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28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국립환경과학원 2010.01.19.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Upload: others

Post on 19-Jan-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추진배경 2. 사업범위 3. 구축db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국립환경과학원

2010.01.19.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Page 2: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추진배경 2. 사업범위 3. 구축db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 추진 배경

2. 사업 범위

3. 구축 DB 현황

4. 기대 효과

5. 구축 DB 서비스계획

6. 관련 법규

7. 저작권 관련사항

1. 사업 추진 배경

2. 사업 범위

3. 구축 DB 현황

4. 기대 효과

5. 구축 DB 서비스계획

6. 관련 법규

7. 저작권 관련사항

Page 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추진배경 2. 사업범위 3. 구축db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1

1. 사업 추진 배경1. 사업 추진 배경

국민을 위험·유해로부터 보호하고, 화학물질 사고 시피해의 최소화와 복구의 신속화 및 피해 확산의 방지에

기여할 수 있는 안전관리정보의 확보

안전관리 DB 구축 필요

유해화학물질은 수입, 제조, 보관·저장, 사용 및 폐기과정을 통해 일상생활에 공공연히 노출될 수 있음

화학물질 제조량 및 유통량이 지속적으로 증가됨에 따라위해성에 대한 국민의 관심은 증대되고 있음

소방방재청 등 재난관련기관으로부터 화학물질 및 사고대응관련정보 제공요구가 증대되고 있음

화학물질은 물리․화학적 특성과 주변에 미치는 위해의정도가 달라 사고 시 초동대응이 매우 중요함

화학 산업 규모 증가와 복잡한 국제정세는 화학사고 및테러 발생 개연성을 점차 증가시키고 있음

가정용 화학제품의 증가로 일반국민에 대한 노출사례도증가하고 있음

국내 유통 화학물질 전반의 안전관리를 위한 유해화학물질사고대응전문 DB는 부재한 상태임

화학물질에 대한 위험정보 및 사고대응정보는 사고시 인명, 재산 및 환경 보호를 위해 가장 중요한 정보로 자료의 수집, 가공 및 제공 시 전문성을 필요로 함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DB 구축

인체노출 위험성 증대 정보제공 요구 증대

사고발생 가능성 증가

Page 4: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추진배경 2. 사업범위 3. 구축db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2

2. 사업 범위2. 사업 범위

사업구분 2009년(1차) 2010년(2차) 2011년(3차) 2012년(4차) 2013년(5차)

사업진도 구축 완료 계속 사업 계속 사업 계속 사업 계속 사업

사업기간 2009.06~2009.12 2009.06~2009.12 2009.06~2009.12 2009.06~2009.12 2009.06~2009.12

사업목표유해화학물질 DB 구축및 정보 활용체계 구축

DB 확대 구축 및시스템 유지관리

DB 확대 구축 및시스템 유지관리

DB 확대 구축 및시스템 유지관리

DB 확대 구축 및시스템 유지관리

사업범위• DB 2,000종(신규)(법 적용 대상물질)

• DB 3,500종(신규)(법 적용 대상물질)

• DB 1,350종(기존)(CARIS

1)보유 DB

일부 항목 보강 구축)

• DB 5,000종(기타 유해화학물질)

• 서비스 개선(기능 보강)

• DB 5,000종(기타 유해화학물질)

• 서비스 확대(행정기관 연계)

• DB 5,000종(기타 유해화학물질)

• 서비스 확대(의료기관 연계)

누계 2,000종 6,850종 11,850종 16,850종 21,850종

사업비 1,780 3,481 3,371 3,321 3,821

(금액 단위 : 백만원)

가. 총괄가가. . 총괄총괄

1) CARIS(Chemical Accident Response Information System;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국립환경과학원 기 구축ᆞ운영 중; 화학물질사고 시 피해확산 범위예측 및 방제정보 등 사고대응정보 제공 시스템; 소방방재청, 해경, 군, 지자체 등 589개 기관 배포ᆞ운영 중 )

Page 5: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추진배경 2. 사업범위 3. 구축db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3

2. 사업 범위2. 사업 범위

나. 2009년 구축 사업 범위나나. 2009. 2009년년 구축구축 사업사업 범위범위

응용시스템개발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 DB

구축

인프라구축

•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론 Ver.3

(한국정보사회진흥원) 적용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사업에적합하도록 테일러링)

• 법 규제대상물질 우선선정

• 국내외 Reference Site DB 검색을 통한

원문데이터 생성

• 항목 발췌 및 전문 인력에 의한 번역

및 검증 입력을 통한 DB 구축

• 통합 검색 등 DB 검색기능 구현

• 분류별/속성별 통계정보 조회기능 rngus

• 메뉴 구성 등을 포함한 관리자 모듈 구현

• H/W 도입 설치 • S/W 도입 설치

- DB서버 등 - RDBMS 등

Page 6: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추진배경 2. 사업범위 3. 구축db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4

