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국가와 한국의 아동보호체계...

376
연구보고서 2005-14 OECD 국가와 한국의 아동보호체계 비교연구 박세경 서문희 강주희 서영숙 진미정 노성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Upload: others

Post on 21-Sep-2019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연구보고서 2005-14

    OECD 국가와 한국의

    아동보호체계 비교연구

    박세경 서문희 강주희

    서영숙 진미정 노성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머 리 말

    아동의 잠재력은 무한하다고 한다. 그 가치를 가늠할 수조차 없는

    아동의 미래를 보장하지 못하는 사회는 내일을 약속할 수 없다고도 한

    다.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주장을 하지만, 정작 이들이 아동의 입장에

    서 아동의 목소리를 대신하는 장면을 마주하기는 쉽지 않다. 더욱이

    인간발달에 대한 무지와 무관심으로 인해 성인의 관심과 보호를 필요

    로 하는 아동이 기본적 권리와 욕구조차 충족시키지 못한 상태에서 성

    인 권력의 피해자가 되기도 한다. 과거와 비교하여 아동의 권익이 상

    당히 향상되었다지만 기본적인 생존권과 발달권을 보장받지 못하고,

    사회적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이 세계 곳곳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

    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비단 다른 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의 상

    황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동의 발달 환경 곳곳에 도사리고 있는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보호

    를 제공하고 아동이익 최우선의 원칙(Best Interests of Children)을 담보

    하는 보호체계의 구축과 보호환경(Protective Environment)을 조성하는

    것은 우리사회의 당연한 책임이자 미래를 위한 투자라고 본 연구의 저

    자는 강조하고 있다. 아동보호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

    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족과 지역사회가 모두 참여하는 입체적인 아동

    보호체계를 구축하는 것이야말로 아동인구의 잠재력을 극대화하여 미

    래사회의 생산적 구성원인 동시에 건강한 시민으로 키워내는 첩경이라

    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학대, 착취, 폭력 및 부적절한 양육환경 등 발달위기에 노

    출된 아동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보호체계에 초점을 두고 우리나라

    아동보호체계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주요 OECD 국가와 우리나

    라의 아동보호체계를 비교‧분석하여 향후 아동보호정책의 발전방향을

  • 제시하였는데, 본 원 박세경 책임연구원의 책임 하에 원내‧외 전문가

    가 참여하여 완성하였다. 연구진의 노고에 감사를 표하는 바이며, 참여

    연구진의 연구 활동과 보고서 집필을 위한 분담내역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서 론 [박세경]

    제2장 아동보호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박세경]

    제3장 우리나라의 아동보호체계 [서문희]

    제4장 주요 OECD 국가의 아동보호체계 사례연구

    제1절 미국 아동보호체계의 현황 및 주요 쟁점 [진미정]

    제2절 영국 아동보호체계의 현황 및 주요 쟁점 [노성향]

    제3절 스웨덴 아동보호체계의 현황 및 주요 쟁점 [강주희]

    제4절 일본 아동보호체계의 현황 및 주요 쟁점 [서영숙]

    제5장 OECD 국가의 아동보호체계 종합 비교 [박세경‧강주희]

    제6장 결론 및 제언 [박세경]

    최근 저출산 현상이 사회문제화 되고 출생아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

    면서 저출산 대응 정책의 마련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아울러 한편

    에서는 이미 출생한 아동의 건강한 성장‧발달에 대한 정책적 요구 또

    한 증가하고 있다. 신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출산장려만이 아니

    라 기 출생한 인적자본에 대한 적극적 사회투자를 확대해야 한다는 의

    견이 설득력을 갖고 있다. 이에 아동보호정책이나 그 관련 서비스는

    보편적 아동복지서비스를 추구하는 기본 철학을 바탕으로 모든 아동의

    건강하고 안전한 성장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보고서가 충실해질 수 있도록 의견제시 및 검독과정

    에 참여한 연세대학교 김명순 교수, 배제대학교 김숙령 교수에게 심심

    한 사의를 표한다.

    2005년 12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원 장 김 용 문

  • 목 차

    Abstract ·························································································· 10

    요약 ······························································································· 11

    제1장 서 론 ·················································································· 53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53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 57

    제2장 아동보호에 관한 이론적 고찰 ··········································· 65

    제1절 아동보호의 개념 ······························································· 65

    제2절 아동보호환경의 범주 및 보호체계 분석틀 ······················· 77

    제3장 우리나라의 아동보호체계 ·················································· 92

    제1절 아동보호체계의 연혁 ························································ 93

    제2절 아동보호체계의 특성 및 주요 쟁점 ·································· 99

    제3절 우리나라 아동보호체계의 시사점 ··································· 122

    제4장 주요 OECD 국가의 아동보호체계 사례연구 ··················· 128

    제1절 미국의 아동보호체계의 현황 및 주요 쟁점 ···················· 128

    제2절 영국 아동보호체계의 현황 및 주요 쟁점 ······················· 164

    제3절 스웨덴 아동보호체계의 현황 및 주요 쟁점 ···················· 197

    제4절 일본 아동보호체계의 현황 및 주요 쟁점 ······················· 217

  • 제5장 OECD 국가의 아동보호체계 종합 비교 ·························· 259

    제1절 주요 OECD 국가의 아동보호체계 비교 ························ 260

    제2절 OECD 국가 아동보호체계의 시사점 ······························· 270

    제6장 결론 및 제언 ···································································· 272

    제1절 결 론 ·············································································· 272

    제2절 아동보호체계의 발전방향 ··············································· 274

    참 고 문 헌 ················································································· 288

    부 록

    § 1. 주요 OECD 국가의 아동보호체계 비교 ································ 297

    § 2. UN 아동권리협약(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전문 ········ 353

  • 표 목 차

    〈표 1- 1〉 주요 비교영역 및 분석지표 ··················································· 62

    〈표 3- 1〉 아동보호체계의 연혁 ····························································· 98

    〈표 3- 2〉 아동복지법상 아동학대 개념 및 금지행위 ····························· 100

    〈표 3- 3〉 아동학대예방 협력체계 ························································ 108

    〈표 3- 4〉 아동학대 건수와 유형 ·························································· 110

    〈표 3- 5〉 아동복지시설의 관리운영비 권고 기준 ·································· 112

    〈표 3- 6〉 연도별 아동복지시설수 및 보호아동수 현황 ·························· 112

    〈표 3- 7〉 아동복지시설 유형별 현황(2004) ··········································· 113

    〈표 3- 8〉 가정위탁보호 아동 변화추이(2000~2004) ····························· 118

    〈표 3- 9〉 소년소녀가정 보호 아동 변화추이(1995~2004) ····················· 119

    〈표 3-10〉 연도별 국내입양 실적 ·························································· 121

    〈표 3-11〉 아동 보호방법별 아동 비율 ·················································· 122

    〈표 3-12〉 아동보호서비스 대상자 결연사업 실적 ·································· 123

    〈표 3-13〉 아동복지서비스별 국고보조율 ··············································· 126

    〈표 4- 1〉 영국의 위탁수당 수준 ·························································· 192

    〈표 4- 2〉 학대에 관한 상담처리 건수의 추이 ······································· 236

    〈표 4- 3〉 아동학대 유형 ··································································· 236

    〈표 4- 4〉 학대상담의 처리종류별 내역 ················································ 237

    〈표 4- 5〉 아동학대를 발견하기 위한 체크항목 ····································· 238

    〈표 4- 6〉 아동학대의 예방에서 지원까지 ············································· 239

  • 〈표 4- 7〉 아동복지 보호시설 현황(2005. 1.) ········································· 242

    〈표 4- 8〉 시설 입‧퇴소에 관련 아동상담소‧시설의 회의 검토사항 ······· 246

    〈표 4- 9〉 수양부모 위탁에 있어서 위탁비 내역(2003) ··························· 252

    〈표 5- 1〉 주요 OECD 국가의 아동보호관련 법적 체계 ························· 262

    〈표 5- 2〉 주요 OECD 국가의 아동보호관련 공적전달 체계 ··················· 266

    〈표 5- 3〉 주요 OECD 국가의 아동보호체계 모니터링 및 평가 ·············· 267

    〈표 5- 4〉 주요 OECD 국가의 아동보호를 위한 지역사회의 참여 실태 ········ 270

    〈부표 1〉 OECD 국가의 아동학대, 착취, 폭력 등의 실태 ····················· 297

    〈부표 2〉 OECD 국가의 아동보호체계 관련 법적‧제도적 환경 ············· 300

    〈부표 3〉 OECD 국가의 아동보호서비스 공적전달체계 ························ 324

    〈부표 4〉 OECD 국가의 아동보호체계 관련 모니터링 및 평가 ············· 335

    〈부표 5〉 OECD 국가의 아동보호를 위한 지역사회 참여와 민간협력 ··· 343

  •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의 흐름도 ····································································· 64

    〔그림 2-1〕 아동보호환경 조성을 위한 8대 역점 분야 ····························· 78

    〔그림 2-2〕 아동보호체계의 개념 확장 ··················································· 82

    〔그림 3-1〕 지방의 학대아동보호 체계도 ··············································· 107

    〔그림 3-2〕 청소년 쉼터의 체계도 ························································ 115

    〔그림 3-3〕 국내입양 절차도 ································································ 120

    〔그림 4-1〕 미국 일리노이주 아동가족서비스부의 조직 및 업무분장체계 ······ 141

    〔그림 4-2〕 일본 아동보호체계의 체계도 ··············································· 235

    〔그림 6-1〕 아동학대예방센터와 지역아동센터의 협력체계 구축모형 ······ 281

  • Abstract

    A Comparative Study on Child Protection System among OECD Countries

    The present study begins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Protective Environment and the application of this concept to child protection. There is discussion of some recent debates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state child welfare and child protection. Additionally, increasing recognition is being given to the importance of preventing/protecting of children from harmful developmental environment regarding to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The Protective Environment Framework identifies the essential components in any society of keeping children safer and healthier from violence, exploitation, abuse, and inappropriate developmental circumstance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are government commitment and capacity, legislation and enforcement, social value, culture and customs, effective and efficient service delivery system, networking and cooperation, monitoring and feedback, open public discussion, education and campaign, and active participation of families and communities in terms of child protection. This study describes a range of child protection system among OECD countries. Data were collected from four countries(i.e. U.S., U.K., Sweden, and Japan) via policy documents, internet sites, and previous studies. Also, UN national reports responding to ‘The UN Study on Violence against Children’ were analyzed to propose the future direction and improvement strategy to Korea child protection system.

