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28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 이 시 자 ** 본 연구는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들의 최근 동향을 확인하고자 영유아를 대상으 로 자연 과 놀이 를 주제어로 한 학술지 논문 편 학위논문 편의 총 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는 년부터 확인되기 시작하여 최근 년간의 논문이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둘째 연구 주제에 있어 자연놀이와 발달과의 관계를 조 사한 연구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자연놀이 행위 자연놀이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 자연놀이 이해 자연놀이 환경 자연놀이 지도와 치료 순서로 확인되었다 이론 및 동향과 평가 관련 논문은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연구 방법에 있어 유아 대상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교사 문헌 영아 부모 순으로 행해졌다 연구 유형은 양적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결과에 대한 차이검증이 주로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 결과에 대해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제어 자연놀이 놀이 연구 연구 동향 논문접수 수정본 접수 게재승인 인천대학교 유아교육전공 박사과정 인천대학교 유아교육학과 교수 교신저자

Upload: others

Post on 04-Ju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생태유아교육연구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2016. 제15권 제2호 , 151 - 178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연구는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들의 최근 동향을 확인하고자 영유아를 대상으

로 ‘자연’과 ‘놀이’를 주제어로 한 학술지 논문 37편, 학위논문 165편의 총 202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는 2000년부터 확인되기 시작하여 최근 5년간의

논문이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둘째, 연구 주제에 있어 자연놀이와 발달과의 관계를 조

사한 연구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자연놀이 행위, 자연놀이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

발, 자연놀이 이해, 자연놀이 환경, 자연놀이 지도와 치료 순서로 확인되었다. 이론 및 동향과

평가 관련 논문은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연구 방법에 있어 유아 대상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교사, 문헌, 영아, 부모 순으로 행해졌다. 연구 유형은 양적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결과에 대한 차이검증이 주로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 결과에 대해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제어 자연놀이(play in nature)

놀이 연구(play research)

연구 동향(research trends)

※ 논문접수 : 2016. 04. 28 / 수정본 접수 : 2016. 05. 30 / 게재승인 : 2016. 06. 07* 인천대학교 유아교육전공 박사과정

** 인천대학교 유아교육학과 교수(교신저자, [email protected])

Page 2: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15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Ⅰ. 서 론

사전적 의미로 자연은 사람의 힘이 더해지지 아니하고 세상에 스스로 존재하거나 우주에

저절로 이루어지는 모든 존재나 상태를 의미한다(표준국어대사전, 2015). 또한 자연은 존재하

거나 머무는 상태적 의미와 함께 타고난 본유적 특성, 즉 존재하는 것들의 본성의 의미를 포

함한다. 특히 자연의 어원은 그리스어의 피시스(physis)로, 이는 태어나서, 성장하고, 쇠퇴하

며, 사멸한다는 의미이다. 이런 어원에 근거해 Aristoteles는 자연은 그 자체가 우주 만물의 변

화 원리를 내포하는 개념이라고 강조했다(전재원, 2014). 다시 말해, 자연은 단순히 물리적, 생

물학적 존재 혹은 상태만이 아닌 인간에게 있어 생명의 법칙을 알려주는 근원이며, 삶이 이루

어지는 원천이다. 조형숙(2005)은 자연은 인간의 생명줄이며, 자유로운 사고와 표현의 터전이

고 희노애락의 동반자와 같은 존재로 자연과 인간의 삶은 분리 될 수 없는 관계임을 상기시

켰다. 이런 자연을 이른 시기부터 체험하며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인식하고 자연과 공존하는

삶을 살아가기 위한 기초적인 소양을 기르는 것은 유아기 발달에 있어 마땅하고도 가치 있는

일이라 하겠다(임갑빈, 2006). 학자들은 어린 시절 자연과의 경험은 자연에 대한 인식뿐만 아

니라 함께 더불어 사는 삶의 가치와 태도 형성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한다(서현아, 박광

옥, 2008; 송순지, 2002; 조형숙, 2005; Henniger, 1993).

다른 한편, 문화인류학자인 Huizinga(1981)는 호모루덴스(Homo Ludens)라는 용어를 처음

소개함으로써 인간을 특징 짖는 본질적 요소로 놀이 행위를 강조했다. Huizinga(1981)에 따르

면, 인간은 놀이하는 존재로서, 인간의 놀이는 무언가를 위해 행해지는 것이 아닌 그 자체가

목적이며, 자발적이고 창조적 행위이다(Huizinga, 1981, 재인용). 더욱이 영유아기의 놀이 활

동은 그들의 삶 그 자체로 영유아들은 놀이를 통해 주변 세계에 관한 지식, 기능, 태도를 습득

하며 더 나아가 신체적, 지적, 사회 정서적 발달을 이끌어간다(김춘화, 2005; 마유미, 정선아,

2012; 임재택, 2005; 하정연, 2002). 특히 Commenius, Pestalozzi와 Froebel과 같은 초기 교육

학자들은 감각적인 경험에 기초한 놀이 중심의 “자연 학습”을 강조한 바 있는데, 이는 자연에

서의 놀이를 통해 영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이끌어갈 수 있음을 강조한다(조형숙, 김선월, 김

현주, 2005). 우리나라에 있어서도 전통적으로 영유아기의 놀이는 자연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

어 왔는데, 아이들은 주로 자연에서 흙, 물, 돌과 같은 자연물을 가지고 놀면서 자연과 교감하

고 자연을 인식하여 자연과 사람이 더불어 살아가는 지혜를 터득했다(김성원, 2015).

그러나 오늘날 영유아의 이와 같은 놀이 모습을 우리 주변에서 확인하는 것이 쉽지 않다.

20세기 이후 근대 산업과 과학 기술의 발달은 빠른 경제성장과 함께 도시화를 가속화하였다.

Page 3: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153

그 결과, 사회는 모든 측면에서 급격한 변화를 경험했으며 유아들의 삶 또한 예외가 아니다.

우선, 유아들이 머무는 주거 환경과 놀이에도 많은 변화가 초래되었다(조채영, 임재택, 2006).

아이들의 놀이 장소였던 자연 속 공간이 사라지고 파괴되면서 오늘날 영유아들은 가정 안에

서 제공된 놀잇감을 가지고 놀거나 제한된 바깥 놀이공간에서 인위적으로 설치된 놀이 기구

들과 함께 놀이를 한다. 또한 인지적 발달을 강조하는 교육 환경 속에서 유아교육 또한 실내

활동이 주가 되는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함으로써 유아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에 머무르고

있다(정은숙, 2015). 이런 상황은 유아들을 자연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최근에는 이로 인한 많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학자들은 자연과 함께 하는 경험들이 점

차 사라지면서 발달상의 다양한 문제점들이 나타난다고 지적한다(주소영, 2009; Richard,

2007). 한 예로, Richard(2007)는 인간이 자연에서 멀어지면서 생기는 여러 가지 문제 현상으

로, 감각의 둔화, 주의집중력 결핍, 육체적, 정신적 질병의 발병률 증가 등을 지적하며 이러한

병적 증상들을 자연결핍장애라 명명했다. 이처럼 자연을 빼앗긴 환경에서 자란 유아들이 성

장하면서 나타내는 인성적, 사회정서적인 문제들은 이미 사회 문제로까지 제기되어 이를 해

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런 노력 가운데 하나는 자연

에서의 놀이가 갖는 가치와 의미에 대한 재확인이다(나귀옥, 곽정인, 2013; 류덕연, 성소영,

2013; 서현아, 박광옥, 2006; 이수민, 2005; 정은숙, 2015; Hutt, Tyler, Hutt & Christopherson,

1989). 영유아기에 공원, 놀이터, 숲 등 다양한 장소에서의 바깥놀이는 실내에서는 경험 할 수

없는 바람, 바람에 묻어오는 냄새, 햇볕, 하늘과 구름, 나뭇잎과 풀잎의 감촉, 흙과 돌멩이의

느낌 등의 자연과의 만남을 제공한다(이현경, 2003). 이러한 자연 속에서의 놀이를 통해 유아

는 오감을 사용하여 자연을 체험하고 인식하며 탐구하고, 자연과 친해질 기회를 갖는다(유지

민, 2011). 더욱이 인위적인 놀잇감이 아니라 자연물 자체를 가지고 스스로 놀이를 해봄으로

써 유아들은 새로운 형태의 창의적 놀이를 시도한다(최수경, 2013). 이처럼 자연에서의 놀이

는 유아가 자연과 함께 어우러져 친해지는 경험과 함께 생명이 있는 것들의 존재와 그 가치

를 확인하는 기회도 제공한다(나귀옥, 김경희, 2014; 유지민, 2011; 정은우, 최경희, 2013; 조형

숙, 2005).