3. 구축 DB 현황3. 구축 DB 현황

가. 구축 대상 화학물질 (법 적용 대상물질)가가. . 구축구축 대상대상 화학물질화학물질 ((법법 적용적용 대상물질대상물질))

관련부처 관련법 근거(고시 등) 관리물질 물질 종수

국립환경과학원 고시 제1999-39, 2005-11호 기존화학물질 37,021 국립환경과학원 고시 제 2009-21호 유독물에 해당하지 않는 물질 4,192 국립환경과학원 고시 제 2009-59호 유독물 599 국립환경과학원 고시 제 2009-59호 관찰물질 55 환경부 고시 제 2009-76 취급금지물질 60 환경부 고시 제 2009-76 취급제한물질 12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시행령 제21조 사고대비물질 56

41,995 노동부 고시 제2008-26호 노출기준설정물질 698 산업안전보건법 제93조 1항 관련 별표 11의 4 작업환경측정대상물질 190

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66조?제185조

및 제186조관련 별표 7관리대상물질 168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29조 제조금지유해물질 8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309조 허가대상유해물질 13

1,077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시행규칙 제2조 가연성가스 32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시행규칙 제2조 독성가스 31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시행규칙 제2조 특수고압가스 7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제20조 특정고압가스 20

90 해양경찰청 HNS협약 Hazadours and Noxious Substances 위험유해물질 6,000

소방방재청 국가위험물정보시스템 제1류 위험물(산화성고체) 48 소방방재청 국가위험물정보시스템 제2류 위험물(가연성고체) 44

소방방재청 국가위험물정보시스템 제3류 위험물(자연발화성물질

및 금수성물질)61

소방방재청 국가위험물정보시스템 제4류 위험물(인화성 액체) 1,939 소방방재청 국가위험물정보시스템 제5류 위험물(자기반응성물질) 79 소방방재청 국가위험물정보시스템 제6류 위험물(산화성 액체) 6

2,177

51,339

환경부

노동부

유해

화학물질

관리법

소계

산업안전

보건법

소계

합 계

소계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지식경제부

소계

위험물

안전관리법소방방재청

•법 적용 대상 물질2,000종 구축 완료

• 법 적용대상 물질; 약 1,1000여종(중복제외)

약 18% 수준

Page 7: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추진배경 2. 사업범위 3. 구축db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5

3. 구축 DB 현황3. 구축 DB 현황

나. 구축 화학물질 1종의 세부 항목 현황 (261개 항목)나나. . 구축구축 화학물질화학물질 11종의종의 세부세부 항목항목 현황현황 (261(261개개 항목항목))

분야 대분류 소분류 세분류/세세분류

물질명 물질명(영문), 물질명(국문), 유사명(영문), 유사명(국문)

화학구조 분자식, 구조식, 분자량, 화학물질군물질기본

정보관리번호 CAS No., RTECS번호, UN번호, EC번호, ICSC번호, 유해물질관리번호

물리화학적성질

물리화학적성질

물리적 상태, 색상, 냄새, 취기한계(냄새역치, Order threshold), 맛, 녹는점, 끓는점, 증기압, 증기밀도, 용해도(물), 용해도(용매), pH, log Kow, 밀도, 비중, 해리상수(Dissociation constants), 헨리상수, 점도, 임계온도, (Critical temperature), 임계압력(Critical pressure), 융해열(Heat of fusion), 기화열(증발열, Heat of vaporization), 연소열(Heat of combustion), 이온화 포텐셜(Ionization potential), 분광특성(Spectral properties), 표면 장력(Surface tension), 상대증발율(Relative evaporation rate), 포화농도(Saturation concentration), 굴절률(Refractive index), 변환상수, 기타(Other chemical/Physical properties)

사용용도정보

사용 용도 정보

물질제조방법

물질 제조 방법

매체간 이동 정보

물질특성정보

환경거동정보 체류정보 생물 농축성, 잔류성(분해성; 대기/수계/토양), 토양흡착성

물리화학적위험성

NFPA위험성코드(그림/NFPA 건강위험성/NFPA 화재위험성/NFPA 반응, 위험성/NFPA 특수위험성)

폭발위험특성

폭발 가능성, 폭발 상한범위, 폭발 하한범위

화재위험특성

화재 가능성, 인화점, 발화점, 발화등급

안전/반응위험특성

반응성(안전성,산화성), 부식성, 피해야할 조건

사고위험정보

사고위험성

기타 특성 연소생성물

Page 8: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추진배경 2. 사업범위 3. 구축db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6

3. 구축 DB 현황3. 구축 DB 현황

분야 대분류 소분류 세분류/세세분류

물리화학적위험성

폭발성 물질/화약류, 인화성 가스, 인화성 에어로졸, 산화성가스, 고압가스, 인화성액체, 인화성고체, 자기반응성물질, 자연발화성액체, 자연발화성, 고체, 자기발열성물질, 물반응성물질, 산화성액체, 산화성고체, 유기과산화물, 금속부식성물질

