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언어발달검사(selsi)2)_1.pdf · 소유자+소유(예: 내꺼,...

23
영유아 언어발달검사 (SELSI) 개발 연구 : 문항 및 신뢰도 분석 1 김영태 (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학과·언어병리학 협동과정) 김영태. 영유아 언어발달검사(SELSI) 개발 연구: 문항 및 신뢰도 분석. 언어청각장애연구 , 2002, 7, 2 , 1- 23. 본 연구는 주양육자보고에 의한 3세 이전 영유아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능력을 선별할 수 있는 검사도구(SELSI) 를 개발하고 그 문항 및 신뢰도를 분석하고자 하였 . SELSI의 문항들은 언어발달 문헌들과 1090명을 대상으로 한 검사결과를 기초로 하여 발 달단계에 따른 문항들로 구성하였다. 문항분석을 위하여 문항별 정확율과 문항반응이론에 기초한 난이도 및 변별도를 분석하였으며, 문항별로 연령 및 성별차이를 분석하였다. 신뢰도 분석을 위하여는 내적 일관성 신뢰도와 재검사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문항의 내적 일관성 신 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산출한 Cronbach 계수는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모두에서 .98 상으로 유의미하였다.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검사 모두에서 개별 문항들의 성차는 없었다. 재검사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14명의 아동에게 일주일 간격으로 실시한 초기검사와 재 검사의 상관도는 수용언어 .996, 표현언어 .998로 유의미하였다. 핵심어 : 영유아 언어검사, S ELS I, 부모보고, 신뢰도, 문항분석 . 신체적인 장애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서 영유아 시기에 언어발달 의 문제를 나타내는 경우, 이러한 발달 초기의 문제들은 이후에 언어장애로 발전할 높은 가 능성을 내포한다. 구개파열이나 다운증후군과 같이 출생직후부터 판별이 가능한 영아들 뿐 만 아니라, 단순언어장애나 자폐와 같이 출생 직후에는 잘 판별되지 않지만 발달과정에서 정 상아동과는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장애아동의 경우에도 이미 영유아 시기인 3세 미만부터 정상아동과는 다른 언어발달 특성들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영유아시기에 나타 나는 언어발달지체나 일탈적인 언어결함을 조기에 발견하여 아동에게 적절한 중재나 언어발 달을 위한 자극을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1 이 논문은 파라다이스와 BK의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조성되었음. 문항제작에 도움을 주신 김경희, 김화수, 윤혜련 선생님과 자료수집에 도움을 준 김효선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1

Upload: others

Post on 17-Jul-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영유아 언어발달검사 (SELSI) 개발 연구 :문항 및 신뢰도 분석 1

1)

김영태(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학과·언어병리학 협동과정)

김영태. 영유아 언어발달검사(SELSI) 개발 연구: 문항 및 신뢰도 분석. 언어청각장애연구 , 2002,

제7권, 제2호, 1- 23. 본 연구는 주양육자보고에 의한 3세 이전 영유아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능력을 선별할 수 있는 검사도구(SELSI)를 개발하고 그 문항 및 신뢰도를 분석하고자 하였

다. SELSI의 문항들은 언어발달 문헌들과 1090명을 대상으로 한 검사결과를 기초로 하여 발

달단계에 따른 문항들로 구성하였다. 문항분석을 위하여 문항별 정확율과 문항반응이론에

기초한 난이도 및 변별도를 분석하였으며, 문항별로 연령 및 성별차이를 분석하였다. 신뢰도

분석을 위하여는 내적 일관성 신뢰도와 재검사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문항의 내적 일관성 신

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산출한 Cronbach 계수는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모두에서 .98 이

상으로 유의미하였다.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검사 모두에서 개별 문항들의 성차는 없었다.

재검사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14명의 아동에게 일주일 간격으로 실시한 초기검사와 재

검사의 상관도는 수용언어 .996, 표현언어 .998로 유의미하였다.

핵심어 : 영유아 언어검사, SELSI, 부모보고, 신뢰도, 문항분석

Ⅰ. 서 론

신체적인 장애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서 영유아 시기에 언어발달

의 문제를 나타내는 경우, 이러한 발달 초기의 문제들은 이후에 언어장애로 발전할 높은 가

능성을 내포한다. 구개파열이나 다운증후군과 같이 출생직후부터 판별이 가능한 영아들 뿐

만 아니라, 단순언어장애나 자폐와 같이 출생 직후에는 잘 판별되지 않지만 발달과정에서 정

상아동과는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장애아동의 경우에도 이미 영유아 시기인 3세 미만부터

정상아동과는 다른 언어발달 특성들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영유아시기에 나타

나는 언어발달지체나 일탈적인 언어결함을 조기에 발견하여 아동에게 적절한 중재나 언어발

달을 위한 자극을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1 이 논문은 파라다이스와 BK의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조성되었음.문항제작에 도움을 주신 김경희, 김화수, 윤혜련 선생님과 자료수집에 도움을 준 김효선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1

언어청각장애연구

3세 미만의 언어발달 초기부터 정상과 다른 언어발달 특징을 나타내는 단순언어장애나

자폐유아들의 경우, 정상유아들에 비해서 발성이 적고 몸짓을 더 많이 사용하는 특징을 보인

다. 또한 음절성 옹알이(babbling ) 시기에 자음이 포함된 소리를 산출하는 비율이 적으며, 또

한 첫 낱말의 산출시기도 지체된다. 따라서 부족한 어휘를 대신하여 몸짓을 이용한 의사소통

에 의존하게 되는 등 정상아동이 활발하게 낱말을 모방하고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어휘 수와

발화의 길이를 늘려가기 시작할 무렵에도 제한된 낱말과 몸짓언어를 이용한 표현만을 지속

적으로 사용한다. 특히 자폐아동의 경우에는 사회적인 상호작용과 공동집중(joint attention )

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언어습득은 물론, 기본적인 의사소통에서의 문제점을 발달초기부터 두

드러지게 나타낸다.

학습장애나 언어장애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요인을 갖고 있는 유아의 경우, 3세 이전

부터 계속적인 평가를 통하여 언어발달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적절한 조기중재는 이 아동들이 언어장애로 발전할 위험성을 효율적으로 감

소시키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구순구개열 아동에게 출생 시부터 생후 3세까지 정상적인 언

어발달을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언어발달지체가 효과적으로 예방되었다는

보고도 있다(Bzoch, Kemker & Wood, 1987). 그러나, 우리나라에는 3세 미만인 영유아의 언

어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다운증후군과 같이 출

생과 동시에 장애가 확인되는 아동들조차도 일정 연령에 도달하기까지 정확한 언어진단을

받기 어렵다. 정상아동과 비교하여 막연히 언어발달이 정상아동에 비해서 지체된다는 것만

이 기정 사실화되어 있을 뿐, 지체정도나 결함의 세부적인 특성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그러므로 영유아의 언어능력을 검사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시급하다.

언어평가는 그 실시 절차에 따라 크게 직접검사와 간접검사로 나눌 수 있다. 직접검사

는 검사자가 유아를 직접 검사하고 그 결과를 기록하여 채점하는 검사방법이며, 간접검사는

유아에게 직접적으로 검사를 실시하는 대신에 부모보고나 행동관찰과 같은 간접적인 방식으

로 검사를 실시한다. 직접검사는 간접보고 형식에 비하여 유아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신

뢰로운 자료를 얻을 수 있게 해주나, 유아가 구조화된 검사를 수행하기에 너무 어린 경우나

다른 장애를 동반하여 검사 수행이 어려운 경우에는 부모보고나 행동관찰과 같은 간접적인

형태의 평가를 취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을 잘 아는 주양육자에게

수준별 언어행동 수행여부를 물어서 측정하는, 3세 이전의 영유아를 위한 간접 언어발달검사

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평가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연구는 복잡한 단계를 거치며 진행되고, 각 단계마다 고려