이런 자연에서의 놀이를 본 연구에서는 자연놀이라 부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자연놀이란 자연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바깥 공간에서 행해지는 다양한 놀이 형태로 놀이

시설과 함께 모래, 물, 나무와 나뭇잎 등이 활용 가능한 실외 공간에서의 놀이 그리고 인위적

으로 고안되지 않은 공터, 공원, 숲 등의 공간에서 행해지는 놀이 활동 모두를 의미한다. 최근

에 유아교육에서 자연에서의 놀이의 중요성은 누리과정의 기본 구성 방향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누리과정은 유아의 인성과 창의성 발달을 주된 교육 목표로 제시하며 이러한 목표를 실

Page 4: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15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연 친화적 놀이를 강조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3).

이처럼 자연놀이의 교육적 효과나 중요성에 대한 강조에 따라 최근 몇 년간 자연 놀이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행해지고 있다. 예컨대 자연놀이의 필요성을 강조하여 그 가치와 효과

를 확인하고(문명순, 2011; 전주영, 2013; 최경숙, 2015; 허윤정, 2009), 바람직한 자연놀이 실시

를 위한 방법과(김정주, 2008; 안명숙, 2014; 유혜숙, 2015; 이명환, 2008; 이영녀, 2014; 이은형,

2012; 이현경, 2003; 정은숙, 2015; 최수경, 2013), 자연놀이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을 조사

하며(강구매, 2008; 김수정, 2013; 김영주, 2010; 김은희, 유준호, 2012; 박선영, 전유영, 2013;

신동주, 2004; 어용순, 2012), 더 나아가 정책의 마련을 위한 논의들이(서현아, 박광옥, 2006;

홍은주, 2005)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자연놀이와 관련하여 지금까지 행해진 연구들에 관한

동향을 살펴본 연구는 아직 행해지고 있지 않다. 흔히 동향 분석은 최소한 5년의 기간을 주

기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이야기하는데, 지난 16년간 행해진 자연놀이 연구들에 대한 동

향 분석을 통해 연구 현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그 제한점을 밝힘으로써 앞으로의 연구 방

향과 과제를 제시하는 것은 시기적절하고 의미있다 하겠다.

뿐만 아니라 자연놀이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은 유아 발달에 있어 자연놀이의 의미를 재확

인하고 교육 현장에서 보다 바람직하게 자연 놀이가 이루어지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행해진 자연놀이 관련 연구들의 주제와 연구 방법을

분석해 봄으로써 자연놀이 연구의 방법론적 경향을 확인하고 또한 연구 결과 분석을 통해 자

연 놀이에 관한 심도 있는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특히 주요 연구 결과들에 대한 분석은 자

연놀이를 다양한 변인 간의 관계 속에서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놀이 관련 논문의 연구 대상은 어떠한가?

둘째, 자연놀이 관련 논문의 연구 유형은 어떠한가?

셋째, 자연놀이 관련 논문의 자료수집 방법은 어떠한가?

넷째, 자연놀이 관련 논문의 자료 분석 방법은 어떠한가?

다섯째, 자연놀이 관련 논문의 연구주제의 경향은 어떠하며 그 주요 결과는 무엇인가?

Page 5: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155

Ⅱ.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본 연구는 영유아의 자연놀이 관련 연구들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

해 분석대상 논문을 선정하였다. 우선, 2015년 8월을 기준으로 국회전자도서관의 학술

DATABASE,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검색을

통해 ‘자연’과 ‘놀이’를 함께 주제어로 하고 있는 석 박사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 자료를 확

인하고, 확인된 논문들을 결과 내 검색을 통해 ‘영유아’ 관련 논문으로 제한한 후, 학술지 논문

의 경우는 한국학술진흥재단(KCI) 등재 학술지와 등재후보 학술지 논문 자료만을 선정하였

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확인된 논문은 학술지 자료 37편과 학위논문 165편으로 총 202편

의 논문이며, 이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정하였다.

<표 1> 분석대상 논문

학술지 석사학위논문 박사학위논문 합계

37 141 24 202

2. 분석방법

1) 연도별 현황분석

연도별로 ‘영유아, 자연, 그리고 놀이’ 관련 학위 논문의 편수와 학술지 논문의 편수 및 게

재 학술지를 확인하여 그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2) 연구 주제에 대한 분석

연구 주제에 대한 분석은 이시자(2010)가 유아 놀이 연구 동향 분석에서 사용한 분석 틀을

토대로 이루어졌다. 이시자(2010)는 유아교육백서(한국유아교육학회, 2007)가 제시한 연구 내

용 분석 틀의 8개 범주와 지성애, 박은혜, 조경자, 조운주, 박희숙(2009)이 제시한 유아놀이 교

과목이 다루어야 할 9개 범주를 기초로 유아 놀이 연구의 내용 분석을 위한 틀을 제시한 바

있다. 본 연구에 있어서도 놀이 관련 주제 분석 틀을 사용하여 9개 범주로 ‘자연놀이에 대한

Page 6: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15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이해’, ‘자연놀이 이론과 연구동향’, ‘자연놀이행위’, ‘자연놀이와 발달’, ‘자연놀이 지도’, ‘자연놀

이와 교육과정/자연놀이 프로그램개발’, ‘자연놀이 환경’, ‘자연놀이와 평가’, ‘자연놀이와 치료’

로 구분하고 각 범주의 세부내용을 표 2와 같이 정하였다. 단, 연구 주제가 하나 이상의 범주

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범주를 중복 표기하였다.

<표 2> 연구주제 분석 범주 및 세부내용

분석 범주 세부내용

자연놀이에 대한 이해 실태/현황/인식/신념/태도

자연놀이 이론과 연구 동향 자연놀이 이론 / 자연놀이 연구 동향

자연놀이 행위 자연놀이 행위를 설명하는 경험적 연구

자연놀이와 발달 자연놀이와 유아의 신체적, 인지적, 사회 정서적 발달과의 관계

자연놀이지도 교사와 부모의 자연놀이지도

자연놀이와 교과 교육과정/자연놀이 프로그램개발

자연놀이와 교육과정/자연놀이와 교과학습/자연놀이와 프로그램

개발

자연놀이 환경 놀잇감/놀이환경

자연놀이 평가 자연놀이를 통한 평가

자연놀이 치료 자연놀이 치료

3) 연구 방법에 대한 분석 기준

(1) 연구 대상

연구 대상에 대한 분석은 연구 대상을 영아, 유아, 부모, 교사, 문헌으로 구분 하였으며, 만2

세 이하는 영아로 3세, 4세, 5세 연령은 유아로 구분하였다.

(2) 연구 유형

연구 유형은 연구문제와 자료 분석을 기준으로 선행 연구에서(유준호, 김은희, 2012; 김상

림, 안효진, 이시자, 2014)에서 사용한 기준을 근거로 하여 분석 대상 논문의 유형을 양적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 세 가지로 구분한 후, 양적연구는 실험연구와 조사연구로 세분화 하였다.

두개 이상의 연구 유형을 포함한 논문은 중복으로 처리하여 분류하였다.

(3)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자료 수집 방법은 이대균, 백경순, 정명자(2006)가 사용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분류기준을

나누어 양적연구는 검사, 관찰, 면접, 질문지를 통한 자료 수집으로 세분화 하고, 질적 연구는

Page 7: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157

관찰과 면접으로 세분화 하였으며 문헌 연구는 문헌조사 방법으로 분류 하였다. 두 가지 이상

의 방법으로 자료 수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중복 처리 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선행연구에

서(김상림 외, 2014) 사용한 분류 기준을 토대로 양적 자료 분석과 질적 자료 분석 그리고 문

헌 분석의 경우로 구분하였으며 양적 분석 방법은 기술통계, 차이검증, 관계검증으로 나누어

빈도를 확인하였다.

