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44
접수번호 : IC0018 럽 저 집합주거단지와 한 집합주택 제 팀 김민영 (성균대학 건축학 대학 석사3학기) 주 (성균대학 건축학 대학 석사3학기) 도훈 (성균대학 건축학 대학 석사3학기) 지도수 창복 (성균대학 건축학 수)

Upload: others

Post on 10-Oct-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접수번호 : IC0018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

팀원 김민영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 석사3학기)

이주욱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 석사3학기)

임도훈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 석사3학기)

지도교수 임창복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Page 2: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 목 차 - Ⅰ. 서론

1. 연구(탐방)의 개요 및 구성

1.1 연구(탐방)의 배경

1.2 연구(탐방)의 목적

1.3 연구(탐방)의 내용 및 방법

1.4 탐방일정 및 탐방대상

1.5 탐방대상 변경 및 추가대상지(변경사유 포함)

Ⅱ. 탐방활동내용

1. 국내 주거지 사례분석(사전조사)

1.1 자양동

1.2 국내 도시주거지의 문제점

2. 국외 도시주거지 사례분석(탐방활동 대상지)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탐방지 사례분석

2.2.1 주거관련단체

2.2.2 Lambeth, London

2.2.3 Corby Newtown지역,Northampton

2.2.4 Bishopsfield, Harlow

2.2.5 Hollinswood, Telford

2.2.6 Camden, London

2.2.7 Becton, London

2.3 국외도시주거지의 특징

Ⅲ. 결론 및 제안(한국 집합주택의 과제)

1. 결론

2. 새로운 도시주거유형 개발에 관한 이론들과 가능성

2.1 측벽공유방식

2.2 중정형 집합주택

2.3 획지 ∙ 가구단위 개발

3. 가능모델의 제시

Page 3: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Ⅰ. 서론 1. 연구(탐방)의 개요 및 구성

1.1 연구(탐방)의 배경

인간생활의 기본적인 장을 제공하는 주거공간과 이를 둘러싼 주거환경에 의해 형성되

는 주거지는 도시형성의 기본적인 틀을 제공하며, 주거지의 개발방식 및 계획방식에

따라 그 도시의 성격, 형태 및 구조를 결정짓는 요소가 되어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

부분의 도시주거지는 점진적 개발방식에 의한 필지식 개발과 일괄적 개발방식에 의한

단지식 개발의 두 가지 방식으로 조성되어졌다.

전자의 개발방식은 1930년대 이후 도시주거지 개발에 본격적으로 적용되어온 수법으

로서, 개발시기 및 계획적 수법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띄고 있지만, 비교적 단독주택

위주의 유사한 개발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최근 도시의 성장과 더불어 사회적

∙ 문화적 변화에 따라 단독주택지내의 주택들이 개별적인 재건축을 통해 다가구∙ 다

세대 주택으로 변화되어 가고, 상업용도가 주거지 내에 늘어나면서 기존의 주거지 조

직과는 전혀 다른 변화를 보이고 있다. 또한 이러한 변화는 주거지내의 도로 및 도시

기반시설의 부족, 일조권 및 프라이버시의 침해, 주차문제 등 주거환경의 악화를 초래

하여 새로운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필지식 개발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초

기 개발비용 증가와 주차문제 등으로 이러한 개발방식은 점차 감소하는 것이 추세이

다.

후자의 개발방식은 70년대 이후 나타나기 시작한 방식으로 도시화에 따른 인구집중으

로 야기되어진 주택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규모 주거단지를 공급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어졌으며, 보다 많은 주택을 공급하기 위해 개발된 아파트 등 공동주택 위주로

고밀 주거지가 조성되었다. 그러나, 도시 내에 대규모 주거단지가 자동차에 의한 서비

스나 주차문제 등 여러 문제를 해결해 주고 있음에도, 그것은 인접지역과 도시 맥락의

단절, 이에 따른 도시경관, 교통 및 토지이용의 문제점 등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기성

시가지의 노후화에 따라 불량주택재개발사업과, 재건축사업이 일시에 초래되어 각종

자원 낭비와 환경문제까지 야기 시키고 있으며, 기존의 도시구조 내에서 과밀의 공동

주택이 들어서게 되면서 도시기반시설에 과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

다.

80년대 후반 이후 법제화된 다세대, 다가구 주택이 도시주거지의 상당한 양을 차지하

고 있으며, 재개발 지역은 고층의 집합주택(APT)로 개발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러한

주거의 양식이 과연 언제까지 지속될 지에 대한 것은 관심 있게 지켜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물론 노후 불량 주거지에 대한 정비는 분명 일어나야 하는 것이지만 올바른 주

거양식으로 자리잡지 못한다면 한국적인 올바른 주거문화의 정착을 기대하기란 불가능

할 것이며, 지금 재개발한 주거지는 20년쯤 후에는 또다시 지금과 같은 문제를 반복할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중간 유형이라고 불릴 수 있는 집합주거 유형들에

대한 개발유형 및 기준 설정이 필요하며 개발이 실천될 수 있는 법규의 조정 및 완화방

법이 고안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다가구 · 다세대 주택 제도 개선 및 일반주거지역 용적율 변화에 관한 기준들이

새롭게 설정되어 적용되거나 적용될 예정이어서 공동주택의 개발은 새로운 양상을 띄

Page 4: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게 될 것으로 보인다. 1 이것은 주택 보급율이 향상되고 최근 경제수준이 향상되면서

주거환경의 기준이 크게 변화하여 주거의 모습이 달라져야 한다는 반성에 의한 것으로

도시 컨텍스트의 회복, 연속성과 다양성의 창출, 적주성의 향상 등의 가능성들을 보여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유럽의 선진국가인 영국에서는 산업혁명이후 도시화 집중현상이 일어나면서 1960, 70

년대에 주거에 대한 수요가 런던을 중심으로 일어나면서 런던 주변에 소위 Newtown

이 생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근대화된 도시주거지 모형은 어떠한 양상으로 개

발되었으며, 어떻게 보존 또는 재개발 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사회·경제적인 차

이는 있지만 당면하고 있는 한국의 집합주택의 과제를 해결 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본

다.

1.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배경 하에 탐방 대상지로 선정한 영국 내 도시 주거지의 현장조

사를 통해 도로, 가구 등과 주택유형을 파악할 수 있는 밀도, 향, 층고, 배치유형, 외부

공간 구성수법 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기존 고층 고밀의 공동주택 개발방식이나 다

세대 ∙ 다가구 주택에서의 필지별 고밀 주택 방식에 대한 대안으로서 도시지역에 적

용 가능한 주거유형을 제시하여 한국 집합주택이 떠안고 있는 문제점의 해결책을 찾고

자 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이러한 정량적인 사항을 파악하는 이유는 주거 환경이라는 것을 정성적인 파악으로는

좋다 나쁘다 정도의 모호한 결론으로 도출될 수 있는바 수치상의 데이터 처리가 가능

한 정량적 정리를 통하여 현재 우리의 주거단지가 직면하고 있는 적주성의 문제 등을

상호비교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1.3 연구(탐방)의 내용 및 방법

1.3.1 탐방 대상지 선정

대상지 선정은 제일 먼저 직접적 조사의 대상이 될 주거지와 지역 단체 및 주택관련

정부단체로 나뉜다.

먼저 문헌, 인터넷 등을 통해 영국의 저층 주거단지를 대표할 수 있는 특징들을 갖는

대상지를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그 중 도심부에 위치한 것과 근대화의 수단으로 인구

의 탈 중심화를 위해 개발된 신도시를 위주로 하였다. 대부분의 주거지는 생성된 지

30여년이 지난 지역이며 국내에서의 조사의 한계로 인하여 그 주거지가 그대로 존속

되어 있는지의 여부 및 그 각각의 특성은 파악되지 않았다. 때문에 탐방 과정 중 몇

개 대상지를 삭제 또는 추가 하였다.

지역단체 및 정부단체는 조사대상 주거지의 각 Council의 office를 기본으로 영국 내

주거관련 대표급 관공서 및 단체를 선정하였다. 각 Council의 개발부서 담당자들과의

면담을 통하여 그 지역 주거지 개발에 관한 전반적인 브리핑을 받았으며 자료를 얻었

1 서울시는 2000.7.30에 새로운 도시계획조례를 정하여 용적율을 1조 일반주거지역에서 150%로, 2종

일반주거지역은 12층 이하 200%로, 3종 일반주거지역을 250%로 개정하였다. 또한 다가구 · 다세대주

택 제도 개선안을 강화하여 연면적 660㎡이하(지하주차장 면적포함), 채광방향 일조기준 부활, 인접대지

경계선에서 1m이격, 지하층 주거가구 제한, 가구 당 주차기준 강화 등을 실시할 예정이다.

Page 5: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다.

1.3.2 사전조사

탐방을 떠나기 전에 국내 도시주거지 중 한 곳을 선정하여 그 물리적 특성 및 주거지

특성을 파악하여 보았다. 국내 주거지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탐방지와의 비교를 위한

것으로 서울시내 주거지 중 토지구획정리사업에 의해 계획적으로 조성된 자양동을 선

택하여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1.3.3 대상지 조사

1) 일반적 특성

대상지의 형성과정, 개발수법, 개발연혁 등에 관한 역사적 특성과 도시계획, 토지이용,

주변여건등에 대한 일반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2) 도로 및 단지 특성

도로는 보차혼용 또는 보행전용 등의 기능, 위계상의 특성과 길이, 폭 등의 규모 및 노

변주차에 대하여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도로율 및 도로특성을 분석한다. 단지는 규모

와 배치 형태, 외부공간의 구성수법 등을 조사하였다.

3) 건축물 특성

건축면적, 연면적을 파악하여 건폐율, 용적율 등의 밀도를 산정하고, 건물당 가구수, 층

수, 향 등을 조사하여 건축물의 특성 및 변화의 정도를 파악한다. 그 외에 주차장의 유

무 및 주차방식, 주차대수 등을 조사하여 주차실태를 분석하였다.

Page 6: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1.4 탐방일정 및 탐방대상

일 자 지 역 방 문 지 비 고

1일차(7/2) London � 런던공항도착.

2일차(7/3) London � 단체(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Transport and the Regions / The Housing Corporation)

3일차(7/4) London � Lambeth (Council 방문 및 주거지 조사)

4일차(7/5) Essex � Harlow New Town(주거지 조사)

5일차(7/6) Essex � Harlow New Town(Council 방문)

기간

연장

6일차(7/7) London � Southwark(Council 방문 및 주거지 조사)

6일차(7/8) Northhampton � Corby New Town(주거지 조사)

8일차(7/9) Northhampton � Corby New Town(Council 방문)

기간

연장

9일차(7/10) Shropshire � Telford(주거지 조사)

10일(7/11) Shropshire � Telford(Council 방문)

기간

연장

11일(7/12) Hertford � Welwyn Garden city/Letchworth 취소후

추가

12일(7/13) London(Dockland) � Becton(Council / Dockland 개발공사 방문 및

주거지 조사)

취소후

추가

13일(7/14) London � 서점(RIBA/AA)에서 자료구입 및 정리

14일(7/15) Seoul 인천국제공항도착

1.5 탐방대상 변경 및 추가대상지(변경사유 포함)

위 표의 비고부분에 탐방 대상지 변경 및 추가대상지를 표시하였다. 현지에서 실제 조

사를 실시한 결과 1일에 1개의 대상지를 조사하는 것은 시간상으로 너무나 부족하여

조사의 내실을 기하기 위하여 지방의 경우 조사 1일, Council방문 1일로 기간을 늘이

는 대신 Kent, Runcorn, Newcastle지역을 제외하였다. London에서는 신 주거지역으

로 개발중인 Dockland 중에서도 서민주거지역인 Becton지역을 Islington대신에 추가

하였다. 또한 세계에서 가장 먼저 조성된 전원도시인 Welwyn Garden

city/Letchworth 를 추가하였다.

Page 7: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Ⅱ. 탐방활동 내용

1. 국내 주거지 사례 분석(사전 조사)

1.1 대상지 분석

1.1.1 대상지 선정기준

본 장의 연구 대상지 선정에 있어서 70년대 초 토지구획정리사업에 의해 개발되었던

우리나라 주거지를 정리하였다. 토지구획정리사업에 의해 개발된 주거지 중 90년대

중반부터 변화가 시작되어 단독주택지구에서 다세대, 다가구 지역으로 변모된

대상지로서 자양2동이 선정되었다.