해야 할 요인들이 많다. De Villier s (1991)는 검사개발은 다음과 같은 8개의 순차적인 단계로

2

영유아 언어발달검사 (SELSI) 개발 연구 : 문항 및 신뢰도 분석

구성된다고 보았다(한국심리학회, 1998에서 재인용): (1) 측정 내용의 결정, (2) 예비문항 제

작, (3) 척도양식과 반응양식에 대한 결정, (4) 예비문항들에 대한 전문가의 검토, (5) 문항선

정, (6) 개발연구를 위한 자료수집, (7) 문항분석, (8) 척도 / 검사의 길이조정. 우선, 검사의 목

적과 그에 따른 구성요소들이 정확하게 기술되면 예비문항을 제작하게 된다. 대체로 예비문

항은 많을수록 좋으나 최소한 최종 문항수의 1.5배 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한국심리학

회, 1998). KEDI- WISC(박경숙 외, 1991)나 K - WPPSI(박혜원·곽금주·박광배, 1997)는 이

러한 내용을 보고하고 있으며, 그림어휘력 검사나 K- BNT (김향희·나덕렬, 1997)도 최종 문

항보다 1.5배 이상의 예비문항을 선정한 후 예비검사과정을 통해 최종문항을 결정하였다. 예

비문항이 결정되고 검사의 반응양식이 결정되면 직접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기 전

에 각 문항의 내용이 검사의 목적이나 구성요소에 맞게 잘 제작되었는지를 관련 전문가들에

게 검토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내용타당도와 관련된 통계적 분석을 통해 검사의 타당도를 검

증하는 자료로 제시될 수 있다.

문항선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각 문항이 적절하게 선정되었는가를 문항분석과 관련된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검증해볼 수 있다. 문항분석은 문항의 정답률, 문항변별도 지수, 각 문

항과 총점간의 상관계수, 문항일치도(Cronbach 계수) 산출 등의 방법을 통해 실시할 수 있

다(성태제, 1995; 한국심리학회, 1998).

일련의 과정을 거쳐 검사가 제작된 이후에는 검사의 표준화를 실시한다. 검사의 표준

화 절차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규준표집(sampling )이다. 표집에는 두 가지 중요한 변인이 있

는데 표본의 크기와 대표성이 그것이다. 표본은 가능한 한 큰 것이 좋으나 일반적으로 표본

집단의 크기는 200명 정도가 무난하다고 보는 견해가 있으며, 예비조사에 포함된 문항수의 5

- 10배 정도의 인원을 표본집단으로 선정하면 된다는 견해도 있다(한국심리학회, 1998). 표

집의 대표성(representation ) 확립은 표집방법에 따라 결정된다. 이를 위해서는 모집단에 속

한 구성원들이 표집될 확률이 동일하도록 표집하는 단순무선표집(simple random sampling )

을 실시한다.

규준집단은 어떤 개인이나 집단의 검사결과를 그 개인이나 집단이 속해 있는 모집단에

비추어 해석하는 기초를 제공한다. 이때 규준표를 작성하는 방법에 따라, 연령 및 학년 규준,

정신연령 규준, 백분위 규준, 표준점수 규준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연령 및 학년 규준은 특정

한 피검사자의 점수를 특정한 연령이나 학년에 있는 피검자들의 전형적인 점수에 준하여 해

석하고자 하는 경우이다(한국심리학회, 1998). KEDI- WISC나 K- WPPSI는 연령 규준을, 그

리고 기초학습기능검사는 학년 규준을 사용하고 있다. 정신연령 규준이란 여러 지능검사에

서 사용되는 규준의 한 형태로 규준집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각 피검사자의 정신연령을 역으

3

언어청각장애연구

로 환산하는 것이다. 언어검사에서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언어연령(language age)을 환산

한다. 그러나 이는 언어연령과 발달연령 간의 차이가 어느 정도의 심각성을 갖는지와 관련한

정보를 제공해 주지 못하며, 동일한 점수가 동일한 수행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점, 즉, 6세

유아가 언어발달연령이 4세로 나타났을 때 이 유아가 4세 유아와 같은 언어발달능력을 갖는

다고는 말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Lund & Duchan , 1993).

검사가 개발된 이후에는 과연 검사가 신뢰롭고 타당하게 개발되었는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먼저 신뢰도는 같은 사람에 대한 검사점수가 일관성있게 측정되어야 한다

는 것이다(성태제, 1995; 한국심리학회, 1998). 대부분의 검사에서는 반분검사 신뢰도, 검사-

재검사 신뢰도, 또는 측정의 표준오차를 제시하여 검사의 신뢰도를 검증하고 있다. 검사의

타당도는 그 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속성을 얼마만큼 제대로 측정하고 있는가의

정도이다(성태제, 1995). 좀더 엄밀하게 정의한다면, 타당도란 검사점수에 기초하여 어떤 추

론이 이루어졌을 때 그 추론의 적합성, 유의미성, 또는 유용성이 어느 정도인가에 관한 지표

라고 할 수 있다(한국심리학회, 1998). K - WPPSI에서는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를 검증

하고 있으며, 타 검사와의 공인타당도를 검증하고 있다. KEDI- WISC에서도 이와 동일하게

구성타당도와 공인타당도를 제시하였으며, 기초학습기능검사에서는 공인타당도와 함께 관련

영역의 전문가에게 내용을 검증하게 한 후 내용타당도를 측정하여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언어 습득이나 발달에 대한 학문적 역사가 짧아 아동들의 언어발달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검사도구들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우리나라에서 아동의 언어발달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검사들은 외국의 자료를 번안하여 사용하고 있는 언어발달 척도들

이 대부분이다. 한국 아동을 대상으로 한 기초연구를 토대로 제작된 검사도구들이 다소 있기

는 하나 그 검사영역이 매우 제한되어 있거나 외국 검사의 하위검사를 부분적으로 표준화시

켜서 사용하는 수준이다. 그 외는 한국 아동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인지검사(예: K - WPPSI,

IT PA, 고대 비네검사 등) 중 언어부분만을 검사하여 사용하는 정도이다. 그러므로 한국 아동

들을 대상으로 제작하고 그 규준에 의하여 아동의 전반적인 언어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검사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말이나 행동으로 자신의 언어능력을 표현하기 어려운 3세 이

전의 영유아를 위한 검사도구의 개발이 매우 절실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양육자가 아동

의 언어행동을 보고하는 영유아 언어발달검사(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 s :

SELSI)를 개발하고, 그 문항내용 및 난이도, 그리고 신뢰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4

영유아 언어발달검사 (SELSI) 개발 연구 : 문항 및 신뢰도 분석

Ⅱ. 연구방법

1. 검사문항의 초안 개발

SELSI는 수용언어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수용언어 검사문항들과 표현언어능력을 평가

할 수 있는 표현언어 검사문항들로 구성되었다. 검사문항들은 (1) 인지능력과 관련되는 의미

론적 언어능력, (2) 언어학적인 지식과 관련되는 구문론적 언어능력, 그리고 (3) 사회적 상호

작용 능력과 관련되는 화용적인 언어능력을 평가하는 문항들로 구성되었다. 언어의 영역에

따라 본 검사가 평가하는 내용을 요약하면 <표 - 1>과 같다.

<표 - 1> 검사의 내용

언어영역 검사의 내용 문항의 예

인지개념

의미론

인지적 개념을 내포하는

수용 및 표현 어휘력

크기를 나타내는 낱말을 이해한다.

시간을 나타내는 초보적인 낱말을 이해한다.

의미관계 또는 지시의

이해 및 표현 능력

사물의 기능과 관련된 질문을 이해한다.

소유의 의미가 들어 있는 문장을 사용한다.

조음

운율

조음능력 모음과 자음을 결합하여 서로 다른 2음절 이상의 옹알이를 한다.

운율(prosody)친숙한 사람의 주의 주는 음성, 화내는 음성, 다정한 음성 등을 구

별하여 얼굴표정이나 몸짓으로 반응한다.

구문론

간단한 구문 이해력

및 표현력

소유자 +소유 (예: 내 꺼 , 아빠 바지 )의 의미를 이해한다.

2 - 3개의 낱말로 이루어진 문장을 모방한다.

복잡한 구문 이해력

및 표현력

5낱말 이상으로 이루어진 긴 문장을 이해한다.

관형어(명사를 꾸미는 말)가 포함된 문장을 사용한다.

화용론

이야기의 논리나 상황에

대한 화용적인 이해력 및

표현력

간단한 비유표현을 이해한다.

