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44
발간등록번호 NIER NO. RP2012-159 11-1480523-001181-01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연구 환경건강연구부 위해성평가연구과 서정관, 김탁수, 한혜진, 조은혜, 심일섭, 김현미, 류지성, 김필제, 최경희 Aggregate risk assessment and applicability of guidance on tetrachloroethylene Jungkwan Seo, Taksoo Kim, Hyejin Han, Eunhye Jo, Ilseob Shim, Hyunmi Kim, Jisung Ryu, Pilje Kim, Kyunghee Choi Risk Assessment Division Environmetal Health Risk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Upload: others

Post on 26-Apr-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발 간 등 록 번 호 NIER NO. RP2012-159

11-1480523-001181-01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연구

환경건강연구부 위해성평가연구과

서정 , 김탁수, 한혜진, 조은혜, 심일섭, 김 미, 류지성, 김필제, 최경희

Aggregate risk assessment and applicability of

guidance on tetrachloroethylene

Jungkwan Seo, Taksoo Kim, Hyejin Han, Eunhye Jo, Ilseob Shim,

Hyunmi Kim, Jisung Ryu, Pilje Kim, Kyunghee Choi

Risk Assessment Division

Environmetal Health Risk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Page 2: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목 차

목 차

목차 ······························································································································· i

표목차 ·························································································································· ii

그림목차 ····················································································································· iv

Abstract ························································································································ v

Ⅰ. 서 론 ····················································································································· 1

Ⅱ. 연구내용 방법 ······························································································ 2

1. 연구 목표 ··········································································································· 2

2. 연구 내용 방법 ··························································································· 2

가. 연구 내용 ······································································································· 2

(1) 매체통합 해성평가 ···················································································· 2

(2) 해성평가지침 용성 검토 ···································································· 2

나. 해성평가 방법 ··························································································· 2

(1) 자료수집 ········································································································ 2

(2) 유해성확인 용량반응 평가 ·································································· 3

(3) 노출평가 ········································································································ 3

(4) 해도 결정 ·································································································· 4

(5) 추가노출 모니터링 ······················································································ 4

Ⅲ. 연구결과 고찰 ······························································································ 6

1. 인체 해성평가 ································································································· 6

2. 생태 해성평가 ······························································································· 25

3. 해성평가지침 개선사항 ············································································· 32

Ⅳ. 결 론 ················································································································· 33

참고문헌 ···················································································································· 34

Page 3: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목 차

표 목 차

<표 1> Supplementary sampling sites for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5

<표 2> Headspace conditions for chemical analysis ·········································5

<표 3> GC conditions for chemical analysis ····················································5

<표 4>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etrachloroethylene ···················6

<표 5> The amounts of current tetrachloroethylene in Korea(2010) ·············7

<표 6> The domestic laws for management of tetrachloroethylene ··············8

<표 7> Summary of exposure scenarios ······························································9

<표 8> Exposure parameters according to age-group ····································10

<표 9> Exposure time according to age-groups and microenvironments ····10

<표 10> Summary of exposure model & algorithm ·······································11

<표 11> Exposure level of tetrachloroethylene in the outdoor,

indoor air and drinking water ·····························································12

<표 12> Supplementary indoor air monitoring at the public facility ········13

<표 13> Results of reliability test for selected exposure factors ·················14

<표 14> Results of reliability test for selected exposure data ·····················14

<표 15> Reference values of tetrachloroethylene for oral & inhalation

exposure ·····································································································19

<표 16> Unit risk of tetrachloroethylene for oral & inhalation exposure ····20

<표 17> The results of exposure assessment of tetrachloroethylene by

deterministic approach ············································································22

<표 18> Risk characterisation(HI) of the human health on the

tetrachloroethylene ····················································································24

<표 19> Risk characterisation(ECR) of the human health on the

tetrachloroethylene ·····················································································25

<표 20> Exposure level of tetrachloroethylene in the river, lake and soil ···26

<표 21> Result of PBT evaluation to tetrachloroethylene ·····························27

<표 22> Acute effect of tetrachloroethylene on aquatic organism ··············28

Page 4: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목 차

<표 23> Chronic effect of tetrachloroethylene on aquatic organism ··········29

<표 24> Toxic effect of tetrachloroethylene on soil organism and Terrestrial

plants ············································································································29

<표 25> PNEC estimation by species sensitivity distribution(SSD) ············30

<표 26> PEC values of river, lake, industrial effluent and soil ·················31

<표 27> Ecological risk characterisation on tetrachloroethylene ··················31

Page 5: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목 차

그 림 목 차

<그림 1> Personal air sampler(MP-∑30N) ····························································4

<그림 2> Personal air sampler(GilAir 5) ································································4

<그림 3> The amount of emission of tetrachloroethylene into air ················7

<그림 4> The results of exposure assessment of tetrachloroethylene by

probabilistic approach ···········································································24

Page 6: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Abstract

Abstract

In order to provide the scientific basis for establishing the risk

management measures on chemicals of national priority substances list,

aggregate risk assessment was conducted for tetrachloroethylene (PCE)

included in top 10 substances. In the human risk assessment (HRA), the

level of human exposure was higher in younger age group. Exposure level

by respiration at home was the highest among exposure routes according

to activity space. Respiration of outdoor air or uptake of drinking water

represented less than 1% of the total PCE exposure.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level of risk was negligible since Hazard Index (HI)

induced by HRA was below 1 at all age groups, with maximum HI value

of 0.17 when the reasonable maximum exposure was applied. In the

ecological risk assessment, the degree of environmental exposure of PCE

was mostly “not detectable“ in the aquatic or soil ecosystem, and ranged

at the low level of 1~3 ㎍/L even if detectable. In addition, HI values in

river, lake and complex industrial sites were calculated as 0.009~0.059.

Therefore, ecological risk was also considered negligible.

In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additional management for

mitigation was not necessary since risk induced the integrated multimedia

risk assessment for PCE to human health and the environment was low.

This result is attributable to decline in PCE concentration in the

environment as the domestic release inventory of PCE in 2010 decreased

by 80% when compared to 2002.

Page 7: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Ⅰ. 서 론

1

Ⅰ. 서 론

일반 으로 화학물질은 일상생활을 하는 개인을 상으로 다양한 매체

를 통하여 주로 흡입, 경구 경피 경로로 인체에 노출된다. 자연환경매체는

기, 수질, 토양 지하수 등을 의미하며, 생활환경매체는 인간생활과 직

으로 연 되어 있는 거주지 주변 실내외 공기, 식품 거주지 주변 토양, 마시

는 물 집 먼지 등이 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유해화학물질에 한 인체노출평

가를 해서는 평가 상물질의 다매체, 다경로 노출특성을 반 하여 노출가능

한 모든 매체와 노출경로를 포 하여 총 노출량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국립환

경과학원, 2011). 그러나 그 동안 국내에서 수행된 해성평가의 경우 부분

단일 자연환경매체 혹은 작업장, 주택실내 등 국소생활환경공간에 국한되어 수

행된 경우가 많았다(김 등, 2007). 이러한 경우 유해화학물질의 다매체 거동 특

성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다양한 매체들로 인한 인체 건강 향을 통합 으

로 평가할 수 없다는 단 이 있다. 반면에 매체통합 해성평가는 매체별 경

로별 상 노출기여도 산정을 통하여 주요 리 상 확인 등 해 리 책 수립

에 효과 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2010년 환경부에서 제정한 매체통합 해성평가지침(환경부,

2010b)에 근거하여 테트라클로로에틸 에 한 매체통합 해성평가를 수행하

다. 이 물질은 동물실험에서 간 신장에 암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

어,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인간발암우려물질에 속하는 2A 그룹으로 분류되

어 있는 등 노출량이 많을 경우 해우려가 큰 물질에 속한다. 그러므로 국내에

서도 련 법령에 의해 엄격히 리되고 있다. 표 인 화학물질 리법령인

「유해화학물질 리법」에 의해 유독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특히 ‘테트라클로로

에틸 이를 0.1% 이상 함유한 혼합물질’인 경우 취 제한물질로 지정하여

가정용 세정제 에어로졸 용도로 제조, 수입, 매, 보 , 운반 사용을 지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 은 국가우선 리 상물질 상 10개 물질에 속하면

서 표 인 생활 공감 유해물질인 테트라클로로에틸 에 한 매체통합 해

성 평가를 수행하여 수용체 심의 해 책 마련을 한 기 자료를 제공하고

자 하 으며, 동시에 해성평가지침의 용 가능성과 보완사항을 검토하 다.

Page 8: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Ⅱ. 연구내용 및 방법

2

Ⅱ. 연구내용 방법

1. 연구 목표

국가우선 리 상 10개 물질 테트라클로로에틸 해 리방안 수립에

활용할 매체통합 해성평가자료 확보 해성평가지침의 활용성 제고를

한 개정(보완)사항 도출

2. 연구 내용 방법

가. 연구내용

(1) 매체통합 해성평가

본 연구의 상물질은 테트라클로로에틸 이며, 이 물질에 해 ‘환경유해인

자의 해성평가를 한 차와 방법 등에 한 지침’(환경부, 2010b)에 따라

매체 통합 해도 리체계 구축을 한 매체통합 해성평가를 수행하 다.

(2) 해성평가 지침의 용성 검토

지침에 따라 해성평가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지침의 용가능성과 추가

으로 보완이 필요한 사항들을 검토하 다.

나. 해성평가 방법

인체(생태) 해성평가는 크게 자료수집, 유해성확인, 용량-반응평가(종민감도

분포평가), 노출평가 해도 결정의 5단계로 수행하 다. 자료결손분석결과

국내 측정 자료가 없는 학교, 사무실 등 실내 국소환경 자료가 부족한 해

우려지역의 하천 공단 배출수에 해서는 직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자료결

손부분을 보완하 다.

