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28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원지현 ** · 이순복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교수몰입 및 행복감변인들 간 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6대 광역시에 소재한 유아교사 489명을 대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PASW Statistics), AMOS 20.0을 이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 만족도, 교수몰입, 행복감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교수몰입은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은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교수몰입을 통해 유아교사 의 행복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현장에서 보다 건강하게 적응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긍정심리학적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 만족도 교수몰입 행복감 논문접수 수정본 접수 게재승인 본 연구는 원지현 의 박사학위논문의 일부분임 위덕대학교 유아교육과 시간강사 위덕대학교 유아교육과 부교수 교신저자

Upload: others

Post on 13-Feb-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생태유아교육연구

2015. 제14권 제3호 , 167 - 194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원지현** · 이순복***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교수몰입 및 행복감변인들 간

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6대 광역시에 소재한 유아교사 489명을 대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PASW Statistics), AMOS 20.0을 이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

만족도, 교수몰입, 행복감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교수몰입은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은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교수몰입을 통해 유아교사

의 행복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현장에서

보다 건강하게 적응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긍정심리학적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자아탄력성(ego-resilience)교사효능감(teacher efficacy)직무 만족도(job satisfaction)교수몰입(teaching flow)행복감(happiness)

※ 논문접수 : 2015. 07. 31 / 수정본 접수 : 2015. 09. 09 / 게재승인 : 2015. 09. 21* 본 연구는 원지현(2015)의 박사학위논문의 일부분임

** 위덕대학교 유아교육과 시간강사

*** 위덕대학교 유아교육과 부교수(교신저자, [email protected])

Page 2: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16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대부분의 사람들이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살아가고 있다. 행복한 삶은 개인의 주관적

만족뿐만 아니라 사회적 만족을 의미하며(류지한, 2007), 누구나 추구하고 성취하고 싶은 자

기실현적인 삶(권석만, 2008; 이경민, 2009; 이훈구, 1997)을 말한다.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사

람들은 개인의 생활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삶의 목적이나 의미를 견지하고(이채호, 고

태순, 2009), 자신을 사랑하고 긍정적인 정서와 인성을 가진다(Hoggard, 2005). 또한 행복한

사람들은 새로운 활동을 할 때 자발적으로 일을 진행하고 잘 몰입하고 직업적 적성 또한 높

다(Csikszentmihalyi, 2014).

최근 유아교육분야에서도 행복에 관한 관심과 연구(곽희경, 2011; 이경민, 최윤정, 2009; 이

경애, 2010; 이미란, 2010; 이순미, 2014; 임수진, 여은진, 이혜원, 2013; 한종화, 2014; 황해익,

2013; Spodek, Saracho, & Davis, 1987)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유아교사의 행복감은 행복한

유아들을 만들고 나아가 유아교육의 질적 향상을 증진하고(송미선, 2014), 교사 개인의 기질

이나 특성은 유아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허수윤, 서현아, 2014). 따라서 유아교사가 행

복감을 지각하는 것은 유아에게 긍정적인 정서경험을 제공하여 유아가 성숙한 인간으로 성

장․발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최윤정, 2009). 행복감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이고 심층적

인 개념으로 절대적인 정의를 내리기 힘들다(Ryff & Keyes, 1995). 행복감은 긍정심리학에서

쾌락적 행복감과 자아실현적 행복감으로 구분하는 데, 쾌락적 행복감은 개인이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긍정적 상태를 말하며 자아실현적 행복감은 개인이 행복해하고 만족해하고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신민희, 구재선, 2010).

유아교사의 행복감은 주관적인 만족 뿐 아니라 사회구성원으로서 얼마나 잘 적응하는 지를

평가하는 척도로 사용된다(허승연, 2009). 이는 선행연구(모연례, 2014; 이경민, 최윤정, 2009;

이경민, 최윤정, 이경애, 2012; 이경애, 2010; 이미란, 2010; 이순미, 2014; 임영진, 2010; 조재

희, 2012; Andrews & Robinson, 1991; Ben-Shahar, 2007; McDowell & Newell, 1990; Pack

& Persons, 2009; Ryff, 1989)들에서 유아교사의 행복감은 자아실현적 관점에 초점을 둔 심리

적 안녕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심리적 안녕감은 자아수용, 타인과의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

성, 환경에 대한 통제력,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의 요인으로 구성된 개념이다(Ryff, 1989). 유

아교사에게 심리적 안녕감은 교사 개인의 심리적 측면을 의미하며, 자신을 긍정적으로 받아

Page 3: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169

들이고, 스스로의 원칙이나 기준에 따라 자율적으로 결정하고 행동하는 것을 의미한다(신현

정, 박진성, 2010). 또한, 자신의 경험, 성취관계의 질 그리고 자신의 기능을 되돌아보고, 자신

의 삶의 질에 대해 생각해보는 것으로(Diener, Lucas, & Osihi, 2003),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

사의 행복감을 심리적 안녕감의 측면에서 정의하고자 한다.

유아교사가 행복감을 지각하는 것은 내적, 외적 환경이나 상황 등의 어느 한 가지 변인보다

다양한 변인들의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어, 이들 변인들에 대한 통합적인 관심과 이해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들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개인내적 변인인 자아탄력성과 교사행위로써의 변인인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교수몰입을

선정하여 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자아탄력성(ego-resilience)은 누구나 가질 수 있는 고위험 환경이나 스트레스 상황에 적응

하는 과정에서 발휘될 수 있는 보편적 적응기제(박희숙, 이수기, 2012)이다. 자아탄력성이 높

은 유아교사는 가족 또는 타인에게서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어(김윤경, 2011), 낙관적, 적

극적인 태도로 유아와 온정적인 관계를 형성한다(심순애, 2007). 반면, 자아탄력성이 취약한

유아교사는 자아탄력성이 높은 교사보다 스트레스를 더 많이 자각하고(박효서, 2000), 스트레

스가 되는 상황에 대해 불안을 경험해 적응적 유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외상적 사건을

회복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가진다(민하영, 권기남, 2009). 많은 스트레스 속에서 근무해야 하

는 유아교사에게 긍정적으로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능력인 자아탄력성을 이해․증진하도록

시도할 필요가 있다.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은 행복감과 관련성을 가진다(권수현, 이승연, 2011; 김성숙, 2012; 박

유진, 2012; 이순복, 원지현, 2013; 황해익, 박성미, 탁정화, 2015; 황해익, 탁정화, 홍성희,

2013; Seligman, 2009). 이는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사실 이들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이에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이 행복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변인인지를 확인하고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이 행

복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 경로와 직접 및 간접효과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의 질적인 삶에 영향을 주어 교사의 효능감을 촉진시키는 역

할을 한다. 특히, 유아교육의 질은 영유아의 발달에 적합하면서 동시에 흥미를 고려한 수업

진행에 의해 좌우되는데 이를 결정하는 것이 교사효능감이다(구은미, 2004; 신혜영, 2004). 교

사효능감은 교사유능성에 대한 자기평가(이채호, 고태순, 2009)로, 유아의 학업성취와 교사

자신의 능력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구은미, 2004; 김시연, 2014; 배수희, 2009; 이

경애, 2010). 교사효능감은 유아교사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곽희경,

2011; 서현주, 2006; 이호주, 2013; 오현숙, 2013; 유현정, 2011)하는 변인이다.