다른 사람을 놀리는 말(예: 메롱, 바보 등)을 사용한다.

<표 - 1>에 제시한 언어영역을 하위검사들로 분리하지 않은 이유는 한 검사문항이 두

가지 이상의 언어영역(예: 의미론 & 화용론)을 중복되게 포함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검

사초안은 언어병리학 박사 3명과 언어치료사 5명, 총 8명에게 문항의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

다. 이 과정에서 누락된 것으로 지적된 언어개념에 대하여 3개 문항을 추가하였다. 1차 예비

5

언어청각장애연구

검사에서는 초안을 교정한 검사문항들을 사용하였다. 검사초안 작성시 주요하게 참고한 기

존 문헌은 다음과 같다.

ASQ (Ages & Stages Questionnaires : A parent - completed, child - monitoring system;

Brickers, Squires & Mountes , 1995).

PLS (Preschool Language Scale; Zimmerman & Steiner, 1979).

PRES (Preschool Receptive- Expressive Language Scale; 김영태, 2000a, 2000b).

REEL (Receptive- Expressive Emergent Language Scale; Bzoch & League, 1971)

T he Rossetti Infant - T oddler Language Scale (Rossetti, 1990).

Language Development : An introduction (Owens , 1998).

말할 수 있어요(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1992)

출생에서 5세까지 - 아동행동발달 관찰표(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1990).

검사초안은 2개월에서 23개월까지는 2개월마다 발달연령단계를 나누었고, 24개월부터

35개월까지는 3개월마다 발달연령단계를 나누었다. 24개월 이전에는 기본적인 어휘와 간단

한 문장구조의 습득 및 조음발달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반면, 24개월 이후로는 이미 습득된

어휘 및 문장구조가 좀더 복잡해지고 정교화되면서 다소 느린 속도로 습득되기 때문이다. 각

발달연령단계는 다섯 개의 문항들로 구성하였다.

검사초안의 검사문항들은 정상아동들이 보이는 발달순서를 고려하여 배열하였다. 한

발달연령단계의 다섯 문항 중 세 문항은 해당 발달연령단계의 아동들에게 숙달되었거나(즉,

그 연령대의 거의 모든 아동들이 수행한다고 보고되었거나), 보편적으로 습득된(즉, 절반 정

도의 아동들이 수행한다고 보고된) 수준으로 선정하였고, 나머지 두 문항은 이제 출현하는

(즉, 소수의 아동들만이 바르게 수행한다고 보고된), 다소 어려운 수준으로 선정하였다.

2 . 1차 예비검사

본 연구에서는 정확하고 타당한 영유아 언어발달 검사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두 번에

걸친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1차 예비검사는 문항의 내용검토에 초점을 두었으며, 2차 예비

검사는 문항의 내용과 실제 응답자료 분석에 근거하여 검토하였다.

1차 예비검사에 사용된 검사도구는 0- 36개월의 영유아발달에 적합한 문항들로 구성하

였는데, 12개월까지는 1개월 간격으로, 24개월까지는 2개월 간격으로, 그리고 36개월까지는 3

개월 간격으로 하여, 총 22개의 언어발달단계로 개발하였다. 개발한 검사문항들은 각 단계의

연령에 해당하는 영유아 4명씩, 총 88명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분석하였다. 검사는 부모로 하

6

영유아 언어발달검사 (SELSI) 개발 연구 : 문항 및 신뢰도 분석

여금 아동의 언어활동을 관찰하게 하여 아동의 생활연령단계에서 전후 3단계의 문항들까지,

총 7단계에 해당하는 문항들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1차 예비검사의 결과는 언어병리학 및 통

계전문인 7인이 분석하였는데, 각 문항이 속한 발달단계의 적절성, 표현의 적절성, 부모들의

질문이나 이해도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3 . 2차 예비검사

2차 예비검사에서는 1차 예비검사 결과를 토대로, 2개월부터 23개월까지는 2개월 간격

으로, 24개월부터 36개월까지는 3개월 간격으로, 총 15개의 연령단계로 축소하여 각 연령단

계마다 15명 이상의 응답자료를 수집할 수 있도록 표집하였다. 우선, 서울의 25개 지역구 중

에서 강남 4개 지역구와 강북 6개 지역구를 무선적으로 선정하였다. 다음에는 각 지역구에

소재한 어린이집, 놀이방, 그리고 소아과의원의 목록을 확보하여 총 248명의 자료를 수집하

였다.

검사지는 10개월 미만용, 10 - 20개월용, 20 - 36개월용으로 나누어서 시행하였다. 최고

한계선 문제(ceiling effect )나 검사도구의 측정학적 양호성, 즉 피검사자 응답의 충실성을 검

토하기 위해 각 검사지는 일정한 문항들이 중복되도록 제작하였다. 10개월 미만용 검사지에

는 2 - 9개월 문항들 외에도 10 - 14개월의 문항을, 10 - 19개월용 검사지에는 해당 문항들 외

에도 6 - 9개월의 문항과 20 - 23개월의 문항을, 20 - 36개월용 검사지는 해당 문항들 외에도

16 - 19개월의 문항을 포함하였다. 응답의 충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자료의 검토과정을 거친

결과, 15개의 불성실한 자료가 발견되어 실제 분석에서는 233명의 자료만을 사용하였다.

2차 예비검사의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문항의 내적 일관성지수( )로 추정하였는데

전반적으로 .90 이상의 결과를 얻었으며, 그 결과는 <표 - 2>와 같다.

<표 - 2> 2차 예비검사의 신뢰도

검사문항내용 10개월 미만 검사 10 - 20개월 검사 20 - 36개월 검사

수용언어문항

표현언어문항

.9108 (n = 31)

.9259 (n = 32)

.9169 (n = 38)

.9064 (n = 37)

.9313 (n = 38)

.9559 (n = 35)

그 외에도, 각 문항의 적절성을 분석하기 위해 난이도, 변별도, 성차 등을 분석하였다.

첫째, 문항이 해당 연령단계에 적합한지를 평가하기 위해 문항난이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7

언어청각장애연구

해당 연령단계에서 너무 쉽거나, 너무 어려운 문항으로 판명된 9개의 문항들을 제외시켰다.

둘째, 문항이 각 연령단계에 따른 응답자의 반응을 변별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문항

변별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변별도가 낮은 4개의 문항을 제외시켰다. 셋째, 각 문항에서

성차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각 문항별로 ² 검정을 실시하였고, 문항점수가 성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판단되는 문항들을 추출하여 제외시켰다. 마지막으로,

응답자들의 질문이나 의견을 기초로 문항의 표현이나 범례의 적절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15개의 발달 연령단계 당 5개의 문항씩, 총 75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본검사를

개발하였다. 즉, 본검사는 수용언어 75개 문항 및 표현언어 75개 문항, 총 150개 문항으로 구

성되었다.

4 . 본검사

가 . 본검사 대상

본검사의 대상은 2 - 35개월의 영유아인데, 모집단에 대한 정확한 통계자료가 없으므

로 2 - 35개월 영유아를 자녀로 두고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는 전국의 20 - 40대 성인 인구규

모를 참조하였다. 표집대상을 최소 1000명으로 정하고 지역별 성인인구비율을 고려하여

1000명의 인원을 배분하였다. 또한 지역별로 15개 연령단계의 영유아들이 고르게 표집되도

록 계획하였다. 어린이집, 놀이방, 대학병원, 소아과의원 등을 구체적인 자료 수집 장소로

삼아 대도시와 중소도시에 한하여 자료를 무선적으로 수집하였다. 제주도의 경우는 인구비

율을 고려한 결과 전국 인구비율에서 1 %가 되지 못하여 15개의 연령단계를 고르게 표집하

기 어렵기 때문에 표집에서 제외하였다. <표 - 3>은 최소인원으로 상정한 표본수와 최소표

본수를 확보하기 위해 최소표본수의 약 1.5배가 되도록 한 실제 분석대상 표집수이다.