(4) 연구 결과에 대한 분석

연구 결과에 대한 기술은 논문이 제시한 주요 연구 결과들을 연구 주제 분석 범주를 기준

으로 정리 하였으며 연구 주제 범주의 9개 범주 가운데 확인된 논문 수가 많은 자연놀이와 발

달, 자연놀이 행위, 자연놀이 이해, 자연놀이와 교육과정 및 자연놀이 프로그램 개발의 4개 범

주 논문들의 주요 연구 결과들을 분석 종합하여 기술하였다.

3. 연구 절차

본 연구를 수행하기에 앞서 2015년 7월에 자연놀이 연구 동향 분석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

기 위해 연구자와 공동 연구자는 무작위로 추출 한 석사학위논문 14편과 학술지 논문 6편에

대한 예비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자와 공동연구자는 분석표를 작성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각 논문을 검토하여 연구주제와 연구방법을 확인하였다. 연구 방법에 대한 분

석은 .94의 일치도를 나타냈으나 주제 분석은 .81의 일치도를 보였다. 이에 주제 분석의 신뢰

도를 높이기 위해 본 분석에서는 연구문제만을 기준으로 주제를 확인하였다. 본 분석은 2015

년 9월부터 12월까지 이루어졌다.

Ⅲ. 연구 결과

1. 연도별 게재 현황 분석

2015년 8월을 기준으로 자연놀이 관련 논문 수는 학술지 37편, 석사 141편, 그리고 박사 24

편으로 총 202편이 확인된다. 먼저 연도별 편수를 분석하면, 자연놀이를 주제어로 하는 논문

은 2000년부터 확인되기 시작하여 그 수가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최근 5년간의 논문 편수는

125편으로 전체의 6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 유형별로 살펴보면, 앞서 밝힌 바

Page 8: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15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범주 세부내용 200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합계

자연놀이이해

실태, 현황 2 1 1 1 3 1 6 15(6.7)

인식,태도, 신념 1 1 1 2 2 8 3 2

20(8.9)

합계 3 2 1 1 4 1 8 2 8 3 2 35(15.6)

자연놀이이론 및자연놀이연구동향

이론

연구동향

합계

자연놀이행위 놀이행위 1 1 1 6 3 3 6 4 2 4 5 7 5 15 63

(28.1)

자연놀이와 발달

신체 2 2 1 5(2.2)

인지 1 3 2 5 4 3 3 21(9.4)

처럼 학위 논문이 학술지 논문 보다 많았으며, 학위 논문 내에서는 석사 학위 논문이 141편으

로 박사학위논문 24편과 비교해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술지 논문의 연

도별 편수는 2013년, 2015년이 각 5편씩 발표 되어 상대적으로 많은 편수를 나타내며, 석사학

위 논문은 2012년 25편과 2013년 22편과 2015년은 8월까지의 조사에서 21편으로 최근에 많은

편수가 확인된다.

<표 3> 연도별 게재 현황 N(%)

200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합계

학술지 1 1 2 1 2 4 3 2 4 5 5 2 537

(18.3)

석사 1 3 3 11 4 4 7 6 14 10 25 22 10 21141

(69.8)

박사 1 1 3 2 1 1 2 3 5 524

(11.9)

합계 1 1 5 5 11 5 7 14 11 17 15 32 30 17 31 202

(0.5) (0.5) (2.5) (2.5) (5.4) (2.5) (3.5) (6.9) (5.4) (8.4) (7.4) (15.8) (14.9) (8.4) (15.3) (100)

2. 연구주제의 동향 분석

2000년부터 2015년 8월 까지 자연놀이 관련한 논문들의 주제를 중복 표기하여 분석한 결과

표는 표 4와 같다.

<표 4> 연구주제의 연도별 동향 N(%)

Page 9: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159

사회정서 1 2 3 1 2 3 7 4 5 6 12 1 11 58(25.9)

합계 1 2 3 1 2 4 7 7 7 13 18 4 1584(37.5)

자연놀이지도

교사 1 1(0.4)

부모

합계 11(0.4)

자연놀이교육과정 및프로그램개발

교과,교육과정 1 1 1 1 1 1 5 5 1 1 18

(8.1)

프로그램개발 1 1 1 1 1 2 3 6 2 18

(8.1)

합계 1 1 2 1 2 1 2 6 7 4 6 336(16.2)

자연놀이환경

놀잇감

환경 1 1 1 14(1.8)

자연놀이평가

합계 1 1 1 1 4(1.8)

평가자연놀이치료 놀이치료 1 1

(0.4)

합계1 1 6 6 11 7 8 16 13 20 19 34 32 17 33 224

(0.4) (0.4) (2.7) (2.7) (4.9) (3.2) (3.6) (7.1) (5.8) (8.9) (8.5) (15.1) (14.4) (7.6) (14.7) (100)

표 4에 의하면, 분석 대상 총 224편 가운데 자연놀이와 발달과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가 84

편으로 가장 많이 확인되어 전체의 37.5%를 차지하였으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아의 사회 정서 발달을 조사한 논문이 58편으로 가장 많고 인지발달을 조사한 논문 21편,

그리고 신체 발달과 자연놀이와의 관계를 조사한 논문은 5편이 발견된다. 발달 관련 논문 다

음으로는 자연놀이 행위를 조사한 논문이 63편(28.1%), 자연놀이 관련하여 교육과정 및 프로

그램 개발을 행한 논문은 36편(16.2%), 자연놀이에 대한 인식조사 등의 자연 놀이 이해 범주

논문은 35편(15.6%), 자연놀이 환경 범주의 논문은 4편(1.8%), 그리고 자연놀이지도와 치료

범주의 논문은 각 1편(0.4%)으로 조사되었다. 자연놀이에 대한 이론적 탐색과 자연놀이 관련

연구들에 대한 동향을 확인한 논문과 자연놀이를 통한 평가 관련 논문은 발견되지 않았다.

3. 연구 방법에 대한 동향 분석

1) 연구 대상

표 5는 연구대상별 분포를 중복 표기하여 나타낸 것으로, 유아를 대상으로 한 자연놀이 연

구가 151편(63.1%)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교사 30편(12.6%)와 문헌 25편(10.5%) 영아

Page 10: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16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22편(9.2%)그리고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11편(4.6%)으로 나타났다.

<표 5> 연구 대상의 연도별 동향 N(%)

200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합계

유아 1 1 3 1 11 4 6 13 6 10 11 23 24 12 25151(63.1)

영아 1 1 1 1 4 2 2 3 2 2 422(9.2)

부모 4 5 1 111(4.6)

교사 2 2 1 1 4 2 8 5 3 230(12.6)

문헌 1 1 1 1 2 2 1 1 1 2 2 5 525(10.5)

합계 1 1 7 5 12 5 8 17 12 21 16 41 34 23 36 239

(0,4) (0.4) (2.9) (2.1) (5.0) (2.1) (3.3) (7.1) (5.0) (8.8) (6.7) (17.2) (14.2) (9.7) (15.1) (100)

2) 연구 유형

표 6은 연구 유형을 양적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 다중연구로 나누어 구분하고 양적 연구

를 실험연구와 조사연구로 세분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분석대상 총 202편에서 양적연구는

114편으로 전체 56.5%에 해당하였으며 양적 연구 가운데 90편(44.6%)은 실험연구로, 24편

(11.9%)는 조사연구로 나타났다. 또한 질적 연구는 75편으로 전체 연구의 37.1%에 해당 했으

며, 문헌 연구는 6편으로 3%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양적연구와 질적 연구를 함께 행한 다중

연구는 7편(3.5%)로 확인되었다.