  •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연구의 필요성

    — 급격한 사회변화 속에서 학대, 착취, 폭력의 피해자가 되거나 보

    호자로부터 적절한 양육과 보호를 받지 못하는 발달위기

    (developmental risks)에 노출된 아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음.

    — 우리나라는 아동보호 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선진국에 비하

    여 상대적으로 낮으며, 이와 관련된 법적‧제도적 장치마련 또는

    재정비가 최근에 이르러서야 가시화되었음.

    ∙ 가부장적인 유교전통의 영향으로 자녀양육에 있어 엄격한 훈

    육방식이 장려되어 왔기 때문

    ∙ 자녀양육은 개별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다분히 사적인 영역으

    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외부의 참여나 사회적 관여가 어려운

    분위기 형성

    — 아동의 성장발달 환경에 나타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적절한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권익이 최대한 보장될 수 있

    는 보호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임.

    ∙ 보호환경(Protective Environment)이란 학대, 착취, 폭력 및 부

    적절한 양육환경과 같은 아동의 성장‧발달 위험요인들(risk

    factors)을 제거하고,

  • 12

    ∙ 발달위기(developmental risks)에 노출된 아동을 보호할 수 있

    는 법적, 제도적, 정책적 여건을 마련하며,

    ∙ 이들 간의 유기적인 연계체계가 구축되어 있는 환경으로 정

    의할 수 있음.

    — 학자들은 보호체계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보호

    기준을 지속적으로 상향함으로써 발달위기의 상황에 있는 아동

    보호의 질적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음.

    — 이들이 제시하는 구체적인 아동보호체계의 발전방향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되는데,

    ∙ 첫째, 아동보호를 위한 법적, 제도적 기반 마련

    ∙ 둘째, 아동보호를 위한 공공과 민간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이들 간의 역할분담과 협력관계 구축을 통하여 보호서비스

    전달의 효율성 제고

    ∙ 셋째, 아동보호 관련 정책과 프로그램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와 그 결과의 적극적 환류를 통한 수정‧보완

    ∙ 넷째,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아동보호를 위한 공공과 민간 그

    리고 가족이 함께 참여하는 다원주의적 보호체계를 마련함으

    로써 아동보호체계의 기반 확대

    □ 연구의 목적

    — 본 연구는 학대, 착취, 폭력 및 부적절한 양육환경 등 발달위기

    에 노출된 아동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보호체계에 초점을 맞

    추어 아동보호체계의 현황을 파악하고, 주요 OECD 국가의 보호

    체계를 비교‧분석하는 것임.

    — OECD 주요 국가의 아동보호체계를 비교‧분석하기 위한 비교

    기준으로서 다음 4가지를 검토하였음.

  • 요 약 13

    ∙ 아동보호체계 관련 법적‧제도적 환경

    ∙ 아동보호서비스의 공적전달체계

    ∙ 아동보호체계 및 보호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과 평가

    ∙ 아동보호를 위한 지역사회 참여와 민간협력

    □ 주요 연구 내용

    — 아동보호(child protection)의 개념과 보호체계 구축 관련 논의를

    활성화하기 위한 이론적 검토

    ∙ 아동보호(Child Protection)와 아동권리 그리고 아동복지

    ∙ 우리나라 아동보호체계의 연혁 및 현황 분석

    — 주요 OECD 국가의 아동보호체계에 관한 사례분석과 비교분석

    ∙ 주요 OECD 국가의 아동보호체계 사례연구 : 미국, 영국, 스

    웨덴, 일본

    ∙ OECD 국가의 아동보호체계 종합 비교

    — 아동보호체계의 발전방향 및 추진전략의 제시

    □ 주요 연구 방법

    — 문헌연구 방법을 주로 활용하였음.

    ∙ 아동보호체계에 대한 각국 정부의 공식문헌 및 연구문헌 등

    을 수집‧분석

    ∙ 각종 행정자료와 관련부처 홈페이지에 대한 면밀한 검토

    ∙ UN 아동폭력연구를 위한 국가보고서 비교‧분석

    — 주요 OECD 국가의 아동보호체계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우리

    나라를 비롯한 5개국에 대한 심층 사례연구와 주요 OECD 국가

    의 아동보호관련 비교분석 등 두 가지 접근을 병행하였음.

  • 14

    제2장 아동보호에 관한 이론적 고찰

    1. 아동보호의 개념

    □ 아동보호 관련 정책 및 제도는 아동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

    는 위험요인을 최소화 시켜야하며, 발달위험 상황에서 조속히 탈피

    하여 건강성을 회복할 수 있는 치유능력(resiliency)을 제고하는 방안

    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함.

    — 아동보호체계의 운영과 각종 조기 개입방안(early intervention) 간

    의 조정 및 통합을 바탕으로 아동이 발달위기(developmental

    risks)에 노출되는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함.

    — 위기상황으로부터 최단시간에 벗어나 건강성을 회복할 수 있도

    록 지원하기 위해서는 정책적‧제도적 노력과 아울러 가족과 지

    역사회의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함.

    ∙ 통합적이고 효과적인 보호체계는 위기상황에 처한 아동을 발

    굴하고 문제를 진단하여 적절한 지원 및 보호방안을 체계적

    으로 제공하는 것이 관건

    — 최근 발표된 일련의 아동복지 체계에 대한 국제비교 연구는 아

    동복지가 아동보호의 측면(Child Protection Orientation)에 중점을

    두거나, 가족복지 서비스 관점(Family Service Orientation)에 초점

    을 두고 있다고 보았음.

    □ 아동보호체계는 아동보호에 필요한 전문적이고 제도화된 서비스 제

    공을 위한 일련의 사회체계로 정의할 수 있음.

    — 아동보호의 개념 자체가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

    양하게 인식되고 있어, 이를 실천하기 위한 아동보호체계 또한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됨.

  • 요 약 15

    ∙ 아동보호는 열악하고 유해한 환경으로부터 아동이 보호받아

    야 하며, 건강하고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향유할

    아동의 권리를 존중

    ∙ 아동보호체계는 아동보호의 목적으로 안전한 보호환경

    (Protective Environments)을 조성하는 일련의 제도적‧조직적

    사회체계로 정의

    □ Harding(1996)은 아동보호에 있어 국가와 가족의 관계를 권위주의와

    자유주의에 기초한 양극단의 입장으로 구분하였음.

    — 권위주의적 아동보호는 국가가 가족생활과 가족 안에서 이루어

    지는 아동의 양육과 보호에 대한 강력한 조정‧중재의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입장

    — 자유주의적 아동보호는 아동과 가족관련 사안에 대하여 국가와

    사회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것을 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아동의

    안전과 보호에 대한 부모의 책임과 기능을 우선시

    □ 20세기 이전의 아동보호의 특성은 전통적인 사회구호에 기반을 둔

    아동구제운동에 그 뿌리를 두고 있음.

    — 아동구제운동(Child-saving Movement)은 기본적으로 빈곤하고 의

    존적인 아동은 병리적이고 무책임한 부모로부터 보호되어야 한

    다는 인식에 기초하였음.

    ∙ 초기 아동구제운동 차원에서 이루어진 아동보호는 역사적으

    로 아동을 성인의 소유물로 인식하는 사회적 관습이 여전히

    내제

    — 19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서구사회에서는 아동보호에 있어 탈시설

    화의 움직임이 대두되었고, 가정보호가 시설보호를 대체하기 시작하

    면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었음.

  • 16

    ∙ 하지만 아동보호에 대한 철학적 가치의 전환이나 사회적 인

    식전환이 병행되지 못하였음.

    ∙ 그럼에도 불구하고, 탈시설화의 조류에 따르는 가정보호의

    확산은 아동보호체계의 패러다임 전환을 가져온 것은 분명

    했던 것으로 판단

    □ 20세기 이후의 아동보호서비스는 아동발달에 관한 과학적‧학문적

    연구 결과에 기초함.

    — 아동보호에 대한 논의가 아동과 가족의 발달욕구와 학습욕구 및

    보호욕구 등을 입증하는 과학적‧학문적 근거와 논의에 영향을 받

    기 시작하였음.

    ∙ 아동보호의 원칙은 원가정에서 생물학적 부모의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보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전문적 개입의 형태로 구체화

    ∙ 자선적 사회구호 차원에서 이루어졌던 아동보호가 공공부문

    의 주요 책임영역으로 인식

    — 결과적으로 이즈음에 이르러 아동보호를 위한 공적 보호체계를 구

    축하기 위하여 정부의 재정이 투입되고, 각종 입법조치가 활발하

    게 진행되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아동보호의 표준이 마련되었음.