나 . 본검사 실시

본검사는 영유아의 언어발달척도를 표준화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2차 예비검사분석을

통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수용언어 75개 문항 및 표현언어 75개 문항을 본검사 문항으로 확

정하였다. 본 검사에 대한 응답요령은 1ㆍ2차 예비 검사 실시 때와 동일하였다. 본검사에서

도 부모가 자녀의 언어행동을 잘 관찰한 후, 자녀의 연령단계와 전후 3단계, 총 7단계에 해당

하는 35개 문항들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즉, 수용언어 검사와 표현언어 검사에서 각각 35개

문항씩, 총 70문항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8

영유아 언어발달검사 (SELSI) 개발 연구 : 문항 및 신뢰도 분석

<표 - 3> 인구의 지역비율에 의한 표본의 지역배분과 최소표본수 및 실제 분석대상 표본수

지역최소표본수 실제 분석대상

표본수(율)표본수 지역율

서울시 240명 (16명×15월령대) 24 % 353명 (32.4 %)

경기도

인천광역시

고양시

수원시

90명 (6명×15월령대)

60명 (4명×15월령대)

90명 (6명×15월령대)

24 % 257명 (23.6 %)

강원도 강릉시 30명 (2명×15월령대) 3 % 19명 (1.7 %)

충청도대전광역시

공주시

90명 (6명×15월령대)

45명 (3명×15월령대)13 % 162명 (14.9 %)

전라도

광주광역시

전주시

목포시

45명 (3명×15월령대)

30명 (2명×15월령대)

30명 (2명×15월령대)

10 % 107명 (9.8 %)

경상도

대구광역시

부산광역시

진주시

90명 (6명×15월령대)

105명 (7명×15월령대)

60명 (4명×15월령대)

25 % 255명 (17.6 %)

합계 1005명 1090명

다 . 자료의 충실성 검토

검사의 표준화 작업을 위해, 우선 1508명의 아동에게 본검사를 실시하였다. 언어의 이

해와 표현의 발달정도 및 그 순서를 측정하기 위해서 정확한 규준을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검사의 대상이 된 아동은 선천적인 장애가 없으며, 신체발달이 정상이고, 청각이나 시각에

문제가 없으며, 언어장애가 의심되지 않는다고 보고된 정상영유아로 하였다. 따라서 표본자

료에서 허위반응이 의심되거나 정상영유아의 범주에 속한다고 보기 어려운 영유아의 응답을

제외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본 분석에 들어가기 전에 응답의 충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언어

병리학 박사과정 1인과 석사과정 1인이 자료 충실성 검토(data cleaning ) 작업을 수행하였다.

전체 자료 중 검사결과가 신뢰롭지 못한 자료를 제외한 1090명 아동의 자료를 규준자료로 분

석하였다.

검사에서 제외된 자료는 (1) 영유아의 연령에 따라 정해진 해당문항에 모두 답변을 하

9

언어청각장애연구

지 않은 자료, (2) 발달과정에 대한 기초정보가 확보되지 않아 정상임이 확실치 않은 자료,

(3) 배경정보 항목에서 영유아의 언어발달 정도에 대한 어머니의 보고에서 매우 빠르다 또

는 매우 느리다 로 응답한 자료, (4) 언어발달상의 기초선과 최고한계선이 확보되지 않은 자

료, (5) 응답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같은 행동을 묻는 문항들에 대해 일관적으로 응답

하지 않은 자료, (6) 영유아의 생활연령이 속한 연령단계보다도 2단계이상 아래 단계의 문항

에서도 아니요 라고 답변한 문항이 많은 자료로서 영유아의 언어발달이 정상적인 범주 밖에

있다고 의심되는 자료, 그리고 (7) 영유아의 수용언어와 표현언어의 발달수준이 3개의 연령

단계 이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의심되는 자료들이었다.

라 . 분석자료의 지역 및 남녀분포

<표 -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분석대상이 되는 표본의 지역구성은 서울 32.4 %, 경기

도 23.6 %, 강원도 1.7 %, 충청남북도 14.9 %, 전라남북도 9.8 %, 그리고 경상남북도 17.6 %이

었다. 도시유형별 표본구성으로 보면 서울시를 포함한 대도시가 전체 표본의 67.3 %를 차지

하였다(<표 - 4> 참조). 또한, 성에 따른 표본 수와 비율은 남자 영유아가 578명으로 53.0 %

이며 여자 영유아는 507명으로 46.5 %, 그리고 성을 표시하지 않은 자료는 0.5 %이었다.

<표 - 4> 도시유형에 따른 표본분포

지역 및 성별 표본수(명) 백분율(%)

도시유형별대도시(서울시 포함)

중소도시

734

356

67.3

32.7

성별

남자

여자

결측값

578

507

5

53.0

46.5

.5

합계 1090

15개의 연령단계별 자료들은 <표 - 5>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52 - 96명이며 4.8 - 8.8

%의 분포를 이루고 있다.

10

영유아 언어발달검사 (SELSI) 개발 연구 : 문항 및 신뢰도 분석

<표 - 5> 표집대상의 연령단계별 분포

표본수연령단계 표본수 (명) 백분율 (%)

2 - 3개월

4 - 5개월

6 - 7개월

8 - 9개월

10 - 11개월

12 - 13개월

14 - 15개월

16 - 17개월

18 - 19개월

20 - 21개월

22 - 23개월

24 - 26개월

27 - 29개월

30 - 32개월

33 - 35개월

66

81

81

57

72

96

75

73

65

62

52

70

84

74

82

6.1

7.4

7.4

5.2

6.6

8.8

6.9

6.7

6.0

5.7

4.8

6.4

7.7

6.8

7.5

합계 1090 100.0

마 . 본검사 분석 후 문항조정 및 재배열

(1) 정답률 및 난이도 분석에 의한 문항조정

해당 연령단계의 언어발달을 측정하는 문항들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본검사의 정

답률 및 난이도를 산출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해당 연령단계의 언어발달 정도를 너무 어렵거

나 너무 쉽게 측정하는 문항에 대해서는 연령단계를 상향 혹은 하향 조정하였다.

(2) 문항변별도 분석에 의한 문항조정

문항변별도는 그 문항이 언어능력이 높은 피험자와 언어능력이 낮은 피험자를 변별하

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항점수와 검사총점간의 양류상관계수로 추정한 문항

변별도에 의해 0.2 미만의 낮은 변별도지수를 나타낸 문항은 제외하였다. 그 결과 2 - 3개월

연령단계의 언어발달을 측정하는 문항들(수용언어 5문항, 표현언어 5문항)이 전체적으로 변

별력이 낮게 추정되어 수용언어와 표현언어 모두에서 2 - 3개월 연령단계의 문항들은 제외하

였다. 따라서, 본검사는 4개월 이상의 영유아 언어발달을 측정하는 검사로 수정되었다.

11

언어청각장애연구

(3) 내용분석에 의한 문항조정

질문의 내용이 모호하거나 범례가 부적절한 경우, 또는 다른 문항과 내용상 중복되는

문항의 경우는 제외하거나 부분수정을 하였다. 문항 검토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4개월에서

부터 35개월, 즉 14개의 연령단계 문항들을 각 단계당 4개의 문항씩으로 구성하여, 수용언어

56개 및 표현언어 56개, 총 112개의 문항으로 수정하였다.

(4) 문항반응이론에 근거한 문항 재배열

각 문항을 언어발달 순서에 적합하게 배열하기 위해서 다음의 세 가지 분석절차를 수

행하였다. 첫째, 문항의 난이도 순서를 고려하여 검사문항을 배열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

히 정답비율에 의해서만 문항의 순서를 재배열한 것이 아니라, 문항반응이론의 2모수 로지스

틱 모형을 이용하여 난이도 모수와 변별도 모수를 추정하였고 난이도 모수에 의해 문항을 재

배열하였다.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 )에 의하면, 문항은 문항마다 고유한 특성이

있고 이러한 특성은 문항모수(난이도, 변별도, 추측도 등)와 피험자의 능력수준에 의해 그려

지는 문항특성곡선에 의해 나타난다. 문항반응이론은 문항모수의 불변성과 피험자 능력추정

의 불변성 개념을 근거로 하기 때문에, 문항난이도와 같은 모수(parameter )에 의해 문항의

순서를 정하면 낮은 언어발달 수준에서 기능하는 문항에서 높은 언어발달 수준에서 기능하

는 문항으로 보다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언어발달 척도에서 문항난이도에 의해 배열된 순서가 문헌에서 연구된 언어발달

의 순서를 설명할 수 있도록 조정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경험적인 자료를 이론적인 근거에

의해 그 배열순위를 맞추는 일로서, 난이도 순으로 배열된 문항들을 이론적인 언어발달의 순

서를 고려하여 재배열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 과정에서 난이도에 의한 경험적인(empirical)

순서와 언어발달의 이론적인 순서가 상치할 경우는 연구자의 전문적인 판단에 의해 순서를

결정하였다.