인체유해성

급성독성(경구), 급성독성(경피), 급성독성(흡입-분진), 급성독성(흡입-미스트), 급성독성(흡입-증기), 급성독성(흡입-가스), 피부부식성, 심한 눈손상/자극성, 호흡기 과민성, 피부 과민성, 생식세포변이원성, 발암성, 생식독성, 표적장기전신독성(1회노출), 표적장기전신독성(1회노출-호흡기자극성), 표적장기전신독성(1회노출-마취), 표적장기전신독성(1회노출-반복노출), 흡인유해성

위험/안전

분류정보

생태유해성 수생환경 유해성(급성), 수생환경 유해성(만성)

일반증상인체유해성사고

위험정보

노출유해성 흡입, 피부, 안구, 경구, 기타

응급의학정보

응급조치요령

흡입, 피부, 안구, 경구, 기타

약물동력학정보

흡수, 분포, 대사, 배설(제거), 생물학적 반감기

인체독성정보

급성독성_경구, 급성독성_경피, 급성독성_흡입, 자극성 및 부식성_눈, 자극성 및 부식성_피부, 과민성, 만성독성, 돌연변이원성 및 유전독성, 생식/발달독성, 신경/행동독성, 발암성, 기타독성

독성정보

생태독성정보

급성독성_어류, 급성독성_물벼룩, 급성독성_조류, 만성독성_어류, 만성독성_물벼룩, 만성독성_조류, 육상생태독성(지렁이)_급성, 육상생태독성(지렁이)_만성

사고 이력 국내, 국외사고 및테러이력 테러 이력 국내, 국외

사고대응정보

화학사고대응

누출방제요령(주의사항 포함), 방제약품 및 장비, 초기이격거리, 방호활동거리, 노출방지 및 개인보호구, ERG 대응지침번호

취급주의정보 취급 및 저장방법, 취급시 주의사항, 폐기시 주의사항

화재대응정보 화재 진압, 소화 방법, 소화제 및 장비

물질분류 유해액체 물질분류

누출방제 누출방제조치, 이동확산조치, 유출물질 회수, 기타 조치해양대응

정보해양유해성 해양 위험성 및 유해성, 해양 유해등급

UN RTDG

AIR TRANSPORT IATA

안전특수대응정보

운송정보

MARITIME TRANSPORT IMDG

Page 9: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추진배경 2. 사업범위 3. 구축db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7

3. 구축 DB 현황3. 구축 DB 현황

분야 대분류 소분류 세분류/세세분류

유해화학물질

(국내)

유해화학물질

관리법사고대비물질, 유독물, 관찰물질, 취급제한물질, 취급금지물질

EU REACH

미국 TSCA

미국 CERCLA Reportable Quantities

유해화학물질

(국외) 일본화심법

제1종 특정화학물질, 제2종 특정화학물질, 제1종 감시화학물질, 제2종 감시화학물질, 제3종 감시화학물질

위험물(국내)

위험물안전

관리법

제1류 아염소산류, 제1류 염소산류, 제1류 과염소산류, 제1류 무기과산화물, 제1류 브롬산염류, 제1류 질산염류, 제1류 요오드산염류, 제1류 과망간산염류, 제1류 중크롬산염류, 제1류 과요오드산염류, 제1류 과요오드산, 제1류 크롬, 납또는 요오드의 산화물, 제1류 아질산염류, 제1류 차아염소산염류, 제1류 염소화이소시아눌산, 제1류 퍼옥소이황산염류, 제1류 퍼옥소붕산염류, 제2류 황화린, 제2류 적린, 제2류 유황, 제2류 철분, 제2류 금속분, 제2류 마그네슘, 제2류인화성고체, 제3류 칼륨, 제3류 나트륨, 제3류 알킬알루미늄, 제3류 알킬리튬, 제3류 황린, 제3류 알칼리금속, 제3류유기금속화합물, 제3류 수소화물, 제3류 인화물, 제3류 탄화물, 제3류 염소화규소화합물, 제4류 특수인화물, 제4류 제1석유류, 제4류 알코올류, 제4류 제2석유류, 제4류 제3석유류, 제4류 제4석유류, 제4류 동식물유류, 제5류 유기과산화물, 제5류 질산에스테르류, 제5류 니트로화합물, 제5류 니트로소화합물, 제5류 아조화합물, 제5류 디아조화합물, 제5류 히드라진유도체, 제5류 히드록실아민류, 제5류 히드록실아민염류, 제5류 금속아지화합물, 제5류 질산구아니닌, 제6류 과염소산, 제6류 과산화수소, 제6류 질산, 제6류 할로겐간화합물

고압가스(국내)

고압가스안전관리법

가연성가스, 독성가스, 특수고압가스, 특정고압가스

산업안전보건법

노출기준설정물질, 작업환경측정물질, 관리대상유해물질, 허가대상유해물질, 금지대상유해물질산업안전(국내)

