결rsquo이라는 통일의 대원칙을 발표한 것은 맞으나 그 뒤 lsquo민족대단결rsquo을 삭제하고

lsquo민주rsquo를 넣었다

o 1989년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은 전두환이 아닌 노태우 정부 때 발표된 것이다

o 김대중 대통령이 대통령이 되기 전에 개인적인 통일방안으로 lsquo남북연합제 rarr

공화국연방체 rarr 통일국가rsquo의 3단계를 주장했었으나 대통령이 되고 나서는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수용했다

o 한국의 통일정책의 특징이 ldquo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남한체제를

궁극적인 통일의 상으로 설정하고 있다rdquo고 주장하나 우리 정부의 공식 통일방안인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은 먼저 민족공동체를 만들어가고 나중에 통일국가를 이루되

통일국가의 형태는 미래세대에게 맡긴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2 북한급변사태로 인한 통일

o 북한의 급변상황에 한국이 개입하는 것이 유엔헌장에 위배된다는 지적은 옳다 그런데

아무리 중국이 UN상임이사국이라도 중국 군이 평양까지 진출해 친중 정권을 수립할

근거를 갖고 있는가

o 박휘락 박사의 인용문은 미국이 북한의 WMD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중국의 도움을

받기 위해 중국의 개입을 반대하지 않는다는 의미이지 북한 급변사태가 발생할 때 이를

중국에게 떠맡긴다는 의미는 아닌 것이다

o 필자는 ldquo미∙중 양 강대국이 한반도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고rdquo라고 언급하고 있는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가 있는가

3 남한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하는 방안

o 남북예멘이 통일 후 무력통일로까지 간 것은 사회문화적 유대감의 부족 때문이

아니라 11 대등한 권력분배가 몇 년 뒤 실시된 선거결과에 의해 북예멘에 유리하게

정치지형이 바뀌자 남예멘 측 인사들이 이에 반발해 무력을 동원했다가 진압당한 것이다

o 동독유권자의 9322가 서독으로의 신속한 편입을 주장했다고 언급했는데 이 수치는

투표율이다 조기통일을 주장했던 독일연합의 득표율은 4804 국가연합을 거쳐

점진적 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의 득표율은 2188였고 옛동독공산당이었던

민사당이 164 새로운 사회주의 건설을 내걸었던 연합90이 291였다 그 결과

독일연합과 동독사민당이 연립정부를 구성해 서독과 통일협상에 나섰던 것이다

III 독일 사례와 미국

o 동독 총선거에서 동독주민들이 서독의 정치체제와 정당에 투표하였다고 하였는데

이것이 무슨 말인가 그들은 조기통일(동독기민당 중심 국민연합) 점진통일(동독사민당

민사당) 제3의 길(연합90) 등을 내건 동독정당에 투표했는데 결과적으로 조기통일을

19

주장한 국민연합이 승리하여 점진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과 연립하여 조기 통일을

추진 달성한 것이다

o 독일통일의 상황에서 소련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원조라고 언급하고 있는바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엄밀하게 말한다면 對소련 차관 50억 DM(약 25억 euro) 동독주둔

소련군 36만 명의 철수에 따른 비용 부담 125억 DM(약 64억 euro)이다

IV 미국과 한반도 통일

1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o 미국이 통일과 같은 현상변경보다는 분단이라는 현상유지를 선호한다는 의견에

동감을 표한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의 정확한 출처를 밝혀주었으면 도움이

되겠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o 필자는 lsquo연합제연방제 통일rsquo과 lsquo한국주도의 통일rsquo을 대립적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연방제란 정부구성원리의 하나로서 1국가 2체제(일국양제)만 있는 것이 아니라 1국가

1체제의 연방제도 존재한다 따라서 한국 주도의 통일일지라도 단방제(單邦制) 방식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연방제(聯邦制) 방식이 될 수도 있다

o 통일된 이후가 아니라 전작권 전환 이후에 2013년 한미 양국은 한국군 합참 내에

미래사령부의 구성 계획을 통해 연합지휘체제(한국군 사령관 미군 부사령관)를

구축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o 최근 논의되고 있는 THAAD는 지금도 배치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인가 아니면

통일되면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아니게 되므로 지금 배치했더라도 철수해야 한다는

의미인가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o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우려사안 중 한국 주도의 통일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한미동맹의 약화를 우려한다는 점이 충분히 이해되지 않는다 특히 당장 통일될 것도

아닌데 우려의 근거로 미국의 현실적 상황을 제시한 것들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o 나머지 두 번째 세 번째도 왜 한미동맹이 약화되고 주한미군을 철수하게 될지 하는

원인을 설명하지 않고 그렇다고 전제해 놓고 미국의 대아시아 전략에 미칠 영향과

미∙중 사이의 중립국 지위 유지하는 것은 앞뒤가 바뀐 것이다

V 결론 ndash 정책적 고려사안

o 미국이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했다고 볼 수 있는가 미국이 통일에 대해 처음으로 입장표명을

한 것은 2009년 6월 이명박-부시 대통령의 한미 공동비전이 처음이다 최근 미국

조야의 분위기는 북핵 문제를 풀기 위해 통일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고 오히려 한국

측이 통일에 소극적이라고 질책하기도 하지 않은가

o 중국이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가 통일한국의 핵무기 보유가 아니라

단지 미국의 핵우산 유지를 우려했기 때문인가

o 평화협정이 단지 한국전쟁의 종식만을 위한 것일까 필자가 제시한 첫 번째

20

정책고려사안은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런데 평화협정이

체결되지 않고 정전상태에서 곧바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첫째 우발적 충돌이라도

전쟁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있고 둘째 통일과정에서 정전협정의 당사자인 미국과 중국이

국제법적으로 개입할 가능성이 열려있다

o 본문을 보면 필자는 분단적 평화유지와 평화체제평화협정을 동일시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마저 든다 그리고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다고 했는데 그 근거가 무엇인가 특히 비핵화-평화협정의 순서를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의 입장이 상반된다고 언급했는데 과연 그런가 919공동성명에서 미국과 중국은

동시행동 원칙에 합의한 바 있지 않은가

o 과연 남북한 통일을 위해 내각제가 필요한가는 좀 더 논의해봐야 할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통일을 달성할 때까지는 효율성을 위해 대통령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필자의 주장과 달리 내각제의 경우 잦은 내각교체로 인해 통일정책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수 없는 것 아닌가 lt끝gt

3 문성묵 박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발제문에 대한 논평 우선 김현욱 교수님의 발제문은 한반도 통일의 가능한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독일 사례를 통해 우리의 통일미래를 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접근이라고 봄 특히 남북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매우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제시하고 있는 정책적 제안은 적절하다고 판단되며 대체로 공감함 다만

통일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한 두 가지 추가 제언을 드리고자 함 우선 미국의

우려사항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일한국이 지향하는 한미동맹에 대한 분명한 의지를 미

측에 밝힐 필요가 있음 아울러 통일의 성취를 위해서는 반드시 중국의 협조를

유도해야 하는 바 이를 위해서는 통일한국의 한미동맹이 중국의 국익에도 부합될 수

있다는 논리를 적극 개발하고 중국을 설득하는 노력이 강구되어야 함 이러한 입장을

미국이 중국과 직접 조율해 나가도록 협조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봄 그런 차원에서

본문에서 제시한 한∙미∙중 3자 협의는 유용한 협의기제로 보임

다음은 곽태환원장님께서 제시해 주신 토의중점 주제들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정리하였음

1 한반도 통일을 위해 먼저 극도로 경색된 남북관계부터 풀어나가야 하는데

출구전략은

10월4일 황병서 등 북한고위급인사의 전격 방남으로 대화의 물꼬가 트인 만큼 이달

말 또는 11월초로 예정된 2차 고위급접촉을 통해 남북간 쟁점사항들을 대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풀어나가는 지혜가 필요함

첫째 무엇보다 대화의 지속이 중요함 일회성 대화가 아니라 고위급접촉이든 다른

대화채널이든 대화가 정례화 되는 것 즉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통로는 늘 열려 있어야

할 것임

둘째 사안별 접점 마련이 필요함 즉 상호가 입장차이가 극명한 사안은 일단

21

접어두고 접점 마련이 가능한 사안부터 협의하고 이행을 해 나가는 것임

2 현안이슈인 THAAD 한국배치에 대한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 측면 고려하여 사드

한국배치가 바람직한가 전시작전통제권을 2015년에 받아야 하나 연기 해야 하나

첫째 사드의 한국 배치는 정치적 관점이 아니라 안보적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중국(러시아)과 북한이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있지만 북한위협에 직면한 우리

입장에서는 한미동맹차원에서도 미국의 사드 배치 구상에 협력하는 것이 필요함 따라서

한국과 미국이 중국을 잘 설득할 필요가 있음

둘째 전작권문제 역시 주권 자존심이라는 측면 보다는 국익의 관점에서 판단해야 할

사안임 북 핵문제 등 북한의 위협이 상존하는 현 상황에서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억제력을 확고하게 유지하는 일임 한미연합사는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체제임 따라서 시기에 기초한 접근 보다는 조건에 기초한 접근이 바람직함

3 한반도 통일은 평화적으로 이뤄져야 하는데 남과 북이 합의에 의한 통일이

이뤄지려면 공동통일방안에 대한 합의가 가능한가 6자 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는

평화체제구축은 어떻게 이룰까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통일방안에 대한 남북 간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는 현 상황에서

통일방안부터 협의를 시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봄 우선 대화와 교류확대 등을 통한

화해협력을 추진하면서 향후 북한정권과 체제의 변화가 이루어질 때 통일방안에 대해

본격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함

둘째 핵 문제는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임 이로 인한 무력충돌은

공멸을 의미하기 때문임 따라서 북핵 문제는 우선 강력한 억제로 북핵 사용 자체를

무력화하고 나아가 대화를 통한 외교적 해법을 병행해야 함 즉 6자 회담을 재개하여

919공동성명의 합의정신에 입각하여 풀어나가는 것 이외 다른 적절한 대안은 없어

보임

셋째 평화체제 문제는 6자 회담이 재개되고 북핵 문제에 있어 일정분야 진전이 있을

경우 919 성명에 합의된 별도의 평화포럼을 통해 논의해 나갈 필요가 있음 평화체제는

협정의 체결이 아니라 실질적인 평화상태를 만들어 나가는데 중점을 두고 추진해 나가야

4 4자(미 중 남북한)회담을 통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인가 북이 주장하는 북미간

평화협정이 바람 직 한지 한반도 정전체제를 대체하는 다자 평화체제는 어떤 형태가

바람 직 한가 등

첫째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논의하는 협상은 남북한과 미국 중국이

참여하는 4자회담이 적절하다고 봄 1997~1998년 사이 제네바에서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는 문제를 논의하는 4자회담이 6차례 개최된 바도 있음

둘째 평화체제는 남북간에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미국과 중국이 이를 보장하며 협정은

유엔에 기탁하는 방안이 적절하다고 봄

5 6자 회담을 복원하여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ldquo행동대행동rdquo으로

동시에 해결하자는 제안에 대한 견해는

22

이는 북한이 핵 문제에 대해 한국과 미국 등이 요구하는 수준으로 성의 있는 조치를

취하고 이를 바탕으로 6자회담이 재개된다면 동시에 별도의 포럼을 열어 평화협정

논의를 개시할 수 있을 것임 실질적 평화상태 구축을 위한 남북간 군사적 신뢰구축 및

운용적 군비통제 등을 추진해야 함 평화협정의 체결 시점은 북한 핵이 완전히 폐기되는

시점과 맞추어야 할 것임

6 이러한 통일프로세스에서 과연 미국은 어떤 역할이 바람 직한가

독일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듯이 미국도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함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을 설득하여 한반도 통일에 동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공고한 한미동맹을 유지하여 북한이 변화하도록 유도하며 통일 이후에도 통일한국의

안보환경과 국익에 부합되게 동맹의 형태와 목표 기타 필요한 사항들을 협의하여

합의할 필요가 있음 통일한국이 중국과의 관계에서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는 방법은

미국과의 동맹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생각됨

7 평화적 합의통일방안에 하나의 대안으로 중립화를 통한 한반도 중립화 통일방안에

대한 견해는 미국은 지지 할까 등입니다

중립화 통일방안을 추구한다고 해서 통일이 촉진될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음

중국은 다소 긍정적일지 모르나 우리의 동맹인 미국이 가장 우려하는 사안일 것임 그런

차원에서 중립화 방안은 부적절함 이는 우리 국익이나 안보상 적절치 않은 방안이라고

봄 lt끝gt

4 김준형 박사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교수)

발제 논문에 관한 의견

다음 사항들에서 기본적으로 공감함

한반도통일의 고차방정식에 대한 의미 있는 분석 주변강대국들의 이해관계

특히 통일을 추구함에 있어 미국과 중국의 이해관계를 분석한 부분

냉전붕괴직후 독일의 상황과 당시 미국 및 소련의 입장이 가지는 함의에 대한

분석

북한급변사태가 곧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며 통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북한

주민들의 친한국 성향이나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남북이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

최근 미국이 통일에 대해 기껏해야 소극적 지지입장이며 통일로 인한

한미동맹의 약화가능성에 우려를 가지고 있다는 분석

한미동맹의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치명적이라는 주장도(치명적이라는

표현은 좀 과도한 측면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공감

주변강대국이 한반도통일이 현 동북아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지지하지 않으나 남북한이 원해서 주도적으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반대할 수 없다는

주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사항들에서 문제 제기하고자 함

23

서론에서 밝힌 본문내용 소개가 본문의 실제 내용전개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음 특히 현실적인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를 살펴본다고 했는데 오히려 그간의 남북한

통일안의 한계와 약점을 지적하고 특히 남북한 공히 정치적 통합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진다는 분석 위주임

북한에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 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 미국이 먼저 나서서 개입하지 않을 가능성은

있다 하더라도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해도 미국이 행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는 동의할

수 없음

북한 급변사태의 경우 중국이 자국민 및 재산보호를 명분 삼아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그것이 북중동맹에 의한 자동개입과 UN 상임이사국의

지위를 이용해서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라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려움

북한의 급변사태에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논지와 중국이 북한에 친중 정권을 세울 가능성이 높다는 논지는 자칫 통일보다 동맹을

선택하는 한미동맹 신화론자들의 논리를 강화시킬 수 있는 위험성 내재 박휘락박사가

인용한 미고위당국자의 발언은 context도 다른 것으로 보이고18

한국주도의 통일 역시 한미동맹약화로 이어지고 이는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에

치명적일 것이라고 단정하는 것 역시 같은 식으로 호도될 여지 있음

이 논리가 절대적 친미

보수진영의 동맹강화의 긴급성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논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평화협정이 통일의 전제조건이 아니라는 것에 동의하고 분단적 평화유지에 대한

반대에 동감하지만 평화보다 통일이 우선되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려움

통일을 위해 통일정책의 연속성을 위해 내각제 개헌을 해야 한다는 논리는

지나친 단순화 또는 비약으로 보임

현 정국에 대한 토론자의 견해

지난 7년간의 대북정책 및 통일정책의 한반도의 운명과 관련된 4가지 핵심 변수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① 한미동맹의 근본 성격 변화(대북억지-gt동북아지역군)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을 위해 일본과 한국에 아웃소싱 추진하고 있으며 그 핵심이 지역미사일방어체제

구축

- 전작권환수 시기보다 조건을 우선 고려

- 전작권에 대한 효용성 변화 과거 전략적 유연성은 분담의 차원이었으나 현재는

한미일 군사협력네트워크 통합의 차원으로 변모 따라서 미국이 전작권을 계속 보유하는

것의 효용성이 높아짐(미국의 꽃놀이패)

② 북핵문제의 근본 성격 변화 핵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음

- 미국은 북한에 대한 de facto 보유국 내부적으로 인정19

18 이 발언은 북한의 핵개발 중단 도발가능성 북한개혁 등 중국이 행사할 수 있는 대북 레버리지를 미국이

기대한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됨

19 수년 전 힐러리 클린턴의 발언부터 최근 오바마의 유엔연설 직전에 행한 국가안전보장회의 부의장 벤 로

24

- 발제논문에서 주장하는 통일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미국의 입장과 연결됨

- Permanent crisis 양상 분명 위기이고 해결이 난망한데 아무도 나서서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며 심지어 현 위기국면을 국내정치에 이용하는 측면이 커지는 일종의

북한 핵위기의 default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③ 한반도 통일론의 변화 신뢰프로세스 동평구 통일대박론 드레스덴 선언 등의

많은 제안들이 후속조치 없이 동력을 잃었으며 최근 UN연설에서 재확인되듯이

흡수통일론으로 귀결 남북교류의 제도화 수준은 대단히 높으나 실행수준은 대단히

낮음으로 인해 통일논의에 대한 국민들의 피로감을 확산시키고 이는 국내

안보포퓰리즘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동

④ 북중관계 변화 남북관계의 단절로 인해 긴밀해짐으로 해서 북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하고 있는데 중국의 대북 지분을 향상시켜 유사시 개입의 빌미가 될

가능성이 높음(발제논문도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음-탈북자 관리명분)

미국의 입장에 대한 견해

오바마는 대북정책에 있어 부시 전임정부와는 정반대되는 경향 1기에서의

강경함에서 2기에는 협상무드로 갔던 부시와는 반대로 초기의 온건입장이 시간이

갈수록 강경기조로 넘어가고 있으며 인권압박까지 병행

더 큰 문제는 강경책이든 온건책이든 문제해결을 위한 움직임이 없는 매우

수동적 태도로 일관한다는 것인데 이는 북한문제가 여전히 오바마행정부의

정책우선순위의 상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고 또 북한핵개발

국면을 빌미로 대중국 견제와 미일동맹을 비롯한 아시아동맹네트워크 강화에 활용한다는

것임

오바마의 소위 lsquoDDSSrsquo Doctrine의 근간은 임기 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한반도는 큰 현안 없이 현상유지로 흘러갈 가능성이 큼

미국의 MD 압박 강화될 것임

- 미국이 현재는 한국내 여론을 의식해서 한국정부와 보조를 맞추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MD 편입을 원하고 있기에 압박은 증가할 것임

- 한국과 일본이 참여하는 지역 미사일방어체제 구축은 미국의 아시아재균형전략의

핵심이며 한국의 MD 참여가 중국의 입장에서는 레드라인이지만 미국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한중의 접근을 억제할 수 있는 카드로서의 효용성이 있음

- 한국정부의 태도 변화 사드의 한국도입에 대해 최근에는 수용적 자세로 변화20

미국의 MD 참여 압박에 대해 정부가 진정으로 미국 MD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면 확실한 입장표명을 하거나 공개적으로 국민의 의견을 묻는 것이

필요함(double edge diplomacy 활용)

한국의 과제

즈 발언까지 일관됨 20 10월 7일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한민구장관은 북한 핵middot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사드를 배치하면 우리 안

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함 또한 MD의 핵심 자산을 동원하는 새로운 작전개념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같은 방안을 이달 말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연례 안보협의회에서 공식화할 방침이라고 밝힘

25

남북관계 해결을 위해 한국정부가 선제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시도해야 함

미국이 여러 복잡한 문제로 인해 여유가 없는 상황을 오히려 역이용하는 발상의 전환

필요

미국정부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대북접근에 있어 한미공조 이탈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견제해왔던 것에 비하면 한국의 운신의 폭은 역설적으로 커졌다고 볼 여지

있음 미국이 대북정책에 있어 마땅한 해법도 없고 정책순위는 점점 하락하는 상황에서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주도가 가능할 수도 있음

출구전략

- 6자회담과 919성명의 복원을 통한 문제해결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을 병행

- 524조치에 대한 언급 없이 실질적인 유연화

- 박근혜대통령의 결심이 관건 대화재개조건의 유연화에 대한 한미간 정책조율을

주도할 필요가 있음

5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

한국GPF재단이 주최하는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김현욱 교수께서 발제한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의 주제는 통일을

시급하게 달성해야 하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통일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반세기 이상 한국과 안보동맹을 체결하고 있는 미국의

한반도 통일정책을 논의하는 것은 아주 시의적절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자는 먼저

발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의견을 제시하고 발제자와 토론자 간의 약간의 상이한

견해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하고 곽교수의 질문에 대해 간략하게 답한 후

정책제안의 순서로 기술하고자 합니다

1 발제문에 대한 일반적 평가

발제자의 논문 내용과 접근방법에 대해 토론자는 전적으로 찬성하고 동의합니다

한반도 통일방안의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공감하면서 남북정상이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에 공통점이 있다고 이미 합의하였기

때문에 남북은 장차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 중 하나의 통일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람직한 통일접근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한국이

경계해야 할 것은 발제자도 지적한 바와 같이 북한의 붕괴통일보다는 독일과 같이

평화적 흡수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며 더 좋은 방안은 평화통일을 목표로 하되 점진적

접근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만약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하여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고 가정할 때 한국에게는

lsquo통일의 대박rsquo이 아니라 통일의 쪽박이 될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남북이

평화통일 협상을 통해 점진적 통일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미국의 국가이익과 우려사항에 대한 자세한 분석에 전적으로

동의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많이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서

기대하는 것은 미국의 국익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미국의 대한반도 통일정책이

결정되리라 전망됨으로 통일의 당사자인 남북은 통일의 과정에서 미국의 국익도

고려하면서 남북이 통일의 이니셔티브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6

2 발제 문에 대한 몇 가지 이견

토론자는 발제문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를 하지만 미시적 측면에서 토론자의 이견을

몇 가지 부언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연방제와 연합제를 설명하는 2쪽 문단에서 북한의 연방제를 1980년

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김일성이 발표한 내용을 기준으로 설명했으나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이 한국의 연합제와 좀더 가까운 것은 김일성이 1991년 1월

1일 발표한 lsquo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rsquo이므로 이를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비교분석 하는 것이 좀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980연대 연방제는

남과 북이 lsquo연방상설위원회rsquo를 조직하여 지역정부를 지도하는 중앙정부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1991년의 연방제는 지방정부에 모든 외교권과 군사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국의

연합제 즉 국가연합 형태의 통일방안으로 수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둘째 1991년 북한의 연방제는 남과 북이 어떠한 정치군사적 블록에도 가담하지 않는

중립국가의 외교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남북이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에 공통점을 인정하고 있으나 북한은 연방제가 되었을 때 외교정책은

반드시 비동맹 중립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나 한국은 북한의 그러한 중립정책을

수용하기 어려운 입장이므로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선 듯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셋째 북한의 연방제 실시 조건에서 남한이 수용하기 어려운 또 다른 것은 북한이

주한미군의 철수와 국가보안법을 철폐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장차 남북이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를 실시한다 해도 남한정부의 입장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보안법 철폐는 가장 민감한 문제들이므로 난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끝으로 발제자는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ldquo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케 하고 미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rdquo는 분석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됩니다 미국의 계획에 의하면 lsquo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군은 한국군과

한국인은 북한에 입북하는 것을 금지하고 미군과 일본의 자위대가 북한의 치안을

유지한다rsquo는 주장이 제기되어 이를 확인하고 있습니다(오크랜드 대학교 박문재 박사

주장) 또 다른 주장에 의하면 북한의 급변사태 시 중국군과 미군은 동시에 북한에

상륙하여 일정한 지역을 분할 하여 WMD와 북한 질서를 공동으로 유지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계획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경우 미국에는 분명히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미국의 이익과 우려가 병존하리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어느 것이 미국의 국익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가에 따라 미국의 외교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이며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한반도 정책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과 관련하여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 발제자는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어

대부분의 내용에 동의를 하면서 상이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토론을 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ldquo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으며 2012년 오바마

27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 체제와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통일을 지지했다rdquo는

내용에 대해 미국은 한반도의 통일을 원천적으로 원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토론자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1971년 7월과 2005년 8월 북경에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비밀회담을 갖고 ldquo미국이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양국은 한반도 분단의

현장유지를 계속하자고 합의rdquo한 내용이 미국의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습니다(2005년 9월

7일 Washington Post)

또 다른 예로 한국전쟁을 종결하는 휴전협정 제4조에는 ldquo정전협정 서명 후 3개월

이내에 서명 당사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한다rdquo고 합의했으나 미국은 북한이 핵을 만들기

전에도 북한의 평화협정 요구를 거절해 왔으며 이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해야

평화협정을 체결해 주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의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은 외교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둘째 과거 독일통일의 과정에서 고르바초프는 독일의 중립화를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미국은 통일된 독일이 NATO에 잔류해야 한다는 조건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결국

고르비가 양보하고 미국의 안이 채택되었으나 거기에는 서독이 소련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수용한 대가라고 합니다(주섭일 기자의 『1990년 독일통일과 2017년 한반도

통일』)

셋째 미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문제에 대해 크게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미국은

한반도가 통일이 된 뒤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주한 미군의

역할은 북한의 위협보다는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주한 미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미국의 재

균형정책도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넷째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미국의 동북아시아 국가에 대한 군수산업이 대폭

축소될 것이며 통일된 한반도가 미-중 간에 균형외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대중 견제는 급속하게 감소될 전망입니다

끝으로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은 감소된 반면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되어 미국의

장기적 전략인 미국의 군사비 감축과 국내외 여건으로 주한미군의 유지가 어렵게 될

경우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감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므로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4 한국의 당면 과제

한국은 대북정책의 출구전략으로 10월 3일 북한 실세의 한국방문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려 북한이 필요로 하는 경제지원과 5ㆍ24조치 해제를 전제로 북한의 양보를 얻어 내

남북관계의 출구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한국정부는 미국이 요청한 THAAD

구입이나 배치를 허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남북간의 평화체제 구축은 1단계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기 보다는 남북이 이미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를 비롯하여 6 ㆍ 15선언과 10 ㆍ 4선언의 내용 중 실천이 용이한

문제부터 실천하면서 남북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북한과 미국의

관계에서 미국이 현재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한국은

북한과 먼저 신뢰를 회복한 후 기본합의서에 이미 명시되어 있는 남북한의 불가침조약을

먼저 체결하고 서울과 평양에 대표부를 설치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한반도

28

비핵화를 위해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으로 핵

문제는 북미간의 문제로 유지하면서 남북한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요구를

하면서 남북의 해빙무드를 먼저 조성하는데 한국은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은 현재도 비동맹 중립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북한의 연방제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조심스럽게 중립화 문제를 거론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검토를 해야 할 것입니다

