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22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수상작 탈북자의 재북 사회경제적 지위와 탈북 동기 - 탈북자와의 심층 인터뷰를 바탕으로 김보석 (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계열) * 이 글은 2009년 2학기 사회과학 글쓰기(담당교수: 박현희) 강좌의 리포트이다.

Upload: others

Post on 18-Sep-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수상작s-space.snu.ac.kr/bitstream/10371/70038/1/04.김보석.pdf · 2020. 6. 25. ·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수상작

탈북자의 재북 사회경제적 지위와 탈북 동기

- 탈북자와의 심층 인터뷰를 바탕으로

김보석

(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계열)

* 이 글은 2009년 2학기 ‘사회과학 글쓰기’ (담당교수: 박현희) 강좌의 리포트이다.

Page 2: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수상작s-space.snu.ac.kr/bitstream/10371/70038/1/04.김보석.pdf · 2020. 6. 25. ·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Page 3: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수상작s-space.snu.ac.kr/bitstream/10371/70038/1/04.김보석.pdf · 2020. 6. 25. ·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차 례

1. 문제제기

2. 이론적 배경(1) 개념정의 - 새터민과 탈북자

(2) 탈북자들의 탈북 동기 변화

(3) 북한 내 계층 폐쇄성과 차별

(4) 탈북자들의 재북 출신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통계자료

3. 접근방법(분석틀)과 연구대상

4. 연구문제

5. 각 재북 계층별 탈북 사례(1) 북한 상류층의 탈북 사례

- S씨(1987년 생, 여자, 2008년 탈북/입국)

(2) 북한 중류층(중상류층)의 탈북 사례

- C씨(1989년 생, 여자, 2006년 탈북/입국)

(3) 북한 하류층의 탈북 사례

- K씨(1986년 생, 남자, 1998년 탈북, 2002년 입국)

6. 사례 분석(1) S씨의 사례 분석

(2) C씨의 사례 분석

(3) K씨의 사례 분석

(4) 사례 간 분석

7. 결론

* 참고문헌

※ 부록 : 기존 통계자료 예시

Page 4: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수상작s-space.snu.ac.kr/bitstream/10371/70038/1/04.김보석.pdf · 2020. 6. 25. ·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118

1. 문제제기

북한 권 주의/공산주의 정권의 체제 불안정성에는 많은 학자들이 공감하고 있다.1)

독재체제/공산주의 체제의 불안정성은 경제난/식량난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의사결정 비합리성과 그로부터 발생하는 정치/사회구조의 경직/비효율 등을 포

하는 개념으로서, 소련과 동구권의 붕괴 과정에서도 이미 찰된 바 있다.2) 요한

것은 그와 같은 체제 불안정성이 북한의 주민들을 해외로 배출하는 요인이 되는 동시에

그들을 남한으로 흡인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수많은 북한주민의 탈북과 남한 유

입을 유발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특히 식량난에 따라 90년 반 이후에 탈북민이 증한 뒤 북한에서 식량난에

따른 사회혼란이 다소 완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3) 2005년을 제외하고는 탈북자의

국내 입국이 꾸 히 증가하 다. 곧, 탈북자에 한 지속 인 심과 연구는 여 히

요하다.

□ 입국 황(’09.1 재)

<표 1> 북한이탈주민의 입국현황

구분 ~’89 ~’93 ~’98 ~’01 ’02 ’03 ’04 ’05 ’06 ’07 ’08 ’09.1 합계

남 562 32 235 563 506 469 626 423 509 570 612 56 5,163

여 45 2 71 480 632 812 1,268 960 1,509 1,974 2,197 158 10,108

합계 607 34 306 1,043 1,138 1,281 1,894 1,383 2,018 2,544 2,809 214 15,271

여성

비율7% 6% 23% 46% 55% 63% 67% 69% 75% 78% 78% 74% 66%

출처 : 통일부 홈페이지

(https://unibook.unikorea.go.kr/new2/dataroom/sub_07.jsp?kind=read&str_aid=968&str_c_page=2, 2010. 3. 7.)

1) A. Scobell, “Projecting Pyongyang: The Future of North Korea’s Kim Jong Il Regime”,

2008 참조. (http://www.strategicstudiesinstitute.army.mil/pubs/display.cfm?pubID=

844 ,검색일 2010. 3. 7.)

2) Richard Crockatt, “The End of the Cold War”, J. Baylis & S. Smith, eds., The

Globalization of World Politics, 1997, pp. 89-108.

3) 곽해룡, � 북한이주탈주민 황과 문제� , 한국학술정보, 2005, 58쪽.

Page 5: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수상작s-space.snu.ac.kr/bitstream/10371/70038/1/04.김보석.pdf · 2020. 6. 25. ·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탈북자의 재북 사회경제적 지위와 탈북 동기 / 김보석 • 119

한국이 추구해야 하는 통일의 방향이 흡수통일이냐 립국화냐의 문제를 차치하

더라도, 통일을 체계 이고 분석 으로 비하기 해서는 북한 체제가 어떤 식으로

변해왔으며 재는 어떤 모습인지를 살펴야만 한다. 그러나 북한은 매우 폐쇄 이기

때문에 외부로 드러나는 모습만으로는 그 실체를 악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그 내부 상황을 자세히 악하기 해서는 탈북자들을 살펴보는 것이

요하다.

그런데 기존의 연구들은 탈북자들의 출신성분과 탈북 이유를 분리하여 각각의

통시 인 변화에만 집 하 다. 이에 본 연구는 탈북자들의 출신성분과 탈북 이유를

연계하여 공시 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물론 상식 으로는 사회․경제 지 가 높

을수록 체제 불만으로 인한 탈북 가능성이 크며 사회․경제 지 가 낮을수록 생활

고로 인한 탈북 가능성이 클 것이라 추론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업이

의미 있는 이유는 이를 통해 경제 인 이유와 비(非)경제 인 이유에 따른 탈북이

구체 으로는 어느 지 에서 구분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를 들어

재 북한 내부의 류층도 경제 이유에 따라 탈북을 하는지, 아니면 하류층만 그러

한지 살펴볼 수 있는 것이다.