(1) 자료수집

노출시나리오는 환경 배출특성과 생활환경 노출특성 등을 검토하여 연

Page 9: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Ⅱ. 연구내용 및 방법

3

령별로 유아에서 성인까지 5개 그룹으로 나 어 수립하 다. 노출계수도 연

령별로 5개 그룹으로 나 어 우선 으로 한국노출계수핸드북(장재연, 2007) 자

료를 사용하 고, 미흡한 국내자료는 미국 환경보호청에서 제시한 Exposure

factors handbook(US EPA, 2011)의 노출계수를 활용하 다. 노출수 자료는

표성과 정확한 노출수 을 확보하기 해서 유해 기측정망 등의 국가측정망

자료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등에서 규모로 수행된 노출실태조사 자료를

우선 으로 확보하 다. 수집된 모든 자료에 해서 결손분석과 신뢰도 평가를

통하여 국내 실정에 부합하고 노출평가에 합한 노출시나리오, 노출수

노출계수 자료만을 스크리닝하여 노출평가에 활용하 다.

(2) 유해성확인 용량 반응 평가

유해성확인 용량 반응평가에 필요한 독성자료는 주로 미국 환경보호청의

통합 해정보 시스템(IRIS, 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 자료와 유럽연

합의 화학물질 데이터베이스(ESIS, European chemical substances information

system) 국가기 에서 발간된 공인보고서를 검토하여 사용하 으며, 독성자

료 역시 신뢰도 평가를 수행하 다. 생태 해성평가에 필요한 독성자료는

ECHA, ECOTOX HSDB 등의 국외 자료를 심으로 수집하여 PBT평가와

ETX2.2 로그램(RIVM, 2004)을 이용하여 종민감도분포평가를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무 향 측농도(PNEC)와 생태계 모든 생물종 민감한 5%의 생물종

이 해를 받을 수 있는 농도(HC5)를 산출하 다.

(3) 노출평가

결정론 방법에 의한 인체노출량 산정은 일반 인 노출수 을 악하기

한 심 경향 노출량 산출(CTE, Central Tendency Exposure) 방법과 보수

근법인 합리 최 노출량 산출(RME, Reasonable Maximum Exposure) 방

법을 사용하 다. 심경향 과 합리 최 노출량 산출에 사용된 노출농도는

산술평균값과 95백분 수를 각각 용하 다. 확률론 방법은 크리스탈볼

로그램(Decisioneering, 2008)의 몬테카를로 시뮬 이션기법을 사용하여 95백분

수 등에 한 노출량을 산정하 다. 생태노출평가는 수생태 토양을 심

Page 10: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Ⅱ. 연구내용 및 방법

4

으로 수행하 으며 최근 3년간 매체별 국가측정망자료 직 모니터링을 수

행한 자료를 활용하여 노출량을 산출하 다.

(4) 해도 결정

인체 해도는 비발암과 발암 해도를 구분하여 제시하 다. 비발암 해도의

경우 시나리오에 따라 산출된 노출량(CTE와 RME)을 비발암 독성참고치로 나

어 유해지수를 산출하 다. 발암 해도의 경우 매체별로 결정된 단 해도

를 바탕으로 과발암 해도를 산출하여 제시하 다. 생태 해도는 무 향

측농도(PNEC)를 도출한 후 노출농도(PEC)와의 비교를 통해 생태 해성을 결

정하 다.

(5) 추가 노출 모니터링

(가) 실내 기 다 이용시설 조사

조사 상은 어린이집, 등학교, 고등학교 사무실 등 4개 국소공간에

하여 총 52개 시료(13개 지 × 4개 국소 공간)를 직 채취한 후 분석하 다.

시료채취는 각 측정지 별로 personal air sampler(MP-∑30N : SIBATA,

GilAir 5 : Gilian)를 사용하여 0.1 ℓ/min의 유속으로 30분 간격 2회 연속 채취

하 다(그림1∼2). 시료채취는 인 지역에 직 인 오염물질 발생원이 없고,

시료채취지 의 앙 에서 바닥면으로부터 1.2 ∼ 1.5 m 높이에서 수행하 으

며, 이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시료채취지 의 모든 벽으로부터 1 m 이상 떨어

지고, 바닥면에서 1.2 ∼ 1.5 m 높이에서 시료를 채취하 다. 채취가 완료된 시

료는 고체흡착 의 마개를 닫고 알루미늄호일로 하여, 분석 까지 4℃ 냉

장보 하 다.

<그림 1> MP-∑30N

<그림 2> GilAir 5

Page 11: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Ⅱ. 연구내용 및 방법

5

(나) 해우려 공단 배출수 주변하천 조사

생태 해성평가를 한 추가모니터링 상 지 선정은 수질측정망 조사지

최근 10년간 테트라클로로에틸 이 검출된 지 과 우리나라 2010년 제조·사

용 등 유통량 자료를 검토하여 구 검단공단을 비롯하여 총 13개 지 을 선정

하 고 6월말부터 10월까지 3회에 걸쳐 모니터링을 수행하 다(표 1). 시료의

분석은 수질공정시험기 과 먹는 물 공정시험기 의 휘발성유기화합물-헤드스

페이스-기체크로마토그래 -질량분석법[ES 04603.2, ES 05601.3]을 기 로 내부

표 물질법과 선택이온(SIM)법을 사용하여 분석하 다(표2∼3).

<표 1> Supplementary sampling sites for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수 계 채수지 비고

낙동강 구3공단, 구검단공단, 왜 공단 3개 지

기 타인천 5,6 공단, 반월공단(1~3), 마산공단,

울산 석유화학공단(1~3), 울산공단(2,3), 온산공단2 11개 지

Descriptions Conditions

가열온도 80℃

가열시간 19 min

주사기 온도 80℃

교반속도 500 rpm

주입속도 500 ㎕/s

<표 2> Headspace conditions for chemical analysis

Descriptions Conditions

Column DB-624 (30 m × 0.25 ㎜ × 1.4 ㎛ )

Detector MS

Carrier Gas and Flow He(99.999%), 1.0 ㎖/min

Injector temp. 210℃

Detector temp. 250℃

GC Temperature Program 40℃ (7min) → 4℃/min → 120℃ (0min)

20℃/min → 200℃ (2min)

<표 3> GC conditions for chemical analysis

Page 12: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Ⅲ. 연구결과 및 고찰

6

Ⅲ. 연구결과 고찰

1. 인체 해성평가

가. 테트라클로로에틸 (PCE)의 물리화학 특성

테트라클로로에틸 은 무색투명의 액체이며 에테르 냄새가 있다. 물에는

조 녹으며, 알코올, 에테르, 클로로포름 등 벤젠 등에 혼합된다. 표 인

물리화학 특성은 끓는 이 121.2℃이고, 녹는 은 -22.0∼22.7℃이며, 비 은

0.015이다(EU RAR, 2005; ICSC, 2012)(표 4).

<표 4>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etrachloroethylene

물리화학 특성

구조식 분자식 C 2C l4

분자량 165.85 끓는 121.2℃

색깔 무색 비 0.015(20℃)

상온 존재형태 액체 증기압 1.9kPa(20℃)

녹는 -22.0∼22.7℃ 증기 도 5.8(공기=1)

도 1.623 g/cm3 옥탄올물분배계수 2.53

인화 - 용해도 ∼149 mg/L

발화 - 유기용매알코올, 에테르,

클로로포름, 벤젠 혼합

나. 환경 배출 특성

(1) 화학물질유통량 배출량

환경부의 2010년도 유독물 업자 실 보고에 의하면 국내 제조량(합성

혼합)은 518톤이며, 수입량 5,760톤, 사용량 1,765톤, 매량 6,397톤 수출량

2,909톤 등 총 유통량은 17,350톤으로 추산된다(표 5). 테트라크로로에틸 의

환경 배출량은 2004년(439톤)을 기 으로 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

Page 13: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Ⅲ. 연구결과 및 고찰

7

으며, 부분 기로 배출된다. 1차 속산업 섬유제품 제조업이 주요배출

업종에 해당된다(그림 3).

<표 5> The amounts of current tetrachloroethylene in Korea(2010)

물질명 제조합성 제조혼합 수입량 사용량 매량 수출량

PCE(톤) 59 459 5,760 1,765 6,397 2,909

<그림 3> The amount of emission of tetrachloroethylene into air

단 : (ton/year)

(2) 생산

테트라클로로에틸 은 보편 으로 로필 (유기 합성제)의 염소화 는

1,2-디클로로에탄의 옥시 염소화 과정에 의해 만들어진다.

(3) 사용

테트라클로로에틸 은 부분 건조 세정(드라이클리닝) 용제와 속을 비롯

한 기타 고형 물질의 세척제로 사용된다. 한 화학 원료 화학 간물질(염

료 간물), 정유공장의 BTX 제조공정 매 활성제로 사용된다. 그 밖에 기타

얼룩, 기름 페인트 등의 제거제, 열 달 물질의 용매 윤활제, 실리콘

고무 코 의 용매로 사용된다. 드라이클리닝 용제로 사용되는 것과 련해

서 ‘09년 기 으로 우리나라의 세탁시설은 33,000여 곳이며, 이 30 kg 이상

의 규모 용량의 공장형 세탁시설로서 기환경보 법상 리 상에 해당되

Page 14: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Ⅲ. 연구결과 및 고찰

8

매체 련 법령 법령에 따른 PCE 분류 환경기

화학물질 유해화학물질 리법 유독물, 취 제한· 지물질

환경정책기본법 -

기환경보 법 특정 기유해물질

다 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리법실내공간오염물질

환경정책기본법하천, 호소 : 0.04 mg/L

해역 : 0.01 mg/L

수질 수생태계

보 에 한 법률특정수질유해물질

먹는물 리법 0.01 mg/L

토양 토양환경보 법

구 분 1지역 2지역 3지역

토양오염우려기 4 mg/kg 4 mg/kg 25 mg/kg

토양오염 책기 12 mg/kg 12 mg/kg 75 mg/kg

폐기물 폐기물 리법 지정폐기물 0.1 mg/L 이상 함유시

는 것은 54개 업소가 있다. 일반 으로 세탁에 사용되는 유기용제에는 테트

라클로로에틸 과 불소계용제 석유계용제가 있는데 유럽에서는 90%이상

이 폐형기계인 테트라클로로에틸 을 사용하고 있는데 반해, 우리나라에서

는 약 95% 이상의 세탁소가 석유계용제를 사용하고 있다(환경부, 2002). 그러

므로 국내 세탁소에서 배출되는 테트라클로로에틸 은 을 것으로 여겨진다.