    □ 현재의 아동보호체계가 개혁을 필요로 하고 있음을 Barter(2001)는

    다음 6가지 근거를 통해 주장하였음.

    — 현 아동보호서비스 및 보호체계는 다각적인 위기상황에 봉착하였음.

    — 현 아동보호체계는 현대사회의 가족이나 지역사회의 현실을 반

    영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고안되지 않았음.

  • 요 약 17

    — 과거의 위기개입과정은 피해아동에게만 초점을 두면서 가족구성

    원, 지역사회 및 관련 전문가의 적극적 개입이 차단되어 있음.

    — 아동보호체계를 포괄하는 사회복지정책은 아동보호서비스 전달

    체계의 현실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

    — 아동보호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학술적 접근이 병행되지 않았음.

    — 아동보호는 아동권리와 복지증진을 위한 다학제적인(interdisciplinary)

    접근에 기초한 다양한 기관과(inter-agency) 지역사회의 협력을

    (community collaboration) 필요로 함.

    2. 아동보호환경의 범주 및 보호체계 분석틀

    □ 바람직한 보호환경(Protective Environment)의 조성을 위하여 아동보

    호에 대한 인식을 보편화함으로써 개별 국가나 개별 아동의 상황

    과 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접근을 시도함.

    — UN이나 UNICEF와 같은 아동관련 국제기구들은 보호환경의 조성

    과정에서 보호서비스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포괄

    적 정책과 프로그램의 개발‧보급의 중요성을 사회적으로 담론화

    하고자 하였음.

    — 담론화의 과정에서 아동보호환경의 조성과 보호체계의 구축에

    있어 국가와 사회의 책임 공유는 물론, 가족과 지역사회의 적극

    적 참여가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임.

    ∙ 보호환경을 마련하는 과정이 구체화되고 체계화된 것이 바로

    아동보호체계(Child Protection System, CPS)로 볼 수 있음.

    — 보호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8대 역점 분야는 아동보호와 관련하

    여 ‘정부역량 강화’, ‘입법조치‧강제조치 마련’, ‘문화와 관습의

    고려’, ‘사회적 공론화’, ‘아동 스스로에 대한 생존기술의 보급’,

  • 18

    ‘가족‧지역사회의 참여’, ‘보호서비스 전달과 자활‧자립지원’, 그

    리고 ‘보호체계 및 보호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과 평가’ 등임.

    □ 아동보호의 개념에 대한 접근을 광의로 할 것인가 또는 협의로 할

    것인가에 따라 아동보호체계의 범주도 국가별, 지역별로 상이함.

    — 미국에서는 아동보호체계(CPS)를 학대아동 보호 및 아동학대 예

    방체계로 간주하고 있어 협의의 아동보호를 수용하고 있음.

    — UN과 UNICEF의 입장에서 보면, 아동보호체계의 구축은 학대아

    동 보호를 포함하여 각종 위기로부터 적절한 보호환경의 조성을

    강조하는 포괄적 접근을 강조함.

    — Munro(2005)는 학대, 착취, 폭력 및 부적절한 양육으로 인하여

    외부의 보호가 필요한 아동이 발생했을 경우, 아동보호서비스는

    크게 4가지 상황에 대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하였음.

    ∙ 위기상황에 처한 아동과 가족에 대한 접근

    ∙ 피해아동이나 가족과 관계된 공공 또는 민간 지원체계

    ∙ 아동보호 관련 기관 및 관련 기관의 전문가

    ∙ 피해아동이 생활하는 지역사회에 대한 개입

    □ 이러한 논의배경을 기저에 두고 OECD 국가와 우리나라의 아동보

    호체계를 비교‧분석하기 위한 비교 틀의 분석기준은 다음과 같음.

    — 아동보호 관련 법적‧제도적 환경

    — 아동보호서비스의 공적전달체계

    — 아동보호체계의 모니터링과 평가

    — 아동보호를 위한 지역사회의 참여와 민간협력

  • 요 약 19

    제3장 우리나라의 아동보호체계

    1. 아동보호체계의 연혁

    □ 서비스의 기능과 성격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아동보호체계는 1950

    년대까지의 사회구호 단계, 1960∼70년대의 선별주의 단계, 1980년

    대 이후의 보편주의 단계, 2000년 이후는 보편주의가 확대되는 단

    계로 구분할 수 있음.

    — 근대적 아동복지의 시초는 갑오경장 이후 외국 선교사에 의하여

    보육원이 설립되면서 탁아 및 구제사업의 형태로 시작되었음.

    — 1945년 이후에는 해방과 이후 한국전쟁의 격동기에 빈곤으로 인

    해 발생한 다수의 요보호 아동에 대한 긴급구호형태의 서비스로

    이루어졌음.

    ∙ 시설보호 중심의 보호서비스 전달과 외원 위주의 재원활용을

    당시 아동보호의 특성으로 볼 수 있음.

    ∙ 해외입양이 시작되면서 홀트아동복지회, 십자군연맹, 한국봉

    사회 등의 민간사회복지기관을 중심으로 국외입양사업이 점

    차 확대되었음.

    — 1960~70년대는 선별주의 원칙에 기초한 단계로 분류되는데, 생

    활보호법과 아동복리법의 제정으로 보호아동에 대한 국가의 책

    임 원칙이 처음으로 법제화되었고 이에 기초하여 정부가 아동보

    호에 개입하기 시작하였음.

    ∙ 고아입양특례법을 제정하였으며, 국내입양을 권장해야 한다

    는 사회적 인식이 확대됨에 따라 1976년 12월 입양특례법으

    로 개정하였음.

  • 20

    — 1980년대 초에는 아동복리법을 아동복지법으로 전면 개정하는

    데, 이는 우리나라 아동복지가 선별주의에서 보편주의로 방향을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음.

    ∙ 요보호 아동뿐만 아니라 전체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아동보

    호와 아동복지에 대한 국가의 책임 증대

    ∙ 아동보호 및 복지서비스의 전문화와 다양화 지향

    ∙ 시설보호를 소숙사 형태로 개선하거나 공동취사 형태로 전환

    시키고자, 1997년에는 그룹홈(group home)제도의 도입을 결정

    하고 시범사업을 실시하였음.

    — 1990년대 UN의 아동권리협약은 보호아동에 대한 단순한 시설보

    호에서 탈피하여 보호방식의 다양화와 전문화로의 변화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었음.

    — 2000년 이후 제공되는 아동보호서비스는 보편주의의 확대기로

    볼 수 있음.

    ∙ 아동복지법의 개정을 통하여 학대아동에 대한 보호 및 아동

    학대 예방체계 구축의 근거 규정을 마련

    2. 아동보호체계의 특성 및 주요 쟁점

    □ 아동보호관련 법적‧제도적 환경

    — 2000년 개정된 아동복지법은 모든 아동이 건강하게 출생하여 행복

    하고 안전하게 성장하도록 그 복지를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무차별의 원칙, 성장발달권 보장의 원칙, 아동이익 최우선의 원

    칙 등을 기본 이념으로 아동보호에 있어서의 국가 및 지방자치

    단체와 보호자의 책임을 법적으로 명시하였음.

    ∙ 아동 폭력 및 아동학대 가해자를 처벌할 수 있는 법은 아동

  • 요 약 21

    복지법 이외에도 형법, 성폭력범죄의처벌및보호등에관한법률,

    가정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 등

    □ 아동보호서비스의 공적전달체계

    — 중앙정부에서는 보건복지부가 아동보호 관련 주무부처로 정책의

    수립 및 집행의 책임을 갖고 있음.

    — 청소년위원회는 각종 유해환경으로부터의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

    한 정책의 수립과 청소년 복지정책의 시행을 담당함.

    — 법무부는 검찰을 통한 청소년 유해환경 단속활동을 전개하고 있음.

    — 아동보호정책의 수행 및 아동보호서비스를 전달하는 업무의 상

    당부분이 정부와 민간이 협동하는 체계로 진행되고 있음.

    ∙ 우리나라 아동보호서비스 전달은 보호 사업별로 별도의 기구를

    설치하고 민간이 정부 사업을 위탁 받는 형태로 운영

    ∙ 아동학대예방센터, 가정위탁지원센터, 입양기관 등이 이에 해당

    □ 아동보호체계의 모니터링과 평가

    — 우리나라의 아동보호체계에 대한 모니터링과 평가를 전담하는

    별도의 조직은 없음.

    ∙ 아동정책조정위원회의 기능 중 아동관련 국제조약의 이행 및

    평가‧조정에 관한 사항을 수행하도록 규정

    ∙ 실질적으로는 정부 출연연구기관도 아동보호 모니터링 및 평

    가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

    □ 아동보호를 위한 지역사회의 참여와 민간협력

    — 우리나라에서 아동보호체계는 민간의 참여가 큰 역할을 담당하

    여 왔으며, 현재에도 대부분의 아동보호사업이 민간에 위탁되어

  • 22

    운영되고 있음.

    ∙ 한국복지재단, 이웃사랑회, 세이브더췰드런(Save the Children),

    수양부모협회 등 민간단체가 학대아동보호기관, 가정위탁 지

    원기관, 입양지원기관 등을 위탁 운영

    □ 학대아동 보호 및 아동학대 예방

    — 2000년 이전 학대아동 보호사업은 민간단체를 중심으로 추진되

    어 왔고, 이에 대한 법적 근거나 정부의 재정적‧행정적 지원은

    미비하였음.