<표 6> 연구 유형의 연도별 동향 N(%)

200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합계

양적연구

4 3 3 2 3 8 3 9 8 23 21 10 17114(56.5)

실험 2 2 3 2 3 7 2 4 6 17 18 8 1690(44.6)

조사 2 1 1 1 5 2 6 3 2 124(11.9)

질적연구

1 1 1 7 2 2 5 8 7 6 9 8 6 1275(37.1)

문헌연구

1 1 1 1 1 16(3.0)

다중연구

1 1 1 1 1 27(3.5)

합계 1 1 5 5 11 5 7 14 11 17 15 32 30 17 31 202

(0.5) (0.5) (2.5) (2.5) (5.4) (2.5) (3.5) (6.9) (5.4) (8.4) (7.4) (15.8) (14.9) (8.4) (15.3) (100)

Page 11: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161

3) 자료수집 방법의 동향

자료수집 방법으로는 양적연구는 관찰, 검사, 질문지, 면접으로 세분하고 질적 연구는 관찰,

면담으로 그리고 문헌 연구는 문헌조사의 방법으로 세분화하여 방법이 2개 이상인 경우는 중

복으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는 표 6과 같다. 중복 표기한 전체 284편 자료 수집방법 가운데 양

적연구의 경우 검사지법이 92편(32.4%)으로 가장 많았으며, 질문지검사는 26편(9.2%)으로 관

찰법은 2편(0.7%)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양적 연구에서 면접법을 행한 연구는 확인

되지 않았다. 한편, 질적 연구로는 관찰을 통한 자료 수집이 81편(28.5 %)으로 나타났으며, 면

담은 58편으로(20.4%)로 조사 되었다. 또한 25편의 논문은 문헌조사가 이루어졌다. 연도별 추

이를 확인하면, 2007년을 기점으로 보다 다양한 자료 수집에 의해 연구가 행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7> 연구 자료 수집의 연도별 동향 N(%)

200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합계

양적연구

관찰 1 12(0.7)

검사 2 1 5 2 4 7 2 4 6 17 17 9 1692(32.4)

질문지 3 1 1 1 5 2 6 3 3 126(9.2)

면접

질적연구

관찰 1 1 1 1 8 2 3 5 8 7 6 9 8 7 1481(28.5)

면담 1 1 1 1 5 1 3 3 5 6 3 6 6 6 1058(20.4)

문헌 문헌연구 조사

1 1 1 1 2 2 1 1 1 2 2 5 525(8.8)

합계 2 2 8 6 19 6 12 18 17 23 18 40 37 30 46 284

(0.7) (0.7) (2.8) (2.1) (6.7) (2.1) (4.2) (6.3) (6.0) (8.1) (6.3) (14.1) (13.0) (10.6) (16.2) (100)

4) 자료 분석 방법의 동향

표 8은 연구 자료 분석 방법을 조사한 것으로 자료 분석 방법으로 두 개 이상의 방법을 사

용한 경우는 중복 빈도 처리 하였다. 전체 논문 가운데 양적 분석이 이루어진 논문은 116편으

로 전체 52.3%를 차지하였으며 , 질적 분석은 81편(36.5%), 문헌 분석은 25편(11.3%)로 조사

되었다. 이는 분석 대상의 절반 이상의 수집 자료가 양적으로 분석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양적 가운데 차이검증이 106편(47.7%), 기술통계가 5편(2.3%), 관계 검증 5편(2.3%)로 조사되

어 양적 분석의 91%가 차이검증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2: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16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표 8> 연구 자료 분석 방법의 연도별 동향 N(%)

200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합계

양적분석

5 3 4 2 4 8 3 9 8 23 20 10 17116(52.3)

기술통계

1 1 1 1 15(2.3)

차이검증

4 1 4 2 3 8 3 9 8 20 19 9 16106(47.7)

관계검증

1 2 1 15(2.3)

질적분석

1 1 1 1 8 2 3 5 8 7 6 9 8 7 1481(36.5)

문헌분석

1 1 1 1 2 2 1 1 1 2 2 5 525(11.3)

합계1 1 7 5 13 5 9 15 12 17 15 34 30 22 36 222

(0.5) (0.5) (3.2) (2.3) (5.9) (2.3) (4.1) (6.8) (5.4) (7.7) (6.8) (15.3) (13.5) (9.9) (16.2) (100)

4. 주요 연구결과에 대한 기술

확인된 논문 수가 적은 범주를 제외한 ‘자연놀이와 발달’, ‘자연놀이 이론 및 자연놀이 연

구’, ‘자연놀이와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자연놀이 이해’ 범주 논문들의 연구 결

과를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자연놀이와 발달

자연놀이와 영유아의 발달을 조사한 연구는 정서발달 관련 연구가 가장 많이 행해졌으며,

그다음으로 사회성 발달, 인지 발달, 그리고 신체 발달 관련 순으로 나타났다.

(1) 자연놀이와 정서적 발달

자연놀이가 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조사한 대부분의 연구 결과들은 자연놀이가

영유아의 정서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시켜준다(강나리, 2013; 유지민,

2011; 임은정, 2013). 일반적으로, 자연에서 자유롭고 편안하게 즐거운 놀이를 행하면서 유아

는 자연과 하나 됨을 느끼고 내재적인 호기심을 충족해가며 정서지능을 발달시킨다. 연구 결

과에 따르면, 자연 놀이는 유아의 정서 지능의 하위요인 가운데 특히 자기정서 인식 및 표현

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난다(박동월, 2015). 그 이유에 대해 연구자들은 실외의 자연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자연놀이는 유아들의 마음을 안정시키고 또한 자연물을 보고 느낀 것을

마음껏 표현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유아의 자기 정서 인식과 표현 능력을 증대시킨다고

Page 13: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163

설명한다. 또한 자연 놀이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는데(김

선혜, 2015), 이와 관련하여서 연구자들은 유아가 또래와 협동하면서 자연물을 탐색하고, 자신

의 기분과 느낌을 또래와 적극적으로 나누는 경험은 문제 상황의 해결을 위한 자기 조절 능

력을 증진시킨다고 설명한다(임은정, 2013).

반면, 타인의 정서 인식 및 조절과 관련한 연구들은 서로 일치되지 않는 결과를 제시한다.

예컨대, 자연놀이 활동을 통해 혼자가 아닌 자연 속에서 또래 친구와 함께 서로의 감정을 공

감 하고 감정이입 하는 기회를 다양하게 경험함으로써 타인의 정서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

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유지민, 2011). 반면에, 자연 놀이가 타인의 정서인식 조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김신영, 2006). 이런 결과에 대해 연구자들은 타인

의 정서 상태를 인식하는 것은 유아기 단 기간에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특히 지적 장애유아

의 경우 타인의 정서 상태를 인식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단기간의 자연 경험이 아니라 장기간

자연 환경에서의 놀이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한다(이진미, 2013).

(2) 자연놀이와 사회성발달

사회성 발달과 관련해서는 타인에게 이로움을 주려는 친사회적 행동 변화를 조사한 연구가

가장 빈번히 확인된다(최순남, 2013). 관련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연 놀이에서 영유아들은 비

구조적인 자연 놀잇감에 친근해지면서 감정이입을 경험하여 자연과의 건전한 관계를 형성하

는데, 이는 또래 친구에 대한 감정이입과 친밀감으로 발전된다. 특히 연구자들은 영유아들이

자연에서 우연히 일어나는 재미있는 현상이나 자연 놀잇감에 몰입하면서 불편함과 같은 부정

적 감정을 수용하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있어 보다 적극적인 의견 교환이 이루어져 대인관

계 능력이 향상된다고 설명한다(신유정, 2012). 다른 한편, 자신보다 자연 학습의 경험이 적은

친구들을 이해하고 힘들어 하는 친구를 도와주는 행동이 증가하면서 돕기 능력 향상과 배려

하는 행동이 증가하고 협력이 일어나는 기회 또한 많아져 결과적으로, 사회적 행동에 긍정적

인 변화가 확인된다(김성미, 2008; 이수민, 2005).

다른 한편, 연구자들은 자연을 탐색하면서 유아들은 자기 자신에 대해서도 지각하며 이는

유아의 자아개념 형성을 돕는다고 보고한다(정희정, 2003).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자연에서

의 놀이는 실패의 경험 보다는 스스로의 놀이 찾기를 통한 만족과 즐거움의 경험을 제공하는

데 이는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자율성을 향상시킨다(김진주, 2012). 더 나아가 유아들은 자연

놀이를 통해 자연의 신비를 깨달으며 자연보호와 생명 존중의 가치를 알게 되어 타인 존중의

태도가 함양되고, 자연물 놀잇감을 양보하고 상호 배려하는 상호작용의 과정을 통해 협력하

는 태도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난다(이명환, 2008). 결론적으로, 곽노의(2011)는 유아의 전인

Page 14: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16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적인 성장과 조화로운 인성발달을 위한 이상적인 환경은 자연이라고 강조하며, 자연에서 만

나는 다양한 자연물과 함께하는 놀이 활동을 통한 사회적인 관계 맺기는 다른 어떤 놀이 활

동보다 유아의 사회성을 향상시킨다고 강조한다.