본 장에서는 요즘 대부분의 주거지가 토지구획정리 사업으로 재개발 되어 가고 있는

상황에서 주거지의 변화과정을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그 변화가 주거지 내에서 어떠한

환경을 이루고 있는지 관찰하고자 하였고, 거의 APT 일변도로 개발되고 있는

상황에서 단독주거지로 향후 다시 개발이 이루어질 때 고려되어야 할 부분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1.1.2 자양동 주거지

1. 대상지 개요 및 형성과정

행정구역상으로 광진구 자양2동595~598번지 일대의 주거 블록으로 도심지에서 동남

쪽방향으로 10㎞떨어진 곳에 위치한 지역이며, 남쪽으로 한강시민공원과 접해 있고,

서쪽으로 뚝섬, 북쪽으로 용마산 공원 및 아차 산성과 근접해있는 지역이다.

대상지는 7개 가구와 이를 둘러싼 도로로 이루어져 있으며, 약226×202m의 규모로 가

구와 도로를 포함한 면적이 45,436㎡으로 자양2동 전체면적 1.68㎢의 2.7%를 차지

하고 있다. 위치 상 한강과 접해있는 대상지는 동서방향으로 접한 대지들이 대개 재개

발 대상지역으로 현재 APT부지로 확보되어있거나 APT가 들어서 있는 상태이다.

2. 주거환경 분석

자양동 주거지 전경

자양동의 전형적 다세대 주택

Page 8: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1) 교통현황

- 대상지는 남쪽에 동서방향으로 강변북로가 지나고 있지만 진입이 불가능한 상태이고

진입을 위해서는 동쪽의 자양로나 서쪽의 동2로까지 가야만 가능한 상태이다. 대상지

북쪽으로 뚝섬로가 동서방향으로 지나고 있다.

2) 사회 인문적 특성

- 대상지를 포함하고 있는 자양2동은 총 10,163세대가 입주하고 있으며, 거주인구가

31,092인으로 평균적으로 세대 당 3.06인이 거주하고 있고, 면적이 1.68㎢이므로

인구밀도는 18,507인/㎢로 나타나고 있다.

- 대상지는 면적이 자양2동의 2.7%이기 때문에 거주인구는 840명이고, 세대수는

274.4세대로 추정할 수 있으나 대상지가 거의 다가구 주택으로 이루어져서 추정치

보다는 거주인구가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3) 도시적 특성

- 현재 용도지역상 일반주거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대상지 남측에 공공시설인

유수지가 입지하고 있고, 대상지 서측으로 신자초등학교와 자양종합시장이 입지하고

있다.

- 개발초기에 건축된 단독주택이 몇 가구 분포하고 있지만, 최근 들어 다가구주택이

거의 점유하고 있으며, 도로변으로 주상복합형태로 근린생활시설이 증가하고 있는

전형적인 도시주거지 토지이용을 보이고 있다.

• 주거환경적 특성

- 한강변의 강변북로보다 지대가 낮아서 한강으로의 조망권이 거의 확보되지 않은

상황이며, 강변북로의 소음이 간접적으로 들림.

- 대상지 남쪽으로 한강시민공원이 접하고 있으나 진입이 그리 용이한 편이 아니며

대상지 내 녹지공간이 전혀 없고 유수지에서 제공하는 녹지공간이 약간 있는

정도이다.

• 대상지의 도시적 위계특성

- 대상지를 블록규모의 위계로 보았을 때 a지역은 간선도로로서 가장 공공적인

성격이 강한 지역이며 b지역은 주거지 주변의 근린생활시설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으로

반 공적인 공간을 이루고 있으며 c지역은 대상주거지 및 일반주거지 지역으로서 가장

대상지 단면도

Page 9: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사적인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 대상지의 건축물 유형이나 시설별 유형으로 표시했을 때 대상지는 주변에 공공시설

및 상업시설로 둘러싸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대상지가

주거지로서 비교적 적합한

조건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대상지 내의 길의 위계를

살펴보면 간선도로인D부터 가구

진입로인 C, 일방통행로인

B영역 그리고 다시 개별

진입로인 A영역 순으로 변해

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에

따라 거주자의 행태는 점점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3. 물리적 특성

1) 도로의 특성

• 도로형태

- 동서방향의 긴 구획도로와 남북방향의 짧은 구획도로로 대상지를 둘러싸고 있으며,

대상지로만 볼 때 크게 7개의 가구로 분리될 수 있으며, 다시 각 가구는 동서 또는

남북방향의 구획도로로 인해 나뉜다. 남북방향의 구획도로 중 맨동쪽과 맨서쪽 도로는

북측의 보조간선 도로인 뚝섬로와 연결되고 있다.

- 가구를 크게 나누는 도로의 순환은 모두 일방통행로로 되어있으며 가구를 다시

나누는 도로는 방향의 표시가 없어 거의 주차장으로 쓰이고 있다.

• 도로폭

- 8m의 도로(A1,A3,B1,B4)가

대상지 블록을 감싸고

일방통행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6m의 구획도로(B2,B3,A2)가

직교하며 가구를 크게 나누고

있다.

- 각 가구는 다시 4m의

구획도로가 남북 또는 동서로

가구를 잘게 나누고 있으며,

필지별 진입도로는 4m 미만의

폭으로 가구를 분할하거나 막다른

도로 또는 'ㄱ자'형의 형태로

있다.

- 대상지 내 도로가 차지하는 면적은 10,161.5㎡로 전체 대상지 면적에 대해

도로의 현황 도로의 순환

블록의 남북방향과 동서방향의 위계

Page 10: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22.4%의 도로율을 보이고 있다.

2) 가구의 특성

• 가구길이 및 폭

- 가구는 진입로에 의해 가구가 분할되며, 소가구

분할을 제외한다면 대부분이 80.7∼112.5m 전후의

길이로 나타나고 있으며, 평균길이는 95.9m로

나타내고 있다. 가구의 폭은 소가구 분할을 제외한다면

53.6∼69.2m 전후의 폭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평균폭은 56.1m로 나타나고 있다.

• 가구면적

- 가구면적은 진입로에 의해 소 분할되지 않는 경우

4,288∼6,867㎡ 정도이지만, 필지 분할 및 진입로에

의해 가구분할이 일어나 소가구로 세분될 경우

소가구의 평균면적은 2,800㎡ 정도이다.

• 가구의 세장비 및 향

- 가구는 폭과 길이의 비인 세장비가 1.7 정도의 장방형태를 띄고 있으며, 대부분

남북방향으로 긴 형태를 띄고 있다.

3) 획지의 특성(대상지 가구중 A, B가구를 표본으로 조사하였다)

• 획지구성방식

- 가구의 획지는 2열 10호의 조합으로 나타나고 있다.

• 획지의 길이 및 폭

- 획지의 평균길이는 11.9m이며, 최대길이는 17.1m, 최소길이는 10.3m이다.

- 획지의 평균폭은 12.1m이며, 최대폭은 14.5m, 최소폭은 9.5m이다.

- 초기 개발유형의 경우는 길이가 16m, 폭이 13m정도로 현재의 획지 형태보다는 좀

큰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 획지의 규모

- 획지의 평균규모는 145.7㎡(약 44.01평)으로, 소규모의 필지규모를 보이고 있으며,

150㎡미만 52%로 가장 많으며, 150㎡이상 200㎡미만이 19%, 200㎡이상이 5%로

나타났다

• 획지진입유형

- 대부분 남동측과 북서측으로 약간 기울어진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구획도로에

접하지 않은 내부필지의 경우 내부통과 골목에 의해 출입구가 결정되어지고 있다.

- 막다른 골목과 일반통과 도로가 가끔 보이고 있는데, 막다른 골목의 유형의 경우

초기 택지개발 당시의 획지로 현재의 획지의 진입방식과는 다른 남측진입을 보여주고

가구의 크기

Page 11: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있다.

• 합필과 분필

- 대상지역내의 합필과 분필의 형태는 거의 보이고 있지

않으며 초기 개발당시의 흔적과 비교해볼 때 각 획지의

크기는 변화가 일어나서 거의 같은 크기의 획지로 구분이 된

듯 하다.

4) 건축물의 특성

• 건축시기

- 대상지역 내의 건축물의 건축년도는 90년-현재

52동(69%)로 가장 많으며, 초기 택지개발 당시인

70년-80년 이전이 17동(23%), 80년-90년에는 6동(8%)인

것으로 보아 초기 개발당시의 건물과 현재 새로 짓는 유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용도

- 대상지역 내의 건축물의 용도는 원래는 단독주택지역

이였지만 세월이 지나가면서 현재는64%이상인 48가구가

다가구주택이며, 특히 8m 도로변은 근린상가들7가구(9%)가

들어서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주택들도 20가구로

26%를 차지하고 있다.

• 건축규모 및 밀도

- 건축면적

대상지 내 주택의 건축면적은 58.4∼119.7㎡의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이 가운데 60㎡미만이 3동(4%),

60-80㎡미만이 41동(53%)로 가장 많으며, 80∼100㎡미만

27동(36%), 100㎡이상 5동(7%) 순으로 나타났으며,

평균건축면적은 79.7㎡이다.

- 건폐율

대상지역 내의 건축물의 건폐율은 55-60%미만

47동(63%)로 가장 많으며, 40-45%미만과 45-50%미만이

각7동(9%), 50-55%미만 1(14%), 60%이상은 4동(5%)

것으로 나타났다.

- 연면적

대상지내 주택의 연면적은 95.5∼472.1㎡의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이 가운데 200-300㎡미만이

29동(38%)으로 가장 많으며, 100㎡미만 5동(7%),

200-300㎡미만 21동(28%), 300-400㎡이 14동(18%),

400㎡이상이 7동(9%)으로 나타났다.

- 용적율

대상지 건축시기

건축물 용도

건축면적

건폐율

연면적

Page 12: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대상지역 내의 건축물의 용적율은 50-221%의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200-300%미만이 29동(38%)로 가장

많으며, 100%미만 5동(7%), 100-200%미만이 21동(28%),

300-400%미만이 14동(18%), 400-500%미만이 7동(9%)인

것으로 나타났다.

• 건축높이 및 구조

- 층수

대상지역 내의 건축물 가운데 1층의 건물은 8동(11%),

2층은 27동(36%), 3층은 8동(11%), 4층 이상은

32동(41%)으로 기존의 주택이 다가구 주택으로 재건축 되면서 층수가 상향된 것을 알

수 있다.

- 구조

개발초기인 70년대 중반에 건축된 주택들은 주로 벽돌조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현재는 다가구주택들로 재건축 되면서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붉은 벽돌로 치장한

구조들로 변해 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건축배치 및 향

- 건축물의 배치

단독주택의 경우 출입구에 면해 정원이나 공지를 두고 마당으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이 ㄱ자형이나 ㅡ자형 배치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건축선에서 일정거리를

이격한 배치형태를 띄고 있다. 하지만, 다가구주택은 마당이나 공지가 거의 없으며,

통로나 주차장이 공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 건축된 다가구주택의 경우

건물의 중앙이나 모퉁이에 계단실을 둔 계단실형 아파트의 배치를 보이고 있다.

대부분의 다가구주택의 경우 건축선과 거의 일치되게 건물이 들어서 있어서 창이 길

쪽으로 면해있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 건축물의 향

건축물 향은 출입구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단독주택은 대부분이 동남쪽을

향해 전면을 두도록 건축되어져 있지만, 다가구주택은 출입구가 분리되면서 가로

방향으로 출입구를 두고 있어 그 향이 일정치 않게 건축되어 있었다.