안전특수대응정보

작업장노출기준

TWA, STEL, CEILING

작업장노출기준

[NIOSH] REL : TWA, [NIOSH] REL : STEL, [NIOSH] REL : CEIL, [ACGIH] TLV : TWA, [ACGIH] TLV : STEL, [ACGIH] TLV : CEIL, [OSHA] PEL : TWA, [OSHA] PEL : STEL, [OSHA] PEL : CEIL산업안전

(국외)

위험노출기준

[NIOSH] IDLH, [DOE] PAC

규제및노출기준정보

해양(국내)

해양위험유해물질(HNS)

Page 10: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추진배경 2. 사업범위 3. 구축db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8

다. DB 구축 공정다다. DB . DB 구축구축 공정공정

1 자료 준비 단계 2 자료 구축 단계 3 4 품질 보증 단계

구축 대상 조사

자료 검사 단계

원문 데이터 생성

•물질별 원문데이터 복사•물질별 원문데이터 저장•원문데이터 출력/제본

•원문데이터 생성계획 수립•유형별 작업지침서 마련•워크시트 작성

•DB 구축 요건 정의•DB 구축 공정 설계•시범 DB구축

•선정 기준 정의•선정 대상자료 세부조사•저작권 확인•DB 구축 대상 선정

•구축대상 범위 설정•자료 기초 조사•DB 구축 방안 정의

•항목별 자료 통합•이미지 점검 및 보정

•2차 검증 및 수정 입력•검정결과서 수령/수정입력

•번역 입력(용어집/문장집)•1차 검증 및 수정 입력

•항목별 발췌 입력•입력 자료 저장•이미지 파일 복사 저장•(원문 데이터에 포함)

•지침 작성•워크시트 작성(DB구축/검증)•다국어 및 특수문자 지원

자료 반납

•원문데이터 반납목록 작성•원문데이터 반납/배가

•고객 납품 검수•수정 입력/수정결과 체크

•데이터 목록 작성•산출물 제작•산출물 납품

•검증 지침 작성•품질보증 담당자에 의한데이터 검증

•수정 입력/수겅결과 체크

•데이터 파일 업로드

•작업 공정과 산출물에대한 품질평가 실시

•결합 및 부적합한 사항에대한 기록

품질보증 계획 수립

•품질목표 수립/품질보증팀구성

•품질보증계획서 작성•문서 표준 및 지침 작성

품질보증 결과

•품질보증 활동에 대한문서화/승인

•품질보증 활동 결과에대한 통보/조치

구축 대상 선정

DB 구축 계획

실행 계획

원문 데이터 검색

발췌 입력

입력 작업 준비

주관기관 검수

납품

사업자 검증

데이터 업로드

품질보증 활동

검증 및 수정 입력(2차)

번역 입력 및 검증(1차)

자료 통합

3. 구축 DB 현황3. 구축 DB 현황

Page 11: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추진배경 2. 사업범위 3. 구축db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9

라. 구축 DB 물질 목록현황 (일부 발췌)라라. . 구축구축 DB DB 물질물질 목록현황목록현황 ((일부일부 발췌발췌))

3. 구축 DB 현황3. 구축 DB 현황

번호 물질명 (1~20)

1 Isopropylamine

2 Methyl silicate

3 Streptomycin

4 Formamide

5 Calcium carbide

6 chloropropane(2-)

7 2-Propanethiol

8 acetyl chloride

9 butylamine(tert-)

10 Fluorotrichloromethane

11 pinacolin

12 1,1,2-Trichloro-1,2,2-trifluoroethane

13 Chloropentafluoro ethane

14 Camphor(Synthetic)

15 aceton dimethyl acetal

16 Ethyl silicate

17 Penthrite

18 Azodiisobutyronitrile

19 2-BROMOBUTANE

20 2-METHYLBUTANE

번호 물질명 (981~1,000)

981 Hexanediol(1,-6)

982 methyl(1-)-2-pyrrolecarboxaldehyde

983 Florobenzonitrile(4-)

984 Dichlobenil

985 pentanedione2,3-

986 Dimethy1aminobenzene

987 Emery

988 Boron oxide

989 Borateste trasodium salts(Anhydrous)

990 Barium peroxide

991 Bismuth telluride

992 Calcium peroxide

993 Iron oxide, as Fe

994 Antimony trioxide(Handling & use

995 Zinc oxide

996 STRONTIUM PEROXIDE

997 Lead(Ⅳ) oxide

998 Cuprous oxide

999 Calcium carbonate

1000 Silica(Crystalline tripoli)

번호 물질명 (1,981~2,000)

1981 methylthiophene(2-)

1982 MAGNESIUM DIPHENYL

1983 Allyl iodide

1984 Allyl ethyl ether

1985 Allylether

1986 2-bromo-1-propene

1987 chloro(2-)-1-propene

1988 3.3-DIMETHYLANIL-1-BUTENE

1989 Dimethyhexane(3.3-)

1990 methyl(2-)-1-butene

1991 chloro(3-)-1-butene

1992 dichloropropene(1,1-)