(3) 자연놀이와 인지발달

자연놀이와 인지 발달 관련하여 연구자들의 관심은 주로 유아들이 새로운 생각이나 개념

을 찾아내거나 기존의 지식과 경험을 기초로 독특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해내는 창의성

증진에 모아졌다(홍정효, 황해익, 2007). 구체적으로, 유아들이 자연적 공간에서의 비정형화된

자원을 활용하여 새로운 놀이를 창조하거나 기존 놀이를 더 재미있게 변형함으로써 자연공간

에서의 놀이 경험은 유아의 융통성, 유창성, 정교성, 확산적 사고를 촉진하며 결과적으로 창의

성 발달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난다(소명수, 2012; 홍정효, 황해익, 2007). 그 가운데 증진 효

과가 가장 크게 나타난 하위요인은 유창성과 융통성으로 조사된다. 이는 비구조적인 자연물

을 가지고 다양하게 놀이하면서 유아 스스로 생각하며 이를 또래와의 적극적으로 나누는 과

정이 유아의 유창성과 융통성에 긍정적 효과를 주는 것으로 이해된다(한창숙, 2005). 뿐만 아

니라 자연과의 풍부한 놀이 경험 안에서 자신만의 새로운 표상을 만들어 가는 과정은 유아의

상상력을 촉진시킨다. 더 나아가 교실안의 제한된 환경이 아닌 개방적 공간에서의 자연놀이

는 유아로 하여금 다양한 아이디어를 산출하고 또래와 서로 의견을 나누며 자신들의 경험을

의미 있게 재구성하게 함으로써 개방성과 독창성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전영주,

2012), 주변의 사물에 대한 의문이나 관심을 키워가며 확산적 사고와 호기심의 향상도 확인된

다(조소현, 2013). 결론적으로, 비구조적인 환경과 자연물 놀이감을 통한 자연에서의 놀이과정

에서 유아는 다양한 상황들을 경험하고 이에 유연하게 대처하가며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증진

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 자연놀이와 신체발달

자연 놀이와 신체발달 측면에서의 여러 연구 결과는 자연 환경 속에서의 신체 활동은 영아

의 기본운동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준다(정세정, 2013). 자연 속에

서의 움직임은 영아의 기본운동능력 가운데 이동능력인 대근육 운동 발달과 조작 능력과 같

은 소근육 발달을 이끌고 있다. 더욱이 자연이라는 열린 공간에서의 놀이와 움직임을 통한

신체 활동량 증가는 신체활동 부족문제 해결과 다양한 활동을 위해 스스로 몸을 움직이며, 자

신의 위험을 스스로 예측하거나 예방하여 안전사고의 가능성을 낮추며 신체와 정신의 조화로

운 발달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강선영, 2013).

Page 15: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165

2) 자연놀이에 대한 이해

자연놀이에 대한 이해 범주에 있어서는 자연놀이에 대한 현황과 교사의 인식을 조사한 논

문이 가장 빈번히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자연놀이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조사한 논문

순으로 나타났다.

(1) 자연놀이에 대한 인식

유아교사의 자연 놀이에 대한 인식과 현황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연 놀이 프로그램의 운영은 전적으로 원장의 교육 철학과 신념, 관심도에 따라 영향을 받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성미, 2011). 또한 자연 놀이를 실시하는 시작 시기는 만 2세가

적기라고 생각하며, 실시 횟수는 주 1-2회, 1회당 적정 소요시간은 30분 이상이 적당하다고

교사들은 인식 하고 있었다(정은주, 2009). 하지만 실제적으로 대부분의 영아반 교사들은 실

외에서의 자연놀이는 통제 및 안전 문제로 우려된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날씨가 좋은 날에만

실외에서 자연놀이를 해야 한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양화숙, 2010; 황윤숙, 2012). 이런

결과에 대해 연구자들은 영아반 교사들의 자연 놀이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인식의 전환이 필

요하다고 지적한다. 실태 조사에 따르면, 영아 보육 기관인 국․공립, 민간시설, 가정 보육시

설별로 어린이집에 귀속된 실외놀이 시설은 부족하며 이에 보육 시설 주변의 공원이나 산책

로, 산 등에서 자연놀이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손명숙, 2010). 한편, 유아반 교

사들은 자연친화적 놀이를 주3회 이상 실시하며 실시시간을 1시간 이상이 적정하다고 인식한

다(박인옥, 2013). 교사의 경력에 따른 인식 차이도 나타나는데, 낮은 경력의 교사보다 높은

경력의 교사들이 유아에게 자연 놀이경험을 위해 더 많은 횟수와 긴 놀이시간을 허용하고 있

는 것으로 조사되었다(신동주, 2004). 결론적으로, 근래에 들어 자연 놀이는 바깥놀이, 자연체

험, 산책 등의 활동으로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으며 교사 또한 자연 놀이의 중요성과 가치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난다(강구매, 2008; 신동주, 2004; 황윤숙, 2012).

한편, 자연놀이에 대한 부모 인식 조사에 따르면 교사가 영아 시기부터 자연에서의 체험 형

놀이를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부모들은 유아시기에 이르러

자연에서의 놀이를 즐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김영주,

2010). 또한 자연놀이의 실시 횟수는 주 1-2회가 실시 시간으로는 1회에 30분이상이 적당 하

며 자연놀이는 계절에 관계없이 실시 할 수 있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부모들은 자연놀이의

최적의 장소로 숲을 선호하며, 숲에서의 주1-2회로 진행되는 방문형 자연놀이에 대해 긍정적

반응 보였다(김수정, 2013).

Page 16: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16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2) 자연놀이의 실태 및 현황

자연놀이의 운영 실태 및 현황에 대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유아교육 기관에서의 하루 일

과 중 공립 유치원이나 법인 어린이집은 90%이상 자연놀이를 계획하고 있으나 사립 유치원

과 민간 어린이집은 통제 및 안전의 이유로 70% 정도만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김희

진, 2012). 또한 자연 놀이를 실시 할 수 있는 공간 확보는 공립유치원이 사립 유치원 보다 자

연 친화적 실외 환경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강구매, 2008). 그러나 유아교육기

관 안에 자연놀이를 실시 할 공간이 없어도 인근 공원이나 공공 놀이터, 아파트 놀이터에서

지속적으로 자연놀이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양화숙, 2010).

3) 자연놀이의 행위

자연놀이 행위를 설명하는 경험적 연구들은 주로 질적 접근을 통해 영유아들의 놀이 모습

을 조사하였다(김수현, 2012; 손원경, 전주영, 2011; 윤준일, 2007). 우선, 영아들은 주로 이동이

용이한 어린이집 주변의 공원이나 아파트의 놀이터의 산책하며 만나게 되는 다양한 자연물과

자연 현상의 변화를 눈과 손을 통해 직접적으로 경험하는 탐색적 놀이 행위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김미래, 2015; 손원경, 전주영, 2011; 이주은, 2004). 또한, 산책활동에 있어 유아들

은 만나는 자연물에 다양한 의미를 부여하고 스스로 찾아낸 자연물을 가지고 창의적 놀이를

이끌어내는 것이 관찰되었다. 연구자들에 따르면, 대다수의 영유아들은 자연놀이 시간을 간절

히 기다리며, 놀이에 있어서도 더욱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며 열린 자연공간에서의 자유로움

과 즐거움을 온몸으로 표현한다(허윤정, 2009).

한편, 숲에서의 영유아들의 놀이 행위를 살펴본 연구자들은 유아들이 처음 숲이라는 공간

을 마주 할 때 낯설음과 두려움을 나타냈으나 점차 적극적으로 활동하며(임은정, 곽노의

2015; 이인원, 최기영, 2007), 시간이 지나면서 숲을 아주 편안한 공간으로 받아 들여 몸을 자

유롭게 움직이고 놀이다운 참놀이를 한다고 설명한다(임재택, 이소영, 하정연, 2013; 전주영,

2013).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아들은 숲에서 다양한 대상들인 풀과 꽃, 나무와 흙의 모양, 크

기, 색깔, 질감이 다름을 발견하고 이와 같은 자연물과 함께 하는 놀이를 행하면서 자연 환경

에 대한 탐색이 더욱 진행되며 이런 과정은 유아들을 새로운 놀이로 초대한다(윤효숙, 2009).

특히 자연에서 찾을 수 있는 다양한 자연물은 영유아의 놀이를 위해 다툼이나 분쟁이 일어나

지 않을 만큼 많기 때문에 교실 안에서의 정형화되고 제한적 놀잇감으로 놀이 할 때보다 분

쟁에 따른 행동들은 매우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진경금, 2015).