특이한 형태로 다가구 주택의 북측에 주차장을 마련한 경우 그 옆주택은 바로 남쪽에

주차장을 마련하고 향을 남향으로 했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이는 남향에 대한 욕구를

단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대지내공지

- 대지내공지

대지내 공지를 화단을 조성하거나 마당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초기 개발형식을

제외하고는 거의 보이지 않았으며, 최근에 건축된 다가구주택의 경우 주차장 또는

건물사이의 이격에 의한 자투리 공간으로 남아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위 그림의 옥내 주차장 현황과 공지 현황을 비교해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거주지내에는 공지가 없지만 한강고수부지가 도보로 이동하여 접근할 수 있고 대상지

앞의 유수지에 공지가 약간 확보되어 있어서 공공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용적율

Page 13: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 주차장 및 기타요소

- 주차장

개발초기의 주택들에서는 주차장 설치가 거의 없었던 반면

최근에 건축된 일부 다가구주택에서 주차장의 설치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외 4m, 6m 폭의 진입도로에 주차구획을

통한 주거자 우선 주차제도를 실시하여 주차난을 일부

해소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도로변에 주차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방통행을 통하여 가로변에 차량을 주차해도 거주지내의

교통순환에는 커다란 문제가 없어 보였으나 주차장의 부족을

감당하기는 힘들어 보였다. 주차난 해소를 위하여 유수지의

주차장을 이용하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 담 및 대문

개발초기에 건축이 이루어진 경우

마당을 두고 담 및 대문의 설치가

대부분 이루어졌지만, 최근 들어

다가구 주택으로 재건축 되는

과정에서 담장이 사라지고 있으며,

벽체가 담의 기능을 대체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담장이 있는 경우

2m를 채 넘기지 않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는 다가구 주택의

지하층의 일조를 위하여 고려된

것으로 보였다. 다가구 주택 중 담의

형태를 다양화하여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사례도 볼 수 있었다.

1.2 국내 도시주거지의 문제점

기존주거지가 갖고 있는 문제점은 개발비용 및 유지관리와 관련된 경제성과 생활환경

의 쾌적성과 관련된 적주성의 관점에서 파악될 수 있다. 도시주거지의 경우, 개발비용

의 절감이 적주성에 우선하여 주거지의 물리적 환경을 결정짓기 때문에 개발 후 여러

가지 불이익을 감수하지 않으면 안된다. 특히 토지구획정리사업에 의한 도시주거지의

조성은 일반적으로 대지를 조성하여 공급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대지 조성에 필요한

도로 및 하부시설에 대한 비용을 극소화하고, 대지 면적을 극대화하려는 경향을 갖게

된다. 도로율과 도로의 길이는 개발비용과 직접 관련되는 지표로써 주거지의 적주성을

결정 짓는 요소들인 도로의 폭과 위계, 가구의 형태, 획지의 규모 및 형태등과의 상관

관계가 파악되면 기존 도시주거지에서의 문제점과 그 해결을 위한 방안이 모색될 수

있을 것이다.

1.2.1 도로의 문제점

1) 도로의 기능과 위계

대상지내 건물 현황 대상지내 공지 현황

주차장 확보율

Page 14: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주거지 내에서 도로는 구획도로를 의미하며, 이 구획도로는 단지의 가구구성에 사용되

는 접근로와 각 주호에 진입하기 위한 진입로로 구분 지을 수 있다. 접근로는 자동차

의 접근이 가능한 형태를 갖는 6m이상의 도로로 볼 수 있으며, 대부분이 보차혼용의

통행방식을 갖는 공공소유의 공도이다. 이와 달리 진입로는 각 주호에 접근할 수 있는

6m미만의 도로로써 보행전용 및 부분주차의 기능을 하는 공도 또는 민간소유의 사도

이다.

이러한 기능과 성격의 차이에 따라 그 위계를 달리하여 조성되어야 하지만 우리나라의

주거지에서는 구획도로의 성격이 대부분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증가로

인해 보행자의 안전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주차공간의 협소로 인한 노변주차는 주

거지내 차량 및 보행의 통행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2) 도로의 규모 및 형태

우리나라의 주거지는 조성시 경제성의 이유로 도로의 규모가 줄어들어 통행에 문제점

을 낳고 있다. 또한 지역간 연결도로의 보조기능을 하고 있는 집분산도로와 접근로의

대부분이 6m를 전후하여 계획되어 있어 차량이 증가하고 있는 최근 들어 이들 도로의

교통이 매우 혼잡한 실정이다. 더군다나 주차장의 부족으로 인한 노변주차로 인해 차량

의 통행이 어려워 혼잡의 문제가 더욱 심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의 가구내 도로는 주로 쿨데삭형인 막다른 도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

으며, 일부 격자형과 루프형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가구내 도로는 소폭으로 계획되

어 있어 차량의 통행이 불가능하고, 막다른 도로인 경우 차량의 회전이 가능한 공간을

확보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차량의 진출입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가구

내 도로는 주로 보행접근만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부 차량을 소유하고 있으면서 주차

장이 없는 주택의 주차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1.2.2 획지의 문제점

1) 획지의 규모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도시주거지의 획지는 60~500㎡정도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이유는 조성초기의 획지들이 분필과 합필을 거치는 과정 속에서 그 규

모를 달리하게 되었기 때문으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합필에 의한 공동 개발시 기존

과는 다른 건물들이 입지함으로써 기반시설의 부족문제를 일으키는 직접적인 요인이 되

고 있다.

2) 획지의 형태

획지의 형태를 결정짓는 세장비는 0.9~1.7정도로 나타나고 있으며, 대부분의 획지가

정방형에 가까운 형태를 지니고 있다. 또한 획지의 규모가 커질수록 세장비는 줄어들

고 있으며, 획지가 합필된 경우 동일한 방향의 전면도로에 면한 획지들간에 합필이 이루

어져 세장비가 0.5에 가까운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전면폭이 넓은 획지가 늘어

나면서 주택배치 시 전면도로에 면한 부분이 대부분 자투리공간이나 주차장으로 활용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비효율적인 토지이용을 나타내고 있으며, 주택내 정원이나 마당공

Page 15: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간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1.2.3 주택의 문제점

1) 주택의 규모

기존의 단독주택을 재건축할 경우 건축면적의 증가뿐만 아니라, 층수 등이 증가하면서

연면적 등이 동시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증가현상은 경제적인 요인에 의해 가속화되

고 있으며, 주거지의 밀도를 증가시켜 주거환경 상 열악한 환경을 만들어 내고 있다.

또한 기존의 도시기반시설이 이러한 주거밀도 증가를 충분히 지원할 수 없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어 도시기반시설의 용량에 적합한 주거유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2) 주택의 형태 및 배치

주거지내 단독주택은 ㄱ자형 또는 ㅡ자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최근 들어 건축면적

을 증가시키고 주차장 등을 확보하기 위해 정방형에 가까운 ㅡ자형의 형태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컨텍스트와는 차이가 있는 주택형태가 늘어나고 있으며, 다세대/

다가구주택의 경우 공동주택의 형태를 갖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남쪽으로 정원을 가지면서 남향을 위주로 한 주택배치에서 남향보다는 도로에 면

한 쪽으로 전면을 갖는 주택이 늘고 있으며, 대부분의 주택이 획지를 가득 메우는 배치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배치는 일조권 및 프라이버시 등에서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3) 대지내 공지의 문제

대부분의 단독주택에서는 대지내 공지를 가지면서 정원이나 마당으로 활용하고 있지만,

최근들어 건축되고 있는 다세대/다가구주택에서는 마당이나 정원이 거의 사라지고 있으

며, 자투리공간이나 주차장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대지내공지의

감소는 주거지내 오픈스페이스를 감소시키고 있으며, 주거활동에 필요한 공간을 줄이

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담장과 대문의 설치가 줄어들고 있어 개인의 공간적 영역이 불투명해지고 있어 안

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하지만, 담장과 대문이 사라지면서 기존의 좁았던 골목공간

이 늘어나 준공공기능을 하는 공간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주차장의 문제

차량의 급증에 따른 주차장의 확보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지만 현재의 획지체계 내에서

는 주차장을 확보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획지가 작아 지상공간에 주차장을

설치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우며, 주차장을 설치할 경우라도 실제로 이용되기가 어렵

다. 특히 폭이 좁은 도로에 면한 획지의 경우 주차장을 설치하더라도 차량의 진출입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이용이 되지 않고 있다. 그리고 도로에 면한 부분에 주

차장을 설치할 경우 보행자의 안전에 문제가 제기될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Page 16: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2 국외 도시 주거지 사례분석 (탐방활동지)

2.1 대상지 선정 기준

본 장에서는 탐방 대상지 선정에 있어 6개소의 주거단지 및 도시주거지와 2개소의 주

택관련 단체로 크게 나뉜다. 6개소의 주거단지 및 도시주거지를 조사함에 있어 각 지

역의 council 및 주택관련 정부단체의 협조를 얻기 위해 방문하였다.

직접 조사의 대상지(주거단지 및 도시주거지)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영국의 저층 집합 주거단지 및 도시주거지를 대표할 수 있는 특징들을 갖는 대상지

를 선정

2. 중심 도시의 도심부에 위치한 도시 주거지 및 인구의 탈 중심화를 위해 개발된 신

도시의 주거지를 선정

3. 개발 시기 및 개발 유형별 특성을 구별할 수 있는 지역 가운데 주거단지의 형태적

특성을 대표하는 주거지를 선정

4. 구획도로에 의해 가구의 블록 단위가 명확히 구분되며, 토지이용상 상업등 타용도로

의 전환이 적은 주거용도로만 지정된 주거지를 선정

5. 구릉지 같은 특수한 지형 조건을 갖지 않고, 비교적 정형 및 형태가 뚜렷하게 구획

되어 있는 주거지를 선정

6. 대상지에 대한 도면 자료 및 문헌자료가 파악되고 주거지 및 각 주택의 물리적 특

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주거지를 선정

이러한 기준에 의해서 런던의 Lambeth지역, Camden지역, Dockland의 Becton지역,

Telford의 Hollinswood 주거단지, Northampton의 Wheatfield garden 주거단지,

Harlow의 bishops field 주거단지를 선정하였다.

2.2 탐방지 사례 분석

2.2.1 주거관련 단체

1. DETR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Transport and the Regions)

도시계획 행정을 관할하고 있는 영국의 중앙 정부부처로써 법

률, 규칙 등의 구체적인 해석과 중앙 정부의 개발 정책을 설정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번 탐방과 가장 직접적으로 연관을 맺고 있는 것으로는 다

음을 들 수 있으며, 주택에 관한 영국정부의 기본적인 방침을

알 수 있다.

Planning Policy Guidance Notes No.3: Housing

1. 정부의 목표

1) 정부는 모든 사람들이 적절한 주택을 갖도록 의도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주택의

대상지 위치도

Page 17: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선택에 있어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고 사회적 차별을 줄여야 한다

는 것을 의미한다. 커뮤니티내의 모든 주택에 대한 수요는 인지되어

야 하며, 이것은 도시와 시골 모두에서 알맞은 가격의 또는 특별한

주택에 대한 수요를 포함하게 된다. 더욱 지속 가능한 개발의 패턴

을 증진시키고 기존에 개발된 토지의 이용을 향상시키기 위해, 새로

이 추가되는 주택은 기존의 마을과 도시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새로운 주택과 주거환경은 잘 디자인되어야 하며 도시의 활력을 증

진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공헌을 해야만 한다.

2) 지방 계획 당국은

-모든 커뮤니티의 주택 수요를 만족시키도록 계획해야 하며, 적절

한 가격과 특별한 수요 또한 포함되어야 한다.

-주택에 대한 더 넓은 선택의 기회와 현재 이용 가능한 것 보다 규

모, 타입 그리고 위치선정에 있어 더 나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또한 복합적인 커뮤

니티를 만들도록 해야 한다.

-충분한 주택용 대지를 공급하되, 녹지의 개발보다는 도시 내에서 사용하지 않던 집과

건물을 다시 사용하도록, 이미 개발된 대지의 재사용에 우선권을 주어야 한다.

-직장, 교육시설과 운동시설, 쇼핑, 레저 그리고 행정업무를 대중교통에 의해 접근하도

록 하여 더욱 지속 가능한 개발의 패턴을 만들어야 한다.

-계획 정책과 기준을 재검토하여 토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해야 한다.

-주거지 개발에 대한 계획안을 고안하는데 있어 차량의 통행을 쉽게 하는 것보다 사

람들의 요구를 우선해야 한다.

-도보와 자전거타기를 더욱 활성화시키고, 집,직장,행정업무와 편의 시설간의 대중교통

에 의한 연계를 향상시키면서 복합 용도를 위한 계획을 통해 자동차 의존도를 낮추어

야 한다.

-사람들이 선택하도록 매력적이고 질 높은 생활환경을 만들어 내기 위해 새로운 주택

개발을 할 때에는 좋은 디자인을 장려해야 한다.