Page 4: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17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하지만 교사효능감의 개인적 효능감만이 행복감과 상관이 있다고 보고한 연구들(곽희경,

2011; 권남경, 2014; 서현주, 2006)과 교사효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에서의 설명력의

차이(4%~22%)를 보인 연구들(김하니, 2012; 김혜리, 조형숙, 2013; 황해익, 탁정화, 홍성희,

2013)은 교사효능감이 다른 변인들과 함께 투입될 경우 행복감을 전혀 예측하지 못하는 결과

를 보여주어 이에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행복감에 직접, 간접 효과는 어떠한지 살펴볼 필

요가 있다.

유아교사가 자아탄력성을 발휘하여 높은 교사효능감을 가진다는 것은 충분히 만족할만한

직무만족도를 나타내고(Day, 2007),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를 경유한다는 것은 교사효능감

이 교사의 개인적 · 내적 성향이고 신념으로, 교사효능감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내적

동기이다(조부경, 2005). 이와 같은 교사의 내적 동기를 계발하고 전반적인 직무에 대한 만족

을 통해 궁극적으로 교사의 만족스러운 삶이 전개될 수 있다. 직무만족도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면서 경험하는 심리적․정서적․신체적․경제적 만족의 정도(송유진, 1993; 이분려,

1999; 이경애, 2010)이다.

오래전부터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온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행복감의 주요 요인으로 언급되

었고(권석만, 2008; 김유진, 정민정, 2008; 박은혜, 2009; 박종흡, 신남철, 2003; 오현숙, 2013;

원동선, 2004; Veenhoven, 1991), 교사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직무만족이 상호호혜

적인 관계(최윤정, 2009)를 가지고 있음이 설명되었다. 즉 유아교사의 높은 직무만족도는 유

아교육에 대한 강한 사명감과 창의적인 활동을 통해 유아들에게 영향을 주어 성취 및 교육목

적 달성에 직접적 영향으로 작용하므로(김사녀, 2012), 결국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연결된다는

것이다.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는 교육대상인 유아의 능력 계발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유치원의 질

과도 높은 관련성이 있는 요소가 되기 때문에(장미정, 2011)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변인이

다. 또한 교사가 직장생활에 만족할수록 전반적인 삶의 질이 높아지며, 다양한 형태의 직무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직업이 있는 사람은 자신의 삶에 더 만족하며(박종흡, 신남철, 2003), 보육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시설장의 관계가 좋을수록 행복감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김유진, 정

민정, 200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호호혜적인 관계가 있는 직무만족도와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아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가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

다.

한편, 일반적으로 직무에 만족하는 사람은 몰입이라는 심리적 상태를 경험한다.

Csikszentmihalyi(1996)에 의하면 몰입은 도전과 기술의 균형, 행동과 지각의 일치, 명확한 목

표, 구체적 피드백, 과제에 대한 전적인 집중, 통제감, 자의식의 상실, 시간의 변형된 느낌, 자

Page 5: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171

기목적적인 경험으로 구성되어있다. 이러한 몰입의 특성은 유아교사의 학습상황에서도 볼 수

있다. 유아교사의 교수몰입은 유아의 동기, 몰입경험과도 관련이 깊다(김미현, 2012; 오현숙,

2013). 즉 유아교사가 내재적 동기를 가지고 수업에 임할 때 즐거움과 만족감을 증대시켜 수

업의 질과 유아의 학업성취향상에도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곽희경, 2011). 이에 본 연구에서

는 이러한 몰입을 특성을 교사대상으로 타당화한 연구(최기연, 2005)와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교수몰입을 정의한 김미현(2012)의 연구를 토대로 Csikszentmihalyi (1996)가 제시한 몰입을

유아교사의 교수몰입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교수몰입은 대․소집단 활동 상황에서 유아교사가 교수행위에 깊게 몰입하는 심리적 상태와

상태를 일으키는 조건, 경험한 후의 결과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송주연, 2014), 교수몰입

을 잘하는 유아교사는 자신이 하는 모든 일뿐만 아니라 교육과정에 열정을 가지고 지도할 수

있어 유아의 몰입, 성취 및 행복한 삶을 이루어가는 가치관과 태도를 형성케 하며(곽희경,

2011), 즐거움과 행복감을 얻을 수 있다(김창대, 2002; 유영달, 2005).

유아교사의 교수몰입이 중요한 이유는 교사 자신의 성취감과 긍정적 자아를 형성하여 삶이

가치가 있음을 느끼고 행복감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며(양난미, 이지연, 2008), 교사 자신

의 업무에 있어서 일과 삶 자체를 즐길 수 있도록 일에 대한 시각을 변화시킬 수 있게 도움

을 주기 때문이다(김미현, 2012). 또한 자신의 일과 삶에 가치를 부여하여 ‘자기 목적적’인 성

향을 가지고, 교사의 학습자에 대한 기대, 피드백, 자기효능감 등 심리적인 요인은 교수방법

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김아영, 2003). 이처럼 교수몰입은 수업연구의 측면뿐만 아니라

교사의 삶의 측면에서도 중요한 요인으로, 긍정심리학에서 제안하는 인간을 풍요롭고 행복하

게 만드는 강점 중에서도 외부 환경이 아닌 스스로의 힘으로 행복을 만들기에(나은숙, 2008)

다른 어떠한 강점보다 그 가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행복감 관련 선행연구들은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고경미, 이

선경, 심성경, 2014), 조직풍토(김미현, 2012), 조직몰입(김혜경, 2013), 정서(모지연, 2010), 교

수효능감과 교수창의성(오현숙, 2013),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황해익, 탁정화, 김미진, 2013)

에 관한 연구들이 있으나, 교수행위라는 특정 맥락에서 경험되는 몰입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

을 다룬 연구 역시 부족하며(송주연, 2014), 유아교사의 교수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

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충분한 선행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유아교사의 교수

몰입과 행복감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과의 관계나 인과적 관련연구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

펴볼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교수몰입은 행복감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 변인으로 행복감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교사의

Page 6: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17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에서 유아교사의 개인적 변인인 자아탄력성

과 교사행위변인의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교수몰입을 함께 고려하여 다차원적으로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을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만족

도, 교수몰입을 선정하고, 이들 변인들 간의 구조분석을 통해 이들의 관계 및 경로는 어떠한

지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교사의 행복감을 높이는 물리적 환경을 바꾸

는 일이 용이치 않은 현실을 고려해 볼 때,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 직

무만족도, 교수몰입 간 관계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연구는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이

러한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와 경로를 통해 유아교사들

이 교육현장에서 보다 건강하게 적응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긍정심리학적 프로그

램의 이론적 기초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교사의 행복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증진

하기 위한 교사교육, 교사 상담과 같은 지원방법과 유아교사가 만족할만한 긍정적인 교육환

경과 직무환경을 모색하여 유아교사들의 행복을 추구하는 환경구축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

공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교수몰입, 행복감의 상관관계는 어

떠한가?