셋째, 두 번째의 작업을 수행하면서 각 문항에 대한 해당 연령단계의 성차분석을 실

시하여 그 결과를 문항을 배열하는 데 참고하였다. 문항이 특정한 연령단계에서 특정한 성

에 대하여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문항을 재배열하는 과정에서 14개의 연령단계

에 대한 성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문항에 대하여 피험자들은 예 / 아니오 의 이분적 방식

으로 응답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² 검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유의확률을 .01수준으로

설정하여 성차에 대한 판단오류의 가능성을 낮추었다. 특정 연령단계에서 남녀간의 언어발

달에 대한 반응이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문항의 연령단계를 조정하였

12

영유아 언어발달검사 (SELSI) 개발 연구 : 문항 및 신뢰도 분석

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서 조정된 최종검사문항들은 <부록 - 1> 및 <부록 - 2>에 제시하

였다.

Ⅳ. 연구결과

1. 문항 분석

가 . 문항의 난이도 분석

재배열된 최종검사를 분석한 결과, 수용언어척도의 문항특성은 <표 - 6>과 같이, 표현

언어척도의 문항특성은 <표 - 7>과 같이 나타났다. 수용언어 검사와 표현언어 검사 모두 정

답률은 쉬운 문항부터 어려운 문항으로, 난이도에 따라 위계적으로 배열된 것으로 나타났으

며, 언어능력을 변별해 주는 변별도도 0.85 이상으로 적절한 수준 이상을 나타내, 언어발달을

측정하는 타당한 문항들로 이루어졌음을 보여주었다.

나 . 문항의 성차 분석

14개의 연령단계에 적합한 문항으로 개발된 검사가 각 연령단계에서 특정한 성에 기능

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유의수준 .01에서 ² 검정을 실시하였다. 14개의 연령단계 각각에서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문항들에 대한 남녀 영유아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

로 나타났다.

2 . 신뢰도

가 . 검사문항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

검사의 신뢰성을 분석하기 위해 문항의 내적 일관성 지수(Cronbach )로 신뢰도를 추

정하였다. 수용언어와 표현언어 각각의 검사에서 추정된 신뢰도 계수를 제시하고 있는 <표 -

8>에 의하면, 수용언어 .9861, 표현언어 .9859, 전체 .9929로서 두 가지의 언어영역 모두에서

높은 신뢰도 계수가 나타났다. 이는 수용언어검사와 표현언어검사내의 문항들이 피험자의

언어능력을 일관성 있게 측정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13

언어청각장애연구

<표 - 6> 수용언어척도 문항의 정답률, 난이도 및 변별도

문항번호연령단계 정답률 문항난이도 문항변별도

4 - 5개월

수용 1수용 2수용 3수용 4

0.99290.96740.96340.9654

- 3.00- 2.79- 2.50- 2.43

1.010.850.961.04

6 - 7개월

수용 5수용 6수용 7수용 8

0.95020.93790.91050.9003

- 2.26- 1.94- 1.59- 1.49

0.991.211.511.63

8 - 9개월

수용 9수용 10수용 11수용 12

0.89320.85350.84840.8342

- 1.41- 1.18- 1.16- 1.10

1.832.021.902.10

10 - 11개월

수용 13수용 14수용 15수용 16

0.83830.81590.79760.7497

- 1.13- 1.06- 0.96- 0.86

1.861.761.921.46

12 - 13개월

수용 17수용 18수용 19수용 20

0.75280.74470.68460.6694

- 0.80- 0.78- 0.59- 0.54

2.252.092.481.87

14 - 15개월

수용 21수용 22수용 23수용 24

0.64600.64190.64190.6358

- 0.47- 0.46- 0.46- 0.44

2.432.082.282.50

16 - 17개월

수용 25수용 26수용 27수용 28

0.63480.60630.58090.5483

- 0.44- 0.36- 0.28- 0.19

2.262.152.301.84

18 - 19개월

수용 29수용 30수용 31수용 32

0.54430.53810.53100.5097

- 0.18- 0.16- 0.14- 0.08

2.392.372.302.35

20 - 21개월

수용 33수용 34수용 35수용 36

0.50250.49950.49240.4730

- 0.06- 0.05- 0.03

0.02

2.502.402.502.20

22 - 23개월

수용 37수용 38수용 39수용 40

0.44660.44460.40690.3988

0.090.100.200.22

2.362.502.312.12

24 - 26개월

수용 41수용 42수용 43수용 44

0.34180.33060.31740.2818

0.390.420.460.57

2.242.262.482.37

27 - 29개월

수용 45수용 46수용 47수용 48

0.30930.25940.26650.2401

0.490.630.640.69

2.482.501.592.31

30 - 32개월

수용 49수용 50수용 51수용 52

0.23090.17900.17090.1770

0.720.880.920.93

2.352.502.121.60

33 - 35개월

수용 53수용 54수용 55수용 56

0.16680.16280.11190.0793

0.940.941.231.39

2.012.401.551.56

14

영유아 언어발달검사 (SELSI) 개발 연구 : 문항 및 신뢰도 분석

<표 - 7> 표현언어척도 문항의 정답률, 난이도 및 변별도

문항번호연령단계 정답률 문항난이도 문항변별도

4 - 5개월

표현 1표현 2표현 3표현 4

0.93390.97420.96900.9452

- 1.97- 2.64- 2.56- 1.95

1.100.991.001.32

6 - 7개월

표현 5표현 6표현 7표현 8

0.91800.91610.91720.8921

- 1.83- 1.62- 1.62- 1.51

1.081.481.541.35

8 - 9개월

표현 9표현 10표현 11표현 12

0.89950.87380.81280.8268

- 1.49- 1.37- 1.06- 1.05

1.591.471.572.04

10 - 11개월

표현 13표현 14표현 15표현 16

0.81160.78820.78960.7793

- 0.99- 0.93- 0.91- 0.87

2.001.792.002.49

12 - 13개월

표현 17표현 18표현 19표현 20

0.74770.72200.71840.7144

- 0.77- 0.69- 0.67- 0.66

2.362.332.282.50

14 - 15개월

표현 21표현 22표현 23표현 24

0.71640.66560.61970.5815

- 0.67- 0.53- 0.40- 0.31

2.052.152.322.50

16 - 17개월

표현 25표현 26표현 27표현 28

0.58000.57260.53480.5254

- 0.30- 0.28- 0.18- 0.16

2.252.332.122.41

18 - 19개월

표현 29표현 30표현 31표현 32

0.46420.46630.45850.4575

0.000.000.010.01

2.502.502.502.50

20 - 21개월

표현 33표현 34표현 35표현 36

0.44820.46170.41610.3803

0.040.010.130.23

2.502.372.502.23

22 - 23개월

표현 37표현 38표현 39표현 40

0.36280.36060.34990.3340

0.280.280.310.36

2.502.502.502.12

24 - 26개월

표현 41표현 42표현 43표현 44

0.31160.27540.23320.2344

0.430.540.700.66

2.502.471.642.28

27 - 29개월

표현 45표현 46표현 47표현 48

0.26810.22850.21140.1824

0.560.690.740.84

2.372.502.132.15

30 - 32개월

표현 49표현 50표현 51표현 52

0.21780.14550.14150.1408

0.720.970.980.98

2.202.182.332.14

33 - 35개월

표현 53표현 54표현 55표현 56

0.16200.12690.12500.0960

0.911.031.041.18

2.442.012.282.06

15

언어청각장애연구

<표 - 8> 본 검사의 언어영역별 신뢰도 지수(단위: 문항수)

언어영역신뢰도

수용언어(n = 75)

