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인한...

12
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인한 산업재해 감소 방안 연구(2018년 12월)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대한민국의 정부 및 산업재해 예방 관련 전문기관, 국회 등에서 산업재해 예방을 위 해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시행규칙, 고시 등의 지속적인 제·개정을 통하여 현장 근로 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인한 산업재해 감소 방안 연구 A Study of Reduction in Industrial Accidents by Application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xpense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박재민 Jae Min Park ABSTRACT Over the last decades, successful achievements of Korean industry have been marred by a casualty list. Despite the creation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in 1990, and incident rate per year have remained stagnant in South Korea over years. Historically, safety has been considered something of an indulgent cost, with no specific provisions being made in the budget. However, the increased budget has been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duced safety issues. Additionally, a study aiming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by enacting a law to prohibit the use of legally organized budget for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expenses has resulted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This study concludes that i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xpenses system is supported in manufacturing industry, it will contribute substantially to the reduction of industrial accidents. Keywords : manufacturing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xpenses, safety management expenses, safety and health cost, prevention of manufacturing industrial accidents

Upload: others

Post on 13-Ja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인한 …engineering.inu.ac.kr/NFUpload/nfupload_down.php?tmp_name...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인한 산업재해 감소 방안 연구(2018년 12월)

- 1 -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대한민국의 정부 및 산업재해 예방 관련

전문기관, 국회 등에서 산업재해 예방을 위

해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시행규칙, 고시

등의 지속적인 제·개정을 통하여 현장 근로

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인한

산업재해 감소 방안 연구

A Study of Reduction in Industrial Accidents by

Application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xpense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박재민

Jae Min Park

ABSTRACT

Over the last decades, successful achievements of Korean industry have been marred by a casualty list. Despite the creation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in 1990, and incident rate per year have remained stagnant in South Korea over years. Historically, safety has been considered something of an indulgent cost, with no specific provisions being made in the budget. However, the increased budget has been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duced safety issues. Additionally, a study aiming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by enacting a law to prohibit the use of legally organized budget for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expenses has resulted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This study concludes that i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xpenses system is supported in manufacturing industry, it will contribute substantially to the reduction of industrial accidents.

Keywords : manufacturing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xpenses, safety management expenses, safety and health cost, prevention of manufacturing industrial accidents

Page 2: 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인한 …engineering.inu.ac.kr/NFUpload/nfupload_down.php?tmp_name...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인한 산업재해 감소 방안 연구(2018년 12월)

- 2 -

자의 안전과 보건 증진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으나 산업재해는 여전히 산업 전 분야에

걸쳐 폭넓게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건설업에서는 산업재해 예방과 건강 증진

을 위하여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이하 “안전

보건관리비”라 한다) 제도를 도입했다. 이

제도는 발주자로 하여금 공사 종류 및 규모

에 따라서 도급 금액에 별도로 안전보건관리

비를 계상하여 안전보호구, 안전시설, 작업

환경개선, 안전관리, 기술지도비 등에 지급

한다.

안전관리비에 관한 연구는 김종효 외(1987

년) “건설공사 표준 안전관리비 산정기준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1988년 2월 15일 노

동부 고시 제88-13호에 의한 표준안전관리비

계상 및 사용 기준이 제정되었고 이어 1989

년 2월 10일 고시 제 89-4호로 개정되었다

⑪. 하지만 법적 근거가 없었기 때문에 정부

발주공사, 지방자치단체 발주공사 등 주로

관급공사에만 행정 지도로 실시되었고 민간

발주공사는 이행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었다.