5 정책제안

한반도 주변 4강은 현재 그들의 국가이익과 한반도 통일이 그들에게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한반도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므로 한국정부는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북한에 비핵화 요구보다 협상을 통해 단계적으로 북한이 한국의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제안이나 구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서

북한이 시급하게 원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524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북한의 양보와 협력을 받아 내야 할

것입니다lt끝gt

6 장용석 박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1 통일과 관련하여 발표자의 다음 지적은 매우 중요함

- ① 기능주의적 접근의 한계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 필요성 ② 북한

주민들의 선택이 지닌 중요성과 그에 대한 고려 필요성 ③ 통일 대북정책의 연속성과

북한 리더십 포용을 위한 내각제 개헌의 필요성

2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과 관련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함

- 동서독은 유럽차원에서 NATO와 WTO간 세력균형 이를 바탕으로 한 동서 간

긴장완화와 특히 헬싱키 프로세스와 CSCE 등을 통한 공동안보 틀 구축 등으로 인해

교류협력에서 안보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특히 동독이 경우 패전의

여파겠지만 북한과는 달리 자국의 안보를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음

- 반면 남북을 둘러싼 지역 안보 환경은 미∙중 간의 긴장과 갈등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고 있고 특히 북한의 경우 지정학적 요충지론에 입각하여 자주-존엄-

선군의 기치 하에 핵보유까지 천명하고 비대칭적 전력의 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으로써 동서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교류협력의 직접적인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 따라서 동북아 지역차원에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협력적 안보 틀이나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공존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rArr 이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ldquo작고 쉬운 것부터rdquo 논리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를 외면하는 기능주의의 또 다른 버전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발표자의 평가는

무엇인지

rArr 아울러 평화협정은 평화적 공존의 제도화와 군비통제를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분단관리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게 아닌지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18: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18

하며 후자에는 그냥 democracy로 표기한 의미를 되새길 필요가 있다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o 우리 정부는 lsquo연합제 통일방안rsquo을 지지한 바 없으며 무엇보다 lsquo연합제rsquo는 통일방안이

아니다 또한 우리 정부가 북한과 함께 lsquo74남북공동성명rsquo을 발표하고 lsquo자주 평화

민족대단결rsquo이라는 통일의 대원칙을 발표한 것은 맞으나 그 뒤 lsquo민족대단결rsquo을 삭제하고

lsquo민주rsquo를 넣었다

o 1989년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은 전두환이 아닌 노태우 정부 때 발표된 것이다

o 김대중 대통령이 대통령이 되기 전에 개인적인 통일방안으로 lsquo남북연합제 rarr

공화국연방체 rarr 통일국가rsquo의 3단계를 주장했었으나 대통령이 되고 나서는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수용했다

o 한국의 통일정책의 특징이 ldquo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남한체제를

궁극적인 통일의 상으로 설정하고 있다rdquo고 주장하나 우리 정부의 공식 통일방안인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은 먼저 민족공동체를 만들어가고 나중에 통일국가를 이루되

통일국가의 형태는 미래세대에게 맡긴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2 북한급변사태로 인한 통일

o 북한의 급변상황에 한국이 개입하는 것이 유엔헌장에 위배된다는 지적은 옳다 그런데

아무리 중국이 UN상임이사국이라도 중국 군이 평양까지 진출해 친중 정권을 수립할

근거를 갖고 있는가

o 박휘락 박사의 인용문은 미국이 북한의 WMD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중국의 도움을

받기 위해 중국의 개입을 반대하지 않는다는 의미이지 북한 급변사태가 발생할 때 이를

중국에게 떠맡긴다는 의미는 아닌 것이다

o 필자는 ldquo미∙중 양 강대국이 한반도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고rdquo라고 언급하고 있는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가 있는가

3 남한이 북한을 평화적으로 흡수 통일하는 방안

o 남북예멘이 통일 후 무력통일로까지 간 것은 사회문화적 유대감의 부족 때문이

아니라 11 대등한 권력분배가 몇 년 뒤 실시된 선거결과에 의해 북예멘에 유리하게

정치지형이 바뀌자 남예멘 측 인사들이 이에 반발해 무력을 동원했다가 진압당한 것이다

o 동독유권자의 9322가 서독으로의 신속한 편입을 주장했다고 언급했는데 이 수치는

투표율이다 조기통일을 주장했던 독일연합의 득표율은 4804 국가연합을 거쳐

점진적 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의 득표율은 2188였고 옛동독공산당이었던

민사당이 164 새로운 사회주의 건설을 내걸었던 연합90이 291였다 그 결과

독일연합과 동독사민당이 연립정부를 구성해 서독과 통일협상에 나섰던 것이다

III 독일 사례와 미국

o 동독 총선거에서 동독주민들이 서독의 정치체제와 정당에 투표하였다고 하였는데

이것이 무슨 말인가 그들은 조기통일(동독기민당 중심 국민연합) 점진통일(동독사민당

민사당) 제3의 길(연합90) 등을 내건 동독정당에 투표했는데 결과적으로 조기통일을

19

주장한 국민연합이 승리하여 점진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과 연립하여 조기 통일을

추진 달성한 것이다

o 독일통일의 상황에서 소련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원조라고 언급하고 있는바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엄밀하게 말한다면 對소련 차관 50억 DM(약 25억 euro) 동독주둔

소련군 36만 명의 철수에 따른 비용 부담 125억 DM(약 64억 euro)이다

IV 미국과 한반도 통일

1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o 미국이 통일과 같은 현상변경보다는 분단이라는 현상유지를 선호한다는 의견에

동감을 표한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의 정확한 출처를 밝혀주었으면 도움이

되겠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o 필자는 lsquo연합제연방제 통일rsquo과 lsquo한국주도의 통일rsquo을 대립적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연방제란 정부구성원리의 하나로서 1국가 2체제(일국양제)만 있는 것이 아니라 1국가

1체제의 연방제도 존재한다 따라서 한국 주도의 통일일지라도 단방제(單邦制) 방식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연방제(聯邦制) 방식이 될 수도 있다

o 통일된 이후가 아니라 전작권 전환 이후에 2013년 한미 양국은 한국군 합참 내에

미래사령부의 구성 계획을 통해 연합지휘체제(한국군 사령관 미군 부사령관)를

구축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o 최근 논의되고 있는 THAAD는 지금도 배치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인가 아니면

통일되면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아니게 되므로 지금 배치했더라도 철수해야 한다는

의미인가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o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우려사안 중 한국 주도의 통일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한미동맹의 약화를 우려한다는 점이 충분히 이해되지 않는다 특히 당장 통일될 것도

아닌데 우려의 근거로 미국의 현실적 상황을 제시한 것들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o 나머지 두 번째 세 번째도 왜 한미동맹이 약화되고 주한미군을 철수하게 될지 하는

원인을 설명하지 않고 그렇다고 전제해 놓고 미국의 대아시아 전략에 미칠 영향과

미∙중 사이의 중립국 지위 유지하는 것은 앞뒤가 바뀐 것이다

V 결론 ndash 정책적 고려사안

o 미국이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했다고 볼 수 있는가 미국이 통일에 대해 처음으로 입장표명을

한 것은 2009년 6월 이명박-부시 대통령의 한미 공동비전이 처음이다 최근 미국

조야의 분위기는 북핵 문제를 풀기 위해 통일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고 오히려 한국

측이 통일에 소극적이라고 질책하기도 하지 않은가

o 중국이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가 통일한국의 핵무기 보유가 아니라

단지 미국의 핵우산 유지를 우려했기 때문인가

o 평화협정이 단지 한국전쟁의 종식만을 위한 것일까 필자가 제시한 첫 번째

20

정책고려사안은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런데 평화협정이

체결되지 않고 정전상태에서 곧바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첫째 우발적 충돌이라도

전쟁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있고 둘째 통일과정에서 정전협정의 당사자인 미국과 중국이

국제법적으로 개입할 가능성이 열려있다

o 본문을 보면 필자는 분단적 평화유지와 평화체제평화협정을 동일시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마저 든다 그리고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다고 했는데 그 근거가 무엇인가 특히 비핵화-평화협정의 순서를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의 입장이 상반된다고 언급했는데 과연 그런가 919공동성명에서 미국과 중국은

동시행동 원칙에 합의한 바 있지 않은가

o 과연 남북한 통일을 위해 내각제가 필요한가는 좀 더 논의해봐야 할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통일을 달성할 때까지는 효율성을 위해 대통령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필자의 주장과 달리 내각제의 경우 잦은 내각교체로 인해 통일정책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수 없는 것 아닌가 lt끝gt

3 문성묵 박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발제문에 대한 논평 우선 김현욱 교수님의 발제문은 한반도 통일의 가능한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독일 사례를 통해 우리의 통일미래를 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접근이라고 봄 특히 남북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매우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제시하고 있는 정책적 제안은 적절하다고 판단되며 대체로 공감함 다만

통일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한 두 가지 추가 제언을 드리고자 함 우선 미국의

우려사항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일한국이 지향하는 한미동맹에 대한 분명한 의지를 미

측에 밝힐 필요가 있음 아울러 통일의 성취를 위해서는 반드시 중국의 협조를

유도해야 하는 바 이를 위해서는 통일한국의 한미동맹이 중국의 국익에도 부합될 수

있다는 논리를 적극 개발하고 중국을 설득하는 노력이 강구되어야 함 이러한 입장을

미국이 중국과 직접 조율해 나가도록 협조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봄 그런 차원에서

본문에서 제시한 한∙미∙중 3자 협의는 유용한 협의기제로 보임

다음은 곽태환원장님께서 제시해 주신 토의중점 주제들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정리하였음

1 한반도 통일을 위해 먼저 극도로 경색된 남북관계부터 풀어나가야 하는데

출구전략은

10월4일 황병서 등 북한고위급인사의 전격 방남으로 대화의 물꼬가 트인 만큼 이달

말 또는 11월초로 예정된 2차 고위급접촉을 통해 남북간 쟁점사항들을 대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풀어나가는 지혜가 필요함

첫째 무엇보다 대화의 지속이 중요함 일회성 대화가 아니라 고위급접촉이든 다른

대화채널이든 대화가 정례화 되는 것 즉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통로는 늘 열려 있어야

할 것임

둘째 사안별 접점 마련이 필요함 즉 상호가 입장차이가 극명한 사안은 일단

21

접어두고 접점 마련이 가능한 사안부터 협의하고 이행을 해 나가는 것임

2 현안이슈인 THAAD 한국배치에 대한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 측면 고려하여 사드

한국배치가 바람직한가 전시작전통제권을 2015년에 받아야 하나 연기 해야 하나

첫째 사드의 한국 배치는 정치적 관점이 아니라 안보적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중국(러시아)과 북한이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있지만 북한위협에 직면한 우리

입장에서는 한미동맹차원에서도 미국의 사드 배치 구상에 협력하는 것이 필요함 따라서

한국과 미국이 중국을 잘 설득할 필요가 있음

둘째 전작권문제 역시 주권 자존심이라는 측면 보다는 국익의 관점에서 판단해야 할

사안임 북 핵문제 등 북한의 위협이 상존하는 현 상황에서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억제력을 확고하게 유지하는 일임 한미연합사는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체제임 따라서 시기에 기초한 접근 보다는 조건에 기초한 접근이 바람직함

3 한반도 통일은 평화적으로 이뤄져야 하는데 남과 북이 합의에 의한 통일이

이뤄지려면 공동통일방안에 대한 합의가 가능한가 6자 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는

평화체제구축은 어떻게 이룰까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통일방안에 대한 남북 간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는 현 상황에서

통일방안부터 협의를 시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봄 우선 대화와 교류확대 등을 통한

화해협력을 추진하면서 향후 북한정권과 체제의 변화가 이루어질 때 통일방안에 대해

본격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함

둘째 핵 문제는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임 이로 인한 무력충돌은

공멸을 의미하기 때문임 따라서 북핵 문제는 우선 강력한 억제로 북핵 사용 자체를

무력화하고 나아가 대화를 통한 외교적 해법을 병행해야 함 즉 6자 회담을 재개하여

919공동성명의 합의정신에 입각하여 풀어나가는 것 이외 다른 적절한 대안은 없어

보임

셋째 평화체제 문제는 6자 회담이 재개되고 북핵 문제에 있어 일정분야 진전이 있을

경우 919 성명에 합의된 별도의 평화포럼을 통해 논의해 나갈 필요가 있음 평화체제는

협정의 체결이 아니라 실질적인 평화상태를 만들어 나가는데 중점을 두고 추진해 나가야

4 4자(미 중 남북한)회담을 통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인가 북이 주장하는 북미간

평화협정이 바람 직 한지 한반도 정전체제를 대체하는 다자 평화체제는 어떤 형태가

바람 직 한가 등

첫째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논의하는 협상은 남북한과 미국 중국이

참여하는 4자회담이 적절하다고 봄 1997~1998년 사이 제네바에서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는 문제를 논의하는 4자회담이 6차례 개최된 바도 있음

둘째 평화체제는 남북간에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미국과 중국이 이를 보장하며 협정은

유엔에 기탁하는 방안이 적절하다고 봄

5 6자 회담을 복원하여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ldquo행동대행동rdquo으로

동시에 해결하자는 제안에 대한 견해는

22

이는 북한이 핵 문제에 대해 한국과 미국 등이 요구하는 수준으로 성의 있는 조치를

취하고 이를 바탕으로 6자회담이 재개된다면 동시에 별도의 포럼을 열어 평화협정

논의를 개시할 수 있을 것임 실질적 평화상태 구축을 위한 남북간 군사적 신뢰구축 및

운용적 군비통제 등을 추진해야 함 평화협정의 체결 시점은 북한 핵이 완전히 폐기되는

시점과 맞추어야 할 것임

6 이러한 통일프로세스에서 과연 미국은 어떤 역할이 바람 직한가

독일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듯이 미국도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함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을 설득하여 한반도 통일에 동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공고한 한미동맹을 유지하여 북한이 변화하도록 유도하며 통일 이후에도 통일한국의

안보환경과 국익에 부합되게 동맹의 형태와 목표 기타 필요한 사항들을 협의하여

합의할 필요가 있음 통일한국이 중국과의 관계에서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는 방법은

미국과의 동맹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생각됨

7 평화적 합의통일방안에 하나의 대안으로 중립화를 통한 한반도 중립화 통일방안에

대한 견해는 미국은 지지 할까 등입니다

중립화 통일방안을 추구한다고 해서 통일이 촉진될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음

중국은 다소 긍정적일지 모르나 우리의 동맹인 미국이 가장 우려하는 사안일 것임 그런

차원에서 중립화 방안은 부적절함 이는 우리 국익이나 안보상 적절치 않은 방안이라고

봄 lt끝gt

4 김준형 박사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교수)

발제 논문에 관한 의견

다음 사항들에서 기본적으로 공감함

한반도통일의 고차방정식에 대한 의미 있는 분석 주변강대국들의 이해관계

특히 통일을 추구함에 있어 미국과 중국의 이해관계를 분석한 부분

냉전붕괴직후 독일의 상황과 당시 미국 및 소련의 입장이 가지는 함의에 대한

분석

북한급변사태가 곧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며 통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북한

주민들의 친한국 성향이나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남북이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

최근 미국이 통일에 대해 기껏해야 소극적 지지입장이며 통일로 인한

한미동맹의 약화가능성에 우려를 가지고 있다는 분석

한미동맹의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치명적이라는 주장도(치명적이라는

표현은 좀 과도한 측면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공감

주변강대국이 한반도통일이 현 동북아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지지하지 않으나 남북한이 원해서 주도적으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반대할 수 없다는

주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사항들에서 문제 제기하고자 함

23

서론에서 밝힌 본문내용 소개가 본문의 실제 내용전개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음 특히 현실적인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를 살펴본다고 했는데 오히려 그간의 남북한

통일안의 한계와 약점을 지적하고 특히 남북한 공히 정치적 통합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진다는 분석 위주임

북한에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 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 미국이 먼저 나서서 개입하지 않을 가능성은

있다 하더라도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해도 미국이 행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는 동의할

수 없음

북한 급변사태의 경우 중국이 자국민 및 재산보호를 명분 삼아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그것이 북중동맹에 의한 자동개입과 UN 상임이사국의

지위를 이용해서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라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려움

북한의 급변사태에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논지와 중국이 북한에 친중 정권을 세울 가능성이 높다는 논지는 자칫 통일보다 동맹을

선택하는 한미동맹 신화론자들의 논리를 강화시킬 수 있는 위험성 내재 박휘락박사가

인용한 미고위당국자의 발언은 context도 다른 것으로 보이고18

한국주도의 통일 역시 한미동맹약화로 이어지고 이는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에

치명적일 것이라고 단정하는 것 역시 같은 식으로 호도될 여지 있음

이 논리가 절대적 친미

보수진영의 동맹강화의 긴급성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논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평화협정이 통일의 전제조건이 아니라는 것에 동의하고 분단적 평화유지에 대한

반대에 동감하지만 평화보다 통일이 우선되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려움

통일을 위해 통일정책의 연속성을 위해 내각제 개헌을 해야 한다는 논리는

지나친 단순화 또는 비약으로 보임

현 정국에 대한 토론자의 견해

지난 7년간의 대북정책 및 통일정책의 한반도의 운명과 관련된 4가지 핵심 변수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① 한미동맹의 근본 성격 변화(대북억지-gt동북아지역군)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을 위해 일본과 한국에 아웃소싱 추진하고 있으며 그 핵심이 지역미사일방어체제

구축

- 전작권환수 시기보다 조건을 우선 고려

- 전작권에 대한 효용성 변화 과거 전략적 유연성은 분담의 차원이었으나 현재는

한미일 군사협력네트워크 통합의 차원으로 변모 따라서 미국이 전작권을 계속 보유하는

것의 효용성이 높아짐(미국의 꽃놀이패)

② 북핵문제의 근본 성격 변화 핵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음

- 미국은 북한에 대한 de facto 보유국 내부적으로 인정19

18 이 발언은 북한의 핵개발 중단 도발가능성 북한개혁 등 중국이 행사할 수 있는 대북 레버리지를 미국이

기대한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됨

19 수년 전 힐러리 클린턴의 발언부터 최근 오바마의 유엔연설 직전에 행한 국가안전보장회의 부의장 벤 로

24

- 발제논문에서 주장하는 통일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미국의 입장과 연결됨

- Permanent crisis 양상 분명 위기이고 해결이 난망한데 아무도 나서서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며 심지어 현 위기국면을 국내정치에 이용하는 측면이 커지는 일종의

북한 핵위기의 default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③ 한반도 통일론의 변화 신뢰프로세스 동평구 통일대박론 드레스덴 선언 등의

많은 제안들이 후속조치 없이 동력을 잃었으며 최근 UN연설에서 재확인되듯이

흡수통일론으로 귀결 남북교류의 제도화 수준은 대단히 높으나 실행수준은 대단히

낮음으로 인해 통일논의에 대한 국민들의 피로감을 확산시키고 이는 국내

안보포퓰리즘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동

④ 북중관계 변화 남북관계의 단절로 인해 긴밀해짐으로 해서 북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하고 있는데 중국의 대북 지분을 향상시켜 유사시 개입의 빌미가 될

가능성이 높음(발제논문도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음-탈북자 관리명분)

미국의 입장에 대한 견해

오바마는 대북정책에 있어 부시 전임정부와는 정반대되는 경향 1기에서의

강경함에서 2기에는 협상무드로 갔던 부시와는 반대로 초기의 온건입장이 시간이

갈수록 강경기조로 넘어가고 있으며 인권압박까지 병행

더 큰 문제는 강경책이든 온건책이든 문제해결을 위한 움직임이 없는 매우

수동적 태도로 일관한다는 것인데 이는 북한문제가 여전히 오바마행정부의

정책우선순위의 상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고 또 북한핵개발

국면을 빌미로 대중국 견제와 미일동맹을 비롯한 아시아동맹네트워크 강화에 활용한다는

것임

오바마의 소위 lsquoDDSSrsquo Doctrine의 근간은 임기 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한반도는 큰 현안 없이 현상유지로 흘러갈 가능성이 큼

미국의 MD 압박 강화될 것임

- 미국이 현재는 한국내 여론을 의식해서 한국정부와 보조를 맞추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MD 편입을 원하고 있기에 압박은 증가할 것임

- 한국과 일본이 참여하는 지역 미사일방어체제 구축은 미국의 아시아재균형전략의

핵심이며 한국의 MD 참여가 중국의 입장에서는 레드라인이지만 미국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한중의 접근을 억제할 수 있는 카드로서의 효용성이 있음

- 한국정부의 태도 변화 사드의 한국도입에 대해 최근에는 수용적 자세로 변화20

미국의 MD 참여 압박에 대해 정부가 진정으로 미국 MD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면 확실한 입장표명을 하거나 공개적으로 국민의 의견을 묻는 것이

필요함(double edge diplomacy 활용)

한국의 과제

즈 발언까지 일관됨 20 10월 7일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한민구장관은 북한 핵middot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사드를 배치하면 우리 안

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함 또한 MD의 핵심 자산을 동원하는 새로운 작전개념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같은 방안을 이달 말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연례 안보협의회에서 공식화할 방침이라고 밝힘

25

남북관계 해결을 위해 한국정부가 선제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시도해야 함

미국이 여러 복잡한 문제로 인해 여유가 없는 상황을 오히려 역이용하는 발상의 전환

필요

미국정부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대북접근에 있어 한미공조 이탈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견제해왔던 것에 비하면 한국의 운신의 폭은 역설적으로 커졌다고 볼 여지

있음 미국이 대북정책에 있어 마땅한 해법도 없고 정책순위는 점점 하락하는 상황에서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주도가 가능할 수도 있음

출구전략

- 6자회담과 919성명의 복원을 통한 문제해결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을 병행

- 524조치에 대한 언급 없이 실질적인 유연화

- 박근혜대통령의 결심이 관건 대화재개조건의 유연화에 대한 한미간 정책조율을

주도할 필요가 있음

5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

한국GPF재단이 주최하는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김현욱 교수께서 발제한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의 주제는 통일을

시급하게 달성해야 하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통일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반세기 이상 한국과 안보동맹을 체결하고 있는 미국의

한반도 통일정책을 논의하는 것은 아주 시의적절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자는 먼저

발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의견을 제시하고 발제자와 토론자 간의 약간의 상이한

견해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하고 곽교수의 질문에 대해 간략하게 답한 후

정책제안의 순서로 기술하고자 합니다

1 발제문에 대한 일반적 평가

발제자의 논문 내용과 접근방법에 대해 토론자는 전적으로 찬성하고 동의합니다

한반도 통일방안의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공감하면서 남북정상이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에 공통점이 있다고 이미 합의하였기

때문에 남북은 장차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 중 하나의 통일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람직한 통일접근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한국이

경계해야 할 것은 발제자도 지적한 바와 같이 북한의 붕괴통일보다는 독일과 같이

평화적 흡수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며 더 좋은 방안은 평화통일을 목표로 하되 점진적

접근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만약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하여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고 가정할 때 한국에게는

lsquo통일의 대박rsquo이 아니라 통일의 쪽박이 될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남북이

평화통일 협상을 통해 점진적 통일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미국의 국가이익과 우려사항에 대한 자세한 분석에 전적으로

동의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많이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서

기대하는 것은 미국의 국익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미국의 대한반도 통일정책이

결정되리라 전망됨으로 통일의 당사자인 남북은 통일의 과정에서 미국의 국익도

고려하면서 남북이 통일의 이니셔티브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6

2 발제 문에 대한 몇 가지 이견

토론자는 발제문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를 하지만 미시적 측면에서 토론자의 이견을

몇 가지 부언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연방제와 연합제를 설명하는 2쪽 문단에서 북한의 연방제를 1980년

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김일성이 발표한 내용을 기준으로 설명했으나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이 한국의 연합제와 좀더 가까운 것은 김일성이 1991년 1월

1일 발표한 lsquo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rsquo이므로 이를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비교분석 하는 것이 좀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980연대 연방제는

남과 북이 lsquo연방상설위원회rsquo를 조직하여 지역정부를 지도하는 중앙정부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1991년의 연방제는 지방정부에 모든 외교권과 군사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국의

연합제 즉 국가연합 형태의 통일방안으로 수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둘째 1991년 북한의 연방제는 남과 북이 어떠한 정치군사적 블록에도 가담하지 않는

중립국가의 외교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남북이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에 공통점을 인정하고 있으나 북한은 연방제가 되었을 때 외교정책은

반드시 비동맹 중립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나 한국은 북한의 그러한 중립정책을

수용하기 어려운 입장이므로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선 듯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셋째 북한의 연방제 실시 조건에서 남한이 수용하기 어려운 또 다른 것은 북한이

주한미군의 철수와 국가보안법을 철폐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장차 남북이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를 실시한다 해도 남한정부의 입장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보안법 철폐는 가장 민감한 문제들이므로 난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끝으로 발제자는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ldquo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케 하고 미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rdquo는 분석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됩니다 미국의 계획에 의하면 lsquo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군은 한국군과

한국인은 북한에 입북하는 것을 금지하고 미군과 일본의 자위대가 북한의 치안을

유지한다rsquo는 주장이 제기되어 이를 확인하고 있습니다(오크랜드 대학교 박문재 박사

주장) 또 다른 주장에 의하면 북한의 급변사태 시 중국군과 미군은 동시에 북한에

상륙하여 일정한 지역을 분할 하여 WMD와 북한 질서를 공동으로 유지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계획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경우 미국에는 분명히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미국의 이익과 우려가 병존하리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어느 것이 미국의 국익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가에 따라 미국의 외교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이며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한반도 정책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과 관련하여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 발제자는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어

대부분의 내용에 동의를 하면서 상이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토론을 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ldquo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으며 2012년 오바마

27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 체제와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통일을 지지했다rdquo는

내용에 대해 미국은 한반도의 통일을 원천적으로 원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토론자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1971년 7월과 2005년 8월 북경에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비밀회담을 갖고 ldquo미국이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양국은 한반도 분단의