둘째,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관련변인들 간의 직접적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관련변인들 간의 간접적 관계는 어떠한가?

2.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모형설정

본 연구에서 유아교사가 행복감을 가진다는 것은 중요한 요소임을 전제로 하여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즉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교수몰입 간 인과관

계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따라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나타난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다음

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관련 변인들인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교수몰입의

직접적인 관계들을 살펴보면, 먼저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련연구들(김성숙, 2012; 이순복,

원지현, 2013; 황해익, 탁정화, 홍성희, 2013)에서는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이 높으면 행복감

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탄력성과 긍정정서관련 연구(Salovey, Bedell,

Detweiler, & Mayer, 1999)에서는 자아탄력성이 있는 사람은 스스로를 위해 정적 정서를 이

Page 7: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173

끌어내는 경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교사효능감과 행복감 간의 관계

를 밝힌 연구(배성희, 2009; 이채호, 고태순, 2009; 서현주, 2006)에서는 교사효능감은 행복감

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밝히고 있다.

다음으로 직무만족도와 행복감관련연구에서는 교사가 직장생활에 만족할수록 전반적인 삶의

질이 높아지며, 다양한 형태의 직무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직업이 있는 사람은 자신의 삶에

더 만족하며(박종흡, 신남철, 2003),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시설장의 관계가 좋을수록 행

복감에 영향을 준다(김유진, 정민정, 2008)고 하였다. 다음으로 교수몰입과 행복감관련연구를

살펴보면 긍정심리학에서 제안하는 행복의 강점 중 몰입은 외부 환경이 아닌 스스로의 힘으

로 행복을 만들어 나가는 원동력이며(나은숙, 2008),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여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어(Nakamura & Csikszentmihalyi, 2002) 행복감과도 관련이 있다(곽희

경, 2011; 배수희, 2009; 양난미, 이지연, 2008; 오현숙, 2013)고 보고하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와 교수몰입 간의 관련연구들을 살펴

보면, 권수현(2010)은 유치원 교사의 경력과 연령, 학력이 증가함에 따라 회복탄력성과 교수

몰입이 높아짐을 강조하였고, 탁정화(2015)는 유아교사의 교수몰입이 높을수록 회복탄력성이

높아진다고 주장하였다. 다음으로 교사효능감과 교수몰입간의 관계에서 유아교사대상으로

살펴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으로 보다 넓은 의미에서 교사대상으로 살펴보면, 초등학교 교사

를 대상으로 한 김아영과 이채희 및 최기연(2008)의 연구에서 교사효능감과 교수몰입간의 유

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고, 오현숙(2013)은 유아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교

수몰입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밝혀 교사효능감과 교수몰입과의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수몰입간의 직접적인 관계는 부족한 실정이

어서 보다 넓은 의미에서 직무만족의 하위요인과 조직풍토의 하위요인의 공통된 부분인 보

상체계, 물리적 환경, 동료관계를 살펴보아 부분적으로 관계가 있다고 유추할 수 있는 김미현

(2012)의 연구를 보면, 보상체계와 교수몰입은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으며, 교수몰입의 하위요

인 중 명확한 목표, 구체적인 피드백, 과제에 대한 전적인 집중, 자기 목적적 경험과 정적상관

이 있었으며, 동료관계는 교수몰입의 하위요인 중 자의식의 상실과의 관계에서만 정적상관을

보였고, 긍정적인 물리적 환경일수록 교수몰입이 높다고 하였다. 한편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교수몰입과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 대인관계를 살펴본 강수정(2014)의 연구에서 대인관계유

능성은 교수몰입의 하위요인 구체적 피드백, 통제감, 자기 목적적 경험이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만족도의 동료교사나 원장, 학부모와 같은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

성하는 것과 교수몰입과 관련이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셋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련연구들을 살펴보면, 먼저

Page 8: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17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자아탄력성과 직무만족도의 관련연구들에서 자아탄력적인 유아교사는 직무조건, 대인관계

등에 높은 직무만족도를 보여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이 직무만족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김인숙, 2009; 박옥숙, 2011; 오미향, 2014; 이정희, 조성연, 2009; 정혜욱, 이옥형, 2011;

최효정, 석은조, 2013; 황해익, 탁정화, 홍성희, 2013). 다음으로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

무만족도의 관련연구들을 살펴보면, 교사효능감은 유아교사로 하여금 높은 직무만족을 가지

는 것으로 나타났다(김희진, 이분려, 1999; 박영태, 이경님, 하수연, 2008; 이성희, 박영신,

2007; 이혜경, 2008; 조성연, 2006; 표인숙, 2007).

넷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련연구들을 살펴보면, 자아탄력성은 교

사효능감을 향상시키며(Gu & Day, 2007), 특히 회복탄력성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연구(황해

익 외, 2013)와 자아탄력성이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

힌 연구(오미향, 2014)에서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아지는 결과

를 유추할 수 있다.

행복감 관련 변인 내용 추출과정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요인으로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교수몰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행복감

관련변인들을 살펴본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하여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관계성을 가지는 심리

적 변인들과의 관계에 대한 이론 모형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1]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적 모형

Page 9: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175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인천, 대전, 광주, 대구, 부산, 울산지역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

집에 근무하고 있는 540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회수된 533부의 설문지

중 최종 489부를 최종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대상자의 기초 인적사항

변 인 구 분 빈도(명) 백분율(%)

근무유형

단설유치원 9 1.8

병설유치원 32 6.5

사립유치원 188 38.4

국공립어린이집 51 10.4

법인어린이집 60 12.3

민간어린이집 149 30.5

교사연령

20-25세 144 29.3

26-30세 133 27.2

31-35세 86 17.6

36-40세 56 11.5

41-45세 41 8.4

46세 이상 29 5.9

학력

전문대졸 264 54

4년대 졸 182 37.2

석사졸업 26 5.3

박사수료 17 3.5

근무경력

1년 미만 71 14.5

1-3년 미만 134 27.4

3-6년 미만 134 27.4

6-10년 미만 73 14.9

10-13년 미만 37 7.6

13년 이상 40 8.2

전 체 489 100.0

연구대상의 특성을 살펴보면, 유아교사의 근무기관의 유형은 사립유치원이 188곳(38.4%)

으로 가장 많았으며, 민간어린이집 149곳(30.5%), 법인어린이집 60곳(12.3%), 국·공립 어린이

Page 10: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17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집 51곳(10.4%), 병설유치원 32곳(6.5%), 단설유치원 9곳(1.8%)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연

령은 20-25세가 가장 많았으며(144명; 29.3%), 26-30세 133명(9.1%), 31-35세 86명(17.6%),

36-40세 56명(11.5%), 41-45세 41명(8.4%), 46세 이상 29명(5.9%)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전문대졸이 264명(54%)으로 가장 많았으며, 4년대 졸 182명(37.2%), 석사졸업 26명(5.3%), 박

사수료 17명(3.5%)으로 나타났다. 또한 절반 이상의 교사가 1년에서 6년 미만의 근무경력을

가지고 있었으며(1-3년 미만 134명; 27.4%/3-6년 미만 134명; 27.4%), 1년 미만 71명(14.5%),

6-10년 미만 73명(14.9%), 10-13년 미만 37명(7.6%), 13년 이상 40명(8.2%)순으로 나타났다.

