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91
한미 FTA체결이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October 2007

Upload: others

Post on 17-Jul-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한미 FTA체결이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October 2007

Page 2: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1. 서론 6배경에 대한 이해 7

연구의 목적 8

연구내용 및 범위 9

프로젝트 접근방법 10

2. 관광산업의 규정 11

관광산업의 정의 12

관광산업의 범주 13

관광진흥법상의 관광산업 14

분석을 위한 산업군 선정 15

3. 한국의 서비스산업 국제교역 동향 16

한미간의 관광부분 개방수준 17

한국의 항목별 서비스 수지 18

목차

Page 3: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4. 한미 관광교류 현황 19한미 관광교류 현황 20

한국방문 미국인 동향 21

미국 관광시장 동향 22

5. 한미 관광서비스 무역장벽 현황 분석 23

관광교류의 장애물 검토의 필요성 24

관광교류의 장애 요인 25

관광관련 법규의 시장접근 차원의 제한 26

6. 한미FTA 협상 결과 요약 및 타결 분야별 점검 27

각 분야별 세부협상결과 분석의 필요성 28

한미 FTA 협상 결과 요약 29

타결분야 점검 (18개분야) 30

타결분야 점검 요약 51

목차

Page 4: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7. 한미FTA체결이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 53요약 54

비즈니스목적의 미국인 방한 증가 55

관광산업의 고비용 해소에 기여 56

관광관련 분야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의 증대 57

관광수지 적자규모의 대폭 확대 가능성 58

고용시장의 변화 60

관광산업 활성화 61

관광공사 면세사업에 주는 영향 62

8. 대응방안 66

관광산업전체 67

호텔업 72

항공운송업 73

컨벤션업 75

엔터테인먼트업 76

카지노업 77

여행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Page 5: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관광개별사업 기상도 83

문화관광부 대응방안 85

관광공사 대응방안 87

목차

Page 6: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1. 서론

Page 7: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7

한미FTA 체결은 우리나라 문화 및 관광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종합적인대응을 수립하기 위하여 각 관련 기관에서는 이에 대한 준비를 사전에 수행할 필요가 있음

배경에 대한 이해

관광 체육 문화산업 문화콘텐츠 문화예술

주관부서주관부서 한국관광공사

우선적 대응

분야

우선적 대응

분야여행 업계호텔 업계

영화 산업기타 공연산업

지적재산권체육관련 복권 등

Direct ImpactDirect Impact면세사업

공사의 역할

FTA 대응방안 수립

관점

Page 8: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8

본 프로젝트 목적은 한미FTA 체결에 따른 관광산업 분야에 미칠 영향력과 이에 대응하는KTO의 대응전략을 수립하고자 하는데 있음

연구의 목적

프로젝트 범위

프로젝트의 목적

1. 한미FTA 체결에 따른 관광산업 분야에 미칠 영향력 분석

2. 이에 대응하는 KTO의 대응전략을 수립

1. 한미 FTA 결과 및 관광산업에 미칠 영향 분석

2. 관광업계(여행업, 호텔업, 항공업 등) 영향분석 및 대응책

3. 공사의 전략적 대응 방안

Page 9: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9

한미 FTA를 비롯한 기타국들과의 FTA의 확대에 따라서, 관광공사의 대응이 필요한 영역은아래와 같음

연구내용 및 범위

관광업계에 끼치는영향 분석

관광업계에 끼치는영향 분석

11호텔업계, 여행업계 등 FTA 체결에 따라 외국기업이 잠식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정의 및 이에따른 파급효과 등을 분석

이들 파급효과에 따라, 관광공사에서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방향의 수립

관광산업 전체관점에서의 분석

관광산업 전체관점에서의 분석

22문화관광부 차원의 범 정부 대응 전략을 수립하기 위하여,관광, 체육, 문화산업, 문화콘텐츠, 문화예술 등 각 분야의 전문기관이 각각 한미 FTA 혹은 이후에수립이 예상되는 FTA에 대응하기 위한 분석 및 전략적 방향 수립

관광공사관점에서의

대응전략

관광공사관점에서의

대응전략

33우리나라 관광산업의 선도기업으로서 대응방안 마련

FTA 추진에 따라 공사의 수익사업인 면세사업에 끼치는 영향 파악 및 이에 따른 대응전략 수립

문화관광정책에서 여행업계에 이르는 관광분야의파급효과 분석 및 이에 따른 대응전략 수립

Page 10: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10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서 본 보고서는 아래에 제시된 바와 같은 프로젝트 체계도에기초해서 진행됨

프로젝트 접근방법

Activities :

관광산업 규정 및현황 파악

Step 1

관광산업의 정의

관광산업의 범주

분석을 위한 산업군 선정

한미 FTA 협상 결과 요약

세부 타결분야 점검

– 상품, 농업, 섬유, 원산지/통관, 무역구제, 위생검역(SPS), 기술장벽(TBT), 자동차, 의약품/의료기기, 투자, 서비스, 금융, 통신/전자상거래, 지식재산권, 정부조달, 경쟁, 노동, 환경

한미FTA가국내관광산업에 주는

영향분석 (직간접적 효과

및 장단기 분석)

관광업계 영향분석 및

대응책

공사의 전략적 대응 방안

한미FTA 협상 결과요약 및 타결 분야별

점검

Step 2

직·간접적 영향 분석

Step 3

대응방안 수립

Step 4

한미FTA가 국내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및 대응방안 수립

Page 11: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2. 관광산업의 규정

Page 12: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12

관광산업은 여행자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개별 업종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통적인단일 산업이라기 보다는 복합적 산업간의 결합 산업으로 이해해야 함. 따라서 이종 산업과의연계 및 융합은 관광산업의 특징을 가장 잘 대변해주는 것이라 할 수 있음

관광산업의 정의

UN 무역개발회의UN 무역개발회의

UN ESCAP*UN ESCAP*

세계관광기구세계관광기구

관광진흥법관광진흥법

Description

여행자의 편의를 위한 운송, 숙박, 오락, 휴양, 음식 및 관광 관련 용역을 제공하거나 기타

관광에 부수되는 시설을 갖추어 관광소비자에게 이를 이용하게 하는 업종으로 정의

관광부문을 관광경제와 관광산업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관광경제는 여행수요의 직.간접적

효과로 규정하고 있고, 여행의 직접효과만을 산출한 것을 관광산업으로 정의

관광객에게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산업으로 폭넓게 정의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거나 외래방문객 및 국내여행자들에 의해 소비되는 산업 및 상업적인

활동의 총합으로 정의

*UN ESCAP: UN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UN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Pacific)

Page 13: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13

관광산업은 나라마다 산업분류체계가 서로 다르고 그 정의에 있어서도 명확하지 않은부분이 많음. 현재 우리나라 역시 공식적으로 관광산업을 정의하거나 이의 분류체계를명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통상적으로 관광진흥법상의 분류를 주로 사용하고 있음.

관광산업의 범주

UN 국제산업분류UN 국제산업분류

UN ESCAPUN ESCAP

한국표준산업분류한국표준산업분류

관광진흥법관광진흥법

Description

여행업, 관광숙박업, 관광객이용시설업, 국제회의업, 카지노업, 유원시설업, 관광편의시설업

숙박·음식점업, 여행알선업 및 운수관련 서비스업, 기계장비 및 소모용품 임대업, 오락·문화·운동관련산업 등

호텔 및 숙박, 음식점, 유흥시설, 쇼핑, 국내교통, 국제교통

숙박업, 음식점업, 국내외 운송업, 여행서비스, 레크리에이션 및 문화.오락서비스업과 일부

금융업 및 부동산업 등

Page 14: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14

관광진흥법상의 분류에 따른 세부 내역은 다음과 같음

관광진흥법상의 관광산업

여행업여행업

Description

대규모 관광 수요를 유발하는 국제회의를 개최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운영하거나 국제회의의

계획·준비·진행 등의 업무를 위탁받아 대행하는 업

관광객을 위하여 음식·운동·오락·휴양·문화·예술 또는 레저 등에 적합한 시설을 갖추어 이를관광객에게 이용하게 하는 업

호텔업, 휴양 콘도미니엄업

여행자 또는 운송시설·숙박시설, 그 밖에 여행에 딸리는 시설의 경영자 등을 위하여 그 시설

이용 알선이나 계약 체결의 대리, 여행에 관한 안내, 그 밖의 여행 편의를 제공하는 업

관광숙박업관광숙박업

관광객이용시설업관광객이용시설업

관광편의시설업관광편의시설업

유원시설업유원시설업

카지노업카지노업전문 영업장을 갖추고 주사위·트럼프·슬롯머신 등 특정한 기구 등을 이용하여 우연의 결과에

따라 특정인에게 재산상의 이익을 주고 다른 참가자에게 손실을 주는 행위 등을 하는 업

국제회의업국제회의업

유기시설이나 유기기구를 갖추어 이를 관광객에게 이용하게 하는 업 (공연, 놀이동산 등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포함)

관광사업 외에 관광 진흥에 이바지할 수 있다고 인정되는 사업이나 시설 등을 운영하는 업(팬션, 음식점, 술집 등 포함)

Page 15: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15

FTA영향력 및 관광과 관련성이 높은 7개 산업을 선정하여 이애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대응책을 마련함

분석을 위한 산업군 선정

호텔/레스토랑업호텔/레스토랑업

1여행알선업여행알선업

2

관광안내업

(통번역업 포함)관광안내업

(통번역업 포함)

3테마파크업테마파크업

4

컨벤션업컨벤션업

5카지노업카지노업

6

서비스분과를 제외한 19개 전

협상분야

서비스분과를 제외한 19개 전

협상분야

한미FTA가 관광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미치는 서비스 분야

- 현재 관광진흥법상 관광산업을 여행업, 관광숙박업, 관광객이용시설업, 국제회의업, 카지노업, 유원시설업, 관광편의시설업 등으로 분류하고 있으나, 한미 양국간 서비스 산업 양허에 따른분류기준과 구분의 편의성 등을고려하여 한미FTA의 직접적 영향을 받는관광산업을 다음과 같이 분류함

직접적 영향직접적 영향

간접적 영향간접적 영향

관광산업의 상호 관련성과 간접적 영향

- 관광산업은 제조 업종과 달리 단일생산공정에 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동종제품을 생산하지도 않기 때문에하나의 산업으로 보기 어려움.

- 관광산업은 산업분류체계상 3차 산업에속하는 하위구성부문으로서단일항목으로 분류되는 것이 아니라서비스산업의 한 영역 속에 광범위하게분산되어 상호관련을 가지고 있음

Description 분석 대상

항공산업항공산업

7

Page 16: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3. 한국의 서비스산업 국제교역 동향

Page 17: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17

한미 서비스분야별 상업적 주재 개방 수준 비교시 관광서비스 분야의 개방도는 타 서비스에비해 매우 높게 나타남

서비스수입국 내에 서비스 공급인력이 주재하는경우(노동의 이동; 상업적 주재와의 관련여부는불문)

자연인의 이동(Mode 4)

서비스수입국 내에 서비스공급 주체를 설립하여생산 판매하는 경우

상업적 주재(Mode3)서비스공급

자가서비스수입국영역내에 주재하는 경우

서비스소비자의 본국 이외의 영역에서 소비행위가 완결되는 경우(소비자의 이동)

해외소비(Mode 2)

인력이나 자본 등 생산요소의 이동이 수반되지않고 서비스 자체가 국경을 넘어 이동하는 경우(서비스 자체의 이동)

국경간 공급(Mode 1)

서비스공급자가서비스수입국영역내에 주재하지 않는

경우

정 의공급형태공급자의주재여부

한미간의 관광부분 개방수준

1.0000.5004환경 서비스

0.3000.0005교육 서비스

1.0000.6005유통 서비스

1.0000.5005건설 서비스

0.7920.58324통신 서비스

0.1570.21435운송 서비스

1.0000.0005문화 서비스

0.7500.7504관광 서비스

0.2500.0004보건 및 사회 서비스

0.5000.35317금융 서비스

0.6850.65246사업 서비스

0.5780.442154서비스 전체

미국한국업종수구분

한미FTA체결이후현재 Mode 1,2,3은개방된상태 관광서비스분야의개방도는높음

서비스 교역모드 한미 서비스분야별 상업적 주재 개방 수준 비교(2006)

주: 전면개방=1, 부분개방=0.5, 미개방=0의 값을 적용

출처: WTO 서비스 양허표를 활용하여 추계 (KIEP)

Page 18: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18

대체로 한국의 서비스수지는 여행수지 및 사업서비스에서의 과도한 지급으로 전체 서비스수지에서 큰 적자를 보이고 있음

한국의 항목별 서비스 수지

0.9%680.30.7%368.5-311.8개인,문화,오락 서비스

6.3%4487.30.3%2010.6-2476.7특허권 등 사용료수지

1.1%773.40.4%239.9-533.5컴퓨터 및 정보서비스

0%3.10.2%126.1122.9건설서비스수지

-18762.9

638.6

-6834.3

1941.2

-543.2

-312

-12918.4

2464.3

수지

70636.4

849.6

19904.9

616

908.8

778.3

18240.9

23393.8

금액

28.1%25%13070.6사업서비스

0.8%4.9%2557.2금융서비스

1.2%0.7%365.6보험서비스

1.1%0.8%466.3통신서비스수지

25.8%10.2%5322.5여행수지

100%100%51873.6서비스 수지 합계

1.2%2.8%1488.2정부서비스수지

33.1%49.8%25858.1운수수지

비중비중금액

지급수입항목

항목별 서비스 수지(2006)

출처: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단위; 백만달러)

한국은 상품관련 제조업에서는 국제경제력을 갖추고 상당한 흑자를 기록하고 있으나 관광부문이 포함된 서비스 분야에서는 국제경쟁력을 갖추고있지 못 함

항목별 서비스 수지를 살펴보면 여행서비스의 적자폭이 가장 높음

-8,197.5

14,777.4

5,393.9

2002

-3,872.1

13,488

8,032.6

2001

-8,046.1

37,568.8

28,173.5

2004

-7,424.2

21,952

11,949.5

2003

-13,658.2

32,683.1

14,980.9

2005

-18,762.9

29,213.7

6,092.6

2006

서비스수지

상품수지

경상수지

항목

한국의 서비스 무역동향 (2000-2006)

(단위; 백만달러)

