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기 지역사회보장계획 2019년도 연차별 시행계획 · - 사업목표:...

267

Upload: others

Post on 01-Aug-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제4기 지역사회보장계획 2019년도 연차별 시행계획

    제4기 지역사회보장계획

    2019년도 연차별 시행계획

    발간등록번호

    56-6300000-000277-10

  • 제 출 문

    대전광역시 제4기 지역사회보장계획의 2019년도 연차별

    시행계획을 제출합니다.

    2019. 02

    대전광역시장

    허태정

    보건복지부장관 귀하

  • 목 차 (C/O/N/T/E/N/T/S)

    1. 2019년도 연차별 시행계획의 개요 ……………………………………………………………… 1

    가. 연차별 시행계획의 특징 및 방향 ……………………………………………………………… 3

    1) 19년도 연차별 시행계획 중점 추진 사항 ………………………………………………… 3

    2)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시행-평가 관련 19년 개선 계획 ……………………………… 8

    3) 지자체의 현안과제 해결을 위한 계획의 방향 ……………………………………………… 9

    나. 2019년도 연차별 시행계획 수립 시 검토 사항 …………………………………………… 11

    1) 지역사회보장 여건(수요 및 공급) 변화 ………………………………………………… 11

    2) 상위계획(사회보장기본계획)과의 연계성 ……………………………………………… 28

    3) 그 밖의 연차별 시행계획 수립을 위한 고려사항 ……………………………………… 33

    다. 연차별 시행계획의 체계 …………………………………………………………………… 37

    라. 분야별 추진전략, 중점 추진사업, 세부사업 ……………………………………………… 38

    마. 2019년도 연차별 시행계획 변경 내용(당초 제4기 지역사회보장계획 대비) ………… 41

    2. 연차별 시행계획의 세부내용 …………………………………………………………………… 42

    1) 세부사업 1-1 다함께 돌봄센터 운영 ……………………………………………………… 45

    2) 세부사업 1-2 보육공공성 강화하는 공공어린이집 확충 ………………………………… 47

    3) 세부사업 1-3 대전형 돌봄서비스 모델 개발을 통한 돌봄친화도시 구현 ……………… 49

    4) 세부사업 1-4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활성화 사업 ………………………………………… 51

    5) 세부사업 1-5 장애인활동지원 확대 ……………………………………………………… 53

    6) 세부사업 1-6 재가노인복지지원서비스센터 운영 ………………………………………… 56

    7) 세부사업 1-7 방학 중 중식지원 …………………………………………………………… 58

    8) 세부사업 1-8 지역아동센터 급식종사자 지원 …………………………………………… 60

    9) 세부사업 1-9 보편적 보육복지 위한 3~5세 무상보육 …………………………………… 62

    10) 세부사업 1-10 민간사례관리지원단 보라미 운영 ……………………………………… 64

    11) 세부사업 1-11 나눔문화 확산을 위한 복지만두레 운영 ……………………………… 66

    12) 세부사업 1-12 장애인 권익옹호 ………………………………………………………… 68

    13) 세부사업 1-13 장애인가족지원센터 운영 ……………………………………………… 71

    14) 세부사업 1-14 여성장애인 가사도우미 운영 …………………………………………… 73

    15) 세부사업 1-1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지원 ……………………………………………… 75

  • 16) 세부사업 1-16 장애아동 재활지원센터 운영 …………………………………………… 77

    17) 세부사업 1-17 발달장애인 자립생활 지원 ……………………………………………… 79

    18) 세부사업 2-1 대전의료원 설립 …………………………………………………………… 82

    19) 세부사업 2-2 가족 안심 시립 치매요양원 건립 ………………………………………… 84

    20) 세부사업 2-3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건립·운영 ………………………………………… 86

    21) 세부사업 2-4 산모와 아이가 행복한 공공 산후조리 지원 ……………………………… 88

    22) 세부사업 2-5 미세먼지 피해 최소화 사업 ……………………………………………… 90

    23) 세부사업 2-6 여성긴급전화 1366센터 운영 지원 ……………………………………… 92

    24) 세부사업 2-7 학대피해아동쉼터 지원 …………………………………………………… 94

    25) 세부사업 2-8 아동인권보호관 활동 지원 ……………………………………………… 96

    26) 세부사업 2-9 아동보호전문기관 운영 지원 ……………………………………………… 98

    27) 세부사업 2-10 희망무료진료소 운영 지원 ………………………………………………100

    28) 세부사업 2-11 노인 생명존중 및 정신건강중진 프로그램 운영 …………………… 102

    29) 세부사업 2-12 소아중증장애인 낮 병동 설치 ……………………………………………104

    30) 세부사업 2-13 장애인산부인과 병원 지정·운영 ………………………………………106

    31) 세부사업 2-14 정신건강증진 실무자 역량강화 …………………………………………108

    32) 세부사업 2-15 환경교육센터 설치·운영 …………………………………………………110

    33) 세부사업 3-1 청년취업 희망카드 …………………………………………………………112

    34) 세부사업 3-2 사회서비스원 설립 …………………………………………………………114

    35) 세부사업 3-3 저소득주민 자활사업 활성화 …………………………………………… 116

    36) 세부사업 3-4 중장년 은퇴자를 위한 새로시작재단 설립 ………………………………118

    37) 세부사업 3-5 저소득장애인 자립지원 확대 ………………………………………………120

    38) 세부사업 3-6 금융소외계층 지원 …………………………………………………………122

    39) 세부사업 3-7 자영업 근로자 대상 ‘대전형 유급병가제도’ ……………………………124

    40) 세부사업 3-8 공공근로사업 ………………………………………………………………126

    41) 세부사업 3-9 사회적기업 이차보전금 지원 ………………………………………………128

    42) 세부사업 3-10 두드림(DO Dream) 일자리 사업 ………………………………………130

    43) 세부사업 3-11 청년 주택임차보증금 이자지원 …………………………………………132

    44) 세부사업 3-12 출산부담 경감을 위한 출산장려금 증액 ………………………………134

  • 목 차 (C/O/N/T/E/N/T/S)

    45) 세부사업 3-13 발달장애인 직무지도요원 배치 ……………………………………… 136

    46) 세부사업 3-14 맞춤형 장애인 직업훈련 프로그램 운영 ………………………………138

    47) 세부사업 3-15 실버청결도우미 사업 ……………………………………………………140

    48) 세부사업 3-16 도시재생 뉴딜사업 ………………………………………………………142

    49) 세부사업 4-1 중·고등학교 신입생 교복비 무상지원 ……………………………………144

    50) 세부사업 4-2 초·중·고 전학년 무상급식 …………………………………………………146

    51) 세부사업 4-3 대전평생교육진흥원 운영 …………………………………………………148

    52) 세부사업 4-4 생활문화공동체 지원 ………………………………………………………150

    53) 세부사업 4-5 장애인 생애주기별 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 ……………………………152

    54) 세부사업 4-6 학자금대출 부담경감 지원 …………………………………………………154

    55) 세부사업 4-7 공공형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설립 ……………………………………156

    56) 세부사업 4-8 대전청소년 위캔(We Can) 센터 운영 ……………………………………158

    57) 세부사업 4-9 공공 어린이 장난감도서관 설립·운영 ……………………………………160

    58) 세부사업 4-10 어르신 문화프로그램 지원 ………………………………………………162

    59) 세부사업 4-11 생활체육 프로그램(뉴스포츠) 개발 및 보급 ……………………………163

    60) 세부사업 4-12 생활영어학습관 지원 ……………………………………………………165

    61) 세부사업 4-13 대전효문화진흥원 운영 …………………………………………………167

    62) 세부사업 4-14 장애아동 계절학기 지원 …………………………………………………169

    63) 세부사업 4-15 장애인체육관 운영 지원 …………………………………………………171

    64) 세부사업 4-16 여성가족원 운영 …………………………………………………………173

    65) 세부사업 5-1 시민공유공간 조성 …………………………………………………………175

    66) 세부사업 5-2 공동체 및 주민자치조직 역량강화 ………………………………………177

    67) 세부사업 5-3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리빙랩 시범마을’조성 …………………………179

    68) 세부사업 5-4 빈집재생으로 안전하고 활력이 넘치는 마을 조성 ………………………181

    69) 세부사업 5-5 시민참여형 미니태양광 보급 ………………………………………………183

    70) 세부사업 5-6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185

    71) 세부사업 5-7 자치구 공동체 지원센터 조성 ……………………………………………187

    72) 세부사업 5-8 마을공동체 미디어센터 운영 ………………………………………………189

    73) 세부사업 5-9 자원봉사 활성화 기반 조성 ………………………………………………191

  • 74) 세부사업 5-10 충청권 로컬푸드 네트워크 기반 먹거리 공급 …………………………193

    75) 세부사업 5-11 노후 공동주택 공용시설 지원 ……………………………………………195

    3. 연차별 시행계획의 행정·재정 지원계획 ………………………………………………………197

    가. 재정 계획 ………………………………………………………………………………… 199

    1) 재정 지원 계획 개요 ………………………………………………………………………201

    2) 세부사업 예산 투입 계획 ……………………………………………………………… 201

    나. 행정 개선 계획 ………………………………………………………………………………204

    1) 조직 개선 계획 ……………………………………………………………………………207

    2) 인력 운용-관리 개선 계획 …………………………………………………………… 200

    다. 복지자원 및 시설 확충 계획 …………………………………………………………………212

    라. 입법 추진 계획 ………………………………………………………………………………216

    마. 민관 협력 개선 계획 …………………………………………………………………………217

    4. 연차별 시행계획에 대한 모니터링 계획 ………………………………………………………221

    가. 모니터링 체계 구성 ……………………………………………………………………… 223

    나. 모니터링 계획 수립 ……………………………………………………………………… 226

    5. 2019년도 시·도 연차별 시행계획 내용(광역시·도 작성) ………………………………… 227

    가. 시·군·구 사회보장의 균형발전을 위한 과제 및 지원 계획 ………………………………229

    나. 시·군·구 연차별 시행계획의 시행결과 평가계획 …………………………………………231

    1) 추진 체계 ……………………………………………………………………………… 231

    2) 추진시기 : 2019. 3~6월 …………………………………………………………………231

    3) 평가방법 ………………………………………………………………………………… 232

    4) 평가결과 활용 방안 ………………………………………………………………………232

    다. 자치구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시행의 점검 ………………………………………………234

    [첨부자료] 지자체 사회보장분야 사업 목록 ………………………………………………………235

  • 1. 2019년도연차별 시행계획의 개요

  • 1. 2019년도 연차별 시행계획의 개요

    가. 연차별 시행계획의 특징 및 방향

    1) 2019년도 연차별 시행계획 중점 추진 사항

    (1) 민선7기 시민약속사업의 본격적인 추진

    ○ 실질적인 민선7기 원년인 2019년을 맞아 지역사회보장분야 시민약속사업을 본격

    적으로 추진

    - 보육공공성 강화하는 공공어린이집 확충(세부사업 1-2) 등 제4기 지역사회보장계

    획에 포함된 시민약속들 중 2018년 하반기 동안 추진계획 수립을 완료한 사업들을

    본격적으로 추진

    번호 사업명 2019년 추진계획

    1-2 보육공공성 강화하는 공공어린이집 확충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20개소 확충 - 사업목표: 5개년(2018~2022)에 걸쳐 100개소 확충, 이용률 40% 확대 - 사업내용: 민간어린이집 장기임차 전환 51개소, 공동주택 내 관리동 어린