1990년 1월 산업안전보건법 개성시 건설공사

안전관리비 계상 및 사용에 대한 근거와 법

적 강제조항을 신설하여 1991년 9월 27일 고

시 제91-57호 건설공사 표준안전관리비 계상

기준 및 사용 기준을 개정·고시하여 모든

건설공사에 적용하고 있다. 그 이후 여러 연

구자들이 안전관리비 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

를 수행한 바가 있다. 1988년부터 2018년까

지 23차례에 걸쳐 매년 개정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비용’에 함몰된 ‘안전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서 안전보건관리비

사용과 근로자의 산업재해 발생에 미치는 영

향을 분석하여 제조업에 적용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제조업에 안전보건관

리비 제도 도입을 통하여 올바른 안전관리비

계상과 적절한 사용으로 산업재해를 감소시

켜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는 데 목적이 있

다.

Ⅱ. 문헌 연구

1.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이하“안

전관리비”라 한다)란 건설사업장과 제7조제

4항에서 정하는 본사 안전전담부서에서 산업

재해의 예방을 위하여 법령에 규정된 사항의

이행에 필요한 비용을 말한다.

이 고시는「산업재해보상보험법」제 6조에

따라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적용을 받는

공사 중 총 공사금액 4천만 원 이상인 공사

에 적용한다.

(Table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공사의

종류를 산업재해보상법의 공사 분류에 의해

일반건설공사(갑), 일반건설공사(을), 중건

설공사, 철도·궤도신설공사, 특수 및 기타

건설공사 등 5종류로 구분한다. 그리고 공

사비 5억원 미만, 5억원 이상에서 50억원

미만, 50억원 이상 등 공사 규모별 3단계로

나누어 직접노무비에 재료비를 합한 금액에

일정률을 곱한 금액이 안전관리비로 계상하

도록 한다. 사용 기준은 공사현장 공정률에

따라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 기준 이상

사용하여 정산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Table 2)는 공사 진척에 따른 산업안전

보건관리비 사용 기준을 나타내고 있다.

Page 3: 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인한 …engineering.inu.ac.kr/NFUpload/nfupload_down.php?tmp_name...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인한 산업재해 감소 방안 연구(2018년 12월)

- 3 -

2. 선행연구 고찰

2-1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과 산업재해 분석

산업재해를 고려한 소규모 건설공사 현장

의 안전보건관리비 사용 분석과 관련하여,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에 대한 종합적 분

석 결과는 (Table 3)와 같다.

(1) 산업재해 미발생현장의 경우, 법적 기준

(13,818,357원) 대비 39%(5,425,165원)

라는 사용률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

고, 산업재해 발생현장의 경우, 법적 기

준(21,395,604원) 대비 28%(5,999,381

원)라는 낮은 사용률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산업안전보건관리비에 대한 실행 예산

편성 현황을 보면, 재해 발생현장은

18%, 재해 미발생현장은 33%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안전보건관리비 사용내역 작성 현황을

살펴보면, 산업재해 발생현장은 36%, 산

업재해 미발생현장은 54%의 작성률을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준공시점 안전보건관리비 사용률을 살펴

보면, 산업재해 발생현장은 28%, 산업재

해 미발생현장은 39%의 사용률을 나타내

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 안전보건관리비에 대한 비목별 사용률을

살펴보면, 산업재해 발생현장은 기술지

도비 17%, 안전인건비 16%, 안전장구비

27%, 안전교육비 7%, 안전진단비 6%, 건

강진단비 4%, 안전시설비 23%로 조사되

었고, 산업재해 미발생현장은 안전교육

비 10%, 안전시설비 27%, 안전진단비

7%, 안전장구비 25%, 건강진단비 2%, 안

전인건비 14% 기술지도비 15%로 조사되

었다.