극소수를 제외한 부분의 북한 주민들은 출신성분에 막 계층 이동이 원천

으로 불가능하며 개인의 평생은 출생 시부터 그 틀이 짜여져 있다. 곧, 북한에서의

사회․경제 지 는 탈북 동기에 큰 향을 미쳤을 것이므로 사회‧경제 지 에

따라 탈북 이유가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은 유의미할 것이다.

2. 이론 배경

(1) 개념정의 - 새터민과 탈북자4)

‘북한 국경을 넘은 북한 주민’, ‘북한 주민 한민국 국 을 취득하게 된 사람’

등을 지칭하는 용어에는 새터민, 북한이탈주민, 탈북민, 탈북자 등이 있다. ‘새터민’은

‘새로운 터 에서 삶의 희망을 갖고 사는 사람’이란 뜻의 우리말로 정치색이 없는

이 높게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탈북의 시작과 과정에 을 맞추는 ‘북한이탈

4) 김인 , 「 북한인권과 탈북자문제」, 정경환 편, � 북한인권문제의 실체 해부� , 이경, 2006, 90쪽.

Page 6: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수상작s-space.snu.ac.kr/bitstream/10371/70038/1/04.김보석.pdf · 2020. 6. 25. ·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120

주민’, ‘탈북자’ 등의 용어와는 달리 ‘새터민’은 남한 정착에 을 맞추는 용어로서

북한 주민의 탈북 동기에 을 맞추는 본 연구에서는 사용하기에 부 합하다고

단된다.

‘새터민’과 유사하지만 분명 다른 용어로서 ‘북한이탈주민’이나 ‘탈북자’ 등이 있다.

이 용어들은 탈북행 에 을 맞추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 합하다. ‘북한이탈

주민’은 ‘탈북자’와 의미는 같으나 ‘탈북자’라는 용어가 유발하는 거부감과 이 용어에

한 북한의 반발을 고려하여 개정된 용어이다. 2000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북한

이탈주민의 보호 정착지원에 한 법률>에 따르면 ‘북한이탈주민’이란 ‘북한에

주소․직계가족․배우자․직장 등을 두고 있는 자로서 북한을 벗어난 후 외국의

국 을 취득하지 아니한 자’를 가리킨다. 본 연구에서는 용어의 경제성과 편의를

해 ‘북한이탈주민’ 신 ‘탈북자’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2) 탈북자들의 탈북 동기 변화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80년 까지만 하더라도 얼마 되지 않던 탈북자 수는

90년 반을 넘어가면서 격히 증가했다. 이 게 90년 를 넘어오면서 탈북자의

수가 격히 증가한 것은 북한의 경제난․식량난 때문이다. 사회주의 국가들과의

교역에 의존하던 북한 경제는 90년 구소련과 동구권 해체에 따라 심각한 타

격을 받았다.5) 이로 인한 농업생산의 악화에 1995년 홍수 피해까지 더해지면서

사회주의 요체인 앙배 체제의 기능이 상실되었고 이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이

탈북하 다.6)

탈북민이 격히 증가한 원인은 식량난이 결정 이었지만 이미 식량난에 의한

탈북 유인이 감소한 2000년 7)에도 탈북은 지 않았다. 이는 삶의 질을 추구하는

형태의 탈북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8)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탈북의

이유는 그 이외에도 다양하며 결코 획일 으로 볼 수 없다. 하지만 유의미한 탈북

동기는 경제난(생활고), 체제 환멸(체제불만), 이미 탈북한 가족의 권유(동반탈북),

5) 곽해룡, 앞의 책, 45쪽.

6) KBS 남북교류 력기획단, � 탈북자문제의 이해� , 2003, 13쪽.

7) 이미 매우 큰 식량난을 겪으면서 많은 사람들이 죽었고 국제 지원과 식량생산 증가로 식량상태도

좋아졌기 때문이다. 윤여상, � 북한이탈주민 황과 지원방향� , 북한이탈주민 지원 민간단체 의회

심포지움, 부산 학교, 2001, 6쪽. (곽해룡, 앞의 책, 58쪽에서 재인용.)

8) 곽해룡, 앞의 책, 58쪽.

Page 7: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수상작s-space.snu.ac.kr/bitstream/10371/70038/1/04.김보석.pdf · 2020. 6. 25. ·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탈북자의 재북 사회경제적 지위와 탈북 동기 / 김보석 • 121

이 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처벌 우려의 경우 체제불만과 근본 으로 다르지

않고, 국 정착이나 가정불화는 부분이 의 세 가지 동기에서 생되었기 때문

이다. 본 연구는 의 세 가지 탈북 동기를 주요 틀로 이용할 것이다.

<표 2> 탈북 동기별 현황(2004년 6월말 현재)

구분 생활고 처벌우려 체제불만 동반탈북 중국정착 가정불화 기타 계

‘00 127 66 52 51 13 2 1 312

‘01 293 73 33 171 7 2 4 583

‘02 606 93 96 259 37 39 9 1,139

‘03 774 80 123 194 46 53 11 1,281

‘04.6 463 44 63 148 2 39 1 760

계(%)2263

(55.53)

356

(8.74)

367

(9.01)

823

(20.2)

105

(2.58)

135

(3.31)

26

(0.64)

4,075

(100)

출처 : 통일연구원, �북한인권백서�, 254쪽, 2005.

(3) 북한 내 계층 폐쇄성과 차별9)

북한의 헌법은 ‘공민은 국가사회생활의 모든 분야에서 구나 다 같은 권리를

가진다’라고 규정하여 법률상으로는 모든 주민의 평등권을 인정하고 있다.10) 하지만

북한은 해방 이후 수차례의 성분조사사업을 통해 주민들의 계 배경과 정치성향

등을 악하여 주민들을 구분, 엄격히 리하고 있다.

� 북한 인권백서� 에 따르면 북한정부는 주민을 크게 핵심군 /기본군 /복잡군 의

3계층으로 분류하고 있다. 탈북자들은 이와 같은 성분구별정책 내지 계층분류가

당 가입 여부와 같은 개인의 지 뿐 아니라 교육이나 직업, 승진, 배 과 같은 일상

생활에까지 한 향을 미치고 있다고 증언한다.