Page 17: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167

4) 자연놀이와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

자연놀이와 관련하여 교육활동을 다룬 논문들은 교과영역으로 미술영역과 과학 수학영역

을 집중적으로 조사했다. 다양한 자연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은 유아의 표현 능력 향상에 긍정

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됐다. 구체적으로, 자연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은 미술 표현력의

하위요인인 표현, 이미지, 재료 및 도구 사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김명화, 채영란, 2012;

안명숙, 2014). 연구자들은 심미적인 자연환경 속에서 여러 사물의 특징을 직접 보고, 만지면

서 오감을 통해 탐색한 이미지를 형상화 하는 미술표현능력(오미경, 2008)과 도형과 선의 병

합, 주제관련 표상, 표상의 창의성, 세부적 묘사 모든 부분에서 자연물과의 놀이 경험은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다.

다른 한편, 영유아의 과학 활동에 대한 연구로는 유아가 자연물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고

궁금한 사항을 능동적인 탐색하는 탐구 능력과 관련된 연구가 가장 빈번히 이루어졌다(고선

아, 2014). 또래와 함께 자연물의 특성을 예측하여 놀이하며 자신의 오감을 활용하여 자연물

을 관찰하고 그 크기 및 길이를 측정해가며 놀이하는 과정은 예측하기, 관찰하기, 분류하기,

측정하기, 그리고 의사소통하기의 과학적 탐구 능력의 하위 요소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명하건데, 영유아들의 자연놀이 활동이 증가될수록 자연물과의 만남이

다양해지며 그 결과, 외부의 새로운 사물이나 현상학적 사건들을 영유아가 이미 가지고 있던

지식과 통합하여 예측하고 분류하는 과학적 능력이 증대된다. 특히 관찰하기 능력이 증대되

어 지는데 영유아들은 자연에 매력에 빠져들수록 그들의 오감을 더욱 적극적이며 정교하게

사용하여 자연을 보고, 듣고, 느끼고, 냄새 맡는다(김태희, 2015; 이윤정, 2006). 이런 관찰 활

동은 결과적으로 유아로 하여금 사물들 간의 특성과 차이점을 발견하게 이끈다. 더 나아가 유

아는 자연물을 이용한 놀이 활동을 통해 비교, 분류, 서열화, 수세기 등의 개념을 형성해나간

다(임재택, 1998). 자연물의 크기와 무게 등을 비교 탐색해봄으로써 측정능력 또한 촉진된다

(홍은주, 2005).

한편, 연구자들은 수학개념의 하위요인인 분류, 측정, 서열화, 패턴, 수 개념, 공간, 시간 개

념의 다양한 수학적 요소에 대한 유아의 이해가 자연놀이터에서 자연물을 온몸으로 탐색하고

즐기는 놀이 활동을 통해 향상된다고 보고한다(강은주, 2012). 구체적으로, 자연물을 탐색하고

분류하는 놀이 활동은 유아의 분류 능력을 향상시키며 또한 자연 속에서 쉽게 접하는 자연물

의 어림 측정 활동은 측정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예컨대, 영유아는 자연에서 만

나는 다양한 깃털 모양이나 꽃잎의 모양을 가지고 놀이하는 과정 속에서 수의 규칙성과 패턴

을 알아가며, 풀잎 위의 달팽이가 가는 길을 따라가는 관찰 놀이를 통해 위치와 방향 이야기

Page 18: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16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를 하며 공간 개념과 시간의 개념을 발달시킨다. 이처럼 다양한 자연 놀이는 유아들로 하여금

수학적 문제 해결전략에 대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수학적 지식을 나누는 경험을 제공한다

(김성희, 2004).

Ⅳ. 논의 및 제언

본 연구는 자연과 놀이를 주제어로 한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들에 대한 내용 분석을 실시

하여 영유아의 자연놀이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그 연구 결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내용들을 토대로 결론을 도출하고 이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자연놀이와 관련하여 발표된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 수는 총 202편으로 2000년 처

음 1편이 확인된 이래 지난 15년 간 꾸준한 증가를 보였다. 비록 2014년에 관련 연구가 감소

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2015년의 경우 8월까지 발표된 논문이 31편으로, 2015년 상반기에만

2013년 전체 편수를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나 자연놀이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증

대되고 있음을 할 수 있다.

둘째, 연구 주제와 관련하여 자연놀이와 발달과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가 가장 빈번히 행해

졌고, 그 다음으로 자연놀이 행위, 자연놀이와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자연놀이 이해, 자연놀

이와 환경 그리고 자연놀이 지도와 자연놀이 치료 범주 순으로 편수가 확인되었다. 하지만 자

연놀이 이론 및 자연놀이 동향 연구와 자연놀이 평가 범주의 논문은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

구에서 자연놀이와 발달과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가 가장 빈번히 행해진 것을 확인한 것은 놀

이 관련 논문들의 연구 동향을 조사한 이시자(2010)가 놀이 연구에 있어 놀이와 발달과의 관

계를 조사한 논문이 그 주류를 이룬다고 설명한 것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역사적으로 유아 교

육에 있어 학자들은 발달과 놀이의 관계에 주목해왔다(이시자, 2010). 한편 최근에 유아교육

에 있어 자연친화적 활동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연 친화적 활동이 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학문적 관심도 증대되고 있다(오미경, 2008; 임재택 외 2013; Bowers, 1995). 이

런 맥락에서 자연 놀이 연구에 있어서도 자연 놀이와 발달과의 관련성에 학자들의 관심이 모

아진다. 또한 자연놀이의 행위에 대한 연구가 빈번히 행해진 것은 연구자들이 유아들의 자연

탐색적 놀이 행위를 이해하고자 한 노력으로 여겨진다. 또한 이런 결과는 놀이를 통해 유아의

발달과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영유아의 놀이 행위 자체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

다고 주장한 전주영(2013)의 연구와 맥을 같이 한다. 한편, 실내 놀이에 있어 환경 구성과 놀

Page 19: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169

잇감에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이 모아지는 것(단현국, 2012; 박미경, 2010; 장상옥, 2015;

Tovey, 2007)과는 달리, 자연놀이에 있어서는 환경적 요인을 조사한 논문이 단지 4편 확인된

것은 자연 놀이 관련 연구들의 관심이 아직 주변 자연 환경과 자연물 놀잇감에 이르기 까지

덜 확대된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많은 연구자들이 유아 놀이에 있어 환경적 요인과 놀잇감

의 중요성을 강조하듯(박세정, 2013; 양옥승, 2005; 이유정, 원계선, 2016; 장상옥, 2015; 정금

자, 2003; 최미숙, 기은옥, 장완수, 2012; 홍정선, 2008), 자연놀이에 있어서도 환경적 요소들의

중요성은 간과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앞으로 자연물 놀잇감과 같은 환경적 요인들에 주목한

연구들이 행해지길 기대한다. 또한 자연 놀이 치료, 그리고 자연 놀이 평가 범주의 논문이 전

혀 확인되지 않은 것과 관련하여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자연에서의 놀이 활동이 점차 확대됨

으로서 앞으로 자연 놀이를 통한 평가와 치료에도 연구자들의 관심이 모아질 것으로 예견해

본다.