(6) 공사규모별 안전보건관리비 사용에 따른

법적 기준 준수 비율을 살펴보면, 산업

재해 발생현장은 평균 28% 준수를 보이

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억 원~5억 원

이하 현장 32%, 5억 원~10억 원 이하 현

장 26%, 10억 원~30억 원 이하 현장 28%

의 준수율을 나타내고 있고, 산업재해

미발생현장은 평균 39%의 준수율을 보이

Page 4: 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인한 …engineering.inu.ac.kr/NFUpload/nfupload_down.php?tmp_name...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인한 산업재해 감소 방안 연구(2018년 12월)

- 4 -

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억 원~3억 원

이하 현장 37%, 3억 원~5억 원 이하 현

장 39%, 5억 원~10억 원 이하 현장 39%,

10억 원~30억 원 이하 현장 39%, 30억

원~50억 원 이하 현장 41%의 준수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7) 조사대상 현장의 항목별 산업안전보건관

리비 사용에 대한 법적 기준 준수율을

살펴보면, 산업재해 발생현장의 경우,

평균 28%의 준수율을 보이며 안전인건비

27%, 안전장구비 27%, 안전교육비 31%,

안전시설비 22%, 기술지도비 27%, 안전

진단비 28%, 건강진단비 26%의 준수율로

조사되었다. 산업재해 미발생현장의 경

우, 평균 39%의 준수율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안전교육비 38%, 안전인

건비 38%, 안전시설비 40%, 건강진단비

39%, 안전장구비 37%, 안전진단비 38%,

기술지도비 39% 준수율을 나타내는 것으

로 조사되었다.

2-2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건설재해 예방 기여도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제도는 건설업

산업재해예방활동을 수행함에 있어 경비를

지급하는 제도로서 건설업 재해 예방에 상당

한 기여를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건설업 재해율은 1980년 이후 급격한 감소

추세를 보이다가 2007년 0.72로 재해율이 감

소되었다. 다양한 재해 예방을 통해서 재해

율 감소가 이루어졌겠지만 안전보건관리비제

도가 건설재해예방에 기여한 정도를 일선 건

설업에 종사하는 건설업 안전관리자들은 어

떠한 인식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Figure 1. Status by position of survey respondents④

Figure 2. Status of working experience of survey respondents④

안전보건관리비 제도가 건설재해 예방에

기여한 정도에 대한 주관적인 의견을 묻는

질문의 결과는 (Figure 3)에서 보는 바와 같

이 “매우 그렇다”로 응답한 사람이 47.2%,

“그런 편이다”로 응답한 사람이 46%로 나

Page 5: 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인한 …engineering.inu.ac.kr/NFUpload/nfupload_down.php?tmp_name...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인한 산업재해 감소 방안 연구(2018년 12월)

- 5 -

타났다. 또한 산업안전보건관리비가 건설업

재해 예방에 기여한 정도에 대하여 긍정적으

로 답한 사람이 응답자 중 93.2%로 매우 높

게 나타났다. 그리고 5점 기준으로 평균은

4.39, 표준편차는 0.652로 매우 긍정적임을

보이고 있다.

Figure 3. Assessing the contribution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expenses to prevent construction

accidents④

2-3 일본의 건설공사 안전관리지 계상 전후

재해 감소율 비교

일본 건설공사 안전관리비 계상 전·후 산

업재해율을 비교해 보면, 계상시점인 1980년

4월 1일을 기준으로 하여 계상 전 5년간에는

건설재해 도수율이 15.8%, 강도율이 18.3%

감소했으나 계상 직전인 1979년에 비해 도수

율이 67.1%, 강도율이 약 62.5% 감소하여 안

전관리비를 계상 3년 후에는 건설공사 재해

율이 약 3배 감소하였다고 볼 수 있다⑤.

Ⅲ. 산업재해 발생 현황

1. 전체 산업재해 발생 현황

1-1 업종별

(Figure 4)에서 재해자는 기타의 사업

34.1%, 제조업 28.5% , 건설업 28.2%에서 대

부분 발생하고 있다. 제조업의 경우 비금속

광물제품․금속제품 등 제조업, 기계기구제조

업, 화학제품제조업 순으로 발생한다.