1993 dimethyl(2,3)-2-butane

1994 dimethyl(2,3)-3-butene

1995 2,3-dimethylpentane

1996 methyl(3)-2-2-pentanol

1997 Methyl(2-)-3-pentanone

1998 dimethyl(2,4)-4-pentanol

1999 2-EthyIaniline

2000 Dimethylhexane(3,4-)

Page 12: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추진배경 2. 사업범위 3. 구축db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10

가. 정량적 기대 효과가가. . 정량적정량적 기대기대 효과효과

4. 기대 효과4. 기대 효과

통합 DB 구축에 따른 비용절감 효과 서비스 소요시간 절감효과

(금액단위:원)

분야구분 수요기관 개소구축종수

소요예산

초동대응소방방재청, 군,

지자체, 경찰 등471 23,000 3,604,888,000

유해물질

처리

소방방재청, 군,

지자체, 경찰, 도로

공사 등

525 23,000 6,610,591,000

해상대응

해양경찰청, 해양환경

관리공단, 한국해양

연구원 등

34 23,000 5,969,581,000

응급처치 응급의료기관 13 23,000 4,687,469,000

전체국가정보원,

대통령경호실 등17 23,000 10,677,175,000

계 31,549,704,000

* 2008년「화학사고 응급정보제공 기반연구」사업결과보고서

정보명서비스

대상기관연간 서비스

회수

연평균서비스증가율

DB구축 전오프라인소요경비

유해화학

물질목록 및

상세정보

군, 소방방재

청, 경찰

100,000

on-line

(예측치)

5%

교통비 800원,

인쇄비 50원,

통신비 100원

대응기관

및 사고이력

정보

지자체, 유역

청, 소방방재

5,000

on-line

(예측치)

3%인쇄비 50원,

통신비 200원

응급정보 대국민

100,000

on-line

(예측치)

3%

교통비 800원,

인쇄비 50원,

통신비 100원

계 33,136,504,000

(금액단위:원)

Page 1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추진배경 2. 사업범위 3. 구축db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11

나. 정성적 기대 효과나나. . 정성적정성적 기대기대 효과효과

4. 기대 효과4. 기대 효과

대민서비스개선

국제 경쟁력강화

고용 창출 •일시에 다량의 화학물질 정보DB를 구축하여야하는 사업임에 따라 화학, 환경, 보건학 또는 화공 전공자의 고용창출 효과의 거양이 가능함

•선진국의 신화학물질관리제도(REACH; Registration Evaluation and Authorization of Chemicals)에의한 무역장벽에 대응하기 위한 화학물질 유통정보 구축기반 마련

• REACH; EU 등의 국가에서 수입 시 수출국 내에서 제조에서 최종소비자에게 이르기까지 인체에 유해함을차단하여 철저하게 관리되었다는 증명이 없이는 수입을 허용하지 않는 제도로써 FTA 타결 이후 새로운무역장벽으로 대두되고 있음

• 유해화학물질, 화학제품 등의 취급·유통 과정의 인체 노출 시 국민을 위험·유해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수 있는 정보의 구축 및 제공

• 화학사고·테러 시 사고대응기관에 효율적인 초동대응 정보의 제공을 통하여 소방방재청, 군, 해양경찰청 등국내 재난 및 사고대응관련 유관 기관의 신속ᆞ정확한 초동대응 및 사고 조치에 의한 피해의 최소화, 복구의단기간화, 2차 피해 확산의 방지

• 향후 구축예정인, “유해화학물질 운송차량관리시스템‘ 및 ”화학물질 응급안전정보센터“의 원활한 운영을위한 정보제공 기반 마련

Page 14: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추진배경 2. 사업범위 3. 구축db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12

5. 구축 DB 서비스 계획5. 구축 DB 서비스 계획

가.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 DB 서비스 Web Site를 통한 정보 제공가가. .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 DB DB 서비스서비스 Web SiteWeb Site를를 통한통한 정보정보 제공제공

소방관서, 경찰(해양결찰청), 군, 지방자체단체 등의 재난 대응 기관 및 유관기관, 응급의료기관, 일반 국민 등 정보 서비스 대상에

정보제공 항목이 상이하므로, 사용자 권한관리를 통하여 서비스 대상별 차별화 정보 제공

Page 15: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추진배경 2. 사업범위 3. 구축db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13

5. 구축 DB 서비스 계획5. 구축 DB 서비스 계획

나. 기 구축운영 중인 시스템을 통한 DB 서비스 (초동 대응 기관)나나. . 기기 구축운영구축운영 중인중인 시스템을시스템을 통한통한 DB DB 서비스서비스 ((초동초동 대응대응 기관기관))

시스템명 :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CARIS; Chemical Accident Response System)

시스템 기능 : 유해화학물질 정보, 전국상세 기상현황, 유해화학물질 방재방법, 피해지역 확산범위 정보제공, 양방향 사고전파 기능

구축 및 운영기간 : 2002년~2005년(구축 DB; 1,350종)