핵심군 이란 소 북한의 통치계 으로서 1%의 고 간부(특별계층)와 27%의

하 간부들을 가리킨다. 이들은 항일 명투사와 가족, 6․25 쟁 사자의

유가족 출신으로서 북한 당국은 이들만을 해 특혜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특별계층

은 특수학교에 다닐 수 있으며 자가용 차와 화를 소유할 수 있고 외국출 물이나

외국방송을 보는 것 역시도 사실상 허용되고 있다.

9) 통일연구원, � 북한인권백서� , 2009. 참조.

10) 1998년 북한 개정 헌법 제 65조.

Page 8: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수상작s-space.snu.ac.kr/bitstream/10371/70038/1/04.김보석.pdf · 2020. 6. 25. ·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122

기본군 은 인구의 45%를 차지하는 자들로 하 간부나 기술자로 진출한다. 이

들은 불규칙 으로 지 되는 임 과 더불어 장사 등으로 생계를 유지하며 부분

지방 소도시와 농 에 살고 있다. 이 일부는 충성도에 따라 핵심군 이 되기도

한다.

복잡군 은 체인구의 약 27%를 차지하는 자들로서 북한 당국으로부터 시

되는 계층이다. 과거 지주나 자본가의 가족 출신, 일제 하 공직자 가족, 당원자격

이나 간부에서 려난 자, 정치범 등이며 진학이나 입당 등 여러 분야에서 자격이

제한된다.

한 성분에 따라 개인의 거주지역도 차등화된다.11) 특히 평양에서 살기 해서는

엄격한 성분 심사를 거쳐야 한다. 평양 주민들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성분에 아무

문제가 없는 이들로서 각종 특혜를 받는 핵심군 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북한 내부에서의 계층 분류 기 을 이용하여 탈북자의

재북 사회․경제 지 를 구분할 것이다.

(4) 탈북자들의 재북 출신에 한 기존 연구들의 통계자료12)

서론에서 밝혔듯이 <북한이탈주민 입국 황(’09.1월 재)>과 같은 통일부의 공식

통계자료나 여러 연구에서 인용, 조사하여 이용하는 탈북자에 한 통계 자료에는

연도별 입국자 수, 연령별 유형, 재북 직업별 유형, 재북 학력별 유형, 재북 거주

지역별 유형 등으로 탈북자의 출신성분이 매우 다양하게 분석되어 있다. 이처럼 탈

북자의 재북 사회․경제 지 에 해서는 매우 다양한 층 의 분석이 시도되었

으나 북한에서의 출신 성분과 탈북 이유가 연계되어 분석된 은 없다. 한 직업

분류와 같은 일부 분석에서는 북한사회의 기 이 아닌, 남한사회의 기 에 따라 분석

틀을 설정하기도 하 다. 곧, 기존 연구와는 달리 북한 내부의 핵심군 /기본군 /

복잡군 의 구분을 통해 탈북자의 재북 사회․경제 지 를 살펴보는 것도 필요

하다고 단된다.

11) 거주지역에 제한을 받는 경우는 평양이나 남포, 해변가나 휴 선 등에서는 거주를 하지 못한다.

통일연구원, � 북한인권백서� , 2009. 참조.

12) ※ 부록 : 기존통계자료 시. 참조.

Page 9: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수상작s-space.snu.ac.kr/bitstream/10371/70038/1/04.김보석.pdf · 2020. 6. 25. ·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탈북자의 재북 사회경제적 지위와 탈북 동기 / 김보석 • 123

3. 근방법(분석틀)과 연구 상

탈북이유의 범주화는 ‘(2) 탈북자들의 탈북 동기 변화’에서 살펴봤듯이 체제 환멸,

이미 탈북한 가족의 권유, 경제난 이 게 세 가지로 수렴된다. 본 연구에서도 이

세 가지 틀을 이용할 것이다. 사회‧경제 지 의 범주화와 련해서는 기존의 연구

자료들과 달리 북한내부의 잣 를 이용할 것이다. 따라서 탈북이유와 사회․경제

지 둘 간의 상 계를 보는 과정에서는 북한의 지 요소로서 유의미한 당원여부,

거주지역, 직업을 이용하여 탈북자의 계층을 핵심군 /기본군 /복잡군 의

하나로 규정할 것이다. 사회 지 뿐만이 아니라 경제 지 까지도 당원여부/

거주지역/직업 등을 통해 악할 수 있는 것은, ‘(3) 북한 내 계층 폐쇄성과 차별’

에서 살펴봤듯이 북한에서의 사회 지 가 계 성격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재북 사회․경제 지 : 당원여부/거주지역/직업에 따른 객 지

이를 통해 탈북자의 재북 사회․경제 계층을 악할 것이며 계층별로 어떤

동기에 따라 탈북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물론 사회․경제 지 와 탈북이유의

상 계를 더욱 명확하게 밝히기 해서는 다수의 탈북자를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탈북자 복지시설 계자와 탈북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탈북자들은 그들을 상으로 하는 수많은 설문조사가 그들의 입지나

복지 향상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설문조사를 꺼린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탈북자들에 한 설문조사가 신뢰성이 낮을 수 있을

것이라 단하 으며 핵심군 , 기본군 , 복잡 군 의 형성을 띠는 탈북자들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한 사례분석으로써 각 계층별 탈북 이유를 살펴보는 것이 더 합리

일 것이라고 단하 다. 이에 2000년 에 들어 입국한 탈북자들 3명과 심층

인터뷰를 시행하 다. 이들은 나이 가 서로 비슷한 20 반의 탈북자들로서 북한

에서의 거주지역과 부모의 직업 등에서 체로 각 계층의 형성을 보이는 이들이었다.

Page 10: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수상작s-space.snu.ac.kr/bitstream/10371/70038/1/04.김보석.pdf · 2020. 6. 25. ·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124

4. 연구문제

극소수를 제외한 부분의 북한 주민들은 출신성분에 막 계층 이동이 원천

으로 불가능하며 개인의 일생은 출생 시부터 그 틀이 짜여져 있다. 곧, 북한에서의

사회․경제 지 는 탈북의 이유에 큰 향을 미쳤을 것이므로 사회․경제 지

에 따라 탈북 이유가 어떻게 다른지 심도 있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기존의 연구가 사회․경제 지 의 요소들과 탈북이유를 각각 분리하여 통시

으로 고찰하 다면 이 연구는 그들의 사회․경제 지 와 탈북 이유의 상 계에

해 공시 으로 분석할 것이다. 구체 인 연구 문제는 아래와 같다.