Page 19: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4. 한미 관광교류 현황

Page 20: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20

과거 10년간 미국방문 한국인수 성장에도 불구하고 한국방문 미국인수는 상대적으로둔화되고 있음

한미 관광교류 현황

399,300424,258 405,735 396,286

458,617426,817

459,362421,602

511,170 530,629

839,573806,264

571,332

719,227670,456 692,407 679,195

627,575665,181

425,33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미국방문한국인은외환위기직후인 98년급격히감소하다다시증가하는추세

출처: 한국관광공사, 한국관광통계, 각년도

한국-미국 관광교류 현황 (1996-2005)

한국방문 미국인수

미국방문 한국인수

과거10년 동안 한국방문 미국인수는 미국방문 한국인수에 크게 미치지 못함

미국방문 한국인은 외환위기 직후인 98년 급격히 감소하다 외환위기 회복으로 다시 증가하는 추세임

미국방문 한국관광객수 를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중 하나로 실질구매능력(PPP)으로 볼 수 있음

한국방문 미국인의 정체는관광인프라 개선과 관광매력물을 개발하여 미국인 관광객을 유인할 수 있는 전략이 요구됨

Implication

(단위: 명)

Page 21: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21

방한 미국인의 비즈니스 목적 방문의 비율이 하락하는 추세이며, 개별여행자의 총 지출액도감소 추세에 있음

한국방문 미국인 동향

비즈니스목적방문의비율이하락하는추세 개별여행자의총지출액은전반적으로감소하는추세

5.559.123.412.02005

4.059.320.815.82004

8.662.612.316.62003

6.364.218.211.32002

5.372.511.610.62001

기타비즈니스방문관광연도

출처: 한국관광공사, 외래관광객실태조사, 각년도

방한 미국인의 방한목적 중 비즈니스와 방문 비율이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남특별히 방문 비율이 높은 것은 주한 미군 등의 연고자 방문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임비즈니스 목적의 경우 최근 3년 동안 점차 비율이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방한 미국인의 방한목적(%) 방한 미국인이 지출한 경비(개별여행자, US$)

방한 미국인의 소비액은 전체 외국인 평균보다 높아, 2005년의 경우 개별여행자 소비액은US$1,476(2005년 전체 외국인 : US$1,247)으로 나타남총지출액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인데 이는 숙박비 비중 감소의 영향인 것으로 보임

2922812966071,4762005

2512692776131,4102004

3803192767521,7272003

3053523057011,6632002

3822982597241,6632001

기타쇼핑비식음료비숙박비총지출연도

출처: 한국관광공사, 외래관광객실태조사, 각년도

Page 22: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22

미국 관광시장은 테러리즘에 민감하며 유럽 등 타 서방국에 비해 비교적 짧은 휴가기간을 가진것으로 나타남

미국 관광시장 동향

테러리즘의영향

영화를 활용한캠페인

비교적 짧은미국인의 휴가

테러리즘에 민감한 미국은 9.11 사태 이후 출입국 관광객의 규모가 대폭 감소하였으나 관광객들이 테러와 테러 이후 조치에 점차 익숙해지면서 2004년도에 정상 규모를 회복하였으며, 그 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음. 2006년 8월 영국 항공기 테러 미수 사건 때에도 그다지 주목할 만한 현상은 벌어지지 않았듯이, 앞으로도 테러에 의한 실제 항공기 폭발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한 출입국 동향은 현재의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판단됨

미 상무부는 2006년 7월 일본에서 “당신은 영화를 보았습니다. 이제 방문할 때입니다. -You've seen the films, Now Visit the Set”라는 주제로 국제 관광프로모션 캠페인을 시작. 이 캠페인은 꼭 방문해야할 흥미로운 여행지로서 미국의 이미지를 다룬 영화를 사용하고 있으며, TV, 극장, 인터넷 역내 포스터등의 광고 방식을 통해 홍보하고 있음. 미국 관광국과 Visit America Alliance는 이 캠페인을 일본인들로 하여금 미국에 방문하도록 장려하기 위한 통합적 마케팅으로 고안하였음

미국인들의 휴가기간은 유럽 등 타 서방국에 비해 비교적 짧은 것으로 나타남. 2006년 미국인의 평균휴가기간은 14일로 2005년에 비해 하루 늘어난 것임

출처: 한국관광공사 내부자료

Page 23: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5. 한미 관광서비스 무역장벽 현황 분석

Page 24: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24

서비스분야의 개방은 결국 국내법이나 각종 조치로 묶여 있는 해당 서비스 분야를 국내법과각종 조치로부터 얼마나 자유화시키느냐의 문제로 귀결됨

관광교류의 장애물 검토의 필요성

상품 분야는 관세감면, 축소, 철폐의 방식에 합의를 보면되지만

서비스 산업은 상품과는 달리눈에 보이는 관세가 존재하지않음

FTA의 체결은 당사국간의가지고 있는 관광교류의장벽을 철페하는 협상과정도포함

한미FTA의 경우 상품교역에만한정하여 FTA를 이해하지 않고, 서비스, 투자, 지적 재산권등 보다 폭넓은 이해 필요

한미 FTA 서비스협상의 경우기본적으로 네거티브방식을채택하고 있어, 비합치조치의경우 유보안을 통해 열거를 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개방이되는 방식을 채택함

서비스분야의 개방은결국 국내법이나 각종조치로 묶여 있는해당 서비스 분야를국내법과 각종조치로부터 얼마나자유화시키느냐의문제로 귀결됨

서비스분야의 개방은결국 국내법이나 각종조치로 묶여 있는해당 서비스 분야를국내법과 각종조치로부터 얼마나자유화시키느냐의문제로 귀결됨

Implication

Page 25: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25

서비스분야의 개방은 결국 국내법이나 각종 조치로 묶여 있는 해당 서비스 분야를 국내법과각종 조치로부터 얼마나 자유화시키느냐의 문제로 귀결됨

관광교류의 장애 요인

제도적 장벽

행정적 장벽

조세 장벽

비자정책

국내관광기구의구조

외국인의고용규제

외국인투자나소유제한등

11

22

33관광사업개발승인의절차의복잡성

정책의편협한임의해석

VISA 획득이오래걸림

관광객과관광사업으로징수된세금이비관광목적에사용됨

항공여행관련세금

Implication

한미FTA의 체결은 양국간의 비자면제 가능성을 높이게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됨

관광서비스 분야의 외국인 고용이나 투자에 대한 제도적 장벽의 해소는 관광산업에 매우 민감한 사안으로작용할 가능성이 많음

관광교류의 장애요인

Page 26: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26

한국의 관광시장에서 GATS*에서 명시한 시장접근차원의 위배사항에 해당되는 내용은 사실상존재하지 않고 다만 한국과 미국 양국 모두 인력이동(Mode 4)이 양허되고 있지 않은 상황임

관광관련 법규의 시장접근 차원의 제한

상업주재 공급형태에 대한 시장 접근 차원의 제한조치 외에는 다른 제한조치는 없으며 법령상 위배조항도 없음관광가이드 서비스의 인력이동은 양허하고 있지 않음우리나라 최초 양허표에‘상업적 주재‘의 서비스 공급형태로써, 여행대리업자만이 관광 가이드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규정

관광안내서비스

관광진흥법의 제23조 외국인이 관광호텔 등 관광사업에 1억불이상을 2년 내에 직접 투자할 것을 조건으로 카지노를 허가하는 조항은 기본적으로 내국인에게는 불가인 카지노를 외국인에게 투자 규모와 기간을 조건으로 허가하는 것으로써 외국인 투자 촉진 또는 지원의 내용으로 간주됨

인력이동은 양허하지 않았고, 공급형태에서도 시장접근 제한조치에 해당되는 법령 조항은 없음

호텔은 1970년부터 외국인의 투자가 완전히 보장된 업종으로 시장접근에 대한 제한조치에 해당되는 조항은 없음해외소비에 있어 제한조치는 없으며 국경간 공급과 인력이동은 각각 기술적 현실성 등으로 양허하지 않고 있음

한국

카지노

여행알선서비스

호텔 및 레스토랑

구분

분야별 시장접근 위배 조항

GATS에서 명시하고 있는 시장접근에 위배되는 사항

서비스공급자수에대한제한

서비스총거래액및총자산에대한제한

총영업량및총산출량에대한제한

총고용인력제한

서비스공급기업의업태제한이나합작투자제한

외국인의지분참여에대한제한

서비스공급자수에대한제한

서비스총거래액및총자산에대한제한

총영업량및총산출량에대한제한

총고용인력제한

서비스공급기업의업태제한이나합작투자제한

외국인의지분참여에대한제한

한국의 관광시장에서GATS에서 명시한시장접근차원의 위배사항에해당되는 내용은 사실상존재하지 않고 다만 한국과미국 양국 모두인력이동(Mode 4)이양허되고 있지 않은 상황임

한국의 관광시장에서GATS에서 명시한시장접근차원의 위배사항에해당되는 내용은 사실상존재하지 않고 다만 한국과미국 양국 모두인력이동(Mode 4)이양허되고 있지 않은 상황임

*GATS: 서비스 교역에 관한 일반협정(General Agreement on Trade in Services)

Page 27: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6. 한미FTA 협상 결과 요약 및 타결 분야별 점검

Page 28: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28

관광산업은 제조업은 물론 거의 모든 서비스 분야와 연계하여 발전하고 있고, 한미FTA협상은 단일상품의 무역교역만을 다루는 것이 아닌 포괄적 협상이므로 각 분야별 세부협상결과 분석의 필요성이 있음

각 분야별 세부협상결과 분석의 필요성

한미FTA

특성

산업구조적

특징

각 분야별

세부협상결과

분석의 필요성

각 분야별 세부 협정 결과가 국내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의 파악각 분야별 세부 협정 결과가 국내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의 파악

관광산업의 관광은 전통적 의미의관광분야, 즉 호텔 및레스토랑에만 국한되지 않음

정보통신과 연계된 e-tourism, 농촌과 연계된 농촌관광, 영화 및엔터텐이먼트와 연계된 대안관광등 제조업은 물론 거의 모든서비스 분야와 연계하여 발전하고있음

한미FTA협상은 단일상품의무역교역만을 다루는 것이 아닌포괄적 협상임

정부에서 한미FTA를 추진하는근거 중 중요하게 바라보는 관점이시장 개방을 통한 서비스 분야의경쟁력 강화임. 따라서 서비스분야의 하나인 관광의 경우 한미FTA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결코적지만은 않다고 할 수 있음

Page 29: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29

한미 FTA는 8차례의 공식 협상을 통해 ’07년 4월 2일 최종협상을 타개함

한미 FTA 협상 결과 요약

한미 FTA 협상 결과 요약 18개 세부 협상 분과

한·미 양측은 ‘06.2.3일 협상개시선언 이후, 총 8차례 공식 협상과고위급 협상 및 장관급 협상을 거쳐’07.4.2일 협상 완료

높은 수준의 포괄적 FTA 형식으로추진

상품, 투자, 서비스, 지적재산권, 무역구제, 노동, 환경 등 20개 분과협상 진행

자동차, 섬유 등의 분야에서 상당한성과를 거둔 반면, 농수산물 등의개방으로 일부 피해 예상

한·미 양측은 ‘06.2.3일 협상개시선언 이후, 총 8차례 공식 협상과고위급 협상 및 장관급 협상을 거쳐’07.4.2일 협상 완료

높은 수준의 포괄적 FTA 형식으로추진

상품, 투자, 서비스, 지적재산권, 무역구제, 노동, 환경 등 20개 분과협상 진행

자동차, 섬유 등의 분야에서 상당한성과를 거둔 반면, 농수산물 등의개방으로 일부 피해 예상

11. 서비스

12. 금융

13. 통신/전자상거래

14. 지식재산권

15. 정부조달

16. 경쟁

17. 노동

18. 환경

11. 서비스

12. 금융

13. 통신/전자상거래

14. 지식재산권

15. 정부조달

16. 경쟁

17. 노동

18. 환경

1. 상품

2. 농업

3. 섬유

4. 원산지/통관

5. 무역구제

6. 위생검역 (SPS)

7. 기술장벽 (TBT)

8. 자동차

9. 의약품/의료기기

10. 투자

1. 상품

2. 농업

3. 섬유

4. 원산지/통관

5. 무역구제

6. 위생검역 (SPS)

7. 기술장벽 (TBT)

8. 자동차

9. 의약품/의료기기

10. 투자

Page 30: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30

타결분야 점검 _ 상품 [1/18]

관광산업에미치는 영향

향후 관세철폐를 통해 양국간 실질적인 교역증대 효과 기대 가능

실질적인 교역증대는 사업목적의 미국인들의 한국 방문 증가 예상

11

22

협상 결과 요약 국내 영향평가 및 기대효과

협정문 주요 내용

• 상대국산 상품에 대해 관세를 철폐(상품분야

100% 관세철폐, 94% 조기철폐 합의)• 상대국의 상품에 대해 원칙적으로 내국민대우를

부여

• 수출세 부과 금지

• 수입허가의 투명성 강화

• 상품위원회의 설치

• 물품취급수수료의 철폐

11 100% 관세철폐, 90% 이상 조기철폐로 인한 양국간시장접근 제고

對美 수출주력품목의 시장 점유율 확대

• 한미 양국은 상품 전 품목에 대해 관세를

철폐하기로 합의함으로써 높은 수준의

자유무역협정을 달성

• 향후 관세철폐를 통해 양국간 실질적인 교역증대

효과 기대 가능

• 관세철폐를 통해 우리의 對美 수출주력품목의

시장 점유율 확대 및 잠재적 품목의 시장진입

가능성 제고

출처: 한미 FTA 분야별 최종 협상 결과, 2007, 외교통상부

Page 31: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31

타결분야 점검 _ 농·수산업 [2/18]

관광산업에미치는 영향

FIT 관광객이라 불리는 개별 여행객의 관광은 전통문화나 농어촌을 체험하기 위하여 관광활동을 하는경향을 지님

따라서 농촌과 농업은 현재 관광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자원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한미FTA로 인해농촌과 농업기반이 흔들리게 될 경우, 우리는 중요한 농촌공간이라는 관광자원을 잃게 될 위험이 있음

11

22

정부의 국내 보완 대책 마련

• 농수산업은 수입 증가로 인한 피해에 대해

보전하고, 자발적인 구조조정 유도 및

지원을 통해 경쟁력 강화 방침

농산어촌의 관광 국제화의 정책적 추진• 농촌 소득원이 농업 외에도 제조업, 물류, 관광산업 등으로 다변화될 수 있는 여건을조성

• 녹색농촌체험마을, 농업/농촌테마공원조성을 확대하고 농어촌 숙박시설의 규모제한을 완화(바닥면적 660㎡→1000㎡)