현장유지를 계속하자고 합의rdquo한 내용이 미국의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습니다(2005년 9월

7일 Washington Post)

또 다른 예로 한국전쟁을 종결하는 휴전협정 제4조에는 ldquo정전협정 서명 후 3개월

이내에 서명 당사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한다rdquo고 합의했으나 미국은 북한이 핵을 만들기

전에도 북한의 평화협정 요구를 거절해 왔으며 이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해야

평화협정을 체결해 주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의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은 외교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둘째 과거 독일통일의 과정에서 고르바초프는 독일의 중립화를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미국은 통일된 독일이 NATO에 잔류해야 한다는 조건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결국

고르비가 양보하고 미국의 안이 채택되었으나 거기에는 서독이 소련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수용한 대가라고 합니다(주섭일 기자의 『1990년 독일통일과 2017년 한반도

통일』)

셋째 미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문제에 대해 크게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미국은

한반도가 통일이 된 뒤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주한 미군의

역할은 북한의 위협보다는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주한 미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미국의 재

균형정책도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넷째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미국의 동북아시아 국가에 대한 군수산업이 대폭

축소될 것이며 통일된 한반도가 미-중 간에 균형외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대중 견제는 급속하게 감소될 전망입니다

끝으로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은 감소된 반면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되어 미국의

장기적 전략인 미국의 군사비 감축과 국내외 여건으로 주한미군의 유지가 어렵게 될

경우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감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므로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4 한국의 당면 과제

한국은 대북정책의 출구전략으로 10월 3일 북한 실세의 한국방문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려 북한이 필요로 하는 경제지원과 5ㆍ24조치 해제를 전제로 북한의 양보를 얻어 내

남북관계의 출구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한국정부는 미국이 요청한 THAAD

구입이나 배치를 허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남북간의 평화체제 구축은 1단계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기 보다는 남북이 이미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를 비롯하여 6 ㆍ 15선언과 10 ㆍ 4선언의 내용 중 실천이 용이한

문제부터 실천하면서 남북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북한과 미국의

관계에서 미국이 현재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한국은

북한과 먼저 신뢰를 회복한 후 기본합의서에 이미 명시되어 있는 남북한의 불가침조약을

먼저 체결하고 서울과 평양에 대표부를 설치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한반도

28

비핵화를 위해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으로 핵

문제는 북미간의 문제로 유지하면서 남북한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요구를

하면서 남북의 해빙무드를 먼저 조성하는데 한국은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은 현재도 비동맹 중립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북한의 연방제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조심스럽게 중립화 문제를 거론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검토를 해야 할 것입니다

5 정책제안

한반도 주변 4강은 현재 그들의 국가이익과 한반도 통일이 그들에게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한반도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므로 한국정부는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북한에 비핵화 요구보다 협상을 통해 단계적으로 북한이 한국의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제안이나 구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서

북한이 시급하게 원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524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북한의 양보와 협력을 받아 내야 할

것입니다lt끝gt

6 장용석 박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1 통일과 관련하여 발표자의 다음 지적은 매우 중요함

- ① 기능주의적 접근의 한계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 필요성 ② 북한

주민들의 선택이 지닌 중요성과 그에 대한 고려 필요성 ③ 통일 대북정책의 연속성과

북한 리더십 포용을 위한 내각제 개헌의 필요성

2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과 관련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함

- 동서독은 유럽차원에서 NATO와 WTO간 세력균형 이를 바탕으로 한 동서 간

긴장완화와 특히 헬싱키 프로세스와 CSCE 등을 통한 공동안보 틀 구축 등으로 인해

교류협력에서 안보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특히 동독이 경우 패전의

여파겠지만 북한과는 달리 자국의 안보를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음

- 반면 남북을 둘러싼 지역 안보 환경은 미∙중 간의 긴장과 갈등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고 있고 특히 북한의 경우 지정학적 요충지론에 입각하여 자주-존엄-

선군의 기치 하에 핵보유까지 천명하고 비대칭적 전력의 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으로써 동서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교류협력의 직접적인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 따라서 동북아 지역차원에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협력적 안보 틀이나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공존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rArr 이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ldquo작고 쉬운 것부터rdquo 논리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를 외면하는 기능주의의 또 다른 버전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발표자의 평가는

무엇인지

rArr 아울러 평화협정은 평화적 공존의 제도화와 군비통제를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분단관리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게 아닌지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19: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19

주장한 국민연합이 승리하여 점진통일을 주장했던 동독사민당과 연립하여 조기 통일을

추진 달성한 것이다

o 독일통일의 상황에서 소련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원조라고 언급하고 있는바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엄밀하게 말한다면 對소련 차관 50억 DM(약 25억 euro) 동독주둔

소련군 36만 명의 철수에 따른 비용 부담 125억 DM(약 64억 euro)이다

IV 미국과 한반도 통일

1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o 미국이 통일과 같은 현상변경보다는 분단이라는 현상유지를 선호한다는 의견에

동감을 표한다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의 정확한 출처를 밝혀주었으면 도움이

되겠다

2 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미래

o 필자는 lsquo연합제연방제 통일rsquo과 lsquo한국주도의 통일rsquo을 대립적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연방제란 정부구성원리의 하나로서 1국가 2체제(일국양제)만 있는 것이 아니라 1국가

1체제의 연방제도 존재한다 따라서 한국 주도의 통일일지라도 단방제(單邦制) 방식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연방제(聯邦制) 방식이 될 수도 있다

o 통일된 이후가 아니라 전작권 전환 이후에 2013년 한미 양국은 한국군 합참 내에

미래사령부의 구성 계획을 통해 연합지휘체제(한국군 사령관 미군 부사령관)를

구축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o 최근 논의되고 있는 THAAD는 지금도 배치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인가 아니면

통일되면 더 이상 유효한 수단이 아니게 되므로 지금 배치했더라도 철수해야 한다는

의미인가

3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이익과 우려사안

o 한국통일에 대한 미국의 우려사안 중 한국 주도의 통일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한미동맹의 약화를 우려한다는 점이 충분히 이해되지 않는다 특히 당장 통일될 것도

아닌데 우려의 근거로 미국의 현실적 상황을 제시한 것들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o 나머지 두 번째 세 번째도 왜 한미동맹이 약화되고 주한미군을 철수하게 될지 하는

원인을 설명하지 않고 그렇다고 전제해 놓고 미국의 대아시아 전략에 미칠 영향과

미∙중 사이의 중립국 지위 유지하는 것은 앞뒤가 바뀐 것이다

V 결론 ndash 정책적 고려사안

o 미국이 역사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최근 적극적 지지가

아닌 소극적 지지로 변화했다고 볼 수 있는가 미국이 통일에 대해 처음으로 입장표명을

한 것은 2009년 6월 이명박-부시 대통령의 한미 공동비전이 처음이다 최근 미국

조야의 분위기는 북핵 문제를 풀기 위해 통일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고 오히려 한국

측이 통일에 소극적이라고 질책하기도 하지 않은가

o 중국이 비핵화에 의한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가 통일한국의 핵무기 보유가 아니라

단지 미국의 핵우산 유지를 우려했기 때문인가

o 평화협정이 단지 한국전쟁의 종식만을 위한 것일까 필자가 제시한 첫 번째

20

정책고려사안은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런데 평화협정이

체결되지 않고 정전상태에서 곧바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첫째 우발적 충돌이라도

전쟁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있고 둘째 통일과정에서 정전협정의 당사자인 미국과 중국이

국제법적으로 개입할 가능성이 열려있다

o 본문을 보면 필자는 분단적 평화유지와 평화체제평화협정을 동일시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마저 든다 그리고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다고 했는데 그 근거가 무엇인가 특히 비핵화-평화협정의 순서를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의 입장이 상반된다고 언급했는데 과연 그런가 919공동성명에서 미국과 중국은

동시행동 원칙에 합의한 바 있지 않은가

o 과연 남북한 통일을 위해 내각제가 필요한가는 좀 더 논의해봐야 할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통일을 달성할 때까지는 효율성을 위해 대통령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필자의 주장과 달리 내각제의 경우 잦은 내각교체로 인해 통일정책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수 없는 것 아닌가 lt끝gt

3 문성묵 박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발제문에 대한 논평 우선 김현욱 교수님의 발제문은 한반도 통일의 가능한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독일 사례를 통해 우리의 통일미래를 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접근이라고 봄 특히 남북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매우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제시하고 있는 정책적 제안은 적절하다고 판단되며 대체로 공감함 다만

통일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한 두 가지 추가 제언을 드리고자 함 우선 미국의

우려사항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일한국이 지향하는 한미동맹에 대한 분명한 의지를 미

측에 밝힐 필요가 있음 아울러 통일의 성취를 위해서는 반드시 중국의 협조를

유도해야 하는 바 이를 위해서는 통일한국의 한미동맹이 중국의 국익에도 부합될 수

있다는 논리를 적극 개발하고 중국을 설득하는 노력이 강구되어야 함 이러한 입장을

미국이 중국과 직접 조율해 나가도록 협조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봄 그런 차원에서

본문에서 제시한 한∙미∙중 3자 협의는 유용한 협의기제로 보임

다음은 곽태환원장님께서 제시해 주신 토의중점 주제들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정리하였음

1 한반도 통일을 위해 먼저 극도로 경색된 남북관계부터 풀어나가야 하는데

출구전략은

10월4일 황병서 등 북한고위급인사의 전격 방남으로 대화의 물꼬가 트인 만큼 이달

말 또는 11월초로 예정된 2차 고위급접촉을 통해 남북간 쟁점사항들을 대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풀어나가는 지혜가 필요함

첫째 무엇보다 대화의 지속이 중요함 일회성 대화가 아니라 고위급접촉이든 다른

대화채널이든 대화가 정례화 되는 것 즉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통로는 늘 열려 있어야

할 것임

둘째 사안별 접점 마련이 필요함 즉 상호가 입장차이가 극명한 사안은 일단

21

접어두고 접점 마련이 가능한 사안부터 협의하고 이행을 해 나가는 것임

2 현안이슈인 THAAD 한국배치에 대한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 측면 고려하여 사드

한국배치가 바람직한가 전시작전통제권을 2015년에 받아야 하나 연기 해야 하나

첫째 사드의 한국 배치는 정치적 관점이 아니라 안보적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중국(러시아)과 북한이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있지만 북한위협에 직면한 우리

입장에서는 한미동맹차원에서도 미국의 사드 배치 구상에 협력하는 것이 필요함 따라서

한국과 미국이 중국을 잘 설득할 필요가 있음

둘째 전작권문제 역시 주권 자존심이라는 측면 보다는 국익의 관점에서 판단해야 할

사안임 북 핵문제 등 북한의 위협이 상존하는 현 상황에서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억제력을 확고하게 유지하는 일임 한미연합사는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체제임 따라서 시기에 기초한 접근 보다는 조건에 기초한 접근이 바람직함

3 한반도 통일은 평화적으로 이뤄져야 하는데 남과 북이 합의에 의한 통일이

이뤄지려면 공동통일방안에 대한 합의가 가능한가 6자 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는

평화체제구축은 어떻게 이룰까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통일방안에 대한 남북 간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는 현 상황에서

통일방안부터 협의를 시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봄 우선 대화와 교류확대 등을 통한

화해협력을 추진하면서 향후 북한정권과 체제의 변화가 이루어질 때 통일방안에 대해

본격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함

둘째 핵 문제는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임 이로 인한 무력충돌은

공멸을 의미하기 때문임 따라서 북핵 문제는 우선 강력한 억제로 북핵 사용 자체를

무력화하고 나아가 대화를 통한 외교적 해법을 병행해야 함 즉 6자 회담을 재개하여

919공동성명의 합의정신에 입각하여 풀어나가는 것 이외 다른 적절한 대안은 없어

보임

셋째 평화체제 문제는 6자 회담이 재개되고 북핵 문제에 있어 일정분야 진전이 있을

경우 919 성명에 합의된 별도의 평화포럼을 통해 논의해 나갈 필요가 있음 평화체제는

협정의 체결이 아니라 실질적인 평화상태를 만들어 나가는데 중점을 두고 추진해 나가야

4 4자(미 중 남북한)회담을 통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인가 북이 주장하는 북미간

평화협정이 바람 직 한지 한반도 정전체제를 대체하는 다자 평화체제는 어떤 형태가

바람 직 한가 등

첫째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논의하는 협상은 남북한과 미국 중국이

참여하는 4자회담이 적절하다고 봄 1997~1998년 사이 제네바에서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는 문제를 논의하는 4자회담이 6차례 개최된 바도 있음

둘째 평화체제는 남북간에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미국과 중국이 이를 보장하며 협정은

유엔에 기탁하는 방안이 적절하다고 봄

5 6자 회담을 복원하여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ldquo행동대행동rdquo으로

동시에 해결하자는 제안에 대한 견해는

22

이는 북한이 핵 문제에 대해 한국과 미국 등이 요구하는 수준으로 성의 있는 조치를

취하고 이를 바탕으로 6자회담이 재개된다면 동시에 별도의 포럼을 열어 평화협정

논의를 개시할 수 있을 것임 실질적 평화상태 구축을 위한 남북간 군사적 신뢰구축 및

운용적 군비통제 등을 추진해야 함 평화협정의 체결 시점은 북한 핵이 완전히 폐기되는

시점과 맞추어야 할 것임

6 이러한 통일프로세스에서 과연 미국은 어떤 역할이 바람 직한가

독일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듯이 미국도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함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을 설득하여 한반도 통일에 동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공고한 한미동맹을 유지하여 북한이 변화하도록 유도하며 통일 이후에도 통일한국의

안보환경과 국익에 부합되게 동맹의 형태와 목표 기타 필요한 사항들을 협의하여

합의할 필요가 있음 통일한국이 중국과의 관계에서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는 방법은

미국과의 동맹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생각됨

7 평화적 합의통일방안에 하나의 대안으로 중립화를 통한 한반도 중립화 통일방안에

대한 견해는 미국은 지지 할까 등입니다

중립화 통일방안을 추구한다고 해서 통일이 촉진될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음

중국은 다소 긍정적일지 모르나 우리의 동맹인 미국이 가장 우려하는 사안일 것임 그런

차원에서 중립화 방안은 부적절함 이는 우리 국익이나 안보상 적절치 않은 방안이라고

봄 lt끝gt

4 김준형 박사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교수)

발제 논문에 관한 의견

다음 사항들에서 기본적으로 공감함

한반도통일의 고차방정식에 대한 의미 있는 분석 주변강대국들의 이해관계

특히 통일을 추구함에 있어 미국과 중국의 이해관계를 분석한 부분

냉전붕괴직후 독일의 상황과 당시 미국 및 소련의 입장이 가지는 함의에 대한

분석

북한급변사태가 곧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며 통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북한

주민들의 친한국 성향이나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남북이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

최근 미국이 통일에 대해 기껏해야 소극적 지지입장이며 통일로 인한

한미동맹의 약화가능성에 우려를 가지고 있다는 분석

한미동맹의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치명적이라는 주장도(치명적이라는

표현은 좀 과도한 측면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공감

주변강대국이 한반도통일이 현 동북아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지지하지 않으나 남북한이 원해서 주도적으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반대할 수 없다는

주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사항들에서 문제 제기하고자 함

23

서론에서 밝힌 본문내용 소개가 본문의 실제 내용전개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음 특히 현실적인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를 살펴본다고 했는데 오히려 그간의 남북한

통일안의 한계와 약점을 지적하고 특히 남북한 공히 정치적 통합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진다는 분석 위주임

북한에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 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 미국이 먼저 나서서 개입하지 않을 가능성은

있다 하더라도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해도 미국이 행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는 동의할

수 없음

북한 급변사태의 경우 중국이 자국민 및 재산보호를 명분 삼아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그것이 북중동맹에 의한 자동개입과 UN 상임이사국의

지위를 이용해서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라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려움

북한의 급변사태에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논지와 중국이 북한에 친중 정권을 세울 가능성이 높다는 논지는 자칫 통일보다 동맹을

선택하는 한미동맹 신화론자들의 논리를 강화시킬 수 있는 위험성 내재 박휘락박사가

인용한 미고위당국자의 발언은 context도 다른 것으로 보이고18

한국주도의 통일 역시 한미동맹약화로 이어지고 이는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에

치명적일 것이라고 단정하는 것 역시 같은 식으로 호도될 여지 있음

이 논리가 절대적 친미

보수진영의 동맹강화의 긴급성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논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평화협정이 통일의 전제조건이 아니라는 것에 동의하고 분단적 평화유지에 대한

반대에 동감하지만 평화보다 통일이 우선되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려움

통일을 위해 통일정책의 연속성을 위해 내각제 개헌을 해야 한다는 논리는

지나친 단순화 또는 비약으로 보임

현 정국에 대한 토론자의 견해

지난 7년간의 대북정책 및 통일정책의 한반도의 운명과 관련된 4가지 핵심 변수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① 한미동맹의 근본 성격 변화(대북억지-gt동북아지역군)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을 위해 일본과 한국에 아웃소싱 추진하고 있으며 그 핵심이 지역미사일방어체제

구축

- 전작권환수 시기보다 조건을 우선 고려

- 전작권에 대한 효용성 변화 과거 전략적 유연성은 분담의 차원이었으나 현재는

한미일 군사협력네트워크 통합의 차원으로 변모 따라서 미국이 전작권을 계속 보유하는

것의 효용성이 높아짐(미국의 꽃놀이패)

② 북핵문제의 근본 성격 변화 핵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음

- 미국은 북한에 대한 de facto 보유국 내부적으로 인정19

18 이 발언은 북한의 핵개발 중단 도발가능성 북한개혁 등 중국이 행사할 수 있는 대북 레버리지를 미국이

기대한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됨

19 수년 전 힐러리 클린턴의 발언부터 최근 오바마의 유엔연설 직전에 행한 국가안전보장회의 부의장 벤 로

24

- 발제논문에서 주장하는 통일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미국의 입장과 연결됨

- Permanent crisis 양상 분명 위기이고 해결이 난망한데 아무도 나서서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며 심지어 현 위기국면을 국내정치에 이용하는 측면이 커지는 일종의

북한 핵위기의 default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③ 한반도 통일론의 변화 신뢰프로세스 동평구 통일대박론 드레스덴 선언 등의

많은 제안들이 후속조치 없이 동력을 잃었으며 최근 UN연설에서 재확인되듯이

흡수통일론으로 귀결 남북교류의 제도화 수준은 대단히 높으나 실행수준은 대단히

낮음으로 인해 통일논의에 대한 국민들의 피로감을 확산시키고 이는 국내

안보포퓰리즘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동

④ 북중관계 변화 남북관계의 단절로 인해 긴밀해짐으로 해서 북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하고 있는데 중국의 대북 지분을 향상시켜 유사시 개입의 빌미가 될

가능성이 높음(발제논문도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음-탈북자 관리명분)

미국의 입장에 대한 견해

오바마는 대북정책에 있어 부시 전임정부와는 정반대되는 경향 1기에서의

강경함에서 2기에는 협상무드로 갔던 부시와는 반대로 초기의 온건입장이 시간이

갈수록 강경기조로 넘어가고 있으며 인권압박까지 병행

더 큰 문제는 강경책이든 온건책이든 문제해결을 위한 움직임이 없는 매우

수동적 태도로 일관한다는 것인데 이는 북한문제가 여전히 오바마행정부의

정책우선순위의 상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고 또 북한핵개발

국면을 빌미로 대중국 견제와 미일동맹을 비롯한 아시아동맹네트워크 강화에 활용한다는

것임

오바마의 소위 lsquoDDSSrsquo Doctrine의 근간은 임기 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한반도는 큰 현안 없이 현상유지로 흘러갈 가능성이 큼

미국의 MD 압박 강화될 것임

- 미국이 현재는 한국내 여론을 의식해서 한국정부와 보조를 맞추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MD 편입을 원하고 있기에 압박은 증가할 것임

- 한국과 일본이 참여하는 지역 미사일방어체제 구축은 미국의 아시아재균형전략의

핵심이며 한국의 MD 참여가 중국의 입장에서는 레드라인이지만 미국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한중의 접근을 억제할 수 있는 카드로서의 효용성이 있음

- 한국정부의 태도 변화 사드의 한국도입에 대해 최근에는 수용적 자세로 변화20

미국의 MD 참여 압박에 대해 정부가 진정으로 미국 MD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면 확실한 입장표명을 하거나 공개적으로 국민의 의견을 묻는 것이

필요함(double edge diplomacy 활용)

한국의 과제

즈 발언까지 일관됨 20 10월 7일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한민구장관은 북한 핵middot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사드를 배치하면 우리 안

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함 또한 MD의 핵심 자산을 동원하는 새로운 작전개념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같은 방안을 이달 말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연례 안보협의회에서 공식화할 방침이라고 밝힘

25

남북관계 해결을 위해 한국정부가 선제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시도해야 함

미국이 여러 복잡한 문제로 인해 여유가 없는 상황을 오히려 역이용하는 발상의 전환

필요

미국정부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대북접근에 있어 한미공조 이탈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견제해왔던 것에 비하면 한국의 운신의 폭은 역설적으로 커졌다고 볼 여지

있음 미국이 대북정책에 있어 마땅한 해법도 없고 정책순위는 점점 하락하는 상황에서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주도가 가능할 수도 있음

출구전략

- 6자회담과 919성명의 복원을 통한 문제해결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을 병행

- 524조치에 대한 언급 없이 실질적인 유연화

- 박근혜대통령의 결심이 관건 대화재개조건의 유연화에 대한 한미간 정책조율을

주도할 필요가 있음

5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

한국GPF재단이 주최하는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김현욱 교수께서 발제한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의 주제는 통일을

시급하게 달성해야 하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통일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반세기 이상 한국과 안보동맹을 체결하고 있는 미국의

한반도 통일정책을 논의하는 것은 아주 시의적절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자는 먼저

발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의견을 제시하고 발제자와 토론자 간의 약간의 상이한

견해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하고 곽교수의 질문에 대해 간략하게 답한 후

정책제안의 순서로 기술하고자 합니다

1 발제문에 대한 일반적 평가

발제자의 논문 내용과 접근방법에 대해 토론자는 전적으로 찬성하고 동의합니다

한반도 통일방안의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공감하면서 남북정상이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에 공통점이 있다고 이미 합의하였기

때문에 남북은 장차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 중 하나의 통일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람직한 통일접근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한국이

경계해야 할 것은 발제자도 지적한 바와 같이 북한의 붕괴통일보다는 독일과 같이

평화적 흡수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며 더 좋은 방안은 평화통일을 목표로 하되 점진적

접근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만약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하여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고 가정할 때 한국에게는

lsquo통일의 대박rsquo이 아니라 통일의 쪽박이 될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남북이

평화통일 협상을 통해 점진적 통일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미국의 국가이익과 우려사항에 대한 자세한 분석에 전적으로

동의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많이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서

기대하는 것은 미국의 국익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미국의 대한반도 통일정책이

결정되리라 전망됨으로 통일의 당사자인 남북은 통일의 과정에서 미국의 국익도

고려하면서 남북이 통일의 이니셔티브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6

2 발제 문에 대한 몇 가지 이견

토론자는 발제문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를 하지만 미시적 측면에서 토론자의 이견을

몇 가지 부언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연방제와 연합제를 설명하는 2쪽 문단에서 북한의 연방제를 1980년

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김일성이 발표한 내용을 기준으로 설명했으나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이 한국의 연합제와 좀더 가까운 것은 김일성이 1991년 1월

1일 발표한 lsquo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rsquo이므로 이를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비교분석 하는 것이 좀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980연대 연방제는

남과 북이 lsquo연방상설위원회rsquo를 조직하여 지역정부를 지도하는 중앙정부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1991년의 연방제는 지방정부에 모든 외교권과 군사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국의

연합제 즉 국가연합 형태의 통일방안으로 수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둘째 1991년 북한의 연방제는 남과 북이 어떠한 정치군사적 블록에도 가담하지 않는

중립국가의 외교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남북이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에 공통점을 인정하고 있으나 북한은 연방제가 되었을 때 외교정책은

반드시 비동맹 중립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나 한국은 북한의 그러한 중립정책을

수용하기 어려운 입장이므로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선 듯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셋째 북한의 연방제 실시 조건에서 남한이 수용하기 어려운 또 다른 것은 북한이

주한미군의 철수와 국가보안법을 철폐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장차 남북이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를 실시한다 해도 남한정부의 입장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보안법 철폐는 가장 민감한 문제들이므로 난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끝으로 발제자는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ldquo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케 하고 미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rdquo는 분석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됩니다 미국의 계획에 의하면 lsquo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군은 한국군과

한국인은 북한에 입북하는 것을 금지하고 미군과 일본의 자위대가 북한의 치안을

유지한다rsquo는 주장이 제기되어 이를 확인하고 있습니다(오크랜드 대학교 박문재 박사

주장) 또 다른 주장에 의하면 북한의 급변사태 시 중국군과 미군은 동시에 북한에

상륙하여 일정한 지역을 분할 하여 WMD와 북한 질서를 공동으로 유지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계획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경우 미국에는 분명히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미국의 이익과 우려가 병존하리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어느 것이 미국의 국익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가에 따라 미국의 외교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이며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한반도 정책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과 관련하여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 발제자는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어

대부분의 내용에 동의를 하면서 상이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토론을 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ldquo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으며 2012년 오바마

27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 체제와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통일을 지지했다rdquo는

내용에 대해 미국은 한반도의 통일을 원천적으로 원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토론자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1971년 7월과 2005년 8월 북경에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비밀회담을 갖고 ldquo미국이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양국은 한반도 분단의

현장유지를 계속하자고 합의rdquo한 내용이 미국의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습니다(2005년 9월

7일 Washington Post)

또 다른 예로 한국전쟁을 종결하는 휴전협정 제4조에는 ldquo정전협정 서명 후 3개월

이내에 서명 당사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한다rdquo고 합의했으나 미국은 북한이 핵을 만들기

전에도 북한의 평화협정 요구를 거절해 왔으며 이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해야