시스템 활용 기관 : 소방방재청, 지방자치단제, 국방부, 해양경찰청 등 589개 초동대응기관에 보급 활용 중

구분 기관명 기관수

• 국방부(육군/해군(해병)/공군 소속부대) 49

• 소방방재청(재난상황실/중앙 119구조대/소방본부/소방서/중앙소방학교) 192

• 경찰청(지방경찰청 ) 17

• 해양경찰청(지방해양경찰청/해양경찰서/해양경찰학교) 19

• 지방자치단체(16개 광역시도; 도ᆞ시ᆞ군ᆞ구청/보건환경연구원/상수도사업본부/정수장) 213

사고대응기관

• 환경부(유역(지방)환경청, 환경출장소) 12

• 보건복지부 (국립의료원); 중앙 응급의료(정보)센터 1응급의료기관

• 보건복지부; 지역 응급의료(정보)센터 12

• 청와대(국가위기상황센터/대통령 경호처; 군사관리관실) 2

• 국가정보원(대테러지원팀/안보상황실) 1중앙기관

• 행정안전부(비상대비정책과) 1

• 한국도로공사(지역본부/지사/교통정보센터) 54

• 한국수자원공사(수도관리처/ 수돗물분석연구센터) 1

• 해양환경관리공단(본사/지사) 13

• 한국해양수산연수원(기관시스템교육팀) 1

유관기관

• 한국해양연구원(해양시스템연구소) 1

계 589

Page 16: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추진배경 2. 사업범위 3. 구축db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14

다. DB 원문 제공다다. DB . DB 원문원문 제공제공

5. 구축 DB 서비스 계획5. 구축 DB 서비스 계획

국립환경과학원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정보 요청 기관 A

정보 요청 기관 B

정보 요청 기관 C

공문에 의한 정보 제공 요청 및 승인

정보 제공 여부 검토

DB Down Load

DB Up Load

DB Up Load

Page 17: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추진배경 2. 사업범위 3. 구축db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15

라. 시스템 연계, 홈페이지 링크라라. . 시스템시스템 연계연계, , 홈페이지홈페이지 링크링크

5. 구축 DB 서비스 계획5. 구축 DB 서비스 계획

공문에 의한 시스템 연계(홈페이지 링크) 요청 및 승인

국립환경과학원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시스템 연계/홈페이지 링크여부 검토

정보 요청 기관 A

정보 요청 기관 B

정보 요청 기관 C

정보 수신기관 측 시스템 연계 Module은 수신기관 에서 개발 원칙

시스템연계모듈(수신)

시스템연계모듈(수신)

시스템연계모듈(수신)

시스템연계모듈(송신)

Page 18: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추진배경 2. 사업범위 3. 구축db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16

마. DB 제공 요청(서비스 희망) 기관별 정보 활용 목적 등마마. DB . DB 제공제공 요청요청((서비스서비스 희망희망) ) 기관별기관별 정보정보 활용활용 목적목적 등등

5. 구축 DB 서비스 계획5. 구축 DB 서비스 계획

기관 정보이용 방식(희망) 활용 목적 활용 분야

해양경찰청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Web Site 제공•기관간 연계

•해상에서 인명구조 및 응급조치•해양오염 방제•인근 통행선박 통제•사고 시 인근주민 대피

•해상에서 운항 또는 계류 중인 선박에서위험ᆞ유해물질 유출 시

•해양시설(연안 HNS 취급시설)에서 위험ᆞ유해물질 유출 시

소방관서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Web Site 제공

•기관간 연계•DB 원본 제공

•화재, 폭발 및 누출사고 시 사고대응정보및 응급 조치

•위험물사업장 안전관리대책(예방/대비/대응) 수립 및 훈련

•위험물사업장 인허가 등 민원처리 및 지도점검 시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방법 검토자료

•화학공장에서 화재 및 폭발 발생시, 화학물질 누출사고 시

•화학물질 도로운송과정에서 사고로 인한화재, 폭발 및 누출 사고 시

•정박중인 선박에서 화재, 폭발 및 누출사고 시

한국소비자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Web Site 제공

•기관간 연계•DB 원본 제공

•소비자 안전과 관련하여 다발 위해 상품의유해성 규명 등

•소비자 위해 사례 접수 시 유해물질 확인, 소비자 제품 안전시험검사 실시할 때 유해물질 함유 상품 규명 등에 활용

•소비자안전센타 소비자안전본부 생활안전팀에서 공산품, 생활용품 등의 위해사례 분석시에 활용

•소비자안전센타 시험검사국의 화학섬유팀에서 각종 소비생활용품 및 섬유제품 유해물질 실험 시에 활용

Page 19: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추진배경 2. 사업범위 3. 구축db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17

5. 구축 DB 서비스 계획5. 구축 DB 서비스 계획

기관 정보이용 방식(희망) 활용 목적 활용 분야

한국정밀화학공업협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Web Site 제공

•본회 회원사는 정밀화학 관련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회원사들의작업장에서 동 DB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예상됨