첫째, 핵심군 , 기본군 , 복잡 군 의 탈북 이유는 각각 어떠한가?

둘째, 각 계층이 나타내는 탈북 이유에서 볼 수 있는 요한 차이는 무엇인가?

셋째, 경제 이유에 따른 탈북은 모든 계층에 공통 으로 나타나는가, 아니면

특정 계층에만 국한되는가?

5. 각 재북 계층별 탈북 사례

(1) 북한 상류층의 탈북 사례

- S씨(1987년 생, 여자, 2008년 탈북/입국)

S씨는 평양출신이다. S씨의 부모 모두 당 간부 다. 아버지는 과거 남방송을

리했던 경력이 있었으며 어머니는 학에서 물리를 가르치는 교수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씨는 자기 집의 형편이 그다지 부유하지 않았다고 증언했다.

S씨의 아버지는 S씨가 어렸을 부터 남한의 TV 로그램을 보여줬다. S씨도

어떻게 남한의 TV 로그램을 자기 집에서 볼 수 있었는지 잘 모르지만 아버지가

남방송 책임을 맡았던지라 그것이 가능했던 것으로 여기고 있다. S씨의 아버지는

S씨에게 남한 TV 로그램을 보여주면서 북한이 아닌 TV 속의 사회가 진짜 세상

이며 S씨가 커서는 이런 곳에서 살아야 한다고 가르쳤다. 그러나 워낙에 모범생이

었던 S씨는 아버지가 세상을 잘 모르기 때문에 그런 소리를 한다고 생각했으며 사

춘기에는 아버지를 간첩으로 신고하려고까지 했다.

Page 11: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수상작s-space.snu.ac.kr/bitstream/10371/70038/1/04.김보석.pdf · 2020. 6. 25. ·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탈북자의 재북 사회경제적 지위와 탈북 동기 / 김보석 • 125

S씨가 학창시 말에 친했던 단짝 친구들은 모두 장래가 망되는 우등생들이었

지만 우연히 모두 병에 걸려 죽었다. 이런 상황에서 S씨의 어머니가 재직하고 있는

학의 학장(남한의 총장에 해당)이 굶어 죽는 일까지 발생했다. S씨는 자신보다

뛰어났던 친구들의 삶이 비극 으로 끝나고 굉장한 이력을 가지고 있는 부모님의

배 도 많지 않음을 알고 있었던 데다가 학 학장이 굶어 죽었다는 소식까지 듣게

되면서, 자신은 학에 갈 실력도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학에 가도 크게 좋을 것이

없다는 단을 내렸다. 그리고 몇 년 간 국에 다녀오게 되었다.

국에 가서 다른 세상을 본 S씨는 국이야말로 진정한 사회주의 국가이며

북한은 잘못된 사회라고 느끼기 시작했다. 몇 년 후 북한으로 돌아온 S씨는 북한에서

더 이상 살 수 없겠다며 아버지에게 자신의 바 생각을 말하고 이제 자신은 남한에

넘어갈 비가 되었다고 얘기했다. 그러나 과거와 달리 이 시기 S씨의 아버지는 자

신은 북한에 남을 것이며 하나뿐인 딸 역시 떠나보낼 수 없다면서 S씨를 만류했다.

물론 S씨의 어머니는 오래 부터 S씨가 남한에 가는 것을 원치 않아 했다.

그러나 오래지 않아 S씨는 부모로부터 탈북을 허락받았다. 북한 모든 가정은 TV를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 TV가 수신되는 집은 많지 않다. 하지만 S씨의 집은 특별히

TV를 볼 수 있었기 때문에 종종 이웃들이 와서 같이 TV를 보곤 했다. 어느 날 이웃

들과 같이 국 TV 로그램을 보던 , 자막을 읽기도 에 국어를 듣고 웃는

S씨를 수상히 여겨 이웃주민이 후에 S씨를 신고했다. 불법으로 국에 다녀온 것을

짐작하여 신고한 것이었다. S씨에 따르면 무단으로 국경을 넘는 행 는 북한에서

매우 심각한 법행 라고 한다. 보 부에 끌려갔다가 풀려나온 S씨가 더 큰 문제를

일으킬까 걱정된 S씨의 부모는 결국 S씨가 혼자만이라도 탈북하도록 허락했다. 그리

하여 S씨의 어머니가 S씨를 국경근처까지 바래다주었고 S씨는 뇌물을 써서 국경을

쉽게 통과한 뒤 라오스를 거쳐 한국으로 들어왔다.

(2) 북한 류층( 상류층)의 탈북 사례

- C씨(1989년 생, 여자, 2006년 탈북/입국)

C씨는 함경북도 청진 출신이다. C씨의 부모 모두 당원이었지만 간부를 역임한

것은 아니었다. C씨는 아버지의 직업을 밝히지 않았으나 어머니는 미용사로 일했

다고 했다. 배 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면서 C씨의 부모는 모두 장사를 했다.

C씨의 경우는 북한에서 특별할 것 없는 어린 시 을 보냈다. 식량난이 터진 직후

Page 12: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수상작s-space.snu.ac.kr/bitstream/10371/70038/1/04.김보석.pdf · 2020. 6. 25. ·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126

에는 배 제에 의존하던 사람들이 갑자기 삶을 어떻게 꾸려야 할지 알지 못했기 때

문에 많이 굶어 죽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민들이 응 방식을 터득하면서

( 를 들면 장사) 굶어 죽는 일은 거의 보지 못한 것 같다고 C씨는 밝혔다. 실제로

학교 우들 에서도 매우 가난하게 지내는 친구들은 소수일 뿐이었다고 한다. 그의

집안 형편 역시 불우하다고 볼 수는 없었다고 했다.

특별할 정도로 공부를 잘하지 못했던 C씨는 학을 가야겠다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그런 상황에서 남한 학제로 고등학교 3학년일 당시, 앙에서 견된 당 간부가 C

씨를 스카웃하려고 했다. 당의 스카웃 차로서 출신성분과 가족 계 등을 확인하던

, 몇 년 에 행방이 묘연해진 할머니가 지 되어 C씨의 스카웃은 좌 되었다.