• 올해 중에 도시와 농촌의 교류촉진법을제정해 농어촌 관광, 1사1촌 운동, 농어촌체험 및 휴양마을 사업 등의 근거를 마련할계획임

협상 결과 요약 국내 영향평가 및 기대효과

협정문 주요 타결내용

• 쇠고기, 돼지고기, 인삼, 고추, 마늘, 양파 등에

대해 물량기준 농산물 특별세이프가드 제도 도입

• 수입쿼타 품목에 대해 다양한 관리방식 도입

양허안 주요 타결내용• 쌀 및 쌀관련 제품은 관세양허 대상에서 제외• 쇠고기, 오렌지, 낙농품, 꿀, 식용대두, 식용감자등 민감품목에 대해서는 다양한 예외적 취급 방식도입

11

22

출처: 한미 FTA 분야별 최종 협상 결과, 2007, 외교통상부

Page 32: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32

타결분야 점검 _ 섬유 [3/18]

관광산업에미치는 영향

관광산업과 직접적인 연관 없음

상대국산상품에대해관세를철폐

• 관세철폐스케줄에따라상대국산상품에

대해관세를철폐하여특혜관세혜택을부여

섬유분야에적용되는원산지기준마련

• 섬유생산을위한투입재공급부족시

원산지기준개정을위한협의절차마련

우회수출방지를위한세관협력의강화• 우회수출방지를위하여원산지검증에관련된세관협력을강화

섬유세이프가드의도입• 수출관세철폐로인한완충장치로서세이프가드를도입

11

22

33

11

22

33

협상 결과 요약 국내 영향평가 및 기대효과

44

미국시장에서의가격경쟁력제고, 대미수출환경개선으로우리나라섬유산업의재도약발판마련

전반적인섬유산업구조혁신의기회

통관절차의안정성이제고되고기업부담이감소하여, 물류측면의대미수출환경개선효과기대

• 단기적으로는미국관세철폐로인한가격경쟁력

제고, 장기적으로는기술유입등생산성제고로

대미섬유수출이지속적으로증가할전망

출처: 한미 FTA 분야별 최종 협상 결과, 2007, 외교통상부

Page 33: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33

타결분야 점검 _ 원산지/통관 [4/18]

관광산업에미치는 영향

개성공단의 개발은 개성시 관광과 연동되어 움직임. 또한 금강산 관광은 금강산 특구의 산업단지개발과 연동되어 있음

한반도 역외가공지역 인정으로 남북관광의 새로운 기회를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임

역외가공지역 부속서 채택(개성공단)• 개성공단 관련, 역외가공지역 지정을 통한

특혜관세 부여를 원칙적으로 인정

• 향후 개성공단 생산품에 대한 특혜관세

부여를 협의할 장치를 구체적으로 마련

특혜 원산지 판정기준 도입

• FTA 특혜관세의 적용 및 우회수출입 여부를

판정하는데 필요한 기본원칙과 품목별

원산지 판정기준을 마련

통관절차의 신속화·간소화

우회수입방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

통일적인 원산지 판정기준 도입으로 역내교역 활성화

• 한·미 양국간 교역물품에 대한 통일적인 특혜 원산지

판정기준을 마련함으로써 투명성과 예측가능성을

제공하고, 안정적인 교역 및 투자 환경을 조성

개성공단 등 북한지역 원산지 특례인정 근거 마련

• 미측과 개성공단 생산제품의 특례인정을 위한 구체적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향후 개성공단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기반 확보

한미 양국간 교역환경의 개선

• 통관절차의 신속화·간소화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여

양국간 교역환경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임

11

22

33

11

22

협상 결과 요약 국내 영향평가 및 기대효과

44

33

출처: 한미 FTA 분야별 최종 협상 결과, 2007, 외교통상부

Page 34: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34

타결분야 점검 _ 무역구제 [5/18]

관광산업에미치는 영향

관광산업과 직접적인 연관 없음

11

22

협상 결과 요약 국내 영향평가 및 기대효과

11 미국의 대한국 반덤핑/상계관세 조치의 실질적 감소기대

• 단기적으로는미국관세철폐로인한가격경쟁력

제고, 장기적으로는기술유입등생산성제고로

대미섬유수출이지속적으로증가할전망

• Thomas Prusa 교수(미국 Rutgers대학) 연구에

따르면 FTA가체결될경우 FTA 체결상대국에

대한반덤핑조치가감소하고, FTA협정에반덤핑

조항이포함되어있는경우그감소효과가더욱

뚜렷하게나타남

반덤핑관련 상호 견제 수단 마련

글로벌 세이프가드의 재량적 적용배제 및양자세이프가드 도입

• 반덤핑관련덤핑제소남용억제를위한다양한

수단 (무역구제협력위설치, 조사개시전사전협의, 가격․물량합의에의한조사중단등) 확보

• 한·미 FTA로인한관세철폐의영향으로

수입급증시, 피해를구제하기위하여관세를

일시적으로인상할수있는제도를도입

출처: 한미 FTA 분야별 최종 협상 결과, 2007, 외교통상부

Page 35: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35

타결분야 점검 _ 위생검역(SPS) [6/18]

관광산업에미치는 영향

공공보건과 위생 및 질병은 단순히 관광객의 안전에 위협을 주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관광목적지의 관광 관련 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 (ex: SARS 발병) 위생검역(SPS)은 단기적으로 관광산업 자체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못할 수도 있으나, 문제발생시 여행업, 호텔업 등의 경영적 측면에서는 큰 손실이 일어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충분한고려가 이루어져야 함

SPS분야에 대한 양국간 협력 강화는 우리의 관광산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WTO/SPS 협정상의 권리와 의무 재확인

• 사람과 동식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위생 및 검역조치(질병, 오염물질 관련

규제 등)관련 분쟁사항을 WTO의

분쟁해결절차에 따르기로 합의

SPS 정례 위원회 설치

SPS분야 기술협력 강화

• 농수산물 위생검역, 식품안전 등 SPS제도

전반에 대한 기술협력을 통해 검역 역량

확충 도모

11

22

33

11

22

협상 결과 요약 국내 영향평가 및 기대효과

33

SPS분야는 WTO SPS협정을 준용하기로 한 만큼국내제도의 변화 불필요

양국의 SPS 규제당국간 이해와 신뢰를 높여나가는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통상마찰을 예방하는효과

SPS분야에 대해 양국간 협력을 강화하도록 함으로써우리 검역 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

• 한·미 SPS위원회는 양국간 위생·검역 제도에 대한

정보교환, 기술협력 등을 활성화하는 기능 수행

출처: 한미 FTA 분야별 최종 협상 결과, 2007, 외교통상부

Page 36: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36

타결분야 점검 _ 기술장벽(TBT) [7/18]

관광산업에미치는 영향

관광산업과 직접적인 연관 없음

표준 및 기술기준 제·개정 과정의 투명성

• 표준 및 기술규정 제·개정 과정에 상대국인의

비차별적 참여를 허용하는 내국민대우 원칙에

합의

시험·인증기관 지정의 내국민 대우

• 양국은 자국의 적합성평가기관을

시험·인증기관으로 지정하는 경우, 상대국의

적합성평가기관을 비차별적으로 지정해야 하는

내국민대우 원칙에 합의

TBT 위원회 설치

• 양국간에 제기되는 TBT 이슈에 대한 신속한

처리와 원활한 협정이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TBT 위원회를 설치

11

22

33

11

22

협상 결과 요약 국내 영향평가 및 기대효과

33

정부 및 정부산하기관을 제외한 국내 민간분야의시험분석기관은 자본력과 기술력을 겸비한 선진국의시험·인증기관과의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판단

국내 시험·인증기관의 선진화를 통해 외국의 다양한기술규제에 대처할 수 있는 효과적인 시험분석 인프라구축이 시급

양국이 상품교역과 관계되는 표준 및 기술규정의제·개정 상황을 우선적으로 통보해주고 서로의 의견제안이 가능시

• 상품수출이 상대적으로 많은 우리나라가 중국, 일본 등 여타 국가에 비하여 대미 수출에

유리한 입지를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

출처: 한미 FTA 분야별 최종 협상 결과, 2007, 외교통상부

Page 37: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37

타결분야 점검 _ 자동차 [8/18]

11

22

협상 결과 요약 국내 영향평가 및 기대효과

미국 - 관세철폐

• 3000cc이하 승용차(`06년 대미 수출액

56.7억불)와 자동차 부품(`06년 대미 수출액

25.9억불) 관세 즉시 철폐

• 3000cc 이상 승용차 3년, 타이어 5년, 픽업트럭 10년에 걸쳐 관세 철폐

한국 - 세제 개편

• 자동차 특소세를 한미FTA 발효 이후 3년이내에 5%로 단일화, 자동차세 단계를 현행

5단계 → 3단계로 간소화

가격경쟁력상승

• 미국시장에서일본, 유럽업체와치열한

가격경쟁을벌이고있는국내완성차업체의

가격경쟁력상승

신규시장개척

• 고관세(25%) 장벽으로국내기업의진출이

불가능했던픽업트럭등신규시장개척가능

자동차내수시장의진작• 자동차세제의합리적개편으로자동차내수시장진작에기여

11

22

33

관광산업에미치는 영향

자동차 분야의 개방이 관광산업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거의 없음

그러나, 관세철폐로 인한 직접적인 수출증대 효과와 세제개편 혜택은 결국 소비자에게 돌아갈 것임. 소비자들의 구매능력의 향상과 이로 인한 기타 경제파급효과로부터 간접적 영향을 받아 관광산업활성화가 될 가능성이 있음

출처: 한미 FTA 분야별 최종 협상 결과, 2007, 외교통상부

Page 38: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38

타결분야 점검 _ 의약품/의료기기 [9/18]

관광산업에미치는 영향

관광산업과 직접적인 연관 없음

의료보험 지키며 투명성 강화

• 미국이 당초 강하게 요구했던 신약의 최저가

보장요구는 반영하지 않음

• 양국의 보험의료제도의 상이성 인정

• 양질의 보건의료 제공을 위한 의약품의 적절한

접근의 중요성 규정

• 특허의약품의 적절한 가치 인정

• 의약품의 자료보호

• 자국의 허가절차 지연에 의한 특허기간 연장

• 독립적 이의신청 절차 마련

• 의약품/의료기기위원회 설치

• 투명성 제고

단기적 – 국내업체의 피해 예상

• 허가-특허 연계제도 도입 등 특허권 강화는 당장

국내 업계에 부담이 될 수도 있음

장기적 – 경쟁력 제고

• 연구개발 역량이 있는 제약기업을 중심으로 국내

제약산업이 개편되어 장기적으로는 국제경쟁력

제고로 성장 기반이 조성되고 연구개발의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

• 일본, 중국, 동남아 등 주변 시장 진출을 통해 더

크고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방안 모색 계기

11 11

22

협상 결과 요약 국내 영향평가 및 기대효과

국내 제약산업을 ‘내수 치중’에서 ‘해외 시장 확대’로미래지향적으로 전환

33

출처: 한미 FTA 분야별 최종 협상 결과, 2007, 외교통상부

Page 39: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39

타결분야 점검 _ 투자 [10/18]

관광산업에미치는 영향

국제적 수준의 투자자보호로 실질적인 투자환경의 개선은 새로운 투자를 유인하게 되고, 호텔, 외식업체, 리조트 등 관광관련 분야에서의 투자가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을 것임

11

22

협상 결과 요약 국내 영향평가 및 기대효과

33

외국인투자관련제도개선

• 내국민대우, 공정․공평대우, 수용및보상등

국제수준의투자자지위보장

투자자에대한정책투명성제고

• 법령제개정절차의투명성강화

• 투자자국가간분쟁(ISD : Investor-State Dispute) 도입

• 환경·건강·미풍양속등을이유로투자에대한

내·외국인차별금지

투자자유화를통해투자장애요인해소

• negative 방식을채택하여유보된사항을제외한모든

투자를허용하고, 투명한정책수행을약속함으로써

외국인투자환경개선

11

22

33

미국 투자자에 대한 투자 환경의 법적 안정성이제고되어 미국의 對한국 투자가 증대될 것으로 기대

한미 FTA 투자협정의 혜택 하에 미국 시장에진출하고자 하는 중국 등 제3국으로부터의 對韓 투자역시 증대될 것으로 기대

미국에 투자하는 우리 투자기업들의 보호 강화

출처: 한미 FTA 분야별 최종 협상 결과, 2007, 외교통상부

Page 40: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40

서비스분과 협정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타결분야 점검 _ 서비스 [11/18]

11

22

협정문의 범위 상대국 사업자에게 제공하는 일반적인 의무

33

모든서비스분야를협정문적용대상으로설정

• 단, 사행성게임을포함한도박서비스, 금융서비스, 항공운송서비스, 정부조달, 정부보조금, 정부제공

서비스등은제외

관광서비스분야포함

내국민대우

• 상대국 서비스 공급자에게 자국의 서비스 공급자에

비해 불리하지 않은 대우 부여

최혜국대우

• 상대국 서비스 공급자에게 제3국의 서비스 공급자에

비해 불리하지 않은 대우 부여

시장접근제한 조치 도입 금지

• 유보안 기재 사항 이외에는 서비스 공급자의 수 혹은

사업의 범위를 한정하는 양적 제한, 그리고 사업자의

법적 형태를 제한하는 규제의 도입을 금지

현지주재 의무 부과 금지

• 국경간 서비스 공급의 조건으로 국내 사무실 구비

요건 혹은 거주 요건을 요구하는 것을 금지

44

단, 이러한 일반적 의무에도 불구하고 상기 의무에 부합하지 않는 규제를 유지하고자 하는경우, 비합치조치 조항에 의거하여 유보안에 적시 가능(Negative 방식)

출처: 한미 FTA 분야별 최종 협상 결과, 2007, 외교통상부

Page 41: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41

서비스분과 분야별 타결내용은 다음과 같음

타결분야 점검 _ 서비스 [11/18]

11

22

서비스분과 분야별 타결내용

33

법률, 회계, 세무(외국법 자문 분야)• 협상결과 - 단계적 개방

• 세부내역 - 미국 변호사 자격 소지자가 국내에서 국제공법 및 자격 취득국의 법률에 대한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허용. 회계사․세무사의 경우도 유사하게 개방 (국내법에 대한 자문은 국내 자격증 취득 필요)