셋째, 연구 대상 분석에 따르면, 유아를 대상으로 한 자연놀이 연구가 전체의 63.1%를 차지

하고 교사 대상의 연구는 12.6%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다음으로 문헌 대상, 영아

대상, 부모 대상의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 대상의 연구가 전체 논문의 절반 이상을 차지

하는 것은 대부분의 교사들이 영아기 부터 자연놀이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안전과

관리 문제로 인해 실제 영아반 교사들은 그 시행을 주저하고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은 결과

이다(손명숙, 2010; 양화숙, 2010; 육희연, 2015; 정은주, 2009; 황윤숙, 2012). 최근에 영아시기

부터 자연놀이가 필요하다는 지적들을 상기할 때, 자연에서의 영아대상 연구도 심도 있게 이

루어져할 필요가 있다. 또한 부모를 대상으로 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자연 놀이에 대한 부모의

인식 조사에 머물고 있는데 자연 놀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부모가 자녀와 함께 자연을 탐색

하고 놀이를 진행하는 것에 대한 정보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연구 방법으로는 양적 연구가 가장 많아 전체 논문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자

료 분석 방법으로는 차이 검증을 실시한 경우가 가장 빈번하게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로는 질

적 연구, 문헌 연구 순으로 많이 행해진 것으로 확인된다. 양적 연구가 주로 행해진 것은 자연

에서의 놀이 경험이 유아의 발달 혹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험과 비교 집

단 간 차이를 확인한 연구들이 다수 이루어진 결과로 이해된다. 최근 들어 질적 연구가 증가

하고 있는 사실은 질적 접근을 통해 자연에서의 유아 놀이 행동에 대한 심도 있는 정보를 확

인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질적 연구 분석 방법이 주로 관찰과 면접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지는데, 다양한 자료 등의 다면적 분석을 통해 보다 신뢰할

수 있는 결과가 확인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한편, 문헌 연구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과 관련하

여서는 아직 자연 놀이에 대한 철학적, 이론적 이해에 대한 탐구가 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

Page 20: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17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로 생각되며 이를 위한 노력도 기울여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다섯째, 연구 결과와 관련하여 몇 가지 사실을 언급하고자 한다. 연구 주제에 따른 분석 결

과를 살펴보면 자연놀이와 발달과의 관계를 확인하는 연구가 가장 빈번히 이루어져 자연에서

의 놀이 활동이 영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이끌어낸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준다(강은주, 2012;

곽노의, 2011; 김은숙, 2010; 최정애, 2010; 오미경, 2008; 홍정효, 황해익, 2007; Wilson, 1995,

1997). 설명하건대, 자연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자연놀이는 유아들의 마음을 안정시키고 또한

자연물을 보고 느낀 것을 마음껏 표현하게 하며 자유스러운 신체 움직임을 허락하며 체격과

체력을 향상시킨다(임은정, 2013; 구혜현, 이윤진, 김인숙, 2016).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연물

을 가지고 새로운 놀이와 놀잇감을 구성해내는 과정은 다양한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 과정이

기도 하며 이를 통해 영유아는 창의적 사고 능력과 수, 과학적 능력을 증진시킨다(강은주,

2012; 권덕수, 한진원, 2009; 이은형, 2012; Burnns & Burnns, 1993; Walsh, 1980). 다른 한편,

본 연구 결과는 자연놀이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해 자연놀이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전환

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교사는 자연놀이가 영유아들의 다양한 발달 영역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충분히 이해하고 있으나 물리적 여건이나 안전에 대한 부

담으로 자연놀이를 주저하고 있으며, 부모는 자연놀이 중요성에 관해서는 인식하나 놀이 실

제에 관해서는 낮은 인식 정도를 나타냈다.

지금까지 살펴본 연구 결과는 자연놀이 연구의 방법론적 한계를 지적하며 다른 한편, 자연

놀이가 유아의 전인적 발달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에 관해 다시금 확인시켜준다. 더 나아가 자

연놀이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알려준다. 우선, 자연놀이가 적극적

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물리적 환경 개선으로 더 많은 자연 놀이터가 마련되어야 하며 이는

사회적 관심과 지원에 의해 가능할 것이다. 또한 교사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영유아들에게 바

람직한 자연 놀이의 기회를 줄 수 있도록 자연 놀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교사 연수 기회

가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자연에서의 놀이에 관한 실제적인 내용이나 지식 습득을 위해 부모

교육 및 가정연계 프로그램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설명하고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자연

과 놀이를 주제어로 하는 논문들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자연에서의 탐색 활동으로 주

제어가 설정된 경우 분석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또한 특수유아교육 학술지나 학위논문을 포

함하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논문들도 제외된 제한점을 지닌다. 하지만 이런 제한점에도 불구

하고 오늘날 자연 친화적인 활동에 관한 관심이 학문적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고조되고 있

는 상황에서 영유아의 자연 놀이 관련 연구들에 대한 동향을 분석한 것은 의미가 있다 하겠

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의 자연 놀이 관련 연구들이 주로 단기적 접근으로 자연놀

Page 21: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171

이가 영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사실을 확인하였는데, 앞으로는 좀 더 장기적인

관점에서 자연놀이의 효과성과 교육적 의의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뿐만 아니라 후속

연구들이 자연 놀이 연구의 주제와 방법을 다양화함으로써 유아의 자연 놀이 행위와 그 의미

에 관한 보다 심층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경향 분석에 있어서도 메타분석 등의 통계적 접근을

통해 일치되지 않는 결과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결론이 도출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오늘

날은 그 어느 시기보다 자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맥락 안에서 유아

의 자연 놀이의 가치를 이론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고찰 연구도 행해지길 기대한다.

Page 22: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17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참고문헌

강구매(2008). 자연 친화적 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목포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나리(2013). 실외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선영(2013). 숲유치원의 발전과 유아의 신체활동. 한국유아체육학회지, 14(2), 45-55.

강은주(2012). 자연놀이터에서의 탐구중심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 개념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유아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고선아(2014). 바깥놀이 중심의 유아과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곽노의(2011). 숲유치원에서의 놀이와 인성 교육에 관한 연구. 홀리스틱교육연구, 15(3), 1-23.

권덕수, 한진원(2009). 실외놀이에서 유아들이 겪는 수학적 경험에 관한 탐색. 한국유아교육·보육

복지연구, 13(3), 187-211.

교육과학기술부(2013). 2013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해설.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구혜현, 이윤진, 김인숙(2016). 숲유치원과 일반유치원 만 3, 4, 5세 유아의 체격과 체력 비교 분석.

생태유아교육연구, 15(1), 71-86.

김명화, 채영란(2012). 자연물을 이용한 실외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그리기 표상능력에 미

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6(5), 339-359.

김미래(2015). 실외 자연놀이에서 나타나는 2세 영아의 인지적 경험의 의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 논문.

김상림, 안효진, 이시자(2014). 국내 숲유치원 관련 논문의 동향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1),

87-113.

김선혜(2015). 자연에서의 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 지능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성미(2008). 자연친화적인 체험활동이 유아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성원(2015). 한국 유아기 세대별 변화에 대한 연구. 고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성희(2004). 자연친화적 유아교육과정의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가야대학교논문집,

13, 61-85.

김수정(2013). 생태체계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숲유치원 인식.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수현(2012). 산책활동에 참여한 유아의 생명에 대한 태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Page 23: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173

논문.

김신영(2006). 바깥놀이를 통한 자연친화 교육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주(2010). 환경과 자연친화 유아교육에 관한 학부모의 인식조사.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은숙(2010).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0(4),

149-170.

김은희, 유준호(2012).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실외놀이의 어려움과 활성화 방안. 유아교육학논집,

16(4), 27-52.

김정주(2008). 자연친화적 수학놀이 구성하기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김진주(2012). 자연친화 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연탐구지능과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배제대학

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춘화(2005). 유아의 놀이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태희(2015). 자연친화적 체험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희진(2012). 유치원과 어린이집 실외놀이의 운영 실태 및 교사의 인식.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나귀옥, 곽정인(2013). 숲 유아학교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위험부담 놀이의 양상과 의미. 유아교육

학논집, 17(3), 475-500.

나귀옥, 김경희(2014). 실외놀이 개선을 위한 자연적 공간에서 교사와 유아의 공동구성에 대한 실

행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2), 43-68.

단현국(2012). 자유선택 활동의 놀이 선택과 실행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연구, 14(2), 5-33.

류덕연, 성소영(2013).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생태유아교육연구, 12(3),

125-150.

마유미, 정선아(2012).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1(4), 163-192.

문명순(2011). 유아 자연놀이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동월(2015). 자연물을 활용한 실외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미경(2010).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유아들이 경험하는 놀잇감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30(5),

325-350.

박세정(2013). 아동의 내면적 발달을 위한 놀잇감 고찰. 부모교육연구, 10(1), 5-22.

Page 24: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17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박선영, 전유영(2013). 자연친화교육 및 자연친화적 통합 예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유아

교육학논집, 17(3), 79-105.

박인옥(2013). 직장어린이집에서의 자연친화교육에 대한 현황 및 교사인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현아, 박광옥(2006).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연놀음놀이 프로그램에 관한 이론적 고찰. 인문학논

총, 11(2), 57-82.

서현아, 박광옥(2008). 자연놀음놀이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유아교육학논집, 12(1),

385-414.