(4) 리

환경부는「유해화학물질 리법」에 테트라클로로에틸 을 유독물로 지정하

여 수입신고, 업등록을 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테트라클로로에틸 이

를 0.1% 이상 함유한 혼합물질’을 취 제한물질로 지정하여 가정용 세정제

에어로졸 용도로 제조, 수입, 매, 보 , 운반 사용을 지하고 있다(표 6).

<표 6> The domestic laws for management of tetrachloroethylene

다. 노출시나리오

자일 과 에틸벤젠이 인체에 노출되는 주요 경로는 부분 공기호흡을 통한

경로이며, 흡입경로를 제외한 다른 노출경로로서 음용수 섭취를 노출시나리오에

추가하 다. 샤워에 의한 경피 노출과 음식물 섭취 경로는 국내자료의 제한성

과 극히 미량만이 인체에 노출되므로 본 노출시나리오에서 제외하 다. 따라서

흡입경로는 주요 이용공간을 심으로 세 하게 시나리오를 작성하 다. 실내

Page 15: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Ⅲ. 연구결과 및 고찰

9

의 경우 모든 연령 에 공통으로 해당하는 집안과 연령 별로 이용률이 다른

학교와 사무실 등 주요 다 이용시설을 선정하 다(표 7). 음용수 섭취 경로는

상수도 등 먹는 물과 음용이 가능한 지하수 섭취가 노출 시나리오에 포함되었다.

<표 7> Summary of exposure scenarios

노출

경로상매체

․유아

(0-2세)

미취학

(3-7세)

취학아동

(8-13세)

청소년

(14-19세)

성 인

(20세>)

흡입 기

실 외

도로변 ○ ○ ○ ○

주거지역 ○ ○ ○ ○

산단지역 ○

실 내

활 동

공 간

집 안 ○ ○ ○ ○ ○

사무실 ○

등학교 ○ ○

고등학교 ○

어린이집

경구

(섭취)물

먹는물(상수도) ○ ○ ○ ○ ○

지하수 ○ ○ ○ ○ ○

라. 노출계수 노출알고리즘

노출계수는 한국노출계수핸드북(장재연 등 2007)에서 제시하고 있는 값을 주

로 용하 다. 를 들어 20세 이상 성인호흡률의 경우 집안에서는 남녀 평균

값인 14.25 m3/day를 용하 으며, 사무실은 활동양상별 평균호흡률 표에서

제시하고 있는 분류 “일”에 해당하는 남녀 평균 호흡율 16.0 m3/day을 표

값으로 하 다. 음용수 섭취량의 경우 2세미만 유아는 하루 0.5리터, 성인은

1.5리터 등 연령 별로 음용수 섭취량을 달리 용하 다. 그러나 유아, 어린

이 청소년 호흡률의 경우 국내 노출계수자료가 없어, 미국환경청(EPA)의 최

신 노출계수자료를 이용하 다(US EPA 2011)(표 8). 연령별 주요활동공간별 생

활시간양상은 2010년 통계청 자료를 활용하 으며, 를 들어 어린이와 청소년

이 학교에서 생활하는 시간은 일평균 각각 215분과 346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2010)(표 9). 노출알고리즘은 흡입 경구(섭취)경로에 한 노출모형

Page 16: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0

상매체

연령군별 노출시간(min/day)

유아(0-2세)

미취학아동(3-7세)

취학아동(8-13세)

청소년(14-19세)

성인(20세이상)

실외 국 14 43 18 12 12

도로변 - - 25 20 31

실내 

 

집안 1426 876 911 783 901

어린이집 - 564 - - -

학교 - - 215 346 -

사무실 - - - - 213

※ 자료출처

- 성인 : 장재연 등(2007) 한국노출계수핸드북

- 유아, 미취학아동, 청소년 : EPA(2011) Exposure factors handbook

을 활용하 다.

<표 8> Exposure parameters according to age-groups

  유아

(0-2세)

미취학

아동

(3-7세)

취학아동

(8-13세)

청소년

(14-19세)

성인

(20세

이상)

체 (kg) 9.12 18.99 37.83 58 62.8

먹는물 섭취량

(L/day)0.5 0.6 0.8 1.3 1.5

호흡률(m3/day) 6.7 10.1 12 16.3 1)

성인집단의 활동공간별 호흡률

- 실외: 도로변(20.7), 도로변 외(22.6), - 실내: 집안, 사무실(16)

※ 자료출처

- 성인 : 장재연 등(2007) 한국노출계수핸드북

- 유아, 미취학아동, 청소년 : EPA(2011) Exposure factors handbook

<표 9> Exposure time according to age-groups and microenvironments

Page 17: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1

<표 10> Summary of exposure model & algorithm

노출

경로노출모형(알고리즘) Parameter

흡입

××××

× ××××

ADD: 일일평균 노출량(mg/kg/day)

CA: 공기 유해화학물질농도(㎍/㎥)

IRinh: 호흡률 (m3/day)

ET: 노출 시간 (min/day)

EF: 노출 빈도 (days/year)

ED: 노출 기간 (years)

BW: 체 (kg)

AT: 평균 시간 (days)

ABSair-inhal: 흡수율(0.6)

경구

(섭취)

×

× ××

ADD: 일일평균 노출량(mg/kg/day)

CW: 물 유해화학물질농도(mg/L)

IRw: 먹는물 섭취량 (L/day)

EF: 노출 빈도 (days/year)

ED: 노출 기간 (years)

BW: 체 (kg)

AT: 평균시간 (days)

Source: US EPA, 1989, Risk assessment guidance for superfund volume I-Human

health evaluation manual(Part A)

마. 매체별 농도수

실외 기의 경우 최근 3년간 환경부 유해 기측정망(‘08-’10)에서 측정된

국 592개 지 자료를 활용하 으며, 세부 으로 도로변, 주거단지 산업단

지로 구분하 다. 국의 경우 테트라클로로에틸 평균농도는 0.027 ㎍/㎥

이었으며, 95백분 수 값은 0.126 ㎍/㎥을 나타내었다(표 11). 실내공간에서의

테트라클로로에틸 값은 아 트 상으로 측정된 자료에 의하면 평균 0.34

㎍/㎥(최 11.07) 값으로 나타났다. 그 외 사무실 등 다 이용시설의 경우

국내 측정 자료가 없어 직 추가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측정한 값을 사용하

다(표 12). 조사 상은 연령별 어린이집, 등학교, 고등학교 사무실 등

4개 국소공간에 하여 총 52개 시료(13개 지 ×4개 국소 공간)를 분석하

으나, 조사된 지 에 해서 테트라클로로에틸 이 검출되지 않았다. 지하

수의 경우 최근 3년간 지하수측정망 2,628개 가운데 35개 지 에서만 테트라

클로로에틸 이 검출되었고 수돗물은 1,404개 모두에서 불검출로 나타났다.

Page 18: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표

11>

Exp

osu

re l

evel

of

tetr

ach

loro

eth

yle

ne

in t

he

ou

tdo

or,

in

do

or

air

and

dri

nk

ing

wat

er

분자

료수

(검출

)

물질

간값

산술

평균

표 편차

95백

분수

최최

실외

국5

92(3

25)

PC

E㎍

/㎥

0.0

020

0.

027

0 0

.08

80

0.1

260

1.

216

0 0

.00

00

실외

도로

변(

체)

94(6

4)P

CE

㎍/㎥

0.0

100

0.

036

0 0

.06

50

0.1

780

0.

318

0 0

.00

00

실외

도로

변(검

출)

64

PC

E㎍

/㎥

0.0

200

0.

051

0 0

.07

20

0.2

100

0.31

80

0.0

006

실외

주거

지역

(체

)3

00(1

56)

PC

E㎍

/㎥

0.0

010

0.

020

0 0

.00

30

0.1

080

0.53

20

0.0

000

실외

주거

지역

(검출

)15

6P

CE

㎍/㎥

0.0

130

0.

039

0 0

.07

80

0.1

690

0.53

20

0.0

005

실외

산업

단지

(체

)1

98(1

03)

PC

E㎍

/㎥

0.0

010

0.

032

0 0

.12

50

0.1

330

1.21

60

0.0

000

실외

산업

단지

(검출

)10

3P

CE

㎍/㎥

0.0

160

0.

062

0 0

.16

80

0.1

710

1.21

60

0.0

006

실외

배경

농도

78

PC

E㎍

/㎥

0.0

000

0.

004

0 0

.01

50

0.0

130

0.

093

0 0

.00

00

실내

아트

400

P

CE

㎍/㎥

0.0

700

0.

340

0 1

.30

00

-11

.070

0 0

.07

00

지하

수오

염우

려지

역(

체)

101

5(2

6)

PC

Em

g/

L0.

000

0

0.00

02

0.0

018

0.

000

0

0.04

00

0.0

000

지하

수오

염우

려지

역(검

출)

26

PC

Em

g/

L0.

005

0

0.00

70

0.0

089

0.

005

0

0.04

00

0.0

010

지하

수일

반지

역(

체)

1613

(9)

PC

Em

g/

L0.

000

0

0.00

00

0.0

002

0.

000

0

0.00

70

0.0

000

지하

수일

반지

역(검

출)

9P

CE

mg

/L

0.0

010

0.

002

2 0

.00

20

0.0

230

0.00

70

0.0

010

상수

도수

돗물

1404

P

CE

mg

/L

ND

ND

ND

ND

ND

ND

※ 참

고문

: 환

경부

유해

기측

정망

결과

(200

8∼20

10)

, 주

거공

간별

내공

기질

방안

구(2

009,

학원

), 환

경부

지하

측정

망운

결과

(200

8∼20

10)

, 서

울시

등 6

역시

수돗

물 품

질보

고서

(200

9∼20

11)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2

Page 19: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3

<표 12> Supplementary indoor air monitoring at the public facility.