교육, 의료 및 사회서비스(국민연금, 보건, 탁아 등)• 협상결과 – 공공서비스의 포괄 유보

• 세부내역 - 교육(초·중·고 교육), 의료 및 사회서비스, 사회적 약자를 위한 특별 조치, 음용수 등 공공서비스에 대한

정부의 모든 규제 권한을 포괄적으로 유보

방송서비스

• 협상결과 - 부분 개방

• 세부내역 - 지상파, 위성방송, 케이블(SO), 방송채널사용사업(PP) 등에 대한 외국인투자 허용 수준을 현행 수준으로

유지하되, PP의 ‘외국인 의제’ 규제(간접투자에 대한 규제)는 협정 발효 3년내 철폐 약속 (현행 50%)

영화

• 협상결과 - ‘스크린쿼터’제도의 규제 수준 현행 동결

• 세부내역 - 현재 73일로 설정되어 있는 한국영화의 상영의무(스크린쿼터)를 부속서 1에 기재하는 데 합의, 따라서, 스크린쿼터 제도는 폐지되는 것이 아니며, 현행 수준인 73일로 유지

44

출처: 한미 FTA 분야별 최종 협상 결과, 2007, 외교통상부

Page 42: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42

서비스분과 분야별 타결내용은 다음과 같음

타결분야 점검 _ 서비스 [11/18]

55

66

서비스분과 분야별 타결내용

77

통신, 방송 융합 서비스 및 온라인 시청각 서비스

• 협상결과 - 포괄 유보

• 세부내역 - 인터넷 TV를 비롯, 미래 기술에 의해 새로 출현하는 통신․방송 융합 서비스 및 온라인 시청각 콘텐츠에

대해서도 정부의 규제 권한 (내외국인 차별 권한 포함)을 포괄적으로 유보하여 미래의 디지털 방송 환경속에서 국산

컨텐츠가 활발히 제작․유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권한을 유보함

통신 서비스

• 협상결과 - 투자 기회를 제한적으로 확대

• 세부내역 - 기간통신사업자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 제한은 현행 수준인 49%로 유지하기로 하는 한편, KT, SKT를제외한 기간통신 사업자에 한해 협정 발효 2년내 외국인의 간접투자 제한을 100%까지 허용 가능

에너지(전력, 가스)서비스

• 협상결과 - 투자 허용기준 명확화

• 세부내역 - 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이미 유통중인 한국전력 및 한국가스공사에 대해서는 현재의 외국인투자 지분(각각

40%, 30%)을 유지

택배(특급배달)서비스

• 협상결과 - 법적 안정성 도모

• 세부내역 - 현행 우편법상의 ‘신서 송달’ 독점 규정을 개정, 국제서류 송달 서비스를 신서 송달의 독점 범위에서 제외함

88

출처: 한미 FTA 분야별 최종 협상 결과, 2007, 외교통상부

Page 43: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43

한미 FTA 관광분야 관련 이슈에 대한 협상결과는 다음과 같음

타결분야 점검 _ 서비스 [11/18]

여행알선업의 국내

거주지 의무규정 철폐

여행알선업의 국내

거주지 의무규정 철폐

관광업 종사원의 현지

업체로의 자유취업이

가능한 완전 개방(Mode4)

관광업 종사원의 현지

업체로의 자유취업이

가능한 완전 개방(Mode4)

관광업소 공연자

추천제도 폐지

관광업소 공연자

추천제도 폐지

카지노 내국인 출입 허용카지노 내국인 출입 허용

현황 협상결과

관광진흥법상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외국인

전용 카지노의 설립만 허용되며, 내국인 출입은

금지되고 있는 상황

우리나라에서는 사전에 영상물등급위원회의

추천을 받도록 하여 실질적으로는 개방하고

있지 않음

자연인의 이동(Mode 4)을 허용하고 있지 않음

현행 관광진흥법상 여행알선업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거주지 규정에 의거, 국내 사무실

설립

국내산업 피해 방지와 분쟁 발생시 소비자보호

등을 이유로 현행 유보 시킴

카지노 서비스를 포함한 도박(Betting and gambling)서비스는 한미 FTA협상대상에서

원칙적으로 제외

현행 유보

현행 유보. 취업비자를 얻고 현지에서 근무는

가능함

11

22

33

44

출처: 한미 FTA 분야별 최종 협상 결과, 2007, 외교통상부

Page 44: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44

타결분야 점검 _ 금융 [12/18]

관광산업에미치는 영향

관광산업과 직접적인 연관 없음

11

22

협상 결과 요약 국내 영향평가 및 기대효과

새로운금융시장개방원칙을설정

• 일자리창출및선진금융기법도입등에도움이되는

현지법인·지점설립등은 Negative방식을 통해

원칙적으로전면개방

임시세이프가드조치확보

• 경제위기시급격한외화유출입을통제할수있는

안전장치확보

농어촌, 중소기업등에대한정책금융지원지속

• 서민·농민·중소기업지원등공적인역할을수행하는

국책금융기관들은협정의예외로써인정받음

11

22

33

부정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

• 우리 금융산업의 개방도가 이미 높고 인허가

산업으로서의 기본속성으로 금번 협상결과에 따른

추가 개방폭이 작음

• 단기 세이프가드 도입, 국책금융기관들의 특수성

인정 등으로 우리 금융산업의 기본인프라에는 큰

변화가 없음

장기적인 긍정적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

• 금융회사의 경쟁력 강화 및 금융소비자 후생 증가

• 금융감독규제의 투명성 및 수준 제고

출처: 한미 FTA 분야별 최종 협상 결과, 2007, 외교통상부

Page 45: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45

타결분야 점검 _ 통신/전자상거래 [13/18]

관광산업에미치는 영향

디지털 제품 및 전자상 거래의 활성화는 IT와 융·복합된 관광분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IT와 관광을연계한 고부가가치의 e-tourism을 적극 육성할 필요성이 있음

11

22

협상 결과 요약 국내 영향평가 및 기대효과

11

22

33

디지털제품의 거래 활성화 기반 구축

• 상대국의 디지털제품에 대해서 무관세화하고, 차별적 대우를 하지 않기로 함으로써(내국민대우

부여), 디지털콘텐츠의 교역 활성화 계기 마련

디지털콘텐츠 및 공급자에 대한 합법적 정부 지원

• 양국의 디지털제품에 대해 비차별대우를

부여하면서도 디지털콘텐츠 및 공급자에 대한 각종

보조금 지원은 예외로 함으로써, 디지털콘텐츠 제작

등에 대한 정부의 합법적인 지원 근거 확보

전자상거래 활성화에 따른 소비자 보호 체계 강화33

온라인으로 전송되는 디지털제품에 대한 무관세 관행유지

디지털제품에 대한 비차별대우 및 적용 예외

전자상거래를 위한 인터넷 접속과 이용에 있어소비자의 자유로운 선택권이 중요하다는 원칙을 인식(국내규제틀 내에서 합의)

• 온라인으로 전송되는 디지털제품에 대한 무관세

관행을 유지

• 양측은 상대국의 디지털제품에 대해 내국민대우

및 최혜국대우를 부여하되, 보조금 및 정부권한

행사에 의한 서비스는 적용에서 예외로 하기로 함

출처: 한미 FTA 분야별 최종 협상 결과, 2007, 외교통상부

Page 46: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46

타결분야 점검 _ 지적재산권 [14/18]

관광산업에미치는 영향

간접적이지만 지적재산권의 강화로 외국인의 투자가 증대하게 되고 관광산업으로 흡수가 가능할 수도있음

11

22

협상 결과 요약 국내 영향평가 및 기대효과

지재권보호제도및집행강화

• 지재권집행강화, 손해보상등특허권보호제도확충

• 저작권보호기간연장 : 현행 50년에서 70년으로연장

• 지재권침해구제수단확대를위해저작권·상표권의

경우비친고죄적용등

특허

• 심사지연등특허청의귀책사유로인해특허출원후

4년과심사청구후 3년이모두지나등록된경우

지연된기간만큼존속기간을연장해주는제도도입

• 발명자가발명을공개한후에도출원하여특허를

받을수있는공지예외적용기간(Grace Period)을현행

6개월에서 12개월로연장

11

22

생산성증대

• 신기술에대한보다높은보호막을제공하기때문에

창작에대한더큰동기를제공. 활발한창작활동은

곧혁신과발명으로이어져궁극적으로산업전반에

걸쳐생산성이증대되는효과를기대

선진지재권제도를통해외국인투자유입기대

• 미국과 FTA를체결한이스라엘이나싱가포르등이

지재권제도선진화를통한외국인투자유입등을

가장큰성과로평가

출처: 한미 FTA 분야별 최종 협상 결과, 2007, 외교통상부

Page 47: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47

타결분야 점검 _ 정부조달 [15/18]

관광산업에미치는 영향

관광산업과 직접적인 연관 없음

11

협상 결과 요약 국내 영향평가 및 기대효과

양국정부의물품·서비스양허하한선인하

• 중앙정부의기관별개방폭을결정하는양허하한선

인하 (하한 1.9억원→ 1억원)

미국조달시장진입장벽완화

• 입찰및낙찰과정에서미국내조달실적제출요구

금지및양국간 Working Group 설치

11

22

• 중앙정부 상품, 서비스 양허하한선을 인하하더라도

미국 공급자가 우리나라에서 실시하는 국제입찰에

참여한 실적이 미미한 수준임을 감안할 때, 미국

업체의 국내 조달시장 참여가 크게 확대될 가능성은

적을 전망

미국 업체의 국내 조달시장 참여가 크게 확대될가능성은 낮음

출처: 한미 FTA 분야별 최종 협상 결과, 2007, 외교통상부

Page 48: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48

타결분야 점검 _ 경쟁 [16/18]

관광산업에미치는 영향

관광과 관련이 깊은 철도, 도로 등 공공재적 성격의 운송 서비스에 대하여 한미 양국 모두 ‘정부가독점을 지정할 수 있는 권한을 이 협정이 방해하지 않는다’는 조항에 합의

따라서 직접적인 영향권에서는 일단 벗어나 있는 상황임

11

22

협상 결과 요약 국내 영향평가 및 기대효과

‘정부가권한위임독점•공기업유지’ 명문화

• 공공정책을위해필요하다고인정한독점·공기업에

대해서는예외규정을둠

독점적지위이용한반경쟁적행위는금지

• 지정독점기업이자신의독점적지위를이용해

비독점시장에서반경쟁적행위를해상대국

투자기업에부정적인영향을미치지못하도록규정

11

22

독과점이시장에서의경쟁을촉진하는계기

• 서비스분야는개방수준이상품시장보다낮기때문에

경쟁촉진효과도상대적으로낮을것으로평가

• 교육·의료·방송·문화등과거개방·경쟁과는무관한

분야로 인식되던규제산업이나공공부문에대한

경쟁압력도높아질것으로예상

산업정책의기조변화

• 제도, 관행, 법률들이글로벌스탠다드에부합하는

수준으로빠르게변화할것으로예상됨

출처: 한미 FTA 분야별 최종 협상 결과, 2007, 외교통상부

Page 49: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49

타결분야 점검 _ 노동 [17/18]

관광산업에미치는 영향

관광종사원의 현지 업체로의 자유취업이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큰 영향은 없음

11

22

협상 결과 요약 국내 영향평가 및 기대효과

국내노동법수준향상및집행강화

• 국내노동법수준향상및집행강화를위한제반사항

명시

대중참여제도도입

• 공중의견제출제도및일반시민등이상대국정부에

해결을요구할수있는대중참여제 (Public Participation) 도입

11

22

국내노동법수준향상및집행강화에기여

협정이행과정시대중의의견제시통로마련

• 공중의견제출제도의도입으로협정문

이행과정에서노동계등공중이의견을제시할수

있는통로가마련되어협정문이행의투명성이

제고되고, 이를통해상대국의노동법집행실패를

감시할수있게됨

양국의노동분야협력체제구축

• 양국은노동협정부속서의노동협력메커니즘에

근거, 양국의노동분야에관한관심사항에대한

협력사업추진기반마련

33

출처: 한미 FTA 분야별 최종 협상 결과, 2007, 외교통상부

Page 50: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50

타결분야 점검 _ 환경 [18/18]

관광산업에미치는 영향

자연생태환경에 대한 관심으로 지속 가능한 관광개발과 자연 친화, 녹색관광 그리고 새로운 산업적패러다임을 반영한 Neo Tourism이 지속적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됨

11

22

협상 결과 요약 국내 영향평가 및 기대효과

협정문주요내용

• 높은수준의환경보호의무

• 환경법의효과적집행및적용

• 대중참여보장

• 환경이사회설립

• 절차적보장

• 환경협력확대

11 대중참여확대

• 다양한방식의대중참여를확대시킴으로써, 환경보호에대한민간의역할을증대시키고

수요자중심의환경정책을지향

한·미환경협력협정체결및협력사업추진

• 이로인해, 환경분야기술및정보를공유하고, 환경문제에공동대응함으로써한·미양국의

환경보호수준제고효과기대

출처: 한미 FTA 분야별 최종 협상 결과, 2007, 외교통상부

Page 51: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51

타결분야 점검 요약

관광산업과 직접적인 연관 없음거의 없음7. 기술장벽 (TBT)

공공보건과 위생 및 질병은 단순히 관광객의 안전에 위협을 주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아니라 관광목적지의 관광 관련 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 (ex: SARS 발병) 위생검역(SPS)은 단기적으로 관광산업 자체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못할 수도있으나, 문제 발생시 여행업, 호텔업 등의 경영적 측면에서는 큰 손실이 일어날 가능성이존재하기 때문에 충분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함

SPS분야에 대한 양국간 협력 강화는 우리의 관광산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간접적6. 위생검역 (SPS)

관광산업과 직접적인 연관 없음거의 없음5. 무역구제

개성공단의 개발은 개성시 관광과 연동되어 움직임. 또한 금강산 관광은 금강산 특구의산업단지 개발과 연동되어 있음

한반도 역외가공지역 인정으로 남북관광의 새로운 기회를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보임

간접적4. 원산지/통관

관광산업과 직접적인 연관 없음거의 없음3. 섬유

FIT 관광객이라 불리는 개별 여행객의 관광은 전통문화나 농어촌을 체험하기 위하여관광활동을 하는 경향을 지님

따라서 농촌과 농업은 현재 관광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자원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한미FTA로 인해 농촌과 농업기반이 흔들리게 될 경우, 우리는 중요한 농촌공간이라는관광자원을 잃게 될 위험이 있음