    — 2000년 아동복지법을 개정하여 아동학대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아동학대 긴급전화(1391)의 설치‧운영 및 아동보호전문기관 설

    치를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음.

    □ 시설보호 및 자립지원

    — 시설을 통한 대리보호는 만18세까지로 규정하고 있음.

    ∙ 보호아동의 교육, 취업, 장애 및 건강상의 등을 이유로 시‧도

    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이 보호기간의 연장을 요청한

    경우 연장 보호가 가능

    — 시설에서의 생활보호기간이 만료된 퇴소아동의 조기 자립유도를

    위한 다양한 지원시책을 추진하고 있음.

    — 위기청소년의 특성별, 발생경로별, 보호기간별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일시쉼터(drop-in center), 단기쉼터, 중장기 쉼터로 구분하

    여 시설을 설치할 방침을 수립‧추진하고 있음.

  • 요 약 23

    □ 위탁가정지원 및 입양지원

    — 15세 미만 또는 부모의 질병, 가출, 학대 등으로 단기보호가 필

    요한 아동을 우선적으로 가정위탁하고 있음.

    ∙ 가정보호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과정에서 위탁가정 활성화

    과제

    ∙ 위탁가정 선정, 지원 및 관리 그리고 가정위탁에 대한 체계

    적 교육 등 다양한 정책적 접근 요구

    — 입양사업의 기본방향은 국내입양을 우선하며, 국외입양을 차선

    책으로 추진하도록 함.

    ∙ 입양가정에 대한 사후관리 강화

    ∙ 입양가정에 대한 지원방안을 확대하여 입양을 활성화

    ∙ 입양에 관한 국민인식 제고를 위한 대국민 홍보 강화

    ∙ 국내입양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혈연 중심의 자녀관을 전환

    하기 위한 사회문화적 접근 필요

    □ 우리나라 아동보호체계에 대한 쟁점을 지적하면 다음과 같음.

    —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시설보호 아동이 안정적으로 가정‧가

    족생활을 누릴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대리보호 제도

    에 있어 개선의 여지가 많음.

    — 아동학대에 대한 통합서비스 제공이 미흡하고, 특히 아동학대

    가해자를 의무적으로 상담, 교육 등에 참여토록 하는 법적 강제

    조치가 없어 실효성 한계가 지적됨.

    ∙ 아동학대 가해자에 대한 적절한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으면

    학대행위가 재발될 우려가 높아 2차 폭력의 위험 가중

  • 24

    — 국가적 차원의 아동보호체계가 체계적으로 가동되지 않고 있어

    보호서비스가 유기적으로 연계되지 못할 가능성이 농후함.

    — 그룹홈 지원과 입양아동 양육비 지원을 제외한 대부분의 아동보

    호 사업이 지방정부 사업으로 이양되면서 지역간 보호서비스의

    질적‧양적 격차가 더욱 심화될 전망임.

    — 아동보호서비스 전달체계의 미비로 대부분의 서비스가 사후 치

    료중심적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사전예방적 접근은 매우 제한적

    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전문적 보호서비스의 제공과 서비스의 다각화를 모색함에도 불

    구하고 시설보호, 위탁보호 등 단순보호의 형태가 지배적임.

    ∙ 결연 또는 후원을 통해 물질적 지원 이외에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고 정서적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지만, 실제 그 효과

    는 미흡한 수준

    제4장 주요 OECD 국가의 아동보호체계 사례연구

    1. 미국의 아동보호체계

    □ 아동보호관련 법적‧제도적 환경

    — 아동보호 관련 법률 기반은 아동학대의 범위와 유형을 규정지음

    으로써 아동과 가족이 지원받을 수 있는 보호와 서비스의 내용

    을 결정하고, 아동보호 체계의 목표와 우선순위를 결정짓는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함.

    — 실질적인 아동보호서비스가 주(州)정부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음.

  • 요 약 25

    ∙ 그러나 주(州)정부가 수행해야 하는 최소한의 서비스 기준과

    책임을 연방법으로 규정함으로써

    ∙ 주(州)정부 임의로 서비스를 감축하지 못하도록 연방정부가

    감독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토대가 되고 있음.

    — 주법은 물론 연방법에서 모든 아동보호정책의 근간은 아동의 안

    전성(safety)과 아동보호의 영구성(permanency)을 갖추는 것임.

    ∙ 아동학대예방및조치법(Child Abuse Prevention and Treatment

    Act: CAPTA of 1974)→아동가정안전법(Keeping Children and

    Families Safe Act)으로 개정

    ∙ 아동성폭력예방법(Protection of Children from Sexual Predators

    Act of 1998)

    ∙ 입양지원및아동복지법(Adoption Assistance and Child Welfare

    Act: AACW of 1980)→원가정보존법(Family Preservation Act:

    FPA of 1992)으로 확대 개정→입양및가족안전법(Adoption

    and Safe Families Act: ASFA of 1997)

    □ 아동보호서비스의 공적전달체계

    — 아동보호를 담당하는 주무 연방부처는 보건복지서비스부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내에 있는 아동가족관

    (Administration for Children and Families) 산하 아동청소년가족실

    (Administration on Children, Youth, and Families) 내의 아동국

    (Children's Bureau)임.

    ∙ 각 주(州)정부에는 아동보호 서비스 담당부서(Child Protective

    Services)를 두고 있으며, 이 부서에서 아동학대와 보호에 관

    련된 행정업무를 담당

  • 26

    — 아동보호 관련 업무는 아동가족서비스부에서 총괄하여 시행하

    되,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서비스 전달은 민간기관들을 통해 제

    공되고 있음.

    ∙ 이에 아동보호체계의 직접적인 서비스 전달체계는 민간기관이

    되며,

    ∙ 민간기관의 운영을 감독하고 이들 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의 질을 관리하는 것이 공공부문 아동보호 업무의 중요한

    부문

    □ 아동보호체계의 모니터링과 평가

    — 연방정부의 아동국(Children's Bureau)에서는 각 주(州)에서 시행

    되고 있는 아동보호 정책에 대한 2가지 유형의 모니터링과 평

    가를 수행하고 있음.

    ∙ 첫째, “Ⅳ-E 평가”(Ⅳ-E Review)는 주(州)정부의 아동보호사례

    중 연방정부의 사회보장법 제4장-E (Title Ⅳ-E of Social

    Security Act) 기금을 사용한 사례에 대한 조사평가

    ∙ 둘째, 아동가족서비스평가(Child and Family Services Reviews:

    CFSR)는 입양및가족안전법에 근거하여 제도화된 것으로서,

    각 주(州)정부와 아동보호기관에서 서비스를 제공받은 아동

    들의 경험과 업무실적을 취합하여 평가

    □ 아동보호를 위한 지역사회의 참여와 민간협력

    — 미국의 아동보호 및 사회복지 역사에서 정부, 학계, 민간기관,

    NGO 들의 협력에 기초한 파트너십은 쉽게 발견할 수 있음.

    ∙ 파트너십은 민간, 정부, 학계의 공고한 협력관계를 반영하지만,

  • 요 약 27

    ∙ 다른 한편으로 정부의 역할과 개입을 최소화하고 민간에 복

    지서비스 제공책임을 이양하는 미국의 복지정책의 기본전제

    를 반영하는 것이기도 함.

    □ 학대아동 보호 및 아동학대 예방

    — 학대아동 보호체계는 주(州)정부의 아동보호서비스 관련부서(Child

    Protection Services)와 이 부서로부터 위탁을 받은 지역사회 민간

    기관(community agencies)들의 협력체제로 이루어지고 있음.

    — 미국의 아동보호체계에서는 보호조치의 결정, 즉, 원가정으로 복

    귀시킬 것인가, 가정위탁을 할 것인가, 또는 그룹홈이나 시설보

    호를 할 것인가 등의 결정과 시행을 가장 중심적인 업무로 인식

    하고 있음.

    ∙ 보호조치 이후의 서비스 제공은 상대적으로 간과되는 경향이

    있으며,

    ∙ 사후보호서비스 내용도 상당히 미흡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

    으로 평가

    □ 시설보호와 자립지원

    — 시설보호는 쉼터(emergency shelter), 그룹홈(group home), 치료시

    설(residential treatment center) 등을 중심으로 제공되고 있음.

    ∙ 그러나 다른 복지국가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미국에서도

    시설보호는 아동보호 수단 가운데 가장 마지막으로 선택되

    는 대안으로 간주

    — 보호체계를 벗어나는 아동의 자립지원을 위해 1999년 가정위탁

    자립법(the Foster Care Independence Act)이 제정되었음.

  • 28

    ∙ 연방정부로부터 받는 재정적 지원에 주(州)정부의 대응자금

    (matching fund)을 20% 이상 확보하도록 강제함으로써 주(州)

    정부의 자립지원 프로그램 장려

    □ 위탁가정지원

    — 아동이 가정위탁보호를 받는 동안 원가정에 대한 사례관리가 이

    루어지도록 하며,

    — 결과적으로 아동이 원가정으로 복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목표

    가 되지만 가족으로 돌아갈 수 없는 경우에는 대안적으로 입양

    이 선택되기도 함.

    — 민간 아동보호기관에서는 위탁가정을 모집하고, 이들에 대한 교

    육‧훈련을 제공하여 가정위탁 자격을 갖추게 한 후, 위탁가정

    면허를 제공함.