이를 계기로 C씨와 C씨 가족은 할머니의 행방불명이 자신들의 사회 활동을 다소

제약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 시기, 마침 친구들 사이에서 공유되던 한국 드라마 DVD를 보게 된 C씨는 북한

이외의 다른 세계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할머니의 행방불명에 따른 북한에

서의 삶의 제약과 남한 사회에 한 정보(드라마)를 한 것이 탈북을 생각하게 만든

것은 결코 아니었다고 했다.

시간이 얼마 지나지 않아 C씨의 가족은 행방이 묘연해진 할머니와 연락이 닿았다.

원래 이남 출신인 할머니가 고향이 그리워서 남한으로 넘어온 뒤, 북에 남아있는

가족들도 데려오고자 로커를 통해 연락한 것이었다. 북한에 계속 남을지 아니면

할머니를 따라 남한으로 넘어갈지에 해 C씨의 가족들은 오랫동안 고민했다. 당

원이 탈북을 시도하거나 가족이 동반으로 탈북을 시도하는 때에는 실패할 경우 처벌

수 가 훨씬 높아지기 때문이기도 했다. 결국 C씨의 가족들은 한꺼번에 남으로 넘어

오지 않고 C씨와 C씨의 어머니가 먼 남으로 넘어오기로 결정하 으며, C씨는

이때 탈북했다.

(3) 북한 하류층의 탈북 사례

- K씨(1986년 생, 남자, 1998년 탈북, 2002년 입국)

K씨는 함경북도 무산 출신이다. 부모 모두 비(非)당원이었다. K씨가 어렸을 때,

아버지는 정치범 수용소에 투옥 고 어머니는 산 식당에서 일을 하다가 배 이

끊기자 장사를 하러 국으로 떠났다.

K씨가 어렸을 어머니는 국으로 장사를 하러 떠나면서 K씨를 아는 사람의

Page 13: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수상작s-space.snu.ac.kr/bitstream/10371/70038/1/04.김보석.pdf · 2020. 6. 25. ·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탈북자의 재북 사회경제적 지위와 탈북 동기 / 김보석 • 127

집에 맡겼다. 그러나 그 집도 사정이 여의치 않아 K씨는 삼지연의 친척집으로 갈

수밖에 없었다. 친척집에서도 환 을 받지 못했던 그는 다시 어머니가 맡겼던 지인의

마을로 돌아갔다. 그 집의 사정을 잘 알고 있던 K씨는 그 집에서 돈을 훔쳐 그 지역

에서 돈을 쓰다 발각되었고 크게 벌을 받았다.

더 이상 그곳에서 지내지 못하겠다고 생각했던 K씨는 국에 가기로 결심했다.

그는 어머니가 국에서 지낼 것이라고 말해줬던 곳을 기억하여 찾아갔다. 그러나

그곳에서는 어머니가 이미 북한에 돌아갔다고 하여 다시 북한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다. 북한에 돌아온 뒤 K씨는 우연히 헤어졌던 나를 만나 같이 어머니를 찾

았다. 하지만 어머니는 크게 반가워하지 않았고 K씨의 가족은 가족회의 끝에 다시

흩어지기로 했다.

국으로 다시 넘어온 K씨는 선교회 아래에서 지냈다. 그는 탈북 어린이들을 잡

으려는 국 공안 때문에 갖은 고생을 해야 했다. 선교회에 갑자기 공안이 들이닥친

뒤로는 선교회를 떠나 피신해 있기도 했으며 그 과정에서 검문을 피해 도망치기도

여러 차례 다. 그 게 갖은 고생을 하다가 다시 선교회로 돌아간 K씨는 얼마 후

고생을 끝내고 남한에 가야겠다고 마음먹은 뒤 베이징으로 향했고 캐나다 사

진입에 성공하여 남한에 올 수 있었다.

6. 사례 분석

(1) S씨의 사례 분석

‘핵심군 /기본군 /복잡군 ’의 계층 구분 틀에 따른다면 S씨는 북한에서 핵심

군 , 그 에서도 1%의 특별계층에 속했다고 추론할 수 있다. 그의 부모 모두 당원

이었고 굉장한 이력을 가지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다른 평양시민들조차 쉽게 리지

못하는 혜택을 릴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가 탈북을 결심하게 된 직 인 동기는 국사회 경험에 따라 북한체제를 환멸

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S씨가 당시 느끼던 북한사회에 한 환멸이 단순한 불만이

아니었다고 증언한 을 미 볼 때, 그는 부모의 반 가 완강했다 하더라도 언젠가는

탈북을 시도했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Page 14: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수상작s-space.snu.ac.kr/bitstream/10371/70038/1/04.김보석.pdf · 2020. 6. 25. ·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128

그가 자기 집안의 경제사정이 그다지 하지 않았다고 증언했던 것은 물론 국

이나 한국의 경제 수 과 비교하여 표 한 측면도 있었다. 하지만 당시 학교 학장이

굶어 죽었고 학교수인 어머니가 받아오는 배 도 얼마 되지 않았다는 에서 미

볼 때, 당시 S씨 가정의 경제 사정은 그 자체만으로도 여유롭지 못했던 것으로 짐작

된다. 여러 가지 혜택을 받아야 마땅한 특별 계층임에도 불구하고 제 로 된 경제

혜택조차 리지 못하는 상황에서 외부세계 경험이 북한사회 자체에 한 환멸을

발, 탈북 요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

(2) C씨의 사례 분석

C씨의 경우는 기본계층 에서 평균보다는 에 속하는 상류층으로 볼 수 있다.

청진은 해안가에 치하는 소도시로서 출신성분이 나쁜 경우에는 살 수 없다.13)

그리고 � 북한인권백서� 에 따르면 소도시에는 일반 으로 기본계층들이 거주한다

고 한다. 한 C씨 어머니의 직업이 기술직(미용사)이었다는 과, C씨의 부모가

장사를 하 기 때문에 경제 형편이 부족하지 않았다는 을 미 본다면 C씨는 북

한에서 기본군 에 속했음을 알 수 있다.

C씨가 탈북을 결심하게 된 직 인 동기는 이 에 탈북한 가족의 권유 때문이다.