2. 주택에 대한 기회와 선택의 확대

-충분한 주택 공급 -계획, 제어, 관리

-주택의 유형과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 커뮤니티 구성

-지방 주택 수요에 대한 평가 -적절한 가격의 주택 생산

-농촌 지역에 이례적인 주택을 공급

3. 주택공급의 유지

-도심지 토지와 건물의 재활용 -도심주택 수용능력의 평가

-지역과 대지에 대한 감정 -개발을 위한 토지의 할당과 분배

-계획의 적용여부 결정 -건물의 재활용 및 용도변환

-주택에 대한 고용과 토지의 재할당

-토지조합을 위한 강제적인 구매권 사용 -건설적인 협력을 통한 실행

4. 지속 가능한 거주환경 창조

-대중교통과 연계된 개발 -복합용도 개발의 촉진

-거주환경의 녹지화 -질을 위한 디자인

DETR 전경

Page 18: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토지를 가장 잘 이용 -주차기준의 검토

-도시외곽지역의 개발 -도시확장의 고안

2. The Housing Corporation.

The Housing Corporation은 DETR(the Department for Transport, Local

Government and the Regions)의 후원을 받고 있지만 정부부서는 아니다.

이사회는 DETR의 장관으로부터 임명되며, 이사회는 조직을 관리하고, 장관에게 주택

문제에 대한 이슈, 정책과 그 이행에 대한 조언을 한다.

이 단체는 크게 3가지 구조를 갖고있다.

- 투자와 재생

- 조절과 최상의 가치창조

- 영국전역에 퍼져있는 9개 사무소에 바탕을 둔 통합서비스

The Housing corporation의 목표

- 합리적인 조절과 관리로 발전을 도모한다.

-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커뮤니티의 생성과 유지에 투자한다.

- 공동의 조합사이에서 거주자에 초점을 맞춘다.

- 현대화, 고객위주 그리고 앞을 내다보고 변화를 이끈다.

2.2.2 Lambeth, London

1. 대상지 개요

대상지는 London 중심부근의 Lambeth council내에

있으며, 서쪽으로는 간선도로인 Brixton RD와 근접해

있고, 북쪽으로는 Thames 강과 약4km정도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동쪽으로 약 200m 정도

떨어져서 철로가 남북방향으로 지나고 있다.

2. 주거환경 분석

1) 교통현황

- 대상지는 서쪽에 남북방향으로 Brixton RD가 지나

고 있으며, 대상지로 진입하는 하는 데에는 동서방향

을 연결해 주는 왕복 2차선규모의 Loughborough Road를 통해 접근한다.

2) 도시적 특성

- 대상지를 중심으로 부근에 지역 커뮤니티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서쪽으로는 도서관

이, 남서쪽으로는 커뮤니티 센터와 초등학교 및 중학교가 입지하고 있다.

-도로를 따라 Detached House 유형으로 지어진 주택과 블록을 중심으로 각각의 후정

대상지 전경

Page 19: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를 갖는 중정형의 주택으로 이루어진 주거 유형을 보이고 있다.

• 주거환경적 특성

- 대상지 주변으로 반경 약 500m정도의 거리에 공원이나 가든과 같은 녹지공간이 접

해 있어 녹지에 대한 접근성은 우수하다.

-대상지 가까이 철로가 있어 소음문제에 대한 우려가 있었으나, 통행량이나 소음크기

는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이다.

3. 물리적 특성

1) 도로의 특성

• 도로형태

- 동서방향의 긴 구획도로와 남북방향의 짧은 구획도로로 대상지를 둘러싸고 있으며,동

서방향의 구획도로의 서쪽은 남북방향의 간선도로와 연결되고 있다.

- 가구내부로 연결된 도로는 없으며, 가구를 둘러싼 도로에서 북쪽의 도로는 막다른

길로써 가구주변의 차량순환을 제한하고 있으나 거주민들의 통행은 연결통로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 도로폭

-대상지 블록의 왼쪽은 13.7m의 도로가 그 이외는 12.6m의 도로가 대상지를 감싸고

있다.

-대상지 내 도로가 차지하는 면적은 2,836.72㎡로 전체 대상지 면적의 23.3%의 도로

율을 보이고 있다.

2) 가구의 특성

• 가구길이 및 폭

-가구의 길이는 146.9m이며, 폭은 82.9m로 나타났다.

• 가구면적

-가구의 면적은 12151.22㎡로 나타났다.

도로의 현황 도로의 순환 현황

가구의 크기

Page 20: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 가구의 세장비 및 향

-가구는 폭과 길이의 비인 세장비가 1.8정도의 장방형태를 띄고 있으며, 동서방향으로

긴 형태를 띄고 있다.

3) 획지의 특성

• 획지구성방식

-가구의 획지는 2열 16호와 1열13호의 조합으로 나

타나고 있다.

• 획지의 길이 및 폭

-획지의 평균길이는 34.5m이며, 최대길이는 41.1m,

최소길이는 26.7m이다.

-획지의 평균폭은 9.5m이며, 최대폭은 15.4m, 최소

폭은 7.3m이다.

• 획지의 규모

-획지의 평균규모는 318.77㎡(약 96.3평)으로, 중규

모 이상의 필지규모를 보이고 있으며, 250㎡이상 300

㎡미만이 46%로 가장 많으며, 300㎡이상 350㎡미만

이 25%, 350㎡이상 400㎡미만과 400㎡이상이 각각

11%로 나타났다.

• 획지진입유형

-대부분의 주택들이 도로를 따라 직접 진입이 가능하며, 동쪽 주택의 경우에는 건물

전면 및 후면부를 통해 진입이 가능하다.

4) 건축물의 특성

• 건축규모 및 밀도

-건축면적

대상지 내 주택의 건축면적은 64.91에서209.26㎡의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이 가운데 50㎡이상 70㎡미만

이 10동(35%)로 가장 많으며, 70㎡이상 90㎡미만이 9

동(31%), 90㎡이상 110㎡미만이 3동(10%), 110㎡이

상 130㎡미만이 1동(3%)이며, 130㎡이상이 6동(21%)

순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건축면적은101.13㎡이다.

-건폐율

대상지역 내의 건축물의 건폐율은 20%미만 1동(3%),

20%이상 25%미만 8동(28%), 25%이상 30%미만 12

동(41%), 30%이상 35%미만 2동(7%), 35%이상 6동(21%)인 것으로 나타났다.

50㎡ 이 상

70㎡ 미 만

35%

70㎡ 이 상

90㎡ 미 만

31%

90㎡ 이 상

110㎡ 미

10%

110㎡ 이

상130㎡ 미

3%

130㎡ 이

상21%

건축면적

20%미만

3%35%이상

21%20%이상

25%미만

28%

30%이상

35%미만

7%

25%이상

30%미만

41%

건폐율

3이상 4미만17%

2이상 3미만21%

4이상 5미만59%

5이상3%

획지의 세장비

250㎡미

7%

400㎡이

11%

350㎡이

400㎡미

11%

250㎡이

300㎡미

46%

300㎡이

350㎡미

25%

획지의 규모

Page 21: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연면적

대상지내 주택의 연면적은 194.73㎡~502.71㎡의 분포

를 보이고 있으며, 이 가운데 150㎡이상 250㎡미만이

19동(66%)으로 가장 많으며, 250㎡이상 350㎡미만 3

동(10%), 350㎡이상이 7동(24%)로 나타났다.

-용적율

대상지역 내의 건축물의 용적율은 37%에서148%의 분

포를 보이고 있으며, 50%미만이 1동 (3%), 50%이상

70%가 3동 (10%), 70%이상 90%미만이 17동 (59%),

90%이상 110%미만이 2동 (7%), 110%이상이 6동

(21%)인 것으로 나타났다.

• 건축높이 및 구조

-층수

대상지역 내의 건축물은 모두 3층의 건물이며, 3층 건물 내에 2개 층과 1개층으로 각

각 이루어진 세대가 혼합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구조

대상지내 건축된 주택들은 주로 벽돌조의 구조로 되어 있다.

• 건축배치 및 향

-건축물의 배치

대상지 내 주택들은 도로를 따라 ㅡ자형으로 배치가

되어있으며, 건물의 후면에 블록의 중심을 향해 후정을

갖고 있다. 각각의 필지별로 개발된 것이 아니라 측벽

공유방식으로 지어져 있으며, 2필지에 하나의 건물을

세우지만 후정은 분리가 되어있다.

대상지 내 일부 주택은 연립주택과 같은 주택유형으로

지어지지만, 개인소유의 녹지공간은 가구내 다른 주택

에 비해 부족하다.

-건축물의 향

대상지 내 주택들은 일조조건과는 상관없이 가구를 중

심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 대지내공지

-대지내공지

대지내공지는 대부분의 주택이 후정을 갖고 있으며, 개

인만의 공간으로서 녹지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출입구

부분에 있는 공지역시 조그만 화단으로써 사용되고 있

다.

도로변에서 후정으로 접근로가 형성되어 있으나,

350㎡이

24%

150㎡이

250㎡미

66%

250㎡이

350㎡미

10%

연면적

110% 이상

21%

50% 미 만3%

50% 이 상70% 미 만

10%

70% 이 상90% 미 만

59%

90% 이 상110% 미

만7%

용적율

측벽공유방식의 건물

대지내 공지

Page 22: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privacy와 안전성의 문제로 장애물을 설치하여 일반인의 출입을 제한하고 있다.

• 주차장 및 기타요소

-주차장

주택별로 주차장은 따로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가구

주변도로에 주차구획을 통해 가로변 주차를 실시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주차문제는 미미한 것으로

보인다.

-담 및 대문

도로를 따라 배치된 대부분의 건물은 벽체가 담의 기

능을 대신하고 있으며, 측벽공유방식으로 건축되어 인

접한 건물은 담이 없다. 하지만 후정을 구분하는 담들

이 높이 설치되어 있다.

2.2.3 Corby Newtown지역, Northampton

1. 대상지 개요

대상지는 Corby Newtown의 중심도시지역이라고 할

수 있는 Northampton council의 주거 지역 중 한 지

역이다. Northampton은 East Midlands Region에 속

해 있으며 같은 Region에 속해있는 Leicester,

Nottingham, Derby지역과는 다르게 1981년부터 인구

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의 지역이다. 81년부터 88년까

지 인구 성장률은 14.6% 를 나타내어 East Midlands

Region의 인구성장률 3%보다 눈에 띄게 높은 편이므

로 주거 정책이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지역의 도시 확장은 1970년대 초기의

NDC(Northampton Development Corporation)이 생

기면서 시작되었으며 1989년도까지 통계에 의한 주택

의 반 이상이 1964년도 이후에 지어진 것이다.

2. 주거환경 분석

1) 교통현황

대상지는 1개의 가구를 도로가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Broadway East와 Birchfield Road East가 북쪽과 남

쪽 으로 지나고, Linsday Avenue와 Wheatfield Road

가 동쪽과 서쪽으로 지난다

2) 사회 인문적 특성

대상지인 Wheatfield Garden은 Northampton의

Abington지역에 있는 전형적인 서민주거지의 일부분

이다. 남쪽으로는 Abington 공원이 있고 북쪽으로는

대상지 전경

대상지 현황

주차장

Page 23: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East Field 공원이 있다. 가구는 도로포함 대략

200m x 177m의 직사각형의 형태로 면적은 도

로포함 35,418.50㎡ 이다.

3) 도시적 특성

위치상 주변에 녹지 공간이 많으나 지어진 지 오

래된 주거지역인 관계로 주변의 몇몇 지역은 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이다. 재개발의 형식도 기존 주택과 마찬가지로 단층이나

2,3층 정도의 저층형 주택이 지어지고 있는 상태이다.

3. 물리적 특성

1) 도로의 특성

• 도로형태

- 정방형에 가까운 가구를 둘

러싸고 있는 도로는 차선의

구분이 없는 형태로 양방의

통행이 가능한 상황이다. 주거

지인 관계로 순환의 문제는

없으며 노변주차가 가능하게

되어있다.

- 가구로 들어오는 진입도로

는 내부 중정을 순환하는 형

태로 각 주택으로 들어가는 입구의 역할을 한다.

• 도로폭

- 대상지는 21m의 Lisdayavenue를 제외하고 나머지 도로는 12m도로고 감싸여 있다.

- 내부 순환도로는 6m도로이다.

2) 가구의 특성

• 가구길이 및 폭

- 가구 주변에 의해 분할된 가구의 크기는 길이 190m, 폭 162m 정도이다.