•따라서 동 DB의 구축이 완료될 경우 본회홈페이지에서 동 DB의 활용 안내를 통해유해화학물질 안전사고 발생 시 고대응 및응급조치, 또한 사전예방차원에서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됨

•유해화학물질의 안전사고는 동 물질의 취급현장에서 발생이 예상됨에 따라 이에 관련된화학 공장에서 동 DB의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사전예방 차원에서도 동 DB의 홍보를 화학물질 취급(제조, 유통, 판매 등) 관련사업장에 적극 안내 필요

화학물질관리협회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Web Site 제공

•심사평가팀 : 화학물질 관련 수출입자료를검증하는데 유용함

•조사관리팀 : 제조 수입업체 지도점검 지원시 해당업체에 제공해야할 유해성자료 등을따로 제공할 필요가 없어 정보확인업무 편의

•정보사업팀 : 기존 화학물질 또는 유해물질에 대한 기초자료 활용

•신뢰성 있는 화학물질 정보가 작성되면 기존에 화학물질관련 보고서를 작성하거나 물질을 합성하는데 유용하며, 각 물질의 정보를이용하여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또는각종 관리 자료를 작성하는데 편리 함

•더불어 관련 물질 자료를 확인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여 관련 화학물질 업무를하는 담당자들에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

Page 20: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추진배경 2. 사업범위 3. 구축db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18

5. 구축 DB 서비스 계획5. 구축 DB 서비스 계획

바. 정보 서비스 요청 기관별 핵심 요청 항목현황 (일부 발췌)바바. . 정보정보 서비스서비스 요청요청 기관별기관별 핵심핵심 요청요청 항목현황항목현황 ((일부일부 발췌발췌))

기관별 핵심 서비스 요청 정보 항목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1. 지방자치단체

해양경찰청 소방관서 군응급

의료기관한국

소비자원한국화학정밀공업협회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

물질명(영문)

물질명(국문)

유사명(영문)물질명

물질기본정보

유사명(국문)

분자식

구조식

분자량

화학구조

화학물질군

CAS 번호

RTECS번호

UN 번호

EC 번호

ICSC 번호

관리번호

유해물질관리번호

기관별 핵심 요청 항목의 경우에는 기관별로 별도의 Summary Data Sheet을 작성하여 해당 기관이 Web Service 시스템에

접속하였을 때 기관별 Summary Data Sheet를 우선적으로 조회 및 출력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

Page 21: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추진배경 2. 사업범위 3. 구축db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19

5. 구축 DB 서비스 계획5. 구축 DB 서비스 계획

기관별 핵심 서비스 요청 정보 항목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1. 지방자치단체

해양경찰청 소방관서 군응급

의료기관한국

소비자원한국화학정밀공업협회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

매체간이동정보

생물 농축성

잔류성(분해성)

환경거동정보

체류정보

토양흡착성

물리화학적위험성

NFPA위험성코드

폭발 가능성

폭발 상한범위폭발위험특성 폭발 하한범위

화재 가능성

인화점

발화점

화재위험특성

사고위험성

발화등급

반응성(안전성,산화성)

부식성

안전반응위험특성 피해야 할 조건

구분항목수

기관별 핵심 서비스 요청 항목 현황

지방자치단체

해양경철청 소방관서 군응급

의료기관한국

소비자원한국정밀화학공업협회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

물질특성정보 53 11 17 22 18 13 30 26 -

사고위험정보 92 15 15 29 18 17 31 38 52

안전특수대응정보 116 18 21 21 18 15 16 16 34

합계 261 44 53 72 54 45 78 80 86

Page 22: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추진배경 2. 사업범위 3. 구축db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20

5. 구축 DB 서비스 계획5. 구축 DB 서비스 계획

마. DB 제공 요청 문서 현황마마. DB . DB 제공제공 요청요청 문서문서 현황현황

정보제공 요청 공문

해양경찰청 울산광역시 1. 울산광역시 2.

Page 2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추진배경 2. 사업범위 3. 구축db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21

5. 구축 DB 서비스 계획5. 구축 DB 서비스 계획

정보제공 희망 설문조사서

해양경찰청 울산온산소방서 한국소비자원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 한국정밀화학산업진흥회

Page 24: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추진배경 2. 사업범위 3. 구축db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22

사. 신규 정보시스템 구축에 의한 DB 서비스사사. . 신규신규 정보시스템정보시스템 구축에구축에 의한의한 DB DB 서비스서비스

5. 구축 DB 서비스 계획5. 구축 DB 서비스 계획

(1) 유해화학물질 운송차량관리시스템 구축

RFID 안테나유리창

옆면에

Tag 부착

계근대

사무실

화학물질 운송차량에 의한 사고 예방 및 사고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한 유해화학물질 운송차량관리시스템을 구축(환경부 중기계획)

행정정보DB 사업으로 구축 된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의 화학물질 정보와 해당 물질의 사고위험정보, 소방ᆞ방재정보를