평화협정을 체결해 주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의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은 외교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둘째 과거 독일통일의 과정에서 고르바초프는 독일의 중립화를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미국은 통일된 독일이 NATO에 잔류해야 한다는 조건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결국

고르비가 양보하고 미국의 안이 채택되었으나 거기에는 서독이 소련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수용한 대가라고 합니다(주섭일 기자의 『1990년 독일통일과 2017년 한반도

통일』)

셋째 미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문제에 대해 크게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미국은

한반도가 통일이 된 뒤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주한 미군의

역할은 북한의 위협보다는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주한 미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미국의 재

균형정책도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넷째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미국의 동북아시아 국가에 대한 군수산업이 대폭

축소될 것이며 통일된 한반도가 미-중 간에 균형외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대중 견제는 급속하게 감소될 전망입니다

끝으로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은 감소된 반면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되어 미국의

장기적 전략인 미국의 군사비 감축과 국내외 여건으로 주한미군의 유지가 어렵게 될

경우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감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므로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4 한국의 당면 과제

한국은 대북정책의 출구전략으로 10월 3일 북한 실세의 한국방문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려 북한이 필요로 하는 경제지원과 5ㆍ24조치 해제를 전제로 북한의 양보를 얻어 내

남북관계의 출구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한국정부는 미국이 요청한 THAAD

구입이나 배치를 허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남북간의 평화체제 구축은 1단계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기 보다는 남북이 이미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를 비롯하여 6 ㆍ 15선언과 10 ㆍ 4선언의 내용 중 실천이 용이한

문제부터 실천하면서 남북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북한과 미국의

관계에서 미국이 현재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한국은

북한과 먼저 신뢰를 회복한 후 기본합의서에 이미 명시되어 있는 남북한의 불가침조약을

먼저 체결하고 서울과 평양에 대표부를 설치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한반도

28

비핵화를 위해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으로 핵

문제는 북미간의 문제로 유지하면서 남북한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요구를

하면서 남북의 해빙무드를 먼저 조성하는데 한국은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은 현재도 비동맹 중립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북한의 연방제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조심스럽게 중립화 문제를 거론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검토를 해야 할 것입니다

5 정책제안

한반도 주변 4강은 현재 그들의 국가이익과 한반도 통일이 그들에게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한반도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므로 한국정부는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북한에 비핵화 요구보다 협상을 통해 단계적으로 북한이 한국의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제안이나 구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서

북한이 시급하게 원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524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북한의 양보와 협력을 받아 내야 할

것입니다lt끝gt

6 장용석 박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1 통일과 관련하여 발표자의 다음 지적은 매우 중요함

- ① 기능주의적 접근의 한계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 필요성 ② 북한

주민들의 선택이 지닌 중요성과 그에 대한 고려 필요성 ③ 통일 대북정책의 연속성과

북한 리더십 포용을 위한 내각제 개헌의 필요성

2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과 관련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함

- 동서독은 유럽차원에서 NATO와 WTO간 세력균형 이를 바탕으로 한 동서 간

긴장완화와 특히 헬싱키 프로세스와 CSCE 등을 통한 공동안보 틀 구축 등으로 인해

교류협력에서 안보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특히 동독이 경우 패전의

여파겠지만 북한과는 달리 자국의 안보를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음

- 반면 남북을 둘러싼 지역 안보 환경은 미∙중 간의 긴장과 갈등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고 있고 특히 북한의 경우 지정학적 요충지론에 입각하여 자주-존엄-

선군의 기치 하에 핵보유까지 천명하고 비대칭적 전력의 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으로써 동서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교류협력의 직접적인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 따라서 동북아 지역차원에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협력적 안보 틀이나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공존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rArr 이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ldquo작고 쉬운 것부터rdquo 논리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를 외면하는 기능주의의 또 다른 버전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발표자의 평가는

무엇인지

rArr 아울러 평화협정은 평화적 공존의 제도화와 군비통제를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분단관리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게 아닌지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20: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20

정책고려사안은 남북관계가 통일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런데 평화협정이

체결되지 않고 정전상태에서 곧바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첫째 우발적 충돌이라도

전쟁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있고 둘째 통일과정에서 정전협정의 당사자인 미국과 중국이

국제법적으로 개입할 가능성이 열려있다

o 본문을 보면 필자는 분단적 평화유지와 평화체제평화협정을 동일시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마저 든다 그리고 주변국들의 평화협정 체결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모두

다르다고 했는데 그 근거가 무엇인가 특히 비핵화-평화협정의 순서를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의 입장이 상반된다고 언급했는데 과연 그런가 919공동성명에서 미국과 중국은

동시행동 원칙에 합의한 바 있지 않은가

o 과연 남북한 통일을 위해 내각제가 필요한가는 좀 더 논의해봐야 할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통일을 달성할 때까지는 효율성을 위해 대통령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필자의 주장과 달리 내각제의 경우 잦은 내각교체로 인해 통일정책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수 없는 것 아닌가 lt끝gt

3 문성묵 박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발제문에 대한 논평 우선 김현욱 교수님의 발제문은 한반도 통일의 가능한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독일 사례를 통해 우리의 통일미래를 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접근이라고 봄 특히 남북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매우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제시하고 있는 정책적 제안은 적절하다고 판단되며 대체로 공감함 다만

통일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한 두 가지 추가 제언을 드리고자 함 우선 미국의

우려사항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일한국이 지향하는 한미동맹에 대한 분명한 의지를 미

측에 밝힐 필요가 있음 아울러 통일의 성취를 위해서는 반드시 중국의 협조를

유도해야 하는 바 이를 위해서는 통일한국의 한미동맹이 중국의 국익에도 부합될 수

있다는 논리를 적극 개발하고 중국을 설득하는 노력이 강구되어야 함 이러한 입장을

미국이 중국과 직접 조율해 나가도록 협조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봄 그런 차원에서

본문에서 제시한 한∙미∙중 3자 협의는 유용한 협의기제로 보임

다음은 곽태환원장님께서 제시해 주신 토의중점 주제들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정리하였음

1 한반도 통일을 위해 먼저 극도로 경색된 남북관계부터 풀어나가야 하는데

출구전략은

10월4일 황병서 등 북한고위급인사의 전격 방남으로 대화의 물꼬가 트인 만큼 이달

말 또는 11월초로 예정된 2차 고위급접촉을 통해 남북간 쟁점사항들을 대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풀어나가는 지혜가 필요함

첫째 무엇보다 대화의 지속이 중요함 일회성 대화가 아니라 고위급접촉이든 다른

대화채널이든 대화가 정례화 되는 것 즉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통로는 늘 열려 있어야

할 것임

둘째 사안별 접점 마련이 필요함 즉 상호가 입장차이가 극명한 사안은 일단

21

접어두고 접점 마련이 가능한 사안부터 협의하고 이행을 해 나가는 것임

2 현안이슈인 THAAD 한국배치에 대한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 측면 고려하여 사드

한국배치가 바람직한가 전시작전통제권을 2015년에 받아야 하나 연기 해야 하나

첫째 사드의 한국 배치는 정치적 관점이 아니라 안보적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중국(러시아)과 북한이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있지만 북한위협에 직면한 우리

입장에서는 한미동맹차원에서도 미국의 사드 배치 구상에 협력하는 것이 필요함 따라서

한국과 미국이 중국을 잘 설득할 필요가 있음

둘째 전작권문제 역시 주권 자존심이라는 측면 보다는 국익의 관점에서 판단해야 할

사안임 북 핵문제 등 북한의 위협이 상존하는 현 상황에서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억제력을 확고하게 유지하는 일임 한미연합사는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체제임 따라서 시기에 기초한 접근 보다는 조건에 기초한 접근이 바람직함

3 한반도 통일은 평화적으로 이뤄져야 하는데 남과 북이 합의에 의한 통일이

이뤄지려면 공동통일방안에 대한 합의가 가능한가 6자 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는

평화체제구축은 어떻게 이룰까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통일방안에 대한 남북 간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는 현 상황에서

통일방안부터 협의를 시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봄 우선 대화와 교류확대 등을 통한

화해협력을 추진하면서 향후 북한정권과 체제의 변화가 이루어질 때 통일방안에 대해

본격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함

둘째 핵 문제는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임 이로 인한 무력충돌은

공멸을 의미하기 때문임 따라서 북핵 문제는 우선 강력한 억제로 북핵 사용 자체를

무력화하고 나아가 대화를 통한 외교적 해법을 병행해야 함 즉 6자 회담을 재개하여

919공동성명의 합의정신에 입각하여 풀어나가는 것 이외 다른 적절한 대안은 없어

보임

셋째 평화체제 문제는 6자 회담이 재개되고 북핵 문제에 있어 일정분야 진전이 있을

경우 919 성명에 합의된 별도의 평화포럼을 통해 논의해 나갈 필요가 있음 평화체제는

협정의 체결이 아니라 실질적인 평화상태를 만들어 나가는데 중점을 두고 추진해 나가야

4 4자(미 중 남북한)회담을 통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인가 북이 주장하는 북미간

평화협정이 바람 직 한지 한반도 정전체제를 대체하는 다자 평화체제는 어떤 형태가

바람 직 한가 등

첫째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논의하는 협상은 남북한과 미국 중국이

참여하는 4자회담이 적절하다고 봄 1997~1998년 사이 제네바에서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는 문제를 논의하는 4자회담이 6차례 개최된 바도 있음

둘째 평화체제는 남북간에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미국과 중국이 이를 보장하며 협정은

유엔에 기탁하는 방안이 적절하다고 봄

5 6자 회담을 복원하여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ldquo행동대행동rdquo으로

동시에 해결하자는 제안에 대한 견해는

22

이는 북한이 핵 문제에 대해 한국과 미국 등이 요구하는 수준으로 성의 있는 조치를

취하고 이를 바탕으로 6자회담이 재개된다면 동시에 별도의 포럼을 열어 평화협정

논의를 개시할 수 있을 것임 실질적 평화상태 구축을 위한 남북간 군사적 신뢰구축 및

운용적 군비통제 등을 추진해야 함 평화협정의 체결 시점은 북한 핵이 완전히 폐기되는

시점과 맞추어야 할 것임

6 이러한 통일프로세스에서 과연 미국은 어떤 역할이 바람 직한가

독일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듯이 미국도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함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을 설득하여 한반도 통일에 동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공고한 한미동맹을 유지하여 북한이 변화하도록 유도하며 통일 이후에도 통일한국의

안보환경과 국익에 부합되게 동맹의 형태와 목표 기타 필요한 사항들을 협의하여

합의할 필요가 있음 통일한국이 중국과의 관계에서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는 방법은

미국과의 동맹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생각됨

7 평화적 합의통일방안에 하나의 대안으로 중립화를 통한 한반도 중립화 통일방안에

대한 견해는 미국은 지지 할까 등입니다

중립화 통일방안을 추구한다고 해서 통일이 촉진될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음

중국은 다소 긍정적일지 모르나 우리의 동맹인 미국이 가장 우려하는 사안일 것임 그런

차원에서 중립화 방안은 부적절함 이는 우리 국익이나 안보상 적절치 않은 방안이라고

봄 lt끝gt

4 김준형 박사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교수)

발제 논문에 관한 의견

다음 사항들에서 기본적으로 공감함

한반도통일의 고차방정식에 대한 의미 있는 분석 주변강대국들의 이해관계

특히 통일을 추구함에 있어 미국과 중국의 이해관계를 분석한 부분

냉전붕괴직후 독일의 상황과 당시 미국 및 소련의 입장이 가지는 함의에 대한

분석

북한급변사태가 곧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며 통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북한

주민들의 친한국 성향이나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남북이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

최근 미국이 통일에 대해 기껏해야 소극적 지지입장이며 통일로 인한

한미동맹의 약화가능성에 우려를 가지고 있다는 분석

한미동맹의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치명적이라는 주장도(치명적이라는

표현은 좀 과도한 측면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공감

주변강대국이 한반도통일이 현 동북아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지지하지 않으나 남북한이 원해서 주도적으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반대할 수 없다는

주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사항들에서 문제 제기하고자 함

23

서론에서 밝힌 본문내용 소개가 본문의 실제 내용전개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음 특히 현실적인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를 살펴본다고 했는데 오히려 그간의 남북한

통일안의 한계와 약점을 지적하고 특히 남북한 공히 정치적 통합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진다는 분석 위주임

북한에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 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 미국이 먼저 나서서 개입하지 않을 가능성은

있다 하더라도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해도 미국이 행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는 동의할

수 없음

북한 급변사태의 경우 중국이 자국민 및 재산보호를 명분 삼아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그것이 북중동맹에 의한 자동개입과 UN 상임이사국의

지위를 이용해서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라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려움

북한의 급변사태에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논지와 중국이 북한에 친중 정권을 세울 가능성이 높다는 논지는 자칫 통일보다 동맹을

선택하는 한미동맹 신화론자들의 논리를 강화시킬 수 있는 위험성 내재 박휘락박사가

인용한 미고위당국자의 발언은 context도 다른 것으로 보이고18

한국주도의 통일 역시 한미동맹약화로 이어지고 이는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에

치명적일 것이라고 단정하는 것 역시 같은 식으로 호도될 여지 있음

이 논리가 절대적 친미

보수진영의 동맹강화의 긴급성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논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평화협정이 통일의 전제조건이 아니라는 것에 동의하고 분단적 평화유지에 대한

반대에 동감하지만 평화보다 통일이 우선되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려움

통일을 위해 통일정책의 연속성을 위해 내각제 개헌을 해야 한다는 논리는

지나친 단순화 또는 비약으로 보임

현 정국에 대한 토론자의 견해

지난 7년간의 대북정책 및 통일정책의 한반도의 운명과 관련된 4가지 핵심 변수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① 한미동맹의 근본 성격 변화(대북억지-gt동북아지역군)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을 위해 일본과 한국에 아웃소싱 추진하고 있으며 그 핵심이 지역미사일방어체제

구축

- 전작권환수 시기보다 조건을 우선 고려

- 전작권에 대한 효용성 변화 과거 전략적 유연성은 분담의 차원이었으나 현재는

한미일 군사협력네트워크 통합의 차원으로 변모 따라서 미국이 전작권을 계속 보유하는

것의 효용성이 높아짐(미국의 꽃놀이패)

② 북핵문제의 근본 성격 변화 핵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음

- 미국은 북한에 대한 de facto 보유국 내부적으로 인정19

18 이 발언은 북한의 핵개발 중단 도발가능성 북한개혁 등 중국이 행사할 수 있는 대북 레버리지를 미국이

기대한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됨

19 수년 전 힐러리 클린턴의 발언부터 최근 오바마의 유엔연설 직전에 행한 국가안전보장회의 부의장 벤 로

24

- 발제논문에서 주장하는 통일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미국의 입장과 연결됨

- Permanent crisis 양상 분명 위기이고 해결이 난망한데 아무도 나서서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며 심지어 현 위기국면을 국내정치에 이용하는 측면이 커지는 일종의

북한 핵위기의 default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③ 한반도 통일론의 변화 신뢰프로세스 동평구 통일대박론 드레스덴 선언 등의

많은 제안들이 후속조치 없이 동력을 잃었으며 최근 UN연설에서 재확인되듯이

흡수통일론으로 귀결 남북교류의 제도화 수준은 대단히 높으나 실행수준은 대단히

낮음으로 인해 통일논의에 대한 국민들의 피로감을 확산시키고 이는 국내

안보포퓰리즘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동

④ 북중관계 변화 남북관계의 단절로 인해 긴밀해짐으로 해서 북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하고 있는데 중국의 대북 지분을 향상시켜 유사시 개입의 빌미가 될

가능성이 높음(발제논문도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음-탈북자 관리명분)

미국의 입장에 대한 견해

오바마는 대북정책에 있어 부시 전임정부와는 정반대되는 경향 1기에서의

강경함에서 2기에는 협상무드로 갔던 부시와는 반대로 초기의 온건입장이 시간이

갈수록 강경기조로 넘어가고 있으며 인권압박까지 병행

더 큰 문제는 강경책이든 온건책이든 문제해결을 위한 움직임이 없는 매우

수동적 태도로 일관한다는 것인데 이는 북한문제가 여전히 오바마행정부의

정책우선순위의 상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고 또 북한핵개발

국면을 빌미로 대중국 견제와 미일동맹을 비롯한 아시아동맹네트워크 강화에 활용한다는

것임

오바마의 소위 lsquoDDSSrsquo Doctrine의 근간은 임기 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한반도는 큰 현안 없이 현상유지로 흘러갈 가능성이 큼

미국의 MD 압박 강화될 것임

- 미국이 현재는 한국내 여론을 의식해서 한국정부와 보조를 맞추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MD 편입을 원하고 있기에 압박은 증가할 것임

- 한국과 일본이 참여하는 지역 미사일방어체제 구축은 미국의 아시아재균형전략의

핵심이며 한국의 MD 참여가 중국의 입장에서는 레드라인이지만 미국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한중의 접근을 억제할 수 있는 카드로서의 효용성이 있음

- 한국정부의 태도 변화 사드의 한국도입에 대해 최근에는 수용적 자세로 변화20

미국의 MD 참여 압박에 대해 정부가 진정으로 미국 MD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면 확실한 입장표명을 하거나 공개적으로 국민의 의견을 묻는 것이

필요함(double edge diplomacy 활용)

한국의 과제

즈 발언까지 일관됨 20 10월 7일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한민구장관은 북한 핵middot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사드를 배치하면 우리 안

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함 또한 MD의 핵심 자산을 동원하는 새로운 작전개념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같은 방안을 이달 말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연례 안보협의회에서 공식화할 방침이라고 밝힘

25

남북관계 해결을 위해 한국정부가 선제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시도해야 함

미국이 여러 복잡한 문제로 인해 여유가 없는 상황을 오히려 역이용하는 발상의 전환

필요

미국정부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대북접근에 있어 한미공조 이탈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견제해왔던 것에 비하면 한국의 운신의 폭은 역설적으로 커졌다고 볼 여지

있음 미국이 대북정책에 있어 마땅한 해법도 없고 정책순위는 점점 하락하는 상황에서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주도가 가능할 수도 있음

출구전략

- 6자회담과 919성명의 복원을 통한 문제해결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을 병행

- 524조치에 대한 언급 없이 실질적인 유연화

- 박근혜대통령의 결심이 관건 대화재개조건의 유연화에 대한 한미간 정책조율을

주도할 필요가 있음

5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

한국GPF재단이 주최하는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김현욱 교수께서 발제한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의 주제는 통일을

시급하게 달성해야 하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통일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반세기 이상 한국과 안보동맹을 체결하고 있는 미국의

한반도 통일정책을 논의하는 것은 아주 시의적절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자는 먼저

발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의견을 제시하고 발제자와 토론자 간의 약간의 상이한

견해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하고 곽교수의 질문에 대해 간략하게 답한 후

정책제안의 순서로 기술하고자 합니다

1 발제문에 대한 일반적 평가

발제자의 논문 내용과 접근방법에 대해 토론자는 전적으로 찬성하고 동의합니다

한반도 통일방안의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공감하면서 남북정상이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에 공통점이 있다고 이미 합의하였기

때문에 남북은 장차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 중 하나의 통일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람직한 통일접근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한국이

경계해야 할 것은 발제자도 지적한 바와 같이 북한의 붕괴통일보다는 독일과 같이

평화적 흡수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며 더 좋은 방안은 평화통일을 목표로 하되 점진적

접근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만약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하여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고 가정할 때 한국에게는

lsquo통일의 대박rsquo이 아니라 통일의 쪽박이 될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남북이

평화통일 협상을 통해 점진적 통일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미국의 국가이익과 우려사항에 대한 자세한 분석에 전적으로

동의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많이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서

기대하는 것은 미국의 국익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미국의 대한반도 통일정책이

결정되리라 전망됨으로 통일의 당사자인 남북은 통일의 과정에서 미국의 국익도

고려하면서 남북이 통일의 이니셔티브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6

2 발제 문에 대한 몇 가지 이견

토론자는 발제문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를 하지만 미시적 측면에서 토론자의 이견을

몇 가지 부언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연방제와 연합제를 설명하는 2쪽 문단에서 북한의 연방제를 1980년

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김일성이 발표한 내용을 기준으로 설명했으나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이 한국의 연합제와 좀더 가까운 것은 김일성이 1991년 1월

1일 발표한 lsquo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rsquo이므로 이를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비교분석 하는 것이 좀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980연대 연방제는

남과 북이 lsquo연방상설위원회rsquo를 조직하여 지역정부를 지도하는 중앙정부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1991년의 연방제는 지방정부에 모든 외교권과 군사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국의

연합제 즉 국가연합 형태의 통일방안으로 수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둘째 1991년 북한의 연방제는 남과 북이 어떠한 정치군사적 블록에도 가담하지 않는

중립국가의 외교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남북이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에 공통점을 인정하고 있으나 북한은 연방제가 되었을 때 외교정책은

반드시 비동맹 중립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나 한국은 북한의 그러한 중립정책을

수용하기 어려운 입장이므로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선 듯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셋째 북한의 연방제 실시 조건에서 남한이 수용하기 어려운 또 다른 것은 북한이

주한미군의 철수와 국가보안법을 철폐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장차 남북이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를 실시한다 해도 남한정부의 입장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보안법 철폐는 가장 민감한 문제들이므로 난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끝으로 발제자는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ldquo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케 하고 미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rdquo는 분석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됩니다 미국의 계획에 의하면 lsquo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군은 한국군과

한국인은 북한에 입북하는 것을 금지하고 미군과 일본의 자위대가 북한의 치안을

유지한다rsquo는 주장이 제기되어 이를 확인하고 있습니다(오크랜드 대학교 박문재 박사

주장) 또 다른 주장에 의하면 북한의 급변사태 시 중국군과 미군은 동시에 북한에

상륙하여 일정한 지역을 분할 하여 WMD와 북한 질서를 공동으로 유지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계획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경우 미국에는 분명히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미국의 이익과 우려가 병존하리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어느 것이 미국의 국익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가에 따라 미국의 외교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이며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한반도 정책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과 관련하여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 발제자는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어

대부분의 내용에 동의를 하면서 상이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토론을 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ldquo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으며 2012년 오바마

27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 체제와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통일을 지지했다rdquo는

내용에 대해 미국은 한반도의 통일을 원천적으로 원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토론자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1971년 7월과 2005년 8월 북경에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비밀회담을 갖고 ldquo미국이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양국은 한반도 분단의

현장유지를 계속하자고 합의rdquo한 내용이 미국의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습니다(2005년 9월

7일 Washington Post)

또 다른 예로 한국전쟁을 종결하는 휴전협정 제4조에는 ldquo정전협정 서명 후 3개월

이내에 서명 당사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한다rdquo고 합의했으나 미국은 북한이 핵을 만들기

전에도 북한의 평화협정 요구를 거절해 왔으며 이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해야

평화협정을 체결해 주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의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은 외교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둘째 과거 독일통일의 과정에서 고르바초프는 독일의 중립화를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미국은 통일된 독일이 NATO에 잔류해야 한다는 조건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결국

고르비가 양보하고 미국의 안이 채택되었으나 거기에는 서독이 소련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수용한 대가라고 합니다(주섭일 기자의 『1990년 독일통일과 2017년 한반도

통일』)

셋째 미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문제에 대해 크게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미국은

한반도가 통일이 된 뒤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주한 미군의

역할은 북한의 위협보다는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주한 미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미국의 재

균형정책도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넷째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미국의 동북아시아 국가에 대한 군수산업이 대폭

축소될 것이며 통일된 한반도가 미-중 간에 균형외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대중 견제는 급속하게 감소될 전망입니다

끝으로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은 감소된 반면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되어 미국의

장기적 전략인 미국의 군사비 감축과 국내외 여건으로 주한미군의 유지가 어렵게 될

경우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감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므로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4 한국의 당면 과제

한국은 대북정책의 출구전략으로 10월 3일 북한 실세의 한국방문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려 북한이 필요로 하는 경제지원과 5ㆍ24조치 해제를 전제로 북한의 양보를 얻어 내

남북관계의 출구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한국정부는 미국이 요청한 THAAD

구입이나 배치를 허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남북간의 평화체제 구축은 1단계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기 보다는 남북이 이미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를 비롯하여 6 ㆍ 15선언과 10 ㆍ 4선언의 내용 중 실천이 용이한

문제부터 실천하면서 남북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북한과 미국의

관계에서 미국이 현재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한국은

북한과 먼저 신뢰를 회복한 후 기본합의서에 이미 명시되어 있는 남북한의 불가침조약을

먼저 체결하고 서울과 평양에 대표부를 설치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한반도

28

비핵화를 위해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으로 핵

문제는 북미간의 문제로 유지하면서 남북한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요구를

하면서 남북의 해빙무드를 먼저 조성하는데 한국은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은 현재도 비동맹 중립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북한의 연방제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조심스럽게 중립화 문제를 거론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검토를 해야 할 것입니다

5 정책제안

한반도 주변 4강은 현재 그들의 국가이익과 한반도 통일이 그들에게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한반도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므로 한국정부는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북한에 비핵화 요구보다 협상을 통해 단계적으로 북한이 한국의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제안이나 구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서

북한이 시급하게 원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524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북한의 양보와 협력을 받아 내야 할

것입니다lt끝gt

6 장용석 박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1 통일과 관련하여 발표자의 다음 지적은 매우 중요함

- ① 기능주의적 접근의 한계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 필요성 ② 북한

주민들의 선택이 지닌 중요성과 그에 대한 고려 필요성 ③ 통일 대북정책의 연속성과

북한 리더십 포용을 위한 내각제 개헌의 필요성

2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과 관련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함

- 동서독은 유럽차원에서 NATO와 WTO간 세력균형 이를 바탕으로 한 동서 간

긴장완화와 특히 헬싱키 프로세스와 CSCE 등을 통한 공동안보 틀 구축 등으로 인해

교류협력에서 안보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특히 동독이 경우 패전의

여파겠지만 북한과는 달리 자국의 안보를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음

- 반면 남북을 둘러싼 지역 안보 환경은 미∙중 간의 긴장과 갈등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고 있고 특히 북한의 경우 지정학적 요충지론에 입각하여 자주-존엄-