간접적2. 농수산업

향후 관세철폐를 통해 양국간 실질적인 교역증대 효과 기대 가능

실질적인 교역증대는 사업목적의 미국인들의 한국 방문 증가 예상간접적1. 상품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영향력세부 분과

Page 52: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52

타결분야 점검 요약

간접적이지만 지적재산권의 강화로 외국인의 투자가 증대하게 되고 관광산업으로 흡수가 가능할 수도 있음

간접적14. 지적재산권

디지털 제품 및 전자상거래의 활성화는 IT와 융·복합된 관광분야에 영향을 미치기때문에 IT와 관광을 연계한 고부가가치의 e-tourism을 적극 육성할 필요성이 있음

간접적13. 통신/전자상거래

관광산업과 직접적인 연관 없음거의 없음12. 금융

현재의 개방수준(Mode1 – Mode3)으로 확정직접적11. 서비스

자연생태환경에 대한 관심으로 지속 가능한 관광개발과 자연 친화, 녹색관광 그리고 새로운 산업적 패러다임을 반영한 Neo Tourism이 지속적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됨

간접적18. 환경

관광종사원의 현지 업체로의 자유취업이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큰 영향은 없음간접적17. 노동

관광산업과 직접적인 연관 없음거의 없음16. 경쟁

현재의 개방수준(Mode1 – Mode3)으로 확정간접적15. 정부조달

국제적 수준의 투자자보호로 실질적인 투자환경의 개선은 새로운 투자를 유인하게 되고,호텔, 외식업체, 리조트 등 관광관련 분야에서의 투자가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을 것임

간접적10. 투자

관광산업과 직접적인 연관 없음간접적9. 의약품/의료기기

자동차 분야의 개방이 관광산업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거의 없음

그러나, 관세철폐로 인한 직접적인 수출증대 효과와 세제개편 혜택은 결국 소비자에게돌아갈 것임. 소비자들의 구매능력의 향상과 이로 인한 기타 경제파급효과로부터 간접적영향을 받아 관광산업 활성화가 될 가능성이 있음

간접적8. 자동차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영향력세부 분과

Page 53: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7. 한미FTA체결이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

Page 54: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54

한미 FTA의 발효가 우리나라 관광산업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며, 한미 FTA에 따른 GDP성장, 고용창출, 외국인 투자증대 등과 같은 경제파급효과로부터 간접적 영향을 받게 될 가능성이 큼

요약

한미FTA의 영향력

단기

직접적

PE

RIO

D

고용시장의 변화관광산업 활성화

비즈니스목적의미국 방한객 증가

관광산업의고비용 해소에 기여

관광관련 분야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의 증대

장기

간접적

관광수지 적자규모의대폭 확대 가능성

한미FTA체결이 국내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

Description

비즈니스목적의 미국인 방한 증가

- 경제교류 활성화에 따른 비즈니스목적의 미국인 입국자 증대 예상

관광산업의 고비용 해소에 기여

- 관세 인하 및 철폐에 따른 수입원자재가격 등 요소비용 하락으로 관광산업의가격경쟁력이 제고될 수 있음

관광관련 분야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의증대

- 외국인 투자제한규제의 개혁으로자유로운 시장 분위기 조성

관광수지 적자규모의 대폭 확대 가능성

- 한미FTA체결에 따른 비자면제프로그램의 적용시

고용시장의 변화

- 산업구조의 인력변화 및 서비스수준의향상

관광산업 활성화

- 한미 FTA에 따른 GDP성장, 고용창출, 외국인 투자증대 등과 같은경제파급효과로부터 간접적 영향으로관광산업의 활성화

Page 55: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55

향후 관세철폐를 통해 양국간 실질적인 교역증대를 가능하게 하고, 실질적인 교역증대는사업목적의 미국인들의 한국 방문 증가를 가져올 것으로 판단됨

비즈니스목적의 미국인 방한 증가

미국방문 캐나다인 중 비즈니스 목적 관광객 비율 증가

미국방문 캐나다인 중 비즈니스 목적 관광객 비율(%)

NAFTA체결전(’91 - ’93) NAFTA체결후(’94 - ’00)

체결후5.4% 증가

체결후5.4% 증가

10.511.6 12.3

15.1 15.4 15.8 15.5

19.1 19.0 18.7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향후 관세철폐를 통해 양국간 실질적인 교역증대 효과 기대 가능

실질적인 교역증대는 사업목적의 미국인들의 한국 방문 증가를 예상Implication

한·칠레 FTA체결후 실제 교역량 증가 현황

한·칠레FTA체결의 실제 교역량 증가 현황

4.6 5.1

9.7

발효 1년차(04.4 - 05.3)

발효 2년차(05.4 - 06.3)

발효 2년간 누적치(04.4 - 06.3)

2004년 4월FTA체결

단위: 억불

출처: 산업자원부, 각년도; 한미FTA 관련 통계, 한미자유무역협정체결지원위원회, 2007

Page 56: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56

관세 인하 및 철폐에 따른 자본재 및 수입원자재 가격의 하락으로 인해 관광산업의 가격경쟁력이 제고될 수 있음

관광산업의 고비용 해소에 기여

4.937자연자원 및 문화자원

3.9118관광 중요성에 대한 국가적인식

5.248인적 자원

4.773인적·문화적/자연적 자원

4.284관광분야 가격 경쟁력

2.968관광 인프라

4.524관광 사업여건 및 인프라

4.646정책/규제

4.6422007 종합 지수

점수 (7점척도)한국 순위지 표

28

한국순위

티켓 수수료 및공항세

장점

72과세 범위 및 영향

88연료비 수준

90구매력 평가(PPP)관광산업의가격경쟁력

한국순위단점지 표

한국의 관광산업 경쟁력 지수

관광산업의 가격경쟁력 장단점 비교

출처: Travel & Tourism Competitive Index, 2007, World Economic Forum

가격 경쟁력 제고

국내수입관세철폐에따른자본재및원자재수입가격하락으로요소비용하락

소비재의경우수입가격하락및제품간경쟁으로물가안정, 소비의선택폭확대, 서비스질의향상등소비자후생증가

이는구매력평가(PPP)의상승, 연료비수준의하락등으로이어져관광산업의가격경쟁력제고에기여

관광산업의 가격경쟁력 Status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에서 발표한국가별관광산업경쟁력지수에따르면조사국 124개국중 84위수준으로매우취약

Page 57: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57

국제적 수준의 투자자보호로 실질적인 투자환경의 개선은 새로운 투자를 유인하게 되고, 호텔, 외식업체, 리조트 등 관광관련 분야에서의 투자가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을 것임

관광관련 분야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의 증대

4.01,401기타서비스

6.82,370문화 및 오락

4.01,385비즈니스서비스업

0.278운수 및 창고

4.91,698음식 및 숙박

55.019,217서비스업*

100.034,936전산업

비중(%)금액

NAFTA 투자증가 사례 - 미국으로부터 FDI 투자 확대

출처: 산업자원부, 각년도

미국의 對멕시코 FDI증가 추이 (연평균, 억불)

16

44

체결전(’90 - ’93) 체결후(’94 - ’04)

미국의 對캐나다 FDI증가 추이 (연평균, 억불)

12

130

체결전(’90 - ’93) 체결후(’94 - ’04)

연평균2.7배 증가

연평균2.7배 증가

연평균10.8배 증가

연평균10.8배 증가

미국서비스산업의對한국투자현황

미국의 對 한국FDI중 서비스업이차지하는 비중은55%에 이름

Implication

국제적 수준의 투자자 보호 (내국민 대우, 최혜국 대우, 이행요건부과금지, 경영진 국적제한 금지, 송금보장 등)로 실질적인 투자환경 개선효과가 기대됨

운수·창고, 음식·숙박 및 문화 및 오락, 비즈니스서비스업과직접적 연관성이 높은 관광서비스는 한미FTA체결에 따라 투자의유인이 증대될 것임

즉 한미FTA는 새로운 투자를 유인하게 되고, 호텔, 외식업체, 리조트 등의 분야에서의 투자가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을 것임. 또한 이러한 투자는 노동력의 전문화와 새로운 직종군의탄생으로 관광서비스 분야별로 전문화와 대형화에 크게 기여할것임

(1962 - 2005년 누적치, 단위: 백만$)

*서비스업은 음식 및 숙박, 운수 및 창고, 비즈니스서비스업, 문화 및 오락, 기타서비스업을 포함하고 있음

출처: 산업자원부

Page 58: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58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타결됨에 따라 한국의 미국 비자면제 프로그램(VWP) 가입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임

관광수지 적자규모의 대폭 확대 가능성 [1/2]

VWP가입 가능성이 높아짐

미국 비자면제프로그램 가입 조건 (2008. 07월 이후)- 2008년 7월 미 상원은 VWP가입조건 중비자거부율 기준을 3%에서 10%로 상향조정 예정

- ICAO 기준에 부합하는 전자여권 발행

- 미국의 사법집행 및 안보이익에 대해무해

미국비자 거부율(%)

3.2

3.5

2005 2006

지난 2년간 각각3.2%, 3.5% 수준의미국비자 거부율을보임

아깝게 3% 조건을맞추지 못했던 만큼10% 미만으로기준이 완화될 경우조건을 충족하는데어려움이 없을것으로 전망됨

Implication – ‘Free trade, Free travel’

한미 FTA협상이 타결됐지만 FTA와 VWP가입은기술적으로는 무관하지만

그러나, 법적·기술적 요건을 모두 충족시킨 나라들중에서 미 행정부가 VWP가입국을 최종 결정할 때는FTA를 통해 미국시장과 더욱 가까워지게 된 한국을최우선 대상으로 삼을 것이라 전망됨

Free trade, Free travel (자유무역, 자유여행) –외교통상부 당국자는 최근 접촉한 미국의회관계자들의 ‘한국과 미국이 FTA를 통해 양국간무역장벽을 낮춘 만큼 여행장벽도 낮춰지는 것이순리’라고 말을 인용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타결됨에 따라 한국의미국 비자면제 프로그램(VWP) 가입 작업도 탄력을받을 것을 뒷받침

한미FTA체결은 3개월짜리 미국 방문비자를면제하는 VWP에 가입하게 하는 간접적인 영향을 줄것으로 보임

출처: 한국관광공사 내부자료

Page 59: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59

비자면제에 따른 미국여행의 접근성이 강화되어 우리나라의 대미 관광수지 적자규모가 대폭 확대될 가능성이 있음

관광수지 적자규모의 대폭 확대 가능성 [2/2]

방미객의 폭발적 성장과 관광수지 적자폭의 심화

미국행 출국자수 추이, 2002-2010(e)

대미국 여행수지 추이, 2002-2005

692,407 679,195 627,575 665,181

1,800,000

‘02 ‘03 ‘04 ‘05

’05년 66만명에이르는 한국인의미국방문객수가 약3배정도 증가해2010년 180민먕이상될 것으로전망됨

미국여행자는다른국가의 출국자대비 1인당지출액이 높아관광수지 적자폭은더욱 확대될 것으로예측

한국 관광수지 악화의 원인

Outbound의 급속한 증가

- 경제력 증대와 여가시간의 확대

- 해외 여행의 접근성 강화

Inbound의 성장성 둔화

- 편중된 외래 관광객 분포

- 취약한 국가 이미지

- 관광상품의 차별화 미흡

- 미흡한 프로모션 및 낮은 가격경쟁력

- 관광인프라의 상대적 열위

+ ’10(e)

’05년 대비3배증가

’05년 대비3배증가

(14.5) (14.4)

(23.2)

(32.6)

‘02 ‘03 ‘04 ‘05

적자폭 심화적자폭 심화

(단위: 명)

미국 비자면제 프로그램(VWP) 가입時

최대 90일간 비자 없이 관광 또는 상용목적에한하여 미국을 방문할 수 있게 됨

인구, GDP, 교역량 등 제반조건이 비슷한체코와 포르투갈의 경우 VWP적용 유무의차이로 인해 방미객 숫자가 2배이상 차이가나고 있음

미국여행의 접근성이 강화되어 한국인의 미국방문객 수가 2010년 180만명 이상될 것으로전망됨

연간 대미관광지출액이31.5억$ 늘어남

출처: 한국관광공사 내부자료

Page 60: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60

한미FTA는 1차산업의 구조조정을 가져와 종사자들의 관광산업으로의 대거 유입이 예상되는 한편 서비스업의 개방은 관광종사원들의 서비스 수준의 향상의 기회를 제공함

고용시장의 변화

1차산업 종사자들의 관광산업으로의 대거 유입

Implication

관광종사원들의 서비스 수준의 향상

1차산업종사자

1차산업종사자

3차서비스 산업

3차서비스 산업

인력 유입일자리 제공

관광산업관광산업

한미FTA체결은한미간의관광서비스격차가좁혀지고장기적으로한미간의관광서비스가표준화될것이므로이에대비하여관광서비스의표준화노력이요구됨

관광서비스의표준화는관광관련시설과서비스모두를포함하는것으로인증제도(ISO 9001)과같이특정목적을가지고해당분야의표준화를유도하여quality를높이는것을의미함

한미FTA는서비스업의개방과관광산업종사원의국제적경쟁시대의도래를유인하여인력의전문화및표준화가국제적기준에부응하는수준으로실현될수있는기회를제공

한미간 임금수준 격차 및 노동시장구조의 이질성, 또한 한미FTA체결시 관광산업의 자연인 이동(Mode 4)을유보하였기 때문에 양국간의 인력의 이동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됨

다만, 농업시장의 개방으로 인해 경쟁력이 취약한 1차산업 종사자의 3차 서비스산업으로의 대거 유입이예상됨에 따라, 이들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

한미FTA는 서비스업의 개방과 관광산업 종사원의 국제적 경쟁시대의 도래를 유인하여 인력의 전문화 및표준화가 국제적 기준에 부응하는 수준으로 실현될 기회를 제공

Page 61: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61

한미FTA 발효에 따른 경쟁 심화를 통한 생산성 증대로 GDP성장, 고용창출 등의 기타 경제파급효과로부터 간접적 영향을 받아 관광산업이 활성화 될 수 있음

관광산업 활성화

자원배분의 효율성

-생산특화

-교환의 이익

규모의 경제 실현

경쟁촉진

-품질향상

-기술이전

자원배분의 효율성

-생산특화

-교환의 이익

규모의 경제 실현

경쟁촉진

-품질향상

-기술이전

경제개방 확대

생산성 증대생산성 증대

경제개방에 따른 생산성 증대 메카니즘

GDP성장*(0.3% - 6%)GDP성장*

(0.3% - 6%)