    이집 전환 47개소, 신축이전 또는 기존어린이집 매입 전환 2개소 공공형 어린이집 선정: 6개소 확충 - 사업목표: 연도별 6개소씩 5년간(2018~2022) 30개소 확충 - 사업내용: 민간·가정어린이집 등 공공형으로 선정하여 재정지원: 평가인증

    A등급(또는 90점 이상), 정원충족률 80% 이상 시설

    1-4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활성화 사업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활성화를 위한 자치구(5개) 및 거점복지관(3개소) 지원 - 사업목표: 5개 자치구 지원(~2020), 거점복지관 지원(2019년 25개소,

    2020년 35개소, 2021년 효과성 검증을 거쳐 확대 여부 결정) - 사업내용: 구 위원 역량강화, 워크숍, 사업운영 컨설팅(자치구) 동 위원 역량강화, 마을복지사업 운영 지원, 마을활동지원을 전담하는 사회복지사(정규직) 인력 확보(거점복지관)

    1-5 장애인활동지원 확대

    장애인활동보조 추가지원사업: 1,535명 - 사업목표: 2022년까지 1,540명으로 확대 - 사업내용: 1급 1등급, 20~80시간 범위 내/1급의 2~4등급 및 2급, 20시간 1급 1등급: 213천원~860천원/1급의 2~4등급 및 2급: 215천원 최중증장애인 활동지원 24시간 보장 및 본인부담금 제도 개선 - 사업목표: 2022년까지 20명으로 확대 - 사업내용: 상시돌봄이 필요한 최중증 독거장애인 24시간 활동지원

    < 표 1 > 민선7기 지역사회보장분야 시민약속사업 추진계획(2019)

    - 3 -

  • 번호 사업명 2019년 추진계획

    1-9 보편적 보육복지 위한 3~5세 무상보육

    민간 등 어린이집 차액보육료 지원: 7,397명 지원 - 사업목표: 2019~2022년까지 매년 7,397명 지원 - 사업내용: 민간·가정 등 정부미지원시설 이용 누리과정 아동(만3~5세)에게

    부모부담 차액보육료 전액 지원 어린이집 급식단가 현실화 및 무상급식 운영지원: 42,000명 지원 - 사업목표: 매년(2019~2022) 42,000명 지원 - 사업내용: 만0~5세 보육아동 급간식비 추가지원(1인 1일 500~755원) 및

    어린이집별 급식조리원 인건비지원(월100~700천원)

    1-14 여성장애인 가사도우미 운영

    여성장애인을 위한 가사도우미 파견 확대: 55명(2018)→60명(2019)로 확대 - 사업목표: 60명(2019)→63명(2020)→66명(2021)→69명(2022) - 사업내용: 저소득가정의 여성장애인 및 가족 등의 지원체계가 없는 중증여

    성장애인 및 임신 및 출산 예정 또는 영유아 자녀를 둔 여성장애인, 고령의 독거 여성장애인 등 상시돌봄이 필요한 장애인에게 가사를 지원하여 장애아 양육 및 가족 휴식 제공

    2-1 대전의료원 설립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후 BLT 사업 한도액 심의절차 이행 - 사업목표: 시설사업 기본계획 수립·고시(2020)→착공(2023)→준공(2025) - 사업내용: 동구 용운동 선량마을에 300병상 규모 종합병원 건립

    2-2 가족 안심 시립 치매요양원 건립

    건립 기본계획 수립 및 행정절차 이행 - 사업목표: 개발행위 절차이행(2020)→설계 및 시공(2021)→시공(2022) - 사업내용: 충남권역(대전, 충남, 세종) 중증장애아동 거점병원 건립 - 건립규모: 60병상, 3개 과목(재활, 소아청소년, 치과) 이상 진료 - 운영방안: 충남대학교 병원 위탁

    2-3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건립·운영

    설계 완료 및 조례제정 - 사업목표: 착공(2020년), 준공(2021년), 개원 운영(2022년) - 사업내용: 충남권역(대전, 충남, 세종) 중증장애아동 거점병원 건립 - 건립규모: 60병상, 3개 과목(재활, 소아청소년, 치과) 이상 진료 - 운영방안: 충남대학교 병원 위탁

    2-4 산모와 아이가 행복한 공공 산후조리 지원

    출산가정에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서비스 확대 지원 - 사업목표: 당해 연도 출생아수의 30% 지원(2019~2022) - 사업내용: 충남권역(대전, 충남, 세종) 중증장애아동 거점병원 건립 - 건립규모: 60병상, 3개 과목(재활, 소아청소년, 치과) 이상 진료 - 운영방안: 충남대학교 병원 위탁

    2-5 미세먼지 피해 최소화 사업 고농도 미세먼지 대응 매뉴얼 전파 - 사업목표: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매뉴얼 전파(매년) - 사업내용: 취약계층에 대한 고농도 미세먼지 상황전파 및 신속대응체계 구축

    2-13 장애인산부인과 병원 지정·운영 장애인산부인과 병원 공모 및 지정: 1개소(지정 시 지원금 지급) - 사업목표: 지정된 병원 1개소를 지속 운영(2020년부터 자체 예산) - 사업내용: 산부인과 병원 중 인력 및 시설기준 충족하는 의료기관 1개소를 지정

    - 4 -

  • 번호 사업명 2019년 추진계획

    하여 의료장비 구입,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의료진 대상 장애이해 교육 실시

    3-5 저소득 장애인 자립지원 확대

    장애인연금 추가지원: 4,100명(2018년과 동일) - 사업목표: 2022년까지 4,190명으로 확대 - 사업내용: 생계, 의료급여 수급자 중 장애인연금 대상자에게 월 2만원 추가지원 중증장애 아동수당 시 추가지원: 355명 지원(신규) - 사업목표: 2022년까지 367명으로 확대 - 사업내용: 만 18세 미만 기초·차상위 중증장애인(1~2급)에 월 2만원 추가지원

    3-6 금융소외계층 지원 마이크로크레딧 은행 설림 준비: 운영기관 선정 및 재원 마련 - 사업목표: 금융복지상담 및 은행 운영(2020~) - 사업내용: 인생 금융설계를 위한 금융복지상담사 배치, 무담보·무보중·무이자

    “마이크로크레딧” 은행 설립 및 100만원 내 소액대출

    3-12 출산부담 경감을 위한 출산장려금 지원

    출산과 관련된 부담 경감을 위한 지원금 지원: 10.900명 지원 - 사업목표: 매년 출산장려금 10% 증액(2019~2022) - 사업내용: 첫째아 출산장려지원금(300천원/1회) 둘째아 출산장려지원금(300천원→600천원/1회) 셋째아 출산장려지원금(500천원→1,000천원/1회)

    4-1 중·고등학교 신입생 교복비 무상지원 중·고등학교 신입생 교복비 지원: 28,512명 - 사업목표: 매년 중·고등학교 신입생 교복비 지원(2019~2022) - 사업내용: 신입생 동복 및 하복 지원

    4-2 초·중·고 전학년 무상급식 급식지원을 고등학교까지 확대: 129,194명(2018)→172,634명(2019) - 사업목표: 매년 초·중·고 전학년 급식비 지원(2019~2022) - 사업내용: 교육청에 급식비 예산 지원(자치구 및 교육청과 분담)

    4-5 장애인 생애주기별 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지원: 6개소 - 사업목표: 6개소(2019)→10개소(2020) - 사업내용: 프로그램 공모 학교형태의 평생학습시설 지원: 1개소

    4-9 공공 어린이 장난감도서관 설립·운영 설계용역 및 리모델링: 1개소 - 사업목표: 1개소 운영(2019), 2개소 운영(2020~) - 사업내용: 육아종합지원센터 + 장난감도서관 운영(자치구 거점형 설치 및

    기존 시 센터 기능보강을 통해 2개소 운영)

    5-1 시민공유공간 조성

    시민공유공간 확충: 5개소(2018)→10개소(2019) - 사업목표: 10개소(2019), 30개소(2020), 30개소(2021), 25개소(2022) - 사업내용: 시민공유공간 확보 및 제공(연차별 공모 및 심사 선정), 공유공간 관리부서 지정 및 위탁(구별 중간지원조직 구성 및 위탁 시설·공간 소유주 등과 개방·공유, 사후관리 관련 협약 체결 등

    5-3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리빙랩 시범마을」 조성

    시범마을에 대한 지원 확대: 56백만원(4개소, 2018)→450백만원(3개소, 2019) - 사업목표: 2022년까지 10개 마을 완료(2019년 3개소, 2020년 3개소,

    2021년 2개소, 2022년 2개소) - 사업내용: 도시재생 뉴딜사업, 스마트시티 구현, 친환경에너지 보급, 아동

    - 5 -

  • (2) 중장기 사업을 위한 청사진 마련

    ○ 민선7기는 물론 향후 대전복지의 지형을 결정할 중장기 사업을 시민과 함께 설계

    - 시민과 현장의 의견을 좀 더 적극적으로 수렴해 사업계획을 세워야 하는 사업들은

    전문연구기관에 연구를 의뢰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심도 깊은 분석을 실시한 후

    2020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 예정

    번호 사업명 2019년 추진계획

    돌봄 등 공동체 문제해결을 시민들이 주도하고 시는 이를 지원

    5-4 빈집재생으로 안전하고 활력이 넘치는 마을조성

    빈집재생 활성화를 위한 지원 - 사업목표: 사업 시행기관인 자치구를 적극 지원 - 사업내용: 실태조사 및 빈집정보시스템 구축·운영, 빈집정비 활성화를 위한

    사업비 지원 근거 마련(조례 제정) 등

    5-5 시민참여형 미니태양광 보급 미니태양광 보급 지원 및 시민참여 유도: 2,450가구 - 사업목표: 미니태양광 2만호 보급(2022년까지) - 사업내용: 시민참여유도 및 보조금 지원(60%), 국비지원 확보 및 설치확대를

    위한 홍보 및 주민설명회 개최

    5-6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실시: 8개동 - 사업목표: 2020년까지 8개소 운영 후 추진성과 바탕으로 단계적 확대 - 사업내용: 사업추진 전담팀 구성, 전담공무원 배치, 주민자치회 조례 제·개정

    (2018.10~12)→동장 직위공모제 운영, 동 자치지원관 운영, 주민자치회 구성(2019. 1~3)→주민자치회 운영(2019.4~)

    5-7 자치구 공동체 지원센터 조성 자치구 공동체 지원센터 운영: 2개소 - 사업목표: 2020년까지 3개소 운영 후 추진성과 바탕으로 단계적 확대 - 사업내용: 주민수요 및 여건 파악 후 자치구별로 수요에 맞는 공간 조성 및

