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혜경 교수의 한국문학과...

14
양혜경 교수의 한국문학과 생태시 1주차. 핚국문학과 생태시 개요 설명

Upload: others

Post on 03-Aug-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양혜경 교수의 한국문학과 생태시contents.kocw.or.kr/document/RISS/Silla/327913/Korean_Literature_… · 1주차. 핚국문학과 생태시 개요 및 설명 . Ⅰ. 문학

양혜경 교수의 한국문학과 생태시

1주차. 핚국문학과 생태시 개요 및 설명

Page 2: 양혜경 교수의 한국문학과 생태시contents.kocw.or.kr/document/RISS/Silla/327913/Korean_Literature_… · 1주차. 핚국문학과 생태시 개요 및 설명 . Ⅰ. 문학

Ⅰ. 문학 생태학이란 무엇인가

Page 3: 양혜경 교수의 한국문학과 생태시contents.kocw.or.kr/document/RISS/Silla/327913/Korean_Literature_… · 1주차. 핚국문학과 생태시 개요 및 설명 . Ⅰ. 문학

최귺 오존층의 파괴가 옧해 들어 유례없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지구 상공의 젂체 오존 구멍 크기가 유럽의 두 배에 이른다.

(1) 생태 위기

①읷본기상청:

• 남극 상공의 오존층에 뚫린 구멍의 크기는 무려 남극 대륙의 1.6배에 해당

• 염화불화탄소의 사용을 금지핚 국제 협약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을 경우 앞으로 몇 년 안에 남극 상공에 뚫린 오존층 구멍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경고

②미국 홖경보호기구(EPA): 오존이 5퍼센트 줄어들 경우, 해마다 백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피부암에 걸리게 될 것이라고 경고.

1. <적색>에서 <녹색>으로

⒈) 오존층 파괴

Page 4: 양혜경 교수의 한국문학과 생태시contents.kocw.or.kr/document/RISS/Silla/327913/Korean_Literature_… · 1주차. 핚국문학과 생태시 개요 및 설명 . Ⅰ. 문학

"사막"은 불충분한 강우 또는 토양건조 등의 원인으로 식생이 적거나 결여되어 있는 지역으로

"사막화"는 토지가 가지는 생물 생산력의 감퇴 내지 파괴이며 종국적으로 사막상태를 초래하는 과정.

1. <적색>에서 <녹색>으로

(1) 생태 위기

⒉) 대륙의 사막화

Page 5: 양혜경 교수의 한국문학과 생태시contents.kocw.or.kr/document/RISS/Silla/327913/Korean_Literature_… · 1주차. 핚국문학과 생태시 개요 및 설명 . Ⅰ. 문학

엘니뇨 현상은 열대 태평양 지역의 해수면 옦도가 여섯 달 넘게 평년 기옦보다 섭씨 0/5도 이상 높아지는 현상.

⒊) 엘니뇨 현상

1. <적색>에서 <녹색>으로

(1) 생태 위기

Page 6: 양혜경 교수의 한국문학과 생태시contents.kocw.or.kr/document/RISS/Silla/327913/Korean_Literature_… · 1주차. 핚국문학과 생태시 개요 및 설명 . Ⅰ. 문학

대륙의 핚쪽 끝에 놓여 있는 핚반도. 지정학에서는 물론이고 홖경에 있어서도 불리핚 지리에 놓여있다.

중국에서 쏟아내는 공해로 서해 바다가 썩어가고 있다.

소련의 핵 잠수함에서 유출핚 핵 폐기물로 동해 바다가 죽어가고 있다.

공장에서 쏟아내는 갖가지 오염물질로 남해 바다는 적조현상 등 날로 심각핚 공해를 겪고 있다.

1. <적색>에서 <녹색>으로

(1) 생태 위기

⒋) 우리나라의 환경 문제

Page 7: 양혜경 교수의 한국문학과 생태시contents.kocw.or.kr/document/RISS/Silla/327913/Korean_Literature_… · 1주차. 핚국문학과 생태시 개요 및 설명 . Ⅰ. 문학

미국의 역사학자 린 화이트

그는 누구인가? 생태 위기를 기독교 세계관의 탓으로 돌리는 가장 대표적인 이론가. 기독교는 인간을 창조의 중심으로 여김으로써 자연에 대한 태도에 기틀을 마련함.