어린이집(13) 등학교(13) 고등학교(13) 사무실(13)

PCE (㎍/㎥) 0.0 0.0 0.0 0.0

시) 추가모니터링(기타, 학교, 사무실 생략)

구분 N 측정일 시설명칭 측정지 층수PCE

(㎍/㎥)

어린이집

1 09월 14일 경기도청어린이집 롱1반 2층 0.0

2 09월 18일 선인어린이집 열매반 2층 0.0

3 09월 20일 상록구청어린이집 고운별반 2층 0.0

4 10월 05일 아이림어린이집 새들반 1층 0.0

5 10월 08일 코끼리어린이집 수보리반 2층 0.0

6 10월 09일 은빛나무어린이집 보라단비반 2층 0.0

7 10월 09일 리라어린이집 호박반 1층 0.0

8 10월 10일 강화군립어린이집 하늘구름반 2층 0.0

9 10월 11일 수표교어린이집 푸른바다반 2층 0.0

10 10월 17일 세종어린이집 큰산반 1층 0.0

11 10월 18일 시립이동어린이집 해오름반 1층 0.0

12 10월 19일 참뜰어린이집 별꽃반 2층 0.0

13 10월 19일 월곶자연어린이집 해찬솔반 1층 0.0

바. 자료신뢰도 평가

노출계수의 경우 국내에서 조사된 노출계수핸드북 최신자료를 활용하 기

때문에 반 으로 자료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인을 제외

한 유아, 어린이 청소년 호흡률은 미국 환경청 자료를 인용하 으므로

활동공간별 호흡률 용에 있어서 제한 이 존재하 다(표 13).

연령별 시간활동양상의 경우는 최신 통계청자료(2010)를 용하 기 때문에

신뢰성이 매우 높았다. 그러나 통계청조사는 일반 으로 10세 이상이 조사

상이므로 유아와 미취학아동에 한 자료가 없다. 그러므로 유아와 미

Page 20: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4

취학아동의 실외활동시간을 구하기 하여 최근 보고서(국립환경과학원 2010a)

를 참고하여 실외활동시간을 각각 3%와 1%로 가정하는 등 일부 연령층 상

시간활동양상자료에서 신뢰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출수 자료의 경우 실외 기와 음용수자료는 국가측정망과 지자체 자료

를 활용하여 신뢰도가 높았다. 그러나 실내 활동공간 사무실, 학원 어

린이집의 실내공간에서 조사된 국내 자료가 없어 수도권을 심으로 추가 모

니터링을 수행하 으나, 시료수 표성이 다소 부족하 다(표 14).

<표 13> Results of reliability test for selected exposure factors

노출경로

구 분 표성

최신성

비 고신뢰성

자료출처

흡 입 호흡율 ○ ○성인은 국내노출계수 인용

기타연령군은 외국자료 인용△

환경부(2007)

USEPA(2011)

경 구음용수

섭취율○ ○ 국내노출자료 인용 ○ 환경부(2007)

○: 국내자료가 있거나 외국자료도 국내 연구목 에 합할 경우

△: 국내자료가 빈약하거나 연구목 에 합하지는 않지만 국외 자료만을 인용해야 할 경우

<표 14> Results of reliability test for selected exposure data

노출매체 구 분분석법 신뢰성

재 성시료수

성표본 표성

비 고

자연환경매체

기 ○ ○ ○ ○ 국가측정망

하천 ○ ○ ○ ○ 국가측정망

호소 ○ ○ ○ ○ 국가측정망

공단배수 ○ ○ ○ ○ 국가측정망

토양 ○ ○ ○ ○ 국가측정망

수돗물 ○ ○ ○ ○ 지자체보고서

지하수 ○ ○ ○ ○ 국가측정망

생활환경매체

집 안 ○ ○ ○ ○ 국가보고서

어린이집 ○ ○ △ △ 직 모니터링

학 교 ○ ○ △ △ 직 모니터링

사무실 ○ ○ △ △ 직 모니터링

○: 국내자료가 있거나 외국자료도 국내 연구목 에 합할 경우

△: 국내자료가 빈약하거나 연구목 에 합하지는 않지만 국외 자료만을 인용해야 할 경우

Page 21: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5

사. 유해성 확인

(1) 독성동태, 사 분포

테트라클로로에틸 은 흡입, 경구 경피 노출을 통해 쉽게 체내로 흡수

된다(NICNAS, 2001). 인체 실험에서 흡입과 경피를 통해 동시에 노출시켰을

때, 흡입을 통해서 99% 이상이 체내에 흡수되었다(Riihimäki & Pfäffli, 1978).

체내로 흡수된 테트라클로로에틸 은 높은 지방 친화성을 갖고 있어서 주로

지방 조직에 분포하며, 반감기는 55시간으로 추정된다. 그 밖에도 인간과 동

물의 모유, 태반 태아에도 분포된다(NICNAS, 2001). 체내에 흡수된 테트

라클로로에틸 은 부분(97∼97% 이상) 폐를 통해 변화되지 않고 호기 상태

에서 배출된다(ATSDR, 1997). 그 1-3% 미만의 테트라클로로에틸 은 간에

서 Cytochrome P-450 시스템을 통해 산화 사산물인 트리클로로 산으로

사되며, 소변을 통하여 배출되기도 한다(NICNAS, 2001). 설치류의 경우 인

간 보다 더 많은 양의 테트라클로로에틸 이 동일한 사작용을 통해서 배출

된다(NICNAS, 2001)(그림 3).

<그림 3> 테트라클로로에틸 의 주요 사경로

Page 22: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6

(2) 성독성

인체에 테트라클로로에틸 이 농도(100 ppm)로 성흡입을 통해 노출되

면 기증, 기분 변화, 두통 메스꺼움의 증상이 유발되며, 고농도(2,000

ppm 이상)로 노출될 경우에는 의식불명, 혼수상태, 발작 사망에까지 이르

게 된다(NICNAS, 2001).

랫드와 마우스에 6시간 흡입노출 시 반수치사농도(Lathal Concentration

50%, LC50)는 각각 28,000 mg/m3(Bonnet et al., 1980), 21,000

mg/m3(Duprat & Bonnet, 1979)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일반증상으로는 활동

하, 운동실조 마취상태가 찰되었으며(NTP, 1986), 주요 독성 향은

추신경계의 기능 하(OECD, 1996)와 간 독성(조직 변화와 기능장애)이다

(WHO, 2006). 암수 랫드를 이용한 성 경구독성의 반수치사량(Lathal Dose,

50%, LD50)은 각각 3,005 3,835 mg/kg bw으로, 미진과 운동실조 증상을

비롯하여 추신경계 기능 하 등의 성 향이 찰되었다(Hayes et al.,

1986). 성 경피독성을 평가한 연구 결과는 없었다.

(3) 자극/부식성

인체 역학자료와 동물 실험결과에 따르면 테트라클로로에틸 은 피부와 호

흡기도에 자극성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OECD, 1996). 인체 호흡기

자극성은 216 ppm 이상에서 찰되었으며(NICNAS, 2001), 안 인후 자극

성은 100 ppm(678 mg/m3)의 농도에서 찰되었다.(Stewart et al., 1970).

(4) 아 성/만성독성

흡입을 통한 테트라클로로에틸 의 아 성 시험 결과 6,000 mg/m3의 농도

에서 지방 세포질의 간세포 액포형성, 12,000 mg/m3의 농도에서는 호흡곤란,

활동 하 마취상태를 동반한 사망이 찰되었으며(NTP, 1986), 경구시험은

25 mg/kg의 농도에서 간 해독효소(Cytochrome-P450)의 증가가 보고되었다

(Kaemmerer et al., 1982). 마우스를 상으로 한 연구결과, 간 트리 리세리드의

수치가 상승하 으며 간 무게/체 의 비가 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고농도에서는 간세포 속에 들어있는 효소(serum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SGPT) 상승, 구를 조 하는 필수 효소(glucose

Page 23: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7

6-phosphate, G6P) 감소 간세포 괴사, 변성 등 간 독성 향이 찰되었다

(IRIS, 1988).

경구를 통한 설치류의 만성 시험 결과 500∼1,000 mg/kg bw의 농도에서

신장 손상, 지방 변질 상피 괴사가 보고되었으며(NCI 1997), 흡입 시험은

신장 질환과 련된 사망이 보고되었다(Rampy et al., 1978).

(5) 생식/발달독성

랫드를 이용한 2세 생식 독성 시험에서 7,000 mg/m3 용량으로 노출시킨

결과, 부모세 (암컷)와 차세 의 독성 향이 찰되었고 부모세 (수컷)의 독

성 향은 찰되지 않았다. 부모세 (암컷)에서 신경독성 신장독성

(Tinston, 1995)이 보고되었고, 기형발생 향은 증거자료가 불충분한 상태이

다(Schwetz et al., 1975). 차세 에서는 고환의 무게 감소 Open field 동물

행동 찰시험에서 과도한 활동 증상이 찰되었다(Nelson et al., 1980).

테트라클로로에틸 이 세탁소에서 근무하는 여성 근로자들에게 노출되었을

때 지속 인 자연유산율의 증가가 찰되었지만 사산, 체 선천성기형

등의 증거자료는 불충분한 상태이다(IARC, 1995).

(6) 신경독성

성인을 상으로 테트라클로로에틸 690 mg/m3을 흡입 경로를 통해 5일

동안 7시간씩 지속 으로 노출시킨 후 롬베르크 검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

면, 지능이 약간 퇴보되었고 약간의 어지러움과 두뇌 활동을 방해하는 증상

이 찰되었다(Stewart et al., 1970). 한 운동 신경의 유의 감소 피질

억제 상이 나타났으며, 1,000 mg/m3 농도에서는 Vigilance 수행 시험 결과

주의력 결핍이 찰되었다(Hake&Stewart, 1997).

테트라클로로에틸 12∼16 g이 경구를 통해 유입된 6세 남아의 경우, 의

식이 몽롱한 상태에서 악화되어 혼수상태를 보 다. 그 외에도 졸림,

기증, 불안 환각증상이 찰되었다(Koppel et al., 1985)

(7) 유 독성

테트라클로로에틸 을 사용하는 세탁소의 근로자를 상으로 연구한 결과

Page 24: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8

에 따르면 144∼348 mg/m3

농도에 노출된 근로자들에게서 일반 사무직 근

로자들 보다 림 구의 염색체 이상이 두 배 높게 발생하 고 세포에서 이동

원체 염색체가 확인되었지만(Fender, 1993), 69 mg/m3

농도에 노출된 근로자

의 경우에는 림 구에서 염색체 이상 자매 염색분체 교환이 발생하지 않

았다(Böttger & Elstermeier, 1989). 산화 DNA 손상 여부에 한 증거 자료는

불충분한 상태이다(Toraason et al., 2003).