1,897

25,333

87

25,649

4,2371,124

30,595

926

23.7

-3.1 -15.5

-3.5

3.0

-22.2

3.0

-12.4

-40.0

-20.0

0.0

20.0

40.0

60.0

0

10,000

20,000

30,000

40,000

광업 제조업 전기가스

상수도업

건설업 운수창고

통신업

임업 기타의사업 기타

재해자(명)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Figure 4. Status of victims by industry⑧

1-2 규모별

(Figure 5)에서 재해자는 5인 미만,

100~299인, 300~999인, 1,000인 이상 사업장

은 증가하였고, 5~49인, 50~99인 사업장은

전년 대비 감소하였다.

29,597

42,929

6,066 5,408 3,145 2,703 0.2 -3.9

-2.9 4.8

18.6 12.5

-40.0

-20.0

0.0

20.0

40.0

60.0

0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5인미만 5-49인 50-99인 100-299인 300-999인 1,000인이상

재해자(명)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Figure 5. Status of victims by scale⑧

Page 6: 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인한 …engineering.inu.ac.kr/NFUpload/nfupload_down.php?tmp_name...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인한 산업재해 감소 방안 연구(2018년 12월)

- 6 -

1-3 재해 유형별

(Figure 6)에서 재해자는 물체에 맞음

7.9%, 끼임 4.9%, 떨어짐 -2.5% 재해에서

가장 많이 감소하였고, 절단·베임·찔림

2.5%, 넘어짐 2.7% 재해에서 가장 많이 증가

하였다.

14,308

16,420

2,153

6,720 6,677

12,614

8,752

3,792 2,652

6,577

-2.5 3.0 -6.2 -4.3 -7.9 -4.9

2.5 -4.5

-9.8 -4.4

-60.0

-40.0

-20.0

0.0

20.0

40.0

0

5,000

10,000

15,000

20,000

떨어짐 넘어짐 깔림

뒤집힘

부딪힘 물체에

맞음

끼임 절단.베임.찔림

교통

사고

무리한

동작

기타

재해자(명)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Figure 6. Status of accident victims by type⑧

2. 산업재해 발생 현황 분석

(Figure 7)산업별 분포로는 기타의 사업이

전체 재해의 29,692명으로 가장 높고, 다음

은 건설업이 26,570명, 제조업이 26,142명

순으로 나타났다.

Figure 7. Distribution of industrial accidents⑨

(Figure 8)에서 재해 유형별로는 넘어짐이

전체 재해의 15,948명(17.59%)으로 가장 높았

고, 그 뒤로 떨어짐 14,679명(16.19%), 끼임

13,260명(14.63%) 순으로 나타났다.

Figure 8. Distribution of industrial accidents by type⑨

1990년대에는 제조업 재해율이 건설업에

비하여 상당 수준 높았으나 현재는 감소하여

건설업 재해율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

다.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재해 발생 시 책임의 주체를 사업주 중심에

서 원청·발주자로 책임 강화, 보호 대상자

확대, 안전보건관리시스템 개선, 안전교육

의무화·강화뿐만 아니라 관계부처의 사업장

에 대한 지도·감독을 강화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Ⅳ. 예산제도에 관한 이론적 배경 및 분석

1. 제조업 사업장의 안전보건비용⑩

연구 결과에서 안전시설 및 보호장비 투자

비 부분과 안전보건 활동 비용에 대하여 살

펴보고자 한다. 안전시설 및 보호구 투자비

중 개인보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300인 이

상 45.2%, 50인 이상 300인 미만 54.4%, 5인

이상 50인 미만 68.0% 이며 위험기계기구 방

호장치의 비율은 규모별로 각각 11.4,

Page 7: 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인한 …engineering.inu.ac.kr/NFUpload/nfupload_down.php?tmp_name...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인한 산업재해 감소 방안 연구(2018년 12월)