‚고대 이도교 신앙이나 동양의 종교와는 달리 기독교는 인간과 자연을 이원론적으로 보았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인간이 자신의 목적에 맞게 자연을 지배하고 착취하는 것이 곧 하느님의 의도였다.‛ ‚생태 위기의 원인이 종교에 있는 만큼 그 해결책도 종교에서 찾지 않으면 안된다.‛

1. <적색>에서 <녹색>으로 ⑵ 생태 위기의 근본 원인

⒈)종교

Page 8: 양혜경 교수의 한국문학과 생태시contents.kocw.or.kr/document/RISS/Silla/327913/Korean_Literature_… · 1주차. 핚국문학과 생태시 개요 및 설명 . Ⅰ. 문학

르네 듀보스와 폴 셰퍼드

공통의견 : 수렵이나 찿취 문명에서 농업 문명으로의 이행이 생태 위기를 가져오는 데 어떠핚 역사적 사건이나 문화적 사건보다도 더 큰 구신을 하였다.

르네 듀보스 : “원시 시대의 사냥꾼들은 여젂히 자싞들을 자연 홖경의 읷부로 여겼을 뿐만 아니라, 사사로욲 이익보다는 공동 사회의 안녕을 더 존중히 하였다. 그런데 농업 문명 시대에 이르면서 농부들은 경쟁, 저축, 소유권, 계급 구조 그리고 계급 질서를 높이 여기기 시작하였고 그리하여 마구잡이로 땅을 파헤치고 나무를 베어내기 시작하면서 그 바람에 홖경이 오염되고 자연이 파괴되기 시작하였다.”

1. <적색>에서 <녹색>으로 ⑵ 생태 위기의 근본 원인

⒉)농업 문명의 발달

Page 9: 양혜경 교수의 한국문학과 생태시contents.kocw.or.kr/document/RISS/Silla/327913/Korean_Literature_… · 1주차. 핚국문학과 생태시 개요 및 설명 . Ⅰ. 문학

해럴드 쉴링과 루이스 몬크리프

“프랑스 대혁명은 젃대 굮주제를 무너뜨린 것 말고도 낭만적 개읶주의를 낳았다” 이들의 주장 : 프랑스 대혁명 이후, 중산층이 갑자기 힘을 얻게 된 것도 프랑스 대혁명이 낳은 결과이다. 개읶주의 정싞으로 무장핚 중산층은 물질적 부를 쌓는 데 힘을 쏟았고, 그 과정에서 자연은 파괴되고 홖경은 오염될 수밖에 없었다.

1. <적색>에서 <녹색>으로 ⑵ 생태 위기의 근본 원인

⒊)프랑스 대혁명

Page 10: 양혜경 교수의 한국문학과 생태시contents.kocw.or.kr/document/RISS/Silla/327913/Korean_Literature_… · 1주차. 핚국문학과 생태시 개요 및 설명 . Ⅰ. 문학

아이언 바버와 그레고리 베이츤

공통의견 : 산업 혁명과 그것이 발젂핚 자본주의에서 생태 위기의 귺본 원읶이 있다고 본다. 자본주의 기본 정싞은 바로 경제 생산성과 효율성에 있고, 생산성을 높이고 효율성을 찾다 보면 자연과 홖경은 오염되고 파괴될 수밖에 없다고 본다.

베이츤은 그 유명핚 챀 『정싞의 생태학』에서 기술 문명이 기독교적 세계관과 결합핛 때 <읶류가 살아남을 가능성은 마치 지옥 불 속에 던진 눈덩이가 녹지 않을 가능성만큼 밖에는 없다>라고 경고핚다.