랫드의 골수를 이용한 생체 내(in vivo) 시험 결과에 따르면 염색체 이상은

찰되지 않았으며(Murakiami & Horikawa, 1995), 마우스에서는 유 자 변

환 유 자 돌연변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수컷 랫드에 단기 경구 투여한

연구 결과에서도 산화 DNA 손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림 종(L5178Y)을 상

으로 한 시험 내(in vitro) 돌연변이원성 시험에서는 활성 사효소계의 존재

유무와 계없이 음성으로 나타났다(NTP, 1986). 포유류의 세포에서 유 돌

연변이, 염색체 이상, 자매 염색분체 교환 DNA 손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IARC, 1995).

(8) 발암성

테트라클로로에틸 은 미국환경보호청(USEPA IRIS)에서 ‘Likely to be

carcinogenic to humans'로 분류한 물질이다. 한 국제암연구센터(IARC)는

’2A' 등 으로 분류한 ‘인간 발암성 우려 물질’, 미국 산업 생사 회

(ACGIH)는 ‘A3' 등 으로 분류한’ 인간 발암성과 련성은 알려지지 않았으

나 동물 발암이 확인된 물질‘로 분류되어 있다. 동물 시험자료에 따르면 테트

라클로로에틸 은 발암성 물질로 경구 투여 시 마우스에서 간세포암, 흡입

투여 시 마우스에 간세포 선종 상피성 암, 렛드에서는 단핵세포 백 병,

신장 종양, 세뇨 세포선종 선암종이 보고되어있다(IARC, 1995; OECD,

1996). 동물 시험을 통한 테트라클로로에틸 의 발암성 증거 자료는 충분 한

반면, 인간에 한 증거는 자료는 제한 인 수 이다(IARC, 1995).

(9) 역학연구

코호트 연구에 따르면 테트라크로로에틸 과 식도암 발병이 유의성을 나타

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암을 유발하는 표 인 요소인

Page 25: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9

흡연 음주 소비가 고려되지 않은 결과이다. 한 국제암연구센터의 역학

조사 결과에 따르면, 테트라클로로에틸 은 자궁암 비호지킨 림 종 발병

해성간에 상 성이 있다고 보고되었다(IARC, 1995).

아. 노출량-반응평가

테트라클로로에틸 의 노출량-반응평가는 U.S. EPA IRIS(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의 게재정보를 이용하 다. 이 사항은 해성평가지침(환

경부 2010) 제8조 2항에도 규정되어 있다(지침 8조2항 :「이용할 수 있는 기존

의 노출량-반응평가 자료가 충분할 경우에는 그 결과를 인용 할 수 있으며,

U.S. EPA IRIS의 게재정보 등을 근거로 최신독성평가기술을 용하여 산출된

자료를 용할 수 있다」).

(1) 비발암 향

IRIS에 게재된 테트라클로로에틸 의 만성경구독성참고치(RfD)는 0.006

mg/kg-day이었으며 만성흡입독성참고치(RfC)값은 0.04 mg/m3

이었다(표 15).

<표 15> Reference values of tetrachloroethylene for oral & inhalation exposure

Critical Effect Point of Departure UF RfD

Multiple Multiple Multiple 0.006 mg/kg-day

Neurotoxicity

(reaction time, cognitive effects)

LOAEL: 9.7

mg/kg-day1,000

candidate RfD=

0.0097 mg/kg-day

Neurotoxicity

(color vision)

LOAEL: 2.6

mg/kg-day1,000

candidate RfD=

0.0026 mg/kg-day

Critical Effect Point of Departure UF RfC

Multiple Multiple Multiple 0.04 mg/m3

Neurotoxicity

(reaction time, cognitive effects)LOAEL: 56 mg/m3 1,000

candidate RfC=

0.056 mg/kg-day

Neurotoxicity

(color vision)LOAEL: 15 mg/m3 1,000

candidate RfC=

0.015 mg/kg-day

Page 26: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0

(2) 발암 향

IRIS에 게재된 테트라클로로에틸 의 먹는 물과 흡입단 해도는 각각

6.1×10-8 per ㎍/L와 2.6×10-7 per ㎍/㎥이었다(표 16).

<표 16> Unit risk of tetrachloroethylene for oral & inhalation exposure

Oral Slope

Factor(s)

먹는물

단 해도

흡입단

해도비 고

2.1×10-3

per

mg/kg-day

6.1×10-8

per

㎍/L

2.6×10-7

per

㎍/㎥

US EPA IRIS(2012)

Extrapolation Method

-Chiu and Ginsberg(2011)

자. 노출평가

(1) 결정론 방법에 의한 노출평가

테트라클로로에틸 노출량 평가결과 연령이 낮을수록 노출량이 많았으며,

활동공간별로는 집안 실내공간에서 호흡을 통해 가장 많은 양이 인체에 노출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밖 실외 공간에서의 호흡과 용수 섭취를 통한 노출기여

도는 1%미만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구분된 집단노출평가결과는 2세미만의 유아 집단에서

RME(Resasonable Maximam Exposure)값 용 시 총노출량이 0.00485

mg/kg-day로 가장 많은 노출량을 보여주었으며, 성인이 0.00095 mg/kg-day로

연령별 집단 에서 가장 은 노출량을 보여주었다. 그 외 미취학아동은

0.00216 mg/kg-day, 취학아동은 0.00134 mg/kg-day, 청소년은 0.00102

mg/kg-day의 노출량 분포를 나타내었다. 연령별로 CTE(Central Tendancy

Exposure)값 용시에도 유아(0.00017 mg/kg-day), 미취학아동(0.00008

mg/kg-day), 취학아동(0.00005 mg/kg-day), 청소년(0.00004 mg/kg-day), 성인

(0.00004 mg/kg-day) 순서의 노출량 분포를 나타내었다(표 17).

활동공간별로 테트라클로로에틸 이 인체에 가장 많이 노출 되는 곳은 집안

실내 공간 이었으며 연령집단별로 총 노출량의 99%(CTE 용시 75.1%∼

87.1%)이상을 차지하 다. 기타 실내공간에서의 노출기여도는 인 노출기

Page 27: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1

여도가 아닌 상 인 노출기여도임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집을 제

외한 부분 실내공간에서 테트라클로로에틸 이 불검출되었고 이 경우 방법

검출한계의 반값을 활용하여 노출값을 계산하 기 때문이다.

도로변과 운동장, 놀이터 등 실외에서 공기 호흡을 통한 테트라클로로에틸

노출기여도는 모든 연령층에서 0.1%(CTE 용시 0.1∼0.4%)의 범 로 노출기

여도가 매우 작게 나타났다. 상수도 등 음용수를 섭취시의 노출기여도 역시 집

안을 제외한 다른 실내공간에서처럼 방법검출한계의 반값을 활용하여 노출

값을 계산하 기 때문에 인 노출기여도가 아닌 상 인 노출기여도임

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Page 28: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표

17>

T

he

resu

lts

of

exp

osu

re

asse

ssm

ent

of

tetr

ach

loro

eth

yle

ne

by

det

erm

inis

tic

app

roac

h

  

  

CT

E /

RM

E (

mg

/k

g/

day

)

노출

경로 

매체 

   

세부

장소 

용값

/유

(0-2

세)

미취

학아

(3-7

세)

취학

아동

(8-1

3세

)

청소

(14-

19세

)

성 인

(20세

이상

)

흡입 

기 

실 외 

도로

변C

TE

00

1.18

953

E-0

78.

431

03E

-08

5.9

331

2E

-08

RM

E0

05.

881

58E

-07

4.1

686

8E-0

72.

933

6E-0

7

도로

변외

CT

E8.

570

91E

-08

1.9

058

3E

-07

4.75

813

E-0

82.

810

34E

-08

1.4

9E

-07

RM

E4.

628

29E

-07

1.02

91E

-06

2.56

939

E-0

71.

517

59E

-07

6.1

823

1E

-07

  

실 내

안C

TE

1.4

841

1E-0

46

.60

037

E-0

54.

093

84E

-05

3.1

173

8E-0

52

.89

633

E-0

5

RM

E4.

628

29E

-07

1.02

91E

-06

8.45

096

E-0

75.

686

26E

-07

9.1

159

1E

-07

  

어린

이집

CT

E0

3.3

746

4E

-07

00

0

RM

E4

.83

21E

-03

2.1

49E

-03

1.33

290

E-0

31.

014

98E

-03

9.43

01E

-04

  

등학

교C

TE

00

7.67

248

E-0

80

0

RM

E0

3.37

46E

-07

00

0

  

고등

학교

CT

E0

00

1.0

939

3E-0

70

RM

E0

07.

672

48E

-08

00

  

 사

무실

CT

E0

00

06.

105

1E-0

8

RM

E0

00

01.

093

93E

-07 0

섭취

물 

먹는

물C

TE

2.1

929

8E-0

51

.26

382

E-0

58.

458

9E

-06

8.9

655

2E-0

69

.55

414

E-0

6

RM

E2.

192

98E

-05

1.2

638

2E

-05

8.4

589

E-0

68.

965

52E

-06

9.5

541

4E

-06

  

총노

출량

CT

E1.

704

27E

-04

7.9

17E

-05

4.96

406

E-0

54.

024

87E

-05

3.8

578

5E

-05

RM

E4.

854

03E

-03

2.1

62E

-03

1.3

414

E-0

31.

024

06E

-03

9.52

63E

-04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2

Page 29: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3

2) 확률론 노출평가

테트라클로로에틸 에 한 확률론 노출평가결과는 결정론 평가결과와

부분 동일하게 연령이 낮을수록 노출량이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가장

노출량이 많은 집단은 결정론 평가 결과와 달리 유아 연령층이 아니라 청

소년연령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공간별로는 집안 실내공간에서 호흡을 통

해 가장 많은 양이 인체에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집밖의 실외 공간에

서의 호흡 음용수 섭취를 통한 노출기여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노출수 을 간값에서 95백분 수 범 의 값을 용한 경우, 청소년연령층

은 0.00093∼0.00291 mg/kg-day의 범 으며, 성인연령층은 0.00002∼0.00013

mg/kg-day의 범 를 보여주었다. 그 외 미취학아동은 0.00003∼0.00028

mg/kg-day이었고, 취학아동은 0.00001∼0.00016 mg/kg-day의 범 를 나타내

었다. 그리고 유아 연령층은 0.00006∼0.00057 mg/kg-day의 노출량 분포를

나타내었다(그림 4).