• 가구면적

- 가구의 면적은 내부 순환로를 제외하지 않을 경우 30,253.59㎡ 이지만 내부 순환로

를 제외한 순수 가구의 면적은 27,862.15㎡ 이다.

시기 주택건축 비율

1919년 이전 22%

1919-1944년 19%

1945-1964년 11%

1964년 이후 48%

주택건축비율

도로의 현황 도로의 순환 현황

대상지 진입도로 대상지 외곽도로

Page 24: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 가구의 세장비 및 향

- 가구는 폭과 길이의 비인 세장비가 3.43 정도의 장방형

형태를띄고 있다.

- 가구자체는 특별한 향을 나타내고 있지 않았다.

3) 획지의 특성

• 획지구성방식

- 가구의 획지는 중심 중정 주변으로 2열의 획지가 방사형

으로 둘러져 있는 형태이다. 바깥열의 획지들은 모서리를

제외하고 비교적 일정한 형태를 띄고 있으며, 안쪽열

의 획지들은 각각 그 형태를 달리하고 있다.

• 획지의 깊이 및 폭(모서리부분의 획지경우 최대길

이와 최소길이의 평균값으로 산정함)

- 획지의 평균깊이는 35.59m이며, 최대길이는

49.5m, 최소깊이는 27.5m이다.

- 획지의 평균 폭은 10.2m이며, 최대폭은 18.1m, 최

소폭은 7.4m이다.

• 획지의 규모

- 획지의 평균규모는 348.25㎡(105.3평)으로 비교적

대규모 획지의 크기를 나타냈으며 300㎡이상 400㎡

미만이 52%로 가장 많았으며 500㎡이상 되는 획지

도 3곳이나 나타났다.

• 합필과 분필

- 대상지역내의 합필과 분필형태는 거의 보이지 않

고 있으며 개발당시의 크기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개별주택에서 차고나 온실등의 증축현

상을 보여주고 있었다.

4) 건축물의 특성(가구내 전체 80주택 조사)

• 건축규모 및 밀도

- 건축면적

대상지 내의 주택의 건축면적은 45.77∼57.17㎡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며 평균 49.32㎡(16평)의 비교

적 작은 건축면적을 나타내고 있다. 이 가운데 48㎡

의 주택이 65%로 가장 많은 수를 나타내었다.

- 건폐율

대상지역 내의 건축물의 건폐율은 10%미만 4동

10%이상 15%미만 46동 15%이상 20%미만 23동

20%이상은 7동으로 나타났다.

- 연면적

대상지역 주택의 연면적은 91.54∼114.34㎡의 분포

를 나타내고 있으며 층수가 모두 2층 주택이므로 건

축면적의 분포와 같이 91.54㎡가 12동, 96㎡가 52동,

105.64㎡가 4동, 114.34㎡가 12동으로 각각 나타나

고 있다.

가구의 크기

300㎡미

28%

300㎡이

상 400

㎡미만

52%

400㎡이

상 500

㎡미만

16%

500㎡이

4%

획지의 규모

건축면적

45.77㎡

15%

48㎡

65%

52.82㎡

5%

57.17㎡

15%

10%미

5%

10%이상 15%

미만

57%

15%이

상 20%

미만29%

20%이

상 25%

미만

9%

건폐율

91.54㎡

15%

96㎡

65%

105.64

5%

114.34

15%

연면적

Page 25: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 건축물의 높이 및 구조

- 층수는 모두 2층의 주택형태이며 구조는 보편적인 영국식 주택의 구조인 벽돌조 건

물에 시멘트 회벽바르기를 하였다.

• 건축물의 배치 및 향

- 건축물의 배치

모든 주택이 전정 및 후정을 가지고 있는 형태이므로 – 자형 배치를 하고 있으며 바깥

열과 안쪽열의 후정이 서로 맞닿아있는 형태를 하고 있다.

- 건축물의 향

모든 주택이 특정한 향을 하고 있지는 않은데 원칙적으로는 전정쪽으로 진입을 하게

되어있다. 즉 가로변에서 주진입이 있으며 가로쪽을 향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우리나

라와 같이 남향에 대한 특별한 욕구는 나타나고 있지 않은데 이는 영국의 기후적인 특

성에서 기인된 듯 하다.

• 대지내 공지

대지내의 공지는 대부분 정원으로 사용되거나 주차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단지내의

중정은 거의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듯 보였으며, 개별주택의 2세대나 3세대 정도가 전

정을 공유하여 사용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주차장 및 기타요소

주차장은 특별히 구획되어 있지 않았으며 노변주차를 하는 형식이었다. 안쪽열의 주택

의 경우 전정에 주차공간을 마련한 경우도 보였다.

2.2.4 Bishopsfield, Harlow

1. 대상지 개요

대상지는 London으로부터 북쪽 약 37km지점에 위

치한 Harlow New Town에 있으며, Harlow내에서의

위치는 중심에서 남서쪽으로 약 1km정도 떨어져 있

다. 대상지주변에는 간선도로인 Southernway가 근

접해 있고, 북쪽으로는 남북방향으로 지나는 Harlow

Town Station과 약3km정도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

고 있다.

2. 주거환경 분석

1) 교통현황

대지내 주차공간모습 개별 후정의 모습 주차장으로 쓰이는 가로

대상지 전경

Page 26: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 대상지 오른편에는 남북방향으로 Partridge Road가 지나고 있으며, 남쪽에는 동서방

향으로 Southernway가 대상지에 접하며 지나고 있다.

2) 도시적 특성

- 대상지는 Harlow Development Co.에 의해 계획이 시행되고, 1966년에 완공되었다.

일반적인 주택유형을 살펴볼 수 있는 주거지와는 달리 독특한 주거유형의 계획을 통해

새로운 주거단지를 만들어 냈다.

-정원을 가진 단세대 주택들이 경사진 대지 위에 손가락 형태처럼 열을 지어 배치되

어 있으며 이들은 고원의 가장자리에서 다세대 주택들과 연결되어 있다.

-단세대와 다세대 주택의 배치는 차고 위에 1실 또는 2실을 가지는 플랫형과 정원플

랫형, 테라스가 있는 메조네트형 그리고 내부 중정을 갖는 플랫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 주거환경적 특성

- 대상지내 녹지공간이 주택내부와 골목길을 경유하여

건물 주변으로 많이 배치되어 있어 녹지에 대한 접근성

은 우수하다.

-주민들은 상당한 정도로 프라이버시를 보장 받으며 외

부로부터 사적공간으로의 시야 또한 높게 차단되어 있

다.

-대상지 가까이 간선도로가 있어 소음문제에 대한 우려

가 있었으나, 통행량이나 소음크기는 일상생활에 큰 영

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이다.

3. 물리적 특성

1) 도로의 특성

• 도로형태

- 동서방향의 긴 구획도로와 남북방향의 짧은 구획도로로 대상지를 둘러싸고 있다.

- 단지내부로 연결된 진입로에 의해 차량출입이 가능하며, 단지내부는 Cul-de-sac형

의 막다른 길로써 주택으로의 직접적인 통행을 제한하고 있다.

• 도로폭

-대상지 단지의 진입로는 7.2m의 도로가 그 이외는 12.5m의 도로가 대상지를 감싸고

있다.

-대상지 내 도로가 차지하는 면적은 2,901.35㎡로 전체 대상지 면적의 6.4%의 도로

율을 보이고 있다.

단위주호 내부전경

도로의 현황 도로의 순환 현황

Page 27: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5) 가구의 특성

• 가구길이 및 폭

-가구의 길이는 281.5m이며, 폭은 166.5m로 나타났

다.

• 가구면적

-가구의 면적은 45668.43㎡로 나타났다.

• 가구의 세장비 및 향

-가구는 폭과 길이의 비인 세장비가 1.7정도의 장방형태를 띄고 있으며, 동서방향으로

긴 형태를 띄고 있다.

6) 획지의 특성

• 획지구성방식

-가구의 획지는 골목을 중심으로 2열 조합으로 나타나고

있다.

• 획지의 길이 및 폭

-획지의 평균길이는 12.5m이며, 최대길이는 20.9m, 최

소길이는 10m이다.

-획지의 평균폭은 10.5m이며, 최대폭은 13.5m, 최소폭

은 4.5m이다.

• 획지의 규모

획지의 평균규모는 132.27㎡(약 40평)으로, 소규모 이상

의 필지규모를 보이고 있으며, 50㎡이상 100㎡미만이

32%, 100㎡이상 150㎡미만이 18%, 150㎡이상 200㎡미

만이 47%로 가장 많으며, 200㎡이상이 3%로 나타났다.

• 획지진입유형

-대부분의 주택들이 골목길을 따라 직접 진입이 가능하

며, 일부 다세대 주택의 경우에는 건물 전면부의 출입구나 계단을 통해 진입이 가능하

다.

7) 건축물의 특성

• 건축규모 및 밀도

-건축면적

대상지 내 주택의 건축면적은 35.32~113.99㎡의 분포

1이상 2

미만

58%

0이상 1

미만

35%

2이상 3

미만

7%

획지의 세장비

250㎡

이상

3%150㎡

이상

200㎡미만

47%

100㎡

이상

150㎡

미만18%

50㎡이

100㎡

미만32%

획지의 규모

70㎡이

90㎡

미만

32%

90㎡이

110㎡

미만

46%

50㎡이

70㎡

미만

14%

30㎡이

50㎡

미만

5%

110㎡

이상

130㎡

미만

3%

건축면적

가구의 크기

Page 28: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를 보이고 있으며, 이 가운데 30㎡이상 50㎡미만이 8동(5%), 50㎡이상 70㎡미만이

22동(14%), 70㎡이상 90㎡미만이 50동(32%), 90㎡이상 110㎡미만이 70동(46%)로

가장 많고, 110㎡이상 130㎡미만이 4동(3%) 순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건축면적은

83.80㎡이다.

-건폐율

대상지역 내의 건축물의 건폐율은 30%이상 50%미만

17동(11%), 50%이상 70%미만 88동(57%)이 가장 많으

며, 70%이상 100%미만 49동(32%), 35%이상 6동(21%)

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면적

대상지내 주택의 연면적은 35.32㎡~167.50㎡의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이 가운데 50㎡미만이 8동(5%), 50㎡이

상 100㎡미만이 78동(53%)으로 가장 많으며, 100㎡이

상 150㎡미만 32동(22%), 150㎡이상 200㎡미만이 30

동(20%)로 나타났다.

-용적율

대상지역 내의 건축물의 용적율은 29%~200%의 분포

를 보이고 있으며, 50%미만이 17동 (11%), 50%이상

100%가 88동 (57%), 150%이상 200%미만이 6동 (4%),

200%이상이 43동 (28%)인 것으로 나타났다.

• 건축높이 및 구조

-층수

대상지역 내의 단세대 건축물은 모두 1층의 건물이며, 3

층 건물 내에 2개 층과 1개층으로 각각 이루어진 세대

가 혼합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구조

대상지내 건축된 주택들은 주로 Brown벽돌조의 구조로 되어 있다.

• 건축배치 및 향

-건축물의 배치

대상지 내 주택들은 특별한 형식없이 골목을 따라 ㅡ자

형으로 배치가 되어있으며, 주택내에서는 건물의 정면에

정원을 갖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상지 내 일부 주택은 연립주택과 같은 주택유형으로

지어졌지만, 개인소유의 녹지공간은 단지내 다른 주택에

비해 부족하다.

-건축물의 향

대상지 내 주택들은 일조조건과는 상관없이 배치되어 있

70%이

100%미

32%

30%이

50%미

11%50%이

70%미

57%

건폐율

50㎡미

5%

150㎡

이상

200㎡

미만

20%100㎡

이상

150㎡

미만

22%

50㎡이

100㎡

미만

53%

연면적

200%이

28%50%미

11%150%이

200%

미만

4%

50%이

100%

미만

57%

용적율

외부전경

Page 29: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북쪽을 향해 배치된 주택은 발견되지 않는다.

• 대지내공지

-대지내공지

대지내공지는 몇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차고 데크, 다른

하나는 골목길이며,나머지는 단세대주택과 인접한 녹지

이다. 대부분의 주택이 정원을 갖고 있으며, 개인만의

공간으로서 녹지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차고의 지

붕은 데크 형태의 보도로서 이용되며 플랫형 주택에 직

접적으로 연결되며, 단세대 주택에 간접적으로 연결된

다.