선군의 기치 하에 핵보유까지 천명하고 비대칭적 전력의 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으로써 동서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교류협력의 직접적인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 따라서 동북아 지역차원에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협력적 안보 틀이나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공존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rArr 이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ldquo작고 쉬운 것부터rdquo 논리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를 외면하는 기능주의의 또 다른 버전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발표자의 평가는

무엇인지

rArr 아울러 평화협정은 평화적 공존의 제도화와 군비통제를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분단관리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게 아닌지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21: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21

접어두고 접점 마련이 가능한 사안부터 협의하고 이행을 해 나가는 것임

2 현안이슈인 THAAD 한국배치에 대한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 측면 고려하여 사드

한국배치가 바람직한가 전시작전통제권을 2015년에 받아야 하나 연기 해야 하나

첫째 사드의 한국 배치는 정치적 관점이 아니라 안보적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중국(러시아)과 북한이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있지만 북한위협에 직면한 우리

입장에서는 한미동맹차원에서도 미국의 사드 배치 구상에 협력하는 것이 필요함 따라서

한국과 미국이 중국을 잘 설득할 필요가 있음

둘째 전작권문제 역시 주권 자존심이라는 측면 보다는 국익의 관점에서 판단해야 할

사안임 북 핵문제 등 북한의 위협이 상존하는 현 상황에서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억제력을 확고하게 유지하는 일임 한미연합사는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체제임 따라서 시기에 기초한 접근 보다는 조건에 기초한 접근이 바람직함

3 한반도 통일은 평화적으로 이뤄져야 하는데 남과 북이 합의에 의한 통일이

이뤄지려면 공동통일방안에 대한 합의가 가능한가 6자 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는

평화체제구축은 어떻게 이룰까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통일방안에 대한 남북 간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는 현 상황에서

통일방안부터 협의를 시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봄 우선 대화와 교류확대 등을 통한

화해협력을 추진하면서 향후 북한정권과 체제의 변화가 이루어질 때 통일방안에 대해

본격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함

둘째 핵 문제는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임 이로 인한 무력충돌은

공멸을 의미하기 때문임 따라서 북핵 문제는 우선 강력한 억제로 북핵 사용 자체를

무력화하고 나아가 대화를 통한 외교적 해법을 병행해야 함 즉 6자 회담을 재개하여

919공동성명의 합의정신에 입각하여 풀어나가는 것 이외 다른 적절한 대안은 없어

보임

셋째 평화체제 문제는 6자 회담이 재개되고 북핵 문제에 있어 일정분야 진전이 있을

경우 919 성명에 합의된 별도의 평화포럼을 통해 논의해 나갈 필요가 있음 평화체제는

협정의 체결이 아니라 실질적인 평화상태를 만들어 나가는데 중점을 두고 추진해 나가야

4 4자(미 중 남북한)회담을 통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인가 북이 주장하는 북미간

평화협정이 바람 직 한지 한반도 정전체제를 대체하는 다자 평화체제는 어떤 형태가

바람 직 한가 등

첫째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논의하는 협상은 남북한과 미국 중국이

참여하는 4자회담이 적절하다고 봄 1997~1998년 사이 제네바에서 현재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는 문제를 논의하는 4자회담이 6차례 개최된 바도 있음

둘째 평화체제는 남북간에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미국과 중국이 이를 보장하며 협정은

유엔에 기탁하는 방안이 적절하다고 봄

5 6자 회담을 복원하여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ldquo행동대행동rdquo으로

동시에 해결하자는 제안에 대한 견해는

22

이는 북한이 핵 문제에 대해 한국과 미국 등이 요구하는 수준으로 성의 있는 조치를

취하고 이를 바탕으로 6자회담이 재개된다면 동시에 별도의 포럼을 열어 평화협정

논의를 개시할 수 있을 것임 실질적 평화상태 구축을 위한 남북간 군사적 신뢰구축 및

운용적 군비통제 등을 추진해야 함 평화협정의 체결 시점은 북한 핵이 완전히 폐기되는

시점과 맞추어야 할 것임

6 이러한 통일프로세스에서 과연 미국은 어떤 역할이 바람 직한가

독일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듯이 미국도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함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을 설득하여 한반도 통일에 동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공고한 한미동맹을 유지하여 북한이 변화하도록 유도하며 통일 이후에도 통일한국의

안보환경과 국익에 부합되게 동맹의 형태와 목표 기타 필요한 사항들을 협의하여

합의할 필요가 있음 통일한국이 중국과의 관계에서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는 방법은

미국과의 동맹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생각됨

7 평화적 합의통일방안에 하나의 대안으로 중립화를 통한 한반도 중립화 통일방안에

대한 견해는 미국은 지지 할까 등입니다

중립화 통일방안을 추구한다고 해서 통일이 촉진될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음

중국은 다소 긍정적일지 모르나 우리의 동맹인 미국이 가장 우려하는 사안일 것임 그런

차원에서 중립화 방안은 부적절함 이는 우리 국익이나 안보상 적절치 않은 방안이라고

봄 lt끝gt

4 김준형 박사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교수)

발제 논문에 관한 의견

다음 사항들에서 기본적으로 공감함

한반도통일의 고차방정식에 대한 의미 있는 분석 주변강대국들의 이해관계

특히 통일을 추구함에 있어 미국과 중국의 이해관계를 분석한 부분

냉전붕괴직후 독일의 상황과 당시 미국 및 소련의 입장이 가지는 함의에 대한

분석

북한급변사태가 곧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며 통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북한

주민들의 친한국 성향이나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남북이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

최근 미국이 통일에 대해 기껏해야 소극적 지지입장이며 통일로 인한

한미동맹의 약화가능성에 우려를 가지고 있다는 분석

한미동맹의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치명적이라는 주장도(치명적이라는

표현은 좀 과도한 측면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공감

주변강대국이 한반도통일이 현 동북아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지지하지 않으나 남북한이 원해서 주도적으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반대할 수 없다는

주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사항들에서 문제 제기하고자 함

23

서론에서 밝힌 본문내용 소개가 본문의 실제 내용전개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음 특히 현실적인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를 살펴본다고 했는데 오히려 그간의 남북한

통일안의 한계와 약점을 지적하고 특히 남북한 공히 정치적 통합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진다는 분석 위주임

북한에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 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 미국이 먼저 나서서 개입하지 않을 가능성은

있다 하더라도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해도 미국이 행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는 동의할

수 없음

북한 급변사태의 경우 중국이 자국민 및 재산보호를 명분 삼아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그것이 북중동맹에 의한 자동개입과 UN 상임이사국의

지위를 이용해서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라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려움

북한의 급변사태에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논지와 중국이 북한에 친중 정권을 세울 가능성이 높다는 논지는 자칫 통일보다 동맹을

선택하는 한미동맹 신화론자들의 논리를 강화시킬 수 있는 위험성 내재 박휘락박사가

인용한 미고위당국자의 발언은 context도 다른 것으로 보이고18

한국주도의 통일 역시 한미동맹약화로 이어지고 이는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에

치명적일 것이라고 단정하는 것 역시 같은 식으로 호도될 여지 있음

이 논리가 절대적 친미

보수진영의 동맹강화의 긴급성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논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평화협정이 통일의 전제조건이 아니라는 것에 동의하고 분단적 평화유지에 대한

반대에 동감하지만 평화보다 통일이 우선되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려움

통일을 위해 통일정책의 연속성을 위해 내각제 개헌을 해야 한다는 논리는

지나친 단순화 또는 비약으로 보임

현 정국에 대한 토론자의 견해

지난 7년간의 대북정책 및 통일정책의 한반도의 운명과 관련된 4가지 핵심 변수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① 한미동맹의 근본 성격 변화(대북억지-gt동북아지역군)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을 위해 일본과 한국에 아웃소싱 추진하고 있으며 그 핵심이 지역미사일방어체제

구축

- 전작권환수 시기보다 조건을 우선 고려

- 전작권에 대한 효용성 변화 과거 전략적 유연성은 분담의 차원이었으나 현재는

한미일 군사협력네트워크 통합의 차원으로 변모 따라서 미국이 전작권을 계속 보유하는

것의 효용성이 높아짐(미국의 꽃놀이패)

② 북핵문제의 근본 성격 변화 핵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음

- 미국은 북한에 대한 de facto 보유국 내부적으로 인정19

18 이 발언은 북한의 핵개발 중단 도발가능성 북한개혁 등 중국이 행사할 수 있는 대북 레버리지를 미국이

기대한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됨

19 수년 전 힐러리 클린턴의 발언부터 최근 오바마의 유엔연설 직전에 행한 국가안전보장회의 부의장 벤 로

24

- 발제논문에서 주장하는 통일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미국의 입장과 연결됨

- Permanent crisis 양상 분명 위기이고 해결이 난망한데 아무도 나서서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며 심지어 현 위기국면을 국내정치에 이용하는 측면이 커지는 일종의

북한 핵위기의 default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③ 한반도 통일론의 변화 신뢰프로세스 동평구 통일대박론 드레스덴 선언 등의

많은 제안들이 후속조치 없이 동력을 잃었으며 최근 UN연설에서 재확인되듯이

흡수통일론으로 귀결 남북교류의 제도화 수준은 대단히 높으나 실행수준은 대단히

낮음으로 인해 통일논의에 대한 국민들의 피로감을 확산시키고 이는 국내

안보포퓰리즘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동

④ 북중관계 변화 남북관계의 단절로 인해 긴밀해짐으로 해서 북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하고 있는데 중국의 대북 지분을 향상시켜 유사시 개입의 빌미가 될

가능성이 높음(발제논문도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음-탈북자 관리명분)

미국의 입장에 대한 견해

오바마는 대북정책에 있어 부시 전임정부와는 정반대되는 경향 1기에서의

강경함에서 2기에는 협상무드로 갔던 부시와는 반대로 초기의 온건입장이 시간이

갈수록 강경기조로 넘어가고 있으며 인권압박까지 병행

더 큰 문제는 강경책이든 온건책이든 문제해결을 위한 움직임이 없는 매우

수동적 태도로 일관한다는 것인데 이는 북한문제가 여전히 오바마행정부의

정책우선순위의 상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고 또 북한핵개발

국면을 빌미로 대중국 견제와 미일동맹을 비롯한 아시아동맹네트워크 강화에 활용한다는

것임

오바마의 소위 lsquoDDSSrsquo Doctrine의 근간은 임기 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한반도는 큰 현안 없이 현상유지로 흘러갈 가능성이 큼

미국의 MD 압박 강화될 것임

- 미국이 현재는 한국내 여론을 의식해서 한국정부와 보조를 맞추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MD 편입을 원하고 있기에 압박은 증가할 것임

- 한국과 일본이 참여하는 지역 미사일방어체제 구축은 미국의 아시아재균형전략의

핵심이며 한국의 MD 참여가 중국의 입장에서는 레드라인이지만 미국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한중의 접근을 억제할 수 있는 카드로서의 효용성이 있음

- 한국정부의 태도 변화 사드의 한국도입에 대해 최근에는 수용적 자세로 변화20

미국의 MD 참여 압박에 대해 정부가 진정으로 미국 MD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면 확실한 입장표명을 하거나 공개적으로 국민의 의견을 묻는 것이

필요함(double edge diplomacy 활용)

한국의 과제

즈 발언까지 일관됨 20 10월 7일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한민구장관은 북한 핵middot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사드를 배치하면 우리 안

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함 또한 MD의 핵심 자산을 동원하는 새로운 작전개념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같은 방안을 이달 말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연례 안보협의회에서 공식화할 방침이라고 밝힘

25

남북관계 해결을 위해 한국정부가 선제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시도해야 함

미국이 여러 복잡한 문제로 인해 여유가 없는 상황을 오히려 역이용하는 발상의 전환

필요

미국정부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대북접근에 있어 한미공조 이탈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견제해왔던 것에 비하면 한국의 운신의 폭은 역설적으로 커졌다고 볼 여지

있음 미국이 대북정책에 있어 마땅한 해법도 없고 정책순위는 점점 하락하는 상황에서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주도가 가능할 수도 있음

출구전략

- 6자회담과 919성명의 복원을 통한 문제해결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을 병행

- 524조치에 대한 언급 없이 실질적인 유연화

- 박근혜대통령의 결심이 관건 대화재개조건의 유연화에 대한 한미간 정책조율을

주도할 필요가 있음

5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

한국GPF재단이 주최하는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김현욱 교수께서 발제한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의 주제는 통일을

시급하게 달성해야 하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통일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반세기 이상 한국과 안보동맹을 체결하고 있는 미국의

한반도 통일정책을 논의하는 것은 아주 시의적절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자는 먼저

발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의견을 제시하고 발제자와 토론자 간의 약간의 상이한

견해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하고 곽교수의 질문에 대해 간략하게 답한 후

정책제안의 순서로 기술하고자 합니다

1 발제문에 대한 일반적 평가

발제자의 논문 내용과 접근방법에 대해 토론자는 전적으로 찬성하고 동의합니다

한반도 통일방안의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공감하면서 남북정상이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에 공통점이 있다고 이미 합의하였기

때문에 남북은 장차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 중 하나의 통일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람직한 통일접근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한국이

경계해야 할 것은 발제자도 지적한 바와 같이 북한의 붕괴통일보다는 독일과 같이

평화적 흡수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며 더 좋은 방안은 평화통일을 목표로 하되 점진적

접근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만약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하여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고 가정할 때 한국에게는

lsquo통일의 대박rsquo이 아니라 통일의 쪽박이 될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남북이

평화통일 협상을 통해 점진적 통일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미국의 국가이익과 우려사항에 대한 자세한 분석에 전적으로

동의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많이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서

기대하는 것은 미국의 국익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미국의 대한반도 통일정책이

결정되리라 전망됨으로 통일의 당사자인 남북은 통일의 과정에서 미국의 국익도

고려하면서 남북이 통일의 이니셔티브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6

2 발제 문에 대한 몇 가지 이견

토론자는 발제문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를 하지만 미시적 측면에서 토론자의 이견을

몇 가지 부언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연방제와 연합제를 설명하는 2쪽 문단에서 북한의 연방제를 1980년

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김일성이 발표한 내용을 기준으로 설명했으나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이 한국의 연합제와 좀더 가까운 것은 김일성이 1991년 1월

1일 발표한 lsquo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rsquo이므로 이를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비교분석 하는 것이 좀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980연대 연방제는

남과 북이 lsquo연방상설위원회rsquo를 조직하여 지역정부를 지도하는 중앙정부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1991년의 연방제는 지방정부에 모든 외교권과 군사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국의

연합제 즉 국가연합 형태의 통일방안으로 수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둘째 1991년 북한의 연방제는 남과 북이 어떠한 정치군사적 블록에도 가담하지 않는

중립국가의 외교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남북이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에 공통점을 인정하고 있으나 북한은 연방제가 되었을 때 외교정책은

반드시 비동맹 중립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나 한국은 북한의 그러한 중립정책을

수용하기 어려운 입장이므로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선 듯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셋째 북한의 연방제 실시 조건에서 남한이 수용하기 어려운 또 다른 것은 북한이

주한미군의 철수와 국가보안법을 철폐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장차 남북이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를 실시한다 해도 남한정부의 입장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보안법 철폐는 가장 민감한 문제들이므로 난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끝으로 발제자는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ldquo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케 하고 미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rdquo는 분석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됩니다 미국의 계획에 의하면 lsquo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군은 한국군과

한국인은 북한에 입북하는 것을 금지하고 미군과 일본의 자위대가 북한의 치안을

유지한다rsquo는 주장이 제기되어 이를 확인하고 있습니다(오크랜드 대학교 박문재 박사

주장) 또 다른 주장에 의하면 북한의 급변사태 시 중국군과 미군은 동시에 북한에

상륙하여 일정한 지역을 분할 하여 WMD와 북한 질서를 공동으로 유지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계획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경우 미국에는 분명히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미국의 이익과 우려가 병존하리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어느 것이 미국의 국익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가에 따라 미국의 외교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이며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한반도 정책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과 관련하여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 발제자는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어

대부분의 내용에 동의를 하면서 상이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토론을 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ldquo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으며 2012년 오바마

27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 체제와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통일을 지지했다rdquo는

내용에 대해 미국은 한반도의 통일을 원천적으로 원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토론자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1971년 7월과 2005년 8월 북경에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비밀회담을 갖고 ldquo미국이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양국은 한반도 분단의

현장유지를 계속하자고 합의rdquo한 내용이 미국의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습니다(2005년 9월

7일 Washington Post)

또 다른 예로 한국전쟁을 종결하는 휴전협정 제4조에는 ldquo정전협정 서명 후 3개월

이내에 서명 당사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한다rdquo고 합의했으나 미국은 북한이 핵을 만들기

전에도 북한의 평화협정 요구를 거절해 왔으며 이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해야

평화협정을 체결해 주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의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은 외교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둘째 과거 독일통일의 과정에서 고르바초프는 독일의 중립화를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미국은 통일된 독일이 NATO에 잔류해야 한다는 조건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결국

고르비가 양보하고 미국의 안이 채택되었으나 거기에는 서독이 소련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수용한 대가라고 합니다(주섭일 기자의 『1990년 독일통일과 2017년 한반도

통일』)

셋째 미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문제에 대해 크게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미국은

한반도가 통일이 된 뒤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주한 미군의

역할은 북한의 위협보다는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주한 미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미국의 재

균형정책도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넷째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미국의 동북아시아 국가에 대한 군수산업이 대폭

축소될 것이며 통일된 한반도가 미-중 간에 균형외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대중 견제는 급속하게 감소될 전망입니다

끝으로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은 감소된 반면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되어 미국의

장기적 전략인 미국의 군사비 감축과 국내외 여건으로 주한미군의 유지가 어렵게 될

경우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감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므로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4 한국의 당면 과제

한국은 대북정책의 출구전략으로 10월 3일 북한 실세의 한국방문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려 북한이 필요로 하는 경제지원과 5ㆍ24조치 해제를 전제로 북한의 양보를 얻어 내

남북관계의 출구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한국정부는 미국이 요청한 THAAD

구입이나 배치를 허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남북간의 평화체제 구축은 1단계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기 보다는 남북이 이미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를 비롯하여 6 ㆍ 15선언과 10 ㆍ 4선언의 내용 중 실천이 용이한

문제부터 실천하면서 남북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북한과 미국의

관계에서 미국이 현재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한국은

북한과 먼저 신뢰를 회복한 후 기본합의서에 이미 명시되어 있는 남북한의 불가침조약을

먼저 체결하고 서울과 평양에 대표부를 설치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한반도

28

비핵화를 위해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으로 핵

문제는 북미간의 문제로 유지하면서 남북한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요구를

하면서 남북의 해빙무드를 먼저 조성하는데 한국은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은 현재도 비동맹 중립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북한의 연방제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조심스럽게 중립화 문제를 거론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검토를 해야 할 것입니다

5 정책제안

한반도 주변 4강은 현재 그들의 국가이익과 한반도 통일이 그들에게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한반도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므로 한국정부는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북한에 비핵화 요구보다 협상을 통해 단계적으로 북한이 한국의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제안이나 구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서

북한이 시급하게 원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524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북한의 양보와 협력을 받아 내야 할

것입니다lt끝gt

6 장용석 박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1 통일과 관련하여 발표자의 다음 지적은 매우 중요함

- ① 기능주의적 접근의 한계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 필요성 ② 북한

주민들의 선택이 지닌 중요성과 그에 대한 고려 필요성 ③ 통일 대북정책의 연속성과

북한 리더십 포용을 위한 내각제 개헌의 필요성

2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과 관련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함

- 동서독은 유럽차원에서 NATO와 WTO간 세력균형 이를 바탕으로 한 동서 간

긴장완화와 특히 헬싱키 프로세스와 CSCE 등을 통한 공동안보 틀 구축 등으로 인해

교류협력에서 안보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특히 동독이 경우 패전의

여파겠지만 북한과는 달리 자국의 안보를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음

- 반면 남북을 둘러싼 지역 안보 환경은 미∙중 간의 긴장과 갈등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고 있고 특히 북한의 경우 지정학적 요충지론에 입각하여 자주-존엄-

선군의 기치 하에 핵보유까지 천명하고 비대칭적 전력의 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으로써 동서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교류협력의 직접적인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 따라서 동북아 지역차원에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협력적 안보 틀이나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공존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rArr 이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ldquo작고 쉬운 것부터rdquo 논리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를 외면하는 기능주의의 또 다른 버전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발표자의 평가는

무엇인지

rArr 아울러 평화협정은 평화적 공존의 제도화와 군비통제를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분단관리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게 아닌지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22: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22

이는 북한이 핵 문제에 대해 한국과 미국 등이 요구하는 수준으로 성의 있는 조치를

취하고 이를 바탕으로 6자회담이 재개된다면 동시에 별도의 포럼을 열어 평화협정

논의를 개시할 수 있을 것임 실질적 평화상태 구축을 위한 남북간 군사적 신뢰구축 및

운용적 군비통제 등을 추진해야 함 평화협정의 체결 시점은 북한 핵이 완전히 폐기되는

시점과 맞추어야 할 것임

6 이러한 통일프로세스에서 과연 미국은 어떤 역할이 바람 직한가

독일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듯이 미국도 통일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함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을 설득하여 한반도 통일에 동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공고한 한미동맹을 유지하여 북한이 변화하도록 유도하며 통일 이후에도 통일한국의

안보환경과 국익에 부합되게 동맹의 형태와 목표 기타 필요한 사항들을 협의하여

합의할 필요가 있음 통일한국이 중국과의 관계에서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는 방법은

미국과의 동맹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생각됨

7 평화적 합의통일방안에 하나의 대안으로 중립화를 통한 한반도 중립화 통일방안에

대한 견해는 미국은 지지 할까 등입니다

중립화 통일방안을 추구한다고 해서 통일이 촉진될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음

중국은 다소 긍정적일지 모르나 우리의 동맹인 미국이 가장 우려하는 사안일 것임 그런

차원에서 중립화 방안은 부적절함 이는 우리 국익이나 안보상 적절치 않은 방안이라고

봄 lt끝gt

4 김준형 박사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교수)

발제 논문에 관한 의견

다음 사항들에서 기본적으로 공감함

한반도통일의 고차방정식에 대한 의미 있는 분석 주변강대국들의 이해관계

특히 통일을 추구함에 있어 미국과 중국의 이해관계를 분석한 부분

냉전붕괴직후 독일의 상황과 당시 미국 및 소련의 입장이 가지는 함의에 대한

분석

북한급변사태가 곧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며 통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북한

주민들의 친한국 성향이나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강한 의식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남북이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

최근 미국이 통일에 대해 기껏해야 소극적 지지입장이며 통일로 인한

한미동맹의 약화가능성에 우려를 가지고 있다는 분석

한미동맹의 약화는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치명적이라는 주장도(치명적이라는

표현은 좀 과도한 측면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공감

주변강대국이 한반도통일이 현 동북아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지지하지 않으나 남북한이 원해서 주도적으로 통일을 추진할 경우 반대할 수 없다는

주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사항들에서 문제 제기하고자 함

23

서론에서 밝힌 본문내용 소개가 본문의 실제 내용전개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음 특히 현실적인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를 살펴본다고 했는데 오히려 그간의 남북한

통일안의 한계와 약점을 지적하고 특히 남북한 공히 정치적 통합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진다는 분석 위주임

북한에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 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 미국이 먼저 나서서 개입하지 않을 가능성은

있다 하더라도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해도 미국이 행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는 동의할

수 없음

북한 급변사태의 경우 중국이 자국민 및 재산보호를 명분 삼아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그것이 북중동맹에 의한 자동개입과 UN 상임이사국의

지위를 이용해서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라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려움

북한의 급변사태에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논지와 중국이 북한에 친중 정권을 세울 가능성이 높다는 논지는 자칫 통일보다 동맹을

선택하는 한미동맹 신화론자들의 논리를 강화시킬 수 있는 위험성 내재 박휘락박사가

인용한 미고위당국자의 발언은 context도 다른 것으로 보이고18

한국주도의 통일 역시 한미동맹약화로 이어지고 이는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에

치명적일 것이라고 단정하는 것 역시 같은 식으로 호도될 여지 있음

이 논리가 절대적 친미

보수진영의 동맹강화의 긴급성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논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평화협정이 통일의 전제조건이 아니라는 것에 동의하고 분단적 평화유지에 대한

반대에 동감하지만 평화보다 통일이 우선되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려움

통일을 위해 통일정책의 연속성을 위해 내각제 개헌을 해야 한다는 논리는

지나친 단순화 또는 비약으로 보임

현 정국에 대한 토론자의 견해

지난 7년간의 대북정책 및 통일정책의 한반도의 운명과 관련된 4가지 핵심 변수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① 한미동맹의 근본 성격 변화(대북억지-gt동북아지역군)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을 위해 일본과 한국에 아웃소싱 추진하고 있으며 그 핵심이 지역미사일방어체제

구축

- 전작권환수 시기보다 조건을 우선 고려

- 전작권에 대한 효용성 변화 과거 전략적 유연성은 분담의 차원이었으나 현재는

한미일 군사협력네트워크 통합의 차원으로 변모 따라서 미국이 전작권을 계속 보유하는

것의 효용성이 높아짐(미국의 꽃놀이패)

② 북핵문제의 근본 성격 변화 핵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음

- 미국은 북한에 대한 de facto 보유국 내부적으로 인정19

18 이 발언은 북한의 핵개발 중단 도발가능성 북한개혁 등 중국이 행사할 수 있는 대북 레버리지를 미국이

기대한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됨

19 수년 전 힐러리 클린턴의 발언부터 최근 오바마의 유엔연설 직전에 행한 국가안전보장회의 부의장 벤 로

24

- 발제논문에서 주장하는 통일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미국의 입장과 연결됨

- Permanent crisis 양상 분명 위기이고 해결이 난망한데 아무도 나서서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며 심지어 현 위기국면을 국내정치에 이용하는 측면이 커지는 일종의

북한 핵위기의 default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③ 한반도 통일론의 변화 신뢰프로세스 동평구 통일대박론 드레스덴 선언 등의