2. 연구도구

1) 행복감 척도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해 Ryff(1989)가 개발한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한국어로

번안(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하여 김경민(2011)이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

는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에 대한 지배력’,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의

6개 하위요인, 44문항(긍정 문항 22개와 부정 문항/역채점 문항 22개)으로 구성되었다. 본 척

도는 6점 Likert방식으로 응답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내적 합치도 계수 Cronbach's α는 자아수용 .81, 긍정적 대인관계 .79, 자율성 .66, 환경에 대

한 지배력 .70, 삶의 목적 .77, 개인적 성장 .66으로 총점 .92로 나타났다.

2) 자아탄력성 척도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Atsuhi, Hitoshi, Shinji와

Motoyuki(2002)가 개발하고 민동일(2007)이 번안․수정한 자아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의 구성요인은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 ‘감정조절’, ‘긍정적 미래지향성’ 3개의 하위요인으

로 이루어져 있다. 총 21문항으로 본 척도는 5점 Likert방식으로 응답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탄력성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내적 합치도 계수 Cronbach's α는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 .87, 감정조절 .87, 긍정적 미래지향성 .88로 총점 .93로 나타났다.

3) 교사효능감 척도

본 연구는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Riggs와 Enochs(1990)의 STEBI(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를 참고하여 신혜영(2004)이 제작한 교사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에는 ‘개인적 효능감’과 ‘일반적 효능감’ 으로 총 22문항의 긍정적 문항과

Page 11: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177

부정적 문항(역채점 문항)이 포함된다. 본 척도는 5점 Likert방식으로 응답하며 점수가 높을

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내적 합치도 계수 Cronbach's α는 개인적

효능감 .89, 일반적 효능감 .83으로 총점 .89로 나타났다.

4) 직무만족도 척도

본 연구는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Jorde-Bloom(1989)의 유치원 직무만족도

측정도구(ECJSS: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를 이경애(2010)가 유아교사에

맞게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직무자체특성’, ‘사회적 인정’, ‘원장 및 동료

와의 관계’, ‘근무환경’, ‘보수와 승진’으로, 총 36문항으로 이루어져있다. 본 척도는 5점 Likert

방식으로 응답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내적 합치

도 계수 Cronbach's α는 직무자체특성 .78, 사회적 인정 .72, 원장 및 동료와의 관계 .82, 근무

환경 .80, 보수와 승진 . 77로 총점 .83으로 나타났다.

5) 교수몰입 척도

본 연구는 교수몰입을 알아보기 위해, Jackson과 Eklund(2004)가 개발한 ‘몰입상태척도 수

정판(Flow State Scale 2, FSS-2)’을 번안하여 김미현(2012)이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교

수몰입 척도는 Csikszentmihayi(1996)가 제시한 몰입 상태에서 일어나는 아홉 가지의 특성으

로 구성된다. 즉 ‘도전과 기술의 균형’, ‘행동과 지각의 일치’, ‘명확한 목표’, ‘즉각적이고 구체

적인 피드백’, ‘과제에 대한 전적인 집중’, ‘통제감’, ‘자의식의 상실’, ‘시간이 변형된 느낌’, ‘자

기 목적적 경험’ 9개 하위요인으로 4문항씩 총 36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본 척도는 5점

Likert방식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교수몰입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내적 합치도

계수 Cronbach's α는 도전과 기술의 균형 .80, 행동과 지각의 일지 .83, 명확한 목표 .81, 즉

각적이고 구체적인 피드백 .83, 과제에 대한 전적인 집중 . 71, 통제감 .73, 자의식의 상실 .83,

시간이 변형된 느낌 .67, 자기 목적적 경험 .82로 총점 .95로 나타났다.

3. 연구절차

예비조사는 유아교사의 행복감관련변인 추출과정과 내용타당도를 위해 3단계로 진행하였

다. 1단계에서는 유아교사의 행복감관련변인들을 알아보기 위해 2013년 12월 10일부터 14일

까지 D시, B시에 소재한 유아교사 18명에게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개방형

질문을 통한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자아탄력성(4명), 교사효능감(4명), 직무만족도(5

Page 12: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17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명), 교수몰입(5명)의 변인들을 추출하였다. 2단계에서는 행복감 관련 구조분석을 위한 변인

들의 상관관계와 직, 간접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학술정보(KISS), 한국교육학술정보원

(RISS4U), 국회도서관에 소장되어있는 논문 및 학술지 중 2000년부터 2014년까지 발간된

석․박사 관련 논문 63편과 학술지 총 28편의 연구들에서 행복감관련변인으로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교수몰입이 행복감관련변인임을 확인하였다. 3단계에서는 유아교사

의 행복감관련변인 연구척도 내용타당도 조사를 위해 2014년 1월 7일부터 2014년 1월 21일까

지 서울, 대구, 부산에 소재한 기관의 유아교사 36명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검토 결과 문항

이해와 난이도 수준에는 특별한 어려움이 없었으며, 전체 측정도구 실시의 소요시간은 1인당

15분~20분 정도로 확인되었다.

본 조사에서 자료 수집은 서울, 인천, 대전, 광주, 대구, 부산, 울산 지역의 유치원 및 어린

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540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2014년 4월 7일에서 2014년 6월 30일까

지 연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조사의 내용은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변인들로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교수몰입 척도를 사용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533부였

으며,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 및 누락된 답변이 포함된 설문지를 제외하고 489부만 본 연

구의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어 조사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PASW Statistics) 20.0, AMOS 20.0을 사용하여 다

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

과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을 산출하였고, 관련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아교사의 행복감의 원인변인으로 설정한 자

아탄력성,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교수몰입의 전체, 직접, 간접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

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먼저,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교수몰입, 행복감 관련변인들의 평

균과 표준편차를 제시하면 표 2와 같다.