    센터 운영

    5-10 충청권 로컬푸드 네트워크 기반 먹거리 공급

    대전과 인근 충청지역 간 로컬푸드 네트워크 구축 및 먹거리 공급 사업 추진 - 사업목표: 2020년까지 매년 190명 참여 - 사업내용: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에게 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건강식 공급 제철 식재료를 활용한 밥상공동체인 마을밥상 시범사업 추진

    - 6 -

  • 번호 사업명 연구 추진계획

    1-3 대전형 돌봄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한 돌봄친화도시 구현

    연구목적 : 저출산, 고령화 가속화에 따른 돌봄 수요 증가 및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통합 돌봄(커뮤니티케어)’ 추진과 더불어 우리시 실정에 맞는 돌봄 모델 개발

    추진방법: 대전복지재단 연구과제 의뢰 연구내용: 지역 내 돌봄 관련 사회복지자원 연계 및 확충방안 등 종합적 연구용

    역을 통한 대전형 모델 마련 - 대전시 분야별 돌봄 추진현황 및 복지수요 분석 - 자치구 지원방안 마련 추진일정: 용역실시 및 결과보고(2019년)→개발된 모델 기반 커뮤니티케어 추

    진(2020년부터)

    3-2 사회서비스원 설립

    연구목적 : 사회서비스의 공공성과 책임성 강화를 위한 「사회서비스원」설립을 위한 추진계획 수립 및 우리시 설립방안 조사연구

    추진방법: 대전세종연구원에 연구과제로 의뢰 연구내용: 설립추진위원회 구성․운영 및 공청회 개최 등, 설립추진위원회 관계

    기관·단체·종사자·전문가·학계 등 참여, 간담회·공청회 등 다양한 의견 수렴 등 추진일정: 연구용역 실시 및 결과보고(2019년)→추진위원회 구성·운영, 기본

    계획 수립, 공청회 등 의견수렴(2020), 1개소 설립 및 운영(2021~)

    3-4 중장년 은퇴자를 위한 새로시작재단 설립

    연구목적 : 중장년 인생설계 및 인생이모작 지원을 위한 새로시작재단 설립방안 도출 추진방법: 연구용역 연구내용: 설립추진위원회 구성․운영 및 공청회 개최 등, 설립추진위원회 관계

    기관·단체·종사자·전문가·학계 등 참여, 간담회·공청회 등 다양한 의견 수렴 등 추진일정: 연구용역 실시 및 시민 의견 수렴(2019)→조례·정관 제정, 재단 설

    립→재단 운영(2021~)

    3-7 자영업 근로자 대상 대전형 유급병가제도

    연구목적 : 대전형 유급병가제 도입 및 모형 개발 추진방법: 대전세종연구원에 연구용역(2018) 후 전문기관 의견을 반영, 중앙부

    처 협의 및 타 사업과의 연계지원 방안 마련 및 관련조례 개정 연구내용: 자영업 근로자들이 입원치료를 받을 때 생활자금을 지원하는 대전형

    유급병가제의 설계 및 세부모형 개발 추진일정: 연구용역 및 의견수렴(2018~2019), 사업 본격 시행(2020~)

    4-7 공공형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설립

    연구목적: 여러 상황으로 학습기회를 놓친 시민들에게 공정한 교육기회 제공 및 학습권 보장을 위한 공공형 평생교육시설 설립계획 수립

    추진방법: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연구용역 연구내용: 학교 형태의 학력인정 평생교육 설립을 위한 수요예측 및 시설 규모

    도출을 위한 설립 타당성 조사 추진일정: 연구용역(2018),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본계획 수립(2019)

    < 표 2 > 중장기 사업계획 마련을 위한 연구 및 의견수렴 계획(2019)

    - 7 -

  • 2)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시행-평가 관련 2019년 개선 계획

    (1) 제4기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주체들의 지속적 참여

    ○ 제4기 계획수립 TF 및 시민모니터링단 중심으로 모니터링 체계 구성

    -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 주무부서인 복지정책과장과 대전광역시 사회보장위원회

    위원장이 공동팀장을 맡음

    - 공공부문에서는 중점추진사업 및 세부사업 참여도가 높은 부서의 주무팀장 중심으

    로 참여

    - 민간부문에서는 제4기 지역사회보장계획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시민의 눈높이에

    서 운영 점검 및 평가를 할 수 있는 제4기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을 위한 시민모니

    터링단이 지속적으로 참여

    [ 그림 1 ] 대전광역시 지역사회보장계획 모니터링 체계

    - 8 -

  • (2) 모니터링을 위한 민관협력 강화

    ○ 지역사회보장계획 시민모니터링단의 지속적 운영

    - 목적: 제4기 계획 기간 중의 연차별 시행계획 수립을 위한 의견수렴 및 시행결과 모

    니터링

    - 역할: 연차별 시행결과에 대한 모니터링을 바탕으로 지역사회보장계획 시행체계 및

    사업내용에 대한 의견 개진, 신설·변경 사업에 대한 아이디어 도출

    - 구성: 제4기 계획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제4기 지역사회보장계획 시민모니터링단을

    중심으로 구성

    - 운영: 연차별 계획수립 및 평가를 위한 전체회의 및 분과회의 등

    3) 지자체의 현안과제 해결을 위한 계획의 방향

    (1) 현안과제

    ○ 범정부 차원의 포용적 복지국가 정책에 발맞춤

    - 시설과 병원 중심 복지를 벗어나, 지역 안에서 시민의 힘으로 서로를 돌보는 커뮤니티

    케어 정책에 발맞추어 지역사회의 포용을 확대하기 위한 지역돌봄 인프라 구축 및

    지역 내 돌봄서비스 확충

    ○ 대전시민복지기준 목표 달성 및 6대 광역시 비교 지표 수준이 떨어지는 분야에

    대한 보완

    - 대전시민복지기준 설정에 의해 지역사회복지계획에 포함된 사업들의 양적·질적 목표

    달성을 촉진하여 전 영역에 걸쳐 적정기준 조기 달성 추진

    - 특히 6대 광역시와 비교해 달성수준이 떨어지는 지표 확인 및 개선방안 도출

    ○ 민선 7기 시정 방향 및 시민약속사업과의 결합

    - ‘시민의 정부’를 지향하는 민선 7기 시정 방향에 부응해 사회보장사업의 전 영역에

    걸쳐 민관협력을 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동체성 회복을 통한 지역돌봄 활성화를

    지향

    - 민선7기 시민약속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지역사회보장계획과의 연계성 강화

    ○ 선제적 대응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선별

    - 인구구조의 변화(초고령 사회의 도래, 1인가구의 급속한 증가 등)와 이에 대비하기

    위한 사회서비스 공공성 강화 및 지역사회 돌봄 확대 등 타 시도에 비해 당장은 심

    - 9 -

  • 각한 상황이 아니라 해도 머지않은 미래에 필연적으로 다가올 변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한 영역을 확인하고 전략을 마련

    ○ 구별 특성 반영 및 격차 완화

    - 시 승격 70주년, 광역시 승격 30주년을 맞는 대전시의 성장 및 확대과정에서 누적

    된 5개 자치구 간 복지수준의 격차를 완화하기 위한 지원계획 수립

    - 인구구조(유년부양비, 노년부양비 등), 산업여건(제조업 밀집지역, 관공서 또는 연

    구시설 밀집지역 등), 주택현황(공동주택 밀집지역, 단독주택 밀집지역 등) 등 지

    역 내 복지수요 및 자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방안 마련

    ○ 분야별 고려 사항

    - 급증하는 돌봄수요 대응을 위한 커뮤니티 케어의 적극적 추진

    고령화에 따른 의료 및 돌봄서비스 수요의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사회서비스 확충

    좀 더 많은 시민들이 자신이 살던 곳에서 꼭 필요한 서비스를 누리며 살 수 있도록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활성화 등을 통해 마을의 돌봄역량을 강화

    - 저출산 현상을 극복을 위한 양육 친화적 환경 마련

    전국적으로도 가장 큰 사회적 이슈인 저출산 현상 극복을 위한 사업의 확대

    공공어린이집 확충을 통해 보육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출산장려금 증액과 민간어린

    이집 차액보육료 지원 등을 통해 양육부담을 감소하는 등 양육 친화적 환경 마련

    - 사회적 취약계층이 더불어 살 수 있는 여건 조성

    저소득 아동, 한부모 가정, 학대피해 아동, 학교밖 청소년 등 요보호 아동 및 청소

    년과 발달장애인, 중증장애인 등 장애인, 저소득 노인 및 돌봄서비스가 필요한 노인

    등 사회적 취약계층을 지역사회에서 포용하기 위한 서비스의 확충

    - 인생이모작 시대에 대한 선제적 대응

    평균수명 증가와 조기은퇴 등으로 인해 길어진 노후에 대비하기 위해 중장년층

    평생교육 및 자원봉사 등 사회참여 프로그램 확대

    중장년층의 경험과 역량을 활용한 마을공동체 활성화 및 돌봄서비스 확충

    - 의(醫), 식(息), 주(住) 등 기본 욕구 충족을 위한 여건 마련 및 지원

    의료의 공공성 확대, 문화·여가 향유의 기회 확충과 여건 마련, 취약계층 및 주거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기초 주거 환경 확보를 위한 지원 확대

    - 10 -

  • (2) 계획의 방향

    ○ 민선7기 전략목표 및 지역의 복지수요를 반영하여 도출된 5개 추진전략을

    중심으로 계획 수립

    [ 그림 2 ] 대전광역시 민선7기 5대 전략목표와 추진전략 연계도

    나. 2019년도 연차별 시행계획 수립 시 검토 사항

    1) 지역사회보장 여건(수요 및 공급) 변화

    (1) 주요 사회지표

    ○ 대전광역시 및 자치구별 인구변화

    - 복지수요 분석에서 가장 일차적으로 고려할 것은 인구 변동으로 특히, 저출산 현상과

    고령화에 따른 인구 증감을 눈여겨보아야 함

    - 대전광역시의 전체 인구는 2013년 153만여 명을 정점으로 감소세로 돌아서 2015년

    151만 명, 2017년 150만 명, 2018년에는 149만 명대로 떨어졌음

    - 자치구별로는 유성구를 제외한 4개구에서 모두 인구 감소를 보이며, 특히 대덕구의

    인구 감소가 가장 큼

    - 11 -

  • 구분 2015년 인구 수 2017년 인구 수 2018년 인구수 2015-2017 인구증감률

    대전 1,518,775 1,502,227 1,494,878 -1.08동구 239,579 230,516 228,034 -3.78중구 256,186 248,933 246,755 -2.83서구 490,859 487,448 487,503 -0.69

    유성구 335,312 348,428 347,913 3.91대덕구 196,839 186,902 184,673 -5.05

    자료: 2018.6월 주민등록인구현황

    < 표 3 > 대전광역시 및 자치구별 인구변화

    (단위: 명, %)

    (2) 주요 복지 지표

    ○ 인구구조의 변화

    - 출생아 수는 2012년 15,279명에서 2017년 10,851명으로 꾸준히 줄고 있고, 노인

    인구 수는 2012년 139,864명에서 2017년 176,429명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음