    ∙ 위탁가정은 아동을 보호 위탁하는 대가로 일정한 위탁료를

    정부로부터 지급받고,

    ∙ 위탁아동을 보호하는데 필요한 각종 서비스와 지원을 보장받

    으며,

    ∙ 위탁보호 내용에 대한 아동보호기관의 감독과 모니터링 수용

    □ 입양지원

    — 입양지원및아동복지법에서는 가정위탁이나 시설배치를 최소화하

    고, 입양이나 원가족 복귀를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음.

    ∙ 동 법을 통해 가정위탁으로 보호되던 아동을 입양하는 가정에 대한

    재정적 지원이 가능해져 입양수당(Adoption Assistance)을 제공

    — 입양및가족안전법은 아동이 보호체계에 들어온 후 입양될 때까

    지의 기간을 최대한 단축시키기 위해

  • 요 약 29

    ∙ 입양대기 기간을 제한

    ∙ 입양건수를 증가시킨 주(州)에 대해서는 연방정부의 재정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입양 촉진정책 수립

    — 아동과 입양가족이 새로운 가족관계를 안정적으로 형성하고 변화

    된 가정환경에 적응하도록 돕는 것이 아동보호체계의 목표가 됨.

    ∙ 입양 후 사례관리에는 입양보조금 지급, 입양아동의 교육비

    지원, 입양 사례별 관리 외에도,

    ∙ 입양지원센터의 운영, 입양정보검색 데이터베이스 운영 등의

    정보제공 지원을 포함

    ∙ 또한 약물남용치료, 가족치료, 주간보호, 위기중재, 의료/행동치

    료, 정신건강치료, 집단상담, 자조집단 형성, 사회적 기술훈련,

    특별 캠프 등과 같은 정신 건강 서비스 프로그램 등 제공

    □ 미국 아동보호체계의 시사점

    — 아동보호체계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일련의 개혁에도 불구하

    고 전문가들은 미국의 아동보호체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

    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 이는 미국의 복지정책의 전반적 기조에 대한 전문가들의 반

    대, 요보호아동의 양적 정체현상, 각종 아동보호정책의 시행

    착오, 제도를 뒷받침할 전문 인력의 부족 등에 근거

    — 미국의 아동보호정책이 시설중심에서 가족중심-아동중심으로 그

    초점이 변화해 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함.

    — 입양문화가 발달하지 못한 우리나라 사회의 상황에서 가정위탁

    보호는 시설보호를 대치하는 의미가 있으나, 가정위탁보호는 원

    래 일시적인 보호의 성격을 가진다는 점을 감안해야 함.

    ∙ 일반 위탁가정은 감소하는 추세에 있는 반면, 공식적 친족위탁

  • 30

    이 증가하여 가정위탁으로 보호받는 아동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

    — 아동보호체계의 관점이 변화하는 과정이 단지 사회적 이념의 변

    화에 의해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 학문적 연구결과의 반영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음은 우리나

    라 동 연구분야에 대해 갖는 함의가 큼.

    2. 영국의 아동보호체계

    □ 아동보호관련 법적‧제도적 환경

    — 베버리지 보고서 이후 최근까지 영국의 아동보호와 양육에 관련

    된 법은 분산되어 있었으나 1989년에 아동법(The Children Acts)

    의 재정을 통하여 대체적으로 정리되었음.

    — 아동법은 한마디로 “부모의 책임”, “아동과 가정에 대한 사회적

    지원”, 그리고 “동반자적 관계”라는 개념으로 요약될 수 있는

    아동보호에 관한 가장 포괄적인 입법으로 평가되고 있음.

    ∙ 아동과 관련한 공법 및 사법을 최초로 통합

    □ 아동보호서비스의 공적전달체계

    — 아동보호서비스의 골격은 주로 지방의 사회복지국이 담당하고

    있으며, 지방정부는 학대 및 보호태만이 의심되는 경우에 그 사

    안을 조사할 의무가 있음.

    — 지역아동보호위원회는 보호조치에 대한 권고사항, 법원의 보호명령

    신청여부, 아동보호 등록대장의 등재여부 등 제반 사항을 결정함.

    ∙ 지방정부는 아동보호 등록대장을 관리하면서 보호가 필요한

    아동을 등록‧관리하고, 아동보호계획을 수립할 책임을 가짐

  • 요 약 31

    □ 아동보호체계의 모니터링과 평가

    — 아동보호 차원에서의 아동권리의 모니터링과 평가 시스템의 가

    동을 위해 의견수립 및 제도 검토를 거쳐 2001년부터 영국 내

    자치권역별로 시행하고 있음.

    — 민간부분에서도 아동권리관련 중요 단체들이 모니터링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 영국정부에 의해 아동권리증진을 목표로 하여 정부와 독립적

    으로 활동하도록 설립된 아동권리판무관 제도를 통해 모니

    터링 실시

    □ 아동보호를 위한 지역사회의 참여와 민간협력

    — 아동보호체계의 지속적인 발전을 가능하게 한 것은 영국 내 280

    여개에 이르는 아동권리 관련 NGO 기관 및 단체들의 역할이

    지대했던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 자국 내 아동권리의 향상을 위해 활동할 뿐 아니라 전 세계

    의 아동권리 단체들과 연대를 위해 노력

    ∙ 이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정보 네트워크 구성

    — 아동권리 모니터링 결과를 발간‧유포하고 있고, 영국정부의 정

    기적 유엔보고 시에도 아동관련 연대 및 중요 기관들은 선택적

    기관 보고서를 아동권리위원회에 제출하였음.

    □ 학대아동 보호 및 아동학대 예방

    — 영국은 아동학대 신고전화가 하나로 통일되어 있지 않고 민간단체

    인 전국아동에대한잔혹금지협회(National Society for the Prevention

    of Cruelty to Children(NSPCC)나 지방정부 등에서 신고를 접수함.

  • 32

    — 현장조사는 지방 정부 소속의 사회복지사에 의해 수행되며,

    ∙ 현장조사가 끝나면 각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지역아동보호

    위원회(Area Child Protection Committee)에서 사례회의 개최

    — 장기보호가 결정되어 아동이 원가정에서 격리보호 되더라도 지

    역아동보호위원회(Area Child Protection Committee)는 아동에게

    위해가 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아동과 부모간의 지속적인 접

    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함.

    — 아동학대와 관련된 실질적 업무를 보건부의 하위조직인 아동안전

    국(Head of the Children's Safeguard Unit)에서 주로 담당하고 있음.

    □ 시설보호와 자립지원

    — 아동보호시설은 지방정부가 아동법에 의하여 설치한 지역시설,

    영리기관에 의하여 운영되는 등록된 아동시설, 자원단체가 운영

    하는 자원아동시설 등이 있음.

    ∙ 이들 시설 중 일부분은 공적 자금을 지원받아 운영되며, 또 다른 일

    부는 공적 자금과 개인 자금의 혼합 형태로 운영

    — 전반적으로 시설보호아동수가 감소하고 있음.

    ∙ 생후 1년 이내의 아동이 8개월 이상 대규모 시설에서 생활하

    는 경우 사회성, 운동성, 언어 발달에 있어 지체 현상을 보인

    다는 연구결과의 영향

    ∙ 보호 아동에 대한 예방사업이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두면서 시

    설보호는 불가피한 경우에만 제공되어야 된다는 인식 확산

    □ 위탁가정지원

    — 이미 19세기부터 요보호아동을 시설보호에서 분리하여 수용보호

    하기 시작하였으며, 특히 소규모의 그룹홈, 주거홈 등이 발달하

  • 요 약 33

    기 시작했음.

    — 가정위탁의 기본 전제는 친부모와 영구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

    지함으로써 아동이 경험할 수 있는 발달적 손상을 감소시키는데

    의의를 두고 있음.

    ∙ 위탁보호의 수준은 자신의 친부모에 의한 양육수준 이상이어

    야 한다는 것과,

    ∙ 아동이 가정 분위기에서 보호됨으로써 가정위탁의 목적 달성

    ∙ 가정이 해체되었거나 부모로부터 유기된 아동들은 위탁보호

    시행령(Foster Placement Regulations)에 따라 지방당국이 위탁

    보호를 알선하며 보호아동의 약 60%가 위탁가정에 배치

    □ 입양지원

    — 원가정 복귀가 불가능한 요보호아동의 입양촉진을 위하여 부모

    맺기운동(Be My Parents Program)을 전개하고 있음.

    ∙ 동 프로그램은 가정보호의 일환인 입양아를 위한 친가 연결

    프로그램(Adoption Contact Register)으로 입양아와 그의 친부,

    친모 또는 친척들과의 접촉을 용이하도록 지원

    ∙ 양부모의 자격은 결혼한 부부 또는 독신자로서 25세 이상이

    어야 하나, 입양을 원하는 아동과 특별한 관계가 있을 경우

    에는 21세 이상의 자도 가능

    ∙ 독신 남자가 여아를 입양하는 것은 금지

    — 입양기관은 아동의 항구적 보호계획을 마련하기 위한 사례회의

    를 개최하기 위하여

    ∙ 입양 패널을 구성해야 하며,

    ∙ 패널의 결정에 따라 기관의 의사결정자는 입양 진행 여부를

    결정해야 함.

  • 34

    □ 영국 아동보호체계의 시사점

    — 영국의 아동보호는 국가의 역할이 강조되어 국가가 전반적으로

    책임을 지고 사업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가족의 역할과 기능을

    중시함.