Page 13: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179

<표 2>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교수몰입, 행복감의 평균과 표준편

차(n=489)

측정변인 하위요인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자아

탄력성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 3.69 .61 2.00 5.00

감정조절 3.54 .60 1.88 5.00

긍정적 미래 지향성 3.92 .64 1.83 5.00

교사

효능감

개인적 효능감 3.57 .51 1.85 5.00

일반적 효능감 3.42 .53 1.67 5.00

직무

만족도

직무자체특성 1.99 .30 .70 2.50

사회적 인정 3.60 .81 1.00 5.00

원장과 동료와의 관계 1.26 .54 .60 3.00

근무환경 2.81 .49 1.40 4.00

보수와 승진 2.60 .51 1.13 3.75

교수몰입

도전과 기술의 균형 3.45 .63 1.75 5.00

행동과 지각의 일치 3.31 .69 1.25 5.00

명확한 목표 3.64 .60 1.50 5.00

즉각적이고 구체적인 피드백 3.50 .61 2.00 5.00

과제에 대한 전적인 집중 3.42 .61 1.75 5.00

통제감 3.31 .59 1.50 5.00

자의식의 상실 3.08 .80 1.25 5.00

시간이 변형된 느낌 3.69 .59 2.00 5.00

자기 목적적 경험 3.73 .63 2.00 5.00

행복감

자아수용 3.67 .63 1.38 5.25

긍정적 대인관계 4.44 .75 2.57 6.00

자율성 2.79 .50 1.00 4.25

환경에 대한 지배력 3.42 .58 1.25 5.25

삶의 목적 4.27 .72 1.86 6.00

개인적 성장 3.40 .66 1.67 5.00

1.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들의 상관관계

유아교사의 독립변인들 간의 다중공선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계수를 분석한 결과 표 3과 같다. 표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25개의 지표변수에 대한 다변인

정상분포성을 검증한 결과, 단변인의 왜도와 첨도 모두 정규분호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변인 정규분포성 역시 충족된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에 대한 측정변인인 흥미와 관심

의 다양성, 감정조절, 긍정적 미래지향성의 상관은 .54 ~ .66으로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교사효능감에 대한 측정변인인 개인적 효능감과 일반적 효능감의 상관은 .41로 정

Page 14: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18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직무만족도에 대한 측정변인인 직무자체특성, 사회적 인정, 원장 및

동료와의 관계, 근무환경 및 보수와 승진 간 상관은 -.30 ~ .58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한편,

교수몰입에 대한 측정변인인 도전과 기술의 균형, 행동과 지각의 일치, 명확한 목표, 즉각적

피드백, 과제집중, 통제감, 자의식의 상실, 시간이 변형된 느낌, 자기 목적적 경험 간의 상관

은 .27 ~ .84로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으며, 심리적 안녕감으로 대표되는 행복감에

대한 측정변인인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지배력,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 간

상관은 .35 ~ .71로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동일 잠재변

인 내의 측정변인들 간에 .90 이상의 높은 상관을 보이는 변인들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변인

들 간의 다중공선성 문제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위종희, 2012).

Page 15: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18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자아탄력성

1 1                                                

2 .54**

1                                              

3 .66**

.55**

1                                            

교사

효능감

4 .78**

.72**

.75**

1                                          

5 .65**

.67**

.64**

.41**

1                                        

직무

만족도

6 .55**

.50**

.57**

.54**

.49**

1                                      

7 .52**

.48**

.51**

.52**

.44**

.40**

1                                    

8 -.04 .03 -.06 .01 -.01 -.30** -.18** 1                                  

9 .70** .70** .71** .73** .66** .41** .31** -.14** 1                                

10 .70** .67** .65** .71** .61** .39** .38** -.19** .58** 1                              

교수

몰입

11 .77** .74** .73** .78** .71** .55** .51** .02 .74** .69** 1                            

12 .71** .71** .66** .74** .64** .50** .47** .02 .67** .65** .78** 1                          

13 .76** .74** .72** .77** .69** .52** .49** .04 .73** .70** .76** .70** 1                        

14 .76** .77** .73** .78** .71** .55** .51** .02 .74** .71** .80** .75** .84** 1                      

15 .72** .72** .72** .77** .66** .52** .49** -.02 .72** .68** .71** .72** .72** .76** 1                    

16 .69** .69** .68** .74** .64** .48** .46** .00 .72** .62** .69** .70** .67** .72** .75** 1                  

17 .60** .57** .60** .65** .52** .40** .42** -.03 .59** .58** .61** .58** .53** .55** .53** .56** 1                

18 .50** .50** .48** .53** .47** .40** .37** -.04 .49** .46** .43** .30** .45** .45** .46** .41** .27** 1              

19 .67** .61** .65** .67** .62** .45** .47** -.02 .64** .62** .67** .47** .68** .65** .61** .54** .38** .62** 1            

행복감

20 .67** .65** .66** .69** .60** .56** .46** -.05 .64** .61** .69** .65** .67** .68** .67** .64** .53** .48** .58** 1          

21 .68** .64** .69** .68** .63** .50** .47** -.05 .66** .63** .72** .64** .70** .71** .63** .63** .55** .45** .63** .52** 1        

22 .51** .56** .53** .55** .50** .34** .36** .01 .56** .51** .54** .49** .54** .58** .54** .55** .43** .39** .48** .39** .42** 1      

23 .71** .67** .67** .72** .62** .52** .51** -.01 .66** .64** .71** .68** .70** .71** .73** .65** .59** .45** .59** .67** .50** .39** 1    

24 .76** .73** .74** .76** .68** .57** .48** -.02 .74** .70** .78** .71** .76** .76** .74** .71** .63** .49** .66** .65** .64** .42** .71** 1  

25 .60** .60** .58** .65** .52** .41** .39** -.01 .58** .61** .64** .57** .64** .65** .60** .56** .47** .44** .58** .35** .58** .38** .41** .61** 1

왜도 .11 .08 -.24 .40 .30 -.42 -.44 .77 .33 .02 .31 .20 .18 .30 .53 .65 .25 .20 .15 -.09 -.16 .12 .12 -.02 .14

첨도 -.32 -.23 -.17 .72 .11 .25 .09 .46 -.10 -.00 .18 .36 .15 .25 .18 .85 -.16 -.06 -.25 -.09 -.70 .27 .21 -.22 -.35

<표 3>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교수몰입, 행복감 간의 상관관계

1.흥미와 관심의 다양성 2.감정조절 3.긍정적 미래지향성 4.개인 효능감 5.일반 효능감 6.직무자체특성 7.사회적 인정 8.원장 및 동료관계 9.근무환경 10.보수와 승진 11.도전과 기술 균형 12.행동과 지각일치 13.명확한 목표 14.즉각적 피드백 15.과제집중 16.통제감 17.자의식 상실 18.시간이 변형된 느낌 19.목적적 경험 20.자아수용 21.긍정적인 대인관계 22.자율성 23.환경지배력 24.삶의 목적 25.개인적 성장**p<.01

Page 16: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18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모델 df /df TLI CFI RMSEA

측정모델 1240.142 261 4.752 .924 .934 .088

수용기준 p >. 05 p <. 30 .90 이상 .90 이상 < .10

2.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연구 모형 분석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교수몰입의 구조모형의 합치도를 제시하

면 다음과 같다.

<표 4>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모형 합치도

표 4에 의하면,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대한 가설적 구조방정식 모형의 전반적인 적합도를

살펴보면, 절대적 적합도 지수인 값은 .05보다 크기에 추정된 공분산행렬 간 차이가 없으

므로 모델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으며, /df는 4.752로 .3이하이면 적합하나 표본이 크고 모

델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다른 TLI, CFI값은 모두 .90 이상, RMSEA값이 .10이하로 수용할만

한 수준이다(배병렬, 2014; 우종필, 2014). 따라서 변인들 간의 이론적 구조방정식의 모형의

적합도 지수가 모두 바람직한 적합도를 나타내어 이론적 구조방정식 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선정하였다.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에 대한 모형은 그림 2와 같다.