많은 제안들이 후속조치 없이 동력을 잃었으며 최근 UN연설에서 재확인되듯이

흡수통일론으로 귀결 남북교류의 제도화 수준은 대단히 높으나 실행수준은 대단히

낮음으로 인해 통일논의에 대한 국민들의 피로감을 확산시키고 이는 국내

안보포퓰리즘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동

④ 북중관계 변화 남북관계의 단절로 인해 긴밀해짐으로 해서 북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하고 있는데 중국의 대북 지분을 향상시켜 유사시 개입의 빌미가 될

가능성이 높음(발제논문도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음-탈북자 관리명분)

미국의 입장에 대한 견해

오바마는 대북정책에 있어 부시 전임정부와는 정반대되는 경향 1기에서의

강경함에서 2기에는 협상무드로 갔던 부시와는 반대로 초기의 온건입장이 시간이

갈수록 강경기조로 넘어가고 있으며 인권압박까지 병행

더 큰 문제는 강경책이든 온건책이든 문제해결을 위한 움직임이 없는 매우

수동적 태도로 일관한다는 것인데 이는 북한문제가 여전히 오바마행정부의

정책우선순위의 상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고 또 북한핵개발

국면을 빌미로 대중국 견제와 미일동맹을 비롯한 아시아동맹네트워크 강화에 활용한다는

것임

오바마의 소위 lsquoDDSSrsquo Doctrine의 근간은 임기 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한반도는 큰 현안 없이 현상유지로 흘러갈 가능성이 큼

미국의 MD 압박 강화될 것임

- 미국이 현재는 한국내 여론을 의식해서 한국정부와 보조를 맞추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MD 편입을 원하고 있기에 압박은 증가할 것임

- 한국과 일본이 참여하는 지역 미사일방어체제 구축은 미국의 아시아재균형전략의

핵심이며 한국의 MD 참여가 중국의 입장에서는 레드라인이지만 미국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한중의 접근을 억제할 수 있는 카드로서의 효용성이 있음

- 한국정부의 태도 변화 사드의 한국도입에 대해 최근에는 수용적 자세로 변화20

미국의 MD 참여 압박에 대해 정부가 진정으로 미국 MD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면 확실한 입장표명을 하거나 공개적으로 국민의 의견을 묻는 것이

필요함(double edge diplomacy 활용)

한국의 과제

즈 발언까지 일관됨 20 10월 7일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한민구장관은 북한 핵middot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사드를 배치하면 우리 안

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함 또한 MD의 핵심 자산을 동원하는 새로운 작전개념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같은 방안을 이달 말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연례 안보협의회에서 공식화할 방침이라고 밝힘

25

남북관계 해결을 위해 한국정부가 선제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시도해야 함

미국이 여러 복잡한 문제로 인해 여유가 없는 상황을 오히려 역이용하는 발상의 전환

필요

미국정부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대북접근에 있어 한미공조 이탈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견제해왔던 것에 비하면 한국의 운신의 폭은 역설적으로 커졌다고 볼 여지

있음 미국이 대북정책에 있어 마땅한 해법도 없고 정책순위는 점점 하락하는 상황에서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주도가 가능할 수도 있음

출구전략

- 6자회담과 919성명의 복원을 통한 문제해결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을 병행

- 524조치에 대한 언급 없이 실질적인 유연화

- 박근혜대통령의 결심이 관건 대화재개조건의 유연화에 대한 한미간 정책조율을

주도할 필요가 있음

5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

한국GPF재단이 주최하는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김현욱 교수께서 발제한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의 주제는 통일을

시급하게 달성해야 하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통일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반세기 이상 한국과 안보동맹을 체결하고 있는 미국의

한반도 통일정책을 논의하는 것은 아주 시의적절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자는 먼저

발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의견을 제시하고 발제자와 토론자 간의 약간의 상이한

견해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하고 곽교수의 질문에 대해 간략하게 답한 후

정책제안의 순서로 기술하고자 합니다

1 발제문에 대한 일반적 평가

발제자의 논문 내용과 접근방법에 대해 토론자는 전적으로 찬성하고 동의합니다

한반도 통일방안의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공감하면서 남북정상이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에 공통점이 있다고 이미 합의하였기

때문에 남북은 장차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 중 하나의 통일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람직한 통일접근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한국이

경계해야 할 것은 발제자도 지적한 바와 같이 북한의 붕괴통일보다는 독일과 같이

평화적 흡수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며 더 좋은 방안은 평화통일을 목표로 하되 점진적

접근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만약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하여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고 가정할 때 한국에게는

lsquo통일의 대박rsquo이 아니라 통일의 쪽박이 될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남북이

평화통일 협상을 통해 점진적 통일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미국의 국가이익과 우려사항에 대한 자세한 분석에 전적으로

동의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많이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서

기대하는 것은 미국의 국익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미국의 대한반도 통일정책이

결정되리라 전망됨으로 통일의 당사자인 남북은 통일의 과정에서 미국의 국익도

고려하면서 남북이 통일의 이니셔티브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6

2 발제 문에 대한 몇 가지 이견

토론자는 발제문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를 하지만 미시적 측면에서 토론자의 이견을

몇 가지 부언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연방제와 연합제를 설명하는 2쪽 문단에서 북한의 연방제를 1980년

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김일성이 발표한 내용을 기준으로 설명했으나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이 한국의 연합제와 좀더 가까운 것은 김일성이 1991년 1월

1일 발표한 lsquo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rsquo이므로 이를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비교분석 하는 것이 좀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980연대 연방제는

남과 북이 lsquo연방상설위원회rsquo를 조직하여 지역정부를 지도하는 중앙정부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1991년의 연방제는 지방정부에 모든 외교권과 군사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국의

연합제 즉 국가연합 형태의 통일방안으로 수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둘째 1991년 북한의 연방제는 남과 북이 어떠한 정치군사적 블록에도 가담하지 않는

중립국가의 외교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남북이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에 공통점을 인정하고 있으나 북한은 연방제가 되었을 때 외교정책은

반드시 비동맹 중립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나 한국은 북한의 그러한 중립정책을

수용하기 어려운 입장이므로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선 듯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셋째 북한의 연방제 실시 조건에서 남한이 수용하기 어려운 또 다른 것은 북한이

주한미군의 철수와 국가보안법을 철폐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장차 남북이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를 실시한다 해도 남한정부의 입장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보안법 철폐는 가장 민감한 문제들이므로 난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끝으로 발제자는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ldquo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케 하고 미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rdquo는 분석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됩니다 미국의 계획에 의하면 lsquo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군은 한국군과

한국인은 북한에 입북하는 것을 금지하고 미군과 일본의 자위대가 북한의 치안을

유지한다rsquo는 주장이 제기되어 이를 확인하고 있습니다(오크랜드 대학교 박문재 박사

주장) 또 다른 주장에 의하면 북한의 급변사태 시 중국군과 미군은 동시에 북한에

상륙하여 일정한 지역을 분할 하여 WMD와 북한 질서를 공동으로 유지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계획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경우 미국에는 분명히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미국의 이익과 우려가 병존하리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어느 것이 미국의 국익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가에 따라 미국의 외교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이며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한반도 정책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과 관련하여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 발제자는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어

대부분의 내용에 동의를 하면서 상이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토론을 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ldquo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으며 2012년 오바마

27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 체제와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통일을 지지했다rdquo는

내용에 대해 미국은 한반도의 통일을 원천적으로 원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토론자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1971년 7월과 2005년 8월 북경에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비밀회담을 갖고 ldquo미국이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양국은 한반도 분단의

현장유지를 계속하자고 합의rdquo한 내용이 미국의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습니다(2005년 9월

7일 Washington Post)

또 다른 예로 한국전쟁을 종결하는 휴전협정 제4조에는 ldquo정전협정 서명 후 3개월

이내에 서명 당사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한다rdquo고 합의했으나 미국은 북한이 핵을 만들기

전에도 북한의 평화협정 요구를 거절해 왔으며 이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해야

평화협정을 체결해 주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의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은 외교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둘째 과거 독일통일의 과정에서 고르바초프는 독일의 중립화를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미국은 통일된 독일이 NATO에 잔류해야 한다는 조건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결국

고르비가 양보하고 미국의 안이 채택되었으나 거기에는 서독이 소련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수용한 대가라고 합니다(주섭일 기자의 『1990년 독일통일과 2017년 한반도

통일』)

셋째 미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문제에 대해 크게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미국은

한반도가 통일이 된 뒤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주한 미군의

역할은 북한의 위협보다는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주한 미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미국의 재

균형정책도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넷째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미국의 동북아시아 국가에 대한 군수산업이 대폭

축소될 것이며 통일된 한반도가 미-중 간에 균형외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대중 견제는 급속하게 감소될 전망입니다

끝으로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은 감소된 반면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되어 미국의

장기적 전략인 미국의 군사비 감축과 국내외 여건으로 주한미군의 유지가 어렵게 될

경우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감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므로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4 한국의 당면 과제

한국은 대북정책의 출구전략으로 10월 3일 북한 실세의 한국방문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려 북한이 필요로 하는 경제지원과 5ㆍ24조치 해제를 전제로 북한의 양보를 얻어 내

남북관계의 출구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한국정부는 미국이 요청한 THAAD

구입이나 배치를 허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남북간의 평화체제 구축은 1단계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기 보다는 남북이 이미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를 비롯하여 6 ㆍ 15선언과 10 ㆍ 4선언의 내용 중 실천이 용이한

문제부터 실천하면서 남북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북한과 미국의

관계에서 미국이 현재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한국은

북한과 먼저 신뢰를 회복한 후 기본합의서에 이미 명시되어 있는 남북한의 불가침조약을

먼저 체결하고 서울과 평양에 대표부를 설치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한반도

28

비핵화를 위해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으로 핵

문제는 북미간의 문제로 유지하면서 남북한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요구를

하면서 남북의 해빙무드를 먼저 조성하는데 한국은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은 현재도 비동맹 중립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북한의 연방제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조심스럽게 중립화 문제를 거론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검토를 해야 할 것입니다

5 정책제안

한반도 주변 4강은 현재 그들의 국가이익과 한반도 통일이 그들에게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한반도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므로 한국정부는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북한에 비핵화 요구보다 협상을 통해 단계적으로 북한이 한국의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제안이나 구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서

북한이 시급하게 원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524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북한의 양보와 협력을 받아 내야 할

것입니다lt끝gt

6 장용석 박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1 통일과 관련하여 발표자의 다음 지적은 매우 중요함

- ① 기능주의적 접근의 한계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 필요성 ② 북한

주민들의 선택이 지닌 중요성과 그에 대한 고려 필요성 ③ 통일 대북정책의 연속성과

북한 리더십 포용을 위한 내각제 개헌의 필요성

2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과 관련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함

- 동서독은 유럽차원에서 NATO와 WTO간 세력균형 이를 바탕으로 한 동서 간

긴장완화와 특히 헬싱키 프로세스와 CSCE 등을 통한 공동안보 틀 구축 등으로 인해

교류협력에서 안보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특히 동독이 경우 패전의

여파겠지만 북한과는 달리 자국의 안보를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음

- 반면 남북을 둘러싼 지역 안보 환경은 미∙중 간의 긴장과 갈등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고 있고 특히 북한의 경우 지정학적 요충지론에 입각하여 자주-존엄-

선군의 기치 하에 핵보유까지 천명하고 비대칭적 전력의 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으로써 동서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교류협력의 직접적인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 따라서 동북아 지역차원에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협력적 안보 틀이나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공존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rArr 이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ldquo작고 쉬운 것부터rdquo 논리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를 외면하는 기능주의의 또 다른 버전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발표자의 평가는

무엇인지

rArr 아울러 평화협정은 평화적 공존의 제도화와 군비통제를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분단관리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게 아닌지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23: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23

서론에서 밝힌 본문내용 소개가 본문의 실제 내용전개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음 특히 현실적인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를 살펴본다고 했는데 오히려 그간의 남북한

통일안의 한계와 약점을 지적하고 특히 남북한 공히 정치적 통합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진다는 분석 위주임

북한에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의 WMD 통제에 위험이 생길 경우

이외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 미국이 먼저 나서서 개입하지 않을 가능성은

있다 하더라도 중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해도 미국이 행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는 동의할

수 없음

북한 급변사태의 경우 중국이 자국민 및 재산보호를 명분 삼아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그것이 북중동맹에 의한 자동개입과 UN 상임이사국의

지위를 이용해서 개입을 정당화할 것이라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려움

북한의 급변사태에 미국이 중국의 개입에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논지와 중국이 북한에 친중 정권을 세울 가능성이 높다는 논지는 자칫 통일보다 동맹을

선택하는 한미동맹 신화론자들의 논리를 강화시킬 수 있는 위험성 내재 박휘락박사가

인용한 미고위당국자의 발언은 context도 다른 것으로 보이고18

한국주도의 통일 역시 한미동맹약화로 이어지고 이는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에

치명적일 것이라고 단정하는 것 역시 같은 식으로 호도될 여지 있음

이 논리가 절대적 친미

보수진영의 동맹강화의 긴급성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논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평화협정이 통일의 전제조건이 아니라는 것에 동의하고 분단적 평화유지에 대한

반대에 동감하지만 평화보다 통일이 우선되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려움

통일을 위해 통일정책의 연속성을 위해 내각제 개헌을 해야 한다는 논리는

지나친 단순화 또는 비약으로 보임

현 정국에 대한 토론자의 견해

지난 7년간의 대북정책 및 통일정책의 한반도의 운명과 관련된 4가지 핵심 변수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① 한미동맹의 근본 성격 변화(대북억지-gt동북아지역군)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을 위해 일본과 한국에 아웃소싱 추진하고 있으며 그 핵심이 지역미사일방어체제

구축

- 전작권환수 시기보다 조건을 우선 고려

- 전작권에 대한 효용성 변화 과거 전략적 유연성은 분담의 차원이었으나 현재는

한미일 군사협력네트워크 통합의 차원으로 변모 따라서 미국이 전작권을 계속 보유하는

것의 효용성이 높아짐(미국의 꽃놀이패)

② 북핵문제의 근본 성격 변화 핵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미국의

대아시아전략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음

- 미국은 북한에 대한 de facto 보유국 내부적으로 인정19

18 이 발언은 북한의 핵개발 중단 도발가능성 북한개혁 등 중국이 행사할 수 있는 대북 레버리지를 미국이

기대한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됨

19 수년 전 힐러리 클린턴의 발언부터 최근 오바마의 유엔연설 직전에 행한 국가안전보장회의 부의장 벤 로

24

- 발제논문에서 주장하는 통일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미국의 입장과 연결됨

- Permanent crisis 양상 분명 위기이고 해결이 난망한데 아무도 나서서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며 심지어 현 위기국면을 국내정치에 이용하는 측면이 커지는 일종의

북한 핵위기의 default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③ 한반도 통일론의 변화 신뢰프로세스 동평구 통일대박론 드레스덴 선언 등의

많은 제안들이 후속조치 없이 동력을 잃었으며 최근 UN연설에서 재확인되듯이

흡수통일론으로 귀결 남북교류의 제도화 수준은 대단히 높으나 실행수준은 대단히

낮음으로 인해 통일논의에 대한 국민들의 피로감을 확산시키고 이는 국내

안보포퓰리즘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동

④ 북중관계 변화 남북관계의 단절로 인해 긴밀해짐으로 해서 북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하고 있는데 중국의 대북 지분을 향상시켜 유사시 개입의 빌미가 될

가능성이 높음(발제논문도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음-탈북자 관리명분)

미국의 입장에 대한 견해

오바마는 대북정책에 있어 부시 전임정부와는 정반대되는 경향 1기에서의

강경함에서 2기에는 협상무드로 갔던 부시와는 반대로 초기의 온건입장이 시간이

갈수록 강경기조로 넘어가고 있으며 인권압박까지 병행

더 큰 문제는 강경책이든 온건책이든 문제해결을 위한 움직임이 없는 매우

수동적 태도로 일관한다는 것인데 이는 북한문제가 여전히 오바마행정부의

정책우선순위의 상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고 또 북한핵개발

국면을 빌미로 대중국 견제와 미일동맹을 비롯한 아시아동맹네트워크 강화에 활용한다는

것임

오바마의 소위 lsquoDDSSrsquo Doctrine의 근간은 임기 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한반도는 큰 현안 없이 현상유지로 흘러갈 가능성이 큼

미국의 MD 압박 강화될 것임

- 미국이 현재는 한국내 여론을 의식해서 한국정부와 보조를 맞추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MD 편입을 원하고 있기에 압박은 증가할 것임

- 한국과 일본이 참여하는 지역 미사일방어체제 구축은 미국의 아시아재균형전략의

핵심이며 한국의 MD 참여가 중국의 입장에서는 레드라인이지만 미국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한중의 접근을 억제할 수 있는 카드로서의 효용성이 있음

- 한국정부의 태도 변화 사드의 한국도입에 대해 최근에는 수용적 자세로 변화20

미국의 MD 참여 압박에 대해 정부가 진정으로 미국 MD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면 확실한 입장표명을 하거나 공개적으로 국민의 의견을 묻는 것이

필요함(double edge diplomacy 활용)

한국의 과제

즈 발언까지 일관됨 20 10월 7일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한민구장관은 북한 핵middot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사드를 배치하면 우리 안

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함 또한 MD의 핵심 자산을 동원하는 새로운 작전개념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같은 방안을 이달 말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연례 안보협의회에서 공식화할 방침이라고 밝힘

25

남북관계 해결을 위해 한국정부가 선제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시도해야 함

미국이 여러 복잡한 문제로 인해 여유가 없는 상황을 오히려 역이용하는 발상의 전환

필요

미국정부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대북접근에 있어 한미공조 이탈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견제해왔던 것에 비하면 한국의 운신의 폭은 역설적으로 커졌다고 볼 여지

있음 미국이 대북정책에 있어 마땅한 해법도 없고 정책순위는 점점 하락하는 상황에서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주도가 가능할 수도 있음

출구전략

- 6자회담과 919성명의 복원을 통한 문제해결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을 병행

- 524조치에 대한 언급 없이 실질적인 유연화

- 박근혜대통령의 결심이 관건 대화재개조건의 유연화에 대한 한미간 정책조율을

주도할 필요가 있음

5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

한국GPF재단이 주최하는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김현욱 교수께서 발제한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의 주제는 통일을

시급하게 달성해야 하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통일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반세기 이상 한국과 안보동맹을 체결하고 있는 미국의

한반도 통일정책을 논의하는 것은 아주 시의적절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자는 먼저

발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의견을 제시하고 발제자와 토론자 간의 약간의 상이한

견해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하고 곽교수의 질문에 대해 간략하게 답한 후

정책제안의 순서로 기술하고자 합니다

1 발제문에 대한 일반적 평가

발제자의 논문 내용과 접근방법에 대해 토론자는 전적으로 찬성하고 동의합니다

한반도 통일방안의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공감하면서 남북정상이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에 공통점이 있다고 이미 합의하였기

때문에 남북은 장차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 중 하나의 통일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람직한 통일접근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한국이

경계해야 할 것은 발제자도 지적한 바와 같이 북한의 붕괴통일보다는 독일과 같이

평화적 흡수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며 더 좋은 방안은 평화통일을 목표로 하되 점진적

접근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만약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하여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고 가정할 때 한국에게는

lsquo통일의 대박rsquo이 아니라 통일의 쪽박이 될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남북이

평화통일 협상을 통해 점진적 통일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미국의 국가이익과 우려사항에 대한 자세한 분석에 전적으로

동의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많이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서

기대하는 것은 미국의 국익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미국의 대한반도 통일정책이

결정되리라 전망됨으로 통일의 당사자인 남북은 통일의 과정에서 미국의 국익도

고려하면서 남북이 통일의 이니셔티브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6

2 발제 문에 대한 몇 가지 이견

토론자는 발제문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를 하지만 미시적 측면에서 토론자의 이견을

몇 가지 부언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연방제와 연합제를 설명하는 2쪽 문단에서 북한의 연방제를 1980년

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김일성이 발표한 내용을 기준으로 설명했으나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이 한국의 연합제와 좀더 가까운 것은 김일성이 1991년 1월

1일 발표한 lsquo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rsquo이므로 이를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비교분석 하는 것이 좀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980연대 연방제는

남과 북이 lsquo연방상설위원회rsquo를 조직하여 지역정부를 지도하는 중앙정부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1991년의 연방제는 지방정부에 모든 외교권과 군사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국의

연합제 즉 국가연합 형태의 통일방안으로 수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둘째 1991년 북한의 연방제는 남과 북이 어떠한 정치군사적 블록에도 가담하지 않는

중립국가의 외교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남북이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에 공통점을 인정하고 있으나 북한은 연방제가 되었을 때 외교정책은

반드시 비동맹 중립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나 한국은 북한의 그러한 중립정책을

수용하기 어려운 입장이므로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선 듯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셋째 북한의 연방제 실시 조건에서 남한이 수용하기 어려운 또 다른 것은 북한이

주한미군의 철수와 국가보안법을 철폐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장차 남북이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를 실시한다 해도 남한정부의 입장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보안법 철폐는 가장 민감한 문제들이므로 난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끝으로 발제자는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ldquo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케 하고 미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rdquo는 분석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됩니다 미국의 계획에 의하면 lsquo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군은 한국군과

한국인은 북한에 입북하는 것을 금지하고 미군과 일본의 자위대가 북한의 치안을

유지한다rsquo는 주장이 제기되어 이를 확인하고 있습니다(오크랜드 대학교 박문재 박사

주장) 또 다른 주장에 의하면 북한의 급변사태 시 중국군과 미군은 동시에 북한에

상륙하여 일정한 지역을 분할 하여 WMD와 북한 질서를 공동으로 유지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계획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경우 미국에는 분명히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미국의 이익과 우려가 병존하리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어느 것이 미국의 국익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가에 따라 미국의 외교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이며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한반도 정책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과 관련하여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 발제자는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어

대부분의 내용에 동의를 하면서 상이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토론을 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ldquo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으며 2012년 오바마

27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 체제와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통일을 지지했다rdquo는

내용에 대해 미국은 한반도의 통일을 원천적으로 원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토론자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1971년 7월과 2005년 8월 북경에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비밀회담을 갖고 ldquo미국이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양국은 한반도 분단의

현장유지를 계속하자고 합의rdquo한 내용이 미국의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습니다(2005년 9월

7일 Washington Post)

또 다른 예로 한국전쟁을 종결하는 휴전협정 제4조에는 ldquo정전협정 서명 후 3개월

이내에 서명 당사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한다rdquo고 합의했으나 미국은 북한이 핵을 만들기

전에도 북한의 평화협정 요구를 거절해 왔으며 이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해야

평화협정을 체결해 주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의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은 외교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둘째 과거 독일통일의 과정에서 고르바초프는 독일의 중립화를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미국은 통일된 독일이 NATO에 잔류해야 한다는 조건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결국

고르비가 양보하고 미국의 안이 채택되었으나 거기에는 서독이 소련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수용한 대가라고 합니다(주섭일 기자의 『1990년 독일통일과 2017년 한반도

통일』)

셋째 미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문제에 대해 크게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미국은

한반도가 통일이 된 뒤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주한 미군의

역할은 북한의 위협보다는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주한 미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미국의 재

균형정책도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넷째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미국의 동북아시아 국가에 대한 군수산업이 대폭

축소될 것이며 통일된 한반도가 미-중 간에 균형외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대중 견제는 급속하게 감소될 전망입니다

끝으로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은 감소된 반면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되어 미국의

장기적 전략인 미국의 군사비 감축과 국내외 여건으로 주한미군의 유지가 어렵게 될

경우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감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므로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4 한국의 당면 과제

한국은 대북정책의 출구전략으로 10월 3일 북한 실세의 한국방문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려 북한이 필요로 하는 경제지원과 5ㆍ24조치 해제를 전제로 북한의 양보를 얻어 내

남북관계의 출구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한국정부는 미국이 요청한 THAAD

구입이나 배치를 허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남북간의 평화체제 구축은 1단계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기 보다는 남북이 이미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를 비롯하여 6 ㆍ 15선언과 10 ㆍ 4선언의 내용 중 실천이 용이한

문제부터 실천하면서 남북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북한과 미국의

관계에서 미국이 현재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한국은

북한과 먼저 신뢰를 회복한 후 기본합의서에 이미 명시되어 있는 남북한의 불가침조약을

먼저 체결하고 서울과 평양에 대표부를 설치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한반도

28

비핵화를 위해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으로 핵

문제는 북미간의 문제로 유지하면서 남북한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요구를

하면서 남북의 해빙무드를 먼저 조성하는데 한국은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은 현재도 비동맹 중립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북한의 연방제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조심스럽게 중립화 문제를 거론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검토를 해야 할 것입니다

5 정책제안

한반도 주변 4강은 현재 그들의 국가이익과 한반도 통일이 그들에게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한반도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므로 한국정부는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북한에 비핵화 요구보다 협상을 통해 단계적으로 북한이 한국의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제안이나 구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서

북한이 시급하게 원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524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북한의 양보와 협력을 받아 내야 할

것입니다lt끝gt

6 장용석 박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1 통일과 관련하여 발표자의 다음 지적은 매우 중요함

- ① 기능주의적 접근의 한계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 필요성 ② 북한

주민들의 선택이 지닌 중요성과 그에 대한 고려 필요성 ③ 통일 대북정책의 연속성과

북한 리더십 포용을 위한 내각제 개헌의 필요성

2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과 관련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함

- 동서독은 유럽차원에서 NATO와 WTO간 세력균형 이를 바탕으로 한 동서 간

긴장완화와 특히 헬싱키 프로세스와 CSCE 등을 통한 공동안보 틀 구축 등으로 인해

교류협력에서 안보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특히 동독이 경우 패전의

여파겠지만 북한과는 달리 자국의 안보를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음

- 반면 남북을 둘러싼 지역 안보 환경은 미∙중 간의 긴장과 갈등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고 있고 특히 북한의 경우 지정학적 요충지론에 입각하여 자주-존엄-