• 주차장 및 기타요소

-주차장

보행자 플랫폼 밑에는 세대당 1.0의 비율인 공동 주차

장이 있으며, 방문객을 위한 주차대수는 40대 정도이다.

-담 및 대문

골목을 따라 배치된 대부분의 건물은 벽체가 담의 기능을 대신하고 있다. 하지만 담을

경계로 대칭되게 배치될 경우는 담들이 높이 설치되어 있다.

2.2.5 Hollinswood, Telford

1. 대상지 개요

대상지는 Telford지역의 초기 주거지이다. Telford

Town Center의 동쪽에 위치하여 단지 주변이 녹

지로 둘러쌓여 있다. 1975년도에 Telford

Development Corporation에 의해서 시행되어 전

체 세대 212세대를 위해 계획된 지역이다. 조사는

표본으로 Dufryn Estate 62세대가 조사되었다. 사

전조사에 의한 단지 전체의 면적은 6.3ha, ha당 주

민수는 172명으로 나타나 있다.

대지내 공지

단위주호 사이의 골목길 단위주호 내부정원 주차장 입구부

대상지 전경

Page 30: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2. 주거환경 분석

1) 교통현황

대상지는 특정 가구의 형태가 없는 전체

지역을 부정형의 도로가 둘러싸고 있는

형태이다. 지역 범위가 비교적 넓은

Telford는 개인 차량이 교통의 중심을

이루므로 단지의 내부까지 도로가 확장

되어 있는 형태를 띄고 있다. 단지를

Queensway와 Queenelizabeth avenue

가 감싸고 있으며, Randley Interchange

와 Hollinswood Interchange가 교차로

역할을 하고 있다. 차량 소통이 많지 않

아서 신호등 체계는 보이고 있지 않으나 교통 상황이 나

쁘지는 않다.

2) 사회 인문적 특성

대상지인 Dufryn Estate를 포함하는 Hollinswood는 단

지의 남쪽에 중학교와 초등학교를 포함하며 단지 내부에

도 곳곳에 녹지 공원을 가지고 있다. Queenelizabeth

avenue 남쪽에는 크게 Randly wood가 있으며 공원은

Town center주변의 Town Park까지 연결된다.

3) 도시적 특성

도시계획 지역상 Telford 지역은 지역의 범위가 매우 넓

은 관계로 현재까지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

다. 1930년 Donnington지역을 시작으로 1955년

Dawlay, 1968년 Brookside, 1989년 Aqueduct, 그리고

1995년부터 현재까지 지금까지 개발이 되고 있는 Apley

Castle지역까지 지속적으로 주거지가 개발되고 있는 상

황이다. 초기는 공동주거 형식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

는 단독주택이 주를 이루어 지어지고 있다.

3. 물리적 특성

1)도로의 특성

• 도로형태

-부정형의 가구를 둘러싸고 있는 도로는 차선이 구분되어 양방의 통행이 가능한 상황

이다. 가구 주변으로 차량 소통량이 많은 편이지만 순환의 문제는 없으며 가구 내부에

서는 노변주차가 가능하게 되어있다.

- 가구로 들어오는 진입도로는 가구 내부까지 Culdesac 형태로 들어와 있으며 각 주

택으로 들어가서는 주차장이 구획되어 있다.

- 특별히 가구 내부의 보행자용 통로가 발달되어 있어서 Culdesac과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대상지 현황도

Apley Castle 지역,고급 단독주택

가구 진입도로와 Culdesac

Page 31: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 도로폭

- 대상지의 주 진입로라고 할 수 있는 Queensway는 인도를 제외하고 8m 폭이며 내

부의 Culdesac은 6m도로이다.

2) 가구의 특성

- 가구는 부정형의 형태로 대지에 순응하여 만들어져 있다. 중심의 가구내부 공공녹지

를 향하여 획지가 배치되어 있는 형태이다.

• 가구의 세장비 및 향

- 가구는 폭과 길이의 비인 세장비가 2.7 정도의 장방형 형태를띄고 있다.

- 가구자체는 특별한 향을 나타내고 있지 않았다.

3) 획지의 특성

• 획지의 깊이 및 폭(개별획지 앞쪽의 공동으로 쓰이

는 부분은 획지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서 제외함)

- 획지의 평균깊이는 17.78m이며, 최대길이는 22.8m,

최소깊이는 14m이다.

- 획지의 평균 폭은 6.68m이며, 최대폭은 14m, 최소

폭은 5.4m이다.

• 획지의 규모

- 획지의 평균규모는 116.1㎡(35.1평)으로 비교적 대

규모 획지의 크기를 나타냈으며 100㎡이상 125㎡미만

이 54%로 가장 많았다.

4) 건축물의 특성(가구내 주택중 62주택 조사)

• 건축규모 및 밀도

- 건축면적

대상지 내의 주택의 건축면적은 42.3∼65.7㎡의 분포

를 나타내고 있으며 평균 54.64㎡(16평)의 비교적 작

은 건축면적을 나타내고 있다. 이 가운데 50∼60㎡의

주택이 78%로 가장 많은 수를 나타내었다.

- 건폐율

대상지역 내의 건축물의 평균 건폐율은 47.99%로 우

리나라 일반주거지역의 건폐율과 비슷한 수치를 보였

다.

150㎡

이상

6%

75㎡이

상100

㎡미만

21%

100㎡

이상

125㎡

미만

54%

125㎡

이상

150㎡

미만

19%

획지의 규모

55㎡이

상 60㎡

미만

35%

60㎡이

11%

45㎡이

상 50㎡

미만

8%

40㎡이

상 45㎡

미만

3%

50㎡이

상 55㎡

미만

43%

건축면적

도로의 현황 내부 도로와 연결되는

보행자 통로

가구내부 공공녹지

Page 32: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 연면적

대상지역 주택의 연면적은 84.6∼131.4㎡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며 100∼110㎡가 43%, 26동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 건축물의 높이 및 구조

- 층수는 모두 2층의 주택형태이며 구조는 보편적인

영국식 주택의 구조인 벽돌조 구조를 하고있다.

• 건축물의 배치 및 향

- 모든 주택이 후정을 가지고 있는 형태이며 주변 가

로 쪽으로 후정이 면하여 중심 녹지 공간으로 주택이

향하고 있다

- 우리나라와 같이 남향에 대한 특별한 욕구는 나타

나고 있지 않은데 이는 영국의 기후적인 특성에서 기

인된 듯 하다.

• 대지내 공지

대지내의 공지는 대부분 정원으로 사용되거나 주차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개별주택의 2세대나 3세대 정

도가 전정을 공유하여 사용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주차장 및 기타요소

주차장은 2가구 마다 묶여서 주차장이 구획되어 있으며 모서리쪽의 주택을 위한 주차

공간은 따로 마련되어 있다. 전체 가구수 62세대에 52대 분량의 주차공간이 마련되어

있어서 세대당 0.8대의 주차율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 주차의 공간이 부족한 것으로

보여 내부 Culdesac에 주차를 하고 있는 모습이 보였다.

2.2.6 Camden, London

1. 대상지 개요

행정구역상으로 런던의 Camden Town내의 주거지 블록으

로 도심과 아주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는 지역이다. 북

쪽으로는 Hampstead health 공원, 남쪽으로는 런던의 1

Zone에 해당하는 도심지역과 근접해 있는 지역이다.

이 블럭은 9개 가구와 이를 둘러싼 도로로 이루어져 있으

며, 대상지는 약 284×85m의 규모로 가구와 도로를 포함

30%이

상 35%

미만

3%

40%이

상 45%

미만

23%

45%이

상 50%

미만

29%

50%이

상 55%

미만

27%

35%이

상 40%

미만

5%

55%이

13%

건폐율

110㎡

이상

120㎡

미만

35%

120㎡

이상

11%

90㎡이

상 100

㎡미만

8%

80㎡이

상 90㎡

미만

3%

100㎡

이상

110㎡

미만

43%

연면적

개별 주차장의 모습 가구 내 공공 녹지 모습 공공 주차장의 모습

대상지 전경

Page 33: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한 면적이 22,263.28㎡으로 전체 면적의 14.2%를 차지하고 있다.

2. 주거환경 분석

1) 교통현황

대상지는 남쪽으로 폭이 약 14m인 Mansfield Road

와 북쪽으로는 Savernake Road와 접해 있으며, 주

거내 도로로서는 Courthope Road와 Shirlock Road

사이에 있는 주거지이다. 양방 통행이 가능하며 주거

지내 도로의 양 측면에 주차가 가능한 지역이다.

2) 도시적 특성

현재 용도지역상 주거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대

상지 북측에 Camden Town의 오픈스페이스인

Hampstead health 공원이 위치하고 있으며 서쪽으

로는 공공시설인 Royal free Hospital이 위치하고 있다. 지하철역은 북쪽과 동쪽의 가

까운 위치에 자리잡고 있다.

대상지를 포함한 이 지역의 주거지에서는 층수가 3층규모로 거의 일관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3. 물리적 특성

1) 도로의 특성

• 도로 형태

대상지내 가구를 나누는 도로의 순환은 모두 양방통행이 가능하며, 주거지내도로의 경

우(B1, B2), 양쪽으로 주차가 가능하다.

• 도로폭

- 대상지내 가구를 둘러싸고 있는 4개의 도로는 모두 폭 14m로 되어 있다.

- 대상지내 도로가 차지하는 면적은 5,308.24㎡으로서 대상지 전체면적의 23.4%에

해당되는 도로율을 보이고 있다.

2) 가구의 특성

• 가구길이 및 폭

대상지내 가구는 가로 85m, 세로 284m의 단일 가구로 구성되어 있다.

대상지내 도로 현황 대상지내 도로 순환 현황

대상지 항공사진

Page 34: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 가구 면적

대상지내 가구의 면적은 도로 중심선을 포함해서

22,263.28㎡정도 이다.

• 가구의 세장비 및 향

가구의 폭과 길이의 비인 세장비는 3.34정도로 장방형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이 주변 지역의 가구는 대부분 남북

방향으로 긴 장방향의 형태를 갖고 있다.

3) 획지의 특성

• 획지 구성방식

대상지내 가구의 획지는 2열 26~28호의 조합형태와 단

열 11호의 조합형태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 획지길이 및 폭

- 획지의 평균길이는 33.82m이며, 최대는 35.20m, 최소

길이는 32.30m이다.

- 획지의 평균폭은 6.94m이며, 최대는 8.70m, 초소폭은

5.90m이다.

• 세장비

대상지내 획지의 세장비는 모두 4이상으로, 긴 정방형의

형태를 띠고 있다. 5~5.5세장비가 55%로 가장 많은 분

포를 보이고 있으며, 5.5이상이 3%로 나타났다.

• 획지의 규모

획지의 평균규모는 234.64㎡으로, 210㎡~230㎡이 40%

로 가장 많으며, 230~250㎡이 22%, 270㎡이상이 12%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 획지의 진입유형

획지로의 진입유형은 주거지내 도로에서 진입하는 방식

(동서 방향)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남쪽획지의 조합은

A2도로에서 직접진입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4) 건축물의 특성

• 건축규모 및 밀도

-건축면적

대상지역내 주택의 건축면적은 평균99.99㎡이며,

100~110㎡이 50%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110㎡이상이 3동으로 5%비율을 보이고 있다.

- 건폐율

대상지역내 건축물의 건폐율은 평균 42.90%이며,

40~50%가 76%로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건폐율

30~40%가 12동(18%), 50%이상이 4동(6%)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 연면적

대상지내 주택의 연면적의 평균은 299.97㎡으로 최대

4이상

4.5미만

22%

5이상

5.5미만

55%

5.5이상

3%

4.5이상

5미만

20%

획지의 세장비

190이

상 210

미만

14%

210이

상 230

미만

40%

250이

상 270

미만

12%

230이

상 250

미만

22%

270이

12%

획지의 면적

80이상

90미만

11%90이상

100미

34%

100이

상 110

미만

50%

110이

5%

건축 면적

30이상

40미만

18%

40이상

50미만

76%

50이상

6%

건폐율

300이

상 330

미만

52%

330이

3%

270이

상 300

미만

34%

240이

상 270

미만

11%

연면적

Page 35: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347.52㎡, 최소 246.12㎡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이 가운데 연면적300~330㎡가 52%

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 용적율

대상지내 건축물의 용적율의 평균은 128.69%이며, 최

대 167%, 최소 108%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이 가운데

용적율 120~140%가 69%로 주를 이루고 있다.