- 7 -

15.0%, 및 21.1%이었으며, 산업환기시설 및

방음장치 비율은 각각 15.8%, 23.9% 및 26.2

이었다. 안전시설 및 보호구 중 위험기계기

구 방호장치, 방음장치 등의 설치 또는 산업

환기시설은 비용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

제로 비용지출이 낮고, 비용부담이 적은 보

호구의 구입이 증가하면서 안전시설 및 보호

구 투자비 중 개인보호구의 비율이 높게 나

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안전보건 업무를 위한 활동비, 안전보건담

당자에 대한 비용, 근로자의 건강진단과 관

리를 위한 비용 및 기타 영역의 비용은 모두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연관

된 비용이다. 50인 미만의 사업장에서는 산

업안전보건법에서 50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

안전보건관리자의 선임의무가 없기 때문에

인력유지비가 적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2. 기업 예산의 분석

본 연구에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하는 수단으로 1차적으로 연구

논문을 참고하였고, 2차적으로 A 대기업 1개

업체와 50인 미만 B 중소기업 1개 업체의 각

부서 투자 예산을 분석했다.

2-1 1,000인 이상 A 사업장 부서별 예산 현황

생산을 담당하는 부서의 투자 예산을 살펴

보면 시설 투자, 개선보수 투자, 환경 투자,

안전 투자, R&D 투자, IT 투자, 예비품 투

자, 유지보수 투자로 나뉜다. 여기서 눈여겨

봐야 할 점은 안전에 대한 투자 비용이 정해

지지 않았기 때문에 예산의 쓰임은 생산성

Page 8: 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인한 …engineering.inu.ac.kr/NFUpload/nfupload_down.php?tmp_name...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인한 산업재해 감소 방안 연구(2018년 12월)

- 8 -

위주의 투자가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시스템

이다(Table 10).

예산 편성 비율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

지보수비와 예비품 수리비에 많은 비용을 사

용하고 있고 환경 투자 비용은 설비 노후에

따른 개선공사에 포함이 된다. 그 외 안전

투자 비용은 3.3%로 현저하게 적은 비율로

투자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Table

10).

생산을 지원하는 부서의 투자 예산도 마찬

가지다. 투자 예산을 살펴보면 정기보수비,

비계획보수비, 보수인건비, 자재수선비, 외

주 설비 수리 비용 등 안전에 투자된 비용은

정기보수비에 포함된 안전시설물 설치 비용

이 전부다. 일반적으로 투자 예산은 설비를

운영하는 생산부서에 편성이 되어 있고 지원

부서의 예산은 인건비, 자재구매비, 기계장

치 유지보수비로 구성이 된다.

정기보수비에는 안전시설비 설치 비용이

포함되어 있는데 대부분의 정기보수비 또한

기계장치 유지보수를 위한 인건비가 많은 비

율을 차지한다. 그만큼 안전에 대한 투자 비

용은 유지보수를 하기 위한 시설물 투자에

국한되어 있다는 의미다. 이는 생산을 담당

하는 부서에서 안전시설물 설치를 상당 부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하

지만 생산지원부서 또한 생산부서와 마찬가

지로 정해진 안전 투자 비용이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기계장치 유지보수 비용에 쓰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해당 부서의 근로자

들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환경과 문화

를 최우선으로 만들고 그에 맞는 안전작업표

준 작성 및 교육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말

한다(Table 11)

2-1 50인 미만 B 사업장 예산 현황

2019년 9월 1일부터 상시근로자 20인 이상

30인 미만 사업장, 2018년 9월 1일부터 30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은 안전보건관리담당

자를 선임해야 한다. 안전보건교육, 건강검

진 등 근로자의 안전·보건 사항에 대해 사

업주를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그뿐만 아니

라 다른 업무와 겸직도 가능하다. 선임을 하

고 고용노동부에 별도로 선임 신고는 하지

않으나, 사내 선임된 임명장은 보관해 두어

야 한다. 안전보건 자격 보유자가 아니면 안

전보건관리담당자 양성 교육을 이수해야만

사업장 안전보건관리담당자로 선임이 될 수

있다.