Page 30: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4

/유아

(0-2세)

미취학아동

(3-7세)

취학아동

(8-13세)

청소년

(14-19)

성 인

(20세 이상)

총 해도

(유해지수)

CTE 0.00878 0.00527 0.00458 0.00434 0.00423

RME 0.17028 0.10446 0.10395 0.09378 0.08733

<그림 4> The results of exposure assessment of tetrachloroethylene by

probabilistic approach

차. 해도 결정

(1) 비발암 해도

테트라클로로에틸 에 한 인체 해도를 결정하기 해 CTE와 RME 값

각각에 해 얻어진 노출량을 가지고 비발암 해도(유해지수)를 산정한 결과

모든 연령층에서 유해지수가 1이하로서 해우려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CTE 값이 용된 경우에는 유아 연령층을 포함한 5개 연령층의 유해지수

값이 0.004∼0.009 범 으며 유아 연령층이 0.009로 가장 높았고 성인 연령

층이 0.004로 가장 낮았다. RME 값이 용된 경우에는 유해지수가 연령층별로

0.087∼0.170의 범 를 나타내었고 유아 연령층이 0.170를 나타내어 가장 높

은 값을 보여주었다(표 18).

<표 18> Risk characterisation(HI) of the human health on the tetrachloroethylene

Page 31: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5

/유아

(0-2세)

미취학아동

(3-7세)

취학아동

(8-13세)

청소년

(14-19)

성 인

(20세 이상)

과발암

해도

(CTE)

호흡

( 기)4×10-11 2×10-11 1×10-11 8×10-12 8×10-12

경구

(수질)2×10-8 2×10-8 2×10-8 2×10-8 2×10-8

과발암

해도

(RME)

호흡

( 기)1×10-9 6×10-10 3×10-10 3×10-10 2×10-10

경구

(수질)2×10-8 2×10-8 2×10-8 2×10-8 2×10-8

(2) 발암 해도

테트라클로로에틸 에 한 발암 해도를 결정하기 해 CTE와 RME 값 각

각에 해 얻어진 노출량을 가지고 과발암 해도를 산정한 결과 모든 연령층

에서 8×10-12∼2×10-8 범 를 보여주어 해우려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9).

<표 19> Risk characterisatioin(ECR) of the human health on the tetrachloroethylene

2. 생태 해성평가

가. 매체별 생태계 노출수

테트라클로로에틸 에 한 하천(호소) 공단배수에 한 노출농도는 매

우 낮은 수 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09∼’11년) 환경부 수질측정망

하천(호소)수 1,036지 단지 1개 지 에서 1 ㎍/L의 미량이 검출되었다.

한 수질측정망에 포함된 공단 배출수 역시 총 206개 지 에서 2개 지 을

제외한 부분 지 에서 불검출 되었으며 최고 검출농도도 3 ㎍/L 으로 낮

은 값이었다. ‘02년 해성평가 시 해우려가 높게 나타난 지역 최근 10

년간 노출우려 지역을 심으로 추가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 역시 총 61개

시료 공단 배출수 1곳만이 3 ㎍/L로 나타나, 국내 하천 호소에서의 테

트라클로로에틸 에의한 오염우려는 거의 없는 것으로 단되었다(표 20).

테트라클로로에틸 의 토양생태계에서의 노출수 은 국토양측정망 자료

만을 검토했을 경우 최근 3년간(‘08∼’11년) 571개 지 모두 불검출로 확인되

는 등 일반 으로 국내 토양은 테트라클로로에틸 으로 인한 오염이 없는 것

Page 32: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6

으로 나타났다(표 20). 물론 군기지와 같이 토양측정망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테트라클로로에틸 으로 인한 오염이 우려되는 지 은 본 연구에서 제외하

기 때문에 별도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단된다.

<표 20> Exposure level of tetrachloroethylene in the river, lake and soil

매체구 분

자료수

(검출)

물질단

산술

평균

편차

95백분

수최 최소

수생태 하 천 국 604(1) PCE ㎍/L - - - - 1.0 ND

수생태하 천

(추가)국 20(0) PCE ㎍/L ND ND ND ND ND ND

수생태 호 소 국 432(0) PCE ㎍/L ND ND ND ND ND ND

수생태 공 단 국 206(2) PCE ㎍/L - - - - 3.0 ND

수생태공 단

(추가)국 41(1) PCE ㎍/L - - - - 3.0 ND

토 양 토 양 국 571(0) PCE ㎍/L ND ND ND ND ND ND

나. 자료결손 분석 신뢰도 평가

테트라클로로에틸 의 수생태계와 토양에서의 해성을 알아보기 해 사

용한 환경 노출수 은 국가수질과 토양측정망자료를 주로 활용하 으므로

자료의 신뢰도는 높았다. 생태 향을 평가하기 한 생물분류군별 생태독성

자료도 국제 으로 통용되는 국외 생태독성 데이터베이스(ECHA, HSDB, EC

OTOX)를 활용하 으므로 신뢰도가 높았다. 그러나 자료결손분석결과 과거

생태 해우려지역을 심으로 추가조사 자료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 유해성 확인

테트라클로로에틸 에 한 어류(Jordanella floridae) 28일 만성시험결과 무

향 찰농도(NOEC)가 2.3 mg/L이었으며(Smith et al., 1991), 물벼룩(Daphni

a magna) 28일 만성시험에서는 0.51 mg/L로 나타났다(Richter et al., 1983).

그리고 조류(Chlamlydomonas reinhardii)에 한 72시간 시험에서는 EC50 값이

Page 33: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7

3.64 mg/L이었다(Brack & Rottler, 1995). 토양생물에 한 생태 향자료의

경우 육상식물인 Avenaa sativa 무 향 찰농도 값(16일 시험)이 1 mg/kg정

도 다(Bauer & Dietze, 1992). 그러나 가장 민감한 향이 나타난 생물은

질산화과정에 여하는 토양박테리아에서 NOEC 값이 0.1 mg/kg(wet)로 낮

게 나타났다(Vonk et al., 1986)(표 22∼24).

테트라클로로에틸 에 한 PBT(Persistent, Bioaccumulative, Toxic)평가를

수행한 결과 생물농축계수(BCF)값이 모두 50이하로서 환경잔류성(Persistent)

과 생물축 성(Bioaccumulative) 생물확장성(Biomagnification)이 없어 이

차독성을 제외한 일반생태독성만 고려하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21). 일

반 으로 유해성확인을 한 기 으로 많이 수행되는 PBT평가에서는 담수에

서 반감기가 40일 이상, 담수퇴 물에서 반감기가 120일 이상이면 환경잔류

성이 있는 것으로 단한다. 그리고 생물농축계수가 2000 이상인 경우에는

생물축 성이 있으며, 만성 무 향 찰농도(NOEC) 값이 0.01 mg/L 이하이

거나 내분비계장애 향이 있을 경우 독성이 큰 것으로 고려할 수 있다.

<표 21> Result of PBT evaluation to tetrachloroethylene

물 질*PBT 평가 생태 향분류 종합 결과

테트라

클로로

에틸

P (유기화합물) (유기화합물) -

유기독성물질로서

일반생태독성만 고려함B

어류 BCF =

39∼49생물확 성 없음

T만성 NOEC 값 0.01 mg/L 이상 이차독성 없음

*PBT : Persistent, B : Bioaccumulative, T : Toxic

Page 34: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8

<표 22> Acute effect of tetrachloroethylene on aquatic organism

Taxon SpeciesEnd point/

durationToxicity value

(mg/L)Reference

Fish

Jordanella floridae(American flagfish)

LC50/96h 8.4(m) Smith et al., 1991

Pimephales promelas(Fathead minnow)

LC50/96h 13.4(m)Wakeham et al.,

1983

Oncorhynchus mykiss(Rainbow trout)

LC50/96h 5.0(m) Shubat et al., 1982

Macrochirus(Bluegill Lepomis)

LC50/96h 13(n)Buccafusco et al.,

1981

Oryzias latipes(Killifish)

LC50/48h 1.6Yoshioka et al.,

1986

Leuciscus idus(Golden orfe)

LC50/96h 130(m) Knie et al., 1983

Limanda limandaDab

LC50/96h 5(m)Pearson &

McConnell, 1975

Cyprinodon variegatusSheepshead minnow

LC50/96h 29-52(n)Heitmuller et al.,

1981

Invertebrates

Daphnia magna(Water flea)

EC50/48h

22(m) Knie et al., 1983

8.5(m) Richter et al., 1983

18(n) LeBlanc, 1980

Mysidopsis bahia(Mysid shrimp)

EC50/96h 10.2(n) US EPA, 1980

Moina macrocopa(Water flea)

EC50/3h 1.8(n)Yoshioka et al.,

1986

Elminius modestus(Barnacle)

EC50/48h 3.5(n)Pearson &

McConnell, 1975

Tanytarsus dissimilis(Midge)

EC50/48h 30.8(m) Call et al., 1983

Algae

Chlamydomonas reinhardii EC50/72h 3.64

Brack & Rottler, 1995

Phaeodactylum tricornutum EC50 10.5

Pearson & McConnell, 1974

Skeletonema costatum

EC50/96h 500 US EPA, 1980

EC50/7d >16Erickson &

Freedman, 1978

Micro organisms

Nitrosomonas sp(Bacterial)

IC50/24h 112Blum & speece,

1991

Tetrahymena pyriformis EC50/24h 100Yoshioka et al.,

1986

* m: measured concentration, n: nominal concentration

Page 35: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9

<표 23> Chronic effect of tetrachloroethylene on aquatic organisms

Taxon SpeciesEnd point/

durationToxicity value

(mg/L)Reference

Fish

Jordanella floridae(American flagfish)

NOEC/28d 2.34(m)Smith et al.,

1991

Poecilia sphenops(Black mollie)

LOEC/60d 1.6 Lökle, 1983

Invertebrates

Daphnia magna(Water flea)

NOEC/28d 0.51(m)Richter et al.,

1983

NOEC/28d 1.11(m) Call et al., 1983

Mysidopsis bahia(Mysid shrimp)

EC(lethality) 0.45 USEPA, 1980

<표 24> Toxic effect of tetrachloroethylene on soil organism and Terrestrial plants