    ○ 수급자수의 변화

    -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수는 2012년 41,819명에서 2017년 52,311명, 기초연금수급

    자 수는 2012년 92,140명에서 2017년 116,131명, 장애인연금수급자 수는 2012

    년 8,558명에서 2017년 10,277명으로 증가하였음

    구분 2012년 2016년 2017년

    출생아 수 15,279 12,436 10,851노인인구 수 139,864 167,956 176,429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수 41,819 51,440 52,311기초연금수급자 수 92,140 108,686 116,131

    장애인연금수급자 수 8,558 9,985 10,277자료: 대전광역시, 민선7기 4년 복지정책 방향 시정 브리핑 자료(18.9.17)

    < 표 4 > 대전광역시 주요 복지 지표

    (단위: 명)

    ○ 인구부양비

    - 유년인구와 노년인구를 기준으로 6대 광역시를 비교하면, 대전광역시는 유년부양

    비의 경우 광주, 울산에 이어 세 번째로 높고, 노년부양비는 낮은 편임

    - 12 -

  • 구분인구 인구부양비

    노령화지수유년인구 (0~14세)

    생산가능인구 (15~64세)

    노인인구(65세 이상) 유년부양비 노년부양비 총부양비

    서울 1,119,266 7,378,259 1,359,901 15.2 18.4 33.6 121.5부산 391,988 2,513,138 565,527 15.6 22.5 38.1 144.3대구 314,017 1,813,755 347,459 17.3 19.2 36.5 110.6인천 394,966 2,208,552 345,024 17.9 15.6 33.5 87.4광주 213,935 1,068,973 180,862 20.0 16.9 36.9 84.5대전 209,595 1,111,965 180,667 18.8 16.2 35.1 86.2울산 168,032 880,467 116,633 19.1 13.2 32.3 69.4세종 57,865 195,384 26,851 29.6 13.7 43.4 46.4

    자료: 주민등록인구현황(국가통계포털 kosis.kr). 2017년 기준.

    주1) 유년부양비=유년인구/생산가능인구×100

    2) 노년부양비=노인인구/생산가능인구×100

    3) 총부양비=유년부양비+노년부양비

    4) 노령화지수=노인인구/유년인구×100

    < 표 5 > 특·광역시 인구부양비

    (단위: 명)

    ○ 자치구별 인구부양비

    - 노년부양비는 중구, 동구가 높고, 유년부양비는 유성구, 서구가 높음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유년 부양비

    노년 부양비

    총 부양비

    노령화지수

    유년 부양비

    노년 부양비

    총 부양비

    노령화지수

    유년 부양비

    노년 부양비

    총 부양비

    노령화지수

    대전 19.9 14.7 34.6 73.7 19.3 15.2 34.6 78.8 18.8 16.2 35.1 86.2동구 18.4 20.3 38.6 110.1 17.8 21.2 39.0 118.8 17.3 22.6 39.9 130.8중구 18.3 20.3 38.6 110.6 17.8 21.2 38.9 119.1 17.1 22.7 39.8 132.2서구 19.4 12.6 32.0 65.2 19.0 13.2 32.2 69.7 18.6 14.1 32.7 75.8

    유성구 24.2 9.6 33.8 39.9 23.3 9.9 33.2 42.4 22.7 10.5 33.1 46.2대덕구 17.8 14.7 32.5 83.0 17.0 15.7 32.7 92.3 16.4 17.0 33.4 103.9

    자료: 주민등록인구현황(국가통계포털 kosis.kr)

    주1) 유년부양비=유년인구/생산가능인구×100

    2) 노년부양비=노인인구/생산가능인구×100

    3) 총부양비=유년부양비+노년부양비

    4) 노령화지수=노인인구/유년인구×100

    < 표 6 > 대전광역시 인구부양비

    - 13 -

  • ○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현황

    - 2018년 8월 기준 52,065명, 36,084가구임. 일반수급자가 40,713명 28,869가구이

    고, 시설수급자는 3,008명임

    구분총수급자 일반수급자 특례 수급자 시설 수급자 조건부 수급자 기타 수급자

    가구 수급자 가구 수급자 가구 수급자 가구 수급자 가구 수급자 가구 수급자

    2016.12. 35,779 54,490 28,878 43,189 820 1,349 3,050 3,050 3,023 6,894 8 82017.12. 35,566 52,357 28,697 41,224 398 616 3,022 3,022 3,440 7,483 9 122018. 8. 36,084 52,065 28,869 40,713 409 577 3,008 3,008 3,788 7,754 10 13

    동구 9,374 13,005 7,723 10,507 161 208 635 635 855 1,655 - -중구 7,401 10,742 6,020 8,391 73 113 385 385 922 1,851 1 2서구 9,390 14,013 7,107 10,125 86 134 872 872 1,317 2,874 8 8

    유성구 4,030 5,843 3,169 4,682 34 44 514 514 312 600 1 3대덕구 5,889 8,462 4,850 7,008 55 78 602 602 382 774 - -

    자료: 사회보장통계(복지로 bokjiro.go.kr)

    주) 자치구별 수급자 현황은 2018년 8월 기준.

    < 표 7 > 대전광역시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현황

    (단위: 가구, 명)

    ○ 등록장애인 현황

    - 2017년 기준 72,180명으로 장애인인구비율은 4.8%임

    - 자치구별로 볼 때 동구, 대덕구, 중구 순으로 장애인 인구비율이 높음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전체인구장애인 인구

    장애인 인구비율

    전체인구장애인 인구

    장애인 인구비율

    전체인구장애인 인구

    장애인 인구비율

    계 1,518,775 70,890 4.7 1,514,370 71,425 4.7 1,502,227 72,180 4.80동구 239,579 14,520 6.1 234,959 14,451 6.2 230,516 14,526 6.30중구 256,186 13,798 5.4 252,490 13,831 5.5 248,933 14,047 5.64서구 490,859 20,457 4.2 491,011 20,738 4.2 487,448 20,859 4.28

    유성구 335,312 11,211 3.3 343,222 11,525 3.4 348,428 11,835 3.40대덕구 196,839 10,904 5.5 192,688 10,880 5.6 186,902 10,913 5.84

    자료: 등록장애인 현황(국가통계포털 kosis.kr), 대전의 통계(daejeon.go.kr/sta/index.do)

    < 표 8 > 대전광역시 장애인 등록 현황

    (단위: 명, %)

    - 14 -

  • (3) 대전광역시 지역사회보장 조사 주요 결과

    ○ 조사개요

    - 조사목적: 제4기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에 초점을 둠

    - 조사기간: 2018.5.11.~5.31.

    - 조사대상: 자치구별 400가구씩 총 2,000가구(일반 1,000가구, 아동 500가구, 노인

    500가구)

    - 조사방법: 일대일 방문 면접조사(전국 공통 조사표와 조사지침에 의함)

    - 조사주체: 대전광역시(대전복지재단에 의뢰)

    - 조사내용: 가구 일반 상황, 사회보장 관련 욕구, 생활 여건 및 지역사회 인식, 아동

    가구 및 노인가구 추가 문항, 대전광역시 추가 문항(영역별 우선 순위)

    ○ 조사대상자의 일반 현황

    - 가구주의 성별: 남성 76.3%(1,525명), 여성 23.7%(474명)

    - 가구주의 평균 연령: 55.9세

    - 가구 당 평균 가구원 수: 2.79명

    - 현재 거주 지역에서 평균 거주 기간: 약 14년 8개월

    - 아동가구(503가구) 당 평균 아동 수: 1.75명

    - 노인가구(564가구) 당 평균 노인 수: 1.47명

    - 장애인가구(233가구) 당 평균 장애인 수: 1.09명

    ○ 주요 분석 결과

    - 세부 항목별 어려움 정도(1=전혀 어렵지 않다, 6=매우 어렵다)

    장애아동 돌봄‧발달‧양육의 어려움이 3.12로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성인돌봄 중 장애인 돌봄 과정의 어려움이 2.81임

    한국장애인총연맹에서 전국 특광역시·도를 대상으로 매년 조사한 결과에서는 대

    전광역시가 장애인 복지 수준이 7년 연속 ‘우수’ 수준에 들었지만(한국장애인단

    체총연맹, 점점 벌어지는 지자체 간 장애인 교육·복지 격차, 한국장총, 376호,

    2018), 여전히 장애인 복지의 세부적인 부분에 대한 관심을 더 가질 필요가 있음

    을 보여줌

    - 15 -

  • [ 그림 3 ] 사회보장 영역 및 세부 항목별 어려움 정도

    (단위: %)

    ○ 세부 항목별 필요한 외부 지원 및 서비스 유형(1순위)

    - 대체로 종합적인 상담·정보의 제공을 요구하는 비율이 가장 높으나 성인돌봄 영역

    에서는 각 세부항목 모두 집으로 찾아오는 서비스를 요구하는 비율이 가장 높고, 신

    체적 건강 영역과 주거영역은 서비스 이용 비용 지원을 요구하는 비율이 가장 높음

    - 세부항목 중 아동돌봄의 어려움, 장애아동 돌봄·발달·양육의 어려움, 그리고 학업유

    지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서비스 이용 비용 지원을 요구하는 비율이 가장 높음

    - 전반적으로 사회보장 전 영역 및 세부항목들에 대한 정보 제공 및 안내, 의뢰 및 연

    결 등을 위한 서비스가 필요하고, 의료와 주거, 기본 생계유지, 그리고 아동 및 장애

    아동 돌봄에 따른 비용 부담을 줄여주는 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 16 -

  • 영역 세부항목종합적인 상담·정보의 제공

    서비스 이용 비용 지원

    집으로 찾아오는 서비스

    시설·기관 이용

    기타 계(명)

    아동돌봄① 아동돌봄의 어려움 29.2 32.9 14.8 22.2 0.9 100.0(216)② 아동발달‧양육의 어려움 41.3 34.8 9.7 13.5 0.6 100.0(155)③ 장애아동 돌봄‧발달‧양육의 어려움 13.3 33.3 33.3 20.0 0.0 100.0( 15)

    성인돌봄

    ① 일상생활유지의 어려움 26.0 29.8 35.8 7.9 0.5 100.0(215)② 노인 돌봄 과정의 어려움 21.7 25.6 38.9 13.3 0.6 100.0(180)③ 장애인 돌봄 과정의 어려움 20.4 20.4 42.9 16.3 0.0 100.0( 98)④ 돌봄을 담당하는 가족 당사자의 어려움 29.5 23.1 30.8 15.4 1.3 100.0(156)

    기초생활유지 및사회관계

    ① 기초생활 해결의 어려움 31.9 52.3 8.1 7.4 0.2 100.0(470)② 가족 구성원 간 관계의 어려움 46.0 31.8 13.8 8.4 0.0 100.0(239)③ 친인척‧이웃‧소속집단과의 관계형성의 어려움 51.3 24.4 13.2 10.7 0.5 100.0(197)

    보호안전 ① 가족 내 안전유지의 어려움 64.1 13.7 14.5 6.9 0.8 100.0(131)② 가족외부로부터 안전유지의 어려움 42.4 19.4 17.4 17.4 3.5 100.0(144)신체적건강