고용창출고용창출

소득증대소득증대

관광수요의

증가

관광수요의

증가

관광산업활성화

* 한미 FTA 이행은 우리나라의 실질 GDP를 약 0.3~6.0%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음, 정태모형에서는 0.3%, 생산성증대를 고려할경우 6.0% 증가

출처: 한미FTA의 경제적 효과 분석, 산업자원부, 대외정책연구원, 2007.04

Page 62: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62

한미 FTA를 통해 대부분의 상품 분야 관세가 철폐되었으나, 면세점 취급 품목이 많지 않기때문에, 한미 FTA에 따른 면세사업 부문 영향력은 미미한 것으로 예상됨

관광공사 면세사업에 주는 영향 [1/4]

• 상대국산 상품(공산품/임수산품)에 대해 관세철폐 및 무역자유화 추진

• 수출세 부과 금지 및 수입허가의 투명성 강화

• 미국에서 생산된 전자제품 가격하락이 예상되나 영향은 미흡

- 현재 전자제품의 경우 면세품과시중 유통 품목간의 가격차 미미

- 인천공항면세점 매출 가운데전자제품 비중 6.4% 불과 (’02 ~ ’06 연평균)

• 국산품 및 토산품 대체재라 할 수 있는미국산 수산물/임산물의 경우 장기적철폐로 영향 미흡

- 명태, 민어 등 수산/임산물의경우 미국산 상품 수요 낮음

- KTO 매출 가운데 수산/임산물비중 매우 낮음

면세 사업 관련 주요 내용 면세 사업 부문 예상 영향

• 상품 분야 100% 관세철폐, 94% 조기철폐

- 주요 전자제품의 5~8% 관세 즉시 철폐

- 수산물 및 임산물에 대해 장기적으로 철폐

- 명태 (15년), 민어 (12년) 등 우리나라토속품 시장 진입이 예상되는 품목 보호

• 물품취급수수료 철폐

- 대미수출품에 부과되는 물품취급수수료철폐

- 2,000불 이상의 물품에 대해 가액의 0.21% 취급수수료 (Merchandise Processing Fee) 부과 중이었음

상품 부문

협정 기본내용

상품 부문

협정 기본내용

쟁점별

타결내용

쟁점별

타결내용

Page 63: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63

한-EU FTA는 2007년 5월 1차 협상을 시작했으며, 상품, 서비스무역, 직접투자, 지적재산권등 광범위한 분야를 포괄함

관광공사 면세사업에 주는 영향 [2/4]

한-EU FTA 타결한-EU FTA 타결2006 2007 2008

• 1,2차 예비협의

• 한-EU FTA 추진 관련 공청회

• 2007.05 협상 출범 공식 선언 및1차 협상

• 2차, 3차 협상 예정(브뤼셀)

• 4차 협상 예정 (서울)

• 한미 FTA 비준 및 발효시점에맞추기 위한 조기 타결 가능성

• EU의 포괄적인 FTA 협정요구로 인해 장기화 가능성

존재

• 2008년 상반기 타결 시각 우세

추진일정

추진 배경

우리나라ㅇ;ㅂ징

우리나라ㅇ;ㅂ징

EU 입장EU 입장

출처: 한-EU FTA의 주요 쟁점과 협상전략, Seri, 2007.05, BearingPoint Analysis

• EU는 GDP 14.5조 달러 (’06), 인구 4.9억 명의 세계 최대 단일경제권

• 2005년부터 제2위 수출 시장 (’06년 對EU 수출비중 15.1%, 중국 21.3%, 미국13.3%)

• EU는 한국에 대한 최대 투자국으로 한국내 전체 FDI(외국인직접투자, Foreign Direct Investment)의 1/3 차지

• 한국제품의 EU시장 점유율 2%대에 불과(새로운 돌파구 필요)• EU 입장에서도 급성장하는 아시아 국가들과의 FTA 체결 시급

• 경제적 기준을 토대로 한국, 인도, ASEAN을 우선 협상 대상국으로 선정

• 한-미 FTA 협정 발효 시 세계 11위 경제규모의 한국시장을 미국에 선점 당할 수있다는 위기의식 작용

포괄적 FTA 지향포괄적 FTA 지향

Page 64: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64

현재 추진 중인 EU와의 FTA의 경우 부띠끄 제품의 가격 하락이 예상되어 2008년 이후 주요품목에 있어서 일반 제품과의 가격차 감소가 예상되어 면세 사업에 부정적 영향 예상

관광공사 면세사업에 주는 영향 [3/4]

출처: 한-EU FTA의 주요 쟁점과 협상전략, Seri, 2007.05, BearingPoint Analysis

• 위스키류(20%) 및 와인(15%)의 관세는 매우 높음

- 위스키 수입의 98%가 영국산

- 최대 포도주 수입 국가는 프랑스 (28.7백만 달러)

- 칠레산 와인은 FTA체결로 10% 관세 적용 중

• 한-미 FTA에 비해 한-EU FTA에 따른면세사업 영향력이 클 것으로 전망

- 양주, 화장품, 향수, 의류 등 주요면세점 취급 품목은 EU 회원국에집중

- 또한 대부분의 상품의 관세율이상대적으로 높으며,

- FTA 체결에 따라 관세가 철폐될경우 면세상품의 가격 경쟁력 하락예상

• 한-EU FTA 체결 시 2008년 KTO 인천공항면세점 취급 품목 변화 후에도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

- 대부분의 면세 상품이 관세철폐대상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

- 특히 KTO 주요 취급 품목인 부띠끄(의류, 신발, 악세서리, 선글라스 등) 제품의 수입원이 EU 회원국임

- 현재 약 23% 수준의 가격 경쟁력이15% 이하로 내려갈 전망*

우리나라의 對EU 수입관세 현황 면세 사업 부문 예상 영향

• 대부분 8% 관세 부과 중

- 수입화장품은 프랑스, 미국, 일본 중심

-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미국, 영국이 5대 향수수출국

• 구두와 기타 신발, 의류(13%), 가방(8%) 관세 부과

- 이탈리아 : 최대 구두 수출국

• 8% 관세부과 품목이나 IT 제품은 무관세품목

- 1997년 WTO ITA 협정에 의해 IT 제품 무관세화

- EU회원국들의 對한국 수출 규모 크지 않음 (중국, 일본, 대만, 미국의 전기전자제품 수출이 많음)

* 면세사업단 인터뷰

양주양주

화장품 및

향수

화장품 및

향수

고무 및 의류

섬유

고무 및 의류

섬유

전기전자제품전기전자제품

Page 65: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65

FTA 체결로 인해 관세가 철폐될 경우, 신발/구두/의류 상품의 경우 약 11.5%의 가격 하락효과가 예상되어 면세 상품에 대한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것으로 판단됨

관광공사 면세사업에 주는 영향 [4/4]

과세가격 + 총부과세금의 10%

특별소비세액의10%

특별소비세액의30%

(물품가격+관세)의 20%물품가격의 8%

과세가격 + 총부과세금의 10%

138.24 x 10% = 13.82

과세가격 + 총부과세금의 10%

108 x 10% = 10.8

144.64 x 10% = 14.46

부가가치세

물품가격의 8%

물품가격 + 운임 + 보험료

특별소비세액의10%

특별소비세액의30%

(물품가격+관세)의 20%물품가격의 13%

21.6 x 30% = 6.48

-

52.1

21.6 x 10% = 2.16

108 x 20% = 21.68

100전기전자제품, 보석/귀금속 등

악세서리

-

22.6 x 10% = 2.26

농어촌특별세

18.8-

8

100가방류

59.1

22.6 x 30% = 6.78

113 x 20% = 22.613100

신발, 구두, 의류 등

세액합계교육세특별소비세*관세과세가격

2008년 이후 KTO 주요 취급 품목의 세금 구조

FTA 체결로인해 일반 수입

상품에서제외되는 부분

신발,구두,의류 부문 예시

- 특별소비세 : 100 x 20% = 20

- 교육세 : 20 x 30% = 6

- 농어촌특별세 : 20 x 10% = 2

- 부가가치세 : 128 x 10% = 12.8

- 세액합계 : 40.8

관세 철폐로 기존 159.1 가격 제품이 140.8로판매 가격 대비 88.5% 수준으로 인하됨

(총 세액 기준 69% 수준으로 부담 줄어듦)

Page 66: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8. 대응방안

Page 67: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67

관광서비스 수준의 제고와 서비스 표준화 작업을 단계적으로 완성하여 지속가능한 경쟁적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

관광산업전체 _ 관광 상품/서비스의 질적 제고와 서비스 표준화 작업

관광상품/서비스의

질적 제고

관광상품/서비스의

질적 제고

관광서비스 표준화

작업

관광서비스 표준화

작업

Description

한미FTA체결은 한미간의 관광서비스 격차가 좁혀지고

장기적으로 한미간의 관광서비스가 표준화될 것이므로

이에 대비하여 관광서비스의 표준화 노력이 요구됨

표준화 작업은 시설 및 서비스에 포괄적으로 이루어

져야 하는 것으로 Quality를 높이는 것을 의미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업으로 관광부문(휴양업, 여행업, 숙박업, 음식점업 등)의 인증제도(ISO9001)를개선하여야 함

고용된 인원의 Quality를 선진국 수준으로 올려야 함

홈그라운드의 이점을 살려 국내 소비자들의 니즈를

철저히 파고드는 전략과 의식의 변화가 중요함

또한, 국내 소비자들의 높아진 소득수준과 달라진

욕구를 면밀히 분석하고, 그 변화에 걸맞는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 공급하는데 주력해야 함

이를 위해, 선진 관광기업들과의 적극적인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고부가가치 상품 개발 노하우의 전수, 관련인력의 교육훈련 강화, 브랜드 강화가 요구됨

일회성이 아닌지속가능한

경쟁력우위확보

Page 68: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68

관광산업의 발전을 가로막아 온 불필요한 규제 및 기존의 불합리한 업계내부 거래관행이나부조리를 제거하고 자유롭고 공정한 경쟁 분위기가 관광업계 전반에 확산될 수 있도록 함

관광산업전체 _ 자유롭고 공정한 경쟁분위기 조성

Implication

국내관광산업의발전을가로막아온기존의불합리한업계내부의거래관행이나부조리를제거하고자유롭고공정한경쟁분위기가관광업계전반에확산될수있도록하는감시자의역할에주력해야함

주요 이슈

관광교류의장애요인과동시에관광산업의발전을가로막아온불필요한규제가현존

정부정책차원에서국내관광산업경쟁력강화를위한장단기정책대응이필요함

불필요한정부의규제는지식과아이디어가생명인서비스업의창의성과혁신을가로막는최대주범

개방과경쟁이라는현실에걸맞지않는행정편의주의적인규제는최대한줄여나가야함

Page 69: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69

관광투자활성화 방안이 FTA체결에 대비하여 체계적으로 수립되어야 함

관광산업전체 _ 관광투자 활성화 방안 수립

NAFTA 투자증가 사례 - 미국으로부터 FDI 투자 확대

출처: 산업자원부, 각년도

미국의 對멕시코 FDI증가 추이 (연평균, 억불)

16

44

체결전(’90 - ’93) 체결후(’94 - ’04)

미국의 對캐나다 FDI증가 추이 (연평균, 억불)

12

130

체결전(’90 - ’93) 체결후(’94 - ’04)

연평균2.7배 증가

연평균2.7배 증가

연평균10.8배 증가

연평균10.8배 증가

Implication

한미FTA 체결은 자본이동의 용이, 양국관광기업의 진출 용이성 등으로 양국의여행업, 휴양업, 카지노업 등에 영향을미치므로 관광투자활성화 방안이수립되어야 함

한편, 투자유치의 활성화는 물론자본유출 혹은 누출 (leakage)에 대하여체계적 접근이 필요하고, 미국 시장을겨냥한 역외국가로부터 FDI유입을실현할 수 있도록 투자 인센티브의합리성을 가져야 함.

Page 70: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70

FTA 추진에 따라 가장 큰 피해가 우려되는 농업분야에 대한 대안책의 하나로 농산어촌과관광산업을 연계하는 1.5차 산업 활성화를 정책적으로 추진해야 함

관광산업전체 _ 농산어촌의 관광 국제화의 정책적 추진

농촌 개념의 변화

일반농업

Quality Safety

유기농업

Amenity

서비스생산영역

농촌관광

경관 직불제

생산중심

서비스중심

1.5차 산업의 예로 대표적 1차 산업인 농업과 3차 산업인관광산업을 접목하여 1.5차 관광상품으로 판매하는농촌관광이 있음. 농촌관광은 침체되어 있는 농업과농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수단으로 큰 역할을 하고있음

농촌공간의 부가가치 창출의 길

농산어촌관광은 농·수산업(1차 산업)에관광(3차 산업)을 결합시켜서 새로운부가가치를 창출

- 농산어촌에 남아 있는 소박한 인정, 전통문화, 자연경관 등이 도시민들의여가 욕구를 충족시킴

- 농산어촌의 성격이 생산 공간에서생산·정주·휴양 공간으로 변화

농산어촌 인바운드 관광객 유치 방안모색 및 인트라바운드 활성화를 위한정책적 접근 필요

Page 71: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71

농촌공간의 부가가치 창출은 무조건 개발하고 지원하고 보는 정책에서 벗어나 시장수요변화를 예의주시하고 품질중심의 정책에서 시작됨

관광산업전체 _ 농산어촌의 관광 국제화의 정책적 추진

Alignment

시장시장 시설서비스

시설서비스

BrandBrand SystemSystem

시설과 서비스의 국제화

- 시설과 서비스의 Upgrade- 세련된 디자인

- 아름답고 쾌적한 공간조성

시스템과 경영의 국제화

- 시스템과 경영 능력 향상

- 인재육성 및 경영지원시스템

- 공동 마케팅 시스템

시장의 국제화

- 외국인으로 고객층 확대

- 외국인 관광객 유치

- 농업 및 농촌관광연수시장

브랜드의 국제화

- 지역문화 창출과 역량강화

- 국제적인 브랜드 개발

- 브랜드 가치 증대

농촌 관광 국제화 전략

수요 측면 공급 측면

농촌 관광 국제화 방향

Quality Innovation

Global Innovation

글로벌 수준의 관광상품과 서비스

인프라의 품질 혁신

단계적인 인증사업의 추진

외국인을 위한 관광상품 개발

국제 교류사업의 확대

농촌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국제화 교육실시

Page 72: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72

비즈니스 목적의 외국인 입국자 증가로 인해 국내 호텔업의 매출 증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차별화된 서비스 마련 등 자체 경쟁력 향상 노력이 필요함