50인 미만 사업장의 예산을 분석한 결과,

예산에 편성된 안전보건 비용은 없었다. 안

전에 투자되는 비용은 예비비에서 사고 발생

으로 인해 즉시 조치가 필요한 경우 또는 위

험물 저장소 유지보수 비용으로 사용하고 있

다(Table 12). 또한 안전보건을 담당하고 있

Page 9: 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인한 …engineering.inu.ac.kr/NFUpload/nfupload_down.php?tmp_name...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인한 산업재해 감소 방안 연구(2018년 12월)

- 9 -

는 부서가 따로 편성이 되어있는 것이 아니

라 생산부서 외 관리부서에서 모든 예산을

집행하고 안전보건관리담당자를 선임해서 겸

임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기업 예산에 대한 고찰

논문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제조업 사업주

의 안전보건투자비용과 재해감소율은 비례관

계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안전보건투자

비용이 확대될수록 산업재해가 감소된다는

의미다. 법적인 기준 안전보건관리자를 선임

하고 안전인증을 받은 기계기구류를 사용하

고 방호조치가 잘 되어있을수록 재해발생률

이 낮아진다는 것을 논문을 통해 확인했다.

법적인 기준을 충족함으로써 산업재해를 감

소시킨다는 결과다. 법적인 기준을 맞추기

위한 투자 비용도 중요하지만 산업재해의 근

본적인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법적 기준

을 맞추기 위한 투자는 물론 해당 사업장에

맞는 작업 환경이 만들어져야 한다.

50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뿐만 아니라

1,000인 이상의 대규모 사업장에서도 법적인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한 안전보건비용을 제

외하고 산업재해 감소를 위한 안전보건비용

을 투자하기보다는 생산성과 연관된 설비 투

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근

로자가 ‘안전하게 일 할 수밖에 없는 구조

의 작업장’을 조성해야 한다. 그러나 대부

분의 사업장을 살펴보면 안전보건에 관한 기

준을 만들고 그에 맞는 행동을 하길 원한다.

작업장은 인간의 불안전한 행동으로 인한 재

해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근로자의 행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안전

에 투자하지 않는 기업은 살아날 수 없다는

사회적 인식이 필요하다.

Ⅴ. 결론

본 연구에서는 정체를 보이고 있는 제조업

중대재해 및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서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제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기업(제조업) 예산에 법적으로 사

용할 수 있는 안전보건비용 편성을 통하여

산업재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목적으로 연

구를 수행하였다.

재해 형태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재해는 복

합적인 재해가 아닌 1차적인 재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1차적인 재해는 안전한 작업장

조성을 통하여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하지

만 ‘시간’과 ‘비용’에 함몰된 ‘안전

시스템’을 운영할 수밖에 없는 사회적 구조

에 문제가 있다. 건설업에서는 이러한 문제

점을 개선하기 위해 ‘88년 건설업 산업안전

보건관리비 제도 도입으로 산업재해를 감소

시킨 사례가 있다. 이 제도는 지속적인 법

제·개정을 통하여 실정에 맞는 형태로 변화

했다. 즉, 제조업에서도 법적 산업안전보건

관리비의 편성·사용, 사내 안전관리자를 통

한 예산 집행, 해당 기관의 주기적인 관리감

독을 통하여 산업재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Page 10: 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인한 …engineering.inu.ac.kr/NFUpload/nfupload_down.php?tmp_name...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인한 산업재해 감소 방안 연구(2018년 12월)

- 10 -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제도

를 통하여 산업재해 감소에 기여하고 있다는

결론이다.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제도

는 1988년을 시작으로 23차례 개정을 통하여

실정에 맞게 변화하였다. 산업안전보건관리

비 사용과 산업재해 발생 현황에 대해 분석

한 결과, 사업장에서 산업재해 발생현장과

미발생현장의 법적 기준 대비 산업안전보건

관리비 사용률은 각각 28%, 39%로 나타났다.