• 건축높이 및 구조

대상지역내의 모든 건축물이 3층 규모의 조적조로 되어

있다. 이 지역의 모든 주택들이 10m 안팎의 높이로 되

어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 건축배치 및 향

-건축물의 배치

대상지내 모든 주택들이 후정(Back yard)을 두고 있으며, 2건

물 이상이 측면이 합벽된 상태로 측벽공유가 되어 있었다. 대부

분이 긴 ㄴ자형 배치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전면부(Front)에

작은 공지를 두고 있다.

- 건축물의 향

건축물의 향은 출입구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동서향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남향을 두고 있는 주택이 11동으로 17%

를 보이고 있다.

• 대지내 공지

대지내 공지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데, 그것은 모든

주택이 후정을 정원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전면부의 공지를 출

입구 및 화단으로 조성하고 있다. 규모면에서는 후정이 97.74

㎡으로 획지면적의 44.6%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면부의 공지가

25.59㎡으로 11.7%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마당이 전면부에 있는 것과는 달리 획지면적의 거의 50%가 후

정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주차장

획지내 주차장이 있는 주택은 거의 찾아 볼 수 없으며 주로 주

거지내 가로 변에 주차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주거지내 가로

의 폭이 14m나 되기 때문에 주차로 인한 통행의 불편은 없었다.

160이

2%

120이

상 140

미만

69%

100이

상 120

미만

18%

140이

상 160

미만

11%

용적율

건물 배치 & 공지 현황

가구내 단위주호건물 노변 주차장 단위주호건물의 담

Page 36: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2.2.7 Becton, London

1. 대상지 개요

행정구역상으로 런던내 Dock Land 신도시의 Becton의

주거지 블록으로 최근에 개발된 지역이다. 북쪽으로는

Central Park, 남쪽으로는 Thames강이 흐르고 있다.

대상지는 Fleetwood Court 주거단지로서 주로 2층규

모의 건축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146×70m의 규모로

가구와 도로를 포함한 면적이 10,057.87㎡으로 소규모

단지를 이루고있다.

2. 주거환경 분석

1) 교통현황

대상지는 남쪽으로 폭이 약 6m인 Pembrok Road와 북

쪽으로는 Evelyn Denning Road와 접해 있으며, 남북

방향으로 폭이 6m인 도로사이에 있는 주거지이다. 양방

통행이 가능하며 주거지단지내 공동주차장이 마련되어

있으며, 가구 가장자리에 도로변에 주차가 가능한 지역

이다.

2) 도시적 특성

대상지는 최근 개발된 주거단지로서 동쪽으로 North

Becton Primary School이 위치해 있으며, 사방으로 오

픈스페이스(녹지, 공원)가 형성되어 있다. 대상지를 포함

한 이 지역내의 주거단지들은 거의 3층 이하의 높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상지는 대

부분이 2층규모의 건축물로 되어 있다. 주거단지의 형태는 중정형의 단지가 대칭을 이

루고 있다.

3. 물리적 특성

1) 도로의 특성

• 도로 형태

대상지내 가구를 나누는 도로의 순환은 모두 양방통행이 가능하며, 주거단지내 도로

(C1, C2)는 중정으로 들어가는 입구로써 건물 주변에 주차가 가능하며, 폭이 3m정도

이다.

• 도로폭

- 대상지내 가구를 둘러싸고 있는 4개의 도로는 모두 폭 6m로 되어 있다.

- 단지내 도로는 폭이 4m로써 단지내 진입을 위한 도로이다.

- 대상지내 도로가 차지하는 면적은 1294.24㎡으로서 대상지 전체면적의 14.8%에 해

당되는 도로율을 보이고 있다.

대상지 전경

대상지 항공사진

Page 37: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2) 가구의 특성

• 가구길이 및 폭

대상지내 가구는 가로 146m, 세로 70m의 하나의 단지

로 구성되어 있다.

• 가구 면적

대상지내 가구의 면적은 도로 중심선을 포함해서

10,057.87㎡정도 이다.

• 가구의 특성

가구의 폭과 길이의 비인 세장비는 2.1정도의 장방형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중정형의 단지가 서로 대칭을 이

루고 있다. 2개의 정방형 단지를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

서 그 사이에 남북 양방향으로 공동주차장이 구성되어

있다.

3) 획지의 특성

• 획지 구성방식

대상지내 단지의 획지는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고 있

다. 이것은 공동개발로 인해서, 외부공간의 경우 공용공

간이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 획지의 진입유형

획지로의 진입유형은 주거거단지내 도로에서 진입하는

방식과 단지내에서 진입하는 방식으로 크게 나뉘어 진

다.

4) 건축물의 특성

• 건축규모 및 밀도

-건축면적

대상지역내 주택의 건축면적은 평균41.81㎡이며,

30~40㎡이 48%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60㎡이상이 6동으로 10%비율을 보이고 있다.

- 건폐율

대상지역내 건축물의 건폐율은 평균 53.7%이며, 50~60%가 32%로 가장 많은 분포를

이루고 있다. 또한 건폐율 40~50%가 14동(23%), 70%이상이 8동(13%)의 분포를 보

이고 있다.

주거단지 주변 도로 현황 주거단지 주변 도로 순환현황

20이상

30미만

6%

30이상

40미만

48%

40이상

50미만

23%

50이상

60미만

13%

60이상

10%

건축면적

30이상

40미만

13%40이상

50미만

23%

50이상

60미만

32%

60이상

70미만

19%

70이상

13%

건폐율

40이상

70미만

23%

100이상

130미만

10%

130이상

3%

70이상

100미만

64%

획지 면적

Page 38: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 연면적

대상지내 주택의 연면적의 평균은 102.42㎡으로 최대

200.58㎡, 최소 57.58㎡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이 가운

데 연면적60~90㎡가 56%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 용적율

대상지내 건축물의 용적율의 평균은 129.36%이며, 최대

232%, 최소 64%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이 가운데 용적

율 60~100%가 36%로 가장 많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 건축높이 및 구조

대상지역내의 대부분의 건축물이 2층 규모(40동)와 3층

규모(22동)가 혼재된 조적조로 되어 있다. 이 지역의 모

든 주택들이 3층이하(10m 안팎)의 높이로 되어 있는 것

으로 조사 되었다.

• 건축배치 및 향

-건축물의 배치

대상지내 모든 주택들이 2건물 이상 합

벽된 상태로 측벽공유가 되어 있었다.

각 건물의 배치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나

며 중정형의 단지가 대칭되어 있다.

- 건축물의 향

건축물의 향은 출입구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건축물의 위치에 따라

향이 달라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단

지 내에서 동서남북향의 건축물이 모두

존재한다.

• 대지 내 공지

대지내 공지는 크게 2개의 중정과 단지

중심부에 공동주차장으로 쓰이는 2개의 오픈스페이스가 존재한다. 개별 주택의 획지

내에는 대부분이 공용정원을 사용하고 있으며, 개별 정원을 가진 주택(18동)도 더러

나타나고 있다. 또한 개별 주택에서 전면부의 공지는 대부분 출입구와 화단으로 사용

하고 있다.

• 주차장

대상 단지 내에서 주차장은 단지 중심부의 진입방향이 남쪽과 북쪽으로 구별된 2개의

공동 주차장이 있으며, 가로에 면한 주택들은 도로변을 따라 가장자리에 주차하는 방

식을 띠고 있다.

60이상

90미만

56%

60미만

5%

180이

10%

150이

상 180

미만

13%

90이상

120미

10%

120이

상 150

미만

6%

연면적

60이상100미

36%

100이

상 140

미만24%

140이상 180

미만

21%

180이상 220

미만

13%

220이상

6%

용적율

건물 배치 & 공지 현황

단지 외부보행자 도로 단지 입구 전경 단지 중앙 전경

Page 39: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2.2 국외 도시주거지의 특징

국외주거지의 탐방과정을 통한 특징을 살펴보자면, 국내 주거지가 경제성에 비교적 중

점적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반면, 국외 주거지의 경우 쾌적성이나 적주성에 그 중심이

맞추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 적주성을 결정 짓는 요소들인 도로의 폭과 위계, 가구의

형태, 획지의 규모 및 형태 등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살펴볼 수 있다.

2.3.1 도로의 특징

구획도로에 의해 가구의 구분이 비교적 명확한 대상지를 선정하였기 때문에 구획도로

의 위계인 접근로와 진입로의 위계가 명확한 특징을 보여주고 있었다. 특히 진입로가

형성되어 있는 대상지의 경우인 Hollinswood의 경우 진입로가 보행자 위주의 공간으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생활 공간으로서의 외부공간의 확보가 우선시 되

고 있음을 드러내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차량위주의 접근로의 경우에는 12m이

상의 도로를 확보하여 차량의 순환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배려임을 알 수 있었

다. 하지만 London에 있는 주거지의 경우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주차의 문제가 있

어서 노변주차의 형식을 띄고 있었는데, 주차공간의 확보에 관한 문제는 우리나라와

비슷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나름대로의 해결방안은 협소한 도로를 주차공간으로 활용

하기 위하여 일방통행로 방식의 차량순환방식을 사용하고 있었다.

2.3.2 획지의 특징

가구구분이 명확하건 하지 않건간에 영국의 획지는 우리나라 획지가 정방형에 가까운

세장비를 나타내는 반면 깊이가 긴 획지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었는데, 이는 우리나라

와는 다를 주택형식이라고 할 수 있는 측벽공유방식에 의한 주거형식이 보편화 되어있

어서 주거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전정이나 후정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

되었다. 이러한 획지의 구성방식은 합필의 형식에 의한 주택의 건축시 좀더 유리한 방

식으로 외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Becton지역의 주택의

경우 합필에 의한 형식은 아니지만 가구내에서 다양한 주택의 형식 및 외부공간의 형

태를 창조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2.3.3 주택의 특징

주택은 거의 모든 주택이 측벽공유 방식의 주택이 나타나고 있었으며, 향은 대부분이

특정한 향을 고려하지 않은 채, 가로에 접하는 방식을 선택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었

다. 이는 우리나라와는 다른 기후조건으로 인하여 일조권 등이 그리 중요하게 여겨지

지 않았기 때문에 다양한 주택의 형식이 가능 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향의 문제

는 우리나라의 주택에서는 비교적 민감한 부분이므로 주택의 형식에 그 특징의 비중을

두는 것이 적합하리라 생각한다. 또한 개별필지에 주택을 형성하였지만 각각의 주택들

이 공동공간으로 정원을 쓰는 형식들은 공동소유방식, 또는 합의에 의한 방식에 의한

주택의 유형개발이 가능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또한 중정형 주택을 형성하고 있는 Becton이나 Northampton의 주택의 경우는 우리나

라의 블록 개발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무조건 중정형 형식

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디자인의 방식을 좀 바꾼다면 이러한 형식

은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며, 적용해 볼만한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Page 40: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Ⅳ. 결론 및 제안(한국 집합주택의 과제)

1. 결론

주택 문제의 해결은 우리나라에 있어서 절대적인 과업이자 앞으로도 계속해서

고민해야 할 부분임에는 분명하다. 그 절대적 우위 조건에 있는 양적인 문제의 해결은

앞으로도 무시할 수 없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그러나 양적인 증가만이

주택문제의 절대적 해결방안이 아니라는 것은 이제 누구나 공감하고 있는 사실이다.

즉 주거환경의 질적인 면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탐방 보고서는 영국의 집합주거단지를 직접 조사해 봄으로써 우리나라 단독주택

지역을 중심으로 건설되고 있는 다세대, 다가구 등의 난립으로 점점 열악해져 만 가는

우리나라의 주거지에 어떠한 대안들이 수립되고 정착될 수 있는가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었다.