선군의 기치 하에 핵보유까지 천명하고 비대칭적 전력의 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으로써 동서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교류협력의 직접적인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 따라서 동북아 지역차원에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협력적 안보 틀이나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공존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rArr 이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ldquo작고 쉬운 것부터rdquo 논리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를 외면하는 기능주의의 또 다른 버전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발표자의 평가는

무엇인지

rArr 아울러 평화협정은 평화적 공존의 제도화와 군비통제를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분단관리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게 아닌지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24: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24

- 발제논문에서 주장하는 통일보다는 현상유지를 선호하는 미국의 입장과 연결됨

- Permanent crisis 양상 분명 위기이고 해결이 난망한데 아무도 나서서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며 심지어 현 위기국면을 국내정치에 이용하는 측면이 커지는 일종의

북한 핵위기의 default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③ 한반도 통일론의 변화 신뢰프로세스 동평구 통일대박론 드레스덴 선언 등의

많은 제안들이 후속조치 없이 동력을 잃었으며 최근 UN연설에서 재확인되듯이

흡수통일론으로 귀결 남북교류의 제도화 수준은 대단히 높으나 실행수준은 대단히

낮음으로 인해 통일논의에 대한 국민들의 피로감을 확산시키고 이는 국내

안보포퓰리즘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동

④ 북중관계 변화 남북관계의 단절로 인해 긴밀해짐으로 해서 북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하고 있는데 중국의 대북 지분을 향상시켜 유사시 개입의 빌미가 될

가능성이 높음(발제논문도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음-탈북자 관리명분)

미국의 입장에 대한 견해

오바마는 대북정책에 있어 부시 전임정부와는 정반대되는 경향 1기에서의

강경함에서 2기에는 협상무드로 갔던 부시와는 반대로 초기의 온건입장이 시간이

갈수록 강경기조로 넘어가고 있으며 인권압박까지 병행

더 큰 문제는 강경책이든 온건책이든 문제해결을 위한 움직임이 없는 매우

수동적 태도로 일관한다는 것인데 이는 북한문제가 여전히 오바마행정부의

정책우선순위의 상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고 또 북한핵개발

국면을 빌미로 대중국 견제와 미일동맹을 비롯한 아시아동맹네트워크 강화에 활용한다는

것임

오바마의 소위 lsquoDDSSrsquo Doctrine의 근간은 임기 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한반도는 큰 현안 없이 현상유지로 흘러갈 가능성이 큼

미국의 MD 압박 강화될 것임

- 미국이 현재는 한국내 여론을 의식해서 한국정부와 보조를 맞추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MD 편입을 원하고 있기에 압박은 증가할 것임

- 한국과 일본이 참여하는 지역 미사일방어체제 구축은 미국의 아시아재균형전략의

핵심이며 한국의 MD 참여가 중국의 입장에서는 레드라인이지만 미국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한중의 접근을 억제할 수 있는 카드로서의 효용성이 있음

- 한국정부의 태도 변화 사드의 한국도입에 대해 최근에는 수용적 자세로 변화20

미국의 MD 참여 압박에 대해 정부가 진정으로 미국 MD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면 확실한 입장표명을 하거나 공개적으로 국민의 의견을 묻는 것이

필요함(double edge diplomacy 활용)

한국의 과제

즈 발언까지 일관됨 20 10월 7일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한민구장관은 북한 핵middot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사드를 배치하면 우리 안

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함 또한 MD의 핵심 자산을 동원하는 새로운 작전개념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같은 방안을 이달 말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연례 안보협의회에서 공식화할 방침이라고 밝힘

25

남북관계 해결을 위해 한국정부가 선제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시도해야 함

미국이 여러 복잡한 문제로 인해 여유가 없는 상황을 오히려 역이용하는 발상의 전환

필요

미국정부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대북접근에 있어 한미공조 이탈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견제해왔던 것에 비하면 한국의 운신의 폭은 역설적으로 커졌다고 볼 여지

있음 미국이 대북정책에 있어 마땅한 해법도 없고 정책순위는 점점 하락하는 상황에서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주도가 가능할 수도 있음

출구전략

- 6자회담과 919성명의 복원을 통한 문제해결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을 병행

- 524조치에 대한 언급 없이 실질적인 유연화

- 박근혜대통령의 결심이 관건 대화재개조건의 유연화에 대한 한미간 정책조율을

주도할 필요가 있음

5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

한국GPF재단이 주최하는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김현욱 교수께서 발제한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의 주제는 통일을

시급하게 달성해야 하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통일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반세기 이상 한국과 안보동맹을 체결하고 있는 미국의

한반도 통일정책을 논의하는 것은 아주 시의적절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자는 먼저

발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의견을 제시하고 발제자와 토론자 간의 약간의 상이한

견해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하고 곽교수의 질문에 대해 간략하게 답한 후

정책제안의 순서로 기술하고자 합니다

1 발제문에 대한 일반적 평가

발제자의 논문 내용과 접근방법에 대해 토론자는 전적으로 찬성하고 동의합니다

한반도 통일방안의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공감하면서 남북정상이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에 공통점이 있다고 이미 합의하였기

때문에 남북은 장차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 중 하나의 통일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람직한 통일접근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한국이

경계해야 할 것은 발제자도 지적한 바와 같이 북한의 붕괴통일보다는 독일과 같이

평화적 흡수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며 더 좋은 방안은 평화통일을 목표로 하되 점진적

접근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만약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하여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고 가정할 때 한국에게는

lsquo통일의 대박rsquo이 아니라 통일의 쪽박이 될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남북이

평화통일 협상을 통해 점진적 통일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미국의 국가이익과 우려사항에 대한 자세한 분석에 전적으로

동의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많이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서

기대하는 것은 미국의 국익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미국의 대한반도 통일정책이

결정되리라 전망됨으로 통일의 당사자인 남북은 통일의 과정에서 미국의 국익도

고려하면서 남북이 통일의 이니셔티브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6

2 발제 문에 대한 몇 가지 이견

토론자는 발제문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를 하지만 미시적 측면에서 토론자의 이견을

몇 가지 부언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연방제와 연합제를 설명하는 2쪽 문단에서 북한의 연방제를 1980년

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김일성이 발표한 내용을 기준으로 설명했으나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이 한국의 연합제와 좀더 가까운 것은 김일성이 1991년 1월

1일 발표한 lsquo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rsquo이므로 이를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비교분석 하는 것이 좀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980연대 연방제는

남과 북이 lsquo연방상설위원회rsquo를 조직하여 지역정부를 지도하는 중앙정부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1991년의 연방제는 지방정부에 모든 외교권과 군사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국의

연합제 즉 국가연합 형태의 통일방안으로 수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둘째 1991년 북한의 연방제는 남과 북이 어떠한 정치군사적 블록에도 가담하지 않는

중립국가의 외교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남북이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에 공통점을 인정하고 있으나 북한은 연방제가 되었을 때 외교정책은

반드시 비동맹 중립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나 한국은 북한의 그러한 중립정책을

수용하기 어려운 입장이므로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선 듯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셋째 북한의 연방제 실시 조건에서 남한이 수용하기 어려운 또 다른 것은 북한이

주한미군의 철수와 국가보안법을 철폐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장차 남북이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를 실시한다 해도 남한정부의 입장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보안법 철폐는 가장 민감한 문제들이므로 난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끝으로 발제자는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ldquo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케 하고 미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rdquo는 분석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됩니다 미국의 계획에 의하면 lsquo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군은 한국군과

한국인은 북한에 입북하는 것을 금지하고 미군과 일본의 자위대가 북한의 치안을

유지한다rsquo는 주장이 제기되어 이를 확인하고 있습니다(오크랜드 대학교 박문재 박사

주장) 또 다른 주장에 의하면 북한의 급변사태 시 중국군과 미군은 동시에 북한에

상륙하여 일정한 지역을 분할 하여 WMD와 북한 질서를 공동으로 유지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계획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경우 미국에는 분명히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미국의 이익과 우려가 병존하리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어느 것이 미국의 국익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가에 따라 미국의 외교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이며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한반도 정책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과 관련하여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 발제자는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어

대부분의 내용에 동의를 하면서 상이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토론을 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ldquo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으며 2012년 오바마

27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 체제와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통일을 지지했다rdquo는

내용에 대해 미국은 한반도의 통일을 원천적으로 원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토론자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1971년 7월과 2005년 8월 북경에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비밀회담을 갖고 ldquo미국이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양국은 한반도 분단의

현장유지를 계속하자고 합의rdquo한 내용이 미국의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습니다(2005년 9월

7일 Washington Post)

또 다른 예로 한국전쟁을 종결하는 휴전협정 제4조에는 ldquo정전협정 서명 후 3개월

이내에 서명 당사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한다rdquo고 합의했으나 미국은 북한이 핵을 만들기

전에도 북한의 평화협정 요구를 거절해 왔으며 이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해야

평화협정을 체결해 주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의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은 외교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둘째 과거 독일통일의 과정에서 고르바초프는 독일의 중립화를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미국은 통일된 독일이 NATO에 잔류해야 한다는 조건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결국

고르비가 양보하고 미국의 안이 채택되었으나 거기에는 서독이 소련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수용한 대가라고 합니다(주섭일 기자의 『1990년 독일통일과 2017년 한반도

통일』)

셋째 미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문제에 대해 크게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미국은

한반도가 통일이 된 뒤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주한 미군의

역할은 북한의 위협보다는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주한 미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미국의 재

균형정책도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넷째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미국의 동북아시아 국가에 대한 군수산업이 대폭

축소될 것이며 통일된 한반도가 미-중 간에 균형외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대중 견제는 급속하게 감소될 전망입니다

끝으로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은 감소된 반면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되어 미국의

장기적 전략인 미국의 군사비 감축과 국내외 여건으로 주한미군의 유지가 어렵게 될

경우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감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므로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4 한국의 당면 과제

한국은 대북정책의 출구전략으로 10월 3일 북한 실세의 한국방문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려 북한이 필요로 하는 경제지원과 5ㆍ24조치 해제를 전제로 북한의 양보를 얻어 내

남북관계의 출구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한국정부는 미국이 요청한 THAAD

구입이나 배치를 허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남북간의 평화체제 구축은 1단계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기 보다는 남북이 이미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를 비롯하여 6 ㆍ 15선언과 10 ㆍ 4선언의 내용 중 실천이 용이한

문제부터 실천하면서 남북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북한과 미국의

관계에서 미국이 현재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한국은

북한과 먼저 신뢰를 회복한 후 기본합의서에 이미 명시되어 있는 남북한의 불가침조약을

먼저 체결하고 서울과 평양에 대표부를 설치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한반도

28

비핵화를 위해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으로 핵

문제는 북미간의 문제로 유지하면서 남북한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요구를

하면서 남북의 해빙무드를 먼저 조성하는데 한국은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은 현재도 비동맹 중립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북한의 연방제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조심스럽게 중립화 문제를 거론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검토를 해야 할 것입니다

5 정책제안

한반도 주변 4강은 현재 그들의 국가이익과 한반도 통일이 그들에게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한반도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므로 한국정부는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북한에 비핵화 요구보다 협상을 통해 단계적으로 북한이 한국의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제안이나 구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서

북한이 시급하게 원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524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북한의 양보와 협력을 받아 내야 할

것입니다lt끝gt

6 장용석 박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1 통일과 관련하여 발표자의 다음 지적은 매우 중요함

- ① 기능주의적 접근의 한계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 필요성 ② 북한

주민들의 선택이 지닌 중요성과 그에 대한 고려 필요성 ③ 통일 대북정책의 연속성과

북한 리더십 포용을 위한 내각제 개헌의 필요성

2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과 관련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함

- 동서독은 유럽차원에서 NATO와 WTO간 세력균형 이를 바탕으로 한 동서 간

긴장완화와 특히 헬싱키 프로세스와 CSCE 등을 통한 공동안보 틀 구축 등으로 인해

교류협력에서 안보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특히 동독이 경우 패전의

여파겠지만 북한과는 달리 자국의 안보를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음

- 반면 남북을 둘러싼 지역 안보 환경은 미∙중 간의 긴장과 갈등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고 있고 특히 북한의 경우 지정학적 요충지론에 입각하여 자주-존엄-

선군의 기치 하에 핵보유까지 천명하고 비대칭적 전력의 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으로써 동서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교류협력의 직접적인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 따라서 동북아 지역차원에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협력적 안보 틀이나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공존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rArr 이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ldquo작고 쉬운 것부터rdquo 논리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를 외면하는 기능주의의 또 다른 버전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발표자의 평가는

무엇인지

rArr 아울러 평화협정은 평화적 공존의 제도화와 군비통제를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분단관리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게 아닌지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25: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25

남북관계 해결을 위해 한국정부가 선제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시도해야 함

미국이 여러 복잡한 문제로 인해 여유가 없는 상황을 오히려 역이용하는 발상의 전환

필요

미국정부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대북접근에 있어 한미공조 이탈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견제해왔던 것에 비하면 한국의 운신의 폭은 역설적으로 커졌다고 볼 여지

있음 미국이 대북정책에 있어 마땅한 해법도 없고 정책순위는 점점 하락하는 상황에서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주도가 가능할 수도 있음

출구전략

- 6자회담과 919성명의 복원을 통한 문제해결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을 병행

- 524조치에 대한 언급 없이 실질적인 유연화

- 박근혜대통령의 결심이 관건 대화재개조건의 유연화에 대한 한미간 정책조율을

주도할 필요가 있음

5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

한국GPF재단이 주최하는 제6회 전문가 정책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김현욱 교수께서 발제한 ldquo한반도 통일과 미국rdquo의 주제는 통일을

시급하게 달성해야 하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통일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반세기 이상 한국과 안보동맹을 체결하고 있는 미국의

한반도 통일정책을 논의하는 것은 아주 시의적절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자는 먼저

발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의견을 제시하고 발제자와 토론자 간의 약간의 상이한

견해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하고 곽교수의 질문에 대해 간략하게 답한 후

정책제안의 순서로 기술하고자 합니다

1 발제문에 대한 일반적 평가

발제자의 논문 내용과 접근방법에 대해 토론자는 전적으로 찬성하고 동의합니다

한반도 통일방안의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공감하면서 남북정상이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에 공통점이 있다고 이미 합의하였기

때문에 남북은 장차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 중 하나의 통일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람직한 통일접근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한국이

경계해야 할 것은 발제자도 지적한 바와 같이 북한의 붕괴통일보다는 독일과 같이

평화적 흡수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며 더 좋은 방안은 평화통일을 목표로 하되 점진적

접근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만약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하여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고 가정할 때 한국에게는

lsquo통일의 대박rsquo이 아니라 통일의 쪽박이 될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남북이

평화통일 협상을 통해 점진적 통일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미국의 국가이익과 우려사항에 대한 자세한 분석에 전적으로

동의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많이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미국은 한반도 통일에서

기대하는 것은 미국의 국익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미국의 대한반도 통일정책이

결정되리라 전망됨으로 통일의 당사자인 남북은 통일의 과정에서 미국의 국익도

고려하면서 남북이 통일의 이니셔티브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6

2 발제 문에 대한 몇 가지 이견

토론자는 발제문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를 하지만 미시적 측면에서 토론자의 이견을

몇 가지 부언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연방제와 연합제를 설명하는 2쪽 문단에서 북한의 연방제를 1980년

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김일성이 발표한 내용을 기준으로 설명했으나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이 한국의 연합제와 좀더 가까운 것은 김일성이 1991년 1월

1일 발표한 lsquo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rsquo이므로 이를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비교분석 하는 것이 좀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980연대 연방제는

남과 북이 lsquo연방상설위원회rsquo를 조직하여 지역정부를 지도하는 중앙정부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1991년의 연방제는 지방정부에 모든 외교권과 군사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국의

연합제 즉 국가연합 형태의 통일방안으로 수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둘째 1991년 북한의 연방제는 남과 북이 어떠한 정치군사적 블록에도 가담하지 않는

중립국가의 외교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남북이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에 공통점을 인정하고 있으나 북한은 연방제가 되었을 때 외교정책은

반드시 비동맹 중립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나 한국은 북한의 그러한 중립정책을

수용하기 어려운 입장이므로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선 듯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셋째 북한의 연방제 실시 조건에서 남한이 수용하기 어려운 또 다른 것은 북한이

주한미군의 철수와 국가보안법을 철폐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장차 남북이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를 실시한다 해도 남한정부의 입장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보안법 철폐는 가장 민감한 문제들이므로 난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끝으로 발제자는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ldquo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케 하고 미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rdquo는 분석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됩니다 미국의 계획에 의하면 lsquo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군은 한국군과

한국인은 북한에 입북하는 것을 금지하고 미군과 일본의 자위대가 북한의 치안을

유지한다rsquo는 주장이 제기되어 이를 확인하고 있습니다(오크랜드 대학교 박문재 박사

주장) 또 다른 주장에 의하면 북한의 급변사태 시 중국군과 미군은 동시에 북한에

상륙하여 일정한 지역을 분할 하여 WMD와 북한 질서를 공동으로 유지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계획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경우 미국에는 분명히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미국의 이익과 우려가 병존하리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어느 것이 미국의 국익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가에 따라 미국의 외교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이며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한반도 정책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과 관련하여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 발제자는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어

대부분의 내용에 동의를 하면서 상이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토론을 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ldquo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으며 2012년 오바마

27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 체제와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통일을 지지했다rdquo는

내용에 대해 미국은 한반도의 통일을 원천적으로 원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토론자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1971년 7월과 2005년 8월 북경에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비밀회담을 갖고 ldquo미국이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양국은 한반도 분단의

현장유지를 계속하자고 합의rdquo한 내용이 미국의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습니다(2005년 9월

7일 Washington Post)

또 다른 예로 한국전쟁을 종결하는 휴전협정 제4조에는 ldquo정전협정 서명 후 3개월

이내에 서명 당사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한다rdquo고 합의했으나 미국은 북한이 핵을 만들기

전에도 북한의 평화협정 요구를 거절해 왔으며 이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해야

평화협정을 체결해 주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의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은 외교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둘째 과거 독일통일의 과정에서 고르바초프는 독일의 중립화를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미국은 통일된 독일이 NATO에 잔류해야 한다는 조건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결국

고르비가 양보하고 미국의 안이 채택되었으나 거기에는 서독이 소련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수용한 대가라고 합니다(주섭일 기자의 『1990년 독일통일과 2017년 한반도

통일』)

셋째 미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문제에 대해 크게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미국은

한반도가 통일이 된 뒤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주한 미군의

역할은 북한의 위협보다는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주한 미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미국의 재

균형정책도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넷째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미국의 동북아시아 국가에 대한 군수산업이 대폭

축소될 것이며 통일된 한반도가 미-중 간에 균형외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대중 견제는 급속하게 감소될 전망입니다

끝으로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은 감소된 반면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되어 미국의

장기적 전략인 미국의 군사비 감축과 국내외 여건으로 주한미군의 유지가 어렵게 될

경우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감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므로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4 한국의 당면 과제

한국은 대북정책의 출구전략으로 10월 3일 북한 실세의 한국방문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려 북한이 필요로 하는 경제지원과 5ㆍ24조치 해제를 전제로 북한의 양보를 얻어 내

남북관계의 출구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한국정부는 미국이 요청한 THAAD

구입이나 배치를 허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남북간의 평화체제 구축은 1단계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기 보다는 남북이 이미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를 비롯하여 6 ㆍ 15선언과 10 ㆍ 4선언의 내용 중 실천이 용이한

문제부터 실천하면서 남북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북한과 미국의

관계에서 미국이 현재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한국은

북한과 먼저 신뢰를 회복한 후 기본합의서에 이미 명시되어 있는 남북한의 불가침조약을

먼저 체결하고 서울과 평양에 대표부를 설치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한반도

28

비핵화를 위해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으로 핵

문제는 북미간의 문제로 유지하면서 남북한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요구를

하면서 남북의 해빙무드를 먼저 조성하는데 한국은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은 현재도 비동맹 중립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북한의 연방제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조심스럽게 중립화 문제를 거론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검토를 해야 할 것입니다

5 정책제안

한반도 주변 4강은 현재 그들의 국가이익과 한반도 통일이 그들에게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한반도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므로 한국정부는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북한에 비핵화 요구보다 협상을 통해 단계적으로 북한이 한국의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제안이나 구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서

북한이 시급하게 원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524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북한의 양보와 협력을 받아 내야 할

것입니다lt끝gt

6 장용석 박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1 통일과 관련하여 발표자의 다음 지적은 매우 중요함

- ① 기능주의적 접근의 한계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 필요성 ② 북한

주민들의 선택이 지닌 중요성과 그에 대한 고려 필요성 ③ 통일 대북정책의 연속성과

북한 리더십 포용을 위한 내각제 개헌의 필요성

2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과 관련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함

- 동서독은 유럽차원에서 NATO와 WTO간 세력균형 이를 바탕으로 한 동서 간

긴장완화와 특히 헬싱키 프로세스와 CSCE 등을 통한 공동안보 틀 구축 등으로 인해

교류협력에서 안보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특히 동독이 경우 패전의

여파겠지만 북한과는 달리 자국의 안보를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음

- 반면 남북을 둘러싼 지역 안보 환경은 미∙중 간의 긴장과 갈등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고 있고 특히 북한의 경우 지정학적 요충지론에 입각하여 자주-존엄-

선군의 기치 하에 핵보유까지 천명하고 비대칭적 전력의 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으로써 동서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교류협력의 직접적인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 따라서 동북아 지역차원에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협력적 안보 틀이나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공존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rArr 이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ldquo작고 쉬운 것부터rdquo 논리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를 외면하는 기능주의의 또 다른 버전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발표자의 평가는

무엇인지

rArr 아울러 평화협정은 평화적 공존의 제도화와 군비통제를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분단관리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게 아닌지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26: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26

2 발제 문에 대한 몇 가지 이견

토론자는 발제문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를 하지만 미시적 측면에서 토론자의 이견을

몇 가지 부언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연방제와 연합제를 설명하는 2쪽 문단에서 북한의 연방제를 1980년

노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김일성이 발표한 내용을 기준으로 설명했으나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이 한국의 연합제와 좀더 가까운 것은 김일성이 1991년 1월

1일 발표한 lsquo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rsquo이므로 이를 한국의 연합제 통일방안과

비교분석 하는 것이 좀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980연대 연방제는

남과 북이 lsquo연방상설위원회rsquo를 조직하여 지역정부를 지도하는 중앙정부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1991년의 연방제는 지방정부에 모든 외교권과 군사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국의

연합제 즉 국가연합 형태의 통일방안으로 수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둘째 1991년 북한의 연방제는 남과 북이 어떠한 정치군사적 블록에도 가담하지 않는

중립국가의 외교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남북이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에 공통점을 인정하고 있으나 북한은 연방제가 되었을 때 외교정책은

반드시 비동맹 중립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나 한국은 북한의 그러한 중립정책을

수용하기 어려운 입장이므로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선 듯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셋째 북한의 연방제 실시 조건에서 남한이 수용하기 어려운 또 다른 것은 북한이

주한미군의 철수와 국가보안법을 철폐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장차 남북이 통일의

과정에서 연합제나 또는 연방제를 실시한다 해도 남한정부의 입장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보안법 철폐는 가장 민감한 문제들이므로 난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끝으로 발제자는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ldquo미국은 한국에게 주도적 역할을

수행케 하고 미국은 지원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rdquo는 분석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됩니다 미국의 계획에 의하면 lsquo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군은 한국군과

한국인은 북한에 입북하는 것을 금지하고 미군과 일본의 자위대가 북한의 치안을

유지한다rsquo는 주장이 제기되어 이를 확인하고 있습니다(오크랜드 대학교 박문재 박사

주장) 또 다른 주장에 의하면 북한의 급변사태 시 중국군과 미군은 동시에 북한에

상륙하여 일정한 지역을 분할 하여 WMD와 북한 질서를 공동으로 유지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계획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입장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경우 미국에는 분명히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미국의 이익과 우려가 병존하리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반도가 통일이 되었을 때 어느 것이 미국의 국익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가에 따라 미국의 외교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이며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한반도 정책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과 관련하여 미국의 이익과 우려에 대해 발제자는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어

대부분의 내용에 동의를 하면서 상이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토론을 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는 ldquo역사적으로 미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지했으며 2012년 오바마

27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 체제와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통일을 지지했다rdquo는

내용에 대해 미국은 한반도의 통일을 원천적으로 원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토론자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1971년 7월과 2005년 8월 북경에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비밀회담을 갖고 ldquo미국이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양국은 한반도 분단의

현장유지를 계속하자고 합의rdquo한 내용이 미국의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습니다(2005년 9월

7일 Washington Post)

또 다른 예로 한국전쟁을 종결하는 휴전협정 제4조에는 ldquo정전협정 서명 후 3개월

이내에 서명 당사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한다rdquo고 합의했으나 미국은 북한이 핵을 만들기

전에도 북한의 평화협정 요구를 거절해 왔으며 이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해야

평화협정을 체결해 주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의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은 외교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둘째 과거 독일통일의 과정에서 고르바초프는 독일의 중립화를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미국은 통일된 독일이 NATO에 잔류해야 한다는 조건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결국

고르비가 양보하고 미국의 안이 채택되었으나 거기에는 서독이 소련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수용한 대가라고 합니다(주섭일 기자의 『1990년 독일통일과 2017년 한반도

통일』)

셋째 미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문제에 대해 크게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미국은

한반도가 통일이 된 뒤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주한 미군의

역할은 북한의 위협보다는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주한 미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미국의 재

균형정책도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넷째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미국의 동북아시아 국가에 대한 군수산업이 대폭

축소될 것이며 통일된 한반도가 미-중 간에 균형외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대중 견제는 급속하게 감소될 전망입니다

끝으로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은 감소된 반면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되어 미국의

장기적 전략인 미국의 군사비 감축과 국내외 여건으로 주한미군의 유지가 어렵게 될

경우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감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므로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4 한국의 당면 과제

한국은 대북정책의 출구전략으로 10월 3일 북한 실세의 한국방문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려 북한이 필요로 하는 경제지원과 5ㆍ24조치 해제를 전제로 북한의 양보를 얻어 내