소방방재청, 경찰, 지방자치단체 등의 사고대응기관에 제공하여 유해화학물질 운송차량 사고 시 신속한 초동대응에 활용토록

함으로써 구축 DB의 활용도 제고 및 정보가치의 창출

Page 25: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추진배경 2. 사업범위 3. 구축db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23

5. 구축 DB 서비스 계획5. 구축 DB 서비스 계획

(2) 화학물질 응급안전정보 제공 콜센터 구축

날로 유통 및 사용량이 증가하는 화학제품 등에 의한 인체 노출 시의 응급조치 정보를 응급의료기관이나 대국민을 대상으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

행정정보DB 사업으로 구축 된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의 화학물질 정보와 응급조치요령 정보 등을 응급의료기관 등에

제공하여 화학물질로 인한 인체 노출 또는 접촉 사고 시 시 신속한 응급조치에 활용토록 함으로써 구축 DB의 활용도 제고 및

정보가치의 창출

FormamideFormamide

Methyl silicateMethyl silicate

IsopropylamineIsopropylamine

Hazaders Hazaders Chemical Chemical MaterialsMaterials

StreptomycinStreptomycin

CallCenter

Page 26: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추진배경 2. 사업범위 3. 구축db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24

6. 관련 법규6. 관련 법규

화학물질 정보 구축 및 제공 관련 법규화학물질화학물질 정보정보 구축구축 및및 제공제공 관련관련 법규법규

법규명 관련 조항

환경정책기본법 • 제6조(국민의 권리와 의무) 모든 국민은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를 가진다.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 제4조(국가의 책무)①국가는 유해화학물질이 국민건강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늘 파악하고, 국민건강이나 환경상의

위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수립ᆞ시행하여야 한다. ②국가는 유해화학물질의 관리를 위한 오염도 측정, 조사ᆞ

연구, 기술개발, 전문인력양성, 교육 및 홍보시책 등을 강구하여야 하고, 유해화학물질의 안전관리에 필요한 행정 및 재정

을 지원하여야 한다.

• 제42조(정보 제공)환경부장관은 사고대비물질 등 유해화학물질의 유해성ᆞ안전성ᆞ방제요령 및 응급대응요령 등 화학

물질 사고의 대비와 대응에 필요한 정보를 환경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소방관서와 지방자치단체 등 사고대응기관에

제공하여야 한다.

유해화학물질

관리법시행규칙

• 제40조(화학물질정보 제공 등)①국립환경과학원장은 법 제42조에 따라 화학물질 사고의 대비 및 대응을 위하여 국내외의

정보를 수집평가관리하고 관련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화학물질안전관리센터를 운영할 수 있다.

1. 화학물질의 독성ᆞ위험성ᆞ방제요령 등 응급대응에 필요한 정보

3. 화학물질의 취급정보, 자체방제계획, 사고예방대응 교육 및 훈련 등에 필요한 기술정보

4. 그밖에 유해화학물질의 안전관리에 필요한 정보

②국립환경과학원장은 제1항의 화학물질안전관리센터를 통하여 사고의 대비 및 대응에 필요한 정보를 소방관서지방자치

단체 등 사고대응기관에 제공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교육훈련을 실시하여야 한다.

Page 27: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추진배경 2. 사업범위 3. 구축db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25

7. 저작권 관련사항7. 저작권 관련사항

구축ᆞ운영 기관별 Reference DB에 대한 저작권 확인 현황구축ᆞ운영구축ᆞ운영 기관별기관별 Reference DBReference DB에에 대한대한 저작권저작권 확인확인 현황현황

구축 및 운영기관 Reference DB명 회신현황 비고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SDB, WISER, CCRIS, GENETOX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CDC), USA NIOSH Pocketguide, ATSDR ○

European Commission Joint Research Center EU RAR, ECB IUCLID ○

International Programme on Chemical Safety(IPCS : WHO, ILO, UNEP)

EHC, CICADS, ICSC △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and Evaluation, Japan NITE ○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OECD SIDS △

US EPA ECOTOX, IRIS ○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USA CAMEO Chemicals ×

Nordic Council of Ministers, Chemical group SPIN ○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WHO IARC ×

The Department of Chemistry at the University of Akron Chemical DB ×

• 무료가 대부분

• 회신 기관은 사이트가공공도메인이기 때문에공공목적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메일 수신 [단, 출처를 명확히 표시할 것을 요구]

• 본 사업에서 참조한Reference DB는 화학물질관리를 위한 국가 간공조 또는 각국 정부에의해 구축된 온라인 무료공개 DB로서 공공도메인이 대부분임

• 따라서 상업용이 아닌공공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출처만 정확히 표시될경우 저작권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됨

ChemWATCH ChemWATCH ○ 유료(과학원에서 사용권 확보)

Page 28: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T3-3]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db 구축 발표순서 1. 사업추진배경 2. 사업범위 3. 구축db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