[그림 2]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구조회귀모델의 모수치 추정

Page 17: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183

경 로 직접효과 간접효과 전체효과중다상관제곱

(설명분산)

자아탄력성 → 교사효능감 .75* .75* 68.9%

자아탄력성 → 직무만족도 .71* .10* .81*

52.3%교사효능감 → 직무만족도 .57* .57*

자아탄력성 → 교수몰입 .53*

.19*

.72*

44.3%교사효능감 → 교수몰입 .39* .13* .52*

직무만족도 → 교수몰입 .42*

.42*

자아탄력성 → 행복감 .51* .14* .65*

46.6%교사효능감 → 행복감 .46

*.29*

.75*

직무만족도 → 행복감 .44* .20* .64*

교수몰입 → 행복감 .63* .63*

<표 5> 유아교사의 행복감관련 구조회귀모델의 잠재변인 간 직접․간접효과 및 전체효과

* p < .05

표 5에서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대한 여러 변인들의 직, 간접적인 영향력을 살펴보면, 본

연구에 나타난 직․간접효과에 대한 검증결과를 토대로 간접효과에 대한 검증결과를 살펴보

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은 교사효능감을 통해 직무만족도에 간접효과

(β = .10, p < .05)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간접효과는 자아탄력성 → 교사효능감

→ 직무만족도의 경로를 포함하고 있다. 둘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은 교사효능감을 통해

교수몰입에 간접효과 (β = .19, p < .05)를 가지며, 교사효능감은 직무만족도를 통해 교수몰

입에 간접효과(β = .13, p < .05)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간접효과는 자아탄력성

→ 교사효능감 → 교수몰입과 교사효능감 → 직무만족도 → 교수몰입의 경로를 동시에 포함

하고 있다. 셋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은 교사효능감을 통해 행복감에 간접효과(β = .14, p

< .05)를 가지며, 교사효능감은 직무만족도를 통해 행복감에 간접효과(β = .29, p < .05)를 가

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는 교수몰입을 통해 행복감에 간접효과(β = .20, p <

.05)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간접효과는 자아탄력성 → 교사효능감 → 행복감과

교사효능감 → 직무만족도 → 행복감, 직무만족도 → 교수몰입 → 행복감의 경로를 동시에

포함하고 있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행복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관

Page 18: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18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련된 변인으로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교수몰입을 선정하여 이들

간의 인과적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관련 이론과 선행연구 고찰을 토대로 변인들

간의 직접 및 간접 경로가 구성된 구조회귀모델을 설정하여 이러한 구조회귀모델이 실제 경

험적 자료와 일치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모델의 분석 결과를 연구문제 중심으로 논의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

한 상관이 나타나 각 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아탄

력성이 높을수록 행복감을 가진다는 연구들(권수현, 이승현, 2011; 김성숙, 2012; 박은혜, 전샛

별, 2010; 이순복, 원지현, 2013; 황해익, 탁정화, 홍성희, 2013)과 일치하는 결과이며, 유아교

사의 교사효능감과 행복감의 관련이 있다는 연구들(곽희경, 2011; 민재철, 2012; 배성희,

2009)과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또한,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행복감이 상관이 있다는 연구

들(김은옥, 2013; 김시연, 2014; 배수희, 2009; 배성희, 2009; 이경민, 최윤정, 2009; 이채호, 고

태순, 2009; 조재희, 2012)과 유아교사의 교수몰입이 행복감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들(곽희경,

2011; 강수정, 2014; 김혜경, 2013; 배수희, 2009; 양난미, 이지연, 2008; 오현숙, 2013)과 일치

하는 결과이다. 즉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수몰입이 높을수록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와도 행복감의 모

든 하위요인들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나 가장 높은 상관을 보인 변인이 교수몰입이라는

것이다. 이는 유아교사의 교수몰입이 증가하면 유아교사의 자아수용,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

제,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 또한 높은 상승률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sikszentmihalyi(2014)에 의하면 몰입상태에서 개인은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

다고 주장할 것과 더불어 결과적으로 유아교사의 몰입경험을 통해 유아들과 함께 하는 긍정

적인 삶의 질도 높아질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강수정(2014)의 연구, 김혜경

(2013)의 연구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결과이다. 교수몰입의 하위요인들 중 도전과 기술

의 균형만이 유일하게 행복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고 보고한 강수정(2014)의

연구에서는 교수몰입 중 도전과 기술의 균형을 많이 사용할수록 행복감이 높아진다고 보고

하면서 교사가 유아들과 수업을 할 때,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이라도 다양한 교수법을 적용해

이해시키거나, 교육 내용을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자신만의 기술을 발휘함으로써 행복감을 느

낄 수 있기 때문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김혜경(2013)의 연구에서는 교수몰입의 하위요인들

중 자의식의 상실과 행복감의 삶의 목적은 가장 높은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

데, 이러한 결과는 몰입 후에 오히려 자의식이 강해지고 교사의 행복감 증진에 긍정적인 영

Page 19: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185

향을 미치게 될지라도 몰입의 초기상황에서는 자의식의 상실에 의해 교사의 행복감이 일시

적으로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해석과 관련하여, 유아교사의 교수몰입을 지속적으

로 관찰하거나, 몰입과정의 변화에 관한 심층적인 인터뷰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관련된 구조적 관련성 탐색결과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변인은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교수몰입으로 나타났다. 먼저, 유아교사의 행복

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자아탄력성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자아탄력성과 행

복감과의 관계를 연구한 김성숙(2012),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과의 관계를 연구한 서지영(2012),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을 살펴

본 이순복과 원지현(2013), 회복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를 연구한 황해익과 탁정화 및 홍성

희(2013)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또한,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행복감에 긍정적 영향

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연구들(곽희경, 2011; 배성희, 2009; 배수희, 2009; 서현주, 2006; 이채

호, 고태순, 2009),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들(김하니, 2012;

민재철, 2012; 박종흡, 신남철, 2003; 이채호, 고태순, 2009; 정민정, 김유진, 2008), 유아교사의

교수몰입이 행복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들(곽희경, 2011; 배수희, 2009; 양난미, 이지연,

2008; 오현숙, 2013)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이는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만

족도, 교수몰입은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유아교사의 행복감은 Maslow의 자아실현(self actualization), Rogers의 완전하게 기능하는

개인(fully functioning person), Jung의 개성의(individuation), Allport의 성숙(maturity),

Erikson의 기본적 삶의 경향(Basic life tendencies) 등의 측면과 연결된다. 이를 유아교육현

장과 연결시켜 생각해보면, 유아교사와 같은 다양한 역할이 요구되는 삶에서 개인의 감정을

조절하고, 변화하는 환경이나 개연성 있는 상황적 사건에 융통성 있게 적응하는 능력이 삶의

만족과 심리·정서적 안녕감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기관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교사의 역할을 보다 강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유아교사들이 스스로 긍정적 심리상태로 행복한 삶을 추구하며(서지영, 2012),