C씨와 그의 가족들은 연좌제에 따른 성분 제약에 해 소극 인 불만을 가졌을 뿐,

그것을 자신들의 삶에서 단한 장애요인으로 여기지는 않았다. 실제로 그의 부모는

성분 제약을 받은 뒤로도 계속 당원 신분을 유지할 수 있었다고 한다. 곧, 신분상의

제약 때문에 탈북을 감행한 것은 아니었으며 C씨의 탈북은 이미 탈북한 뒤 한국에

정착한 가족의 권유 때문이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3) K씨의 사례 분석

K씨의 증언에 따르면, 배고픔 때문에 국으로 넘어가는 사람들은 곧바로 남한

행을 생각하고 간 것이 아니기 때문에 남한 행을 결정하기까지 다소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제3국을 통해 국내로 들어오는 과정에서도 많은 시간을 소요한다고

한다. 따라서 K씨보다 최근에 일어난 복잡군 의 탈북사례를 분석하는 것은 국에

가서 탈북자를 직 만나지 않는 한 매우 힘들 것으로 단된다. 곧 S씨나 C씨의

탈북시기와 K씨의 입국 시기가 어느 정도 간격을 보이고 있지만, 그 한계는 국내의

13) KBS 남북교류 력기획단, � 탈북자문제의 이해� , 2003., 통일연구원 � 북한인권백서� , 2009. 참조.

Page 15: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수상작s-space.snu.ac.kr/bitstream/10371/70038/1/04.김보석.pdf · 2020. 6. 25. ·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탈북자의 재북 사회경제적 지위와 탈북 동기 / 김보석 • 129

탈북자를 상으로 할 수밖에 없었던 본 연구의 특성에 비췄을 때 부득이한 것으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증언에 따른다면 북한에서 K씨의 지 는 매우 주변 이었음을 알 수 있다. 부모

모두 비당원이었고 아버지가 정치범 수용소에 투옥되었던 데다 어머니가 산 식당

에서 일했다는 , 살던 곳이 함경북도 무산이었다는 은 그가 복잡군 에 속했음을

말해 다. K씨가 탈북을 했던 이유는 경제난에 따라 더 이상 북한에 남아있을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탈북행 는 가족해체에 따라 일어난 것이지만 근본 으로는

경제 이유 때문이었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4) 사례 간 분석

C씨나 S씨는 외부세계가 북한보다 좋다는 비교․ 단에 따라 탈북했지만 K씨는

외부세계에 한 비교와는 상 없이 탈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K씨의 경우는

외부세계에 한 정보가 없었더라도 탈북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으나, S씨와 C씨는

외부세계에 한 정보가 없었다면 탈북을 감행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S씨와 C씨 모두 외부세계에 한 정보를 토 로 탈북을 결정했지만 그것이 단편

인 정보에 따른 것은 아니었다. S씨는 어렸을 부터 남한의 TV 로그램을 봤지만

오히려 아버지를 의심하면서 살았다. C씨도 한국 드라마 DVD를 한 이 있지만

이는 단지 다른 세상의 존재를 깨닫는 정도에 그쳤다고 했다. 곧, 문화충격이나 체제

불만 등은 생겨나지 않았던 것이다. 두 사례 모두 북한 내에서 했던 외부세계에

한 정보가 체제에 한 환멸을 일으키지는 않았다. 체제 자체에 한 비 도 완 하게

허용하면서 외부세계에 한 정보 역시 완 히 개방했던 소련14)과는 달리, 북한은

아직도 폐쇄 /통제 인 체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아무리 외부 정보가

몰래 유통된다 하더라도 통제에 의해 근본 으로 양이나 질이 단편 일 수밖에 없다면

정보의 확산이나 그에 한 의견 공유도 매우 제한 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인터뷰

상 탈북자 3명 모두, 어렸을 부터 그곳에서 자랐기 때문에 북한에 살 당시에는

체제에 해 크게 부당함을 느끼지 못했으며 외국에 나가는 순간이 되어서야 비로소

북한을 다시 보게 되었다고 증언했다. 2000년 에 들어 외부세계 직 체험이 수

많은 탈북을 유발했다는 연구결과가 이를 부분 으로 뒷받침 한다.15)

14) Richard Crockatt, Op. cit., pp. 89~108.

15) KBS 남북교류 력기획단, � 탈북자문제의 이해� , 2003, 12쪽.

Page 16: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수상작s-space.snu.ac.kr/bitstream/10371/70038/1/04.김보석.pdf · 2020. 6. 25. ·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130

그 다면 세 가지 사례를 통해 살펴본 탈북 이유, 즉 외부세계 경험에 따라 생긴

체제에 한 환멸로 인한 탈북, 이미 탈북한 가족에 의한 동반탈북, 경제난에 따른

탈북은 각 계층만의 고유한 탈북 동기로 볼 수 있는가?

탈북동기 체제 환멸 동반 탈북 절대빈곤(경제난) 절대빈곤+상대빈곤

계 층 핵심/기본 기본/복잡 복 잡 핵심/기본/복잡

<표 3> 분석 결과 - 탈북 동기와 계층 간 연관성

우선 외부세계를 직 경험함에 따라 일어나는 체제 환멸과 그로 인한 탈북은 핵심

군 뿐만 아니라 기본군 에게서도 충분히 일어날 수 있다. 핵심군 뿐만이 아니라

기본군 의 경우도 해외 경험의 기회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2000년 에 들어

해외 견 근무자와 벌목공들의 탈출이 생겨났다는 연구결과가 이를 뒷받침 한다.16)

그러나 계층/직업상 해외경험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 복잡군 은 해외경험과 이에

따른 체제 환멸로 탈북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짐작된다.

둘째로 이미 탈북한 가족에 의한 동반탈북은 핵심군 보다는 기본군 과 복잡군

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훨씬 크다. 핵심군 의 경우는 처음부터 남한출신자가 출신

성분에 따라 제외되기 때문에17) 동반탈북 자체가 일어나기가 힘들다. 반면 기본군

이나 복잡군 의 경우는 이미 많은 수가 탈북하여 한국에 정착하 기 때문에 이

들에 따라 동반탈북이 일어날 가능성은 크다고 볼 수 있다.