소명수(2012). 숲 유치원에서 자연물을 이용한 놀이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

육대학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손명숙(2010). 영아반 실외놀이의 운영 실태 및 교사의 인식.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손원경, 전주영(2011). 자연친화적 실외 환경 놀이에서의 영아의 경험세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3), 143-164.

송순지(2002). 자연의 길을 따르는 생명교육-유아교육을 중심으로. 생태유아교육연구, 1(1), 1-22.

신동주(2004). 유치원의 실외놀이활동 실태 및 교사의 실외놀이에 대한 인식. 유아교육연구, 24(6),

299-324.

신유정(2012). 실외 자연놀이 경험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

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명숙(2014). 숲에서의 놀이를 통한 유아 미술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양옥승(2005). 물리적 환경 구성과 유아의 자유선택활동의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 열린유아교육연

구, 10(1), 21-40.

양화숙(2010). 만2세 영아반 실외놀이활동 운영 실태와 개선방향.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어용순(2012). 생태 유아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미경(2008).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 표상 능력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7(1), 205-225.

유준호, 김은희(2012). 영유아 실외놀이관련 연구 동향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6(2), 49-76.

유지민(2011). 자연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유혜숙(2015). 자연친화적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개발 연구. 중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육희연(2015). 바깥놀이에 대한 M어린이집 교사들의 생각.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준일(2007). 산책과 텃밭가꾸기를 통한 자연친화활동에 참여한 유아들의 경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age 25: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175

윤효숙(2009). 영아의 산책과 놀이 발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대균, 백경순, 정명자(2006). 유아영어교육의 연구 동향 및 내용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34(6),

55-78.

이명환(2008). 숲유치원의 다양한 운영 형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7(3), 47-74.

이성미(2011). 유아교육기관의 자연친화 교육실태 및 자연친화 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덕성여자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수민(2005). 산책을 통한 자연친화 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시자(2010). 유아놀이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학술지 논문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0(5),

263-289.

이영녀(2014). 영아 주도의 놀이 중심 숲산책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이유정, 원계선(2016). 유아의 자유선택 활동과 놀이 인원수 제한 규칙.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1),

57-81

이윤정(2006). 산책활동을 통한 자연물 관찰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은형(2012). 유아를 위한 자연 친화적 수학영역 중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인원, 최기영(2007). 자유 숲놀이에 나타난 유아의 놀이경험. 열린유아교육연구, 12(2), 273-301.

이주은(2004). 2세 영아의 실외놀이에 관한 문화기술적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진미(2013).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유아의 친사회적행동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현경(2003). 걸음마기 영아의 실외 놀이 프로그램 개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임갑빈(2006). 숲에서 여는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기초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0(1),

123-155.

임은정(2013). 산책을 통한 자연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은정, 곽노의(2015). 유아들의 숲 활용 바깥놀이 적응과정. 홀리스틱교육연구, 19(1), 121-149.

임재택(1998). 보육시설 만2세아의 연간 산책활동에 대한고찰, 영유아보육연구, 4, 125-159.

(2005). 생태유아교육개론. 파주: 양서원.

임재택, 하정연, 이소영(2013). 숲에서 유아들이 경험하는 놀이 탐색. 유아교육연구, 33(2), 343-367.

장상옥(2015). 유아의 물리적 환경 관련 연구동향. 유아교육학논집, 19(5), 143-170.

Page 26: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17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전영주(2012). 동시를 통한 자연탐색 놀이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재원(2014).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 개념. 철학논총, 75, 243-263.

전주영(2013). 숲 유치원에서의 유아의 경험세계.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정금자(2003). 육아산업과 관련한 유아 놀이감의 동향과 과제. 한국일본교육학연구, 7(1), 22-39.

정세정(2013). 자연놀이 경험이 영아의 운동 능력 발달과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은숙(2015). 자연친화적 바깥놀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정은우, 최경희(2013). 생태놀이를 활용한 유아황경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교과교육학연구, 17(4), 1441-1457.

정은주(2009). 가정보육시설에서의 실외놀이 운영 현황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희정(2003). 불교생명존중사상에 기초한 자연놀이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자아개

념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소현(2013).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채영, 임재택(2006). 생태 유아교육 기관에서의 유아들의 놀이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열린유

아교육연구, 11(3), 145-168.

조형숙(2005). 유아를 위한 자연친화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평가. 유아교육연구, 25(5), 343-366.

조형숙, 김선월, 김현주(2005). 아이들과 함께 만드는 자연놀이터. 서울: 다음세대.

주소영(2009). 아이들의 놀이터, 자연을 돌려주자 - 전학업적 기술 향상을 위한 자연놀이치료. 서

울: 숲과 문화.

지성애, 박은혜, 조경자, 조운주, 박희숙(2009). 유아 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놀이 교과 내용 분석. 유

아교육학논집, 13(3), 379-395.

진경금(2015). 숲놀이 그룹 놀이 유아들의 사회적 유능감이 갖는 교육적 효과. 인천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최경숙(2015). 숲산책반 유아의 숲경험이 갖는 교육적 효과.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미숙, 기은옥, 장완수(2012). 실외 모래놀이 영역의 놀잇감 복합성 수준 및 놀이 시기에 따른 유

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생태유아교육연구, 11(2), 87-109.

최수경(2013). 숲에서의 유아 놀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순남(2013). 숲에서의 자연체험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

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정애(2010).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환경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

Page 27: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177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표준어국어대사전(2015). 표준어국어대사전. 서울: 국립국어원.

한국유아교육학회(2007). 유아교육백서. 경기도: 양성원.

하정연(2002).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 부산대학교 부설 어린이집

을 사례로. 생태유아교육연구, 1(1), 49-71.

한창숙(2005). 유아의 창의성 개발과 통합교육활동 - 자연친화적인 산책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허윤정(2009). 영아 실외놀이의 교육적 의미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홍은주(2005). 영아를 위한 자연친화적 실외보육환경 마련을 위한 정책의 필요성. 아동보육연구,

1(1), 1-20.

홍정선(2008). 장난감 없는 교실에 나타난 유아의 놀이경험.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429-457.

홍정효, 황해익(2007). 자연놀이 경험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영유아보육연구, 13,

147-161.

황윤숙(2012).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프로그램 실시 현황에 대한 연구. 우석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8).

Bowers, C. A.(1995). Educating for an ecologically sustainable culture: Rethinking moral

education, creativity, intelligence and other modern orthodoxie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Albany.

Burnns, J., & Burnns, J.(1993). Classroom gardening. Dimensions of Early Childhood, 22(1), 14-16.

Henniger, M.(1993). Enriching nature with outdoor play experience. Childhood Education. 70(2),

81-90.

Huizinga, J.(1981). 호모 루덴스: 놀이와 문화에 관한 한 연구. (김윤수 역). 서울: 까치. (원저 1938

출판).

Hutt, S., Tyler, S., Hutt., & Chrisiopherson.(1989). Play, Exploration and Learning: A Natural

History of the Pre-School. London: Routledge.

Richard, L.(2007). 자연에서 멀어진 아이들. (김주희 역). 서울: 상상출판사. (원저 2005 출판).

Tovey, H.(2007). Playing outdoors: Spaces and places, risk and challenge. Maidenhead: Open

University Press.

Walsh, H. M.(1980). Introducing the young child to the social world.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 Inc.

Wilson, R. A.(1995). Nature and young children: A naturel connection. Young Children, 50(6),

4-11.

(1997). A Sense of place.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4(3), 191-194.

Page 28: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6-07-01 · 자연에서의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 세 정* · 이 시 자** 요 약 본

17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Abstract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young children's play in nature

Se Jung Jung · Si Ja Lee

To examine research trends on young children's play in nature, the study analyzed 202 articles

from 37 academic journal articles and 165 Master/Ph.D. theses obtained through a web search

using the key words “nature” and “play” in the Academic Database and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web sites. According to the result, young children’s play in nature related

research began in 2000 and grew to occupy more than half of the total publication in the past

five years. Analy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in nature and development were most

frequent, followed by play behaviors in nature, curriculum and program development for play in

nature, understanding of play in nature, environment for play in nature, and therapy based on

play in nature. There was no research on the topics of theory, research trend, and evaluation.

Popular research targets were children, teacher, literature, infant, and parents in that order.

Quantitative studies most frequently employed experimental research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with nature play experience and the comparison group. The content of the

major research was briefly analy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