자신이 가진 자아탄력성을 발휘하여 스트레스나 소진과 같은 경험을 줄이고 행복감을 높이

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유아교사의 몰입경험이 지속되면 결과적으로 삶의 질

향상에도 영향을 미치며(Nakamura & Csikszentmihalyi, 2002; Seligman & Csikszentmihalyi,

2000), 외부 환경이 아닌 스스로의 힘으로 행복을 만들어 나가는 원동력으로 작용(나은숙, 2008)

한다는 것이다. 이는 교사의 과중한 업무와 낮은 보수, 낮은 사회적 인식, 열악한 복지 등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증진되도록 교수활동에서의 몰입경험을 강화하는

Page 20: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18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것은 유아교사의 정신건강에 대한 완충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관련된 구조적 관련성 탐색결과 행복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준

변인은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교수몰입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은 교사효능감을 통해 행복감에 간접적 영향을 가지며, 교사효능감은

직무만족도를 통해 행복감에 간접적 영향을, 직무만족도는 교수몰입을 통해 행복감에 간접적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의 행복감이 교사의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

만족도 및 교수몰입에 따라 변화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교수몰입이 교사의 내적동기

와 주관적 행복감 사이를 매개하는 변인이라 보고한 양난미와 이지연(2009)의 연구결과와 연

결된다. 즉 교사의 내적 동기와 같은 심리적 변인들이 교수몰입을 통하여 행복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처럼 교수몰입이 행복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과는,

특히 교수몰입과 교사의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과 상담 전략개발의 방향을 시

사하는 바, 교수몰입과 관련된 교사 개인적 특성에 대한 탐색이 중요하다고 주장한 강수정,

이지연과 장진이(2014)의 연구와도 연결되는 결과이다. 따라서 교사의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스트레스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인 자아탄력성과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등과 같은 교사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 혹은 상담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결론과 제언을 제시하면 첫째,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직접

적인 영향이 큰 변인이 교수몰입으로 확인되었다. 유아교사의 교수몰입은 교사의 내적인 만

족과 보람과 같은 내재적 가치로(송주연, 2014), 유아의 동기, 몰입, 성취 및 행복한 삶을 이루

어가는 가치관과 태도를 형성하며(곽희경, 2011), 즐거움과 행복감을 얻을 수 있음(김창대,

2002; 유영달, 2005)을 입증하였으며, 유아교사의 개인적 한계와 기관의 열악한 환경을 극복

하는 힘을 제공한다는(Seligman, 2009)측면에서 유아교사의 교수몰입에 영향을 주는 다른 변

인들에 대해서도 향후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

련 구조적 관계에서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자아탄력성은 행복감 관련변

인인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교수몰입에 각각 직접적 영향력이 큰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

에,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을 증진하기 위한 심리적인 지지체계가 될 수 있는 교사교육과 정

서적인 치유가 되는 상담 등을 통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긍정적으로 사고하는 습관을 형성

할 수 있도록 유관련기관의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구조관계모형을 기초로 유아교사의 행복감 향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변인들보다 좀 더 다양한 변인들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이러한 영

역에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유아교사들이

Page 21: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187

교육현장에서 교사가 지각하는 행복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요인들을 살펴보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긍정심리학적인 지지와 지원방법을 모색하

여 유아교사가 만족할만한 긍정적인 교육환경, 직무환경을 제공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여 그

효과 검증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Page 22: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18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참고문헌

강수정(2014). 교사의 교수몰입과 행복과의 관계에서 감사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조절효과.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수정, 이지연, 장진이(2014). 교사의 교수 몰입과 행복과의 관계에서 감사 성향과 대인관계 유

능성의 조절 효과. 열린교육연구, 21(2), 257-277.

고경미, 이선경, 심성경(2014). 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와 행복감 및 전문성 발달수준과의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34(1), 69-94.

곽희경(2011).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

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구은미(2004).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관련변인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권남경(2014). 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따른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가천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석만(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권수현(2010).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수현, 이승현(2011).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역할갈등 및 역할갈등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회복탄력성 상․하 집단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1(2), 311-332.

김경민(2011). 대학생의 낙관성과 행복추구경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 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

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김미현(2012). 유치원 교사의 교수몰입도 양상과 변인별 차이 및 유치원 조직풍토와의 관계. 이

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사녀(2012).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교수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경기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성숙(2012). 예비유아교사의 성격 강점과 행복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2(4), 35-53.

김시연(2014). 유아교사의 행복감, 교직에 대한 열정,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상호

작용간의 구조분석.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유진, 정민정(2008).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아동복지

연구, 6(3), 1-17.

김윤경(2011). 유아교사의 정서노동과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age 23: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189

김은옥(2013). 유아 교사의 행복감, 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인천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창대(2002). 몰입이론을 적용한 진로상담모형. 청소년상담연구, 10(1), 5-30.

김하니(2012).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가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혜경(2013). 유치원 교사의 조직몰입, 교수몰입 및 주관적 삶의 질과 행복감과의 관계. 부산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혜리, 조형숙(2013).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

국교육문제연구, 31(4), 275-292.

김희진, 이분려(1999).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교사 내․외적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16(1), 161-181.

나은숙(2008). 유아의 몰입행동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8(4), 64-90.

류지한(2007). 고대의 쾌락주의. 새한철학회 논문집, 50, 91-111.

모연례(2014).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모지연(2010). 유아교사의 생활경험에 나타난 플로우와 정서탐색,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민동일(2007). 청소년의 가정건강성, 학교생활건강성 및 자아탄력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인

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민재철(2012). 유아체육교사의 행복감과 자아정체감이 교사효능감과 상호작용 및 직무만족에 미

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민하영, 권기남(2009). 유아교육기관교사의 사회적 정서지지와 자아탄력성 및 역할갈등 간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 춘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박유진(2012).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안녕감과 자아탄력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은혜(2009).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박은혜, 전샛별(2010).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7(1), 253-275.

박종흡, 신남철(2003). 교사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만족간의 관계 연구. 인문논총, 9, 91-111.

박효서(2000). 자기위로능력이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희숙, 이수기(2012). 유아의 사회적 강점, 난점과 교사-유아관계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1), 31-47.

Page 24: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19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배병렬(2014). Amos 21 구조방정식모델링. 서울: 청람.

배성희(2009). 보육교사의 행복이 교사의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학연구,

22, 25-44.

배수희(2009). 교사의 행복감에 따른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서지영(2012). 중학교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회복탄력성의 관계.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서현주(2006). 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효능감과의 관련성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송미선(2014). 유아교사의 행복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13(3), 149-169.

송유진(1993). 유아교육기관의 조직 풍토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송주연(2014). 유아교사 교수몰입척도 개발 및 타당화.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신민희, 구재선(2010). 행복과 창의력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4(3), 37-51.