Taxon SpeciesEnd point/

duration

Toxicity value

(mg/kg)Reference

EarthwormsEisenia foetida

(Earthworm)

LC50/14d 100-320Vonk et al., 1986

NOEC/28d 18-32

LC50/14d 945 Römbke et al.,

1991NOEC/14d 577

Carabid

beetlePoeilus cupreus NOEC/14d 5

Römbke et al.,

1991

Terrestrial

plants

Avena sativa

(Lettuce)

NOEC/16d

(Growth)100(148)

Bauer & Dietze,

1992

NOEC/16d

(Sublethal

effects)

1(1.48)

EC50/16d 861

Soil dwelling

bacteriaPseudomonas putida EC10/16h >45 mg/L Knie et al., 1983

Other bacteria

Soil respiration

NOEC

Nitrification with

humic sand

NOEC

Nitrification with

loam NOEC

< 2000(wet)

< 40(wet)

≤ 0.1(wet)

Vonk et al.(1986)

Page 36: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Ⅲ. 연구결과 및 고찰

30

라. 종민감도분포 평가

무 향 측농도(PNEC) 추정을 해 종민감도분포를 이용하여 체 종의 9

5%를 보호할 수 있는 수 으로 추정한 결과 테트라클로로에틸 의 수생태

성과 만성 PNEC 값은 각각 116 ㎍/L 와 51 ㎍/L 로 나타났다. 수생태

만성 PNEC 값은 분류군별 독성값이 부족하여 종민감도분포평가 신 가

장 민감한 생물군에 한 생태독성값을 활용하 다. 토양에 한 PNEC값

은 0.014 mg/kg이었다(표 25). 종민감도분포를 활용하기 해서는 요

분류군별 생태독성자료가 최소 4개 분류군 이상 충족되고 총 5종 이상의

자료가 확보되어야 한다(환경부 2010b). 본 조사에서는 수생태 성의 경우

4개 분류군 21개 생태독성 자료를 활용하 고 토양은 4개 분류군 12개의

생태독성자료를 활용하 다.

<표 25> PNEC estimation by species sensitivity distribution(SSD)

구 분 독성구분 HC5 계산과정평가계수

(AF)PNEC

테트라

클로로

에틸

수생태 성 1155.6 ㎍/L HC5/AF 10 116 ㎍/L

수생태 만성 510 ㎍/L HC5/AF 10 51 ㎍/L

토 양 0.1448 mg/L HC5/AF 100.014

mg/kg

※ HC5(Hazardous Concentration 5%) : 생태계에 서식하는 모든 생물종 민감한 5%의

생물종이 해를 받을 수 있는 농도

※ AF(Assessment Fator) : 성생태독성 자료들로 종민감도분포를 활용하는 경우 평가계

수 10을 용

마. 노출평가

테트라클로로에틸 에 한 환경 노출량(PEC) 산정결과 매체별로 부

분 불검출이 많았으며, 검출된 경우도 값이 매우 낮아 기술통계값 용시 최

값을 용하 다. 하천의 경우 1 ㎍/L이었으며, 호소와 토양은 불검출 그

리고 공단배출수 유입지 은 3.0 ㎍/L이었다. 불검출된 경우( : 수생태) 기기

Page 37: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Ⅲ. 연구결과 및 고찰

31

방법검출한계(MDL) 값 0.8 ㎍/L의 반인 0.4 ㎍/L를 측환경농도(PEC)값으

로 가정하 다(표 26).

<표 26> PEC values of river, lake, industrial effluent and soil

하천(㎍/L) 호소(㎍/L) 공단배출수(㎍/L) 토양(mg/kg)

PEC 1.0 불검출(0.4) 3.0 불검출

※ 불검출된 매체의 경우 방법검출한계(MDL)의 반값을 용

바. 해도 결정

테트라클로로에틸 의 생태 해도결정은 환경노출농도(PEC)와 무 향 측

농도(PNEC)의 비로 나타낸 유해지수에 한 추정치를 산정하 다. 하천,

호소, 공단배출수 유입지 등 모두 유해지수가 0.009∼0.059로서 해우려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27).

테트라클로로에틸 의 해도가 낮게 나타난 이유는 국내 ‘10년도 테트라

클로로에틸 배출량이 ’02년에 비해 1/5 이하로 나타나는 등 지속 으로 감

소하고 있고, 환경 농도도 차 낮아짐에 따라 해도 역시 감된 것으

로 사료된다.

<표 27> Ecological risk characterisaion on tetrachloroethylene

하천

(㎍/L)

호소

(㎍/L)

공단배출수

유입지

(㎍/L)

토양

(mg/kg)

퇴 물

(mg/kg)

PNEC116( 성)

51(만성)

116( 성)

51(만성)

116( 성)

51(만성)0.014 0.318

PEC 1.0 0.4 3.0 - 0.005

유해도지수0.009( 성)

0.020(만성)

0.003( 성)

0.008(만성)

0.026( 성)

0.059(만성)- 0.016

Page 38: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Ⅲ. 연구결과 및 고찰

32

3. 해성평가지침 개선을 한 제안사항

가. 노출량 산정

일반 으로 인체노출량산정에 있어서 결정론 방법과 확률론 방법을 모

두 용한다. 그러나 행 평가지침에는 이러한 세부내용을 명확히 제안하지

않고 있어 다소 모호한 면이 있다. 따라서 원자료가 없어 확률분포를 추정하

기 어렵거나, 련인자가 불확실할 경우 무리하게 확률론 방법으로 분포추

정을 하지 않고 단일 값을 사용하여 결정론 방법으로 인체노출량을 산정토

록 하는 등 구체 인 세부 지침을 제안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보여진다.

나. 유해성확인 단계에서의 독성평가 항목 추가

행 지침에 규정된 인체유해성평가 항목은 유 독성 등 9개 평가항목에

하여 세부 으로 평가하여 기술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평가 상물

질에 따라 다른 독성항목이 평가되어야 할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 : 면역독성) 독성평가항목에 한 추가여부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

다.

다. 해성평가에 한 불확실성분석

모든 해성평가결과는 본질 으로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 평가결과에

하여 정책결정자, 문가, 일반 들이 각자의 입장에서 활용하거나 단

이 용이 할 수 있도록 정형화된 분석틀을 개발하여 지침에 포함하는 것이 필

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라. 기타

생태 해성평가시 민감도분포(SSD)를 이용한 무 향 측농도(PNEC)을 도

출하는 과정에서 분류군별로 성 는 만성 생태독성자료를 활용하여 값을

도출하고 있다. 이때 조류(Algae)의 경우 성 혹은 만성독성 자료의 기 이

명확하지 않아 평가자에 따라 다르게 활용할 수도 있으므로 이에 한 명확

한 기 이 포함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단된다.

Page 39: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Ⅳ. 결 론

33

Ⅳ. 결 론

국가우선 리 상물질 해 리방안 수립에 있어서 과학 근거제공을 한

목 으로 상 10개 물질에 속하는 테트라클로로에틸 에 하여 매체통합

해성평가를 수행하 다. 이와 더불어 최근 새롭게 제정된 해성평가지침(환경

부 2010)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지침활용성을 제고하고자 하 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인체노출량은 연령이 낮을수록 노출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활

동공간별로는 집안 실내공간에서 호흡을 통해 가장 많은 양이 인체에 노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밖 실외에서의 호흡 음용수 섭취를 통한 노출기

여도는 1%미만으로 낮게 나타났다.

2. 인체 해도는 모든 연령층에서 유해지수 1이하로서 해우려가 없었으며, 높

은 노출수 (Reasonable Maximam Exposure)을 용할 경우에도 최 0.17

의 값을 나타내었다.

3. 생태계노출정도는 하천, 호소 등 수생태계와 토양생태계모두 부분 불검출

수 이었으며, 검출된 경우도 1∼3 ㎍/L의 매우 낮은 노출량을 보여주었다.

4. 생태 해도는 하천, 호소, 공단배출수 유입지 등 모두 유해지수가 0.009∼

0.059로서 생태계 해우려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유해성확인단계에서의 독성평가항목 추가 등 세부검토사항을 비롯하여 향후

정형화된 불확실성분석틀을 개발하여 해성평가지침에 포함시켜야 할 것으

로 단되었다.

결론 으로, 테트라클로로에틸 에 한 매체통합 해성평가결과 인체·생태

계 모두 해우려가 낮게 나타나, 행 시행되고 있는 감 리 책(유독물, 취

제한물질 지정 리 등)이외 추가 인 감 책은 필요치 않은 것으로 단되

었다. 이는 국내 ‘10년도 배출량이 ’02년에 비해 1/5 이하로 나타나는 등 지속

으로 감소하고 있고, 환경 농도도 차 낮아짐에 따라 해도 역시 감된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본 연구에서 제외된 군 기지 등 토양 지하수와 같은

특정지역은 별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Page 40: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참 고 문 헌

34

참 고 문 헌

ATSDR (2010) Toxicological profile for PCE.

ATSDR (1997)Toxicological Profile for Tetrachloroethylen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ublic Health Service,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igistry.

Benes V, Frantik E, Horváth M, Kožžená L (1986) Vigilance performance paralleled with blood levels of solvents: acetone, styrene, tetrachloroethylene. Activitas Nervosa Superior, 28:234-236.

Bonnet P, Francin J-M, Gradski D, Raoult G, Zissu D (1980) Determination of the lethal concentration-50 of the principal chlorinated hydrocarbons in the rat. Archives des Maladies Professionnelles de Medecine du Travail et de Sécurité Sociale, 41:317–321[cited in de Raat, 2003].

Buccafusco R. J., Ells S. J. and LeBlanc G. A. (1981) Acute toxicity of priority pollutants to bluegill (Lepomismacrochirus). Bulleti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iolgy, 26 (4), 446-452.

Brack W and Rottler H (1994). Toxicity testing of highly volatile chemicals with green algae. Env. Sci. and Poll. Res. Int. 1 (4), 223-228.

Bauer C and Dietze C (1992). Phytotoxizitätstest en eniner monokotylen pflanzenart(Hafer, Avena sativa L) mittetrachloroethen mach dem verfahrensvorschlag ‘'Phytotoxizitätest an einer monokotylen pflanzenart (Avenia sativaL) und einer dikotylen pflanzenart (Brassica rapa ssp. Rapa Metzg)’'. Battelle Europe.