표현언어(n = 75)

전체(n = 150)

신뢰도 0.9861 0.9859 0.9929

나 . 재검사신뢰도

본 연구에서는 최종 개발된 수용언어 56문항 및 표현언어 56문항에 대해 응답의 일관

성을 추정하기 위하여 재검사신뢰도(test - retest reliability )를 산출하였다. 14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언어발달의 정도를 1주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14명의 피험자에 대한 1차 측정

(test )한 언어점수와 2차 측정(retest )한 언어점수간의 피어슨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여 재

검사 신뢰도를 추정하였다. <표 - 9>에 의하면 수용언어의 재검사신뢰도는 .996, 표현언어의

재검사 신뢰도는 .998이며 전체 척도에서의 재검사 신뢰도는 .998로 나타났다. 이러한 신뢰도

지수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언어발달 검사는 동일한 피험자의 언어발달 정도를 두 번에

걸쳐 매우 일관적이고 신뢰롭게 측정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 9> 언어발달척도의 재검사신뢰도(n = 28)

언어영역신뢰도 수용언어 표현언어 전체

재검사신뢰도 .996* * .998* * .998* *

**p < .01

Ⅳ. 요약 및 논의

본 연구에서는 3세 이전 영유아의 수용언어능력 및 표현언어능력을 검사하여 언어발달

지체를 선별할 수 있는 검사도구 SELSI를 개발하여 문항의 연령별 난이도 및 신뢰도를 분석

하고자 하였다. 신뢰도는 검사와 관련된 요인, 피험자와 관련된 요인, 그리고 검사시행과 관

련된 요인들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검사의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에는 문항의 수

도 포함되는데, Spearman - Brown 공식에 근거해서 산출한 문항수와 신뢰도간의 관계에 따

16

영유아 언어발달검사 (SELSI) 개발 연구 : 문항 및 신뢰도 분석

르면, 문항이 40개일 경우에는 .67, 80개일 경우에는 .80의 신뢰도계수가 나타난다(성태제,

1995). SELSI의 문항은 수용언어 영역과 표현언어 영역에서 각각 56개씩, 총 112개의 문항으

로 구성하였으므로 그 수가 부족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검사의 규준은 전국 5

도(제주도 제외)의 13개 중소도시에서 1090명의 표본을 수집하여 제공하였다. 이는 총 112개

검사문항의 9.7배로 표준화를 위한 표본크기로 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한국심리학회, 1998).

영유아들은 일시적인 검사의 실시가 어렵다는 점에서, 본 검사는 영유아의 발달상태를

잘 아는 양육자가 응답하는 간접적인 검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2 - 3세 이

전 영유아의 발달은 간접검사를 많이 실시하지만 간접검사가 갖는 허위, 과장, 과소 보고의

제한점을 극복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양육자의 일

관성 없거나 신뢰성이 떨어지는 자료는 제외시켰다. 그러나, 양육자의 변인(양육시간, 양육방

식, 아동과의 관계 등)에 따라 이러한 간접검사의 타당도는 앞으로 더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SELSI의 검사문항들은 전국 규준집단의 정답률 분석, 문항반응이론에 근거한 난이도

및 변별도 분석, 그리고 문헌에 근거한 내용 분석을 근거로 하여 위계적으로 배열하였다. 검

사의 초안은 기존의 국내외 언어발달 문헌에 나와 있는 영유아의 언어발달 항목이나 개념들

을 토대로 개발되었으며, 88명을 대상으로 한 1차 예비검사, 233명을 대상으로 한 2차 예비검

사, 그리고 1090명을 대상으로 한 본검사를 통하여 그 문항들이 제외되거나 조정되고 재배열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개발된 최종검사의 문항들은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고, 변별도

도 매우 높은 편이었다. 문항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수용언어 검사 및 표현언어 검사 모두

에서 .98 이상의 매우 높은 Cronbach 계수를 나타냈다. 이러한 높은 상관계수는 각 검사의

문항간 일관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1주일 간격으로 14명에게 재검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재검사 신뢰도에서도 .99 이상의 매우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SELSI는 3세 이전의 영유아 언어발달을 신뢰롭게 평가할 수 있는 도구라고 볼 수 있다. 그

러나 각 언어영역(의미론, 구문론, 화용론)점수에 대한 규준이나 그 타탕도를 밝히는 후속연

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정상규준을 제공하는 선별검사를 개발하였으나, 이 검사가 다양

한 언어장애 아동들을 평가하는 검사로 폭넓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장애군에 대한 후

속 연구들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검사에서 사용한 양육자보고에 의한 검사가 다른

방법으로 검사한 결과와 상관이 높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타당도 연구도 이어져야 할 것

이다.

17

언어청각장애연구

참 고 문 헌

김영태(2000a).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PRES)의 개발: 문항 및 신뢰도 분석. 언어

청각장애연구 , 5(1) , 77- 101.

김영태(2000b).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PRES)의 타당도 분석. 특수교육연구 ,

35(2), 1- 19.

김향희·나덕렬(1997). 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K- BNT , Korean version- Boston Naming T est) .

서울: 학지사.

박경숙·윤점룡·박효정·권기욱(1992). KEDI- WISC 집단 지능 검사 .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박혜원·곽금주·박광배(1997). K- WPPSI . 서울: 도서출판 특수교육.

성태제(1995). 신뢰도와 타당도 . 서울: 학지사.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1990). 출생에서 5세까지: 아동행동발달 관찰표 .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1992). 말할 수 있어요 .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한국심리학회(1998). 심리검사 제작 및 사용 지침서 .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Bricker, D., Squires , J. & Mountes, L. (1995). A g es and S tag es Ques tionaire: A parent- comp leted,

child- monitoring sys tem. Baltimore: Paul H. Brookes.

Bzoch, K. R. & League, R. (1971). R ecep tive- Exp ress ive Emerg ent Lang uag e Scale. Austin, T X:

Pro- Ed.

Bzoch, K. R., Kemker , F. J. & Wood, V. D. (1987). The prevention of communicative disorders in

cleft palate infants . In W. J. Lass (Ed.), Sp eech and lang uag e: A dvances in bas ic re-

search and p ractice. San Francisco: Academic Press .

De Villiers , J. G. (1995). Questioning minds and answering machines. In D. MacLaughlin & S.

McEwen (Eds .), P roceedings of the 19th A nnual B os ton University Conf erence on Lan-

g uag e Developm ent . Somerville, MA: Cascadilla Press .

Lund, N. J. & Duchan, J. F . (1993). A ssess ing children s lang uag e in naturalistic contex ts (3rd ed.).

Englewood Cliffs , NJ : Prentice- Hall.

Owens, R. (1998). Lang uag e development: A n introduction. Boston: Allyn & Bacon.

Rossetti, L. (1990). Infant- toddler lang uag e scale. Moline, IL: Linqui Systems.

Zimmerman, I. L. & Steiner , V. G. (1979). P reschool lang uag e scale manual. Columbus, OH: Bell &

Howell Company.

18

영유아 언어발달검사 (SELSI) 개발 연구 : 문항 및 신뢰도 분석

<부록 - 1> SELSI 수용언어검사문항*

4 - 5 개 월1. 목소리가 들려오는 쪽을 정확하게 바라본다 (예 : 엄마가 뒤에서 내는 목소리에 뒤를 돌아본다).2. 유아가 울고 있을 때 다른 사람이 유아에게 말을 걸면 잠시 울음을 멈춘다.3. 화난 표정과 기쁜 표정을 확실히 구별하여 반응한다(예: 엄마가 화난 표정을 하면 유아도 심각한 표

정을 짓고, 엄마가 기쁜 표정을 하면 유아도 미소를 짓는다).4. 친숙한 사람의 주의 주는 음성, 화내는 음성, 다정한 음성 등을 구별하여 얼굴표정이나 몸짓으로 반

응한다.

6 - 7 개 월5. 지속적인 기계음 (예 : 세탁기, 전자렌지 등의 소리)에 귀를 기울인다.6. 엄마 , 아빠 , 빠이빠이 등의 익숙한 낱말을 들을 때 관심을 보인다 (예: 빠이빠이 소리에 웃으며

쳐다본다).7. 안 돼 라는 강한 어조에 반응하여 하던 행동을 멈추거나 주춤한다 .8. 이리 와 나 빠이빠이 하며 손짓하면 적절한 행동으로 반응한다(기어오거나 빠이빠이를 하려는 어

떤 시도도 바른 반응으로 간주한다).