산업재해가 발생하지 않은 현장에서 높은 비

율의 산업안전보건관리비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실행

예산 편성을 살펴보면 산업재해 미발생현장

은 33%, 산업재해 발생현장은 18%의 낮은 편

성률을 보였다. 즉,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

용은 산업재해 감소에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본에서의 안전관리비 계상

전후 재해율을 살펴보면, 계상 시점인 1980

년 4월을 기준으로 계상 전 5년 동안 건설재

해 도수율이 15.8%, 강도율이 18.3% 감소했

으나 계상 직전 1979년에 비해 도수율이

67.1%, 강도율이 약 62.5% 감소하여 안전관

리비를 계상한 3년 후에는 건설공사 재해율

이 약 3배 감소하였다.

두 번째, 산업재해 현황을 분석한 결과,

다른 업종에서는 산업재해 증가 추세를 보이

고 제조업에서의 최근 10년 동안 천인율, 도

수율은 소폭 감소하였지만 정체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최근 10년 기타의 사업

(34.1%), 제조업(28.5%), 건설업(28.2%)에서

대부분 발생한다. 재해자의 유형을 살펴보면

넘어짐(20.4%), 떨어짐(17.7%), 끼임

(15.6%), 절단·베임·찔림(10.8%), 부딪힘

(8.3%) 순으로 발생하고, 질병자 질병 종류

로 살펴보면 요통(28.7%), 신체부담작업

(26.5%), 진폐(16.9%), 난청(11.4%) 순으로

많이 발생한다. 대부분의 재해는 1차적인 재

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1차적인 재해는 안

전한 작업장 조성을 통하여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작업장 환경 개선을 하기 위해서는

사업주의 적극적인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것

이다.

세 번째, 기업의 예산의 안전보건 투자 비

용은 현저하게 낮고 예산에서 안전보건비용

으로 투자를 많이 할수록 산업재해 감소에

기여한다는 결론을 도출한다. 기존 연구 논

문을 통해 제조업 안전보건관리자를 선임(제

13조)하거나 방호조치(제 33조)를 잘하거나

안전인증(제 34조)을 받은 제품 사용 등의

행동을 하거나 채용교육(제 31조)이 잘 이루

어질수록 재해 발생률이 낮아진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법적인 기준을 위한 안전

보건비용을 사용함으로써 산업재해를 감소시

킨다는 것이다. 법적인 기준은 일반적이고

공통적인 형태에 적용시키기 위한 기준에 한

정된다. 이러한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법적 기준을 위한 안전보건비용 외 해당 사

업장 실정에 맞는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래야만 각 사업장에 잠재되어 있는 위험요

소를 줄일 수 있으며 정체된 산업재해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하지만 기업의 예산에서

안전보건비용으로 편성된 예산은 1,000인 이

상의 대규모 사업장에서 3.3%에 그쳤으며,

50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는 0%임을 알

수 있었다. 사업주의 적극적인 안전보건비용

Page 11: 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인한 …engineering.inu.ac.kr/NFUpload/nfupload_down.php?tmp_name...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인한 산업재해 감소 방안 연구(2018년 12월)

- 11 -

투자만이 잠재된 위험요소를 제거하고 안전

한 작업장 조성을 통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네 번째, 기업 예산에 안전보건비용을 편

성했다 하더라도 예산 집행에 있어서 설비를

운영하는 생산부서 자체적으로만 진행한다면

안전이라는 명목하에 생산성 위주의 투자가

이루어질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장 안

전보건관리자를 통하여 비용이 올바르게 사

용되고 있는지 절차를 거쳐 안전보건비용을

지급해야 할 것이다. 또한 여기에 그치지 않

고 정부 관련 기관에서 지속적인 관리감독과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정부 부처에

서도 제조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제도 제정

및 법적 기준을 수립하여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는 산업재해의 연결고리를 끓을 것을 제안

한다.