신혜영(2004).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신현정, 박진성(2010). 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 탐색연구. 직무스트

레스와 조직효과성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4(2), 147-170.

심순애(2007).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양난미, 이지연(2008). 교사들의 내적 외적 동기, 교수몰입과 행복감의 관계. 상담학연구, 9(1),1-14.

오현숙(2013).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몰입 및 행복감에 따른 교사의 교수효능감 및 교수창의성의

차이.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원동선(2004). 강원도 사립학교 중등교사의 직무만족도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위종희(2012).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관계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우종필(2014).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출판사.

유영달(2005). 몰입감 모델의 심리치료적 활용.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35-55.

유현정(2011).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심리적 안녕감, 그리고 이직의도 간의 관계연구. 경희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갑정(2012). 예비보육교사의 목표, 만족도, 자기효능감 및 우울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

육지원학회지, 8(3), 45-63.

Page 25: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191

이경민(2009). 유아행복교육의 가능성 탐색 연구. 어린이미디어연구, 8(1), 165-181.

이경민, 최윤정(2009). 유아교사의 행복, 직무만족, 강점과의 관계성 연구. 유아교육연구, 29(3),

215-235.

이경민, 최윤정, 이경애(2012). 유아교사의 행복과 역할수행능력과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32(6), 509-523.

이경애(2010). 유아교사의 행복과 직무관련변인의 관계분석: 직무만족, 교사 효능감, 역할수행능

력, 이직 의도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미란(2010). 영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헌신의 관계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분려(1999). 유치원 조직풍토와 직무만족도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순미(2014). 유아교사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변인.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이순복, 원지현(2013). 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어

린이문학교육연구, 14(3), 263-281.

이채호, 고태순(2009).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보육효능감 및 건강증진생활양식과 심리적 안녕

감 간의 구조모형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2), 49-70.

이호주(2013). 유치원의 조직문화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의 행복감 및 교사효능감에 미

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훈구(1997). 한국인의 긍정적 정서. 심리학회, 6(2), 45-60.

임수진, 여은진, 이혜원(2013). 영유아 교사의 직무만족, 교사 효능감, 조직 몰입이 행복에 미치

는 영향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3(3), 301-318.

임영진(2010). 성격강점과 긍정 심리치료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장미정(2011). 유치원의 질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효능감이 유아의 인지 언어정서 및 사회적 능

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조재희(2012). 가톨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신앙성숙도와 행복감, 자아탄력성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윤정(2009). 유아교사의 행복증진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종화(2014). 유아교사의 행복에 관한 연구-교사효능감과 협동적 조직문화를 중심으로. 유아교

육연구, 34(3), 221-238.

허수윤, 서현아(2014). 예비유아교사의 교직관 수준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의 차이.

유아교육연구, 34(4), 423-440.

황선이(1995). 교사효능감과 학습자의 자아 효능감 및 학습몰두시간(ALT)과의 관계. 한국교원대

Page 26: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19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해익(2013).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

육연구, 12(2), 157-180.

황해익, 박성미, 탁정화(2015).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 성향의 매

개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4(2), 193-218.

황해익, 탁정화, 김미진(2013).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교사효능감이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 유

아교육연구, 33(4), 95-117.

황해익, 탁정화, 홍성희(2013).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3), 411-432.

Andrews, F. M., & Robinson, J. P.(1991). Measures of subjective well-bing. In J. P.

Robinson, P. R. Shaver, & L. S. Wrightsman(Eds.). Measures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ical Attitudes. Vol. 1 in Measures of social Psychological Attitudes

Series. San Diego: Academic Press.

Atsushi, O., Hitoshi, N, Shinji, N, & Motoyuki, K.(200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dolescent resilience scale. Japanese Journal of Counseling Science, 35, 57-65.

Ben-Shahar, T.(2007). Happier: Learn the Secrets to Daily Joy and Lasting Fulfillment.

McGraw-Hill.

Csikszentmihalyi, M.(1996).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New York: Harper Collins.

(2014). 몰입의 즐거움.〔Finding flow: The psychology of engagement

With ever day life〕. (이희재 역). 서울: 해남출판사. (원저 2005 출판).

Day. C.(2007). 열정으로 가르치기.〔A passion for teachers〕. (박은혜, 이진화, 위수경, 조혜선

공역). 서울: 파란마음. (원저 2004 출판).

Diener, E., & Lucas, R. E.(2003). Person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New York: Russell

Sage.

Gu, Q., & Day, C.(2007). Teachers resilience: A necessary condition for effectivenes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3, 1302-1316.

Hoggard, L.(2005). 영국 BBC 다큐멘터리 행복: 행복전문가 6인이 밝히는 행복의 심리학.〔How

to be happy〕. (이경아 역). 서울: 예담.

Jackson, S. A., & Eklund, R. C.(2004). Flow scales manual. Morgan town, WV: Fitness

Information Teachnology.

Jorde-Bloom, P.(1989). Factor influencing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early childhood work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Page 27: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193

Education, 3(2), 107-122.

Nakamura, J., & Csikszentmihalyi. M.(2002). The Concept of flow. In C. R. Snyder &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pp. 89-105). Oxfor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ack, N., & Persons, C.(2009). Achieving and sustaining a good life.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4, 422-428.

Riggs, I., & Enochs, L.(1990).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cience Education, 74, 625-638.

Ryff, C. D.(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Ryff, C. D., & Keyes, C. L. M.(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719-727.

Salovey, P., Bedell, B. T., Detweiler, J. B., & Mayer, J. D.(1999). Coping intelligently:

Emontional intelligence and the coping process. In C. R. Snyder(Ed), Coping: The

psychology of what works(pp. 141-164).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Seligman, M, E, P.(2009). 긍정심리학. (김인자 역). 경기: 물푸레. (원저 2006 출판).

Seligman, M. E. P., Csikszentmihalyi, M.(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1), 5-14.

Spodek, B., Saracho, O. N., & Davis, M. D.(1987). Founda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nglwood Clifs: Prentice-Hall Inc.

Veenhoven(1991). Is a happiness relative? Social Indicators Research, 24. 1-34.

Vrugt, A.(1994). Perceived self-efficacy, social comparison, affective reac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64, 465-472.

Wheatly, K. F.(2000). Positive teacher efficacy as an obstacle to educational reform. Journa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Education, 34, 14-27.

Page 28: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 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 여

19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teachers’ happiness

Ji Hyun Won ・ Soon Bok Le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go-resilience, teacher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teaching flow, as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89 childcare-center

teachers, selected from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located in Seoul, Incheon,

Daejeon, Gwangju Daegu, Busan, and Ulsa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0.0, a

descriptive statistics, and were analyzed with AMOS 20.0, a statistical program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test whether the hypothesized structural model fitted the collected data well.

First, the results show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 of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happines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ego-resilience, teacher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teaching flow,

and the correlation between happiness was found in both ways. Second, ego-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teaching flow appeared to have a direct

effect on happiness. Third, ego-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teaching flow did show an indirect effect on the happines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se studies are expected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having a positive psychological program to assist one to lead a healthier and fit life in the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