8 - 9 개 월9. 보통 목소리로 안 돼 라고 해도 하던 행동을 멈추거나 눈치를 살핀다(행동은 멈추지 않더라도 뜻은

안다고 생각되는 경우도 포함됨).10. 특정한 소리나 말, 상황에 따라 규칙적으로 따라하는 행동이 있다(예 : 잼잼, 도리도리 등).11. 율동적인 음악을 들으면 박자에 맞춰 적절한 몸짓이나 손동작으로 반응할 때가 있다 .12. 제스처를 하면서 간단한 말로 요구하는 동사 (예 : 주세요, 이리와, 어부바 등)를 몇 가지(3- 5개) 이해

하는 것 같다 .

10 - 11 개 월13. 안 돼 이외의 부정적 명령(예: 하지 마 , 만지지 마 등)에 하려던 행동을 멈춘다.14. 말하는 사람의 말투로 그 사람의 기분이나 감정을 아는 것 같다 .15. 매주 이해하는 낱말이 늘어가는 것 같다 .16. 주위에서 들리는 배경소리와 엄마의 말소리를 구분해서 엄마의 말에 귀를 기울일 수 있다 .

12 - 13 개 월17. 다른 사람의 행동을 모방한다(예 : 신문 보는 척 하기, 걸레질 흉내내기 등).18. 어디 있니? 라고 물으면 을 찾으려고 두리번거린다.19. 제스처 없이 말로만 하는 간단한 지시(예: 넣어 , 앉아 , 빼 등)에 따라 행동할 수 있다 .20. 상대방이 다른 사람에게 말할 때와 자신에게 말할 때를 구분하여 반응한다.

14 - 15 개 월21. 없다 의 의미를 이해한다 .22. 엄마 이외의 일반적인 가족의 명칭을 이해하고 지적한다(예: 아기, 할머니, 이모, 고모, 삼촌 등).23. 방안에 있는 친숙한 사물이나 사람에 대해 무엇 이나 누구 등으로 시작하는 질문을 했을 때 의미

를 이해한다 (예 : 뭐 줄까? 라고 물으면 지적하거나 대답한다).24. 가까이에 있는 친숙한 일상 사물의 명칭을 말하면 가지고 올 수 있다 (예 : 저기 기저귀 하면 가져올

수 있다)

16 - 17 개 월25. 얼굴부분 (예: 눈, 코, 입…)의 이름을 듣고 자신의 얼굴에서 1군데 이상 지적할 수 있다 .26. 익숙한 물건이 눈앞에 없더라도 가져오라고 하면 그 물건을 가져올 수 있다 .27. 익숙한 사물과 관련된 2가지의 연속된 지시를 수행할 수 있다 (예 : 공 가져와서 던져봐 ).28. 다른 사람이 이야기하는 동안 산만해지지 않고 이야기에 집중할 수 있다 (예: 짧은 얘기를 해 줄 때

끝까지 듣는다).

18 - 19 개 월29. 신체부분의 이름을 듣고 다른 사람(엄마 또는 인형)의 신체에서 2군데 이상 지적할 수 있다(예: 코

짚어 봐 하면 인형의 코를 짚을 수 있다).

* 매 문항밑에 [예 : _____ 아 니 오 : _____]로 체크하는 란이 있음 .

19

언어청각장애연구

30. 말로 지시했을 때 4개 이상의 다양한 물건들 중에서 한 가지의 물건을 고를 수 있다 .31. 나 와 너 의 차이점을 이해한다 (예 : 유아가 엄마에게 과자를 내밀 때 너 먹어 하면 자기가 먹는

다).32. 그림과 실제 사물을 짝지을 수 있다(예: 그림책을 보다가 시계 그림이 나오면 방안의 시계를 바라보

거나 가리킬 수 있다).

20 - 21 개 월

33. 소유자+소유 (예 : 내 꺼 , 아빠 바지 )의 의미를 이해한다.34. 유아의 행동을 금지시키는 것 이외의 부정 서술문(예: 엄마 안 먹어 , 아가 안 울어 등)을 이해한다.35. 10가지 이상 의 간단한 동사를 이해한다(예: 가져와 , 앉아 , 먹어 등).36. 일상생활에서 연결된 2가지의 지시가 포함된 문장을 듣고 순서대로 수행할 수 있다 (예 : 과자 껍질까

서 휴지통에 버려 , 손 씻고 수건으로 닦아 등을 이해한다).

22 - 23 개 월

37. 친숙한 사람의 전화 목소리를 듣고 누군지 안다 (예 : 아빠나 엄마 목소리 등).38. 일상적인 형용사 (예: 아프다 , 예쁘다 , 무겁다 등) 중에서 적어도 3 - 4개를 이해할 수 있다 .39. 시간을 표현하는 낱말(예: 이따가 , 나중에 등) 중 적어도 1개 정도는 이해한다.40. 명령하는 말 (예: 공 던져 ! )과 물어 보는 말(예: 던져 줄까? )을 구별할 수 있다.

24 - 26 개 월

41. 지시에 따라 사물의 일부분을 지적할 수 있다(예: 자동차 바퀴, 신발 끈, 바지 주머니 등).42. 그림책을 보며 의문사를 사용한 질문을 할 때 그 뜻을 이해한다 (예: 누가 울어? , 어디 앉아 있어?

등의 질문에 적절하게 반응한다).43. 5낱말 이상으로 된 긴 문장을 이해한다 (예 : 아빠랑 엄마랑 같이 가서 먹자 ).44. 수량을 표현하는 낱말(예: 한 개, 조금, 많이…)을 3개 이상 이해할 수 있다.

27 - 29 개 월

45. 대부분의 일상적인 동사를 이해한다.46. - 면", - (으)니(까)", - (어/ 아)서" 등의 연결어미가 들어간 복문을 이해한다 (예 : 울면 혼난다, 우니까

미워, 넘어져서 피났어 등).47. 같은 말이라도 억양에 따라 말의 뜻을 다르게 이해할 수 있다(예 : 귀엽다는 뜻으로 아이 미워 할

때와 나쁘다는 뜻으로 미워 할 때를 구별할 수 있다).48. 지시에 따라 다른 곳에 가서 한 번에 두 개의 사물을 가지고 올 수 있다 (예 : 부엌에 가서 숟가락하고

컵 가져 와 라는 지시를 듣고 수행한다).

30 - 32 개 월

49. 크기를 나타내는 낱말을 이해한다 (예 : 크기가 다른 두 개의 사물 중에서 큰 것 또는 작은 것을 고를

수 있다).50. 같다, 다르다 의 개념을 이해한다.51. 간단한 비유표현을 이해한다 (예 : 는 형아 같다 , 는 공주 같다 등).52. 도구에 대한 질문에 적절히 반응할 수 있다(예: 뭐로 글씨 쓰지? 라는 질문에 연필 을, 뭐로 밥 먹

지? 라는 질문에 숟가락 을 지적하거나 말할 수 있다).

33 - 35 개 월

53. 사물의 위, 아래, 앞, 뒤 등의 상대적 위치에 대해 2개 이상 이해한다 .54. 비교의 개념이 생겨서 더 큰 것 과 더 작은 것 을 지적할 수 있다(예 : 이거보다 더 큰 거 가져와

라는 지시를 적절히 수행할 수 있다).55. 한 사람이 여러 가지로 불릴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예 : 엄마가 아줌마 , 이모 (고모) , 에미 등으로 불릴 수 있다는 것 이해)56. 여러 가지 색의 이름 (예 : 빨강, 노랑, 파랑…)을 5개 이상 이해할 수 있다 .