    ① 신체적 건강 문제의 어려움 32.0 35.8 22.3 9.9 0.0 100.0(494)② 신체적 건강 관리의 어려움 25.9 36.7 22.4 14.9 0.0 100.0(455)

    정신적건강

    ① 정신적 건강 문제의 어려움 54.4 23.2 14.4 8.0 0.0 100.0(263)② 정신적 건강 관리의 어려움 46.5 29.6 14.8 9.1 0.0 100.0(243)③ 약물 복용의 어려움 41.0 29.2 16.0 13.9 0.0 100.0(144)

    교육① 학교생활의 어려움 56.5 24.2 9.7 8.1 1.6 100.0( 63)② 학업유지의 어려움 37.5 40.3 4.2 15.3 2.8 100.0( 72)③ 평생교육 및 기초적인 학습의 어려움 40.2 24.7 4.6 30.3 0.3 100.0(393)

    고용 ① 취업․창업활동 및 기회 마련의 어려움 66.9 18.9 1.9 10.1 2.1 100.0(565)② 직장생활 유지의 어려움 58.1 24.6 2.6 13.1 1.6 100.0(382)

    주거 ① 주거비 부담의 어려움 35.6 55.5 2.3 6.0 0.5 100.0(564)② 주거환경 열악 관련 어려움 36.0 46.7 9.2 7.4 0.7 100.0(445)

    문화여가 ① 문화․여가 활동 관련 어려움 36.3 34.2 5.1 23.4 1.0 100.0(603)② 체육활동 관련 어려움 32.3 27.2 8.1 30.8 1.7 100.0(604)

    환경 ① 환경오염 관련 어려움 55.3 20.4 6.2 5.3 12.7 100.0(582)② 생활환경 관련 어려움 40.8 27.8 11.5 14.4 5.5 100.0(471)

    < 표 9 > 사회보장 영역 및 세부 항목별 필요한 외부 지원 및 서비스 유형(1순위)

    (단위: %(명))

    - 17 -

  • ○ 사회보장 관련 영역 욕구 우선순위(대전광역시 자체 개발 문항)

    - 사회보장 관련 영역별 욕구 우선순위를 살펴본 결과, 아동돌봄, 성인돌봄이 1순위

    로 가장 많이 꼽혔고, 그 다음이 기초생활유지 및 사회관계 영역임

    구분 1순위 2순위 3순위아동 돌봄 16.4 5.6 3.5성인 돌봄 16.4 11.0 6.8기초생활유지 및 사회관계 13.7 12.3 14.6보호·안전 9.6 11.3 11.0신체적 건강 10.9 14.9 11.3정신적 건강 3.5 5.8 7.5교육 4.2 7.8 6.1고용 6.7 8.2 7.9주거 3.8 5.9 10.1문화·여가 7.6 8.9 9.5환경 7.2 8.4 11.7

    계(명) 100.0(1,992) 100.0(1,987) 100.0(1,985)

    < 표 10 > 사회보장 관련 영역 욕구 우선순위

    (단위: %(명))

    ○ 욕구조사 분석 결과 종합

    - 아동 돌봄의 경우 아동 돌봄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서비스 이용 비용 지원이 가장 높고,

    아동발달, 양육의 어려움에 대해서 종합적인 상담·정보 제공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음

    - 장애아동의 돌봄, 발달, 양육의 어려움의 경우는 서비스 이용 비용 지원과 집으로

    찾아오는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높음

    - 성인, 장애인 돌봄 영역에서는 집으로 찾아오는 서비스가 가장 높은 비율임

    - 기초생활유지와 신체적 건강, 학업유지, 주거 관련 영역은 서비스 이용 비용 지원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음

    - 보호·안전, 문화여가, 환경 관련 영역, 그리고 학교생활의 어려움, 평생교육 및 기초

    학습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종합적인 상담·정보 제공의 요구가 가장 높음

    - 사회보장 지원 및 서비스 인지, 신청, 이용불편 경험에 대해서 대부분 서비스 정보

    - 18 -

  • 부족이 1순위로 꼽혔음

    - 장애아동 돌봄은 비용 부담을 1순위로 꼽았고, 서비스 정보 부족, 적합한 서비스 부

    재에 대한 불편함도 제기하고 있음. 돌봄 영역과 교육 영역, 그리고 주거 영역은 비

    용 부담을 1순위 꼽은 비율도 작지 않음

    - 평생교육 및 기초학습, 직장생활 유지의 어려움의 경우 적합한 서비스의 부재를 1순위로

    꼽은 비율도 낮지 않음

    - 사회보장 관련 영역 욕구 우선순위는 아동 및 성인 돌봄 영역이 가장 높고, 이어서 기초

    생활유지 및 사회관계, 신체적 건강 순이었음

    - 사회보장 관련 영역 욕구 우선순위에서 순위에 대한 가중치를 3점, 2점, 1점으로 부여하

    여 총점을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1순위는 기초생활 유지 및 사회관계이고, 2순위는 성

    인 돌봄, 3순위는 신체적 건강, 4순위는 아동 돌봄이었음

    (4) 복지 공급 및 지역 자원 현황

    ○ 일반회계 세출예산

    - 총액 증가 현황

    2018년도 대전광역시 세출예산의 총금액은 4조 141억여 원으로 제3기 대전광역

    시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수립하던 2014년도 당시의 3조 1,940억여 원에서 25.7%

    증가되었는데, 이는 3기 계획수립 시 고려되었던 2010년 대비 2014년 예산 증가

    율 12.1%보다 훨씬 높음

    - 영역별 구성

    ‘사회복지’의 비중이 38.8%로 가장 크고, 광범위의 사회보장과 겹칠 수 있는

    ‘교육’ 7.1%, ‘문화 및 관광’ 4.5%, ‘환경보호’ 1.9%, ‘보건’이 1.6%임

    - 19 -

  • 구분2014년 2018년

    증감률(%)예산 비율 예산 비율

    계 3,194,044,000 100.0 4,014,105,000 100.0 25.7일반공공행정 326,039,010 10.2 457,402,515 11.4 40.3

    공공질서 및 안전 30,304,761 0.9 199,340,420 5.0 557.8교육 286,584,590 9.0 284,743,910 7.1 46.8

    문화 및 관광 191,711,085 6.0 179,929,340 4.5 -0.6환경보호 90,319,994 2.8 75,668,217 1.9 -6.1사회복지 1,175,133,049 36.8 1,559,367,608 38.8 32.7

    보건 49,770,307 1.6 63,731,786 1.6 28.1농림해양수산 32,286,877 1.0 38,560,911 1.0 19.4산업중소기업 46,497,059 1.5 81,267,064 2.0 74.8수송 및 교통 329,396,747 10.3 357,305,806 8.9 -8.5

    국토 및 지역개발 321,844,659 10.1 312,101,093 7.8 -3.0과학기술 36,974,667 1.2 50,851,386 1.3 37.5예비비 27,018,635 0.8 36,553,460 0.9 35.3기타 250,162,560 7.8 317,281,484 7.9 26.8

    자료: 대전광역시 홈페이지_예산․재정(daejeon.go.kr)주1) 2014년 자료_2회 추경 세출예산서(일반회계, 특별회계)

    2) 2018년 자료_본 예산 세출예산서(일반회계, 특별회계)

    3) 공공질서 및 안전 예산 증감률이 높은 것은 2016년부터 소방부문 예산이 급격히 증가했기 때문임

    < 표 11 > 대전광역시 회계 세출 총괄

    (단위: 천원, %)

    ○ 분야별 예산 현황

    - 사회복지예산 분야별 비율

    사회복지와 보건만 포함하여 사회복지예산 분야별 비율을 살펴보면, ‘저소득층’

    이 25.8%로 여전히 가장 높고, ‘노인’이 24.3%, ‘보육’이 19.9%으로 2014년과 비

    교했을 때 보육과 노인의 순서가 바뀐 것을 알 수 있음

    증감률을 보면, 노인의 경우 2014년과 비교하여 2018년에는 77.9%가 증가하였

    고, 보육의 경우는 1.9%에 그침. 이는 기초연금 확대에 따라 노인 예산의 비중은

    급격히 증가하였고, 저출산의 영향으로 아동인구의 감소에 의한 영향이 큼

    고용시장 악화와 주거비용의 급격한 증가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

    층을 위한 복지예산이 포함됨에 따라 ‘아동/청소년/청년’예산은 82.5%, ‘사회복지

    일반’예산은 65.1%의 증가율을 보임

    - 20 -

  • 구분2014년 2018년

    증감률(%)예산 비율 예산 비율

    계 1,224,903,356 100.0 1,623,099,394 100.0 32.5저소득층 359,508,180 29.3 418,451,822 25.8 16.4

    노인 222,144,665 18.1 395,171,709 24.3 77.9아동/청소년/청년 57,312,045 4.7 104,608,264 6.4 82.5

    장애인 120,750,355 9.9 166,746,020 10.3 38.1여성/가족/다문화/평생교육 21,225,246 1.7 23,674,387 1.5 11.5

    보육 316,548,164 25.8 322,497,021 19.9 1.9사회복지일반 77,644,394 6.3 128,218,385 7.9 65.1

    보건 49,770,307 4.1 63,731,786 3.9 28.1자료: 대전광역시 홈페이지_예산․재정(www.daejeon.go.kr)주1) 2014년 자료_2회 추경 세출예산서(일반회계, 특별회계)

    2) 2018년 자료_본 예산 세출예산서(일반회계, 특별회계)

    3) 2014년 ‘평생교육’예산은 평생교육문화세턴 운영과 관련한 예산이 여성가족원으로 변경되면서 2018년

    에는 ‘여성/가족/다문화 예산에 포함되어 있음

    4) 2018년에는 청년 관련 항목이 새로 추가됨

    < 표 12 > 대전광역시 분야별 공공 사회복지 예산 현황(사회복지+보건)

    (단위: 천원, %)

    ○ 자치구별 예산 현황

    - 자치구별 사회복지예산 현황

    대전의 자치구별 총 예산과 사회복지예산을 살펴보면, 서구의 사회복지예산이

    3,398억여 원으로 가장 크며 동구, 중구, 유성구, 대덕구 순임

    총 예산 대비 사회복지예산비율은 중구가 59.1%로 가장 크고, 이어서 서구

    (58.1%), 동구(58.0%), 대덕구(52.8%), 유성구(49.0%) 순임

    지난 3기에는 동구가 사회복지예산비율이 가장 컸는데, 2018년 기준으로는 중구

    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1인당 사회복지예산 규모는 동구가 가장 많고, 이

    어서 대덕구, 중구, 서구, 유성구 순임

    - 21 -

  • 구분 총 예산 사회복지예산총 예산 대비

    사회복지예산 비율인구1인당

    사회복지예산(천원)

    대전 4,014,105,000 1,559,367,608 38.8 1,038.0동구 429,990,000 249,536,628 58.0 1,082.5중구 380,829,079 224,934,928 59.1 903.6서구 585,265,548 339,824,568 58.1 697.2