    — 아동보호체계는 위험에 처한 아동을 파악하고 전문가들 간의 상

    호협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신뢰할 만한 절차를 만드는 것에 강

    조점을 두고 있음.

    — 아동학대 대응체계에 있어 현장조사와 사례판정, 보호조치는 지

    방정부의 주도하에 이루어지고, 상담 및 치료 등의 서비스는 전

    문민간기관에 의해 제공되고 있음.

    ∙ 아동보호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하여 아동보호에 관한 구체적

    이고 실질적인 법률을 마련하고 있으며, 이를 근거로 아동보

    호 사례에 대한 적극적 개입 실현

    ∙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경찰, 법원, 지역사회, 민간단체 등 다

    양한 체계의 협력아래 통합적인 접근 시도

    3. 스웨덴의 아동보호체계

    □ 아동보호관련 법적‧제도적 환경

    — 스웨덴에서는 아동보호체계와 관련된 단일 법령을 마련되어 있지

    않으면서도 아동권익의 최우선 원칙이 아동보호서비스의 전달 및

    일반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에 적용될 수 있는 주요 이유는,

    ∙ 사회서비스법과 아동보호특별법 등 관련 법령에 아동보호체

    계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명백하게 규정되어 있기 때문

    — 사회서비스법(Social Service Act)과 아동보호특별법(Care of

  • 요 약 35

    Young Persons Special Provision Act)은 아동이 성장‧발달하는

    데 필요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가능성을

    모두 고려 함.

    ∙ 아동보호특별법은 아동폭력과 관련한 소송에 있어 국선변호

    사 등의 도움을 받을 권리를 부여하고 있음.

    □ 아동보호서비스의 공적전달체계

    — 중앙정부의 보건사회부(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보

    건복지국가위원회, 시설보호국가위원회(National Board of Institutional

    Care) 등을 중심으로 아동보호서비스를 공공부문에서 직접적으

    로 전달‧제공하고 있음.

    ∙ 아동욕구의 충족을 강조(Children's Needs in Focus)

    ∙ 아동학대의 사례 판정 및 사정, 치료와 보호 계획 마련, 보호

    내용 평가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 지원프로그램 마련

    — 보호서비스의 전달을 위하여 중앙정부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지

    방정부, 각급 학교, 자원단체들이 협력관계를 이루고 있음.

    □ 아동보호체계의 모니터링과 평가

    — 아동보호 및 복지의 수준이 높고, 아동의 인권보장 수준이 비교

    적 높은 스웨덴이지만 모니터링 및 평가 부분에서는 보완 및 개

    선이 요구되고 있음.

    ∙ 보건복지국가위원회는 보호정책의 평가 및 모니터링을 위하

    여 사회복지서비스평가센터(Center for Evaluation of Social

    Services) 운영

    ∙ 옴부즈맨은 아동이 가정에서 학대를 받고 있다는 정보를 접

    수받거나, 아동을 보호하기 위해 개입이 필요하다고 가정될

  • 36

    때, 사회서비스위원회에 보고해야 할 의무를 가지고 있음.

    □ 아동보호를 위한 지역사회의 참여와 민간협력

    — 대표적인 민간단체는 아동권리사회(Children's Rights in Society,

    CRIS), 세이브더췰드런(Save the Children) 등이 있음.

    — 그 밖에 여러 아동인권 조직들이 모든 형태의 아동폭력과 관련

    하여 적극적인 지역사회 참여활동을 전개하고 있음.

    ∙ 아동권리사회(Children's Rights in Society, CRIS)는 아동을 위

    한 신고전화인 핫라인을 운영

    ∙ 결연자(Contact Person) 또는 결연가족(Contact Families)으로 불리

    는 자원봉사활동이 아동보호의 일환으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

    는데, 사회적 지지와 임시 보호의 혼합형태로 보호서비스 제공

    — 사회 보호에 대한 대부분의 책임을 국가가 갖고 있는 스웨덴의

    경우에도 아동보호체계에서 자원봉사자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 학대아동 보호 및 아동학대 예방

    — 아동학대 예방체계는 가족단위가 이용할 수 있는 정기적인 서비

    스를 제공하고, 정부의 강제 개입이 이루어지는 사례로의 전환

    을 최대한 억제하고자 하는 특징을 갖고 있음.

    — 외부의 개입을 통하여 가족 내 문제가 더욱 악화되는 것을 예방

    하는 차원에서 아동보호서비스가 제공됨.

    ∙ 아동학대 가해자에 대하여 비교적 체계적인 교육과 지원이

    이루고 지고 있으며,

    ∙ 보조금 지급 방식의 아동 보호(Subsidized Child Protection), 학

    교 등에서의 사회적 지지를 통한 간접적인 아동학대 예방사

  • 요 약 37

    업을 추진

    ∙ 아동학대 피해 아동의 보호와 예방대책을 마련하는 데 있어

    지방정부는 지방 정부법에 의해 중앙 정부에서 지급된 보조

    금 이용

    ∙ 지방 정부는 또한 특별법에 기초한 업무로서 아동보호 서비

    스 제공의 책임과 의무를 가짐.

    □ 시설보호와 자립지원

    — 시설보호국가위원회(The National Board of Institutional Care)는 가

    장 열악한 환경에 처한 사람들을 위한-아동을 포함하여- 보호서

    비스를 제공

    □ 위탁가정지원

    — 위탁가정 제도는 다른 나라들에 비하여 엄격하게 운영되고 있으

    며, 위탁부모의 보호 하에 있는 아동에 대한 보호가 법적으로

    매우 강력하게 규제되고 있음.

    ∙ 위탁가정지원은 오랜 기간동안 시설보호를 대처하는 수단으로 선호

    □ 입양지원

    — 지역 아동복지당국은 미혼모의 자녀 입양을 가능한한 억제할 수

    있도록 미혼모 설득 업무를 수행하고 있음.

    — 친부모가 여러 가지 이유로 입양을 제안하거나 장기적으로 위탁보

    호하고 있는 아동에 대해서도 전반적으로 입양을 장려하지 않음.

    □ 스웨덴 아동보호체계의 시사점

    — 아동의 보호 및 복지서비스 전달에 있어 적극적인 국가 책임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역사회단체 및 봉사단체, 학교 등과의 협력 네

  • 38

    트워크 구성 노력은 우리나라에 시사하는 바가 큼.

    — 학교 교육 및 지역사회 홍보를 통하여 아동 스스로 폭력으로부

    터 자신을 보호하고 자신의 권리를 인식하여 학대 상황에 적절

    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함.

    ∙ 스웨덴의 아동보호체계를 검토하는 과정은 자료 및 언어의

    한계로 다른 사례분석 국가와 비교하여 심층적으로 검토할

    수 없었지만,

    ∙ 아동보호체계의 운영 및 아동보호서비스의 전달은 사회복지

    전반에 대한 사회적 투자와 관심에 기초하고 있었으며,

    ∙ 아동과 직접적 관계를 맺고 있는 원가족에 대한 복지적 접근

    을 강조하고 있음을 확인

    4. 일본의 아동보호체계

    □ 아동보호관련 법적‧제도적 환경

    — 일본의 아동보호체계는 국가와 지역사회의 개입을 통해 보호가

    필요한 아동문제에 접근할 뿐만 아니라, 소자녀화에 따른 차세

    대건전육성 및 UN 아동권리헌장 정신을 반영하고자 함.

    — 아동보호를 위해 근간이 되는 법은 아동복지법과 최근에 제정된

    아동학대방지법이라 할 수 있음.

    ∙ 아동복지법은 아동보호에 대한 포괄적인 법적 근거를 포괄하고

    있으며 특히, 시설보호와 위탁보호 아동에 대한 법적 근거 제시

    ∙ 아동학대방지법을 통해 학대 아동의 보호 근거를 마련하였

    고, 입양법은 입양아동 보호에 대한 법적 근거 제시

    ∙ 아동매춘과아동포르노관련행위처벌및아동보호법은 매춘과 포

    르노그래피 관련 행위 등으로 인한 심각한 신체적, 정신적

  • 요 약 39

    고통을 받는 아동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상담, 지도 또는 일시

    적 보호 및 시설 입소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규정

    ∙ 기타 형법, 학교법, 민법 등에서 아동보호 관련 규정을 포함

    □ 아동보호서비스의 공적전달체계

    — 아동보호체계의 중앙 운영주체는 후생노동성의 학대방지대책국,

    법무성의 인권위원회, 이민국, 경찰청, 문부과학성 등 임.

    — 이외에 지방정부의 관련 전달체계 및 사법부의 가정법원, 그리

    고 입법부 지원조직 등이 관여하고 있음.

    ∙ 후생노동성의 학대방지대책국(Abuse Prevention Countermeasures

    Department)이 아동학대 대응조치 계획과 실행방안 초안을 구

    상하는 책임

    ∙ 법무성의 인권위원회는 아동폭력을 포함한 인권에 관한 여러

    종류의 사건의뢰에 대해서 인권상담서비스를 제공

    ∙ 국립경찰청과 지방 경찰서에 마련된 청소년부는 피해 청소년의

    보호와 청소년을 표적으로 하는 위반행위를 방지하는 역할 수행

    □ 아동보호체계의 모니터링과 평가

    — 아동보호체계의 취약한 부분을 파악하여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정확한 기초 자료의 수집과 보존을 위한 연구, 정책 홍보와 교

    육, 그리고 평가가 필수적임.