셋째로 경제난에 따른 탈북은 재의 상황으로만 본다면 복잡군 에서만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C씨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이미 북한에서는 장사 등을 통해 배

이 없이도 삶을 하려는 노력이 보편화되어 있다. 기본 으로 장사와 같은 행 를

하기 해서는 국가가 배정한 직장에 계속 출석하고 있다는 형식 조작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뇌물이 필요하다.18) 기본군 은 사회․경제 지 가 복잡군 에 비해

우월하기 때문에 뇌물을 내거나 장사에 필요한 여러 조건을 마련하는 것이 상

으로 쉬울 것이다. C씨의 경제 여건을 기본군 의 형 인 경제 여건이라고 생각

한다면 이미 북한의 기본군 들은 안정된 생활의 방향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이런

16) KBS 남북교류 력기획단, 앞의 . 12쪽.

17) 통일연구원, � 북한인권백서� , 2009. 참조.

18) KBS 남북교류 력기획단, � 탈북자문제의 이해� , 2003. 참조.

Page 17: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수상작s-space.snu.ac.kr/bitstream/10371/70038/1/04.김보석.pdf · 2020. 6. 25. ·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탈북자의 재북 사회경제적 지위와 탈북 동기 / 김보석 • 131

에서 미 본다면 재 북한의 사정을 고려했을 때 경제난에 따른 탈북은 부분이

복잡군 에서 일어날 것으로 짐작된다.

마지막으로 종합 으로 추론해본다면, 생계를 꾸리기 어려운 빈곤(경제난)

뿐만이 아니라 외부세계와의 비교를 통한 상 빈곤 역시 탈북을 유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S씨 경우, 핵심군 임에도 불구하고 북한에서 릴 수 있는 경제 혜택

이 작다는 단이 외부세계 경험을 통해 확실해졌고 그것이 체제 환멸로 이어졌다.

아무리 외부세계가 좋다 하더라도 자신이 북한에서 릴 수 있는 혜택이 크다고 생각

했다면 S씨는 탈북을 선택하지 않았을 것이다. 곧 북한 당국이 제공하는 경제 혜

택이 작다면 북한의 상층 역시 상 빈곤을 느껴 탈북할 수 있는 것이다. C씨의

증언에 따른다면 기본군 의 경우는 생계를 하지 못할 정도의 빈곤은 벗어

났지만, 기본군 역시 외부세계의 정보를 통해 상 빈곤을 인식할 유인은 충분하다.

결국 에서 살펴본 세 가지 탈북동기 - 체제 환멸, 동반탈북, 경제난 - 는 모두

직․간 으로 경제 이유와 련되어 있다.

7. 결론

탈북자가 왜 탈북하는지 연구하는 것은 북한을 이해하고 통일을 비하기 해

매우 요한 작업이다. 북한의 변화는 역동 이므로 탈북자에 한 연구 역시 이에

맞춰 끊임없이 이 져야 한다. 이와 같은 탈북자에 한 연구의 요성에 따라 기

존의 연구들은 탈북자의 출신이나 탈북 동기 등을 상세하게 악하려 노력해왔고

각 요소들의 통시 인 변화에도 주목해 왔다.

그러나 이에 덧붙여서 탈북자의 재북 사회․경제 지 와 탈북 동기를 연계하여

공시 으로 연구할 필요성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이와 같은 연구는 진행

되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탈북자의 재북 사회․경제 지 를 북한

정권이 규정하는 3가지 계층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형 인 사례에서 탈북 동기를

살펴봤다. 그리고 각 사례에서 나타난 탈북 동기가 다른 계층의 탈북요인으로도 충

분히 작용할 수 있는지에 해서도 분석하 다.

본 연구에서는 평양 출신의 핵심군 으로서 2008년에 입국한 S씨의 탈북 동기,

청진 출신의 기본군 으로서 2006년에 입국한 C씨의 탈북 동기, 무산 출신의 복잡

Page 18: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수상작s-space.snu.ac.kr/bitstream/10371/70038/1/04.김보석.pdf · 2020. 6. 25. ·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132

군 으로서 2002년에 입국한 K씨의 탈북 동기를 살펴봤다. S씨의 탈북은 체제에

한 환멸 때문이었으며 C씨의 탈북은 이미 탈북한 가족의 남한 행 권유 때문이었고,

K씨의 탈북은 경제난이 원인이었다. 이들의 사례 분석을 통해 체제 환멸에 따른

탈북이나 가족 권유에 따른 탈북은 단편 이지 않은 외부와의 이 반드시 필요한

반면, 경제난에 따른 탈북은 북한 내부의 상황만을 바탕으로 하더라도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 다.

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부세계 직 경험에 따른 체제

환멸로 탈북하는 사례는 핵심군 뿐만 아니라 기본군 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둘째,

이미 탈북한 가족의 권유에 따른 탈북은 기본군 과 복잡군 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90년 경제난에 따라 기본군 과 복잡군 에 속했던 많은 사람들이 탈북,

남한에 정착했기 때문이다. 셋째, 재의 상황만을 바탕으로 본다면 경제난에 따른

탈북은 복잡군 에서만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넷째, 하지만 탈북의 경제 이유에

‘외부세계와의 비교를 통한 상 빈곤 인식’까지 포함시킨다면 복잡군 뿐만 아니라

핵심군 과 기본군 도 경제 이유로 탈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탈북자의 재북 사회․경제 지 와 탈북동기를 연계하여 분석함으로

써 그 둘의 계를 살펴볼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기존 연구가 간과했던 들을 짚

어볼 수 있었다. 즉, 계층별 탈북이유는 다를 수 있으며 그 양상 역시 변화할 수 있음

을 확인하 다. 한 그 양상은 북한사회의 폐쇄 차별성뿐만 아니라 경제 여건으

로부터도 많은 향을 받고 있음을 살펴봤다. 본 연구가 확인한 내용들이 보다 확고

히 일반화되기 해서는, 다수의 탈북자 인터뷰를 바탕으로 한 후속 연구 시행이

요구된다.

Page 19: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수상작s-space.snu.ac.kr/bitstream/10371/70038/1/04.김보석.pdf · 2020. 6. 25. ·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탈북자의 재북 사회경제적 지위와 탈북 동기 / 김보석 • 133

<참고문헌>

[국외 문헌]

Scobell, A., “Projecting Pyongyang: The Future of North Korea’s Kim Jong Il

Regime”, (http://www.strategicstudiesinstitute.army.mil/pubs/display. cfm?pubID

= 844)

Crockatt, R., “The End of the Cold War”, J. Baylis & S. Smith, eds., The

Globalization of World Politics, 1997.