    유성구 447,994,354 219,708,526 49.0 630.6대덕구 356,871,000 188,340,412 52.8 1,007.7

    자료: 지방재정365 홈페이지_우리지역 예산서(lofin.mois.go.kr)

    주1) 2018년 본예산 일반회계, 특별회계 총괄 자료

    2) 자치구별 인구규모(통계청 kosis.kr)는 2017.12월말 기준

    < 표 13 > 2018년 대전광역시 자치구별 예산 현황

    (단위: 천원, %)

    ○ 대전광역시 사회복지시설 현황

    - 사회복지시설

    보육시설이 1,417개소이고, 경로당을 포함한 노인시설은 1,067개소임. 아동관련

    시설은 177개소, 장애인관련 시설은 167개소, 정신보건 관련 시설은 33개소, 여

    성 관련 시설은 26개소임이고, 사회복지관은 22개소임

    - 노인복지시설

    이용시설의 경우 경로당을 포함하여 953개소이고, 생활시설은 129개소임(작성

    일 기준에 따라 일부 시설의 개·폐소에 의해 위의 표와 총계가 다름)

    생활시설 중 주거복지시설은 양로시설 3개소, 공동생활 5개소이며, 의료복지시설

    은 요양시설 84개소, 공동생활 37개임

    이용시설 중 재가복지시설은 주야간보호 46개소, 방문요양 33개소, 방문목욕 23

    개소, 재가서비스 14개소임. 여가복지시설 중 노인복지관은 7개소임. 노인보호전

    문기관은 1개소임

    - 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이 864개소로 가장 많고, 민간 402개소, 직장 55개소, 사회복지법

    인이 41개소 등이고 국공립어린이집은 35곳에 불과함. 민간, 가정어린이집 중에

    서 공공형어린이집은 137개소임

    - 22 -

  • - 장애인복지시설

    전체 167개소 중 거주시설이 73개소, 지역사회 재활시설이68개소, 직업재활시설

    이 22개소임

    거주시설 중 공동생활이 34개소, 유형별 거주 등이 20개소, 단기거주가 19개소임

    지역사회 재활시설은 주간보호가 40개소, 재활치료시설이 10개소, 복지관이 8개

    소임

    구분 계 노숙인자활 지원

    사회 복지관1)

    노인2) 장애인 여 성 아 동 보육3) 청소년정신 보건

    계 2,931 8 6 22 1,067 167 26 177 1,417 8 33생활시설 285 5 0 0 129 73 11 32 0 8 27

    동구 69 3 0 0 32 22 1 8 0 1 2중구 57 1 0 0 28 9 5 7 0 4 3서구 77 0 0 0 35 18 4 7 0 3 10

    유성구 42 0 0 0 16 10 0 8 0 0 8대덕구 40 1 0 0 18 14 1 2 0 0 4

    이용시설 2,646 3 6 22 938(814) 94 15 145 1,417 0 6동구 438 3 1 5 186(158) 21 2 28 191 0 1중구 425 0 2 4 166(144) 13 7 38 192 0 3서구 767 0 1 7 242(205) 21 3 28 464 0 1

    유성구 657 0 1 2 199(189) 18 2 22 413 0 0대덕구 359 0 1 4 145(118) 21 1 29 157 0 1

    자료: 대전광역시 복지정책과 내부자료(보건복지국 주요업무 통계현황 2018년 하반기), 어린이집정보공개포

    털(info.childcare.go.kr)

    주1) 사회복지관: 대전광역시 시설관리공단에서 운영하는 기성종합복지관 포함

    2) 노인: 경로당, 노인보호전문기관 포함, 괄호는 경로당 수

    3) 보육: 어린이집정보공개포털 참고, 2018년 8월 기준

    < 표 14 > 대전광역시 사회복지시설 현황

    (단위: 개소)

    - 23 -

  • 구분 계

    생활시설(129개소) 이용시설(953개소)

    주거복지시설 의료복지시설 재가복지시설 여가복지시설 노인보호 전문기관

    소계

    양로시설

    공동생활

    소계요양시설

    공동생활

    소계

    방문요양

    재가서비스

    주야간보호

    방문목욕

    소계

    노인복지관

    경로당

    노인교실

    계 1,082 8 3 5 121 84 37 116 33 14 46 23 836 7 814 15 1본청 2 - - - - - - - - - - - 1 1 - - 1동구 220 1 - 1 31 20 11 26 8 2 9 7 162 2 158 2 -중구 194 3 1 2 25 18 7 21 7 6 3 5 145 - 144 1 -서구 277 2 1 1 33 22 11 34 7 3 19 5 208 2 205 1 -

    유성구 224 1 1 - 15 12 3 9 2 1 5 1 199 1 189 9 -대덕구 165 1 - 1 17 12 5 26 9 2 10 5 121 1 118 2 -자료: 대전광역시 복지정책과 내부자료, 2018년 7월 기준

    < 표 15 > 대전광역시 노인복지시설 현황

    (단위: 개소)

    구분 계 국공립 사회복지법인 법인·단체 등 민간 가정 부모협동 직장

    계 1,417 35 41 12 402 864 8 55동구 191 5 10 2 79(14) 90(9) 1 4중구 192 5 6 2 80(26) 93(7) 2 4서구 464 10 7 3 102(19) 328(14) 2 12

    유성구 413 6 11 2 97(6) 266(22) 3 28대덕구 157 9 7 3(1) 44(7) 87(13) 0 7

    자료: 어린이집정보공개포털(info.childcare.go.kr, 2018년 8월 기준)

    주) 괄호 안의 수는 공공형 어린이집 수

    < 표 16 > 대전광역시 어린이집 현황

    (단위: 개소)

    구분 계

    거주시설 지역사회 재활시설직업재활시설

    판매시설

    의료재활시설

    보호시설소계

    유형별

    거주 등

    단기거주

    공동생활

    소계복지관

    주간보호

    체육시설

    생활이동지원센터

    수화통역

    점자도서관

    재활치료시설

    계 167 73 20 19 34 68 8 40 3 1 5 1 10 22 1 2 1본청 9 - - - - 7 3 - 1 1 1 1 - 1 1 - -동구 41 22 2 3 17 16 2 11 - - - - 3 3 - - -중구 19 9 1 4 4 9 0 6 - - 1 - 2 1 - - -서구 39 18 10 3 5 14 1 9 1 - 1 - 2 7 - - -

    유성구 26 10 2 5 3 9 1 4 1 - 1 - 2 5 - 2 -대덕구 33 14 5 4 5 13 1 10 - - 1 - 1 5 - - 1자료: 대전광역시 복지정책과 내부자료(2018.7.)

    < 표 17 > 대전광역시 장애인복지시설 현황

    (단위: 개소)

    - 24 -

  • ○ 사회복지시설의 서비스 제공 현황

    - 서비스 유형별 제공 현황(사회보장정보원 통합사례관리시스템 활용)

    생활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 수가 1,025개소로 가장 많고, 보육 및 교육이 692개

    소, 문화 및 여가가 600개소, 신체건강 및 보건의료가 433개소, 일자리가 197개

    소, 정신건강 및 심리정서가 191개소, 안전 및 권익보장이 180개소, 보호 및 돌

    봄·요양이 174개소, 주거가 108개소로 나타남

    대분류

    동구 중구 서구 유성구 대덕구 대전 전체

    서비스 개수

    기관 수

    서비스 개수

    기관 수

    서비스 개수

    기관 수

    서비스 개수

    기관 수

    서비스 개수

    기관 수

    서비스 개수

    기관 수

    일자리 262 34 114 38 866 71 73 29 136 25 1,451 197주거 89 25 133 31 1,228 11 60 24 95 17 1,605 108

    일상생활 981 123 1,201 281 24,148 179 731 292 1,105 150 28,166 1,025신체건강 및

    보건의료 375 133 430 135 1,016 38 266 106 271 21 2,358 433정신건강 및

    심리정서 286 24 265 22 1,472 34 232 92 199 19 2,454 191보호 및

    돌봄·요양 55 32 77 35 88 7 34 13 60 87 314 174보육 및 교육 648 93 587 90 510 102 559 246 521 161 2,825 692문화 및 여가 522 113 389 121 287 64 331 132 331 170 1,860 600

    안전 및 권익보장 154 54 131 53 90 21 93 37 76 15 544 180

    자료: 복지정책과 내부자료(사회보장정보시스템)

    < 표 18 > 서비스 유형별 제공 현황

    (단위: 개, 개소)

    ○ 6대 광역시 기준 비교, 고려되어야 할 지표

    - 국·공립 어린이집

    대전의 국공립어린이집은 35개소로 전체의 1,417개소 중 2.5%에 불과하여 전국

    평균은 약 10.8%보다도 현저하게 낮음

    대전은 국·공립 어린이집 이용아동 비율이 3.9%로 다른 특·광역시와 비교하여

    타 특·광역시에 비해 두드러지게 낮음

    - 25 -

  • 구분공공형 어린이집

    설치율1)국공립 어린이집 이용아동 비율

    어린이집 평가인증률

    6세미만 영유아 천명 당 어린이집

    정원

    아동 만 면당 지역아동센터

    운영 수

    서울 - 28.43 78.86 596.0 2.82 부산 6.40 14.62 81.78 560.3 3.99 대구 6.95 4.63 84.69 623.2 4.81 인천 4.98 10.71 88.75 594.3 3.61 광주 6.06 5.04 70.68 781.1 10.63 대전 8.59 3.90 72.16 656.5 5.26 울산 9.27 6.42 79.44 579.5 2.55 세종 5.60 9.93 67.60 608.9 2.09

    자료: 지역사회보장지표(2016년 12월 기준)

    주1) 서울특별시의 경우 '서울형 어린이집'과 '공공형 어린이집'의 기준이 상이하여 지표 미산출

    < 표 19 > 특·광역시 아동돌봄 관련 현황

    (단위: %, 명, 개소)

    - 아동보호전문기관

    아동보호전문기관 당 아동 수를 봤을 때 대전이 가장 많으며, 6대 광역시 중 대전

    과 울산만 아동보호전문기관이 1곳임

    대전과 비슷한 규모의 광주에 2곳, 대구, 인천은 3곳의 아동보호전문기관이 있는

    것으로 봤을 때, 대전광역시에 아동보호전문기관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음

    구분아동보호전문기관

    수(개소)아동보호전문기관 당 아동 수(명)

    아동학대 사례 수(건)

    학대아동 발견율(%)

    학대·폭력예방교육 실적(건)1)

    서울 8 183,195 2,268 1.55 366 부산 4 127,739 880 1.72 226 대구 3 138,003 736 1.78 116 인천 3 168,788 1,190 2.35 130 광주 2 141,566 346 1.22 61 대전 1 275,694 359 1.30 164 울산 1 215,910 685 3.17 201

    자료: 지역사회보장지표(2016년 기준, 교육실적은 2015년 기준)

    주1) 2015년 기준.