    ∙ 아동보호에 대한 연구 조사는 ‘아동 폭력 피해 전국조사’가

    가장 대표적

    ∙ 아동보호서비스의 질적 수준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아동복지

    시설의 복지서비스 평가에 관한 보고서 발간

  • 40

    □ 아동보호를 위한 지역사회의 참여와 민간협력

    — 아동보호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공적 보호체계가 만들어진 계기는

    아동의 희생과 민간단체의 활동이 그 바탕이 되었다고 할 수 있음.

    ∙ 오사카(大阪) 아동학대방지협회와 동경(東京) 아동학대방지센

    터가 대표적 단체

    ∙ 이들 단체는 학대신고 핫라인을 이용한 상담과 지원활동, 관

    련 주제에 대한 심포지엄 개최, 연구회, 네트워크 확보, 사례

    검토, 보고서 발행 등 다양

    — 청소년 전자모니터링(Electric Monitoring by the Youth) 프로그램

    을 실시하여 아동의 의견이 아동보호정책에 반영되도록 운영하

    고 있음.

    — 시정촌을 중심으로 구성된 요보호아동대책지역협의회는 아동복

    지법에 근거하여 활동하면서, 아동보호를 위한 관련 기관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도록 아동복지법

    의 개정을 주장하였음.

    ∙ 개정 아동복지법에서는 아동보호를 위한 지역협의회의 설치

    가 의무 조항은 아니지만,

    ∙ 관계 기관 등의 연계에 의해 조직이 요보호아동의 대응에 효

    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법정화 등의 조치 채택

    □ 학대아동 보호 및 아동학대 예방

    — 아동학대방지법 신고의무조항에 근거하여 아동학대를 목격한 사

    람은 즉시 관계 기관에 보고해야 함.

    ∙ 아동학대 신고가 접수되면 아동상담소는 보호자와 아동에 대

    하여 임의 조사 또는 현장조사를 실시

  • 요 약 41

    ∙ 현장조사를 통해 아동은 보호자와 함께 지내는 재가지도나

    보호자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조치 결정

    □ 시설보호와 자립지원

    — 시대의 변천과 사회‧가정환경의 변화와 함께 시설입소 아동의

    욕구가 다양화되면서 개별 시설의 역할과 운영에 변화가 나타

    나기 시작하였음.

    ∙ 특히, 1990년대 들어와서는 학대아동의 입소증가로 보호시설

    간의 차이가 불명확하게 되었고 시설 간의 경계선 모호

    ∙ 최근의 시설보호는 가정적인 환경에서 개별적인 보살핌을 받

    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 전제로 설정

    ∙ 치료기능이 있는 기간시설에서는 특수한 서비스를 필요로 하

    는 아동에게 적절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전문적인 직

    원을 배치하는 방향으로 전환

    — 시설보호기간이 만료되면 자립지원이라 하여 퇴소아동이 사회인으로

    서 생활해 나가기 위해 종합적인 생활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지원함.

    □ 위탁가정지원

    — 위탁가정과 유사한 개념으로서 수양부모제도가 있는데, 수양부

    모는 친부모에 의해 적절한 보호를 받지 못하는 아동을 사회적

    으로 보호하는 제도임.

    ∙ 수양부모는 양육수양부모, 친족수양부모, 단기수양부모 및 전

    문수양부모 등으로 구분

    ∙ 아동복지시설 입소아동을 대상으로 가정적 체험을 경험할 수

    있도록 여름휴가와 주말을 이용하여 단기간위탁을 실시하는

    데, 이 경우도 단기수양부모에 포함

  • 42

    ∙ 심신의 유해한 정도가 심한 아동에 대해서는 전문수양부모에게 위탁

    — 수양부모가 하는 아동양육은 개인적인 양육이 아니라 사회적인

    양육으로 간주함.

    □ 입양지원

    — 입양지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동복지법 규정에 따르는 양자

    제도를 살펴보아야 함.

    — 동 제도의 의의는 보호자가 없는 아동 및 불우한 가정에서 자라는

    아동에게 따뜻한 가정을 제공하여,

    — 대상 아동의 양육에 대한 법적 안정성을 주기 위한 것으로, 아동의

    건전한 육성을 도모하는 것임.

    ∙ 보통양자결연: 입양대상 아동이 15세 미만일 때는 법정대리

    인이 아동의 모든 것을 대신하지만, 15세 이상일 경우에는

    양자가 되고자 하는 본인 의사확인이 우선

    ∙ 특별양자결연: 6개월 정도의 시험 양육을 통하여 가정재판소

    에 특별양자결연 신청을 하여 성립되며, 아동의 이익을 도모

    하고, 항구적인 부모-자녀관계를 형성하도록 지원

    — 수양부모제도와 마찬가지로 입양제도의 활성화를 저해하고 있는

    요인으로서

    ∙ 입양제도에 대한 사회적, 문화적, 관습적 폐쇄성

    ∙ 입양아에 대한 편견 및 사회적 인식의 부족 등 지적

    □ 일본 아동보호체계의 시사점

    — 일본 아동상담소는 보호가 필요한 아동과 아동복지시설, 지역사

    회, 관련 행정부처나 사법기관 간의 연계체계를 형성하는데 중

    심적인 역할을 수행함.

  • 요 약 43

    — 아동가정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지역아동의 복지 및 보호와 관련

    하여 아동은 물론 가족과 친인척, 그리고 지역주민들의 적극적

    참여를 도모하고 있음.

    ∙ 뿐만 아니라 해당 아동의 보호체계를 구축하고 보호자원을

    마련하는데 지역사회 전체의 적극적 참여 촉진

    ∙ 아동보호서비스의 다양한 서비스 내용이 통합적이고 포괄적

    이면서도 체계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기능

    — 아동보호체계에 대한 평가 및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여 보호서

    비스의 질적 향상과 서비스 표준화 방안을 검토하고 있음.

    제5장 OECD 국가의 아동보호체계 비교

    1. OECD 국가의 아동보호체계 종합 비교

    □ 아동보호관련 법적‧제도적 환경의 비교

    — 아동권리가 국제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1924년 국제연맹

    총회(League of Nations)에서 아동권리선언(Declara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이 채택되면서 부터임.

    ∙ UN은 1979년을 ‘세계 아동의 해'(The International Year of the

    Child)로 결정하고, 이를 기념하여 아동권리선언을 더욱 구체

    화하고 법적 구속력을 갖는 국제조약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결의를 채택하였음.

    — 법적 구속력을 가진 협약 수준으로 조정하기 위한 국제적 노력

    을 통해 ‘아동권리에 관한 국제협약(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으로 결실을 맺게 되었음.

  • 44

    ∙ 국제협약은 아동의 권리와 복지에 대한 전 세계의 관심을 집

    중하는 계기를 마련

    ∙ 협약을 채택한 국가에서는 아동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조치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지도록 장치를 함으로써 아동권리협약이

    단순한 선언에 그치지 않도록 조치

    — 아동보호관련 각국의 법적 체계는 고유의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배경에 따라 다르겠지만, 법체계의 특성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

    ∙ 국가 헌법이나 연방법과 같이 기본법 차원에서 아동의 보호

    를 명시적으로 제시한 경우: 이탈리아, 프랑스 등

    ∙ 아동보호의 문제를 형법에서 주로 논의하는 경우: 호주, 캐나

    다, 체코, 독일, 네덜란드, 뉴질랜드, 노르웨이 등

    ∙ 별도의 아동보호에 관한 특별법이 존재하거나 기본법 또는

    형법에서 아동보호를 직‧간접적으로 명시하고 있더라도 아

    동보호와 관련된 특별법을 갖고 있는 경우: 미국, 영국, 스웨

    덴, 일본, 한국, 헝가리, 아이슬란드 등

    — 각국의 아동보호에 관련된 법률들은 사이버 범죄에 대한 아동보

    호방안을 마련하거나 별도의 관련법을 제정하고 있음.

    ∙ 아동 포르노그래피 및 유해정보와 관련된 법령은 대체로 아

    동보호체계 관련법 체제 하에서 운영: 호주, 캐나다, 체코,

    덴마크, 핀란드, 독일, 한국 등

    ∙ 아동 포르노그래피 등 온라인상의 유해정보 차단을 위하여

    최근 별도의 법률 제정 확산: 헝가리, 미국, 일본 등

    □ 아동보호서비스의 공적전달체계 비교

    — 학대, 착취, 폭력 및 부적절한 양육환경으로부터 아동을 보호하기 위

    한 아동보호서비스의 공적전달체계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

  • 요 약 45

    ∙ 아동보호 관련 정책의 수립 및 집행이 대부분 중앙정부 차원

    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오스트레일리아, 체코, 아이슬란드, 이

    탈리아, 일본, 한국, 뉴질랜드, 독일, 스웨덴 등

    ∙ 정책 수립은 중앙에서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정책시행 및 서

    비스 전달의 책임은 지방정부가 갖고 있는 경우: 캐나다, 핀

    란드, 프랑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미국, 영국 등

    — 우리나라의 경우 정부가 추진하는 아동보호 사업의 상당수가 민

    간에 위탁운영 되는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일부 보호사업의 경

    우 순수 민간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음.