호텔업

한미 FTA가 미치는 영향

향후 방향성 설정

매출증대 예상

- 경제교류 활성화에 따른 비즈니스 목적의외국인 입국자 증가로 인해 국내 호텔업의 매출증대로 이어질 수 있음

한미FTA로 인한 가격 경쟁력 확보 가능성

- 한미FTA로 인한 관세 인하 및 철폐에 따른수입원자재 가격의 하락으로 인해 숙박료인하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중저가 관광숙박시설 활성화 지원

- 중저가 관광숙박 브랜드 개발 및 체인화의 적극적추진 필요

- 중저가 관광숙박업 단지 조성 시 단지 내 일반숙박업소에 대해서도 관광진흥개발기금을지원하는 방안 마련

정책적 지원 확대

- 부대시설에 대한 규제 완화

- 저금리의 시설 개보수 자금 지원 촉진

- 관광호텔업에 대한 인식 제고

차별화된 서비스 마련 등 자체 경쟁력 향상 노력

- 비즈니스 목적의 외국인 입국자 증가로 인해 국내호텔업의 매출 증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 차별화된서비스 마련 등 자체 경쟁력 향상 노력이 필요함

Page 73: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73

한미FTA체결로 인한 화물 및 여객수요의 증가로 항공운송산업의 수혜가 예상됨

항공운송업

화물수요 증가 예상

+

여객수요 증가 에상

여객산업은 이미 1998년 한미 항공자유화가시행되고 있는 만큼 이번 FTA타결에 따른직접적인 효과는 없는 상태임

그러나 이번 한미FTA여파로 양국 간 인적 교류의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비자 면제 프로그램이조속히 시행될 경우 한국과 미국을 잇는여객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

한미 비자 면제 프로그램이 시행되면 첫해 양국여객 수요가 27%정도 늘어나고 이후에도 매년 8-10%씩 성장 예상

미국으로부터 수입하는 물량이 늘어나는 만큼상대적으로 저조했던 미국발 화물기의 탑재율도상승할 것으로 전망됨

항공물동량이 한미FTA여파로 연간 10% 정도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한미FTA로 늘어나는 항공화물 수요가 연간8,700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

출처: 대한항공 내부자료

Page 74: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74

커진 파이는 경쟁력에서 우위를 확보한 기업의 몫으로 결국 글로벌 경쟁력 확보 여부가 관건임

항공운송업

한-미간 여객수송의 국적 항공사 지위 결국 경쟁력 확보 여부가 관건

한-미간 항공사별 여객자수 현황 , 2005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United Singapore Northwest

2,006,743

758,072

165,98472,089

17,537

(단위: 명)

한-미간 항공사별 여객점유 현황 , 2005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United Singapore Northwest

66.4%

25.1%

5.5%2.4%

0.6%

(단위: %)

노선 증편 및 신규 노선 개설

- 비자면제가 가시화되면 기존 노선 증편 및 신규 노선개설 등을 통해 시장 선점

커진 파이는 경쟁력에서 우위를 확보한 기업의 몫

- 한-미간 노선의 경우 1998년 한미 항공자유화 협정당시의 우려와는 크게 다르게 국적항공사들이90%이상의 여객시장을 점유함으로써 시장지배적지위에 있음을 확인

- 결국 우리 업계에 있어 한미간 자유화는 미국노선다양화를 통해 시장을 확대하고 글로벌 경쟁력을키울 수 있는 기회가 되었음

역내 자유화나 통합으로 성장을 배가하고 여타 블록대비 경쟁력을 키워야 함

- 가장 역동적인 아시아 항공운송시장, 역내 자유화나통합으로 성장을 배가하고 여타 블록 대비 경쟁력을키워야 함

출처: 대한항공 내부자료

Page 75: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75

사업목적의 미국인들의 한국 방문 증가는 컨벤션 업계의 기회요인으로 국제회의 유치 증가로 이어지도록 해야 함

컨벤션업

최종 협상 타결전 이슈 최종 협상 결과

특별한 이슈 없음 컨벤션 업계와 관련된 구체적인내용은 없었음

그러나, 향후사업목적의 미국인들의한국 방문 증가가 예상되고 있고, 이로 인해 국제회의업을 유치하는컨벤션업계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음

- 국제회의 참가자가 지출하는직접소비액이 일반관광객보다높을 뿐만 아니라

- 식음료 공급업체, 수송업체, 통번역업체, 인쇄업자, 전시업체와 같은 다른 관광관련업체에 미치는 간접적지출이 재생산을 유발하면서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므로컨벤션산업은 관광산업에서 가장왕성하고 성장 지향적인고부가가치산업으로 간주되고있음

향후 방향성 설정향후 방향성 설정

사업목적의 미국인들을 목표로 한적극적 국제회의 유치

- 사업목적의 미국인들의 한국방문 증가가 국제회의 유치증가로 이어지도록 해야 함

지역적 특색을 효과적으로 살린차별화된 컨벤션 산업 육성

- 지역의 조건에 따라 적합한국제회의시설을 조사, 분석하여회의시설과 서비스면에서 지역의조건에 맞는 리조트형국제회의시설, 중소도시형국제회의 시설을 건설

국제회의 주단체의 국제회의 유치를위한 개최성향에 대한 효과적준비와 적용이 필요

Page 76: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76

미국업체의 국내진출에 대비하여 문화콘텐츠산업과 테마파크산업의 연계성 강화룰 통한경쟁력 확보에 주력해야 함

엔터테인먼트업

최종 협상 타결전 이슈 최종 협상 결과

미국업체의 국내진출

- 뮤지컬 공연이나 놀이동산 등과같은 분야는 업체의 자본과경험이 상품성과 경쟁력을결정짓는 핵심적 요소이므로, 이러한 측면에서 우위를점유하고 있는 미국업체의국내진출은 국내업계를위축시킬 수 있음

엔터테인먼트업계와 관련된구체적인 내용은 없었음

그러나, 테마파크를 포함한엔터테인먼트업은 이미 개방이 된상태이므로 금번에 체결된한미FTA가 국내 엔터테인먼트업에끼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것으로전망됨

향후 방향성 설정향후 방향성 설정

문화콘텐츠산업과 테마파크산업의연계성 강화

- 국내 테마파크는 콘텐츠의 부재→ 입장객 감소 → 수익성 악화 →재투자 제약으로 악순환이계속됨

- 사업목적의 문화콘텐츠 업체는테마파크의 콘텐츠 제공, 테마파크는 콘텐츠의 사업화 및상품화 촉진

- 원활한 교류 촉진을 위한 공사의주체적인 연계자 역할이절대적으로 필요함

유원지 내 시설 투자 촉진을 위한규제 완화

- 유원지 설치 목적에 위배되지않는 한도 내에서 설치가능시설추가

Page 77: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77

도박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카지노 사업자 제한 및 내국인 상대 영업불가라는 유보안이지켜져 한미FTA체결로 인한 카지노 업계의 영향은 없거나 극히 제한적일 것으로 보임

카지노업

최종 협상 타결전 이슈 최종 협상 결과

카지노의 내국인 출입허용

- 관광진흥법상 현재우리나라에서는 외국인 전용카지노의 설립만 허용되며, 내국인 출입은 금지되어 있음

- 이러한 측면에서, 카지노업은관광산업의 예상 협의 분야 중유일하게 외국인 차별이존재하는 부문임

- 카지노 업자들은 이미 나락에떨어진 국내 카지노산업에서탈피할 길은 내국인 출입 금지해제뿐이라고 생각하고 있음

- 한국카지노업관광협회 의견: 관광진흥법 등 현행법령의허가기준에 따라야 하나, 미국측에 대한 카지노 신규개방에대해서는 부정적

현행방침 유지 (현행유보)- 카지노의 내국인 출입을허용할 경우 우리나라의입장에서는 경제적 및 사회적 측면에서 부정적 효과가크게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 현행유보 방침 견지

- 도박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카지노 사업자 제한 및 내국인상대 영업불가라는 유보안이지켜짐

향후 방향성 설정향후 방향성 설정

카지노업 육성 종합체계확립

- 외화획득산업으로서 카지노업의기반은 카지노시설과서비스수준에 관한 경쟁력의제고에 있음

게임시설의 다양화를 추진

- 외국인 이용객이 선호하는게임종류를 꾸준히 도입하여 기존고객의 재방문을 유도하고 새로운시장인 중/저액 베팅자층 으로저변확대 해야 함

부대시설 도입 검토 필요

- 현재 카지노는 대형화되고 있는추세이며 이에 부응하기 위해서는우리나라에도 장기적으로카지노시설에 쇼나 유흥시설 등부대시설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

종업원 교육을 통한 자질 향상

Page 78: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78

국내 여행업체의 경쟁력은 미국에 비해 규모 및 생산성에서 매우 열악한 수준이며 LP*금지조항이 삭제될 경우 국내 여행업계의 잠식 가능성이 있음

여행알선업

여행사 생산성여행사 규모

국내 여행업체의 경쟁력 취약

미국과비교해국내여행업의생산성은 1/3수준으로평가됨

미국과비교해국내여행업체는상대적으로매우열악한수준이며시장개발에따른국제경쟁력을확보하기엔미흡한실정임

미국 여행사국내 진출 위협

한미 FTA에서 여행업 현안과제

여행사무소 국내 설치

- 관광진흥법상 여행알선업을등록하기 위하여 사업장주소가 필요함. 한미 FTA 협상에서는 여행알선업등록을 위해서는 국내 사무실요건이 필요하나 개방이 될경우, 상대국에서 여행업을등록하지 않고 직접 알선업수행 시 국내산업 피해가우려되고 있는 실정임

귝내여행업계

Page 79: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79

LP금지가 유보되어 국내여행업계에 주는 직접적 영향은 없으나 한미FTA체결로 한층 높아진 미국비자 면제 가능성은 국내 여행업계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임

여행알선업

직접적인 영향은 크지 않을 것 으로 예상

국내산업 피해 방지를 위해 LP금지유보

- 분쟁 발생시 소비자보호 등을이유로 현행 유보 시킴

- 한미FTA체결이 여행알선업에대한 직접적 영향은 없거나 크지않을 것으로 전망됨

VWP가입[한미FTA의 간접적 영향]은 여행업계의 호재로 작용할 전망

무비자로 전환될 경우, 미국 여행시장 규모가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예상 되는데, 부가적으로 그 동안 미국을 경유하면서 제한을 받았던중남미 여행시장도 상대적으로 자유로워질 전망

여행사 상품의 마진율(수탁고 대비 영업수익 인식률)은 거리와체류일수에 정비례하며 내년 비자면제가 전면 시행되면 관광수요가급증하면서 미주시장에서 유럽시장과 동등한 수준의 마진을 확보할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2001년 9•11 테러와 2004년 미국비자 발급요건 대폭 강화에 따라위축돼 있던 미주 패키지 시장의 활성화도 앞당겨질 전망. 특히, 체류기간도 길어짐에 따라 여행사의 마진율도 유럽시장과 비슷한수준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항공업계와 함께 비자면제에 따른 다양한 마케팅 방안을 연구해야 함

출처: 하나투어 내부자료

’하나투어의 경우, 전 체패키지 상품 중에서미국지역이 차지하는비중이 2001년에는 11.3% 수준 이었지만, 9.11사태이후 비자발급 규정이강화되면서, 2006년에는4.4%까지 하락한 것으로집계되었음

관광목적 출국자 중 미주지역 송객 점유율

11.3%

9.4%10%

주요 장거리 노선 중 최대 비율 점유

2003 2004 2005 200620022001

6.5%5.8%

4.4%

’04 비자요건 강화 후급격한 감소추세

Page 80: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80

239,150

329,112377,919

507,742

?

여러 긍정적 요인으로 인해 여행업의 지속적인 성장세가 예상되며 시장의 성장과 시장 내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대형여행사 위주로의 경쟁이 더욱 심화 될 것으로 전망됨

여행알선업

여행업의 지속적 성장세 예상

여행업 매출액* 추이 , 2003-

2003 2004 2005 2006 2010(e)

미국비자면제

미국비자면제

(단위: 백만원)

+

대형여행사 위주의 경쟁 심화

여행업 시장 점유율 , 2006

대형 여행사들로 시장이 집중되어 있음

대형여행사들은 규모의 경제를 시현하고 있으며, 항공요금에 대한 가격교섭력을 높일 수 있고 다양한패키지 상품 확보, 온라인 시스템 구축, 강한 브랜드이미지를 보유하는 등의 소매여행사들에 비해절대적인 장점을 보유

이로 인해 대형 여행사들은 국내 5,000여개에이르는 소매여행사들의 시장도 일부 편입시킬것으로 보여 시장의 성장과 시장 내 점유율을 높이기위한 대형사 위주의 경쟁이 더욱 심화 될 것으로전망됨

하나투어 32.8%

모두투어네트워크 13.1%

세종나모여행 10.5%

기타 43.6%

주5일 근무제 및 격주 5일 수업 시행에 따른단거리여행의 증가, 국민 소득 증가, 지속적인원화강세, 그리고 인구의 고령화 추세 등 국내여건의 변화가 해외여행 기회의 폭을 확대시키고있음

또한, 향후 미 비자면제 조치로 미국방문에 대한접근성이 강화되는 등 긍정적인 요인이 이어지고있어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

2008

*여행업 매출액은 상위20개사 매출액의 합산임출처: 관광여행산업 Report , 2007, 한국신용평가정보

Page 81: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81

한미FTA체결로 인한 미국 대형여행사들의 국내 진출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나, 국내여행업계의 근본적인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장기 선진화 방안을 마련해야 함

여행알선업

제도적 보완

- 여행사의 난립으로 인한 여행상품의 덤핑은 결국 소비자는 물론 여행사에게도 피해를 주게 됨으로 저질여행상품 판매 방지를 위한 법적 규제조치가 필요

- 덤핑판매 및 변칙영업에 대한 감시체계 강화

-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질적향상을 위하여 관광상품소비자보호 강화를 위한 제도 개발과 영세규모의국내관광사업체 보호를 위한 제도 마련