남북관계의 출구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한국정부는 미국이 요청한 THAAD

구입이나 배치를 허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남북간의 평화체제 구축은 1단계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기 보다는 남북이 이미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를 비롯하여 6 ㆍ 15선언과 10 ㆍ 4선언의 내용 중 실천이 용이한

문제부터 실천하면서 남북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북한과 미국의

관계에서 미국이 현재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한국은

북한과 먼저 신뢰를 회복한 후 기본합의서에 이미 명시되어 있는 남북한의 불가침조약을

먼저 체결하고 서울과 평양에 대표부를 설치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한반도

28

비핵화를 위해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으로 핵

문제는 북미간의 문제로 유지하면서 남북한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요구를

하면서 남북의 해빙무드를 먼저 조성하는데 한국은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은 현재도 비동맹 중립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북한의 연방제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조심스럽게 중립화 문제를 거론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검토를 해야 할 것입니다

5 정책제안

한반도 주변 4강은 현재 그들의 국가이익과 한반도 통일이 그들에게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한반도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므로 한국정부는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북한에 비핵화 요구보다 협상을 통해 단계적으로 북한이 한국의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제안이나 구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서

북한이 시급하게 원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524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북한의 양보와 협력을 받아 내야 할

것입니다lt끝gt

6 장용석 박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1 통일과 관련하여 발표자의 다음 지적은 매우 중요함

- ① 기능주의적 접근의 한계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 필요성 ② 북한

주민들의 선택이 지닌 중요성과 그에 대한 고려 필요성 ③ 통일 대북정책의 연속성과

북한 리더십 포용을 위한 내각제 개헌의 필요성

2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과 관련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함

- 동서독은 유럽차원에서 NATO와 WTO간 세력균형 이를 바탕으로 한 동서 간

긴장완화와 특히 헬싱키 프로세스와 CSCE 등을 통한 공동안보 틀 구축 등으로 인해

교류협력에서 안보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특히 동독이 경우 패전의

여파겠지만 북한과는 달리 자국의 안보를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음

- 반면 남북을 둘러싼 지역 안보 환경은 미∙중 간의 긴장과 갈등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고 있고 특히 북한의 경우 지정학적 요충지론에 입각하여 자주-존엄-

선군의 기치 하에 핵보유까지 천명하고 비대칭적 전력의 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으로써 동서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교류협력의 직접적인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 따라서 동북아 지역차원에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협력적 안보 틀이나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공존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rArr 이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ldquo작고 쉬운 것부터rdquo 논리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를 외면하는 기능주의의 또 다른 버전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발표자의 평가는

무엇인지

rArr 아울러 평화협정은 평화적 공존의 제도화와 군비통제를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분단관리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게 아닌지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27: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27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 체제와 비핵화 원칙에 의한 평화통일을 지지했다rdquo는

내용에 대해 미국은 한반도의 통일을 원천적으로 원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토론자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1971년 7월과 2005년 8월 북경에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비밀회담을 갖고 ldquo미국이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양국은 한반도 분단의

현장유지를 계속하자고 합의rdquo한 내용이 미국의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습니다(2005년 9월

7일 Washington Post)

또 다른 예로 한국전쟁을 종결하는 휴전협정 제4조에는 ldquo정전협정 서명 후 3개월

이내에 서명 당사국은 평화협정을 체결한다rdquo고 합의했으나 미국은 북한이 핵을 만들기

전에도 북한의 평화협정 요구를 거절해 왔으며 이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해야

평화협정을 체결해 주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의 통일을 지지한다는

것은 외교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둘째 과거 독일통일의 과정에서 고르바초프는 독일의 중립화를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미국은 통일된 독일이 NATO에 잔류해야 한다는 조건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결국

고르비가 양보하고 미국의 안이 채택되었으나 거기에는 서독이 소련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수용한 대가라고 합니다(주섭일 기자의 『1990년 독일통일과 2017년 한반도

통일』)

셋째 미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문제에 대해 크게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미국은

한반도가 통일이 된 뒤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주한 미군의

역할은 북한의 위협보다는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주한 미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미국의 재

균형정책도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넷째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경우 미국의 동북아시아 국가에 대한 군수산업이 대폭

축소될 것이며 통일된 한반도가 미-중 간에 균형외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대중 견제는 급속하게 감소될 전망입니다

끝으로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은 감소된 반면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되어 미국의

장기적 전략인 미국의 군사비 감축과 국내외 여건으로 주한미군의 유지가 어렵게 될

경우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감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므로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4 한국의 당면 과제

한국은 대북정책의 출구전략으로 10월 3일 북한 실세의 한국방문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려 북한이 필요로 하는 경제지원과 5ㆍ24조치 해제를 전제로 북한의 양보를 얻어 내

남북관계의 출구전략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한국정부는 미국이 요청한 THAAD

구입이나 배치를 허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남북간의 평화체제 구축은 1단계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기 보다는 남북이 이미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를 비롯하여 6 ㆍ 15선언과 10 ㆍ 4선언의 내용 중 실천이 용이한

문제부터 실천하면서 남북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북한과 미국의

관계에서 미국이 현재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한국은

북한과 먼저 신뢰를 회복한 후 기본합의서에 이미 명시되어 있는 남북한의 불가침조약을

먼저 체결하고 서울과 평양에 대표부를 설치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한반도

28

비핵화를 위해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으로 핵

문제는 북미간의 문제로 유지하면서 남북한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요구를

하면서 남북의 해빙무드를 먼저 조성하는데 한국은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은 현재도 비동맹 중립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북한의 연방제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조심스럽게 중립화 문제를 거론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검토를 해야 할 것입니다

5 정책제안

한반도 주변 4강은 현재 그들의 국가이익과 한반도 통일이 그들에게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한반도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므로 한국정부는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북한에 비핵화 요구보다 협상을 통해 단계적으로 북한이 한국의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제안이나 구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서

북한이 시급하게 원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524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북한의 양보와 협력을 받아 내야 할

것입니다lt끝gt

6 장용석 박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1 통일과 관련하여 발표자의 다음 지적은 매우 중요함

- ① 기능주의적 접근의 한계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 필요성 ② 북한

주민들의 선택이 지닌 중요성과 그에 대한 고려 필요성 ③ 통일 대북정책의 연속성과

북한 리더십 포용을 위한 내각제 개헌의 필요성

2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과 관련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함

- 동서독은 유럽차원에서 NATO와 WTO간 세력균형 이를 바탕으로 한 동서 간

긴장완화와 특히 헬싱키 프로세스와 CSCE 등을 통한 공동안보 틀 구축 등으로 인해

교류협력에서 안보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특히 동독이 경우 패전의

여파겠지만 북한과는 달리 자국의 안보를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음

- 반면 남북을 둘러싼 지역 안보 환경은 미∙중 간의 긴장과 갈등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고 있고 특히 북한의 경우 지정학적 요충지론에 입각하여 자주-존엄-

선군의 기치 하에 핵보유까지 천명하고 비대칭적 전력의 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으로써 동서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교류협력의 직접적인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 따라서 동북아 지역차원에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협력적 안보 틀이나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공존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rArr 이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ldquo작고 쉬운 것부터rdquo 논리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를 외면하는 기능주의의 또 다른 버전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발표자의 평가는

무엇인지

rArr 아울러 평화협정은 평화적 공존의 제도화와 군비통제를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분단관리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게 아닌지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28: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28

비핵화를 위해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으로 핵

문제는 북미간의 문제로 유지하면서 남북한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요구를

하면서 남북의 해빙무드를 먼저 조성하는데 한국은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은 현재도 비동맹 중립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북한의 연방제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조심스럽게 중립화 문제를 거론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검토를 해야 할 것입니다

5 정책제안

한반도 주변 4강은 현재 그들의 국가이익과 한반도 통일이 그들에게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한반도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므로 한국정부는 한반도 문제는 남북이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북한에 비핵화 요구보다 협상을 통해 단계적으로 북한이 한국의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제안이나 구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면서

북한이 시급하게 원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524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북한의 양보와 협력을 받아 내야 할

것입니다lt끝gt

6 장용석 박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1 통일과 관련하여 발표자의 다음 지적은 매우 중요함

- ① 기능주의적 접근의 한계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 필요성 ② 북한

주민들의 선택이 지닌 중요성과 그에 대한 고려 필요성 ③ 통일 대북정책의 연속성과

북한 리더십 포용을 위한 내각제 개헌의 필요성

2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통합노력과 관련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함

- 동서독은 유럽차원에서 NATO와 WTO간 세력균형 이를 바탕으로 한 동서 간

긴장완화와 특히 헬싱키 프로세스와 CSCE 등을 통한 공동안보 틀 구축 등으로 인해

교류협력에서 안보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특히 동독이 경우 패전의

여파겠지만 북한과는 달리 자국의 안보를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었음

- 반면 남북을 둘러싼 지역 안보 환경은 미∙중 간의 긴장과 갈등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고 있고 특히 북한의 경우 지정학적 요충지론에 입각하여 자주-존엄-

선군의 기치 하에 핵보유까지 천명하고 비대칭적 전력의 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으로써 동서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교류협력의 직접적인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 따라서 동북아 지역차원에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협력적 안보 틀이나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공존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rArr 이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ldquo작고 쉬운 것부터rdquo 논리는 공동안보-

평화의제를 외면하는 기능주의의 또 다른 버전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발표자의 평가는

무엇인지

rArr 아울러 평화협정은 평화적 공존의 제도화와 군비통제를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분단관리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게 아닌지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29: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29

rArr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 차원에서 주한미군이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인민들에게 하는 얘기라고

언급한 바도 있는데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가 연계되었다고 볼 필요가 있는지

3 북한 주민의 선택은 평화적 통일의 핵심요소라는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함

- 동서독의 통일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었던 바 1990년 3월

동독의 평화적 민주적 정권교체와 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의 바탕에 동독 주민들의

선택이 있었음

- 향후 남북통일 과정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적어도 무력통일을

배제하고 평화적 통일을 추구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선택을 무엇보다 중요함

- 특히 통일 시나리오와 관련 남한에서 회자되고 있는 소위 북한급변사태 시에도 북한

군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면서 북한 내부를 안정시키고 주변국의 군사적 정치적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주민들의 선택에 의한 평화적 정권교체 즉 민주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음

rArr 이와 관련 발표자께서는 북한의 정치변동-민주화 없이 평화적 통일(합의에 의한

체제통합 흡수) 자체가 가능하다고 보시는지

4 내각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은 통일 이후까지 내다본 중요한 지적임

- 현재와 같은 ldquo승자독식rdquo 권력구조 하에서는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과 합의이행의

단절을 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북한에 민주적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통일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뿐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 독점보다는 분산과 공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함

5 소위 ldquo북한급변사태rdquo 시나리오와 관련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rArr 급변사태가 무엇인지 실제 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lsquo상상할 수 있는rsquo 상황

자체가 다양할 수 있고 막연한 급변사태 주장들이 대북정책뿐 아니라 안보정책에서도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한다면 이 글에서 발표자가 상정하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rArr 소위 북한급변사태시 중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친중정권을 수립할 수 있다는

지적은 북한 내 반중국 정서와 친중 세력의 부재 등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7 서주석 박사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1 발제문에 대한 논평

O 김현욱 박사의 발제문은 균형 잡힌 발표로 평가하며 대체로 공감함

O 몇 가지 이슈에 관해 개인적 의견을 다음과 같이 부가함

- 한국의 연합제 방안이 기능주의 통합론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경제사회 교류가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30: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30

자동적으로 정치적 통합을 가져온다는 입장은 아님 화해협력을 통해 남북 정부간

다층적 정치협의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 통일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해함

- 북한 급변 사태시 한∙미와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관해 대체로 동의하나 급변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각국의 개입 양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핵위기가 결합되어

나타날 경우 미국의 입장은 더욱 적극적일 수 있고 인도주의적 개입이 진행될 경우

한국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임

- 통일 이후 한국의 외교전략이 친중 또는 중립화하고 한미동맹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 역시 통일 과정에서 변수가 많을 것임 한국의 입장에서

기왕에 핵심적 안보수단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을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보다 동맹

유지와 함께 한∙중협력을 심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안보 입지를 다지려고 할 것임 다만

통일 이후 한미동맹이 지역안보동맹화할 경우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게 될 것이며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간 의견 차이가 심각해질 수 있음

- 북핵에 관한 미국의 반확산 정책의 목표는 북한의 핵화에 따른 지역 핵도미노

가능성과 중동 등 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방지 차단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해함

특히 통일 과정에서 통일 한국이 비핵국가로 남도록 적극적 노력을 경주할 것임

- 평화 논의에서 통일 논의로의 중점 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통일 논의가

가능하려면 북핵 남북 군사충돌 등 평화관련 논의가 일정하게 진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통일 과정에서 평화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정책과업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쪽으로의 재판단이 필요하다고 봄

-

2 주요 논제에 대한 소견

O 남북관계 경색 출구 전략

- 북핵 문제를 관계개선의 선결 요건이 아니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에도

일정하게 기여한다는 방향으로의 입장 전환을 중점 검토해야 함

- 524 조치와 천안함 사과의 우회적 해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연계 인도적 지원을 단계적 확대 등 방안 모색이 필요함

O THAAD와 한국군 전작권

- THAAD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수단으로 의미가 있으나 X밴드

레이다에 대한 중국측 우려를 감안하여 대중 설득과 함께 다양한 패키지를 검토해야 할

것임

- 전작권은 북핵 대응 수단과 연계하여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임

O 한반도 통일 방안과 평화체제 구축

- 615 2항과 같이 화해협력과 평화적 공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대화가 심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통일방안에 관한 합의가 모색되어야 할 것임

- 북핵에 일정한 진전이 있는 상황에서 비핵화는 핵실험 금지와 핵무기고 증강

동결부터 시작해서 핵시설 동결불능화 및 해체 핵물질 이전 등 다양한 범위의 이슈를

담게 되었고 이는 북미 직접협상과 함께 6자회담을 통한 다자적 해결 모색 이외에 다른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31: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31

방법이 없음

- 평화체제는 919 공동성명에 나온 대로 4자간 협의와 함께 남북간 실질적 합의의

모색이 투트랙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104 정상선언에 나온 유관국 정상간 종전선언

문제도 협상 진입시 고려할 수 있을 것임

O 통일 과정과 미국의 입장

- 미국은 한국 주도의 통일 논의와 남북한의 통합 과정을 지지하고 국제적 이해를

확산하며 통일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고 평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원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함

- 미국은 중립화 통일이 결국 한미동맹 해체와 중국 세력권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이해하여 반대할 것으로 생각함

8 홍현익 박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1) 미국 한국의 유일한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지지는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통일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갖는다는 조건에서만 통일을 지지할 것이다

물론 미국은 통일 한국이 한middot미동맹을 깨고 친중적 성향을 가진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저지할 것이 분명하다

2) 중국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하나 이는

문자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현재 상태의 국력 대비로 보아 남북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의 통일인데 이는 중국에게는 상당히 도전적인 요인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북middot중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는다든지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중국의 치안을 어지럽히고 사회middot경제적인 혼란을 조성한다든지 한다면

이를 반대하고 나설 것이다 물론 남한이 무력을 동원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북한을

흡수할 경우에는 북한과의 동맹관계를 내세우면서 이를 저지하고 나설 것이다

3) 러시아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북한이 동북아 및 러시아 극동지역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남북한의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면 지역 안정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북한이

가로막고 있어 한국과의 경협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 인접국으로서

한러 경협의 획기적인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략적으로도 통일한국이

동북아에서 러시아의 파트너가 되어 호혜적인 협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 대한 러시아의 협상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통일한국은 비핵국이어야 하고 현재 북한지역에 미군이 주둔하는 등 한미동맹이

북한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4) 일본 일본 지도부에게 한반도의 통일은 전략적인 재앙일 것이다 따라서 모든

명분과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남북한 통일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려 할 것이다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32: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32

2 국제사회 지지 획득 방안

먼저 통일한국이 비핵국이고 평화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은 주변강국들의

입장이 일치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이 이념이나 체제와 관계없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존middot공영을 추구하는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축을 지속적으로

제창해야 한다 동시에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창과 유라시아 경제문화협력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통일 이후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에 대비한 확실한 국방

능력 보유와 평화애호국이라는 이미지 유지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일 한국의 적절한 병력 규모를 미리 산정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이 원자력의

포괄적인 이용권은 누리지만 핵은 포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주변국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북핵포기 유도 제안을 만들고 4자회담이든 6자회담을 주도하여 북한의 핵

포기를 도출해야 한다 제안의 핵심 내용은 북한의 안보 딜레마를 고려하여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문제를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의 통일이 결국 거부권을 가진 소련이 반대를 철회해 달성된 데서 보듯이

우리의 평화통일 역시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중국의 거부권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핵심 관건은 통일 후에도 한미동맹은 유지될 것이지만 반중동맹이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AAD 배치는 한미동맹을

반중동맹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므로 미국을 설득해 시행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주둔위치 등을 조정하여 중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하면서 적어도 한미동맹을 정치적 동맹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북한 급변사태 대비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이전에는 한국의 북한지역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외교적

정당성 확보와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주변 강대국들과의 대비 협력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급변사태가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정부가 인명 살상의 최소화 중국군 개입 억지 북한

영토의 전일성 유지 북한의 탈공산화 유도 국제 관리시 한국의 주도권 확보 궁극적인

통일 달성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를 평화통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국내정치적으로는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대북정책에 대한 남남갈등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이 선망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외교적으로는 실용적 균형외교를 전방위적으로 구사하여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도 한국의 대한반도 정책목표와 정책을

지지하도록 하며 호혜적인 남북 경협도 진흥하여야 한다

4 남북관계 정상화 방안

단기적으로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면과 안보딜레마를 고려하는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33: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33

역지사지와 상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북한을

굴복 시키려하기 보다는 서로가 득을 보는 타협을 통해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남북간에 한반도 신뢰를 구축하려면 북한을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함께 북한도 우리를 믿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과 행동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의 진정한 평화 공존 및 호혜적 협력을 추구할 의지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과거 남북 정상간 합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정책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끝-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34: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34

lt참석자 프로필gt

사회자 곽태환(郭台煥) 박사

한국 외국어대 영어과 학사 (1961) 미국 Clark University 국제 관계학 석사(1963) 및

Claremont 대학원 대학교 국제 관계학 박사학위(1969)를 취득하였음 미국 Eastern Kentucky

대학교 국제정치학 교수(1969-1999) 경남대 교수 극동문제연구소 소장(1995-1999)

통일연구원 원장(1999-2000)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 [정책외교 분과위원회 (2001-

2005)] Global Peace Foundation(GPF)에서 수여하는 글로벌 혁신적 학술 평화상을 2012 년

12 월 1 일 수상 현재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전문가 정책포럼 주관 보고서Editor)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Eastern Kentucky대 명예교수 (사)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상임고문 한반도

중립화 통일협의회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 (Los Angeles) 회장등 郭台煥 교수는 31 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자 이며 200 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남북한관계 한반도 통일과 4 强의

對한반도 정책에 관하여 출판하였음 주요 저서 『국제정치 속의 한반도 평화와 통일구상』

(1999) 공저 『한반도평화체제의 모색』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와 번역서로는 KJ Holsti International Politics A Framework for Analysis 4th

E-mail

Ed國際政治學 分析의 틀(博英社 1990) 영문책 편저공동편저 (Editor amp Co-editor) North Korea and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hgate England 2014) Peace-Regim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Ashgate England 2010)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Ashgate England 2009) North Korearsquos Second Nuclear Crisis and Northeast Asia Security (Ashgate England 2007) 등

thkwak38hotmailcom 연락처 02-3217-2105

발제자 김현욱 박사 (국립외교원 부교수 미주연구부장)

국립외교원 부교수 및 미주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 Brown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 박사를 취득한 후 미국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이후 국립외교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4 년 UCSD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주제는 한미동맹 북미관계 동북아시아 관계이다 주요저서로는 US Extended

Deterr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lliance Cohesion in the Post-Cold War US-

South Korea Security Relations Obamarsquos East Asia Policy and US-South Korea

Relations 등

연락처 전화번호 010-9306-3212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35: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35

지정토론자 프로필(가나다순)

1 강종일 박사 (한반도중립화통일 협의회 회 회장)

강종일(姜鍾一)은 경희대학교 정치학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석사 하와이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학

위를 받았으며 주요경력으로는 (전)대한일보 편집국 정치부 기자 월남주재 미국대사관 근무 미

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을 거쳐 원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외래교수로 강의했다 그

는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소장과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관심 분야

는 한반도의 중립화통일 문제를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공역 2000 들녘)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은 가능한가』

(2001 들녘) 『고종의 대미외교 갈등⦁기대⦁좌절』(2006 일월서각) 『한반도 중립화로 가는길』

(2007 광양사)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ldquo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관한 연구rdquo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 41집 1호(2001) 등 다수가 있다

Email jungripgmailcom 연락처 010-3477-9932

2 김동현(고려대 방문교수)

현 고려대 일민국제관계 연구원 방문교수 (대학원 및 학부 5개 과정 강의 2007 -2011)

북한 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전 미 국무부 한국담당 수석통역 (2005년 은퇴) 협상차 평양방문

19회 1991 년 이후 북미 양자 다자협상 (4자 및 6자 회담 포함) 참석

전 Johns Hopkins 국제대학원 (SAIS) 겸임교수 Visiting Scholar 3년 US policy towards

the Two Koreas 2 년간 강의 현 Korea Times Biweekly Columnist for Whats Your Take

since 2005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 자문위원 현 Institute of Corea-American Studies 연구위원

(fellow) 학술논문 및 미국정책 북미 한미 관계 관련 essays 다수 출판

영어언론매체에 자주 기고 TV 및 Radio Talk shows 출연

영어번역 Former Minister Lim Dong-wons Peacemaker into English for publication

by Stanford University in spring 2012

Email tongkim8yahoocom 연락처 010-7316-1136

3 김준형 박사(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 George Washington 대학원 졸업(박사)

현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기획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부원장 UN 여성평화외교포럼 자문위원

주요경력

전 미래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풀브라이트(Fullbright) 교환교수 George Mason 대학 강의

언론중재위원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평가위원회

주요저서

lt국제정치 역사와 관점 그리고 쟁점gt

lt좋은 정치란 무엇인가gtlt언어의 배반gtlt전쟁과 평화로 배우는 국제정치 이야기gt

lt미국이 세계최강이 아니라면gt 등

Email jhkhandongedu 연락처 010-3715-6898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36: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36

4 문성묵 박사(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lt국방부 정책자문위원gt

육군준장(예) 정치학 박사육군3사관학교 13기 임관(1976)

경북대학교 사학과 졸업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국제정치 전공(1992)

학위논문 중국의 경제발전과 군사전략변화의 상관관계

주요경력

한반도평화를 위한 4자회담(제네바회담) 대표(1996-1998)

남북군사실무회담수석대표(2002-2007)남북장성급군사회담차석대표및 대변인(2004-2009) 남북

국방장관회담 대표 및 대변인(2007)

국방부북한정책과장(2004-2007)국방부정책실군비통제차장(2008-2009)등 역임

주요저서

군사대국 중국(2000 팔복원) 신세계질서론(1996 대왕사 공저)

평화공동체 추진구상(2011 KRIS 공저) 등 다수

Email joshua5395hanmailnet연락처 010-8010-0414

5 서주석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연구분야 한국의 안보국방정책 한미 및

남북관계)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현) 미국 랜드연구소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학자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수석비서관 역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저서

한국의 안보와 국방(공저) 한미관계론(공저) 북한 체제의 이해(공저) 등이 있음

6 장용석 박사(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학 력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전) 대통령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

행정관 전)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행정관

주요저서

o 박사학위 논문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2009

o 공저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o 공저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DMZ가 말을 걸다」 위즈덤하우스 2013

o 공저 「북한의 양면성」 통일교육원 2013

o 공저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o 공저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37: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37

o 공저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인식과 대응전략」 백산서당 2012

o 공저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

일연구원 2012

o 공저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o 공저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변화 전략」 통일연구원 2011

o 공저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통일연구원 2010

o 공저 「북한 lsquo변화rsquo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2009

o 논문 ldquo서해 북방한계선의 성격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rdquo 「통일문제연구」 2013년 상반

기호

o 논문 ldquo북middot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rdquo 「통일과 평화」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rdquo 「통일문제연구」 2012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개념 쟁점 추진방향rdquo 「통일문제연구」 2010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국가사회주의와 국가계급지배의 동태성 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

구」 2009년 상반기호

o 논문 ldquo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구조 북한의 시장화와 소득분화에 대한

함의rdquo 「통일문제연구」 2008년 상반기호

연락처 010-2722-192802-880-5235

7 조성렬 박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학 력

서울대학교 공대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청와대 안보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방부 국방정책실 자문위원 역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 역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주요저서

lt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gt lt주한미군 역사 쟁점전망gt

lt한반도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gt lt뉴 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gt

Email insscsrnavercom 연락처 02-572-7060 010-7733-3286

8 홍현익 박사(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Paris I대학(소르본느대) 정치학 박사

주요경력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원

현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현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청와대NSC자문위원 역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미 Duke대 객원연구위원 역임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38: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38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제위원회 상임위원 겸 간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분과위원장 역임

특임장관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저서

ldquo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middot베트남middot리비아middot미얀마 사례의 북middot미관계 정상화에 대한

함의rdquo (20148) ldquo미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한 외교정책 모색rdquo (20142) ldquo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 방안rdquo (2013) ldquo중국의 부상에 따른 러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3)『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ldquo미middot중middot러 3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rdquo (2011) ldquo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rdquo (2010) 외 다수

E-mail hyuniksejongorg 연락처 010-2580-7536 (휴대전화)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

Page 39: 제 66회회 한반도 미미래래비비전과 동북아 평평화화구축 œ6... · 2018. 1. 15. · ii. 가능한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1. 연합제/연방제 통일방안

39

Special Note 제 6회 정책포럼에서 밝힌 견해와 내용은 포럼참석자들의 개인

의견이며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연락처 한반도 미래전략연구원 전문가 정책포럼 기획팀장 윤초롱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한주빌딩 3층 Email grandgpyckoreaorg Tel 02-3448-8502 Fax +82-2-448-1023 Mob +82-10-3069-0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