    ∙ 아동보호사업의 대부분이 지방 이양되면서 지방자치단체의

    재정투자 의지에 따라 아동보호사업에 대한 그 나마의 재정

    지원 규모도 변동 가능

    ∙ 결과적으로 아동보호사업의 재정적 안정성이 취약해지고 서

    비스 전달의 일관성 및 보호대상에 대한 보호내용 확충이

    원활하지 못할 가능성 농후

    □ 아동보호체계의 모니터링과 평가 비교

    — 모니터링은 아동보호서비스 및 보호체계가 지향하는 목표와 목

    적을 보다 성공적으로 성취할 수 있도록 정책 및 사업을 조정

    하기위하여 활용될 수 있음.

    ∙ 아동보호체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별도의 조직

    이 설치되어 있는 국가: 프랑스, 뉴질랜드, 독일, 캐나다, 아

    이슬란드, 이탈리아, 노르웨이, 호주, 미국, 오스트리아 등

    ∙ 프랑스, 캐나다,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오스트리아, 덴마크, 스웨

    덴 등은 아동옴부즈만 제도를 통해서 UN 아동권리협약의 이행

    수준 검토하면서 아동보호체계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실시

  • 46

    ∙ 모니터링 전담조직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서 관련 자료를

    정기적으로 수집하는 국가: 네덜란드(전담조직 설치 예정)

    ∙ 모니터링 전담조직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서 관련 자료를

    부정기적으로 수집하는 국가: 호주, 핀란드, 일본, 한국 등

    ∙ 모니터링 전담조직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서 극히 제한적인

    자료수집이 이루어지는 국가: 체코, 헝가리

    □ 아동보호를 위한 지역사회의 참여 실태 비교

    — 아동보호체계의 효과적 운영과 보호서비스 전달의 효율성을 제

    고하기 위하여 지역사회의 적극적 참여가 관건이 되고 있음.

    ∙ 민간단체와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아동보호에 대한 교육, 홍

    보 및 실질적인 서비스 전달이 활발하게 전달되고 있는 국

    가: 스웨덴, 미국, 영국, 호주, 오스트리아, 핀란드, 프랑스,

    아이슬란드, 일본, 한국 등

    ∙ 대부분의 국가에서 미디어의 역할은 제한적이어서 사건사실

    정도를 전달하는 수준이지만, 독일, 캐나다, 뉴질랜드 등에서

    는 보다 적극적 활용방안을 검토

    2. OECD 국가의 아동보호체계 종합 비교의 시사점

    □ 아동보호관련 법적‧제도적 환경의 비교

    — 아동보호체계의 실효성과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UN 아동권

    리협약 비준내용의 실천을 적극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법체계

    및 제도적 여건 조성이 중요함.

    ∙ 단일법 재정을 위한 소모적 논쟁으로 시간을 소비하는 것보

    다는 현 입법체계에서 아동보호 관련법의 연계체계 구축 방

    안을 마련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인 선택

  • 요 약 47

    — 아동보호정책 수립의 객관성과 전문성 제고를 위한 제도적 기반

    을 갖추기 위하여 아동 및 아동보호 관련 국가 통계 생산체계를

    갖추어야 함.

    □ 아동보호서비스의 공적전달체계 비교

    — 아동보호서비스의 전달에 있어 공공과 민간의 협력은 아무리 강

    조하여도 부족함이 없음.

    ∙ 초기 아동보호체계의 구축 자체가 민간의 역할에 상당부분

    의존하였고, 구체적인 보호서비스의 전달이 사실상 민간을

    중심으로 주도적으로 진행

    ∙ 따라서 보다 적극적인 공공의 역할과 아동보호체계 있어 공

    공부문의 명확한 자리매김이 우선 되어야 할 것임

    □ 아동보호체계의 모니터링과 평가 비교

    — 모니터링 기능을 구축하고 평가기능의 효과적 수행을 위한 보다

    면밀한 정책적 검토와 학술적 연구가 필요함.

    ∙ 아동보호체계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의 구축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국가가 대체로 취약한 실정

    □ 아동보호를 위한 지역사회의 참여 실태 비교

    — 아동보호에 있어 지역사회의 참여와 민간협력은 지역 내 아동보

    호 관련 물적‧인적 자원을 동원하여 생산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연계체계의 마련에서부터 출발해야 함.

    ∙ 연계방안의 수립은 지역 내 기존의 아동복지 거점시설을 중심

    으로 기획‧관리 가능

  • 48

    제6장 결론 및 제언

    1. 결론

    □ 아동에 대한 적극적 보호와 성장발달의 지원

    — 저출산 시대에 이미 태어난 아동의 안전한 보호와 건강한 발달

    을 보장하는 것은 출산율을 제고하기 위한 출산장려정책과는 또

    다른 의미를 갖는 매우 중요한 국가적, 사회적 과제임.

    — 본 연구는 자료수집의 한계와 정보의 편차 등 여러 가지 제약이

    있었으나, 주요 국가의 아동보호관련 법적‧제도적 여건을 살피

    고, 아동보호서비스의 공적전달체계의 특성을 파악고자 하였음.

    — 또한 아동보호체계의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한 모니터링과 평가

    체계를 검토하고 아동보호를 위한 지역사회의 참여 현황과 민

    간협력 내용을 비교하였음.

    ∙ 이러한 비교의 틀이 궁극적으로 아동보호가 추구해야 할 보

    호환경(protective environment) 구축을 위한 전제조건이었다는

    점에서 갖는 함의 또한 적지 않음.

    — 아동보호환경의 조성은 UN 인권위원회에서도 강조하는 바와 같이

    ∙ 아동의 건강한 성장발달의 책임을 국가와 사회가 함께 공유하고,

    ∙ 미래세대에 대한 투자의 견지에서 향후 보다 심층적인 논의

    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됨.

    □ 아동보호환경의 조성 및 보호체계의 구축

    — 보호환경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들은 사회정책의 영역아래에서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야만 함.

  • 요 약 49

    ∙ 거미줄과 같이 촘촘하게 연계되어 있는 보호망 속에서 아동

    이 경험하게 될 불행한 기억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는 안

    정장치가 될 것임

    — 위기상황에 대한 조기 개입을 통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고 상황

    적, 개별적 특성과 욕구에 맞는 대응책을 제시하는 것이 우리에

    게 주어진 또 다른 숙제임.

    ∙ 문제가 발생하기 이전에 예방하는 예방적 접근이 기본적 임무

    ∙ 아동이 원가정으로 복귀하여 가족원들과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가족의 기능과 책임을 지지하고 지원하는 것이

    궁극적 목표

    2. 아동보호체계의 발전 방향

    □ 아동보호체계의 한계가 해소되지 못한 상황에서 아동에 대한 사회

    적 보호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는 실정임.

    — 효과적인 보호환경을 조성하여 전문적인 아동보호서비스를 전달

    하는 아동보호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아동보호의 기본 방향을 설

    정해야 함. 따라서,

    ∙ 아동보호는 발달위기에 처한 아동이 경험하게 될 물리적, 정

    신적 위험요인을 제거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일차적 목적으

    로 하지만,

    ∙ 발달위기로부터 사전에 아동을 보호하고 위기를 예방하는 보

    호요인(protective factors)의 제공이 강조되어야 하며,

    ∙ 보호체계의 구축 및 보호서비스의 전달은 아동발달 및 아동

    보호에 대한 명백한 이론적‧학문적 근거를 기초로 하여 개발

    ‧실행되어야 하고,

    ∙ 보호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사회, 제도, 문화, 정치 등 사

  • 50

    회 전반의 참여와 노력이 필요

    □ 법적‧제도적 측면의 아동보호체계 발전방향

    — 아동보호체계의 구축과 보호서비스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아동보호 및 관련법의 정비가 필요함.

    ∙ 단일법령으로 집중화하는 노력보다는 관련 법 간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통합적 법령 집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제도화

    의 노력 우선시

    ∙ 정책운영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정책대상별 맞춤형 보호서비

    스의 전달을 위해서 아동인구의 연령기준을 통일 필요

    — 아동보호 관련 입법 활동은 물론 각종 아동보호 정책의 수립 및

    구체적인 사업추진 계획을 마련하는데 과학적 정책근거를 확보

    하기 위하여 실증 자료를 확충해야 함.

    □ 아동보호서비스의 공적 전달체계 개선

    — 아동학대예방센터와 지역아동센터의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보호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통합적‧지속적인 서비스 제공

    을 아동보호체계의 발전 방향 최우선 과제로 제시하여야 함.

    ∙ 아동보호서비스는 전체 사회복지 맥락 안에서 입체적으로 조

    명되어야 하며, 다른 사회복지서비스와 유기적으로 연계됨으

    로서 효과성 제고 가능

    — 아동학대의 조기발견과 치료‧보호‧예방을 주로 담당하는 예방센터를 비

    롯하여 다양한 지역사회기관을 연계하는 아동보호네트워크 구축해야 함.

    ∙ 아동보호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현재 전국

    800여 개소에 설치‧운영되고 있는 지역아동센터의 활용을 적

    극적으로 검토

  • 요 약 51

    □ 공공과 민간의 역할분담을 통한 분절적 아동보호서비스의 개선

    — 아동보호를 위한 보다 적극적이고 포괄적인 사례관리는 현 아동복지

    체계에서 추진할 수 있는 가장 적극적이고 실효성이 있는 방안임.

    ∙ 사례관리는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의 상황에 대한 정확한 사정

    결과를 근거로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보호계획의 마련에서 시작

    ∙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사례관리를 위하여 지역사회의 적극적

    참여와 유기적 연계 중요

    — 최근 강화되고 있는 가정보호 중심의 아동보호서비스 제공에 대

    한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공공의 역할규명이 선제되어야 함.

    □ 아동보호체계의 모니터링 활성화와 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