    < 표 20 > 특·광역시 아동 보호안전 관련 현황

    - 26 -

  • - 사회적 기업

    대전은 인증기업이 50개소, 예비사회적기업이 28개소에 불과하여 6대 광역시를

    비교하면 저조한 편임

    2017년 기준으로 대전광역시와 비슷한 규모의 광주는 인증기업이 99개소, 예비

    사회적기업이 22개소이고, 대전보다 인구가 적은 울산은 인증기업이 68개소, 예

    비사회적기업이 30개소임

    구분2016년 2017년

    인증기업 예비사회적기업 인증기업 예비사회적기업

    서울 291 114 324 159부산 97 55 91 56대구 64 36 65 48인천 101 57 111 50광주 88 42 99 22대전 43 31 50 28울산 57 32 68 30

    자료: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socialenterprise.or.kr), 사회적기업SEIS 통합정보시스템(seis.or.kr)

    < 표 21 > 특·광역시 사회적기업 현황

    (단위: 개소)

    - 자원봉사

    6대 광역시를 기준으로 자원봉사자 현황 및 평균 활동시간을 비교해보면 대전광

    역시는 상대적으로 저조한 편임

    2017년 기준 광주의 경우 자원봉사자 수는 64,805명, 1인당 연평균 봉사 시간은 22.4

    시간임에 비해 대전은 자원봉사자 수가 51,350명, 1인당 연평균 봉사 시간은 21.0시

    간을 보임

    - 27 -

  • 구분자원봉사자 현황 1인당 연평균 봉사시간

    2015년 2016년 2017년 2015년 2016년 2017년

    전국 1,501,604 1,401,996 1,353,475 20.5 20.3 20.4서울 291,487 274,091 258,744 23.5 21.4 21.5부산 78,334 75,738 69,957 23.8 24.7 25.3대구 58,496 57,186 54,873 21.1 25.0 25.3인천 60,079 60,630 57,061 27.3 26.2 26.2광주 79,848 71,872 64,805 24.6 21.4 22.4대전 57,160 53,527 51,350 21.9 20.9 21.0울산 48,006 50,438 47,779 21.1 21.5 22.3

    자료: 국가통계포털(kosis.kr)

    < 표 22 > 특·광역시 자원봉사자 현황 및 평균 활동시간

    (단위: 명, 시간)

    2) 상위계획(사회보장기본계획)과의 연계성

    (1) 제2차 사회보장기본계획

    ○ 제2차 사회보장계획기본계획(안)의 비전·목표·핵심 추진전략을 고려함

    - 사회보장기본계획은 사회보장기본법 제16조에 따라 5년마다 수립되며, 사회보장

    분야 전반을 아우르는 중장기 비전과 목표, 추진전략 등을 담고 있음

    - 제1차 사회보장기본계획(‘14~’18)은 ‘더 나은 내일, 국민 모두가 행복한 사회’라는 비전

    아래 ① 생애주기별 맞춤형 사회안전망 구축 ② 일을 통한 자립 지원 ③ 지속가능한 사회

    보장기반 구축이라는 세 가지 정책목표로 구성되었음

    - 2019년~2023년에 해당하는 제2차 사회보장기본계획(안)은 2019년 1월 31일에 사회보

    장위원회 심의를 받았으며 2월 중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발표될 예정임

    - 제2차 사회보장기본계획이 아직 확정·발표되지는 않았으나, 2019년 연차별 시행계

    획은 2차 사회보장기본계획 기간에 해당하므로, 2018년 12월 18일 열린 제2차 사

    회보장기본계획 공청회에서 발표내용을 근거로 제2차 사회보장계획과의 연계성을

    고려함

    - 제2차 사회보장기본계획은 교육-고용-건강-소득-주거-복지서비스 등 핵심 생

    활영역에서 모든 시민의 기본생활을 보장하는 ‘사람 중심의 보편적 사회보장체계

    의 구축’을 기본방향으로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중기계획을 제안함

    - 28 -

  • [ 그림 4 ] 제2차 사회보장 기본계획 비전 및 전략 체계도

    비전 국민 모두가 함께 잘사는 포용사회

    추진원칙및

    전략

    포용적 사회보장체계 구축 사회보장 제도의 연계‧조정 강화

    지역사회 중심 서비스 이용체계 구축

    포용과 혁신의 상호보완체계 구축

    중장기목표 국민 삶의 질 향상 : OECD 28위(’17) → 20위(’23) → 10위(’40)

    4대 핵심

    분야별목표및

    중장기방향(’40)

    핵심추진 과제(‘23)

    고용‧교육 소득 건강 사회서비스

    1. 인적 자원의 역량 제고 및 차별없는 출발선 제공

    2. 일자리안전망 확충 및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강화

    3. 노동시장 격차완화 및 일·생활균형 달성

    1. 취약계층의 인간다운 삶을 위한 공공부조 제도 역할 강화

    2. 근로연령층 소득보장 확대

    3. 노후소득보장체계 확충

    1.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및 건강보장의 지속가능성 제고

    2. 필수의료 보장

    3. 예방적 건강관리 체계 구축

    1. 생애주기별, 대상별 사회서비스 확충

    2. 지역사회 중심 서비스 보장체계 구축

    3. 공급체계의 공공성 강화 및 신뢰성 제고

    기반∙ 사회투자 확대 ∙ 사회보장 이용체계의 연계 강화

    ∙ 차세대 사회보장 정보시스템 구축 및 정책 분석의 과학화

    - 29 -

  • [ 그림 5 ] 생애주기별‧대상별 주요 정책과제

    - 30 -

  • (2) 제2차 사회보장기본계획과 2019년도 연차별 시행계획과의 연관성

    ○ 분야별 추진과제의 연관성 비교

    - 2019년도 연차별 시행계획은 제2차 사회보장기본계획의 모든 분야와 연관됨

    -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주요사무인 사회서비스 보장과 관련된 세부사업이 가장 많이

    개발되었으며, 연금제도 및 건강보험 등 국가사무와 관련성이 높은 소득보장 및 간

    건강보장 분야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세부사업이 개발됨

    부문 제2차 사회보장기본계획 2019년도 연차별 시행계획

    비전 시민 모두가 함께 행복한 사회(포용사회) 시민의 힘으로 만드는 복지공동체 대전

    분야별 추진과제

    [교육/고용보장]1. 고용안전망 강화2. 노동시장 격차해소3. 삶의 질 개선4. 평생학습체계 구축5. 공교육 강화와 교육격차 해소

    [든든한 일터와 삶터]3-1. 청년취업 희망카드3-2. 사회서비스원 설립3-4. 중장년 은퇴자를 위한 새로시작재단 설립3-8. 공공근로사업3-9. 사회적기업 이차보전금 지원3-10. 두드림(Do Dream) 일자리 사업[누구나 누리는 교육과 문화]4-1. 중·고등학교 신입생 교복비 무상지원4-2. 초·중·고 전학년 무상급식4-3. 대전평생교육진흥원 운영4-4. 생활문화공동체 지원4-5. 장애인 생애주기별 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4-6. 학자금대출 부담경감 지원4-7. 공공형 학력인정 평생교육 시설 설립4-8. 대전청소년 위캔(We Can) 센터 운영4-9. 공공 어린이 장난감도서관 설립·운영4-10. 어르신 문화프로그램 지원4-12. 생활영어학습관 지원4-13. 대전효문화진흥원 운영4-14. 장애아동 계절학기 지원4-16. 여성가족원 운영

    [소득보장]1. 사각지대 해소2. 노후소득보장체계의 재구조화3. 근로연령층 소득보장체계 강화

    [든든한 일터와 삶터]3-3. 저소득주민 자활사업 활성화3-5. 저소득장애인 자립지원 확대3-6. 금융소외계층 지원3-7. 자영업 근로자 대상 대전형 유급병가제도3-12. 출산부담 경감을 위한 출산장려금 지원3-13. 발달장애인 직무지도요원 배치3-14. 맞춤형 장애인 직업훈련 프로그램 운영3-15. 실버청결도우미 사업

    [함께 지키는 건강과 안전]2-1. 대전의료원 설립2-2. 가족 안심 시립 치매요양원 건립

    < 표 24> 제2차 사회보장기본계획과 2019년도 연차별 시행계획 비교

    - 31 -

  • 부문 제2차 사회보장기본계획 2019년도 연차별 시행계획

    분야별 추진과제

    [건강보장]1.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2. 지속가능성 제고3. 의료격차 해소4. 예방적 건강관리 체계 구축

    2-3.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건립·운영2-4. 산모와 아이가 행복한 공공산후조리 지원2-5. 미세먼지 피해 최소화 사업2-10. 희망무료진료소 운영 지원2-11. 노인 생명존중 및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2-12. 소아중증장애인 낮 병동 설치2-13. 장애인산부인과 병원 지정·운영2-14. 정신건강증진 실무자 역량 강화2-15. 환경교육센터 설치·운영[누구나 누리는 교육과 문화]4-15. 장애인체육관 운영 지원4-11. 생활체육 프로그램(뉴스포츠) 개발 및 보급

    [사회서비스 보장]1. 사회서비스 지원제도 재구조화2. 공공성 강화3. 지역성 강화4. 주거복지 확충

    [지역 안에서 다같이 돌봄(커뮤니티 케어)]1-1. 다함께 돌봄센터 운영1-2. 보육공공성 강화하는 공공 어린이집 확충1-3. 대전형 돌봄서비스 모델 개발을 통한 돌봄친화도시

    구현1-4.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활성화 사업1-5. 장애인활동지원 확대1-6. 재가노인지원서비스센터 운영1-7. 방학 중 중식지원1-8. 지역아동센터 급식종사자 지원1-9. 보편적 보육복지 위한 3~5세 무상보육1-10. 민간사례관리지원단 보라미 운영1-11. 나눔문화 확산을 위한 복지만두레 운영1-12. 장애인 권익옹호1-13. 장애인가족지원센터 운영1-14. 여성장애인 가사도우미 운영1-1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지원1-16. 장애아동 재활지원센터 운영1-17. 발달장애인 자립생활 지원[함께 지키는 건강과 안전]2-6. 여성긴급전화 1366센터 운영 지원2-7. 학대피해아동쉼터 지원2-8. 아동인권보호관 활동 지원2-9. 아동보호전문기관 운영 지원[든든한 일터와 삶터]3-11. 청년 주택임차보증금 이자 지원3-16. 도시재생 뉴딜사업[주민 스스로 이루는 마을공동체]5-1. 시민공유공간 조성5-2. 공동체 및 주민자치조직 역량강화5-3.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리빙랩 시범마을 조성5-4. 빈집재생으로 안전하고 활력이 넘치는 마을 조성5-5. 시민참여형 미니태양광 보급5-6. 주민자치회 시범사업5-7. 자치구 공동체 지원센터 조성5-8. 마을공동체 미디어센터 운영5-9. 자원봉사 활성화 기반 조성5-10. 충청권 로컬푸드 네트워크 기반 먹거리 공급5-11. 노후 공동주택 공용시설 지원