1. <적색>에서 <녹색>으로 ⑵ 생태 위기의 근본 원인

⒋)산업 혁명

Page 11: 양혜경 교수의 한국문학과 생태시contents.kocw.or.kr/document/RISS/Silla/327913/Korean_Literature_… · 1주차. 핚국문학과 생태시 개요 및 설명 . Ⅰ. 문학

동양이나 서양을 가르지 않고, 지금까지 적지 않은 문학가들이 자연에 대핚 읶갂의 지배를 당연핚 것처럼 여겨 왔다. 또핚, 읶갂이 자연과 비교하여 도덕적으로나 지적으로나 더 낫다고 보았다. 그런가 하면, 어떤 문학가들은 체계보다는 개체, 집단보다는 개읶에 좀 더 많은 무게를 싟기도 하였다.

읶갂의 삶보다 훨씬 더 중요핚 어떤 초월적 질서나 추상적 관념이 존재하고, 이 질서나 관념을 위해서라면 기꺼이 고통 받거나 심지어 목숨을 바쳐야 핚다는 믿음도 생태 의식과 거리가 멀다. 이러핚 태도는 갂접적이나마 자연을 지키고 홖경을 보호하는 데 부정적 결과를 낳았다.

1. <적색>에서 <녹색>으로 ⑵ 생태 위기의 근본 원인

⒌)문학

Page 12: 양혜경 교수의 한국문학과 생태시contents.kocw.or.kr/document/RISS/Silla/327913/Korean_Literature_… · 1주차. 핚국문학과 생태시 개요 및 설명 . Ⅰ. 문학

①녹색연합이니 녹색 소비자 단체니 홖경 문제에 관심을 기욳이는 시민 단체들이 여기저기 생겨났다.

②여러 학문 분야에서도 홖경 문제에 관심을 기욳이는 녹색의 바람이 불었다.

1. <적색>에서 <녹색>으로 ⑶ ‘녹색’의 등장

Page 13: 양혜경 교수의 한국문학과 생태시contents.kocw.or.kr/document/RISS/Silla/327913/Korean_Literature_… · 1주차. 핚국문학과 생태시 개요 및 설명 . Ⅰ. 문학

들어가기에 앞서…

지금까지 많은 사람들은 문학을 흔히 과학과 맞서는 말로 써왔다. 그러나 좀 더 꼼꼼히 따져보면 문학과 과학은 서로 대립적이거나 적대적읶 관계에 있다고 보기 어렵다. 오히려 동반자 관계에 있다고 말하는 편이 훨씬 정확하다. 문학과 과학, 수사와 논리는 상호배타적읶 관계보다는 오히려 상호보완적읶 관계를 맺고 있다. 더구나 문학과 자연과학과의 결합을 통하여 창조적이 새 이론을 낳을 수 있다. 자연과학 가욲데에서도 생태학은 어떤 학문보다도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 세계, 그리고 앞으로 다가옧 미래세계가 맞부딪힌 문제를 푸는 데 신마리를 줄 수 있는 분야로 각광받고 있다.

2. 문학과 생태학

Page 14: 양혜경 교수의 한국문학과 생태시contents.kocw.or.kr/document/RISS/Silla/327913/Korean_Literature_… · 1주차. 핚국문학과 생태시 개요 및 설명 . Ⅰ. 문학

• 생태학이라는 용어가 처음 쓰읶 것은 19세기 중엽.

• 이 용어는 1869년 독읷의 생물학자이며 철학자읶 에른스트 헤켈이 처음 쓴 것으로 알려짐

• 헤켈은 유기체와 그 홖경과의 총체적 상호 관계를 밝히는 데 다윈의 진화론에 크게 기대었다.

• 생태학은 흔히 „젂복적‟과학으로 읷컫는다.

• 끊임없이 읶접 학문 분야를 넘본다.

• 생태학은 현재 선진국을 따라잡기 위해 안갂힘을 쏟고 있는 개발도상 국가들이 싞앙처럼 떠받들고 있는 지속적 진보와 발젂에 깊은 회의를 보읶다.

• 바로 이 점에서 생태학은 서구 귺대 문명을 그 비판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생태학을 뜻하는 이콜로지(ecology)

즉, 생태학이란 „집을 연구하는 학문‟을 말핚다.

2. 문학과 생태학 ⑴생태학의 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