탐방 이전에 실시한 국내 주거지의 조사에서는 첫째, 도로의 기능과 위계, 규모 및

형태에 있어서 기능과 성격의 차이에 따라 그 위계를 달리하여 조성되어야 하지만

우리나라의 주거지에서는 구획도로의 성격이 대부분 동일하게 설정되어 주차공간의

부족 및 보행의 어려움을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둘째, 획지의 규모 및 형태에

있어서는 무분별한 합필개발 및 주택 전면폭의 확장으로 기존 도시주택과의

컨텍스트의 파괴 공지의 비효율성의 모습을 보여주었고, 셋째, 주택의 문제에 있어서는

기존 대지내에 주택의 규모확장으로 인하여 일조권이나 프라이버시 등의 문제를

보이고 있으며, 주차공간의 부족등 주거환경의 절대적 악화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주거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시도들이 일어나야 한다는 공감을 갖게

만들어 주었다.

탐방과정을 통하여 살펴본 국외 주거지의 조사에서는 도로의 특징에 있어서 먼저

보행자 위주의 공간들이 도로의 위계 형성에 의하여 비교적 명확하게 구분된점,

생활공간으로서의 외부공간을 단지내부에 형성하여준점, 주택의 다양한 형식을 통하여

각 블록마다의 특성을 살린 점을 볼 수 있었다. 특히나 획일적인 주택의 형식이 도시

전체를 채우고 있는 우리나라와는 다르게 비슷한 집의 형태로도 배치라든가 결합의

형식을 다르게 하여 도시적 스케일에서 보았을 때 다양함을 추구 하고 있다는 점은

참고할 만한 것이었다.

위와 같은 국내주거지 및 국외주거지 탐방과정을 통하여 새로운 가능성들을 국내에서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으며, 특히나 다세대, 다가구 형식이 아닌 좀더

새로운 방식의 도시 주거지 모형이 수립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국내에서도 일반주거지역에 적합한 새로운 주거유형에 관한 연구는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 중에 탐방을 통하여 국내 주거지에 적용 가능한 모형들을

소개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도록 하겠다.

2. 새로운 도시주거유형 개발에 관한 이론들과 가능성

2.1 측벽공유 방식

2.1.1 측벽공유 방식의 개념

Page 41: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합벽이란 인접대지간의 건축물이 건축주간의 합의하에 하나 혹은 몇몇의 벽체를

공유하는 형식을 말한다. 이러한 합벽의 방식에는 건축물이 공유하게 되는 벽체의

방향에 따라 측벽 공유방식(side by side unit)과 후벽 공유방식(back to back unit),

적층식 듀플렉스(stacked duplex)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측벽 공유방식은 엄밀한 의미에서는 주택의 좌,우측 벽체를 공유한다는 의미지만, 본

보고서에서 일컫는 측벽 공유방식이라는 용어는 공유되는 벽체의 방향에 상관없이

합벽을 통한 개발방식이라는 의미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 한다.

이러한 측벽공유 방식의 개념으로 미국에서는 ‘ zero-lot line’ 이라는 제도가 있다.

이것은 대지가 일정수준 이하로 되면 건물의 위치를 인접경계선에 배치함으로써

정원의 기능을 확보하고자 하는 수법이다.

대지 경계선 위에 건물을 배치하는 대신 그 측면에는 창을 만들지 않기 때문에

측세대로부터의 프라이버시가 보장되며 또 채광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유럽의 단독 주택들에서 비롯된 것으로 기본적인 몇 가지 유형들이

있다. 단독주택이 군집되므로써 측벽들은 경계벽(partition wall)이 됨과 동시에 측면의

정원들을 상실한다. 그렇지만 공공의 영역으로 들어가서 주택내부를 지나

개인정원(뒷뜰)으로 나가는 일련의 전형적인 과정은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2.1.2 측벽공유 방식에 대한 법제

우리나라는 민법 제242조에 따라 규정상 필지가 연속되어 있더라도 소유가 다를 경우

건물을 붙여 지을 수 없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 개정된 건축법시행령

제 81조 4항을 보면 다음과 같이 명기되어 측면 공유방식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시장, 군수, 구청장이 도시미관 등을 위하여 건축조례가 정하는 바에 따라 합벽

개발을 인정하는 경우와 단독주택으로서 건축주간에 서로 합벽 개발을 하기로

합의하여 동시에 건축허가를 받거나 신고를 하는 경우에는 인접대지경계선으로부터

건축물의 각 부분까지 띄어야 할 거리에 관한 사항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또한, 1998년 11월에 건설교통부공고 제1988호로 내려온 ‘ 건축법시행령중개정령(안)

입법예고’ 의 주요 골자 중에는 아래의 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대지 안의 공지규정(도로선 및 인접대지경계선으로부터 띄어 건축하는 거리)을

폐지하여 국민편의를 도모하고, 건축관련 민원의 발생소지를 없앰.(안 제81조)>

대지 안의 공지규정의 폐지는 측벽 공유방식의 적용 시 가장 필수적인 사항중의

하나라는 점에서 합벽 개발을 유도하기 위한 관계기관의 의지가 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 도시미관 등을 위한’ 이라는 애매한 규정이나, 그에 따른 명확한 기준이나 세부적인

사항들은 아직 설정이 되어있지 않아 시행상의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법 규정의 제정으로 인해 앞으로 측면 공유방식의 사례가 점점 보편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현재 우리나라에는 공식적으로 측벽 공유방식에 의한 개발은

사실상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2.2 가구형 집합주택(중정형)

2.2.1 가구형 집합주택의 개념 및 정의

Page 42: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가구형 집합주택이란 여러 세대의 주

거가 밀집된 주거 군을 이루어 계획적

으로 정비된 기성 시가지 내 단독 또

는 복수의 주동의 형태로서, 보통 가

로를 따라 연속하며, 가구내부에 중정

을 가지는 하나의 가구전체 또는 가구

일부에 적용 가능한 도시형 집합 주택

을 일컫는다.

이러한 가구형 집합주택은 중세이후

특히 근세로부터 20세기 초기에 이르

기가지 유럽의 도시, 그리고 근대이후 미국 등지에서 볼 수 있는 소위 ‘가구형 건축’의

하나로서, 주거용도를 주로하며, 단일 도는 복수의 가구형 건축이 비주거계 용도 등의

부속 시설들을 수반한 관련영역을 형성하여 주거가 공공적인 가로공간과 사적 도는 반

공공적인 중정 공간의 양방향으로 향함으로써 가구 내에서 거주민간의 커뮤니티가 자

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면 본래 가구형 집합주택의 형성 원리는 주호별 개별성을 가지는

도시 주거들이 모여서, 도로에 면하여 세워지고 도로의 반대측에 중정을 확보하면서

하나의 가구를 형성하는, 집합성의 성격을 띄면서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서 형성되어진 가구 내 주거들은 점차적으로 가로-주거-중정 이라

는 관계를 더욱 명확히 가지면서 가구형 집합주택의 특성을 가지게 된 것이다.

2.2.2 가구형 집합주택의 종류

- 완성형: 형태적으로 포위형의 주동을 배치함으로써 가로 부분의 외부공간 외에 주동

내부에 중정 이라는 또 하나의 외부공간을 형성

- 충진형: 하나의 개발단위는 비록 포위형의 모습을 가지지 않더라도, 개개의 단위들이

점진적으로 개발이 되어 가구 전체적으로는 가구형 집합주택을 형성

2.2.3 가구형 집합주택의 도시주거로서의 의의

1. 도시와의 관계

도시조직의 유지와 구조적인 통합을 가능케 하며, 도로경관의 연속성과 다양성을 갖게

만든다.

2. 토지의 효율적 이용 측면

고층일변도의 개발에서 벗어나 저층 고밀의 계획을

가능하게 하며, 건물간 사잇 공간을 낭비하지 않고

개발할 수 있으며, 일괄개발이 아닌 소규모, 점진적

개발이 가능하다.

3. 심리학적 측면

주민간 단절되어가는 귀속감과 커뮤니티를 형성하며,

가로와 주거 그리고 중정이라는 관계를 통해 영역성

과 위계성을 확보하며, 주거로 둘러싸여진 중정을 제

공함으로써 방호성을 얻을 수 있다.

가구형 집합주택의 사례

입면 및 평면의 사례

Page 43: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가구형 집합주택은 비록 일조나 프라이버시 측면에서 불리한 측면도 있지만 다른 장점

들로 대체될 수 있으며, 기성 시가지 내에서의 무분별한 고층, 초고층 일변도의 획일화

된 주거개발을 지양하고 지금까지 주변지역과 융합하지 못하고 고립되어 있는 기존 주

거를 대신하여 도시민의 새로운 주거유형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2.3 획지 ∙ 가구단위 개발

획지 ∙ 가구단위 개발이란 70년대 이후 대두된 단지식 개발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

로 서 획지 ∙ 가구 단위를 기본으로 하는 점진적인 개발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이 방

식은 기존 단독 주택지를 재활용하여 토지 이용율을 높이면서 기존 단독주택지의 주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식을 의미하는 것이다. 기존 단독주택지역의 경우 생활공간으

로서의 open space 및 주차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점을 가구단위로 해결함으로써 주거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생각되고 있다.

또한 기존 단독 주택지의 재활용 방안을 중심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원주민의 공동체

가 파괴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도시주거유형의 가장 큰 문제점은 다양한 주거유형의 부재로 인하여 도시 전

체의 이미지를 다양하게 이끌어내지 못하고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의 주요한 원인을 부적절한 개발의 단위에서 온다고 볼 수 있다. 가구단위

개발은 그 적정한 개발단위라고 여겨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가구단위 개발이 시행될

경우 관련 법규 중 용적율이나 건폐율을 필지단위로 적용하지 않고 블록단위로 적용하

여 획일적인 건축계획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가능모델의 제시

위에서 제시한 이론들을 토대로 본 팀이 가장 적합한 모델이라고 생각한 것은 중규모

단위의 주거유형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획지,가구단위 개발의 발전형으로서 가구

(BLOCK)의 단위로 개발의 개념을 같이하여 주민간의 합의방식등에 의하여 가구의 개

발계획을 함께 세우는 것이다. 이경우, 현재 평면적으로만 제시되고 있는 우리나라 법

규상의 용적율 제한등을 입체적으로 제한하여 한 가구 내에서도 다양한 용적율의 주택

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즉, 가구 전체의 용적율을 일정크기로 정

하는 것은 있지만 가구내부에 들어가는 주택의 용적율을 자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렇게 할 경우 다양한 주택의 형식이 한 가구 내에 들어갈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하겠다. 그리고 최초 개발이 개별필지 형식으로 개발된다고 하

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몇몇 획지 단위로 합필이 이루어져서 측벽공유와, 중정형 주

택을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외부공간을 단순한 주차나 형식적 녹지공간으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생활공간으로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점진적인 개발의 방식이

도시의 맥락에서 볼 때 그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새로운 주거지의

개발뿐만 아니라 기존 주거지의 재개발 방식에도 적합한 방식이라는 생각이 든다. 특

히나 최근에 지구단위계획등 법적인 요건이 갖추어져 가는 추세이기 때문에 이러한 모

델을 이상적인 것이 아니라 현실적으로 가능하다는 생각을 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생

각을 가지고 다음과 같은 모형을 만들어 보았다.

Page 44: 유럽의 저층 집합주거단지와 한국 집합주택의 과제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C... · 2015. 8. 26. · 2.1 대상지 선정 기준 2.2

우측의 그림은 개

별 획지내에 주택을

개발할 경우의 평면

도 이다. 물론 이보

다 다양한 형식의

평면이 가능하겠지

만 본 팀이 제안하

는 공유방식의 대지

이용을 위한 모형이

라고 할 수 있겠다.

이 평면도는 대지

가 남북방향으로 인

접해 있을 경우 현

재 법규상으로 제한

하고 있는 일조권

사선제한에 의한 이

격거리를 생활공간

으로서의 옥외공간

으로 이용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현행 법규상 이 거리는 남북간의 주

택사이에(4층주택의 경우) 거의 6M이상이 떨어지

게 된다. 이 대지를 각 주택간에 합의만 도출해내

고 개발의 단위를 가구단위까지 끌어올릴 경우 보

행공간으로 이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 평면을

가정으로 2열획지를 개발할 경우 우측과 같은 주

택의 배열이 가능하고 2열의 주택 사이 공간을 보

행자 공간등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

와 같은 방식으로 다시 주택을 4필지, 6필지 단위

로 합필하여 개발할 경우는 더욱 다양한 주거의 형식을 만들어낼 수 있다. 다음은 합

필등에 의한 가구의 변화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주거지가 변할경우

우리나라 주거지에 적합한 모형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대안 기본모형의 평면도

대안 기본모형에 의한 2열획지 주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