    - 32 -

  • 3) 그 밖의 연차별 시행계획 수립을 위한 고려사항

    (1) 민선7기 복지정책 방향

    ○ 모든 시민을 포용하는 복지도시 대전 구현

    - 시민과 복지현장의 의견을 수렴하여 2018년 9월 17일 대전광역시 민선7기 복지정

    책의 방향 발표

    - 민선7기 복지정책의 목표는 ‘모든 시민을 포용하는 복지도시 대전 구현’으로 이는

    사회적 약자뿐 아니라 모든 시민이 마음 놓고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

    는 것임

    - 특히, 우리 사회의 심각한 이슈인 저출산 기조를 극복하기 위한 출산·양육 친화적

    환경조성과 사회적 약자가 지역사회에서 더불어 살 수 있는 복지체계로의 전환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 이를 실현하기 위해 복지일자리 창출 등 7가지 추진방향을 설정하고 총21개 추진

    사업을 선정함

    [ 그림 6 ] 민선7기 복지정책의 목표 및 추진방향

    - 33 -

  • (2) 2019년 대전광역시 복지정책 방향 및 추진계획

    ○ 2019년 복지정책 방향

    - 시민의 기본생활을 보장하는 촘촘한 복지안전망 구축(기초연금 지급, 기초수급자

    선정기준 완화, 노숙인 지원 등)

    - 시민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 보장을 위한 의료복지 인프라 조성(공공어린이재활병

    원 및 대전의료원 건립, 공공산후조리지원)

    - 고용취약계층에 대한 일자리 제공 확대로 자립 지원 강화(노인·장애인·자활근로 등

    복지일자리 확충)

    ○ 2019년 보건복지국 주요업무시행계획

    - 지역사회보장계획 주무국인 보건복지국의 주요업무시행계획을 분석하여 제4기 지

    역사회보장계획과 연계된 사업을 고려함

    분야 내용

    시민생활 안정을 위한

    복지안전망 구축

    1. 저소득계층 기초생활보장 및 함께하는 나눔문화 확산

    ❍ 기초수급자 선정 시 부양의무자 기준완화로 기초생활보장 사각지대 해소 ❍ 사회적 취약계층 보호와 노숙인 최저생활 보장 − 저소득층 자산형성 지원, 노숙인의 주거․급식․의료 제공 ❍ 고용취약계층에 대한 복지일자리 확대로 자립 지원 강화 − 노인(16천개), 장애인(4천개), 자활근로(1.8천개) 등 31천개

    ❍ 시민 참여를 통한 나눔문화 확산으로 행복이 넘치는 이웃사랑 실천 − 기부식품 나눔행사 개최, 푸드뱅크(13개소) 및 푸드마켓(8개소) 활성화

    2.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강화 및 사회복지종사자 처우개선

    ❍ 동 중심 복지기능 강화와 지역복지 역량 제고 − 민관협력을 통한 복지사각 발굴·지원, 컨설팅·교육 등 인적 역량 강화

    ❍ 복지서비스의 공공성 및 책임성 강화를 위한 기반 구축 − 「사회서비스원」설립 용역, 대전형 돌봄모델(커뮤니티케어) 개발

    ❍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처우개선으로 이용자에게 양질의 서비스 제공 − 정액급식비 신설(3만원), 처우가 열악한 시설 명절휴가비 지원(100만원) 등

    ❍ 아동 심리지원, 장애가정지원 등 맞춤형 사회서비스 제공(25개 사업, 2만명)3. 공공의료서비스 지원을 위한 대전의료원 설립 추진

    사업개요

    병원종류 : 종합병원 / 지방의료원예 정 지 : 대전광역시 동구 용운동 선량마을 사업규모 : 약 300병상 / 1,315억원(BTL사업)

    ❍ KDI 예비타당성조사 대응 및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발표(‘19. 4월 예정) ❍ 대전의료원 임대형 민자사업(BTL) 설립 절차 이행(‘19. 4월 이후) − BTL대상사업 신청, 한도액 요구서 제출, 국무회의 의결, 국회 의결

    < 표 25> 2019년 보건복지국 주요업무시행계획

    - 34 -

  • 분야 내용

    건강하고 품위 있는 노후생활

    보장

    1. 어르신 사회활동 참여 지원을 통한 노후 삶의 질 향상

    ❍ 기초연금 지급액 인상으로 어르신 생활안정 도모 − ’19. 4월부터 20% 인상(단독가구 25→30만원, 부부가구 40→48만원)

    ❍ 노인일자리 지원을 통한 소득창출 및 사회참여 기회 제공 − 어린이 안전지킴이 등 공공 사회봉사 일자리 16천개 창출 지원

    ❍ 인생이모작지원센터 활성화로 예비노년층 지원 강화 − 직업교육, 인생설계 상담, 사회참여 활동지원 등 프로그램 다양화

    ❍ 중장년 은퇴자 전담서비스 제공을 위한 「새로시작재단」설립 추진 − 타당성조사 용역, 전문가 의견수렴, 공청회 개최 등

    2. 노인복지 증진을 위한 복지시설 확충

    ❍ 치매환자의 공공 책임성 강화를 위한 시립 치매요양원 건립 − 건립대상지 선정, 실시계획 용역 추진 / 140인 규모, 사업비 76억원

    ❍ 노인복지관 건립 지원을 통한 체계적 노인복지 기반 확충 − 갈마 노인복지관, 제2유성구 노인복지관 등 2개소

    ❍ 노인장기요양보험 의료급여 부담금 지원 −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및 기타 의료급여수급권자 / 3,447명, 414억원

    ❍ 노인복지시설 운영 활성화로 안정적 노인여가복지 증진 − 노인복지관(7개소), 경로당(817개소), 재가노인복지시설(19개소) 등 운영 지원

    3. 효문화 확산 및 건강한 노인 여가활동 지원

    ❍ 효문화진흥원 운영을 통한 세대간 공감대 형성과 효 가치 확산 − 전시체험관 운영, 교육, 홍보 등 다양성 있는 효문화 시책 추진

    ❍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노인학대 예방 및 노인권익 보호 − 노인보호전문기관 운영을 통해 상담전화, 피해노인지원, 예방교육 등 실시

    ❍ 활기찬 여가활동 지원으로 건강한 노후생활 보장 − 건강·교양·취미·동아리운영 등 프로그램 내실 운영

    4. 저소득 취약계층 어르신 돌봄 강화

    ❍ 돌봄서비스 제공을 통해 홀로 사는 노인들에 대한 복지안전망 강화 − 방문·전화, 응급안전 댁내장비 설치 등으로 고독사 예방 및 응급상황 대비

    ❍ 저소득층 노인 건강증진서비스 지원 − 경로목욕권(11,745명), 유산균음료지원(3,731명), 노인건강진단(500명) 등

    ❍ 저소득 어르신 무료급식 및 재가노인 식사배달 제공 − 무료급식(26개소, 2,900명),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식사배달(900명)

    장애인 자립을 위한

    맞춤형 복지서비스

    지원

    1. 장애인 자활․자립을 위한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 ❍ 최중증 독거장애인 24시간 돌봄서비스 지원 − 상시돌봄이 필요한 고위험 독거장애인 / 10명, 500백만원

    ❍ 장애인연금 지원으로 기본적 생활안정 도모 − 만18세~64세 저소득 장애인 / 11,139명, 31,485백만원

    ❍ 장애인 특성에 맞는 일자리 지원을 통한 자립 지원 − 장애인 행정도우미, 요양보호사 보조사업 등 9개 분야 / 902명, 10,729백만원

    ❍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운영으로 직업훈련 및 근로기회 제공 − 장애인 직업적응훈련시설, 장애인 보호작업장 등 / 24개소 640명

    - 35 -

  • 분야 내용

    2. 장애인 권익 향상을 위한 수요자 중심의 지원체계 개편

    ❍ 다양화된 장애복지 수요를 반영하는 장애등급제 개편 − 정부 정책에 따라 장애등급 폐지 후 장애정도(심한·심하지않은)에 따라 지원(’19. 7.)

    ❍ 체계적 발달장애 지원서비스 제공을 위한 「발달장애인지원센터」운영 − 공공후견인, 복지서비스 연계, 권리구제 등 지원

    ❍ 장애인 학대 예방 및 피해구제 지원을 위한 권익옹호기관 운영 − 학대피해 현장조사 및 응급보호, 심리상담과 사후관리

    ❍ 민·관 협력 장애인 고용률 향상을 통한 취업권리 보장 − 공공기관 고용률 5% 목표, 장애인고용공단 등과 취업정보 공유 및 제공

    3. 여성장애인이 편리한 친화적 사회환경 조성

    ❍ 여성장애인 일상생활 지원을 위한 가사도우미 파견 − 자녀양육, 가사활동, 산전․산후조리 등 실질적 생활안정 지원 ❍ 여성장애인 교육사업을 통한 자기능력 개발 지원 − 컴퓨터, 검정고시 등 교육과정 운영, 사회참여·체험 프로그램 등

    ❍ 여성장애인 자립지원센터 운영 지원 − 직업능력 및 교양교육 등을 통한 여성장애인의 권익 향상 및 자립 도모

    4. 장애아동 의료 재활환경 개선 및 사회참여 기반 마련

    ❍ 장애아 전문치료를 위한 「공공어린이재활병원」건립 추진 − 설계공모(‘19.5월), 기본·실시설계(‘19.10월), 조례제정(‘19.12월)

    ❍ 소아 중증장애인 조기 재활치료를 위한 낮 병동 내실 운영 − 재활프로그램 다양화 및 확대 / 충남대 등 4개소, 70병상

    ❍ 발달장애아동의 장애특성에 맞는 재활서비스 제공 − 시각, 청각, 언어, 자폐 등 만 18세 미만 장애아 / 2,000명, 4,317백만원

    5. 시설 거주환경 개선을 통한 장애인의 자립생활 지원

    ❍ 시설 이용자 참여 프로그램 운영으로 자립의지 고취 − 장애인 거주시설(10개소) 내 멘토링 등 18개 프로그램

    ❍ 장애인 자립생활「체험 홈」운영 및 거주인 인권보호 강화 − 체험홈(7개소) 운영, 거주시설 인권실태조사 정례화

    ❍ 장애인 복지시설 환경개선을 통한 이용자 편의증진 도모 − 거주시설 개보수(6개소)·LED 교체(15개소), 직업재활시설 장비보강(3개소)

    시민건강권 확보로

    건강하고 안전한

    도시 구현

    1. 공공의료 서비스 강화

    ❍ 치매국가책임제 이행을 위한 치매안심센터 내실 운영 − 치매 초기상담․등록, 조기검진, 1:1사례관리 등 / 구별 1개소 ❍ 중독·정신질환의 예방 및 치료 등 정신건강증진 사업 추진 ❍ 자살 예방사업 추진으로 생명존중 문화 확산2. 응급의료 및 감염병 대응 시민 건강안전망 확충

    ❍ 위급 상황시 시민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응급의료 체계 강화 − 심폐소생술 교육, 의약품 안전관리 및 365일 공공 심야약국 운영 등

    ❍ 영유아 성장 발달 및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의료비 지원, 모든 출산가정 대상 공공산후조리 지원

    ❍ 장애인 의료접근성 강화를 통한 장애인 건강증진 도모 − 장애인보건의료센터, 권역장애인구강진료센터, 장애인 친화 산부인과 운영

    ❍ 24시간 감염병 비상감시체계 운영을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