20

영유아 언어발달검사 (SELSI) 개발 연구 : 문항 및 신뢰도 분석

<부록 - 2> SELSI 표현언어검사문항

4 - 5 개 월

1. 입술 떠는 소리(투레질: 이 소리를 내면 어른들이 비 온다고 함)를 자주 한다.2. 2개 이상의 다른 모음을 붙여서 옹알이 한다 (예 : 아∼우 , 우∼아 , 이∼아 등).3. 자신의 기분을 표현하는 소리 형태가 있다(예: 가지고 놀던 장난감을 뺏으면 짜증이 섞인 소리를

낸다).4. ㅂ, ㅃ, ㅍ, ㅁ 가 들어간 소리를 낸다 (예 : 부∼ , 뿌∼ , 푸∼ , 무∼ ).

6 - 7 개 월

5. 목이나 입술에서 나는 다양한 소리를 즐기며 논다 .6. 모음과 자음을 결합하여 서로 다른 2음절 이상의 옹알이를 한다 (예: 아바 , 아부 ).7. 빠∼빠 , 음∼마 등의 낱말처럼 들리는 음절을 말한다 .8. 모음소리를 다양하게 낸다 .

8 - 9 개 월

9. 억양이나 소리 크기를 달리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현한다.10. 같은 음절을 반복하여 소리낸다 (예: 바∼바 , 다∼다 , 가∼가 등의 자음과 결합된 음절).11. 어떤 행동을 하여 사람들이 웃음을 터뜨리면 그 행동을 계속한다.12. 손가락으로 가리키거나 제스처를 동반한 소리를 내어 원하는 물건을 획득하려 한다.

10 - 11 개 월

13. 정확하지는 않더라도 소리를 듣고 음절수대로 모방한다(예: 맘마 (2음절) 하면 아아(2음절) 라고 한

다).14. 아∼ 혹은 어∼ 와 같은 소리를 감탄사처럼 사용한다(예 : 장난감을 주었을 때 아∼ 하며 기뻐한

다).15. 짝짜꿍이나 까꿍놀이와 같이 엄마와 자주 하는 놀이를 유아가 먼저 시작하기도 한다 .16. 통용되는 몇 가지 몸짓 언어 (conventional gestures )를 사용한다 (예 : 인사하기, 고개 젓기, 손가락으로

가리키기).

12 - 13 개 월

17. 이름을 부르면 대답하는 것 같은 소리를 내거나 행동을 한다.18. 어떤 일이 자기 뜻대로 되지 않을 때 행동이나 말로 도움을 청할 수 있다 .19. 일관성 있게 사용하는 낱말이 있다 (예: 무 (물), 우 (우유), 어부바 등 유아 나름대로 붙인 이름이

나 불명료한 발음이어도 됨).20. 제스처 (예 : 고개 젓기) 또는 낱말(예: 아니야 , 싫어 등)을 사용하여 아니라거나 싫다는 표현을

한다 .

14 - 15 개 월

21. 도움을 청할 때 큰소리로 엄마나 가족을 부를 수 있다 .22. 새로운 낱말 모방을 시도한다.23. 어른의 억양을 모방하기 시작한다(예 : 때찌 ! , 아이 예뻐 등의 억양을 따라한다).24. 유아가 의미를 알고 정확하게 사용하는 낱말이 4개 이상 있다 .

16 - 17 개 월

25. 웅얼거리는 말속에 ㄱ, ㄲ, ㅋ, ㅎ 와 같은 소리가 나타난다.26. 점차적으로 사용하는 어휘가 증가한다(매주 새로운 낱말을 말한다).27. 말하는 억양이 문장처럼 들린다 (정확한 낱말이나 문장을 아니어도 됨).28. 노는 동안 다양한 의성어(예 : 자동차 소리, 동물 소리 등)를 사용한다.

2 1

언어청각장애연구

18 - 19 개 월

29. 유아 스스로 (자발적으로) 사물의 이름을 말한다 .

30. 3∼4음절로 된 새로운 낱말을 비슷한 발음으로 모방한다 (예 : 코끼리 를 토띠이 로 모방한다).31. 호칭이 들어간 간단한 문장(호칭 + 낱말)을 말한다 (예: 엄마 까까 , 아빠 가 등).

32. T V나 어른들의 대화에서 들은 낱말(듣는 사람이 알아들을 수 있는 말이어야 함)을 따라 말한다.

20 - 21 개 월

33. 그림을 보면서 이게 뭐야? 라고 물었을 때 적어도 1개 이상 사물의 이름을 말한다 .

34. 자신의 감정이나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예: 싫어 , 미워 , 예뻐 등).35. 말할 수 있는 낱말이 적어도 10∼20개가 있다 .

36. 물어볼 때 말끝을 올려 말한다 (예: 아파? , 아야해? , 코 자? ).

22 - 23 개 월

37. 신체적 욕구에 대해 말로 표현한다 (예: 배고파 , 쉬야 등).

38. 5개 이상의 일상적인 동사를 사용할 수 있다.39. 두 낱말 문장에서 부정어를 사용한다(예 : 아빠 아니야 , 안 뛰어 , 안 먹어 ).

40. 뭐야 를 써서 질문을 한다(예 : 이거 뭐야? ).

24 - 26 개 월

41. 선택을 요하는 질문 (예 : 딸기 줄까, 과자 줄까? 등)에 대한 대답을 스스로 할 수 있다.

42. 주로 두 낱말 또는 세 낱말로 된 문장을 사용한다(예: 아빠 코 자 , 아가 옷 입어 , 차 여기 있다

등).

43. 사물을 말할 때 대명사(예: 이거 )보다는 그 이름을 사용한다.44. 조사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 나도 줘, 엄마가 해).

27 - 29 개 월

45. 자기 자신의 이름을 사용하여 자신을 표현한다 .46. 일상적인 동작이 표현된 그림에 대해 질문하면 적절하게 대답한다 (예 : 아가 뭐해? 라는 질문에 울

어 라고 대답한다).47.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이거 뭐야? 이외의 의문사를 사용한 질문 ( 뭐 먹어? , 누구야? , 어디 가?

등)을 많이 한다.48. 시간을 나타내는 초보적인 낱말을 표현한다 (예: 이따가 , 아까 등).

30 - 32 개 월

49. 바 지, 모 자, 포 도, 뻐 스 등의 낱말을 스스로 말할 때 첫소리를 정확하게 발음한다.50. 나 , 우리 등의 대명사를 사용할 수 있다.

51. 형용사나 부사를 세 낱말 문장에서 사용한다(예: 아빠 천천히 가 , 아가 크게 울어 , 이 (거) 과자 맛

있어 ).

52. 자신이 그린 그림에 대해 물었을 때 그것에 대해 간단히 설명할 수 있다.

33 - 35 개 월

53. 명확하지 않더라도 자기가 경험했던 일에 대해 간단하게 말할 수 있다 .

54. 왜 를 사용한 질문을 많이 한다 .55. 간단한 복문을 사용한다 (예 : 넘어져서 아야 하니까 약 발라야 돼 ).

56. 관형어 (명사를 꾸미는 말)가 포함된 문장을 사용한다 (예 : 큰 기차 가 , 빨간 공 이뻐 등).

22

영유아 언어발달검사 (SELSI) 개발 연구 : 문항 및 신뢰도 분석

AB ST RA CT

Conten t an d Reliability An aly ses of the Sequen cedLan guage Scale for In fant s (SELSI)

Y ou n g T a e K im (Dept. of Special Education & Interdisciplinary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Ewha Womans University)

T 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content and reliability of the SELSI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 T he SELSI has been developed to assess 4- to 35- month -

old infant s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through the parent s report . Item s

of the SELSI were developed on the bases of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disorder

literature and the two pilot studies, using 326 normal children . In addition , 1090 normal

children served as the participant s for the normative data. Using the baseline and ceiling

sy stem , SELSI screens the infant s who are at risk of language disorder s. T he item s of

the SELSI were arranged based on (1) difficulty level, (2) % of correct respon ses, and (3)

discriminative level for the equivalent age. T here was no sex difference among the item s.

F or reliability analy ses , internal reliability and test - retest reliability were calculated.

Cronbach in both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test s were .99. Correlations be-

tw een the fir st and second test s with one w eek interval in 14 participant s were .99 in both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test s.

게재 신청일: 2002년 5월 30일게재 확정일: 2002년 7월 16일

김영태: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학과·언어병리학 협동과정 교수, e- mail: youngtae @ewha.ac.kr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