세제 및 금융 보완

- 우수여행업체 지원금 확대 및 지원기준 개선

- 업계의 자율가격고시제 유도 및 인센티브 부여

여행업 자체 노력

- 다양한 관광상품의 개발 및 홍보 개선

- 다양한 패키지 상품 확보 노력

- 여행사 자체적으로 덤핑판매의 자제

제도적 보완 세제 및 금융 보완 여행업 자체 노력11 22 33근본적인

국제경쟁력강화

Page 82: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82

여행업계, 호텔업계, 항공업계 등의 관광업계의 의견은 다음과 같음

업계의견수렴결과

여행업계 의견

- LP금지가 유보되어 국내여행업계는 안심하는분위기

- 비자가 큰 걸림돌로 작용해 한동안 답보상태였던미국시장의 전면 개방가능성에 따라 같은 거리의유럽과 캐나다, 그리고 대양주 전체 여행시장의판도에 큰 변화를 예상

- 다양한 미주 여행상품의 구상중에 있음

항공업계 의견

- 업계관계자들은 한미FTA로 인하여 양국간교역이 늘어나게 되어 항공물동량이 10%정도늘어날 것으로 예상

- 미국비자면제 조치로 미국을 방문하는 승객들이늘어날 것으로 예상하는 등 미주 노선 영업에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여행업계와 함께 비자면제에 따른 다양한 마케팅방안을 연구해 나갈 예정임

호텔업계

- 비즈니스 목적의 외국인 입국자 증가로인해 국내 호텔업의 매출 증대로 이어질수 있도록 여러가지 부대시설 확충과유인책 마련중

- 향후 비자면제가 실시되면 외국으로나가는 사람에 비해 한국으로 들어오는사람이 줄어들어 호텔업계에는부정적으로 작용. 이에 따라호텔업계에서는 비자면제를 반기고 있지않음

한미FTA

Page 83: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83

관광개별사업 기상도

큰 변화없음

개별사업

호텔업

기상도 최종협상전 이슈

호텔업과 관련한 특별한 이슈제기는 없었음

최종협상결과 및 기대효과

경제교류 활성화에 따른 비즈니스 목적의 외국인입국자 증가로 인해 매출이 증대될 수 있음

관세 인하 및 철폐에 따른 수입원자재 및 요소가격의 하락으로 가격경쟁력을 확보 할 수 있음

미국비자 면제국이 되면 국내관광객의 해외 유출로호텔업계에는 긍정적이지 않음

여행알선업

여행사무소 국내 설치 국내산업 피해 방지를 위해 현행방침 유지(현행유보)

- 분쟁 발생시 소비자보호 등을 이유로 현행 유보시킴

LP금지가 유보되어 국내여행업계에 주는 직접적영향은 없으나 한미FTA체결로 한층 높아진미국비자 면제 가능성은 국내 여행업계에 긍정적인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임

엔터테인먼트업(공연, 놀이동산등)

미국은 비영리 공익관련서비스를 제외한 전 분야에서폭넓게 개방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공연법 등에의거하여 소극적인 개방태도를취하고 있음

테마파크 등의 분야에서 이미 개방된 상태이기때문에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전망됨

단, 지적재산권의 강화나 국제적 수준의투자자보호로 실질적인 투자환경의 개선은 새로운투자를 유인하는 기반을 조성했다는 평가를 받음

Page 84: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84

관광개별사업 기상도

큰 변화없음

개별사업

관광안내업(통역안내업

포함)

기상도

큰 변화없음

최종협상전 이슈

관광통역안내사의 자유로운이동(Mode 4)이 허용되면한미FTA의 영향보다는 향후진행될 한중FTA에 개방선례를남기게 되기 때문에 문제가 됨(대규모 불법가이드 문제 야기)

최종협상결과 및 기대효과

자연인 이동(Mode 4)을 허용하지 않음 (현행유보)국내 관광안내업(통역안내업)에 큰 영향을 주지않을것으로 보임

컨벤션업

컨벤션업과 관련한 특별한이슈는 없었음

컨벤션 업계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없었음

그러나, 향후 사업목적의 미국인들의 한국 방문증가가 예상되고 있고, 사업목적의 미국인들의 한국방문 증가가 관광산업에서 가장 왕성하고 성장지향적인 고부가가치산업인 국제회의 유치 증가로이어지도록 해야 함

카지노업

카지노의 내국인 출입허용

- 관광진흥법상 현재우리나라에서는 외국인전용 카지노의 설립만허용되며, 내국인 출입은금지되어 있음

현행방침 유지 (현행유보)- 카지노의 내국인 출입을 허용할 경우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경제적 및 사회적측면에서 부정적 효과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고판단, 정부의 현행유보 방침 수용

항공산업

항공산업과 관련한 특별한이슈는 없었음

한미FTA체결로 인한 화물 및 여객수요의 증가로항공운송산업의 수혜가 예상됨

커진 파이는 경쟁력에서 우위를 확보한 기업의몫으로 결국 글로벌 경쟁력 확보 여부가 관건임

Page 85: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85

문화관광부 대응방안

한미FTA체결이 국내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

비즈니스목적의 미국인방한 증가

11

관광산업의 고비용 해소에기여

22

관광관련 분야에 대한외국인 직접투자의 증대

33

관광수지 적자규모의 대폭확대 가능성

44

고용시장의 변화

55

관광산업 활성화

66

자유롭고 공정한

경쟁분위기 조성

자유롭고 공정한

경쟁분위기 조성

관광투자 활성화 방안수립

관광투자 활성화 방안수립

농산어촌의 관광

국제화의 정책적 추진

농산어촌의 관광

국제화의 정책적 추진

관광 상품/서비스의

질적 제고와 서비스

표준화 작업

관광 상품/서비스의

질적 제고와 서비스

표준화 작업

대응전략

관광산업 육성기반

조성

관광산업 육성기반

조성

시설 및 서비스의 표준화로 Quality를 높여야함

소비자의 높아진 욕구에 걸맞는 새로운상품과 서비스의 개발 및 공급

농촌공간의 부가가치 창출의 길 마련

관광진흥개발기금 지원의 효율화

관광특구 활성화 등의 기반조성

Description

관광산업의 발전을 가로막아 온 불필요한규제를 제거하기 위해 정부정책차원에서국내 관광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장단기정책대응이 필요함

투자유치의 활성화는 물론 자본유출 혹은누출 (leakage)에 대하여 체계적 접근이필요함

Page 86: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86

문화관광부 대응방안

자유롭고 공정한

경쟁분위기 조성

자유롭고 공정한

경쟁분위기 조성

관광투자 활성화 방안수립

관광투자 활성화 방안수립

농산어촌의 관광

국제화의 정책적 추진

농산어촌의 관광

국제화의 정책적 추진

관광 상품/서비스의

질적 제고와 서비스

표준화 작업

관광 상품/서비스의

질적 제고와 서비스

표준화 작업

대응전략

관광산업 육성기반

조성

관광산업 육성기반

조성

우수지역축제를 세계적인 관광자원으로 육성

음식, 숙박, 개인사업장 서비스 인증제도의 개선

택시, 운송서비스 제고를 위한 경영 서비스 평가제 도입

관광종사원 자격증 소지자 채용 의무화 및 관광안내체계 개선

농촌체험관광 등 도시와 농촌간의 교류 활성화

농촌관광 콘텐츠 개발 지원

중저가 관광숙박시설 활성화 지원

해외관광홍보 마케팅 예산의 대폭 확충

관광홍보 브랜드 구축

문화관광부 추진과제

여행소비자 보호를 위한 제도 개선

여행업체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정보 제공 확대

덤핑판매 및 변칙영업에 대한 감시체계 강화

관광단지 개발투자에 대한 세제 및 부담금 지원 확대

관광단지 조성절차 간소화

관광자원의 개발에 관한 법률 제정 추진

11

22

33

44

55

Page 87: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87

관광공사 대응방안

고용시장의 선진화

유도

고용시장의 선진화

유도

외국관광객들을 위한산업체 방문 코스네트워크 개발

외국관광객들을 위한산업체 방문 코스네트워크 개발

한미FTA체결이 국내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

국제회의 유치

확대를 위한 지원

국제회의 유치

확대를 위한 지원

국가 브랜드 및 이미지 관리

관광상품의 Upgrade마케팅 채널 및 프로모션 효율성 제고

관광 인프라 및 관련 서비스 확충

국내관광 홍보 강화

외래 관광객이 선호하는 국내 산업체를 선정하여홍보관 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연계코스를개발 (문화관광부, 산업자원부 협조)해당 산업체의 호응을 유도하기 위해한국관광공사와 전경련 등 경제단체 협의체를구성하여 여행사의 상품 개발을 지원

유치 유망 국제회의를 선정, 컨벤션뷰로·국제회의기획업체 등의 유치활동을집중 지원하여 국제회의 유치가능성 제고(유치성공시 성공보수(Success Fee) 지급 검토)국제회의 요건을 완화하여 지원 가능한국제회의의 범위 및 대상 확대

비즈니스목적의 미국인방한 증가

11

관광산업의 고비용 해소에기여

22

관광관련 분야에 대한외국인 직접투자의 증대

33

관광수지 적자규모의 대폭확대 가능성

44

고용시장의 변화

55

관광산업 활성화

66

관광수지 개선관광수지 개선

대응전략 Description

관광산업으로 대거 유입된 1차산업 종사자들의서비스 수준의 질적 제고

Page 88: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88

한국의 미국 비자면제 프로그램 가입이 당초 예상대로 2008년 7월에 이루어질 경우 관광공사 중장기 경영목표인 관광소비 총량 증가율 균형의 달성이 어려워 짐

관광공사 대응방안

관광소비 총량 증가율 목표

2001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8.5

(단위: 조원)

Inbound 관광소비 총량

Outbound 관광소비 총량

CAGR

Intrabound 관광소비 총량국내 관광 소비 총량

해외 관광 소비 총량

20.7 20.4

12.39.7%

-0.3%

13.1 14.0 14.9 15.9 16.918.0

21.222.6

23.925.5

27.229.0

5.9 5.1 5.6 6.1 6.7 7.4 8.1

6.4%

6.4%

6.5%

3.9%

14.5

8.2

12.5 16.1

17.0 17.8 18.8 19.820.9

* 해당연도 연평균 환율 적용 (01년 1,290.8원/$, 02년 1,251.2원/$, 03년 1,191.9원/$, 04년 1,144.6원/$, 05년 1,024.3원/$, 06년 955.51/$)출처: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20.97

2011(e)

VWP가입 시연간 대미관광지출액이31.5억$(2.97조원) 늘어날것으로 전망

출처: 한국관광공사 2011 중장기 전략

Gap 2.97조원

한국관광공사 목표치

Page 89: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89

관광소비 총량 증가율 균형의 달성을 위한 변화의 동인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음

관광공사 대응방안

Inbound 고객확대

해외여행 미방문자의신규유입

한국 재방문율의 증대

인식도 제고

해외 홍보/마케팅 강화

체류만족도의 증대

변화 Driver Breakdown현황 개선을 위한 Fishbone Diagram

관광수지 개선

관광수입

관광지출

외래관광객체류 일 수

외래관광객인당 1일 소비액

출국 관광객 수

관광객 해외 지출

국가 브랜드 및 이미지 관리

11

관광상품의 Upgrade

22

마케팅 채널 및 프로모션효율성 제고

33

관광 인프라 및 관련 서비스확충

44

국내관광 홍보 강화

55

Page 90: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90

관광공사 대응방안

국가 브랜드 및 이미지 관리

대응방안

일관된 브랜드 운영

- 대표브랜드 성공을 위해 하나의 브랜드(Korea Sparkling)에 대한 집중적이고 연관성이 높은홍보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함

장기적 투자 및 홍보

- 브랜드 이미지의 구축을 위해서는 장기적인안목의 꾸준한 홍보활동 및 투자가 요구됨

과감한 대규모 투자

- 전 세계에 홍보 효과가 있는 각종 국제 행사유치를 위한 과감한 투자가 필요함

요약

대표 브랜드의 정립 및 강화를 위한일관된 관리 및 지원

브랜드 확산을 위한 장기적이고과감한 투자

11

관광사업의 비전 및 전략과 부합하는 상품 개발

- 전반적인 관광 전략과 국가 이미지 등에부합하는 상품개발을 통하여 시너지 극대화 추구

지역적 특색을 살린 관광 상품 개발

- 한국의 특색을 부각시킨 관광상품의 개발을 통한국가 브랜드 강화 및 고객 재방문율 제고

Target고객을 목적으로 한 관광 상품 개발

- 주 방문 고객의 관광 니즈 및 상황을 고려한 상품개발

관광상품의 개발은 국가 및 도시의관광산업의 비전 및 전략과부합되어야 함

자연 관광 자원의 활용 뿐 아니라새로운 관광 상품의 인위적인개발을 통해 관광 Resource를 확충

관광상품의 Upgrade

22

Page 91: 한미FTA체결이관광산업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 …...2007/10/31  · 여행 알선업 78 업계의견수렴결과 82 목차 관광개별사업기상도 83 문화관광부대응방안

91

관광공사 대응방안

마케팅 채널 및 프로모션효율성 제고

대응방안

현지 채널과의 긴밀한 제휴 및 협력을 강화

- 현지 채널에 대한 동기 부여 (현지 채널에 대한인센티브 프로그램의 실시 등)

- 현지 채널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 제공 (관련Material 및 Training 제공 등)

- Point of Sales에서의 PR (Eye-catch용의Material 제작 및 제공 등)

요약

한국 여행을 위한 정보 수집과여행상품 구매 채널에서의 노출 및권매를 유도함

브랜드 확산을 위한 장기적이고과감한 투자

33

항공

- 공항 시설의 개선 및 출입국 심사 간소화

숙박 및 음식점

- 숙박 시설 및 음식점 이용 편리성 강화

대중교통

- 대중교통 수단 및 의사소통 편리성 개선

정보

- 각종 여행 정보에 접근성 증대

관광객이 머무르는 동안 사용하게될 교통, 숙박, 관광정보 제공 등편의 수단의 리뉴얼 및 신설

관광 인프라 및 관련 서비스확충

44

공사가 추진하고 있는 구석구석 국내여행광고의 범 국민관광 캠페인화

내나라여행박람회의 매년 개최 및국내여행업자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여국내여행산업 활성화 계기 마련

테마별 관광상품 선정 및 홍보를 통하여다양한 국내관광 수요 창출 도모

국내관광 홍보 강화

55 해외여행을 가기 위한Outbound수요를 Intrabound로유도