[국내 문헌]

곽해룡, �북한이주탈주민 황과 문제�, 한국학술정보, 2005.

김문수, 「 탈북에서 입국까지 : 탈북자입국지원 련 법률개정 자료집」 , 2004.

오인혜, 「 탈북자의 고향의식과 그 변화」 , 서울 학교 학원, 2007.

정경환 편, � 북한인권문제의 실체 해부� , 이경출 사, 2006.

통일연구원, � 북한인권백서� , 2009.

통일부 북한자료센터

(https://unibook.unikorea.go.kr/new2/dataroom/sub_07.jsp?kind=read&str_aid

=968&str_c_page=2)

한국통일 략학회 편, � 탈북자문제의 실체 해부� , 이경출 사, 2006.

KBS 남북교류 력기획단, � 탈북자문제의 이해� , 2003.

[인터뷰 자료]

탈북자 S씨와의 인터뷰(2009.11.13)

탈북자 C씨와의 인터뷰(2009.11.15)

탈북자 K씨와의 인터뷰(2009.11.15)

Page 20: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수상작s-space.snu.ac.kr/bitstream/10371/70038/1/04.김보석.pdf · 2020. 6. 25. ·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134

※ 부록 : 기존 통계자료 예시

시1>

구 분 무직부양 노동자 관리직 전문직 예술체육 봉사분야군인 및

공작원계

계(명) 7,102 6,206 356 336 150 586 535 15,271

비율(%) 47 40 2 2 1 4 4 100

<표 4> 탈북자의 재북 직업별 유형(’09.1 현재)

출처: 통일부 북한자료센터(https://unibook.unikorea.go.kr/new2/dataroom/sub_07.jsp?kind=

read&str_aid =968&str_c_page=2)

검색일 2010. 3. 7.

시2>

구분 함경북도 함경남도 평안도양강도

자강도강원도 황해도 평양

기타

(중국출생)계

’00 176 39 34 14 13 15 20 1 312

’01 380 83 43 30 15 17 11 4 583

’02 755 121 95 51 26 39 43 9 1,139

’03 921 150 82 33 25 31 28 11 1,281

’04.6 554 96 21 32 15 7 34 1 760

계 2,786 489 275 160 94 109 136 26 4,075

<표 5> 국내 탈북자의 출신지역 분포 - 탈북에서 입국까지

출처: 탈북자입국지원 련 법률개정 자료집 - 국회의원 김문수, 2004. 13쪽

Page 21: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수상작s-space.snu.ac.kr/bitstream/10371/70038/1/04.김보석.pdf · 2020. 6. 25. ·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탈북자의 재북 사회경제적 지위와 탈북 동기 / 김보석 • 135

심사평

김 보 석 (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계열)

탈북자의 재북 사회경제적 지위와 탈북 동기

- 탈북자와의 심층 인터뷰를 바탕으로

김보석의 리포트는 새터민들의 탈북동기를 재북 계층에 따라 분석한 이다. 이

은 새터민들을 어렵게 인터뷰하여 새로운 방향의 근 연구를 시도했다는 만

으로도 연구자 열정을 충분히 높이 살만하다.

이 은 다음과 같은 에서 내용면에서도 우수성을 갖추었다고 평가된다. 체

으로 조사연구로서의 형식 분석법, 자료 활용의 함, 문제의식 등이 두루 돋

보인다. 좀 더 구체 으로 말하자면, 먼 1. 문제제기에서 탈북자 문제의 황을

압축 으로 잘 정리하고 기존 연구와는 다르게 어떤 연구가 필요한지를 밝히면서

자신의 이 갖고 있는 독창성과 기여를 잘 말하고 있다.

이런 들은 필자가 신입생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여러모로 칭찬해 주어도 부족

하다고 생각한다. 다만 필자의 기량이 한껏 발 해 가길 바라는 입장에서 몇 가지

지 하면 다음과 같다.

먼 탈북 동기를 통계자료를 통해 미리 범주화하고 이 범주를 인터뷰 사례에 그

로 용하는 과정에서 결론의 도출과정이 자의 ․도식 이라는 비 을 받을 소지는

있다.

기본 으로 이 에서 수행하고 있는 연구의 주제는 양 방법론이 심이 되지

않으면 신뢰할만한 결론을 이끌어내기 어렵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필자는 탈북자의

재북 사회경제 지 에 해서는 매우 다양한 층 의 분석이 되어 있으나, 북한에

서의 출신 성분과 탈북 이유가 연계되어 분석된 은 없다고 밝히고 있다. 기존의

Page 22: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수상작s-space.snu.ac.kr/bitstream/10371/70038/1/04.김보석.pdf · 2020. 6. 25. · 제11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장려상

136

데이터를 조작하면 필자가 의도하는 바의 양 분석도 가능할 것 같은 생각이 드는데,

과연 어떤지 궁 하다.

양 분석이 재 필자의 여건으로 불가능하다고 하면 그런 사정을 밝히고 연구의

한계를 미리 시해 두는 것이 좋다. 단 세 개의 인터뷰로는 사례가 무 어 일반화

에 문제가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보통 이런 수 의 인터뷰는 양 방법의 보

조 사례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 인데, 필자는 오직 인터뷰 자료에만 의존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최 한 극복하기 해서는 질 연구방법이 정교하게 들어가야

하는데, 이 부분에 해서까지는 여력이 안 될 수밖에 없으리라고 생각된다. 결론

에서도 연구의 한계와 향후 과제들을 잘 시해 주어야 하는데, 그에 한 문제인

식이 약했기 때문에 추상 으로만 의례 언 을 하고 넘어 갔다.

이상에서 지 한 사항들을 개선하기 해서는 향후에 연구방법론을 좀 더 체계

으로 공부하고 이를 용하는 훈련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심사자가 보

기에 필자는 연구자로서의 열성, 탐구욕, 문제의식 등 잠재 자질이 우수하다고

단되므로 열심히 정진하길 기 해마지 않는다.

고 원(상지 학교 민주사회정책 연구원 연구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