Blum DJW and Speece RE (1991). Quantitative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s for chemical toxicity toenvironmental bacteria. Ecotxicol. and Env. Safety 22, 198-224.

Böttger A, Elstermeier F (1989) Belastung der Bevölkerung durch organische Lösungsmittel. Umwelt Bundesamtes, 31 May 1989 (Final report on Project No. 10606058) [cited in de Raat, 003].

Call DJ, Brooke LT, Ahmad N and Richter JE (1983). Toxicity and metabolism studies with EPA priority pollutantsand related chemicals in freshwater organisms. EPA 600/3-83-095. NTIS PB83-283665.

Duprat P, Bonnet P (1979) Study on the organic lesions in the mouse produced by chlorinated aliphatic solvents administered by inhalation. INRS Bulletin de documentation, 1103:73–101 [cited in de Raat, 2003].

Erickson SJ and Freeman AE (1978). Toxicity screening of fifteen chlorinated and brominated compounds usingfour species of marine plankton. Environmental impact and health effects. Proc. of the second conference.Gatlinberg, Tennessee, October 3-November 4, 1977. 2, 307-310.

Page 41: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참 고 문 헌

35

EU RAR (2005) Risk Assessment Report, Tetrachloroethylene.

EU ESIS (2010) European chemical substances information system,

http://esis.jrc.ec. europa.eu, logged on November 2010.

EU European chemicals agency (2010) http://echa.europa.eu/web/guest/

information-on-chemicals/, logged on November 2010.

Fender H (1993) Chromosomenanalytische Undersuchungen bei Textilreinigern. In: Arndt D, Obe G, eds. Cytogenetische Methoden im Rahmen des Populationsmonitoring. München, MMV Verlag, pp. 71–-76 [cited in de Raat, 2003].

Hake CL, Stewart RD (1977) Human exposure to tetrachloroethylene: Inhalation and skin contact.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21:231–-238.

Hayes JR, Condie LW, Borcelleca JF (1986) The subchronic toxicity of tetrachloroethylene(perchloroethylene) administered in the drinking water of rats. Fundamental and Applied Toxicology, 7:119-125.

Heitmuller PT, Hollister TA and Parrish PR (1981). Acute toxicity of 54 industrial chemicals to sheepsheadminnows (Cyprinodon variegatus). Bull. of Env. Contamination and Toxicol. 27, 596-604.

IARC (1995)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tetrachloroethylene.

ICSC (2012) International Chemical Safety Cards, Tetrachloroethylene.

Kaemmerer K, Fink J, Kietzman M (1982) Studies on the pharmacodynamics of perchloroethylene. Tieraerztliche Umschau, 63:171-182 [cited in de Raat, 2003].

Knie J, Hälke A, Juhnke I and Schiller W (1983). Ergbnisse der Untersuchungen von chemischen Stoffen mit vierBiotests. Deutsches gewässerkundliche Mitteilungen 3, 77-79.

Koppel C, Arndt I, Arendt U, et al. 1985. Acute tetrachloroethylene poisoning: Blood elimination kinetics during hyperventilation therapy. Clin Toxicol 23: 103-l 15.

LeBlanc GA (1980). Acute toxicity of priority pollutants to water flea (Daphnia magna). Bull. of Env. Contamination and Toxicol. 24 (5), 684-691.

Lökle DM, Schecter AJ and Christian JJ (1983). Effects of chloroform, tetrachloroethylene and trichloroethylene on survival, growth and liver of Poecilia Sphenops. Bull. of Env. Contamination and Toxicol. 30, 199-205.

Murakiami K, Horikawa K (1995) The induction of micronuclei in mice hepatocytes and reticulocytes by tetrachloroethylene. Chemosphere,

Page 42: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참 고 문 헌

36

31:3733-3739.

National Industrial Chemicals Notification and Assessment Scbeme (2001) Tetrachloroethylene Priority Existing Chemical Assessment Report No. 15.

NCI (1997) Bioassay of tetrachloroethylene for possible carcinogenicity, washington D.C, US Govt. Printing Office (NCI-CG-TR-13, DHEW Publ. No. (NIH) 77-813) < DHEPDG, 10.1-13, 10.1-15, 11.2-4, 11.2-6>.

Nelson BK, Taylor BJ, Setzer JV, Hornung RW (1980) Behavioral teratology of perchloroethylene in rats. Journal of Environmental Pathology and Toxicology, 3:233–-250 [cited in de Raat, 2003].

NTP (1986) Toxicology and carcinogenesis studies of tetrachloroethylene (perchloroethylene) (CAS No. 127-18-4) in F344/N rats and B6C3F1 mice (inhalation studies). Research.

National Research Council (1980) Drinking water and health volume 3,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OCED (1996) SIDS INITIAL ASSESSMENT PROFILE for SiAM 5.

Pearson CR and McConnell G (1975). Chlorinated C1 and C2 hydrocarbons in the marine environment. Proceedings royal Society London, Series B 189, 305-332.

Rampy, L.W., Quast, J.F., Balmer, M.F., Leong, B.K.J., & Gehring, P.J. (1978) Results of a long-term inhalation toxocity study on rats of a perchloroethylene.

Richter JE, Peterson SF and Kleiner CF (1983). Acute and chronic toxicity of some chlorinated benzenes chlorinated ethanes and tetrachloroethylene to Daphnia magna. Arc. of Env. Contamination and Toxicol. 12(6), 679-684.

Riihimäki V, Pfäffli P (1978) Percutaneous absorption of solvent vapours in man.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and Health, 4:73–85 [cited in de Raat, 2003].

Römbke J, Bauer C and Hilt J (1991). Study of the acute toxicity for the earthworm of tetrachlroethene. According to the OECD Guideline for testing of chemicals No.207. Battelle Institute, 1991.

Schwetz BA, Leong BKJ, Gehring PJ (1975) The effect of maternally inhaled trichloroethylene, perchloroethylene, methyl chloroform, and methylene chloride on embryonal and fetal development in mice and rats.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32:84-96 [cited in de Raat, 2003].

Shubat PJ, Poirier SH, Knuth ML and Brooke LT (1982). Acute toxicity of tetrachlorethylene and trichlorethylenewith dimethylformamide to Rainbow trout (Salmogairdneri). Bull. of Env. Contamination and

Page 43: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참 고 문 헌

37

Toxicol. 28 (1), 7-10

Smith AD, Bharath A, Mallard C, Orr D, Smith K, Sutton JA, Vukmanich J, McCarty LS and Ozburn GW (1991). The acute and chronic toxicity of ten chlorinated organic compounds to the American flagfish (Jordanella floridae).Arch. of Env. Contamination and Toxicol. 20, 94-102.

Stewart, R.D., E.D. Baretta, H.C. Dodd, and T.R. Torkelson. 1970. Experimental human exposure to tetrachloroethylene. Arch. Environ. Health 20: 224–-229. US EPA (1980). Ambient water quality criteria for tetrachlorethylene. EPA 440/5-80-073. NTS PB81-117830.

Tinston DJ (1995) Perchloroethylene: multigeneration inhalation study in the rat. Report of Zeneca Central Toxicology Laboratory. Alderley Park, Macclesfield, Cheshire, Zeneca Central Toxicology Laboratory (Report No. CTL/P/4097).

Toraason M, Butler MA, Ruder A, Forrester C, Taylor L, Ashley DL, Mathias P, Marlow KL, Cheever KL, Kreig E, Wey H (2003) Effect of perchloroethylene, smoking and race on oxidative DNAdamage in female dry cleaners. Mutation Research, 539:9-18.

US EPA (2010) 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 http://www.epa.gov/iris,

logged on November 2010.

US National library health, Hazadous substances data bank (HSDB) (2010),

http://toxnet.nlm.nih.gov/cgi-bin/sis/htmlgen?HSDB/,loggedon

November 2010.

US EPA Ecotoxicology database (ECOTOX), http://cfpub.epa.gov/ecotox/,

logged on November 2010.

US EPA (2001) Risk Assessment Guidance for superfund volume Ⅲ (Part A),

Process for conducting probabilistic risk assessment .

US EPA (2011) Exposure Factors Handbook.

U.S. EPA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85. Health Assessment Report for Tetrachloroethylene (Perchloroethylene). Final Report. Office of Environmental Health and Assessment,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Washington, D.C. (PB85-249707).

Vonk JW, Adema DMM and Barug D (1986).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several chemicals on microorganisms, higher plants and earthworms. Contaminated soil,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Wakeham SG, Davis AC and Karas JL (1983). Mescosm experiments to determine the fate and persistence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coastal seawater. Env. Sci. and Technol. 17, 611-617. Dordrecht, Netherlands.

WHO (2006) Concise International Chemicals Assessment Document 48,

Page 44: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및 지침 적용성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106.pdf · 2015-11-03 · 발간등록번호 nier

참 고 문 헌

38

Tetrachloroethylene.

Yoshioka Y, Ose Y and Sato T (1986). Correlation of the five test methods to assess chemical toxicity and relation to physical properties. Ecotoxicol. and Env. Safety 12 (1), 15-21.

국립환경과학원 (2009) 주거공간별 실내공기질 리방안 연구(I)

국립환경과학원 (2010a) 주거공간별 실내공기질 리방안 연구(II)

국립환경과학원 (2010b) 국민 일일 시간활동 양상에 따른 개인 노출평가 연구(III)

국립환경과학원 (2011) 화학물질 해성평가를 한 노출평가원리 방법.

김 희, 양원호, 손부순, 2007, 제철소 근로자의 벤젠/톨루엔/크실 / 국소환경

측정을 이용한 총 노출 측.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3(5), 359-364.

서울시, 부산시, 구시, 인천시, 시, 울산시 상수도 사업본부(2009∼11) 수

돗물 품질보고서

장재연 등 (2007) 한국노출계수 핸드북

통계청 (2010) 생활시간조사결과.

환경부 (2009~2011) 수질측정망

환경부 (2010a) 실내공기질 공정시험기

환경부 (2010b) 환경유해인자의 해성평가를 한 차와 방법 등에 한 지침

환경부 (2008~2010) 유해 기측정망

환경부 (2008~2010) 지하수 측정망

환경부 (2009~2011) 토양측정망

환경부 (2002) 석유계 용제의 기오염 기여도에 한 조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