마지막으로 사회 구조적인 문제점이다. 기

업은 이윤을 추구하는 집단이다. 이윤을 추

구하기 위해서는 생산성 위주의 투자가 이루

어질 수밖에 없다. 산업재해가 발생하게 되

면 기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실

이지만 현실적인 문제로 법적 기준을 맞추기

에만 급급했다.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서 안

전보건비용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기업에는

안전 우수기업 인증을 해준다든지 정부 차원

에서 포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지금의

정책으로는 산업재해 발생 시 사업주 책임으

로 국한된다. ‘Penalty’ 제도만 운영할 것

이 아니라 ‘Advantage’ 제도도 함께 운영

을 해야 한다. 정부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인식도 바뀌어야 한다. 지난 10년간 대한민

국은 OECD국가 중 사망만인율 1위를 지키고

있다. 안전에 투자하지 않는 기업은 살아날

수 없다는 사회적 인식을 심어주어야 한다.

Ⅴ. 후기

본 연구에서는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

비’ 제도를 분석하여 제조업 기업 예산에

산업안전관리비를 법적으로 편성하여 해당

부서는 안전관리비를 의무적으로 계상하도록

하고 그 외 타목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근로자의 안전보건증진 및 산업재

해를 예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향후 연구

에서는 많은 기업의 예산을 폭넓게 분석하여

사용처를 명확하게 밝혀 보다 더 객관적인

데이터를 내놓을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제조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정

요율에 관한 연구도 시행되어야 한다. 제조

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제도가 시행된다면

계상할 수 있는 항목을 설정하는 연구가 이

루어져야 할 것이다.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

리비의 부정적인 부분을 보완하는 관리감독

체계 개선도 필요하다. 본 논문은 박재민의

석사학위 논문을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참 고 문 헌

① 전용일. (2010). 산업안전보건서비스 수

요 예측 및 서비스전달체계 실효성 강화

방안 연구

② 고용노동부. (2018). 건설업 산업안전보

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고용노동부

고시 제2018-72호

③ 류지일. (2017). 산업재해 발생을 고려한

소규모 민간건설 공사현장의 산업안전보

건관리비 사용 분석

Page 12: 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인한 …engineering.inu.ac.kr/NFUpload/nfupload_down.php?tmp_name...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제조업 법적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용으로 인한 산업재해 감소 방안 연구(2018년 12월)

- 12 -

④ 정명진. (2010). 산업안전보건관리비가

건설재해예방에 미치는 영향

⑤ 정기택 등. (1997). 안전시공을 위한 적

정공사비 확보방안 연구

⑥ 법제처. (2018). 산업안전보건법

⑦ 법제처. (2018).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⑧ 고용노동부. (2017). 2017 산업재해 발생

현황

⑨ 고용노동부. (2017). 2016 산업재해분석

⑩ 오원기 등. (2018). 제조업사업장의 산업

안전보건 비용. Vol.20 No.1

⑪ 정원일 등. (2013). 사업장 안전보건 환경

에 따른 근로조건과 산업재해 발생

⑫ 김승한. (2016)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

비 계상 방법 실태 조사 연구

⑬ 건설계약관리연구소. (2000). 건설산업안

전보건관리비. http://www.concm.net

⑭ 국토교통부. (2018). 건설공사 안전관리

업무수행 지침. 국토교통부 고시 제

2018-532호

⑮ 조진남. (2015). 국가산업안전지표 개발

에 관한 연구 : 연구보고서

⑯ 김종환. (1995). 건설공사 표준안전관리

비의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⑰ 김용한. (1997). 건설현장 표준안전관리

비 사용실태 분석

⑱ 김명현. (1988). 건설공사 표준안전관리

비 정산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⑲ 김남훈. (2000). 건설공사의 투자효과 분석

을 통한 안전관리 향상에 관한 연구

⑳ 천태현. (2015). 소규모 건설현장에 대한

안전관리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㉑ 변상철. (2015). 건설현장 산업안전보건

관리비 항목별 사용 불가내역의 개선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